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ed.
2013. 5. 20. 19:35
2013. 5. 20. 19:35
- Progressive
Medical Education
- Civil War 이전의
Proprietary school부터 1893년의 Johns Hopkins
Medical School까지, 의학교육은 드라마틱하게 변했다.
- 더 엄격한 커리큘럼이 도입되었다. 입학 요구조건이 생기고, 기간이 길어지고..
- 많은 과목들이 새로 도입되었다.
- 가장 중요하게, 의학을 가르치는 방법 자체에 변화가 일어났다. 학생은 수동적 관찰자가 아니라 능동적 참여자가 되었다.
- 의학교육에의 이러한 새로운 철학은,
learning by doing이 성공적인 시행의 열쇠였고, JHMS가 문을 열었을 때에는 충분히 명확해졌다.
- 현대 고등교육의 중요한 요소는 '어떻게 지식을 확장시키는가'를 가르치는 것이다.
- 이러한 교육자들에게 있어서, 이제 medical school에는 새로운 미션이 주어진 것과 같았다. '어떻게 정보를 습득하고 해석하는가'
- 지난 날의 진실은 꾸준히 도전을 받을 것이다.
- "progressive
education" : Billings가 최초 사용.
- Progressive medical education은 medical
practice의 'procedural nature'에 일부 기원하고 있다.
- 의사는 항상 어떤
'procedure'를 수행하는데, 19세기에 들어서 의사들은 환자를 보는데 있어서 점차 손과 여러 감각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되었다. Learning by doing이 중요해진 것.
- Revolutionary
proportion의 통찰력은 의학교육의 새로운 철학의 가장 핵심에 있었다. 즉, 의학지식이란 것은 불변의 것이 아니라 점차 성장하고, 진화하는 것이라는 인식이다.
- 1880년
Michigan 대학은 도서관에서 책을 구입하기보다 유수한 의학저널의 구독을 강조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 의학교육이란,
"life-long process"
- 통신기술의 발달은 이와 같이 정보에 압도당하는 현상을 더 가속화시켰다.
- 1980년대의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정보의 폭격에 대응해야 했던 사람들에게, 19세기말의 통신기술은 원시적으로 보일 것이며, 그 시대 정보의 양도 적어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그 당시 의학교육자들에게 '지식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라는 생각은 무척 중요한 것이었다.
- 19세기 말의 의학교육자들은 역사상 정보량 폭발의 충격을 처음으로 겪은 사람들일 것이다.
- Billings :
"your new textbooks will be antiquated in five years"
- 이 사람들이 취할 수 있었던 단 하나의 대응은 의학교육을 재구성하여 보다
procedural한 면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 Welch :
"scientific habit of thought"
- "mental
discipline"의 시대는 미국의 college 뿐만 아니라 medical
school에서도 사라져가고 있었다.
- 19세기 말에, 이러한 정보의 급격한 증가를 겪고 있는 것은 의학뿐만이 아니었다. 다른 분야의 학자들 역시 비슷한 방법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식에 대응하고자 했다.
- 많은 지식인들은
experience를 예찬했고, empiricism을 지지했다.
"revolt against formalism"
- 이렇게 기존의 강의, 교과서적 방법을 거부하는 만큼, 그들은 의학교육의 형식주의(formalism)을 거부했다.
- 그 중 한 명은 존 듀이(John Dewey)였다. JD와 당시 의학교육 선구자들과는 특별한 관련이 없어 보일 수 있지만, 그들은 비슷한 환경에 있었다.
- 19세기 후반의 사회에서 생존에 중요한 것은
(physician과 citizen 모두에게 있어서) 어떤 특정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었다. 여기에 초등학교의
progressive education과 의학교육의 progressive education의 연결성이 있는 것이다.
- 기초과학의 교육에 있어서
progressive education의 완벽한 전형은 Mall의 해부학 수업이었다.
- Mall의 방법은 to
teach not by teaching이라 할 수 있었다.
- Progressive
education의 임상 교육 버전은 Osler(내과)의 clerkship이었다.
- 환자와 시작하고 계속하고 끝낸다.(begin,
continue, end)
- 학생은 알려진 내과 지식을 모두 알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principles of practice"를 익히는 것이 실습의 목표였다.
- 미국인들이 의학 교과과정에서 laboratory와 clerkship을 도입할 때, 이 아이디어는 유럽에서 가져온 것이었다. 그러나 영국, 프랑스, 독일 비용과 자리의 제한으로 인하여 모두 일부 상위 학생에게만 그러한 기회를 주는 형식이었다.
- 하지만 미국 의학교육자들은 이것을 도입하면서 '모든'학생들에게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 Progressive
medical education은 JHMS를 비롯한 다른 의대에서 flourish하였지만, 1890년대에도 불안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었다.
- 강의나 교과서를 폄하하기는 쉽지만, Mall도, Osler도 그것 없이 교육을 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 "Self-education under guidance"는 의학교육자들의 새로운 모토(new breed)가 되었지만, 얼만큼의 self education이 필요한지, 얼만큼의 guidance가 필요한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 이론적으로
progressive medical education은 procedural approach를 강조하였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이상은 달성되기 어렵다는 것이 드러났다.
- 커리큘럼은 점점 더 빡빡해졌고, 학생들은 외워야 할 것을 외우는 것에 거의 모든 노력을 다 쏟아야 했다.
- JHMS의 first
generation이 끝나갈 때쯤, William Thayer는 공식적으로 "일부 학생들의 좌절감은 극도로 빡빡하고 재미없는 커리큘럼 때문이다"라고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1890년대의 저명한 전문가들은 중대하고, 꼭 필요했던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한다.
- 새로운 교육 원칙이 여러 학교에 충분히 퍼졌다.
- 이론적으로 목표한 것을 실제로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progressive medical education은 그 시대부터 지금까지 의학교육자들이 염원하는 어떠한 이상으로서 자리잡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