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stract
    • 결론 : 습이 끝날 시점에서 LIC학생들이 patient care 독립적으로 engage 하며, clinic pt 기회가 많았다. 대부분 ambulatory setting에서 이뤄지는 LIC 교육모델은 학생들이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Workplace learning principle 일치한다.
      • By late year, LIC students engage in patient care more independently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see clinic patients on multiple occasions than BC student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workplace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yearlong longitudinal integrated education models, that rely mostly on ambulatory settings, afford students greater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more fully in the provision of patient care.
  • Introduction
    • 학교마다 거의 동일했던 Core clinical year 이제는 모델이 다양해지고 외래/입원환자 경험이 다양해지고, 환자에 대한 연속성과 감독의사, 세팅 등이 다양해지고 있다. LIC 모델은 하나의 학생이 전문직으로서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은 실제 의사가 환자를 care하는 과정에 meaningful, supported participation 함으로서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전제를 지키기 위해서 LIC 주로 외래환자 중심이며, block보다는 longitudinal 경험을 중시하여 환자, 그리고 supervising doctor와의 관계를 쌓는 것을 가능케 한다.
    • 다양한 clerkship model 존재함에 따라 그들 사이에 상대적인 효과성의 문제가 항상 있어왔고, 일부 연구는 LIC 학생들이 BC 비해서 환자중심의 태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했다. 또한 LIC학생은 시험에서는 거의 비슷한 수준의 능력을 보여줬고, 환자가 가진 질병의 전체 코스를 배울 있는 특징이 있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LIC 모델을 뒷받침하는 learning science 연관이 되어있으나, 아직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하는 기전에 대한 근거는 없다. 어떻게 LIC BC 학습 경험이 다를까? 예를 들면 환자와 보내는 시간이나 감독의사와 보내는 시간이 얼마나 차이가 날까? LIC모델은 BC보다 환자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게 하고, 독립적으로 환자 care 있게 해주는가?
  • Sample
    •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the University of South Dakota Sanford School of Medicine (USD) and Harvard Medical School (HMS)
  • Conclusion
    • Clerkships 학생들이 임상현장에 처음으로 full-time으로 접하는 중요한 기간이다. 여기서는 종료 시점에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LIC학생이 환자와 독립적으로 직접 일하는 시간이 많았고, 환자를 관찰하는 시간은 적었고, BC학생보다 return visit환자를 많이 보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workplace learning 핵심이라고 있는 independent practice 향상은 LIC모델이 가장 중요하게 강조하는 점이라는 사실과, rotation-based 기존 방법에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있다.


Students' workplace learning in two clerkship models: a multi-site observational study.

Sourc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San Francisco, CA, USA. bridget.obrien@ucsf.edu

Abstract

CONTEXT: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 are established, rapidly growing models of education designed to improve the core clinical year of medical school using guiding principles about workplace learning and continuity. This study is the first to report data from direct observations of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on LICs and traditional block clerkships (BCs), respectively.

METHODS:

This multi-institution study used an observational, work-sampling methodology to compare LIC and BC students early and late in the core clinical year. Trained research assistants documented students' activities, participation (observing, with assistance, alone), and interactions every 10 minutes over 4-hour periods. Each student was observed one to three times early and/or late in the year. Data were aggregated at the student level and by in-patient or out-patient setting for BC studen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compare two groups early in the year (LIC and BC students) and three groups late in the year (LIC, out-patient BC and in-patient BC students).

RESULTS:

Early-year observations included 26 students (16 LIC and 10 BC students); late-year observations included 44 students (28 LIC, eight out-patient BC and eight in-patient BC students). Out-patient activities and interactions of LIC and BC students were similar early in the year, but in the later period LIC students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performing 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alone (25%) compared with out-patient (12%) and in-patient (7%) BC students. Students on LIC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erience continuity with patients as 34% of their patients returned to them, whereas only 5% of patients did so for out-patient BC students late in the year.

CONCLUSIONS:

By late year, LIC students engage in patient care more independently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see clinic patients on multiple occasions than BC student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workplace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yearlong longitudinal integrated education models, that rely mostly on ambulatory settings, afford students greater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more fully in the provision of patient care.



  • LIC BC 학생 모두 환자를 support하고 care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데에 반해, LIC학생만이 "doctor role with patients"로서 성장(grow)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기회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LIC학생들은 care system 높은 수준으로 통합(integration)되고, 교수자 또는 환자와 깊은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환자중심care 역량이 향상되고 동기화됨을 느낀다고 하였다.
  • 전통적인 BC방식의 임상 교육은 in-patient service team 일원으로서 학생을 투입하지만, 임상 참여를 encourage하는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 이러한 모델에서는 초보 학습자는 가장자리로 밀려나고(marginalize), 감독하는 staff 자주 바뀌게 된다. Clerkship 구조와 학생이 얼마나 integration되었느냐는 clerkship 만족도와 직결된다. 그러나 학생들은 학습 니즈에 맞지도 않고, 적절한 학습기회도 제공하지 못하는, 그러나 자주 변화하는 service 대해서 연속적으로 적응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과의 문화에 동화되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바뀌는 세팅에 따라서 배운 것을 적용시키느라(transfer) 애를 먹는다. 심지어 core clerkship 마지막까지도 학생들은 novice처럼 새롭게 시작하게 된다.
  • 이러한 상황은 "supported or guided participation"으로 대변되는 successful workplace learning 대비된다. (health care provider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며, 환자 care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학습의 기회를 주고, 의도적으로 도전적인 과제를 주는 방식)
  • Sample
    • We selected participant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the University of South Dakota Sanford School of Medicine (USD) and Harvard Medical School (HMS).
    • All three schools have concurrent LICs (at a tertiary hospital for UCSF, and at community sites for USD and HMS) and BCs (at tertiary hospitals and affiliated clinics). Students rank their clerkship preferences; most receive their first choice. Each LIC included 2–6 weeks in an in-patient context during an otherwise predominantly out-patient core clerkship experience.
    • Block clerkship students had predominantly in-patient experiences with varying amounts of ambulatory time in discipline-based clerkships, and a single longitudinal clinical experience

 

  • Discussion
    • BC 학생들은 스스로를 감독 의사의 바쁜 스케줄로 인해 비는 시간을 채우는 역할로 인지하고 있었고, LIC 학생들은 환자를 위하여 의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느꼈으며, 그들의 감독의사와 collaborate with 했다고 생각했다. 반면 BC학생들은 스스로를 연말이 되어서는 학생과 같은 역할로 묘사했다.


 2012 Jul;46(7):698-710. doi: 10.1111/j.1365-2923.2012.04285.x.

The role of rolelearning in longitudinal integrated and traditional block clerkships.

Source

Department of Medicine,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karen.hauer@ucsf.edu

Abstract

CONTEXT:

Traditional block clerkship (BC) structures may not optimally support medical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workplace, whereas longitudinalintegrated clerkship (LIC) structures seem more conducive to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patient care over time. Understanding the ways in which these two clerkship models influence studen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can inform clinical learning programme design.

METHODS:

This was a multicentre qualitative study.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LIC and BC medical students at three institutions early and late in the core clinical year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with patients and the roles they served. Using the framework of 'workplace affordances', qualitative coding focused on students' roles and qualiti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invited or inhibited student participation. We compared transcripts of early- and late-year interviews to assess students' changing roles and conducted discrepant case analysis to ensure that coding fit the data.

RESULTS:

Fifty-four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s. They described serving three major roles in clinical care that respectively involved: providing support to patients; sharing information about patients across health care settings, and functioning in a doctor-like role. Both LIC and BC students served in the providing support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oles both early and late in the year. By contrast, LIC students commonly served in the doctor-like role in managing their patients' care, particularly late in the year, whereas BC students rarely served in this role. Continuity in settings and in supervisors, and preceptors' endorsement of students' legitimate role afford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patient care.

CONCLUSIONS:

Although both LIC and BC students reported serving in important roles in supporting their patients and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ir care, only LIC students consistently described opportunities to grow into a doctor role with patients. The high level of integration of LIC students into care systems and their deeper relationships with preceptors and patients enhanced their motivation and feelings of competence to provide patient-centred care.






  • 어떤 종류의 경험이 학생들로 하여금 특정 과를 선호하게 하고, 특정 과를 기피하게 하는가?
    • 임상 경험이 학생들의 전공 선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 )
    • 가지의 clerkship 모두에서 intrinsic work factor 대한 긍정적인 반응은 강력한 양성 예측자였다.
    • Acute patient, favorable orientation towards technology 대한 선호가 있다면 외과를 선호한다. (clerkship이전, 이후 모두). General practice 대한 선호는 반대 방향이다.
    • 성별과도 연관이 있어 보임.(However, specialty preferences reflected a certain genderrelated pattern, with men favouring surgery, women favouring general practice and both genders exhibiting equal degrees of inclination for internal medicine. )

 2008 Jun;42(6):554-62. doi: 10.1111/j.1365-2923.2008.03008.x. Epub 2008 Apr 23.

The impact of clerkships on studentsspecialty preferences: what do undergraduates learn for their profession?

Source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Maastricht, Maastricht, The Netherlands.

Abstract

OBJECTIVE:

Clinical experiences and gender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medical studentsspecialty choices. It remains unclear, however, which aspects of experiences make students favour some specialties and reject other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clerkships on specialtychoice and to identify explanatory factors.

METHODS:

We carried out a longitudinal cohort study to collect data on career preferences and attitudes towards future careers among 3 cohorts ofstudents before and after clerkships in surgery (n = 200), internal medicine (n = 277) and general practice (n = 184).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career choice and the role of gender.

RESULTS:

Exposure to clinical settings encourages students to opt for a career in the corresponding specialty. Men were more stimulated than women by the general practice clerkship. Gender had no clear role as a predictor of career preference. The major predictor of career choice in all 3 specialties was positive evaluation of work-intrinsic factors. A preference for working with acute patients and technology-oriented work, prestige orientation and insignificance of a controllable lifestyle were determinants of a preference for surgery. Students with a preference for general practice had almost opposite preferences. Those who chose internal medicine favoured a controllable lifestyle.

DISCUSSION:

Factors other than gender appear to drive specialty decisions. Work content, type of patients and lifestyle options play major roles. Consequently, along with teaching about the practice of medicine, the matching of specialty preferences with reality is an essential outcome ofclerkships.





http://www.nytimes.com/2013/05/14/opinion/my-medical-choice.html






OP-ED CONTRIBUTOR

My Medical Choice



"(유방절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런 결정에 대해 대단히 만족합니다. 제 유방암 발생 가능성은 87%에서 5%로 감소했을 뿐 아니라, 이제 제 아이들에게 유방암으로 인해서 엄마를 잃을 걱정은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해줄 수 있습니다 "

"여전히 많은 여성들은 암의 위험이 매우 가까이에 있다는 것조차 모르고 지냅니다. 제가 제 이야기를 개인적인 것에서 끝낼 수 없었던 이유입니다. 저는 그들도 유전자 검사를 받을 수 있기를, 그래서 고위험군이라면 강인한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무수히 많은 문제를 마주합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충분히 선택권이 있는 문제라면, 그것은 더 이상 두려운 것이 아닙니다."


"I wanted to write this to tell other women that the decision to have a mastectomy was not easy. But it is one I am very happy that I made. My chances of developing breast cancer have dropped from 87 percent to under 5 percent. I can tell my children that they don’t need to fear they will lose me to breast cancer."

"I choose not to keep my story private because there are many women who do not know that they might be living under the shadow of cancer. It is my hope that they, too, will be able to get gene tested, and that if they have a high risk they, too, will know that they have strong options.

Life comes with many challenges. The ones that should not scare us are the ones we can take on and take control of."




  • The Emergence of the American University
    • Civil War 이후, Reform 근원을 이루는 하나의 힘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바로 American University 이다.
      • 20세기로 넘어가면서 university 의학교육의 가장 강력한 친구이자 보호자였다.
    • 언뜻 보기에, American college 의학교육을 육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적절해 보이지 않을 있다. 무엇보다 Civil War 이전의 college 높은 차원의 학습(higher learning) 대단히 부적합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 시기의 college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곳이었을 , 연구를 통해 확장시키는(expand) 곳은 아니었다.
    • Civil War 이후에, 기존의 낡은 college 현대식의 대학(modern university) 변모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근원에는 모든 학문 영역에 걸친 지식의 성장이 있었다(growth of information)
      • 이렇게 증가한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대학이 바로 역할을 하게 것이다.
    • 외견상으로 대학이 '의학교육' new educational responsibilities 받아들인 것은 그저 우연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많은 경우에 medical school 이미 그곳에 있었기 때문이다(were already there). 다시 말하면, Civil War 이후에 성장하게 많은 대학들은(Harvard, Yale, Dartmouth …) 이미 medical school 가지고 있었다. 딱히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던 것이다.
    • 그러나 Civil War 이후 대학들은 의학교육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밖에 없었던 것에는 어떠한 동기가 있다.
    •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팽창' 어떻게 미국 고등교육기관에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야 필요가 있다.
      • Civil War 이전과 달리, 대학은 지식을 'redefining'하는 곳이 되었으며 지식의 research, discovery, expanding 강조하였다.
      • 분야를 막론하고 학자와 교육자들도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확장하고, 전달할 것인가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 의학지식의 확장 역시 이러한 대학의 변화된 모습과 맞아떨어졌고, Medical Scientist에게도 '지식의 발견'이라는 새로운 미션이 주어졌다.
    • 대학이 '의학' 관심을 - 이와 비슷한 - 다른 이유가 있는데, 바로 '의학교육' 다른 분야에 비해서 어려운 분야였던 것이다.
      • 모든 지식을 가르칠 없었고, 누군가는 어떤 것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다른 주제와 관련지어 교육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했다.
      • 또한 시기에 옳다고 알려진 것이 후에 다시 틀린 사실이 되는 경우도 많아 'process of education' 관심을 밖에 없었다. 특정한 결과물보다 올바른 접근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했던 것이다.
    • 이러한 관점은 '아무나' 의학을 가르치게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 Medical Educator Medical Practitioner 다르다. 이같은 intellectual necessity 의해서 medical teaching 급격하게 full-time profession으로 자리잡았다.
    • 현대식 대학을 만든 사람들은 적합한 교육 기술(educational techniques) 중요성에 대하여 누구보다 관심을 갖고 있었다.
      • Standardization of the teaching process, Concern for curriculum planning
    • 19세기 후반의 대학이 medical education 발전에 신경을 쓰게 다른 이유는, 대학의 '지식의 통합'으로서의 역할 때문이었다.
      • 의학 연구가 발전할수록, 분야간의 경계는 흐려지고, Medical Science 다른 과학 영역과 점점 통합되기 시작했다.
    • 대학 내에 '전문대학원' 있음으로써 대학에는 'Liberal culture'라는 하나의 중요한 가치가 생겨났다.
      • 대학은 생각을 자유롭게 교환하고 넓은 시야를 기르기 위한 가장 좋은 기회를 제공하였다.
    • 현대 대학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시작부터 '다양성의 공간'이었다.
      • 연구와 교육에의 헌신은 언제나 대학의 핵심(core)였다.
      • 대학의 leader들에게 있어 의학의 연구와 교육은 가장 중요한 것이었는데, 이를 통해 진단과 치료가 향상될 있었기 때문이다.
    • 많은 의사들에게 의학교육이 'university' 옮겨간다는 것은 상당한 충격이었다.
      • 미국 medical school 쥐고 있던 의사들은 그들의 고수익 사업을 포기하려 하지 않았다.

  • The Creation of the School System
    • 학생의 전반적인 낮은 수준은 Post-Civil War시기에 의학교육을 가로막는 하나의 요인이었다.
      • 읽기와 쓰기조차 되는 정도.
    • 이러한 이유로 학생들에게 의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자체가 무척 어려웠다.
      • "학생에게도 unkind 뿐만 아니라, 학교로서도 부끄러운 일이다."
    • 1870년대에는 의대에 너무 쉽게 들어오는 문제에 대하여 Angell 같이 걱정을 하던 사람은 별로 없었다. 그저 낮은 기준을 유지하여 많은 학생이 오도록 .
    • 같은 학생의 열악한 수준은 국가적인 school system과도 관련되어 있었다.
    • 1870년대에 산업-경제적 system 확장되기 시작하면서 school system 이에 따라 변하게 되었다.
    •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서로 순차적으로 발전하였는데, 1870년대에는 전국의 college에서 고등학교와 "diploma relations" 체결하였다.
      • Civil War 이전의 fluidity multiplicity 사라지고, 교육적 체계는 마치 사다리와 같이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까지 연결되었다. 1890년대에 이르러서야 미국의 educational system 자리를 잡게 되었다.
    • 후에, 지나칠 정도로 경직되게 구조화된 시스템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구조화된 국가적 학교 체계의 장점은 분명했다.
      • 학문적으로 길러진 학생이 의학을 배우면서 좋은 의학교육이 가능했으며, 까다로운 입학 요건을 갖출 있었다.
    • 19세기 후반에 medical student 매우 극소수만이 college graduate였다. 오히려 일부 고등학교 졸업생이 낫기도 하였다. 그러나 20세기가 다가오면서 학생의 전체적 수준은 향상되었다.
    • 1870년대와 1880년대에 국가적 교육 체계의 성장에 따른 결과를 medical school에서 느끼기는 무척 어려웠다. 하지만 시기에도 다가올 "Progressive Era" 의학교육의 급격하고 놀라운 성장의 기반이 변화는 이미 일어나고 있었다.
      • 의학 지식의 빠른 증가, Teacher 수의 증가, 대학의 발전, 학생 수준의 향상




  • 미국의 의학교육이 허둥대고 있는 사이에도, medical training 혁명을 가져올 사건들은 이미 벌어지고 있었다.

  • German Medical Science and the Emergence of an Academic Elite
    • 근대 역사에서 medical mecca 존재하지 않았던 적은 없었다. 처음은 프랑스.
      • 질병은 disordered humor 결과가 아니라, 어떤 특정한 장기에서만 발견되는 국소적 현상이라 보았다.
    • 수십년간 프랑스 의학이 가장 앞서나갔다면, 1840년대부터는 상황이 크게 바뀌었다.
      • Astute observation 오히려 ultimate eclipse 원인이 되었다.
    • 프랑스 의학의 영향력이 사라져가는 동안, 독일 의학이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 1840년대 이전의 독일 의학은 unity of nature 강조하고, 생물학적 현상과 물리적 현상의 근본적 공통점을 찾고자 하였다.
    • 그러나 1840년대 이후, 독일 의학은 이같은 Naturphilosophie 벗어던졌다.
      • 슐라이덴, 슈반, 뮐러, 루드비히, 헬름홀츠, 드브로이, 피르호…
    • 독일 의학의 강점은 experimental method 사용한데 있었다.
      • 질병의 궁극적 원인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하였으며, 'study of function' 'study of form and morphology'보다 중요하게 여겨졌다.
    • 이러한 새로운 의학지식이 당장의 치료적 혁신에는 도움이 되지는 않았지만, 독일의학의 성공은 상당한 흥분을 불러일으켰다.
      • Scientific information 현대 의사(modern doctor) 알아야 하는 중요한 핵심적 내용이 것이다.
    • 실험의학은 독일의 전유물은 아니었다.
      • 그렇지만 독일만의 독특한 장점 - 독일 대학의 특징이라 있는 - 있었다.
    • 1850년대 이후 유럽으로의 medical migration 패턴이 변하였다 : 프랑스에서 독일로.
    • 1850년대와 1860년대에 독일에서 공부한 미국 의사는 수가 적었지만 Civil War 이후 봇물터지듯 늘어났다.
      • Intellectual migration 1870년대와 1880년대에 정점을 찍었다.
      • 이러한 migration WWI 발발과 함께 독일-미국의 관계가 악화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 독일에서 공부한 미국인은 몇몇 공통점이 있다 - 젊고, 남성이며, 동부 출신이고, 사회 상류층이다.
    • 해외 유학을 미국인의 대부분은 독일의 임상 분과의 강점에 매력을 느꼈다.
      • Dermatology, Ophthalmology, Laryngology, Obstetrics, Gynecology, Surgery..
      • Academic or Scientific career 택한 사람의 숫자는 적었지만, 독일의 대학 문화(university spirit) 충분히 경험한 사람들이었다.
      • 이들이 미국에 돌아와 JH, Harvard, Cornell 등의 faculty 되었다.
    • Medical specialist와는 다르게 과학연구에 관심이 있던 사람들은 독일의 작은 대학으로 갔다.
      • Ludwig 대표적인 스승이었으며, 파리의 Pierre Louis 라이벌관계
    • 독일에서 과학을 공부한 미국인들은 독일 실험실의 exciting atmosphere 흠뻑 즐길 있었다.
    • 미국인들의 독일 실험실 경험 가지 측면이 특히 후의 미국의학교육에 영향을 주었다.
      • 하나는, 미국인들의 독일인들의 medical knowledge 대한 자세(attitude) 배운 것이다. 독일인들과 같이 미국 학생들도 의학적 현상이 화학적/물리적 법칙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 독일의 실험실에서 지낸 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세계관과 함께 미국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 두번째로, 독일의 실험실에서 지냈던 미국인들은 새로운 모델에 반하였다 : Full time teacher and investigator.
    • 초창기 미국 의사들과 달리, 사람들은 금전적 보상보다 지적 탁월함을 추구하였다.
    • 미국으로 돌아와서 사람들은 상당한 좌절을 겪어야 했다. 미국에서는 어떤 곳에서도 full-time medical teaching and research 하는 사람이 없었다.
    •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1870년대, 1880년대에 미국으로 돌아온 사람들은 academic career 추구하는 뜻을 수가 없었다.
    • 그리고 일부 인정받은 사람들조차 상당한 불만스러움을 표시했다.
    • 어쨌거나 몇몇 사람들은 수많은 장애를 모두 극복하고 성공하였다.
      • T Mitchell Prudden, Warren Lombard, John Jacob Abel
    • 요약하면, 1870년대와 1880년대에는 안되는 수의 헌신적인, 선구자적인 medical scientist만이 겨우겨우 그들의 학문적 위치(academic position) 유지할 있었고, 이는 그들이 스스로 경제적/개인적 희생을 감수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 Civil War 이후, academic physician 되고자 했던 사람들의 역경과 고난의 이야기들은 advanced teaching 이나 research 진로를 가고자 하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 Natural and physical science 종사하는 사람들도 동일한 고난을 겪고 있었다. : 적은 연봉, 사비로 기자재 구입. 적은 일자리,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
    • 그럼에도 불구하고 1880년대에 의학계에서의 상황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었다.
      • Civil War 이후 상황이 변했고, 프랑스 의사들이 이뤄낸 것보다 독일의 실험적 의학이 일궈낸 연구가 실제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고 있었다.,




  • Early Effort at Reform
    • 미국의학교육의 부족한 것을 19세기 중반까지 몰랐던 것은 아니다.
    • 시기의 의학교육의 reform 대한 논의는 단조롭고, 비슷했다. "It is reform, not revolution, that is contemplated"
    • 하지만 일부의 예외가 있었다. : Medical Dept of Lind Univ in Chicago
    • New Orleans School of Medicine.
      • Clinical Clerkship 선구자. 곧바로 Best medical school 되었다.
    • 학교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였다. 시기의 의학교육은 "많은 양의 Talk, 그리고 극소량의 Action"이었다.
    • Reform 대한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 평판이나 수입을 엄청난 enrollment 의존하고 있던 교수들은 학생들을 잃을 것을 두려워하여 reform 소극적이었다.
    • 의대 교수들의 이러한 문제 말고도 다른 장애물이 있었는데, 바로 Physician들이 아직 'Experimental Science' 중요성을 'Medical Question' 적용하는 것을 수용하지 못했던 것이다.
    • 여기서 우리는 19세기 전반의 프랑스 의학의 영향을 이해해야 한다.
      • 프랑스 방법은 '경험에 의존하는(empirical)' 이었다.
    • Observation으로 특징지어지는 프랑스가 의학은 'Experimentation'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독일 의학의 방법이다.
    • 프랑스 Clinical worker observer였지 experimenter 아니었다.
      • 일반적으로, 정말 유용한 것은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이지, 노력으로 극복되는 것이 아니다.
    • 미국의학은 Civil War까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다.
      • Laboratory science 믿지 않았다. Germ theory 받아들이지 않음.
    • 이러한 태도는 19세기 중반 대부분의 교수들에서 찾아볼 있다.
      • 높은 위치에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철저한 과학 교육은 (Thorough scientific education)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 따라서 19세기 중반, 미국의학교육을 reform하는 것에는 상당한 '지적 제약(intellectual constraint)' 따랐다.
      • 의학 지식을 어떻게 하면 가장 얻어낼 있는가에 대한 새로운 자세가 필요했던 것이다.

 

  • A Profession in Disarray
    • Civil War 시절의 의학교육과 관련하여 한가지 눈여겨봐야 사실은, 1860년대까지 어떤 Medical School Faculty에게 Original Research 의무화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S. Weir Mitchell .
      • Research 하고 싶었으나, 그와 뜻이 맞는 동료도 없었다. 후에 Physiology dept. 고용되었다.
    • 하지만 Mitchell 혼자가 아니었다.
      • Civil War이후 독일에서 Postgraduate 마친 미국인들이 속속 돌아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그러한 일을 여건이 되어있지 않았다.
    • 이런 것들이 19세기 2/3동안 미국 의사들이 의학 연구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 몇몇 사례들.
    • 그러나 연구들은 그들의 Brilliant 만큼이나 Exceptional 것이었다.
      • 유럽에 크게 뒤쳐져 있었고, 유럽에 의존적이었다.
    • 시기의 다른 장애물은 아직 미국이란 나라가 문화적/경제적으로 한참 발전중에 있다는 사실이었다.
      • 연구를 지원할 여력이 되지 않았다.
    • 의학 전반에 걸쳐서 미국은 Research 대단히 무관심했다.
    • 좌절한 기분을 느낀 것은 Medical Scientist만이 아니었다. 많은 Practitioner 그들의 명예/수입/지위가 낮은 것에 상당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 AMA에게 이러한 현상의 주범은 분명했다. 망가진 의학교육이었다. 의학교육의 Reform 시작한 초기부터 AMA 교육의 reform 직업의 social status 회복시키는 최종 목표에 이르기를 바라고 있었다.
    • 19세기 중반, 좌절감은 Medical Profession 전반에 걸쳐 있었다.
    • 여러 직업군의 조각 조각을 하나로 뭉치게 것은 의학교육에의 focus였다.




  • Medical Education in Mid-Century
    • Civil War Medical Tragedy였다.
      • 병으로 죽은 사람 > 전쟁으로 죽은 사람
    • 하지만 physician 도움이 되지 못했다.
      • 가지의 약과 amputation 같은 수술법 .
      • Laudable pus(고름 짜내기), suppuration 치유 과정이다 라는 생각으로 오히려 infection 퍼뜨림(손가락으로 찔러대서)
    •  Civil War 비록 고통스럽긴 했지만, 19세기 중반의 미국의학교육의 부족한 부분을 분명히 드러내주었다.
      • 유럽에서는 이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것을 사용하거나, 효과가 있다고 증명된 것을 사용하지 않았다.
      • AMA 풋내기스러움에 대한 분노로 광적인 사이비종교집단의 의사에게 개방되었으나 악화될 것도 없었다.
      • 확실한 것은 미국의학교육은 실패했다는 .
    • 이런 진료 상황은 그들의 교육의 결과였음
      • 1860년대 : Proprietary medical school (Apprenticeship system, 견습)
      • 1800년에 군데였던 것이 급격하게 증가.
    • 코스는 개의 4달짜리 코스를 하는 , 그나마도 번째 term 번째와 동일한 코스.
      • 'scientific subject' 보다 'practical' value 강조됨
      • 면허를 받기도 쉽고, 어린 나이에 받게 되며, 이조차도 무시되기 일쑤였음.
    • Instruction 전적으로 didactic.
      • Laboratories, Delivery, Examination 등의 경험이 전무한 상태로 졸업
    • Entrance requirement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 Literacy 필요하지 않음.
    • Requirement 낮은데, 종종 어떤 경우에는 범죄 수준의 방종 상태에 이르곤 .
      • Diploma 매매도 성행했다.
    • 학생 훈육도 심각한 문제
      • 카데바의 일부를 바깥 행인에게 던지는 일도 있음.
    • 그럼에도 이런 허술한 입학기준은 '백인'에게만 적용되었다.
    • 여자에 대해서도 흑인에 못지 않은 높은 진입장벽이 있었다.
      • 심지어 Harvard에서 높은 수준의 의학교육 혁신을 외쳤던 사람도 '그래도 여자는 된다'라고 했을 정도.
    • 19세기 중반의 Proprietary school university 혹은 hospital affiliation 없었다.
    • 학교당 Faculty 숫자는 6~8명의 교수진 정도.
      • 성공의 척도는 졸업생의 숫자 & profitability
    • Profit 대한 집착이 심해져 미국의학교육 역사상 있을 없는 일들이 일어난다. (Rampant commercialism)
      • 돈만 내면 6주만 다녀도 4개월을 인정해줌.
    • 수사적인 과장을 인정해준다손 치더라도, 1860년대의 의학교육은 끔찍하게도 허술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권위자' 혹은 '전문가'들이 존재하긴 했다.
    • 주요한 alternative 하나는, 특히 1800년대 초반에는 apprenticeship이었다.
      •  모든 alternative educational pathway 중에서 apprenticeship "the least reliable"이었다.
    • 번째 alternative nondegree-granting medical school 의해서 제공되었다.
      • Extramural private medical school. Hands-on clinical experience.
      • 기존의 교육보다 훨씬 나은 교육 제공.
    • "house pupil"로서 병원에 있는 또한 한가지 supplement였다.
    • 1820년대, 1830년대에 시작되어 점점 널리 퍼짐.
      • 그리고 임무도 막중해짐.
    • 용어의 혼란 : House pupil, Intern, Resident.
      • 어쨌거나 중요한 것은 운이 좋은 매우 소수의 학생만이 intensive clinical training 받을 있었다는 .
    • 번째 주요한 alternative 유럽으로의 유학.
      • 유학의 메카는 프랑스, 파리.
    • 이러한 것들(supplement) 결과로 미국의학교육의 결과는 시스템에서 나올 있는 것보다 훨씬 나은 수준이었다.
      • 다만 문제는 이러한 교육이 매우 소수에게만 주어졌다는 .
    • 19세기 중반의 의학교육에 대해서 가혹하게 평가하기는 쉽지만, 사실 19세기의 2/3동안 proprietary school 일반 대중을 어느 정도 만족시키고 있었다.(public satisfactorily)
      • 시대 상황으로는 없는 것보다는 조금이라도 있는 것이 나았다.
    • 또한 초기 의대 교수들의 탐욕에 시선이 집중되어있긴 하지만, 균형잡힌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람은 이러한 commercialism 드문 것은 아니었다고 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예외적인 현상이었다.(exception rather than the rule)
    • 1860년대 이후에는 이상 proprietary school 현대의학교육의 필요에 부응할 없었다.
      • (유럽의) 과학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었다.








  • Preceptor student 모두 LIC에서의 evaluation 가지 측면에서 낫다고 생각했다.
    • 과정의 타당성 : Validity of evaluation process
    • 평가의 질 : Quality of clinical skill evaluation
    • 건설적 피드백 : Willingness to provide constructive feedback.

  • 전통적인 방식의 clinical performance 평가가 가지는 가지 문제
    • 실제로 학생이 환자와 접하는 과정을 보지 못한 상태에서도, 며칠, 주의 Block clerkship 끝날 평가를 하게 .
    • 학생들의 임상 기술은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서 향상되나, 평가는 rotation 말미에만 시행되기 때문에 건설적인 제안을 받지 못하고, 학생들의 실수는 그대로 유지된다.
    • 요약하자면, LIC 경우 학생들과 교수자 모두 평가가 공정하고, 정확하고, block보다 학생의 performance   반영한다고 받아들인다. 또한 faculty 학생 모두 faculty staff LIC상황에서 정직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한다는 것에 동의했다






 2011 May;45(5):464-70. doi: 10.1111/j.1365-2923.2010.03904.x.

Perceptions of evaluation in longitudinal versus traditional clerkships.

Sourc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Lindsay.A.Mazotti@kp.org

Abstract

OBJECTIVES:

Methods for evaluating student performance in clerkships traditionally suffer shortcomings, partly as a result of clerkship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cep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student evaluation in block clerkships and longitudinal integratedclerkships (LICs).

METHODS:

From 2007 to 2009, preceptors who taught on both block clerkships and an LIC were surveyed on their perceptions of clerkshipevaluation. Year 3 students were surveyed on their perceptions of clerkship evaluation at the year end. Responses from preceptors who completed both block clerkship and LIC surveys were compared using paired-samples t-test; student responses were compared using independent-samples t-test.

RESULTS:

Overall, 66% (67/102) of block clerkship and 75% (77/102) of LIC preceptors responded; 44% of preceptors (45/102) completed both block and LIC surveys. In total, 62% (68/110) of block clerkship and 83% (19/23) of LIC students responded. Both preceptors and students favouredevaluation in the LIC on three factors (p ≤ 0.01): validity of evaluation process, quality of clinical skill evaluation, and willingness to provide constructive feedback.

CONCLUSIONS:

Preceptors and students perceived evaluation in an LIC more favourably than evaluation on block clerkships. For educators working to improve student evaluation, further examination of the LIC structure and evaluation processes that seem to enhance both formative assessment and summative evaluation may be use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evaluation and feedback.







  • 무조건 환자 수를 많이 보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 Q. 오히려 적은 수라도 제대로 보는 것이 나을 있을까?
    • 기존의 다른 연구들도 비슷한 결과를 내놓은 것이 많다.
  • 1쿼터에서 4쿼터로 갈수록 보는 환자 수가 감소한다 
    • (Post hoc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s indicated that, on average, students in clerkships in quarter 1 reported significantly more patients than those in clerkships in quarters 3 (p < 0.01) and 4 (p < 0.01). )
  • Clinical exposure internal medicine clerkship performance 상관관계가 약하다.
    • (Clerkship process - Clerkship outcome 비교)







 2012 Jul;46(7):689-97. doi: 10.1111/j.1365-2923.2012.04283.x.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experiences and internal medicine clerkship performance.

Sourc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Biometrics,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USUHS), Bethesda, MD 20814, USA. ting.dong@usuhs.mi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s between several clerkship process measures and students' clinical and examination performance in an internal medicine clerkship.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nal medicine clerkship at one institution over a 3-year period (classes of 2010-2012; n = 507) and conduct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clerkship process measures (student-reported number of patients evaluated, percentage of core problems encountered, total number of core problems encountered, total number of clinics attended) and four clerkship outcomes (clinical points [a weighted summation of a student's clinical grade recommendations], ambulatory clinical points [the out-patient portion of clinical points], examination points [a weighted summation of scores on three clerkship examinations], and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examination score).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pre-clerkship ability and gender, percentage of core problem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mbulatory clinicalpoints (b = 3.84, total model R(2) = 0.14). Further, number of patients evaluate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linical points (b = 0.19, total model R(2) = 0.22), but only for students who undertook first-quarter clerkships, who reported higher numbers of patients.

CONCLUSIONS:

Notwithstanding a few positive (but small) associat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clinical exposure is, at best, weakly associated with internal medicine clerkship performance.






Working Assumptions

(with explanation of each in parentheses)


1. 모든 사람은 지혜롭다.
Everyone has wisdom. (This doesn't mean everything that everyone says is wise. It means that behind what they say is wisdom, and we will listen for it.)


2. 가장 지혜로운 결과를 위해서는 모든 사람의 지혜가 필요하다.
We need everyone's wisdom for the wisest result. (In the same way that a diamond is more valuable when it is cut with more facets, what we come up with will be more valuable when we have illuminated more facets of what we are working with.)


3. 틀린 답이란 없다.
There are no wrong answers. (See number 1 -- behind what may seem on the surface as a wrong answer -- and I have heard some that were positively evil on the surface -- there is wisdom, and that is what we will listen for. The corollary, of course, is that there are no right answers, only the best we can come up with given our limitations.)


4.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The who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Trite, yes, but points to consensus as creating a larger answer that is not identical to any one view, but includes the wisdom of many. Diamond image again. I think of compromise as smaller than the sum of its parts, consensus as larger. Like a puzzle picture, which is the sum of the puzzle pieces and their relationships. All puzzle pieces are included, or there is a hole.)


5. 모두가 모두를 경청할 것이다.
 Everyone will hear others and be heard. (This doesn't mean that everyone has to talk all the time -- then nobody would be heard. It means listening to others as well as making sure your wisdom is on the table.)




   Assumption of the Virgin


Artist           Peter Paul Rubens

Year            1626

Type            Oil on panel

Dimensions   490 cm × 325 cm (190 in × 128 in)

Location       Cathedral of Our Lady, Antwerp





준거

의미

주요 질문

적절성

(Relevance)

원조활동이 수원국과 공여국의 우선순위 및 정책에 부합하는 정도

프로그램의 목표가 유효한가?

프로그램의 활동과 산출물은 최종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전반적인 목적과 그 하위 목표의 달성에 있어서 적합한가?

프로그램의 활동과 산출물은 의도하는 영향과 효과에 부합하는가?

효과성

(Effective-

ness)

원조 활동이 그 목표를 달성한 수준

원조 활동의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으며, 어느 정도까지 달성될 것으로 예상되는가?

목표의 달성 혹은 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효율성

(Efficiency)

투입 자원 당 질적, 양적 산출물로 나타나는 경제성 지표. 동일한 산출물을 얻기 위하여 투입되는 자원의 양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음.

원조 활동은 비용-효과적이었는가?

목표는 적절한 기한 내에 달성되었는가?

여러 다른 대안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는가?

영향력

(Impact)

원조 활동으로 인한 전체적인(긍정적-부정적, 직접적-간접적, 의도적-비의도적) 변화. 사회, 경제, 환경 등에 대한 영향 포함.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의 결과로 어떤 일이 생겼는가?

수혜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달라진 것은 무엇인가?

영향을 받은 사람의 수는 얼마나 되는가?

지속가능성

(Sustain-

ability)

공여국의 재정 지원 종료 후 원조 활동의 긍정적 효과의 지속성

공여국이 재정 지원을 종료한 이후 어느 정도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가?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 Criteria에 대한 세 가지 질문
(i) Are they sufficient to provide a sound assessment of the quality, value, and significance of an aid intervention?
(ii) Are they necessary
(iii) Are they equally important?

- Criteria에 대해 추가적인 고려사항
* Relevance : 수원국의 needs에 대한 고려가 적다.
* Effectiveness : 역시 수원국의 needs에 대한 고려가 적다.
* Sustainability : 후행적 지속가능성(retrospective sustainability)에 대한 고려가 적다.
* Efficiency : 다양한 종류의 비용(non-monetary costs)를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종종 효율성이 '가장 돈이 덜 드는'으로 오해되곤 한다.
* 빠진 것이 있음
= Quality of process : ethicalit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 Exportability : 다른 원조 활동에 대해 기여할 수 있는가







젊은 나이에 성공가도를 밟아온 MD-PhD 과정 학생들 및 이제 막 clinician-investigator로서의 커리어를 쌓아가려고 하는 사람들이 흔히 갖는 문제는, 실패를 두려워하며 이른 시기의 성취감에 기대어 살아가려고 하는 자세이다. 그 정도 위험을 감당해내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새로운 발견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며, 많은 경우 일시적인 지체(gut check)일 뿐이다. 내 생각에는, 완전히 새로운 어떤 것을 시도할 때에는 실패할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패의 가능성은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에 익숙해진, 일찍 성공을 맛본 사람들이 이런 자세를 갖는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사람들은 흔히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하지만, 내가 보기에 이것은 전략적 에러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자세는 결과가 뻔히 예상되는, 누군가가 도달해놓은 지점에 스스로를 제한시켜놓기 때문이다. 


One problem is that M.D.-Ph.D. candidates and early-career clinician-investigators are typically people who have been very successful in their young lives and who worry about failing to live up to that early success. Taking the kinds of risks that are necessary to make truly new discoveries is a gut check for many people. In my view, in order to try something completely new, a person must be willing to fail; that doesn’t come easily to accomplished young people who—having devoted so many years of their lives to training and to establishing independent research careers—feel the need to diminish their risk of failure. People become conservative in their decision-making in order to minimize risk, and I think that is a strategic error, because it limits you to problems for which someone else has already reached the point where the outcome is predictable.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23 May 2012 Vol 4 Issue 135 135cm6



자폐증(Autism)의 새로운 진단 방법에 관한 Ted talk.


- Autism이라고 진단을 받게 되는 나이는 평균적으로 5세이다. (미국 기준)
- 하지만 Intervention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시기(Window of opportunity)는 3세 이전이다.
- 아이에게 미칠 영향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을 고려하면 Early Detection, Early Treatment가 대단히 중요하다.

- 이러한 목적 하에 아이의 Social Engagement 수준을 바탕으로 Autism을 진단하는 기술을 연구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의 Social Engagement란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에 공감하는 자세)

- 아이에게 영상을 보여주고(첫 번째 그림의 오른쪽 아래 사진, 장난감 자동차에 타고 있는, 서로 다툰 듯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아이의 시선을 분석하면(이를 Funnel of attention이라 명명함)
- 정상 아이는 여자아이(두 번째 그림의 빨간 기둥)에, Autistic한 아이는 자동차의 문(두 번째 그림의 녹색 기둥)에 시선을 주로 둔다. 이러한 차이를 Social Engagement의 차이라 본 것이다.
- 이런 개념을 바탕으로 소아과에서 흔히 사용하는 Growth chart를 만들면 (Growth chart of Social engagement) 맨 아래 그림과 같고, 여기서는 Autistic한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의 Eye fixation의 변화가 생후 6개월 이내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다 빨리 Autism을 진단할 수 있다.

(출처 : http://www.ted.com/talks/ami_klin_a_new_way_to_diagnose_autism.html)




Word Cloud : 

Dr LEE Jong-wook (Former Director-General) speeches.



(사진 출처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97&l=62589&iskin=lol)




좋은 팀웍이란 

불확실하고 잠재적인 팀의 이득을 위하여 

자신의 확실하고 즉각적인 이득을 포기하는 것에 있어

망설이지 않을 수 있는 

구성원간의 

신뢰.




(사진 출처 : http://www.anxiety.net/anxiety-disorders-in-children.html)




긍정적인 사고는 좋지만,
근거없는 낙관보다는
조금의 불안감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상황을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도 있다.







처음 2분은 재밌고, 조금 식상한 2분이 지나면, 나머지 10분의 이야기는 놀랍다.

재미삼아 초반 2분만 추천.
그 뒤는 보셔도 그만 안 보셔도 그만.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의 High-Performer 국가들로부터 더 나은 학교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취지의 Ted talk.

우리나라가 싱가폴, 핀란드, 홍콩 등등..과 더불어 PISA의 High-Performer 국가인 것은 사실이라손 치더라도, 아마 이 Talk을 한 사람도 우리나라에 살면 마냥 이렇게 좋은 소리가 나오진 않을 것이다.

아무튼 가장 눈에 띄었던 대목은

"And the most impressive outcomes of world-class systems is that they achieve high performance across the entire system. You've seen Finland doing so well on PISA, but what makes Finland so impressive is that only five percent of the performance variation amongst students lies between schools. Every school succeeds. This is where success is systemic. And how do they do that? They invest resources where they can make the most difference. They attract the strongest principals into the toughest schools, and the most talented teachers into the most challenging classroom."

그러니까 핀란드의 경우 학교간 차이가 5%에 불과하다는 것!
(진짜?!)


아무튼 이 외에 High-Performer 국가의 특징으로

'placing a high value on education', 
'embrace diversity with differentiated pedagogical practices', 
'share clear and ambitious standards across the entire spectrum', 
'nowhere does the quality of an education system exceed the quality of its teachers.' 

등등을 꼽고는 있지만

차라리 (적어도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말콤 글레드웰이 Outlier에서 말한 "농사짓는 동양 문화의 기본적인 근면성실한 문화 + 언어 체계(일,이,삼,사 vs One,Two,Three,Four)가 주는 산수 공부에의 이점이 더 그럴듯해 보인다. 



http://www.ted.com/talks/andreas_schleicher_use_data_to_build_better_schools.html




Coursera. 이러한 방식도 있다.


Daphne Koller is enticing top universities to put their most intriguing courses online for free -- not just as a service, but as a way to research how people learn. With Coursera (cofounded by Andrew Ng), each keystroke, quiz, peer-to-peer discussion and self-graded assignment builds an unprecedented pool of data on how knowledge is processed.

With Coursera, Daphne Koller and co-founder Andrew Ng are bringing courses from top colleges online, free, for anyone who wants to take them.

(아래 글귀는 talk 중에서 캡쳐. )







http://www.ted.com/talks/margaret_heffernan_dare_to_disagree.html


Most people instinctively avoid conflict, but as Margaret Heffernan shows us, good disagreement is central to progress. She illustrates (sometimes counterintuitively) how the best partners aren’t echo chambers -- and how great research teams, relationships and businesses allow people to deeply disagree.

The former CEO of five businesses, Margaret Heffernan explores the all-too-human thought patterns -- like conflict avoidance and selective blindness -- that lead managers and organizations astray.

============

1950년대 소아암 발병과 임신중 X-ray 노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한 옥스포드의 앨리스 스튜어트(Alice Stewart)라는 의사, 그리고 그녀의 연구 파트너 George Kneale라는 통계학자.

굉장히 사교적이고 활발했던 Allice와 은둔자 스타일의 George. 그리고 환자들에게 매우 따뜻하고 공감을 잘해주는 Alice와 사람들보다 숫자를 선호했던 George.이 둘의 협동 모델은 어떤 점에서 뛰어났던 것일까?


"The fact is that most of the biggest catastrophes that we've witnessed rarely come from information that is secret or hidden. It comes from information that is freely available and out there, but that we are willfully blind to, because we can't handle, don't want to handle, the conflict that it provokes. But when we dare to break that silence, or when we dare to see, and we create conflict, we enable ourselves and the people around us to do our very best thinking.

Open information is fantastic, open networks are essential. But the truth won't set us free until we develop the skills and the habit and the talent and the moral courage to use it. Openness isn't the end. It's the beginning."






한 언론인이 마크 주커버그에게 물었다.
"뉴스피드가 왜 그렇게 중요한가요?" 

주커버그가 답했다. 
"아프리카에서 죽어가는 사람들 보다 여러분 앞마당에서 죽어가는 다람쥐가 지금 당장은 더 관심이 갈지도 모릅니다."

-----------

Eli Pariser는 "filter bubble" 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online에서 자신도 모르게 행해지는 '선택된 정보 제공 당함'에 대하여 말했다. 
(http://www.ted.com/talks/eli_pariser_beware_online_filter_bubbles.html)

예컨데 진보주의자인 자신의 페이스북 뉴스피드에서 점차 보수주의자 친구들의 소식이 사라지는 사례, 그리고 자신의 두 친구가 각각 구글에서 "Egypt"라는 단어로 검색을 했을 때 얼마나 서로 다른 검색 결과가 제공되는가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나에게 '선택적으로 내가 보고싶어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보이지 않는 손은 구글이나 페이스북의 알고리즘 뿐일까.

페이스북에서 내가 클릭하는 '좋아요' 버튼은 어떨까. 혹은 내가 다른 사람의 글에 남기는 '리플'은 어떨까. 대개 뉴스피드에서 나의 정치적 성향이나 이해관계, 또는 그저 단순한 취향일지라도 대개 나의 그것과 일치하는 포스팅에 '좋아요'를 클릭하고 '리플'을 남긴다. 
('좋아요'라는 단어의 특성상 나의 이해관계, 성향, 취향에 반하는 글의 '좋아요'는 그 포스팅이 웬만큼 좋지 않다면 클릭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그 글은 다른 사람이 그 글에 리플을 남길 때, 또는 누군가 내가 이미 남긴 나의 리플에 '좋아요'를 눌렀을 때마다 나에게 두번, 세번 보여지고, 이런 행동의 반복은 나를 점차 나와 비슷한 사람들과 연결되게 해준다.

그러면서 나는 나도 모르게 나만의 'filter bubble'을 만든다. 
굳이 구글이나 페이스북의 알고리즘이 내가 보는 세상의 범위를 좁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내 스스로 그 범위를 축소시킨다.

어쩌면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어쩌면 끔찍히도 무서운 것이다.

내 페이스북 친구들은 대다수가 20~30대이다.
( = 내 페이스북 친구들 중 40대 이상은 거의 없다.)
내 페이스북 친구들은 대다수가 의대/공대생이다.
( = 내 페이스북 친구들 중 문과계열을 전공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내 페이스북 친구들은 대다수가 대졸자이며 추측컨데 중상층 이상의 삶을 영유한다.
( = 내 페이스북 친구들 중 대학을 다니지 않았거나 경제적으로 대단히 불안정한 삶을 사는 친구는 많지 않다.)


물론 세상의 모든 일에 관심을 가지고 살아야 할 의무는 없다.
그럴 필요도 없고, 그것이 바람직하지도 않다.

하지만 여전히 나는 수백, 수천만의 40대 이상의 사람들과 같은 세상에 살고 있고, 수백, 수천만의 문과계열 전공자들과 살고 있으며, 수백, 수천만의 대학을 다니지 않은 혹은 아직 대학을 졸업하지 않은 사람들, 그리고 수백, 수천만의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과 같은 사회에서 살고 있다.

이 균형을 도대체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 것일까.





"30초간의 전화통화로 파킨슨병을 진단할 수 있을까?"
 
 
 
Parkinson's Disease에서 나타나는 Tremor, Rigidity등의 증상이 사지 뿐만이 아니라 성대(Vocal Cord)에서도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가설이 아니라 이미 밝혀진 사실인가..??)로부터 출발한 '목소리'를 이용한 Parkinson병 진단 기술(www.parkinsonsvoice.org)에 대한 영상.

Max Little은 이러한 -저렴하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 없으며, 빠른 - 기술로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99%의 정확도로 PD를 진단할 수 있다고 한다. (Yes/No 수준이 아니라 PD의 스펙트럼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가까지를 진단한다는 의미인 듯)

가끔 TED에 이런 종류의 진단/치료 에 관한 talk이 올라올 때마다 당연히 '저거 진짜야?' '되는거 맞아?' '근데 그럼 왜 안써?' 와 같은 의문을 갖게 된다.

물론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테지만 저런 아이디어의 참신함은 언제나 정말 놀라울 따름이다.

------------
Parkinson’s disease affects 6.3 million people worldwide, causing weakness and tremors, but there's no objective way to detect it early on. Yet. Applied mathematician and TED Fellow Max Little is testing a simple, cheap tool that in trials is able to detect Parkinson's with 99 percent accuracy -- in a 30-second phone call.

Max Little is a mathematician whose research includes a breakthrough technique to monitor – and potentially screen for – Parkinson's disease through simple voice recordings.

http://www.ted.com/talks/max_little_a_test_for_parkinson_s_with_a_phone_call.html







Consensus does not mean that everyone agrees with the decision. Consensus means that everyone has participated in, understands, and is committed to supporting a decision.

합의(Consensus)란 어떠한 결정에 대해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합의란, 어떠한 결정에 있어서 모든 사람이 참여하고(participate in), 이해하고(understand), 헌신하는(committed to)것을 의미한다.


(출처 : The Facilitative Way: Leadership That Makes the Difference)




#1.
어느 작은 나라의 비오는 선거일. 선거일에 비가와서인지 오후 4시까지 아무도 투표소로 오지 않았다. 하지만 비가 그치자, 사람들은 투표를 하러 왔다. 그리고 개표를 해보니 사람들의 75%가량이 빈 투표용지를 넣은 것으로 나왔다. 당황한 정부와 야당. 차라리 시위를 했다면 어떻게 대처할지 알텐데, 이것은 뭘까. 누구를 체포하고 누구와 협상해야 하는 것일까. 기권표를 투표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던 정부는 선거를 다시 하기로 결정했다. 

그렇게 이뤄진 두번째 투표에서는, 더 많은 사람들, 무려 83%가 빈 투표용지를 넣었다. 
그들은 아무도 뽑고 싶은 사람이 없다는 것을 말하려고 투표함으로 간것이다.

(호세 사라마고(Jose Saramago), "눈뜬 자들의 도시(Seeing)")


#2.
Ivan Krastev는, 이 이야기가 최근 유럽의 민주주의에 닥친 문제점들을 잘 표현한다고 말합니다. 

"어떤 점에서는, 민주주의가 정부의 가장 좋은 형태라는 것에 아무도 의심을 하지 않습니다. 민주주의가 제일 괜찮은 제도인 것은 맞습니다. 문제는 사람들이 민주주의가 더이상 그만한 가치를 가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3. 
지난 50년간 우리가 민주주의에 대해 이야기 할때 무엇이 옳았고 무엇이 잘못되었던 것일까요?


1) 문화사회혁명 : 
개인을 정치의 중심으로 세워주었지만, 
그만큼 집단의 목적에 대한 개념은 파괴되었습니다. (집단적인 명사(국가, 계급, 가족)같은 것들.)

2) 시장혁명 : 
더 많은 선택을 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지만 
현재 민주화의 확산은 불평등을 확산하면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3) 세계화의 탄생 : 
냉전종식과 함께 공산주의가 몰락하였지만 
대중을 두려워했던 권력과 부자들이 기본적으로 유권자의 통제로부터 벗어나버리는 이상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4) 인터넷 : 
소통하는 방법과 정치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시켜 주었지만 
인터넷은 우리가 속해있는 정치적 집단에만 갇혀 있도록 만들기도 했습니다.

5) 뇌과학의 혁명 : 
사람이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지를 이해하게 되었지만, 
정치 컨설턴트들은 실제로 중요한 것은 아이디어나 정책 프로그램이 아니라, 사람들의 감정을 조작(manipulate the emotion)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4.
제 요점중에 하나는 옳바른 것이 그릇된것이 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투명성을 정치의 중심으로 집어 넣는다면 그것은 어리석은 행동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투명성은 기관들의 신뢰를 회복하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투명성은 불신을 정치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 사회가 불신을 기반으로 한다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불신은 항상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것이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는 이유입니다. 이것이 우리의 정치인들과 유권자들 사이에 창조적인 불신이 생긴 이유입니다. 하지만 정치가 불신을 관리하는 것 뿐이라면, 우리는 소설"1984"의 정반대 처럼 될 겁니다. 빅브라더(Big Brother)가 사람들을 감시하는게 아니라 우리가 정치계급을 감시하는 감시자가 되는것이죠.

그런데 이것이 자유사회의 이념 인가요? 
예를들어, 정치가 불신을 관리하는 것일 뿐이라면 재능있고 훌륭한 사람들이 공직에 출마하려고 할까요? 
정치가들이 어떤 이슈에 대해 언급한 내용들을 추적해내는 이런 모든 기술들이 두렵지는 않으세요?
일관성이 상식보다 더 중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정치인들이 자신의 잘못된 생각을 고수하게 되는 것이 두렵지 않으십니까? 
여기계시는 미국분들은 여러분의 대통령이 예비선거에서 했던 공약을 기반으로 국가를 통치하는것이 두렵지 않으세요?

저는 이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왜냐하면 민주주의는 사람들이 이성적인 논쟁과 토론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투명성과 개방성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은 올바른것이 그릇된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There is a big shadow where there is much light." (괴테)
 
 
(출처 :http://www.ted.com/talks/lang/en/ivan_krastev_can_democracy_exist_without_trust.html)




(단어 유래의 허무함(2))

독립 직후 미국. 사람들은 자신들의 지도자인 George Washington을 뭐라고 불러야 할지 고민에 빠졌다. 연방국가의 수장을 뭐라고 불러야 좋을까?

의회는 이 주제로 오랜시간 논의하였다. 충분할 정도로 많은 온갖 종류의 제안들이 올라왔다. 어떤 사람은 "워싱턴 최고 행정수반(Chief Magistrate Washington)", 어떤이는 "조지 워싱톤 전하(His Highness George Washington)", 또 다른 사람은 "미합중국 국민의 자유수호가(Protector of the Liberties of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로 칭하길 원했으며 일부는 그냥 "왕(King)"이라고 부르자고 했다. 

3주간 지속된 논란에 모든 사람들은 적잖이 지루해졌는데 이렇게 된 것은 하원이 상원의 의견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하원은 George Washington이 권력에 도취되지 않기를 바랐다. Washington이든 그 후계자든, 일시적이라도 왕이라는 생각을 불식시키려고 왕이란 칭호를 쓰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그들이 생각해낼 수 있는 한...

가장 보잘 것 없고(Humblest),
빈약해 보이면서도(Meagereast),
가장 동정받을 만한(the most pathetic) 칭호를 주기로 결정했다.
 
그 호칭은 바로 "대통령(President)"이었다. 
 
 
이것은 당시 이미 존재했던 단어였고, "회합을 주재하는 사람"이란 뜻이었다. 그저 '위원회의 장'과 같은 뜻이었고, "배심원장"이나 "감독관"에 비해서 훨씬 더 위엄이 있거나 그런 것도 아니었다. 

사실 상원이 반대한 이유가 이것이었다. 그들은 이렇게 말했다.

"그 명칭은 정말 우습다. 그(George Washington)를 President라고 부를 수는 없다. 외국에 나가서 고위 관료와 만나 조약도 맺어야 할 사람인데, 이 사람이 그런 우스운 호칭을 가지고 있으면 누가 그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겠는가? 아니, 미합중국의 감독관(President)이라니?"

그러나 결국 결국 상원이 굴복했고, 이들은 당분간 대통령(president)이라는 호칭을 쓰기로 했지만 그 대신, 상원은 거기에 동의하지 않았다는 걸 명확히 해두고자 했다. 문명 국가의 소신과 관행에 맞는 예의바른 존경심을 갖추려고 했던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보는 것처럼 지금은 전세계에서 147개국에서 이 "President"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니까,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정치인들이 현실을 만들어 가거나, 조정하려고 단어를 선택하고 사용하지만, 사실 단어의 의미가 현실을 바꾸기 보다는 현실이 훨씬 더 강하게 단어의 의미를 바꾼다는 것이다.

(출처 :http://www.ted.com/talks/mark_forsyth_what_s_a_snollygoster_a_short_lesson_in_political_speak.html)

우연히 한 병원에 붙은 '줄기세포 설명회' 라는 현수막을 보았다. 그리고 문득 "줄기세포"라는 단어에서 상당한 어색함을 느꼈다. 저 이상한 이름은 도대체 누가 지은걸까? 이제서야 이 "줄기세포(stem cell)"이란 단어의 어색함을 느꼈던 것은 아마도 이미 학부생때부터 너무나 자연스럽게, 많이 들어왔기 때문일터다.

즉흥적으로 생각해보았다. 줄기세포(stem cell)를 간단히 "생명체의 근원이 되는(즉, totipotent 혹은 적어도 pluripotent)"의 개념으로 도입했다면 도대체 왜 '줄기'인가? (당연히 아니겠지만) 만약 우리나라 사람이 이러한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면 아마도 '뿌리세포'라고 이름을 짓지 않았을까. '근원' '근본' 이란 단어에서 '근(根)'자가 '뿌리 근'임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그렇다면 영어로는 다른가? 그렇지 않다. 영어에서도 root는 "MAIN CAUSE OF PROBLEM | [C] [주로 단수로] (문제의) 근원[핵심]", "ORIGIN | [C] [주로 복수로] 기원, 뿌리" 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네이버 영어사전). 짐작컨데, 아마도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이 이러한 개념을 처음 도입했더라도 그 사람은 "root cell"이라 이름을 붙였지 "stem cell"이라 명명하진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뿌리세포"가 아니라 "줄기세포"인 것일까? 

몇 번의 검색을 통해 On the Origin of the Term “Stem Cell” (Cell Stem Cell, Volume 1, Issue 1, 35-38, 7 June 2007, doi:10.1016/j.stem.2007.05.013)을 찾을 수 있었다. 본문의 내용을 옮기면 아래와 같다. 

『'줄기세포'라는 용어는 일찍이 저명한 독일 생물학자 Ernst Haeckel의 1868년 저술에서 등장한다. 다윈의 진화론의 주된 추종자였던 Haeckel은 이 책에서 생물체(organism)의 진화를 '공통의 조상에서부터 내려오는 계통수(phylogenic tree)'로 묘사하고, 이 계통수를 "Stammbaume"(Family tree의 독일어)이라 칭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Haeckel은 [모든 다세포 생물체의 진화에 있어 조상이 되는 단세포 생물체]를 "Stammzelle"(Stamm(Stem)+Zelle(Cell))이라 하였다.』

요약하자면, 줄기세포의 "줄기"는 한 독일 생물학자의 단어선택으로부터 유래했다는 것이다. (거창한 시작에 비해서 결론은 너무 단순했다.)

결론이 심심하니, 여기에 덧붙여 한가지 느낀 점이 있다면 새로운 전문 용어를 도입할 때, 용어 자체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실 더 중요한 것은 그 용어보다 그것의 '본질'이라는 점이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된 Ernst Haeckel의 이 책은 (http://openlibrary.org/books/OL23408631M/Natürliche_Schöpfungsgeschichte)에서 볼 수 있다.







영화 "아폴로 13호"의 시각효과 작업을 했던 Rob Legato는, 당시 우주선 발사 장면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사람들의 기억을 이용하였다. 다시 말하면, 그는 '사람들이 본 것'을 재현하지 않고 어떤 우주선의 발사장면을 보고 난 후 '그들이 기억하는 것'을 재현하였던 것이다. 

그는 기존에 있던 새턴5호의 발사 장면을 사람들에게 보여준 후, 그것을 본 직후에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했는지, 어떠한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는지를 물어보았다. 황당하게도, 도대체 어떻게 그 영상을 보고 저러한 생각을 할 수 있는지 모를 정도로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모든 것은 바뀌어 있었다. 그렇지만 아무튼 이렇게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했는지를 바탕으로 다른 여러가지 장면들을 합성하여 "아폴로13호"에 들어갈 영상을 만들었다. 이것은 정말 보이는대로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 후 실제 우주인이었던 NASA의 고문(실제로 아폴로 15호에 탑승해서 임무를 수행했던 사람)이 Rob Legato가 만들어낸 장면을 과학적으로 다시 검토했다. 영상을 보고 난 후 그의 답은 이랬다.

 
"틀렸어요(That's Wrong)."

그리고 그는 발사대와 지지대에 대해서 어디가 어떻게 틀렸는가를 하나하나 지적하였다. 

Rob legato는 이번에는 이 NASA고문에게 '그 분이 탔던 우주선(아폴로15호)의 실제 장면'을 보여주었다. 영상을 보고 난 후 그의 답은 이랬다.
 
 
"이것도 틀렸어요(That's wrong, too)."

사실 두 개의 영상에서 우주선 발사시에 발사대와 지지대의 모습은 별반 차이가 없었다. 단지 차이점은 그 NASA고문 본인이 그 비행기에 타고 있었을 당시에, 그는 그 지지대가 완벽할 정도로 안전하다고 믿고 있었던 것 뿐이다. 



(출처:http://www.ted.com/talks/lang/ko/rob_legato_the_art_of_creating_awe.htm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