소셜미디어와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Med Educ, 2014)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Anne Cunningham




이번 호에서는 Jain 등이 학생, 교수, 대학 직원 (일반인을 대표)이 Facebook의 공개 프로필에 게시된 특정 자료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연구하였다.1 그들은 환자의 기밀 유지를 위반하는 것과 같은 가장 심각한 transgression에 대해서는 모두 일치를 이루었다. 그러나 술을 먹는 사진이나 '동성 연애자'를 묘사하는 문제 등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 차이가있었습니다 .1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교수진이나 대중보다 관용적이었습니다.

In this issue, Jain et al.1 set out to explore how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university staff (presumed to represent the public) view the posting of certain materials to public Facebook profiles.1 They found agreement on the most serious transgressions, such as the breaching of patient confidentiality.1 There was more disagreement, however, about other issues, such as appearing in photographs with alcohol, or as part of what the authors describe as ‘same sex couples’.1 In general, students were more tolerant than their faculty staff or the public.


의대생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서 각자 다른 담론을 사용합니다. 일부 학생들은 자신이 어떻게 행동하고 보여지는지와 같은 피상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 춥니 다. 반면에 다른 학생들은보다 복잡하고 구체화된 이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Medical students employ different discourses when considering professionalism: some students focus on more superficial aspec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how they act or appear, whereas others have more complex and embodied understandings.3


어떤 사람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은 정체성과 가치관에 대한 것이지만, 어떤 사람들에게 프로페셔널리은 태도와 행동의 집합입니다

To some professionalism is an identity and set of values, whereas to others it is a set of attitudes and behaviours



소셜미디어에서 그려지는 의대생의 음주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의대 문화에서 과도한 알코올 소비는 오랜 역사가 있습니다.

Let us consider the portrayal in social media of alcohol consumption by medical students. We know that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has a long history in the culture of medical schools.



Black and Monrouxe6의 향후 연구에 따르면 영국의 의대생 중 일부는 동료에 의해 술을 억지로 먹게 되거나, 의도한 것보다 더 많이 복용하도록 강요 받거나 강요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대생과 의사의 알코올 소비에 관한 우려가 있지만, 이렇게 만드는 의과 대학의 문화에 대한 점검은 거의 없다. 2012 년 영국의 의대생의 온라인 설문 조사에 따르면 22 %만이 자신의 의대가 알코올에 대한 건강한 태도를 장려한다고 응답했다.

Forthcoming research by Black and Monrouxe6 finds that some medical students in the UK felt compelled or coerced by theirfellow students to drink alcohol or to take more than they had intended. Although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alcohol consumption of medical students and doctors,7–9 the culture in medical schools that facilitates this is rarely examined. An online surveyof medical students in the UK in 201210 found that only 22% thought that their medical school promoted a healthy attitude towards alcohol.


학생들은 실제로 못된 것보다 못되게 행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더 안 좋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프로페셔널한 태도'를 모사하는 것이 실제 행동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 질 수 있다고 보았다.

Students sense that being seen to behave badly may be considered worse than actually behaving badly: that is, the portrayal of a ‘professional demeanour’11 may be seen as more important than the actual behaviours of medical students.


학생들이 '의대가 학생의 실제 웰빙보다 겉으로 보여지는 이미지를 더 염려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놀랍습니까?

Is it surprising that some students think that medical schools are more concerned about image than about student well-being?


전문직의 바운더리는 일반적으로 침범(환자에게  가해진 피해가 없을 때) 또는 위반(환자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한 것으로 보여지지만, 소셜 미디어 프로필을 통해 온라인에 self-disclosure를 하는 것이 후속 협의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13 그러나 여전히 그러한 경고는 지속된다. Jain 등은 성적 취향의 표현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우리는 의과대학의 문화에 동성애 혐오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청소년(동성애자)들은 오프라인에서 접하게 될 동성애혐오에 대응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스스로를 서포트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16

Professional boundaries are normally seen as either crossed (when no harm is done to the patient) or violated (when harm does occur), but we have no evidence that online self-disclosure through social media profiles affects subsequent consultations.13 Still, the warnings persist. Jain et al.1 looked at perceptions of the expression of sexual orientation. We know that homophobia exists within medical cultures14,15 and that young people use social media to form networks to support them in dealing with the homophobia they meet in offline life.16


보다 일반화하자면, 개인 정보를 드러내는 것에 대한 불편함은 "표준화에 대한 담론"과 "의학적 전문직 정체성의 다양성의 담론" 사이의 긴장 관계와도 관련이 있다

More generally, discomfort over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 keeping with the tensions described by Frost and Regehr17 between the discourses of standardisation and diversity in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개인이 성적 취향이나 기타 개인 정보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암묵적이든 아니든, 주요 의과 대학이 [본인의 개인적 가치와 사회 문화적 배경을 벗어날 수있는 '중립적 인 의사'또는 '바닐라 의사'를 생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근거인가?


Is the concern over an individual’s releasing of information on his or her sexual orientation or other personal information evidence that those leading medical schools, implicitly or otherwise, believe we can (or desire to) produce ‘neutral doctors’18 or ‘vanilla physicians’19 who are able to leave behind their own personal value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s? 


만약 그렇다면, 소셜 미디어가 사회화 과정에 대한 위협으로 보여지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며, 이러한 위협은 학생들에게 기존의 정체성을 일깨워 줄 수 있는 모든 더 넓은 네트워크로부터의 고립이기 때문이다.


If so, then it is no wonder that the social media are seen as representing a threat to a process of socialisation which Beagan18 describes as in part involving isolation from all wider networks that might remind students of their previous identities.



우리는 오프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에서도 항상 환자와 동료의 존엄성을 존중해야합니다. 이 외에도 소셜 미디어의 행동에 대한 규제와 조언은 러너 (Lerner)가 말한 것처럼 'alarmist'처럼 나타납니다 .20 대안이 있습니다. 매카트니는 '다른 시민들과 마찬가지로, 의사들도 온라인으로 의견을 표명 할 수있는 권리가 있으며, '의술의 신 콤플렉스'를 제거하는 한 가지 효과는 medicine을 humanise하는 것이고, 의사들이 완전무결하지 않더라도 프로페셔널한 사람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Ballick은 이러한 접근법을 '사려 깊고 미묘한'것이며 '온라인 삶의 복잡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표현했다.

When we are online, just as when we are offline, we must always respect the dignity of our patients and colleagues. Beyond this, regulating and advising on behaviour in social media risks appearing, as Lerner states, ‘alarmist’.20 There are alternatives. McCartney suggests that ‘doctors, like other citizens, are entitled to express opinions online and one effect of the undoing of the medical god complex has been to humanise medicine and populate it with doctors who are fallible but professional’.21 Ballick describes such an approach as ‘rather thoughtful and subtle’ and acknowledging of ‘the complexity of online life’.22


1 Jain A, Petty E, Jaber R, Tackett S, Purkiss J, Fitzgerald J, White C. What is appropriate to post on social media? Ratings from students, faculty and the public. Med Educ 2014;48:157–69.



20 Lerner BH. Policing online professionalism: are we too alarmist? JAMA 2013;173 (19):1767–8. XXX


21 McCartney M. How much of a social media profile can doctors have? BMJ 2012;344:e440.




 2014 Feb;48(2):110-2. doi: 10.1111/medu.12404.

Social media and medical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Cardiff, UK.

PMID:
 
24528392
 
DOI:
 
10.1111/medu.12404
[Indexed for MEDLINE]


호기심과 의학교육(Med Educ, 2011)

Curiosity and medical education

Lawrence Dyche1 & Ronald M Epstein2



도입

INTRODUCTION


미국 의과 대학에서 의학에 관한 최신 보고서는 '호기심 많은'의사를 졸업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 호기심은 임상 추론의 중심이며, 임상추론의 실패는 premature closure로서, 의료 과오의 일반적인 원인입니다. 

  • 또한, 호기심을 존중하면 환자와의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의학 지식과 기술의 급속하게 진화하는 지금,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의사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호기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A recent report from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on the sciences in medicine identifies graduating ‘inquisitive’ doctors as a primary goal.1 

  • Curiosity is central to clinical reasoning and its failure, premature closure, is a common cause of medical error.2 

  • In addition, respectful curiosity can help build relationships with patients.3 

  • Doctors need to be curious about their own abilities in order to remain current in rapidly evolving states of medical knowledge and skill.4


호기심, 탐구심, 학습

CURIOSITY, INQUISITIVENESS AND LEARNING


웹스터 사전은 호기심을 '탐구하고자 하는 충동, 지식 추구, 새로운 정보나 관심 대상에 대한 마음을 만족시키기위한 충동'이라고 정의한다.

Webster’s dictionary defines curiosity as ‘the urge to investigate, to seek after knowledge, to gratify the mind with new information or objects of interest’.5


'탐구적'은 '검사나 조사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는 성향이 있으며, 다른 사람들의 일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것'이라고 정의됩니다 .5 학습의 영역에서 호기심은 훈련 된 호기심이며, 성찰, 비판적 사고, 새로운 이해를위한 끊임없는 탐색과 같은 습관의 발달로 이어진다. 호기심과 탐구심은 겹치는 면이 있고, 때때로 동의어로 사용됩니다.

‘Inquisitive’ is defined as ‘given to examination or investigation, inclined to ask questions, …curious about the affairs of others’.5 In the domain of learning, inquisitiveness is a disciplined curiosity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such habits as reflection, critical thinking and a persistent search for new understanding.10 Curiosity and inquisitiveness overlap and are sometimes used synonymously,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있는 몇 가지 유형의 호기심이 있다.

  • 지적 호기심은 지식 습득과 관련이 있으며, 세계에 대한 인지적 지도와 모순되는 사실이 이것을 자극한다. 그것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탐구와 확장을 유도합니다 .11 

  • 사회적 호기심은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소망과 관련이 있습니다. 

  • 정서적 호기심은 참신함과 자극을 통한 즐거움 추구와 관련이있다 .12 

호기심은 특정 성격 특성에 따라 개인간에 정도가 다르며, 또한 자극trigger 역시 개인적 특성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동일한 자극이 주어져도 서로 다른 측면에 이끌리게된다.

Studies in psychology have delineated several types of curiosity that can act independently or in synchrony. 

  • Intellectual curiosity is concerned wit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s ignited by facts that contradict our cognitive mapping of the world. It stirs us to explore and to expand our understanding.11 

  • Social curiosity pertains to the wish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others; 

  • affective curiosity concerns the pursuit of pleasure in novelty and stimulation.12 

Curiosity varies in degree among individuals according to certain personality traits7 and its triggers are also individual in nature so that two people might be drawn to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stimulus.



성인 학습 연구에 따르면 호기심과 탐구심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맥락에서 번창한다.

  • 학생들에게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는 

  • 여러 관점을 촉진하는

  • 학습 내용과 학습 과정 자체에 대한 깊은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탐구를 장려하는

  • 새로운인지 및 정서적 영역의 탐색을위한 안전감을 조성하는

  • 불확실성에 대한 개방성을 허용하는

  • 학생들이 동료들과 함께 일하도록 장려하는

The adult learning literature proposes that curiosity and inquisitiveness flourish in an educational context 

  • that gives students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13 

  • that promotes multiple perspectives,14 

  • that allows for mindful reflection on both the subject and the learning process itself,15 

  • that encourages inquiry rather than simply supplying information,16 

  • that creates a feeling of safety for the exploration of new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17 

  • that permits openness about uncertainty18 and 

  • that encourages students to work together with peers.19


mindfulness 및 성찰 역량의 개발은 특성 호기심과 (문제 해결, 비판적 사고 및 자기 평가와 같은) 높은 인지 기술의 사이를 연결해준다.

the development of capacities for mindfulness and reflection represents an essential bridge between trait curiosity and higher cognitive skills, such as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self-assessment.


  • 성찰은 이전의 이해와 가정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학습자가 경험 후에 한 발 뒤로 물러나는 과정입니다. 그것은 reflection-in-action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기 관찰과 지속적인 학습에있어 결정적인 역할을합니다 .18

  • Mindfulness는 사건이나 경험에 대한 관심을 비-판단적 방식으로 이끌어내는 인지적, 감정적 반응을 통해 자신의 관심을 여는 과정입니다. 호기심에 이끌린 사람들의 관찰에 생생하고 선명함을 더하고 깊고 복잡한 이해를 향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생각됩니다 .19

  • Reflection is a process in which learners step back after an experience in order to critically evaluate it in the light of their previous understanding and assumptions. I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reflection-in-action, thinking about what one is doing while one is doing it, which is critical to self-monitoring and ongoing learning.18

  • Mindfulness is the process of opening one’s attention to an event or experience while attending to both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it elicits in a non-judgemental way. It is thought to add vividness and clarity to the observations of those who are curiosity-driven, while directing them toward a deeper, more complex understanding.19


호기심 억누르기

SUPPRESSING CURIOSITY



효율성은 제3자 납부자의 요구와 의학 지식의 급증의 결과로 의료에서 점차 중요 해지고 있다. 그러나 효율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신중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행동과 의사 결정을 하기보다는 서둘러서 쉽게 빠져 나오려고 할 수 있다.20-22 신학교 학생에 대한 연구에서, 호기심과 공감을 파괴 할 수있는 잠재력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습니다. 이 학생들은 선한 사마리아 인의 이야기를 토론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강당에가는 도중에 배치 된 사람을 만났다. 서두르라는 지시를 받은 학생 중에서는 10 % 만 도와 주려고 멈추었지만, 몇 분의 시간이 있다고 말한 사람들 중 63 %는 관심과 도움을 주었다.

 Efficiency is assuming growing importance in medical practice as a result of both the demands of third-party payers and the burgeoning of medical knowledge. However, the quest for efficiency can easily lapse into haste, an approach that can compromise attention to careful data collection, helping behaviours and decision making.20–22 The potential of haste to subvert curiosity and empathy was demonstrated experimentally when seminary students, after preparing to discuss the story of the Good Samaritan, encountered a person in need placed en route to their lecture hall. Of those who had been instructed to hurry, only 10% stopped to help, but of those who had been told they had a few minutes, 63%showed interest and a desire to help.23


호기심은 불안이나 혐오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에 민감합니다. 의사가 객관성과 합리적인 사고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려는 뜻으로, 의학교육에서는 감정을 최대한 suspend하기를 요구한다. 그러나 인지와 신경 심리학 연구에서 객관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감정을 무시하는 것이 실제로 합리적 사고를 방해 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감정은 그 감정을 유심히 살펴보지 않거나 무시하는 경우에 특히 해로울 수 있습니다 .27

Curiosity is sensitive to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or disgust.24 In an effort to help the doctor maintain objectivity and rational thinking in a practice that can be highly emotional, medical education promotes the suspension of feelings. However, studies in cognitive24 and neuropsychology25,26 demonstrate that ignoring feelings in the quest for objectivity may actually interfere with rational thinking; feelings can be especially deleterious when they are unexamined or denied.27


과도한 자신감은 또한 호기심의 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Overconfidence가 진단 오류와 연관되어있다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의료계 문화에 사회화되어가면서 학생들은 확신에 찬 태도와 능력이 있는 것처럼 보여줄 것을 장려당한다. 진료과정에서 자신감을 느끼고 실력이 있다는 느낌을 전달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의사들이 환자나 동료들에 대한 불확실성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0,31 과신은 또한 피드백과 평생 학습의 추구를 방해 할 수 있습니다.

Overconfidence can also be a barrier to curiosity. As part of their socialisation into the culture of medicine, students are encouraged to present an attitude of certainty and a veneer of competence, despite the findings of recent studies that have linked overconfidence to diagnostic error.29 While it is important for doctors to feel confident and to convey a sense of competence to those in their care, many studies demonstrate that doctors show reluctance to acknowledge uncertainty to patients or peers.30,31 Overconfidence can also discourage the pursuit of feedback and lifelong learning.4


호기심을 기르려면 convention과 assumption에 도전 할 수있는 기회가 있어야 한다.14 교육은 보통 강의실과 같이 위계적 세팅에서 진행되거나, 병동에서와 같이 하향식 의사 소통이 이뤄지는 환경에서 수행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호기심을 표현하면 비판이나 굴욕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종종 더 안전하고 수동적인 역할을 선택합니다.

Curiosity requires the opportunity to challenge convention and assumptions.14 Teaching is typically conducted in hierarchically organised settings, such as lecture halls, or in ward teams that use top-down communication from an instructor-expert. Because expressing curiosity in these settings can involve risking criticism or humiliation, the learner often chooses to play a safer, passive role.32


호기심 길러주기

NURTURING CURIOSITY


Curious reflection을 위해서는 인내심을 가지고 자신 밖에 서서, 자신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다른 사람들에게주의 깊게 귀를 기울여야합니다. 전문가들은 자동 처리 모드에서 신중하고 성찰적 접근 방식으로 전환해야하는 때가 언제인지를 배웁니다. '필요하다면 속도를 늦춰라'는 adaptive expert인 의사의 핵심 습관입니다 .35 준비가 끝나면 의사가 다음 환자를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34 마찬가지로 교육 환경에서 교수자는 서둘러 내용을 다 다루려하기보다는, 맥락화, 지식의 통합과 적용에 중점을두고, 성찰과 질문을위한 공간을 허용해야 한다.

Curious reflection requires having the patience to stand outside oneself, to critically examine one’s assumptions, and to listen carefully to others.33,34 Expert medical practitioners learn when to switch from automatic processing modes to deliberative, reflective approaches. ‘Slowing down when you should’ is a key habit of surgeons who are adaptive experts.35 A few moments of preparation can help the practitioner engage better with the next patient.34 Similarly, in educational settings, instructors might be cautious of rushing to cover breadth of content and, instead, focus on contextualisation, consolid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37 allowing space for reflection and questions.


학생의 호기심을 해소하려면 의학 교육자가 교육을 하면서 감정의 존재를 인정해야합니다. 롤모델로서, 감정을 피할 수는 없지만 관리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으며,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면 회상과 판단이 향상 될 수 있습니다 .38 가르치는 것 그 자체가 교수자에게 상당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데, 교육 내용의 세부사항 뒤에 숨지 않으려는 용기가 있어야 하고, 학생의 목소리를 이끌어내는데 필요한 침묵을 견뎌내야 한다. 학생 교육에 있어 가장 학생중심적인 교수자는 학생들과 자신의 감정을 공유하려는 사람이며, 학생들의 피드백을 접할 때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아야 한다.

Freeing student curiosity requires medical educators to acknowledge the presence of emotion during the educational process. As role-models, they can demonstrate that feelings are inevitable but manageable, and that giving attention to feelings can even enhance recall and judgement.38 Teaching itself can generate significant feeling in instructors who are invested in their work; it requires courage to avoid hiding behind the details of a subject or to tolerate the silences necessary to elicit the students’ voices.39 The most student-centred instructors in medical education are those who are inclined to share their own feelings with students and who are non-defensive when encountering student feedback.40


교수자는 학생들의 과도한 자신감을 인식하고, 학습자가 curious reflection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자신의 능력 수준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평생 학습에 참여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스스로를 자기기만에 빠지게 하거나, 자존감에 위협이 되는 정보에 마주할 수 있어야 한다. 숙련 된 교사는 학생들이 가장 취약한시기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수행능력의 적합성과는 별도로 학생들에게 무조건적인 관심을 주어야 한다. 자신이 지지받고 있다고 느끼는 학생만이 불안감을 벗어난 존재가 될 수 있어며, 환자들에게 더 세심한주의를 기울이며, 초기 인상이 틀렸을 때 호기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지적 환경을 개발하기 위한 한 가지 주요 방법은 교사가 거짓된 겸손이 아니라 과학 지식의 다각적이고 진화하는 본질을 인식하여 자신의 과목에 대한 자신의 이해에 대해 겸손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Instructors should recognise students’ overconfidence and redirect learners toward curious reflection. To critically examine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and t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students must also learn to face information that might challenge their self-esteem and incline them toward self-deception.41 Skilled teachers recognise when students feel most vulnerable and provide them with unconditional regard that is distinct from the adequacy of their performance.17 Students who feel supported can cultivate a non-anxious presence, be more attentive to their patients and be curious if their initial impressions are wrong. One key way of developing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is sense of support may be for instructors to demonstrate humility about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ir subjects, not as false modesty, but in recognition of the multifaceted and evolving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39


호기심은 학생들이 질문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길러질 수 있다. 호기심 많은 교수자들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개방성을 만들어주고, 특히 나이브해 보일까봐 두려워서 질문을 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더 그렇게 대한다. 예리하고 통찰력있는 질문에 대한 보상이 진단적 추론의 표현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정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Curiosity is supported by helping students formulate questions. Curious instructors create an openness that encourages students’ curiosity, especially among students who might withhold their questions for fear of appearing naı¨ve. Research has shown that rewarding the formulation of incisive and insightful questions enhances the expression of diagnostic reasoning,42 thus promoting the acknowledgement of uncertainty


'질문하기'는 또한 개발 될 수있는 기술입니다. 의사들은 성찰적 질문을하는 습관을 개발함으로써 자신의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questioning is also a skill that can be developed. Doctors can benefit their own diagnostic accuracy by developing a habit of asking themselves reflective questions.43 


그러한 질문은 감정이 어떻게 지각을 채색하는 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Such questions might bear on how one’s emotions may be colouring perception, such as: 

'이 환자가 나를 자극하니?'

'피곤하니?'

'곧 집에 가고 싶니?'

‘Is this patient irritating me?’ 

‘Am I tired?’ 

‘Do I want to get home soon?’ 



성찰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은 임상 적 추론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Reflective questions might bear on clinical reasoning, such as: 

'내 진단에는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까?'

'이 치료법이 효과가 있습니까? 아니면 뒤로 물러 설 필요가 있습니까?'

‘Does my diagnosis encompass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Is this treatment approach working or do I need to step back and start over?’ 



성찰적 질문은 thinking out loud를 통해서 가르 칠 수 있습니다.

Instructors can teach reflective questioning by thinking out loud: 

'내가 그 지역을 커버했는지 궁금하다.'

'나는이 물질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이지만 그게 최선인지 궁금해하니?'

‘I’m wondering if I covered that area adequately?’ 

‘I feel some urgency to get through this material but wonder if that is the best thing?’



마지막으로 강사는 사회적 본성을 활용하여 호기심을 지지해야 한다. 이 사회적 본성은 타인의 견해에 대한 관심이 생존의 기본이며 협력의 토대가 된다는 것이다. 8.9 학생들의 호기심은 다른 사람들의 견해와 상호 작용할 때 심화되고 다양합니다 .44 문제에 기반한 학습과 teambased learning (TBL)은 호기심의 이러한 측면을 활용합니다.

Lastly, instructors can support curiosity by harnessing its social nature, the fact that interest in the views of others is fundamental to survival and represents the foundation of collaboration.8,9 Students’ curiosity is deepened and diversified when they interact with the views of others.44 Problem-bas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TBL) leverage this aspect of curiosity.


반대로, 이것은 교수자의 역할을 연단에 서서 강의하는 내용 전문자로부터, 효과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장시킵니다. 강사는 자신의 학습 요구를 공식화하고 피드백을 구함으로써 expert learner를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40

Conversely, this expands the instructor’s role of the subject specialist, who educates from the podium, to one that includes facilitating effective learning interactions. Instructors can model the expert learner by formulating their own learning needs and soliciting feedback.40


묘사

ILLUSTRATION


예를 들어, 전립선 특이 항원 (PSA) 검사 세션에서 강사는 TBL 형식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7 명으로 나누었습니다. 그녀가 회의를 시작했을 때 강사는 다음과 같은 개인적인 자기 평가를 공유했습니다. '저는이 회의 형식을 TBL 형식으로 미세 조정하려고 했으므로 오늘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주의하십시오. 귀하의 의견은 저에게 중요 할 것입니다. '명시적 자기 성찰은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자신의 호기심이 어떻게 자기 모니터와 개선을 배우는 데 도움이되는지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For instance, in a session on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testing, an instructor used a TBL format, breaking the students into small groups of seven. As she began the conference, the instructor shared a personal selfassessment: ‘I’m trying to fine-tune my pacing in this TBL format, so please pay attention to how I use our time today; your feedback will be important to me.’ Explicit self-reflection can model how students’ own curiosity about their performance might help them learn to self-monitor and improve.


회의 도중, 강사는 소그룹에게 ‘the most valuable question for class discussion’을 공식화하는 임무를 부여했습니다. 대답보다는 질문에 초점을 맞추면 학생들이 대답을 단순히 작성하려는 의도보다는 탐구의 태도를 개발하도록 유도 할 수 있습니다.

During the conference, the instructor assigned the small groups a task of formulating ‘the most valuable question for class discussion’. Focusing on questions rather than answers can challenge students to develop an attitude of inquiry rather than an intention to simply produce an answer.



결론

CONCLUSIONS


의학 교육이 주로 사실과 기술의 숙달을 요구하는 내용이 많은 교육으로 여겨지게 되면 교수자와 학생들은 정답을 만들어내는 쪽으로 이끌릴 것이며, 호기심과 발견을 촉진시키는 탐구 기반 학습에서는 멀어질 것이다. 의학교육을 제한하는 수업 내용과 시간적 제약이 있지만, 의료는 항상 발견과 강한 감정을 필요로하며 역동적 사회 환경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기억해야합니다. 의사는 기술자 이상의 역할을합니다. 적응력, 예기치 못한 관리 능력이 있어야합니다.

If medical education is viewed predominantly as a content-heavy enterprise requiring the mastery of facts and skills, instructors and students will be drawn primarily toward producing answers and away from developing an inquiry-based learning that fosters curiosity and discovery. Although medical education must address the realities of content learning and time constraints,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practice of medicine always involves discovery and strong emotions, and is conducted in highly dynamic social environments. Doctors are more than technicians: they must have adaptive expertise, the ability to manage the unexpected.45






 2011 Jul;45(7):663-8. doi: 10.1111/j.1365-2923.2011.03944.x.

Curiosity an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and Social Medicine, Montefiore MedicalCenter ⁄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Bronx, NY 11542, USA. ldyche@montefiore.org

Abstract

CONTEXT:

For doctors, curiosity is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each patient's unique experience of illness, building respectful relationships with patients, deepening self-awareness, supporting clinical reasoning, avoiding premature closure and encouraging lifelong learning. Yet, curiosity has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nd studies from the fields of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suggest that common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may inadvertently suppress curiosity.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mmon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curiosity and related habits of mind in the education of doctors.

METHODS:

We conducted a theory-driven conceptual exploration and qualit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RESULTS:

Curiosity is related to inquisitiveness, reflection and mindfulness. Instructional practices can suppress curiosity by confusing haste with efficiency, neglecting negative emotions, promoting overconfidence and using teaching approaches that encourage passive learning. Curiosity tends to flourish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at promote the student's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own learning, multiple perspectives and mindful reflection on both the subject and the learning process. Specific educational strategies that can support curiosity in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include the mindful pacing of teaching, modelling effective management of emotions, confronting uncertainty and overconfidence, using inquiry-based learning, helping students see familiar situations as novel, simultaneously considering multiple perspectives, and maximising the value of small-group discussions. Instructor attribute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 curiosity include patience, a habit of inquiry, emotional candour, intellectual humility, transparency and recognition of the benefits to be gained in learning from peers.

CONCLUSIONS:

  Curiosity, inquisitiveness and related habits of mind can be supported in medical education through specific, evidence-based instructional approaches. Medical educators should balance the teaching of facts, techniques and protocols with approaches that help students cultivate and sustain curiosity and wonder in the context-rich, often ambiguous world of clinical medicine.

PMID:
 
21649698
 
DOI:
 
10.1111/j.1365-2923.2011.03944.x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관한 학생들의 성찰(Acad Med, 2015)

The Becoming: Students’ Reflections o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Joanna Sharpless, Nell Baldwin, Robert Cook, Aaron Kofman, Alessio Morley-Fletcher, MD, MMSc, Rebecca Slotkin, and Hedy S. Wald, PhD




궁극적으로 학생과 의학 교사의 의도는 의료 전문직의 가치와 역량에 부합하는 정체성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3 이것이 "프로페셔널리즘"또는 "행동 방식"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4,5 더 중요한 PIF 목적은 새로운 "존재의 방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Ultimately, the intention of both student and medical educator is to develop an identity consistent with the values and competencies of the medical profession.3 Although this may manifest as “professionalism,” or “ways of acting,”4,5 the more overarching PIF objective is developing new “ways of being.”6



학생들이 중요한 formative 경험에 대한 guided reflection에 참여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학습자가 PIF에서 의미를 만들고 가치를 명확하게하는 데 도움이되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궁극적으로 "새로운 존재being으로 자립할 수 있는 패턴"을 형성하게 한다.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guided reflection on their critical formative experiences is one effective tool for helping learners use their experiences to construct meaning and clarify values within PIF,9,11–13 ultimately promoting a “self-sustaining pattern of a new way of being.”14



의학 교육에서의 "가장"

“Pretending” in Medical Education


의과 대학을 시작할 때 학생들은 의사와 일치하는 가치와 행동에 스스로를 몸담글 것으로 기대받는다.7 종종 이 과정에서는 역할을 완전히 embody하기 전에 의사됨을 "시늉go through the motions"해야 한다.

Upon starting medical school, students are expected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values and behaviors consistent with physicianship.7 Often, this process requires that we “go through the motions” of being a physician before we can fully embody this role.



List 1

작성자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 (PIF)에 대한 성찰 에세이에 사용된 질문

Questions Used to Prompt Written Reflections Abou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From the Authors


Question 1

몇몇 저자들은 의대생들의 "가짜 (imposters)"처럼 느껴지는 정체성 형성 단계에 관해 썼습니다. 8,9 현재 직업 생활에서 "가장하고 있는pretending"역할은 무엇입니까? 만약 그렇다면, 당신은 무엇을 했습니까? 또는 당신이 의료 전문직인것 처럼 "가장하는"것과 전문 직업에 완전히 "inhabiting"하는 것 사이에서 선을 넘을 수있게 한 것은 무엇입니까?


Several authors have written about a stage of identity formation in which medical students feel like “imposters.”8,9 What role, if any, does “pretending” currently play in your professional life? If applicable, what have you done or what has allowed you to cross the line between “pretending” to be a medical professional and fully inhabiting your professional role?


Question 2

귀하가 받은 의학교육 중 (학업, 직장, 의학 교육 이외의 삶) 어떤 사건이나 관계가 자신의 PIF를 결정적이거나 의미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였나요?


What incidents or relationships during your medical education (whether in the context of your study/work or in your life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do you perceive as critical or meaning making for your PIF?


Question 3

의대 또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어떤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커리큘럼이 PIF를 서포트하고 개인의 성장에 특히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까? 당신은 교사나 멘토가 무엇을 통해서 의학교육이 더 PIF 과정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What formal or informal aspects, if any, of the curriculum provided at your medical school or in your residency program have you found to be particularly valuable in supporting your PIF and nurturing your personal growth? What, if anything, do you believe teachers or mentors could do differently in medical education to facilitate your process of PIF?


Question 4

훈련 중 다른 의료 전문가 (간호사, 치료사, 영양사, 약사 등)와의 상호 작용이 자신의 전문직 정체성에 어떻게 영향을 줍니까? 귀하의 professional identity를 interprofessional identity와 구별짓거나 조화시키는 것은 무엇인가요?


If relevant, how have your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nurses, therapists, nutritionists, pharmacists, etc.) during your training affected your understanding of your own professional identity? How, if at all, do you differentiate and/or reconcile your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with an interprofessional identity?





The Role of Relationships


개인적 및 전문적 관계는 의학 교육에서 PIF에 중요한 초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15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arly impact on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8,15


The Impact of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on PIF


학생들에게 전문 역량을위한 지식 및 기술 능력을 가르치는 것 외에도 의대는 학생들의 개인적 및 직업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공식 및 비공식적 인 개입을 점차 늘리고 있습니다.


In addition to teaching students the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for professional competency, medical schools are increasingly implement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entions to cultivate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Navigating and Developing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Identities


Interprofessional 관계를 구축하고, 협상하며, 새로운 Interprofessional 정체성과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구별하는 것은 특히 의학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어려울 수 있습니다 .16 우리 자신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전문직 역할이나 다른 의료 전문가의 역할과 비교되고 대조되는 경우, Interprofessional한 상호 작용은 의사 역할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illuminate해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Learning to build and negotiate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distinguishing between an emerging interprofessional identity and physician identity can be challenging, especially at initial stages of medical education.16 When compared and contrasted either with our own prior professional roles, or the roles of other medical professionals,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s have the potential to illuminate our understanding of the physician role.



결론, 고찰

Discussion and Conclusions



이러한 "스냅 샷"은 PIF 프로세스를 위한 다양한 멘토, 동료, 전문 직업인, 가족 및 환자 관계를 강조합니다. 

  • 환자와 멘토와의 의미있는 관계는 우리가 미래 의사로서의 역할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되는 반면, 

  • 또래 관계는 의과대학 입학 전의 공통 관심사와 가치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또한 건강 관리 시스템 내에서의 개인적인 경험도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이 때문에 우리는 공급자의 역할을 맡을 때 겸손을 유지할 수 있다.

These “snapshots” highlight various mentor, peer, interprofessional, family, and patient relationships as instrumental for our PIF process. 

  •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mentors help us envision our future clinician roles, 

  • while peer relationships can help us strengthen shared interests and values that preceded medical school. 

  • We also appreciate the powerful impact of our own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health care system, which help us remain humble as we assume the provider role.


  • 따라서 우리는 의학교육이 교실 내외부에서 환자 간호 및 자기-케어 경험을 처리하고 맥락화 할 수있는 guided opportunities를 제공할 것을 권장합니다. 

  • 우리는 또한 PIF에서 관계의 역할에 맡고 있으며, 효과적인 소그룹 촉진기술을 훈련받은 역할 모델과 함께 reflection-on-action과 reflection-on-being을 자극하는 교과 과정 혁신을 설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권장합니다.

교육 수준과 관련된 의견의 비균질성은 학습자의 교육 단계에 맞춰 만들어진 "발달 공간" 내에서 발달적 교육 과정developmental curricula이 잠재적으로 유용함을 강조한다.

  • Consequently, we encourage medical education models to provide guided opportunities to process and contextualize our experiences of patient care and self-care,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 We also support efforts to design curricular innovations stimulating reflection-on-action17 and reflection-on-being11 alongside role models who appreciate the role of relationships in PIF and who are trained in effective small-group facilitation skills. 

The heterogeneity in our comments as linked to level of training underlines potential utility of developmental curricula within created “developmental  space”18 tailored to the educational stage of the learner. 


그러한 교과 과정에서 guided reflection은 의학 교육 과정을 통한 professional transformation를 드러내는 거울이 될 수 있습니다 .19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self-awareness을 개발하는 것은 우리의 전문직 정체성의 요소를 crystallize하고, 다른 사람들의 진화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렵거나 도전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PIF의 측면조차도 비판적인 성찰의 맥락에서 보람을 느낄 수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장한imposter"경험에 대해 치열하에 성찰함으로써, 자기 인식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성찰적 개방성을 기를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정서적 회복탄력성과 웰빙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11

Within such curricular efforts, guided reflection can be a mirror, revealing our profession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medical education process.19 Developing self-awareness of this evolving process may serve to crystallize elements of ou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promote the evolution of others. We realize that even aspects of PIF perceived as difficult or challenging may become rewarding within the context of critical reflection. Grappling with the “imposter” experience, for example, can cultivate a sense of humility15 and promote self-awareness and reflective openness to others, potentially contributing to emotional resilience and well-being.11


유사하게, 정체성 갈등은 "창조적 긴장"의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진화하는 전문가로서 종종 초기 기대치를 뛰어 넘는 새로운 의료 현실에 직면하며, 상상해온 전문직 정체성과 현실의 전문직 정체성을 조화시켜야합니다. 예를 들어, 비록 의사의 지식과 영향력의 한계에 직면하는 것은 비록 어려운 일일지라도 ("모든 답을 아는 것"에서 벗어나)답을 찾아나서는데 필요한 "인지적 도구"와 모호함을 인내하는 데 도움이되는 "정서적 도구"를 습득하는 것에 초점을 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갈등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은 핵심 가치와 결정적 행동에 의문을 품거나 또는 종종 그것을 더 강화함으로써 더욱 정체성 발달을 촉진해준다.

Similarly, identity conflicts can be a source of “creative tension”2 as personal meets professional and/or one strives for an idealized professional self. As evolving professionals, we often confront new realities of medical practice that depart from our initial expectations, and must adapt and reconcile the imagined and lived vers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example, we note that confronting the limits of a physician’s knowledge and influence, although daunting, may motivate us to shift our focus away from knowing all the answers towards acquiring “cognitive tools” that allow us to search for answers (and recognize when answers may be elusive) as well as “emotional tools” to help with tolerating ambiguity. In general, the process of negotiating such conflicts potentially spurs further identity development by encouraging us to question and at times reinforce core values and critical behaviors.


일반적으로 우리는 점차 자신의 professional lives에 대한 통찰을 얻고 더 많은 소유권을 가지게 되면서, PIF프로세스에 자신의 개인적personal 신념과 가치를 깨닫는 과정을 포함하게 되고, 전문직으로서의 가치와 목표에 더 헌신하게 된다. 스스로 자신의 professional selves의 이야기를 더 잘 인식하게 될수록, 이 모든 것이 우리의 경력 설계과 심지어 전공과목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이다20 . 그러므로 이 코멘터리는 전문직 정체성의 의식적 발전을 위한 curricula-supported engaged reflection이라는 "대우주"에 속한 "소우주"로 간주 될 수있다.

In general, we gain insight into and assume more ownership over our professional lives within a developmental, integrative PIF process that includes recognizing our personal beliefs and values and committing to professional values and goals. All of this can support our career design and even specialty choice20 as we become more aware of authoring the story of our emerging professional selves. Hence, our presented Commentary may be regarded as a “microcosm” of the “macrocosm” of curricula-supported engaged reflection for the consciou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21





11 Wald HS, Anthony D, Hutchinson TA, Liben S, Smilovitch M, Donato AA.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humanistic, resilient physicians: Pedagogic strategies for bridging theory to practice. Acad Med. 2015;90:753–760.



 2015 Jun;90(6):713-7. doi: 10.1097/ACM.0000000000000729.

The becoming: students' reflections o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J. Sharpless is a fourth-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N. Baldwin is a first-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R. Cook is a third-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A. Kofman is a fourth-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A. Morley-Fletcher is a first-year resident, Department of Pediatrics,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R. Slotkin is a second-year student,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H.S. Wald is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Abstrac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within medical education is the multifaceted, individualized process through which students develop new ways of being in becoming physicians. Personal backgrounds, values, expectations, interests, goals, relationships, and role models can all influence PIF and may account for diversity of both experience and the active constructive process of professional formation. Guided reflection, including reflective writing, has been used to enhance awareness and meaning making within the PIF process for both students and medical educators and to shed light on what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are most constructive for healthy PIF. Student voices about the PIF process now emerging in the literature are often considered and interpreted by medical educators within qualitative studies or in broad theoretical overviews of PIF.In this Commentary, the authors present a chorus of individual student voices from along the medical education trajectory. Medical students (years 1-4) and a first-year resident in pediatrics respond to a variety of questions based on prevalent PIF themes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to reflect on their personal experiences of PIF. Topics queried included pretending in medical education, role of relationships, impact of formal and informal curricula on PIF (valuable aspects as well as suggestions for change), and navigating and developing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identities. This work aims to vividly illustrate the diverse and personal forces at play in individual students' PIF processes and to encourage future pedagogic efforts supporting healthy, integrated PIF in medical education.

PMID:
 
25881650
 
DOI:
 
10.1097/ACM.0000000000000729


'팀의 일부' : 의과대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과 사회적 배제(Med Educ, 2011)

‘Part of the team’: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in medical students

Roslyn Weaver,1 Kath Peters,1,2 Jane Koch2 & Ian Wilson3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은 의과대학에 들어오는 시점에 이미 종종 언론, 의사와의 개인적인 접촉 및 'doctoring'을 통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전문직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가지고 있다.

medical students often enter university with preformed views of the medical profession1,2 that may be influenced by the media, personal contact with doctors and their own experiences as recipients of ‘doctoring’.3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가로서의 자신의 인식이다 .4) 전문직 정체성 (또는 특정 집단의 구성원)의 발달은 사회 정체성 이론 및 자기 분류 이론을 포함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통해 탐구되었다 .9 근본적인 이론적 관점에 관한 논쟁은 있지만, 대부분은 어떤 형태로든 '사회화'를 포함하고 있다.

Professional identity is the perception of oneself as a professional.4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or membership of a particular group) has been explored through multiple theoretical perspectives,5 including social identity theory6–8 and self-categorisation theory.9 Although there is debate around underlying theoretical perspectives, most involve socialisation in some form or other.10–12


사회적 정체성의 핵심 가정은 사람은 자신이 속한 서로 다른 사회적 그룹마다 각기 다른 다수의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Social identity theory at its core assumes people have multiple social identities as they move through different social groupings,8


자기 범주화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을 바라봄에 있어서 어떻게 [독립된 한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에서 [공유하는 정체성을 가진 그룹의 구성원]으로 보는 방법으로 전환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self-categorisation theory is about how people shift from identifying themselves as individuals to seeing themselves as members of a group with a shared identity.2


특히,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3 가지 영역을 포함한다 : 

  • 범주화: 개인은 자연발생한 그룹을 가지고 서로를 분류한다

  • 식별: 사람들은 자신과 동일 그룹의 구성원은 자신과 비슷하다고, 다른 구룹의 구성원은 다신과 다르다고 식별한다

  • 비교: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비교하며, 따라서 자기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그룹의 구성원으로 분류한다.

In particular, social identity theory includes three areas: 

  • categorisation (individuals categorise one another into natural groupings); 

  • identification (people identify members of the same group as similar to themselves and members of other groups as dissimilar), and 

  • comparison (individuals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and thus see themselves as members of a group that is positively perceived).2


High achiever임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은 (강한 윤리 및 실천 구성 요소를 통합해야하는)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의사로서 성공하기가 어려움을 깨닫게 된다.5 전문직 정체성 발달이란 개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의료 전문직 내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는 전문적 가치와 목표에 대해 개인이 궁극적으로 헌신하게 되는 점진적 과정이다. (비록 여러 전문직 단체들이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행하고 있지만) 전문직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주관적이고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개념을 동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대생은 기대되는 행동의 유형을 알고 있으며 이를 시험에서 모방mimic 할 수 있습니다 .16

Despite being high achievers, medical students find it challenging to be successful as doctors until they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which needs to incorporate strong ethical and practice components.5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is a gradual process that ultimately enables the person to commit to professional values and goals that are important to them personally13 and also acceptable to the medical profession.3 Adopting a professional identity includes assimilating aspects of what may be a subjective and ill-defined concept of ‘professionalism’,14 although each professional body issues guidelines on professional behaviour.15 However, most medical students know the type of behaviour that is expected and can mimic this in an examination.16


롤모델은 정체성 형성에 강력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 롤모델이란 교수진, 임상 분야 및 동료들 사이에서 개인이 '프로페셔널'한 것이 무엇인지 시연하는 것과 같습니다 .1

Role models have been shown to contribute powerfully to identity formation,18 as do demonstrations of what is ‘professional’ by individuals among faculty staff, in the clinical area and among peers.1


임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신뢰 구축 과정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의 과제 중 하나이다. 낮은 수준의 임상 역량과 지식은 의사 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전문직 정체성의 발전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The process of building confidence in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is one of the challenges of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20 and low levels of clinical competence and knowledge can lead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can be detrimental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21


이전에 언급했듯이, 정체성 형성 과정의 일부는 다른 그룹과 다른 특정 그룹의 구성원으로 자신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 점에서, 강한 직업적 정체성은 여기서 "다른 학생들과의 사회적 분리"로 이해한 배타성excluivity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As noted earlier, part of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volves identifying oneself as a member of a particular group that differs from other groups. In this respect,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may be linked to a sense of exclusivity, understood here as social segregation from other students.22


Blakey et al.의 경제학과 학생과 의과대학생을 비교 한 연구에 따르면 의대생은 경제학과 학생보다 사회적으로 배타적 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저자는 이것이 내집단과 외집단 사이의 편향적 태도와 차별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Blakey 등 22)은 의대생이 경제학과 학생보다 학생보다 같은 과 내의 학생들과 가깝게 지내며, 같은 과 내에서 친한 친구 및 파트너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 그들은 또한 전체 대학 단위의 스포츠 활동보다 단과대학(의과대학) 수준의 대학생 스포츠 클럽과 동아리에 참여하여 대학생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고 느꼈다. 이러한 배타성은 의대생들에게 다양한 환자 및 동료 그룹과의 통합과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포용적 사회적 태도를 개발해야하기 때문에 당황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Blakey et al.’s22 study comparing economics and medical students found that medical students were more socially exclusive than economics students, which, the authors argued, could lead to prejudiced attitudes and discriminatory behaviour between inand out-groups. Blakey et al.22 found that medical students lived with and had more close friends and partners among students on their own course than did economics students. They also participated in departmental rather than university sports clubs and societies more than economics students and felt separated from university life.22 This exclusivity may be viewed as disconcerting because medical students do need to develop inclusive social attitudes in order to be able to integrate and communicate with diverse patient and colleague groups.22,23




방법

METHODS


세팅과 참여자

Setting and participants


This sub-study is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gained from telephone interviews. Of the medical students who provided their contact details for the interviews, 13 students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at the end of the academic and calendar year in 2009. Forty-two students agreed to be contacted for interview in the original survey, but not all of these could be contacted or were willing to be interviewed when we called; the timing of the data collection (at the conclusion of the academic and calendar year) may have influenced this.



At this stage, both the Year 1 and 3 groups had experienced clinical placements: 

    • Year 1 students had spent 1.5 hours per week in an organised hospital experience, and 

    • Year 3 students had been immersed full-time in clinical attachments. 

We used purposive sampling to include students from Years 1 and 3. We included students from both of these years in order to generate a wider range of answers than would sampling from a single year-group only and to assess whether there were marked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swers. Seven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Year 1 and six were in Year 3. Their ages ranged from 18 to 26 years; eight were female and five were male. The participants came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nine had been born overseas and four had been born in Australia. The length of time for which they had lived in Australia ranged from 1 to 21 years (Table 1).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In order to ensure that data collected would be as consistent as possible, one member of the research team undertook the data collection.24 The interviews took place via telephone and the interviewing researcher used a semi-structured schedule to ask questions. These questions covered 

    • students’ reasons for enrolling in medicine, what they enjoyed about being a medical student, 

    • their experiences of other student groups at the university, 

    • any differences they perceived between groups, and 

    • times when they felt part of the medical profession. 

    • Students were also asked about their sense of institutional identity.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No new themes related to the phenomena of interest emerged after 10 interviews; however, as advised by Francis et al.,25 data collection continued for a further three interviews. As no new themes became evident in the additional interviews, at this point data saturation was considered to have been achieved by two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윤리

Ethical approval



자료 분석

Data analysis


Within the context of the larger study, the unit of 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ext related to medical students’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Therefore, as described by Graneheim and Lundman,26 data that reflected these concepts were extracted from the transcripts and combined into one text. 

    • The researchers immersed themselves in these data to ensu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accuracy of context. 

    • The data were then subjected to 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26,27 in which categories were inductively derived from the data.28 

    • Specifically, meaning units (groups of words or phrases reflecting similar content and context) were identified, condensed and coded. 

    • The coded data were then organised into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which reflected the manifest content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 The categories were then further elucidated through discussions among the researchers and developed into themes and sub-themes until the latent content of the phenomena was agreed upon.26,27 

This collaborative process enhanced the credibility of the findings.29 

The researchers agreed to organise the data according to two main themes that function as components contributing to students’ form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Although analysis reveal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hemes of students in Years 1 and 3 (other than an increased connection to the profession described by students in Year 3 because of increased clinical time [noted below]), we have included the year, age and gender of the interviewee with each quotation. In some cases, participants’ comments have been edited in very minor ways to enhance readability.


결과

RESULTS


전문적 포용

Professional inclusivity


의대생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강한 감각을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에서 나온 첫 번째 주제는 전문적인 포용성, 특히 임상 환경에서 언급되었습니다. 이 안에는 두 가지 하위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The first theme to emerge from descriptions of factors that helped to produce a stro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referred to professional inclusivity, particularly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Within this emerged two sub-themes:


1 '도제': 의사의 일을하고,

1 ‘apprenticeship’: doing the work of a doctor,


2 '직업의 일부': 의사처럼 느껴짐.

2 ‘part of the profession’: feeling like a doctor.



'견습': 의사의 일을한다.

‘Apprenticeship’: doing the work of a doctor


학생들은 임상 진료에 참석하면서 전문적인 포괄성을 경험했습니다. 거의 모든 참가자는 자신이 의료 전문직에 속해있다는 감정에 주로 기여한 것으로서 병원에서 보낸 시간을 꼽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소속감belonging은 3 학년까지 증가했습니다. 이 참가자의 경우 임상실습이 중요한 이유는 '주로 직업 현장에 가까이 있었기 때문이며, 약간의 도제식 배움도 영향을 줬기 때문'이다(P5, 3 학년, 여성, 22 세). 많은 경우 실천(의사의 일을하는 것)은 이론(의사의 일을 배우는 것)보다 전문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더 가치가 있었습니다.

Students experienced professional inclusivity as they attended clinical placements. Almost every participant nominated time spent in hospital as representing a key contributor to their feelings of belonging to the medical profession and, accordingly, their connection to the profession increased by Year 3. For these participants, the clinical placement was important because it was ‘more on the job and it’s a bit of an apprenticeship’ (P5, Year 3, female, 22 years). Practice (doing the work of a doctor) was in many cases more valuable in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than theory (learning the work of a doctor).



"우리는 병원 시스템에 통합되었습니다. 올해는 병원에서 24 주간을 보냈고 우리는 팀의 일원이었습니다. 우리는 보통의 인턴이 할 수있는 일을하도록 요청 받았고 회진을 가졌습니다. '(P2, 3 학년, 20 세 여성)

‘We were integrated into the hospital systemthis year, and for the whole year we spent pretty much [...] 24 weeks at the hospital and in that we were a part of the team. We were asked to do stuff that normal interns would do and we’d go on rounds.’ (P2, Year 3, female, 20 years)


참가자는 의사가 되고 있다는 믿음은 어느 순간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 여정은 주로 임상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The participants’ comments showed their belief that becoming a doctor is a process that gradually occurs over time rather than at once. This journey happens largely in the clinical environment:


"우리가 임상실습 나날들을 보내고 실제로 병원에 있을 때, 그리고 의사들이 우리에게 여러 곳을 둘러보게 해주고 환자와 사물에 관여하게 되면, 그 때 진실로 내가 이 곳의 일부임을 상기하게 된다[...] 특히 우리가 나아갈수록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P1, 1 학년, 여성, 18 세)

‘When we have our clinical days, when we’re actually at the hospitals, and we have our doctors showing us around and you get to engage with patients and things, they really remind you that you are part of it [...] especially as you go on, we’re more and more a part of it.’ (P1, Year 1, female, 18 years)



그러한 의견 ( '도중에'과 '계속됨에 따라)'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의미란 학습과 실습의 기간에 걸쳐 점진적인 진전이 이루어지는 견습임을 반영한다.

Such comments (‘on our way’ and ‘as you go on’) reflect a sense of the medical programme as an apprenticeship in which gradual progress occurs over a period of learning and practice.


몇 명의 참가자가 지적했듯이, 의사의 일을하는 것은 환자들과의 작업을 포함했다.

Doing the work of a doctor included working with patients, as several participants noted:


대부분의 참가자가 전문직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게 해준 주된 영향으로 임상실습을 지명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다른 측면이 중요하다고 꼽았다. 한 학생은 수업 내용을 배우는 것이 '의사처럼 생각하기'(P4, 3 학년, 남성, 21 세)에 도움이되는 반면, 다른 학생의 전문직 정체성은 그녀가 의학을 시작한 특별한 세계에 대한 공통된 이해에 의해 형성되는 것처럼 보였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녀는 새로운 지식을 바탕으로 '의료계의 뉴스 보도와 관련이있다'(P11, 1 학년, 여성, 18 세).

Although most participants nominated the clinical placement as the primary influence on feeling part of the profession, others found different aspects to be important. One student mentioned that learning the content helped in ‘thinking like a doctor’ (P4, Year 3, male, 21 years), whereas another’s professional identity seemed to have been shaped by a shared understanding of a special world in which she was initiated into medicine and could draw on her new knowledge to ‘relate to news coverage of the medical profession’ (P11, Year 1, female, 18 years).




'직업의 한 부분': 의사와 같은 느낌

‘Part of the profession’: feeling like a doctor



또한 학생들은 강사, 의사 및 환자가 미래의 의료 전문가로 대할 때 전문적인 포용성을 경험했습니다. 임상 환경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위한 맥락을 제공합니다.

Students also encountered professional inclusivity when they were treated as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by lecturers, doctors and patients. The clinical environment provided a context fo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 which:


'의사들은 학생들을 의대생이 아닌 젊은 의사들이라고 지칭했다...'(P3, 3 학년, 여성, 21 세)

‘[doctors referred to the students as] young doctors not medical students…’ (P3, Year 3, female, 21 years)


이 공동체 정신은 방문 강사들도 학생들을 포용적으로 대우하는 교육 환경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났습니다.

This collegiality was also eviden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visiting lecturers also treated the students inclusively:


'모든 외부 강사들... [...] 나는 학생과 교사 관계가 아니라 동료 수준으로 대접받는다고 느꼈다. (P7, 1 학년, 남성, 21 세)

‘All the guest lecturers [...] It’s not so much of a teaching lecture rather than just sharing with you of their findings. I find that [students are considered as] more a colleague level as well rather than just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7, Year 1, male, 21 years)


학생들은 이러한 공유와 포용성의 사례를 감사해했고, 평등함의 감정을 느끼게 함으로써 의사가 되어간다는 느낌을 갖게 했다.

Such examples of sharing and inclusivity were appreciated by students and seemto have generated a feeling of equality among students that aided their progress towards feeling like a doctor.


일부 참가자들은 자신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감각이 현장에서 만나게 된 이미 일하고 있는 롤모델의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했습니다.

Some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ir sense of professionalism was influenced by role models they met who were already working in the field:


이와 같은 학생들에게 환자와의 상호 작용은 미래의 의료 종사자로서의 그들의 지위를 중요하게 상기시키고 강화시키는 것입니다.

For students such as this, patient interaction becomes an important reminder and reinforcement of their status as future medical practitioners.


다른 의료 전문가들을 보고, 그들로부터 영감을 얻는 것이 전문직의 일부분이 된다는 느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Seeing and being inspired by other medical professionals in action influenced the participants’ feelings of being part of the profession.


나는 아주 좋은 사람과 좋은 의사와 훌륭한 선생님, 그리고 나를 위해 매우 고무적인 훌륭한 사람들을 갖게되어 매우 운이 좋았습니다. 그냥 그 일을하고, 따라하고, 오랜 시간을 함께 해보니, 이제는 나 자신을 위해 그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나는 그걸로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P5, 3 학년, 22 세 여성)

I’ve been very lucky to have good people and good doctors and very good teachers and very nice people who have been very inspiring for me. Just doing that, following them, and doing the long hours with them, I can see it for myself now. I can identify with it more now.’ (P5, Year 3, female, 22 years)


다른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Other participants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role models, noting that:


'... 병동 회진에서 선생님들이 저에게 환자를 검사하거나 엑스레이를보고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말해보라고 요구하며, 이 때 정말로 실제로 그 입장이 된 것처럼 느껴집니다.'(P4, 3 학년, 남성, 21 세)

‘…on your ward round and the doctors ask you to examine a patient or look at an X-ray and tell them what you think, that’s when you really do feel like you’re really stepping into the big shoes.’ (P4, Year 3, male, 21 years)


학생이 말한 것과 달리, '그 입장이 된다'는 이 의견은 책임감 있고 성실한 역할을해야 하는 자리로 더 나아간다step up는 인식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This comment – ‘stepping into the big shoes’ – may indicate an awareness of the need to ‘step up’ into a more responsible and adult role as opposed to that of the student.


의사와 교수에 의해서 '포용감'을 느끼는 것 외에도, 환자에 의해 의사로 대접받는 것이 전문직 정체성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데 중요한 구성 요소라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In addition to feelings of being included by doctors and lecturers, participants noted that being treated as a doctor by patients was an important component in building and validating their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환자들과 이야기를 하며, 나는 환자들이 환자가 나에게 기꺼이 무언가를 개방하려고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환자들이 마치 의사와 이야기할 때 그러는 것처럼, 존경심의 표식이자 거기에 보여진 약간의 신뢰라고 생각한다 [...]

‘On top of that just talking to patients, I think where patients are willing to open up to you, I think that’s a sign of respect and a bit of trust just shown there, like they would talk to a doctor [...]


이러한 방식으로, 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의 발전은 내부 요인보다는 외부 요인에 기초를 두었습니다. 다른 말로하면,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감정은 단순히 내부적으로 생산 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학생들을 대하는 방식에 의존하거나 강화되었을 것입니다. 많은 학생들에게 병원의 환경과 학생들을 향한 다른 사람들의 태도가 의료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이었습니다.

In this way, students’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was based on external rather than internal factors. In other words, feelings of professional identity were not simply produced internally but relied on, or were perhaps reinforced by, the way that other people treated the students. For many students, the environment of hospitals and the attitudes of other people towards the students were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their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professionals.



사회적 배제

Social exclusivity


직업적 정체감에 기여한 두 번째 주요 요소는 사회적 배타성이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종종 비 의대생과 사회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느끼고, 또한 대학의 다른 학문 분야와 과정 구조 및 학교 위치에서 격리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의과 대학 내에서,이 사회적 배타성은 높은 수준의 동료 동맹과 의대생으로서 강한 정체성 공유로 나타났다. 사회 독점의 광범위한 주제에서 3 가지 하위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The second major component that contributed towards a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was social exclusivity. Participants often explained that they felt socially separate from non-medical students and also isolated from other disciplines at university by the course structure and school location. Within the medical school, however, this social exclusivity dissolved into high levels of peer unity and a strong shared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Within the broad theme of social exclusivity, three contributing sub-themes emerged:


1 '올려다 봐야 하는 것': 사회 계급;

1 ‘something to look up to’: social hierarchies;


2 '과정의 본질': 신체적, 사회적 분리,

2 ‘the nature of the course’: physical and social separation,


3 '하나의 가족': 동료에 대한 포용성

3 ‘a family’: peer inclusivity.



'올려다 봐야 하는 것': 사회 계급;

‘Something to look up to’: social hierarchies


몇몇 참가자들은 의사가 사회에서 특권적 역할을 차지한다는 인식을 보여 주었는데, 그러한 것이 어떤면에서는 의대생의 격상된 지위를 반영했. 일부 학생에게, 이것은 그들의 사회적 연결에서 긍정적 요소였다.

Several participants showed an awareness that doctors occupy a privileged role in society, an exalted status that in some ways reflects on medical students. For some, this represented a positive element in their social connections:


유사하게, 다른 학생들은 의학은 롤모델링, 사회에 대한 기여, 다른 사람을 돕는다는 점 등에서 우월한superior 커리어 선택이라는 신념을 드러냈다. 1 학년의 한 학생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Similarly, other comments revealed a belief that medicine offers a superior career choice when it comes to role modelling, contributing to society and ‘helping people’ (P6, Year 3, male, 19 years). One student in Year 1 commented:



"나는 단지 전반적으로 낫기 때문에 법학 대신 의학을 선택했다. 지역 사회를 돕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의사는 실제로 가치있는 일을하는 것입니다. [...] 의대생으로서, 모든 사람들이 의대생을 뭔가 다르게 대한다. 나는 사람들이 의사들을 올려다본다고 생각하며, 의사를 신뢰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그것이 사회가 의사를인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P9, 1 학년, 남성, 18 세)

‘I chose medicine over law because I just felt that was generally better. So in terms of like helping the community, actually doing something that’s very worthwhile [...] being a medical student, I guess it’s kind of different because everybody seems to treat you differently [...] I think people look up to doctors and they trust their doctors. So I think it’s how society perceives doctors.’ (P9, Year 1, male, 18 years)



사회적 계층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증거에서, 몇몇 참가자들은 의과 대학 학생들이 '진정한 high achiever'와 '굉장히 동기부여되어있는' 등과 같이 다른 학생들과 긍정적으로 구분되는 특정한 자질을 지니고 있다고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 적으로) 말했다. 의학은 '평범한'직업 (P7, 1 학년, 남성, 21 세)과 비교할 때 '정말 도전적인'직업 선택으로 간주되었습니다.

In further evidence of social hierarchies, several participants made comments that showed (implicitly or explicitly) that they perceived medical students as having particular qualities that positively distinguished them from other students, such as being ‘really high achievers’ and ‘really motivated’ (P1, Year 1, female, 18 years). Medicine was seen as a ‘really challenging’ career choice in comparison with ‘mundane’ jobs (P7, Year 1, male, 21 years),



이 의견들은 암묵적으로 의대생 그룹과 다른 학과 학생들 사이의 차이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학생들이 의대생이 다른 그룹과 다르다고 믿는 것은 아니었으며, 적어도 한 명의 참가자는 의학 외 학생들을 실제로 알지 못하면 정확한 비교를하는 것이 어려웠다 고 인정했습니다 (P9, 1 학년, 남성, 18 세).

These particular comments implicitly reinforce the difference between medical students as a group and students in other disciplines. However, not every student believed medical students were at all different from other groups, and at least one participant acknowledged that it was difficult to make accurate comparisons without actually knowing students outside medicine (P9, Year 1, male, 18 years).



'과정의 본질': 육체적, 사회적 분리

‘The nature of the course’: physical and social separation


참가자들은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구조와 조건이 다른 학생들과의 사귐을 막는다는 것을 지적했다. 일반적으로 임상실습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의대 밖에서 대학 생활을 경험하는 것을 제한하는 경향이있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Participants noted that the structure and conditions of the medical course prevented them from befriending other students. In general, clinical placement requirements tended to restrict students’ ability to experience university life outside medical school. One participant pointed out:


배타성은 학습 방식의 피할 수없는 부작용이었습니다.

For another student, exclusivity was an inevitable side effect of the mode of study:


"의대생은 매우 배타적이지만, deliberate한 방식으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다른 과의 경우 비슷한 과목을 공부하는 또 다른 과의 사람들과 섞여서 어울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당신은 다른 과목에서 더 많은 친구 관계를 발전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의대생들은 언제나 동일한 튜토리얼 그룹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대학 단위에서 많이 섞여서 어울리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P4, 3 학년, 남성, 21 년)

‘Medical students are very – what’s the word – I guess you could say they’re exclusive but not in a deliberate way. I guess because, like other courses tend to mix around with other people doing similar subjects from different courses. So you do tend to develop more friendships and things across different courses but with medicine because you’re always together studying in the same tutorial groups, you tend not to mix around a lot at the university.’ (P4, Year 3, male, 21 years)


의학 공부는 의학 외 분야를 전공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가로막는 장벽이었으며, 많은 학생들은 의대 밖의 학생들과 거의 섞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Studying medicine proved to be an isolating barrier against form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studying outside medicine and many students commented that they rarely mixed with students outside the medical school:


'솔직히 말해서, 나는 다른 대학생들을 만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P5, 3 학년, 여성, 22 세]) 나는 [내 대학]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To be honest with you, I don’t really feel connected with [my university] because I’ve never had a chance to meet other [non-medical] students.’ (P5, Year 3, female, 22 years)


비 의학적 동료와의 disconnect가 일반적이었습니다.

The disconnect with non-medical peers was common:


교육과정의 요구사항과 (학습) 장소는 많은 학생들에게 의대를 넘어선 사회화를 이루는데 장애요인이 되었고, 많은학생들은 의대 밖의 친구들이 거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Course requirements and location became obstacles to socialising beyond medicine, to the point that many participants acknowledged having few university friends outside the medical school.



하나의 가족: 동료에 대한 포용성

‘A family’: peer inclusivity



그러나 강한 사회적 배타성은 다른 과에 대해서만 나타났습니다. 의대 내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포용성이 존재했으며, 의대생 사이에서는 공유된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명백히 나타났습니다. 의학 내에서의 이러한 강한 사회적 관계는 의학의 분야를 벗어난 학생들의 친구 부족에 기여하고 보상했습니다.

However, the strong sense of social exclusivity was only evident outside the students’ discipline; within the medical school very high levels of inclusivity and a strong sense of a shared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were apparent. These strong social connections within medicine both contributed to and compensated for students’ lack of friends outside the discipline of medicine:


이 감각은 ​​몇 명의 참여자들에 의해 가족이라는 프레임으로 묘사되었는데, 3 세 (P2)의 한 20 세 여성 한 명의 여성처럼 그들의 의학 동료들을 '가족'으로 인식했다.

This sense of belonging in the cohort was framed in familial terms by several of the participants, who, like one female, 20-year-old student in Year 3 (P2), perceived their medical peers as a ‘family’:


'우린 모두 하나, 큰 집단이야. 행복한 가정. '(P1, 1 학년, 여성, 18 세)

‘We’re all one, big group. A happy family.’ (P1, Year 1, female, 18 years)


이 코호트의 친밀감은 의대에서의 경험에서 긍정적 인 측면으로 인식되었으며,

This closeness of the cohort was perceived to be a positive aspect of their experience in medical school,


하나의 가족이라는 느낌은 아마도 의과 대학의 벽을 넘어선 사회적 연결의 부족을 보상했을 것입니다.

The strong sense of family within perhaps compensated for the lack of social connections beyond the walls of the medical school.



고찰

DISCUSSION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전문적이고 동등한 포용성을 경험했지만, 또한 그들과 다른 학생들 사이의 사회적 구분을 주목했습니다. 이것은 두 요소 모두가 학생들을 의학계에 끌어들이면서, 잠재적으로 다른 분야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전문직 정체성을 강화 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reciprocal and reinforc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xperiences of, respectively,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that creates a defined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Whereas these students experienced high levels of professional and peer inclusivity, they also noted social divisions between themselves and other students. This suggests that both of these elements reinforce professional identity by drawing students into the medical world and potentially excluding them from other arenas.


우리의 결과는 의학계 학생들이 보다 사회적으로 배타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 블레이키 (Blakey) 등의 발견을 확인시켜 주면서, 더 나아가 그 이유도 함께 보여준다.

Our results confirm the finding of Blakey et al.22 – that medical students tend to act more exclusively socially – but extend it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why this occurs.


참가자들이 이 용어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몇몇 참가자는 임상의와 롤모델이 된 강사에서 영감을 얻었 음을 암시합니다.

Although they did not specifically mention the term, several participants implied that they had found inspiration in clinicians and lecturers who became role models.


우리 참가자의 전문직 정체성은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Our participants’ professional identity seems to be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첫째, 학생들이 임상에 노출되면서 그 과정 초기에 발생한 임상적 이슈들이 있고, 이것은 대부분의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 노출은 학생들을 다른 의료전문직 구성원 및 환자들과 접촉하게하고, 그들을 profession의 일부라는 느낌이 들게 해준다. 이것은 환자와의 초기 접촉과 참여가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다는 이전의 연구를 확인해준다.1,18,19 학생들의 정체성 개발은 다른 의료전문직 구성원이 학생을 대하는 방식에 의해서 더욱 강화됩니다. 병동 회진의 토론에 참여하면서, '젊은 의사 (young doctor)'라고 불리면서, 강사에 의해 profession으로 포용되면서 강화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소속감을 발전시키는 데 긍정적 인 영향을줍니다. "젊은 의사"로 의대생을 표시하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informed consent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환자들은 '수련'의사로부터 동의서를 받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이다.

Firstly there are the clinical issues that arise early in the course as students undergo clinical exposure, recognised as crucial by most participants. This exposure brings students into contact with the medical profession and patients and contributes towards students’ feelings that they are part of the profession. This reinforces previous research that shows early patient contact and engagement with patients are important in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1,18,19 Students’ developing identity is further enhanced by the way they are treated by members of the medical profession, such as when they are included in ward discussions, referred to as ‘young doctors’ and brought into the profession by lecturers. These factors all have a strong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feelings of belonging. The positive aspect of labelling medical students as ‘young doctors’ may have negative consequences for informed consent, however, as previou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patients are less willing to be seen by individuals they know to be ‘trainee’ doctors.30


전문직 정체성과 사회화에 관한 이전의 연구는 언어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1-34 ‘we’, ‘us’ and ‘you’의 사용은 distancing mechanism이고, proximal pronouns인  ‘I’, ‘me’ and ‘myself’와 다르다 이것은 학생마다 학생들이 미래의 의료 전문가로서의 페르소나를 완전히 습득하고 조율하는 데 있어 다양한 수준의 어려움을 느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isa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nalysing language.31–34 For some students talking about their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the use of the pronouns ‘we’, ‘us’ and ‘you’ represents a distancing mechanism compared with the use of the proximal pronouns ‘I’, ‘me’ and ‘myself’ (‘I can see it for myself now’).35 This suggests that different students may feel different degrees of agency and levels of difficulty in fully taking on and articulating the persona of a future medical professional.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이러한 임상적 및 교육적 환경을 하나의 중요한 감각으로 조화 시켰습니다. 이 결과는 의대생이 학생과 전문가로서 상충되는 역할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직업 사회화에서 문맥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이전 연구 결과와는 다르다.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ents conflated these clinic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into one key sense of feeling included by medical professionals. This result differs from findings in earlier work that point out the importance of context in professional socialisation in that medical students experience conflicting roles as students and professionals.37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과정에 관련되는 두 번째 요소는 의대생으로서 발전하는 사회적 배타성입니다

  • 부분적으로 이것은 높은 성취자로 여겨지는 것으로부터 생겨난 특별한 학생이라는 느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의학을 경쟁이 치열한 과정이라고 받아들임으로써 강화됩니다. 

  • 코스 구조 자체가 배타성의 느낌을 더합니다. 이 의학 과정의 과목은 의대생 만이 수강 할 수 있으며 의대생은 다른 과목의 과목을 공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수준의 의대생은 다른 분야의 학생들과 섞이지 않습니다. 

  • 의대생은 적극적인 의대생 사회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기능을 조직하며 이는 의대생의 자립적인 특성을 다시금 촉진합니다. 

  • 여러면에서 의대생들은 자신의 특정 그룹 외부에서 섞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는 참가자 외의 학생들을 알지 못했다는 참가자의 자백admissions에서 드러난다 

일부 학생들은 실제로 다른 학생들을 모른 채 다른 그룹과 다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흥미 롭습니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보건 전문가 집단 간의 상호 작용은 전문적 신원 형성 과정의 '타자화하는' 과정에서 핵심 요소이다.

The second factor to have bearing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is the social exclusivity that develops from being a medical student. 

  • Partly this is based on the student’s feeling of being someone special, which arises from being seen as a high achiever and is reinforced by acceptance into medicine in a highly competitive process. 

  • The course structure itself adds to the feelings of exclusivity. Subjects on this medical course are undertaken by medical students only and medical students do not study subjects on other courses; thus medical students at this level do not mix with students of other disciplines. 

  • Medical students organise their own social functions through a very active medical student society, which again promotes the self-supporting nature of medical students. 

  • In many ways medical students do not see a need to mix outside their particular in-group, which was reflected in our participants’ admissions that they did not know students outside medicine. 

It is interesting that some students perceived themselves as different from other groups without actually knowing any other students; other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health professional groups is a key factor in the ‘othering’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34


그러나 '코스 구조'와 같이 배타성 기여하는 요인 중 일부는 의대생의 통제를 벗어난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이전의 연구는 'in-group' 태도와 행동이 학생들의 미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변화하는 역할과 팀워크에 대한 필요성에 마지못해 적응하는 의료계의 태도와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3 그러나 중요한 것은, 사회적 배타성이 반드시 다른 보건 의료 전문가들과의 함께 배우는 것에 대해서까지 배타적인 태도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며, 배타성에 대한 초기의 경오신호를 감지하고 후에 교육과정 개발에서 강조되어야한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는 사회적 배타성이 직업적 정체성을 촉진시키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유익 할 수 있다고 이론화하고 있지만, 그 부정적인 의미를 무시해서는 안된다.

It is important to note, however, that some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is exclusivity, such as course structure, are outside the control of medical students.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in-group’ attitudes and behaviours may affect students’ future professionalism22 and may be linked to the medical profession’s reluctance to adapt to changing roles and the increasing necessity for teamwork.3 However, and importantly, social exclusivity does not necessarily imply an exclusive attitude towards learning with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shown by Morison et al.,38 but perhaps early warning signs of exclusivity should be noted and highlighted in later curriculum developments. Based on our findings, we theorise that social exclusivity may be beneficial because it seems to promote professional identity, yet its negative implications cannot be overlooked.


방법과 관련하여 우리는 데이터 포화를 달성했지만 샘플 크기가 약한 것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는 또한면 대면 인터뷰의 풍부함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의대생의 인식보다는 이러한 구체적인 맥락 적 요인들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대학원 진학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른 학교로 확대되어야하며이 주제에 중점을 둔 심층 면접을 사용해야합니다.

With regard to method, our sample size may be considered a weakness, although we did achieve data saturation. Telephone interviewing can also lack some of the richness of face-to-face interviewing; our results may in part reflect these specific contextual factors rather than the perceptions of medical students in general. this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other schools, including those with graduate-entry programmes, and should use in-depth interviews focused on this topic.


실용적인 의미에서 이 연구는 환자 접촉을 포함한 임상 진료에 대한 초기 노출이 직업적 정체성을 정의하는 데있어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 준다는 점을 확인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받은 의학 실습에 관한 암묵적 메시지와 관련된 숨겨진 커리큘럼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메시지는 '특별한 존재'라는 것과 '구분짓기'를 포함하기도 한다.

In a practical sense, the study confirms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that early exposure to clinical practice, including patient contact, has in defining professional identity. It also has implications for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39 which relate to the unspoken messages about medical practice received by students. These messages include the encouragement of the sense of being special and set apart.



25 Francis J, Johnston M, Robertson C, Glidewell L, Entwistle V, Eccles M, Grimshaw J. What is an adequate sample size? Operationalising data saturation for theory-based interview studies. Psychol Health 2010;25 (10):1229–45.





 2011 Dec;45(12):1220-9. doi: 10.1111/j.1365-2923.2011.04046.x. Epub 2011 Oct 14.

'Part of the team': professional identity and social exclusivity in medical students.

Author information

1
Family and Community Health Research Group,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New South Wales, Australia. r.weaver@uws.edu.au

Abstract

OBJECTIVES:

Medical students must develop not only their professional identity but also inclusive social attitudes for effective medicalpractice in the future. This study explores the elements that contribute to medical students'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investigates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vity and how this might relate to students' development of their identity as medical professionals.

METHODS:

The study is based on qualitative data gathered in telephone interviews with 13 medical students enrolled in Years 1 or 3 at an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at a university in Australia. The questions were open-ended and asked students about their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sense of identity and social connections.

RESULTS:

Two main components contributed to a stro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exclusivityStudents experienced professional inclusivity when they attended clinical placements and when they were treated as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by lecturers, doctors and patients. Social exclusivity was demonstrated by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mselves as socially separate from non-medical students and isolated from students in other disciplines. Students described a sense of peer unity and a shared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students within the medical school.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students develop their sense of identity as medical professionals and the ways in which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lacements can influence this professional identity. Although this study noted a very strong sense of socialexclusivity in its findings, there were also high levels of intra-discipline inclus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reciprocal and reinforc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xperiences of professional inclusivity and social exclusivity that creates a defined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PMID:
 
21999250
 
DOI:
 
10.1111/j.1365-2923.2011.04046.x


왜 의과대학생이 가르치는 법을 배워야 하는가? (Med Teach, 2007)

Why medical students should learn how to teach

M. DANDAVINO, LINDA SNELL & JEFFREY WISEMAN

McGill University, Canada



도입

Introduction


라틴어로 '닥터'는 '선생님'을 의미하며, 실제로 교육은 의사의 핵심 활동 중 하나입니다. 의사는 학생들과 동료뿐만 아니라 다른 보건 전문가를 가르치도록 요구받습니다. 진단 및 치료 계획을 논의 할 때 환자를 가르치며 환자 교육이 건강 결과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있다 (Kurtz et al., 2003).

‘Doctor’ in Latin means ‘teacher’—and, indeed, teaching is one of the key activities of a physician. Physicians are called upon to teach their students and colleagues, as well as other health professionals. When discussing diagnoses and care plans, they teach patients, and there is evidence that patient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health outcomes (Kurtz et al. 2003).


이렇게 널리 쓰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은 의사가 거의 공식적으로 배우지 못하는 기술입니다 (Craig & Bing-You & Sproul 1992, Morrison & Hafler 2000).

Despite its universality, teaching is a skill that physicians receive little formal training about (Craig & Page 1987; Bing-You & Sproul 1992; Morrison & Hafler 2000).


그러나 놀랍게도, 의대생의 교수법 개발을 촉진시키기위한 공식적인 시도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적다 (Paiva 등 1982; Craig & Page 1987; Bing-You & Sproul 1992; Nestel & Kidd 2002; Pasquale & Pugnaire 2002; Moseley et al., 2002; Bardach et al., 2003; Morrison et al., 2003).

There is, however, a surprisingly limited amount of literature about formal attempt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teaching skills (Paiva et al. 1982; Craig & Page 1987; Bing-You & Sproul 1992; Nestel & Kidd 2002; Pasquale & Pugnaire 2002; Moseley et al. 2002; Bardach et al. 2003; Morrison et al. 2003).



교육스킬향상 프로그램

Teaching Skills Improvement Program (TSIP).


방법

Methods


결과

Results


여덟개의 연구에서 의대생의 교육스킬 향상을 연구하였다.

Eight papers specifically addressed improving teaching skills of medical students (Table 1).



고찰

Discussion


왜 의대생들에게 가르치는 법을 가르쳐야 하나?

Why teach medical students how to teach




1. 의대생은 다른 사람을 가르칠 미래의 레지던트이자 교수이기 때문

1. Medical students are future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who will have teaching roles.


임상 교사는 미래 의사의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교수진이 스스로의 역할 중의 하나로 교사 역할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usari 외. 2003). 이 '정체성'은 교사가 교육이나 교수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욕구에 영향을 주고, 교육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궁극적으로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준다.

Clinical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in the education of future physicians. It is important that faculty members see one of their roles as that of a teacher (Busari et al. 2003). This ‘identification’ may influence their desire to teach and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ultimately, student learning.



레지던트들은 종종 동료 교육과 의대 교육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일주일에 몇 시간씩도 가르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Bordley & Litzelman 2000, Morrison & Hafler 2000, Busari & Scherpbier 2004). 레지던트는 의대생, 주니어를 감독, 지시 및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교육활동에 25 %의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Seely 1999). 레지던트 교사는 교수보다 학생에 더 가깝기 때문에, 학생이 된다는 것은 무엇인지, 무엇이 학생에게 효과가 있었는지를 더 잘 기억하며, 교수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의과 대학 학생의 학습에 기여할 수 있다 (Bordage & Lemieux 1991, McKeachie & Svinicki 2006). 레지던트들은 그들의 책임과 교육의 일부로서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지만, 가치를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고 했다(Bordage & Lemieux 1991, Bing-You & Harvey 1995).

Residents play a central role in the education of their colleagues and medical students, often spending many hours a week teaching (Bordley & Litzelman 2000; Morrison & Hafler 2000; Busari & Scherpbier 2004). It is estimated that residents spend as much as 25% of their work time in teaching activities, including supervising, instructing, and evaluating medical students and junior residents (Seely 1999). Resident–teachers contribute to medical students’ learning in ways that complement the contributions made by attending faculty, as they are closer to the student experience and remember more clearly what it was like, and what worked for them (Bordage & Lemieux 1991; McKeachie & Svinicki 2006). Residents themselves have identified teaching as an important, but undervalued, part of their responsibilities and their own education (Bordage & Lemieux 1991; Bing-You & Harvey 1995).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레지던트들은 기본적인 성인 학습 원리와 사례 구성 프레젠테이션, 팀 강의, 비공식 토론 중에 사용할 수있는 다양한 교육 기술에 익숙해야합니다.

In order to teach effectively, residents need to be familiar with basic adult-learning principles and with the broad array of teaching techniques that can be used during case structured presentations, team lectures, and informal discussions.


그러나 최근까지도 레지던트들은 가르치는 방법을 거의 배우지 않았습니다. 1993 년에 미국의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레지던트가 의대생에게 제공되는 입원 환자 교육 중 62 %를 담당했음에도 (Bing-You & Tooker 1993) 불구하고 내과학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20%만이 교육-스킬 유닛을 가지고 있었다.

However, until recently, residents were only rarely taught how to teach. In 1993, a US survey showed that only 20% of internal-medicine residency programs featured teaching-skills units, despite the fact that residents provided 62% of inpatient teaching of medical students (Bing-You & Tooker 1993).


의대생은 레지던트가 중요한 교육자 역할을한다고 인식합니다. 그들은 그들의 가르침 중 거의 1/3이 레지던트에 의해 수행된다고 추정했다 (Bing-You & Sproul, 1992). 한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의과대학생이 레지던트로서의 명확한 교육 책임을 갖기를 원했을 뿐 아니라 (Barrow 1966), 교수법을 배우고 심지어 다른 의대생을 가르치는 것에도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Bing-You & Sproul 1992).

Medical students themselves perceive residents as havinga significant teaching role. They have estimated that a third oftheir teaching is performed by residents (Bing-You & Sproul1992). One survey showed that the great majority of medicalstudents expressed a desire to have definite teaching responsibilities as residents (Barrow 1966), but also expressed an interest in learning teaching techniques and even teaching other medical students (Bing-You & Sproul 1992).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의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따르면 레지던트들이 종종 충분한 공식적 준비를 갖추지 못한 상태로 책임을 맡는다 고 제안한다. (Bordage & Lemieux 1991; Tacci 1998)

Despite the efforts made by residency programs, too teaching studies suggest that residents often assume responsibilities with insufficient formal preparation (Bordage & Lemieux 1991; Tacci 1998).



2. 의사-환자 상호작용의 필수적 측면으로 교육을 다룰수록, 의과대학생이 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터가 될 것이기 때문

2. Medical students may become more effective communicators, as teaching is an essential aspect of physician-patient interaction.


의사 - 환자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문헌에 따르면, 좋은 의사소통은 환자 만족도, 순응도, 기능 상태 및 임상 결과를 향상시키는 데 가치가 있다(Bensing et al., Cegala & Lenzmeier Broz 2002). 전문가들은 의사 소통이 타고나는 특성이 아니라 학습가능한 기술이라는 점에 동의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 소통을하도록 가르 칠 수 있다고합니다. 그들은 또한 이 분야에서 경험만으로는 좋은 선생이 될 수 없다는 데 동의한다 (Kurtz 2002).

The literature on doctor–patient communication has established the value of competent communication in enhancing patients’ satisfaction, adherence, functional status, and clinical outcomes (Bensing et al. 2000; Cegala & Lenzmeier Broz 2002). Experts agree that communication is a learned skill rather than a personality trait, and that one can be taught to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They also agree that experience alone is a poor teacher in this area (Kurtz 2002).


의사 - 환자 상호 작용의 많은 부분은 가르침을 포함합니다. 최근에 환자의 권한 부여가 더욱 중요해지고, 의료 의사 결정에서보다 환자의 자율성이 높아지면서, 이 유형의 상호 작용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Roter 2000; Kurtz 2002). 합리적 선택 등을 비롯한 의료 정보 제공 과정은 '가르치는 것'입니다. 커뮤니케이션 스킬 개선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를 살펴보면 '환자'라는 단어를 '학생'이라는 단어로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 내용 대한 환자 지식의 끌어내기,

      • 환자의 기대와 정보 욕구 평가,

      • 환자를 위한 정보 요약 

      • 인터뷰를 효과적으로 운영,

      • 촉진 기법을 사용,

      • 환자의 이해를 위한 프로빙,

      • 환자의 응답을 격려 (Wipf 외. 1995).

A large part of the doctor–patient interaction involves teaching. With the recent emphasis on patient empowerment, and with patient desire for more autonomy in medical decision-making, the importance of this type of interaction is even greater (Roter 2000; Kurtz 2002). The process of and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rationale options, is ‘teaching’. When one looks at the learning objectives of communication-skills improvement programs, the word ‘patient’ could be readily exchanged for the word ‘student’. Some examples include 

      • the eliciting of patients’ knowledge of the subject, 

      • assessment of patients’ expectations and desire for information, 

      • summarizing information for the patient, 

      • effectively managing the interview, 

      • using facilitating techniques, 

      • probing for patient’s understanding, and 

      • encouraging patients’ responses (Wipf et al. 1995). 


사실, 커츠 (Kurtz, 2002)가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정의하는 다섯 가지 원칙은 효율적인 교육을 특징 짓는 데에도 사용될 수있다.

In fact, the same five principles that Kurtz (2002) defines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an be used to characterize effective teaching: 

      • 단순한 정보전달이 아니라 상호 작용이 되도록

      • 불필요한 불확실성을 줄인다.

      • 성과의 관점에서 계획하고 생각하기;

      • 동성을 시연; 과

      • 선형 모델보다는 나선형 (반복) 모델을 따르기

      • ensuring interaction, not just transmission; 

      • reducing unnecessary uncertainty; 

      • planning and thinking in term of outcomes; 

      • demonstrating dynamism; and 

      • following a helical (iterative), rather than a linear, model.


많은 국가 기관은 동료, 환자 및 학생을 포함한 타인의 학습을 촉진하는 데 의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합니다. 1999 년 미국 의과 대학의 대학원 의학 교육 핵심 교과 과정 프로젝트의 목표에 명시된 바와 같이 :

Many national organizations stress the importance of the physician’s role in facilitating learning in others, including their peers, patients, and students. As stated in the objectives of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Core Curriculum Project of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in 1999:


CanMEDS의 커뮤니케이터 및 학자 역할은 '내일의 의사'(The Medical Council 2003)의 학부 의학 교육에 대한 영국의 권고와 마찬가지로 의사를위한 교사 역할을 암시합니다.

The communicator and scholar roles of CanMEDS similarly imply a teacher role for the physician, as do the UK recommendations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Tomorrow’s doctors’ (General Medical Council 2003).



3. 교수-학습 원칙을 더 잘 이해하는 의과대학생이 더 나은 학습자가 되기 때문

3. Medical student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eachingand learning principles may become better learners.



레지던트와 교수진은 가르치는 동안 자신의 교수법뿐만 아니라 이론적 지식과 임상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Darosa 2001).

Residents and faculty, while teaching, might improve not only their teaching skills, but also their theoretical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Darosa 2001).




'교사 - 학습자 이중성'에 대한 증거가있다. 즉, 교사 입장에서 보면 가르치는 것은 배우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림 1에 나와있는 가장 관련있는 요소에는 사회적 상호 작용, 자기 설명, 피드백을 통한 고의적 연습 및 메타인지가 포함됩니다.

There is evidence in the literature of a ‘teacher–learner duality’; that is, teaching is linked to learning on the part of the teacher. The most relevant factors, illustrated in Figure 1, include social interaction, self-explanation, deliberate practice with feedback, and metacognition.




교사 학습자가 노출되는 사회적 상호 작용 (또는 학습 환경)은 학습 동기와 관련이있다. 이러한 동기 부여는 내재적이거나 외재적 일 수 있습니다. 두 유형 모두 학습을 자극하는 것 같습니다 (Sobral 2004). 학습자의 동기 부여는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사회적 및 기타 상황에 크게 의존합니다 (Misch 2002).

The social interactions (or learning context) that teacher– learners are exposed to are linked to their motivation to learn. This motivation may be intrinsic or extrinsic: both types seem to stimulate learning (Sobral 2004). Learners’ motivation is a complex mixture of these two types of motivation and is highly dependant on social and other contexts (Misch 2002).



자기 설명 효과에서 학생들은 학습 자료를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도록 요청받은 경우에 그 자료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있었습니다. 이것은 학습자가 결함있는 정신 모델을 발견하고 수리함으로써 발생한다고 믿어진다 (Chi et al., 1994; Chi 2000). 학습자의 질문에 대해 응답하려면, 교사는 학생들에게 설명을 제공하기 전에 합리적인 자기 설명을 생성해야 하며,이 자기 설명은 교사 측에서 더 많은 학습을 자극합니다..

In the self-explanation effect, students asked to explain learning material to themselves or others demonstrat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at material. This is believed to occur through learners’ detection and repair of defective mental models (Chi et al. 1994; Chi 2000). In response to learners’ questions, teachers must generate sensible self-explanations before offering explanations to their students, and this self-explanation stimulates further learning on the part of the teacher.



피드백을 통한 DP도 학습으로 이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Ericsson et al., 1993; Issenberg et al., 2005). 교육은 사고력이나 절차적 기술의 DP으로 볼 수 있습니다. 'Deliberate'라는 것은 기술 개발에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동기 부여를 지속하는 데 결정적으로 의존합니다.

Deliberate practice with feedback has been shown to lead to learning (Ericsson et al. 1993;Issenberg et al. 2005). Teaching can be seen as the deliberate practice of a thinking or procedural skill. ‘Deliberate’ implies that effort and time is spent on developing the skill: this is critically dependent on motivation to persist at it.



자기 인식이나 메타인지 인식은 자신의 태도, 기술 및 지식을 반영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있는 능력입니다 (Gregory 1998; Paris and Winograd 1998). 다른 사람들을 가르 칠 때, 자기 인식은 학습 전략이 무엇을 사용해야하며 그것을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에 대한 반성을 포함한다 (Collins et al. 1991). 이 교육 과정을 알고있는 의료 연수생은 자신의 학습 행동을 자신의 학습 요구에 맞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Self-awareness, or metacognitive awareness, is the ability to reflect on and accurately assess one’s own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Gregory 1998; Paris and Winograd 1998). While teaching others, self-awareness involves reflection about what learning strategy one should use and how to use it (Collins et al. 1991). The medical trainees aware of this teaching process may modify their own learning behaviour to adapt to their own learning needs.




이를 현실에 적용한다면, 공식적으로 교육책임을 주는 것이 자습이나 강의 참석보다 레지던트의 지식 습득을 향상 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First et al. 1992). 연구에 따르면 레지던트들은 의대생을 가르치는 것이 자신의 학습에 유익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Apter et al., 1988; Busari 외. 2002). 학생에게 우수하게 평가받은 레지던트가 시험 중 시험 점수에서 더 잘 수행 할 수있는 경향이 입증되었습니다 (Seely 1999).

Putting this concept into practice, it has been shown that formal teaching responsibility improves residents’ knowledge acquisition more than self-study or attending lectures (First et al. 1992). Studies suggest that residents perceive that teaching medical students is beneficial for their own learning (Apter et al. 1988; Busari et al. 2002). A trend has been demonstrated for residents rated as better teachers by students to perform better on in-training examination scores (Seely 1999).









의과대학생의 교육스킬향상 프로그램에 포함해야 할 내용은?

What to include in a program to improve the teaching skills of medical students



1. 일반 원칙

1. General principles.


TSIP에 적용될 수있는 의학 - 학생 의사 소통 - 기술 교육에서 파생 된 몇 가지 원칙이있다 (Laidlaw 외. 2002). 

    • 첫째, 이 프로그램은 교육 기술을 의사 소통 기술과 같은 다른 능력과 통합해야합니다. 그것은 의대 학생들이 이미 습득했거나 훈련의 시점에서 요구할 기술에 중점을두고 적응해야합니다.

    • 둘째, 프로그램은 교실 환경 밖에서 지원되고 가르쳐 져야합니다. 이것은 임상 상황에서 바라는 행동과 기술에 대한 적절한 인정, 피드백, 보상 및 평가뿐만 아니라 응용 기술과 교수법 실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셋째, 전임상 교육, 임상실습,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에까지 교육 기술 향상 노력이 확대되어야한다.

There are several principles derived from medical-student communication-skills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a TSIP (Laidlaw et al. 2002). 

    • First, this program should integrate teaching skills with other abilit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It should focus on and adapt to skills that medical students have already acquired or will require at that point of their training. 

    • Second, the program should be supported and taught outside the classroom setting. This allows opportunities for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of teaching skills, as well as appropriate acknowledgment, feedback, reward, and evaluation of the desired behaviours and skills in the clinical setting. 

    • Third, a teaching skill improvement effort should extend from pre-clinical training through clerkship, and ideally even into residency.



Collins et al. (1991)은 인지적 도제에 대한 영향력있는 에세이에서, 어떤 교육 활동이든 순서가 중요하다

As Collins et al. (1991) suggest in their influential essayon cognitive apprenticeship,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equencing in any teaching activity



      • 첫째, 로컬 스킬 전에 목표 기술이나 프로세스의 개념적지도를 구축 할 수 있도록 글로벌 기술을 가르쳐야합니다. 

      • 둘째, 전문가의 성과에 필요한 기술과 개념이 점점 더 많이 획득 될 수 있도록 일련의 작업을 구성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복잡성을 증가시켜야합니다. 

      • 셋째, 점차적으로 다양성이 커짐에 따라 학생들은보다 폭 넓은 전략이 요구되는 일련의 과제를 구성 할 수 있습니다. 

      • 넷째, 가르치는 기술과 그 뒤에있는 이론적 근거는 그것을 배우는 사람들에게 분명해야합니다. 

      •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적절한 서포트와('scaffolding')과 감독자의 독립 ('fading')을 통해 이러한 교수법을 연습해야합니다. 

      • First, global skills should be taught before local skills, to allow for the building of a conceptual map of the target skill or process. 

      • Second, complexity should be increased gradually to construct a sequence of tasks such that more and more of the skills and concepts necessary for expert performance are acquired. 

      • Third, progressively increasing diversity enables students to construct a sequence of tasks in which a wider range of strategies are required. 

      • Fourth, teaching skills and the rationale behind them should be made explicit to those learning them. 

      • Finally, students should practice these teaching skills with an appropriate balance of support (‘scaffolding’) and from independence (‘fading’) their supervisors. 


학생들은 '실제'환경에서 배운 기술을 연습 할 수있는 기회가 주어져야합니다.  소그룹을 이끌거나, 주니어 학생들을 위한 피어튜터가 될 수 있습니다. TSIP는 이러한 지침을 존중해야합니다.

Student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practice the skills learned in a ‘real’ setting, e.g. by co-leading small groups, or being peer tutors for junior students learning procedural skills. A TSIP should respect these guidelines.




2. 학습 목표

2. Learning Objectives.


우리는 TSIP에 대한 몇 가지 일반적인 목표를 제안한다 (표 2).

We suggest several general objectives for a TSIP (Table 2).



TSIP의 일반적인 목적은 세 가지입니다. 

    • 첫째, 의대생들에게 교육의 기본 원리와 효과적인 교육에 대한 지식을 제공해야합니다.

    • 둘째, 자기 주도 학습을 비롯하여 다양한 교육 전략 및 적절한 교수 전략의 사용을 향상시켜야합니다.

    • 셋째, 교사로서의 의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레지던트 초기에 가르치는 책임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가르침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해야합니다.


The general objectives of a TSIP should be threefold.

    • First, such a program should provide medical students with knowledge about the basic principles of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 Second, it should improve their education skills and their appropriate use of teaching strategies,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 Third, it should aim at changing the attitudes they may have towards teaching in order for them to not on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hysician-as-teacher role, but to also decrease the anxiety they may have about the teaching responsibilities they will have early in residency.





의과대학 교육과정에 TSIP를 어떻게 넣을 것인가?

How to introduce a TSIP into a medical-school curriculum


1. 전형적인 학습활동과 전략

1. Typical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우리는 TSIP가 전형적인 의학 학교 교과 과정에 길이 방향으로 통합 된 하나의 모델을 제안한다 (표 3).

we propose one model where a TSIP is integrated longitudinally into a typical medical-school curriculum (Table 3).



최소한의 '핵심' 개념은 대규모 그룹 프레젠테이션 기술, 소그룹 토론, 절차 기술 교육 및 피드백 제공과 관련된 기본 교육 원칙에 대한 활동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We suggest that a ‘core’ minimum would be to include activities about 

    • large-group presentation skills, 

    • small-group discussions, 

    • teaching procedural skills, and 

    • giving feedback, 

each linked to the basic education principles.



또한 현재의 의학 교육 커리큘럼에는 교수법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있는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PBL 세션이 끝나면 학생들은 방금 발생한 토론과 저 / 고 학습 포인트가 무엇인지, 왜 그런지에 대해 의견을 말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교수는 강의 마지막에 그녀가 선택한 다양한 교수 전략과 그 이유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환자에게 진단을 설명하는 방법을 정확히 적어 놓거나 역할극을 수행 한 다음 각자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습니다.

Moreover,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in the current medical-education curriculum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For example, at the end of a problem- based learning session, students could be asked to comment about the discussion that just occurred, and about what were the low and high learning points, and why. A professor could, at the end of her lecture, explain the different teaching strategies she chose to use and why. Students could be asked to write up or role-play exactly how they would explain a diagnosis to a patient, and then give feedback on each others’ performances.



2. 평가

2. Evaluation.


이상적인 세 가지 유형의 평가가 수행되어야합니다. 

  • 반응 평가 (참가자가 프로그램에 만족하는지 여부). 

  • 학습 평가 (참가자가 교육 후 교육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지 여부). 

  • 성과에 대한 평가 (참여자가 현재 더 잘 가르치고 있든) (Darosa 2001).

Ideally, three major types of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 reaction evaluation (whether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 evaluation of learning (whether participants know more about education after training); and 

  • evaluation of outcomes (whether participants now teach better) (Darosa 2001).


  • TSIP 프로그램의 품질을 참가자의 관점에서 판단하기 위해 반응 평가가 수행됩니다. 이것은 설문이나 예를 들어 달성 할 수 있습니다. 

  • 학습 평가는 프로그램으로 발생한 행동 변화의 범위를 결정합니다. 표준화 된 학생, 자체 평가 도구, 학습자 피드백 또는 관찰을 통해 OSTE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평가는 프로그램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의대생은 위에서 언급 한 일반적인 목표를 달성해야합니다. 

이상적으로, 결과 평가는 TSIP를 완료 한 의대생이 더 나은 교사, 더 나은 의사 및 더 나은 학습자가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해야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TSIP에 대한 직접 연결은 증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리적 조치가 더 실현 가능할 수있다.

  • Reaction evaluation would be conducted to judge the quality of a TSIP program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This could be achiev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or for example. of interviews, 

  • Evaluation learning would the determine behavioural extent of change that can be attributed to the program. This could be assessed using an OSTE with standardized students, self-assessment instruments, learner feedback, or observation. 

  • Lastly, the evaluation of outcomes would determine the impact the program had on the environment and whether the programs goals were achieved. Medical students should have achieved the general objectives mentioned above. 

Ideally, the outcome evaluation should determine whether medical students who have completed a TSIP have become better teachers, better physicians, and better learners. However, measuring these outcomes might be difficult, and a direct link to a TSIP would be difficult to prove. Therefore, surrogate measures may be more feasible.



Conclusion


다른 형태의 환자 - 의사 소통과 마찬가지로 교육은 의학 교육 연속체 (Makoul 2001)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교육, 실습 및 피드백이 필요한 핵심 임상 기술입니다.

Teaching, as with other forms of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is a core clinical skill that requires ongoing training, practice, and feedback throughout the medical-education continuum (Makoul 2001).









 2007 Sep;29(6):558-65.

Why medical students should learn how to teach.

Author information

1
McGill University, Canada. mylene.dandavino@mail.mcgill.ca

Abstract

BACKGROUND:

We reviewed the medical-education literature in order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education principles and teaching skills.

AIMS:

To discuss reasons why formal initiatives aimed at improving teaching skills should be part of the training of all physicians, and how it could begin at the medical-student level.

DESCRIPTION:

In this article, we propose several reasons that support formal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in education principles: (1) medical students are future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and will have teaching roles; (2) medical students may become more effective communicators as a result of such training, as teaching is an essential aspect of physician-patient interaction; and (3) medical student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may become better learners. We suggest that exposure to teaching principles, skills, and techniques should be done in a sequential manner during the education of a physician, starting in medical school and continuing through postgraduate education and into practice. We outline learning objectives, teach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for medical-education components in an undergraduate curriculum.

CONCLUSION:

Medical students' informal teaching activities accompany, facilitate, and complement many important aspects of their medicaleducation. Formally developing medical student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education may further stimulate these aspects.

PMID:
 
17922358
 
DOI:
 
10.1080/01421590701477449
[Indexed for MEDLINE]


E-프로페셔널리즘: 의학교육의 새로운 프론티어(Teach Learn Med, 2013)

e-Professionalism: A New Frontier in Medical Education

Joseph M. Kaczmarczyk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OB/GYN,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Alice Chuang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Division of Women’s Primary Healthcar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School of Medicine, Chapel Hill, North Carolina, USA

Lorraine Dugoff

University of Pennsylvania School of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Jodi F. Abbot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eedham, Massachusetts, USA

Amie J. Cullimor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John Dalrymple

Th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School – Houston,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Sciences, Houston, Texas, USA

Katrina R. Davis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s, Little Rock, Arkansas, USA

Nancy A. Hueppchen

Johns Hopkins Medical Institutions, Gynecology and Obstetrics, Baltimore, Maryland, USA

Nadine T. Katz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Women’s Health,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Bronx, New York, USA

Francis S. Nuthalapaty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reenville Hospital System University Medical Center, Greenville, South Carolina, USA

Archana Pradhan

Department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Sciences, Robert Wood Johnson Medical School, New Brunswick, New Jersey, USA

Abigail Wolf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Jefferson Medical College at Thomas Jefferson University,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Petra M. Casey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USA





도입

INTRODUCTION


Cain과 Romanelli2는 e-프로페셔널리즘을 전통적인 프로페셔널리즘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태도와 행동이지만, 다만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Cain and Romanelli2 defined e-professionalism a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reflecting traditional professionalism paradigms but manifested through digital media.


E프로페셔널리즘은 "네티켓"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 적절한 이메일 또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에티켓을 훨씬 뛰어 넘습니다. 2 프로페셔널한 정체성, 태도, 행동에 cue를 표시하는 모든 형식의 온라인 개인 정보 및 온라인 정보가 포함됩니다 .2

E-professionalism encompasses yet extends far beyond appropriate e-mail or online communication etiquette commonly referred to as “netiquette.”2 It includes an online persona and online information in any format that displays cues to professional identity, attitudes, and behaviors.2


Flexner 보고서 이후 1 세기에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은 Educating Physicians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 전문적 가치, 행동, 열망의 발달이 의학 교육의 주요 초점이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e-프로페셔널리즘은 의학 교육에 통합되어야합니다. 그것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 (온라인 페르소나)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가치, 행동, 포부 (온라인 행동)의 개발에 포함되어야합니다.

A century after the Flexner report,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released its report on Educating Physicians: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4 This report assert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should be a major focus of medical education. Accordingly, e-professionalism should be incorporated in medical education. It should be included in not onl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nline persona) but als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online behavior).



프로페녀설리즘은 프로페셔널리즘이다.

“PROFESSIONALISM IS PROFESSIONALISM”


  • Swick 등은 자신보다 환자의 이익을 따르는 능력, 높은 윤리적, 도덕적 기준 준수, 사회적 요구에 대한 적절한 대응, 공감, 완전성, 애타주의, 신뢰를 포함한 휴머니즘의 실천 등을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으로 규정했다. 

  • ACGME는 레지던트에게 성실성과 동정심을 나타낼 것, 그들의 요구보다 환자의 요구를 우선할 것; 환자의 다양성, 사생활, 자치권을 존중할 것, 환자, 사회, 의료전문직에 책무성을 다할 것 등을 요구한다.

  • 새로운 천년기의 전문성 : 의사 헌장 7은 의사 - 환자 관계의 경계를 존중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사의 중요한 책임을 묘사한다 .7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의 이러한 모든 측면은 소셜 미디어의 사용에 영향을 받는다 


  • Swick et al.5 characterized medical professionalism as the ability to subordinate one’s self-interest to that of the patient, the adherence to high ethical and moral standards, an appropriate response to societal needs, and the practice of humanism including empathy, integrity, altruism, and trustworthiness. 

  • The Accreditation Council on Graduate Medical Education expects residents 

    • to demonstrate integrity and compassion; 

    • to subordinate their needs to the needs of patients; 

    • to respect patient diversity, privacy, and autonomy; and 

    • to be accountable to patients, society, and the medical profession.6 

  • Professionalism in the New Millennium: A Physician Charter7 delineates important responsibilities of physicians, including respecting boundaries of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7 

All of these aspec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re impacted by use of social media.8,9



소셜미디어와 세대차이

SOCIAL MEDIA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사회 미디어와 디지털 정보 공유의 사용, 인식 및 수용에는 세대 차이가 있습니다 .1,2 현재의 학습자는 자유로운 정보 공유의 분위기에서 성장했습니다 .10 따라서 그들은 디지털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모든 기회에 동일한 태도와 행동을 적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학습자가 개인 생활과 직업 생활의 경계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또한 직업 생활을하기 전에 개인 목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 해 온 젊은 세대의 학습자는 소셜 미디어를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으로 보지 않을 수도 있다. 직업적 정체성에서 소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은 executive directors of state medical and osteopathic boards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보고 된 온라인 전문성 위반에도 나타난다.11

There ar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use,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ocial media and of digital information sharing.1,2 Current learners have grown up with liberal information sharing.10 Consequently, they tend to apply the same attitudes and behaviors to all opportunities to share digit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may be difficult for these learners to determine boundaries betwee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2 Moreover, younger generations of learners who have been utilizing social media for personal purposes prior to establishing a professional life may not see social media as related to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is lack of recognition of the role of social media in one’s professional identity is reflected in the violations of online professionalism reported in a survey of executive directors of state medical and osteopathic boards.11


개인 생활과 직업 생활의 경계가 모호해진 결과 [현재 학습자의 태도와 행동]은 [인증 기관이나 전문 기관의 전문성 정책]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s a result of the blurring of boundaries betwee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12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urrent learners may not be consistent with professionalism policies of accrediting and specialty organizations.


의학 교육에서 현재 학습자는 소셜 미디어와 매우 친숙하다. Thompson 등 14)은 의대생과 레지던트 중 약 45 %가 Facebook 계정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레지던트보다 의대생이 더 높은 비율로 페이스 북 계정을 가지고 있었다 (64.3 % 대 12.8 %, p <.0001).

Most of the current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are facile users of social media. Thompson et al.14 reported that nearly 45% of its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had a Facebook account. More medical students than residents had a Facebook account (64.3% vs. 12.8%, p < .0001).


두 그룹의 학습자 대부분 (학생 62.1 %, 레지던트 67.5 %)은 기본 개인 정보 설정을 변경하지 않았기 때문에 페이스 북 계정을 "public"상태로 두고 있었습니다.

The majority of learners in both groups, 62.1% of students and 67.5% of residents, kept their Facebook accounts “public” and widely accessible, because they did not change the default privacy settings.


공개적으로 액세스 할 수있는 소셜 네트워킹과 관련된 우려에는 환자와의 온라인 친구맺기가 포함됩니다. 2010 년 전국 무작위 적 층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대 학생의 1.2 %, 레지던트의 7.8 %, 의사의 34.5 %가 환자나 환자의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친구 요청을 받았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단지 16 %의 응답률을 보였음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useh 등 (20)은 이러한 "친구맺기"가 환자 - 의사 관계와 관계없는 상호 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환자의 치료를 우선으로 두지 않도록 만들 수도 있고, 없으며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는 의사의 self-disclosure로 이어질 수 있다고보고했다. Guseh 등 (20)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서 환자와 상호 작용하면 잠재적 인 임상 적 및 윤리적 딜레마를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Concerns associated with publically accessible social networking include online friendships with patients. A 2010 national, random, stratified survey19 found that 1.2% of medical students, 7.8%of residents, and 34.5%of practicing physicians received friend requests from a patient or a patient’s family member. It is important to note, however, that this study had only a 16% response rate. Guseh et al.20 reported that these “friendships” may lead to interactions extraneous to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 may not prioritize the therapeutic interests of the patient, and may lead to potentially problematic physician selfdisclosure. Guseh et al.20 warned that interacting with patients on social networking sites can create potential clinical and ethical dilemmas.


환자로부터 친구 요청을받은 사실에 대해 질문 할 때 프랑스 레지던트 및 펠로우 중 어느 누구도 환자로부터 자동으로 친구 요청을 수락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85%가 이러한 요청을 자동으로 거절하고, 15 %는 개별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린다고 했다.21 페이스 북에서 말하는 "Friending"은 사적인 프로필 정보의 양방향 공유를 시작하는 친구 요청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환자 관계를 넘어서 확장 될 수있다.

When queried about the hypothetical receipt of a friend request from a patient, none of the French residents and fellows reported they would automatically accept a friend request from a patient, 85% reported they would automatically decline such a request, and 15% reported they would make decisions on an individual basis.21 “Friending,” which in Facebook parlance is accepting a friend request that initiates a two-way sharing of private profile information,10 can extend beyond patient relationships.





소셜미디어 포스팅의 후유증

SEQUELAE OF SOCIAL MEDIA POSTINGS


Cain은 헬스케어에서 소셜 미디어 게시물에 대한 조직의 우려는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하였다.

  • 평판, 

  • 개인 정보 보호 

  • 산성


조직의 평판은 개별 구성원의 태도, 행동 및 업무 윤리에 달려 있으며, 여기에는 학생도 포함된다.

Cain maintained that in health care, organizational concerns about social media postings fall into three classifications: reputation, privacy, and productivity.23 An organization’s reputation depends on the attitudes, behavior, and work ethic of its individual members, who may include learners in medical education.


소셜 미디어의 담론은 훨씬 더 넓고 종종 알려지지 않은 청중에게 접근 할 수 있으며, 영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Discourse in social media is accessible to a much wider and often unknown audience and can linger in perpetuity.


특정 기관을 식별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포스팅하는 것은 해당 기관이 그것을 보증한 것으로 해석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관의 명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Posting digital media identifying a particular institution may be interpreted as an endorsement by that institution,24 and thus affect that institution’s reputation.


이러한 이미지의 온라인 무단 게시는 HIPAA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24에 따라 환자의 개인 정보를 침해할 수 있다.24 마찬가지로, 보호받는 의료 정보를 트위터나 심지어 문자로 무단 공개하는 것도 HIPPA 위반이됩니다 .4

The unauthorized posting of those images online violates patients’ privacy under th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24 Likewise, tweeting or even texting unauthorized disclosure of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constitutes a HIPPA violation.4


 Guseh 등은 의사가 환자와 신청한 온라인 친구신청을 받아서는 안된다는 권고를 전했다. 환자와 온라인 친구가되기위한 초대장을 받고 의사 소통에 참여할 의사가있는 의사를위한 지침은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Guseh and colleagues20 recommended that a physician should never initiate an invitation to become an online friend with a patient. Guidelines for physicians who receive invitations to become online friends with patients and who may consider participating in a social network are presented in Table 1.



표 1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사용 지침

• 환자의 온라인 친구신청은 자동으로 수락하지 않아야 하며, 이중 관계로 들어가는 것을 피하십시오.

• 환자의 개인정보를 존중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또는 기타 온라인 출처에서 얻은 정보를 신중하게 관리해야 한다.

•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또는 다른 인터넷 사이트에 개인 정보를 공개 할 때 제한restraint을 행사하십시오.

• 온라인 프로필에 액세스 할 수있는 사용자를 제어하기 위해 사이트의 개인 정보 설정을 읽고 이해하십시오.


TABLE 1 Guidelines for using social networking sites

• Avoid entering into dual relationships by not automatically accepting an invitation to become an online friend with a patient.

• Respect patient privacy by carefully managing any information obtained on social networking sites or from other online sources.

• Exercise restraint when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on social networking sites or any other Internet site.

• Read and understand the site’s privacy settings in order to maintain control over who can access one’s online profile.


소셜 네트워킹 정책

POLICIES ON SOCIAL NETWORKING


의료 기관은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했지만 미국 의과 대학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가이드는 어떠한가? Kind 등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정책을 위해 132 개의 공인 된 allopathic 의과 대학의 공개 웹 사이트에 액세스했습니다. 온라인으로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책을 가진 128 개 학교 중 소셜 미디어를 명시 적으로 언급 한 가이드 라인 및 / 또는 정책은 13 개 (10.16 %)에 불과했습니다. 5 명 (38.46 %)은 용납 할 수 없거나 강력하게 낙담 한 온라인 행동을 정의한 반면, 7 명 (53.85 %)은 사려 깊고 책임감있는 소셜 미디어 사용을 권장했습니다.

Healthcare institutions have formulated and implemented policies on social media, but what guides the use of social media in U.S. medical schools? Kind et al.26 accessed the publically available websites of all 132 accredited allopathic medical schools for existing social media policies. Of the 128 schools who had policies publically available online, only 13 (10.16%) had guidelines and/or policies explicitly mentioning social media. Five (38.46%) defined unacceptable or strongly discouraged online behaviors, whereas seven (53.85%) encouraged thoughtful and responsible use of social media.


많은 회사들이 대중들에게 자사의 소셜미디어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직원들에게 그들 "개인"의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게시합니다. 일부는 회사를 대표하는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계정에 대한 "기관" 지침 또는 모범 사례를 게시하기도 한다. 

Many companies publish “personal” guidelines for their employees as well as guidelines for the public’s use of their social media sites. Some publish “institutional” guidelines or best practices for creating online social networking accounts representing the company in the Social Media Governance27 catalog.



  • 오하이오 주립 대학 메디컬 센터의 소셜 미디어 참여 가이드 라인 (Social Media Participation Guidelines 28)에 따르면 직원은 근무 시간 중에는 사용하지 말아야하며, 직장 전자 메일 주소는 소셜 미디어 자격 증명에 제공되어서는 안되며 게시 된 의견이나 의견이 오하이오 주립 대학 메디컬 센터로 귀인attributed되지 않아야 한다.

  • 메이요 클리닉에서도 유사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직원은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의 사용이 허용됩니다. 모든 참여는 오프라인에서의 환자 및 직원 상호 작용과 관련된 규칙 및 정책과 동일한 적용을받습니다. 특히 환자 정보, 법률 정보 및 저작권 자료는 게시 할 수 없습니다. 행운의 편지, 광고, 네트워킹 페이지에 대한 권유는 금지되어 있으며, 기관은 게시물을 편집, 복제 또는 삭제할 수있는 권한을 보유합니다.

  • 메릴랜드 대학 (University of Maryland)은 정책 위반자에게 따르는 repercussion을 설명했습니다.


  • At Ohio State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 Social Media Participation Guidelines28 state that employees should not engage in use during work hours, the work e-mail address should not be provided for social media credentials, and posted opinions or comments should not be attributed in any way to Ohio State University Medical Center. 

  • At the Mayo Clinic,29 similar policies are in place. Employees are allowed the use of online social networks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work. All participation is subject to the same rules and policies pertaining to patient and employee interactions offline. Specifically, patient information, legal information, and copyrighted materials cannot be posted. Posting chain letters, advertisements, and solicitations on networking pages is prohibited, and the institution reserves the right to edit, reproduce, or delete any posts. 

  • The University of Maryland30 described the repercussions for policy violators such as exclusion from future access to or posting on the institutional networking sites.



Vanderbilt University에는 광범위한 소셜 미디어 핸드북이 있습니다 .33 불법 사용과 같은 주제, 특히 온라인 괴롭힘 및 저작권 침해와 관련된 규칙을 요약합니다. 그것은 기관의 규칙과 적절한 학생 행동을 설명합니다. 또한 온라인 네트워킹 페이지를 구축하는 부서 및 개인을위한 안내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Vanderbilt University has an extensive Social Media Handbook.33 It covers topics such as unlawful use, specifically outlining rules related to online harassment and copyright infringement. It describes institutional rules and appropriate student conduct. It also includes a how-to guide for departments and individuals for establishing online networking pages.



고찰 및 결론

DISCUSSION AND CONCLUSIONS


현재의 학습자의 삶에서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빈번하고 두드러진다는 점은, 현대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의 정의, 가르침 및 평가에 e-프로페셔널리즘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The prominence and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in the lives of current learners illustrate the need for e-professionalism to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teaching, and evaluation of contemporary medical professionalism.


커리큘럼에는 학습자를 위한 소셜 미디어의 올바른 사용을위한 적극적인 접근 방법이 포함되어야합니다 .34 여러 가지 전략을 의학 교육에 통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acceptable하거나 unacceptable한 온라인 행동의 예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명시적인 커리큘럼이 개발되어야합니다. 이러한 사례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이 게시한 단어와 이미지를 면밀히 조사하고, 동료와 대중에 의한 잠재적인 인식을 고려해볼 수 있는 구조화 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35) 또한 이러한 교육 활동은 미국 의사 협회의 전문성 및 소셜미디어 정책에 기반해야 한다(표 2)

Curricula should include a proactive approach for the proper use of social media for learners.34 We suggest integrating multi-ple strategies into medical education. Explicit curricula should be developed that provide learners with examples of accept-able and unacceptable online professional behaviors. These example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structured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scrutinize the words and images they post and consider their potential perception by colleagues and the pub-lic.35 Moreover,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informed by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s policy on professionalism and social media36–38 (Table 2)


표 2 소셜 미디어의 전문성과 사용에 대한 AMA 정책 요약


• 의사는 온라인을 비롯한 모든 환경에서 유지되어야하는 환자의 사생활 및 기밀성에 대한 표준을 알고 있어야하며 식별 가능한 환자 정보를 온라인에 게시하는 것을 삼가해야합니다.

• 소셜 네트워킹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의사는 가능한 한 개인 정보와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정보 설정을 사용해야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설정만으로는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며, 인터넷에 올린 콘텐츠가 영구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따라서 의사는 자신의 사이트는 물론, 가능하다면 다른 사람들이 게시한 포스팅의 내용 대해서도, personal and professional information이 정확하고 적절한지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합니다.

• 인터넷에서 환자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 다른 상황과 마찬가지로 의사는 전문적인 윤리 지침에 따라 환자 - 의사 관계에 대한 적절한 경계를 유지해야합니다.

• 적절한 전문가 경계를 유지하기 위해 의사는 개인 및 전문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분리하는 것을 고려해야합니다.

동료가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포스팅을 게시한 것을 보게되면, 그것을 발견한 의사는 컨텐트를 삭제하고 다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당 컨텐트를 당사자에게 알려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만약 그 행동이 직업적 규범을 크게 위반한 것인데도 개인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그 문제를 적절한 당국에보고해야합니다.

• 의사는 온라인 활동과 포스팅이 환자 및 동료 사이에서 자신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의료 전문가 (특히 의사와 의대생)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료계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훼손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TABLE 2 Summary of AMA policy on professionalism and use of social media

• Physicians should be cognizant of standards of patient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at must be maintained in all environments, including online, and must refrain from posting identifiable patient information online.

• When using the Internet for social networking, physicians should use privacy settings to safeguard personal information and content to the extent possible, but should realize that privacy settings are not absolute and that once on the Internet, content is likely there permanently. Thus, physicians should routinely monitor their own Internet presence to ensure that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on their own sites and, to the extent possible, content posted about them by others, is accurate and appropriate.

• If they interact with patients on the Internet, physicians must maintain appropriate boundaries of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in accordance with professional ethical guidelines just, as they would in any other context.

• To maintain appropriate professional boundaries physicians should consider separa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content online.

• When physicians see content posted by colleagues that appears unprofessional, they have a responsibility to bring that content to the attention of the individual, so that he or she can remove it and/or take other appropriate actions. If the behavior significantly violates professional norms and the individual does not take appropriate action to resolve the situation, the physician should report the matter to appropriate authorities.

• Physicians must recognize that actions online and content posted may negatively affect their reputations among patients and colleagues, may have consequences for their medical careers (particularly for physicians-in-training and medical students) and can undermine public trust in the medical profession.



학습자가 전문직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지원하기위한 전략에는 [학습자 경험을 공개적으로 포스팅하는 것이 자신, 동료 및 기관을 어떻게 보여지게 하는지에 대한 토론 및 고려 시간]이 포함되어야합니다. 학습자가 임상 진료로 옮겨가고, 임상 전문인의 역할과 책임이 커짐에 따라 전문직으로서 페르소나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강화할 수있는 기회를 만들어야합니다. 또한, 이러한 전략과 기회는 주 교육위원회가 소셜 네트워킹 미디어의 부적절한 사용과 관련하여 전문가가 아닌 행동에 대해 의사를 징계 할 권한이 있다는 가혹한 현실을 반영해야합니다.


Any strategy for assisting learners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hould include time for discussion and consideration of how public postings of learner experiences reflect on themselves, their peers, and their institutions. As learners move into clinical care, further opportunities should be created for assessment and reinforcement of how their professional personae are developing along with their expanded clinic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se strategies and opportunities should incorporate the harsh reality that state boards have the authority to discipline physicians for unprofessional behavior relating to the inappropriate use of social networking media.39


33. Vanderbilt University. Social media handbook. Available at: http://web. vanderbilt.edu/resources/social-media-handbook/. Accessed July 14, 2012.



 2013;25(2):165-70. doi: 10.1080/10401334.2013.770741.

e-Professionalism: a new frontier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hiladelphia College of Osteopathic Medicine, OB/GYN, Philadelphia, Pennsylvania 19131, USA. josephkac@pcom.edu

Abstract

BACKGROUND:

This article, prepared by the Association of Professor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Committee, discusses the evolving challenges facing medical educators posed by social media and a new form of professionalism that has been termed e-professionalism.

SUMMARY:

E-professionalism is defined a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reflect traditional professionalism paradigms but are manifested through digital media. One of the major functions of medical education i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professionalism is an essential and increasingly important ele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because the consequences of violations of e-professionalism have escalated from academic sanctions to revocation of licensure.

CONCLUSION:

E-professionalism should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teaching, and evalua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Curricula should include a positive approach for the proper professional use of social media for learners.

PMID:
 
23530680
 
DOI:
 
10.1080/10401334.2013.770741


의료조직을 위한 프로페셔널리즘 헌장(Acad Med, 2017)

The Charter on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Barry E. Egener, MD, Diana J. Mason, RN, PhD, Walter J. McDonald, MD, Sally Okun, RN, MMHS, Martha E. Gaines, JD, LLM, David A. Fleming, MD, MA, Bernie M. Rosof, MD, David Gullen, MD, and May-Lynn Andresen, RN, BSN



프로페셔널리즘이 헬스케어시스템에 필요한 심오하고 광범위한 변화를 일으키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만약 프로페셔널리즘이 없으면 헬스케어 산업이 사라질 것이다. - Lesser et al1

Professionalism may not be sufficient to drive the profound and far-reaching changes needed in the health care system, but without it, the health care enterprise is lost. — Lesser et al1


헬스케어 제공자 및 조직을 위한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은 경제적으로 어렵고 급변하며 윤리적으로 어려운 환경에서 의사 결정을위한 지침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providers and organizations can offer guidance for decision making in a fiscally difficult, rapidly changing, and ethically challenging environment.


의사를 위한 이러한 원칙은 13 년 전 의-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의사 헌장에서 강조되었습니다. 이 헌장은 의사들에 의해 널리 받아 들여졌지만, 점차 건강 관리의 질과 환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보건 의료 조직의 프로페셔널리즘과 얽혀있는 것으로 점차 인식되고 있습니다.

These principles for physicians were enunciated in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13 years ago.2 That charter has been widely accepted by physicians, but its impact on the quality of health care and patient experience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intertwined with the professionalism of health care organizations.1,3



실제로,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조적 요소가 의사가 헌장을 준수하는 것을 방해 할 수 있습니다.

Indeed, structural factors in the health care system may impede physicians from living up to the charter.4



좋건 나쁘건 점점 더 많은 수의 의사가 병원 및 병원 시스템에 고용되고 있기 때문에, 점점 더 헬스케어 시스템이 헬스케어 전문직의 행동을 지배하게 된다.7 이와 같이 건강 관리 조직은 그들이 고용한 직원 및 affiliated 의사들의 행동에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부분의 의료 팀 구성원은 올바른 일을하도록 동기 부여됩니다. 그러나 보건 의료 제공자 및 조직에게는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원칙과 일치하지 않는 활동에 참여할 수있는 많은 기회가 있습니다.

Health care systems increasingly dictate the practic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for better or worse, as an increasing number of physicians are employed by hospitals and hospital systems.7 As such,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an opportunity to positively and negatively influence the behavior of their employees and affiliated physicians. Most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are motivated to do the right thing. There are, however, many opportunities for health care providers and organizations to engage in activities that are not in con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건강 관리 지도자, 보건 전문가, 정책 이해 관계자 및 사회가 그들의 현재 및 선호하는 운영 방법을 평가하도록 자극하는 목적으로 헬스케어 조직을 위한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헌장 ( "헌장"; 부록 1 참조)을 다루고 있으며, 이는 건강 관리를 제공하고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있어서 best practice를 담보하기 위한 것이다.

This Perspective includes a Charter on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referred to as the “Charter”; see Appendix 1) with the aim of stimulating health care leaders, health professionals, policy stakeholders, and society to evaluate their current and preferred ways of operating, to ensure best practices in providing health care and improving health.



왜 조직을 위한 프로페셔널리즘 헌장인가?

Why a Charter on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헌장은 가치관을 반영하며 대상 고객에게 긍정적 인 변화를 가져 오는 데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그간의 근거를 살펴보면 그러한 유형의 문서, 즉 헌장은 기술된 가치에 관한 담론과 확인을 자극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002 년에 발행 된 이래, 의료 전문직에 관한 의사 헌장은 130 개 이상의 기관에서 승인되었으며, 관련 전문성 기사의 수는 600 개 이상으로 4 배 증가했습니다.

A charter is a reflection of values and can be effective in bring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a target audience. Evidence indicates that such a document can stimulate conversation and affirmation of the stated values. For example, since its publication in 2002,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en endorsed by over 130 organizations,8 and the number of related professionalism articles has quadrupled to over 600 annually.9


Kanter의 재정적으로 성공적인 회사에 대한 연구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표현 된 의지가 불확실성에 대한 완충제를 만들고, 긍정적 인 감정을 불러 일으키며, 직원들 간의 동기를 자극한다고 밝혀졌습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Paine11은 자사 프로그램에 지역 사회 참여 및 윤리와 같은 요소가 포함되어있을 때 기업이 재정적 보상을받는다고 주장합니다.

Kanter’s10 research on financially successful companies revealed that an expressed commitment to social responsibility creates a buffer against uncertainty, evokes positive emotions, and stimulates motivation among employees. Along similar lines, Paine11 argues that companies reap financial rewards when their programs feature such elements as community involvement and ethics.



헌장 작업과정

Charter Process


  • The Steering Committee nominated individuals for the Writing Group who were approved by consensus and created the Charter. 

  • These writers represented a variety of disciplines, points of view, and stakeholders in health care. They included nurses, health system leaders, medical ethicists, and consumer advocates. 

  • 특정 조직을 대변하지 않음 Although some participants felt that they were to represent the organization that nominated them, the Charter was not subject to approval by any grantor or organization.


The Writing Group refined the document by conference calls and e-mail. As might be expected from such a diverse group, compromise was important for the final Charter to be approved by consensus. The issues that required the most vigorous discussions were 

  • whether health care is a “right,” 

  • whether to stipulate a specific percentage of margin that a health care organization ought to return to the community, and 

  • the obligation of health care organizations to address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헌장의 목적

Charter Goals


모든 헬스케어 조직에 관한 것

The purpose of the Charter is to describe professionalism behaviors to which for- profit and not-for-profit hospitals and hospital systems may aspire. As the work unfolded, the Writing Group recognized that the principles were relevant to any health care organization.


상충하는 행동을 제안하기도 함

At times, different sections of the Charter will suggest competing actions

  • For example, touchstones of the Charter are to prioritize the health of individual patients an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community. 

  • However, being a steward of limited resources may conflict with optimizing the health of each individual patient. 

미션과 가치에 따라 다른 행동을 취할 수 있음

Organizations may ethically take different actions based on their different missions and cultural values.14


헌장 영역

Charter Domains


환자 파트너십

Patient partnerships


2001 년에 IOM이 발표 한 보고서 인 "Quality Chasm 교차점 : 21 세기를위한 새로운 건강 시스템"은 환자 가족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수적인 개선을 위한 여섯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구축 된 의료 시스템을 재발 명해야한다는 긴박감을 야기했습니다.

In 2001, the IOM report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created a sense of urgency for reinventing a health care system built around six aims for improvement considered essential for better meeting patient-family needs.15


이 6 가지 목표 중 하나는 "환자 개개인의 기호, 필요 및 가치에 대해 존중하고 반응하는 치료를 제공하고 환자의 가치가 모든 임상 결정을 이끌어 내도록 보장하는"환자 중심의 치료입니다 .15 의료 팀 간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환자, 가족 및 기타 간병인과의 효과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합니다 .16,17 전통적인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의사다"모델에서 환자와 가족이 간병과 의사 결정에 참여하도록하는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옮겨가려면 조직의 리더십 문화가 중요하다. 다-방향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17

Among these six aims is patient- centered care, defined as “providing care that is respectful of and responsive to individual patient preferences, needs, and values, and ensuring that patient values guide all clinical decisions.”15 It requires collaboration among health care teams and effective partnerships with patients, families, and other caregivers.16,17 Successful navigation from the traditional “doctor knows best” approach to one that engages patients and families to participate in their care and decision making is contingent on a culture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that values multidirectional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17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 중심의 원칙을 통합 한 조직은 환자의 신뢰와 충성도를 향상시키고보다 조율 된 방식으로 기능하는 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18 환자 및 가족과의 효과적인 관계는 조직의 개선에 측정 가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기적인 시스템 차원의 변화를 유지할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Over time, organizations that integrate person-centric principles can experience greater patient trust and loyalty and teams that function in a more coordinated manner.18 Effective engagement with patients and families can have a measurable impact on organizational improvement and has been cited as having the greatest potential for sustaining long- term system-wide transformation.19


지난 10 년 동안, 환자와 가족이 건강과 건강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는 기대에 영향을 준 여러 요인이 있었고, 이러한 방식이 모든 관계자에게 도움이 됨을 보여주었다.

In the last decade, many factors have influenced the expectation that patients and families take an active role in decisions that impact their health and health care,21 and studies demonstrate that this practice benefits all involved.22–24


이그제큐티브 리더십은 조직 전체의 환자 및 가족과의 진정한 파트너십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문화적 변혁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5 환자 가족 투입 전략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며, engaged leadership은 이러한 관행을 성공적으로 채택하는 데 중요합니다.

Executive leadership is essential for achieving the cultural transformation needed to support genuine partnerships with patients and families throughout their organizations.25 Leadership that is engaged and provides the resources needed to sustain strategies for patient-family input is critical for successful adoption of these practices. 



조직 문화

Organizational culture


보건 의료 시스템의 성공적인 변화는 금융 자본보다 조직의 사회적 자본에 더 의존하게 될 것이다.

Successful transformation of health care systems will likely depend more on the social capital of organizations than their financial capital.27


조직 문화는 환자, 실업자, 직원 및 리더십이 공동으로 만듭니다. 리더십이 신뢰받으려면 경영 행동이 조직의 사명, 전문적 가치 및 직원의 기대와 일치해야합니다 .28 이러한 신뢰는 개개인의 일치된 행동들이 그들이 일하는 다양한 단위로 전파 할 수 있도록합니다. 따라서 조직 문화는 상호 연관된 미세 문화로 구성된 복잡한 적응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organizational culture is cocreated by patients, nonemployed workers, employees, and leadership. Trust in leadership requires that management behavior be consistent with the organizational mission, professional values, and expectations of employees.28 That trust in turn empowers individuals to propagate consonant behaviors into the various units where they work. Organizational culture is thus viewed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composed of interrelated microcultures.


조직의 리더십 스타일은 의사와 간호사 만족도 및 소진에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의사의 소진은 치료의 질에 달려 있지 않지만, 간호사의 소진은 관련이 있다.34 의사의 휄빙은 회전율의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특정한 조직적 개입을 통해 개선 될 수 있습니다. 의사의 복지에 관한 랜드 (Rand)의 한 연구는 "의학 외 분야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고려 사항 - 예를 들어 공평한 대우; 반응이 빠른 리더십; 작업량, 내용 및 속도에 대한 관심은 의사의 전문성 향상을 추구하는 정책 입안자 및 건강 전달 시스템의 목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36

Organizational leadership style influences both physician31 and nurse satisfaction and burnout.32 Although physician burnout has not been consistently tied to the quality of care,33 nurse burnout has.34 Physician well-being is correlated with lower rates of turnover and can be improved through focused organizational interventions.35 A Rand study on physician well-being concluded that “the same considerations that apply outside medicine—for example, fair treatment; responsive leadership; attention to work quantity, content, and pace—can serve as targets for policymakers and health delivery systems that seek to improve physician professional satisfaction.”36


"삼중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참으로 "의료진에 대한 돌봄"을 포함해서 "quadruple aim"으로 통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치유 환경은 조직의 모든 사람들이 임상의가 제공하고자하는 동일한 가치와 존경을받을 때 가장 잘 성취 될 수 있습니다. 환자. 이를 위해서는 직원의 관점을 구하고, 존중하고, 통합해야합니다.

Achieving the “triple aim” may indeed require incorporating “care of the provider” into a “quadruple aim.”37 A healing environment can best be achieved when all those in the organization are afforded the same value and respect that clinicians aspire to give to patients. This requires soliciting, respecting, and incorporating the perspectives of employees.


High-value, cost-conscious 의료는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에 달려 있습니다 .38 팀워크가 향상되면 환자 결과, 환자 만족도, 조직 효율성, 환자 참여 및 근로자 만족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40

High-value, cost-conscious practice also depends o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38 better teamwork is correlated with better patient outcomes, patient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fficiency, patient engagement, and worker satisfaction.40





커뮤니티 파트너십

Community partnerships


전통적 임상 서비스는 인구 건강의 10 ~ 20 %만을 차지하고 유전학은 20 % ~ 30 %를 차지한다. 43,44 건강한 지역 사회를 만들기 위해 잘 명료화 된 미션에 힘 입어, 헬스케어 기관은 그들이 봉사하는 지역 사회와의 풍부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통해 남은 50 % ~ 70 %를 결정할 수 있으며, 소위 이를 건강결정요인이라고 한다. 

Traditional clinical services account for only 10% to 20% of a population’s health, and genetics account for 20% to 30%.43,44 Spurred by well-articulated missions to create healthy communities,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sought to address the remaining 50% to 70%—the so-calle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in rich strategic partnerships with the communities they serve.45


인구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건강을 보호하거나 약화시킬 수있는 사회적, 환경 적 요소를 이해하고 해결하기위한 시스템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있다.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promoting the health of populations requires a systems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protect or undermine health.46



"건강"을보다 광범위한 구성으로 다루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짐에 따라, 다른 헬스케어 조직 및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을 갖춘 헬스케어 조직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를 통해 건강과 헬스케어의 장애요인을 정의하고, 개입법을 설계하고, 투자의 효율을 최대화하고, 새로운 전략을 도입한다.

A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health” as a broader construct has grown, so too ha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ealth care organizations joining together—in full partnership with each other and the communities they serve—to define barriers to health and health care, design interventions, maximize the value of investments, and implement new strategies together to improve a community’s health.47



건강한 지역 사회를 만들기위한 사명과 함께, 좋은 건강 관리 기관은 공공 정책을 [인구 및 결과 기반 보상]으로 전환함하는 것이야말로 post-fee-for-service의 미래에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의 효과적 해결방안임을 인식합니다 .51,52

In tandem with the mission to create healthy communities,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recognize that shifts in public policy toward population and outcomes-based reimbursement make effectively address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mission critical to fiscal sustainability in a post-fee- for-service future.51,52


운영과 비지니스

Operations and business practices


보건 의료 조직에서 윤리적 행동을 강화하려는 노력은 최상의 운영 및 비즈니스 관행을 가져오고 환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줍니다.

Efforts to enhance ethical behavior in health care organizations result in best operational and business practices and in real benefits for patients.55


Paine57은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윤리 프로그램, 가치 이니셔티브 및 지역 사회 참여 활동을 시작하고 있으며 경영진의 "윤리는 돈이 된다"라는 믿음을 전제로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Paine57 argues that increasingly, companies are launching ethics programs, values initiatives, and community involvement activities premised on management’s belief that “ethics pays.”


사명 선언문의 표현에서 뚜렷한 중요성은 봉사의 질, 환자 복지 및 만족에 대한 헌신이다. 일반적으로 임무에 포함되지 않는 구성 요소는 재정적 목표와 경쟁 전략입니다. 사명 선언문의 형태로 된 윤리적 지침은 의료 시스템이 조직의 성과를 높이고 직원의 동기를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in the wording of mission statements, Of distinct importance is a commitment to service quality, patient welfare, and satisfaction. Components typically not included in the mission are financial goals and competitive strategies. Ethical guidance in the form of mission statements are valuable tools for health systems to use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crease employee motivation.59


윤리 강령 및 조직 사명 선언문에 공식화 된 윤리 지침은 제도적 청렴성과 책임에 관한 윤리적 담론과 심의를 촉진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있어 조직의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Ethics guidance that is formalized in codes and organizational mission statements promotes ethical discourse and deliberation around institutional integrity and responsibility, and influences organizational behavior in meeting those goals.



헌장의 장애물

Charter Obstacles


헌장은 염원을 다룬 것이다; 그것은 "모델 조직"의 행동을 묘사하기위한 것입니다. 많은 도전 과제는 문화적입니다. 조직의 리더와 직원 모두가 조직의 역사적인 견해와 그 내부에서의 역할을 변경해야합니다. 전통적으로 보건 의료 기관은 위계적이고 의사 중심적이었습니다. 최근 재정, 구조 및 운영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은 리더십과 직원 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았습니다. 일부 개인은 지도력과 전문직 종사자, 고용 된 비 전문인 및 헌장에 명시된 환자 간의보다 역동적이고 공개적인 대화로 인해 불편할 수 있습니다.

The Charter is aspirational; it is meant to describe the behavior of a “model organization.” Many of its challenges are cultural, requiring both organizational leaders and employees to alter their historical views of their organizations and their roles within them. Traditionally, health care institutions have been hierarchical and physician focused. And despite recent financial, structural, and operational changes, health care institutions have not fundamentally alt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mployees. Some individuals may be challenged by the more dynamic, open dialogue between leadership and the full spectrum of professions, employed nonprofessionals, and patients as described in the Charter.



또 다른 과제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결정 요인의 생태학은 복잡하고 완전히 이해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결정 요인들에 대한 모든 영향들에 영향을 미칠 수있는 위치에있는 어떤 사회적 구조도 없다. 이 헌장은 건강 관리 단체가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개선하는 것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지역 사회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수단과 고유 한 임무와 일치하는 다른 조직, 정부 및 지역 사회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추구 할 것을 제안합니다.

Another challenge is alter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ecology of these determinants is complex and not fully understood. Nor is any social structure in a position to affect all the influences on these determinants. The Charter does not suggest that health care organizations are solely responsible for improv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but, rather, suggests that they seek strategic partnerships with other organizations,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consistent with their means and their unique mis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community.




우리가 원하는 것

What We Want to Accomplish


이 헌장은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기존의 논문을 보완하여 개인 집단이 아닌 보건기구 및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문서를 작성합니다. 헌장은 조직이 조직 전체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활용할 수있는 전문 역량 및 행동을 정의합니다.

This Charter complements existing treatises on professionalism, creating a document directed at health organizations and systems rather than a group of individuals. The Charter defines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behaviors that organizations can leverag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professional behavior throughout the organization.


우리는 이것이 의료 전문직에 관한 의사 헌장과 유사한 살아있는 문서임을 확인하고 그 헌장에 사용 된 과정에서 배운 교훈을 얻을 것입니다.

We wish to ensure that this is a living document similar to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will take lessons learned from the process employed with that charter.




Charter on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Preamble

This document is intended to articulate a set of principles and behaviors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that aspire to nurture professionalism, to encourage the pursuit of excellence by all employees, and to achieve outstanding health care with the broader community. The document is structured as a set of expectations as to how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should be led and managed. It is aspirational and supports a health system that is dynamic and constantly trying to improve.

A key tenet of this document is that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been gradually evolving so that the activities of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should go beyond trying to treat disease and restore health. The work of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should include health promotion, disease prevention, value-driven car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community involvement, all within a fiscally responsible environment.

This evolution of the health care environment has and will continue to create challenges for all of the traditional professions that operate within health care organizations. As increasing numbers of the members of these professions are employed by and function within these organizations, the organizations will have further opportunities to profoundly affect the professional behaviors of those individuals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 Organizational behaviors do more than create an environment that influences the professionalism of those within it. They have a powerful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beyond their walls: They interact with other organizations that affect health and can directly impact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 ways that individual professionals or health care professional membership organizations cannot.

This Charter was created to help meet these challenges. There are four themes or concepts that apply to all health care organizations’ activities. First,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need to emphasize the primacy of obligations to patients and ensure that al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reflect this priority in their day-to-day work. Second,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promote the goal of broad access to health care. Third,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are good stewards of resources invested in health care. Finally,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are learning organizations. The organization continually transforms itself to perform its core mission better and to take on new roles as the health system evolves.


Patient Partnerships

The primary focus of health care organizations is the care and well-being of patients. Model organizations partner with patients to ensure a patient-centered approach that supports the health of the whole person, not just the treatment of disease.


Commitment to engagement

Model organizations invite active participation of patients and their formal and informal care partners in all relevant aspects of care. These partnerships support care that is respectful of and responsive to an individual’s priorities, goals, needs, and values. Utilizing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engender trust, model organizations foster an outcomes-based approach to health that goes beyond delivery and receipt of health care.


Commitment to shared decision making

Together, patients and their care partners clarify and evaluate all care options and the best available evidence to choose a course of care consistent with the patient’s personal values and preferences.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ensures that the cultur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support the communication and literacy needs of all involv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Commitment to collaboration, continuity, and coordination

Model organizations foster effective team-based care and support the role of patients as members of teams. In collaboration with patients and their formal and informal care partners, model organizations ensure safe and effective team transitions across settings and time to support a “one patient, one team” model of care.


Commitment to measure what matters to patients

In partnership with patients, model organizations identify outcomes of interest to patients and use patient-reported and -generated data to monitor progress and performance on those outcomes. Model organizations establish methods to support their continuous learning from these data. They provide meaningful feedback to patients and their care partners related to these data and the learning from it.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ulture is the set of beliefs and practices that creates the expectations, norms, and operational behaviors within an organization. Organizational culture is reflected in the well-being of patients and employees, employee retention, quality of care, health outcomes, and elimination of medical error.


Commitment to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Model organizations promote the well-being of all those who are cared for or work within them. Encouraging and modeling self-reflection and humility ensures that all interactions are respectful and that employees are valued and empowered.


Commitment to teamwork

Best care happens when all members of the team, including patients, share i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responsibility. Ensuring teamwork require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processes that support communication across staff and with patients.


Commitment to a healthy workplace

Model organizations create work environments that are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afe and provide tools and incentives for employees to achieve healthy lifestyles.


Commitment to inclusion and diversity

Model organizations incorporate the voices of employees and patients in organizational initiatives, including clinical domains. They encourage respectful attention to alternative viewpoints. Communication training for all staff emphasizes teamwork, respect, inclusiveness, and cultural sensitivity. The workforce, including leadership, reflects the diversity of patients and the community.


Commitment to accountability

Model organizations create a culture of trust and empowerment by articulating the mission and values of the organization, aligning policies, creating an infrastructure to promote those values, and eliminating activities that undermine professionalism. They align employee incentives with organizational values, reward success, provide supportive remediation for those who struggle to meet expectations, promote job satisfact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learn. Model organizations encourage feedback to leadership regarding any experience and observation of activities that compromise the organization’s values. Model organizations create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disclosure of events or suspect processes using knowledge gained to prevent harm and improve safety for patients and staff.


Community Partnerships

Model organizations collaborate with other health care organizations and the communities they serve to reduce health disparities related to factors such as education, income, and the environment. They focus particularly on preventable root causes of illness and access to appropriate, effective, culturally sensitive health care.


Commitment to address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linicians frequently encounter root causes of preventable illnesses, such as environmental toxins, nutritional deficits, unhealthy behaviors, and other preventable social factors. Treating these in a clinical vacuum diminishes the organization’s full potential to improve health. Therefore, it is a model organization’s ethical obligation to help identify, understand, and addres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to incorporate this understanding into its work.


Commitment to partner with communities

Model organizations engage in strategic partnerships with governmental entities, community organizations, and other organizations serving the community to identify and mitigate root causes of illness as well as to ensure effective, culturally appropriate care. Model health care organizations include the community in organizational activities and governance, and their employees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and governance.


Commitment to advocate for access and high-value care

Model organizations partner with others to promote universal access and rational alloca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and to moderate incentive structures that do not directly lead to high-value care and healthier communities. They advocate with communities for regulatory reforms to i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mitigate barriers to health care access, and improve social services.


Commitment to community benefit

Model organizations and their leaders engage generously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and civic leaders to make innovative, strategic investments that leverage improved community health.


Operations and Business Practices

Model organizations ensure patient safety, clinical excellence, transparency, evidence-based practices, high-value car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They provide sensitive, respectful, compassionate, prompt, and courteous patient care.


Commitment to safeguard the privacy of patients and their health information

Model organizations must safeguard the privacy of patients and their health information.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use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which pose continually evolving challenges to the privacy and security of patient information.


Commitment to ethical operations

Ethics and compliance programs in model organizations articulate mission and values, guidelines for observing legal requirements, and standards for the highest ethical focus in addressing the health care needs of diverse populations. These programs require qualified senior-level executive leadership, mechanisms to set standards, evidence-based policies, comprehensive training and education, mechanisms to report violations without fear of retaliation, and approaches to monitor compliance and audit performance. Model organizations adhere to credentialing and regulatory standards in their operations, recruitment, training, education, and privileging.


Commitment to transparent management of conflicts of interest

Model organizations have systems to identify and address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When patients may be affected, patient welfare is given priority.


Commitment to align incentives with values

Model organizations routinely review their incentive systems to ensure that they are in alignment with articulated organizational values.


Commitment to fair treatment, education, and development

Model organizations compensate employees fairly; provide appropriate benefit packages; avoid staff shortages; and promote employee education, training, and growth.


Commitment to high-value care

The policies and practices of model organizations engender evidence-based care and treatment that are provided to every patient. Model organizations always strive for high-value, optimal clinical outcomes, aligned with the three aims of better care, healthy populations, and reduced costs. They ensure that ordering practices for testing and treatment are evidence based and supported by standards of care.


Commitment to innovation

Model organizations strive to improve current models of care. Creating opportunities to assist other organizations to achieve similar success is a form of public service. The search for and implementation of innovative approaches to management, leadership, and patient care are important indicia of organizational professionalism.


Commitment to accounting and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Model organizations ensure that their financial statements accurately reflect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They create financial control systems and internal auditing mechanisms that ensure financial integrity.


Commitment to ensure fair and equitable access to health care

Model organizations display price transparency. They make adjustments to bills for uninsured patients, so that they are not expected to pay substantially more than insured patients. They act fairly in granting “charity status” to patients who have no plausible means of paying the cost of treatment. They show flexibility in settling patient balances that exceed the patient’s financial capabilities.

 




 2017 Aug;92(8):1091-1099. doi: 10.1097/ACM.0000000000001561.

The Charter on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Author information

1
B.E. Egener is medical director, Foundation for Medical Excellence, Portland, Oregon. D.J. Mason is codirector, Center for Health, Media & Policy, New York, New York. W.J. McDonald is emeritus professor of medicine, Oregon Health Sciences University, Portland, Oregon, and senior vice president, QHC (Quality in Healthcare) Advisory Group, Huntington, New York. S. Okun is vice president for advocacy, policy and patient safety, PatientsLikeMe, Inc., Cambridge, Massachusetts. M.E. Gaines is distinguished clinical professor of law and director, Center for Patient Partnerships, University of Wisconsin Law School, Madison, Wisconsin. D.A. Fleming is professor and chair of medicine and codirector, Center for Health Ethics, University of Missouri School of Medicine, Columbia, Missouri. B.M. Rosof is professor of medicine, Hofstra Northwell School of Medicine, Hempstead, New York, and chief executive officer, QHC (Quality in Healthcare) Advisory Group, Huntington, New York. D. Gullen is codirector, Communication in Healthcare Program, Mayo Clinic in Arizona, Scottsdale, Arizona. M.-L. Andresen is vice president, QHC (Quality in Healthcare) Advisory Group, Huntington, New York.

Abstract

In 2002,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was published to provide physicians with guidance for decision making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Feedback from physicians indicated that they were unable to fully live up to the principles in the 2002 charter partly because of their employing or affiliated health care organizations. A multistakeholder group has developed a Charter on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which may provide more guidance than charters for individual disciplines, given the current structure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s.This article contains the Charter on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process and rationale for its development. For hospitals and hospital systems to effectively care for patients, maintain a healthy workforce, and improve the health of populations, they must attend to the four domains addressed by the Charter: patient partnerships, organizational culture, community partnerships, and operations and business practices. Impact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ill require collaboration among health care organizations, government, and communities.Transitioning to the model hospital described by the Charter will challenge historical roles and assumptions of both its leadership and staff. While the Charter is aspirational, it also outlines specific institutional behaviors that will benefit both patients and workers. Lastly, this article considers obstacles to implementing the Charter and explores avenues to facilitate its dissemination.

PMID:
 
28079726
 
PMCID:
 
PMC5526430
 
DOI:
 
10.1097/ACM.0000000000001561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의학교육의 모든 단계에서 프로페셔널리즘 가르치기 (12 tips) (Med Teach, 2015)

Twelve Tips for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at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MOHAMED MOSTAFA AL-ERAKY1,2

1University of Dammam, Saudi Arabia, 2Zagazig University, Egypt




도입

Introduction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쳐야합니다. (Cruess & Cruess 1997, p.1674)

Professionalism must be taught. (Cruess & Cruess 1997, p. 1674)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Beauchamp 2004, p.699)

It is never easy teaching professionalism. (Beauchamp 2004, p. 699)




수십 년 동안 직업적 가치와 행동은 역할 모델에서 잡힌 사회화의 비공식적 과정을 거쳤지 만 (Loh & Nalliah 2010), 의료 행위의 복잡성이 커짐에 따라 역할 모델링만으로는 전문적 가치를 전달할 수 없습니다. 의료행위의 복잡성과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사회 경제적 배경에서 기인하는 의대생의 이질성 등이 달라졌다 (Cruess & Cruess 2006).

For decades,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urs have been from role-models through an informal process of caught socialisation (Loh & Nalliah 2010), but role modelling – alone – is no longer enough for transmitting professional values in view of the emerging complexity of medical practice and the heterogeneity of medical students who enter the study of medicine from diverse social, cultural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Cruess & Cruess 2006).




프로페셔널리즘은 복잡하고 상황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정의하고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있어 가장 어려운 역량 중 하나입니다 (Swick 2000; Bryden 외 2010, Hafferty & Castellani 2010).

Professionalism remain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competencies to define, teach and evaluate, because of the complex and context-specific nature of professionalism as a competence (Swick 2000; Bryden et al. 2010; Hafferty & Castellani 2010).




Ti p 1 문화적 맥락 결정

Ti p 1 Determine the cultural context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은 복잡한 사회적 construct이며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대한 논의에서 맥락, 지리적 위치, 문화는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Jha et al., 2014).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해에는 지역마다 유사성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그 대부분은 문화적 차이로 설명 될 수 있지만 (Chandratilake 외. 2012), 보편적으로 합의 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포괄적 개념적 맥락은 없다 (Ho et al. 2011).

Medical professionalism is a complex social construct and the context, geographical location and culture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any discussion of professional behaviour (Jha et al. 2014). There may be some regional similarities and variances in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most of which can be explained by cultural differences (Chandratilake et al. 2012), but there is no overarching conceptual context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at is universally agreed upon (Ho et al. 2011).


미국 내과위원회 (ABIM)의 프로페셔널리즘 프레임워크에는 애타주의, 책임, 우수성, 의무, 명예 및 성실성, 타인 존중 (ABIM 1995)의 6 가지 영역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의 서구 틀은 비 서구 국가의 문화적 가치와 resonate하지 않았다 (Pan 등, 2013). 예를 들어, 

    • 서구의 틀이 의사의 전문적 삶과 개인적인 삶을 구분하는 반면, 

    • 대만의 이해 관계자들은 유교 문화의 전통에 따라 이들 역할을 조화시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 (Ho et al., 2011).

The professionalism framework of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includes six domains, namely: altruism, accountability, excellence, duty, honour and integrity, and respect for others (ABIM 1995). The Western frameworks of medical professionalism, however, did not resonate with the cultural values of non-Western countries (Pan et al. 2013). For instance, while Western frameworks dichotomised physicians’ professional and personal lives, Taiwanese stakeholders were influenced by Confucian cultural traditions toward harmonising these roles (Ho et al. 2011).


    • Pan et al. (2013)은 "ren ai"또는 인간적인 사랑, "공 징"또는 공개 정신과 같은 특정 유교 적 속성을 등록한 공칭 그룹 기법을 사용하여 중국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위한 프로페셔널리즘 프레임워크를 제안했습니다. 

    • 또한, Nishigori et al. (2014)는 전문직 종사자의 신조와 미국 문맥을 고대 사무라이 전사들로부터 기인 한 일본인의 행동 규범 인 부시도 (Bushido)의 7 가지 미덕과 비교했다. 

    • 같은 맥락에서, 아라비아 보건 제공자들에 대한 또 다른 틀은 Four-Gates라는 이름으로 4 가지 수준 (책임 성)을 묘사하는 반면, (1) 자아 다루기, (2) 업무 다루기, (3) 타인 대하기, (4) 하나님을 대하기 (AlEraky et al. 2014). 네 번째 문 (하나님을 다루는)은 아랍어로 'taqwa'와 'ehtesab'와 같은 충실한 관점에서 자기 책임 성과 자기 동기 부여를 해석합니다. 아랍어는 신앙을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가치의 초석으로 인식합니다. 아라비아 문맥 (Al-Eraky et al. 2014).

    • Pan et al. (2013) proposed a professionalism framework for healthcare providers in China, using a nominal group technique, that registered particular Confucian attributes like ‘‘ren ai ’’ or humane love and ‘‘gong xin’’ or public spiritedness. 

    • Also, Nishigori et al. (2014) compared the tenets of professionalism in the American context with the seven virtues of Bushido, a Japanese code of personal conduct originating from the ancient samurai warriors. 

    • In the same vein, another framework was also reported for Arabian health providers, named the Four-Gates model, which portrays four levels (gates) of accountability while (1) dealing with self, (2) dealing with task, (3) dealing with others and (4) dealing with God (AlEraky et al. 2014). The fourth gate (dealing with God) interprets self-accountability and self-motivation from a faithful perspective as ‘‘taqwa’’ and ‘‘ehtesab’’, respectively, in Arabic, which recognises faith as a cornerstone in communication and social values in the Arabian context (Al-Eraky et al. 2014).




Ti p 2인지 기반 개요

Ti p 2 Outline the cognitive base

각 기관은 학생, 연수생 및 의사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하고 예상 할 것인지를 규정하는 성격, 요소 및 우선 순위를 정의하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인지 기반'에 동의해야합니다 (Cruess & Cruess 2006). 인지 기반은 사회와 의학 간의 일련의 기대와 의무를 인정하는 사회 계약 (Welie 2012)의 기초이며 그들이 봉사하는 지역사회, 지역, 국가의 근본적인 전문적 관심사를 해결하기위한 기관의 사회적 책무성을 보여준다. (Woollard 2006; Boelen & Woollard 2011).

Each institution should agree on the ‘‘cognitive base’’ of professionalism that defines its nature, elements and priorities, which dictates what will be taught, evaluated and expected of students, trainees and physicians (Cruess & Cruess 2006). The cognitive base is the basis of the social contract (Welie 2012) which acknowledges the series of expectations and obligations between society and medicine, and it manifests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the institution to address the essential professional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and/or nation they serve (Woollard 2006; Boelen & Woollard 2011).



Ti p 3 기관 지원을 요청하십시오.

Ti p 3 Seek institutional support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주로 기관의 책임입니다 (Goldstein 외. 2006).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기 위해 리더십의 서포트를 얻으려면 시급함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inert 외. 2005). 학장, 부서장 및 프로그램 담당자의 관계는 전문직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Cruess & Cruess 2006). 기관의 지원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가르치는 데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재원을 할당하고 보상을 할당하고 전문적인 환경을 촉진시키는 정책을 제시해야한다 (Suchman 등, 2004).

Professionalism education is primarily an institutional responsibility (Goldstein et al. 2006). Establishing a sense of urgency is crucial to seek support from leadership to teach professionalism (Steinert et al. 2005). The engagement of the deans, department chairs and programme directors sends a clear message of the significance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Cruess & Cruess 2006). The institutional support must be manifested by ‘‘decisions ’’ to allocate appropriate recourses, ‘‘rewards ’’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olicies ’’ to promote a professional environment (Suchman et al. 2004).




Ti p 4 전문적인 환경 조성

Ti p 4 Promote professional environment


프로페셔널리즘은 진공 상태에서 배우고 배울 수 없습니다. 기관 문화는 전문적 행동을지지하거나 파괴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명시된 커리큘럼 (O'Sullivan 외. 2012)에 통합 된 프로페셔널리즘의 측면을 배우고, 숨겨진 것 (Glicken & Merenstein 2007, Al-Abdulrazzaq 외 2014, MacLeod 2014)에서 이를 탐구하면서 전문성을 배웁니다. 숨겨진 커리큘럼은 과정 전체에서 의과 대학 학생들이 관찰 한 교수진의 행동을 나타냅니다.

Professionalism cannot be taught and learned in a vacuum. The institutional culture can either support professional behaviour or subvert it. Students learn aspects of professionalism as integrated in the stated curriculum (O’Sullivan et al. 2012) and also as they explore it in the hidden one (Glicken & Merenstein 2007; Al-Abdulrazzaq et al. 2014; MacLeod 2014). The hidden curriculum represents the actions of faculty members that are observed by medical students throughout the course.



팁 3에서 얻은 기관적 지원은 관리자, 의학교육자, 레지던트, 숨겨진 교과 과정을 공개적으로 지시하고 학생들이 사전 대처할 수 있도록 투자 될 수 있습니다. 하향식 접근 방식은 전문성을 키우는 환경을 조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Roff & Dherwani (2011)는 주니어 연수생 및 (심지어) 의대생이 교육 및 임상 실습에서 프로페셔널리즘 결여에 경계하고 대응해야하는 상향식 접근 방식을지지했습니다. 이 방식에서 학생들은 무시하거나, 도전하거나, 동료들과 토론하거나, 선생님이 특정 행동을 보이면 시니어에게 그러한 경과를 보고해야 하는 때가 언제인지 배워야 한다. 이 접근법에서는 주니어 학생들이 직접 프로페셔널리즘의 문제를 다루고 학부 과정에 절차 적응에 대한 지침을 제공 할 권한이 있다고 느끼는 'local resolution'의 문화를 육성합니다 (Roff & Dherwani 2011).

The institutional support – gained in Tip 3 – can be invested to direct administrators, medical educators, residents and hidden curriculum openly and students to address the proactively. A top–down approach may not be enough to promote an environment that fosters professionalism. Roff & Dherwani (2011) advocated a bottom–up approach where junior trainees and (even) medical students should be vigilant and responsive to professional lapses in educational and clinical practice. They should learn when they may ignore, challenge the individual, discuss with peers or report the lapse to a more senior person, if their teachers exhibit certain behaviours. This approach fosters a culture of ‘‘local resolution’’ in which juniors feel empowered to address poor professionalism and guide undergraduate fitness to practice procedures (Roff & Dherwani 2011).




Ti p 5 역할 모델링 촉진

Ti p 5 Foster role-modelling


우리가 학생들에게 제공해야 할 가장 중요한, 실제로 유일한 것은 우리 자신입니다. 그 외에 모든 것은 책을 읽으면 다 있다. (Tosteson 1979)

The most important, indeed the only, thing we have to offer our students is ourselves. Everything else they can read in a book. (Tosteson 1979)


우리 교수진은 학생들과 동료들에 의해 항상 심사 받고 있음을 명심해야합니다 (Finn 외. 2010). 의학 졸업생의 거의 90 %는 프로페셔널 태도를 형성에 기여한 역할 모델을 기억합니다 (Wright 외. 1997). 역할 모델링은 강력하지만 (Cruess et al. 2008), 아직 덜 개발된 교수 전략이다 (Kenny et al., 2003). 역할 모델의 특성은 임상 역량, 교수법 및 개인적 자질과 관련된 세 가지 클러스터로 분류 될 수있다 (Cruess et al., 2008). 

We – faculty – should keep in mind that we are being judged by students and colleagues all the time (Finn et al. 2010). Almost 90% of the medical graduates remember role models who shaped their professional attitudes (Wright et al. 1997). Role-modelling is a powerful (Cruess et al. 2008), yet underexploited teaching strategy (Kenny et al. 2003). The characteristics of role models can be categorised into three clusters related to: 

    • clinical competence, 

    • teaching skills and 

    • personal qualities (Cruess et al. 2008). 


실제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역할 모델은 프로페셔널리즘의 무형적 요소를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Finn 외. 2010). 학생들은 학습 환경에서 강력한 긍정적 인 역할 모델의 필요성을 인식합니다 (Byszewski 외. 2012). 또한, 역할 - 모델링은 의과 대학생들 사이에서 부정적인 프로페셔널 행동을 막는 강력한 힘이 될 수있다 (Adkoli et al., 2011).

Virtuous role models who actually ‘‘walk their talk’’ are invaluable for transmitting the intangibl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Finn et al. 2010). Students identify the need for strong positive role models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 (Byszewski et al. 2012). Also, the role-modelling is a major potential obstacle for negative developing professional behaviours among medical students (Adkoli et al. 2011).


역할 모델링의 교육적 가치는 두 가지 보완적인 접근법을 통해 향상 될 수 있습니다. 

    • 첫째, 교육 기관은 교육 및 임상 실습에서 excellence에 대한 사전 설정된 기준을 전달한 다음 모범적 모델로서 학생, 환자 및 동료가 인정한 사람들에게 보상해야합니다. 

    • 둘째, 학생과 레지던트는 모방과 모델링에 가치있는 긍정적 인 행동 만 필터링하고 모방하는 방법을 반사적으로 선택하는 법을 배워야합니다 (Benbassat 2014).

The educational value of role-modelling can be enhanced via two complementary approaches. Firstly, the institution should communicate pre-set criteria for excellence in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nd then reward those who are acknowledged by students, patients and peers as exemplary models. Secondly, students and residents should learn how to be reflective and selective to filter and emulate only positive behaviours that are worth imitation and modelling (Benbassat 2014).



Ti p 6 교수진이 전문성을 가르치도록 훈련시킨다.

Ti p 6 Train faculty members to teach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은 교수진 (Joyner & Vemulakonda 2007; Bryden 외. 2010)이 정의하고 가르치고 평가하는 가장 어려운 역량 중 하나입니다.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쳐야 하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 (Steinert et al., 2005; Steinert et al., 2007; Lu et al. 2014; Al-Eraky et al., 2015).

Professionalism i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competencies to define, teach and evaluate for faculty members (Joyner & Vemulakonda 2007; Bryden et al. 2010). Also, those who are supposed to teach professionalism actually receive minimal attention as evidenced by the limited number of researches studying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faculty development (Steinert et al. 2005; Steinert et al. 2007; Lu et al. 2014; Al-Eraky et al., 2015).


워크숍의 목표는 다음이 될 수있다. 

  • 특정 상황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의 문화적 틀을 개념화 (Tip 1), 

  • 기관적 수준에서 전문성에 대한인지 기반을 정의 (Tip 2), 

  • 기관적 지원을 추구하는 데 도움을주기 위해,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전문성 교육에 대한 리더십 의지를 확인하고 (Tip 3), 

  • 프로페셔널리즘 환경을 조성하기위한 교육 및 임상 실무의 비판적 행동 및 정책을 통보하고 (Tip 4), 

  • 지식이 풍부한 교수진을 개발하여 이들이 보다 효과적인 역할 모델 (팁 5)이되고 

  • 의학 교육의 연속체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를 설정하기위한 교과 과정 변화를 가져옵니다 (팁 7).

Specialised workshops can be planned for a number of objectives: 

  • to conceptualise the cultural framework of professionalism in a particular context (Tip 1), 

  • to help in defining the cognitive base on professionalism on the institutional level (Tip 2), 

  • to seek institutional support and validate the leadership’s commitment to professionalism education to all stakeholders (Tip 3), 

  • to communicate un/professional behaviours and policies governing performance in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to promote professional environment (Tip 4), 

  • to develop more knowledgeable faculty members, who will, hopefully, become more effective role models (Tip 5), and finally 

  • to bring about curricular changes to set clear expectations on professionalism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Tip 7).



Ti p 7 기대를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정의하십시오.

Ti p 7 Define expectations as observable behaviours




일반적으로 가치를 관찰하고 측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또한, 학생들, 레지던트, 동료에게 피드백을 제공 할 때 가치판단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인물의 결함을 단순화하기 때문에) 매우 위협적 일 수 있습니다. 대조적으로, 행동은 관측과 측정할 수 있으며, 그것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은 덜 위협적이다(Kirk 2007).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학습 성과는 추상적 속성과 가치의 집합이 아닌 구체적인 유형의 행동으로 조작화되어야한다 (Hafferty 2004; Blue et al. 2009).

Generally it is difficult to observe and measure values. In addition, the use of value terms in giving feedback to students,residents and colleagues can be very threatening, because it implies character defects. In contrast, behaviours can be less threatening to tell and observed and measured it is someone that he or she lapsed from the desirable behaviour in a particular situation (Kirk 2007). The learning outcomes of professionalism have to be operationalised in tangible behaviours, rather than a set of abstract attributes and values (Hafferty 2004; Blue et al. 2009).



반 묵 (Van Mook) 외. (2009)은 대서양을 사이에 둔 용어 충돌을 지적했습니다. 

    • 미국인들은 주로 "이론적 구성"인 문헌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용어로 기술됩니다. 

    • 럽인들은 학습과 평가를 용이하게 할 수있는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확립하기 위해 '전문적 행동'을 사용했습니다. 

아마도 유럽인들은 의학 전문성에 대한 기대를 설정했을 때 미국인보다 더 정확했을 지 모르지만, 중요한 속성과 유형의 행동을 나타 내기 위해 두 용어를 모두 인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van Mook et al. (2009) indicated a transAtlantic conflict of terminology. The Americans tend to use the term ‘‘professionalism’’ in their literature which is mainly a theoretical construct, and described in abstract and idealistic terms. The Europeans used ‘‘professional behaviours’’ to frame professionalism in observable actions that can facilitate learning and assessment. Perhaps the Europeans were more precise than the Americans when setting expectations for medical professionalism, but there is a need to acknowledge both terms to indicate the overarching attributes and the tangible behaviours.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와 속성은 특정 행동과 연결되어야합니다. 예를 들어, 책임은 "정시에 도착"과 "과제를 완수하는 것"(Kirk 2007)에 의해 나타납니다.

Professionalism values and attributes have to be linked to specific behaviours. For instance, responsibility is manifested by ‘‘arriving on time’’ and ‘‘following through on tasks’’ (Kirk 2007).


행동은 학생에게 무엇을해야 하는지를 말하며, 가치는 왜 그렇게해야 하는가?에 대한 rationale를 알려준다

behaviours tell students ‘‘what ’’ to do, while values explain the rationale ‘‘why ’’ they should do so.



Ti p 8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 기회 제공

Ti p 8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learners



전문성은 수년간의 의학 교육 과정에서 모든 과정과 활동에 통합되어야합니다 (Wear & Castellani 2000).

Professionalism has to be integrated in every course and activity throughout the years of medical education (Wear & Castellani 2000).


입학 오리엔테이션

Orientation on admission


프로페셔널리즘은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의대생에게 소개 될 수 있습니다. 

    • '화이트 코트 의식 (White Coat Ceremonies)'은 교육, 개인 및 직업 형성 과정의 시작을 알리는 의과 대학에서의 입학 축하 행사로 널리 보급되어 있습니다 (Karnieli-Miller 외. 2013). 

    • '맹세하겠다는 맹세'는 학생들이 직업적 정체성 전환 과정을 의사의 '신뢰의 가치'로 시작하는 특정 문구를 반복하는 상징적 인 의식입니다 (Kao & Parsi 2004). 이러한 수동적 활동에 대한 계약에서, 

    • '사명 선언문의 날'은 학생들이 자기 반성과 개인적 가치 탐구를위한 불꽃으로 자신의 사명 선언문을 표현할 수있는 특별한 기회입니다 (Kenyon & Brown 2007).

Professionalism can be introduced to medical students in a number of approaches. 

    • The ‘‘White Coat Ceremonies’’ are widely prevalent as a celebration of matriculation in medical schools to mark the beginning of educational, personal and professional formation processes (Karnieli-Miller et al. 2013). 

    • The ‘‘Swearing of Oaths’’ is another symbolic ritual where students repeat certain phrases that launch the process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ransformation into doctors ‘‘worthy of trust’’ (Kao & Parsi 2004). 

    • In contract to these passive activities, the ‘‘Mission Statement Day’’ is an exceptional opportunity to help students express their own mission statements as a spark for self-reflection and the exploration of personal values (Kenyon & Brown 2007).



조기 학부

Early undergraduate years


저자는 임상 분야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추었지만 기초 과학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데있어 '놓치고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Macpherson & Kenny 2008). 예를 들어, 신경 생리학 과정은 윤리적 딜레마와 함께 뇌사 및 식물 상태에 관한 논의를 수용 할 수 있습니다 (Siegler 2002). 과거에 순수한 내용을 제공했던 Gross Anatomy와 같은 과정조차도 학생들에게 인간 조직에 대한 존중, 목적에 따라 해부하고 기밀 유지를 통해 기증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과 같은 전문적인 가치와 행동을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체의 식별 정보 (Derstine 2002; Bryan 외 2005; Escobar-Poni & Poni 2006; Lachman & Pawlina 2006).

Authors used to focus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clinical arena, but there are ‘‘neglected opportunitie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in basic sciences (Macpherson & Kenny 2008). For instance, Neurophysiology courses may embrace discussions around brain death and vegetative state with its ethical dilemma (Siegler 2002). Even courses such as Gross Anatomy that, in the past, offered pure content, can be used to introduce students to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urs such as: respect for human tissue, fulfil the expectations of the donors by dissecting with purpose and preserve confidentiality of the identifying information of the cadaver (Derstine 2002; Bryan et al. 2005; Escobar-Poni & Poni 2006; Lachman & Pawlina 2006).


학부 후기 학년

Late undergraduate years


역설적이게도 커리큘럼이 환자 치료 활동으로 옮겨 감에 따라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상적인 개념을 점차 포기하고 감정 이입과 도덕적 판단의 쇠퇴와 함께 냉소의 감각을 개발합니다 (Kirk 2007, Hegazi & Wilson 2013). 프로페셔널리즘은 실제 시나리오에서 기록 된 비디오, 실제 시나리오에서 기록 된 비디오 등을 통해 학습 할 수 있습니다 (Boenink et al., 2005; Bernabeo 외.) 인기있는 의료 드라마는 유머 / 전문 매너를 묘사 한 풍부한 상황을 제시 할 수 있으며 특정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대한 반영이나 특정 행동에 대한 토론을 위해 선택한 클립을 트리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vlov & Dahlquist 2010; Weaver & Wilson 2011; Hirt 외. 2013) .

Ironically, as the curriculum is shifting towards patient-care activities, students gradually abandon their ideal notions on professionalism and develop a sense of cynicism, with a decline of empathy and moral judgment (Kirk 2007; Hegazi & Wilson 2013). Professionalism can be taught through vignettes either written, displayed in role-plays or recorded video from real practice (Boenink et al. 2005; Bernabeo et al. 2013). Popular medical drama can also present a wealth of situations depicting un/professional manners and selected clips can be used as triggers for reflection on specific professionalism dilemmas or discussing particular behaviours (Pavlov & Dahlquist 2010; Weaver & Wilson 2011; Hirt et al. 2013).


레지던트 교육

Residency training


레지던트는 감독하에 활동하는 미숙 한 전문가입니다 (Hilton & Southgate 2007). 오랜 노동 시간과 과도한 임상 및 비 임상 책임, 평가에서의 치열한 경쟁, 감독자에 의한 굴욕, 환자와의 정서적 개입에 대해 생각하고, 긴장을 풀고, 반영 할 시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레지던트들은 소진에 취약합니다 (Stephenson et al., 2001). 그들이 더 병들고 죽어가는 환자를 만날 때, 레지던트들은 자신의 감정을 보존하기 위한 방어적인 전략으로서 임상 적 분리 접근법을 채택하여 환자를 객체화시켜 바라보고, 냉정하게 생각한다 (Conlehan & Williams 2001, Stephenson et al., 2001) . 레지던트는 환자를 분석 대상 또는 방 번호로 변형시키고 환자와의 민감한 접촉을 피하기 위해 절차를 기술적 인 사건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결국 이들은 자신의 업무에 대해 비-성찰적인 프로페셔널리즘 접근 방식을 개발합니다 (Stephenson et al., 2001).

Residents are immature professionals who practice under supervision (Hilton & Southgate 2007). Residents are vulnerable to burnout, because of the long working hours and excessive clinical and non-clinical responsibilities, tough competition in assessment, humiliation by supervisors and very little support or time to think, relax and reflect on their emotional involvement with patients (Stephenson et al. 2001). As they encounter more ill and dying patients, residents adopt a clinical detachment approach as a defensive strategy to preserve their emotions and to look objectively at, and think dispassionately about, their patients (Coulehan & Williams 2001; Stephenson et al. 2001). Residents tend to transform patients into analytic objects or room numbers and think of a procedure as a technical event to avoid sensitive contact with patients and they eventually develop a non-reflective professionalism approach to their practice (Stephenson et al. 2001).


주민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것은 '환자 요구'(PUN)를 '충족시키지 못한 의사의 교육 요구'(DEN) (감몬 (Gammon) 2001)로 바꾸고, 환자 돌봄의 관점에서 실제로 레지던트들에게 긍정적 인 역할 모델을 제공하는 경험의 성찰요소를 풍부하게해야합니다(팁 5).

Teaching professionalism to residents should enrich the reflective element of their experience to transform ‘‘Patients Needs ’’ (PUNs) into ‘‘Doctors Unmet Educational Needs ’’ (DENs) (Gammon 2001) and reward residents with the positive role-models in practice from patient care perspective (Tip 5).



독립적 인 의료 행위자

Independent medical practice


그들은 '실용적 지혜'(Hilton and Southgate 2007)라는 것을 개발합니다. 경험에 대한 경험과 반성으로 그들은 어떤 규칙을 어겨야하는지, 언제 그렇게 할 것인지, 그리고 현실을 수용하기 위해 어떤 규칙을 확장 하는지를 학습한다 (Stephenson et al., 2001). 그들은 모든 인간의 질병에 대한 치료법이 없으므로 잠재력과 한계를 인식합니다. 그들은 또한 불확실성과 함께 살고 피할 수없는 결과를 받아 들일 수있는 통찰력을 개발하는 법을 배웁니다.

they develop what is called ‘‘practical wisdom’’ (Hilton & Southgate 2007). By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experience, they learn which rules to break, when to do so and to what extend in order to accommodate reality at hand (Stephenson et al. 2001). They recognise their potentials and limitations, as there is no cure for all human illnesses. They also learn to live with uncertainty and develop an insight to accept and expect inevitable consequences.


그러므로 프로페셔널리즘은 보다 기본적이고 포괄적 인 관점에서 실무자에게 제시되어야한다.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what-to-do"(행동) 뿐만 아니라 "what-to-be"(속성) 관점에 초점을 맞춰야 만한다. 진화하는 사회적 맥락. 의사가 사회적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바람직한 태도를 계속해서 반영 할 수있게하려면 의사는 '노-와이'관점을 개발해야합니다 (Nomura 2008).

Professionalism, therefore, should be presented to practitioners from a more fundamental and comprehensive stand-point. Teaching professionalism should not only focus on the perspective of ‘‘what-to-be’’ (attributes) and ‘‘what-to-do’’ (behaviours), because the definitions of ‘‘what’’ change over time in an evolving social context. For physicians to be able to continue incorporating desirable attitudes to meet the societal expectations, they must develop a ‘‘know-why’’ perspective as well (Nomura 2008).


Ti p 9 guided reflection에 구조화 된 시간 허용

Ti p 9 Allow structured time for guided reflection


성찰은 미래 행동을 알리기 위해 자신과 상황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만드는 메타인지 과정입니다 (Sandars 2009). 그것은 학습 (반사 학습) 및 / 또는 실행 (반사 실천)을 향상시키기위한 목적으로 그것을 평가하고 평가 (실제 또는 시뮬레이션) 한 경험을 분석, 심의 및 재구성하는 과정입니다 (Aronson 2011). 따라서 효과적인 성찰은 행동, 근본적인 믿음과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고 다른 관점을 요구하는 구조화 된 시간을 필요로한다 (Stern et al., 2008 Gaiser 2009).

Reflection i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creates greater understanding of self and situations to inform future action (Sandars 2009). It is the process of analysing, questioning, and reframing (real or simulated) experiences to make an assessment of it for the purposes of learning (reflective learning) and/or to improve practice (reflective practice) (Aronson 2011). Effective reflection, then, requires structured time to question actions, underlying beliefs and values and to solicit different viewpoints (Stern et al. 2008; Gaiser 2009).


    • 행동 후 성찰(reflection-on-action)은 행동이 예기치 않은 결과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발견하기 위해 수행 된 행동을 다시 생각하는 것입니다. 

    • 행동 중 성찰(reflection-in-action)은 학습자가 자신의 감정과 즉각적으로 연결되는 전문가의 특징입니다. 감정 및 이전의 경험을 통해 현재의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를 다룬다 (Stark et al.) 

호지스 (Hudges, 2014)는 최근 반사에 대한 4 가지 관행 / 목적을 목록 화했다. 즉, 메타인지로서의 반영 (마음을 크게 생각 함), 사고력 (정신적지도), 정신 분석 (자신의 생각에 대한 해석 추구) ).

    • Reflection-on-action, is about thinking back on what was done in order to discover how one’s knowing in action may have contributed to an unexpected outcome, 

    • while reflection-in-action is a hallmark of professionals where learners instantly connect with their feelings, emotions and prior experiences to attend to a current professionalism dilemma(Stark et al. 2006). 

Hodges (2014) recently catalogued four practices/purposes for reflection, which are: reflection as metacognition (think aloud), as mindfulness (spiritual guidance), as psychoanalysis (seeking interpretation for own thoughts), and as confession for own (seeking judgment behaviours).



Ti p 10 결과 평가, 피드백 제공 및 적절한 개선 계획 제시

Ti p 10 Evaluate the outcome, provide feedback and suggest appropriate remediation plans


전문적인 태도와 행동에 대한 평가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증진시키는 데 필수적이며 (Cruess & Cruess 2006), 평가는 개인, 개인 간, 기관 간 제도 (Hodges et al. 2011) 등 다양한 수준에서 수행되어야합니다. linewith 팁 7에서 평가와 피드백은 특성이 아닌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합니다. 학생들은 '무책임한 학생'으로 분류되면 반발하지만, 일반적으로 관찰 된 행동에 대해 비판하는 것은 받아들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상태를 추적하는 데 필수적인 Jones의 실험실 작업을 확인하는 것을 잊었습니다' '.

Evaluation of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 is integral toteaching professionalism (Cruess & Cruess 2006) and assess-ment has to be done at different levels: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societal-institutional (Hodges et al. 2011). In linewith Tip 7, assessment and feedback should focus onbehaviours, not attributes. Students may argue if they havebeen labelled as ‘‘irresponsible’’, but they usually accept remarks on specific observed behaviours, such as, ‘‘You forgot to check on Mrs. Jones’ lab work, which is essential to follow up her condition’’.


이 유형의 피드백은 학생의 성격에 결함이 있음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그 또는 그녀는 그 상황에서 이상 행동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다음에 그렇게 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Kirk 2007).

This type of feedback does not indicate that the student has a flaw in character; rather, it implies that he or she didn’t exhibit the ideal behaviour in that situation, but is likely to do so next time (Kirk 2007).



교사 및 프로그램 책임자는 Buchanan 외 (2012)가 제안한 전문적인 행동의 결실을 논의 할 때 다음과 같이 위협적이지 않은 진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eachers and programme directors may use non-threatening statements when discussing lapses in professional behaviours, as suggested by Buchanan et al., (2012), such as:


  "반드시 나와 동의 할 필요는 없지만 네가 나를 이해하기 바란다".

  ‘‘You don’t have to agree with me, but I want you to understand me’’.


  "나는 당신이 완전히 잘못했다는 말은 아니지만 무엇이 professional lapse로 간주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같이 노력해보자"

  ‘‘I am not saying you are totally at fault but we need to work together to help you understand what is viewed as a professional lapse’’.


  "당신이 내 입장이라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하겠습니까?"

  ‘‘If you were on this side of the desk, how would you handle this issue?’’


  "당신은 다른 방식으로 그것을 의미했을지 모르지만 그 (행동)는 unprofessional한 것으로 인식되었습니다."

  ‘‘You may have meant it in another way, but that (behaviour) was perceived as being unprofessional’’.



Ti p 11 귀하의 교수 경험 공유

Ti p 11 Share your teaching experience




전문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르치는 데있어 귀하의 교육 경험을 동료들과 공유하여 "학습 공동체"와 "실천 공동체"를 창출하십시오. 의대생들은 

    • 공식적인 교훈적 접근법 (강의, 비디오, 웅대 한 발표)을 가장 덜 효과적인 것으로

    • 다 분야 전문 기술 접근법 (윤리 학자, 변호사, 채플린과의 토론)을 효과적인 것으로

    • 임상 적으로 연계 된 훈련 (역할 모델링, 사례 회의)을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본다(Roberts et al., 2004; Birden et al., 2013).

Share your teaching experience with your peers to create ‘‘communities of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i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your specialties. medical students considered 

    • clinically associated training (role modelling, case conferences) as most effective in teaching professionalism, 

    • multidisciplinary expertise approaches (discussion with ethicists, attorneys, chaplains) as effective, and 

    • formal didactic approaches (lectures, videos, grand rounds presentations) as least effective (Roberts et al. 2004; Birden et al. 2013).



Ti p 12 전문성의 디지털 측면 (e 전문성)

Ti p 12 Consider the digital aspects of professionalism (e-professionalism)




페이스 북, 트위터, 유튜브를 포함한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출현은 e- 전문성이라는 의료 분야의 전문성을 정의하고, 가르치고, 역할을하는 새로운 차원을 추가했습니다. . Kaczmarczyk et al. (2013)은 전자 전문성을 전통적인 전문성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태도와 행동으로 정의했지만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매료되었다.

The rapid emergence of social media, including Facebook, Twitter and YouTube, has added a new dimension to defining, teaching, and role modeling professionalism in the medical field, called: e-professionalism. field, called: e-professionalism. Kaczmarczyk et al. (2013)defined e-professionalism as the attitudes and behaviours that reflect traditional professionalism paradigms but are manifested through digital media.




기술에 정통한 의대생, 거주자 및 실무자는 인터넷에서 무엇이 적절하고 적절하지 않은지를 알아야하기 때문에 (Ross 외. 2013), 'e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인식은 1 학년 의학부 학생들의 입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초기에 다루어 져야합니다 

Tech-savvy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tioners need to learn what is and isn’t appropriate to do on the Internet (Ross et al. 2013) and, therefore, awareness on ‘‘e-professionalism’’ has to be addressed early on as part of the first-yea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nduction programme.




미국 의사 협회 (AMA) (2011)는 공식 전문성 교과 과정에는 디지털 미디어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야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전자 전문 분야를 규제하는 지침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 (1) 환자 기밀 유지 

    • (2)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정보 설정을 사용하고, 

    • (3) 개인 및 전문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분리하며 

    • (4) 환자 - 의사 관계의 적절한 경계를 유지해야합니다 (AMA 2011).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2011) indicated that the form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should include a digital media component, which could include instruction on managing the ‘‘digital footprint’’ and regulate e-professionalism, such as: 

    • (1) maintain patient confidentiality in all environments, including online environments, 

    • (2) use privacy settings to safeguard personal information, 

    • (3) consider separat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content online, and 

    • (4)maintain appropriate boundaries of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AMA 2011). 


이 지침의 요지는 다른 가치 (공유 및 개방, 연결, 투명성 및 정보)를 촉진하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의학의 전통적인 핵심 가치 (개인 정보 보호, 기밀 유지, 일대일 상호 작용 및 공식 행동)를 지키는 것이다 (Gholami-Kordkheili 외. 2013).

The gist of these instructions i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ore values of medicine (privacy,confidentiality, one-on-one interactions, and formal conduct)in the milieu of social media which promotes other values(sharing and openness, connection, transparency, and informality) (Gholami-Kordkheili et al. 2013). 



  • 어떤 행동은 저속한 언어의 사용, 나이, 인종, 성별 등으로 인한 개인에 대한 무례 함, 약물 남용, 성행위 및 다른 사람의 웹 사이트에 게시되지 않은 자료 게시와 같이 'strongly discouraged'될 수 있습니다. 

  • 어떤 행동은, 강력하게 금지되며, 여기에는 환자 기밀을 침해하고, 사적인 학업 정보를보고하며, 온라인으로 상호 작용할 때 공적인 업무 약정을 무시하는 등이 포함되고, 위반시에 징계 조치를 취해야합니다.

  • Some behaviours can be ‘‘strongly discouraged’’ such as: 

    • use of vulgar language, 

    • implying disrespect for any individual due to age, race, gender, etc., 

    • substance abuse, sexual promiscuity and 

    • posting unflattering material on another individual’s website. 

  • While others have to be ‘‘strictly forbidden’’ and mandate disciplinary actions, such as: 

    • violating patient confidentiality, 

    • reporting private academic information and 

    • neglecting official work commitments when interacting online.








Conclusion

마지막으로,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수단이다 (Cruess et al., 2014). 우리의 미래 졸업생은 의사와 점차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고 (Wilson et al. 2013; Cruess et al. 2014) 간호사와 같은 다른 직업의 구성원이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에 감사하는 법을 배워야합니다. (Helmich 외. 2010). 의료 교육자는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에 민감하고 내러티브 반성의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며 바람직한 전문적 정체성의 개발을 촉진하는 대안적인 해석을 제안해야합니다 (Helmich 외. 2012; Wong & Trollope-Kumar 2014).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올바른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한 것 또는 일을 올바르게 하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올바른 미래 졸업생을 형성하기 위해 personal intelligence를 향상시키는 전략입니다 (Harden 외 .1999).

Finally, teaching professionalism is not an end, but a means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ruess et al. 2014). Our future graduates should gradually think, act and feel like physicians (Wilson et al. 2013; Cruess et al. 2014) and learn to appreciate the significant roles played by members of other profession; like nurses (Helmich et al. 2010). Medical educators should help students to be sensitive to their emotions,maintain a portfolio of narrative reflections and suggest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at foster the development of desired professional identities (Helmich et al. 2012; Wong &Trollope-Kumar 2014). Teaching professionalism is not about doing the right things (technical intelligence) or doingthe things right (emotional and intellectual intelligence), but itis one strategy to improve pers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shape the right future graduates (Harden et al. 1999).






Al-Eraky MM, Donkers J, Wajid G, van Merrienboer JJG. 2015. Faculty development for learning and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Med Teach 37. Forthcoming. DOI:10.3109/0142159X.2015.1006604.


Ho M-J, Yu K-H, Hirsh D, Huang T-S, Yang P-C. 2011. Does one size fit all? Building a framework for medical professionalism. Acad Med 86(11):1407–1414.


Kaczmarczyk JM, Chuang A, Dugoff L, Abbott JF, Cullimore AJ, Dalrymple J, Davis KR, Hueppchen NA, Katz NT, Nuthalapaty FS, et al. 2013. e-Professionalism: A new frontier in medical education. Teach Learn Med 25(2):165–170.


Ross S, Lai K, Walton JM, Kirwan P, White JS. 2013. ‘‘I have the right to a private life’’: Medical students’ views about professionalism in a digital world. Med Teach 35(10):826–831.



 2015;37(11):1018-25. doi: 10.3109/0142159X.2015.1020288. Epub 2015 Mar 17.

Twelve Tips for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at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University of Dammam , Saudi Arabia .
2
b Zagazig University , Egypt.

Abstract

Review of studies published in medical education journals over the last decade reveals that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is essential, yet challenging. According to a recent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guide, there is no consensus on a theoretical or practical model to integrate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nto medical educ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outline a practical manual for teachingprofessionalism at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Drawing from research literature and author's experience, Twelve Tips are listed and organised in four clusters with relevance to (1) the context, (2) the teachers, (3) the curriculum, and (4) the networking.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uiding educational principles for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medical educators will be able to teach one of the most challenging constructs in medical education.

PMID:
 
25776227
 
DOI:
 
10.3109/0142159X.2015.1020288
[Indexed for MEDLINE]


의료전문가주의-역사적 관점에서 본 사회적 책무에 관하여(KJG, 2015)

김장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대한소화기학회 윤리위원회



서 론


흔히들 의료계에서 중요한 직업적 표상으로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professionalism (전문가주의)’이라는 단어는, 조금 만 주위를 돌아보면 의료계 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용의 단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 각 분야에서 자 신들의 직업에 독특한 구분을 위하여 흔히 ‘전문성’이라는 표 현을 사용하고 있는데,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방문판매 화장 품 뷰티 컨설턴트의 전문성’,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비평의 전문성’ 등과 같은 것이 그 예가 될 것이다. 우리가 현대 의료 의 문제 해결을 의료 전문성의 확보로 이야기하지만 이 용어 가 가지는 개념과 그 사용예의 부단한 확대를 고려하면 이 작업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그러 나 다양한 개념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전문가주의를 이야기할 때 일차적으로 대비하여 설명하는 것은 소위 ‘장인’이라고 하 는 기술적 숙련가(technical experts)들이다. 이때 흔히 배관 공(plumber)이 등장하는데, 이들도 나름 오랜 기간 동안 수련 을 거치면서 기술을 습득하였지만 결코 우리는 배관공을 전문가주의로 보지 않는다. 나름 힘들게 기술을 습득하고 응급 상 황에서 자신의 기술을 발휘하여 일하는 배관공을 차별하는 근 거는 정당한 것인가? 이 논문은 전문가주의의 시작과 전개를 통하여 이 개념의 숨겨진 의미를 살펴보고, 현재 이 개념이 가지는 의료에서의 위치를 규명하려고 한다.



본 론


1. Professionalism: 전문가주의의 시작과 전개


전문가주의에 대해서는 우선 어원과 역사적 배경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Profess”란 “pro (앞에서, 미리)” + “fess (맹세한다)”라는 말로 이루어져 있다. “나는 의술을 주 관하는 아폴론과 아스클레피오스와 히기에이아와 파나케이아 를 포함하여 모든 신 앞에서, 내 능력과 판단에 따라 이 선서 와 그에 따른 조항을 지키겠다고 맹세한다…….” 의사가 되기 위하여 행하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바로 이러한 “profess”를 한 것이고, 우리는 이것을 의사 사회로 들어가기 위한 중요한 의례로 여기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서약은 전문가 집단을 특징짓는 중요한 표식이 되었다. 초기 중세에 천주교 성당이 나 수도원을 통하여 유지되었던 지식들은 르네상스를 통하여 세상에 나오게 되는데,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대학교 (university)이다. 귀족과 같은 높은 신분의 자제들이 대학을 통하여 교육을 받았고, 졸업과 함께 선서를 하고 이를 준수하 는 집단으로서 일정한 신분을 보장받았다. 이들이 선서한 자 (professor)이고, 박사(doctor)였다. 중기 중세 유럽에서 대학 을 통하여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은 의료인 집단은 기도하는 자였고, 일하는 자와는 신분적으로 구별되었다. 그리스 시대 이래로 육체적 노동과 정신적 작업은 구분되었고, 중세 대학 의 교육 내용은 신학, 법학, 의학, 예술로서 정신적 작업을 의 미하는 것이었다.


중세에 번성하였던 길드(guild) 중에서 외과 일을 하였던 이발사 길드는 손으로 일을 하는 자들이었고, 약을 지었던 약 제상(apothecary, 아포테카리)는 약제의 매매를 하였기 때문 에, 정신적 작업을 하던 의사들과는 신분적으로 구분되는 것 이었다. 의사들은 공식적으로 인정된 대학의 교육 과정을 통하여 배출되었고, 대학을 인정한 교황, 왕과 같은 높은 신분들 은 의사들로부터 세금에 대신하는 역무로 치료를 받을 수 있 었으며, 귀족들은 많은 돈을 지불하고 치료를 받았다. 어차피 의사들도 실제 돈을 받고 영업을 하는 길드 형태와 별 차이가 없었고, 하위 계층은 돌팔이들이 돌보아야 하는 상황이었다.


교육과 서약을 통하여 형성된 의사 집단은 서약하지 않은 자들을 규율하는 역할도 하였다. 

    • 1322년, 프랑스 파리 대학은 서약한 의사가 아니면서 환자를 치료한 자들을 교회 법정에 기소할 권리가 있었다.1 예언가로 잘 알려진 노스트라다무스 (Nostradamus)는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에 의학을 배우기 위 하여 입학하였다가, 1592년에 약제상(apothecary)을 했던 사 실이 발각되어 대학에서 추방되는 조치를 당하게 된다.2 

    • 중세 의 길드는 세속 영주에 세금을 납부하는 대신에 자신의 직업 영역에 대한 독점권을 인정받으면서 16, 17세기에 번성하였 다. 의료 역시 경제적으로는 환자를 담보로 한 길드였기에 큰 돈을 모을 수 있는 직업으로 번성해갔다. 

하지만 길드의 폐해 역시 문제가 되었다. 도제 제도를 통하여 인력을 착취하였고, 생산을 제한하여 생산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역작용이 발생 하였다.



18세기 후반은 중상주의(mercantilism) 시대였다. 유럽 사회는 길드의 독점성이 자유로운 거래를 방해한다고 보고, 이를 해체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그러나 의료와 관련된 조직은 공공 보건상의 이유로 기존의 조직을 유지하게 되는데, 혁명 전후 프랑스는 대학 교육을 받은 기존의 (내과)의사(physician) 집단 외에 길드에 소속되었던 외과(surgeon)와 약제상(apothecary)이 자체적으로 마련한 교육 과정을 정부로부터 인정받게 되면서 전문가 집단이 되는 기회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2. 제1, 2차 세계대전 전후 전문가주의의 발달


중세의 길드는 생산 과정을 통제하였기 때문에 생산품에 대한 가격 통제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상주의 시기가 도래 하면서 생산과 가격을 독점하였던 길드는 구체제와 함께 몰락 한다. 하지만,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지식과 결합되 었던 의료인의 전문성은 인정받아 살아남을 수 있었고, 해체 되어야 할 외과 길드와 약제상 길드 역시 그동안 쌓인 지식을 바탕으로 길드 해체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역설적으로 새로운 전문가 집단이 되었다.


프랑스 매튜 렘지(Matthew Ramsey)는 18세 기말 19세기 초, 기존 길드가 해제되면서 길드적 기반이 없이 새로운 전문가 집단이 탄생되는 프랑스 상황“전문가화 (professionalization)” 시대라고 표현하고 있다.3 혁명 이후, 프랑스는 나폴레옹 시대에 설립된 고등 교육기관 그랑제꼴 (Grandes écoles)을 중심으로 행정 국가체계를 정비하는데, 의료와 같이 사회적으로 필요한 부분에서 전문가 집단을 인정 하면서도, 기존의 길드와 같은 폐해는 없애는 방법이 무엇인 지 고민하였다. 그 결과 혁명 당시 행정부는 교육 과정을 통한 전문가 양성을 인정하되, 전문가들이 모여서 길드와 같은 협 의체를 만드는 것을 금지한다. 이러한 전문가 단체 설립 금지 조항이후 100년간 지속되었고, 19세기 말에 금지법이 개정되면서 프랑스에서는 의사단체가 조직될 수 있었다. 새롭게 조직된 프랑스 의사협회가 중점을 둔 부분은 사회에 만연한 돌팔이들을 막기 위한 무면허 의료행위 단속이었는데, 이것은 의사들의 독점적 지위를 인정하는 것으로 중세의 길드적 운영 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드골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제5공화국이 등 장하는 1958-1960년까지를 프랑스 의사들의 황금기로 본다. 1929-1930년 기존의 행위별 수가제(fee for service)를 전면 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정부의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하였고, 의사와 환자 간에 의료비를 합의하면, 사회보험에서 일부 금액 을 환자 측에 보조하는 형식으로 정착되었다. 2차 세계대전의 전시체제였던 비시(Vichy) 정권에서도 특별한 변화를 가져오 기는 어려웠고, 전후의 혼란기에서도 의사 단체는 의회에 바 탕을 둔 정치력으로 기존 의료제도 변화를 거부할 수 있었다. 제5공화국 드골 정권하에서야 병원을 국가체제 아래 두는 제도 개혁이 이루어졌다. 병원의 의사는 개인 의원을 폐업하고 월급을 받는 의사가 되었으며, 특정 의료행위에 대하여 수가 의 최대치를 국가가 정하게 되었다. 환자는 의료비의 80%를 국가로부터 반환받고 나머지 20%는 본인이 부담하게 되었고, 본인 부담금 20%를 위하여 사보험 회사가 영업하는 형태가 정착되게 된다.



영국에서 의사 집단의 변화 과정은 계급 간의 갈등이었고, 전문가 집단으로의 진행은 예측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진행되 었다. 대학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의사 조직이 길드에 불과 하였던 약제상 조직과 의료행위 권한을 공유하게 되는 일이 일어났다. 

    • 1518년, 옥스포드, 캠브리지 대학의 의사들이 모여서 왕립의사회(Royal College of Physicians)를 만들고, 무자격자에 의한 의료행위를 기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대륙과 동일한 전개였다. 

    • 하지만 1642년, 올리버 크롬웰을 중심으로 한 의회파와 찰스 1세를 중심으로 한 왕당파 간의 내전 과정에서 의사회는 왕당파를 지지하였다. 

    • 또한 1665년 런던에 만연했던 흑사병으로 약 70,000명이 사망하고 1666년 13,000채의 가옥이 불에 타는 런던 대화재가 발생하자, 의사들은 자신들의 지지 세력과 함 께 런던시를 빠져나가 지방의 영지로 향하였다. 런던 시민들은 약제상들이 진료하고, 약을 조제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 들이게 되었다. 

    • 18세기 초, 로즈 사건(the Rose Case)으로 알려진 소송에서 승소한 약제상들은 의사 처방 없이 단독으로 처방과 조제를 할 수 있는 권한을 인정받게 되어, 일반의 (general practitioner, GP)로 활동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획 된다. 

    • 1832년 영국의사협회(The British Medical 득하게 Association, BMA)가 설립되었고, BMA 주도로 1858년 의료 법이 제정되었는데, 이 법에 의하여 설립된 General Medical Council (GMC)에 등록된 의사들만이 진료를 할 수 있도록 면허를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영국은 의료 면허에 대한 통일 된 관리체계를 만들었지만, 기존의 구조가 완전히 변한 것은 아니었다. 

    • 옥스포드와 캠브리지를 졸업한 의사들은 병원 훈련 을 거치면서 전문가가 되어 왕립의사회에 입회할 수 있었고 고소득을 유지할 수 있었다. 

    • 이에 반하여 외과의나 약제상 출신 의사들은 지방의 사립학교를 졸업하고 일반의로서 시골에 개업해야만 했다. 

20세기 초반에 자유당과 로이드 조지 정부 는 저소득층을 위한 의료보험체계를 도입하였고, 이에 따라 일반의들의 수입도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2차 세계대전 중에 도입한 국가의료체계(National Health Service, NHS)가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종전 이후에도 NHS가 유지되면 서 현재 체계의 기본 골격이 되었다.


미국식민지 초기 영국식 제도에 따라 도제식 훈련을 통하여 의사를 만들었지만, 

    • 19세기 중반 주립 대학이 설립되면 서, 19세기 말 존스 홉킨스(Johns Hopkins) 대학에서 처음으 로 유럽식 대학 교육을 통해 의사를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미 국 국가 형성 초기에 의사 집단의 형성은 대학을 설립한 주 (state)의 권한이었다. 이 시기에 미국은 유럽의 산업화를 따 라 잡기 위하여 전력을 쏟는 시기였고, 자본의 논리에 의하여 레쎄 페어 정책이 가장 중요한 철학이었다. 

    • 남북전쟁 이후에 는 중산층이 발달하였고, 1880-1920년대 주가 면허를 관리하는 체계를 가지게 되었다. 

    • 1847년 만들어진 미국의사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는 1906년에 이르 러서 160개 의과대학에 대한 인증사업을 시작하였고, 1910년 프렉스너 보고서(Flexner report)에 의하여 의학교육에 대한 기준을 만들 수 있었다. 

    • 1930년대에 AMA를 중심으로 대학을 통한 의학교육과 인턴,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통하여 의사 를 배출하는 방식이 정립되게 된다. 

    • 대공황 당시 프랭크린 루 즈벨트 대통령은 영국과 유사한 국가의료보험체계를 도입하 려고 하였지만, AMA와 노조로부터 사회주의 의료라는 공격 을 받고 겨우 군대 내에서만 적용시킬 수 있었다. 민간 분야는 행위별 수가제에 적합한 민간의료보험 방식으로 고착되었다. AMA는 각 주의 면허 발급 관련 입법에 영향력을 유지하면 서, 의사가 되기 위한 교육제도와 의료 시장에서의 가격 결정 분야에서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미국 의사들의 황금시 대는 케네디-존슨 시절 노년층과 빈곤층을 위한 연방 프로그램인 ‘Medicare/Medicaid’법이 통과되면서 변화되었다. 

    • 곤층과 노년층에 대한 의료의 확대 정책은 의료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결국은 한정된 재정과 예산의 효율적 인 집행을 위한 관리 의료(managed care)가 도입된다. 

    • 정부 가 교육, 훈련, 연구 등에 소요되는 예산 지원을 늘리기 시작 하였기 때문에, 의과대학들은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하여 의과 대학 정원을 증원하기 시작하였고, 기존에 AMA가 유지하고 자 하였던 ‘130:100,000’이라는 인구 대비 의사 비율이 무 너지기 시작하였다. 1960년부터 1990년까지 의사 숫자는 두 배로 증가하였다. 

    • 1990년에 이르게 되자 의사 수의 절반은 월급을 받는 봉직의사가 되었다.


독일은 영국이나 프랑스에 비하여 민족 국가로의 통일이 늦었으며, 산업혁명 과정에 늦게 뛰어든 후발 공업국이었다.4 

    • 독일은 비스마르크 재상 체제에서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리 하면서 1871년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소독일주의 통일을 완성 할 수 있었다. 경제적으로 영국을 포함한 선발 공업국과 경쟁 을 위하여 국가 주도로 산업을 발전시키는 체제를 채택하는 데, 기존 귀족 중심의 정치 세력들이 산업계를 주도함에 따라 빈부 격차는 더욱 심해지고, 국내의 갈등이 극대화되었다. 

    • 정치적으로 내부에서는 라살레(F. Lassalle)가 이끄는 사회민주 주의와 경쟁하여야 했고, 외부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를 물리 쳐야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스마르크는 1878년에 ‘사회민주주의 탄압법’을 제정하였고, 노동자들의 생존을 보 장해 주는 당근으로 일련의 사회보장입법들을 하게 된다. 

    • 1883년에 치료비 및 부상 수당금 지불 제도와 이를 위한 질병 금고를 갖춘 협동조합 설치를 규정한 ‘의료보험법’이 제정된 다. 재정 문제로 이 법의 적용을 받는 계층은 당시 인구의 10%에 불과하였지만, 이 법은 현대적 의미의 의료보험의 최초 모델을 규정한 것으로 다른 유럽에 비하여 앞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비스마르크 시대에 대학은 주(독일은 주로 구 성된 연방국가)의 기관이었고, 대학 교육을 받은 의사 집단은 당연히 독일 사회의 상층부를 구성하였으며, 종신 교수들은 공무원으로 인정되었다. 1880-1915년 사이 독일의 의학, 특 히 연구 분야는 유럽 최고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앙집권적 제도 운용의 하부 구조는 허약했다. 프랑스와 영국과 같은 구체제에 대한 혁명이 없었기 때문에 독일의 중세 탈출은 불완전했고, 길드의 잔해도 존속하였다. 사실상 질병 금고는 중세 길드가 조직원의 질병 치료를 위하여 공동 자금 을 모아서 운용하던 것의 잔재였고 비스마르크의 의료보험법 역시 이미 각 주에서 운용되었던 질병 금고들에 대한 연방 차원의 정리였다. 의사들은 각 주별로 단체를 조직하여 소속 되어 있었다. 하지만 질병 금고와 의료보험제도가 확대되면서 수가 계약을 해야 했던 의사들은 수익 제약에 대한 반발로 경제 투쟁 조직을 만들거나 파업을 시도한다. 1차 세계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연방의사법이 제정되었고, 나치는 의사측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하여 연방의사협회 결성을 후 원하겠다는 약속도 하였다. 의사들은 연방 조직을 통하여 정치적인 영향력을 높이고 수가 협상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 고 하였지만 나치의 전체주의는 이를 허용하지 않았고, 도리어 이런 저런 이유로 2차 세계대전 중 나치에 협력한 의사들 이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서 집단 학살의 죄명으로 사형에 처 해진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독일은 전쟁 이후에도 사회보험으로 의료보험체계를 유지하였다. 전체적으로 질병 금고의 수를 늘리고 보험 적용 분야를 확대하였는데, 전문의 중심으로 의료보험 적용 분야를 늘렸기 때문에 비교적 규모가 있는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보험이 운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90% 이상의 계층이 이러한 보험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 산업혁명과 구체제의 몰락 과정에서 폐쇄적 독점주의 길드는 해체되었고, 새로운 전문가 집단이 대두되었다. 

    • 의료는 길드적 운영이 금지되었지만 살아남았고, 이후 100여년이 지나 면서 무면허 의료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체를 조직 하고 가격을 결정하는 제2의 황금기를 맞게 된다. 

    • 하지만 사회보장체계의 일환으로 짧은 황금기는 사라진다. 이런 변화의 시기는 독일이 좀 빠르고 프랑스가 좀 늦은 편이었다. 미국은 좀더 지속되어서 1960년대까지 황금기였고, 아직도 사회보장 체계로의 전면적 편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의료전문가주의 에 대한 비판이 1960년대 미국의 사회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나타나기 시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3. 1960년대 사회학의 비판과 전문가주의 변화


전문가 집단의 성립과 몰락에 대한 고찰은 1940-1950년대 사회학 문헌들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하는데, 1930년대 부터 1960년대의 전문가 집단의 상황을 논의하던 한 사회학자는 ‘거인의 몰락’이라는 표현으로 전문가들의 독점적 지위 가 무너져 가는 상황을 서술하고 있다.5 전세계적으로 진행된 탈전문가주의의 측면에서 보면 이제 겨우 시작에 불과한 것이 라고 할 수 있는데, 당시의 시각으로 보면 매우 충격적인 일이 었던 것 같다. 1960년대 이전 사회학과 철학 분야에서 의료전 문가주의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정작 당사자인 의료 인들은 그 논의에 대해 관심이 부족하였다.


초기 미국의 사회학 연구에서 전문직이라고 함은 ‘고객의 복리를 위하여 자신의 특별한 지식을 이용하는 직업군’이라 고 정의하고 있다. 

  • 전문가는 소명(vocation calling)에 기초한 의무를 이행하는 것이고, 이것이 전문가 집단을 단순 기술자 와 직업적으로 구분하게 한다고 설명하였다. 

  • 소명을 강조하는 전문가 집단은 마치 천부인권과 같아서 그들의 권리는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고, 전문가 집단은 소명 의식을 가지고 행동하 므로 그들의 행동 유발 동기가 경제적 이득과 관련이 크게 없다. 

  • 그리고 이러한 소명 의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사회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함으로써 전문가의 정체성을 길드와 구분하고 이를 통하여 전문가 집단의 특별한 취급이 당연하게 인정된다고 했다. 


의료전문가주의에 대한 구조기능주의의 정의는 

  •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지식체계에 기반하여 시장에서 독점권(monopoly)을 행사하고, 

  • 국가나 사회 로 자율성(autonomy)을 가지며, 

  • 구성원에 대한 훈련의 내용 및 질에 대해 자율적으로 결정하고(self regulation)

  • 이를 위 한 자체적인 윤리규범(ethics)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의사의 사회적 지위, 시장에서의 독점권 및 자율성은 이타심, 봉사정신, 그리고 대학교육을 통한 전문지식의 습득과 특징을 기초로 설명하였고, 역할(rol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의사 의 특권을 당연하게 보았다. 사회를 기능주의(functionalism)로 파악하고자 했던 대표적 학자였던 Parsons6는 전문가주의 의 두 가지 핵심은 

  • 기술적으로 정의된 특정 영역에서만 발휘되는 기능적 권위(functional authority)와 

  • 제도화된 이타심 (altruism)이며, 

  •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기구 수준(institutional level)의 문제라고 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 사회의 전반적인 체계에서 권위를 가지는 종교와 다르며, 

  • 개인적인 이득을 추구 하는 것이 제도적으로 인정되는 영업을 하는 사람(businessman)과 구분되는 것으로 보았다.6 


이러한 구조 기능주의 주장은 전문가주의를 도덕적 기반이 아닌 드러난 특성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예컨대 전문가주의의 자율 규제는 전문가 직역의 특성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명시적 도덕적 기반에 기 초하지 않은 주장이기 때문에 독점을 옹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을 받는다.7 


  • Parsons 이후 미국에서 사회학의 초점은 전문가주의에 대한 주어진 상황에서 구조를 분석하고 기능을 인정하는 실증적(empirical) 분석으로 이어졌고, 기능주의 방법론에 대한 부분적 비판이 있었지만 역동적 사회변화의 요인으 로서 가치와 규범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어떻게 변화하는지 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갈등이론 은 대서양을 건너 유럽에서 등장하게 된다. 

  • 후기 구조주의의 관점으로 평가받고 있는 푸코(M. Foucault)는 지식에 대한 본질을 분석하고, 전문가의 지식이라는 것을 독점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파악하였고, 권력의 배후에 존재하는 지식 의 존재를 권력과의 연결점으로 분석한 다음, 이를 통하여 전 문가주의를 통치성(governmentality)의 맥락에서 파악하였 다.8 푸코는 통치성 개념을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에서 정 치권력이 대중에 사용하는 도구로서 파악하였다.9 불평등한 의사-환자 관계, 의사의 특권에 대한 비판, 전문가들의 자율규 제가 집단 이익 추구에 불과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면 서, 의사들의 전문가주의에 대한 기능주의와 같은 전통적인 설명들은 비난을 받기 시작하였다.


전문가주의라는 용어는 그 정의와 내용이 명확하게 잡히지 않는 사회적 논의의 산물이며, 수많은 학자들이 자신의 관점 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그 기저를 전문가 집단에 대한 비판과 그를 방어하기 위한 논의의 결과물이라고 보아도 틀린 이야기 는 아닐 것이다. 

  • 1960년대 유럽의 지성들에 의하여 십자포화 를 맞은 기능주의 해석이 미국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 다. 케네디-존슨 시절 연방 프로그램인 ‘Medicare/Medicaid’ 법이 통과되었고, 이후 관리 의료(managed care)가 도입되면서 기존의 의사 환자 개별적 양자 관계에서 성립되었던 미국 의료계의 의료전문가주의가 제3자 개입에 의하여 손상되었 다. 

  • 1980년대 관리의료체계에서 민간 보험회사들과 의사들이 경매와 같은 방식으로 수가 계약을 하게 되면서 의료 기술은 최저 수가로 결정되었다. 미국의 관리의료에서 시장주의를 채 용함으로써, 기존의 의료체계를 구성하였던 자유주의의 입지는 좁아졌지만 여전히 시장주의가 판을 키우고 보험회사들이 제3자로서 의사들과 대리전을 치르는 국면으로 변하게 된 것 이다. 그 결과로 의료의 자율성은 떨어졌지만, 민중들의 취약한 의료 접근성이라는 기존 의료체계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 하지 못하였다. 

  • 1990년대 전선을 정비한 의료계는 사회학자 들의 도움을 빌려서 반박을 하였는데, 그 반론의 기초에 사회 계약(social contract) 이론을 도입하였다.10 사회계약이론은 정치학에서는 국가 구성 원리이고 철학에서는 정의론 주제의 일부인데, 사회계약론에 대한 비판과 옹호는 일반 이론에서도 논란이 많은 주제 중 하나이다. 사회계약이란 당사자의 실제 의사가 확인되지 않은 가상의 도구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그 가상의 도구를 합당한 것으로 인정하기 위한 조건들이 논의되어야 한다. 미국 의료계가 주장하는 사회계약이 합당한 것 으로 인정되기 위한 조건은 가치에 바탕을 둔 전문가주의이다. 그들은 의사의 역할을 치료자(healer)와 전문가(profession) 로 구분하여 설명하는데, 

    • 의사가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것은 당연한 치료자의 역할로서 사실적 측면으로 동일하지만, 

    • 어떻게 의료를 전달할 것인가의 문제는 사회와 전문가와의 계약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았다. 

  • 전문가는 가치를 바탕으로 구성되 어 있는데 그 가치는 전문가 윤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1980년대 미국의 의료전달체계 변화는 사회의 기대가 과도하게 반영된 것으로서, 가치에 입각한 의료전문가의 입장이 반영되어 균형을 맞추어야만 교정할 수 있는 문제라고 하였다. 각 나라에 따라서 의료전달체계가 다른 이유는 이러 한 전문가와의 사회계약이 다양한 수준에서 결정되기 때문이 라고 본다. 하지만 이면에는 계약이라는 것은 양 당사자의 합의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므로, 의료가 사회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일지라도 합의 없이 일방에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유럽 대륙의 사정도 어렵기는 마찬가지였다. 

  • 대표적으로 1980년대 들어서면서 영국의 의료체계는 의료에 대한 NHS의 관료적 개입과 의사들의 태만이 문제가 되면서 관료주의의 폐해를 노출하였다. 

  • 이에 1990년대부터 의료전문주의의 재정립 요구가 나오기 시작했는데, 1995년 GMC는 ‘Good Medical Practice’를 만들면서 의사들의 책임과 의무를 밝히고, 의료 서비스의 원칙들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것을 의사 면허 등록 과 연결시킴으로써 의료전문가주의를 새롭게 조명하는 계기 를 제공하였다.11 

  • 왕립의사회(Royal College of Physicians) 는 2005년 12월 의료전문가주의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내놓았다.12 의료전문가주의를 새롭게 정의하면서 기존 전문가주의에서 버려야 할 개념들로서 ‘정통함(mastery)’, ‘자율성(autonomy)’, ‘특권(privilege)’, ‘자율규제(self-regulation)’ 등을 제시했다. 

    • 이상의 개념들을 폐기한 이유는, 현재의 의사와 환자 관계가 과거와 같이 의사가 우월적 지위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 전문가주의의 덕목으로 권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자신의 직업에 정통하 다는 것, 의사가 스스로 결정한다는 자율성, 치료적 특권, 자율 규제 모두 그 이면에서 의료 전문가 우월주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사회의 통제를 고려하여야 하는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 그들은 의료와 사회와의 관계를 도덕적 계약(moral contract)이라는 용어로 정리하였다. 물론 도덕적 계약이라는 용어에 대한 미국측의 반응은 미지근했다.


지금까지 기술한 의료전문가주의에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 한 변화들은 Table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4. 전문가주의의 현재 위치와 책임성에 관하여


1980년대  들어서면서  의료계의  대내외적  환경  변화로  인하여  서구  의료전문가주의의  내용은  변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미국  의료체계의  시장주의  폐해와  영국  의료체계의  관료주의  폐해가  심화하였고,  정부,  보험사와  같은 제3자가  의료에  대한  관리정책을  강화하였다.  정보혁명은  소비자주의를  통하여  대중들에게  환자-의사  관계의  지식  불균형을  조정할  기반이  되었다.  이런  저런  사정으로  의료전문가주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높아졌다. 1999년  European Federation of Internal Medicin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American Society of Internal Medicine Foundation,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은  ‘의료전문가주의  기획(Medical Professionalism Project)’을  발족시키고, 2002년  ‘새로운  세기의  의료전문가주의:  의사헌장(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new millennium: a physician char-ter)’이라는  제목의  헌장을  Lancet13과  Annals of Internal Medicine14에  동시에  발표하였다.  의사헌장이  선언한  세  가지  기본원칙은  

  • 환자 복지 최우선의  원칙,  

  • 환자 자율에 대한 원칙,  

  • 사회정의에  대한  원칙이다(Table 2). 



전문가주의 내용은 전문가 책임으로 바뀌어 제시되고 있다. 책임(responsibility)의 의미에 대한 약간의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 서양의 근대성(modernity)에 대한 담론은 중세 르네상스 이후 신분사회의 붕괴로부터 시작한다. 신분 해방과 개인의 자유권 확립은 인간을 자율적인 인간으로 바라보는 것이며,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은 자유의 이면으로 당연히 짊어 져야 할 개인의 선이었다. 

  • 하지만 소유권을 중심으로 한 자유시장주의는 20세기 말 경제력을 바탕으로 보이지 않는 신을 형성하게 된다. 이 문제로 인하여 사회 정의에 대한 논의가 발생하였고, 사회주의 이론과 공산주의 혁명이 나타났으며, 인류는 1, 2차 세계대전을 겪게 된다. 

  • 원자폭탄의 투하로 종결된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구도 속에서 과학의 남용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져 갔고, 과학자들은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낸 과학의 발전에 대한 책임을 논의하기 시작하였다. 

  • 후기 산업사회에 들어간 선진국을 중심으로 과학의 발달 이면에 상시적으로 존재하는 위험의 문제가 논의되었고, 그에 대한 책임의 논의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의 책임 개념은 행위자가 행위의 구체적인 결과를 예측하고 이에 대하여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스스로의 선택, 행동에 대한 책임에 더하여 자신이 살아가는 공동체에 대한 책임, 더 나아가 자연과 생태계에 대한 행위자의 책임까지 확장하고 있다. 

  • 과거의 행위에 대한 결과 책임을 의미하는 인과적 책임을 떠나서, 앞으로 나타나게 될 미래에 대한 책임을 의미하는 당위적 책임을 의미하며, 마치 부모가 자녀를 보호하고 양육하듯이 행위자는 책임을 져야 하는데, 이것은 실천이성으로서 칸트적 정언명령이기도 하다.15 

결국 현대 과학기술에 가치적 기준을 도입하는 것인데, 독일의 철학자 한스 요나스(Hans Jonas)는 뇌사와 장기 기증, 바이오 뱅크와 같은 현대 의료기술의 적용 에 대하여 이러한 책임 개념을 일찍이 주장하면서 책임의 확 장을 이야기하였다.15 이 논의는 마치 플라톤의 철인 정치와 같은 엘리트주의를 보는 것 같기도 하지만, 생산력의 발달을 통해 유토피아를 건설하려고 하는 마르크스주의적 기획을 비 판하는 측면에서 사회 전반의 구성 원리로 보고 있다는 점에 서 차이가 있다.


결 론


  • 2000년을 전후하여 시작된 의료전문가주의를 재정립하기 위한 미국과 영국의사들의 노력의 결과물이, 의료 전문가의 자율성과 치료 특권과 같은 권리성을 배제하면서 책임성을 우선적으로 받아들이고 전문가의 능력 배양을 책임의 내용으로 파악하는 것은, 결국 의료 전문가 단체가 의료를 해석하는 틀을 바꾸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2007년 세계의사회에 서 발행한 백서(White paper)에 의하면,16 이러한 입장을 추 종하여 선언을 채택한 단체가 전 세계적으로 100개가 넘게 기재되어 있다. 

  • 물론 이러한 입장만 있는 것은 아니다. 2005 년 스페인의 마드리드에서 발표된 세계의사회의 “WMA Declaration of Madrid on Professionally-led Regulation” 은 2009년 인도 대회에서 채택되는데, 의료 전문가의 사회적 책임보다는 의사의 자율성과 자율 규제의 당위성을 언급하고 전문가가 선도하는 규제 확립의 필요성을 선언하고 있다는 점 에서 의료전문가주의의 전통적인 해석에 가까우며, 새로운 해석과는 병립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17 


실천이 중요한 것이 지, 선언의 형식이 무슨 문제가 있겠는가라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것은 토마스 쿤(Thomas Kuhn)이 과 학혁명에서 이야기하는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가 의료 전문가주의라고 하는 사회과학의 영역에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하고 싶다.18 쿤에 의하면 기존 패러다임에 의하여 해결하지 못하는 한두 개의 문제점들이 있다고 하여 당장 기존 패러다 임이 폐기되는 것은 아니지만, 영향력 있는 과학자들이 이런 문제들을 심각하게 고민하면 정상과학은 위기와 혁명의 국면으로 들어가게 된다. 혁명의 시기에 등장하는 새로운 패러다 임은 기존 패러다임이 풀지 못하는 난제들에 대한 해답을 제 시하지만, 기존 패러다임이 쉽게 해결하였던 문제들을 설명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경쟁하게 되는데, 이 때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택하는 과학자들은 종교적 ‘개종’ 을 하는 것과 같이 과학 내적인 요소들보다 철학적, 종교적, 사상적, 미적 요소와 같은 과학 외적인 요소들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의료전문가주의는 이러한 패러다임 혁명의 시기에 와 있으며, 책임 윤리는 의료가 가지는 사회적 측면을 중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틀을 제공하고 있다. 쿤은 아리스토텔레스 와 뉴턴의 패러다임, 또는 뉴턴 역학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패러다임과 같이 기존 패러다임과 새로운 패러다임 사이 에는 결코 근접할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공약불가능성(incommensurability)’이라고 하였다. 의료전문가주의에 대한 우리의 태도가 (물론 쿤의 정의에는 위반되겠지만) 이러한 공약불가능성조차 극복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Korean J Gastroenterol. 2015 Mar;65(3):165-172. Korean.
Published online March 23, 2015.  https://doi.org/10.4166/kjg.2015.65.3.165 
Copyright © 2015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Medical Professionalism-on Social Responsibilities Viewed from Historical Perspective
Jang Han Kim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Ethics Committee,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 Jang Han Kim,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6 Asanbyeongwon-gil, Songpagu, Seoul 138-736, Korea. Tel: +82-2-3010-4267, Fax: +82-2-477-4266, Email: jhk@amc.seoul.kr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What is medical professionalism and does it matter to the patients? Medical professionals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judgements and the consequences that ensue. Traditionally medical professionalism is defined as a set of values, behaviors, and relationships which support the trust the public has in doctors. The public is well aware that absence of professionalism is harmful to their interests. However, the exercise of medical professionalism is endangered by the polit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values of professionalism have been changed throughout the medical history and the meaning of it was also changed according to social theories. Traditional medical professionalism was based on the virtue of autonomy, self-regulation and competency etc. However, in the new millenium era,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has changed under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which includes the classical virtues.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nowadays is only based on the structure and conflicting theories which cannot solve all the issues surround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practice. The conditions of medical practice are critical determinants for the future of professionalism. The interac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is central to the medical car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has roots in almost every aspect of medical care. I argue that doctors have responsibility to act according to the values which have been determined by the medical profession, history and surrounding society. The new millennium medical professionalism which based on the responsibility could initiate a public dialogue about the role of the doctor in creating a fairer society.

Keywords: Professional autonomySocial responsibilityHistory of medicine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 왜, 무엇을, 어떻게 ( Facts Views Vis Obgyn, 2012)

Teaching professionalism – Why, What and How 

S.R. CRueSS, R.L. CRueSS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Lady Meredith House, McGill University, 1110 Pine Ave. W., Montreal, Quebec, H3A 1A3.

Correspondence at: Tel. (514) 398-7331; fax (514) 398-7246; e-mail: sylvia.cruess@mcgill.ca




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나요?

Why teach Professionalism?




지난 반세기 동안 의료행위에 큰 변화가있었습니다. 과학과 기술의 폭발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 분야와 하위 분야의 발전으로 인해 의료전문직은 더 다양해졌고, 더 질병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Starr, 1984). 관리의 복잡성과 비용 증가로, 정부든 기업이든, 제3자 지불자가 건강 관리 업무를 수행하게되었습니다. 사회도 바뀌 었습니다. 1960 년대부터 전문직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권위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Krause, 1996; Hafferty & McKinley, 1993). 특히 medicine은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라기보다, 자신만을 위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균일하게 적용되지 않는 취약한 기준으로 인해서 자기-규제를 하지 못한다고 여겨졌다. 의료전문직은 사회에서 신뢰를 얻거나 특권을 누릴 자격이 없다는 느낌이 존재했다.

The past half century has seen major changes in the practice of medicine. The explos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multiple specialties and sub-specialties, has made the profession both more diverse and disease oriented (Starr, 1984). The increased complexity of care and its cost have brought third party payers, either governments or the corporate sector, into the business of health. Society has also changed. Starting in the 1960s all forms of authority were questioned, including the professions (Krause, 1996; Hafferty & McKinley, 1993). Medicine in particular was seen as self serving rather than promoting the public good and was felt to self-regulate poorly with weak standards applied irregularly. There was a feeling that the professions did not deserve the trust or their privi leged position in society.




학생, 레지던트, 의사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Cruess & Cruess, 1997a; Cruess & Cruess, 1997b; Cohen, 2006). 많은 서방 국가에서 이것은 의과 대학 및 훈련 프로그램을 인가해주는 요건이 되었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과 의학의 사회적 계약에 관한 것 뿐만 아니라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문헌들이이 놀랍게 증가했습니다.(Cruess et al., 2009; Stern, 2005; Hodges et al., 2011)

it was concluded that one important step would be to teach professionalism explicitly to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cing physicians (Cruess & Cruess, 1997a; Cruess & Cruess, 1997b; Cohen, 2006). in many western countries this has become a requirement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s and training programs. There has been an amazing increase in the medical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and medicine’s social contract with society, as well as how best to teach and evaluate professionalism (Cruess et al., 2009; Stern, 2005; Hodges et al., 2011).




도전 과제

The Challenges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에 내재 된 몇 가지 난제가있다 (Cruess et al., 2009; Cruess & Cruess, 2006). 첫 번째는 정의에 대한 동의를 얻는 것입니다. 다음은 학생과 교수진에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전문가의 특성을 어떻게 격려할 것이며 (어떻게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지)하는 것입니다. 전통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역할 모델 (Wright et al., 1998; Kenny et al., 2003; Cruess et al., 2008)에 의해 교육되었다. 이것은 여전히 ​​필수적인 방법이지만 더 이상 충분하지 않습니다.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inherent in teaching professionalism (Cruess et al., 2009; Cruess & Cruess, 2006). The first is to obtain agreement on a definition. The next is how best to impart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to students and faculty. Of great importance is how to encourage those behaviors characteristic of a professional (developing a professional identity). Traditionally professionalism was taught by role-models (Wright et al., 1998; Kenny et al., 2003; Cruess et al., 2008). This is still an essential method but it is no longer sufficient.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데 두 가지 접근법이 있습니다. (Coulehan, 2005; Huddle, 2005), 하나는 그것을 일련의 특성으로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며(Swick, 2000), 다른 하나는 도덕적 노력으로서 가르치는 것으로, 성찰과 경험 학습을 강조하는 것이다 . 그러나 그 어떤 것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 프로페셔널리즘의 정의를 알려주고 일련의 특성을 열거하는 방식은 학생들에게 주제에 대한 이론적 지식만을 제공합니다. 

  • 역할 모델링과 경험 학습에 의존하는 것은 선택적이고, 혼란스럽고, 사실 과거에 하던 방식이다.

in the literature there are two approaches to teaching professionalism; to teach it explicitly as a series of traits (Swick, 2000) or as a moral endeavor, stressing reflection and experiential learning (Coulehan, 2005; Huddle, 2005). neither alone is sufficient. Teaching it by providing a definition and listing a series of traits gives students only a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subject. Relying solely on role model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is selective, often disorganized, and actually represents what was done in the past.




전문성 교육에서 취해야 할 첫 번째 단계는 인지 기반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입니다. (Cruess et al., 2009; Cruess & Cruess, 2006)

The first step to be taken in teaching professionalism is to teach its cognitive base explicitly. (Cruess et al., 2009; Cruess & Cruess, 2006)



전문직과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단어의 정확한 성격에 관한 문헌에는 약간의 혼란이 있습니다. 너무 복잡하고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There is some confusion in the literature on the exact nature of the words profession and professionalism, with some believing that it is difficult to define professionalism as it is too complex and context driven.






전문직과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 and Professionalism


이 문헌에는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기초가 될 수있는 많은 정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어의 배열이 다를 수 있지만,이 정의의 내용은 매우 유사합니다.

The literature contains many definitions which can serve as the basis of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While the arrangement of the words may vary, the content of these definitions is remarkably similar.





전문직

  • 복잡한 핵심 지식과 기술을 숙달 한 핵심 요소가 직업입니다.

  • 그것은 과학이나 학습의 일부학과에 대한 지식이나 그것에 기초한 예술의 실천이 다른 사람에 대한 봉사에 사용되는 직업입니다.

  • 그것의 멤버는 윤리 규정에 의해 govern되고 능력, 완전성 및 도덕, 애타주의 및 그들의 영역 내의 공익 증진에 대한 공약을 profess합니다.

  • 이러한 약속은 전문직과 사회 간의 사회적 계약의 기초를 형성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그 전문직에게 지식기반 사용에 대한 독점권과 practice의 자율성, 그리고 자기-규제의 특권을 준다.

  • 전문직과 그 구성원은 그들이 봉사하는 사람들, 전문직, 사회에 책임이 있습니다.

Profession

  • An occupation whose core element is work based upon the mastery of a complex body of knowledge and skills

  • it is a vocation in which knowledge of some department of science or learning or the practice of an art founded upon it is used in the service of others. 

  • its members are governed by codes of ethics and profess a commitment to competence, integrity and morality, altruism, and the promotion of the public good within their domain. 

  • These commitments form the basis of a social contract between a profession and society, which in return grants the profession a monopoly over the use of its knowledge base, the right to considerable autonomy in practice and the privilege of self-regulation. 

  • Professions and their members are accountable to those served, to the profession and to society.



프로페셔널리즘 : 대중이 의사에게 갖는 신뢰를 뒷받침하는 일련의 가치, 행동 및 관계.

Professionalism: A set of values, behaviors, and relationships that underpins the trust that the public has in doctors.



우리는 의사가 의료를 실천함에 있어서 치유자와 전문직이라는 두 개의 분리되었지만, 서로 얽혀 있는 역할을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림 1). 실제적으로 분리 될 수는 없지만, 가르치는 목적에서는 구분하는 것이 유용하다 (Cruess et al., 2009). 치유자는 기록 된 역사가 있기 전부터 존재 해 왔으며 치유자의 특성은 보편적으로 보입니다. 모든 사회에서 아픈 사람들은 치료자가 능력, 보살핌과 연민을 보여주고 하나의 인간으로서 대우해주기를 원합니다.

We believe that physicians serve two separate but interlocking roles as they practice medicine, those of the healer and the professional (Figure 1). While they cannot be separated in practice, for teaching purposes it is useful to distinguish them (Cruess et al., 2009). The healer has been present since before recorded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er appear to be universal. in every society those who are ill wish healers to demonstrate competence, caring and compassion, and treat them as individuals.



'전문직'이라는 용어는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사용되었지만, 근대 전문직은 중세 잉글랜드와 유럽의 길드와 대학에서 나타났다 (Starr, 1984; Hafferty & McKinley, 1993). 의학이 현대 의학의 기초를 제공하고 산업 혁명이 건강을 실제로 구매할 수 있도록 충분한 부를 제공하기 전까지는 의학계는 사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현재 사회는 기존 직업에 의존하여 면허 부여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조직했습니다. 이것은 의료행위에 대한 독점, 자기규제의 특권에 대한 상당한 자율성, 재정적 보상을 제공했습니다.

While the word profession has been used since the time of Hippocrates, the modern professions arose in the guilds and universities of medieval england and europe (Starr, 1984; Hafferty & McKinley, 1993). The medical profession had little impact on society until science provided a base for modern medicine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provided sufficient wealth so that health care could actually be purchased. At this time, society turned to the preexisting professions and organized the delivery of healthcare around them by granting licensure. This provided a monopoly over practice, considerable autonomy the privilege of self-regulation, and financial rewards.






Figure 2. 


인지 기반의 기초가되는 속성의 정의와 목록은 커리큘럼에서 가능한 한 빨리 가르쳐 져야하고 이후의 세션에서 확장되어 지식 기반을 강화하고 그것을 사용하는 경험을 하게 해주어야 한다.

The definitions and list of attributes which serve as the basis of the cognitive base should be taught as early as possible in the curriculum and expanded in later sessions to reinforce the knowledge base and provide experience in using the vocabulary.


학생들이 경험을 쌓으면서 사회와 의학 사이의 사회적 계약 개념 (Cruess & Cruess, 2008)을 소개 할 수 있습니다. 사회 학자들은 사회는 치유자를 포함한 복잡한 필수 서비스를 조직하기 위해 전문직을 사용한다고 말합니다. Klein (2006)에 따르면 이것은 일종의 "거래"였는데 의사에게 명성과 자율성, 자기 규제의 특권을 부여하였으며, 의사에게 [이타적이고 자기 통제력이 뛰어나고 신뢰할 수 있고, 사회의 우려를 해소해줄거라 이해]해주는 보상을 부여하였다. 이것은 서면 계약은 아니지만, 양측에 상호 기대와 의무가 있습니다.

As students gain experience, the concept of the social contract between society and medicine (Cruess & Cruess, 2008) can be introduced. Sociologists tell us that society uses professions to organize the essential complex services that it requires, including those of the healer. it has been described by Klein (2006) as a “bargain” in which medicine is granted prestige, autonomy, the privilege of self-regulation and rewards on the understanding that physicians will be altruistic, self-regulate well, be trustworthy, and address the concerns of society. Although it is not a written contract with deliverables, there are reciprocal expectations and obligations on both sides.


사회 계약의 개념은 계약에서 발생하는 의사의 의무를 소개하는 데 도움을주고 그들의 존재에 대한 정당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의학 및 사회가 변함에 따라 계약과 관련한 전문성이 진화해야합니다.

The concept of the social contract assists in introducing the obligations of a physician arising from the contract and provides a justification for their presence. in addition, as medicine and society change, the contract, as well as the professionalism which is linked to it, must evolve.



전문적인 정체성 개발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교육 목표는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할 때 학생들을 돕는 것이고,

the realization has grown that the educational objective is to assist students as they develop a professional identity,


정체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될 수있다 : "특성의 집합 또는 사람이나 물건을 다른 사람과 구별하는 description"(Oxford Dictionary, 1989).

identity can be defined as: “A set of characteristics or a description that distinguishes a person or thing from others” (Oxford Dictionary, 1989).


학생들은 의과대학에 들어올 때 정체성이 확립 된 상태로 입학하며, 추가로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얻고자합니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경험과 경험에 대한 성찰의 결합"을 포함하는 진화과정입니다 (Hilton & Slotnick, 2005).

Students enter medicine with an established identity and wish to acquire the identity of a physicia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n evolving process that involves “a combination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experience” (Hilton & Slotnick, 2005).



  • 전문적 정체성은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함으로써 특정 사회 또는 집단 내에서 기능하는 법을 배우는 과정"사회화를 통해 발전합니다 (Oxford Dictionary, 1989). 

  • 학생들은 습득해야 할 정체성을 이해해야하며 정체성 형성에 필요한 경험에 노출되어야합니다 (Hafferty, 2009). 

  • 마지막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이러한 경험을 성찰할 시간이 필요합니다. 

  • 이 과정의 기본은 일상 생활에서 치유자와 전문가의 행동 특성을 보여주는 역할 모델의 존재입니다. 

  • 마지막으로, 학습 환경은 전문적인 정체성의 개발을지지해야합니다. 교육 기관은 공식 환경, 비공식 환경 및 숨겨진 교육 과정에주의를 기울여야하는 환경을 제공 할 책임이 있습니다.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s through socialization which is”the process by which a person learns to function within a particular society or group by internalizing its values and norms” (Oxford Dictionary, 1989). Students must understand the identity they are to acquire and must be exposed to the experience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this identity (Hafferty, 2009). Finally, they require time to reflect on these experiences in a safe environment. Fundamental to the process is the presence of role models who demonstrate the behaviors characteristic of the healer and the professional in their daily lives. Finally, the learning environment must be supportive of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Teaching institution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is environment, something that requires them to pay attention to the formal, the informal and the hidden curricula.




일반 원칙

General principles



기관 지원

Institutional Support


학과장 및 주요 부서장의 지원없이 주요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it is difficult to initiate a major teaching program without the support of the Dean’s office and of the Chairs of the major departments.


시간은 비록 커리큘럼에서 동원되어야하지만, 추가시간은 보통 크지 않다.

Time must be mobilized in the curriculum, although experience has shown that the amount of additional time required is often not great.


또한 관리 및 재정 지원이 거의 항상 필요합니다.

in addition som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almost always required.





프로그램을 위한 책임 할당

Allocation of responsibility for the program


누군가는 프로그램에 대한 책임을 져야하며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합니다. 교수들의 존경을 받는 교수가 프로페셔널리즘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을 이끌어 가고 그것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Someone must be responsible for the program and accountable for its performance. ideally a respected member of the faculty is chosen to lea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fessionalism program and be its champion.


프로페셔널리즘은 여러 부서를 넘나들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노출될 때 각 부서 활동의 맥락에서 다루어 져야한다는 점을 기억해야합니다.

it must be remembered that professionalism crosses departmental lines and ideally exposure to it should come within the context of many departmental activities.


연속성

Continuity


정의, 속성 및 행동은 모든 수준에서 교육의 기본 역할을합니다. 이상적으로는 의대의 입학 정책을 알리고, 학생, 레지던트, 교직원을 가르치고, CPD를 위해 사용해야합니다. 통합 된 주제는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입니다.

The definition, attributes, and behaviors serve as the basis for instruction at all levels . ideally they should inform the admission policies of the medical school, be used for teaching students, residents, and faculty,  and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unifying theme is a common understanding of nature of professionalism.


평가를 포함한 "각 교육 활동에 적합한 단계"가 고안되어야하고 의학 교육의 연속체 전체에 걸쳐서 integrated entity를 대표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합의가있다.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stage appropriate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assessment, should be devised and that they should represent an integrated entity throughout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점증적 접근

Incremental Approach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위한 포괄적 인 프로그램은 모든 단계에서 동시에 구현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미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목적으로 자리잡은 활동을 기반으로 시작해야합니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이전에 배운 내용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 된 이러한 활동과 새로운 학습 경험의 조합을 나타냅니다.

A comprehensive program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is difficult to implement at all levels simultaneously. One should start with those activities devoted to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that are already in place. new programs often represent a combination of these activities and new learning experiences developed to complement what was previously taught.



인지 기반

The Cognitive Base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가 될 전문가의 정의와 속성은 기관 내에서 개발되어야하며, 주제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 관한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져야한다. 의과 대학과 교육 병원 모두가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 기대되는 것을 이해하고 명료화 할 책임을 공유하므로 이 과정에 참여해야합니다.

The definitions and attributes of the professional, which are to be the foundation of the teach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within the institution and general agreement on the educational approach to the subject obtained. both the medical school and its teaching hospitals should participate in this process as all share the responsibility to understand and articulate what is expected of both students and faculty.


경험학습과 자기성찰

Experiential learning and Self-Reflection


의학의 가치는 전문직 정체성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내면화되어야합니다 (Hafferty, 2009). 학생들이 내면화 과정에서 필요한 첫 번째 단계로서 이러한 가치와 관련이 있거나 가치가 도전받는 상황을 경험해야한다는 폭 넓은 공감대가 형성됩니다. 학습자는 안전한 환경에서 이러한 경험을 성찰 할 수있는 기회와 시간을 가져야합니다 (Schon, 1987; epstein, 1999).

Medicine’s values must then be internalized so that they can serve as the founda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Hafferty, 2009). There is wide consensus that students must experience situations in which these values become relevant or challenged as a necessary first step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Learners must also have opportunities and time to reflect upon these experiences in a safe environment (Schon, 1987; epstein, 1999).


이러한 만남의 대부분은 실제 임상 상황이지만, 많은 경우 임상 상황, 소그룹 토론, 임상 비디오, 역할극, 영화 및 비디오 테이프 리뷰, 내러티브, 포트폴리오, 소셜 미디어 등의 경험을 반영하여 보완 될 수 있습니다. , 또는 지시적 독서 (Cruess & Cruess, 2006).

The majority of these encounters will be true clinical situations, but in many instances they can be supplemented with reflection on experience from simulated clinical situations, small group discussions, clinical vignettes, role plays, film and video tape reviews, narratives, portfolios, social media, or directed reading (Cruess & Cruess, 2006).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데 사용 된 경험은 학생의 수준에 적합해야합니다 (Rudy, 2001).

The experiences used in teach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student (Rudy, 2001).


롤모델링

Role Modeling


롤모델들은 그들이 프로페셔널리즘의 어떤 측면을 모델링하는지 이해해야하고, 그들이 모델링 한 것에 대해 명시해야한다 (Cruess & Cruess, 2006; Wright et al., 1998; Kenny et al., 2003).

Role models must understand what aspects of professionalism they are modeling and be explicit about what they modeling (Cruess & Cruess, 2006; Wright et al., 1998; Kenny et al., 2003).



교수의 역할 모델링을 평가해야하는데, 평가에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가 따른다 (Cruess et al., 2008). 역할 모델은 지원되어야하며 훌륭한 역할 모델은 보상을 받고, 열악한 모델은 보완되어야 하며, 훌륭한 역할 모델이 될 수 없는 사람임이 입증되면 교육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The role-modeling of faculty should be assessed and there must be positive or negative consequences to the evaluation (Cruess et al., 2008). Role-models should be supported and good role-models rewarded, poor ones remediated, and those who have demonstrated that they cannot be a good role model removed from teaching.


평가

Evaluation


지식은 객관식 질문, 에세이, 짧은 대답 등 전통적인 방법으로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Knowledge can be tested in the traditional ways, including multiple choice questions, essays, short answers etc.



따라서 평가할 수있는 전문가의 태도와 가치를 반영하는 일련의 관찰 가능한 행동을 개발할 필요가있다 (Stern, 2005; Hodges et al., 2011).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 series of observable behaviors which reflect the attitudes and values of the professional that can be evaluated (Stern, 2005; Hodges et al., 2011).



행동에 대한 평가는 formative해야 하며, 이로서 학습 과정을 suppport하게 된다(Sullivan & Arnold, 2009). 전문직 종사자로부터 일반 대중을 보호하는 것이 직업의 책임이므로 학생 및 레지던트에 대해서도 종합 평가를 수행해야합니다. 교수진의 프로페셔널리즘도 평가되어야한다 (Todhunter et al., 2011).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교사의 비-프로페셔널한 행동에 자주 노출되는 것은 학생들의 보편적인 불만입니다 (brain & Bilsen, 2007).

The evaluation of behaviors should be formative as this supports the learning process (Sullivan & Arnold, 2009). Summative evaluation must also be done on students and residents as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profession to protect the public from unprofessional practitioners. The professionalism of faculty members must also be assessed (Todhunter et al., 2011). it is a universal complaint of students that they are encouraged to behave professionally but frequently are exposed to unprofessional conduct on the part of their teachers (brainard & bilsen, 2007).


환경

The Environment


이 환경에는 공식, 비공식 및 숨겨진 커리큘럼 (Hafferty & Franks, 1994, Hafferty, 1998)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There are three major components to this environment: the formal, the informal, and the hidden curricula (Hafferty & Franks, 1994; Hafferty, 1998).



전문성 교육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교과 과정의 모든 요소는 전문적인 가치관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결되어야합니다.

As a part of the establish ment of any teaching program on professionalism, all elements of the curriculum must be addressed in order to ensure that they support professional values.


교수개발

Faculty Development


전문성의 정의와 특성에 대한 기관적 합의를 촉진합니다. 교수개발은 교수진이 교수 및 평가 방법을 개발할 수있게하며, 적절히 사용하면 커리큘럼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숙련 된 교사, 그룹 리더 및 희망자 역할 모델의 존재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it promotes institutional agreement on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ism. it allows the faculty to develop methods of teaching and evaluation and, properly used can lead to substantial changes in the curriculum. Most importantly, it helps to ensure the presence of skilled teachers, group leaders, and hopefully role models.



멕길의 경험

The McGill Experience




학생선발

Student selection


The purpose is 

    • to identify those candidates who already demonstrate the attributes of the healer and the professional and, importantly, 

    • to publicly indicate the importance of these attributes.


전체 활동

Whole class activities


Whole class activities include lectures on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 정의와 용어 Of symbolic significance, the first lecture on the first day of class is a didactic session on professionalism which presents the definitions and vocabulary which will be used. 

    • 좋은/나쁜 전문직 행동 This is followed by small group sessions with trained faculty that examines vignettes demonstrating good and poor professional behavior.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attributes present in each, familiarizing students with the vocabulary and the use of the concept. ethics lectures are given and are always followed by small group discussions

    • 의사소통 Communication skills are taught using the Calgary-Cambridge format (Kurtz & Silverman, 1996). The subjects covered in the bloc on the Healer are physician wellness, the perspective of both the doctor and patient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working with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and analyzing the nature of suffering. Great emphasis is placed upon reviewing narratives of the experiences of both patients and physicians

    • 첫 번째 환자로서 카데바 Other whole class activities include the introduction to the cadaver as the student’s first patient as well as a body donor service developed by students to show appreciation for the donors of the bodies. 

    • WCC There is a white coat ceremony given prior to entry into the clinical years. Palliative care is felt to emphasize the healer role and there are special reflective experiences in this domain with mentors. in the last year students attend seminars with the goal of uniting the healer and professionalism roles. 

    • 사회적 계약, 공공의 기대 Students are given a fuller exposure to the concept of medicine’s social contract with society and encouraged to reflect on which of the public expectations of the profession they will find difficult to fulfill and how they might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se discussions are guided by their mentors (Osler Fellows) who have been with them for all four years.


유닛 특이적 활동

Unit specific activities


    • each department is encouraged to develop unit specific activities on the roles of the healer and the professional. Departmental rounds are devoted to the subject, bedside discussions of conflicts in professionalism take place, and the professionalism of students is assessed on ongoing basis. 

    • 전체 활동에 비해 덜 구조화 Of necessity, there is less structure to unit-specific activities than is present in whole class activities, but they are of extreme importance in providing experiences upon which students reflect with their mentors.



오슬러 펠로우

Osler Fellows


    • A mentorship program was established with the mentors being given the title of “Osler Fellows”. They were selected from a list of nominations by students and faculty of those recognized as being outstanding teachers, practitioners and role models. each Osler Fellow mentors six students throughout their medical school career. They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as they have a series of mandated activities which must be carried out. 

    • A portfolio is instituted, with an emphasis on professionalism, and narratives are produced and reviewed. There are of course a host of unscheduled encounters during which the student and mentor establish a relationship. The Osler Fellows have a dedicate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to familiarize them with their roles (Steinert et al., 2010).


졸업후 교육

Postgraduate education


    • 반일 리콜 세션 During postgraduate training, residents have several half day recall sessions each year (Snell, 2009). 

    • 인지기반 복습 At one of these there is a review of the cognitive base of professionalism as many residents are from diverse background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common vocabulary for use in training and practice. 

    • 소그룹 토론 The review is followed by small group sessions including residents from different specialties who discuss their experiences of professionalism during residency with an emphasis on how they will meet their responsibilities to society. 

    • 학생 세션에 그룹리더로 참여 Residents are involved as group leaders for the undergraduate sessions, participate in the assess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students and faculty, and sessions are held to assist them in understanding their roles as teachers and role-models. 

    • The subjects covered in other half-day sessions that relate to professionalism are ethics, malpractice, risk management, teamwork, communication skills, and their own wellness.


결론

Conclusion


References








 2012;4(4):259-65.

Teaching professionalism - Why, What and How.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Lady Meredith House, McGill University, 1110 Pine Ave. W., Montreal, Quebec, H3A 1A3.

Abstract

Due to changes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and in society, medicine became aware of serious threats to its professionalism. Beginning in the mid-1990s it was agreed that if professionalism was to survive, an important step would be to teach it explicitly to students, residents, and practicing physicians. This has become a requirement for medical schools and training programs in many countries.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first challenge is to agree on the definition to be used in imparting knowledge of the subjects to students and faculty. The second is to develop means of encouraging students to consistently demonstrate the behaviors characteristic of a professional - essentially to develop a professional identity. Teaching of professionalism must be both explicit and implicit. The cognitive base consisting of definitions and -attributes and medicine's social contract with society must be taught and evaluated explicitly. Of even more -importance, there must be an emphasis on experiential learning and reflection on personal experience. The general principles, which can be helpful to an institution or program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experience of McGill University, an institution which has established a comprehensive program on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KEYWORDS:

Professionalism; medical curriculum; professional identity; teaching professionalism

PMID:
 
24753918
 
PMCID:
 
PMC3987476


휴머니즘 or 프로페셔널리즘? 화이트코트 세러모니와 의학교육(Acad Med, 2008)

Humanism or Professionalism? The White Coat Ceremony and Medical Education

Judah L. Goldberg, MD, MA





대학원생조차 일반적인 소양의 함양을 놓치고는 오직 프로페셔널리즘에만 빠져서는 안됩니다.

-B.A. Hinsdale, 교육학 : 과학, 예술, 역사. 시카고, Ill : Werner School Book Co., 1896

Even the graduate student should not lose sight of general cultivation and fall into stark professionalism. 

—B.A. Hinsdale, Studies in Education: Science, Art, History. Chicago, Ill: Werner School Book Co., 1896.


더 나쁜 것은 프로페셔널리즘 자체로 휴머니즘적 가치를 완전히 포함하며, 따라서 프로페셔널리즘만으로 의학에서의 미덕에 대한 열망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는 프로페셔널 환원주의가 우리의 도덕적 기초를 풍부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빈곤하게 만들며, 궁극적으로는 진정한 휴머니즘적인 도덕적 나침반을 상실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Worse, there is a growing trend to assume that professionalism itself fully encompasses humanistic values and that professionalism alone can therefore represent the entire aspiration for virtue in medicine. I argue that this tendency towards professional reductionism impoverishes, rather than enriches, our moral base and could ultimately leave medicine bereft of a true humanistic moral compass.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의 두 가지 가치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프로페셔널리즘으로 휴머니즘을 덮어두려는 "휴머니즘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심이다"와 같은 시도를 함으로써, 의학계는 의과대학생의 도덕적 발달을 분명히하기보다는 더 혼란스럽게 만들며, 깊은 도덕적 발달을 장려하기보다는 방해한다.

In promoting the dual values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1 or actually enveloping the former within the latter, as in “humanism is . . . central to professionalism,”2 the medical community confuses more than it clarifies, and it hampers, rather than encourages, deep moral development in medical students.



휴머니즘 vs 프로페셔널리즘

Humanism Versus Professionalism



존경받는 아놀드 피 골드 (Arnold P. Gold) 박사는 어떻게 "학생들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과소 평가했다"라고 느끼게 되었는지 묘사하며, 그 계기로 자신과 그의 아내 인 Sandra Gold 박사가 "White Coat Ceremony"의 스폰서 조직인 Gold Foundation을 설립하게 되었는지 말하였다.

The highly respected Dr. Arnold P. Gold has described how he felt that “students were undervaluing humanism and professionalism,”6 motivating him and his wife, Dr. Sandra Gold, to launch the pioneering Gold Foundation, the sponsoring organization for the White Coat Ceremony.7



White Coat Ceremony (WCC)를 묘사하며, 한 최근의 교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리뷰는 이것을 학생들이 "흰 코트를 입고 책임감의 의미,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기대를 배우는 과정"이라고 설명합니다 .1 화이트 코트 의식에 대한 또 다른 해설은 이렇다 "(이 의식은) 화이트코트가 프로페셔널리즘과 인본주의의 상징이라는 의식에서 유래하며, 전 의대에 암묵적 reminder로서 남아있다"8

 Describing the White Coat Ceremony, a recent review of teaching professionalism explains it as a process by which students “learn the meaning of responsibility that comes with wearing the white coat, the expectations for humanism and professionalism.”1 Another commentary on the White Coat Ceremony reflects this language: “the white coat emerges from the ritual as a symbol of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and remains a tacit reminder throughout medical school.”8




일부는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조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프로페셔널리즘 안에 휴머니즘을 찾고자했다. 따라서 미국 내과의위원회의 간행물 인 "Project Professionalism"은 "휴머니즘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심이다. . .: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Humanism은 전문성의 중심적인 측면이다."라고 쓰여진 Gold 박사의 기술에서 거의 똑같은 내용을 담고있다. 이 관점에서, "Humanism and professionalism"에 대한 논의는 거의 redundant한 것이었으며, 왜냐하면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이 겉보기에는 예외없이 휴머니즘의 정신과 가치를 받아 들였기 때문이다.

Some have gone even further, not just pairing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but subsuming humanism within professionalism. Thus, “Project Professionalism,” a publication of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states that “humanism is . . . central to professionalism.”2 This language is almost exactly duplicated by Dr. Gold, who has written, “Humanism is the central aspect of professionalism.”10 From this perspective, discussion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is almost redundant because medical professionalism has seemingly embraced the spirit and the values of humanism without reservation or exception.




최근 코헨 (Cohen)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독립적인 정의와, 의학교육에서 각각이 필수불가결함을 주장했다. 코헨 (Cohen)의 경우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은 완전히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휴머니즘은 "Authentic 프로페셔널리즘에 생기를 불어넣어주는 열정"을 제공합니다. 이 두 가지는 (내적 긴장이나 모순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의사의 미덕에 대한 통일되고 일관된 비전의 두 부분이다.

More recently, Cohen11 has argued for independent definitions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nd the indispensability of each for medical education. Still, for Coh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re fully complementary, with humanism providing “the passion that animates authentic professionalism.” Together, they represent two halves of a unified, coherent vision for physician virtue, devoid of any internal tensions or contradictions.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결합하려는 경향은 아마도 구성 요소의 상당 부분이 겹쳐서 발생했을 것입니다.

The tendency to combine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probably stems from a considerable overlap in their constituent elements.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은 두 가지 매우 다른 의사 실천의 정신ethos을 보여주며, 의사 - 환자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 나온다. 그들은 종종 의사에게 중복되거나 보완적인 요구를 할 수도 있지만, 이 두 가지는 서로 나뉘어서,서로 충돌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 둘 사이의 구별을 모호하게 하는 것은 이 두 가지를 모두 훼손할 수 있다.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in my understanding, identify two very different ethos of physician practice and emerge from divergent visions for the physician– patient relationship. Although they may often make overlapping and complementary demands of a physician, they can also split, run counter to each other, and collide. Furthermore, blurring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undermines both.



휴머니즘의 특징은 보편성, 평등주의, 범위scope니다. 한편 이것은 모든 인간에게 똑같이 적용됩니다. 휴머니즘 훈련의 장은 대부분 인간과 인류에 대한 경험이다. 궁극적 목표는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생각되는 인간의 복지welfare이다. 그것은 전문적 전문 지식이나 특별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으며, 다차원 적으로 서로 참여할 준비가되어있는 사려 깊고 신중한 인간을 필요로 할 뿐이다. 또한, 그것은 임상 의학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것을 초월하여 존재한다.

The hallmarks of humanism are its universality, its egalitarianism, and its scope. Its concerns, on the one hand, and obligations, on the other, apply to all humans equally; its training ground, for the most part, is experience—as a human and with humanity; and its ultimate vision is for human welfare, as broadly conceived as possible. It requires neither professional expertise nor special knowledge, only reflective and thoughtful human beings who are ready to engage one another across multiple dimensions. Furthermore, it is in no way bounded by clinical medicine but transcends it.



대조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적으로 구축 된 지역적 현상이다. 그것은 "직업"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에 바탕을두고 있습니다. Eliot Freidson의 고전적 정의에 따르자면, "전문지식이 반-자율적 미니-사회로서 독립적으로 기능할 권한을 부여하는 일군의 특화된 근로자worker". 사회적 단위로서의 profession의 강점은 뚜렷하고 통합된 집단적 정체성을 주장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다음의 통해서 이루어진다. 

  • 전문 단체 참여;

  • 부유하고 내부적인 전문 문화를 양성

  • 직업의 기준에 어긋나는 사람들에 대한 비난.

프로페셔널리즘은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대한 기대를 이데올로기 수준까지 올리며, 모든 구성원이 profession의 전통을 받아들이고, 가능한 한 "프로페셔널"하도록 격려합니다.

Professionalism, in contrast, is a socially constructed, local phenomenon. It is rooted in a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a “profession,” for which I rely on the late Eliot Freidson’s13 classic definition in his landmark Profession of Medicine: a group of specialized workers whose expert knowledge earns them the right to function independently as a semiautonomous mini- society. The strength of a profession as a social unit lies in its members’ assertion of a distinct and consolidated collective identity, whether through 

  •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organizations; 

  • the nurturing of a rich, internal professional culture; or 

  • censure of those who deviate from the profession’s standards of conduct. 

Professionalism raises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 behavior to the level of ideology, encouraging all members to embrace the traditions of the profession and to be as “professional” as they can.



그러나 프로페셔널하다는 것은 정확히 무엇인가?

But what, exactly, does it mean to be professional?




예를 들어, 공감, 존경, 연민은 확실히 의학의 self-image의 일부이지만, 다음의 것들도 있다.

  • 의사의 적절한 복장, 태도, 언어 및 습관에 대한 특정 표준;

  • 낯선 사람들을 expose하고 touch하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사회적 금기를 trespass하는 것에 대한 일정수준의 인정

  • 임상 상황에서 환자 간호와 학생 멘토링을 조화시킬 준비

  • 의사 책임의 한계에 대한 암묵적인 이해

  • 본질적으로 과학 분야로서의 의학의 비전

Empathy, respect, and compassion, for instance, are certainly part of medicine’s self-image, but so are 

  • certain standards of the appropriate dress, demeanor, language, and habits of a physician; 

  • a level of comfort in trespassing usual social taboos of exposing and touching strangers; 

  • a readiness to blend patient care with student mentoring in clinical contexts; 

  • a tacit understanding of the limits of physician responsibility; and 

  • a vision of medicine as an essentially scientific field. 


이 요소들 중 어느 것도 노골적으로 반대할 것은 없지만, 몇몇은 의심할 여지없이 어떤 '가치'가 담겨있으며, 토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도 거의 의학의 전통 그 자체보다 조금 더 정당화된다. 프로페셔널리즘의 이데올로기는 introspection을 위한 어떠한 기초도 제공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모든 것을 촉진합니다.

None of these elements by themselves are outright objectionable, but several of them are unquestionably value laden and could be subject to discussion, yet they are usually justified by little more than the traditions of medicine themselves. An ideology of professionalism simply promotes all of them indiscriminately without offering any basis for introspection.






휴머니즘은 보편적 가치에 호소하는 반면, 

프로페셔널리즘은 주로 주변의 일반인 공동체와 구별되는 self-identity를 가진 그룹의 local tradition에 뿌리를두고 있습니다.

While humanism appeals to universal values, professionalism is rooted in the local traditions of a group whose self-identity lies primarily in its distinction from the surrounding lay community.



머리가 좋고 민감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휴머니즘에 대해 논평 할 수있는 반면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규범적 이해는 전문 집단에 속해 있다.

Anyone with a good head and sharpened sensitivities may comment on humanism, whereas the normativ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belongs to the professional group,




전문가 그룹은 프로페셔널리즘의 내용과 이슈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기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의 내용 역시 인본주의의 내용보다 좁습니다.

The content of professionalism, too, is narrower than that of humanism because the professional group defines what the content and issues for professionalism will be.



동기 부여 역시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을 나눈다. 인본주의는 주로 인류를 향한 의무에서 나온다

한편,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에만 간접적으로 관련됩니다. 전문직이 사회에 대해 더 나은 service를 하는 것이 결과일 수는 있지만, 프로페셔널리즘 자체는 주로 전문직 자신을 위하여 자율성과 Integrity를 보호하기위한 것이다.

Motivation is also a dividing point for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Humanismemanates from a primary duty towards humanity. Professionalism, on the other hand, relates only indirectly to society.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s service to society might be a result, but professionalismitself is aimed primarily towards protecting the autonomy and integrity of the profession for its own sake.14



휴머니즘의 중심은 철학입니다. 사회적 과정이 휴머니즘적 도덕 발달에 기여할지라도, 교리doctrine는 본질적으로 인지적이며 따라서 항상 합리적 담론의 적용을받습니다.

Humanism, at its heart, is a philosophy. Although social processes may contribute to humanistic moral development, the doctrine is an essentially cognitive one and, therefore, always subject to rational discourse.


이와는 대조적으로 전문직과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적 현상입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을 습득하는 주된 방식은 합리적인 학습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그 집단에 새로운 구성원들이 (집단의 사회적 전통을 흡수하는) 강렬하고 잘 연구 된 사회화 과정을 통해서이다 .16-19

The professions,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y contrast, are social phenomena. The primary mode of initiation is not through rational learning but, rather, through an intense and well- studied socialization process through which newcomers absorb the social traditions of the group.16–19



도덕 심리학 분야에서 용어를 빌리려면 전문성이 "인습적사고conventional thinking"를 대표하지만 인본주의는 "후인습적사고postconventional thinking"의 예이다.

To borrow terms from the field of moral psychology, professionalism typifies “conventional thinking,” whereas humanism is an example of “postconventional thinking.”20


인습적 사고는 사회 협약의 좁은 시각을 통해 행동을 판단합니다.

Conventional thinking judges behavior through the narrow lens of social convention. 


후인습적 사고는 단순히 받아 들여진 관행을 초월하여, 인간 상호 작용을위한 공정하고 보편적인 지침을 마련하고자한다.

Postconventional thinking, on the other hand, seeks to transcend mere accepted practice and construct fair, universal guidelines for human interaction. 


인습적 사고가 확립 된 사회적 역할과 규범에 대한 과도한 매혹fascination에서 흘러 나오는 반면에, 

후인습적 사고는 종파적 사고와 사회적 계급에서 벗어나 우리의 공통적 인 인간 정체성에 탐닉 할 때 가장 번성합니다.

Whereas conventional thinking flows from an undue fascination with established social roles and norms, postconventional thinking thrives best when we break out of sectarian outlook and social rank, indulging instead in our common human identity. 


인습적 사고는 고립된 그룹의 관례와의 비교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그것이 통과한 판단을 분석할 언어를 제공하지 않는다.

Conventional thinking, on the other hand, relies completely on comparison with an isolated group’s conventions and offers no language through which to actually analyze the judgments it passes.


후인습적 사고는 여러 관점을 고려하고 공통 핵심 가치를 파악하는 숙의 과정입니다.

Postconventional thinking is a deliberative process through which we consider multiple perspectives and identify common core values. 



휴머니즘과 관련하여 의학적 맥락에서 배운 교훈은 유익 할 수도 있지만, 전문직 정체성과 달리 휴머니즘은 자연인 정체성lay identity로서 자연스레 흐른다.

Regarding humanism, lessons learned from the medical context may be instructive, but humanismactually flows most naturally from a lay, rather than a professional, identity.



프로페셔널리즘의 한계도 분명해진다. 모든 형태의 인습적 사고와 마찬가지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여러 유형의 범법을 합리적으로 구별 할 수 없습니다. 기본 원칙으로부터 논리적으로 구축되고, 따라서 도덕적 책임의 정교한 위계를 개발할 수 있는 휴머니즘과는 달리, 프로페셔널리즘은 도덕적 가중치를 부여하는 분석 도구 없이, 임의arbitrary의 관습에 대한 정적 영역static field에 직면합니다.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저 의업의 관행convention에서 일탈했다는 것 정도를 의미할 뿐이다.

The limits of professionalism also become apparent. As with all forms of conventional thinking, professionalism cannot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types of transgressions on a rational basis. In contrast to humanism, which is logically constructed out of foundational principles and can therefore develop a sophisticated hierarchy of moral responsibilities, professionalism confronts a static field of arbitrary conventions without any analytical tool for assigning moral weights. Acting unprofessionally means little more than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s of medicine.



예를 들어 프로페셔널리즘은 환자에게 거짓말하는 것이 왜 티셔츠를 입고 출근하는 보다 나쁜지를 설명 할 수 없다.

for instance, professionalism cannot explain why lying to a patient, is worse than wearing a T-shirt to work,



그러나 이런 것은 철학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학적 탐구일 것이다.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이 사회학자들을 매료시킨 것도 당연하다. 반면에 일부 철학적 관심을 가진 임상의는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이 thin하다고 보았 .24-25 이와 달리 휴머니즘은 (진료실에서 옷을 차려입지 않는 것에 비해서) 왜 환자를 속이는 것이 환자의 본질적인 인간성을 존중하지 않는 것인지에 대한 일관된 주장을 제시 할 수있다.

Such an undertaking, however, would be a sociological inquiry, not a philosophical one. No wonder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has fascinated sociologists,21–23 whereas some philosophically inclined clinicians have regarded it as conceptually thin.24–25 Humanism, on the other hand, can offer a coherent argument for why deception more gravely disrespects a patient’s essential humanity than does dressing down in the clinic.


그렇다고 해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이 이기적이고, 부정직하고, 익살스럽고, 심지어는 버려도 되는 것임을 의미하지 않는다.

None of this means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is self-serving, disingenuous, farcical, or even dispensable.



프로페셔널리즘을 특징짓는 것은 

  • socially constructed 되었다는 본질이며, 따라서 프로페셔널리즘은 본질적으로 임의적인arbitrariness 것입니다. 

  • 프로페셔널리즘이 중첩되고, 교차하며, 모순적인 목표와 이해의 이질적인 얽힘이라는 것 (예 : Care에 대한 접근성 향상과 의사에 대한 높은 보상의 전통 유지 사이의 갈등); 그리고 

  • 프로페셔널리즘의 숙고적이기보다는 인습적인 특성 

What does mark professionalism, is 

  • its socially constructed nature and, therefore, its essential arbitrariness; 

  • its heterogeneous tangle of overlapping, intersecting, and contradictory goals and interests (e.g., the conflict between improving access to care26 and preserving a long tradition of high compensation for physicians); and 

  • its conventional, rather than deliberated, character. 

여러 의료계가 프로페셔널리즘을 어떻게 다르게 해석했는지 깨닫는 것은, 현재 그것을 맹세하고 있는 사람들이 깨달아야 할 점이다. 예를 들어, 21 세기의 프로페셔널리즘이 과학적 요소를 넘어서서 의학의 기술art을 강조한다면, 20세기 초반에는 정확히 그 반대였는데, 그 당시 프로페셔널리즘은 무엇보다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고 과학적 단호함stoicism을 강조했다.

Just realizing how differently various medical circles have interpreted professionalism over time ought to chasten those who currently swear by it. If professionalism in the 21st century emphasizes the art of medicine over its scientific component, for instance, the exact opposite was true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professionalism in medicine meant emotional distance and scientific stoicism above all else.27



프로페셔널리즘 의제를 담당하는 전문직 societies가 스스로 공범자라면, 비판은 어디에서 올 수 있습니까? 그리고 만약 일반인의 휴머니즘이 실제로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심이된다면, 이러한 관행과 관련하여 대중의 분노와 professional smugness의 불균형을 어떻게 설명 할 수 있을까요?

If the professional societies responsible for the professionalism agenda are themselves complicit,29 from whence can come a critique? And, if lay humanism has indeed become central to medical professionalism, how do we explain the disparity between public outrage and professional smugness with regard to these practices?




의학교육의 "거친 가장자리"에서

At The “Rough Edge” of Medical Education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긴장을 문서화하려면, 의학지식을 수동적으로 흡수하던 학생이 의료시스템의 능동적 참여자로 전환하는 3학년 임상실습학생을 관찰하면됩니다. 이러한 변화가 스트레스를받는다면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이 임상실습생이 휴버니즘에 대한 근본적으로 다른 문화적 이해 겪게 되면서, 갑자기 순수한 일반인의 정체성을 벗어나 전혀 다른 비-성찰적 문화를 내면화해야하기 때문입니다.

To document the tension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one need only observe third-year medical clerks as they shift from passive absorbers of medical knowledge to active participants in the health care system. If this transition is stressful, one of the primary reasons is because these clerks must suddenly leave behind a purely lay identity and internalize an entirely different,17 unreflective culture,30 including a radically different cultural understanding of humanism.


대학 교육은 무엇보다 인격과 개존중을 옹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초기 임상 교육은 이제 환자에게 항의protest의 기회를 거의 제공하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스스로 진입, 교란, 깨우기, 옷을 벗기고 조사 할 것을 지시합니다.

Whereas students’ college educations likely championed respect for persons and personal integrity above all else, their early clinical training now instructs themto enter, disturb, wake, undress, and examine at will in an environment that hardly offers the patient a chance to protest.



"종종 병원에서는 입원한 사람들의 삶에 침입하여, 내가 원하는 것만 얻고는 계속 나아 간다."31

“Often in the hospital setting I feel I intrude into people’s lives, take what I want, and move on.”31


우리가 다소 어쩔 수없이 그것이 불가피하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러한 행동이 필연적으로 (medical profession이 거의 알아채지 못하는 수준까지) 학생들의 일반적 감수성을 배신하고, 훼손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Even if we assume, somewhat generously, that it is unavoidable, this doesn’t change the fact that these behaviors inevitably betray and, quite possibly, erode32 the lay sensitivities of medical students to a degree that the medical profession rarely acknowledges.


우리는 의대생의 자체보고 된 내적 긴장과 갈등을 조사함으로써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거친면을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학교육이 진행되며 관찰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ethical lapses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보고했을 뿐만 아니라, 점점 standards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했다.

We can learn much about the rough edge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education from examining medical students’ self-reported internal tensions and conflicts. Several studies, have documented the ethical lapses that medical students both observe and participate in during medical school, as well as a trend towards lower standards as medical education progresses.31,33–44


그러나 이러한 분석에서 빠진 것은 '비 윤리적'이나 '비전문적'과 같은 가치 판단이 사회 학적 구성 요소라는 인식이다. Charles Bosk 45-46은 "medical error"에서 "오류"의 정의는 "협상 된 개념"이며, 해석의 대상이되고, 보건 의료 시스템에서 개인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영향을 받는다고 강조했다. 이는 행위의 판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환자가 무례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의사에게 받아 들여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예 : 응급실에서 외상 환자의 즉각적인 전신 노출)

However, what is missing from many of these analyses is the recognition that value judgments such as “unethical” and “unprofessional” have a sociological component to them. Charles Bosk45–46 has emphasized a similar point with regard to medical error, arguing that the very definition of “error” is a “negotiated concept,” subject to interpretation and influenced by one’s role in the health care system. The same holds true for judgments of conduct. What a patient considers rude might seem acceptable to a physician (e.g., immediate total-body exposure of trauma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물론, 여기서 엄청난 분열에 휩싸이는 것은 일반인과 전문인의 얇은 경계에 서있는 의과대학생이다. 의료 학생은 하루 또는 그 상사의 분위기에 따라 병원 작업 그룹의 일원으로도, 또는 외부인으로도 대우받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은 간호사 스테이션의 안쪽과 바깥쪽을 모두를 학습하며, 내부자의 관점은 물론 여전히 존재하는 일반인의 눈으로도 보게됩니다 .40

Straddling the great divide, of course, is the medical student, who lives on the ever-so-thin boundary between lay and professional. Depending on the day, or the mood of their superiors, medical students may either be granted entry into the hospital’s work group or be treated as outsiders. Similarly, students themselves study their environment from both sides of the nurses’ station, viewing it alternatively as insiders or through the eyes of the lay community from which they are still emerging.40


이 사건은 일반인과 전문직,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투쟁을 볼 수있는 독창적 인 렌즈를 제공 할 수 있다.

The cases can provide a unique lens through which to view the struggles between lay and professional,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비록이 두 가치 체계가 의대생의 영혼에 평화롭게 공존하면 좋겠으나, 그 데이터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라고 제안합니다.

Although popular wisdom holds that these two value systems should peacefully coexist in the soul of a medical student, the data, suggest that this is not always the case.


외관상으로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처럼 보이는 의료시스템에 대한 학생의 절망에는 몇 가지 주제가 있다. 가장 흔한 것은 병동의 보건 의료 팀의 권한과 권위에 대한 학생의 불편 함입니다. 학생들이 개업의와 클라이언트 간의 관계를 더 잘 상상하는, 반면 실제로 병원에서는 환자가 자신의 질병을 통제 할 수있는 부분을 상당히 빼앗아간다.

Students’ reported dismay about the seemingly normal functioning of the health care system around them falls along several different themes. By far, the most common is student discomfort with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health care team over its ward. Whereas the students imagine a more even relationship between practitioner and client, the hospital setting in practice robs patients of much of their control over their illnesses, right down to their very diagnoses.



현대 의료 시스템에서 의료 결과는 환자만의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진단 결과를 환자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공유할 것인지는 주치의의 결정사항이다. 학생들의 상사는 정상 참작extenuating 상황에서도 이 소유권을 당연하게 여깁니다. 반면에 학생들은 의사의 전지전능함과 환자의 좌절스러운 blindness 사이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이러한 형태의 권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합니다.

In the modern health care system, medical results do not belong to the patient. Rather, they rest with the attending physician, who controls when, where, and how to share themwith a patient. The students’ superiors take this ownership for granted, even in extenuating circumstances. The students, in contrast, express deep misgivings about this formof authority, as they find themselves uncomfortably situated right at the gap between physicians’ medical omniscience and patients’ frustrating blindness.



학생들이 의학의 경계에 대해서 놀라는 것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줄다리기를보다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More directly demonstrative of the tug-of-war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is students’ surprise with the boundaries of medicine.



학생들이 사회 문제를 포함하는 광범위하고 휴머니즘적 건강과 번영 개념을 가지고 임상적 맥락에 접근하는 반면, 학생들의 종종 superiors들이 사회적 문제를 제외하고 유기적 질병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을 보게 된다.

Whereas the students approach the clinical context with an expansive, humanistic conception of health and flourishing that includes social concerns, they sometimes find that their superiors exclude primarily social problems from the medical realmand focus only on organic disease:




학생은 (주치의가) 심각한 만성 환자의 건강과 복지라는 더 큰 위협을 무시하면서, 급성 호흡기 문제에만 집중하는 데 큰 아이러니를 보게 된다.

The student, apparently, sees great irony in narrowly focusing on an acute respiratory problemwhile ignoring the larger threats to health and well-being in this chronically ill patient.



인턴은 무관심합니다. 냉소주의 때문이든 사직 때문이든, 그 둘 다든, 그 인턴은 자신의 전문적 역할을 좁게 정의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환자가 다시 입원하더라도 그 때는 다른 사람이 볼 것이다.

The intern, however, is uninterested. Whether out of cynicism, resignation, or both, he has learned to define his own professional role just that narrowly. The patient’s next admission will belong to someone else.



파슨스 (Parsons) 등에 따르면, 학생들은 의학 문화에 대해 "외부인" 또는 "내부자"의 입장을 오가며 환자 또는 의사의 관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실습 초기에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속어와 유머 감각을 보고는 그것의 유머 감각의 적절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According to Parsons et al, students may be alternatively “outsiders” or “insiders” to the medical culture, capable of identifying with either the patients’ or the physicians’ perspectives. Early on, students express shock at the slang and humor in the hospital, observing from the sidelines and questio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humor:




[레지던트들은] 노인 환자를 두꺼비와 개구리, 고메 (GOMER의 단축 된 형태)로 이야기했습니다. 나는 환자가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 본 적이 없었다. 그리고 교실에서 클리닉으로 갈 때 의사들이 생각했던 것과 같은 이상을 가지고 .... 큰 축구 팀처럼 아침 식사를하면서 20 명의 의사가 환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매우 실망스러웠다.

[The residents were] talking about older patients as toads and frogs and gomes [a shortened formof GOMER]. I had never heard patients talked about in that way. And just going from the classroom to the clinics with all these ideals of what doctors were supposed to be like....It was 20 [physicians] sitting at breakfast together like a big football team and talking about patients in a way that was very disappointing.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은 그들의 superior를 어떻게 identify할지를 배우며, 유머를 더 많이 받아들이며, 심지어 그 유머에 참여하는 방법을 배우게됩니다. 초기에 실망했따고 묘사한 학생이 subinternship을 끝내면서 자신의 태도의 변화를 설명합니다.

Over time, however, the students learn to identify with their superiors, growing more accepting of the humor and even participating. The same student who described initial disappointment then explains the shift in attitudes that came with finishing a subinternship:




의사들이 처음에는 사람들에 관해 이야기하는 방식에 너무 놀라웠습니다. 그러나 피곤하고 수면을 박탈당하는 한 달을 끝내고, 어리석은 것들을 위해 밤새도록 일어나서, 나는 좌절이 어디서 오는 지 볼 수 있습니다. 나는 아직도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조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사람들이 왜 환자와 가족에 관해 그렇게 말하는지를 알 수 있다.

I was so shocked at the way doctors talked about people in the beginning. But having just finished a month of being that tired and sleep deprived, and being up all night for really stupid things, I can see where the frustration comes from. I still don’t think it’s right, but I can understand it a little. Now it’s no longer inconceivable to me why people talk that way about patients and families.




다시 한번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party line에 결코 순응하지 않는 행동 양식을 만나지만, 학생에게는 그 조차 medical profession의 중요한 부분인 것이다.

Yet again, we encounter a formof behavior that by no means conforms to the party line on professionalism, yet is, for the students, part and parcel of belonging to the medical profession.



의미 론적 대담에 빠지기보다는, 하나의 간단한 점을 강조 할 것입니다: 학생들이 보는 방식은 그렇지 않다. 그들에게, 이것은 가장 authentic한 professional medicine이다. 같은 이유로, 저는 두 사람 모두 의과 대학 학생을위한 직업적 규범을 대표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이 상황에서 입소자와 주치의 사이의 구별을 글로 나타내 었습니다. 학생의 관점에서 볼 때, collective, naive 양심은 professional practice의 관습에 어긋나지만, 많은 경우 결국 굴복했다. 데이터가 암시 하듯이, 학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며, 예를 들어 한때 불편해했던 방식으로 환자에 대해 이야기하게 된다. 

Rather than descend into a semantic squabble, I will highlight one simple point: that’s not how the students saw it. For them, this was professional medicine at its most authentic. For the same reason, I have glossed over any distinction between resident and attending behavior in this context because both, I believe, were representative of professional norms for the medical students. from their perspective, their collective, naı¨ve conscience was hitting up against the conventions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in many cases, it succumbed. As the data suggest, the students evolve over time, willing, for instance, to speak about patients in ways that they themselves used to find disturbing.34,38,40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정확하게 묘사해야합니까? 이것은 진정한 가치를 잃는 현상입니까 아니면 새로운 전문 가치를 얻는 것인가?

How, exactly, should we describe this transition? Specifically, is this indeed a phenomenon of losing values, or would we better describe it as a gaining of a new set of professional values?



대답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윤리적 타락의 스토리가 의학 교육의 프로페셔널리즘의 현재 물결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the answer is crucial because the storyline of ethical erosion is central to the current wave of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의대생이 보고 한 변화를 일반적인 휴머니즘적 가치와 프로페셔널 가치를 거래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프로페셔널리즘을 더 강하게 요구하는 것은 그 대응이 될 수 없다. 그렇게 한다면, 오히려 의과대학생들에게 우리가 추구하는 바를 정확하게 잃게 할 것이다.

if we interpret the changes that medical students report as a process of trading lay, humanistic values for professional ones, then pushing professionalism even harder cannot be the response. To the contrary, all it does is further befuddle medical students about exactly what we seek from them.



화이트코트 세러모니

The White Coat Ceremony


혼란이 시작되는 미국 의학 교육을위한 거의 보편적 인 오프닝 종인 화이트 코트 의식 (White Coat Ceremony)을 보자. 골드 재단은 프로페셔널리즘을 향한 추세를 좌절시키고 "의학의 휴머니즘"을 주요 미션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7 화이트 코트 의식은 [의식과 보상을 통해 가치와 전통을 구축하려는 노력]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업적입니다. 그것은 휴머니즘을 높이고 확장시킬 것입니다. "10 그러나 금 재단은 이 목적을 위해 어떤 상징을 사용합니까? 하얀 가운, 즉 직업으로 medicine의 최고 아이콘이다.

we come to the White Coat Ceremony, the almost universal opening bell for American medical education, where the confusion begins. The Gold Foundation, to its credit, has bucked the trend towards professionalism and continues to identify “humanism in medicine” as its primary mission.7 The White Coat Ceremony remains its most visible achievement in trying to “build values and traditions through rituals and rewards that would elevate and expand humanism.”10 But what symbol does the Gold Foundation use for this purpose? The white coat, the supreme icon of medicine as a profession.




White Coat Ceremony를 통해 휴머니즘의 locus는 (내부에 숨어있는 알몸의 취약한 일반 인간보다는) 배타적인 외부 유니폼이 된다. 학생들은 의식이 끝날 때 휴머니즘에 빠질뿐만 아니라 자신의 직업적 사회화 (즉, "가운을 입는 것")가 미덕의 원천이며, 의사로서 필요한 민감성, 용기, 겸손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됩니다. 

Through the White Coat Ceremony, the locus of humanism becomes an external uniformof exclusivity rather than the naked, vulnerable, common human being who hides inside. Not only do students miss the point of humanism in the moment of the ceremony, they also learn that their professional socialization (i.e., “putting on the coat”) is a source of virtue, providing a full dose of the sensitivity, courage, and humility they will need as physicians.




또한 미래에 이 신앙이 흔들릴 때마다 의료계는 프로페셔널리즘 역량에 중점을 두고, 자체보고 된 윤리적 타락의 감각에 답하면서 메시지를 반복합니다. 이렇게 의대생들은 일반인의 휴머니즘과 거부당한 프로페셔널한 가치 사이에서의 내부적 투쟁의 오랜 여정을 시작합니다.

Furthermore, whenever this faith falters in the future, the medical establishment repeats the message, responding to a self- reported sense of ethical erosion with a greater emphasis on competencies in professionalism. So begins a long journey for medical students of having their internal struggles between lay humanistic and professional values denied,



화이트 코트 시상식에 잠복 해있는 문제가되는 주제들이 있다.48-50 Robert Veatch49는 골드 재단이 교수와 학생 간의 "결합 과정bonding process"을 긍정적으로 묘사 한 것에 비판적이었습니다. Veatch는 WCC가 "학생들을 일반인 집단으로부터 상징적으로 분리setting apart시키는 것"으로 묘사되는 것이 정확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Amidst all the acclaim,8,47 some of the problematic themes latent in the White Coat Ceremony have been recognized.48–50 Robert Veatch49 has been particularly sharp in his criticismof what the Gold Foundation positively describes as a “bonding proces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7 Veatch charges that the White Coat Ceremony is better described as “a symbolic ‘setting apart’ of the student from the lay population.” He concludes that



만약 "bonding process"의 진정한 기능이 [상징적으로 학생들을 학생이 미래에 만날 환자들의 문화로부터 분리시키고, 의료직 종사자들의 새로운 문화에 위치시킴으로써, 학생이 원래 유래했던 사람들과 문화로부터 고립시키는 것]이라면 그 과정이 tolerable한지 의심스럽다.

it is doubtful that a “bonding process” is tolerable if its real function is symbolically to remove students from the culture from which they and their future patients come and to place themin a new culture bonded with medical practitioners from all manner of traditions but increasingly isolated from the people and cultures fromwhich they have come.




Veatch가 빼놓은 것은 WCC가 실제로 "의학의 휴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WCC는 일반인에서 의학 전문가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ritual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그 결과로 보편적인 휴머니즘의 가치에 더 연결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What Veatch leaves out is that the ceremony is actually staged in the name of “humanism in medicine.” Not only does it ritualize the conversion of medical students from lay people into professionals, but it claims that the students will be more connected with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ism as a result.




Veatch에 대하여, 다른 저자들은 personal value와 professional ethics, 일반 문화와 전문직 문화 사이의 고유한 긴장을 거부한다. 예를 들어, Raanan Gillon (51)은 "bonding process는 의과대학생과 의사의 도덕적, 문화적 약속을 강화하고 확장하는 것으로 의도 한 것이지, 그들이 이미 가지고있는 것들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다 "라고 썼다.

Responding to Veatch, other authors8,51 reject what Veatch sees as an inherent tension between personal values and professional ethics, between lay and professional culture. Thus, Raanan Gillon,51 for instance, writes that the bonding process “is intended as an enhancement and expansion of a medical student’s and a doctor’s moral and cultural commitments, not a replacement of those they already have.”



그러나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어떤 의대생이나 사려 깊은 의사도 증명할 수 있듯, 긴장감은 실제로 무척 깊고 체계적이다. 우리가 그들을 인정한다면, 적어도 우리는 그들과 개방적으로 대면 할 수있는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 충분한 겸손으로 우리는 일반인 커뮤니티의 의견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독선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의 변덕에 일반인 커뮤니티의 가치관이 얼마나 쉽게 휘어지는지 대한 의견을 분명히 말해야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 갈등을 부정한다면, 우리는 대중이 의사의 얇은 베일을 지적할 때를 기다리면서,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의 매혹적인 외투로 우리 자신을 더욱 단단히 감쌀 것입니다.

If only it were so simple. As any medical student or reflective physician can attest, the tensions are real, deep, and systematic. If we acknowledge them, we will at least have a chance to confront them openly. With enough humility, we might even seek the input of the lay community, who arguably ought to have a say in how easily its values should bend to the whims of self-righteous professionalism. If we deny the conflict, however, we will only continue to enwrap ourselves ever more tightly in this enchanted cloak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waiting for the public to point out that we are thinly veiled indeed.





아놀드 P 골드의 유산

The Legacy of Dr. Arnold P. Gold


골드 재단이 우연히 프로페셔널리즘 정치에 빠져 들게 된 것은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그 재단의 mission이 핵심에 근접해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유일한 이유는 Gold에게 화이트코트라는 것은 1950년대의 의학 전통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It is unfortunate that the Gold Foundation has accidentally stumbled into the politics of professionalism, for its mission is genuine to the core. If it has done so, it is only because the white coat for Dr. Gold, it seems, symbolizes the medical tradition of 1954, when, in his words,


(그 시대에는) 오늘날과 같이 경쟁하는 가치나 메시지가 팽배해있지 않았다. 레지던트와 학생들은 그들의 주치의가 모델 한 것을했습니다. 휴머니즘은 원칙이었고, 개인 비용이 무엇이든간에 환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표준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공식 교육과정과 잠재 교육과정은 동일했고, 성공에 대한 기대가 명확하게 정의되었습니다 .10

There were none of the competing values and messages that are prevalent today. Residents and students did what their attendings modeled. Altruism was the rule, and meeting the needs of the patients, whatever the personal cost, was the norm. In effect, both the formal and the hidden curriculum were one in the same, and expectations for success were clearly defined.10


그러나 아이러니 한 점은 오늘날의 의대생에게 화이트코트는 (1954 년의 의료 전문직이 아니라) (아놀드 박사와 산드라 골드 박사가 골드 재단을 시작하도록 강요한) 현재의 의료 문화를 상징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골드 재단은 휴머니즘과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gap에 붙잡혀버렸으며, 오늘날 의학 문화의 변덕과 환상에 영원한 가치를 부여합니다. 무의식적으로, 그것은 그것이 휴머니즘의 정신을 배반했다고 주장하는 매우 프로페셔널한 개념으로 학생들의 사회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The irony, however, is that to today’s medical students, the white coat symbolizes not the medical profession of 1954 but the current medical culture that compelled Dr. Arnold and Dr. Sandra Gold to launch the Gold Foundation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the Gold Foundation has gotten caught in the very gap between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tying timeless values to the whims and fancies of today’s medical culture. Unwittingly, it is contributing to the socialization of students into the very professional conception that it claims has betrayed the spirit of humanism.


그러나 여기에는 더 큰 오류가 있습니다.

But there is a greater fallacy here,


Gold 박사가 caring physician이었다면, 그것은 그가 professional ranks에 합류했기 때문이 아니라, 휴머니즘을 의학에 적용할 수 있었던 휴머니즘적 의사들와 함께 훈련했기 때문이다.

If Dr. Gold became a caring physician, I suspect that it was not because he joined the professional ranks of physicians but because he trained with humanistic doctors who brought humanism to their medicine.


나는 골드 박사가 매우 독보적인 인간이나 휴머니스트라고 생각한다. 그의 비서의 말을 자세히 읽어보았다. "환자가 골드 의사를 떠나며 '정말 좋고 친절한 사람이군요'말하지 않은 적은 거의 없다"라고 강조했다. 골드 재단이 수여하는 탁월한 실천 모델은 어떤 프로페셔널 정체성보다도 골드 박사의 핵심 인물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보여줄 것입니다.

My own hunch is that Dr. Gold is an extraordinary human—and humanist—in every sense, and I read his secretary’s words carefully when she comments, “It is rare when a patient leaves Dr. Gold’s office to not mention what a sweet and kind human being he is”52 (emphasis added). I would venture that the outstanding model of practice that the Gold Foundation honors draws more on Dr. Gold’s core person than any professional identity.


이것은, 궁극적으로, 의대생의 필사적 필요성에 대한 Dr. Gold의 유산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의료계에 사회화됨에 따라 당신은 mixed bag을 받을 것입니다; 당신 자신 이외의 아무도 당신의 성격 개발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없습니다. 그리고 이 character는, 당신의 환자가 의지하는 바로 그것이며, 궁극적으로 (당신이 어떤 의사인가가 아니라) 당신이 어떠한 인간인가에서 자라나는 것이다.

This, ultimately, is the potent message of Dr. Gold’s legacy that medical students so desperately need: your socialization into the medical system will hand you a mixed bag; no one besides yourself can be responsible for your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this character, on which your patients will rely, will ultimately grow out of what kind of person, not how much of a physician, you are.


우리는 학생들에게 흰 코트를 입는 방법이 아니라, 그것을 벗는 법을 가르쳐야합니다.

We do not need to teach students how to put on their white coats, but how to take themoff.


Sandra Gold 박사의 의견의 정신,

the spirit of a comment by Dr. Sandra Gold,


"훈련중인 모든 의사가 환자로 일주일을 보내야한다는 것입니다."10 엘리트의 코트에 학생들을 가두는 대신, 1991 년 영화 The Doctor에서 한 장면을 빌려서 학생들이 인간의 나약함을 보여주는 '병원 입원복'이라는 공통의 복장을 입히는 것이다.

“One thought is that every physician in training should spend a week as a patient.”10 Rather than cloak the students in the coats of the elite, I would borrow a scene from the 1991 film The Doctor and dress the students in the common garb of human frailty: a hospital gown.


취약하고 약간 노출 된 상태에서, 그들은 평균 병원실의 일일 인구보다 약간 많은 수의 군중 앞에서 설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은 관대하지 못한unforgiving 의료가 환자들을 인간됨의 가장 바닥까지 끌어내릴 수 있음을 잊지 않도록 맹새할 것이다. 그리고 나면, 아마도 학생들은 [환자와 의사를 구분짓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의사가 공유하는 것]에서부터 의학교육에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

Vulnerable and slightly exposed, they could stand in front of a crowd that only slightly outnumbers the daily census of an average hospital room and pledge never to forget how unforgiving medical care can be in stripping patients down to their bare humanity. Perhaps students would thus embark on their medical education with a reminder of what they share with their patients rather than what sets them apart.



결론: 프로페셔널리즘보다 휴머니즘

Conclusion: Humanism Over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가짜 프로페셔널리즘에 의해 swallowed되기에는 휴머니즘은 의학에 너무 소중하다. 오히려 휴머니즘은 외부 표준으로 남아 있어야합니다. 때때로 우리는 우리의 실천을 비판하고 전문적인 가치를 다시 언급 할 수 있어야 한다.

Humanism is too precious to medicine to be swallowed up by pretentious professionalism. To the contrary, humanism must remain the external standard by which we can occasionally critique our practice and recenter our professional values.


그러나 휴머니즘을 그것의 보편적 가치를 침해하려는 프로페셔널리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건강과 질병의 특정 영역을 초월하는 광대한 휴머니즘 정신이 끊임없이 우리의 시각을 움직이고 고양시키는 의학의 실천을 추구해야 한다. 아마도 적어도 학부 의학교육의 수준에서는, 편협한 프로페셔널리즘보다는 휴머니즘의 보편적 원칙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But it is not enough just to protect the universal values of humanism from an encroaching professionalism. Rather, we ought to foster a practice of medicine in which an expansive spirit of humanism that transcends the specific realm of health and disease continually animates and elevates our perspectives. Perhaps a greater emphasis on the universal principles of humanism, rather than on parochial professionalism, is in order, at least at the level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유치원에 정치적 배너가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의과대학에도 프로페셔널리즘의 슬로건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의학 교육은 이질적인 용어가 뒤죽박죽 섞여있다면 인해 이익을 얻지 못합니다. 유니폼이 되었든 다른 수단이 되었든 프로페셔널 엘리트주의를 보호하는 것만큼 끔찍한 인본주의는 없으며, 그와 같은 개념을 부적절한 지점까지 싸우는 위험을 가장하는 척할 수 있습니다.

Medical schools do not need the slogans of professionalism any more than kindergartens need political banners. Nor does medical education benefit from the jumbling of disparate terms. There is nothing terribly humanistic about protecting professional elitism, whether through uniforms or other means, and to pretend otherwise risks cheapening the very concept to the point of irrelevance.


우리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지적인 공간과 정서적 인 공간으로, 거침없이 일반인에서 전문직이 되어가는 과정을 성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 대해 멘토의 검증을 받을 수도 있다. 우리는 미래의 의사들이 상충하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자각을 완전히 잃지 않도록하기 위해, 학생들을 긴장을 숨기기보다는 자신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휴머니즘의 가치를 의학의 그림에 피상적으로 포함시키는 의사가 아니라, 자신이 행하는 의학을 휴머니즘에 대한 헌신의 일부로 보는 의사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의 의학적,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본질적인 인간의 성격에 subordinate하는 법을 배우도록 해야 한다.

What our students could use most is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space to reflect on their inexorable transition from lay to professional, as well as validation from their mentors about that process. We serve our students best by keeping their tensions alive rather than masking them, lest these future physicians lose total self- awareness of their conflicted social role. Let them learn to subordinate their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to their essential human character, for our goal is physicians who see their medicine as part of a commitment to humanism, not physicians who superficially incorporate values of humanism into their picture of medicine.




40 Parsons GN, Kinsman SB, Bosk CL, Sankar P, Ubel PA. Between two worlds: Medical student perceptions of humor and slang in the hospital setting. J Gen Intern Med. 2001; 16:544–549.






 2008 Aug;83(8):715-22. doi: 10.1097/ACM.0b013e31817eba30.

Humanism or professionalism? The White Coat Ceremony an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New York Hospital Queens, New York, New York 11355, USA. judahg@alumni.upenn.edu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challenges the widely held assumption that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re necessarily complementary themes in medical education. He argues that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are two very different value systems with different rationales, different goals, and different agendas. Whereas humanism is a universal, egalitarian ideology, professionalism represents the parochial, culturally determined practices of a particular professional group that may or may not conform to lay expectations. Distinguishing professionalism from humanism is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divergent attitudes of providers and lay persons with regard to health care delivery and physician behavior. Moreover, it highlights the tension that medical students experience as they are tacitly asked to leave behind their lay, humanistic values and embrace a new professional identity, a transition that the common blurring of humanism and professionalism fails to recognize. In this context, the Arnold P. Gold Foundation's widely acclaimed White Coat Ceremony for entering medical students may actually be inhibiting, rather than encouraging, the genuine growth of humanism in medicine.

PMID:
 
18667880
 
DOI:
 
10.1097/ACM.0b013e31817eba30


도덕 형성으로서 의학교육: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적 설명(Perspect Biol Med, 2010)

Medical Education as Moral Formation: an Aristotelian account of medical professionalsim

Medical Education as Moral Formation: an Aristotelian accou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Warren A. Kinghorn




20 세기 중반 미국의 의사들이 아무 의심 없이 누렸던 professional dominance는 21 세기들어서는 점점 더 의문시되어오며 보잘것없는 전문직 정체성이 되었다.

The unquestioned professional dominance of American physicians in the mid-20th century has become the increasingly questioned and tenuous professional identity of physicians in the 21st century:


지난 10 년간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관심과 저술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을 목격했다. Hafferty와 Levinson (2008)은 최근의 의학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의 발전을 4 개의 연속적이고 중첩 된 "물결"로 추적한다. 

  • 첫 번째와 두 번째 물결은, 

    • 영향력있는 의학 저널 편집자가 상업주의의 윤리적 영향에 대해 의학에 신랄하게 그리고 점점 더 자주 경고하게 되었으며

    • 이는 더 많은 저술과와 조직들이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의 긍정적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성명을 발표하도록 자극했다 (예 : ABIMFoundation 2002; Swick 2000 ).

  • 세 번째와 네 번째 물결에서, 

    • 의학 교육자는 프로페셔널리즘을 평가하고 측정 할 수있는 방법, 

    • 그리고 의학 교육의 틀 내에서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어떻게 가르 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Cruess, Cruess, and Steinart 2009, Stern 2006).

the last decade has witnessed an oftnoted explosion in interest in and writing about “professionalism.” Hafferty and Levinson (2008) trace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movement in four successive and overlapping “waves.” 

  • In the first two waves, influential medical journal editors warned sharply and increasingly frequently about the ethical impact of commercialism in medicine and spurred a number of writers and organizations to produce concrete statements about the positive content of medical professionalism(e.g.,ABIMFoundation 2002; Swick 2000). 

  • In the third and fourth wave, medical educators have increasingly attended to how professionalism can be assessed and measured, and how professional behavior can be taught within the framework of medical education (Cruess, Cruess, and Steinart 2009; Stern 2006).


  • 미국 의과 대학의 '의료 전문 직업인 프로젝트 (Inui 2003)', 

  • 미국 내과의 프로젝트 프로페셔널리즘 (1995), 

  • 대학원 의학 교육의인가위원회 (ACGME) 지속적인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역량"(ACGME 2005)

  •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Medical Professionalism Project (Inui 2003), 

  •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s Project Professionalism (1995), and 

  •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which in 1999 designated professionalism as one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ongoing accreditation (ACGME 2005)


  • 인기있는 저널리즘적 저술 (Gawande 2002), 

  • "의학에서의 휴머니즘"에 대한 강조와 Arnold P. Gold Foundation 이 가능하게 한 흰색 코트 의식(Goldberg 2008)

  • 의학 연구소 (2000)의 의료과오의 빈도와 유병률에 대한 영향력있는 보고서

  • popular journalistic writing (Gawande 2002), 

  • the increased emphasis on“humanism in medicine” and the white-coat ceremony made possible by the Arnold P. Gold Foundation (Goldberg 2008), and 

  • the influential report of the Institute of Medicine (2000) on the frequency and prevalence of medical errors.


이처럼 현대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을 기념할만 한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은 때때로 "전문적인"의사 양성에있어 의학 교육자의 역할을 명확히하기보다는 혼란스럽게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There is a great deal to celebrate in the modern professionalism movement. But I wish to argue that the modern professionalism movement at times threatens to confuse, rather than to clarify, the role of medical educators in nurturing “professional” physicians.



프로페셔널리즘의 세 가지 문제

Three Problems with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은 여러 가치가 복합된polyvalent 개념이다

Professionalism Is a Polyvalent Concept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첫 번째 문제는 그것이 다원적이며 다양한 개념임에도 unitary 개념으로 취급된다는 것입니다. 역량과 마찬가지로 프로페셔널리즘은 함축적인 평가적 가중치implicit evaluative weight를 지닌 명사이다 (Foot 2002). 의사가 최소한 겉으로라도 칭찬받지 않는데, 프로페셔널리즘을 발휘한다고 평가할 방법은 없다.

The first problem with professionalism is that is a polyvalent and diverse concept that is treated as a unitary one. Professionalism, like competence, is a noun that carries implicit evaluative weight (Foot 2002); there is no way to say that a physician exhibits professionalism without, at least ostensively, issuing praise.



현대 의학 프로페셔널리즘 문헌은 온갖 정의의 어지러운 배열로 눈부실 정도이며, 도덕적으로 진실한 사람조차 감히 대담하게 말할 수없는 거의 모든 이름의 행동과 특성을 거의 보여줍니다.

The modern medical professionalism literature is resplendent with a dizzying array of proposed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nearly all of which name behaviors and traits that no morally earnest person would dare to criticize.


Swick (2000), 

Swick (2000), 

2002 년 의사 전문 의료 헌장, (ABIM Foundation 2002).

The 2002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ABIM Foundation 2002).

(ACGME 성과 프로젝트 2004)

(ACGME Outcome Project 2004)



분별있는 의사라면 이러한 정의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것이며, 이 보편적인 평가적 합의universal evaluative consensus는 종종 어떤 것이 프로페셔널한 행동이고 어떤 것이 그러지 않은지에 대한 보편적인 기술적 설명universal descriptive consensus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프로페셔널리즘 활용을 경험적으로 조사해보면, 그 대답은 상당히 복잡해 보입니다.

No sensible clinician would argue that these definitions, and this universal evaluative consensus is often assumed to be at the same time a universal descriptive consensus about what does, and does not, count as professional behavior. But when the use of professionalism in real-life clinical settings has been examined empirically, the answer appears to be considerably more complex.


    • 임상실습을 평가하면서, 한 학생은 임상 강의의 절반 이상을 취소하는 것은 프로페셔널하지 않다며 불평했습니다. 1 년 후, 이 기밀 평가는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기대"의 근거로 인용되었습니다.

    • 면역 억제 환자들과 함께 급성 종양 병동에서 일하는 주치의는 학생들에게, "혼수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병가를 내는 것은 unprofessional하다고 가르쳤다.

    • 증례 회의에서 학생은 직장 검사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직장 검사가 때때로 학생 및 환자 학대의 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 학생은 나중에 그 질문은 "부적절"했으며, "학습에 대하여 unprofessional한 저항을 보였다"고 지적받았다. (Brainard and Brislen 2007, pp.1011-12)

    • In his clerkship evaluation, a student complained that canceling over half of the clinical lectures was unprofessional. A year later, this confidential evaluation was cited as evidence of “unprofessional expectations.”

    • An attending, working in the acute oncology ward with immunosuppressed patients, instructed students that it was unprofessional to take sick days “unless you are comatose.”

    • During a case conference, a student questioned the appropriateness of performing a rectal exam, and stated that the rectal exam may sometimes be used as a form of student and patient abuse. The student later received an evaluation noting that question was “inappropriate” and indicated an “unprofessional resistance to learning.” (Brainard and Brislen 2007, pp. 1011–12)


이 일화들은 프로페셔널리즘 개념의 남용을 묘사합니까?

Do these anecdotes describe abuses of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무엇이 프로페셔널리즘이고 무엇이 아닌지를 결정할 권한이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Who has the authority to decide what professionalism is, and what it is not?



"의과대학생의 행동에서 프로페셔널한 것과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것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서 교수 간 상당한 불일치가 있었다"(Ginsburg, Regehr, and Lingard 2004, p3).

“substantial disagreement both between and within faculty about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 and unprofessional behavior in medical students” (Ginsburg, Regehr, and Lingard 2004, p. S3).


이 연구의 어떤 의사는 다른 의사들이 프로페셔널리즘의 "진정한"특성을 오해하고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시 우리는 묻습니다. 그것이 사실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Some of the clinicians in these studies might wish to argue that other clinicians are misunderstanding the “true” nature of professionalism, but again we are left to ask: how would one know that this is the case,


철학자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Ludwig Wittgenstein, 2001)은 많은 경우 "단어의 의미는 언어에서 어떻게 사용되느냐에 달렸다"이라고 말하며, 어떤 용어가 무엇을 의미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시스템에서 그 용어가 어떻게 정의되는지가 보다, 오히려 그것은 community of speakers의 공통된 삶에서 그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가 더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philosopher Ludwig Wittgenstein’s (2001) dictum that in many cases “the meaning of a word is its use in the language”—that in order to understand what a term means, what often counts is not how the word is defined in a logical system but rather how it is used in the common life of a community of speakers.


즉, 중요한 것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이 어떻게 사용되고 적용되는지입니다.

What counts is how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used and applied.


프로페셔널리즘은 특정 행동이 칭찬 할 만하거나 우수하다는 것을 명료하게 평가evaluative하는 용어로 사용할 때에 비해(morally excellent), 특정 행동을 설명하는descriptive 용어로 사용할 때에는 유용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사용법을 따르자면, 프로페셔널리즘이란 임상 행동의 도덕적 우수성을 암시하는 용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질문은 이렇다: 사람이 도덕적 탁월성을 어떻게 보는지 어떻게 인식합니까?

professionalism is less useful as a descriptive term for specific behaviors than as an evaluative term that clarifies that a particular behavior is praiseworthy or excellent—we might even say, morally excellent. Following this use, I understand professionalism to be a term connoting moral excellence in clinical behavior. The clear question, of course is: how does one recognize moral excellence when one sees it?




프로페셔널리즘을 의료행위 전체에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Professionalism Cannot Be Considered in Abstraction from the Whole of Medical Practice


프로페셔널리즘은 다른 영역과 독립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수있는 영역으로 인식됩니다. ACGME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환자 치료", "의학 지식", "실습 기반 학습 및 개선", "대인 관계 및 의사 소통 기술", "시스템 기반 실습"에 대한 "핵심 역량"으로 보완된다. 그러나 정말로 이 프로페셔널리즘의 구획화를 받아들이길 원합니까? 프로페셔널리즘이, 하다못해 원칙적으로라도, 다른 ACGME 핵심 역량과 분리 될 수 있습니까?

 professionalism is conceived as a domain of medical practice that can be measured and assessed independently from other domains: professionalism for the ACGME is complemented by the “core competencies” of “patient care,”“medical knowledge,”“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system-based practices” (ACGME 2007). But do we really want to accept this compartmentalization of professionalism? Is professionalism really separable, even in principle, from the other ACGME core competencies?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역량을 실제로 발휘할 수 있는 의사가, 동시에 입원 치료 기술, 의학 지식, 대인 관계 의사 소통 기술 및 자기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헌신이 심각하게 부족할 수 있습니까? 후자의 도메인 중 어느 것도 프로페셔널리즘을 구성하지 않습니까?

Can a physician really exhibit competence in professionalism and at the same time be severely deficient inpatient care skills, medical knowledg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and an ongoing commitment to self-improvement? Are none of these latter domains constitutive of professionalism?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에 대해 원하는 모든 것을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시 묻는다. 우리가 그것을 찾아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We can search all we want for the essence of professionalism, but again, how would we know when we have found it?


프로페셔널리즘은 산출물이 아니다.

Professionalism Is Not a Product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세 번째 문제는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현대의 문헌들이 프로페셔널리즘을 훌륭한 의학 교육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The third problem with professionalism—which many may not perceive, at first, as a problem at all—is the degree to which much (though not all) modern writing on medical professionalism conceives professionalism as a product of a good medical education.


Shelton (1999)의 다음 인용문

the following quotation from Shelton (1999),


아리스토텔레스의 틀을 렌즈로 사용하여 우리가 미덕의 모델을 개발하는데 더 헌신해야 할 시간이다. 아마도프로페셔널리즘으로 공개적으로 알려진 이것은, 우리의 교육 미션에 대해서 더 잘 검토해보고 이해할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 . . 우리는 "훌륭한 의사"의 덕목과 이에 대한 정의를 내포 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미있는 구체적인 임상 역량의 범위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의료 실천의 진정한 도전에 대응하여 교육의 목표로 책정되고 합의되어야합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험 가능한 결과 측정과 함께 특정 교육 과정 목표를 개발해야합니다. (673 쪽)

It is time to commit ourselves to developing a model of virtue, perhaps publicly promoted as professionalism, using the Aristotelian framework as a lens through which we can better examine and comprehend our teaching mission. . . . We need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range of concrete clinical capacities to which the virtues of the “good doctor” correspond and the Aristotelian means that define them.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formulated and agreed upon as goals of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real challenges of medical practice. Specific curricular objectives must then be developed, with testable outcome measures, to accomplish these goals. (p. 673)


이와 같은 접근 방식에 대해 몇 가지주의해야합니다. 

Several things are important to notice about the author’s approach here. 


첫째, 어떤 교육 이니셔티브의 시해에 앞서,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을 먼저 구체화 할 것을 가정한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을 하기 전에,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지에 대해 쉽게 말할 수 있습니다.

First,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is presumed to be specifiable in adv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any educational initiative. Before doing the work of educating students for professionalism, that is, we can readily speak about what professionalism is.


둘째, 일단 이러한 목표가 정해지면 교육의 주요 문제는 "프로페셔널리즘이란 무엇인가"가 아니라 오히려 "우리가 프로페셔널리즘의 목표를 달성 할 수있게 해주는 교육 시스템 (예 : 의대 커리큘럼)을 어떻게 디자인 할 수 있는가? "가 된다. 다시 말하면, 초점은 추구하려는 목적 자체에 두기보다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에 둔다.

Second, once these goals are specified, the principal educational question becomes not “What is professionalism?” but rather “How can we design an educational system (such as a medical school curriculum) which will allow us to attain the prespecified goal of professionalism?”The focus, in other words, is less on the end being pursued than on the appropriate means for the attainment of that end.


셋째, 이러한 방식으로 목적이 구체화되고, 그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이 명확하게 확립되면, 올바른 교육 방법으로 적절하게 훈련 된 충분히 숙련 된 인력은 누구든 그 과정을 성공적으로 끝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의료 연수생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육성하는 데 있어서 인본주의적이고 열정적이고 프로페셔널한 의사가 교사라면 도움이 될 수는 있겠지만, 엄밀히 말해서 반드시 그러한 성격특징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자신의 성격에서 솟아나오는 내면적 성향에 맞추기보다는, 책으로 가르치기로 결정한다면, 이론적으로는 누구든 속일 수 있다.

 Third —if the end is specified in this way and the means by which to achieve these ends are clearly established, then any sufficiently skilled person, adequately trained in the correct educational method, can successfully implement the end. In fostering the professionalism of medical trainees, it may help if a teacher is a humanistic, com-passionate, professional physician, but such traits of character are not, strictly speaking, necessary: one could in theory fake it, deciding to teach by the book rather than according to one’s own inner inclinations that spring from one’s character. 



수단-목적 합리성의 이러한 세 가지 개념은..

This three-part conception of means-end rationality, in which 

  • (1) 목적이 "방법 또는 "기술"의 적용에 앞서 설정되며, 

  • (2) 초점은 미리 지정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최선의 방법 또는 기술에 있으며,

  • (3) 방법이나 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은 대리인의 도덕적 성격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

  • (1) the end or goal is specified in advance of the application of “method” or “technology,” 

  • (2) the focus is on the best method or technology by which to attain the prespecified end, and 

  • (3)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method or technology does not directly depend on the moral character of the agent,




우리가 현대 의학의 technical project (Dunne 1993)라고 부르는 이러한 추론 방식은, 의료 행위의 "과학적"성격을 강조하기 때문에 매력적이다. 그것은 증거 기반의 의학 (EBM) 운동의 논리적 뼈대입니다. 근거 기반의 현대 치료법으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 정량화 가능한 결과 목표를 가져야하며,

  •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명확한 방법이나 기술을 발전시켜야하며,

  • 표준화 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이나 기술을 적용하는 다른 사람에 의한 복제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합니다.


This mode of reasoning, which we might refer to as the technical project of modern medicine (Dunne 1993), is attractive because it highlights the“scientific” nature of medical practice. It is the logical backbone of the modern evidence-based medicine (EBM) movement: to count as evidence-based, modern therapeutics 

  • must have quantifiable outcome goals, 

  • must advance clear methods or technologies for the attainment of these goals, and 

  • must leave open the possibility of replication by others applying the same method or technology in a standardized way.


제가 "techinical project"라고 부른 것은 Aristotle의 techne 개념과 일치한다. 종종 현대 번역에서는 "예술"로 표현되지만, "techinology"과 "technique"의 어원이 이것이다.

What I have been calling the “technical project” corresponds with Aristotle’s conception of techne, often rendered as “art” in contemporary translation but the etymological root of our “technology” and “technique,”



아리스토텔레스는 logic of techne를 'phronesis'또는 '실용적인 지혜'(라고 알려진 또 다른 실질적인 이유의 논리)와 구별했다. 나는 프로페셔널리즘은 logic of techne보다 logic of phronesis를 가지고 더 책임감있게 이해할 수 있고 주장하고 싶다. 이것은 우리가 의학교육자로서 어떻게 자신을 이해하고, 우리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해 중대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Aristotle distinguished the logic of techne from the logic of another mode of practical reason known as phronesis or “practical wisdom.” I want to argue that professionalism is more responsibly understood under the logic of phronesis than under the logic of techne and the technical project, and that this has significant consequences for how we understand ourselves as medical teachers and how we understand professionalism education.


아리스토텔레스와 Practice-Known Good

Aristotle and the Practice-Known Good


아리스토텔레스는 Good(agathos)가 "모든 것이 목표로하는 것", 즉 모든 행동의 목표 (1094a)라고 주장함으로써, 그의 윤리적 인 걸작 인 Nicomachean Ethics를 엽니 다.

Aristotle opens his ethical masterpiece, the Nicomachean Ethics, by asserting that the good (agathos) is “that at which all things aim,” the goal of all action (1094a).



그들은 모두 더 큰 대의를 위해 봉사한다. 이 더 큰 대의은 폴리스와 정치 공동체의 correct ordering이며,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술적 의미에서 정치는 선의 숙달 과학master science of the good이다.

Aristotle, do not serve themselves alone; they all act in service of a larger cause. This larger cause is the correct ordering of the polis, the political community, and so politics, in Aristotle’s technical sense of this term, is the master science of the good.


이 공동체의 올바른 배치법ordering는 정치 (1094b)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The right ordering of this community is known as politics (1094b).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궁극적인 또는 최고의 이익은 다른 모든 것들이 목표하고 다른 모든 것들이 의미하는 것으로서, "행복"으로 종종 번역되지만, "인간의 번성"이라는 번역이 더 적절한 우다이모아eudaimonia이다. Eudaimonia는 (예를 들어, 고문 당하지 않는) 좋은 삶을 추구하는 데 필요한 물질적인 재물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의 삶은 동료 시민들과 조화를 이룬 전반적인 우수성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정렬ordered됩니다 (1097a-1097b).

The ultimate or highest good for Aristotle, that good at which all else aims and toward which all other goods are means, is eudaimonia, often translated as “happiness” but more properly translated as “human flourishing.” Eudaimonia names the state of one who has the material goods necessary for the pursuit of the good life (who is not, for example, being tortured) and whose life is ordered in a way consistent with overall excellence in harmony with his or her fellow citizens (1097a–1097b).



그러나 Aristotle이 [우리가 어떻게 good을 인식하는지], [우리가 eudaimonia가 무엇인지를 어떻게 인식 하는지]를 언급하지 않는 한, 이 모든 것은 진부한 이야기일 뿐이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서의 이론은 더 비관적이자 더 흥미로워진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인간은 모든 행동에서 선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인간은 자연스럽게 good을 지향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우리는 본래 그 선good이 무엇인지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선good을 알기 위해서는 좋은 선생님으로부터 좋은 것을 훈련받아야 하며, 그 선생님은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무엇이 good이고 무엇이 아닌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All of this would remain little more than platitude, however, unless Aristotle addresses how we recognize the good when we see it and how we know what eudaimonia is, and it is here that Aristotle’s theory becomes both more pessimistic and more interesting. For Aristotle, humans have a natural orientation to the good, in that we seek the good in all of our actions; but we do not by nature comprehend what the good is. In order to know the good, one must have been trained by good teachers who can enable one to understand what the good is, and is not:




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훌륭한 선생님에게 배워야만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limited goods이나 highest good(eudaimonia)의 경우에는 무엇이 good인지 알려주지 않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eudaimonia가 무엇인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적절한 기능"이 무엇인지 생각해야한다고 말했다. Aristotle은 선량한 사람good human과 좋은 예술가good artist 좋은 장인good craftman의 비유를 통해 인간의 "적절한 기능"에 대한 개념을 이해한다: "플루트 연주자, 조각가, 어떤 종류의 전문가 등 일반적으로 어떤 기능을 수행하거나 어떤 행동을 취하는 사람의 goodness와 performance가 proper function에 내재되어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따라서 한 인가의 goodness와 performance는 그의 proper function에 reside되어 있다"

To comprehend the good, then, one must have been instructed by good teachers; but this still does not tell us what the good is, either in the case of limited goods or in the case of eudaimonia, the highest good. Aristotle answers this by stating tha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what eudaimonia is, we should think of what the human“proper function”is.Aristotle understands the concept of the human “proper function” by invoking an analogy between a good human and a good artist or a good craftsman:“Just as the goodness and performance of a flute player, a sculptor, or any kind of expert, and generally of anyone who fulfills some function or performs some action, are thought to reside in his proper function, so the goodness and performance of man would seem to reside in what-ever is his proper function”(1097b).



따라서 활동은 "그 활동에 적절한 수월성excellence따라 수행 될 때" 잘 수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을 종합하여 "우리는 사람의 good이란, 아르테 [탁월함 또는 미덕]에 부합하는 영혼의 활동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고, 만약 여러 가지 미덕이 있다면, 최상의/완벽한 것에 일생에 걸쳐 부합해야 한다"

An activity is therefore well performed when “it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excellence [arête] appropriate to it.” Summing this together, Aristotle states that “we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good of man is an activity of the soul in conformity with arête [excellence or virtue], and if there are several virtues, in conformity with the best and the most complete,” over a complete lifetime (1098a).



이것을 요약하면, 우리는

  •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선은 모든 행동의 목표입니다.

  • 정치는 good의 master science이고, eudaimonia, 즉 인간 번영은 가장 좋은 good이다.

  • 선은 적절한 교육을 통해서만 알 수있다.

  • 선은 "적절한 기능"이라는 개념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그것이 달성된다면 "탁월함" 또는 "미덕"으로 이해 될 수 있다. 

  • 적절한 인간의 선proper human good은 미덕과 일치하는 활동이다.

So far, then, we see 

  • that for Aristotle the good is the aim of all action; 

  • that politics is the master science of the good, and that eudaimonia, human flourishing, is the highest good; 

  • that the good can only be known through proper education; 

  • that good is known through the concept of “proper function” which, when attained, can be understood as excellence or virtue; and 

  • that the proper human good is activity in conformity with virtue.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여전히 ​​아주 평범한 것처럼 들리며, 다음의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어떻게 Excellence 또는 "proper function"을 인식합니까?"

All of this still sounds quite platitudinous, however, and begs the pressing question: how do we recognize excellence, or “proper function,”when we see it?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하고 있지만, (학습자와 교사의 도덕적 성격에 의존하지 않는) 단호하고 일관된 categorical answer를 주는 것은 거부합니다. 그는 두 가지 우수성 (또는 덕목)을 구분합니다. 

  • 지적 수월성: 무엇이 참인가에 대한 것

  • 도덕적 수월성: 무엇이 선인가에 대한 것, 따라서 행동action과 분리될 수 없다.

지적 우수성은 도덕적 탁월성보다 획득하기가 더 쉽습니다. 도덕적 수월성은 "그것의 근원과 발달은 교육에 따르기 때문에 주로 경험과 시간이 필요합니다"(1103a).

Aristotle has much to say about this, but he flatly and consistently refuses to give a categorical answer that does not depend on the moral character of both the learner and his or her teachers. He distinguishes two kinds of excellence (or virtue): 

  • intellectual excellence, which concerns what is true, and 

  • moral excellence, which concerns what is good and therefore is inextricable from action. 

Intellectual excellence is more simple to acquire than moral excellence: it “owes its origin and development chiefly to teaching, and for that reason requires experience and time” (1103a). 



적어도 대부분의 경우 '참'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좋은 사람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도덕적 우수성과는 상당히 다르다. 도덕적 우수성에 관한 지식은 교육, 경험, 시간 뿐만 아니라 습관의 습득, 즉 ethos를 필요로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도덕적 수월성은 그것이 자기의 본성에 내재될 때까지 실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이다.

On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good person in order to know what is true, at least much of the time. But it is quite different for the moral excellences, or virtues, the knowledge of which requires not only teaching, experience, and time but also the acquisition of habit, ethos. One acquires moral excellence, for Aristotle, by practicing moral excellence until moral excellence becomes, so to speak, internal to one’s nature:



우리는 이것을 선량한 사람이되는 것이 좋은 의사가 되는 것과 같다고 구체화할 수 있다. 훌륭한 의사가 되는 것은 의학 이론을 공부해서가 아니라 (물론 이것이 필수적이지만), 우수한 방법으로 의학을 실천함으로써 우수한 의학적 실천이 제 2의 천성이 될 정도로 뿌리내렸기 때문이다. 반면에 탁월한 습관이 없고 의업을 잘 수행하지 못한다면, 그 사람은 형편없는 의사가 될 것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만일 사람이 선한 사람이되고 싶다면, 선한 일을해야합니다. 사람이 선을 행하는 습관을 짓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 형편없는 사람이됩니다.

We can make this concrete by saying that becoming a good person is much like becoming a good physician. One becomes an excellent physician not by studying medical theory (though of course that is essential and prerequisite), but by practicing medicine in an excellent way such that excellent practice is so ingrained that it becomes second nature. If one does not make a habit of excellence and practices medicine poorly, on the other hand, one will become a lousy physician. In the same way, if one wants to be a good person, one must practice doing the good; if one does not make a habit of doing the good, one becomes, in time, a lousy person.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우리가 직면 한 압박감에 대답하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도덕적 인 탁월성을 어떻게 인식합니까?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전히 추상적 인 답을 제공하기를 거부한다.

But we still have not answered our pressing question: how do we recognize moral excellence when we see it? Aristotle still refuses to provide an abstract answer: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의학의 good 뿐만 아니라 proper human good(eudaimonia) 역시 추상적으로 이해 될 수 없다. 이 두 가지 모두 개인적인 상황에서 그것을 인식 할 수있을 정도로 충분히 훌륭한 습관을 가진 사람들만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We see, then, that for Aristotle neither the good of medicine—“health”—nor the proper human good—eudaimonia—can be understood abstractly. Both can be understood only by those who are sufficiently habituated into excellent practice so as to be able to recognize it in individual situations.




결론적으로, 도덕적으로 우수한 인물이 되려면, 구체적인 도덕적 멘토링이 절대적으로 필수적입니다. 우수한 교사들에 의해 구체적인 상황을 가지고 우수함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그 교사들의 지도 하에 우수함을 오래도록 연습하고 나서야, 사람은 우수함이 내면화되고, 그제서야 주어진 상황에서 도덕적 수월성을 구성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Close, on-the-ground, concrete moral mentorship is therefore absolutely essential, for Aristotle, if one is ever to become a person of moral excellence. As aresult of having been taught by teachers of excellence what excellence is in con-crete situations, and having practiced excellence over time under the guidance of these teachers, one becomes the kind of person for whom excellence is inter-nalized and who then, importantly, sets the standard for what constitutes moral excellence in a given situation.



이러한 설명은 excellence의 추상적인 정의만을 주장하고, 사례를 보려주지 않으면 빙빙 돌 뿐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있어 도덕적 탁월성은 그것의 모범사례exemplification 내에서만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 우수성을 두 가지 악념vice 사이의 평균으로 공식화하는데, 예컨대 용기는 무모함과 비겁함 사이에 있으며, 관대함은 낭비와 인색함의 중간에 있다.

Such an account seems circular only if one insists on an abstract definition of excellence rather than an exemplification; for Aristotle, however, moral excellence is known in the concrete only in its exemplification. Aristotle famously formulates the various moral excellences as means between two vices: courage is the mean between recklessness and cowardice, generosity the mean between extravagance and stinginess, and so on.



그러나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평균golden mean"이 무엇인지는 추상적으로 알 수 없습니다. 그것은 주어진 상황에서 도덕적 탁월한 사람이 어떻게 행동 할 것인지를 기준으로만with reference to 알 수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덕이나 우수성은 "observing the mean"에 달려 있으며, 이것은 "실용적인 지혜(phronesis)를 갖춘 사람이 그것(mean)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합리적인 원리에 의해 정의된다"(1106b)는 점은 분명하다.

But what the “golden mean” is in any given situation cannot be known in the abstract; it can only be known with reference to how a person of moral excellence would act in a given situation. Aristotle is quite clear that virtue or excellence is a matter of “observing the mean,” which is “defined by a rational principle, such as a man of practical wisdom [phronesis] would use to determine it” (1106b).



우리는 현대 의학의 기술적 프로젝트에 대한 중요한 개념 대안을 제시하고 더 많은 것을 말해야 할 중요한 개념, 즉 실용적인 지혜 또는 phronesis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먼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에 대한 현대의 특정 교육 접근법에 도전하는 세 가지 방법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We have now arrived at a crucially important concept—that of practical wisdom, or phronesis—which provides an important conceptual alternative to the technical project of modern medicine, and about which more needs to be said. But we may first note three ways that Aristotle’s theory challenges certain modern educational approaches to professionalism education.



첫째, (원칙, 의무, 법, 또는 "미덕"에 대한 개념적 설명을 통해)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추상적 설명을 specify한 다음, 이 설명이 어떻게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려는 현대적 접근과는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특정한 상황에서 도덕적으로 탁월한 사람의 행동을 바탕으로 해야만 더 크고 추상적인 도덕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도덕적 우수성은 추상적으로 정의 될 수 없으며, 우수성은 그 행동이 수행되는 (또는 수행되지 않는)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만 정의 될 수 있습니다.

First, unlike modern approaches that attempt to specify abstract accounts of professionalism (through principles, duties, laws, or even conceptual accounts of “the virtues”) and then to determine how these accounts should be applied in particular situations, Aristotle begins with attention to the action of the morally excellent person in particular situations and only from that develops his larger, more abstract, moral theory. Moral excellence for Aristotle cannot be defined in the abstract but only through reflection on the concrete situations in which actions of excellence are (or are not) performed.


둘째, 비록 아리스토텔레스가 임상 실천과 관련된 지적 분야 (예를 들어, 역사뿐만 아니라 역사, 사회학, 도덕 이론 등)에서 preparatory didactic instruction을 지지한다고해도, 그는 하향식 교육 이니셔티브가 곧바로 우수한 도덕적 실천으로 번역될 것인가에 대해 의심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미덕은, 그것을 단순히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실천을 통해서만 생기는 것입니다. 준비 교육은 후속 도덕 deliberation를 위해 유용 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아닐 수도있다), 그 자체가 도덕적 수월성으로 오인되어서는 안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프로페셔널리즘이 요구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발견되지 않는다. 오히려 우수한 임상의가 실제 현장의 내리는 도덕적 분별을 통해 발견되어지는 것이다.

Second, although Aristotle would support preparatory didactic instruction in the intellectual disciplines relevant to clinical practice (not only the sciences but also, for example, history, sociology, and moral theory), he would likely doubt that any top-down teaching initiative would directly translate to morally excellent practice. For Aristotle, it is not talking about the virtues, but only practicing the virtues, that leads to virtuous practice. Preparatory instruction may (or may not) be useful for subsequent moral deliberation, but it must not be mistaken for the thing itself: for Aristotle, as I will argue in more detail below, “what professionalism requires” in particular cases is discovered not theoretically but rather in practice, through the moral discernment of the clinician of excellence in on-the-ground particular situations.


셋째, [도덕적으로 어려운 사례 설명을 학생들이나 연수생에게 제시]하고, [그들이 무엇을해야 하는지에 대해 숙고하도록 유도]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이란,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합리적 분석을 정교히 적용하는 것임을 촉진]하는 현대의 사례 기반의 교육 방법과는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의 접근법은 임상 실습에서의 도덕적 탁월성은 합리적인 분석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의 임상 상황 (밤중 심야, 피로감을 느끼는 동안 강압 됨으로써)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성격에 관한 것임을 강조한다 .

Third, unlike modern case-based curricular methods that present students or trainees with morally challenging case descriptions, invite them to deliberate about what to do, and therefore implicitly foster the idea that the essence of professionalism is the deft application of rational analysis to ethical dilemmas, 

an Aristotelian approach would emphasize that moral excellence in clinical practice is much less about discursive rationality than about the character that displays itself most readily in clinical situations—the middle of the night, while fatigued, under duress—in which rational analysis is most unlikely.


이것이 사실이라면 의사가 의료 전문 직업 성 헌장 (ABIM Foundation 2002)과 같은 의료 전문성의 다양한 현대 규범은 프로페셔널리즘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설명으로는 지나치게 추상적이며 일반적이다.

If this is true, it should be clear that the various modern cod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such as the Physician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ABIM Foundation 2002), are much too abstract and general to do much work either in the description of how professionalism actually works on the ground



테크니컬 프로젝트의 대안 - Phronesis

“Phronesis” as an Alternative to the Technical Project


추상적인 헌장과 규범이 의학 프로페셔널리즘을 유지하기에는 너무 일반적이라면, 의학교육자는 그들이 감독하는 사람들의 도덕 형성과 프로페셔널리즘 형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합니까? 어떤 종류의 교육이 우리가 학생들과 연수생들 사이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이라고 생각하는 도덕적 탁월성의 성장을 촉진합니까?

If abstract charters and codes are too general to sustain medical professionalism, how should medical educators think about the moral and professional formation of those whom they supervise? What kind of education fosters the growth of the moral excellences we think of as “professionalism” among students and trainees?


아리스토텔레스는 전문성 교육이 어떻게 창안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두 가지 모델을 제공한다 : 

  • 기술 모델 또는 Producing; 

  • phronesis 모델 또는 Practical wisdom

Aristotle provides two models for how professionalism education could be conceived: 

  • the model of techne, or producing; and 

  • the model of phronesis, or practical wisdom.


techne의 논리는 이미 우리에게 매우 친숙합니다. Techne은 poiesis, production의 논리이며 올바른 수단을 적용 할 수 있는 product가 특정되어야 한다. 이 방법을 올바르게 적용하는 데 상당한 훈련이 필요할 수는 있지만, 이것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훌륭한 도덕적 성격까지 갖춘 사람일 필요는 없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지 명시한 다음, 의료 연수생의 프로페셔널리즘을 production하기 위한 최상의 교육 전략이나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합니다.

The logic of techne is already quite familiar to us. Techne is the logic of poiesis, production, and demands that a product be specified toward which the right means can be applied. Although the right application of the means may demand considerable training , one need not necessarily be a person of excellent moral character in order to do so correctly. Professionalism education as techne, would involve specifying what professionalism is and then working hard to design the best educational strategy or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medical trainees.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서, 이 접근법의 문제점은 techne가 shipbuilding을 이해하는 데에는 매우 적합한 방법일지 몰라도, 또한 techne가 의료 행위의 기술적 측면을 이해하는 적절한 방법일 수는 있어도,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moral education이나 moral formation을 이해한 방식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적 탁월성은 어느 시스템에서도 생산produced 될 수 없다는 점에서 product가 아닙니다. 오히려 선과 악의 문제와 관련된 실질적인 이유는 phronesis의 논리, 즉 practical wisdom에 따라 이해되어야한다.

The problem with this approach from an Aristotelian perspective, however, is that although techne is a perfectly appropriate way to understand shipbuilding and may even be an appropriate way to understand the technical aspects of medical practice, it is emphatically not the way that Aristotle understood moral education and moral formation. Moral excellence, for Aristotle, is not a product, in that it cannot be produced by any system; practical reason related to matters of good and evil is to be understood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logic of phronesis, practical wisdom.


아리스토텔레스는 techne가 production(poiesis)에 이르는 실용적인 이유라면, phronesis는 action(praxis)으로 이끄는 실용적인 이유라고 기술함으로써 techne와 phronesis를 직접 비교합니다. 그러므로 techne과 달리 phronesis의 기능은 무엇인가를 만들거나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행동을 특정한 방식으로 유도하는 것입니다. 이는 eudaimonia (1140a)와 일치하는 conformity with exellence이니다. 무엇이 produced되고 어떻게 production이 되느냐에 따라서 virtuous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있는 techne와는 달리, exercise of phronesis는 항상 human excellence를 지향하기 때문에 언제나 virtuous하다.

Aristotle directly compares techne and phronesis by stating that if techne is practical reason leading to production (poiesis), phronesis is practical reason leading towards action (praxis). Unlike techne, therefore, the function of phronesis is not to make or produce anything, but rather to guide human action in a particular way, a way in conformity with excellence consistent with eudaimonia (1140a). Unlike a particular exercise of techne, which may or may not be virtuous depending on what is being produced and how the production occurs, the exercise of phronesis is always virtuous, because it is always oriented toward human excellence.


phronesis, 즉 실용적인 지혜를 갖춘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구체적인 상황에서도 선good을 분별하고, 그것을 성취할 올바른 방법을 찾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실용적인 지혜를 갖춘 사람인 프롤니모스 (phronimos)는 적절할 때 "타인을 용서하는 감각을 가진"좋은 감각을 지닌 사람이기도하며, 동정적인 이해를 구현하고 "성숙한 지성"을 소유하며 훌륭한 판단을합니다 1143a).

To be a person of phronesis, practical wisdom, is to be the kind of person who,in any concrete situation, discerns the good and finds the right way to achieve it. The person of practical wisdom, the phronimos, is also a person of “good sense,”gnome, who “has the sense to forgive others” when appropriate, who embodies sympathetic understanding, who possesses “mature intelligence” and good judg-ment (1143a).


techne와는 달리,이 훌륭한 의사는, 적어도 장기적으로 본다면, 다른 도덕적 덕목이나 수월성을 개발하지 않고서는 phronesis를 개발할 수 없습니다. Vice는 good practical decision making을 강하게 부식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vice는 '선한 것'에 시야를 고정시키지 못하게 막기 때문이다.

 contrast to techne, this good doctor cannot develop phronesis, at least not for long, without developing all of the other moral virtues or excellences as well. Vice has an intensely corrosive effect on good practical decision-making because it tends to prevent a person from fixing his or her sights on what is good.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phronesis와 다른 수월성 사이에는 훌륭한 "피드 - 포워드 (feed-forward)"관계가 있습니다. 도덕적 수월성은 phronesis의 개발에 필요합니다. phronesis도 수월성의 한 종류이지만, 일단 phronesis를 습득하면, 그것을 실천함으로써 모든 다른 moral excellence를 발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왜 "excellent person"이 되지 않고서는 프로페셔널리즘의 excellence를 지속적으로 구현할 수 없는지에 대한 강력한 이론적 근거가 있는 것이다.

But there is for Aristotle a wonderful “feed-forward” relationship between phronesis and the other excellences as well: the moral excellences a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phronesis, which is itself a type of excellence, but once acquired, the exercise of phronesis enables the further development of all of the other moral excellences. So for Aristotle there are powerful theoretical reasons why one cannot consistently embody the excellences of professionalism without being an excellent person at the same time.




둘째, techne와 현저한 대조를 이루는 또 다른 것이 있다.

Second, and also in marked contrast to techne,


 일반화 된 이론적 지식은 phronesis에 중요하지만, 그 자체로 충분하지는 않습니다도덕적 우수성은 그것이 실천될 때에만 발견되는 법이며, 왜냐하면 Phronimos가 도덕적으로 우수한 방법으로 특정 상황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moral excellence를 특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없다. 실제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교훈적 목록을 의료 연수생에게 준비시키고, 임상 실습의 복잡한 상황에서 곧바로 적용 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이 의사들이 특정 유형의 도덕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평생 동안 연습과 습관화를 통해 실제적인 지혜의 수월성을 키워 온 사람이 아니라면, 그러한 교훈은 쓸모 없을 것입니다. 반대로 practical wisdom을 지녔다면, 그러한 교훈은 아마도 불필요 할 것이다.

 Although generalized theoretical knowledge is important for phronesis, it is never sufficient: moral excellence is discovered only as it is exercised, as the phronimos engages particular situations in a morally excellent way (1142a). It cannot be otherwise specified. Practically, then, there is little point in arming medical trainees with a list of precepts of professionalism and expecting them to apply them straightforwardly in the complex situations of clinical practice. Unless these physicians are the sorts of persons who through a lifetime of practice and habituation have cultivated the excellence of practical wisdom by formation in particular types of moral communities, the precepts will probably be useless; and furthermore, if practical wisdom is present, the precepts will probably be unnecessary


도덕적 탁월성을 획득하는 것과 같이 실용적인 지혜를 얻는 데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부모와 간병인이 도덕적 매개체를 발전 시키도록 유도하면서 유아기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분명히 주장한다.

The acquisition of practical wisdom, like the acquisition of the moral excellences, takes a very long time. Aristotle clearly holds that the process starts in early childhood as parents and caregivers encourage the developing moral agent


이 과정은 간단하지도 않고 간단하지도 않으며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더욱 복잡해집니다.

This process is neither simple nor straightforward, and it becomes more complex as the child grows:


도덕적 자아는 가정뿐만 아니라 교실, 스포츠 팀, 종교 공동체, 또래 집단, 직장 환경 등에서 형성됩니다. 아이가 의대에 다닐 때쯤에는 선과 악을 위해 많은 도덕적 형성이 이미 일어났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있어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이 긴 궤적의 연장선에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The emerging moral self is shaped not only at home but also in classrooms, on sports teams, in religious communities, in peer groups, in work settings, and so on. By the time the child reaches medical school,a lot of moral formation has already taken place, for good or for ill. For Aristotle, professionalism education is at best a continuation of this long trajectory. 


아리스토텔레스는 의학 교육이 도덕적 탁월성에 있어 성공한 ​​다른 모든 교육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하기를 원할 것입니다. 추상 속에서가 아니라, 도덕적 우수성을 갖춘 교사와의 일상적인 만남 속에서, 도덕적 운동의 방해를 최소화하는 환경 속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그리고 지속적인 연습과 습관화를 통해, [선생님의 도덕적 탁월함과 실용적인 지혜]는 [학생들의 도덕적 우수성과 실용적인 지혜]가 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그런 종류의 close-to-the-ground 접근 방식은 의학 교육이 프로페셔널리즘의 도덕적 수월성의 발전에 기여할 수있는 유일한 길이다.

Aristotle would want medical education to occur in the same way that any other successful education in moral excellence occurs: not in abstraction but in the close everyday encounter of students with teachers of moral excellence, in an environment that minimizes hindrances to the exercise of the moral excellences, such that over time, and through ongoing practice and habituation, the moral excellence and practical wisdom of the teacher becomes the moral excellence and practical wisdom of her students.That kind of close-to-the-ground approach, for Aristotle, is the only way that medical education is likel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oral excellences of professionalism.





결론: 실천에서의 Phronesis 

Conclusion: “Phronesis” in Practice


첫째, 분명한 사실을 말하자면 : 실용적으로 현명한 선택을 하는 능력이 선량한 도덕적 성격의 소유에 달려 있다고 말한  아리스토텔레스가 옳다면, 그리고 개인이 medical training을 시작하는 시점에 도덕적인 성격이 중요한 방식으로 형성되어있다면, 좋은 도덕적인 성격을 가진 예비 학생 및 훈련생 선발은 프로페셔널리즘의 탁월성이 행사되고 가치있게 평가받는 문화를 육성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합니다.

First, to state the obvious: if Aristotle is correct that the ability to make practically wise choices is dependent on the possession of good moral character, and if moral character is formed in important ways by the time an individual starts medical training, then the identification and recruitment of prospective students and trainees with good moral character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fostering of a culture in which the excellences of professionalism are exercised and valued.


둘째, 교사가 프로페셔널리즘의 수월성을 가치있게 여기지 않고, 구현하지 않는다면, 학생들과 레지던트가 프로페셔널리즘의 우수성을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하는 것도 무리입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을 중요시한다면 교육 기관이 할 수있는 가장 중요한 일은 도덕적, 임상 적 탁월성을 갖춘 교사를 채용, 지원 및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른 모든 프로페셔널리즘 이니셔티브 또는 프로그램이 실패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Second, it is unreasonable to expect that students and residents will develop the excellences of professionalism if those excellences are not valued by and em-bodied in their teacher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an institution can do, if it values professionalism, is to recruit, support, and retain teachers of moral and clinical excellence. If this is not done, every other professionalism initiative or program is likely to fail.


문제는 이 교육이 moral excellence를 가르치는 교육이기보다는, 오히려 vice를 가르치는 교육이라는 점이다. 학생은 레지던트와 주치의의 프로페셔널하지못한 태도와 관습을 내면화하고 그대로 복제한다 (Coulehan 2005). 이 부식성있는 숨겨진 커리큘럼과 싸울 수있는 유일한 방법은 ground up로부터, teacher of vice를 teacher of excellence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The problem is that this education is more often than not an education in vice rather than moral excellence, as students internalize and then replicate the unprofessional attitudes and practices of their residents and attendings (Coulehan 2005). The only way to combat this corrosive hidden curriculum, though, is from the ground up, replacing teachers of vice with teachers of excellence.


셋째,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주장한 것처럼 (예를 들어, Ginsburg and Stern 2004), 프로페셔널리즘을 위한 "인지적 기반"을 전달하려는 교육 이니셔티브는 실제 현장 실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야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 삶을 영위하는 교수자가 필요함을 요구하였고, 이론적 지식이 phronesis에 도움이되는 자료라고 확신했지만, Aristotle에게 있어서, 탁월한 선생님은 연단 뒤에 있는 강사가 아니라, 오히려 초보자 (1103b)의 기술과 스타일을 조심스럽게 형성시켜주는 마스터 하프연주자이다.

Third, as others have previously argued (e.g., Ginsburg and Stern 2004),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attempt to communicate a “cognitive base” for professionalism must link intimately with actual on-the-ground practice. Aristotle makes much of the need for instructors in the moral life and affirms that theoretical knowledge is a helpful resource for phronesis, bu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archetypal teacher of excellence is not, for Aristotle, the lecturer behind the podium but rather the master harpist carefully shaping the technique and style of the aspiring beginner (1103b).


하프연주자의 가장 형성적 교육은, 신중하게 연습 한 트레이닝 피스를 듣고 "아, 네, 맞습니다!"라고 말하는 순간에 시작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프로페셔널리즘 이니셔티브는 그런 종류의 교육적 친밀감pedagogical intimacy를 촉진하는 정도만큼만 강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the harpist’s most formative education comes when the teacher, listening intently to a player’s carefully rehearsed training-piece, jumps up and proclaims, “Ah, yes, that’s right!”Aristotle would predict that professionalism initiatives will be powerful only to the extent that they foster that kind of pedagogical intimacy.


넷째,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에 대한 하향식 접근에 대한 비관적 표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프로페셔널리즘은 기관이 행해야 할 깊은 중요한 역할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master science of good은 윤리가 아니라 politics였고, politics는 커뮤니티를 조직하는 과학으로서, 도덕적, 지적 수월성이 번영을 위한 적절한 조건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Fourth, despite my expressed pessimism about the utility of top-down curricular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there is still a profoundly important role for the institution. For Aristotle it is politics, not ethics, that is the master science of the good, and politics is specifically the science of organizing a community in such a way that the moral and intellectual excellences are provided the proper conditions to flourish.


학술 의료 센터는 (특히 복잡한) 정치 공동체 중 하나이며, AMC의 지도력이 학생, 연수생 및 기타 임상의들에게 전문성의 우수성을 강요 할 수는 없지만(도덕적 우수성은 그러한 방식으로 습득되지 않기 때문에), 기관의 지원이 없이 moral excellence가 번창할 수도 없다. 기관이 제대로 작동한다면, [도덕적 탁월함의 실천이 성장할 수있는 물질적 토양]과 함께 그 성장을 위하여 [적절한 조건을 양육, 유지, 보호]해주어야 한다 (MacIntyre, 1984). 최근 의료 프로페셔널리즘 문헌에 기술 된 많은 기관 및 교육과정 이니셔티브는, 이러한 비전과 명확한 agreement는 이루지는 않더라도 , consistent with하며, 따라서 축하의 가치가있다 (Brater 2007; Humphrey 외 2007).

Academic medical centers are one such type of (particularly complex) political community, and although the leadership of the academic medical center cannot force the excellences of professionalism on students, trainees, and other clinicians—since the moral excellences are not acquired in that way—neither can the moral excellences flourish without the enabling support of the institution. Institutions, when they are working well, provide both the [material soil within which the practices of moral excellence are able to grow] and [the proper conditions for that growth to be nurtured, sustained, and guarded] (MacIntyre 1984). Many of the institutional and curricular initiatives described in the recent medical professionalism literature are consistent with, if not in explicit agreement with, this vision, and are therefore worth celebrating (Brater 2007; Humphrey et al. 2007).



Goldberg, J. L. 2008. Humanism or professionalism? The white coat ceremony and medical education. Acad Med 83:715–22.





 2010 Winter;53(1):87-105. doi: 10.1353/pbm.0.0145.

Medical education as moral formation: an Aristotelian account of medical professionalsim.

Author information

1
DurhamVA Medical Center, Duke Divinity School, Durham, NC 27705,USA. warren.kinghorn@duke.edu

Abstract

The medical professionalism movement, bolstered by many influential medical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has in the last decade produced a number of conceptu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a number of concrete proposals for its measurement and teaching. These projects, however laudable, are misguided when they treat professionalism as a unitary descriptive concept rather than as a contested and therefore primarily evaluative one; when they conceive professionalism as a domain of medical practice separable in principle from other domains; and when they treat professionalism as, in principle, a specifiable goal or product of sufficiently well designed educational curricula. The logic of professionalism-as-product corresponds to the logic of techne (art or practical skill)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provides a cogent argument, however, that the moral excellences denoted by "professionalism" cannot be "produced" or even prespecified in the concrete; rather, they must be acquired through long practice under the careful concrete guidance of teachers who themselves embody these moral excellences. Phronesis (practical wisdom) rather than techne must therefore be the guiding logic of educational initiatives in medical professional formation, with particular emphasis on close mentorship and on the moral character both of students and of those who teach them.

PMID:
 
20173298
 
DOI:
 
10.1353/pbm.0.0145
[Indexed for MEDLINE]


프로페셔널리즘의 복잡성 증가(Acad Med, 2010)

The Increasing Complexities of Professionalism

Frederic W. Hafferty, PhD, and Brian Castellani, PhD





오늘날 미국에서의 의학은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today is awash in a sea of complexities.



의과 대학 졸업생은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전공을 선택하고 기록적인 숫자로 1 차 진료를 포기하고있다 .10-13 레지던트의 근무시간 제한은 전통적인 교육 관행을 뒤집어 놓았고, 새로운 의사들이 전통적인 프로페셔널 가치에 헌신하는지에 대한 의문은 국가 교육담론의 일부가되었다. .14-17

Medical school graduates court lifestyle specialties and are abandoning primary care in record numbers.10–13 Mandated limits on resident duty hours have upended traditional teaching practices, and questions about the commitments of newer physicians to traditional professional values have become part of the national educational dialogue.14–17



요약하면, 의학은 현재 고품질의 과학적 근거 의학을 실행하는 것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변화하는 근무환경에서 의사를 어떻게 훈련시킬 것인지, 프로페셔널이 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대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In sum, medicine currently struggles with what it means to practice high-quality scientifically grounded medicine, how one best trains physicians for an ever-changing work environment, and what it means to be a professional.



100 년 전, 의학 및 의학 교육은 유사한 identity and identification의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증거 기반 의학, 과학적 증거의 본질, "필요한" 의사 진료패턴의 재구조화등에 대한 오늘날의 논란과 유사하게) 당시에는 새롭게 등장한 임상의과학은 다른 시대와 다른 가치 체계 하에서 훈련받은 임상의에게 인질로 잡혀있었습니다. 당시에는 상업주의의 상징은 넘쳐나는 proprietary 의과 대학이었고, 이들은 매우 길고 숨 막힐듯한 그림자를 드리웠다. 한편 빠르게 성장하는 인구는 잘 훈련 된 의사에게 접근 할 수 없었습니다. 이 소용돌이 속에 Abraham Flexner, Frederick T. Gates, Franklin Mall, Henry Pritchett 및 WilliamH를 비롯한 많은 change agent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의학교육 및 의료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자선 단체의 신흥 권력을 대표했습니다. Flexner의 Bulletin No. 4 (소위 "Flexner Report") 24는 그 개혁에서 중요한 청사진이었습니다.

One hundred years ago,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faced a similar crisis of identity and identification. An emerging science of clinical medicine was being held hostage by the practice patterns of clinicians trained in another era and under a different value system—much like today’s controversies over evidence-based medicine, the nature of scientific evidence, and the “necessary” restructuring of physician practice patterns.7,22,23 Commercialism, which at that time was emblematized by a gaggle of proprietary medical schools, cast a very long and stifling shadow. Meanwhile, a rapidly expanding (numbers and geographic) population lacked access to well-trained physicians. Into this vortex stepped a number of change agents, including Abraham Flexner, Frederick T. Gates, Franklin Mall, Henry Pritchett, and WilliamH. Welch. They represented a new vision of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and the emerging power of philanthropic organizations. Flexner’s Bulletin No. 4 (the “Flexner Report”)24 was one important blueprint in that reform.



의학교육 및 의료를 개혁하려는 Flexner의 노력은 의사 상당부분 의사를 '프로페셔널' (또는 적어도 "잠재적 프로페셔널")로 보는 견해에 근거하고 있다. * Flexner의 전문성에 대한 접근은 여러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Flexner’s efforts to reform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were very much grounded in his views of physicians as professionals (or at least “potential professionals”) and of medicine as a profession.* Flexner’s approach to professionalism is notable in several respects.


  • 그의 접근은 (철학적이 아니라) 경험적 근거를 두고 있다.

  • 그의 접근 방식은 Comparative하며, 사례를 기반으로 하고있다. Flexner는 자신의 분석을 만들 때 다른 직종 및 기타 교육 시스템을 사용했습니다.

  • Flexner의 방향은 철학적이었으며, 사회와 사회 세력이 프로페셔널리즘의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한다고 보았다

  • Flexner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진화하는 역동적인 힘]으로 바라보면서, 시스템 접근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 Flexner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관점은 다차원적이었습니다. 그는 개인 및 조직 차원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개념화했습니다.

  • Flexner는 프로페셔널리즘이 전임 학술 의사-과학자 vs 실무 임상의의 두 가지 상반된 유형으로 구체화 된다고 보았습니다.

  • His approach was empirically (as opposed to philosophically) grounded.

  •   His approach was case based and comparative. Flexner drew on other occupations and other educational systems in crafting his analysis.

  •   Flexner’s orientation was philosophical, with society and social forces playing a determining role in the evolution of professionalism.

  •   Flexner took a systems approach, treating professionalism as an evolving and dynamic force.
  •   Flexner’s view of professionalism was multidimensional: He conceptualized professionalism at bo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   Flexner saw professionalism embodied in two somewhat countervailing types: the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versus the practicing clinician.


추가적인 관심은 Flexner의 접근 방식이 현재의 교육 개혁, 그리고 새롭게 등장하는 복잡성에 대한 과학과 유사하다는 것입니다.

Of additional interest is the similarity of Flexner’s approach to current educational reformand the new science of complexity,


플렉스너 (Flexner)와 마찬가지로, 여러 학자들은 오늘날 의학계가 직면하고있는 많은 도전 과제를 시스템 용어로 개념화하고 있으며,

Like Flexner, these scholars conceptualize many of the challenges facing medicine today in systems terms,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그는 전문직 종사자인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를 의학 교육 개혁의 기반으로 삼았다. 결론적으로 Flexner의 개혁 성공은 부분적으로 그가 채택한 방법의 기능이었으며 복잡성 분석에서도 그 결과가 종종 나타났습니다.

More specifically, he grounded his reform of medical education in a particular type of professional, the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In sum, the success of Flexner’s reforms was, in part, a function of the method he adopted, which often is the case with results seeped in complexity analysis as well.



개괄

Overview

  • 첫 번째 섹션 인 "유연성과 전문성"에서 Flexner는 profession과 professionalism에 대해 Flexner가 어떻게 말했는지를 검토하고, 특히 진정한 직업으로서의 의학의 성장에서 플렉스너가 그린 이타주의를 위해 근본적으로 사회적 프로세스로서 전문성에 대한 관점을 강조하고 변형적 역할에 특히주의를 기울여야한다
  • 또한 Flexner의 교육 개혁에 대한 핵심은 상업주의가 전문성에 대한 대립이며 새로운 유형의 의학 교육자 인 풀 타임 학업 의사 과학자라는 그의 견해였습니다.
  • 우리는 다음을 강조한다
    • Flexner의 전문성에 대한 비교적 정교한 시스템 뷰,
    • 맥락에 대한 그의 민감성,
    • 다양한 의학 교육 모델이 다른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한 그의 견해와
    • 비교 사례 연구를 사용하여 미국에서 이상 적이고도 미묘한 의학 교육 모델을 개발 한 것에 대한 그의 경향.
  • In the first section, “Flexner and Professionalism,” we review what Flexner had to say about the nature of professions and professionalism,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Flexner’s view of professionalism as a dynamic and fundamentally social process and the transformative role Flexner envisioned for altruism in the growth of medicine as a true profession. 

  • Also core to Flexner’s visions of educational reform was his view that commercialism is antithetical to professionalism and his identification of a new type of medical educator—the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 We highlight 

    • Flexner’s relatively sophisticate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 his sensitivity to context, 

    • his views of how different models of medical education have evolved out of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 his penchant for using comparative case studies to develop an ideal, yet nuanced, model of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두 번째 섹션 인 "전문성 연구를위한 이론적 모델"은 전문성을 복잡한 시스템으로 조사하기위한 의제를 설명합니다. 이 섹션은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The second section, “A Theoretical Model for Researching Professionalism,” outlines an agenda for investigating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system. This sect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 첫째, 우리는 복잡한 시스템으로서 전문성에 대한 기본 정의부터 시작합니다. 이 견지에서, 우리는 조직 주의적 의학 내에서 진보 된 전문성에 대한 현재의 개념, 향수 주의적 전문성 29 (의사가 전통적인 전문 원리를 재발견하고 스스로 재발견하도록 조직 된 의학의 명시 적이고 반복적 인 요구에 묶인 라벨) 궁극적으로 비생산적인 방법으로 21 세기 의학의 변화에서 전문성을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우리는 의료 전문성에 대한 시스템 기반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우리는 의학의 현대 (80 년대 중반에서 현재까지) 전문성 운동의 진화를 추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사회 역사적 자료가 하나의, 오히려 여러 형태의 전문성 (예 : 기업가, 생활 양식, 향수, 행동 주의자)을 드러내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 둘째, 우리는 이러한 유형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의료 전문성의 구조와 역 동성을 연구하고 이해할 수있는 복잡하고 복잡한 연구 주제를 제안합니다.

  • 셋째, 전문성을 21 세기 의학 교육 발전의 변화를위한 힘으로 모으는 최선의 방법을 모색합니다. 우리는 Flexner 's와 비슷한 정신으로 그렇게하려고합니다. Flexner는 의사 교육자에 대한 그의 비전을 토대로 교육 개혁을 제안했습니다. 우리는 경쟁 유형으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으로서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육 개혁을 제안합니다.


  • First, we begin with a basic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system. Fromthis standpoint, we argue that the current conception of professionalism being advanced within organized medicine, something we label nostalgic professionalism29 (a label tied to organized medicine’s explicit and repeated calls for physicians to rediscover and recommit themselves to traditional professional principles), is an overly restricted and ultimately unproductive way to leverage professionalism as a tool in the transformation of 21st-century medicine. In contrast, we present a systems-based approach to medical professionalism. We trace the evolution of medicine’s modern-day (mid-1980s to present) professionalism movement, and in doing so we explore how sociohistorical data reveal not one, but rather multiple, forms of professionalism(e.g., entrepreneurial, lifestyle, nostalgic, activist) at work. 

  • Second, we explore the web of relations among these types, and we propose a multipronged and complexity-driven research agenda to both study and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medical professionalism. 

  • Third, we explore how best to frame professionalism as a force for change in the evolution of 21st-century medical education, and we seek to do so in a spirit similar to Flexner’s. Flexner proposed educational reform based on his vision of the physician educator. We propose educational reform based on ou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system composed of competing types.



플렉스너와 프로페셔널리즘

Flexner and Professionalism


Flexner가 자신의 분석 무기에서 핵심 요소로서 profession 개념을 자주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처음부터 알아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개념이 사회학과 의학 모두에서 20 세기 초반에 상대적으로 미개발 된 존재라는 점을 감안하면 놀랄만 한 것은 아닙니다.

it is important to note from the outset that Flexner did not often use the concept of profession as a core element in his analytical armament. This should not be surprising, given that concept’s relatively undeveloped presence in the early decades of the 20th century both within sociology and medicine.




Flexner의 6 부분 정의 및 사례 기반 비교 접근법

Flexner’s six-part definition and case-based comparative approach to profession



Flexner의 직업에 대한 가장 자세한 진술은 Bulletin No. 4 나 의학 교육에 관한 그의 다른 글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1915 년 초청 연설 ( "사회 사업은 직업입니까?")에서 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에 나온다.

Flexner’s most detailed statement about professions did not appear in Bulletin No. 4, nor in any of his other writings on medical education, but rather in an invited 1915 address (“Is social work a profession?”) to the 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32



profession에 대해 고도로 맥락적, 역동적, 그리고 시스템 중심적 관점을 보였다.

a highly contextual, dynamic, relational, and systems-oriented view of professions.


Flexner에게 profession이란

For Flexner,

    • 본질적으로 개인의 책임이 큰 지적 작업을 포함합니다.

    • 그들은 과학과 학습에서 그들의 raw material를 끌어 낸다.

    • 자료들은 실용적이고 확실한 목적을 갖는다.

    • 교육적으로 전달 가능한 기술을 보유하고있다.

    • 그들은 자기 조직적인 경향이있다.

    • 그들은 점점 이타적인 동기부여를 갖게 된다. (p156)

    • professions involve essentially intellectual operations with large individual responsibility; 

    • they derive their raw material from science and learning; 

    • this material they work up to a practical and definite end; 

    • they possess an educationally communicable technique; 

    • they tend to self-organization; 

    • they are becoming increasingly altruistic in motivation.32(p156)


직업에 대한 Flexner의 접근 방식을 이해하는 데있어서 기본은 사례 기반의 비교 분석에서 6 가지 정의 요소를 어떻게 활용했는지입니다. 1915 년 연설에서 플렉스너는 여러 기준을 사용하여 여러 occupational 그룹의 professional prospects을 평가했으며, social work는 검토 한 많은 직종 중 하나 일뿐입니다. 그렇게함으로써, Flexner는 정책 및 개혁 이니셔티브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에서, [Comparative method에 토대를 둔, 여러 요소 (국가, 직업 그룹 또는 의과 대학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 그의 연설은 또한 또 다른 중요한 성향을 보여주는데, 그의 평가에서 당황스러울정도로 솔직한 성향을 보여주었다. 플렉스너는 social work가 profession이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unapologetic한 결론을 내렸다.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Flexner’s approach to professions is how he employed each of his six definitional elements within a case-based, comparative analysis. In his 1915 address, Flexner used each criterion to assess the professional prospects of several occupational groups, social work being only one of many occupations he reviewed. In doing so, Flexner underscored what would become a signature element in his approach to policy and reform initiatives—the use of data from multiple sources (be they nation-states, occupational groups, or a universe of medical schools) to drive an analysis constantly grounded in a comparative method. His address also reflected another signature proclivity, his tendency to be disconcertingly candid in his assessments—which included, in this instance, the unapologetic conclusion that social work fell short in its claim to be a profession.


그의 정의 템플릿을 사용하여 Flexner는 약국, 은행 업무, 배관공, 저널리즘 및 사회 사업에 대한 단계별 분석을 진행하였고, 하나하나 각각이 왜 profession이 아닌지 보여주었다. 한편, Flexner는 반복적으로 의학과 공학을 profession이라고 확인했으며, 성직자, 법률 및 건축가가 그 뒤를 이었다. 그는 또한 비즈니스를 nonprofession이라고 반복적으로 특징 지웠다. Flexner는 문학, 회화, 음악을 전문직으로 분류했습니다 .32 (p158) 마지막으로, Flexner는 간호사의 professional prospects를 "라이브 와이어"라고 명명했고, 간병은 "twilight [즉, 두 가지 경우 사이]"라고 했다.32 (p158)


Using his definitional template, Flexner walked his audience through a step-by-step analysis of pharmacy, banking, plumbing, journalism, and social work—rejecting each, in turn, as a profession. In other comments, Flexner repeatedly identified medicine and engineering as professions, closely followed (in frequency of mention) by the clergy, law, and architecture. He also repeatedly characterized business as a nonprofession. In one isolated burst, but without any further explanation, Flexner identified literature, painting, and music as professions.32(p158) Finally, and in a fascinating and uncharacteristically equivocal aside, Flexner labeled the professional prospects of nursing as a “live wire” and nursing itself a “twilight [i.e., betwixt and between] case.”32(p158)



Flexner’s sociological approach to professions



경험적 근거를 둠과 동시에 Flexner의 접근은 단호하게 사회학적이었습니다. 즉, 폭 넓은 사회적 맥락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표현하고자했습니다. 

  • 예를 들어 Flexner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일관되게 "소명"이라고 불렀지만, 프로페셔널리즘을 사회적 지위와 대중의 인식에 연계 된 것으로 인식했습니다. 

  • 플 렉너 (Flexner)는 "강력한 계급 의식"에 묶여있는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프로페셔널리즘이 "귀족 정치적"이지만 "고도로 민주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부여받은 사회적 지위보다는 개인적인 성취에 기반을 둔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또한 Flexner는 1915 년까지도 occupational 그룹에 의해 프로페셔널이 문화적으로 납치/도되어 문화 자본의 일부를 잃게 되었다고 인식했습니다. 

  • 마지막으로 현대의 프로페셔널리즘 논쟁에서 핵심 이슈를 예상하면서, 플렉스너는 "전문직 남성과 그 가족의 사회적 삶과 개인 생활은 professional nucleus를 중심으로 조직되는 경향이있다"고 결론지면서 가족과 직장 사이의 균형에 대해 언급했다 .32 (p156)


Along with being empirically grounded, Flexner’s approach was resolutely sociological—in that he sought to depict professionalism in its wider social context. 

  • For example, although Flexner consistently referred to professionalism as “a calling,” he also recognized professionalism as a social status and one that is tied to public recognition. 

  • Flexner identified professionalism as a shared occupational identity tied to a “strong class consciousness,” something he viewed as both “aristocratic in form” yet “highly democratic,” with the training process based on individual achievements rather than an ascribed social status.32(p153) 

  • Moreover, Flexner was cognizant that even by 1915, the label professional had been culturally hijacked/ expropriated by a large number of occupational groups, thus undercutting at least some of its cultural capital. 

  • Finally, and anticipating a key issue in the contemporary professionalism debate, Flexner addressed the balance between family and work, concluding that “the social and personal lives of professional men and their families thus tend to organize around a professional nucleus.”32(p156)


플렉스너의 Profession에 대한 시스템 접근

Flexner’s systems approach to professions


Flexner의 접근 방식의 세 번째 특징은 시스템 지향입니다. 간단히 말해, Flexner는 프로페셔널리즘이 역동적이고 진화적인 힘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에 관해서는 의사가 독점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얻는 것에 초점을 두었고, 의학 자체가 미래에 profession으로서의 지위를 잃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았습니다.

The third distinction of Flexner’s approach is its systems orientation. Simply put, Flexner believed professionalism to be a dynamic and evolutionary force. Nonetheless, when discussing medicine, he did limit his focus exclusively to physicians’ attainment of professionalism and did not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medicine itself might lose its status as a profession at some point in the future.



또한 Flexner는 occupational 집단이 자신의 프로페셔널리즘 이니셔티브에 전략적으로 착수 할 수 있고, 전문적 지위를 얻기 위한 의도적인 노력으로 "전투"와 "트렌치 전쟁"이 촉발 될 수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p164)

Flexner also recognized (shades of the 1980s) that occupational groups may strategically embark on their own professionalism initiatives and that any deliberate striving for professional status could spark “battles” and “trench warfare.”32(p164)



역동적이고 진화하는 profession에 대한 Flexner의 비전을 이해하는 열쇠는, 변혁적 사회 세력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의 진화에서 이타주의의 역할에 대한 그의 견해입니다 (위의 인용문에서 Flexner의 마지막 6 가지 기준 참조). Flexner는 이 "프로페셔널 정신"이 전문 그룹 일반은 물론, 특히 의학 분야에서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했습니다. Flexner의 경우 이타주의는 "professional character의 mark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하면서, 이타주의란 "개별 의사의 금전적 관심은 점차 더 큰 목적에 대한 책임감에 대한 인식에 점차 자리를 비켜주어야 한다"(32) (p156)고 했다. Flexner의 경우 의학 및 기타 전문직은 아직 "완전히 사회화"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는 "부족하다"고 보았다. 플렉스너 (Flexner)는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서비스 지향에 대한 어떤 움직임도 내적 동기보다는 "여론의 압력"(p156)에 의해 주도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Key to understanding Flexner’s vision of professions as dynamic and evolving are his views on the role of altruism in the evolution of professionalism as a transformative social force (see the last of Flexner’s six criteria in the quote above). Flexner was unequivocal in insisting that this “professional spirit” had yet to be realized across professional groups in general and within medicine in particular. For Flexner, altruism was something that “may . . . come to be a mark of professional character” and is something where the “pecuniary interest of the individual practitioner . . . [is] apt to yield gradually before an increasing realization of responsibility to a larger end” (italics ours).32(p156) For Flexner, medicine and other professions were not yet “fully socialized” and currently “fall short” in this regard.32(p161) Ever sociological in his framing, Flexner was convinced that any move to a service orientation would be as much (or more) driven by the “pressures of public opinion”32(p156) than by internal motivations.



진화하는, 이타주의적으로 유도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비전을 가진 사람이 플렉스너만은 아니었습니다. 헨리 S. 프리 쳇 (Henry S. Pritchett)

Flexner was not alone in this vision of an evolving and altruistically driven professionalism. foundation president Henry S. Pritchett noted,



상업주의적 의료 학교가 사라지고, 그 직업이 교양있는 남성으로 구성되어, 지역 사회와 인류에게 봉사의 이상이 살아 나면, 이득을 보기 위해 의료를 착취하는 기회가 사라질 것이다. 돈을 벌 기회만 보는 청년, 또는 아들을 위해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을 구하는 부모는 다른 곳을 알아봐야 할 것이다 .34 (pxvii)

As the commercial medical school disappears, and the profession comes to be composed of educated men alive to the ideal of service to their communities and to humanity, the opportunity to exploit medicine for gain will disappear. The youth who is looking for a fortune, or the parent who seeks for his son a remunerative occupation, should look elsewhere.34(p xvii)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Flexner의 역동적이고 변혁적인 견해의 또 다른 요소는 조직 변화를 engineering하는 핵심 요소로 풀 타임 학업 의사 - 과학자에 비전을 둔 것이다. 1924 년 JAMA에서 1909 년과 1924 년 사이에 미국과 유럽 의학 교육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평가에서 Flexner는 전임 임상교원으로의 움직임의 성격을 "professional"하다고 명시했다 .35) (p834) (p836) Flexner의 주요 전기 작가 Thomas Neville Bonner는 (36) (p1068)는 Flexner가 "의학교육에 관한 미국의 경험의 대부분을 지배했던 상업주의적 정신으로부터 가능한 한 자유로운 기관을 창출해야한다"고 주장한 것은 사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단호한 태도를 갖고, 의학 교육에 대한 탐욕에 단호히 저항해야 한다"는 것이다.

Another element in Flexner’s views on professionalism as a dynamic and transformative force is his vision of the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as a key element in engineering organizational change. In his 1924 JAMA appraisal of historical changes in U.S. and European medical education between 1909 and 1924, Flexner explicitly labeled the move to full-time clinical faculty as “professional” in nature.35(p834) He also characterized schools that had moved only somewhat in this direction as being “partly professionalized.”35(p836) Flexner’s main biographer, Thomas Neville Bonner,36(p1068) concurs, noting that Flexner’s drive to “create institutions that were as free as possible fromthe commercial spirit that had dominated so much of America’s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was, in fact, “taking a strong stand for professionalism and against greed in the teaching of medicine.”


프로페셔널리즘의 미세 레벨 vs 거시 레벨

Micro-level versus macro-level types of professionalism


넷째, Flexner의 시스템 사고에서 중요한 요소는 개별 의사가 보여주는 프로페셔널리즘과 조직이 보여주는 프로페셔널리즘을 구별하는 경향이었습니다. 후자는 Flexner에게 개별적이고 독특한 공공 서비스 책임을 맡았으며, 개별 의사와 마찬가지로 책임에 관한 시야를 쉽게 잃을 수도 있습니다.

Fourth, and a key element in Flexner’s systems thinking, was his tendenc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professionalism manifested by individual practitioners and the professionalism exhibited by organizations. The latter, for Flexner, had separate and distinctive public service responsibilities and could just as easily lose sight of those responsibilities as could individual clinicians.


프로페셔널리즘 vs 상업주의

Professionalism versus commercialism


마지막으로, 1915 년의 [사회 사업에 대한 직업으로서의 그리고 전체로서의 저작] 전반에 걸쳐서, Flexner는 상업주의와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에 급격한 갈라진 틈이 있음을 주장했다. 그의 사고 체계의 관점에서, 상업주의는 환경적 힘으로서 기능하며, 프로페셔널리즘의 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Finally, in his 1915 talk on social work as a profession, and throughout his writings as a whole, Flexner maintained that there was a sharp cleavage between commercialism and professionalism. In terms of his systems thinking, commercialism functions as an environmental force, having a negative impact on the system of professionalism.


플렉스너 (Flexner)에게 "재정적 이익"에 대한 강조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정신에 대립한다 ( "전문직은 단순히 이익을 위해 양성되지 않아야 한다") .32 (p163) 더욱이 서비스의 동기 (직업적 지위의 측면에서)는 "내면에서의 영적 striving"이며, 여기서 일의 보상은 "개인적이지 않은 목적"에 바쳐진다 .32 (p162) Profession은 "이기적이고 금전적인 동기"를 최소화하고 "개인 이익을 최소화"하는 동기를 위해 분투해야 합니다 .32 (p159)

For Flexner, an emphasis on “financial profit” is antithetical to the spirit of professionalism(“professions may not be cultivated for mere profit”).32(p163) Moreover, the motive of service (in terms of professional status) is a “spiritual striving from within,” where the rewards of work are devoted to “impersonal ends.”32(p162) Professions strive to minimize “selfish and mercenary motives” and to “minimize personal profit” as a motive.32(p159)


Flexner에게 이타주의의 정신을 가장 잘 반영하는 두 가지 직업은 teaching과 social work이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의학은이 맥락에서 언급되지도 않았고, 성직자도 마찬가지였다. 플렉스너는 다른 기준의 집합에 기초하여 사회 사업이 profession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을지라도, 이타심 ( "사심없는 헌신", "자신에 대한 공공의 이익을위한 진정한 존중")을 전문직의 핵심으로 인식했다.

For Flexner, the two occupations best reflecting an ethos of altruism were teaching and social work. Medicine, interestingly, was not mentioned in this context, nor was the clergy. Flexner perceived altruism (“unselfish devotion”/“a genuine regard for the public interest as against its own”)32(p159) as core to professional status—even as he concluded, based on a constellation of other criteria, that social work was not a profession. 


플렉스너 (Flexner)는 "Profession은 주로 객관적, 지적, 이타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언제나 이기적인 목적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의 야망의 만족보다 더 크고 고귀한 목적을 위해 헌신"하는 "이상"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Profession은 "code of honour"를 가지고 있다.


For Flexner (this time quoting from his book Universities: American, English, German37), “professions have primarily objective, intellectual, and altruistic purposes,” and while they are “not always in fact free from selfish purposes,” they do hold the “ideal” of being “devoted to the promotion of larger and nobler ends than the satisfaction of individual ambitions.”37(p30) Professions have “a code of honour.”37(p30)


Flexner의 상업주와 그 부패한 영향에 대한 비난은 proprietary 의학 교육 (Bulletin No. 4 또는 그의 후기 "Medical education 1909-1924"35 참조)에서 드러난다. 또한 full-time academic enterprise로서 임상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그의 견해를 보여준 것에서도 들어나며, 이는 카네기 재단, 유럽의 의학 교육에 대한 그의 후속 게시판 제 6 호에서보다 완전하게 나타나기 시작햇다.

Flexner’s denouncements of commercialism and its corruptive influences had a frequent presence both in his writings on proprietary medical education (see, for example, Bulletin No. 4 or his later “Medical education 1909–1924”35) and within the context of his views on the need to establish clinical teaching as a full-time academic enterprise, a theme that began to appear more fully in his follow-up Bulletin No. 6 for the Carnegie Foundation, Medical Education in Europe.34


의사나 조직된 의학organized medicine이 완전히 프로페셔널이 되지는 않았다는 플렉스너의 결론은 (1920 년대 현재) 우리에게 흥미로운 수수께끼를 안겨줍니다. 오늘날 사회학과 조직 의학의 합의에 따르면, 의학이 서비스 정신ethos을 잃어 버렸고 사회와의 사회적 계약을 위반했기 때문에, 신뢰와 관련 사회적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 명시 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38-42 만약 [의학의 프로페셔널리즘은 발생 초기이고, 이제 막 시작된 이타주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라는 플렉스너의 말이 것이 옳았다면손실에 대한 보다 현대적 관측은 medicine이 사실 Flexner의 시대와 오늘날 사이의 어딘가에서 selfless한의 봉사 정신을 달성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Flexner’s conclusion that neither physicians nor organized medicine had become fully professional (as of the 1920s) brings us to an interesting conundrum. Today, the consensus, within both sociology and organized medicine, is that medicine has lost its service ethos and/or violated its social contract with society and therefore needs to make explicit efforts to regain that trust and related social status.38–42 If Flexner was correct in identifying medicine’s professionalism as nascent and as a force driven by incipient altruism, then the more contemporary observation of loss requires a corollary conclusion that medicine did, in fact, attain such an ethos of selfless service somewhere between Flexner’s time and today.


그리고 이것이 실제로 사실이라면, 우리는 1920 년대와 1980 년대의 어딘가에서이 "황금 시대"를 찾을 수 있어야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우리는 이러한 이타적인 은혜의 성취(따라서 타락이 가능했음)는 역사적 사실주의보다 훨씬 과장된 것이라고 결론 내릴 수밖에 없다사회학과 의학 모두, 역사적 사실에 비해서 의학의 과거 (일부 전반적인 서비스 윤리의 관점에서)를 과장한 죄가 있음을 인정합니다.


 If this indeed is the case, then we should be able to locate this “golden age” somewhere between the 1920s and 1980s. Alternatively, we would have to conclude that any such attainment of altruistic grace (thus allowing for a fall) has been more hyperbole than historical fact— with both sociology and medicine guilty of attributing more to medicine’s past (in terms of some overall service ethic) than is historically warranted.



플렉스너, 의학교육, 새로운 종류의 프로페셔널의 등장

Flexner, medical education, and the rise of a new type of professional


우리의 소개에서 언급했듯이, Flexner의 의학교육 개혁 계획의 핵심 요소는 의대가 새로운 형태의 임상 교수직, 풀 타임 학업 의사 - 과학자를 채택하도록 하는 비전이었습니다. Flexner는 이런 유형의 의사를 practicing physician과 구별해야한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유형의 의사는 Private 환자를 보면서 "외부"수입을 창출하지 않아도 되고, 일상 업무에서 이타주의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As stated in our introduction, a key element in Flexner’s plans to reform medical education was his vision to have medical schools adopt a new type of clinical faculty position, the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Flexner considered this type of physician to be distinct from the practicing physician— primarily because this type of physician would not have to generate an “outside” income by seeing private patients and would play out the role of altruism in his or her daily work.



Flexner가 제안한 프로페셔널리즘과 의학 교육의 주요 연결 고리는 [Social good으로서의 의학에 대한 그의 비전]과 [사회와"사회적 계약"이라고 오늘날 우리가 언급하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믿음]이었습니다 .38 

  • Flexner에게 의사란 "사회적 도구"이고, 의과대학은 "공공 서비스 기관public service corporations"이었다. 이를 감안하면, 플렉스너에 따르면, 의사와 의과대학 모두 대중으로부터 개인적 / 조직적 이득 "착취"할 권한이 없다. 

  • 따라서, 의학교육의 "사회적 기능"으로 인해, Flexner는 사회가 새로운 의사를 교육하는 비용 부담에 동의underwrite해야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Flexner는 부분적으로 학교가 학비에 의존하여 더 부패 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러한 입장을 취했습니다. 또한 Flexner는 [대학 기반의 교육 임무 지원]이라는 목적에 있어서, 수업료는 수입원으로 불충분하다고 보고있었습니다. 

  • 또한 의학은 "사회의 가장 고귀한 목적을 위해, 사회에 의해서 differentiated된 기관"이기 때문에, 24 (p19) Flexner는 사회가 누가 의사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정할 권리와 의무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에 따라, Flexner는 아무도 의사가 될 권리를 예정받지 않았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제한을 개인의 자유에 대한 침해로 간주하지 않았습니다 .24 (p155)

Flexner’s primary conne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medical education was through his vision of medicine as a social good and his fundamental belief in what we refer to today as medicine’s “social contract” with society.43 For Flexner, physicians were “social instruments,”42(p154) and medical schools were “public service corporations.”24(p ix; 154),44(p49) Given this status, neither had the right, according to Flexner, to “exploit” the public for personal/organizational gain.24(p127),42(p49) Correspondingly, and once again because of medical education’s “social function,”24(p127) Flexner saw society as being obliged to underwrite the cost of educating new physicians. Flexner took this position, in part,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schools would become dependent on tuition and thus subject to further corruption. Flexner also saw tuition as an insufficient source of revenue to support a university-based educational mission. Furthermore, and because medicine was “an organ differentiated by society for its own highest purposes,”24(p19) Flexner believed that society had the right and obligation to set standards for who should become physicians. In turn, Flexner believed that no one had the preordained right to become a physician, nor was this limitation to be viewed as an infringement on individual liberties.24(p155)



플렉스너의 프로페셔널에 대한 이상

Flexner’s professional ideal


Flexner의 의학 교육 개혁에 관한 전반적인 비전의 관련 초석은 임상 교수진이 full-time academic position되어야한다는 그의 신념이었습니다.

A related cornerstone in Flexner’s overall vision of medical education reform was his belief that the clinical faculty member must become a full-time academic position.



그는 Proprietary 의과 대학의 폐쇄(1차 물결)와 그 나머지 학교가 지리적 및 행정적 이전을 통해 대학university setting을 갖춤(2차 물결)에 이어, 교수 지위의 변화를 세 번째 개혁 물결로 구상했습니다. 이를 위해 플렉스너는 록펠러 재단의 일반 교육위원회에 합류하여 존스 홉킨스 (Johns Hopkins), 세인트 루이스 (St. Louis)의 워싱턴 대학교, 그리고 예일 (Yale)에 자금을 조달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 당시의 임상 교육자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진료를 해야하고" "임상 연구와 교육에 헌신 할 수 있는 시간을 빼앗기는"는 "핸디캡"을 준 장본인은 상업주의였다.

He envisioned this shift in faculty status more as a third wave of reform—after the closing of proprietary medical schools (wave one) and the geographic and administrative relocation of those remaining schools to a university setting (wave two). Thus, it would not be until Flexner joined the Rockefeller Foundation’s General Education Board that he would begin to push for funding specific to such positions, first at Johns Hopkins, then at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and then at Yale.45 Once again, commercialism was the main culprit, with then-current clinical educators needing to be freed fromthe “handicap” of having to “make their living by practice”45(p176) and of having to “snatch what time they could to devote to clinical research and teaching.”45(p176)



Flexner가 이러한 맥락에서 profession이라는 용어를 거의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전임 임상 교수진은 Flexner의 전문 교육자의 전형이었습니다. 이 교육자-연구자는 플렉스너가 graduate/professional 교육과 undergraduate 교육을 분리하였을 때 그렸던 그림이다. 후자는 플렉스너에게 fractured focus였고, 강력한 상업적 압박이 넘쳐나는 곳이었다.

Although Flexner rarely used the term profession in this context, the full-time clinical faculty member was Flexner’s epitome of the professional educator. This was the educator–researcher Flexner envisioned when he differentiated between graduate/professional education and undergraduate (college) education, the latter, for Flexner, having a fractured focus (trying to be too many things for too many people) and being awash with what Flexner saw as strong commercial (e.g., correspondence schools) pressures.37



시스템으로서 의학교육

Medical education as a system


마지막으로, Flexner는 근본적으로, 데이터 기반, 맥락 기반, 비교-프레임 분석에 헌신하는 시스템 사상가 였음을 알아야합니다.

Final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Flexner was, at root, a systems thinker whose work and writings emblemize his commitment to analysis that was data driven, contextually grounded, and comparatively framed.


플렉스너는 맥락(예 : 환경 세력의 중요한 역할)과 비교(예 : 미국의 개혁을 다른 국가에서 파생 된 모델로 연결)의 중요성을 명시적으로 인식하였다. 교육자로서의 60 년 이상의 경력에서 Flexner는 미국과 캐나다를 누볐을 뿐만 아니라 독일, 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 스위스,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및 스웨덴 전역의 의과 대학을 여러 차례 방문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서 의학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 접근 방식의 상대적인 강점과 약점에 대한 더 나은 (즉,보다 비교된) 이해를 추구하였다. 플렉스너가 더 선호한 곳(독일)도 있었을지 모르지만, 그는 결코 아첨꾼이 아니며, 약점을 상쇄하는 것을 열거하지 않으면 칭찬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Flexner was explicit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oth context (e.g., the important role of environmental forces) and comparison (e.g., linking reforms in the United States to models derived from other countries). In his 60-plus-year career as an educator, Flexner not only crisscrossed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but also made multiple visits to medical schools across Germany, France, England, Austria, Switzerland, Belgium, Holland, Denmark, Norway, and Sweden—all in search of a better (i.e., more comparative) understanding of the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fferent culturally bound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Flexner may have had his favorites (e.g., Germany), but he was never a sycophant, and rarely would he ever sing praises without enumerating countervailing weaknesses.



Flexner의 의학교육에 대한 시스템-기반 사고를 보여주는 또 다른 것은 [Connectedness에 대한 강조]와 [의학교육의 한 부분에서 변화가 해당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이해이다. 플렉스너 (Flexner)에게 의과대학은 인체와 매우 흡사합니다. "전체적인 구조와 기능을 이해해야하는 부분에서 방해를 이해하거나 제거하기위한 유기적 인 부분입니다. 엄격히 말하자면 어떤 부분도 전체와 분리 될 수 없다. "34 (p11)

An additional window into Flexner’s systems-based thinking about medical education is reflected in his emphasis on connectedness and his understanding that changes in one part of medical education would generate changes in other parts of that system. For Flexner, a medical school was much like the human body: “an organic whole [where] to comprehend or remove a disturbance in any part of which requires, first of all, a comprehension of its entire structure and function: for no part is, strictly speaking, separable from the whole.”34(p11)



Flexner는 대학에 대해서도 비슷한 "유기적 전체"및 상호 연결된 관점을 유지했습니다. 플렉스너 (flexner)에게 대학은 "그들이 속한 사회의 진화"(34)와 그에 따른 "주어진 시대의 사회적 구조"에서 영향을 받는 역동적 인 존재였다. 34 (p3) 따라서, Flexner는 [혼란스러운 대학 환경]보다는 더 [집중된 대학 시스템]을 만들려고 노력했지만 Flexner는 구조적 차원에서 internal differentiation을 적대시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기능의 다양성이 공통의 비전 또는 "목적의 단일성"을 중심으로 통합/연결되어있는 한 Complexity도 받아들여져야했다 .37) (P178-179) 그럼에도 불구하고 Flexner의 다형성polymorphous 캠퍼스에 대한 명백한 혐오는 훗날 비판에 사로 잡혔다. 예컨대 클라크 커 (Clark Kerr)는 플렉스너가 "발산하는 힘의 창의적인 긴장"을 보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Flexner held a similar “organic whole” and interconnected view of the university. Universities, for Flexner, were dynamic entities, influenced by “the social evolution of which they are part,”34(p4) and thus very much a part of the “social fabric of a given era.”34(p3) Thus, while Flexner sought to create a university system that would be more focused than what he viewed as a more chaotic college environment, Flexner was not an enemy of internal differentiation (on a structural level). Complexity was to be embraced so long as this diversity of function was unified/connected around some common vision or “unity of purpose.”37(p178–179) Nonetheless, Flexner’s obvious distaste of the polymorphous undergraduate campus rendered him vulnerable to criticisms by later educational leaders, such as Clark Kerr,48 for not seeing “the creative tensions of divergent forces.”



Flexner의 전반적인 교육 개혁 전략은 본질적으로 관계적이며, 단호히decisively 상호작용했습니다. 그는 결국 개혁을 향해 수억 달러를 배분했지만, 이 기금을 지출하는 데 단호하게 전략적이었다. 네트워크면에서 Flexner는 "허브"또는 영향력있는 센터를 만들려고 노력했는데, 그로부터 지속적인 개혁의 물결이 자발적으로 퍼졌습니다. 따라서 록펠러 재단 (Rockefeller Foundation)의 일반 교육위원회 (General Education Board)와 협력하여, 전임 임상 교수직에 자금을 지원하여 임상 교육 문화를 변화 시키려고했을 때, 그는 (결국 미국 내 66개 4년제 대학 중 25개에 지원을 확대하기에 앞서) 특정 학교(존스 홉킨스 (Johns Hopkins))를 목표로 삼아 시작했다. 

Flexner’s overall strategy of educational reform also was relational and decisively interactive in nature. Although he would eventually direct several hundred million dollars toward his reform efforts,46 he was decisively strategic in disbursing these funds. In network terms, Flexner sought to create “hubs,” or centers of influence, from which successive waves of reform would, in his view, spontaneously spread. Thus, when Flexner, working with the Rockefeller Foundation’s General Education Board, sought to transform the culture of clinical teaching by funding full-time clinical faculty positions, he targeted specific schools, beginning with Johns Hopkins, before eventually extending support to 25 of the nation’s then 66 four-year schools.



또한, Flexner는 그의 달러를 활용하여 지리적 위치, 공공 기관과 사립 기관 등과 같은 다양한 관계적 변수에 신경을 썼다. 마지막으로, Flexner가 전략 기획 및 질서를 지지했지만 determinist는 아니 었습니다. Flexner의 의과대학 (임상(프랑스와 영국), 대학(독일), 미국(Proprietary))의 세 가지 유형론은 각 국가가 어디서 출발할지가 운(chance)에 달린 "상황"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47 (p14) 어디에도 주요 유형의 의학 교육 전반에 걸친 "초기 계획의 증거"와 "국가의 천재가 원래 특정 유형을 선택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보았다. 47 (p14)

Furthermore, and in search of leveraging his dollars, Flexner was quite attentive to other relational variables such as geographic location and the necessity to fund public as well as private institutions. Finally, even though Flexner was a proponent of strategic planning and order, he was no determinist. Flexner’s tripartite typology of medical schools (clinical—France and England, university— Germany, and proprietary—America) was underscored by his belief that each national type was the product of “circumstances,” whose starting point was a “matter of chance.”47(p14) Flexner sawno “evidence of initial planning” across his major types of medical education and no “proof that national genius originally selected one type rather than another.”47(p14)




프로페셔널리즘 연구의 이론적 모델

A Theoretical Model for Researching Professionalism


복잡계 시스템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system


복잡성 과학에 익숙한 사람들은 학자들이 주제를 복잡한 시스템으로 정의하거나 재정의 할 때 때때로 사용되는 거의 전형적인 litany of characteristics을 접하게되었습니다. 여기에 포함되는 호칭에는 창발형, 자체 조직화, 에이전트 기반, 운영에서 벗어난 평형, 혼돈, 동적, 비선형, 초기 상태에 민감한, 확률 적, 자기 창작 적, 네트워크 기반 등의 용어가 포함됩니다 .49,50 그러나 이러한 용어의 확산은 복잡성 과학을 주제에 빠르게 또는 무비판적으로 적용한 결과인 경우가 많으며, 단순히 이러한 용어를 쓰는 것 만으로 해당 주제를 자동으로 복잡한 시스템 분석에 적용 할 수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Those familiar with complexity science have encountered the almost stereotypical litany of characteristics sometimes used when scholars define or redefine a topic as a complex system. This litany includes terms such as emergent, self-organizing, agent-based, operating-far-from-equilibrium, chaotic, dynamic, nonlinear, sensitive to initial conditions, stochastic, autopoietic, network-based, and so forth.49,50 This proliferation of descriptors, however, often results from the quick or uncritical application of complexity science to a topic, as if the mere evocation of these terms automatically made that topic applicable to a complex systems analysis.51


Cilliers50과 다른 사람들 (예 : Byrne52, Capra49,53)이 설명 하듯이 과학은 여전히 ​​complex system을 만드는 요소를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As Cilliers50 and others (e.g., Byrne52; Capra49,53) explain, science is still struggling to articulate what makes something a complex system,


complex 시스템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우리의 정의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데이터 세트의 검토에 근거합니다.

Our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s acomplex system is grounded in the examination of two primary sets of data: 


(1) 의사가 의사집단으로서 그들이 하는 일을 어떻게 프로페셔널하다고 정의하는지에 따라 의사가 업무를 수행한다는 사실

(2) 현대 의학의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의 진화와 어떻게 조직 의학이 그러한 운동 내에서 어떤 규범적 틀을 발전 시키려고 노력했는지, 그리고 그 틀에 대한 결과적인 시스템 반응의 분석.

  • (1) the fact that physicians carry out their work based on how physicians as a group define what they do as professionals, and 

  • (2) the evolution of modern-day medicine’s own professionalism movement and how organized medicine has sought to advance a certain normative framework within that movement, along with an analysis of consequential system reactions to that framing.


프로페셔널리즘이 복잡한 시스템처럼 행동하는 몇 가지 주요한 방법이 있습니다.

For us, there are several major ways in which professionalism acts like a complex system.


  의료 전문성은 몇 가지 상호 경쟁적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   Medical professionalism comprises several competing types.


  아래에서 설명 할 것처럼 프로페셔널리즘은 몇 가지 경쟁competing 유형의 시스템으로 나눠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유형을 이해하려면 프로페셔널리즘 분석에 대한 사례 기반의 비교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   As we will explain below, professionalism seems to have splintered into a system of several competing types. Understanding these types requires a case-based, comparative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rofessionalism.


  다양한 종류의 프로페셔널리즘이 emergent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외부지도나 내부 감독없이, 다양한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은 (organizer가 인식하지 못한 채) emergent 시스템으로 자기조직화한다. 이 시스템에 대해 특히 흥미로운 점은 특정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조직하는 사람들은 종종 local 지식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른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이나 그 유형 간 상충되는 측면에 대한 제한된 인식만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   The differing types of professionalism seem to form an emergent system. Without any external guidance or internal oversight, the different types of professionalism have been self-organized, without the organizers’ awareness, into an emergent system. Wha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about this system is that those individuals who organize specific types of professionalism often are constrained by local knowledge, an example being a limited awareness of the other types or the conflicting aspects of those types.


  Emergent 프로페셔널리즘 시스템은 네트워크 측면에서 가장 잘 개념화됩니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전문성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에 일련의 네트워크로 구성됩니다. 각 레벨 (마이크로, 메소, 매크로)에서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와 역 동성은 오늘날 상호 의존적 인 의미를 지닌 연동형 시스템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   The emergent system of professionalism is best conceptualized in network terms. As depicted in Figure 1, the system of professionalism comprises a series of networks within networks. At each level (micro, meso, macro),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ose networks explain how professionalism today is taking place as a system of interlocking types with interdependent meanings.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시스템은 여러 단계에서 진행되고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의사들이 수행하는 프로페셔널리즘은 궁극적으로 미시적이고 agent-based이지만, 이러한 유형은 개별 부분의 합보다 더 큰 체계적인 체계를 형성하여 거시적 단계까지 올라간다. 이 서로 다른 레벨은 상호 의존적입니다. 한 레벨 (예 : 매크로)에서 일어나는 일은 다른 레벨에 영향을 준다.

  •   The system of medical professionalism seems to be taking place at multiple levels. Although the different types of professionalism physicians practice are ultimately micro-level and agent-based, these types forma system that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going all the way to the macro level to forma major social movement. Equally important, these different levels are interdependent. What happens at one level (e.g., macro) plays out at the other levels.


  프로페셔널리즘의 체계는 내부와 외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Flexner에 따르면, 오늘날 전문직이 직면한 상업주의와 같은 문제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러한 도전을 환경적 힘으로 보는 것이다. 비록 이 힘이 전문성 체계의 외부에 있지만, 다른 모든 환경적 힘과 마찬가지로 주로 [시스템이 어떻게 이 세력에 적응하는지]에 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형태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개념에서, 기업가적 전문성은 상업주의를 포용하는 반면, 행동주의적 전문성은 그것을 거부한다.

  •   The system of professionalism has an inside and an outside. Following Flexner, it seems that the best way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facing professionalism today, such as commercialism, is to think of these challenges as environmental forces that, although external to the system of professionalism, nevertheless, like any environmental force, have an impact, primarily in terms of how the system adapts to these forces. In our concept of the various forms of professionalism, for example, entrepreneurial professionalism embraces commercialism, whereas activist professionalism rejects it.30


   프로페셔널리즘의 체계는 내부적 갈등이 있으며, 역동적입니다. 이전의 요점에 따르면, 오늘날 직장에서 다양한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은 local knowledge과 다른 보이지 않는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에 의해 제약을 받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프로페셔널리즘 유형들은 서로 경쟁하고 있습니. 예를 들어, 오늘날의 향수주의적 전문성에 직면 한 가장 큰 도전 과제 중 하나는, 이 유형의 지지자들이 직장에서 다른 유형의 전문성이 있다는 사실을 거의 완전히 모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향수주의적 프로페셔널리즘의 신자들이 추구하고자하는 개혁에 정면으로 반대합니다.

  •   The system of professionalism is internally conflicted and dynamic. Following an earlier point, while the different types of professionalism at work today often are constrained by local knowledge and the invisibility of other types at work, these types are, nonetheless, in competition with one another. For example,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acing nostalgic professionalism today (see below) is its adherents’ almost complete ignorance that there are other types of professionalism at work—some of which are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reforms these true believers are trying to ensure.


  마지막으로, 프로페셔널리즘 체계는 더 큰 일련의 시스템 내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은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은 더 넓은 사회 환경에 위치하며, 일련의 대형 시스템으로 개념화 될 수 있습니다. 그러한 시스템으로는 의학 교육, 임상 실습, 의료 시스템, 월스트리트와 미국 경제, 연방 정부 및 다양한 사회 정치 기관이 있습니다.

  •   Finally, the system of professionalism is situated within a larger series of systems. Medical professionalism does not take place in a vacuum. Following Flexner, it is situated within a wider social context,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a series of larger systems. Such systems include medical education, clinical practice, the health care system, Wall Street and the U.S. economy, the federal government, and various other sociopolitical institutions.



프로페셔널리즘의 복잡성 연구의 삼발 모델

A tripartite model for studying the complexities of professionalism


  • 미시적 수준에서, 우리는 개인의 수준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개념화합니다. 

  • meso 수준에서 우리는 사회적 상호 작용과 관계의 맥락에서 전문성을 봅니다. 

  • 매크로 수준에서 우리는 전문성을 사회 운동으로 간주합니다.

  • At the micro level, we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and his or her work. 

  • At the meso level, we view professionalism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 At the macro level, we frame professionalism as a social movement.


조사자는 주어진 수준에 특정한 요소에만 집중할 수있는 반면, 이러한 요소는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상호 의존적이고 역동적 인 관계 분야 내에서 기능한다.

Whereas investigators may focus on elements particular to a given level, these elements ultimately function within an overall, interdependent, and dynamic “field of relations.”54


간단히 말하면, 전반적인 프로페셔널리즘 체계는 세 가지 수준 모두에 존재합니다. 이 시스템은 [의학 교육이나 의료 전달 시스템과 같은보다 복잡한 복합 시스템 내]에서, 하위 시스템 또는 결과 시스템으로 작동합니다.

In short, an overall system of professionalism exists across all three levels. This system, in turn, functions as a sub-or corollary system within still broader complexes such as medical education or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미시 수준 프로페셔널리즘

Micro-level professionalism


의료 업무의 10가지 핵심 측면 (이타주의, 자율성, 상업주의, 개인의 도덕성, 대인 관계, 생활 방식, 전문적 우위, 사회 정의, 사회적 계약 및 기술적 역량)

10 key aspects of medical work (altruism, autonomy, commercialism, personal mora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lifestyle, professional dominance, social justice, social contract, and technical competence)



7 가지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 (기업가, 경험, 생활 양식, 무성찰적, 학자적, 활동가적, 향수적)은 이러한 유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1을 참조하십시오.

seven types of professionalism(entrepreneurial, empirical, lifestyle, unreflective, academic, activist, and nostalgic—see Table 1 for more details about these types).



우리는이 유형 중 3 가지 (향수, 기업가, 생활 방식)가 나머지 4 개보다 훨씬 더 사회적으로 활성화되고 눈에 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는 또한 Flexner가 개념화한 풀 타임 학업 의사 - 과학자는 나머지 4 가지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 중 2 가지 (학문적 프로페셔널리즘, 경험적 프로페셔널리즘)과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we have found three of these types (nostalgic, entrepreneurial, lifestyle) to be far more socially active and visible than the remaining four. we also have discovered parallels between Flexner’s conceptualization of the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and two (academic and empirical) of our remaining four types of professionalism.



간단히 말해, 우리는 양방향 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전문성이 동시에 아래로 흐르고 동시에 위로 오릅니다(dual influence). 또한 각 수준에서 비슷한 개념 (예 : 향수 또는 생활 양식 전문성)이 역동적으로 behave한다.

In short, we have a two-way street, with various types of professionalism trickling down and bubbling up at the same time (dual influence), and we see similar concepts (e.g., of nostalgic or lifestyle professionalism) behaving very dynamically at each of the levels.



프로페셔널리즘은 유동적이고 진화하는 것으로, 조직 의학과 같은 지배적 인 이해 관계자가 특정한 프로페셔널리즘을 (예 :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가지고 다른 형태를 제한시키려고 할 때, 이러한 alternative dynamics의 존재가 때로 상실됩니다.

professionalism is a fluid and evolving picture, and the presence of these alternative dynamics sometimes is lost when a dominant stakeholder, such as organized medicine, seeks to advance a particular and privileged representation of professionalism(e.g., nostalgic) that limits alternative framings.



표 1에서, 우리는 조직 방식의 다양한 방식이 미 (개인) 수준에서 다양한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으로 이어지는 방식을 묘사합니다.

In Table 1, we depict how different ways of organizing work lead to different types of professionalismat the micro (individual) level.



7가지 유형을 모두 개발하고 나서야, 우리는 activist professionals의 상대적 순위가 프로페셔널리즘의 전반적 이상향에 보다 faithful한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전문직 지배professional dominance 대 사회 정의social justice의 문제를 둘러싼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대 운동가적 프로페셔널리즘의 순위 차이를 주목하십시오.

Parenthetically, it was only after developing all seven types that we discovered how the relative rankings of activist professionals seemed more faithful to the overall ideals of professionalism than what actually was being promulgated under the guise of nostalgic professionalism. For example, note the difference in rankings for nostalgic versus activist professionalism around the issues of professional dominance versus social justice.



한편, 연수생과 젊은 의사의 커리어 결정에 종종 반영되는 전문성의 종류(라이프스타일 프로페셔널리즘)는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과는 다른 구성을 나타냅니다. 둘 다 자율성autonomy의 순위가 높지만 (예 : 라이프 스타일 전문가를위한 자율의 가치).

Meanwhile, the kind of professionalism often reflected in the career decisions of trainees and younger physicians (e.g., lifestyle) represents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at of nostalgic professionalism, even though both share a ranking of autonomy (something we see as changing with a diminishment in the value of autonomy for lifestyle professionals).



그림 1은 이러한 7 가지 유형을 마이크로 수준에서 나타냅니다. 우리가 이러한 유형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재현하지는 못했지만,이 7 가지 유형은 고립 된 영향 영역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오히려, 그들은 의사의 마음, 정신 및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전문 직업인 기수의 다양한 구성으로서 경쟁적 관심사의 혼란 속에서 상호 작용합니다 .30 우리는 매크로 수준에서 의학의 전문성 운동에 대한 분석으로 이동할 때 이러한 상호 작용의 예를 제공합니다.

Figure 1 presents these seven types at the micro level. Although we did not reproduce the relationships that exist across these typ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seven types do not exist as isolated domains of influence. Rather, they interact in a flurry of competing interests as different configurations of professionalism jockey for the hearts, mind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of physicians.30 We provide examples of these interactions when we move to our analysis of medicine’s professionalism movement at the macro level.








거시 수준 프로페셔널리즘

Macro-level professionalism


Flexner의 평생 동안 "전문성 위기"는 없었지만 주 의회 복도 및 주 의료위원회 회의실 내에서 제한적인 라이센스 법 및 의료 행위를 통해 경쟁 직업에 대한 경계를 확보하기위한 의학적 노력이 조직화되었습니다. 라슨 (Larson)에게있어서 이것은 의학의 20 세기 초기"프로페셔널리즘 프로젝트"였습니다.


Although there was no “crisis of professionalism” during Flexner’s lifetime, there were organized efforts by medicine to secure its boundaries against competing occupations via restrictive licensing laws and medical practice acts within the hallways of state legislatures and the conference rooms of state medical boards.38 For Larson,56 this was medicine’s early-20th-century “professionalism project.” 


의학의 현대적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은 이전의 노력과 motive-of-record가 다르다( "대중을 보호하라"). 비록 self-serving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보다 최근에 지속되는 프로페셔널리즘 노력과 사뭇 다른데, 이제는 "공공의 신뢰 회복"이라는 동기/표어language로 정의된다. 게다가 플렉스너 시대의 이니셔티브는 (예 : "외부인"의 영향을 제한함으로써) 직업의 자율성을 확립하고 다른 보건 직업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하고자했습니다. 이는 보다 최근의 레토릭인 "환자-중심" "팀-기반"및 "interprofessional"과도 상당히 다르다. 


Medicine’s modern-day professionalism movement differs from those earlier efforts in that the motive-of-record then (“protect the public”), although possibly self-serving, was something quite different from the “recapturing of public trust” motives/ language defining medicine’s more recent and ongoing professionalism efforts. Furthermore, the initiatives of Flexner’s era sought to establish the profession’s autonomy (e.g., by limiting the influence of “outsiders”) and to secure dominance over other health occupations—all quite different from the current rhetoric of having medicine become more “patient-centered,” “team-based,” and “interprofessional.”57–59




가끔 저널에 상업적 부패의 위협이 나온 것을 제외하면, 20 세기 중반까지 medicine이 전문직으로서 갖는 직위에 대한 감각은 의심을 받기보다는 당연히 부여된 것이었다. 의사들은 자신이 훈련을 받은 덕분에 프로페셔널이 된 것이다.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과정은 없었으며, 공식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 이니셔티브로 분류 된 것도 없었습니다. 아무 것도 필요하지 않았다. 그 때는 시절도 달랐고 프로페셔널리즘도 달랐다.

Aside from an occasional journal reference to the threat of commercial corruption, medicine’s own sense of its status as a profession during the middle half of the 20th century was more assumed than questioned. Physicians were professional by virtue of their training. There were no professionalism courses, nor were there any formally labeled professionalism initiatives. None were needed. That was a different time and a different professionalism.



그러나 1980 년대 후반에 모든 것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All that began to change in the late 1980s


의학이 사회와의 사회적 계약을 위반했고, 대중의 신뢰를 잃고, 전문적인 계선을 포기했다는 결론을 내린 사설과 논평이 나왔다. 의사들은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전통적인 원칙을 재발견하고 재검토 할 필요가 있었다. 연속적인 물결에 따라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하고 평가하고, 의과 대학 내 프로페셔널리즘 커리큘럼을 개발 및 구현하고, 코드, 헌장 및 인정 표준의 핵심 원칙을 제도화하라는 요구가 발생했다. 학술 저널, 특히 학술 의학 및 미국 내과 의회 및 미국 의과 대학 협회와 같은 의료 단체는 특별 회의 및 기타 이니셔티브 구성에 앞장서 왔습니다.

editorials and commentaries concluding that medicine had violated its social contract with society, lost public trust, and jettisoned its professional moorings, and that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physicians to rediscover and recommit themselves to the traditional principles of medical professionalism.31,65 These cries of concern were followed, in successive waves, by calls to define and assess professionalism, to develop and implement professionalism curricula within medical schools, and to institutionalize core principles within codes, charters, and accreditation standards. Scholarly journals, particularly Academic Medicine, and medical organizations such as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nd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took the lead in organizing special conferences and other initiatives.




이 운동의 핵심 요소는 특수하고 고도로 특권화 된 유형의 프로페셔널리즘의 출현이었습니다. 이것은 앞서 "향수 주의적 프로페셔널리즘"으로 분류 한 유형입니다 .30 앞서 언급했듯이 제공자가 스스로를 "재발견"하고 "재 연결"해야한다는 요구는 "전통적인 의학적 가치"는 매우 플렉스너적인(Flexnerian) 것이었는데, 이 모든 주장은 이타심을 전문성의 핵심으로 간주하면서도 "상업주의"를 그 위협에 대한 최우선 위협으로 여겼기 땜누이다.

A key element in this movement was the emergence of a particular and highly privileged type of professionalism, a type we have labeled elsewhere as “nostalgic professionalism.”30 As mentioned earlier, the call for providers to “rediscover” and “reconnect” themselves to “traditional medical values” was very Flexnerian in that all of these calls identified altruism as core to professionalism while tagging “commercialism” as the single overriding threat to that call. 



이 분야의 핵심 요원으로는 전문성에 대한 매우 영향력있는 정의 인 Herbert Swick의 것을 비롯하여 다양한 프로페셔널리즘 코드가 출현했으며, 가장 널리 인용되는 의사 헌장은 미국 내과의위원회가 주도하는 조직 컨소시엄의 산물입니다. 이타주의는 Swick의 "프로페셔널리즘의 9 가지 행동"중 첫 번째였고, Swick의 정의 ( "의사는 다른 사람들의 이익에 자신의 이익을 종속")는 의학계에 인기가 있었지만(Charter를 비롯하여 Swick의 정의는 이후 많은 codes와 statements 워딩의 핵심이 되었다), 학생들에게는 인기가 없었다(자신의 이익을 후순위에 두기를 싫어했음) 


Key players in this rise include Herbert Swick’s66 highly influenti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long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professionalism codes, the most widely cited being the physician charter, a product of an organizational consortium led by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67 Altruism was the first of Swick’s “nine behaviors of professionalism,” and Swick’s definition (“physicians subordinate their own interests to the interest of others”) proved as popular with the medical establishment (Swick’s definitions were key in the wordings of many codes and statements of professionalism principles, including the charter) as it was unpopular with students (who did not like the notion of subordinating their own interests).68 


마찬가지로, 헌장에도 이타주의 진술을 비롯하여 ( "환자 복지 제일주의") 서문과 요약 모두에서 "시장 세력"에 관한 경고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은 의대 및 레지던트 과정, 프로페셔널리즘 평가 도구, 레지던트 수준의 핵심 역량, 학부 교육을 위한 인정 기준에도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73

Similarly, the charter led with its own altruism statement (“primacy of patient welfare”) as well as warnings about “market forces” in both its preface and summary. These nostalgically oriented depictions of professionalism also began to appear in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coursework, professionalism assessment tools,69–71 core competencies at the residency level,72 and accreditation standards (e.g., MS-31-A) for undergraduate training.73



전통적 프로페셔널리즘은 (내부자들에게는) 모두 합리적이고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결국, 

  • 문제의 확인 (전문성 상실),

  • 위협의 원인 (상업주의와 시장 세력), 

  • 필요한 해결책 (의사가 재발견하고 재헌신하는 것)

...은 조직화된 의학이 프로페셔널리즘을 초기의 (그리고 구조적으로 혼란이 적었던) 시대의 관습과 원리에 근거한 것으로 인식해야한다고 요구했다.

All these traditionally focused professionalism activities were viewed as quite rational and necessary—to insiders. After all, 

  • the very identification of the problem(a loss of professionalism), 

  • the cause of this threat (commercialism and market forces), and 

  • the necessary solution (having physicians rediscover and recommit) 

...practically demanded that organized medicine perceive professionalism as something grounded in the practices and principles of an earlier (and structurally less chaotic) era. 


결국 이 논리는 문제 또는 분열이 나타날 때, 그 "원인"이 개인과 그들의 관행 내에서 미시적 수준에 위치하도록 요구했으며, 다음이 포함된다.

  • 향수를 끄는 전문성의 핵심 가치가 부족한 계급에 속한 사람들;

  • 아직 사회화되지 않은 학생들;

  • 부적절한 교육 도구;

  • 불완전한 평가 관행;

  • "전문적인 기준"의 부적절한 집행.

In turn, when problems or schisms appeared, this logic also required that “causes” be located on the micro level within individuals and their practices, such as 

  • those in the rank and file who lacked nostalgic professionalism’s core values; 

  • not-yet-fully socialized students; 

  • inadequate teaching tools; 

  • incomplete assessment practices; 

  • inadequate enforcement of “professional standards.”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생각하는 다른 방법이있을 수 있다는 것은 이러한 사고 방식에는 맞지 않았다. 대신,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협소하고 정곡을 찌르는 개념이 battled on 했다..

That there might be other ways of thinking about professionalism did not fit into this overall mindset. Instead, a rather narrow and almost trenchant conception of professionalism battled on.


10년이 지나지 않아, 부인할 수없는 분열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전문가가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러한 전통을 담은 개념이 다른 방식의 rendering과 충돌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의대생은 이타주의에 대한 강조점이나 연수생에게 적용되지만 교수들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프로페셔널리즘 규정에 불편함을 다.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의 필요에 자신을 종속시켜야한다는 생각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에게 '자신을 돌보지 않는 봉사'를 요구하는 것은 번아웃을 처방하는 것과 같다고 보았으며, 높은 사람들이 자기를 더 열심히 일하게하거나, 환자가 자신에게 이득을 취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보았다.

Within a decade of its launching, undeniable schisms began to appear, particularly as these tradition-laden conceptions of what it meant to be a professional began to clash with alternative renderings. Medical students, for example, were uncomfortable with the emphasis on altruism or with professionalism codes that applied to trainees but not to faculty. Students did not like the idea that they might have to subordinate themselves to the needs of others. They viewed calls to “selfless service” as a prescription for burnout, as just another way for higher-ups to get them to work harder or for manipulative patients to take advantage of them.68


  •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교과 과정이 공식화되면서, 학생들은 "교실"에서 가르치는 교훈이 클리닉과 와드에서 배운 더 암묵적 교훈에 모순되거나 모순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숨겨진 교과 과정에 갇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74-76 

  • 냉소가 흘러나왔고, 분노가 폭발했다. 학생들은 이 과목을 미루두었으며( "그냥 시험만 통과하자"), 회피 또는 이중성의 전략을 사용하거나, 카멜레온의 외관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7-79

  • 학생들은 교수들의 위계의 권위 뒤에 숨어 있음을 비판하며, 같은 행동지침을 지키지는 않으면서 학생들에게는 동일한 표준과 원칙을 요구한다고 비난했다. 

  • 교수들은 당혹스럽고, 방어적이 되고, 분노를 느끼며 학생들을 이기적 게으름뱅이로 보기 시작했다 .81-83 

  • 세대 간 갈등은 확대되었다.

As coursework about professionalism became more formalized, students found themselves trapped within a hidden curriculum, as lessons taught in the “classroom” proved to be inconsistent or contradictory to the more tacit lessons they were learning in clinic and on the wards.74–76 Cynicism oozed and anger bubbled.77–79 Students began to push back, treat their professionalism curriculum as “just another course” (i.e., “just pass the test”), evince strategies of evasion or duplicity, and/or adopt the facade of chameleon socialization.80 Students accused faculty of hiding behind the power of hierarchy and (rightly in some instances) of generating student codes while they refused to apply the same standards and principles to themselves. Faculty, feeling bewildered, defensive, and angered, began to label students as self-centered slackers.81–83 Generational rifts widened.82



한편, 의과 대학 밖에서는, 추가적 긴장이 터지기 시작했다. 첫 번째는 COI였습니다 .18-21 COI는 항상 의약품 내에서 센티널 문제 였지만 21세기 전까지는 그렇지 않았고, Flexner의 proprietary 의과 대학에 대한 우려와 상업주의의 일반적인 문제는 핵심적으로 COI 문제였습니다. 

Meanwhile, and somewhat outside the medical school gates, additional points of tension began to erupt. The first was COIs.18–21 Although COIs have always been a sentinel issue within medicine— after all, Flexner’s concerns about proprietary medical schools and the general issue of commercialism were, at heart, COI issues—it was not until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폭풍이 계속 일어났다. 어떤 내부자들은 퇴출을 촉구했다 .4,85 다른 사람들은 산업과의 관계가 "관리"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86 이 진행중인 논쟁에서 특히 관심을 받은 것은, 것은 미국 의과 대학 학생 연합 (American Medical Student Association)이 COI 정책을 토대로 학년 (A에서 F) 의과 대학에 "성적표"를 발행하기로 결정했을 때이다. 많은 학교가 초기에 F를 받았기 때문에 상당한 조직적 괴롭힘이있었습니다 (언론 보도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A firestorm ensued. Some insiders urged a ban.84,85 Others argued that relations with industry should be “managed.”86 Of particular interest within this ongoing debate was the infusion of an organized student presence when the American Medical Student Association decided to issue a “report card” to grade (A through F) medical schools on the basis of their COI policies.55 There has been considerable organizational squirming (driven by press coverage) since many schools received an initial grade of F.


COI만이 전문성 문제는 아니지만 특징적인 것이었다.

Although COI is not the only professionalism issue, it is a signature one,


차례로, COI를 금지할 것이냐 관리할 것이냐 것에 대한 논쟁은, 근본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의 의미와 의학의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이 어떻게 진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과 같다. 비슷한 논쟁 (비록 여기서 다루지 않겠지 만)은 CME와 산업 기금에 대한 오랜 신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서도 CME에 대한 업계 자금 지원을 금지할 것이냐 관리할 것이냐에 대한 요구는 사실 프로페셔널리즘의 의미에 대한 논쟁입니다. 이러한 모든 갈등 속에서 Flexner의 proprietary 의학 교육에 대한 경고는 잘 설립되고 예언 된 것으로 보입니다.

In turn, the debate between calls to ban versus to manage COIs is, at root, a debate about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and how medicine’s professionalism movement should continue to evolve. A similar debate (although one we will not explore here) focuses o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and its long-standing reliance on industry funding. Here, too, calls to ban versus to manage industry funding of CME are, in fact, a debate over the meaning of professionalism. Within all of these conflicts, Flexner’s warnings about “proprietary” medical education seem well founded and prophetic.


두 번째는 레지던트 근무 시간이었다 .14-17,87 COI가 상업적 프로페셔널리즘과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 사이의 긴장이라면, 근무 시간은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과 라이프스타일 프로페셔널리즘 간의 긴장감을 반영합니다. 앞의 것이 의사의 autonomy 문제와 "생계 유지 권리"를 중심으로 한 논의라면, 후자는 환자의 안전, 학생 감독, 의료 활동의 "적절한"속도와 구조 등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A second flash point is resident duty hours.14–17,87 where COI captures the tension between commercial and nostalgic professionalism, duty hours reflects the tension between nostalgic and lifestyle professionalism—the former built around the issue of physician autonomy and the “right to make a living” and the latter around the issues of patient safety, student supervision, and the “appropriate” pace and structure of medical work.88


근무 시간과 COI 모두 광범위한 언론 보도를 계속하고 있으며, COI 보고서는 의사의 탐욕을 강조하고 있으며, 근무 시간은 환자를 위험에 처한 수면 중이거나 감독되지 않은 레지던트를 묘사하고있다 .90 전체적으로 의학계는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하는 직업이라는 것을 믿지 않고 있다.

Both duty hours and COIs continue to receive extensive media coverage, with COI reports highlighting physician “greed,”89 while duty hours coverage depicts sleep-addled and unsupervised residents who placed patients at risk.90 Across all, medicine’s insistence that it is a profession in the service of others is placed under a disbelieving lens.



그림 1에서,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은 기업가적 프로페셔널리즘과 라이프스타일 프로페셔널리즘에 의해 포위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라이프스타일 프로페셔널리즘보다 기업가적 프로페셔널리즘이 더 중요합니다. 결국, 기업가가 창출 한 고용 구조 유형 (예 : 아르바이트, 직업 나누기, 지역적 테넌트)의 증가에 의해 의사가 이용할 수있는 다양한 직업 / 라이프 스타일 옵션이 촉진됩니다. 한편, 행동가적 프로페셔널리즘의 역할은 향수적 프로페셔널리즘, 기업가적 프로페셔널리즘 및 라이프스타일 프로페셔널리즘 간의 충돌에 (적어도 현재까지는) 주변 적이다.

In Figure 1, nostalgic professionalism is represented as being under siege by both entrepreneurial and lifestyle professionalism—with entrepreneurial professionalism more important than lifestyle professionalism. After all, the variety of work/lifestyle options available to physicians is facilitated, in part, by the increase in the types of employment structures (e.g., part-time, job sharing, locum tenens) generated by entrepreneurial forces. Meanwhile, the role of activist professionalism is more peripheral (at least to date) to the clashes between nostalgic professionalism, entrepreneurial professionalism, and lifestyle professionalism. 


중간 수준 프로페셔널리즘

Meso-level professionalism


의사가되는 것은 연수생, 교수 및 환자간에 상당한 상호 작용으로 특징 지워지는 사회적 활동입니다. 공식적인 프로페셔널리즘 커리큘럼을 만들기위한 노력은 교육적 이니셔티브 일 수도 있지만, 학생들은 언제나 비공식적인, 암묵적이며 때로는 특이한 학습 경험 (비공식적 인, 숨겨진, null)을 통해 이러한 교수 중심의 노력을 항상 "보강"해 왔습니다 , 등), 비공식/암묵/잠재 교육과정은 의료의 문화적 뼈대을 형성하고 의과 대학의 사회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한다.

becoming a physician is a highly social activity marked by considerable interaction among and between trainees, faculty, and patients. Efforts to create a formal curriculum of professionalism may be a pedagogical initiative-de-jour, but students have always “augmented” these faculty-centric efforts with a host of informal, tacit, and often idiosyncratic learning experiences (the informal, hidden, null, etc., curricula), which form the cultural backbone of medical practice and of the medical school as a social system.91


이러한 비공식적 / 잠재적 유형의 학습과 공식 커리큘럼과의 상호 작용 구조, 프로세스, 컨텍스트 및 영향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어왔지만, 다양한 학습 요소와 그것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개념 및 방법론 도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부 문제는 의학교육 연구 내에서 개인적 특성의 측면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분석하는 경향이다. 따라서 의학 교육에 대한 몇 가지 조사에서 사회적 요인 (예 : 연령, 인종, 성별, 사회적 지위, 인기도)이 주요 설명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수는 결국 개인에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To date, efforts to untangle the structure, process, context, and impact of these informal/hidden types of learning and, in turn, how they interact with the formal curriculum, have been hampered by the lack of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tools that would allow researchers to analyze the various components of student learning and their interactions. Part of the problem has been the tendency with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o frame problems and their analysis in terms of individual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us, although any number of social factors (e.g., age, race, sex, social status, popularity) may function as key explanatory variables in some investigations of medical education, they remain “attached” to individuals.


소셜 네트워크 92-94의 새로운 과학은 이 특정한 묘사에 도전하고 우리가 역동적 일뿐만 아니라 관계 / 상호 작용에 기반을 둔 모델을 고려할 것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유형의 학생들이 훈련이나 실습 중에 전문성 경고 플래그를 유발 하는지를 알고 싶어 할지라도, 우리는 또한 이 학생들이 동료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어디에 "fit"하는지도 알고 싶어한다. 결국, 우리는 이러한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소수의"(예 : 학생의 "lapse"에 대한 연구는 거의 항상 그러한 학생은 "소수의 minority"임을 보여준다) 학생들이 그물망에서 핵심 노드 또는 허브로 위치하는지, 아니면 주변부에 위치하는지에 따라서 완전히 다른 사회 학적 그림을 갖게됩니다. 유사하게, 우리는 의학의 현대 프로페셔널리즘 운동의 전반적인 방향에 영향을주기 위해 국가 의료 기관 (전문 그룹, 협회 등)이 어떻게 협력하는지 (또는 아님)지도화할 수 있습니다.

The new science of social networks92–94 challenges this particular depiction and asks that we consider models that are not only dynamic but also grounded in relationships/interactions. Thus, although we might want to learn what types of students trigger professionalism warning flags during training or in practice, we also want to know where these students “fit” within the social networks of their peers. After all, we will have completely different sociological pictures depending on whether these “unprofessional few” (e.g., studies of student “lapses” almost always identify such students as a “small minority”) function as key nodes, or hubs, within their webs of relations or whether, instead, they are peripheral (e.g., fringe) members of their communities. Similarly, we could map how national medical organizations (specialty groups, associations, etc.) work together (or not) to influence the overall direction of medicine’s modern-day professionalism movement.


그러나 그렇게하려면 시스템 피처의 특성보다는 시스템 요소의 상호 작용 내에서 설명을 해야합니다.

To do so, however, would require that we locate our explanations within the interactions of system elements rather than within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pieces.


또 다른 예는 학생들과 그들의 역할 모델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의 핵심 요소로서 역할 모델과 멘토의 중요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잘못이지만, 학생이든 역할모델이든 isolated dyads 상태로 기능하지 않는다는 것이 사실이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좀 더 견고한 이해는 우리가이 두 가지 영향력과 그들을 끌어들이는 영향력 네트워크로 나아갈 것을 요구합니다.

Another example focuses on students and their role models. Although it would be wrong to minimize the importance of role models and mentors as a key elemen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act remains that neither students nor role models function within isolated dyads. A more robus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requires that we move beyond these couplets of influence and into the networks of influence that engulf them.


의대생의 전반적인 학습 환경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할 수있는 또 다른 예는 의과 대학에서 학습 공동체 및 학회를 형성하는 움직임입니다 .95

Another example of how network analysis can be employed to better understand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of medical students is the move within medical schools to form learning communities and academic societies.95



학생들이이 그룹에 "머물러 있습니까?stay" 아마도 이러한 형식적인 공동체는 종이만 존재할 뿐, 그 밖의 기능적인 존재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아마도 학생들은 연구 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해 동료의 "외부" 및 비공식 네트워크를 형성했을 것이다. 

Do students “stay” within these groups? Perhaps these formal communities exist on paper but have very little functional presence otherwise? Perhaps students form“outside” and more informal networks of peers for the purposes of study and/or social interactions?


Haidet과 Stein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의학 교육에서 관계의 발전과 의미를 탐구하는 의학 문헌에는 경험이 거의 없습니다."저자와 우리에게 "관계는 숨겨진 커리큘럼에서 중요한 중재 요소입니다. 97 (pS16)

As noted by Haidet and Stein, “there is little empirical work in the medical literature that explores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relationships in medical education.” For those authors, and for us, “relationships are a critical mediating factor in the hidden curriculum.”97(pS16)


그림 1

Figure 1



결론적으로 소셜 네트워크가 중요하며 의대생은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상관없이 상호 관계의 웹 내에서 활동합니다 .102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와 역 동성을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In sum, social networks matter, and medical students operate within webs of interrelationships whether the issue at hand is learning pathophysiology, clinical skills, or professionalism.102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se networks need to be better understood.



결론

Conclusions



Flexner의 우주에는 두 종류의 전문가가있었습니다. 

  • 첫 번째, 불완전하고 진화하는 것은 physician clinician였습니다. 

  • 두 번째는 그의 풀 타임 학자였습니다. 

Flexner는이 첫 번째 유형을 변화하는 사회 세력의 산물로 간주했습니다. 그는 두 번째를 사회 변화의 힘으로 보았고, 의학 교육의 구조 조정의 핵심으로, 따라서 필요할 경우 재정적으로 유도하여 의료 학교의 구조에 삽입해야 할 필요가있는 것입니다.

Flexner’s universe contained two types of professionals. 

  • The first, incomplete and evolving, was his physician clinician. 

  • The second was his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Flexner viewed this first type as the product of changing social forces. 

He viewed the second as a force for social change, as core to the restructuring of medical education, and therefore something that needed to be inserted—with financial inducements if necessary—into the structure of the medical school.



플렉스너 (Flexner)와 그의 동시대 인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은 상업적 영향의 역행(rollback) 내에서 출현 한 것입니다. 프로페셔널리즘-상업주의 수수께끼는 그에게 호된 시련이었다. 라이프 스타일이나 전문적 우위의 문제는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으로) 그 당시에는 방정식의 일부가 아니 었습니다.

For Flexner and his contemporaries, professionalism was something that emerged within the rollback of commercial influences. the professionalism–commercialism conundrum was his crucible. Issues of lifestyle, or professional dominance (in the way we think about these now), were not a part of his conceptual equation.



오늘날 의료 행위, 의학 프로페셔널리즘, 의학과 사회와의 관계는 더욱 복잡합니다. Flexner에 도움이 된 컨셉은 robustness를 잃어 버렸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유효한 것은 Flexner의 프로페셔널리즘을 비롯하여, 사회적 힘과 사회적 변화의 상호 작용에 대한 시스템 중심 접근 방식입니다. 프로페셔널리즘과 상업주의 사이의 긴장은 계속되지만 Flexner의 시대와 같은 (구조적) 긴장이 아닙니다 (어쨌든 의학은 아직 무엇이 unprofessional commercialism이고 무엇이 아닌지 정의내리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이 유일한 긴장은 아니다. 우리는 라이프 스타일 및 기업가적 프로페셔널리즘 문제 (근무 시간 및 COI의 맥락에서)를 검토했으며, 독자들에게 professional dominance라는 성찰 주제를 한 가지 더 던졌다. (의무 시간 및 COI와 처럼) 인화점 수준에 도달한 것이 아니더라도, 최근 몇 년 동안 보건 직종 전체에서는 [보건 전문가 간의 관계를 연결하고] [진정한 팀 기반 실무 (captain of the ship이 없음)를 만들고], [학제 간 훈련을 구성해야한다]는 요구가 급증했다. 57,103

Today, medical practic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medicine’s relationship with society are more complex. Conceptions that served Flexner well have lost their robustness. What remains relevant, however, is Flexner’s systems-oriented approach to the interplay of social forces and social change, including professionalism. The tens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commercialism continues, but it is not the same (structural) tension as it was in Flexner’s era (after all, medicine has yet to adequately define what is and what is not “unprofessional commercialism”).65 Nor is this the only tension. We have reviewed issues of lifestyle and entrepreneurial professionalism(in the context of duty hours and COIs), and in closing we offer readers yet one more type for their reflection—professional dominance. Although not yet at the level of a flash point (like duty hours and COIs), calls to bridge relations among health professions, to create a true team-based practice (no “captain of the ship” here), and to construct interdisciplinary training across the health occupations have surged in recent years.57,10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구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왔다. 그래서 오늘날은 무엇이 다른가? 정답은 복잡성이다. 보건 의료 인력은 더욱 분화되었다. 의사는 실로 "많은 것 중 하나"입니다. 의학과 사회학 모두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는 의학의 전문적 지위의 핵심으로 professional dominance를 확인해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향식 위계적 작업 모델은 더 이상 복잡성을 잡아내지 못하는 듯 보인다.

Nonetheless, these calls, have been around for decades. So what is different today? Complexity. The health care workforce has become more highly differentiated. Physicians truly are “one of many.” Tradition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within both medicine and sociology, have identified professional dominance as key to medicine’s professional status . Nonetheless, a top-down hierarchical model of work no longer seems to capture these complexities—


의학이 내부 통합의 문제(예 : 세부 전공의 증가)외부 적응에 대한 문제(예 : 구매자 반란)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는 향후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의 성격과 지속 가능성에 관해 크게 영향을 줄 것이다. 전문가가 되는 것의 의미에 대한 전통적 개념 (stand-alone entity)은 체계적으로 현실적이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지속 가능하지도 않습니다. 좋든 싫든, 우리는 여전히 복잡성의 바다에 있다.

How organized medicine responds to the problems of internal integration (e.g., increasing subspecialization) and to the challenges of external adaptation (e.g., the buyer’s revolt) will have a great deal to say about the nature and sustainability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future. Traditional conceptions of what it means to be a professional—as a stand-alone entity—are neither systematically realistic nor ultimately sustainable. Like it or not, we remain awash in a sea of complexities.





55 American Medical Student Association. AMSA PharmFree Scorecard 2009. Available at: http://amsascorecard.org. Accessed May 19, 2009.


102 Lurie SJ, Fogg TT, Dozier AM.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of assessing institutional culture: Three case studies. Acad Med. 2009;84:1024–1035.







 2010 Feb;85(2):288-301. doi: 10.1097/ACM.0b013e3181c85b43.

The increasing complexities of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Behavioral Sciences,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Duluth, Duluth, Minnesota 55812, USA. fhaffert@d.umn.edu

Abstract

Organized medicine's modern-day professionalism movement has reached the quarter-century mark. In this article, the authors travel to an earlier time to examine the concept of profession within the work of Abraham Flexner. Although Flexner used the concept sparingly, it is clear that much of his writing on reforming medical education is grounded in his views on physicians as professionals and medicine as a profession. In the first half, the authors explore Flexner's views of profession, which were (1) empirically (as opposed to philosophically) grounded, (2) case based and comparatively framed, (3) sociological in orientation, and (4) systems based, with professionalism conceptualized as dynamic, evolving, and multidimensional. In the second half, the authors build on Flexner's systems perspective to introduce a complexity scienc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They define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system, introduce a seven-part typology of professionalism, and explore how the organization of physician work and various flash points within medicine today reveal not one but several competing forms of professionalism at work. The authors then develop a tripartite model of professionalism with analysis at the micro, meso, and macro levels. They conclude with observations on how best to frame professionalism as a force for change in 21st-century medical education. Flexner's reforms were grounded in his vision of two particular types of professional-the physician clinician and the full-time academic physician-scientist. The authors propose reform grounded in professionalism as a complex system composed of competing types.

PMID:
 
20107359
 
DOI:
 
10.1097/ACM.0b013e3181c85b43


의학교육에서 TPB 이론: 프로페셔널리즘 훈련 통합을 위한 모델(Med Educ, 2008)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in medical education: a model for integrating professionalism training

Ray Archer, William Elder, Carol Hustedde, Andrea Milam & Jennifer Joyce





도입

INTRODUCTION


100 개 이상의 미국 의과 대학에 배포 된 설문 조사에서 90 %의 의과대학은 프로페셔널리즘에 중점을 둔 교과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3 그러나 졸업생들에게서 프로페셔널리즘이 증가하고 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from a survey distributed to over 100 US medical schools, 90% have curricular content that focuses explicitly on professionalism.3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suggesting that professionalism is increasing in our graduates



의과 대학은 의료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고 평가하기위한 명백한 커리큘럼 요소의 설계 및 개발을 지원하는 특정 이론 모델을지지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medical schools do not appear to espouse any particular theoretical model to support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explicit curricular elements to teach and assess medical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 정의

DEFINING PROFESSIONALISM



Arnold와 Stern7은 임상 역량, 의사 소통 기술, 법적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평가를 목적으로 한)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합니다. Arnold와 Stern은 프로페셔널리즘이 학생과 의사가 지속적으로 추구해야하는 속성이라는 개념에 대해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어떻게 커리큘럼에 통합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 없이 커리큘럼에 무엇을 넣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프레임워크만 제공합니다.


Arnold and Stern7 define professionalism for the purpose of assessment, arguing that it is founded on cli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an understanding of legal and ethical issues. Arnold and Stern are explicit about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is an attribute that students and doctors should continually strive towards. they provide only a framework for what to include and assess, not an explanation of how to incorporate professionalism training into curricula.


특정 유형의 지식과 기술 외에도,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정의는 attitudinal한 것을 포함하며, 존경과 책임감과 같은 용어를 포함합니다.

It should be noted that aside from describing specific types of knowledge and skills, their definitions are attitudinal, incorporating terms like  respect  and  accountability .


마찬가지로 많은 조직이 태도를 강조하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정의를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태도는 values와 비교 될 수 있으며, 올바른 행동 방식 결정에 대한 기본적인 공리axioms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8 

  • 예를 들어, Royal College of Medical (RCP) 9 의료 프로페셔널리즘 보고서는 프로페셔널리즘을 태도, 가치, 행동, 관계의 collection으로 보았으며, 이것이 의사에 대한 대중의 신뢰에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 미국 내과의위원회 (ABIM)는 프로페셔널리즘의 핵심을 자신(의사)의 이익보다 환자의 이익을 존중하는 데 도움이 되는 태도와 행동으로 구성한다고 설명합니다 .10

Similarly, many organisations have created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hat emphasise attitudes. Attitudes, in this sense, are comparable with values and operate as basic axioms for decisions about appropriate ways to behave.8 

  • For example,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RCP)9 report on medical professionalism defines professionalism as a collection of attitudes, values, behaviours and relationships that is essential to the public s trust in doctors. 

  •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describes the  core of professionalism as constituting those attitudes and behaviours that serve to maintain patient interest above physician selfinterest .10


ABIM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Certification의 기본 원칙은 환자를 돌보는 데있어 지식, 기술, 태도 및 행동과 관련하여 의사 역량에 대한 일련의 표준을 반영합니다. 그것은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을 구성하는 태도와 가치의 집합입니다. 10

The ABIM state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ertification reflects a set of standards for physician competence in regard to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haviour in the care of patients. It is that set of attitudes and values that constitutes the essence of professionalism. 10


본질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의사가 어떤 행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태도에 대한 복잡한 시스템입니다.

In essence, professionalism is a complex system of attitudes that can encourage the practitioner to engage in corresponding behaviours.





프로페셔널리즘과 태도

Professionalism and attitudes


태도는 일반적으로 어떤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행동하거나 반응하는 경향으로 정의됩니다 .11 태도에 관한 "다원적 구성 요소 모델"은 태도가 인지, 정서적 반응, 행동 의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의학에서의 윤리적 딜레마와 관련된 태도는 딜레마에 대한 개인의 생각, 딜레마와 관련된 감정, 개인이 그러한 상황에 놓이게되면 특별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의도를 포함합니다.

Attitudes are generally defined in terms of tendencies to act or react to some object or even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11 The multi-component model of attitudes12 proposes that attitudes consist of cognitions,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For example, an attitude involving an ethical dilemma in medicine would incorporate an individual s thoughts about the dilemma, emotions related to the dilemma and an intention to behave in a particular way if the individual were placed in that situation.


그러나 태도와 행동 사이에는 종종 불일치가있을 수 있습니다. 태도 - 행동 일치에 대한 사회 심리학 연구는 오랫동안 태도와 행동 사이의 상대적으로 빈약 한 예언 관계를 확인 해왔다.

However, there can often be disparity between a given attitude and behaviour. Social psychology research on attitude-behaviour correspondence has long identified a relatively poor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urs.14


비공식적 교육과정이나 잠재 교육과정은 (의도한 학습성과가 쓰여진) 공식 교육과정의 내용과 뚜렷하게 대조되기도 한다.

Informal and hidden curricular elements stand in sharp contrast with those of the formal curriculum, wherein the stated intended learning outcomes reside.16



계획된 행동 이론 TPB

THEORY OF PLANNED BEHAVIOUR


계획된 행동 이론 (TPB) 18 (그림 1)은 사회심리학 문헌에서 유래했다. 이 모델에는 태도와 관련된 요소특정 태도 상태에서의 행동을 예측하는 능력이 포함됩니다. TPB는 태도와 행동 사이의 관계를 묘사하려는 시도로 개발 된 이성적 행동 이론 (TRA)으로부터 발전했다. TRA는 행동의 최선의 예측자는 행동하려는 의도라고 기술하고있다. 그리고 의도에 영향을 주는 두 가지 주요 요인이 있다: 

  • 특정 행동에 대한 태도, 

  • 주관적 규범 또는 회적 압력에 대한 인식. 

TPB는 "인식 된 행동 통제" 즉, 특정 행동 수행의 난이도에 대한 인식을 TRA모델에 추가한다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18 (Fig. 1) originated in the social psychology literature. It includes factors that relate to attitudes and the abilityto predict behaviours in the presence of certain attitudes. The TPB evolved from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19 which was developed as an attempt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ur. The TRA states that the bestpredictor of behaviour is one s intention to behave. Two major factors influence intention: attitudes towards the behaviour, and subjective norms or perceived social pressure. The TPB adds to the TRAby including an additional factor: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which refers to the perceived ease or difficulty of carrying out the behaviour. 



단순화자면, TPB는 특정 행동에 engage하려는 의도가 있을 때 그 행동에 engage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행동에 관여하는 의도는 

  • 행동에 대한 호의적이거나 불리한 신념(태도)

  • 행동을 수행하는 사회적 압력 (주관적 규범) 

  • 행동을 수행 할 수있는 능력 (인지 된 행동 제어)

...에 의해 영향을받습니다.

To simplify, the theory states that an individual will probably engage in a behaviour if he or she intends to engage in that behaviour. Intention to engage in a behaviour is influenced by 

  • favourable or unfavourable beliefs about the behaviour (attitudes), 

  • perception of social pressure to perform the behaviour (subjective norms) and 

  • perceived ability to perform the behaviour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예시

  • 가이드라인에 대한 의사의 태도 (예 : 본 가이드 라인에 대한 호의적 인 의견이 있으십니까? 긍정적 인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가이드라인에 대한 주관적인 규범에 대한 인식 (예 : 동료 및 감독관은 내가 이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을 지지하나?)

  • 행동 통제에 관한 인식 (예 :이 가이드라인을 얼마나 쉽게 수행 할 수 있습니까?).

  • doctor s attitude towards the guideline (e.g. Do I have a favourable opinion of this guideline? Do I think that following it will lead to positive outcomes?), 

  • his or her perception of the subjective norms related to the guideline (e.g. Will my coworkers and supervisors approve of me following this guideline?) 

  • his or her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e.g. How easy will it be for me to carry out this guideline?).



TPB는 유방 자기 검사, 흡연, 운동, 체중 감량 등 다양한 건강 관련 행동을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23 TRA와 TPB는 건강 관리 전문가의 행동 예측에 적용되어 왔으며, HIV 감염 환자의 간호사 처치, 천식 치료 및 항생제 사용에 대한 임상 지침 사용, 처방이 필요없는 약을 사용하는 질 칸디다증 치료 약사의 처방 등이 포함됩니다.

The TPB has been used to successfully predict a variety of health-related behaviours, including breast self-examinations,20 smoking,21 exercise22 and weight loss.23 The TRA and TPB have also been applied to the prediction of behaviour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including nurses  treatment of HIV-infected patients,24 doctors  use of clinical guidelines for asthma treatment and antibiotic use25 and pharmacists  treatment intentions for vaginal candidiasis using non-prescription medications.26




프로페셔널리즘 훈련과 TPB를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ISM TRAINING AND THE TPB


우리는 평가를 할 때, 행동 뿐만 아니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 및 기타 요인에도 초점을 맞추어야한다는 것에 완전히 동의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TPB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의학 교육 커리큘럼에 통합하기위한 조직적인 틀로서 훨씬 더 유용하다고 믿습니다.

We completely agree that assessment should focus not only on behaviours, but also on attitudes and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behaviour. However, we believe the TPB has even greater utility as an organisational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professionalism training into medical education curricula.


의학 교육자는 프로페셔널리즘과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를 의학 교육을 통해 가르치기 위한 교육을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과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 훈련은 의대 학생들이 새로 획득 한 가치를 상황별 문제해결 활동에 적용하여 태도-행동 일치를 증가시킬 수있는 여러 기회를 제공해야합니다. 이것은 

  •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토론하고 개발할 시간을 주고,

  • 프로페셔널리즘을 묘사하고, 모델링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 평가를 통해 학생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관심을 창출하며

  • 기관 전반에 걸쳐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한 더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것이 동반되어야 한다.

We suggest that medical educators design instruction to teach professionalism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roughout medical training. Subsequently, training should provide multiple opportunities for medical students to apply newly acquired values to situational problem-solving activities to increase attitude-behaviour correspondence. This would entail 

  • setting aside dedicated time to discuss and develop positive professionalism attitudes, 

  •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scribe, model and practise professionalism, 

  • creating a vested interest for students through evaluation, and

  •  imposing stronger sanctions for unprofessional behaviours across the institution.


그러나 TPB에 따르면, 교육과정 재설계만으로는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학생의 행동을 수정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의대는 실제 사회적 규범을 평가하고, 필요하다면 프로페셔널리즘과 재배열해야 한다. 태도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TPB는 주관적 또는 사회적 규범 역시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합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TPB, curricular redesign will not be enough to modify students  professional behaviour. Medical schools will need to assess social norms in practice and realign them with professionalism when necessary. Attitudes influence behaviour, but the TPB predicts that subjective or social norms also have an impact.


Stephenson 등은 의대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주로 임상 환경에서 교사와 다른 스태프의 부적절한 태도와 부적절한 태도 모델링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tephenson et al.31 conducted a survey of medical students and found that the  biggest threat to professional behaviour came from the modelling of poor attitudes and inappropriate behaviour by teachers and other staff, predominantly in clinical settings .


프로페셔널리즘 훈련에서, 잠재 교육과정을 통해 종종 표현되는 부정적인 사회적 규범을 변화시키지 않고 긍정적 태도를 만드는 데에만 초점을 둔다면, 태도-행동의 일관성이 감소하고, 즉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을 유발할 것이다.

If professionalism training focuses solely on creating positive attitudes without altering the negative social norms often expressed through the hidden curriculum, the TPB predicts decreased attitude)behaviour consistency and, possibly, unprofessional behaviour.



TPB의 세 번째 요소는 perceived behavioral control로서, 의도된 행동의 수행을 얼마나 쉽거나 어렵게 인식하는지를 말한다. 연구에 따르면 어떤 행동을 쉽게 받아들일 경우에, 그 행동을 시도할 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32 따라서 의대생을위한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발달적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그것을 표현하도록 분명하게 권고되어야하며,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긍정적 인 표시는 정기적으로 강화되어야합니다.

The third factor of the TPB,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refers to the identified ease or difficulty of demonstrating an intended behaviour. Research has shown that a behaviour is more likely to be attempted if an individual perceives it as easy rather than difficult.32 Therefore, professionalism training for medical students should occur in a developmental sequence. Students should be overtly encouraged to consider and express their own professionalism attitudes and positive displays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regularly reinforced.



또한 프로페셔널리즘 활동은 프로페셔널리즘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통해 role-model 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의학 프로페셔널리즘 행동에 대해 연습하고 피드백을받을 수있는 기회를 포함해야합니다.

Additionally, professionalism activities should be role-modelled through professionally appropriate behaviours and should incorporat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actise and receive feedback on medical professionalism behaviours.


제안된 모델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PROPOSED MODEL


다른 요인들도 태도와 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역할을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it is clear that other factors play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urs.


예를 들어 강한 태도는 더 높은 행동-태도 일관성을 가져오며, 직접 경험으로 얻은 태도도 마찬가지이다.35,36 특정 대상에 대한 지식의 증가는 태도와 행동 사이의 일관성을 증가시킨다. 개인이 어떤 대상에 흥미를 가지고 있을 때도 태도-행동 일관성은 높아진다. 태도 - 행동 연구의 메타 분석에서, Kraus는 태도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습득되었을 때, 태도에 대한 자신감이 있을 때, 상황이 자기-인식을 높여줄 때 행동-태도 일관성이 높아진다.

For instance, stronger attitudes lead to higher attitude-behaviour consistency,34 as well as attitudes acquired through direct experience.35,36 Increased knowledge about a particular subject results in greater consistency between attitude and behaviour.37 Attitude-behaviour consistency is also stronger when individuals have a vested interest in the subject.38 In a meta-analysis of 83 attitude-behaviour studies, Kraus39 concluded that attitude-behaviour consistency is higher when attitudes are acquired through direct experience, attitudes are held with confidence and the situation increases self-awareness.


수면 부족, 시간 압박, 부적절한 훈련.

sleep deprivation, time pressures and inadequate training.


Fishbein의 행동 예측 통합 모델 (IMBP)은 말초 변수 (예 : 과거의 행동, 성격, 감정 등)의 영향을 인정합니다.

Fishbein s integrative model of behavioural prediction (IMBP)40 acknowledges the impact of distal variables (e.g. past behaviour, personality, emotions, etc.)


또한 능력이나 기술, 환경적 제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을 추가로 제안하며, 이는 개인의 의사 결정에 지장을 주거나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t also proposes two other factors, abilities or skills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which may impede or otherwise influence individuals  decisions to act on their intentions.


이 모델의 구현을 제안합니다.

  • 학생과 교수진의 태도, 기관의 규범, 프로페셔널리즘 능력에 대한 학생 자신의 인식을 평가

  • 위 요소들을 다루기 위한 프로페셔널리즘 훈련 활동을 개발

  • 발생하는 행동과 태도 사이의 일관성을 측정

we propose the implementation of this model: 

  • assessing student and faculty attitudes, institutional norm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professionalism abilities; 

  • developing professionalism training activities to address these factors, and 

  • measur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attitudes taught and the behaviours that occur.




CONCLUSIONS







 2008 Aug;42(8):771-7. doi: 10.1111/j.1365-2923.2008.03130.x.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in medical education: a model for integrating professionalismtraining.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Kentucky, USA.

Abstract

CONTEXT:

Teaching and evaluating professionalism remain important issues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wo factors hinder attempts to integrate curricular elements addressing professionalism into medical school training: there is no common definition of medicalprofessionalism used across medical education, and there is no commonly accepted theoretical model upon which to integrate professionalism into the curriculum.

OBJECTIVES:

This paper proposes a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examines this definition in the context of some of the previous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connects this definition to the attitudinal roots of professionalism.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ring uncertainty about the best content and methods with which to teach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various aspects of professionalismhave been incorporated into medical school curricula, content, teaching and evaluation remain controversial. We suggest that intervening variables, which may augment or interfere with medical students'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ism knowledge, skills and, therefore, attitudes, may go unaddressed.

DISCUSSION:

We offer a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PB), which describes the relationships of attitudes, social norms and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with behaviour. It has been used to predict a wide range of behaviours, including doctor professional behaviours. Therefore, we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that expands the TPB as an organisational framework that can integrate professionalism training into medical education.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about the implications of using this model to transform medical school curricula to develop positive professionalism attitudes, alter the professionalism social norms of the medical school and increase students' perceived control over their behaviours.

PMID:
 
18715476
 
DOI:
 
10.1111/j.1365-2923.2008.03130.x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일반 원칙(Med Teach, 2006)

Teaching professionalism: general principles

RICHARD L. CRUESS & SYLVIA R. CRUESS

McGill University, Canada




도입

Introduction


국가와 기업 부문이 의료 시장에 진입함에 따라 사회적 계약이 크게 변화되고, 직업의 전통적 가치가 위협 받고 있으며, 따라서 이 전통적 가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가르쳐지고 촉진되어야 한다는 신념에 이르렀다 (Cruess & Cruess, 1997b; Irvine, 1997a, 1997b; ABIM, 2002;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London, 2005). 전통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은 존중받는 롤모델을 사용하여 전달되어왔다.이 방법은 서로 유사하고, 균질적인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동질적인 의사들만 있을 때에는 괜찮았으나, 더 이상 사회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롤모델이 강력한 도구이지만 (Wright et al., 1998; Wright & Carrese, 2001; Kenny et al., 2003), 더 이상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프로페셔널리즘은 명시 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the entry of the state and the corporate sector into the medical marketplace have significantly changed the social contract, leading to a belief that the traditional values of the profession are under threat and hence must be actively taught and promoted (Cruess &Cruess, 1997b; Irvine, 1997a, 1997b; ABIM, 2002;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London, 2005). Professionalism was traditionally transmitted using respected role models.This method depended for its success on the presence of shared values in a relatively homogeneous medical profession serving a similarly homogeneous society, a situation that no longer exists in our wonderfully diverse world. Thus role modeling, which remains an immensely powerful tool(Wright et al., 1998; Wright & Carrese, 2001; Kenny et al.,2003), is no longer sufficient. It is now felt that professionalism must also be taught explicitly.



교육 이론

Educational theory


Maudsley & Strivens (2004)는 이용 가능한 교육 이론 중에서 'situated learning'이론이 학생을 평범한 일반인(비-전문가)에서 전문직의 일원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의 설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모델이라고 제안했다. 학습이 authentic activities에 embed됨으로써, 지식을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것으로부터 사용가능하고 유용한 것으로 변형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 이론의 지지자들은 [학습한 지식을 authentic context에서 사용하기 위한 활동]과 [명시적으로 교육되는 주제] 사이에 균형이 있어야한다고 믿는다 (Brown et al., 1989).

Maudsley & Strivens (2004) have proposed that, of the educational theories available, ‘situated learning’ theory seems to describe the most effective model to assist in the design of programs which have as their objective the transformation of students from members of the lay public(or non-experts) to expert members of a profession, with both appropriate skills and a commitment to a common set of values. It suggests that learning should be embedded in authentic activities which help to transform knowledge from the abstract and theoretical to the usable and useful.Its proponents believe that there should be a balance between explicit teaching of a subject and activities in which the knowledge learned is used in  an authentic context (Brown et al., 1989). 



  • 한 현대 학파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정의 또는 trait이나 characteristics의 목록을 활용하여, 명시적으로 가르쳐야한다고 강조했다 (Cruess & Cruess, 1997a, 1997b; Swick, 2000; ABIM, 2003). 이 경우에 목표는 모든 의사가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 도덕성의 기초, 존재 이유, 특성, 프로페셔널리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의무를 이해하도록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프로페셔널리즘의 인지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One contemporary school of thought has emphasized that professionalism needs to be taught explicitly, utilizing either definitions or outlining professionalism as a list of traits or characteristics (Cruess & Cruess, 1997a, 1997b; Swick,2000; ABIM, 2003). The objective is to ensure that every physician understands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its basis in morality, the reasons for its existence, its characteristics, and the obligations necessary to sustain it. This can be termed the cognitive base of professionalism


  • 또 다른 사람들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주로 moral endeavor로 접근해야 하며, 이 때 이타주의와 봉사, 롤 모델링, 자기-인식 증진 노력, 지역 사회 봉사, 경험적 지식 습득 등을 강조했다(Coulehan, 2005) Huddle, 2005). 이 사람들은 explicit teaching은 덜 중요시한다.

Others have stated that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approached primarily as a moral endeavor,emphasizing altruism and service, stressing the importance of role modeling, efforts to promote self-awareness, community service, and other methods of acquiring experiential knowledge (Coulehan, 2005; Huddle, 2005). Explicit teaching receives less attention.



이 두 접근법의 차이,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approaches,


의사가 현대 프로페셔널리즘과 관련된 의무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은 이미 너무 증거가 많기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은 명시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Cruess & Cruess, 1997a; Irvine 1997a, 1997b).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이 공식 교육 세션에만 국한되는 경우 그 영향은 미미합니다. Situated learning theory가 암시 하듯, [인지적 기반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과 [학습이 authentic 맥락에서 일어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 사이에 균형이 이루어져야한다 (Brown et al., 1989; Ludmerer, 1999; Maudsley & Strivens, 2004).

Professionalism must be taught explicitly as physicians have demonstrated by their well-documented failures that they do not fully understand the obligations associated with contemporary professionalism (Cruess & Cruess, 1997a; Irvine 1997a, 1997b). However, when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s limited to formal didactic sessions , the impact will be minimal. As situated learning theory suggests, a balance must be struck between teaching the cognitive base explicitly and providing opportunities where learning can occur in an authentic context (Brown et al., 1989; Ludmerer, 1999; Maudsley & Strivens, 2004).




원칙

Principles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인지적 기반을 가르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가장 긍정적으로 사회화 과정이 발생할 수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Teaching the cognitive base of professionalism is not difficult. Establishing an environment where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 its most positive sense can take place is much harder.



기관 지원

Institutional support


해당 주제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는 학장, 부서장 및 프로그램 디렉터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그들의 지원은 공간 할당, 시간 및 재정 자원 배정 (Hafferty & Franks, 1994; Hafferty, 1995; Inui, 2003) 등에서 드러난다.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eans, department chairs and program directors is required to send a message that the subject is important. Their support must be manifested by decisions taken—the allocation of space, teaching time and financial resources (Hafferty & Franks, 1994; Hafferty, 1995; Inui, 2003).


인지적 토대

The cognitive base


학생과 레지던트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성격, 역사적 뿌리, 사회가 프로페셔널리즘을 사용하는 이유, 전문직 지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의무, 의학과 사회와의 사회적 계약의 관계를 이해해야합니다 (Cruess & Cruess, 1997a; Sullivan, 2005).


Students and residents must understand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its historical roots, the reasons society uses the professions, the obligations necessary to sustain professional status, and its relationship to medicine’s social contract with society (Cruess & Cruess, 1997a; Sullivan, 2005).


그러므로 각 기관은 인지적 기반의 내용에 동의해야하며 이는 교육 과정 전반에 걸쳐 일관성을 유지해야합니다.

Therefore each institution must agree on the substance of the cognitive base and this must remain consistent throughout the educational process.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직업적 정체성은 장기간의 경험과 경험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된다. "(Hilton & Slotnick, 2005, p.63). 의학 교육의 주요 목적은 적절한 경험을 얻고, 그것을 성찰하기 위한 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reyfus & Dreyfus, 1980; Leach, 2002). 학생, 레지던트, 실제 의사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프로페셔널리즘 문제를 토론하고 personalize하며,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내면화할 수있는 기회가 있어야합니다 (Wear & Castellani, 2002, Inui, 2003; Maudsley & Strivens, 2004; Benbassat & Baumal, 2005).


Professional identity arises ‘‘from a long term combination of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experience’’ (Hilton & Slotnick, 2005, p. 63). A major objective of medical education should be to provide stage-appropriate opportunities for gaining experience and reflecting on it (Dreyfus & Dreyfus, 1980; Leach, 2002). There must be structured opportunities that allow students, residents and, indeed, practitioners to discuss professional issues in a safe environment, personalize them and, it is hoped, internalize them over the course of education and training (Wear & Castellani, 2002; Inui, 2003; Maudsley & Strivens, 2004; Benbassat & Baumal, 2005).


이렇게 얻은 통찰력은 'tacit'으로 불리는 더 큰 지식 체계의 일부가된다. "Tacit"이란, 알지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지식을 뜻한다(Polanyi, 1958). 암묵적인 지식은 가르치는 것은 어렵지만, 배울 수는 있다 (Schon, 1987). 암묵적 지식을 가장 잘 배우는 곳은 강의실이 아니라, 자기 성찰, 'mindfulness', '성찰적 실천'(Schon, 1983)을 장려하는 situated learning이다.


The insight gained becomes part of a larger body of knowledge described as tacit: that which one knows but cannot tell (Polanyi, 1958). While tacit knowledge is difficult to teach, it can be learned (Schon, 1987). It is best learned not in the lecture hall, but by situated learning which encourages self-reflection and promotes ‘mindfulness’ (Epstein, 1999) or ‘reflective practice’ (Schon, 1983).



연속성

Continuity



교육의 단계에 적합한 자기 성찰을 위한 교육 및 기회는 모든 주요 교육 단위에서 제공되어야합니다. 반드시 프로페셔널리즘이 모든 의학의 일부가되어야 하며, 커리큘럼을 통해 통합 된 방식으로 가르쳐야합니다.

instruc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appropriate to the stage of training must be provided in all major teaching units. Professionalism must of be a part of all medicine and taught in an integrated fashion throughout the curriculum.



롤모델링

Role modeling


역할 모델은 art of medicine이라고 불리는 무형의 것들을 전달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다 (Wright et al., 1998; Wright & Carrese, 2001; Hafferty, 2003; Kenny et al., 2003; Huddle, 2005). 이것은 동료의식collegiality 발달에 중요한데, 이를 통해 공동의 목표에 동의하고 그것을 준수할 것을 장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Ihara, 1988). 존경받는 역할 모델에 의한 peer pressure는 언제나 ​​강력한 도구입니다 (Schon, 1987). 반대로, 수용 가능한 프로페셔널 표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역할 모델의 파괴적 효과도 똑같이 강력할 수 있다 (Feudtner et al., 1994).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은 어디에나 있기에 반드시 addressed 되어야 한다.


Role models remain the most potent means of transmitting those intangibles that have been called the art of medicine (Wright et al., 1998; Wright & Carrese, 2001; Hafferty, 2003; Kenny et al., 2003; Huddle, 2005). They are also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sense of collegiality, which serves to obtain agreement on the common goals of the profession and encourage compliance with them (Ihara, 1988). The peer pressure of respected role models remains an enormously powerful tool (Schon, 1987). Conversely, the destructive effects of role models who fail to meet acceptable professional standards can be equally strong (Feudtner et al., 1994). Negative role modeling is pervasive and must be addressed



교수개발

Faculty development


공감대를 형성하고 교사가 교수 및 역할 모델 프로페셔널리즘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교수 개발이 필수적이다 (Hafferty, 1995; Steinert et al., 2005).


To achieve consensus and ensure that faculty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to both teach and role model professionalism,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Hafferty, 1995; Steinert et al., 2005).


평가

Evaluation


(가르친 내용이 아니라) 학습 된learned 내용이 반드시 평가되어야 하며, 평가가 학습을 주도하기 때문이다 (Stern, 2005). 학생들은 자신들이 기대되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아야합니다. 정기적 인 피드백을 통한 형성 평가는 학생과 레지던트가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되는 필수 도구입니다.

What has been learned (as opposed to what has been taught)must be assessed as evaluation drives learning (Stern, 2005).Students need to know if they are meeting professional expectations. Formative evaluations with feedback on a regular basis are essential tools to assist students and residents in achieving their goals.



직업으로서의 의학은 표준을 설정하고 유지할 것을 요구하는 자기 규제의 특권을 부여 받는다 (Cruess & Cruess, 1997; Irvine, 1997a, 1997b, Stevens, 2001, Sullivan, 2005).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이고 엄격한 평가가 필수적이며, 전문직의 책무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총괄 평가도 필요합니다.

Medicine as a profession is granted the privilege of self-regulation, which requires that it set and maintain standards(Cruess & Cruess, 1997; Irvine, 1997a, 1997b; Stevens,2001; Sullivan, 2005). Regular and rigorous evaluation is essential to meet this obligation, with summative evaluation providing evidence of the profession’s accountability in this domain. 


환경

The environment


기관 문화는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지원하거나 파괴 할 수 있습니다. 의학교육은 의료 기관 및 의료 시스템 내 많은 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환경에서 이루어진다(Hafferty, 2003; Inui, 2003). '공식 교육과정'은 교육 기관의 미션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잘 드러난다.


The institutional culture either can support professional behavior or subvert it. Medical education is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that is heavily influenced by many forces within medicine’s institutions and in the healthcare system(Hafferty, 2003; Inui, 2003). There is a ‘formal curriculum’ that is outlined in the mission statement of the institution and its course objectives (Hafferty & Franks, 1994; Hafferty,1995). 


또한 '비공식 커리큘럼'도 있다. 이것은 교수자와 학생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매우 강력한 unscripted, unplanned, highly interpersonal한 교육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조직 구조와 문화 수준에서 기능이 크게 숨겨진 일련의 영향이 있습니다.


There is also an extremely powerful ‘informal curriculum’ consisting of unscripted, unplanned and highly interpersonal form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take place among and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In addition, there is a set of influences which is largely hidden that function at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비공식 교육과정과 잠재 교육과정은 학생이 가르치는 것과 실제로 배우는 것이 달라지는 원인 중 하나이다 (Hafferty, 2003). 광범위하게 기반을 둔 교수 개발 프로그램은 환경을 변화시키고 비공식 커리큘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Steinert 외. 2005). 그러나 잠재 커리큘럼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Hafferty, 1995; Inui, 2003; Suchmanet al., 2004). (기관 차원에서 확립 된 경제적 및 구조적 정책을 비롯한 다른 요인들을 비롯하여) 기관 문화에 구축 된 인센티브와 불이익을 바꾸어야 할 수도 있다.


The informal and hidden curricula are partly responsible for the difference between what students are taught and what they actually learn (Hafferty, 2003).A broadly base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can help to change the environment and affect the informal curriculum(Steinert et al., 2005). However, the hidden curriculum also requires attention (Hafferty, 1995; Inui, 2003; Suchmanet al., 2004). The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built into any institutional culture may require changes, along with other factors including economic and structural policies establish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2006 May;28(3):205-8.

Teaching professionalismgeneral principles.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Lady Meredith Hous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richard.cruess@mcgill.ca

Abstract

There are educational principles that apply to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during undergraduate education and postgraduate training. It is axiomatic that there is a single cognitive base that applies with increasing moral force as students enter medical school, progress to residency or registrar training, and enter practice. While parts of this body of knowledge are easier to teach and learn at different stages of an individual's career, it remains a definable whole at all times and should be taught as such. While the principle that self-reflection on theoretical and real issues encountered in the life of a student, resident or practitioner is essential to the acquisi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values and behaviors of the professional, the opportunities to provide situations where this can take place will change as an individual progresses through the system, as will the sophistication of the level of learning. Teaching the cognitive base of professionalism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internalization of its values and behaviors are the cornerstones of the organization of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at all levels. Situated learning theory appear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as to how this may be implemented. While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will vary with the type of curriculum, the institutional culture and the resources available, the principles outlined should remain constant.

PMID:
 
16753716
 
DOI:
 
10.1080/01421590600643653



프로페셔널리즘 평가의 어려움: 사회인지적 심리학에서의 이론적 통찰(Acad Med, 2007)

Viewpoint: The Trouble with Assessing Students’ Professionalism: Theoretical Insights from Sociocognitive Psychology

Charlotte E. Rees, MEd, PhD, and Lynn V. Knight, PhD




프로페셔널리즘은 의학 교육에서 뜨거운 주제입니다. 이 분야 문헌의 상당 부분은 평가 방법의 신뢰성, 타당성, 실용성에 중점을 둔 기술적 성격을 지니며, 주된 초점은 관찰 가능한 행동의 평가이다.

professionalism is a hot topic within medical education. Much of this literature is of a technical nature, focusing on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practicality15 of assessment methods, and its primary focus has been on the assessment of observable behaviors.18


하퍼 티 (Hafferty)는 다음의 질문을 통해 프로페셔널리즘과 프로페셔널한 행동 사이의 차이를 강조한다. "(진정으로) 프로페셔널한 의사를 원하니? 아니면 프로페셔널한 방식으로 행동 할 수 있는 의사를 찾느냐"

Hafferty18 stress the disparity between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behavior by asking the question: “Do we want physicians who are professional, or will we settle for physicians who can act in a professional manner?”


흥미롭게도 프로페셔널리즘과 관련된 attitude의 구성 요소는 프로페셔널리즘 평가 문헌에서 거의 무시되어 왔으며, 결과적으로 교육자는 '행동'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게되었습니다.

Interestingly, the attitudinal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have mostly been ignored in the professionalism assessment literature, resulting in educators focusing primarily on the assessment of behavior.



태도와 행동의 관계는 무엇인가?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s?


태도는 "[자신의 신념, 감정 또는 의도된 행동으로 보여지는] [무언가 또는 누군가를 향한] [호의적이거나 비호의적인] 평가적 반응"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21이 정의는 태도가 여러 구성 요소를 갖고 있으며 태도의 다중적 구성 요소 모델이 전통적으로 세 가지 측면을 갖음을 보여준다: 정동, 행동, 인지 .22 

  • 정동은 감정과 태도의 감정적 구성 요소를 말하며, 

  • 행동은 사람의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말하며

  • 인지는 개인의 신념 및 생각을 나타냅니다.

An attitude can be defined as “a favorable or unfavorable evaluate reaction toward something or someone, exhibited in one’s beliefs, feelings, or intended behavior.”21 This definition implies that attitudes have multiple components, and multicomponent models of attitudes have traditionally included three aspects: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22 

  • Affect refers to feelings and the emotional component of attitudes, 

  • behavior refers to one’s overt actions, and 

  • cognition refers to an individual’s beliefs and thoughts.22


많은 사회 심리학 연구가 태도와 행동 사이의 관계에 집중되어왔다.

much social psychology research has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s.23



Wallace 등은 태도와 관련하여 행동을 조사했을 때, 

  • 특정 태도를 취해야 한다는 일반적 수준의 사회적 압박감을 느꼈을 때, 그리고 그 행동의 난이도가 평균적일 때 태도-행동 간 상관 관계가 0.41임을 발견했다. 

  • 그러나 보다 어려운 행동을 취해야 할 사회적 압력을 경험할 때에는 태도-행동 상관 관계는 0.30으로 떨어졌습니다. 

When the Wallace et al23 examined behaviors in relation to attitudes, 

  • they found that the mean attitude–behavior correlation was 0.41 when individuals experienced a mean amount of social pressure to carry out a specific behavior and when that behavior was of mean difficulty. 

  • However, when individuals experienced social pressure one standard deviation higher than the mean to perform a more difficult behavior (behavior one standard deviation above mean difficulty), the mean attitude– behavior correlation dropped to 0.30.

이것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해야 할 강한 사회적 압박 존재하고 행동 자체를 실행하기 어려울 때에 태도는 행동에서 단지 9%의 차이만을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is suggests that an individual’s attitudes only account for 9%of the variance in his or her behavior when strong social pressures exist to behave in a particular way and when the behavior itself is difficult to execute.



 TPB는 개인의 행동이 행동 의도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 된 3 가지 신념 집합에 의해 영향을받는다고 제안합니다. 신념의 3 가지 세트는 

  • 행동적 신념 (행동의 결과에 관한 신념), 

  • 규범적 신념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대한 믿음), 

  • 통제적 신념 (어떤 행동을 돕거나 방해하는 특징에 대한 믿음)입니다. 

보다 최근의 통합 모델 25는 행동 의도 이외에도 환경적 제약개인의 기술과 능력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안함으로써 TPB를 확장한다.

 The TPB suggests that an individual’s behavior is influenced by three sets of beliefs that combine to forma behavioral intention . The three sets of beliefs are 

  • behavioral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the behavior), 

  • normative (beliefs about others’ expectations), and 

  • control (beliefs about features that may help or hinder the behavior). 

The more recent integrative model25 extends the TPB by suggesting that in addition to behavioral intention,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individuals’ skills and abilities also influence behavior.



여기서 핵심은, 외부적 제약(특정 방식으로 행동해야 할 사회적 압력이 존재하고 그러한 행동의 난이도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모를 때)이 존재할 때, 태도만으로는 행동의 예측인자로서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23. 논증 할 수 있듯이 이러한 상황 변수는 의학적 관행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The key point is that attitudes alone are poor predictors of behavior when external constraints, such as social pressure to behave a certain way and perceived difficulty of the behavior in question, are relatively strong23; arguably, these situational variables are particularly salient within medical practice.



학생들이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fake"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있는가?

How Acceptable Is It for Students to “Fake” Professional Behaviors?


우리가 행동 규범이나 예의 범절을 지킬 때, 우리는 종종 우리의 어떤 마음을 갖고 있는지와 관계없이 겉으로 보기에 적절한 행동을 합니다. -엔. Sherman, 영국 교육 학회지, 2005

When we follow codes of conduct or rituals of decorum, we are often just play acting, acting appropriately in outer conduct, irrespective of what is in our hearts. —N. Sherma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005



태도의 힘 - 확실성, 중요성, 중심성 - 이 태도와 행동 사이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상대적으로 불안정하고 따라서 변화하기 쉬운) 약한 태도보다 강력한 태도가 행동을 더 잘 예측한다. 따라서 의과대학생(특히 약한 태도를 가진 학생)은 기저에 깔린 태도가 프로페셔널한 행동과 일관되지 않더라 하더라도, 프로페셔널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른 말로하면, 학생들이 fake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며, 특히 호손 효과로 알려진 현상이 관찰됩니다.

Attitude strength—the certainty, importance, and centrality of our attitudes—has been found to moderate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with stronger attitudes being more predictive of behavior than weaker attitudes, which are relatively unstable and, therefore, amenable to change.26 Consequently, it is reasonably straightforward for medical students (principally those with weaker attitudes) to behave in a professional manner, even if their underlying attitudes are inconsistent with professional behavior. In other words, it is perfectly possible for students to fake it,20 particularly when being observed, a phenomenon known as the Hawthorne effect.27


실제로 첫 번째 저자의 연구에서 학생들은 평가자로부터 칭찬이나 높은 성적과 같은 보상을 얻기 위해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실행했다고 밝혔습니다.

Indeed, in the first author’s own research ,9,28 students stated that they had play acted professional behaviors fortheir assessors to yield rewards such as praise or high grades. 


많은 의학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학생들은 결국 인지-부조화 이론에 따라 적절한 태도를 내면화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29이 이론은 우리가 자신의 태도에 반하는 방식으로 행동 할 때 불협화음을 경험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우리는 우리의 태도를 우리의 행동과 일치 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태도로 변화시킴으로써 그러한 불일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합니다. 임마누엘 칸트 (Sherman, 20)의 저술을 다시 한번 들으면서, "어떤 경우에는 예의범절이 내면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Many medical educators hope that by constantly monitoring students’ professional behaviors, the students will eventually come to internalize appropriate attitudes in accordance with cognitive dissonance theory.29 This theory suggests that when we behave in a manner contrary to our attitudes, we experience dissonance, which we seek to reduce, either by changing our attitudes to match our behaviors or vice versa. Reflecting on the writings of Immanuel Kant, Sherman20 puts it another way: “decorum can, in some cases, change inner states.”


하퍼 티 (Hafferty, 18)는 프로페셔널한 행동과 프로페셔널리즘을 대조하며, 전자는 피상적인 반면, 후자는 깊고 정체성과 얽혀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후자로부터 발생하는 프로페셔널한 행동이 더 확실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그는 이 진정성authenticity을 인상 관리impression management는 다르다고 지적한다..

Hafferty18 contrasts professional behavior with professionalism, suggesting that the former is superficial, whereas the latter is deep and intertwined with identity. He suggests that professional behavior arising fromthe latter is more authentic; he contrasts this authenticity with impression management,


Sherman은 개인의 내적 덕과 외적 행동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면, 도덕적으로 적절한 대응은 행동을 더 적절히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Sherman20 argues that if a disparity exists between an individual’s inner virtues and his or her outer conduct, the morally suitable response is to behave appropriately:


하퍼티 (Hafferty)는 의사가 프로페셔널하게 보이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고 제안하지만, 그의 글은 이 상태에 대한 불만을 분명히 드러내고있다.

Although Hafferty18 suggests that it may be sufficient for physicians to appear professional, his writing clearly reveals a discomfort with this state of affairs.



 행동을 평가함으로써 의대생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제어하려고 시도함으로써, 특정 상황에서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그러나 평가의 관점에서, 우리는 행동은 프로페셔널하지만 태도는 비윤리적인 학생에게 pass를 줄 수도 있다.

 By attempting to control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through behavioral assessment, it seems relatively easy to change their behaviors in specific contexts. However, from an assessment perspective, we may pass students who exhibit professional behaviors but who, nevertheless, have unethical attitudes.



비전문가 행동이 전문가가 아닌 경우는 언제입니까?

When Is Unprofessional Behavior Not Unprofessional?


행동은 행동, 목표, 타이밍, 맥락의 네 가지 요소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의사의 행동에 대한 정의이다. 첫 번째 정의는 행동의 목표와 행동만을 특정하지만, 두 번째 정의에는 시간과 상황까지 포함한다.

Behavior can be defined in terms of four components: action, target, timing, and context.32 The following definitions of physician behavior, The first definition specifies the action and the target of the behavior, but the second also includes timing and context:



[행동+목표] 의사는 환자 [목표]에 정직해야합니다.

Physicians must be honest [action] with their patients [target].


[행동+목표+타이밍+맥락] 의사는 환자가 치료에 동의하고 [타이밍]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목표] 환자가 완전하고 정직하게 [행동]를 통보 받도록해야합니다.

Physicians must ensure that patients [target] are completely and honestly informed [action] before [timing] the patient has consented to treatment and after treatment has occurred [context].



대부분의 경우 4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행동적 정의가 보다 포괄적이며 우월함에도 불구하고, 학생의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대한 평가 기준은 일반적으로 행동의 맥락 의존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타이밍 및 상황을 배제합니다.

Although most would agree that behavioral definitions incorporating all four components are more comprehensive and therefore superior, assessment criteria of students’ professional behaviors commonly exclude timing and context, despite thecontext-dependent nature of behaviors.



많은 저자들은 다음 연구에서 보여 주듯이 행동 평가가 컨텍스트와 분리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many authors18,34,35 argue that behavioral assessment should not be divorced from context, as the following study illustrates.


Ginsburg 등은 임상가가 프로페셔널리즘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대해 5 개의 비디오 테이프 시나리오를 본 후 30 명의 임상의와 인터뷰를 실시했습니다. 저자들은 임상의들 사이에 거의 agreement가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러 시나리오에서 윤리적 원칙은 임상의들마다 다르게 정의되었으며, 부정직한 행동도 상황에 따라서는 프로페셔널하기도, 그렇지 않기도 하다.

Ginsburg et al36 conducted interviews with 30 clinicians after the clinicians had watched five videotaped scenarios of profess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The authors found little agreement between clinicians. Ethical principles were defined differently across clinicians and within clinicians across different scenarios, suggesting that dishonest behavior could be interpreted as unprofessional or not unprofessional depending on the context.



맥락적 측면에서 행동의 중요한 결정 요인 중 하나는 사회적 압력이다.

one of the key contextual determinants of behavior already mentioned: social pressure.



영국 의학 저널 (British Medical Journal, BMJ)에 게재 된 최근 논문 38)은 한 영국 학교 의과 대학에서 마취된 환자에게 동의받지 않은 검사를 702건 보여 주었으며, 이 중 166 건 (24 %)이 명백한 동의없이 수행되었으며, 이는 대부분 비윤리적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학생들을 "unprofessional하다"고 분류해야합니까? 아니면 그러한 행동이 unprofessional한 태도에 근거해서 발생했다고 주장해야 하나? 1960 년대 스탠리 밀그램 (Stanley Milgram)이 실시한 고전 사회 심리학 실험을 바탕으로, 우리는 이 학생들을 unprofessional하다고 분류해서는 안된다고 권고한다.

A recent article38 published in the British Medical Journal (BMJ) demonstrated that of 702 intimate examinations conducted on anesthetized patients by medical students at one UK school, 166 (24%) were conducted without explicit consent, behavior that would be defined by most as unethical. So, should we label these students “unprofessional,” or should we argue that they have unprofessional attitudes on the basis of their behavior? Drawing on the classic social psychology experiments conducted by Stanley Milgram39 in the 1960s, we would recommend that they should not be labeled as unprofessional.


"저는 컨설턴트가 시킨 것을 거부할 수 없다고 느꼈습니다. 실제로는 그것에 대해 매우 불만 스러울지라도."

“I have never felt able to refuse a consultant, even though I have really felt very unhappy about it.”38



Milgram39는 다양한 수준의 복종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실험자 (정당한 권한)가 임상실습생으로 교체되거나 실험자가 없을 때 복종이 줄어 들었습니다. Milgram39는 또한 복종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았던 사람들 사이의 개인차를 탐구하고 결론을 내렸다. "한 사람이 어떻게 행동할지 결정하는 것은 종종 그 사람이 어떤 종류의 사람인지와는 별로 상관이 없다"

Milgram39 found different levels of obedience; for example, obedience decreased when the experimenter (the legitimate authority) was replaced with a clerk or was absent. Milgram39 also explored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obeyed and those who defied the experimenter and concluded, “often it is not so much the kind of person a man is as the kind of situation in which he finds himself that determines how he will act.”



관측의 관점에서 unprofessional한 행동으로 보일 수 있는 행동도 실제로 우리가 학생들과 이야기해보면, 실제로는 unprofessional한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What might look like unprofessional behavior from an observational perspective may not actually be unprofessional, if we take the time to talk to students about the context



그렇다면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어떻게 평가해야합니까?

how should we assess students’ professionalism?





어떻게 프로페셔널리즘을 평가해야 하는가?

How Should Professionalism Be Assessed?


우리는 관찰을 "인터뷰"나 "목적이 있는 대화"와 결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 상호 보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할 것을 권장합니다.

we recommend that, we collect data about students’ professionalism using multiple and complementary methods, such as observation coupled with interviews, or “conversations with a purpose.”40


이 제안은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Shiphra Ginsburg와 그녀의 동료들은 이미 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였는지를 학생들에게 질문해야한다고 권고했습니다.

This proposal is not entirely new—Shiphra Ginsburg and her colleagues36,41 have already recommended that we must ask students why they behaved in a particular manner.


학생의 행동 뒤에 숨은 설명을 탐색하는 현실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how can we examine students’ explanations behind their behaviors in a practical way?


행동적 설명behavioral explanation은 사회적 행동이므로 행동 평가에 대화 모델conversational model을 적용해야한다. 학생은 비공식적 상황과 공식적인 상황, 비공식적 대화와 공식적 포커스그룹 토론, 그리고 성찰 일지를 통해서 그들의 프로페셔널한 행동과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해서 설명할 것을 요구받아야 한다. 스토리를 이야기하는 것은 의료 행위의 가장 근본적인 기본 요소입니다. 따라서 행동 설명에 대한 서술적인 접근이 적절 해 보입니다.

Behavioral explanations are social acts, so conversational models should be applied to behavioral assessments.31 Students should be asked to explain both their professional and unprofessional behaviors in informal and formal settings, from informal conversations, to formal focus-group discussions and reflective essays. Telling stories is arguably the fundamental building block of medical practice,45 so a narrative approach46,47 to behavioral explanation seems appropriate.



예를 들어, 교수자가 환자와 부적절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 학생을 관찰 한 경우, 교수자는 학생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서 말해보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환자와의 면담을 시작할 때 개방형 질문을하는 것과 유사하게, 이 대화식 접근 방식은 학생들에게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며, 이로써 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설명을 유도prompting없이 보여준다.

If, for example, an instructor observed a student communicating with a patient inappropriately, the instructor could ask the student to tell the story of what happened. Analogous to physicians asking patients open questions at the start of medical consultations, this conversational approach should allow students to tell their stories, thus revealing the students’ behavioral explanations without prompting.



그러나 개방형 질문이 항상 풍부하고 상세한 이야기를 주는 것은 아니므로, 의학 교육 담당자는 학생들에게 행동에 대해 더 깊고 포괄적으로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질문을 준비해야합니다. 이 질문들은 행동 설명에 관한 사회 심리학 문헌을 참고해서 만들 수 있다.

However, open questions do not always result in rich and detailed stories, so medical educators must be prepared to ask students probing questions to help them think more deeply and comprehensively about their behaviors. These questions can be guided by the sociocognitive psychology literature on behavioral explanation.48



Malle의 민간 개념적 행동 이론folk-conceptual theory of behavioral explanation은 행동 설명의 사회적 기능을 포함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Malle의 이론은 개념적, 심리적, 언어적 3 가지 행동 설명에 집중한다. 

  • 개념적 수준에는 의도한 행동 (원인, 원인의 인과 관계 역사, Enabling factor)에 대한 세 가지 모드와 의도하지 않은 행동 (원인)을 설명하는 한 가지 모드가 있다.

  • 심리적 수준행동에 대한 설명을 유도하는 프로세스를 검사하며, 예를 들어 잠재 고객 디자인 (특정 잠재 고객에 대한 설명 맞춤)과 같은 실용적인 목표를 포함합니다 .48

  • 언어적 수준은 개인이 설명을 분명히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 양식을 식별합니다.

Malle’s48 folk-conceptual theory of behavioral explanation includes the social function of behavioral explanation. Briefly, Malle’s theory attends to three levels of behavioral explanation: conceptual,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 The conceptual level involves three modes of explaining intentional behavior (reasons, causal history of reasons, and enabling factors) and one mode for explaining unintentional behavior (causes).48 

  • The psychological level examines processes that guide explanations of behavior and includes, for example, pragmatic goals, such as audience design (tailoring an explanation to a particular audience).48 

  • The final level identifies the linguistic forms that individuals employ to articulate their explanations.48



Malle의 이론은 개인의 설명 내용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설명explanation이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고, audience design 및 impression management와 같은 현상을 고려해야한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Malle’s theory can help us explore the content of individuals’ explanations, but it also reminds us to think about how explanations are articulated and to consider phenomena like audience design and impression management.



예를 들어, "생각했다", "느껴졌다", "좋았다", "그러고 싶었다"와 같은 mental state marker를 생략하면 설명이 더 객관적이고 사실처럼 들리게됩니다 .48 Marker가 없는 형태("나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컨설턴트 저에게 그렇게 말했습니다.")로 말하면, Marker가 있는 경우("나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했다. 컨설턴트가 나에게 그렇게 부탁했다.")보다 더 factual하게 들린다. Marker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우리는 학생들이 그들 자신을 그들의 행동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자 사용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omitting mental state markers such as “thought,” “felt,” “liked,” or “wanted” from behavioral explanations makes the explanations sound more objective and true.48 The unmarked form, “I had no choice, the consultant told me to do it” sounds more factual than the marked form, “I thought I had no choice, the consultant asked me to do it.” By listening for marked and unmarked forms, we can gauge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employ strategies to distance themselves from their actions.



"정확히 컨설턴트가 뭐라고 말했습니까?", "왜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했는가?"와 같은 질문을 통해 학생들의 설명에 challenge 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자신의 행동에 대한 선택]을 내릴 힘이 있음empowerment을 깨닫게 하는 remediation을 제공할 수도 있다.

Not only can we challenge students’ explanations with further questions such as “What exactly did the consultant say?” and “Why did you think you had no choice?” we can also offer students remediation to increase their sense of empowerment in making choices about their behaviors.



이러한 대화는 총괄적인 관점에서 유익할 뿐만 아니라 형성적으로도 유익하다. 대화는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 (및 행동의 광범위한 사회적 맥락)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앞으로 자신의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한 대화가 없다면, 우리는 학생들에게 disservice하는 것이다.

As well as being advantageous from a summative perspective, such conversations are also formative. Not only will conversation help student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ir behaviors (and the broader social context of their behaviors), but it should also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behaviors in the future. Without such conversation, we are arguably doing our students a disservice.




우리는 행동과 태도을 모두 포착하는 평가 방법, 즉 사회-인식 모델에 의한 대화와 관찰을 필요로합니다. TPB는 행동의 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측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반면 Malle의 이론은 이러한 행동의 다양한 사후 설명을 풀어 냄으로써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e need assessment methods that capture both behaviors and attitudes—observation coupled with conversations guided by sociocognitive models. The TPB sheds insight into the different aspects occurring around the time of behaviors, whereas Malle’s theory may help us disentangle the various post hoc explanations of those behaviors.







 2007 Jan;82(1):46-50.

The trouble with assessing students' professionalismtheoretical insights from sociocognitivepsychology.

Author information

1
Institute of Clinical Education, Peninsula Medical School, Universities of Exeter and Plymouth, UK. charlotte.rees@pms.ac.uk

Abstract

The academic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is burgeoning, and its focus has primarily been on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 behaviors. Consequently, the attitudinal elements of professionalism have largely been ignored in the literature. As a result, educators chiefly rely on professional behavior alone as the primary measure for professionalism without giving proper consideration to students' underlying attitudes. Using theoretical insights from sociocognitive psychology, this viewpoint article begins by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s. It suggests that attitudes are poor predictors of behavior when external constraints, such as social pressure to behave in a particular way, are strong. It continues with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phenomenon of "faking it"--students faking professional behaviors to garner positive reactions from observers. This practice is contrasted with students who at times behave unprofessionally in response to social pressures or other contextual components, despite having professional attitudes. So, in using behavioral assessment alone, we may pass students with professional behaviors but unethical attitudes and fail students with unprofessional behaviors but ethical attitudes. Guided by a sociocognitive model of behavioral explanation, the article ends with som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coupling observation with conversation to assess students' professional behaviors and their attitudes more fairly.

PMID:
 
17198292
 
DOI:
 
10.1097/01.ACM.0000249931.85609.05


프로페셔널리즘: 의학교육의 가이드 프레임워크(Med Educ, 2014)

Professionalism: a framework to guide medical education

Howard Brody1,2 & David Doukas3






도입

INTRODUCTION


3 학년의 의대생이 우리 중 한 사람에게 과제를 제출했다 "내가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나의 첫 반응은"Yuk! "이었습니다.

A Year 3 medical student turned in to one of us (HB) a required essay that began ‘When I hear the word “professionalism”, my first reaction is “Yuk!”’


학생들은 커리큘럼에서 제시된 '프로페셔널리즘'이 그들 자신에게 단순히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 무엇인지 가르쳤다는 인상을 받았다.

They had somehow gotten the impression that ‘professionalism’ as presented in their curriculumhad taught themmerely prohibitions of behaviour.



의학 교육자들은 학생과 레지던트들에게 너무나 종종 반사회적이고 기계적인 프로페셔널리즘을 전달합니다. 이러한 우려는 Coulehan1에 의해 표명되었으며 이후에 실증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2-6이러한 교육의 한 가지 결함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과 실천이 윤리학이나 인문학에 충분히 근거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교육은 "행동"을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외모와 행동거지만으로 피상적으로 평가하는 "하지 말 것"들의 리스트로 축소시켜버린다.

medical educators too often transmit to students and residents an unreflective, mechanical view of professionalism. This concern was voiced by Coulehan1 and subsequently supported by empirical studies.2–6 One possible flaw in this teaching is that the concept and practice of professionalism may not be sufficiently grounded in either ethics or humanities. Such teaching can be a reduction of behaviours into a list of ‘Do Nots’ based on superficial appearance and comportment, evaluated by checklists.


결과적으로 많은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치료자로서 필요한 윤리적 역할에서 분리 된 것처럼 보이는) 규칙 목록을 암기하도록 요청 받았다는 인상에서 유래합니다 .4,4,6,7 대신에 우리는 프로페셔널리즘이란 학습자의 윤리적 열망에 더 긍정적으로 공명하고, 더 깊은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8

The resultant negativ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in many students stems from their impression that they are being asked to memorise a list of rules that seems detached from their intended ethical role as a healer.2,4,6,7 Instead, we assert that professionalism ought to resonate positively with the ethical aspirations of learners and prompt them to reflect more deeply.8


일부 교육자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방법'의 문제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정의'에 대한 학술적 공감대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Some educators attribute the problem of how to ‘teach professionalism’ to the lack of scholarly consensus over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그러나 우리는 이것(definition)이 교육 문제의 원인이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현재, 교육을 목적으로 했을 때 가장 중요한 핵심 사상들에 대해 충분한 합의를 이루고 있다고 믿습니다.

We disagree that this is where the pedagogic problem lies. We believe that, at present, we possess for teaching purposes sufficient consensus on the most important core ideas that ground professionalism.


행동을 측정하는 것은 가치가 있지만, 프로페셔널리즘이 단순히 행동 그 이상의 것이라면, 현재 우리가 가진 모든 평가 도구는 충분치 못하다. 우리는 학습 이론이 암시하듯, [명시적인 인지 기반에 대한 교육]과 [authentic 맥락에서의 학습 기회 제공] 사이에 균형을 맞추어야한다.

As valuable as it may be to measure behaviour, if professionalism is more than behaviour, all such assessment tools will fall short. We concur with the observation of Cruess and Cruess: ‘As situated learning theory suggests, a balance must be struck between teaching the cognitive base explicitly and providing opportunities where learning can occur in an authentic context.’18



'신뢰를 창출하는 약속으로서의 전문성', '실천에 대한 미덕의 적용으로서의 전문성'.

‘Professionalism as a trust-generating promise’, and ‘Professionalism as application of virtue to practice’.



신뢰형성의 약속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AS A TRUST-GENERATING PROMISE


첫 번째 set은 이상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이란 공공의 신뢰를 쌓기 위한 약속이며, 달성하기 매우 어렵다는 아이디어이다.

The first set of precepts leads to the idea that professionalism entails making a promise that ideally builds public trust and can be very challenging to fulfil.



환자의 이익에 대한 헌신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as a commitment to the interests of the patient


대부분의 정의는 프로페셔널한 상호 작용의 목표가 환자의 이익이며, 의사의 이익은 부차적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비록이 속성에 대한 전문 용어가 '자기자제self-abnegation'이지만, 덜 정교한 용어인 '이타주의'를 더 널리 사용하게 될 것이다 .21) 그러한 주장은 자명 한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실제로는 학생과 레지던트가 토론해야 할 중요한 문제가 있습니다.

Most definitions agree that the goal of the professional interaction is the benefit of the patient and only secondarily the benefit of the physician. (Although a technical term for this attribute is ‘selfabnegation’, we will use the more widely understood, if less precise, term ‘altruism’.21) Such a claim may seem both self-evident and vacuous, but it is actually quite pregnant with important issues that students and residents need to discuss.



예를 들어 

    • 언제 전문가 자신의 이익을 환자 치료에서 합법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가?

    • 환자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전문가는 얼마나 희생해야 하는가?

    • 른 사람과 관련된 일상적 이슈와 도덕적 의무가 환자에 대한 의무를 초월할 수 있는 상황은 언제인가?

    • At what point do the professional’s own interests have a legitimate claim in patient care? 

    • How much is the professional expected to sacrifice to benefit the patient? 

    • When do lifestyle issues or moral commitments owed to other individuals supersede one’s obligations to the patient?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에 두는데에는 여러 행동들이 관여한다.

Placing the patient’s interests first entails a list of related behaviours


학습자는 실제로 프로페셔널리즘이 환자의 최선의 이익에 의해 이끌어 져야한다는 것을 이해할 때, 그들은 이 선의에 기반한 의무가 진정으로 작동하려면, 의사가 기술적으로 유능해야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환자 이익을 우선한다는 것은 기밀성, 진실성 및 의사 결정 공유와 같은 다른 프로페셔널한 행동을 갖추었음을 의미합니다.

when learners understand that professionalism in practice must be guided by the patient’s best interest, they readily see that this beneficence-based duty requires the physician to be technically competent in order to truly be able to serve. Similarly, the priority of the patient’s interests implies other professional behaviours, such as respecting confidentiality, truthfulness and shared decision making.



'프로페셔널리즘'이 행동의 목록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으로 제시 될 때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의 학습을 그러한 목록의 암기와 동일시합니다. 이는 그 목록을 기계적으로 컨설팅하여 프로페셔널함 또는 프로페셔널하지 않음이 결정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학생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지 핵심을 주입시키고, 그 core가 어떻게 논리적으로 행동목록을 생성 하는지를 알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When ‘professionalism’ is presented as a laundry list of behaviours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students equate the learning of professionalism with the memorising of such a list, which implies that whether a behaviour is professional or unprofessional can be determined by mechanically consulting the list.1,2,4,6,7 We suggest instilling in students the core of what professionalism is and then helping them to see how the core logically generates the list.



프로페셔널리즘은 의료가 단순히 비지니스가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Professionalism means that health care can never be merely a business



모든 인간 관계가 사업적 합의로 재편되는 경향이있는 세계에서, (비록 이것이 첫 번째 표현의 단순한 재 작성 일지라도), 이 교훈을 명시적으로 진술하는 것이 가치가있다.

In a world in which all human relationships tend to be recast as business arrangements, it is worth stating this key precept explicitly, even if it is merely a restatement of the first.24


오늘날의 헬스케어는 실제로 비지니스이다. 그러나 헬스케어를 단순하게 또는 주로 사업으로 보지 않아야합니다. 의학의 상업화와 상품화는 오늘날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가장 중요한 위협 중 하나이며, 학생들은 인간의 삶의 모든면을 시장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바라보는 세상에 빠져 있습니다 .26)

Health care in today’s world is indeed a business: However, health care should never be viewed merely or primarily as a business. The commercialisation and commodification of medicine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threats to professionalism today,25 and students are immersed in a world that views every aspect of human life as occurring in a marketplace.26,27


프로페셔널리즘은 '공언하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약속한다'를 의미한다.

Professionalism is derived from the verb ‘to profess’, which means ‘to promise’


펠레그리노 (Pellegrino)는 동사 형태가 명사 (nomoun)보다 유익하다는 것을 언급했다 .28교훈은 다른 교훈들을 [대중의 신뢰]라는 중요한 목표와 관련시킨다. 의학은 [개별 의사에 대한 환자의 신뢰]를 포용하는 개념인 public trust를 필요로합니다.

Pellegrino stated that the verb form was more informative than the noun.28 This key precept relates the other precepts to the important goal of public trust. Medicine requires public trust, a concept that embraces the patient’s trust in the individual practitioner.


이러한 신뢰가 없으면 환자는 정직하고 철저하게 병력을 제공하지 않게 되고, 신체 검사 및 검사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정보가 없으면 의사는 진료를 완수할 수 없다.

without this trust, Patients will not give an honest, exhaustive medical history, or allow their bodies to be examined and probed, but without the information , practitioners will be helpless to complete their tasks.


왜 환자는 한 번도 본 적이 의사를 신뢰해야합니까? 이 교훈에서 얻을 수 있는 답은 [보건 전문가들이 지역 사회 전체가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Why should patients trust practitioners, including those they have never previously encountered? The answer this key precept offers is that health professionals have promised the community at large to place the interests of the patient foremost.




'공언한다'라는 말은 공공적인 약속과 집단적인 약속의 개념을 모두 포괄한다.

The promise suggested by ‘to profess’ is both a public and a collective promise


왜 환자들은이 약속을 강하게 느껴야합니까? 결국 전문가의 실제 행동이 신뢰성을 확립 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개업의를 적어도 잠정적으로는 신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뢰는 의사들이 지역 사회에 약속 한 것이 공공적이고 집단적인 것이라는 의미에서 비롯됩니다.

Why should patients find this promise compelling? In the end, professionals’ actual behaviour will establish their trustworthiness. Yet most patients are nevertheless willing at least provisionally to trust practitioners. This trust is driven by the sense that the promise made by practitioners to the community is both public and collective.


의과대학생들은 졸업식에서 의사 서약 의식을 떠올릴 때 이 핵심 교훈을 가장 잘 이해합니다. 

    • 첫째로, 의식은 공공적이다; 이 맹세를 암송할 때 닫힌 문 뒤에 숨어서 하지 않는다.

    • 둘째, 선서를 맹세하는 것은 전체 학습의 집단 행동이다. 그것은 대중에 대한 약속이면서 서로에 대한 약속이다.

Medical students best grasp this key precept when they consider the ceremony at which a physician’s oath is sworn upon graduation. 

    • Firstly, the ceremony is public; the class does not retreat behind closed doors to recite the oath. 

    • Secondly, swearing the oath is a collective action of the entire class; it is a promise to the public and to each other.


개별 학생에게 맹세를 암송할지 여부 또는 자신의 버전을 만들기 위해 문구를 변경하고 싶은지 여부를 묻지 않습니다. 모든 학생들이 [같은 맹세]를 [동시에 맹세]하지 않으면 의식은 의미가 없습니다.

Individual students are not asked whether or not they wish to recite the oath, or whether they would like to alter the wording to create their own versions. the ceremony will lack meaning unless all students swear the same oath at the same time.


학생들은 처음에는 [개별적으로 협상하지 않은 집단적 약속에 매여있다]는 생각에 저항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공적이면서 집단적인 맹세가 아니라면 환자는 어쩌다 응급실에서 근무중이어서 만나게 된 생전 처음 보는 의사를 신뢰할만한 근거가 거의 없다. [집단적 약속]이라는 교훈과 [개인주의]를 훌륭하게 연결시키는 한 가지 교육 기술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맹세 또는 규범을 쓰게하는 것이다.29

Students may initially resist the idea that they are bound by a collective promise that they did not individually negotiate. Reflection, however, will show them that if the promise is not both public and collective, patients will have little reason to trust a physician who happens to be on du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whom the patient has never previously met. One pedagogic technique that nicely bridges individualism with the precept of the collective promise involves having students write their own oaths or codes.29



프로페셔널리즘은, 제대로 이해한다면, 매우 어려운 것이다.

Professionalism, properly understood, is hard work


성찰이 결여된 평가도구, 즉 "프로페셔널리즘"이 관찰 가능한 행동 목록을 가지고 교수가 체크하는 것과 동일시시 하는 것, 의 또 다른 문제점은 최소 임계값 충족이 쉬워서, 심각한 윤리적 결함이있는 학습자만 프로페셔널리즘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남기는 것이다. 이는 최고의 의사조차도 프로페셔널리즘 달성을 목표로 삼고 엄청나게 노력하고 있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훼손합니다.

A further problem with unreflective assessment tools, in which ‘professionalism’ is equated with the checking by faculty staff of boxes that refer to observable behaviours, is that they create the impression that meeting the minimum threshold is easy and that only learners with serious ethical flaws will be deficient in professionalism. This undermines the important message that professionalism is an aspirational goal which even the best physicians must struggle to attain.


인간은 아마도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신체적 위협을 받을 때 이타적으로 행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있을 것입니다. 대조적으로 피곤하거나 협박을 당할 때 다른 사람의 관심사를 우리 자신보다 우선하게 만드는 것은 어렵습니다. 우리가 natural identity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 심지어는 적대감을 느낄 수있는 사람들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이 더욱 어렵습니다.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약속은 그런 모든 상황에 처한 모든 환자가 환자의 이익과 대중의 신뢰를 향한 우리의 직접적인 노력을 전제로 최선의 치료를받을 것을 요구합니다 .30

Humans are probably programmed to be altruistic on occasions when, for example, those with whom they feel close ties of kinship are threatened by physical danger. By contrast, it is difficult to put someone’s interests ahead of our own when we feel tired or threatened. It is even harder to prioritise the interests of those with whom we feel no natural identity, and towards whom we may even feel animosity. Yet the promise of professionalism requires that all such patients, in all such circumstances, receive our best care, predicated on our directed efforts towards the patient’s benefit, and our public trust.30


라르슨 (Larson)과 야오 (Yao)는 공감에 관해서도 비슷한 점을 지적하고, 깊은 내면의 태도를 표면적 행동과 합치시키는 것은 상당한 정서적 노동을 필요로한다고 지적한다.

Larson and Yao make a similar point about empathy and point out that bringing one’s deeper attitudes into congruence with surface behaviours requires considerable emotional labour.31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세 가지 중요한 교육적 과제를 남긴다. 

    • 첫째, 프로페셔널리즘 과정의 중요성을 확립하고, 여기에 투여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정당화합니다. 

    • 둘째, 교수들을 대좌pedestal에서 내려오게 하고, 학생들과 진정한 대화를 하여, 모든 사람이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예측가능한 도전을 다루는 방법을 성찰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해한다면, 프로페셔널리즘을 virtue로 규정하는 다음 주요 교훈 세트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Admitting that keeping the promise of professionalism is difficult accomplishes three critical pedagogic tasks. 

    • Firstly, it establishes the importance of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and justifies time and energy devoted to the topic. 

    • Secondly, it takes the faculty member off the pedestal and opens up real dialogue with students as all reflect together upon ways to deal with predictable challenges to professional behaviour. 

    • Finally, understanding how hard professionalism is leads naturally to the next set of key precepts that identify professionalism with virtue.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와 전문직간의 계약을 의미한다.

Professionalism as an implied contract between society and the profession


프로페셔널리즘은 사회와 의료계 간의 (상호 이익을 위한) 묵시적인 계약으로 간주 될 수 있으며, 조건이 바뀌면 재협상 될 수 있습니다.

Professionalism can be viewed as an implied contract between society and the medical profession, in which mutual benefits are conferred, and which can be renegotiated if conditions change.


언뜻 보면 전문직에 관한 사회학 문헌은 윤리적 접근과는 달라보인다. 

    • 사회학이 설명적descriptive 접근을 시도하는 반면 

    • 윤리학 'is'보다는 'should'를 다룬다.

At first glance the sociological literature on the professions might appear to be distinct from an ethical approach, as sociology attempts a descriptive account, whereas ethics addresses the ‘ought’ rather than the ‘is’.14,32


그러나 사회적 계약의 개념은 사회학적 설명과 윤리학적 설명 사이에 중요한 논의의 장을 제공한다. Cruess and Cruess는 우리에게 사회적 계약의 개념이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방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상기 시켰습니다 .18,33

The notion of a social contract, however, provides an important meeting ground between sociological and ethical accounts. Cruess and Cruess have reminded us that the idea of the social contract can usefully frame the way in which professionalism is taught.18,33


사회적 계약의 개념은 신뢰가 쌍방향 관계를 수반한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상기시킨다. 이상적으로는 신뢰가 환자쪽에 있고, 의사에게는 신뢰할 가치(trustworthiness)가 있습니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헌신은, character로 볼 수 있으며, 신뢰의 조건을 수립합니다.

The concept of the social contract reminds the student that trust involves a two-way relationship. Ideally, trust exists on the patient’s side and trustworthiness on the physician’s. A dedication to professionalism, viewed as character, establishes the conditions for trustworthiness.



이 핵심 교훈은 사회가 의사에게 부여하는 혜택은, 그 전문직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혜택을 받을 것이란 사회의 신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상기시킵니다. caregiver가 '덕의 길'에서 이탈하여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사회가 결정하면, 현재 부여 된 특권과 권한이 철회 될 수 있습니다.

This key precept reminds students that the benefits conferred by society on physicians, are conditional upon society’s belief that it is receiving the hoped-for benefits from the profession. If society decides that caregivers have strayed from the path of virtue and are no longer trustworthy, the privileges and authority now granted to health professionals may be withdrawn.




Virtue의 적용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PROFESSIONALISM AS APPLICATION OF VIRTUE TO PRACTICE



프로페셔널리즘은 의료윤리의 부분집합니다.

Professionalism as a subset of health care ethics


프로페셔널리즘은 윤리적 문제이지만, 오늘날 윤리의 대부분은 규칙과 원칙을 통해 다루어집니다 .34 규칙과 원칙은 윤리적 심의를 위한 매우 유용한 도구 일 수 있지만 큰 약점이 있습니다. 그 판단을 내리거나 행동을 하는 사람이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라는 질문을 무시합니다.

Professionalism is a question of ethics, but much of ethics today is addressed through rules and principles.34 Rules and principles may be highly useful tools for ethical deliberation, but they have a major weakness: they ignore the question of what sort of person is deciding or performing the action.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 '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둔 접근 방식, 또는 moral character를 virtue라고 한다. 35 Pellegrino가 말한 것처럼 덕-윤리는 도덕적 행위자와 그 사람이 되어야 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에 집중하는 시스템입니다. 덕-윤리는 그 행위 자체나, 상황이나, 그들이 생산하는 결과에는 초점을 덜 둔다.

The approach to ethics that focuses on what sort of person one is becoming, or moral character, is commonly called virtue.35 As Pellegrino stated, virtuebased ethics ‘is a system that concentrates on the moral agent and the kind of person he or she ought to be, rather than on the acts themselves, the circumstances, or the consequences they produce’.23


학생들은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상기할 때 virtue approach를 가장 잘 이해할 것입니다. 기분좋은 날 뿐만 아니라, 피곤하고 짜증이 나거나, 아무도 지켜보고 있지 않은 때에도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규칙만 가지고는 부족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특정한 종류의 사람이 되기 위해 헌신 할 것을 요구합니다.

Students will best understand a virtue approach when they are reminded of how hard it is to keep one’s public promise to put the interests of patients first, as the maintenance of public trust requires. To do this not only on good days, but also on bad days when we are tired and irritable and no-one is watching, requires more than simple rules; it requires that we devote ourselves to becoming certain sorts of persons.


학생들이 정직한 성찰을 한다면, 지난 삶에서 (심지어 엄청난 희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가르쳤던 적은 거의 없음에 동의할 것이다. 학생들이 프로페셔널리즘을 [단순히 열심히 일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꺼이 즐겁게 일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면, 그제서야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하는 character와 virtue를 이해할 것이다.

If students engage in honest reflection, they will agree that little in their previous lives has taught them to be the sorts of persons who routinely put the interests of others first, even if to do so requires some significant sacrifice. If students see that professionalism, properly understood, requires them to grow into the sorts of persons who not only engage in that hard work, but who do so willingly and cheerfully, they then understand what character and virtue have to do with their education.36–38


이타성, 연민, 정직과 같은 특정한 덕의 목록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덕은 때때로 오해된다. 덕의 핵심 아이디어는 평생에 걸친 성격 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Virtue is sometimes misunderstood because of a focus on the listing of specific virtues, such as altruism, compassion and honesty . We recommend instead focus-ing on the core idea of virtue as it relates to lifelong character formation.


Virtue란 행동을 초월한다.

Virtue as transcending behaviour


어떤면에서 덕은 궁극적으로 행동에 관한 것입니다. virtuous한 사람이 이타적인 행동은 하지 않고, 단순히 고귀한 생각만 한다면, 이타주의를 덕이라고 말하는 의미가 거의 없을 것이다. 덕을 배우고 향상시키는 한 가지 목표는 전형적인 스트레스와 위기에 직면했을 때에도 올바른 행동 방식을 취하게하고, 유혹이나 두려움에 빠져 잘못 인도하지 않을 자신감을 갖게 만드는 것이다.

In one sense, virtue is ultimately about behaviour. There would be little point in saying that altruism is a virtue if the virtuous person never actually behaved altruistically, but merely entertained noble ideas. One goal of learning and improving one’s own virtues is to be confident that when faced with typical stresses and crises, one will default to the right way to behave and will not be led astray by temptation or fear.


대조적으로, 덕의 발전이 평생에 걸친 헌신이 되어야 하는 한 이유는 단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만으로 결코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수생을 professional attribute의 목록에 따라 행동하게하는 것이 character 개발 과정을 시작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의도 된 moral destination는 아닙니다.

By contrast, part of the reason why the development of these virtues is indeed a lifelong commitment derives from the fact that merely behaving in certain ways is never enough. Albeit that getting trainees to behave in accord with a list of professional attributes is a good way to start the process of character development, it is not the intended moral destination.


평가자가 끊임없이 겪는 과제는, 프로페셔널리즘 행동 척도를 적절히 활용하되, 그것의 한계를 충분히 인지함으로써, 학생과 레지던트에게 잘못된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n ongoing challenge for evaluators is to use behavioural measures of professionalism appropriately, with full awareness of their limitations, and not to employ them in ways that send the wrong message to students and residents.


코헨 (Cohen)은 마치 프로페셔널리즘 영역을 오직 관찰 가능한 행동에만 국한시키고, 보다 깊은 가치와 태도는 '인간주의humanism'의 영역으로 좌천시키기를 옹호하는 것처럼 보인다 .24 그러나 코헨은 즉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인본주의humanism적인 기초가 없으면 프로페셔널리즘은 진실성이 결여된다. 그것은 겉치장일 뿐이다 ... "24 코헨은 프로페셔널리즘과 휴머니즘이 분명하게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관찰 가능한 행동과 깊은 태도를 다룰 수있는 프로페셔널리즘 커리큘럼을 요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 개념들 사이의 통합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의학교육은 예상되는 행동에 대해 '시험을 위한 교육'이상의 역할을 해야하며,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면서도 평생동안 추구해야 할 덕을 증진해야합니다.

Cohen seems to advocate restricting the domain of professionalism solely to observable behaviour, relegating deeper values and attitudes to the realm of ‘humanism’.24 However, Cohen immediately adds: ‘In the absence of humanistic grounding, professionalism lacks authenticity; it is a thin veneer...’24 As Cohen clearly calls for both professionalism and humanism as he defines them, we think it better to require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that addresses both observable behaviours and deeper attitudes, and find in virtue the required integration among these concepts. Medical education must do more than ‘teach to the test’ of expected behaviours, and must also promote the cultivation of virtue as a lifelong quest in the face of numerous challenges.39




Virtue란 가치/태도/행동의 통합을 요구한다.

Virtue requires integrating a set of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프로페셔널리즘의 덕은 일련의 가치, 태도, 행동을 자기 존재의 핵심에 통합하고, 유능한 전문가가 주어진 임상 상황에 어떻게 반응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위한 실질적인 지혜practical wisdom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신뢰할 수있는 멘토를 관찰함으로써 얻는 일종의 지혜입니다.

Virtue in professionalism requires integrating a set of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 into the core of one’s being, and applying practical wisdom to determine how the virtuous professional would respond to a given clinical situation; this is the sort of wisdom one ordinarily gains from observing trusted mentors.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일환으로 덕의 짧은 과정이 요구됩니다.

a short course in virtue is required as a part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유능한 전문가가 되려면 옳은 일 (환자의 관심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든)을 올바른 방식으로, 올바른 태도로 수행해야하며, 그러한 행동을 깊이 형성된 성격의 표현처럼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자신의 도덕적 뼈의 골수로 이타주의를 이식한 것과 같은 덕을 가져야합니다.

Being a virtuous professional requires doing the right thing (whatever puts the patient’s interests first and foremost) in the right way and with the right attitude, and doing so consistently and reliably as an expression of deeply formed character; it requires getting medical virtues like altruism right into the marrow of one’s moral bones.



그러나 덕스러운 의사는 단지 이타적인 것 그 이상이다.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촉진시키는 성격의 측면을 exemplify합니다(예 : 연민, 인내, 성실, 실용적인 지혜).40

However, the virtuous physician is more than altruistic; he or she also exemplifies those aspects of character that promote the patient’s best interests (such as compassion, perseverance, integrity and practical wisdom).40


덕스러워진다는 것은 그저 좋은 가치를 기르는 것 이상을 필요로합니다. 실용적 지혜를 가짐으로써 어떻게 덕스러운 전문가가 주어진 구체적인 상황에서 반응하는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합니다 .41 좋은 성격의 한 측면으로서, 이 실용적인 지혜는 일생 동안 배양되어야하는 기술입니다.

Being virtuous requires more than having inculcated good values; it means having the practical wis-dom to discern precisely how the virtuous professional should respond to any given concrete situation.41 As one aspect of good character, this practical wisdom is a skill that must be cultivated over a lifetime.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기본 덕 윤리의 이러한 측면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Students can understand these aspects of basic virtue ethics by reflecting on their own experiences.



학교에서 임상 멘토에 대한 경험이없는 학생들조차도 자기와 가족의 삶에서 의사를 접해보았을 것이고,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역할 모델을 모두 보았을 것입니다.

Even students who have had no experience with clinical mentors in school have probably encountered practitioners in their own and their family’s lives, and have see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ole models.




불행하게도 프로페셔널리즘을 발달시키기보다는 냉소주의만을 키우는 두 가지 흔한 오용이 있다.

    • 하나는 프로페셔널리즘을 강요(bludgeon)하는 것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을 행정 규칙을 따르지 않는 학생들을 처벌하는 위협이나 무기로 사용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 다른 하나는, 프로페셔널리즘을 단지 구체적인 행동 체크리스트만 있으면 평가할 수 있는 필수 '역량'으로 전문성을 환원해버리는 것이다.

two common misuses of professionalism, which unfortunately feed cynicism rather than professional development.2 

    • One misuse is that of professionalism as a bludgeon, a term that refers to the use of ‘professionalism’ as a threat or weapon with which to punish students who don’t follow the administration’s rules. 

    • The other misuse involves reducing professionalism merely to a requisite ‘competency’ that can be exhaustively evaluated solely according to a checklist of concrete behaviours.1,7




불행히도 교육의 프로페셔널리즘은 이중 의무를 이행해야합니다.

Unfortunately, professionalism in education must do double duty.42




이중의 의무와 이상적 포부는 학교에서 보낸 메시지가 명확하게 유지 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설명되어야합니다.

The double duty and the aspirational ideal must both be explained to students so that the messages sent by the school remain clear.



결론

CONCLUSIONS


The key precepts we propose for education in medical professionalism may be summarised as: 

  • (i) ‘profession’ is a public, collective promise providing the basis for trust, based on an implied social contract committed to the patient’s best interests, and 

  • (ii) ‘professionalism’ involves hard work that implicitly requires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but, more importantly, requires the application of virtue ethics.


14 Hafferty FW, Castellani B. The increasing complexities of professionalism. Acad Med 2010;85: 288–301.


18 Cruess RL, Cruess SR. Teaching professionalism: general principles. Med Teach 2006;28:205–8.




 2014 Oct;48(10):980-7. doi: 10.1111/medu.12520.

Professionalism: a framework to guide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Institute for the Medical Humanities,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US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alveston, Texas, USA.

Abstract

CONTEXT:

Despite considerable advances in the incorporation of professionalism into the formal curriculum,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re too often presented with a mechanical, unreflective version of the topic that fails to convey deeper ethical and humanistic aspirations. Some mis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re exacerbated by commonly used assessment tools that focus only on superficially observable behaviour and not on moral values and attitudes.

METHODS:

Following a selective literature review, we engaged in philosophical eth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key precept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ism that could best guide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ly reflective curriculum.

RESULTS:

The key precepts needed for a robust presentation of professionalism can be grouped under two headings: 'Professionalism as a trust-generating promise' (representing commitment to patients' interests, more than a mere business, a social contract, a public and collective promise, and hard work), and 'Professionalism as application of virtue to practice' (based on virtue, deeper attitudes rather than mere behaviour, and requiring of practical wisdom).

CONCLUSIONS:

These key precepts help students to avoid many common, unreflective mis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and guidefaculty staff and students jointly to address the deeper issues required for successful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MID:
 
25200018
 
DOI:
 
10.1111/medu.12520


프로페셔널 딜레마에 대한 학생들의 접근에 관한 문화간 연구: 막대기 또는 잔물결(Med Educ, 2012)

A cross-cultural study of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 sticks or ripples

Ming-Jung Ho, 1 Chi-Wei Lin, 1 Yu-Ting Chiu, 1 Lorelei Lingard2 & Shiphra Ginsburg3





도입

INTRODUCTION


프로페셔널리즘은 전통적으로 사회가 의사에게 기대하는 개인의 속성으로 정의됩니다 .5 새롭게 등장하는 문헌에서 중요한 주제는 프로페셔널리즘을 (개인의 고정된 형질로 보기보다는) 어떤 맥락에서 나타나는 행동의 집합으로 개념화하거나, 사회적으로 구축된 행동 또는 존재방식으로 개념화하는 것이며, 이것은 권력과 관련될 수 있다. 

Professionalism in medicine is classically defined as the individual attributes expected of a doctor by society.5 An important theme in the emerging literature is that professionalism can be conceptualised as a set of behaviours in context or a socially constructed way of acting or being, associated with power, rather than as a set of stable traits within a person.6–8



연구자들은 역량을 분리 가능하고, 측정 가능하며, 안정적이며, 일반적인 특성으로 세분화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을 발견했다. 대조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이 한 맥락에서의 일련의 행동이라면, 의학 교육 담당자는 학생들이 행동을 수정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프로페셔널한 행동에 대한 맥락의 영향에 관심을 둘 수 있습니다.

researchers have found it problematic to subdivide competence into separate, measurable, stable and generic traits.9,10 By contrast, if professionalism were conceived of as a set of behaviours in context, medical educators could assist students to modify their behaviours and attend to the influence of context on professional behaviours.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연구가 급증하기 전, 도덕성 발달 연구에서 도덕적 추론을 이해하기 위해 윤리적 딜레마 시나리오를 자주 사용했습니다 .13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하였느냐가 아니라, 왜 그러한 선택하였는지, 어떻게 그러한 행동을 정당화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프로페셔널 딜레마에 대한 개별적인 학생들의 설명을 수집하는 것 외에도 일련의 연구에서 프로페셔널리즘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대한 표준화 된 비디오 클립을 사용하여 의대생이 반응하는 방법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탐구했습니다 .15-17 캐나다에서 실시 된이 연구 결과는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직면했을 때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원칙, 정서(내적 감정과 신념), 행동의 잠재적 함의에 따라 추론 함을 발견했습니다.

Prior to the surge in studi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researchers of moral development frequently used ethical dilemma scenarios to understand moral reasoning.13 They have addressed issues concerning not only what the student did, but also why the student chose that action and how the student justified the action.14 In addition to collecting individual students’ descriptions of their reasoning in professional dilemmas they had encountered, a series of studies have used standardised video clips of profess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to explore how medical students make decisions about how to react.15–17 These studies, conducted in Canada, have found that in the face of professional dilemmas, students reasoned according to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affect (or internal feelings and beliefs), and potential implications of their actions.



전 세계적으로 의학 교육자들이 전문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 주제에 관한 대부분의 문헌은 서구 국가에서 나온 것입니다.

Although medical educators globally are struggling with professionalism, most of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comes from Western countries.



방법

METHODS


절차

Procedure


The video scenarios used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by Ginsburg et al.15 as part of a programme of research exploring how medical students respond to profess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These scenarios were based on actual events as described by medical students at two Canadian and one US university.11 Chinese subtitles were added and were back-translated into English to ensure their accuracy for the current study. Each video was 1–2 minutes long and ended at the point at which the student depicted must say or do something in response to events.



A trained research assistant (RA) conducted confidential, semi-structured, 1-hour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After each video, the participant was asked: 

    • What was the video about? 

    • If you were the student in the film, what would you do next? Why? 

    • What should the student not do? Why? 

    • Are there alternative actions? 

    • Is the scenario likely to happen in Taiwan? 

Clarifying questions following the answers were added when necessary. After the structured questions, participants were free to share any additional thoughts.


참여자

Participants


In order to provide a study sample comparable with that in an earlier study15 conducted in Canada, we recruited final-year medical students (n = 24) at National Taiwan University in 2009

    • The medical curriculum at National Taiwan University is 7 years in length (or 6 years on a special fast-track programme that has a more condensed curriculum). 

    • The pre-medical curriculum occurs in the first 2 years

    • the pre-clinical curriculum, which includes lectures and problem-based learning, is delivered in the next 2 years, and 

    • clinical clerkships are undertaken in the final 3 years (2 years on the fast-track programme). 

    • The last 5 (or 4) years are similar to the 4-year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In terms of the professionalism curriculum, courses based on Western principles of bioethics are integrated longitudinally. However, long before they reach medical school, Taiwanese students are taught moral education based on Confucianism throughout their childhood, both at home and in school.


Sample size was based on ‘theoretical saturation’. We stopped enrolling participants when additional interviews did not reveal new themes and emergent themes were saturated. We also adopted theoretical sampling with regard to gender and the 6 or 7-year programme. 

    • The study sample included 18 male and six female students. 

    • Twenty students had undertaken the 7-year programme and four had taken the 6-year programme (this ratio is similar to that in the total year group). 

We recruited by posting notices on the digital bulletin board, which is the medium through which students exchange information. Participation was confidential, voluntary and remunerated. The study protocol was approved by the responsible research ethics committee in Taiwan.




분석

Analysis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rendered anonymous for analysis by two RAs and the first author. We analysed the transcripts using grounded theory with a constructivist approach, which acknowledges researchers’ prior assumptions and knowledge, including sensitising concepts from previous research and theory.24 

    • We began to code the transcript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rior Canadian studies, including coding for principles, implications and affects.15,16 

    • At the same time, we engaged in an open coding process to account for new themes or nuance that may not have been present in the existing framework.25 

    • Two RAs trained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itially coded the transcripts independently. Codes were then developed iteratively by the RAs and the first author. 

    • When disagreements in coding occurred, consensus was reached by re-examining the original transcripts. 

    • The sample of 24 interviews was considered adequate for theoretical saturation because of the recurrence of both pre-existing and newly emergent themes. 

We used NVivo 8 software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 Australia) to facilitate the analysis process. ‘Codable units’ are excerpts of transcript which express a unified idea; they vary in length from sentences to paragraphs. The counts of codable units generated by the software are included to illustrate their relative prevalence; however, these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26 Quotations are translated into English from Chinese and are referenced by video number and by the student’s de-identified number (V#, S#).


결과

RESULTS



대만에서도 비슷한 시나리오가 있을 것이라 응답

Most students stated that the scenarios were likely to happen in Taiwan.



다른 학생은 시나리오 4에서와 비슷한 상황을 목격했다고 말하면서, 주치의의 지시에 따라 명백한 환자 허가없이 장갑없이 남성 환자의 생식기를 촉진시키는 여학생을 묘사합니다. 한 대만 학생은 의대생 6 명이 직장 검진을받을 준비가되어 있지 않은 환자를 보았습니다. 그 예에서, 주치의가 직장 검열을 직접 수행 한 후, 그는 '내 장갑을 끼고 환자를 검사하십시오.'라는 환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지시했습니다.

Another student stated that he had witnessed a situation similar to that in Scenario 4, which portrays a female student, who, following the attending physician’s instruction and without apparent patient permission, palpates a male patient’s genitals without gloves. The Taiwanese student had seen a patient who was not prepared to undergo a rectal examination conducted by six medical students. In that instance, after the student’s attending physician had performed a rectal examination himself, he had instructed the students without seeking the patient’s consent to: ‘Wear your gloves and examine the patient as I did.’


일부 학생들은 레지던트, 주치의 및 환자 가족과의 관계가 캐나다 학생과의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대만에서는 일부 시나리오의 빈도가 적습니다.

A few students stated that some scenarios are seen less frequently in Taiwan because their relationships with residents, attending physicians and patients’ families differ from those of Canadian students.


대만 학생들의 반응은 캐나다인들처럼 도전적 인 비디오에 묘사 된 시나리오를 발견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영상에 등장하는 학생들의 행동 방식에 대한 명확한 '우수 답변'은 없었습니다. 캐나다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15 명의 대만 학생들은 각 시나리오에 대한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Taiwanese students’ responses reflected the finding that they, like their Canadian counterparts,15 found the scenarios depicted in the videos challenging. There was no clear ‘best answer’ as to how the students in the videos should behave. Like the Canadian students,15 Taiwanese students offered a variety of alternatives for action for each scenario.


가장 적절한 유일한 옵션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시나리오가 충분히 도전적 이었음을 나타냅니다.

The fact that no single option was identified as optimal by all participants suggests that the scenarios were sufficiently challenging.


이전의 캐나다 연구에서 사용 된 이론적 틀은 일반적으로 대만 학생의 의사 결정에 적용 가능했습니다.

The theoretical framework used in the previous Canadian studies15–17 was generally applicable to the decision making of Taiwanese students.


Table 1 summarises the themes and includes illustrative quotations.




원칙을 기준으로 삼기

Reference to principles


공언된 원칙avowed principles은 정직하게 행동하고, 환자를 돌보며, 진실을 공개하는 등 전문직 집단이 정의한 프로페셔널리즘 원칙과 일치합니다. 캐다나 연구참여자와 비교했을 때, 15 명의 대만 학생들은 책임 성, 애타주의, 윤리 및 탁월성에 관한 원칙을 포함하여 몇 가지 원칙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Avowed principles ar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defined by professional bodies, such as to behave honestly, to take care of the patient, and to disclose the truth. Compared with the respondents in the Canadian study,15 Taiwanese students articulated a few more principles, including those pertaining to accountability, altruism, ethics and excellence.



이러한 공언 된 원칙들에 더하여, 생존과 성공에 중요한 중요한 unavowed 원칙들이 학생들 (그리고 교직원들)에 의해 인식되었는데, 이것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을 다룬 공식적 문서나 명시적인 교육 의제를 통해서 안치enshrined되지 않아왔다. 캐나다 연구에서 드러난 모든 unavowed 원칙들이 대만 학생들과의 토론에서 나타났습니다.

In addition to these avowed principles, a number of ‘unavowed’ principles were recognised by students15 (and faculty members16) as important to survival and success, but these have not been enshrined by the profession in formal documents about professionalism or in explicit education agendas. All of the unavowed principles identified in the Canadian study15 emerged in the discussions with Taiwanese students.


또한 대만 학생들은 레지던트가 된 시니어 급우들의 조언을 따라야하고 이들의 경험을 통해 배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전에보고 된 바와 같이 감독관에게 단순히 순종하거나 연기하는 것보다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15 대만 학생들은 진정으로 동문 레지던트들의 조언을 신뢰하고 따릅니다. 상급 연수생의 경험에 대한 존경심은 대만 학생들이 중시하는 독창적 원칙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Furthermore, Taiwanese students emphasised that they should follow the advice and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senior classmates who had become residents. This is more nuanced than simply obeying or deferring to supervisors, as previously reported.15 Taiwanese students genuinely trust and follow the advice of their alumni residents. The respect given to the experience of more senior trainee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an unavowed principle that is highly valued by Taiwanese students.



윤리적 원칙에 부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것이 실제로 일이 돌아가는 방식입니다. '(V5, S5)

This may not be in accordance with ethical principles, but this is how things are done in practice.’ (V5, S5)




함의를 기준으로 삼기

Reference to implications


캐나다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대만 학생들은 세 그룹의 개인들(즉 환자들; 다른 사람들 (팀원), 그리고 자기 (학생))에 대한 함의를 언급하였다.

Similarly to the Canadian students,15 the Taiwanese students articulated implications for three groups of individuals: patients; others (team members), and self (the student).




자아에 대한 함의는 캐나다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흔히 의미있는 함의 였지만, 대만 학생들에 의해서는 환자에 대한 함의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습니다.

Whereas implications for self were the most frequently articulated implications among Canadian students,15 implications for patients were most frequently cited by Taiwanese students.



이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대만에서 환자의 개념은 환자의 가족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습니다. 환자는 가족과 별개이거나 가족과 별개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일부 학생들은 서구의 생명 윤리학에서 언급 된 '환자의 자율성'이라는 개념을 존중해야한다고 주장했다.

As this example illustrates, the notion of the patient in Taiwan is enlarged to include the patient’s family. The patient is not considered as separate from or independent of the family. Some students further contended that the concept of ‘patient autonomy’, as it is referred to in Western bioethics, should be honoured.



다른 의료 전문가의 함의와 관련하여 대만 학생은 동료, 레지던트, 주치의에 대한 그들의 행동의 결과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캐나다 학생과 유사했습니다 15. 또한 새로운 주제를 발견했습니다. 대만 학생들은 종종 선배였던 레지던트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Taiwanese students were similar to Canadian students15 in considering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on peers, residents and attending physicians. In addition, we found a new theme: Taiwanese students paid special attention to implications for residents, who were often their seniors.



자아 (즉, 학생)에 대한 영향이 캐나다 데이터만큼 빈발하지는 않지만, 대만 학생들은 정서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외부 평가에 대한 함의와 및 내부 상태에 대한 함의를 고려했습니다. 비슷하게, affect에 대한 언급은 대만 자료에서 발견되었지만 캐나다 자료 에서처럼 빈번하지는 않았다.

Although implications for self (i.e. the student) were not as frequent as in the Canadian data,15 Taiwanese students did consider implications for their external evaluations and for their internal status, both emotionally and physically. Similarly, reference to affect was found in the Taiwanese data, but not as frequently as in the Canadian data.15



새로운 주제 인 '인간 관계'는 독특한 의미의 하위 집합으로 부상했습니다. 우리는 대만 학생들은 환자와 그 가족, 다른 팀원, 그들 자신에 대한 결과를 고찰하는 것 외에도, 행동이 개개인에 미치는 영향보다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 주제는 학생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일방향 영향이 아니라, 이해 관계자 간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강조합니다. 우리는 대만 학생들이 관계 안에서 자신의 위치 나 역할에 따라 이해하고 행동하려고 시도했다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A new theme, ‘relationships’, emerged as a unique subset of implications. We noted that in addition to contemplating consequences on patients and their families, other team members or themselves, Taiwanese students thought about the impact of their behaviours on their relationships, rather than just on individual persons. This theme highlights bi-directional interactions among stakeholders, rather than the uni-directional impact of a student’s behaviour on another person. We found evidence suggesting that students tried to understand and to behave according to their position or role within the relationship.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당신이 다른 위치에 있다면, 당신은 다르게 생각할 것입니다. 이것은 이상하게 보이지만, 이것이 현실입니다. 당신이 책임을 질 위치에 있는게 아닌데 많은 일을한다면, 책임자에게는 좋지 않습니다. '(S15, V1)

‘Within the same system, if you are in different positions, youthinkdifferently. This seems strange, but this is the reality. If you are not in the position to assume responsibility, but youdo lots of things, then this is not good for the person in charge.’ (S15, V1)


이 학생은 단순히 다른 사람에 대해서 뿐만, 이러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기대되는 역할과 관련하여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This student was expressing concern not simply for another person, but in relation to the expected roles of persons in these relationships.



레지던트에게 골수 생검을 보고싶다고 말했지만, 치매 환자와 만나기로 약속한 학생을 묘사 한 시나리오 3에 대해서, interviewee는 그 장면에 등장하는 레지던트를 고려하였을 뿐만 아니라, 등장하진 않았지만 언급은 된 환자를 고려하였고, 심지어 언급조차 안된 주치의를 고려하였다.

In the following statement about Scenario 3, which depicts a student telling a resident that she wants to observe a bone marrow biopsy but has promised a patient with dementia she will see himright away, the interviewee considered the resident portrayed in the film, the patient, who did not appear physically but was mentioned in the film, and the attending physician, who was not mentioned at all:




위의 인용문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 관계 내에서의 자아에 대한 고려는 우리 결과에서 두드러진 주제였습니다.

As the above quotation illustrates, the consideration of the self within multiple relationships was a prominent theme in our results.




우리는 대만 학생들이 시나리오에 관계된 모든 이해 관계자에 대해서 이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학생들은 자신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해 관계에서 'favour'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체면'과 '렌칭'과 같은 여러 중국어 문구를 사용했습니다.

We noticed that Taiwanese students talked a lot about their consideration of all related stakeholders in the scenarios. Students used several Chinese phrases, such as ‘face’ and ‘renqing’, which refers to attention to ‘favour’ in relationships, to explain their decisions.




문화를 기준으로 삼기

Reference to culture


현재의 연구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학생들이 원칙, 함의, 영향에 따라 추론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규범에 따라 추론한다는 것입니다. 대만 학생들은 타이완의 문화적 규범을 자발적으로 발표했다. 타이완의 문화적 규범은 결정적 순간에 비디오가 중단 된 후 행동의 선택과 이유에 대한 질문에 대답했을 때 자발적으로 나타났다.

An interesting finding in the current study is that students not only reasoned according to principles, implications and affects, but also according to cultural norms. Taiwanese students voluntarily articulated the cultural norms of Taiwan when they answered the question about their choices and reasons for action after the video stopped at the critical moment.



'나는 문화적 규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 서방에서는 환자가 검사의 모든 세부 사항과 결과를 알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양 타이완 사회에서 환자를 보호하고 나쁜 소식의 충격으로부터 그를 예방하기 위해 ... 나는 진료소와 와드의 담당 의사가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환자의 가족 구성원에게 알리고 관리 방법을 논의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가족들은 항상 management에 관한 결정에 참여합니다. '(V1, S5)

‘I think there is a difference in terms of cultural norms. In the West, patients have the right to know all the details and results of tests. But in Eastern Taiwanese society, in order to protect the patient and to prevent him from the shock of the bad news… I agree with what the attending physicians in the clinics and the wards do – to discuss with the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 how to inform and to manage. Family members here always participate in decisions about management.’ (V1, S5)


그러한 성찰에서 학생들은 서양식 의학 교육과 지역 문화 규범을 모두 고려하고있었습니다. 그들은 개인 대 직업 생활에 대한 서양과 대만의 개념화간에 차이가있을 수 있음을인지했다. 또한 학생들은 대만 사회의 문화적 규범을 고려하는 것 외에도 임상실습을 수행한 특정 병원 환경에서의 실천 규범을 고려했습니다. 그들은 종종 그 병원에서 유사한 사건을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고려하여, 그러한 규범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In such reflections, students were considering both Western-style medical education and local cultural norms. They recognised,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Taiwanese conceptualisations of personal versus professional life. Furthermore, in addition to considering the cultural norms of Taiwanese society, students also took into account the norms of practice in the particular hospital setting of their clerkships. They often stated that they would consider how similar incidents are dealt with in that hospital and act according to those norms.



고찰

DISCUSSION


우리의 지식에 따르면 서양과 동양의 임상 학생과 프로페셔널리즘적으로 도전적인 비디오 시나리오에 대한 반응을 비교 한 최초의 연구입니다.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compare responses to the same professionally challenging video scenarios between clinical students in the West and East.


우리의 결과는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 비디오를 보여주는 방법이 Anglo-Saxon 상황을 넘어서도 작동함을 나타났습니다. 현재의 연구는 이전 연구 결과를 확인합니다 15-17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thod of showing professional dilemma videos worked well beyond the Anglo-Saxon context. The current study confirms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15–17


대부분의 경우 이전의 캐나다 연구의 이론적 틀이 현재의 연구에 적용 가능했다. 원칙, 함의, 정서affect에 대한 언급은 대만 학생들에 의해 분명하게 표현되었습니다. 이것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일부 원칙이 보편적 일 가능성을 반영하거나 서방 구조의 전문성이 전 세계적으로 채택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약간의 불일치가있었습니다. 첫째, 대만 학생들은 캐나다 학생들보다 공언된 원칙을 몇 가지 더 인용했다.

For the most part,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previous Canadian research15–17 was applicable to the current study. References to principles, implications and affect were articulated by the Taiwanese students. This may reflect the possibility that some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are universal8 or may suggest that Western-framed professionalism has been taken up globally. There were some discrepancies, however, which deserve attention. Firstly, Taiwanese students cited a few more avowed principles than Canadian students did,


공언 된 원칙의 주제는 공식 커리큘럼뿐만 아니라 대만의 이해 관계자가 의료 전문가의 역량으로 우선 순위를 정한 다른 연구의 항목과도 ​​관련이있다 .23 즉, 학생들은 자신들에게 기대된 바를 분명히 언급했다.

Themes of avowed principles are related not only to the formal curriculum, but also correspond to items in another study prioritised by Taiwanese stakeholders as competences of medical professionals.23 In other words, students articulated what was expected of them.


둘째, 이전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연구는 비공언 된 원칙에 대한 중요한 언급을 발견했다. 캐나다의 이전 연구에 열거 된 비공언된 원칙들에 더하여, 대만 학생들은 선배 연수생의 충고를 따르는 것이라는 또 다른 비공언 원칙을 강조했다.

Secondly, as in previous studies,15 our study found significant references to unavowed principles. It is worth noting that, in addition to the unavowed principles listed in the previous study in Canada,15 Taiwanese students emphasised another unavowed principle: that of following the advice of more senior trainees.


대만 학생들은 선배와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며, 선배 연수생을 지칭하는 문구에서 확인되듯 '학교의 형제 자매'의 조언을 존중합니다. 발표되지 않은 연구 결과와 대만의 숨겨진 교과 과정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학교 동문은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 Ho, 미 출판 데이터, 2010). 우리 연구에서, 학생들은 [선배 연수생에 의한 비공식적 교육 내용]과 [공식 윤리 수업에서 교사가 제공한 수업 내용] 사이에 약간의 불일치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학생들이 공식 및 비공식 교육의 차이점을 발견했을 때, 그들은 종종 '학교의 형제 자매'가 제공 한 생존 요령을 신뢰하고 채택했습니다.

Taiwanese students have special relationships with more senior residents and respect the advice of these ‘school elder brothers and sisters’ – characters used literally in the Chinese phrase for senior trainees. Unpublished studies of intern diaries and a survey on the hidden curriculum in Taiwan have also found school alumni to have a powerful influence (M. Ho, unpublished data, 2010). In our study, students recognised some in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 of informal teaching by more senior trainees and that delivered by their teachers in formal ethics classes. When students noticed the discrepancy between formal and informal teaching, they often trusted and adopted survival tips given to them by their ‘school elder brothers and sisters’.



셋째로, 학생들은 공언 된 원칙과 배우지 않은 원칙을 모두 의식하고 있었지만 원칙보다는 함의를 더 많이 언급했다. 의미에 대한 언급에서 주목할만한 하나의 발견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강조이며 이로 인해 함의 범주에 새로운 항목이 생겼다. 유교 관계에 관한 토착 심리학자의 연구는 우리의 발견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 중국 사회의 사회적 질서를 다음과 같이 특징 짓는 사회 인류학적인 연구에 기반을두고있다. '돌을 연못에 던지면서 생기는 잔물결. 각 사람은 잔물결 동심원 고리의 중심에 놓여 있는데, 그 고리는 그 사람의 사회적 영향의 가장자리까지 이어져있다.'

  •  대조적으로 '... 서구 사회의 개인주의 개인은 나무 막대기와 비슷하다. 한 묶음이 되어 사회적 조직으로 협력한다'.28

Thirdly, although students were conscious of both avowed and unavowed principles, they referred to implications more often than to principles. One striking finding in the references to implications is the emphasis on social relationships, which resulted in a new item in the category of implications. The work of indigenous psychologists on Confucian relationalism provides a useful framework to explain our findings. 

  • Indigenous psychology is based on social anthropological work, which characterises the social order of Chinese societies as: ‘…ripples caused by throwing a stone into a pond. Each person is situated at the centre of a set of concentric rings of water, which extend to the edges of that person’s social influence.’28 

  • By contrast: ‘…individuals in a Western society of individualism are akin to wooden sticks, which may be bound together by their social organisation in a bundle.’28



토착 심리학자들은 유교 문화의 영향력을 강조하고, 유교 사회에서 개인은 고립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29-31 유교 사회 관계에서, 직계 가족의 연장자를 존중하여 조화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국가와 세계로 확대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대만 학생들은 '자기'에 대한 함의에 대해 덜 합리화하는rationalize 것으로 나타 났지만, 그들의 행동이 다른 사람(학교 형제 자매, 모든 가능한 팀원 , 환자 및 그 가족)과의 관계에 미칠 rippling effect는 훨씬 더 많이 고려했다.

Indigenous psychologists highlight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and propose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in Confucian societies not in isolation but in terms of social relationships.29–31 In Confucian social relationship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harmony by respecting the seniors in one’s immediate family, and this is extended to the country and the world.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t surprising that our data showed that Taiwanese students rationalised less frequently about implications for ‘self’, but extensively considered the rippling effects of their behaviours on their relationships with ‘school elder brothers and sisters’, all possible team members, an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그러나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노력은 때로는 서양과 동양 원칙의 조화가 어려움을 보여준다

  • 시나리오 1에서 서양의 원칙은 진실을 환자에게 알릴 필요성을 강조하는 반면 유교 관계는 선배를 존중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 시나리오 2와 3에서 서양의 원칙은 환자의 우선 순위를 요구하고 유교 관계는 연장자의 조언을 존중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However, student strivings for harmonious social relationships sometimes involved the difficult reconciliation of Western and Eastern principles. 

  • In Scenario 1, the Western principle emphasises the need to tell patients the truth, whereas Confucian relationalism stresses the need to respect seniors. 

  • In Scenarios 2 and 3, Western principles require that the patient is prioritised, whereas Confucian relationalism emphasises the need to respect the advice of seniors.



우리의 발견은 공식적인 교육 과정과 잠재 교육과정 사이의 긴장을 강조한 이전 연구 결과와 잘 맞는다15,32

Our findings resonate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which highlighted the tension between the formal and hidden curricula.15,32



우리는 다른 곳에서보고 된 것처럼 주치의가 아니라 동문 레지던트가 가장 영향력있는 역할 모델임을 발견했다 .34 우리의 연구는 역할 모델 외에도 '문화적 규범'과 같은 숨겨진 커리큘럼의 다른 영역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이 규범은 globalized된 공식 커리큘럼에 명시된 원칙과 조화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We found the most influential role models to be alumni residents, rather than attending physician, as reported elsewhere.34 In addition to role models, our study suggests that other domains of the hidden curriculum, such as ‘cultural norms’, deserve attention as these norms may not be in harmony with the principles articulated in globalised formal curricula.


우리의 결과는 유교 관계가 대만 학생들의 rationalization 과정 분석에서 현재 지배적인 서구 전문성의 원칙보다 더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Our results seem to suggest that Confucian relationalism has greater explanatory power than the principles of dominant Western professionalism in analyses of Taiwanese students’ processes of rationalisation.


중국, 한국,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와 같은 공자에 영향을받는 사회에서 문화적 뿌리를 가진 의사와 연수생을 만날 때 특별한주의를 기울여야하는 현상입니까? 관계주의가 유교 사회에서 더 두드러 지지만, 개인주의가 더 뚜렷한 사회에서는 관계에 대한 관심이 결여되어 있지 않다. 아마도 전 세계의 의료 연수생의 경우, 의학 교육자는 개인 수준에서 적용되는 원칙에 대한 현재의 강조점을 넘어서고 학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균형을 유지하도록 명시 적으로 도와야합니다.

Is it a phenomenon to which we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when we encounter doctors and trainees with cultural roots in Confucius-influenced societies, such as those of China, Korea, Japan, Hong Kong, Taiwan and Singapore? Although relationalism is more pronounced in Confucian societies, attention to relationships is not absent in societies in which individualism is more evident. Perhaps, for medical trainees all over the world, medical educators should move beyond the current emphasis on principles that apply at the individual level and explicitly help students to balance relationships in clinical settings.









 2012 Mar;46(3):245-56. doi: 10.1111/j.1365-2923.2011.04149.x.

cross-cultural study of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sticks or ripple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Social Medicine, National Taiwa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aipei, Taiwan. mjho@ntu.edu.tw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ors internationally are faced with the challenge of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in their students. Some studies have drawn attention to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responses to professional dilemmas. Although culture is a significant contextual factor, no research has examined student responses to professional dilemmas across different cultures.

METHODS:

Semi-structured interviews inquiring into reactions towards, and reasoning about, five video clips depicting students facing professional dilemmas were conducted with 24 final-year medical students in Taiwan.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sed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used in prior Canadian studies using the same videos and interview questions.

RESULTS:

The framework from previous Canadian research, including the components of principles, affect and implications, was generally applicable to the decision making of Taiwanese students, with some distinctions. Taiwanese students cited a few more avowed principles. Taiwanese students emphasised an additional unavowed principle that pertained to following the advice of more senior trainees. In addition to implications for patients, team members or themselves, Taiwanese students considered the impact of their responses on multiple relationships, including those with patients' families and alumni residents. Cultural norms were also cited by Taiwanese students.

CONCLUSIONS:

Medical educators must acknowledge students' reasoning in professionally challenging situations and guide students to balance considerations of principles, implications, affects and cultural norms. The prominence of Confucian relationalism in this study, exhibited by students' considerations of the rippling effects of their behaviours on all their social relationships, calls for further cross-cultural studies on medical professionalism to move the field beyond a Western individualist focus.

PMID:
 
22324524
 
DOI:
 
10.1111/j.1365-2923.2011.04149.x


프로페셔널리즘 교육과 사회적 계약: 문화적 겸손함 위하여(Med Teach, 2010)

Linking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to the social contract: A call for cultural humility

SYLVIA R. CRUESS, RICHARD L. CRUESS & YVONNE STEINERT

McGill University, Canada




도입

Introduction


폴 스타 (Paul Starr)는 '미국 의학의 사회적 변화'라는 저작에서 현대 의료와 전달체계의 진화는 "의료계와 사회 간의 '계약'을 재구성했으며, 그 결과 의료가 정치나 시장의 규율에 종속되었고, 기본적인 기관 구조가 재구성되었다"고 지적했다(Starr 1984, p.380).

In his seminal work,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American Medicine,’’ Paul Starr stated that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healthcare and its delivery had led to ‘‘redrawing the ‘contrac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subjecting medical care to the discipline of politics or markets or reorganizing its basic institutional structure’’ (Starr 1984, p. 380).


변화하는 세계에서 의료계의 반응에서 중요한 부분은 보통 '프로페셔널리즘'이라는 단어에 포함되어있는 [의사의 치유자로서 역할을 촉진하는 역사적인 가치를 보존]하려는 데 헌신되어왔다 (Cruess RL & Cruess SR 1997a ).

An important part of the response of the medical profession in a changing world has been devoted to trying to preserve those historic values that foster the healing role of physicians that are usually encompassed in the word ‘‘professionalism’’ (Cruess RL & Cruess SR 1997a).


1990 년대 중반까지 의학 저널에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문헌이 사실상 없었습니다.

Until the mid-1990s, there was essentially no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in medical journals.



초기에 의학계가 보인 반응의 주요 요소는 의학 교육의 연속체에 걸쳐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Cruess RL & Cruess SR 1997a, 1997b; Cruess R & Cruess S 2006). 현 세대의 학습자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어떻게 가장 잘 가르칠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가되었습니다. 과거 수십 년 동안 효과가 있었던 것들이 더 이상 무효했다. "오늘날의 학생들은 종종 목적을 필요로합니다 ... 젊은 사람들을 위해 쓰여지는 활동의 대부분은 더 이상 의무를 지켜야 한다는 요청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왜 그들이 무엇인가를 하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싶어한다. "(이탤릭체, Twenge 2009, 404 페이지).

From the beginning, it was clear that an important component of medicine’s response had to be the explicit teaching of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Cruess RL & Cruess SR 1997a, 1997b; Cruess R & Cruess S 2006). What to teach and how best to teach it to the current generation of learners became pressing issues. What had worked in previous decades was no longer as effective. ‘‘Today’s students frequently need the purpose and them...most meaning of activities spelled out for young people no longer respond to appeals to duty; instead, they want to know exactly why they are doing something’’ (italics ours; Twenge 2009, p. 404).



사회 과학자와 의사 모두 프로페셔널리즘이 의학이 사회와 맺는 관계의 기초가 된다는 결론을 내렸고 (Ham & Alberti 2002; Rosen & Dewar 2004; Sullivan 2005) 대부분이 이것을 '사회적 계약'이라고 불렀다 (Cruess RL & Cruess SR 2008). 그렇게함으로써 그들은 (철학과 정치학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상호 권리와 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과 관계를 연결합니다 (Sullivan2005). 본질적으로, 계약은 의약과 사회 사이의 "거래"로 구성된다 (Klein 1995). Medicine에는 명성, 자율성, 독점권, 자기 규제의 특권이 주어지며, medicine이 이타적일 것이고, 자기 규제를 잘 할것이며, 신뢰할 수 있을 것이고, 사회의 우려를 해소해 줄 것이라는 것에 대해 보상을받습니다. 

Both social scientists and physicians have concluded that professionalism serves as the basis for medicine’s relationship with society (Ham & Alberti 2002; Rosen & Dewar 2004; Sullivan 2005) and most have termed this a ‘‘social contract’’ (Cruess RL & Cruess SR 2008). In so doing, they link the relationship to a concept which has a long history in philosophy and political science and whi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ciprocal rights and obligations (Sullivan2005). Essentially, the contract consists of a ‘‘bargain’’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Klein 1995). Medicine is granted prestige, autonomy, a monopoly, the privilege of self-regulation, and rewards on the understanding that it will be altruistic, self-regulate well, be trustworthy, and address the concerns of society. 


계약서의 일부 (건강 관리 입법, 윤리 강령, 라이센스 위임 및 인정 기관 등) (Cruess RL & Cruess SR 2008)는 계약 당사자(개별 의사, 의료기관 및 사회)의 다양한 의무obligations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근본적인 부분은 이 관계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존재해야만하는 도덕적 명령moral imperative을 나타냅니다. 보살핌과 연민, 이타심, 헌신은 법으로 제정 될 수 없습니다. (치유의 예술에 있어 근본이 되는) 환자와 사회의 신뢰는 인위적으로 위임되거나 창조 될 수 없습니다.

Parts of the contract are written (health care legislation, codes of ethics, mandates of licensing, and accrediting bodies, etc. (Cruess RL & Cruess SR 2008), and outline many of the obligations of the parties to the contract: individual physicians, medical organizations, and society. But other fundamental parts represent moral imperatives that must be present if the relationship is to function. Caring and compassion, altruism, and commitment cannot be legislated. The trust of patients and of society, which are so fundamental to the art of healing, cannot be mandated or created artificially.



이 묵시적 계약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은 계약에 관련된 여러 당사자들이 갖는 일련의 기대입니다. Medicine에 대해서, 개별 환자와 사회의 기대가 프로페셔널리즘의 working definition을 구성하지만 (Cruess RL & Cruess SR 2008), 이 계약에 함축된 바는 의사들 또한 사회에 대해서 정당한 기대를 가지고 있다는 신념이다.

Arising out of this implied contract is a series of the expectations of various parties to the contract. For medicine, the expectations of individual patients and society constitute a working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Cruess RL & Cruess SR 2008), but implicit in the concept is the belief that physicians also have legitimate expectations of society.


예를 들어, 자기규제 능력(교육, 훈련 및 실습을위한 표준의 설정 및 유지)은 전문직의 중요한 특권이었고, 대부분의 jurisdiction에서 이를 기대하고 있다.

As an example, the ability to self-regulate (the setting and maintenance of standards for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has been an important privilege of the profession and hence represents an expectation in most jurisdictions.


마지막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 대한 전반적 동의가 있다. 고대의 뿌리를 가진 치료자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회 과학자들은 사회, 건강 관리 및 관련 사회 계약이 발전함에 따라 프로페셔널리즘이 변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Freidson 2001; Sullivan 2005; Hafferty 2006).

Finally, there is agreement in the literature that professionalism is not static. While the role of the healer with its roots in antiquity appears to be relatively stable, social scientists have commented that professionalism does change over time as society, health care, and the associated social contract evolve (Freidson 2001; Sullivan 2005; Hafferty 2006).




프로페셔널리즘과 사회적 계약 연결짓기

Linking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to the social contract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사회 계약과 연관짓는 것은 의학의 프로페셔널 의무의 존재에 대한 논리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이것은 오늘날의 학습자들이 갖는 한 '왜'에 대한 대답입니다 (Cruess RL & Cruess SR 2008). 또한 의사와 대중 모두가 서로에 대한 정당한 기대를 충촉시킬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medicine이 중요한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면 사회는 계약을 변경하여 medicine의 전문적 지위를 바꿀 것입니다.

Linking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to the social contract provides a logical basis for the presence of medicine’s professional obligations – an answer to the ‘‘why’’ posed by today’s learners (Cruess RL & Cruess SR 2008). It also provides an incentive to meet the legitimate expectations of both physicians and the public. As an example, if medicine fails to meet an important societal obligation, society will change the contract and hence medicine’s professional status.




국가와 문화 차이

Nat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의학 문헌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에 대해 놀랄 정도의 동의가 있었는데, 그 대다수는 서구 국가와 문화에서 왔습니다. 이것은 의심의 여지 없이 대부분의 서방 국가들이 유대교 - 기독교 문화에 공통 뿌리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의학의 대부분의 관찰자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이 적어도 서구 ​​세계에서는 공통적 인 비교적 안정적인 가치 체계를 대표한다고 가정했다. 사회 과학 문헌은 그렇지 않다고 제안 할 것이다. Hafferty와 McKinley (1993)와 Krause (1996)는 각각 14 개국과 5 개국에서 전문성을 비교했다. 분명히 많은 공통점이 있었지만, 나라 사이에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에는 상당한 차이가있었습니다.

There has been a surprising degree of agreement on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in the medical literature on teaching and evaluating professionalism, the majority of which has come from Western countries and cultures. This is undoubtedly due to the fact that most Western countries share common roots in Judeo-Christian culture. Most observers in medicine have assumed that professionalism represents a relatively stable value system, which is common, at least in the Western world. The social science literature would suggest otherwise. Hafferty and McKinley (1993) and Krause (1996) compared professionalism in 14 and 5 different countries, respectively. While there were certainly many commonaliti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across national boundaries.




의사와 의료계와 사회 간의 인터페이스의 관점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은 상당히 다양합니다 (Cruess RL & Cruess SR, 1997a, 2008). 예를 들어, 미국과 캐나다는 대륙을 공유하며, 20 세기 중반이 될 때까지는 매우 유사한 보건 의료 시스템을 갖추고있었습니다. 캐나다는 국민 건강 보험을 도입했고 미국은 시장 지향적 인 시스템에 의존하기로했다. 두 나라는 현재 건강 관리에서 사회적 계약이 현저히 다르며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위협의 출처가 서로 다르며, 국경 양측의 계약 당사자들의 기대도 현저히 다릅니다 (Tuohy 2009).

Those aspects of professionalism, which concern the interface between physicians and the medical profession and society are the ones which vary, sometimes considerably (Cruess RL & Cruess SR 1997a, 2008). As an example,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hare a continent and, until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had very similar health care systems. Canada introduced a national health insurance plan and the United States opted for reliance on a market-oriented system. The two countries now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social contracts in health care, the threats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ir physicians come from different source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parties to the contract on the two sides of the bord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uohy 2009).



교육에 대한 함의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사회적 계약의 개념을 프로페셔널리즘에 연결하는 것은 현 세대의 학생과 trainee을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의학의 프로페셔널 의무에 대한 합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또한 서로 다른 국가, 문화, 의료시스템의 환자와 의사 집단이 서로 다른 기대치를 갖는 것에 대한 논리적 인 설명을 제공합니다. 서구 및 비 서구 세계의 국가와 문화, 그리고 광범위한 지정 학적 문화적 세계 공동체 사이에서 상당한 차이가 발견된다 (Hafferty and McKinley 1993, Krause 1996, Cruess et al 2010).

Linking the concept of the social contract to professionalism helps to provide a rational basis for medicine’s professional obligations, an obvious pedagogic advantage for those instructing the current generation of students and trainees. In addition, it provides a logical explanation for many of the differing expectations which have been noted in both patients and physicians from different countries, cultures, and health care systems.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both between countries and cultures in the Western and non-Western world and between the large geopolitical and cultural global communities (Hafferty and McKinley 1993; Krause 1996; Cruess et al. 2010).




Twenge JM. 2009. Generational changes and their impact in the classroom:Teaching generation me. Med Educ 43:398–405.


 2009 May;43(5):398-405. doi: 10.1111/j.1365-2923.2009.03310.x.

Generational changes and their impact in the classroom: teaching Generation M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ology, San Diego State University, San Diego, California 92182-4611, USA. jtwenge@mail.sdsu.edu

Abstract

CONTEXT:

Many faculty members believe that students today differ from those in the past. This paper reviews the empirical evidence for generational changes among students and makes recommendations for classroom teaching based on these changes. Generational changes are rooted in shifts in culture and should be viewed as reflections of changes in society.

METHODS:

This paper reviews findings from a number of studies, most of which rely on over-time meta-analyses of students' (primarily undergraduates') responses to psychological questionnaires measuring IQ, personality traits, attitudes, reading preferences and expectations. Others are time-lag studies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of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Today's students (Generation Me) score higher on assertiveness, self-liking, narcissistic traits, high expectations, and some measures of stress, anxiety and poor mental health, and lower on self-reliance. Most of these changes are linear; thus the year in which someone was born is more relevant than a broad generational label. Moreover, these findings represent average changes and exceptions certainly occur.

DISCUSSION: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Generation Me would benefit from a more structured but also more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 and that the overconfidence of this group may need to be tempered. Faculty and staff should give very specific instructions and frequent feedback, and should explain the relevance of the material. Rules should be strictly followed to prevent entitled students from unfairly working the system. Generation Me students have high IQs, but little desire to read long texts. Instruction may need to be delivered in shorter segments and perhaps incorporate more material delivered in media such as videos and an interactive format. Given their heightened desire for leisure, today's students may grow into professionals who demand lighter work schedules, thereby creating conflict within the profession.

Comment in

PMID:
 
19422486
 
DOI:
 
10.1111/j.1365-2923.2009.03310.x


프로페셔널리즘 평가를 위한 블루프린트: 체계적 문헌고찰(Acad Med, 2009)

A Blueprint to Assess Professionalism: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Tim J. Wilkinson, MB, ChB, M Clin Ed, PhD, FRACP, Winnie B. Wade, MA (Curriculum Studies), MA (Education), and L. Doug Knock, MSc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을 개념으로 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1 그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이 없을 때를 알아채지만, 정의는 광범위하다 .2,3

Yet, professionalism as a concept can be difficult to pin down.1 There is universal acceptance that it is important, and most people agree when they see that it is missing, yet definitions range broadly.2,3


프로페셔널리즘이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은 그것을 더 잘 측정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외부 규제는 개선을위한 내재적 동기 부여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근무 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은 일부 의사들에게 지속적으로 헌신과 책임감 개발도 어려워 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재정적 인센티브와 불이익은 개인적, 도덕적, 윤리적 책임과 경쟁 할 수 있습니다.

The need to measure professionalism better is further highlighted because it is under threat. For example, external regulation may undermine intrinsic motivation to improve. Also, shorter working hours mean that some doctors may find it harder to develop an enduring commitment and sense of accountability. Finally, financial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can compete with personal, moral,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예를 들어 의사의 왕립 대학 (Royal Colleges of Physician), 의료 전문직업성 프로젝트 (Medical Professionalism Project)에서 야기 된 의료 전문성에 관한 헌장, 훌륭한 의료 실무에 관한 영국의 일반 의학 협의회 (General Medical Council) 등은 프로페셔널리즘에 관한 합의 성명을 개발하는 중요한 작업을 하였다

there has been important work in developing consensus statements on professionalism—for example, from the Royal Colleges of Physicians,11,13 the Charter on Medical Professionalism arising from the Medical Professionalism Project,14 and the British General Medical Council statements on good medical practice.15


프로페셔널리즘을 측정하거나 평가하는 것은 두 가지 주요한 문제로 방해 받는다. 

  •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많은 정의가 있지만, 이들은 종종 너무 광범위하여 쉽게 평가하기 어렵다. 또한 합의가 없으며,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견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도 있습니다 .3 

  • 두 번째 문제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측정 할 도구를 개발하려는 많은 시도와 진전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의 도구가 복잡한 영역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Measuring or assessing professionalism is hampered by two major problems. 

  • Although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hese are often so broad that they do not lend themselves to aspects that are easily assessable. Furthermore, there is no agreed consensus, and views on professionalism may change over time.3 

  • The second problem is that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develop tools to measure professionalism, and much progress has been made. Yet, we know from other lessons learned in assessment that single tools are rarely able to assess complex areas adequately.


  • 개인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여러 스냅샷을 취한 다음, 

  • 전체를 조합하여 그 사람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개발하고, 

  • 총괄적 의사 결정의 기반이 될 근거 자료를 제공 할 수있는

... programmatic approach가 필요할 것입니다 16,17 .18

A programmatic approach is likely to be needed16,17 whereby 

  • multiple snapshots of an individual’s professionalism can be taken and 

  • then collated into a whole to develop a clear picture of that person’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o 

  • provide a body of evidence on which to base summative decisions.18



방법

Method


다섯 단계

We carried out this study during 2007– 2008 in five stages: 

  • (1) a literature review of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 (2) a thematic analysis of the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 (3) a literature review of tools to assess elements of professionalism, 

  • (4) creation of a blueprint whereby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are matched to relevant assessment tools, and 

  • (5) identification of assessment gaps.


Each of us undertook a thematic analysis of the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by identifying the key elements from each definition. 

  • We then discussed any areas of difference and agreed on consensus elements and themes. 

  • We clustered those elements by taking account of two aims: 

    • to cluster them into similar attributes and 

    • to cluster them into themes that might use similar assessment techniques. 

From this, we aimed to develop a working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captured all the relevant aspects. Alongside this was the need to clarify the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some key elements if the definitions were unclear.




결과

Results


프로페셔널리즘 정의

Defining professionalism



A classification of the themes arising from definitions or interpretations of professionalism, mapped against the relevant references, is offered in Table 1.



Table 1. The Authors’ Classification of Themes and Subthemes, Arising From Definitions or Interpretations of Professionalism Found in the References Indicated*


Adherence to ethical practice principles,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Honesty/integrity

Confidentiality

Moral reasoning None

Respect privileges and codes of conduct


Effective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with people who are important to those patients,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Respect for diversity / uniqueness

Politeness / courtesy / patience

Empathy / caring / compassion / rapport

Manner / demeanor

Include patients in decision making

Maintain professional boundaries

Balance availability to others with care for oneself


Effective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working within the health system,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Teamwork

Respect for diversity / uniqueness

Politeness / courtesy / patience

Manner / demeanor

Maintain professional boundaries

Balance availability to others with care for oneself


Reliability,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Accountability / complete tasks

Punctuality

Take responsibility

Organized


Commitment to autonomous maintenan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competence in:

Self.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Reflectiveness, personal awareness, and selfassessment

Seek and respond to feedback. Respond to error.

Recognize limits

Lifelong learning

Deal with uncertainty

Others.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Provide feedback / teaching

People management

Leadership

Systems. Including but not restricted to:

Advocacy

Seek and respond to results of an audit

Advance knowledge



* The initial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within MEDLINE for articles published from 1996 to 2007 and was

significantly supplemented by references for additional publications.  






일부 용어는 명확한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첫 번째는 "자기 조절"이었습니다. 전문직의 자기규제는 개인 차원에서의 자기 규제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 보고서의 초점인 개인 수준에서, 우리는 "자기 규제"라는 용어는 현상 유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대신에 우리는 "자율적 인 유지 관리와 역량의 지속적인 개선"이라는 용어를 선택했습니다. 우리는이 개념을 자신과 다른 사람, 그리고 하나의 시스템이 포함되도록 확장했습니다.

Some terms arose that required clarification. The first was “self- regulation,” Self-regulation of a profession has implications beyond self-regulation at an individual level.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focus of this report, we believe the term“self- regulation” to be insufficiently explicit because it c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preserving the status quo. Instead, we have chosen the term“commitment to autonomous maintenan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competence.” We have further expanded this concept to include oneself, others, and the systems in which one works.


두 번째 임기는 "이타주의"였는데, 종종 다른 사람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이는 건강한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과는 반대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신을 돌보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균형감"이라는 개념을 채택했습니다.이 개념은 환자와의 관계 뿐만 아니라 동료와의 관계에서도 발생했기 때문에 환자와 동료에게 초점을 맞추는 두 가지 주제에 각각 배치했습니다.

The second term was “altruism,” which was sometimes inferred as meaning subjugating oneself for others, yet this contrasted with maintaining a healthy work–life balance. We have therefore adopted the concept, “Balance availability to others with care for oneself.” This concept arose in relation to patients but also in relation to colleagues, so we have placed it within each of the two themes that focus on patients and on colleagues, respectively.



세 번째 임기는 "성숙"이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정의하기가 어려웠으며 그것이 독립적 인 평가 가능한 실체로 분류 될 수 있다고 확신하지 못했습니다.

The third term was “maturity,” We found this difficult to define and were not convince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a separate, assessable entity on its own.


넷째로, 프로페셔널리즘에는 객관식 문제와 같은 전통적인 지식 테스트로 평가할 수있는 자체적 지식 기반이 있습니다. 그러나 주로 전문성은 "아는 것"보다 "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청사진을 개발할 때 우리는 기반 지식 기반을 무시하기를 원하지 않았지만 대신에 Miller's22 피라미드에서 높은 단계를 강조하기를 원했습니다. 즉 "doing을 향해야 하며, "knowing"을 벗어나야 한다.

Fourth, professionalism has its own underpinning base of knowledge that can be assessed with traditional knowledge tests, such as multiple-choice questions. Predominantly, however, professionalism is about what someone does, rather than what he or she knows. In developing a blueprint, we did not wish to ignore the underpinning knowledge base20,21 but, instead, wished to place our emphasis higher on Miller’s22 pyramid; that is, toward “doing” and away from just “knowing.”



마지막으로, 일부 정의에는 환자의 가족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가족이라는 개념은 사람들마다 다른 의미를 가지므로 "환자에게 중요한 사람들"이라는 구를 선호했습니다.

Finally, some definitions include ensuring that a patient’s family are well informed. The concept of family has different meanings for different people, so we preferred the phrase “people who are important to the patient.”


거의 모든 전문성 정의에는 reflectiveness와 자기 감시의 일부 요소가 포함되었습니다.

Nearly al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included some element of reflectiveness and/or self-monitoring.



평가 도구

Identification of assessment tools


Table 2




Assessment of an observed clinical encounter. 

Mini-CEX는 15~30분동안 환자-의사 상호작용 관찰하고 스냅숏

The mini-CEX is an example of this type of assessment tool.23–26 This tool is used to assess a 15- to 30-minute observed snapshot of a doctor/patient interaction that is conducted within actual patient-care settings using real patients and that has a structured marking sheet that covers predefined generic areas. 

    • Validity derives from using authentic interactions, and 

    • reliability is achieved by ensuring aggregation of multiple assessments and multiple assessors

    • Standardization between sites can be achieved with examiner training and by collating scores from several encounters. 

The original mini-CEX asks for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as a single global entity. Modifications to this have been made to look at specific aspects of professionalism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Mini-Evaluation Exercise (P-MEX),27 which can assess four discrete areas: doctor–patient relationship skills, reflective skills, time management, and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 skills.



Collated views of coworkers. 

10~20명의 관찰자로부터 평가받음

This is usually achieved through multisource feedback (MSF), which is the systematic collection and feedback of data on an individual’s performance, acquired from a number of stakeholders. In the past, this has sometimes been referred to as 360- degree assessment.24,28–34 Typically, the person being assessed nominates 10 to 20 assessors who collectively can comment on the specified range of that person’s abilities. The assessors may include supervising consultants, registrars, nurses,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nd clerical staff. 


MSF는 공식적인 평가 조건 내에서 평가하기 어려운 작업장 내에서 실제 행동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MSF can be used to assess actual behaviors within the workplace that are difficult to assess within formal assessment conditions. It can be used to assess skills and behaviors that can sometimes be concealed within a formal assessment.




Record of incidents of unprofessionalism. 

그때그때 필요할 때 사용

This is used on an “as-required” basis whereby an observed incident of unprofessional behavior can be reported and collated centrally. An overview group would look at the reports to determine whether a pattern of behavior is apparent and/or whether further action is needed.35,36



Critical incident report.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성찰과 관심을 유도. 

This method asks the doctor to reflect on a critical incident he or she has experienced or witnessed.37–39 Because the incident is self-identified, it contrasts with a record of an incident of unprofessionalism described above. It can encourage reflection and attention to elements of professionalism, but it is dependent on the type of incident to determine which aspect of professionalism is being assessed.


Simulation. 

Simulations are contrived scenarios that resemble real-life situations but that usually use models or simulated patients.33,40 Sometimes, these can be incorporated within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33 Simulations can be used to assess rare or unpredictable situations or to standardize assessment of higher-order communication skills. Because they are conducted within an artificial context, this can reduce validity, although many “high-fidelity” simulations can be very realistic. They can be useful in assessing how well someone works under pressure. Single simulations, like single OSCE stations,41 can be unreliable.



Paper-based test

This requires provision of a scenario, such as an ethical dilemma or video encounter, and a series of questions to be answered.42 It can test underlying knowledge of some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moral reasoning or decision making, and what should be done, but it cannot assess what a candidate actually might do in practice.


Patients’ opinions. 

공식적 평가상황에서는 쉽게 관찰하기 어려운 행동의 평가

This is usually obtained by collating questionnaire- based opinions of patients about the nominated person’s abilities in specified areas.33,43–46 It can be used to assess actual behaviors within the workplace that are difficult to assess within formal assessment conditions. It is a direct survey of the key stakeholders of a health service. 

환자들은 더 비판적인 편. 따라서 다른 평가와 함께 조합하여 해석해야 함.

However, as discussed later, some patient populations can be more critical than others, so interpretation of results should be in conjunction with other assessments and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population that has been surveyed.



Global view of supervisor

한 사람이 한 번 관찰 한 것은 신뢰도 낮음.

This is a summary view, usually by a supervisor, reported on a form with predefined criteria. The criteria help to define the areas of importance, but the tendency for them to be used as views of single observers at single points in time can make them unreliable and difficult to defend,47 despite demonstrations of internal consistency. 


하지만 여러 상황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자료가 수집된다면 평가 근거가 됨

However, such a summary can be useful if it is used repeatedly over time and if it draws on the evidence derived from other assessments. 


여러 평가자의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MSF와 같음. 따라서 이것은 그 자체가 평가도구라기보다는 총괄평가를 보고하는 수단과 같다.

If multiple raters are used and the results are collated, then it functions like multisource feedback. We have therefore taken the view that it is not an assessment instrument in itself but more a means to report a summary of assessments. For these reasons, we have not included this in our blueprint as an assessment tool, but we acknowledge that it can have an important role in a programmatic assessment process.



Self-administered rating scale. 

성찰을 도와주긴 하나, 총괄평가 목적으로는 부적절

This is a questionnaire-based tool that an individual uses to assess his or her personal attributes or attitudes. It can aid reflection, but it has limited use in summative assessments, because it cannot assess what a person actually does.




평가 블루프린트

Assessment blueprint


critical incident report는 블루프린트에 없다.

The overall blueprint is shown in Table 3. Note that critical incident report is not on the blueprint, because the areas it maps against would be individual and idiosyncratic.


가장 좋은 평가 방법은...

If we take the view that the best assessments are ones of 

    • direct observation of the behaviors of interest, 

    • then the mini-CEX,23–26 and particularly the P-MEX,27 would be core components of an assessment program.

관찰되고있다는 것을 알면 행동을 숨길 수 있으므로, MSF와 환자설문을 통해서 보완할 수 있다

Some behaviors can be concealed if a person knows that he or she is being directly observed, so the collated views of coworkers (MSF) and of patients (patient opinion surveys) become complementary sources of information.


도덕적 추론은 시뮬레이션이나, 페이퍼-기반 시나리오

Moral reasoning could be assessed by a simulation or, more efficiently, by a paper-based scenario.



Discussion



블루프린트는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며,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여러 측면을 포착하기 때문에 직접 관측 (미니 CEX23-26 및 P-MEX27을 통해)과 합해진 관점collated view (MSF 및 환자의 의견)가 중요한 요소임을 입증합니다. 한때, 환자의 의견을 모든 것에 대한 척도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의학분야는 상당히 방어적이었는데, 그 이유는 외적 요인이 환자가 의사를 어떻게 보는지에 영향을 준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의사는 환자의 요구를 항상 받아 들여서는 안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환자에게 불리한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The blueprint demonstrates that direct observations (through the mini-CEX23–26 and P-MEX27) and collated views (through MSF and patients’ opinions) are crucial elements because they capture many aspects in reliable, valid, and feasible ways. Medicine has, at times, been rather defensive about using patients’ opinions as a measure of anything, arguing that external factors migh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ow a patient views his or her doctor. Doctors, for example, do not and should not always acquiesce to patients’ demands, yet failure to do so could result in unfavorable ratings from that patient. 


때로는 메시지와 메신져가 서로 혼동되기도 해서, 환자들은 의사가 한 말이 불쾌할 경우 의사에게 낮은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그러나 반대로, 환자는 우리의 직업이 존재하는 이유이며, 가장 중요한 이해 관계자이며, 자신의 말을 경청하는 것을 감사해한다. 어떤 도구도 단독으로는 의사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측정 할 수 없듯이, 환자 의견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환자의 의견은 다른 정보 출처를 보완해줄 수 있으며, 블루프린트에서도 환자의 의견이 중요한 gap을 채워줌을 보여준다.

The message and the messenger can sometimes be confused so that doctors might receive poor ratings if the messages they bring are unpalatable. In contrast, patients are the reason for our profession to exist, are the most important stakeholders, and appreciate having their views heard. Just as any instrument in isolation cannot measure a doctor’s professionalism, so too can patients’ opinions be misleading if taken on their own. However, patients’ opinions do complement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and the blueprint shows they fill an important gap.


포트폴리오는 종종 전문성을 평가할 수있는 수단으로 제시되어왔다. 포트폴리오의 기능은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근거의 body로서 통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가치는 어떤 데이터가 수집되느냐에 달려있다. 프로페셔널리즘의 몇 가지 요소로만 제한된 자료를 가지고는 불완전한 그림만을 얻게 된다. 또한 [구조화된 도구]와 [글로벌 판단]이 결합되어 근거를 형성한다. 충분한 수의 관측자와 관찰자의 데이터가 합쳐지면 두 방법 모두 신뢰할 만하다. 따라서 블루프린트에 기반한 체계적인 증거 수집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페셔널리즘의 whole는 부분의 합보다 크고, 모든 요소에 대하여 overview를 보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는 증거를 수집-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하지만, 그 근거의 출처는 아니다.

Portfolios have often been suggested as a means to assess professionalism.49 The function of a portfolio is to collate data from a variety of sources to forma body of evidence.50 Its value is therefore dependent on the contributing data. If the data are restricted to only a few elements of professionalism, then an incomplete picture will be formed. Furthermore, it acknowledges that the evidence will require a combination of global judgments alongside more structured instruments. Both approaches are reliable, provided data from sufficient numbers of observations and observers are aggregated.51,52 This reinforces the need for a systematic collection of evidence based on a blueprint, such as we have produced. Nevertheless, the whole of professionalism is more than the sum of the parts,3 and there is a need to be able to take an overview of all elements. We therefore see the portfolio as having an important role in collating evidence, but not as the source of that evidence.


우리는 Mini-CEX, P-MEX, MSF, 환자 의견, 종이 기반 테스트, 시뮬레이션, 연구 및 교육 활동 척도, 다른 사람의 평가와 비교한 자기 평가의 정밀 조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 지었다. 포트폴리오는 그러한 평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유용한 수단입니다. 

We conclude that professionalism can be assessed using a combination of mini- CEX, P-MEX, MSF, patients’ opinions, paper-based tests, simulations, measures of research and/or teaching activities, and scrutiny of self-assessments compared with assessments by others. A portfolio is a useful means to support such a program of assessment. 


측정 영역에서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한 속성은 성찰성, 옹호, 평생 학습, 불확실성 처리, 자신을 돌보는 다른 사람과의 가용성 균형, audit 결과를 찾고 이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속성은 도구 또는 프로세스 개발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 

Attributes that require more development in their measurement are reflectiveness, advocacy, lifelong learning, dealing with uncertainty, balancing availability to others with care for oneself, and seeking and responding to results of an audit. These attributes should be the focus of development of tools and/or processes. The few tools that do exist need to be adapted.








 2009 May;84(5):551-8. doi: 10.1097/ACM.0b013e31819fbaa2.

blueprint to assess professionalism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Otago, Christchurch, New Zealand. tim.wilkinson@otago.ac.nz

Abstract

PURPOSE:

Assessing professionalism is hampered by varying definitions and these definitions' lack of a clear breakdown of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into aspects that can be measured. Professionalism is multidimensional, so a combination of assessment tools is required. In this study, conducted during 2007-2008, the authors aimed to match assessment tools to definabl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and to identify gaps where professionalism elements are not well addressed by existing assessment tools.

METHOD:

The authors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of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of relevant assessment tools, clustered the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into assessable components, and clustered assessment tools of a similar nature. They then created a "blueprint" whereby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are matched to relevant assessment tools.

RESULTS:

Five clusters of professionalism were formed: adherence to ethical practice principles, effective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with people who are important to those patients, effective interactions with people working within the health system, reliability, and commitment to autonomous maintenance / improvement of competence in oneself, others, and systems. Nine clusters of assessment tools were identified: observed clinical encounters, collated views of coworkers, records of incidents of unprofessionalism, critical incident reports, simulations, paper-based tests, patients' opinions, global views of supervisor, and self-administered rating scales.

CONCLUSIONS:

Professionalism can be assessed using a combination of observed clinical encounters, multisource feedback, patients' opinions, paper-based tests or simulations, measures of research and/or teaching activities, and scrutiny of self-assessments compared with assessments by others. Attributes that require more development in their measurement are reflectiveness, advocacy, lifelong learning, dealing with uncertainty, balancing availability to others with care for oneself, and seeking and responding to results of an audit.

PMID:
 
19704185
 
DOI:
 
10.1097/ACM.0b013e31819fbaa2


의과대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실수의 이해를 위한 프레임워크: TPB를 FTP에 적용하기(Acad Med, 2016)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Lapses in Professionalism Among Medical Student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Fitness to Practice Cases

Vikram Jha, FRCOG, PhD, Susannah Brockbank, MRCP, and Trudie Roberts, FRCP, PhD






국제적으로 규제 기관은 졸업하는 의대생의 결과가 지식과 기술 습득을 넘어 적절한 전문 태도와 행동을 포함하도록 지시하며 1-5 학생에게 단순히 전문가처럼 행동하는 것 만이 아니라, 실제로 전문가가 되도록 요구합니다 .6-8

Internationally, regulatory bodies dictate that graduating medical students’ outcomes move beyond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to include appropriate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rs,1–5 requiring students not just to behave professionally but also to become professional.6–8


  • PIF 접근법은 의료계 커뮤니티의 일부처럼 느끼게 함으로써 전문적이고 윤리적인 의사가 되도록 유도한다는 접근법을 사용하며, 힐튼과 Slotnick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론이 이를 뒷받침한다. 

  • 사회학적 관점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이란 사회적 계약으로서, 사회가 의사에게 갖는 신뢰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의사들이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할 것을 요구한다.27 

  • 마지막으로 사회인지심리학은 프로페셔널리즘의 lapse를 설명하기 위해 태도와 행동 간의 복잡한 관계를 사용합니다.

  • A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pproach adopts the notion that feeling like a part of the medical community facilitates individuals becoming professional and ethical practitioners,25,26 a theory supported by Hilton and Slotnick’s6 description of professionalism. 

  • A sociological perspective defines professionalism as a social contract requiring doctors to behave professionally to justify the trust that society places in them.27 

  • Finally, sociocognitive psychology us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 to explain professionalism lapses.28,2


학생의 진료적합성(FTP)에 의문이 제기되면, 교육자는 증거 수집, 위법 행위의 성격 및 심각도 평가, 학생을 FTP 패널에 회부할지에 대한 결정과 같은 복잡한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합니다.

When a student’s fitness to practice (FTP) is called into question, educators undertake a complex decision- making process: collecting evidence, evaluating the nature and severity of the misconduct, and deciding whether to refer the student to an FTP panel.


이러한 결정은 학생이 왜 그렇게 했는지에 대한 탐색을 충분히 하지 않은 채로 학생이 규정을 위반했다는 것 만으로 이루어지곤 한다.30-32 그러나 행동은 개인의 태도와 사회적 규범을 비롯한 복잡한 "숨겨진"변수에 기반하고 있다. 맥락, 대인 관계, 사회적 규범, 지역 문화와 같은 프로페셔널리즘의 숨겨진 결정 요인을 밝힘으로써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하여 보다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

Often these decisions are based on the student’s digression from the regulations, with limited exploration of the reasoning behind the student’s behavior.30–32 However, behavior is underpinned by complex, “hidden” variables, including an individual’s attitudes and social norms.33 Examining hidden determinan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context,34,35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norms, and local cultures,36–38 then allows us to develop a richer understanding of unprofessional behavior.29,36



The TPB


TPB은 건강 관리 제공자의 행동을 포함하여 개인의 행동을 연구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41 그것은 개인의 행동이 자신의 인지에 의해 어떻게 뒷받침되는지를 설명하는 모델로, 행동은 주로 행동을 수행하려는 의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행동 의도). 의도와 실제 행동 사이의 관계는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의도는 행동의 근위 결정자proximal determinant로 작용할 수있다 .42 의도는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통제(그림 1)의 세 가지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The TPB33 is widely used for studying behaviors in individuals39,40 including health care providers’ behaviors.41 It is a model that explains how an individual’s behavior is underpinned by his or her cognitions, with behavior being primarily dependent on the intention to perform the behavior (behavioral int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is not absolute, but intention may act as a proximal determinant of behavior.42 Intention, in turn, is determined by three variable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igure 1).



태도는 어떤 행동을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행동 수행을 선호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 평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도구적 측면 (좋은 행동이나 나쁜 행동, 바람직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 경험적 측면 (즐겁거나 불쾌한, 유용하거나 쓸데없는) 

  • 태도는

    • 행동 신념 (행동의 수행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

    • 결과 신념 (그 결과에 대한 평가).


Attitude reflects the degree to which an individual positively or negatively evaluates a behavior or favors performing the behavior. 

  • The evaluation comprises 

    • instrumental (is the behavior good or bad, desirable or undesirable) and 

    • experiential (is the behavior pleasant or unpleasant, useful or worthless) aspects. 

  • Attitude is a function of 

    • behavioral beliefs (performing the behavior will lead to consequences) and 

    • outcome beliefs (evaluation of those consequences).


주관적 규범어떤 행동을 하려는 개인에 대한 사회적 압박의 정도개인의 삶에서 중요한 사람들 (예 : 가족, 친구, 교수)이 그 행동에 동의하거나 반대하는 정도를 포함합니다. 

  • 주관적 규범은

    • 령적 (개인의 삶에서 중요한 사람들이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 이거나

    • 설명 (개인의 삶에서 두드러진 사람들이 실제로 어떤 행동을 하는가)이다.

  • 주관적 규범은 다음의 두 가지의 함수이다.

    • 규범 신념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들이 그 행동을 선호하는가에 대한 인식)과

    • 순응의 동기 (중요한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따르고자 하는 정도).

The subjective norm comprises the degree of social pressure on an individual to engage in a behavior41 and the degree to which salient people in the individual’s life (such as family, friends, faculty) would approve or disapprove of the behavior. 

  • The subjective norm may be 

    • injunctive (what salient people in the individual’s life think ought to be done) or 

    • descriptive (what salient people in the individual’s life actually do). 

  • The subjective norm is a function of 

    • normative beliefs (perceptions of salient others’ preferences about the behavior) and 

    • motivation to comply (the extent to which one wishes to comply with salient others’ expectations).



인지된 행동 통제어떤 행동을 수행하는 것이 얼마나 쉽거나 어려운지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반영하며 43) 개인의 자기 효능감과 행동에 대한 통제를 보여준다. 

  • 인지된 행동 통제는 다음의 함수이다.

    • 통제 신념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기회가 있는지 여부)과

    • 인지된 권력 (특정 요소가 행동의 완성completion of the behavior을 촉진하거나 억제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eflects an individual’s perceptions of how easy or difficult it is to perform the behavior43 and the individual’s self-efficacy and control over the behavior. 

  •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a function of 

    • control beliefs (whether one has the opportunity to perform the behavior successfully) and 

    • perceived power (the perception that certain factors have the power to facilitate or inhibit the completion of the behavior). 


TPB에 따르면,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favorable하고, 인식된 행동 통제가 커질수록, 행동을 수행하려는 개인의 의도가 강해질 것입니다.

According to the TPB, the more favorable the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and the greater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stronger the individual’s intention to perform the behavior will be.33


프로페셔널리즘을 조사 할 때, TPB는 태도, 도덕적, 윤리적 가치, 문맥 적 및 사회적 상호 작용 등 앞서 언급 한 전문성에 대한 여러 가지 영향을 종합한 통합된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개인의 직접적인 통제하에있는 요소들 (예 :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신념과 반응)과 그렇지 않은 요소 (예 : 행동을 수행 할 수있는 자원과 기회)를 탐구합니다.

When examining professionalism, the TPB presents a unified approach,28,29 bringing together several influences on professionalism described earlier: attitudes, moral and ethical values, and contextual and social interactions. It explores both factors that a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individual (e.g., beliefs and response to social influences) and factors that are not (e.g.,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o perform behaviors).33







TPB적용

Application of the TPB


four complex, anonymized case


사례 1

Case 1


2 학년 학생 인 학생 A는 지역 사회 배치의 일환으로 장애 아동 2 명과 함께 가족을 방문해야합니다. 그녀는이 방문을 자녀의 어머니가 서명하고 그녀의 방문을 설명하는 반사적 인 에세이와 함께 일지를 제출합니다. 나중에, 어머니가 전화를해서 그 학생이 왜 방문하지 않았는지 묻자 놀란다.

Student A, a second-year medical student, is asked to visit a family with two disabled children as part of her community placement. She submits her logbook with this visit signed off by the children’s mother and a reflective essay describing her visit. Later, the year lead is surprised when the mother calls and asks why the student has not come to visit.


프로그램 책임자와의 만남에서 학생은 즉시 일지를 위조하는 것에 끔찍한 실수라고 말했다. 그녀는 훌륭한 학생이라고 말하고 그녀의 행동에 대해 그녀를 책망하는 결정에 도전하면서 "다른 학생들도 다 이렇게 한다"고 주장한다. 어쨌든 학생들은 아무도 일지를 자세히 보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At a meeting with the program director, the student immediately admits to falsifying the logbook, saying it was a terrible mistake. She says she is an excellent student and challenges the decision to reprimand her for her behavior, claiming “everyone in [her] class does this.” After all, the students know that no one looks at the logbooks in detail.


학생의 관점. 학생은 자신의 비행에 대해 즉시 인정함으로써 행동에 대한 적절한 태도를 보여주고 제재를 피할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녀는 다른 학생들이 일지를 위조했지만 결코 잡히지 않아서 그녀의 행동을 주관적인 규범으로 삼았습니다. 그녀는 서명 위조라는 쉬운 옵션 (통제 신념)을 두고, 확인을 받고 활동을 빠지는 선택을 하기는 때로는 어려웠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일지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는다고 의심한 것이 위조를 하기로 결정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인지 된 권력).

Student’s perspective. The student probably felt that by immediately admitting to her misconduct she would demonstrate an appropriate attitude toward her behavior and escape sanctions. Her perception that other students forged logbooks but were never caught made her behavior the subjective norm. She felt getting activities signed off was sometimes difficult, making forging the signatures an easier option (control beliefs). Additionally, the student suspected that the logbooks were not properly scrutinized, making her decision to forge the entries easier (perceived power).



프로그램 디렉터의 관점. 학생은 행동 및 행동의도를 확인했지만, 결과를 평가하거나(결과 신념) 학교에서 그 행동을 어떻게 볼 것인가(규범 적 신념)을 고려하는 데는 제한된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녀는 GMC지도를 따르려는 동기를 찾지 못했습니다.

Program director’s perspective. The student confirmed the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demonstrated a limited ability to evaluate the consequences of (outcome beliefs) or consider how the medical school would view the behavior (normative beliefs). She failed to find the motivation to comply with GMC guidance.


결과. 학생 A는 "전문적 및 임상 적 책임을"[의도적으로 또는 무모하게 무시 함] FTP 패널에 회부되었습니다. "부정직하거나 사기 적으로 행동하거나 다른 사람들을 속이거나 속이기 위해 고안된 방식으로 행동하는 행위"; 그리고 속임수. 그녀의 FTP가 파손 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녀는 1 년간 그녀의 학업을 중단했고 장애 팀과 협력하여 교수진과 함께 의학에서 문서 위조의 의미에 대한 온라인 가이드를 개발하고 GMC FTP 세션에 참석하여 전문성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그녀는 정확한 활동 기록을 유지하고 이러한 활동에 대한 성찰적 인 작업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도록 요청 받았다.

Outcome. Student A was referred to an FTP panel for “[deliberately or recklessly disregarding] professional and clinical responsibilities”; “[behaving] dishonestly, fraudulently, or in a way designed to mislead or harm others”; and cheating. Her FTP was found to be breached. She was suspended from her studies for a year and asked to work with disability teams, with faculty to develop an online guide on the implications of falsifying documents in medicine, and attend GMC FTP sessions to reflect on her attitude toward professionalism. She was asked to maintain an accurate log of activities and complete a portfolio of reflective work on these activities.


"다들 그렇게 한다"는 학생의 주장은 염려 스러웠습니다. 학교 내에서 사기성 행동을 조장 한 문화가 있었습니까? 이러한 행동을 저지하는 학교의 프로세스를 검토 한 결과, (지도교수의 분기 별 검토와 같이) 과정을 완료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있는 학생을 파악하는 시스템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검토 결과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활동을 지원받는 정도는 지도교수마다 사이에서 다양했고, sign-off을 요구하는 활동의 수가 과도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 후 학교는 활동을 서명하고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있는 e- 포트폴리오를 도입하여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에게 적시에 지원을 제공 할 수있었습니다. 또한, 승인을 필요로하는 활동의 수가 줄어들어 학생들은 서류 작업보다는 학습에 집중할 수있게되었습니다.

The student’s claim that “everyone does it” was of concern. Was there a culture within the school that promoted fraudulent behavior? A review of the school’s processes to discourage such behavior showed that systems, including a quarterly review by academic advisors, were in place to identify students struggling to complete their course work. However, the review did find that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were supported in their portfolio activities varied among advisors and that the number of activities that required sign-off was excessive. The school has subsequently introduced an e-portfolio enabling activities to be signed off and monitored remotely, allowing struggling students to be offered timely support. In addition, the number of activities requiring sign-offs has been reduced, allowing students to focus on their learning rather than paperwork.




Case 2


학생 1 학년 인 학생 B는 친구를 동반자로하여 자신을 네오나치로 묘사 한 비디오를 페이스 북 페이지에 게시하여 인종 차별주의 및 성 차별적 인 견해를 명시 적으로 표시합니다. 이 비디오는 시청자들의 많은 의견을 끌어들입니다. 학생 B는 인종 차별주의 및 성 차별주의 발언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Student B, a first-year medical student, posts a video on his Facebook page portraying himself as a neo-Nazi with his friends as comrades, explicitly displaying racist and sexist views. The video attracts numerous comments from viewers, with student B contributing significantly with additional racist and sexist remarks.


프로그램 디렉터와의 만남 동안, 학생 B는 당혹스럽고 즉시 부적절한 행동을 인정합니다. 그는 "약간 재미있는"동영상을 만들었고 페이스 북에서의 성공에 이어, offensive discussion을 계속했습니다. 그는 비디오가 자신의 신념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며, 프로그램 디렉터의 결정을 수락 할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During a meeting with the program director, student B appears embarrassed, immediately acknowledging his inappropriate behavior. He created the video for “a bit of fun” and, following its success on Facebook, carried on with the offensive discussion. He repeatedly states that the video does not reflect his beliefs and that he will accept the decision of the program director.




학생의 관점. 학생은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행동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결과 신념), 행동 및 행동 의도를 확인했습니다. 그는 분명히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접근권을 가지고 있었으며(통제 신념), 잡히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인지된 권력). 그는 동기들의 의견에 기뻐하고 토론에 계속 참여했습니다 (규범적 신념).

Student’s perspective. The student confirmed his behavior and behavioral intention, admitting that he had acted without evaluating the consequences (outcome beliefs). He clearly had access to social media (control beliefs) and thought he would not be caught (perceived power). He felt pleased by all the comments from his peers and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normative beliefs).


프로그램 디렉터의 관점. 부정적 인종 차별주의 및 성 차별 주의자 태도를 보여주는 것은 받아 들일 수 없으며, 그런 것을 재밌게 여기는 것은 행동의 결과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거나(행동 신념), 결과를 평가하지 못한 것이다(결과 신념). 그러나 그 후 학생은 통찰력을 발휘하여 자신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취하게되었습니다. 그는 그러한 행동을 한 것에 동료들의 압력이 있었던 것은 아니며(규범 적 신념), 그의 행동이 처벌을 받아야한다고 인정하고, 자신의 행동 결과를 평가하고 반성한 증거를 보여 주었다.

Program director’s perspective. Demonstrating negative racist and sexist attitudes was unacceptable, and thinking it was funny demonstrated a failure to consider the outcomes (behavioral beliefs) or evaluate the consequences (outcome beliefs). Afterward, however, the student demonstrated insight, projecting an appropriately negative attitude toward his behavior. He acknowledged that there was no peer pressure on him to behave the way he did (normative beliefs) and recognized that his behavior deserved punishment, appreciating the outcomes of his behavior and showing evidence that he had reflected on it.


결과. GMC는 성 차별적 인종 차별적 인 행동을 포함하여 "행동의 적절한 경계를 유지하지 못함"은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것이다.1 학생 B반성회개와 예상 된 태도에 대한 자각을 감안할 때 그는 자신의 학업을 계속할 수는 있지만, 학장으로부터 경고를 받고 학생부에 기록되었으며, 장래에 그의 행동의 결과를 신중하게 평가할 것을 권고 받았다. 비디오에 참여한 다른 학생들도 공식 경고를 받았습니다. 이 전문성의 결여에서 규범 적 신념의 역할을 고려할 때, 비디오에 참여한 학생들은 소셜 미디어의 책임있는 사용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국가 지침과 대학의 사용 방침을 강조하는 교육 도구를 개발하도록 요청 받았다. 계속해서 의대에서 널리 퍼질 수있는 근본적인 사회적 규범을 다루기 위해 학생 B의 학교는 성 차별주의 및 인종 차별에 대한 공식적인 가르침뿐 아니라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및 트랜스 젠더 사회가 운영하는 인식 제고 워크숍을 열었다.

Outcome. The GMC states that “failure to keep appropriate boundaries in behaviour,” including sexist and racist behavior, is unprofessional.1 Given student B’s remorse and demonstrated awareness of his projected attitude, he was allowed to continue his studies but received a formal warning from the dean that was kept in his records, and he was advised to evaluate the consequences of his behavior carefully in the future. The other students involved in the video were also issued formal warnings. Considering the role of normative beliefs in this professionalism lapse, the students involved in the video were asked to develop a teaching tool on the responsible use of social media, highlighting national guidance44 and the university’s policy on its use. To further address any underlying social norms that may still be prevalent in medical schools, student B’s school has formal teachings on sexism and racism embedded within the curriculum, as well as awareness-raising workshops run by the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society.



사례 3

Case 3


4 학년 학생 인 학생 C가 자신의 선택 과목을 위해 우간다로갑니다. 그는 그의 병원 감독자가 모든 유형의 임상 작업에 그를 참여시킬 때 매우 기쁩니다. 그는 전에 보지 못한 상태의 환자를보고 친구들과 경험을 공유하기를 기다릴 수 없습니다. 그는 일부 환자의 사진을 찍어 페이스 북에 올리며 결코 소속 학교에서는 해볼 수 없는 minor procedure를 수행했다고 자랑했다. 그의 동료 중 한 명이 그의 학교에 학교의 소식을 전합니다.

Student C, a fourth-year medical student, goes to Uganda for his elective. He is excited when his hospital supervisors involve him in all types of clinical work. He sees patients with conditions that he has not seen before and cannot wait to share his experiences with his friends. He takes photographs of some of the patients and posts them on Facebook, boasting that he has performed minor procedures he would never be allowed to do back home. One of his colleagues informs the school of his posts.


프로그램 디렉터와의 만남에서 학생들은 소환된 것에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반성하도록 요청 받았을 때 환자의 동의없이 환자의 사진을 찍어 주신 것에 대해 양심의 가책을 표합니다. 그러나 그는 병원의 바쁜 의사를 "돕기 위해 노력한" 것이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임상 기술 세션에서 연습을 했더라도 절차를 수행 할 기회가 없었다고 인정합니다.

At a meeting with the program director, the student expresses surprise at being summoned. When asked to reflect on his actions, he demonstrates some remorse for taking photographs of patients without their consent, but states that he was “only trying to help” the busy doctors at the hospital. He admits that he had not been trained to perform the procedures, although he had practiced them during his clinical skills sessions.


학생의 관점. 학생은 아마도 우간다의 바쁜 의사를 도운 것을 가지고 학교가 자신을 비난한 것이 불공정하다고 느꼈을 것입니다. 그는 우간다에서는 적절한 훈련없이 절차를 수행하고 기밀성을 위반하는 것이 문제가되지 않는다고 생각함으로써, 문화적으로 미묘한 차이가있는 규범 적 신념을 표명했습니다. 또한, 기술을 실제로 해볼 수 있었고, 그것을 친구들헤게 말하는 것은 그냥 지나치기 어려운 일이었다 (통제 신념)

Student’s perspective. The student probably felt that the school was being unfair in reprimanding him for helping busy doctors in Uganda. He expressed normative beliefs that were culturally nuanced by thinking that in Uganda, performing procedures without adequate training and breaching confidentiality might not be problematic. Moreover, the opportunity to practice skills and tell his friends was too good to forgo (control beliefs).


프로그램 디렉터의 관점. 학생은 비 윤리적으로 행동하여 적절한 보상없이 절차를 수행하고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지 않고 환자의 동의없이 사진을 소셜 미디어에 게시했습니다. 그는 기밀성과 정보에 입각 한 동의에 대한 부적절한 태도를 보여주었습니다(행동 적 신념). 그가 지역의 의사를 돕고 있다는 그의 주장도 부적절한데, 왜냐하면 이 학생은 (환자에게 해를 입히고 그의 의대에 평판을 떨어 뜨리는 것과 같은) 행동의 결과 (행동 신념) 또는 성과 (결과 신념)를 적절하게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Program director’s perspective. The student behaved unethically, performing procedures without appropriate competence, not recognizing his limitations, and posting patient photographs on social media without their consent. He demonstrated an inappropriate attitude toward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behavioral beliefs). His argument that he was helping out the local doctors was inappropriate because he had not adequately explored the consequences (behavioral beliefs) or the outcomes of his behavior (outcome beliefs), such as harm to the patients and disrepute to his medical school.


결과. 학생은 FTP 패널을 통해 "행동에 적절한 경계를 유지하지 못함", 기밀 유지 위반, 자신의 능력 이상으로 행동했습니다 .1 FTP 패널과의 면담에서 학생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전적인 책임을지고 성숙한 그의 행동에 대한 그의 개인적인 생각을 설명하고, 그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과 후회를 설명한다. 그는 이미 우간다의 의사들과 자신이 사용한 사진들을 사과하는 편지를 썼다. 그는 학업을 계속할 수는 있었지만 환자 기밀 유지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서를 써야했으며, 기록에 문서화된 경고를 받았다는 사실이 추가되었습니다.

Outcome. The student was referred to an FTP panel for “failure to keep appropriate boundaries in behaviour,” breach of confidentiality, and acting beyond his abilities.1 At his meeting with the FTP panel, the student took full responsibility for his actions and provided a mature account of his personal reflections on his behavior, demonstrating insight into and remorse for his actions. He had already written to apologize to the doctors in Uganda and the patients whose photographs he had used. He was allowed to continue his studies but was required to write a piece on the importance of patient confidentiality, and a written warning was placed on his record.


이 사례는 학생 C의 학교에서 학생들을 호스트 조직에 파견 할 때 의과 대학의 책임과 방문 학생의 윤리적 책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45 학생 C의 의과 대학에서는 그들이 호스트 조직에 가기 전에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해야하며 자신의 능력 이상의 수기를 수행해서는 안된다]는 명확한 지침이 제공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호스트 국가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고 문화적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해야합니다.

This case highlighted to student C’s school the importance of the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in sending their students to host organizations and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visiting students.45 At student C’s medical school, clear guidance on the need to behave professionally and not practice beyond their means is now given to students before they go to host organizations. Students are also asked to consider the cultural nuances of the host country and to be sensitive to cultural differences.



사례 4

Case 4 


학생 D는 그녀의 마지막 해에 약물 관련 유죄 판결에 대한 이전의 허위 진술을 고백하기 위해 프로그램 책임자에게 연락합니다. 그녀는 이전에 엑스타시 태블릿을 소장 한 음악 축제에 붙잡힌 후 그 유죄 판결을보고했다. 그러나 그녀는 코카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하지 않았으며 코카인은 conviction의 일부분이었다. 등록을 신청할 때 GMC에 신고해야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그녀는 완전한 자백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프로그램 디렉터와의 인터뷰에서 그녀는 그녀가 남자 친구를 위해 마약을 들고 있다고 주장했고, 퇴학이 걱정되어 유죄 판결의 일부분을 코카인을 confess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개인 약물 사용이나 기타 약물 관련 유죄의 증거는 없습니다.

Student D, in her final year, contacts the program director to confess to a previous misrepresentation of a drug-related conviction. She had previously reported the conviction after being caught at a music festival in possession of ecstasy tablets. However, she had failed to mention that she also had some cocaine, which was part of the conviction. On finding that she had to declare this to the GMC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she decided to make a full confession. At an interview with the program director, she claims she was carrying the drugs for her boyfriend and did not previously confess to the cocaine part of the conviction as she was worried about being expelled. There is no evidence of personal drug use or other drug-related convictions.


프로그램 디렉터의 관점. 그녀는 GMC에 대한 신념을 밝혀야 만한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코카인을 소지했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녀는 학교에 partial 자백과 full 자백 사이의 결과 차이에 무게를 두지 않았습니다 (결과 신념). 그녀는 마약 을 휴대하기가 쉽다는 것을 알았을뿐만 아니라(통제 신념), 그녀의 남자 친구를 위해 마약을 들고 그녀가 자신에게 중요한 다른 사람에게 comply할 것이라는 동기를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모든 학생들은 criminal conviction(약물 소유를 포함하여)의 잠재적 결과와 그러한 conviction을 숨길 때 어떤 결과가 따르는지를 포함하여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제공 받았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은 그러한 지침을 따르려는 동기가 부족함을 분명히 보여주었습니다.

Program director’s perspective. The student only admitted to possessing cocaine when she realized she had to declare convictions to the GMC. She had not weighed the consequences of a partial versus a full declaration to the school (outcome beliefs). Not only did she find it easy to carry the drugs (control beliefs), but by carrying the drugs for her boyfriend, she demonstrated her motivation to comply with a salient other. Furthermore, all students at her university were provided with professionalism teaching, which includes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criminal convictions (including drug possessions) and nondisclosure of such convictions; therefore, this behavior clearly demonstrated a lack of motivation to comply with such guidance.


학생의 관점. 학생은 유죄 판결을 받았을 때 완전히 고백하지 않았습니다. 그녀의 행동의 결과를 평가 한 후, 그녀는 그녀가 완전히 고백을한다면 그녀는 추방 될 것이라고 걱정했다(결과 신념). 그녀는 남자 친구를 대신하여 행동했으며(규범 적 신념), 그의 요구를 따르겠다는 동기를 가졌습니다. 그녀는 마약을 소지한 것(행동 신념) 또는 그것이 그녀의 커리어 전체에 미칠 영향(결과 신념)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Student’s perspective. The student did not confess completely when she was first convicted; having evaluated the consequences of her behavior, she worried that if she gave a full confession she would be expelled (outcome beliefs). She had acted on behalf of her boyfriend (normative beliefs) and had motivation to comply with his request. She had not considered the consequences of carrying drugs (behavioral beliefs) or the impact it would have throughout her career (outcome beliefs).



결과. 학생은 "마약 취급, 소유 또는 오용"에 대해 FTP 패널에 회부되었으며, criminal conviction에 대한 full declaration을 하지 못했습니다 .1 FTP가 위반 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몇 년 전에 그 위반이 있었지만, 그녀는 현재 그녀가 practice하기에 적합하다고 확신하지 못했습니다. 그녀는 1 년간 연구를 중단했으며, 그녀는 중독 문제가있는 의사에게 피해를 입은 환자 및 간병인과 협력하는 치료 프로그램을 수행했습니다. 그녀는 왜 정직이 의사의 업무에서 핵심적 이었는지에 대한 에세이를 작성해야했습니다.

Outcome. The student was referred to an FTP panel for “dealing, possessing or misusing drugs” and failing to make a full declaration of a criminal conviction.1 Her FTP was found to be breached; although the offence had occurred some years previously, the panel did not feel confident that she was currently fit to practice. She was suspended from studies for one year, during which she undertook a remedial program that involved working with patients and caregivers who had suffered harm from doctors with addic tion problems. She was asked to write an essay on why honesty was central to the work of a doctor.



사례

A worked example


Table 1 presents Case 1 as a worked example




고찰

Discussion


의료 전문성을 정의하는 문제로 인해 행동에 초점을 맞춘 조작적 정의가 만들어졌지만, 의료 교육 공동체에서 태도를 연구하는 것이 똑같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나타났습니다.

Though the challenge of defining medical professionalism has led to operational definitions focusing on behavior,22,46,47 there is an emerging acknowledgment 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at studying attitudes is equally important.48




TPB의 강점

Strengths of the TPB


TPB의 강점은 행동 결정 요인을 체계적으로 검사하여 FTP 프로세스를 표준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문화적 영향 또는 의과대학 환경 (즉, 숨겨진 커리큘럼 49,50)과 같은 요인들을 가지고 행동을 맥락화한다.

A strength of the TPB is that it enables behavioral determinants to be systematically examined, offering a method of standardizing FTP processes. It contextualizes behavior, accounting for factors such as cultural influences36,37 and medical school environments (i.e., the hidden curriculum49,50).


예를 들어, 학생 C는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부적절하게 행동했습니다. 이것이 그의 잘못을 완화하지는 못하지만, 이 프로페셔널리즘의 lapse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인정되어야합니다.

For example, student C behaved inappropriately in a different cultural context; although this may not mitigate his misconduct, it needs to be acknowledged as a determinant of this lapse in professionalism.


또 다른 예로, 학생 D는 마약 소지의 결과가 어떠한지에 대한 정보를 받었지만, 여전히 부적절한 행동을 보였으 며 동료들 사이에 그런 행동을 받아 들일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As another example, student D had been informed about the consequences of drug possession but still behaved inappropriately, possibly demonstrating an acceptance of such behavior among her peers.


이처럼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결여와 관련된 규범적 신념을 탐구하면, 전체 교육과정에 걸쳐서 프로페셔널리즘 개발을 향상시킬 수있는 기관 수준에서도 프로페셔널리즘 문제를 탐구할 수 있다.16

Exploring these normative beliefs in the context of students’ professionalism lapses allows them to also be tackled at an institutional level,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cross curricula.16


TPB는 뻔뻔스러운 양심의 가책을 분석 할 수있는 틀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속임수를 사용하는지 (예 : 행동을 규범적 기대와 일치시키는지) 결정하는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9,51 예를 들어, 학생 A, B, C는 모두 양심의 가책을 표했습니다. 그러나 학생 A는 FTP 패널 회부에 저항했지만 학생 B와 C는 분쟁없이 프로그램 디렉터의 결정을 수락했습니다.

The TPB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apparent remorse and can help determine whether students are faking it (i.e., aligning their behavior with normative expectations).29,51 For example, students A, B, and C all expressed remorse; however, student A challenged her referral to an FTP panel, whereas students B and C accepted the program director’s decision without dispute.



TPB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TPB


TPB의 적용은 측정하기 어려운 신념과 태도의 평가에 달려있다 .48 이론적으로 태도 문제를 식별하여 targeted 치료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개입이 태도 변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다 .42 Faking의 개념으로 돌아가서, 그러한 개입의 부족은 학생이 재교육 과정을 완료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이것이 표면상으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이더라도, 태도에는 실질적인 변화가 전혀 없을수도 있다.

The application of the TPB relies on the assessment of beliefs and attitudes that are difficult to measure.48 Identification of an attitudinal problem theoretically allows the development of a targeted remediation strategy;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at such an intervention will lead to attitudinal change.48 Returning to the concept of faking it,51 the lack of such interventions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a student to complete a remediation process, ostensibly having undergone an appropriate shift in attitude, without any substantive change.


TPB의 또 다른 한계는 조직의 프로페셔널리즘 문화를 분석하기 위해 개인 행동을 근접지표proxy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위계에 대한 학생들의 존중을 감안할 때, 학생들은 개인의 프로페셔널리즘 lapse와 학교의 숨겨진 커리큘럼을 평가하는데 관련된 맥락적 요인을 보고하지 않을 수 있어서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제한됩니다.

Another limitation of the TPB is that it uses an individual’s behavior as a proxy to analyze an organization’s culture of professionalism. Given students’ described respect for the medical hierarchy,34 students may not report contextual factors that could be relevant to both th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s lapse in professionalism and the school’s hidden curriculum, thus limiting the generalizability of any findings.



마지막으로, TPB의 사용은 수집 된 증거만큼만 우수합니다. TPB는 본질적으로 증거 수집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표준화되지 않은 증거 수집 시스템에 의존합니다. 이것은 결코 극복 할 수없는 장애물은 아니다. 그러한 증거 수집에 대한 심리학 적 이론의 적용은 이미 제안되었다 .29 심리적 TPB 이론적 구조의 결합은 분명히 가능성의 영역 내에있다.

Finally, the use of the TPB is only as good as the evidence collected. As the TPB does not inherently contain a system for collecting evidence, it relies on nonstandardized systems of evidence collection. This is not an insurmountable obstacle: The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y to the collection of such evidence has already been proposed.29 A combined psychological–TPB theoretical framework is certainly within the realm of possibility.



Conclusion




14 Cruess SR, Cruess RL. Teaching professionalism—Why, what and how. Facts Views Vis Obgyn. 2012;4:259–265.


27 Cruess SR, Cruess RL, Steinert Y. Linking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to the social contract: A call for cultural humility. Med Teach. 2010;32:357–359.


28 Archer R, Elder W, Hustedde C, Milam A, Joyce J.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in medical education: A model for integrating professionalism training. Med Educ. 2008;42:771–777.


29 Rees CE, Knight LV. The trouble with assessing students’ professionalism: Theoretical insights from sociocognitive psychology. Acad Med. 2007;82:46–50.


36 Jha V, Mclean M, Gibbs TJ, Sandars J. Medical professionalism across cultures: A challenge for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15;37:74–80.


37 Ho MJ, Lin CW, Chiu YT, Lingard L, Ginsburg S. A cross-cultural study of student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ilemmas: Sticks or ripples. Med Educ. 2012;46:245–256.


26 Goldie J.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Considerations for educators. Med Teach. 2012;34:e641–e648.







 2016 Jun 28. [Epub ahead of print]

Framework for Understanding Lapses in Professionalism Among Medical StudentsApplying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Fitness to Practice Cases.

Author information

1
V. Jha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head of undergraduate school,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nited Kingdom. S. Brockbank is clinical teaching fellow,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nited Kingdom. T. Roberts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Leeds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Leeds, Leeds, United Kingdom.

Abstract

Fitness to practice decisions are often based on a student's digression from the regulations, with limited exploration of the reasoning behind the student's behavior. However, behavior is underpinned by complex, "hidden" variables, including an individual's attitudes and social norms. Examining hidden determinants of professionalism, such as contex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norms, and local cultures, then allows medical educators to develop a richer understanding of unprofessional behavior.In this article, the authors propose the us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s a framework to help evaluate unprofessional behavior in students. The TPB is a deliberative processing model that explains how an individual's behavior is underpinned by his or her cognitions, with behavior being primarily dependent on the intention to perform the behavior (behavioral intention). Intention, in turn, is determined by three variable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To understand the practical use of the TPB, the authors present four complex, anonymized case studies in which they employed the TPB to help deal with serious professionalism lapses among medical students. The outcomes of these cases as well as the student and program director perspectives, all explained via the TPB variables, are presented.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TPB are discussed.

PMID:
 
27355781
 
DOI:
 
10.1097/ACM.0000000000001287


"저도 제 개인생활이 있잖아요": 디지털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관점(Med Teach, 2013)

‘‘I have the right to a private life’’: Medical students’ views about professionalism in a digital world

SHELLEY ROSS, KRISTA LAI, JENNIFER M. WALTON, PAUL KIRWAN & JONATHAN S. WHITE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도입

Introduction


페이스 북은 캐나다에 1 억 850 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에 1 억 6 천 8 백만 명이 있습니다(SocialBakers 2012). 즉, 양국 인구의 50 % 이상이 Facebook 계정을 개설했습니다.

Facebook has 18.5 million users in Canada, 168 million in the United States (SocialBakers 2012) – which means that over 50% of the populations of those two countries have set up a Facebook account.


페이스북의 보편성에 대해 의학 교육자들의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르치고있는 학생들은 자신의 삶에서 모든 것을 공유하는 데 익숙하지만 프라이버시, 기밀성, 전문적 경계에 대한 존중이 필수적인 직업에 뛰어 들고 있습니다. 최근의 문헌에 따르면 페이스은 의대생들 사이에서 매우 널리 퍼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의대생의 60 % 이상과 영국의 의대생의 70 % 이상이 Facebook의 active user입니다 (Gray 외. 2010).

The ubiquity of Facebook is an increasing concern for medical educators. The students we are educating are used to sharing everything in their lives, yet are entering a profession where respect for privacy, confidentiality and professional boundaries are essential. Facebook use is highly prevalent among medical students, according to recent literature. According to a recent study, at least 60% of medical students in the US and over 70% of medical students in the UK are active users of Facebook (Gray et al. 2010).


갓 의대에 입학한 학생들은 자신이 전체공개로 작성한 내용들이 자신의 프로페셔널리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있다 (Thompson et al., 2008). 의과대학 입학 전 상황에서 학생들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학문적 정체성과 구별됩니다. 그러나 보건 전문 분야에 들어가면, 학생들은 이전에 개인으로 간주되었던 활동이 프로페셔널리즘 맥락에서 관련될 수도 있는 직업적 정체성을 가져야합니다.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Thompson 외. 2008)의 높은 접근가능성과 포괄적 특성은 [개인적인 것]과 [의료 전문가로서의 학생을 바라보는 대중의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사이의 경계를 더욱 흐리게 만듭니다. 

Medical students in the early stages may not understand that their publicly available content directly affects their professionalism (Thompson et al. 2008). In the undergraduate, pre-medical context,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partake are generally considered distinct from their academic identities. Once entering a health profession, however, students must assume a professional identity, where activities previously considered personal may become relevant in a professional context. The widely accessible and comprehensive nature of social networking sites (Thompson et al. 2008) further blur the line between what is personal and what can impact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student as a medical professional.


개인과 대중 사이의 경계선이 희미 해지는 것은 의학에서 비교적 새로운 문제입니다. 환자들은 점점 인터넷에서 자신의 의사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며 (Gorrindo & Groves 2008) 사진, 댓글, 상태 업데이트 및 Facebook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거의 모든 활동은 전세계 웹에 영구적 인 항목으로 기록됩니다. 자신을 진료해주는 의사의 전문성 (또는 능력)에 대한 환자의 인식은 그 의사가 게시 한 부적절하거나 의심스러운 콘텐츠를 발견할 경우 악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Collier 2012).

 The blurring of the line between personal and public is a relatively new problem for medicine. Patients increasingly search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about their doctors (Gorrindo & Groves 2008), and photos, comments, status updates and almost any other activity on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Facebook are often permanent entries on the worldwide web. A patient’s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ism (or even competence) of the physician caring for them could be adversely affected by the discovery of inappropriate or questionable content posted by or about their physician (Collier 2012).


흥미롭게도 전문성에 관한 가장 최근의 간행물조차도 소셜 미디어 (예 : Donoff paper CFP 2012)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Interestingly, even the most recent publications about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fail to mention social media (e.g. Donoff paper CFP 2012).



방법

Methods


The data from this article were collected as part of a larger multimethod study addressing student perceptions about, and use of, social media sites. All medical students in all years (682) at a mid-sized Canadian medical school were invited to complete an on-line survey.



결과

Results


응답자의 93 %가 활성화된 Facebook 계정을 가지고있었습니다.

93 % 중 84 %는 하루에 두 번 이상 계정을 확인합니다.

또한 Facebook 계정 사용자 중 91 %는 Facebook 계정에 액세스 할 때마다 Facebook에서 10 분 이하의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보고했습니다.

Ninety-three percent of respondents had active Facebook accounts. 

Of that 93%, 84% check their account two or more times/day. 

In addition, 91% of those with Facebook accounts reported that they spend 10 minutes or less on Facebook each time they access their account.



프로페셔널리즘 (일반)

Professionalism (general)


    • 응답자의 99 %는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전문가로서 기대되는 것이 무엇인지도 잘 안다고 응답했다. 

    • 94 %는 프로페셔널리즘이 요구되는 것에 동의합니다. 

    • 93 %는 높은 수준의 프로페셔널리즘이 의과대학생때부터 기대되어야 한다고 느꼈다. 

    • 그러나 74 %는 프로페셔널 프로그램의 초창기에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해 약간의 관대함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했다.

    • Ninety-nine percent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what is expected of them as professionals. 

    • Ninety-four percent agree with the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 Ninety-three percent felt that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should be expected of healthcare student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time as a student; 

    • however, 74% felt that there should be some leniency regarding small incidents of unprofessional conduct in the early years of a professional program.


    • 프로페셔널리즘의 맥락에서 100 %의 학생들이 진료실이나 병원에서 항상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 학생의 78 %는 대학에서도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해야한다고 생각했다. 

    • 일반인의 자유 시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43 %만이 "항상at all times" 전문적으로 행동해야한다고 느꼈습니다.

    • In terms of context of professionalism, 100% felt that students should act professionally at all times in the clinic or hospital. 

    • Seventy-eight percent felt that students should act professionally at the University. 

    • In terms of their free time in view of the public, only 43% felt they needed to act professionally at all times.


주제 1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때에는, 더 이상 전문인이 아니므로 다른 상황에서의 전문적 행동 지침에 상관없이 그들이 선택한대로 행동 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많은 의견은 사적private인 삶이 사적인 것임을 강조했다. 그리고 직장에서와 동일한 기대에 의해 통제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이 주제에 해당하는 의견은 임상적 환경 밖에서까지 프로페셔널리즘을 기대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라고 보았다.

In regards to Theme 1, respondents felt that when on their own time, students were no longer professionals, and so should be able to behave as they choose, without regard to guidelines for professional conduct in other contexts. Many comments stressed that private life is that – private – and should not be governed by the same expectations for professionalism as in the workplace. Comments that corresponded to this theme defended why it was unrealistic to expect professionalism outside the clinical setting.


주제 2는 의견이 분석 될 때 떠오르는 예상치 못한 주제였습니다. 이 주제에서 응답자는 이전 질문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이해한다고 주장했지만, 이 부분에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설명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기대에 대해 학생들의 오해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학생들은은 전문성을 논의 할 때 타인과의 딱딱하고 비현실적인 상호 작용을 언급했습니다.

Theme 2 was an unexpected theme that emerged as the comments were analyzed. In this theme, comments reflected that while respondents had claimed to understand professionalism in an earlier question, the statements made about professionalism in this section indicated that there may be a misunderstanding among students about the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Multiple comments referred to rigid, unrealistic interactions with others when discussing professionalism.


주제 3은 단순히 책임감있게 삶을 살아야한다는 생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보다 현실적인 견해였다. 이 주제는 최소한 3 가지 주요 주제 중 가장 적게 등장했습니다.

Theme 3 emerged as a more realistic view of professionalism as the idea of simply living life responsibly. This theme emerged least often of the three main identified themes.





프로페셔널리즘(온라인)

Professionalism (online)


응답자는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온라인 전문성에 대한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동일하지 않았습니다.

Respondents were not homogeneous in their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online professionalism, as seen in Table 2.


페이스 북에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자료를 게시 한 동료를 알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51 %의 학생들이 '예'라고 말했고 60 명의 학생들은 텍스트 예시를 제공했습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올리지 말았어야 할 소셜 미디어 웹 사이트에 대한 게시물이나 댓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까? ''라고 답한 사람은 24 %이고 '예'라고 답한 사람이 33 명이며 예를 든 사람이 있습니다.

When asked if they were aware of a colleague posting unprofessional material on Facebook, 51% of students said ‘‘Yes’’ and 60 students gave free text examples. When asked ‘‘Have you yourself ever made a post or comment on social media websites that, in hindsight, you probably shouldn’t have’’, 24% said ‘‘Yes’’ and 33 students gave examples.


또한 응답자는 온라인상에서 프로페셔널답지 않은 행동을 구성요소에 대해 이견이 있었다. 온라인에 게시 된 내용이 프로페셔널하지 않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는 부적절성에 대한 다양한 응답을 보였습니다. 대부분의 응답자 (90 % 이상)는 게시물에 환자에 대한 사진이나 기타 식별 정보가 있는 것을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42 %만이 환자와의 만남을 설명하는 게시물(식별 정보가 없더라도)을 전문적이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모든 응답자 중 절반이 과정 자료, 프로그램, 교수 또는 대학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표명하는 것이 전문가가 아닌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Respondents also did not always agree about what constituted unprofessional behaviour online. When asked to indicate whether something posted online was unprofessional, respondents showed varying responses in terms of what they felt was inappropriate. While most respondents (over 90%) felt that photos or other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a patient in a post was inappropriate, only 42% felt that a post describing an encounter with a patient (with identifying information removed) was unprofessional. Half of all respondents did not think it unprofessional to make critical comments about course material, the program, the faculty or the university.


응답자들은 또한 '다른 전문직에 비해서 의사들의 온라인 프로페셔널리즘이 더 중요합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응답자의 46 %는 의사/의대생의 온라인 프로페셔널리즘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54 %는 이 문제가 모든 보건 전문가들에게 똑같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Respondents were also divided about the question ‘‘Is online professionalism more or less important in other professions than your own?’’ Forty-six percent of respondents felt that online professionalism was more important for those in an MD program; 54% felt the issue is equally important across all health professions.





Discussion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을 잘 이해한다고 주장하지만,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프로페셔널로서 자신의 행동 - 특히 온라인 - 이 다른사람들에게 비춰지는지에 대한 인식] 사이에는 큰 간극이 있다.

Whil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something that students claim to understand well, there is a disconnect between students’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awareness of how their own behaviour – especially online – may reflect upon how others would view them as a professional.


우리의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8 %는 온라인 프로페셔널리즘이 실제 세계에서 전문성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동의했지만, 응답자들은 일반적으로 온라인 행동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느끼지 않았습니다. 응답자들은 페이스 북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받아 들일 수있는 것에 대해 더 관대 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정보를 공개하는 것과 같은 명백한 전문성 위반은 분명히 용납 될 수 없지만, 과목이나 교수에 대해서 비판적인 코멘트를 남기거나 논쟁의 여지가있는 문제에 대한 논평을 하는 등의 것들은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 our results, we discovered that while 88% of respondents agreed that online professionalism is just as important as professionalism in the real world, respondents generally did not feel that there needed to be checks on online behaviour. Respondents also appeared to be more lenient about what was acceptable in online communities such as Facebook. While obvious professionalism violations such as disclosing patient information were clearly unacceptable, some issues such as making critical comments about courses or faculty or making opinionated comments about controversial issues, were seen by many respondents as being acceptable.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어떤 의과대학생이 real life에서 수행하는 경우 수용가능하지 않다고 보일 수도 있습니다.

These behaviours would likely be seen as unacceptable if carried out in real life by an individual identified as being a part of a medical school


학생들은 real life에서 목격되길 바라지 않는 행동은 온라인에서도 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students need to understand that if you would not want someone to witness you do or say something in real life, do not do it online.



직접 받아 들여질 수있는 것과 온라인에서 받아 들여질 수있는 것 사이의 뚜렷한 간극은 일부 의대생이 온라인 행동에 곤란을 겪는 이유의 일부일 수 있습니다.

  • Thompson et al.의 연구 (2008)는 플로리다 대학 800 명 이상의 의과 대학생 및 거주자의 Facebook 프로필을 조사했습니다. 그들은 모든 trainee 중 47 %가 페이스 북 계정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으며 그 중 대다수는 연구 분야 및 사진과 같은 개인 정보를 포함합니다. 계정의 3 분의 1만이 프라이버시 설정이 정보의 공개 액세스를 막을 정도로 충분히 높게 설정되었습니다.

  • 뉴질랜드의 유사한 연구 (MacDonald 외. 2010)는 한 의과 대학에서 최근 졸업생 (2006-2007)의 Facebook 프로필을 조사했습니다. 확인 된 의사 338 명 중 65 %가 Facebook 계정을 보유하고있었습니다. 37 %는 적절한 개인 정보 설정을 해두지 않았다. 개인의 정보 및 사진 외에도, 일부 계정에는 불쾌감을 줄 수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리버풀 대학 (University of Liverpool)의 의과 대학생들은 의학자 연수생들 사이에서 Facebook이 자기보고 한 사용을 결정하는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96 %가 Facebook 계정을 갖고 있으며, 거의 모든 사람들이 실명을 사용중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 응답자의 52 %는 Facebook에 부적절한 사진이 있다는 것을 나타 냈습니다. 또한 응답자의 54 %는 Facebook에서 프로페셔널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한 온라인 행동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The apparent disconnect between what is acceptable in person and what is acceptable online may be part of the reason that some medical students find themselves in trouble for online behaviour. 

  • A study by Thompson et al. (2008) looked at the Facebook profiles of over 800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he University of Florida. They found that 47% of all trainees had Facebook accounts, the majority of which contained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field of study and photographs. Only one-third of the accounts had privacy settings set sufficiently high to prevent public access of the information. 

  • A similar study in New Zealand (MacDonald et al. 2010) examined the Facebook profiles of recent graduates (2006–2007) from one medical school. Of the 338 doctors identified, 65% had Facebook accounts; 37% of accounts did not have adequate privacy settings. In addition to personal information and photographs, some accounts contained information that could be seen as offensive. 

  • Similarly, in a survey to determine self-reported use of Facebook among medical school trainees (Garner & O’Sullivan 2010),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Liverpool found that 96% of respondents had Facebook accounts, and almost all were under their real names. Fifty-two percent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re were inappropriate photos of themselves on Facebook. In addition, 54%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seen unprofessional or inappropriate online behaviour on Facebook.



리버풀의 연구에서, 훈련생의 78 %는 용인 할 수없는 행동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 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용 불가능한 행동을 이해하는 것]과 [수용 불가능하다고 인식될 행동에 참여하는 것]사이에 overlap이 있다고 밝혔다.

In the Liverpool study, 78% of trainees indicated that they understood what constitutes unacceptable behaviour, yet there was an overlap between understanding what was unacceptable and participating in what would be perceived as unacceptable behaviour online.



이 연구의 한 가지 뚜렷한 발견은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기대가 직장 내외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었습니다. 응답자들은 의과대학생 및 레지던트가 직장에서 항상 프로페셔널해야한다는 데 동의했지만, 자유 시간에도 프로페셔널리즘을 지켜야 하는가에 대해 의견 차이가있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유 시간은 내 시간'이라는 표현으로 extensive comment를 쓴 것으로 보아, 이들은 이 주제에 대해 충분히 강하게 느끼고 있었으며, 학생들은 진료실이나 병원을 떠난 후에는 그들의 profession과 connection이 없는 private이라고 말했다. 여러 학생이 항상 높은 수준의 프로페셔널리즘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고된 프로그램에서 downtime이 필요함을 옹호했다.

One distinct finding from this study was students’ perception of how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apply in and out of the workplace. While respondents all agreed that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must be professional at all times in the workplace, there were differences of opinion regarding what is acceptable in one’s free time. Many respondents (20%) felt strongly enough about this topic for taking the time to write extensive comments, expressing ‘‘free time is my time’’, and respondents felt that once they left the clinic or hospital, they were private individuals with no connection to their profession. Many comments mentioned how impossible it is to be held to a high standard of professionalism at all times and defended the need for downtime in a demanding program.


마지막으로 놀라운 것은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 개념에 대한 이해였다. 여러 학생들은 프로페셔널리즘을 거의 인간이 아니라 로봇의 행동으로 생각했다 : 유머가없고, levity도 없고, 개성이 자리할 공간도 없다. 이 의견은 응답자가 프로페셔널리즘의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발견은 더 깊이 탐구되어야하며 커리큘럼 디자인에 잠재적 인 영향을 미칩니다.

Finally, a surprising finding was students’ apparen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s a concept. Many of the comments alluded to professionalism as almost inhuman, robotic behaviour: no humour, no levity and no accommodation for personality. These comments suggest that respondents may not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This finding needs to be explored further and has potential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한계와 연구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여러 기관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지

Another area for future research is to replicate the survey across multiple institutions to determine if similar findings arise.



결론

Conclusion


프로페셔널리즘은 학생들에게 어려운 개념입니다. 전문가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한다고 profess하면서도, 프로페셔널한 행동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응답자의 설명은 비현실적이었습니다. 커리큘럼에는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다 명확한 정의와 설명이 포함되어야합니다.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한다고 해서 자신의 정체성과 성격을 완전히 잃는 것은 아니며,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과정에서 명시 적으로 가르쳐야합니다.


Professionalism is a difficult concept for students. Even when they profess to understand what it is to be a professional, our respondents’ explanations of what professional behaviour looks like was unrealistic. Curriculum needs to include more clear definitions and descriptions of what it is to be a professional. Acting in a professional manner does not need to mean completely losing one’s own identity and personality, and this needs to be explicitly taught in professionalism curricula.



용어: SNS
Social network sites: Web-based services that allow individuals to
  • 제한된 시스템 내에서 공개 또는 반 공개 프로필을 작성한다.
  • 연결을 공유하는 다른 사용자의 목록이 분명하다
  • 시스템 내에서 자신 및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연결 목록을 볼 수 있으며, traverse할 수 있다.
  • construct a public or semi-public profile within a bounded system;
  • articulate a list of other users with whom they share a connection; and
  • view and traverse their list of connections and those made by others within the system.

Reference: Boyd DM, Ellison N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 Comput Mediat Commun 13(1):210–230.












 2013 Oct;35(10):826-31. doi: 10.3109/0142159X.2013.802301. Epub 2013 Jul 5.

"I have the right to a private life": medical students' views about professionalism in a digitalworld.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Alberta , Canada.

Abstract

BACKGROUND:

Social media site use is ubiquitous, particularly Facebook. Postings on social media can have an impact on the perceived professionalism of students and practitioners.

AIM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owards professionalism, with a specific focus on online behaviour.

METHODS:

A volunteer sample of students (n = 236)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abou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in online environments. Respondents were encouraged to provide free text examples and to elaborate on their responses through free text comments. Descriptive analyzes and emergent themes analysis were carried out.

RESULTS:

Respondents were nearly unanimous on most questions of professionalism in the workplace, while 43% felt that students should act professionally at all times (including free time). Sixty-four free text comments revealed three themes: "free time is private time";" professionalism is unrealistic as a way of life"; and "professionalism should be a way of life".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a disconnect between what students report of what they understand of professionalism, and what students feel is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in both online and real life behaviour. Curriculum needs to targe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in online and real environments and communicate realistic expectations for students.

PMID:
 
23826730
 
DOI:
 
10.3109/0142159X.2013.802301


온라인 의료 프로페셔널리즘: 환자와 공중관계성 ACP-FSMB 정책강령(Ann Intern Med, 2013)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 Patient and Public Relationships: Policy Statemen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 


Jeanne M. Farnan, MD, MHPE; Lois Snyder Sulmasy, JD; Brooke K. Worster, MD; Humayun J. Chaudhry, DO, MS, SM; Janelle A. Rhyne, MD, MA; Vineet M. Arora, MD, MAPP; for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Ethics, Professionalism and Human Rights Committee;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Council of Associates; the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 Special Committee on Ethics and Professionalism*




환자와 대중을 보호하고 양질의 헬스케어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테크놀로지 사용의 기회를 활용하는 것과 그에 내재된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이 지적했듯이 "전문성을 희생시켜서 연결성connectivity를 얻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3).

To protect patients and the public and promote quality health care, it is critical to strike the proper balance to harness opportunities while being aware of inherent challenges in using technology. But as others have pointed out, “Connectivity need not come at the expense of professionalism” (3).


혁신은 종종 이익을 가져 오지만, 기술 도입의 속도는 때로 기존 정책, 법률 및 지침의 변화속도를 능가합니다.

Innovations often bring benefits, but rapid introduction of technology sometimes outpaces existing policies, laws, and guidelines.


  • 여기서 "온라인"또는 "디지털"은 컴퓨터와 전화를 사용한 정보의 electronic posting을 의미합니다. 

  • "웹 2.0"은 사용자에 의해 자체 제작된 콘텐츠 리소스가 미디어 공유 플랫폼을 통해 대중에게 유포되는 것를 말합니다.

Here, “online” or “digital” refers to the electronic posting of information and its exchange using computers and phones. 

“Web 2.0” refers to those resources in which self-created content by users is made and posted for public dissemination by means of media sharing platforms.


방법

METHODS


This position statement was authored on behalf of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Ethics, Professionalism, and Human Rights Committee, the ACP Council of Associates, and the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 (FSMB) Special Committee on Ethics and Professionalism. They and the authors developed the statement between May 2011 and October 2012.




입장

POSITIONS


입장 1 : 온라인 미디어를 사용하여 환자와 의사에게 상당한 교육적 혜택을 가져올 수 있지만, 윤리적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문직과 환자 - 의사 관계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서 의사는 온라인 환경과 온라인 의사소통에 있어서도 관계, 기밀 유지, 사생활, 인간에 대한 존중 등을 보존preserve하는데 필요한 윤리적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해야합니다.

Position 1: Use of online media can bring significant educational benefits to patients and physicians, but may also pose ethical challenges. Maintaining trust in the profession and in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s requires that physicians consistently apply ethical principles for preserving the relationship, confidentiality, privacy, and respect for persons to online settings and communications.


환자 - 의사 관계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전문적 상호 작용을 위한 표준은, 면대면이든 온라인이든, 환자와 의사 간의 모든 의사 소통 유형에 대해 일관성을 유지해야합니다. 환자와 의사 간의 만남encounter은 양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를 수반하는 확립된established 환자 - 의사 관계의 범위 내에서만 발생해야합니다.

Standards for professional interactions should be consistent across all form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atient and physician, whether in person or online. Encounters between patients and physicians should only occur within the bounds of an established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which entails rights and obligations for both parties.



전자 메일 및 기타 의사 소통 수단은 면대면 만남을, 보완 할 수는 있지만, 대체 할 수는 없습니다.

E-mail and other electronic means of communication can supplement, but not replace, face-to-face encounters.


온라인 프로페셔널리즘은 [바디랭귀지의 맥락이 없는 서면 언어의 모호함], [온라인 매체의 남용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5). 소셜 미디어 도구의 사용 용이성 및 즉각성 (특히 사용자가  “pausing before posting”하지 않는 경우)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 또는 메시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Online professionalism can pose challenges because of the ambiguity of written language without the context of body language or lack of awareness of the potential abuses of such media (5). The ease of use and immediacy of social media tools—especially if users do not engage in “pausing before posting”—can lead to unintended outcomes or messages.



환자 - 의사 관계를 온라인으로까지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초반에 중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

    • 교환의 의도 된 목적과 대화의 내용;

    • 온라인 미디어의 즉각성과 그에 따르는 기대(e.g. 응답 시간)

    • 어떻게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의사 소통을 할 것인지(예 :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마이크로 블로깅 또는 보호 된 서버의 전문 전자 메일을 통해) 

    • 긴급 상황을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

The initial decision about whether to extend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to the online setting includes the following factors: 

    • the intended purpose of the exchange and the content of conversation; 

    • the immediacy of electronic media and expectations, including response time; 

    • how communication will take place (for example,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microblogging, or professional e-mail on a protected server) while maintaining confidentiality; and 

    • how emergency or urgent situations will be managed.



환자 - 의사 관계 : 친구를 맺을 것인가 말 것인가?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To Friend (and Google) or Not to Friend (and Google)?


때때로 환자가 먼저 온라인 의사 소통을 시작하기도 한다. 최근의 한 연구는 (친구를 맺거나 응답하는 의사들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가 의사에게 온라인 "친구"요청을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기관 정책은 점점 의사와 환자 간의 온라인 소통을 권장하지 않는 쪽으로 가고 있다(8). FSMB는 특히 의사들이 "페이스 북과 같은 개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서 현재 또는 과거 환자와 상호 작용"(9)하지 않기를 권한다.

Patients will sometimes initiate online communication. One recent study suggested that many patients extend online “friend” requests to their physicians, although very few physicians reciprocate or respond (7). Organizational policy statements increasingly discourage 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online (8). The FSMB specifically discourages physicians from “interacting with current or past patients on personal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Facebook” (9).


웹에서 교환되는 정보는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어도 양방향 도로입니다. 환자가 의사의 개인 행동에 대해 알게되는 것처럼, 의사는 환자가 어떤 risk-taking 또는 반-건강적 행동을 하는지 관찰 할 수 있습니다.

Information exchanged on the Web is at least a 2-way street because it may also be available to the general public. Just as patients may learn about the personal behavior of physicians, physicians may observe patients participating in risk-taking or health-averse behaviors.


(응급실에서 의식이없는 환자를 식별하기위한 시도를 포함하여) 인터넷에서 환자 정보를 검색하는 의사의 행동은 여러 상황에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종종 이것은 "호기심, 관음증 및 습관"(10)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비록 일화적인 보고서가 약간의 이점을 강조하지만(예를 들어, 환자가 자살에 관해 블로깅을 하고 있을 때 개입하는 것), 이러한 행동은 professional-personal 경계를 흐리게 할 잠재적 위험이 있다.

This online practice, known as patient-targeted Googling, has been described in many settings, including an attempt to identify an unconscious pati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But often, it instead can be linked to “curiosity, voyeurism and habit” (10). Although anecdotal reports highlight some benefit (for example, intervening when a patient is blogging about suicide), real potential exists for blurring professional and personal boundaries.


환자와 의사 교육

Patient and Physician Education


인터넷은 교육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질병 관련 소셜 네트워킹 페이지 (10)를 사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 할 수 있습니다.

The Internet can be a powerful tool for education. Patients can share and discuss information using illnessspecific social networking pages (10).


의사는 환자가 추천하는 온라인 리소스의 질을 고려하여야 하며, 환자에게 정보의 퀄리티가 확인되는 피어 리뷰 미디어 및 웹 사이트를 알려줘야 한다. 주 의료위원회 또는 대학의 권고 사항을 사용하고 공유하면, 의사와 환자 모두 정확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hysicians should consider the quality of online resources they recommend and guide patients to peerreviewed media and Web sites where the quality control of information can be checked. Using and sharing recommendations from state medical boards or the College may help direct physicians and patients to resources that are more accurate and objective.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킹은 공중 보건에도 도움이됩니다 (16). 그러나 온라인 활동은 개인 의사는 물론 전문직 전체에 대해서도 윤리적인 어려움을 가져옵니다. 디지털 미디어는 온라인 토론 커뮤니티와 유사한 수단을 통해 의사와 의사 간의 상호 작용과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확인되고 등록된 사용자만 공유 정보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의사의 책임입니다. Clinical vignettes에는 모든 개인 식별 정보를 제거해야합니다.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can also serve the public health (16). But online activities also bring ethical challenges for the profession and individual physicians. Digital media may help to in-crease physician–physician interaction and education via online discussion communities and similar means; however, it is the responsibility of physicians to ensure that only verified and registered users have access to shared information. Clinical vignettes, must have all personal identifying information removed, including any revealing references to a patient who serves as the basis for an illustrative narrative.


동료 간 비공식적인 토론과 마찬가지로, 좌절감과 "환기venting"는 온라인 포럼에서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지어는 close contacts 사이에서조차 무례하거나 프로페셔널리즘을 훼손 할 수 있기 때문에, ACP와 FSMB는 이를 권장하지 않는다. 또한 블로그 게시 또는 트위터와 같은 microblog 사이트에서도 "venting"은 권고되지 않는데, 이런 행동이 부적절하거나 unprofessional하게 비추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7). 늦게 도착한 환자를 비난하거나, 행동 변화 (예 :식이 요법과 체중 감소)를 고수하지 않은 환자를 비난하는 의사는 profession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훼손 할 수 있습니다.

Just as with informal in-person discussions among colleagues, the airing of frustrations and “venting” may occur in online forums. The ACP and the FSMB recommend against this practice, even among close contacts, as it may be disrespectful and undermine professionalism. We also caution against this practice in other forums, specifically blog postings or microblog sites, such as Twitter, as the material may present the physician or physician-in-training in an inappropriate or unprofessional light (17). Physicians criticizing late-arriving patients or disparaging patients for not adhering to behavior changes (such as diet and weight loss) can undermine trust in the profession.




환자 비밀 유지

Confidentiality


비밀을 유지함으로써 환자의 권리와 사생활을 존중할 수 있으며, 비밀을 유지해줄 때 환자가 medical care를 seek하고, 개방적 자세로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

Confidentiality respects patient rights and privacy, and this encourages patients to seek medical care and openly discuss issues.


"의사는 기밀 유지를 위해 환자 정보 저장 및 전송에 대한 적절한 보안 프로토콜을 준수해야 하며, 전자 통신 및 의사 결정 도구 사용에 대한 best practice를 준수해야 한다."

“Physicians must follow appropriate security protocols for storage and transfer of patient information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dhering to best practices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use of decision making tools”



디지털 환경에서 환자 정보 공유는 표준 가정용 인터넷 연결보다 항상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해야합니다.

In digital environments, the sharing of patient information must always be held to a higher level of security than standard residential Internet connections.


EHR을 가정에서 접근하기 전에 기관 내 정책을 검토해야 하며, 특히 개인용 장치에 필요한 보안 수준을 유지해야합니다.

Institutional-based policies on home access of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should be reviewed before use, specifically maintaining the level of security required for use on personal devices.


많은 의사들이 전문 직업을 관리하는 데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솔루션은 기밀성을 보장해야합니다. 특히 장치 나 태블릿 컴퓨터를 사용하여 전자 의료 기록에 액세스하는 경우 특히 그러합니다. 디지털 장치는 장치를 제대로 보관하지 않거나 도난당한 경우에도 환자 정보를 보호하도록 구성되어야합니다. 모바일 관리 솔루션은 이러한 안전망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19). 또한 공개 된 보안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 및 셀룰러 장치 네트워크의 사용은 고유 한 공공 접근성 및 환자 정보가 손상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Because many physicians use mobile devices to help manage their professional careers, mobile solutions are required to ensure confidentiality, especially when such devices or tablet computers are used to access electronic medical records. Digital devices must be configured to protect patient information should the devices be misplaced or stolen; mobile management solutions can help provide such a safety net (19). In addition, the use of public, unsecured wireless networks and cellular device networks is discouraged given their inherent public accessibility and the potential for patient information to be compromised.


환자 사진이나 방사선 사진을 찍을 때, 의사는 모든 건강 기록과 마찬가지로 이 정보를 보호 할 책임이 있다. 교육용 자료에서 방사선 이미지의 deidentification이 보장되어야한다 (21).

In taking a patient photograph or radiographic image, the physician is accepting responsibility to protect this information just as for all health records. Deidentification of radiographic images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lectures must be ensured (21).




의사외 사회

Medicine and Society


프로페셔널리즘은 의사와 사회 간의 사회적 계약의 기초입니다 (22).

Professionalism is the foundation for the social contract between physicians and society (22).


의사와 환자 간의 친밀한 관계가 의사에게 높은 윤리적 행동을 기대하게합니다 (24). 사회적 기대는 종종 professional practice를 넘어 의사의 일상 활동으로 확장됩니다. 잘못된 판단은 (그 판단을 내린) 개인 의사뿐만 아니라 의료계 전체에게 투영된다.

The intimat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results in the expectation of high ethical behavior by physicians (24). Societal expectations often extend beyond professional practice and into the daily activities of the physician. Poor judgment reflects not only on the individual physician but also on the profession.




입장 2 : 온라인에서는 전문 분야와 사회 분야의 경계가 흐려질 수 있습니다. 의사는 두 가지 분야를 분리하여 두 분야에서 모두 프로페셔널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Position 2: The boundaries between professional and social spheres can blur online. Physicians should keep the 2 spheres separate and comport themselves professionally in both.


역할과 대표성

Role and Representation


커뮤니티의 존중을 개인으로서 그리고 직업의 일원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포스팅의 내용 뿐만 아니라 정보를 게시하는 개인의 role도 고려해야합니다. 의사로서 자료를 게시 했습니까? 아니면 의견을 올린 개인이, 어쩌다 의사인 것입니까? 이 구별을 유지할 수 있습니까?

To maintain the respect of the community as individuals and as members of a profession, not only should the content of all online postings be considered but also the role of the individual posting the information. Are individuals posting material in their role as physicians, or are they merely stating opinions and also happen to practice medicine? Can this distinction be maintained?


미국 의사 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는 public과 professional 디지털 정체성을 분리하고, 특히 온라인 사이트나 정체성identities를 별개로 유지할 것을 강력히 제안합니다 (16).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strongly suggests divorcing public and professional digital identities, specifically maintaining separate online sites or identities for the separate roles (16).


ACP 윤리 강령은 "소셜 네트워크, 블로그 및 비디오 사이트와 같은 온라인 미디어를 사용하는 의사는 사회적 정체성과 직업적 정체성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 가능성을 인식해야합니다"(4). 문제는 개인이 의심스러운 자료를 게시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을 의사 또는 의사 (26-28)로 인식할 때 발생합니다.

The ACP Ethics Manual states, “Physicians who use online media, such as social networks, blogs, and video sites, should be aware of the potential to blur social and professional boundaries” (4). Problems occur when individuals post questionable material while identifying themselves as a physician or physician-in-training (26–28).


때로는 의사가 의사로서의 경험에 대해 온라인에 글을 써달라고 요청받거나 자의에 의해 글을 쓸 수도 있고, 웹 사이트에 의사로서 의견을 게시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할 때, credentials와 COI을 공개해야합니다. 웹에서의 의견 게시나 responding에 따르는 위험성을 고려해야합니다. 웹에 진정한 의미의 익명 게시물은 존재하지 않으며, 검색 엔진과 검색 엔진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원본 게시물이나 댓글을 누가 썼는지 알아내는 것은 더 쉬워졌다(29). 의사는 (의도한 것이든 아니든)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에 게시 된 정보는 더 많은 잠재 고객에게 퍼질 수 있고, 원래 글을 작성한 맥락에서 벗어나게 될 수도 있으며, 온라인 상에 공공적으로 게시되거나 영구적으로 검색가능하게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의사는 디지털 미디어에 관한 기관 정책을 따르고 (30) 전문직 학회 및 주 의료위원회에서 지침을 구해야합니다.

At times, physicians may be asked or may choose to write online about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or they may post comments on a Web site as a physician. When doing so, they must disclose their credentials and any conflicts of interest. They should consider the dangers of posting or responding to comments on the Web. Truly anonymous postings do not exist on the Web, and with the increased sophistication of searching and search engines, the ability to link posts or comments to the original contributor has expanded (29). Physicians should be aware that information posted on a social networking site may be disseminated (whether intended or not) to a larger audience, be taken out of context, and remain publicly available or retrievable online in perpetuity. Physicians should follow their institutional policy on digital media (30) and seek guidance from professional societies and state medical boards.



경계 유지

Maintaining Boundaries


ACP와 FSMB는 의사의 개인 및 사회적 온라인 상호 작용에 환자를 포함하지 말 것을 권고합니다. 의사와 환자 사이에는 전문적인 거리와 프라이버시가 있어야 한다. 의사는 개인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환자와 "친구를 맺거나" 접촉해서는 안됩니다. 의사는 자신이 가입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개인 정보 보호 설정 및 계약 조건을 숙지해야하며 개인 계정에 대한 엄격한 개인 정보 설정을 유지해야합니다.


The ACP and the FSMB advise against including patients in the physician’s personal and social interactions online. Professional distance and privacy are appropriate for both physician and patient. Physicians should not “friend” or contact patients through personal social media. Physicians shoul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privacy settings and terms of agreements for social media platforms to which they subscribe, and they should maintain strict privacy settings on personal accounts.



대중의 소비

Public Consumption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에 익숙해져 있는 현재 수련중인 의사는 온라인에 자신의 모습이 professional하게 보여지게 할 책임이 있다는 것에 동의해야 하며, 온라인에서 한 행동을 가지고 자기 자신은 물론 의료전문직 모두가 평가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Physicians-in-training, who at present are most apt to use social media platforms, agree on the responsibility to represent themselves professionally online and are aware that they, and the profession, are being assessed by their online behaviors (7).


네러티브 연구를 보면 "의사가 되는 과정에 관한 집단적 환기venting"에 심리적 이득이 있음을 보여주긴 하지만, 사적으로, 의사들만을 청중으로 의도하고 만든 온라인 의학 수업 촌극, 노래, 쇼, 기타 자료 등이 대중에게 공개되는 일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통에 의문을 제기했다.

Although narrative work has described the psychological benefit of “collective venting toward the process of being doctored” (31), the public availability of online medical class skits, songs, shows, and other material previously intended for sharing in private, physician-only audiences has called into question these traditions.


그러한 offering의 함의를 분석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어찌되었든 그것들이 일반 대중의 소비를 목적으로하지 않음은 명백하며, trainee에게 가치가 있다고 하더라도, 의학교육자는 그것을 더 면밀히 검토해야하며, 온라인 또는 다른 매스 미디어에서 공유되지 않게 해야한다. 일견 무해한 의료계 유머처럼 보이는 것일지라도, 그것을 공개적으로 게시하는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환자와 대중이 자료를 어떻게 인지할 것인지, 그 자료가 관련 기관과 의료계뿐만 아니라 관련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해야한다. 많은 기관 정책은 의료 전문가가 일반 대중이 어떻게 콘텐츠를인지 할 수 있는지를 성찰하는 “pause-before-posting”순간을 권장합니다.

Although we will not attempt to dissect the implications of such offerings, it is clear that these are experiences that are not generally intended for public consumption and, despite any value to the psyche of the trainees, should be examined more closely by medical educators and not shared online or in other mass media. It is prudent to consider the effect of publicly posting something that initially seems like harmless medical humo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how patients and the public would perceive the material and what effect this may have on the individuals involved as well as their institutions and the medical profession. Many institutional policy statements encourage a “pause-before-posting” moment where medical professionals are asked to reflect on how the general public may perceive the content.



전문직 간 관계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다양한 단계에 있는 의사들, 특히 주치의와 학생, 레지던트 사이의 온라인 관계도 중요한 이슈이다. 주치의들은 학생들과 레지던트들로부터 온라인 "친구"요청을받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32). 이러한 디지털 "관계"는 특히 교수진이 평가자의 역할을 수행 할 때 전문가 및 개인적인 경계를 흐리게 만듭니다. 교수와 trainee가 온라인 관계를 시작할 때는, 그 관계의 목적을 생각해봐야 하며, 그것이 무엇(지속적인 멘토링, 연구 작업, 직업 상담)을 위한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32). 의도가 무엇이었든, 당사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상호 작용할 때에도 연수생 - 교수 관계에서 권장되는 전통적인 경계가 적용되어야합니다. 이러한 경계는 직원, 다른 임상의 및 연합 의료 전문가에게도 적용되어야합니다.


Another issue requiring consideration is onlin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ians of varying levels of training, specifically, attending physicians and their students and residents. Attending physicians frequently receive online “friend” requests from students and residents (32). These digital “relationships” can also blur professional and personal boundaries, especially when the faculty physician is in the role of evaluator. Faculty and trainees should examine the purpose of initiating an online relationship and decide whether it is for ongoing mentorship, research work, or career advice (32). Regardless of intent, the traditional boundaries encouraged in trainee–faculty relationships should apply when those parties interact through social media. These boundaries should also apply with staff, other clinician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입장 3 : 전자 메일 또는 기타 전자 통신은, 환자의 동의 하에, 이미 환자-의사 관계가 확립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문서는 환자의 의료 기록에 포함되어야합니다.

Position 3: E-mail or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s should only be used by physicians in an established patient– physician relationship and with patient consent. Documentation about patient care communic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patient’s medical record.


효과적인 의사 소통은 환자와 의사 간의 강한 관계의 기초입니다. 전자 메일 또는 기타 전자 통신은 지침 (4, 33)에 따라 수행 될 경우 면대면 만남을 보완 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환자 - 의사 관계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메일을 사용하여 치료 조언을 제공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일부 주법 (예 : 하와이)은 전자 메일 또는 의사와 환자 간의 전자 상담을 위해 기존의 관계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34). 그러나 ACP와 FSMB는이 관행을지지하지 않습니다.

Effective communication is a foundation of a strong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E-mail or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s can supplement face-to-face encounters if done under guidelines (4, 33). Using e-mail to provide therapeutic advice is not recommended when a patient– physician relationship has not been previously established. Some state laws (for example, those in Hawaii) do not require a preexisting relationship for e-mail or other electronic consultation between a physician and a patient (34); however, the ACP and the FSMB do not support this practice.


확립 된 환자 - 의사 관계에서 의사 소통에 대한 문서화가 유지되어야한다. "의료 기록에는 직접 또는 전화, 편지 또는 전자 수단을 통해 이루어진 모든 의사 소통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가 포함되어야합니다"(4).

Documentation of communications in an established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should be maintained. “Medical records should contain accurate and complete information about all communications, including those done in-person and by telephone, letter or electronic means” (4).



전자 커뮤니케이션과 관계 확립

E-Communication and Established Relationships


전자 메일 통신의 특성상 exchange의 서면 사본을 확보 할 수 있지만, 병원 기반 서버 사용과 같은 환자 기밀 유지가 보장되어야합니다.

The nature of e-mail communication ensures a written copy of the exchange, but patient confidentiality must be assured, such as through the use of a hospital-based server.


환자가 전자 메일 사용에 대해서 동의하였는지, 관련된 보안 및 위험에 대해 인지하였는지 등이 의료 기록에 포함되어야합니다 (35). 의사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개인 전자 메일 계정을 사용하지 말고 안전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메시지를 암호화해야합니다.

Documentation of the patient’s consent and awareness of the security and risk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atient– physician e-mail should be included in the medical record (35). Physicians should not use personal e-mail accounts for these communications but rather encrypted messages over secure network connections.


주의를 기울여서 잘 수행한다면 환자와의 전자 의사 소통은 환자 치료 및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patients, if done in a systematic and thoughtful way, can improve patient care and outcomes.


의사와 환자는 [공개적으로 노출되어 있거나, 환자의 기밀을 보장하지 않거나, 잘 기록되지 않거나, 의무기록에 인정admissible되지 않는] 소셜 미디어 도구를 통한 의사소통을 지양해야 한다.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be discouraged from communicating on health matters through social media tools that are publicly viewable, do not ensure patient confidentiality, and are not readily recordable or admissible to the medical record.





"잠만여" - 약어 사용

“The MD Will BRB [Be Right Back]”


의사에 대한 즉각적인 접근 기대로 인해, 웹 기반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및 단문 메시징 서비스 (41) 형태의 통신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기술은 정보에 대한 제 3 자 액세스를 방지하기위한 적절한 보안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문자 메시지는 약어나 메시지의 누락 가능성 등이 전자 메일과 유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극도로 주의할 수 없거나, 환자 동의가 없다면, 이미 환자와의 관계가 확립되어있다고 하더라도, 의학적 상호 작용을 위해 문자 메시지를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Expectations for immediate access have led to non– Web-based forms of communication by means of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and short or text messaging services (41). Despite these advances, current technology does not provide adequate security to prevent third-party access to information. Also, text messaging is not analogous to e-mail because of its abbreviated format and the greater possibility of missed messages. Therefore, physicians should not use text messaging for medical interactions with even established patients except with extreme caution and with patient consent.



입장 4 : 의사는 의사 순위 웹 사이트 및 기타 온라인 소스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자가 진단self-auditing"을 고려해야합니다.

Position 4: Physicians should consider periodically “self-auditing” to assess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em on physician-ranking Web sites and other sources online.



의사는 순위, 피드백, 기타 웹 사이트를 활용하여 자신의 training과 의료행위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의사와 환자는 이 정보가 완전하거나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의사는 허위 정보를 삭제하려는 의지가 별로 없을 수 있습니다 (43-45). 의사 순위 사이트 대신, 검색 첫 화면에 나타나는 "프로페셔널 프로필"을 establish함으로써 환자가 진료 전후에 접하는 의사에 대한 정보를 약간이나마 통제할 수 있다. 의사는 자신의 이름을 검색하여 온라인 상태를 일상적으로 감시하는 것을 고려해야하며,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수정해야합니다.


Ranking, feedback, and other Web sites may offer patients insight into physician training and office practice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recognize that this information may not be complete or accurate. Physicians may have little recourse in deleting misrepresentations (43–45). Establishing a professional profile so that it “appears” first during a search, instead of a physician-ranking site, can provide some measure of control that the information read by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initial encounter is accurate. Physicians should consider doing routine surveillance (46) of their online presence by searching for their names, and they should correct inaccurate information.



입장 5 : 인터넷 및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고 영구적입니다. 의사, 연수생 및 의대생은 온라인 게시가 직업 생활에 장기적이 의미future implication를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Position 5: The reach of the Internet and online communications is far and often permanent. Physicians, trainees, and medical students should be aware that online postings may have future implications for their professional lives.



한 사람이 represent된 방식은 (그 사람에 대한) 대중, 환자, 동료의 인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동료는 종종 상사 또는 평가 능력이 있는 사람들 일 수 있습니다. 개인이 표시하는 온라인 행동은 고용 가능성 및 recruitment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프로페셔널 발달 및 발전에 제한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전체 전문직을 poor하게 비출 수 있습니다.

How one is represented affects public, patient, and peer perceptions. Colleagues may often be superiors or those in an evaluative capacity. The online behaviors an individual displays may harm employability and recruitment, may result in limitation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dvancement, and may reflect poorly on the profession as a whole.


많은 기관들이 환자, 신임 교수 또는 연수생을 유치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연합군 보건 전문 교육 (47)에서 이를 끌어 들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모집 또는 선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고용주는 도발적이거나 부적절한 사진이나 정보, 음주 또는 약물 사용을 나타내는 내용, 부족한 의사 소통 기술의 증거 (48)와 같은 의심스러운questionable 디지털 행동을 근거로 지원자들을 탈락시켰다. 

    • 일화적인 보고서는 의대 입학 사무실과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이 후보자를 사전스크린prescreen하는 데 웹을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책임감있게 자료를 게시하지 않거나, 온라인 콘텐츠를 적극적으로actively 감시하지 않음으로써 의도치않게 향후 경력에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이미지 (온라인 평판)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이러한 잠재적 파급 효과를 소개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Many institutions have begun to harness the power of digital media to attract patients, new faculty, or trainees, especially in allied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47). These technologies can be used as recruitment or screening tools. Employers have turned away job applicants on the basis of questionable digital behavior, including provocative or inappropriate photographs or information, content that displays drinking or drug use, and evidence of poor communication skills (48). Anecdotal reports indicate that medical school admissions offices and residency training programs are increasingly using the Web to prescreen candidates. Many trainees may inadvertently harmtheir future careers by not responsibly posting material or not actively policing their online content. Educational programs stressing a proactive approach to digital image (online reputation) are good forums to introduce these potential repercussions.



Professional life에 대한 함의는 유망한 지원자가 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의사의 디지털 이미지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careeer repercussion을 갖는다. 여러 실수들이 알려진 바있다.

    • 수술 중 디지털 사진을 찍는 의사들 (49),

    • 무기와 술을 들고 포즈를 취하는 경우도있다(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인도주의적 일을 하는 중에) (50)

    • 궁극적으로 개인과 직업을 해칠 수있는 언프로페셔널한 마이크로 블로그 게시물 (예 : "트윗") (51)

The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life extend beyond being a prospective applicant to career advancement. A physician’s digital image can have positive or negative career repercussions. Several very public missteps have been documented, including 

    • physicians taking digital photographs during surgery (49), 

    • posing with weapons and alcohol (in some instances during humanitarian work) (50), and 

    • unprofessional microblog posts (for example, “tweets”) (51) that may ultimately harm both the individual and the profession. 

전문가적 이미지와 개인으로서의 이미지를 분리하고, 소셜 미디어의 임상적 활용과 비임상적 활용을 구분함으로써 훈련 기간 후에도 디지털 이미지를 능동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게시 된 컨텐츠를 통제하고, 개인 정보 설정을 사용하고, 개인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주도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전문직과 개인 의사 모두에게 최고의 이익이됩니다.

One’s digital image should be actively managed beyond training by maintaining the separation of professional and personal images and the clinical and nonclinical use of social media. Being proactive by controlling posted content, using privacy settings, and limiting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is in the best interest of both the profession and the individual physician.


CONCLUSION


비 임상 목적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은 전문의의 사회적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의사가 웹을 개인적으로 사용함에있어서 의문의 여지가있는 내용이 게시되었을 때 그러하다. 웹 게시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직업적 정체성을 분리하여 유지함으로써, 환자 및 동료와의 상호 작용에서 경계가 흐려지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Digital media use for nonclinical purposes may affect societal perceptions of the profession, especially when questionable content is posted by physicians in their personal use of the Web. Maintaining separate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in Web postings may help to avoid blurring boundaries 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의사는 일상적으로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자료의 감시를 수행하고, 정보에 대한 엄격한 개인 정보 보호 설정을 유지함으로써, 디지털 신원 관리에 대한 예방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Physicians are encouraged to take a proactive approach to managing digital identity by routinely performing surveillance of publicly available material and maintaining strict privacy settings about their information.


47. Cain J, Scott DR, Smith K. Use of social media by residency program directors for resident selection. Am J Health Syst Pharm. 2010;67:1635-9. [PMID: 20852165]







 2013 Apr 16;158(8):620-7. doi: 10.7326/0003-4819-158-8-201304160-00100.

Online medical professionalismpatient and public relationshipspolicy statement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Chicago, 5841 South Maryland Avenue, M/C2007 AMB W216, Chicago, IL 60637, USA.

Abstract

User-created content and communications on Web-based applications, such as networking sites, media sharing sites, or blog platform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popularity over the past several years, but there has been little policy or guidance on the best practices to inform standards for the professional conduct of physician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reas of specific concern include the use of such media for nonclinical purposes, implications for confidentiality, the use of social media in patient education, and how all of this affects the public's trust in physicians as patient-physician interactions extend into the digital environment. Opportunities afforded by online applications represent a new frontier in medicine as physicians and patients become more connected. This position paper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and the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 examines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about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the role of these media in public perception of physician behaviors, and strategies for physician-physician communication that preserve confidentiality while best using these technologies.


독립변수이자 종속변수로서의 동기: 문헌 고찰(Med Teach, 2011)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and a dependent variable in medical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R. A. KUSURKAR1,2 , TH. J. TEN CATE1 , M. VAN ASPEREN1 & G. CROISET2

1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The Netherlands, 2VU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 Netherlands




도입

Introduction


세 가지 주요 견해 (Mann 1999, Williams 외 1999, Misch 2002)가 이 리뷰의 출발점을 구성하는 이슈들을 조명한다.

  • 의대생은 본질적으로 또는 외재적으로 어느 정도의 동기가 있나?

  • 왜 우리는 알아야합니까?

  • 어떤 유형의 동기 부여가 의학 교육에 유용합니까?

Three major viewpoints (Mann 1999; Williams et al. 1999; Misch 2002) bring to light the issues that form the starting point for the current review: 

  • To what extent are medical students intrinsically or extrinsically motivated? 

  • Why do we need to know? 

  • Which type of motivation is useful in medical education?


의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일반 교육에서 풍부한 연구로부터 얻을 것이 많다. 그러나 의대생의 동기 부여가 일반 교육 학생과 다를 수있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임상 교육과 얽혀 있기 때문에 의학교육은 고등 교육의 전형이 아닙니다.

  • 학생들이 다양한 일을 하고 자신만의 고유한 프로필을 만드는 다양한 선택을하는 일반 교육과는 달리, 의학 교육은 제한되고 명확하게 정의 된 직업으로 작동합니다.

  •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은 매우 특이적입니다.

  • 또한, 의대생은 의대 입학을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이므로 시작부터 매우 동기 부여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주장들이 특히 의과대학생에서 동기 부여를 연구하는 근거가됩니다.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can derive a lot from the wealth of literature in general education .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motivation of medical students could be different from general education students. 

  • Medical education is not typical for higher education because of the intertwining with clinical work. 

  • Unlike general education, where students have a wide variety of choices to do different things and create unique profiles for themselves, medical education works towards one restricted and clearly defined profession. 

  • The environment within which teaching and learning occur is highly specific. 

  • Also, medical students are considered highly motivated from the outset having gone through a considerable effort to enter medical school. 

These arguments underlie the rationale for studying motivation,particularly in medical students. 


동기 부여에 대한 많은 이론들이 있습니다. 주요 이론은

  • 욕구 계층 구조 이론 (Maslow 1970),

  • 성취 필요 이론 (Murray, Franken 1988 인용)

  • 기대-가치 이론 (Atkinson 1966),

  • 귀인 이론 (Weiner1974),

  • 사회인지 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 SCT) (Bandura 1986, 1989),

  • 목표 이론 (Pintrich 2000)과

  • 자기 결정 이론 (SDT) (Deci & Ryan 1985).


there are many different theories of motivation, the major ones being 

  • Hierarchy of needs theory (Maslow 1970), 

  • Need to Achieve Theory (Murray, cited by Franken 1988), 

  • Expectancy-value Theory (Atkinson 1966), 

  • Attribution Theory (Weiner1974), 

  • Social Cognitive Theory (SCT) (Bandura 1986, 1989),

  • Goal Theory (Pintrich 2000) and 

  • Self-determination theory(SDT) (Deci & Ryan 1985). 



위에서 언급 한 이론의 대부분은 동기 부여의 수준에 근거하여 문제를 설명합니다. 반면, SDT는 동기 부여의 질을 토대로 이슈를 설명합니다. 개인의 동기 부여 수준이 높다하더라도 동기 부여의 성격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Williams & Deci 1999). SDT는, 교육 및 학습을 포함하여, 개인의 삶에서 동기 부여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동기 부여 이론입니다.

Most of the above-mentioned theories explain issues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motivation. SDT explains issues based on the quality of motivation. It argues that even if the level of motivation in an individual is high, different qualities of motivation will result in very different outcomes (Williams &Deci 1999). SDT is a general motivation theory which holds true for different aspects of motivation in an individual’s life,including education and learning. 


SDT는 인간은 자기 결정을 향한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다고 가정한다. (Deci and Ryan 1985). 모티베이션은 스펙트럼의 한쪽 끝에서 본질적인 동기 부여와 동기 부여 (동기 부여의 부재 또는 부재)를 갖는 연속체 (그림 1)이다. 다른. 내재적 동기 부여는 개인이 개인적인 흥미 또는 즐거움을위한 활동을 추구하게합니다.

SDT postulates that human beings have a natural tendency to develop towards self-determination (Deci and Ryan 1985).Motivation is a continuum (Figure 1) with intrinsic motivation at one end of the spectrum and amotivation (lack or absence of motivation) at the other. Intrinsic motivation makes a person pursue an activity for personal interest or enjoyment. 



외재 동기 부여는 4 가지 단계로 구성됩니다.

  • 외부적 조절,

  • 주입된 조절

  • 인정된 조절

  • 통합된 조절

Extrinsic motivation is composed of four different stages: 

  • external regulation,

  • introjected regulation, 

  • identified regulation and 

  • integrated regulation. 


  • '외부적 조절'은 학습에 대한 관심이 없이, 다른 사람들의 압력이나 기대로 인해 공부한다는 의미입니다.

  • '주입된 조절'은 학습의 중요성을 깨달았지만, 학습의 원인은 외부에서 온 것을 의미합니다.

  • '인정된 조절'은 학습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것을 인정하였으며, 조절 프로세스를 받아들임을 의미한다.

  • '통합된 조절'은 학습의 중요성을 받아들임에 있어서, 그것이 자신의 일관된 자기 감각과 완전히 통합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 때 인과 관계의 위치locus는 이제 내부적이다.

  • ‘External regulation’, in the case of education,means studying because of pressure or expectation of others,without interest in the study. 

  • ‘Introjected regulation’ means there is realiz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study but the causation is perceived as external. 

  • ‘Identified regulation’ means that the importance of study is valued, has been identified with and the regulatory process has been accepted.

  • ‘Integrated regulation’ means that the acceptance of the importance ascribed to the study has been fully integrated into the individual’s coherent sense of self; the locus of causation is now internal. 


자기 결정은, 내재적 동기 부여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신이 스스로 자기자신의 동기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동기는 스스로 생성되며 자율적입니다. 외적 동기부여에 대한 자기 결정 조절에서 External regulation은 가장 낮은 수준이며, integrated regulation은 가장 높은 수준이다.

Self-determination, the regulation type that fits with intrinsic motivation, means that one determines one’s own motivation; the motivation is  self-generated and autonomous. External regulation is the least and integrated regulation is the most self-determined regulation of extrinsic motivation. 


많은 연구에서 

  • 내재적 동기 부여, 통합된 조절, 인정된 조절을 자율 동기autonomous motivation로, 

  • 주입된 조절과 외재적 동기부여를 통제 동기controlled motivation로 나누었다. (Ryan & Deci 2000b). 

Amotivation은 사람이 행동의 의도가 결여되어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Deci et al., 1991, Ryan & Deci2000a, b).

Many studies have combined intrinsic motivation, integrated and identified regulation as autonomous motivation and introjected and external regulation as controlled motivation (Ryan & Deci 2000b). Amotivation signifies the state in which a person lacks the intention to act (Deci et al. 1991; Ryan & Deci2000a,b). 


내재적 동기 부여는 '자율성', '능력'및 '관련성'에 대한 내재적 요구에 기초합니다.

  • 자율성 또는 자기 결정의 필요성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의지의 느낌과 관련이 있습니다.

  • 역량의 필요성은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에 대한 자신의 감정feeling과 관련이 있습니다.

  • 관련성의 필요성은 일과 성취를 통해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자 하는 바람과 관련됩니다.

Intrinsic motivation is built on the inherent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 The need for autonomy or self-determination is related to the feeling of volition in one’s actions. 

  • The need for competence is related to one’s feelings of capability in achieving the target. 

  • The need for relatedness concerns the desire to relate to the significant others in one’s life through work and achievement.


이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요구를 충족 시키면 특정 활동을하도록 본질적으로 동기 부여됩니다. SDT는 바람직한 유형의 동기 부여로 자율적 동기를 부여합니다.

  • 보다 깊은 학습 (Grolnick & Ryan 1987; Vansteenkiste et al. 2005a & b),

  • 덜 표면적인 정보 처리 (Vansteenkiste et al. 2004),

  • 높은 성취도 (Boggiano et al., 1993; Soenens & Vansteenkiste 2005),

  • 드롭 아웃 의도 및 행동 감소 (Vallerand et al. 1997; Hardre & Reeve 2003),

  • 더 큰 창조성 (Koestner et al., 1984)과

  • 향상된 웰빙 또는 조정 (Black & Deci 2000; Levesque et al. 2004)

Fulfilment of thes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makes a person intrinsically motivated for a particular activity. SDT puts forth autonomous motivation as the desired type of motivation leading to 

  • more deep learning (Grolnick & Ryan 1987; Vansteenkiste et al. 2005a & b), 

  • less superficial information processing (Vansteenkiste et al. 2004), 

  • higher achievement (Boggiano et al. 1993; Soenens & Vansteenkiste 2005), 

  • decreased drop-out intention and behaviour (Vallerand et al. 1997; Hardre & Reeve 2003), 

  • greater creativity (Koestner et al. 1984) and 

  • enhanced well-being or adjustment (Black & Deci 2000; Levesque et al. 2004)


또한 SDT는 자율성, 능력, 관계성에 대한 감정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또는 그 반대로 동기가 바뀔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SDT also postulates that motivation can change from extrinsic to intrinsic and vice versa depending on the feeling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 student experiences in his or her study (Deci1975).


일반 교육 문헌에 따르면 동기 부여는 학습 및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According to the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motivation influences learning and outcomes of learning


동기 부여 퀄리티의 변화는 학습 경험 (SDT)자기 효능감 (SCT), 성공과 실패의 속성 (Attribution Theory),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기대, 실패 또는 기대에 대한 인센티브 가치(기대-가치 이론)에 달려 있으며, 이는 동기 부여가 종속 변수이기도 함을 나타냅니다.

Changes in the quality of motivation depend on the learning experience (SDT), and level of motivation altering, depending on the feelings of self-efficacy(SCT), attributions of successes and failures (Attribution Theory), expectation of success or failure and incentive value of success or failure (Expectancy-value Theory), suggests that motivation is also a dependent variable.



Methods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formulated by RAK, TJC and GC as described in Table 1.



(Figure 2)


결과

Results


총 460개 논문

The total number of papers found initially was 460;


제외돈 문헌들이 있음

Studi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deviated from the focus of the review


총 56개논문이 포함됨

Thus, a total of 56 articles were finally included in the review.



독립변수로서 동기부여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동기 부여는 어떤 행동을 취할지 뿐만 아니라, 그 행동을 얼마나 잘 할지를 통제합니다. SDT에 따른 목표 콘텐츠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내재적: 예. 지역 사회 공헌, 개인 성장, 건강, 제휴, 그들은 기본적인 심리적 요구의 본질적인 만족을 제공하기 때문에;

  • 외재적: 예. 명성, 지위, 돈 (Vansteenkiste et al., 2006). 왜냐하면 그들은 자기가치의 외부 표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Motivation not only controls action being taken, but also how well it is taken. Goal contents according to SDT are of two types: 
  • intrinsic, e.g. community contribution, personal growth, health, affiliation, because they provide inherent satisfac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 extrinsic, e.g. fame, status, money, because they provide external manifestations of self-worth (Vansteenkiste et al. 2006).


학습 행동

Learning and study behaviour.


Motivation has been reported to influence study behaviour and learning in medical students. 

    • An achieving motive and strategy and having motivation for a career in medicine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greater time investment in study (Wilkinson et al. 2007a). 

    • Autonomous motivation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ep approach and reflection in learning and also the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whereas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approach with superficial (Sobral 2004). 

    • Amotivation correlated was found to be negatively with reflection in learning and deep approach and positively with superficial approach (Sobral 2004). 

    • Motivation was reported to directly influence a tutorial group’s cognitive processes (Dolmans et al. 1998).

    • On the one hand, having higher motivation enhances learning;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found that in small group teaching the lack of motivation in a group member is perceived as inhibiting the learning process of other students in the group (de Grave et al. 2002). 

    • A study in UK found that motivation to be a good doctor and avoid harm to patients is related to a vocational approach to study in medical students (Mattick & Knight 2009). 

      • This means that students are stimulated to gain knowledge that will help them in their practice of medicine

      • This study also reported that different intrinsic motivations, namely interest in medicine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workplace utility, and extrinsic motivations, namely social competition or pressure and assessment, stimulate learning in medical students (Mattick &Knight 2009). 


Concerning study-related behaviour intrinsically motivated medical students tended to take more optional credit courses and peer-tutoring activities (Sobral 2008).



학업적 성공/수행능력

Academic success/performance.


긍정/부정 결론 모두 있음

Studies on strength or quality of motivation as a predictor of academic success have found both conclusive and inconclusive evidence. 

    • Higher motivation (Moulaert et al. 2004) and also specifically higher intrinsic motivation (Sobral 2004) have been found to correlate with higher academic grades in both pre-clinical (Sobral 2004) and clinical years. 

    • Motivation was found to predict performance in only one school in a US-based study, performed in two medical schools (Webb et al. 1997). 

    • Strength of motivation to study medicine was found to be predictive of GPA in the third year, but not the first 2 years of medical study, in another study (Hoschl & Kozeny 1997). 

    • Tutorial group produc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having students with higher motivation as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motivation (Dolmans et al. 1998; Carlo et al. 2003). 

    • Students entering medicine with intellectual challenge (SDT intrinsic goal content) as the most important motive were found to have higher GPAs (Price et al. 1994). 

    • Academic performance other than grades/GPAs has also been studied. Strength of achievement motivation was found to be a better predictor of professional attainment in males than females (Lorber & Ecker 1983). 

    • Defining academic success as howfar a student had progressed in his/her doctoral thesis in the final year of medical school, having higher extrinsic career motivation (striving for promotion, income, prestige, etc.) was found to predict greater advancement in the thesis (BuddebergFischer et al. 2003).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연구들

There were other studies that failed to find significant correlations. 

    • A Netherlands-based study fou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and academic success (Hulsman et al. 2007). 

    • Neither extrinsic nor intrinsic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cademic performance in a UK study (Popovic 2010). 

    • On analysing admission interviews data of academically at-risk medica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students (Elam et al. 1999). 

    •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forma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and low motivation (conditions created by using external motivators) and controls when tested on clinical case processing and recall of differential diagnosis (de Bruin et al. 2005). 

    • Intrinsic motivation, which was measured by only one item,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r ¼ 0.17) with academic success (Tan & Thanaraj 1993).


직업으로서 의학을 선택

Choice of medicine as a care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what kind of motivation or motives drive students to enter medical school. 

    • 사람을 돕고, 존경받고, 없어서는 안되고, 과학자가 되기 위해서 의대 선택
      Four major underlying dimensions appeared, as found using the Medical Situations Questionnaire in the UK: helping people, being respected, being indispensable and becoming a scientist (McManus et al. 2006). 

    • Similar motives (Karalliedde & Premadasa 1988) and intellectual content were found in other studies on pre-medical and medical students (Kutner & Brogan 1980; Harth et al. 1990; Todisco et al. 1995; Vaglum et al. 1999; Lovecchio & Dundes 2002; Wierenga et al. 2003; Rolfe et al. 2004; Khater-Menassa & Major 2005). 

    • 사람을 도울 수 있는 능력
      The ability to help people appears to be the strongest motive (Kutner & Brogan 1980; Price et al. 1994; Todisco et al. 1995; Vaglumet al. 1999; Rolfe et al. 2004; Millan et al. 2005). 

    • 30세 이상의 여자는 '지적 동기', '역량 발달', '성취감 얻기' 등을 위해 의학을 선택
      Women over 30 chose medicine to find intellectual motivation, develop competence and feel achievement (Kaplan 1981). 

    • 간호학을 전공한 의대생들은 환자돌봄에 대한 책임감, 의학지식, 개인적 도전, 지위 때문에 선택
      Medical students, who had a background in nursing education, chose medicine mainly out of the desire for increased patient care responsibility, medical knowledge, personal challenge and status (Gussman 1982).


의학 내에서 전공 선택

Choice of a specialty within medicine.


    • 일차의료/정신과 Motivation also influences the choice of a specialty. Students choosing primary care (Rogers et al. 1990; Kassler et al. 1991; Vaglumet al. 1999) and psychiatry (Vaglum et al. 1999) were driven by a people-oriented motive or diversity in diagnosis and treatment

    • 첨단기술/비일차의료과 students (Khater-Menassa Major 2005) as compared to choosing high technology or non-primary care specialties, who were driven by science-oriented motive (Vaglum et al. 1999) or working with new technology (Khater-Menassa & Major 2005). 

    • 비일차의료과 Other motives for choosing non-primary care specialties were better lifestyle, monetary rewards and prestige (Rogers et al. 1990). 

    • Strong career motivation (BuddebergFisher et al. 2006) or higher intrinsic career motivation (Buddeberg-Fischer et al. 2003) were found to be independent predictors of choice of speciality. 

    • Students not considering any primary care specialt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hievement and power motives (Buddeberg-Fisher et al. 2006).



의학을 지속하려는 의도

Intention to continue medical studies.


    • 자율 동기 Autonomous motivation was found to correlate significantly positively with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i.e. not dropping out of medical school, and amotiv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Sobral 2004).



Motiv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동기는 다른 요인에 따라 변한다

The hierarchical model of motivation by Vallerand and Ratelle (2004) has proposed and empirical evidence has been gathered to support the view that motivation can change and be manipulated, hence is a dependent variable.


바꿀 수 없는 변인

Variables that cannot be manipulated.



연령

Age.


This influences motivation for medical study. 

  • 34세와 41세의 차이
    In an Australian study, differences in motivations for choosing medicine were found between mature-age (approximately 41 years) and normal-age entrants (approximately 34 years). 

    • 41세 Most mature-age entrants cited intellectual satisfaction as their main reason followed by working with people and desire to help others. 

    • 34세 Most normal-age entrants cited desire to help others followed by enjoyment through working with people and intellectual satisfaction (Harth et al. 1990).


성별

Gender.


Studies which look into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medicine were found. 

    • 남성 Males report 

      • interest in science (Robbins et al. 1983; Vaglum et al. 1999; McManus et al. 2006), 

      • being indispensable (McManus et al. 2006), 

      • helping people (Vaglum et al. 1999) and 

      • having a career (Robbins et al. 1983) as the most important reasons motivating them for medicine. 

    • 여성 Females report 

      • helping people (Wierenga et al. 2003) and 

      • having a career as the most important reasons (Robbins et al. 1983; Vaglum et al. 1999). 

    • Other studies found that 

      • 남-여 순위 비슷 
        ranking of motives like opportunity to help people (Kutner & Brogan 1980), scientific nature of medicine and intellectual challenge, in that order, by males and females was similar (Kutner & Brogan 1980; Price et al. 1994; Todisco et al. 1995); 

      • 이타적 동기: 여>남, 경제적 안정: 남>여 
        however, more females than males were oriented towards altruistic motives and more males than females were oriented towards financial security (Kutner & Brogan 1980; Price et al. 1994) or prestige/status (Wierenga et al. 2003). 

    • 인간-지향적 동기: 여>남, 자연과학동기: 남>여, 고소득: 남>여
      Others found that female medical students scored higher on the person-oriented motive (Vaglum et al. 1999; McManus et al. 2006), lower on natural science motive (McManus et al. 2006) and opportunity for higher income (Vaglum et al. 1999) and equal to male medical students on status-oriented motive (Vaglum et al. 1999). 

    • Apart from gender differences in goal contents for medicine, gender differences in generalized motivation have also been studied. 

      • 외부 커리어 동기: 남 Males were found to have higher extrinsic career motivation than females students (Buddeberg-Fischer et al. 2003). 

      • 성취 지향: 여 Female medical to be have been found significantly more achievement to oriented as compared male medical students (Loucks et al. 1979). 

    • Among tutorial groups, motivation of female students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students (Carlo et al. 2003).



인종

Ethnicity.


This plays a role in motivational orientation. 

    • In a study carried out in the US with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considering medicine as a career option, 

      • white students were predominantly motivated by the ‘challenge of the medical profession’, whereas 

      • black students by the ‘chance to help people’ (Wagoner & Bridwell 1989). 

    • Black students rated ‘monetary benefits’ of the profession and status significantly higher than white students (Wagoner & Bridwell 1989). 

    • This was in contrast with a UK-based study which found that non-white students score significantly higher on ‘Science’ and significantly lower on ‘Helping people’ as compared to white students (McManus et al. 2006).


사회경제적 지위

Socioeconomic status.


This, rather than ethnicity or gender, was found to play a definitive role in th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medical school and their motivation to apply, in a study in the UK (Greenhalgh et al. 2006). 

    • 높은 SES: 내적 요인 
      Students from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focus on intrinsic factors like challenge, achievement and fulfilment in medicine, whereas 

    • 낮은 SES: 외적 보상
      students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focus on the extrinsic rewards like expected income (Greenhalgh et al. 2006).



성격특성

Personality traits.


자기주도성/자기초월성
The temperament dimension of persistence and the character dimensions of self-directedness and self-transcendence (which are expected to enhance the learning process) are associated with intrinsic academic motivation in medical students (Tanaka et al. 2009).


교육배경

Educational background.


A study in Finland found that non graduate entry students ha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as compared to graduate entry students (Kronqvist et al. 2007).


학년

Year of medical curriculum.


This was also found to influence motivation for joining and continuing medical study. 

  • Contrary to common beliefs and other studies mentioned above, a UK-based study found that 

    • 1학년 first-year medical students were more oriented towards prestige, money and success, whereas 

    • 4학년 final year students were more oriented towards relief of suffering and importance for mankind (Powell et al. 1987). 

  • Another study, based on the US, found that first-year medical students had higher achievement orientation than students after their third year. This finding was attributed to a shift in the motivational structure from achievement to self-gratification needs (Burstein et al. 1980).


교사와 부모의 서포트

Teacher and parent support.


A qualitative study in the UK among firstand second-year medical student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motivation to apply to medical school showed that parent support and encour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and lack of teacher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McHarg et al. 2007).


조절할 수 있는 변인

Variables that can be potentially manipulated.



자율성

Autonomy.


학습을위한 자율성 지원은 SDT에 따라 학습을 위한 내재적 동기 부여를 개발하는 초석과 같습니다. 학습의 자율성은 학생들이 정의 된 한계의 경계 내에서 자신의 의지의 교육 활동을 계획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Autonomy support for learning is like a cornerstone for developing intrinsic motivation for learning according to SDT. Autonomy in learning means that the students can pla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ir own volition, within the boundaries of defined limits.


자율성 서포트

Autonomy support

    • 전공 선택 A study done on US medical students found that autonomy support by instructors during clerkships enhanced students’ motivation to select a residency in that particular field of medicine (Williams et al. 1997). 

    • 내과/외과 선택 The choice of internal medicine (r ¼0.29) and surgery (r ¼0.34) clerkships in this stud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tudents’ perceptions of autonomy support on these corresponding clerkships. 

    • 자율 동기와 역량 Autonomy support by teacher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th,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and competence for a study course in another study (Williams & Deci 1996). 

    • 학습 Intrinsic motivation for a cour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utonomy in learning (r ¼0.354) in a study in France (Pelaccia et al. 2009). 

    • PBL이 더 내적동기부여 Students in a problem-based learning (PBL) curriculum found themselves to be intrinsically motivated because of autonomy in their learning, as opposed to students in a traditional curriculum who found themselves to be extrinsically motivated because of a controlling learning environment (White 2007).



교육과정

Curriculum

    • A PBL curriculum was found to motivate students to learn for learning’s sake, i.e. intrinsic motivation, because of autonomy in their learning. 

    • 전통적 교육과정은 통제적 학습환경
      Traditional curriculum motivated students towards obtaining high grades, i.e. extrinsic motivation. These students’ perceived a controlling learning environment (White 2007). 

    • A German study found that students’ motivation is higher in blended PBL as compared to traditional PBL, both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oltering et al. 2009). 

    • Blended learning carefully e-learning modules complements face-to-face classes with and when incorporated into a PBL curriculum gives higher autonomy to students in their learning.



환자 책임감

Patient responsibility

    • Interns perceived greater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in a gener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and this was responsible for their greater motivation for learning (Cantillon & MacDermott 2008). 

    • Greater responsibility also means more autonomy in patient handling and treatment.


역량

Competence.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self-efficacy or competence (r ¼0.419) (Pelaccia et al. 2009).



선발 절차

Selection procedure

    • 선발과정을 거친 경우
      Students entering medicine through a selection procedur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 of motivation and lower certificate orientation (extrinsic goal content) than students entering through either weighted lottery or outstanding high school GPA (Hulsman et al. 2007). 

    • 까다로운 선발절차를 거쳤다는 인식
      Awareness of having been chosen through a demanding selection procedure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elf-efficacy beliefs and identity formation, inspiring them to develop a strong level of commitment to medical study and health care. 

    • 반드시 성적이 높은 것은 아니지만, 더 많은 교과외활동에 참여하게 함
      Though this selection procedure did not necessarily make students achieve higher grades than the others, they engaged more in health-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Hulsman et al. 2007), which appears to be intrinsic goal content and the motivation appears to be autonomous.


평가 유형

Type of assessment

    • 기준-기반 평가시스템 > 상대평가 시스템
      Standards-based assessment system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beneficial effects on deep motive and deep strategy for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Wilkinson et al. 2007b). Thus, students were motivated to use deep approach to learning when evaluated against pre-set standards as opposed to when evaluated against each other. 

    • 사전에 설정된 기준과의 비교
      Comparison with pre-set standards and meeting those standards could stimulate feelings of competence in learning as opposed to comparison with peers which could result in feelings of personal failure and incompetence.



보상

Rewards

    • It was found that nearing the end of the medical study, the percentage of students agreeing that a degree with honours was a motivator for learning and not a demotivato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students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 아너 시스템 (긍정적) An honours system does not necessarily motivate students and may demotivate a significant number of them over the time course of the study (O’Neill et al. 1999). 

    • 아너 시스템 (부정적) An honours system could work in a negative way for students who know that they are not likely to get honours, by making them feel incompetent in learning.



지식 습득

Knowledge acquisition

    • A study on small group learning found that increase 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ubject matter increases students’ motivation for the study and interest in the course content (Draskovic et al. 2004). 

    • 학습 역량을 느낄 때 더 동기부여됨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were more motivated for learning when their feelings of competence in their learning were strong.


과제의 가치

Task value. 

    • 과제가 가치있다고 느낄 때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task value of training study (r ¼0.546) in a in France (Pelaccia et al. 2009).

    • 그룹으로 PBL 활동
      Similarly, in a study from UK, students in PBL groups felt motivated for group working as they perceived that it was responsible for delivering their learning (Willis et al. 2002). 

    • So, the perceived task value of training periods in the former study and PBL group working in the latter study was high and led to feelings of competence in learning.



관계성

Relatedness.


부모/선생/동료/환자

This could have a special significance in be medical education. Significant others could not only parents, teachers, peers, but could also be patients.


조기 임상 노출 

Early patient/clinical contact

  • 이론과 실천을 연결
    Early contact with patients stimulates students’ motivation for biomedical and further study by connecting theory to clinical practice (Diemers et al. 2008; Von Below et al. 2008). Thus, students were inspired towards their future work as doctors.


웰빙

Well-being

  • Well-being was found to affect motivation in daily work and overall career; 

    • lower well-being lead to feelings of ambiguity in career choice and 

    • higher well-being lead to greater zeal towards purpose in medicine and intrinsic passion for work (Ratanawongsa et al. 2008). 

  • 웰빙은 '(전문직, 가족, 사회, 신체적, 정신적, 영적 및 재정적 영역을 포함하여) 레지던트의 개인 생활 및 직업 생활의 여러 부분 간의 균형'으로 정의되었습니다.
    Well-being in this study was defined as ‘a balance among multiple parts of resi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including professional, family, social, physical, mental, spiritual and financial domains’. 

  • This could be thought of as a doctor who has strong feelings of relatedness with his family and colleagues would have higher motivation. Autonomous motivation has been found to lead to enhanced well-being in general education studies (Black & Deci 2000; Levesque et al. 2004).




요약

Summary of findings


Table 2


1. 학습 및 학습 행동

1. Learning and study behaviour


- 자발적인 동기 부여는 학습에 대한 깊은 접근, 학습에 대한 성찰, 학업 지속에 대한 의도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 동기 부여가 소그룹 학습에서 영향을 미침 - 좋은 의사가되는 동기 부여가 학습에 대한 직업 접근을 자극 함

- 동기 부여가 피어 튜터링, 교과외 활동, 학업 및 기타 활동과 긍정적 인 상관 관계가 있음

– Autonomous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ep approach to study, reflection in learning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 Motivation influenced learning in small groups – Motivation to be a good doctor stimulated vocational approach to learning 

– Motiva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peer tutor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academic and others


2. 학업 성취도

2. Academic success/ performance


- 높은 동기 부여와 학업 성적간에 긍정적 인 관계가있는 9 개의 연구

- 다른 연구들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으며, 유의한 부적 상관 관계를 발견했지만, 내재적 동기는 설문지에서 단 하나의 항목으로 측정되었다

– Nine studies found positive relation between higher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 The other studies either did not find significant correlations or one fou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ut in this study intrinsic motivation was measured with only one item in the questionnaire


3. 커리어로서의 의학 선택

3. Choice of medicine as a career


- 동기 - 사람들을 존중하고, 반드시 필요하며, 과학자가 되고싶은 것

- 사람들을 돕는 것이 가장 강한 동기입니다.

- 30 세 이상의 여성과 간호사가 개인적인 도전을 위해 의학에 입문한다

– Motives – helping people, being respected, being indispensable and becoming a scientist 

– Helping people is the strongest motive 

– Women over 30 and nurses join medicine for personal challenge


4. 의학 분야의 전문 분야 선택

4. Choice of specialty within medicine


- 1 차 진료 특기가 인간 지향적 동기에서 선택됩니다.

- 첨단 기술 전문 분야 선택은 과학기술 지향적 동기에서

– Primary care specialities are chosen for peopleoriented motive 

– High technology specialities are chosen for science oriented motive


5. 의학 연구를 계속할 의향

5. Intention to continue medical studies


- 자율 동기는 학습을 계속하려는 의도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 무동기는 음의 상관 관계가있다.

– Autonomous motiva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ntion to continue studies and amotivation correlated negatively




Table 3

1. 연령

- 성숙한 나이와 정상 연령 진입자는 의약품 선택에 대한 동기에서 차이가있었습니다.

1. Age 

– Mature-age and normal-age entrants had differences in motivations for choosing medicine


2. 성별

- 남성과 여성은 의과대학 진학 동기 유형이 다르며 유사점도 있습니다.

- 여성은 동기 부여의 강도가 높고, 남성은 외인성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 Gender

– Males and females had different type of motives for joining medicine, also some similarities

– Females were found to have higher strength of motivation and males were found to have higher extrinsic motivation


3. 민족성

- 의학에 합류하기위한 흑인과 백인 학생들의 주된 동기는 달랐으며 두 연구의 결과는 상반되었습니다

3. Ethnicity

– Predominant motives of black and white students for joining medicine were different and the findings of the two studies were contradictory


4. 사회 경제적 지위

-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은 의학 연구를 선택하는 본질적인 요인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은 외래 보상에 대한 의학적 연구를 선택했습니다.

4. Socioeconomic status

–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tudents were found to focus on intrinsic factors for choosing medical study whereas lower socioeconomic status students chose medical study for extrinsic rewards


5. 성격 특성

- 끈기, 자기 주도성, 자기 초월성이 의대생의 내재적 학업 동기와 관련이있다

5. Personality traits

– The temperament dimension of persistence and the character dimensions of self-directedness and self-transcendence are associated with intrinsic academic motivation in medical students


6. 교육 배경

- 대학 입학생은 대학원 입학생보다 성취 동기가 높았습니다.

6. Educational background

– Non-graduate entry students ha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as compared to graduate entry students


7. 학년

- 한 연구에서, 1 학년 학생은 외적 보상에 더 집중되어 있었지만, 4 학년 학생은 인류를 돕는 방향이 더 중요했습니다

- 다른 연구에서는 1 학년 학생이 3 학년 학생보다 성취 동기가 높았습니다.

7. Year of medical curriculum

– In one study, first-year students were more oriented towards extrinsic rewards of the medical profession, whereas final-year students were more oriented towards helping mankind

– In the other study, first-year students ha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than third-year students


8. 교사와 학부모 지원

학생의 의학 선택에 학부모 지원을 받는 것은 긍정적, 교사 지원을 받지 않는 것은 부정적 역할을한다.

8. Teacher and parent support

– Having parent support and not having teacher support play a positive and negative role, respectively, in students choosing for medical study





9. 자율성

9. Autonomy


자율성 지원

- 의학 연구에서의 자율성 지원은 특정 전문 분야의 선택과 학습을 위한 내재적 동기 부여를 자극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과정

- PBL 교과 과정은 내재적 동기를 자극하고 전통적인 교과 과정은 외적 동기를 자극하는 것

- 혼합 된 PBL은 전통적인 PBL에 비해 학생들의 동기를 높입니다.


더 큰 환자 책임

- 더 큰 환자 책임은 학습 동기 부여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Autonomy support

– Autonomy support in medical study was found to stimulate choice of a particular specialty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learning


Curriculum

– PBL curriculum was found t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and traditional curriculum was found to stimulate extrinsic motivation

– Blended PBL increases students’ motivation as compared to traditional PBL

Greater patient responsibility

– Greater patient responsibility was responsible for greater motivation for learning


10. 능력

10. Competence


자기 효능감: - 내재적 동기는 자아 효능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선택 절차: - 입학 시험을 통해 입학하는 학생의 동기가 높습니다.

평가: - 평가 유형이 학습 동기 유형에 영향을 미칩니다.

보상:- 보상은 여러 학생을 demotivate시킬 수 있다

지식 습득: - 지식이 증가했다고 인식하는 것은 동기 부여를 증가시킨다.

과제 가치에 대한 인식

- 본질적인 동기 부여는 과제 가치에 대한 인식과 양의 상관 관계가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PBL 그룹의 작업 가치 인식으로 그룹 작업 동기 증가


Self-efficacy: –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Selection procedure: – Students entering through medical entrance exam have higher motivation

Assessment: – Type of assessment influences type of motivation for study

Rewards: – Rewards may demotivate significant number of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 Perception of increased knowledge increases motivation

Perceived task value

–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task value

– Perceived task value of PBL groups increased the motivation for group working



11. 관련성

11. Relatedness


조기 환자 / 임상 접촉: - 조기 환자 접촉은 학생들의 동기 부여를 자극합니다.

웰빙: - 복지의 느낌은 동기 부여를 향상시킵니다.


Early patient/clinical contact: – Early patient contact stimulates student motivation

Well-being: – Feeling of well-being enhances motivation




Figure 3



고찰

Discussion



의학 교육에서의 대부분의 연구는 '동기 부여가 학업 성과와 관련이 있음'을지지하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동기 부여와 학습 성공 간의 관계는 일반 교육에서 잘 입증되었다 (Dickinson 1995; Vansteenkiste et al. 2004, 2005b; Hustinx et al. 2009).

Most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have found evidence in favour of ‘Motivation correlates with academic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learning success has been well-substantiated in general education (Dickinson 1995; Vansteenkiste et al. 2004, 2005b; Hustinx et al. 2009).


  • 이타 적 동기, 지적 내용 및 연구에 대한 관심은 학생들을 의학적 연구 및 직업으로 이끌어내는 내재적 목표 내용 (SDT)이며, 그러한 학생이 의학 선택에 대한 동기는 자율적autonomous이다

  • 학부모의 압력, 지위, 소득 및 위신은 외재적 목표 내용 (SDT)이며 그러한 학생이 선택한 의학 대한 동기는 controlled됩니다.

  • Altruistic motives, intellectual content and interest in the study are all intrinsic goal contents (SDT) that drive students towards medical study and profession and the motivation that such students exhibit in their choice of medicine is autonomous. 

  • Parental pressure, status, income and prestige are extrinsic goal contents (SDT) and the motivation exhibited by such students in their choice of medicine is controlled.


  • 전반적으로 1 차 진료 전문 분야를 선택하는 학생들은 내재적 인 목표 내용에 따라 자율적 인 동기 부여에 의해 좌우되는 것처럼 보인 반면, 

  • 비 1 차 진료 전문 분야를 선택하는 학생은 과학 지향 동기 / 신기술 활용에 대한 바람 등 부분적으로는 내재적 목표에 의해 선택하지만, 부분적으로는 외재적 목표(즉 생활 방식, 돈, 명성)에 의한 것입니다.

  • Overall, students choosing primary care specialities seem to be driven by intrinsic goal contents and hence autonomous motivation, 

  • whereas students choosing non-primary care specialities seem to be driven partly by intrinsic goal contents, i.e. science-oriented motive/working with new technology, and partly by extrinsic goal contents, i.e. lifestyle, money, prestige.


나이가 동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 한 연구가 한 번뿐이었습니다.

There was only one study that found that age influences motivation.


이 연구에서 이 차이는 35 세 대 45 세인 참가자들 사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평균 23 세의 미국과 호주를 제외하고는 의학 연구에 진입 한 평균 연령은 약 17 세입니다. 이 점에 비추어보면 위 연구는 대부분의 의대생과 무관 한 것처럼 보인다

in this study this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ntrants who were 35 vs. 45 years of age. In most countries, the average age at entry into medical study is around 17 years, except in the US and Australia where it is around 23 years. In the light of this, the study by Harth et al. (1990) seems irrelevant to most of the medical student population


동기의 성별 차이에 대해서는 여성 의대생이 [남성 의대생보다] 동기부여의 강도가 높고 동기 부여의 질이 좋아 보인다는 상당한 증거가있다.

Concerning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that female medical students seem to have higher strength and better quality of motivation than male medical students.


민족성과 사회 경제적 지위 또한 충분히 자세하게 조사되지 않았으며, 모순 된 결과는 일반화 가능성이 제한적이다. 마찬가지로, 교육 배경, 성격 특성, 커리큘럼의 연도, 교사 및 학부모 지원과 같은 변수는 일반화하기에는 너무 적은 수의 연구가 있습니다.

Ethnicity and socioeconomic status also have not been explored in enough detail and because of contradictory findings have limited generalizability. Similarly, variables like educational background, personality traits, year of curriculum, teacher and parent support have too little number of studies to be generalizable.



이 검토에서는 부양 가족의 관점에서의 동기 부여와 의학 교육에서의 독립 변수를 보는 데있어 장점이 뒷받침되었습니다. 동기 부여가 독립 변수 인 지원과 학습 및 학업 성과와 같은 중요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원은 동기 부여를 종속 변수로보고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는 데 중요합니다. 동기에 대한 연구는 독립 변수로는 상당히 많은 것으로 보이지만, 종속 변수로서의 동기 부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The merits in viewing motiv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 dependent and an independent variable in medical education were supported by this review. Having support that motivation is an independent variable, influencing important outcomes like lear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is important in order to look at motiv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it. There seems to be a fair amount of research on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but research on motiv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is scarce.



Further implications


SDT는 의학 교육 과정 개혁, 학습 환경의 구성, CME 및 평생 학습을 위한 좋은 토대가 될 수있는 일반적인 동기 이론입니다.


자율적 인 동기 부여를받은 학생들은 직업에 대한 더 큰 만족감을 느끼게되어 스트레스와 소모 가능성을 낮추게됩니다. 의료기관의 문화에 의료계의 가치를 통합하면 외적 목표 내용을 본질적인 목표 내용으로 옮기고 돈, 지위, 권력에서 지역 사회 봉사로 초점을 바꿀 수 있습니다.

The SDT is a general theory of motivation which can be a good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al curricular reforms, structuring of the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Autonomously motivated students’ would experience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 leading to lowering of stress and burnout possibilities. Integration of values of the medical profession into the culture of medical institutions could also help in shifting extrinsic goal contents to intrinsic goal contents, changing the focus from money, status and power to community service.











 2011;33(5):e242-62. doi: 10.3109/0142159X.2011.558539.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and a dependent variable in medical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The Netherlands. R.Kusurkar@umcutrecht.nl

Abstract

BACKGROUND:

Motivation in learning behaviour and education is well-researched in general education, but less in medical education.

AIM: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How has the literature studied motivation as either an independent or dependent variable? How is motivation useful in predicting and understanding processes and outcomes in medic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of motivation.

METHODS:

literature search performed using the PubMed, PsycINFO and ERIC databases resulted in 460 article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mpirical research, specific measurement of motivation and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which had well-designed methodology. Only studies related to medical students/school were included.

RESULTS:

Findings of 56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reviewMotiv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ppears to affect learning and study behaviour, academic performance, choice of medicine and specialty within medicine and intention to continue medical study. Motiv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ppears to be affected by age, gender, ethnicity, socioeconomic status, personality, year of medical curriculum and teacher and peer support, all of which cannot be manipulated by medical educators. Motivation is also affected by factors that can be influenced, among which ar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hich have been described a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mportant for intrinsic motivation according to SDT.

CONCLUSION:

Motivation is an independent variable in medical education influencing important outcomes and is also a dependent variableinfluenced by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is review finds some evidence in support of the validity of SDT in medicaleducation.

PMID:
 
21517676
 
DOI:
 
10.3109/0142159X.2011.558539


의과대학생의 경청 능력 키우기(Med Teach, 2009)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become attentive listeners

J. DONALD BOUDREAU1, ERIC CASSELL2 & ABRAHAM FUKS1

1McGill University, 2Cornell University




도입

Introduction


이 에세이는 의료 학생들이 조심스럽고 세심하고 사려 깊은 의사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시리즈 중 두 번째입니다. 첫 번째 시각적 관찰에 중점을 둡니다. 이제 우리는 경청으로 주의를 돌립니다.

This essay is the second in a series on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become observant, attentive and thoughtful physicians. The first focused on the teaching of visual observation. We now turn our attention to listening.


의사와의 만남에 대해 환자가 겪고있는 주요 불만은 의사가 듣지 않는다는 것인데, 증거는 매우 많다 (Golman 1991; Chisholm 외 2006, Boudreau 2008). 불행히도, 환자들은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지만, 그러한 외침이 청취 기술 숙달에 대한 커리큘럼 강조 또는 의사의 교육 목표로서의 인식으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not being listened and not being heard 경험은 환자 불만의 주된 원인이며, 의사 소통 실패는 환자가 소송을 하는 근본 동기로 종종 인용됩니다 (Vincent et al., 1994; Levinson et al. 1997).

The major complaint that patients have about their encounters with physicians is that doctors do not listen – the evidence is legion (Golman 1991; Chisholm et al. 2006; Boudreau 2008). Unfortunately, the importance that patients attribute to listening has not led to a curricular emphasis on proficiency in listening skills, nor to its recognition as a personal education goal amongst physicians. The experience of not being listened to and hence, not being heard, is a major source of patient dissatisfaction and failures in communication are often cited as an underlying motive by patients for lawsuits (Vincent et al. 1994; Levinson et al. 1997).


의사 소통 기술을 핵심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만드는 필요성에 대한 의학교육자의 인정은 유익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 및 학습자 매뉴얼은 듣기 기술에 대한 언급이 부족합니다.

The acceptance by medical educators of the need to make communication skills a feature of core curriculum has been salutary. However, most of the teacher and learner manuals make scant mention of the skill of listening.


듣기는 일상 생활의 일부이자 소소한 복잡한 현상입니다. 또한 여러 분야에서 음악, 언어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사회학, 교육, 철학, 비즈니스 등에서도 다루어집니다. 이러한 분야는 듣기가 중시되는 여러 상황 (예 : 갈등 해결, 기호학, 담화 분석, 언어 개발 및 수사)을 다양한 각도로 탐구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인상적인 접근 방식을 이끌어 냈으며 각각 선호하는 잠재 고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 : 

  • 적극적 경청 (보건 전문직에서); 

  • 효과적 경청 (비즈니스 및 경영); 

  • 분석적 경청 (음악); 

  • 공감적 경청 (심리 요법에서); 

  • 대화적 경청 (언어학). 

Listening is a complex phenomenon that is part and parcel of day to day life. It is also addressed by many disciplines, the most obvious being music, but also linguistics, communication studies, sociology, education, philosophy and business, to name a few. These disciplines will, to varying degrees, explore many situations where listening is considered significant (e.g. conflict resolution, semiotics, discourse analysis, language development and rhetoric). This situation has led to an impressive array of approaches, each with its favored audience. Examples include: 

  • active liste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 effective listening (in business and management); 

  • analytic listening (in music); 

  • empathic listening (in psychotherapy); and 

  • dialogic listening (in linguistics). 


따라서 청취의 정의와 범위는 매우 맥락적일 수있다.

The definition and scope of listening are therefore likely to be highly contextual.




배경과 맥락

Background and context


2005 년에 우리의 의과 대학은 의사 자격을 부여하는 새로운 커리큘럼 구성 요소를 도입했습니다 (Boudreau 2007). Physicianship은 일반적인 용어가 아니며, 정의가 필요하다. 그것은 명사이며, '우정'이라는 단어와 마찬가지로 의사의 기능과 직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고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In 2005, our Faculty of Medicine introduced a new curricular component entitled physicianship (Boudreau 2007). Physicianship is not a term in common usage and merits definition; it is a noun, and like the word ‘friendship’, refers to a state wherein one possesses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he function and office of physicians.


경청에 관한 모듈을 개발할 때, 우리는 주로 이 논문의 저자 인 Eric Cassell의 이전 연구에서 이끌어 냈습니다. 1970 년대 초, 그는 800 명의 환자 - 의사 대화방 내에서 일어난 대화를 청각 적으로 녹음했으며, 그 중 많은 사람들이 재발 방문을 통해 대화를 녹음했습니다. 전사 된 대화를 분석하여 언어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임상 환경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이끌어 냈습니다 (Cassell, 1985).

In developing the modules on listening we were guided primarily by the previous work of one of the authors of this paper, Eric Cassell. In the early 1970s, he audiotaped conversations that took place within 800 patient-doctor dyads, many of them over recurrent visits. The transcribed conversations were analyzed and resulted in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how language works and how it can be used in the clinical setting (Cassell 1985).


과목 개발: 원칙

Course development: guiding principles


(1) 교육과정 청사진은 임상 방법의 각 요소 (예 : 청취)가 근본적이며 필요한 핵심 임상 기술임을 인정해야합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관련 활동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면서 핵심 교과 과정에 통합되어야합니다.

(1) A curricular blueprint must accept that each element of the clinical method (e.g. listening) is a fundamental and necessary core clinical skill. Consequently, it must be integrated in core curricula, with the requirement that all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related activities.


(2) 특정 학습 목표를 명확히 명시해야합니다.

(2)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must be clearly specified. 


(3) 교수 전략은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기술 교육의 규범을 존중해야하며, 반복적 연습의 필요성이 중요하다. 또한 형성 적 및 총괄적인 의도로 성과 평가가 이루어져야합니다. 퍼포먼스에 대한 자세하고 즉각적인 피드백 (이 경우 듣기 수행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3) The teaching strategies employed should respect the generally accepted norms for skills teaching, an important aspect of which is the need for repetitive practice. There must also be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intents. Detailed and prompt feedback on performance (in this instance, listening performance), is critically important.


(4) 의학 교육자는 그들이 의학을 가르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 경우에는 언어학이 아니라 듣기 및 언어 사용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우리는 학습이, 이상적으로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맥락에서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4) Medical educators must not lose sight of the fact that they are teaching medicine; in this instance, the focus in on listening and language use, not linguistics. In this spirit, we consider that learning should, in the ideal situation, take place in clinically meaningful contexts.


임상에서 경청의 핵심 원리

Core principles of listening in the clinical context


우리는 '적극적' 경청의 8 가지 핵심 원칙을 확인했습니다.

We have identified eight core principles in what we have labeled ‘attentive’ listening.


(1) 세심한 청취는 지각 적,인지 적, 사회적 행동입니다.

(1) Attentive listening is a perceptual, cognitive and social act.


(2) 세심한 청취는 능동적 인 과정이다.

(2) Attentive listening is an active process.


(3) 주의 깊은 청취는 화자, 발화, 청취자로 구성된다.

(3) Attentive listening is triadic: the speaker, the utterance, and the listener.


(4) 주의 깊은 청취를 위해서는 단어 선택, 준언어, 비언어적 신호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4) Listening attentively involves focusing on word choice, paralanguage and non-verbal cues and signs.


(5) 주의 깊은 청취는 다음을 필요로한다 : 수용성, 말한 언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 열린 마음과 추론 사이를 오갈 수있는 능력.

(5) Listening attentively requires: receptiveness; an understanding of how spoken language works; and an ability to move between open-mindedness and an awareness of inference.


(6) 세심한 듣기는 다음을 성취 할 수있다 : 연사 (즉, 환자)의 인격과 관심사를 드러낸다. 진단 관련 데이터를 생산한다. 치유를 돕는다.

(6) Attentive listening can accomplish the following: reveal the personhood and concerns of the speaker (i.e. the patient); produce diagnostically relevant data; assist in healing.


(7) 세심한 청취는 중립적 인 행위가 아니며 환자, 의사 및 그 관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7) Attentive listening is not a neutral act – it can hav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the patient, physician and their relationship.


(8) 세심한 청취는 새로운 습관의 형성을 필요로한다.

(8) Attentive listening necessitates the formation of new habits.




적극적 경청은 지각적, 인지적, 사회적 행위이다.

Attentive listening is a perceptual, cognitive and social act


듣기를 경청과 혼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적절한 신경 감각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듣는 능력은 경청에 필수적이지만 불충분하다. 청취는 해석을 포함하는 지각 및 인지 행동입니다. (단계 나 요소가 무의식중에 이뤄지더라도) 청취자는 청취 내용을 처리하고 생각합니다. 해부학적 생리적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피질은 단지 수동적으로 감각 입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능동적으로 변조한다. 피질은 주어진 순간에 관심이 있거나 관련이있는 것을 듣거나 보거나 느낄 수 있습니다.

There is a tendency to confuse listening with hearing. The ability to hear, to activate appropriate neurosensory pathways, is a necessary but insufficient requirement for listening. Listening is a perceptual and cognitive act that includes interpretation. A listener processes and thinks about what is heard – even if steps or elements occur below awareness. There is an anatomico-physiological correlate to this. the cortex does not simply passively receive sensory input but that it actively modulates it. The cortex may hear/see/feel what is of interest or relevant at a given moment.


'Hear/Listen'의 이중성은 의학 현상학에 관한 흥미로운 논문에서 제기됩니다. Baron은 환자의 흉부를 청진 (aicult)하는 환자의 만남을 설명함으로써 기사를 시작합니다. 환자가 질문을하기 시작하면 의사의 응답은 '조용히 하세요. 내가 listen하는 중에는 당신을 hear할 수 없어요'라고 답한다.

The duality of ‘hear/listen’ is raised in an intriguing paper on medical phenomenology. Baron begins the article by describing a patient encounter where he is ausculting (sic) a patient’s thorax. When the patient starts to ask a question, the physician’s response is, ‘Quiet, I can’t hear you while I’m listening.’


적극적 경청은 능동적 프로세스이다.

Attentive listening is an active process


듣는 것은 일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수동적 현상이 아닙니다. 목표 지향 상호 작용이 규칙인 환자-의사 세팅에서 청취자는 종종 동시에 수행되는 많은 작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Listening implies work; it is not a passive phenomenon. In the patient-doctor setting, where goal-oriented interaction is the rule, the listener is engaged in many tasks, often attended to concurrently.




적극적 경청의 3요소: 화자, 발화, 청자

Attentive listening is triadic: the speaker, the utterance, and the listener


듣는 사람은 발화을 듣고 이해할 것입니다. 발화는 말의 기본 단위입니다. 그것은 언어의 존재가있는 곳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발화는 중립적이거나 불활성적이지 않습니다. ‘bare unadulterated facts’가 아니다. 그들은 의미에 물들어 있으며, 그들이 가지고있는 의미는 항상 사람에게 속한다. 그들은 발언하고 듣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듣기는 삼중적 과정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을 기술하기 위해 비슷한 틀을 사용했다. '연설에서 세 가지 요소, 즉 연설자, 주제, 청중이며, 연설의 끝과 목표를 결정하는 것은 마지막, 즉 듣는 사람이다.'(Aristotle 1959).


A listener will hear and apprehend an utterance. The utterance is the basic unit of spoken language. It is where the being of language resides. But, these utterances are not neutral or inert – the equivalent of ‘bare unadulterated facts’. They are imbued with meanings and the meanings they carry always belong to persons. They will depend on the persons who are uttering them and hearing them. Listening is thus a triadic process. Aristotle used a similar framework to describe rhetoric: ‘For of the three elements in speech making – speaker, subject, and person addressed – it is the last one, the hearer, that determines the speech’s end and object.’ (Aristotle 1959).




주의 깊은 청취를 위해서는 단어 선택, 준언어, 비언어적 신호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Listening attentively involves focusing on word choice, paralanguage and non-verbal cues and signs


환자가 단어를 선택하는 방법과 단어를 선택하는 방법은 두 가지를 나타냅니다.

    • (1) 연사가 청취자에게 말하는 내용 또는 청취자에게 말하려는 것

    • (2) 연설자 자신을 묘사한다.

바흐틴 (Bakhtin)은 '소설의 담화'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The choices that patients make in selecting words, and the way they put them together, reveal two things: (

1) they describe what the speaker is referring to or trying to tell the listener and 

(2) they describe the speaker himself or herself. 

Bakhtin, ‘Discourse in the novel’, says:


[언어로] ... '중립적 인'단어와 형태는 없습니다. 단어와 형식은 '누구에게도' 속할 수 없는 것이다. 언어는 의도와 악센트로 발화된 순간 완전히 넘어가는 것이다.. 모든 단어는 직업, 장르, 경향, 파티, 특정 작업, 특정 사람, 세대, 연령 그룹, 요일 및 시간의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단어는 사회적으로 과분한 삶을 살아온 문맥과 맥락을 맛 본다. 모든 단어는 의도intentions로 채워진다 (Bakhtin 1981).

[in language], ...there are no ‘neutral’ words and forms – words and forms that can belong to ‘no one’; language has been completely taken over, shot through with intentions and accents. ... All words have the ‘taste’ of the profession, a genre, a tendency, a party, a particular work, a particular person, a generation, an age group, the day and hour. Each word tastes of the context and contexts in which it has lived its socially charged life; all words are populated by intentions (Bakhtin 1981).



단어 자체 이외에도 paralanguage라고하는 음성 언어의 비 단어 기능이 있습니다. Paralanguage는 음성 품질, 음량, 연설 률, 리듬, 일시 중지와 같은 측면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음성prosodic 품질과 음향 적 모양을 포함합니다. 이 데이터는 연사의 emotional and affective 상태에 관하여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임상 환경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In addition to the words themselves are the non-word features of spoken language, referred to as paralanguage. Paralanguage includes the prosodic quality and acoustic shape of human speech and includes aspects such as voice quality, volume, speech rate, rhythm and pauses. These data provide important clues on the emotional and affective states of the speaker and are particularly crucial in the clinical setting.



한편, 비언어적 의사 소통은 시각적 관찰 영역에있다. 관찰 의사는 눈과 입술, 얼굴 표정, 몸의 자세와 자세, 자발적인 움직임 (특히 손)뿐만 아니라 틱이나 떨림과 같은 임의의 비자발적 움직임에 세심한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Non-verbal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resides in the domain of visual observation; the observant physician needs to pay close attention to movements of the eyes and lips, facial expressions, body position and stance, voluntary movements (especially of the hands) as well as any involuntary movements, for example, tics or tremors.


독자는 개인의 '듣기 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학자가 성격 프로필을 위해 개발 된 것과 유사한 설문지 기반 인벤토리를 설계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The reader might be interested in knowing that communication scholars have designed questionnaire-based inventories, similar to those developed for personality profiles, to identify the ‘listening styles’ of individuals.


또한 어떤 커뮤니테이션 전문가들은 훈련을 통해 청취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부인했습니다 (Petrie 1964). 우리는 정중하게 그들과 동의하지 않습니다.

It must also be noted that certain experts in communication studies have denied that listening abilities can be improved through training (Petrie 1964). We respectfully disagree with them.



주의 깊은 청취는 다음을 필요로한다 : 

  • 수용성, 

  • 말한 언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 

  • 열린 마음과 추론 사이를 오갈 수 있는 능력.

Listening attentively requires: 

  • receptiveness, 

  • an understanding of how spoken language works, and 

  • an ability to move between open-mindedness and an awareness of inference


Receptiveness란 청자가 특정 시간, 특정 장소 및 상황에서, 그리고 특정 연사가 있을 때 자신을 발견하는 ‘being-ness’의 품질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마음의 틀a frame of mind'이라는 용어로 요약 될 수 있습니다. 

    • 흥미로운 점은 영어로 '듣다to listen'라는 말은 능동적 과정이고, 동사이다. 즉 뭔가 하는 것입니다

    • 대조적으로, 동등한 표현을 불어로 표현하면 '듣는 상태에있는 것'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 언어 적 구별은 임상 양상에서 두 가지 측면 모두가 효과적이어야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수용적이어야하며, 실제 퍼포먼스에 engage하고 있어야한다.

Receptiveness refers to the quality of ‘being-ness’ in which the listener finds himself or herself at a particular time, in a particular place and context, and in the presence of a particular speaker. It can be encapsulated with the term ‘a frame of mind’. It is interesting that in English, the phrase ‘to listen’ is an active process, a verb – a doing of something. In contrast, in French, the equivalent expression is ‘eˆtre a` l’eˆcoute’ – this is best translated as ‘being in a state of listening’. This linguistic distinction underlines that both aspects should be operative in clinical settings: being receptive and being engaged in an actual performance.


언어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려면 현실을 창출하는 데 있어 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해야합니다. 인간은 언어를 통하지 않고는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종종 말합니다. Cassell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우리는 언어를 통해 현실을 묘사 할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것을 도용appropriate 합니다. 즉, '우리는 우리에게 그것을 현실로 만듭니다'. 이 도용appropriation 은 고도로 개인적인 것일 수있다. (Cassell, 1985). 바크 틴 (Bakhtin)은 연설의 행위를 '문학적 - 언어적 퍼포먼스'로 묘사했다 (Bakhtin 1981).

To understand how language works one must appreciate its importance in creating reality. It is often said that humans do not understand meaning except through language. Cassell states, ‘By means of language we not only describe reality, we actually appropriate it, that is ‘we make it real’ to ourselves. This appropriation may be – and usually is – highly individual’ (Cassell 1985). Bakhtin has described the act of speech as a ‘literary-verbal performance’ (Bakhtin 1981).


훈련이 안 되어있는 청취자는, 대화 시에 겉으로 보기에 관계없는 발화에 직면했을 때 화자를 nonsensical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따라서 화자를 비논리적이며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비-정신병적 인간의 대화는 논리적이라고 믿습니다. 논리의 단순한 정의(결론에 도달하는 일련의 전제를 연결하는 것)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이, 화자에게 근본적인 신념 체계 또는 설명 적 모델이 결여되어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들은 세심한 청취자가 발견 할 수있는 것입니다.

The untrained listener may, when faced with a series of seemingly unrelated utterances in a conversation, conclude that the speaker is nonsensical and therefore dismiss the speaker as illogical and not to be heeded. We believe, however, that all non-psychotic human conversations are logical. Not conforming to a simple definition of logic, that is, connecting a series of premises to arrive at a conclusion, does not mean that the speaker lacks an underlying belief system or explanatory model – they are for the attentive listener to discover.


오픈 마인드의 개념은 청자가 자기자신의 지각적, 인지적, 감정적 필터를 가져오려는 시도를 인지함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분명히 어렵고 확률 적으로 성취 불가능한 시도로서, 화자의 발언이 unedited and untarnished 방식으로 들리고 이해 될 수있는 기회를 창출하기위한 시도입니다.

The concept of open-mindedness implies that the listener is attempting to bring to awareness, his or her own perceptual, cognitive and emotional filters. It is an attempt, admittedly difficult and likely unachievable in full, to create an opportunity whereby the speaker’s utterances can be heard and apprehended in an unedited and untarnished manner.


이 조정과정accommodation은 주의 깊은 청취의 중요한 부분으로, [정보의 수용자와 온전히 대화에 참여하는 상대방] 사이에서의 조정이다. 청자에게서 형성되는 생각 및 감정은 '내면의 목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심한 청자는 외적 목소리(즉, 화자)에서 내면의 목소리 사이를 오갈 수 있어야합니다(한 극에서 다른 극으로)(Jackson 1992).

This accommodation, between being a recipient of information and a fully engaged dialogic partner, is a crucial aspect of attentive listening. The thoughts and emotions that are formed in the listener may be referred to as the ‘inner voice’. The attentive listener must be able to swing from the external voice (i.e. speaker) to that inner voice – from one pole to the other (Jackson 1992).


이 균형을 이루는데 필요한 장치를 설명하면서, 정신 분석 학자 인 테오도르 레이크 (Theodor Reik)는 Neitzsche의 '제 3의 귀'에 대한 개념, 즉 환자로부터 재귀적으로recursive 반복되는, 그 들리지 않는 것들을 받을 수있는 귀를 언급하였다. 바깥 쪽outer에서 내면inner 목소리로 적절히 움직이는 것을 강조하는 것도 중요하며, 이것은 각각의 '방송 시간'을 똑같이 주는 것(각각 턴을 갖는것) 만큼이나 간단하지 않습니다. 

In describing the apparatus necessary to accomplish this the balancing act, psychoanalyst Theodor Reik borrowed Neitzsche’s concept of the ‘third ear’ – the ear that can receive those inaudible things that are recursive to and from patients.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line that to move appropriately from outer to inner voice is not as simple as giving each equal ‘air time’, viz. each taking a turn.


해석이 없는 경청은 없다. 반대로, 우리는 학생이 '성찰적 유추'를 이해하도록 인도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청취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self-aware interpretation'을 포함시키는 것은 '듣고hear 듣고listen 인식하고recognize 해석하는interpret 과정'으로 정의되어왔다 (Toussaint 1960 ). 그러나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Interpretation cannot be purged from listening; on the contrary, we consider that the student must be guided to understand ‘reflective inference’. The inclusion of ‘self-aware interpretation’ as an essential aspect of listening has been captured with the term ‘auding’ – it has been defined as ‘the process of hearing, listening to,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spoken language’ (Toussaint 1960). The term is, however, not commonly used. 



세심한 듣기는 다음을 성취 할 수있다 : 

  • 연사 (즉, 환자)의 인격과 관심사를 드러낸다. 

  • 진단 관련 데이터를 생산한다. 

  • 치유를 돕는다.

Attentive listening can accomplish the following: 

  • reveal the personhood and concerns of the speaker(i.e. patient); 

  • produce diagnostically relevant data; 

  • assist in healing 


듣기는 관련 임상 정보를 이끌어 낼 수있는 능력에서 무엇과도 비교될 수 없는unmatched 기술입니다. 세심한 의사는 환자의 이야기나 서사의 관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무엇이 환자를 괴롭히는지에 관한 가설을 세웁니다. 그들의 공동 해석은 미래의 행동으로 향할 것입니다. 경청는 환자의 성격personhood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특히 청취자가 말의 선택과 언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이 특정 임상 기술은 환자의 건강 및 질병 개념을 이해할 수있게합니다. 특정 병에 대한 자신의 설명; 가치, 희망 및 두려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많은 환자들이 듣는 것이 치유 과정의 일부라고 선언했습니다.


Listening is a skill unmatched in the capacity to elicit relevant clinical information. The attentive physician can better decipher and understand the point of the patient’s story or narrative and thence, generate tentative hypotheses regarding what ails the patient. Their joint interpretation will point the way to future action. Listening can be effective in revealing the personhood of the patient, particularly if the listener is attentive to word choice and paralanguage. This specific clinical skill can lead to an understanding of a patient’s concept of health and illness; his or her explanations for a particular sickness; and his or her priorities, values, hopes and fears.Many patients have declared that being listened to is part of the healing process. 


세심한 청취는 중립적 인 행위가 아니며 환자, 의사 및 그 관계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ttentive listening is not a neutral act – it can hav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n the patient, the physician and their relationship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결과가 위해할 수 있고 상처만 줄 수 있습니다. 

    • "Half-listening"은 환자를 disenfranchise할 수 있습니다. 

    • 'Distracted listening'는 의사에게 잘못된 리드를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의 우려 사항에 침투하지 못한다는 것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환자는 그렇게 해석 할 수 있습니다. 

    • 'Selective listening'는 환자를 어린애 취급하거나 좌절시킬 수 있습니다.


If done poorly,  the consequences can be pernicious and result in wounding.

    • ‘Half-listening’ can disenfranchise the patient. 

    • ‘Distracted listening’ can result in false leads for the physician and can reflect an imperviousness to patient concerns, at least, it may be so interpreted by the patient. 

    • ‘Selective listening’ can infantilize or frustrate the patient. 


세심한 청취에는 새로운 습관이 필요합니다.

Attentive listening requires the formation of new habits



일반적으로 대화에서 listening을 자동으로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naive'한 듣기에서 사람들은 말한 것을 듣고, 곧바로 자신의 발화에 의미를 투영합니다. 주의 깊은 듣기에 대한 저항이 많기 때문에 의학 선생님은 종종 "'Active listening'는 무엇을 했느냐보다 무엇을 하지 않았느냐로 특징지어진다"라고 코멘트하곤 한다'( Robertson 2005). 즉, 훈련에서 초보자는 나쁜 습관을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려고 시도해야합니다

  • 중간에 말 끊기,

  • 성급한 reassurance와 premature한 조언

  • 개방형 질문의 불충분 한 사용

  • 침묵 또는 긴 멈춤을 불편해함


In normal conversation there is a tendency to consider listening as automatic. In ‘naı¨ve’ listening, people hear what is spoken and immediately project on the utterance their own meanings. This is a common ‘road block’ to attentive listening. Since there is much resistance to attentive listening, medical teachers often comment that, ‘it [active listening] is characterized more by what is not done than by what is done’(Robertson 2005). That is, in training, the novice must become aware of and attempt to overcome bad habits; these include things such as 

  • interruptions, 

  • hasty reassurances and premature advising, 

  • insufficient use of open-ended questions, and 

  • discomfort with silence or long pauses. 



원칙 묘사하기

Illustrating the principles


paralanguage를 가르치는 것과 관련하여 우리는 학생들에게 기술적 용어의 용어집과 기본 틀을 갖추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것의 간단한 버전이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우리는 paralanguage의 특징들, 즉 말하기 비율의 일시 중지 및 볼륨의 가변성을 학생들이 그래픽으로 볼 수 있도록 실험했습니다.우리는 오디오 편집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Sound Forge 9, Professional Digital Audio Production, Sony)을 사용하여 음성 파형을 생성했으며 효과적인 교습 도구임을 확인했습니다. 예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그것은 임상 적 우울증 환자의 말소리의 음향 형태 변화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With respect to teaching paralanguage we have found it useful to equip students with a framework and a glossary of descriptive terms. A simplified version of it is presented in Table 1. We have experimented with making selected features of paralanguage, namely pause to speech ratio and variability in volume, graphically visible to students. We created speech waveforms using an audio editing software program (Sound Forge 9, Professional Digital Audio Production, Sony) and have found these be effective teaching aids. An example is presented in Figure 1; it demonstrates the variation in the evolution in the acoustic shape of the speech of a patient with clinical depression.







학생들은 premise를 식별하고 환자의 논리 흐름이 나타나도록 premise들을 다시 배열해야합니다. 명백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종종 훈련받지 않은 청취자가 'nuttiness'라고 해석하는), 우리는 이야기를 이해하고 환자를 존경하는 마음을 갖습니다. 위 작업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Students are asked to identify the premises and rearrange them so the patient’s flow of logic emerges. In diminishing the apparent chaos, (often interpreted as ‘nuttiness’ by the untrained listener), we help understand the story and bolster a sense of respect for the patient. Our response to the above task is presented in Figure 2.



결론

Conclusion


예리한 관찰자뿐만 아니라 세심한 청취자가 되는 의대생의 준비는 두 가지 보완적인 목표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습니다.

  • 첫 번째는 학생들에게 physicianship의 기본 목표를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임상 방법의 기술, 즉 의사가 질병에서 아픈 사람으로 시선을 옮기는 기술을 갖추게 하려는 욕망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밀접하고 분별력있게보고 완전하고 진실되게 듣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두 번째는 의대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transformation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변형 과정에 대한 비판적인 교육에서 많은 부분이 쓰여졌다.

The preparation of medical students to be attentive listeners, as well as keen observers, has been motivated by two complementary aims. 

  • The first is a desire to equip students with the skills of a clinical method deemed to be suitable in advancing the basic goal of physicianship, that is, redirection of the physician’s gaze from disease to the sick person. Acquiring an ability to see closely and discerningly and to listen fully and authentically, is a requisite in achieving this objective. 

  • The second is to contribute to the transformation which students experience in medical school. Much has been written in critical pedagogies about the transformative processes.

최근에 실시 된 미국 성직자 교육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이 교육의 중심에는 formation이라는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교수와 학습은 사실이나 인지 도구를 전달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formative라는 의미에서 배움이란 학생이 특정 방식으로 사고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는 니다. '(Foster et al., 2006).

A recently conducted study on the education of American clergy states: ‘At the center of this pedagogy is the idea of formation: the recognition that teaching and learning are about much more than transferring facts or even cognitive tools. Learning in the formative sense is a process by which the student becomes a certain kind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 being’ (Foster et al. 2006). 


이 묘사는 의학에 전적으로 적용되며, 우리는 다음과 같이 그것을 적용합니다 : 'Formative한 의미에서 배우는 것은 학생이 특정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보고, 듣고, 행동하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그것은 우리에게 분명 해졌다. 이러한 원칙과 실례를 개발할 때 임상 영역에서 주의 깊게 듣는 것은 '임상 청취'라는 특정 용어를 정당화 할 수있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있다.

This description is entirely applicable to medicine, and we adapt it as follows: ‘Learning in the formative sense is a process by which the student becomes a certain kind of thinking, feeling, seeing, listening and acting being.’ It became evident to us, in developing these principles and examples, that attentive listening in the clinical domain has such unique features that it may warrant the specific term, ‘clinical listening’.



일부 학생들은 의학적 인터뷰와 의사 소통 기술에 대한 특정 기술을 가르친 후에 듣기를 가르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임상 교육자들은 (비록 어떤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에도) 기술 교육이 특정 순서를 따라야하고, 복잡한 기술보다 단순한 기술을 먼저 습득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우리가 듣는 법을 배우는 것이 환자와 완전한 의학적 인터뷰를 수행하는 것을 배우는 것보다 쉬울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 일 수 있습니다. 임상 로테이션 중에 보완적인 접근법을 통해 이러한 기술을 강화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의료 인터뷰를 관찰하여 청취 오류를 식별 한 다음 학생의 오류를 탐구해야합니다.


Some students have argue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teach listening after they have been taught the medical interview and specific techniques in communication skills. generally Clinical educators believe (even if erroneously so in certain instances) that skills teaching must follow a certain order and that the acquisition of simple skills should precede the complex. While we assumed that learning how to listen would be easier than learning to conduct a complete medical interview with patients, it may actually be the reverse. We may need to reinforce these skills, with a complementary approach later during clinical rotations, by identifying errors in listening during observed medical interviews and then exploring these errors with the students.





 2009 Jan;31(1):22-9. doi: 10.1080/01421590802350776.

Preparing medical students to become attentive listeners.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Physicianship Program, McIntyre Medical Sciences Building, McGill University, Montreal, QC, Canada. donald.boudreau@mcgill.ca

Abstract

BACKGROUND:

The ability to listen is critically important to many human endeavors and is the object of scholarly inquiry by a large variety of discipline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listening skills in clinical practice have been elucidated previously, a cohesive set of principles to frame the teaching of these skills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level has not been described.

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nciples that underlie the teaching of listening to medical students. We term this capacity, attentive listening.

METHODS:

The authors relied extensively on prior work that clarified how language works in encounters between patients and physicians. They also conducted a review of the applicable medical literature and consulted with experts in applied linguistics and narrative theory.

RESULTS:

They developed a set of eight core principles of attentive listening. These were then used to design specific teaching modules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renewal at the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CONCLUSIONS:

Principles that are pragmatic in nature and applicable to medical educ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successfully deployed in an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PMID:
 
19140065
 
DOI:
 
10.1080/01421590802350776


다섯 명 중 한 명이 번아웃된다면, 나머지 네 명은? 의사들의 회복탄력성 전략(Acad Med, 2013)

If Every Fifth Physician Is Affected by Burnout, What About the Other Four? Resilience Strategies of Experienced

Physicians

Julika Zwack, PhD, and Jochen Schweitzer, PhD



의사의 건강 문제는 의사뿐 아니라 환자에게도 중요합니다. 정신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조사 결과 약 15 %에서 20 %의 의사가 직장 생활의 어느 시점에서 정신 건강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Physicians’ health matters, not only to the physicians themselves but also to their patients. Mental healt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overall health, and research shows that approximately 15% to 20% of physicians will have mental health problems at some point in their careers.1–3


코헨 (Cohen) 등의 조사에 따르면 1,999 명의 레지던트 중 3 분의 1이 자신의 삶을 '어느정도'에서 '극히'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보고했다.

In a survey by Cohen and colleagues,6 one- third of 1,999 residents reported their life as “quite a bit” to “extremely” stressful.


의대생의 심리적 곤란 (우울증, 불안, 소진 및 정신 건강 문제)에 관한 40 개의 연구를 검토 한 결과, Dyrbye와 동료들은 일반 인구와 비교하여 후기의 훈련 과정에서 의대생의 우울증과 불안감을 지속적으로 확인했습니다.

In their review of 40 studies on psychological distress in medical students (depression, anxiety, burnout, and related mental health problems), Dyrbye and colleagues7 consistently identified a greater degree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medical students in the later years of training compared with the nonstudent (general) population.


비슷하게, Goebert와 동료 8)는 2,000 명의 의대생과 레지던트들에서 주요 우울증에 대한 유병율을 12 %, 경도 / 중등도 우울증에 대해서는 9.2 %를 발견했다.

Similarly, Goebert and colleagues8 found prevalence rates of 12% for major depression and 9.2% for mild/moderate depression in 2,000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의사의 distress에 관한 이러한 놀라운 데이터는 예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촉진 시켰습니다. 일반적인 예방 전략 중 하나는, 의사 그룹이 정기적으로 만나서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있는 임상 사례를 제시하는 전통적인 Balint 그룹 모델 (헝가리 정신 분석 학자 Michael Balint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두 가지 추가적인 개념적 접근법이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

  • (1) mindfulness 기반 스트레스 감소: 순간 순간의 감각, 경험 및 반응에 대한 nonjudgmental한 인식을 통한 이완을 촉진하는 명상 기술에 초점을 맞춘 훈련 프로그램

  • (2) 인지 행동 스트레스 예방: 스트레스 반응의 신체 및인지 구성 요소에 관한 정신-교육에 초점, 진행성 근육 이완과 같은 이완 기술 및 인지 적 개입 (예 : 비합리적이고 부정적인 생각에 도전).

  • Mindfulness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는 distress, 반추 및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고 공감력을 향상시키는 데 종종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11,12

  • 인지 행동적 접근법은 직업 관련 고민과 전반적인 행복에 대해 유사한 유의미한 효과를보고했다 .13,14


These alarming data on physician distress have fostered awareness for the necessity of prevention. One common preventive strategy is the traditional Balint group model (named for Hungarian psychoanalyst Michael Balint) in which a group of physicians meet regularly and present clinical cases to better understand the physician– patient relationship. Two additional conceptual approaches seem to prevail: 

  • (1)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meditation techniques that promote relaxation through the nonjudgmental awareness of moment-to-moment sensations, experiences, and reactions, and 

  • (2) cognitive behavioral stress prevention with a focus on psycho-education about physical and cognitive components of the stress reaction, relaxation techniques such as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and cognitive interventions (e.g., challenging irrational and negative thoughts). 

  •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has frequently proved effective for reducing distress, rumination, and negative feelings and enhancing the capacity for empathy.11,12 

  •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es reported a similarly significant effect on job-related distress and general well-being.13,14


Jensen과 동료 연구원은 의사의 회복탄력성의 네 가지 주요 측면을 확인했습니다.

  • (1) 태도와 시각: 의사의 역할 평가, 관심 유지, 자기 인식 개발, 개인의 한계 수용

  • (2) 균형과 우선 순위 설정: 한계 설정, 지속적인 전문 개발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법 채택, 자아 존중,

  • (3) 진료 관리 스타일건전한 경영 관리, 우수한 인력 확보, 효과적인 실천 계획 사용 등

  • (4) 지지 적 관계: 긍정적 인 개인 관계, 효과적인 전문직 관계 및 좋은 의사 소통.

Jensen and colleagues,15 identified four main aspects of physician resilience: 

  • (1) attitudes and perspectives, which include valuing the physician role, maintaining interest, developing self-awareness, and accepting personal limitations,

  • (2) balance and prioritization, which include setting limits, taking effective approaches 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honoring the self, 

  • (3) practice management style, which includes sound business management, having good staff, and using effective practice arrangements, and 

  • (4) supportive relations, which include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s, effective 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good communication.


스티븐슨 (Stevenson)과 동료들은 회복탄력적인 의사들은 작은 gain을 인식하고 축하하며 근무 시간을 통제 할 수있는 능력을 보여 준다는 것을 밝혔다. Keeton과 동료의 횡단면 조사는 후자를 확인합니다. 일정과 근무 시간에 대한 일정한 통제를 가짐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과 소진에 대한 가장 강력한 예측 인자가되었습니다.

Stevenson and colleagues17 demonstrated that resilient physicians recognize and celebrate small gains and show the ability to control their working hours.17 The cross-sectional survey of Keeton and colleagues19 confirms the latter: Having some control over schedule and hours worked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work–life balance and burnout.



방법

Method



The research team consisted of the two authors, five medical students, and one postgraduate psychologist. 

To ensure homogeneity of interviewing

  • each member of the research team first accompanied the first author (J.Z.) for three interviews. 

  • Then, each team member conducted three individual interviews, which were supervised post hoc using the audio tapes. 

  • Once team members had completed this process, they conducted their remaining interviews without additional supervision. 

Altogether, the research team conducted 200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residents (employed junior physicians working on hospital wards), assistant medical directors, and registered doctors (self-employed physicians in the ambulant field).



참여자 모집

Recruitment of participants


Recruiting followed a pyramid approach. Because motivation to share personal insights and experiences represented the key precondi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we used a convenience sample but made sure to integrate a broad range of specialties, ages, hierarchical status, and settings. 

    • We started recruiting at the University Hospital Heidelberg by contacting physician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hierarchical status (residents, assistant medical directors, and registered doctors) known by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 We further contacted self-employed physicians by information letters followed by phone calls. Contact information for these physicians was obtained from the telephone book. During the research process, we extended our regional focus to eight other cities all over Germany. 

    • At the end of each interview, we asked for a recommendation of a colleague (“Do you know someone who could be interested in sharing his or her experiences and insights with us?”). 

Following this snowball approach, we managed to recruit a diversified pool of interview participants.


First, we conducted 83 interviews across 21 disciplines. Unexpectedly, reported resilience strategies differed little across specialties. To find out whether this was due to the low numbers of participants per specialty, we decided to focus further data collection on three specialties, whose professional day-to-day routines differed substantially. Thus, in a second phase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117 physicians working as psychiatrists, surgeons, and general practitioners. To work out potential differences, we explicitly asked for specialty-specific stressors and coping strategies within each discipline.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For screening purposes, all physicians completed a German-language paper vers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at the beginning of the qualitative interview. The MBI assesses the frequency of symptoms referring to three subdimensions (

    • Emotional Exhaustion, 

    • Depersonalization, 

    • Personal Accomplishment) on 

a six-point scale: 1 = “never,” 2 = “seldom,” 3 = “sometimes,” 4 = “often,” 5 = “frequent,” and 6 = “very often.”20,21 


Filling in the 22 items takes about five minutes. Whereas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higher scores indicate higher levels of burnout, Personal Accomplishment is reverse- scored, with high scores indicating more personal efficacy.


The field manual (see Appendix 1) was developed by J.Z. and focuses on the main research question: 

    • Which strategies do you apply to deal with the stressors of your professional life? 

The field manual was developed and communicatively validated through 10 trial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09. 


Each interview closed with a summary by the interviewer and two questions: 

    • “Are these the most important resilience strategies in your professional life?” and 

    • “Is there anything else we should have asked?”


The recruiting and data collection period extended from January 2010 to March 2011. To activate a broad range of resilience strategies, interviewers framed the main research questio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e.g., strategies found with colleagues, advice one would give to a medical student). Interviewers encouraged participants to give examples for all strategies reported. The average interview duration was 42 minutes (range = 18 minutes to 2:08 hours; standard deviation = 19 minutes).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in their entirety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Analysis method.22,23


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data


Preliminary data analysis followed categories derived from the main research questions. To restrict distortions due to social desirability, we only coded mental as well as behavioral strategies that could be illustrated (“the way I do this …”). We differentiated between 

    • “general sources of gratification,” 

    • “behavioral routines and practices,” and 

    • useful “attitudes and mental strategies.” 


Building on these core dimensions, we inductively educed subcategories

    • For this purpose, we first grouped interview statements according to the three core dimensions. 

    • Second, we identified and marked key themes within each dimension. 

    • Building on these key themes, we developed a preliminary system of subcategories. 

    • All interview statements were assigned to this category system. 


To ensure a high reliability of assignments, we conducted trials by four independent coders and worked over category definitions until we reached an average accordance of at least 80%. For 10% of the data (20 interview records), two independent coders tested category reliability with Cohen kappa ranging from 0.74 to 0.91.



결과

Result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in Table 1.





직무에서 오는 만족

Job-related sources of gratification


의사와 환자의 관계에서 만족. 즉각적인 의사 - 환자 관계에서의 효능 경험은 전문적인 활동의 중요한 측면을 나타냅니다.

Gratification from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Experiences of efficacy in the immediate doctor–patient relationship represented a crucial aspect of professional activity.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은 환자와의 만남이 자기 성찰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환자를 거울로 보았을 때, 의사의 문제는보다 명확하게 인식 될 수 있었고 동시에 관점으로 옮겨 질 수있었습니다.

Finally, participants’ comments illustrated that encounters with patients deliver occasions for self-reflection. With the patient as a mirror, the physician’s own problems could be more clearly perceived and at the same time put into perspective.


치료 효과로부터의 만족. 의미있는 전문적 활동 경험은 전형적으로 증상의 전후 비교에 의해 형성되었다. 의사들은 복잡한 진단 문제를 전문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지적 도전 과제로 간주했습니다.

Gratification from medical efficacy. The experience of meaningful professional activity was typically conditioned by symptom-related before-and-after comparisons. The responding physicians considered complex diagnostic issues as intellectual challenges that helped them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stature.



회복탄력적 실천

Resilience practices


스트레스를 줄이는 여가 활동. 참가자들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여가 활동을 사용했으나 면밀한 조사 결과 이러한 활동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함을 나타냅니다. 스포츠 활동은 대부분 긴장을 완화시키는 즉각적인 방법이었습니다.

Leisure-time activity to reduce stress. Participants used leisure activities in general to relieve stress, but closer inspection indicates that these activities fulfill a number of different functions. Sporting activity was mostly an immediate way of reducing tension


일부 응답자의 경우 보상 활동은 단순한 취미 이상이었다. 이 개인들은 오랜시간을 들인 비전문 분야가 "나를 서있게 하는 두 번째 다리"(부인과 의사, 53)를 제공했으며 종종 상당한 시간의 자원을 투자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For some respondents, compensatory activity transcended the limits of a merehobby. These individuals reported that long-time nonprofessional fields of interest provided a “second leg to stand on” (gynecologist, 53) and frequently called for the investment of substantial time resources. 


보상 활동은 참여자들의 내적 자유에 대한 느낌에 많은 기여를했습니다. 응답자들은 취미를 할 시간이있을 때 단순히 취미를 추구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들은 자신에게 중요한 취미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찾아야했습니다.

Through the experiences of success that they enabled, compensatory activities contributed much to participants’ feelings of inner freedom. Respondents did not simply pursue hobbies when they had time to do so. Rather, they made sure to find the time they needed to pursue the hobbies that were important to them.



동료와의 접촉 및 탐구. 동료와의 견해와 경험의 교환은 professional insecurity 감소의 핵심 자원이었습니다.

Quest for and cultivation of contact with colleagues. The exchange of views and experiences with colleagues was the central resource for reduction of professional insecurity.


동료로부터의 피드백은 일상적인 수준에서 전문 지식과 전문 지식을 향상시키는 동기와 원천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동료와의 교류는 어려운 환자 및 복잡한 의학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의 자신의 잘못과 부적절함에서 유래한 감정적 압력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Feedback from colleagues was also seen as a source of, and an incentive for, enhanc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tise at the routine level. Exchanges with colleagues served as a direct way of reducing emotional pressure caused by participants’ own fallibility and inadequacies in dealing with difficult patients and complex medical issues.



가족과 친구들과의 관계 증식. 신뢰할 수있는 가족 관계와 우정은 안정과 이해의 오아시스가되었습니다. 그들은 초점의 변화를 통해 이완을 제공했고 여러가지 것들을 하나의 관점으로 모으는데 유익했습니다.

Cultivation of rela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Reliable family relations and friendships represented an oasis of stability and understanding. They provided relaxation through a change of focus and were beneficial for putting things in perspective.


의사는 필요할 때 자신을 현실로 돌아오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 도움이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Physicians also found it helpful to have relationships with people who are prepared to bring them “down to earth” when necessary.


자기 과대 평가와 자신감 부족 사이의 올바른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참한 행동을 시작할 때 알려줄 환경(가족과 친구들)이 필요합니다. 제 아내는 제 가장 비판적입니다 (일반 개업의, 59).

It’s important to find the right balance between self-overestimation and a lack of self-confidence. You need an environment of family and friends who will tell you when you start behaving badly. My wife is my severest critic (general practitioner, 59).


기술, 합병증 및 치료 오류의 한계에 적극적 대처.  진행 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에 직면하여, 오류가 있다는 것을 숨기려하지 말 것을 권장했습니다.

Proactive engagement with the limits of skills, complications, and treatment errors. Participants recommended owning up to uncertainties about how to proceed and not trying to conceal errors one has committed.


참가자들은 의사가 불확실성과 합병증을 공개적,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데 익숙해져야 하며, 그리함으로써 감정적, 전문적 보안emotional and professional security을 강화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그러한 문제를 솔직하게 해결함으로써 자신의 실수로부터 배운 느낌이나 환자 안전을 향상시키는 느낌은 많은 의사들이 부작용 발생 후 더 쉽게 나아갈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느낌은 자신이 부분적 또는 전적으로 책임이 있는 어떤 합병증이나 사고에 대해서 무의미할정도로 지나친 고뇌를 하지 않게 해주었다.

Participants’ comments supported that physicians accustomed to communicating uncertainties and complications openly and proactively enhance both their emotional and professional security by doing so. Also, the feeling of having learned from one’s mistakes or enhancing patient security by frankly addressing such problems made it easier for many physicians to move on after an adverse event and not to agonize fruitlessly over any complications and mishaps for which they were partly or entirely to blame.


개인적 성찰. 의식적으로 그리고 정기적으로 개인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성찰하기 위해 시간을내어 다른 건강 증진 전략을 사용했다.

Personal reflection. Consciously and regularly taking time out to reflect on one’s personal situation in its entirety was another health-promoting strategy.




자기-경계 명확화. 자신과 환자 간의 명확한 경계를 유지하고 동료와 동료 간의 명확한 경계를 이끌어내는 능력은 많은 응답자들에 의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이러한 분계선은 

    • 전문적일 수도 (예 : "전문적으로 무엇을지지합니까? 나는 무엇을 거부합니까?"), 

    • 시간적일 수도  (예 : "나는 항상 사용 가능하지 않습니다") 

    • 개인적일 수도 (예: 나는 누구에게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습니까? ").  있다.

Self-demarcation. Physicians’ ability to maintain clearly defined boundaries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patients and to draw a clear line between themselves and their colleagues/superiors was considered essential by many respondents. These lines of demarcation could be 

    • professional (e.g., “What do I stand for professionally and what do I reject?”), 

    • temporal (e.g., “I refuse to be available at all times”), or 

    • personal (e.g., “Who do I agree to associate with and who not?”). 

환자 - 의사 관계에서 proximity and distance의 의식적인 관리는 예방적이었며, 다양한 방법으로 안도감을 주었다. 치유 전망과 도움 제공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에 공모collude하지 않음으로써 환자의 실망과 비난을 예방할 수있었습니다. 또한 individual professional standards에 대한 loyalty에 대해서도 conscious demarcation line을 이끌어 냈습니다.

The conscious management of proximity and distance in the patient– doctor relationship was prophylactic and relieving in various ways. Refusal to collude with unrealistic expectations about healing prospects and the provision of assistance prevented disappointments and accusations from the patient. Participants also drew conscious demarcation lines out of loyalty to individual professional standards.


신뢰할 수있는 경계 체계는 회복탄력적이고 장기간의 의사 - 환자 관계를위한 기본 전제 조건 중 하나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계가 환멸보다 낫다"라는 motto와 부합한다.

reliable demarcation mechanisms emerged as one of the basic prerequisites for resilient, long-term doctor–patient relationships, in accordance with the motto “demarcation is better than disillusion.”


경계를 침범하는 환자를 다룰 때, 참가자들은 관찰자 위치를 가정하고, inner detachment가 되어 상황을 관찰 할 것을 권장했다.

When dealing with boundary-violating patients, participants recommended assuming an observer position and looking at the situation with inner detachment:


자신의 전문성을 함양. 지속적인 교육, 의학 문학 독서, 또는 품질 서클에 참석하는 것은 전문적인 효능을 보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했습니다.

Cultivation of one’s own professionalism. Continuing education, reading medical literature, or attending quality circle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assurance of professional efficacy.


자기 조직화. 자기 조직화의 주요 특징은 관료업무와 정규 잡무를 다루기위한 [개별 루틴][시간 구조]의 생성이었습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무의미한 작업 반복과 여분 작업으로 인한 고갈감을 줄여 주관적인 효율성 경험에 긍정적 인 영향을주었습니다. 자기 조직화는 또한 활동의 ​​체계적인 위임과 우선 순위 설정 능력을 포함했다.

Self-organization. The primary features of self-organization were the creation of individual routines and of time structures for dealing with bureaucracy and regular chores. Both reduced the feeling of depletion caused by pointless repetition of tasks and extra work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efficiency. Self-organization also involved systematic delegation of activities and the ability to set priorities.


우선 순위의 내부 목록은 ... 나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그것은 필수적이며 자기 보존을위한 도구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진정으로 시급한 일이나 다른 사람들이 긴급한 일을하도록 요청 받으면,

An internal list of priorities … is very important for me. It’s an instrument for identifying what’s essential and also for self-preservation. Otherwise, if I am asked to do things that are either genuinely urgent or are described as urgent by others,


근무 시간의 제한. 시간표 준수는 중기적으로 환자와 고용주 모두에게 이익이되는 자가 관리의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었습니다. 근무시간을 제한하는 전제 조건은 자기 자신이 꼭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극복하고 결단resolution을 의식적으로 만드는formulation 것이다.

Limitation of working hours. Adherence to a time table was regarded as an essential feature of self-care that in the medium term benefits both patients and employers. The prerequisites for limitation of this kind were overcoming the belief in one’s own indispensability and conscious formulation of resolutions.


여가 시간을 중요한 근무 시간처럼 계획하고 정리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이 무너집니다.

I have to plan and organize my leisure time as if it were important working time, otherwise the whole thing collapses.



Ritualized 타임 아웃 기간. 일일, 주간, 또는 연례로 단단히 확립 된 타임 아웃 루틴은 관련 결정 및 정당화로부터의 압박감에서 해방시켜주는 기간이었다 (예 : "어떤 상황에서 환자를 기다리게해도 괜찮습니까?" 할 일이 너무 많은데 휴가를 가도 될까?")

Ritualized time-out periods. Firmly established time-out routines on a daily, weekly, or annual basis took some of the pressure out of related decisions and justifications (e.g., “Under what circumstances is it okay to keep patients waiting?” “Can I really go on vacation when there’s so much to be done?”).


영적 관행. 마지막으로, 많은 참가자 (특히 정신과 의사)는 영적인 관행이나 정기적 인 명상에서지지와 재생을 얻었 음을 지적했습니다.

Spiritual practices. Finally, many participants (particularly psychiatrists) indicated that they obtained support and regeneration from spiritual practices or regular meditation.



유용한 태도

Useful attitudes


수용과 사실주의. 회복탄력성 증진 태도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희망찬 생각을 자제하고 외부 현실을 받아들이는 능력이었다.

Acceptance and realism. Chief among resilience-promoting attitudes was the ability to refrain from wishful thinking and to accept external realities.


실제로 도움이되는 것은 핵심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우리의 업무가 의료 솔루션을 운영하고 찾는 것과 관련]이있을뿐만 아니라 [많은 서류 작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What really helps is to focus on your core activity and to accept the fact that our job doesn’t only have to do with operating and looking for medical solutions but also involves a great deal of paperwork.



자기 인식과 성찰. 모든 분야에서 개인의 스키마와 삶의 역사에 뿌리를 인식하고 삶의 경험을 평가할 수있는 능력이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이 의사들의 삶에서 중요한 사건들은 종종 반성과 자기 인식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예 : "내가 어떻게 했었지?" "그렇게 하는 것이 맞았나?"). 그리고 개인적인 자기 관리에서 전환점이되었습니다.

Self-awareness and reflexivity. For all disciplines, awareness of personal schemas and their roots in one’s life history, as well as the ability to evaluate life experience, were significant factors. Frequently, crucial events in the lives of these physicians had prompted reflection and self-recognition (e.g., “How do I function?” “Does it have to be that way?”) and had become turning points in personal self-care.


의료계의 문제에 적극적 개입. 참가자들은 현실적인 문제 해결의 중요성, 특히 자신을 희생자로 삼는 것에 대한 명백한 거부를 강조했다.

Active engagement with the downside(s) of the medical profession. Participants not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challenges realistically, especially the express rejection of regarding oneself as a victim.


변화가 필요한 시기를 인식. 근무지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내부의 자유와 유연성은 특히 변화가 없을 때 견딜 수없는 영구적 인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또 다른 중요한 태도였습니다. 특히 젊은 의사들은 쇠약하거나 불만족스러운 첫 번째 직업에 너무 오래 머무르면 전문적인 자신감이 생기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들은 그러한 경우 적절한시기에 조치를 취함으로써 의사를 추적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Recognizing when change is necessary. The inner freedom and flexibility to change one’s professional location or position, especially in the face of intolerable permanent stress with no prospects of change, was another important attitude. Notably, younger physicians indicated that staying too long in a debilitating or unsatisfactory first job hinder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elf-confidence. They noted that, in such cases, a move at the right time can put a physician back on track.


좋은 일들에 대한 감사. 이 전략은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긍정적 인 사건을 인식하고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Appreciating the good things. This strategy referred to the ability to perceive positive events that occur in everyday professional life and not to take them for granted.





고찰

Discussion


간단히 말해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문제의 스트레스 요인이 까다로운 환자든, 과도한 서류 작업이든, 시간 압박이든, 사회적 자원과 관심 분야의 well-diversified pool현실적인 기대좋은 자기 지식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대처를 지원할 것입니다.

Put briefly, our findings suggest that whether the stressor in question is a demanding patient, excessive paperwork, or time pressures, a well- diversified pool of social resources and fields of interest, together with realistic expectancies and good self-knowledge, will support sustainable coping.


자원 풀링과 스트레스 저항 사이의 순환 과정은 자원 이론 보존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25에 잘 설명되어있다. 이 이론에서, 번 아웃은 지속적인 (보통은 낮은 수준에 머무는) 자원의 고갈에 의해서 발생하며, 이러한 자원의 고갈은 상당한 자원을 투자한 이후, 자원의 실제 손실 또는 신선한 자원 확보 실패로 인해 생긴다역설적이게도 자원 손실은 에너지 절약 조치의 결과이기도합니다. 육체적 및 정신적 탈진은 종종 사회적 철수, 육체 활동 또는 정신 및 행동 습관에 집착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배터리 충전"을 의도했지만, 오히려 예상되는 결과는 "방전"되는 기분이다.

This circular process between resource pooling and stress resistance is well described i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25 In this theory, burnout is a continuous process caused by ongoing, usually low-level, resource depletion resulting from either actual loss of resources or the failure to acquire fresh resources after significant resource investment. Paradoxically, resource loss is also a consequence of energy-saving measures. Both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frequently lead to social withdrawal, physical inactivity, or adherence to mental and behavioral routines. Though intended as a way of “recharging the batteries,” the likely consequence is a feeling of being drained.



프로그램은 긴장, 퇴각, 그리고 자원 풀 축소로 인한 부정적 방어나선defensive negative spirals에 대해 의사를 민감하게해야합니다 .26 휴식 기술 및 스트레스 관련 대처 전략 외에도, 의사는 어떤 사회, 신체, 정신적 자원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성찰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Programs should sensitize physicians to defensive negative spirals resulting from strain, retreat, and a shrinking resource pool.26 In addition to relaxation techniques and stress-related coping strategies, physicians should learn to reflect on the extent to which social, physical, and mental resources are actually available.


예방의 다음 단계에서는 긍정적 자원 나선positive resource spirals의 논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식했음에도 불구하고, 방치된 자원에 재투자하는 데 시간을 할애하는 의사는 웰빙과 전문적인 효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 관찰하도록 격려받아야 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다양한 리소스 환경은 [정서 중심의 대처 전략과는 반대로] 문제 지향적 대처 전략에 대한 effective and discriminating 결정을 용이하게합니다.

In the next stage of prevention, the logic of positive resource spirals can be used: Physicians who take the time to reinvest in neglected resources in spite of perceived lack of time can be encouraged to observe the positive effects on well-being and professional efficacy. As our study demonstrates, a diversified resource landscape facilitates effective and discriminating decisions about problem- oriented, as opposed to emotion- centered, coping strategies.



Conclusions








 2013 Mar;88(3):382-9. doi: 10.1097/ACM.0b013e318281696b.

If every fifth physician is affected by burnout, what about the other fourResilience strategies of experienced physicians.

Author information

1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Medicine Section, Department of Medical Psychology, Heidelberg University Hospital, Heidelberg, Germany. julika.zwack@med.uni-heidelberg.de

Abstract

PURPOSE:

To identify health-promoting strategies employed by experienced physicians in order to define prototypical resilience processes and key aspects of resilience-fostering preventive actions.

METHOD:

From January 2010 to March 2011, the authors conducted 200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hysicians of different ages, disciplines, and hierarchical status from across Germany. The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Analysis revealed 30 subcodes in three dimensions: (1) job-related gratifications derived from treatment interactions, (2) practices, such as leisure-time activities, self-demarcation, limitation of working hour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3) attitudes, such as acceptance of professional and personal boundaries, a focus on positive aspects of work, and personal reflexivity.

CONCLUSIONS:

The reported strategies and attitudes helped to develop mental, physical, and social resource pools that fostered effective decision making. Successful coping, in turn, encouraged the maintenance of resilience-promoting abilities. In relation to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physician resilience emerged as the ability to invest personal resources in a way that initiates positive resource spirals in spite of stressful working conditions. Enriching traditional stress management approaches with the dynamic of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resource spirals would thus appear to be a promising approach.

PMID:
 
23348093
 
DOI:
 
10.1097/ACM.0b013e318281696b


회복탄력성과 메디컬 트레이닝의 관련성(Med Educ, 2012)

Towards an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ts relevance to medical training

Amanda Howe, Anna Smajdor & Andrea Sto¨ckl




도입

INTRODUCTION


의사는 높은 근무강도와 높은 수준의 요구와 책임,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규제 당국이 모든 의사에게 요구하는 기준)을 관리해야합니다.

Doctors must sustain hard work and manage high levels of demand and responsibility, ever-changing circumstances living up to the standards required of all doctors by their regulators


의사는 환자에게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스스로 돌볼 수 있어야합니다. 그러나 종단적 연구 결과, 번아웃 된 사람들은 최종적으로 보건 서비스를 떠나기 전에 일정 기간 suboptimal한 기능을 수행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ctors need to be able to care for themselves in order to offer the best care to their patients; however, longitudinal research has shown that those who do burn out are likely to have been functioning suboptimally for some time before they finally leave the health service.3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WHAT IS RESILIENCE?



'회복탄력성'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문헌에서 언급되었습니다: 한 문헌에서 회복탄력성은 '궤적, 연속체, 체계, 특성, 과정, 순환 및 질적 범주'로 해석 될 수 있으며 생리학적 및 심리학적 용어로 적용되었다고 지적하고있다 .4 

  • 많은 논문이 회복탄력성을 [개인과 사회 집단 모두에서 인정 될 수있는 도전에 대한 융통성있는 적응력]으로 강조합니다. 

  • 한 연구는 탄력성을 일정 기간 동안 개인이 보여준 일련의 속성으로 정의했습니다. 

    •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을 수반하는 스트레스 나 역경에도 불구하고 성공하고, 살며, 긍정적 인 방식으로 발전 할 수있는 능력 ...'

  • 회복탄력성에 대한 이러한 역동적인 정의는 회복탄력성을 'hardiness'또는 'mental toughness'과 같은 관련 특성과 구분지어준다.7

‘Resilience’ has been referenced across the literature in many different ways; one literature review notes that it can be construed as ‘a trajectory, a continuum, a system, a trait, a process, a cycle, and a qualitative category’ and that it has been applied in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terms.4 

  • Many articles emphasise resilience as flexible adaptability in the face of challenge, which can be recognised in both individuals and social groups

  • One study has defined resilience as a set of attributes demonstrated by an individual over a period of time as: 

    • ‘the ability to succeed, to live, and to develop in a positive way ... despite the stress or adversity that would normally involve the real possibility of a negative outcome.’5 

  • It is the dynamic nature of this definition which sets this quality apart from related psychological traits such as ‘hardiness’6 or ‘mental toughness’.7



신경 정신병 의사 인 Cyrulnik은 홀로 코스트의 고아이며, 갈등과 부모의 상실로 인한 아동 생존자를 연구하는 일생의 노력을 기울였으며, 회복탄력성은 키울 수 있고, 외상의 결과를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deficits'(개인에게 결핍되어 있는 것, 사람을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개념을 다루는 것과 대조됩니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의 대처 메커니즘과 장점을 인식하고 지원하는 것을 강조한다.

Cyrulnik, a neuropsychiatrist, himself an orphan of the Holocaust, has made it his life’s work to study child survivors of conflicts and parental loss, and emphasises that resilience can be nurtured and can alter the outcomes of trauma.5 This contrasts with concepts that address ‘deficits’8 (what an individual lacks, what makes a person vulnerable), and puts a positive emphasis on recognising and supporting the coping mechanisms and strengths of individuals.




회복탄력성: 심리적 관점

Resilienc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사람들이 어떻게 회복탄력적이 되는가에 관한 문헌의 대부분은 아동 심리학에서 나왔고, 많은 보건 의료 전문가들이 놀란 것은 일부 어린이, 가족, 성인은 다른 사람에 비해 심각한 역경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는다는 것이다.

The bulk of the literature on how people become resilient comes from child psychology, and stems from the evidence, striking to many in the health care professions, that some children, families and adults emerge much less damaged by significant historical adversity than others.


Martin and Marsh는 학업 성취도와 학생의 자기 인식 및 행동을 연결하는 학교 환경 설정에 관한 많은 연구를 수행했으며 개인의 탄력성의 차원을 

    • '자신감 (self-efficacy), 

    • 조정 (계획), 

    • 통제, 

    • 침착성 (낮은 불안감), 

    • 헌신 (지속성) '

을 의미합니다 .9 

Martin and Marsh have conducted a number of studies in school settings linking academic progress with student self-perceptions and behaviours, and have usefully summarised the dimensions of individual resilience as 

    • ‘confidence (self-efficacy), 

    • coordination (planning), 

    • control, 

    • composure (low anxiety), and 

    • commitment (persistence)’.9 


실제로, 회복탄력적인 학생들은 다음을 믿는다.

    • 자신이 하는 행동이 상황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시스템'의 일부 구성 요소는 자신이 통제할 수 있으며, 자신의 행동이 영향을 줄 수 있다.

    • 지속적인 노력은 가치가있다.

    • 방해 또는 잠재적으로 위협적인 사건은 피할 수 없고 극복 할 수 있지만, 반드시 과도한 불안이나 withdrawal을 유발할 필요는 없다.

In practice, this means that resilient students believe 

    • that what they do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a situation, 

    • that some components of the ‘system’ can be controlled or influenced by one’s own actions, 

    • that persistent effort is worthwhile, and 

    • that setbacks or potentially threatening events are inevitable and surmountable, but do not need to cause excessive anxiety or withdrawal.


회복탄력성의 개념은 긍정적 인 심리학과 현대적인 코칭 접근 방식의 기초를 형성하는 'salutogenesis'(건강 추구 행동)에 관한 연구 기관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widely used in bodies of work on positive psychology and ‘salutogenesis’ (health-seeking behaviour), which also form some of the basis of modern coaching approaches


의학 사회학자 Antonovsky의 연구는 회복탄력적인 개인을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잘 유지'하는 사람들로서, 중대하거나 압도적인 심리적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고 의미를 발견하는 사람들이라 하였다..11 긍정적 대응 메커니즘(효과적으로 Social support를 탐색하는 것, 유머 감각, 부정적인 감정 관리, 학습 성찰, 도덕적 신념의 사용 등)은 모두 회복탄력적인 개인의 특성이다.

The work of Antonovsky, a medical sociologist, recognises resilient individuals as those who ‘manage stress and stay well’ and who learn from and find meaning in what might otherwise be significant or overwhelming psychological threats.11 Positive coping mechanisms such as the seeking of social support in an effective way, humour, management of negative emotions, reflection for learning, and the use of moral beliefs to motivate oneself all characterise resilient individuals and units.


그러나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과보호적이거나 위험을 피하는 것이 아닙니다. Rutter는 도전적인 경험이 탄력성의 발달을 돕고, 대처 메커니즘을 성숙시키기 위해 위험에 노출 될 필요가 있다는 증거가 있음을 지적합니다 .15 여러 경험적 연구의 Rutter는 복잡한 결론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극도로 불리한 조건은 신경 프로그래밍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개인의 저항이 외부 보호 요인보다는 생리적 또는 심리적 대처 과정에서 유래한다고 결론 지었다.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저항성을 개발하기위한 개입은 managed process로서 가장 잘 전달되며, 이를 위하여 도전적인 상황에 대한 노출이 (어느 정도까지) 계획되고 감독 될 수 있습니다.

These initiatives, however, are not about being overprotective or avoiding risk. Rutter points out that there is evidence that challenging experiences assist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and that people need to have some exposure to risk to allow their coping mechanisms to mature.15 Rutter’s conclusions from multiple empirical studies show complex findings: ultimately, extremely adverse conditions can cause damage to neural programming, but the author concludes that individual ‘resistance may derive from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coping processes rather than external …protective factors’.15 His view is that interventions to develop resistance to stressors are best delivered as a managed process, whereby exposure to challenging situations can be (to some extent) planned and supervised.



회복탄력성: 사회학적 관점

Resilience: a sociological perspective


사회적 수준 뿐만 아니라 개인적 수준에서 행동하는 요인들에 의해 회복탄력성이 개발되고 결정될 수 있으며, 개개인이 생존해야하는 환경이 회복탄력성을 지지하거나 훼손 할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해보인다.

it seems clear from work we identified that resilience can be developed and determined by factors that act at the social as well as the individual level, and that the environment in which an individual must survive may support or undermine his or her personal resilience.


사회적 회복탄력성이란, 그룹의 상호 신뢰와 유대에 의존하며, 교란이 생겼을 때 그것을 흡수하고 빠르게 안정시키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이 개념은 조직, 팀, 가족의 소규모 단위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랜트 (Grant) 등 18)은 어떤 가족은 사건이 생겼을 때 긍정적인 의미를 찾고, 통제와 연속성을 느끼고, 가족 네트워크 전반에서 가치있는 정체성을 유지함으로써 회복탄력적이 된다고 결론내렸다.

Social resilience, which appears to depend on the group’s mutual trust and bonds, denotes the ability to absorb such disturbances and rapidly stabilise the unit. This concept can apply at an organisational level, or in the micro-unit of a team or a family. For instance, Grant et al.18 concluded that some families become resilient through finding positive meaning in the event, gaining a sense of control and continuity, and maintaining valued identities across the family network.18


지역 사회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의 성장 분야가 있습니다 : 이웃 스트레스, 결핍 및 불평등과 같은 요인들이 모두 사회적 응집성과 회복탄력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19 공중 보건 전문가는 그러한 스트레스와 취약성을 개선에 필수적인 요소가 사회적 지지라고 주장합니다 또한 사회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 회복탄력성의 발달에 잠재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There is a growin field of research into resilience in communities: factors such as neighbourhood stress, deprivation and inequality have all been found to reduce social coherence and resilience.19 Public health experts assert that the essential ingredients to ameliorate such stress and vulnerability are social support and personal control,20 and that modification of the social environment is also potentially important to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Alex Zautra et al. 상호 신뢰, 호혜성, 이웃 효능, 시민 참여의 발전으로 만성 장애에 대한 성인의 회복탄력성을 촉진하는 데 사회가 어떻게 도움이되는지 기술합니다 .21 즉, 개인의 회복탄력성이 과도한 도전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통해서 그 challenge를 manageable하게 만들 수 있다.

Alex Zautra et al. describe how society can help to foster adult resilience to chronic disability by the development of social trust, reciprocity, neighbourhood efficacy and civic engagement.21 In other words, although individual resilience can be undermined by excessive challenge, others can assist in making the challenge manageable.


회복탄력성: 윤리, 도덕적 관점

Resilience: an ethical and moral perspective


의사는 군인처럼 'moral injury'를 겪을 위험이 있습니다. 이것은 일반적인 도덕적 기대에 위배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목격하거나 참여하는 사람들이 겪는 정서적 또는 정신적 손상을 말합니다.

Doctors share with military personnel a risk for suffering what is termed ‘moral injury’,22,23 which refers to the emotional or psychological damage suffered by people who repeatedly witness, or participate in, acts that contravene ordinary moral expectations.


서로 다른 도덕적 맥락 간의 shifting은 그 자체로 moral injury의 위험일 수 있습니다. 20 전쟁 후에 민간인으로의 전환은 스트레스의 근원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변화는 의사가 매일 작은 규모로 겪는 변화입니다.

Shifting between different moral contexts can itself represent a risk for moral injury:20 the switch from war to civilian life is well recognised as a source of stress, and this shift is one that doctors undergo on a lesser scale every day.


반드시 가해자만이 moral injury를 입는 것은 아니다. 구조와 시스템 내에서 수동성과 무력화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의과대학생 연구에서 수동적인 고통 (학생이 감정적으로 혼란스러운 사건에 개입 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과 낮은 회복탄력성 사이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An individual does not need to be the perpetrator of an act in order to be morally injured by it. Passivity and disempowerment within the structures and systems of one’s work can also be damaging: findings in medical students show links between passive distress (caused by the inability to intervene in events that students find emotionally disturbing) and poor levels of resilience.30


회복탄력적인 개인들은, 불안해하거나 문제를 부정하기보다, 'situation의 circumstances를 이해하고 컨텍스트 화하는 혁신적인 대처 전략을 사용하고,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를 해결하며, challenge의 측면에서 사건을 재구성'함으로써 moral injury를 최소화한다 '.18

rather than becoming anxious or denying the issue, moral injury is avoided or minimised by resilient individuals, who ‘employ transformational coping strategies of understanding and contextualising the circumstances of the situation, coupled with situationfocused problem solving, to reframe the event in terms of a challenge’.18


의사 및 기타 보건 전문가는 건강 시스템의 관리 개선 및 부족한 부분에 의해 윤리적인 어려움에 직면 해 있습니다. 그들은 자원 부족, 과도한 관료주의, 조직의 게으름을 포함한 많은 좌절감에 직면 해 있으며, 자금 문제로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처방 할 수 없을 때 좌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의사의 결정이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요인에 의해 제한되고, 사용 가능한 모든 옵션이 윤리적으로 불편해 보이면 moral injury와 번아웃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1 전문가가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필요시 원칙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으려면 회복탄력성(persistent, committed, adaptable)이 있어야합니다.  이는 훈련 기간 동안 핵심 전문 가치를 포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훈련과정에서 의사는 어려운 경험을 통해 의미와 교훈​​점을 찾고 poor practice를 대면하고 배울 수 있습니다.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also face ethical challenges in their efforts to improve care and challenge deficiencies in health systems. They face many frustrations, including shortages of resources, excessive bureaucracy and organisational sloth, and may feel thwarted when they are unable, for example, to prescribe what they think will benefit patients because of others’ decisions on funding. When decisions are constrained by factors outside the individual’s control, and when all of the available options seem ethically unpalatable, moral injury and burnout may ensue.31 Professionals need to be resilient (persistent, committed, adaptable) in order to keep improving systems and to ensure they can take a principled position when necessary. This underpins the importance of embedding core professional values during the training years so that doctors can find meanings and reference points during difficult experiences, and learn to confront and redress poor practice.32


회복탄력성 인식과 발달: 교육적 접근

RECOGNISING AND DEVELOPING RESILIENCE: LINKS WITH EDUCATIONAL APPROACHES


회복탄력성은 그것을 발달시킴으로써 '직장 역경과 관련된 쟁점으로 인해 건강 관리 시스템을 떠나는 현재의 추세'를 역전시킬 수 있는, '역경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 된 웰빙 및 더 나은 치료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논의되어왔다.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has been discussed as a mechanism through which ‘the current trend of … leaving the health care system due to issues associated with workplace adversity’ might be reversed, and ‘lower … vulnerability to adversity’, improved well-being and better care outcomes achieved.4


마쉬 (Marsh)와 마틴 (Martin)은 교육 방법에 대한 유용한 함의를 요약하고있다. : 

  • 자기 효능감의 개발은 덜 didiactic한 학습, 더 자기주도적 학습을 필요로 한다.

  • 학생들은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자신감을 키우고 자신의 성과를 강화하기 위해] 피드백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 지속성과 헌신은 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노력함으로써 향상 될 수 있다.

Marsh and Martin9 summarise useful implications for education methods. :

  •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requires less didactic and more self-directed learning; 

  • students need to set realistic goals and learn to use feedback to build confidence and strengthen their own performance; 

  • persistence and commitment can be enhanced by setting and working towards longer-term goals, and so on.9


회복탄력성에 관한 간호 교육 문헌을 종합하면 회복탄력성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이상적인 교육 환경은 효과적으로 다음을 제공해야 한다.

  • '동료 및 다른 성인과의 사회적 관계,

  • 승자 또는 성취자의 긍정적 인 역할 모델링,

  • 웰빙을 지나치지 않게 모니터링

  • 목표 설정 및 기대치 향상에 도움이되는 코칭 .'38

A synthesis of the nursing education literature on resilience summarises the ideal education environment for developing professional resilience as one that establishes effective 

  • ‘social connection with peers and other adults, 

  • positive role-modelling by winners or achievers, 

  • unobtrusive monitoring of well-being, and 

  • coaching to help in goal setting and elevating expectations’.38


회복탄력성 개념의 또 다른 사용은 대처coping 메커니즘 개발의 중요성과 연결된다.

Another use of the concept of resilience links with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ping mechanisms39


학생들에게 다른 사람들의 회복탄력성의 예를 찾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이 이 quality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비판하는 것이 도움이되는 학습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회복탄력성 척도는 문헌에 보고되어 있으며,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과 환경의 악영향을 예방하기 위해 성인이 긍정적인 감정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강력한 예측 인자라고합니다.

Encouraging students to look for examples of resilience in others, and to critique how they recognise this quality in themselves and others, may therefore be a helpful learning tool. Measures of resilience are reported in the literature41,42 and are said to be robust predictors of how good adults are at using positive emotions to prevent adverse impacts of stressful events and environments.43


의학 교육에서 challenging scenario의 사용은 몇 년 동안 윤리 교육의 핵심 부분이었습니다 .44)이 접근법은 윤리적 추론 기술을 개발하는 수단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회복탄력성 개발 방법이기도 하다.  사건이 학습 된 '규칙'에 맞지 않으면 moral complexity가 발생합니다.

In medical education, the use of challenging scenarios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ethics teaching for some years.44,45 This approach is of crucial significance, given its value not just as a means of developing ethical reasoning skills, but also as a way of developing resilience. Moral complexity emerges when events do not fit within learned ‘rules’.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case가 진정으로 도전적이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필요한 기술이 개발되지 않을 것입니다 : 학생들이 straightforward한 대답이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면, 복잡성과 도덕적 도전이 의사의 필연적인 측면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할 것이다.

To achieve this, case studies must be genuinely challenging, otherwise the necessary skills will not develop: if students are led to assume that there are straightforward answers, this will undermine the point of learning that complexity and moral challenge are inevitable aspects of their chosen profession.



회복탄력성 개념을 의학교육에 적용할 때의 위험

Some caveats on apply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in medical education


우리가 발견 한 문헌은 흥미롭고 다양하지만, 대부분 임상 교육 환경에서 발전했습니다. 연구 결과가 transferable한 것은 흥미롭지만, 성인의 회복탄력성 개발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회복탄력성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효과적인 전문가의 다른 측면을 개발하는 것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교육자들과 advisor들에게 학생들의 복지는 내재적 인 관심사이다. 의대 학생들은 의료행위를 하게 되었을 때 뿐만 아니라, 훈련 자체에서 도전에 대비할 필요가있다.

The literature we have found is interesting and diverse, but most of it developed outwith clinical education settings. Studies of developing resilience in adults are relatively few, although the possible transferability of findings is interesting. Resilience is not an end in itself; developing other aspects of effective professionals also requires attention.46,47 For educators and advisors, the well-being of students is an intrinsic concern: medical students need to be prepared for the challenges they face not just in practice, but during training itself.48 



중요한 것은 사회 문화에 관한 문헌과 이것들이 개인의 회복탄력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한다.

Importantly, the literature on social cultures and how these can affect individual resilience should be considered; 


의과 대학의 숨겨진 커리큘럼, 과도한 진료 요구 앞에 전체적으로 전문성과 수행에서 발생하는 프로페셔널리즘의 attrition도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가장 회복탄력적인 사람도 지속적으로 adverse한 작업 환경에서 subvert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the hidden curriculum at medical school, and the attrition that occurs in professionalism and performance as a whole in the face of the demands of practice (as reflected in sickness in doctors, burnout and pathways to error) are relevant here, as the most resilient of individuals is likely to be subverted by a consistently adverse working environment. 


전문성 개발 및 유지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회복탄력성과 성과와의 관계 개념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지만, education challenge의 수준 및 교육 환경과 같은 다른 요소도 장기 결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retention of professionalism may usefully draw on the concept of resilience and its relationship to performance, but other factors, such as level of education challenge and education climate, will also be relevant to long-term outcomes.




CONCLUSIONS


전문직의 회복탄력성 발달을 위한 교육환경

Figure 1 Education conditions that may develop professional resilience. (Based on Howe A, ‘Family practice – meanings for modern times’49


1. 훈련을 통해 발달할 몇 가지 대인 관계 강점을 보여주는 사람들을 선발하십시오 : 자율성, 탄력성, 팀 오리엔테이션 및 자기 질문

1. Select people who already show some interpersonal strengths that can be built on in training: autonomy, resilience, team orientation and self-questioning


2. 개발 된 전문 직업 능력을 갖춘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졸업시키기위한 접근 방법을 확인하십시오.

2. Identify approaches for effectively graduating students with developed interprofessional capabilities


3. 전문 직업적 연습 표준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interprefessional practice를 포함하는 접근법을 탐구한다.

3. Explore approaches to embedding interprofessional practice as a core component of health professional practice standards


4. 기존 IPE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기존 IPE 이니셔티브에 적용 할 수있는 것을 검토합니다.

4. Review existing IPE programmes for what has been learned and for what can be adapted to existing and new IPE initiatives


5. 지역 조건 및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 전국적으로 조정 된 연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합니다.

5. Design and implement a nationally coordinated programme of research that is responsive to local conditions and requirements


6. 국가 지식 재산권 관리 전략의 개발 및 실행에 기여한다.

6.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IP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7. 도전하게 만들면서 그들을 '붙잡는다'. 그들이 사람들로 알려 졌는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사 또는 스승의 연속성이 주어지고, 그들이 발전함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주어 졌는지 확인하십시오.

7. ‘Hold’ them while giving them challenges. Make sure they are known as people,that they receive some tutor or mentor continuity over time, and that they are given feedback on how they perform as they develop


8. 그들이 팀과 환자와 함께 일하는 방식이 어떤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를 스스로 성찰하도록하십시오.

8. Make them reflect on themselves and on how they work in teams and with patients, and on what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9. 생각하게 하십시오: 직업적 도전, 어려운 관계, 일이 잘못 될 때, 다르게 할 수 있는 방법

9. Make them think: about professional challenges, difficult relationships, where things go wrong, what they could do differently


10. 가능한 한 안전하게 해주십시오. 그래야 주요 도전 과제에 노출되기 전에 이것을 실험 할 수 있습니다.

10. Make them safe – as much as possible – so they can experiment with this before they are exposed to major challenges, and while experiencing these


11. 의사가 다른 사람을 붙들기 위해서는, 때로는 의사를 '붙잡아줄' 사람이 필요하다. 의사 환자 관계, 전이 및 카운터, 돌봄의 감정적 부담으로 인해 생기는 복잡한 필요성을 토론 할 수있는 임상 사례를 정기적으로 감독한다.

11. Provide regular supervision on clinical cases in which they can discuss complex needs generated by doctorpatient relationships,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and the emotional burden of caring, because the professional sometimes needs to be ‘held’ in order to hold others


12. 미덕 윤리를 격려하십시오 : 그들이 (언제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지가 아니라) 왜, 어떻게 도움을 원하는지를 알아보라. 싫어하는 영역을 탐험 할 수 있습니다

12. Encourage a virtue ethic: work with why and how they want to help, rather than when they think they should, and be open to exploring areas they dislike


13. 경계와 스트레스 해소를 격려하고, 번아웃을 피하고 제한을 설정하십시오.

13. Encourage boundaries and stress release, avoiding burnout and setting limits


14. 도전과 감정적 저항은 초기에 해결하라. 이것들은 시간이 지나면 악화될 뿐이다.

14. Challenge defences and emotional resistance early on; these can only get worse




42 Wagnild G. A review of the Resilience Scale. J Nurs Meas 2009;17 (2):105–13.





 2012 Apr;46(4):349-56. doi: 10.1111/j.1365-2923.2011.04188.x.

Towards an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ts relevance to medical training.

Author information

1
Primary Care Group, Norwich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ast Anglia, Norwich, UK. Amanda.howe@uea.ac.uk

Abstract

OBJECTIVES: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cept of resilience and its potential relevance to medicine. It also looks at the dimensions of resilience and its ethical importance for effective professional practice, and considers whether a focus on resilience might be useful in medical training.

METHODS:

An applie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across the domains of education, ethics, psychology and sociology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resilience and what might it mea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This article predominantly considers the findings in relation to training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ettings, although the literature is wide-ranging and findings may be applicable elsewhere.

RESULTS:

  Resilience is a dynamic capability which can allow people to thrive on challenges given appropriate social and personal contexts. The dimensions of resilience (which include self-efficacy, self-control, ability to engage support and help, learning from difficulties, and persistence despite blocks to progress) are all recognised as qualities that are important in clinical leaders. Much of what is deemed good practice in modern pedagogical approaches to medical training may support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in adulthood, but this concept has rarely been used as a goa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More research is needed on the ways in which resilience can be recognised, developed and supported during and after clinical training.

CONCLUSIONS:

  Resilience is a useful and interesting construct which should be further explored in medical education practice and research.

PMID:
 
22429170
 
DOI:
 
10.1111/j.1365-2923.2011.04188.x


회복탄력성 다시보기 (J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9)

Resilience revisited

P. A . AT K I N S O N1 r n r h v p g d i p p g c e r t m a ,

C . R . MART I N 2 r n b s c p h d yc a p c p s y c h o l c s c i a f b p s s &

J . RANKIN3 r m r n r s c n b s c m s c p h d

1Research Student, 2Chair in Mental Health, and 3Senior Lecturer, School of Health, Nursing and Midwifery,

University of the West of Scotland, Ayr, UK




도입

Introduction


외상, 박탈, 위협 또는 스트레스의 극단적 인 상황을 복구 할 수있는 능력을 회복탄력성이라고합니다.

The ability to apparently recover from the extremes of trauma, deprivation, threat or stress is known as resilience.


역사적 관점

Historical perspective


회복탄력성은 점점 육체와 정신의 건강 영역에 대한 영향력과 관련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 종말점은 1 세기 이상에 걸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역사적 유산을 기반으로합니다. Ernest Shackleton은 1914 년 8 월 1 차 세계 대전이 발발 한 후 그의 팀 탐험가와 함께 남극 대륙을 항해했습니다. 이후 극지방의 얼음 덩어리에서 난파선이 발생 해 1200 마일 이상 떨어진 사람들이 좌초했다. 지구상에서 가장 열악한 환경에서 엄청난 위험에도 불구하고 모든 인간은 2 년 후에 살아났습니다 (Shackleton 2004). 원정대는 영국 영웅주의의 사례로서 역사에 전해졌으며, 특히 그의 부하들을 안전에 이르게하는 Shackleton의 용기는 전설의 재료가되었습니다 (Lansing 2001). 최근 수년간 이러한 성과는 극단적이고 장기적인 위협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입증하기 위해 경영 교육에서 재구성되었으며, Shackleton은 성공적인 관리자의 역할 모델이되었습니다 (Harland 등, 2005). 회복탄력성의 이러한 패러다임은 매우 강력하여 회복탄력성 측정을 개발할 때, 한 팀의 연구원이 Shackleton의 개인적 특성, 낙관주의 및 신념을 자신의 규모에 포함시킬 요인으로 포함 시켰습니다 (Connor & Davidson 2003).


Resilience as a concept has become of increasing influence and relevance to the domains of health, both physical and mental. Interestingly, this end point is based on an extensive and enduring historical legacy spanning more than a century.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in August 1914, Ernest Shackleton with his teamof explorers set sail for the Antarctic. The subsequent shipwreck in the polar ice pack stranded the men over 1200 miles fromhelp. Despite enormous dangers in the most inhospitable environment on earth every man returned alive 2 years later (Shackleton 2004). The expedition passed into history as an example of British heroism, and in particular, the courage of Shackleton in leading his men to safety became the stuff of legend (Lansing 2001). This achievement, in recent years, has become reframed in management training as a demonstration of resilience under extreme and prolonged threat, and Shackleton has become a role model for successful managers (Harland et al. 2005). This paradigm of resilience is so powerful that one team of researchers, when developing a measurement of resilience, included two of Shackleton’s personal characteristics, optimism and having a faith, as factors to be included in their scale (Connor & Davidson 2003).


개념의 다양한 적용

Diverse application of the concept


미합중국 군대의 훈련 프로그램 체제는 북 베트남의 전쟁 포로로 7 년을 보냈던 해군 조종사 제임스 스톡 데일 (James Stockdale)이 단독으로 감금 한 사례 (Sherman 2005)를 비롯하여 고전적 stoicism을 가르치면서 회복탄력성 개발에 중점을두고 있습니다. 

The training programme regimes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place great emphasis on developing resilience through teaching classical stoicism, as exemplified by James Stockdale, the navy pilot who spent 7 years as a prisoner of war in North Vietnam, mainly in solitary confinement (Sherman 2005).


살아남은 심각한 역경에서 특이한 회복력을 보인 역사적 인물들의 이야기는 'men of action' 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Brush (2004)는 유대인 간호사의 경험을 문서화했다. 최소한의 식량과 자원으로 절망적 인 질병과 불결한 상태에도 불구하고, 이들 간호사는 이들이 살아있는 다른 사람들을 돌볼 수있는 기회이자 능력이라고 말했다.

Accounts by historical characters who demonstrated unusual resilience in surviving severe adversity are not confined to ‘men of action’. Brush (2004) has documented the experiences of Jewish nurses . Despite desperate conditions of disease and squalor, with minimal food and resources, these nursesstated that it was the opportunity and ability to care for other people which kept them alive.


논란이 되는 지점은, 이 간호사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한 엄격한 수용과 관용뿐만 아니라] 자신들에게 할당된 업무를 수행 함으로써 회복력의 특성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이는 실용주의, 생존에 초점을 맞추는 것, 목적이 있는 일과 목표 계획 등이다. 이것은 회복탄력성이 그 자체로는 순수하게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이 아닐 수 있음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A moot point is that one could argue that these nurses, had not only a stoic acceptance and tolerance of their duties, but also demonstrated attributes of resilience in carrying out their allocated tasks – pragmatism, focus on survival, purposeful work and goal planning. This clearly demonstrates that resilience may not be, in itself, a purely positive psychological trait.


회복탄력성과 Valence

Resilience and valence


분명히 회복탄력성은 중요한 개념입니다. 그러나 이론 모델 및 임상 및 실용 응용 측면에서 현재 지식 상태는 '진행중인 작업'으로 남아 있습니다.

Clearly, resilience is an important concept;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in terms of theoretical models and clinical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 remains very much a ‘work in progress’.


회복탄력성 연구는 실제로 일부 개인이 역경에도 불구하고 번영 할 수 있도록하는 과정에 대한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을 그러한 식으로 formulation하는 것은 construct의 개념화에 대한 더 깊은 고려를 필요로한다.

Resilience studies do indeed offer useful insights into the process involved in enabling some individuals to thrive despite adversity; however, such formulations of resilience necessitate a greater consideration of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truct.


회복탄력성의 개념

Concepts of resilience


회복 탄력성의 개념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동시에 발전해 왔으며, 이로 인해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 된 언어의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The concept of resilience has developed concurrently within a number of academic disciplines, This has led to differences in the language utilized to describe the phenomenon.


  • 많은 보건, 교육 및 사회 복지 분야에서는 역경을 극복하고 살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번창했거나 번영했던 사람들을 묘사 할 수 있습니다 (Wagnild & Young 1990, Coutu 2002, Friesen 2007). 

  • Rutter (2007)는 회복탄력성을 불리한 삶의 경험에 노출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를 낳는 현상으로 정의합니다. 

  • Polk (1997)는 역경을 극복하고 미래의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했을 때 개인이 이용할 수있는 심리적 성장을 강조합니다. 

  • 유사하게 Aldwin (2007)은 스트레스, 적응 및 대처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회복탄력성의 개념은 단순히 stoicism 또는 survival 이상이며, 스트레스 후 성장이 동반되어야 한다.

  • Wagnild & Young (1990)은 회복탄력성이 있는 개인이라고 스트레스에 면역이 되어있거나 무감각하진 않지만, 역경 후에 평형을 회복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Many health, education and social care practitioners are able to describe individuals they have met who have thrived or flourished in spite of or because of living through adversity (Wagnild & Young 1990, Coutu 2002, Friesen 2007). 

  • Rutter (2007) defines resilience as the phenomenon that some individuals have relatively good outcomes despite exposure to adverse life experiences. 

  • Polk (1997) emphasizes the psychological growth which occurs as a result living through adversity and which is available to the individual when future stressors are encountered. 

  • Similarly, Aldwin (2007), whose work originates from studies into stress, adaptation and coping, identifies the concept of resilience as appearing to be more than stoicism or survival; it assumes post-stress growth. 

  • Wagnild &Young (1990) point out that a resilient individual is not immune or hardened to stress but will be able to re-establish equilibrium following an adverse experience.



회복탄력성은 성격특성인가?

Is resilience a personality trait?


회복탄력성이 성격 특성 (그러므로 시간에 따라 측정 가능하고 고정되어 있고 안정적인지)인지 아니면 인생을 거쳐 언제든지 발전 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있는 역동적인 과정인지에 대한 핵심 논쟁이 있습니다 (Jacelon 1997). 많은 연구들이 서로 다른 집단의 사람들에게서 회복탄력성의 성격특성의 존재를 알리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집중되어있다 (Jacelon 1997, Connor & Davidson 2003, Campbell-Sills 외 2006, Waugh et al 2008).

There is a central debate about whether resilience is a personality trait (therefore measurable, fixed and stable over time) or a dynamic process which can develop at any time during the lifespan and may vary by context (Jacelon 1997). Many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identifying the factors signalling the presence of the personality trait of resilience in different groups of people (Jacelon 1997, Connor & Davidson 2003, Campbell-Sills et al. 2006, Waugh et al. 2008).


Rutter (2007)는 대조적으로 회복탄력성이 성격 특성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사람들이 역경에 처했을 때만 회복탄력적이 될 수 있으며 이 역동적 인 과정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믿습니다. Rutter의 이론은 최근 Gillespie 등의 탄력성에 대한 최근 개념 분석 연구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회복탄력성이 고난에 대항하는 투쟁의 과정이며 모든 연령대에서 학습가능하다고 주장했다.

Rutter (2007), by contrast, argues that resilience is not and cannot be a personality trait. He believes that people can only become resilient in the presence of adversity and that this dynamic process can vary in different contexts. Rutter’s theory has been further strengthened by a recent concept analysis study of resilience by Gillespie et al. (2007a) which argued that resilience is the process of struggle against hardship and can be learned at any age.


리차드슨 (Richardson, 2002)은 성격특성이냐 학습된 스킬이냐를 either/or 논쟁으로 보지 않으며, 오히려 이것은 연구 분야의 성숙을 알리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연구의 

  • 첫 번째 물결은 소위 회복탄력성의 특징 요인 또는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고, 

  • 두 번째 물결은 탄력성 상태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것에 집중되었습니다.

Richardson (2002) does not view the personality compared with learned skill perspectives as an either/or debate, but he argues that this signals a maturing of the research field. The first wave of research concentrated on identification of factors or traits, so-called resilient qualities, and the second wave o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state of resiliency.


회복탄력성과 정신건강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회복탄력성에 관한 초기 연구는 정신 의학 및 임상 심리학 분야에서의 제도적, 학대 적 또는 폭력적인 어린 시절을 겪었던 성인 생존자들과 함께 발전했다 (Garmezy & Rutter 1983, Anthony & Cohler 1987, Tizard & Varma 1992).

The early research on resilience developed from work in the psychiatric and clinical psychology field with adult survivors of institutional, abusive or violent childhoods (Garmezy &Rutter 1983, Anthony &Cohler 1987, Tizard & Varma 1992).


회복탄력성의 개념은 회복에 초점을 둔 정신 질환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에 포함되었습니다 (Edward & Warelow2005, McCormack 2007).

The concept of resilience has been included in new approaches to mental illness which focus on recovery (Edward &Warelow2005, McCormack 2007).


점점 더 많은 연구가 특정 상황이나 사람들의 그룹에서 중요한 보호적 요소를 확인하려고 시도해 왔습니다.

Increasing numbers of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protective factors which are significant in specific contexts or groups of people.


최근에는 회복탄력성 발달 모델을 목표로 한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있다 (Gillespie 외, 2007a, b, Tusaie 외 2007, Waugh 외 2008).

Recently there has been more focus on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models of resilience (Gillespie et al. 2007a,b, Tusaie et al. 2007, Waugh et al. 2008).


최근의 추세는 회복탄력성의 유전적, 신경 생물학적 및 내분비적 기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발달 적 정신 병리학 분야에있어왔다.

A further recent trend has been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where research into the genetic, neurobiological and endocrine bases of resilience has been initiated.



회복탄력성 발달 이론

Theories of resilience development


탄력 연구의 현재 논쟁은 세 가지 주요 영역에 초점을두고 있습니다. 이것들은 

  • (1) 회복탄력성의 정의; 

  • (2) 인성 특성으로서의 회복탄력성의 존재 대 생애주기 동안의 탄력성의 역동적 인 발달; 

  • (3) 회복탄력성이 학습가능한지, reliable하고 stable하게 측정 될 수 있는지 여부.


Current debates within resilience studies are focused on three main areas. These are 

  • (1) definitions of resilience/ resiliency; 

  • (2) the existence of resiliency as a personality trait versus the dynamic development of resilience throughout the lifespan; and 

  • (3) whether resilience can be learned or measured with reliability and stability.



측정 관련 이슈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resilience


회복탄력성 또는 회복탄력성을 구성한다고 생각되는 요인의 측정은 이 분야의 핵심 연구입니다. 그러나 이 분야에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가 있습니다. Gillespie et al. (2007a)는 탄력성 측정에 관한 지식 개발의 문제점에 대한 세 가지 이유를 밝힌다 : 

  • 회복탄력성의 정의에 대한 합의의 부족, 

  • 연령 집단 및 연구 된 맥락의 폭 넓은 다양성, 

  • 현재까지의 주로 질적 연구 중심으로 이뤄진 것


The measurement of resilience, or the factors thought to comprise resiliency, is central to this field of research.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complex issues within this area. Gillespie et al. (2007a) identifies three reasons for the problems in knowledge development around the measurement of resilience: 

  • the lack of agreement of a definition of resilience, 

  • the wide variation in age groups and contexts studied and 

  • the predominately qualitative nature of the studies to date.


왜 헬스케어에서 이 개념이 중요한가?

Why is the concept significant in health care?


질병이나 외상으로부터 신속하게 회복하거나 견딜 수있는 사람들을 예측할 수있는 성격 특성을 찾는 것은 매력적인 분야였다(Smith 2006). 훨씬 더 매력적인 것은 1 차 예방 도구로서 좋은 건강 상태를 보호하거나 향상시킬 수있는 개입의 전망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 분야는 다양하고 결정적이지 않습니다.

The attraction of identifying personality attributes which could predict those people who might withstand or make a quick recovery from disease or trauma has been irresistible to researchers (Smith 2006). Even more attractive is the prospect of interventions which may protect or enhance good health status as a tool of primary prevention. However, the research field is again diverse and inconclusive.


정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silience on policy


회복탄력성 연구는 개인, 가족 및 지역 사회의 deficit 모델 대신 asset 모델에 중점을 두도록 권장합니다. 이것은 노령 인구의 사회 및 건강 관리 요구에 직면하고있는 실무자 및 서양 정부와 모두 공감했습니다. 

  • 영국에서는 최근의 교육 및 사회 정책이 생태적 접근에 의해 뒷받침되었으며 아동 및 청소년 사이의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학교의 개입이 그 사례이다 (Scottish Executive 2004). 

  • 스코틀랜드의 교육 정책을 선도하는 현재의 'Curriculum for Excellence'은 어린이가 '성공적인 학습자, 자신감있는 개인, 책임있는 시민, 사회에 기여는 효과적인 기여자'가된다는 것을 명백히 밝힙니다. 이것은 회복탄력성 발달에 중요한 것으로 확인 된 것과 유사한 속성 및 결과이다 (Scottish Executive 2004). 

  • 아동 보호 전문직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보호 정책으로 육성한다는 개념이 잘 정립되어있다 (Daniel 2006). 개입은 회복탄력성을 '건축'하려는 관점에서 계획되나, 이것이 가능하다는 근거는 제한적이다

Resilience studies encourage focus on an asset model, instead of a deficit model of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This has resonated both with practitioners and with Western governments, who are facing the social and healthcare needs of ageing populations. 

  • In the United Kingdom much recent educational and social policy has been underpinned by an ecological approach and the interventions in schools to promote resilie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an example of this (Scottish Executive 2004). 

  • The current ‘Curriculum for Excellence’ which leads educational policy in Scotland has overtly stated values of ensuring children become ‘successful learners, confident individuals, responsible citizens and effective contributors to society’, similar attribute and outcomes to those identified as being significant in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Scottish Executive 2004). 

  • In child protection professions the concept of fostering resilience as a protective policy is well established (Daniel 2006). Interventions are planned with a view to ‘building’ resilience with limited evidence that this may be possible.


그러나 기초 연구의 다양한 정의와 연구 대상 집단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여러 정책이 담론이 아니라 얼마나 증거에 근거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소위 'Positive Psychology'운동의 인기는 정책 입안자와 전문가이 선택적 증거만을 기반으로 이러한 asset 모델을 채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Seligman 2002, Tugade & Fredrickson 2004, Craig 2007).

However, given the variety of definitions within the underpinning research and the diversity of populations studied it is unclear to what extent these policies are based on evidence, rather than on current discourse. The popularity of the so-called ‘Positive Psychology’ movement may have influenced policy makers and professionals to adopt these asset models based on selective evidence only (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 Seligman 2002, Tugade & Fredrickson 2004, Craig 2007).


결론

Conclusion


현재까지이 분야의 연구의 주요 초점은 회복탄력적인 사람들에게 관찰되는 보호 요소와 행동을 파악하는 데 집중되어 왔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연구자들은 그러한 회복탄력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하고 예측 및 개입 모델을 개발하려고했습니다. 연구의 또 다른 물결은 현장에서의 행동 및 생물 과학 조사, 특히 매개 요인 (유전학, 신경 내분비 기능 및 대처 스타일)의 유전학 및 환경과 탄력성의 구조 모델 개발 사이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려는 시도입니다.

To date the main focus of research in this field has concentrated on identifying protective factors and behaviours observed in resilient people. Comparatively recently researchers have aimed to identify the processes by which such resilience is formed and to attempt to develop predictive and intervention models. A further wave of research is attempting to integrate behavioural and biosciences investigation in the field, in particular studying the interaction between genetics and environment of mediating factors (genetics, neuroendocrine function and coping styles) and the development of structural models of resilience.


그러나 이렇게 많은 정보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기본 도구 중 일부가 불충분 할 수 있습니다회복탄력성 연구는 중재에 대한 연구가 견고하게 평가되고 복제 될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견고하고 재현성게 측정할 수 있는 핵심 도구를 갖추어야합니다. 기존의 대중적 저울은 몇 년 전에 개발되었으며, 새로운 인구 집단으로 확대 적용되기에 앞서서 기본 원칙부터 재검토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However, despite this apparent plethora of information, some of the basic tools of research may be deficient. Resilience studies require to have at their core robust and reproducible instruments to measure resilience, so that the studies into interventions may be robustly evaluated and replicated. The existing popular scales were developed in the main several years ago, and despite refinement may need to be re-examined from first principles, rather than have their use extended into new population groups.


회복탄력성 연구 분야에 관심과 매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증거에 근거한 대중 운동에 대한 'faddism'의 위험성을 암시하는 Doll & Lyon (1998)의 경고를 명심해야한다. 이 경고는 Masten & Obradovic (2006)에 의해 회복탄력성을 기르는 마법의 탄환이 없으며, 열악한 결과에 대해 '희생자를 비난하는' 위험을 강조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Rutter는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바라봄에 있어서 보는 사람이 보고싶은대로 볼 수 있는 위험성 - 밀레니엄 Rorschach -을 경고한다. (Rutter 1999 년).

Despite the interest and attraction of the field of resilience studies, professionals should bear in mind Doll & Lyon’s (1998) caution already alluded to regarding the dangers of ‘faddism’, of popular movements based on uncertain evidence. This warning is reinforced by Masten & Obradovic (2006) who caution that there are no magic bullets for producing resilience and highlight the risk of ‘blaming the victim’ for poor outcomes. Rutter himself warns against the danger of seeing in the concept of resilience anything the viewer wants to see – a ‘Millennium Rorschach’ (Rutter 1999).




 2009 Mar;16(2):137-45. doi: 10.1111/j.1365-2850.2008.01341.x.

Resilience revisited.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the West of Scotland, Ayr, UK.

Abstract

Contemporary reports of individuals experiencing severe adversity have led to renewed debate regarding the processes that mediate a person's ability to withstand extremes of bo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abuse. The capacity to recover from extremes of trauma and stress is termed resilience. This important concept is of key relevance to health professionals as resilience and also defines a more general concept of responding to challenges that affect the individual in terms of their health behaviour. The evidence base in this area is noteworthy in that much research is based on historical case studies that, although rich in both content and appeal, also fall short of contemporary rigour in terms of validity. This review will describe the evidence for the salience of the concept of the resilience to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the implications of the domain to the healthcare professional.

PMID:
 
19281544
 
DOI:
 
10.1111/j.1365-2850.2008.01341.x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에서 문화적 유사성과 차이점: 다지역 연구(Med Educ, 2012)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a multi-region study

Madawa Chandratilake,1 Sean McAleer1 & John Gibson2




도입

INTRODUCTION


문화적 배경은 개인이 프로페셔널리즘을 인식하는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므로 전문성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화 사이에 겹치는 부분이 많지만 현재까지는 보편적 정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의 결과로, 'embodied professional persona를 개발하는 과정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Cultural background has a major influence on how an individual perceives professionalism.1,2 Therefore, although there are many areas of overlap among different conceptualisations of professionalism,3,4 to date, there is no consensus on a universal definition. As a result of these differenc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embodied professional persona is not straightforward’.5


우리가 아는 한, Cruess et al 만이 특히 전문직의 역할 (예 : 더 넓은 사회와의 의사 관계)과 관련하여 중요한 지역 및 문화적 차이의 존재를 가정했다.

To our knowledge, only Cruess et al.2 postulated the existence of important reg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e.g. doctors’ relationships with wider society).2


문화 가치 이론

Cultural value theory


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에 따르면, 국가 나 지역의 사회 - 사회 구조에 대한 문화의 영향은 다음을 포함하여 여러 차원에서 관찰 될 수있다.

    • 권력 거리 (사회에서 권력 위치가 낮은 구성원이 권력이 불평등하게 분배되는 것이라 받아들이고 기대하는 정도);

    •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개인이 집단으로 통합되는 정도);

    • 남성 성 대 여성 성 (남성과 여성 간의 역할 분배);

    • 불확실성 회피 (사회가 새로운, 알려지지 않은, 비정상적인, 모호한 상황에 대해서 얼마나 편한지)

    • 개개인의 사고와 행동에서의 장기 대 단기 지향성.

According to Hofstede’s cultural dimension theory,6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socio-societal structure of a country or region can be observed in several dimensions, including: 

    • power distance (the extent to which the less powerful members of a society accept and expect that power is distributed unequally); 

    • individualism versus collectivism(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are integrated into groups); 

    • masculinity versus femininity (the distribution of roles between males and females); 

    • uncertainty avoidance (how comfortable the society is in novel, unknown, unusual and ambiguous situations), and 

    • long-term versus short-term orientation in the thinking and behaviour of individuals. 


권력 거리,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약한 대 강한 불확실성 회피, 그리고 장기 대 단기 대책은 이 연구에서 관찰 된 차이를 이해하는 데 특히 유용하게 보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서구 문화 (영국, 유럽 및 북미 지역)는

    • 더 개인주의적 (그들은 개성과 가치 독립성을 개발하고 보여줄 것을 장려하며, 따라서 비교적 덜 사회-지향적이다)

    • 낮은 불확실성 회피 성향 (규칙과 지침을 더 선호하지 않으며, 비공식 활동을 즐기고, 다양한 의견에 개방되어 있습니다).

    • 단기적 성과 지향 (그들은 즉각적인 안정성 추구를 권장합니다).

Power distance, individualism versus collectivism, weak versus strong uncertainty avoidance and long versus short-term orientation seemed to be particularl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observ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is theory, in general, Western cultures (in the UK, Europe and North America) tend to be 

    • more individualist (they encourage the development and display of individual personalities, value independence, and are therefore comparatively less socially oriented), 

    • weaker in uncertainty avoidance (they prefer fewer rules and guidelines, enjoy informal activities, and are therefore open to diverse opinions) and 

    • oriented towards short-term outcomes (they encourage the seeking of immediate stability).6


대조적으로 아시아 인들은

    • 더 집단주의적 (장기적 집단의 구성원을 소중히 생각하기 때문에 사회적 지향성이 비교적 높다)

    • 높은 불확실성 회피 성향 (그들은 엄격한 규칙과 공식적인 활동을 중요시하므로 반대 의견에 덜 관대 함).

    • 장기적 성과 지향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절약과 행동 및 태도를 중요시합니다)을 보여줍니다.

Asians, by contrast, tend to be 

    • more collectivist (they value membership of a long-term group and therefore social orientation is comparatively high), are 

    • stronger in uncertainty avoidance (they value strict rules and formal activities and are therefore less tolerant of dissent) and 

    • demonstrate a long-term orientation (they value thrift and actions and attitudes that affect the future).6 

서양 문화는 동양 문화보다 낮은 권력 거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Western cultures tend to appreciate a lesser power distance than Eastern cultures.6



문화 차원 이론

Cultural dimension theory


이 이론은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의 문화를 비교할 수있는 7 가지 가치를 소개합니다 .7 다음과 같습니다 :

  • 보수주의 (사회 질서, 전통, 가족 안보 및 지혜에 대한 유지와 존중에 중점을 둔다);

  • 지적 자율성 (호기심, 광대하고 창의성을 중요시 함);

  • 정서적 자율성 (개인이 쾌락과 흥분을 독립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 함);

  • 위계적 (권력, 역할 및 자원의 불평등 분배를 수용함)

  • 평등주의 (평등, 사회 정의 또는 자유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복지를 자발적으로 추구);

  • Mastery (야심, 성공, 대담, 능력으로 입증 입증되는 적극적인 자기 주장을 통해 progressing),

  • 조화 (자연과 환경에 조화를 이룸).

This theory introduces seven values on the basis of which th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can be compared.7 These are: 

  • conservatism (emphasis on the maintenance of and respect for social order, tradition, family security and wisdom); 

  • intellectual autonomy (valuing of curiosity, broadmindedness and creativity); 

  • affective autonomy (desirability for individuals to independently pursue pleasure and excitement); 

  • hierarchy (acceptance of an unequal distribution of power, roles and resources); 

  • egalitarianism (voluntary promotion of the welfare of others in order to achieve equality, social justice or freedom); 

  • mastery (progressing through active self-assertion, as demonstrated by ambition, success, daring and competence), and 

  • harmony (fitting harmoniously with nature and the environment). 

이 이론에 의해 묘사 된 일반적인 문화적 그림은 다음을 입증합니다 :

  • 동양 문화는 보수적이고 위 계적이며 어느 정도 Mastery에 가치를 두는 경향이있다.

  • 대조적으로, 유럽인은 지적으로 자율적이며, 평등주의적이고, 조화로운 경향이 있고

  • 북아메리카는 정서적으로 자율적이며 Mastery를 보다 많이 중시하는 것처럼 보인다 .7)

그러나 어느 정도까지 이러한 가치의 강점은 특정 지역 내의 국가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7

The general cultural pictures portrayed by this theory demonstrate that: 

  • Eastern cultures tend to be more conservative and hierarchical and to value mastery to some extent; 

  • Europeans, by contrast, tend to be intellectually autonomous, egalitarian and harmonious, and 

  • North Americans appear to be affectively autonomous and to value mastery to a greater extent.7 

However, to some degree, the strengths of these values may vary among countries within a particular region.7




방법

METHODS


설계

Design


In this study, we used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8 supplemented with multi-rater kappa (j) statistics to demonstrate the degree to which the 46 attributes are perceived as essential (their ‘essentialness’) in the respective regions.


내용타당도

Content validity is the 

    • degree of relevance and representativeness of different elements and components to a given concept.9 

    • Establishing content validity is usually a deductive process, which involves defining virtually all possible elements of a concept under study and systematically determining their relevance to representing this concept.10 


CVI는 레퍼런스 그룹의 일치도에 기반한 내용타당도 측정

The CVI is an estimate of content validity based on the agreement of a reference group.11,12 In this empirical measure of content validity, a reference group is surveyed on the perceived essentialness of each element for operationalising an underlying construct,13 medical professionalismin this instance. The CVI of an element refers to the proportion of group members out of the total number in the group who indicate that a particular element is essential.11 

    • For example, if eight of 10 members agree that a particular element is essential, the CVI is 0.80. 


0.78이상의 CVI는 Essential한 항목

Given that there are more than five raters in the reference group, the general agreement is that elements that earn a CVI of > 0.78 are considered as essential for operationalising the construct.8 As the CVI is a proportion, the agreement calculated in terms of the CVI can reflect chance.


k-value를 측정하여 우연에 의한 영향 배제

Calculation of k-values helps to exclude the effect of ‘chance’ from agreement among multiple raters.11,14 j-values can range from - 1.0 to + 1.0; 

    • a k-value of - 1.0 indicates perfect disagreement below chance; 

    • a k-value of 0.0 indicates agreement equal to chance, and 

    • a k-value of + 1.0 indicates perfect agreement above chance.15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the rule of thumb is that a k-value of >=0.70 indicates adequate inter-rater agreement.15 The CVI or CVI supplemented with k-values has been used to defin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various health care-related concepts.11



Questionnaire development


As a result, the number of evidence-based items was condensed to 46 (Figs 1 and 2). Nine non-evidenced items (Fig. 3) were added by the researchers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literature-based items. The final inventory, therefore, consisted of 55 items.





표집과 모집

Sampling and recruitment


A total of 584 doctors worldwide responded to the survey (response rate = 28%). Numbers of respondents by region are presented in Table 1.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5점 unipolar 척도로 평가

The respondents were expected to rate the 55 attributes by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s a professional attribute for doctors using a unipolar, 5-point scale (5 = extremely important, 4 = very important, 3 = somewhat important, 2 = slightly important, 1 = unimportant).


분석

Analysis


The CVI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identifying the elements rated as ‘essential’ with the highest level of agreement by the reference panel. Which points on the rating scale should be included in the ‘essential’ category for the purposes of calculating the CVI is a matter to be decided sensibly by the researchers or educationalists running the study.8,13 In this study, 

    • ratings of ‘extremely important’ and ‘very important’ were classified as representing ‘essential’, and 

    • ratings of ‘somewhat important’ and ‘slightly important’ were grouped as ‘moderately important’; 

    • ‘unimportant’ remained the same. 


Region-specific CVIs for each of the 55 items were calculated using these categories as indicated by ratings given by respondents in each region (e.g. the proportion of UK respondents who indicated that Item X is essential is the CVI-UK for ItemX). Items with CVIs of > 0.78 wer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as it is conceptualised by people within a given region. k-values for each of these region-specific sets of ‘essential’ attributes were subsequently calculated using the online multi-rater k calculator.15




결과

RESULTS


모든 non-evidence-based 문항의 CVI는 모든 지역에서 0.78미만. CVI를 분석하여 다양한 지역 그룹에서 필수적으로 인식되는 속성의 수를 산출했다.

The CVIs for all non-evidence-based items included in the survey were < 0.78 (i.e. below the acceptable agreement level) across all geographic regions, which means that the respondents rated the items discriminately. The analysis of CVIs yielded varying numbers of attributes perceived as essential in different regional groups, including: 

  • 30 attributes in the UK (k = 0.77); 

  • 35 attributes in other European countries (k = 0.80); 

  • 30 attributes in Asian countries (k = 0.83), and 

  • 31 attributes in North America (j = 0.84).


  1. • Speaking with a refined accent

  2. • Having a good sense of humour

  3. • Being physically attractive

  4. • Being physically fit

  5. • Always being busy

  6. • Being well read outside one’s professional area

  7. • Earning a high salary

  8. • Owning a luxurious home

  9. • Having attended a prestigious school before going to university

Figure 3 Non-evidence-based items added to the list of evidence-based items to ensure the credibility of responses



46 개의 증거 기반 항목 중 29 개가 전문 분야의 필수 요소로 지역적으로 인정되었습니다 (그림 1). 이러한 속성은

  • 개인적 특성 (예 : 정직 및 성실성, 신뢰성 및 신뢰성, 사려 깊은 관행)

  • 의사와 환자의 관계 (예 : 환자의 자율성, 기밀성 및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존중, 연민 표시, 편견없이 공정한 환자 치료)

  • 직장내 실천과 인간 관계 (예 : 실천과 누락에 대한 책임,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 팀으로 일하는 것)

  •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행동 (예 : 법 준수 행동, 물질 및 알코올 오용 방지, 사용 가능한 자원의 효과적인 사용).

Twenty-nine of the 46 evidence-based items were recognised cross-regionally as essential elements of professionalism(Fig. 1). These attributes are related to

  • personal characteristics (e.g. Honesty and integrity; Reliability and dependability; Reflective practice), 

  • doctors’ relationships with patients (e.g. Respect for patients’ autonomy, confidentiality and privacy; Showing compassion; Treating patients fairly without prejudice), 

  • workplace practices and relationships (e.g. Being responsible for commissions and omissions; Being accountable for one’s own actions; Working in teams) and 

  • socially responsible behaviours (e.g. Law-abiding behaviour; Avoidance of substance and alcohol misuse; Making effective use of the resources available). 


• Respecting the patient’s autonomy

• Being accountable for one’s actions

• Behaving honestly and with integrity

• Respecting colleagues

• Respecting the patient’s confidentiality and privacy

• Communicating in a clear and effective manner

• Acting in a responsible fashion towards patients

• Acting in a responsible fashion towards colleagues

• Behaving in a reliable and dependable way

• Being receptive to constructive criticism

• Hav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professional development

• Adhering to professional rules and regulations

• Working well as a member of a team

• Reflecting on one’s actions with a view to improvement

• Being attentive to the needs of patients

• Being aware of one’s limitations as a practitioner

• Providing advice to patients and colleagues when required

• Showing compassion towards one’s patients

• Treating patients fairly and without prejudice

• Treating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fairly and without prejudice

• Being empathetic when caring for patients

• Being able to manage situations in which there is a conflict of interest

• Treating colleagues fairly and without prejudice

• Not using one’s professional status for personal gain

• Taking a dedicated approach to one’s work

• Functioning according to the law

• Being sound in judgement and in decision making

• Avoiding substance or alcohol misuse

• Making effective use of the resources available

그림 1 모든 지역 그룹이 필수 항목으로 분류 한 전문 속성 (모든 지리적 그룹에 대한 내용 유효성 지수 > 0.78)

Figure 1 Professional attributes categorised as essential by all regional groups (content validity indices for these items for all geographic groups were > 0.78)



강조한 의사의 개인적 웰빙(예 : 자신의 건강 및 복지를 돌보는 것, 개인의 외모를 염두에 두는 것)와 밀접한 관련이있는 6 가지 항목은 어떤 지역 그룹에서도 필수적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그림 2).

Six item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doctors’ personal well-being (e.g. Looking after one’s own health and well-being; Being mindful of one’s personal appearance), which has been emphasised by professional bodies and researchers, were not identified as essential by any regional group (Fig. 2).



  1. • Being mindful of one’s personal appearance

  2. • Behaving with composure

  3. • Conforming to social norms

  4. • Showing leadership skills and initiative

  5. • Looking after one’s own health and well-being

  6. • Being accessible to colleagues

그림 2 문헌에서 유래 한 프로페셔널 특성이지만, 모든 지역 그룹에서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류 된 것 (모든 지리적 그룹에 대한 내용 유효성 지수<0.78)

Figure 2 Professional attributes sourced from the literature, but categorised as non-essential by all regional groups (content validity indices for these items for all geographic groups were < 0.78)


나머지 11 개 항목의 essentialness은 지역별로 다양했다 (표 2). 지역적 차이가 있는 속성은 크게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됩니다.

  • 환자 중심 진료에 대한 개방성 (환자에게 접근 가능하고, 환자에 대한 이타성을 표현하며, 동료 및 환자의 문화적 배경에 민감 함).

  • 근무지 가치 (직무에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하고, 동료의 요구에주의를 기울이고, 직장에 냉소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시간 엄수), 그리고

  • 장기적으로 사회 복지에 기여하는 속성 (사회에 대한 책임감있는 행동, 필요한 경우 동료를 양성하는 기술 보유, 공통 목표를 향한 동료와의 협력, 직장 변화에 적응 가능).

The essentialness of the remaining 11 items varied by region (Table 2). The attributes with regional dissonance appeared to fall into three broad categories: 

  • openness to patient-centred practice (Being accessible to patients, Showing altruism towards patients, Being sensitive to the cultural backgrounds of colleagues and patients); 

  • workplace values (Acting with confidence in one’s duties, Being attentive to the needs of colleagues, Not taking a cynical approach to one’s job, Punctuality), and 

  • attributes contributing to societal well-being in the long-term (Acting in a responsible fashion towards society, Having the skills to train colleagues if required, Working with one’s colleagues towards common goals, Being adaptable to changes in the workplace).




고찰

DISCUSSION



전지구적 컨센서스가 있는 특징

Attributes with global consensus


세계적인 합의에 도달한 29 가지 속성은 의료 전문직업성의 '핵심'을 구성하거나, 서구화 된 전문직업성 표현이 동양 문화에 끼친 영향(또는 그 반대)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은 전 세계의 전문 및 치리 기관이 정의한 의사의 전문직업적 특성과 상당히 겹칩니다.

The 29 attributes that achieved global consensus may constitute the ‘core’ of medical professionalism, or they may reflect the influence on Eastern cultures of Westernised representations of professionalism or vice versa. These attributes overlap considerably with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doctors as defined by professional and governing bodies around the world.


성찰의 실천, 한계 인식, 건설적 비판에 대한 개방성, 전문성 개발 동기 등은 서로 구분되지만 서로 관계되는 특징으로서, 여러 지역에 걸쳐 인정된 속성으로, 의료 전문직업성의 초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ce of reflective practice, recognition of limitations, openness to constructive criticism and motiv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 set of discrete but related attributes, in the group of attributes that won cross-regional approval suggests these may be the cornerstone of medical professionalism.1


그러나 문헌에 나오는 근거와는 달리, 아래의 특징들은 전문직업성의 비-필수적 특성으로 꼽혔다. 개인의 웰빙이 의사들에게 중요 할뿐만 아니라 환자 안전에 필수적이라는 메시지를 되풀이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자신의 외모에 신경쓰고

    •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고,

    • 평정을 갖고 행동,

    • 지도력 기술을 보여주고

    • 동료에게 접근 가능

    • 자신의 건강과 웰빙을 돌보는

However, contrary to the evidence in the literature, 

    • being mindful of personal appearance, 

    • conforming to social norms, 

    • behaving with composure, 

    • showing leadership skills, 

    • being accessible to colleagues, and 

    • looking after one’s own health and well-being 

...were indicated universally as non-essential attributes for the professional doctor. there may be a need to reiterate the message that personal well-being is not only important to doctors themselves, but is also essential for patient safety.



지역적 차이가 있는 특징

Attributes with regional differences



환자-중심적 치료에 대한 개방성

Openness to patient-centred practices


유럽, 아시아 및 북미 의사에게는 환자가 접근 할 수 있어야 했지만 영국 의사에게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 차이는 다른 지역의 보건의료 공급의 특성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북미 지역에서는 환자가 직접 건강 관리 비용을 지불하는 반면, 영국에서는 접촉 시 건강 관리 비용 부담이 발생하지 않는다. 직접비용을 지급하는 환자를 돌보는 의사는 그렇지 않은 의사보다 환자에게 접근가능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다른 방법으로는 영국에있는 시스템이 영국의 다른 지역의 환자보다 환자의 접근 가능성이 더 좋아서 영국의 개별 의사가 이러한 측면에서 스스로를 걱정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다. 

    • 아시아 의사들이 이 속성을 중요시하는 것은 많은 아시아 국가들에서 건강 관리가 국가에 의해 무료로 제공되며, 아시아 문화의 집단주의적 및 사회적 지향적 특성을 반영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환자 자신이 서비스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private 의료영역이 있기 때문에 북미 의사와 동일한 원인을 반영 할 수도 있습니다.

Being accessible to patients was essential to European, Asian and North American doctors, but not to UK doctors. This difference may reflect the nature of health care provision in different regions. 

In most European countries and in North America, patients pay health care fees directly, whereas, in the UK, the cost of health care delivery is not borne at the point of contact. Doctors who provide care for fee-paying patients may feel more obliged to make themselves accessible to patients than doctors who do not. 

Alternatively, it may be that the system in place in the UK to ensure the accessibility of doctors to patients is bett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and thus individual doctors in the UK do not feel a need to concern themselves in this respect. 

The essentialness attributed to this attribute by Asian doctors may reflect the collectivist and socially oriented nature of Asian cultures6 as, in many Asian countries, health care is delivered free by the state. However, it may also reflect the same cause as for North American doctors because many other Asian countries operate a private health care sector in which patients themselves are required to pay for services.


이타주의는 아시아 의사에게 필수적인 요소였습니다. 이것은 서구 문화의 개인주의 성격에 비해 아시아 문화의 집단주의적 특징을 반영 할 수있다. 북미인들은 문화적으로 개인주의적이기에, 그런 문화적 배경에서 이타성에 우선 순위가 부여되지는 않지만, 미국의 전문 단체가 정의한 전문 직업의 7 대 주요 영역 중 하나에 이타성이 들어갔다는 점을 고려하면 북미에서 이타성이 필수 요소로 나타난 것이 놀랍지는 않다. 

Altruism was an essential element for Asian doctors. This may reflect the collectivist nature of Asian cultures compared with the individualist nature of Western cultures.42 Although North Americans are culturally individualistic and altruism is not prioritised in such a cultural background, it is not surprising that altruism emerged as essential to North American doctors because it has represented one of the seven major domains of professionalism as defined by professional bodies in the USA for some time.19 


그러므로, 이것은 실무자와 관리기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counter-cultural response의 한 예일 수있다. 의사와 같은 '다른 사람을 돕는' 전문가들은 개인주의가 강한 문화에서 이타주의의 실천에 더욱 전념 할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 이타주의를 비 필수적이라 본 것은 새로운 발견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이미 영국 왕립 전문 대학 실무자 실무 협의회 (Professional Party Working Party on Professionalism)는 영국 전문가와 비교했을 때, 미국의 전문성 운동이 더 이타주의에 중점을 둔다는 점을 인정했다. 영국 사회는 그런 태도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영국 의사들은 이타주의를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 이타주의는 사회적 요구가있을 때만 이타주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국의 일반 대중과의 이전 연구에서 이타심은 의사와 환자 관계의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대중에 의해 인식되고 있음이 나타났습니다.

Therefore, this may represent an example of a counter-cultural response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practitioners and governing bodies; ‘helping’ professionals, such as doctors, may be more committed to the practice of altruism in a culture in which individualism is strong. The nonessentialness of altruism to British medical professionalism in our study may not be a novel finding as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Working Party on Professionalism has acknowledged that there has been greater emphasis on altruism in the US professionalism movement compared with its UK counterpart.1 UK doctors may not have considered altruism as essential because they assume that British society does not demand such an attitude; altruism may be altruism only when there is a societal demand for it. However, our previous study with the UK general public indicated that altruism is perceived by the public a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4


그러나, "환자의 문화적 배경에 민감한 것"은 북미 인들에게만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었습니다. 이것은 미국의 많은 지역이 다른 서구와 동부 지역보다 더 오래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However, being sensitive to the cultural backgrounds of patients was regarded as an essential attribute only by North Americans. This may be because much of the USA has comprised a multicultural society for longer than the other Western and Eastern regions under study.


직장 내 가치에 관한 특성

Attributes related to workplace values


자신의 책임에 자신감있게 행동하는 것은 아시아 의사에게서만 필수적으로 인식되었다. 이는 아시아 사회는 '무엇이 최선인지는 의사가 안다'라고 믿기 때문에, 자신감이 성공적인 의사 - 환자 관계의 주된 원인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아시아 문화에서 사회적 수준이 높은 (예 : 의사)사람과 낮은 (예 : 환자) 사람 사이에서 인식되는 개인 간의 권력 격차는 더욱 분명하며, 이로 인해 의사들은 대중에게 더 자신감있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Acting with confidence in one’s duties may be considered as essential by Asian doctors as Asian societies believe that the ‘doctor knows what is best’ and therefore showing confidence is a primary contributor to a successful doctor–patient relationship.43 In addition, the power distance between individuals who are perceived to stand at higher (e.g. doctors) and lower (e.g. patients) social levels is more evident in Asian cultures,6 which may also warrant a public display of self-confidence.


많은 서방 국가의 환자 안전 규정 및 법적 체계를 고려할 때, 서방 국가의 의사는 아시아 국가의 의사와 다르게 문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서양의 의사는 자신감을 가진 의사이기보다 안전한 의사가 되기위해 집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럽인이 전문성의 이 측면에 기여한 본질은 규제 기관의 권고와 모순된다.

 In view of the patient safety regulations and legal frameworks in place in many Western countries,18,44,45 doctors from these countries may consider this issue differently to their Asian counterparts: they may focus on becoming safe rather than confident practitioners. However, the essentialness attributed by Europeans to this facet of professionalism contradicts the recommendations of their regulatory bodies.44


문화적으로 아시아 인들이 엄격한 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에서 아시아 의사들이 시간을 정확히 지키는 것을 중요시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집단주의자이기보다는 문화적으로 개인주의적인 유럽인들에게, 동료의 요구에 부응하고 자신의 직업에 대해 냉소적이지 않은 것은 문화적 특성과 모순되는 가치이다. 이것은 주어진 상황에서보다 나은 헬스케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회 문화적 장벽을 극복하고자하는 유럽 의사의 요구 또는 예민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문화 연구에서 Schmidt et al. 의학계 학생들의 (holism)에 대한 비 전통적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비슷한 반-문화 반응counter-cultural response 이론을 가정했다.

Culturally, Asians value strict discipline,6,7 which may explain the Asian doctors’ commendation of punctuality. Attending to colleagues’ needs and not being cynical about their job represent, for Europeans, who are culturally individualist rather than collectivist, values that contradict their cultural outlook.6 This may show a keenness or need on the part of European doctors to overcome socio-cultural barriers to deliver better health care in their own contexts. In a multicultural study, Schmidt et al.46 postulated a similar theory of a counter-cultural response to explain medical students’ non-conventional perceptions of holism.



장기적으로 사회적 웰빙에 기여하는 특성

Attributes contributing to social well-being in the long-term


교육이나 훈련 기술의 소유는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전문성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간주되었습니다. 

    •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임상가의 전문적 능력으로서의 교수 기술에 대한 기대와 권고에도 불구하고 유럽 의사들만이 그러한 기술을 필수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의사의 교육 기술은 GMC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인용되었으며, 영국 의대생은 임상 교사의 불량한 교수법 기술에 비판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의사들은 전문 기술자에게는 교수 기술이 필수적이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  훈련 기술에 대한 북미 응답자의 '비-필수성' 인식은 [시니어 의사에 대한 주니어 의사의 기대], 그리고 [미국 및 캐나다 의사를 위한 대다수 승진위원회의 요구]와 모순됩니다. GME 과정에서 연수생에게 교육에 공식 훈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임상의들 사이에서 이러한 인식의 주된 이유로 언급되어 왔고 여기서도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인도와 같은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교육은 전문 역량으로 강조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아시아 의사들은 이 정보를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The possession of teaching or training skills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component of professionalism since the time of Hippocrates.47 

    • However, despite worldwide recommendations for and expectations of teaching skills as a professional competence of clinicians, only European doctors valued such skills as essential. Teaching skills in doctors have been cited as necessary by the GMC18 and UK medical students have been critical of the poor teaching skills of clinical teachers.48 Nonetheless, UK doctors felt that teaching skills were not essential to a professional doctor. 

    • The perception of training skills as nonessential by North American respondents also contradicts the expectations of US junior doctors of their senior colleagues49 and the desires of the majority of promotion committees for doctors in the USA and Canada.50 The lack of delivery of formal training in teaching to trainees during postgraduate clinical training has been cited as a principal reason for this perception among clinicians51 and may well be the cause of it here. 

    • In many Asian countries, such as India, teaching has not been emphasised as a professional competence.52 Therefore, Asian doctors may not consider it as an essential attribute.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은 유럽인을 제외한 모든 그룹에게 중요했습니다. 여기서 아시아 의사들의 집단주의적 문화적 배경을 보여준다. 그러나 (개인주의적 문화를 중시하는) 북미와 영국 의사들의 반응은 문화적인것이라고 볼 수 없다.

Acting in a responsible fashion towards society was important to all groups except Europeans. Here, the perceptions of Asian doctors may reflect their collectivist cultural background.6 However, the responses of North American and UK doctors are unlikely to be cultural as they appear to be more individualist.6


문화적으로 덜 유연한 아시아인은 직장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필수적이라고 간주했습니다.

Adaptability to workplace changes was regarded as essential by Asians, who are culturally less flexible.6




장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이 유형의 설문 조사에서 천장 효과 (즉, 응답자가이 설문 조사에서 '매우'및 '매우 중요 함'인 모든 항목에 대해 평가 척도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선택하는 경향)은 항목 사이에 차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천장효과는 응답자에게 항목의 (상대적) 순위를 물음으로써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전의 연구들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지역적 차이를 문화적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지리적 지역 내의 중요한 문화적 차이는 이 연구에서 간과되었을 수있다.


In this type of survey, the ceiling effect (i.e. the tendency of respondents to choose the highest points of the rating scale for all items [‘extremely’ and ‘very important’ in this survey]) may result in a lack of discrimination among items, which might be minimised by asking respondents to rank the items. As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have interpreted region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s reflecting cultural differences.2,53 However, important cultural variations within geographic regions may have been overlooked in this stud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CONCLUSIONS



15 Randolph J. Online kappa calculator. http://justusrandolph.net/kappa/. [Accessed 19 July 2010.]









 2012 Mar;46(3):257-66. doi: 10.1111/j.1365-2923.2011.04153.x.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a multi-region study.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Dundee, Scotland, UK. m.chandratilake@dundee.ac.uk

Abstract

CONTEXT:

Over the last two decades, many medical educators have sought to define professionalism. Initial attempts to do so were focused on defining professionalism in a manner that allowed for universal agreement. This quest was later transformed into an effort to 'understand professionalism' as many researchers realised that professionalism is a social construct and is culture-sensitive. The determination of cultural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however, has been subject to very little research, possibly because of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doing so. In this multi-region study, we illustrate the universal and culture-specific aspec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s it is perceived by medical practitioners.

METHODS:

Forty-six professional attribute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 total of 584 medical practitioners, representing the UK, Europe, North America and Asia, participated in a survey in which they indicated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se attributes. We determined the 'essentialness' of each attribute in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supplemented with kappa statistics.

RESULTS:

With acceptable levels of consensus, all regional groups identified 29 attributes as 'essential', thereby indicating the universality of these professional attributes, and six attributes as non-essential. The essentialness of the rest varied by regiona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has helped to identify regional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most of which can be explained by cultural differences in line with the theories of cultural dimensions and cultural value. However, certain dissonances among regions may well be attributable to socio-economic factors. Some of the responses appear to be counter-cultural and demonstrate practitioners' keenness to overcome cultural barriers in order to provide better patient care.

PMID:
 
22324525
 
DOI:
 
10.1111/j.1365-2923.2011.04153.x


바람직하지 못한 의학 학습 환경의 모습들: 네러티브 리뷰(Adv in Health Sci Educ, 2013)

Undesirable features of the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a nar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Jochanan Benbassat




도입

Introduction


일부 의대생 및 레지던트는 의사에게 기대되는 행동에서 벗어납니다.

Som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deviate from the behavior expected from doctors.


이러한 편차는 영구적 인 성격 특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은 후속 진료 동안 징계 조치를받는 의대 학생의 39 %에서 관찰되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19 %에서 '만'(Papadakis 외 2005) 관찰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의 높은 유병률은 의학 학습 환경 (MLE)의 일부 모습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조장하는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Kirk and Blank 2005; Glass 2006). 최근에 의대를 거쳐 학생들이 악화 된 교사 - 학습자 관계 (Pololi and Price 2000)를인지하고 MLE에 대한 인식을 낮추는 것으로보고되었다 (Schwartz and Loten 2004).

These deviations appear to be partly explained by permanent personality traits: unprofessional behavior has been observed in 39 % of medical students who were subject to disciplinary action during their subsequent practice, but ‘only’ in 19 % of those who were not (Papadakis et al. 2005). However, the high prevalence of students’ unprofessional behavior has raised concerns whether some features of the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MLE) foster undesirable conduct (Kirk and Blank 2005; Glass 2006).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as students progressed through medical school, they perceived a deteriorating teacher–learner relationship (Pololi and Price 2000), and accorded a lower appreciation of their MLE (Schwartz and Loten 2004).


방법

Methods


의학교육환경

The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MLE는 다른 고등 교육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임상 교육 환경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1996 년 Morton et al는 "의과대학생들이 직면한 딜레마는 위협적인 환경에서 살아남는 방법, 권위있는 인물을 기쁘게하는 법, 굴욕을 피하는 법"이라고 논평했다.

  • 2011 년 트레드 웨이 (Treadway)와 채터 지 (Chatterjee)는 "이러한 경험에 대한 반응을 관장하는 규칙이 불분명하여 ... 의과대학 학생들은 자신이 관한 행동으로부터 신호를 얻는다".라고 했다 


The MLE differs from that of other hig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hallenges of the clinical teaching setting. 

  • In 1996, Morton et al. commented that ‘‘the dilemmas faced by medical students [are] how to survive in a threatening environment, how to please authority figures …and how to avoid humiliation’’. 

  • In 2011, Treadway and Chatterjee stated that ‘‘the rules governing the responses to these experiences are unclear…so [medical] students take their cues from the behaviors they observe’’. 

이러한 단서를 일반적으로 잠재교육과정이라고합니다. 

These cue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the hidden curriculum.

잠재교육과정은 공식 및 비공식 교육을 통해 전달되는 문화적 관습으로 구성되지만, 이 관습들은 공개적으로 인정되는 않는다. 학생들이 어떠한 행동을 관찰하는지 (Glicken and Merenstein 2007)와 역할 모델링 (Wear and Skillicorn 2009)은 정규 교육보다 학생들의 학습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주장되어왔다 (Hafferty 1998)

이는 ''그들은 더 자주 reinforce 되기 때문일 뿐 아니라 saying이 아니라 doing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숨겨진 커리큘럼 에는다음이 포함된다

  • 교수진이 학생을 대하는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교수가 distress 상태의 학생을 지원하는 정도 (Haidet and Stein 2006).

최근에는 숨겨진 커리큘럼의 개념이 다음의 것도 포함하게 확장되었다.

  • 자원 분배에 의해 전달 된 메시지 (Wirtz et al., 2003),

  • 교수가 교수 생활에 사회화되는 동안 흡수하는 메시지 (Hafler 외. 2011).

The hidden curriculum consists of cultural mores that are transmitted, but not openly acknowledg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Students’ observations of behaviors (Glicken and Merenstein 2007) and role modeling (Wear and Skillicorn 2009) have been claimed to affect students’ learning more than formal teaching (Hafferty 1998) ‘‘not only because [they are] reinforced more frequently, but because [they] relate to doing rather than saying’’ (Coulehan and Williams 2001). 

The hidden curriculum also includes 

  •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own treatment by faculty, and 

  • the degree to which faculty support students in distress (Haidet and Stein 2006). 

Recently, the concept of the hidden curriculum was extended to include 

  • the messages conveyed by resource allocation (Wirtz et al. 2003), and 

  • the messages that faculty absorb while socialized into faculty life (Hafler et al. 2011).


MLE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다음에 기반한다.

  • 첫째, 참여자 관찰자의 인상;

  • 둘째, DREEM 인벤토리 (Roff 2005)와 환자 중심 치료에 대한 C (3) 척도 (Haidet et al. 2005)와 같은 검증 된 도구에 의한 학생 설문 조사; 

  • 셋째,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Phillips 2009), 임상 비네트 (Ginsburg 외 2003, Wiggleton 외 2010), solicited 보고서 (Caldicott and Faber-Langendoen 2005), 참가자 주도 집단 회의 (Branch 2000 Ozolins et al., 2008).

Studies of the MLE are based 

  • first, on impressions of participant–observers; 

  • second, on students’ surveys by validated instruments, such as the DREEM inventory (Roff 2005) and the C (3) measure of patient-centered care (Haidet et al. 2005); and 

  • third, on students’ portfolios (Phillips 2009), responses to clinical vignettes (Ginsburg et al. 2003; Wiggleton et al. 2010), solicited reports (Caldicott and Faber-Langendoen 2005), and during participant-driven group sessions (Branch 2000; Ozolins et al. 2008).


개인의 부적합성과 의료과오에 대한 두려움

Fear of personal inadequacy and medical error


1984 년 Hilfiker는 "의사들은 실수에 대해 토론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의사들이 실수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알지 못한다. 의료과오의 중대한 결과, 반복적으로 발생할 가능성, 실수의 불확실성, 실수의 발생을 전문적으로 부인하는 것은 의사에게 용인 할 수없는 딜레마를 만듭니다"고 말했습니다. 이 주장은 1992 년의 리뷰의 결론을 뒷받침한다. "의대생, 레지던트, 의사에 대한 모든 사회 학적 연구가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은 "개인의 부적합 및 실패에 대한 두려움"(Gerrity et al. 1992 )이다". 사실, 1950 년대와 1970 년대 사이에 병원 MLE는 [오류의 비난하는 것]과 [진료행위를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카테고리화하는 권위주의적인 가르침]으로 특징지어진다. ( "GP는 적절한 추천서를 쓸 수 없다") (Benbassat and Cohen 1982).

In 1984, Hilfiker stated that ‘‘since doctors do not discuss their mistakes, they do not know how other physicians cope with them. The drastic consequences of errors, the repeated opportunity to make them, the uncertainty of culpability, and the professional denial that mistakes happen…create an intolerable dilemma for the physician’’. This claim supports the conclusion of a 1992 review that ‘‘one consistent theme seems to emerge from all sociological studies of medical students, physicians in residency training and physicians in practice: the fear of personal inadequacy and failure’’ (Gerrity et al. 1992). Indeed, between the 1950s and 1970s, the hospital MLE appeared to me to be characterized by condemnation of errors (‘‘The chief resident made a mistake for which I’d have crucified a medical student’’), and authoritarian teaching that subdivided clinical practice into categorical chunks of good and bad (‘‘GPs cannot even write an appropriate letter of referral’’) (Benbassat and Cohen 1982).


그러나 20년이 지나며 더 이상 실수를 부정하지 않습니다. 의료과오의 빈도가 높다는 것은(Mizrahi 1984; Brennan et al. 1991) 그것이 모든 의사에게 나타날 수 있다고 제안한다.

During the past two decades, doctors no longer deny that mistakes happen. Their high frequency (Mizrahi 1984; Brennan et al. 1991) suggests that they may occur to all doctors,


그러나 여전히, 오류가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는 Hilfiker의 주장은 [오류에 대한보다 공개적인 토론을 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의 요구가 시니어 의사에 의해 좌절되었다는 최근 보고서]와 [의료과오 공개에 관한 의사 대상 설문 조사에서 나타난 자기 선언적 태도self-declared attitudes와 실천 사이의 gap]에서 다시 한 번 확인된다 (Kaldjian et al., 2007; White et al. 2011).

Still, Hilfiker’s claim that errors are seldom acknowledged is supported by recent reports that students’ requests for more open discussion of errors were discouraged by senior doctors (Fischer et al. 2006; Martinez and Lo 2008; Newell et al. 2008), and by the gap between self-declared attitudes and practices that has emerged from surveys of physicians’ attitudes to disclosing medical errors (Kaldjian et al. 2007; White et al. 2011).


불확실성의 거부

Denial of uncertainty


1980 년대에는 불확실성을 수용하고 다루는 법을 배우기보다는 학생들이 그것을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반복적으로 주장되었다 (Bosk 1980, BenbassatandCohen 1982, Atkinson 1984, Katz1984). 앞서 언급한 1992 년의 리뷰는 "불확실성의 부정은 의학 교육을 연구하는 사회 학자들이 일관되게 관찰하는 것 중 하나"라고 결론 지었다 (Gerrity et al., 1992). 사실, 1950 년대에 필자는 "실수의 원인은 철저함이 부족하거나 지식이 부족한 것 둘 중 하나"이며, "만약 유능한 의사가 제대로만 한다면, 환자가 운에 맡길 것은 아무 것도 없을 것"이라고 반복해서 들었다. 전염병학은 임상 의학이 아닌 공중 보건과 관련하여 제시되었습니다. 일부 임상 교육자들은 확률 추정을 기반으로 한 추론을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명시 적으로 비난했습니다. '누구도 70 % 임신하지 않습니다'

During the 1980s, it was repeatedly claimed that rather than being taught to accept and deal with uncertainty, students were encouraged to downplay it (Bosk 1980;BenbassatandCohen 1982; Atkinson 1984;Katz1984). The 1992 review of the literature, to which I referred earlier, concluded that, ‘‘denial of uncertainty was one of the most consistent observations made by sociologists studying medical training’’ (Gerrity et al. 1992). Indeed, during the 1950s, I repeatedly heard that ‘‘mistakes result either from lack of thoroughness or lack of knowledge’’ and that ‘‘nothing is left to chance if the patient is worked up properly by a competent physician’’. Epidemiology was presented as relevant for public health rather than clinical medicine. Some clinical instructors explicitly condemned any reasoning based on probability estimates using expressions such as: ‘‘Nobody is 70 % pregnant’’,


오늘날 그러한 표현은 더 이상 임상 담론의 일부가 아닙니다. 교과서에는 1950 년대의 결정론적 추론에서 현재의 확률 론적 접근으로의 전환되어 반영되어 있다. 

    • DeGowin의 임상 의학 개론의 1965 년 판은 "통계 방법은 수천 명의 인구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있다 ... [2] 두 질환의 상대적 발생률은 (한 환자에 대한) 진단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환자에게는 병이 있거나 없는 것 둘 중 하나 뿐이다"라고 쓰여있다. 

    • 개별 환자에 대한 통계적 추론의 적용에 대한 이러한 거부는 동일한 교과서의 1993 년 판에서 다음과 같은 진술로 대체되었다. "임상 결과 및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확률 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그 진단검사를 미래의 clinical trials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DeGowin 1993). 

    • 2009 년 판에서는 "질병의 상대적 발병 확률", "더 또는 덜 빈번한 질병", "환자의 연령군에서 특정 질병의 발생 및 유병률" 등이 진단 챕터에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LeBlond et. al., 2009).

Today, such expressions are no longer part of the clinical discourse. The transition from the deterministic reasoning of the 1950s to the current probabilistic approach is reflected in medical textbooks. The 1965 edition of DeGowin’s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stated ‘‘ …statistical methods can only be applied to a population of thousands… [T]he relative incidence of two diseases is completely irrelevant to diagnosis. Apatient either has or has not a disease’’. This rejection of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inferences on individual patients was replaced in the 1993 edition of the same textbook by the statement: ‘‘Using the probability theory to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linical findings and tests may serve to strengthen the credibility of these parts of the diagnostic examination as future clinical trials demonstrate their validity’’ (DeGowin 1993). In the 2009 edition, the phrases ‘‘relative disease probabilities’’, ‘‘more or less common diseases’’, and ‘‘incidence and prevalence of diseases in the patient’s age group’’ appear repeatedly in the chapter on diagnosis (LeBlond et al. 2009).


그러나 지난 10 년 동안에도, 'medicine의 문화는 모호함과 불확실성에 대해 관용이 거의 없다'라고 주장되어왔다 (Luther and Crandall 2011).

Still, even during the last decade, it has been claimed that ‘‘the culture of medicine has little tolerance for ambiguity and uncertainty’’ (Luther and Crandall 2011),


임상 교육 환경에서 불확실성을 부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It seems that some degree of denial of uncertainty still exists in clinical teaching settings.


학생 혹사

Student mistreatment


1980 년대 미국 의과 대학생들은 급우, 레지던트 및 교수진에 의해 구두로 학대당했다고 보고했으며, 자신이 경험할 학대의 정도를 알았다면 다른 직업을 선택했을 것이라고보고 한 사람이 4 분의 1에 달했다 (Sheehan et al., 1990) . 최근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학생 혹사와 더불어 교수 및 역할 모델 의사의 정서적 지원 부족이 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91 년 미국 의과 대학 10 곳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학생 학대는 굴욕 (87 %), 주로 레지던트 및 주치의에 의한 성희롱 (55 %), 불공정 성적 (35 %) 및 신체적 상해 (26 %) 등이었다(Baldwin et al. 1991). 이와 유사하게 NewZealand에서 실시한 2006 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의대생 중 3 분의 2는 최소 한 차례 이상 adverse experience를 경험했으며, 그 유형으로는 굴욕이 가장 많았고, 그 악영향도 가장 컸습니다 (Wilkinson 외. 2006).

During the 1980s, US medical students reported being verbally abused by classmates, residents and faculty, and as many as one-fourth reported they would have chosen another profession had they known about the extent of mistreatment they would experience (Sheehan et al. 1990). More recent surveys have indicated that medical students’ mistreatment (Dyrbye et al. 2005) with a concurrent feeling of ‘‘lack of emotional support from faculty and rolemodel physicians’’ (Coulehan and Williams 2001) are common. A 1991 survey at ten US medical schools indicated that the most common forms of perceived student mistreatment were humiliation (87 %), sexual harassment, mostly by residents and attending physicians (55 %), and being threatened with unfair grades (35 %) and physical harm(26 %) (Baldwin et al. 1991). Similarly, a 2006 survey in NewZealand revealed that two-thirds of the medical students had had at least one adverse experience, with humiliation being the most common and having the greatest adverse impact (Wilkinson et al. 2006).


의대생의 굴욕에 대한 가장 빈번하게보고 된 형태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과소평가를 함으로써 학습을 강화하려는 잘못된 노력이다 (Wolf et al. 1991; Baldwin et al., 1991; Uhari et al., 1994; Kassebaum and Cutler 1998). 최근 2004 년 영국의 의대생은 "임상실습 동안에는 특히 엉망인 교육과 굴욕을 줌으로써 가르치려는 위계적, 경쟁 학습 환경"이 있다고 묘사했다(Lempp and Seale 2004). 2010년 논문에서 Lucian Leape Institute에서도 의대생 비하는 빈번히 일어나며, 행동이 널리 퍼져 있음을 인정했다. 2002 년 미국의 14 개 의과 대학에서 시행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성희롱은 특히 일반 외과 및 산부인과 임상실습에서 많았다 (Nora 외. 2002). 이 조사 결과는 의학계 학생의 13 %가 대부분 외과 수술에서 sexual advance를 경험했다고 보고하고, 8 %가 신체 상해 또는 폭행 위협을 경험했다고보고 한 캐나다의 1996 년 설문 조사를지지합니다 (Margittai 외. 1996) .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form of humiliation of medical students is public belittlement in a misguided effort to reinforce learning (Wolf et al. 1991; Baldwin et al. 1991; Uhari et al. 1994; Kassebaum and Cutler 1998). As recently as 2004, UK medical students described ‘‘a hierarchical competitiv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haphazard instruction and teaching by humiliation occur, especially during the clinical clerkships’’ (Lempp and Seale 2004), and a 2010 paper, the Lucian Leape Institute acknowledged that medical students are frequently demeaned, and that this behavior is widespread. A 2002 survey at 14 US medical schools indicated that sexual harassment was prevalent, particularly within clerkships in general surgery and obstetrics-gynecology (Nora et al. 2002). These findings support those of a 1996 survey in Canada, which revealed that 13 % of the medical stud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d sexual advances, mostly in surgical settings, and 8 % reported having experienced threats of bodily harm or assault (Margittai et al. 1996).



도덕적 스트레스

Moral distress


도덕적 스트레스란 '옳은 일'을 알고 있지만 제약 조건 때문에 행동 할 수없는 사람이 겪는 불편 함을 가리킨다 (Wiggleton 외. 2010). 의대생은 임상 경험의 일부가 윤리적 가치관과 충돌하며(Cordingley 외. 2007), 그들이 직면 한 윤리적 문제는 교사들과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Hicks 외. 2001). 학생들의 도덕적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은..

    • 비 윤리적 인 의사의 행위를 관찰하는 것

    • 비 윤리적이라고 믿는 행위를 하는 것 

    • 보복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목격 한 윤리적 문제에 관해 말하지 못하는 것 

    • 임상적 위계에 맞출 것인지 환자의 이익을 대변할 것인지 사이에서 골라야 하는 것

Moral distress refers to the discomfort experienced by one who knows the ‘‘right’’ thing to do but cannot act because of constraints (Wiggleton et al. 2010). Medical students have been quoted as stating that some of their clinical experiences challenged their ethical values (Cordingley et al. 2007), and that the ethical problems they encountered were seldom discussed with teachers (Hicks et al. 2001). The main sources of students’ moral distress were 

    • observing unethical doctors’ conduct (Feudtner et al. 1994; Satterwhite et al. 1998); 

    • doing something they believed was unethical (Feudtner et al. 1994); 

    • not speaking up about ethical issues they had witnessed for fear of reprisal (Caldicott and Faber-Langendoen 2005); and 

    • having to choose between being their patients’ advocates and fitting into the clinical hierarchy (White et al. 2009; Allen et al. 2008; Gaufberg et al. 2010; Lempp and Seale 2004; Murakami et al. 2009).


그러나 비 윤리적 행위를 목격 한 후 학생들이 '말하기'를 꺼리는 것은 권력 위계에 의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주치의는 유사하게 비 윤리적인 학생 및 레지던트의 행동을 보고하기를 회피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학습자 스트레스에 대한 동정, 불쾌감을 피하고자 하는 것, 알리는게 별 효과가 없다고 믿기 때문 등이었다(Burack et al. 1999) . 또한, 근거에 따르면 학생들은 임상의 현실에 그들의 도덕적 가치를 맞추느라 스트레스를 받기보다, 그냥 두 가지 (서로 다른) 문화가 있음을 확인한다 (Becker and Geer 1958) : 경멸적인 유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보면, 학생들은 환자의 시각과 레지던트의 시각을 모두 이해한다. (Parsons et al., 2001),

However, it is possible that students’ reluctance to ‘‘speak up’’ after witnessing unethical behavior is not due to the power hierarchy: attending physicians have been similarly reported to avoid responding to unethical students’ and residents’ behaviors, such as disrespect for patients. Reasons for not responding included sympathy for learner stress, avoidance of unpleasantness and perceived ineffectiveness (Burack et al. 1999). Furthermore, evidence suggests that rather than being distressed by the need to accommodate their moral values to the reality of clinical work, students identify with both cultures (Becker and Geer 1958): students’ responses to derogatory humor have indicated that they understand both the patients’ and the residents’ perspectives (Parsons et al. 2001),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은 윤리적 관념을 표현하는 것을 삼가합니다. 왜냐하면 임상의 문화는 그런 표현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단둘이 사회 학자 있거나 논문을 쓰거나 토론에 참여할 때 더욱 이상 주의적이되었다 (Becker and Geer 1958).

In the clinical setting, students refrain from expressing ethical notions, because the culture of the setting does not sanction such expressions. However, they become more idealistic when alone with a sociologist, or when asked to write a paper, or when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Becker and Geer 1958).


필요시에 도움 요청을 주저함

Reluctance to seek help when in need


의학 문화는 돌봄을 주는 사람들과 돌봄을 받는 사이의 이분법을 지지하는 듯 보이며, 정신 질환에 대한 편견을 공유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Roberts 2010, Hillis 외. 2010). 오늘날에도 우울한 의대생은 우울하지 않은 학생보다 stigma attitude를 더 지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Schwenk 외. 2010).

The culture of medicine seems to support the dichotomy between those who provide care and those who receive it, and to share the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 (Roberts 2010; Hillis et al. 2010). Even today, depressed medical students appear to endorse stigma attitudes even more frequently than non-depressed students (Schwenk et al. 2010).


결과적으로, 의대 학생들은 도움을 구하는 것을 꺼려합니다. 그들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empowering 행동이 아니라 약점의 징조로 간주합니다. 시간 부족(48 %), 기밀 유지안됨 (37 %), 낙인 찍기 (30 %), 비용 (28 %), 학생기록에 남을 두려움 (24 %) 등이 장애요인이다 (Givens Tjia 2002). 지난 10 년간에도 미국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Beck Depression Inventory 기준에 의해 우울증을 앓은 학생은 24 %에 달했지만, 우울한 학생 중 22 %만이 정신 건강 서비스를 사용하고있었습니다 (Givens and Tjia 2002).

Consequently, medical students are reluctant to seek help, which they often view as a sign of weakness rather than an empowering act. The most frequently cited barriers to seeking help were lack of time (48 %), lack of confidentiality (37 %), stigma (30 %), cost (28 %), and fear of documentation on academic record (24 %) (Givens and Tjia 2002). Even during the past decade, a survey of US students indicated that as many as 24 % were depress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 criteria, but only 22 % of all depressed students were using mental health services (Givens and Tjia 2002).



결론

Conclusions


현재 서술 검토는 MLE의 네 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특징을 강조한다. 

  • 첫째, 학생들의 실수에 대한 두려움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습니다. 

  • 둘째, MLE는 과거보다는 덜하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을 거부한다. 

  • 셋째, 많은 학생들이 공개적으로 과소 평가되고 여러 형태의 학대를 당했다고보고합니다. 

  • 넷째, MLE는 정신 질환에 대한 학생들의 편견을 극복하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도움을 청하는 데 실패합니다.

The present narrative review highlights four undesirable features of the MLE. First, students’ fears of making errors are rarely addressed; second, although to a lesser degree than in the past, the MLE still projects a denial of uncertainty; third, many students report being publicly belittled and subject to other forms of abuse; and fourth, the MLE fails in overcoming students’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 and reluctance to seek help when distressed.


의학 교육자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조난중인 학생들에게 지원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MLE 자체의 바람직하지 않은 특징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llenges for medical educators is not only to provide support to students in distress, but also to modify the undesirable features of the MLE itself.


공개 된 두 가지 유형의 관찰 결과는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을 수정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첫째, 의대마다 MLE가 다릅니다. 1973 년 초, Atkinson은 여러 의과 대학에서 학생의 역할이 "부하 직원"과 "학생 의사"간에 다양하다고 지적했습니다. Atkinson의 인상은 MLE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서 현저한 다양성을 드러내는 다른 북미 의과 대학들 간의 최근 비교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뒷받침된다 (Dyrbye et al.2009).

Two types of published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se undesirable features are modifiable. 

  • First, medical schools differ in their MLE. As early as 1973, Atkinson noted that students’ role at different medical schools varied between ‘‘a subordinate ’’ and ‘‘a student–physician ’’. Atkinson’s impression is supported by thefindings of a more recent comparison among different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which revealed a marked variability in students’ appreciation of the MLE (Dyrbye et al.2009). 

  • 둘째, 한 의대 내에서도 임상실습의 MLE는 과별로 동일하지 않습니다. 1985 년 Patel과 Dauphinee은 외과, 소아과 및 의학 서기직 교체 과정에서 MLE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비교했습니다. 학생들은 외과에서 수동적 관찰자 일 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대인 관계 기술 습득은 내과나 외과보다 소아과에서 더 컸다. 그들은 외과보다는 내과와 소아과에서 직원들과의 사적 친분을 더 쉽게 ​​형성했다. 직접적인 환자 조우에 소비한 시간은 내과에서 가장 컸던 반면 외과에서는 팀 노력team effort에 더 중점을 두었습니다. 1991 년 전향 적 연구에 따르면 (내과 실습보다) 외과 실습 후 임상실습학생들은 더 냉소적이었고,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이 낮았으며, 자신감이 부족하고, feeling victimized를 더 느꼈다 (Bing-You 1991). 마지막으로, 학생의 대부분의 외과 세팅에서 학대의 가해자가 임상의 였다 (Margittai et al., 1996; Nora et al. 2002).

  • Second, the MLEs of the clinical clerkships, even within the same medical school, are not homogeneous. In 1985, Patel and Dauphinee compar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LE during their surgical, pediatric and medical clerkship rotations. Students felt that they were only passive observers in surgery; that acquisition of interpersonal skills was greater in pediatrics than in medicine and surgery; that they formed personal relationships more easily with staff in medicine and pediatrics than in surgery; that there was more emphasis on team effort in surgery, while time spent on direct patient encounters was greatest in medicine. In 1991, a prospective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after surgery clerkships were more cynical, intolerant of ambiguity, felt they lacked self-confidence and had stronger feelings of being victimized than students after medicine clerkships (Bing-You 1991). Finally, I already referred to reports that most perpetrators of students’ mistreatment were clinicians in surgical settings (Margittai et al. 1996; Nora et al. 2002).


의대와 다른 의과 대학 간의 MLE의 차이는 학생에 대한 abuse를 줄이고 이들을 주니어 동료로서 대우함으로써 MLE의 nurturing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The differences in the MLE among medical schools and among different departments within the same medical school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nurturing’’ MLE by reducing students’ abuse and by treating them as junior colleagues.


학생에 대한 mistreatment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교수들이 학생을 모욕하면서 그들이 환자를 존중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권위주의적 방법으로 가르치면서 환자-의사 관계에서 탈권위주의적이기를 바랄 수는 없으며, 학생의 스트레스를 무시하면서 환자와 공감하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학생에 대한 평등주의적 태도가 중요한 이유는 마찬가지로 중요하며, 왜냐하면 바라건대, 학생이 두려움에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교수자들도 같은 의심을 공유한다. 또한 불확실성은 무능력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임상의 본질이다.

Reducing student mistreatment is important because faculty cannot humiliate medical students and still expect them to respectpatients; to use authoritarian methods to teach non-authoritarian doctor–patient relations;and to ignore students’ distress and still teach them to empathize with patients. An egalitarian attitude to medical students during their clerkship rotations is similarly important, because hopefully, it will make them realize that they are not alone in their fears; that their instructors share their doubts; and that uncertainties do not reflect incompetence but are rather the essence of clinical practice.





 2013 Aug;18(3):527-36. doi: 10.1007/s10459-012-9389-5. Epub 2012 Jul 4.

Undesirable features of the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a nar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Health Policy Research, Myers-JDC-Brookdale Institute, PO Box 3886, 91037 Jerusalem, Israel. benbasat@jdc.org.i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nar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s to draw attention to four undesirable features of the medical learning environment(MLE). First, students' fears of personal inadequacy and making errors are enhanced rather than alleviated by the hidden curriculum of the clinical teaching setting; second, the MLE projects a denial of uncertainty, although to a lesser degree than in the past; third, many students feel publicly belittled and subject to other forms of abuse; and fourth, the MLE fails in overcoming students' prejudice against mental illness and reluctance to seek help when emotionally distressed. The variability of students' appreciation of the MLE across medical schools, as well as across clinical departments within medical schools, suggests that the unwanted aspects of the MLE are modifiable. Indeed, there have been calls to promote a "nurturing" MLE, in which medical students are treated as junior colleagues. It stands to reason that faculty cannot humiliate medical students and still expect them to respect patients, just as it is impossible to ignore students' distress, and still teach them to empathize with patients. Hopefully, an egalitarian attitude to students will make them also realize that they are not alone in their fears, and that their instructors share their doubts. Therefore, a major challenge of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is to advance a clinical MLE, where errors and uncertainties are acknowledged rather than denied, and trainees are trusted and supported, rather than judged and, occasionally, derided.

PMID:
 
22760724
 
DOI:
 
10.1007/s10459-012-9389-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