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학생선발 방식 조정 : 상황판단시험을 활용하여 대인관계능력 평가하기

Adjusting medical school admission: assessing interpersonal skills using situational judgement tests

Filip Lievens


배경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은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모두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의과대학 입학 시스템은 종종 인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cognitively oriented test)만 포함하곤 한다. 상황판단시험(Situational judgement tests, SJT)는 의과대학 학생선말 과정에서 대인관계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비디오 기반 SJT(video based SJT)가 대인관계 능력 평가에 타당성을 갖는지 다양한 측정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종단적, 다중 코호트 디자인을 활용하여 익명화된 입학시험 결과와 의과대학에서의 결과를 조사하였다. 1999년부터 2002년까지 Flemish 의과대학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의과대학 입학시험을 치룬 5444명이 그 대상이 되었다. 1학년의 GPA, 대인관계 커뮤니케어션 과목의 GPA, 비대인관계 과정의 GPA, 학부 GPA, 석사 GPA, 최종GPA(7년 후)등이 비교대상이 되었다. 일반의(general practice)를 하고자 하는 학생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입학 9년 후 supervisor의 평가와 OSCE, 일반 진료 지식검사와 사례 기반 인터뷰 점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SJT를 활용해 평가한 대인관계 기술은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과목의 GPA, 의사로서의 수행능력, OSCE에서의 수행능력, 사례 기반 인터뷰에서의 점수를 예측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반면 다른 점수들에 대해서는 인지적 능력 평가시험(cognitive test)가 더 나은 예측력을 보여줬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서 SJT에서 훨씬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대인관계 SJT 점수는 인지능력 시험점수보다 업무능력과 더 관계가 있었다.


결론

비디오 기반 SJT는 대인관계 행동에 관한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를 평가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인지능력 시험점수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의과대학에서 의사소통기술을 훈련시킬 수 있다고 해서, 학생을 선발할 때 의사소통기술을 볼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른 문화나 학생 집단에서 SJT의 활용을 더 조사해볼 필요가 있다.









 2013 Feb;47(2):182-9. doi: 10.1111/medu.12089.

Adjusting medical school admissionassessing interpersonal skills using situational judgement tests.

Source

Department of Personnel Management and Work and Organisational Psychology, Ghent University, Ghent, Belgium. filip.lievens@ugent.be

Abstract

CONTEXT:

Today's formal medical school admission systems often include only cognitively oriented tests, although most medical school curricula emphasise both cognitive and non-cognitive factors. Situational judgement tests (SJTs) may represent an innovative approach to the formal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in large groups of candidates in medical school admission processes.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interpersonal video-based SJTs in relation to a variety of outcome measures.

METHODS:

This study used a longitudinal and multiple-cohort design to examine anonymised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medical education data. It focused on data for the Flemish medical school admission examination between 1999 and 2002. Participants were 5444 candidates taking themedical school admission examination. Outcome measures were first-year grade point average (GPA), GPA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urses, GPA in non-interpersonal courses, Bachelor's degree GPA, Master's degree GPA and final-year GPA (after 7 years). For students pursuing careers in general practice, additional outcome measures (9 years after sitting examinations) included supervisor ratings and the results of an interpersonal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a general practice knowledge test and a case-based interview.

RESULTS:

Interpersonal skills assessment carried out using SJTs had significant added value over cognitive tests for predicting interpersonal GPA throughout the curriculum, doctor performance, and performance on an OSCE and in a case-based interview. For the other outcomes, cognitive testsemerged as the better predictors. Females significantly outperformed males on the SJT (d = -0.26). The interpersonal SJT was perceived as significantly more job-related than the cognitive tests (d = 0.55).

CONCLUSIONS:

Video-based SJTs as measures of procedural knowledge about interpersonal behaviour show promise as complements to cognitive examination components. The interpersonal skills training received during medical education does not negate the selection of students on the basis ofinterpersonal skill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use of SJTs in other cultures and student populations.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3.

PMID:
 
23323657
 
[PubMed -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