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생의 정체성 형성: 의학교육의 교육적 과제(Teach Learn Med, 2013)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Pedagogical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Ian Wilso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Medicine, Campbelltown, Australia
Leanne S. Cowin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Nursing and Midwifery, Campbelltown, Australia
Maree Johnson
Centre for Applied Nursing Research,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Nursing and Midwifery,
Campbelltown, Australia
Helen Young
Department of English, Western Sydney Australia, Penrith, Australia
도입
INTRODUCTION
의사가 자신을 의사라고 생각하는 전문직 정체성의 발달은 의학 교육 과정에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1,2 광범위하게 말하면 직업 의식은 "스스로를 worker로 의식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직업의 성공, 심리적 건강, 사회 적응과 관련이있다. [3]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how a doctor thinks of himself or herself as a doctor—is so important that it is as essential as acquir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medical education.1,2 Broadly speaking, occupational identity “refers to the conscious awareness of oneself as a worker” and is linked to career success,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3
지난 10 년 간 이루어진 정책 및 연구 활동의 상당 부분은 의사의 행동인 프로페셔널리즘에 중점을두고 있으며, 긍정적 성과를 위해서 의과 대학생들에게 이것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전문직 정체성은 비교적 적은 관심만을 받았습니다.
Much of the policy and research work done in the past decade or so focuses on professionalism—the behavior of doctors—and howto educate medical students for positive outcomes in this area .Professional identity has received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정체성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그러나 프로페셔널리즘은 전문직 정체성과 동일하지 않다.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의사로서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것이며, 프로페셔널리즘은 전문가의 행동을 나타내는 것과 관련되고, 여기에는 의사의 경우 윤리, 전문 지식 및 서비스가 포함됩니다. Coulehan16 (p895)은 전문직 정체성은 "훌륭한 의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의사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에 대한 한 사람의 해석을 나타냅니다"라고 주장했다.
Professionalism, however, is not the same construct as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is how an individual conceives of himor herself as a doctor, whereas professionalism involves being and displaying the behavior of a professional;15 in the case of doctors this includes ethics, expertise, and service. Coulehan16(p895) argued that professional identities “represent the physician’s interpretation of what being a good doctor means and the manner in which he or she should behave.”
Skorikov와 Vondracek에 따르면 전문직 정체성은 "개인이 자신의 동기와 능력을 수용 할 수있는 직업의 역할과 연결시키는 의미의 복잡한 구조"로 표현됩니다. 3 (p694)
카네기 재단의 의학 교육에 대한 최근의 리뷰는 "전문직 정체성 형성, 즉 전문적인 가치, 행동, 열망의 개발이 의학교육의 중추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17
다른 연구에서 전문직 정체성 형성은 "사고, 감정, 행동의 습관을 수반하는 계속적이고 자기성찰적인 과정"18) (p603)
According to Skorikov and Vondracek, a professional identity is represented by a “complex structure of meanings in which the individual links his or her motivation and competencies with acceptable career roles.”3(p694)
A recent review of medical educ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Educating Physicians: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rgues tha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should be the backbone of medical education.”17
In other work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 complex construct, “an on-going, self-reflective process involving habits of thinking, feeling, and acting.”18(p603)
그러한 과정은 개인의 가치관, 도덕성, 속성을 직업의 규범과 통합 할 것을 요구하며, 이것은 개인의 정체성과 직업적 자아를 통합하는 것이다 (p312)
Such a process requires the integration of personal values, morals, and attributes with the norms of the profession, that is, of the individual’s personal identity with the professional self.14(p312)
우리는 Skorikov와 Vondracek, 3 Cooke et al., 17 and Wear and Castellani, 18의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전문 정체성의 정의에 관한 이 기사를 기반으로합니다
We have takenthe views of Skorikov and Vondracek,3 Cooke et al.,17 and Wear and Castellani,18 and based this article around a defini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that incorporates
• 개인이 자신의 동기와 역량을 직업과 연결시키는 데 사용하는 복잡한 구조,
• a complex structure that the individual uses to link their motivations and competencies to their career role,
•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 and
• an ongoing process of self-reflection on the identity of the individual.
전문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청소년기 또는 청소년기 이전에, 즉 직업 별 교육이 시작되기 전에이 과정이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9,19 연구에 따르면 의대생은 교육을 받기 전에 미래의 전문 자아를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예를 들어 2000 년대 중반의 전임상 프로그램 학생들은 교육을 시작할 때 자신의 배경, 경험 및 가치가 자신의 직업적 자아에 영향을 주었다고 느꼈다. 반면에 의대생은 법대생보다 해당 직종의 가족 구성원이 두 배나 많았다. 우리는 또한 의료 텔레비전 드라마가 의학 개업의가 무엇인지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한다. 이것들이 전문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시작할 것이다.
Recent work on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suggests that the process may begin during or even before adolescence, that is, before career-specific education begins.3,19 Research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s lay some foundations for their future professional selves before entering education. For example, students in a preclinical program in the mid-2000s felt that their backgrounds, experiences and the values they had when starting their education influenced their professional selves,20 whereas medical students were twice as likely as law students to have a family member already in the profession.21 We also surmise that medical television dramas have an impact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what a medical practitioner does, and this will commence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2
수년간의 교육은 개인의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시기에 전문직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23 교육 시스템 내에서의 학생들의 경험이 자신의 전문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의료 훈련에 사용 된 모델은 의사가 전문직을 내면화하는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24 (p1154), 25 의료 전문가로서의 생각, 행동 또는 행동은 명확한 목표없이 성공적으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없습니다 .26 이러한 목표는 의사에게 있어서 의료 전문직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 없이는 identify 할 수 없습니다
The years of education are also crucial to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s professional identity because it is during this period that the transition to a professional takes place.23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students’ experience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impacts on their professional identity—“the model used in medical training significantly affects how physicians internalize professional roles.”24(p1154),25 How to be, think, or act as a medical professional cannot be taught or learned successfully without clear goals.26 Such goals cannot be identified without an overarching definition of what being a medical professional (of a particular kind) means to a doctor.
전문직 개발에 대한 사회 문화적 이론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에 대한 사회화의 영향을 이해할 수있는 견고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Mann은 "직업적 정체성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과정이다"라고 주장했다. 광범위하게 보면, 직업적 자아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는 [사회적 관계와 조직 및 제도적 구조로부터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이 사회화이다.
The sociocultural theor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es a solid basis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socialization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Mann argu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both a personal and social process.”23(p64) The process of assembling one’s professional identity from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that provide context to the professional self is broadly known as socialization.19
한 개인이 공동체에 들어갈 때에는 가장자리에서부터 들어가게 되며, 다른 의료전문직 및 보건의료전문직과의 engagement를 점차 늘려간다. 이 과정에서 환자 돌봄에 대한 책임이 점차 증가하고, "기술, 규범, 문화와 커뮤니티의 가치 등을 습득해나간다". 이것은 "실천공동체"의 개념을 반영하며, 의사 및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탐구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An individual enters such a community at the edge and through a process of increasing engagement with other medical professionals and health professionals with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he or she “assumes and acquires the skills, norms and values of the culture and community.”23(p64) This reflects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27 which has proven useful in the explor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among doctors23(pp64–65) and nurses.28,29
의대생이 실천 공동체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낮은 책임감에서 높은 책임 성으로 등급이 부여 된 기여"를 제공하고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입니다."23,30 (p863) 학생들은 훈련 초기에 의미있는 공헌을 할 수 있다고 느끼지 않기 때문에, 진정한genuine 기분이 들지 않는다고보고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일대일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때"팀 멤버 "로서 더 많은 수석 팀원들과 정체성을 형성하고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줄 수있었습니다 .31 (p87) 커뮤니티 내의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지원은 이 과정에서 핵심 요소이며, 이와 더불어 피드백과 자신감의 개발과 유지가 필수적인 지원이다.
As a medical student move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of a community of practice he or she “offers graded contributions from low to high accountability” and “develops a heightened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23,30(p863) Students reported that early in their training they did not feel like they could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and thus did not feel genuine; however, they could “develop an identity as a ‘member of the team’ when they interacted on a one-to-one basis” with more senior team members and helped with patient care.31(p87) Support from others within the community is a key factor in this process, with feedback and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elf-confidence being essential supports.30,31
임상 세팅은 의대생이 전문가로서 자신의 이미지를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23)
한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미래의 의사로서의 스스로를 개념화하는 것은 환자 접촉과 함께 빠르게 진화했습니다. 조기에 그들은 자신감이 없었지만, 이것은 변화하여 임상 배치 1 학년이 끝날 때 환자와의 상호 작용에있어 믿을만하고 편안함을 느꼈습니다 .33
임상 환경의 조직적organizational 측면은 의대생의 정체성 개발에 심각한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위계 속에 어떻게 스스로를 맞춰야 하는지를 배워야 했으며, "개인의 도덕적 가치와 성실성을 지닌 유익한 전문가로서의 자기 평가"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실용적인 보건 의료의 협박stricture에 대처하는 법을 배워야 했기 때문이다.34)
Clinical settings are very significant to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images of themselves as professionals.23,31,32
According to one study students’ concepts of themselves as future doctors evolved quickly as they came into contact with patients. Early on they were not confident, but this changed so that they felt credible and comfortable in their interactions with patients by the end of their 1st year of clinical placement.33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clinical settings can pose significant challenges to medical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as they must learn to fit into the hierarchy and cope with the strictures of practical healthcare while maintaining “personal moral values and selfvaluation as a beneficent professional with integrity.”34(p49)
그러나 환자와의 상호 작용은 의대생의 전문적 정체성 개발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1 학년 학생 중 일부는 충분한 기술과 의학 지식이 없기 때문에 환자와 의사 소통이 어려우며, 학생은 다른 정체성을 발동enact시킴에 따라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35이 연구에서 얻은 하나의 결론은, 교육자는 의학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낮은 지식수준이 전문직 정체성의 개발을 훨씬 더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수 있따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Interaction with patients, however, can also complicate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A recent study revealed that some 1st-year students had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patients because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skills and medical knowledge, and that the students “enacted other identities,” leading to poor communication.35 On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was that educator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ways that low levels of knowledge in the early years of medical training can mak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much more complex and difficult.35
환자뿐 아니라 다른 의료 전문가와의 상호 작용은 학생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합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고위급 의사들과 직접 상호 작용하는 아침 보고는 과학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반대로 인본주의적인 접근을 경시하고, 기존의 위계 구조를 강화함으로써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담론을 배치하는 장소이다.
덜 공식적인 상호 작용도 중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주니어 의대생들은 이름이 불리거나, 시니어 스테프를 위해서 차를 만드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일이 팀의 일원이라는 느낌을 촉진할 수 있다고보고했습니다 .31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as well as patients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student doctors.
For example, the morning report where students directly interact with more senior doctors is a locus for deploying discourses that shape professional identity by emphasising scientific and downplaying humanistic approaches as well as for reinforcing existing systemic hierarchies.36
Less formal interactions can also be important; for example, in one study junior medical students reported that simple things such as being addressed by name, or making tea for a more senior staff member, could foster a sense of being part of a team.31
지난 10 년간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화를 통한 신념과 행동의 변화는 한 개인이 일반인에서부터 의료 전문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요소입니다. 롤모델링은 사회화의 한 방법입니다. "직업 정체성은 그것의 형성을 둘러싼 대인 관계 시스템의 변화에 의해 형성된다."3) (p696) 롤모델은 학생의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있다. Baernstein 등 20)은 긍정적 롤모델은 의사 훈련의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강력하고 긍정적 인 역할 모델은 의대생의 심리적 웰빙의 핵심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은 자신과의 관계를 형성해야합니다 .34 역할 모델은 시니어 의사 외에도 "학생, 거주자, 교수진, 간호사 및 다른 팀원들 "34 (p47)이 있다.
Studies in the last decade have demonstrated that changing beliefs and behaviours through socialization is a key element in an individual’s development from layperson to medical professional.4,37 Role modeling is one method of socialization. “Occupation identity is shaped by the changing system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ound which it is constructed.”3(p696) Role models can have a majo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38,39 Baernstein et al.20 demonstrated that positive role model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hap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s in training. Strong, positive role models have been identified as key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dical students, and students must form relationships with themto succeed.34 Role models are not just more senior doctors but might also be “students, residents, faculty members, nurses, and other team members.”34(p47)
그러나 현대 의학의 학생들이 살고 배우고 일하는 세상의 지속적 변화는 교육 모델로서의 역할 모델링의 지속적인 효과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예를 들어, Steinert et al. (40)은 주니어 학생과 시니어 스탭 사이의 차이점이 일반적인 의학적 가치에 의해 무시 되었기 때문에 역할 모델링이 성공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역할 모델링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의대생 교육의 전반적인 접근 방식에 있어 명백한 커리큘럼과 교육 환경의 변화가 이루어져야한다고 결론 지었다.
The changing world in which contemporary medical students live, learn, and will work has, however, raised some concerns about the continued efficacy of role-modeling as a pedagogical tool. Steinert et al.,40 for example, argued that role-modeling was successful because differences between junior students and senior staff were overridden by common medical values. They concluded that role-modeling is as a result insufficient and that both explicit curricula and changes to educational environments should be made in an overall approach to teaching medical students.
Gleeson에 따르면, 의학 교육을 통한 성찰 기회는 전문직 실천professional practice에 대처할 수있는 학생들의 능력을 개발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는 현대의 교육 과정이 역량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의사가되기위한 다른 측면을 희생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경력 개발에서의 성찰과 토론의 중요한 역할은 여러 다른 연구에서 인정되었다. 38,42,43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roughout medical education are significant in developing students’ capacities to cope with professional practice according to Gleeson.41 He argued that contemporary curricula can focus too much on competency at the expense of other aspects of becoming a doctor. The critical roles of reflection and discussion in career development have been recognized in a number of other studies.38,42,43
개개인은 스스로의 전문직 자아 형성의 능동적 참여자이다. 그리고 Baernstein 외 20 명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이 다른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그렇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직업적 정체성의 형성에있어서 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인정하고 지시하는 한 가지 교육적 접근은 내러티브 성찰이다. 네러티브 정체성은 "사람이 자신의 삶에서 의미와 의미를 이루기 위해 구성한 내면화되고 진화하는 이야기"입니다. 교육적 맥락에서 서술은 외면화될 수 있으며, 이는 의사 연수생이 내러티브를 통해 자신의 경험의 이야기를 narrative enquiry를 통해 "tell and retell" 하도록 한다. 임상교육에서 개인의 생각, 행동, 경험에 대한 토론을 한다면, 자기 반성을 통해 "의사로 살 수있는 자신의 이야기"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The individual i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professional self,44 and Baernstein et al.’s20 findings show this is the case for medical students as for other professionals. One pedagogical approach that acknowledges and indeed foster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ividual in the crea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s narrative reflection. Narrative identity is the “internalized and evolving story of the self that a person constructs to make sense and meaning out of his or her life.”45 In an educational context narratives can be externalized, allowing trainee doctors to “tell and retell, through narrative enquiry, the story of their experiences.”46(p766) Discussion of an individual’s thoughts, actions, and experiences within their academic and clinical education allows that person to develop “their own stories by which to live as doctors” through self-reflection.46(p766)
전문직 정체성 발달의 과제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의사-치료자의 사회적 역할"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의사가 누구이고 의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기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의학교육을 받는 기간동안 이러한 기대치와 개인의 가치관 및 정체성을 통합하는 것은 의대생이 직면하는 주요 도전 과제 중 하나입니다.
Doctors’ professional identities are shaped by “the social role of physician-healer” that is, by social and cultural expectations of who and what a doctor should be, and consolidating these expectations with personal values and identity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facing medical students throughout their training
의대생들은 빠르면 1학년 초부터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확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의대생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부터 어려움을 겪기도 하는데, 이러한 suffer는 학생 주변의 사람들(환자, 간호사)이 학생을 점점 의사로 보게 됨에 따라서 더 심해진다. 최근의 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른 전문가들, 특히 간호사들과의 부정적인 상호 작용이 '낙인찍힘'의 느낌으로 남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31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스트레스의 원천이 될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정체성의 실질적 위기, 즉 학생의 행동이 실제 자기의 모습과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변화의 필요성과 기회를 보여줌으로써 긍정적 전문직 정체성을 위한 기회를 제공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48
Medical students may suffer from lack of certainty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early as the 1st year of their training.31,47 They can also suffer from low confidence about their abilities, a concern that may increase as others around them—for example, patients and nurses—increasingly identify them as doctors.33,34,48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e recent study reported that negative interactions with other professionals, particularly nurses, could leave them feeling stigmatized.31 Although fear of failure can be a source of stress for medical students, some work suggests that actual crises of identity, instances where a student’s actions do not match who they are, can offer opportunities for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by demonstrating both need and opportunity to change.48
의학 교육에서는 점차 이론을 실제를 연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론과 실제 사이의 불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른바 잠재 커리큘럼을 다루는 것은 의학 교육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주요한 주제이다. 37,49,50 한 연구에서 예를 들어, 3 학년 학생들은 감독자 보여주는 행동이 학생들이 실제로 배운 환자-중심적 가치와 상충함을 보고했다.51 이러한 갈등은 어떤 경우에는 힘을 잃고 좌절감을 느끼게 만들었습니다. Coulehan과 Williams는 전통적인 의학적 가치를 강조하는 서류상의 교육과정은 "환자와의 거리두기, 자기 이익과 객관성의 윤리"를 가르치는 잠재 커리큘럼에 의해 크게 훼손되었다고 주장했다 .52 (p598)
The need to connect theory with practice is an increasingly recognized aspect of medical education. Disjunctions between the two can have negative effects and addressing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is a major theme in recent discussions of medical education.37,49,50 In one study, for example, 3rd-year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supervisors displayed behavior that was at odds with the values of patient-centered care that they had been taught.51 This conflict, in some cases, led to the students feeling powerless and frustrated in their roles. Coulehan and Williams argued that the stated curriculum fostering traditional medical values is heavily undercut by an implied curriculum teaching “an ethic of detachment, self-interest and objectivity.”52(p598)
의과대학생의 직업적 정체성의 성숙과 관련된 문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학생 역할로 전환,
적응의 필요성,
초기 적응 스트레스
시험 성적 불안
윤리적 및 개인적/사회적 양심에 기반한 발전 .34
The challenges involved in the maturation of th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may include issues such as
transitioning to student role,
the need to conform,
initial fitting-in stresses, and
examination performance anxieties, as well as
ethical and personal/social conscience driven developments.34
이러한 도전은 일부 학생들로 하여금 의도하지 않게 "냉소, 오만, 의료 실천으로 인한 실망감"의 측면을 키울 수 있습니다. 34 (p50) 기초 및 임상 과학의 모범적 인 프로그램 외에도, 학생들은 잘 통합 된 (스캐 폴딩 된) 교과 과정 문제 기반 학습 그룹, 소규모 그룹 작업, 멘토와 교훈 자의 사용과 같은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촉진되는 자기 성찰적이며 독창적 인 인문학이 인문학의 견고한 혼합을 통합 한 것은 과거의 저자들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메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42,53,54
Such challenges may lead some students to unintentionally nurture aspects of “cynicism, arrogance, and disenchantment with medical practice.”34(p50) In addition to an exemplary program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 students require a well-integrated (scaffolded) curriculum that incorporates a solid blending of humanities, self reflective and creative work facilitated in a variety of learning setting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groups, small-group work, and the use of mentors and preceptors has been proposed by authors in the past and still holds merit today.42,53,54
전문직 정체성을 바꾸는 외부적 힘
EXTERNAL FORCES CHANGING PROFESSIONAL IDENTITY
의사의 전문직 정체성의 두 가지 핵심 측면은 현대의 의학 교육에서 서로 긴장감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테크니컬 스킬과 의사의 전통적인 돌봄 역할 .46 의료전문직의 변화하는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Two core aspects of doctors’ professional selves are at times in tension with each other in modern medical education: technical skill and the traditional role of doctor as a carer.46 A number of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ing nature of the medical profession have been identified:
- 의료 및 정보 기술 발전 46;
- 언론에서의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가, 환자 돌봄 그리고 의사의 태도에 대한 에 대한 철학 및 관리의 변화
- 의학의 여성화 .56
developments in medical and information technology46;
increased attention to health care in the media, changes in the philosophy and management of patient care and in doctors’ attitudes; and
the feminization of medicine.56
이 중 많은 부분이 상호 의존적이며 중첩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변화를 통한 환자의 정보 접근성 증가와 치료 철학의 변화는 동시대 의학의 특징 인 환자 선택에 대한 강조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5 의과대학 교육과정은 이것을 반영하기 위해 고쳐지고 고정된 지식 집합보다는 역량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고있다.
Many of these are mutually interdependent and overlapping, for example, increased patient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technological change and shifts in the philosophy of care might both lead to an increased emphasis on patient choice, which is a growing feature of contemporary medicine.5 The curricula of medical schools alter to reflect this and are increasingly focused on competency rather than fixed knowledge sets.8
의학 전문직의 정체성에 대한 기술적 변화의 효과에 대해, 개인 차원의 전문직 정체성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Trede는 [의대생과 최근 졸업생들이 긍정적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체성 형성이라는 끊임없이 지속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며, 즉 "앎과 실천과 실천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이해하고 통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on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change on medical professional identity, emphasizes that professional identities at an individual level are constantly changing.4,57 Trede argued that the best way for medical students and recent graduates to develop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ies is to engage with identity formation as an ongoing process, “to learn, understand and integrate different ways of knowing, practising, and talking about practice.”43(p1)
결론
CONCLUSIONS
우리는 의대생의 경험이나 현대 사회에서의 요인들로 인해 야기 된 직업적 정체성의 변화에 의학 교육이 반응해야한다고 결론 지었다.
We conclude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responsive to changes in professional identity being generated from factors withi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or within contemporary society.
============아래 확인해야 함============
8. Borgstrom E, Cohn S, Barclay S. Medical professionalism: Conflicting values for tomorrow’s doctor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10;25:1330–6.
15. Lesser CS, Lucey CR, Egener B, Braddock CH, Linas SL, Levinson WA. Behavioral and systems view of professionalism.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0;304:2732–7.
38. Goldie J, Dowie A, Cotton P. Morrison J.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years of a medical curriculum: A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 2007;41:610–7.
16. Coulehan J. Today’s professionalism: Engaging the mind but not the heart. Academic Medicine 2005;80:892–8.
18. Wear D, Castellani B.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urriculum matters. Medical Education 2000;75:602–11.
41. Gleeson C. Education beyond competencies: A participative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2010;44:404–11.
20. Baernstein A, Oelschlager AM, Amies E, Chang TA, Wenrich M. Learning professionalism: Perspectiv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2009;84:574–81.
49. Lempp H, Seale C. The hidden curriculum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British Medical Journal 2004;329:770–3.
50. Karnieli-Miller O, Vu TR, Frankel RM, et al. Which experiences in the hidden curriculum teach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Medical Education 2011;86:369–77.
51. Brainard AH, Brislen HC. Viewpoint: Learning professionalism: A view fromthe trenches. Medical Education 2007;82:1010–4.
35. V˚agan A.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identity 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A 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 2009;43:254–9.
57. Korica M, Molloy E. Maki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ies: Stories of medical professionals and new technologies. Human Relations 2010;63:1879–1901.
Teach Learn Med. 2013;25(4):369-73. doi: 10.1080/10401334.2013.827968.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pedagogical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 1
- a Medical Education ,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School of Medicine , Campbelltown , Australia.
Abstract
BACKGROUND:
Professional identity, or how a doctor thinks of himself or herself as a doctor, is considered to be as critical to medical education as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knowledge relevant to patient care.
SUMMARY:
This article examines contemporary lit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within medicine. Relevant theories of identity construction are explored and their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and pedagogical approaches to enhancing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are proposed. The influence of communities of practice, role models, and narrative reflection within curricula are examined.
CONCLUSIONS:
Medical education needs to be responsive to changes in professional identity being generated from factors within medical student experiences and within contemporary society.
- PMID:
- 24112208
- DOI:
- 10.1080/10401334.2013.827968
- [Indexed for MEDLINE]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과대학 초기에 전문직정체성 측정하기(Med Teach, 2016) (0) | 2018.06.15 |
---|---|
헬스케어와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BMJ, 2017) (0) | 2018.06.13 |
소셜미디어와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Med Educ, 2014) (0) | 2018.05.17 |
호기심과 의학교육(Med Educ, 2011) (0) | 2018.05.11 |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관한 학생들의 성찰(Acad Med, 2015) (0) | 2018.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