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교수의 스트레스/소진을 교육과정 변화 의지와 연결짓기(J Eval Clin Pract, 2016)

Linking medical faculty stress/burnout to willingness to implement medical school curriculum chang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Zeinab Arvandi MSc,1 Amirhossein Emami MD,2 Nazila Zarghi PhD Candidate in Medical Education,3,*

Seyed Mohammad Alavinia PhD, MD,4† Mandana Shirazi PhD5,6 and Sagar V. Parikh MD7‡





도입

Introduction


탈진 증후군은 내부 및 심리학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1].

the burnout syndrome is associated with internal and inter-psychological factors [1].


현재, 다양한 건강 전문가 그룹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 Maslach 테스트와 같은 가능한 방법들은 단지 전문가들 사이에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과 직업적인 번아웃에 의해 야기된 개인의 기능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다. 

  • 하지만 Cloninger의 테스트는 심리적인 성격 이론에 기초한다. 클로닝거의 시험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한 '성격 구조는 기질과 인성의 두 가지 기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2].

Presently, a variety of health professional groups have been studied with various measures. The available methods such as the Maslach test could just study changes in the individuals’ functioning caused by high level of distress and professional burnout among specialists; however, Cloninger’s test is based on psychological theory of personality. Based on Cloninger’s test-theoretical foundation, ‘the personality structure is composed of two basic domain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2].


몇몇 연구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로 인해 직업 만족도가 떨어지고 정신 건강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 Stoyanov 외 연구진(2013년)은 또한 번아웃 증후군의 임상적 징후가 우울증과 불안장애에 대한 척도와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기 단계 탈진 증후군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고 언급했다[4].

Several studies have shown less job satisfaction and high risk of mental health because of higher level of stress [3]. Stoyanov et al. (2013) also confirmed that clinical manifestations of burnout syndrome are consistent with measures for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they also mentioned that it could indicate to presence of initial stages burnout syndrome, namely flame out [4].


그 과정의 첫 두 단계 - 플레임아웃(즉, 헛된 노력의 스트레스)과 번아웃(즉, 지치고 사기가 저하됨)이다. 소진 과정의 이 초기 기간은 그러한 취약한 의료 전문가 그룹에서 작업자의 심리적 잠재력을 보존하고 회복하기 위해 개입 수단을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초기 단계에서는 전문적 "번아웃"의 현상학이 정신-감정적 스트레스의 증상과 구별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 반면, 

  • 후기에는 ('러스트아웃'이라는 용어로 설명됨) 그 위해성이 향후 작업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심리적인 개입으로 인한 이득이 적을 수 있다[6].

the first two stages of the process – flame-out (i.e. stress of futile effort) and burnout (i.e. exhaustion and demoralization). This early period in the burning process is propitious to identify means of intervention for the sake of preservation and recovery of the psychological potential of the workers in such vulnerable groups of medical specialists. At an earlier stage, the phenomenology of professional “burning” is not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the symptoms of psycho emotional stress, whereas at a later stage (described by the term ‘rust out’), there may be less benefit from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s the harm is thought to be might also be helpful in future work’ [6].


자료와 방법

Materials and Methods


참가자와 절차

Participants and procedures



측정

Measurements


변화 단계 측정

Measuring stages of change


변화 단계(SOC) 이론은 개인의 행동 변화와 촉진에 대해 고찰한다. Prochaska 관점에 기초해, SOC는 

    • 사전 고민, 

    • 사색, 

    • 행동 준비, 

    • 근의 변화 

    • 유지

...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7]. 

The stages of change (SOC) theory looks at the change and promotion of individual behaviour. Based on the Prochaska point of view, the SOC consists of five stages: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preparation for action, recent change and maintenance [7]. 


이 모델은 개인은 변화에 대해 서로 다른 준비도 단계에 있으며, 효과적인 개입은 특정 단계에 적응하고 상위 단계로 이동을 지원하여 행동 변화를 촉진해야 한다고 가정한다. 모델은 중독성 행동의 치료와 건강 증진 등과 같은 건강 행동 맥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었다[8–10].

The model postulates that individuals are at different stages of readiness to change and that effective interventions should adjust to the stages and assist movements to higher stages, thus promoting behavioural change. The model has been applied most commonly in health behaviour contexts, such as treatment of addictive behaviour, and health promotion [8–10].


수정된 Prochaska 모델은 연구 이전 훈련 프로그램에 관련된 건강 전문가에 대한 참가자의 변화 준비 단계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원래의 5단계는 '수정된 프로카스카 설문지'에서 태도, 의도, 행동의 3단계로 축소되었다

    • '태도' 단계에서는 문제에 대한 인식은 있지만 행동에 대한 약속은 없다. 

    • '의도' 단계에서 개인은 행동 변화에 대비하는 반면, 

    • '행동' 단계에서는 이미 이러한 변화가 일어났다.

A modified Prochaska model has been used as an evaluation tool to assess the participants’ stages of readiness to change in health professionals involved in a research transfer training programme. The original five stages were reduced to three stages-attitude, intention and action-in the ‘Modified Prochaska Questionnaire’. 

    • In the ‘attitude’ stage, there is an awareness of the problem but no commitment to take action. 

    • In the ‘intention’ stage, the individual is prepared for behavioural change, while 

    • in the ‘action’ stage; this change has already taken place.


TUMS 변화 단계(TUMS-SOC)

TUMS Stage of Change questionnaire (TUMS-SOC)


이 14개 항목의 설문지에는 연구, 교육 및 개인 개발 작업의 세 가지 영역이 있다. 모든 항목은 1부터 4까지 점수를 매겼다. 점수 합계는 태도 단계(24점 이하), 의도 단계(25점~36점), 행동 단계(37점 이상) 등 개인의 변화 단계를 나타낸다.

In this 14-item questionnaire, there are three domains: research, educational and personal development tasks. All items were scored from 1 to 4. The sum of scores indicated individuals’ stage of change: attitude stage (score below24), intention stage (score 25–36) and action stage (score above 37).


스트레스와 소진 측정

Measuring stress and burnout


Maslach 등은 탈진(burnout)을 중요하고 의미 있고 도전적인 작업이 불쾌하고, 성취되지 못하고, 무의미해지는 지점이라고 묘사했다. 실제로 이때 에너지는 피로, 관여는 냉소, 효능은 비효과성으로 대체된다[13,14]. 특정 전문분야의 의료진들 사이에 번아웃이 만연해 있다. 학업지위가 높을수록 위험은 더 커진다[14]. 번아웃은 의사의 삶의 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자살 관념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15].

Maslach et al. described burnout as the point at which important, meaningful and challenging work becomes unpleasant, unfulfilling and meaningless. Indeed, at this point, energy turns into exhaustion, involvement leads to cynicism, and efficacy is replaced by ineffectiveness [13,14]. Burnout is prevalent among clinical staff with certain specialties. The higher the academic rank, the further the risk [14]. Burnout has a detrimental effect on the doctor’s quality of life an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uicidal ideation [15].


일반 건강 측정

Measuring general health


또 다른 잘 알려진 구제 조치인 소화전 대책 외에도 일반 건강 설문지(GHQ; Goldberg, 1992년)가 적용되었다. 페르시아어 버전의 GHQ는 최근의 증상이나 행동에 대한 12개의 자조 항목을 사용한다. 각 항목은 4점 척도로 평가된다(평소보다 낮음, 평년보다 낮음, 평소보다 훨씬 많음, 또는 예년보다 훨씬 높음). GHQ 총점은 선택된 채점 방법을 기준으로 12점에서 36점 사이로 추정되었다.

Besides the burnout measure, an additional, well-known distress measure,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 Goldberg, 1992) has been applied. The Persian version of GHQ uses 12 self-report items about recent symptoms or behaviours. Each item is rated on a four-point scale (less than usual, no more than usual, rather more than usual or much more than usual); GHQtotal score was estimated between 12 and 36 based on the selected scoring methods.


교수의 번아웃과 교육과정 변화 실행능력 연결

Linking faculty burnout and ability to implement curricular change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결과

Results


초기 연구결과

Preliminary findings of linkage between change stage and burnout


참가자의 성별은 변화의 단계(P = 0.04)와 연관되어 있었다: 여성은 대부분 의도 단계에 있었고, 남성은 행동 단계에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변화와 연령의 단계(P = 0.0) 또는 임상 교수로서의 경력(P = 0.09)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 또한 참가자의 연령 초과 점수(P = 0.3)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Participants’ gender was associated with the stage of change (P = 0.04): women were mostly in the intention stage, while men were in the action stage. In contrast,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stage of change and age (P = 0.0) or years of experience as a clinical faculty member (P = 0.09). In addi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participants’ age burnout scores (P = 0.3).


회귀 분석은 화상이 변화의 단계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urnout was associated with stage of change.



고찰

Discussion


우리의 연구는 의과대학의 임상 교수진의 소진과 새로운 학문적 활동의 시작에 대한 수용성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했다.

Our study sough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nout of clinical faculty in a medical school and their receptivity to starting new academic activities


우리는 임상 교수진 구성원이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과 [직업상 소진의 하위척도]에서 중요한 관계를 발견했다. 즉, 직업상 탈진이 적은 참가자는 행동 단계에 있을 가능성이 높았고, 탈진이 심한 참가자는 태도나 의도 단계에 있을 가능성이 높았는데, 이는 변화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We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faculty member’s readiness to change and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burnout. In other words, participants with low occupational burnout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action stage, while those with high burnout were in the attitude or intention stage,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not being ready to implement change.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라, Evers 등에서는 교사들의 높은 자기효능 신념이 직업상의 소진을 줄이고 개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도입할 준비를 더 잘 하게 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24].

In line with our findings, Evers et al. reported that high self-efficacy beliefs of teachers may reduce the occupational burnout and make individuals more prepared for implanting a new educational system [24].


직무 만족도가 행동 단계에 있는 임상의학자들에게 주요한 동기부여로 작용하기 쉽다. 따라서 기능들 사이의 변화 준비와 소진 사이의 상관관계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필요성 평가의 일부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의과대학에서 성공적인 커리큘럼 개정을 시행하기 위해서 말이다.

It is likely that job satisfaction acts as a major motivation for clinical faculty who are in the action stage. Hence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ess to change and burnout among faculties is a crucial issu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part of a needs assessment, that is, in order to implement a successful curriculum revision at medical universities


본 연구에서는, GHQ에 근거한 [침체된 무드]와 [변화에 대한 준비도]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변화에 대한 준비도]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 직업적 소진보다는 우울증일 수 있다는 초기 우려를 배제했다.

In our stud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depressed mood based on the GHQ and readiness to change in study population, abolishing the initial concern that the main factor hindering readiness to change may be depression rather than job burnout.


보건의료 종사자들이 흔히 '번아웃' 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있지만, 현대의 번아웃 대책은 번아웃이 완전히 된 다음에서야 그것을 인식할 수 있다[28]. 일부 학자들은 TCI와 같은 성격과 기질에 대해 서로 다른 시험을 적용하였다.

Although health care personnel are frequently at risk for the ‘burnout’ syndrome, modern measures of burnout could recognize burnout just only when it is fully developed [28]. Some scholars have applied different tests for personality and temperament such as TCI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한 연구는 기질과 성격 특성 및 소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었다[31]. 또 다른 연구에서는 기질적 특성은 (주로 정서적 피로, 비개인화 및 개인의 성취 감소에 의해 대표되는) 번아웃 퍼포먼스와 크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

One study showed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traits and burnout [31]. Another study showed that temperamental traits have been largely correlated with burnout performance, mostly represented by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6].


전반적으로, 우리의 연구 결과와 기존 문헌은 임상 교수진의 [변화 단계와 소진 단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의료 커리큘럼 수정 프로세스에서 니즈 평가 접근방식의 핵심 부분으로서 번아웃 탐색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12,28].

Overall, our findings and the existing literature indicate a relationship between stages of change and burnout in clinical faculty. This suggests the usefulness of exploring burnout as a key part of a needs assessment approach in medical curriculum modification process [12,28].


이 의학 커리큘럼 개혁을 위한 예비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번아웃이 낮은 의사들은 더 내적인 동기부여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직업 만족도도 높아져 변화할 준비가 되기 쉽다는 것, 즉 행동 단계에 있다. 행동 단계에서, 그들은 커리큘럼 개혁에 의과대학의 이니셔티브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preliminary research for medical curriculum reform? Doctors with lower burnout are more likely to be more internally motivated and also have more job satisfaction, which makes it more likely to be ready to change, that is, they are in the action stage. In the action stage, they are more likely to engage medical school initiatives in curriculum reform. 


추가적인 관찰은 외과의사들이 내과의사들과 비교했을 때 변화할 준비가 더 많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 가지 시사점은 의대 교과과정의 변경이 내과의사보다 외과의사들로부터 더 성공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 분명히 전문 분야들 사이의 뜨거운 논쟁을 위한 주제일 것이다!

An additional observation is that surgeons had more readiness to change in comparison with the internists. Thereby, one implication is that medical school curriculum change could be more successful starting with surgeons than with internists – surely a topic for hot debate between specialties!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


그러므로 의과대학에서 성공적인 학제개편을 하기 위해서는 임상 교수진들 사이에서 직업상의 소진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게다가, 소진과 의사 전공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o have successful academic reform in medical schools, it therefore would be beneficial to assess and manage occupational burnout among clinical faculty members. In addition, there appears to be a link between burnout and doctor specialty.







 2016 Feb;22(1):86-92. doi: 10.1111/jep.12439. Epub 2015 Nov 13.

Linking medical faculty stress/burnout to willingness to implement medical school curriculum chang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uthor information

1
EDO, Faculty of Dentistry,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UMS), Tehran, Iran.
2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UMS), Tehran, Iran.
3
PhD Candidate in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UMS), Tehran, Iran.
4
Faculty Member of EDC (Education Development Center), Mashhad, Iran.
5
Ministry of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Tehran, Iran.
6
EDC,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UMS), Tehran, Iran.
7
Clinical Science and Education, Karolinska Institutet, Stockholm, Sweden.
8
Psychiatry, Toronto University, Toronto, Canada.

Abstract

RATIONALE, AIMS AND OBJECTIVES:

Balancing administrative demands from the medical school while providing patient support and seeking academic advancement can cause personal hardship that ranges from high stress to clinically recognizable conditions such as burnout.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linical faculties' burnout and its effects on different aspects of their professional career,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ingness to change teaching approaches as characterized by a modified stage-of-change model and measures of stress and burnout.

METHODS:

This descriptive analytic study was conducted on 143 clinical faculty members of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in Ir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ree questionnaires: a modified stages of change questionnaire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and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sed by SPSS: 16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s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d ICC (intra-class coefficient)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RESUL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aculty members' readiness to change teaching approaches and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burnout. Specifically, participants with low occupational burnout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action stage, while those with high burnout were in the attitude or intention stage,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not being ready to implement chang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ral health scores and stage of change.

CONCLUSIONS:

We found it feasible to measure stages of change as well as stress/burnout in academic doctors. Occupational burnoutdirectly reduces the readiness to change. To have successful academic reform in medical schools, it therefore would be beneficial to assess and manage occupational burnout among clinical faculty members.

KEYWORDS:

Medical education; burnoutcurriculum reform; medicine; stages of changestress

PMID:
 
26563562
 
DOI:
 
10.1111/jep.12439


특권과 편향 인식하기: 보건의료제공자의 개인적 인식 확장을 위한 상호작용적 연습(Acad Med, 2017)

Recognizing Privilege and Bias: An Interactive Exercise to Expand Health Care Providers’ Personal Awareness

Amanda L. Holm, MPH, Marla Rowe Gorosh, MD, Megan Brady, MPH, MSW, and Denise White-Perkins, MD, PhD




문제

Problem


특권의 편재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특권이 의료에서의 상호작용과 결과에도 영향을 준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명백한 인종 차별은 감소했지만, 사회적 특권의 혜택을 받는 집단은 여전히 암묵적인 편견을 보이며, 의료 불균형을 부추기고 있다.2

Given the ubiquity of privilege, we believe, also influence health care interactions and outcomes. For example, though overt racism has declined, groups that benefit from social privilege still exhibit implicit biases, feeding into health care disparities.2


공감을 촉진하는 개입은 [무의식적인 인종적 태도와 그들의 해로운 영향에 대한 의료제공자의 인식]을 높이는데 초점을 둔다.6 자신의 문화적 경험의 보편성에 대한 참가자들의 확신에 균열을 일으켜서 타인의 다양하고 타당한 경험에 눈을 뜨게 할 수 있다.7

Interventions that foster empathy increase providers’ awareness of unconscious racial attitudes and their detrimental effects.6 Challenging participants’ certainty about the universality of their cultural experiences can open their eyes to the different and valid experiences of others.7


헨리 포드 건강 시스템(Henry Ford Health System, HFHS)은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에 본사를 둔 수직 통합 의료 기관이다.

Henry Ford Health System (HFHS) is a vertically integrated health care organization headquartered in Detroit, Michigan.


접근

Approach


HFHS의 다문화 건강 연구소와 함께 일하는 직원들은 보건 시스템 전반에 걸쳐 인식-향상 활동을 수행했다. 참가자들의 질문, 논평, 평가를 분석한 결과, 특권 및 무의식적 편향이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Staff members working with HFHS’s Institute on Multicultural Health conducted awareness-raising activities throughout the health system. Participants’ questions, comments, and evaluations indicated a need for training on the impact of privilege and unconscious bias on patient care.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필요에 맞춘 독창적인 도구인 양방향 권한 및 책임 커리큘럼 연습(PRCE)을 개발했다.

We therefore developed an original tool, the interactive Privilege and Responsibility Curricular Exercise (PRCE), tailored to our needs.


PRCE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일상생활과 작업 환경에서 특권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특권이 자신과 타인의 살아있는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The PRCE’s aim was to raise participants’ awareness of privilege in their everyday lives and work environments an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privilege has on their own and others’ lived experiences.


따라서 우리는 PCE를 Peggy McIntosh의 "보이지 않는 배낭" 작업에 기초했는데, 이 작품은 미국 문화 내에서 백인이라는 사회적 신분을 가진 사람들에게 부여되는, [흔히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노력으로 얻은 것도 아닌unearned 특권]을 해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 PRCE는 참가자들에게 자신에게 적용되는 특권의 진술들을 스스로 선택하라고 요구했다. 우리는 이것들 중 일부를 백인 특권에 초점을 맞춘 McIntosh의 리스트에서 수정했고, 다른 것들은 사회적 정체성을 포함하도록 만들었다. 22개의 진술은 각각 하나 이상의 사회적 범주와 지배적인 사회 규범을 반영한 경험을 참조했다(표 1).

We therefore based the PRCE on Peggy McIntosh’s “invisible knapsack” work which has helped elucidate the unearned, frequently unrecognized privileges that accrue within American culture to people with white social identities.1 The PRCE asked participants to self-select statements of privilege that apply to them. We adapted some of these from McIntosh’s list focused on white privilege,1 and we created others to encompass additional social identities. Each of the 22 statements referenced one or more social categories and experiences reflecting dominant societal norms (Table 1).


우리는 전형적으로 약 25명의 참가자들과 함께 PRCE를 수행했지만, 때로는 훨씬 더 큰 그룹들과 함께 PCE를 수행하기도 했다. 우리는 22개의 스테이션을 교실위에 배치했고, 각각의 스테이션에는 각각의 진술문이 카드에 인쇄되어 있었고, 참가자 숫자 만큼의 페니가 들어 있는 그릇이 들어 있었다. 참가자들은 각 스테이션에 작은 '배낭'을 들고 가서 진술문을 읽고, 자신들에게 해당한다고 느끼는 진술 하나하나에 대해 1페니를 챙겼다. 그룹이 커서 이동이 어려운 경우, 참가자들은 22개의 성명서와 함께 유인물을 받았고, 그들 자신의 경험을 설명했다고 느끼는 것에 동그라미를 쳤다.

We typically conducted the PRCE with about 25 participants, but sometimes with much larger groups. We placed 22 stations around a classroom, each with one statement printed on a card and a bowl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pennies as participants. Participants took a small “knapsack” to each station, read the statements, and took a penny for each statement that they felt was true for them. In larger groups, for which moving around would have been difficult, participants received handouts with the 22 statements and circled those that they felt described their own experiences.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얼마나 많은 동전을 모았는지(예: 0–5, 6–12, 13–18, 19–22페니)를 기준으로 그룹을 이루어 서 있었다. 그룹은 참가자 수에 따라 유동적이었다.

The participants then stood in groups based on how many coins they had gathered (e.g., 0–5, 6–12, 13–18, and 19–22 pennies). Groupings were flexible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그런 다음 퍼실리테이터는 참가자들에게 "0이나 1개의 문이 동그라미를 친 경우, 앉으십시오."와 같이 동그라미를 친 문장이 몇 개인지에 따라 앉도록 요청했다. 그런 다음 진행자는 참가자가 앉도록 잠시 멈추고 "5개 이하의 문장이 동그라미 쳐져 있으면 앉으십시오."라고 묻고 10, 14, 18, 20개 문항까지 계속하여 22개 문장이 동그라미 쳐진 상태로 끝났다.

The facilitator then asked participants to sit down according to how many statements they circled, requesting, for example, “If you had zero or one statement circled, please sit down.” The facilitator would then pause for participants to sit before asking, “If you had five or fewer statements circled, please sit down,” and continuing through 10, 14, 18, and 20 or fewer statements, finally ending with all 22 statements circled.


소그룹(약 5명의 참가자)으로 진행된 디브리핑은, 참가자들 간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한 간단하고 편안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우리는 개개인이 자신의 행동과 특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소그룹 설명 질문(표 2)을 설계했다. 우리는 소규모 그룹 논의가 더 안전한 환경에서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본다.

Debriefing in small groups (of about five participants) began with simple, comfortable questions that graduated toward highlighting differences among participants. We designed the small- group debriefing questions (Table 2) to help individuals better understand the exercise and their own privileges. We believed small-group discussion increased the safety of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내가 이사를 해야 한다면, 나는 내가 살 수 있고 살고 싶은 지역에 집을 임대하거나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

If I should need to move, I can be pretty sure of renting or purchasing a home in an area in which I can afford and in which I would want to live.*


담당자와 이야기를 나누자고 하면, 나와 비슷한 사람과 마주하게 될 것이다.*

If I ask to talk to the person in charge, I will be facing a person similar to me.*


공항의 보안검색대 쪽으로 걸어가면 용의자로 비춰지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If I walk towards a security checkpoint in the airport, I can feel that I will not be looked upon as suspect.


만약 내가 응급실에 들어간다면 나는 위엄과 존경을 받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If I walk into an emergency room I can expect to be treated with dignity and respect.


만약 내가 밤에 주차장을 걸어간다면 나는 연약함을 느낄 필요가 없다.

If I walk through a parking garage at night I don’t have to feel vulnerable.


나와 비슷한 사람이 그려진 포스터, 엽서, 그림책, 연하장, 인형, 장난감, 어린이 잡지를 쉽게 살 수 있다.*

I can easily buy posters, postcards, picture books, greeting cards, dolls, toys, and children’s magazines featuring people who look like me.*


나는 내가 말하고 있는 누구든지 내 말의 의미를 이해할 것이라고 쉽게 믿을 수 있다.

I can easily trust that anyone I’m speaking to will understand the meaning of my words.


나는 내 고객/환자들이  첫인상에 대해 qualified 된 사람으로 느낀다고 확신할 수 있다.

I can feel confident that my customers/patients feel that I am qualified upon first impression.


고객/환자가 어디서 왔느냐고 물으면 그저 친하게 대하기 때문이라고만 생각한다.

When a customer/patient asks where I’m from, I simply think that it’s because they’re being friendly.


나의 고용주는 나에게 가장 중요한 휴일에 휴가를 준다.

My employer gives days off for the holidays that are most important to me.


나는 필요할 때마다 일찍 출근하거나 늦게까지 머물 수 있고 내 아이들이 보살핌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 can come to work early or stay late whenever needed and know that my children will be cared for.


나는 많은 병원 지도자들에게 이야기를 할 수 있고 내 의견이 경청되었다고 느낀다.

I can speak in a roomful of hospital leaders and feel that I am heard.


나는 대부분의 모임에서 외톨이, 외딴 곳, 또는 경청받지 못한다기보다는, 어느 정도 engaged한 감정을 느끼고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

I can go home from most meetings feeling somewhat engaged, rather than isolated, out-of-place, or unheard.*


나는 카페테리아 메뉴를 볼 수 있고, 그 날의 특별한 음식이 우리 문화의 전통 음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I can look at the cafeteria menu and expect to see that the special of the day reflects my culture’s traditional foods.


나의 나이는 나의 신용을 높여 준다. 

My age adds to my credibility. 


나의 체형(stature)은 성공의 이미지와 일치한다. 

My body stature is consistent with an image of success. 


나는 내 배우자나 파트너를 두 번 생각하지 않고 사무실 모임에 데려올 수 있다.

I can bring my spouse or partner to an office gathering without thinking twice.


법적 또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하다면 내 인종은 나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나는 확신할 수 있다.*

I can be sure that if I need legal or medical help, my race will not work against me.*


나는 동료들로부터 '인종이나 성별 때문에 자리를 얻었다'고 의심받을 걱정을 하지 않고 AA에 따라 직업을 가질 수 있다.*

I can take a job with an affirmative action employer without having coworkers on the job suspect that I got it because of race or gender.*


만약 내가 어떤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명확하게 쓰여지지 않았다고 확신한다.

I feel confident that if I don’t understand something then it wasn’t written clearly enough for most others to understand.


만약 가족 구성원이 병원이나 응급치료를 요구한다면 그들은 나와 병원과의 연관성에 대해 언급하지 않더라도 위엄과 존경을 받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I can feel confident that if a family member requires hospital or emergency treatment they would be treated with dignity and respect even if they don’t mention my connection with the hospital.


나는 특별한 준비가 필요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나를 다르게 보게 만드는 어떤 의학적 조건이나 문화적/종교적 식단 제한도 없다.

I have no medical conditions or cultural/religious dietary restrictions that require special arrangements or that makes others see me as different.




성과

Outcomes


PRCE는 다양한 사회적 범주에 부여된 특권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자기 발견의 과정이었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특권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지배적인 문화 그룹에 속해있음을 깨달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일상적인 활동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높은 점수를 받은 참가자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지만, 특권을 거의 경험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경험이 무엇이지 모두 깨닫게 되었다.

The PRCE engaged participants in self-discovery that increased their awareness of the privileges conferred upon various social categories. In general, those with more privileges gained insight into their membership in dominant cultural groups, recognizing that everyday activities might be more difficult for others. As described below, experiences unfamiliar to high-scoring participants but well known to those who claimed fewer privileges became accessible to all.


토론을 하다보면, 사회적 편견의 존재를 의심하는 부정, 우회, 일화가 등장한다. 퍼실리테이터는 이러한 분열적 반응에 대응해야 했다. 이에 대해 퍼실리테이터들은 참가자들들 모두가 의료 분야에서 고용되어있는 것 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특권을 가지고 있음을 상기시켰다. 진행자들은 공정하고 공평한 방법으로 특권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 모든 사람을 회의에 포함시키고, 

  • 특권과 편견의 렌즈를 통한 임상적 질적 차이를 조사하고, 

  • 환자에 대한 문화적 겸손함을 보여주는 등 .

Discussions would sometimes unearth divisive responses that facilitators had to challenge, such as denial, diversion, or anecdotal accounts questioning the existence of societal bias. In response, facilitators reminded participants that they all had some degree of privilege related to being employed in the health care field. Facilitato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using privilege in just and equitable ways: 

  • including everyone in meetings; 

  • examining gaps in clinical quality through the lens of privilege and bias; and 

  • exhibiting greater cultural humility toward patients.


일부 참가자들, 특히 전통적으로 비특권층이었던 참가자들은, 높은 "점수"를 자신감, 외향, 노력, 결단력 같은 개인적 특징 덕분이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코멘트는 "더 적은 특권을 가진 사람들이 구조적인 불평등의 환경에서 성공하려면 어떻게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거나 대처 능력을 개발해야 하는지"를 보여주었했다.

Some participants, particularly those from groups that traditionally lack privilege, attributed their high “scores” to personal characteristics like confidence, extroversion, hard work, and determination. Such comments reflected the ways in which people with fewer privileges must put forth increased effort or develop coping abilities to succeed in an environment of structural inequities.


역사적으로 특권층(dominant) 그룹의 일부 참가자들은, 그들이 성명을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을 공유할 때, 그들이 특권을 주장할 수 없다는 사실이 사회적 정체성의 중요성을 반증한다고 느꼈다. 이런 반응은 "공항 보안검색대를 향해 걸어간다면 용의자로 비춰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는 진술에 대해 가장 자주 일어났다. 특권층 그룹의 참가자들은 그들이 thorough check을 위해 자주 선택되었다고 느낀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경우, 퍼실리테이터는 먼저 참가자들이 민족이나 종교와 같이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특성 때문에 수색을 위해 선별되었다고 느끼는지를 탐구하는 것으로 응답했는데, 참여자들은 전형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인정했다. 그러고 나면, 퍼실리테이터는 '검문의 이유'를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에 귀속시켰던 사람들'이 그 상황을 전혀 다르게 경험함을 보았다.

Some participants from historically dominant groups, when sharing that they could not claim a statement, felt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laim a privilege disproved the importance of social identities. This response happened most frequently in reaction to the statement “If I walk towards a security checkpoint in the airport, I can feel that I will not be looked upon as suspect.” Participants from historically dominant groups asserted that they felt they were routinely chosen for more thorough checks. In these instances, the facilitator responded by first exploring whether these participants felt singled out for a search because of characteristics they possessed, such as ethnicity or religion, which, the participants admitted, was not typically the case. The facilitator then observed that those who attributed searches to their social identities may experience them quite differently.


  • [가장 적은 특권을 가진 참가자]들은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장벽과 도전의 인식을 인정해주었다는 감정과 그 이슈에 대한 관심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표현했다. 

  • 반대로, [가장 많은 특권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네들이 극복해야 할 장벽이 적은 것에 대한 감사와 당황과 죄책감이 혼합된 감정을 표현했다. 

우리는 새로 훈련된 대사들 사이의 이러한 유형의 개인적 폭로를 문화적 겸손과 시스템 변화를 촉진하는 새로운 동기 부여로 보았다.

  • Participants with the fewest privileges expressed feelings of validation for the recognition of the barriers and challenges they face and of gratitude for the attention brought to the issue. 

  • Conversely, those with the most privileges expressed a mixture of appreciation for having fewer barriers to overcome and of embarrassment and guilt. 

We viewed these types of personal revelations among newly trained ambassadors as precursors to both cultural humility and a fresh motivation to promote systems changes.


다음 단계

Next Steps


PRCE는 참가자들이 특권 인식에 대해 반성하고 다음을 통해 불평등을 해결할 것을 고려하도록 허용했다.

The PRCE allowed participants to reflect on their recognition of privilege and to consider addressing inequity through:


1. 상대적 사회적 지위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 증가,

1. Increased personal awareness of their relative societal position,


2. 이런 활동의 결과를 타인과 논의한 후, (동료들, 심지어 표면상으로는 같은 전문직이거나 또는 사회적 지위가 비슷한 동료들 사이에서도) 경험이 불평등하고 부당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2. A realization, after discussing the results of the exercise with others, that the experiences of peers—even those with ostensibly similar professional or societal standing—are unequal and unjust,


3. 그룹 간에 불균등하게 특권을 부여하는 사회적 구조에 대한 민감성 증가

3. An enhanced sense of societal structures that bestow privilege unequally across groups, and


4.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특권을 자원으로서 활용하는 방법 탐구.

4. An exploration of ways to capitalize on privilege to address disparities.


의료는 사회적 불평등에 면역이 되어있지 않; 특권과 권력의 사회체계는 일상적으로 의료 종사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우리를 병원, 클리닉, 연구실 그리고 그 너머에까지 동반한다. 전문직업성은 우리가 이러한 영향을 얼마나 잘 무시하느냐가 아니라, 특권이 우리의 직업에 미치는 영향을 우리가 얼마나 용감하게 마주하느냐에 의해 측정된다. 의료 전문가들은 모두에게 평등을 보장하기 위해 특권과 무의식적인 편견에 대한 개선된 인식이 필요하다. 우리는 PRCE가 이 필수적인 목표의 확대에 대한 약속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Health care is not immune to societal inequities; social systems of privilege and power influence health care workers every day, and this influence accompanies us into the hospital, the clinic, the research laboratory, and beyond. Our professionalism is not measured by how well we ignore these influences, but by how courageously we confront their impact on our work. Health care professionals need an improved awareness of privilege and unconscious bias to ensure equity for all. We believe the PRCE holds promise for the furtherance of this essential goal.





 2017 Mar;92(3):360-364. doi: 10.1097/ACM.0000000000001290.

Recognizing Privilege and Bias: An Interactive Exercise to Expand Health Care Providers' Personal Awareness.

Author information

1
A.L. Holm is project manager, Center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Henry Ford Health System, Detroit, Michigan. M. Rowe Gorosh is senior staff,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rganizational and educational consultant, Institute on Multicultural Health, Henry Ford Health System, and associate clinical professor, Wayne Stat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troit, Michigan. M. Brady is manager, Stroke Program, Department of Neuroscience, Henry Ford Hospital, Detroit, Michigan. At the time of this project, she was project manager, Institute on Multicultural Health, Henry Ford Health System, Detroit, Michigan. D. White-Perkins is director, Institute on Multicultural Health, Henry Ford Health System, senior staff and faculty member,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associate clinical professor, Wayne Stat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troit, Michigan.

Abstract

PROBLEM:

Despite increasing awareness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health care disparities among sociocultural groups persist. Health care providers' unconscious bias resulting from unrecognized social privilege is one contributor to these disparities.

APPROACH:

In 2009, Henry Ford Health System initiated the Healthcare Equity Campaign both to raise employees' awareness of inequalities related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to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reduce them. After conducting awareness-raising activities to increase employee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 curriculum team developed the interactive Privilegeand Responsibility Curricular Exercise (PRCE) and incorporated it into a series of trainings. The team designed the exercise to enhance participants' awareness of privilege in their lives and work,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privilege on their own and others' lived experiences as a step beyond cultural competence toward cultural humility, and to encourage them to leverage their advantages to reduce health care inequities.

OUTCOMES:

About 300 participants of diverse professional and personal backgrounds from across the health system completed the training between the spring of 2009 and the spring of 2012, and many provided qualitative feedback about the exercise. Evaluations showed the exercise's potential as a powerful learning experience that might enhance a variety of equity- or diversity-related trainings, and also showed that participants considered the PRCE a highlight of the training.

NEXT STEPS:

The PRCE is worthy of additional study and could prove valuable to other organizations.

PMID:
 
27355785
 
DOI:
 
10.1097/ACM.0000000000001290


복잡성 이론을 의과대학 평가에 활용하기 (Acad Med, 2018)

Using Complexity Theory to Guide Medical School Evaluations

Christine Jorm, MBBS, MD, PhD, and Chris Roberts, MBBS, MBChB, PhD




현재의 교육 시스템은 "쉽게 표현되는 그 어떤 이론적 또는 개념적 틀이 아니라, 전통, 의식, 문화, 역사의 산물"로 묘사되어 왔다.2 이러한 상황 때문에, 1 교육자들은 현재의 관행을 필요한 것, 근본적인 것, 완전한 것처럼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기존 교육적 요소와 실천의 개선은 점진적인 변화만 이뤄진다.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has been described as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express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2 Because of this situation,1 educators tend to act as if current practices are necessary, elemental, and complete. Thus, only incremental changes are offered to improve existing educational elements and practices.


또한 인증 프로세스는 불만족스러운 현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왜냐하면 "인증을 위한 개별 프로그램 성과의 모니터링이 반드시 시스템으로서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이해를 진전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ccreditation processes may be contributing to this unsatisfactory status quo1 as “Monitoring of individual program outcomes for accreditation does not necessarily advance a program’s understanding of itself as a system.”3


의학교육 시스템을 선형적으로 보는 기존의 평가 프로세스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해석하여 판단을 내리고 변화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공한다.4 거의 20년 전에 Gerrity와 Mahaffy5에 의해 묘사된 접근법은 여전히 내적internal, 양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재의 의과대학 평가 문화에 상응한다. 의과대학평가는 보통 단일 개입의 결과(예: 새로운 교수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종종 개입의 결과는 시스템 수준에서 보고되지 않고, 개입에 의해 즉시 영향을 받는 교사나 학생의 평균 반응 수준에서 보고된다. 하지만, 의학 교육 시스템의 디자인이 의미하는 것은, 학생마다 그들의 임상적 로테이션 동안에 독특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Traditional evaluation processes, which take a linear view of medical education systems, systematically gather and interpret information to make judgments and offer recommendations for change.4 The approach described by Gerrity and Mahaffy5 nearly two decades ago still captures the current medical school evaluation culture, where the focus is on internal and quantitative processes. Measurement usually centers on the outcomes of a single intervention (e.g., a new way of teaching), and often those outcomes are reported at the level of the average reaction of the teachers or students who are immediately impacted by the intervention, rather than at the system level. Yet, the design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means that individual students have unique experiences during their clinical rotations.6



전통적인 의과대학 평가

Traditional Medical School Evaluations


성과기반교육 프레임워크9는 종종 측정 가능한 역량에 대한 원자화된 접근방식을 선호하여, 복잡한 통합적 기술을 무시한다.10,11 하지만 의과대학평가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도구적, 점진적 변화를 추구해온 기존의 방식]에서 [직원, 학생 및 환자의 행동에 대해서, 헬스케어 성과에 대해서, 커뮤니티 태도에 대해서 여러 단계의 변화]를 봐야 한다.

Outcomes-based education frameworks9 often ignore complex integrative skills in favor of an atomized approach to measurable competencies.10,11 However, evaluating a medical school requires a shift from seeking instrumental and incremental linear change to seeking multilevel change in the behaviors of staff, students, and patients, in health care outcomes, and in community attitudes.


복잡성 이론에 대하여

About Complexity Theory


복잡성 이론은 [시스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복잡계를 연구하기 위한 접근방법]이다.12 복잡계는 다양성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고, 네스팅이 있으며, 자가 조직화된다.

Complexity theory is an approach to studying complex systems that focuse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system.12 Complex systems are energized by diversity, display nesting, and are self-organizing.


  • 다양성은 서로 관련을 갖는 상호연결된 여러 요소의 수를 말하며 [입력의 다양성]과 [상호작용과 출력의 다양성]으로 측정된다. 

  • 네스팅은 초기 시스템을 둘러싸는 더 큰 복잡한 시스템을 말한다(더 큰 시스템도 그 자체로 상위 시스템의 구성 부품일 수 있다). 

  • 기조직화는 다양한 [상호연결된 시스템 요소들이 의도적인 방법으로 자발적으로 배열하는 능력]을 기술한다. Outcome은 Emergent하다. 따라서 Emergent outcome은 사전에 완벽하게 구체화될 수 없는 성격과 타이밍을 가지고 있다.

  • Diversity refers to the number of different and interconnected elements involved and is measured by the variety of inputs and the multiplicity of interactions and outputs. 

  • Nesting refers to the larger complex systems that surround the initial system (which also may have component parts that are themselves complex systems). 

  • Self-organizing describes the capability of the various interconnected system components to spontaneously arrange themselves in a purposeful way. Outcomes are emergent; they have a nature and timing that cannot be specified fully in advance.


복잡성 이론이 의과대학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

How Complexity Theory Can Help Us Understand Medical Schools


일부 사람들은 선형 모델이 교육 시스템을 이해하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하지만, 13 [다수준 결과multilevel outcome의 출현emergence]은 모든 교육환경에 존재하는 핵심적 복잡성 개념이다.14 즉, 새로운 지식은 학생, 교수진 및 교육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들 사이의 많은 상호 작용에서 생성된다.

While some claim that linear models suffice for understanding education systems,13 the emergence of multilevel outcomes is a central complexity concept that is present in all educational settings.14 That is, new knowledge is created from the many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faculty, and the material elements of education systems


교육 연구에서 복잡성 이론은 개인을 강조하고 학습의 역동적인 사회성에 초점을 맞추는 Sociomaterial 학습 이론들 중 하나이다.18,19

In educational research, complexity theory is among the sociomaterial learning theories that deemphasize the individual and focus on the dynamic social nature of learning.18,19



다양성

Diversity


의과대학의 시스템 다양성은 많은 원천sources을 가지고 있다. 인적 자원의 예를 이용하여, 다양성은 의대에 받아들여지고 다양한 적합성, 지식, 기술, 행동, 에너지를 가지고 오는 성인 학습자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것은 다양한 배경, 경험, 관점의 아카데믹과 임상의사를 가르치는 교수진에 의해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다양성은 의료 교육에 항상 존재하는 개별 환자, 질병 그들의 이야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임상 경험에 노출되는 것에서도 비롯된다.

System diversity in a medical school has many sources. Using the example of human resources, diversity is created by the adult learners who are accepted into medical school and bring with them varied aptitudes, knowledge, skills, behaviors, and energy. It is created by the faculty who teach—academics and clinicians from varied background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Finally, diversity comes from exposure to a variety of clinical experiences, including to individual patients, their illnesses, and their stories, which are always present in medical education.


네스팅

Nesting


어떤 평가에서 nested system을 고려하려면 평가에 대한 비선형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In any evaluation, the inclusion of nested systems demands a nonlinear approach to evaluation. 


이 논의의 중심을 이루는 핵심적 nested system은 보건의료 시스템과 그것의 설계, 자금 지원이며, 보건의료시스템과 의과대학과의 연계이다.21 보다 광범위하게 보자면 정부 역시 nested system이다. 왜냐하면 법, 자금 및 기타 정치적 전략을 통해 대학과 보건 시스템의 조직을 지도함으로써 사회적 우려와 지역사회 건강 문제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A central nested system in this discussion is the health care system, its design, funding, and links with medical schools.21 More broadly, the government is also a nested system, as it responds to societal concerns and community health problems by guiding the organization of universities and health systems through laws, funding, and other political strategies.



자기조직화

Self-organizing


의과대학 내에서 자기조직을 하는 예로는 [의대생들이 자신의 교육 및 임상경험에서 인지된 격차를 매우기 위해서 능동적인 주체로서 취하는 행동방식]이 있다. 그들은 튜토리얼을 자체 조직하고, 새로운 동료 기반 학습 활동을 개발하고, 임상 환경에서 새로운 학습 기회를 모색한다.23

An example of self-organizing within a medical school is how medical students act as active agents who fill perceived gaps in their didactic education and clinical experience. They self-organize tutorials, develop new peer-based learning activities,22 and seek out new learning opportunities in clinical placements.23


복잡성 이론을 사용하여 의과대학 평가 설계

Using Complexity Theory to Design Medical School Evaluations


우리는 의학교육자들이 복잡성 이론을 사용하여 평가 프레임워크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두 가지 유용한 도구를 설명한다: 로직모델, 센스메이킹

We describe two useful tools to help medical educators design evaluation frameworks using complexity theory—logic models and sensemaking.


프로그램 로직 모델은 평가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24–26 기존 모델은 네 가지 기본 요소인 입력, 활동, 산출, 결과를 가진 선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4 의과대학의 결과는 무수하고, 논쟁적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며, 로직모델은 여러 관점, 상황 복잡성 또는 동적 관계를 쉽게 포착할 수 없다.27,28 그러나 [입력과 결과 사이에 예측 가능한 선형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제거하면, 입력과 결과라는 개념이 도움이 된다.

Program logic models have the potential to advance thinking about evaluation.24–26 Traditional models have a linear structure with four basic components—inputs, activities, outputs, and outcomes.4 The outcomes of medical schools are myriad, contested, and elusive, and logic models are not easily able to capture multiple perspectives, contextual complexity, or dynamic relationships.27,28 However, the notion of inputs and outcomes is helpful if we remove the assumption that inputs and outcomes have a predictable linear relationship.


예를 들어, 우리는 간호학과 의대생을 위한 복잡한 대량 외상 시뮬레이션을 평가했다.29 

  • 투입에는 촉진, 응급 처치 장비, 교육 공간 및 미리 훈련된 학생들을 위한 직원이 포함되었다. 

  • 활동에는 시뮬레이션된 외상환자에 대한 소규모 그룹 학습이 포함되었다. 

  • 산출에는 학생 출석, 직원 및 학생 학습 경험이 포함되었다. 

  • 성과에는 트라우마 치료의 맥락에서 협력적인 팀워크에 필요한 학생들의 새로운 지식과 비기술적 기술의 개발이 포함되었다.

For example, we evaluated a complex mass trauma simulation for nursing and medical students.29 Inputs included staff for facilitation, first aid equipment, educational space, and pretrained students. Activities involved small-group learning around a simulated trauma patient. Outputs included student attendance and staff and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Finally, outcomes included students’ new knowledge and their development of the nontechnical skills required for collaborative teamwork in the context of trauma care.


복잡성 이론을 사용하여 평가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또 다른 유용한 과정은 센스메이킹이다.30 센스메이킹은 교육자가 복잡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진단 과정을 통해서 임상의사가 무수한 임상 및 사회적 정보를 make sense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임상팀이 복잡한 환자를 관리하는 것처럼, 조직 수준에서 최적의 센스메이킹은 [귀납적 결론이 나올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참여적 과정]이다.17

Another helpful process in designing evaluation programs using complexity theory is sensemaking.30 Sensemaking provides a way for educators to reduce complexity which is similar to how the diagnostic process provides a way for clinicians to make sense of myriad clinical and social information. Just as the clinical team manages the complex patient, optimal organizational sensemaking is a multimethod, participatory process that analyzes sufficient amounts of data to allow inductive conclusions to emerge.17


조직적 학습(즉, 평가 과정의 바람직한 성과)은 창발적이고, 유동적이며, 실험을 동반하고, 지속적으로 역동적 복잡성이 추가된다. 교육적 변화는 의대 내 시스템 역학을 변화시킬 것이며, 의과대학 내부적으로, 외부적으로 중첩된 복잡성nested complexity을 야기할 것이다. 필연적으로, 몇몇 창발적 결과들은 예상치 못한 것이 될 것이다. 그런 다음 (복잡한 환자들에게서 진단 과정이 계속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센스메이킹 과정이 이어진다. 센스메이킹은 바람직하지 않은 시스템 역학을 추적할 수 있고, 시스템 개선을 위한 새로운 가설을 쉽게 만들 수 있다.

Organizational learning (i.e., the desired outcome of an evaluation process) is emergent and fluid (self-organizing), and it involves experimentation and the addition of continuing dynamic complexity. Educational changes will alter system dynamics within the medical school and produce complexity nested both internally within the medical school and externally within the systems in which the medical school is nested. Inevitably, some of the emergent outcomes will be unexpected. The process of sensemaking then continues in the same way in which the diagnostic process continues in complex patients. Sensemaking can trace some of the undesirable system dynamics and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new hypotheses for system improvement.


의과대학 평가의 복잡성 이론 기반 메타포

A Complexity-Theory-Based Metaphor for Medical School Evaluations


강력한 센스메이킹 수단은 은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A powerful means of sensemaking is through the use of metaphor.


그러한 비유 중 하나는 "기계로서의 조직"이다. 세계가 그렇게 합리적이지 않고 잘 정돈되어 있지 않은 대안적 은유는 "이상한 나라로서의 조직"이다.33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모험"을 그린다.34 이 은유는 부조리성, 불합리성, 불확실성, 무질서와 같은 문제를 중심에 두고 있으며 아마도 몇몇 의학 교육자들에게 학문적 또는 임상적 삶의 역설적 성격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매력적일 수 있다.

One such metaphor is the “organization as machine.” An alternative metaphor in which the world is not so rational and well ordered is the “organization as Wonderland,”33 which draws on the novel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34 This metaphor places issues such as absurdity, irrationality, uncertainty, and disorder at its center and is perhaps appealing to some medical educators as a way to understand the paradoxical character of academic or clinical life.


그러나 평가는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앨리스도 이렇게 묻는다.

Yet evaluation needs to provide direction. Even Alice asks:


"제발, 여기서부터 어느 길로 가야 하는지 말해 주시겠습니까?" "그것은 당신이 어디에 가고 싶은지에 달려있다."고 그 고양이는 말했다.34

“Would you tell me, please, which way I ought to go from here?” “That depends a good deal on where you want to get to,” said the Cat.34


우리는 의과대학 평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운 비유, 즉 복잡한 신경망 내에 위치한 뉴런으로서의 조직을 제안한다(그림 1 참조). 그것은 기계에 대한 은유라기 보다는 커넥션에 의해 정의되는 유기체로서 은유로이다.

We propose a new metaphor—the organization as a neuron situated within a complex neural network—to make sense of medical school evaluation (see Figure 1). It is an organic metaphor rather than a mechanical one and is very much defined by its connections.



이러한 은유에서는, 투입과 성과는 비선형이라는 수정된 로직 모델을 사용한다. 우리는 그림 1의 

  • 에 있는 dendrites를 사용하여 교사, 학생 및 교육 설계의 투입 정보를 표시한다. 

  • 른쪽 축을 이용하여 성과(졸업자의 증거 기반 관리 관행, 사회적 책임 등)를 표시한다. 

이 시스템은 우리가 라벨을 붙인 것보다 더 많은 입력과 결과(선도 및 축도)를 가지고 있다.

For this metaphor, we used a modified program logic model in which inputs and outcomes were nonlinear. We indicate inputs—teachers, students, and educational design—using the dendrites on the left side of Figure 1. We indicate outcomes—the practice of evidence-based care by graduates, social accountability, and so forth—using the branched axons on the right side. This system has many more inputs and outcomes (dendrites and axons) than those we have labeled.


이 은유는 [신경의 출력을 결정하는 흥분과 억제 입력]이라는 competing nature를 고려하여 더욱 확장될 수 있다.

the metaphor can be extended by considering the competing nature of excitatory and inhibitory inputs in determining neuronal output,


의료 교육의 활동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의 핵심적 중첩 시스템은 의대 뉴런을 둘러싸고 있는 촘촘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된 조립체를 형성하는 다른 뉴런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첩된 시스템nested system(대학, 보건 시스템 및 정부)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의대에 영향을 주고, 의대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Several important, related nested systems that affect the activities and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 are illustrated by the other neurons that form the densely networked assemblage that surrounds the medical school neuron. These nested systems—the university, the health system, and the government—influence and are influenced by the medical school in multiple ways.


의학교평가에 있어서 감각제정을 위한 복잡성 이론의 사용원리

Principles for Using Complexity Theory for Sensemaking in Medical School Evaluations


We suggest that eight key principles (http://links.lww.com/ACADMED/A465).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복잡성 이론의 관점에서 본 의과대학평가의 기본원리

Key Principles Underpinning the Design of Medical School Evaluations from a Complexity Theory Perspective


1. 집단적 센스메이킹에 참여하여, (관련 이해관계자의 의미 있는 우려를 해결하고, 자원을 현명하게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평가 질문을 분석 및 설계한다.

1. Engage in collective sensemaking to analyze and design appropriate evaluation questions that address the meaningful concerns of the relevant stakeholders and use resources judiciously.


2. 투입과 성과가 비선형 관계를 갖는 로직모델을 사용하여 평가 질문을 다시 표현한다. 평가는 여러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가능하다면 참여적이어야 한다.17

2. Reframe evaluation questions using a logic model, where inputs and outcomes have a non-linear relationship. Evaluations should be multimethod and, where possible, participatory.17


3. 추가적인 센스메이킹을 만들기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찾고 여러 개의 마이크로 및 매크로 레벨 지표를 집계하여 귀납적 성과가 드러나게 해야 한다.29

3. For further sensemaking, seek large amounts of data and aggregate multiple micro- and macro-level indicators to allow for inductive outcomes to emerge.29


4. 중요하게 생각되는 투입을 측정하라, 중요한 투입이란 복잡한 역동적 시스템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작은 변화만으로도 양 또는 음의 피드백 루프를 발생시켜, 놀라운 창발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4. Measure inputs that are likely to be important, those that provide energy to the complex dynamic system, and those for which small changes may lead to positive or negative feedback loops and surprising emergent outcomes.


5. 중첩된 시스템(대학, 보건 시스템, 사회 등)의 영향(입력)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스템의 변화와 의과대학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적어도 1년에 수행해야 한다.

5. Explicitly consider the influence (input) of nested systems--university, health system, society, etc. For instance,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se systems and the possible implications for the medical school should be undertaken at least yearly.


6. emergence로 인해서 성과는 활동에 의해서 예측되지 않으며, 커리큘럼이 의도한 대로 전달되거나 수신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관련된 의과대학의 활동의 영향을 고려한다.

6. Consider the influence of relevant medical school activities, as outcomes are not predictably linked to these activities (due to emergence) and the curriculum is rarely delivered or received as intended.


7. 임상 결과를 포함한 장기적 결과(졸업 이후)를 측정한다. 이것들은 중첩된 시스템에서 명백하며, 이들 시스템의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그곳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7. Measure long-term outcomes (beyond graduation), including clinical outcomes. These are evident in the nested systems and need to be measured there, in conjunction with stakeholders in these systems.


8. 분석이 끝나면, 조직의 학습organizational learning은 교육자가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반성하고 이론을 개발하고 개선을 실험할 것을 요구한다. 목표는 의료 교육의 복잡한 시스템이 변화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어떤 장소에서는 단순화될 수 있고, 다른 곳에서는 새로운 복잡성을 얻을 수 있지만, 전체적인 결과는 개선될 것이다.

8. After analysis, organizational learning requires educators to reflect on their findings, develop theory, and experiment with improvements. The goal is that the complex system of medical education changes; it may be simplified in places, gain new complexity in others, but outcomes overall will improve.


의대졸업생들의 건강관리 시스템 참여에 대한 센스메이킹 적용

Applying Sensemaking to the Issue of Medical School Graduates’ Engagement With the Health Care System


의대 졸업생들이 헬스케어 시스템에 참여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임상의사가 참여하지 않으면 환자 치료에 대한 개선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37–40 참여 근로자들은 그들의 일을 다시 설계하고 개선하지 않을 것이다.41 자부심과 자기 효율성이 높은 사람들은 이것을 더 잘 할 수 있다.42 그리고 능동적이고 양심적인 사람들은 그렇게 할 가능성이 더 높다.43 

Why is it important that medical school graduates engage with the health care system? Without clinician engagement, improvements to patient care would not happen, nor would they be sustained.37–40 Engaged workers redesign and improve their jobs .41 Those with higher level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re better ableto do this,42 and those who are proactive and conscientious are more likely to do so.43 


임상의가 어느 정도 관여하게 되면, 직원 이직과 결근률이 낮아지고, 감염률이 감소하고, 환자 만족도가 높아지고, 환자 사망률이 낮아진다.44–46 많은 의사들(및 최근 의과대학 졸업생들)은 시스템 참여를 자기의 업무의 일부로 보지 않으며, 시스템적 사고나 개선 노력에 참여하기를 거부한다. 또한 관심 있는 사람들조차 이 일을 효과적으로 하는데 필요한 기술이 부족하다.

When clinicians are measurably engaged, staff turnover and absenteeism is lower, infection rates decrease,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s, and patient mortality is lower.44–46 Many doctors (and recent medical school graduates47) do not see system engagement as part of their job, are somewhat resistant to systems thinking and being involved in improvement efforts,48–51 and lack the skills to be effective in this work even if they are interested.48,52


졸업생의 engagement는 의과대학에 귀중한 결과물이므로 측정해야 한다.

Graduates’ engagement is a valuable outcome for medical schools, so it should be measured.


관련 이해당사자들에 의한 센스메이킹은 [의대 밖의 대표]들과 [학교 내부의 대표]들이 포함될 것이다.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와 "어떻게 하면 각 요소를 연구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을 함으로써, 이러한 질문은 평가 문제와 적절한 방법론을 반복적으로 다듬도록 아이디어의 workshopping을 촉진할 수 있다.

Sensemaking by the relevant stakeholders would include representatives from outside the medical school as well as those from within the school. This metaphor also can facilitate the workshopping of ideas so that the evaluation question and appropriate methodology are iteratively refined—for instance, by asking “What is most important to understand?” and “How can we study each element?”



교사의 투입 평가

Evaluating teachers’ input


사회적 학습 이론은 교육자들이 학생과 역동적으로, 사회적 참여를 함으로써 학습을 유발한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53 그렇다면 어떤 교육적 투입이 더 많은 참여 졸업생들을 만들 수 있는가? 우리는 세 가지 영역, 즉 

    • 교육자의 다양성, 

    • 교육자의 건강 시스템과의 연결, 

    • 교육 공동체의 중첩된 시스템의 특성과 강점

...을 탐구하는 것을 추천한다. 표 1.

Social learning theories support the notion that educators’ dynamic social engagement with students creates learning.53 What kind of educator input then might create more engaged graduates? We recommend exploring three areas—diversity, connection to the health system, and the nature and strength of the nested system that is the teaching community of practice. Table 1.



졸업생들의 참여를 준비하는 문화와 교육과정 평가

Evaluating the culture and curriculum that prepares graduates to be engaged


환자 안전 및 품질 커리큘럼을 제정하여 품질 향상을 가르치려는 시도가 있었다.54–57 예를 들어, 세계보건기구(WHO)는 그러한 교육과정을 시행했지만, 전체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했고, 제한적으로만 받아들여졌고, 결국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Attempts have been made to teach quality improvement by enacting safety and quality curricula.54–57 For exampl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mplemented such a curriculum; however, it has not been successful as a whole,58 has had limited uptake,54,55 and has failed to meet the goals established by the WHO.


따라서, 우리는 여기서 더 근본적인 요소들에 초점을 맞춘다.

Thus, we focus here on the more fundamental elements


표 2는 이론적으로 정보에 입각한 교육 개선 사례, 자기조절학습 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Table 2 includes examples of theoretically informed educational improvements, drawing on the work of Kalet and colleagues59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의료 시스템 평가

Evaluating the clinical care system


빈번한 로테이션은 개인적인 고립, 불완전한 해결책, 열악한 환자 치료와 관련이 있다.61 추가적으로, 근로 시간 단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필연적인 결과가 생겼다: 더 많은 교대 근무, 더 많은 핸드오버 및 훨씬 더 세분화된 작업 경험. 아마도 그 결과, 근로시간을 줄이는 것이 후배 의사들의 심리적 고통과 기진맥진을 줄이는 데 기대만큼 효과적이지 못했다.62,63

Frequent rotations are associated with personal isolation, dysfunctional workarounds, and poor patient care.61 Additionally, working hours are now restricted;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reduced working hours is more shift work, more handovers, and an even more fragmented work experience. Perhaps as a consequence, reducing working hours has not been as effective as expected in reducing psychological distress and burnout in junior doctors.62,63


현재의 의료 고용 관행은 졸업생들이 이 시스템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고 있지만, 의과대학들은 그들이 의료 시스템에 nested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변화를 일으키는 데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우리의 센스메이킹 연습은 의료 교육 연구원들이 보건 서비스 연구원들과 정책 입안자들과 협력하여 졸업생들의 고용 관행 변화를 뒷받침할 증거를 개발해야 할 절박한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Current health care employment practices restrict the ability of graduates to engage with the system, but medical schools have little influence to make changes even though they are nested within health care systems. Our sensemaking exercise revealed a pressing need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work with health services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to develop the evidence to support changes to graduates’ employment practices.


중첩된 시스템에서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견해는 명시적으로 추구되거나 의과대학 평가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정책 입안자 및 자금 제공자뿐만 아니라) 보건 시스템의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의과대학 평가를 공동 설계하는 것은 의과대학이 보건 시스템과 치료의 결합자라는 것을 받아들이는데 있어 중요한 다음 단계다.

Currently, the views of stakeholders from all nested systems may not be explicitly sought or incorporated into medical school evaluations. Co-designing medical school evaluations with stakeholders from the health system, as well as with policy makers and funders, is a crucial next step in accepting that the medical school is a coproducer of care with the health system.


표 1 의료전문학교 졸업생의 의료시스템 참여성 평가를 위한 복잡성 이론을 이용한 교사 입력 평가

Table 1 Evaluating Teachers’ Input Using Complexity Theory to Assess Medical School Graduates’ Engagement With the Health Care System


표 2 의과대학 졸업생을 건강관리 시스템에 참여시키는 문화와 교육과정 평가

Table 2 Evaluating the Culture and Curriculum That Prepare Medical School Graduates to Be Engaged With the Health Care System


우리는 "의학교육을 [본질적으로 복잡한 사회적 개입을 위한 개선 과학]으로 재인식할 필요성"을 지지한다.65

We endorse the need to “reconceptualise medical education as intrinsically an improvement science for complex social interventions.”65


결론

Conclusion


평가 노력에 대한 청중은 학교 내의 의과 교육자들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므로 의과대학 평가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은 (의과대학이 nested in되어있는, 영향을 주고, 영향을 받는) 지역사회를 평가 과정에 어떻게 포함하느냐이다.

The audience for evaluation efforts extends beyond medical educators within the school. Thus, the biggest challenge for medical school evaluation is how to include the communities the medical school is nested in, influences, and is influenced by, in the evaluation process.


우리가 발견한 차이점은 의학교육에 대한 다른 평가 접근법에 의해서는 포착되지 않는 것이다. 복잡성 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그러한 창발적 성과를 고려하게 해준다. 창발적 성과는 의과대학 평가를 새로운 초점을 맞추도록 장려할 것이며, 학생들을 미래의 잠재적 change agent로 생각하게 하고, 보건 시스템과 환자의 삶을 변화시킬 것이다.

The gap we found would not have been identified by other evaluation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Using complexity theory encourages the consideration of such emergent outcomes. Emergent outcomes in turn encourage medical school evaluations to take on a new focus, reimagining students as future potential change agents, who transform health systems and the lives of patients.





20 Jorm C, Nisbet G, Roberts C, Gordon C, Gentilcore S, Chen TF. Using complexity theory to develop a student-directed interprofessional learning activity for 1220 healthcare students. BMC Med Educ. 2016;16:199. XXX


1 Holmboe ES, Batalden P. Achieving the desired transformation: Thoughts on next steps for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5;90:1215–1223.


7 Mossop L. The curse of the teenage learner. Med Educ. 2014;48:231–233.


3 Bowe CM, Armstrong E. Assessment for systems learning: A holistic assessment framework to support decision making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Acad Med. 2017;92:585–592.




65 Yardley S. Lost in translation: Why medical education research must embrace “real-world” complexities. Med Educ. 2014;48:225–227.


57 World Health Organization. Multi- professional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http://www.who.int/patientsafety/education/curriculum/tools-download/en/. Published 2011. Accessed May 16, 2017.






 2018 Mar;93(3):399-405. doi: 10.1097/ACM.0000000000001828.

Using Complexity Theory to Guide Medical School Evaluations.

Author information

1
C. Jorm is honorary associate professor, Sydney Medical School, Sydney, Australia. C. Roberts is associate professor in primary care and medical education, Sydney Medical School, Sydney, Australia.

Abstract

Contemporary medical school evaluations are narrow in focus and often do not consider the wider systems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research, clinical care, and community engagement. The result is graduates who lack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modern health care system and an educational system that is limited in its ability to learn and change.To address this issue, the authors apply complexity theory to medical school evaluation, using four key factors-nesting, diversity, self-organization, and emergent outcomes. To help medical educators apply this evaluation approach in their own settings, the authors offer two tools-a modified program logic model and sensemaking. In sensemaking, they use the organic metaphor of the medical school as a neuron situated within a complex neural network to enable medical educators to reframe the way they think about program evaluation. The authors then offer practical guidance for applying this model, including describing the example of addressing graduates' engagement in the health care system. The authors consider the input of teachers, the role of culture and curriculum, and the clinical care system in this example.Medical schoolevaluation is reframed as an improvement science for complex social interventions (medical school is such an intervention) in this model. With complexity theory's focus on emergent outcomes, evaluation takes on a new focus, reimagining medical students as reaching their future potential as change agents, who transform health systems and the lives of patients.

PMID:
 
28678103
 
DOI:
 
10.1097/ACM.0000000000001828


보건전문직 교육에서 학습환경 개선을 위한 개입 설계: Scoping Review (MedEdPublish, 2018)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Larry Gruppen[1], David M. Irby[2], Steven J. Durning[3], Lauren A. Maggio[3]





도입과 목적

Introduction and Purpose


교육학습 환경(LE)은 참가자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참여하고 일하는 방식에 극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 LE는 학습을 지원하며 따뜻하며, 협력적(Chinthammitr and Chierakul, 2014; Thomson et al., 2014; Tackett et al., 2017)이고, 상호존중하는 반면 부정적 또는 "냉랭한" 학습환경(Janz and Pyke, 2000)은 파괴적이고 참여와 학습을 제한한다.

Educational learning environments (LE) dramatically affect the way participants think and feel, engage and work. Positive LEs support learning and are welcoming, collaborative, (Chinthammitr and Chierakul, 2014; Thomson et al., 2014; Tackett et al., 2017)and respectful while negative or "chilly" LEs (Janz and Pyke, 2000)are destructive and restrict participation and learning


LE는 학습이 발생하는 물리적 및 가상 공간에서, 참여자의 역동적이고 공동구축된 인식, 경험, 행동을 설명한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교육적 풍토나 문화의 분위기, 그리고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교류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LEs describe the dynamic, co-constructed perceptions, experiences and behaviors of participants in the physical and virtual spaces within which learning occurs. But more importantly, it also refers to the tone of the educational climate or culture, and the routine way people interact.


LE는 학습자와 제공자 모두에게 중요한 매우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즉, 

  • 탈진, 정서적 피로, 

  • 만족과 행복, 

  • 정체성 형성, 

  • 성과와 협력(Darcy A). Reed 등, 2011; Thomson 등, 2014; Castillo-Angeles 등, 2017; Tackett 등, 2017.

LEs affect a wide variety of factors important to learners and providers alike: 

  • burnout, depersonaliz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 satisfaction and well-being; 

  • identity formation; 

  • performance and collaboration (Darcy A. Reed et al., 2011; Thomson et al., 2014; Castillo-Angeles et al., 2017; Tackett et al., 2017).


개입이란 것은, [학습 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계획된 활동(예: 니어피어 코칭)이나 조직 변화(예: 커리큘럼, 훈련 현장, 근무 시간)의 도입]을 의미한다.

By interventions, we mean the introduction of a planned new activity (e.g., near peer coaches) or organizational change (e.g., curriculum, training site, duty hours) that is anticipated to have an impact on the learning environment.


HPE문헌에 자주 등장하는 학습 환경(LE)은 통일된 정의가 결여된 복잡한 이론적 구조다(Genn, 2001b, 2001a; Roff and McAleer, Sean Sue Roff, 2001). 이 용어를 둘러싼 개념적 모호성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학문들과 관련 이론 렌즈(즉, 인류학, 교육, 심리학, 사회학)에서 기원한다.

The learning environment (LE), which appears frequently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is a complex theoretical construct that lacks a unified definition (Genn, 2001b, 2001a; Roff and McAleer, Sean Sue Roff, 2001). The conceptual ambiguity surrounding this term has arisen, in part, from the varying disciplines and associated theoretical lenses used to investigate this phenomenon (i.e., anthropology, education, psychology, and sociology).


LE는 학습이 일어나는

  • 개인의 경험과 인식(심리학 및 교육), 

  • 사회적 상호작용(사회학 및 교육), 

  • 조직 문화와 실천(인류학과 사회학), 

  • 물리적 시설과 학습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공간(사회학 및 교육학)

...등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그것은 교실, 온라인, 시뮬레이션 및 임상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식 및 비공식 학습 경험과 연관될 수 있다.

The LE can describe 

  • person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psychology and education), 

  • social interactions (sociology and education), 

  •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actice (anthropology and sociology), 

  • physical facilities and online spaces (sociology and education) 

...within which learning occurs. It can be associated with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that occur in classroom, online, simulation and clinical settings.


LE는 종종 분위기, 교육환경, 학습기후, 조직문화와 같은 용어와 교환하여 사용된다. LE는 "각 상황 및 기관에 인격, 정신, 문화를 부여하고, 그 조직 내에서 학습자가 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는 특징"으로 정의되었다(Holt and Roff, 2004).

The LE is often used interchangeably with such terms as atmosphere, educational environment, learning climat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LE has been defined as "a set of features that gives each circumstance and institution a personality, a spirit, a culture and describes what it is like to be a learner within that organization" (p. 553) (Holt and Roff, 2004).


LE는 특정 환경에서 개인, 그룹 및 단체에 의해 공동 생성되고, 상황별 분위기와 문화에 의해 형성되는, 복잡한 정신-사회-물리적 구조라고 생각할 수 있다(Palmgren, 2016).

The LE can be thought of as a complex psycho-social-physical construct co-created by individuals, groups, and organizations in a particular setting, and shaped by contextual climate and culture (Palmgren, 2016).


다양한 교육 결과(Genn, 2001a, 2001b)와 다수의 인증 규정(예: LCME, ACGME, GMC)을 보자면, LE가 중요하다는 것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

There is little disagreement that the LE is important, linked to various educational outcomes (Genn, 2001a, 2001b), and the focus of a number of accreditation regulations (e.g., LCME, ACGME, GMC).


LE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우리는 LE가 위치한 인식, 위치한 학습, 생태 심리학, 직장 학습을 포함하는 사회 문화 학습 이론의 렌즈를 통해 가장 잘 이해하고 연구될 수 있다고 믿는다.

we believe that the LE can be best understood and studied through the lens of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that include 

  • situated cognition, 

  • situated learning, 

  • ecological psychology, and 

  • workplace learning.


  • situated learning 프레임워크 내에서 학습은 처음에는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자로, 그리고 완전한 참여자로 부상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공동체 또는 실천 공동체로 발전하는 것을 포함한다(Lave and Wenger, 1991).

Within the situated learning framework, learning involves acculturation into a new knowledge community or community of practice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 initially as a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 and emerging into a full participant (Lave and Wenger, 1991).


  • Ecological psychology and workplace learning은 학습/작업 환경에서의 어포던스(도구, 비계된 관계, 업무, 언어, 개념)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기관, 참여 및 신흥 자치권을 통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이 촉진된다는 점을 강조한다(Billett, 2001).

Ecological psychology and workplace learning emphasize that social interaction is facilitated through affordances in the learning/working environment (tools, scaffolded relationships, tasks, language, concepts) and the active engagement of learners (through their agency, engagement and emerging autonomy) (Billett, 2001).


  • Situated cognition 은 학습이 사회적이며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수반한다고 보며, 따라서 학습, 상황 및 문화를 연결한다. 특히, 지식은 습득되는 활동, 상황 및 문화에 내재되어 있다(Brown et al., 1989).

Situated cognition theorizes that learning is social and involves an interaction between persons and environment – thus linking learning, situations and culture. Specifically, knowledge is embedded in the activity, context and culture in which it is learned (Brown et al., 1989).


이 각각의 이론들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과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상호작용은) "학생들의 학습/참여를 위한 수단이다. 학습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움]으로써, 그리고 [자신이 새로 참여한introduced 커뮤니티에 존재하는 문화적 믿음과 태도, 규범에 친숙해지는 것을 통해] 일어난다."

Each of these theorie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and collaborations with others "as the means for students’ learning/participation, both through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from others, and through becoming familiar with the norms, 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existing in the communities to which they (the learners) are being introduced" (p. 739) (Schönrock-Adema et al., 2012).


LE는 어떤 특정한 이론적 관점에서 "소유"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LE 또한 종종 중심적인 관심사가 아니며, 이것은 그 구조를 이론적으로 불확실한 것으로 남겨둔다.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LE is not "owned" by any particular theoretical perspective. Neither is the LE often a central concern, which leaves the construct in something of a theoretical limbo.


LE의 구성요소

Componen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중복되는 네 가지 핵심 구성 요소(그림 1)를 식별:

we identified four overlapping and interactive core components (Figure 1):




1. 개인적 구성 요소. 개별 학습자는 활동을 통해 LE와 상호작용하고, LE에 대한 인식을 발전시키며, 목표에 대한 명확성, 관련되고 의미 있는 학습의 선택 등을 통해 개인적 성장에 관여하며, 그 과정에서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고 자율성을 높인다.

1. Personal Component. The individual learner interacts with the LE through activity, develops perceptions of the LE, and engages in personal growth through clarity about goals, selection of relevant and meaningful learning; and in the process develops professional identity and increasing autonomy.


2. 사회적 구성요소. 학습자는 타인과 교제를 하고 여러 관계를 탐색하는데, 이는 LE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계로는 

    • 학습자 대 학습자 (경쟁, 협력, 공유 가치 및 학습자 문화), 

    • 학습자 대 교수/스태프(신뢰, 피드백, 커뮤니케이션, 교육 전략, 멘토링) 및 

    • 습자 대 환자(책임, 수용 및 신뢰)가 있다. 

이러한 모든 사회적 관계는 학생들이 무엇을 어떻게 배우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2. Social Component. Learners engage with others and navigate multiple relationships, which shapes their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with the LE. These relationships include: peer-to-peer (competition, cooperation, shared values and learner culture), learner-to-faculty/staff (trust, feedback, communic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mentoring), and learner-to-patient (responsibility, acceptance and trust). All of these social relationships influence what and how students learn.


3. 조직적 구성 요소. 조직은 커리큘럼 리소스 및 인공물artifact, 지리적 배치, 인증 규칙과 같은 구조/가이드/서포트 뿐만 아니라 조직의 관행, 문화 및 정책(정돈된 환경, 규칙의 명확성, 근무 시간, 규제 환경, 교사 제어, 커리큘럼, 배치, 기술 인프라)을 제공한다.

3. Organizational Component. Organizations provide structure, guidance and support for learning, including curriculum resources and artifacts, geographic placements, accreditation rules as well as organizational practices, culture and policies (orderly environment, rule clarity, duty hours, regulatory environment, teacher control, curriculum, placements, technology infrastructure).


이것의 한 예는 ACGME에서 구현한 임상 학습 환경 검토(CLER)이다. CLER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는 환자 안전, 의료 품질, 관리 전환, 감독, 피로 관리 및 전문성과 관련하여 건설적인 조치를 취할 경우 교육 프로그램과 환자 관리가 개선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또한 이 조직 구성 요소에도 지역사회에서의 배치(지리적 설정/위치)를 포함한다.

One example of this is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 (CLER) implemented by ACGME. The underlying premise of the CLER program is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and patient care will be improved if constructive actions are taken regarding patient safety, health care quality, care transitions, supervision, fatigue management, and professionalism (Accreditation Council on Graduate Medical Education, no date; Weiss, Wagner and Nasca, 2012). We also include placements in the community (geographical settings/locations) in this organizational component as well.


4. 물리적 구성 요소 및 가상 구성 요소. 학습과 연습은 교육 및 실습 환경의 물리적 공간 내에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정보 인프라와 자원(예: 온라인 자원, 전자 건강 기록)도 학습을 육성하거나 방해하는 가상의 "공간"을 제공한다.

4. Physical and Virtual Component.Learning and practice take place within physical spaces of educational and practice settings. Similarly, informational infrastructures and resources (e.g., online resources, electronic health records) also provide a virtual "space" in which learning is fostered or obstructed.


방법

Methods


우리는 LE 개입 및 관련 요인에 대한 문헌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범위 지정 검토를 선택했는데, 사전 검색에서는 문헌에 대한 완전한 체계적 검토를 하기에 충분히 광범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냈다.

We chose a scoping review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literature on LE interventions and associated factors, which our preliminary search indicated might not be extensive enough for a full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결과

Results


우리의 검색은 2,662개의 기사를 검색했다. (PubMed=1,491; CINAHL=77, ERIC=132, Scopus=244, Embase=718). 중복제거된 것은 2,201개의 독특한 인용문이 있었다. 모든 제목과 추상적인 내용을 검토한 결과, 240개의 전문 논문이 검토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전체 텍스트 검토 후, 68개의 기사가 포함되도록 유지되었다(그림 2). 연구 집합에서, 18개 국가가 대표되었고 6개의 직업이 연구되었다(의사 n=54; 간호 n=11; 치과의사 n=1, 약사 n=1, 수의사 n=1, 지압 n=1). 사전임상 및 임상 학생은 1차 모집단(n=45)이었지만, 여러 연구에서는 전공의(n=12) 및/또는 교수진(n=4)도 포함되었다. 어떤 경우에, 연구는 둘 이상의 인구, 설정 및/또는 직업을 포함했다.

Our search retrieved 2,662 articles (PubMed=1,491; CINAHL=77, ERIC=132, Scopus=244, Embase=718); with duplicates removed there were 2,201 unique citations. Based on examination of all titles and abstracts, 240 full-text articles were selected for review. Following full-text review, 68 articles were retained for inclusion (Figure 2). In the set of studies, there were 18 nations represented and six professions studied (medicine n=54; nursing n=11; dentistry n=1, pharmacy n=1, veterinary n=1, chiropractic n=1).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ents were the primary population (n=45), but several studies also included residents (n=12) and/or faculty members (n=4). In some cases, studies included more than one population, setting and/or profession.


우리는 LE의 개입 연구에 대한 네 가지 접근법을 확인했다.

We identified four approaches to the study of interventions in the LE.


첫째, 특정 개입 또는 일련의 개입이 LE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있다. 여기에는 근무시간, 커리큘럼, 배치 및 교수진 개발의 변화와 그것이 L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다. 우리는 중재적 연구를 말한다.

First, there are studies designed to assess the impact of a specific intervention or series of interventions on the LE. These include studies of changes in duty hours, curricula, placements, and faculty development and their impact on LE. These we term interventional studies.


둘째로, 조사자들은 교육 형식, 커리큘럼 모델, 지리적 배치 및 채점 관행과 관련된 두 개의 다른 그룹에서 LE 평가를 비교했다. 우리는 이것을 비교 연구라고 불렀다.

Second, investigators compared two different groups’ assessments of the LE related to instructional formats, curriculum models, geographical placements, and grading practices. We titled these comparison group studies.


셋째, 탄력성, 소진, 학대, 성취, 웰빙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관심 변수가 LE의 인식과 연관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연관성 연구라고 불렀다.

Third, one or more variables of interest, such as resilience, burnout, mistreatment, achievement, and well-being, were associated with perceptions of LE. We called these association studies.


넷째, 정성적 방법을 이용한 서술적 연구는 참가자의 관점을 조명하고 환영환경과 교수문화, 참여자의 연속성, 학습/실무공간의 이용가능성 등과 같은 LE의 개입과 관련된 주제를 식별한다. 우리는 이것을 서술적 연구라고 불렀다.

Fourth, descriptive studies using qualitative methods illuminate participant perspectives and identify themes associated with interventions in the LE, such as establishing a welcoming environment and teaching culture, continuity of participants, and availability of learning/practice space. We termed these as descriptive studies.



개입 연구

Interventional Studies


Sixteen studies described specific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LE (Table 1).


대조군 연구

Comparison Group Studies


Comparison group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of the four approaches and also quite diverse in how the comparison conditions were defined. See Table 2.


연관 연구

Association Studies


We found 14 studies that reported associations of another important variable (such as burnout, career choice, department academic support) with the LE. (Table 3).


기술 연구의 주제들

Themes from Descriptive Studies


While the vast majority of studies of the LE were quantitative and used standardized measures of the LE, a few descriptive studies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learners’ perceptions of the LE. (Table 4).


LE Components Themes from descriptive studi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 =, -)


Personal 

(+) 회복탄력성(셀츠 외, 2016)

(+) 개인 성장 (Palmgren 및 Bolander, 2015)

(+) "의미 있는" 장소 (Palmgren and Bolander, 2015)

(+) 공동체의 일원이 됨 (Palmgren과 Bolander, 2015)

(+) 규제 시스템을 신뢰하고 지지함(Palmgren 및 Bolander, 2015)

(+} Resilience (Seltz et al., 2016)

(+) Personal Growth (Palmgren and Bolander, 2015)

(+) A "meaningful" place (Palmgren and Bolander, 2015)

(+) Being part of a community (Palmgren and Bolander, 2015)

(+) Trust in a regulated system to support them (Palmgren and Bolander, 2015)


Social 

(+) 학습자를 환영하는 스텝(Thomson 등, 2014)

(+) 관계의 비계scaffolding (Palmgren과 Bolander, 2015)

(+) 강한 교육 문화(Thomson et al., 2014)

(+) 지도자는 가르치는 것을 즐기고(Thomson et al., 2014) 그렇게 하는데 시간을 투자한다(Wear and Skillicorn, 2009)

(+) 교사 롤모델 스킬(Thomson et al., 2014) 및 가치(Wear and Skillicorn, 2009), 학습자에게 개선을 위한 피드백을 주고(Thomson et al., 2014; Suksudaj et al., 2015), 학습에 대한 명확한 기대를 제공(Thomson et al., 2014)

(+) 여러 레벨의 학습자가 함께 학습(Thomson 등, 2014)

(-) 학대, 학습자에 대한 무시, 학습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 학습자에 대한 불투명한 기대(Castillo-Angeles 등, 2017)

(-) 충분한 감독/피드백 없음(Thomson et al., 2014), 독립적으로 환자를 검사할 수 있는 기회가 너무 적음(Thomson et al., 2014), 직원이 학생들을 가르칠 동기를 부여하지 않고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Thomson et al., 2014)

(+) Staff welcoming of learners (Thomson et al., 2014)

(+) Scaffolding relationships (Palmgren and Bolander, 2015)

(+) There is a strong teaching culture (Thomson et al., 2014)

(+) Preceptors enjoy teaching (Thomson et al., 2014) and invest time in doing so (Wear and Skillicorn, 2009)

(+) Teachers role model skills (Thomson et al., 2014) and values (Wear and Skillicorn, 2009), observe and give feedback to learners for improvement (Thomson et al., 2014; Suksudaj et al., 2015), provide clear expectations for learning (Thomson et al., 2014)

(+) Multiple levels of learners together (Thomson et al., 2014)

(-) Mistreatment, neglect of learners, negative attitudes toward learners, unclear expectations for learners (Castillo-Angeles et al., 2017)

(-) Insufficient supervision/no feedback (Thomson et al., 2014), too few opportunities to examine patients independently (Thomson et al., 2014), staff unmotivated to teach and held nega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Thomson et al., 2014)


Organizational 

(+) 교육이 잘 조직되고 구성됨(Thomson 등, 2014년)

(+) 참가자의 연속성(교사, 학습자, 환자) (Seltz 등, 2016)

(+) 소규모 시골지역 의료 사이트(Condon 등, 2017)

(+) PBL은 기존의 커리큘럼보다 스트레스가 덜하고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됨(Moore-West 등, 1988)

(-) 학습자에 대한 명확한 기대(Thomson et al., 2014), 학생들을 수술 팀에 통합하지 못함(Castillo-Angeles et al., 2017), 너무 많은 학생(Dolmans et al., 2008), 조직 부족(Dolmans et al., 2008)

(+) Teaching arrangements well organized (Thomson et al., 2014)

(+) Continuity of participants (teachers, learners, patients) (Seltz et al., 2016)

(+) Smaller, rural clinical sites perceived as better (Condon et al., 2017)

(+) PBL perceived as less stressful and more meaningful than traditional curriculum (Moore-West et al., 1988)

(-) Unclear expectations of learners (Thomson et al., 2014), failure to integrate students into surgical teams (Castillo-Angeles et al., 2017), too many students (Dolmans et al., 2008), lack of organization (Dolmans et al., 2008)


Physical and Virtual Spaces

(+) 학습 공간 이용 가능(Seltz 등, 2016)

(+) Learning spaces are available (Seltz et al., 2016)


고찰

Discussion


이 범위 검토에 포함된 대부분의 연구는 18개국의 LE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개입과 영향에 대해 보고되었다.

The vast majority of studies included in this scoping review reported on interventions and influences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 in 18 different countries


대부분의 연구는 조직적 요소에 집중되었고, 그 다음으로 사회적 요소와 개인적 요소들에 집중되었다. 물리적 공간이나 가상 공간 구성 요소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component, followed by the social component and the personal component. Very few studies examined the impact of the physical or virtual space component.


보건직 종사자들의 LE에 어떤 개입이 영향을 미치는가? 표 5

What interventions affect the LE in the health professions? Table 5.


표 5. 보건 분야의 검토된 68개 연구로부터 도출된 학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능한 개입의 대상 선정.

Table 5. Selected targets for possible interventions to improve learning environments derived from 68 reviewed studies in the health professions.


영향 등급 - 가능한 개입

Class of influence - Possible Interventions


인증 규정

• 근무시간 및 강도 구조

• 웰빙에 초점

Accreditation Regulations

• Structure of work hours and intensity

• Focus on well-being


커리큘럼 개입

• 웰빙, 적응성, 전환 준비, 기대치 및 역할에 대한 콘텐츠 포함

• 경험의 연속성 창출

Curricular Interventions

• Include content on well-being, adaptability, preparation for transitions, clarity of expectations and roles

• Create continuity of experience


교수진/직업 개발

• 학습 분위기, 기대치 설정, 피드백 제공, 웰빙 촉진, 긍정적인 역할 모델 역할, 팀워크 준비 등에 대한 교수개발 워크샵 실시

Faculty/Staff Development

• Conduct faculty/staff development workshops on learning climate, setting expectations, providing feedback, promoting well-being, serving as a positive role model, preparing for teamwork


평가 시스템

• Pass/Fail 평가 시스템 구현

Grading Practices 

• Implement pass/fail grading system


교육적 개입

• 긍정적인 대인 관계 및 환영 환경 구축

• 동료 및 동료 코칭/강사 프로그램 커뮤니티 구축

• 적절한 감독 및 피드백 제공

• 전환transition 시기에 지원 보장

• 업무에서 의미 강조

• 신흥 자치권 지원

• 학습 및 성과에 대한 명확한 기대 사항 전달

• 혼합 학습 방법 활용

• 학대 및 무례 제거

Instructional Interventions

• Establis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elcoming environment

• Create a community of peers and peer coaching/teaching programs

• Offer adequate supervision and feedback

• Ensure support in times of transition

• Emphasize meaning in work

• Support emerging autonomy

• Communicate clear expectations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 Utilize blended learning methods

• Eliminate mistreatment and disrespect




LE의 개인적 구성요소

Personal Component of LE


우리의 LE 모델의 개인적 구성요소는 개별 학습자가 LE와 상호작용하고, LE에 대한 인식을 개발하고, 개인적 성장에 관여하고, 전문직 정체성을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것은 특정 환경의 심리적, 경험적, 지각적 차원을 설명한다.

The personal component of our LE model describes how individual learners 

    • interact with the LE, 

    • develop perceptions of the LE, 

    • engage in personal growth and 

    • develop professional identity. 

It describes the psychological, experiential and perceptual dimensions of a particular setting.


LE의 개인 구성 요소와 긍정적으로 연관된 개입 또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직접적인 환자 치료에 초점을 맞춘 시간, 

    • 동료의 커뮤니티, 

    • 좋은 삶의 질과 높은 수준의 복원력, 

    • "의미 있는" 장소에서 배우는 것, 그리고 

    •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규제된 시스템에 대한 신뢰. 

Interventions or factor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al component of LE included: 

    • time focused on direct patient care, 

    • having a community of peers, 

    • a good quality of life and high levels of resilience, 

    • learning in a "meaningful" place, and 

    • trust in a regulated system to support them. 


부정적인 연관성을 가진 요소들은 삶의 질이 좋지 않아서 더 많은 감정적 피로, 비소셜화, 그리고 미래의 지구력과 능력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요인들은 개입보다는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과 환경에 대한 인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Factors with negative associations were poor quality of life leading to more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worries about future endurance and capacity. These factors are less about interventions and more abou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자율성, 목적/목표, 숙달성, 관계성을 강조하는 동기이론 역시 이러한 권고사항과 연관된다(Deci, Koestner 및 Ryan, 1999; Pintrich, 2003). 학습자는 학습의 과정에서 지원을 받는 경우, [학습, 자율성 개발, 더 큰 목표와 목적 추구,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동기를 부여받는다.

Motivation theory, which emphasizes autonomy, purpose/goals, mastery and relatedness also connect with these recommendations (Deci, Koestner and Ryan, 1999; Pintrich, 2003). Learners are intrinsically motivated to learn, develop autonomy, pursue a goal and purpose larger than themselves, and work collaboratively with others, especially if they are supported in the process.


LE의 사회적 구성요소

Social Component of LE


학습의 사회적 요소를 탐구하는 연구는 건설적인 LE를 육성하는데 있어서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화시켰다. 이러한 관계에는 

    • 교사 및 학습자(예: 직접 대면 또는 혼합된 지시와 종적 임상 멘토링), 

    • 학습자와 학습자(예: 동료 교육 및 지원) 

    • 교수와 교수(예: 리더십 퍼포먼스)이 포함된다. 

Studies exploring the social component of learning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fostering a constructive LE. These relationships include 

    • teacher and learner (e.g. face-to-face or blended instruction and longitudinal clinical mentoring), 

    • learner to learner (e.g. peer instruction and support), as well as 

    • faculty to faculty (e.g. leadership performance). 


기존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환자 관계를 다루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는 또한 성과와 관계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고 다시 방문하는 가치뿐만 아니라 종단적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Studies did not address the learner and patient relationship. These studies also underpinned the importance of longitudinal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value of setting and revisiting expectations about performance and relationships.


서술적 연구들은 다음을 강조하였다.

The descriptive studies highlighted the role of a 

    • 강한 교육 문화, 

    • 강한 역할 모델 기술과 가치, 

    • 함께 일하는 여러 수준의 학습자들(예: 동료 교육 가까이)의 역할, 

    • strong teaching culture, 

    • strong role model skills and values, 

    • multiple levels of learners working together (e.g. near peer teaching) as well as 


반대로, 다음을 피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need to avoid 

    • 혹사, 

    • 불분명한 기대, 

    • 불충분한 감독. 

    • mistreatment, 

    • unclear expectations, and 

    • insufficient supervision without feedback. 


팀워크와 LE와의 관계는 우리의 검토에 포함된 연구에서 명시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치 학습(실무 공동체 및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 위치 인식 및 고의적 실천 이론과 일치한다.

Teamwork and its relationship to LE were not explicitly addressed in the studies included in our review.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situated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an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situated cognition, and deliberate practice theory, as noted above.


LE의 조직적 구성요소

Organizational Component of LE


LE 모델의 조직적 구성요소는 LE들을 서로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가장 자주 연구되었다. 종종, 이러한 대조적인 환경은 L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특별히 세심하게 설계된 연구보다는 "자연 실험"이었다. 이들 중 

    • 대부분은 대안적 커리큘럼 모델(예: 문제 기반 학습, 팀 기반 학습) 또는 

    • 특정 커리큘럼 개입(예: 피드백, 교수진 개발, 팀워크 기술) 또는 

    • 더 넓은 세팅에서 학교 간 비교(조직 대 도시, 더 큰 학술 기관 내의 대체 임상 설정)

The organizational component of the LE model was most frequently studi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contrasting LEs. Frequently, these contrasting environments were "natural experiments" rather than carefully designed studies specifically of the impact on the LE. Many of these were comparisons of 

    • alternative curricular models (e.g., problem-bas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or 

    • specific curricular interventions (e.g., augmenting feedback, faculty development, team-work skills) or 

    • larger setting of school comparisons (rural vs urban, alternative clinical settings within a larger academic institution).


이러한 연구의 통제되지 않고 무작위화되지 않은 특성은 결과에 배치할 수 있는 신뢰도를 제한하지만, 그 증거는 일반적으로 일부 환경이 다른 환경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있어 긍정적이다. 긍정적 환경의 특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The uncontrolled and non-randomized nature of these studies limits the confidence one can place in the results, but the evidence is generally positive in indicating that some environments are perceived as better than others. These include: 


    • 피드백을 강화하고, 존중과 복지를 증진하며, 학대를 줄이기 위한 과정 또는 혁신

    • 특정 교수기술보다는 LE에 초점을 맞춘 교수개발 프로그램

    • 근무 시간제한 도입, 평가 시스템, 감독 모델, 전담 교육 유닛과 같은 구조적 특징

    • 학습자에게 더 많은 주의/관심이 갈 수 있는 시골지역 세팅, 더 작은 임상 장소, 학습 공동체 및 선택적 로테이션

    • Courses or innovations to augment feedback, increase respect and well-being, and reduce mistreatment

    •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focused on aspects of the LE rather than specific teaching skills

    • Structural features like duty hour implementation, grading systems, supervisory models, and dedicated educational units

    • Rural settings, smaller clinical placements, learning communities, and elective rotations, which may be surrogates for having more attention given to learners.

조직적 특성이 LE와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 모델의 개인적, 사회적 요소에 대한 섹션에서 인용된 사회문화적 및 대인관계적 상호작용의 이론에 근거한다. 그러나 조직적 요소는 또한 LE 연구에서 거의 인용되지 않는 제도적, 조직적 문화에 대한 고려로 이어진다. 조직 변화(Kotter, 1995; Bolman and Deal, 2013), 리더십 모델(Avolio, Walumbwa and Weber, 2009), 시스템 과학(Miller, 1978)은 LE가 상위 수준의 인간 시스템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적절하고 유익할 수 있는 몇 가지 개념적 영역이다.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how organizational features relate to the LE clearly builds on the theories of sociocultural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s cited in the sections on the personal and social components of our model. However, the organizational component also leads to considerations of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re seldom cited in LE studies. Organizational change (Kotter, 1995; Bolman and Deal, 2013), leadership models (Avolio, Walumbwa and Weber, 2009), and systems science (Miller, 1978)are a few of the conceptual domains that may be relevant and beneficial for better understanding how the LE functions at higher level human systems.


LE의 물리적, 가상적 공간 요소

Physical and Virtual Space Component of LE


LE의 물리적/가상 공간 구성요소는 학습과 실습이 발생하는 교육 및 실습 설정의 물리적 공간과 가상 또는 온라인 학습 공간을 포괄한다.

The physical/virtual space component of the LE encompasses the physical spaces of educational and practice settings in which learning and practice occur, and the virtual or online learning spaces.


이러한 연구 내에서, LE의 물리적 구성요소는 연구의 주요 초점이라기 보다는 주변적이다. 예를 들어, 125명의 보훈병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물리적 공간은 LE와 관련된 조사된 4개의 하위 영역 중 하나이다(Cannonet al., 2008). 본 연구는 전공의와 의대생의 경우 병원 시설의 유지와 청결이 LE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한다.

Within these studies, physical components of the LE are peripheral rather than the main focus of the study. For example, in a survey of 125 Veterans’ Affairs hospitals, physical space is one of four investigated subdomains that are associated the LE (Cannonet al., 2008). This study notes that for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the maintenance and cleanliness of hospital facilities impacts the LE.


보건 전문 교육 기관이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을 시행함에 따라 LE의 물리적/가상적 요소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이 더욱 뚜렷해질 것이다(Mehtaet al., 2013; Prober and Khan, 2013). 혼합된 학습 접근법을 사용하여, 교수진은 의도적으로 [온라인과 대면으로 연습생을 참여]시켜 둘 모두에서 어포던스를 최적화하도록 교육 계획을 세운다. 혼합 학습은 학습의 일부를 물리적 공간에서 벗어나 온라인으로 이동시키는 반면, 소그룹 학습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물리적 학습 공간에의 기회가 필요하다는 것도 강조한다.

a need for knowledge about physical/virtual components of the LE will become more pronounced a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stitutions implement blended learning (Mehtaet al., 2013; Prober and Khan, 2013). Using blended learning approaches, faculty intentionally plan their teaching to engage trainees online and in-person to optimize the affordances of both modalities. While blended learning moves some of the learning out of the physical space and into the ether, it underscores the need for those opportunities in the physical learning space to directly support small group learning.


또 전문직 간 교육과 실습이 늘어나면서 직장 내에 컨퍼런스와 소회의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학생들이 아직 비효율적인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는 의대생 실습에도 외래 클리닉 공간이 필요하다.

In addition, a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practice increase, new spaces for conferences and huddles in the workplace will be needed. Ambulatory clinic space is also required for medical student practice,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when they are inefficient.


우리는 특히 확장되고 개선된 물리적 공간과 온라인 강좌(AAMC)를 목표로 하는 기금 모금 캠페인에 쏟는 시간과 에너지, 재정적 자원을 감안할 때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 요소는 우리의 조직 프레임워크에서 네 가지 요소 중 가장 적은 관심을 받았다는 점에 주목한다. 

We note that the physical and virtual space component received the least attention of the four components in our organizational framework, especially given the amount of time, energy and financial resources devoted to fundraising campaigns targeting expanded and improved physical spaces and online courses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no date).


권고

Recommendations


1. 학습 환경을 정의하고 그것이 다양한 교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보다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개발이 상당히 필요하다. 더 나은 정의적이고 이론적인 명확성의 필요성은 우리의 검토 과정 초기에 명백해졌다. 이러한 명확성의 결여는 우리의 문헌 검색과 우리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는 데 있어서 도전이 되었다. 우리는 LE의 정의적이고 이론적인 명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재에 대한 이해, 목표할 요소 및 연습 격차를 해소하는 중요한 다음 단계라고 믿는다.

1. There is a significant need for theoretical development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framework for both defin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ying its impact on various educational outcomes. The need for better definitional and theoretical clarity became evident early in our review process. This lack of clarity led to challenges in constructing our literature search, as well as in synthesizing our findings. We believe that enhancing the definitional and theoretical clarity of the LE is a critical next step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interventions, the components to target, and addressing practice gaps.


2. 마찬가지로 학습 환경의 척도로서 학습자의 자기보고인식에 지나게  의존하는 것은 그룹과 제도적 수준에서 다른 관점과 LE의 특성을 더 잘 다루는 평가 방법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평가 도구의 리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관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없다는 점에 주목한다(Schönrock-Ademaet al., 2012; Colbert-Getz et al., 2014).

2. Similarly, the over-reliance on learner self-reported perceptions as a measur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need to be supplemented by assessment methods that better address other viewpoi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 at the group and institutional levels. Reviews of assessment instruments are available and note the lack of consistent theoretical frameworks (Schönrock-Ademaet al., 2012; Colbert-Getz et al., 2014).


3. 연구를 요하는 많은 공백이 있다: 환자의 LE에 대한 영향 탐구, 전문가 간 및 전문가 내 팀이 LE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 그리고 우리 모델에서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중재안의 설계와 테스트가 향후 조사에 가치가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LE를 개선하기 위한 잠재적 개입은 

  • 동료의 공동체를 만들고, 

  • 특히 전환과 스트레스 시기에 지원을 보장하며, 

  • 근무지에서 의미를 강조하며, 

  • 개인의 복원력과 자율성을 지원하는 것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3. There are a number of gaps that warrant research attention: exploring the patient’s impact on the LE, investigating how interprofessional and intra-professional teams influence the LE as well as the design and testing of interventions that are inclusive of multiple components from our model would be worthy of future investigations. Similarly, potentia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LE should carefully consider 

  • creating a community of peers, 

  • ensuring support especially in times of transition and stress, 

  • emphasizing meaning in the work, and 

  • supporting personal resilience and autonomy. 


학습 설정으로서의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도 문헌에서 충분히 표현되지 못하고 있다.

Physical and virtual spaces as settings for learning are also under-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4. 교육학자 및 실무자는 LE의 [맥락적, 배경적 성격]이 그것을 개별 연구에서 명시적으로 식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구조로 만든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의 검색은 LE의 한 요소로 상주 근무 시간에 대한 두 개의 기사(Lachanceet al., 2014; Schumacher 등, 2014)만 반환했다. 분명히 근무 시간 변화가 교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이러한 근무시간 변화는 "학습 환경"으로 분류되는 일이 적었고, 결국 검색에서 누락되었다. "학습 환경"에 대한 언급이 누락되지 않도록 보다 광범위하게 검색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4. Educational scholars and practitioners must recognize that the contextual, background nature of the LE makes it a construct that may or may not be explicitly identified in individual studies. For example, our search returned only two articles (Lachanceet al., 2014; Schumacher et al., 2014)on resident duty hours as an element of the LE. There are, obviously, many more articles that examine the impact of duty hour changes on educational outcomes, but these are seldom labeled as "learning environment" and were thus missed in our search. Care must be taken to search more broadly in a given LE intervention to include articles that do NOT mention "learning environment". 


Limitations


Conclusions


요약

Take Home Messages


학습 환경의 역학 관계를 정의하고 그것이 다양한 교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적 개발이 상당히 필요하다.

There is a significant need for theoretical development to defining the dynamic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ying its impact on various educational outcomes.


학습 환경의 척도로서 학습자의 자기보고된 인식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있다. 그룹 및 기관 수준에서 LE의 다른 관점과 특성을 더 잘 다루기 위해 다른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There is an over-reliance on learner self-reported perceptions as a measur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ther assessment methods are needed to better address other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 at the group and institutional levels.


환자가 LE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과 같은 영역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전문 팀간 및 전문 팀 간 영향력이 L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면서 

    • 동료의 커뮤니티를 만들고, 

    • 특히 전환과 스트레스가 있을 때 지원을 보장하며, 

    • 작품에서 의미를 강조함. 

    • 개인의 회복력과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 

Additional research attention is needed in such areas as exploring the patient’s impact on the LE, 

    • investigating how interprofessional and intra-professional teams influence the LE, 

    • creating a community of peers, 

    • ensuring support especially in times of transition and stress, 

    • emphasizing meaning in the work, and 

    • supporting personal resilience and autonomy. 


학습 설정으로서의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도 문헌에서 충분히 표현되지 못하고 있다.

Physical and virtual spaces as settings for learning are also under-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LE의 상황별 배경 특성은 이를 개별 연구에서 명시적으로 식별하거나 식별하지 않을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예를 들어, 근무 시간 변경이 교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많은 기사들이 있지만, 이러한 기사들은 거의 "학습 환경"으로 분류되지 않고, 따라서 우리의 검색에서 누락되었다. "학습 환경"을 언급하지 않는 기사를 포함하도록 주어진 LE 개입에서 광범위하게 검색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The contextual, background nature of the LE makes it a construct that may or may not be explicitly identified in individual studies. For example, there are many articles that examine the impact of duty hour changes on educational outcomes, but these are seldom labeled as "learning environment" and were thus missed in our search. Care must be taken to search broadly in a given LE intervention to include articles that do NOT mention "learning environment".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Larry Gruppen[1], David M. Irby[2], Steven J. Durning[3], Lauren A. Maggio[3]

Institution: 1.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2.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3.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Prof Larry Gruppen (lgruppen@umich.edu)
Categories: Curriculum Planning, Education Management and Leadership, Educational Strategies, Educational Theory
Published Date: 12/09/2018

Abstract

Purpose: To identify and describe interventions designed to affect the learning environment (L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ummariz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 and determine gaps that require additional research. The LE can be thought of as a dynamic and complex construct co-created by people in a particular setting.  A positive LE represents a welcoming climate for learning, which enhances satisfaction, well-being, academic performance and collaboration, while a negative LE restricts participation and learning, leading to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burnout. 

 

Method: A six-step scoping review methodology was followed to identify and report on literature that describes interventions affecting the LE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1. Identify the research question, 2. Identify relevant studies, 3. Select studies to be included, 4. Chart the data, 5. Collate, summarize and report results, and 6. Consult with stakeholders. 

 

Results: 2,201 unique citations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using titles and abstracts. 240 full-text articles were retained for detailed review, resulting in the inclusion of 68 articles.  Study results are reported in relation to essential components of the LE: personal, social, organizational, physical and virtual spaces. Results of four different types to the studies of the LE are described: specific interventionsimpacting the LE, comparisonsof perceptions of the LE by two or more different groups, associations with other variable such as well-being with the LE, and descriptivestudies of the LE.  Major influences included accreditation regulations, curricular interventions, faculty/staff development grading practices, instructional interventions, placements, physical and virtual spaces, and support services; and are reported along with specific interven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reflect the complexity of the LE and the need for conceptual clarity. Since the quality of the evidence was not evaluated, the identified influences should be viewed as potential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LE.

 

Keywords: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climate; systematic review; educational interventions; theory development


미래에 대한 학습 준비: 보건전문직 교육의 잃어버린 역량? (Med Educ, 2016)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a missing competenc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ria Mylopoulos,1 Ryan Brydges,2 Nicole N Woods,3 Julian Manzone4 & Daniel L Schwartz5




도입

INTRODUCTION


현재 자료에 따르면, 의사들은 커리어를 쌓아감에 따라 환자들에 대한 경험을 통해 강력한 사례 지식을 개발한다고 한다.2-4 동시에, 의사들은 그들의 임상 문제 해결에 필요하지만, '새로운, 상충되는 정보'를 습득하지 않을 수 있다. 5,6 즉, 의사들이 모든 형태의 환자 치료로부터 지속적으로 배울 준비가 되어있는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Current data suggest that as their careers progress, doctors do develop a strong body of case knowledge through their experiences with patients.2–4 At the same time, doctors may not incorporate ‘novel, conflicting information’ as much as needed into their clinical problem solving,5,6 suggesting that they are not adequately prepared to learn continuously through all forms of patient care.



지속적인 학습을 위해 의사들을 준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어려움은 현재 임상의사 준비의 평가가 후향적/소급적retrospective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A major challenge in preparing doctors for continued learning is that current assessments of clinician preparation tend to be retrospective.


예를 들어, Tamblyn et al.8에 의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연구는 trainee가 받은 시험점수가 미래의 임상 성과와 일관된 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or instance, a large database study by Tamblyn et al.8 showed that how trainees scored on their exam did not have a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their future clinical performance.


유사한 연구에서 Asch 등 9.9는 산부인과 의사 면허 시험 점수는 [레지던트 훈련 기관와 출산 합병증 비율 사이의 견고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In a similar study, Asch et al.9 found that accounting for obstetricians’ licensure exam scores did not affect the robust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of residency training and birth complication rates in practice.


이 두 가지 연구에서 가장 낙관적이지 않은 해석은 현재의 의료면허시험이 누가 그 직장에서 잘 배울지를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최고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에도 등록한다고 해서 의사들이 미래의 학습에 대해 포괄적으로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The least optimistic interpretation of these two studies is that current medical licensure exams do not help us identify who will learn well on the job, and that enrollment in even the best residency programmes does not guarantee that doctors are comprehensively prepared for future learning.


현재의 시험은 직접 가르침을 받는 시기를 벗어났을 때, 미래 학습에 얼마나 준비되었느냐보다, 이전에 배운 지식의 적용을 강조한다.

current exams emphasise application of previously learned knowledge rather than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outside of the confines of direct instruction.


'미래 학습을 위한 준비'의 개념적 토대
CONCEPTUAL UNDERPINNINGS OF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미래의 학습을 위한 준비(PFL)'[실제 학습과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를 배우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procedure를 고안하는 능력'으로 이해된다.10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PFL) is ‘understood as the ability to learn new information, make effective use of resources, and invent new procedures in order to support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practice’.10


예를 들어, 임상의사가 진료를 할 때, 특히 새롭고 복잡한 상황에서, 그들은 자신의 지식을 유연하게 사용하여 자신이 속한 환자, 사회, 시스템 맥락 안에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개발해야 한다.11

For example, as clinicians work, particularly in situations of novelty and complexity, they are required to use their knowledge flexibly to develop an effective solution within the patient, social and system context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11


반대로, adaptive하지 않은 의사들도 여전히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지만, 이들은 불확실성, 새로움, 복잡성의 상황에서는 잘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그들은 무심코 일상적이지 않은 문제에 일상적인 해결책을 적용하려고 들 수도 있다.5

By contrast, those who are not adaptive can still solve routine problems, but will likely not perform well in situations of uncertainty, novelty or complexity. Moreover, they may inadvertently apply their routine solutions to non-routine problems.5


이 두 가지 형태의 전문지식은 각각 '적응적 전문성'과 '루틴 전문성'으로 설명되어 왔다.7,10 

  • 루틴 전문성효율성에 대한 프리미엄이 있는 안정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에 유용하다. 

  • 적응적 전문성높은 수준의 변동성과 변화가 있을 때 유용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결과 달성을 위한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These two forms of expertise have been described as ‘adaptive’ and ‘routine’, respectively.7,10 Routine expertise is useful for stable, recurrent tasks where there is a premium on efficient completion. Adaptive expertise is useful where there is a high degree of variability and change, and it is important to learn new ideas and ways of accomplishing outcomes.


적응형 전문가들은 과거의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것에서 옛 것'을 볼 수 있다. 그들은 또한 필요에 따라 그들의 관행을 재고하고 진화시킴으로써 '오래된 것에서 새로운 것'를 볼 수 있다.

Adaptive experts are able to see the ‘old in the new’ by using their past knowledge. They can also find the ‘new in the old’12 by reconceptualising and evolving their practice as necessary.


의사들이 의료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배울 가치가 있는 새로운 것이 있다]는 강한 신호를 늘상 받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단서 자체가 자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람들이 새로운 학습의 기회를 인식하고 행동하도록 돕는 한 가지 방법은 적응adaptation을 지원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료 훈련생들은 익숙한 상황에서도 새로운 것이 무엇일지를 직간접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전문와 함께 로테이션을 완료해야 한다13

doctors may not always receive equally strong signals that there is something new that is worth learning in their practice. Moreover, the cues for how to adapt may not be self-evident. One way to help people recognise and act upon opportunities for new learning is to create environments that support adaptation. Medical trainees may, for example, complete their rotations with an expert doctor who may, directly or indirectly, indicate what is new about an otherwise familiar situation.13


보건 직업 교육에서의 현대의 교육 및 평가 시스템은 '루틴 전문성'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14~16 의사가 실습을 하기 전에 반드시 익혀야 하는 기술들이 많이 있으며, 미리 알 수 있는 그러한 기술들에 대해서는 표준 평가가 적당하다. 그러나 의사들이 새로운 것에 적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적응적 전문성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혁신적인 교육 및 평가 설계가 필요하다.

Contemporary system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re heavily focused on developing and maintaining routine expertise.14–16 There are many skills that doctors must master before they graduate into practice, and for those skills that can be known in advance, standard assessments are adequate. However, to determine whether doctors are prepared to adapt to what is new, we need innovative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designs aimed at developing adaptive expertise.



평가가능한 구인으로서 PFL: 이중 전이

PFL AS AN ASSESSABLE CONSTRUCT: DOUBLE TRANSFER


현재 평가는 PFL을 측정하지 않기 때문에 의학교육에서 학생이 미래의 학습을 준비하고 있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대신 현재 의학교육에서 대부분의 평가는 학습자의 축적된 지식의 현재 상태에 대한 스냅샷만 제공한. 'Zone of proximal development'이라는 문구를 만든 레프 비고츠키는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이 배울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Currently, there is no easy way to tell if medical education is preparing trainees for future learning because current assessments do not measure PFL. Instead most assessments only offer a snapshot of the current state of learners’ accumulated knowledge. Lev Vygotsky,17 who coined the felicitous phras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proposed that it is important to measure, not just what people know, but also what they are prepared to learn:


마치 수확을 위해 종을 평가하는 정원사가 [과수원의 익은 열매]만을 생각하고 [아직 성숙한 열매를 맺지 못한 나무의 상태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몰랐다면, 그는 잘 못 하는 것이다. 또한 [성숙 과정에 있는 것]을 제쳐두고 [이미 성숙한 것]만을 확인하는 심리학자는 결코 전체 발전의 내부 상태에 대한 어떤 종류의 진실되고 완전한 표현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Like a gardener who in appraising species for yield would proceed incorrectly if he considered only the ripe fruit in the orchard and did not know how to evaluate the condition of the trees that had not yet produced mature fruit, the psychologist who is limited to ascertaining what has matured, leaving what is maturing aside, will never be able to obtain any kind of true and complete representation of the internal state of the whole development.



Feurstein은 비고츠키를 토대로, 사람들이 배울 수 있는지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동적 평가의 개념을 개척했다.

Feurstein,18 building on Vygotsky, pioneered the idea of dynamic assessments that directly measure whether people can learn.


비판적으로, 퍼스타인의 동적 평가에는 supervised instruction이 포함되었지만, 현실에서 대부분의 의사들은 [새로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명백한 단서가 없는 채로] 적응adaptation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 의사들은 자신의 사전 지식이 어디에 적용되고 언제 적응해야 하는지를 자발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Bransford와 Schwartz10은 정확히 언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를 말하지 않았을 때 학습의 고유한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PFL을 평가하기 위한 '이중 전이 방법론'을 개발했다.

Critically, Feurstein’s dynamic assessments included supervised instruction, but most doctors will need to adapt without overt cues to needs for new learning. Doctors must spontaneously recognise where their prior knowledge is applicable and when it needs to be adapted. Bransford and Schwartz10 developed the ‘double transfer methodology’ to assess PFL in order to reflect the unique demands of learning when not being told exactly when and what to learn.


그림 1은 그들의 논리에 대한 개략도를 제공한다.

Figure 1 provides a schematic of their logic.




저자들은 두 가지 경우에, STP에 대해서는 성과가 유사했지만, TTP문제에 대해서는 성과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 authors found that the two instructional treatments led to similar performance on the standard transfer problem, but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the target transfer problem.


의학에서, 이중 전이 설계는 현재 다양한 형태의 교육이 PFL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In medicine, double transfer designs are now helping to elaborate the impact of different forms of instruction on PFL.22


임상 지식과 기초 생물의학 지식의 통합은 질병 범주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만들어, 초보자들로 하여금 고립된 임상 사실에 의해 지식 기반이 지배되는 동료들을 능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능력상의 이득은 지연된 'transfer out' 평가만을 사용하여 연구되어왔다.

The integration of clinical knowledge and basic biomedical knowledge creates a deeper understanding of disease categories, allowing novices to outperform their peers whose knowledge base is dominated by isolated clinical facts. However, this outperformance has been studied only using delayed ‘transfer out’ assessments


그러나 (transfer out 외에도) 새로운 자료를 얼마나 잘 배워서 최종 평가로 옮기는지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중 전송 설계는 모든 평가가 다른 형태의 지시의 영향을 가시적으로 만들 수 없다는 점을 강화한다.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ow well they learned new material and transferred it out to a final assessment. Double transfer designs reinforce the point that not all assessments can make visible the impact of different forms of instruction.


이중 전이 패러다임은 초기 지침의 효과에 대한 상대적으로 부담스러운 시험이다.

The double transfer paradigm is a relatively onerous test of the effectiveness of initial instruction,


(이중 전이 패러다임은) 많은 학습과 시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제한된다.

feasibility becomes a potential limitation, given that so many learning and testing episodes are requir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 설계는 많은 의사들이 직면하고 있는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데, 의학교육 초반에 어떻게 배우는지가 그들이 [새로운 문제를 다루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문제들로부터 배우는지 여부]에도 영향을 미친다.

Nevertheless, the overall design does reflect the situation facing many doctors, whose initial medical instruction not only influences how they handle new problems, but also whether they learn from those problems to improve subsequent practice.


무엇보다, PFL 지향적 교육방식이 효과적이라면, 학생들이 미래에 더 효과적으로 배울 준비가 되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saving이 있을 것이다.

More importantly, if PFL minded instruction is effective, then there will be additional savings down the line, because students have been prepared to learn more effectively in the future.


평가가능한 구인으로서 PFL: 학습 프로세스 측정

PFL AS AN ASSESSABLE CONSTRUCT: MEASURING LEARNING PROCESSES


미래 학습은 기술의지에 따라 좌우된다는 가정 하에, 이러한 평가는 미래의 학습을 지원하는 전략을 사용하려는 연습생들의 의지를 포착하기 위한 것이다.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future learning depends on both skill and will, these assessments seek to capture trainees’ willingness to use strategies that support learning in the future.


연구 결과에 따르면 PFL이 보건 직업 교육에 대한 개입의 의도된 결과인 경우, 연구자들은 보다 전략적으로 PFL 관련 행동을 평가해야 한다. PFL관련 행동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findings show that if PFL is the intended outcome of an intervention in health profession education, researchers must assess PFL-related behaviours, such as 


  • 더 전략적으로 피드백을 구하고, 

  • 환자 치료에 대한 적응형 솔루션을 만들고,

  • 동료들에게 그것에 대해 가르치고, 

  • 다학제 회진에서 좀 더 적절한 질문을 하는 것

  • seeking feedback more strategically, 

  • creating an adaptive solution to patient care and 

  • teaching colleagues about it, and 

  • asking more pertinent questions during multidisciplinary rounds.


PFL 관련 행동들은 건강 전문가 교육에서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PFL-related behaviour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studi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연습생들이 학습하는 동안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 자신의 선택을 선택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예: 어떻게 피드백을 찾는가? 어떤 종류?)

how trainees take action to gain the information needed to learn or seek to capture trainees’ choices as they learn (e.g. How do they seek feedback? What kind?)


참가자들이 자료를 검토하는데 시간을 쓰는 것. 이것은 자신의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에 집중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즉, 자신감과 실제 수행능력을 align하기 위해)자신의 성과를 스스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집중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how participants spent time reviewing the material revealed that they concentrated on how to correct errors in their performance as well as in how they self-monitored their performance (i.e. to better align confidence and performance).


접근의 두 가지 주요 패턴: (i) 성적이 높은 학생들은 대개 그들의 우수한 성과의 특성을 설명하는 페이지보다는 동료들과 비교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페이지를 보았고, (ii) 시험을 '그냥 통과한' 학생들은 웹사이트를 가장 적게 보았다.

two major patterns of access: (i) high performing students mostly viewed pages showing how they compared with peers, rather than pages explaining the nature of their superior performance, and (ii) students who ‘just passed’ the examination viewed the website least often.


학생들이 피드백을 찾는 방식을 연구한 결과, 학생들은 [현재의 학습 요구를 확인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수행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을 얻기 위해 피드백을 사용했다는 것을 암시하여 우려를 자아낸다.

how students seek feedback revealed somewhat worrisome patterns suggesting students used feedback for positive affirmation (‘I’m better than everyone’ or ‘Woo, I passed!’), rather than for identifying current learning needs.



어떤 학습조건이 PFL을 촉진하는가?
WHICH INSTRUCTIONAL CONDITIONS PROMOTE PFL?


교육자들이 자연스럽게 물을 수 있는 질문은, 그렇다면 미래의 학습을 준비할 수 있는 교육방식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the natural question for educators to ask is how to design instruction that prepares trainees for future learning.


증거들은 점점 더 guided discoverydirect instructional approach을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30 guided discovery은 학생들이 실제로 해결책이나 설명을 발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생이 그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guided discovery 학습 활동은 연습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결코 문제로서 경험하지 못한 과제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해결책을 베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발전시키도록 자극한다.

evidence is increasingly showing the promise of combining guided discovery and direct instructional approaches.30 Guided discovery does not mean that students must actually discover the solution or explanation, but rather that they need to engage in the attempt. Guided discovery learning activities stimulate trainees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a problem to be solved, in contrast to copying a told solution for a task they never experienced as a problem.


비록 잘 디자인된 발견의 이점들에도 불구하고, 30 guided discovery는 강사의 direct guidance를 받을 때 더 유익해 보인다. 예를 들어, 군사 훈련에서의 학습은 대부분 디브리핑 동안 일어난다. 연습이 없다면, 디브리핑 내용은 공허할 것이지만, 디브리핑을 하지 않으면, 군인들은 그러한 훈련과 다른 훈련들에 적용되는 더 넓은 원칙을 배우지 못할 것이다. 

Although the benefits of well-designed discovery ,30 it seems that guided discovery is highly beneficial when followed by direct guidance from an instructor. For instance, much of the learning from military exercises occurs during the debriefing. Without the exercises, the debriefing would be hollow, but without the debrief-ing, soldiers would not learn the broader principles that apply to those exercises and others. 


실험 교육 연구는 유사한 결론에 도달했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발견 후 설명" 집단이 "설명 후 발견" 집단에 비해 뛰어난 개념적 지식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Experimental education research has reached similar conclusions. For example, a study of primary school students showed that a discover-then-tell group displayed superior conceptual knowledge compared with a tell-then-practice group


대부분의 커리큘럼에서, 먼저 강의가 진행된 이후 학생들이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접근법임을 감안할 때, 발견-후-설명을 지지하는 증거는 논쟁적이다. 강사와 연습생 모두의 시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는 초기 직접 교육은 연습생의 초점을 지나치게 협소화시킬 위험을 가져온다. 훈련생들은 해결책이 적용되는 문제의 본질에 대한 주의를 흐리게 하는 설명된 해결책에 주의를 기울인다.

Given that the conventional approach in most curricula is to lecture first and allow trainees to practise second, the increasing evidence supporting the discover-then-tell sequence is controversial. Initial direct instruction, which seems to be a more efficient use of both instructors’ and trainees’ time, brings with it the danger of overly narrowing a trainee’s focus. Trainees pay attention to the told solution, which overshadows their attention to the nature of the problem to which the solution applies.


선교육 후발견 방식에서, 종종 학생들은 자신의 지식을 활성화하고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비록 틀렸더라도) 여러 가지 잠재적 경로를 경험하지 않고 '올바른 대답'에만 관심을 갖는다

Tell-first instruction often emphasises ‘correct answers’ without allowing trainees to activate their own knowledge and to experience multiple potential (albeit incorrect) pathways to comprehending and solving a problem.


전반적으로, PFL 관련 지표에 대한 지침 설계 관련 문헌은 개방형 학습 활동 중 '생산적 실패'를 허용하는 훈련이 학습을 강화시키는 도전적인 조건을 조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2 이러한 형태의 지침은 실제 환자 사례에서 임상의사가 경험하는 조건을 authentic하게 보여줄 강력한 기회를 제공한다. 즉, 의사들은 자신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정의해야 하며, 문제를 자신의 지식과 연관시켜야 하며, 늘 그런 것은 아니더라도, 여러 가지 잠재적 해결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Overall, the literature relating instructional designs to PFL-related metrics suggests that training that permits ‘productive failure’ during open-ended learning activities creates challenging conditions that enhance learning.32 these forms of instruction offer a powerful opportunity that authentically represents the conditions clinicians experience during challenging patient cases in practice: they must recognise and define that they have a problem, they must relate the problem to their own knowledge, and they will likely, though not necessarily, fail as they create multiple potential solutions.


나아가기: 보건전문직 교육의 PFL

MOVING FORWARD: PFL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어떤 교육적 설계가 PFL을 장려하는가? 첫 단계는 적응형 전문지식과 PFL 관련 행동에 대한 경험적 근거의 이해를 개발하는 것이다. 

  • 강의실 맥락에서, 연구는 PFL 평가에서 어떤 교육설계가 개선된 결과를 초래하는지, 또한 초기 학습 중에 관찰된 행동과 전략은 PFL 평가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탐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임상적 맥락에서 연구는 실제 적응형 전문가 활동이 의료 사업장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탐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36–38

To identify which instructional designs encourage PFL, a foundational step will be to develop an empirically grounded understanding of adaptive expertise broadly and PFL-related behaviours specifically. 

  • In the classroom context, studies will need to explore which instructional designs result in improved performance on PFL assessments, as well as which behaviours and strategies observed during initial learning correlate with PFL assessment outcomes. 

  • In the clinical context, studies will need to explore how real-world adaptive expert activity unfolds in the health care workplace.36–38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authentic 학습 기회와 잘 조화된 평가가 강력한 교육 촉매라는 것을 시사하는 증거가 형성되고 있다.40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evidence is building to suggest that assessments that map onto authentic learning opportunities are powerful educational catalysts.40


예를 들어, 한 최근의 연구는 의료의 질과 임상 효율을 강조하기 때문에 임상 환경에서 학습하는 시간이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1

For example, one recent study showed that time for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may be limited due to the emphasis on quality of health care and clinical efficiency (i.e. ‘getting the patient out’).41


마지막으로, 현대의 대부분의 의료면허시험은 과거의 지식을 입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스냅샷 방식의, 격리된 평가는 trainee로 하여금 루틴 전문성 개발만을 우선시하는 고정적인 학습 관점을 배양한다. 

Finally, most, if not all, contemporary medical licensure examinations employ a form of snapshot, sequestered assessment, which emphasises demonstrating past knowledge and cultivates a static perspective of learning that can lead trainees to prioritise developing routine expertise alone.


결론

CONCLUSIONS


더 넓은 점은 새로운 평가 시스템에서 바람직한 능력으로서 PFL을 캡슐화하여 모든 전문 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 교육자의 능력을 확대하는 것이다.

The broader point is to encapsulate PFL as a desirable capability in new assessment systems, thereby expanding educators’ abilities to assess all facets of expertise.


모든 교육 및 평가 시스템의 궁극적인 목표는 연습생들이 

  • 기존에 쓰던 유용한 전략을 복제하여 새로운 것에서 오래된 것을 볼 수 있도록 하고, 

  • 새로운 적응 전략을 혁신하고 탐구함으로써 오래된 것에서 새로운 것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2

The ultimate goal of any system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s to enable trainees 

  • to see the old in the new by replicating previously useful strategies, and 

  • to see the new in the old by innovating and exploring new adaptive strategies.12


PFL이 적응형 전문지식에 중요하긴 하지만, 일부 임상실무 환경에서 학습이 항상 목표는 아니며, 마찬가지로 일부 교육 환경에서는 항상 PFL이 목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문제가 혁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식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거나 복제하는 임상의는 효과적인 실천의 핵심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43

Although PFL is critical to adaptive expertise, in some clinical practice settings learning is not always the goal and, likewise, in some education settings PFL is not always the goal. Not every problem requires innovation. A clinician who efficiently applies or replicates knowledge to solve routine problems is exhibiting a key aspect of effective practice.43


교육자와 연구자는 자신의 교육 설계가 학습 경험의 원하는 결과와 어떻게 일치하는지 신중하게 고려할 때 이러한 전문 지식의 여러 측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예: 보존, 이전 또는 이전할 것인지).

Educators and researchers must attend to these multiple facets of expertise as they carefully consider how their instructional designs align with the desired outcomes of a learning experience (e.g. do we want to cultivate retention, transfer in or transfer out?).


4 Mylopoulos M, Lohfeld L, Norman GR, Dhaliwal G, Eva KW. Renowned physicians’ perceptions of expert diagnostic practice. Acad Med 2012; 87 (10):1413–7.


34 Asch DA, Weinstein DF. Innovation in medical (9):794–5. education. N Engl J Med 2014;







 2016 Jan;50(1):115-23. doi: 10.1111/medu.12893.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a missing competenc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Undergraduate Medical Professions Education and Department of Paediatrics,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2
Wilson Centre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3
Wilson Centre and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4
Wilson Centre,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5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lifornia, USA.

Abstract

CONTEXT:

Evidence suggests that clinicians may not be learning effectively from all facets of their practice, potentially because their training has not fully prepared them to do so. To address this gap, we argue that there is a need to identify system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at enhance clinicians'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PFL) is understood to be the capacity to learn new information, to use resources effectively and innovatively, and to invent new strategies for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practice.

CURRENT STATE:

Education researchers have developed study designs that use dynamic assessments to measure what trainees have acquired in the past, as well as what they are able to learn in the present. More recently, researchers have also started to emphasise and measure whether and how trainees take action to gain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learn. Knowing that there are study designs and emerging metrics for assessing PFL, the next question is how to design instruction that helps trainees develop PFL capacities. Although research evidence is still accumulating, the current evidence base suggests training that encourages 'productive failure' through guided discovery learning (i.e. where trainees solve problems and perform tasks without direct instruction, though often with some form of feedback) creates challenging conditions that enhance learning and equip trainees with PFL-related behaviours.

CONCLUSIONS: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 and the associated capacity of being adaptive as one learns in and from training and clinical practice have been missed in most contemporary training and assessment systems. We propose a research agenda that (i) explores how real-world adaptive expert activity unfolds in the health care workplace to inform the design of instruction for developing PFL, (ii) identifies measures of behaviours that relate to PFL, and (iii) addresses potential sociocultural barriers that limit clinicians' opportunities to learn from their daily practice.

PMID:
 
26695471
 
DOI:
 
10.1111/medu.12893


원인과 효과: 기초과학의 인지적 통합을 위한 메커니즘과 방법 검증(Acad Med, 2015)

Cause and Effect: Testing a Mechanism and Method for the Cognitiv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Kulamakan Kulasegaram, PhD, Julian C. Manzone, MSc, Cheryl Ku, MSc, Aimee Skye, PhD, Veronica Wadey, MD, and Nicole N. Woods, PhD




기초과학을 통합하는 것은 학부 의학의 영원한 고민이다.

Integrating basic science is an enduring concer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우리는 최근에 학부 의과정에 기초과학의 성공적인 통합의 증거를 위해 8개의 문헌을 검토했다. 통합은 종종 커리큘럼의 모든 수준에서 설명되었지만, 9,10 통합 방법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증거는 교육 세션 수준의 연구들에서 발견되었다.

we recently reviewed8 the literature for evidence of successful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in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 Although integration was often described at all levels of the curriculum,9,10 the most compelling evidence for how to successfully integrate was found in studies at the level of teaching sessions.


또 통합은 기초과학과 임상과학의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기초과학 정보를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The review also suggested that integration requires presenting basic science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creates relationships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


우즈17 등은 이런 관계 형성의 이점을 '개념적 공생conceptual coherence'의 창조라고 규정했다. 개념적으로 일관된 임상 및 기초 과학 정보의 정신 표상을 개발하면 학습자가 임상 문제에서 의미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17;

Woods17 and others have labeled the advantage of this relationship formation as the creation of “conceptual coherence.” Developing a conceptually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 of clinical and basic science information can help learners find meaning in clinical problems17;


이 모델은 유망하지만, 개념적 공생과 그에 따른 통합을 어떻게 가장 잘 만들 것인가에 대한 해답이 없는 질문들이 있다.

Although this model is promising, there are unanswered questions as to how best to create conceptual coherence and thus integration.


한 가지 선호하는 옵션은 기초과학 지식과 임상 개념의 가르침 사이의 시간적, 공간적 거리를 줄이는 것 또는 더 나아가 개념적으로 구별된 두 개념을 동시에 제시하는 것이다.

One favored8 option is to decreas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between the teaching of basic science knowledge and clinical concepts or even to present them simultaneously while keeping both areas conceptually distinct.


교육을 동시화synchronize하는 것 또는 정렬하는 것은 의학 교육에서 일반적인 통합 방법21,22이며, 하든의 통합 사다리에서도 다루고 있다.

Synchronizing or aligning teaching is a common method of integration in medical education21,22 and is addressed in Harden’s23 Integration Ladder.


개념적 공생통합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인지 활동이라는 가설을 전제로 한다. 다른 연구에서 입증되었듯이, 이것은 쉽거나 자발적인 과정이 아니라 숙고와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는 인지 통합이 특정 기초과학 메커니즘과 학습자에게 임상적 특징 사이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노출시킬 것을 주장한다.

Conceptual coherence is premised on the hypothesis that integration is ultimately a cognitive activity of the learner. As evidenced by other work, this is not an easy or spontaneous process24–27 but is deliberate and effortful. We argue that cognitive integration requires explicitly exposing relationships11–16 between specific basic science mechanisms and clinical features to learners.


예를 들어, 뇌척수증의 진단

For example, the diagnosis of a brainstem stroke


통합을 위해서, 개념적 공생 모델을 따른다면, brainstem의 생리적, 해부학적 기능과의 관계(예: 안구 근육을 제어하는 신경은 뇌계에서 발생하며 기능 상실은 이중 시력으로 이어진다)와 함께 각각의 징후나 증상을 제시할 것을 제안할 것이다.

for integration, the conceptual coherence model would suggest presenting each sign or symptom along with its relationship to the physiology and anatomy functions of the brainstem (e.g., the nerves that control eyeball muscles arise in the brainstem, and loss of their function leads to double vision).


이 방법은 인과관계를 노출하는 통합방법으로서, 학습자에게 holistic presentation을 할 것을 요구한다.15 이러한 인과관계 임베딩이 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또한 더 노동집약적이고 자원집약적일 수 있다. 교육자료는 종종 이런 식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8 그리고 모든 개념이 이런 방식으로 정복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This method of creating integration—exposing causal relationships—requires a holistic presentation to learners.15 Although this causal embedding may be more efficacious, it may also be more laborious and resource intensive. Instructional materials are often not created this way, 8 and not all concepts can be mastered in this fashion.


방법

Method


집단

Population


First-year에 대학생 의료(nx82), 보조(nx9)간호대 학생들은 토론토 대학과 그랜트 MacEwan 대학에서(n=10)이 연구를 신규 채용되었다.2011년과 2014년까지 실시되었다.

First-year undergraduate medical (n = 82), physician assistant (n = 9), and nursing students (n = 10)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and Grant MacEwan University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between 2011 and 2014.


참가자는 네 가지 연구 조건 중 하나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four study conditions: 


  • (1) 과학 기반 인과적 설명(SC)을 사용하여 특정 임상적 특징과 기초 과학 지식을 연결하는 단락을 제공했다. 

  • (2) 먼저 기초과학과 분리한 후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며, 기초과학에 이어 임상적 특징(BC)을 기술하는 단락을 제공했다. 

  • (3) 임상적 특징으로 분리한 후 기초과학(CB)을 사용한다. 

  • (4) 임상적 특징 목록(FL)으로, 관련 역학과 함께 진단을 위한 관련 징후 및 증상의 단락을 제공했다.

  • (1) science-based causal explanations, which provided a paragraph linking specific clinical features to basic science knowledge using cause-and-effect-type explanations (SC); 

  • (2) separated with basic science first followed by clinical features, which provided a paragraph describing the basic science followed by the clinical features (BC); 

  • (3) separated with clinical features followed by basic science (CB); and 

  • (4) a clinical feature list (FL), which provided a paragraph of the relevant signs and symptoms for diagnosis along with relevant epidemiology.


학습자료

Learning materials



신경학(또 뇌졸중 그룹, 척수 압축, polyneuropathy, 근 무력증 gravis)과 류머티스학(피부 경화증, 강직성 척추염, 낭창,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네 가지 질병이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한 가지에만 노출되었다. 이 연구에 사용했다. 참가자들은 (질병에 대한 관련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의가 작성한 설명을 보았다.

Four disorders in neurology (brainstem stroke, spinal cord compression, polyneuropathy, and myasthenia gravis) and rheumatology (scleroderma, ankylosing spondylitis, lupus, and rheumatoid arthritis) were used in this study, though participants were only exposed to one set of disorders. Participants viewed explanations written by a clinician that were intended to provide relevant diagnostic information on the disorders.


FL그룹은 각각의 질병에 중요한 진단 증상과 징후 목록을 받았다. 이 역학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한 임상 기능(예를 들어, 복시와 없이 연하 곤란brainstem를 보여 주는 징후이다)을 포함했다.

The FL group was given a list of key diagnostic signs and symptoms for each of the disorders. This included epidemiological information as well as specific clinical features (e.g., diplopia and dysphagia are symptomatic of brainstem stroke).


분리된 근접 교육을 위하여 두 가지 버전이 생성되었다. 

    • 한 버전에서, 설명은 장애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역의 생리학과 해부학을 설명하는 기초 과학의 단락으로 구성되었고, 그 다음으로 임상적 특징(BC)을 설명하는 두 번째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 다른 버전에서, 임상적 특징 단락이 기초과학(CB)보다 먼저 제시되었다. 

Two versions of separated proximity teaching were created. 

    • In one version, the explanations consisted of a paragraph of basic science describing the physiology and anatomy in the region affected by the disorder followed by a second paragraph outlining the clinical features (BC). 

    • In an alternate version, the clinical features paragraph was presented before the basic science (CB). 


기초과학에 앞서 임상적 제시를 하는 이러한 조작은 제시 순서의 효과를 검토하고 분리되었지만 근접한 가르침의 다른 가능한 변형을 나타내기 위해 수행되었다. 두 그룹의 경우, 단락은 작은 공간으로 구분된 동일한 페이지에 표시되었다.

This manipulation of presenting clinical prior to basic science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order of presentation and to represent other possible variations of separated but proximate teaching. For both groups, the paragraphs were presented on the same page separated by a small space.


SC를 그룹은 각각 따로 제시되었던 동일한 내용이 해부학과 생리학의 성분과 임상 특징 사이에 인과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해 재기술되어 제시되었다. 이 조건의 참가자들은 질병과 관련된 기본적인 과학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특정 징후나 증상이 보이는 이유를 강조하는 인과관계 내러티브에 노출되었다.

In the SC group, the same content was presented as the separated groups but rewritten to explain the causal links between a component of anatomy and physiology and the clinical features. Participants in this condition were exposed to cause-and-effect narratives that highlighted the reason for observing a specific sign or symptom using a basic science mechanism relevant to the disorder.


설명의 모든 유형의 예를 들어, 표 1참조하십시오.

For an example of all types of explanations, see Table 1.


암기 시험

Memory testing


두가지 형태의 시험이 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기억 시험을 8개의 true-or-false 문제, 객관식 문제, 간략한 short-answer 질문 순이다. 질문은 지식의 설명에서 리콜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시험은 학생들에게 정답의 형태로 피드백을 제공했다. 두 가지 버전이 균형 조정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참가자의 절반이 즉시 또는 지연된 테스트에서 각 버전을 보았다. 기억력 테스트는 전문가 임상의에 의해 만들어졌고 다른 독립적인 임상 전문가에 의해 검증되었다.

Two types of testing were used in this study. A memory test consisting of eight true-or-false and multiple-choice questions followed by brief short-answer questions. The questions were designed to measure recall of knowledge from the explanations. This test provided feedback in the form of the right answer for students. Two versions were created for counterbalancing with half of participants seeing each version at either immediate or delayed testing. The memory test was created by an expert clinician and verified by another independent clinical expert.



진단 시험

Diagnostic testing


진단 테스트는 학생들이 네 가지 가능한 장애 목록으로부터 정확한 진단을 식별해야 하는 12개의 임상 기록으로 구성되었다. 각 vignette는 환자의 인구통계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으며, 기초 장애와 관련된 4-5개의 징후와 증상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즉각 테스트와 지연 테스트에서 균형 잡힌 관리를 통해 총 24개의 사례에 대해 두 가지 버전이 생성되었다. 각 테스트에 대한 총 시간과 vignette당 시간 데이터도 수집되었다. 

The diagnostic test consisted of 12 clinical vignettes for which students had to identify the correct diagnosis from a list of four possible disorders. Each vignette provided a description of a patient’s demographics and consisted of four or five sign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underlying disorder. Two versions were also created for a total of 24 cases with counterbalanced administration at immediate and delayed testing. Data on total time for each test and time per vignette were also collected. 


이러한 시험사례는 우리의 학습 자료와 마찬가지로 학부 실습생들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전문 임상의사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또 다른 독립적인 임상 전문가에 의해 추가로 검증되었다. 이 사례들은 유사한 프로토콜과 자극을 사용한 기초과학 통합에 관한 세 가지 이전 연구에서 사용되었다.11–13 이 평가들은 기존 연구에서 의대생의 학습과 진단 추리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절함이 입증되었다. 임상 환경에서의 성과로 전이하는 것은 이러한 자료로 평가되지 않았지만, 우리는 이 자료들이 보건전문직 학생들의 학습 메커니즘을 연구하는 데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These test cases, as with our learning materials, were created by an expert clinician with experience in teaching undergraduate trainees and further validated by another independent clinical expert. The cases were used in three previous studies of basic science integration using a similar protocol and stimulus.11–13 These assessments have previously demonstrated adequate measurement properties for the purposes of studying medical students’ learning and diagnostic reasoning processes. Although transfer to performance in clinical settings has not been assessed with these materials, we deemed them appropriate for studying the mechanisms of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students.



절차

Procedures


참가자들은 맞춤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이 연구를 완료했다. 프로그램 작동 방법과 연구의 흐름에 대한 지침을 받은 후, 참가자들은 테스트로 이동하기 전에 각각의 설명을 주의 깊게 읽도록 요청 받았다. 참가자는 시험 중 시간이 제한되지는 않았지만 학습 단계에서는 30분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 

Participants completed this study individually using a custom-designed computer program. After receiving instructions on how to operate the program and the flow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each explanation carefully prior to moving on to the tests. Participants were not allowed more than 30 minutes during the learning phase, though they were not time restricted during testing. 


참가자들은 먼저 메모리 테스트를 완료한 후 진단 테스트를 완료했다. 진단 테스트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았다. 1주일 후에, 참가자들은 다시 시험을 보기 위해 돌아왔다. 참가자들은 학습한 장애의 이름을 간략히 상기시켜 주고, 그 후에 진단 테스트의 대체 버전과 대체 메모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참가자가 기억력 테스트에 의해 준비되지 않았고 진단에 대한 성과가 참가자의 이전 학습에 기초하도록 시험 응시 순서를 변경했다. 설계 및 절차에 대한 요약은 그림 1을 참조하십시오.

Participants first completed the memory test followed by the diagnostic test. No feedback was given for the diagnostic test. After a one-week delay, participants returned for testing again. Participants were briefly given a reminder of the names of the disorders they learned, after which they took the alternate versions of the diagnostic test followed by the alternate memory test. The order of test taking was switched to ensure that participants were not primed by the memory test and so that performance on diagnosis was based on participants’ previous learning. Please see Figure 1 for a summary of the design and procedure.



분석

Analysis


1차 분석은 대상 간 요인(FL, BC, CB, SC)을 그룹(FL, CB, SC)으로 하는 공분산(ANCOVA)의 혼합된 반복측정 분석을 사용하여 진단 테스트(즉시 및 지연)에 대한 성능이었다.

The primary analysis was performance on the diagnostic test using a mixed,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group (FL, BC, CB, SC) as the between-subjects factor and test (immediate and delayed) as the repeated factor.


결과

Results


테스트 시 vignette/case당 학습 시간과 시간에 대한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F[3,94] = 0.54, P < 0.63; F[3,94] = 0.12, P < 2.8) 지연 시 총 스터디 시간과 진단 테스트 성능 사이의 약하지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감지했다(r = 0.26, P <01).t 또한 즉각적인 진단(r = 0.27, P < .008) 및 지연 진단 테스트(r = 0.29, P < .005)에 대한 즉각적인 테스트.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time on learning and time per vignette/case at test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3,94] = 0.54, P < .63; F[3,94] = 0.12, P < .28); however, we detected weak bu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otal study time and diagnostic test performance at delay (r = 0.26, P < .01), as well as with time per vignette at immediate testing for both immediate diagnostic (r = 0.27, P < .008) and delayed diagnostic testing (r = 0.29, P < .005).


메모리 테스트(F[3,92] = 3.1, P < 04, η 2 = 0.056)의 복수 선택 및 참/거짓 부분에 대한 지연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감지했으며, 1의 참가자는 지연에서 73%로, 68%로 떨어졌다. 4개 그룹(F[3,92] = 0.59, P < .73) 또는 시간 지연과의 상호작용(F[3,92] = 1.12, P < .14)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메모리 테스트의 성능은 즉각적인 진단 평가(r = -0.11, P < .48) 또는 지연 테스트(r = 0.15, P < .32)에서의 성능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We detec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delay on the multiple-choice and true/false sections of the memory test (F[3,92] = 3.1, P < .04, η 2 = 0.056), with participants at time 1 scoring at 73% with a drop to 68% at del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F[3,92] = 0.59, P < .73) or interaction with time delay (F[3,92] = 1.12, P < .14). Performance on the memory test was not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n the diagnostic assessment at either immediate (r = −0.11, P < .48) or delayed testing (r = 0.15, P < .32).


즉시 및 지연 진단 테스트의 표준 오류와 함께 그룹별 평균 성능을 그림 2에 요약하였다.

Average performance by group along with standard error on the immediate and delayed diagnostic test is summarized in Figure 2.



Discussion


우리의 결과는 즉각적인 테스트에서는 모든 그룹이 진단 작업에서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든 그룹이 지연에서 성능 저하를 경험했지만 원인 설명 그룹은 가장 작은 하락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기초 과학 설명이 없었던 그룹, 그리고 기초 과학보다 먼저 임상적 특징을 설명한 그룹들은 지연 시험에서 20% 이상 감소를 경험했다. 임상적 특징보다 기초과학을 먼저 학습한 집단은 감소가 더 적었지만, 여전히 지연시험에서 이 집단보다 인과적 설명을 받은 집단이 더 높은 성과를 보였다.

Our results revealed that at immediate testing, all groups had similar performance on the diagnostic task. Although all groups experienced a drop in performance at delay, the causal explanation group experienced the smallest drop. In contrast, the groups taught without basic science and with clinical features preceding basic science experienced a drop of 20% or more at delayed testing. Although the group with basic science preceding clinical features experienced a smaller drop, this group was still outperformed by the causal explanation group at the delayed test.


이러한 결과는 임상 추론에서 기초 과학의 가치를 연구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18,19,28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findings by other researchers who have examined the value of basic sciences in clinical reasoning.18,19,28


이 연구의 결과는 단순히 기초과학을 임상 지식에 근접하게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통합적 이익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신에, 우리의 연구결과는 통합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holistic contents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 결과는 인지 활동으로서의 통합이란, [다른 유형의 지식들 사이의 연결의 생성]이라는 점점 늘어나는 연구결과들과도 일치한다.28,29 이처럼 (기초와 임상의) 연결을 명확히 노출된 형태로 교육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을 통합적 이해를 갖출 수 있게 한다.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imply presenting basic science in close proximity to clinical knowledge may not guarantee the putative benefits of integration. Instead, our findings suggest that integrated understanding requires the creation of holistic content.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and add to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which argues that integration as a cognitive activity is best understood as the creation of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types of knowledge.28,29 Presenting instructional materials in a form that already exposes these connections likely enables learners to form an integrated understanding.


기초과학 지식을 먼저 교육받은 그룹은 임상적 특징을 먼저 교육 받은 그룹보다 retention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차이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프레젠테이션 순서가 자료의 목적적합성에 대한 평가나 프라이머시 효과를 만든다는 것이다. 임상적 특징을 먼저 제공하는 것은 참가자들이 이 정보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기초 과학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줄이도록 이끌었을 수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학생들이 임상 내용에 비해 기초과학의 관련성에 대한 평가가 낮을 수 있으며, 이 메커니즘이 작동 중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the group receiving the basic science knowledge first having higher scores at the retention test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received the clinical features first. One explanation for this difference is that the order of presentation creates a primacy effect or an appraisal of relevance of the material. Providing clinical features first may have led participants to consider this information to be more important and to reduce their attention to basic science content. Other researchers have noted that students may have a lower appraisal of the relevance of basic science32 compared with clinical content, and this mechanism may be at play.


우리의 결과는 기초과학 가르침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으로서 개념적 일관성conceptual coherence 모델과 인과적 설명에 증거를 제공한다.

Our results lend evidence to the conceptual coherence model and causal explanations as ways of maximizing the value of basic science teaching.


기초과학을 맥락에 따라 내장embed하여 가르치는 것은 학습자가 기초과학의 임상적 개념과의 연결 및 그 의미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또한 보다 전문가와 같은 임상 스키마를 만들기 위한 비계를 지원한다.19,20 비록 이것이 직관적으로 보이지만, 이것을 실천으로 변환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인지 통합을 촉진하려면, 특정 콘텐츠 수준에서 인과 관계를 보여주는 고도로 상세하고 주의 깊은 조작manipulation이 필요할 수 있다.

Teaching basic science in an embedded, contextualized manner allows learners to see connections and meaning in clinical concepts; this also supports scaffolding for building more expert-like clinical schemas.19,20 Although this may be an intuitive concept, our results suggest that translating this into practice may not be straightforward. It may require highly detailed and attentive manipulation to causal relationships at the level of specific content to facilitate cognitive integration.


그러나 통합을 이러한 관점으로 바라보는 기존 커리큘럼은 거의 없다. 그보다, 시간적으로 분리해두었지만 근접하게 배치한 상태를 "통합"이라 묘사할 가능성이 더 높다.8

However, few curricula create integration with this perspective. Instead, a scaled version of our separated but proximate conditions is more likely to be described as integration.8


비록 기초 과학교육과 임상의학교육을 시간적으로 점점 더 가까이 두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일 수 있지만, 우리의 결과는 이것이 특정한 개념을 서로 의도적으로 연결하는 것만큼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즉 기초과학과 임상개념 강의를 연속적으로 하는 것, 또는 같은 날이나 같은 주에 하는 것은 통합을 보장하지 않는다. 근접성은 통합의 기회를 만들 수도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교사들과 학습자들에 의해 능동적이고 목적적인 연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Although increasing proximity with basic science teaching can be valuable, our results suggest that this might not be as efficacious as purposefully linking discrete and specific concepts together. In other words, putting a basic science and a clinical concepts lecture back-to-back, or on the same day or week, is no guarantee of integration. Proximity may create an opportunity for integration, but ultimately, it seems that active, purposeful linkages must be made by teachers and learners.


우리는 통합의 메커니즘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해부학과 생리학을 이 연구의 기본 과학 내용으로 하는 인과적 설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많은 장애들은 복잡한 사회적, 구조적 원인을 포함한다. 게다가 여러 질병들은 기본적인 과학 메커니즘의 관점에서 원인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분명히, 인과적 설명이 모든 상태나 임상 활동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We used causal explanations with anatomy and physiology as the basic science content for this study to clarify mechanisms of integration. But many disorders involve complex social and structural causes. Furthermore, several diseases have poorly understood causes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science mechanisms. Clearly, causal explanations may not be appropriate for every condition or clinical activity.


원인 설명은 통합을 뒷받침하는 많은 가능한 방법들 중 하나일 것이다. 다른 교수 형식과 실습(예: 문제 기반 학습, 사례 기반 학습, 실무 경험)은 개념 일관성 개발을 지원하는 한 통합을 지원하는 데 기능할 수 있다. 일상적인 가르침의 맥락에서, 교사들이 지식 영역 간의 관계를 만들고 통합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유사한 전략을 사용하는 기초 과학의 상황 파악은 학습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ausal explanations are likely only one of many possible ways to support integration. Other teaching formats and practice (e.g., problem-based learning, case-based learning, practical experiences) may function to support integration, so long as they support the development of conceptual coherence. In the context of everyday teaching, there are likely multiple ways teachers can creat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domains and support integration. Contextualization of basic science using multiple, similar strategies may have the greatest impact on learners.


결론

Conclusions


이 개념적 일관성은 두 도메인이 뚜렷하게 그러나 근접하게 제시되어 있을 때에도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진단 추론을 이용하려면 학습자가 연결과 관계에 직접 노출되어야 한다.

This conceptual coherence does not occur spontaneously, even when both domains are presented distinctly but in proximity. To benefit diagnostic reasoning, learners must be exposed directly to the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2015 Nov;90(11 Suppl):S63-9. doi: 10.1097/ACM.0000000000000896.

Cause and EffectTesting a Mechanism and Method for the Cognitive Integration of BasicScience.

Abstract

BACKGROUND:

Methods of integrating basic science with clinical knowledge are still debated in medical training. One possibility is increasing the spatial and temporal proximity of clinical content to basic science. An alternative model argues that teaching must purposefully exp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domains. The authors compared different methods of integrating basic science: causal explanations linking basic science to clinical features, presenting both domains separately but in proximity, and simply presenting clinical features

METHOD:

First-year undergraduat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ere randomized to four conditions: (1) science-causal explanations (SC), (2) basic science before clinical concepts (BC), (3) clinical concepts before basic science (CB), and (4) clinical features list only (FL). Based on assigned conditions, participants were given explanations for four disorders in neurology or rheumatology followed by a memory quiz and diagnostic test consisting of 12 cases which were repeated after one week.

RESULTS:

Ninety-four participants completed the study. No difference was found on memory test performance, but on the diagnostic test, a condition by time interaction was found (F[3,88] = 3.05, P < .03, ηp = 0.10). Although all groups had similar immediate performance, the SC group had a minimal decrease in performance on delayed testing; the CB and FL groups had the greatest decreas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ng proximity between basic science and clinical concepts may not guarantee cognitiveintegration. Although cause-and-effect explanations may not be possible for all domains, making explicit and specific connections between domains will likely facilitate the benefits of integration for learners.

PMID:
 
26505104
 
DOI:
 
10.1097/ACM.0000000000000896


전이를 최적화하기 위한 기초의학교육(Med Teach, 2009)

Teaching basic science to optimize transfer

GEOFF NORMAN

McMaster University, Canada




Flexner 시대 이후, 전 세계의 의학 교육은 2년 이상의 전임상 교육과, 이어지는 비슷한 기간의 임상 훈련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그러한 arrangement는 의료행위를 생물학, 심리학 및 기타 분야의 과학적 기반과 연결시키는 Flexner의 우려를 정당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적 접근의 기반은 학습의 본질에 대한 100년도 넘은 오래된 관점; 즉, "기초"과목을 먼저 배우고, 그 이후에 그 과목과 관련된 일반적 "mental faculties"를 심어준다는 생각이다.

Since the time of Flexner, medical education worldwide has consisted of 2 or more years of preclinical education followed by an equivalent time of clinical training. Such an arrangement legitimizes Flexner’s concerns about linking the practice of medicine to the scientific underpinnings in biology, psychology, and other disciplines. Yet this universal approach rests on a century old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learning; the notion that there are ‘‘foundational’’ subjects that can be taught early, and will inculcate general ‘‘mental facultie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1950년대까지 이 철학을 인용한 교육자들은, [라틴어가 모든 서양 언어의 근본이고 철학이 과학의 기초]라는 입장을 취하여, 공립학교 학생들에게 라틴어 강좌와 논리학을 강요하였다. 슬프게도, 그러한 관행에 의해 길러진 "general mental facilities"의 개념은 손다이크(1913년)에 의해 틀리다는 것이 증명되었지만, 그 관습은 이후에도 적어도 50년은 더 지속되었다.

Until the 1950s, educators who ascribed to this philosophy took the position that Latin was the underlying foundation of all Western languages, and philosophy was the basis of science, so inflicted courses in Latin and logic on public school students. Sadly, although the notion of ‘‘general mental facilities’’ fostered by such practices was disproved by Thorndike (1913), the practice survived for at least another 50 years.


그러나 교육학에 대한 이와 같은 역사적 관점과 더불어, 심리학은 행동주의에 의해 지배되었는데, 행동주의의 기본 전제는 모든 학습은 (특정)자극에 따른 반응에 해당하며 일반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이론적 틀에서, 모든 반응은 특정한 자극에 조건화되기 때문에, 그 반응이 새로운 상황에 일반화되는 것은 도저히 가능하지 않았다.

However, paralleling this historical view in education, psychology in the last century was dominated by behaviorism, whose fundamental premise is that all learning amount to stimulus – response links, with no generalization. From this theoretical framework, generalization to novel situations was simply not possible, since all responses are conditioned to specific stimuli.


일반화와 전이현상에 대한 보다 온건한 견해가 1960년대부터 시작된 인지심리의 혁명으로 나타났다. 초기에, 인지에 대한 은유로서 심리학에서는 '장기 기억', '작업 기억', '감각 입력 시스템'과 같은 컴퓨터에서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인지적 관점에서, 학습은 장기기억의 변화였으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A more moderate view of the phenomenon of generalization and transfer has emerged with the revolution in the cognitive psychology beginning in 1960s. Cognitive on metaphor, psychology was initially based a computer with concepts like ‘‘long-term memory’’, ‘‘working memory’’, and ‘‘sensory input systems’’. in the cognitive view, learning amounts to changes in long-term memory – no more and no less,


많은 교육자들에게 기억과 학습에 대한 인지적 관점은 환원주의적이며, 인간 학습의 본질과 풍부함에 대한 광범위한 견해와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인지적 관점은) 학습에 있어서의 사회적 요인에 대한 고려나 동기 부여와 같은 정서적 영향을 명확하게 배제하며, 흔히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적 능력이나 공간적 능력 등의 개인별 적성 차이도 examine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지적 관점은 학습, 사고, 추론의 많은 측면을 설명하는 데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To many educators, the cognitive view of memory and learning may seem reductionist and incompatible with broader views of the nature and richness of human learning. It clearly excludes considerations of social factors in learning, or emotional influences such as motivation, nor does it typically examine individual differences in aptitude that may influence learning, such as intelligence or spatial ability. Nevertheless, the cognitive perspective has had considerable success in explaining many aspects of learning, thinking, and reasoning.


인지 심리학에서 반복되는 연구 주제는 "전이transfer"이라는 개념이다. 즉, 한 맥락에서 습득한 지식을 사용하여 다른 맥락에서 새로운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One recurring research theme in cognitive psychology is the idea of ‘‘transfer’’ – using knowledge acquired in one context to solve a new dissimilar problem in another context.


전형적으로, 하나의 문제 맥락에서 개념을 배운 학생들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념을 적용하는 데 있어 10-30%의 성공률을 가질 뿐이다.

Typically, students who have learned a concept in one problem context will only have a 10–30% success rate in applying the concept to solve a new problem.


의학 교육자들은 이 문제를 확실히 인식했다. 과학을 배우고, 시험에 합격했지만, 실제 문제를 해결하거나 설명하는 데에는 이 지식을 적용하지 못하는 의대생들의 이야기는 흔한 일이다.

Medical educators have certainly recognized the issue. basic Stories of medical students who have learned the science, passed the examinations, but were then unable to apply this knowledge to solve or explain problems, are commonplace.


지난 50년 동안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혁신은 1950년대의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의 장기 시스템 접근법과 1960년대 후반 맥매스터가 개척한 문제 기반 학습(PBL)이다. 이러한 두 가지 혁신의 상당한 보급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실제로 기초과학과 임상과학의 통합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The two most significant innovations of the past 50 years, the organ system approach of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in the 1950s and problem-based learning (PBL), pioneered by McMaster in the late 1960s were both directed to integrat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learning. Despite the significant dissemination of these two innovation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they have actually succeeded in improving the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


커리큘럼 수준에서의 비교는 (교육과정에 따른) 차이가 작거나 전혀 없음을 보여준다. 맥락을 활용한 학습이 성과에 있어 극적인 이점을 갖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하다.

curriculum-level comparisons show small or no differences; it is safe to say that no dramatic advantages in performance have emerged from learning in context.


흥미롭게도, 몇몇 저자들은 PBL이 실제로 전이을 방해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Bransford 외 연구진(1999)은 학생들이 하나의 문제 맥락에서 개념을 배울 때, 그 개념은 맥락에 너무 밀접하게 '묶여' 있어서 맥락 없이out of context 학습한 경우보다 전이에 덜 이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스(1987년)는 이것에 대한 증거를 입증했다.

Interestingly, several authors have argued that PBL may actually impede transfer. Bransford et al. (1999) has argued that when students learn a concept in one problem context, the concept is so tightly bound to the context that it may be less available for transfer than if it were learned out of context. Ross (1987) has demonstrated evidence of this,


...학습의 초기단계에서, 사전에 제시된 사례에 의해서만 원리를 이해한다. 이 시기에 원칙과 사례는 함께 묶여 있다. 학습자에게 원칙이나 공식이 주어진다 하더라도, 그들은 현재의 문제에 어떻게 그 원리를 적용할지를 알아내는 데 앞서 본 문제의 세부사항을 사용할 것이다.

...during early learning, the principle is only understood in terms of the earlier example ...the principle and example are bound together. Even if learners are given the principle or formula, they would use the details of the earlier problem in figuring out how to apply that principle to the current problem



개념 학습의 모델

A model of concept learning


단순성을 위해, 우리는 선형 흐름을 가정한다.

For simplicity, we assume a linear flow.


첫째, 학습자가 개념을 습득한다introduced. 이것은 텍스트, 첨부된 사진이 있는 텍스트, 강의, e-러닝 모듈 또는 그 사이에 있는 어떤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질적인 요소는 내용-배워야 할 개념이다.

First, the learner is introduced to the concept. This may be as text, or text with accompanying picture, a lecture, an e-learning module, or anything in between. But the essential element is the content – the to-be-learned concept.


둘째, 학습자는 개념이 적용되는 사례를 본다. 즉, 개념이 어떻게 '실제적 세계'에서 발생하는지 말이다. 기호를 포함할 수 있고 추상적일 수 있는 원래의 개념과는 대조적으로, 이 단계에서는 그 개념이 프로토타입적 사례에 의도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기본 요소는 개념과 상황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예시적 사례다.

Second, the learner may well see an example of the concept – how the concept arises ‘‘in the real world’’. In contrast to the original concept, which may involve symbols and is abstract, in this phase, the concept is deliberately imbedded in a prototypical example. In this stage, the basic element is the illustrative example containing both concept and contextual information.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연습 문제에 참여하도록 권장될 수 있다. 이것들은 모두 방금 학습한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는 예시일 수도 있고(blocked), 또는 의도적으로 다른 관련 개념을 설명하여 혼동을 유발할 수 있는 예(mixed)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는, 여러 가지 연습 문제를 접하는 것이다.

Finally, the learner may be encouraged to engage in practice problems. These may all be illustrations of the same principle just learned (blocked practice), or may deliberately contain confusable examples illustrating other related concepts (mixed practice). But the essential element is multiple practice problems.


  • 원리만 가르친다면 새로운 문제로 전이될 가능성은 약 5%이다(Quilici & Mayer 1996). 

  • 원리가 단일 프로토타입의 예와 함께 설명된다면, 전이는 약 25%에 이를 수 있다. 

  • 원리가 여러 예와 함께 설명될 경우, 전이율은 47%에 이를 수 있다(Catrambone & Holyoak 1989; Lowensteinet al. 2003). 

 if only the principleis taught, likelihood of transfer to new problems is about 5%(Quilici & Mayer 1996). If the principle is illustrated with asingle prototypical example, transfer may go to about 25%. Ifthe principle is illustrated with multiple examples, transfer canbe as high as 47% (Catrambone & Holyoak 1989; Lowensteinet al. 2003). 



왜 그렇게 어려운가?

Why is it so difficult?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된 개념을 retrieve하는 것은 왜 그렇게 어려운가? 난관은 정신적 표상에 있다.

Why is it so difficult to retrieve a learned concept to solve a new problem? The difficulty lies in the mental representation.


문제를 어렵게 만드는 흔한 이유는 문제가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다른 예와 유사하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만약 어떤 사람이 그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정확한 비유를 찾을 수 있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어려워 보인다.

frequently, what makes the problem difficult is that it does not, on the surface, look analogous to other examples. Indeed, if one can find the correct analogy, that essentially solves the problem, but this appears more difficult than one might think.


왜 이렇게 어려운가? 간단히 말해서 유사성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깊은 (개념적인) 구조 수준에서 동일성을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밝혀진 대로 이것은 학습자가 아니라 전문가의 특징이다. 한 예(Chi et al. 1981) 전문가 물리학자들은 말 그대로 문제를 초보자와 전혀 다르게 "볼" 것이다. 초보자들은 이를 "공을 굴리는" 문제로, 전문가는 "에너지 보존" 문제로 표현할 수 있다.

Why is it so difficult? Simply, because in order to identify the analogy, the similarity must be identified at the level of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 As it turns out, this is a characteristic of experts, not learners. As one example (Chi et al. 1981) expert physicists will literally ‘‘see’’ a problem differently from novices – novices may describe it as a ‘‘ball rolling down a plane’’ problem; experts as a ‘‘conservation of energy’’ problem.


그리고 문제의 깊은 구조를 보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운가? 인지 심리학에서 한 이론은 근본적으로 다른 두 가지 사고방식이 있다고 단언한다. 시스템 1은 물리적 물체의 식별과 관련하여 빠르고 무의식적이며 구체적이며 맥락적이다. 시스템2는 느리고, 심의적이며, 개념적이며, 추상화와 관련이 있다.

And why is it so difficult to see the deep structure of a problem? One theory in cognitive psychology posits that there are two fundamentally different ways of thinking. System 1 is rapid, unconscious, concrete, and contextual, associated with identification of physical objects. System2 is slow, deliberative, and conceptual, and associated with abstractions.


  • 초보자들은, (기계학과 같은 추상적인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만 가지고 있어서, 표면적 구조만을 문제로 바라본다. 

  • 대조적으로, 전문가들은 추상적인 문제들에 대한 수많은 예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보다 정교한 시스템 1 사고를 이용하여 근본적인 원리로 볼 수 있다. 

확실히, 우리는 의학에서 전문가 진단이 시스템 1, 비분석적 추론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Norman et al. 2007b).

novices, who only have concrete examples available in an abstract field such as mechanics, represent problems by surface structure. Experts, by contrast, have numerous examples of abstract problems to draw on, so can see the problem as an underlying principle, using a more refined System 1 thinking. Certainly, we have ample evidence in medicine that expert diagnosis is dominated by System 1, non-analytic reasoning (Norman et al. 2007b).


촉진 요인

Facilitating factors


초기 개념 학습

Initial concept learning


비유의 활용

Use of analogy.


학습의 인지적 관점에 따르면, 학습이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비추어 새로운 지식을 해석하는 것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개념을 알려진 것이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 '펄서 항성'과 명시적으로 연계시키는 지침은 실제로 두 반대 방향으로 빛의 흐름을 발산하고 있다. 회전하면서 마치 등대가 그러하듯이 맥동하는 것처럼 보인다.(Donnely & McDaniel 1993; Norman et al. 2007a).

The cognitive perspective of learning proposes that learning amounts to interpreting new knowledge in light of what we already know. To that end, instruction that explicitly links the new concept to something known (e.g. ‘‘a pulsar star actually is emitting streams of light in two opposite directions. As it rotates, it appears to pulsate, just like a lighthouse would’’) has been shown to facilitate learning. (Donnelly & McDaniel 1993; Norman et al. 2007a).



멀티미디어 학습의 효과

Impact or not of multimedia learning.


메이어(1997)는 멀티미디어 학습에 관한 문헌을 검토했다.

Mayer (1997) reviewed literature on multimedia learning,


일련의 연구에 따르면, 전달방식medium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컴퓨터 애니메이션은 도면이 있는 종이에 대한 프레젠테이션보다 아무런 이점이 없었고 평균은 컴퓨터 7.5, 책 7.3이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텍스트 설명만 제시한 것에 비해서 (텍스트와 일러스트레이션을) 복합적 교육combined instruction의 극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평균 효과는 내레이션과 애니메이션으로 100% 증가했으며 텍스트와 일러스트레이션 대 텍스트로 67% 증가하였다.

Over a series of studies, there was no demonstrable effect of the medium – a computer animation had no advantage over a presentation on paper with drawings – with a mean of 7.5 for computer and 7.3 for book. By contrast, he showed dramatic effects of combined instruction (text and illustration) against a text explanation alone. Average effect was 100% gain with narration and animation, and 67% gain with text and illustration vs. text.


마지막으로 메이어는 텍스트와 그림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놀라울 정도로 큰 효과를 보여 주었다. 평균 62%의 이득.

Finally, Mayer has shown surprisingly large effects from simply providing text and picture together vs. apart (contiguity); an average gain of 62%.


문제 맥락과 개념의 관계

Relation between problem context and concept.


PBL의 본질은 학습해야 할 개념을 문제 맥락에서 imbedding하는 것이다. 단, 단일 문제의 사용과 관련된 불이익이 수반될 수 있다. 그렇다면 PBL과 같은 조작이 전이를 용이하게 하거나 방해할 수 있다는 증거는 무엇인가?

The essence of PBL is the idea of imbedding the concept to be learned in a problem context. However, there may be accompanying disadvantages, related to the use of a single problem. What then is the evidence that PBL-like manipulations can facilitate or impede transfer?


이러한 조작이 PBL의 효과를 포착하는 범위까지, 우리는 원리를 문제에 imbed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작은 이익이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러나 메커니즘은 다소 불명확한 상태로 남아 있다.

To the extent that these manipulations capture the effect of PBL, we might conclude that there is a potential small benefit for imbedding principles on problems. However, the mechanism remains somewhat unclear.


사례 교육을 위하여

For teaching examples


예를 들어, 로웬슈타인 등이 있다. (2003)은 두 가지 개입을 대조했다. 학생들이 원칙을 가르치고 전이 과제에 대한 하나의 예(공통 연습) 수행을 했을 때 19%가 되었다. 예를 설명해야 한다면, 실적은 44%이다. 암묵적 원리로 두 가지 예를 제공하면 38%의 전송 정확도가 나왔다. 그러나 분명한 비교와 함께 두 가지 경우 정확도는 61%로 거의 세 배나 높았다.

For example, Lowenstein et al. (2003) contrasted two interventions; When students were 

    • taught a principle and given a single example (common practice) performance on a transfer task was 19%. 

    • If they had to explain the example, performance was 44%. 

    • Providing two examples with an implicit principle yielded a transfer accuracy of 38%. 

    • But two cases, with an explicit comparison, yielded an accuracy of 61%, nearly three times as great.


결론은 명백하다. "여러 개"가 고작 "두 개"인 경우에조차, 학생들을 여러 개의 교육 사례에 참여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학생들이 매우 다르게 보이는 사례들 사이의 깊은 구조적 유사성을 식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비교하고 대조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이득이 발생한다.

the evidence is quite clear. Substantial gains can be achieved by engaging students in multiple teaching examples, even where multiple is two. Additional gain results from getting students to actively compare and contrast to identify the deep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examples that appear very different.


실천을 위하여 

For practice


"챕터 끝 문제"는 두 가지 심각한 결손을 가지고 있다. 

    • 첫째, 우리는 그것이 어떤 종류의 문제인지 이미 알고 있다. "t-test" 챕터 끝의 문제는 항상 t-시험 문제다. 

    • 둘째로, 그 실천은 지식이 "신선할 때" 이루어지지만, 지식이 썩을 시간이 생긴 후에는 반복되지 않는다.

the ‘‘problems at the end of the chapter’’ has two serious deficits. First, we already know what kind of problem it is. Problems at the end of the ‘‘t-test’’ chapter are always t-test problems. Second, the practice takes place while the knowledge is fresh, but are not repeated after the knowledge has had time to decay.


첫 번째 이슈는 '블록' 대 '혼합' 연습의 개념과 관련된다. 이번 주에 일련의 t-테스트 문제, 그리고 다음 주에 분산 분석 문제를 하는 것은 "블록"연습이다. 그것들을 섞어서 학습자는 그것이 어떤 종류의 문제인지(혼합 연습)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The first issue is captured in the notion of ‘‘blocked’’ vs. ‘‘mixed’’ practice. Doing a series of t-test problems this week, then some ANOVA problems next week, is ‘‘blocked’’ practice. Mixing them up, so the learner must try to work out what kind of problem it is (mixed practice) can lead to substantial gains in transfer.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른 연습 조작은 "집중" 대 "분산" 연습이다. 이 연습은 모두 한 세션에서 수행되거나 여러 세션에 걸쳐 배포된다.

The other practice manipulation common in the literature is ‘‘massed’’ vs. ‘‘distributed’’ practice, where the practice is all done in a single session or is distributed over several sessions.


Conclusions




 2009 Sep;31(9):807-11.

Teaching basic science to optimize transfer.

Author information

1
McMaster University, Canada. norman@mcmaster.ca

Abstract

BACKGROUND:

Basic science teachers share the concern that much of what they teach is soon forgotten. Although some evidence suggests that relatively little basic science is forgotten, it may not appear so, as students commonly have difficulty using these concepts to solve or explain clinical problems: This phenomenon, using a concept learned in one context to solve a problem in a different context, is known to cognitive psychologists as transfer. The psychology literature shows that transfer is difficult; typically, even though students may know a concept, fewer than 30% will be able to use it to solve new problems. However a number of strategies to improve transfer can be adopted at the time of initial teaching of the concept, in the use of exemplars to illustrate the concept, and in practice with additional problems.

AIM: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literature in psychology to identify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ransfer.

METHODS:

Critical review of psychology literature to identify factors that enhance or impede transfer.

RESULTS:

There are a number of strategies available to teachers to facilitate transfer. These include active problem-solving at the time of initial learning, imbedding the concept in a problem context, using everyday analogies, and critically, practice with multiple dissimilar problems. Further, mixed practice, where problems illustrating different concepts are mixed together, and distributed practice, spread out over time, can result in significant and large gains.

CONCLUSION:

Transfer is difficult, but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can enhance this skill by factors of two or three.

PMID:
 
19811185


CMBE: 무결점의 담론 (Med Educ, 2018)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Victoria A Boyd,1 Cynthia R Whitehead,2,3,4 Patricia Thille,2 Shiphra Ginsburg,1,2,5 Ryan Brydges1,2,6 & Ayelet Kuper1,2,7





도입

INTRODUCTION


2000년대 초 북아메리카에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의 도입은 학자들이 교육과 평가 이론과 실천을 개념화하는 방식에 변화를 일으켰다.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n North America in the early 2000s initiated a shift in how scholars conceptualise education and assessment theory and practice.


CBME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194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가 실증주의와 행동주의에 뿌리를 둔 오래된 교육 이론의 흐름에서 비롯된다.4 역량 운동은 세계 의학 교육 연맹WFME이 제안한 에든버러 선언에 의해 더욱 추진되었다.

This understanding of CBME stems from an older stream of educational theory, rooted in positivismand behaviourism, beginning in the late 1940s.4 The competency movement was further propelled by the Edinburgh Declaration put forward by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그러나 의료 교육 내에서 역량 기반 접근의 역사는 간단하지도 않고 명확straightforward하지도 않았다. 많은 학자들은 성과에 초점 둠으로써 더 나은 의사를 생산하고 진화하는 의료 환경에서 직면하고 있는 도전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믿는다. CBME의 개념적 근거가 직관적으로 타당할 수는 있지만, 역량 기반 접근법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근거는 부족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 '혁명적 수사'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또한, 일부 연구자들은 이 모델의 이론적 기반과 의학교육에 있어서 CBME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Yet the history of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with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neither simple nor straightforward. Many scholars believe a focus on outcomes promises to produce better doctors and mitigate challenges faced in the evolving health care landscape.6–9 Although its conceptual basis may make intuitive sense,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paucity of empirical evidence4,10,11 supporting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and the ‘revolutionary rhetoric’ used to promote it.12 Further, some researchers question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model,13–16 as well as the feasibilit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medicine.11,17


의료 교육에서 역량 프레임워크의 국제적 이해를 고려할 때, 한 걸음 물러서서 이러한 변화를 이끄는 가정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Given the international uptake of competency frameworks in medical education, it is crucial to step back and examine the assumptions driving this change.


우리는 CBME를 [정치적 및 역사적 맥락에 내재된 사회적 구성]으로 바라볼 것이다.12,18 이러한 관점에서 CBME(또는 교육학적 접근법)는 의대생들을 독립적 의료인으로서 어떻게 준비시킬 것인가에 대한 일련의 가정이나 예비preliminary 신념에 기초한다. 그러나 CBME의 토대가 되는 가정은 일반적으로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으며, 그냥 당연한 것으로 간주된다.

We approach CBME as a social construction embedded in its political and historical context.12,18 From this perspective, CBME (or any pedagogical approach) is built on a series of assumptions or set of preliminary beliefs about how to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heir future practice as doctors. Such assumptions are generally unarticulated and taken for granted;


담론은 담론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현상의 사회적 구축에 기여한다.19 따라서 우리는 CBME에 초점을 맞춘 학술문헌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실시했다.

Discourse both reflects its social contexts and contributes to the social construction of phenomena.19 Therefore, we undertook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academic literature focused on CBME.


방법

METHODS


우리는 CBME 문헌의 Foucoldian 비판적 담론 분석20(CDA)을 수행하여 그 구조를 뒷받침하는 지배적인 담론을 묘사했다. 비판적 담론 분석은 텍스트의 집합에서 가정과 전제를 탐구하기 위한 렌즈로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사회과학 방법론이다.21,22 다양한 형태의 비판적 담론 분석이 존재하지만, 푸코적 관점은 담론, 사회 관행, 지식 및 권력 상대 사이의 관계를 식별하는 것을 추구한다. Michel Foucault는 사회적 관행과 그 관행이 지식 및 권력에 연결된 방식이 담론의 생산과 사용을 제약한다고 이론화했다.19 담론이라는 용어는 확고부동한 사고, 발화, 행동의 방식을 보여준다.

We conducted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20 (CDA) of the CBME literature to delineate the dominant discourses underpinning the construct.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a social science methodology used in many disciplines as a lens to explore the assumptions and presuppositions in a group of texts.21,22 Although various form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ist, a Foucauldian perspective seek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discourse, social practices, knowledge and power relations. Michel Foucault theorised that social practices and their links to knowledge and power constrain the production and use of discourse.19 The term discourse refers to entrenched ways of thinking, speaking and acting.23,24 


담론이란 문자와 구어를 통한 논의의 표시이다. 25,26 그것은 특정한 형태의 텍스트를 가능하게 하고, 다른 어떤 것들은 불가능하게 한다.19 진술된 진실은 '깊고 더 복잡한 담화 시스템의 표면적 표현'이다.12 Truth statements는 주어진 맥락에서 [어떤 것이 진실 또는 거짓으로 인식될지], 그리고 어떤 것이 [승인되거나 비승인될지authorised and unauthorised]에 대한 정당한 가정으로 인식된다.12 그러한 진술은 무언가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고, 실행하는 것인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구분을 확립한다.27 푸코적 CDA는 우리에게 무엇이 진실이라고 인식되는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그것이 '진실'으로 받아들여지는지를 질문할 수 있는 도구를 쥐어준다.

Discourse manifests through written and spoken text;25,26 it renders certain forms of text possible, and others less possible.19 Statements of truth are ‘the surface manifestation of deeper and more complex systems of discourse.’12 Truth statements are recognised as legitimised assumptions regarding what is perceived as true or untrue and authorised or unauthorised in a given context.12 Such statements establish dividing practices that make it possible to think, say and do certain things but not others.27 Foucauldian CDA equips us with the tools to interrogate not only what is perceived as true, but how it becomes accepted as ‘truth’.28


푸코는 저항resistance이라는 용어를 [지배적인 의지에 반대하는 대체적인 추론]을 언급하는 용도로 사용한다.29 저항 담론은 사회적 변화를 enact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착된 사고와 글쓰기 방식을 훼손undermine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저항 담론에 대한 연구는 종종 지배 담론의 근본적인 체계를 푸는 열쇠가 된다. Foucauldian 접근법을 사용하면 CBME 문헌을 뒷받침하는 지배적 성향과 저항적 성향 사이의 경계를 발굴하고 조사하기 위해 승인된 진실 진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찾아낼 수 있다.

Foucault uses the term resistance to refer to alternative lines of reasoning that oppose dominant discourses.29 A resistance discourse can be a vehicle for undermining entrenched ways of thinking and writing in order to enact social change. The study of a resistance discourse is often the key to unlocking the fundamental mechanics of a dominant discourse. Our use of a Foucauldian approach20,25,26 allows us to problematise authorised truth statements in order to unearth and examine the boundaries between dominant and resistance discourses underpinning the CBME literature.


푸코의 관점에서 보면, 개인과 조직의 인가된authorised 혹은 저항resistance 담론의 사용이 반드시 의도적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욕구는 특정 시기의, 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비롯된다. 담론의 이해(및 생산)는 그 사회적, 정치적, 역사적 형태에서 분리될 수 없다.310,31 따라서 CBME 문학 내에서 의욕의 구성과 사용을 추적할 때, 독자는 특정한 사고 방식이나 글쓰기 방법이 반드시 의식적이거나 고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오히려 그러한 관행은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서 지배적인 담론의 범위 내에서 허용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From a Foucauldian perspective, individuals’ and organisations’ use of authorised or resistance discourses is not necessarily intentional. Rather, such discourses derive from a certain social context at a particular time. The uptake (and production) of a discourse cannot be disentangled from its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formations.30,31 Therefore, as we trace the construction and use of discourses within the CBME literature, the reader must remember that particular ways of thinking or writing are not necessarily conscious or deliberate. Rather, such practices occur because they are allowed within the bounds of a dominant discourse, in a given time and place.



검색 전략 및 포함 기준

Search strategy and inclusion criteria


CDA가 텍스트 집합을 통해 욕구조성을 입증할 수 있는 넓은 렌즈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질적, 정량적, 혼합적 방법 경험적 연구, 위치 조각, 논평, 논평, 사설 및 합의 컨퍼런스의 보고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출처를 고려하였다.

Given that CDA requires a broad lens to demonstrate the construction of discourses through a collection of texts, we considered all types of sources, including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empirical studies, position pieces, commentaries, reviews, editorials, and reports of consensus conferences.


푸코의 비판적 담론분석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몇 가지 광범위한 연구 질문이 우리의 분석을 이끌었다. 

(i) CBME 문헌의 기초가 되는 지배적인 성향은 무엇인가? 

(ii) 담론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iii) 이러한 의욕을 뒷받침하는 가정은 무엇인가?

Several broad research questions guided our analysis: 

(i) What are the dominant discourses underlying the CBME literature? 

(ii) How are the discourses used? 

(iii) What assumptions underpin these discourses?


Foucoldian 원칙과 일치하는 분석은 본문의 반복적인 정밀 판독과 형성 그룹 논의에 의해 진전된 협업 과정이었다. 한 연구팀 구성원(VB)은 각 기사의 전문을 읽고 반복적인 진술과 개념을 코드화했다. 코딩 프레임워크는 해석적이고 데이터 중심적인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설정되었다. 여기서 관련 개념은 이산형 패턴으로 분류되었다. 코딩 프레임워크는 보관소의 지속적인 탐색과 정기적인 팀 회의로 추진되는 진화하는 실체였다. 각 텍스트가 코드화되면, 우리는 어떻게, 그리고 어떤 목적으로, 다른 유형의 학구적 기사에 불분명한 추세가 사용되는지를 조사했다. 

Consistent with Foucauldian principles,20,25,26 the analysis was a collaborative process advanced by iterative close readings of the texts and formative group discussions. One research team member (VB) read the full text of each article and coded recurring statements and concepts. A coding framework was established using an interpretive, data-driven approach, wherein related concepts were grouped as discursive patterns. The coding framework was an evolving entity propelled by continued exploration of the archive and regular team meetings. Once each text was coded, we examined how, and for what purposes, discursive trends were used in different types of scholarly articles. 


그런 다음 우리는 이러한 discursive한 관행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는 합리성을 탐구하기 위해 이러한 주장들의 반복적인 변화와 변화를 추적했다. 우리는 또한 반복되는 논쟁이 서로를 지지하거나 반박하거나 반대함으로써 문학에서 대화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고려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관행이 당연하게 여겨지는take-for-granted 담론과 진실 진술truth statements에서 어떻게 발생arise하는지를 문제 삼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러한 의학적 교육 연구와 실천의 미래에 대한 의욕의 영향을 고려했다. 분석은 Nvivo 정성 분석 소프트웨어(QSR International, Doncaster, Victoria, Australia)를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We then traced recurring arguments and shifts in these arguments25,34 to explore the rationales used to legitimise these discursive practices. We also considered the ways in which recurrent arguments created a dialogue in the literature by supporting, contradicting or opposing each other. In doing so, we problematised how these practices arise from taken-for-granted discourses and truth statements. Finally, we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these discourses for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The analysis was organised using Nvivo qualitative analysis software (QSR International, Doncaster, Victoria, Australia).


FINDINGS 


역량은 주로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능력으로 이해되며, 실천을 통해 능동적으로 통합될 때 의사의 역량이 된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저자가 역량 프레임워크의 기초가 되는 개념적 전제를 수용하는 것은 아니며, 의학교육에서의 구현에서도 역량의 개념이 온전히 수용되는 것도 아니다.

Competencies are predominantly understood as observable and measurable abilities that, when actively integrated in practice, constitute physician competence.3 Nevertheless, not all authors accept the conceptual premise underlying competency frameworks, nor their implementation in medical education.


CBME 문헌을 뒷받침하는 불온한 '대화'

A discursive ‘dialogue’ underpinning the CBME literature



CBME의 분석가들은 접근법의 개념적 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많은 비판을 제시한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비평은 역량 프레임워크의 이론적 기반에 도전하는 저항 담론을 확립한다. 표 1.

Detractors of CBME present a number of critiques questioning the conceptual nature of the approach. Collectively, these critiques establish a resistance discourse that challenges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competency frameworks. Table 1



CBME의 지지자는 종종 두 가지 반복된 주장을 통해 이러한 주장에 대응한다. 

(i) CBME는 구현하기 어렵고, 

(ii) CBME에 대한 오해가 구현의 장애물이다.

Proponents often counter these arguments by drawing on two repeated assertions: 

(i) CBME is difficult to implement and 

(ii) misunderstanding CBME is a barrier to implementation.


이 진술들은 실제로 CBME 이론을 성공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것들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관련된 CBME 자체가 아니라 "사람"이 문제의 근원이라는 가정에 기초한다.

The statements emphasise the challenges of successfully operationalising the theory of CBME in practice; they are built on the assumption that if issues arise, those involved are the source of the problem, not CBME itself.


우리가 앞으로 보여주는 것처럼, 이러한 레토릭은 CBME 개념에 대한 비판을 [불완전한 구현]이나 [오해로 인한 문제]로 축소시켜버림으로써, 결과적으로 CBME의 토대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려버린다.

As we will demonstrate , this rhetoric reduces conceptual critiques to matters of poor implementation or misunderstanding, and, consequently, deflects attention away from the basis of CBME.


문헌을 통해 '대화' 추적하기: 네 가지 예

Tracing the ‘dialogue’ through the literature: four examples


첫 번째 대표적 논문에서는 CBME의 개념적 토대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역량에 대한 부적절한 인식에 기초한 전문직 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며, 그 결과 다른 형태의 학습 담론에서 통찰력을 얻을 수 없게 만든다고 지적한다. 이 논문에서는 CBME 관행이 '전문적 실무관행에 필요한 심화된, 성찰적 참여를 부정하는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The first representative article13 challenges the conceptual underpinnings of CBME by rejecting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education based upon an inappropriate epistemology of competency’, in which other forms of learning discourse are unable to bring their insights. The text cautions that this practice ‘runs the serious risk of negating a deep and reflective engagement with a professional practicum’.


또한, 이 논문은 CBME를 지지하는 행동주의 가정들에 의문을 제기하며, '전문가에게 필요한, 전체적이고, 잘 발달된 실천을 위해 필요한 성찰, 직관, 경험, 그리고 고차원의 역량을 제한한다'고 지적한다. 평가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CBME는 '더 쉽게 측정될 수 있는 것과 관련된 질문'만을 던진다고 경고한다. 그것은 객관적 척도만으로는 [고차원의 역량]과 같은 우리가 관심 있는 모든 능력을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하며 주장을 더욱 확장한다.

Further, the article questions the behaviourist assumptions supporting CBME, suggesting they ‘limit reflection, intuition, experience, and higher order competency necessary for expert, holistic, or well-developed practice’. Withregards to assessment, the article warns of only asking ‘questions related to those things that may be more easily measured’. It extends this argument to suggest objective measurements cannot capture all the abilities we are interested in, such as higher- level competence. 


이 논문을 직접 언급하며, 두 번째 논문에서는 CBME 토론에 대해 '이 두 그룹이 근본적으로 반대 입장에 있는가, 아니면 역량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다른 언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오해가 있는가?'라고 질문하며, '역량이라는 용어에 대한 혼란을 좀 더 자세히 살펴봐야 할 때'라고 말한다. 이 논문에 따르면, 앞선 논문에서의 주장은 역량의 언어에 대한 혼돈으로 인한 오해라고 축소시킨다. 즉, 앞의 논문에서 비판한 construct는 진정한 CBME가 아니라 저자가 잘못 해석된 모조품이라고 말한다. 이 주장은 CBME의 개념적 전제에서 벗어나 비판적 주의를 분산시키는 산만한discursive 전략으로서 기능한다.

In directly referencing this article, a second text35 questions the ongoing CBME debate by asking, ‘do these two groups of authors fundamentally disagree, or is there misunderstanding because they speak a different language when it comes to defining competency? It seems time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confusion about competence terminology’. This excerpt reduces the arguments of the former article to a matter of misunderstanding caused by confusion over the language of competence. It suggests the construct being critiqued is not truly CBME, but a misinterpreted imitation. This assertion functions as a discursive strategy deflecting critical attention away from the conceptual premise of CBME.


아카이브의 세 번째 논문 14는 행동주의 기반에 초점을 두고 있는 CBME의 핵심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의학 교육으로 옮겨진 행동주의 이론은 전체론적 전문지식을 '일련의 분할된 과제'로 축소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전체'로서 만드는데 필요한 [연계]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직 교육을 평가하는데 역량의 개념은 '의사에 관한 가장 중요한 사항들을 다루는데 실패하기 때문에 무용지물'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이러한 추론에 따르면, '누군가의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은 없다.[...] 모든 경우, 면밀하게 따져보면, 뛰어난 판단에는 주관적 요소가 항상 존재한다'고 말하면서 객관적 평가를 거부한다. 이 논문은 의학은 도덕적 추구이며 객관적이고 행동 중심적인 역량 모델은 이러한 견해를 내포할 수 없다고 제안함으로써 결론짓는다.

A third paper14 from the archive questions the core assumptions of CBME by targeting its behaviourist underpinnings. Behaviourist theories, transposed into medical education, tend to reduce holistic expertise to a ‘series of discrete tasks’ and ignore the connections that make these tasks ‘a purposeful whole’. The text explains that the ‘concept of competency is useless for assessing the education of the professional’ because it ‘fails to address the most important things about a physician’. This line of reasoning rejects objective assessments, stating ‘there are no objective criteria by which we may determine someone’s competency. [...] In all cases, when closely examined, the subjective element of the competent judge is always present’.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medicine is a moral pursuit and the objective, action-focused competency model cannot embody this view.


이 논문에 대한 답에서는 이전의 텍스트와 답변을 인용하며, '독립적 의료행위에 대비한 훈련의 결과를 평가하기보다는, CBME를 그저 역량에 기초한 훈련을 체크리스크에 체크하는 것으로 경험한 사람들의 주장과 같다'라고 반박한다. 이 논문에서는 [체크박스 관행]을 [CBME]와 구분함으로써, 앞선 비판을 부실한 시행의 문제로 재구성recast한다. 이러한 레토릭에 따르면, 이러한 버전의 CBME는 CBME의 '진정한' 접근법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본다. 행동주의자들의 비판을 실제 역량 프레임워크 [운영의 문제]로 간주할 때, 이 모호함 전략discursive strategy은 CBME에 대한 비판을 효과적으로 완충한다.

A responding paper36 quotes the previous text and replies by stating, the argument ‘resonates with others who experience the practice of competence- based training as checking boxes on checklists rather than assessing the outcome of training in preparation for practice’. By distinguishing the practice of checking boxes from CBME, this quotation recasts the critiques of the former paper as an issue of poor implementation. This rhetoric suggests this version of CBME is not reflective of the ‘true’ approach. In subsuming behaviourist critiques as a problem of operationalising competency frameworks in practice, this discursive strategy effectively buffers the approach from critical appraisal.


CBME를 비판한 또 다른 텍스트는 '역량 기반 접근법은 잠재적으로 개별화된 유연한 훈련, 투명한 표준 및 공공 책임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말하며, CBME에 대한 유용성과 함정pitfalls을 요약한다. 또한 CBME가 부적절하게 시행될 경우, 그것은 또한 동기 저하, 최소한의 기준에 초점, 행정 부담 증가, 교육 내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 논문에 따르면, '강력하게 정의된 상위 수준의 역량이 available하지 않는 한, 역량 기반 접근법을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고 제안하며 결론짓는다.

Another text summarises the perceived benefits and pitfalls by stating,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potentially leads to individualised flexible training, transparent standards, and increased public accountability. If applied inappropriately, it can also result in demotivation, focus on minimal acceptable standards, increased administrative burden, and a reduction in the educational content.’ The review concludes by suggesting, ‘we should be cautious of applying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universally unless robustly defined higher order competencies are available’.


이 논문에 대한 답신에서는 '역량 기반 접근법[...]에 대한 논의는 용어의 의미에 대한 합의 부족 때문임'을 강조하며 대응한다. 이 논평은 CBME의 이론을 다루고자 시도한 대화theoretical dialogue를 '역량 기반 교육의 의미에 대한 쓸모없는 논쟁'으로 축소시킨다. "정의의 다양성이 CBME의 구현을 어렵게 한다"라는 주장을 사용함으로써, 이 논문에서는 CBME와 '역량에 대한 환원주의적 접근법'을 서로 다른 두 가지 별개의 것으로 포지셔닝한다. 이러한 모호함 전략은 앞서 제기된 비판을 그저 [CBME에 대해서 잘 못 해석한 버전]이라고 평가절하하고 있으며, 비판의 대상이 된 construct는 틀리게 해석한 버전이라고 주장하며, CBME를 환원주의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떨어뜨려 놓는다.

A corresponding commentary37 directly responds to this review by noting the ‘controversy over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 centres on a lack of consensus over what the term means’. The commentary reduces the theoretical dialogue to ‘a fruitless debate about the meaning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which] is likely to detract from the real challenges in the next decade’. In using the assertion that a multiplicity of definitions prohibits implementation, these quotations position CBME and ‘the reductionist approach to competence’ as two distinct constructs. This discursive strategy reduces the concerns expressed within the review to a matter of misunderstanding and distances CBME from the reductionist critique by claiming the construct in question is a wrongly interpreted version.


마지막 예로 보여줄 한 체계적인 검토에서는 CBME에 대해 '지금까지의 문헌이 6개의 ACGME의 일반 역량을 독립적인 구조로서 평가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도 산출하지 않았다는 것을 지적한다. 오히려 대부분의 역량 기반 평가는 ACGME 프레임워크에 명확하게 매핑되지 않는 단일 구성 또는 다중 구성을 측정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6개의 핵심 역량이 서로 독립적으로 측정될 수 없는 경우, 이를 독립적 역량의 기준으로 규정하는 데 실질적인 효용이 거의 없다'고 명시함으로써 결론짓는다.

The final example is drawn from a systematic review16. The systematic review finds that the ‘literature to date has not yielded any method that can assess the six ACGME general competencies as independent constructs’. Rather, most competency-based assessments likely measure either a single construct or multiple constructs that do not clearly map onto the ACGME framework. The study concludes by stating, if the ‘six core competencies cannot be measur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there [is] little practical utility in specifying them as independent criteria of competence’.


이 지적에 대응하는 논문에서는, 앞선 논문에서 '임상 역량을 해부anatomize하는 것'의 위험에 대한 비판은 인정하지만,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도구가 전공의를 평가하기 부적절하다라는 허무주의적 잡음'에 대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저자들은 '역량을 평가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적절한 평가 도구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비숙련 교수들이 이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들의 일관성 없는 사용과 해석이다. 그러나 우리는 교수들을 경멸하려는 것도 아니며, 교수들의 헌신과 노력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한다. 이 반박에서는 근거에 기반한 비평이 [구현과 해석]이라는 레토릭으로 뭉뚱그려져버린다. 이로서 CBME의 본질이 비판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문제의 근원은 CBME 자체가 아니라 교직원이기 때문이다.

In a responding article38 , the text acknowledges critiques regarding the risks of ‘anatomizing clinical competence’, but focuses on responding to ‘the nihilistic din that the instruments currently available are inadequate for evaluating residents’. The text reads, ‘the biggest problem in evaluating competencies is, in our opinion, not the lack of adequate assessment instruments but, rather, the inconsistent use and interpretation of those available by unskilled faculty. We do not make this claim pejoratively. Nor do we fail to recognise the commitment and effort of faculty’. In this quotation, the evidence-based critique of the previous study is subsumed by the rhetoric of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The core nature of CBME is shielded from critical appraisal because faculty members are positioned as the source of the problem, rather than CBME itself.



CBME의 분산 전략을 지원하는 증거 검토

Examining the evidence supporting the discursive strategy for CBME


우리는 이러한 주장들이 주로 비-경험적 단편들과 논평으로부터 제기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BME를 지지하는 진술들은 일관되게 경험적인 증거에 의해 지지받지 못했다. CBME의 정의의 다원성에 대한 증거로 특별히 인용된 몇 가지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논문은 unreferenced였거나, 반대 입장이나 논평자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지지되지 않았다 그림 1은 이러한 참고문헌 패턴의 지도를 보여준다.

We found these assertions were predominantly raised in non-empirical position pieces and commentaries. The statements were consistently un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They were either unreferenced or supported by citations of other position pieces and commentaries, except for a few instances wherein literature reviews were cited specifically as evidence for the plurality of definitions of CBME. Figure 1 maps these referencing patterns.





CBME의 구현과 관련된 과제를 경험적으로 검토하는 문헌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 연구는 증거적 지원evidentiary support로 사용되지 않았다.

Although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empirically examining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implementation,39–43 this research was not used as evidentiary support.


CBME를 지지하는 문헌들은 근거-기반 패러다임에 자리함으로써, CBME의 개념적 비평에 대해 증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하지만, 정작 그 문헌들은 증거 인용을 게을리한다. 참조 패턴에 근거하여보자면, [CBME와 관련된 우려가 구현이나 해석의 결과\라는 수사적 주장은, 경험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수사적 주장일 뿐이다. 이 관행은 CBME 문헌을 뒷받침하는 모호한 대화의 핵심 특징이다.

The texts are situated in an evidence-based paradigm by insisting conceptual critiques lack evidence, yet they neglect to cite evidence themselves. Based on referencing patterns, the rhetorical claim that concerns related to CBME are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or interpretation is simply that: rhetoric, un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This practice is a key feature of the discursive dialogue underpinning the CBME literature.


CBME의 저항 평가를 뒷받침하는 증거 검토

Examining the evidence supporting the resistance critiques of CBME


불분명한 전략 뒤에 있는 증거를 매핑한 후, 우리는 CBME의 저항 비판resistance critiques을 뒷받침하는 증거에 주목했다.

After mapping the evidence behind the discursive strategy, we turned our attention to the evidence underpinning resistance critiques of CBME.


이 연구는 철학, 심리학, 사회학, 역사, 교육 등과 같은 학문으로부터 유래하여 의학 분야 이외의 접근에 대한 오랜 역사를 반영한다. 70년에 걸친 이 지식의 본체는 주로 저항적 담론에 의해 활용되었다. 테이블 

This research reflects a long history of consideration of the approach outside the field of medicine, stemming from discipline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history and education. This body of knowledge, which spans seven decades, was leveraged predominantly by the resistance discourse. Table 2



고찰

DISCUSSION


문헌을 찾아본 뒤, 저항 담론이 CBME와 관련된 개념적 비평의 집합체array을 발전시켰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CBME를 지지하는 측의 담론은 종종 이러한 비판을 평가절하minimize하고, 역량 프레임워크의 기본적 개념에서 주의를 분산시키는 명확한 분산 전략으로 대응해왔다.이 과정의 한 가지 방식은, CBME와 관련된 우려를 구현과 해석이라는 두 가지 현실적인 문제로 귀결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이 과정이 CBME의 무결점 담론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Moving through the textual archive, it became clear that a resistance discourse has advanced an array of conceptual critiques related to CBME. The CBME discourse has often responded to these, not with evidence, but with a clear discursive strategy that minimises these critiques and deflects attention from the underlying concept of competency frameworks. As part of this process, concerns related to CBME are attributed to two practical problems: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We argue this process contributes to a discourse of infallibility of CBME.


CBME의 무결점 담론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of CBME


CBME에 대한 개념적 비판을 구현 또는 해석의 문제로 리프레이밍해버림으로써, 무결점 담론은 CBME의 핵심 가정을 부정적인 평가로부터 보호하는 모호성discursive 버퍼를 갖게 된다. 이로서 이들은 비판적 목소리를 잠재우고 역량 기반 접근방식에 대한 엄격한 검사를 방해한다. 이와 같이 무결점 담론은 CBME를 의심할 수 없는 '진리'로서 구성함으로써 스스로를 강화한다. 이와 같이, 역량 기반 접근은 의료 교육의 합리적이고 피할 수 없는 발전으로 인식된다.


In reframing conceptual critiques as matters of implementation or interpretation,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establishes a discursive buffer that shields CBME’s core assumptions from negative appraisal. This practice silences critical voices and hinders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competency- based approach. In this way,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strengthens CBME by constructing it as a ‘truth’ that cannot be questioned. As such,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comes to be perceived as a rational and inevitable advancement in medical education.


CBME에 대한 인증된, 및 인증되지 않은 비평

Authorised and unauthorised critiques of CBME


다른 사회적 구성과 마찬가지로 CBME 역시 '반복되는 정당화된 진술에 바탕을 둔 힘과 지식 관계'의 산물이다.26

CBME, like any social construct, is a product of ‘power and knowledge relationships founded on a series of repeated and legitimised statements’.26


이러한 관점에서, CBME 문헌에서 어떤 일련의 추론들이 참 또는 거짓으로 인식되는지, 합법적이거나 불법적인 것으로 인식되는지, 그리고 인가되거나 인가되지 않는지가 명백해진다. 무결점의 담론은 [실행과 해석]을 역량 프레임워크의 이론 및 실천과 관련된 legitimate and legitimated 관심사로 포지셔닝 시킨다.

From this perspective, it becomes clear which lines of reasoning are perceived as true or untrue, legitimate or illegitimate, and authorised or unauthorised in the CBME literature.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positions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as both legitimate and legitimated concerns related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petency frameworks.


그러나 방어가 필요한 다른 우려들, 특히 인식론적 및 행동주의 문제에 근거한 개념적 의문inquiry는 이러한 모호성 경계 내에서 정당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Foucault의 공인된authorized 진실 진술의 명명법에 따라, 이러한 지점에 대한 비판은 무익성의 담론의 범위 내에서 승인되지 않았다unauthorised고 볼 수 있다.

Yet other defensible concerns, particularly conceptual inquiry grounded in epistemological and behaviourist issues,13–16 have not been legitimated within these discursive boundaries. In keeping with Foucault’s nomenclature of authorised truth statements, these forms of criticism are therefore unauthorised within the bounds of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합당하고 인가된 CBME의 비평]과 [합당하지만 인가되지 않은 비평] 사이의 명확한 구별이 있다.

a clear distinction between critiques of CBME that are legitimate and authorised, and critiques that are legitimate but unauthorised.


인가된 비평과 인가되지 않은 비평 사이의 첨예한 분리는 CBME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과 말할 수 없는 것의 경계를 정의하는 진실 진술의 힘을 보여준다. [인가된 비평]이 대안적 견해를 침묵시키거나, 단순히 무시해버릴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은 바로 이 힘의 역동성을 통해서이다. 이러한 모호한 경계는 저항 담론에 의해 진전된 인식론적 및 행동주의적 우려를 제거해버리는dismissal 데 기여하며, 그 결과 이러한 우려는 대부분 문헌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실 이렇게 무시되어 온 담론과 주장이야말로 CBME의 기본 원칙과 패러다임 전환을 뒷받침하는 근거의 부족성에 대해 엄격하고 타당한 주장으로 의문을 제기한다.4,10,11

The sharp division between authorised and unauthorised criticism illustrates the power of a truth statement to define the boundaries of what can and cannot be said about CBME. It is through this power dynamic that authorised critiques have the ability to silence, or simply ignore, alternative views. These discursive boundaries contribute to the dismissal of epistemological and behaviourist concerns advanced by the resistance discourse, leaving them largely unaddressed in the literature. This disregarded body of work raises valid arguments that rigorously question the foundational tenets of CBME,13–16 as well as the paucity of evidence supporting the paradigm shift.4,10,11


CBME는 진실 진술에 의해 생성된 범위 내에서만 비판될 수 있고, CBME는 무결점 담론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은 궁극적으로 '개인과 기관이 사고하고, 말하고, 행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한한다'.24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형태의 지식과 앎의 방식은 더 수용가능해지지만, 다른 것들은 덜 허용less acceptable된다.44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CBME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CBME의 주요 문제는 그것의 도입과 관련한 실행과 해석이라는 반복적 주장]이다.

CBME can only be critiqued within the confines produced by the statement of truth and upheld by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This dividing practice ‘shapes and limits the ways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can think, speak, and conduct themselves’.24 Over time, this causes certain forms of knowledge and ways of knowing to become more acceptable, and others less so.44 From this perspective, CBME is made possible by the recurring claim that the construct’s primary issues are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CBME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것]과 [말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가를 나누는 관행은 결국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이고 말할 수 없는 사람은 누구인지를 알려준다. [사상과 언어에 대해 사회적으로 구성된 제약]은 권력을 가진 특정 개인 집단에게 더 집중invest되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누가 CBME에 대해 쓰거나 말할 권한을 갖는지 결정한다. 지배적인 담론에 부합하는 학문적 의견을 가진 사람들은 합법성에 동의하는 반면, 다른 목소리들은 억압된다. 또한, 의학 교육의 구조 내에서 개인의 위치는 그들이 말할 수 있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어떤 근거로 그것을 말할 수 있는지에도 영향을 미친다.45 이러한 역동을 고려한다면, CBME에 대한 무결점 담론을 주장하는 저자들이 CBME를 받아들이고 거기에 투자하고 있는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것은 전혀 놀랄만한 것이 아니다. 

The same dividing practices that shape what can and cannot be said about CBME also inform who can and cannot say it. Socially constructed constraints on thought and speech invest certain groups of individuals with power, which ultimately determines who has the authority to write or speak about CBME. Those whose scholarly opinions align with the dominant discourse are accorded legitimacy, whereas other voices are suppressed. Further, individuals’ positions within the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can influence what they are able to say, and on what grounds they may say it.45 It is perhaps not surprising, when considering this dynamic from a Foucauldian perspective, that many authors using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are affiliated with organisations that promote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and are invested in its uptake in medical education.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권력 구조는 의학 교육 문헌에서 정상화normalize되었다. 그림 1의 서지학적 분석은 이 정규화 과정의 결과를 보여준다. 그것은 [시행과 해석]이 CBME와 관련된 유일한 합법적 우려사항이라는 주장이 이제 당연하게 받아들여져서 학술 간행물에서 경험적 증거를 뒷받침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낸다.

Over time, these power structures have become normalis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e bibliographic analysis in Figure 1 illustrates the result of this normalisation process. It indicates that the assertion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are the only legitimate concerns related to CBME is now so taken for granted it does not require supporting empirical evidence in academic publications.



그릇된(가짜) 반론으로서의 무불변의 담론.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as a faux resistance


푸코에 따르면 권력은 종종 [소유]보다는 [전략]의 형태로 나타나며, 복잡한 담화 체계로 확산된다.46 역량 프레임워크의 운영과 관련된 합법적이고 정당한 우려로서, 시행과 해석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은 CBME의 이용자들이 잠재적 좌절감을 내보일 수 있는 배출구 역할을 한다. 시행과 해석이라는 인증된authorised 비평은 CBME를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때 사용자가 책임을 물을 수 있는 희생양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행과 해석은, 부분적으로는, 일종의 저항 담론으로 기능한다.

According to Foucault, power often manifests in the form of a strategy rather than a possession, diffused throughout a complex system of discourse.46 As both legitimate and legitimated concerns related to the operationalisation of competency frameworks,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act as an outlet through which users of CBME can channel potential frustration. The authorised critiques provide users with a scapegoat to bear the blame when challenges arise in the sustained practice of CBME. In this way,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appear to be, and partially function as, a resistance discourse


시행과 해석이라는 인가된 비평은 CBME의 반대측 담론에 연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CBME가 절대 무결하다는 개념을 강화하고 보존한다는 점에서 "가짜" 저항일 뿐이다. 이러한 명백한 모순은 CBME의 지배력을 증가시키는 엄청난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 이 담론이 CBME를 반대하는 척 위장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문헌에서는 '무결점 담론'에 대한 특별한 설명이 없더라도 그렇게 인식되지 않는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CBME 담론은 그것의 가짜 저항에 의해 지속되며, CBME의 개념을 [강력하고 경험적인 방식으로 질문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authorised critiques are a faux resistance in that they seem to be implicated in an opposing discourse, yet instead strengthen and preserve the notion that CBME is infallible. This apparent contradiction has immense productivity in increasing the dominance of CBME. Disguised as a form of opposition,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can operate unarticulated and unrecognised in the literature. Thus, the discourse is perpetuated by the way its faux resistance facade prevents the concept of CBME from being questioned in a robust, empirical manner.


함의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우리는 무결점 담론의 생산과 전파가 의식적으로, 의도적으로 사용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푸코다이드 CDA는 '개인이 시대적 의욕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를 밝히는데, 이는 '사회적 구성과 언어의 수용은 그 맥락에서 분리될 수 없으며,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미리 예측할 수 없다'는 뜻이다.31

In discussing the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we do not suggest it is used consciously or intentionally. Rather, Foucauldian CDA illuminates how ‘individuals are embedded in the discourses of their times’, meaning ‘the social construction and uptake of language cannot be divorced from its context, nor can unintended effects be predicted in advance’.31


CDA는 언어와 힘의 결합을 가시화하는 과정에서 지배담론과 저항담론 사이의 이분법을 지나치게 강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DA는 언어가 사회적, 정치적, 역사적 형식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중립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것을 상기시킨다.31 담론, 관행, 권력의 교차점을 검토할 때 CDA는 지역적local 수준을 다루지 않는다. 오히려, CDA는 집단을 이룬 개개인이 어떻게 그리고 왜 "당연하게 여겨지는 관행"에 관여implicated하는지를 고려함으로써, 사회적 수준에 주의를 기울인다.

CDA can over-emphasise the dichotomy between dominant and resistance discourses when making visible the integral link between language and power. Nevertheless, CDA reminds us that language cannot be considered neutral because it is inextricably tied to its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formations.31 In examining the intersections between discourse, practices and power, CDA does not address the local level. Rather, it attends to the societal level by considering how and why groups of individuals are implicated in taken-for-granted practices.


우리는 그렇다면 개인의 무능력이나 반대되는 저항의 담론을 사용하는 것은 의도의 문제가 아니라, 역량 기반 접근법의 구상, 개발 및 이행 중 의학교육 연구와 실천에 engage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직접적인 결과라고 제안한다.

We suggest, then, that individuals’ use of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or the opposing resistance is not a matter of intent, but a direct consequence of their engaging with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during the concep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CBME 문헌을 뒷받침하는 '대화'를 해체할 때, 우리는 우리의 담론의 범위 밖에서 작동하고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모든 개개인이 그러하듯, 우리의 사고와 글도 필연적으로 우리의 문맥과 시간의 산만한discursive 구조와 연결되어 있다.

In deconstructing the ‘dialogue’ underpinning the CBME literature, we do not claim to operate outside the bounds of these discourses. Like all individuals, our thinking and writing are inevitably tied to the discursive structures of our context and time.


비록 우리가 이 연구를 하는 동안 자신의 위치에 대한 성찰적 고려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우리는 우리가 작동하는 담론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CDA는 이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강력한 개념적,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만, 그것 역시 세계를 이해하는 기초가 되는 일련의 가정에 놓여 있다. 이 연구는 필연적으로 그러한 가정들에 관련되어 있다.

Although we endeavoured to maintain a reflexive consideration of our own positionalities throughout this study, we cannot entirely disentangle ourselves from the discourses within which we operate. CDA offers a strong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to guide this process, but it too rests on a set of assumptions that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world. This research is inevitably implicated in those assumptions.


우리의 연구는 문헌에서 중요한 inquiry들이 어떤 방식으로 언급되지 않고 지나가는지를 강조한다. 이 연구 기관은 의료 교육에서의 역량 프레임워크의 이론과 실천에 의문을 제기하는 정당한 주장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경험적 연구에 바탕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았지만, 오래 지속되고 잘 발달된 이론적 고려에 의해 진전되었다. 더 나아가서, 우리는 인증되지 않은unauthorised 비평을 타당한 연구 질문으로 리프레임reframe할 것을 제안한다. 다른 분야의 과거 지식을 기초로 삼아, 이 비평은 의료 교육에서 역량 기반 접근방식을 뒷받침하는 가정의 엄격한 검사에 귀중한 진입점을 제공한다.

Our study highlights how important lines of inquiry were often unaddressed in the literature. This body of work raised legitimate arguments question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petency frameworks in medical education. These arguments, although often not based in empirical research, were advanced by long-standing and well-developed theoretical consideration. Moving forward, we propose reframing the unauthorised critiques as valid research questions. Using past knowledge from other fields as a foundation, the critiques offer valuable entry points for rigorous examinations of the assumptions underpinning the competency- based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결론

CONCLUSION


CBME에 대한 무결점의 담론을 밝혀내는 과정에서, 우리는 그러한 담론이 어떻게 허가되었는지, 당연하게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CBME에 대한 비판은 무엇인지, 그리고 사회적 관행이 허가되지 않은 사고방식을 어떻게 소멸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In uncovering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we make visible the means by which the discourse is sanctioned, the types of criticism of CBME that are accepted as true, and the social practices that extinguish unauthorised ways of thinking.









 2018 Jan;52(1):45-57. doi: 10.1111/medu.13467. Epub 2017 Oct 27.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Boyd VA1Whitehead CR2,3,4Thille P2Ginsburg S1,2,5Brydges R1,2,6Kuper A1,2,7.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2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Ontario, Canada.
3
Women's College Hospital, Toronto, Ontario, Canada.
4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5
Mount Sinai Hospital, Toronto, Ontario, Canada.
6
St. Michael's Hospital and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7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Toronto, Ontario, Canada.

Abstract

BACKGROUND:

Over the last two decades, competency-based frameworks have been internationally adopted as the primary educational approach in medicine. Ye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remains contested in the academic literature. We look broadly at the nature of this debate to explore how it may shape scholars' understanding of CBME, and its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doing so, we deconstruct unarticulated discourses and assumptions embedded in the CBME literature.

METHODS:

We assembled an archive of literature focused on CBME. The archive dates from 1996, the publication year of the first CanMEDS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 We then conducted a Foucauldia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o delineate the dominant discourses underpinning the literature. CDA examines the intersections of language, social practices, knowledge and power relations to highlight how entrenched ways of thinking influence what can or cannot be said about a topic.

FINDINGS:

Detractors of CBME have advanced an array of conceptual critiques. Proponents have often responded with a recurring discursive strategy that minimises these critiques and deflects attention from the underlying concept of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As part of this process, conceptual concerns are reframed as two practical problems: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Yet the assertion that these are the construct's primary concerns was often un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These practices contribute to a discourse of infallibility of CBME.

DISCUSSION:

In uncovering the discourse of infallibility, we explore how it can silence critical voices and hinder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These discursive practices strengthen CBME by constructing it as infallible in the literature. We propose re-approaching the dialogue surrounding CBME as a starting point for empirical investigation, driven by the aim to broaden scholars' understanding of its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medical education.

PMID:
 
29076231
 
DOI:
 
10.1111/medu.13467


암묵적 편견인식을 보건전문직 교육에 포함시키기 위한 프레임워크(Acad Med, 2018)

A Framework for Integrating Implicit Bias Recognition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Javeed Sukhera, MD, DABPN, FRCPC, and Chris Watling, MD, PhD, FRCPC





의식 밖에서 존재하는 편견, 고정관념 및 연관성은 소수자, 소외자, 오명을 쓴 사람들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iases, stereotypes, and associations that exist outside conscious awareness may adversely influence the health of minority, underserved, and stigmatized populations.


예를 들어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1학년 202명 중 66%는 백인에 대한 암묵적 선호도를 보였으며 86%는 상류층 개인에 대한 선호도를 보였다.6 다른 연구들은 편견이 여성, 비만 개인, 사제fathers, 만성 통증 환자, 만성 피로 증후군 환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10

For example, among 202 first-year medical students at Johns Hopkins School of Medicine, 66% showed an implicit preference toward Caucasians, and 86% demonstrated a preference toward upperclass individuals.6 Other work has highlighted that bias adversely impacts women,7 obese individuals,2 fathers,8 patients with chronic pain,2,9 and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10


모든 암묵적 편견들이 부정적이거나 파괴적인 것은 아니다. 많은 설정에서 인지 휴리스틱스( 무의식적 연관성 포함)는 임상 의사결정에 필요한 패턴 인식의 한 형태로 권장된다.11

Not all implicit bias is negative or destructive. In many settings, cognitive heuristics (including unconscious associations) are encouraged as a form of pattern recognition that is necessary for clinical decision making.11


편견을 없애는 목표를 추구하기보다는, 보건전문직교육에 암묵적 편견을 통합하는 인터벤션은 보건 전문가들이 환자 결과에 대한 편견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를 강조해야 한다. 따라서 내재적 편견에 입각한 커리큘럼은 자신의 암묵적 편견에 대한 인식을 촉진하고 이러한 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을 강화함으로써 의료의 편견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Rather than pursuing the goal of eliminating bias, any intervention that incorporates implicit bias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emphasize how health professionals can mitig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bias on patient outcomes. Implicit-bias-informed curricula can, therefore, offer systematic educational strategies for addressing biases in health care by both promoting awareness of one’s own implicit biases and enhancing conscious efforts to overcome these biases.


일부 유망한 접근법에도 불구하고, 암묵적 편견 인식과 관리는 종종 커리큘럼에 잘 통합되지 않고 응집력 있는 평가와 평가 전략이 결여된 간단한 개입의 형태로 포함된다.16

Despite some promising approaches,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is often included in the form of brief interventions that are poorly integrated into curricula and lack cohesive assessment and evaluation strategies.16


일부 저자들이 과거에 그러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 반면, 17-20 최근 암묵적 편견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21은 암묵적 편견 인식과 관리를 보건 직업 커리큘럼에 통합하기 위한 실용적인 프레임워크를 다시 요구하게 되었다.

While some authors have proposed such conceptual frameworks in the past,17–20 a recent surge in interest in implicit-bias-informed education21 has prompted a renewed call for a practical framework to integrate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into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6점 프레임워크

A Six-Point Framework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여섯 가지 주요 특징을 포함한다: (그림 1).

Our framework includes six key features: (Figure 1).



1. 안전하고 위협적이지 않은 학습 컨텍스트 생성

Creating a safe and nonthreatening learning context


편견, 고정관념, 특권에 대해 가르치는 것은 리스키risky하다; 학습자와 교수진 모두 그들이 언급할 필요가 없다고 느끼거나 기꺼이 공개하려고 하지 않을 수 있는 태도와 직면할 수 있다. 부정적인 편견과 긍정적인 편견 모두에 직접적으로 도전하는 것은 비생산적인 편견을 강화하는 부정적인 "킥백"을 만들어낼 수 있다.22

Teaching about bias, stereotyping, and privilege can be risky; both learners and faculty may be challenged to confront attitudes that they may not feel necessary to address or willing to disclose. Directly challenging both negative and positive biases can also produce a negative “kickback” that reinforces counterproductive biases.22


그러므로 [다양성이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전통적인 교육]과 [암묵적 편견에 근거한 커리큘럼] 사이의 핵심적인 차이는 [죄책감에서 벗어나] [책임으로 향하는] proactive한 전환이다.22 몇몇 저자들은 편견에 대해 가르칠 때 모든 편견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3–25

Thus, a key distinction between traditional education about diversity or cultural competence and implicit-bias-informed curricula is a proactive shift away from guilt and toward responsibility.22 Several authors emphasize that, when teaching about bias, there should be explicit recognition that the removal of all bias is impossible.23–25


인터벤션을 설계할 때, 교육자는 또한 안전한 환경을 촉진하는 강사 및 학습자 특성을 인식해야 한다. 접근 가능하고, 포괄적이며, 위협적이지 않으며, 영감을 주며, 개방적이고, 격려적이며, 지식이 풍부한 강사를 선택하면 안전하고 비판단적인 학습 환경을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다.21,26

When designing interventions, educators should also recognize instructor and learner characteristics that support a climate of safety. Choosing instructors that are approachable, inclusive, nonthreatening, inspiring, open-minded, encouraging, and knowledgeable can best facilitate safe and nonjudgmental learning environments.21,26


강사는 [편견과 특권에 대한 토론에 수반되는 불편함]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위협적이지 않은 학습 환경을 촉진할 수 있다. 대부분의 조직은 존중, 무결성, 기밀성 등 핵심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개입에 도입할 수 있는 기존의 행동강령을 가지고 있다.

Instructors can promote a nonthreatening learning environment by openly addressing the discomfort that accompanies discussions about bias and privilege. Most organizations have existing codes of conduct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ventio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re values, including respect,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2. 암묵적 편견의 과학에 대한 지식 증가

Increasing knowledge about the science of implicit bias


암묵적 편견 인식을 보건 직업 교육에 통합하는 개입은 편견의 심리적, 신경 생물학적인 요소에 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하며 암묵적 편견의 토대를 이루는 하는 인지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증거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공해야 한다.

Any intervention that incorporates implicit bias recognition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include content regarding the psychological and neurobiological components of bias and provide an evidence-based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ognitive science that underlies implicit biases.


편견은 여러 관점에 개방되는 개인의 능력을 제한할 수 있는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의 결과임을 강조한다.14 학습자 자신의 편견과 타인의 편견에 대한 경험에 대한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의료 제공자들이 편견들이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과소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의식적인 인식 밖에 있는] 심리 과정에 대해 학습자들에게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다.27

Emphasizing that bias is a result of neurobiological mechanisms that can restrict an individual’s ability to be open to multiple perspectives14 helps activate prior knowledge about learners’ own biases and experiences with others’ biases. Teaching learners about psychological processes that are outside their conscious awareness is also important because health care providers may underestimate the extent to which biases influence their behaviors.27


암묵적 편견의 성격에 대한 지식의 증가는 긍정적 편견과 부정적 편견을 포함한 다른 유형의 편견을 demonstration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교육자는 편견의 건설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가 있음을 확실히 하고, 편향이 어떤 상황에서는 적응적이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파괴적일 수 있음을 명확히 해야 한다. 편향이 환자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임상적으로 관련 있는 예를 제공하는 동시에, 편향이 안전과 소속을 촉진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Increasing knowledge about the nature of implicit bias should include a demonstration of different types of bias,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biases. Educators should ensure that there is a discussion about the constructive aspects of bias, clarifying that bias can be adaptive in some circumstances and destructive in others. Illustrating that bias may be a useful tool to promote safety and belonging, while providing clinically relevant examples of how bias influences patient outcomes, is important


3. 암묵적 편향이 행동과 환자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강조

Emphasizing how implicit bias influences behaviors and patient outcomes


환자 outcome에 대한 암묵적 편견의 영향은 프레임워크의 핵심 요소다. 교사들은 건강 불균형에 대한 기존의 커리큘럼과 개입을 일치시킴으로써 편견에 대한 논의를 [역사의 역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시적이고 보이지 않는 사회 문화적인 힘] 등과 연결할 수 있다. 내면화된 편견이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을 논할 뿐만 아니라 통계와 의학 교육의 암묵적 편견에 대한 기존 연구를 인용하면 학습자가 편견을 해소하고 완화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The influence of implicit bias on patient outcomes is a key component of our framework. By aligning interventions with existing curricula on health disparities, instructors can connect discussions about bias with the role of history and both visible and invisible sociocultural forces that impact health. Citing statistics and existing research on implicit bias in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discussing the impact of internalized bias on stereotypes, helps motivate learners to learn how to address and mitigate their biases.


특정 건강 직업의 경우, 앵커링anchoring(환자에 대한 첫 번째 정보에 지나치게 의존) 또는 확증편향(기존의 신념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선호하는 경향)과 같은 특정 유형의 편견을 포함한 임상 의사 결정 및 인지 심리학에 대한 문헌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학습자가 편견이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이디어에 관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For certain health professions, specific reference to literature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cognitive psychology, including certain types of bias, such as anchoring (relying too heavily on the first piece of information about a patient) or confirmation bias (the tendency to favor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confirms preexisting beliefs), may lay the groundwork for learners to engage with ideas about how biases may adversely affect care.


4. 기존 암묵적 편견에 대한 인식 증가

Increasing self-awareness of existing implicit biases


암묵적 연관성 시험(IAT)은 자신의 기존 편견에 대한 자기 성찰, 토론 및 인식에 유용한 트리거를 제공할 수 있다.28,29 IAT는 참여자에게 개인의 응답 시간과 대기 시간을 측정하여 개념 간의 자동 연관성을 평가하도록 하는 컴퓨터 기반 연습이다.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may provide a useful trigger for self-reflection, discussion, and awareness of one’s own existing biases.28,29 The IAT is a computerbased exercise that asks participants to associate words and pictures to assess automatic associations between concepts by measuring the time and latency of individuals’ responses.


IAT에 대한 비판도 있는데, 이 결과가 부정적인 태도를 반영하는 대신 피해자, 학대 및 억압과 같은 연관성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37–42 이러한 비판을 고려할 때 IAT를 암묵적 편향 측정이나 커리큘럼 평가를 위한 척도가 아닌 성찰의 프롬프트로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

Criticism of the IAT suggests that, instead of reflecting negative attitudes, IAT scores may stem from associations such as victimization, maltreatment, and oppression.37–42 Given these critiques, we recommend using the IAT as a prompt for reflection and not as a metric for measuring implicit bias or evaluating curricula.


기존의 암묵적 편견에 대한 인식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기법에는 어떻게 편향이 돌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촉진된 토론, 성찰, 정체성 연습 등이 있다. 성찰 능력을 강화하는 기법이 유용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 설계자는 편향 관련 커리큘럼과 성찰적 행동을 촉진하는 기타 커리큘럼 콘텐츠 간에 명시적으로 연결하도록 권장된다.

Other techniques that may help elicit awareness of existing implicit biases include facilitated discussions on how bias impacts care and reflection and identity exercises. Techniques that enhance reflective capacity may be useful, and curriculum designers are encouraged to make explicit connections between bias-related curricula and other curricular content that foster reflective practice.


한 가지 간단한 잠재적인 정체성 연습참가자들을 짝지어 그들이 속한 지배적이고 비지배적인 문화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개별 학습자가 다르게 느끼거나 불평등한 대우를 받았던 정체성과 시간에 대한 개인의 성찰도 기존 편견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One simple potential identity exercise could pair up participants to discuss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cultures to which they belong. Individual reflection on identity and times that individual learners felt different or treated inequitably can also increase awareness of existing biases.




5. 암묵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 개선

Improving conscious efforts to overcome implicit bias


학습자가 자신의 암묵적 편견을 인식하게 되면, 그들은 종종 "그것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묻곤 한다.19 의식적 평등주의 목표를 형성하는 것은 단순히 환자 치료에 대한 암묵적 편견의 영향을 줄이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44, 그리고 연구는 고정관념을 적용하지 않기 위한 의식적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 추리, 행동과 결정에 대한 편견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훈련과 도구에 관심을 갖는 것은 암묵적 편견에 근거한 커리큘럼의 필수 요소다.

When learners become aware of their implicit biases, they often ask, “What should I do about it?”19 Since forming conscious egalitarian goals is simply not enough to reduce the impact of implicit bias on patient care,44 and resear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cious effort to avoid applying stereotypes,45,46 particular attention to training and tools that help learners understand their thinking, reasoning, and the influence of bias on their behaviors and decisions is an essential ingredient for implicit-bias informed curricula.


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법은 사회심리학에서 비롯되며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을 쉽게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적 전략을 포함한다.22,47 일부 저자들은 또한 자기조절과 자기 모니터링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8,49 이를 위해 [학습자가 목표discrete goals를 설정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종단적 체크포인트에서의 성공 여부를 재평가하는 것]은 편견과 태도에 대한 모니터링과 성찰을 증가시킨다.50

Specific techniques for improving conscious efforts to overcome bias come from social psychology and include metacognitive strategies that facilitate the ability of learners to think about their thinking.22,47 Some authors have also advocated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and self-monitoring.48,49 To this end, encouraging learners to set discrete goals and to reevaluate their success at longitudinal checkpoints over time facilitates increased monitoring and reflection on biases and attitudes.50


6. 암묵적 편견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향상

Enhancing awareness of how implicit bias influences others


자기-인식과는 달리 타인에 대한 사회적 시각의 수용과 공감을 높이는 것도 암묵적 편견 인식과 관리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다환자와 의사를 [공유된 감정의 맥락] 안에서 결합시키는 감정이입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에 대한 명시적 관심은 암묵적 편견에 뿌리를 두고 있는 고정관념과 차별으로부터 보호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환자-의사 접촉을 [동등한 사이에서의 협력적 상호작용]으로 재조명하는 것은, 다양한 개인을 [외부인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공유하는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사회 집단의 일부로 인식하게 해준다.

In contrast to self-awareness, enhancing social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y for others is another important component of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17,44 Explicit attention to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of empathy that unite patients and providers within a shared emotional context protects against stereotyping and discrimination that is rooted in implicit bias.52,53 More specifically, reframing patient–provider contact as an interaction between collaborating equals can shift one’s thinking of diverse individuals as outsiders to perceiving them as part of one’s own social groups by emphasizing a shared human identity.54–56


관점수용적 태도Perspective taking를 강화하는 방법에는 역할극, 참여극, 그리고 살아있는 경험lived experience을 가진 일치된 환자나 가족과의 사회적 접촉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접촉 기반 개입은 임상 환경에서 편견을 경험한 소외된 그룹에 속하는 환자를 제공자와 대화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토론에 참여하도록 초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사회적 접촉은 성 소수자, 58명의 정신 질환 환자, 59–61명, 그리고 여성에 대한 암묵적 편견을 감소시키는 좋은 결과를 낳았다.62

Techniques for enhancing perspective taking may include role-play, participatory theater, and social contact with matched patients or families with lived experience. For example, social-contact-based interventions may involve inviting patients who belong to marginalized groups that have experienced bias in clinical settings to speak to providers, share their story, and engage in discussion. Social contact has produced favorable outcomes in reducing implicit bias toward sexual minorities,58 patients with mental illness,59–61 and females.62


그러나 사회적 접촉에 기반한 개입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Social-contact-based interventions, however, may have unintended consequences.


정신 질환이 있는 환자와의 접촉은 의료 사업자에게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을 모두 제공할 수 있으며, 파괴적인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계획과 주의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contact with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can lead 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for health care providers19,63 and should only be used with careful planning and caution because of the possibility that it may reinforce destructive stereotypes.


중재 설계

Designing Interventions


암묵적 편견과 관련된 교육 개입의 첫 번째 단계는 교육자들이 성별, 인종, 문화 등과 같은 특정 유형의 편견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 아니면 전반적으로 편견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일단 개입의 초점이 결정되면, 강사들은 그들이 특정한 맥락과 관련된 편견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지 아니면 넓은 맥락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커리큘럼은 심혈관 건강, 일반적인 임상 결과, 또는 그것이 조직 문제와 건강 정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가르칠 것인가? 개입 범위가 넓을수록 커리큘럼과의 통합과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할 것이다. 

The first step in implicit-bias-rela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is to determine whether educators will focus on a specific type of bias, such as gender, race, culture, etc., or bias in general. Once the focus of the intervention is determined, instructors should clarify whether they are teaching about bias related to specific or broad contexts. For example, will the curricula teach about gender bias in relation to cardiovascular health, to clinical outcomes in general, or to how it influences organizational issues and health policy? The broader the intervention, the more time and integration with curricula it will require. 


교육자는 중재안을 설계할 때 전문적 궤적과 임상 경험에서 학습자의 단계와 암묵적 편견의 지향성 및 의료에서의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 임상경험이 없는 학습자가 복잡한 임상 시나리오에 engage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교육이 관련성이 없다는 피드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경험과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권과 권력 논의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직군간 팀과 관련된 역학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 그 개입은 학부 전임상 학생, 임상 사무원 또는 대학원 연수생을 대상으로 할 것인가? 

  • 분화되지 않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가, 아니면 특정 전공 또는 세부전공의 정체성이 발달한 학습자가 대상인가?

Educators should consider learners’ stage in their professional trajectory and clinical experience, as well as how oriented they are to implicit bias and its role in health care, when designing interventions. Considering clinical experience and context is crucial because expecting learners without clinical experience to engage with complex clinical scenarios may lead to feedback that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lacks relevance. Dynamics related to interprofessional teams should also be considered because of their potential influence on discussions of privilege and power. For example, 

  • will the intervention target undergraduate preclinical students, clinical clerks, or postgraduate trainees? 

  • Are learners undifferentiated, or have they developed the identity of a specific specialty or subspecialty?


이전의 연구는 편견의 인식은 단일 세션에서 가르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16 교육과정 설계자들은 그들이 학습 환경이나 조직 내에서 암묵적인 편견 인식과 관리 개입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도 고려해야 한다. 개입에 반하는 문화적, 숨겨진 커리큘럼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Previous research emphasizes that the recognition of bias cannot be taught in a single session.16 Curriculum designers should also consider how they will sustain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interventions within a learning environment or organization. Cultural and hidden curricular influences that may work against the intervention must be considered.



평가 및 평가 전략
Evaluation and Assessment Strategies


지식, 기술 및 태도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프로그램 평가 및 학습자 평가 전략이 좋은 출발이지만, 64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순수한 결과 중심 접근방식은 암묵적 편견에 근거한 커리큘럼과 관련된 복잡성을 포착하기에는 너무 협소할 수 있다.65

While traditional program evaluation and learner assessment strategies using a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ramework are a good start,64 a purely outcomes-driven approach to program evaluation may be too narrow to capture the complexity related to implicit-bias informed curricula.65


우리는 커리큘럼 설계자들이 로직 모델에서 시작하여 조직적 및 사회적 수준에서 원하는 결과를 확립할 것을 권장한다. 당신의 커리큘럼은 문화적 변화, 다양성 및 포용을 촉진하면서 학습자의 태도를 개선하도록 설계되었는가?

We encourage curriculum designers to start with a logic model and establish their desired outcomes at organizational and societal levels. Is your curriculum designed to improve learner attitudes while promoting cultural change, diversity, and inclusion?


평가 지표를 결정할 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미국 의료 대학 협회가 발표한 것과 같이 다양성, 포함 및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인증 벤치마크를 달성하는 것과 관련된 organizational tools는 어떤 상황에서는 유용할 수 있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인구 기반 데이터가 유용할 수 있다. 만족도 조사와 같은 환자 관련 결과는 커리큘럼이 실제real world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의미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18

Addressing these questions is of paramount importance when determining evaluation metrics. Organizational tools pertaining to achieving accreditation benchmarks related to diversity, inclusion, and cultural competence, such as those publish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13,67 may be useful in some circumstances, while population-based data might be useful in others. Patientrelated outcomes, such as satisfaction surveys, may provide meaningful data to gauge the impact of curricula on real world outcomes.18


학습자 관련 결과는 모든 프로그램 평가에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다(그림 2).

Learner-related outcomes are an essential component of any program evaluation. (Figure 2).


단일 평가 방법이나 평가 방법으로는 충분치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 것 같다.74

There seems to be an emerging consensus that no single method of assessment or evaluation will be sufficient.74



Conclusion


43 Holm AL, Rowe Gorosh M, Brady M, WhitePerkins D. Recognizing privilege and bias: An interactive exercise to expand health care providers’ personal awareness. Acad Med. 2017;92:360–364.


44 Stone J, Moskowitz GB. Non-conscious bias in medical decision making: What can be done to reduce it? Med Educ. 2011;45: 768–776.







 2018 Jan;93(1):35-40. doi: 10.1097/ACM.0000000000001819.

Framework for Integrating Implicit Bias Recognition Into HealthProfessions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J. Sukhera is assistant professor of psychiatry and pediatrics,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nd PhD candidat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ORCID: http://orcid.org/0000-0001-8146-4947. C. Watling is associate dean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scientist, Centre for Education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Existing literature on implicit bias is fragmented and comes from a variety of fields like cognitive psychology, business ethics, and higher education, but implicit-bias-informed educational approaches have been underexplor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are difficult to evaluate using existing tools. Despite increasing attention to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ny programs struggle to meaningfully integrate these topics into curricula. The authors propose a six-point actionable framework for integrating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into healthprofessions education that draws on the work of previous researchers and includes practical tools to guide curriculum developers. The six key features of this framework are creating a safe and nonthreatening learning context, increasing knowledge about the science of implicit bias, emphasizing how implicit bias influences behaviors and patient outcomes, increasing self-awareness of existing implicitbiases, improving conscious efforts to overcome implicit bias, and enhancing awareness of how implicitbias influences others.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implicit-bias-informed curricula-such as individual and contextual variables, as well as formal and informal cultural influences-are discussed. The authors also outline assessment and evaluation approaches that consider outcomes at individual, organizational, community, and societal levels. The proposed framework may facilitate future research and exploration regarding the use of implicit bia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MID:
 
28658015
 
DOI:
 
10.1097/ACM.0000000000001819


보건전문직교육에서 사회적책무성 측정(Med Teach, 2013)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pilot testing of an evaluation framework

SARAH L. LARKINS1, ROBYN PRESTON1, MARIE C. MATTE2,3, IRIS C. LINDEMANN4, REX SAMSON5,

FILEDITO D. TANDINCO6, DAVID BUSO7, SIMONE J. ROSS1, BJO¨ RG PA´ LSDO´ TTIR8,

& ANDRE´ -JACQUES NEUSY8 on behalf of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도입

Introduction


의사들을 포함한 세계적인 부족과 불균등한 의료 종사자들의 분포는 계속되는 건강 불평등과 밀레니엄 개발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데 기여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Chen et al.). 2004; 세계보건기구 2010). 최근 몇 년 동안, 보건전문 교육 기관들이 졸업생들에게 일련의 전문적인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훈련시키는 것 이상을 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인식을 증가시키고 있다. 보건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교는 그들이 봉사serve하는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킬 책임을 져야 한다는 국제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A global shortage and uneven distribution of health practitioners, including doctors, is one of the contributing factors to persisting health inequalities and failure to reach the Millenium Development Goals (Chen et al. 200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recognition that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 responsibility to do more than just train graduates to meet a set of professional standards. There is grow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that schools training health professionals should be held responsible for meeting the needs of the societies they serve.


이러한 그룹은 우선적인 건강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 분야, 정책 입안자 및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가진 의료 졸업생들의 필요성을 점점 더 인식하고 있다(Rourke 2006; Sen Gupta et al. 2009; Frenk 등 2010;Sales & Schlaff 2010). 여기에는 리더십 기술을 잘 갖추고 있으며, 보건 시스템 내에서 'enlightened change agent' 역할을 할 수 있는 졸업생들이 포함된다(Frenk et al. 2010).

These groups increasingly recognize a need for medical graduates with the required competencies and attitudes to ensure they are able to develop partnerships with the health sector, policymakers and communities in order to solve priority health needs (Rourke 2006; Sen Gupta et al. 2009; Frenk et al. 2010;Sales & Schlaff 2010). This includes graduates well equipped with leadership skills, and who are able to function as ‘enlightened change agents’ within health systems (Frenk et al. 2010).


THEnet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은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자원을 기준 인구의 우선적인 보건 및 보건 시스템 필요를 지향하도록 하기 위해 헌신한 7개 의과대(Palsdottir et al. 2008)에 의해 2008년에 설립되었으며, 이후 11개 학교로 성장하였다(그림 1).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was founded in 2008 by seven schools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committed to direct their educational, research and service resources towards the priority health and health system needs of their reference population (Palsdottir et al. 2008), and has since grown to include 11 schools (Figure 1). 



공동으로, THEnet 파트너 스쿨은 세계보건기구(WHO; Boelen & Heck 1995)의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정의를 채택했다.

Collectively, THEnet partner schools have adopted a defini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AHPE) based on that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Boelen & Heck 1995).



사회적 책무성이란 교육, 연구, 서비스 활동을 지역사회, 지역 및/또는 국가(학교)가 의무적으로 봉사해야 할 우선적 보건 관심사로 orient해야 할 의무를 말한다. 이 때 우선순위는 정부, 보건 서비스 기관, 공공 및 특히 소외 계층에 의해 공동으로jointly 정의된다.

Social accountability is the obligation to orient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local communities,the region and/or nation (schools) have a mandate to serve. These priorities are jointly defined by government, health service organisations, the public and especially the underserved.


THEnet School은 '무조건 지역사회와 의료 시스템의 요구에 대응하고 이에 수반되는 양질의 보건 전문 교육, 서비스 및 조치 중심의 연구를 통해 의료 및 보건 결과의 형평성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공약'에 합의했다(THEnetDean's Group 2010). 

THEnet schools have agreed to ‘a core commitment to achieving equity in health care and health outcomes through qualit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ervice and action-oriented research responsive to the needs of and embedded in,undeserved communities and health care systems’ (THEnetDean’s Group 2010). 


각 학교의 맥락이 뚜렷하게 다르기 때문에, 용어의 정의에 있어서 명확성을 필요로 한다. 특히, [disadvantaged or underserved 인구집단]의 정의를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들의 작업을 위해, 블루멘탈과 보엘렌(2001)에 따라 소외되거나 소외된 모집단을 개념화한다. 

The distinctively different contexts of each school necessitated clarity in the definition of terms. In particular, a definition of disadvantaged or underserved populations that applied globally was important. For the purposes of THEnet’s work, disadvantaged or underserved populations are conceptualized following Blumenthal and Boelen (2001) as 


  • (1) 일반적으로 '인구 대다수와 비교하여 건강 악화, 기회 감소 또는 서비스 접근 감소로 고통받는 국가 내의 집단 또는 인구'이다. 

  • (2) 선진국에 대하여: 모든 선진국에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불리한'는 그룹이 있다. 예를 들면 인종/민족, 빈곤, 지리 및 특별한 요구를 가진 다른 집단에 기초한다. 

  • (3) 개발도상국에 대하여: '사실상 가난한 나라의 전체 인구는 부유한 나라와 비교하여 불이익을 받는다.'

  • (1) Generally ‘groups or populations within a country who,compared with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suffer from poorer health, fewer opportunities or reduced access to services’. 

  • (2) Relating to developed countries – In every developing country, there are groups that are ‘disadvantaged relative to the whole’. Examples are based on: race/ethnicity, poverty, geography and other groups with special needs. 

  • (3) Relating to developing countries – ‘Virtually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poor countries is disadvantaged by comparison to the wealthy countries’. 


목표

Objectives


따라서, THEnet이 선택한 행동의 첫 번째 우선 순위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우리의 progress를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전략의 효과를 평가하고, 전략이 공유됨에 따라 서로의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종합적인 평가 프레임워크(프레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Thus, the first priority for action chosen by THEnet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evaluation framework (the framework) as a mechanism to critically reflect on our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trategies designed to meet this goal and to facilitate learning from each other as strategies are shared.



방법

Methods


그 도구는 다른 보건전문직교육의 필요를 염두에 두고 보다 일반적인 것으로 설계되었다.

the tool was designed as more generic keeping in mind the need of other health professional schools.


Boelen과 Woollard(2009)는 인증 과정에 통합될 목적으로 교육 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는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사회적 책무성'에 대한 세 가지 발현에 초점을 맞추었다. 

  • (i) 개념화: 어떤 종류의 전문직이 필요한지, 어떤 시스템이 그 스킬을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협력적 설계

  • (ii) 생산: 훈련과 학습의 핵심 요소

  • (iii) 사용가능성: 훈련된 전문가를 최고/최선으로 사용하기 위한 각 기관의 이니셔티브(CPU; Boelen & Woollard 2009, 페이지 890). 

CPU 모델은 사회의 요구를 확인하였고, 바람직한 전문적 규범이 기대되는 성과에 따라 요구를 충족시키기를 희망하였다(Boelen & Woollard 2009).

Boelen and Woollard (2009) published a framework to measure social accountability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the aim that this be integrated into accreditation processes. This framework focused on three ‘expressions of social accountability’: 

  • (i) conceptualization, or the collaborative design of the kind of professional needed and the system that will utilize his or her skills; 

  • (ii) production, or the main components of training and learning and 

  • (iii) usability, or initiatives taken by the institution to ensure that its trained professionals are put to their highest and best use (CPU; Boelen & Woollard 2009, p. 890). 

The CPU model identified the needs of society, with the desired professional norms meeting those needs as the desired outcome (Boelen & Woollard 2009).




회의 과정

Process of meetings

    • . What are the key elements of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education which THEnet wants to evaluate? These were agreed to as common aspirations and key components.

    • . What are the gaps in current evaluation practice (i.e. what is not being evaluated)?

    • . What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in a way that is not effective or appropriate?

    • . Of these, which are common for all members of THEnet?

    • THEnet이 평가하고자 하는 사회적 책무를 갖는 의학 교육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이것들은 공통된 열망과 핵심 요소로 합의되었다.

    • 현재 평가 관행의 차이(즉, 평가되지 않는 것)는 무엇인가?

    • 효과적이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은 방식으로 현재 평가되고 있는 것은?

    • 이 중, THEnet의 모든 구성원에게 공통적인 것은 무엇인가?


2단계 이행 계획은 다음 그룹에 의해 합의되었다.

A two-phase implementation plan was agreed upon by the group:


(1) 파트너 학교에서 프레임워크를 시험하기 위해

(2) 문맥 간 사용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더욱 세분화한다.

(1) to pilot test the framework at partner schools and

(2) to further refine the framework for use across contexts.



프레임워크의 파일럿 구현

Pilot implementation of the framework



워크샵. 워크숍을 위해 워크북 가이드가 공동으로 작성되었으며 각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교수진, 직원 및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Workshops. A workbook guide was collectively created for the workshop and for each key component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to faculty, staff and community members:


인터뷰/포커스 그룹. 각 학교는 다음과 같이 일련의 포커스 그룹 토론이나 인터뷰를 실시했다.

Interviews/focus groups. Each school conducted a series of focus group discussions or interviews with:


문서 분석. 기존 근거 출처의 분석은 평가 프레임워크의 다양한 열망과 지표를 기준으로 진행 상황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이었다. 문서의 이름과 가용성은 학교와 상황에 따라 다양했지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정보 출처가 포함되었다.

Documentary analysis. Analysis of existing sources of evidence was an important strategy to assess progress against the various aspirations and indicators in the evaluation framework. The name and availability of documents varied across schools and contexts, however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included:




결과와 고찰

Results and discussion


평가 프레임워크는 학교가 서로 다른 지표에 걸쳐 접근방식이 크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의 제기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The evaluation framework is designed to be used in itsentirety, as schools may vary widely in their approach across different indicators.


(표 1). 세 섹션은 다음을 고려한다.

(Table 1). The three sections consider:


(1) 우리 학교는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가? 이 절에서는 [가치, 거버넌스 및 의사결정 프로세스 평가 및 보건 부문, 지역사회 그룹 및 정책 입안자와의 파트너십을 포함하여] 기존 평가 및 인증 프레임워크에서 종종 무시되는 학교의 조직과 계획의 중요한 측면을 다룬다. 또한 여기에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reference population에 대한 문서화 및 이해를 포함하며, 여기에는 특별히 소외된 그룹도 포함된다.

(1) How does our school work? This section addresses important aspects of the organization and planning of the school, frequently neglected in existing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frameworks, including an assessment of values, governance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partnerships with the health sector, community groups and policy makers. It also includes docum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reference population that the school serves, with particular note of underserved groups within this.


(2)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본 섹션은 학생, 교사, 커리큘럼 및 조각학, 연구, 서비스 및 자원 배분에 대한 고려사항을 포함하며, 일반적인 인증 절차와 보다 밀접하게 대응한다.

(2) What do we do? This section includes consideration of students, teachers, curriculum, andragogy, research, service and resource allocation, and corresponds more closely with usual accreditation processes.


(3) 우리는 실제로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가? 이 대분류는 졸업성과(위치, 훈련 및 관행), 보건 서비스 및 지역사회 성과에 대한 참여 및 효과, 비용 효과 및 다른 학교와의 영향 평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섹션은 대부분의 인증 조치에서 대체로 간과되고 있으며, 보건 전문 교육 기관의 범위 밖에서 고려되는 경우가 많다.

(3) What difference do we make? This section includes an assessment of graduate outcomes (location, discipline and practice), engagement and effect on health services and community outcomes, cost effectiveness and influence with other schools. Again, this section is largely overlooked in most accreditation measures, and is frequently considered outside the scope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패널 1. 우리 학교는 어떻게 운영되니?

Panel 1. How does our school work?


1.1. 우리가 믿는 것은 무엇인가? (가치)

1.1. What do we believe in? (Values)


1.2. 우리가 누구를 위해 봉사하고 그들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인구 및 보건시스템 참조)

1.2. Who do we serve and what are their needs? (Reference population and health system)


1.3.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협력하는가? (파트너십)

1.3. How do we work with others? (Partnerships)


1.4. 우리는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거버넌스)

1.4. How do we make decisions? (Governance).



패널 2.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Panel 2. What do we do?


2.1. 우리는 리소스를 어떻게 관리하는가? (현장 운영)

2.1. How do we manage our resources? (Field operations)


2.2. 우리는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나? (교육 프로그램)

2.2. What, where and how do we teach? (Education programme).


2.3. 우리는 누구를 가르칩니까? (학습자)

2.3. Who do we teach? (Learners)


2.4. 누가 가르치고 있는가? (교육자)

2.4. Who does the teaching? (Educators)


2.5. 우리의 연구 프로그램은 우리의 임무와 가치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연구).

2.5. How does our research programme relate to our mission and values? (Research).


2.6. 우리는 의료 서비스 제공에 어떤 기여를 하는가?

2.6. What contribution do we make to delivery of health care? (Service).


패널3. 우리는 어떤 차이점을 만드는가?

Panel 3. What difference do we make?.


3.1. 우리 졸업생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인적자원)

3.1. Where are our graduates and what are they doing? (Human resources)


3.2. 기준 인구 및 기준 보건 시스템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냈는가? (파트너십 및 보건 결과에 미치는 영향)

3.2. What difference have we made to our reference population and reference health systems? (Partnerships and effects on health outcomes)


3.3. 우리는 어떻게 아이디어를 공유했으며,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는가? (발언/촉진 및 지속 가능성/변혁 변화)

3.3. How have we shared our ideas and influenced others? (Dissemination/promotion and sustainability/transformational change)


3.4. 우리는 다른 학교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피어 지원 및 복제)

3.4. What impact have we made with other schools? (peer support and replication).


local benefits 중 하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교직원과 지도자들에게 사회적 책임 활동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허용하는 것이었다. 

One of the key local benefits was to allow clear communic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activities to new faculty and leaders joining the school over time. 


이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수준에서 사용(그리고 유용하게)하도록 설계된다. 

The framework is designed to be used (and useful) at three levels, as follows: 


(1) 개별 학교 수준: 개별 학교 수준에서 목표는 합의된 기준에 따라 SAHPE, 연구 및 서비스에서 학교 성과를 검증하고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다른 학교에서 배운 교훈을 적용하는 것이다.

(1) At individual school level: At individual school level the goal is to validate and continually assess and improve schools’ performance in SAHPE, research and service according to agreed standards and to apply lessons learned from other schools.

(2) 네트워크 수준: 네트워크 수준에서 목표는 자기성찰과 리뉴얼에 관여하고, 집단 경험을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고, 결과적인 중요한 데이터 덩어리를 지속적이고, 변환적인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2) At network level: At a network level the goal is to engage in self reflection and renewal, share collective experience and learn from others and use the resulting critical mass of data for continuous, transformational improvement.

(3) 더 넓은 수준: 더 넓은 수준에서 목표는 사회적 책임을 지는 보건 전문 학교의 가치/영향력을 입증함으로써 보건 서비스와 결과의 지속 가능한 개선을 촉진하고 옹호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표는 학교와 정부가 무엇이 효과가 있고 그렇지 않은지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자원 배치를 안내하는 것을 돕고, 지역, 국가 및 국제적 수준에서 다른 단체와 정설에 도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3) At a wider level: At a wider level the goal is to facilitate, and advocate for, sustainable improvement in health services and outcomes through demonstrating the value/impact of socially accountable health professional schools. Additional goals include helping guide resource deployment by schools and governments through determining what works and what does not, and challenging other bodies and orthodoxies at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기대하는 것

An aspirational tool


이 프레임워크는 미리 정해진 합격점을 가진 종합 연습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라 학교들이 그들의 성과, 진보, 지식, 기술, 사회적 책임에 대한 능력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돕고 학교들이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영역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형식적인 연습으로 설계되었다. 

The framework is not designed as a summative exercise with a pre-determined pass mark, but rather a formative exercise to help schools take a critical look at their performance, progress,knowledge, skills and capacity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and assist schools in establishing priority areas for improvement.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의학 교육 표준을 평가하거나 인가를 위한 '틱 박스'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중요한 개방적이고 정직한 품질 개선과 보건 전문 학교에 대한 상호 학습의 사용을 위한 희망적인 평가 도구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note, our framework is not designed to assess a medical education standard, or to use as a ‘tick box’ for accreditation, but is an aspirational evaluation tool for the use of critical open and honest quality improvement and mutual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al schools.




결론

Conclusions


SAHPE의 THEnet 평가 프레임워크는 보건전문학교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개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협력적인 작업이다.

The THEnet evaluation framework for SAHPE is a collaborative piece of work that allows health professional schools to evaluate their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and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Strasser R, Neusy A-J. 2010. Context counts: Training health workers in and for rural and remote areas. WHO Bull 88:777–782.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2011.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Accessed 11June 2011] Available from http://www.healthsocialaccountability.org. 









 2013;35(1):32-45. doi: 10.3109/0142159X.2012.731106. Epub 2012 Oct 26.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development and internationalpilot testing of an evaluation framework.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James Cook University, Australia. sarah.larkins@jcu.edu.au

Abstract

BACKGROUND:

Health professional schools are responsible for producing graduates with competencies and attitudes to address healthinequities and respond to priority health needs. Health professional schools striving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founded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AIM: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net evaluation framework for socially accountable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presents the framework to be used as a tool by other schools and discusses the findings of pilot implementation at five schools.

METHODS:

The framework was designed collaboratively and built on Boelen and Woollard's conceptualization, production and usability model. It includes key components, linked to aspirational statements, indicators and suggested measurement tools. Five schools completed pilot implementation, involving workshops, document/data review and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faculty, students and community members.

RESULTS:

Three sections of the framework consider: How does our school work?; What do we do? and What difference do we make? Pilottesting proved that the evaluation framework was acceptable and feasible across contexts and produced findings useful at school level and to compare schools. The framework is designed as a formative exercise to help schools take a critical look at their performance and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Initiatives to implement the framework more widely are underway. The framework effectively aids in identifying strengths, weaknesses and gaps, with a view to schools striving for continuous self-improvement.

CONCLUSION:

THEnet evaluation framework is applicable and useful across contexts. It is possible and desirable to assess progress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schools and this is an important step in producing health professionals with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to meet the challenges of priority health needs of underserved populations.

PMID:
 
23102162
 
DOI:
 
10.3109/0142159X.2012.731106


역량과 마일스톤 기반의, 교육 연속체의 경계를 잇기 위한 EPA 프레임워크 개발(Acad Med, 2017)

Building a Framework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Supported by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o Bridge the Educational Continuum

Carol Carraccio, MD, MA, Robert Englander, MD, MPH, Joseph Gilhooly, MD, Richard Mink, MD, MACM, Dena Hofkosh, MD, MEd, Michael A. Barone, MD, and Eric S. Holmboe,




ACGME(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에 의한 성과 기반 학부 의료 교육(UME)의 기반으로서 ACGME(Accreditation Council for Council Education) 및 ABMS(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의 6가지 핵심역량 채택, ACGME 및 FoABMS에 의한 인증(MOC)의 유지보수는 의학에서 학습과 평가의 원활한 연속성을 창출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했다.1–3

The adoption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of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ABMS) as the foundation for outcomes-base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by the ACGME, and for board certification as well as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MOC) by the ABMS has provide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to create a seamless continuum of learning and assessment in medicine.1–3


2005년 네덜란드에서 10개의 케이트6에 의해 처음 도입된 EPA는 UME와 GME 수준에서 의사 역량에 대한 의미 있는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로서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7–11 관측 가능한 작업의 측정 단위로서, EPA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역량 통합을 요구하는 특정 전문가 또는 하위 전문가의 중요한 일상 활동을 설명한다.

EPAs, first introduced by ten Cate6 in the Netherlands in 2005, are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internationally as a framework for meaningful assessment of physician competence at both the UME and GME levels.7–11 As measureable units of observable work, EPAs describe important routine activities of a given specialist or subspecialist that require integration of competencies for safe and effective performance.


레지던트를 위한 전문 EPA가 개발되었으며, AAMC는 레지던트 수련 진입을 위한 핵심 EPA를 개발했다.7,9–11 수련 진입에 대한 핵심 EPA는 훈련생이 직접 감독 없이 레지던트 1일에 13개의 EPA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기대를 세웠다.

Specialties have developed EPAs for residents, and the AAMC has developed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7,9–11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set the expectation that trainees should be able to perform 13 EPAs on Day 1 of residency without direct supervision


소아과 커뮤니티는 EPA와 이정표의 두 가지 체계를 통합했다.14 이러한 통합은 UME에서 GME로, GME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교육 연속체 전반의 평가를 이끄는 경로를 제공한다.

The pediatrics community has integrated the two frameworks of EPAs and milestones.14 This integration provides a pathway that leads to assessment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from UME to GME and from GME to practice.


소아과 마일스톤 프로젝트

The Unfolding of the Pediatrics Milestone Project


2009년, ACGME와 미국소아학회(ABP)는 소아학계를 초청하여 소아학 이정표의 개발을 개시했다. 이 3년간의 노력의 지침 원칙, 과정 및 결과의 창조에 대해 이전에 설명한 바 있다.15 전체 소아과 이정표 문서는 학술 소아과 보충 자료로 발행된다.16

In 2009, the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ABP) invited the pediatrics community to initiate the development of the milestones for pediatrics. Creation of the guiding principles, process, and outcome of this three-year endeavor has previously been described.15 The full pediatrics milestone document is published as a supplement to Academic Pediatrics.16


요컨대 소아과 마일스톤는 초보 학습자(초기의 의대생)로 시작하여 연속체를 따라 진보된 초급자, 그 다음에는 유능한 학습자, 능숙한 학습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문 학습자(수년간의 계획적 실습 후)로 나아가는 발달 연속체에 걸친 행동에 대한 서술이다. 역량(예: "환자에 대한 필수적이고 정확한 정보 수집")과 그에 따른 내러티브는 맥락에 독립적이므로 기술이 입증될 임상 환경이나 장차 만나게 될 환자의 복잡성까지 정의하지는 않는다.

In brief, the pediatrics milestones are narrative descriptions of behaviors across the developmental continuum beginning with a 

  • novice learner (early medical student) and 

  • progressing along the continuum to advanced beginner, 

  • then to competent learner, 

  • proficient learner, and, 

  • finally, expert learner (after years of deliberate practice). 

The competencies (e.g., “gather essential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and thus their narratives are context independent and therefore do not define the complexity of the patient encounter or the clin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skills will be demonstrated.


일반 소아과 EPA

Identifying General Pediatrics EPAs


EPA는 복수의 역량을 통합해야 하는 진료 제공에 집중함으로써, [임상의사가 평가하는 것]을 [실제 환경에서 수행하는 것]과 일치시켜 평가에 의미와 가치를 더한다.

By focusing on care delivery, which requires the integration of multiple competencies, EPAs align what clinicians assess with what they do in the authentic environment, adding meaning and value to assessment.


소아과 레지던트 대 실습 전환에 대한 바람직한 결과를 정의하는 17개 EPA의 마지막 첫 번째 반복은 차트 1과 2의 중간 열에 나타나며, 차트 1에는 6개가, 차트 2에는 나머지 11개가 있다.

The final first iterations of the 17 EPAs defining the desired outcomes for the pediatrics residency-to-practice transition appear in the middle columns of Charts 1 and 2, with 6 in Chart 1 and the remaining 11 in Chart 2.





Pangaro와 10 Cate18은 분석적, 합성성, 발달적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평가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ACGME 역량은 핵심 영역을 역량의 더 상세한 설명으로 세분화하므로 분석적 프레임워크로 간주된다. 

  • 마일스톤은 발달적 프레임워크의 한 예로서, 시간에 따른 단계의 논리적 진행을 나타낸다. 

  • EPA는 복수의 역량 영역을 결합하는 합성적 프레임워크를 나타낸다.

Pangaro and ten Cate18 suggest conceptual frameworks for assessment that can be categorized as analytic, synthetic, or developmental. The ACGME competencies would be considered an analytic framework, breaking down core domains into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etencies. Milestones are an example of a developmental framework, representing a logical progression of steps over time. Finally, EPAs represent a synthetic framework that combines multiple domains of competence.


일단 확인되면 EPA는 해당 특정 EPA에 대한 위탁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량과 이정표에 현명하게 매핑된다.19 소아과에서는 이 매핑 과정을 통해 특정 EPA와 해당 이정표에 대한 중요 역량의 행렬을 만든다(표 3 참조).

Once identified, EPAs are judiciously mapped to those competencies and milestones critical to making an entrustment decision for that specific EPA.19 Through this mapping process we create, for pediatrics, a matrix of the critical competencies for a given EPA and their respective milestones (see Chart 3).



차트 3에서 초보자 행동들은 두 번째 칸에 설명되어 있고, 세 번째 칸에는 진보된 초보자, 네 번째 칸에는 유능한 학습자, 다섯 번째 칸에는 능숙한 학습자, 여섯 번째 칸에는 전문가가 있다.

in Chart 3, the behaviors of the 

  • novice are described in the second column, 

  • advanced beginner in the third, 

  • competent learner in the fourth, 

  • proficient learner in the fifth, and 

  • expert in the sixth column.


예를 들어, 차트 3의 세 번째 열에 있는 행동을 임상용 vignette로 통합하면 EPA를 수행하는 고급 초심자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For example, integrating the behaviors in the third column of Chart 3 into a clinical vignette paints a picture of an advanced beginner performing the EPA.


각 칼럼의 행동에 의해 그려진 공유된 정신 모델은 학습자와 멘토 또는 학습자, 그리고 어떤 행동이 입증되었고 어떤 행동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임상 역량 위원회 사이의 논의를 주춧돌로 만드는 앵커를 의미한다. 

The shared mental models painted by the behaviors in each column are meant to be anchors that frame a discussion between the learner and a mentor or the learner and a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around which behaviors have been demonstrated and which behaviors are desired. 


Regehr 등 20은 이 평가 전략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다섯 가지 성능 수준 각각에 대한 비디오 비그넷을 만드는 것은 EPA와 이정표를 평가하는 데 있어 교수진 개발을 위한 추가 도구를 제공한다.21

Regehr et al20 provide some support for this assessment strategy. Creating video vignettes of each of the five performance levels provides an additional tool for faculty development in the assessment of EPAs and milestones.21


소아과 이정표는 초기 의대생부터 진료를 마친 소아과 의사까지 연속적으로 걸쳐 있다는 점에서 특이했다. 따라서 전임의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성과 수준을 포함한다. 

The pediatrics milestones were unique in that they spanned the continuum from early medical students to practicing pediatricians, thus including performance levels applicable for fellows. 


소아과 세부전공을 위한 EPA

Identifying EPAs for the Pediatrics Subspecialties


2013년 3월, ABP는 CoPS(Council of Pediative Subscription)의 도움을 받아, ABP가 인증한 각 소아병 세부전공에서 교육 리더를 위한 워크숍을 소집하여 세부전공에 공통적인 EPA를 식별하였다.22

In March 2013, the ABP, with the help of the Council of Pediatric Subspecialties (CoPS), convened a workshop for education thought leaders from each of the ABP-certified pediatrics subspecialties to identify EPAs common to the subspecialties.22


이 그룹은 합의 과정을 통해 두 가지 공통 세부전공 EPA(차트 2와 3 참조)를 추가로 식별했으며, 하나는 해당 분야에서 리더가 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학술 활동에 관한 것이었다.

Through a consensus process, the group identified two additional common subspecialty EPAs (see Charts 2 and 3), 

  • one on leading within the profession and 

  • a second on scholarly activity.


UME-GME 연속체를 가로지르는 다리

The Bridge Across the UME-to-GME Continuum


소아과 EPA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직후, AAMC는 전공의 진입을 위한 핵심 EPA를 식별하기 위해 다원적 제도 패널을 구성했다.

Shortly after work began on the pediatrics EPAs, the AAMC constituted a multidisciplinary drafting panel to identify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전공의 진입을 위한 핵심 EPA가 생기면서, 소아학계는 이제 모든 전공의를 위한 일반 소아학 EPA와 의대생을 위한 EPA를 연결하는 다리를 건설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갖추게 되었고, 이는 다시 전임의 과정을 위한 소아과 EPA와 연결된다.

With the creation of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the pediatrics community now had the infrastructure to build the bridge that connects EPAs for medical students with general pediatrics EPAs for all residents, which in turn connects to the pediatrics EPAs for fellowships.


EPA 목록의 검토는 직접 정렬을 보여주거나, [학생 EPA]가 [전공의 EPA]를 위한 빌딩 블록 역할을 하는 자연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다시 [전공의 EPA]는 [전임의 EPA]를 위한 빌딩 블록 역할을 한다. 학습과 평가의 연속을 가로지르는 이 다리는 하든과 스탬퍼24가 강조했던 것을 연상시킨다. "마지막 전체적인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매 방문마다 학생들의 역량이 증가하는" 나선형 커리큘럼의 가치.

Review of the lists of EPAs illustrates the natural linkages that represent either a direct alignment or where student EPAs serve as building blocks for residency EPAs, the latter serving as building blocks for fellowship EPAs . This bridge across the continuum of learning and assessment is reminiscent of what Harden and Stamper24 highlighted as the value of the “spiral curriculum,” where the “competence of students increases with each visit until the final overall objectives are achieved.”



잃어버린 고리: MOC를 GME EPA로

The Missing Link: Guiding MOC With GME EPAs

이러한 상황이 가능하다. 어떤 레지던트가 훈련을 마칠 때 17개의 모든 EPA를 수행하도록 위임받고 많은 수의 청소년 환자들을 돌보는 일반적 소아과 진료를 시작한다. 그런데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은 불안 장애나 우울증으로 고생하고 있었다.

consider this scenario: A resident is entrusted to perform all 17 EPAs at the completion of training and enters a general pediatrics practice that cares for a large number of adolescent patients, many of whom are struggling with either an anxiety disorder or depression.


이 신규 전문의는 환자 진료에 필요한 숙련도와 전문성을 향해 계속 발달 궤적을 따라 움직이면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EPA는 개인이 격차를 식별하고 그러한 격차를 채우기 위한 학습 활동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무에 대한 성찰에 초점을 둘 수 있다. 

The new practicing physician realizes that patients will benefit if he or she continues to move alo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toward proficiency and expertise. Seen in this light, EPAs may focus reflection on practice that helps individuals identify gaps and seek learning activities to fill those gaps. 


지속적인 전문 개발 및 MOC를 통한 개선에 대한 투자를 사용하여 의사의 경력에 걸쳐 체계적인 학습 과정을 촉진해야 한다. 훈련 중에 gap이 확인되면 개별화된 커리큘럼의 일부로 학습 활동을 시작하고 MOC로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의사의 경력으로 확인된 새로운 EPA가 있거나 범위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10 Cate et al.,25에 따르면, "위임 결정은... 그 EPA에 대한 practice가 없거나 너무 적다면 만료되어야 한다.."

Investment in improvement through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MOC should be used to facilitate a process of structured learning throughout a physician’s career. When gaps are identified during training, learning activities can be initiated as part of an individualized curriculum and continued into MOC. In addition, there may be new EPAs identified as a physician’s career evolves or changes in scope. According to ten Cate et al,25 “entrustment decisions should … have an expiration date if no or too little practice has occurred.”


역량기반 교육의 연속체를 향한 중요한 기여

The Critical Contributions of the Continuum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레지던트와 펠로우를 위한 EPA는 실제 현장에서 기대하는 바를 기반으로 하며, 따라서 후진적 비전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GME에 대한 기대와 결과를 설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속체가 UME와 GME의 작업을 실습 의사가 원하는 결과와 일치시킬 수 있다.

The EPAs for residents and fellows are based on what one expects in practice, and thus a backward-visioning process is used to set expectations and outcomes for GME.26 Thus, the continuum enables the alignment of the work of UME and GME with the desired outcomes for practicing physicians.


예를 들어, UME에서는 상황 인식, 질병 심각도, 조치 계획 및 우발적 계획뿐만 아니라 handover를 하거나 받는 사람으로서 효과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예: 환급 기술)을 포함하는 템플릿을 도입하여 핸드오버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초적 기술 및 내용 지식은 GME 기간 동안 발전되어야 하며, 더 깊은 학습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위임할 준비를 제공하기 위해 이전에 있었던 것을 기반으로 강화해야 한다.

For example, in the UME setting it is essential to lay the foundation for handovers by introducing a template, which includes situation awareness, illness severity, action planning, and contingency planning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skills to effectively engage as either a sender or a receiver of the handover (e.g., skill at readbacks). These foundational skills as well as content knowledge must be advanced during GME, building on and reinforcing what came before to provide deeper learning and ultimately readiness for entrustment.



다음 단계

Next Steps

ACGME의 전무이사를 지낸 데이비드 리치 박사는 이런 평가를 내렸다.

Dr. David Leach, a former executive director of the ACGME, said of assessment that it is


평가assessment는 여러 역량이 통합된integrated 버전에 의존하는 반면, 측정measurement은 역량의 특정speciated 버전에 의존한다. 이러한 역설은 쉽게 해결될 수 없다. 역량이 구체화될수록 전체whole와 관련성이 떨어진다.35

dependent on an integrated version of the competencies, whereas measurement relies on a speciated version of the competencies. The paradox cannot be resolved easily. The more the competencies are specified, the less relevant to the whole they become.35


교육 연속체에 걸친 EPA, 역량, 마일스톤의 통합은 이 역설의 해결을 위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The integration of the EPAs, compe- tencies, and milestones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provides the road map to resolving this paradox.



18 Pangaro L, ten Cate O. Frameworks for learner assessment in medicine: AMEE guide no. 78. Med Teach. 2013;35:e1197–e1210.








 2017 Mar;92(3):324-330. doi: 10.1097/ACM.0000000000001141.

Building a Framework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Supported by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o Bridge the Educational Continuum.

Author information

1
C. Carraccio is vice president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orth Carolina. R. Englander was senior director of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J. Gilhooly is adjunct professor of pediatrics,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Portland, Oregon. R. Mink is chief, Division of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and director, pediatric critical care fellowship, Harbor-UCLA Medical Center, Torrance, California, and professor of pediatrics,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at UCLA, Los Angeles, California. D. Hofkosh is professor of pediatrics and associate dean for faculty affairs,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Pittsburgh, Pennsylvania, and president, Association of Pediatric Program Directors, McLean, Virginia. M.A. Barone is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and director of medical student educ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E.S.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of milestone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The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nd adoption of the foundational domains of competence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and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certifi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MOC) programs provide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for the pediatrics community to create a model of learning and assessment across the continuum. Two frameworks for assessment in CBME have been promoted: (1)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nd (2) milestones that define a developmental trajectory for individual competencies. EPAs are observable and measureable units of work that can be mapped to competencies and milestones critical to performing them safely and effectively.The pediatrics community integrated the two frameworks to create a potential pathway of learning and assessment across the continuum fro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and from GME to practice. The authors briefly describe the evolution of the Pediatrics Milestone Project and the process for identifying EPAs for the specialty and subspecialties of pediatrics. The method of integrating EPAs with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hrough a mapping process is discussed, and an example is provided. The authors illustrate the alignment of the AAMC's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with the general pediatrics EPAs and, in turn, the alignment of the latter with the subspecialty EPAs, thus helping build the bridge between UME and GME. The authors propose how assessment in GME, based on EPAs and milestones, can guide MOC to complete the bridge across the education continuum.

PMID:
 
26959225
 
DOI:
 
10.1097/ACM.0000000000001141
[Indexed for MEDLINE]


맥락적 교육과정: 메트릭스에서 배우고, 메트릭스로부터 배움(Acad Med, 2018)

The Contextual Curriculum: Learning in the Matrix, Learning From the Matrix

Brett Schrewe, MDCM, MA, Rachel H. Ellaway, PhD,

Christopher Watling, MD, MMEd, PhD, and Joanna Bates, MDCM




현대의학 학습자는 그 어느 때보다 광범위한 임상 환경에서 훈련한다.1 그러므로 의학 교육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

Contemporary medical learners train in a broader range of clinical settings than ever before.1 There is a need, therefore, for a fundamental reappraisal of the rol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배경

Background


대부분의 중등교육은 대학 교실, 강의실, 실험실 등과 같은 비교적 표준화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임상 의학 교육은 의료 시스템의 복잡한 일상 현실에서 이루어진다. 병원 내에서 개별 부서와 단위가 작동하는 방식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도 의료훈련은 AHSC의 비교적 균일한 임상 컨텍스트 내에서 거의 전적으로 실시되었다.

Whereas most postsecondary education is situated in relatively standardized settings such as university classrooms, lecture theatres, and labs, clinical medical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complex everyday realities of health care systems. Until recently, despite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individual departments and units function within a hospital,5 medical training took place almost exclusively within the relatively homogeneous clinical contexts of AHSCs.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AHSC의 지배력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도전을 받아왔다. 

  • 급성 요양 병상 수 감소와 평균 입원 기간 감소, 

  • 이전에 입원이 필요했던 조건의 외래환자 관리 강화, 

  • 의사 인력 부족에 대처하고 지리적 대분배를 해결하기 위한 의과대학의 확대. 

  • 인증 요건의 개정 

However, the dominance of the AHSC in medical education4 has been challenged by 

  • reductions in the number of acute care beds and the average length of patient stay, 

  • increased outpatient management of conditions that previously necessitated admission, 

  • expansion of medical schools to meet physician manpower shortages and address geographic maldistribution, and 

  • revisions of accreditation requirements.1,6 


이러한 변화는 generalism에 대한 요구 증가와 동시에 사회와 그들이 직면하게 될 사회의 모든 측면에 대한 의사들의 지속적인 훈련의 필요성과 일치한다.8–12

These changes coincide with increased calls for generalism7 and the persistent need to train doctors both in society and for all of the aspects of society they will encounter.8–12


AHSCs 이외의 지역에서 의료 훈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분산된 의료 교육은 급증했다. 6 지방 캠퍼스가 학문적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설립되었고, 종적 통합 임상실습은 의대 학생들을 그들의 임상실습 시기에 시골 지역사회에 배치하고, 그리고 의과대학이 점점 여러 주의 경계를 넘어 진행함으로써, 학습자를 지역사회 환경에 통합하고자 한다.

the increasing distribution of medical training outside of AHSCs. Indeed, distributed medical education has proliferated,6 with regional campuses being established far from academic centers,15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placing medical students in rural communities for their clerkship year,16 and medical schools increasingly crossing state and provincial lines to integrate learners into regional settings.17–19


AHSC 외부에서 의료 교육을 실시하더라도 동등한 교육 결과를 얻을 수 있음3,22,23

Conducting medical education outside of AHSCs can afford equivalent educational outcomes3,22,23


그러나 비 AHSC 훈련 컨텍스트가 이러한(또는 다른) 학습 결과를 가져오는 방식에서 선형 인과관계 또는 일관성을 가정할 수 없다.

However, we cannot assume linear causality or consistency in the ways that non-AHSC training contexts lead to these (or other) learning outcomes.


메트릭스로서 훈련 맥락

The Training Context as Matrix


환자

Patients


이 문맥 패턴은 특정한 맥락에서 보이는 환자의 인구학적 배경, 의학적 치료를 추구하는 이유, 그리고 개별 환자의 특성을 포함한다. 이 모든 것은 사이트마다 다를 수 있고 심지어 서로 가까운 곳에 있는 환자들도 포함된다.

This contextual pattern includes the demographic backgrounds of patients seen in a particular context, their reasons for seeking medical attention, and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l of which can differ between sites, even thos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예비군 등 토착 환자의 높은 비율과 함께 환경에서 일하는 학습자]들은 다른 배경의 환자들을 서비스하는 인접 마을에서 훈련하는 동료들과 유사한 임상 기술을 개발할 수 있지만, 질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그러한 기술을 수행하는 것을 배운다.29

For example, learners working in settings with a high proportion of Indigenous patients, such as on a reserve, may develop similar clinical skills to their colleagues training in an adjacent town that serves patients of a different background, but they learn to perform those skills in a qualitatively different fashion.29


진료

Practice


어떤 맥락에서든 의료행위에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의료행위의 맥락적 패턴에 포함된다.

    • (학습자가 상호작용하고 질병 프로세스의 정신 모델을 개발하는) 급성 및 만성 임상 환자 문제의 다양성과 가변성 

    • 사이트마다 현저하게 다를 수 있는 Allied 보건 전문가의 존재와 처리

The practices of medicine in any given context, ( ) are all included in the contextual pattern of practice. 

    • the variety and variability of acute and chronic clinical patient problems with which learners interact and from which they develop mental models of disease processes, and 

    • the presence and disposition of allied health professionals, which can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ites, 

예를 들어, 지역 사이트에서 내과학을 배우는 사람들은 그들이 노출된 실습과 교육의 다른 범위 때문에 3차 치료 병원에서 훈련하는 것과 다른 기술을 가지고 나타날 수 있다.30 더 나아가, 소규모 현장의 학습자들은 그러한 맥락의 임상 관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그것을 따르는 사람들의 경험과 기회를 변화시킴으로써.31

For example, those learning internal medicine at a regional site may emerge with differing skills from those training at a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 because of the different scopes of practice and teaching to which they have been exposed.30 Further, learners at smaller site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at context’s clinical practice, thereby changing the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of those who follow them.31


교육

Educational


교육 맥락의 패턴은 다음을 포함한다. 

    • 프로그램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 정의된 목표가 무엇인지, 

    •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평가 

    • 화상회의와 같은 기술이 사용되는지 여부, 

    • 선생님들의 역할과 태도, 

    • 커리큘럼을 제정하는 방법, 

    • 다른 학습자들의 존재, 

    • 그 밖에 같은 프로그램의 일부라도 site마다 다를 수 있는 모든 것. 

This contextual pattern encompasses 

    • how programs are structured, 

    • what the defined objectives are, 

    • what assessment is required by the program, 

    • whether technologies such as videoconferencing are used, 

    • the roles and attitudes of teachers, 

    • the way the curriculum is enacted, and 

    • the presence of other learners, 

    • all of which can differ between sites even if they are part of the same program. 


예를 들어, 한 사이트는 교육과 학습에 대한 헌신을 공유하고 부모 프로그램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서 매우 지지적인 문화일 수 있더라도, 인근 사이트의 교육은 서비스 압박과 교육자 커뮤니티의 빈번한 이직으로 제한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site may have a very supportive educational culture with preceptors who share a commitment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have strong links with the parent program, while the educational commitment of a nearby site is limited by service pressures and frequent turnover in the preceptor community.



물리적 환경

Physical


이 패턴은 원격성, 기후 및 계절적 변화를 포함하여 임상 훈련 컨텍스트의 물리적 설정을 반영하며, 모든 것은 현장마다 다를 수 있다. 

This pattern reflects the physical setting of a clinical training context, including its remoteness, its climate, and its seasonal variations, all of which can differ between sites. 


예를 들어 알래스카, 캐나다 북극 또는 호주의 외진 곳에서 배우는 사람들은 그곳에서 의학을 연습하는 물리적인 도전, 전화나 원격 의료로 상황을 관리하는 방법, 그리고 현재의 훈련 환경의 제약에 근거하여 환자를 더 높은 수준의 치료로 옮기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관광지 등) 인구의 계절적 변화가 현저한 지역의 학습자들은 계절에 따라 상당히 다르게 연습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For example, learners in remote locations in Alaska, the Canadian Arctic, or Australia need to know how to deal with the physical challenges of practicing medicine there, how to manage situations by phone or telemedicine, and how to transfer patients to a higher level of care based on the constraints of their current training environment. Similarly, learners in areas that have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in population (such as tourist areas) find themselves practicing quit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ason.


헬스케어

Health care


여기에는 훈련이 이루어지는 보건의료의 직장과 제도적 문화가 포함된다. 사이트별로 조직의 가치, 관행, 규칙 및 루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이 학습 경험을 형성할 수 있다. 

This includes the workplace and institutional cultures of health care in which training takes plac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values, practices, rules, and routines by site, each of which can shape the learning experience. 


예를 들어, 훈련생에게 기대되는 서비스 수준, 학습자에 대한 비의료 직원의 태도, 훈련을 지원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학습자가 private 환경에서 교육을 받느냐 또는 public 환경에서 교육을 받는지 여부는 환자가 의료에 대한 접근과 해당 의료에서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관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ervice expectations of trainees, attitudes of nonmedical staff to learners, or resources available to support training. Similarly, whether learners are training in a private or public health care setting will likely change how they experience patient access to health care and what care they may legitimately provide there.


문화

Culture


의료 훈련과 실천은 서로 다른 믿음 체계, 가치, 권력 관계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발전시키는 광범위한 사회 및 문화적 맥락 안에 내재되어 있다.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 are embedded within broader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s that reflect and advance different social realities as well as different belief systems, values, and power relationships. 


예를 들어, 특정 종교적 또는 정치적 초점을 맞춘 공동체에서의 훈련은 학습자의 연습 범위와 훈련 기회, 전문성과 옹호성의 성격, 그리고 어느 정도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

For instance, training in communities with a particular religious or political focus will likely shape learners’ scope of practice and opportunities to train,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and advocacy, and, to some extent, effect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맥락적 패턴과 학습 성과

Contextual patterns and learning outcomes


학습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맥락의 변동성은 역량의 개념을 형성한다. 

For learners, this contextual variability shapes notions of competence. 


예를 들어, 도시 3차 진료 교육 병원의 학술적 임상 교수실에서 소아과 사무직을 수료한 학습자는 이 특정 환경에서 능숙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배울 것이다. 

    • 동료, 레지던트 및 기타 고도로 전문화된 연합 의료 전문가로 둘러싸여 있으며

    • 병원 의사들에 의해 가르침을 받고

    • 공식적인 감독, 회진, 그리고 구조화된 교실 세션을 통해 배운다

For example, a learner completing a clerkship in pediatrics in an academic clinical teaching unit at an urban tertiary care teaching hospital—surrounded by peers, residents, and other highly specialized allied health care professionals; preceptored by hospitalists; and taught through formal supervision, rounds, and structured classroom sessions—will learn how to perform competently in this specific setting.


이러한 맥락적 패턴과 그들의 많은 교차점은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서로 얽혀 있는 풍부한 행렬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행렬은 그들의 교육 궤적이 내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그들의 정체성이 형성된다.

These contextual patterns and their many intersections form a rich matrix in which learners are inexorably intertwined, one in which their educational trajectories are embedded and their identities are shaped.


매트릭스에서 배우기

Learning From the Matrix


우리는 situated learning theory 32를 이용하여 다양한 맥락적 측면이 어떻게 학습을 중재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특정한 업무 맥락에 참여한다는 것은 불가피하게 그 맥락에 의해 형성shape됨을 의미한다. 새로운 훈련의 맥락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학습자들은 합법적인 주변 참여자들이다32: 그들은 그곳에 갈 권리가 있지만, 그들이 참여하고 있는 공동체의 일에 아직 완전히 참여할 수는 없다.

we can use situated learning theory32 to examine how different contextual aspects mediate learning. To participate in a particular work context is to be unavoidably shaped by it. Learners who find themselves in a new training context are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32: They have a right to be there, but they are not yet able to participate fully in the work of the community they are joining.


타이밍과 몰입 수준은 학습자가 교육을 받는 상황에서 더 온전한fuller 참여자가 될 수 있는 정도를 결정하는 추가 요인이다. 예를 들어, 

  • 짧은 로테이션에서 학습자는 "관광객"으로 로테이션할 수 있으며, 36은 직장의 맛을 보지만 그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거나 변경되지 않는다. 

  • 반면, 더 긴 로테이션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학습과 전문적 정체성이 국지적 임상 맥락에 의해 점점 더 영향을 받는 "체류자"가 된다.36 주변적인 것에서 보다 실질적인 참여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맥락이 제공하는 학습 기회에 학습자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37

Timing and the level of immersion are addition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may become fuller participants in the contexts in which they are being trained. For example, learners on shorter rotations may rotate as “tourists,”36 getting a taste of a workplace but not being substantially influenced or changed by it. On the other hand, those who undertake longer rotations typically become “sojourners” whose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re increasingly influenced by the local clinical context.36 Moving from peripheral to more substantial engagement requires learners to engage actively with the learning opportunities afforded by the context.37


  • 명시적 학습자 지원, 

  • "체류"하기에 충분한 시간, 

  • 특정 상황에서 능동적인 학습자 참여

...는 모두 비공식적 학습을 촉진하며, 이는 암묵적 지식의 개발을 초래한다. 이것은 학습자를 위한 능력 있는 참여의 핵심 요소로서, 특정한 환경에서 어떻게 일을 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지식이라는 점에서 맥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40

Explicit preceptor support, sufficient time to “sojourn,” and active learner engagement in a specific context all facilitate informal learning,39 which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tacit knowledge. This is a key component of competent participation for learners, and it is inextricably linked to context, in that it is knowledge about how to get things done in a particular setting.40


또한, 맥락적 상호작용은 단순히 [학습자가 얻는 것이 무엇인가, 학습자가 경험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가]에 관한 것이 아니다. 맥락적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특정 사람의 참여는 그 사람이 참여한 임상 맥락을 변화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문제" 학습자의 존재는 preceptor의 노력을 다른 데로 돌리게 하거나, 지역 임상 실습 커뮤니티에서 학습자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분열적인 의사소통과 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

Further, contextual interactions are not simply about what learners gain and how they are changed by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tion of any person in a given clinical context will also change that context. For instance, the presence of a “problem” learner may divert preceptor effort, diminish trust in learners in general in the local clinical practice community, or lead to divisive communication and behavior in those around them.


따라서 학습자의 현재 경험도 다음에 따라 달라진다. 

  • 과거에 학습자보다 먼저 있었던 사람들의 참여(preceptor, 환자, 다른 사람의 반응에 영향을 줌) 

  • 현재에 학습자, 프리셉터, 그와 함께 그 맥락에서 여행하는 환자(각 학습자가 얼마나 많은 관심을 받을지, 얼마나 기회가 제공될지에 영향을 줌.

A learner’s current experience will therefore also depend to some extent on 

  • the participation of those who preceded them (influencing how preceptors, patients, and other respond to them) as well as 

  • the current learners, preceptors, and patients who travel with them in that context (influencing how much or little attention each learner receives and the opportunities they are presented).

예를 들어, remote center의 통합실습에서 1년을 보내는 학습자는 해당 교육 맥락의 역사와 교육적 구성에 기초해 상당한 자율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learners who spend a year in an integrated clerkship at a remote center may be given significant autonomy based on the history and educational configuration of that training context.


반대로, 받는 3차 센터의 중환자실을 통해 회전하는 학생은 펠로우와 시니어 레지던트와 일할 것이다.

Conversely, their counterparts rotating through an intensive care unit in the receiving tertiary center will likely work under fellows and senior residents,


두 시나리오 모두에서 맥락적 패턴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학습자가 어떻게 변할 것이며, 의료행위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게 될지를 형성할 것이며,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즉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더라도 결국 현저하게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 낸다.

In both scenarios, the contextual patterns interact to produce a rich permutation of possibilities that shape who learners become and what their understanding of practice is, but in strikingly different ways that may not be immediately apparent.


매트릭스 안에서 살기

Living in the Matrix


비록 학습자들이 자신이 훈련받는 여러 맥락 사이의 차이점을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이러한 차이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순식간에 (배경 속으로) 사라질 수 있다. 이것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의학 지식, 임상적 상호작용, 그리고 직업적 정체성이 맥락적으로 엮여있고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상태가 (어떤 경우에도) inevitable하다는 착각으로 이끌 수 있다. 구조적인 차원에서, "문화가 없는 문화"로서, 42 의학 기관은 그 안에 내재된 사람들의 마음 속에 있는 맥락적 특성을 일상화normalize 시키는 경향이 있다.

Although learners are no doubt aware to some degre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xts in which they train, their awareness of these differences may quickly recede unnoticed into the background. This can lead them to believe that their medical knowledge, clinical interac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re inevitable rather than contextually bound and shaped. On a structural level, as a “culture of no culture,”42 the institution of medicine tends to normalize contextual distinctiveness in the minds of those embedded in it


또한 겉으로 보기에 inert하게 보이는 배경조차, 학습자가 임상 활동을 수행하고 훈련 환경에서 합법적으로 참여하도록 돕지만, 애당초 처음에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배웠는지를 명확히 설명하고 설명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Furthermore, although the seemingly inert contextual backdrop crucially helps learners perform clinical activities and participate legitimately in their training setting, it can be difficult for them to articulate and to explain how they learned these things in the first place.43,44


어떤 임상작업 환경에 명시적으로 invited and oriented되었더라도, 어떤 맥락에서든 학습자가 처음 관여하는 것은 그것에 "던져지는 것"과 비슷하다.45 그러나, 사람은 결코 진공에 던져지지 않고 항상 복잡한 일련의 관계에 들어간다.46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은 활동 네트워크에 속박되고 그들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이 네트워크 내에서 기능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45 암묵적 지식의 습득은 종종 눈에 띄지 않게 진행될 수 있는데, 이는 비록 학습자가 점점 합법적으로 참여할 수 있지만, 그것은 어떤 의식적 인식에 따른 것이 아닐 수 있다. 왜냐하면 학습자의 능력이라는 것이 워낙에 어떤 주어진 맥락 속에서의 관계적 복잡성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놀랄 것도 없이, 학습자들은 그들이 어떻게 알고 있는지, 어떻게 배웠는지, 또는 그들의 학습 성과가 특정한 훈련 상황에 얼마나 얽혀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 채 끝나게 될 수도 있다.

Even when explicitly invited and oriented into a clinical work setting, a learner’s initial involvement in any context is akin to being “thrown” into it.45 However, one is never thrown into a vacuum, but always into a complex series of relations.46 As a result, learners become bound up in a network of activity and must learn to function within this network to accomplish their duties.45 Accruing tacit knowledge can often go unnoticed, which means that although learners can increasingly participate legitimately, it may be without any conscious recognition that their ability to do so is contingent on the relational complexities of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embedded. Not surprisingly, learners may end up knowing without understanding how it is they know, how they learned, or the extent to which their learning achievements are entangled with a particular training context.


그러나 변화라는 것은 의학 교육이나 임상 실습에서 예외라기보다는 규칙이며, 맥락은 늘 변하고 있다. 새로운 전문지식과 기대를 가진 새로운 동료들이 도착함에 따라, 그리고 환자의 기대를 포함한 새로운 질병, 치료법, 사회규범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나면서 맥락의 변화가 정기적으로 일어난다. 환자 참여는 또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condition내에서는 전문가가 되며, 이것이 개개인의 학습과 체계적 지지advocacy의 강력한 동인으로 작동한다.

Yet change is the rule rather than the exception in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nd context is always in a state of change. Changes in context occur regularly as new colleagues with new expertise and expectations arrive, and as new illnesses, treatments, and societal norms— including patient expectations—emerge over time. Patient participation also effects change; many become experts in their condition, serving as powerful drivers of individual learning and systemic advocacy.47,48


맥락적 역동성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모두 동반한다. 한 편으로 학습자들은 그들의 직장 환경에 대해서, 종종 새로운 방식으로 관여하는 활동적인 대리인이다. 49 이와 같이, 그들은 그들의 지도자들이 오랫동안 당연하게 여겼던 훈련 환경의 믿음, 관행, 규범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질문할 수 있는 참신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훈련의 맥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This contextual dynamism comes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one hand, learners are active agents engaged in their workplace environment49 often in novel ways. As such, they carry significant potential to transform their contexts of training, in that they possess a singular perspective to notice and question beliefs, practices, and norms of their training environments that their preceptors have long since taken for granted. 


동시에 학습자들은 정기적으로 새로운 훈련이나 연습의 맥락에 던져진다.38,45 낯선 것이 불안과 불확실성을 야기할 수 있다.38,45 새로운 맥락에서 암묵적 지식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은 활동의 원활한 통합과 의미를 만들고 합법적으로 참여하여 증발시키는 능력을 야기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learners are regularly thrown into new contexts of training or practice, the unfamiliarity of which may provoke anxiety and uncertainty.38,45 An inability to apply tacit knowledge in the new context may cause seamless integration of activity to fall apart45 and their ability to make meaning and participate legitimately to evaporate.


분명히, 우리는 모든 학습자들이 마주치게 될 모든 가능한 맥락에서 훈련시킬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지도자와 교육자로서 다음이 중요하다.

  • 포함된 상황별 매트릭스를 인식할 수 있는 공간과 도구, 

  • 그것이 어떻게 그들의 학습과 연습을 형성하는지, 

  • 새로운 컨텍스트에 적응하는 방법 

  • 어떻게 하면 그들의 누적되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임상적 능력을 맥락적 변화의 요구에 능숙하게 적응시킬 수 있을 것인가.

Obviously, we cannot train every learner in every possible context that they will ever encounter. However, it is critical that we as preceptors and educators provide our learners with 

  • the space and tools to recognize the contextual matrix in which they are embedded, 

  • how it shapes their learning and practice, 

  • how they might adjust to new contexts, and 

  • how to adapt competently their cumulative and ever- growing clinical abilities to the demands of contextual change.


매트릭스 인식 연습: 맥락적 교육과정

Learning to Recognize the Matrix: The Contextual Curriculum


그러나 잠재적으로 가치 있는 학습 기회를 놓치거나 개입하기 전에 학습자를 위해 일이 중단되기를 기다리는 대신에, 우리는 학습자가 변화하는 맥락에서 일하고 건너도록 더 잘 준비하기 위한 맥락적 커리큘럼의 아이디어를 능동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Yet instead of letting potentially valuable learning opportunities go by or waiting for things to go off the rails for learners before intervening, we may instead proactively draw upon the idea of a contextual curriculum to better equip our learners to work in and across changing contexts.


같은 장소에서 주로 훈련하는 학습자들에게조차, 한 과에서 다른 과로 옮겨가는 것은, 같은 지붕 아래서 일하는 마이크로 시스템의 다양성을 조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5

Even for those learners who train largely within the same location, moving from one specialty to the next affords opportunities to examine the diversity of training microsystems at work under the same roof.5


맥락적 커리큘럼의 개념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그 적용은 주로 실제 환경에서 직업 학습의 중요성과 관련이 있다.51 우리는 임상 훈련에는 언제나 맥락적 교육과정이 있다고 주장한다. 맥락적 교육과정이란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에 대해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배우는 것이 무엇인지를 뜻한.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맥락적 커리큘럼은 숨겨진, 암묵적인, 무효적인, 비공식적인 커리큘럼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다.52–55 이러한 다른 커리큘럼 개념과 마찬가지로 상황별 커리큘럼과 교육에 미치는 영향도 존재한다.56–58

Although the concept of a contextual curriculum is not a new one, its application has primarily been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learning in real-world settings.51 we assert that in clinical training there is always a contextual curriculum in terms of what is learned both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from the settings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From this perspective, the contextual curriculum has conceptual similarities with hidden, tacit, null, and informal curricula.52–55 As with these other curriculum concepts, the contextual curriculum and its effects on training are ever present.56–58


그러나 의학 교육의 맥락적 커리큘럼은 단순히 학습에 수동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 교육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과정이 이해, 수용되거나 심지어는 어느 정도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우리의 모든 학습자들에게 맥락의 영향을 성찰하도록 장려하고 장려할 수 있다..44,59 

  • 그들의 비공식적 학습으로부터 발생하는 암묵적 지식을 명확히 하고, 

  • 어떤 일이 어떤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이루어지는지, 어떤 방식으로 행해지는지를 구별하고, 

  • 새로운 임상현장에 어떻게 행동을 조정할 수 있는지를 배우기 위해 

However, the contextual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is not simply a passive influence on learning; it can be understood, accommodated, and, to some extent, manipulated to improve educational outcomes. For instance, we can foster and encourage all our learners to reflect on the influences of context, in order 

  • to articulate the tacit knowledge that arises from their informal learning, 

  •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way things are done in one setting and the ways in which they are done in another, and 

  • thereby to learn how one might adjust behaviors to new clinical workplaces.44,59


실제적인 관점에서, 학습자들은 각각의 맥락적 패턴에 성찰적 사고를 집중시킴으로써, 그들이 알아차린 것을 설명하게 만드는 시간을 로테이션 내에 dedicate수 있다. 또 다른 접근방법은 학습자가 회진이나 관찰자 역할의 클리닉에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포함하며, 목표는 당일 임상 치료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적 요인이 치료 제공을 가능하게 하거나 금지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

From a practical standpoint, learners could be provided with dedicated time throughout a rotation to describe what they notice, using each contextual pattern to focus their reflective thinking. Another approach would involve learners’ regular participation on rounds or in clinic in an observer role, the goal being not to engage directly in clinical care that day but rather to appreciate how contextual factors enable, inhibit, or influence the provision of care.


이러한 경험은 

  • 학습자가 패턴 측면에서 알아낸 것, 

  • 이러한 서로 다른 패턴이 상호작용하는 방법, 

  • 그리고 다른 맥락에서 치료 제공을 형성하는 방법

...을 확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도자와 동료들과의 정기적인 촉진 토론을 통해 보완될 수 있다. 

These experiences could be complemented through regular facilitated discussion with preceptors and peers as a way to cement 

  • what learners have noticed in terms of patterns, 

  • how these different patterns interact, and 

  • how they shape the provision of care in different contexts. 


학습자가 로테이션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 그들은 그들의 급증하는 임상 능력이 그들과 함께 이동하며, 그들의 지속적인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장려될 수 있다. 

  • 또한 이러한 기술을 효과적이고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그들이 배우고 연습하고 있는 치료의 맥락에 크게 좌우된는 것을 인식하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As learners move between rotations, 

they could be encouraged to recognize that while their burgeoning clinical abilities travel with them and are shaped by their ongoing experiences, 

the ability to use these skills effectively and competently depends significantly on the contexts of care in which they are learning and practicing.


또 다른 형태의 성찰은 [임상 학습자가 훈련의 맥락과 관련]하여 [자신의 개별 가치와 태도의 상호작용과 그들의 전문적 정체성의 상호작용을 고심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olmes 등 63은 학습자가 임상 작업장에 관여할 때 필요한 특정 성찰 역량의 집합을 제안했다. 

  • 작업장에서 외부 압력에 순응하는 동기를 이해

  • 압력이 있는 순간 그 압력을 인지

  • 신뢰할 수 있는 의료 교육자나 동료와의 경험을 분석

  • 개인적인 가치와 행동의 집합에 대한 결정

Other forms of reflection can afford clinical learners an opportunity to grapple with the interactions of their own individual values and attitudes61 and their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ies62 as related to their contexts of training. For instance, Holmes et al63 proposed a specific set of reflective competencies for learners as they engage with the clinical workplace: 

  • understanding their motivations to conform to external pressures in the workplace, 

  • becoming aware of these pressures in the moment, 

  • analyzing their experiences with trusted clinical educators or peers, and 

  • deciding on a personal set of values and behaviors.


또한 각 학습자는 독특한 개인이지만, 그들은 그들 스스로 특정 사회 집단, 문화 관습, 역사, 권력 체계 등에 얽매여 있다. 맥락적 커리큘럼에 대한 인식을 배양하는 것은 [임상 의학을 보다 정교한sophisticated 지식과 실습]으로 이해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Further, although learners are unique individuals, they are themselves bound up in certain social groups, cultural practices, histories, and systems of power. Cultivating an awareness of the contextual curriculum can encourage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clinical medicine as a situated knowledge and practice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지도자preceptor가 당연시 여기는 것을 인식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핵심 교육적 이익이며, 전통적인 권력 차이에 걸쳐 단절되고 교육 및 의료 환경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공유 학습]의 고유한 기회를 여는 것이다.

Developing a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what their preceptors take for granted is a key pedagogical benefit, opening up a unique opportunity for shared learning that cuts across traditional power differentials and may lead to meaningful changes in the training and health care environment.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임상 지식은 반복적으로 그리고 필연적으로 한 맥락에서 다음 맥락으로 이동하면서 축적된다. 상황별 커리큘럼을 준수하면 학습자가 

  • 이 지식을 활용하고, 

  • 어떻게 얻었는지 이해하며, 

  • 각 컨텍스트에 특정된 암묵적 지식이 자신의 개발 임상 관행을 형성하는 방법을 파악하는

...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Finally, learners’ clinical knowledge accumulates as they move recurrently and inevitably from one context to the next. Attending to the contextual curriculum can help learners to 

  • draw on this knowledge, 

  • understand how they accrued it, and 

  • grasp how tacit knowledge particular to each context shapes their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나아갈 방향

Ways Forward


맥락은 의료 제공자로서 능력과 정체성과 분리할 수 없는 동적 매트릭스다.

context is a dynamic matrix inseparable from abilities and identities as health care providers.


맥락의 회피 불가능성, 즉 [맥락이 어떻게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고 누가 될 수 있는지에 영향을 주느냐]는 우리가 훈련에 대해 생각할 때 그 핵심에 고집스럽게 남아 있는 개인주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The inescapability of context—namely, how its effects shape what a learner can do and who they can be—calls into question the idea of individualism that stubbornly remains at the heart of how we think about training


의학 교육의 능력에 대한 레이저 초점이 점점 더 피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능력의 지나친 단순화는 항상 존재하는 위험이다.

As medical education’s laser focus on competency is increasingly inescapable, the oversimplification of competence is an ever-present risk.


우리는 교육에서 맥락적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관의 관심에 의해서 그리고 상황적 커리큘럼이 제공해야 하는 풍부한 학습의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규칙적인 반성을 사용함으로써 그것이 어떻게 유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지 신중하게 고려하는 좀 더 미묘한 역량의 관점을 요구한다.

we call for a more nuanced view of competence that carefully considers how context shapes what it means to be competent by explicit institutional attention to increasing contextual diversity in training as well as by using regular reflection to leverage positively the rich diversity of learning that the contextual curriculum has to offer.


29 Kelly L, Walters L, Rosenthal D. Community- based medical education: Is success a result of meaningful personal learning experiences? Educ Health (Abingdon). 2014;27:47–50.


61 Asgarova S, McKenzie M, Bates J. Learning from patients: Why continuity matters. Acad Med. 2017;92(11 suppl):S55–S60. XXX


63 Holmes CL, Harris IB, Schwartz AJ, Regehr G. Harnessing the hidden curriculum: A four-step approach to developing and reinforcing reflective competencies in medical clinical clerkship.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5;20:1355–1370.


68 Bates J, Ellaway R, Watling C. The influence of workplace context on learning and teaching. In: Delany C, Molloy E, eds. Learning and Teaching in Clinical Contexts: A Practical Guide. Edinburgh, UK: Elsevier; 2017.






 2018 Nov;93(11):1645-1651. doi: 10.1097/ACM.0000000000002345.

The Contextual CurriculumLearning in the MatrixLearning From the Matrix.

Author information

1
B. Schrewe is a 2017 Pierre Elliott Trudeau Foundation Scholar and clinical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R.H. Ellaway is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and director, Office of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OHM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C. Watling is professor, Departments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and Oncolog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J. Bates is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bstract

Changes in the health care landscape over the last 25 years have led to an expansion of training sites beyond the traditional academic health sciences center. The resulting contextual diversity in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affords new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contextual variation on learning. The authors describe how different contextual patterns i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patients, clinical and educational practices, physical geography, health care systems, and culture-form a contextual learning matrix. Learners' participation in this contextual matrix shapes what and how they learn, and who they might become as physicians.Although competent performance is critically dependent on context, this dependence may not be actively considered or shaped by medical educators. Moreover, learners' inability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affordances of different contexts may mean that they miss critical learning opportunities, which in turn may affect patient care, particularly in the unavoidable times of transition that characterize a professional career. Learners therefore need support in recognizing the variability of learning opportunities afforded by different training contexts. The authors set out the concept of the contextual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as that which is learned both intentionally and unintentionally from the settings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Further, the authors consider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ors through which the contextual curriculum can be made apparent and tangible to learners as they navigate a professional trajectory where their environments are not fixed but fluid and where change is a constant.

PMID:
 
29979208
 
DOI:
 
10.1097/ACM.0000000000002345


미래 의과대학의 열 가지 특징 - 불가능한 꿈은 아니다(Med Teach, 2018)

Ten key features of the future medical school—not an impossible dream

Ronald M. Harden



의료 커리큘럼이 의학 과학의 진보, 의료 행위의 변화, 환자 및 대중의 기대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가 표명되었다. 란셋에서 많이 인용된 보고서에서 Frenk 외 연구진(2010년)은 "전문교육은 주로 분열되고 시대에 뒤떨어진 정적인 커리큘럼으로 인해 이러한 도전에 보조를 맞추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고등교육에 대한 우려도 더 일반적으로 표출되었고 크리스텐슨과 에이링(2011년)은 "일반 대학은 지금까지 해온 것보다 더 빠르고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ncern has been expressed that the medical curriculum has not responded adequately to advances in medical sciences, to changes in medical practice, and to patient and public expectations. Frenk et al. (2010) in the much quoted report in the Lancet argued “Professional education has not kept pace with these challenges, largely because of fragmented, outdated, and static curricula that produce illequipped graduates.” Concern has also been expressed about higher education more generally and Christensen and Eyring (2011) argued that “the typical university must change more quickly and more fundamentally than it has been doing.”


헤스(2010년)는 그의 저서 "같은 맥락과 오버"에서 "낡아빠진 근본구조를 고쳐보려는 반복적인 시도"라고 설명했다. 개혁가들은 새로운 구조를 탐구하고 개발하기보다는 기존의 구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해 그들의 신념과 자원을 쏟아 붓는다. 그들은 선 내에서 안전하게 색을 칠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주로 그러한 선들이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여져서 개혁자들이 대안이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기 때문이다."

Hess (2010) in his book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described “repeated attempts to improve a fundamentally outdated outmoded structure. Rather than explore and develop new structures, reformers pour their faith and resources into making the existing structure more effective. They tend to colour safely within the lines – largely because those lines are so taken for granted that would-be reformers don’t realise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이 논문에서, 나는 의사들을 훈련시키는 방법과 관련된 현재와 미래의 도전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미래의 의과대학이 어떤 모습일 수 있는지를 "선 밖의 색"하고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colour outside the lines” and describe what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could look like if it is to meet the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relating to how we train our doctors.


상아탑에서 현실세계와 진정한 커리큘럼까지

From the ivory tower to the real world and the authentic curriculum


미래의 의과대학은 그들이 봉사할 인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가진 의사들의 졸업이 우선인 진정한authentic 교과과정을 가질 것이다.이러한 목적은 결과 또는 역량 기반 접근법을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것이다(Harden et al. 1999). 각 과정과 학습 기회는 그들이 학교의 전반적인 졸업학습성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명시할 것이다.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will have an authentic curriculum with its priority the graduation of doctors who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meet the needs of the population they will serve.This purpose will be clearly delivered through an outcome-or competency-based approach (Harden et al. 1999). Each course and learning opportunity will specify how they con-tribute to the overall exit learning outcomes for the school. 


학생들의 진행은 그들이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하고, 그들의 마지막 학년에 학생 의사로서 봉사하면서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증가하는 임상적 책임을 질 수 있도록 계획될 것이다.

Students’ progression will be planned to allow them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take increasing clinical responsibility for the care of patients, serving in their final year as a student doctor.


미래의 학교는 졸업할 때뿐만 아니라 졸업 후 6개월 혹은 몇 년 후까지 졸업생들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 것이다.

The school of the future will be accountable for its graduates, not just at the point of graduation but six months or years later.


우리가 훈련하고 있는 의사들의 특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강 시스템의 필요를 반영하여 바뀔 것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ctors we are training will change over time reflecting the needs of the health system.


만약의 학습에서 적시 학습으로 전환

Moving from just-in-case to just-in-time learning


현재는 의사로서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배우고 암기하는 학생이나 연습생에게 너무 많은 중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의학 지식이 18개월에 두 배 혹은 그 이하로 두 배씩 증가하면서 견딜 수 있는 것이 아니다.

At present too much emphasis is placed on the student or trainee learning and memorizing all they need to know as a doctor. This is not tenable with medical knowledge doubling every eighteen months or less.


지식 피라미드의 제1단계(Harden and Lilley 2018)에서 설명한 의학의 어휘, 핵심 지식과 한계 개념, 의학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계속 중요하겠지만, 중요한 것은 그들이 언제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어디서 무엇을 찾아봐야 하는지, 찾은 답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올바른 질문을 할 수 있는 의사의 능력이 될 것이다. 어디서 답을 찾아야 하는지 알고, 받은 답을 평가해야 한다(Friedman 등 2016). 미래의 의과대학은 정보 제공자로서의 교사가 아니라 학생이 필요할 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 코치의 한 사람으로의 전환을 보게 될 것이다(Harden and Lilley 2018).

A mastery of the vocabulary of medicine, core knowledge and threshold concepts and an awareness of the possibilities in medicine, as described in the first level of the knowledge pyramid (Harden and Lilley 2018), will continue to be important but as important will be the doctor’s ability to ask the right question when they need to know something, to know where to look for the answer and to evaluate the answers received (Friedman et al. 2016).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will see a switch from the teacher as an information provider to one of information coach where the student is supported in finding information when they require it (Harden and Lilley 2018).


기초과학 임상분열에서 기초과학과 임상의 완전 통합에 이르기까지

From a basic science clinical divide to full integration of the basic sciences with clinical medicine


그러나 현재 접근방식은 종종 초기에는 임상경험을 제한적으로만 제공하며, 후반부에 기초과학은 형식적으로만 제한된다. 던디 의과대학의 생화학과 교수 가랜드가 학생들이 임상경험이 있기 전보다는 생화학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배치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Approaches at present, however, are often restricted to the provision for the student of limited clinical experiences in the early years and a token representation of the basic sciences in the later years. Professor Garland when Professor of Biochemistry at Dundee Medical School argued that students would be better placed to understand biochemistry after and not before their clinical experiences.



교사의 과소평가부터 교사와 교사의 중요성 인식까지.

From undervaluing of teaching to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teachers


교육과정에서의 의과대학에서의 우수성은 점점 더 인정받고 있지만 그것은 학장들에 의해 너무 자주 무시되는 메시지다. 교사들은 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의 열쇠다. 미래의 의과대학에서는 교사와 교사의 임용, 인정, 훈련, 보상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Excellence in a medical school in its education program is increasingly recognized but it is a message too frequently ignored by deans. Teachers are key to the success of an education program. In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priority will be given to teaching and to the appointment, recognition, training, and reward of teachers.


스텐하우스(1975년)가 지적한 바와 같이 "결국 학교의 세계를 이해함으로써 변화시킬 사람은 교사들이다." 교육 연구는 단순히 교사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교사에 의한 것, 그리고 그 교사는 연구자로서 교사일 것이며, 연구를 당하는(researched) 교사만은 아닐 것이다.

As noted by Stenhouse (1975) “It is teachers who in the end will change the world of the school by understanding it.” Research in education will not just be for teachers but by teachers with teachers as researchers and not just the researched.


의뢰인으로서 학생으로부터 파트너로서 학생으로의 이동

A move from the student as a client to the student as a partner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의 역할은 고객 중 하나에서 소비자 및 학습 과정에서 파트너로 바뀌었다. 그들의 역할은 계속해서 진화할 것이며, 교육 프로그램 운영, 피어티칭, 평가 프로그램, 그리고 의대 입학을 위한 선발 과정에 걸쳐 학교와 커리큘럼 계획의 관리에 관여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미래의 학교 학생들도 직원 임용 면접에 참여할 것이며, 이것이 시행된 곳에서는 신선하고 도움이 되는 통찰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role of the student in the education program has changed from one of a client to a consumer and a partner in the learning process. Their role will continue to evolve and will include involvement with the management of the school and curriculum planning, with delivery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peer teaching, with the assessment program and with the selection process for student admission to medical school. Students in the school of the future will also be involved with staff appointment interviews and where this has been implemented, it has been found to give fresh and helpful insights.


학습은 디지털 학습 가이드에 의해 지원되며 각 학생은 개인 온라인 학습 보조자(POLA)를 갖게 된다. POLA는 학생이 학습 성과의 달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적절한 학습 기회를 추천할 것이다. POLA의 지원을 받는 학생들은 학습에 대해 더 많은 책임을 질 것이며, 자율학습(self-learning)에서 자기주도학습(SDL)으로 옮겨갈 것이다.

Learning will be supported by digital study guides with each student having their own personal online learning assistant (POLA). The POLA will help the student to assess their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and will recommend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 Supported by the POLA, students will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moving from directed self-learning to selfdirected learning.


모든 학생들은 교육과 관련한 지식, 기술, 이해력을 갖추기 위해 교과 과정의 일부로 교육에 대한 훈련을 받을 것이다.

All students will receive training in education as part of the curriculum to equip them with educational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이미 2000년 3%에서 2017년 15%로 학생이 공동 집필한 의학교사에 게재된 논문 수가 증가했다(Harden et al. 2018).

Already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Medical Teacher where a student is a coauthor increasing from 3% in 2000 to 15% in 2017 (Harden et al. 2018).


미스터리 투어에서 지도 여행으로 이동

A move from a mystery tour to a mapped journey


현재, [학습 경로와 궁극적인 목적지로 이어지는 단계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는 없는 상태로, 특정 주제를 왜 배우는지에 대해서는 표면적인 이유만 제공되는 "위장camouflage"이 벌어진다. 이는 최종 목적지에 대한 투명성이 결여되어 있고 한 분야의 연구가 다음 분야에 대한 이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마법magical의 미스터리 투어에 비유되어 왔다.

At present there is often only a camouflage relevance where a superficial reason is given for learning a topic with no real understanding provided of the learning path and the steps that lead to the students ultimate destination. This has been likened to a magical mystery tour where there is an absence of transparency as to the final destination and how study in one area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the next area.


목적지(학습 결과)와 학생들이 어떻게 그곳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다-관계 커리큘럼 맵이 있을 것이다(Harden 2001).

there will be a multirelational curriculum map which shows the destinations (the learning outcomes) and how students might get there (the learning opportunities) (Harden 2001).


지도를 사용하여 학생들은 그들의 교육 여정과 여정의 진행 과정을 도표로 그릴 수 있고 각 단계에서 그들 자신의 이해와 성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Using the map students will be able to chart their educational journey and progression on the journey and assess their own understanding and achievements at each stage.


지금까지 과정을 살펴보면, 커리큘럼 매핑을 통한 진행 속도가 주요 참가자들 간의 협업 구축에 어려움으로 인해 기대했던 것보다 느렸다.

Progress to date with curriculum mapping has been slower than might have been expected due to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collaborations between the key players




표준 단일 프로그램에서 적응 학습을 통한 적응 교육 과정으로의 전환

A move from a standard uniform program to an adaptive curriculum with adaptive learning


의사들은 각 환자를 스스로 자신의 관리 계획이 필요한 개인으로서 취급한다. 개별화된 의술은 점점 더 의료행위의 특징이다. 동일하게, 각 학생들도 서로 다르지만 [개인화된 교육]은 최근까지 관심을 받지 못했다.

Health care professionals treat each patient as an individual who requires their own personal management plan. Personalized medicine is increasingly a feature of medical practice. Each student is also different but personalized education has until recently attracted less attention.


나의 경험을 돌이켜보면, 기말고사에서 MCQ 평가점수의 범위는 5% 미만인 학생도 있고 45%가 넘는 학생도 있었다. 상단에 있는 학생들의 요구가 하단에 있는 학생들과 다르다는 것은 분명했다.

The range in the the end-of-course MCQ assessment on day one was great with some students scoring less than 5% and others over 45%. It was obvious that the needs of the students at the upper end were different from those at the lower end.


미래 학교의 커리큘럼 모델은 [시간이 정해져 있고 표준이 가변적인 것]에서 그 안에서 과정이나 요소를 완성하는 [시간이 가변적이고 표준이 고정된 곳]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Frank et al. 2017).

The curriculum model in the school of the future will move from one where time is fixed and standards are variable to one where time to complete a course or element within it is variable and standards are fixed (Frank et al. 2017).


적응형 커리큘럼은 다양한 세분성 수준에서 제공된다 (과정 또는 전체 과정 내에서 제공되는 개별 학습 기회, 모듈 또는 유닛과 관련된 단위). 시뮬레이션 센터에서의 경험, 뒤집힌 수업 세션 준비 또는 녹음된 강의 청취는 분 또는 시간 단위로 특정되지 않고 활동에 대해 지정된 학습 성과를 달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The adaptive curriculum will be delivered at different levels of granularity, associated with the individual learning opportunities offered, modules or units within a course or the whole course. Experience in the simulation center, preparing for a flipped class session or listening to a recorded lecture will not be specified in minutes or hours but will depend on the time taken to achieve the learning outcomes specified for the activity.


적응형 커리큘럼의 도입은 쉽지 않을 것이며, 교육 및 평가에 대한 다른 접근방식이 필요할 것이다(Tackett et al. 2018b).

The introduction of an adaptive curriculum will not be easy and will require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and assessment (Tackett et al. 2018b).



완전한 학습 기술을 활용하지 못한 것에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으로 전환

A move from a failure to exploit fully learning technology to its creative and effective use


Prensky(2013년)는 "기술은 단순히 낡은 것을 하는 새로운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사실 가장 사소한 기술 사용이다." 교육 분야의 미래 기술에 초점을 맞춘 교육 리더십의 같은 호에서 리처드슨(2013년)은 닐 포스트맨의 말을 인용, "기술적 변화는 부가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생태적인 것이며, 즉, 모든 것을 바꾼다는 뜻이다."라고 말했다.

Prensky (2013) argued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echnology isn’t just a new way to do old things, which is mostly how we use it in schools today. That is, in fact, the most trivial use of technology.” In the same issue of Educational Leadership devoted to the future of technology in education, Richardson (2013) quoted Neil Postman “Technological change is not additive: it is ecological, which means, it changes everything.”


하버드 대학의 명예총장 바버 외(2013년)는 공공정책연구소의 보고서 도입에서 "세계화와 기술이 지난 20년 동안 다른 거대한 경제 분야를 변화시켰듯이, 향후 20년 동안 대학들이 변혁에 직면해 있다"고 제안했다.

In the introduction to the report by th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An avalanche is coming, Barber et al. (2013), President Emeritus of Harvard University, suggested “just as globalisation and technology have transformed other huge sectors of the economy in the past 20years, in the next 20years universities face transformation.”



학습에 대한 구획화된 평가에서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중심의 평가로의 이동

A move from compartmentalized assessment of learning to program-focused assessment for learning


성과 평가, 역량 기반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 프로그래밍 평가 및 테스트 강화 학습과 같은 이니셔티브

Initiatives such as performance assessment, competencybased assessment, assessment for learning, programmatic assessment, and test-enhanced learning


평가는 학습자가 필요한 역량과 특정 학습 성과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적뿐만 아니라(AOL), 학습자의 연구를 지도하고(AFL) 학습에 기여한다(TEL)(Schuwirth 및 Van der Vleuten 2011).

Assessment will not only serve the purpose of determining whether the learner has achieved the required competencies and specifi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of learning) but will also guide the learner’s studies (assessment for learning) and contribute to their learning (test enhanced learning)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상대적으로 고립된 환경에서 작업하던 것에서 더 큰 협업으로 전환

A move from working in relative isolation to greater collaboration


협업은 미래 학교의 중요한 특징이 될 것이다.

Collaboration will b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school of the future–


의과대학에서, 교과과정의 다른 단계에 있는 교사들 사이의 협업은 단지 윈도우 드레싱 이상의 수평적, 수직적 통합과 함께 두드러지게 특징지어질 것이다.

In the medical school, collaboration between the teachers in the different phases of the curriculum will feature prominently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being more than just window dressing.


과거에 배우는 것은 종종 혼자 하는 연습이었다. 어느 정도 PBL과 같은 공동 작업이 이루어졌지만, 학생들은 주로 강의를 듣고 그들 스스로 메모를 하고 책이나 다른 보조 도구들을 가지고 공부했다. 높은 수준의 협업, 네트워킹과 피어 투 피어 교육을 가진 강력한 커뮤니티는 미래의 학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In the past learning has often been a solitary exercise. Students listen to a lecture and make their own notes and study with books or other aids on their own although to some extent collaboration occurr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High levels of collaboration, a strong community with networking and peer-to-peer teaching will have an important part to play in the school of the future.


협업은 국내외적으로 다른 기관들이 참여하는 의대를 넘어 확대될 것이다. 미래의 의과대학은 더 이상 self-sufficient하지 못할 것이며 independent하지 못할 것이다.

Collaboration will extend beyond the medical school involving other institution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will be less self-sufficient and independent.


이러한 분리를 통해 비용 절감과 동시에 품질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Gupta et al. 2005).

Such unbundling will allow cost savings and at the same time quality improvement (Gupta et al. 2005).


교육 전략, 학습 성과, 평가 및 재정에 대한 의사소통이 없거나 전혀 없는 상태에서 운영되는 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교육의 다른 단계와는 다른 움직임이 있을 것이다.

There will be a move away from the different phases of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education little operating in isolation with or no communication about educational strategies,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and finances.


고찰

Discussion


 (Table 1).



극복해야 할 장애물은 교수진의 저항, 시간을 포함한 자원의 부족, 학생들의 걱정 등이 있다. 학생들의 걱정은 특히 학업과 국가 기말고사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경우(우리가 바라던) 심화될 것이다. 그러나 현상유지는 선택사항이 아니다. 교사와 교육에 전념하는 다른 사람들은 변화가 일어나기를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미래 학교를 위한 흥미로운 비전을 만드는 과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Geurin (2017)이 지적한 바와 같이, "최고의 해결책은 손쉽지(microwave-friendly하지) 않다. 그들은 더 깊은 생각을 한다. 그들은 관점을 바꾸어서 온다. 현상황에 도전하는 고된 일을 하라. 더 깊은 질문을 던지고 새롭고 흥미로운 방법으로 세상을 바라보라."

Obstacles to be overcome will include 

  • faculty resistance, 

  • lack of resources including time and 

  • students’ concerns and apprehension 

...particularly if there is a mismatch (which we hope there will not be) between their studies and a national final exam if one exists. The status quo, however, is not an option. Teachers and others with a commitment to education should not just wait for change to happen. They should be part of the process of creating an exciting vision for their own school of the future. As noted by Geurin (2017) “the best solutions aren’t microwave friendly. They come through deeper thinking. They come by shifting perspective. Do the hard work of challenging the status quo. Ponder the deeper questions and look at the world in new and interesting ways.”




용어 사전

Glossary

  • 적응형 커리큘럼: 적응형 커리큘럼은 속도, 지속시간 및 학습 접근방식의 측면에서 개별 학생의 요구에 맞게 개인화된다.

  • 커리큘럼의 분해: 분해된 커리큘럼에서 학교는 프로그램을 고립된 상태에서 운영하지 않고, 다른 학교 교사, 교육 전문지식, 커리큘럼의 요소, 학습 자원, 평가와 공유한다.

  • Adaptive curriculum: An adaptive curriculum is personalized to the individual student’s needs in terms of pace, duration, and learning approaches.

  • Unbundling the curriculum: In an unbundled curriculum the school does not deliver its program in isolation but shares with other schools teachers, educational expertise, elements of the curriculum, learning resources, and assessments.





Brenner J, Bird J, Ginzburg SB, Kwiatkowski T, Papasodero V, Rennie W, Schlegel E, ten Cate O, Willey JM. 2018. Trusting early learners with critical professional activities through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ertification. Med Teach. 40:561–568. XXX


Harden RM, Lilley PM. 2018. 8 roles of the medical teacher. London (UK): Elsevier.


– Harden RM. 2018. Excellence in medical education Can it be assessed? TAPS. 3:1–5.





 2018 Oct;40(10):1010-1015. doi: 10.1080/0142159X.2018.1498613. Epub 2018 Oct 16.

Ten key features of the future medical school-not an impossible dream.

Author information

1
a AMEE ,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 Dundee , UK.

Abstract

Significant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are necessary if medical schools are to respond to the pressures from advances in medicine, changes in health care delivery, and patient and public expectations. This article describes 10 key features of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the move from the ivory tower to the real world, from just-in-case learning to just-in-time learning, from the basic science clinical divide to full integration, from undervalued teaching and the teacher to recognition of their importance, from the student as a client to the student as partner, from a mystery tour to a mapped journey, from standard uniform practice to an adaptive curriculum, from a failure to exploit learning technology to its effective and creative use, from assessment of learning to assessment for learning, and from working in isolation to greater collaboration. A move in the directions specified is necessary and possible. With some of the changes proposed already happening, it is not an impossible dream.

PMID:
 
30326759
 
DOI:
 
10.1080/0142159X.2018.1498613


학부 일차의료 교육과정을 위한 블루프린트(Acad Med, 2016)

Blueprint for an Undergraduate Primary Care Curriculum

Sara B. Fazio, MD, Monica Demasi, MD, Erin Farren, Susan Frankl, MD, Barbara Gottlieb, MD, MPH, Jessica Hoy, MD, Amanda Johnson, MD, MBA, Jill Kasper, MD, Patrick Lee, MD, Claire McCarthy, MD, Kathe Miller, MD,

Juliana Morris, MD, EdM, Kitty O’Hare, MD, Rachael Rosales, Leigh Simmons, MD, Benjamin Smith, MD, Katherine Treadway, MD, Kristen Goodell, MD, and Barbara Ogur, MD




1차 진료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보건 시스템의 초석이며,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질 향상과 진료 비용 절감에 대한 기여의 풍부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 궁극적으로, 기능성이 높은 1차 진료 관행은 의료 개선 연구소의 트리플 에이밍(Triple Aim)의 규약에 기초한다.1 이를 위해 최근에는 합병증 치료를 기다리기보다 질병 예방, 질 향상과 서비스 중복을 줄이기 위한 진료 조정 등으로 진료의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

Primary care is the cornerstone of efficient and effective health systems, with its emphasis on prevention and the abundant evidence of its contribution to improved quality and lower costs of care. Ultimately, high-functioning primary care practices are based on the tenets of the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s Triple Aim—

  • improving patients’ experience of care and 

  • (improving) the health of populations and 

  • reducing the per capita cost of health care.1 

To this end, the focus of care has shifted recently to preventing disease rather than waiting to treat complications, and on coordinating care to improve quality and decrease the duplication of services.


이러한 부족은 미국 MD-granting의 25% 미만과 DO-grant 의과대학 졸업생의 31%가 1차 진료에 들어갈 계획이기 때문에 단순히 의과대학의 입학을 확대해서 해결할 수 없다.4,5 게다가, GME 교육훈련이 현재의 1차 진료과정의 많은 측면에 임상의사를 적절하게 준비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hortage cannot simply be addressed by expanding enrollment in medical schools, as fewer than 25% of U.S. MD-granting and 31% of DO-granting medical school graduates plan to enter primary care.4,5 In addition, evidence suggests that graduate medical education training does not adequately prepare clinicians for many aspects of current primary care practice.6


1994년, 의학연구소는 1차 치료를 

"대부분의 개인 의료 요구를 해결하고, 환자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개발하며, 가족 및 공동체의 맥락에서 실천할 책임이 있는 의료인에 의한 통합적이고 접근 가능한 의료 서비스의 제공"이라고 정의했다. 

In 1994, the Institute of Medicine defined primary care as 

“the provision of integrated, accessible health care services by clinicians who are accountable for addressing a large majority of personal health care needs, developing a sustained partnership with patients, and practicing in the context of family and community.” 


1차 진료 의사가 아닌 의사들도 이 시스템에서 일차의료 의사의 중추적인 역할을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최적의 환자 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의료 의사와의 조정을 통해 자신의 진료 방식을 개혁해야 하는 중요성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9

Non-primary- care physicians will need to understand the pivotal role of generalists in this system,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reforming their own practices to better coordinate with primary care physicians for optimal patient management.9


일차의료 교육과정 개발 개요

Overview of Developing a Primary Care Curriculum


우리는 이 1차 진료 커리큘럼에 두 가지 주요 구성요소가 포함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 1차 진료의 기본 주제 세트와 

  • 든 의대생이 경험해야 하는 1차 진료 관행에서 가장 중요한 임상 조건 목록

We envisioned that this primary care curriculum would include two main components—

  • a set of themes fundamental to primary care and 

  • a list of the most important clinical conditions in primary care practice with which every medical student should have experience.


우리의 목표는 다른 기관들이 일반화할 수 있고 모든 학생들이 그들의 훈련에서 성취할 것으로 기대되어야 하는 일련의 능력을 알리는 그러한 커리큘럼의 핵심 요소들을 위한 "블루스카이" 템플릿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Our goal was to develop a “blue sky” template for the key components of such a curriculum that would be generalizable to other institutions and would inform a set of competencies that all students should be expected to attain in their training.


몇 가지 운영상의 특징은 1차 진료 커리큘럼에 있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첫째, 교육 초기에 시작되는 1차 진료 관행에 학생의 종적 통합을 포함해야 한다. 그것의 목적은

    • 기초과학 교육과정에 경험적 기반을 제공하고

    • 향상된 임상 기술 훈련 및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 학생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따라갈 수 있는 환자 패널을 만들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또한 1차 진료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이 환자의 질병 경험에 지속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4년간의 학부 의료 교육을 모두 거쳐야 한다. 

  • 마지막으로, 커리큘럼은 발달적으로 progressive해야하며, 학생들의 관심 수준을 목표로 해야 하며, 모든 학생에 대한 기초적 역량과 1차 진료 분야의 직업에 초점을 맞추려는 학생들을 위한 확장된 역량이 있어야 한다.

Several operational features emerged as critical for a primary care curriculum. 

  • First, it should include the longitudinal integration of students into primary care practices beginning early in their training, to provide experiential grounding to the basic science curriculum, allow for enhanced clinical skills training and assessment,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and enable students to build a panel of patients whom they can follow over time.18,24 

  • In addition, a primary care curriculum should span all four year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viding all students with ongoing involvement in their patients’ experiences of illness. 

  • Finally,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mentally progressive and targeted to students’ levels of interest, with foundational competencies for every student and expanded competencies for those intending to focus on a career in primary care.



일차의료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적 접근

Conceptual Approach to Developing a Primary Care Curriculum


팀의 각 구성원은 새로운 커리큘럼에서 다루어야 할 10가지 내용과 경험적 요소 목록을 작성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리고 나서 우리는 이 목록들을 격자 모양으로 정리했다.

Each member of the team was asked to create a list of 10 content and experiential elements that should be covered in the new curriculum. We then compiled these lists into a grid.



돌봄 관리

Care Management


1. 종단성

1. Longitudinality


일차 진료에 대한 의학연구소의 정의의 핵심은 제공자와 환자 사이의 시간에 따른 지속적인 관계의 개념이다.7 대부분의 의과대학은 학생들이 그들의 교육 초기에 환자와 상호작용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한 기회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 즉, 학생들은 기초과학을 임상기술에 더 잘 연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상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자기인식을 함양하며, 전문적 정체성의 개발을 양성하며, 보다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데이터 수집과 치료 에피소드의 관찰에 제한되는 단일 환자 상호 작용은 학생들에게 1차 치료의 핵심 종적 특성을 목격할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

Central to the Institute of Medicine’s definition of primary care is the concept of a sustained relationship over time between a provider and patient.7 Most medical schools off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nteract with patients early in their education. Such opportunities have clear benefits — students are better able to link the basic sciences to clinical medicine, which allows them to become more confident in their clinical skills, inculcates their self-awareness, nurtures their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is more satisfying.30,31 However, a single patient interaction, generally limited to data gathering and the observation of a care episode, does not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witness the core longitudinal nature of primary care.


주로 급성 치료 입원 환자에 대한 기회주의적인 만남보다 그들의 질병의 전 과정에 대한 환자에 대한 노출이 교육적인 관점에서 더 가치가 있다.32 학생들이 진단 추론 기술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질병이 최초로 시작되는 시점부터 전체 병기 에피소드까지 환자와 연관되어야 한다.33 이러한 종적 접촉은 학생들이 

      • 자신의 생활, 가족, 지역사회를 통괄하여 환자들을 알 수 있게 해주며, 

      • 상황적 요인을 병과 연관시키는 것을 이해하고, 

      • 효과적인 실천의 초석인 상호 신뢰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종방향 접촉은 

      • 학생들이 그들의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 전문적 추천과 협업의 과정을 감사하며, 

      • 시스템 격차를 목격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Exposure to patients over the full course of their illness is more valuable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than opportunistic encounters with primarily acute care inpatients.32 Students must be involved with patients from the time of their initial presentation through the entirety of their illness episode to foster diagnostic reasoning skills.33 Such longitudinal contact allows students 

      • to get to know patients in the full context of their lives, families, and communities 

      • to understand the relevance of contextual factors to illness34 and 

      • to develop mutually trusting relationships, which are a cornerstone of effective practice. 


Longitudinal contact also provides unique opportunities for students 

      •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skills,35 

      • to appreciate the process of specialty referral and collaboration, and 

      • to bear witness to systems gaps.


2. 일반성

2. Generalism


일반의는 구별되지 않은 질병과 가장 넓은 범위의 조건을 가진 환자를 돌볼 수 있으며, 그 환자를 가족 및 사회적 환경의 맥락에서 일관되게 볼 수 있다.36 1차 진료 의사는 진단을 완료하기 전에 모든 신체 시스템과 정신 건강 장애를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진단 병인론을 고려하는 지적 습관을 훈련 받는다. 이러한 기술은 의사들이 premature closure와 다른 진단적 함정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일반론자들은 불확실성으로 어느 정도의 편안함을 키워야 하며, 이는 의학의 실천에 있어서 결정적인 기술이다. 환자들을 평가할 때, 학생들은 의학 지식, 최선의 사용 가능한 증거, 그리고 각 환자의 특정한 요구에 어떤 도움이 될지를 이해하면서 각각의 만남에 접근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The generalist is able to care for patients with undifferentiated illnesses and the widest range of conditions and consistently sees the patient as a whole person and in the context of his or her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36 Primary care physicians are trained in the intellectual habit of considering all possible diagnostic etiologies, including all body systems and mental health disorders, before finalizing a diagnosis. These skills help physicians avoid premature closure and other diagnostic pitfalls. In addition, generalists must develop a certain degree of comfort with uncertainty, a crucial skill in the practice of medicine. When evaluating patients, students must learn to approach each encounter with a combination of medical knowledge, best available evidence, and an understanding of what will serve each patient’s particular needs.


3. 돌봄 관리의 중심적 책임

3. Central responsibility for managing care


1차 진료 의사는 환자 치료의 중앙 조정자로서 만성 질환을 관리하고 예방 진료를 식별하고 조정해야 하며, 많은 질병 에피소드뿐만 아니라 많은 질병 에피소드 전반에 걸쳐 관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며, 종종 급성 미분화 질병의 초기 평가자 역할을 하며 때로는 복잡한 관리를 전체 또는 전체에서 조정해야 한다. 학생들은 환자를 전문의에게 의뢰할 필요 없이 일반적인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지만 필요할 때 더 큰 의사 팀의 치료와 통합할 수도 있어야 한다.

As the central coordinator of a patient’s care, the primary care physician must manage chronic illness, identify and coordinate preventive care, and take responsibility for care across many disease episodes as well as over time, often serving as the initial evaluator of acute undifferentiated illness and sometimes coordinating complex care across organizations. Students should learn how to diagnose and provide treatment for common illnesses without having to refer the patient to a specialist but also be able to integrate their care with that of a larger team of physicians when necessary.



4. 치료적 동맹 및 의사소통

4. Therapeutic alliance/communication


좋은 의사소통 기술은 관계 구축, 병력 청취, 건강 교육, 행동 변화 동기 부여, 치료 계획의 준수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 모든 것이 의학의 실천에 핵심적이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기술은 일차 진료 환경에서 가장 잘 가르쳐진다. 일차 진료 주치의의 기본 역할은 환자 및 가족과 함께 의사 결정을 내릴 뿐만 아니라 치료 팀 전반에 걸쳐 의사 소통과 협업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 분야에서 숙달되어야 할 기술에는 공유된 의사결정 및 협상, 관계 구축, 효과적인 조직 구성 및 진료 수행에 있어서의 시간 관리가 포함된다.37,38 기밀 유지, 정보에 입각한 동의 획득 및 진실 규명을 포함한 일반적인 의료 윤리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또한 중요하다.

Good communication skills are crucial for relationship building, history taking, health education, motivating behavior change, and ensuring adherence to a treatment plan, all of which are key to the practice of medicine. Arguably, these skills are best taught in a primary care setting. A fundamental role of the primary care physician is to ensur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cross the care team, as well as shared decision making with the patient and family. Skills to be mastered in this area include shared decision making and negotiation, relationship building, effective organi- zation, and time management in deliver- ing care.37,38 A basic understanding of general medical ethics skills, including maintaining confidentiality, obtaining informed consent, and truth telling, is also important.


내용전문성의 구체적 영역

Specific Areas of Content Expertise


5. 급성 관리 접근법

5. Approach to acute care


급성 또는 긴급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1차 치료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1차 진료 의사는 흔히 새로운 문제가 있는 환자를 진찰하는 의사로서, 세심한 병력청취와 검사를 마친 후 환자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모든 진단 가능성을 점검해야 한다. 이 공통 업무는 의사가 진단 및 치료 계획을 결정하기 전에 가능한 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능숙해야 하며, 자원의 과다 사용을 피하기 위해 단계적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36 또한, 훌륭한 1차 진료 의사는 병에 걸리지 않은 환자들로부터 병가를 분류하여 적절한 속도와 개입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모든 전문분야에서와 같이 일부 급성요양 증상 및 질병은 1차 진료 환경에서 매우 흔하므로 모든 학생은 졸업 전에 이를 숙지해야 한다(이 증상 및 질병 목록은 부록 1 참조).39

The ability to provide acute or urgent care is an important skill in primary care. Primary care physicians are often the ones to see a patient with a new problem, and they must sort through all the diagnostic possibilities after completing a careful history and exam, using their knowledge of the patient. This common task requires that physicians are proficient in identifying the likely causes of illness prior to determining a diagnostic and treatment plan, and that they have the confidence to proceed in a stepwise fashion to avoid overuse of resources.36 In addition, a good primary care physician has the ability to triage sick from not-sick patient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pace and venue for intervention. As in all specialties, some acute care symptoms and diseases are so common in the primary care setting that all students should be familiar with them prior to graduation (see Appendix 1 for a list of these symptoms and diseases).39



6. 만성 관리 접근법

6. Approach to chronic care


만성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률의 50% 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질병의 50%를 차지하는 것이다.40 모든 학생들은 의대를 졸업할 때까지 공통의 만성 질환의 생리, 표현 및 표시 범위, 진단 및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내과, 가정의학과 소아과 국가 커리큘럼에서 도출한 26–28 우리는 어떤 건강상태가 일차 진료의 discipline에 필수적이며 외래환자 진단과 관리에 대한 조정된 지식이 다양한 환경에서 의사의 연습 능력에 중추적인지를 결정했다(부록 1 참조). 졸업 후 학생들은 이러한 각각의 조건의 치료에 대한 증거 기반 및/또는 합의 기반 목표를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Chronic disease is responsible for more than 50% of mortality worldwide, representing nearly 50%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40 All students must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hysiology, range of expression and present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mmon chronic illnesses by the time they graduate from medical school. Drawing from the national curricula in internal medicine, family medicine, and pediatrics,26–28 we determined which conditions are integral to the discipline of primary care and for which a coordinated knowledge about outpatient diagnosis and management is central to a physician’s ability to practice in a variety of settings (see Appendix 1). Upon graduation, students must be able to explicitly describe evidence-based and/or consensus-based goals for the treatment of each of these conditions.


만성 질환 커리큘럼의 많은 초점은 질병별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지만, 모든 졸업생들은 또한 만성 치료 모델의 강령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져야 한다. 만성 치료 모델은 만성 질환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반응적 모델에서 사전 예방적 모델로 전환한다.

While much of the focus of a chronic disease curriculum is on teaching disease-specific knowledge, all graduating students should also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tenets of the Chronic Care Model,40,41 which includes 

    • educating and supporting patients, 

    • improving provider expertise through decision support, 

    • creating care delivery that is planned and team based, 

    • using registry-based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of health care, and 

    • understanding the role of community support. 

The Chronic Care Model shifts the approach to chronic illness from a reactive model to one that is proactive.40


7. 웰니스와 예방

7. Wellness and prevention


학부 의대 커리큘럼은 모든 삶의 단계에서 환자의 건강 관리에 대한 예방적 접근법을 포함해야 한다.26,27 이것은 아동 발달에 대한 실무 지식에서 시작하여 (노인 환자의 요구까지) 개인의 일생에 걸쳐 적용되는 다른 예방 전략에 대한 이해로 계속된다. 학생들은 백신이 전염병 통제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이해하고 환자에게 백신의 사용에 대해 조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들은 암, 심장병, 유전적 장애와 같은 조건의 검사와 관련된 위험과 편익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42 학생들은 예방적 개입의 위험/편익 비율, 결과, 비용, 검사의 민감성과 특수성에 대해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강한 동기부여적 면담 기술과 라이프스타일 수정의 중요성에 대해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해야 한다.

An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curriculum should include preventative approaches to health care for patients at all stages of life.26,27 This begins with a working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continues with an understanding of other prevention strategies that are applicable throughout an individual’s life, including the needs of geriatric patient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role that vaccines play in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be able to advise patients on their use. They also should be well versed in the risks and benefits associated with screening for conditions such as cancer, heart disease, and genetic disorders.42 Students need to be able to effectively counsel patients on the risk/benefit ratios of preventative interventions, their effects on outcomes, costs,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test in a given population. Students must demonstrate strong motivational interviewing skills and the ability to effectively counsel patients on the importance of lifestyle modification.


8. 정신건강, 행동건강

8. Mental and behavioral health


미국 성인의 18% 이상이 정신 건강 진단을 받는다.43 이러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정신건강전문가가 아닌 1차 진료기관으로부터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의대생들은 가장 흔한 정신 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평가하는 방법과 외래환자 환경에서 그러한 조건들을 치료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학생들은 또한 우울증, 불안,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 주의력 결핍/초행동 장애에 대한 검증된 선별 도구에 익숙해야 하며 소아, 성인 및 노인 환자들에 대한 차등 프레젠테이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약물 사용 장애에 대한 환자들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담배, 알코올, 그리고 안약의 사용에 대한 치료 선택사항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 폭력 노출과 기타 불리한 생활 사건 및 정신적, 육체적 건강 결과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 때문에, 학생들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이러한 노출에 대해 검사하는 법을 배워야 하며 그러한 경험을 한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숙지해야 한다.

More than 18% of adults in the United States receive a mental health diagnosis.43 Most of these patients will receive treatment from a primary care provider rather than from a mental health specialist. Thus, medical students should learn how to evaluate patients with the most common mental illnesses as well as how to treat those conditions in the outpatient setting. Students also should be familiar with validated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anxiety,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understand differential presentations in pediatric, adult, and elderly patients. In addi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assess patients for substance use disorders and be aware of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use of tobacco, alcohol, and opiates. Because of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exposure to violence and other adverse life events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outcomes, students must learn to screen for these exposures at all stages of life and be familiar with the resources available for patients who have had such experiences.



보건의료시스템에서 일차의료의 핵심 역할 이해

Understanding the Key Role of Primary Care in the Health Care System


9. 시스템 개선

9. Systems improvement


품질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의료 제공 시스템을 혁신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환자 중심의 medical home은 우리 세대의 1차 진료 관행을 정의하는 모델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 의대생들은 환자 중심의 의료 가정 모델로 전환하거나 소규모로 향상된 기능을 구현하는 관행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44 따라서, 환자와 모집단의 결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일차 진료의 재설계를 목표로 보행 환경에서 품질 개선 방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In an effort to transform systems of health care delivery to increase quality and reduce costs, the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has become one of the defining primary care practice models of our generation. Current medical students likely will be exposed to practices either transitioning to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models or implementing smaller- scale enhancements.44 Thus, they must appreciate how quality improvement methodologies are applied in the ambulatory setting with the aim of redesigning primary care to optimize outcomes for patients and populations.


10. 전문직간 훈련

10. Interprofessional training


의료 제공의 복잡성, 정보의 양, 의료 제공자의 수와 유형에 따라,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환자 중심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기능 팀이 필수적이다. 직업간 교육의 모범 사례는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45,46 이러한 교육의 필요성을 해결하는 중요한 방법은 우리 학생들에게 다양한 환경에서 훈련생과 비-MD 보건 전문가를 배우고 함께 연습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47 학생들은 자신이 훈련 받는 문화의 특징을 받아들이기adopt하기 때문에, 훈련 초기부터, 그들의 학습 전반에 걸쳐 전문가간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Given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health care delivery, volume of information, and number and type of health care providers, high-functioning teams are essential for delivering efficient, high- quality, patient-centered care. Although best practices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have not yet been clearly defined,45,46 an important way to address this educational need is to provide our students with experiences that allow them to learn and work with both trainee and practicing non-MD health professionals in a variety of settings.47 Because students ado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n which they are trained,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terprofessional experiences throughout their learning, starting early on in training.


11. 인구집단 보건

11. Population health


Office 안팎에서 인구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입원 환자나 외래 환자 환경에서 개인의 관리와는 다른 일련의 기회와 도전을 제시한다. 인구 보건 실천요강의 핵심 요소에는 

    • 보건 시스템이 개인과 모집단의 건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지식, 

    • 충족되지 않는 인구 건강 필요를 식별하고 이니셔티브의 영향을 추적하는 방법에 대한 익숙함, 

    • 건강을 공동 생산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와 효과적으로 협력하는 기술 

등이 포함된다.48,49 인구집단의 보건과 의료전달의 원칙은 실제로 교육될 수 있지만, 경험을 통해 강화될 때 가장 내실화된다. 교육자가 이 패러다임에 통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역량 매핑 수단과 마찬가지로 인구 보건의 커리큘럼에 대해 잘 구성된 몇 가지 프레임워크가 존재한다.50–52

Managing the health of a population, both in and out of the office, presents a different set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n the care of individuals in an inpatient or outpatient setting. Key elements for population health practice include 

    • knowledge of how a health system contributes to the health of individuals and populations, 

    • familiarity with methods to identify unmet population health needs and to track the impact of initiatives, and 

    • skills to effectively engage and collaborate with stakeholders to coproduce health.48,49 

Principles of population health and health care delivery can be taught didactically, but they are best internalized when they are reinforced through experience. Several well-articulated frameworks exist for curricula in population health, as do the means for competency mapping, which educators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into this paradigm.50–52



의미있는 개혁을 위한 필요성

The Need for Meaningful Reform


모든 졸업하는 의대생들은 핵심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 하며, 그들은 훈련 단계에 적합한 정신적 단계로 학습을 정착시키는 경험적 프레임워크를 통해 그렇게 할 것이다.

The expectation is that all graduating medical students should acquire a core set of knowledge and skills and that they will do so through an experiential framework that will anchor their learning in develop mental phases appropriate to the stage of their training.


일부 사람들은 왜 이 모든 영역이 하위 전문가 또는 의사-과학자로서의 직업을 추구하는 학생들에게 학습이 요구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다.

Some might question why all of these domains should be required learning for a student who is pursuing a career as a subspecialist or physician–scientist.


그러나, 의학의 미래는 통합적 보건 시스템에서 연습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할 것이며, 일차 진료 의사는 이 구성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버윅과 핀켈슈타인56은 모든 의대생들에게 시스템 개선 기술을 가르쳐야 하며, 의료 교육은 환자 중심, 투명성 및 제한된 자원의 책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LCME는 모든 의과대학이 서비스 학습과 직업 간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유능한 의료 및 의료 불균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57

However, the future of medicine likely will require the ability to practice in an integrated health system, and the primary care physician plays a central role in this construct. Berwick and Finkelstein56 have argued that system improvement skills must be taught to all medical students and that medical education must focus on patient-centeredness, transparency, and stewardship of limited resources. In addition,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requires all medical schools to offer opportunities for service learning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s well as instruction in culturally competent care and health care disparities.57


임상 실습의 모든 분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4년 내내 진행되는 커리큘럼에서 혜택을 받을 것이며, 치료 관계와 같은 의사 치료, 다학제 팀에서의 작업,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심리적,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Students with an interest in any discipline of clinical practice will benefit from a curriculum that spans all four years and focuses on such core skills of doctoring a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orking in multidisciplinary teams; and understanding soci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factors to provide effective health care.


우리가 이 청사진에서 제안하는 많은 커리큘럼 요소들은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이 이 종적 임상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허용하는 동시에 교수진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집중적인 노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

A number of the curriculum elements we propose in this blueprint ultimately will require concurrent transformation in teaching practices to allow time and space for learners to take part in this longitudinal clinical experience, as well as a focused effort to foster faculty development.



52 Kaprielian VS, Silberberg M, McDonald MA, et al. Teaching population health: A competency map approach to education. Acad Med. 2013;88:626–637.


35 Lin SY, Schillinger E, Irby DM.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Engaging future doctors to transform health care delivery today. J Gen Intern Med. 2015;30:150–151.








 2016 Dec;91(12):1628-1637. doi: 10.1097/ACM.0000000000001302.

Blueprint for an Undergraduate Primary Care Curriculum.

Author information

1
S.B. Fazio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M. Demasi is instructor of population health (family medicine), Cambridge Health 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E. Farren is education program director, Center for Primary Car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S. Frankl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B. Gottlieb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J. Hoy is resident physici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 Johnson is resident physici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J. Kasper is instructor, Department of Pediatrics,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P. Le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mbridge Health 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C. McCarthy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Boston Childr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K. Miller is assistant professor of population medicine (family medicine), Cambridge Health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J. Morris is resident physician, Department of Family &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K. O'Har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Department of Pediatrics,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R. Rosales is a medical student,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L. Simmons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B. Smith is resident physician, Fort Collins Family Medicine Residency, Fort Collins, Colorado. K. Treadway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K. Goodell is director for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family medicine), Center for Primary Car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B. Ogur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mbridge Health Alliance,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bstract

In light of the increasing demand for primary care services and the changing scope of health ca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he principles of primary care are taught in medical school. While the majority of schools have increased students' exposure to primary care, they have not developed a standardized primary care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2013, the authors convened a group of educators from primary care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family medicine, and medicine-pediatrics, as well as five medical students to create a blueprint for a primary care curriculum that could be integrated into a longitudinal primary care experience spanning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delivered to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eventual career choice.The authors organized this blueprint into three domains: care management, specific areas of content expertise, and understanding the role of primary care in the health care system. Within each domain, they described specific curriculum content, including longitudinality, generalism, central responsibility for managing care, therapeutic alliance/communication, approach to acute and chronic care, wellness and prevention, mental and behavioral health, systems improvement, interprofessional training, and population health, as well as competencies that all medical students should attain by graduation.The proposed curriculum incorporates important core features of doctoring, which are often affirmed by all disciplines but owned by none. The authors argue that primary care educators are natural stewards of this curriculum content and can ensure that it complements and strengthens all aspect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MID:
 
27415445
 
DOI:
 
10.1097/ACM.0000000000001302


잠재교육과정 다시보기: 총괄평가가 학습에 주는 영향 연구의 비판적 고찰(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010)

The hidden curriculum revisited: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summative assessment on learning

Gordon Joughin*




도입

Introduction


종합평가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한다는 믿음은 고등교육계에 널리 퍼져 있고, 오래 지속되며, 깊이 자리잡고 있다.

The belief that summative assessment drives students’ learning is widespread, longstanding, and deeply held in higher education circles.


그러나, 이러한 믿음의 경험적 기초는 거의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으며, 그 토대가 된 연구는 자주 인용되지만 거의 상세하게 설명되거나 비판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However, the empirical basis of this belief is rarely articulated, with foundational research cited frequently but rarely elaborated upon or considered critically.


서로 6년 이내에 출판된 세 가지 고전 연구가 이 탐험의 핵심이다. 베커, 기어, 휴즈의 학년 만들기: 대학 생활의 학문적 측면(1968년), 스나이더의 숨겨진 커리큘럼(1971년), 밀러와 패릿의 up to the mark: 시험 게임 연구(1974년)이다.

Three classic studies, published within six years of each other, are at the heart of this exploration: Becker, Geer, and Hughes’ Making the grade: The academic side of college life (1968); Snyder’s The hidden curriculum (1971); and Miller and Parlett’s Up to the mark: A study of the examination game (1974).


세 개의 고전

The classic studies


위에서 언급한 세 작품은 출판된 이후 널리 인용되었으며, 그 중심 사상은 수많은 영향력 있는 책, 기사, 논문, 보고서 등에서 인정되어 왔다. 영국에서 출판된 고등교육의 평가에 관한 대부분의 핵심문헌은 이들 작품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한다.

The three works noted above have been widely cited since their respective publications, and their central ideas have been acknowledged in numerous influential books, articles, papers, and reports. Most key texts on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published in the UK make reference to one or more of these works.


적어도 35년이 지난 후에도 이 작품들은 여전히 자주 인용되고 있다.

After at least 35 years, these works continue to be cited as frequently as ever.


그들에게 자주 주어지는 의존성을 고려할 때, 우리가 이러한 작업이 평가와 학습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그들이 보고하는 연구의 특성, 그리고 그들의 발견을 현대적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Given the reliance that is frequently placed upon them,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hat we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these works have to say about assessment and learning, the nature of the studies they report, and the applicability of their findings to contemporary contexts.


Making the grade (1968)


The hidden curriculum (1971)


Up to the mark: A study of the examination game (1974)



위의 각 연구들은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Each of the above studies has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of student behaviour.


동시에, 위에서 언급한 이러한 연구의 수많은 한계들은 우리가 그들의 발견을 현대 학생들과 고등 교육 기관에 적용하는데 신중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At the same time, the numerous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noted above should make us cautious in applying their findings to contemporary students an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대학생들이 엘리트 집단이었던 시기에 모든 연구가 진행됐다.

● 두 연구(스나이더와 베커 외)는 우리가 현재 발견할 것으로 기대하는 학생 반응의 변화를 식별하지 못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동질 집단으로 취급한다.

● 연구 중 2개 전공(Miller and Parlett – Law; Snyder – Improganization)으로 제한되었다.

● 이 두 연구는 작은 학생 표본에 기초하였다. 

● 에든버러 연구의 관련 측면은 매우 구체적인 평가 유형 – 최종 검사에 초점을 맞췄다.


● All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t a time when university students were an elite group.

● Two of the studies (Snyder and Becker et al.) treat students as a homogeneous group, using methods that would not identify the sort of variation in student responses that we would now expect to find.

● Two of the studies were limited to one or two disciplines (Miller and Parlett – law; Snyder – science and engineering).

● These two studies were based on small student samples. 

● The relevant aspect of the Edinburgh study focused on a very specific type of assessment – the final examination.


이러한 연구들은 복제되지 않았고, 또한 복제되지도 않을 것이다: 그것들은 특정한 연구 패러다임에서 생겨났고, 현재 일반적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자원집약적이었으며, 그들의 발견은 몇 년간의 연구 끝에야 나타났다.

These studies have not been replicated, nor are they likely to be: they arose from a particular research paradigm, were more resource-intensive than is now normally possible, and their findings emerged only after several years’ work.


평가가 학습 접근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면, 서로 다른 형태의 평가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공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If assessment acts as a driving force of students’ study, it might be expected that different forms of assessment would affect study in different ways.


그 학생의 학습 접근방식은 학생들이 '객관적인' 시험과 에세이 형식의 시험을 위해 어떻게 공부했는지를 비교하는 초기 작업에 의해 정해졌다. 후속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접근방식이 그들이 수행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평가 과제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고 제안했다. 또한 이것이 학생들의 과제에 대한 다양한 인식에 의해 매개된다고 보고 있다.이러한 연구와 이와 유사한 연구와 관련하여 두 가지 심각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The tenor of the student approaches to learning studies was set by the early work comparing how students studied for ‘objective’ tests and essay-style tests. Subsequent studies suggested that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are influenced by the form of assessment task they are undertaking or preparing for, with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mediating function performed by students’ varying perceptions of the task. Two serious difficulties arise in relation to these and similar studies.


첫째로, 이러한 연구들 중 많은 것들이 그들의 맥락에 대한 중요한 세부사항을 제공하지 못한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일반적으로 고려 중인 평가 과제의 인지적 요구를 명시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특정한 평가 형식이나 그 형식과 관련된 인지적 요구 수준에 반응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객관식 시험 준비과정에서 표면적 접근법을 채택한다면, 그들은 시험할 내용이 사실을 묻는 것으로 예상하거나 시험 형식 자체가 표면 접근법을 장려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을 수 있다.

Firstly, many of these studies fail to provide important details of their context. Specifically, they typically fail to specify the cognitive demands of the assessment tasks under consideration. As a result, it is not possible to know if students are responding to a particular assessment format or to levels of cognitive demand associated with that format. For example, when students adopt a surface approach in preparing for a multiple-choice test, they may do so because they anticipate that the content being tested will be factual, or because the test format per se encourages a surface approach.


둘째로,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 접근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한 방향으로만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

Secondly, to the extent that assessment may influence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it may do so in one direction only.


학문에 대한 깊은 접근을 유도하려는 시도는 반대되는 결과를 낳았다.

attempts to induce deep approaches to learning had the opposite result


표면적인 접근을 유도하고 텍스트를 그저 재생산하는 태도를 취하는 경향을 강화하는 것이 쉽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깊은 접근을 유도하려고 할 때, 그 어려움은 상당히 깊은 것처럼 보인다. (53)

It is obviously quite easy to induce a surface approach and enhance the tendency to take a reproductive attitude when learning from texts. However, when attempting to induce a deep approach the difficulties seem quite profound. (53)


이러한 발견은 램스덴(1997년)과 해기스(2003년)가 강력하게 지지하여 '학습 접근에 대한 평가의 영향은 [더 적절한 평가 형태가 학습에 대한 깊은 접근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부적절한 평가 형태가 표면적 접근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라는 결론에 이른다(Joughin 2009, 22년). 확실히 평가는 그 자체로 학생 학습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견해는 현재 이용 가능한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This finding is strongly endorsed by Ramsden (1997) and Haggis (2003),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approaches to learning may not be that more appropriate forms of assessment can induce a deep approach to learning, but rather that inappropriate forms of assessment can induce a surface approach’ (Joughin 2009, 22). Certainly the view that assessment, on its own,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learning is not supported by the evidence currently available.


새로운 연구 주제

A new research agenda


아마도 그러한 연구의 가장 근본적인 질문은 '숨겨진 교과과정'이라는 개념이 여전히 적용되는가 하는 것이다.

Perhaps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for such research is whether the very notion of ‘the hidden curriculum’ still applies.


학생들에게 공식적으로 요구되는 것과 교사들이 그들의 학생들에게서 실제로 원하는 것 사이의 상당한 차이가 있다. 더욱이 공식적인 요구가 평가 과제의 개요와 서술이 아무리 상세하고 세심하게 표현된다 하더라도, 오직 그 기대 중 일부만이 명확히 전달될 것이다; 그 기대는 학생마다, 그리고 선생마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

students experienced a significant gap between formal statements of requirements and what teachers actually wanted from their students. Moreover, formal statements in course outlines and descriptions of assessment tasks, however detailed and carefully expressed, will only partly communicate clear expectations; they are likely to be perceived in different ways not only by different students but also by different teachers.


히긴스, 하틀리, 스켈튼(2002년)은 베커 외 연구소의 현대 대학 적용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는 드물다.

Higgins, Hartley, and Skelton (2002) are rare in their questioning of the applicability of Becker et al.’s work to contemporary universities,


'하지만 영국이라는 맥락에서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이것이 사실일까?'(59) 

‘But is this true for today’s students in the context of the UK?’ (59). 


마찬가지로 알려지지 않은 것은 이전의 학생들보다 더 복잡한 사회 경제적 삶을 살고 있는 현대 학생들이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의 캔자스 주 사촌들과 마찬가지로 가능한 한 높은 학점을 얻고자 하는 열망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지 여부다.

Equally unknown is whether contemporary students, with more complex social and economic lives than their earlier counterparts, are as dominated by the desire to achieve the highest grades possible as were their Kansas cousins in the 1950s and early 1960s.




The hidden curriculum revisited: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summative assessment on learning

Gordon Joughin*

Academic Development Unit, University of Wollongong, Wollongong, Northfields Avenue, NSW 2522, Australia


That summative assessment drives learn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frequently stated maxims in the literature of assessment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owever, a careful 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often cited in support of this proposition may cause us to reconsider its veracity and to seek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findings. Seminal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as reviewed on the basis of its context, research methods used, sampling, reported findings, and the generalisability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the treatment of the research reported in frequently cited works such as Making the grade, The hidden curriculum, and Up to the mark has often oversimplified, and thus misrepresented, the research findings, leading to singular interpretations of complex, multi-faceted phenomena. Other research suggesting limitations to the capacity of assessment per se to improve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is often misunderstood or under-emphasised, leading to the risk of exaggerated claims for the capacity of ‘alternative’ forms of assessment to foster effective learning processes i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view lead to a proposed agenda for empirical research to address what seem to be serious gaps in our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aspect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assessment and learning. 


Keywords: hidden curriculum; approaches to learning; critical review; assessment and learning; cue-consciousness

신념-기반 의학교육(Adv in Health Sci Educ, 2016)

Faith-based medical education

Cynthia R. Whitehead1,2,3,4 • Ayelet Kuper1,5,6



그러나, [기관에서 인가한 교육적 실천]에 대해 공개적으로 질문을 던지는 것에 영향을 주는 권력 역학을 명시적으로 밝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Rarely, however, do we explicitly articulate power dynamics that affect people’s ability to openly question institutionally-sanctioned educational practices.


우리는 개념적으로나 방법적으로 우리 분야의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박사학위를 받은 동료 몇 명을 초청하여 몇몇 세션을 가르치게 했다.

We invited several of our PhD-trained colleagues whose work spans the breadth of our field conceptually and methodologically to guest teach some sessions.




가르치는 동안, 우리는 우리의 초청 강사들 중 어느 누구도 CBME의 광범위한 채택을 뒷받침하는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들 중 어느 누구도 CBME의 실행이 과학적으로 필요하다고 시사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것은 대부분 검증되지 않고 잠재적으로 근거가 없는 추측에 기반한 전략으로 간주되었다.

While teaching our course, we noted with astonishment that none of our guest lecturers identified convincing data to support the widespread adoption of CBME. Not one of them suggested that CBME implementation was scientifically necessary; instead, it seemed to us that most considered it to be a strategy underpinned by untested and potentially unfounded assumptions.


우리는 전국에 있는 박사과정 연구원들의 미팅과 컨퍼런스에서 정중하지만 거리를 두고싶어하는 말들을 듣기 시작했다. '나는 학교에서 CBME를 도와야 한다. 나는 그것이 우리 학교에서 우선 과제라고 들었다. 나는 여전히 왜 그런지 모르겠다.' 개인적으로, 그와 같은 많은 동료들은 그들의 경멸을 느끼고 있었다.

We started to hear polite but distancing phrases at meetings and conferences from PhD researchers across the country—phrases like ‘I’m supposed to be helping with CBME at [my school], I’m told it’s an institutional priority, I’m still not sure why.’ In private, many such colleagues were more forceful in their disdain.


우리는 우리만 CBME에 대해 우려를 갖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조용했지만, 캐나다와 국제적으로 의료전문 교육 연구 분야의 많은 박사 과정 동료들도 같은 방식으로 생각했다. 의학교육을 하는 박사들 사이에는 CBME의 실행이 [캐나다와 빠르게 뒤따르고 있는 다른 나라들에서] 거대하고 비싸고 엄청나게 시간을 많이 소요하면서까지 진행되는 것을 뒷받침하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거의 없다는 것에 대한 무언의 공감대가 있는 듯 하다. 하지만, 많은 캐나다 동료들에게, 거리낌 없이 말하는 것은 어렵다. 결국, 그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이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CBME를 구현해야 하는 바로 그 Deans, Chair, Program Directors 및 다른 사람들에 의해 월급을 받기 때문이다

We came to realize that we were not alone in our concerns about CBME. Quietly, many of our PhD colleagues across the spectrum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in Canada and internationally, felt the same way. There appears to be an unspoken consensus among medical education PhDs that there is little compelling evidence underpinning the massive, expensive, immensely time-consuming exercise that CBME implementation is becoming in Canada, and in other countries that are rapidly following suit. However, for many of our Canadian colleagues, it is difficult to speak out. After all, they are being paid by the very Deans, Chairs, ProgramDirectors and others who need to implement CBME in order for their programs to maintain accreditation (and who are understandably much less interested in theoretical arguments about the state of evidence than in the practical program issues for which they are accountable to their accreditors).


임상의사 교육자들 사이의 공통된 후회는 재정적으로 제약을 받는 시기에도 CBME가 요구하는 추가 작업과 자원이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것은 인증 주기가 다가오면서 "이렇게 하거나 아니면 죽거나"는 포고와 함께, 윗선에서 오는 강요의 느낌이다. 많은 교육자들은 CBME를 시행하는 업무를 담당했는데, 그들의 일이 커리큘럼을 구현하는 것과 교사의 buy in을 얻는 것일 때, 그들은 당연히 시위를 할 수 있는 힘은 제한된다고 느낀다. 많은 교육 행정가들은 마찬가지로 조용히 CBME의 효용과 실용성에 대한 우려를 인정하지만, 그들의 프로그램이 인증 표준을 성공적으로 충족시키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CBME 기차는 굴러간다.

A common refrain amongst clinician educators is concern about the additional work and resources required by CBME in a time of fiscal restraint. Another is a sense of imposition fromon high, with a decree to ‘‘do or die’’ as accreditation cycles whirl forward. Many educators tasked with implementing CBME understandably feel they have limited power to protest, when their job is to get curriculum roll-out and teacher buy-in. Many educational administrators similarly quietly admit concerns about both the utility and the practicality of CBME, yet must ensure their programmes successfully meet accreditation standards. And so the CBME train rolls on.


MD-PhD로서 우리는 임상을 통해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우리나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의학교육 연구원자의 대다수는 종신 재직권이 없으며, clinician paymasters의 지속적인 호의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여러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다(예: H.1937년, Fuchs 1963년; Brown and Kurland 1990년;Be'rube와 Ruth 2016; Albert 2004; Albert et al. 2007) 의학 교육에서 그들은 진솔하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된다.

As MD– PhD’s we have financial security through our clinical practices; the majority of PhD-trained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 our country are not tenured, and so are dependent on the continuing goodwill of their clinician paymasters—which, as we know from the large literature on payment arrangements, tenure, and freedom in the academy (e.g. Hepburn 1937; Fuchs 1963; Brown and Kurland 1990;Be´rube´ and Ruth 2016; in medical education, Albert 2004; Albert et al. 2007), limits their ability to speak their minds.


우리의 임상 수련 외에도 졸업후 교육에 수 년 동안 몸담아온 우리는 훌륭한 교육자 및 교사 동료들 이상의 교육연구 기술을 습득했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적 가정assumption을 조사하는데 필요한 전문성expertise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Having spent years doing graduate training in addition our clinical training provides us with education research skills beyond that of many of our excellent educator and teacher colleagues. We thus also have the advantage of expertise in interrogating educational assumptions.


우리의 구조적 특권은 이제 우리가 분명하고 강력하게 말할 것을 요구한다. 너무 오랫동안 CBME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없고, 명백한 이론적 허점이 있는 추측적 개념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은 채로, 대중화를 지향하는 소규모 그룹의 규제와 행정 능력에 기초하여 전파되도록 허용되어 왔다. CBME는 증거 기반 의료 교육도, 심지어 연구 정보에 입각한 의료 교육도 아닌 것 같다. 그것은 그 자체의 막을 수 없는 진실과 승인된 고등 사제들로 가득 찬 믿음 기반의 의학 교육FBME이다. FBME의 리더들은 우리가 특정한 방식으로 우리의 교육 관행을 실천하도록 결정했으며, 그렇게 되어왔다.

Our structural privilege requires us to speak out clearly and forcefully now. For too long CBME has been allowed to propagate based on the regulatory and administrative power of a small group who popularized it without acknowledging that it is a speculative concept without evidentiary support and with obvious theoretical holes. CBME appears not to be evidence-based medical education, nor even research-informed medical education—it is faith-based medical education (FBME), replete with its own unopposable truths and its authorized high priests. Leaders of FBME have decreed that we will now conduct our educational practices in a certain way, and so it will be.


지역적 차원에서는, 일부 임상의와 교육 행정가들은 그러한 믿음으로 개종하였고, 다른 이들은 실용적인 차원에서 CBME라는 요구를 필요악으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CBME의 사상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결과는 이단으로 자리잡았으며, 의학교육분야의 과학자들은 [입증되지 않은 FBME의 주장] 중 어떤 것이 진실이고 타당한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 질문을 할 동기를 제한받고 있다.

At the local level, some clinician-educato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have been converted to the faith, while others have pragmatically taken on its requirements as a necessary evil. And since research findings that question CBME’s tenets are positioned as heresy, there is limited incentive for scientists in our field to ask the kinds of research questions that could provide answers as to which of FBME’s unproven truth claims might be sound,


어떤 교육 계획도 과학적 연구를 포기할 만큼 신성하게 여겨져서는 안 된다. 그래서 우리는 선포한다. 임금님은 벌거숭이다. CBME는 FBME이다. CBME는 증거가 부족하고, 얕은 움직이는 모래 위에 기초를 두고 있다. 우리 분야는 이 말을 들을까? 우리는 숨을 죽이고 기다린다.

No education initiative should be considered so sacred as to forego scientific inquiry. So we proclaim: The Emperor has no clothes. CBME is FBME, lacking evidence and founded on shallow shifting sands. Will our field listen? We wait with bated breath.





 2017 Mar;22(1):1-3. doi: 10.1007/s10459-016-9748-8. Epub 2016 Dec 30.

Faith-based medical education.

Whitehead CR1,2,3,4Kuper A5,6,7.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2
Women's College Hospital,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3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4
BMO Financial Group Chair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Canada. cynthia.whitehead@utoronto.ca.
5
Wilson Centre for Research in Education, Toronto, Canada.
6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Sunnybrook Health Sciences Centre, Toronto, Canada.
7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PMID:
 
28039589
 
DOI:
 
10.1007/s10459-016-9748-8


맥락이라는 암흑물질의 매핑: 개념 범위 고찰(Med Educ, 2016)

Mapping the dark matter of context: a conceptual scoping review

Joanna Bates1 & Rachel H Ellaway




도입

INTRODUCTION


우리 우주의 많은 부분이 우리가 만지거나 측정하거나 볼 수 없는 '암흑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It has been argued that much of our universe is made up of ‘dark matter’, something that we cannot touch, measure or see.




암흑 물질과 마찬가지로, 의학 교육에서 맥락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대체로 보이지 않으며, 맥락의 영향을 받은 우리의 프로그램, 우리의 교육, 우리의 학생과 trainee의 학습과 궁극적 실천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듀이가 말했듯이 '...우리는 맥락의 역할을 명확히 인식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가 하는 모든 말이 맥락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맥락은 우리가 말하고 듣는 것의 중요성을 형성한다.'

Like dark matter, the contexts for medical education are largely invisible to those embedded in them, and become visible only through investigation of their profound influence on our programmes, our teaching, and our students’ and trainees’ learning and eventual practice. As Dewey observed: ‘...we are not explicitly aware of the role of context just because our every utterance is so saturated with it that it forms the significance of what we say and hear.’2


맥락은 의학 교육 분야에서 너무나 본질적인 어떤 것이며, 따라서 맥락은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남아 있다.

For something that is so intrinsic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context remains an elusive concept,


이것은 "무문화의 문화"라는 테일러의 작품과 유사하다. 여기서 그는 공유된 로컬 문화는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는 진실"을 대표하는 것으로, 사회적으로 구성되기보다는 본질적인intrinsic 것이라고 했다.

This parallels Taylor’s work on ‘cultures of no culture’,3 in which shared local culture is seen as representing ‘timeless truths’, something intrinsic rather than socially constructed.


배경

Background


맥락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Contex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맥락이 더 중요하게 된 몇 가지 핵심 요소: 

  • 교육 맥락의 확장과 다양화, 

  • 의학교육연구 내에서 맥락을 중요시하는 사회 과학적 방법의 사용 증가(예: 현실주의 및 활동 이론에 기초한 방법), 

  • 역량 기반 학습 및 평가에 대한 무-맥락적 접근법의 광범위한 사용.

several key factors: 

  • the widespread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ntexts; 

  • the growing use of context-critical social science methods with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uch as those based on realist and activity theories), and 

  • the widespread and pervasive use of acontextual approaches to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비교적 최근까지, 의학교육은 거의 독점적으로 제 3의 '교육' 병원에서 이루어졌다.

Until relatively recently, medical education took place almost exclusively in tertiary ‘teaching’ hospitals.


그러나 보다 최근에, 학생 수의 증가와 의대 사회 의무에 대한 집중력의 이동으로 인해 의료 의학교육 프로그램은 분산, 원격, 시골, 전문가 및 외래 환경(최소한 캐나다, 미국, 영국 및 호주)을 포함한 새로운 맥락으로 확대되었다.10

More recently, growing student numbers and a shifting focus on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schools has led to an expans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nto new contexts, including distributed, remote, rural, interprofessional and ambulatory settings (at least in Canada, the USA, the UK and Australia).10


국제보건 일렉티브 및 봉사학습장소와 같은 유사한 발전이 있다. 실제로, 의학교육의 setting이 이보다 더 다양해진 적은 없었다고 주장되어 왔다.15

There are similar developments such as global health electives and service learning placements. Indee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settings for medical education have never been more diverse.15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공통된 특성(예: 공유된 핵심 커리큘럼)을 가질 수 있으며, 인증 기준은 교육장소 간(최소한 기회 및 프로세스 측면에서) 다양성을 최소화 할 것을 요구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훈련 환경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비공식적 학습을 제공하며, 이는 결국 서로 다른 사회화 프로세스 및 학습경험으로 이어진다18

Although distributed programmes may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a shared core curriculum) and accreditation standards may require minimal diversity between sites (at least in terms of opportunity and process),16 different training settings intrinsically afford distinct kinds of informal learning,17 which leads to different socialisation processes and learning experiences.18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맥락에서 교육을 주고받는 훈련생과 트레이너 모두 측정가능한 정도로 동일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은 질적으로 달라질 것이며, 그들이 참여하는 교육 활동도 그러할 것이다 .21,22

As a result, both trainees and trainers in different contexts may be measurably the same but they become qualitatively different over time,19,20 as do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which they engage.21,22


학습 환경의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역량은 움직이는 과녁'이 됨을 의미한다..24 실제로 '역량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개인의 능력과 실제 세계의 특정 상황에서 수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사이의 관계를 반영한다.'.25 과거에 맥락은 역량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가 아니었다. 의대생들은 비슷한 환경에서 배웠기 때문이다.

The increasing diversity of learning environments means that ‘competence is a moving target’.24 Indeed, ‘competence is contextual,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s abilities and the tasks he or she is required to perform in a particular situation in the real world’.25 Context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in competency as long as most medical students learned in similar settings.


방법

METHODS


개념적 매핑의 목적: '컨텍스트'라는 용어가 '무엇 문학에서, 누구에 의해, 어떤 목적을 위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31 우리는 다음과 같이 물었다: 의학교육에서 '컨텍스트'라는 용어를 어떻게 사용했으며, 이러한 용도에 어떤 맥락의 개념화가 내재되어 있는가?

the purpose of conceptual mapping: that is, to establish how the term ‘context’ has been used ‘in what literature, by whom and for what purpose’.31 We asked: How has medical education used the term ‘context’, and what conceptualisation of context is inherent in such uses?


우리의 마지막 분석틀은 의료 교육자들이 더 다루기 쉽게 만들 수 있도록 거대한 다양한 맥락들을 표현하는 방법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리는 의료 교육 맥락의 분류 체계적 유형을 만드는 것에 기반한 접근방법을 탐구한 후 거부했는데, 그 이유는 주로 우리는 다른 유형의 컨텍스트 내에서 더 많은 (더 많은) 문맥과 세분화를 항상 생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환원주의적인 접근보다는) 더 구성주의적 접근을 찾았고, 이것이 패턴 기술의 사용을 이끌었다.

Our final frame of analysis focused on finding a way of representing the huge variations of context to make them more tractable to medical educators. We explored and then rejected an approach based on creating a taxonomic typology of contexts of medical education, principally because we were always able to think of more (and more) contexts and subdivisions within different types of context. We therefore looked for a more constructionist (rather than a reductionist) approach, which led us to the use of pattern techniques.22,34,35 


패턴은 우리 주변의 세상에서 우리가 인지하는 규칙성이나 요소의 집합이다. 패턴이 실현되기 위해서 모든 것이 존재할 필요는 없다. 패턴 기반 표현은 요소 및 패턴(면)의 유동적 조합이 새로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생성된다. 따라서 패턴 기반 모델은 복잡성과 급변하는 분산을 더 잘 처리하는 동시에, 일정 수준의 단순성parsimony을 유지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상호연결 패턴은 광범위한 상황 및 실체를 나타낼 수 있다.)22

Patterns are clusters of regularities or elements we perceive in the world around us, not all of which need to be present for a pattern to be realised. Pattern-based representations are generative as they allow for the fluid combination of elements and patterns (as facets) to create new patterns. Pattern-based models are therefore better able to deal with complexity and emergent variance, while retaining a degree of parsimony (a relatively small set of interconnected patterns can represent a wide range of situations and entities).22


결과

RESULTS


맥락이란 무엇인가

What context ‘is’


접근법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맥락의 단일 정의에 도달할 수 없었지만, '맥락'이 개념화되는 방법에 대한 네 가지 넓은 영역을 식별할 수 있었다. 

    • 리적 장소나 컨테이너로서, 

    • 특정 장소에서 수행되거나 경험된 것으로서, 

    • 참여자들이 맥락으로부터 수용하는 것으로서, 그리고 

    • (치, 참여 그리고 정체성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광범위한 문화적 영향으로서 

Given the diversity of approaches taken, we were not able to arrive at a single definition of context, but we were able to identify four broad areas of how ‘context’ was conceptualised: 

    • as a physical location or container; 

    • as that which is done or experienced in a particular location; 

    • as that which participants bring to bear there, and 

    • as the broader cultural influences that flow from the interactions of location, participation and identity.


Table 1.


의학교육 외부의 핵심 문헌들

some of the key texts from outside medical education,

    • Duranti and Goodwin defined context (from the point of view of linguistics) as a ‘focal event’ embedded in its cultural setting with four dimensions: 

      • a setting for a ‘focal event’ (a social, spatial and temporal framework); 

      • the actions and activities that shape the focal event; 

      • the representations of the focal event (in language, symbols), and 

      •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ose who act within it.41

    • Context was also a key concept in the social sciences literature. For instance, Tolman contrasted the ways in which activity theory and ‘contextualism’ ‘yield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one of underlying processual dynamics, the other of external correlations among variables’,42

    • Cole et al. observed that contexts are ‘mutually constituted, constantly shifting situation definitions that are accomplished through the interactional work of the participants’.43

우리는 [주변 환경으로서의 맥락(양파 층과 같은)]과 [공동으로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역동적으로 창조된 것으로서 맥락] 사이에 반복되는 대조를 발견했다.

We found a recurring theme of contrasts between context as a surrounding (like the layers of an onion) and context as something dynamically created through share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비록 우리가 비슷한 많은 매력적인 관점에 직면했지만, 궁극적으로 우리는 그들의 관찰에 있어서 듀란티와 굿윈의 의견에 동의할 수 밖에 없었다. '지금으로서는 문맥에 대한 단일적이고 정확한 기술적 정의를 내리는 것이 불가능해 보인다. 그리고 결국 우리는 그러한 정의가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41

Although we encountered many similarly fascinating perspectives, ultimately we were forced to agree with Duranti and Goodwin in their observation that: ‘...it does not seem possible at the present time to give a single, precise, technical definition of context, and eventually we might have to accept that such a definition may not be possible’.41


어떻게 맥락이 작동하는가

How context works


우리는 맥락-기전-성과라는 triad가 유용함을 발견했다.

We found the context–mechanism–outcome triad from realist inquiry45 useful


맥락으로서 맥락

Context as context


맥락으로서의 컨텍스트 또는, 반복을 피하자면, 맥락을 상대적으로 수동적으로 탐색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Context as context or, to avoid recursion, context as coincidence, applies to instances in which context was explored relatively passively,


이러한 생각은 [교육의 성과는 학생들이 어디에 배치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는(또는 그것을 보일 수 있는) 여러 위치에서 실행되는 의학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다. 이는, 맥락적 영향이 없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프로그램 결과 또는 역량 이정표와 같이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사항에 대해서만, 서로 다른 맥락 간에 동등함(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에 대한 가정(또는 입증될 증거가 있음)이 있다는 것이다.

This thinking might be reflected in a medical education programme running in multiple locations where it is assumed (or can be shown) that education outcomes do not depend on where students were placed. This is not to say that there was no contextual influence, but only that, at least for those thing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such as programme outcomes or competency milestones), there was an assumption of (or there was evidence to demonstrate) equivalence o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contexts.


기전으로서 맥락

Context as mechanism


메커니즘으로서의 맥락은 특정 맥락과의 상호작용이 교육 성과를 직접적으로 촉진하거나 형성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Context as mechanism applies to instances in which interactions with a particular context directly facilitated or shaped education outcomes.


이러한 측면에서 생각하면,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맥락이 의도적으로 특정 결과를 산출하는 것]과 [성과가 의도치 않게, 우연으로, 우발적으로 또는 예기치 않게,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형성되는 것].

Thinking in this regard fell into two areas: one in which context was purposefully engaged to afford particular outcomes, and another in which outcomes were unintentionally, serendipitously or unexpectedly influenced or shaped by context.


학습의 종류에 따라, 학습은 다른 수준의 맥락 의존성을 가지고 있었다.

different kinds of learning had different levels of contextual dependency.



    • 모든 종류의 학습에 특정한 맥락이 필요한 것 같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교육 연구소의 part-task trainer에서 배운 기술은 임상 실습으로 변환할 수 있다. 게다가, 많은 의사들이 정기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기관이나 심지어 나라 사이를 옮겨가고 있으며, 메데킨스의 산스 프론티어 같은 유명한 계획들은 이런 종류의 적응성에 의존한다. 특정 지식이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가 특정 상황에서 배워야 한다는 주장은 상당한 저항을 받았으며, 지식과 기술의 신뢰할 수 있는 평가에는 종종 여러 상황에 걸친 관찰이 수반된다. 넓은 의미에서, 지식과 기술의 발달은 문맥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일 것이다.

    • Particular contexts did not seem necessary for all kinds of learning. For example, skills learned on part-task trainers in a teaching laboratory can translate to clinical practice. Moreover, many doctors regularly and successfully move between institutions or even countries, and high-profile initiatives such as Medecins sans Frontieres depend on this kind of adaptability. Claims that learners need to learn in particular contexts in order to develop particular knowledge or skills have been robustly challenged,46,47 and reliable assessments of knowledge and skills often involve observation across multiple contexts.48 In broad terms,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skills would seem to have relatively low levels of contextual dependence.


    • 맥락은 [전문적인 행동의 발달]과, [특정한 도전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구별하고 선택하는 능력]에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였다. 맥락은 토착민이나, 사회적으로 소외된 소수민족과 함께 일할 때와 같이, 맥락은 학습에 심리사회적, 문화적, 도덕적 차원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다맥락에 대한 이러한 의존은 또한 학습자가 점점 더 정교한 상황적 분별을 통해 발전하는 전문지식의 Dreyfus와 Dreyfus 모델에 반영된다.

    • Context seemed to play a larger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behaviours and the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and select appropriate responses to particular challenges. Contexts acted as mechanisms by providing psychosocial, cultural and moral dimensions to learning, such as when working with indigenous peoples or with socially excluded minorities.49 This dependence on context is also reflected in the Dreyfus and Dreyfus model of expertise in which the learner develops through increasingly sophisticated contextual discrimination.50



맥락은 학습자의 태도, 신념,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히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보였다. 예를 들어, 도시 및 3차병원이라는 맥락은 시골 및 원격 환경의 것과 매우 다른 의료행위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각각의 장소에서 제공되는 학습의 종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점에서, 맥락의 영향은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보다는 학습자의 태도와 가치에 따라 행동하는 상대적으로 diffuse and immersive한 것이었다.

    • Context seemed to be a particularly important mechanism for influencing learner attitudes, beliefs and identities. For instance, urban and tertiary contexts tended to reflect scopes of physician practic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 rural and remote contexts, which had implications for the kinds of learning each afforded.51 The influence of context from this perspective was relatively diffuse and immersive, acting on learner attitudes and values rather than on the acquisition of particular knowledge or skills.49 

이러한 것의 사례로는 특정한 종류의 상황에서의 훈련이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또는 실제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프로그램 52 또는 다른 문화에 대한 그들의 태도를 포함했다.53 또 과학 교육에서는, 맥락을 사용하여 화학을 더 몰입하게 하고, 학습을 더 일관되고 적절하게 만들고, 다른 학습과 지식과 더 명확하게 연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연구를 위한 더 매력적인 과목으로 만드는 상황을 언급하였다.54 그러나 특정 훈련 환경의 영향이 특별히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55

    • Examples of this included programmes in which training in particular kinds of context were expected to (or actually did) influence students’ career choices52 or their attitudes towards different cultures.53 Another example, this time from science education, referred to instances in which context was used to make chemistry more engaging in the moment and a more attractive subject for further studies by affording opportunities for making learning more coherent and relevant, and more explicitly linked to other learning and knowledge.54 However, there is also evidence that the impact of particular training contexts may not be particularly longlasting.55


Table 2.


맥락에 대해 생각하는 메커니즘의 다른 넓은 영역은 맥락이 의도치않게 학습 성과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의학교육의 비공식적 또는 경험한received 커리큘럼의 일부로 개념화되었다,56,

The other broad area of context as mechanism concerned that in which thinking about context focused on how it unintentionally altered learning outcomes. This thinking conceptualised context as part of the informal or received curricula of medical education,56,57


따라서 우리는 의학교육 시스템에 의도적이고 의도하지 않은 맥락적 영향에 대해 명확히 해야 한다. 특히 의도하지 않은 맥락적 영향들은 기대했던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63  또한 (표 2에서 설명한 것처럼) 의도하지 않은 상황별 메커니즘도 의도적으로 사용된 맥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We should therefore be clear about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ontextual impacts on and in medical education systems, and particularly about the latter as unintentional contextual influences can disrupt anticipated student learning.63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unintended contextual mechanisms seemed to act in essentially the same ways as intentional uses of context (as set out in Table 2).


성과로서의 맥락

Context as outcome


결과로서의 맥락은 의학교육의 결과가 교육성과에 부가적으로, 이후 발생한 상황(또는 그와 유사한 상황)의 변화에 집중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여기서 성과란 건강 평등과 같은 사회적, 정치적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경향이 있다.

Context as outcome applies to instances in which the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 are focused on changing the contexts within which they take place (or contexts that are like them) in addition to any education outcomes. These outcomes tend to be related to social and political issues such as health equity.


이것은 특히 세계보건기구(WHO)의 사회적 책임 모델에서 잘 표현된다. 이 모델은 의과대학이 특정 지역사회에 봉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의과대학이 학교의 임무를 구체화하고 학교의 행동과 성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6 따라서 의과대학의 사회적 임무는 [특정 지역사회 상황에 봉사하고 대응해야 할 책임]을 재천명restate하는 경향이 있다.

This is particularly well articulated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model of social accountability, which asserts that medical schools should serve specific communities, allowing themto shape the school’s mission and to evaluate the school’s actions and outcomes.66 The social missions of medical schools therefore tend to restate the responsibility to serve and respond to specific community contexts.



맥락을 대표하는 것

Representing context


여섯 가지 반복되는 맥락적 패턴

We identified six recurring core contextual patterns:

  • 환자 맥락: 여기에는 환자 모집단의 인구통계, 문화, 질병 프로파일 및 사회-경제적 프로파일, 개별 환자의 특성 등이 포함된다.

  • 물리적 맥락: 활동의 기후, 계절, 시간/주/일, 원격, 시골, 지역 또는 도시 위치, 가정 또는 대학과 같은 다른 위치와의 근접성, 대중 교통과 같은 맥락의 물리적 어포던스가 포함됨.

  • 의료행위 맥락: 여기에는 상황에 대한 임상적 초점, 존재하는 다양한 임상 분야 및 직업, 그리고 연습에 대한 다양한 범위와 접근 방법이 포함되었다.

  • 교육 맥락: 여기에는 교사 및 교사의 역할 및 책임, 커리큘럼(공식, 비공식, 숨김 등), 타인과의 교육 상호작용, 역할 및 이들의 책임과 책임의 분할이 포함되었다.

  • 기관 맥락: 여기에는 기관의 유형(병원, 클리닉), 임무, 권한과 자율성의 표현, 자원, 규칙 및 일상, 

  • 사회적 맥락: 참여자의 가치, 신념 및 행동, 상호작용의 특성, 기호의 사용, 힘과 연민의 표현 등

  • patient context: this included the demographics, cultures, illness profiles and socio-economic profiles of the patient population, and the idiosyncrasies of individual patients;

  • physical context: this included the climate, season, and time of year/week/day of the activity, remote, rural, regional or urban location, proximity to other locations such as home or university, and the physical affordances of the context, such as public transport;

  • practice context: this included the clinical focus of the context, the different clinical disciplines and professions present, and the different scopes of and approaches to practice there;

  • education context: this included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s and preceptors, the curricula (formal, informal, hidden, etc.), educational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the division of roles and their responsibilities and accountabilities;

  • institutional context: this included the type of institution (hospital, clinic), its mission, its expressions of authority and autonomy, and its resources, rules and routines, and

  • social context: this included the values, beliefs and behaviours of participants, the nature of their interactions, the use of symbols, and expressions of power and compass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만과 슈미트처럼: '맥락이 학습 당시에 환경의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면에서, 맥락은 학습자료와 중요하거나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외부 기준에 의해 판단되는 것은 아니다.'70 우리는 이러한 6가지 임상 교육 맥락의 패턴을 전제로서 제공한다. 그러나 이것은 의료 교육 상황을 기술하기 위한 canonical pattern이라기보다는 provisional pattern이다. 

Nevertheless, as Norman and Schmidt stat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context includes all features of the environment at the time of learning, not simply those judged by some external criterion to be, in some way, important or relevant to the material learned.’70 We therefore offer these six patterns of clinical teaching contexts as provisional rather than canonical patterns for describing medical education contexts;


비록 우리가 패턴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맥락을 기술하고 대조하기 시작할 수 있지만, 맥락은 기껏해야 한시적으로만 안정되는 경향이 있고, 선형적이거나 예측 가능한 방법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역동적 변화의 에피소드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은 disturbance도 그 변화를 중심으로 시스템이 재편성되면 시스템에 큰 비선형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71

Although we can begin to describe and contrast contexts on a systematic basis using pattern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ontexts tend to be temporarily stable at best, and prone to episodes of dynamic change that do not proceed in linear or predictable ways. A small disturbance can result in major non-linear shifts in a system as it reorganises around the change.71


한 맥락에서 서로 다른 패턴은 서로 다른 속도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어서 복잡성과 비선형적인 패턴들 간의 예상치 못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것이다.73 패턴 기반 컨텍스트 모델은 안정적인 상태의 컨텍스트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러한 변화의 결과나 변화를 예측할 수는 없다.

Changes in different patterns of context will also tend to occur at different rates, leading to unexpected interactions between patterns that are complex and nonlinear.73 Pattern-based models of context can help to describe contexts in their stable state, but they cannot predict change or the outcomes of that change.


우리는 기존 정의에 다른 정의를 추가할 수 있다. 즉, 맥락은 환자, 위치, 연습, 교육 및 사회의 내재된underlying 패턴에서 비롯되는 역동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스템이고, 이러한 패턴들 사이의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

we can add another definition to the existing list such that: context is a dynamic and ever-changing system that emerges from underlying patterns of patients, locations, practice, education and society, and from the unpredictabl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atterns.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이것으로부터 학자들이 그들의 작업work에 대한 맥락이 여러 가지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패턴들 간의 상호작용은 근무지라는 맥락의 어포던스를 극적으로 예측할 수 없게 변화시킬 수 있다.

We argue from this that scholars should be aware that the contexts for their work are made up of multiple patterns; interactions between their patterns can dramatically and unpredictably alter the affordances of the contexts they work with.


우리는 또한 우리가 맥락을 형성하는 문화적 상대방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거의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의 원천은 거의 영어를 사용하는 서구 국가들에서 왔고 그들의 문맥과 문맥에 관련된 문제들을 고려함에 있어서 매우 규범적이었다.

We also acknowledge that w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cultural relativism in constructing context; our sources were almost all from English-speaking Western nations and were very possibly normative in their consideration of context and context-related matters.



결론

CONCLUSIONS


맥락은 분명히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며, 특히 그것이 우리의 관심의 초점과는 상대적인 '다른'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렇다. 의학 교육은 맥락에서 동떨어져 발생하지 않지만, 많은 전문적 훈련과 규제는 규범적이며, 맥락을 무시한 존재의 기초에 근거하여 시도되거나 context-free하고자 시도한다.

Context is clearly an elusive concept, particularly as it signifies that which is ‘other’ relative to the focus of our attention. Medical education is not an acontextual undertaking and yet much of professional training and regulation is normative and attempts to be, or is predicated on the basis of being, context-free.


비록 많은 의학이 맥락을 제거하거나 통제하거나 한쪽으로 치워두고자 하지만, 우리는 맥락을 한 쪽으로 완전히 치워버리면 연구의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의학 교육의 맥락은 중요하고, 어렵고, 도전적이고, 종종 지저분하지만, 거부되어서는 안되며, 그것은 조직적이고 객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Although much medical education science has been predicated on removing, controlling for or otherwise setting context aside, we are perhaps reaching the limits of scholarship in which context can credibly be set to one side. Context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nd, although it is difficult, challenging and often messy, it should not be denied and it can with care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2016 Aug;50(8):807-16. doi: 10.1111/medu.13034.

Mapping the dark matter of context: a conceptual scoping review.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2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Abstract

CONTEXT:

Like dark matter, the contexts for medical education are largely invisible to those within them, although context can have profound influences on teaching, learning and practice. For something that is so intrinsic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the concept of contextremains troubling to scholars and those running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is paper reports on a critical and conceptual review of the concept of context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beyond.

METHODS:

review was undertaken drawing on two sources: concepts of context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nd concepts of context across multiple academic disciplines. This body of material was iteratively, discursively and inductively synthesised.

RESULTS:

Few of the articles from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described or defined context directly, tending instead to focus on describing specific elements of context, such as clinical disciplines, physical settings and political pressures, that could or did influence learning outcomes. The results were framed in terms of what context 'is', how context works (in terms of context-mechanism-outcome), and how context can be represented using patterns. The authors propose a definition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along with the means to model, contrast and compare different contexts based on recurring patterns.

CONCLUSIONS:

Context matters in medical education and it can, despite many challenges,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both represent a catalyst and challeng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to look at context afresh.

PMID:
 
27402041
 
DOI:
 
10.1111/medu.13034


복잡성에 대응하여: 카파빌리티를 위한 교육(BMJ, 2001)

Coping with complexity: educating for capability

Sarah W Fraser, Trisha Greenhalgh





그러므로 교육자들은 역량뿐만 아니라 카파빌리티도 갖추도록 해야 한다. 카파빌리티란 의료 서비스 제공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한다..

Educators are therefore challenged to enable not just competence, but also capability (box). Capability ensures that the delivery of health care keeps up with its ever changing context.




카파는 역량 이상임

Capability is more than competence


역량—지식, 기술, 태도 측면에서 개인이 알고 있거나 할 수 있는 것

Competence—what individuals know or are able to do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ttitude


카파—개인이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도

Capability—extent to which individuals can adapt to change, generate new knowledge, and continue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The principles of complexity theory introduced earlier in this series (box)


교육 및 훈련에 적용되는 복잡성 개념

Complexity concepts applicable to education and training


· 시스템은 물론 외부 환경도 일정하지 않으며, 그렇게 유지될 수 없다

· 시스템 내의 개인은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의사 결정권자이다.

· 시스템에 불확실성과 역설이 내재되어 있다.

·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일지라도 "더 나아갈" 수 있다.

· 최소 사양에서도 효과적인 솔루션이 나올 수 있다.

· 작은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행동은 패턴을 나타낸다("어트랙터"라고 할 수 있음).

· 변화는 attractor patterns에 영향을 미칠 때 보다 쉽게 채택됨


· Neither the system nor its external environment are, or ever will be, constant

· Individuals within a system are independent and creative decision makers

· Uncertainty and paradox are inherent within the system

·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can nevertheless be “moved forward”

· Effective solutions can emerge from minimum specification

· Small changes can have big effects

· Behaviour exhibits patterns (that can be termed “attractors”)

· Change is more easily adopted when it taps into attractor patterns


카파 개발: 변혁적 학습

Developing capability: transformational learning 


개인과 시스템은 그들이 배우기 때문에 바뀐다. 실제로, 교육학 연구는 성인들이 변화를 원하기 때문에 배우기를 선택함을 보여주었다.12 [실제 삶의 경험이라는 맥락에서 새로운 행동을 개발하는 과정]은 [개인들이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거나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의 역량에서 개인의 카파으로의 전환]을 지원한다.13 

Individuals and systems change because they learn.11 Indeed, pedagogical research has shown that adults choose to learn because they want to change.12 The process of developing new behaviours in the context of real life experiences enables individuals to adapt to or co-evolve with new situations, thereby supporting the transition from individual competence to personal capability.13 


학습은 복잡성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식 항목 간의 관계는 예측가능하거나 선형적이지 않지만, 완전한 혼돈도 아니다. 카파를 구축하는 학습은 개인이 불확실하고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 참여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Learning takes place in the zone of complexity16(figure), where relationships between items of knowledge are not predictable or linear, but neither are they frankly chaotic. Learning which builds capability takes place when individuals engage with an uncertain and unfamiliar context in a meaningful way. 


카파은 가르칠 있거나 수동적으로 동화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기존의 역량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조정되는 변환 과정을 통해 도달된다. 

 capability can-not be taught or passively assimilated: it is reached through a transformation process in which existing competencies are adapted and tuned to new circumstances. 


복잡한 적응형 시스템에서 개별 주체(따라서 개별 에이전트가 속한 시스템)의 행동은 행동의 영향에 수반하는 국지적 피드백에 따라 진화한다. 마찬가지로, 변혁적 학습의 기초는 학습자에게 자신의 행동에 따른 영향과 다른 사람의 행동에 따른 영향에 대해 주어진 피드백 정보이다. 성취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교육 과정은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In complex adaptive systems the behaviour of the individual agents, and therefore of the system of which they are part, evolves in response to local feedback about the impact of actions. Similarly, the basis of transformational learning is the information that is fed back to learners about the impact of their own actions and those of others. An education process that provides feedback about performance as it takes placewill enhance capability. 


성찰적인 학습자는 피드백에 수용되고 적절하게 적응할 수 있는 반면, poor learner는 피드백에 대한 통찰력이 없어서 적절하게 adapt하지 못한다.17 18 성찰적인 학습자들은 주변 세상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poor learner들은 그저 변화에 대해 불평할 뿐이다.

Reflective learners are receptive to feedback and able to adapt appropriately, while poor learners are either unreceptive to feedback or they adapt inappropriately.17 18 Reflective learners transform as the world around them changes: poor learners simply complain about it. 



관계적 학습

Relational learning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식은 얻기 힘들었고, 전문가들은 지식이 많은 사람들이었다. 요즘, 우리가 익사를 당할 정도로 많은 지식이 있다.19 

Not so long ago, knowledge was hard to come by and experts were people with a lot of it. These days, there isso much knowledge available that we risk drowning init.19 


현대 전문가는 지식을 효율적으로, 현명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관련이 없어 보이는 영역 사이에 개념적 연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람이다.

The modern expert is someone who knows how to access knowledge efficiently and judiciously and who can form conceptual links between seemingly unrelated areas


사물들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는지 배우는 것은 종종 각각의 조각에 대해 배우는 것보다 더 유용하다. 조각들 간의 상호작용과 관계에 대한 이러한 이해 없이는 unique한 맥락에 학습을 적용하기 어렵다. 

Learning how things are interconnected is often more useful than learning about the pieces. Without this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s and relations between the piece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learning in a unique context. 


비선형 학습

Non-linear learning


비판적 평가, 임상 가이드라인, 케어 경로 등과 같은 "체크리스트 기반" 접근법은 중요하며 의심할 여지 없이 생명을 구한다. 그러나 종종 눈에 띄지 않는 것은, 이러한 접근법은 문제가 파악된 후에만 유용하다는 것이다.

“Checklist driven” approaches to clinical care, such as critical appraisal, clinical guidelines, care pathways, and so on, are important and undoubtedly save lives. But what often goes unnoticed is that such approaches are useful only once the problem has been understood.


복잡한 현실 세계는 지저분하고 모호하며, 독특하고, 맥락에 내재된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맥락과 사회적 상호작용은 성인 학습의 중요한 요소다.22 성인들은 왜 무언가를 배워야 하는지 알아야 하며, 주제가 즉각적인 가치와 타당성이 있을 때 가장 잘 배운다.23 이것은 특히 변화하는 맥락에서 중요한데, 이 때의 카파빌리티란 개개인의 문제해결능력을 포함한다. 즉, 문제를 전체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하며, 그 다음에 해결책에 도달하기 위한 많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잡한 환경에서 문제 해결은 창의적 행동과 유사한 인지 과정을 수반한다.24

The complex real world is made up of messy, fuzzy, unique, and context embedded problems. Context and social interaction are critical components of adult learning.22 Adults need to knowwhy they need to learn something and they learn best when the topic is of immediate value and relevance.23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changing contexts where capability involves the individual’s ability to solve problems—to appraise the situation as a whole, prioritise issues, and then integrate and make sense of many different sources of data to arrive at a solution. Problem solving in a complex environment therefore involves cognitive processes similar to creative behaviour.24


우리는 전문직업적 카파빌리티의 상상적 차원imaginative dimension은 학습자가 모든 전체적 복잡성의 상황을 수용하는 비선형적 방법을 통해 가장 잘 개발된다고 믿는다. 비선형적 방법의 가장 간단한 예는 의사와 간호사가 오랫동안 전문적 훈련에서 스토리텔링을 사용해온 이야기이다. 또한 임상적 지식은 별개의 사실이라기 보다는 이야기("기억성 스크립트")로 기억 속에 저장된다는 증거가 있다.26

We believe that the imaginative dimension of professional capability is best developed through nonlinear methods—those in which learners embrace a situation in all its holistic complexity. The most straightforward example of a non-linear method is the story.25 Doctors and nurses have long used story telling in professional training, an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clinical knowledge is stored in memory as stories (“illness scripts”) rather than as discrete facts.26


전체론적인 관점이 필수적인 특히 복잡한 상황에서 스토리텔링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예: 

  • 중요한 이벤트 감사,27 

  • 질병 경험의 극단을 탐구하는 것(예: 심각한 장애 또는 외상 환자28) 

  • 다른 문화에서 온 환자들의 관리29 

the formal use of story telling in particularly complex situations where a holistic view is essential —such as 

  • significant event audit,27 

  • exploring the extremes of illness experience (such as that of the profoundly disabled or traumatised patient28), and 

  • the management of patients from other cultures.29 

이야기는 일인칭으로 전달될 수도 있고(환자 자신의 병적 서술30) 롤플레이와 같이 enact될 수도 있다.

The story can be told (as in a conventional case presentation), in the first person (as in a patient’s own illness narrative30), or enacted (as in role play31).


또 다른 잘 알려진 비선형 방법은 소그룹, 문제 기반 학습이다.

Another well known non-linear method is small group, problem-based learning,


문제 기반 학습은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학생들이 그것을 평가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아마도 놀랄 것도 없이, 필기 시험에서 평가된 그들의 내용 지식을 향상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명백히 이것 또는 저것의 선택이 아니라, 필요한 것은 동적인 균형이며, 이것은 complex adaptive system의 특징이다. 즉, 내용학습과 비선형 학습 방법이 모두 필요하다.

Problem-based learning is no panacea: while it is valued and enjoyed by students and improves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perhaps unsurprisingly it does not improve their content knowledge as assessed in written examinations,33 Clearly, the situation is not an “either or” choice but rather a dynamic balance, characteristic of a complex adaptive system, in which both content learning and non-linear learning methods are needed.


프로세스 기술

Process techniques


복잡성 사고는 카파빌리티 구축과 같은 emergent 행동이 일부 최소한의 구조(예: 최소 사양 및 피드백 루프)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교육은, 대중 시장을 위해 고안된, 미리 정의된 내용 지향적인 강의의 구조화된 "정식" 메뉴에서, 복잡하고, 개인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를 위해 고안된, 좀 더 "따로따로시키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은 학습 과정에 집중될 필요가 있다.

Complexity thinking maintains that an emergent behaviour, such as capability building, can be aided by some minimal structure (for example, minimum specifications and feedback loops). As education moves away from the potentially over structured “table d’hôte” menu of the predefined, content oriented syllabus designed for the mass market to the more “à la carte” menu designed for the complex, individual, self directed learner, attention needs to be focused on the process of learning.


프로세스 기술의 사용은 [유연하고 진화하는 콘텐츠를 가진 교육]과 [단순하게 체계화되지 않고, 구조화되지 않으며, 편익이나 우연의 일치만으로 운영되는 학습]을 세밀하게 구분한다. 프로세스 기술이 사용될 때 학습은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특징지어진다.

  • 명확한 목표를 가진 역동적이고 emergent한 개인 학습 계획 

  • 성찰 및 연구를 위한 보호 시간, 

  • 멘토링 또는 동료 지원 

  • 서면 학습 기록이나 성취 기록.34 

The use of process techniques is the crucial distinction between learning which has a flexible and evolving content and learning which is simply disorganised and is unstructured, disjointed, and driven only by convenience or coincidence. When process techniques are used, learning is driven by needs and is characterised by 

  • a dynamic and emergent personal learning plan with explicit goals, 

  • protected time for reflection and study, 

  • mentoring or peer support, and 

  • perhaps a written learning log or record of achievement.34 

나열된 (상자)와 같은 프로세스 지향 기술은 학습의 boundary와 강사 또는 동료의 신속한 피드백 및 관련 피드백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교수는 강사나 트레이너보다는 촉진자의 역할을 채택한다.

Process oriented techniques such as those listed (box) provide boundaries for the learning and the opportunity for prompt and relevant feedback from tutors or peers. Tutors adopt the role of facilitator, rather than lecturer or trainer.


하지만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소규모 그룹의 일원이 되는 것은 비생산적이고 위협적이며 심지어 충격적인 경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의 촉진자들이 저지르는 가장 큰 실수는 (이 과제가 긴급하고 학습자 중심적이기 때문에) 과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집단은 [명확한 경계와 기본 규칙이 설정된 경우에만] (위험을 감수하고 창의적이 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안전하다고 느낄 것이다.

But being part of a poorly functioning small group can be an unproductive, intimidating, and even traumatic experience. The biggest mistake made by facilitators of such groups is to assume that because the task is intended to be emergent and learner focused, there is no need for attention to process. In reality, a group will feel sufficiently secure to take risks and be creative only if clear boundaries and ground rules have been set.


새로운 커리큘럼의 "학습 성과"는 역량이 아니라 카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new curriculum should focus on capabilities, not competencies.


Process ­oriented learning methods29


Informal and unplanned learning

  • Experiential learning—shadowing, apprenticeship, rotational attachments

  • Networking” opportunities—during formal conferences and workshops, through open plan poster exhibitions, or extended coffee and lunch breaks, for example

  • Learning activities—in structured course materials, such as reflection exercises, suggestions for group discussion

  • “Buzz groups” during intervals in lectures—the lecturer invites participants to turn to a neighbour and undertake a short task before the lecture resumes

  • Facilitated email list servers for professional interest groups

  • Teachback opportunities—newly skilled workers training others in new techniques and sharing their understanding

  • Feedback—responses that provide the learner with information on the real or projected outcome of their actions


Self directed learning

  • Mentoring—named individuals provide support and guidance to self directed learners

  • Peer supported learning groups—the small group process is used for mutual support and problem solving

  • Personal learning log—a structured form for identifying and meeting new learning needs as they arise

  • Appraisal—a regular, structured review of past progress and future goals

  • Flexible course planning that explicitly incorporates input from learners at key stages—using a `Post­it' note exercise to add new learning objectives or amend a draft programme, for example

  • Modular courses with a high degree of variety and choice


Non­linear learning

  • Case based discussions—grand rounds, clinical case presentations, significant event audit

  • Simulations—opportunities to practise unfamiliar tasks in unfamiliar contexts by modelling complex situations

  • Role play

  • Small group, problem based learning (see text for definition)

  • Teambuilding exercises—activities focused on the group's emergent performance rather than that of the individual







 2001 Oct 6;323(7316):799-803.

Coping with complexityeducating for capability.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College London. sfraser881@aol.com
PMID:
 
11588088
 
PMCID:
 
PMC1121342


의학교육에서 표준화와 맥락화를 모두 포용하기(Med Educ, 2019)

Embracing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Joanna Bates,1 Brett Schrewe,2 Rachel H Ellaway,3 Pim W Teunissen4 & Christopher Watling5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지구촌에 살고 있다. 세계화는 그것이 사용하는 인프라와 시스템의 표준화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세계화의 효과는 또한 국제, 국가, 그리고 지역 문화들 간의 더 큰 분화를 위한 강력한 추진력을 불러 일으켰다. 결과적으로, 세계에서는, universal과 local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감에 대한 지속적인 협상을 필요로 한다.

We live in a global world. Globalisation depends upon the standardisation of the infrastructure and systems that it uses. However, its effects have also prompted a powerful push for greater differentiation between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cultures.1 As a result, in a global world the tension that emerges between the universal and the local requires continual negotiation.


의학 교육은 이 긴장감에서 자유롭지 않다. 

  • 의료 교육의 한 가지 철학은 안전한 보건의 이익을 위해 훈련의 모든 측면을 표준화하고,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일관되게 하며, 의사와 훈련생들의 이동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한편, 이와 달리 훈련의 맥락적 다양성의 정도와 가치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것은 종종 수련 맥락에 의해 형성되는 의사, 지역 내 관심사에 적응하여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의사, 소외된 지역사회에서 의료를 실천하기를 선택한 의사를 양성하는 방법이다.


Medical education is not immune from this tension. 

  • One philosophy of medical education focuses on standardising all aspects of training in the interests of safer health care, more consistency in the quality of services available, and increasing mobility of physicians and trainees. 

  • An alternative outlook focuses instead on the degree and value of contextual diversity in training, often as a way of producing physicians who have been shaped by their training contexts,2 who can adapt their practices to local concerns3 and who choose to practise in underserved communities.4


맥락화와 표준화 

CONTEXTUALISATION AND STANDARDISATION


이 용어들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가? '맥락'은 마치 자명한 것처럼 보인다. 아인슈타인이 그것을 설명했듯이 맥락이란 '내가 아닌 모든 것'이다. 그러나 여러 학문마다 공통된 정의에 쉽게 동의하지 못한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우리는 자신의 일상적 상황에 적응하는 경향이 있기에, 맥락이 우리 자신에게는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What exactly do these terms mean? ‘Context’ seems self-evident: as Einstein famously explained it is ‘everything that isn’t me’. And yet disciplines struggle to agree on a common definition. This is in part because we tend to acclimatise to our regular contexts, which renders them largely invisible to us,


각각의 맥락과 모든 맥락이 독특하지만, Bates와 Ellaway는 임상 훈련 상황을 설명하고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6개의 반복되는 패턴을 식별했다.5 

each and every context is unique, Nevertheless, Bates and Ellaway identified six recurring patterns that can be used to describe and compare clinical training contexts.5 


  1. 환자 패턴에는 마주친 환자의 유형 및 임상표현이 포함된다. 

  2. 실행 패턴은 임상에서 의료행위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을 포함한다. 

  3. 교육 패턴은 교육 및 학습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과 그들의 모(parent) 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을 포함한다. 

  4. 기관 패턴은 의료기관의 구조 및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5. 사회적 패턴은 공동체의 조직, 문화, 기술 및 가치를 포함한다. 

  6. 지리적 패턴은 훈련 장소의 물리적 특성을 포함한다.5

  1. Patient patterns include the kinds of patients and presentations encountered; 

  2. practice patterns include the different approaches to clinical practice; 

  3. educational patterns include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ir parent educational programmes and institutions; 

  4. institutional patterns include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of health care institutions; 

  5. societal patterns include a community’s organisation, cultures, technologies and values; and 

  6. geographical patterns include the physical nature of training locations.5


우리는 '맥락'을 이러한 특정 패턴의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emergent 속성으로 이해하고 있다. 의대생, 임상의사 및 환자들은 모두 이 변화하고 예측할 수 없는 매트릭스 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matrix의 유일한 항구적 정의는 그것의 유동성과 개별성 뿐이다.

We understand context to be a complex and unpredictable emergent property of these specific patterns . Medical students, clinicians and patients are all situated within this ever-changing and unpredictable matrix, whose only constant defining characteristics are its fluidity and individuality.7–10


'표준화'는 똑같이 모호한 개념이다. 표준화의 개념은 [공유된 표준이 더 큰 효율성과 책임을 제공한다]는 사회 집단주의 및 협력적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예를 들어, 더 표준화된 법, 가중치 및 측정, 돈, 시간 기록, 심지어 음악적 튜닝을 인하여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생산적인 방법으로 함께 일할 수 있게 했다.

‘Standardisation’ is an equally slippery concept to work with. The idea of standardisation emerged from socially collectivist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 where shared standards afforded greater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For instance, increasingly standardised laws, weights and measures, money,  timekeeping, and even musical tuning, enabled ever-larger numbers of people to work together in ever more productive ways.


표준화는, 공통 표준의 개발과 이러한 표준을 준수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정치적, 경제적 의제에 의해서 추진되기도 하고, 항공, 원자력 및 의료에서와 같이 공공 안전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Standardis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mon standards and the necessity to conform to these standards, may be driven by political and economic agendas, or as in aviation, nuclear power and health care, by public safety.


비록 우리가 종종 공유된 표준의 편리함과 효율성을 환영하지만, 어떤 사람은 삶을 더 다양하고 흥미롭게 만드는 특이한 상황적 요소들이 사라진 것을 아쉬워 할 수도 있다.

although we often welcom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shared standards, some of us may also regret the disappearance of those very idiosyncratic contextual elements that make life more diverse and interesting.


그러나 표준 자체는 표준화를 유도하지 않으며, 표준은 전달, 보급, 채택되어야 효과를 발휘한다.11 그러나 지역적 맥락이 달라지면, 채택된 표준도 다르게 제정enact될 수 있다.

Standards on their own do not lead to standardisation, they need to be communicated, disseminated and adopted.11 However, standards adopted into different local contexts may be enacted differently.


예를 들어, 맥도널드, 캐드베리, 코카콜라, 도요타, 넷플릭스와 같은 많은 '표준' 제품들은 서로 다른 시장에 맞게 재설계되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표준'을 만들어낸다.12 따라서 기준서들을 통일된 방식으로 적용하는 경우는 드물다.13

For instance, many ‘standard’ products such as McDonalds, Cadbury, Coca-Cola, Toyota and Netflix are re-engineered for different markets, creating multiple different ‘standards’ that are contextually dependent.12 Standards, then, are rarely applied in a uniform way; standardisation shifts and diversifies.13


의료 교육에서 표준은 다음을 통해 정해진다.

  • 인증 기관의 합의를 통해, 14-16 

  • 동료 검토 문헌의 증거를 통해, 17 

  • 국가시험으로. 18,19,

  • 공통 역량 프레임워크를 통해,20,21 

  • 국가 또는 국제 위원회(예: 국제 의료 교육 및 연구 발전 기반)를 통해 22 

  • (볼로냐 과정과 같은) 정치적 과정을 통해.23

In medical education, standards are set 

  • through consensus by accreditation organisations,14–16 

  • through evidence in peer-reviewed literature,17 

  • through national examinations,18,19 

  • through common competency frameworks,20,21 

  • through national or international committees (such as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22 and 

  • through political processes (such as the Bologna Process).23


그러나, 이러한 표준이 개발되고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의 다양성 증대를 향한 움직임도 있었다.

However, even as these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here have also been moves towards increased diversity in medical education.


이러한 관점의 diverge로 인해 표준화와 상황별 가변성 사이에 뚜렷하지만 억제되지 않은 긴장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의료 교육의 두 영역인 의대 입학과 역량 기반 의료 교육에서 나타난다.

These diverging perspectives can result in a palpable yet underexplored tension between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 variability that plays out in many domains of medical education.30,31 two areas of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 입학과 수련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TRAINING


정의, 형평성, 잠재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의 의대 입학 관행은 모든 지원자들의 평가 기준과 과정을 표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Driven by concerns about justice, equity and potential liability, medical school admissions practic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moving towards standardising assessment criteria and processes for all applicants.


  • The Undergraduate Medical and Health Science Admission Test (UMAT) in Australia,32 

  • the Graduate Medical School Admissions Test (GAMSAT) in the UK and Australia,33 

  • the United Kingdom Clinical Aptitude Test in the UK34 and 

  •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s Test in the USA and Canada35


이러한 표준화된 검사를 개발하는 조직은 종종 공정성, 목적성, 타당성 및 신뢰성을 강조하며, 성별, 인종 또는 종교적 편견을 최소화하고 문화적 공정성을 보장할 것을 약속한다.32–34

The organisations that develop these standardised examinations often highlight their fairness, relevance, validity and reliability32,36,37 while promising to enable inclusion, to minimise gender, ethnic or religious bias and to ensure cultural fairness.32–34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는 한계가 있다. 특히 의과대학 학급 구성의 다양성과 관련하여,

However, standardisation has its limits, specifically with regards to medical school class diversity,


특정 학생 집단을 포함함으로써 가능해진 학급 다양성은 표준화된 입학 절차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25,45,46 계층 다양성은 단순히 '있으면 좋은 것'이 아니며 사회 정의에만 국한되지도 않는다. 오히려, 학급 다양성은 학생들이 배우는 환경의 한 가지 요소를 제공한다. 학급 다양성은 학생들을 다양한 아이디어, 경험, 관점에 노출시킴으로써 학생들을 위한 강력한 학습 환경을 만든다. 의과대학생들은 학급 다양성이 그들이 그들의 가치와 가정을 재고하게 한다고 말한다.4749

Class diversity, enabled through the inclusion of certain groups of students, can be constrained by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sses.25,45,46 Class diversity is not just a ‘nice to have’, nor is it about social justice alone. Rather, class diversity provides one element of the context in which students learn. Class diversity creates a robust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by exposing them to a broad array of ideas, experiences and viewpoints.47,48 Medical students state that class diversity leads them to rethink their values and assumptions.47 Furthermore, class diversity leads to a diverse workforce.49


표준화된 입시 과정은 또한 시골과 지역 노동력 부족, 가정 내과의사와 다른 일반의의 공급을 다루는 것과 같은 의대 사회적 임무의 달성에도 부정적으로 간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기준과 개인 속성은 누가 rural and remote area 또는 일차의료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좋은 예측 변수가 아니다.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sses have also been shown to interfere with the achievement of medical schools’ social missions, such as addressing rural and regional workforce shortages or the supply of family physicians and other generalists.50–53 Academic criteria and individual attributes are not good predictors of who will select careers in rural and remote medicine or primary care.


셋째, 아직 설명되지 않았지만, 표준화된 입시 과정이 다양성과 교차하는 또 다른 지점은 다양한 임상 훈련의 맥락을 수용하고 적응할 수 있는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이다.

A third, and as yet unexplored, way that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sses intersect with diversity is in selecting students who can accommodate and adapt to diverse contexts of clinical training.


임상 훈련 동안 맥락에는 항상 다양성이 존재해왔지만, 최근 몇 년간 훈련 맥락의 더 극적으로 다양해졌다. 위에서 약술한 사회적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한 의과대학은 이제 매우 다양한 상황에서 임상 훈련을 운영할 수 있다. 이것은 의료 연수생들이 학습을 위해 적응해야 하는 점점 더 많은 다양한 업무 환경들에 직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some diversity of context during clinical training has always been present, there has been a dramatic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ntexts over recent years. In order to achieve the social missions outlined above, a single medical school may now operate clinical training in very diverse contexts. This means that medical trainees encounter an ever-growing array of different workplace contexts to which they need to adapt in order to learn.


지역 위성 캠퍼스. 시골 임상 학교

regional satellite campuses, rural clinical school,


같은 기관 내에서조차, 다른 프로그램들은 서로 다른 학습 과정을 강조하며 다양한 학생들을 끌어들일 수 있다.3 실제로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은 다양한 학생을 요구한다; 적응할 수 있고, 회복력이 있으며, 융통성이 있는 학생이 필요하다.60,61

Even within the same institution, different programmes highlight different learning processes58 and may attract different students.3 Different programmes may, in fact, require different kinds of students;58,59 at the very least, they need students who are adaptable, resilient and flexible.60,61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합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안 중 하나는 지원자에 대한 비표준화된 정보를 표준화된 입학 절차에 통합하는 지원자에 대한 전인적 검토다.62 전인적 검토는 입학을 학교의 사회적 임무 또는 기타 상황 관련 동인과 더 잘 일치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시험과 개별 경험 및 속성 간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4

One concrete proposal for uniting both approaches is holistic review of candidates, incorporating non-standardised information about candidates into standardised admissions procedures.62 Holistic review is ‘a flexible, individualized way of assessing an applicant’s capabilities by which balanced consideration is given to experiences, attributes, and academic metrics and, when considered in combination, how the individual might contribute value as a medical student and physician’.62 Holistic reviews can help to balance standardised testing with individual experience and attributes to better align admissions with a school’s social mission or other context- related drivers.54


그러나 아직 전인적 검토는 입학한 학생들이 다양한 임상 훈련 상황에서 성공할 수 있을지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holistic review does not yet consider whether admitted students will thrive in diverse clinical training contexts.


입학의 긴장감에 대한 논의에서 나오는 두 번째 접근법은 새로운 표준화된 도구들의 개발이다.

A second approach emerging from the discussions about tensions in admissions is the development of new standardised instruments,


상황 판단 시험(SJT)은 직업적 비학문적 특성을 학문적 또는 임상적 지식보다 목표로 하는 방식으로 직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신청자의 판단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66

Situational judgement tests (SJTs) offer a measurement method designed to assess an applicant’s judgement in situations encountered in the workplace in a manner that targets professional non-academic attributes rather than academic or clinical knowledge.66


그러나 이러한 시험은 구축하기 복잡하고 개인이 취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한 세부적인 이해를 요구한다.67

However, such tests are complex to build and require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roles individuals may take.67


역량바탕의학교육 CBM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각 분야 내에서 커리큘럼 계획은 표준화된 결과를 정의하는 국민적 합의를 이루는 접근법으로 시작한다. 이 접근 방식은 레지던트들이 훈련 장소와 무관하게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Within each discipline, curriculum planning begins with a national, consensus-building approach to define standardised outcomes, which residents will be expected to achieve independent of where they train.


성과 중심 모델의 매력 중 하나는 공공 책임에 대한 더 큰 약속이다.68 의사들이 능력의 차이로 감독되지 않은 진료를 하게 될 가능성을 줄여준다.

Part of the appeal of an outcomes-driven model is its promise of greater public accountability.68 By reducing the likelihood that physicians will enter unsupervised practice with gaps in their competence,70


그러나 성과의 표준화는 역량의 복잡한 본질을 과도하게 단순화하는 위험이 있으며, 이는 잠재적으로 역량에 대한 졸업생들의 잘못된 sense of security를 발생시킨다. 왜냐하면 역량은, 어느 정도, 그것이 개발된 맥락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역량이란 개인의 불변의 속성이 아니라, 맥락이 바뀔 때 그 취약성을 드러낼 수 있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개념이다.

Standardisation of outcomes, risks oversimplifying the complex nature of competence, potentially creating a false sense of security about the capability of graduates. This is because competence is, to some extent, inseparable from the context in which it has been developed; it is not an immutable attribute of an individual, but rather a socially constructed notion that may reveal its fragility when context shifts.


따라서 절대적 의미에서 진정한 표준화된 성과라는 것은 규정하기 힘든 것이며 심지어 불가능할 수 있다. 동일한 역량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동일한 맥락에서 훈련을 받은 학습자들도 질적으로 다른 의사가 되어 나타날 수 있다.

Truly standardised outcomes may therefore be elusive or even impossible in any absolute sense. Even learners trained in the same context, using the same competency framework, may emerge as qualitatively different practitioners.


각 임상 작업장의 맥락은 특정 어포던스를 을 제공한다. 어포던스라는 것은 학습자가 직장에서 참여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말한다각각의 훈련생들은 그들이 마주치는 어포던스를 그들 자신의 방식으로 인식하고, 진료의 landscape을 가로지르는 개별적인 궤도에서 그 어포던스에 engage한다. 어포던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고, 실제로 바뀌지만, 항상 특정 순간의 맥락에 의한 특정 '맥락적 커리큘럼'에서 발생한다.

Each clinical workplace context offers certain affordance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engage with and learn from the workplace,72–75 . Each individual trainee perceives the affordances they encounter in their own way72,76 and engages with them in an individual trajectory across the landscape of practice.77,78 Affordances can and do shift over time, yet they always arise from a ‘contextual curriculum’ specific to that one contextin that one moment.79,80 


더욱이, 학습자들은 훈련 맥락에서 능동적인 참여자이기에, 임상 작업장에서 제공되는 어포던스에 어떻게 관여할 것인지 결정하는 중요한 주체성을 가지고 있다.81

Furthermore, learners are active players in their contexts of training, possessing significant agency in determining how to engage with the affordances offered by their clinical workplace.81


역량을 '맥락에 따라 정의된 것'으로 간주하면, 역량은 '움직이는 과녁'이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공공의 이익에 기여하는 일관되고 질 높은 교육적 결과에 대한 요구를 이 능력의 유용성에 대한 증가하는 이해와 조화시킬 수 있을까? 그러나 이 긴장을 CBME에 대한 위협으로 볼 필요가 없다. 실제로, '맥락에 집중'하여 구현할 것이 요구되어 왔으며, 핵심 전문역량을 특정 맥락에 따라 적응adapt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어 왔다.

Competence, when viewed as something that is contextually defined, becomes ‘a moving target’.82 How, then, can we reconcile the demand for consistent, high-quality educational outcomes that serve the public good with this growing understanding of the elusiveness of competence? This tension need not be viewed as a threat to CBME; indeed, there have been calls for implementation with ‘keen attention to context’70 and for adaptation of core professional competencies to specific contexts.83


맥락에 대한 정의가 없는 성과는 불완전하다. 그보다 성과는 학습자가 다양한 의료 및 사회적 맥락에 걸쳐 기본적인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앞 절에서 설명한 다양한 임상적 맥락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맥락이 어떻게 성과에 대한 우리의 기대에 의미 있는 정보를 줄inform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Outcomes that leave context undefined are incomplete; outcomes must instead be defined so that learners must demonstrate their fundamental competence across a range of medical and social contexts. Given the wide diversity of clinical contexts described in the previous section, we must consider how context might meaningfully inform our outcome expectations,


맥락적 다양성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성과의 표준화를 통해 달성하려고 하는 사회적 책무에 중요할 수 있다. 맥락은 학습자 태도를 형성하고, 전문직 정체성 발달을 위한 기회 창출하며,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Making room for contextual diversity may also be critical to the social accountability mission that standardisation of outcomes is trying to fulfil. Context shapes learner attitudes,84 create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85 motivates learners,86 influences career decisions


비록 맥락적 다양성이 [역량을 향한 예측가능한 직접적 경로]를 방해할 수 있지만, 맥락적 다양성은 능력capability를 발달시킨다. Capability란 친숙한 상황뿐만 아니라 새로운 상황에서도 역량을 사용하는 능력이다.87 능력capability은 (실제 세계를 훨씬 더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예측 불가능하고 복잡한 상황을 다룰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어떤 임상 훈련 프로그램에서도 바람직한 결과물이다.87

Although contextual diversity may disrupt an assumed, straightforward path to competence, it also develops capability, the ability to use competencies in novel as well as familiar situations.87 Capability implies a capacity to deal with the unpredictable and complex situations that are far more emblematic of the real world of practice, a laudable outcome for any clinical training programme.87


따라서 우리는 CBME 구현은 언제나 맥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We argue therefore that implementation of CBME demands attention to context at every turn.


평가 프로그램을 enact할 때, 우리는 학습자가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그리고 정교한 감독 결정을 지원하는 강력한 관찰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88 CBME를 구현한다는 것은 organizing principle로 '시간'을 거부하는 것이고, 따라서 교육 시간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해야 한다. 즉, '시간'은 학습자의 적응성과 능력capability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상황적 가변성의 경험을 축적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When programmes of assessment are enacted, we should collect robust observational data that illustrate how learners perform across a range of contexts and that support sophisticated entrustment decisions.88 When CBME implementation rejects time as its organising principle, we should seek a new relationship with time in training: one in which time is viewed as enabling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with the contextual variation needed to build learners’ adaptability and capability.89


고찰

DISCUSSION


여러 다양한 차원과 의료 교육의 영역에 걸쳐 표준화와 맥락적 다양성 사이의 상호작용은 명백하다. 

  • 예를 들어, 인증 과정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지만, 그러한 프로그램의 구현 및 운영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enact된다. 

  • 팀 기반 학습은 그것이 구현되는 지역의 자원 맥락과 정책, 어포던스에 따라 변형morph된다.

  • 심지어 온라인 교육 모듈도 그것이 시행되는 사회 문화적 맥락에 따라 매우 다르게 사용될 것이다.91

the interplay between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is apparent across many other dimensions and domains of medical education. 

  • For example, although accreditation processes set standards for educational programmes, how those programmes implement and operationalise those standards is ena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context. 

  • Pedagogical approaches such as team-based learning ‘morph’ as they meet the local context of resources and policies and affordances during implementation.31,90 

  • Even an online teaching module will be used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which it is implemented.91


표준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구현이 되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construct는 아니다. 오히려 local하게 enact되면, 그것은 변형된다. 이는 특정 enactment가 표준을 '충분히 반영하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질문으로 이어진다.12,13

Standards may stay the same, but they are not stable constructs when implemented; rather, as they are enacted locally they shift. This leads to the constant question of whether any specific enactment is ‘true enough’ to the standard.12,13


표준화에는 (이동성 촉진, 환자 안전 촉진, 지속적인 품질 개선 추진, 모범 사례 확산 활성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표준화는 고부담 시험의 공정성, 형평성, 신뢰성 및 타당성의 원칙을 고민하게 하며, 대중을 포함한 이해당사자들을 전반적으로 의료 교육의 질에 대해 안심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tandardisation brings benefits: facilitate mobility, promote patient safety, driv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nd enable the diffusion of best practices. Standardisation can also help to embed principles of fairness, equ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high-stakes processes, while reassuring stakeholders, including the public, about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as a whole.


동시에 맥락적 가변성은 다양한 학습 기회, 능력, 의료 교육의 지역적 조건의 수용력 및 다양한 노동력을 더 잘 조화시킬 수 있다.

At the same time, contextual variation can lead to divergent learning opportunities, capability, better alignment of medical education with the affordances of local conditions, and a diverse workforce.


그렇다면 어떻게 생산적으로 발전할 것인가? 우리는 세 가지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 이론적, 

  • 방법론적, 

  • 수사적.

How then to move forward productively? We offer three approaches: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rhetorical.


이론적 관점을 포용하기

Embracing theoretical perspectives


사회성(sociomateriality)은 그러한 하나의 관점을 제공한다. 여기서 표준이란, [특정한 문맥을 이루는 집합적이고 상호작용하는 개인 그룹, 사회문화적 표준 및 자료(문서와 역량 프레임워크 포함)에 의해 '수행된' 표준]이라고 본다.13 사회적 물질주의자 관점은 표준은 표준이 실현되는 모든 상황에서 재정의되고 개조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강조한다.13,91 표준은 대화의 시작이다. 주어진 상황에 도입된 자료(예: 표준)는 템플릿으로 사용되지만 또한 그 사용을 통해 변형된다.

Sociomateriality offers one such perspective92,93 as it reflects standards as being ‘performed’ by an assembled and interacting group of individuals, sociocultural norms and materials (including documents and competency frameworks) that together constitute a particular context.13 A sociomaterialist perspective stresses that a standard is inevitably redefined and adapted in any context in which it is realised.13,91 A standard then is the start of a conversation, The materials introduced to a given context (such as standards) serve as templates but are also transformed through their use,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두 번째 이론적 관점은 패턴 이론의 관점이다.94 의학 교육의 표준화와 상황 다양성의 측면에서, 패턴 이론은 반복되는 공통점과 표준과 그것들이 실현되는 맥락 모두에서 무엇이 다른지 모델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A second theoretical perspective we can use is that of pattern theory.94 In terms of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in medical education, pattern theory can help to model what are the recurring commonalitie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oth in standards and the contexts in which they are realised.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방식을 가지고 연구 중인 [상황과 현상 사이의 상호작용]을 frame할 수 있다. 우리는 '왜 이것이 효과가 있을까?'라고 묻는 서술적 연구나 정당화 연구를 넘어, 연구 질문의 틀에 맥락에 통합하여 '어떤 상황에서, 어떤 상황에서 이 방법이 효과가 있는가?'라고 질문하도록 장려되었다. 예를 들어, 연구 및 평가에 대한 현실주의 접근법은 특정 상황에서 특정 개인에 대한 개입이 성공 또는 실패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98,99

Different methodological approaches can frame the interplay between context and the phenomenon under study. We have been encouraged to move beyond descriptive studies and justification studies to explanatory studies, asking ‘Why does this work?’.97 An extension to this approach asks ‘In what contexts and under what circumstances does this work?’, incorporating context into the framing of the research question. For example, realist approaches to research and evaluation allow us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by which interventions succeed or fail for specific individuals in specific contexts.98,99


다중 사례 연구 방법론은 어떤 현상이 다른 맥락에서 어떻게 다르게 행동하는지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100 이러한 방법론적 접근법은 [현상과 그것이 내재된 상황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게 한다.

A multiple case study methodology enables us to examine how a phenomenon behaves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s.100 Such methodological approaches can shift attention to the interplay between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and the contexts in which it is embedded.


세 번째 방법은 우리가 학문적인 출판물에 문맥을 어떻게 보고하는지 재고하는 것이다. 현재 상황에 대한 묘사는 방법 섹션의 일부로 짧게 구성된다. 우리는 이러한 서술이 훨씬 더 길어질 필요가 없다고 제안하지는 않지만, 학문적 글에서 맥락에 대한 더 많은 성찰이 필요하다.

A third way forward is to reconsider how we report context in scholarly publications. Currently, a description of context is expected to be short and part of the methods section. We do not suggest that these descriptions need to be much longer, but there does need to be more reflexivity about context in academic writing.


결론

CONCLUSIONS



맥락다양성과 표준화는 의학 교육의 씨줄과 날줄이다. 천의 한쪽을 보면 한 세트의 실이 보인다. 옷감을 뒤집으면 다른 옷감이 더 우세하다. 어느 쪽을 검사하든 색상과 질감은 씨줄과 날줄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다. 직물의 인장 강도를 생성하는 것은 이 상호작용이다.

Contextual diversity and standardisation are the warp and the weft of the fabric of medical education. Look at one side of the fabric and one set of threads shows. Turn the fabric over, and the other set predominates. Whichever side we examine, the colour and texture are the results of the interplay between the two threads. It is this interplay that produce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abric.


표준화라는 칭찬할 만한 목표와 치료를 훈련하고 제공하는 무수한 맥락의 현실을 인식함에 있어서, 우리는 세계적으로 책임이 있고 지역적으로 관여하는 의료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공할 수 있는 더 나은 위치에 있다.

In recognising both the laudable goals of standardisa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innumerable contexts in which we train and deliver care, we are better positioned to design and deliver a medical education system that is globally responsible and locally engaged.




5 Bates J, Ellaway RH. Mapping the dark matter of context: a conceptual scoping review. 2016;50 (8):807–16.


6 Ellaway RH, Bates J, Teunissen PW.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nd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17;51 (12):1250–9.


38 Griffin B. Selecting medical students: considering qualities other than academic ability. Med Educ 2018;52 (1):9–11.


54 Conrad SS, Addams AN, Young GH. Holistic review in medical school admissions and selection: a strategic, mission-driven response to shifting societal needs. Acad Med 2016;91 (11):1472–4.


87 Fraser SW, Greenhalgh T. Complexity science: coping with complexity: educating for capability. BMJ 2001;323 (7316):799.


89 Teunissen PW, Kogan JR, ten Cate O, Gruppen LD, Lingard LA. Learning in practice: a valuation of context in time-variable medical training. Acad Med 2018;93 (3S):S22–6.


80 Schrewe B, Ellaway R, Watling C, Bates J. The contextual curriculum: learning in and from the matrix. Acad Med 2018. doi: 10.1097/ACM. 0000000000002345 [Epub ahead of print.]





 2019 Jan;53(1):15-24. doi: 10.1111/medu.13740. Epub 2018 Oct 21.

Embracing standardisation and contextualisation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2
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3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and Director of the Office of Health and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OHM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4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E),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FHML),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5
Departments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and Oncology,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The tensions that emerge between the universal and the local in a global world require continuous negotiation. However, in medical education, standardiz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tend to operate as separate philosophies, with little attention to the interplay between them.

METHODS:

The authors synthesis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intersections and resulting tensions between standardization and contextual diversity in medical education. In doing so, the authors analyze the interplay between these competing concepts in two domains of medicaleducation (admissions an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provide concrete examples drawn from the literature.

RESULTS:

Standardization offers many rewards: its common articulations and assumptions promote patient safety, foste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nd enable the spread of best practices. Standardization may also contribute to greater fairness, equ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high stakes processes, and can provide stakeholders, including the public, with tangible reassurance and a sense of the stable and timeless. At the same time, contextual variation in medical education can afford myriad learning opportunities, and it can improve alignment between training and local workforce needs. The inevitable diversity of contexts for learning and practice renders any absolute standardization of programs, experiences, or outcomes an impossibility.

CONCLUSIONS:

The authors propose a number of ways to examine the interplay of contextual diversity and standardization and suggest three ways to move beyond an either/or stance. In reconciling the laudable goals of standardiza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innumerable contexts in which we train and deliver care, we are better positioned to design and deliver a medical education system that is globally responsible and locally engaged.

Comment in


의예과교육 개선 방안(How to improve premedical course education) - 한국의학교육, 1992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윤 성 도*++






1. 문제의 제기 및 배경


대학입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그 중에서도 성적 상위권 학생들이 의예과에 입학하고 있다. 이들은 동기가 어떠하든 앞으로 의과대학에 입문하여 의학도가 되겠다고 의예과를 지망한 것이다.


대학교에서는 의예과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궁리를 하고 있으나 대책의 전문성 결여, 대학마다 고유한 교과과정 분위기 등으로 전국 32개 의과대학이 모두 부섬하고 다양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학생들은 학생대후 대학입시에 지친 나머지 얻은 해방감으로 긴장이 풀려 있고 고질적으로 내려오는 선배들의 오도된 오리엔테이션응로 면학성이 결여되어 있으묘로 2 년간의 의예과 생활에 큰 회의를 자아내게 하고 있다.


현재 의예과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은 수없이 많으나 일반 의학교육자들이 들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의예과의 소속문제(소위 2, 4 년제, 6 년제)

2) 의예과 교육의 주체

3) 의예과의 교과과정 빛 교육목표 설정

4) 조기의학교육


이와 때를 같이하여 한국의학교육의 흐름을 움직이고 있는 기관들 즉, 대한의학협회 산하기관 한국의학교육협의회, 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한국의학교육학회, 의학교육 연수원 등에서도 이미 현실을 파악하고 의예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현재 의예과 교육의 문제첨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의예과 교육번천의 역사적 고찰


우리나라에 서양의학 교육이 도입된 것은 약 100년이 되었으며 의예과 교육이 시작된 것은 1924 년 서울대학의 전신인 경성의전이었다. 1945년 광복을 맞이하고 미군정 하에서 의예과 교육은 점차 전국 의과대학(당시 6개교)으로 확대되었다. 그간 의예과 교육 변천사는 아래와 같다. (표 1, 2)



〈재료 및 방법 >


의학교육을 주도해온 의학교육학자들에게 자문을 얻고, 의예과 교육의 문제점을 가지고 의예과 교육 담당교수, 본과학생, 의과대학 교수,의학교육학회 의예과 분과위원회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 한국의학교육현황 (90-91,92-93) , 한국현대의학사, 각종 의학교육학회 자료, 의협신보 등에서 발훼한 자료 등을 근거로 분석하여 성척을 얻었다.


〈성적 >

설문조사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문항 별로 정리하여 본 결과 의예과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안은 아래와 같았다.


1. 1990 년대 의예과 교육분과위원회가 본 의예과 교육 문제점 (1)

1) 대학간 공통과목의 비표준화

2) 물리, 화학, 생물에 너무 시간 배당이 편중되어 있다.

3) 의학교육 전 단계로써 교과내용이 마비하고 본과 교육과 연계성이 부족하다.

4) 교과과목을 주도할 전임교원이 없다.

5) 인성 및 교양교육이 부족하다.

6) 대학간 조기 의학교육에 대한 일관성이 없다.

7) 새로운 학문 분야(전산, 핵의학, 의공학(biophysics 등) 도 입 지 연

8) 수준 높은 어학교육이 안되고 있다.

9) 선택과목의 폭이 좁다.


2. 의예과 교육분과위원회가 본 의예과 교육 문제점 (2)

1) 교수, 학생들의 자세와 사명감에 대한 의지가 부족하다.

2) 의예과 교육의 주체자가 없고 애착이 없으며 의대 교육자의 의견을 반영할 기회가 부족하다.

3) 본과 진업 방법 개선과 다양화 (4년제 대학출신 입 학 포함) 가 요구된다.

4) 학생들의 소속감 결여로 학생회 활동에서 소외되고 있다.

5) 상대적 우월감과 선배들의 잘봇된 의예과 orientation 으로 면학분위기가 몸에 베어있지 않고 편협한 사고를 가지게 된다.

6) 과도한 유급제도


3. 본과 학생이 본 의예과 교육의 문제점

- 학생 스스로의 문제점 -

1) 시간낭비, 의예과 교육의 의미부여 및 학문에 대한 인식 부족, 놀려고만 한다.

2) 자신을 키우려는 노력, 창의력, 자발척 참여 부족.

3) 타과보다 특별나다고 생각, 과내 행사 소극적, 이기적, 자만심이 많다.

4) 서클 활동시간 부족, 타과 학생들과 교류가 부족하다.

5) 선후배 간의 기강이 해이해진다.

6) 자가용 운전자가 많다(소비적 성향) .

7) 명분없는 시위를 자제하자.

8) 출석률이 저조하다(향락적 성향) .


4. 본과 학생이 본 의예과 교육의 문제점

- 의예과 담당교수에 대한 바램 또는 문제점 -

1) 애착심, 관심, 중요성 인식이 부족하고 무성의하고 형식적인 강의를 하며, 미운 오리새끼 취급을 받는다(개밥의 도토리, 나그네, 뜨네기 신세) .

2) 의과대학과 연계성이 없고 필요없는 과목이 많다.

3) 의예과 담당교수들이 권위적이고 자질이나 실력이 부족하고 책임감이 적다.

4) 강의내용에 변화가 없고 고등학교 교육의 연속이고 수업시간이 너무 많다.

5) 선택과목의 폭이 좁고 시험이 과다하다.

6) 유급이 많다.

7) 제자와 스승 간의 인간관계 성립이 안된다.

8) 교육의 일관성 이 없다.


5. 의학과목 일부가 의예과로 내려가는 방안 

(찬성) 

1) 조기 의학교육으로 앞으로 있을 의학교육의 흥미 유발

2) 과중한 의학교육 분산 효과


(반대) 

1) 의예과 특성 위축

2) 자연대학 교과목 위축

3) 과중한 강의시간


6. 현행 2년제 의예과의 문제정

1) 본격적인 의학 기초 교육기간으로서 시간이 부족하다.

2) 2년간이라도 효율적인 교과과정이 미흡하다.

3) 교과과정 개편시 의예과 강의를 주도하는 교수들의 편견과 의과대학 교수의 참여가 미비하다.

4) 학교간 교과목의 시간 배정이 극심하다.


7. 인문, 사회 및 자연계열별 평균 학점 분포


8. 의예과 교육분과위원회가 본 의예과 교육 개선안

1) 한국의학교육학회 의예과 분과위원회에 의예과 담당교수(협의기구체)를 포함시키자.

2) 대학간 의예과 교육의 상호 교류.

3) 의예과를 의과대학으로 소속 흑은 의예과-본과 연계기구를 조직내지 활성화 방안

4) 의예과 전임교수를 선임하자.

5) 대학 입시에 누락된 과목 중점교육 필요.

6) 조기 의 학교육으로 향후 본과 교육에 대한 흥미와 기대감을 유발하자.

7) 선진국의 자료를 참고하자.


9. 6년제 의예과 교과과정의 특성 (1992 년판 한국의학교육)

1) 의학과 과목(해부학, 발생학, 조직학, 생리학, 생화학)이 의예과에 많이 내려오는 경향

2) 윤리, 교양과목시간 증가

3) 전산, 의공학 등 첨단과학 도입 경향


〈고 찰〉

의예과 교육이 의학교육 전단계로써 실시되어 전국 의과대학으로 확산된 이래 의예과 교육목표 설정도 시대의 요구에 맞게 변천되어 왔다.1920년대 경성제국대학 의예과 수업내용은 다음과 같다(표 3). 


1945년대를 전후하여 의예과를설치하게 된 배경은 아마 인성교육, 기초의학에 필요한 자연과학을 교육시키므로 보다 의학교육에 충실을 기하고 자질 있는 의학도를 배양하는데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표 4) .



그 후 의예과 교육에 대한 반성과 교육개선을위한 노력은 꾸준히 이루어져 

  • 1971 년대에 와서 전국 의과대학 학장들이 중심이 되어 의학교육협의회가 발족되었고 

  • 1975년에 WHO 와 China Medical Board 의 도움으로 의학교육연수원이 설립되었다. 

  • 1982년 한국의학교육학회가 발족되었고 

  • 본격적인 의학교육 도입은 1989년 이후라고 사료된다. 

현재 의학교육을 관장하고 있는일선 의학교육자 뿐 아니라 대한의학협회, 교육부 대학국, 의학교육연수원, 한국의학교육학회,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를 통하여 의예과 교육개선을 위한 움직임이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의료의 방법이 과거의 경험론이나 철학적인방법에서 과학적 근거에 기초를 두어야 하는 시대에 와 있으며, 국민들의 수명연장, 의료의 요구와 만족도, 국민의료보험 실시, 의과대학의과다한 증설로 양적 팽창에 따른 질적 저하의우려, 기초의학에 대한 지원부족과 냉대, 의과대학에서 배워야 할 의학정보의 폭주로 말미암아 의학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각 대학에서는 대학 냐름대로 의학교육 전문언을 양성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일고 있으며, 실제일부 대학에서는 의학교육연구원, 시드니 뉴사우스 웨일즈 (NSW) 대학에 있는 RTC 에 교수를 파견시키고 있다.


의예과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고 대학당국, 교수, 학생 등의 처해진 입장마다 다를 수 있으으로 일정한 교육수준 이상은 노력여하에 따라 올릴 수 있으나 획일적인 목표선정이나, 교육방법이 정해지기는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1990년대의 바람직한 의예과 교육의 목표는 인간성 및 윤리성의 회복, 기초의학에 필요한 첨단과학, 컴퓨터과학 및 수준 높은 어학과 평생교육의 기초를다지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강의 교육 일변도에서 벗어나 세미나식, 공청회식 조사연구,problem solving, role play 등을 적 절히 혼합하는 방법도 제안해 볼 수 있다.


그간 각 대학은 대학 나릎대로 의예과 교육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온 것도 사실이다. 그 중에서 의학교육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뒷받침으로교과과정의 변화를 볼 수 있는데 한국교육현황(1990-1991) 과 (1992 -1993) 을 참고로 비교하면 등록된 전국 32 개 의과대학 중 학점수의 증가 (12 대학) 감소 (11 대학) , 내지 학점수에는 변동이 없어도 교과과정 내용적으로 시대적 요청에 맞추어 나가고 있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학점수의 증가는 적게는 1학점에서 최고 17학점까지 변동이 있었고, 감소도 최소 1 학점에서 최고 20학점까지 다양하였다(표 5) .



교과과정의 증가 내지 신설되는 과목은 인성,윤리교육과 첨단과학(분자생물학, 컴퓨터 과학)및 어학을 강조하는 경향이었고 감소한 학점은 물리, 화학 등의 과목에서 탈피하려는 경향을보여 주었다.


의예과 소속이 의과대학에 속해 있는 대학은모두 9개교(아주, 가톨릭, 동국, 한림, 이화,인하, 조선, 연세원주, 대구가톨릭) 등으로 의예과가 자연대학 내지 이공대학에 속해 있는 대학과 교과과정 사이에 큰 특정과 차이를 발견할수 없었으나 다소 빠르게 첨단과학교육, 의학교육과 일부 조기 의학교육 등에 적응하는 현상을보여 주었다.


의예과에 내려온 의과대학 과목들은 아래와같다(표 6) .



의예과 교육의 주체가 대부분 자연대학, 이공대학이었던 관계로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의과대학 교수의 참여가 부진 하였던 것도 사실이나 의예과 교육과정 펀성에 작용한 비교육적인요소로서 의예과 교육자 스스로 많은 강의시간을 보유하려는 태도를 지적할 수 있는 반면에의예과 교육에 최션을 다하지 못한 듯한 인상을주고 있다. 의예과 입학 선발시 타대학과 다른기준을 제도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고 본과 진업시 종합시험을 치루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현채 의학교육자 일각에서 소위 8년제 의과대학이 논의되고 있는데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할 문제이며, 의대교수들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현행, 현행과 8년제 병행, 8년제 등에 대한의견이 3분 되는 경향이었고 무언가 변화를 요구하는 성향이었다(표 7) .



의과대학 4년간 배워야할 의학 교과목들의 질과 양이 너무 팽창하여 현행 시간으로 제한을받기 때운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의예과 과정의 능률을 올릴 수 있는 적극적 방법이나, 자연계 대학 출신을 본과에 진입시키는 방법, 의예과를 4년제로 하는 방법 등이 계속 제기될 전망이다. 또한 설문조사에서 지적된 것처럼 한국의학교육자와 의예과 교육 담당자 간에 주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기구를 통하여 서로 만나 연구하는 기회가 필요할 것이다. 남은 과제는 의예과 교과과정 속에 어떤식의 교육방법을 도입하느냐 하는 것인데, 점차 강의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평생교육을 할 수 있는 기초를다질 수 있는 방법 즉 세미나식, 공청회, roleplay, 문제해결식, 현장실습 등이 소개될 수 있을 것이며, 선진국의 예를 참고해야 할 것이다.


의예과 교육의 개선 방법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보다 많은 의학교육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의예과 교육, 의학과 교육뿐 아니라 모든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Buscaglia 교수의 말대로 “사랑” 한 마디로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요 약〉

저자들은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하여 오늘날 한국 의예과 교육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

과 개선안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가.문제점

(1) 의예과 교육목표가 설정되지 않고 교육의 일관성이 부족하다.

(2) 의예과 소속감의 결여로 학생들이 소외감을 느낀다

(3) 의예과 교육 주체자 및 전담교수 부재현상

(4) 의예과 교육년한 2 년동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사용하기에 연한이 부족하다.


나. 개선안

(1) 한국의 학교육학회 의예과 분과위원회 에 의예과 담당교수(협의기구체)를 포함시키자.

(2) 대학 간 의예과 교육의 상호교류

(3) 의예과를 의과대학 소속으로 하는 방안 내지 의예과-본과 연계기구 활성화

(4) 의예과 전임교수 선임

(5) 교육방법을 강의 위주에서 탈피하여 평생교육을 강당할 수 있도록 자발적 학습 방법을 개발한다.

(6) 본과진입 방법에 대한 개선책 A로 종합시험제 도업을 고려하자.






CBME도입의 주요 과제(Med Teach, 2017)

Overarching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Kelly J. Caverzagiea, Markku T. Nousiainenb, Peter C. Fergusonb, Olle ten Catec , Shelley Rossd ,

Kenneth A. Harrise, Jamiu Busarif, M. Dylan Bouldg , Jacques Bouchardh, William F. Iobsti,j, Carol Carracciok

and Jason R. Franke,l,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도입

Introduction

환자, 정책 입안자 및 기타 의료 옹호자들은 (IOM et al. 의료 교육 2003; MPAC 2010; Eden et al 2014) 투자에 대한 더 큰 수익을 요구하고 있다. 사실, 다수의 상위 보고서들은 의학교육에 대한 상당한 개혁을 요구해왔다. (Cooke et al. 2006; Weinberger et al. 2006; Cooke et al. 2010; Frenk et al. 2010;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세계 의료 교육의 지도자들은 의료 교육 시스템의 의미 있는 재설계를 시작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Christensen et al. 2000; Emanuel & Fuchs 2012).

Patients, policy-makers, and other health care advocates are demanding a greater return for their investment in (IOM al. medical education 2003; MPAC 2010; Eden et 2014). In fact, multiple high-level reports have called for significant reforms to medical education (Cooke et al. 2006; Weinberger et al. 2006; Cooke et al. 2010; Frenk et al. 2010; FMEC PG Project Report 2012). Recognizing this imperative for change, leaders in medical education worldwide are striving to initiate the meaningful redesign of systems of medical education (Christensen et al. 2000; Emanuel & Fuchs 2012).


CBM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헬스케어 담론에 1970년대 후반에 처음 소개된 이후(McGaghie et al. 1978), CBME는 여러 직업에서 탐구되었지만, 몇가지 이유로 적절한 관심을 얻지 못했다.

First introduced into health care discourse in the late 1970s (McGaghie et al. 1978), CBME was explored in multiple professions but did not gain adequate traction for reasons


1990년대 후반에는 CBME가 의료 교육에 다시 도입되었지만, 훈련의 구조와 과정(Swing 2007; Nasca et al. 2012)과 역량 평가(Ctenate)의 어려움으로 인해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최근 몇 년 동안 CBME는 개인, 프로그램적, 그리고 제도적 결과에 중점을 두었고, 훈련이 여전히 그러한 교육적 필요성과 의사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환자 및 모집단의 건강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이해 때문에 새로운 관심을 끌었다.

In the late 1990s, CBME was reintroduced into medical education but struggled to advance because of the continued emphasis on the structures and processes of training (Swing 2007; Nasca et al. 2012) and difficulties in assessment of competence (ten Cate 2014). In recent years, CBME has attracted renewed interest because of its emphasis on individual, programmatic, and institutional outcomes and its understanding that training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 health needs of the patients and populations served while still mee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physicians and those in training.


CBME 시스템에서 커리큘럼과 평가는 사전 정의된 성과 또는 역량에 의해 이루어진다.

In a CBME system, curricula and assessments are driven by predefined outcomes or competencies.


프로그램과 기관 수준에서, CBME 접근법은 의도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단위(예: 의과대학, 레지던트 프로그램 또는 병원)의 능력에 중점을 둔다. 연구에 따르면 훈련 프로그램 동안 겪은 의료의 질이 그 trainee의 경력 전체에 걸쳐 그가 제공하는 의료의 품질을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amblyn et al. 2002; Asch 2009; Chen 등)

At the program and institution level, the CBME approach places emphasis on the ability of the educational unit (e.g. medical school, residency program, or hospital) to achieve intended outcomes. Research evidence shows that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during a physician’s training program is predictive of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throughout his or her career (Tamblyn et al. 2002; Asch et al. 2009; Chen et al. 2014).


역량이 지속적인 교육 및 실습 단계에서 점진적인 방식으로 배열되면 학습자가 [퍼포먼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평생 학습을 통해 mastery를 향한 drive를 촉진한다. CBME는, 본질적으로 로드맵의 역할을 하며, 커리어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

When competencies are sequenced in a progressive fashion across the continuous stages of training and practice, learners can aim to continuously improve performance. This, in turn, facilitates the drive toward mastery through lifelong learning. Essentially acting as a roadmap, CBME can facilitate continuous development throughout one’s career.


CBME가 관심을 끄는 또 다른 이유는, 성과에 초점을 둠으로써 환자와 공공 이해관계자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때문이다. CBME를 구현하기 위한 초기의 노력은, 만약 강조되지 않았다면, 교육되거나 평가되지 않은 역량 영역에 대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CBME is also gaining traction because its focus on outcomes offers transparency for patients and public stakeholders. Early efforts to implement CBME actually demonstrate awareness of, if not an emphasis on, domains of competence that were otherwise not taught or assessed.


그러나 이러한 역량은, 그것을 기대 성과로 정의한다면, 보건 제공 시스템의 현재 및 미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요약하자면, CBME는 의학교육이 의료전문직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계약에 따라 재편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competencies, when defined as expected outcomes, should reflect the current and future needs of the health delivery system. In summary, CBME has the potential to realign medical education with the social contract afforded to our profession.


CBME가 마주친 도전

Challenges confronting CBME


이 논문은 4가지 중요한 과제를 제시한다(표 1).

This paper presents four overarching challenges that deserve our collective attention (Table 1).


표 1. CBME의 구현에 대한 4가지 중요한 도전 과제 

1. 역량 기반 교육 및 훈련을 지원하기 위한 규제관련 이해 관계자의 aligning

2. 커리큘럼 목표와 경험적 훈련을 연계하기 위한 교육현장 및 임상현장 재설계의 통합 

3. 환자 및 모집단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인, 프로그램, 기관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 확립 

4. 성과defined outcome의 달성을 위한 모든 이해관계자 간의 책무성 보장


Table 1. Four overarching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BME. 

1. Aligning regulatory stakeholders to support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raining 

2. Integrating educational and clinical redesign efforts to align curricular objectives with experiential training 

3. Establishing defined outcomes that reflect the need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in which individuals, programs, and institutions can be measured 

4. Ensuring accountability among all stakeholders for the achievement of defined outcomes



규제관련 이해 관계자의 조정

Alignment of regulatory stakeholders


전문직 자율 규제의 일환으로, 의학은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감독하는 목적을 가진 중요한 규제 기관들을 개발했다. 이러한 감독 기관은 [환자와 인구에 대한 caring을 할 수 있는 인력을 교육하는 전문적 임무를 지원하고 유지하는] 새로운 정책과 프로세스를 구현하여 발전한다.

As part of professional self-regulation, medicine has developed important regulatory agencies whose purpose is to overse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ese oversight bodies evolve by implementing new policies and processes that support and maintain the professional mission of educating a workforce capable of caring for patients and populations.


불행하게도, 이러한 정책들 중 많은 것이 상당히 초창기에 개발되었고, 과거의 커리큘럼과 평가 접근방식에 적용되었으며, 따라서 실제로는 오히려 CBME의 실행을 방해할 수 있다.

Unfortunately, many of these policies were developed in and applied to earlier curricular and assessment approaches and, therefore, may actually preclude the implementation of CBME.


이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은 규제 기관이 종종 통합된 프로세스나 공유된 교육 데이터 없이 격리된 사일로에서 기능한다는 사실이다. 의학교육 규제 기관들은 시대에 뒤떨어진 정책을 개선하고, 평생 직업 발전과 성장을 위한 연속성을 더 지원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Compounding this challenge is the fact that regulatory agencies often function in isolated silos without integrated processes or shared educational data. Medical education regulatory agencies must work together to address outdated policies and further support continuity in lifelo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owth.


훈련생들이 unsupervised practice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안전하고 양질의 환자 관리를 제공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교수진은 [학습 단계 초반의 학습자 또는 하나 이상의 역량영역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지도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할 수 있다. 개별화된 학습과 전문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교수진은 평가, 관찰, 피드백 및 코칭에서 필요한 기술을 습득, 개발해야 할 수 있습니다. 기관들은 trainee의 교육과 평가에 대해 교수들이 배운 것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개발과 필요 시간을 지원해야 한다. 미래에는, 교육 기관은 연수생들의 전문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양질의 교육과 지도력에 인센티브를 줘야 하며, 예를 들어 승진과 종신 재직권을 통해 교직원들에게 보상해야 한다.

To ensure that trainees provide safe and high-quality patient care as they work toward unsupervised practice, faculty may need to devote more time and effort to directly observing and coaching those who are early in their learning or delayed in one or more domains of competence. To facilitate individualized learning and professional growth, faculty may need to acquire enhanced skills in assessment, observation, feedback, and coaching. For their part, institutions must support faculty development and the commitment of time required for faculty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trainees. In the future, teaching institutions must incentivize high-quality teaching and leadership that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rainees and reward engaged faculty through, for example, promotion and tenure.


규제 기관이나 정부 기관이 엄격하고 지나치게 구조화된 정책을 재고해야 하는 것처럼, AHC와 다른 교육 기관도 그렇게 해야 한다.

Just as regulatory and governmental agencies must reconsider rigid and too overly structured policies, so must academic health centers and other teaching institutions.


또한 임상 훈련 장소에서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스템과 환경을 재설계해야 한다.

Furthermore, clinical training sites will need to reengineer the systems and environments in which training occurs.


비록 이것이 의도적인 효과는 아니었지만, 현재의 시스템은 trainee에게 교육보다 임상업무의 가치가 지나치게 많이 강조되도록 진화해왔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시스템 전반의 학습 환경 변화에서 비롯되어야 한다(ACGME 2014).

Although this was not an intentional effect, these systems have evolved such that clinical care too often trumps educational value for a trainee. A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must come from system-wide changes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CGME 2014).


앞으로 나아가서, 규제 및 정부 이해관계자는 의학교육 지도자 및 교육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안전한 환자 관리를 보장하는 감독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Moving forward, regulatory and governmental stakeholders must work closely with medical education leaders and teaching institutions to establish oversight policies that ensure safe patient care while at the same time optimizing the learning environment.


CBME의 구현은 평생학습에 기초한다. 의료교육과 관련된 정책과 규정은 이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진화해야 한다.

The implementation of CBME is predicated on lifelong learning; policies and regulations related to medical education must evolve to support this goal.


교육과 임상 재설계 노력의 통합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clinical redesign efforts


의료 시장의 변화에 대한 압박감 속에서, 임상 치료의 제공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환자 경험,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인구 건강, 그리고 양질의 비용효율적인 진료에 다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료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의학교육의 재설계는 의료 시스템의 재설계를 반영해야 한다(Ludmer 1999).

Under the pressure of changes in the health marketplace, the delivery of clinical care is changing dramatically. There has been renewed focus on patient experience, teamwork, communication, population health, and high-quality, costeffective care. As health care evolves, it is imperative that the redesign of health care education mirrors the redesign of the clinical delivery system (Ludmerer 1999).


이러한 조정이 없다면, 훈련생들은 여전히 시대에 뒤떨어지고 비효율적인 임상 학습 환경에서 연습하면서 새로운 원칙이나 관리 모델에 대해 배우게 될 수도 있다. 교육 및 임상 재설계 노력의 통합을 통해서만 우리는 우리의 현재 의학교육 시스템을 특징짓는 이분법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훈련생들은 단순한 지식이나 임상 추론을 뛰어넘는, 중요한 환자 치료 원칙을 배우고 그 후에 적용할 수 있다.

Without this alignment, trainees may be asked to learn about emerging principles or models of care while still practicing in outdated or inefficient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Only through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and clinical redesign efforts will we be able to overcome the dichotomy that characterizes our current systems of medical education. In this way, trainees can learn and subsequently apply important principles of patient care that go beyond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


역량있는 trainee는 역량있는 기관(Asch et al. 2009)에서만 길러질 수 있다. 따라서 임상진료제공과 교육에 관한 재설계 노력은 상호적이다. 하나의 성공은 다른 하나의 성공에 달려 있다.

Competent trainees can graduate only from competent institutions (Asch et al. 2009); thus, these redesign efforts for clinical care delivery and for education are reciprocal; the success of one is dependent upon the success of the other.


또한 교육변화와 임상변화의 통합은 학습자가 자신의 개인적 관심 뿐만 아니라 환자집단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임상적 환경, 새롭게 부상하는 치료 모델]을 훈련할 기회를 갖게 됨을 의미한다.

Furthermore,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and clinical change will mean that learners have opportunities to train in novel clinical settings and/or emerging models of care that align with their personal interests and the needs of a patient population.


임상적 변화와 학습의 통합이 성공하려면, AHC에 속하지 않은 의사를 포함하여, 교육을 담당하는 의사와 병원에 대한 적절한 장려책이 있어야 한다. 현재, 너무 많은 기관들이 교육을 그들의 임상 및 연구 임무에 부차적인 것으로 만들게 강요당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자금이 임상 관리 및 연구와 관련된 수익에서 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책과 펀딩의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다(Eden et al. 2014).

If the integration of clinical changes and learning is to be successful, teaching physicians and hospitals, including those that are not academic health centers, must have appropriate incentives. Currently, too many institutions are forced to place education secondary to their clinical and research missions, because the funding to support teaching must come from revenue related to clinical care and research. Accomplishing this goal will require significant policy and funding changes, as described previously (Eden et al. 2014).


성과의 정의

Defined outcomes


이러한 성과는 개별 훈련생뿐만 아니라 해당 훈련생들이 배우고 연습하는 프로그램, 교육 기관 및 학술 건강 시스템에 대해서도 정의되어야 한다.

These outcomes should be defined for individual trainees as well as the programs, teaching institutions and academic health systems in which those trainees learn and practice


범위와 영향은 다르지만, 이러한 개인 및 시스템 수준의 성과는 시스템 수준의 요구에 부합하는 개인적/전문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서로를 보완해야 한다.

Although different in scope and impact, these individual and systems-level outcomes must complement one another in order to facilitate personal professional growth that is aligned with systems-level needs.


또 다른 기대성과로는, 현재의 환경에 존재하는 행정부담 완화도 포함되어야 한다.

Other expected outcomes should also include the mitigation of the administrative burden that exists in the current environment.


상호 책무성

Mutual accountability


CBME의 약속을 이행하려면 개인, 기관 및 규제 기관이 정의된 성과 달성을 위해 서로 책임을 져야 한다. 

Accomplishing the promise of CBME will require that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regulatory bodies hold one another accountable for achieving the defined outcomes. 


  • 이를 위해서는 개별 의사가 양질의 환자 관리와 고부가가치 교육 프로그램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규제 감독을 받아들여야 한다. 연수생을 포함한 개인은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역량 유지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This will require individual physicians to accept regulatory oversight that is designed to achieve high-quality patient care and high-value educational programs. Individuals, including trainees, would need to accept accountability for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competence.

  • 마찬가지로, 프로그램과 기관은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촉진하고,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며, 전문적 역량의 개발과 유지를 촉진하기 위해 고안된 규제 감독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Similarly, programs and institutions would need to accept regulatory oversight that is designed to promote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facilitate individual growth, and foste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rofessional competence.

  • 마지막으로, 규제 기관은 지역적 맥락 안에서 CBME 접근방식으로의 전환을 촉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각 프로그램 및 기관이 유연하게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허용할 필요를 인식해야 한다. 종합적으로, 우리는 medicine의 토대가 되는 사회적 계약을 받아들여야 한다(Cruess & Cruess 2014; Cruess et al. 2014). 궁극적으로 우리의 책임은 대중에게 있다.

  • Finally, regulatory agencies must recognize the need to allow programs and institutions the flexibility to innovate with the goal of facilitating the transition to a CBME approach within the local context. Collectively, we must embrace the social contract on which medicine is founded (Cruess & Cruess 2014; Cruess et al. 2014). Ultimately, our accountability is to the public.


도전을 극복하기 위하여

Overcoming challenges


CBME가 새로운 개념이 아닌 것처럼, CBME가 직면한 과제들도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Ende et al. 1997). 다만 새로운 것은 의료 제공 시스템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것이며, 의료 서비스에 더 큰 가치를 요구하고 있는 환자, 사회 및 정책 입안자들의 기대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다(Porter 2010).

Just as CBME is not a new concept, the challenges confronting CBME are also nothing new (Ende et al. 1997). What is new, however, is the rapid evolution of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nd the changing expectations of patients, society, and policy-makers, who are demanding greater value in health care (Porter 2010).


우리는 이 논문에 요약된 4가지 중대한 도전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각각의 도전을 별개의 것으로 다루는 것은 전체의 성취를 방해할 뿐이다.

we believe it important to simultaneously address the four overarching challenges outlined in this paper. Confronting each challenge in isolation will only impede the accomplishment of the whole.


이러한 변화 과정은 시간, 인내, 외교, 그리고 자금을 필요로 할 것이지만, 많은 중요하고 필요한 변화들은 이미 진행되고 있다.

This process of transformation will take time, patience, diplomacy, and funding; however, many important and necessary changes are already under way.






 2017 Jun;39(6):588-593. doi: 10.1080/0142159X.2017.1315075.

Overarching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 Omaha , NE , USA.
2
b Division of Orthopaedic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 Toronto , Canada.
3
c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 Utrecht , The Netherlands.
4
d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Alberta , Edmonton , Canada.
5
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6
f Maastricht University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7
g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8
h University of Calgary , Calgary , Canada.
9
i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 Philadelphia , PA , USA.
10
j The Commonwealth Medical College , Scranton , PA , USA.
11
k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 Chapel Hill , NC , USA.
12
l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Abstract

Medical education is under increasing pressure to more effectively prepare physicians to meet the need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With its emphasis on individual, programmatic, and institutional outcome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has the potential to realign medical education with this societal expectation. Implementing CBME, however, comes with significant challenges. This manuscript describes four overarching challenges that must be confronted by medical educators worldwide in the implementation of CBME: (1) the need to align all regulatory stakeholde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timization of training programs and learning environments so that they support competency-based progression; (2) the purposeful integration of efforts to redesign both medical education and the delivery of clinical care; (3) the need to establish expected outcomes for individuals, programs, training institutions, and health care systems so that performance can be measured; and (4) the need to establish a culture of mutual accountability for the achievement of these defined outcomes. In overcoming these challengesmedical educators, leaders, and policy-makers will need to seek collaborative approaches to common problems and to learn from innovators who have already successfully made the transition to CBME.

PMID:
 
28598747
 
DOI:
 
10.1080/0142159X.2017.1315075


의학 수련의 문화 바꾸기: CBME 도입을 위한 중요한 단계(Med Teach, 2017)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training: An important step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eter C. Fergusona, Kelly J. Caverzagieb, Markku T. Nousiainena and Linda Snellc,d;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도입

Introduction


20세기 초, 북미에서의 의료 교육에 관한 Flexner 보고서(Flexner 1910)는 구조 및 프로세스 기반 시스템의 개발을 이끌었다.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Flexner report (Flexner 1910) on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and process-based system


이 전통적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본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위계적인 교사 중심 과정 

  • 지식의 습득에 초점

  • 다른 학습자와 비교한, 산발적인 주관적 평가 

  • 정해진 시간 내에 훈련 진행

  • 교육 종료 시 총괄 평가(Carracio et al. 2002).

This traditional system has several essential features, including 

  • a hierarchical teacher-centered process, 

  • a focu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 sporadic subjective assessments based on comparisons with other learners, 

  • progression through training in a fixed amount of time, 

  • and a final summative assessment at the end of training (Carraccio et al. 2002).


CBME를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의학 교육의 연속에서 문화적 변화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이 논의에서 우리는 "문화"와 "문화적"이라는 용어를 [사회 내 특정 집단의 행동과 신념]의 의미로 사용할 것이며, 즉 이 경우 의료 연수생들의 교육에 관련된 특성을 언급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The acceptance of CBME as a new educational paradigm will not come without a cultural shift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In this discussion, we use the terms “culture” and “cultural” to refer to the behaviors and beliefs characteristic of a particular group in society – in this case, those involved in the education of medical trainees.


CBME의 이행에 있어 중요한 도전 과제는 CBME의 장점이 무엇이며, 왜 새로운 접근방식과 행동을 채택해야 하는지를 전통주의자들에게 설득하는 것이 포함된다.

A significant challenge in the implementation of CBME will involve persuading traditionalists of the merits of CBME and of the need to adopt new approaches and behaviors.




의학교육 혁신을 가치있게 여기고 촉진하는 리더를 양성하기

Developing leaders that value and promote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문화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은 조직 내 다양한 개인과 협력할 수 있는 강력하고 일관된 리더가 없이는 확립될 수 없다(Bland et al. 1999). [다른 사람들에게 교육과정 변화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설득할 수 있는 사람]이자 [적절한 자원이 그 실행에 할당되도록 보장할 수 있는 사람]을 리더로 보유한 조직이 (이러한 종류의 리더십이 부족한 사람들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더 높다(Bland et al. 2000; Fokema et al. 2012).

The culture of medical training programs must foster an environment that promotes novel educational paradigms. Such an environment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strong and consistent leaders who can work collaboratively with the various individuals within an organization (Bland et al. 1999). Organizations with educational leaders who understand and can convince others of the need for curricular change, and who can ensure that adequate resources are allocated to its implementation, are more likely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to new educational paradigms than those who lack this kind of leadership (Bland et al. 2000; Fokkema et al. 2012).


조직들은 우선 CBME의 원칙과 일치하는 교육적 미션을 개발해야 한다. 리더를 바꿀 때에는 교육에 대한 선견지명이 있는 접근방식에 헌신하는 사람 중에서 골라야 하며, 혁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호된 시간을 주어야 한다.

Organizations must first develop an educational miss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CBME. Change in leaders should be chosen from among those who are committed to a visionary approach to education, and they must be given protected time to develop their innovations.


리더십 자체는 전통적인 교육 시스템에서 오랫동안 무시되어 온 능력이다(Frank et al. 2015). 교육 리더십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설립을 촉진해야 한다. 리더십 기술은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르쳐야 하며, 리더십에 초점을 맞춘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모든 의학 교육 기관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효과적으로 전달되었을 때,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잘 받아들여졌고 혁신의 문화를 촉진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Leadership is itself a competency (Frank et al. 2015) that has long been ignored in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s. The establishment of programs to develop educational leadership should be promoted. Leadership skills must be taught in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focused on leadership should be a part of every medical education organization. When delivered effectively, these programs have been generally well received and have helped to promote a culture of innovation,


변화를 지지하는 "풀뿌리" 지도자가 될 수 있는 일선 교사들과 과제를 공유하는 것은 중요하며, 커리큘럼 개발에 전념하는 개인에게 보상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개발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share tasks with front-line teachers, who may themselves be “grassroots” leaders who support change, and incentives should be developed to reward individuals who are committed to curricular development.


CBME연구를 통해 부정적 인식 극복하기

Overcoming negative perceptions by promoting research in CBME


많은 비평가들은 CBME가 트레이닝에 해로울 것이며, 열등한 의사들을 배출할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의견은 종종 연구에 아무런 근거 없는 일화로만 표현된다.

A number of critics take the position that CBME will be detrimental to training and produce inferior doctors. This opinion is often expressed anecdotally without any basis in research.


하지만 CBME의 장점 중 하나는 학습자가 교육 시간에 대해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생산적인 교육 시간을 줄임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사실 교육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이며, 확실히 이러한 기회의 질을 극대화할 것이다.

However, one of the benefits of CBME is that it requires learners to be more accountable for their educational tim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raining by decreasing nonproductive educational time may in fact increas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ertainly, will maximize the quality of these opportunities.


CBME에서는 trainee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자'를 우선시하고, '학습자'를 부차적으로 두는 전통적인 인식도 도전받고 있다. 두 가지 역할이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지만, CBME는 trainee가 교육 목표 및 의미 있는 평가가 있는 활동에 시간을 쏟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a trainee as a service provider first and a student second is also being challenged in competency-based approaches. Although these roles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in CBME a special effort is made to ensure that, in their capacity as service providers, trainees devote their time to activities that have educational objectives and meaningful assessments attached to them.


CBME에 대한 부정적 인상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두려움에는 근거가 없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key to overcoming negative impressions of CBME is to provide evidence that fears about this new paradigm is unfounded.


소규모 파일럿 프로젝트(Ferguson et al. 2013)를 수행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에 대한 지지자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커리큘럼 개혁에 보다 관여하고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arrying out small-scale pilot projects (Ferguson et al. 2013) may help to change the attitudes of adherents to traditional systems, allowing them to become more engaged in curricular reform, and paving the way to system-wide change.



교사들에 의한 수용도 높이기

Promoting acceptance by teachers


교육에 해로운 영향을 준다는 인상 외에도, CBME의 일부 비판자들은 지속적으로 변하는 듯한 교육 패러다임 때문에 계속해서 좌절하고 있다. 기존 교육 계획에 대한 만족도는 종종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인상을 기반으로 합니다(Tsouroufli & Payne 2008). 그러므로 회의론자들이 현재 진행 중인 교육 개혁이 단순히 변화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Aside from their impressions about detrimental effects on training, some critics of CBME continue to be frustrated by seemingly constant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s. Comfort with traditional training schemes is often based on an impression of the “stability” of the system (Tsouroufli & Payne 2008).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ensure that skeptics are made aware that the educational reforms currently under way are not being made simply for the sake of change.


또한 많은 교육자들은 [교육적 기대치의 변화 때문에 유발될 것으로 생각하는 "증가된 요구"]에 [자신의 skill set이 충분히 매칭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일선의 교육자들은 종종 의사 소통, 전문성 또는 advocacy와 같은 본질적인 의사 역할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것을 불편하게 느낀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감독관들은 수 년 동안 훈련생들에 대해 판단을 내려왔다. CBME 모델의 한 가지 이점은 이러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명확하고 투명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Many educators are also apprehensive that their own skill sets do not match the increased demands that they believe the changes in educational expectations will place on them (Tsouroufli & Payne 2008). Furthermore, frontline educators often feel uncomfortable giving feedback on intrinsic physician roles such a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or advocacy. In reality, these experienced supervisors have such many been making judgments about trainees for years. One benefit of the CBME model is that it offers an explicit and transparent framework upon which these assessments can be made.


교육자들이 자신 있게 CBME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준비되게 하려면, 광범위한 교수개발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CBME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책무성을 확고히하여기존 시스템으로의 은근슬쩍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그리고 인증기준은 교육 프로그램들이 CBME의 기본 원칙이 충족하도록 갱신되어야 한다. 이것은 프로그램적 변화가 구현되고 유지되도록 하는 강력한 접근법이다.

It is equally important to provide extensive faculty development to prepare educators to confidently meet the requirements of CBME. Further, it will be important to prevent a gradual reversion to traditional systems by ensuring accountability for the outcomes of CBME programs, and accreditation standards will need to be updated to ensure that the basic tenets of CBME are being met by training programs. This is a powerful approach to ensure that programmatic change is implemented and maintained.


커리큘럼 변화에 대한 회의론을 불식시키기 위해 의료진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적극적인 참여가 핵심이다.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and the active engagement of, clinical faculty are key to dispelling skepticism about curricular change


성취의 문화에서 평생학습의 문화로 바꾸기

Change from a culture of achievement to one of lifelong learning


공식적인 평가 도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어려움에 처한 학습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학습자들은 종종 훈련 후반이 되어서야 발견이 되는데, 이 때에는 이미 문제를 해결하기 너무 늦은 시점이 되어버린다 (Zbieranowski et al. 2013). 학생들에게 detrimental implication을 가질 것을 우려한 나머지, 교사들은 종종 부정적인 평가를 가지고만 있으며, "F를 주지 못하는" 사고방식이 정착되었다. 엄격한 평가 프로세스가 없다면, 어려움에 처한 학습자를 식별하는 것은 직관적이며, 성과에 대한 총괄적 인상에 기초하게 된다(Aud etat et al. 2013). 결과적으로 재교육 프로세스의 기반이 되는 특정 테마를 알아내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Given the paucity of formal assessment tools, the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 is ill equipped to identify learners in difficulty. These learners are often identified late in training, when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ddress deficiencies (Zbieranowski et al. 2013). Because of the perceived detrimental implications for students teachers often withhold negative assessments, and a “failure to fail” mentality has become entrenched (Dudek et al. 2005). Without rigorous assessment processes, the identification of learners in difficulty is often intuitive and based on a global impression of the performance (Aud etat et al. 2013). As a result, it becomes problematic to identify specific themes on which to base a remediation process.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개인은 궁극적으로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라는 "assumption"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은 학습자에게, 자신의 부족에 대한 피드백이 거의 없다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어려움에 처한 학습자들은 종종 자기 평가를 잘 못하기 때문에, 문제를 일으키는 영역과 행동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학습 기법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Eva & Regehr 2005). 교사들은 문제가 되는 영역이 어딘지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가장 좋은 메커니즘은 다면 평가 프로그램으로서, CBME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There is an assumption that, given enough time, the individual will ultimately become competent. This approach is fraught with peril, as it gives the learner little feedback about his or her deficiencies. Learners in difficulty are frequently poor self-assessors and therefore need guidance in identifying problematic areas and behaviors and in learning techniques to overcome them (Eva & Regehr 2005). Teachers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means to identify areas of difficulty. The best mechanism is a multi-faceted assessment program – a key component of CBME.


[문제 해결 프로세스가 건설적인 경험이 될 것]이라는 사실에 대해 학습자가 확신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은 개인 수준의 퀄리티 개선 이니셔티브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 reframe에는 학습은 평생에 걸친 과정이며, 재교육 조치의 진정한 목표는 학습자가 로테이션이나 레지던트를 잘 할수 있게 돕는 것이 아니라 professional practice에 도움이 될 결함을 수정하는 것이라는 이해가 포함되어야 한다(클랜드 등).

It is essential that learners be assured that the process of remediation will be a constructive experience. The process needs to be reframed as a personal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This reframing needs to include the understanding that learning is a lifelong process and that the real goal of remediation is not to help learners pass a rotation or a residency, but to correct deficiencies that will help them in professional practice (Cleland et al. 2013).


부정적인 함의가 [학습자가 성과를 개선하기 위해 교정조치를 받는다]는 것으로 대체되면, 재교육은 낙인찍의 과정이 되기보다는 향상을 위한 단계로 칭찬받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정조치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연구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remediation에 대한 CBME 접근법은 더 유능한 의사를 양성한다는 증거가 있을 때 더 쉽게 채택될 것이다(이 이슈의 Gruppen 등 참조).

Once the negative implications are replaced with an understanding that learners undergo remediation to taking be improve performance, steps to improve will applauded rather than stigmatized. Finally, research efforts will be needed to gather evidence on the effects of remediation on outcomes: the CBME approach to remediation will be more readily embraced when there is a strong body of evidence that it produces more competent physicians (see Gruppen et al. 2017, in this issue).


규제를 위한 평가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로 문화를 바꾸기

Change from a culture of assessment for regulation to assessment for learning


평가의 목적은 규제에 있다거나, 한 교육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옮겨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는 인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인상은 다소 부정적인 함의를 갖는데, 왜냐하면 평가에서의 실패는 곧 progress할 능력이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의사들은 피드백을 원하지만 부정적인 것으로 보일 때 그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인상(자체 평가)과 객관적인 외부 측정(Mann et al. 2011)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There is a lingering impression that assessment is for the purpose of regulation or to enable a transition from one stage of education to another. This impression carries with it a somewhat negative connotation, as failure on an assessment implies an inability to progress. In general, physicians want feedback, but they may be ill-prepared to accept it when it appears negative. This may be compounded by inconsistencies between an individual’s impression of his or her own abilities (self-assessment) and objective external measurements (Mann et al. 2011).


평생학습이라는 목표를 강조함으로써 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It is important to overcome negative perceptions of assessment by stressing the goal of lifelong learning.


따라서 성공의 열쇠는 의료 시스템 전반에 걸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Therefore, a key to success will be to effect change throughout the health care system.

우리는 in practice에서 평가될 가능성을 포용하고, 환영해야 합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와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되기 때문입니다(Holmboe 2013; Sarnard et al. 2013).

We should embrace and welcome the potential to be assessed while in practice, as it will ultimately benefit our patients and society as a whole (Holmboe 2013; Sargeant et al. 2013).


결론

ㅆConclusions


오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역할]과 [교육 전반의 역할]에 대한 전체 믿음 시스템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Overcoming misperceptions will entail the revision of entire belief systems about the role of learners and education as a whole.




 2017 Jun;39(6):599-602. doi: 10.1080/0142159X.2017.1315079.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training: An important step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Orthopaedic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Toronto , Toronto , Canada.
2
b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 Omaha , NE , USA.
3
c Centre for Medical and Department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4
d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Abstract

OBJECTIVE: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system is steeped in tradition and has been shaped by many long-held beliefs and convictions about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raining.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initiatives to overcome biases agains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n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MATERIALS AND METHODS:

At a retreat of the International Competency Based Medical Education (ICBME) Collaborators group, an intensive brainstorming session was held to determine potential barriers to adoption of CBME in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This was supplement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topic.

RESULTS:

There continues to exist significant key barriers to the widespread adoption of CBME. Change in educational culture must be embraced by all components of the medical education hierarchy. Research is essential to provide convincing evidence of the benefit of CBME.

CONCLUSIONS:

The widespread adoption of CBME will require a change in the professional,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culturesurrounding the training of medical professionals.

PMID:
 
28598749
 
DOI:
 
10.1080/0142159X.2017.1315079


QI와 환자안전을 위한 단계별 역량에 대한 컨센서스(JGME, 2018)

A Consensus Approach to Identify Tiered Competencies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Brennan D. Kruszewski, MD

Nathan O. Spell, MD



도입

Introduction


지난 20년 동안, 역량 기반 의료 교육 프레임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의사 개업의 경우 질 향상과 환자 안전(QI/PS) 기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해 왔다. 그러나 QI/PS를 가르치는 교육자를 위한 기존 지침은 커리큘럼을 설계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rameworks and recognition that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QI/PS) skills are necessary for practicing physicians.1–3 Yet existing guidance for educators who teach QI/PS is not always sufficient to design curricula.


QI/PS 커리큘럼 설계에 관한 현재 문헌이 단편화되어 있다. 학부 의과대학(UME) 수준에서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는 EPA로 의대 졸업생들에게 "시스템 실패를 확인하고 안전과 개선 문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요구하지만, 추가적 가이드는 제한적이다.

Current literature on the design of QI/PS curricula is fragmented.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level,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recommends in 1 of it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graduating medical students should ‘‘identify system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with limited additional guidance.4


방법

Methods


Over a 5-month period (May to September 2017), we used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reach consensus. This consisted of 3 rounds of surveys followed by a teleconference, and then a fourth survey.10




결과

Results

TABLE 2는 최종 결과를 보여줍니다. UME 수준에서 13개 항목, GME 수준에서 14개 항목, CPD 수준에서 3개 항목이 확인되었다.

TABLE 2 lists our final results. Thirteen items were identified at the UME level, 14 at the GME level, and 3 at the CPDlevel.


합의 수준이 excellent인 항목 중 30개 중 24개(80%)가 만장일치로 지지를 얻었다.

Of the items achieving a consensus level of excellent, 24 of 30 (80%) attained unanimous support.


(밑줄은 UME수준)


안전문화

  • 오류에 대한 공개적이고 안전한 토론을 장려함으로써 안전 문화를 촉진한다. 

  • 지역/기관에 맞는 적절한 경로를 사용하여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보고합니다. 

  • 환자 및 가족에게 의료 오류 및 환자 안전관련사건을 적절히 공개하는 데 참여합니다.

  • "정의의 문화Just Culture" 원칙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오류에 대응합니다. 

  • 환자 안전 사건이 발생하면 '두 번째 피해자'의 개인적 안녕과 지원을 지원할 자원을 탐색한다.


Culture of safety

  • Promote a culture of safety by encouraging open and safe discussion of error. 

  • Report patient safety events using locally appropriate pathways. 

  • Participate in disclosure of medical errors and patient safety events to patients and families as appropriate.

  • Respond to errors in ways consistent with ‘‘Just Culture’’ principles. 

  • Identify resources to support the need for personal wellness and support of ‘‘second victims’’ after a patient safety event.


환자안전

  • 다음 용어를 정의할 수 있다.  near miss, error, sentinel events. 

  • 잠재적인 오류와 활성 오류를 포함한 스위스 치즈 오류 모델을 설명할 수 있다

  •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의 위계를 설명할 수 있다(예: 

    • 이중 체크와 같은 저수준 개입, 

    • 체크리스트와 같은 중간 개입, 

    • 환경 교정 또는 기능 강제 등의 강한 개입

  • 니어미스 및 유해한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개선의 기회로 대한다.

  • 전문가 간 프로젝트 팀에서 협력해서 환자 안전 관련 사건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Patient safety

  • Define the following terms: near miss, error, sentinel events. 

  • Can describe the Swiss Cheese model of error, including latent and active errors. 

  • Can describe hierarchy of effective interventions to prevent errors (low-level interventions, such as double checking, versus intermediate interventions, such as checklists, versus strong interventions, such as modification of environment or forcing function).

  • Treat near misses and harmful patient safety events as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 Can partner in interprofessional project teams to conduct an analysis of a patient safety event.


의료 제공의 신뢰성

  • 시스템 요인 및 프로세스가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의학적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는 인지적, 정서적 편견의 일반적인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 고도로 reliable한 조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환자 안전을 촉진을 위하여 인체 및 시스템 요소를 다루는 전략을 통합하여 활용한다.

  • 상황 인식(인식, 이해 및 예측)의 원칙을 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한다.

  • 절차 체크리스트, 구조화된 의사소통 도구, 관리 경로care path와 같은 인지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를 강화한다.

  • 관리의 안전과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기반 이니셔티브를 설계한다. 

Reliability of health care delivery

  • Can describe how system factors and processes create outcomes. 

  • Describe common typ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biases that can impair medical decision making.

  • Can describe features of high-reliability organizations. 

  • Incorporate strategies to promote patient safety that address human and systems factors.

  • Actively apply the principles of situational awareness (perception,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to medical practice.

  • Use cognitive aids such as procedural checklists, structured communication tools, or care paths to enhance patient safety and the effectiveness of care.

  • Design systems-based initiatives to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care. 


돌봄 주체의 변경

  • 안전 격차gap가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의 일반적인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환자 핸드오프 또는 transfer를 수행하기 위한 증거 기반 전략의 효과적인 사용을 시연할 수 있다.

  • 기관의 handover 관행을 분석하고, 프로세스 개선에 기여하여 관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개선합니다.

Care transitions

  • Describe common transitions in health care where safety gaps may occur. 

  • Demonstrate effective use of evidence-based strategies to perform a patient handoff or transfer of care.

  • Analyze local handover practices and contribute to process improvements to enhanc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are.


방법 개선/시스템 사고

  • QI을 위한 일반적인 도구의 사용법을 설명할 수 있다(루트 원인 분석, FMEA, PDSA 사이클 등).

  • 일상적인 자기평가, 팀평가, 퍼포먼스 개선을 의료에 통합합니다.

  • 잘 확립된 개선 방법을 사용하여 전문가 간 프로젝트 팀의 파트너가 품질과 안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Improvement methods/systems thinking

  • Describe the uses of common tools for quality improvement (root cause analysis, FMEA, PDSA cycles, etc).

  • Incorporates routine self-assessment and team assess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nto practice.

  • Can partner in interprofessional project teams to improve quality and safety using recognized improvement methods.


변화와 가치

  • 자신의 검사와 환자 치료에 있어 불필요한 care를 식별하고 제거합니다.

  • 그룹 또는 시스템 practice의 value를 최적화하고 variability는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QI 방법을 적용하여 지속적인 개선 문화를 촉진합니다.

Variation and value

  • Identify and eliminate unnecessary care in one’s own testing and treatment of patients.

  • Promote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by applying quality improvement methods to optimize value and decrease variability in group or system practice.


성능 측정 및 투명도

  • 효과적이고 안전한 돌봄과 관련한 오류 및 장애요소를 보고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고할 수 있다.

  • 공공적 투명성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 실행 가능하고, 시기 적절하며, 개선에 적절한 측정 metrics를 식별합니다

  • 품질 및 환자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metrics을 사용합니다. 

  • (자기자신의 전문성과 관련된) 흔한 성과 척도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Performance measurement and transparency

  • Reports errors and barriers to effective and safe care using incident reporting systems.

  • Explain the value of public transparency. 

  • Identify metrics that are actionable, timely, and adequate for improvement. 

  • Effectively employ metrics to improve quality and patient safety. 

  • Critically appraise the validity of common performance measures relevant to one’s own specialty.


Discussion








Article Citation:

A Consensus Approach to Identify Tiered Competencies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Brennan D. KruszewskiMD Nathan O. SpellMD

Brennan D. Kruszewski, MD, is a PGY-1 Resident,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University Hospitals; and Nathan O. Spell, MD, is Associate Dean fo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 Brennan D. Kruszewski, MD, University Hospitals Cleveland Medical Center, Department of Medicine, Lakeside Third Floor, 11100 Euclid Avenue, Cleveland, OH 44106, 814.392.4691, 
ABSTRACT

Background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QI/PS) competencies have been proposed separately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he work forms a foundation at each educational level, yet curriculum development would benefit from more specific guidance that considers the continuum of physician training.

Objective  We identified a core set of QI/PS items to be taught during medical school, residency, and independent practice, with specificity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at each level.

Methods  A panel of 12 QI leaders and educators with backgrounds in internal medicine from 10 academic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consensus development using a modified Delphi technique. Three rounds of anonymous surveys were conducted, followed by a teleconference and then a fourth survey round, until consensus regarding the relevance of candidate items was reached. Items considered relevant were recommended for teaching at 1 of the 3 stages.

Results  The panel identified 30 QI/PS items for learners. Of the 30 (80%), 24 were unanimously agreed on as relevant, while 6 of 30 (20%) had the agreement of 11 of the 12 experts and the assent of the remaining expert. Thirteen items were identified as appropriate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14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3 for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Conclusions  There was a high degree of agreement among 12 internists from geographically diverse institutions on the relevance of 30 QI/PS items identified for traine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al settings.

Received: March 12, 2018; Revised: July 28, 2018; Accepted: August 24, 2018;


교육환경 분석의 핵심 요소: 이론은 어디있나? (Adv in Health Sci Educ, 2012)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is the theory?

Johanna Scho¨nrock-Adema • Tineke Bouwkamp-Timmer •

Elisabeth A. van Hell • Janke Cohen-Schotanus




도입

Introduction


점점 더 교육 환경은 양질의 의료 교육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Roff 2005; WFME 2003, 2007; Genn 2001a, b)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vital for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Roff 2005; WFME 2003, 2007; Genn 2001a, b).


학생들의 교육환경의 퀄리티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참여, 만족도 및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교육 환경은 학생 학습을 동기부여하는 데 필요한 조건입니다(Kerkpatrick 1996;Mu ̈ler and Louw 2004).

research outcomes, showing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quality influence their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success (De Young 1977; Haertel et al. 1981; Karagiannopoulou and Christodoulides 2005;Mu¨ller and Louw 2004). For example, a pos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is a necessary condition to motivate student learning (Kirkpatrick 1996;Mu¨ller and Louw 2004).


최근의 의학 교육 환경 도구에 대한 조사는 그들 사이에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setting 간의 차이가 도구의 일부 콘텐츠에 대한 tailoring을 요구할 수 있지만(Holt and Roff 2004; Patel and Dauphinee 1985),

Examination of recent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reveal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m. However, even though differences between settings may call for some tailoring of instrument content (Holt and Roff 2004; Patel and Dauphinee 1985),


우리는 지금까지 의학 교육 환경의 퀄리티를 적절히 확인하기 위해 어떤 개념을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we gather that up till now there is no consensus about which concepts should be measured to ascertain the quality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adequately.


의학 교육 환경 기구의 개발 과정에 관한 출판물로부터 우리는 그들 대부분이 이론에 근거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론적 프레임워크의 부재는 측정된 개념에 관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From the publications on the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we noticed that the majority of them were not based on theory.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may explain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concepts measured.


우리는 의학교육환경의 퀄리티에 대한 적절하고 완전한 그림을 얻기 위해서는 의학교육 환경의 어떤 요소가 측정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이론적인 프레임워크가 있는지 궁금했다.

we wondered whether there are any theoretical frameworks that specify which elements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easured to obtain an adequate and complete picture of its quality.


연구1: 이론틀에 대한 심층조사

Study 1: In-depth search for theoretical frameworks


방법

Methods


스노우볼 방법

Starting with the included publications, we applied a snowballing technique—comparable to the method applied by Teunissen and Westerman (2011)—in order to find a theoretical framework,


자료 출처와 도구 선택

Data sources and selection of instruments



다음을 배제함

We excluded


a. studies in which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 only implied abbreviating an existing instrument;

b. studies focusing on educational settings other than the medical education setting, for example nursing or dentistry;

c. (narrow) studies focusing on specific aspec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 (extensive) studies in whic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as not the main focus of the instrument constructed;

e. paper and poster abstracts, proceedings of conferences, dissertation abstracts, editorials and letters.


자료 추상화

Data abstraction


We considered a theoretical framework relevant and useful if it clearly delineates which componen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measured in order to obtain an adequate and complete picture of its quality.


결과

Results


검색 결과

Search results


의학교육환경 도구의 개괄

Overview of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표 1 참조) 예를 들어, 교육, 감독, 훈련은 반복되는 주제이며, 대기, 감정적 기후,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도 그러하다. 학습 기회의 인식, 학습에 대한 지향성, 작업량, 목표 지향성, 장학금에 대한 강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구들은 여러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스케일이 3에서 12까지의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일부 평가도구는 하나의 척도로 여러 개념을 결합하고 다른 평가도구는 이 개념들을 별도로 측정하기 때문일 수 있다.

(see Table 1). For instance, teaching, supervision and training are recurring themes, as are perceptions of atmosphere, emotional climate and social support. The same is true for perceptions of learning opportunities, orientation to learning, workload, goal direction and emphasis on scholarship. Nevertheless, the instruments also display many differences, for instance, in numbers of scales, which range fromthree to twelve. These differences may partly be ascribed to the fact that some instruments combine several concepts in one scale, whereas others measure these concepts separately.


항목 수준에 대한 정밀 검사는 또 다른 유형의 차이를 드러냅니다. 여러 도구들이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유사한 항목을 사용합니다.

Closer inspection on item level reveals another type of dissimilarity: different instruments use similar items to measure different concepts:


    • 교사와의 좋은 관계에 대한 항목은 트레이너의 인식뿐 아니라 분위기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Mulrooney 2005; Holt and Roff 2004).

    • 작업 부하에 대한 항목은 작업 부하/감독/지원 및 역할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Holt 및 Roff 2004; Roff et al. 2005).

    • 학습 기회에 대한 항목은 학습 기회의 인식과 역할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Cassar 2004; Roff et al. 2005).

    • 학습 목표에 대한 항목은 역할 명료성과 교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Rotem et al. 1995; Roff et al. 1997).

    • items about good relationships with the teacher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the trainer as well as perceptions of atmosphere (Mulrooney 2005; Holt and Roff 2004).

    • items on workload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workload/supervision/support and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Holt and Roff 2004; Roff et al. 2005).

    • items on learning opportunities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learning opportunities as well as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Cassar 2004; Roff et al. 2005).

    • items on learning objectives are used to measure perceptions of role clarity and perceptions of teaching (Rotem et al. 1995; Roff et al. 1997).


이론틀의 심화 검색

In-depth search for theoretical frameworks


그림 2는 도구 조사 프로세스를 보여 줍니다.

Figure 2 illustrates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instruments


가장 최근에 개발된 도구가 이 그림의 맨 위에 위치해 있으며, 심층적인 연구 시작에 쓴 11개의 의료 교육 환경 기구들이 굵은글씨로 있다.

The most recently developed instruments ar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scheme, with the 11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that formed the start of our in-depth study in bold typeface.


우리의 심층 조사는 두 가지 이론적 틀을 낳았다. 첫번째 틀은 Murray의 작품이었다. Murray는 처음에 성격묘사를 위한 개념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한 사람의 행동이 개인의 성격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인식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을 깨달았을 때, 그는 환경에도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개인과 환경 개념을 적절한 용어로 조작하려고 시도했다. 

Our in-depth investigation yielded two theoretical frameworks. The first framework was the work of Murray (1938). Murray initially focused on formulating a conceptual scheme for describing personality. When he realized that behavior can not only be attributed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but also to the person’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he also focused on the environment. He attempted to operationalize person and environment concepts in commensurate terms. 


하지만 머레이는 자신의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이러한 개념들을 만들기 위한 그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고 그의 계획은 불완전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범주 설정 기준은 명확하지 않았다 (p. 716), 그리고 '인식과 해석을 guide하기 위한 러프한, 예비적인' 계획만 만들었다. 또한, 그가 노력하여 만든 많은 변수들의 목록은 체계적이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론이나 핵심적 발견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설명된다. (McAdams 2008) 따라서, 우리는 의료 교육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이 프레임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테스트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However, Murray casted doubt on his own results. He realized that his criteria for formulating these concepts were not univocal and his scheme was imperfect: the criteria for setting up the categories were not unequivocal (p. 716) and resulted in no more than ‘a rough, preliminary plan to guide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p. 143) (Murray 1938). In addition, the long lists of variables resulting from his efforts are described as rather unstructured and Murray’s work as not offering a systematic theory nor central findings (McAdams 2008). Therefore, we decided not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is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우리가 발견한 두 번째 이론적인 틀은 Moos (1973, 1974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워크이다. Moos에 따르면, 각 인간 환경은 - 어떤 세팅이든간에(병동이든, 교정기관이든, 군대든, 교실이든, 치료그룹이든, 근무환경이든, 가족이든) 일반적인 몇 가지 차원으로 설명될 수 있다. Moos는 세 가지 광범위한 차원으로 개념화했다.

The second theoretical framework that we found was the framework formulated by Moos (1973, 1974). According to Moos, each human environment—irrespective of the type of setting (e.g. psychiatric ward, correctional institution, military training, classroom, therapeutic group, work environment or family setting)—can be described by common sets of dimensions. Moos conceptualized these sets of dimensions in three broad domains:


1. 개인 개발 또는 목표 지향 차원

특정 환경의 기본 목표와 관련이 있다. 이 영역에서는 [개인의 성장과 자기 향상이 일어나는 경향의 기본적인 방향]을 평가한다. 교육 환경에서 이 영역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목표 지향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교육 환경은 학습 목표, 관련 학습 내용 및 건설적 비판에 대한 명확성으로 특징지어집니다.

1.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dimensions, which relate to the basic goals of the specific environment—they assess the basic directions along which personal growth and self-enhancement tend to occur.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domain pertains to achieving the aims of education. An educational environment scoring high on the goal direction domain is characterized by clarity about learning objectives, relevant learning content and constructive criticism.


2. 관계 차원 

그것은 특정 환경의 사람들이 서로를 서포트하고 돕고, 자발적으로, 자유롭게, 공개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데 참여하는 정도를 평가한다. 관계 차원이 긍정적인 환경은 열린 의사소통, 다정함, 사회적 그리고 대인관계 지원, 화합과 그룹 정신의 느낌으로 특징지어진다. 교육 환경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는 학생 참여, 제휴affiliation, (감정) 지원 및 교사 서포트 등이 있다.

2. Relationship dimensions, which assess the extent to which people are involved in the setting, support and help each other and express themselves spontaneously, freely and openly. A favourable relationship domain is characterized by open communication, friendliness, social and interpersonal support, cohesion and feelings of group spirit. Dimensions representative of positive relationships in educational settings are student involvement, affiliation, (emotional) support and teacher support.


3. 시스템 유지보수 및 시스템 변경 차원

이는 기대가 명확하거나 질서정연하고, 통제를 유지하고,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교육 환경에서 이 영역을 대표하는 것의 예로는 순서, 조직, 규칙 명확성, 교사 통제, 학생 영향 및 혁신이 있습니다임상 학습 환경은 작업 환경의 일부이기 때문에 작업 압력과 물리적 편안함 또한 이 영역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imensions, which measure the extent to which the environment is orderly and clear in its expectations, maintains control, and responds to change. Examples of the basic dimensions representative of this domain in educational settings are order, organization, rule clarity, teacher control, student influence and innovation. Since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s part of a work setting, work pressure and physical comfort—a dimension that is, in work settings, representative of this domain—may also be relevant.


연구2: 이론트의 적용

Study 2: Applicability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방법

Methods


모스의 이론적 틀이 의학 교육 환경에 적용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의학교육 환경 측정도구의 항목들이 그 안에 매핑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To find out whether Moos’ theoretical framework is applicable to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tems of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instruments could be mapped into it.


참가자와 절차

Participants and procedure


결과

Results


Moos의 프레임워크와 관련된 항목 중 약 94%. 총 374개 항목 중 256개(68%)가 하나의 도메인에 할당되었고, 94개(25%)는 두 개 이상의 도메인과 일치했으며 24개(6%)는 환경에 명확하게 관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항목에 매핑되지 않았다.

About 94%of the items related to Moos’ framework. Of the total number of 374 items, 256 (68%) were allocated to one single domain, 94 (25%) matched with more than one domain and 24 (6%) could not be mapped into it either because they did not clearly pertain to environment or because the purposes of the items in question were unclear to the raters.


목표 지향 도메인

"직업에 대한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내 일에 있어서 나는 자율성을 개발하도록 격려받았다."

goal direction domain

‘‘I feel I am being well prepared for my profession’’

‘‘I am encouraged to develop autonomy in my work here’’.


관계 도메인

 "나는 팀의 일원으로 느낀다,"

 "이 직무에 대해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편하다." 

relationship domain

 ‘‘I feel part of the team’’, 

‘‘I feel comfortable discussing problems in this job’’, 


시스템 유지관리 및 시스템 변경 도메인

"문제 해결을 위한 명확한 경로가 있습니다."

"이 위치에서 교육 시간을 보호받고 있다."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omain

‘‘there is a clearly defined pathway to address problems’’

‘‘I have protected educational time in this post’’


고찰

Discussion


Moos의 프레임워크는 개인 개발 또는 목표 방향, 관계, 시스템 유지보수 및 시스템 변경 차원의 세 가지 영역을 인간 환경의 핵심 요소로 정의합니다.

Moos’ framework defines three domains as the key elements of human environments: 

  • personal development or goal direction, 

  • relationship, and 

  •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dimensions.


결과는 의료 교육 환경에서 세 영역의 콘텐츠가 

  • 목표 지향(교육의 내용 및 목적), 

  • 관계(개방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 및 제휴) 

  • 조직/규제

...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results showed that in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context, the contents of the three domains relate to 

  • goal orientation (the content and aims of education), 

  • relationships (an open and friendly atmosphere and affiliation) and 

  • organization/regulation.


평가도구의 문항들 중 일부가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든 항목이 프레임워크를 염두에 두고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항목이 단일 도메인에 바로 할당될 수 없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Our study showed that part of the items could be assigned to more than one domain. It is not surprising that not all items could be allocated straight to a single domain, since they were not constructed with the framework in mind.


이러한 항목을 세 영역 중 하나에만 분명하게 집중하면 일관된 척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해당 계측기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cusing these items unambiguously on only one of the three domains may contribute to forming coherent scales, which may, in turn,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in question.


우리가 발견한 골조의 타당성과 포괄성은 이전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The validity and comprehensiveness of the framework that we found is supported by previous research. 


첫째, Moos는 이 세 개의 도메인을 9개의 매우 뚜렷한 종류의 환경에서 발견했다. 

First, Moos found these three domains in nine vastly distinct kinds of settings (Moos 1974). 


둘째, 유사한 프레임워크가 조직 환경에서 분위기가 태도, 만족도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 적용되었다(Ostroff 1993). 이 프레임워크는 Moos와는 독립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음의 세 가지가 세 가지 조직의 분위기에 대한 인식을 구성한다 

Second, a similar framework was applied in organizational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climate on attitud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an organizational setting (Ostroff 1993). This framework was developed independently from Moos and comprises three broad categories of climate perceptions, namely perceptions of the 

  • 정서적 측면(인내적, 사회적 관계) 

  • 인지적 측면(예: 성장과 자율성) 

  • 도구적 측면(예: 계층 구조) 

  • affective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 cognitive (e.g. growth and autonomy) and 

  • instrumental aspects (e.g. hierarchy, structure) 


이것은 기존 문헌의 통합을 반영하는 조직 분위기 인식의 포괄적인 분류로 칭송되었다. 

It was commended as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organizational climate perceptions that reflects the integration of existing literature (Carr et al. 2003). 


셋째, 질적 연구에서도 유사한 분류를 확인했다. 예를 들어, 수술장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는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중요한 세 가지 영역을 제시하였다. 

Third, qualitative studies yielded similar classifications. For example,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heatre learning environment yielded three domains as important for successful learning: 


  • 교육 과제(교육의 내용 및 목적과 관련된) 

  • 사회관계 

  • 육체적인 환경과 그 일의 정서적인 영향. 

  • educational task (which pertains to the content and aims of education), 

  • social relations, and 

  • physical environment and emotional impact of the work (Lyon 2003). 


임상 환경에서 학습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조건에 초점을 맞춘 Dornan 등(2005)의 연구는 임상환경에서 학습을 최적화하는 세 가지 종류의 teacher support(임상적, 정서적, 조직적) 발견했으며, 이는 또한 우리가 교육환경에서 발견한 세 가지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A study by Dornan et al. (2005)—focused on the conditions essential for optimizing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revealed three kinds of teacher support (pedagogic, affective and organisational) that also correspond closely with the three domains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we identified.


우리가 교육 환경을 위해 제안하는 이론적 틀은 Moos 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관점에서, 교육은 사회 문화적 관점으로 확대된다.

The theoretical framework that we propose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based on Moos (1973, 1974). In the meantime, medical education is broadened with sociocultural perspectives,


사회문화 이론은 임상 교육 환경과 같은 역동적 환경에서 학습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강력한 이론이다. 

사회문화 이론의 특징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와 협력이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 과정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것이며, 학습자가 introduce되는 커뮤니티에 존재하는 규범, 문화적 믿음과 태도에 익숙해지는 것이다.

Sociocultural theory is considered as a promising and powerful theory that may be valuable for explaining how learning occurs in dynamic contexts like clinical educational environments (Bleakley 2006). Characteristic for sociocultural theory is that the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is acknowledged as influencing students’ learning processes, both through learning knowledge and skills from others, and through becoming familiar with the norms, cultural beliefs and attitudes existing in the communities to which they (the students) are being introduced.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협력에 대한 강조는 (두 번째 영역에 속하는) (대인) 관계가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첫 번째 영역인 [목표 지향]과 관련된 것을 성취하기 위한 중요한 목표이다. 또한, [사회 문화적 이론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중요시한다는 것]이 교육과 학습이 조직되고/또는 규제되는 방식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emphasis on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implie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belonging to the second domain—are important for students’ learning processes. In addition, learning how to collaborate with others is an important goal to achieve which is related to the first domain, goal direction. Furthermore, the importance that sociocultural theory attaches to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with others may also have implications for the way education and learning is organized and/or regulated.


우리는 또한 제안된 프레임워크가 위치 학습 및 실천 공동체의 기능 및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Lave and Wenger 1991; Dornan et al. 2007; Fuller et al. 2005; Elstro ).

We also think that the proposed framework may ad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ing and effectiveness of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Lave and Wenger 1991; Dornan et al. 2007; Fuller et al. 2005; Ellstro¨m 2001).


또한 현재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슈퍼비전의 기능과 효과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광범위한 문헌 검토에서 킬민스터와 졸리(2000)는 [슈퍼비전 관계], [피드백], [프로세스에 대한 trainee의 통제]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효과적인 감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감독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주요 기능은 각각 도메인 관계, 목표 지향 및 조직/규제에 부합합니다.

The current theoretical framework may also ad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ing and effectiveness of supervision: i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Kilminster and Jolly (2000) highlight supervision relationship, feedback, and trainee control over the supervisory process and finding sufficient time for supervision as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effective supervision. These key features clearly correspond with the domains relationships, go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regulation, respectively.


결론적으로, 전체 교육 환경을 망라하고 다음과 같은 기본 개념을 구성하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일련의 도메인을 발견했다.

In conclusion, we found a universally applicable set of domains that seems to cover the entir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prise the essential concepts:


Teunissen, P. W., & Westerman, M. (2011). Opportunity or threat: The ambiguity of the consequences of transitions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45, 51–59.






 2012 Dec;17(5):727-42. doi: 10.1007/s10459-011-9346-8. Epub 2012 Feb 4.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where is the theory?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j.schonrock-adema@umcg.nl

Abstrac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ly acknowledged as vital for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As a result, several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to measur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quality. However, there appears to be no consensus about which concepts should be measured.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may explain this lack of consensus. Therefore, we aimed to (1) find a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defining the essential concepts, and (2) test its applicability. An initial review of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literature indicated that such frameworks are lacking. Therefore, we chose an alternative approach to lead us to relevant frameworks from outside the medical educational field; that is, we applied a snowballing technique to find educational environmentinstruments used to build the contents of the medical ones and investigated their theoretical underpinnings (Study 1). We found two frameworks, one of which was described as incomplete and one of which defines three domains as the key elements of human environments (personal development/goal direction, relationships, and system maintenance and system change) and has been validated in different contexts. To test its applicabilit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tems of nin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instruments could be mapped unto the framework (Study 2). Of 374 items, 94% could: 256 (68%) pertained to a single domain, 94 (25%) to more than one domain. In our context, these domains were found to concern goal orientation,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regulation. We conclude that this framework is applicable and comprehensive, and recommend using it as theoretical underpinning for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s.

PMID:
 
22307806
 
PMCID:
 
PMC3490064
 
DOI:
 
10.1007/s10459-011-9346-8


보건전문직 연구에서 교육환경 측정: 체계적 문헌고찰(Med Teach, 2010)

Measu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ealth professions studies: A systematic review

DIANTHA SOEMANTRI1, CRISTIAN HERRERA2,3 & ARNOLDO RIQUELME2,4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Indonesia, 2School of Medicine, Pontificia Universidad Cato´ lica de Chile, Chile, 3Evidence Based Medicine Unit, Pontificia Universidad Cato´ lica de Chile, Chile, 4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Pontificia Universidad Cato´ lica de Chile, Chile




도입

Introduction


의대생들의 행동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의대 학습 환경이다. 학생의 행동과 관련된 환경은 학생들에 의해 인식된다. 젠과 하덴(1986)은 그 개념이 다소 무형적이지만 교육 환경의 영향은 실질적이고, 현실적이며, 영향력이 크다고 제안했다. 이 분위기는 학생들의 성취도, 만족도, 그리고 성공의 예측에 큰 기여를 한다.

One determinant of a medical student’s behaviour is the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Genn 2001a). The environment related to the student’s behaviour is as perceived by the student. Genn and Harden (1986) suggested that although the concept is rather intangibl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are substantial, real and influential. The climate makes a notable contribution to the prediction of student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uccess (Genn 2001b).


세계 의학 교육 연맹(1998)은 학습 환경을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대상 중 하나로 간주해 왔다. 환경에 대한 연구는 의과대학 교과과정의 불가분의 부분이 되어야 한다.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1998) has considere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one of the targets for the evalu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a study of the environment should become an inseparable part of the study of a medical school’s curriculum.


젠(2001a)은 커리큘럼의 manifestation으로서 교육 환경에 대한 정의를 제공합니다. Rothman과 Ayoade(1970년)는 또한 학습 환경을 '교육 과정의 여러 부분에서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표현형manifestation'로 간주한다. Maudsley(2001)는 '학생들이 모인다면 언제든 어디서든 학습 환경은 존재한다'고 진술하며, 효과적인 교육에 기여하고, 교육과정 존재의 배경이 되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였다.

Genn (2001a) provides a definition for educational environment as the manifestation of a curriculum. Rothman and Ayoade (1970) also consider the learning environment as ‘a manifestation of the effects on students of the various parts of the curriculum’. Maudsley (2001) states that ‘a learning environment exists wherever and whenever students gather ...’ and it includes various factors, which contribute to an effective education and becomes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urriculum exists.


페이스 및 스턴(1958)은 교육 환경이 '환경적 압박'이라는 용어로 '교육환경이란 교실 또는 학교 내의 압력, 스트레스, 관행, 정책, 보상 및 가치에 의해 특징지어진다'는 것을 제안합니다.

Pace and Stern (1958) suggest that an educational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sures, stresses, practices, policies, rewards and values within the classroom or school of which they refer to as ‘environmental press’.


환경이라는 용어와 기후라는 용어는 교육용 문헌에서 서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젠(2001b)은 교육분위기climate란 학생이 인식하는 기관의 교육환경이라고 정의한다. 

  • Roff와 McAleer(2001)는 교육 환경의 동의어로 교육 분위기을 사용한다. 

  • 로스만 & 아이요이드(1970년)가 실시한 연구에서, 학습 환경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따라서 환경과 기후라는 용어의 차이는 없다.

The term environment and climate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in educational literature. Genn (2001b) defines the term climate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an institution as perceived by students. Roff and McAleer (2001) use the term educational climate as the synonym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study conducted by Rothman & Ayoade (1970), the learning environment is defined as what the students perceive and thus no differentiation is made between the term environment and climate.


하지만,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환경 그 자체가 아니라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다. 학생들의 교실 환경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성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교육환경 내의 '거주자'로서 학생들은 환경을 경험하는 사람들이며,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환경에 대한 그들의 인식이다.

However, it i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rather than the environment itself, that determines the behaviour (Hutchins 1961; Rothman & Ayoade 1970; Genn 2001a; Konings et al. 2005).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have been used to predict their outcomes (Fraser et al. 1986). Students, as the ‘inhabitants’ (Genn 2001a), are the ones who experience the environment and it is their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which then becomes one of the determinants of their behaviour.


교육 환경에 대한 양적 측정은 인벤토리 또는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양한 교육 환경 간의 차이는 특정 기관의 특정 상황에 맞는 다른 교육 환경 인벤토리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equires the use of an inventory or instrument.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may require a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 inventory, which suits the specific situation of a particular institution.


어떠한 측정 과정에서도 도구나 인벤토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타당성 이 특정 문제를 다룬다.

In any measure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whether the instrument or inventory measures what it supposes to measure; and validity deals with this specific question.


신뢰성은 측정 또는 평가 결과의 재현성을 나타냅니다.

Reliability refers to the reproducibility of the measurement or assessment results.



방법

Methods


Search strategy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ata extraction


Data synthesis


79개의 연구

Following the flowchart, 79 studies from 1961 to 2008 were included (Figure 1).


31개의 도구

Thirty one instruments were identified from the 79 included studies.


도구들

Table 1 summarizes the identified instruments along with the settings in which the instruments were used.


The synthesis of data were presented in the form of table for each area of the health profession study(Tables 2–5, available at www.medicaltacher.org).






Results




고찰

Discussion


그런 다음 검색을 관련 키워드와 결합하여 특정성을 높여야 했습니다.

It was then necessary to combine the search with relevant keywords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cli-mate’, ‘learning environment’ and ‘climate’) to increase the specificity.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검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적절한 리소스(인간 리소스, 교육 자료, 시간 및 비용)가 필요합니다. 검색의 포괄성을 높이기 위해 검색한 논문에서 인용한 참고문헌의 직집 찾아보았다.

For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earch to be successfully conducted, adequate resources (human resources, educational material, time and cost) are essential. In order to improv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search, the hand searching of the references cited in the retrieved articles was conducted. 




교육환경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Analysi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학부의학교육

Medicine (undergraduate).


12개 도구

There were 12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instruments are presented in Table 2,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Several instruments  had considerable weaknesses in 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LEQ MSLES and DREEM demonstrated the robustness in terms of their psychometric qualities. 

    • Their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and they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SLES and DREEM were indicated by their ability to significantly differentiate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between medical schools with the traditional curriculum and ones with the more innovative curriculum (Feletti & Clarke 1981b; Al-Qahtani1999; Zaini 2003; Al-Hazimi et al. 2004a). 

    • The DREEM showed an additional strength because it could be applied in medical schools in different countries, cultures and contexts and still demonstrated consistent reliability

DREEM이 가장 좋음

According to the data presented in the related articles, the DREEM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to be appli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ettings. 


졸업후의학교육

Medicine (postgraduate).


Most of the identified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ere developed for use in specific postgraduate specialty areas.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identified instruments are summarized in Table 3,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4개

Four instruments: the STEEM (Cassar 2004), the OREEM(Kanashiro et al. 2006), the ATEEM (Holt & Roff 2004) and the practice-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Mulrooney2005) were developed for use in the surgical/operating theatre learning setting, anaesthetic theatre learning setting and practice-based component in general practice (GP) training,respectively. The VA Learners’ Perceptions Survey was designed for residents from different specialties within the United States VA clinical training setting (Keitz et al. 2003)


The content validity of the high LEA was not established,although it showed fairly internal consistency (Roth et al. 2006). 


The PHEEM consisted of 40 items divided into three subscales (perceptions of role autonomy, perceptions of teaching and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It has also been shown that by using PHEEM, reliable results can be obtained with feasible sample size. In addition, the PHEEM had been administered to several different sample groups, such as senior house officers and specialist registrars from different specialties, and demonstrated almost similar reliability coefficients in those groups(Jayashree 2004; Roff et al. 2005; Aspegren et al. 2007; Booret al. 2007; Clapham et al. 2007). 


PHEEM이 가장 좋음

Therefore, the PHEEM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for use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because of its content validity,high reliability and also its ability to be used in different postgraduate settings. 


간호

Nursing.


Most of the identified instruments were used to Nursing. assess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 nursing education setting. A summary of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instruments’ is presented in Table 4,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CLES가 가장 좋음

Therefore, based on the available information and analysis, the CLES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치과

Dentistry.


다섯 개 도구 

There were five instruments for dent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ose instruments varied and are summarized in Table 5, available at www.medicalteacher.org.


originally 개발된 것은 하나 

There was only one instrument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dental educational environment (Gerzina et al. 2005).


In addition to that, two instruments (LES and DSLES) were developed from the MSLES. It was an instrument first developed in 1970s and it might not encompass current trends or changes in educational practice nowadays.


DLES가 가장 좋음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tudies and the analysis conducted, the DSLES is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dental education setting. It demonstrated good reliability and since the DSLES was more similar to MSLES than the LES, it was more likely to have better content validity.


결론

Conclusion


The DREEM, PHEEM, CLES and DSLES are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s for undergraduate medicine, postgraduate medicine, nursing and dental education, respectively.


These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ment instruments also demonstrated consistency throughout their applications in different contexts/settings.




 2010;32(12):947-52. doi: 10.3109/01421591003686229.

Measu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ealth professions studies: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Indonesia. dianthasoemantri@yahoo.com

Abstract

BACKGROUND:

One of the determinants of the medical student's behaviour is the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AIM: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to assess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We performed an electronic search in the medical literature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 online (MEDLINE) and Timelit (Topics in medical education) databases through to October 2008. The non-electronic search (hand searching)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the references of the retrieved studies and identifying the relevant ones. Two independent authors read, rated and selected studies for the reviewaccording to the pre-specified criteria. The inter-rater agreement was measured with Kappa coefficient.

RESULTS:

Seventy-nine studies were included with the Kappa coefficient of 0.79, which demonstrated a reliable process, and 31 instruments were extracted. The Dunde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Postgraduate Hospit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and Dental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Survey are likely to be the most suitable instruments for undergraduate medicine, postgraduate medicine, nursing and dental education, respectively.

CONCLUSIONS: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is available for each educational setting, a study to assess the educational environmentshould become a part of an institution's good educational practice. Further studies employing a wider range of databases with more elaborated search strategies will increas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systematic review.

PMID:
 
21090946
 
DOI:
 
10.3109/01421591003686229


학부의학교육환경평가에 DREEM 적용 및 상관관계 (Med Teach, 2018)

Adoption and correlates of the Dundee Ready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DREEM) in the evaluation of undergraduate learning environments – a systematic review

Christopher Yi Wen Chana, Min Yi Sumb, Giles Ming Yee Tanc, Phern-Chern Tord and Kang Sime




도입

Introduction


보다 개인화되고 학습 중심적인 학부 교육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있다(McLean and Gibbs 2009; Barr et al. 2017). 학습자의 교육환경 인식은 학습 접근방식(Delva et al. 2004)과 관련이 있으며, 위협적이고 적대적인 교육 환경은 공감을 약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호자트 등 2009). 의과대학원 교육인증위원회(ACGME)는 최근 "환자진료의 안전하고 높은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임상학습 환경 검토(CLER)를 도입했다.

there has been deepening interest and focus on more individualized and learner centric undergraduate education (McLean and Gibbs 2009; Barr et al. 2017). It has been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raining environment by learners is associated with the approach to learning (Delva et al. 2004) and an intimidating and hostile educationa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wards an erosion of empathy (Hojat et al. 2009). With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has recently introduced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 (CLER) which was designed to optimize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safe and high quality of patient care” (ACGME 2014).


정량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학부 학습 환경을 측정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 첫째, 교육 환경의 상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고 여러 연구 간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둘째, 정량적 항목별 점수는 학습 환경의 특정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문제 영역을 다룰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 셋째, 점수를 종단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특정 개입이 원하는 효과를 달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asuring the undergraduate learning environment using a quantitative approach has several advantages. 

  • First, the results provide an overview of the stat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llow for comparisons across different studies. 

  • Second, quantitative subscale scores can the provide information about specific components of learning environment and suggest possible ways to address problem areas. 

  • Third, these scores can be monitored over time to determine if specific interventions have achieved its desired effect.


DREEM 점수를 해석하기 위한 실무 지침(McAleer 및 Roff 2001)이 제공되었으며, 

A practical guide (McAleer and Roff 2001) was provided for the interpretation of DREEM scores, which suggested that scores of 

  • between 0 and 50 should be interpreted as “very poor”,

  • 51–100 as “plenty of problems”, 

  • 101–150 as “more positive than negative”, and 

  • 151–200 as “excellent”. 


DREEM은 처음에 표준화된 채점 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학습 환경을 진단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따라서 서로 다른 프로그램 간에 비교가 가능하다. 개시 이후, 현재 DREEM을 실행하는 수많은 연구가 있다(Colbert-Getz et al. 2014).

The DREEM was initially developed to diagnose a program's learning environment using a standardized scoring instrument, thus enabling comparisons to be made across different programs. Sinceits inception, there are now a large number of studies uti-lizing the DREEM (Colbert-Getz et al. 2014)


최근 연구는 회복탄력성, 연구 훈련에 대한 태도, 삶의 질, 스트레스 수준 등과 같은 여러 학습자 요소와의 연관성을 발견했다(Yamada et al. 2014; Tempski et al. 2015; Maendran et al 2015).

Recent studies concurrently found different associations with learner factors such as resilience, attitudes towards discipline of study, quality of life, and stress levels (Yamada et al. 2014; Tempski et al. 2015; Mahendran et al. 2015).


Soemantri et al. (2010)의 리뷰에서 BME에 사용가능한 12개의 학습 환경 검사도구가 있었다. 이러한 도구들 중에서, DREEM은 여러 나라, 문화, 그리고 환경에 걸쳐 지속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따라서 DREEM이 학부 의대 등에서의 교육 환경을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도구라고 결론지었다. Colbert-Getz et al. (2014)은 다섯 가지 타당성 증거를 활용하여 학습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기존 계기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했고 대부분의 도구(61%)가 일부 내용타당성 증거를 제공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DREEM은 다른 툴에 비해 낮은 타당성 증거 점수를 가지고 있지만, 많은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됨에 따라 연구 전반을 통한 비교를 위해 추가적인 사용을 장려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였다(Colbert-Getz et al. 2014).

In the review by Soemantri et al. (2010), 12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were identified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f these instruments, the DREEM was found to be consistently reliable across different countries, cultures, and settings and it was thus concluded that the DREEM was the most suitable tool for measu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oemantri et al. 2010). Colbert-Getz et al. (2014) performed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instruments for measuring learning environments utilizing fiv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and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tools (61%) provided some validity content evidence. It was noted that although the DREEM had a lower validity evidence score compared with other tools, its widespread use in many studies likely encouraged its further use so that comparisons could be made across studies (Colbert-Getz et al. 2014).


방법

Methods



결과

Results


Supplemental Table 1 summariz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인구통계학적 요인

Demographic features


지리적 관점에서 보면, 연구 중 51.9%(N1⁄455)는 아시아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뒤를 유럽 24.5%(N1⁄4426), 오세아니아 10.4%(N1⁄411), 북미 5.7%, 남미 4.7% 였다. 아시아의 55개 연구 중, 사우디 아라비아, 이란, 쿠웨이트를 포함한 22개의 중동지역 연구들이 있었다.

In terms of geography, 51.9% (N¼55) of the studies originated from Asia, followed by 24.5% (N¼26) from Europe, 10.4% (N¼11) from Oceania, 5.7% (N¼6) from North America, 4.7% from South America (N¼5), and 2.8% (N¼3) from Africa. Out of the 55 studies from Asia, 22 studies were from Near or Middle East including Saudi Arabia, Iran, and Kuwait.


학년 비교, 교수-학생 비교, 전공 비교

Comparisons across training years, learner/teacher pairs, curriculum, and disciplines


의료, 치과, 간호 및 기타 분야와 관련된 연구에서 저학년 학생들은 고학년 학생에 비해 DREEM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juniors tended to score higher on DREEM compared with their seniors (13 of 20 studies, 65.0%) across studies involving medical (Abraham et al. 2008; Demiroren et al. 2008; Kossioni et al. 2012; Dehghani et al. 2013; Pai et al. 2014; Pales et al. 2015; Patil and Chaudhari 2016), dental (Thomas et al. 2009; Doshi et al. 2014), nursing (Mohd Said et al. 2009; Hamid et al. 2013), and other disciplines (Ousey et al. 2014).


직원과 학생의 인식을 비교한 네 가지 연구에서 총 DREEM 점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 도메인 점수가 널리 알려졌을 때,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에 대한 인식을 학생들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In all four studies which compared staff and student percep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DREEM scores. However when subdomain scores were perused, teachers tended to score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higher than students.


시스템 기반 학습(Finn et al. 2014), 문제 기반 학습(Bouhaigned et al. and 2009), 통합 커리큘럼(Shenaz)과 관련된 프로그램에서 점수가 더 높았다.

Higher DREEM scores were programs associated with that utilized a more modern curriculum, which included systems based learning (Finn et al. 2014), problem based learning (Bouhaimed et al. and 2009), an integrated curriculum (Shehnaz and Sreedharan 2011).


DREEM 점수를 보고한 98개 연구 중 대다수 연구(79개 연구, 80.6%)는 "부정점보다 긍정적이다"(즉, 최대 101~150점)의 범위 내에서 평균 총 DREEM 점수를 보고했다.

Of the 98 studies which reported DREEM scores, the majority of studies (79 studies, 80.6%) reported a mean total DREEM score within the range of “more positive than negative” (i.e. 101–150 out of maximum 200 points).


의과 대학생에 대한 70개의 연구 중, 7개의 연구는 51에서 100점 사이의 많은 문제에서 평균 전체 DREEM 점수를 보고했고, 3개의 연구에서는 151에서 200까지의 우수한 범위에서 전체 DREEM 평균 점수를 관찰했다.

Out of the 70 studies on medical undergraduate students, seven studies reported a mean overall DREEM score in the plenty of problems range from 51 to 100 points while three studies observed an overall DREEM mean score in the excellent range from 151 to 200 points


낮은 DREEM 점수(<100)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전통적인 커리큘럼(AlFaris et al. 2014; Kim et al. 2016), Seniority, 권위적 교수 등이 있었다.

Factors associated with less satisfactory total DREEM scores (<100) included traditional curriculum (AlFaris et al. 2014; Kim et al. 2016), seniority (Hasan and Gupta 2013; Andalib et al. 2015; Belayachi et al. 2015) teachers being perceived as authoritarian (Hasan and Gupta 2013)


요약하자면, 새로운 커리큘럼을 가진 프로그램 내에서 중학생과 학습자들은 DREEM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학문 간 학습 환경을 비교하는 연구 부족(2.8%)이 있다.

In summary, junior undergraduates and learners within programs with newer curriculum tended to score higher on DREEM. Despite the diversity of courses sampled, the majo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rated their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within the range of “more positive than negative”. There is a paucity of studies (2.8%) comparing learning environment across disciplines.


다른 학습요인과의 관계

Correlations with learner factors


낮은 학업 성취도는 낮은 DREEM 점수(Mayya and Roff 2004, Khursheed and Baig 2014; Sarwar and Tarique 2016)와 관련이 있었다.

low academic achievement was associated with lower DREEM scores (Mayya and Roff 2004; Khursheed and Baig 2014; Sarwar and Tarique 2016)


QOL은 나이, 성별, 연수에 관계없이 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Q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p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dependent of age, gender, and years of training


정신과에 대한 긍정적 태도(Maendran et al. 2015)과 Mindfulness(Xu et al. 2016)는 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Positive attitudes towards psychiatry among medical students (Mahendran et al. 2015) and mindfulness (Xu et al. 2016)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심리적 스트레스와 열악한 동료 서포트는 DREEM의 열악한 학문적 자기 인식과 관련이 있었다(Yamada et al. 2014).

Psychological distress and poor peer support were correlated with poor academic self-perception in DREEM (Yamada et al. 2014).


종단적 연구

Longitudinal studies


예상과 실제 DREEM 점수 간의 차이를 조사한 5개 연구 내에서, 학생들은 교육 환경에 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Within the five studies which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expected and actual DREEM scor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d high expectations of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강 교수(2015년) 등은 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은 학생들이 실제로 더 긍정적인 경험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선더스 외(2014년)는 원래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 학생들이 나중에 특정 조사 영역으로 문제를 보고한 영역을 식별했다. 이것은 학생들이 그들의 교육 환경에서 더 많은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그들의 학습 환경을 더 잘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피드백을 기꺼이 제공할 것임을 암시한다. 3가지 종단적 연구는 전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DREEM 점수가 동일하거나 개선되었다(O'Brien et al. 2008; Palmgren et al. 2015;Xu et al. 16).

Kang et al. (2015) found that students with better perception of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had more positive actual experiences. Sundus et al. (2014) identified areas in which students who did not originally perceive problems later reported problems as specific areas of investigation. This suggests that students may expect more from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were willing to proffer their feedback to better enhance their learning environments. The three longitudinal studies either found that the overall DREEM scores generally maintained the same or improved over time (O'Brien et al. 2008; Palmgren et al. 2015;Xu et al. 2016) but subdomain scores varied in that the perception of teachers decreased (Palmgren et al. 2015) while perception of atmosphere increased (O'Brien et al. 2008).


요약하자면, 예상 DREEM 점수와 실제 DREEM 점수를 비교한 연구에서, 학부 학습자들은 교육 환경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졌지만, 종종 실제 경험으로는 충족되지 못했다.

In summary, within studies comparing expected and actual DREEM scores, undergraduate learners held high expectations of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were often not met by their actual experiences.



고찰

Discussion


이 논평은 몇 가지 중요한 발견을 했다. 

  • 첫째, 학부 프로그램의 교육 환경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된 DREEM은 특히 아시아와 유럽에서 전 세계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오세아니아, 북미, 남미에서도 채택되었다. (주로 의료, 치과, 간호 프로그램이 모든 연구의 86.8%를 차지함)

  • 둘째, 저학년 학생과 새로운 교과과정이 있는 프로그램의 학생들이 그들의 전반적인 학습 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맥락에서 DREEM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었다. 

  • 셋째, 높은 DREEM 점수는 과거의 더 나은 학업 성취, 삶의 질, 회복력, 연구 규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주의력, 실천에 대한 준비성, 심리적 괴로움 감소, 그리고 더 큰 동료 서포트와 관련이 있었다. 

  • 넷째, 예상과 실제 DREEM을 비교하는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그들의 실제 경험에 의해 종종 충족되지 않는 그들의 교육 환경에 대한 더 높은 기대를 가졌다. 하지만, 그들의 교육 환경에 대한 그들의 실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인 범위보다 더 긍정적인 범위 안에 있었다. 

  • 다섯째, 종방향 데이터는 희박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생님들과 분위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다양했지만, 전반적인 DREEM 점수는 안정적이거나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view had several main findings. 

  • First, the DREEM, which was mostly use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undergraduate programs (mainly medical, dental, nursing programs constituting 86.8% of all studies), had been adopted in studies globally especially in Asia and Europe (76.4% of all studies), but also in Oceania, North and South America. 

  • Second, juniors and learners in programs with newer curriculum tended to score higher on DREEM within the context of the major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generally rating their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positively. 

  • Third, higher DREEM scores were associated with better past academic achievement, quality of life, resilience, positive attitudes towards discipline of study, mindfulness, preparedness for practice, less psychological distress, and greater peer support. 

  • Fourth, in studies comparing expected and actual DREEM, undergraduate students had higher expectations of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were often not met by their actual experiences. However, their actual perceptions of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still within the more positive than negative range. 

  • Fifth, longitudinal data were sparse and it was found that whilst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and atmosphere varied over time, the overall DREEM scores remained stable or improved over time.


학부 의대 교육에는 여러 이해관계자가 있으며, 다양한 관점을 결합하여 이러한 교육 환경에 대한 보다 전체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Pinock et al. 2011; Shehnaz et al. 2012).

There are multiple stakeholder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the combinations of different perspectives enable a more holistic assessment of these educational environments (Pinnock et al. 2011; Shehnaz et al. 2012).


교수진과 학생 간의 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 Miles와 Leinster(2009)는 교수진이 교육 환경의 많은 측면에 대해 일방적으로 확신을 가질 수는 없으며, 따라서 DREEM은 학생의 관점에서 의견을 얻는 좋은 수단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한 학습자가 제공하는 피드백은 커리큘럼, 교수법, 편의시설, 평가 및 학습 지원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영역을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 engagement를 제안할 수 있다(Pinock et al. 2011; AlFar).

With regards to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Miles and Leinster (2009) found that the faculty could be unsure about many aspec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unilaterally, and the DREEM is thus a good means of obtaining feedback and enabling faculty to view from the student’s standpoint. In addition, the feedback from the learners could suggest further engagement to elucidate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training program including curriculum, pedagogy, amenities, assessment and learning support (Pinnock et al. 2011; AlFaris et al. 2014; Finn et al. 2014).


이는 커리큘럼의 변화에 따라 교육 환경에 대한 인식이 개선될 수 있다는 이 검토의 결과와 일치한다(Bouhaigned et al. 2009; Shehnaz 및 Sebedharan 2011). 어떤 의미에서, 대부분의 학부생들이 학습 환경을 일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더라도, 학부의학교육의 지속적인 질 향상이 필요하다.

This is in line with findings within this review that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with changes in the curriculum (Bouhaimed et al. 2009; Shehnaz and Sreedharan 2011). In a sens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necessary even when most undergraduates (about 80% of studies) generally rated their learning environments more positively than negatively,


보고된 DREEM 점수가 고학년 학생이 저학년 학생보다 낮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질문은 남는다.

The question remains about what happened over time as reported DREEM score tended to be lower in senior versus junior learners


몇 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 첫째, 성인 학습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학습에 참여해야 하며, 경험(실수를 포함)은 학습의 기초를 제공하며, 학습자가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즉각적 관련성을 발견할 때 학습이 가장 잘 수행된다고 합니다(Knowles 1973) 따라서, 경험적 학습보다 사실적 지식의 학습에 더 중점을 두는 전통적인 커리큘럼을 채택하거나, 교사들이 권위주의적이라고 인식하거나, 실수를 인내해주지 않는 환경에서는 DREEM점수가 낮아질 것이다(Abraham et al. 2008; Pai et al. 2014). 

  • 둘째, 상황적으로 학년이 올라가면서 학업량이 늘고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더 많은 양의 스트레스가 유발되고 이는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Kossioni et al. 2012; Pai et al. 2014). 

  • 셋째, 사회적 학습 모델(Durning and Artino 2011)에 따라 학습 커뮤니티가 지지적이지 않다는 인식으로 인해 점차 DREEM 점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넷째, 학습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의 중요성을 염두에 둔다면(Hafferty 1998), 훈련 기간에 비해 낮은 DREEM 점수는 학생이 배우는 것과 학생이 실제로 관찰하는 것 사이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친숙하고 교수개발이 안정적인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이것은 심지어 친숙한 커리큘럼과 안정된 교수진 보수의 설정에서도 학습자의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everal explanations are possible. 

  • First, adult learning theories posit that learners need to be involved in learning, experience (including mistakes) provide the basis for learning, and that learning takes place best with problem centered focus and when learners see immediate relevance (Knowles 1973). Thus, adoption of more traditional curriculum with more emphasis on factual learning and less focus on experiential learning, alongside perception of teachers as authoritarian, or less tolerant of mistakes (Abraham et al. 2008; Pai et al. 2014; Pales et al. 2015) may contribute to lower DREEM scores over time. 

  • Second, contextually, with increasing workload and expectations with seniority, this may exert a greater amount of stress which can result in poorer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Kossioni et al. 2012; Pai et al. 2014). 

  • Third, in line with social learning models (Durning and Artino 2011), any perception of a less supportive learning community may lead to lower DREEM scores with training (Mohd Said et al. 2009; Hasan and Gupta 2013). 

  • Fourth, bearing in mind the importance of hidden curriculum in learning (Hafferty 1998), lower DREEM score over duration of training may point to discrepancies between what is taught and what is caught in practice which suggests the need to constantly review feedback from learners even in the setting of familiar curriculum and stable faculty complement.


비록 과거의 학업 성취, 회복력, 그리고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한 태도 사이의 인과 관계를 이러한 단면적 연구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예비 학부생들을 선발 단계에서 또는 교육 프로그램 내에서(DREEM을 활용하여) [도움이 필요한 학습자가 누군지 조기에 확인하고 학습을 지원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st academic achievement, resilience, and attitudes with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cannot be determined conclusively based on these cross-sectional studies, early identification of prospective undergraduates either at selection stage or subsequently within the training program based on DREEM and paying heed to garnering learning support for learners in need of assistance could be considered.


또한, 높은 DREEM 점수는 심리적 스트레스 감소와 더 나은 수준의 mindfulness 및 peer support과 관련이 있었다(Yamada et al. 2014; Xu et al. 2016). 따라서, 교육 환경 점수를 평가하고 경향화하는 것은 부적절한 peer support이라는 맥락에서, 위험에 직면하고 있는 학습자를 미리 탐지할 수 있는 추가적 방법이 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시기적절한 교육적 지원을 할 수 있다(Yamada et al. 2014).

In addition, higher DREEM scores were associated with less psychological stress and better level of mindfulness and peer support (Yamada et al. 2014; Xu et al. 2016). Hence, assessing and trend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cores may provide an additional dimension for earlier detection of learners facing duress in the context of poor peer support, so that timely educational support can take place (Yamada et al. 2014).


게다가, 우리는 교육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더 나은 삶의 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Tempski et al. 2015; Enns et al. 2016) 이와 관련하여, 의과대학 훈련의 진행에 따라 삶의 질OQL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aro et al. 2014).

Furthermore, we found that positive percep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was associated with better quality of life (Tempski et al. 2015; Enns et al. 2016). In this regard, quality of life has been found to decrease with progression in medical school training (Paro et al. 2014)


교육 환경 내의 문제를 책임감 있게 해결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학부생들의 삶의 질 향상과 배우려는 동기부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ddressing issues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esponsively could potentially help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motivation to learn within undergraduates.


학습자의 학습 기대치와 실제 학습 경험 간에 차이가 있습니다. 기대가 높은 학습자는 부정적인 자기 인식과 인식된 스트레스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Bowlt et al. 2011). 따라서 교육 과정 초기에 그러한 학습자를 식별하면 번아웃 발생을 방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learning expectations of learners and actual learning experiences. Learners with high expectations may also be more prone to negative self-perceptions and greater perceived stress (Bowlt et al. 2011). Thus identifying such learners early on in the course of undergraduate education may prevent or ameliorate the onset of burnout.



McAleer S, Roff S. 2001. A practical guide to using the Dunde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DREEM). In: Genn JM, editor. Curriculum, environment, climate, quality and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 unifying perspective. AMEE Education Guide no. 23. Scotland: AMEE. p. 29–33.


Soemantri D, Herrera C, Riquelme A. 2010. Measu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ealth professions studies: a systematic review. Med Teach. 32:947–952.


Xu X, Wu D, Zhao X, Chen J, Xia J, Li M, Nie X, Zhong X. 2016. Relation of perceptions of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mindfulness among Chinese medical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Med Educ Online. 21:30664.


Yamada Y, Klugar M, Ivanova K, Oborna I. 2014. Psychological distress and academic self-perception among international medical students: the role of peer social support. BMC Med Educ. 14:256.






 2018 Jan 23:1-8. doi: 10.1080/0142159X.2018.1426842. [Epub ahead of print]

Adoption and correlates of the Dundee Ready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DREEM) in the evaluation of undergraduate learning environments -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a General Psychiatry , Institute of Mental Health , Singapore , Singapore.
2
b Research Division , Institute of Mental Health , Singapore , Singapore.
3
c Department of General Psychiatry , Institute of Mental Health , Singapore , Singapore.
4
d General Psychiatry , Institute of Mental Health , Singapore , Singapore.
5
e General Psychiatry , Institute of Mental Health , Singapore , Singapore.

Abstract

BACKGROUND:

The Dundee Ready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DREEM) was specifically designed to measure the undergraduate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seeks to review the adoption of DREEM internationally, and its association with different learning contexts and learner factors in order to better support our learners and facilitate future applications and research.

METHO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all articles that adopted and reported data using the DREEM from 1997 to April 2017.

RESULTS:

Overall, the majority of 106 included studies from over 30 countries were conducted in Asia and Europe (76.4% of studies) within medical, dental, and nursing programs (86.8% of studies). Seventy-nine out of 98 studies (80.6%) which reported DREEM scores observed a mean total DREEM score within the range of "more positive than negative" (101-150 out of maximum 200 points). Higher DREEM scores were associated with better past academic achievement, quality of life, resilience, positive attitudes towards course, mindfulness, preparedness for practice, less psychological distress, and greater peer support.

CONCLUSIONS:

Future studies may want to examine other correlates of DREEM such as coping styles, personality profiles, burnout level, and DREEM scores can be incorporated into reviews of learning environments to ascertain longitudinal changes following educationalinterventions.

PMID:
 
29361860
 
DOI:
 
10.1080/0142159X.2018.1426842


기여분석을 통해 CBME 프로그램 평가하기: 견고한 사고방식의 문제(Acad Med, 2017)

Using Contribution Analysis to Evaluat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rograms: It’s All About Rigor in Thinking

Elaine Van Melle, PhD, Larry Gruppen, PhD, Eric S. Holmboe, MD, Leslie Flynn, MD, MEd, Ivy Oandasan, MD, MHSc, and Jason R. Frank, MD, MAEd, for the Internation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ollaborators




CBME가 타당한 교육원칙과 교육적 실천의 진보에 기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이 (전통적인 관행에 비해서) [궁극적으로는 환자 결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하는지 여부는 말할 것도 없고], 오늘날의 의료 환경에 더 잘 준비된 의사를 생산하는지 여부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다.

Despite the fact that CBME is founded on sound educational principles and advancements in educational practice,15 we have little evidence regarding whether, relative to traditional practices, it produces physicians who are better prepared for today’s practice environments, let alone whether it ultimately contributes to improved patient outcomes.


복잡한 서비스 개입으로서 CBME

CBME as a Complex Service Intervention


CBME의 특징은 모든 커리큘럼 요소가 증가하는 의학적 복잡성의 연속체를 따라 누적 학습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함께 작용한다는 것이다.4,17

A hallmark of CBME is that all curricular elements work together in a way that promotes cumulative learning along the continuum of increasing medical sophistication.4,17


CBME의 또 다른 특징은 프로그램 활동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 주로 프로그램 활동과 관련된 근접 단기 성과

  •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원거리 시스템 성과 (전공의 교육을 포함할 수 있지만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로 분류될 수 있다. 

Another feature of CBME is the variety of outcomes stemming from program activities, these outcomes can be categorized as proximal shorter-term outcomes primarily associated with program activities, and distal system- wide outcomes resulting from a variety of factors, which ca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esidency education.


이러한 원거리 영향은 Kirkpatrick 모델18에서 설명한 네 번째 수준 또는 "결과"와 동등하며, 종종 달성하고 평가하기가 가장 어렵다.

These distal impacts are equivalent to the fourth, or “results,” level described in the Kirkpatrick model18 and as such are often the most challenging to attain and evaluate.



List 1.



CBME는 복잡한 서비스 개입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16 복잡성이라는 조건 하에서, 구성요소는 다양한 조합으로 상호작용하여, 매번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나게 한다. 자녀 양육은 "한 아이를 기르는 것은 경험을 제공하지만 다음 아이의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이런 종류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19(p9) 그리고,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발달의 중심에 놓여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유능한 의사가 되기 위한 레지던트의 발전의 핵심에는 교수와 레지던트의 상호작용이 있다.

CBME can be understood as a complex service intervention.16 Under conditions of complexity, components interact in different combination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different outcomes. Child rearing might be said to exemplify this kind of complexity, in that “raising one child provides experience but is no guarantee of success with the next.”19(p9) And, just as parent–child interactions lie at the heart of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toward adulthood, so too are the interactions between faculty and a resident at the heart of the resident’s progress toward becoming a competent physician.



비록 부모들은 전형적으로 가족 시스템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지만, 다른 요소들도 아이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 CBME에서도 유사한 복잡성이 작용한다: 레지던트와 교수의 상호작용과 같은 여러 요인들이 레지던트의 역량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그림 1 참조). 또한 모든 학습 상황에 있어 각 레지던트는 자기조절적 학습자로서 CBME에 engage하는 고유한 경험과 능력을 갖는다. 동시에 각 교수는 이러한 이질성에 대응하는 각자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22 모든 복잡한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한 것은 CBME 개입 내의 개인들 간의 상호작용의 퀄리티이다.23

Although the parents typically exert the main influence in a family system, other factors also shape a child’s development. A similar complexity is at work in CBME: Multiple factors such as faculty interactions with residents influence residents’ development of competence (see Figure 1), and to any learning situation, each resident brings unique experiences and his or her own capacity to engage in CBME as a self-regulated learner.20,21 At the same time, each faculty member also has a unique ability to respond to this heterogeneity.22 As with any complex system, it is the quality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s within the CBME intervention that is most critical.23


Complex service intervention에서 맥락은 또 다른 핵심 요인이다. 레지던트들이 달성해야 할 역량은 동일하지만, 맥락화된 학습 경험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역량 확보에 필요한 구체적인 궤적에 영향을 미친다.25. 결과적으로, 어떤 두 개의 CBME 프로그램도 정확히 같지 않을 것이고, 이것은 CBME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다.

Context is another key aspect of complex service interventions.25 although residents are expected to achieve the same competencies, their contextualized learning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faculty influence the specific trajectory required to attain competence. Consequently, no two CBME programs will ever be exactly alike, which makes evaluating CBME programs all the more challenging.




CBME 프로그램 평가의 과제: 기여 대 귀인

Challenges in CBME Program Evaluation: Contribution Versus Attribution


CBME를 평가하려면 사고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26 우리는 "목표는 쉽게 합의되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그 원인과 효과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전통적인 접근방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28

Evaluating CBME requires a change in mind-set.26 We need to move away from a traditional approach, in which “goals are easily agreed upon and can be precisely measured, and the cause and effect are well described,”27(p980) toward an appreciation that multiple possible pathways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program goals.28


귀인 분석

Attribution analysis



전통적으로 귀인 분석은 프로그램 평가에 사용되어 왔다(표 1 참조).29 이 접근법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달성할 수 있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재현 가능한 개입]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그램 활동과 성과 사이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실증주의적 실험 방법은 귀인 분석에 가장 자주 사용되며, 비교 그룹과 무작위화에 의존하여 특정 결과 변수에 초점을 맞추고 "원하지 않은" 변수를 그룹 사이에 균등하게 분산시킵니다.

Traditionally, attribution analysis has been used for program evaluation (see Table 1).29 This approach has worked well for reproducible interventions with clearly definable objectives that can be achieved relatively quickly. When these conditions are met, a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am activity and outcome may be inferred. Positivist experimental methods are most often used with attribution analysis; these rely on comparison groups and randomization to focus on a specific outcome variable and distribute “unwanted” variables evenly among groups.


그러나 복잡성의 조건하에서는 성공의 길이 너무 복잡하여 사전in advance에 설명할 수 없다. 변수를 통제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왜냐하면 변수를 통제한다는 것은 상황에 관계없이 개입(학습 경험 및 커리큘럼)이 일관되고 재현가능한지 확인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통제와 예측가능성에 의존하는 기존의 환원주의적 방법은 프로그램 영향에 대한 의미 있는 이해를 생성하는 데 불충분해진다. 복잡성complexity의 조건에서는 "수행된 활동과 관찰된 결과 사이의 모든 연속체와 광범위한 연결과 관계"를 살펴봐야 한다. CA가 바로 그러한 접근방식을 제공한다.

Under conditions of complexity, however, the path to success is so involved that it cannot be articulated in advance.30 Controlling for variables is extremely challenging, as is the task of ensuring that interventions (learning experiences and curricula) are consistent and reproducible regardless of context. Consequently, traditional reductionist methods that rely on control and predictability tend to be inadequate in generating meaningful understanding of program impacts.27,28,31,32 Under conditions of complexity an approach is needed that examines the “full continuum and range of degrees of conne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ies undertaken and the results observed.” 26(p376) CA provides such an approach.


기여 분석

Contribution analysis


CA에서, 평가에서 제기된 핵심 질문은 "프로그램이 관찰된 결과에 얼마나 많은 차이(또는 기여)를 만들어냈습니까?"이다. CA를 시행함에 있어 중요한 과제는 프로그램이 어떻게 그리고 왜 구현되었는지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구현의 "블랙박스"를 여는 것이다. 프로그램이 어떻게 그리고 왜 구현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영향경로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향경로impact pathway, [프로그램 활동]과 [예상 결과] 사이의 연계에 대한 가정을 기술하기 위하여, 이론으로부터 이끌어내는 경로이다.

In CA, the key question posed in evaluation is “How much of a difference (or contribution) has the program made to the observed outcomes?”31(p54) In undertaking CA, a critical task is to open up the “black box” of program implementation33 to ensure a full understanding of both how and why th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34 Understanding the both how and why will help us to describe an impact pathway: that is, a pathway that draws from theory to articulate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linkages between the program activities and expected outcomes. 


영향경로는 "변화의 이론"을 설명하는 방법이다. CA는 이 "변화의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며, "논리 및 이용 가능한 증거를 가지고, 이 경로를 확인해주거나 교정을 제안하며, 그러한 과정에서 실체가 드러난다". CA의 최종 결과는 특정 상황에서 프로그램이 어떻게 생겼는지, 어떻게 차이를 만들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명확히 설명하는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contribution story를 만드는 것이다.

The impact pathway is a way to describe the “theory of change”; CA is used to test this theory “against logic and evidence available … and either confirms or suggests revisions … where reality appears otherwise.”31(p54) The end result is a robust and credible contribution story that provides a clear description of what a program looks like in a particular context, how it has made a difference, and why.


CA를 수행하려면 사고의 엄격함rigor in thinking이 최우선 관심사가 되는 사고방식이 필요하다(표 1 참조).26,35 rigor in thinking이란, 다양한 프로그램 활동 간의 연관성, 근위부 및 원위부 결과와의 관계, 그러한 관계의 기저에 깔린 기본적 가정에 대한 타당한 설명을 제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것은 다양한 이론들로부터 가정을 설명하는 방법을 이끌어낼 능력을 수반한다. 

Undertaking a CA requires a mind-set in which rigor in thinking becomes an overriding concern (see Table 1).26,35 By rigor in thinking, we mean the ability to provide a plausible description of the linkages between multiple program activities, their relationship to proximal and distal outcomes, and the underlying assumptions informing those connections. It entails the capacity to draw from different theories in articulating assumptions. 


연구 결과를 설명할 때, 엄밀한 사고방식rigor in thinking은 원래 틀을 벗어나 여러 가설을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하며, 영향 경로 내에서 추론이 강하거나 약할 수 있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31,36 (CA에서도) 방법론의 엄격함rigor in methodology는 여전히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다양한 정보원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 정보들은 프로그램 활동이 관찰된 결과를 어떻게 유도하는지에 대한 해석에 도움을 준다. 사실, 복잡성의 상태에 따라, contribution story는 특정 맥락 안에서 몇 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수도 있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러한 CA를 CBME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합니다.

In explaining findings, rigor in thinking requires the ability to consider multiple hypotheses beyond the original framing, as well as to identify where inferences may be stronger or weaker within the impact pathway.31,36 Rigor in methodology remains important, but focuses on collecting information from a variety of sources that shed light on the interpretation of how the program activities lead to observed outcomes.31 In fact, in keeping with the condition of complexity,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ibution story will require several iterations to unfold within a particular context. In the following section we consider how such a CA could be applied to CBME.



CA를 CBME에 적용하기

Applying CA to CBME


CA는 정부 프로그램의 시행을 단순히 감시하는 관례를 벗어나는 방법으로 처음 개발되었다.

CA was first developed as a way to move past the practice of simply monitoring the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rograms


CA는 평가에 대한 이론-기반 접근법으로 묘사되어왔으며, Mayne는 CA가 복잡성의 조건 하에서 신뢰할 수 있는 인과관계를 주장 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한다고 제안하였다.

CA has been described as a theory-based approach to evaluation,38 and Mayne39 proposes that it provides a systematic way to make credible causal claims under conditions of complexity.


CA는 아직 의학교육에 적용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인과관계 주장을 엄격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검토해야 하는] 주요 커리큘럼 혁신 평가에 강력한 접근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Although CA has not yet been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it can be a powerful approach to evaluating a major curriculum innovation for which multiple causal claims must be examined in a rigorous and credible fashion.27,35


CBME의 잠재적 변화 이론(그림 2 참조).

potential theory of change for CBME (see Figure 2).



1단계: 해결해야 할 원인 및 결과 문제 해결

Step 1: Set out the cause-and-effect issue to be addressed


    • CBME가 복잡한 서비스 개입임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기여와 귀인의 문제를 수용하는 것(표 1 참조)은 CA 수행에 있어 중요한 첫 번째 단계입니다. 

    • 그 다음 과제는 CBME가 구현된 특정 설정에서 원하는 CA의 초점과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 [특정 기관의 맥락에서의 CBME의 구현에 다른 영향요인이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가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은 이 개괄적인 논의의 중요한 부분이다.

    • Acknowledging that CBME is a complex service intervention, and accordingly embracing the question of contribution versus attribution (see Table 1), is a critical first step in conducting a CA. 

    • The challenge then is to determine the desired focus and scope of the CA in a particular setting where CBME has been implemented. 

    • Clearly articulating how other influencing factors may shape the implementation of CBME in a particular institutional context is an important part of this opening discussion.



2단계: 가정된 변화 이론 개발

Step 2: Develop a postulated theory of change


CA의 핵심 과제는 CA의 초점과 범위를 포착하는 theory of change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어려운 점은 관심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식별하고 강조하는 것이다. 근위부 및 원위부 결과가 시간적 선후관계 방식으로 배열되는 result chain은 theory of change의 백본을 형성한다.33,34

A central task in CA is to illustrate a theory of change that captures the focus and scope of the CA. The challenge is to identify and highlight factors that are most likely to influence the outcomes of interest. The results chain, in which the proximal and distal outcomes are arranged in a temporal fashion, forms the backbone of the theory of change.33,34


그림 2는 모든 CBME 프로그램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일반 모델을 제공합니다.

Figure 2 provides a generic model that can be adapted to any CBME program.


성과를 프로그램 활동에 연결하는 것은 결과result 체인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CBME 프로그램이 구현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예상 산출물을 설명하는 output box(그림 2)에 나와있다.

Linking the outcomes to program activities is another critical element of the results chain. This is captured by the outputs box of Figure 2, which describes the anticipated products that should arise as the CBME programis implemented—


따라서, [프로그램 성과] 또는 [성과와 연결된 예상 산출물]을 명확히 하는 것도 결과 사슬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측면이다.

Therefore, articulating program outputs, or the anticipated products that lead to outcomes, is also an important aspect of forming a results chain.


변화 이론을 완성하려면 결과와 산출물에 대해 예상되는 가정과 위험을 설명해야 한다. 이것을 기술하는 것은 CBME 분야와 관련된 여러 이론에 근거해야 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정을 반영하면서 쉽게 resonate해야 한다.34 CBME는 여러 이론들이 프로그램 활동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특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15,45

To complete the theory of change, the assumptions and risks anticipated for the outcomes and outputs should be described. The statements should be grounded in theories related to the CBME field and reflect and readily resonate with various stakeholder assumptions.34 This can be particularly challenging in CBME, where multiple theories underlie program activities.15,45


차트 1은 가정과 위험을 알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의 예입니다(그림 2 참조). 차트 1에서 

    • 가정(오른쪽 열)의 목록은 CBME가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행동 이론을 가리킵니다. 

    • 위험(왼쪽 열)은 프로그램이 구현된 방법 또는 구현 이론과 관련이 있습니다. 

Chart 1 is an example of a guide that may be used to inform the assumptions and risks (see Figure 2). In Chart 1, 

    • the list of assumptions (right-hand column) points toward theories of actions to explain why CBME works. 

    • The risks (left-hand column) relate to how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r the implementation theory

또한 프로그램이 가정과 위험을 통제할 수 있는 정도까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그림 2의 legend 참조).

Attention must also be paid to the extent to which the program has control over the assumptions and risks (see Figure 2’s legend).


프로그램 이론(또는 theory of change의 요약을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문구)은 이 프로세스의 토대이다31

The program theory, or the overarching statement that provides a summary of the theory of change, is a grounding feature of the process31



3단계: 기존 증거 수집

Step 3: Gather existing evidence


3단계에서 초점은 논리와 이용 가능한 증거를 가지고 theory of change 을 시험하는 것이다. 광범위한 증거를 모을 수 있다. 핵심은 구체적인 증거가 무엇이며, 무엇이 가장 필요한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In Step 3, the focus is to test the theory of change against logic and available evidence. A wide range of evidence could be gathered, and so the key is to determine where concrete evidence is available and is most needed.


그림 2에서 다음 질문 중 하나가 증거 수집의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in Figure 2 any one of the following questions could form the focus for gathering evidence.


1. 역량으로 발전하는 개별 레지던트의 경로는 어떻게 보이는가?

2. CBME와 관련된 커리큘럼 활동(예: 학습 경험, 교수 방법, 평가 시스템)은 이러한 경로의 개발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3. 이러한 경로가 practice 시작 시 역량 개발에 어떻게 기여했는가?

4. 이러한 능력은 어느 정도까지 지역 인구의 건강 요구에 부합하는가?

5. 역량과 환자관리성과 사이의 관계는 무엇입니까?

1. What do pathways look like for individual residents as they progress toward competence?

2. How do the curricular activities (e.g., learning experiences, teaching methods, assessment systems) associated with CBM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se pathways?

3. How have these pathway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upon entry to practice?

4. To what extent are these competencies aligned with the health needs of the local population?

5.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ies and patient care outcomes?


이러한 질문은 

    • 로그램 프로세스(예: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구현되었는가)— 질문 1과 2

    • 로그램 성과(예: 프로그램의 영향은 무엇이었습니까?—질문 3, 4, 5

를 모두 다루고 있다.

These questions cover both program processes (e.g., Was the program implemented as intended?—See questions 1 and 2) as well as outcomes(e.g., What was the impact of the program?—See questions 3, 4, and 5).


CA는 특정한 근위부 및 원위부 결과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이 어떻게 차이를 만드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 복수의 근거 출처(예: 정량적, 정성적, 이전 연구 또는 문헌)에 의존한다.

CA relies on multiple sources of evidence (e.g., quantitative, qualitative,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r the literature) to tell the story of how a program is making a difference to achieve specific proximal and distal outcomes.


단계 4: 기여 스토리 구성하기

Step 4: Assemble the contribution story


이용 가능한 증거를 사용하여 이제 기여 스토리가 모일 수 있다. 1~3단계를 따랐다면, 신뢰할 수 있는 기여 스토리는 다음의 요소를 갖춰야 한다

Using the available evidence a contribution story can now be assembled. In keeping with Steps 1 to 3, a credible contribution story contains the following elements31(p87):


• 컨텍스트를 철저히 기술한다.

• 변화 이론이 타당하다.

• 활동, 결과 산출물 및 관찰된 성과를 잘 기술한다.

• 변경 이론의 핵심 링크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제시되며, 여기에는 장점과 단점에 대한 논의도 포함된다.

• 분석 결과가 설명된다.

• 기타 영향 인자에 대해 논의한다.

• the context is thoroughly described;

• the theory of change is plausible;

• activities, resulting outputs, and observed outcomes are well described;

• the evidence behind the key links in the theory of change is presented, including a discussion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explained; and

• other influencing factors are discussed.


그러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체인의 어떤 연결고리가 강력한 증거에 의해 지지되고 어떤 연결고리가 약한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Creating such a story helps to determine which links in the chain are supported by strong evidence and which may be weak.43,44,48


5단계: 추가 근거 찾기

Step 5: Seek out additional evidence


기여 스토리를 조립할 때, 이해를 증진시키거나 변화 이론의 특정한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해질 수 있다. 전체적인 목표는 기여 스토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의 삼각측량은 매우 중요하다. 명백하게, 4단계와 5단계를 모두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화이론이 수정될 수 있다. 실제로, 변화 이론을 만드는 것은 언제나 [프로그램 활동과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In assembling the contribution story, it may become apparent that more data are needed to improve understanding or to strengthen certain linkages of the theory of change. Because the overall goal is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the contribution story, triangulation of finding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undertaking both Steps 4 and 5, it may also become apparent that the theory of change needs to be revised. Indeed, creating a theory of change should always be viewed as an ongoing, iterative process allowing for an ever-deepening understanding of program activities and outcomes.



6단계: 기여 스토리의 수정 및 강화

Step 6: Revise and strengthen the contribution story


이 새로운 증거를 사용하면 더 강력한 기여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 실제로 바람직한 CA의 전체 프로세스는 3단계에서 6단계까지의 반복적 접근 방식이다. 

Using this new evidence, a stronger contribution story can be created. Indeed, the entire process of CA is best used as an iterative approach in which Steps 3 to 6 are seen as an ongoing cycle


CA를 이용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접근법은 일회성 활동이 되어서는 안 되며, 그보다는 시간이 지나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실제로 한번에 모든 인과적 요인을 검토하는 것은 너무 어려울 수 있다.36 때로는 프로그램이 1년 또는 그 다음 해에는 요인 중 하나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보다 실현 가능하여 전체적인 기여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특히 CBME의 경우와 같이 전반적 변화 이론이 복잡한 경우에 CA를 실행할 때는 다수의 작고 집중적인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approach to program evaluation using CA is not intended to be a one-off activity; rather, it is meant to provide a story that unfolds over time. Indeed, experience suggests that it may be too challenging to examine all causal factors at once.36 At times, it may be more feasible for a program to focus on exploring one of the factors one year and another the following year, thereby creating an overall contribution story. When the overall theory of change is particularly complex, as may be the case with CBME, conducting a number of smaller, focused evaluations may be a preferable approach when conducting a CA.31


시작하기

Getting Started


다른 이론 기반 접근방식과 달리 CA에서의 변화이론은 이해관계자의 가정을 명확히 포착해야 한다.27 따라서, CA는 (특히 시작 단계에서) 여러 이해관계자 간의 숙의와 의견 일치에 의존한다35,36 따라서 CBME를 구현하려는 사람은 초기 단계에서부터 이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

Unlike other theory-based approaches (e.g., realistic evaluation), CA requires that the theory of change clearly capture stakeholders’ assumptions.27 Consequently, CA relies on deliberation and consensus building among multiple stakeholders, particularly at the inception phase.35,36 Thus, it is recommended that those implementing CBME be engaged in this process at the outset.26,29


CBME에서 CA 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CA to CBME


CBME는 복잡한 서비스 개입으로서 활동, 결과 및 이론을 연결하는 접근 방식인 평가에 대한 다른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합니다. 이 접근법의 가장 중요한 도전은 변화 이론을 개발하고 이 이론을 논리와 이용 가능한 증거에 반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As a complex service intervention, CBME requires a different approach to evaluation: an approach that links activities, outcomes, and theory. The central challenge of this approach, is to develop a theory of change and then test this theory against logic and available evidence.


따라서 CA를 수행할 때 복수의 가설과 경로를 고려하는 능력과 함께 사고의 정밀성이 기초가 된다. 또한 CA는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practice의 포착을 목적으로 하고, 복잡한 정보를 통합하는 능력을 핵심 기술로 하는 현재의 프로그램 평가 경향과도 일치한다.52

Accordingly, in conducting a CA, rigor in thinking, together with the ability to consider multiple hypotheses and pathways, becomes foundational. CA is also consistent with current directions in program evaluation that aim to capture the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practice51 and for which the ability to integrate complex information is becoming a key skill.52


필요한 전문 지식, 경험 및 노력의 수준을 감안할 때, CA를 수행하는 것이 모든 상황에서 실현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iven the level of expertise, experience, and effort required,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undertaking a CA may not be feasible in every situation.




35 Moreau KA, Eady K. Connecting medical education to patient outcomes: The promise of contribution analysis. Med Teach. 2015;37:1060–1062. XXX










 2017 Jun;92(6):752-758. doi: 10.1097/ACM.0000000000001479.

Using Contribution Analysis to Evaluat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rogramsIt's All About Rigor in Thinking.

Author information

1
E. Van Melle is senior education scientist,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and clinician-educator,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L. Grupp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E.S.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Mileston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L. Flynn is vice dean of education, Faculty of Health Sciences,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and clinician-educator,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I. Oandasan is director of education,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Mississauga, Ontario, Canada, and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Faculty of Medicine, Toronto, Ontario, Canada. J.R. Frank is director, Specialty Education, Strategy, and Standards, Office of Specialty Educati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ttawa, Ontario, Canada.

Abstrac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ims to bring about the sequential acquisition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practice. Although it is being adopted in centers of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globe, there is little evidence concerning whether, 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methods, CBME produces physicians who are better prepared for the practice environment and contributes to improved patient outcomes. Consequently, the authors, an international group of collaborators, wrote this article to provide guidance regarding the evaluation of CBME programs.CBME is a complex service intervention consisting of multiple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a variety of outcomes over tim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apply traditional methods of program evaluation, which require conditions of control and predictability, to CBME. To address this challenge, the authors describe an approach that makes explicit the multiple potential linkages between program activities and outcomes. Referred to as contribution analysis (CA), this theory-based approach to program evaluation provides a systematic way to make credible causal claims under conditions of complexity. Although CA has yet to be applied to medicaleducation, the authors describe how a six-step model and a postulated theory of change could be used to examine the link between CBME, physicians' preparation for practice, and patient care outcomes.The authors argue that adopting the methods of CA, particularly the rigor in thinking required to link program activities, outcomes, and theory, will serve to strengthen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CBME over time.

PMID:
 
28557934
 
DOI:
 
10.1097/ACM.0000000000001479


CBME 구현: 어떤 교육과정 구조와 과정의 변화가 필요한가?(Med Teach, 2017)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What changes in curricular structure and processes are needed?

Markku T. Nousiainena, Kelly J. Caverzagieb, Peter C. Fergusona, and Jason R. Frankc,d;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도입

Introduction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을 구현하기 위한 과제는 구현의 세 가지 주요 측면에 해당됩니다. 

  • 새로운 커리큘럼과 평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 변경 

  • 교육 및 평가 과정 수정 

  • CBME 패러다임이 수용될 수 있는 교육 문화 변화 지원


challenges to implement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pertain to three key aspects of implementation: 

  • organizing the structural changes that will be necessary to deliver new curricula and methods of assessment; 

  • modifying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evaluation; and 

  • helping to change the culture of education so that the CBME paradigm gains acceptance.


교육의 연속성

Educational continuity


학부, 졸업후, 지속적 교육이 통합되지 못하고 고립된 채로 이루어지고 있는 의학교육의 현재 구조는 개선이 필요하다. CBME는 학부 단계에서 시작하여 레지던트, 펠로우, 독립 진료까지 원활하게 확장되어야 합니다.

the current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whereby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function in silos without integrated processes, should be revised. CBME should begin a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extend seamlessly into residency, fellowship, and independent practice.


교육 연속성의 중요성이 받아들여진다면, 교육 이해 관계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은 모든 수준의 의료 교육에서 CBME 원칙을 지원하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CBME의 원칙은 모든 단계의 의학교육에 적용되어야 한다.(Lieberman et al. 2011; Carracio & Englander 2013)에 적용된다.

If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continuity is accepted,education stakeholders and policy-makers will need to collaborate to establish policies that support the principles of CBME at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The principles of CBME apply to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Lieberman et al. 2011; Carraccio & Englander 2013).


이는 의학교육의 효율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새로운 훈련 단계(예: 레지던트)에 들어가는 훈련생은 더 이상 이전 단계에서 숙달했어야 하는 핵심 역량에 대해 재교육을 받을 필요가 없어야 한다.

This should lead to efficiencies in medical education: trainees entering a new stage of training (for example, residency) will no longer have to be reeducated in th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have been mastered at the previous level


Trainee 발달은 수행능력에 관한 정보가 "forward feeding"되도록 촉진하고 장려됨으로써, 이어지는 단계의 모든 교육이 지속적인 개선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하에서 이뤄질 때 가장 이상적이다.

Trainee development is best served by a system that promotes and encourages the “forward feeding” of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so that teaching in any subsequent rotation can be focused on continuous improvement. 


모든 이해당사자들 간의 대화는 (그들이 어떤 단계의 훈련에 참여하고 있든) 명확하고 열려 있어야 한다. 성공과 실수에 관해 특정 센터 또는 프로그램에서 얻어진 교훈은 다른 센터와 공유되어야 하고, 이로서 학습 곡선이 반복되지 않아도 됩니다.

The dialog between all stakeholders should be clear and open, no matter what level of training they are engaged in. Lessons learned in one center or program with regard to successes and mistakes should be shared with others so that the learning curve does not have to be repeated.


의학교육에서 시간활용 방식의 변화

Altering how time is used in medical education


CBME가 가장 효과적이려면, 현재와 같이 '블록'을 의학 교육을 구성하는 단위이자 성취를 판단하는 대리지표로 사용하는 접근방식은 변화되어야 한다. 그 대신 시간은 궁극적으로 효율적 학습의 자원이 되도록 융통성 있게 사용되어야 할 것이며, 시간은 학습 곡선을 반영하며, 궁극적으로는 효율성을 높일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time-block 접근방식에서 벗어나면 trainee 개발이 개선될 수 있다고 한다(Thistlethwaite et al. 2013; Hirsh et al. 2014; Woloschuk et al.).

For CBME to be most effective, the current approach of using blocks of time to organize medical education and stand as a proxy for achievement will need to be modified to a more flexible use of time as a resource for learning; this will better reflect the learning curve of trainees and, ultimately, increase efficiency. Recent publications have suggested that moving away from the time-block approach can improve trainee development (Thistlethwaite et al. 2013; Hirsh et al. 2014; Woloschuk et al. 2014).


의사, 환자, 교수진, 훈련생 및 기타 의료팀 구성원 간의 연속성을 높일 수 있는 종단적 로테이션은 효과적인 전문성 개발을 촉진하고, 환자 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코칭과 피드백을 서포트하는데 중요한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종단적 로테이션에서는 지속적인 observation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수진은 모든 영역에 걸쳐 훈련생 역량에 대한 훨씬 더 나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독립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할 수 있으려면 훈련생에게 얼마나 많은 도움이 필요한지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Longitudinal rotations that permit greater continuity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faculty and trainees, and trainees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have been shown to enhance the relationships that are critical to foster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and support coaching and feedback (Hirsh et al. 2014; Woloschuk et al. 2014). With sustained observation on longitudinal rotations, faculty can gain a much better idea of trainee competence across all domains, and thus be better equipped to determine how much entrustment they can give to a trainee to provide health care independently.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훈련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뜻은 아니다. 대신, 이러한 중요한 "연속성 관계"가 향상되어, trainee의 학습곡선에서 적절한 시점에 entrustment decision이 가능해질 것이다(Hirsh et alukos 2014; Hirsh et al., 2014).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more time will be needed for training. Rather, the time available will need to be organized such that these critical “continuity relationships” are enhanced, allowing for entrustment decisions to be made at appropriate times in the trainee’s learning curve (Hirsh et al. 2014; Woloschuk et al. 2014).


다만, 이러한 모델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실무적 문제는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시간 제약이 없는 모델은 또한 trainee에 의한 의료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잠재적인 문제를 제시한다.

significant practical issues arising from such a model would have to be resolved. Time-free models also present potential challenges with respect to the provision of health care services by trainees.


어떤 모델을 선택하든, 훈련생들이 역량 달성을 위해 노력할 때 프로그램에서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훈련생은 능력이 된다면 학습 모듈을 빠르게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일정과 인력 배치 문제(하이브리드 모델에서 볼 수 있음)로 인해 연수생들이 한 모듈에서 다음 모듈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교수진은 기본 역량 또는 이정표를 달성하는 훈련생에게 더 풍부한 경험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핵심 역량에 있어 무능하다고 판명된 사람들을 위한 훈련에 필요한 추가 시간과 자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No matter what model is chosen, it will be important that trainees are afforded flexibility in their program as they work toward the achievement of competence. Trainees must be able to move through learning modules quickly if they are able to do so. If scheduling and staffing issues (as would be seen in a hybrid model) prevent trainees from moving from one module to the next, faculty should be able to enrich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attain basic competencies or milestones sooner than expected. Time and resources must also be provided to remediate training for those found to be dyscompetent or incompetent in any of the core competencies.



인적자원개발 

CBME and human health resources planning


교육 커리큘럼과 training position의 수는 예상 수요를 충족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training curricula and numbers of training positions can be adapted to meet anticipated demands.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때, "보건 인텔리전스 유닛"을 구현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출처에서 나온 건강 데이터를 검토하고, 학부 및 대학원 의학 커리큘럼에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중요한 건강 문제 및 추세를 식별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장치는 (넓은 국가 및 국제적 추세 내에서) 해당 지역사회의 건강 상태와 의료 요구를 지속적으로 프로파일링함으로써 개별 지역사회의 현재 및 새롭게 부상하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Woloschuk et al 2014).

In leading this change, it may be beneficial to implement “health intelligence units”–organizations with a mandate to review health data from a variety of sources and to identify important health problems and trends that should inform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curricula (Frank 2005). Such units would be responsive to the current and emerging needs of individual communities –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trends – by continually profiling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needs of the community (Woloschuk et al. 2014).


의사의 역량, 시스템의 역량

Competent doctors, competent systems


유능한 의사들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그 의사들이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유능한 시스템에서 일할 수 있어야 한다. (Miller et al. 2010; Carracio & Englander 2013) 이상적으로, trainee가 의사가 되는 모든 측면에서 모범 사례를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system이 그러한 모범 사례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현재 어려운 과제입니다. 환자 관리의 모든 측면에서 모범 사례를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의료 시스템을 개조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대규모 작업입니다.

it must be recognized that if competent doctors are to be produced they must work in competent systems that satisfy the needs of society in a responsible and accountable way (Miller et al. 2010; Carraccio & Englander 2013). Ideally, trainees that aim toward exhibiting best practices in all aspects of being a physician should work in a health care system that employs these best practices. This is currently a challenge: remodeling the health care system with the goal of achieving best practices in all aspects of patient care is a large undertaking that will take time and much effort.


정보통신기술

CMBE and information technology


인터넷 기반 기술은 교육과 평가의 모든 측면에서 사용되어야 한다(Ward et al. 2001; Ruiz et al. 2006).

Internet-based technologies should be used in all aspects of teaching and assessment (Ward et al. 2001; Ruiz et al. 2006).


이러닝 기술을 통해 학습은 

  • adaptive해질 수 있고(즉, 학습자와 그 상황에 따라 개인화) 

  • collaborative해질 수 있으며(학습자의 타인과의 상호작용 강화)

  • 혼합된 학습 방식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선생님의 역할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E-learning technologies allow learning to be adaptive (that is, to be individualized to learners and their contexts) and collaborative (enhancing learners’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transform the role of the teacher in a way that complements a blended-learning strategy (Ruiz et al. 2006).


게다가, 인터넷 기반 기술은 더 효율적인 평가를 하게 해준다. 훈련생들에게 웹 기반 평가 양식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면 평가와 피드백이 빨라질 수 있다.

In addition, Internet-based technologies should make 2001). assessment much more efficient (Ward et al. Empowering trainees to use web-based assessment forms could speed up assessment and feedback.


또한 웹 기반 서버를 사용하여 평가 내용을 수집하면 교육자와 해당 관리자가 언제든지 현재 및 이전 교육자 성과 척도에 액세스할 수 있어 교육자의 교육 계획에서 지속적인 개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In addition, using web-based servers to collate assessments would have the benefit of enabling trainees and their supervisors to access current and previous trainee performance measures at any time, enabling ongoing refinements in the education plan of a trainee to be made.


교수개발

Faculty development


지역 수준의 훈련 센터와 국가 수준의 인증 기관들은 이러한 관련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의사들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적절한 종합적이고 형성적인 피드백의 제공은 CBME의 필수 원칙이기 때문에, 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들은 적절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Bok et al. 2013). 만약 이 과정에 관련된 선생님들이 그것을 받아들이고 지지하지 않는다면, CBME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Dath & Iobst 2010)

Training centers at the local level and accreditation bodies at the national level will need to assist attending physicians in developing skills in this regard. As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summative and formative feedback is an essential tenet of CBME, those who are expected to provide this must be trained appropriately (Bok et al. 2013). If the teachers involved in this process do not accept and support it, CBME will not survive (Dath & Iobst 2010).


적절한 지원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의사들이 피드백, 기술, 지식의 유능한 제공자가 되기 위해 그들의 삶과 그것의 실천에 쏟는 추가적 시간과 노력에 대해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은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시간의 누적에 대한 크레딧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재정적 보상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교수와 평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시행되는 초기부터 고려해야 한다. CBME를 구현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전환에 관련된 모든 것이 가능한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다른 사람들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Even with appropriate support, serious thought should be given to how physicians might be compensated for the extra time and effort that they will take out of their lives and practices to become competent providers of feedback, skills, and knowledge. Although the time spent on such skill development can be used as credits toward the accumulation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hours, financial compensation may also be considered, especially at the outset when novel approaches to teaching and assessment are being implemented. It will be important for those with previous experience in implementing CBME t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others so that all involved in this transition are working as efficiently as possible.


근무지에서 학습자의 권리와 책임 균형 맞추기

Balancing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learners in the workplace


연수생과 그 감독자들은 여전히 연수생들이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Kesselheim & Cassel 2013).

trainees and their supervisors must still be mindful of the essential role trainees have as service providers (Kesselheim & Cassell 2013).


훈련생과 서비스제공자의 역할 사이에 내재된 충돌이 없어야 한다. 오히려 환자 진료는 레지던트가 학습하는 중요한 전문적 활동으로 간주해야 하며, 어떤 형태의 학습도 존재하지 않는 한 환자 접촉도 없어야 한다(Imrie et al. 201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직장에서 그들의 권리와 책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을 계속해서 보여주는 것은 훈련생들에게 달려있을 것이다. Trainee는 학습과 독립적 진료를 준비해가 위해서는 [책임감]과 [점진적 authority]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것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환자 치료와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훈련 프로그램에 달려있을 것이다.

There should be no inherent conflict between the roles of trainee and care provider. Rather, patient care should be viewed as an important professional activity through which residents learn, and no patient contact should be without some form of learning (Imrie et al. 2014). Nevertheless, it will be up to trainees to continue to show that they can balance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workplace. They must recognize that responsibility and graded authority are needed for learning and preparation for practice. Ultimately, it will be up to training programs to ensure that this is done in a manner consistent with safe and efficient patient care.



변화의 비용

The costs of change


이러한 변화를 이행하는 데 드는 비용은 얼마입니까? 변화를 가져오는 데 필요한 재정 및 인적 자원이 상당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CBME 개혁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두 가지 일이 발생해야 합니다. 

  • 첫째, 이미 CBME를 도입한 센터에서 배운 교훈을 보편적으로 공유하여 강점이 누적되고, 실수가 두 번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둘째, 인증 기관, 전문 보드 및 CBME의 비용을 책임지고 있는 특정 교육 센터의 리더는 CBME의 변신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합니다.

What will be the cost of implementing such chang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needed to bring about change will be significant.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CBME reforms, two things must occur. 

  • First, lessons learned from centers that have already led the way with CBME should be shared universally so that strengths are built upon and mistakes are not made twice. 

  • Second, accreditation bodies, specialty boards, and leaders of specific training centers responsible for leading the charge for CBME must assist training programs in their transformation.


교육 커리큘럼과 평가 도구는 개별 교육 센터가 자체 도구와 양식을 작성할 필요가 없도록 보편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특정 교육 센터의 jurisdiction에 따라 변화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얻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수준의 리더들은 헬스케어를 더 발전시키고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는 훈련 과정에 대한 투자를 정당화하기 위해 단호하고 전략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리더는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가르치고 관찰하고 피드백을 주는 노력에 대해] 임상 교사들이 적절한 인정recognition을 받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인정recognition이 없이는 CBME에 대한 모든 노력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Training curricula and assessment tools should be designed for universal use so that individual training centers do not have to create their own tools and forms. Financial support for change may be difficult to obtain, depending on the jurisdiction of a specific training center; nevertheless, leaders at all levels will have to lobby emphatically and strategically to justify an investment in a training process that should lead to better and more efficient health care. Leaders must ensure that appropriate recognition is given to clinical teachers for their efforts in teaching, observing, and giving feedback in this new paradigm (one could argue that their contribution should be seen as equal to the value of doing research). Without this recognition, all efforts toward CBME have a high chance of failing.


리더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What will it take for the leaders of change to be successful?


연구에 따르면 커리큘럼 변경 달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적절한 리더십이다(Bland et al. 2000). 

  • 성공적인 변화의 리더는 안정적이고, 적극적이지만 유연해야 하며, 변화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을 동원할 수 있어야 하며, 명확하고, 네트워크에 전달하고, 커리큘럼 변화에 대한 공통의 비전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Bland et al. 

  • 또한 변화의 리더들은 그들의 노력이 적절한 맥락에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리더는 변화가 해당 기관 및 교직원의 미션과 목적과 부합하고, 조직 내의 특정 그룹들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 리더들은 적절한 자원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며, 변화의 시작을 위한 자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초기 지원이 끝나면 자금이 계속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이를 위해서는 외부 기관과의 강한 관계가 귀중한 재정적 지원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리더들은 특정 조직 내부와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리더는 혼자만 일해서는 안 됩니다. 조직의 모든 레벨에 위치한 CBME지지자들이 CBME에 익숙하지 않은 다른 이들과 변화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search has shown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curricular change is appropriate leadership (Bland et al. 2000). 

  • Successful leaders of change must be stable, assertive yet flexible, able to mobilize others to maintain the change momentum, and able to communicate clearly, to network, and to promote a shared vision for curricular change (Bland et al. 2000). 

  • In addition, leaders of change must ensure that their efforts occur in the appropriate context. 

  • They must ensure that changes are compatible with the mission and goals of the institution and faculty in question and that specific groups within their organization communicate effectively. 

  • Leaders must be able to obtain appropriate resources, not only to provide funding for the initiation of change but also to see that funding continues once the initial support runs out. 

  • In order to do this, leaders must be able to work effectively within and outside their specific organizations, since the strong relationships with external bodies can help to secure valuable financial support. 

  • Leaders should not work alone; it will be important for champions of CBME located at all levels of an organization to share their enthusiasm for change among oth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CBME.


결론

Conclusions

  • 모든 수준의 의료 교육에서 교육 연속의 비전을 촉진한다. 

  • 교육자가 학습 모듈을 자신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시간이 사용되는 방식 변경 

  • 의사가 사회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인적 자원 계획 자원을 사용한다. 

  • 새롭게 훈련된 competent 의사가 competent 치료 시스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보장. 

  • 교육자의 교육과 평가를 강화하기 위한 정보 기술 사용 

  • CBME 패러다임에서 훈련자를 가르치고 평가할 의사가 적절히 훈련되고 보상되도록 보장한다. 

  • 훈련생과 그 관리자가 직장에서 학습자의 권리와 책임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보장

  • 새로운 이니셔티브의 리더들이, 국내외적으로, 변경에 관련된 모든 이해당사자들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도록 보장

  • promoting a vision of educational continuity at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 altering the way time is used in medical education so that trainees are able to move through learning modules at their own speed; 

  • using human health resources planning resources to help ensure that physicians are able to meet societal needs; 

  • ensuring that newly health trained competent physicians work in competent care systems; 

  •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enhance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trainees; 

  • ensuring that physicians currently in practice who will be teaching and assessing trainees in the CBME paradigm are appropriately trained and compensated; 

  • ensuring that trainees and their supervisors fully understand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learner in the workplace; 

  • ensuring that the leaders of the new initiative, both locally and nationally, appropriately support all stakeholders involved the change


Table 1. Key categories of change to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medical education delivery to en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BME.


Educational continuity 

CBME should begin at the undergraduate level and continue seamlessly into residency, fellowship, and independent practice. 


The use of time in medical education 

No matter which model of training is ultimately chosen (time-free or hybrid), trainees must be allowed flexibility in their training programs so that they can achieve competence at an optimal pace.


Human health resources 

planning By reviewing health data from a variety of sources, health intelligence units may be able to inform the curricular content of both under-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to help plan for current and future human health resources needs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Competent doctors, competent systems 

CBME curricula should be developed to empower all stakeholders in the health care system to learn how to function effectively in an increasingly complex health care system.


Information technology 

Current and emerging information technologies should be embraced to make teaching and assessment more effective and timely.


Faculty development 

Without appropriate faculty development and support (in the form of remuneration or academic credit), CBME will fai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learners in the workplace 

Trainees and their supervisors must recognize the essential role trainees have as health care service providers; there should be no inherent conflict between the roles of learner and care provider.


Costs 

The financial cost and the time needed by faculty to make changes will be significant. Those leading the change to CBME must provide appropriate support to all those involved.


Leadership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curricular change is appropriate leadership. Leaders should not work alone; it will be important to have champions of CBME located at all levels of an organization to help successfully implement change.



Caverzagie KJ, Nousiainen MT, Ferguson PC, ten Cate O, Ross S, Harris KA, Busari J, Bould MD, Bouchard J, Iobst WF, et al.; ICBME Collaborators. 2017. Overarching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Med Teach. 39:588–593.


Ferguson PC, Caverzagie KJ, Nousiainen MT, Snell L; ICBME Collaborators. 2017. Changing the culture of medical training: an important step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Med Teach. 39:599–602.





 2017 Jun;39(6):594-598. doi: 10.1080/0142159X.2017.1315077.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What changes in curricular structure and processes are needed?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Orthopaedic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 University of Toronto , Toronto , Canada.
2
b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 Omaha , NE , USA.
3
c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4
d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Abstract

Medical educators must prepare for a number of challenges when they decide to implemen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y of these challenges will pertain to three key aspects of implementation: organizing the structural changes that will be necessary to deliver new curricula and methods of assessment; modifying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evaluation; and helping to change the culture of education so that the CBME paradigm gains acceptance. This paper focuses on nine key considerations that will support positive change in first two of these areas. Key considerations include: ensuring that educational continuity exists amongst all levels of medical education, altering how time is used in medical education, involving CBME in human health resources planning, ensuring that competent doctors work in competent health care systems, ensuring that information technology supports CBME, ensuring that faculty development is supported, ensuring that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learner are appropriately balanced in the workplace, preparing for the costs of change, and having appropriate leadership in order to achieve success in implementation.

PMID:
 
28598748
 
DOI:
 
10.1080/0142159X.2017.1315077


CBME의 공통 용어를 향하여(Med Teach, 2017)

Toward a shared language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Robert Englandera, Jason R. Frankb,c, Carol Carracciod, Jonathan Sherbinoe, Shelley Rossf , and Linda Snellb,g;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도입

Introduction


공유 언어는 적응적 변화를 이끄는 데 중요하다. 사람들이 같은 의미로 같은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심지어 이 문제에 대한 중요한 차이가 있을 때조차) 더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오해를 최소화하고, 같은 페이지에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Heifetz et al., 2009).

Shared language is important in leading adaptive change. When people begin to use the same words with the same meaning, they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minimize misunderstandings, and gain the sense of being on the same page, even while grappling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issues (Heifetz et al. 2009, p. 9).


적응형 도전adaptive challenge의 특징. 이러한 유형의 도전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기술적 도전technical challenge과 구별된다. 

the hallmarks of an adaptive challenge. This type of challenge is distinct from a technical challenge in the following ways: 


  • (1) 경로가 명확하지 않다. 

  • (2) 목적지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신분 변경을 요구한다. 

  • (3) 여정은 교육자, 임상 교수, 훈련생 모두에게 새로운 역량과 실험이 필요하다. 

  • (4) 과정은 불안정하고 종종 상실감을 발생시킨다. 

  • (5) 과정은 기술적인 작업보다 해결하는 데 더 오래 걸립니다(Heifetz et al. 2009). 

  • (1) the path is not clear; 

  • (2) the destination requires a change of identity f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 (3) the journey requires new competencies and experimentation for educators, clinical faculty, and trainees alike; 

  • (4) the process generates disequilibrium and often a sense of loss; and 

  • (5) the process takes longer to resolve than technical work (Heifetz et al. 2009). 

이러한 종류의 근본적인 변화는 관련 용어의 공유 언어에 의해 크게 촉진된다.

This kind of fundamental change is greatly facilitated by a shared language of related terms.


CBME 언어에 대한 모호성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채택에 대한 중요한 장벽으로 강조되었다. (Fernandez et al. 2012; 부모 외 2013; Whitehead et al. 2015; Hautz).

Ambiguity around the language of CBME has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barrier to the adoption of the new paradigm (Fernandez et al. 2012; Parent et al. 2013; Whitehead et al. 2013; Hautz et al. 2015).


마일스톤 

Defining milestones


이정표의 개념은 처음에는 대학원 의학 교육 위원회(ACGME)의 이정표 프로젝트의 결과로 주목을 받았다. 이 프로젝트는 각 전문 분야별로 global unsupervised practice(ACGME 2013)의 달성에 필요한 역량 개발을 대학원 교육 과정 중에 명확히 규정해야 했습니다.

The concept of milestones has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initially as a result of the Milestones Project of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This project required each of the specialties to define the “milestones” that during the course of graduate training marked advancement towar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achievement of the global unsupervised practice (ACGME 2013).


그러나 유럽 의학 교육에서 이정표의 개념은 미국이나 캐나다의 현재 담론에서 보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용어로 자주 설명된다.

However, in European medical education the notion of a milestone is frequently described in different and “larger” terms than in current discourse in the United States or Canada.


이정표: 개인의 능력을 발달 연속체를 따라 정의되고 관찰 가능한 마커.

Milestone: A defined, observable marker of an individual’s ability along a developmental continuum.


이 정의는 [관찰가능하고 평가가능한 전문지식의 단계적 진보]에 대한 명시적 진술로서 교육 이정표의 개념을 설명한다.

This definition articulates the concept of an educational milestone as an explicit statement of the stepwise progression of expertise that can be observed and assessed.


EPA

Defining EPAs


EPA의 정의에 중요한 특징은:

Critical to the definition of EPAs are the following features, An EPA:

  •   주어진 맥락에서 필수적인 전문적인 업무의 일부이다.

  •   적절한 지식, 기술, 태도를 필요로 한다.

  •   전문직업적 노동에 대한 recognized output을 내게 한다.

  is part of essential professional work in a given context

  requires adequat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leads to recognized output of professional labor


또한 ten Cate와 Schelle은 EPAs의 이상적이지만 필수적이지는 않은 특징들을 기술했다. EPA는..

In addition, ten Cate and Scheele delineated features of EPAs that are ideal but not required. These include that EPAs should:


  • 자격을 갖춘 사람에게만 국한되어야 한다.

  • 비의존적으로 실행 가능하능해야 한다

  • 특정 time frame 내에 실행 가능해야 한다

  • 과정 및 결과에서 관측 가능하고 측정 가능(완전하거나 잘 수행되지 않음)해야 한다.

  • 하나 이상의 역량을 반영해야 한다(아래 "EPA, 역량 및 이정표 간의 관계" 참조).

   be confined to qualified personnel

   be independently executable

   be executable within a time frame

   be observable and measurable in its process and outcome (done well or not done well)

   reflect one or more competencies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below)



의학교육의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합의된 정의:

the following consensus definition in the context of medical training:


EPA(독점적 전문 활동): 충분한 역량이 갖춰지면, 특정 의료 환경에서 직접적인 감독 없이 수행할 수 있는 한 분야(전문직)의 필수 업무입니다.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An essential task of a discipline (profession, that an specialty, or subspecialty) individual can be trusted to perform without direct supervision in a given health care context, once sufficient competence has been demonstrated.



그러면, 전공, 전문과, 보건의료전문직은 관련된 업무 범위를 반영하는 일련의 EPA를 갖게 될 것이다.

then, that a discipline, specialty, or health care profession would have a set of EPAs that reflects the relevant scope of practice.


EPA 개념의 결과로 "Nested EPA"와 "공인 책임 진술(STAR)"이라는 두 가지 추가 용어가 문헌에 등장하고 있다.

Two additional terms are emerging in the literature as a result of the EPA concept: “nested EPA” and “statement of awarded responsibility (STAR).”


내포된 EPA: 광범위한 EPA에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의 subset에 대한 숙련도가 필요한 작업. 중첩된 작업의 성능에 대한 기대는 전체 작업에 관여하는 것보다 개발 경로의 초기 단계에서 발생합니다. 

내포된 EPA에는 "상위" EPA의 요소가 있다. 즉, 다음과 같다. 

    • 지식, 기술 및 태도의 통합이 필요하다. 

    • 지정된 기간 내에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합니다. 

    • 관측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결과물로 이어집니다. 

내포된 EPA의 예로는 "제왕절개의 적응증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다"가 있으며, 이것의 "상위" EPA는 "복잡한 출산을 관리할 수 있다"가 된다. (van Loon et al. 2014).

Nested EPA: A task that requires proficiency in a subset of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the broader EPA. The expectation for entrustment with the performance of a nested task occurs at an earlier stage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than entrustment with the entire task. 

A nested EPA possesses the elements of its “parent” EPA; that is, 

    • it requires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 it is by independently executable within a given time frame qualified personnel; and 

    • it leads to observable and measurable outputs. 

An example of a nested EPA might be “understanding the indications for and performing a caesarian section,” which is a nested in the “parent” EPA “managing complicated childbirth”. (van Loon et al. 2014).


책임 부여명세서(STAR): EPA에 대한 기여granted가 허가되는 특정 지점에 대한 공식 인정. STAR는 관리자가 해당 EPA에 대한 모든 중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자의 능력에 대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중한 결정을 내릴 것을 요구한다. STAR의 구체적이고 형식적인 의미는 (지금까지 trainee 성과 문서의 근간이 되어온) 어떤 평가와도 다르다. 즉, STAR는 학습자가 감독 없이 해당 EPA를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assessment 또는 evaluation보다는 인증과 유사하다.

Statement of awarded responsibility (STAR): A formal recognition of the specific point at which entrustment for an EPA is granted. STARs require supervisors to make deliberate decisions over time about their trainees’ competence to perform all critical activities for that EPA. The specific and formal implications of a STAR differ from those of any evaluations that have been the backbone of trainee performance documentation to date, in that a STAR allows the learner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EPA without supervision. As a result, it bears a closer resemblance to a certification than an assessment or evaluation.


다른 떠오르는 용어들

Other emerging terms in CBME


Competency

Competence

The array of abilitie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ross multiple domains or aspects of performance in a certain context. Statements about competence require descriptive qualifiers to define the relevant abilities, context, and stage of training. Competence is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It changes with time, experience, and setting. (Frank et al. 2010)


Competency

An observable ability of a health professional related to a specific activity that integrate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Since competencies are observable, they can be measured and assessed to ensure their acquisition. Competencies can be assembled like building blocks to facilitate progressive development. (Frank et al. 2010)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 outcomes-based approach to the design,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using an organizing framework of competencies. (Frank et al. 2010)


Competency benchmark

Expected performance level for a cohort of learners at a given point in education, training, or practice. (Willet 2012)


Competency framework

An organized and structured representation of a set of interrelated and purposeful competencies. (Willet 2012)


Competent

Possessing the minimum required abilities in all domains in a certain context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training, or practice. (Frank et al. 2010)


Domains of competence

Broad, distinguishable areas of competence that in the aggregate constitute a general descriptive framework for a profession, such as the six domains of competence described by the ACGME (Patient Care, Medical Knowledge, Professionalism,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Systems-Based Practice, and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or the seven CanMEDS roles (Medical Expert, Professional, Communicator, Collaborator, Leader, Health Advocate, and Scholar). (Englander et al. 2013)


Dyscompetence

Possessing relatively less ability in one or more domains of health professional competence in a certain context and at a defined stage of education or practice. (Frank et al. 2010)


Incompetent

Lacking the required abilities to carry out a context-specific task at the predetermined performance level for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training, or practic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An essential task of a discipline (profession, specialty, or subspecialty) that a learner can be trusted to perform without direct supervision and an individual entering practice can perform unsupervised in a given health care context, once sufficient competence has been demonstrated.


Nested EPA: A nested EPA is a task unit that represents a foundational subset of the KSA required for the broader EPA. As a building block for the broader EPA, the expectation for entrustment occurs at an earlier stage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 nested EPA possesses the elements of its “parent” EPA

(requires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s independently executable within a given timeframe by qualified personnel; and leads to observable and measurable outputs).


Statement of Awarded Responsibility (STAR): A STAR is a formal recognition of the specific point at which entrustment for an EPA has been granted. STARs require supervisors to make deliberate decisions over time about their trainees’ competence to perform all critical activities for that EPA.


Milestones

Milestone: A defined, observable marker of an individual’s ability along a developmental continuum.


EPA, 역량 및 이정표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EPA는 일의 단위인 반면, 역량은 개인의 능력이다. EPA를 특징짓는 지표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여러 역량 영역에 걸쳐 다양한 역량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EPAs are units of work, whereas competencies are the abilities of individuals. One of the defining markers of an EPA is that it requires the integration of multiple competencies, usually across domains of competence.


저자들은 EPA와 역량 사이의 구별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 이러한 구분은 EPA의 "크기"에 관한 의견의 불일치로 인해 더 복잡해졌다. 문헌에는 "작은" EPA로는 lumbar puncture 수행을, "큰" EPA로는 외래환자 환경에서 일반적인 만성 질환을 관리를 언급하고 있다(10 Cate 2013).

The authors recognize that the distinctions between EPAs and competencies are not always sharp. The distinction is further muddied by the lack of consensus regarding the “sizing” of EPAs. The literature has included EPAs as “small” as performing a lumbar puncture and as “large” as managing a common chronic disease in the outpatient setting (ten Cate 2013).


그럼에도 불구하고, EPA와 역량은 서로를 보완한다. 이 두가지가 모였을 때 의사에 대한 보다 전체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Nevertheless, EPAs and competencies complement each other. Together, they provide a more holistic view of a physician


역량만으로는, 의사의 역할이 실세계에서는 감독자와 학습자에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추상적이거나 너무 원자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역량에만 기반한 평가 시스템은 graded responsibilities에 관해 다소 인위적인 렌즈를 제공한다. 

Applied alone, constructs of competency can result in definitions of the physician’s role that are either so abstract or so atomized as to become meaningless to supervisors and learners in the real-world contexts of care delivery. Further,assessment systems based solely on competencies can provide a somewhat artificial lens through which to view graded responsibilities. 


EPA는 [의료 전문가의 실제 작업의 범위]를 높은 안면타당도로 outlining함으로써 역량 모델의 한계를 균형잡아준다. 그것들은 학습자에게 점점 더 많은 책임을 부여하는 과정과 업무 기반 평가에 유용한 구조를 제공한다. 

EPAs balance this limit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by outlining, with high face validity, the spectrum of the health professional’s actual work. They provide a useful structure for work-based assessment and for the progression by which increasing responsibility is given to the learner. 


그러나 역량 프레임워크는 여전히 필수적이다. Entrustment에 필요한 역량의 매핑이 없다면, 평가자는 EPA의 준비 상태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shared mental model을 갖지 못할 것이다. 게다가, 의사에게 필요한 역량의 전체 범위를 설명해주는 역량 프레임워크가 없다면, 그 결과는 의사에 대한 uneven하거나 지나치게 기술적인 관점일 것이다. 즉, 의사에 대해 작업 또는 산출물에 대해서만 정의할 뿐, 전문성이나 advocacy와 같은 21세기 의사에게 필요한 특정 능력들을 잠재적으로 무시한다.

However, a competency framework remains essential; without a mapping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entrustment, assessors will lack a shared mental model of what constitutes readiness for an EPA. Moreover, without a competency framework to describe the complete spectrum of necessary physician abilities, the result might be an uneven or overly technical view of the physician – that is, a definition based solely on his or her work or output – and thus potentially ignore many of the specific abilities required of the twenty-first century physician, such as professionalism and advocacy.


최소한 두 개의 모델이 있다: 주로 미국 모델과 유럽 모델 중 하나

 at least two models – one primarily in the US and one in Europe – are in use. Figure 1




미국의 프레임워크에서, 이정표는 역량보다 더 작은 구성 요소이며, 해당 역량에 대한 특정 수준의 성취도를 나타낸다. 

Therefore, in the US framework, a milestone is a smaller construct associated than a competency and represents behavior swith a specific level of achievement for that competency. 


유럽에서는 이정표가 EPA 또는 역량보다 상당히 "더 큰 것"으로 개념화된다. 따라서 이정표는 주니어에서 시니어 전공의가 되면서 밟아나가는 역량이나 EPA의 성취를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In Europe, milestones are conceptualized in some settings as considerably “bigger” than the EPAs or competencies, such that a milestone is a marker of the achievement of a cluster of competencies or EPAs that allows one to move, for example, from junior to senior residency.


그림 2는 이 모델에서 이정표와 EPA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그림 3은 이 모델의 이정표와 역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Figure 2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estones and EPAs in this model, and Figure 3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estones and competencies in this model.


그러한 하이브리드 모델의 존재는 EPA, 이정표 및 역량을 위한 명확한 정의와 공유 언어의 필요성을 강화한다. 일부 인증 기관에서는 이미 문서에 이정표 용어를 포함했습니다(ACGME 2013). 곧 EPA도 그럴 것이다.

The existence of such hybrid models reinforces the need for clear definitions and a shared language for EPAs,milestones, and competencies. some accreditation bodies have already included milestones terminology in their documents (ACGME 2013); EPAs are likely coming soon.







Conclusion and next steps

CBME의 다음 단계에는 그러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개발 진행 또는 이정표를 정의하고,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역량 평가 및 구현을 위한 EPA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 포함된다.

 the next phase of CBME involves defining the developmental progression, or milestones, required to achieve those outcomes and developing frameworks such as EPAs for implementing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competencies in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17 Jun;39(6):582-587. doi: 10.1080/0142159X.2017.1315066.

Toward a shared language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2
b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3
c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4
d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 Chapel Hill , NC , USA.
5
e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 McMaster University , Hamilton , Canada.
6
f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 University of Alberta , Edmonton , Canada.
7
g Centre for Medical and Department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Quebec , Canada.

Abstract

The paradigm shift brought about by the adven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can be characterized as an adaptive change. Currently, it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uffer from the lack of a lingua franca. A shared language is needed to support collaboration and dissemination across the world community of medical educators.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held a second summit in 2013 to explore this and other contemporary CBME issues. We present the resulting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glossary of CBME terms.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terms competency,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and milestone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Medical education scholars and enthusiasts of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are encouraged to adopt these terms and definitions, although no doubt the vocabulary of CBME will continue to evolve.

PMID:
 
28598739
 
DOI:
 
10.1080/0142159X.2017.1315066
[Indexed for MEDLINE]


성과(역량)바탕교육: 근원, 이론적 토대, 실증적 근거 (Adv in Health Sci Educ, 2012)

Outcome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 exploration of its origins, theoretical basis, and empirical evidence

Anne Mette Morcke • Tim Dornan • Berit Eika

 

 

 

도입

Introduction

 

성과 기반 교육 및 역량 기반 교육이라는 용어는 교육 모델을 기술하는 용어로서, 디테일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의학교육이 사전 결정된 성과에 의해 주도되어야 한다는 가정을 공유한다. OBE가 학부 의학교육에 10여 년 전에 도입된 이후, 이 접근법은 국제적으로 채택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terms outcome based education and competency based education describe educational models, which differ in detail but share the assumption that medical education should be guided by predetermined outcomes. Since the introduction of OBE 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ore than a decade ago, the approach has been adopted internationally and is now widely used.

 

그러나 모든 저자가 OBE가 의학 교육의 미래를 위한 포괄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고 확신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Norman(2006)은 "교육, 학습, 퍼포먼스 성과 사이의 연관성이 얼마나 강한가?"라고 질문했다. Malone과 Supri(2012)는 40년의 경험을 통해 OBE의 무분별한 적용은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페르난데스 외 연구진(2012)은 '역량'이라는 용어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해석되었음을 입증했다.

Not every author has been convinced, however, that OBE provides a comprehensive solution for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Norman (2006), for example, asked ‘‘How strong is the link between teaching, learning, and performance outcomes?’’ Malone and Supri (2012) wrote that experience from 40 years’ suggests that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OBE to medical curricula may not achieve the intended aims. Fernandez et al. (2012) demonstrated that the deceptively simple term‘competency’ has been interpreted in importantly different ways

 

OBE의 진화 과정에서 역사적 랜드마크에 대한 고찰

Review of historical landmarks in the evolution of OBE

 

옹호와 비평의 첫 번째 사이클 - 1960년대와 1980년대

The first cycle of advocacy and critique—the 1960s through to the 1980s

 

1957년, 소련은 첫 번째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지구 궤도를 향해 발사했다. 미국이 우주 경쟁에서 뒤쳐졌다는 것을 깨닫는 것은 미국 사회를 통해 충격파를 보냈고, 미국 사회는 이 실패에 대해 교육 시스템이 책임지게 했다. 그 결과, 교육에 많은 돈이 투입되었고 교육과 훈련에 대한 연방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었다. 이어지는 토론과 연구는 OBE의 개발과 학교 및 교사 훈련에서의 OBE의 실행을 촉발시켰다. 초기 OBE의 이론적 방향은 Watson, Pavlov, Thorndike, Skinner와 같은 실험 심리학자의 작품에서 나타난 행동주의로 대변되는 것이었다.

In 1957, the Soviet Union launched the first satellite—Sputnik I—into orbit around the Earth. Realisation that the USA had fallen behind in the space race sent shock waves through American society, which held its educational system accountable for this failure (Hodge 2007). As a result, large sums of money were directed into education and there was vigorous federal intervention in education and training. The ensuing debate and research ignited the development of OBE and its implementation in schools and teacher training. The theoretical orientation of early OBE was towards behaviourism a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experimental psychologists like Watson, Pavlov, Thorndike, and Skinner, whose legacy was a focus on observable behaviours.

 

교육목표를 강조하는 기본적인 생각은 타일러에 의해 1949년에 최종적인definitive 형태로 주어졌다. 그는 커리큘럼 설계는 [학습이 학생들의 행동에서 발생시켜야 하는 변화]의 측면에서 표현된 명확한 목표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Tyler의 전 PhD 학생인 Bloom이 그 뒤를 이었다. Bloom은 인지 영역에서 교육목표의 분류 체계를 발전시켰다. (Bloom 1956). 그는 그들을 지식, 기술, 그리고 태도로 분류했고 그들이 소통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70년대 초에 있었던 OBE를 향한 최초의 지지의 물결은 마거의 교육적 목표(Mager 1997), 블룸의 mastery learning에 대한 지지(Bloom 1968), 그리고 가네의 instructional design 등에 의해 대두된 것으로 보인다.

The basic idea of emphasizing educational objectives had been given its definitive form by Tyler as early as 1949 (Tyler 1949). He argued that curriculum design should be determined by explicit objectives expressed in terms of changes the learning was supposed to produce in the behaviour of students. Tyler was followed by Bloom (Tyler’s former PhD student), who developed a taxonomy of educational goals in the cognitive domain (Bloom 1956). He classified them in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nd stressed that they should be communicable. It seems that the first wave of advocacy OBE came to a head in the early 1970s with Mager’s instructional objectives (Mager 1997), Bloom’s endorsement of mastery learning (Bloom 1968), and Gagne´’s work on instructional design (Gagne´ and Briggs 1974).

 

1970년대 중반, OBE에 대한 분위기는 행동적 목표 커리큘럼 모델에 비판적으로 돌아섰다. Stenhouse는 매우 영향력 있는 비평가로서, 커리큘럼을 조직하는 유일한 방법은 학생 행동의 측정 가능한 변화 측면에서 결과를 미리 구체화하는 것이라는 견해를 거부했습니다. 사실적 지식과 간단한 기술에 관한 목표를 배우는 것은 좋은 말이지만, [가치, 통찰력, 판단력 개발에 영향을 주기 위한] 교육 프로세스가 행동 목표에만 엄격하게 초점을 맞춘 커리큘럼 모델로 단순화subsume될 수 없다고 그는 주장했다.

By the mid-1970s, the tide was turning against the behavioural objectives curriculum model. Stenhouse was a very influential critic, who rejected the view that the only way to organise a curriculum was to pre-specify outcomes in terms of measurable changes in student behaviour (Stenhouse 1975). Whilst learning objectives concerning factual knowledge and simple skills made good sense, he argued that educational processes, whic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values, insight, and judgement, could not be subsumed into a curriculum model that focused strictly on behavioural objectives.

 

학생들이 경험으로부터 정서적으로,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미적으로, 또는 윤리적으로 학습한다고 본다면, 목표를 명시하거나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학습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Stenhouse(1975년)는 산출물이나 성과를 측정하는 것보다 학생들의 학습을 최적화하는 것을 더 강조하였고, 훈련training대비되는 의미로, 교육education(문학적으로, 단어의 라틴어 기원으로부터, 학생들에게서 배우는 것을 이끌어내기)을 강조했다.

When students learned affectively, socially, culturally, aesthetically, or ethically from experience, it was not possible to specify goals or assess them objectively but that did not mean such types of learning were unimportant. By placing more emphasis on optimising students’ learning than on measuring outputs or outcomes, Stenhouse (1975) was emphasising education (literally, from the Latin origins of the word, drawing learning out from students) as opposed to training (putting intended learning outcomes into students).

 

OBE의 부활은 198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이것은 어떠한 새로운 이론적인 통찰에 기초하지 않았으며, 초기 역량 운동의 행동주의 원칙에 밀접하게 따랐. 특히 영향(태도, 감정 및 가치)에 관해서는 더 제한적이었다restrictive. Spady (1994, 페이지 55–60)는 affects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그 자체로는 성과가 아니며, 성과의 전제조건이라고 간주했다. 그는 affects를 '목적'이라고 불렀으며, 이것은 '성과'와는 구분되는데, 왜냐하면 affects는 직접 관찰할 수 없고, 따라서 결과 기반 커리큘럼의 사양specification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이 부활한 OBE는 학습 성과로서 affects를 배제하였다.

A revival of OBE began in the 1980s (Spady 1988, 1994), which was not based on any new theoretical insights and adhered closely to the behaviourist principles of the earlier competency movement. It was in some respects more restrictive, particularly regarding affects (attitudes, emotions, and values). Spady (1994, pp 55–60) acknowledged their importance but regarded them as preconditions for outcomes rather than outcomes in themselves. He called affects ‘goals’, which he distinguished from ‘outcomes’ because they were not directly observable and could not, therefore, b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of an outcome-based curriculum (Spady 1988, 1994, p55 et seq). So, the revival of OBE specifically excluded affects as learning outcomes.

 

두 번째 옹호 단계—20세기 말

Second phase of advocacy—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주로 스파디로부터 영감을 받은 하덴 외 연구진(1999)은 OBE를 "의료 교육을 개혁하고 관리하는 강력하고 매력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커리큘럼 개발의 최첨단 성과 기반 접근법"라 칭하는 보고서를 발행했다. 알바니아 등 (2008)에 따르면 1999년은 "역량 운동의 진화에서 pivotal한 해"였는데, 이는 비단 하덴과 동료의 지지 때문만은 아니었다. 다른 두 가지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했습니다. 

    • AAMC(American Medical Colleges Association)의 의과대학 목표 프로젝트(MSOP)는 역량 기반 교육을 옹호하는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 또한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ACGME)와 미국 의학 전문 위원회(American Council of Medical Specialties)는 6개의 인증 능력에 대해 공동으로 합의했습니다. 
    • 불과 1년 전만 해도 국제적으로 널리 퍼져나간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의 개발을 촉발한 Educating Future Physicians for Ontario Project도 발표되었다(Neufeld et al. 1998).

Inspired primarily by Spady, Harden et al. (1999) published a report describing OBE as ‘‘a performance-based approach at the cutting edge of curriculum development (that) offers a powerful and appealing way of reforming and managing medical education’’ 1999 was, according to Albanese et al. (2008), ‘‘pivotal in the evolution of the competency movement’’ and not just because of the advocacy of Harden and colleagues. Two other important events took place: the Medical School Objectives Project (MSOP)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produced a report advocating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d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jointly agreed on six competencies for certification. Only 1 year previously, the groundbreaking Educating Future Physicians for Ontario Project that sparke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ly widespread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had also been published (Neufeld et al. 1998).

 

하덴과 동료들은 OBE가 교육 과정보다는 '어떤 유형의 의사를 길러야 하는가'를 강조했기 때문에 의학 교육에 대한 선견지명이 있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었다고 썼다(Harden et al. 1999). 커리큘럼 내용 및 구조, 교육 및 학습 활동, 교육 환경,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는 모호하지 않은 outcome specification으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되었다. Harden et al. (1999)의 말에서, "OBE는 두 가지를 갖추어야 한다. 먼저 학습 성과를 식별하고, 명시하고, 모든 관련자에게 전달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 관한 결정에서 교육 성과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어야 합니다."

Harden and colleagues wrote that OBE was a visionary new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because it emphasised the type of doctor produced rather than the process of education (Harden et al. 1999). Curriculum content and structur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ducational environments, assessments, and programme evaluation followed logically from an unambiguous outcome specification. In the words of Harden et al. (1999): ‘‘OBE has two requirements. First that the learning outcomes are identified, made explicit and communicated to all concerned (…). Second, the educational outcomes should be the overriding issue in decisions about the curriculum.’’

 

비판에 뒤따른 OBE의 도입-새로운 세기로

Implementation of OBE followed by critique—into the new millennium

 

새 천년의 첫 10년 동안의 보고서와 출판물은 OBE의 첫 번째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학습 성과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스코트랜드 교육과정 그룹은 12개의 주요 결과 영역을 정의했는데, 이 영역은 86개의 학습 성과로 세분화되어 개별 학교는 커리큘럼의 필요에 따라 이러한 영역을 더 세분화했다(Simpson et al.

Reports and publications over the first decade of the new millennium showed it was possible to meet the first requirement of OBE, to define learning outcomes. The Scottish Deans’ Medical Curriculum Group, for example, defined 12 key outcome domains, which were subdivided into 86 learning outcomes, leaving individual schools to break them down furth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ir curricula (Simpson et al. 2002).

 

심슨 외 연구진(2002)은 교육과정이 매우 다른 학교들도 학습 성과에 대한 합의에는 도달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다른 그룹들도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 CanMEDS 역량 프레임워크는 캐나다뿐만 아니라 전 세계(Frank and Danoff 2007)에서 광범위하게 채택되었으며, 
    • Tuning Project for Medicine도 범유럽 학습 성과 프레임워크(Cuming 2007)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의과대학이 중복되거나 상충하는 성과 프레임워크를 조정해야 한다는 우려가 2007년에 발표된 보고서에서 제기되었다(Elaway et al. 2007).

Simpson et al. (2002) concluded that even schools with very different styles of curriculum could reach consensus on learning outcomes. Other groups reached the same conclusion.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was extensively adopted, not only in Canada, but around the world (Frank and Danoff 2007) and the Tuning Project for Medicine also succeeded in developing a pan-European learning outcomes framework (Cumming and Ross 2007). Concern that medical schools would have to reconcile overlapping or competing outcome frameworks was addressed in a report published in 2007 (Ellaway et al. 2007).

 

그러나 OBE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었떤 이 때에도 비판적 의견도 들을 수 있었다. Rees (2004)는 커리큘럼의 교육과정보다 성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좋은 교육적 실천과 반대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Critical opinions were also to be heard, however, at this time when OBE was being so avidly adopted (Prideaux 2004; Rees 2004; Talbot 2004). Rees (2004), argued that a focus on the outcomes rather than educational processes of curricula was antithetical to good educational practice;

 

플렉스너 100주년 권고—2010년과 그 이후

Flexner centenary recommendations—2010 and onwards

 

2010년 Cooke 등(2010년)의 영향력 있는 보고서는 황금표준으로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방식을 채택했다. 이 보고서는 OBE의 광범위한 채택을 권고했고 프로그램 리더들에게 학습자들에 대한 명확하고 점진적인 기대(성과)를 설정할 것을 요청했다. OBE의 채택은 의학 졸업생들이 복잡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더 잘 준비할 것이며 필요한 역량의 깊이와 폭을 계속해서 확장할 것이다. 그러나,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이상적인 모습은 학습자들이 최소한의 역량 기준을 달성했는지를 판단하는 평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고 한다.

In 2010 an influential report by Cooke et al. (2010) endorsed a competency based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as a gold standard. It recommended widespread adoption of OBE and asked programme leaders to set clear, progressive expectations of learners. Adoption of OBE would better equip medical graduates to respond effectively in complex situations and efficiently continue to expand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requisite competencies. That, according to the report, could not happen without assessment, which must determine that learners had achieved benchmarked standards of competence.

 

Flexner centenary 보고서는 성과바탕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지만 두 가지 문제에 대해서는 답을 내놓지 못했다. 하나는 어떻게 휴머니즘, 책무성, 이타성 등을 정의하고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특질들은 사람마다 unique한 것이며, 따라서 ("표준화된 성과"의 달성을 추구하는) 성과바탕교육과는 애초에 조화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미 비슷한 이유로 약 30년 전에 Spady는 교육성과를 정의하면서 정서적 측면(affective domain)을 배제하였음을 떠올리게 한다. Flexner 100주년 보고서에 따르면 프로페셔널리즘의 affective 측면의 요소들은 "오랜 시간 동안 관심을 갖고 성찰해야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기대하는 성과는 "적당한 수준(good enough)"에 맞춰놓으면서, 어떻게 동시이 수월성(excellence)를 추구할 수 있겠냐는 문제이다. 이미 Sir John Tooke는, "적당히 좋은 것은 충분히 좋은 것이 아니다(Good enough is not good enough)"라고 지적한 바 있다.

Whilst strongly endorsing OBE, the Flexner centenary report noted two important, unresolved issues. The first was how to define and assess humanism, accountability, and altruism, which are unique to individuals and thus difficult to reconcile with an OBE framework. That concern is reminiscent of Stenhouse’s critique over 30 years earlier (Stenhouse 1975), which Spady (1994) resolved by excluding the affective domain from the formulation of curriculum outcomes. Affectiv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the Flexner centenary report stated, would ‘‘need to be kept in focus and reflected on over time.’’ The second issue was how to promote excellence when competencies are targeted at ‘‘good enough’’ performance (Talbot 2004), captured in Sir John Tooke’s aphorism, ‘‘Good enough is not good enough’’ (Tooke 2008).

 

Hodges(2010년)에 따라 학습 결과의 표준화는 '(대량)생산 담론'에 기초한다. 그것은 산업계에서 지배적이며 매력적인 담론인데, 교육 비용과 훈련 시간을 줄일 것을 약속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개인화는 표준화와 상당한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모호한 것에 대한 인내력, 복잡성에 직면하여 민첩성, 호기심, 혁신, 평생학습에 대한 헌신과 같은 마음 습관을 가르치려고 할 때, 교육과정은 풍부한 연습과 피드백 기회가 있어야 하며, 지속적인 형성적 평가 및 단계적 개발 접근방식을 제공해야 한다. 호지(2010년)는 또한 "미래의 의사들에 대한 담론을 형성함에있어, 우리는 사람의 성장과 발달을 강조하는 언어와 개념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tandardization of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Hodges (2010), is based on a ‘‘production discourse’’, which is dominant in industry and appeals because it promises to reduce education costs and training time. Individualization, however, is a substantial distance away from standardization. For doctors-in-training to learn tolerance of ambiguity, agility in the face of complexity, habits of mind such as curiosity, innovation, and a commitment to lifelong learning, curricula have to be rich in practice and feedback and provide continuous formative assessment and a stepwise developmental approach. Hodges (2010) further pleaded that ‘‘in fashioning discourses about future physicians, we should try to use language and concepts that emphasiz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ople.’’

 

발명, 실행, 거부, 부활, 지지 그리고 비평 주기가 시작된 지 40년이 넘도록 OBE에 대한 논의가 얼마나 활발하고 생생하게 살아있는지는 무척 놀랍다.

It is striking how vigorous and alive the discussion of OBE remains more than 40 years after the invention, implementation, rejection, revival, advocacy and critique cycles began.

 

OBE의 담론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객체로서 규제 대상으로 논의되는 때를 제외하면, 그 담론 안에 개별 교사들과 학습자들은 underrepresent되어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 OBE 채택을 위한 Cooke 등(2010)의 근거는 교육과 학습에 대한 직접적인 연관성은 거의 없이 평가 및 책임의 측면에서 거의 전체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OBE의 것으로 알려진 편익에 대한 Hodge의 분석은 평가 및 책임성의 담론에 의해 지배된다(Hodges 2010).

A striking feature of the discourse of OBE is that individual teachers and learners are more or less unrepresented in it, except as objects of regulation. The rationale of Cooke et al. (2010) for adopting OBE, for example, is almost entirely expressed in terms of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with little direct link to teaching and learning. Hodges’ analysis of the purported benefits of OBE is, likewise, dominated by the discourses of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Hodges 2010).

 

OBE의 진화에서 역사적 랜드마크에 대한 이러한 검토를 요약하자면, 1940년대의 행동주의 심리학과 OBE의 현대적 advocacy 사이에는 끊어지지 않는 inheritance의 선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o summarise this review of historical landmarks in the evolution of OBE, there appears to be a more or less unbroken line of inheritance between behaviourist psychology of the 1940s and contemporary advocacy of OBE.

 

OBE는 1970년대에 널리 도입되었고, 그 후 OBE가 가치, 통찰력, 판단을 단순한 행동 목표에 축소시켜버리고, 정서적, 문화적, 미학적, 윤리의 학습 과정을 핵심 교육에 두지 않는 것에 대해 심하게 비난 받았다.

It was widely implemented, then heavily critiqued in the 1970s for reducing values, insight, and judgement to simple behavioural objectives and for not placing affective, social, cultural, aesthetic, and ethic learning processes at the core of education.

 

OBE는 1980년대에 부활했고 새 천년 이전과 이후까지 의학 교육을 소리 높여 옹호했다. 부활은 교육과정 설계, 평가, 프로그램 평가 및 책임에 대한 교육 결과를 강조하는 것과 동일한 혜택에 초점을 맞추었다.

OBE was revived in the 1980s and vociferously advocated for medical education before and on into the new millennium. The revival focused on just the same purported benefits of emphasising the product of education—an unambiguous outcome specification—to curriculum design, assessment, programme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프레임워크와 이론 검토

Review of frameworks and theories

 

용어 검토

Review of terminology

 

Shumway와 Harden(2003)은 MSOP, AAMC, ACGME, CanMEDS, 스코틀랜드 의과대학과 같은 기관에 의해 지정된 학습 성과가 "유사점을 가지고 있거나 유사한 역량이나 능력을 포함한다." 고 말했다. 알바니아인 외 연구진(2008)에 따르면 성과와 역량의 차이는 "want"과 "need"라는 단어에 있다. 

    • 성과는 우리가 학생들이 어떤 기술과 자질을 갖기를 원하는지를 정의하는 반면want, 
    • 역량은 의사들이 환자를 돌보기 위해 어떤 기술과 자질을 필요로 하는지need 결정하는 것이다.

Shumway and Harden (2003) wrote that the learning outcomes specified by bodies like MSOP, AAMC, ACGME, CanMEDS, and the Scottish medical schools ‘‘have similarities and embrace a similar set of competencies or abilities.’’ According to Albanese et al. (2008), the difference between outcomes and competencies is in the words ‘‘want’’ and ‘‘need’’. An outcome defines what skills and qualities we want students to have, whereas a competency is a determination of what skills and qualities doctors need to have to care for patients.

 

튜닝 프로젝트(Cumming and Ross 2007)는 결과, 목표, 역량을 구분한다. 

    • 학습 목표는 교육 담당자에 의해 설정 및 설명되며 특정 구성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 학습 성과는 최상위 수준이 큰 도메인으로 구성되는 hierarchy of levels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영역 내에서 보다 상세한 성과는 평가 프로그램을 blueprinting하는 데 유용한 수준으로 설명된다. 
    • 마지막으로, 역량은 (교사보다는) 학생이나 졸업생에 속한다. 학위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사람의 역량은 최소한 규정된 학습 결과와 동등해야 한다. 이 용어는 튜닝 프로젝트에서 다소간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됩니다. 

The Tuning Project (Cumming and Ross 2007) distinguished between outcomes,objectives, and competencies in this way: 

    • Learning objectives are set and described by teaching staff and relate to a particular component. 
    • Learning outcomes are described with a hierarchy of levels, with the top level consisting of large domains. Within those domains,more detailed outcomes are described to a level that is useful for blueprinting assessment programmes. 
    • Finally, competencies belong to students or graduates rather than teachers.The competencies of someone who has successfully completed a degree programme should be at least equivalent to the prescribed learning outcomes. The terms are used more or less interchangeably in the Tuning Project. 
 

페르난데스 외 연구진(2012)의 최근 리뷰는 보건 과학 교육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자들 사이에 분명한 차이를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역량이 지식, 기술 및 기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결론지었다. 실제로 결과 및 역량 기반 교육 간에 근본적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므로, 이 논문에서는 Hodge(2010)와 마찬가지로 OBE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A recent review by Fernandez et al. (2012) concluded that health science educators agree that competence is composed of knowledge, skills and other components, though they found clear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authors in how they used the term. Having found no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outcome and competency based education in practice; this article has aligned itself with Hodges (2010) in using the termOBE to refer to both.

 

학습 이론 검토

Review of learning theory

 

OBE는 지금까지의 분석에서 결론지을 수 있듯, OBE는 평가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반면, 교육 및 학습 활동과는 그리 자연스럽게 연관되지는 않는다. OBE에서 [성과를 정의하는 것]과 [커리큘럼의 교육 및 학습 활동에 대한 서포트] 사이에는 갭이 있는 것 같다. 우리만 이것을 관찰한 것이 아니다; 이미 프라이도(2004)와 노먼(2006)은 학습 성과와 교수/학습 사이의 연관성의 본질에 의문을 제기했다. 또 다른 차이는 행동주의에 뿌리를 둔 OBE(시대에 뒤떨어진 이론 지향으로 여겨짐)와 현대적 학습 이론 사이의 gap이다.

OBE, it may be concluded from the analysis thus far, links naturally with assessment but not so naturally with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t seems there is a gap in OBE between defining outcomes and suppor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medical curricula. We are not alone in making that observation; Prideaux (2004) and Norman (2006), before us, questioned the nature of the link between learning outcomes and teaching/learning. Another gap is between the roots of OBE in behaviourism, which could be considered an outdated theoretical orientation, and modern learning theory.

 

OBE의 가능성과 한계를 더 폭넓게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접근법은 Biggs와 Tang의 건설적인 정렬 커리큘럼 프레임워크로, 

    • 이는 평가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을 함께 강조하며, 이것들이 모두 학습 성과와도 align될 것을 요구한다. 
    • OBE와 마찬가지로 건설적인 정렬은 의도된 학습 성과를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게 명시할 것을 요구한다. 
    • 또한 OBE와 마찬가지로 학습자가 의도한 학습 성과에 대한 숙련도를 입증해야 하는 평가 시스템에 중점을 둡니다. 
    • 건설적인 정렬의 관점에서 교수-학습 활동은 학생들이 학습 성과에 평가적으로 능숙해질assessably proficient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An approach that seemed able to help us think more widely about affordances and limitations of OBE was Biggs and Tang’s constructive alignment curriculum framework

    • which emphasises teaching/learning processes as well as assessment and aligns them both with learning outcomes (Biggs and Tang 2007). 
    • Like OBE, constructive alignment calls for intended learning outcomes to be stated clearly and unambiguously. 
    • Like OBE, also, it puts a strong emphasis on assessment systems that call for learners to demonstrate proficiency in the intended learning outcomes. 
    •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rom a constructive alignment perspective, should be planned in such a way as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students being assessably proficient in the learning outcomes.
 

그러나 Biggs와 Tang의 이론의 한계는 '학습'을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축소시켜버리고, affects과 professional attributes에 관련된 학습의 요소들을 배제한다는 것이다. 그들의 체제는 구성주의자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그러나 OBE가 구성주의 이론과 조화될 수 있다는 사실이 OBE가 행동주의자들의 기원을 넘어섰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되지는 못한다,

however, that Biggs and Tang’s theory also narrows learning to observable behaviours and leaves out elements of learning related to affects and professional attributes. Their framework may be characterised as a constructivist one. The fact that OBE could be reconciled with a constructivist theory is not, however, convincing evidence that OBE has moved beyond its behaviourist origins.

 

Cooke 등(2010년)은 ACGME와 같은 기관에 대한 권위를 인용하였으나 이론이나 경험적 증거를 인용하지 않았다.

Cooke et al. (2010) quoted authority statements of bodies like ACGME, but did not cite theory or empirical evidence.

 

Review of empirical literature

 

Review question and approach

 

탐색적 검토 질문: 사전 정의된 학습 성과는 학부 의과대학에서 학습과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the exploratory review question: How do predetermined learning outcomes affect learning and teach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ethod

 

Results

 

The eight included papers are presented in Table 1.

 

연구 설계

Study designs

 

Seven of the papers concerned students and one concerned teachers.

 

결과

Findings

 

학습성과, 교수, 가르침

Learning outcomes, teachers, and teaching

 

극히 적은 수의 연구가 어떻게 학습 성과가 의사 선생님들의 가르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다루었다. 

Very little research explicitly addressed how learning outcomes influenced medical teachers’ teaching.

 

학습성과, 학생, 배움

Learning outcomes, students, and learning

 

일부 학생들은 복강경 트레이너에서 적극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한 연구에서 학습 성과가 주어지는 것을 좋아했다. 비록 참가자의 수가 적고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곤잘레즈 외 2004)

Some students liked to be given learning outcomes, which were shown in one study to promote active learning in a laparoscopy trainer, although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small and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onzalez et al. 2004).

 

(McLaughlin et al. 2005). 오직 34%의 학생들만이 코스 목표를 사용했고 그들은 평균 이상의 시험 점수를 가질 가능성이 상당히 낮았다.

(McLaughlin et al. 2005). Only 34 % of students used the course objective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have above-average test scores.

 

고찰

Discussion

 

주요 결과와 의미

Principal findings and meaning

 

지난 50년 동안 OBE의 두 가지 분명한 지지 순환, 그 다음에는 비판이 있었다. 지난 10년 동안 OBE는 학부 의과에서 지지되고 시행되었지만, 학습 성과가 교수법과 학습 의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뒤따르지 않았다.

The last 50 years have seen two clear cycles of advocacy, then critique, of OBE. In the last decade OBE has been advocated and implement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but this has not been followed by substantial research on the impact of learning outcomes on teaching and learning medicine.

 

타당도 위협

Threats to validity

 

우리가 발견한 증거의 부족은 그 불완전성의 증거로 보여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의학 교육의 영역에서 evidence review를 보면, '정상'으로 간주되는 것이 실제로는 경험적 증거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일관되게 발견한다. 유익한 증거가 누락되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우리의 연구 결과를 무효화할 만큼 충분한 증거를 놓쳤을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입니다.

The paucity of evidence we found might be seen as evidence of its incompleteness. Evidence reviews in the domain of medical education, however, consistently find that what is taken to be ‘normal’ rests, in reality, on little empirical evidence. Whilst acknowledging that informative evidence might have been missed, it seems unlikely we missed enough strong evidence to invalidate our findings.

 

다른 출판물과의 관계

Relationship to other publications

 

우리의 분석은 영어 출판물에 한정되어 있다. 스칸디나비아와 독일의 교육 관련 출판물(건뎀과 홉만 1998)은 '빌둥Bildung'이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다소 다른 교육적 담론을 제시한다. Bildung의 관점에서 교육은 기술과 지식을 습득이상이다. 클로프키(1995)와 같은 독일 언어 작가들은, humanities의 출발점으로 비판과 자기 비판의 능력과 의지를 갖추는 것과 같은 이상적인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에서 교육 및 커리큘럼은 주로 빌둥(Bildung)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단지 프로세스 내에서의 도구일 뿐이며, 그 자체로 학습의 종착점이 아니다.

Our analysis is confined to English language publications. Scandinavian and German language publications about education (Gundem and Hopmann 1998) present a rather different discourse of education, epitomised by the word ‘Bildung’. Education, from that point of view, extends far beyond acquiring skills and knowledge. German language authors such as Klafki (1995), with a starting point in the humanities, clearly focus on ideal goals like developing ability and willingness to critique and self-critique, to argue, to be empathic, and to think contextually and coherently. In this framework, education and curriculum mainly concerns Bildung (the process of striving towards such ideal goals);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are tools in that process, not the endpoint learning outcomes in themselves.

 

학부의학교육만 주로 다뤘다.

our evidence review was confined to just one part of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OBE가 학부 의과 교육에 적합하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은 위치로 이끌기 보다는, 이 검토는 OBE가 어떤 측면에 대해서는 다른 측면에 대해서보다 더 적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OBE가 특히 관찰 가능한 행동에 대해서 역량 평가를 위한 blueprint를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분석에서 비롯됩니다. 반면에, 하덴 외 연구진(1999)의 권고를 쓴 이론가조차도 affects를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환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해 발전하는 개인적, 전문적 특성을 교육에 의해 개발되는 능력과 동일한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은 비논리적인 것처럼 보인다.

Rather than leading to a position that OBE is or is not appropriate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is review indicates that it may be more appropriate to some than other aspects of it. It follows fromour analysis that OBE provides a logical basis for blueprinting assessments of competence, particularly those that assess observable behaviours. On the other hand, even the theorist on whose writing the recommendations of Harden et al. (1999) said affects cannot be reduced to observable behaviours. It seems illogical, therefore, to subsume personal and professional attributes that develop through education into the same process as competences that are developed by training.

 

For scholarship

 

우리는 "OBE가 효과적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연구 설계들은 별로 쓸모가 없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왜냐하면 이 의학교육 분야는 그 질문에 답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어떻게, 누구를 위해,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OBE가 효과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명확화" 연구들이 절실히 필요하고, 그러한 연구가 교육과정 내에서 수행된 행동연구 또는 디자인 기반 연구에 스스로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는 OBE가 어떤 경우에 좋은지 거의 알지 못한다. 학습 성과와 교육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결과가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때, 그리고 언제 그리고 어떻게 자기 주도적인 학습에 유용한지를.

Research designs answering the question ‘‘does OBE work?’’, we suggest, will be of little use because the field is just too complicated for that. Rather, ‘‘clarification’’ (Cook et al. 2008) studies answering the question ‘‘how does OBE work, for whom, and in what circumstances?’’ are sorely needed and lend themselves to action or design based research conducted within curriculum implementations. We know little about 

    • what OBE is good for; 
    • what the connections are between learning outcomes and teaching; 
    • when outcomes are helpful for teachers and when not; 
    • when and how they are useful for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

 

Harden et al. (1999)이 다음과 같이 말한 것은 옳았다: "OBE는 명백한 매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 효과를 문서화하는 연구는 상당히 드물다." Harden(2007년)이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공작"들은 성과의 구체적 세트를 내놓았지만, 그 성과를 교육과정 관련 의사결정의 토대로 사용한 "비버"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Harden et al. (1999) were right when they said: ‘‘Although OBE has obvious appeal, research documenting its effects is fairly rare.’’ As stated by Harden (2007), many ‘‘peacocks’’ have specified sets of outcomes but few ‘‘beavers’’ have used learning outcomes as a basis for curriculum related decisions (Harden 2007).

 

 

 

 


 2013 Oct;18(4):851-63. doi: 10.1007/s10459-012-9405-9. Epub 2012 Sep 18.

Outcom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 exploration of its originstheoretical basis, and empirical evidence.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Aarhus University, Brendstrupgaardsvej 102, 8200, Aarhus, Denmark, amm@medu.au.dk.

Abstract

Outcome based or competency based education (OBE) is so firmly establish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at it might not seem necessary to ask why it was included in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like the Flexner centenary report. Uncritical acceptance may not, however, deliver its greatest benefits. Our aim was to explore the underpinnings of OBE: its historical originstheoretical basis, and empiricalevidence of its effects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How can predetermined learning outcomes influenc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is literature review had three components: A review of historical landmarks in the evolution of OBE; a review of conceptual frameworks and theories; and a systematic review of empirical publications from 1999 to 2010 that reported data concerning the effects of learning outcomes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OBE had its origins in behaviourist theories of learning. It is tightly linked to the assessment and regulation of proficiency, but less clearly link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ver time, there have been cycles of advocacy for, then criticism of, OBE. A recurring critique concerns the place of complex personal and professional attributes as "competencies". OBE has been adopted by consensus in the face of weak empirical evidence. OBE, which has been advocated for over 50 years, can contribute usefully to defining requisite knowledge and skills, and blueprinting assessments. Its applicability to more complex aspects of clinical performance is not clear. OBE, we conclude, provides a valuable approach to some, but not all, important aspect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omment in

PMID:
 
22987194
 
DOI:
 
10.1007/s10459-012-9405-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