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변수의 확률분포라는 말의 의미가 와닿나요?

-       빈도가 확률을 나타낸다. 전체 빈도가 있고, 특정한 값을 갖는 빈도가 있을 때 그것이 확률이다.

n  특정 값에서 frequency/Total frequency = 특정 값에서의 확률

 

Large Sample(N >= 30)의 신뢰구간 구하기.

-       보통 30을 기준으로 이야기한다.

-       s라고 쓰면 표본의 표준편차, 우리는 보통 표본의 표준편차를 쓴다.

n  모집단에서는 표준편차 구할 줄 모르니까.

n  신뢰구간의 폭을 구하는 기본적 공식이다.

-       표본의 크기는 같은데

n  신뢰수준이 높아지면, è 신뢰구간의 폭이 더 커진다.

n  신뢰수준이 낮아지면 è 신뢰구간의 폭이 더 좁아진다.

 

t-분포

-       평균값 0을 중심으로 대칭이나 표준편차가 다른 것.

-       표준편차는 1보다는 크고, 실제 t분포의 모양은 표본의 크기나 자유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n  자유도가 얼만큼이냐에 따라서 모양이 달라진다.

n  양쪽이 대칭이니 왜도는 없고자유도가 떨어지면 첨도가 떨어진다.

-       그런데 t분포는 기본적으로 정규분포와 유사한 분포이고, 표본의 크기가 커지면(=자유도가 커지면) 표준정규분포에 수렴한다.

n  t분포를 활용해서, 자유도가 커지면 표준정규분포와 같아지기 때문에 보통 통계패키지에 built-in 되어있는 분포는 t분포이다.


“Robust” Statistical Method

-       Robust하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 강건하다/굳건하다라는 뜻인데,

-       통계학적인 의미는 따로 있다. 어떤 통계분석을 하려면 assumption이 있어야 한다. 검정을 배우면서 assumption이 있었다. 가장 기초적인 assumption은 표본 추출을 잘 해야한다는 가정. 이러한 가정이 위배되면 분석을 할 수 없다.

-       이러한 assumption이 위반되어도, 쓰려고 하는 통계적 방법이 유용할 때, 그 통계적 방법을 robust하다고 한다.

-       Robust라는 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이 결과가 robust한 결과다라는 말을 쓰고.

-       “Assumption이 위반되도 이 SE를 적용하면 믿을 수 있다.” 이런 뜻.

-       t분포에서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t분포는 모집단이 10000개인데, 30개만 표본을 뽑았을 때 모집단의 분포 모양을 따르리라는 보장이 없다. 그래서 표본 수가 작을 때는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라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럴 때 t분포를 활용을 해도 검정할 수 있다. 그래서 assumption이 위반되었다는 것이며 그래서 robust라는 표현 쓴다.

 

표준정규분포는 자유도가 무한대인 t분포와 같다.

-       자유도가 30 이상이면 t점수는 z점수에 비슷하게 수렴한다.

 

실질적으로는..

-       사례수가 올라가면 z점수가 t점수가 같기 때문에, t값을 쓴다.

-       “t값이 1.96넘었나?” “t값이 얼마야?” 라고 확인하다. t값이 얼마인지.

 

 

모집단의 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       Agresti. Statistical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이 분은 categorical data 쪽으로 유명한 분. 수학을 많이 잊어버린 사회과학자들을 위해서 쓰신 책임.

-       검정을 하는 순서..

n  1. Assumption

u  quantitative variable (평균을 낼 수가 있는 변수)

u  Randomization : 표본추출법. 표본이 모집단 잘 반영하는가

u  Normal population : 충분히 n이 크면, 모집단이 반드시 정상분포를 따를 필요가 없다. 표집분포가 정상분포가 되니까.

n  2. Hypothesis

u  등가설이면 양방검증, 부등가설이면 일방검증

u  영가설이 항상 0은 아니다. 하지만 보통 0인지 아닌지를 궁금해한다. 독립적인 것은 관계가 없는 것이고, 의존적인것은 관계가 있는 것.

n  3. Test statistic

u  검정값을 빼주고, SE로 나누고, 평균일 경우는 이런 공식(se = s/sqrt(n))을 쓴다.

l  표준오차공식이 경우마다 다른데, 이건 기억을 해두자

n  4. P-value

u  P value는 검정값이 모집단에서 값이라고 전제했을 때 표본에서 이 값이 얻어질 확률.

u  검정값을(0가설 값을) 전제했을 때, 포본에서 얻어진 관찰값을 얻을 수 있는 확률.

u  P value가 크면, 0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왜냐하면 0가설을 전제했을 때 관찰값을 얻을 확률이 크면 0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u  표준오차하고 통계량을 알려준다. 그럼 통계량(test statistics)을 표준오차(SE)로 나눈다. 계수값에 대해서 t값을 알면, 이것이 0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지 아닌지 아니까. t값이 2 이상이면 아는 것이죠. 종속변수에 영향이 있구나라고.

n  5. Conclusion

 

P value의 두 가지 의미

-       보통은 “0가설이 진실일 때의 확률이 P value이다. 그래서 이 확률이 충분히 커야 0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n  0.05보다만 크면 0가설을 기각하지 못한다. 상당히 보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0.1보다 작으면, 다음 연구를 기대해 봐야한다든가, 다른 표본을 봐야한다고 한다. 혹은 사례수가 너무 작으면 표준오차값이 크니까, 사례수 늘리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는 이미 그 분야에서 확립된 관계인데, 사례수가 작아서 0.05 0.1사이인 경우가 왕왕 있다.

-       Likelihood of the observed data, if H0 were true. 이것이 사실일 때 관찰된 자료의 확률. 관찰값의 확률.

n  이것이 사실인데, 관찰값의 확률은 0.05보다 작다.

n  관찰값이 모집단에서 0인데, 관찰값이 10, 20 나왔다. 그런데 이 확률이 너무 작다. 그러면 관찰값이 이 전제(0이라는 전제)에서 나왔다고 볼 수가 없는 것.

n  표본을 뽑아서 관찰된 값의 확률이 0.05보다 작으면, 0가설의 값이 사실이라고 받아들일 수 없다.

n  관찰된 자료의 확률 이라는 표현을 기억해두세요.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최대우도법) 에 가면 이 논리가 다시 적용된다

 

상관관계(Correlation)

-       연속변수에서 두 변수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

-       상관관계는 관계의 정도를 표현하기도 하고, 방향을 표현하기도 함.

-       -1은 최대 상관관계값. 상관관계의 최소값은 0이지 -1이 아니다.


상관관계 이해하기

-       상관관계는 어떻게 측정하나? 상관관계는 공분산에서 시작한다.

-       (연속)변수 둘의 관계에서 공분산이 나온다.

-       공분산에서 시작한다. 점을 찍어보면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X Y pair의 좌표가 있다. coordination의 값을 보는 것. X가 얼만큼 증가하면 Y. 증가한다거나.

 

상관관계 이해하기 : 공분산

-       상관관계는 표준화해서 최소값이 0이고 최대값이 1이다

-       본질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은 공분산(covariance)이다.

n  Covariate : 연속변수인 독립변수를 covariate이라고 많이 부른다. CoVARIATE. 연속변수가 독립변수인 경우. 뭐하고 covariate한다는 이야기? 종속변수와! (함께 변한다는 이야기)

n  공분산은 x의 개별값을 x의 평균에서 뺀 값, y의 개별값을 y의 평균에서 빼고 곱한 것을 다 더해서 사례수로 나눠주는 것.


n  단위가 다르면 되면 소득-교육의 상관관계가 강한지, 교육-연령 상관관계가 강한지 알 수 없다. 따라서 표준화 하려는 것이다.

n  표준화하는 것은 평균을 빼고, SD로 나누는 것이다. 표준편차로 나누면 상관관계이다.

 

-       통계에서 괄호안의 이 식을 표현하는 말이 있다. “편차” “Deviation”

n  편차를 곱한 값을 더해서 사례수로 나눈 것을 공분산(covariance)라 부른다.

n  여기서는 다른 변수를 곱한 것이지만, 같은 변수 (X-평균)(X-평균)라고 하면 Sum of Square라고 부르고, 이것을 사례수로 나누면 분산이다

n  Sigma는 모집단의 표준편차이고 Sigma_xy 라고 되어있으면 공분산이고, Sigma_(x^2)은 분산이다.

-       표본인 경우에 n-1 해주는 것은 배웠다. 표본은 과대추정하므로, 이것을 adjust하기 위해서.

 

상관관계 이해하기

-       그러고보면, 분산(variance)은 공분산(covariance)의 특별한 케이스이다!!

 

상관관계 구하기

-       상관관계는 그 핵심에 공분산이 있다. 두 개 변수의 표준편차로 나눠준 것인데, substantially 측정단위를 통제한다는 의미이다. 상관관계의 크기, 상관의 정도, 상관의 강도, 상관의 수준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것.

-       상관관계는 공분산을 표준편차로 나눈 것이다.

-       Rho : 모집단의 상관관계를 rho로 표현한다.

 

상관관계의 범위

-       최대값은 두 개이다. 1 -1. ‘관계가 없다 0일때이다.

-       상관관계의 부호는 관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지 크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       회귀계수도 마찬가지다. (-)붙었다고 작은 것이 아니다.

 

Mean : Center of Gravity for Values

-       아무런 정보가 없을 때, 평균에서 뺀 값이 편차인데, 이 편차를 제곱해서 다 더한 값을 다른 어떤 값으로 빼서 그 편차를 제곱해서 더한 값보다 더 작다.

-       단순평균에서 구해진 Sum of Square TSS라고 한다. Regression은 총자승합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총자승합의 값이 있다.

 

단순회귀분석

 

 

회귀분석의 의미

-       사람마다 소득이 다 다르다. R^2 값에 어느 정도 설명을 했는지가 나타나는 것. 소득이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데, 교육 년수를 고려해보니, 소득 차이 중 R^2 만큼을 설명해내더라.

-       종속변수가 사례마다 다른 값이 나오는데, 그 이유를 찾으려고 하는 것이 회귀분석 하는 이유이다.

-       독립변수를 어떻게 찾느냐, 이것은 자기분야의 공부를 열심히 해서 찾는 것이다!!!!

 

 

최적화된 회귀선(Best Fitting Line)

-       조건평균 : x가 특정한 값의 범위에 있을 때 y. 회귀분석의 논리는 이것이다. 단순평균에서 조건평균으로 넘어간 것이 회귀분석.

-       Sum of Squared Errors(SSE) : 조건을 고려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은 것. Prediction이후에 남은 것이므로 Error이다. 모델을 만들었는데 모델이 딱 맞추지 못한 값이니까.

-       회귀분석은 이런 조건평균을 이으면직선이 될까요? 안된다.

-       Assumption이 있으며, 이것을 100% 충족시키는 자료는 없다. 그래서 robust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       SSE가 최소로 되도록 하는 직선을 찾는 것.

 

Regression model with error terms

-       x라는 조건하에서 y의 기대값 그래서 E(YlX)라 하는 것이고, 이것을 Y_hat  이라고 하고, 이것은 다시 a+bX로 표현될 수 있다.

-       x값이 같은 사례가 있다면, 단순평균에서의 거리가 더 큰 것들이 있다. 이것을 줄여나가는 것이 회귀분석의 목적이다.

-       단순평균과 조건평균을 비교하는데, 어떤 것이 error를 최소화하는가를 보려면 전제조건이 있다. 독립변수 x가 종속변수 y와 관계가 있어야 한다.

n  Y_bar는 단순평균 Y_hat은 조건평균.

n  조건평균의 값이 총합을 줄이려면, , 단순평균에서 얻어진 총합(TSS)보다 SSE가 더 작은 값이 되려면 독립변수-종속변수간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없으면 줄어들지 않는다.

-       Y=a+bx 한 다음에도 F test 값이 올라온다. F test는 모델을 비교하는 것인데, 그러면 무슨 모델과 비교했다는 것인가? Y=Y_bar와 비교한 것이다. 단순평균과의 비교. 고려한 독립변수 하나의 효과가 Y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경우이다.

 

총자승합

-       TSS. TSS는 단순평균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평균 밑에 있고 위에 있고 왔다갔다 한다.

-       n-1, degree of freedom을 말씀드리는 이유는, missing data가 있어서 이 변수를 지워버리게 된다. y 값 혹은 x 값의 missing이 있을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지워버린다.

-       분석 끝난 후 사례수를 보고 해야하는데, missing된 자료가 포함된 사례 개수보면 안된다.

 

오차자승합(SSE or ESS)

-       overall mean Y=Y_bar parameter가 하나니까 1을 빼주는데, 여기서는 a b의 두 개니까 n-2를  빼준다. SSE를 보고, 분석에 포함된 사례수에 2를 더해준다.

-       root mean of square error에 이 값이 보고가 된다. 이것을 나눴을 때 SSE...독립변수를 고려한 후의 종속변수의 분산이다. 종속변수의 분산인데 독립변수 고려하기 전의 분산이 있고 후의 분산이 있다.

-       SSE/(n-2)는 독립변수를 고려한 후의 분산. 따라서 root하면 독립변수 고려한 후의 종속변수의 표준편차이다.

-       이 값들이 output에 보고가 된다. 왜 보고되는지를 알아야 하니까.

 

Relations among Sum of Squares

-       TSS = SSE + Model SS

-       설명된 양이라고 표현한다. .49라면 49%가 설명된 것.

-       (TSS-SSE)/TSS = 0.49 = R^2이다. 종속변수의 값이 다른 값을 취하는...종속변수가 막 다른 값을 취하는데 왜 다른 값을 취하는지, .다른 값을 취하는 이유를 49% 설명해낸 것.

 

Cf. 제곱합 또는 자승합

-       Proportion reduction in Error. PRE. 이 값이 R^2값으로.

-       분석을 했다면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가 몇 개고 설명된 분산의 양이 얼만지 설명해야 한다.

 

Ordinary Least Square (OLS)

-       단순회귀분석에서는 a b. a가 음수가 될 수도 있다. b 값이 x y의 관계를 반영하는데,관계가 steep해지면 말이 안되도 음수가 되기도 함.

-       그러나 절편값을 의미있게 만드는 방법이 있고 centering한다고 하는데, 여기서는 안 다룰 것.

-       Yi_hat Y_i 사이에는 예측오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error값을 더해주면 개별 사례값이 나온다. error의 절대값의 총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좋은 회귀식이다.

-       왜 절대값을 안 쓰고 제곱을 하는가?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분포를 이해하기 두 가지를 알아야 한다. ‘집중경향성’ ‘산포도

 

예측을 하고도 남는 것을 error라고 부르고, error의 양을 줄여나가는 것이 통계의 목적. 통계는 error에 관한 것. 이것을 어떻게 줄일 것이냐의 것이지, 정답을 찾는 것이 아니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error가 준다. 없으면 안 줄어든다.

 

그럼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는 어떻게 찾나? 이것은 통계학이 알려주는 것이 아니다.

(신념이 없는 과학은 불구, 과학이 없는 신념은 맹목 – 아인슈타인)

 

평균이 가지고 있는 어마어마한 의미가 무엇인가?!

-      평균은 sum of square를 최소화한다. TSS(total sum of square).      

-      회귀분석은 조건평균이다. 독립변수를 고려한, 그 조건하에서 평균을 구하는 것.

n  독립변수라는 조건(초졸 중졸 고졸 대졸) 사이의 소득수준을 본다. 그러면 전체 소득수준의 평균과는 다르게 나타날 것.

 

표본일 경우는 n-1 한다. 표본은 분산을 과소추정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것을 adjust하기 위해서 n-1을 하는 것.

본래의 matric으로 돌아가기 위해서(측정단위) 자승을 한 다음 다시 root를 한다.

 

단순평균을 사용한 경우는 TSS라고 한다.

-       총자승합 = TSS = 단순평균에서. 아무런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

-       조건이라고 하면 독립변수라는 뜻이다.

 

1,2,3,4,5 붙여놓은 것을 흔히들 Likert라고 생각하는데이 자체가 Likert는 아니다. 

조사방법론 책 읽어보세요 Likert가 무얼 했는지. 순서정해놓은 것이 Likert가 한 것이 아니다!!


정규분포는 이론적인 개념이다.

-       현실을 보기 위해서 표준이 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구성하는 것. 현실에서 절대로 발견되지는 않지만, 무용지물은 아니다.

n  정규분포를 따른다라고 해야지 정규분포 이다라고 하면 틀린 것.

 

표준정규분포

-       어떠한 정규분포도 표준편차로 나눠주면 표준정규분포가 된다.

-       평균은 0이 되고, 표준편차는1이 되니까.

 

z-score를 우리말로 하면 뭐지? 표준점수!

-       분포안에서 점수의 위치를 묘사하기 위해서 표준점수를 사용하는 것.

-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가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계산하는 것. 왜냐하면 표준편차로 나눠주니까.

-       Z-score는 평균을 구하고, 개별점수에서 평균을 빼서 표준편차로 나눠준다. 개별점수와 평균 사이의 거리.

-       95% 신뢰도를 기준으로 삼으니까….1.96이 중요하다.

 

표집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       1000명 표본을 무한히 반복해서, 이것의 평균을 가지고 만든 분포.

-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가상적/이론적 분포라고 한다.

-       1번 표본의 평균, 2번 표본의 평균, 3번 표본의 평균이 평균값 1000개를 가지고 분포를 그려본다. 그러면 그 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이것이 표집분포.

n  이것은 이론적인 분포. 그러나 요즘엔 bootstraping 이라고 해보기도 한다.

-       표본분포의 모양은 모집단 문포의 모양과 같아야 할테지만, 우리는 모집단 분포를 모른다. 단지 표본을 잘 뽑았으니까 모집단 분포가 이럴 것이다..라고 예측하는 것.

-       그렇지만 쌍봉으로 생긴 모집단에서 표본을 뽑고 평균을 구하면, 표본을 잘 뽑았다면 모집단의 평균값의 frequency가 가장 높아야 한다. 그러면 표본집단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이 된다. 이것이 중심극한정리이다.

-       모집단의 평균값이 가장 많이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       그러나 개별 표본들은 조금씩 벗어나 있을 것이고, 이것을 sampling error라고 부른다. sampling과정에서 우리의 목표는 표집오차를 최소로 하는 것. 그 방법이 모집단에서 표집단에 추출될 확률을 같게 만든 다음 무작위 추출하는 것.

 

평균을 맞췄더라도 표준편차까지 딱 맞추기는 어렵다. 표준편차의 오차도 표집오차이다. 평균도 표집오차일 뿐만 아니라. 왜 오차라고 부르냐면 모집단 값에 대해서 이야기하니까’ error, 오차라고 부른다. 편차라고 부르지 않고.

 

표집분포의 분산은 모집단 분산보다 작을 수 밖에 없다.

-       표집분포의 표준편차는 모집단 표준편차보다 작을 수 밖에 없다.

n  실제 데이터가 흩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표집분포에 나타난 표준편차는) 평균들 사이의 거리이다.

n  그래서 이것을 adjust해주기 위해서 사례수로 나눈다. 표집분포의 표준편차를 표준오차라고 한다.

n  표준오차도 결국 표준편차이다. 그런데 구태어 표집분포의 표준편차만 표준오차라 부른다.

u  ? 오차라고 부르는 이유가, 표집분포의 평균은 모집단의 평균에 수렴한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값은 모집단의 평균이다. 여기서 벗어나 있으니 error인 것. 알고자 하는 값은 모집단의 평균이데 이것을 알면 sample 뽑을 필요 없을 것. 여기서 벗어나 있으니..

u  표준오차는 표집분포의 표준편차.

-       표본의 크기가 커지면 오차의 양은 줄어든다. 1000 vs 10000명 하면 10000명이 모집단에 가까워질 것. 1000명에서 10배다 더 뽑아보 별로 안 줄어든다. 그래서 error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표본을 줄이면 되잖아~ 라고 하지만 비용 때문에 표본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10만명은 돌려야 하는데.

 

그래서 sample이 큰 것을 가지고 regression 돌리면 웬만한 것은 다 significant하다.

-       그래서 substantially 봐야지 통계적 유의미성만 보면 안된다. 회귀계수값이 실질적으로 가지는 의미를 봐야 한다.

-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데, 1년 교육 더 받으면 0.5원 올라간 것이 통계적으로 significant하게 보일 수 있다.

 

표준오차

-       표본평균들의 표준편차, 표집분포의 표준편차

-       모집단에 대해서 벗어난 것이다. 궁극적으로 알고자 하는 것은 모집단 값이다. 우리의 목표는 표준오차를 줄이는 것!

  

표집분포

-       표준편차와 표준오차는 다르다.

-       표준오차는 표집분포에서만 나타난다.

 

모집단분포 표본분포 표집분포

-       모집단분포와 표본분포는 닮아야 하는데, 그러나 표집분포와 닮을 필요는 없다.

-       t분포, F분포, Chi-square 등등 다 표집분포이다. 모든 분포의 기초는 표준정규분포.

 

표집분포는 이론적인 확률분포이다.

-       서울에서 1000명을 무작위 표본 뽑는다고 했을 때, 이것은 표본이고, 이것을 반복한다. 그러면 여기서 수많은 평균들을 구한 다음에, 그 평균들을 통계량이라고 부른다. Statistics.

-       그리고 이 평균들을 분포시켜보는 것이다. 그러면 이것이 (평균들의) 표집분포가 되는 것.

 

점 추정

-       추정하는 것이다. 추정하는 것이니 error가 당연히 있다.

-       그러나 점 추정은 이렇게 평균이렇게 single number로 나오는 것이 점 추정.

 

구간추정

-       0이 아니라고 결론을 내린 다음에, 교육의 효과가 0이라고 할 수 없어라고 한 다음에 어느 범위 안에 있는가를 구한다.

-       최소 떨어져봐야 10만원, 최대 30만원 사이에 나타날거야하는 것이 구간추정

 

 

신뢰구간

-       0.05에서어떻다 하는 것은 95%...이고

-       Alpha level error의 확률이다.

n  99%는 신뢰수준이고, alpha level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만원이 0일 확률.

-       귀무가설을 기각해도 그것이 잘못될 수 있다.

n  100번 중 5번은 영가설이 맞는 확률이다.

 

Q. 표준화는 왜 하나?

-       측정 단위가 다르니까

-       표준정규분포를 따르게 되는 것은표준화하면 평균은 다 0이되교 표준편차는 1이 된다.

 

 

 

 






(출처 : http://www.dineshbakshi.com/igcse-business-studies/marketing/revision-notes/809-designing-a-questionnaire)





통계조사 방법론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법에 의하면, 

응답자들이 조사표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하는 동안에 거치게 되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설문의 오류를 만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지 순서가 달라짐에 따라 

응답자들의 조사표에 대한 응답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인지심리학적 연구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에 사용되는 사회 통계 조사표의 설문 문항들을 선별하여 

선택지의 순서를 원래대로 했을 경우와 역순으로 바꾸었을 때 응답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한꺼번에 많은 선택지들을 읽고 평가해야하는 순위 문항의 경우 

선택지의 순서를 바꿈에 따라 응답이 달라지는 확실한 순서효과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순서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선택지 개수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개수의 선택지 문항을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선택지가 섯 개 이상이 되는 문항에서 원래 순서일 때와 역순일 때 

다른 응답 양상이 나타나는 순서효과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통계 조사를 위한 설문지제작 시 

이러한 효과가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통계 조사 방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 선택지의 개수와 순서에 따른 응답의 변화

저자명
이경수, 송현주, 손영우, 황명진, 박영실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
간행물
통계연구
발행정보
통계청 |2008년 |한국 |한국어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32.058 ㅌ363)









2013 행복한 진로학교

①강도현-화려한 스펙을 버리고 골목을 누비다 

②고원형-스카우트 거절 후 찾아온 ‘아름다운 배움’ 

③윤태호-가지 않은 길에서 만난 만화 ‘미생’ 

④권장희-교사를 그만두고 게임중독 치유 전문가로! 

⑤최혁진-그때부터 내 꿈은 협동조합이었다

⑥하종강-내게 ‘노동’은 노래였다

⑦김현수-정신과 의사, 대안학교 교장되다

⑧송인수-강은 곡선으로 흘러 아름답다



“진로는 직업을 택하는 게 아니다”과연 좋은 일자리란 무엇일까. 이런 의문을 품은 이들을 위해 ‘행복한 진로학교’를 지상 중계한다. 첫 번째 강연자 강도현씨는 헤지펀드 트레이더에서 사회적 기업 운영자가 되기까지 자신의 경험을 진솔하게 털어
  조회수 : 25,374  |  강도현 (카페바인 운영자, <골목사장 분투기> 저자)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36)




“하고 싶은 거 해도 굶어 죽지 않아”행복한 진로학교 두 번째 강연자 고원형 ‘아름다운배움’ 대표는 대학원에 다니던 중 자신이 남을 도울 때 행복한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고 시민단체를 만들었다. 그는 원하는 삶을 선택하는 용기를 가지라고 말한다
  조회수 : 25,633  |  고원형 (‘아름다운배움’ 대표)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72)




“내 데뷔작? 쓰레기 같았다”만화가 윤태호씨의 데뷔작은 출판사에서 아홉 번이나 퇴짜 맞았다. 그는 뭔가를 잘하는 것만이 재능이 아니라며, 자신의 길을 가기 위해 가시밭길을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 의지 또한 재능이라고 말했다.
  조회수 : 23,590  |  윤태호 (만화가)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43)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주지 마라”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주지 마라. 아이들은 심심할 때 책을 읽거나 놀이를 하며 창조력을 기른다. 심심할 겨를이 없었던 아이는 고3이 돼도 하고 싶은 게 없다고 말한다. 이래서야 어떻게 진로를 찾겠나.
  조회수 : 69,814  |  권장희 (놀이미디어교육센터 소장)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18)





“후쿠시마 사고 때 의료생협 의사를 보라”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의료생협 의사들은 앞 다투어 위험한 곳으로 뛰어들었다. 일본 협동조합을 통해 공생의 힘을 배울 수 있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런 협동의 교육철학을 배우는 일이다.
  조회수 : 10,797  |  최혁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업운용본부장)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05)





“노동 문제 해결해야 교육 문제도 해결된다”우리나라는 학교에서 노동법이나 노동인권을 가르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장차 노동자가 될 아이들이 자신을 방어하지 못한다. 노동기본권이 보장되면 학문에 뜻 없는 아이들까지 기를 쓰고 대학에 갈 일이 사라진
  조회수 : 13,450  |  하종강 (성공회대 노동대학장)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94)




“왜 우리 아이들이 무기력해졌을까?”어른들이 착각하는 게 있다. 아이들의 무기력은 문제의 결과일 뿐이다. 뭔가를 시도했다가 실패하느니 차라리 아무것도 안 하는 게 낫다고 학습한 것이다. 아이를 과잉보호하면서 정서적으로는 방임하는 상황도 벌어
  조회수 : 14,943  |  김현수 (성장학교 별 교장, 정신과 전문의)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32)





“좋은 일자리의 기준을 바꿔라”부모들은 진로 걱정 때문에 아이들을 사교육으로 내몬다. 그런데 졸업자 30명 중 1명만이 대기업 등 ‘좋은 일자리’에 들어간다. 한 반의 1등만선택받는 셈이다. 나머지는 다 낙오자일까, 더 행복한 길은 없을까.
  조회수 : 9,490  |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동대표)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37)








(출처 : http://berlinstirredup.wordpress.com/2012/02/10/opposites-attract/)





상식의 실패, 그리고 융합의 성공

THE FAILURE OF ‘COMMON SENSE’ AND THE SUCCESS OF MULTIPLE DISCIPLINES


학습

Learning


의학교육의 많은 연구가 학습에 대한 상식적 개념에서 출발했다.

Much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is driven by commonsense notions about the nature of learning: 

(i) learners have different needs, motivations, aptitudes and abilities; instruction should accommodate these; 

(ii)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and formats lead to different outcomes, and 

(iii) the more the instructional method encourages activities that are closer to those carried out in the real world, the better the learning.


실패(The failures)


불행하게도, 많은 연구에서 이러한 상식은 하나도 증명되지 못했다. 학습방법에 맞춘 교육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지도 않았고, 다양한 교육방식이 다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생각도 systematic review에 의해 반박당하고 있다.

Unfortunately, despite multiple studies, none of these commonsense axioms finds much support in the literature. Matching learning styles has never been demonstrated to lead to superior outcomes, in either general8 or medical9,10 education. The idea that different instructional formats lead to consistently different outcomes has been challenged by several systematic reviews of e-learning11 and PBL.4


성공(The successes)


반대로, 인지심리학에서 유래한 이론들은 예측가능하고 일관적성있게 도움이 되는 교육 전략을 제공했다. 

Conversely, theories derived from cognitive psychology point to some general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lead to predictable and consistent benefits.12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that are directed at the activation of prior knowledge lead to better transfer.13 

The use of multiple examples and commonsense analogies that direct students to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 of the problem results in significant gains in transfer.14 

Mixed practice, in which examples from different categories are mixed together, and distributed learning, in which learning is spread over several occasions, are both effective strategies directly related to cognitive theories of learning.15,16 

Cognitive load theory17 provides a strong theoretical basi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is generally directed to simpler presentations and has consistent and strong effects.



임상 문제해결 기술과 임상 추론

Clinical problem-solving skills and clinical reasoning


실패(The failure)


아마 가장 좋은 사례는 McGuire의 연구일 것이다.

Perhaps the best example of a failure of common sense derives from McGuire’s own work.2


많은 학교들이 급진적으로 PBL과 같은 접근법을 도입했다.

New medical schools pioneered radical approaches such as PBL


문제해결능력을 위한 것이었고, 전문가와 초심자의 차이는 전문가는 뛰어난 문제해결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근거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toward measures of ‘problem-solving skills’. The term had common appeal; it was propos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novices derived from the fact that experts had good problem-solving skills and novices had still to acquire them.


이 분야에서 가장 발전한 것은 McGuire와 Babbott의 PMP이다.

The best-developed of these was McGuire and Babbott’s patient management problem (PMP),18


그러나 PMP에 대한 psychometric연구와 임상문제해결에 관한 기초연구 모두 불분명한 결과만을 보였다. 

However, both psychometric study of PMPs and fundamental research around ‘clinical problem solving’ revealed a disquieting finding. However, it was measured, the correlation across problems was 0.1–0.3.19,20


성공(The success)


Content Specificity에 관한 일관된 연구결과는 일반적 기술(general skill)은 손실되기 쉽고, 지식이 전문가에게 있어 핵심적인 것이라는 점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지식은 전문성과 관련이 없고, 5년마다 근본적으로 바뀐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던 시절에는 직관에 반하는 결론이었다.

The consistent finding of content specificity led inexorably to the conclusion that general skills are evanescent and that knowledge plays a central role in expertise; this represented a counter-intuitive result at a time when proclamations that knowledge was irrelevant and fundamentally changed every 5 years were rife.


이는 약간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와서, 지식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의 새로운 세대의 시작이 되었다.

This led to a small paradigm shift within the domain and the birth of a new generation of research strongly driven by theories of knowledge


비록 각각의 연구는 임상추론에 관해서 조금씩만 기여할 뿐이지만, 그것들이 합해져서 더 풍부하고, 더 강력한 설명을 제공한다.

Although each theory provides at best only a partial representation of the phenomenon of clinical reasoning, the collective provides a far richer, and more powerful,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that is frequently at variance with common sense.





평가

Assessment



실패(The failure)


학습에 대한 상식이 그랬던 것처럼, 평가에 대한 것도 그럴듯하지만 틀린 것들이 많았다. 첫 번째는 평가의 포멧이 다르면 다른 능력을 평가할 것이라는 상식이었다.

Parallel to commonsense views of learning, assessment research has been driven by some plausible but incorrect views about assessment. First is that different assessment formats necessarily assess different abilities


두 번째 가정은 평가 방식이 실제상황과 비슷할수록, 더 나은 평가라는 것이다.

A second assumption is that the closer the assessment resembles reality (and the higher up the Miller31 pyramid it goes), the better the assessment.


'의학적 역량에 대한 평가를 디자인 할 때는 얼마나 현실과 가까운가(authenticity)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평가를 하는 상황이 실제로 그 역량이 활용되는 환경과 비슷해야 한다는 것이다.'

‘Authenticity should have high priority when programmes for the assessment of medical competence are being designed. This means that the situations in which a candidate’s competence is assessed should resemble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mpetence will actually have to be used.’32


그러나, 아쉽게도 이런 가설은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지 못했다.

Regrettably, again, the research evidence does not support either assumption



성공(The success)


일찍부터 의학교육은 최신의 psychometric 방법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과 캐나다의 면허기관에서 주로 도입되었다. 그 결과는 summative assessment(총괄평가)의 방법을 바꾸어놓았고, 현재 사용되는 generalizability theory와 IRT를 분석에 사용하여 의학교육의 방법론이 보통교육(general education) 방법론의 엄격함을 능가할 정도였다.

Quite early in its history, medical education began to adopt state of-the-art psychometric methods. These changes were primarily driven by the national licensing bodies in the USA and Canada. The consequence was sweeping changes in approaches to summative assessment, with the adoption of contemporary methods like generalisability theory and IRT for analysis, to the extent that medical education overtook general education in its methodological rigour.37


시험의 효율성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더 높은 예측타당도도 가진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Not only has the efficiency of testing been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methods like IRT, but the latter has also been accompanied by consistent evidence of high predictive validity.34,38,39







학제간 융합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MULTIPLE DISCIPLINES



위의 예들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MER의 강점은, 마치 영어와 같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다양한 학문의 언어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As these examples illustrate, one great strength of MER derives from its ability, like the English language, to effortlessly absorb other disciplinary languages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What makes this possible? 


첫 번째로, 의학교육은 다양한 관점을 증명할 수 있는 바탕이 되며, 관심의 영역이 수술실에서의 전문가간 의사소통부터, 영상의학에서의 패턴 인식과 인지까지 다양하다.

Firstly, medical education is a rich proving ground for different perspectives, whether the issue of concern relates to factors i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in the operating theatre or a study of pattern recognition and perception in radiology


두 번째로, 더 중요한 것은, Buffalo에서 시작할 때부터 교육환경을 더 풍요롭게 만들고 싶어하는 다양한 보건의료인력을 끌어당겼다는 것이다.

Secondly, and most importantly, from its humble origins in Buffalo, MER has always attracted a coterie of dedicated health professionals with an interest in enriching the teaching environment.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MER이 지속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의 마음을 끌고 있다는 점이다.

Finally and, in my view, most critically, MER has attracted and continues to attract scholars from multiple disciplines in the behavioural and social sciences. 


실제로, 교육 과학을 흥미롭게 만드는 것은 상식에 의해서 증명되지 않는 것들이 있고, 오히려 직관에 반하기도 한다는 점이다.

Indeed, what makes education science, like all science, such an exhilarating voyage of discovery is that findings so often turn out to be not predictable by common sense, but instead appear to be counter-intuitive,


이 리뷰에서 말하고자 하는 두 번째 것은, 최근 몇몇 commentaries에서 언급된 허무주의적인 태도에 대한 것이다. 교육은 너무 복잡해서 잘 정의되지 않고, 일반화하려는 시도는 빈번히 실패한다는 주장은, 내가 인용한 많은 사례들은 현실적인 문제들과 환경에서 성공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컸다.

A second insight to emerge from this review refers to the fact that the examples I have chosen provide, I believe, a strong antidote to somewhat nihilistic recent commentaries,6,41 the thesis of which appears to be that education is so complex and ill defined that any attempt to find generalisable truths is bound to fail. Many of the studies I have cited on the ‘success’ side are based on realistic tasks and environments – such as diagnosis of electrocardiograms or learning from resident half-days – yet show large effects.



의학교육연구의 미래

THE FUTURE OF MER


‘Rigorous and relevant research requires a combination of well-trained educationalists and researchers with good practical knowledge of medicine and teaching. One conclusion from all of these is that a close collaboration between doctors and educationalists is indispensable for good medical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better education. Any monodisciplinary endeavour will lead to a suboptimal result.’32







 2011 Aug;45(8):785-91. doi: 10.1111/j.1365-2923.2010.03921.x.

Fifty year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waves of migration.

Source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Faculty of Health Sciences, McMaster University, 1200 Main Street West, Hamilton, Ontario, Canada. norman@mcmaster.ca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s been an academic pursuit for over 50 years, tracing its roots back to the Office of Medical Education at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New York, with George Miller. As the field has matured, the nature of the questions posed and the disciplinary bases of its practitioners have evolved.

METHODS:

I identify three chronological 'generations' of academics who have contributed to the field, at intervals of roughly 10-15 years.

RESULTS:

Members of the first generation came from diverse and unrelated academic backgrounds and essentially learned their craft on the job. A second generation, emerging in the 1980s and 1990s, consisted of individuals with PhD-level training in relevant fields such as psychology, psychometrics and sociology, who actively chose a career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often during graduate work. These individuals brought a strong disciplinary orientation to their research. Finally, the proliferation of graduate programmes in medical education means that we are now seeing the evolution of a new type of academic, often a health professional, whose only discipline is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I propose that we should strike a balance between seeking to create a separate specialty of medical education and continuing to actively recruit from other academic disciplines. I believe that the strong disciplinary roots of these individuals are a critical element in the continuing growth and progres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The Stemmler Fund was established in 1995 and subsequently named in honor of Dr. Edward J. Stemmler, who was largely responsible for the conception of the program while chair of the NBME. Dr. Stemmler served as the first chair of the Fund's Steering Committee.


(출처 : http://www.nbme.org/research/stemmler.html)






1960년대에 각 기관으로 흩어진 사람들(Miller, Abrahamson, Jason)은 의학교육실(offices of medical education)을 만들고 교수를 모집했다. 그 세대의 교수들을 MER의 1세대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에 새로운 세대(2세대)가 유입되기 시작했고, MER를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관련있는 다른 분야(인지심리학, 인류학, 역학)를 공부한 사람들이었다.

이제는 3세대에 들어섰다. 이들은 다른 분야의 언어는 어설프게밖에 하지 못한다. 그들의 모국어는 MER이다.


다양한 학문이 결합되었을 때 존재하던 의학교육의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지속적으로 학문적 모자이크를 유지할 수 있다면, 그래서 용광로처럼 될 수 있다면 이론과 방법론적 지식은 넓어질 것이지만, 다른 분야에서의 유입이 감소한다면 우리는 중요한 자산을 잃게 될 것이다.






의학교육연구(이하 MER)분야는 1950년대에 SUNY at Buffalo의 George Miller에 의해서 탄생했다.

The field we now call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R) was born in the 1950s, with George Miller at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New York.1


1960년대에 각 기관으로 흩어진 사람들(Miller, Abrahamson, Jason)은 의학교육실(offices of medical education)을 만들고 교수를 모집했다. 그 세대의 교수들을 MER의 1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 사람들은 배경이 다양했다.

In the 1960s these individuals moved on to other institutions – Miller to Illinois, Abrahamson to Los Angeles and Jason to Michigan State – where they founded the first research-intensive (and PhD-intensive) offices of medical education and began to employ new faculty members. It is that generation of faculty, myself included, who can be seen as first generation immigrants – people who migrated into MER more or less through a process of random wandering. Our backgrounds were diverse: 


(이 당시 유럽은 조금 사정이 달랐다. 유럽에서는 1970년대에 1세대 연구자들이 생겼다.)

(The European situation was somewhat different; MER came a little later to Europe and many of its first-generation researchers in the 1970s – individuals such as Chris McManus and Colin Coles in the UK, and Wijnand Wijnen, Henk Schmidt and Cees van Boven in the Netherlands – had undergone formal postgraduate training in psychology.)


1990년대에 새로운 세대(2세대)가 유입되기 시작했고, MER를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관련있는 다른 분야(인지심리학, 인류학, 역학)를 공부한 사람들이었다.

The 1990s saw a new generation of researchers enter the field in North America. Although they may not have been trained in MER, they were, nevertheless, like the Europeans, actively recruited from relevant fields, including those of cognitive psychology, anthropology and epidemiology.


이 세대는 이주민 2세대와 비슷하다. 그들은 그들의 원래 국가(원래 전공)과 새로운 국가(의학교육학)에 모두 속해있다. 이들은 MER의 언어를 쓸 수 있으면서, 원래의 언어를 잃지 않았다.

This generation can be likened to the children of immigrants. They belong to both the old country – their host discipline – and the new – MER. They can converse in the new language of MER, but they also retain the mothertongue of their host discipline.


Item Response Theory(IRT)이나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SEM)과 같은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를 사용할 줄 알았다. 복잡하고 기민하게 실험을 수행했다.

They use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like item response theory (IR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They do complex and clever experiments.


이 세대의 개개인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심도있게 훈련을 받고 나왔기 때문에 그들이 모이면 각자의 전공을 살려서 넓은 범위에서 복잡한 기술을 발휘하여 MER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었다.

that each individual in this second generation has undergone in-depth training in a particular discipline in the social or behavioural sciences and that collectively they enrich the field with a wide variety of sophisticated skills rooted in their host disciplines.


1세대와의 결정적인 차이는 초반의 생산성(논문 생산성)이었다.

One index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s initial productivity. 


이제는 3세대에 들어섰다. 이들은 다른 분야의 언어는 어설프게밖에 하지 못한다. 그들의 모국어는 MER이다.

We are now into a third generation. They speak the languages of other disciplines only haltingly; their disciplinary mothertongue is that of MER.


더이상 다른 전공에서 전문가를 모셔올 필요는 없게 되었다. 우리는 필요한 만큼 충분한 수를 양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동반되는 위험도 있다.

No longer need we import specialists from other lands; we are producing sufficient of our own number to be independent. Perhaps, but my central thesis is that this assimilation and maturation carries with it some potential dangers. 


'교육의 연구방법론이 재미있는 이유는, 교육은 그 자체가 학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교육은 연구의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상과, 사건과, 조직, 문제, 사람, 과정을 포함한, 그래서 그 하나하나가 많은 종류의 연구 재료가 됩니다. 많은 학문의 다양한 관점과 절차들이 연구의 분야로서의 교육에 질문을 던져줍니다.'

‘A major reason why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 is such an exciting area is that education is not itself a discipline. Indeed, education is a field of study [his italics], a locus containing phenomena, events, institutions, problems, persons, and processes, which themselves constitute the raw material for inquiries of many kinds. The perspectives and procedures of many disciplines can be brought to bear on the questions arising from and inherent in education as a field of study.'


다양한 학문이 결합되었을 때 존재하던 의학교육의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지속적으로 학문적 모자이크를 유지할 수 있다면, 그래서 용광로처럼 될 수 있다면 이론과 방법론적 지식은 넓어질 것이지만, 다른 분야에서의 유입이 감소한다면 우리는 중요한 자산을 잃게 될 것이다.

I am concerned that the strength of medical education resides in the bringing together of various disciplinary perspectives. If we succeed in moving from a disciplinary mosaic, in which diversity is recognised and celebrated, to a melting pot, in which practitioners become homogenised, the range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knowledge is broad, but immigration from other disciplines is reduced, we may lose a major asset.


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양한 학문이 MER에 기여했을까? 한 가지는 방법론적인 것이다. 단순히 여러 학문의 방법이 MER을 풍부하게 만들었다는 것이 아니라, 관점이나 프로그램, 이론, 그리고 인식론적인 것을 다 포괄하는 것이다.

What, specifically, do these diverse disciplines bring to MER? One contribution is methodology. It is not simply their methods that enrich MER; it is their perspectives, their programmes, their theories and their epistemologies.






 2011 Aug;45(8):785-91. doi: 10.1111/j.1365-2923.2010.03921.x.

Fifty year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waves of migration.

Source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Faculty of Health Sciences, McMaster University, 1200 Main Street West, Hamilton, Ontario, Canada. norman@mcmaster.ca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s been an academic pursuit for over 50 years, tracing its roots back to the Office of Medical Education at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New York, with George Miller. As the field has matured, the nature of the questions posed and the disciplinary bases of its practitioners have evolved.

METHODS:

I identify three chronological 'generations' of academics who have contributed to the field, at intervals of roughly 10-15 years.

RESULTS:

Members of the first generation came from diverse and unrelated academic backgrounds and essentially learned their craft on the job. A second generation, emerging in the 1980s and 1990s, consisted of individuals with PhD-level training in relevant fields such as psychology, psychometrics and sociology, who actively chose a career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often during graduate work. These individuals brought a strong disciplinary orientation to their research. Finally, the proliferation of graduate programmes in medical education means that we are now seeing the evolution of a new type of academic, often a health professional, whose only discipline is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I propose that we should strike a balance between seeking to create a separate specialty of medical education and continuing to actively recruit from other academic disciplines. I believe that the strong disciplinary roots of these individuals are a critical element in the continuing growth and progres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출처 : http://www.royalcollege.ca/portal/page/portal/rc/resources/aboutcanmeds)




INTRODUCTION



지난 100년간 서양의 의학교육은 의학을 의생명과학으로 만들었다. 진료(=의학의 수행)는 가장 최신의 의학지식을 객관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되었다.

For the last 100 years, Western medical education has constructed medicine as biomedical scienceOver that time, scientific discoveries and medical breakthroughs have changed the face of medical practice. Biomedical research has flourished within medical schools, and non-clinical bench science in particular has become a major part of many of their missions.1–3 The practice of medicine has come to be understood as the objective application of the most advanced medical sciences to patient care; such medical sciences, in turn, have been limited to those which produced bioscientific knowledge. 



이에 따라 의학교육도 진료에 필요한 생명과학을 학습하는 것 위주로 구성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의학에는 'art'적 측면도 있다고 말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된다는 것은 거의 전적으로 방대한 양의 생명과학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 되어갔다.


Medical education thus has become a predominantly bioscientifically oriented preparation for practice, with medical schools assuming the tasks of both producing biomedical knowledge and creating a curriculum to teach future doctors to practise within this bioscientific framework. Although many recognise that there is also an ‘art’ to the practice of clinical medicine, becoming a doctor continues to entail, almost exclusively, the acquisition of large amounts of bioscientific knowledge. 




생명과학지식이 의료에 많은 이득을 가져다 준 것은 분명하지만, 이것만이 의학교육의 유일무이한 기초는 아니다. 플렉스너는 물론이고, 최근에도 과학 지식을 강조하는 것과 미래에 의사를 키워내는 것의 연관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보고서가 나오고 있다. 


Certainly scientific knowledge has brought large benefits to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but it is not the only foundation necessary for medical education. Flexner himself, often cited in defence of scientism, did not think scientific knowledge on its own constituted adequate medical training.2,4–6 More recently, reports7,8 and academic publications2,6,9–11 have questioned the exclusivity of the link between the emphasis on scientific knowledge in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future doctors what they will actually need to know in order to practise medicine. The history of medical education also reminds us that the current generic medical curriculum is not the inevitable result of perfect understanding of how to train future doctors. 




역사적으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힘이 의학교육에 작용해왔고 교육과정을 만들고 변화시켰다. 의학 커리큘럼은 "어떤 것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요구되는 것"이다.


Rather, it is the historically mediated result of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acting on medical education and its institutions over the time the curriculum was created and modified.12 This realisation that the medical curriculum is not ‘what must be’, but only ‘what is currently’, means that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can change to concur with changing conceptions of its goals and objectives. 




현재 역량있는 의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영역은 무엇인가?


We are therefore obliged to ensure that the medical curriculum contains the appropriate kinds of knowledge doctors-in-training need to achieve what is currently believed to be competenceImplications of competency frameworks It is now widely accepted that there are multiple domains in which doctors are required to be competent. 




이러한 역량은 의사가 갖춰야 할 자질에 대한 의학교육자의 의견일 뿐만 아니라, 사회가, 대중이, 환자가, 가족이 요구하는 것이다.


It is not sufficient for doctors to have biomedical knowledge and technical skills. They must also, for example, be able to communicate well, to act in a professional manner and to work effectively with doctor and non-doctor colleagues. These competencies not only represent what medical educators and the medical profession as a whole believe to be important; they also reflect what the public, includ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ant their doctors to be.




CanMEDS 역량은 이러한 것 중 하나이다. EFPO프로젝트로 만들어졌다. 


For example, the CanMEDS competencies (Fig. 1),13 one of the earliest and perhaps best known of the national competency frameworks, arose out of a series of public consultations in Ontario (the most populous Canadian province) in the 1980s.14 That public process and subsequent professional stakeholder consultations, all part of the Educating Future Physicians for Ontario (EFPO) project, identified the doctor roles which then became the CanMEDS competencies unveiled in 2000.15 


Other English language competency frameworks have similar claims to professional and public consultation or support.16–18 The societal expectations of doctors identified and drawn upon in such documents are, of course, as much the historically mediated outcomes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forces as the medical curricula with which they interact. Nonetheless, these frameworks can be seen to be (and are often presented as) surrogates for the current shared understanding between medical professionals, educators and patients about what doctors should be by the end of their training.




RESULTS 


Students educated in the foundational knowledge necessary for competence in all doctor roles would need to be exposed to ideas and ways of thinking from a wide array of disciplines outside the traditional biomedical sciences. These would need to be introduced in context and in ways that would support future medical practice. They would also broade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legitimate medical knowledge.




CONCLUSIONS 


There are currently major gaps betwee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competency frameworks such as CanMEDS and the actual contents of medical curricula. Addressing these will require curricular transformation to add knowledges, in context and in ways that positively affect practice, from disciplines not currently present within the medical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will need to engage with colleagues throughout the university







 2011 Jan;45(1):36-43. doi: 10.1111/j.1365-2923.2010.03791.x.

Rethinking the basis of medical knowledge.

Sourc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yelet94@post.harvard.edu

Abstract

CONTEXT:

Twentieth-century medical education constructed medicine as biomedical science. Although bioscientific knowledge has brought large benefits to clinical practice, many have questioned the appropriateness of its domination of the medical curriculum. As the content of that curriculum is itself a historically mediated social construct, it can be changed to fit current descriptions of the competent doctors medical schools are expected to produce. Such doctors are expected not only to have biomedical expertise, but also to carry out multiple other roles as described in competency frameworks such as that of CanMEDS. Many of these other roles are socio-culturally based and thus not supported by bioscientific knowledge.

METHODS:

We designed a thought experiment to delineate the need to identify and integrate the range of foundational knowledges requir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doctors capable of performing all the roles described in the competency frameworks. We specified assumptions and demarcated our scope. To illustrate our ideas, we selected examples from the medical curriculum that linked to non-Medical Expert roles and outlined the disciplines that supported them.

RESULTS:

Students educated in the foundational knowledge necessary for competence in all doctor roles would need to be exposed to ideas and ways of thinking from a wide array of disciplines outside the traditional biomedical sciences. These would need to be introduced in context and in ways that would support future medical practice. They would also broade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legitimate medical knowledge.

CONCLUSIONS:

There are currently major gaps betwee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competency frameworks such as CanMEDS and the actual contents of medical curricula. Addressing these will require curricular transformation to add knowledges, in context and in ways that positively affect practice, from disciplines not currently present within the medical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will need to engage with colleagues throughout the university.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0.






(출처 : http://www.doceo.co.uk/tools/p-c_s-s.htm)





첫 번째는 의학교육이 근본적으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패러다임(자연과학과 사회과학) 사이의 껄끄러우면서도 미약한 파트너쉽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적할 것은, 의학교육의 '재민주화'이다. '재민주화'라는 단어는 사회-정치적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 외부의 비전문가에게 문호를 열거나 그들을 초대해서 더 나은 관점을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 번째 측면은 의학계가 더 넓은 사회로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책과 글들이 전문직인 내부인의 관점을 외부로 알리고 있으며, 실패과 불확실성에 대해 생각해보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 측면은 자기분석(self- analysis)의 노력이다






20세기 미국의 의학교육 혁명에 앞장선 그 누구도 의학을 전공하지 않았다. Abraham Flexner는 고등교육을 전공했고, Henry Pritchett는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였으며, Andrew Carnegie는 경영주면서 자선가였고, John D Rockefeller는 석유왕이면서 은행가였다.

None of the primary managers of early 20th century medical education reform in the USA were trained in medicine: Abraham Flexner came from higher education; Henry Pritchett was a mathematician and astronomer; Andrew Carnegie was an industrialist and philanthropist, and John D Rockefeller an oil magnate and banker.


외부인은 사회학자들이 소위 이미크적 관점(emic perspective)에는 약하다. 기능적인 면을 보는 능력이나, 문화적 신념과 현실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지식, 그리고 사람들이 어떤 것에 관심을 가지고 어떤 것을 무시하는지에 대한 미묘한 이해가 부족하다.

Outsiders can possess little of what social scientists term the emic perspective, the knowledge of significances and meanings attached to cultural beliefs and practices and the nuanced understanding of what to pay attention to and what to ignore. 


반대로 불편한 사실들을 다 벗어던지고 마구 덤벼드는 외부인들은, 현재의 모습은 무엇이고, 과거의 모습은 어땠어야 했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다른 관념과 가능성을 가지고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사회과학자들은 이를 에티크적 관점(etic perspective)라고 부른다.

On the other hand, unencumbered by the inconvenience of facts, the outsider wades in, making observations and asking questions about what might be, or what could have been, drawing on perspectives from a different universe of possibilities. This, in part, is what social scientists refer to as an etic perspective.


Pritchett는 의학 외부인중에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영향을 줄 만한 사람을 심사숙고해서 골랐고, 그 사람이 바로 Flexner였다. 이제 이런 사람이 필요할 때가 다시 온 듯 하다. 의학교육은 내부의 원동력, 내부의 훈련, 내부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난, 진정한 외부의 관점이 부족다. 

Pritchett’s deliberate selection of a medical outsider made explicit his view that medical schools did not have within themselves the tools necessary to effect the changes he sought, a perspective with which Flexner,3 apparently after his very first medical college inspection, fully agreed. Such may be the case today; medical education may be struggling for the lack of truly outside perspectives from sources that are uninitiated, untrained and unsophisticated in the ways of the insider.


물론, 생산적인 대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외부의 etic과 내부의 emic 관점이 모두 어우러져야 할 것이다.

Nevertheless, it is at the precise juncture of the outsider’s etic perspective and the insider’s emic understanding that fruitful conversations may begin.



OBSERVATIONS


첫 번째는 의학교육이 근본적으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패러다임(자연과학과 사회과학) 사이의 껄끄러우면서도 미약한 파트너쉽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The first observation is that medical education involves an inherently strained and tenuous ‘partnership’ between the natural sciences and the social sciences, two potentially incompatible paradigms.


위험을 무릅쓰고 두 패러다임의 공통점을 설명하기보다는, 여기서는 논의를 위해서 Kuhn의 주장을 따르고자 한다. Kuhn은 자연과학은 하나의 지배적인 관념이 있고, 그 관념이 무너지기 전까지는 그 아래서 작동한다. 이는 사회과학과는 다른데, 어느 이론이 보편적으로 공유되고 적용되지 않으며, 조금씩 변형되고 재활용되며, 논쟁과 조정을 거치지만, 통째로 폐기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At the risk of overstating the homogeneity of the two paradigms, we may, for the sake of discussion, follow Kuhn’s assertion that the natural sciences operate under a single dominant vision of what can be investigated and how (what he calls ‘normal science’), and work that paradigm until it collapses of its own inconsistencies and a new one takes over sole dominance.4 This is not so in the social sciences, where theory, not universally shared to begin with, is modified and recycled, debated and adjusted, but rarely discarded altogether.


노벨상 수상자인 Rotblat은 자연과학의 지식의 성장은 사회과학의 지식의 성장에 비해서 과급(supercharged)되었다고 했다.

Nobel Prize laureate Rotblat6 refers to knowledge growth in the natural sciences as ‘supercharged’ relative to the growth in the social sciences.


이러한 현상은 좋게 말하면 문제적 불균형이고, 나쁘게 보면 학문적 마비 또는 자기파괴를 앞둔 비옥한 토양이다.

A problematic imbalance at best, and fertile soil for disciplinary paralysis or self-destruction at worst 


의학교육은 생의학적 진료를 치료의 인간적인 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초기의 충동으로 인해 고생하고 있다. '의학과 질병의 비사회화'라고 불리는 이것은, 의학을 지원해준 사회구성원이 받아들이기 힘든 방향으로 의생명과학이 발전하면서 많은 사람에게 실망을 안겨줬다.

Medical education suffered the initial impulses of a decoupling of biomedical practice from the humanity of healing, which has been termed the ‘desocialisation of sickness and medicine’.8 To the consternation of many, the advances of biomedicine continue to outstrip our abilities to administer them in ways acceptable to the societies that are their beneficiaries.





두 번째로 지적할 것은, 의학교육의 '재민주화'이다. '재민주화'라는 단어는 사회-정치적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 외부의 비전문가에게 문호를 열거나 그들을 초대해서 더 나은 관점을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second observation notes what appears to be a ‘re-democratisation’ of medical education. The term ‘re-democratisation’ is employed here without regard to its technical socio-political connotations, but rather to denote an ‘opening up’ to or ‘inviting’ of non-specialists to obtain a better view inside the world of medical education.


플렉스너 이전의 의학교육은 포퓰리즘(민주주의)적이었다. 사회적 지위나 지적인 수준이나 학위나 성별, 인종 등 모든 것과 상관없이 하고자 하는 사람을 막지 않았다.

The pre-Flexner world of medical education in the USA was a populist (democratic?) one, for it invited all comers, irrespective of social standing, intellectual acumen, scholarship, resources, race or gender, to participate.


플렉스너는 그 당시 상황을 모든 가능한 면에서 공격했다.

Flexner attacked that status quo at every conceivable level


그 결과로 의과대학의 수가 크게 감소하여, 대중의 접근성을 떨어뜨렸으며 - 예상하지는 못했겠지만 - 엘리트 계급만이 '힘들고 비싼 의학교육'을 감당할 수 있었다.

The resulting reduction in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severely limited the hitherto broad public access to the system and resulted in the creation, probably unanticipated, of an elite class of people who had the requisite preparation and resources to undertake the ‘uniformly arduous and expensive medical education’.9,10


현재의 의학교육의 재민주화는 다양한 측면이 있는데, 한 가지는 위에서 설명한 플렉스너의 개혁 직후 나타난 결과를 수정하려는 것이다.

The current re-democratisation of medical education has multiple dimensions, one of which is a corrective to an immediate outcome of Flexner’s reforms: 


의학교육자들과 학생들은 대학의 두 가지 역할 - 연구기간과 사회에 대한 봉사기관 - 을 해야 한다.

Medical educators and their students are left to negotiate the interstices between the university’s twin roles as research cloister and utilitarian service organ to society.5



'재민주화'의 두 번째 측면은 외부에서 동력과 에너지를 얻으려는 것이다. 1980년 Katz의 논문에서 환자의 자율권을 인정하고 의료와 관련한 더 많은 결정권을 주고자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A second dimension to re-democratisation appears to find its impulses and energy outside, and occasionally in opposition to, the institution. Its way was probably paved by the move in the 1980s (following Katz’s work11) to acknowledge and grant greater patient autonomy with regard to health care decisions.


무수한 정보가 집약된 많은 사이트들이 등장했다. WebMed, Google Health, My Health Info 등등. 그러나 사람들은 점차 이것이 너무 좁은 범위만을 다루고 있다고 생각했고, 글로벌 네트워크인 'e-patient'를 만들기에 이르렀다. 여기서는 자신의 의료정보를 올리고 지식과 경험을 공유한다. 의료기관의 관리나 제한, 내용제한에서 벗어난 것이다.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information-dense sites such as WebMed, Google Health, My Health Info and others have fed a voracious public appetite for raw and unfiltered medical information, options, warnings, trends and recommendations. However, society has found even this access too narrow, as evidenced by the explosive emergence of a global network of ‘e-patients’,13 who blog and share their own medical information, knowledge and experiences with one another online, quite outside the medical establishment’s ability to monitor, restrict or filter the contents





세 번째 측면은 의학계가 더 넓은 사회로 나가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책과 글들이 전문직인 내부인의 관점을 외부로 알리고 있으며, 실패과 불확실성에 대해 생각해보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A third dimension to re-democratisation can be seen quite simply in medicine’s ‘reaching out’ to wider society. A plethora of books and popular articles such as the award-winning works by Gawade14 offer readers an insider’s view into the medical profession and a platform from which to ponder its failings and uncertainties.


이 세 번째 측면은 의학과 의료를 인간답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부이다.

The third observation concerns this re-democratisation as part of a broader call for the humanising of medicine and medical training.


다루기 힘들고, 비효율적이고, 개인화된 멘토-도제식 모델과 지역사회 중심의, 전인적인, 인간적 요소들은 새로운 생의학적 교육이 요구하는 것(효율적이고, 표준화되어있고, 최점단의, 근거중심의) 과 공존하기가 쉽지 않다.

The cumbersome, gently inefficient, individualised mentor–apprentice model and the community-oriented, holistic, hightouch and human-paced elements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to maintain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efficient, standardised, evidence-based, state-of-the-art, student-production demands of the new biomedical education.


이 애매함이 의사에 대해서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사회의 거의 모든 측면에 걸쳐서 인간미를 갈망하면서도, 이에 필수적으로 동반될 수 밖에 없는 편견은 매도한다.

This ambiguity is not unique to society’s demands on its doctors; in all areas of society we crave the personal touch while decrying the accompanying problems that form an integral part of the human equation.


하지만 인간이 가진 특징은, 좋든 나쁘든, 적당히 적응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프로토콜에 얼마나 집착하는지를 보면 알 수 있다.

An indelible attribute of human nature, however, whether it be for good or ill, is our refusal simply to cope, evidenced in our society by an addiction to the protocol


프로토콜을 어설프게 손봐가면서 우리는 그럭저럭 해 나간다. Edgerton이 말했던 것처럼, 우리는 가끔 뒤죽박죽(muddle)으로 하다가 처음 상태로 돌아가버리기도 한다.

This constant tinkering with cultural and social circumstances often finds us ‘muddling through’, as Edgerton1 puts it, although sometimes we ‘muddle’ back to an earlier starting point, spiralling back to what we may once have rejected


이런식으로 순환하면서 PBL을 도입하거나 호스피탈리스트(hospitalist)를 양성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플렉스너 이전 시대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Such cyclicity, evident in educational and health care initiatives like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 hospitalist movement,17–19 reintroduces several features of pre-Flexner medical practice


사례를 하나하나 해가면서 문제해결을 배우는 것, 도제식 관계, 제너럴리스트, 멘토에 의한 추가 학습 등등이 예전의 시대가 가지고 있던 모습이며, 그 시절에는 치유의 예술이 과학과 쉽게 조화를 이뤘다.

Case-by-case problem solving, the apprentice–preceptor relationship, the generalist, the extra time involved on the part of mentors9 all hark back to an earlier era, during which – we imagine – the art of healing partnered easily with science


의학교육에 인간적인 측면을 더 담으려는 노력은 플렉스너가 말한 그 유명항 '골고루 더 힘들고 비싼'것이 될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비용은 아마 금전적인 것 많은 아닐 것이다.

Injecting more humanity into medical education may force us to reconsider Flexner’s famous ‘more uniformly arduous and expensive’ claim; perhaps the expense is not exclusively financial. (Time and Vulnerability)





마지막 측면은 자기분석(self- analysis)의 노력이다

The final observation concerns medical education’s attempts at self-analysis, attempts which may flounder from the density of the discipline’s own complexities.


플렉스너는 그의 보고서에서 많은 의과대학의 집행부들이 스스로 외부에서 인정받는 것 만큼 잘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인정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Flexner’s account of his reform work indicates that administrators of a number of medical schools agreed that their business was less than reputable


최근의 의학교육을 살짝만봐도, 비판이 그렇게 강하지도 않고 의학교육 내부의 요구나 사회적 요구를 담을만큼 넓거나 깊지도 않다.

Even a cursory review of today’s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conference proceedings offers a sobering verdict: the critique is never intense, broad or deep enough to satisfy either the demands medical education places on itself or those placed on it by society at large


앞서 언급된 모습에 대한 지칠 줄 모르는 자기성찰이 의학교육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최신의 지식을 갖추면서 환자를 편안하게 돌보고 작은 마을의 의사와 같은 인내심을 가질 것을 요구하는 외부의 요구도 동시에 존재한다. 이 시스템에 대한 분석은 철저하고, 복잡하고, 약해질 줄을 모른다.

Internal to medical education is its unflagging introspection as it contends with the tensions outlined in the observations above. External are the twin societal demands that doctors suffer no gaps in the currency of their knowledge yet treat their patients with the ease and patience of small-town physicians. The examination of this system is exhaustive, intricate and unabating.



CONCLUSIONS


의학교육과 같이 복잡한 분야에서 꼬여있는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은 아마도 외부적 힘이나 상황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재능에 있을지도 모른다.

In a complex field like that of medical education, where does one begin to ‘disentangle the conditions of its history from the density of discourse’?16 For all its unnerving prospects, that disentanglement, that change, may find part of its genius residing in another ‘external event or circumstance’.






 2011 Jan;45(1):29-35. doi: 10.1111/j.1365-2923.2010.03772.x.

Outside looking in: Observations on medical education since the Flexner Report.

Source

Department of Foreign Languages and Anthropology, Southeast Missouri State University, Cape Girardeau, Missouri 63701, USA. wdanderson@semo.edu

Abstract

CONTEX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education as it relates to the reforms introduced in the wake of the Flexner Report of 1910. The usefulness of outsiders in both understanding and analysing any specialised endeavour, and, specifically, medical education, is carefully considered. No voices call more loudly for change in medical education today than those emanating from within the arena itself. Interestingly, however, the monumental reforms of the Flexner Report were impelled largely from outside the specific discipline of medical education.

OBSERVATIONS:

Internal tensions exist between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 These tensions present formidable obstacles to the balance between advances in biomedical knowledge and the humane and socially acceptable application of that knowledge. Medical education's responses to society's pressures for accessibility and humaneness occupy the next discussion point, named here as 're-democratisation' and 're-humanisation'. A final observation questions whether the current proliferation of literature about reforms in medical education can lead to real change, or whether it constitutes a self-referential agitation that, in the aggregate, holds little promise.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not only are outsiders useful, but they may perhaps represent the only channel through which medical education can align its current practice with both its internal ideals and the demands of the public, members of which live and die by its efforts.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0.














(출처 : http://clinicalcreativity.squarespace.com/about-us/)



첫번째로, '능숙한 의사소통'이 목적이더라도 '의사소통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 있다. 

두 번째로, 교육의 목적은 의사소통을 둘러싼 내재적인 불확실성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 방법에 변화가 필요하다.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맥락에 따라 변하는 결과, 학습의 초점이 불확실한 경우 등등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


평가는 의사소통의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면을 평가해야 한다.


전문가는 '감정사'가 되어야 한다. 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권위는, 평가가 이뤄지는 상황에 공감하는 능력에서 나오며, 그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에서 나온다. 기술적으로 이미 정의된 기술이 발휘되는지가 아니라 실제로 의사소통이 '효과가 있었는지'를 미학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의학과 의료는 도덕적 사업이며, 고객의 만족을 넘어서 환자와 공공의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 본말이 전도되어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과도한 충성이 의학의 '도덕'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해야 하며, 창의성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EVALUATING COMMUNICATION



많은 교육자들은 기술중심의 의사소통 교육의 대안을 연구하고 있다.

Many educationists are already exploring alternatives to skill-based communication teaching


그러나 이러한 연구만으로 교육적 진보가 이뤄질 수는 없다.

However, continuing to cast these and future developments in the language of communication skills will stymie pedagogical development.


의사소통을 연구하는 교육자들은 창의력을 중요시하는 영역, 특히 창의적 예술 영역으로부터 배워야 한다.

Educationists in communication might therefore learn from pedagogy in explicitly creative disciplines, particularly the creative arts.


첫번째로, '능숙한 의사소통'이 목적이더라도 '의사소통의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 있다. 어떤 의사소통의 기술은 그 효과가 보편성을 지니거나(환자의 ID 확인하기), 특정 상황에 따라서는 구체적인 목표 달성에 어떤 기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Firstly, at a conceptual level, although educators aim for ‘skilled communication’, the term ‘communication skills’ could be reserved for the rare instances in which consistent meaning lies in behaviours themselves, either because of the universality of their effect (such as in checking a patient’s identity) or because they achieve specific ends in a constrained situation.62 


두 번째로, 교육의 목적은 의사소통을 둘러싼 내재적인 불확실성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이미 나와있는 기술을 권장하기보다는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이 '옳은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개개인의 성향에 맞는 스타일을 만들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또한 비슷한 상황을 제공하기보다는 새로운 환경을 다룰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하며, 의사소통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기민하게 알아챌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Secondly, education aims need to recognise the inherent uncertainty around communication, which will require humility for educators and learners alike. Instead of encouraging the deployment of predetermined skills, educators will aim for learners to make good judgements, to develop a style tailored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50 to develop the capacity to handle novel situations rather than simply delivering consistency, and to appreciate keenly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ir communication.63


또한 학습자의 '동기'에 더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There will be more explicit focus on learners’ motivation, too including curiosity, forming more personal connections with patients or, simply, being more effective practitioners.


마지막으로 교육 방법에 변화가 필요하다.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맥락에 따라 변하는 결과, 학습의 초점이 불확실한 경우 등등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

Finally, there will be changed emphases in teaching methods.52 There will be additional emphasis on learning experiences and outcomes that are less predictable, on making contextual variability and ambiguity explicit foci of learning and on the tentative and conditional nature of the judgements of learners and educators alike.51,63


따라서 교육자들은 학생들을 가르칠 때 환자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자원을 더 활용할 것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Educators therefore might consider how to harness the resource of diversity of patient contact for students’ learning.


일부 연구자들은 물론 학생들 역시 임상 상황의 다양성에 대비하기 위해서 도제식 교육과 실제 환자를 보는 것의 가치를 강조한다. 

some theorists66 and, indeed, students67 emphasise the value of apprenticeship and ‘real patient learning’ in preparing for the diversity of clinical care, as well as for being more veridical, motivating and memorable than other forms of learning.


평가의 측면에서는,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 시험이 중요하다.

Turning to assessment,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will probably remain central to undergraduate assessment,68,69 


세팅이 어떻든, 평가는 의사소통의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면을 평가해야 한다.

Regardless of setting, assessment needs to be appropriate to the creative and holistic nature of communication.


많은 체크리스트들은 행동의 수행능력보다 의사소통의 '적절성'을 평가하게 해서 창의성과 관련된 부분을 다루고자 하고 있다. 실제로 SEGUE는 특정한 의사소통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서 유연하게 대처할 것을 분명히 인정하고 있다.

By requiring ratings of ‘appropriateness’ of communication, or the achievement of tasks rather than performance of behaviours, many existing checklists already have the potential to accommodate creativity. Indeed, the SEGUE framework explicitly allows learners flexibility in achieving 32 specified communication tasks.16


많은 의사소통 교육자들은 전체적 평가(global rating)을 활용하고 있다. 비록 이러한 방법이 주관적이라는 비판은 받지만, 표면적으로는 객관적이라고 하는 체크리스트도 대개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Many communication educators already use global ratings,18,71 with psychometric properties as good as, or better than, those of checklists.72 Although such ratings might be criticised as subjective, we have seen that ostensibly objective checklist items usually require subjective judgements.14


전체적 평가와 관련해서 예술 분야의 평가에서 배울 점이 있다.

In developing the use of global ratings, there are potentially important lessons about assessment to be learned from creative, artistic disciplines. 


Eisner는 이러한 맥락에서 전문가는 '감정사'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 전문가도 물론 오류에 빠질 수 있고, 주관적인 편견에 따라 평가를 하곤 하지만, 비전문가보다는 낫다.

Eisner46,75 described experts in this context as ‘connoisseurs’ who derive their authority from personal familiarity with their field. Experts are, of course, fallible and their assessments are subject to biases,76 albeit less than those of non-experts.77


그들의 권위는, 즉 평가의 타당성에 대한 권위는, 평가가 이뤄지는 상황에 공감하는 능력에서 나오며, 그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에서 나온다. 기술적으로 이미 정의된 기술이 발휘되는지가 아니라 실제로 의사소통이 '효과가 있었는지'를 미학적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실제로 의사소통의 의미가 있었는가를 보기 위해서는 평가에 있어 환자의 관점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Their authority – that is, the validity of their judgements – would depend on their ability to empathise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assessment is taking place, and their resulting ability to judge, not, technically, whether predefined skills were displayed, but, aesthetically, whether the communication ‘worked’. It is argued that assessment should include patient perspectives because it is their subjective experience that defines the meaning of communication.13


예술가들에게도 자신의 '도구상자'가 필요한 것처럼, 기술적인 면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It will be important not to neglect skills. Just as creative artists need their ‘toolboxes’ of skills and techniques, so do practitioners.12


교육자들은 의사의 '기술'이 아니라 결과가 지니는 가치와 창의성에 더 초점을 두어야 한다.

Therefore, educators need to shift the primary focus of their gaze from the ‘skills’ that practitioners use to the value and creativity of the result.



RESEARCH IMPLICATIONS


Clearly, practitioners need to continue to learn from communication educators and researchers because communication is too important to be left to personal habits and prejudices.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find out more about how flexibility can be taught and assessed, and how internal motivation can be identified and fostered.



LIMITATIONS OF VIEWING COMMUNICATION AS A CREATIVE ART


예술에서의 창의성과 의사환자대화에서의 창의성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There are, of cours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creative arts and imaginative clinical communication.


의학과 의료는 도덕적 사업이며, 고객의 만족을 넘어서 환자와 공공의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 본말이 전도되어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과도한 충성이 의학의 '도덕'을 왜곡시키지 않도록 해야 하며, 창의성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Health care is a moral enterprise with obligations to patients and the population that transcend consumer satisfaction. Given that upholding an exclusive allegiance to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risks distorting the morality of health care by putting means before ends,12 it is important not to elevate creativity to an end in itself.


환자의 역할 역시 예술과는 다르다.

The role of patients also differs from that of an audience in terms of their active contribution to the creative product. 


Haidet은 의사환자대화를 재즈와 비교하면서, 환자와 함께 즉흥성을 발휘할 때 의사소통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Indeed, Haidet compared clinical communication with jazz, arguing that the important business of communication comes about when practitioners improvise with patients.81


사실 예술에서도 즉흥연주는 미리 공지되어야 하며, 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창의성을 위한 창의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Even in the arts, it is acknowledged that improvisation needs to be informed and disciplined82 and that creativity for creativity’s sake is not enough.64








 2011 Mar;45(3):217-26. doi: 10.1111/j.1365-2923.2010.03801.x.

Creativity in clinical communication: from communication skills to skilled communication.

Source

Division of Clinical Psychology,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K. psalmon@liv.ac.uk

Abstract

Medical Education 2011: 45: 217-226 Objectives  The view that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produces skilled communication is sometimes criticised by those who argue that communication is individual and intuitive. We therefore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s a skill and identify alternative principles to underpin future development of this field. Methods  We critically examine research evidence about the nature of clinical communication, and draw from theory and evidence concer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particularly in creative disciplines. Results Skilled communication cannot be fully described using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Attempts to do so risk constraining and distorting pedagogical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Current education practice often masks the difficulties with the concept by introducing subjectivity into the definition and assessment of skills. As all clinical situations differ to some extent, clinical communication is inherently creative. Because it is rarely possible to attribute specific effects to specific elements of communicationcommunication needs to be taught and evaluated holistically. Conclusions  For communication teaching to be pedagogically and clinically valid in supporting the inherent creativity of clinical communication, it will need to draw from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that have been developed in explicitly creative disciplines.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출처 : www.cpso.on.ca)

의사소통은 근본적으로 창의적인 것이다. (Communication is inherently creative)


의사소통은 전인적이어야 한다. (Communication is holistic)









PRINCIPLES FOR FUTURE COMMUNICATION TEACHING


좋은 의사환자대화란 단순한 기술로 분해될 수 없지만 고도로 기술적이어야 한다

Good clinical communication is clearly highly skilled, although it defies reduction into elements that can be called skills. 


의사소통이 직관적이고 창의적이어야 한다고 해서, 이것이 훈련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의사소통기술이 교육과정으로 들어 온 것은 무엇보다도 단순히 의사의 직관에 의존할 경우 환자에게 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Observing that communication is intuitive and imaginative does not mean that it should be undisciplined by training. After all,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won its place in curricula because communication that depends solely on the intuition of practitioners may be hurtful or damaging,


대신 우리는 의사환자대화를 새롭게 개념화함으로서 교육과 현장을 조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두 개의 원칙을 언급하고자 한다.

Instead, we need new ways to conceptualise clinical communication that reconcile pedagogy and practice. These will need to incorporate two principles t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cannot.



의사소통은 근본적으로 창의적인 것이다.

Communication is inherently creative


매우 일반적인 한 가지 원칙을 지키는 것 만으로도, 의사환자대화에서는 독창성이 항상 존재할 수 밖에 없다. '환자의 이름을 부르며 인사하고' '환자의 독특한 임상상을 설명해주는 것' 만으로도 그 전에 어떤 의사도 하지 않았던 것이 이뤄지는 것이다.

At one level, originality is always present, simply as a result of following general rules. Greeting a patient by his or her name or explaining a unique and complex clinical picture may mean saying something that no practitioner has said before


그러나 여기서 독창성이 '규칙'으로 환원될 수는 없다. 창의성이 중요한 교육분야, 특히 예술 영역에서는 독창성과 연결된 복잡성을 교육 목표로 만들 수 밖에 없었다.

However, we are concerned here with originality that cannot be reduced to rules. Pedagogy concerned with creativity, particularly in the creative arts, has had to confront the complexities associated with originality as an education objective.46,50–52 


의학에서의 창의성은 '불확실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In this field, it is recognised that creativity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uncertainty.


불확실성은 예술가가 창의력을 발휘하여 즉흥적 작업을 하고, 실험을 할 수 있는 여지를 준다.

This inherent uncertainty creates the space within which creative artists improvise and experiment.


이것이 Reed가 말한 "전문가에 의해서 구성된 간접적인 지식을,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직접 습득한 지식으로 보완하는 것"의 중요성이다. 창의적인 작업은 규칙을 잘 따르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가에 달려있다.

This points to the importance of what Reed characterised as the ‘first-hand’ knowledge of learners’ own experience to complement the ‘second-hand’ knowledge shaped and selected by experts;54 that is, creative work depends on judgement rather than on following rules,50,52



의사소통은 전인적이어야 한다.

Communication is holistic


의사소통기술과 관련한 어떤 구체적인 행동도 모든 상황에 들어맞지는 않는다.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을 둘러싼 모든 환경에 따라 그 행동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환자는 세세한 의사소통기술보다는 전반적인 상황에 더 관심을 갖는다.

it is implausible to regard any specific behavioural communication skill as desirable in all possible contexts. Its quality only exists in the context of the whole situation, including the communication surrounding it. Indeed, patients can be more concerned with the whole picture – their impression of the practitioner’s character and caring – than with specific communication skills.27,55








 2011 Mar;45(3):217-26. doi: 10.1111/j.1365-2923.2010.03801.x.

Creativity in clinical communication: from communication skills to skilled communication.

Source

Division of Clinical Psychology,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K. psalmon@liv.ac.uk

Abstract

Medical Education 2011: 45: 217-226 Objectives  The view that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produces skilled communication is sometimes criticised by those who argue that communication is individual and intuitive. We therefore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s a skill and identify alternative principles to underpin future development of this field. Methods  We critically examine research evidence about the nature of clinical communication, and draw from theory and evidence concer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particularly in creative disciplines. Results Skilled communication cannot be fully described using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Attempts to do so risk constraining and distorting pedagogical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Current education practice often masks the difficulties with the concept by introducing subjectivity into the definition and assessment of skills. As all clinical situations differ to some extent, clinical communication is inherently creative. Because it is rarely possible to attribute specific effects to specific elements of communicationcommunication needs to be taught and evaluated holistically. Conclusions  For communication teaching to be pedagogically and clinically valid in supporting the inherent creativity of clinical communication, it will need to draw from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that have been developed in explicitly creative disciplines.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출처 : http://www.securedgenetworks.com/secure-edge-networks-blog/bid/55492/5-Top-Applications-for-Hospital-Wireless-Networks)





의사소통은 '기술'이라는 것들로 분해될 수 없다.

의사소통에 있어서 일반화된 원칙이라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의사소통의 의미는 객관적 기술이 아니라 주관적 경험에 달려있다.

의사소통의 결과에 대한 연구에서 완벽한 원칙을 찾을 수 없다.

기술과 진정성은 일치하는 개념이 아니다.

가치와 가치전도 : '의사소통 기술'에 의해 '좋은 의사소통'이 무엇인가가 정의되다.






INTRODUCTION


의사환자대화는 진료를 전달하는 매개체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서도 하나의 치료이다.

Clinical communication is the vehicle for most patient care and can represent a treatment in its own right.1,2


따라서 의사소통을 가르치는 것은 임상 교육과정 전, 후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 교육과정은 흔히 '의사소통기술'을 가르치는 과정으로 묘사된다. 즉, 이론적인 뼈대를 다루면서 의사소통을 각각의 요소, 또는 기술로 분해하여 가르치고 평가하게 된다. 이 요소에는 '행동기능(eg. 눈맞춤)' 또는 '목표(eg. 환자의 입장 이해하기)' 등이 있다.

Communication teaching has therefore become an established component of pre- and post-qualification clinical curricula. This area of the curriculum is typically described as ‘communication skills’, indicating an underpinning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communication can be divided into discrete elements, or skills, that can be taught and assessed alongside clinical skills.3,4 These elements are variously defined as behavioural actions (e.g. maintaining eye contact) or as goals (e.g. understanding patients’ perspectives). 


이들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원리라든가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교육을 하는 입장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뛰어난 의사소통의 기술을 갖추는 것 만큼이나, 그러한 기술을 활용해서 좋은 환자의사관계를 쌓아갈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Principles and guidelines are available to guide practitioners in drawing on these skills.6 The ultimate aim of educators is that, just as good clinical care is delivered through the deploying of clinical skills, practitioners are equipped to build good clinical relationships by deploying communication skills.3,7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 교육은 학생들을 이 이슈에 대해서 시니컬하게 만들거나,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복잡한 임상 환경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의사소통을 가르치는 선생님들도 창학생들의 회의적인 태도를 반적으로 접하게 된다.

Nevertheless, communication teaching can leave students cynical about the issue, less confident in their communication abilities or poorly prepared for the complexities of clinical settings,8,9 and an undercurrent of criticism among practitioners occasionally emerges in print.10 Communication teachers continue to encounter scepticism in learners who argue that communication is imaginative and individual or is ‘caught by example’11 and cannot be taught formally. 


의사소통 교육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새로운 원칙이나 교육방법을 도입해야 한다. 의사소통의 기술은 지난 30년간 인간적 측면(humanistic), 언어적 측면(linguistic), 임상적 측면(clinical perspective)에서 연구되어왔다. 또한 일부 교육자들은 의사소통업무(관계 형성하기, 관심 표현하기)가 세세한 의사소통 기술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해왔다.

The future strength of communication teaching depends on hearing these voices and being ready to question and renew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involve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has been criticised over three decades from humanistic, linguistic and clinical perspectives,12–15 and some educationists have prioritised communication tasks (such as ‘forming a connection’, ‘expressing caring’) over specific behavioural skills.16


그렇지만 이 영역에서는 여전히 '기술'이라는 것의 개념이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개념을 비판적으로 보라보고, 교육적 발전을 위한 실질적, 철할적, 도덕적 관점 제시하고자 한다.

Nevertheless, the concept and language of ‘skills’ still dominate the field. Therefore, we critically re-examine the concept, drawing from empirical, philosophical and moral perspectives to show how it continues to constrain pedagogical development.



SOME DIFFICULTIES WITH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행동을 변화시키려면, 먼저 그 행동에 대해 스스로 성찰할 수 있어야 한다. 의사소통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기술'이라는 개념을 활용하는 것은 이와 같은 '성찰'을 도와주는 좋은 방법으로서 활용되어 왔다.

Before people can improve behaviour, they need to be able to reflect on it. Using the concept of skills to help practitioners label and distinguish different elements of communication has been a powerful way to promote this reflection.14 


의사소통을 '기술'의 모음으로 바라보는 것은 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유용한 방법이긴 하다. 그러나 이러한 강점이 있다고 단점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Conceptualising communication as skills has been politically effective, too, in introducing communication into curricula that are widely regarded as skills-based. However, these strengths should not blind us to weaknesses


의사소통은 '기술'이라는 것들로 분해될 수 없다.

Communication cannot be atomised into skills


의사소통기술 이라는 개념은 자문을 구하거나, 관계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행동들을 기술 요소로 분해하려는 환원주의적 접근이다. 그러나 이는 타당하지 않다.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is inherently reductionist inasmuch as it proposes that complex behaviour such as conducting a consultation or building a relationship can be atomised into component skills. This is questionable.


의사소통에 있어서 일반화된 원칙이라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Generalised principles for guiding communication are practically limited


환자들은 의사들에게 복잡한 것, 맥락에 맞는 것, 때로는 일관되지 않은 것들을 요구한다.

As patients, our demands on practitioners prove more complex, context-dependent and inconsistent than general principles for deploying skills can allow for.


예를 들면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00%의 환자가 자신의 의사가 정직하기를 바라면서도 91%의 환자는 동시에 낙관적이기를 바란다.

However, practitioners need considerable ingenuity here, as a survey of cancer patients illustrated: 100% of respondents wanted practitioners to be honest, but 91% also wanted them to be optimistic.23


또한 환자들은 자신이 치료과정에 더 참여하길 원하면서 자신의 의사가 가부장적이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또 동시에 치료 선택에 대한 책임은 의사가 지기를 바란다.

Similarly, although patients generally do want to feel involved and not to feel that practitioners are paternalistic, they often need practitioner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reatment decisions.20


그래서 Skelton은 14명의 의사소통을 교육하는 사람들의 체크리스트를 분석한 결과, '옳은 행동'을 주관적인 용어, 예를 들면 적절한, 적합한, 등의 단어로 정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비슷하게 SEGUE 프레임워크는 어떻게 목표에 도달하였는가가 아니라 '실제로 의사소통의 목표를 달성했는가'를 강조한다.

Therefore, as Skelton observed,14 educators’ checklists often define correct behaviour using subjective terms, such as ‘appropriate’ or ‘proper’. Similarly, the influential SEGUE (Set the stage, Elicit information, Give information, Understand the patient’s perspective, and End the encounter) framework emphasises the attainment of communication goals, leaving learners to decide how to reach them.16


의사소통의 의미는 객관적 기술이 아니라 주관적 경험에 달려있다.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lies in subjective experience, not objective skills


환자에 따라서 같은 의사소통을 두고도 의사가 관심을 보였다고 하기도 하고, 보이지 않았다고 하기도 한다.

Similarly, different patients may experience the same piece of communication as caring or uncaring.29,30 


어떤 행동들을 '기술'이라고 할 것인가 라는 문제는 이와 같은 주관성을 무시한 것이다.

Designating some behaviours as ‘skills’, implying that they have a constant meaning or value, neglects this subjectivity.12


실제로 환자들의 관점은 전문가들의 관점과는 또 달라서,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반대로 환자들은 전문가가 좋지 않다고 생각한 의사소통을 더 좋다고 판단하기도 한다.

Indeed, patients’ views can diverge from those of experts27,30 and communication that displays improved ‘skills’ does not necessarily help patients.34  Conversely, patients can value communication that experts think is poor.13


의사소통의 결과에 대한 연구에서 완벽한 원칙을 찾을 수 없다.

Communication outcome research cannot deliver exhaustive principles


그러나 어떻게 정의를 하더라도 의사소통의 요소에 원천적으로 내재된 '주관성'과 '상황 의존성'은 여전히 범접할 수 없는 영역으로 남는다.

However, the inherent subjectivity and context-dependence – and consequent individual differences – in the meaning of a given element of communication will remain inaccessible to any design that averages groups of people or communication instances, however narrowly defined. 


실제로, Stiles는 원천적으로 내재된 다양성과 개개 환자들의 의사소통 요구 때문에 의사소통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을 (질병 치료) 결과로 연결시킬 수 없다고 말한다.

Indeed, Stiles warned that the inherent variability in individual patients’ communication needs and practices means that we should not expect measurements of communication processes to correlate with outcomes,37


또 다른 한계점은, 어떤 말도 항상 동일한 결과로 이어지지 않아서, 한 결과에 따르면 부적절했던 의사소통이 다른 결과에 따라서는 적절한 것이 될 수도 있다.

A second constraint on the potential for outcome research is that there is rarely a single outcome for any utterance, so communication that is inappropriate for one outcome (e.g. because it distresses the patient) may be appropriate for another (e.g. because it challenges denial).1


또한 결과라는 것이 국소적으로, 일시적으로 나타날 때는 어떤 결과가 어떤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는지 알 수가 없다.

Moreover, outcomes exist locally and transiently in dialogue40 and it will often be impossible to know which outcomes were relevant to any specific utterance.


기술과 진정성은 일치하는 개념이 아니다.

Skills and sincerity are inimical concepts


감정을 묻는 간호사의 질문에 별로 감명을 받지 못한 한 환자는 '아마도 방금 의사소통 수업을 듣고 왔나봐요' 라고 했다. 적어도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공감이나 관심을 표현하는 기술을 배우는 것은 오히려 진정성에 반하는 것일 수 있다.

Unimpressed at a nurse’s enquiries about her emotional feelings, a patient explained that the nurse had probably ‘just been on a course’.41 To the public gaze, at least, learning skills in appearing empathic or caring is potentially inimical to authenticity42


Alexander에 따르면 여기서 딜레마가 생긴다. 학생들에게 미리 학습목표를 정해주는 것은, 그 목표를 달성해서 나타나는 행동의 변화가 자기 스스로의 결정에 따른 것(self-determined)이 아닌데, '자기결정'이 진정성 있는 의사소통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Alexander, educationists therefore face a dilemma: predetermining objectives for students means that, when students deliver those objectives, the students’ behavioural change cannot be regarded as selfdetermined, whereas assuming self-determination is essential to viewing students’ communication as authentic.45



가치와 가치전도 : '의사소통 기술'에 의해 '좋은 의사소통'이 무엇인가가 정의되다.

Values and ‘value-creep’: communication skills define ‘good’ communication


의사환자대화는 기본적으로 도덕적 사업이다. 의사는 좋은 의사소통 기술을 갖춤으로서 환자의 이익을 돌봐줄 수 있어야 한다. 의사소통 '기술'의 최종적인 문제는 교유자나 의사가 가진 개념을 뒤틀어놓아서 의사소통의 도덕적 목적을 뒤틀게 되는 것이다. Eisner는 Winston Churchill의 말(우리는 건물을 만들고, 건물은 우리를 만든다)을 빌어 '우리는 커리큘럼을 만들고, 커리큘럼은 우리를 만든다' 라고 했다.

Clinical communication is fundamentally a moral enterprise. Practitioners need to communicate well in order to look after patients’ interests. The final problem with the concept of skills concerns the way that it can distort the values held by educators and practitioners and thereby distort the moral aims of communication. Eisner echoed Winston Churchill’s statement that ‘we make our buildings and then our buildings make us’ in warning that ‘we make our curriculum and then our curriculum makes us’.46


무엇보다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부족한데, 의사소통기술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무수히 많으나, 실제로 이것이 환자에게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부족한다. 기술을 갖추는 것이 성공적인 수련의 충분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There is no evidence of benefit for patients. For example,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into how to teach communication skills to ‘break bad news’, but little has examined whether patients benefit.47 Acquisition of skills is regarded as sufficient evidence of successful training


기술을 정의하고 가르치는 것에 있어서 의사가 아니라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이 관여하면서 '의사소통의 가치가 무엇인지'의 관리인(custodian)격 역할을 하고 있다.

Through their involvement in defining and teaching skills, researchers and educators, rather than practitioners, become custodians of what is valued in communication.


연구와 교육의 영역에서 '좋은' 의사소통이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을 바꿈으로써 '환자가 된다는 것' 또는 '의사가 된다는 것'의 의미까지 바꾸어놓고 있다.

By changing what is regarded as ‘good’ communication, research and teaching change what it means to be a patient or practitioner








 2011 Mar;45(3):217-26. doi: 10.1111/j.1365-2923.2010.03801.x.

Creativity in clinical communication: from communication skills to skilled communication.

Source

Division of Clinical Psychology,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K. psalmon@liv.ac.uk

Abstract

Medical Education 2011: 45: 217-226 Objectives  The view that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produces skilled communication is sometimes criticised by those who argue that communication is individual and intuitive. We therefore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s a skill and identify alternative principles to underpin future development of this field. Methods  We critically examine research evidence about the nature of clinical communication, and draw from theory and evidence concerning education and evaluation, particularly in creative disciplines. Results Skilled communication cannot be fully described using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skills. Attempts to do so risk constraining and distorting pedagogical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Current education practice often masks the difficulties with the concept by introducing subjectivity into the definition and assessment of skills. As all clinical situations differ to some extent, clinical communication is inherently creative. Because it is rarely possible to attribute specific effects to specific elements of communicationcommunication needs to be taught and evaluated holistically. Conclusions  For communication teaching to be pedagogically and clinically valid in supporting the inherent creativity of clinical communication, it will need to draw from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that have been developed in explicitly creative disciplines.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1.








Oath of the Class of 2015 As I put on my white coat for the first time, I wholeheartedly devote myself to the medical profession. I pledge to serve with both compassion and creativity, keeping in mind that true healing can only come through care of the whole person, cura personalis. I will care for my patients with integrity and empathy. With a humble heart and an open mind, I vow not only to educate my patients, but also to learn from them in return. Never forgetting that trust must be earned, I will treat all people with dignity. 


My stethoscope connects my ears to my patients' hearts. In order to heal, I will listen to the needs of my patients, adapting to their unique cultural values. I will tirelessly advocate for my patients,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health of the individual is reflected in the wellbeing of the community. I shall strive to build bridges through communication and sensitivity. 


Soon, the pockets of my coat will overflow with the instruments of healing. So too, will I gather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required to deliver the highest level of care. I will seek out the wisdom of my colleagues and be an active voice through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As my coat becomes worn, I will forever remain a passionate student of medicine. 


As a member of the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Class of 2015, I pledge to live this oath.



(출처 : http://www.einstein.yu.edu/features/stories/711/the-sworn-identity-einsteins-first-years-create-their-own-oath/)




정체성은 고정된 스키마가 아니다. '무슨 행동을 하는가'가 곧 정체성이다. 

정체성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나타난다. 


정체성은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우리의 이야기를 전할 때에도 드러난다.


어렵더라도 적절한 관계-중심적 교육이 필요하다.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linguistic ritual을 학습하게 된다.


우리 모두는 나름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이 이야기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키는 핵심 요소이다. 

교육학적 공간(pedagogical space)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와 동료의 이야기를 통해서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어느 조직이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은 구성원의 정체성을 만든다."


따라서 의과대학 학생들의 정체성확립 과정에서 중요하게 이해해야 할 것은, 

그 기관에서 학생들이 마주치게 될 '어떻게 일들이 이뤄지는가'의 모습이다. 


즉 의과대학학생을 전문직의 합당한 일원으로 받아주지 않는 것("너는 .... 할 때 까지는 진짜 의사라고 할 수 없어")은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INTERACTIONAL RELATIONSHIPS

앞에서 강조된바와 같이, 정체성은 고정된 스키마가 아니다. '무슨 행동을 하는가'가 곧 정체성이다. 정체성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나타난다. 우리는 어떠한 행동을 함과 동시에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보여질지를 생각한다. 스스로 표방하는 정체성이 있으면서 다른사람이 생각하는 나의 정체성을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같은 행동적 측면은 의식적일수도 있고 무의식적일 수도 있다. 
As highlighted above, identities are not fixed cognitive schemas; rather, identities are what we doIdentities are asserted and claimed through continual interactions; we seek to be and be seen to be as we attempt to manage others’ impressions of ourselves and the identities we claim.18 This performative and routine aspect of daily life is ever present and can be conscious or unconscious. 

지속적인 역할 연습을 통해서 학습된 생각과 행동(habitus)에 의해 영향을 받아 스스로를 드러내며, 이러한 관점은 언어의 자아 표현적 측면(performative aspect of the self)에서도 드러난다. 
Indeed, through continual role rehearsal, the presentation of the self is influenced by habitus (acquired patterns of thought and behaviour) and is unconscious.32 Therefore, this perspective places the focus on language as a performative aspect of the self, rather than on language as the externalisation of underlying mental processes or psychological states (e.g. motivations, traits, dispositions, attitudes etc.).

정체성은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우리의 이야기를 전할 때에도 드러난다. narrative identity라는 개념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어떻게 일단 형성된 정체성이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다듬어지는지에 대한 이해를 도와준다.
Performative aspects of identity are also present in the stories we tell to others (and ourselves):  The concept of a narrative identity is not new, but it is a powerful way to understand how identities are shaped and re-shaped to make meaning,

정체성은 의학적 상호작용을 하고,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스스로와 다른 사람에 의해서 구성된다. 중요한 것은 정체성은 활동을 통한 관계적 측면에서 형성되고, 관계는 정체성확립의 행심적 요소라는 점이다. 또한 의과대학 학생들 각자가 지닌 개성과, 감성과 문화적 스토리가 스스로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중요하다.
Thus,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 within medical interactional settings as we go about our daily work,7,9,10,37,38 and as we recount events of our experiences to ourselves and others.1,3,39,40 That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is situated in and through talk has wide-ranging implica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main messages I wish to convey here are that, firstly, identities are developed within relational settings through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are central components of identification. And, secondly,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re people, individuals with their own personal, emotional and cultural stories which influence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이 두 가지 요소가 시사하는 점은, 무엇보다 어렵더라도 적절한 관계-중심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linguistic ritual을 학습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은 의학을 바라보는 관점을 보여주고, 의사답게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교육이 '의사가 된다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문화적 기대, 소위 hidden curriculum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These two factors require much more attention that can be afforded here, but I will briefly mention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Firstly, fostering appropriate relationship-centred educational practices is necessary, albeit a major challenge.41 Within interactional settings, linguistic rituals are learned. Linguistic rituals include particular language choices and the adopting of specific stances towards others. These rituals reflect a medical worldview that facilitates thinking, speaking and acting like a doctor. This process might inadvertently reinforce unwanted traditional cultural expectations of what it is to be a doctor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and run counter to developing new ways of doing things.

교육과정이 어떻게 미래 의사의 발전에 영향을 주는지를 보고 싶다면 다양한 상호작용 환경하에서 정체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확립되고, 적용되는지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다양한 상호작용 환경에는 PBL이나 의사소통기술 훈련, 회진, 교육세미나, 그리고 비공식적 환경 같은 것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If we want to know how our curricula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omorrow’s doctors we must develop a sensitivity to the ways in which identities are constructed, enacted, invoked or exploited in a variety of interactional settings.43 These settings include problem-based learning sessions,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ward rounds, teaching seminars and student participation in surgical settings, and even interactional exchanges in informal settings.

두 번째로 우리 모두는 나름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이 이야기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키는 핵심 요소이다. 교육학적 공간(pedagogical space)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스스로와 동료의 이야기를 통해서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많은 학생들이 훈련을 받는 과정에서 루틴하게 하는 반성적 과정과는 다르다. 좀 더 상호작용적인 측면이 필요하며, 다양한 의미를 발견해내고 학생들이 그들이 누구이고, 누구여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촉진시켜줘야 한다.
Secondly, we all have our story.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is story is essential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our professional identity. Providing the ‘pedagogical space’37 to facilitate students’ sense making processes through their narrative telling and re-telling of clinical experiences, thereby enabling them to understand their own developing identities as doctors, is essential in medical education. Indeed, this goes beyond the individual reflective practice that many students routinely undertake as part of their training. A more interactional context is required, within which multiple meanings are explored, facilitating students’ own understandings of who they are and who they might be.




As highlighted above, identities are not fixed cogni- tive schemas; rather, identities are what we do. Identities are asserted and claimed through continual interactions; we seek to be and be seen to be as we attempt to manage others’ impressions of ourselves and the identities we claim.18 This performative and routine aspect of daily life is ever present and can be conscious or unconscious. Indeed, through continual role rehearsal, the presentation of the self is influenced by habitus (acquired patterns of thought and behaviour) and is unconscious.32 Therefore, this perspective places the focus on language as a performative aspect of the self, rather than on language as the externalisation of underlying mental processes or psychological states (e.g. motivations, traits, dispositions, attitudes etc.).

 

Performative aspects of identity are also present in the stories we tell to others (and ourselves): as we try to make sense of events our identities emerge as we story our individual experiences, positioning our- selves to cultural and social expectations.33 The concept of a narrative identity is not new, but it is a powerful way to understand how identities are shaped and re-shaped to make meaning, to provide a sense of coherence to our lives34 and to guide our actions.35 Moreover, narratives that instantiate identities are not just found in the ‘big stories’ we tell of our lives, but can be seen in fleeting moments of ordinary conversational contexts.9,10,19,36

 

Thus,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 within medical interactional settings as we go about our daily work,7,9,10,37,38 and as we recount events of our experiences to ourselves and others.1,3,39,40 That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is situated in and through talk has wide-ranging implica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main messages I wish to convey here are that, firstly, identities are developed within relational settings through activities, and rela- tionships are central components of identification. And, secondly,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re people, individuals with their own personal, emotional and cultural stories which influence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ese two factors require much more attention that can be afforded here, but I will briefly mention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Firstly, foster- ing appropriate relationship-centred educational practices is necessary, albeit a major challenge.41 Within interactional settings, linguistic rituals are learned. Linguistic rituals include particular language choices and the adopting of specific stances towards others. These rituals reflect a medical world- view that facilitates thinking, speaking and acting like a doctor. This process might inadvertently reinforce unwanted traditional cultural expectations of what it is to be a doctor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and run counter to developing new ways of doing things. For example, patient-centred care has been advo- cated to replace doctor-centred care as it facilitates more favourable outcomes. Despite successfully developing this stance in students during their pre- clinical years, Year 3 students have shown a progres- sive trend towards doctor-centred attitudes during their initial clinical year.42

 

If we want to know how our curricula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omorrow’s doctors we must develop a sensitivity to the ways in which identities are constructed, enacted, invoked or exploited in a variety of interactional settings.43 These settings include problem-based learning sessions, communi- cation skills training, ward rounds, teaching seminars and student participation in surgical settings, and even interactional exchanges in informal settings. As researchers we must be aware of the minutiae within interaction and must attend to aspects of talk that are embedded in the routine and rituals of everyday professional interactions.

 

Secondly, we all have our story.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is story is essential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our professional identity. Providing the ‘pedagogical space’37 to facilitate students’ sense- making processes through their narrative telling and re-telling of clinical experiences, thereby enabling them to understand their own developing identities as doctors, is essential in medical education. Indeed, this goes beyond the individual reflective practice that many students routinely undertake as part of their training. A more interactional context is required, within which multiple meanings are explored, facilitating students’ own understandings of who they are and who they might be.





INSTITUTIONAL SETTINGS
"어느 조직이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은 구성원의 정체성을 만든다." '기관'은 정체성확립이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기관에 따라 구체적인 위계화된 세팅 안에서 특정 패턴의 행동이 정해지고, 어떻게 일이 되어야하는지가 정해진다. 
‘Whatever else organisations do, they do identification:’ 2 institutions are the most important places within which identification becomes consequential. Accordingly, institutions can be conceived as representing patterns of behaviour within specific hierarchical settings, signifying the way things are done: ‘Precisely because identities are constructed within, not outside, discourse, we need to understand them as produced in specific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sites within specific discursive formations and practices, by specific enunciative strategies.’44 

따라서 의과대학 학생들의 정체성확립 과정에서 중요하게 이해해야 할 점은, 그 기관에서 학생들이 마주치게 될 '어떻게 일들이 이뤄지는가'의 모습이다. 의도하지 않아도 전달되게 되는 비공식적인 규칙, 암묵적 가치, 믿음, 태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Therefore, an important aspect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medical students’ identification is to pay particular attention to how things are accomplished within the specific institutional sites that they encounter. This includes paying attention to the unofficial rules and implicit values, beliefs and attitudes that may also be inadvertently conveyed.

한 기관에서 흔히 일어나는 것은 "일련의 의례"들이다. 한 정체성으로부터 다른 정체성으로 넘어가는 과정이 될 수 있으며, White Coat Ceremony가 그 중 하나이다.
Common phenomena within any institution are the ‘rites of passage’ which comprise part of the transition from one identity (imminent membership,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another (authentic membership, full participation). For example, the White Coat ceremony,

그러나 좀 더 함축적인 의례들이 있는데, 비공식적인 ascription이다. 즉 의과대학학생을 전문직의 합당한 일원으로 받아주지 않는 것("너는 .... 할 때 까지는 진짜 의사라고 할 수 없어")은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However, there are other, more implicit rites of passage that medical students undergo (e.g. dissecting cadavers, working long hours) that are informal ascriptions to the profession. Indeed, the lack of informal ascriptions can indicate a reje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the medical student by legitimate members of the profession (a kind of ascriptive rejection: ‘You’re not a real doctor until you have...’) that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한 기관 안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것은 그 기관의 문화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우리는 임상 환경에서의 경험이 학생들의 학습에 얼마나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가가 연구된 바 있다. 하지만 그 반대도 있을 수 있다. 성공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학습한 학생은 후에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 그와 맞지 않았을 때 그것을 바꿔나갈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ies within institutional settings can impact on aspects such as cultural change. Indeed, we have seen how experiences within the clinical setting can have detrimental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in the early years.42 However, the reverse may also be the case. Students who have successfully internalised aspects of the way things should be done within their medical school setting have the potential to later challenge the way things are done if those ways conflict.

정체성은 역사적인 관례를 보여주는 기관의 언어를 통해서 확립된다. 문화를 바꾸고자 한다면 역사적으로 병원의 진료가 어떻게 반복되어져왔고, 어떠한 작은 변화들이 있어왔으며 어떠한 도전을 받아왔고, 바뀌게 된다면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인가를 이해해야 한다.
Identities are constructed through language in institutional sites which have historical practices – the way things are. Medical educationists who wish to develop cultural change need to understand the intricate and nuanced ways in which historical practices are replicated, subtly changed and even challenged and the impact this might have for development.
As highlighted above, small acts of defiance have the potential to act as catalysts for cultural change. But do they? Can they change medical culture? We need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new policies, as delivered through the medical curricula, are adopted and challenged.



Whatever else organisations do, they do identifica- tion:’2 institutions are the most important places within which identification becomes consequential. Accordingly, institutions can be conceived as repre- senting patterns of behaviour within specific hierarchi- cal settings, signifying the way things are done: ‘Precisely because identities are constructed within, not outside, discourse, we need to understand them as produced in specific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sites within specific discursive formations and prac- tices, by specific enunciative strategies.’44 Therefore, an important aspect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medical students’ identification is to pay particular attention to how things are accomplished within the specific institutional sites that they encounter. This includes paying attention to the unofficial rules and implicit values, beliefs and attitudes that may also be inadvertently conveyed.

 

Common phenomena within any institution are the ‘rites of passage’ which comprise part of the transi- tion from one identity (imminent membership,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another (authentic membership, full participation). For example, the White Coat ceremony, when performed for incoming medical students, explicitly signifies a transition into the medical profession through the conferring of this symbol of professional member- ship, albeit as a student member. This can be conceived as formal ascription to the medical pro- fession. However, there are other, more implicit rites of passage that medical students undergo (e.g. dissecting cadavers, working long hours) that are informal ascriptions to the profession. Indeed, the lack of informal ascriptions can indicate a reje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the medical student by legitimate members of the profession (a kind of ascriptive rejection: ‘You’re not a real doctor until you have...’) that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 ties within institutional settings can impact on aspects such as cultural change. Indeed, we have seen how experiences within the clinical setting can have detrimental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in the early years.42 However, the reverse may also be the case. Students who have successfully internalised aspects of the way things should be done within their medical school setting have the potential to later challenge the way things are done if those ways conflict. For example, small acts of resistance to the existing culture – so-called secondary adjustments – represent ways in which relatively powerless individuals protect their interests and identities.45

 

Within medical settings, as actors, students have the potential to act as role models for clinicians (e.g. students purposively washing their hands in front of clinicians who lack this rigor encourages clinicians to follow suit).





CONCEPTUALISING AND RESEARCHING IDENTITY IN MEDICAL EDUCATION

데이터 수집에 있어서 단 하나의 옳은 방법은 없다. 다른 모든 연구와 마찬가지로 가장 좋은 수집과 분석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모든 연구 질문이 먼저 떠오르지는 않으며, 어떤 질문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에 떠오를 수도 있다.
No single method of data collection or of analysis is ‘right’. As with any research,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the best analytical tools can only be discerned from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itself. Furthermore, not all research questions are a priori; within qualitative research, sometimes new research questions emerge as we interrogate our data.

서로 다른 접근방법은 서로 다른 데이터 수집 방법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접근법들이 근본적 이념은 다를 수 있어도 언어적, 사회적 행동을 보고자 하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다.
Different approaches will necessarily have different implications on methods of data collection. However, although each of these approaches might differ in terms of its underlying ideologies (e.g. identity as an accomplishment of interaction, as (co)constructed in interaction, as shaped by societies’ dominant discourses, as historical processes, etc.), they converge insofar as they focus on language and social action.

우리는 데이터 수집과 해석을 더 창의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One final point I wish to make in this section links with my assertion that we need to think more creatively about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2010 Jan;44(1):40-9. doi: 10.1111/j.1365-2923.2009.03440.x.

Identityidentification and medical educationwhy should we care?

Source

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Cardiff University, Cardiff, UK. monrouxelv@cardiff.ac.uk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ion is as much about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as it is about knowledge learning. Professional identities are contested and accepted through the synergistic internal-external process of identification that is constituted in and through language and artefacts within specific institutional sites. The ways in which medical students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ubsequently conceptualise their multiple identitie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ir own well-being, as well as for the relationships they form with fellow workers and patients.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some current thinking about identity and identification with the aim of highlighting some of the core underlying processes that have relevance for medical educationists and researchers. These processes include aspects that occur within embodied individuals (e.g.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dentities and how these are conceptualised), processes specifically to do with interactional aspects of identity (e.g. how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 through talk) and institutional processes of identity (e.g. the influence of patterns of behaviour within specific hierarchical settings).

IMPLICATIONS:

Developing a systematic understanding into the processes through which medical students develop their identities will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trategies, placing medical students' identification at the core of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Understand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we develop our identities has profound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entails that we adopt and develop new methods of collecting and analysing data. Embracing this challenge will provide better insights into how we might develop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facilitating their development of a doctor identity that is more in line with desired policy requirements.





(출처 : http://izquotes.com/quote/277180)




"정체성이란 그것을 가지고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떠한 행동을 하느냐의 문제이다" 

정체성확립은 스스로의 세계관을 형성해나가는 인지적, 사회적 과정이다. 또한 이것은 양방향 과정이다.

즉,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과 다른 사람에 의해서 정의되는 자신의 모습을 합병해나가는 과정이다.

어릴 적에 외부에 의해 결정된 정체성은 더 영향력이 강하고 내적인 저항이 적기 때문에, 

후에 그것이 없어지거나 변화되는 경우가 적다







INTRODUCTION

정체성은 정체성확립이라는 역동적 과정을 꾸준히 밟아갈 때 생긴다. "정체성이란 그것을 가지고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떠한 행동을 하느냐의 문제이다" 살아가면서 우리의 정체성은 모습은 끊임없이 바뀐다.
Identities are realised through the ongoing dynamic process of identification: ‘it is not something that one can have or not; it is something that one does’.2 (p 5) As we go through life, our identities are constantly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윤리적인 측면과 현실적인(practical) 측면 모두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을 갖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른사람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서는 전문직의 윤리를 내면화해야 하며, 자신감과 문직으로서의 태도를 가지고 진료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의과대학 학생들이 지식과 술기를 모두 터득했다고 하더라도 전문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를 가지기 전에는 성공적으로 의사가 되었다고 할 수 없다.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necessary for professionals to successfully embrace a professional identity both ethically and practically. Internalising professional ethics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facilitates the internal regulation of professionals.4 On a practical level, the development of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enables individuals to practise with confidence and with a ‘professional demeanour’, thereby giving others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5 So, even if medical students learn all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of them, they will find it hard to be successful as doctors until they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6

일상적인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권력관계속에서 말고 행동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정체성이 확립된다. '구성주의적' 접근에서는 정체성에서 '사회적 측면'이 가지는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심리학, 사회학, 사회언어학, 심리사회적, 사회문화적 행동적,담화적 관점을 모두 포괄한다.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 as we participate in day-to-day social activities and through the use of language and artefacts and within power relations. These ‘constructionist’ approach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within identities and have led to a range of interconnected perspectives in psychology, sociology and sociolinguistics which highlight these aspects, including the psychosocial,12–14 sociocultural,15–17 performative18 and discursive19 perspectives.





Identity matters. Who we are, and who we are seen to be, underlies much of what we do in medical education. Identity is rooted in language and inter- action and, although we conceptualise identities, they are not fixed or static. Identities are realised through the ongoing dynamic process of identification: ‘it is not something that one can have or not; it is something that one does’.2 (p 5) As we go through life, our identities are constantly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necessary for profes- sionals to successfully embrace a professional identity both ethically and practically. Internalising profes- sional ethics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facilitates the internal regulation of professionals.4 On a practical level, the development of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enables individuals to practise with confidence and with a ‘professional demeanour’, thereby giving others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5 So, even if medical students learn all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of them, they will find it hard to be successful as doctors until they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6

 

The issue of identity and identification has been a central concern within the social and human sciences for decades, yet it is rarely discussed openly within medical education

 

This is not to say that aspects of medical students’ identification have been ignored, but that when the subject has been researched and openly theorised, the process has been mainly situated within a broader health and social sciences arena.7–10

 

Over the decades, identity theorists have taken their ideas from a broad range of paradigms. For some, identity has been conceived as representing a unified internal ‘agency’ whereby identity is seen as ‘a personal, internal project of the self ’ and treated as if it is ‘something to be worked on’.11 However, although it is still present in everyday thinking of the self, this ‘internal’ view has been supplanted by the notion that identities are a product of intersubjective and external social processes.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 as we participate in day-to-day social activities and through the use of language and artefacts and within power relations. These ‘con- structionist’ approach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within identities and have led to a range of interconnected perspectives in psychology, sociol- ogy and sociolinguistics which highlight these aspects, including the psychosocial,12–14 sociocultural,15–17 performative18 and discursive19 perspectives. 






IDENTITY: A BRIEF OVERVIEW

정체성확립은 스스로의 세계관을 형성해나가는 인지적, 사회적 과정이다. 한 개인으로서, 그리고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스스로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류를 하는 것이기도 하다.
Identification comprises basic cognitive and social processes through which we make sense of and organise our human world. It includes things that go on in our minds as we create a complex 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our places in the world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collectives.20

따라서 이러한 정체성확립의 과정은 의학교육에서 핵심적이며, 의과대학생들은 학문적, 임상적 환경에서 의사가 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Thus this basic and essential process of identification is central to medical education: medical students are learning to become doctors in academic and clinical settings.



Identification comprises basic cognitive and social processes through which we make sense of and organise our human world. It includes things that go on in our minds as we create a complex multi-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our places in the world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collectives.20 This self- categorisation process occurs within a social world through interactional relationships and in the con- text of social institutions with established ways of doing things.2 Thus this basic and essential process of identification is central to medical education: medi- cal students are learning to become doctors in academic and clinical settings.






EMBODIED INDIVIDUALS

정체성확립에 대해서 가장 중요하게 가져야 할 개념은, 이것이 양방향 과정이라는 것이다. 즉, 말과 행동을 통해 스스로 생각하는 자신의 모습,  다른 사람에 의해서 정의되는 자신의 모습을 합병해나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서 스스로가 누군지를 깨달을 뿐만 아니라, '내가 아닌 것'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정체성은 '나와 다른 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과정을 통해 확립된다.
The most important concept to hold is that identification is a two-way process which occurs during the simultaneous amalgamation of self-definition (who I think I am: internal) and the definitions of oneself as presented by others (who I think you think I am: external) through language and artefacts.2,15–17 Through this self-categorisation process, we not only identify who we are, but we also say something about who we are not: identities are constructed through attending to difference.



The most important concept to hold is that identifi- cation is a two-way process which occurs during the simultaneous amalgamation of self-definition (who I think I am: internal) and the definitions of oneself as presented by others (who I think you think I am: external) through language and artefacts.2,15–17 Through this self-categorisation process, we not only identify who we are, but we also say something about who we are not: identities are constructed through attending to difference.




Primary identifications

정체성은 어린시절에 다른사람과 나를 분리하고 말을 할 수 있게 되면서 확립된다. 정체성확립이 내적-외적인 양방향 프로세스이지만 초기에는 주로 외적인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어릴 적에 외부에 의해 결정된 정체성은 더 영향력이 강하고 내적인 저항이 적기 때문에, 후에 그것이 없어지거나 변화되는 경우가 적다
Identity formation begins in early childhoo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eparation of self and significant others an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lthough identification is a two-way internal–external process, early on it is dominated by external factors.2 These early prescripted identities are therefore more authoritative and develop through weak internal responses, so rejection or modification is low: they become more accepted as how things are and more resistant to change.2 

성별이 가장 대표적이며, 성별과 마찬가지로 인종이나 사회적 지위도 마찬가지로 고정된 것은 아니더라도 나중에 성인이 되어 생긴 정체성에 비해서 잘 변하지 않는다.
Along with gender, ethnicity and social class can be considered as primary, embodied identifications which, although not fixed, may be less malleable than identities developed later in life.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결론은 초기에 형성된 정체성이 후에 형성될 정체성을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정체성을 어떻게 주관적으로 표현하느냐에 따라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One important implication here is that our unique mix of primary identities may facilitate or constrain the development of existing and newly developing identities.6 Additionally, our subjective representations of these multiple identities, how (or indeed, whether) we synergise these identities,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hese implications include the way we relate to other people (so-called ‘in-group’ or ‘out-group’ relations).



Identity formation begins in early childhoo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eparation of self and signif- icant others an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lthough identification is a two-way internal–external process, early on it is dominated by external factors.2 These early prescripted identities are there- fore more authoritative and develop through weak internal responses, so rejection or modification is low: they become more accepted as how things are and more resistant to change.2 For example, gender identity begins early, through artefacts (clothes, toys) our caregivers create a gendered identity which is responded to by others and which we embody.

 

Along with gender, ethnicity and social class can be considered as primary, embodied identifications which, although not fixed, may be less malleable than identities developed later in life. One important implication here is that our unique mix of primary identities may facilitate or constrain the development of existing and newly developing identities.6 These implications include the way we relate to other people (so-called ‘in-group’ or ‘out-group’ relations).





Identity dissonance

새로운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개인적 정체성에 통합시키는 과정이 사람에 따라 쉬울 수도 있지만 트라우마가 될 수도 있고, 이럴 때 '정체성 충돌'이 일어났다고 한다.
identity dissonance: ‘integrating new professional identities into personal identities is an easy process for people whose personal identities are consonant with their new professional role, but traumatic for those whose personal identities are dissonant with it’6 (my emphasis)

Costello는 정체성 충돌을 겪는 학생들은 감정적인 혼란을 겪으면서 스스로의 가치, 꿈, 능력, 친밀감, 자아존중감에 대해 불확실한 마음을 가지면서 바람직하지 못한 대응 기전을 만들어간다는 것을 밝혔다.
Costello6 found that students with identity dissonance experienced powerful emotional disruptions that included uncertainty about their own ‘values, ambitions, abilities, affinities, and their very self-worth’ and developed haphazard coping mechanisms.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대응 기전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These coping mechanisms included the outright rejection of the professional role (e.g. consciously dropping out of the programme), displaying aspects of identity that conflict with the professional role (e.g. inappropriatedress), and avoiding professional school-setting interactions whenever possible, and when not possible, ‘role playing’ in professional situations.

일부 연구들은 여학생들이 더 높은 수준의 불안감과, 낮은 수준의 자신감을 갖는다은 것도 보여주고 있으며, 스스로의 의과대학생으로서, 의사로서의 태도에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학생들 또한 정체성 혼란을 겪고는 한다.
Finally, some work has highlighted aspects such as female students reporting (and being independently scored for) higher anxiety and lower self-confidence than male counterparts during standardised patient interactions23 and students’ uncertainties about their own aptitude as medical students and future doctors, 24 which reflect aspects of Costello’s identity dissonance. 

일부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사로서 발전해나가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할 때, 의과대학 학생들의 정체성확립과 이것이 어떻게 스트레스나 낮은 수행능력과 관련이 되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Given that we know some medical students struggle with their developing roles as doctors, research that considers medical students’ identification and how this relates to stress and underperformance i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our curricula and to facilitate students’ identity formation.







Costello found that women, members of lower socio-demographic classes and non-Whites under- perform at professional schools and that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they suffer from identity dissonance: ‘integrating new professional identities into personal identities is an easy process for people whose personal identities are consonant with their new professional role, but traumatic for those whose personal identities are dissonant with it’6 (my emphasis).

 

Costello6 found that students with identity dissonance experienced powerful emotional disruptions that included uncertainty about their own ‘values, ambi- tions, abilities, affinities, and their very self-worth’ and developed haphazard coping mechanisms. These coping mechanisms included the outright rejection of the professional role (e.g. consciously dropping out of the programme), displaying aspects of identity that conflict with the professional role (e.g. inappro- priate dress), and avoiding professional school-setting interactions whenever possible, and when not possible, ‘role playing’ in professional situation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undertaken in medical education to directly investigate students’ emotional disrup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dentity forma- tion. However, role-playing in professional situations has been reported to represent a coping mechanism for students’ ‘shaky’ professional identities.21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medical students’ negative coping strategies for stress, including excessive alcohol usage,22 research looking at potential causes of stress have concentrated on factors such as high workloads and have predomi- nately used questionnaire methods of enquiry. Finally, some work has highlighted aspects such as female students reporting (and being independently scored for) higher anxiety and lower self-confidence than male counterparts during standardised patient interactions23 and students’ uncertainties about their own aptitude as medical students and future doc- tors,24 which reflect aspects of Costello’s identity dissonanc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identities

스스로의 다양한 정체성을 인지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It has been proposed that we structure our perception of our own multiple identities according to four different models: intersection, hierarchy, compartmentalisation, and merging. These models reflect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our multiple identities and have implications for interactions with ingroup and out-group members.13

예) Maria : Black, female and doctor. 
intersection single unique identity of a ‘Black female doctor'
- hierarchy of identities - identity as a doctor over that as a woman and over that of being Black.
dominant identity are considered in-groups. - However, because the representation is hierarchical, Maria will feel closer to other doctors who are female or Black.
compartmentalisation. - Identities are then activated within different contexts and situations. So, whilst at work Maria will identify with other doctors and will consider everyone else as out-group members.
The ability to hold a complex representation of identities will lead Maria to develop a merged in-group identity that is highly inclusive and divergent. 

'어떻게 스스로 다양한 정체성을 개념화하고 관리하는가'를 살펴보면, 의사를 어떻게 교육시켜야 하는가에 대해서 시사하는 점이 많다.
The ways in which we conceptualise and manage our multiple identities have profound implications for he education of doctors. 
정체성은 상호작용이 있는 환경에서 다르난다.
For example, identities are played out within interactional settings.One important factor that might differentiate intergroup communication from intragroup communication is individuals’ awareness of their group memberships.

다양한 정체성은 환자 진료에 있어서도 영향을 준다. 환자의 인종, 민족,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의사가 그 환자를 어떻게 인지하는지가 달라진다.
Furthermore, the ability to represent complexity within our multiple identities can have implications for patient car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patients receive variable care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race, ethnicity and socio-economic status26 and that this is associated strongly with doctors’ implicit perceptions of patients.27 

환자의 정체성 중 인종적인 면이나 민족적인 면만을 강조해서 바라보면, 문화적-사회경제적 고정관념이 강화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환자의 지적 능력에 대한 의사의 판단은 환자의 인종에 따라 달랐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Reducing patients’ identities to racial or ethnic labels in this way might facilitate cultural or socio-economic stereotyping.28 Indee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doctors’ perceptions of the intelligence of a patient vary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race.29

또한 이러한 요소들은 환자에 대한 의사의 연대감(affiliation)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factor also affects doctors’ feelings of affiliation towards patients, along with doctors’ beliefs about patients’ likelihood of adherence with medical advice, physical activity preferences and risk-taking behaviour.29,30

tolerance for ambiguity (TfA)는 SP에 대한 의과대학 학생들의 문진 태도, 환자의사 관계, 환자 만족과 연관이 있었다.
tolerance for ambiguity (TfA). Indeed,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TfA, moderated by empathy, contributes to the prediction of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with standardised patients on history taking, doctor–patient interac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over time: the higher the students’ TfA, the better they performed.31




It has been proposed that we structure our percep- tion of our own multiple identities according to four different models: intersection, hierarchy, compart- mentalisation, and merging. These models reflect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our multiple identi- ties and have implications for interactions with in- group and out-group members.13

 

The ways in which we conceptualise and manage our multiple identities have profound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doctors. For example, identities are played out within interactional settings. Communi- cation in intergroup contexts, such as multi-profes- sional team-working, also involves intragroup communication (e.g. among nursing, medical and social workers). One important factor that might differentiate intergroup communication from intra- group communication is individuals’ awareness of their group memberships. Individuals who construct their identities as complex might demonstrate dif- ferent communicative patterns within interprofes- sional team-working, such as communicating in a manner that manifests less social distance and demonstrates greater acceptance and trust.13

 

Furthermore, the ability to represent complexity within our multiple identities can have implications for patient car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patients receive variable care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race, ethnicity and socio-economic status26 and that this is associated strongly with doctors’ implicit perceptions of patients.27 In some medical settings, patients’ race is routinely included at the beginning of case presentations. Although at times this may be useful to the diagnostic process, reducing patients’ identities to racial or ethnic labels in this way might facilitate cultural or socio-economic stereotyping.28 Indeed,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doctors’ perceptions of the intelligence of a patient vary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race.29 This factor also affects doctors’ feelings of affiliation towards patients, along with doctors’ beliefs about patients’ likelihood of adherence with medical advice, physical activity preferences and risk-taking behaviour.29,30 It is therefore easy to see how the way we conceptualise our identities can unconsciously affect the way we relate to others.14






 2010 Jan;44(1):40-9. doi: 10.1111/j.1365-2923.2009.03440.x.

Identityidentification and medical educationwhy should we care?

Source

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Cardiff University, Cardiff, UK. monrouxelv@cardiff.ac.uk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ion is as much about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as it is about knowledge learning. Professional identities are contested and accepted through the synergistic internal-external process of identification that is constituted in and through language and artefacts within specific institutional sites. The ways in which medical students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ubsequently conceptualise their multiple identitie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ir own well-being, as well as for the relationships they form with fellow workers and patients.

OBJECTIVE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some current thinking about identity and identification with the aim of highlighting some of the core underlying processes that have relevance for medical educationists and researchers. These processes include aspects that occur within embodied individuals (e.g.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dentities and how these are conceptualised), processes specifically to do with interactional aspects of identity (e.g. how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 through talk) and institutional processes of identity (e.g. the influence of patterns of behaviour within specific hierarchical settings).

IMPLICATIONS:

Developing a systematic understanding into the processes through which medical students develop their identities will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trategies, placing medical students' identification at the core of medical education.

CONCLUSIONS:

Understand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we develop our identities has profound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entails that we adopt and develop new methods of collecting and analysing data. Embracing this challenge will provide better insights into how we might develop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facilitating their development of a doctor identity that is more in line with desired policy requirements.


















(출처 : http://blog.affiliatetip.com/archives/affiliate-marketing-is-not-rocket-science/)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이론이 일반적으로 '참'일수는 있지만, 특정한 상황에 대해 일반화시킬 만큼 실용적인 가치를 가지지는 못한다. 비록 그것이 참이라고 하더라도 구체적인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과학적 논의(논문 등)의 가치는 일반적인 해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가진 문제에 대해서 더 나은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논문을 읽는 것은 나와있는 해답을 맹목적으로 가져다 쓰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문제를 해결한 방식을 나의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하며,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를 생각할 수 있는 과정이어야 한다.


Richard Shillington의 데이터 분석에 대한 묘사를 빌리자면, 교육에 대한 논문은 '생각을 도와주는 것'이지 '생각을 대체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이 문제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을 하나 더 언급하고자 한다. 인지심리학에서 다루는 '약한'문제해결법와 '강한'문제해결법에 대한 것이다. 인지심리학에서의 정의에 따르면 '약한'문제해결법은 다양한 상황에 광범위하게 일반화가 가능한 대신, 특정 상황에 대한 적용가치는 떨어진다.

In order to provide another perspective on these issues, I would like to invoke a construct from cognitive psychology: the distinction between ‘weak’ and ‘strong’ problem-solving routines.25 As defined in cognitive psychology, weak problem-solving routines are those processes that are broadly generalisable to many situations, but are of limited applicable value in any particular situation.


이런 종류의 문제해결법은 많은 문제상황에 일반화시켜 적용할 수 있을지 몰라도, 특정 상황에서 무얼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반대로 '강한'문제해결법은 매우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특정되어있다.

Although it is true that this problem-solving routine is generalisable to pretty much every problem-solving situation we might encounter, from the perspective of application, it is of no practical value in helping us decide what to do next in a particular situation. By contrast, strong problem-solving routines are routines that have become highly specialised to a very specific type of problem in a very specific context


강한 문제해결법은 비록 경험에 의존하여 편견이 있을 수 있어 이로 인해 사고의 폭을 제한하며, 전문가들의 '한정된 해결방법 세트'라든가, 한 문제를 다른 문제에 대해 유사하게 적용하지 못한다 라는 이유 등으로 폄하되기도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전문가의 특징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These strong problem-solving routines are now recognised and celebrated as a hallmark of expertise, 25 although they are also identified and denigrated as ‘limits’ to human thinking in the form of ‘heuristics and biases’,26 the ‘restricted solution sets’ of experts,27 and ‘failures of analogical transfer’ from one problem to the next.28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이론이 일반적으로 '참'일수는 있지만, 구체적 상황에 대해 일반화시킬 만큼 실용적인 가치를 가지지는 못한다. 비록 그것이 참이라고 하더라도 일상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Our current theories may be generally ‘true’, but they are too generalisable to be of practical local value: even if we choose to acknowledge their ‘truth’, we still do not have a clear sense of what to do with this ‘truth’ in terms of improving the daily practice of teaching and curricular development.


또한 실용적이고 임상적으로 가치있는 결과를 내기 위한 연구를 해야 한다는 요구가 생기고 있다. 개개의 상황과 맥락마다 효과적으로 적용되어질 수 있는, 보여질 수 있는 가장 성공적인 개입방법이 가장 좋은 '강한'문제해결법일 수 있겠지만, 개개의 상황에 맞는 방법들은 잘 일반화되기가 쉽지 않다.

At the same time, relevant to the second set of debates regarding the call for research with practical, clinically valuable outcomes, it may be that the most demonstrably successful interventions can best be understood as strong problem-solving routines in that they are effectively adapted to local constraints and contexts, but, as a result, they are too deeply embedded in the local curricular context to be of much general value


이 두 가지 문제를 종합해보면, 일반화할 수 있는 교육 이론은 개개 상황에 대한 실용적인 가치를 가지기에는 너무 약하고, 너무 국소화된 문제해결법은 일반화하기가 어렵다고 할 때, 교육 문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일반화된 해결법을 내놓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Combining these two constructions of the problem of education research has serious implications for the field. If generalisable education theories are too weakly generalisable to be of local practical value, and if localised solutions are too strongly embedded in the local context to be of general practical value, we must conclude that there may be no generalis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education problems








Norcini는 상황이 가진 특수함은 '의학교육에 대한 한 가지 사실'이라고 말했다.

Norcini has been credited with suggesting that context specificity is ‘the one fact of medical education’. 8


그러나 아마 이제는 상황 특수성을 의학교육연구의 핵심적 사실로 생각해야 할 때가 된 것 같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 분야에 맞는 '과학'을 정의하고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만약 구체적 상황이 '줄일 수 없는 공변량'이라면 '복제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은 도달할 수 없는 목표이다. 따라서 의미있는 수준에서 일반화할 수 있는 해결책이 없다면 과학, 그리고 과학적 논의의 목적과 가치는 무엇이 되어야 할까?

Perhaps the time has also come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context specificity is also a core ‘fact’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If so, we as a research community must begin grappling with the definition and construction of ‘science’ for our field. That is, if local context is the ‘irreducible covariate’, if the search for ‘replicable educational programmes’ is an implausible goal, if there are no meaningfully generalisable solution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then what is the purpose and value of science and scientific discourse in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field?


이 문제에 대한 답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과학이라는 것은 흔히 부딪치는 문제에 대한 일반화가능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바라보는 더 바람직한 방법을 공유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As a start towards addressing this ques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science of education is not about creating and sharing better generalisable solutions to common problems, but about creating and sharing better ways of thinking about the problems we face.


따라서 우리의 과학적 논의(논문 등)의 가치는 일반적인 해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가진 문제에 대해서 더 나은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논문을 읽는 것은 나와있는 해답을 맹목적으로 가져다 쓰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문제를 해결한 방식을 나의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하며,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를 생각할 수 있는 과정이어야 한다.

Thus, the value of our scientific discourse (our talks and papers) will arise not from our ability to create a general solution that will apply to everyone’s problems or even our ability to solve each other’s problems, but rather from our ability to help each other think better about our own versions of the problems. Likewise, the value of reading the literature will not depend on our finding a solution that we can blindly adopt, but, rather, on reflecting on how to incorporate others’ interpretations of a problem into our own context, on what needs to be adapted to make those interpretations relevant to our context, and on why that adaptation is necessary.


Richard Shillington의 데이터 분석에 대한 묘사를 빌리자면, 교육에 대한 논문은 '생각을 도와주는 것'이지 '생각을 대체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To borrow Richard Shillington’s description of data analysis, the education literature should be ‘an aid to thinking, not a replacement for’.30


따라서 논문이나 학회 발표 등은 어떤 방식을 맹목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방식을 드러내고, 기존의 이해방식의 한계를 밝힐 수 있어야 한다.

Thus, we should not construct our papers and talks around the idea that we have an answer to some problem that others can blindly adopt. Our scientific discourse should not focus on the answers at all. Rather, it should focus on express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r on the flaws in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the problem.





교육은 이론만 만들어가는 학문이 아니며, 교육은 실천의 학문이다. 

Of course, education is not only a theory-building discipline; it is also a field of practice and, by focusing this discussion on a movement towards understanding, I do not suggest that we ignore the goal of positively affecting education practice.


교육에 대한 연구는 로켓을 만드는, 공식을 잘 만들어서 대입하기만 하면 확실하게 정의된 결과가 나오는 구조화된, 선형의 시스템이 아니다. 교육에 대한 연구는 물리학과의 유사점을 찾는다면 양자역학이나 카오스이론에 더 가까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Education research is not rocket sciencewhich is built on a structured, linear system with a straightforward set of factors which we can stick into a well-articulated formula to predict a clearly defined outcome. Rather, if we must make analogies to the physical sciences, we might do better to look to quantum mechanics and chaos theory








 2010 Jan;44(1):31-9. doi: 10.1111/j.1365-2923.2009.03418.x.

It's NOT rocket sciencerethinking our metaphors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ource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glenn.regehr@ubc.ca

Abstract

CONTEX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mmunity is struggling with a number of issues regarding the place and value of research in the field, including: the role of theory-building versus applied research; the relative value of generalisable versus contextually rich, localised solutions, and the relative value of local versus multi-institutional research. In part, these debates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community has become deeply entrenched in the notion of the physical sciences as presenting a model for 'ideal' research. The resulting emphasis on an 'imperative of proof' in our dominant research approaches has translated poorly to the domain of education, with a resulting denigration of the domain as 'soft' and 'unscientific' and a devaluing of knowledge acquired to date. Similarly, our adoption of the physical sciences''imperative of generalisable simplicity' has created difficulties for our ability to represent well the complexity of the social interactions that shape education and learning at a local level.

METHODS:

Using references to the scientific paradigms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sciences, this paper will reconsider the place of our current goals for education research in the production and evolution of knowledge within our community, and will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value of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Reorienting education research from its alignment with the imperative of proof to one with an imperative of understanding, and from the imperative of simplicity to an imperative of representing complexity well may enable a shift in research focus away from a problematic search for proofs of simple generalis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problems, towards the generation of rich understandings of the complex environments in which our collective problems are uniquely embedded.



(출처 : http://www.mikethearchitect.com/2012/02/its-not-about-complexity-its-about-simplicity.html)


19세기 물리학에서 다뤘던 고전적인 단순성과 예측가능성의 모델보다 근래에 나온 더 복잡한 구조들이 교육학적 맥락을 더 잘 묘사한다. 모든 것을 단순화시키려는 노력은, 모든 것이 서로 상호작용할 때 그 어떤 것도 '단순하지 않다'라는 문제가 있다.


현실적인 관점에서, 이 복잡성은 교육학에서의 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미있고 단순하며 일반화가능한 해결책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 교육적 영역과 다른 영역은 환경이 다르고, 맥락이 다르고, 교수-학생 관계가 다르고, 간섭하는 요소들도 달라서 서로 다른 맥락에서 예측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다.


"우리는 서로 비슷하거나 다른 아홉 개의 학교에서 이 연구를 환자 중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우리가 던진 질문보다 더 복잡한 현실만을 보여줬다." 현실은 복잡하다. 19세기 물리학을 따라서 복잡한 세계를 단순하게 만들려고 하다가는 다양성의 아름다움을 놓치게 될 것이다.





교육 커뮤니티가 암암리에 받아들인 두 번째 과학의 필수요소는 '단순함'이다.

A second, equally important imperative that our community has implicitly adopted in its model of science is the imperative of simplicity.


이러한 특징은 Bryson이 "물리는 궁극적인 단순함에 대한 연구다"라고 했던 것처럼, 초기 물리학 모델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This process is nowhere more deeply systematised than it is in the early models of science in physics. As Bryson commented: ‘…physics is really nothing more than the search for ultimate simplicity.’10


그러나 물리학조차 '단순함'의 계속 따르지는 못했다. 20세기에 원자보다 작은 수준으로 사고의 전환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특히 그러했으며 Gino Segre는 이를 "물리학의 혼의 투쟁"이라고 불렀다.

It is worth noting, however, that physics itself has not necessarily followed this path of simplicity for some time. During the 20th century, there occurred a major shift in thinking within physics that evolved with the developing field of subatomic physics. It was a shift so fundamental that Gino Segre` dubbed it ‘a struggle for the soul of physics’.20


이러한 과정에서 물리학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은 단순함으로부터 불확실성으로 옮겨갔다. 리차드 파인만의 말에서 잘 드러난다. "한 철학자가 "과학이란 같은 조건에서 같은 결과를 내는 것이다" 라고 말한 적이 있다. 하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매번 같은 조건을 구성해두어도 어느 구멍에서 전자를 발견할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Through the discovery of these and other phenomena, the basic imperative of physics shifted from the construct of simplicity to a construct of uncertainty. This new understanding of physics was perhaps best captured by Richard Feynman, who wrote: ‘A philosopher once said, ‘‘It is necessary for the very existence of science that the same conditions always produce the same results.’’ Well, they do not. You set up the circumstances, with the same conditions every time, and you cannot predict behind which hole you will see the electron.’21


이러는 동안 거시 물리학의 세계에서는 카오스 이론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초기 상태에서 매우 짧은 거리만 벗어나도 대단히 예측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카오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불안정하고 초기 상태에 대단히 민감해서 '동요(perturbation)의 기하급수적 증가'로 나타난다. 

Meanwhile, in the world of macro physics, the concept of chaos theory was being evolved to explain how certain dynamic systems can be highly deterministic (i.e. they have a clear and simple set of rules to describe their behaviour), but still be highly unpredictable just a short distance out from their initial state.22 These chaotic systems are inherently unstable because of their extreme sensitivity to initial conditions, which manifest as an ‘exponential growth of perturbations’. In short, for such systems, the simplifying assumption that ‘error’ cancels out simply does not hold. Rather ‘error’ multiplies, so the most minute deviations at the initial state manifest as massive deviations in a very short time.


이러한 '최근의' 물리학의 움직임은 교육학 영역과 유사성 갖는다.

The discoveries and descriptions found in these more ‘recent’ movements in physics have a ring of familiarity in the education domain.


19세기 물리학에서 다뤘던 고전적인 단순성과 예측가능성의 모델보다 근래에 나온 더 복잡한 구조들이 교육학적 맥락을 더 잘 묘사한다. 모든 것을 단순화시키려는 노력은 모든 것이 서로 상호작용할 때, 그 어떤 것도 '단순하지 않다'라는 문제가 있다.

These more complex constructs may be better descriptions of education contexts than the classic models of simplicity and predictability that were the organising principles of 19th century physics. The problem with trying to define everything simply is that when everything interacts, nothing is simple. 


따라서 '가정을 단순화'하고자 하는 환원주의의 목적은 달성할 수 없는 목표이다. 대신 Bryson은 '우리가 가질 수 있는건 기껏해바야 우아한 혼란일 뿐이다' 라고 했다. 아마 이것이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최선일 것이다.

So the goal of reductionism by way of ‘simplifying assumptions’ may be a chimera. Instead, as Bryson concluded about physics, ‘…so far all we have is a kind of elegant messiness’.10 And perhaps this elegant messiness is the best we can hope for


현실적인 관점에서, 이 복잡성은 교육학에서의 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미있고 단순하며 일반화가능한 해결책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 교육적 영역과 다른 영역은 환경이 다르고, 맥락이 다르고, 교수-학생 관계가 다르고, 간섭하는 요소들도 달라서 서로 다른 맥락에서 예측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다.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complexity probably indicates that meaningful, simple, generalisable findings that address common problems in education are fundamentally unachievable.14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one education domain and the next, between one education context and the next, between one student–teacher dyad and the next, and even between one interaction in a student–teacher dyad and the next may involve a set of unique perturbations sufficient to render cross-context predictions meaningless.


Howell은 'Context는 줄일 수 없는 공변량이다' 라고 했다. 이는 Haidet 등의 논문에서 잘 강조되어 있다. "우리는 서로 비슷하거나 다른 아홉 개의 학교에서 이 연구를 환자 중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우리가 던진 질문보다 더 복잡한 현실만을 보여줬다." 현실은 복잡하다. 19세기 물리학을 따라서 복잡한 세계를 단순하게 만들려고 하다가는 다양성의 아름다움을 놓치게 될 것이다.

Howell suggested that ‘context is the irreducible covariate’.23 This was highlighted wonderfully in the conclusions of a paper by Haidet and colleagues, who wrote: ‘We conducted this study to ask whether patient-centred learning environments at nine schools were substantially similar or different, both in strength and character. Our results indicate a more complex reality than the question would suggest.’24 The world is a complex and complicated place. By adopting the imperative of representing this complex and complicated world simply, in an emulation of 19th century physics, we have failed to represent the beauty and richness of variation and context.


우리가 단순하고 일반화가 가능한 해답을 얻기 위해 이 복잡함을 무시한다면, 복잡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낼 기회도 놓치는 것이다.

And we have missed the opportunity to evolve methods by which we can represent this complexity well, choosing instead to dismiss it as noise in our eagerness to achieve simple, generalisable solutions.









 2010 Jan;44(1):31-9. doi: 10.1111/j.1365-2923.2009.03418.x.

It's NOT rocket sciencerethinking our metaphors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ource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glenn.regehr@ubc.ca

Abstract

CONTEX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mmunity is struggling with a number of issues regarding the place and value of research in the field, including: the role of theory-building versus applied research; the relative value of generalisable versus contextually rich, localised solutions, and the relative value of local versus multi-institutional research. In part, these debates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community has become deeply entrenched in the notion of the physical sciences as presenting a model for 'ideal' research. The resulting emphasis on an 'imperative of proof' in our dominant research approaches has translated poorly to the domain of education, with a resulting denigration of the domain as 'soft' and 'unscientific' and a devaluing of knowledge acquired to date. Similarly, our adoption of the physical sciences''imperative of generalisable simplicity' has created difficulties for our ability to represent well the complexity of the social interactions that shape education and learning at a local level.

METHODS:

Using references to the scientific paradigms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sciences, this paper will reconsider the place of our current goals for education research in the production and evolution of knowledge within our community, and will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value of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Reorienting education research from its alignment with the imperative of proof to one with an imperative of understanding, and from the imperative of simplicity to an imperative of representing complexity well may enable a shift in research focus away from a problematic search for proofs of simple generalis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problems, towards the generation of rich understandings of the complex environments in which our collective problems are uniquely embedded.




(출처 : http://aveneca.com/yesno.html)


과도하게 근거만을 추구하게 되면 결과 중심적인 연구에만 집착하게 될 수 있다. 왜 그렇게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은 건너뛰고,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만 보려고 하게 된다. '아니오'라는 답이 나오면 자꾸 이것저것 수정만 해보고, '예'라는 답을 얻자마자 그걸로 만족해버린다.


이렇게 되면 결국 교육 연구 커뮤니티에서 우리가 공유하게 되는 정보는 마치 "각자 물건 하나씩 가져와 발표하기"처럼 되어버리며, 학습 과정과 교육 방법에 관한 범커뮤니티적 이해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효과가 있었는가?' 라는 질문보다 더 나은 질문은 언제나 존재하며, 단순히 '효과가 있다'라는 답보다 더 나은 답도 항상 존재한다. 






교육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가설 검증 패러다임'은 대단히 실용적인 방향으로 발전해서, 연구의 목적이 '노출(exposure)과 결과(outcomes) 사이에 타당한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 되었다. 특히 큰 범위에서 '근거중심의학'의 범주 안에 들어있다고도 볼 수 있는 의학교육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목적은 어떤 교육학적 개입 방법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요구하는 방향으로 더 나아갔다. Eva의 말을 빌리자면 "효과가 있다는 근거"를 찾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Yet, in the hands of education researchers, the hypothesis-testing paradigm developed in a highly practical direction,13 and the approach came to be defined less by the epistemology (the elaboration of causal theories through hypothesis testing) and more by the methodology by which the epistemology was enacted (the randomised control trial).14 With this shift, the goal of research in this tradition was reinvented as a much more practical desire ‘to establish credible links between exposures and outcomes’.15 Particularly in medical education, which has been functioning for some time in the larger context of the evidence-based medicine movement, this goal evolved further into a demand for evidence of the efficacy for education interventions, which, again as Eva has suggested, has been equated with ‘proof that something works’.9 


많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이렇게 증거를 요구하는 것은 프로그램 평가를 '총괄평가'의 특성을 갖도록 했을 뿐만 아니라, 그 개입방법이 실제로 효과가 있었는가(worked)에 대해서만 집중을 하게 만들었다. '총괄평가'를 하는 전형적인 접근 방법은 아래와 같다.

For many programme developers, this imperative of proof has led to summative models of programme evaluation and to an almost exclusive focu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intervention ‘worked’16 (i.e. whether those who received the intervention improved on a predetermined outcome measure). One implication of this summative approach to programme evaluation is that a typical process of education innovation looks something like this:



1 identify a content area that needs to be taught;

2 develop a teaching module to match the content and implement the module;

3 test to see if it ‘works’;

4 try to figure out what went wrong;

5 tweak the design and delivery;

6 test to see if it works now (if it does not, go back to step 4 or, eventually, give up), and

7 publish the success as demonstrating that the content area can be taught in this way.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의 결과는 프로그램 수정이 총체적인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우선 도입한 후 사후 짐작을 바탕으로 이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기껏해봐야 차선의 수준에서 개선이 이뤄지며, 더 흔하게는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뤄지기도 전에 폐기되기 일쑤이다.

The result of such an approach to programme development is that any iterative modifications made to the programme are based on post hoc guesses rather than on systematically collected data. Thus, programmes are, at best, improved in a suboptimal way and, more often, are abandoned before they have a chance to mature effectively through systematic and sustained innovation.17 


더 심각한 것은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든' 아니면 버려졌든, 우리는 효과가 있는지에만 집중을 했기 때문에 그 결과로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More importantly for the science of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programme ultimately ‘works’ or is abandoned, we don’t learn anything meaningful from these efforts because we are more focused on whether a programme works than on why it does or doesn’t and the implications of its ‘success’ or ‘failure’ both for our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through this understanding, for future education practices.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만이 이렇게 증거를 따지고 드는 것이 아니다. '가설 검증'의 전통을 바탕으로 이론을 연구하는  연구자들도 이론이 일반화될 수 있고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검증을 하는 대신 증거만 만들어내고자 한다. 이러한 식으로 이론적 연구를 하는 사람들은 안타깝게도 앞서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밟았던 전철을 그대로 밟는다. 

Interestingly, the limitations of having adopted an imperative of proof are not restricted to the developers. Even for those who focus on the study of theory in the hypothesis-testing tradition, there has been some gravitational pull towards producing proof of a theory rather than a test of its applicability and generalisability. Thus, for many who attempt to engage in theoretical work in the context of this imperative, a distressingly similar road to theory ‘development’ can be travelled:


1 identify a data pattern expected from the theory;

2 develop a study to demonstrate that result;

3 run the pilot subjects to see if the experimental manipulation ‘works’;

4 if it does not, try to figure out what went wrong;

5 tweak the materials and instructions;

6 test to see if it works now (if not, go back to step 4 or, eventually, give up), and

7 publish the success as demonstrating that the theory is plausible.


이 과정에서, 우리는 종종 확증편향에 빠지게 되고,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요소를 찾거나, 더 시간을 들여서 깊이 들여다보고자 하지 않는다. 다시 한번, 우리는 그 이론이 작동하는 조건만을 찾으려고 들기 때문에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그 이론이 언제 작동하고 언제 작동하지 않는지, 또는 더 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성공 / 실패에 담긴 함의가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것에는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다.

In the process, we often fall prey to the confirmation bias (i.e. if our results are predicted by our theory, then our theory must be right)13 and spend little time looking deeper into what else might explain our data or what else might be going on in our dataset. But again, importantly for the science of education, we don’t learn anything meaningful from the ultimate result because we are more focused on finding the conditions that prove our theories than we are on when they do or don’t work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our studies for our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theories we are exploring.


따라서 과도하게 근거만을 추구할 때에 지나치게 결과 중심적인 연구에만 집착하게 될 수 있다. 왜 그렇게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은 건너뛰고,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만 보려고 하게 된다. '아니오'라는 답이 나오면 자꾸 이것저것 수정만 해보고, '예'라는 답을 얻자마자 그걸로 만족해버린다.

Thus, by having adopted too completely the imperative of proof for determining the quality and value of our research efforts, we have brought about a general movement towards a ‘decision-oriented’ model of education research.17 Rather than dwelling on the questions of what is going on, we jump straight to the issue of whether it worked. We keep tweaking when the answer is ‘No’, but are satisfied as soon as the answer is ‘Yes’.


그 결과로 교육 연구 커뮤니티에서 우리가 공유하게 되는 정보는 마치 "각자 물건 하나씩 가져와 발표하기"처럼 되어버려서 학습 과정과 교육 방법에 관한 범커뮤니티적 이해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As a result, the information we share with the larger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through the talks we give and the studies we publish tends to feel more like a ‘show-and-tell’ exercise than an engaging and challenging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s 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and education practices.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효과가 있었는가?' 라는 질문보다 나은 질문은 언제나 존재하며, 단순히 '효과가 있다'라는 답보다 더 나은 답도 항상 존재한다. 다만 증거에 대한 요구가 알게 모르게 우리를 통과/실패의 이분법적인 가치만을 가장 좋은 '근거'로 생각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our education science, therefore, there is always a better question than ‘Did it work?’ and there is always a better answer than ‘Yes’. Yet the imperative of proof that underlies much of this work implicitly and explicitly values these dichotomous pass ⁄ fail questions as representing the highest form of ‘evidence’, creating one of the gravitational pulls that shape much of the work carried out in the field.









 2010 Jan;44(1):31-9. doi: 10.1111/j.1365-2923.2009.03418.x.

It's NOT rocket sciencerethinking our metaphors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ource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glenn.regehr@ubc.ca

Abstract

CONTEX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mmunity is struggling with a number of issues regarding the place and value of research in the field, including: the role of theory-building versus applied research; the relative value of generalisable versus contextually rich, localised solutions, and the relative value of local versus multi-institutional research. In part, these debates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community has become deeply entrenched in the notion of the physical sciences as presenting a model for 'ideal' research. The resulting emphasis on an 'imperative of proof' in our dominant research approaches has translated poorly to the domain of education, with a resulting denigration of the domain as 'soft' and 'unscientific' and a devaluing of knowledge acquired to date. Similarly, our adoption of the physical sciences''imperative of generalisable simplicity' has created difficulties for our ability to represent well the complexity of the social interactions that shape education and learning at a local level.

METHODS:

Using references to the scientific paradigms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sciences, this paper will reconsider the place of our current goals for education research in the production and evolution of knowledge within our community, and will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value of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Reorienting education research from its alignment with the imperative of proof to one with an imperative of understanding, and from the imperative of simplicity to an imperative of representing complexity well may enable a shift in research focus away from a problematic search for proofs of simple generalis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problems, towards the generation of rich understandings of the complex environments in which our collective problems are uniquely embedded.





(출처 : http://www.amee.org/index.asp?tm=23)



교육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을 해소시키는 역할과 실제로 교육적 향상이 있음을 입증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전통을 축적, 확립하여 오래된 지혜가 일시적인 유행에 의해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교육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capable of ‘…settling disputes regarding educational practice, …verifying educational improvements, and … establishing a cumulative tradition in which improvements can be introduced without the danger of a faddish discard of old wisdom in favour of inferior novelties’


Stanley JC, Campbell DT.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1966.





2008년 1월, Robert Slavin은 이렇게 말했다. "교육의 역사를 통틀어, 교육 프로그램은 '근거'보다는 이데올로기, 유행, 정치, 마케팅에 따라서 바뀌어왔다. 근거 중심의 정책을 펴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복제가능한(replicable)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타당하고, 해석가능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의 주장이 최근에 나온 것이긴 하지만 새로운 것은 아니다. 사실, 이미 40년 전 Campbell과 Stanley는 교육에 관한 연구는 "새롭기만 하고 열등한 것이 오랜기간 축적된 지혜를 위협하지 않는 선에서 발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근거중심의 교육과 그 근거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려는 노력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Tom Russell은 1999년 그의 책 "The No Significant Difference Phenomenon"에서 "이미 10년 전부터 나는 기술이 교육을 향상시킨다는 근거를 모으기 위한 연구를 해왔다. 내가 내린 놀라운 결론은, 엄청난 수의 연구가 있지만 그 대부분은 유의미안 차이를 보여준 것은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라고 했다. 즉, 교육자들은 스스로 난제를 만들었다. 별다른 향상을 이뤄내지 못했다고 결론을 내거나, 그렇지 않으려면 스스로를 위해서 세운 이 목표를 위해 수행한 연구들의 가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보아야 한다.


의학교육 분야 역시 이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무언가 잘못되어 가고있고, 이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지를 짚어내지 못하고 있다. 연구를 위한 과학적 모델이 있지만 이 모델을 따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연 달성하려는 목표를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지, 우리가 달성하려는 목표가 옳은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있다. 방법론적 관점에서는 여러 연구가 교육과정에 대한 개입과 장기적인 성과를 효과적으로 연결짓지 못한다는 우려가 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사람들은 광범위한 교육적 실험은 무용지물이며, 교육의 진보는 '여러 개의 작은, 잘 통제된, 여러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개입 요소의 약간의 변조(variation) 속에서도 반복적으로 증명되는' 연구에 의해서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여러 대중들의 논쟁은 교육에 있어서 '좋은'연구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쟁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자연과학에서 말하는 '타당한' 연구에 대한 은유(metaphor)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것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 번째는, 전통적인 자연과학의 '가설검증'이란 프레임이다. 이는 '증거에 대한 요구(imperative of proof)'라고도 할 수도 있다.

두 번째는, '궁극적인 단순함을 추구하는 것(ultimate search for simplicity)' 이다. 이는 '단순함에 대한 요구(imperative of simplicity)'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요구가 합쳐져서 의학교육에 '과학'이라는 것이 생겨났고, 단순하고, 일반화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 되었다.


의학교육도 점차 자연과학의 필수요소(imperatives)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게 되면서, 이는 의학교육 연구의 아젠다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종종 이러한 영향은 매우 노골적으로 의학교육연구의 '기준(standard)'를 확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가끔은 매우 소소한 부분에 영향을 줘서 의학교육 저널들은 다른 사회과학 저널들과 달리 논문의 길이를 훨씬 더 제한하고 있다. 


이렇게 노골적이든, 소소하게든, 종합적으로 봤을 때 자연과학에서 차용한 기준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 만큼은 분명해보인다.


따라서 우리 의학교육 커뮤니티가 연구의 기저에 깔려있는 '필수요소'를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교육의 과학'에 대해서 다르게 생각해 볼 수 있는 프레임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우리가 좀 더 발전적으로 대처해갈 수 있을가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격적으로 들어가기에 앞서서, 이러한 우려가 단지 '양적 연구'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님을 밝히고자 한다. Lingard가 말한 것처럼 질적 연구까지도 이 분야에 팽배해있는 인식론적인 영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단순화(simplification)에 대한 압박에 있어서 특히 더 그렇다.  따라서 양적 연구 패러다임에 대해서만 비판을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인식론적 힘이 미치고 있는 영향을 보여주기 위한 사례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2010 Jan;44(1):31-9. doi: 10.1111/j.1365-2923.2009.03418.x.

It's NOT rocket sciencerethinking our metaphors for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ource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glenn.regehr@ubc.ca

Abstract

CONTEX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mmunity is struggling with a number of issues regarding the place and value of research in the field, including: the role of theory-building versus applied research; the relative value of generalisable versus contextually rich, localised solutions, and the relative value of local versus multi-institutional research. In part, these debates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community has become deeply entrenched in the notion of the physical sciences as presenting a model for 'ideal' research. The resulting emphasis on an 'imperative of proof' in our dominant research approaches has translated poorly to the domain of education, with a resulting denigration of the domain as 'soft' and 'unscientific' and a devaluing of knowledge acquired to date. Similarly, our adoption of the physical sciences''imperative of generalisable simplicity' has created difficulties for our ability to represent well the complexity of the social interactions that shape education and learning at a local level.

METHODS:

Using references to the scientific paradigms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sciences, this paper will reconsider the place of our current goals for education research in the production and evolution of knowledge within our community, and will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value of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CONCLUSIONS:

Reorienting education research from its alignment with the imperative of proof to one with an imperative of understanding, and from the imperative of simplicity to an imperative of representing complexity well may enable a shift in research focus away from a problematic search for proofs of simple generalis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problems, towards the generation of rich understandings of the complex environments in which our collective problems are uniquely embedded.










(1) 0차 상관계수(zero-order correlation) : B+C , D+C


0차 상관계수는 두 변수간의 상관계수, 즉 Pearson 상관계수 값이다.

교육기관과 종속변인인 TV시청시간의 상관관계는 -0.612, 그리고 동거여부와 TV시청시간의 상관관계는 -0.521이다.


B+C와 D+C는 각각 교육기간과 동거여부가 Y를 설명하는 정도로서, 0차 상관계수를 제곱하면 각각 다음과 같다.

(-0.612)^2 = 0.3745

(-0.521)^2 = 0.2714


즉, 교육기간은 Y의 분산을 37.45% 설명하며, 동거여부는 Y의 분산을 27.14% 설명한다.




(2) 회귀식의 설명력 (두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Y의 분산) : B+C+D


B+C+D는 교육기간과 동거여부가 결합하여 Y를 설명하는 정도이다. 

앞의 예제에서는 '교육기간'과 '동거여부'를 투입하여 회귀분석한 결과로 얻어진 R(0.774)의 제곱값인 0.599이다.




(3) 교육기간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Y의 분산 : A+D


색깔로 표시된 부분은 교육기간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분산으로서 1-0.3745 = 0.6255이다.




(4) 편상관계수 (partial correlation) : 동거여부가 진입함으로써 설명하는 부분 : D


편상관계수는 다른 독립변수의 효과를 제거한 후(혹은 통제된 상태에서) 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이다.

여기서는 교육기간이 통제된 상태에서 동거여부와 TV시청시간의 상관계수는 -0.599이다.

D는 교육기간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분산 중 동거여부가 설명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 부분이 동거여부의 편상관계수와 관련된다.

동거여부의 편상관계수를 제곱하면, (-0.599)^2 = 0.3588이 된다. 즉 교육기간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Y의 분산 중 35.88%는 동거여부에 의해 설명된다.




(5) 부분상관계수(part correlation)


부분상관계수는 Y의 전체 분산 중 특정 변수의 순수한 설명력을 제곱한 것이다.

A+D는 Y의 전체 분산 중 0.6255이며, 이 중 동거여부가 설명하는 부분은 D, 35.88%이다.

따라서 0.6255 X 0.3588 = 0.2244이며, 이는 Y의 전체 분산 중 22.44%가 동거여부에 의해 설명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값을 제곱근한 값 sqrt(0.2244) = ±0.4737이 동거여부의 부분상관계수가 된다. 











(출처 : http://www.psmag.com/health/evidence-of-a-need-for-change-4241/)




근거중심의학(EBM)이 학부 의학교육(UGME)에 도입된지는 20년이 지났지만, 많은 의사와 레지던트들은 실제 진료에 근거를 활용하는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하다. EBM은 의학적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최신의 근거를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으로서 의료 과오를 줄이고, 개별화된 진료를 향상시키며, 최선의 진료를 하는 것과 연결된다.

Although evidence-based medicine (EBM) has been includ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GME) for more than 20 years,1 many physicians and residents lack the knowledge and skills to incorporate evidence into practice.2 EBM is the judicious use of the best current evidence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3 and has been linked to reduction of medical errors, promotion of individualized care, and increased application of best practices.4,5 


EBM의 개념이 1991년 도입된 이후로, 전세계 의과대학에서는 이를 빠르게 받아들였다. EBM을 할 수 있는 역량(Competence)은 이제 보건의료 관련 면허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Since the concept of EBM was introduced in 1991,5 it has been adopted by medical schools worldwide. Competence in EBM (also known as evidence-based practice) is now required by many health profession organizations for licensing and certification purposes.6


많은 의과대학이 EBM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있으나, 표준화되어있지 않다.

Today most medical schools include EBM in their curricula,6,7 but its implementation is not standardized.8–10


여기서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EBM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이니셔티브를 집중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We conducted this literature review to characterize educational initiatives targeting the improvement of medical students’ EBM skills






보건의료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제언

Implications for health care and related recommendations


환자 중심적 진료

Patient-centered care

2010년 법안에 따라서 정부는 상호 합의된, 근거중심 의사결정을 내리는 의사와 환자에게 돈을 지원한다. 학생들이 환자의 상황에 맞춰서 임상적 질문을 던지고, 그 근거를 환자 진료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를 가르치는 것은 많지만, 그 근거들을 놓고 환자와 함께 상의(토론)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훈련은 없다. 우리는 학생들이 환자와 근거를 공유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연습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In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of 2010, the United States committed funding to support patients and clinicians in making shared, evidence-based decisions.53 Although a handful of included interventions7,8,16,28,29,33 required students to generate clinical questions based on their patient encounters and contemplate how they might apply evidence to patients’ care, none included training on discussing evidence with patients. We suggest that medical educators consider how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sharing evidence with patients to facilitate decision making activities.


환자들이 근거의 공급원(bearer)가 되어가는 시나리오에 맞춰 준비하는 프로그램도 없었다. 최근의 연구에서 의사들은 "환자들이 인터넷에서 정보를 가져와 상의를 하는 것에 엄청난 불안감을 느낀다"라고 밝혀진 바가 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좀 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 환자가 이런식으로 정보를 가져올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는 만큼, 학생들은 환자로부터 받은 정보를 평가하고, 생산적인 대화를 통해서 학생과 의사가 그 정보에 대해 심사숙고하고, 필요한 경우 환자 진료에 포함시키는 것을 연습해야 한다.

The related scenario of the patient as the bearer of evidence was also absent from the reviewed interventions. Recent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physicians “experience considerable anxiety in response to patients bringing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to a consultation,”54 which suggests that this is an area ripe for improvement. As it is probable that patients will increasingly bring information to appointments, we recommend that medical educators train students to evaluate the evidence retrieved by patients and to engage in productive conversations in which the student and patient can reflect on the information and, if appropriate, integrate it into the patient’s care.



전자의무기록

Electronic health records. 

대부분의 개입방법이 어떻게 전통적인 정보원(PubMed 등)에서 자료를 찾는가를 다루고 있지만, 전자의무기록으로부터 정보를 모으는 방법은 다루고 있지 않다. 전자의무기록은 점차 널리 퍼지고 있고, 정보를 제공하고 경고를 띄움으로서 중요한 임상적 질문을 하도록 하는 식으로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Although all of the reviewed interventions included instruction on how to search the literature using traditional resources (e.g., PubMed), none addressed how to access information via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EHRs are becoming increasingly prevalent in medical practice, and their capabilities are improving with regard to delivering information and prompting clinical questions within the workflow via alerts and “infobuttons.”55 


따라서 이렇게 발전하는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EBM훈련이 필요하다. 

Educators therefore need to ensure that EBM training accommodates these evolving resources. For example, they may need to shift emphasis from PubMed search skills to information management skills, such that students learn to manage or triage point-of-care information presented within EHRs. Additionally, educators should seize the opportunity to use EHRs to facilitate EBM teaching.


전자의무기록의 사용은 활용가능한 정보의 종류를 확장시켜준다. 어려운 케이스가 생겼을 때 기존의 환자 정보를 근거로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방식이 지금은 '새로운' 방식이지만, 이러한 전자의무기록의 활용이 점차 많아질 것이다. 

The increasing use of EHRs may also expand the types of available evidence. Recently, a physician team at Stanford was temporarily stymied by the lack of published evidence related to the treatment of a complicated pediatric case. However, by querying the EHR system, they identified a cohort of similar patients and analyzed outcomes data to make an informed treatment decision.56 Although this is currently considered a “novel” process, such use of EHR data is likely to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2013 Jul;88(7):1022-1028.

Evidence-Based Medicine Train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Review and Critique of the LiteraturePublished 2006-2011.

Source

Ms. Maggio is director of research and instruction, Lane Medical Library,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California. Ms. Tannery is senior associate director, Health Sciences Library System, University of Pittsburgh, Pittsburgh, Pennsylvania. Dr. Chen is professor of clinical pediatrics,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r.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and 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r. O'Brien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Abstract

PURPOSE:

To characterize recent evidence-based medicine (EBM)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medical student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EBM education.

METHOD:

The authors searched the MEDLINE, Scopus, Educational Resource Information Center, and Evidence-Based Medicine Reviews databases for English-language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that featured medical students and interventions addressing multiple EBM skills. They extracted data on learner and instructor characteristics, educational settings, teaching methods, and EBM skills covered.

RESULTS:

The 20 included articles described interventions delivered in 12 countries in classroom (75%), clinic (25%), and/or online (20%) environments. The majority (60%) focused on clinical students, whereas 30% targeted preclinical students and 10% included both. EBM skills addressed included recognizing a knowledge gap (20%), asking a clinical question (90%), searching for information (90%), appraising information (85%), applying information (65%), and evaluating practice change (5%). Physicians were most often identified as instructors (60%); co-teachers included librarians (20%), allied health professionals (10%), and faculty from other disciplines (10%). Many studies (60%) included interventions at multiple points during one year, but none were longitudinal across students' tenures. Teaching methods varied. Intervention efficacy could not be determined.

CONCLUSIONS:

Settings, learner levels and instructors, teaching methods, and covered skills differed across interventions. Authors writing about EBM interventions should include detailed descriptions and employ more rigorous research methods to allow others to draw conclusions about efficacy. When designing EBM interventions, educators should consider trends in medical education (e.g., online learning, interprofessionaleducation) and in health care (e.g., patient-centered care, electronic health records).






(출처 : http://www.psmag.com/health/evidence-of-a-need-for-change-4241/)





근거중심의학(EBM)이 학부 의학교육(UGME)에 도입된지는 20년이 지났지만, 많은 의사와 레지던트들은 실제 진료에 근거를 활용하는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하다. EBM은 의학적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최신의 근거를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으로서 의료 과오를 줄이고, 개별화된 진료를 향상시키며, 최선의 진료를 하는 것과 연결된다.

Although evidence-based medicine (EBM) has been includ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GME) for more than 20 years,1 many physicians and residents lack the knowledge and skills to incorporate evidence into practice.2 EBM is the judicious use of the best current evidence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3 and has been linked to reduction of medical errors, promotion of individualized care, and increased application of best practices.4,5 


EBM의 개념이 1991년 도입된 이후로, 전세계 의과대학에서는 이를 빠르게 받아들였다. EBM을 할 수 있는 역량(Competence)은 이제 보건의료 관련 면허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Since the concept of EBM was introduced in 1991,5 it has been adopted by medical schools worldwide. Competence in EBM (also known as evidence-based practice) is now required by many health profession organizations for licensing and certification purposes.6


많은 의과대학이 EBM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있으나, 표준화되어있지 않다.

Today most medical schools include EBM in their curricula,6,7 but its implementation is not standardized.8–10


여기서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EBM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이니셔티브를 집중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We conducted this literature review to characterize educational initiatives targeting the improvement of medical students’ EBM skills






Data extraction and full-text review

To facilitate our full-text review of articles, we created a modified version of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data extraction tool for systematic reviews.17 This was available to all of us online via the Qualtrics18 survey tool and enabled us to collect information on 

• educational settings (classroom, clinical, online),

• study participants: instructor type (e.g., physician, librarian) and learner level (preclinical, clinical, both),

• EBM skills covered (four traditional steps13 plus recognizing a knowledge gap and evaluating the change in practice), and 

• teaching methods used.


We used Qualtrics18 to generate summary report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o characterize the educational interventions





Educational settings

These 20 studies presented a global sample of interventions and included 7 (35%) from the United States, 2 (10%) each from the United Kingdom and Thailand, and 1 (5%) each from Australia, China, Czech RepublicIran, Japan, Jordan, Malaysia, Nigeriaand Pakistan


Study participants

Learner levels. 

Interventions targeted medical students at all years of study. 

Six interventions (30%) were aimed at preclinical students

whereas 12 (60%) focused specifically on clinical students


Instructors

We were not able to determine the instructor’s profession from the descriptions provided in 8 (40%) of the included studies, including the online-only intervention.30 

All 12 (60%) of the articles that provided this information identified physicians as instructors, and more than half of these interventions (n = 7) also included collaborating librarians,21,26,28,32 medical educators,35 business school faculty,29 or nurses and pharmacists.25


EBM skills addressed

Each study described an intervention that addressed a combination of EBM skills: 

recognizing a knowledge gap (n = 4; 20%), 

asking a clinical question (n = 18; 90%), 

searching for literature (n = 18; 90%), 

appraising evidence (n = 17; 85%), 

applying evidence to patient care (n = 13; 65%), 

and evaluating the change in practice (n = 1; 5%).


Teaching methods

Five (25%) of the articles described a one-time educational intervention, such as a three-hour workshop designed to improve clerkship students’ clinical question formulation and literature search skills.31 

Twelve (60%) included a series of interventions occurring over a single year.


Using Khan and Coomarasamy’s20 three-level hierarchy of EB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 determined that

8 (40%) of the 20 interventions used level 1 (interactive, clinically integrated), 

8 (40%) used level 2 (interactive, classroom-based or didactic, but clinically integrated), and 

4 (20%) used level 3 (didactic, classroom-based, or standalone) methods.



Discussion

이제 EBM을 하지 못하면 대중들로부터 역풍을 맞게 되었다. 

따라서 의과대학에서 EBM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Physicians’ failure to engage in EBM has repercussions for the health of individuals and populations.4,5 It is therefore essential that medical students receive foundational training in EBM. To provide medical educators with an overview of current EBM training, which has become a common topic covered in medical education,36 we reviewed 20 recent studies describing a range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aught in a variety of settings and aimed at students at all levels of UGME.



학부 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제언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UGME


EBM을 가르치는 시기

Timing of EBM instruction

EBM을 가르치는 가장 이상적인 시기에 대한 근거는 부족하다. 하지만 이 리뷰에서는 EBM교육이 대부분 임상실습을 도는 시기에 시행된다는 것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이 시기를 선택하는 논리적 근거는 임상실습의 환경과의 연계성이 훈련의 효과를 높일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하지만, 점차 더 일찍 임상 경험을 하는 쪽으로 추세가 변하고 있고, EBM도 preclinical year의 환경에 맞춰서 더 일찍 가르쳐야 할 것이다.

There is little evidence as to the most efficacious timing for EBM instruction.37 Yet, our review confirms earlier findings that most EBM educational interventions take place in the clinical years of medical school.38,39 This timing is generally based on the rationale that the clerkship setting enhances the clinical relevance of the training.40 However, the trend toward providing students with early clinical experiences41 may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roducing EBM earlier, in the context of patient care in the preclinical years.


우리는 EBM을 임상경험의 초기에 가르칠 것을 권한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임상환경에을 처음 접하더라도 불확실성에 잘 대처할 수 있는 뼈대(framework)과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We suggest that medical educators consider integrating EBM instruction into early clinical experiences, as doing so may increase students’ self-efficacy and provide a framework that helps students deal with the uncertainty of being new to the clinical setting.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EBM훈련

Longitudinal EBM training. 

EBM훈련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흔했지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longitudinal) 교육과정을 갖춘 경우는 별로 없었다. 대부분은 짧고 집중적으로 교육되었으며, 이러한 압축된 교육환경에서는 EBM skill을 학생의 발달에 맞춰서 가르치기가 힘들다.

Although multiple exposures to EBM training were common in the studies reviewed, longitudinal curricula were lacking. In 75% of the included interventions, medical students received EBM training on more than one occasion, a practice that has been linked generally with increased learning.42 Yet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over short, intensive time periods. The compressed nature of these learning opportunities limits medical educators’ ability to successively build EBM skills across levels of student development. 


나선형 교과과정에서 학습자는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서로 다른 수준의 개념에 노출됨으로써, 앞서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험을 쌓아간다. 우리는 EBM 훈련과정을 이러한 나선형 교과과정식으로, 모든 단계의 UGME에 도입할 것을 권한다.

In a spiral curriculum43—a format that has been adopted to teach some components of medical education—learners are provided multiple, successive exposures to a concept at different levels of their development so that each encounter builds on the previous encounter.44 We suggest that integrating EBM training as a spiral curriculum across all levels of UGME may be an effective model.



다직업군적 접근법

Interprofessional approach. 

의학교육의 추세가 전문직업군간 교육을 권장하고, 여러 보건의료 전문직이 함께 근거중심 진료를 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의학교육도 전문직업군간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We identified only one intervention that included both medical students and learners from other health professions.25 Given the trend in medical education toward recommending the use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45 and the adop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by a spectrum of allied health professions, we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consider taking an IPE approach to EBM instruction.


또한 다양한 전공의 교육자를 포함시킬 것과 더불어, 이 때 교육 환경적 측면에서 교실 셋팅을 벗어나는 사고를 해 볼 것을 권고한다. (다른 전공의 전공자가 가장 자신의 교수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의 활용)

We recommend that medical educators consider including instructors from a variety of disciplines and think beyond the classroom setting when integrating multidisciplinary teachers.



능동적 온라인 학습 환경

Activ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최근, Prober와 Heath는 "의사를 가르치는 방법을 바꿀 때다"라고 하며, 강의 중심의 형태에서 온라인 학습을 중심으로 교실에서는 사례 학습과 같이 더 많은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Recently, Prober and Heath47 declared, “It’s time to change the way we educate doctors,” and advocated a shift from a lecture-based format to an active learning approach that blends online learning with more interactive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case studies.47 


의과대학생들에게 EBM을 가르치는 것에 있어서 이미 인터엑티브한 교수방법, 온라인 교육이 사용되고 있다. 온라인 형식을 활용하여 수업시간의 압박을 줄이고, 제한된 교수자원을 더 확대하고, 스케쥴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들을 더 많이 임상 현장으로 보낼 수 있다.

We found that EBM interventions for medical students are already using interactive teaching methods and online learning. Three interventions28,30,32 employed an online format to decompress classroom time, extend the reach of strained faculty resources, mitigate scheduling difficulties, and/or reach students at diffuse clinical sites.



지식의 공백

Gaps in knowledge


마지막으로 의학교육자들은 의사들이 스스로에 대한 평가를 통해, 특정한 상황에서 자신의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해야 한다.

Finally, medical educators have dedicated much attention to the physician’s ability to self-monitor, that i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one’s skill and knowledge to act in a specific situation.49,50


이러한 지식의 공백을 인지하는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EBM과정을 더 촉진시키고, 의사들로 핵심적인 질문을 던 그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Being able to identify awareness of a knowledge gap is critical, as doing so acts as the fuel that ignites the EBM process and prompts the physician to ask clinical questions and proceed through the subsequent steps


우리 리뷰와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의사들은 임상적 의문을 가졌을 때, 그 사실(의문을 가졌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에 약점을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EBM훈련을 통해 이러한 지식의 공백을 인지하는 기술을 익힐 것을 권고한다.

On the basis of our review findings, and research showing that physicians tend to be weak in recognizing when they have clinical questions,52 we suggest that all EBM training should cover the essential skill of recognizing a knowledge gap.




 2013 Jul;88(7):1022-1028.

Evidence-Based Medicine Train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Review and Critique of the LiteraturePublished 2006-2011.

Source

Ms. Maggio is director of research and instruction, Lane Medical Library,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California. Ms. Tannery is senior associate director, Health Sciences Library System, University of Pittsburgh, Pittsburgh, Pennsylvania. Dr. Chen is professor of clinical pediatrics, 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r.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and 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r. O'Brien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Abstract

PURPOSE:

To characterize recent evidence-based medicine (EBM)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medical student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EBM education.

METHOD:

The authors searched the MEDLINE, Scopus, Educational Resource Information Center, and Evidence-Based Medicine Reviews databases for English-language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that featured medical students and interventions addressing multiple EBM skills. They extracted data on learner and instructor characteristics, educational settings, teaching methods, and EBM skills covered.

RESULTS:

The 20 included articles described interventions delivered in 12 countries in classroom (75%), clinic (25%), and/or online (20%) environments. The majority (60%) focused on clinical students, whereas 30% targeted preclinical students and 10% included both. EBM skills addressed included recognizing a knowledge gap (20%), asking a clinical question (90%), searching for information (90%), appraising information (85%), applying information (65%), and evaluating practice change (5%). Physicians were most often identified as instructors (60%); co-teachers included librarians (20%), allied health professionals (10%), and faculty from other disciplines (10%). Many studies (60%) included interventions at multiple points during one year, but none were longitudinal across students' tenures. Teaching methods varied. Intervention efficacy could not be determined.

CONCLUSIONS:

Settings, learner levels and instructors, teaching methods, and covered skills differed across interventions. Authors writing about EBM interventions should include detailed descriptions and employ more rigorous research methods to allow others to draw conclusions about efficacy. When designing EBM interventions, educators should consider trends in medical education (e.g., online learning, interprofessionaleducation) and in health care (e.g., patient-centered care, electronic health records).


















(출처 : http://psychcentral.com/news/2008/09/12/train-young-physicians-on-emotional-intelligence/2927.html)

정서지능의 네 영역 

- 감정 인지, 감정 활용, 감정 이해, 감정 관리 - 

는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술의 구성요소이다.


The four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the abilities to perceive, use, understand and manage emotions — 

are building blocks for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정서지능(EI)는 스스로의 감정에 대해 인지하는 능력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인지하는 능력, 그리고 그것을 적절히 다루는 능력을 포괄한다. Payne은 공포, 고통, 욕망에 대한 EI를 분석하여 개인지능(personal intelligence)라는 용어로서 논의했다. 

Emotional intelligence (EI) is refers to an individual’s awareness on his or her own emotions, together with an awareness of the emotions in others and the ability to manage them and act appropriately. The term is usually attributed to Payne [1] who explored EI with respect to fear, pain and desire, and it was discussed in terms of personal intelligences [2] at a similar time. 


정서지능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감정을 정확히 평가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동기부여, 계획, 성취을 위해 감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 이라고 정의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념은 그 후 IQ 또는 직장에서의 우수한 수행능력과 연결되기도 했다.

A robust explanatory framework as defined as “a set of skills hypothesized to contribute to the accurate appraisal and expression of emotion in oneself and in others, the effective regulation of emotion in self and others, and the use of feelings to motivate, plan, and achieve in one's life.” [3]. The concept was then linked to IQ and superior performance at work [4-6].


EI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EI를 어떠한 특질(trait)나, 능력(ability)로 개념화한다. 특질로서의 EI(Trait EI)는 개인적 성격의 다섯 가지("Big Five")요소들과 연결된다 

Neuroticism, Agreeableness, Openness, Extra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Instruments for measuring EI include those that conceptualize EI as a trait [7], and as an ability [8,9]. Trait EI strongly correlates with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Agreeableness, Openness, Extra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10]. 


TEIQue는 네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Petrides와 Furnham은 Trait EI와 Ability EI를 구분하는 근본적인 것은 측정에 대한 접근법이라고 하였다. Trait EI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측정되며, Ability EI는 정답과 오답이 있는 시험으로서 측정된다고 하였다.

The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Questionnaire (TEIQue) [11] is composed of four factors (well-being, self-control, emotionality and sociability). Petrides and Furnham [7,11] proposed that the primary basis for discriminating between trait EI and ability EI is the measurement approach and not theoretical domains. The trait EI is measur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ereas ability EI should be measured through maximum performance tests with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이 연구 결과는 TEIQue-SF(Short Form)의 측정이 아시아 의과대학생에게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정신건강 워크숍은 의과대학생들의 EI를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었고, 성별이나 국적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정서 인지의 즉각적 효과는 특히 남학생들과 비일본인 그룹에서 두드러졌다. 장기적인 효과는 여학생들과 일본인에서 두드러졌다. 일본 여학생들은 정서(emotionality)에 대해서 특히 민감(conscious)했다. 정서 기반(emotion driven) 의사소통 훈련은 학생의 EI발달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다.

This study found the measurement of TEIQue-SF is appropriate and reliable to use for Asian medical students. The mental health workshop was helpful to develop medical students’ EI but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gender and nationality. The immediate impact on the emotional awareness of individuals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male students and the non-Japanese group. The impact over the long term was notable for the significant increase in EI for females and Japanese. Japanese female students were more conscious about emotionality. Emotion-driven communication exercises might strong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EI over a year.






 2013 Jun 7;13:82. doi: 10.1186/1472-6920-13-82.

Expressing one's feelings and listening to others increases emotional intelligence: a pilot study of Asian medical students.

Source

School of Medicine, College of Medical, Veterinary and Life Sciences, University of Glasgow, Glasgow, UK. Phillip.Evans@glasgow.ac.uk.

Abstract

BACKGROUND:

There has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Emotional Intelligence (EI)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ith respect to student selection and admissions, health and well-being and academic performance. EI is a significant component of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Theemotional well-being of the physician is, therefore, a significant component in patient care. The aim is to examine the measurement of TEIQue-SF inAsian medical students and to explore how the practice of listening to the feelings of others and expressing one's own feelings influences an individual's EI, set in the context of the emotional well-being of a medical practitioner.

METHODS:

A group of 183 international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ttended a half-day workshop (WS) about mental-health and well-being. They completed a self-reported measure of EI on three occasions, pre- and post-workshop, and a 1-year follow-up.

RESULT:

The reliability of TEIQue-SF was high and the reliabilities of its four factors were acceptable. There we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TEIQue-SF and personality traits. A paired t-test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after the WS for all students (n=181, p= .014), male students(n=78, p= .015) and non-Japanese students (n=112, p= .007), but a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one year post-worksho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for all students (n=55, p= .034), female students (n=31, p= .007), especially Japanese female students (n=13, p= .023). Moreover, 80%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more attentive listeners, and 60% agreed that they were more confident in dealing withemotional issues, both within themselves and in others, as a result of the workshop.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e measurement of TEIQue-SF is appropriate and reliable to use for Asian medical students. The mental health workshop was helpful to develop medical students' EI but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gender and nationality. The immediate impact on the emotional-awareness of individuals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male students and the non-Japanese group. The impact over the long term was notable for the significant increase in EI for females and Japanese. Japanese female students were more conscious about emotionality. Emotion-driven communication exercises might strong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EI over a year.





(출처 : http://dartmed.dartmouth.edu/fall12/html/back_to_basics/)





의학교육자들은 인지심리학, 교육심리학과 관련된 이론들을 찾아서 어떠한 학습후 행동(post-learning activities)의 특성이 기억의 장기보존(long-term retention)이나 지식의 전달(transfer of knowledge)에 어떤 정보를 줄 수 있는가를 연구해왔다.

Medical educators increasingly look to related disciplines, particularly those of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to inform the critical nature of post-learning activities with respect to, for example, long-term retention and the application or transfer of knowledge.


자기설명(self-explanation)이나 시험 강화 학습(Test-enhanced learning)과 같은 학습 기술들의 적절성이나 효과성을 다룬 연구들이 있다. Larsen등은 TEL이 SE와 비교하여 기억의 장기보존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두 방법을 혼합했을 때 효과는 어떠한지를 연구했다.

Research has aim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several learning techniques, such as self-explanation (SE) and test-enhanced learning (TEL). In this issue of Medical Education, Larsen et al.1 investigate how TEL compares with SE with regard to long-term retention and explore the added value to be gained by combining the two learning methods.


시험은 대개 평가를 위해 활용되지만, 정보의 보존을 더 높여줄 수 있고 이를 시험효과(testing effect)라고 한다. 기억의 인출(retrieval)은 이 효과의 핵심 기전이며, 기존의 지식에 대한 접근 경로를 더 강화시킨다.

Tests are usually used for assessment, but they can directly influence learning by promoting better retention of information, a phenomenon known as the testing effect.2 Retrieval, presumed to be the central mechanism mediating the effect, is seen as an active process that strengthens the pathway to the given knowledge.


기억의 인출은 지식을 능동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자기 모니터링(self-monitoring)을 하게 되고, 특정 기억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retrieval may involve the active reconstruction of knowledge3 and may induce targeted rehearsal through self-monitoring.4


또한 기억의 인출에 더 많은 노력을 쏟을수록 학습에 대한 효과도 더 높다.

it has been noted that the more ‘effort’ students put into the retrieval process, the more effect it has on learning.2,5


자기설명은 어떤 학습자료가 주어졌을 때 스스로에게 설명을 함으로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추론을 하거나 정보간 고리를 만들면서 지식의 재구조화가 일어나고 학습자는 더 일관성있고 통합된 학습을 하게 된다. 자기설명의 긍정적 효과는 다양한 영역에서 보여진 바 있고, 피드백이 없는 상태에서도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있다. 자기설명의 이러한 효과는 자기설명에 대한 훈련이 되어 있을 때나 추가적인 단서가 주어질 때 더 효과적이다.

Self-explanation involves generating explanations to oneself while working through given learning material with the purpose of deepening one’s understanding.6,7 As a result of the generation of inferences, or the creation of new links between pieces of information or prior knowledge, and monitoring, knowledge restructuring takes place, allowing the learner to build a more coherent and integrated representation that facilitates the transfer of learning.6 The positive effect of SE on learning has been shown in various domains and even in the absence of specific content feedback. The effects of SE are increased when students are trained to self-explain8 and by the addition of prompts and cues.9 


의학교육에서 자기설명은 임상실습 기간에 익숙하지 않은 케이스에 대한 진단 수행능력에 도움이 되나, 이미 익숙한 케이스에는 별 도움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설명이 강력하긴 하나, 장기적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In medical education, SE has been shown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students’ diagnostic performance on unfamiliar cases during clerkships, but not on familiar ones.10 Despite the robustness of SE, its long-term effects are unknown.


의학의 전문가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지만, 단순히 오랜 시간동안 지식을 축적하는 것 이상이다. 의사는 생의학적 지식과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 임상 지식, 질병에 대한 지식들의 상호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질병과 임상표현에 대한 일관된 심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을 가지게 된다.

Medical expertise is knowledge-based, but is much more than an accumulation of retained knowledge over time. It is characterised by complex networks in which biomedical knowledge and causal explanations, clinical knowledge, illness scripts and instances are interconnected and form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s of diseases and clinical presentations.11 


의사는 단순히 지식을 적용하거나 기존의 해답을 활용해서 문제를 푸는 사람이 아니다. 더 중요한 것은 지속적으로 변하는 환경과 개별 환자의 특성에 맞춰 해답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는 우수한 의과대학 학생들에게조차 엄청난 양의 학습을 필요로 하며, 다양한 효과적인 학습 기술을 필요로 한다.

Clinicians not only apply knowledge and solve problems using existent solutions, but, more importantly, adapt solutions to the ever-changing context and uniqueness of each patient.12 This represents a tremendous learning challenge, even for highly selected medical students, and thus a variety of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are welcome.


Larsen 등은 의학교육에 있어서 TEL과 SE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에 덧붙여서 이것들의 장기적인 효과를 언급했다. 저자는 TEL과 SE가 합해지면 교육 성과에 엄청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Larsen et al.’s study1 adds to the evidence for the long-term effects of TEL and SE in medical educa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insight into their abilities to complement one another, despite their differences. The authors observed that TEL and SE combined produced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outcome


실제로 학생들은 '시험에서 답을 할 수 있는 것은 학습자료에 있는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이해의 수준이 높은 것은 아니다' 라고 말했다. 이것은 SE가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효과적이나 익숙한 환경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In fact, students commented that ‘the ability to answer the question on a test indicated that they had sufficient knowledge of the material and giving an explanation did not add significantly to their understanding’.1 This i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SE works when it is used in unfamiliar but not in familiar contexts. 10


의학교육자로서 우리는 학생들이 목적의식이 있는 학습을 하고, 지식을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가 가진 형성평가에 TEL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시험은 반복적으로, 자주, 일정 기간을 두고 이뤄져야 한다.

As medical educators, we should pursue endeavours that provide purposeful learning and practice retriev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and use available resources efficiently. To do so, we can revisit our formative assessment practices and make sure they incorporate the critical elements that make TEL so effective. Testing should be repeated, frequent and spaced over time. 


또한 시험은 효과적인 기억의 인출과 긍정적 피드백 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의학교육자들은 실기시험과 자기설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효율성이 낮은 강조(highlighting) 반복해서 읽기(rereading), 요약하기(summarising)등의 사용은 지양해야 한다.

It should include production tests that require effortful retrieval on the part of students and provide feedback. Medical educators should promote the use of practice testing and self-explanation and discourage the exclusive use of techniques that have proven to be of low utility, such as highlighting, rereading and summarising.13


선생님으로서, 우리는 TEL과 SE에 더 익숙해져야 하며, 학생들이 학습방법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다면 같이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들 두 기술을 활용하는데는 복잡한 기술이나 학습자료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As teachers, we should become familiar with TEL and SE, and should be able to engage in discussions with students and to give advice on learning and study habits when it is required. The implementation by students of these two techniques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dvanced technologies or complex materials, and they can be relatively easy to use. 





 2013 Jul;47(7):641-3. doi: 10.1111/medu.12218.

Back to basicskeeping students cognitively active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examination.

Source

Sherbrooke, Quebec, Canada.

PMID:

 

23746152

 

[PubMed - in process]









(출처 : http://www.kirkpatrickpartners.com/OurPhilosophy/TheKirkpatrickModel/tabid/302/Default.aspx)




손에 쥔게 망치밖에 없으면, 모든 문제가 못으로 보인다. - 에이브러햄 매슬로

I suppose it is tempting, if you only have a hammer, you tend to see every problem as a nail - Abraham Maslow (1966)


'도구의 법칙'이라 불리는 위 명제는, 망치의 문제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망치에 대한 우리의 과도한 의존성을 지적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근래의 보건의료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중심의(outcomes-driven) 커크패트릭 4단계 모형은 보건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모델이다.

Known as the law of the instrument, the metaphor does not cast a poor light on the hammer, but on our over-reliance on it. This concept is currently applicable to the field of programme evaluation in health care education. Currently, the four-level, outcomes-driven Kirkpatrick model is the dominant model used to evaluate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ming.


그러나 우리는 이 한계가 뚜렷한 모델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 여기에 대해서 우리는 "이 커크패트릭 모형을 발전시켜야 할까? 아니면 우리의 '도구상자', 즉 우리의 사고를 더 확장시켜서 어떻게 복잡한 프로그램이 의도한(또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야기하는지를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할까?" 라는 두 가지 질문을 모두 해볼 필요가 있다.

However, we have become over-reliant on this limited outcomes-driven model, which leads to the query; are we to continue to improve our use of Kirkpatrick (build better hammers) or do we expand our thinking, and thus our ‘toolbox’, to understand how complex programmes work to bring about both intended and unintended outcomes?


지금까지 보건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은 수백가지가 있었지만, 네 단계를 모두 평가하는 것이 여전히 프로그램 평가의 기준처럼 생각되고 있다.

To date, the model has been used to evaluate hundreds of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mes and the measurement at all four levels is still considered the reference standard in programme evaluation.2


커크패트릭이 원래 그러한 의도로 만든 것은 아니겠지만, 이 모델은 기본적으로 인과관계를 상정한다는 한계가 있다. 각 단계의 성과가 소위 '더 높고 가치로운' 단계를 예측할 수 있다는 인과관계를 가정하는 한, 이 모델은 문제가 있다. 최근의 조직개발과 관련한 연구 결과를 보면 3단계의 성과는 훈련 그 자체보다 외부적 요인에 의해서 더 잘 예측된다는 결과가 있다.

Although not Kirkpatrick’s original intent, the model’s shortcomings lie in its conceptualisation as causal; that outcomes at each level can predict outcomes at the so-called ‘higher and more valuable’ levels. With this conceptualisation, the model is flawed. Recent work in the field of organisational development found that changes in Level 3 outcomes were better predict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training itself.3


이 모델의 한계점은 이미 잘 알려져있기 때문에, 그것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있었다는 사실도 전혀 놀라울 것이 없다. 1단계에서는 반응(reaction)보다는 동기와 참여(motivation and engagement)를 측정해야한다는 점, 1단계를 측정하는 방법이 향상될 여지가 있으며, 3단계 측정은 행동(behavior)보다는 수행능력(performance)라는 점 등이다.

Challenges with this model have been known for some time, so it is perhaps not surprising that efforts continue to improve it; arguing that Level 1 should measure motivation and engagement rather than reaction,4 methods to measure Level 1 can be improved1 and Level 3 should measure performance rather than behaviour.5


또한 이 모델을 변형한 모델도 많다.

Furthermore, variations of the model are countless


하지만 모델을 개선시키거나 적용시키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고 단계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엇갈린다.

Despite efforts to improve or adapt this model, our attempts to measure outcomes at the highest levels are mixed at best.6


의학교육 분야에 대한 최근의 담론은 왜 이것이 이러한지를 보여준다. 의학교육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시스템은 너무 복잡하고, 그래서 의학교육 연구에 대해서는 이러한 복잡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 recent convers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can shed light on why this is. It has been argued that medical education programming and the system in which it lives is complex and that we need to consider alternative paradigm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at reflect that complexity.7


1950년대에 스푸트니크호의 발사에 따라, 미국 정부는 전(全) 시스템적 교과과정의 개혁을 시도했고, 이 새로운 교과과정의 평가를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중심적 평가에 대한 노력이 실패하면서, 1960년대에 수행 평가(practice evaluate)에 대해 새로운 생각을 하게 된 분수령이 되었다.

In response to the launch of the Sputnik satellite in the 1950s, the US Government engaged in system-wide curriculum reform and created legislation that mandated the evaluation of this new curricula. 9 The failure of these outcomes-driven evaluation efforts to generate information that was useful for curriculum developers contributed to a watershed decade in the 1960s around new ways to think about and practice evaluation. 


이 때 등장한 프레임이 프로그램의 과정(process)와 성과(outcome)을 같이 측정하는 것이다. 이 프레임에서는 어떻게 프로그램이 관찰된 성과를 유발시켰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이해관계자들이 평가와 프로그램 개발을 포괄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도와주었다.

Frameworks emerged that measured both a programme’s processes and outcomes, examined how the programme worked to bring about observed outcomes and helped stakeholders make decisions about their programmes by seamlessly interweaving evaluation and programme development. 10 


프로그램 평가에서 '복잡성'에 대한 개념은 1990년대에 와서야 등장했다. Michael Patton은 "만약 인과관계 라는 것이 '모기와 모기에 물린 자국'의 관계라면,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우리의 사고는 귀인(행동의 변화가 프로그램에 의한 것인가?)에서 기여(우리가 지금 보고있는 결과에 대해서 이 프로그램은 무슨 역할을 했는가?)로 바뀌어야 한다.

The concept of complexity in programme evaluation emerged in the 1990s. Michael Patton, an advocate of complexity thinking in programme evaluation, argues, if ‘causality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squitos and mosquito bites’, then our questions in the field of programme evaluation need to shift from questions of attribution (‘can we attribute behaviour change to our programme?’ or ‘did we meet our intended outcomes?’) to questions of contribution (‘what role did our programme play in the outcomes that we are noticing?’).


여기서 주장하는 것은 커크패트릭 모델을 더 이상 사용하지 말자고 하는 것도 아니고, 도구상자에서 망치는 빼버려야 한다고 말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반대로, 더 나은 망치를 만들고 어떤 도구를 사용해야하는지 이해하자는 말이다.

This is not a plea to do away with the Kirkpatrick model, or advocating that any toolbox should do away with a hammer. On the contrary, it is about building a better hammer and understanding when you need to use one in the first place.


커크패트릭 모델은 프로그램개발의 시작 단계에서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만 의존하는 것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는 프로그램에 못할 짓을 하는 것이다.

The Kirkpatrick model can be used effectively at the start of a programme’s development, but to rely on it solely to render judgement is doing a disservice to the value programmes have to their diverse stakeholders


'이것 또는 저것'이 아니라 '이것과 저것' 이라는 말의 정신을 되살리자면,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프로그램 평가를 발전시키는 것이지, 더 나은 망치만 만들거나, 더 나은 도구상자만 만드는 것이 아니다.

In the spirit of the quote ‘it’s not either/or but both/and’, what is important to the evolution of programme evaluation is not only building a better hammer, but building a better toolbox.




 2013 May;47(5):440-2. doi: 10.1111/medu.12185.

A better hammer in a better toolbox: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of programme evaluation.

Source

Holland Bloorview Kids Rehabilitation Hospital, 150 Kilgour Road, Toronto, Ontario M4G 1R8, Canada. kparker@hollandbloorview.ca






















(출처 : http://beckerexhibits.wustl.edu/wusm-hist/modern/)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고 있는 Dr. Carl Moore (1943)


"군대화된 의과대학" 1943년 St. Louis Post Dispatch는 사진의 제목을 이렇게 붙였다.

전쟁 상황으로 인해 의과대학은 교과과정을 3년으로 축소시켰다. 

이 사진에서 의과대학생들은 모두 군복을 입고 있으며, 

이 학생들은 졸업 후 모두 군의관(army medical officer)으로 복무하게 된다.


Dr. Carl Moore lecturing to medical students in 1943
“Medical School Militarized” read the 1943 St. Louis Post Dispatch headline over this photograph. To aid the war effort, the medical school compressed its curriculum to three years. Here medical students, all in military uniform, are shown attending a lecture in the program which would graduate them as army medical officers.




기술이 발전하면서 학생들은 직접 수업시간에 출석하지 않고도 교육과 교육 자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강의녹화기술(lecture-recording technology)는 세 가지를 기록한다.

(1) 음성

(2) 파워포인트 슬라이드와 같은 시각자료

(3) 교수자


이렇게 기록된 내용은 의과대학 1학년과 2학년 학생들이 자기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도록 팟캐스트와 같은 자족적(self-contained) 학습모듈로 제공된다.

Advances in classroom technology enable students to obtain educational material without actually attending standard didactic teaching sessions (i.e., lectures). Lecture-recording technology captures up to three channels: (1) the audio content of the lecture, (2) a digital picture of the visual display, usually PowerPoint (Redmond, Washington) slides, and in some cases, (3) a video recording of the lecturer. The three channels of the lecture capture can be processed into a self-contained learning module (commonly called a podcast) that viewers—in this case first- and second-year medical students— can play back on a personal computer or other digital device.


학생들은 매 과목마다 얼마의 시간을 투자할 것인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고, 이 덕분에 학생들은 관심사에 따라 과목마다 서로 접근 방법과 장소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미국의 많은 의과대학들은 이러한 강의녹화기술의 영향력을 인식하여 학생들이 강의를 선택적으로 출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Students have control over the amount of time they spend on any one subject, and this approach also allows them to focus on different subjects in different ways and places. Many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have recognized the impact of lecture-capture technology and have responded by making student attendance at lectures optional.1


강의녹화기술은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서 학생의 학습에 대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연구들은 학생들 사이에서 이러한 방법이 제법 인기가 있음을 보여준다.

Research on lecture-capture technology has generally shown no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 learning when compared with traditional methods; however, some studies suggest that lecture-capture technology is quite popular among students.2–4


가장 흔한 교수들의 우려는 청중을 잃는 것이다. 특히 교수들은 출석률이 낮아지면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감소하여 결국 강의의 효과성이 떨어지고, 교수자의 자율권이 감소할 것을 우려한다.

The most common faculty concerns reported to date relate to the loss of an audience. Specifically, faculty fear that low attendance and reduced student–teacher interaction will have an impact on the efficacy of their teaching performance and give them less autonomy in their approach to teaching.5


학생들의 강의평가에 대한 연구는 1920년대부터 이뤄져왔다. 1970년대는 "학생 평가 연구의 황금기"라고 불릴 정도였다. 지난 90년간 연구자들은 교수자의 강의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학생들은 신뢰도와 타당성이 높은 자료원이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보여줬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동시에 강의평가결과에 교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들도 밝혀냈는데, 강의실의 크기, 강의의 수준, 학생의 기대 학점, 과목 등이 그것이다.

Research on student evaluations of college teaching is abundant, dating to the 1920s and the work of Remmers6 and colleagues from Purdue University.7,8 This rich history of evaluations includes the 1970s era, which education researchers termed “the golden age of research on student evaluations.”7 Over the past 90 years, researchers have consistently demonstrated that students serve as valid and reliable assessors of faculty teaching performance in college classrooms and lecture halls; however, investigators have also identified various factors that occasionally confound student evaluation results, including class size, level of course, the student’s anticipated grade in the course, and the subject matter or discipline.6–8


우리는 과연 학생의 출석률 또한 교란변수로 작용할 것인가가 궁금해졌으며, 특히 이 연구에서는 OSUCOM 의예과 수업을 들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출석한 학생과 팟캐스트나 다른 보조학습자료로 수업을 들은 학생을 비교했다.

we wondered whether students’ attendance at the lecture might be a confounding factor in their evaluations of facult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ow students who attended class versus those who relied solely on podcasts and other supplemental learning materials evaluated lecturers in the preclinical medical school curriculum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OSUCOM).


팟캐스트와 같이 완전히 강의 그 자체를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더라도, 사람과 사람간의 상호작용은 강의에 출석함으로서 생겨나고, 따라서 개개인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The person-to-person interaction that develops through the attendance of a traditional didactic lecture may have a different effect on individual learners compared with the reliance on other materials, even if that material includes a complete podcast of the lecture itself.


기존 연구들은 비디오로 녹화된 강의가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있어 일정 수준의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학생들의 흥미와 녹화된 강의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에 따라서 학습 습관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강의평가가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 적은 없다(not necessarily borne that out). 


다른 연구에서는 수업 외적인 학습자료가 있더라도, 그것을 얼마나 활용하느냐가 실제로 강의에 출석하는 것에는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도 보여진 바 있다. 또한 학생들의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우리의 연구 결과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비록 의학과2학년 때 약간의 감소는 있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여전히 강의에 잘 출석하고 있었다.

Previou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students find value in using video-recorded lecture material to learn.2–4 Although students’ interest and willingness to use video-recording technology may have potential ramifications on learning habits, student surveys have not necessarily borne that out.2 Other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espite the availability of external learning material, their use has not had a large impact on actual attendance in formal lecture hall venues9,10 or on student academic performance.3,11 Our data appear similar in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still attend lectures, though there may be a small decline in attendance during the Med-2 year (data not shown).




우리 연구에서는 강의에 출석한 학생들이 팟캐스트로 강의를 들은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줬다.

We found that students who attended lectures in person rated lecturer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viewed podcasts of them.





이 결과는 각 학과장들이 승진이나 테뉴어를 결정할 때 강의평가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예를 들어서 동일하게 4점을 받았더라도, 주로 강의실 강의를 한 교수와 팟캐스트 강의를 한 교수를 동등하게 보아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This finding has ramifications on how department leaders should assess lecturers and on the role evaluations should play in determining promotion and tenure. For example, two different faculty each rated a “4” on a 5-point scale by students would not be truly equivalent if one faculty was judged primarily by students who listened to a podcast lecture and the other by students attending a mandatory lecture in person. In turn, department leaders should not assess each of these faculty members in an equivalent manner.


우리 연구에서 한 교수가 통계적으로 아웃라이어(outlier)였는데, 여기에 대한 고찰이 더 필요하다.

The statistical outlier responsible for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faculty degree background (MD versus PhD) and year in medical school (Med-1 versus Med-2) deserves further elaboration.


이 교수는 다른 수업과는 달리 수업에 앞서서 완전히 다 작성된 수업 노트를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중요한 제목만 적혀있고 많은 공란이 있는 노트를 나눠줘서 강의를 하는 동안 만들어진 강의록들을 넣을 수 있게 하였다. 이 교수는 파워포인트도 사용하지 않으며, 대신 강의시간에 보고, 듣고, 기록하는 내용이 학생의 학습에 중요하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

He does not, in advance of the lecture, provide students with complete notes like those they receive in other sections of the course. Instead, they receive pages with the major headings (the topics that will be covered) and plenty of blank space on which they can copy the notes the lecturer produces (and provides via overhead projection) as he lectures. He uses no PowerPoint slides. Rather, his philosophy is that hearing, seeing, and writing the lecture material at the same time contributes to retention and aides student learning.


이 통계적 아웃라이어를 제거하고 나면 강의에 출석 여부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강의평가 점수는 PhD와 MD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Preclinical medical student의 강의평가는 기초과학 내용이 임상과학 내용과 잘 연결이 되어 있을 때 더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Once we removed the data related to the statistical outlier, we found that students tended to rate clinical faculty (those with MDs) higher than the basic scientists (those with PhDs),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or had not attended lectures. This phenomenon may reflect the nature of the content delivered by these lecturers, or it could be a subconscious, or even conscious, display of content favoritism. Previous studies of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evaluations of their courses have suggested that basic science material, when well integrated with the clinical sciences, ca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tudent evaluations of lecturers.11


또한 우리의 연구에서는 학점이 출석과는 관련이 없지만, 학점을 무엇을 받았느냐가 강의평가 점수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class grad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w students evaluate faculty, though grade does

not relate to attendance.




이전의 연구에서 더 높은 학점을 받은 학생이 강의평가를 더 제때제때 하고 교수자의 교수능력에 대해서 더 실질적인 코멘트를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tudents who receive higher grades tend to complete their faculty evaluations in a more timely manner and offer more substantive comments about the lecturers’ performance.12


교수들이 학생에 의해서 평가를 받을 때, 학생들의 출석여부가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수에 대한 평가가 승진이나 테뉴어 심사에 적용될 때 특히 더 중요할 것이다. 특정한 교수자-학습자 관계에 촛점을 맞추기보다 강의가 강의실의 수업을 넘어서까지 효과를 미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의과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다.

When faculty are being evaluated by students, the students’ attendance at in-person teaching events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This accounting may be of particular importance when faculty are being evaluated by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Focusing instead on specific teacher–learner relationships and their effectiveness outside the classroom may prove to be a better gauge of medical educator quality.




 2013 Jul;88(7):972-977.

The Impact of Lecture Attendance and Other Variables on How Medical Students Evaluate Faculty in a Preclinical Program.

Source

Dr. Martin is assistant professor of clinical internal medicine,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and associate director, Integrated Pathway Curriculum,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lumbus, Ohio. Mr. Way is senior research associate, Center for Education and Scholarship,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lumbus, Ohio. Ms. Verbeck is curriculum coordinator, Med-1 Integrated Pathway,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lumbus, Ohio. Dr. Nagel is professor of clinical internal medicine,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and education resource specialist, Center for Education and Scholarship,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lumbus, Ohio. Dr. Davis is assistant professor of clinical internal medicine,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and assistant dean for student life,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lumbus, Ohio. Dr. Vandre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Physiology and Cell Biology, and director, Integrated Pathway Curriculum,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lumbus, Ohio.

Abstract

PURPOSE:

High-quality audiovisual recording technology enables medical students to listen to didactic lectures without actually attending them. The authors wondered whether in-person attendance affects how students evaluate lecturers.

METHOD: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faculty evaluations completed by first- and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uring 2009-2010. Lecture-capture technology was used to record all lectures. Attendance at lectures was optional; however, allstudents were required to complete lecturer evaluation forms. Students rated overall instruction using a five-option response scale. They also reported their attendance. The authors used analysis of variance to compare the lecturer ratings of attendees versus nonattendees. The authors included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year of student, student grade/rank in class, and lecturer degree-in the analysis.

RESULTS:

The authors analyzed 12,092 evaluations of 220 lecturers received from 358 students. The average number of evaluations per lecturer was 55. Seventy-four percent (n = 8,968 evaluations) of students attended the lectures they evaluated, whereas 26% (n = 3,124 evaluations) viewed them online. Mean lecturer ratings from attendees was 3.85 compared with 3.80 by nonattendees (P ≤ .05; effect size: 0.055). Student's class grade and year, plus lecturer degree, also affected students' evaluations of lecturers (effect sizes: 0.055-0.3).

CONCLUSIONS:

Students' attendance at lectures, year, and class grade, as well as lecturer degree, affect students' evaluation of lecturers. This finding has ramifications on how student evaluations should be collected, interpreted, and used in promotion and tenure decisions in this evolving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출처 : http://www.massgeneral.org/education/internship.aspx?id=38)

“My mentor has been a great role model for a career in research as a physician-scientist. The match process worked so well for me that I selected her to serve on my PhD thesis committee. I greatly appreciate the URM mentorship program’s guidance and networking opportunities, which have contributed to my success as a medical student.”José Alemán, HMS Class of 2009



멘토쉽은 의학(의료)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Mentorship is a key compon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academic medicine


비공식적(informal)멘토링이 있고, 공식적(formal) 멘토링이 있다.

Informal mentoring occurs spontaneously, as mentors and mentees form a successful relationship built on shared interests and interpersonal chemistry.1 Formal mentoring develops around a systematic infrastructure that aims to replicate the effect of informal mentoring.1


멘토링을 활용하는 정도는 사람마다, 기관마다 차이가 있어서 19%와 84%까지로 다양하다. 1966년부터 2002년까지의 연구를 분석한 리뷰 논문에서 의과대학생과 의사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수련 기간이 종료되고부터는 점차 줄어든다고 보고된 바 있다.

The prevalence of mentoring in academic medicine varies: Between 19% and 84% of clinical faculty members reported currently working with a mentor in a recent review.2 A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66 through 2002 that describes mentoring programs for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suggests that mentoring becomes less common once formal training is complete.3


이 논문의 목적은 (1)지난 리뷰논문 이후로 발표된 논문을 찾고 (2)그 논문들에서 다룬 멘토링 프로그램의 목적과 핵심 요소들을 정리하고 (3)각 모델과 요소에 따른 장점을 요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our aims were (1) to identify articles published since the last review on this topic (i.e.,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0) that describe models for mentoring programs for physicians in practice, (2) to describe the objectives and core components of these programs, and (3) to summarize the relative benefits of each model and their elements


Mentoring models

일곱가지 멘토링 모델이 있다.

Dyad : 1대1. 가장 전통적인 형식

Peer : 동료. 비슷한 나이, 경험, 등수(rank)의 멘토.

Facilitated Peer : 시니어 멘토에 의해서 관리되는 Peer cohort

Speed : 멘토와 멘티가 멘토링 관계를 맺기에 앞서서 10분간의 짧은 시간동안 하는 것

Functional :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멘토링

Group : 그룹

Distance mentoring : 원거리


Seven mentoring models were described in the reviewed articles: dyad, peer, facilitated peer, speed, functional, group, and distance mentoring. The traditional dyad, pairing a mentee with a more senior or more experienced mentor, was most common and was the only model in place for nine programs.5–7,9,10,17,18


Dyad 모델의 변형으로 functional mentoring과 speed mentoring이 있다.

Variations of the dyad model, functional mentoring and speed mentoring, were also described. 

The functional mentor was paired with a mentee to provide guidance for a specific project.15

Speed mentoring was a one-time event with mentees and mentors paired for 10-minute periodsto initiate mentoring relationships.14



피어 멘토링 모델만을 사용한 논문도 있다. 이 중 한 연구에 참여했던 멘티들은 Top-down형식의 멘토링이 아니어서 좋았다고 응답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피어 멘토링에는 투자해야 할 것은 시간과 헌신적인 자세 뿐이라는 사실에 만족해했다.

Two articles described the use of only the peer mentor model, through which groups of individuals similar in age, experience, and rank mentor one another.11,19 Mentees in one of these studies favored that program development did not occur in a topdown fashion.19 The other group felt that peer mentoring is especially beneficial in areas with fewer resources because peer support requires nothing more than time and commitment.11


로컬 멘토가 부족한 점을 다른 기관의 시니어 멘토와의 협조를 통해서, 즉 피어 멘토링과 원거리 멘토링을 활용하여 극복한 사례도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일대일, 피어, 원거리 멘토링을 혼합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One program overcame the scarcity of local mentors by collaborating with a senior mentor at another institution, a combination of peer and distance mentoring.16 Another employed dyadic, peer, and distance mentoring with the mentees supported by a peer mentor (i.e., a colleague close in academic rank to the mentee), a local mentor (i.e., a medical faculty mentor from the same institution as the mentee), and a distance mentor (i.e., a mentor from outside the mentee’s institution).12


Program objectives

멘토링 프로그램의 목적은 다양했는데, 특정한 목적에 따라 디자인 된 것도 있었고, 좀 더 종합적인 목적에 따라 디자인 된 것도 있었다. 가장 흔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전문성과 직업 개발 professional or career development,5,7–9,11,12,16,17 

(2) 학문적 영역 academic success,6,8,10,13 

(3) 네트워킹 networking,6,7,10,14,16,19,20 and 

(4) 교수 잡아두기 faculty retention.10,12

Program objectives varied widely. Some programs were designed to meet specific needs, and others were designed to be more comprehensive. The most common global objectives of mentoring programs were (1) professional or career development,5,7–9,11,12,16,17 (2) academic success,6,8,10,13 (3) networking,6,7,10,14,16,19,20 and (4) faculty retention.10,12



Program components

이 리뷰는 성공적인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요소들을 밝히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We undertook this review to determine the components that build successful, formal mentoring programs. The term “formal” in this context indicates that the articles described a recognized infrastructure for mentoring


일곱 개의 핵심 요소들은 아래와 같다.

Although the 16 articles varied in the degree to which they described systematic components, we identified seven key components across multiple programs as detailed below.


Mentor preparation

준비된 멘토

As an element of organizational readiness, several programs addressed mentor preparation.5,9,10,12,18 Llewellen-Williams and colleagues12 developed a Mentor Readiness Inventory and found that mentors desired both retraining to enhance their teaching skills and instruction on, specifically, how to mentor.


Planning committee. 

멘토링 설계 위원회

Several programs were overseen by a team or committee.10,15,17,18 Committee members included faculty15,17 and “senior department managers.”17 Committee responsibilities included pairing mentees and mentors,15,18 program oversight and design,17 program monitoring and intervention as needed,15 evaluation and data interpretation,17 and assurance of program effectiveness.17


Contracts

계약 및 계약서

Several programs drew on written mission statements or contracts.5–7,10,11,13,16


Pairing mentors and mentees.

멘토와 멘티 짝짓기

Of the 10 programs with paired mentee–mentor dyads, 4 allowed mentees to choose their mentors,6,9,10,17 rather than the more traditional pairing of mentors and mentees by an external party. Most mentees chose mentors within their own academic section or department.17


Mentoring activities.

멘토링 활동

A minority of reviewed programs were structured around a single activity, such as speed mentoring14 or group mentoring sessions during a national professional conference.20


정기적인 미팅이 가장 흔한 형태의 멘토링 활동이었다.

Regular meetings between mentors and mentees or among peer mentors were the most common mentoring activity.


Formal curricula for mentees.

멘티를 위한 공식적 커리큘럼

A formal training element for mentees was described as part of three programs.11,13,15 Curricula topics included career development,11,15 research,11,13,15 teaching,11,15 and clinical practice.15


Program funding and participant compensation.

참여에 대한 보상

The funding for mentoring programs came from both external5–10 and internal10–12,19sources.



Evaluation and outcomes

멘토링 결과를 평가한 프로그램을 보면, 대부분은 멘티로부터 자료를 수집했으며, 일부는 멘토에게 자료를 수집했다. 데이터 수집은 수로 설문조사로 이루어졌고 면접이나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도 사용되었다.

Of the programs that evaluated results, most gathered data from mentees6–8,13–19; fewer also collected data from mentors.6,10,14,15,17,18,20 Data collection was predominantly by survey,7,8,10,13–18,20 though program leaders also used participant interviews6,8 and focus groups6,18,19 as means of collecting data


Barriers to program development

멘토링의 장애물에 대해서 언급한 논문의 저자들은 거의 없었다. 정해진 시간이 없는 멘토링 프로그램에서는 대부분의 멘티들이 멘토의 시간 여유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꼽았다. 정해진 시간이 없는 것은 프로그램 구성이나 멘토 모집에 장애물로 작용한다.

The authors of the articles we reviewed seldom mentioned barriers to developing mentoring programs. In a mentoring program with no protected time, most mentees felt that mentors’ lack of time was detrimental to the program.18 Lack of protected time was also identified as a barrier both to program organization6 and to mentor recruitment.20


Integration with previous research

Buddeberg-Fischer와 Herta의 리뷰에서는 학생 뿐만 아니라 의사를 대상으로 한 멘토링도 포함되어 있다. 의사에 대한 멘토링은 교수개발로부터 출발하였다. 우리가 밝힌 것은, 일부 멘토링 프로그램이 여전히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속한 형태로 남아있긴 하지만, 지금은 독립적인 형태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Buddeberg-Fischer and Herta’s3 review of the mentoring literature between 1966 and 2002 included programs for physicians—both in practice and in training—as well as medical students. They found that mentoring for physicians emerged from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our review revealed that, although some mentoring programs remain embedded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stitutions now support and implement independent mentoring programs as such


우리의 리뷰에 따르면 일대일 멘토링이 남아있고, 가장 흔히 사용된다. 전통적인 일대일 멘토링에서 멘티가 멘토를 고를수 있게 하는 것은 상당히 좋은데, 이같은 "윗사람 관리(managing up)"는 멘티를 더 주도적으로 만들어서 멘토링이 좀 더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In our review the dyad mentoring relationship remains, as it was in the last 35 years of the 20th century, the most frequently described model. Allowing mentees to choose mentors in the traditional dyad model is highly valued.15,21 In the business world, this practice of “managing up” has encouraged mentees to take control of the mentoring relationship which helps ensure mentee success.21


이 리뷰에 따르면 멘토는 멘토로서 역할을 훈련받게 된다. 지난 리뷰에는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지난 리뷰나, 이 리뷰의 한계점은 대부분 연구들이 기술적(descriptive)이고, 지역적(local)이며, 주관적(subjective)이고, 입증이 어렵고(unvalidated), 그리고 표준화된 평가 형식이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개개의 프로그램에 따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기가 어렵다.

Our review indicates that mentors are now trained to perform their role in some programs; such training was completely absent according to the last review. A weakness noted previously2,3 and persisting through the articles we reviewed is that reported results remain mostly descriptive, local, subjective, unvalidated, and without standardized evaluative metrics, such that no conclusions can be made regarding the effect of individual program components on mentoring outcomes.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멘토의 수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전통적인 일대일 방식보다는 peer 또는 facilitated 모델이 효과적일 수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적절한 지원은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며, 시간적으로 제한되거나 정해진 시간이 없는 상황은 멘토링 프로그램에 장애물로 작용한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위한 정해진 시간이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 그 참가자들은 기관(조직)이 멘토링을 제대로 하고 있다고 받아들인다. 또한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은 멘토링 관계를 좀더 확고하게 만들어서 mission statement를 사용하거나 signed agreement를 활용하는 것이 멘토링 관계에 책임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In settings with limited mentors, peer and facilitated models help extend available resources and benefit more mentees than would be possible with the traditional dyad model. Adequate support for the mentoring program is a key ingredient to success because sustaining mentoring activities without support is difficult.10 Limited or unprotected time was often cited as a barrier to program development. Participants with protected time viewed this commitment from their institutions as a sign of acceptance for mentoring.15 Lastly, although other reviews have noted that contracts may make the mentoring relationship inflexible,22 the use of mission statements to set boundaries and of signed agreements to enforce accountability to mentoring relationships may be helpful.5–7,10,11,13,16


Going forward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평가이다. 대부분은 주관적이고, 특정한 주제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로컬 프로그램에 대해서 단기적 성과만 보고 있다. 기관간 연구를 촉진하고, 연구를 더 일반화 시키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에서 Berk 등은 멘토링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설문지를 만들었다.

Program evaluation for the most part, however, remains largely subjective or focused on specific, local program aims and short-term results. Standardized metrics would facilitate cross-institution research and enhance generalizability. To this end, Berk and colleagues25 developed two questionnaire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mentoring relationship by evalu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mentor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the mentoring relationship


또한 멘토링이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 성과를 조사하고 보고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Additionally, given the likely longitudinal effects of mentoring on individuals’ careers, examining and reporting longterm outcomes is essential.




 2013 Jul;88(7):1029-37. doi: 10.1097/ACM.0b013e318294f368.

Mentoring programs for physicians in academic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Source

Dr. Kashiwagi is assistant professor of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Dr. Varkey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Medicine, and associate chair, Department of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Dr. Cook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Office of Education Research, College of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Abstract

PURPOSE:

Mentoring is vit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edicine, influencing career choice and faculty retention; thus, the authors reviewed mentoring programs for physicians and aimed to identify key components that contribute to these programs' success.

METHOD:

The authors searched the MEDLINE, EMBASE, and Scopus databases for articles from January 2000 through May 2011 that describedmentoring programs for practicing physicians. The authors reviewed 16 articles, describing 18 programs, extracting program objectives, components, and outcomes. They synthesized findings to determine key elements of successful programs.

RESULTS:

All of the programs described in the articles focused on academic physicians. The authors identified seven mentoring models: dyad, peer, facilitated peer, speed, functional, group, and distance. The dyad model was most common. The authors identified seven potential components of a formal mentoring program: mentor preparation, planning committees, mentor-mentee contracts, mentor-mentee pairing, mentoring activities, formal curricula, and program funding. Of these, the formation of mentor-mentee pair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in published reports. Mentees favored choosing their own mentorsmentors and mentees alike valued protected time. One barrier to program development was limited resources. Written agreements were important to set limits and encourage accountability to the mentoring relationship. Program evaluation was primarily subjective, using locally developed surveys. No programs reported long-term results.

CONCLUSIONS:

The authors identified key program elements that could contribute to successful physician mentoring. Future research might further clarify the use of these elements and employ standardized evaluation methods to determine the long-term effects of mentoring.







(출처 : http://myfertilitychoices.com/2013/01/fertility-treatments-may-increase-the-risk-of-birth-defects/)




"특정 계절에 임신이 된 아이가 더 건강하다"라는 믿음은 불가사의한 명제였다. 

최근, 과학자들이 이 이상한 현상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왜 그러한지도 알아낸 듯 한다.


5월은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지 않은(unfavorable)계절임이 드러났다. 

5월에 임신이 된 아이들은 조산(born premature)의 가능성이 13% 더 높고, 임신주수도 평균 이하였다. 

출생시 저체중과 미숙아는 여러 건강 문제와 연결이 된다 - 면역계, 시력, 청력, 인지 발달 등등. 

이러한 차이가 그 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1월에서 5월 사이에 임신이 된 경우 임신 주수가 평균보다 1주정도 감소했다가, 

6월에 임신이 된 아이에서 다시 급격하게 평균으로 회복된다.


출생시 체중만 따지자면, 여름이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6월에서 8월 사이에 임신한 여성이 임신기간동안 체중이 가장 많이 늘었고 

평균적으로 다른 달에 임신한 아이보다 8g 정도 더 무거운 아이를 출산했다.



(출처 : http://news.sciencemag.org/sciencenow/2013/07/the-best-season-to-get-pregnant.html?ref=hp)














"특정 계절에 임신이 된 아이가 더 건강하다"라는 믿음은 불가사의한 명제였다. 최근, 과학자들이 이 이상한 현상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왜 그러한지도 알아낸 듯 한다.

It almost seems like a mystical correlation. Babies conceived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appear healthier than those conceived during other times. Now, scientists have shown that the bizarre phenomenon is actually true—and they think they may know why it happens.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던 콜럼비아 대학의 경제학자 Douglas Almond는 "이미 오래 전에 행해졌어야 할 분석이다"라면서, "움직일 수 없는 증거(smoking gun)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전의 근거보다는 훨씬 더 강력한 것이 사실이다"라고 했다.

The work is "a really long-overdue analysis," says economist Douglas Almond of Columbia University, who was not involved in the study. "This is maybe not quite a smoking gun," he says, "but it's much stronger than the previous evidence."


1930년대 이전까지는, 연구자들은 겨울에 태어난 아이가 후에 더 많은 건강 문제를 가지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성장이 느리고, 정신장애가 있고, 일찍 죽는 것 등) 그 당시 제시된 설명 중 하나는 겨울에는 질병, 기온, 공기오염 정도 등의 조건이 더 나쁘기 때문에 산모와 아이가 더 취약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경제학자들은 인구학적으로 살펴보았고, 조금 더 복잡한 문제들이 걸려있다는 것을 알았다.

백인이 아니고, 결혼을 안한,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여성(산모)들의 아이가 건강과 발달 장애가 있을 확률이 높았다. 또한 그러한 아이들은 1년 중 6월 이전에 임신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 때문에 계절적인 영향으로부터 사회경제적 영향을 배제하는 것은 어려워보였다.

As early as the 1930s, researchers noticed that children born in winter were more prone to health problems later in life: slower growth, mental illness, and even early death. Among the proposed explanations were diseases, harsh temperatures, and higher pollution levels associated with winter, when those expectant mothers and near-term fetuses might be most vulnerable. But recently, as economists looked at demographics, the picture got more complicated. Mothers who are nonwhite, unmarried, or lack a college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have children with health and developmental problems.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conceive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at made it hard to tease out the socioeconomic effects from the seasonal ones.


이 오래된 문제를 위해 새로운 접근 방법을 시도했고, 1994년부터 2006년까지의 출생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서 한 부모로부터 태어난 자녀들만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계절적 요인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가 최근 PNAS에 발표되었다.

Economists Janet Currie and Hannes Schwandt of Princeton University took a new approach to resolving this long-standing question, using data from the vital statistics offices in New Jersey, New York, and Pennsylvania about births between 1994 and 2006. To control for socioeconomic status, their study looked only at siblings born to the same mother. And lo and behold, seasonal patterns persist, they report online today in the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5월은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지 않은(unfavorable)계절임이 드러났다. 5월에 임신이 된 아이들은 조산(born premature)의 가능성이 13% 더 높고, 임신주수도 평균 이하였다. 출생시 저체중과 미숙아는 여러 건강 문제와 연결이 된다 - 면역계, 시력, 청력, 인지 발달 등등. 이러한 차이가 그 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1월에서 5월 사이에 임신이 된 경우 임신 주수가 평균보다 1주정도 감소했다가, 6월에 임신이 된 아이에서 다시 급격하게 평균으로 회복된다.

May is the most unfavorable time to get pregnant, the study finds. Babies conceived this month (and thus delivered in winter) were 13% more likely to be born premature, and their gestation time was almost a week below the average, Currie and Schwandt report. Because low birth weight and prematurity have been linked to diverse health problems—weaker immune systems, poorer vision and hearing, and slower cognitive development—this variation could help explain differences later in life. The study found that for conceptions between January and May, gestation length declined by about a week before shooting back up to average length in June.

출생시 체중만 따지자면, 여름이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6월에서 8월 사이에 임신한 여성이 임신기간동안 체중이 가장 많이 늘었고 평균적으로 다른 달에 임신한 아이보다 8g 정도 더 무거운 아이를 출산했다.

In terms of birth weight, summer was the best time to conceive. The team found that mothers who conceived from June through August gained more weight during their pregnancies and gave birth to infants who were, on average, about 8 grams heavier than in other months.

연구자들은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자료를 확인하여, 임신주수가 감소하는 시기가 대부분의 환자가 독감과 유사한 증상(flu-like symptom)으로 병원을 찾는 기간과 근접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2009년 H1N1 인플루엔자가 다른 해에 비해서 2개월 정도 일찍 유행했을 때, 임신주수가 감소하는 시기 역시 더 빨라졌고 더 드라마틱해졌다. 연구자들은 독감(flu)이 출산을 앞당겼다고 주장한다. "이 근거를 보면 임신한 여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맞아야 합니다"

The researchers then looked t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ata and found that the annual dip in gestation length closely aligns with the time when the most patients visited the doctor for flulike symptoms. In 2009, when the H1N1 pandemic struck about 2 months earlier than a typical flu season, the dip in gestation time came earlier, too, and was more dramatic. Currie and Schwandt suggest that flu could cause mothers to deliver early. "I think it really gives support to the idea that pregnant women should be vaccinated for flu," Currie says.


산모-태아를 전문으로 하는 Hyagriv Simhan은 "임신 기간에 있어 며칠의 차이는 작지만, 중요하다."라고 했다. 또한 한 달 이내의 수준에서 조산으로 태어난 아이들의 대부분이 심각한 건강 문제를 겪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규모 인구집단 수준에서 이 영향력은 크다고 말한다. 독감과 조산의 관계를 연구한 Simhan은 독감은 신생아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긴 하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라고 한다. 예컨대 비타민D 레벨이 태아의 발달에 중요할 수 있다.

A few days' difference in gestation length is small but significant, notes Hyagriv Simhan, a maternal and fetal doctor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in Pennsylvania who was not involved in the work. Although babies born less than a month premature don't usually face significant health costs, he says that the difference is meaningful when averaged over a large population. Simhan, whose own research has suggested a link between influenza and early delivery, says that flu is a likely factor in newborn health, but not the only one. For example, he notes, vitamin D levels that dip at important points in fetal development could also be important.




Within-mother analysis of seasonal patterns in health at birth

  1. Hannes Schwandt
  1. Edited by Kenneth W. Wacht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and approved June 4, 2013 (received for review April 22, 2013)

Abstract

A large literature describes relationships between month of birth, birth weight, and gestation. These relationships are hypothesized to reflect the causal impact of seasonal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recent work casts doubt on this interpretation by showing that mother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give birth in months that are associated with poorer birth outcomes. Seasonality in the numbers of conceptions in different months can also induce a mechanical correlation between preterm birth and month of birth. This paper analyzes the seasonality of health at birth using a large sample of 647,050 groups of US siblings representing 1,435,213 children. By following the same mother over time, we eliminate differences in fixed maternal characteristics as an explanation for seasonal differences in health at birth. We find a sharp trough in gestation length among babies conceived in May, which corresponds to an increase in prematurity of more than 10%. Birth weight conditional on gestation length, however, is found to be strongly hump-shaped over the year, with 8–9 additional g for summer conceptions. We examine several potential mechanisms for explaining seasonality in birth outcomes that have generally been dismissed in the literature on seasonality in rich countries, notably disease prevalence and nutrition. The May trough in gestation length coincides with a higher influenza prevalence in January and February, when these babies are nearing full term, whereas the hump shape in birth weight is associated with a similar pattern in pregnancy weight gain.











  • Standardization
    • 면허법은 미국 의학교육에 가지 영향을 주었다.
      (1)우선 면허법이 생김으로서 proprietary school 사라졌다.
      (2)면허법이 생김으로써 남아있는 university school 사이의 의학교육 표준화를 이뤘다.
      • State law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반대하는 학교도 딱히 어쩔 방도가 없었다. MS 그들이 만들어낸 커다란 시스템이라는 규칙 속에 갇히게 것이다.
    • WWI동안, 그리고 1920년대에, 지금까지도 그러하듯, state laws 주마다 무척 다르다.
      • 그럼에도 AAMC AMA recommendation이라는 공통적 표준 아래 있는 전체적으로는 균일한 방향으로 밖에 없었다.
    • 표준화는 무척 필요한 것이었다. 20세기 초에 의료(physician's service) 대한 요구는 엄청나게 높아져있었다. 또한 교통의 발달하면서 의사들은 점차 수련받은 곳과 다른 곳에서 진료를 하게 되었다. 여기서 생긴 문제는 바로 " 의사가 믿을 사람인가를 어떻게 있는가?"였다.
      • 만약 어떤 의대 졸업생이 의대를 졸업한 다른 지역으로 간다고 했을 , 그의 역량이나 실력을 증명해줄 것이 필요했다.
    • 새로운 면허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었다. 대중들에게 있어서 Medical license 의사가 어디서 학교를 다녔는가와 무관하게 그의 실력을 증명해주는 것이었다.
      • "island communities" into and integrated, cohesive nation
    • 면허법은 의사의 질에 대한 신뢰를 부여했다.
    • 영역에서 state boards 경직성이 드러난다.
      (1)하나는 커리큘럼과 관련된 문제이다. Competence 증명하기 위해서 state board 과목에 대한 최소 시간을 정해야 했다.
    • (2) 번째는 번째와 비슷한 것인데, 학교들이 개개 학생의 요구와 흥미에 이상 맞춰주지 못하게 것이다.
      • "The great complaint of the good student is coercion"
    • (3) 번째는 medical training 기간과 관련한 문제이다. 모든 학생이 동등한 능력을 가진 것이 아님에도 대부분 동일하게 4년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 1세대 미국 의학교육자들은 독일인의 교육에 대한 "liberty" 개념에 감명을 받아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과밀한, 경직된 프로그램은 마치 전체주의적 교육과정과 다름없었다.
    • (4) 번째로 state board 입학요건을 갖추지 못한 학생에 대한 재량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 특히, WWI 말미의 2년제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
    • 의학교육자들은 어떠한 것보다 입학요건의 경직성에 대한 불만을 가장 크게 드러냈다. "excessive formalism"
      • "입학 시험은 사람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있는지를 평가해야지, 전에 무슨 과목 수업을 받았는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 State board 의한 제약은 Flexner Report이후 20년간 가장 심했다. 질을 확보한다는 명목으로 SB MS 구속복을 입힌 꼴이었다.
    • 다행스럽게도 조금씩이나마 약간의 융통성은 생기고 있었는데, FoSMB AAMC 제안에 따라서 1930 대학들에게 curriculum 자율을 주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연성이 크게 늘어난 것은 아니다. MS 자유롭게 커리큘럼을 구성할 있는 권한을 주었지만, State Board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한 physician 양성되는 것으로부터 대중을 보호해야 의무를 놓지 않았다.
      • 의학교육자들은 의학교육을 graduate education으로 만들고 싶은 그들 스스로의 욕망과, 모든 의사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 전문가 교육의 현실 사이에 갇혀버렸다.
      • Graduate goal Professional goal 사이의 긴장은 이후로 완화되지 않고 있다.




  • The Death of the Proprietary School
    • AMA Council on Medical Education(CME) 통하여 medical licensing 관여하였다. CME leading school에서 다섯 명의 저명한 의학교육자로 구성된 조직이었다.
      • Council에서 학교들에 대한 rating 했고(A, B, C) AMA 승인을 얻지 못한 학교는 강제로 소멸될 밖에 없었다.
    • MS 평가하는데 있어서 CME 기준을 세우는 역할을 했고, "Essentials of an Acceptable Medical College" 기준이 나와있다. Council 학교의 모든 면에 대해 자세히 조사했으며 가지 측면에서 합당한 기준에 도달할 경우에만 Class A 주어졌다.
      • Enough Endowment,
      • Adequate facilities,
      • Presence of at least six full-time professor in the basic science department
    • 가지 주요 criteria 중에서 번째 요건이 가장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 아직도 일부 사람들은 과연 모든 학교에 Center of research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 CME 구성하고 있던 University teacher "practical" school 존재할 자리가 남아있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고 여겼다. Council 통하여 academic elite들이 이미 궁극적인 승리를 거머쥐었고, 국가적인 기준이 되었다.
    • Council 강력한 압박 속에서 Medical School들은 이에 순응하는 외에 다른 방도가 없었다.
      • "Council had the power to destroy us"
      • 약한 학교들은 Council 집중적인 공격을 받게 되었고, medical diploma 진료를 있는 면허가 없다면 사실상 쓸모없는 것이었다.
    • 하지만 모든 학교들이 순순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몇몇 삼류 대학(diploma mills)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교는 그들에게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노력했다.
      • 도시에 있는 학교들은 강력한 대학에 붙어서 많은 지원과 병원 시설을 이용할 있는 면에서 유리했다.
      • 궁극적으로 살아남은 학교와 사라진 학교 사이에 바람직한 의학교육에 대한 이해나 갈망은 별로 차이가 없었다.
    • 대부분의 학교는 별다른 원한 없이 문을 닫았다. Faculty 그들이 남아 있을 자격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 않았고, 적절한 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꾸역꾸역 남아 있는 것보다는 그냥 분야를 뜨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였다.
      • 일부 약한 MS 협력하고 있던 college university 의학교육에서 손을 떼게 것을 오히려 기뻐하기도 했다.
    • 일부 학교는 합병을 통하여 생존방법을 모색했다. 혹은 이상의 약한 학교들이 그들의 자원을 합해서 하나의 강력한 학교로 거듭나게 것이다.
    • 하나의 도시에 개의 고만고만한 학교가 있을 때에도 합병은 좋은 수단이었다. 그리고 강력한 학교들은 약한 경쟁자들을 없애는 수단으로서 합병을 하기도 했다.
      • 강한 학교가 약한 학교를 합병하는 일은 흔히 일어났지만, 개의 강력한 학교들 사이의 합병은 거의 없었다. 학문적 라이벌관계에서 그런 일은 일어나기 쉽지 않았던 것이다.
    • 겉으로는 합병이 된것 같아도, 속으로는 인정사정 봐주지 않는 일도 많았다.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이전까지는 서로 아무 관계가 없는 faculty 합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 1910 이후, proprietary school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사라져갔다. 1920년에는 6 정도의 삼류학교만이 겨우 살아남을 있었고 1930년에는 일정 이상의 수준을 갖춘 76개의 MS만이 남아있었다.
    • 비록 MS 수는 1910년의 MS 수의 절반을 조금 넘는 정도였음에도, Flexner 생각했던 MS 수의 감축 목표에는 겨우 절반정도 도달했을 뿐이었다.
      • Flexner 미국과 캐나다에 31개의 MS이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 엄격한 면허법을 도입하기 위해서 AMA 혼자 고군분투 했던 것은 아니다. 물론 가장 영향력있는 기관이긴 했지만 많은 다른 기관도 나름의 역할을 했다. 예가 AAMC이다.
      • 1912 faculty "AMA, AAMC, Carnegie Foundation 서로서로 돕고 있다" 라고 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혁 연합군(Reform coalition) 내부는 상당히 다양했다. 멤버들 사이에 항상 건강한 긴장이 흐르고 있었으며 이러한 분위기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 " 다섯 개의 조직(CME, AAME, CF, NBRPS, FoSMB) 의학교육의 발전에 가장 역할을 기구이다"
    • 한때 개혁 연합군은 거의 갈라설 적도 있다. 이것은 1914 일어난 일인데, 남부의 입학요건에 대해서 조직별로 첨예한 입장 대립을 보였던 것이다.
      • CME 같은 입학 기준, CF 일시적으로라도 낮은 입학 기준 주장.
    • 개혁가들의 슬로건은 "소수 정예의 의사(fewer and better doctors)"였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러한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 1930, MS 숫자는 줄었지만, 의사 수는 줄지 않았다. (Table 13.1)
      • 단위인구당 의사 수는 1958년이나 1938년이다 별반 차이가 없었다.
    • Proprietary school 사라져갔음에도 불구하고 의사 수는 줄지 않았고, 이주민이나 흑인이나 소수인종 등과 같이 사회적 약자들의 기회만 확연히 줄었다.
      • 준비가 학생들의 유급이(attrition rate) 매우 높아서, 사실상 이미 낮은 계층이 의사가 되는 것은 어려워진 상태였는데 Proprietary school 사라짐으로써 그러한 현상이 확실해진 뿐이었다.
    • 모든 취약계층 중에서도 여성이 받는 차별이 가장 심했는데, 이러한 현상은 1970 초반 페미니스트 운동이 일어날 때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 Proprietary school 의학교육 개혁자들에 의해서 엄청난 비난을 받곤 하지만, 한편으로는 훌륭한 전통을 가지고 있기도 했다. 비록 정직하지 못한 학교라는 점에 대해서는 동정의 여지가 없으나, 1910년에 가장 질적으로 낮은 proprietary school조차 1870년에 가장 좋은 MS보다 훨씬 나았다. 또한 학교의 졸업생들의 상당수가 (마치 요즘의 foreign medical graduate처럼) 경쟁이 훨씬 덜한 시골 지방으로 내려가서 의사 생활을 했다.
      •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했던 것처럼 Flexner 좋은 학교를 나온 학생들도 자연스럽게 지방으로 내려가 의사 역할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하지만 완전히 틀린 예측이었다. 그들은 점차 도시로 모여들었지, 작은 마을로 가지 않았다.
      • Proprietary school 종말과 함께 나은 수준의 의사들이 배출됨으로써 공공이 이익을 보았지만, 의사의 불균형적 분포라는 측면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오늘날 의사 분포의 문제가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된 것이다.
    • 비록 1930년대의 의학교육자들이 이러한 의사의 불균등한 분포에 대해 걱정하긴 했지만, 그들은 modern university medical school 비롯한 그들이 이뤄낸 성과를 자랑스러워했다




  • Chapter 13. State Licensing
    • 넓게 보면 현재 미국의 의학교육은 크게 가지 과정을 밟아왔다. (1)하나는 modern medical school 형성이다. 1850 시작된 과정은 WWI동안 막을 내리며 1920 굳건한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academic medicine teaching hospital 갖추게 되었다. 동등하게 중요한 (2)다른 하나는 proprietary school 종말이다. 과정은 1910 이후 모든 주에서 엄격한 면허 제도가 시행되는 15 동안의 기간에 달성되었다.
    • 주립 면허(state licensing) 제도의 도입과 함께 Medical School들은 상당히 서로 비슷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정확히 똑같은 교육을 하는 학교는 없어도 공통점은 차이점을 가볍게 넘어섰다. 면허제도는 심지어 최고 수준의 학교에서까지 교육과정을 경직되게 만들었다. 조금 나아지긴 했지만, 얼마나 교육과정을 standardization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도 유효하다.

 

  • State Licensing and the Rise of the AMA
    • 1910 Flexner Report 나왔을 당시 proprietary school 시대는 빠르게 저물고 있었다. 누구보다 학생들이 먼저 멀리하기 시작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0년까지 낮은 수준의 Medical School 여전히 있었는데, 그것은 강력한 면허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 1906년까지도 13 주는 졸업하지 않은 사람에게까지 의사 면허를 주고 있었다.
      • 효과적인 면허법이 없는 의사라면 누구나 돈벌이 용도로 MS 운영해볼까 하는 생각을 수밖에 없었다.
    • 1910년까지 주립 면허법은 미국 의학교육에 별로 중요한 요소가 아니었다. FR에서 Flexner "the power to examine is the power to destroy"라고 말하며 ()차원의 시험을 "의학교육의 재구성에 엄청난 영향을 있는 도구(instrument)"라고 하였다.
    • FR 이러한 언급을 하자, 이를 깨달은 대중들은 state boards 중요한 임무로서 요구하기 시작했다.
      • 법안의 요구조건 하나로서, state boards(SB) MS 대한 평가를 도입했고, 이렇게 평가를 통해서 '승인받은' 학교의 졸업생만이 면허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다.
      • 이러한 요구조건은 사기를 치는 학교나, 의도는 좋아도 실제로 부실한 학교들이 없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면허법의 제정은 무난히 이뤄지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정부의 통제는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 그렇지만 1900년대 초반, 광범위한 역사적 힘은 면허제도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었다. 시스템의 형성과정은 힘든 것이었지만 주립 면허법의 광범위한 도입으로 인하여 정부의 역할에 대한 관점이 바뀌었다.
    • 정부가 의학교육을 규제하는 것에 대해 의심이 끊이지 않았지만, Henry Pritchett이나 Abraham Flexner 누구보다도 이러한 의구심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정부는 이미 어느 정도 개입하고 있는 상황이었고, 모두 이러한 정부의 개입 하나로써 '면허의 발급' 역시 고려대상이라고 생각했다.
      • 그들은 개인의 자유를 조금 잃는 것은 공공이 얻는 이득에 비하여 적다고 생각했다.
    • 주립 면허가 당시에 만연하던 political ethic 문제를 해결하는 정치적 해결책이 것이라는 기대는 정부의 이러한 역할을 받아들이는 것을 수월하게 해줬다.
      • 개혁자들은 의학교육자들이 licensing board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State board of health 의과대학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 Licensing movement 사회의 중요한 political value 심어줌으로써 동력을 얻었다. 전문가에 의한 과학적인 management 강조함으로써 움직임은 political behavior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모범을 보여준 것이다.
    • 면허법은 스스로 등장한 것은 아니었다. 의학교육자들은 이러한 대중의 정서(sentiment) 이용함으로써 그들이 하는 로비의 효율성을 높였다.
      • 그들은 오랫동안 면허법이 필요하다고 홍보하고 다녔지만, FR 등장하고 나서야 의견은 힘을 얻었다.
      • AAMC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 licensing board 협력적으로 일했다.
      • 가장 강력한 목소리를 것은 AMA Council of Medical Education이다. State Board 어떤 학교의 학위를 인정할 것인가를 결정할 Council 평가를 중요하게 활용했다.
    • 1900년대 초반의 AMA 19세기의 AMA와는 전혀 다른 조직이었다. 19세기에 AMA 약하고, 비효율적이고, 고루한(provincial) 조직이었다.
      • 이러한 상황은 1920년대까지 계속되었는데, professor practitioner 서로 각자의 길을 가면서 AMA내의 academic influence 거의 대학에서 독점하고 있던 Council on Medical Education밖에 남지 않았다. 후로 AMA 교육이나 연구보다 practitioner 의견(정치적, 경제적) 반영하는 조직이 되었다.
    • AMA 눈부신 성장에 있어 Joseph N McCormack 기여를 빼놓을 없다. 그는 AMA reorganization 이뤄낸 홍보 섭외(public relation) 천재였다.
      • 물론 그의 성공의 배경에는 광범위한 역사적 힘이 작용한 것도 사실이다. AMA 19세기 동안에는 아직 미미한 존재였기에, 누구도 profession 전체의 통합을 이뤄내지 못했다. 그러나 Scientific medicine 성장하면서 의사들이 그들 자신을 비슷한 기술과 방법을 통해 비슷한 결과를 달성해내기 위한 국가적인 공동체로 보기 시작했고 physician들도 특별히 질병의 원인에 대한 것이라든가 치료에 관한 것에 반대하지 않았다.
    • AMA 미국의학교육에서 어떤 일을 했어야 하는가는 이미 한참 전에 고민했어야 문제였다. 일반적 통념상 AMA 이미 개혁이 되어야만 하는 조직이었다. 19세기까지 AMA 어떻게 의학을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하여 어떠한 새로운 아이디어도 내놓지 못하고 있었다. 오히려 거의 19세기 내내 AMA scientific subject 중요성을 아예 믿지도 않았다.
      • 미국의학교육의 역사에서 1910년까지 AMA 일은 아무것도 없다고 해도 전혀 과언이 아니었다.
    • 게다가 1910 이후에도 AMA 딱히 무슨 일을 했다고 보기도 어렵다. 근대 Medical School 만들어지는 것과 관련하여 최근에 일어난 사건들은 거의 AMA 무관하게 일어난 것들이다.
      • 짧게 말하면, AMA 역할은 Flexner Report 대하여 사람들이 과장되게 평가하는 것보다도 훨씬 과장되게 평가된 면이 있다.
    • 이러한 헛된 믿음의 근본적 원인은 출판된 보고서나 Council on Medical Education chairman이었던 Colwell 이나 Arthur Dean Bevan 등의 연설에 있다.
    • 그러나 둘은 아마도 용서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단지 그들의 일에는 열성적인데 반해, 역사적 감각이 무뎠을 뿐이다. 그들은 council 생기기 50년동안 의학교육의 모습을 만들어낸 거대한 힘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것이다.
    • 그러나 AMA 아무런 의미 없는 조직으로만 보는 것도 온당치 못하다. AMA 의학교육을 다양한 방면에서 지원했으며, 가장 기여는 1910 이후 강력한 면허법이 도입되도록 것이다. 1910년과 1930 사이에 분야의 권력싸움은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정비된, 지원받는, 높인 인정받는, 홍보에 대단히 능숙한 조직은 state licensing 있어서 가장 강력한 조직이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의학교육의 개혁에 미친 가장 영향이다.

 


(출처 : http://admissions.berkeley.edu/selectsstudents)



지난 수십년간, 각 의과대학은 AAMC의 지원을 받아 

의과대학 지원자를 평가하는 기준틀을 확장시키는 작업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holistic review"라는 이름으로 2003년 미국 대법원의 배서를 받았다. 


"고도로 개인화된, 개개 지원자의 파일을 전인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지원자가 다양한 교육적 환경 속에서 어떠한 기여를 할 것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 하에서 의과대학은 

"각 지원자가 나름의 강점, 성과, 특징을 가지고 눈에 띄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가를 평가한다"


학부GPA, MCAT점수, 봉사단체에서 리더십 역할 등과 같은 각각의 요소들은 

지원자의 전체적인 포트폴리오/지원자 정보의 맥락에서 평가된다.


2003년 holistic review를 도입한 BUSM은 구조화된 면접, 

교수와 스텦 교육, 데이터의 체계화된 분석 등을 활용하여 

인식하고 있는, 그리고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편견을 최소화시킨다.


이렇게 선발된 학생들은, 문화적/언어적/인종적/민족적으로 이전에 그렇게 선발되지 않은 학번보다 더 다양했으며,

 GPA와 MCAT점수를 기준으로 봤을 때, 학업적으로도 동등한 수준으로 준비되어 있었다.





Modern medicine has been characterized by rapid and accelerating progress in biomedical sciences as the foundation for clinical practice. In 1910, the Flexner Report established these sciences as the core of medical education.1 


Admissions committees at U.S. medical schools have, for the past century, focused their attention largely on predictors of success in the foundational science curriculum, relying heavily on academic performance in the biologic and physical sciences and scores on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MCAT) in selecting applicants for medical school


Over the past decade, individual medical schools, support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have been working to expand the frame of reference for evaluating applicants for medical school. These efforts have come together under the “holistic review” rubric endorsed by the U.S. Supreme Court in 2003: “highly individualized, holistic review of each applicant’s file, giving serious consideration to all the ways an applicant might contribute to a diverse educational environment.” Under such an approach, a school “seriously considers each ‘applicant’s promise of making a notable contribution to the class by way of a particular strength, attainment, or characteristic — e.g., an unusual intellectual achievement, employment experience, nonacademic performance, or personal background.’”3


The AAMC Holistic Review Project has defined holistic review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as “a flexible, individualized way of assessing an applicant’s capabilities by which balanced consideration is given to experiences, attributes, and academic metrics . . . and, when considered in combination, how the individual might contribute value as a medical student and future physician.” 4


Each factor, be it the undergraduate grade-point average (GPA), the MCAT score, or the leadership roles assumed in volunteer service organizations, is evaluated in the context of the complete portfolio of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e applicant. That is, a given level of accomplishment for one applicant may look very different in the context of another applicant with a different life story.


In 2003, the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M) became one of a number of U.S. medical schools to launch a systematic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admissions model based largely on the review of academic metrics to a comprehensive, holistic review process. It was a slow and deliberative transition, but by 2008, changes in the BUSM admissions program were clear and substantial, and the effects were evident in the entering class of 2009.



The table shows one such tool: a list of desirable traits for physicians matched with the elements of applicant data that reveal or predict those traits. Direct measures of these traits are often unavailable, so proxies are used. Holistic review is an information-hungry process;


The BUSM program uses structured interviewing, rigorous training of participating faculty and staff,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data elements, all of which minimize the influence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bias. 


Since BUSM became engaged in holistic review, the profile of its entering class has changed dramatically 


Students are culturally, linguistically, racially, ethnically, and demographically more diverse than previous classes, and according to the standard measures of undergraduate GPA and MCAT score, they are at least as well prepared academically



 2013 Apr 25;368(17):1565-7. doi: 10.1056/NEJMp1300411. Epub 2013 Apr 10.

Holistic review--shaping the medical profession one applicant at a time.

Source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ston, USA.

PMID:
 
23574032
 
[PubMed - indexed for MEDLINE] 

Free full tex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