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의학교육에서 Core EPA에 대한 비판(Acad Med, 2018)

Critical Thoughts About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dward Krupat, PhD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의 세계는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Accreditation Council for Color Medical Education가 정의했던 것처럼 최초 초점은 역량(의료전문가가 지식과 기술을 입증해야 하는 부문)에 초점을 맞춘 후, 이후에 milestone(역량에 이르는 path에 대한 마커) 제안되었다. ACGME의 6가지 핵심 역량이 의사의 직무, 행동 또는 책임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10개의 Cate는 GME에서 책임 있는 전문적 활동(EPA)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EPA는 모든 레지던트가 교육을 마칠 때까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핵심 업무 또는 책임을 말한다.

The world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constantly evolving. Following the initial focus on competencies (domains in which health professional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knowledge and skills), as defined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6–8 the concept of milestones9,10 (observable markers along the path to competence) was proposed. Concerned that the ACGME’s six core competencies did not specify concretely the tasks, actions, or responsibilities required of a physician, ten Cate proposed the concept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in the contex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11,12 These EPAs represented a pragmatic list of activities—a core set of tasks or responsibilities that all residents could be trusted to do independently by the time they completed their training.


GME에서 EPA를 점점 더 수용하면서,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는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사이의 전환점에서의 성과 격차"를 인정했고, AAMC는 존경 받는 교육자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소집하여, 공통의 틀 안에서 GME와 UME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졸업하는 모든 MD에 기대되는 활동들을 식별하였다.

With the growing acceptance of EPAs in GME,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recognized a “performance gap at the transition point betwee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13 AAMC convened a panel of respected educators to identify those activities that might be expected of all graduating MDs, with the goal of having GME and UME work within a common framework.


핵심 EPA를 piloting하고 testing하는 데 상당한 조직적 자원이 투입되었다.15 일부 교육자들은 EPA를 중요하며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설명했지만, 점점 더 많은 수의 교육자들이 CBME와 특히 EPA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냈다. 한 관찰자는 "더 많은 시간, 노력, 좌절, 그리고 자원이 투자되기 전에, 역량, 마일스톤, Core EPA로의 돌격"을 늦추기를 요구한다. "17 진단 추론의 오류의 맥락에서 Moulton과 동료 23,24는 "늦춰야 할 때엔 늦춰야 한다"고 이야기 했다.

Considerable organizational resources have gone into piloting and testing the Core EPAs.15 Some educators have described EPAs as important and paradigm shifting16; however, a growing number have expressed reservations about CBME in general and EPAs in particular.17–22 One set of observers asks us to slow “the headlong rush to competencies, milestones and COREEPAs … before even more time, effort, frustration and resources are invested.”17 In the context of errors in diagnostic reasoning, Moulton and colleagues23,24 have talked about “slowing down when you should.”


내용과 초점에 대한 우려

Concerns About Content and Focus


역량 영역(예: 의료 지식) 또는 개인과 관련된 특성(예: 전문성)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핵심 EPA는 13개의 ambulatory 및 병원 기반 "활동" 목록을 구성합니다(workplace-based 작업으로 표현되는 전문적 행동의 단위 설명). 모든 의대생은 이 목록을 졸업(그리고 결과적으로 인턴십 1일차)까지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1,4

Rather than focusing on domains of competence (e.g., medical knowledge) or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individuals (e.g., professionalism), the Core EPAs constitute a list of 13 ambulatory and hospital-based “activities” (discrete units of professional behavior expressed as workplace-based tasks) that all medical students should be able to accomplish by their graduation (and, consequently, on Day 1 of internship).1,4 


Tekian18은 핵심 EPA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판하면서 그 중 3가지(예: 전문가 간 팀에서의 협력)는 실제로는 별개의, single-encounter 기반의 의료 업무가 아니라고 지적했으며, 한편으로 어떤 것들은 교육목표이지 과제가 아니라고 지적했다(예: 임상 질문을 만들고 근거를 찾기).

Tekian18 has criticized the Core EPAs on several counts, noting that three of them (e.g., collaborating in an interprofessional team) are not actually discrete, single- encounter-based medical tasks, while others sound more like educational objectives than tasks (e.g., forming clinical questions and retrieving evidence).


게다가, 코어 EPA 중 어떤 것은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어떤 것은 매우 구체적이어서 uneven하게 보인다. 이러한 EPA를 결정하는 전문가 패널은 "lumper(모든 것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넣고싶어 하는 사람)"와 "splitter(모든 것을 각각의 카테고리로 두고 싶어하는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그룹이 자신의 방식으로 만든 것 같다.

In addition, the Core EPAs seem to me like an uneven lot, with some extremely broad and others very specific. I can imagine that the expert panel that decided on these EPAs was composed of “lumpers” (who preferred to group things into broad categories) and “splitters” (who preferred to generate finer categories), and that each group had its way on some things.


예를 들어 병력을 수집하고 신체 검사(EPA 1)를 수행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학생-의사의 두 가지 핵심 작업으로 간주되지만, 이러한 두 가지 활동이 하나로 결합되었습니다. 한편, 임상 접촉의 서면 문서화(EPA 5)와 구두 발표(EPA 6)는 "임상 접촉 요약"이라는 단일 EPA로 묶일 수 있지만, 패널 구성원은 이를 두 가지 활동으로 구분하기로 결정했다.

For example, gathering a history and performing a physical exam (EPA 1) are typically thought of as two core tasks of the student–physician, yet these two activities were combined. On the other hand, written documentation (EPA 5) and oral presentation (EPA 6) of a clinical encounter could have been included as a single EPA, “summarizing a clinical encounter,” but the panel members chose to list these as two separate activities.


핵심 EPA는 발달 측면에서도 균일하지 않다. 일부는 의사가 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인 반면, 다른 것들은 꽤 advanced 수준인 것처럼 보인다.

the Core EPAs are also uneve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Some of them are part of the bread-and-butter of being a physician, whereas others appear to be quite advanced.


일부에서는 평가 양식에서 저학년 학생들에 대해서 특정 EPA를 생략하거나 "적용되지 않음" 범주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EPA 8)에 대한 학습 및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 인식(EPA 10)

Some argued that the assessment form should omit certain EPAs for students in their early years or include a “Does not apply” category. For instance, learning about handovers (EPA 8) and recognizing patients requiring urgent care (EPA 10)


숙련된 GME 교육자들은 제게 시스템 고장을 식별하는 것은 졸업하는 의대생에게 기대하지 못할 것임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그들의 2년차 레지더트에게도 기대하기 쉽지 않다고말해왔습니다.

Experienced GME educators have told me that identifying system failures (EPA 13) seems aspirational for their second-year residents, let alone graduating medical students.



그러나 나는 핵심 EPA에 대해 훨씬 더 근본적인 우려를 갖고 있다. 이 접근법의 지지자들은 competencies vs EPA의 문제둘 중 하나either-or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I have a far more fundamental concern about the Core EPAs, however. Advocates of this approach note that the issue of competencies versus EPAs should not be seen as something that is either–or.


이 말은 원칙적으로는 맞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것은 인간 인식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원칙 하나를 무시한다: 바로 그림-배경 관계이다. 우리가 두 가지 "객체"를 볼 때, 그 중 한 가지(그림)가 우리의 관심을 끌고 집중한다. 다른 것(배경)은 먼 곳으로 후퇴하고 그것이 당연하게 여겨집니다; (배경)은 관심 대상이 아니라 맥락의 역할을 합니다.

In principle this is fine. In practice, however, this ignores one of the most basic and universally recognized principles of human perception: figure– ground relationships.25,26 When we are considering two “objects,” one (figure) engages our attention and is focused upon. The other (ground) recedes into the distance and is taken for granted; it serves as context, not as the object of interest.


Core EPA를 figure로 만들고, 반대로 [전문직업성, 환자와 의사 소통 능력, 인종/민족성, 성별 또는 성적 성향에 관계없이 양질의 환자 치료를 제공하는 능력] 등을 ground로 만드는 것이 정말 우리에게 좋은 것인가?

Is it to our advantage to make the Core EPAs figure, while relegating to ground professionalism,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and the ability to deliver quality patient care regardless of race/ethnicity, gender, or sexual orientation?


EPA 옹호자들은 "역량"에 대해 악의를 갖고 있지 않은 듯 하다.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역량"은 그것이 우리 교육목표의 전면에 놓여지지 않는다면, 교육과정 map에서 2등시민으로 밀려날 것이다. 핵심 EPA를 채택하는 의과대학이 사명을 다시 쓰지는 않겠지만, 만약 형성평가와 총괄평가가 이 13개의 EPA에 초점을 맞춘다면, 교수와 학생 모두 거기에만 신경쓸 것이라는 예측이 절대 과장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 상황에서 무엇이 figure가 되고 무엇이 ground가 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일말의 의심의 여지도 없다.

EPA advocates seem to bear no ill will toward the competencies.1,6 Even so, competencies are likely to become second-class citizens in the curricular map if they are not at the forefront of our educational objectives and assessments. Medical schools that adopt the Core EPAs will not be rewriting their mission statements, but I do not think it is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f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come to be focused on students’ ability to perform these 13 EPAs, this is what both faculty and students will care about most. I have little doubt as to which will become figure and which ground.


나는 또한 Core EPA에는 aspirational한 것이 전혀 없으며, 여기에는 [의학이 전문직업적 가치관를 핵심에 두는 소명]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어떤 것도 없다는 것이 걱정된다. 이미 나 이전에 다른 사람들이 환원주의적, 구체적 직무 기반의 초점을 두는 것이 [상호연결성의 문제]와 [의사가 되는 더 넓은 의미]에 초점을 맞추지 않음으로써 젊은 의사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I am also concerned that there is nothing aspirational in the Core EPAs and nothing in their language that implies that medicine is a calling with a core set of professional values. Others before me28–30 have expressed concerns that a reductionist, concrete-task-based focus will affect the identity formation of young physicians by not focusing on issues of interconnectedness and the broader meaning of being a physician. 


한 걸음 더 나아가면, 핵심 EPA가 과연 환자와 사회에 어떠한 상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EPA 중심의 교육은 진료의 기술적 요건을 충족하는 방법을 알고, 병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의사를 생성한다. 하지만 inspired professionals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교육 목적과 평가에서 우수한 doctoring의 한 부분으로서 (activities 뿐만 아니라) 더 넓은 가치와 방향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Taking this one step further, I ask to what extent the Core EPAs also say something symbolically to patients and society. An EPA-focused education will produce physicians who know how to satisfy the technical requirements of care and to fulfill the tasks that enable a hospital to run efficiently. However, to produce inspired professionals, within our educational objectives and assessments we need to find a way to feature the broader values and orientations—as well as the activities—that are part of great doctoring.


또한 여러 근거들은 레지던트 프로그램 책임자들이 잠재적 전공의들에 대해 Core EPA에 대해 entrustable한지가 아니라, 그들의 개인적 자질(예: 다른 사람과 일하는 능력, 신뢰성 및 정직성)에 더 관심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evidence indicates, however, that program directors are most interested in potential residents’ personal qualities (e.g., their ability to work with others, reliability, and honesty—elements of professionalism), rather than whether they are entrustable on this or that Core EPA.33,34



측정과 평가에 대한 우려

Concerns About Measurement and Assessment


제 관심의 두 번째 측면은 평가 과정 자체입니다.

The second dimension of my concerns involves the assessment process itself,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신뢰의 개념이 직관적으로 매력적이다. 대부분의 의사들은 그들의 훈련생을 얼마나 잘 믿을 수 있는지와 관련된 차원을 따라 생각하는 것에 익숙하고 편안하다.

On the positive side, the concept of trust is intuitively appealing. Most physicians are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thinking along a dimension that relates to how well they can trust their trainees,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EPA 평가의 많은 측면이 사회과학의 측정 이론에 충분히 informed 되지 않았다고 믿는다.

Nonetheless, I believe that many aspects of EPA assessment are not sufficiently informed by measurement theory in the social sciences,


객관성에 대한 우리의 열망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사람들의 행동과 특성의 온도를 얻기 위한 온도계를 발명하기 전까지는, 우리는 주관적인 평가 과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우리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우리가 상호 합의(즉, 신뢰성)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접근방식을 찾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측정 이론에서 제시한 황금률은 Keep it simple이다: 행동을 보고 하나의 평가 척도에 따라 판단하고, 등급을 매긴다. 어떠한 비용을 들여서라도 최소화해야 하는 것은, [관찰]과 [판단] 사이에 이루어지는 추론의 layer이다.37

Despite our desire for objectivity, until we invent a thermometer to take the temperature of people’s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we are left with a subjective process of assessment. Given this, one of our main goals is to find an approach by which we can increase interrater agreement (i.e., reliability). To do so, the golden rule in measurement theory is to keep it simple: See a behavior and judge it according to a single evaluative scale, thereby making a rating. What should be minimized at all costs is making judgments in which layers of inference are placed between the observation and the judgment.37


이 기준에 따라 entrustment가 어떤 layer에 따라 이뤄지는지 열거해 봅시다. 

To see how assessment via entrustment fares according to this criterion, let us enumerate the layers. 


먼저, 우리는 그 행동을 관찰하고 나서 그것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합니다. 여기서 멈춘다면, 합리적인 평가 시스템이 될 것입니다.

First, we observe the behavior, and then we determine for ourselves whether it has been performed competently—which, if stopped here, would be a reasonable rating system.


다음으로, 우리는 신뢰도를 고려하고, 스스로에게 "이 학생이 (유사한 문제를 가진 유사한 환자에 대해) 유사한 행동을 할 것을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에 대해 자문하는 동시에, 그 때 얼마나 이 학생을 가까이에서 감독해야 하는지를 고려하면서, 이 모든 것들이 맥락특이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Next, we consider trustworthiness and ask ourselves how much trust the student inspires in us to perform a similar behavior (on a similar patient with a similar problem), while simultaneously considering how closely this student would need to be supervised to do so, all the time acknowledging the limits of making generalizations because of context specificity.38,39


Layer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신뢰도 판단은 결국 지식과 기술을 넘어 진실성, 양심, 한계치 파악과 같은 특징에 대한 평가까지 포함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Adding more layers, research suggests that entrustability judgments ultimately go beyond knowledge and skillfulness to include assessments of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fulness, conscientiousness, and discernment of limitations.40,41


좋은 측정에 대한 또 다른 rule of thumb은 [모든 관련 당사자들이 주어진 척도의 endpoint 또는 앵커에 대해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의해 명확하게 인식, 정의, 이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중요하지만 극도로 어렵다.

Another rule of thumb in good measurement is to ensure that the end points, or anchors,42,43 for any given scale are clearly recognized, defined, and understood by all relevant parties in exactly the same way. This is important yet extremely difficult.


GME에서는 레지던트가 [전혀 감독받지 않고도 업무를 수행하도록 위임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문구로 척도의 한쪽 끝을 고정한다. [전혀 감독받지 않는 것]으로 절대적으로 표현된 이 anchor은 설득력이 있다. 이러한 anchor을 총괄평가용도로 사용하면 어떤 졸업생이 완전한 독립성을 발휘하여 감독 없이 EPA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인증한다. 그러나 UME의 경우 positive end의 anchor는 학생이 [간접 감독 하에 주어진 EPA를 실천하도록 위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anchor은 토대가 훨씬 약하고, 훨씬 덜 잘 정의되어 있다. 간접감독은 얼마나 간접적인 것을 뜻하는가?

In GME, the entrustment scale is anchored on the positive end by wording indicating that the resident can be entrusted to perform a task completely unsupervised. This anchor, stated in absolute terms as the total absence of supervision, is compelling. Using such an anchor summatively, a program certifies that its graduates are entrusted to practice in complete independence, to perform the EPAs with no oversight or supervision. In UME, however, the anchor on the positive end indicates that the student can be entrusted to practice a given EPA under indirect supervision. This anchor is far less grounded; it is far less well defined. How indirect is indirect supervision?


어떤 사람들은 "학생이 실제적으로 다른 사람을 감독할 수 있는지 여부"를 가지고 positive end를 정의하자는 것과 같은 다른 anchor들을 제안하였다. 직관적으로는 좋아보일지 몰라도, 이는 좋은 측정의 핵심적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어떤 스케일은 하나의 차원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one dimension at a time. EPA를 잘 수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다른 사람들을 감독하고 싶지 않은 학생은 어떻게 할 것인가? 우수한 측정 관행은 평가 기준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척도를 단차원적으로 정의하도록 요구하지만, 이 제안은 그 원칙에 반한다.

others have proposed different anchors, such as defining the positive end point in terms of whether the person could be “allowed to supervise others in practice.”3 As intuitively compelling as this example seems, it violates another cardinal rule of good measurement, which is that a scale should vary along only one dimension at a time. Could we not imagine a trainee who is quite capable of performing an EPA yet whom we would not want supervising others in that EPA? Good measurement practice demands that scales be defined unidimensionally so as to avoid confounding the rating criteria, but this proposal runs counter to that principle.


Core EPA에 대한 또 다른 문제들

Other Problems Inherent in Working With the Core EPAs


여러 가지 논리적인 모순

several logical inconsistencies


첫째, 이러한 EPA는 UME와 GME 간의 차이를 메우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UME와 GME 등급 범주를 나란히 배치하여 두 가지 설정에 사용되는 일관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ME entrustment의 하한선에서는 종종 "적극적이고 완전한 감독 하에만 EPA를 실천할 수 있다."가 있다. 그러나 어떻게 의대를 졸업하기 위해 간접적이고 최소한의 감독만으로 EPA를 할 수 있었던 인턴이 적극적이고 완전한 감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는가?

First, because these EPAs were meant to bridge the gap between UME and GME, we can place the UME and GME rating categories side by side to determine the consistency with which they are used in the two settings. For instance, at the low end of GME entrustment, one often finds “allowed to practice EPA only under proactive, full supervision.”3 Yet how could an intern be rated as requiring proactive, full supervision when in order to graduate medical school this same person had to be certified as able to practice with indirect, or minimal, supervision?


심지어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 사이에서도 높은 기준을 충족하는 능력과 그들이 그렇게 하는 속도에 차이가 존재할 것이다. 

even among the talented individuals , differences will exist in their ability to meet high standards and the pace at which they do so; 


그러나 어떻게 거의 모든 의과대학 또는 레지던스 코호트의 모든 구성원이 동일한 시점에 까다롭고 세심하게 평가된 EPA 규격 세트를 만족하게 될 것인가?

Yet how is it that almost every member of every medical school class or residency cohort would come to meet a demanding and carefully assessed set of EPA standards at the same moment


우리 모두가 인정하고 싶지 않은 한 가지 가능한 대답은, 그 기준이 충분히 낮아서 사실상 모든, 심지어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조차 제 시간에 그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훨씬 더 회의적인 생각으로서, Witteles와 Verghese45는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평가자들이 때로는 정확하고 의미 있는 평가를 하려고 하기보다는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수준'에 체크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One possible answer, which we would all prefer to reject, is that the standards are sufficiently low that virtually everyone, even poorly performing students, can meet them on time. Offering an even more skeptical thought, Witteles and Verghese45 have speculated whether overworked assessors may sometimes be checking boxes for where students are supposed to be rather than attempting to provide assessments that are accurate and meaningful.


사회적 인지 이론에서 도출된 또 다른 설명은 표준과 평가자들의 편을 더욱 들어준다: UME와 GME의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표준도 암시적으로 다르게 여겨진다. UME 학생으로서 entrustable하다고 평가된 바로 그 행동이 레지던트 기준에 대해서는 preentrustable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왜냐하면 인턴/레지던트는 환자들의 웰빙에 대해 훨씬 더 큰 책임을 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대조효과를 언급하면서, 사회심리학자들은 평가자들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준으로 행동을 판단하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서로 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제안한다.

Another explanation, deriving from social cognitive theory, is more charitable to the standards and assessors: Standards implicitly differ when seen in the differing contexts of UME and GME. The very same behavior that was rated as entrustable against the responsibilities of UME studenthood may appear to be preentrustable against the standards of residency where house staff hold far greater responsibility for patients’ well- being. Referring to contrast effects,46,47 social psychologists suggest that raters may unwittingly make differing judgments as the result of judging behavior against different standards in different settings.


다른 두 가지 밀접하게 관련된 개념들(기대 효과와 자기 충족적 예언들)로 인해서, 우리가 어떤 행동에 대한 특정한 기대를 가질 때 (예: 경험과 훈련의 증가할수록 신뢰도가 더 높아짐) 이러한 것들은 우리가 기대하는 방향으로 판단하도록 무의식 수준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wo other closely related concepts, expectancy effects and self- fulfilling prophesies, posit that when we hold specific expectations for behavior (e.g., that trustworthiness is greater with increased experience and training), these may influence us, below the level of awareness, to make judgments in the direction of our expectations.48,49


생의학 연구에서 우리는 이중맹검 연구를 고집합니다.

In biomedical research, we insist on double-blind studies,


그러나 in vivo 임상 기술 평가에서 평가자는 평가 대상자를 잘 아는 상태에서 평가를 내린다. 결과적으로, 평가자는 (자신의 교수개발 수준이나 동기부여의 수준에 관계없이)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으로 편견을 가질 수 있다. 사실상,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기준"은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것보다 더 유연할 수 있습니다.

But in clinical skills assessments made in vivo, raters are almost never blinded to the experience level of the person being rated. As a result, raters may be subject to various nonconscious, automatic biases, whatever their level of faculty development or motivation. In effect, the “ruler” we are using may simply be more elastic than we realize,


결론과 제언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가족 내에서 요리법을 알려줄 때, 많은 할머니들이 우리에게 소금 한 꼬집이나 후추 한 방울을 넣으라고 지시한다. 만약 내가 entrustment의 개념이 온스나 밀리그램과 같은 어떤 객관적인 것으로 바뀐다면, 나는 매우 기뻐할 것이다. 하지만, 많은 재능 있는 사람들이 쏟아내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EPA 기반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유용한 형태별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방어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등급이나 유효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When sharing family recipes, many of our grandmothers instructed us to add a pinch of salt or a sprinkle of pepper. If I believed that the concept of entrustment had turned a pinch or sprinkle into something objective such as ounces or milligrams, I would be overjoyed. However, for all the effort expended by so many talented people, I do not believe that the adoption of an EPA-based system has increased our ability to make reliable ratings or valid judgments, to provide students with useful formative feedback, or to make defensible summative decisions about progression.


내용에 관해서, 나는 EPA를 향한 움직임이 [우리에게 무엇이 좋은가]가 아니라 [할머니가 아는 무슨 요리를 할 줄 아는가]에 너무 많이 집중하게 만들었다고 믿는다. Core EPA는 병원 팀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mundane and technical한 기술에 너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더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되는 의사의 역할과 행동에서 우리를 멀어지게 한다. 그러나 우리가 더 열심히 노력한다면 행동적으로 조작화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론적 관점에서, 의사들이 신뢰를 레퍼런스틀로 사용하는 것에 편안할 수 있지만, EPA를 통한 평가는 추론이나 주관성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As for content, I believe that the movement toward EPAs has made us focus too much on what Grandma knows how to cook, not what is good for us.50 The Core EPAs direct too much of our attention toward the mundane and technical skills that allow hospital teams to function smoothly, thereby distracting us from those roles and behaviors of physicians that are more abstract in concept, yet could be operationalized behaviorally if only we worked harder at doing so. Methodologically, although physicians may be comfortable using trust as their frame of reference, assessment via EPAs does not decrease inference or subjectivity.



소소한 제안.

a few modest proposals



첫째, 일부에서는 EPA와 역량이 나란히 공존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66.8은 figure and ground 원칙을 상기해보면, 저는 교육자들이 둘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단일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안합니다.

First, while some have argued that EPAs and competencies can coexist side by side,6,8 recalling the principle of figure and ground, I believe that educators are likely to focus on one or the other—to the extent that they are seen as separate entities.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a single hybrid model



목록 1에는 의사가 수행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한 활동으로, 다양한 역량 또는 신뢰 또는 감독 수준에서 실습생으로서, 1일차 레지던트와 그 이후의 위대한 의사들로도 명시되는, 제가 제안한 의학 과제(TOM)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List 1 contains my proposed Tasks of Medicine (TOMs), stated as measurable activities that physicians can be expected to do, at varying levels of competence or trust or supervision, as clerks, as residents on Day 1, and as great physicians well beyond.



성직자, 인턴, 거주자에 대해 서로 다른 기준, 표준, 기대치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행동들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초보자부터 마스터, 3학년 학생부터 수석 거주자, 20년 실무자까지 모든 범위의 설명자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because different frames of reference, standards, and expectations may exist for clerks, interns, and residents, identical behaviors may be judg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context.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a single set of descriptors that covers the full range from beginner to master, from third-year student to chief resident to 20-year practitioner.



List 1

의료 과제 또는 위대한 의사의 행동: ACGME 역량과 핵심 EPA의 행동 요소를 통합하려는 하이브리드 모델 

Tasks of Medicine, or What Great Physicians Do: A Hybrid Model Attempting to Integrate Behavioral Elements of the Core EPAs With the ACGME Competencies 


레지던트 첫날, 책임 있는 의사는 최소한의 지침이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레지던트를 마치면, 책임 있는 의사는 지시나 도움 없이 할 수 있다.

On the first day of residency, an entrustable physician can, with minimal instruction or assistance 

By the completion of residency, an entrustable physician can, with no instruction or assistance


• 환자진료를 위한 정보 수집 및 적용

o 완전하고 정확한 병력

o 환자 검사

o 시험을 적절하게 주문한다.

o 적절한 출처에서 증거 검색


• 정보 통합 및 활용

o 진단 실시

o 치료 계획 개발

o 필요한 환자에게 긴급치료를 인식하고 시작


• 타인과 효과적으로 작업

o 환자 기록의 구두 보고서 및 문서상 접점을 제공한다.

o 효과적으로 핸드오버 제공

o 다른 의료 전문가와 효과적으로 작업

o 환자 및 가족과의 관리 및 신뢰 관계 개발

o 환자와 가족의 사전동의 획득


• 대규모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의료 연습

o 인종, 민족, 소득 등에 관계없이 다양한 주민에게 효과적인 관리 제공

o 시스템 고장 식별 및 해결 시도


• 책임, 자각 및 개선을 위한 욕구 입증

o 피드백에 기반한 자기계발에 노력

o 윤리적인 실천 과정에서 신뢰성과 정직성 입증

o 환자 진단 및 치료의 장점과 한계를 인지합니다.



• Collect and apply information in the care of patients

o Take a complete and accurate history

o Examine patients

o Order tests appropriately

o Retrieve evidence from appropriate sources

• Synthesize and utilize information

o Make diagnoses

o Develop treatment plans

o Recognize and initiate urgent care for those patients who require it

• Work effectively with others

o Give oral reports and document encounters in patient records

o Give and receive handovers effectively

o Work effectively with other health professionals

o Develop caring and trusting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families

o Obtain informed consent from patients and families

• Practice medicine demonstrating awareness of the larger context

o Provide effective care to diverse populations regardless of race, ethnicity, income, etc.

o Identify and attempt to address system failures

• Demonstrate responsibility, self-awareness, and desire for improvement

o Make efforts at self-improvement based on feedback

o Demonstrate reliability and honesty in the course of ethical practice

o Recognize strengths and limitation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Abbreviations: Core EPAs indicates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ACGM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4 Englander R, Flynn T, Call S, et al. Toward defining the foundation of the MD degre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Acad Med. 2016;91:1352–1358.


6 Carraccio C, Englander R, Gilhooly J, et al. Building a framework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supported by competencies and milestones, to bridge the educational continuum. Acad Med. 2017;92:324–330.


31 Krupat E, Frankel R, Stein T, Irish J. The Four Habits Coding Scheme: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assess clinicians’ communication behavior. Patient Educ Couns. 2006;62:38–45. XXX


18 Tekian A. Are all EPAs really EPAs? Med Teach. 2017;39:232–233. ==




 2018 Mar;93(3):371-376. doi: 10.1097/ACM.0000000000001865.

Critical Thoughts About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E. Krupat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Boston, Massachusetts. At the time of writing, the author was also director, Center for Evaluation,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bstract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Core EPAs) have taken a strong hold on undergraduate medicaleducation (UME). This Perspective questions their value added and considers the utility of the Core EPAs along two separate dimensions: (1) the ways they change the content and focus of the goals of UME; and (2) the extent to which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based assessment conforms to basic principles of measurement theory as practiced in the social sciences. Concerning content and focus, the author asks whether the 13 Core EPAs frame UME too narrowly, putting competencies into the background and overlooking certain aspirational, but important and measurable, objectives of UME. The author also discusses the unevenness of EPAs in terms of their breadth and their developmental status as core activities. Regarding measurement and assessment, the author raises concerns that the EPA metric introduces layers of inference that may cause distortions and hinder accuracy and rater agreement. In addition, the use of weak anchors and multidimensional scales is also of concern. The author concludes with a proposal for reframing the Core EPAs and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ompetencies into broadly defined sets of behaviors, referred to as "Tasks of Medicine," and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and longitudinal research agenda. The author asserts that "slowing down when you should" applies to medicaleducation as well as patient care, and calls for a reevaluation of the Core EPAs before further commitment to them.

PMID:
 
28857790
 
DOI:
 
10.1097/ACM.0000000000001865


CBME에서 양과 질에 대한 잘못된 이분법(Adv in Health Sci Educ, 2014)

The false dichotomy of quality and quantity in the discourse around assessmen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Olle ten Cate




오래되었지만 유용한 정의에 따르면,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의 의도된 결과는 "국지적 조건에 부합하여, 국지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정의된 수준의 숙련도로 의술을 수행할 수 있는 의료 전문가"이다.

According to an old but useful definition, the intended outcom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a health-professional who can practice medicine at a defined level of proficiency, in accord with local conditions, to meet local needs’’ (McGaghie et al. 1978).


보다 현대적인 정의에는 "

  • 졸업 성과능력의 근본적 지향적인 실천을 위한 의사 준비 방법 

  • 사회적 요구와 환자 요구의 분석에서 파생된 역량에 관련하여 조직화된다. 

  • 시간 기반 훈련을 강조하지 않으며 책임성, 유연성 및 학습자 중심성을 높인다"(Frank et al. 2010)가 있다.

More modern definitions include ‘

  • ‘An approach to preparing physicians for practice that is fundamentally oriented to graduate outcome abilities and 

  • the organization around competencies derived from an analysis of societal and patient needs. 

  • It de-emphasizes time based training and promises a greater accountability, flexibility, and learner-centeredness’’ (Frank et al. 2010)


"의료전문직 교육이란 한 개 이상의 의료 역량의 고정된 숙련도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10 Cate 2014a, b)

‘‘Education for the medical profession that is targeted at a fixed level of proficiency in one or more medical competencies’’ (ten Cate 2014a, b).


질과 양 사이의 대조는 그것이 이것 또는 저것과 같은 "둘 중 하나" 상황을 암시함으로써 오해를 만든다. 즉 시간과 절차 수를 기록하여 역량을 획득하거나, 성능을 측정함으로써 역량을 획득한다고 보는 것이다.

The contrast between quality and quantity is such a misunderstanding, as it suggests that they represent an ‘‘either–or’’ situation. Either you achieve competence by documenting time and number of procedures, or you achieve it by measuring performance.


새로운 치과 교육 프로그램의 최근 현장 검토 결과...

a recent on-site review of a new dental education program


기존의 치과대학 커리큘럼에서 학생들은 양적 기준(예: 추출물 수, 근관 치료, 왕관 및 교량)을 충족하도록 요구받았다. 반대로 새로운 커리큘럼은 수행된 절차procedure의 양보다는 역량 기반 교육의 현대적인 접근방식을 따랐다. 여기서 우리가 충격을 받은 것은 학생들이 (학교가 최소한의 양적 기준을 요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independent practice을 위한 적절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을 매우 걱정했다는 것이다. 학교는 대신 학생들에게 전자 포트폴리오로서 치과 시술에 관한 역량에 대한 증거를 제공할 책임을 부여한다.

Whereas in the former dental curriculum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meet quantitative criteria (such as numbers of extractions, root canal treatments, crowns and bridges completed), the new curriculum follows a modern approach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t stresses attained competencies rather than quantity of procedures done. It struck our review committee how worried students were that they would not meet adequate standards for independent practice, as the school had ceased to require minimum quantitative standards but instead put responsibility on students to provide proof of their competence in dental procedures in their electronic portfolio. 


위에서 인용한 CBME의 정의 어느 곳에도 학습자 평가에 있어 연습의 양이나 경험의 양이 중요하지 않다고 이야기하지 않지만, 이러한 혼란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역량 기반 교육은 기준에 따라 역량을 평가해야 하지만,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시간은 유연해야 한다. 따라서 CBE에서 시행된 경험이나 절차의 양이 학생이 "인증"을 받는 순간에 모든 학습자에게 동등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우리는 역량 기반 교육을 채택했고 따라서 직무나 절차 수 등과 같은 경험의 양은 신경쓰지 않으며, 학습자의 질만을 검토한다"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

Nowhere in definitions of CBME cited above is to be found that quantity of exercises or experiences in the evaluation of learners is unimportant, but the confusion is easily understood. While competency-based education requires evaluation of standard levels competence, the time to meet these standards must be flexible. Hence in CBE it cannot be stated that the quantity of experiences or procedures practiced should be equal for all learners at the moment of certification. The argument however, that ‘‘we have adopted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herefore we look at the quality of the learners, not at quantity of experiences, such as time on tasks or numbers of procedures’’ is not valid.


'양'을 버리는 것이 위험한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개인의 진보를 문서화하는 포트폴리오 접근법은 집단 평가 절차를 위한 합리적인 대안이며, workplace 학습에 매우 적합하며, CBE 프로그램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된다.

There is another reason why abandoning quantity may be dangerous. To document individual progress, a portfolio approach is a sensible alternative for mass assessment procedures, very apt for workplace learning, and increasingly used in CBE programs.


일반적으로 포트폴리오는 학습자가 수집, 소유 및 제어하는 문서 컨테이너가 된다.(Challis 1999). 하지만, 이것의 성공에는 학습자와 교사 모두의 상당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Driessen et al. 2005) 학생들이 주로 채우고 읽으며, 철저하게 평가할 시간과 기술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교사가 거의 읽지 않는 포트폴리오는 역량의 척도로서 쓸모가 없다.(Driessen et al. 2007).

Portfolios are usually presented as containers of documentation, to a large extent collected, owned and controlled by the learner (Challis 1999). Its success however requires quite a bit of effort from both learners and teachers (Driessen et al. 2005). Portfolios that are predominantly filled and read by the students themselves, and hardly by teachers because of a lack of time and skill to thoroughly evaluate them, cannot serve well as measures of competence (Driessen et al. 2007).


어떤 경우에는 학습자에게 너무 많은 책임이 주어져서 학습자는 자기 평가뿐만 아니라 그들의 능력을 수준까지 증명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포트폴리오의 복잡한 평가를 수행할 시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에 대한 엄격한 평가 도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및 평가)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구성주의 교육 철학에 의해 종종 보호됩니다. 하지만 이것이 단지 교사들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방패막이 구실이라면, 그것이야말로 구성주의가 선호받지 못한 이유일 것이다. 이렇게 이뤄지는 포트폴리오는 단순히 말해서 부적절한 기준의 유지에 불과하다.

In some cases too much emphasis is laid on the responsibility of learners to not only self-assess but also prove their competence to a level . This policy may not only be caused by a lack of time to do the cumbersome evaluation of portfolios , but also by a lack of rigorous assessment tools for portfolios. The policy is often defended by a constructivist educational philosophy that learners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and assessment). If such defense serves as an excuse to alleviate teacher burden, rather than a deliberate educational policy, it may be one of the reasons why constructivism has attained a less favorable press (Kirschner et al. 2006). The result is simply an inadequate maintenance of standards.


지금껏 너무 자주 'quantity'만으로 역량을 결정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 절차를 다섯 번 했다면, 더 이상 당신을 평가할 필요가 없다."와 같은 것이다. 물론 실제 능력은 관찰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학습자가 감독 없이도 할 수 있다고 믿기 전에(Cianciolo 및 Kegg 2013), 학습자가 그것을 얼마나 자주 수행했는지를 확실히 알 필요도 있습니다.

Too often quantities have been regarded as sufficient to determine competence: ‘‘if you have done this procedure five times, then I don’t need to evaluate you any further’’; Actual competence must be observed and assessed. But before trusting a learner to work unsupervised (Cianciolo andKegg 2013), it sure helps to know how often procedures have be done


합리적 접근 방식은 학습자가 감독 없이도 일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공식적 entrustment 평가를 받기 전에 사전 조건을 충족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and a logical approach is to require learners to meet some pre-conditions before they are eligible for evaluation and for a formal entrustment decision to work unsupervised.


역량 기반 교육에서 질적 평가를 수행해야 하는 필요성과는 별개로, 노력의 경험의 quantity는 중요하다. 최소 숫자의 절차를 완료해야 하는 프로그램도 역량-기반일 수 있다. 어떤 프로그램이 만약 특정 횟수의 procedure나 특정 기간의 수련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그 프로그램은 모든 의도된 역량을 타당하게 평가해야 하는 책임이 오히려 커진다(Lurie et al. 2009). 어쩌면 그 치대생들은 정말 타당한 논지를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clearly quantity of effort and experience is important and by no means in contrast with the need to evaluate qualitatively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A program that requires minimum numbers of procedures completed may well be competency-based. A program that does not require numbers of procedures or months of effort takes on a great responsibility to validly assess all intended competencies, which is not an easy task (Lurie et al. 2009). The dental students may really have had a valid point.


Driessen, E., van Tartwijk, J., van der Vleuten, C., &Wass, V. (2007). Portfolios in medical education: Why do they meet with mixed success? A systematic review. Medical Education, 41(12), 1224–1233.




 2015 Aug;20(3):835-8. doi: 10.1007/s10459-014-9527-3. Epub 2014 Jun 8.

The false dichotomy of quality and quantity in the discourse around assessmen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niversiteitsweg 98, 3584 CG, Utrecht, The Netherlands, t.j.tencate@umcutrecht.nl.

Abstrac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tresses the attainment of competencies rather than the completion of fixed time in rotations. This sometimes leads to the interpretation that quantitative features of a program are of less importance, such as procedures practiced and weeks or months spent in clinical practice. An educational philosophy like "We don't require numbers of procedures completed but focus on competencies" suggests a dichotomy of either competency-based or time and procedures based education. The author argues that this dichotomy is not useful, and may even compromise education, as long as valid assessment of all relevant competencies is not possible or feasible. Requiring quantities of experiences of learners is not in contrast with competency-based education.

PMID:

 

24908558

 

DOI:

 

10.1007/s10459-014-9527-3



역량바탕교육: 이정표인가 맷돌인가?(J Grad Med Educ, 2014)

Competency-Based Education: Milestones or Millstones1?

Geoff Norman, PhD John Norcini, PhD Georges Bordage, MD, PhD





CanMEDS 역량은 네덜란드, 덴마크, 멕시코 등 16개국에 의해 채택 및 조정되었다.5 게다가 카네기 재단의 영향력 있는 플렉스너 100주년 기념사업은 CBE 채택을 강력히 추천했고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다. "OBE의 채택은 의학 졸업생들이 복잡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더 잘 준비할 것이며 필요한 역량의 깊이와 폭을 계속해서 효율적으로 확장할 것이다."

CanMEDS competencies have been adopted and adapted by 16 countries, including the Netherlands, Denmark, and Mexico.5 Moreover, the Carnegie Foundation’s influential Flexner centenary strongly recommended adopting CBE and made the claim that ‘‘Adoption of OBE [outcome-based or competency-based education] would better equip medical graduates to respond effectively in complex situations and efficiently continue to expand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requisite competencies.’’6,7


Harden8(p666)은 OBE/CBE에 대한 여러 가지 이점을 설명합니다.

Harden8(p666) ascribes a number of advantages to OBE/ CBE:


OBE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 커리큘럼 계획을 위한 정교한 전략입니다. 이해관계자를 engage시키는 직관적인 접근입니다. 그것은 학생 중심의 접근을 장려하며 동시에 더 나은 책임감과 퀄리티 보증을 위한 경향을 서포트한다. 그것은 무시될지도 모르는 교육과정의 분야를 강조한다. 예를 들면 윤리나 태도...

OBE is a sophisticated strategy for curriculum planning that offers a number of advantages. It is an intuitive approach that engages the range of stakeholders . . . it encourages a student-centred approach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trend for greater accountability and quality assurance . . . [it] highlights areas in the curriculum which may be neglected . . . such as ethics and attitudes . . ..


유감스럽게도, 이 선언들은 증거보다는 믿음의 문제로 보인다.

Regrettably, these declarations appear to be more a matter of faith than of evidence.


CBE의 주된 목적은 투명성입니. 투명성 덕분에 전문직과 대중은 훈련 프로그램이 실습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유능한 의사들을 배출한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이 전제를 반박하기는 어렵다; 문제는 CBME의 제안된 메커니즘이 약속을 이행할 수 있느냐이다.

The primary intent of CBE is, we believe, transparency, so that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can be confident that a training program is producing competent physicians who ar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for practice. It is hard to challenge that premise; the issue is whether the proposed mechanisms can deliver on the promise.


3가지 수준의 잠재적인 문제: 개념적, 심리학적, 그리고 로지스틱적.

potential problems at 3 levels: conceptual, psychometric, and logistic.




개념적 문제

Conceptual Problems


CBE의 한 가지 이점은 역량이 (적어도 표면상으로는) 단순함의 미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수가 (적어도 최상위 수준에서는) 적다. CanMEDS는 8가지 역할을 나열하고, ACGME는 6가지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Scottish 닥터는 7가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 놀랍게도, 많은 specifications들 사이에 중복되는 부분이 거의 없는 것 같다.9

One purported advantage of CBE is that the competencies appear, on the surface, to have the virtue of simplicity. They are generally few in number, at least at the top level. CanMEDS lists 8 roles, ACGME has 6 competencies, and the Scottish Doctor lists 7. Remarkably, there appears to be little overlap among many of the specifications.9


비록 역할의 경제economy of roles가 CBE를 그것의 역사적 선조라 할 수 있는 행동 목표와 CBE를 차별화하는 하나의 특징으로 홍보되지만, 이 간결함은 각 역할 또는 역량에 대한 하위 역량에서 빠르게 상실된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의 닥터는 12개 역량의 86개의 하위역량을 열거한다.

although an economy of roles is touted as 1 feature that sets CBE apart from its historical predecessor, behavioral objectives, this parsimony is rapidly lost in the further, more detailed specification of each role or competency. For example, the Scottish Doctor lists 86 subcompetencies under 12 competencies.


(역량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역량이 행동 목표와 다소 다르다는 주장은 유지되기가 어렵다. 실제로, Morcke와 동료들은 1970년대의 행동 목표 운동과 결과나 역량에 대한 현재의 관심 사이의 직접적인 경계를 설명했다. 행동 목표와 역량 사이의 유사성에 비추어 볼 때, 행동 목표의 궁극적인 종말을 초래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 분명한 교육 이점의 증거 부족 

  • 목표를 지정하고 교육 및 평가 접근방식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많은 노력 

  • 저수준 목표의 득세

The argument that competencies are somehow different from behavioral objectives is difficult to maintain in the face of this proliferation of competencies. Indeed, Morcke and colleagues7 described a direct lineage between the behavioral objectives movement of the 1970s and current interest in outcomes or competencies. In view of the similarity between behavioral objectives and competencies, one should consider the factors that led to the ultimate demise of behavioral objectives: lack of evidence of clear educational benefits, the effort required to specify objectives and then implement educational and assessment approaches, and the dominance of low-level objectives.


게다가 행동주의에 대한 상세한 비판 중 일부는 CBE에 대한 도전에서 이미 다시 논의되고 있다. 특히, Harden이 논의한 바와 같이, CBE의 장점은 (시험에 합격함으로써 증명되는 지식의 단순한 숙달보다) 임상 능력의 특성에 대한 보다 전체적인holistic 관점을 장려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역량의 상세 규격specification 요건은 그러한 전체적인 관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Morcke 등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인본주의, 이타주의, 전문성, scholarship과 같은 자질은 객관적이고 측정 가능한 용어로 정의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평가에서 짧게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Moreover, some of the detailed critiques of behaviorism have been revisited in challenges to CBE. In particular, as discussed by Harden,8 a purported advantage of CBE is that it encourages a more holistic view of the nature of clinical competence than simple mastery of a body of knowledge evidenced by passing an examination. However, paradoxically, the requirement for detailed specification of competencies may mitigate against such a holistic view, as pointed out by Morcke et al,7 since qualities, such as humanism, altruism, professionalism, and scholarship, are difficult to define in objective, measurable terms, and thus may receive short shrift in assessment.



심리측정적 측면

Psychometric Considerations


비록 역량의 긴 목록은 CBE가 행동 목적과 구별될 수 있다는 개념에 부합하지만, 두 가지 접근법은 측정 수준에서 다르다. 행동주의 연구 의제와 일관되게 행동 목표 달성은 2진법으로 여겨졌다.

Although the long lists of competencies belie the notion that CBE is distinguishable from behavioral objectives, the 2 approaches do diverge at the level of measurement. Consistent with the behaviorist research agenda, achievement of behavioral objectives was viewed as binary.


아마도 적절하게 CBE 운동은 역량 성취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관점을 취해왔다. 아무리 역량이 원자적이라 하더라도(다음 절에서 우리가 복귀하는 지점) 달성도를 단계적 함수로 기술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인식이 있다. 어린이들은 어느 날까지 기어가다가 갑자기 다음 날 걷지 않습니다: 걷는 것은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일어나는 점진적인 숙달 과정입니다.

Perhaps appropriately, the CBE movement has taken a more realistic perspective on the achievement of competencies. There is recognition that, however atomistic a competency is specified (a point we return to in the next section), describing its achievement as a step function is unrealistic. A child does not crawl one day and walk the next: Walking is a gradual process of mastery that occurs over weeks or months.


능력의 점진적인 취득에 대한 개념은 비선형 성장 곡선으로 표현되어 왔다. 여기서 능력의 성장은 처음에는 빠르지만, 그 다음에는 감속된다.15

This notion of the gradual acquisition of competence has been represented as a nonlinear growth curve, where growth of competence is initially rapid, but then decelerates (FIGURE 1).15



간단한 운동 능력simple motor skill이 그러한 곡선들과 유사한 동력 법칙을 따른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곡선은 단순한 반복 작업(한 스터디에서 시가 롤링)과 단일 세션에서만 파생됩니다.

There is some evidence t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imple motor skills do follow a power law that resembles those curves. However, such curves are derived from a simple repetitive task (in one study, cigar-rolling) and a single session.


그러나 전체 세션에서 단조로움monotonic 성장이 있습니다(FIGURE 2).16 특정한 능력 수준(Y축의 한 점)이 달성되고 "달성되지 않음"이 있을 수 있으며, 역량이 달성되는 경우 여러 점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but there is monotonic growth across sessions (FIGURE 2).16 The implication is that a particular level of competence—a point on the y-axis—can be achieved and ‘‘unachieved,’’ and there may be multiple points where competence is achieved.




또한, 이러한 곡선이 레지던트 환경에서 특정 역량의 성장에 대한 더 유효한 표현일 수 있지만, "..."...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형태의 학습 곡선이 발견될 수 있고 발견되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Further, although these curves may be a more valid representation of the growth in specific competencies in the residency setting,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 . . . learning curves of almost every conceivable shape can and have been found.’’16


매 4개월마다 맥마스터 학부생에게 시행되는 180개 항목, 객관식 테스트(그림 3). 이러한 테스트의 연속적인 관리로부터의 성장 곡선은 이정표에 대해 가정된 것과 유사하다(FIGURE 1).

 the 180-item, multiple-choice test administered to McMaster undergraduates every 4 months (FIGURE 3). The growth curve from the successive administration of those tests is similar to those postulated for Milestones (FIGURE 1).


이러한 사례로부터 보자면, ACGME 역량 획득의 상세한 사양은 (특정 시점에 독립적인 관찰과 일치하는 수준의 달성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도까지 하려면) 비현실적인 샘플이 요구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It is apparent from these examples that detailed specification of the acquisition of any ACGME competency, to the point that it can be identified with the attainment of a level consistent with independent practice,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will require an unrealistic sample of observations.


마찬가지로 CanMEDS 역할에 기반한 글로벌 등급 평가는 요인 분석에서 5개의 요인을 산출했지만 전체 내부 일관성 0.97을 가지며 척도 간의 차이가 없음을 보여 주었다.

Similarly, an evaluation of a global rating based on the CanMEDS roles,17 although it yielded 5 factors in a factor analysis, had an overall internal consistency of 0.97, again showing a lack of discrimination between scales.


이것은, 역량이 너무 광범위해서 차별화discrimination하지 못하는 것은 단순히 평가자가 용어의 의미를 적절하게 정의하고 내재화하지 못하는 능력의 반영일 수 있다. 그것은 마치 "유럽 지리를 얼마나 잘 아는가?"와 "다음 서유럽 국가들의 수도는 어디인가?"와 같은 질문의 차이와 유사하다. 따라서 전반적인 평가 개선은 보다 상세한 수준의 관찰에서야 발생할 수 있다.

It may be that these competencies are so broad that the lack of discrimination simply reflects the inability of assessors to adequately define and internalize the meaning of the terms. It may be likened to the difference between a question like ‘‘How well do you know European geography?’’ and ‘‘What are the capitals of the following western European countries?’’ It is possible then, that improved overall assessment may result from observations at a more detailed level.


한 편으로는,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문서화가 가능하도록 역량의 상세히 규격하는 것은 레지던트 당 압도적 수의 평가를 초래한다. 그러나 반대로, 여러 역량을 함께 묶는 것은 정확하고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주지 못하게 만들고, 역량을 달성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의문을 갖게 한다. 더욱이, 평가자들은 심지어 global 수준에서도 개인의 능력을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며, 최소한의 신뢰도 달성하려면 많은 관찰이 필요하다.

On the one hand, detailed specification of competencies so that relatively objective documentation can be obtained results in an overwhelming number of assessments per resident. On the other hand, lumping competencies together precludes accurate and helpful feedback and leads to questioning precisely what it means to achieve competence. Moreover, it appears that judges cannot discriminate individual competencies even at this global level of specification, and many observations are needed to achieve even minimal levels of reliability.


광범위한 수준에서 합리적인 총괄 평가는 가능하지만, 그러한 형성평가를 위해서는 반드시 보다 상세한 수준의 관찰에 기초해야 한다.

reasonable summative assessment is possible at a broad level, but that formative assessment must necessarily be based on observations at a more detailed level.




로지스틱 문제

Logistic Problems


역량 기반 교육은 모든 숙달학습이 갖는 로지스틱 문제와 그 이상의 물류 문제를 추가로 안고 있다. 일부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보다 더 빨리 능력을 획득할 수 있거나, 더 정확히 말하면, 어떤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보다 더 빨리 어떤 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매력적일 수 있다. 일정 수준의 개별화는 가능할지도 모른다. 한 레지던트가 특정 절차procedure에 대해 조기에 "완수"한 후 다른 절차procedure에 시간을 투자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시점에서 특정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교수진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게다가, 다양한 훈련 시간을 갖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all the logistical problems of mastery learning and many more. However attractive it may be to presume that some learners may attain competency more quickly than others or, more precisely, that some learners may achieve some competencies more quickly than others do . Some individualization may be possible; one resident may ‘‘sign off’’ on a particular procedure early and then redirect time to a different procedure. However, it is not practical to have faculty available to assess particular competencies at any point in time. Moreover, it is simply not practical to have variable training times.


레지던트의 계약은 특정 기간(일반적으로 1년)으로 이뤄지며, 레지던트가 프로그램을 조기에 또는 나중에 종료하도록 허용하는 계약을 작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현재 교육기관들은 개인화된 훈련 기간을 가진 레지던트를 기준으로 일정과 예산을 계획할 수 없다. 현재 해당 연도 내에 역량을 획득하지 못한 소수의 레지던트에게는 교정조치를 위한 추가 시간이 x개월로 부여된다. 비록 이것이 레지던트 프로그램 계획을 방해하더라도, 그 수가 적을 때에는 감당할 수 있다. 현재로서는 각 레지던트의 수련 기간을 개인화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먼저 역량을 성취하여 레지던트가 졸업한다면 비용이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주장은 의심스럽다.

Contracts are given to residents for specific periods (usually a year), and it would be difficult to create a contract to allow residents to leave a program earlier or later. Currently, institutions cannot plan schedules and budgets based on residents having individualized lengths of training. Currently, those few residents who do not achieve competencies within that year are given x number of months additional time for remediation. That disrupts residency program schedules but is manageable because the numbers are small. At present, individualizing training periods for each resident is not feasible, thus the claims that Milestones can save money or time by possibly graduating residents earlier appear specious.


이 관점의 함축은 불안하다. 역량 기반 교육은 서로 다른 개인이 다른 시점에 서로 다른 영역에서 역량을 획득할 것을 약속한다. 그것이 교육 자원의 할당과 레지던트 수련시간의 "가상적"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지만, 그것은 GME의 현재의 현실과 양립할 수 없다.

The implication of this viewpoint is unsettl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mises that different individuals will achieve competency in different domains at different times. Although that may lead to hypothetical efficiencies in alloc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resident time, it is incompatible with the current realities of GME.



CBE를 위한 장점이 있습니까?

Is There Any Advantage for CBE?


지정된 역량에 대해 4가지 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1. 학생 또는 레지던트의 학습 유도

  • 2. 침상 및 진료소에서 레지던트와 학생에게 매일 피드백 제공

  • 3. 로테이션 종료 또는 프로그램 종료 시 합격/불합격 결정

  • 4. 라이선스 및 인증에 합격/불합격 결정


One can envision at least 4 distinct roles for specified competencies:

  • 1. Guiding learning for a student or resident

  • 2. Giving daily feedback to residents and students at the bedside and in clinic

  • 3. Making pass/fail decisions at the end of a rotation and the end of a program

  • 4. Making pass/fail decisions for licensure and certification


학습 유도

Guiding Learning


역량의 상세한 사양은 여러 수준에서 유용성을 가질 수 있다. 첫째, 각 레지던트가 최소한 모든 역량에 노출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계획에 사용할 수 있다.

A detailed specification of competency may have utility on a number of levels. First, it can be used in program planning to ensure that each resident is at least minimally exposed to every competency.


둘째, 그러한 설명은 현재처럼 진단 procedure와 같은 스킬 분야에서 의무적으로 요구되는 절차 수를 계산하기 보다는, 달성한 역량 정도를 측정하는 procedure log를 도입하여 특정 기술에 대해 쉽게 조작할 수 있다.

Second, such a description could also easily be operationalized for specific skills, such as diagnostic procedures, by introducing a procedure log that measures degrees of competence rather than counts the number of procedures, as is currently mandated in procedural specialties.



평가와 피드백

Assessment and Feedback


최소한, 특정 역량의 인증 요건은 지금껏 역사적으로 늘 부족했던 "레지던트 퍼포먼스의 관찰" 증가로 이어져야 한다. 모든 역량에 대해 충분한 수의 관찰을 "sign off"하는 것이 결코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지만, 관찰이 증가하는 것 자체로 이점이 있을 것이다.

At minimum, the requirement for certification of specific competencies must inevitably lead to increased observation of resident performance, an area that is historically underserved. Although it may never be feasible to conduct sufficient numbers of observations to ‘‘sign off’’ on all competencies, increased observation would bring its own benefits.


합격과 탈락 결정

Determining Pass and Fail in Programs


역량 프레임워크는 테스트 샘플링을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청사진을 제공한다. 다시, '모든' 역량을 '충분히' 관찰할 수 없다는 것은 충분히 인식하지만, 청사진은 훈련 중인 평가 및 시험 내용의 대표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프로그램이 전공의 수련의 목표의 달성을 인증할 수 있는 자신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mpetency framework provides a readily available blueprint for test sampling. Again, the impossibility of observing all competencies sufficiently is recognized, but the blueprint can provide increased confidence on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content of in-training assessments and examinations. In turn, that may increase the confidence with which programs can certify achievement of residency program objectives.


인증과 증명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마찬가지로 역량 프레임워크는 전문과목 학회가 검사 specification에 사용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blueprint입니다. CBE가 보드 시험을 대체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competency statement는 콘텐츠의 대표성(유효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레지던트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보드시험을 설계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출발점이다.

Similarly, the competency framework is a natural blueprint for specialty boards to use in examination specification. It is self-evident, that CBE is unlikely to replace board examinations. However, the competency statement is a natural starting point for design of board examinations, again directed at assurance of content representativeness (validity), and ultimately, improved assessment of resident performance.


인증 위원회가 인증 절차에 기초할 보다 체계적인 증거를 확보한다는 점도 장점이다.

A further advantage is that certifying boards will have more systematic evidence on which to base accreditation procedures.


역량 기반 교육은 가장 열성적인 지지자들이 주장하는 장점들을 결코 달성하지 못할 것이다. 교육 연구 한 세기는 교육적인 "만병통치약"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 시간 투입이 아니라) 역량 성취라는 포커스를 향한 변화는, 점진적이라도 입증 가능한 이익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administrative elephant를 만들지 않으면서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리소스를 전략적으로 재할당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may never achieve the many virtues attributed to it by its most enthusiastic proponents. A century of educational research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re are no educational ‘‘wonder drugs.’’ Nevertheless, the change of focus toward achievement of competency, rather than putting in time, is likely to have demonstrable, if incremental, benefits. The challenge is to reallocate resources strategically to maximize benefit while avoiding creating an administrative elephant.


7 Morcke AM, Dornan T, Elka B. Outcome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 exploration of its origins, theoretical basis and empirical eviden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3;18(4):851–863.








 2014 Mar;6(1):1-6. doi: 10.4300/JGME-D-13-00445.1.

Competency-based educationmilestones or millstones?


평가 프로그램 설계: 참여적 방법(Med Teach, 2017)

Designing programmes of assessment: A participatory approach 

Janica Jamiesona , Gemma Jenkinsa, Shelley Beattya and Claire Palermob

aSchool of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ith Cowan University, Perth, Australia; bDepartment of Nutrition and Dietetics, School of Clinical Sciences at Monash Health,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elbourne, Australia



도입

Introduction


작업 기반 환경에서 CBA의 복잡성이 존재한다. 어려움 중 일부는 특히 형성평가에서 의미 있는 피드백을 포착하는 것(Bindal et al. 2011; Bok et al. 2017)과 역량의 전체 모습을 잡아내기 위해서 개별 평가 항목을 통합하는 것을 포함한다(Bok).

there are complexities of CBA in a work-based setting. Some of the difficulties include capturing feedback that is meaningful, particularly in formative assessment (Bindal et al. 2011; Bok et al. 2013; Barrett et al. 2017), and aggregating individual assessment items to holistically capture competence (Bok et al. 2013).


평가 프로그램은 다음에 의해서 underpin되는 평가항목의 의도적 배열이다(Van der Veen 등).

  • 평가가 학습을 유도해야 한다는 것

  • 고부담 평가는 반드시 강건해야 한다는 인식

  • 타당도는 도구가 아니라 사용자에 달려있다는 것

A programme of assessment is a purposeful arrangement of assessment items underpinned by 

  • the need for assessment to drive learning, 

  • recognition that high stakes assessment must be robust, and 

  • that validity lies with the users rather than the instruments (Van der Vleuten et al. 2012).


프로그램적 접근방식(Dijkstra et al. 2012; Van der Vleuten et al. 2015)에 대한 합의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문헌은 개념적이고 실제 사례는 적다(Driessen et al.

While there is agreement on a programmatic approach (Dijkstra et al. 2012; Van der Vleuten et al. 2015), much of the literature is conceptual and real-life examples limited (Driessen et al. 2012; Bok et al. 2013; Van der Vleuten et al. 2015).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참여 작용 연구(PAR) 접근방식을 적용하고 평가하는 것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d evaluat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AR) approach to design a programme of assessment.


Methods


세팅

Setting



방법론

Methodology


PAR은 프로그램 평가 원칙에 따라 20주간의 배치 재설계를 위해 사용되었다. (Van der Vleuten et al. 2012; Dijkstra et al. 2012; Van der Vleiten et al. 2015) PAR는 연구원과 참여자 간의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활동 연구 주기를 이용하여 실천을 이해하고 개선하고자 한다(Baum et al. 2006; Reason and Bradbury 2008). 이러한 접근 방식을 이용하여, 취업 기반 평가관과 대학 교수로 구성된 실무 그룹이 설립되었다. 작업 기반 평가관은 배치 중에 감독 및 평가에 참여하는 주요 이해당사자로 확인되었으며, 모든 배치 위치에 대한 이메일 초대(n1⁄421)를 통해 모집되었습니다. 이러한 부가적인 표본 추출은 최종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작업 설정을 나타내었다. 

PAR was used to redesign the 20 week placement in accordance with programmatic assessment principles (Van der Vleuten et al. 2012; Dijkstra et al. 2012; Van der Vleuten et al. 2015). PAR seeks to understand and improve practices using the action research cycle by forming a partnership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Baum et al. 2006; Reason and Bradbury 2008). Using this approach, a working group composed of work-based assessors and university academics was established. Work-based assessors were identified as key stakeholders involved in supervision and assessment during placement and were recruited via an email invitation to all placement locations (n¼21). This purposive sampling ensured that a range of work settings were represented to strengthen the applicability of the final programme. 


다양한 표본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종이 기반 조사를 사용하여 인구통계 및 직업 특성을 수집했다. 9명의 직업기반 평가관은 관심을 표명했고 (ECU) 대학 교수인 두 명의 연구원(J. J. J. J.와 G. J.)과 함께 참여했으며, 이 직책에 대해 복잡한 이해를 갖고 있다. 연구원들은 영양사 평가에서 전문 지식을 가진 독립적인 학자와 함께 했다. 본 연구는 대학 윤리 승인(ECU)을 받았고 참가자들은 서면 정보를 통한 동의를 제공했다.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using a paper-based survey to describe the diverse sampling. Nine work-based assessors expressed interest and were joined by two researchers (J. J. and G. J.) who are (ECU) university staff and have an intricate understanding of the placement. The researchers were joined by an independent academic with expertise in assessment of dietitians (C. P.). The study received university ethics approval (ECU) and participants provided written informed consent.


평가 재설계

Redesigning assessment


이 연구는 8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6회의 일정이 잡혀 있었다. 이 회의는 평가에 대한 참가자의 전문지식을 높이고 20주간의 배치를 위한 새로운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참가자가 출석했다.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8 months with six meetings scheduled. The meetings focused on increasing participants’ expertise in assessment and developing a new assessment programme for the 20 week placement. Participant attendance was recorded.


첫 번째 회의에서 참가자들은 (J. J. J. J.와 G. J.)에 의해 제기된 질문에 응답하고, 개발하고, 촉진하였다. (표 2) 반응은 참가자들에 의해 손으로 쓰여졌고 말로 공유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수행되었으며, 연구자는 주요 토론 지점을 요약하고 문서화하여 회의 중에 토론 동기를 부여하고, 논의를 구조화하기 위해 작업 그룹에 전달했다. 각 문제에 대해 논의한 후, 연구원들은 의견 일치를 얻고 핵심 요점에 우선 순위를 매기기 위해 NGT을 사용했다. (존스와 헌터 1995). 각 참가자에게는 3표가 주어졌고 가장 중요한 토론 포인트를 제시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 합의 결과는 연구원들에 의해 수집되어 분석의 정확성을 검토하고 보장하기 위해 다음 회의에서 제시되었다.

In the first meeting,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s, developed, and facilitated by the researchers (J. J. and G. J.) (Table 2). Responses were hand-written by participants and shared verbally.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concurrently with data collection, whereby researchers summarized and documented key discussion points as they emerged, and relayed them to the working group during the meeting to motivate and structure discussion. Following discussion of each question, researchers used a nominal group technique to reach consensus and prioritize key points (Jones and Hunter 1995). Each participant was provided with three votes and asked to indicate the discussion points that were most important. The consensus findings were collated by researchers and presented in the following meeting to review and ensure accuracy of analysis.


3차 회의에 이어, 연구자들(J. J. J. J.와 G. J.)은 문헌에 의해 지도된 작업 그룹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평가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첫 번째 버전은 네 번째 회의 전에 참가자들에게 이메일로 전송되었다. 네 번째 회의에서 학습자 성과, 타당성 문제 및 가능한 해결책을 포착하는 능력을 포함하여 평가 프로그램을 비판하였다. 그 토론은 연구자들에 의해 요약되었고 프로그램을 더 수정하는데 사용되었다. 두 번째 버전은 다섯 번째 회의 전에 참가자들에게 이메일로 전송되었다. 

Following meeting three, the researchers (J. J. and G. J.) designed the assessment programme based on the working group priorities guided by the literature. The first version was emailed to participants prior to the fourth meeting. In meeting four the assessment programme was critiqued including the ability to capture learner performance, feasibility issues, and possible solutions. The discussion was summarized by the researchers and used to further modify the programme. The second version was emailed to participants prior to the fifth meeting. 


미팅 5는 구조화되지 않은 그룹 토론을 통해 평가 프로그램을 완료하는 데 전념했습니다. 그 프로그램을 5시에 추가로 수정했다. 4번과 5번의 미팅의 초점은 개별 평가 도구들의 '강점과 약점을 재조정' (Dijkstra et al. 2010, 페이지 380) 및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보완하고 합성하는 방법'이었다. 평가 프로그램의 최종 버전은 6차 회의에서 작업 그룹의 승인을 받았다. 4시에서 6시까지는 음성으로 녹음되었다.

Meeting five was dedicated to finalizing the assessment programme through an unstructured group discussion. Further modifications to the programme were made following meeting five. The focus of meetings four and five were to ‘reconcil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Dijkstra et al. 2010, p. 380) of the individual assessment instruments and broader assessment programme and debate ‘how to complement and synthesise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Dijkstra et al. 2010, p. 380) within the programme. The final version of the assessment programme was approved by the working group in the sixth meeting. Meetings four to six were audio-recorded.



Evaluation of the PAR process


정성적 평가가 그 연구에 포함되었다. 특히 PAR 접근 방식이 새로운 평가 프로그램을 확립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와 이유를 평가하기 위해 6차 회의에서 60분 초점 그룹이 수행되었다.

A qualitative evaluation was embedded in the study. A 60min focus group was conducted in the sixth meeting to evaluate the working group process, in particular, how and why the PAR approach functioned to establish the new assessment programme.


결과 Results


Demographics and participation


Nine work-based assessors were recruited (Table 1).


평가 재설계

Redesigning assessment


    • 이전 평가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역량 개발보다는 격리된 기술 성과에 초점을 맞추었고, 

    • 평가자와 교사가 이해관계가 중복되었으며, 

    • 3가지 업무 기반 환경에서 평가 간의 연관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는 데 의견이 일치했습니다(표 2)

There was consensus that 

    • the previous assessment focused on isolated skill performance rather than broader competency development, 

    • dual roles of assessor and teacher created a conflict of interest, and 

    • there w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assessments across the three work-based settings (Table 2).




(ECU)의 영양학 석사를 위해 설계된 평가 프로그램은 그림 1에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The programme of assessment designed for the Master of Nutrition and Dietetics at (ECU) is visually represented in Figure 1.




PAR 절차 평가

Evaluation of the PAR process


7명의 참가자가 포커스 그룹 토론에 참여하여 프로그램 평가 설계에 대한 PAR 접근 방식을 평가했습니다. 세 가지 주제가 나타났습니다.

Seven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focus group discussion to evaluate the PAR approach to programmatic assessment design. Three themes emerged:


평가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공통의 비전

A shared vision for the design of the assessment programme


새로운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공유 비전은 공동 목표를 수립하면서 설계 우선순위에 대한 그룹의 설명과 문서화를 통해 달성되었다. 참가자들에게 현재의 비프로그램적 접근법에 대한 자신의 의견과 불만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 공유 목표와 그룹간 협력 관계가 촉진된다. 참가자는 물리적 위치와 청각에 관계없이 집단에 대한 일체감을 지속적으로 보고했다.

The shared vision for the new assessment programme was achieved through the groups’ articulation and documentation of priorities for the design, creating a common goal. Providing participants with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frustrations regarding the current non-programmatic approach facilitated shared goals and group collegiality. Participants consistently reported a sense of inclusion, regardless of physical location, and of being heard, which assisted in group unity.


참가자들은 식이요법 노동력을 구축하는 것에 관한 기존 경험과 개인적인 관심이 변화에 대한 준비 태세를 가지고 왔다고 보고했다. 이는 지속적인 참여의 주요 동기로 간주되었으며 평가 프로그램의 'buy-in'으로 이어졌다.

Participants reported bringing a readiness for change, born from previous experiences and personal interests in building the dietetic workforce. This was viewed as a key motivation for ongoing involvement and led to ‘buy-in’ of the assessment programme.


작업 환경, 평가 경험 및 지리적 위치에 걸친 작업 그룹의 다양성은 전체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룹을 강화시켰다. 참여자들은 평가에서 미래에 대한 공유된 비전이 평가 프로그램에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구축하도록 보장했음을 반영했다.

The diversity of the working group across work settings, assessment experience and geography, was seen as holistic and strengthened the group. Participants reflected that the shared vision for a way forward in assessment ensured that different perspectives were considered and built into the assessment programme.


평가 프로그램을 위해 참가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소유의식을 개발하는 동시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리더십

Leadership driving the project while empowering participants and developing their sense of ownership for the programme of assessment


참가자들은 연구자들을 프로젝트를 주도한 지도자로 보았다. 이것이 없었다면, 참가자들은 그들이 해제되었을 것이라고 느꼈다.

Participants viewed the researchers as leaders who drove the project. Without this, participants felt that they would have become disengaged.


이러한 모멘텀 감각은 연구자들의 실용주의와 더불어 프로젝트 목표의 공유 비전과 제공이 프로젝트 완료에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되었습니다. 참가자와 연구자의 의무와 책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핵심이었다. 참가자들은 그들의 업무량이 그들의 능력과 헌신에 적절했으며, 연구자들의 기대는 현실적이고 성취가능한 수준이었다. 업무량이 더 컸다면 부담스럽고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것이라는 합의가 있었다.

This sense of momentum, combined with the pragmatism of the researchers, the shared vision and delivery of project goals, were viewed as fundamental to project completion. Balancing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was key. Participants indicated their workload met their abilities and commitment, and the expectations of the researchers were realistic and achievable. Consensus was that greater workloads would have been burdensome and negatively affected involvement.


참가자들은 판단받을 우려없이 자신들의 의견과 불만을 표출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라고 판단했다. 이것은 참가자들이 유토피아적인 평가 모델을 탐구하고, 다른 관점을 가지며,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허락한 연구자들의 수용성에서 비롯되었다.

Participants identified the working group as a safe environment where they were encouraged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frustrations without concern of judgment. This was derived from the receptiveness of the researchers who granted participants permission to explore a utopian assessment model, different perspectives, and generate ideas.


조직화된 포커스 그룹은 다른 관점에서 비판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아이디어의 생성과 진화에 필수적이다. 참가자들은 온라인 설문 조사나 이메일이 동일한 깊이를 얻지 못할 것이며 평가 프로그램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이끌어내기보다는 연구원들이 제기한 가정에 의존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Structured focus groups were essential to the generation and evolution of ideas as they allowed for critiqu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Participants agreed that an online survey or email would not have gained the same depth and would have relied on assumptions made by the researchers, rather than allowing robust debates about the assessment programme.


새로운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논의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와 자신감을 갖는 것은 참가자들에게 만족감을 주었다. 이것은 소유의식을 초래했고 참가자들은 그들 자신의 작업 환경과 그 이상의 프로그램 옹호자로 자신들을 식별했다.

Feeling heard and having confidence that discussions would inform design of the new programme was satisfying to participants. This led to a sense of ownership and participants identified themselves as advocates for the programme within their own work settings and beyond.


참여자들은 자신이 프로그램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문 사용자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소유감은 업무 기반 학습에서 그들의 역할에 대한 신뢰와 검증, 평가에 대한 향상된 이해, 습득된 지식을 통한 권한 부여empowerment의 느낌에서 비롯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기회가 새로웠다고 말하며, 평가 프로그램에 의해 보상을 받고, 자신의 우려를 표명하며, 소유감을 느꼈다고 생각했다.

Participants perceived themselves to be expert users, playing a key role in the programme implementation. This sense of ownership originated from confidence and validation of their role in work-based learning,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assessment and a feeling of empowerment through knowledge gained. Participants reflected that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opinions were new which rewarded by the assessment programme, addressed their concerns and for which they felt a sense of ownership.




참가자들이 평가를 보는 관점에 철학적인 변화가 일어났고, 이는 평가프로그램의 도입을 서포트하였다.

A philosophical shift occurred in the views of participants towards assessment,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me of assessment



참가자들은 업무 기반 학습 환경에서 평가에 대한 태도와 실천에 대한 성찰 과정을 거쳤다고 보고했다. 그들이 얻은 지식은 그들의 생각에 도전했고, 그들의 평가 관행에 비판적이고 의문을 갖는 접근법을 채택하게 되었다. 참가자들은 평가에 대한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 이해도가 향상되고, 깊이와 명확성을 확보했으며, 이것이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일부 참여자들은 실무그룹에서의 행동을 변화함으로써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했다.

Participants reported undergoing a process of reflection regarding attitudes and practices towards assessment in the work-based learning setting. The knowledge they gained challenged their thinking, leading to the adoption of a critical and questioning approach to their own assessment practices. Participants reported an improved understanding for their role within assessment, gaining depth and clarity, and considered that this would result in positive learner experiences. Empowered by this knowledge, som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modified their supervision practices during the working group with positive outcomes.


참가자들은 과정과 성취감에 대한 흥분감을 보고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것은 그들의 직무의 강화와 재창조에서 유래한 것이고,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영양학자로서 재인증을 한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여행, 작업 부하, 개인적 요구 등으로 인해 회의에 참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음을 인정했습니다. 그들은 그 모임에 참여하면 engaged함을 느끼고 흥분했다고 보고했다.

Participants reported excitement regarding the process and a sense of achievement. For some, this derived from an enrichment and reinvigoration of their work role, while others spoke of re-identifying as a dietitian. Participants acknowledged the challenges in attending meetings, such as travel, workloads and personal demands. They reported that once at the meetings they felt engaged and excited.


고찰

Discussion


세 가지 주요 발견: 

  • (i) 평가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데 리더십이 중요했다. 

  • (ii) 참가자는 프로그램의 소유권과 지지를 초래하는 설계 프로세스에 초기에 의미 있는 참여를 통해 empowered받았다. 

  • (iii) 설계 프로세스는 평가에 대한 참가자의 관점에 철학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three key discoveries: 

  • (i) leadership was important to drive the programme of assessment; 

  • (ii) participants were empowered by early and meaningful involvement in the design process resulting in ownership and advocacy of the programme; and 

  • (iii) the design process resulted in a philosophical shift in participants’ views towards assessment.


PAR 접근법의 사용은 평가 관행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와 참여자 사이의 협력을 촉진하였다. 연구자와 실무자 간의 직접 연결은 증거 기반 실천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서포트할 수 있다(Nutley et al. 2007; Shard and Sharples 2016).

The use of a PAR approach fostered a partnership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to understand and improve assessment practices. Direct connec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an more effectively support evidence-based changes to practice (Nutley et al. 2007; Sheard and Sharples 2016).


모든 당사자를 평등하게 보고 가치 있는 기여를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해관계자의 전문 경험과 전문 지식을 인식하는 것이 전문적 담화와 참여를 강화하는 데 핵심이다(Shard and Sharples 2016). 평가 재설계 과정에 참여자와 협력하여, 연구원들은 그들의 경험과 전문지식을 인정하고 육성했으며, 참여자들은 그들의 아이디어가 평가 재설계에 정보를 줄 것이라고 확신하고 새로운 평가 프로그램을 옹호advocate할 수 있게 empower 되었다.

Recognition of professional experience and expertise of stakeholders, including viewing all parties as equal and having a worthwhile contribution, is key in enhancing professional discourse and engagement (Sheard and Sharples 2016). By partnering with participants in the assessment redesign process, researchers acknowledged and fostered their experience and expertise, Participants felt heard and confident that their ideas would inform assessment redesign and as such became empowered to advocate for the new assessment programme.


변화할 수 있는 context를 제공하는 것은 [전문적인 대화와 이해당사자들과의 참여를 촉진]하고 [교육 변화의 성공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이다(Deneneen and Boud 2014). 연구과정 초기에, 참가자들은 저자들에 의해 모범 사례 평가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현재의 비프로그래밍 접근법의 강점과 한계를 탐구하도록 장려되었다.

Providing context to a change is a critical element to promote professional dialogue and engagement with stakeholders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educational change (Deneen and Boud 2014). Early in the research process, participants were informed about best-practice assessment by the authors and encouraged to explor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non-programmatic approach.


이 주제에 대한 연구자들의 깊은 이해와 참가자들과의 기존의 관계는 '인사이더'라는 용어를 낳았는데, 이것은 참가자들이 지도자로 진화하는 것에 기인했을 수 있다(Sike and Potts 2008. 2008). 그러한 지위가 유익할 수 있지만, 이러한 위치에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신의 의제, 인식, 가정을 연구에 투영하는 위험을 낳게 된다. 이는 편향을 발생시키고, PAR 접근 방식의 신뢰성과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Berger 2015). 연구원들이 연구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의식적으로 인식하려면 정성적 연구에서의 반사적 위치가 필요하다(Berger 2015; Enosh, Ben-Ari 2016).

The researchers’ deep understanding of the topic and pre-existing relationships with participants positioned them as ‘insiders’, which may have attributed to their evolution as leaders (Sikes and Potts 2008). While such status can be beneficial, being incognizant to this position risks the projection of ones’ own agenda, perceptions, and assumptions onto the research. This can result in bias, affecting the credibility and compromising the PAR approach (Berger 2015). Reflexive positioning within qualitative research is necessary to bring a deliberate awareness to the impact of the researchers on the research process and outcomes (Berger 2015; Enosh and Ben-Ari 2016).



이것은 다음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 (i) 지속적인 성찰적 논의에 참여하는 연구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의제에 경각심을 가지고, 자신의 생각을 작업 그룹의 생각과 분리한다. 

  • (ii) 포커스 그룹을 사용하여 참가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연구원을 촉진자로 배치한다. 

  • (iii) 평가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동안 우선순위가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작업 그룹의 피드백을 구한다. 

  • (iv) 두 명의 저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주제 분석을 수행한다. 이 중 한 명은 대학 외부 사람이었다.

This was addressed by 

  • (i) the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ongoing reflective discussions to remain alert to their personal agendas and separate their ideas from that of the working group; 

  • (ii) using focus groups to center the research on the participants’ perspectives and position the researchers as facilitators; 

  • (iii) seeking feedback from the working group during the design of the assessment programme to ensure it reflected their priorities; and 

  • (iv) thematic analysis independently undertaken by two authors, one of which (C. P.) was external to the university under study.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eeks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world by changing it. At its heart is collective, self-reflective inquiry that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undertake,so they can understand and improve upon the practices in which they participate and the situation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Baum et al. 2006).

참여 행동 연구: 세상을 변화시켜 이해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합니다. 그 중심에는 연구자와 참여자가 수행하는 집단적이고 자기반복적인 조사가 있으며, 따라서 그들은 그들이 참여하는 관행과 그들이 그들 자신을 발견하는 상황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다. (Baum et al. 2006)








 2017 Nov;39(11):1182-1188. doi: 10.1080/0142159X.2017.1355447. Epub 2017 Aug 4.

Designing programmes of assessment: A participatory approach.

Author information

1
a School of Medical and Health Sciences , Edith Cowan University , Perth , Australia.
2
b Department of Nutrition and Dietetics, School of Clinical Sciences at Monash Health, Faculty of Medicine , Nursing and Health Sciences , Melbourne , Australia.

Abstract

Programmatic approaches to assessment provide purposeful and meaningful assessment yet few examples of their development exis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a programme of assessment using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AR) approach. Nine work-based assessors together with three academics met on six occasions to explore the current approach to competency-based assessment in the placement component of a dietetics university course, the findings of which were used to design a programme of assessment. Findings revealed disconnect between current assessment approaches and best practice. The PAR methodology fostered a shared vision for the design of a programmatic approach to assessment and strong leadership was essential. Participants experienced a philosophical shift in their views towards assessment,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a new assessment programme. This paper is the first to describe a PAR approach as a feasible and effective way forward in the design of programmatic assessment. The approach engaged stakeholders to strengthen their abilities as work-based assessors and produced champions for best practice assessment.

PMID:
 
28776435
 
DOI:
 
10.1080/0142159X.2017.1355447


새로운 커크패트릭 모델은 평가를 위한 더 나은 망치인가? (Med Teach, 2017)

Has the new Kirkpatrick generation built a better hammer for our evaluation toolbox?

Katherine A. Moreaua,b,c

a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bCentre for Research on Educational and Community Services,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c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Research Institute, Ottawa, Canada




도입

Introduction


프로그램 평가 문헌에는 수많은 평가 모델이 있지만(Frye & Hemmer 2012; Stufflebeam2001), 커크패트릭의 원래 4단계 평가 프로그램(반응, 학습, 행동, 결과)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비판의 대상이다. Frye와 Hemmer(2012년)는 Kirkpatrick의 원래 모델이 왜 교육적 프로그램이 작용하는지, 그 자체로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파커(2013년)는 우리가 Kirkpatrick(더 나은 해머 제작)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우리의 사고방식과 그에 따른 우리의 '툴박스'가 얼마나 복잡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확장된다."(p. 440). 

While there are numerous evaluation models within the program evaluation literature (Frye & Hemmer 2012; Stufflebeam2001), Kirkpatrick’s original four-level (reaction, learning,behavior, results) outcome-focused model is widely usedto eval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Nevertheless, it is subject to criticism. Acknowledging its shortcomings,Frye and Hemmer (2012) note that Kirkpatrick’s original model, on its own, fails to show why educational pro-grams work. Likewise, Parker (2013) argues that we need“improve to our use of Kirkpatrick (build better hammers) … [as well as] expand our thinking, and thus our ‘toolbox’, to understand how complex programmes work …” (p. 440). 



비판 1: Kirkpatrick은 레벨 3(Behavior) 및 레벨 4(Results)를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줍니다. 

Criticism 1: Kirkpatrick makes evaluating Levels 3(Behavior) and 4 (Results) challenging 


Kirkpatrick의 원래 모델의 사용에 대한 검토 결과, 의학 분야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레벨 2(학습)에서 평가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Yardley & Dornan 2012).

Reviews on the use of Kirkpatrick’s original model reveal that most investigators in medical education cease evaluations at Level 2 (Learning) (Yardley & Dornan 2012).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NWKM은 비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또는 역방향으로(즉, 레벨 4~1)(Kerkpatrick & Kirkpatrick 2016) 수준을 평가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Kirkpatrick과 Kirkpatrick(2016)은 모든 프로그램에 "전체 평가 패키지"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합니다(페이지 22). 그들은 프로그램 이해당사자들과 협력하여 가장 중요하고 유용하며 가치 있는 수준을 결정한 다음 이러한 수준만 평가할 것을 권고한다. 

As a potential solution the NWKM suggests evaluating the levels non-sequentially, concurrently, or in reverse (i.e. Levels 4 to 1)(Kirkpatrick & Kirkpatrick 2016). In addition,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16) note that not all programs require the“full evaluation package” (p. 22). They recommend collaborating with program stakeholders to determine the levels that are most important, useful, and evaluable and then only evaluating these levels. 


Kirkpatrick의 원래 모델에 대한 비판자들은 또한 일부 조사자들이 레벨 3과 레벨 4를 평가하기에 너무 어렵다고 느낀다는 것을 지적한다.

The critics of Kirkpatrick’s original model also note that some investigators find Levels 3 and 4 too hard to evaluate(Yardley & Dornan 2012).


Kirkpatrick과 Kirkpatrick(2016)은 이러한 어려움이 종종 프로그램 계획 중에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 사후에 고려되기 때문이거나, 레벨 3과 레벨 4의 식별된 결과가 프로그램과 무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곤경을 피하기 위해, Kirkpatrick과 Kirkpatrick(2016)은 프로그램 계획 중에 프로그램 이해당사자들과 협력하여 행동과 결과 지향적 결과를 파악하고, 그들을 위한 지표들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자체에 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16)imply that this difficulty is often because the evaluation is an afterthought rather than something considered during program planning, or because the identified outcomes for Levels 3 and 4 are irrelevant to the program and its stakeholders. In order to avoid this quandary,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16) emphasize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behavior and results-oriented outcomes in collaboration with program stakeholders during program planning, develop indicators for them, and embed mechanisms for collecting the data into the program itself. 


그들은 또한 레벨 4가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의 목표나 수익bottom lines에 기여하는 것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추론한다. 따라서 환자성과가 꼭 레벨4의 초점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They also infer that Level 4 should focus on evaluating the contribution that educational programs make to organizations’ targeted goals or bottom lines (Kirkpatrick & Kirkpatrick 2016) and thus, patient outcomes do not need to be the foci of this level.


비판 2: 커크패트릭은 교란 변수를 무시한다.

Criticism 2: Kirkpatrick neglects confounding variables



NWKM은 학습자 특성과 조직 리소스 및 활동이 프로그램의 성공(또는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레벨 3(Behavior)에서 Kirkpatrick과 Kirkpatrick(2016)은 평가를 위해 다음을 추가하여 원래 모델을 확장했습니다.

The NWKM acknowledges the impact that learner characteristics as well as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activities have on the successes (or failures) of programs. For example, at Level 3 (Behavior),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16) expanded the original model by adding the following for evaluation:


1. 학습자가 학습한 지식/기술을 적용하도록 강화, 모니터링, 장려, 보상하는 프로세스

2. 정규 프로그램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학습자가 학습한 지식/기술의 적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이후에 제공되는 멘토]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위해 학습자를 준비하기 위해 조직이 하고 있는 작업 포함].(OTJ 학습)

3. 실천의 개선 또는 변경을 위한 학습자의 책임감과 동기 부여(OTJ 학습)

1. The processes that reinforce, monitor, encourage, and reward learners to apply the learned knowledge/skills (Required Drivers);

2. The learning that occurs outside the formal program, including what organizations are doing to prepare learners for programs as well as mentorship provided after programs to assist learners in applying learned knowledge/skills (On-the-Job Learning);

3. Learner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otivation to improve or change their practice (also under On-theJob Learning).


레벨 2(학습) 측면에서 Kirkpatrick 및 Kirkpatrick(2016)은 범위를 확장하여 학습자의 다음을 평가합니다.

In terms of Level 2 (Learning),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16) expanded the scope to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1. 학습한 지식/기술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자신감)

2. 지식/기술을 적용하려고 하는 정도(헌신)

1. Perceive that they will be able to actually apply the learned knowledge/skills (Confidence);

2. Intend to apply the knowledge/skills (Commitment). 


레벨 1(반응)의 경우, Kirkpatrick과 Kirkpatrick(2016)은 다음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추가했습니다.

Lastly, for Level 1 (Reaction),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16) added how evaluations should focus on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1. 학습 경험에 참여하고 기여하는 정도(참여).

2. 학습한 내용을 사용하거나 적용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한 기대(관련성).

1. Are engaged in and contribut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 (Engagement);

2. Expect to have opportunities to use or apply what they learned (Relevance).



비판3: 커크패트릭의 인과관계 사슬은 근거가 없다.

Criticism 3: Kirkpatrick’s causal chain is unfounded


Bates(2004)는 Kirkpatrick의 원래 모델에 포함된 인과관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가 제한적이라고 강조합니다. NWKM은 이러한 연결의 문제를 인식합니다. Kirkpatrick과 Kirkpatrick(2016)은 "수준이 인과관계 또는 순차적이지 않다" (p.36)와 학습자의 지식/기술 획득이 실제로 이를 적용하는 능력을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 수준을 어떤 순서로든 사용할 수 있다.

Bates (2004) highlights the limited evidence to support the causal chain embedded within Kirkpatrick’s original model. The NWKM recognizes the problems in these linkages.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16) discuss how “the levels are not causal or sequential” (p. 36) and that learners’ acquisition of knowledge/skill is not predictive of their abilities to apply it in practice. Therefore, we can use the levels in any order.


또한 NWKM은 인과관계망(2016년)보다는 근거의 사슬을 구축하고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증거사슬은 우리에게 모든 요소를 식별할 것을 요구하며, 주어진 성과에 변화를 가져왔다면, 프로그램 외부의 요인이라고 할지라도 적절한 credit을 줄 것을 요구한다. 

Additionally, the NWKM focuses on building and evaluating chains of evidence rather than causal chains (2016). These chains of evidence require us to identify and give appropriate credit to all factors, even those outside our programs, which bring about changes in the given outcomes (Mayne 2012).


전반적으로, NWKM은 Kirkpatrick의 원래 모델보다 반가운 발전이다.

Overall, the NWKM is a welcomed improvement from Kirkpatrick’s original model,


이전 모델보다 더욱 협력적이고 유연해 보입니다. 원래 모델과 비교하여, 그것은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맥락, 과정, 그리고 복잡성을 더 잘 수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컨텍스트-입력-프로세스-제품 (CIPP) 모델 (Stufflebeam 2004)을 포함한 다른 평가 모델과의 유사성을 증가시킨다.

it appears to be more collaborative and flexible than its predecessor.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model, it also seems to better embrace the context, process, and complexity of educational programs, which increases its similarity with other evaluation models including the context–input–process– product (CIPP) model (Stufflebeam 2004).



Kirkpatrick JD, Kirkpatrick WK. 2016. Kirkpatrick's four levels of training evaluation. Alexandria (VA): ATD Press. 





 2017 Sep;39(9):999-1001. doi: 10.1080/0142159X.2017.1337874. Epub 2017 Jun 26.

Has the new Kirkpatrick generation built a better hammer for our evaluation toolbox?

Moreau KA1,2,3.

Author information

1
a Faculty of Education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2
b Centre for Research on Educational and Community Services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3
c 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Research Institute , Ottawa , Canada.

Abstract

Although Kirkpatrick's original outcome-focused model is widely used to eval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it is subject to criticism. To combat this criticism and address the complexities of learning environments, the New World Kirkpatrick Model has emerged. This brief article describes key aspects of the New World Kirkpatrick Model for program evaluation. Specifically, it highlights three major criticisms of Kirkpatrick's original model and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is new model attempts to rebut them. By doing so, this article hopes to encourage medical teachers to try the New World Kirkpatrick Model in the evaluation of their complex educational programs and investigate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PMID:
 
28649887
 
DOI:
 
10.1080/0142159X.2017.1337874


CBME에 대한 논란과 논리(Med Teach, 2017)

A call to action: The controversy of and rationale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Eric S. Holmboea, Jonathan Sherbinob, Robert Englanderc, Linda Snelld,e and Jason R. Franke,f;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a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 USA; b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Canada; c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MN, USA; dCentre for Medical and Department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e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f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배경

Background


한 가지 방법만으로는 마리아의 진료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결함을 파악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것은 개별 의사, 의료팀, 의료 시스템의 수준에서의 여러 역량 영역을 가로지르고 있기 때문이다.

No single measure could capture all the deficiencies in Mary’s care, which cut across multiple competency domains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physician, the team and the system.


McGaghie 등은 1978 년에 정의 된 역량의 습득을 근간으로 하는 의학교육 접근법을 설명했습니다. "역량 기반 프로그램이 의도하는 결과는 지역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역의 조건에 따라, 정의 된 수준의 숙련도로 의학을 실천할 수있는 건강 전문가입니다." 대략 10 년 후,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 발생한 의사의 파업은 환자가 의사에게 기대해야 할 사항에 대한 공개적인 대화를 촉진 하게 되었고(Neufeld et al., 1993, 1998), 이것은 궁극적으로 왕립 및 외과 의사에 의한 CanMEDS 역할의 첫 번째 iteration으로 이어졌다 (Frank et al. 1996; Frank 2005).

In 1978, McGaghie et al. described a rationale for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founded on the acquisition of defined competencies. “The intended output of a competency-based program,” they wrote, “is a health professional who can practice medicine at a defined level of proficiency, in accord with local conditions, to meet local needs” (McGaghie et al. 1978, p. 18). Roughly 10 years later, a doctor’s strike in Ontario, Canada, would catalyze a public conversation about what patients should expect from their physicians (Neufeld et al. 1993, 1998). This ultimately led to the first iteration of the CanMEDS Roles by the Royal and Surgeons 1996 College of Physicians of Canada in (Frank et al. 1996; Frank 2005).


비슷한 요구와 문제를 인식한,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위원회, 미국 의학 전문위원회, 의학 연구소, 영국 종합 의학위원회, Royal Australasian 외과 전문 대학, 네덜란드 특약 대학, 다른 국가 전문 기관 등등도 역량 프레임 워크를 제작했습니다 (Batalden 외 2002, IOM 2003, Cate 2007, General Medical Council 2013, RACS 2015).

Recognizing similar needs and issues, the Accreditation Counci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the Institute of Medicine, the General Medical Council of the United Kingdom, the 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Surgeons, the Dutch College of Medical Specialties, and other national professional entities produced competency frameworks (Batalden et al. 2002; IOM 2003; ten Cate 2007; General Medical Council 2013; RACS 2015).


단독 진료의 시대는 저물고 있었다. 대신 팀 기반 치료 시대, 빠르게 진화하는 의료행위, 질적 개혁과 환자 중심주의가 실현되었습니다. 실천과 교육 사이의 어마어마한 격차는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학부, 대학원 및 CME의 개혁이 시급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에 대한 추진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윌리엄 오슬러 (William Osler)가 비록 오늘날의 의료 시스템은 이해못해도 슬프게도 여전히 오늘날의 의학교육 시스템 (Sherbino & Frank 2014)을 이해할 것이라는 데에 동의합니다.

The era of solo practice was waning; the era of team-based care, rapidly evolving practices, quality reforms and patient-centeredness had arrived.  The substantial gap between practice and education resulted in the realization among policy-makers worldwide that reforms in undergraduate, 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were urgently needed. Despite this impetus for reform, many would agree that while William Osler would not recognize the health care system of today, he would, sadly, still recogniz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Sherbino & Frank 2014).


역사가들은 훗날 지난 5 년을 변혁적이라 여길 것이다. 

  • 2010 년에는 캐나다의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에서 소집 된 의학 교육자 및 리더 그룹 인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가 의학교육의 연속체에 걸친 CBME 구현의 역사, 개념 및 과제에 대한 일련의 기사를 제작했습니다. (Campbell et al., 2010; Frank et al. 2010a, 2010b; Harris et al., Holmboe et al. 2010, Iobst et al. 2010).

  • 같은 해에 다른 국제 그룹은 CBME의 원칙에 근거하여 의학 교육의 혁신을 가속화 할 필요성에 대한 Lancet의 입장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Frenk 외. 2010).

  • 한편, Flexner 보고서 (Flexner 1910) 제정 100 주년을 맞이하여 Carnegie Foundation은 CBME의 주요 원칙과 목표를 수용 한 의학 교육 권장 사항을 발표했습니다 (Cooke 외 2010).

  • 몇 년 후 Ludmerer의 Let Me Heal (2015)은 변화를 촉구했습니다.

  • 2010 년 이래로 여러 의료 교육 시스템이 전국 규모의 의학 교육 연속체에 걸쳐 광범위한 CBME 기반 변경을 채택하고 구현했습니다 (Nasca et al. 2012; Frank et al. 2015).

Historians may look back at the last 5 years as transformative. 

  • In 2010,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a group of medical educators and leaders convened b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produced a series of articles on the history, concepts, and challenges to the implementation of CBME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training (Campbell et al. 2010; Frank et al. 2010a, 2010b; Harris et al. 2010; Holmboe et al. 2010; Iobst et al. 2010). 

  • In the same year, another international group published a position paper in the Lancet on the need to accelerate trans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grounded in the principles of CBME (Frenk et al. 2010); 

  • meanwhile,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lexner report (Flexner 1910), the Carnegie Foundation released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ion that embraced many of the key principles and goals of CBME (Cooke et al. 2010). 

  • A few years later, Ludmerer’s Let Me Heal (2015) further codified calls for change. 

  • Since 2010, several medical education systems have adopted and implemented sweeping CBME based change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on a national scale (Nasca et al. 2012; Frank et al. 2015).

본질적으로 철학과 교육 전략으로서 CBME는 광범위한 구현 단계에 도달했습니다.
In essence, CBME as a philosophy and educational strategy has reached the stage of widespread implementation.

그러나 CBME 개혁의 추진력이 커지면서 이에 대한 비판도 커지고있다.

However, as the momentum of the CBME reforms has increased, so have criticisms of the movement.


CBME를 구현하기위한 초기 노력의 핵심 교훈은 CBME가 균질하거나 정적 인 이데올로기가 아니 어서는 안된다는 사실입니다. 오히려 더 효과적인 의학 교육을 통해 모든 사람들을위한 더 나은 건강 및 헬스케어 달성이라는 주요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해야하는 원칙 및 접근법의 결합체입니다.

The core lesson from early efforts to implement CBME is the realization that it is not, and should not be, a uniform or static ideology. Rather, it is an amalgam of principles and approaches that must constantly evolve to meet a primary aim: to achieve better health and health care for all through more effective medical education.


CBME란 무엇인가?

What is meant by “CBME”?


CBME는 건강 관리 전문가가 serve하는 인구집단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의료 전문가의 명시적인 발달 진행을 설계하는 철학과 접근 방식입니다. 기본 특성 (표 1 참조)은 (임상 회전과 같은 경험에 대한 노출에만 기반한 시간 기반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니즈에 기반한 졸업성과, authenticity, 학습자 중심성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강조점이 옮겨졌습니다 (Frank et al., 2010b, Carraccio et al., 2016).

CBME is an approach to and philosophy of designing the explicit developmental progress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meet the needs of those they serve. Among its fundamental characteristics (see Table 1) is a shift in emphasis away from time-based programs based solely on exposure to experiences such as clinical rotations in favor of an emphasis on needs-based graduate outcomes, authenticity, and learner-centeredness (Frank et al. 2010b; Carraccio et al. 2016).


CBME의 기본 특징

Table 1.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1. 사전 정의 된 원하는 역량을 달성하는 형태의 졸업성과는 CBME 이니셔티브의 목표입니다. 이들은 졸업생들이 자신의 커리어의 다음 단계에서 플레이 할 역할에 맞춰져 있습니다.

2.이 사전 정의 된 역량은 환자, 학습자, 기관의 요구에서 파생되며 일관된 가이드 프레임 워크 (예 : CanMEDS 2015, ACGME 임상 역량)로 구성됩니다.

3. 시간은 역량 발달의 기초가 아니라 학습을 위한 자원입니다 (예를 들어, 와드에서 보낸 시간은 성취의 지표가 아닙니다).

4. 교육 및 학습 경험의 순서는 [단계별로 명시적으로 정의된 능력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도록 정해진다.

5. 학습은 각 학습자의 진행 과정에 맞게 조정됩니다.

6. 수많은 직접적인 관찰과 집중된 피드백은 학습자의 전문성 개발에 기여합니다.

7. 평가는 계획적이고 체계적이며 체계적이고 통합적이다.


1. Graduate outcomes in the form of achievement of predefined desired competencies are the goals of CBME initiatives. These are aligned with the roles graduates will play in the next stage of their careers.

2. These predefined competencies are derived from the needs of patients, learners, and institutions and are organized into a coherent guiding framework (e.g. CanMEDS 2015, ACGME Clinical Competencies).

3. Time is a resource for learning, not the basis of progression of competence (e.g. time spent on a ward is not the marker of achievement).

4.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re sequenced to facilitate an explicitly defined progression of ability in stages.

5. Learning is tailored in some manner to each learner’s progression. 

6. Numerous direct observations and focused feedback contribute to effective learner development of expertise.

7. Assessment is planned, systematic, systemic, and integrative. 


CBME에 대한 비판

Criticisms of CBME


표2

Table 2 outlines arguments for and against CBME.

  • concerns about reductionism; 

  • lack of evidence; 

  • impact on existing systems; 

  • implementation challenges; and 

  • philosophical or ideological concerns.



1. 환원주의에 대한 우려

1. Concerns about reductionism


CBME에 대한 불행한 오해 중 하나는 의학의 "예술"적 측면, 의미있는 직업적 정체성 형성,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역량 개발을 위한 여지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Grant 1999; Huddle & Heudebert 2007). 공통된 한계는 측정 가능한 모든 것이 의미있는 것은 아니며, 의미있는 모든 것이 측정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CBME를 의학 교육에 대한 체크리스트 또는 "틱-박스" 접근법이라고 비판하는 반면, 동시에 어떤 사람들은 역량 간의 의미있는 차이를 측정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Talbot 2004, Huddle & Heudebert 2007, Lurie 외 2009, Glass 2014).

One of the more unfortunate misconceptions about CBME is that it leaves little room for the “art” of medicine, for meaningful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complex, higher-level competencies (Grant 1999; Huddle & Heudebert 2007). A common refrain is that not all that is measurable is meaningful, and not all that is meaningful is measurable. Others have labeled CBME a checklist or “tick-box”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while others have argu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competencies cannot be measured (Talbot 2004; Huddle & Heudebert 2007; Lurie et al. 2009; Glass 2014).


실제로 CBME는 의사 역량에 대한 전체론적 접근 방식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능력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있는 요소로 분석parse합니다. 역량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종종 역량을 명확하게 의미있는 구성 요소로 분류해야합니다. 가완데 (Gawande)는 이러한 역량의 요소화가 전문가에게도 효과적인 피드백의 필수 요소라고 지적했다. "지난 20 년 간 토론을 통해 내가 지난 5 년 동안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고려하고 작업 할 수있었습니다."(Gawande 2011). 그가받은 수술의 결과를 향상시키는 "총체적"목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가 받은 피드백은 매우 구체적이고 세분화되어있었습니다 (환원주의적). Ericsson, Pusic 등의 연구도 마찬가지로 모든 학습자가 매우 세분화 된 피드백을 필요로한다는 아이디어를 지지한다(Ericsson 2007; Pusic et al. 2011; Cook et al.

In reality, CBME seeks to maintain a holistic approach to physician competence at the same time as it appropriately parses competence into elements that can be taught and assessed. To make sense of a competency, we often need to explicitly break it down into meaningful components. This is an essential element of effective feedback even for experts, As Gawande noted, “one twenty-minute discussion gave me more to consider and work on than I’d had in the past five years” (Gawande 2011). The feedback he received was highly specific and granular (reductionist), although it had the “holistic” goal of improving the outcomes of his surgeries. Work by Ericsson, Pusic and others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idea that highly granular feedback is needed by all learners (Ericsson 2007; Pusic et al. 2011; Cook et al. 2013).


동시에, CBME는 정보에 근거한 판단과 종합에 크게 의존합니다.

At the same time, CBME relies heavily on informed judgment and synthesis.


비록 사람마다 차이는 불가피하지만(즉, 모든 교수들은 특이성, 편견, 인지적 제한이 있다) 평가에서 허용되는 편차에도 일정정도의 경계는 존재해야 한다(Kogan et al., 2014; Gingerich 2015). 너무 오랫동안 의료 교육 시스템은 환자와 무제한의unfettered 변화를 좋은 것으로 보았다 (Kogan et al., 2014; Lau et al., 2015). 의학교육에는 홀리스즘과 환원주의는 자리가 모두 있다. 문제는 이러한 상호 연결된 철학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시기와 방법입니다.

Although some variation is to be expected – all faculty have idiosyncrasies, biases, and cognitive limitations (Govaerts et al. 2011; Yeates et al. 2013; Gingerich 2015) – the degree of acceptable variation in assessment should be “bounded” (Kogan et al. 2014; Gingerich 2015). For too long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has seen unfettered variation as a good thing, to the detriment of patients and trainees (Kogan et al. 2014; Lau et al. 2015). Holism and reductionism both have a place in medical education; the issue is when and how to apply these interconnected philosophies appropriately.



2. CBME에 대한 근거 부족

2. Lack of evidence for CBME


일부 사람들은 CBME에 대한 증거의 부족, 특히 전통적 심리 측정법 타당성 및 신뢰성 증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Norman et al., 2014; Dewan et al., 2015).

Some have pointed to the lack of evidence for the CBME approach, especially regarding the lack of traditional psychometric validity and reliability evidence. (Norman et al. 2014; Dewan et al. 2015).


그러나 심리 측정 도구는 이미 오랫동안 많은 한계를 겪어 왔으며, 교수는 평가 기준에 대한 criterion-referenced 대 norm-referenced 방식의 개념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Kogan & Holmboe 2013; Gingerich 2015). 또한 심리측정 적 관점에서 독립적인 실습에 필요한 모든 역량을 "sign off"하는데 필요한 샘플링 양은 상당히 방대하여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Norman 외 2014).

However, psychometric assessment instruments have long suffered from numerous limitations, and faculty have also struggled with the concept of criterion-referenced versus norm-referenced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Kogan & Holmboe 2013; Gingerich 2015). In addition, the amount of sampling required to “sign off” on every competency needed for independent practice can be daunting from a psychometric perspective (Norman et al. 2014).


환자, 인구, 시스템의 요구에 중점을 두고 있는 CBME 시스템은 기존의 정신측정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Schuwirth & van der Vleuten 2011; Cook 외 2015; Hodges 2015;). 이러한 경험은 작업 기반 평가에 더 초점을 맞추도록 만들었고, 평가 프로그램 또는 평가 시스템의 일부로서 서술 및 그룹 프로세스로의 복귀를 촉구했다 (Holmboeet al., Holmboe et al., 2010; van der Vleuten et al. 2012; Hodges 2015 ). 그러나 우리는 단순하게 "정신 측정 검사를 포기"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정신 측정 패러다임은 의학교육 산업에 제 역할을 해왔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 시스템은 불확실성과 복잡성을 포괄하는 평가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Systems implementing CBME, with its greater focus on the needs of the patient, population and system, have encountered significant challenges when they apply conventional psychometric methods (Schuwirth & van der Vleuten 2011; Cook et al. 2015; Hodges 2015;). This experience has sharpened the focus on work-based assessment and prompted a return to narrative and group process as part of a program and system of assessment (Holmboeet al. 2006; Holmboe et al. 2010; van der Vleuten et al. 2012; Hodges 2015). However, we are not suggesting that we simply “throw out psychometrics.” The psychometric paradigm has served the medical education enterprise well and will continue to do so into the future, but in the longer term systems will need assessment approaches that account for uncertainty and complexity.


20 세기에 고부담 평가의 주 대상은 개인이었다. 그러나 21세기에 그 대상은 의료팀이 된다. 유능한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독립적으로 일하지 않으며 더 이상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모두 머리속에 넣고 다닐 수 없습니다 (Lingard 2009, Del Fiol 외 2014, Ludmerer 2015). 우리는 테크놀로지의 지원을 받는 interprofessional 시대에 들어섰다(Chesluk & Holmboe 2010; IPEC 2011). psychometric 패러다임은 interprofessional, complex care에 적합하지 않으며, interprofessional 팀 내에서의 상황 인식, 분산 인식을 다루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individual was the primary frame of reference for high-stakes assessment;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s the health care team. Competent health care providers do not work in isolation and can no longer (if they ever could) carry all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in their head (Lingard 2009; Del Fiol et al. 2014; Ludmerer 2015). We have entered the interprofessional, technology-supported century of medicine (Chesluk & Holmboe 2010; IPEC 2011). The psychometric paradigm is ill-suited for interprofessional, complex care, and it struggles with issues such as context, distributed cognition within interprofessional teams,


흥미로운 사실은 미국과 캐나다와 같이 고부담 표준화 테스트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두 국가가 OECD 및 세계 보건기구의 전반적 의료 품질 보고서에서 지속적으로 하위 순위에 위치해있다는 것이다; 즉 CBME가 양국에서 강력한지지를 얻은 것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Mossialos 외 2015).

It is interesting that the two countries that rely most heavily on high-stakes standardized testing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ave consistently ranked at the bottom of overall medical-care quality reports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erhaps it is no surprise that CBME has taken a strong hold in both countries (Mossialos et al. 2015).


3. 기존 시스템에 대한 영향

3. Making the most of time: impact on existing systems


두 가지 주요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많은 교육 기관이 의료서비스를 제공을 학습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불편한 현실입니다. 이는 프로그램 내에서 학습자마다 진행 속도가 다양하게 되면, 의료서비스 요구 충족에 관한 혼란을 야기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Ludmerer 2015). 또한 미국과 캐나다에서 어떤 GME 재정 시스템은 시간에 기반을두고있다 (Eden 외 2014).

Two major challenges . The first is the uncomfortable reality that many teaching institutions have become overly dependent on learners to deliver care services, which means that variable rates of progression through a program can create havoc with respect to learners’ availability to meet service needs (Ludmerer 2015). Also, certa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financing systems, such as those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re time-based (Eden et al. 2014).


두 번째 과제는 시간이 역량의 대리 측정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따는 것입니다. 적절한 양적 경험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교육 기간의 개선은 주로 별 생각 없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먹구구식 metric으로 역량을 확보 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The second challenge is that time is used as a proxy measure of competence. The duration of training has been refined, mostly unconsciously, to enable an adequate quantitative experience.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assume that such a crude metric can ensure competence


최근 ten Cate는 학습자가 원하는 결과 (ten Cate 2015)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과 경험이 모두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시간 기반 대 역량 기반 학습에 관한 논쟁에 빠져 든 "잘못된 이분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즉, 현행 교육 모델의 주요 문제점은, 시간이 현명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자원으로 간주되기보다는, organizing framework로서 사용된다는 점이다 (Frank et al. 2010b).

recently, ten Cate outlined the “false dichotomy” that has crept into debates concerning time-based versus competency-based learning, noting that learners need a certain amount of time and experience to achieve the desired outcomes (ten Cate 2015). That being said, the major problem with the current model of education is that time has been used as an organizing framework, when it should be viewed as resource to manage wisely (Frank et al. 2010b).


레지던트 및 비의사 의료 전문가는 교육 로테이션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고보고했습니다.

  • 학습자가 새로운 임상 마이크로 시스템 내에서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

  • 교수진이 서비스에 순응하는 동안 발생하는 기능 장애를 인식하지 못함,

  • 그 과정에서 입원 환자가 겪는 해악.

CBME는 임상 및 교육 성과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 및 환자 치료를위한 시간 기반 프레임 워크의 이러한 부정적 결과를 해결하고자합니다. (Batalden et al., 2002; Batalden & Davidoff 2007, Holmboe & Batalden 2015).

Residents and non-physician health care professionals reported multiple problems with educational transitions, (i.e. moving from rotation to rotation) including 

  • the challenge for learners to acclimate within new clinical microsystems, 

  • the failure of faculty to appreciate the dysfunction occurring during acclimation on their service, and 

  • the harm experienced by admitted patients during the process. 

By centering programs on clinical and educational outcomes, CBME seeks to address these negative consequences of time-based frameworks for learning and patient care. (Batalden et al. 2002; Batalden & Davidoff 2007; Holmboe & Batalden 2015).



4. 평가와 도입의 어려움

4.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challenges


CBME 기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의 어려움이나, 오늘날의 의학 교육 및 임상 실습 환경이 복잡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복잡성을 인식하는 연구 및 평가 모델에는 맥락이 중요하며, 이것은 전통적인 생의학 연구 방법과 관련된 무작위화만으로는 효과적으로 해결 될 수 없다는 것을 받아 들여야합니다종단적이고 반복적인 CBME 도입의 과정에서 CBME의 평가는 필수적이며, 이것은 의학교육 개혁을 시행하는 모든 조직의 책임입니다.

Almost no one disputes that implementing CBME-based programs is challenging, or that today’s contexts of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are fraught with complexity. Research and evaluation models that recognize complexity must also embrace the notion that context matters a great deal and cannot be effectively addressed through the randomization associated with traditional biomedical research methods. To be sure, evaluation of CBME in a longitudinal, iterative process is essential and is a responsibility of all organizations implementing medical education reform.


5. 철학적, 이데올로기적 우려

5.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concerns


일부 비판자의 경우 CBME는 근본적이며 테스트되지 않았고 불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다른 이들은 CBME를 도입해야한다는 정치적 압력은 더 유능한 의사 양성에 대한 것일 뿐만 아니라 더 적은 시간에 그러한 결과를 내야 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Whitehead et al., 2011).

For some critics, CBME is radical, untested, and unnecessary. Others have pointed to political pressure to use CBME not only to produce more competent physicians but also to do so in less time (Whitehead et al. 2011).


그러나 진짜 아이러니는 한 세기가 넘게 자리 잡은 전통적인 시스템을 뒷받침 할만한 증거도 별로 없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지금의 상태가 제대로 serving하지 않는다는 풍부한 증거가있다 (IOM 2003; Di Francesco et al.2005; Cooke et al., 2010; Crosson et al. 2011; Eden et al.2014; Ludmerer 2015). 일부는 CBME 개혁이 완전히 입증 될 때까지 CBME 개혁을 시행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Dewan et al., 2015). 이러한 주장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 첫째, 헬스케어 과학 및 전달의 신속하고 지속적인 변화는 [더 많은 유연성과 의학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품질 개선"사고 방식]을 요구합니다. 

  • 둘째, 정책 입안자는 현재 건강 관리의 고르지 못한 질과 안전, 비용 압박, 인구 고령화, 신흥 질병 및 개인화 된 의학의 출현에 비추어 변혁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The irony is that there isn’t much evidence to support the traditional systems that have been in place for over a century. There is, however, abundant evidence that the status quo isn’t serving us well (IOM 2003; Di Francesco et al.2005; Cooke et al. 2010; Crosson et al. 2011; Eden et al.2014; Ludmerer 2015). Some have noted that we shouldn’t implement CBME reforms until they have been fully proven(Dewan et al. 2015).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is argument. 

  • First, the rapid and ongoing changes in healthcare science and delivery demand more flexibility and a“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mindset for medical education. 

  • Second, policy-makers are demanding transformative change in light of the uneven quality and safety of current health care, cost pressures, the aging of populations, emerging diseases, and the advent of personalized medicine. 


기존 패러다임이 새로운 발견을 더 이상 설명 할 수 없거나 변화하는 조건에 의미있는 해결책을 제공 할 수 없을 때 긴장이 발생합니다. CBME는 여러 방면에서 의학교육시스템으로 하여금 퀄리티 및 안전에 관한 어려운 진실에 직면하게함으로써, 심리 측정 기반 평가 접근법 및 시간 기반 프로그램과 같은 기존의 접근법을 재검토하도록 강요하고 있습니다.

Tensions arise when existing paradigms can no longer explain new findings or provide meaningful solutions to the changing conditions. In many ways, CBME has forced medical education systems to confront difficult truths regarding quality and safety, thereby forcing a reexamination of established approaches, such as psychometric-driven assessment approaches and time-based programs.


중요한 점은 CBME에 대한 비판의 목적이 현상 유지를 위한 변명이 되어서는 안 되며, implementation을 개선하고 실수를 줄이기 위한 유용한 피드백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important point is to use criticisms of CBME as useful feedback to improve implementation and avoid pitfalls, but not as an excuse to maintain an unsatisfactory status quo.


왜 CBME에 대한 관심은 이토록 강하고 글로벌한 것인가?

Why the strong and continued global interest in CBME?


왜 CBME는 그것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운동으로 성장하고 있습니까? 역사는 관성만으로도 혁신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한다. 문제는 우리가 시작한 곳으로 우리를 데려옵니다. 의학교육의 주요 목적은 환자와 인구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있는 보건 전문 인력을 준비하는 것입니다 (McGaghie et al 1978; IOM 2003; Frenk et al. 2010; Eva et al., 2013; Carraccio et al., 2016). 그리고 이것은 단순히 의학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투명"하게 유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Norman 외 2014).

Why does CBME continue to grow as a global movement despite the criticisms that have been leveled at it? History would suggest that inertia alone might be enough to block innovation. The question brings us back to where we started: the primary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epare a health professions workforce that can meet the need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McGaghie et al. 1978; IOM 2003; Frenk et al. 2010; Eva et al. 2013; Carraccio et al. 2016). This is much more than just being “transparent” about what medical training should contain (Norman et al. 2014).


사실, CBME에 대한 여러 가지 흔한 비판에서 "환자"라는 단어는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In fact, the word “patient” rarely appears in a number of commonly referenced criticisms of CBME.

OECD와 WHO의 종단 자료는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헬스케어의 결과와 전세계의 지속적인 결핍을 계속 강조한다 (Mossialos et al., 2015). 많은 국가들이 인구 고령화로 인한 건강 관리 시스템의 역량에 대한 도전에 직면 해 있습니다. 동시에 아프리카와 근동 지역의 국가들은 최근의 에볼라 발생에서 비극적으로 예증 되었 듯이, 모든 연령대의 숙련 된 의료 종사자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건강 관리 비용이 상승하는 것에 대해 많은 국가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Weinberger 2011; Mossialos 외, Medicine 2015). 가장 최근의 미국 연구소는 GME의 구조, 위치 및 프로세스에 대한 혁신의 절실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Eden et al. 2014). CBME는 성과에 중점을 둠으로써, 의심 할 여지없이, 비록 어렵더라도 의학 교육 및 의료 서비스 제공의 임무와 더욱 잘 align되어 있다.

Longitudinal data from the OECD and WHO continue to highlight the consequences of dysfunctional health care and persistent deficiencies across the globe (Mossialos et al. 2015). Many countries are confronting the challenge to the capacity of their health care systems posed by the accelerated aging of their population. At the same time, countries in Africa and the Near East are struggling mightily with shortages of skilled health care workers for all age sectors, as was tragically exemplified in the recent Ebola outbreak. Finally, there is a growing concern among many nations about escalating health care costs, most strikingly in the United States (Weinberger 2011; Mossialos et al. Medicine 2015). The most recent US Institute of report highlighted the urgent need for innovation to the structures, locations, and processes of GME (Eden et al. 2014). The focus on outcomes in CBME, while unquestionably difficult, better aligns the missions of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delivery.



도입의 티핑포인트?

A tipping point in implementation?


의료 교육 개혁은 경쟁 이론들 사이의 "either/or"로 이어지지 않아야한다. 오히려 교육의 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과 접근 방식을 혼합해야합니다. CBME에 교육 프로그램이 설계, 구현, 평가에 여러 이론적 관점을 적용하면 안된다는 엄격한 "규칙"은 없습니다.

Medical education reform should not boil down to an “either/or” choice between competing theories; rather, it should blend theories and approaches to optimize the quality of training. There are no hard and fast “rules” of CBME that should prevent an educational program from applying multiple theoretical perspectives to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역설적이게도 성과중심 접근법의 강점은 새로운 이론이 등장하여 이것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시킨다면, 그것을 도입해야 한다는 사실을 내재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CBME 기반 모델을 구현하는 것은 반복적이고 역동적 인 프로세스입니다 (Pawson & Tilley1997; van der Vleuten & Schuwirth 2005, Nasca 외. 2012). CBME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과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은 사용할 수 있는 최상의 것들 중에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Ironically, the strength of the outcomes approach is its inherent recognition of the need to incorporate new theories as they emerge and mature to continually improve training programs. Implementing CBME-based models willalways be an iterative, dynamic process (Pawson & Tilley1997; van der Vleuten & Schuwirth 2005; Nasca et al. 2012).In CBME, outcomes are paramount, while the tactics used to achieve them are chosen from the best available. 


결론

Conclusions


CBME는 의료 및 교육 시스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CBME는 고정된 교리라기보다는 transformation을 가능케하는 일련의 개념, 원리, 도구 및 접근법입니다.

CBME is evolving to meet health care and educational system needs; rather than a fixed doctrine, it is a set of concepts, principles, tools, and approaches that can enable transformation.


캐나다, 싱가포르, 미국과 같은 많은 국가에서 물류 및 금융상의 제약으로 인해 하이브리드 교육 모델이 구현되어 CBME의 원칙과 도구가 고정 시간 모델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CBME는 반복적 인 학습주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무엇이 누구에게,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이유로 왜 효과적인지 배우게합니다.

For many countries, such as Canad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hybrid models of training are being implemented because of logistical and financial constraints, so that the principles and tools of CBME are being applied within fixed-time models. CBME embraces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through iterative learning cycles to better learn what works, for whom, in what circumstances, and why.


우리는 또한 CBME의 비판 중 일부가 반영한 바와 같이, 변화가 어렵다는 점을 인식해야합니다. 왜냐하면 변화는 기본적으로 상실에 대한 것이기 때문이다. 정체성의 상실과 이미 개인들이 전통적 의학교육 모델에 엄청나게 투자한 것들의 상실이다. 역설적이게도, CBME는 우리가 받아 들여야 할 많은 것들로, 더 엄격하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돌아가게 해준다. 

We must also recognize that, as some of the criticisms of CBME reflect, change is hard because it is mostly about loss: loss of identity and loss of tremendous personal investment in traditional models of medical education (Heifetz & Linsky 2002). Ironically, CBME can help to “bring back” many things that we should embrace – most notably bedside rounds, direct observation, and faculty judgment – but in a more rigorous and systematic manner.


Ludmerer K. 2015. Let me heal: the opportunity to preserve excellence in American medicin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Gingerich A. 2015. What if the 'trust' in entrustable were a social judgement? Med Educ. 49:750–752.


McGaghie WC, Miller GE, Sajid AW, Telder TV, Lipson L. 1978.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an introduction. Public Health Papers No. 68.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Norman G, Norcini J, Bordage G. 2014. Competency-based education: milestones or millstones? J Grad Med Educ. 6:1–6.


Holmboe ES, Batalden P. 2015. Achieving the desired transformation: thoughts on next steps for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Acad Med. 90:1215–1223.


ten Cate O. 2015. The false dichotomy of quality and quantity in the discourse around assessmen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835–838.





 2017 Jun;39(6):574-581. doi: 10.1080/0142159X.2017.1315067.

call to action: The controversy of and rationale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 Chicago , IL , USA.
2
b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 McMaster University , Hamilton , Canada.
3
c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 Minneapolis , MN , USA.
4
d Centre for Medical and Department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Quebec , Canada.
5
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6
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Abstract

Although medical education has enjoyed many successes over the last century, there is a recognition that health care is too often unsafe and of poor quality. Errors in diagnosis and treatment, communication breakdowns, poor care coordination, inappropriate use of tests and procedures, and dysfunctional collaboration harm patients and families around the world. These issues reflect on our current model of medical education and raise the question: Are physicians being adequately prepared for twenty-first century practice? Multiple reports have concluded the answer is "no." Concurrent with this concern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s an approach to help reform medical education. The principles of CBME are grounded in providing better and safer care. As interest in CBME has increased, so have criticisms of the movement. This article summarizes and addresses objections and challenges related to CBME. These can provide valuable feedback to improve CBME implementation and avoid pitfalls. We strongly believe medical education reform should not be reduced to an "either/or" approach, but should blend theories and approaches to suit the needs and resources of the populations served. The incorporation of mileston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within existing competency frameworks speaks to the dynamic evolution of CBME, which should not be viewed as a fixed doctrine, but rather as a set of evolving concepts, principles, tools, and approaches that can enable important reforms in medical education that, in turn, enable the best outcomes for patients.

PMID:
 
28598742
 
DOI:
 
10.1080/0142159X.2017.1315067


CBME와 쿤의 유령: 변신을 위한 지저분하고 의미있는 작업에 대한 성찰(Acad Med, 2018)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the Ghost of Kuhn: Reflections on the Messy and Meaningful Work of Transformation

Eric S. Holmboe, MD





Critical thoughts about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8;93:371–376.



Edward Krupat는 학부 의학 교육 (UME) 및 역량 기반 의학 교육 (CBME)에서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 (EPA)에 대한 신중한 비판을 제시했습니다 .1 Krupat는 "아마도 지금은 잠시 멈춰서 숨을 깊이들이 마시고, 우리가 뒤로 물러나거나 옆으로 옳은 방향으로 큰 걸음을 내딛고 있는지 물어보아야 할 때일 것이다. "1

In this issue of Academic Medicine, Edward Krupat has laid out some thoughtful criticisms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n general.1 Krupat writes, however, that “perhaps now is the right time to pause, take a deep breath, and ask ourselves whether we are taking a major step in the right direction rather than a step back or to the side.”1


결과 기반 의학 교육의 주된 동력 중 하나는 20 대 후반과 21 세기 초에 [의대 졸업생들은 레지던트가 될 준비가 불충분하고, 레지던트 프로그램 졸업생들이 독립적 의료를 할 준비가 불충분하다는] 인식의 증가였습니다. 3-5 이와 동시에, The Institute of Medicine의 보고서 인 Err is Human6 및 Quality Crossing of Quality Chamm을 통해 환자가받은 진료의 질과 안전성에있어 광범위하고 심각한 결함을 보여주었습니다. 후속 보고서는 

  • 건강 관리 비용을 낮추고, 

  • 인구 건강을 개선하며, 

  • 돌봄의 질과 안전을 향상시키는 것

...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 점을 강조했다.

One of the primary drivers for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was the growing recognition during the lat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that graduates of medical schools were insufficiently prepared for residency and that graduates of residency programs were insufficiently prepared for practice.3–5 Concomitantly, a growing body of research, culminating in the seminal Institute of Medicine reports To Err Is Human6 and Crossing the Quality Chasm,7 demonstrated significant and widespread deficiencies in the quality and safety of care received by patients. Subsequent reports have highlighted agonizingly slow progress in addressing many of the gaps in the triple aim: 

  • lowering health care costs, 

  • improving population health, and 

  • improving care quality and safety.8–10


Arnold Milstein11은 2010 년 미국 내과의위원회의 의학 교육 포럼에서

Arnold Milstein11 noted in his 2010 address at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Foundation’s forum on medical education that


미국의 의료 교육 기관의 의사 졸업생은 일반적으로 미국의 의료 서비스 전달을 주도하거나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의학교육 산업의 효율성에 대한 간접적이며 광범위한 결과 기반의 증거 중 하나는 미국 의료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과입니다. 효과 성, 안전성 및 효율성에 대한 퍼포먼스 gap은 의사가 히포크라테스의 약속을 적절히 준수하고 있음을 사회가 확신할 수 없게 만든다.

[s]ince physician graduates of American medical education organizations typically lead or heavily influence U.S. health care delivery, one source of indirect, broad, outcome-based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cal education enterprise] i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U.S. health care system. The width of the performance gaps on the aims of effectiveness, safety and efficiency understandably reduces society’s confidence that physicians are adequately honoring their Hippocratic promises.


이러한 시스템 문제 외에도 개별 학습자에 대한 우려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너무 많은 경험을 계속합니다.

  • 상당한 부채의 독성 혼합,

  • 기능 장애적 임상 학습 환경,

  • 중요한 업무 압박

  • 번 아웃

  • 실업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학생들은 놀라운 수의 수련 프로그램에 지원해야합니다. 

On top of these system concerns are a growing number of concerns about our individual learners: Too many continue to experience 

  • a toxic mix of substantial debt, 

  • dysfunctional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 significant work compression, and 

  • burnout, as well as 

  • fears of medical unemployment that lead students to apply to an astounding number of residency programs. 


솔직해지자: 일부 교육자들 사이에서 세대 간 (예 : 천년) 용어로 학습자에 대해 불평하는 경향이 있지만, 의대생들과 레지던트들 때문에 이러한 기능 장애가 생긴 것은 아니다. 교육 지도자로 봉사하는 우리들은 정말로 이러한 조건들이 인간적 교육 과정을 지지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까? 교육에 관련된 모든 사람이 우리가 만들어낸 여건을 성찰하기 위해 돌아보고 반성해야 합니까?

Let’s be honest: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did not create these dysfunctional conditions, despite a penchant among some educators to complain about learners in generational (e.g., millennial) terms. Can those of us who serve as educational leaders really say these conditions support a humanistic educational process? Do all of us involved in education need to spend more time looking in the mirror and reflecting on the conditions we helped create?


구조와 과정에서 결과 중심의 접근으로의 전환은 실제 시도되고있는 패러다임 전환이다. 논리적으로, 특히 공공의 관점에서, UME와 GME 프로그램은 졸업생들이 자신의 발전 단계에 적합한 업무와 활동을 실제로 수행 할 수 있다는 확신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어야합니다. 역량에 대한 충분한 증거로서 더 이상 학습 과정을 완료하고 시험을 통과하는 것에 의존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교육이 그토록 간단했다면 왜 현재 수준의 품질 및 안전 문제와 의료 오류가 발생했겠습니까?

The shift from a structure and process to an outcomes-based approach is the actual paradigm shift being attempted. Logically, and especially from a public perspective, UME and GME programs should be able to conclude with some degree of accurate confidence that graduates can actually perform the task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ir stage of development. No longer is it appropriate to simply rely on completing a course of study and passing an exam as sufficient evidence of competence. If education were that straightforward, would we be experiencing the current levels of quality and safety problems and medical errors? 


이제 도전 과제는 구조와 프로세스에 중점을두고 high-functioning 학습 환경에서 이러한 역량을 포함하는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의학교육을 재조정하는 것입니다.

The challenge now is to rebalance medical education by decreasing the emphasis on structure and process and increasing the focus on outcomes that include these competencies in a high-functioning learning environment.


역량은 복잡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의사가 필요로하는 필수 능력의 프레임 워크와 정신 모델을 제공하여 교육 성과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되는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좋든 싫든, 6 개의 핵심 역량은 (SBP 및 PBLI과 같이 과거에는 묵시적으로 거의 평가되지 않았지만) 중요한 능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2,12,13

Competencies were created as one mechanism to help facilitate the transformation to educational outcomes by providing frameworks and mental models of the essential abilities physicians need in a complex health care system.12 Love them or hate them, the six core competencies call attention to critical abilities that previously were either ignored or at best taught implicitly and rarely assessed, such as systems-based practice (SBP) and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2,12,13


역량 영역의 지속적인 결함을 강조하는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환자", "품질"및 "안전"과 같은 단어는 CBME를 비판하는 문서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다른 해결책이나 제안도 거의 없다. 또한 여전히 public forum의 코멘트에는 "시스템 기반의 실천이 우리의 전문 분야에 실제로 적용되지 않는다"또는 "우리는 이 품질과 안전성에서 레지던트들을 보호해서 의학을 배울 수 있게 해야 한다" 등이 나돈다.

It pains me that, despite data highlighting ongoing deficiencies in these competency domains, words like “patient,” “quality,” and “safety” are rarely used in most of the literature critical of CBME, and different solutions or suggestions are rarely offered. It also troubles me to still see in some current public forums comments such as “Systems-based practice doesn’t really apply to our specialty,” or “We need to protect residents from this quality and safety stuff so they can learn medicine.”


EPA 및 이정표 15는 역량의 적용 및 구현을 안내하는 교육 기술로 개념화 될 수 있으며, 나는 그들이 또 하나의 "빛나는 밝은 대상"이되지 않도록 철저히 연구해야한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고있다.

EPAs, and also Milestones,15 can be conceptualized as educational technologies to guide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petencies, and I fully recognize that they must be rigorously studied so that they do not become yet another “shiny bright object.”16


변화를 위한 여정은 시간이 걸리고, 이정표와 EPA 경험은 다르지 않습니다. 첫 번째 마일스톤 작업은 2007 년에 시작되었으며 대학원 의학 교육 인정위원회는 현재 차기 마일스톤 개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2018 년에 시작되어 몇 년이 걸릴 것입니다. Milestone은 경험이 축적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있는 역동적 인 프레임 워크로 여겨져 왔고 사용법에 대한 교훈을 얻었습니다 .18-20

The journey to change takes time, and the experiences with Milestones and EPAs are no different. The first Milestone work began in 2007, and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currently planning for the next round of Milestone revisions, a process that will begin in 2018 and take several years. The Milestones have always been viewed as a dynamic framework that will change over time as experience is gained and lessons are learned on how best to use them.18–20


Krupat에 따르면 UME 및 GME 연속체에 걸쳐 이러한 교육 기술을 통합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더 많은 작업이 성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동반하는 투쟁의 일부로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동의합니다.

I agree with Krupat that more work on how best to integrate these educational technologies across the UME and GME continuum is definitely needed as part of the struggle with the paradigm shift to outcomes.


정의에 따르면, 패러다임 전환은 더 오래된 패러다임을 유지하려는 사람들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진하려는 사람들 모두에게 지저분하고 위협적입니다. 1962 년 Thomas Kuhn21 (p5)은...

By definition, paradigm shifts are messy and threatening, both for those wanting to remain with the older paradigm and those pushing the newer paradigm. As Thomas Kuhn21(p5) noted in 1962,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필연적으로 거의 모든 시간을 소비하는 [정상 과학]은 과학 공동체가 세상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Enterprise에서 성공의 상당 부분은 (상당한 비용이 들더라도) 해당 가정을 지키려는 커뮤니티의 의지에서 비롯됩니다. [강조 추가]

Normal science, the activity in which most scientists inevitably spend almost all of their time, is predica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cientific community knows what the world is like. Much of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 derives from the community’s willingness to defend that assumption, if necessary at considerable cost. [emphasis added]


의학 교육에서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 방법론은 현재이 패러다임 전환의 tense interface에 있습니다. 의학 교육은 연구 및 평가 설계에서 복잡성의 핵심 역할을 통합하는 방법론을 개발 한 보건 및 사회 서비스 연구 세계의 교훈을 포용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있다 .22,23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methodologies in medical education currently sit at the tense interface of this paradigmatic transition. Medical education can benefit by embracing lessons from the health and social services research worlds, which have developed methodologies incorporating the critical role of complexity in research and evaluation design.22,23


평가 측면에서 균형은 20 세기의 객관식 질문 (MCQ) 및 객관적인 구조화 된 임상 시험 (OSCE)과 같은 고부담 "프록시"평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현재에서 벗어나, (특히 임상, GME에서는) 작업 기반 평가에로 변화해야합니다. MCQ 시험에 가치가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다만 어떤 시점에서 교육 공동체인 우리는 지난 수십년간 고부담 MCQ 시험 및 OSCE의 발전을 이뤄왔음에도, 여전히 우리가 가진 것은 작금의 의료 시스템 퍼포먼스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On the assessment side, the balance needs to shift from the 20th century’s heavy reliance on high-stakes “proxy” assessments, such as multiple-choice question (MCQ) examinations and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to work-based assessment in the clinical space, especially in GME. That is not to say that MCQ exams, for example, do not have value—they do— but at some point we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need to recognize that despite decades of advances in high- stakes MCQ exams and OSCEs, we have the health system performance we have.


너무나 자주, 다양한 평가 접근법의 역할에 관한 논쟁은 도움이되지 않는 이데올로기적 논쟁으로 엉망이되었습니다.

Too often, debates around the role of various assessment approaches get bogged down in unhelpful ideological arguments.


우리는 의학 교육에서 우리가하는 대부분이 상호작용하고 상호의존적인 여러 구성 요소를 possessing하는 개입이라고 정의되는 "복잡한 개입"을 구현해야한다는 사실을 받아 들여야합니다 .22이 렌즈를 통해 UME 및 GME의 EPA와 GME의 마일스톤을 사용하여, 가변적이고 진화하는 맥락에 포함 된 여러 상호 작용하는 구성 요소와의 진정한 복잡한 중재로 간주됩니다. EPAs와 Milestone은, 개입의 목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쉽게 무작위 배정 될 수있는 치료약이 아닙니다. 무작위 통제 연구 (RCTs)는 적절한 경우 계속해서 역할을 수행해야하지만, 의학 교육 연구는 복잡성의 영향을 교육 개입의 결과 및 성과에 반영하는 방법론적 접근법을 사용해야합니다 .23

We need to embrace the reality that most of what we do in medical education involves implementing “complex interventions,” simply defined as interventions possessing multiple interacting and interdependent components.22 Through this lens, using EPAs in UME and GME, and Milestones in GME, are viewed as truly complex interventions with multiple interacting components embedded in variable and evolving contexts. EPAs and Milestones, when treated as interventions, are not therapeutic pills that can be easily randomized. Whil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should continue to play a role where appropriat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also needs to use methodological approaches that incorporate the effects of complexity on the implementation and outcome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23


품질과 안전에 대한 기관의 퍼포먼스 수준은 (그 기관에서 수련받은) 개별 졸업생의 미래 수행능력과 연관되어 있다.

an institution’s level of performance in quality and safety is associated with the future practice of its individual graduates,


복잡한 개입의 구현은 오랜 성공의 여정을 가지고 있으며, 깨지기 쉽고, 길을 따라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맥락에 크게 의존하고, 스스로를 되돌린다. 무작위화는 성공이나 실패를 가져 오는 메커니즘과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지 않으며, 통제그룹은 성공적인 실행에 기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되지 않습니다 .27

Implementations of complex interventions have long success journeys, are fragile, mutate along the way, depend heavily on context, and feed back on themselves.23,27 Randomization does not provide any insights into the mechanism and contexts that produce success or failure, and control groups contribute nothing to understanding what contributes to successful implementation.27


마지막으로, 우리 모두가 연속체에서 의학 교육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할 때, 우리는 우리가 논쟁에서 양극성을 다루는 방식을 재고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의 교육 담론은 너무 많은 양의 "극단적 인 양극화"나 "이분법"을 중심으로 높은 이해력 테스트와 업무 기반의 평가, 정량적 대 정량적 접근법, 환원주의 대 전체주의, 프로세스 대 결과, 기타 등등. 이러한 either-or 식의 논쟁은 종종 재미있는 이념적 exercise가 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도움이 안되고,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거나 이 분야를 궁극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한다. 존슨의 polarity thinking 모델은 긴장과 어려움을보다 생산적으로 활용하기위한 더 나은 접근 방법 일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양극성을 "both-and" 관점으로 바라보며, 그룹과 개인이 각 극의 이점과 한계를 평가하도록 유도하여 한계에 주의하면서도 동시에 양극의 강점을 활용합니다.

Finally, as we all work to change medical education across the continuum, we need to rethink how we handle polarities in our debates. At the current time, too much of the educational discourse revolves around many “either–or” polarities or dichotomies, such as high-stakes tests versus work-based assessments, quantitative versus qualitative approaches to assessment, reductionism versus holism, process versus outcome, and so forth. Such either–or arguments are typically unhelpful—engaging in them often makes for a fun ideological exercise but in the end does not move the field forward or ultimately help patients. Johnson’s28 model of polarity thinking may be a better approach to leverage tensions and challenges more productively. In this model, polarities are viewed as “both–and,” encouraging groups and individuals to assess the benefits and the limitations of each pole and thus leverage the strengths of the polarity while being attentive to the limitations.




1 Krupat E. Critical thoughts about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8;93:371–376.


2 Holmboe ES, Sherbino J, Englander R, Snell L, Frank JR; ICBME Collaborators. A call to action: The controversy of and rationale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17;39:574–581.


20 Holmboe ES, Call S, Ficalora RD. Milestones an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 internal medicine. JAMA Intern Med. 2016;176:1601–1602.





 2018 Mar;93(3):350-353. doi: 10.1097/ACM.0000000000001866.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the Ghost of Kuhn: Reflections on the Messy and Meaningful Work of Transformation.

Author information

1
E.S.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Milestone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The transition, if not transformation, to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likely represents a paradigm shift struggling to be realized. Paradigm shifts are messy and difficult but ultimately meaningful if done successfully. This struggle has engen dered tension and disagreements, with many of these disagreements cast as either-or polarities. There is little disagreement, however, that the health care system is not effectively achieving the triple aim for all patients. Much of the tension and polarity revolve around how more effectively to prepare students and residents to work in and help change a complex health care system.Competencies were an initial attempt to facilitate this shift by creating frameworks of essential abilities needed by physicians. However, implementation of competencies has proven to be difficult.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Milestone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are recent concepts being tried and studied as approaches to guide the shift to outcomes. Their primary purpose is to help facilitate implementation of an outcomes-based approach by creating shared mental models of the competencies, which in turn can help to improve curricula and assessment. Understanding whether and how EPAs and Milestones effectively facilitate the shift to outcomes has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an iterative and ongoing reflective process across the entir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using lessons from implementation and complexity science. In this Invited Commentary, the author reflects on what got the community to this point and some sources of tension involved in the struggle to move to outcomes-based education.

PMID:
 
28857789
 
DOI:
 
10.1097/ACM.0000000000001866


카네기재단의 의학교육 개혁 요구: 1910년과 2010년(Acad Med, 2010)

Calls f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1910 and 2010

David M. Irby, PhD, Molly Cooke, MD, and Bridget C. O’Brien, PhD





20 세기 초, 카네기 진보 재단 (Carnegie Teaching Advancement Foundation)은 의학 교육의 주요 개혁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운동은 Abraham Flexner의 비전 - 과학적 엄격함과 교육의 우수성이 의사 준비에있어 원동력- 에 의해 인도되었습니다. 이제 21 세기 초 카네기 교육 진흥 재단은 다시 의사 준비를 개선 할 개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spearheaded a major reform movement in medical education. The movement was guided by Abraham Flexner’s vision—a vision in which scientific rigor and educational excellence were the driving forces in the preparation of physicians. Now,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is again calling for reforms that will improve the preparation of physicians.



두 연구에 걸쳐 네 가지 공통 주제 :

(1) 학습 결과의 표준화 및 학습 과정의 개별화,

(2) 형식적 지식과 임상 경험의 통합,

(3) 탐구와 개선 습관의 개발, 

(4) 전문직 정체성의 형성.


four common themes across the two studies: 

(1) standardization of learning outcomes and individualiz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2) integration of formal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3) development of habits of inquiry and improvement, and 

(4)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1910년 개혁의 전조

Precursors to the Call for Reform in 1910



Flexner의 의학 교육 연구의 precursor는 1904 년 AAMC의 회원 학교 중 일부에서, 1906 년과 1907 년에는 AMA의 의과 대학 교육위원회 (Council on Medical Education)에서 실시되었습니다. NP Colwell 박사의 리드하에 존스 홉킨스 대 의과 대학, 하버드 의과 대학 및 기타 대학의 가장 엄격한 대학 모델을 표준으로 사용한 AMA 전국 조사에서 많은 의과대학이 매우 unsatisfactory함이 드러났다. 그러나 AMA는 회원들을 비난하기를 원치 않는 민감한 입장에 있었기 때문에 북미 지역의 의학 교육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공정한 제 3자인 Carnegie Educational Advancement Foundation의 지원을 받았다. 1908 년 재단의 창립 회장 인 Henry Pritchett 박사는 의사는 아니지만, 켄터키 주 루이스 빌에있는 사립 고등학교의 전임 교장이었던 Abraham Flexner 박사를 고용하여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1

Precursors of Flexner’s study of medical education were conduct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in a few of its member schools in 1904 and by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s (AMA’s) Council on Medical Education in all medical schools in 1906 and 1907. Under the leadership of Dr. N.P. Colwell, the AMA national survey, which used as its standard the most rigorous university models of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and others, revealed that many medical schools were deeply unsatisfactory. However, the AMA was in a delicate position of not wanting to condemn its own members, and it therefore sought the assistance of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an impartial third party to conduct a comprehensive study of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In 1908, Dr. Henry Pritchett, inaugural president of the foundation, hired AbrahamFlexner, not a physician but the former headmaster of a private high school in Louisville, Kentucky, to conduct the study.1



그의 방문을 시작하기 전에, Flexner는 존스 홉킨스 (Johns Hopkins)를 다녔고, 그의 형제 Simon은 의대에 다녔다. 그곳의 교수진과 이야기 한 후 플렉스너는 존스 홉킨스 (Johns Hopkins) 모델을 탁월성의 모범으로 채택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내 마음 속에 이런 패턴이 없으면 나는 거의 성취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로부터 나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의과 대학을 신속히 견학하기 시작했다. "2 (p115) 1909 년 미국과 캐나다의 155 개 모든 의과 대학을 방문한 동안 Flexner 박사는 Colwell 박사와 같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 다수의 우수한 대학 기반 프로그램과 또한 다수의 저질의 영리를 목적으로 한 의과 대학이 있다. Flexner는 "Dr. 콜웰과 나는 많은 여행을 했고, 그는 조심스럽고 재치있게 진행할 필요가 있었지만, 나는 운이 좋게도 진정한 솔직함으로 진실을 말할 수 있었다. "고 했고, 실제로 그러했다(p115)

Before embarking on his site visits, Flexner went to Johns Hopkins, where his brother Simon had studied medicine. After speaking with faculty members there, he adopted the Johns Hopkins model as his exemplar of excellence. As he stated, “Without this pattern in the back of my mind, I could have accomplished little. With it I began a swift tour of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2(p115) During his site visits to all 155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in 1909, Flexner came to the same conclusion as Dr. Colwell: There were a number of excellent university-based programs and many poor-quality for-profit medical schools. Flexner wrote, “Dr. Colwell and I made many trips together, but, whereas he was under the necessity of proceeding cautiously and tactfully, I was fortunately in position to tell the truth with utmost frankness,” which he did indeed do.2(p115)


1910년의 플렉스너 보고서

Flexner’s 1910 Report on Medical Education


Flexner의 1910 년 보고서, 미국과 캐나다의 의료 교육 : Carnegie Foundation for Teaching의 보고서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적절한 의대 학교 커리큘럼에 대한 해설과 그것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자원 

  • 그가 방문한 각 의과 대학에 대한 간단한 보고서. 


Flexner’s 1910 report,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 Report to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3 contains two parts: a year-by-year description of the proper medical school curriculum and the resources required to support it, and brief reports on each medical school he visited. Table 


표준화의 부족

Lack of standardization


19 세기 후반 북미에서의 의학 교육은 

    • 교육적으로 효과적이지 못했고, 

    • 엄격한 학업 기준이 없었으며, 

    • 종종 임상 수입을 보충하려는 의도로 개업의가 수행했습니다. 

    • 학교는 규모가 작았고 일반적으로 의사가 소유 했으므로 의사의 이익을 위해 운영했습니다. 

    • 입학 기준은 미미하며, 일반적으로 고등학교만 졸업하면 되었고, 모든 학생이 학업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졸업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Flexner는 의과대학이 최고의 대학 프로그램을 모방하고 의대에 입학하기 전에 강력하고 과학적으로 기초한 학부 교육을 강요 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an ineffectual educational process, lacking rigorous academic standards and often carried out by local practitioners supplementing their clinical incomes. Schools were small and typically owned by the doctors, who operated themfor a profit. Admission standards were minimal, typically a high school education, and all graduated regardless of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ese findings fueled Flexner’s recommendation to emulate the best university programs and insist on a strong, scientifically based undergraduate education prior to admittance to medical school.


Flexner의 권고 사항 중 다른 하나는 의과 대학 커리큘럼의 큰 차이와 학생들의 준비상태 및 성취수준의 이질성을 해소하였다. 학생들이 의학 교육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을보다 잘 준비 할 수 있도록 그는 의과 대학 입학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일련의 과학 과정 이수와 학사 학위를 주창했습니다. Flexner는 고품질의 엘리트 대학교 의과 대학에서 제공하는 엄격한 4 년제 커리큘럼을 채택하는 대신 한 차례 반복되는 16 주간의 강의식으로 운영되는 교육은 없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교육은 작고 품질이 낮은 proprietary 의대 학교에서 일반적이었습니다. proprietary 학교에서는 실험실이나 임상 경험을 할 기회는 거의 없었습니다. 훈련 중 학생들은 매우 드문 경우만 환자를 검사했습니다. 커리큘럼은 의사의 지혜와 연습에 기반을두고 있었으며, 과학의 실천과 진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습니다 .1 대조적으로 Flexner는 2 년간의 기본 과학 과정에 이어 2 년간의 교육 병원에서의 임상 경험으로 구성될 것을 권고하였다.

Another of Flexner’s recommendations addressed the great variability in curriculum among medical schools and the heterogeneity in student preparation and achievement. To better prepare students for the scientific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he advocated a set of science courses and a baccalaureate degree as prerequisites to matriculation into medical school. Flexner further supported the adoption of a rigorous four-year curriculum offered by the high- quality elite university medical schools and the elimination of the 16 weeks of lectures that were repeated once, which were common among the small, poor- quality proprietary medical schools. In those proprietary schools, there were rarely any laboratories or clinical experiences; students only infrequently examined a patient during their training.The curriculum was based on the received wisdom and practices of physicians, and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practice and advances in science.1 By contrast, Flexner advised widespread adoption of a medical curriculum consisting of two years of basic science followed by two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a teaching hospital.


인정 된 학업 기준이나 인증 기관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의대는 매우 열악했습니다. 그리고 면허 요건이 없는 상태에서, 의대생이 졸업시에 역량을 갖췄는지를 대중이 알 수있는 거의 방법이 없었습니다.

Because there were neither accepted academic standards nor an accrediting agency, many medical schools were of very poor quality. And, without licensing requirements, there was little way for the public to know if medical students were competent on graduation.


통합의 부족

Lack of integration


Flexner가 관찰 한 것처럼 대부분의 의대에서는 의사가되기 위해 배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한 번 반복되는 강의에 의존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수동적인 형태의 학습은 실습과 연관되지 않으면 효과가 없으며, 지식은 더 적극적인 형태의 실험실 및 임상 경험을 통해 적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As Flexner observed, most medical schools relied on lectures, repeated onc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hat students needed to learn to become doctors. He contended that this passive form of learning was ineffective if it was not connected to practice and argued that knowledge needed to be applied through more active forms of laboratory and clinical experience.


받은 지혜received wisdom에서 실험 의학으로의 전환은 의학 교육을 근본적으로 변화 시켰습니다. 의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대학의 교육병원을 설립함으로써, 능동적인 학습 과정을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의 적용과 사용을 장려하는 의학교육에 통합 할 수있었습니다 .1

The shift to experimental medicine from a focus on received wisdom fundamentally changed medical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laboratories and the creation of university teaching hospitals made it possible to incorporate an active learning process into medical education that encouraged the application and use of knowledge to solve clinical problems.1


탐구의 부족

Lack of inquiry


Flexner는 그의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proprietary 소규모 학교에서의 의학 교육은 과학적 조사와 엄격한 학술 문화를 잃어버린 것이며 의사가 received wisdom에 대한 암기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19 세기 후반에 이미 질병의 기전이 실험적으로 확인되고 확인되고 있는 독일 대학의 연구실의 출현으로 인해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많은 미국의 의사들은 의학에 대한 실험적 접근법에 대해 흥분을 감추지 않았고 실험실 연구 방법을 배우기 위해 독일을 여행했으며시카고, 코넬, 하버드, 미시간, 펜실베니아, 나중에 존스홉킨스 등의 대학에서 과학 의학을 확립하게 되었다.  Flexner는 고품질의 의학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지향적인 교사를 모방하고, formal knowledge를 침상 옆에서 관찰 한 것에 비추어 테스트하고, 경험을 바탕으로 이해를 정제 할 수있는 준비를 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Flexner, like his predecessors, found that medical education within small, proprietary schools was bereft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 rigorous academic culture and relied on rote memorization of the received wisdomof practicing physicians. Yet change was already occurr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19th century, influenced by the rise of research laboratories in German universities, where the mechanisms of disease were being experimentally examined and confirmed. Many American physicians were excited about this experimentalist approach to medicine and traveled to Germany to learn laboratory research methods, returning with a commitment to establish scientific medicine at their universities, which included Chicago, Cornell, Harvard, Michigan, Pennsylvania, and, later, Johns Hopkins. Flexner expected that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would prepare students to emulate their scientifically oriented teachers, testing their formal knowledge against what they observed at the bedside and refining their understandings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


Flexner는 암기 기억에 의존하는 것과 달리 과학적 호기심과 탐구 방법에 대한 가르침을 의학 교육에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의사는 의학 실습을 발전시키기 위해 조사와 연구를 사용하는 과학자처럼 생각하도록 가르쳐야합니다. 이러한 습관을 개발하기 위해 의대 학생들은 존 듀이 (John Dewey)와 다른 진보적 인 교육자들이 옹호 한 것처럼 탐구를 통해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교육받을 필요가있었습니다. 연구와 실천의 유사성에 대해서 플렉스너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Flexner saw the inculcation of scientific curiosity and methods of investigation, as opposed to relying on rote memorization, as critical to medical education. Physicians should be taught to think like scientists—to use inquiry and research to advance the practice of medicine. To develop these habits of mind, medical students needed to be educated to approach problems through inquiry—as advocated by John Dewey and other progressive educators. Drawing a parallel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Flexner4(p4,6) observed that


연구와 실습practice을 구분할 수는 없습니다. 연구자는 분명히 관찰하고, 실험하고, 판단합니다. 현대 정신에서 예술art을 실천하는 의사도 마찬가지다. 근본적으로 연구자와 의사의 지적 태도와 과정은 동일하거나 동일해야한다 .... 만약이 이 입장이 옳다면, 병동과 실험실은 논리적으로 탐구, 치료, 교육의 견지에서 뗄 수 없게 얽혀있다.

no distinction can be made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The investigator, obviously, observes, experiments, and judges; so do the physician and surgeon who practice their art in the modern spirit. At bottom the intellectual attitude and processes of the two are—or should be—identical....If this position is sound, the ward and the laboratory are logically, from the standpoints of investigation, treatment, and education, inextricably intertwined.



결과적으로, Flexner는 의학 교육이 지식의 발견과 진보가 그 사명의 중심에있는 대학 강의실과 교육 병원 내에 위치해야한다고 권고했다.

As a result, Flexner recommended that medical education should be located within university classrooms and teaching hospitals, where discovery and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are central to its mission.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실패

Failure to focus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임상 경험이 제한적이거나 아예없는 강의 중심의 커리큘럼에서 학생들은 전문적인 태도나 실무자의 행동을 관찰 할 기회가 거의 없었고, 모방할 롤 모델도 없었습니다. 나중에 더 많은 실험실과 임상 경험이 도입되었지만, 여전히 직업적 정체성의 개발에 공식적인 초점은 없었다. Flexner는 학생들이 교수와 적절한 시간을 보내고 곁에서 실천을 배운다면 교수의 가치와 행동을 흡수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의 formation은 대학 문화에 immersion하고 과학적 근거가있는 대학 교수진 역할 모델과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가장 잘 처리됩니다.

In a lecture-dominated curriculum with limited or no clinical experiences, students had few opportunities to observe the professional demeanor or actions of practitioners and thus had no role models to emulate. Later, as more laboratories and clinical experiences were introduced, there was still no formal focus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lexner believed that students would absorb the values and behaviors of the faculty if they spent adequate time with them and learned the practice at their sides. Thus, student formation would best be served by immersion in university culture and sustained contact with scientifically grounded, university faculty role models.



즉, Flexner는 MDdegree로 이어지는 4 년 교육의 다음과 같은 표준적 특징을 제안했습니다.

In short, Flexner proposed the following standard features of a four-year education leading to the MDdegree:


    •   강한 과학적 배경을 가진 학사 학위에 기초한 의과 대학 입학.

    •   실험실과 강의실에서 2 년간의 기본 과학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병원에서 2 년간의 임상 경험을 제공하는 대학 기반의 의대.

    •   교육, 연구 및 환자 간호에 종사하는 의사 - 과학자 교육을 통해 실험실의 이점을 침대 옆으로 가져옮.

    •   실험실 및 대학 기반의 교육 병원에 감독된 참여supervised participation를 통한 탐구 경험.

    •   Admission to medical school based on a bachelor’s degree with a strong science background.

    •   A university-based medical school providing two years of basic science instruction in laboratories and classrooms, and two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a teaching hospital.

    •   Instruction by physician–scientists who engage in teaching, research, and patient care, bringing the benefits of the laboratory to the bedside.

    •   Experience with investigation through supervised participation in laboratories and university-based teaching hospitals.



플렉스너의 개혁 요구에 대한응답

Response to Flexner’s Call for Reform


의학교육 공동체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 Flexner의 보고서의 영향은 특정 ​​학교에 대한 Flexner의 신랄한 판단으로 현장 하루를 보냈던 기발한 언론인에 의해 증폭되었습니다. 10 년 안에 155 개 의과 대학 중 약 1/3이 다른 학교를 폐쇄하거나 합병했습니다. 불행하게도 폐쇄 된 많은 학교가 여성과 아프리카 계 미국인에게 의학 교육을 제공하는 유일한 학교였으며, 이 상황이 1970 년대까지는 교정되지 않았다.

The impact of Flexner’s report, taken very seriously by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was amplified by muckraking journalists, who had a field day with Flexner’s caustic judgments about specific schools. Within a decade,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 155 medical schools had closed or merged with other schools. Unfortunately, a number of the schools that closed were the only ones that offered women and African Americans access to medical education, a situation that was not rectified until the 1970s.


1920 년까지 의학 교육의 표준화를위한 모든 기본 구조가 확고하게 확립되었습니다. AMA와 AAMC는 (1942 년까지, 그들의 노력을 결합하고 의학 교육에 대한 연락위원회를 구성 할 때까지) 각각 의과 대학을 조사하고 평가했으며, 국립 검시관 (NBME)은 미국의 의학 면허 시험을 수립하고 의학 보드는 연습중인 의사의 면허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By 1920, all of the basic structures for standardization of medical education were firmly established. The AMA and the AAMC separately surveyed and evaluated medical schools (until 1942, when they combined their efforts and formed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the 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NBME) established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s, and state medical boards began to license practicing physicians.


Flexner 보고서는 Abraham Flexner를 국가적으로 유명하게 만들었고 John D. Rockefeller 재단의 총 교육위원회 (General Education Board)의 비서로 새로운 직책을 수행했습니다. 상당한 금액의 자선 기금을 의과 대학에 보급함으로써 그는 표준을 향상시키고 학교의 교육 프로그램을 direct 할 수 있었습니다 .5 이러한 모든 노력의 결과로, 루드머어 (Ludmerer)에 따르면, 1차 세계대전 시기에 이르면 과학 지향적인 대학 기반 의과대학 및 교육 병원이 표준이 되었으며, 이것은 미국의 의학 교육에서 최초의 주요 변형이며, 종종 "플렉스너 혁명 (Flexnerian Revolution)"이라고도 불린다.

The Flexner Report propelled Abraham Flexner to national prominence and a new position as the secretary of the General Education Board of the John D. Rockefeller Foundation. By directing substantial amounts of philanthropic funds to medical schools, he was able to upgrade standards and direct the course of the schools’ educational programs.5 As a result of all of these efforts, the scientifically oriented, university-based medical school and teaching hospital became the normby the start of World War I. According to Ludmerer,5 this was the first major transformation in American medical education and is often referred to as the “Flexnerian revolution.”


2010년의 개혁을 요구한 전조

Precursors to the Call for Reform in 2010


제 1 차 세계 대전에서 제 2 차 세계 대전에 이르기까지 교육 사명이 최우선이었고 환자 관리와 교육을 통합하는 Flexnerian 모델이 널리 보급되었습니다. 연구는 환자의 신중한 관찰과 실험실에서의 환자 지향적인 조사 작업에 크게 기인 한 것이기 때문에, 환자 간호, 연구, 교육이 모두 연결되었습니다 .6 다음 수십 년 동안 대학의학에서 두 가지 추가 혁명이 발생했습니다. 하나는 생물 의학 연구의 혁명이며, 다른 하나는 임상 실습이 megabusiness로 변모한 것이다. 이들 각각은 다른 의과 대학 미션을 요구했다.

From World War I to World War II, the education mission was paramount and the Flexnerian model of integrating patient care and teaching was widespread. Patient care, investigation, and teaching were all connected because research was based in large part on careful observations of patients as well as patient-oriented investigative work in the laboratory.6 Over the subsequent decades, two additional revolutions in academic medicine occurred: the revolution in biomedical research and the transformation of clinical practice into megabusiness. Each of these encouraged the ascendancy of a different medical school mission.


제 2 차 세계 대전 이후, 이러한 혁명의 첫 번째 사건이 생겨났고, 생의학 연구의 부상이 일어났습니다. 이것은 두 가지 힘의 결과로 발생했다 :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급속한 확장과 의대가 대학에 통합된 것; 그 결과 "publish or perish"의 문화가 등장하였다. 연구가 점점 더 복잡 해짐에 따라 연구실 교수진은 환자를 계속 가르치고 관찰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유사하게, 임상 교사들은 더 이상 최첨단 wet lab연구를 수행 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실험실과 침상 옆을 오가는 임상의라는 Flexner의 이상은 퇴색하기 시작했습니다.

After World War II, the first of these revolutions took place, the rise of biomedical research. This occurred as a result of two forces: the rapid expansion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nd the incorporation of medical schools into universities; together, these resulted in an intensifying culture of “publish or perish.” As research became increasingly molecular in nature, laboratory-based faculty found it more and more difficult to continue teaching and seeing patients; similarly, clinical teachers were unable to conduct leading-edge wet lab research. Thus, Flexner’s ideal of the clinician– investigator who went back and forth from the laboratory to the bedside began to fade.


또 다른 혁명은 임상 혁명이 메가 비즈니스로 변모한 것으로, 1965 년 메디 케어와 메디 케이드의 통과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의료는 엄청나게 확대되었으며, 의과 대학의 주요 수입은 교수진이 창출 한 임상 실습 수익이되었습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교수진의 임상 생산성 요구가 증가하고, 이는 계속해서 교육을 위한 시간을 줄여놓거나 심지어 제거했습니다 .5 오늘날 의과 대학생들은 주로 환자와 환자가있는 급성 환자의 맥락에서 레지던트가 가르치고 있습니다. 직원은 자주 바뀌고 환자 진료의 핵심 참가자들 간에는 거의 연속성이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의학 교육은 Flexner가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게됩니다.

The other revolution, the transformation of clinical practice into megabusiness, began in 1965 with the passage of Medicare and Medicaid. Medical faculties expanded dramatically, and the primary income for medical schools became clinical practice revenue generated by the faculty. Over succeeding decades, the clinical productivity demands on the faculty increased and continued to do so, compressing or even eliminating time for teaching.5 Today, medical students are being taught primarily by residents in the context of acutely ill patients on inpatient services where patients and staff change frequently and there is little continuity between the key participants in patient care. As a result, medical education faces a new set of challenges unimagined by Flexner.




현대의 카네기 연구 

The Contemporary Carnegie Study of Medical Education


오래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더라도, 커리큘럼, 교육학, 평가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합니다.

A new model is needed that builds on the old but offers a new vision for curriculum, pedagogy, and assessment.


우리가 21 세기 초 미국의 의학 교육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플렉스너처럼 마찬가지로 그것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 의학 교육은 유연성이없고 지나치게 길며 학습자 중심이 아닙니다. 

  • 학생과 레지던트 모두를 위한 임상 교육은 사실적 지식의 숙달, 입원 임상 경험, 레지던트에 의한 교육, 가르치는 시간이 줄어든 임상 교수에 의한 감독, 교육 임무를 지원 의지나 능력에 한계에 도달한 병원을 과도하게 강조합니다. 

  • 우리는 공식 지식과 경험 학습과 환자 집단, 의료 전달, 환자 안전 및 품질 향상에 대한 부적절한 관심 사이의 연관성을 관찰했습니다. 

  • 학습자는 환자 경험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이 부족하고 의사의 광범위한 시민 및 옹호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합니다. 

  • 마지막으로, 건강 관리의 속도와 상업적 성격은 종종 직업의 근본 가치에 대한 가르침을 방해합니다.

As we reflect on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we find, like our famous forbearer, that it is lacking. 

  • Medical training is inflexible, overly long, and not learner-centered. 

  • Clinical education for both students and residents excessively emphasizes mastery of facts, inpatient clinical experience, teaching by residents, supervision by clinical faculty who have less and less time to teach, and hospitals with marginal capacity or willingness to support the teaching mission. 

  • We observed poor connections between formal knowledge and experiential learning and inadequate attention to patient populations, health care delivery,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  Learners lack a holistic view of patient experience and poorly understand the broader civic and advocacy roles of physicians. 

  • Finally, the pace and commercial nature of health care often impede the inculcation of fundamental values of the profession.


우리의 연구는 재단이 위임 한 직업을 준비하는 데 더 큰 규모의 일을하고 있습니다. 책으로 출판 된 동반자 연구는 성직자 교육, 변호사, 엔지니어, 간호사를 대상으로합니다.

Our study is part of a larger body of work on preparation for the professions commissioned by the foundation. The companion studies, published as books, address the education of clergy,7 lawyers,8 engineers,9 and nurses.10


우리는 2005 년과 2006 년에 미국에서 11 개의 의과 대학과 3 개의 비-대학 교육 병원 *을 연구했습니다. Flexner와 달리 우리의 목적은이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혁신과 도전으로부터 배우는 것입니다.

We studied 11 medical schools and three nonuniversity teaching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in 2005 and 2006. In contrast to Flexner, our purpose was not to evaluate educational programs at these institutions but, rather, to learn from their innovations and challenges.




핵심 결과와 권고

Key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학 교육 시스템을 그린다.

  •     표준화 된 결과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     통합 및 협업 학습 기회를 창출하며,

  •     질의와 개선의 습관을 가르치고

  •     학생 및 레지던트 professional formation을 위한 학습 환경을 제공합니다. 

  •     환자와 환자 집단의 건강을 진전시킨다.

We envision a medical education system that

  •    maximizes flexibility in the process of achieving standardized outcomes,

  •    creates opportunities for integ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    inculcates habits of inquiry and improvement, and

  •    provides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professional formation of students and residents— while at the same time it

  •    advances the health of patients and patient populations.



표 2는 네 가지 주제와 관련된 주요 결과를 요약합니다.

  •     학습 결과를 표준화하고 학습 과정을 개별화하십시오.

  •     공식적인 학습을 임상 경험과 통합하십시오.

  •     모든 수준의 의학 교육에 대한 조사 및 개선 습관을 개발하십시오.

  •     전문적인 정체성의 점진적 형성에 중점을 둡니다.

Table 2 summarizes our key findings associated with four themes:

  •    Standardize learning outcomes and individualize the learning process.

  •    Integrate formal learning with clinical experience.

  •    Develop habits of inquiry and improvement into medical education at all levels.

  •    Focus on the progressiv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표준화와 개별화

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의학 교육은 역사적으로 교과 과정의 길이와 구조에 대한 인정 기준을 표준화했습니다.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의학 교육이 학습 결과와 일반 역량을 표준화해야하고, 학생과 레지던트를 위한 학습 경험을 개별화 할 수있는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역량을 지정하고 평가함으로써 높은 표준을 달성하면서, 학습 과정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조기에 역량을 얻을 수있는 사람에게는 지나치게 긴 교육 과정을 단축 할 수 있어야 한다.

Medical education has historically standardized accreditation standards on the length and structure of the curriculum . Like many others, we argue that medical education should standardize learning outcomes and general competencies and then provide greater options for individualizing the learning experience for students and residents. By specifying and assessing competencies, high standards can be achieved while affording greater flexibility in the learning process and shortening the overly long educational process for those who can achieve competence early.


개별화는 학생과 레지던트가 다양한 배경, 경험 및 전문 지식을 가지고 도착한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종종 학생들이 의대를 시작하면, 그들이 가지고있는 지식과 경험은 무시됩니다. 타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과학을 사용하는 데 대한 관심이 중요한 동기 부여요인이 된다. 우리의 주장은 학생과 레지던트에게 의학을 배우고 자신의 특정 관심 분야를 추구하고, 풍부한 교육 경험을 만들어 내고, 결과적으로 더 광범위하게 훈련 된 의사를 양성 할 수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모델은 일부 학생과 레지던트가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숙달을 달성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 경우 심층적인 관심 주제를 추구하거나 다음 단계로 빠르게 진행할 수 있어야합니다.

Individualization acknowledges that students and residents arrive with diverse backgrounds, experiences, and expertise. Yet, when students begin medical school,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they bring with them are often disregarded. Their commitment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others and their interest in using science to do so are important sources of motivation. Our contention is that we can offer students and residents more opportunities to both learn medicine and also pursue areas of special interest, creating a richer educational experience and producing a more broadly trained physician as a result. This model assumes that some students and residents will achieve mastery sooner than others and should be allowed to pursue topics of interest in extra depth or to proceed more rapidly to the next stage of training.


표준화 및 개별화와 관련하여 다음을 권장합니다.

    •   의학 교육의 궤적에 걸쳐 엄격하고 점차적으로 높은 수준의 역량을 수립하고 학생들이 각자의 속도로 진보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치를 사용하여 여러 영역에서 여러 영역을 평가하십시오.

    •   레벨 내에서 레벨에 관계없이 학습을 개별화하여 학습 방법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학생들이 역량 획기적 인 목표를 달성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공공 보건 및 옹호, 세계 보건, 의학 교육, 임상 및 번역 연구, 분자 의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자 및 혁신가와 함께 일할 수있는 관심 분야 및 기회가있는 선택 프로그램을 학생과 거주자에게 제공하십시오.

We recommend the following related to 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   Establish rigorous and progressively higher levels of competency across the trajectory of medical education and assess multiple domains in many settings using a variety of measures so that students can progress at their own pace.

    •   Individualize learning within and across levels, allowing flexibility in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e opportunity to progress as students achieve competency milestones.

    •   Offer elective programs around areas of interest 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and residents to work with researchers and innovators in such areas as public health and advocacy, global health, medical education,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and molecular medicine.


공식적 학습과 임상 경험의 통합

Integration of formal learning with clinical experience


우리는 통합이라는 단어를 기초, 임상 및 사회 과학에 대한 공식 지식을 임상 경험과 통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오늘날보다 훨씬 더 균형 잡힌 방식을 뜻한다

    • 이는 의대생이 조기에 임상에 참여해야하며, 레지던트는 과학에 대한 더 많은 노출과 자신의 의료행위를 뒷받침하는 최선의 증거가 있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 통합은 또한 지식, 경험을 사용하여 환자, 환자의 경험 및 치료를보다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 마지막으로, 플렉스너의 개념보다 더 넓은 의미에서, 우리는 의사가되는 것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전문적인 역할과 책임을지는 학습로 통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학생과 레지던트는 전문적인 적성, 목표, 정체성 및 교육적 경험에 이러한 추가 역할을 통합해야합니다.

We use the word integration to refer to the integration of formal knowledge of the basic, clinical, and social sciences with clinical experience in a much more balanced manner than is true today. 

    • This means that medical students should be provided early clinical immersion and residents should have more intense exposure to the sciences and best evidence underlying their practices. 

    • Integration also includes using that knowledge and experience to understand patients, their experiences, and their care more holistically. 

    • Finally, in a sense of the word that is broader than Flexner’s concept, we see integration as learners taking on the multiple professional roles and commitments associated with being a physician. Because physicians performa variety of roles, students and residents should integrate those additional roles into their professional aptitudes, goals, identitie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우리는 통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권고안을 제시합니다.

    •   조기 임상 집중과 보다 진보된 학습자가 성찰하고 연구 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비롯한 임상 경험과 공식적인 지식을 연결하십시오.

    •   기초, 임상 및 사회 과학을 통합합니다.

    •   환자와의 장기적인 연관성을 비롯하여 환자의 질병 및 치료 경험에 대한보다 포괄적 인 시각을 가지고 모든 수준의 학습자를 참여시킵니다.

    •   교육자, 옹호자, 지도자 및 연구자를 포함한 의사의 광범위한 전문적 역할을 학습자가 경험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십시오

    • IPE 및 팀워크를 커리큘럼에 통합하십시오.

We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related to integration:

    •   Connect formal knowledge to clinical experience, including early clinical immersion and adequate opportunities for more advanced learners to reflect and study.

    •   Integrate basic, clinical, and social sciences.

    •   Engage learners at all levels with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patients’ experience of illness and care, including more longitudinal connections with patients.

    •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experience the broader professional roles of physicians, including educator, advocate, leader, and investigator.   Incorporat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teamwork in the curriculum.


탐구와 개선의 습관

Habits of inquiry and improvement


평생에 걸쳐 수월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의사는 탐구, 발견 및 혁신에 종사해야합니다.

To promote excellence throughout a lifetime of practice, physicians-in- training should be engaged in inquiry, discovery, and innovation.


질의 및 개선을위한 교육은 일상적인 전문성을 뛰어 넘어 학습자의 능력capabilities을 확장시켜야 함을 제안합니다. 실제 "테이퍼 오프tapering off"또는 자만심을 방지하는 핵심은 어렵거나 모호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투자하는 것이다. 연구는 [탐구와 개선을 촉진하는 habits of mind]가 [일상적인 전문성 개발]뒤에 따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We suggest that training for inquiry and improvement requires moving beyond routine expertise to stretch the capabilities of the learner. The key to preventing “tapering off” or complacency in practice seems to be investing the effort needed to explore and address difficult or ambiguous problems. Research suggests that the habits of mind that foster inquiry and improvement must be develop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routine expertise rather than after it.12


교과 과정 개혁을 위한 이 함의는 적응력있는 전문성adaptive expertise과 그것의 습득에 대해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새로운 전략과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사전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거나 재구성해야하는 새롭거나 익숙하지 않은 문제 또는 상황으로 학습자를 도전하는 것입니다. 현장 작업에서 자주 본 사례는 학생들과 레지던트가 품질 개선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례입니다.

The implications of this for curriculum reform might be to explicitly teach about adaptive expertise and its acquisition and to challenge learners with new or unfamiliar problems or circumstances that require adaptation or reconfiguration of prior knowledge and skills to develop new strategies and solutions. An example we saw frequently in our field work was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residents in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조사 및 개선의 습관을 기르기 위해 다음을 권장합니다.

    •   학습자가 일상적 전문성과 적응적 전문성을 모두 얻을 수 있도록 준비하십시오.

    •   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를 참여시키고 질문, 혁신 및 치료 개선에 진정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합니다.

    •    인구 건강, 품질 향상 및 환자 안전에 중점을 둔 학습 활동에 참여하십시오.

    •    대학 교육 병원뿐만 아니라, 양질의 환자 치료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임상 교육이 이뤄지게 한다.

To develop habits of inquiry and improvement, we recommend the following:

    •   Prepare learners to attain both routine and adaptive forms of expertise.

    •    Engage learners in challenging problems, and allow them to participate authentically in inquiry, innovation, and improvement of care.

    •    Engage learners in initiatives focused on population health,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    Locate clinical education in settings where quality patient care is delivered, not just in university teaching hospitals.


전문직 정체성 형성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의학 교육은 의학을 배우는 것 이상입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헌신적인 의사가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따라서 의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 전문적인 가치관, 행동 및 열망의 개발 -이 의학 교육의 주요 초점이되어야합니다. 의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다른 세 가지 주제의 통합을 포함합니다.

Medical education goes beyond learning medicine; it is fundamentally about becoming a dedicated physician. Therefore,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physicians—meaning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values, actions, and aspirations—should be a major focus of medical education. Form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physician includes the integration of our other three themes.


형성, 성직자 연구에서 동료들로부터 빌린 용어이며, 

    • 지식, 이해 및 숙련 된 성과를 확장시킴으로써expanding 전문가가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 직업의 다른 구성원, 특히 경험 많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제를 통해; 

    • 직업의 가치와 성향disposition에 대한 헌신을 habit of mind로 심화시킴으로써.

Formation, a term borrowed from our colleagues in the study of clergy,7 involves the process of becoming a professional 

    • through expanding one’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skillful performance; 

    • through engagement with other members of the profession, particularly more experienced others; and 

    • by deepening one’s commitment to the values and dispositions of the profession into habits of the mind and heart.


Arnold와 Stern은 의료 전문가로서의 발전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음을 제안합니다. 

    • 첫 번째는 세 가지 기본 영역을 숙달하는 것이다: 의학에서의 임상지식과 역량, 의사소통 기술, 법적 윤리적 책임

    • 이러한 기본 영역 외에도 열망aspiration이 있습니다. 목표란 그것을 추구할 수는 있지만 절대 도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나 향상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우수성, 휴머니즘, 책임 성 및 애타주의가 포함됩니다.

Arnold and Stern13 suggest that one’s development as a medical professional has two elements. 

    • The first is demonstrating mastery in three foundational areas—clinical knowledge and competence in medicine, communication skills, and understanding the ethical and legal responsibilities of a physician. 

    • In addition to these foundational areas, there are aspirations: goals that are striven for but never achieved, as one can always improve. These include excellence, humanism, accountability, and altruism.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것

    •   공식 윤리 강령, 스토리 텔링 및 심볼(명예 암호, 서약 및 백의 의식)를 제공하십시오.

    •    숨겨진 커리큘럼에 표현 된 기본 메시지를 다루고 임상 환경으로부터 espoused and enacted 가치를 맞추기 위해 노력합니다.

    •    장기 멘토링 및 조언의 맥락에서 전문성에 대한 피드백, 성찰 기회 및 평가.

    •    학습자를 동시에 지원하고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교수진과의 관계를 촉진하십시오.

    •    우수성과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협업 학습 환경을 조성하십시오.


the following for the advance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Provide formal ethics instruction, storytelling, and symbols (honor codes, pledges, and white coat ceremonies).

    •    Address the underlying messages expressed in the hidden curriculum and strive to align the espoused and enacted values of the clinical environment.

    •    Offer feedback on, reflective opportunities for, and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longitudinal mentoring and advising.

    •    Promote relationships with faculty members who simultaneously support learners and hold them to high standards.

    •    Creat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committed to excellen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고찰

Discussion


우리가 바라는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과 대학의 교수진, 병원, 프로그램 디렉터, 부서장 및 학장뿐만 아니라 의학 전문직 단체 및 정부의 지도자들에 대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의 권고 사항들 각각은 의료 교육의 재정, 규제, 인증 및 인정에있어서 국가 또는 국가 수준에서의 변화를 필요로하거나 최소한 촉진 할 것입니다. 의대 및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혁신을하기 위해서는 의료 교육을 통제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기금 제공자, 규제 기관 및 전문기구가이 개혁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합니다.

Achieving the changes we envision will require the concerted and combined efforts of faculty members in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program directors, department chairs, and deans as well as leaders of medical professions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Each of our recommendations necessitates, or at a minimum would be facilitated by, changes at the state or national level in the financing, regulation, certification, and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For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to successfully innovate, the funders, regulator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at control or influence medical education must be actively engaged in this reform effort.


우리는 의학 교육의 핵심 인사가 미국의 의학 교육을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 대중의 건강을 위해 다음과 같은 7 가지 주요 단계를 수행 할 것을 제안합니다.

We propose that medical education’s keystakeholders take the following seven major steps to advance U.S. medical education and, ultimately, the health of the public: 



1. AAMC와 의과 대학은 예비 교육 과정 요구 사항과 입학 기준 및 과정을 수정하기 위해 함께 노력합니다.

1. The AAMC and medical schools work together to revise premedical course requirements and admission criteria and processes.


2. 인증, 인증 및 라이센스 기관은 함께 의료 교육의 연속체를위한 일관된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고 표준 조정 및 관할권 분쟁 해결을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수립합니다.

2. Accrediting, certifying, and licensing bodies together develop a coherent framework for the continuumof medical education and establish effective mechanisms to coordinate standards and resolve jurisdictional conflicts.


3. 교육 병원 및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이사는 환자 개호와 임상 교육을 조정하여 두 가지를 향상시키고 실습 요건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3. CEOs of teaching hospitals and directors of residency programs align patient care and clinical education to improve both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consistent with practice requirements.


4. 의과 대학 학장과 교육 병원의 CEO는 재정 지원, 멘토링, 교수 개발, 인정 및 학업 향상을 제공하여 교수진의 교육 사명을 지원합니다.

4. Deans of medical schools and CEOs of teaching hospitals support the teaching mission of the faculty by providing financial support, mentoring, faculty development, recognition, and academic advancement.


5. 의과 대학의 학장과 교육 병원의 CEO는 협력하여 의료 교육을위한 자금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조정하고 의과 대학 및 교육 병원의 임무에 맞 춥니 다.

5. Deans of medical schools and CEOs of teaching hospitals collaboratively make funding for medical education transparent, fair, and aligned with the missions of both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6. AAMC, AMA, 대학원 의학 교육 (ACGME), 의학 전문 사회 및 의과 대학의 인증위원회는 의료 교육의 인프라, 혁신 및 연구를 지원하기위한 지속적인 개인, 연방 및 주 예산 공약을지지합니다.

6. The AAMC, AMA,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medical specialty societies, and medical schools be advocates for sustained private, federal, and state funding commitments to support infrastructure, innovation, and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7. AAMC, AMA, ACGME, 의학 전문 사회 및 의과 대학은 미국의 의료 인력 정책 개발에 협력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의료 교육 비용, 훈련 기간 및 인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문의와 전문의가 혼합 된 국가가 될 수있는 실무 생존 능력을 다루는 다양한 중재를 가져와야합니다.

7. The AAMC, AMA, ACGME, medical specialty societies, and medical schools collaborate on the development of a medical workforce policy for the United States. This effort should result in a variety of interventions addressing the cost of medical education, length of training, and practice viability that will ensure that the country has the mix of specialty and subspecialty physicians to meet the needs of the population.





 2010 Feb;85(2):220-7. doi: 10.1097/ACM.0b013e3181c88449.

Calls f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1910 and 2010.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CSF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94143-0410, USA. irbyd@ucsf.edu

Abstract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which in 1910 helped stimulate the transformation of North American medical education with the publication of the Flexner Report, has a venerated place in the history of American medical education. Within a decade following Flexner's report, a strong scientifically oriented and rigorous form of medical education became well established; its structures and processes have changed relatively little since. However, the forces of change are again challenging medical education, and new calls for reform are emerging. In 2010, the Carnegie Foundation will issue another report, Educating Physicians: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that calls for (1) standardizing learning outcomes and individualizing the learning process, (2) promoting multiple forms of integration, (3) incorporating habits of inquiry and improvement, and (4) focusing on the progressive formation of the physician's professional identity. The authors, who wrote the 2010 Carnegie report, trace the seeds of these themes in Flexner's work and describe their own conceptions of them, addressing the prior and current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achieving excellence. The authors hope that the new report will generate the same excitement about educational innovation and reform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the Flexner Report did a century ago.

PMID:

 

20107346

 

DOI:

 

10.1097/ACM.0b013e3181c88449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변화: 어떻게 성공할 것인가(Acad Med, 2000)

Curricular Change in Medical Schools: How to Succeed

Carole J. Bland, PhD, Sandra Starnaman, PhD, Lisa Wersal, MA, Lenn Moorhead-Rosenberg, PhD, Susan Zonia, PhD, and Rebecca Henry, PhD




검색 과정

THE SEARCH PROCESS


이 검토를 위해 적절한 출처를 모으기 위해 미네소타 대학의 교육 정책 및 행정학 교수 인 카렌시 쇼어 루이 (Karen Seashore Louis)가 교육 과정 전문가의 지시를 먼저 받았다. 그녀는 일반적으로 조직 변화와 교육적 변화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유치원부터 12 학년 (K-12)까지 학교 및 조직 설정의 변화에 ​​대한 자료를 안내했습니다. 그 근원은 그들의 참고 목록을 통해 다른 사람에지도했다.


In gathering appropriate sources for this review, we first sought direction from an expert in the field of curricular change, Karen Seashore Louis, professor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istration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he guided us to literature on changes in school and organizational settings from kindergarten to the twelfth grade (K–12) to provide grounding in organizational change in general, and educational change in particular. Those sources led to others via their bibliographies.


연구 결과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OUR FINDINGS


이 리뷰에서 우리가 적용하는 용어와 그 의미를 분명히합니다. 특정 변화 단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경우 다음 용어를 사용합니다.

we clarify the terms and their meanings that we apply in this review. When it is appropriate to explicate a particular stage of change, we use the following terms: 



계획. 이 단계에서 변화의 필요성이 수립되고 변화에 대한 비전이 수립되며 변화에 대한 조직적 맥락이 고려됩니다.

Planning. During this stage, the need for change is established, a vision for change is designed, and the organizational context for change is considered.


개시 (동원 또는 도입이라고도 함). 계획을 수립하고 일반적으로 약 1 년 동안 지속되는 입문 과정에서 오랜 조직 패턴의 '해체'와 직장이나 교육 환경에 대한 혁신 도입을 관찰하게됩니다.

Initiation (also referred to as mobilization or adoption). During initiation, which follows planning and generally lasts about a year, one would observe the ‘‘unfreezing’’ of old organizational pattern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innovation into the workplace or education environment.


이행. 이 단계는 일반적으로 개시 이후 제도화로 이어지는 년을 의미합니다. 이 기간 동안 혁신은 시행 착오를 통해 수정 및 조정을 받아 직장이나 교육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실용화되고 있습니다.

Implementation. This stage typically refers to the years following initiation and leading up to institutionalization. During this time the innovation continues to be put into practice in the workplace or education environment, acquiring modifications and adjustments through trial and error.


제도화. 이 단계는 혁신이 조직 행동의 새로운 질서가 된 때를 의미합니다. 조직의 구성원이 혁신 목표를 더 이상 '새로운'방식으로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우리가 일을 하는 방식'이라고 지칭 할 때입니다. 이 시기는 때로는 초기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패턴의 unfreezing과 대조하여 "freezing" 시간이라고 부릅니다. 

Institutionalization. This stage refers to the time when the innovation has become the ‘‘new order’’ of organizational behavior. It is the time when the organization’s members no longer refer to the innovation objectives as the ‘‘new’’ way of doing things, but rather refer to them as, ‘‘the way we do things.’’ It is sometimes called a time of ‘‘freezing’’ desired behaviors, in contrast to the ‘‘unfreezing’’ of undesired behavior patterns in the initiation stage.


요인들을 세 가지 그룹으로

Thus, we cluster the factors into three groups:



맥락. 여기에는 변경을 용이하게하는 조직에있는 특성이 포함됩니다. 이 클러스터에서 논의되는 요소는 사명과 목표, 조직의 변화의 역사, 정치 및 조직 구조입니다.

Context. This includes characteristics present in the organization that facilitate change. Factors discussed in this cluster are mission and goals, history of change in the organization, politic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교육과정. 여기에는 커리큘럼 자체와 관련된 특성이 포함됩니다. 여기서 논의되는 요소는 변화의 필요성과 혁신의 범위와 복잡성입니다.

Curriculum. This includes characteristics pertinent to the curriculum itself. Factors discussed here are the need for change and the scope and complexity of the innovation.


프로세스. 프로세스에는 커리큘럼 변경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와 관련된 특성이 포함됩니다. 논의되는 요인은 협력 적 기후, 조직 구성원의 참여, 의사 소통, 인적 자원 개발, 평가, 성과 저하 (즉,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행됨에 따라 조직의 성과가 일시적으로 감소 함) 및 리더십입니다.

Process. Process includes characteristics that relate to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urricular change. Factors discussed are cooperative climate, participation by organization members, communi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evaluation, performance dip (i.e., the temporary decrease in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as a new program is implemented), and leadership.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혁신 - 교과 과정 또는 다른 방식 -의 특성 중 하나는 혁신을 구현하는 데 사용 된 혁신과 전략이 조직과 환경의 맥락에 적절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특정 기업 또는 교육 환경에 기반한 조직 변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결과가 다른 조직으로 반드시 이전transfer 가능하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성공적인 변화 노력과 관련된 특성과 관련하여 학문 분야 및 환경 전반에서 현저한 일관성을 발견했습니다.

Finally, it is important to mention tha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innovation—curricular or otherwise —is that the innovation and strategies used to implement it must be appropriate to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 and its environment. For this reason, most studies of organizational change, be they based on corporate or educational settings, do not claim that their results are necessarily transferable to other organizations. Still, we found remarkable consistency across disciplines and setting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ccessful change efforts.



OUR FINDINGS


13개 카테고리, 35개 특징들

The review revealed 13 categories in which 35 features of successful curricular change were consistently reported.


Brief Descriptions of 35 Features of Successful Curricular Change, in 13 Categories


CONTEXT


Mission and Goals


Successful innovations must be compatible with the institution’s mission, goals, and educational philosophy.


History of Change in the Organiza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a history of effective change are more likely to implement new innovations successfully.


Politics


Internal Networking


Successful change efforts are characterized by:

(a) having a strong, influential advocate at the forefront of the change effort.

(b) gaining the ‘‘buy in’’ of powerful individuals or factions of the organization.


Informal networks are often the preferred means of negotiation of power issues in medical schools.


Resource Allocation


When external funds are used to initiate change projects, care must be taken to ensure that support for the change effort continues once the initial external support runs out.


External Relationships/Support


External support from foundations is a common means of funding curricular change efforts in medical settings. Tracking the innovation’s success is useful in leveraging funds for the continuation of the program.


Organizations are advised to link their proposed innovations to the interests and needs of their constituents. Identifying mutual goals, committing to a shared vision, and establishing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external bodies and the organizatio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efforts.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s with high interaction, connection, and networks of participatory teams are better able to accomplish broad change than ‘‘segmental,’’ ‘‘departmentalized,’’ or ‘‘loosely coupled’’ organizations.


Organizations with segmental structures can accomplish curricular change by utilizing cross-departmental teams and thereby partially bypassing departmental control.


CURRICULUM


Need for Change


In order for change to occur and be lasting, there needs to be widespread agreement that the innovation is relevant to the real problems that potential users currently experience.


Scope and Complexity of the Innovation


Avoid the extremes of trivial trial projects or overly ambitious undertakings. A balanced approach that engages the organization members’ commitment and support will be most successful.


Successful innovations are large enough to justify the human and financial costs of the effort, but not so large as to lead to distortion of the innovation or only partial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Cooperative Climate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respectful work climate to successful curricular change cannot be overstated.


Features of change-conducive environments include interpersonal respect, support, and cohesion balanced by constructive criticism and high professional expectations.


Change-conducive organizations are also characterized by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rewards for risk taking, and skillful conflict resolution.


Participation by the Organization’s Members


As organization members invest themselves in the project through their participation, they strengthen their collective ownership of the project and deepen their commitment to see the innovation through to completion.


Public opportunities to declare agreement with the innovation help build the group’s resolve to move forward. Faculty forums, retreats, orientations, problem-solving teams, and committees are examples of means through which to invite faculty involvement.


Communication


Successful innovation is fostered by frequent, timely, substantive, and forthright communication that is shared in a variety of verbal and written forms, bot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contributes to the coalescence of a shared meaning and a unified purpose.


It is vital for the change leader to be visible, proactive, and responsible in communicating a clear vision. The leader should also provide regular updates on the group’s progress toward stated goals.


Two forms of communication found to be especially effective in medical schools are face-to-face interaction and demonstration of proposed teaching practices.


Allowing dissenters to air objections and concerns invites participation, establishes trust, affirms risk taking, may uncover legitimate concerns, and deepens individuals’ investments in the change process.


Sharing insights and reflections on the innovation process during the final institutionalization stage helps recharge waning group energies. Institutionalization is also a time to reach out to newcomers and cultivate new leaders.


Human Resource Development


Training Support


For change efforts to be most effective, the organization must be attentive to the particular needs that arise as members move through the change process. Support provided should be appropriate to the culture of the school and the nature of the innovation.


Training support must be ongoing and of high quality. As follow-up practices to in-service training, peer coaching and team problem solving will significantly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new behaviors.


Leadership training is necessary for continued cultivation of new leaders, especially in settings where personnel may not have previously needed to develop leadership skills.


New organization members must be ‘‘brought up to speed’’ on the innovation process, so they do not inadvertently weaken or disrupt progress already made.


Reward Structure


The organization’s reward structure must include incentives that reward participation in the innovation.


In medical settings, approaching curricular change as an ‘‘experiment’’ elevates the innovation in the eyes of participants to a process deserving of the organization’s investment of effort and resources.


Evaluation


An evaluation done well serves to legitimize the innovative process by holding it to standards of analysis that the faculty regard as valid and meaningful.


Formative evaluation is useful in locating difficulties and solving problems, in fostering open communication and a cooperative climate, and in renewing commitment to and ‘‘ownership’’ of the project.


Performance Dip


As a new program is implemented, a period of decline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ten occurs. During this time, strategies that lead to successful innovation include acknowledging grieving over losses associated with the old curriculum, celebrating successes, providing professional assistance, making minor adjustments in the process, and continuing to monitor progress toward organizational goals.


Leadership


Leadership in General


Stable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innovation.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change leaders are to utilize assertive participative and cultural/value-influencing behaviors, to be ‘‘flexible,’’ to view the organization through a variety of perceptual ‘‘frames,’’ and to mobilize others to maintain the change momentum.


Leaders’ Advocacy of Organizational Vision


Leaders must effectively communicate and promote the organization’s shared vision for curricular change.


맥락

Context


맥락이 달라지면 유사한 조직조차도 다른 혁신의 길을 택하게 된다.

Even similar organizations in different contexts take different paths in innovation.


미션과 목적

Mission and goals.


조직의 기본 신념과 가치는 조직의 사명과 목표로 표현됩니다. 성공적인 혁신은 기관의 표현 된 가치, 신념 및 목적과 양립해야합니다. 교육 설정에서 학교의 사명과 목표,지지 된 교육 철학 및 교육 기관의 문화는 변화를 계획 할 때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입니다 .2,10-13

The underlying beliefs and values of an organization are expressed in its mission and goals. Successful innovations must be compatible with the institution’s expressed values, beliefs, and purposes. In educational set-tings, the mission and goals of the school, the espoused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institution’s culture are all essential components to consider when envisioning a change.2,10–13


로스와 파인 버그 (Ross and Fineberg)의 10 개 의과 대학에 대한 민족 지학 연구의 결과는 미션와 기관 문화, 혁신 사이의 밀접한 유대를 잘 보여주고있다 .14)이 연구자들은 보다 집중된 미션를 가진 소규모의 의과 대학 (예를 들어, generalist practitioners의 양성)이 보다 포괄적 인 사명을 가진 더 큰 학교보다 기관 차원의 혁신을 더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학교가 클수록 더 좁은 범위의 혁신을 도입 할 가능성이 더 컸다. Ross와 Fineberg는 대형 학교는 전문 분야에서의 훈련, 다양한 연구 노력 및 병원 요원 배치와 같은 여러 가지 임무를 추구한다는 사실에 기인합니다. 각 부서는 기관 내에 고유 한 사명을두고 있으며, 각 기관은 사명을 수행함에있어 상당한 자치를 누리고 있습니다. (큰 대학처럼) 각 부서가 전문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데있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환경에서는 교수진의 관심을 기관 차원의 혁신에 집중하는 것이 더 어렵습니다.

The results of an ethnographic study of ten medical schools by Ross and Fineberg exemplify the close ties between mission, institutional culture, and innovation.14 These investigators found that the smaller medical schools in their study, which had more focused missions (to prepare generalist practitioners, for example), could more readily implement institution-wide innovations than could larger schools with more comprehensive missions. The larger schools were more likely to introduce innovations of narrower scope. Ross and Fineberg attributed this to the fact that larger schools pursue a plurality of missions, including training in specialty practices, a variety of research efforts, and staffing of hospitals. Each department then has its own unique mission(s) within the institution, and each enjoys considerable autonomy in carrying out its mission(s). In such settings, where departments operate quite independently in pursuit of their specialized goals, it is more difficult to focus faculty attention on institution-wide innovations.


History of change in the organization.


혁신을 실행하는 조직의 이전 역사는 조직의 뒤따르는 변화 노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효과적인 변화의 역사를 가진 교육 기관은 새로운 혁신을 구현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15 성공적인 혁신의 역사는 변화의 제도화, 즉 변화를 조직의 지속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16 변화 노력의 실패한 역사가있는 조직은 특히 혁신을 받아들이려하지 않을 것입니다.


 An organization’s prior history with implementing innovation influences that organization’s subsequent change efforts.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had histories of effective change were more likely to implement new innovations.15 a history of successful innovation will positively influen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hange, that is, making the change a lasting part of the organization.16 organizations that have histories of failed change efforts are particularly unlikely to incorporate innovations.


Politics.


정치적 문제는 희소한 자원의 배분에 초점을 맞춘다 -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얻는가'.

Political issues revolve around the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who gets what, when and how.’’17


내적 네트워킹

Internal networking.


권력은 간단히 말해서 결정을 내리는 권한을 소유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줌으로써 조직 성과에 영향을 줄 수있는 능력이다. 조직 내외부 그룹 내의 영향력있는 개인 또는 하위 그룹은 공식 또는 비공식 채널을 통해 권한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의대에서 비공식 네트워크는 종종 권력 문제 협상에 선호되는 수단입니다.

Power is most simply explained as the ability to affect organizational outcomes either by possessing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or by influencing those who do. influential individuals or subgroups within the organization and/or external groups may exercise their power through formal or informal channels. In medical schools, informal networks are often the preferred means for negotiation of power issues.


리피트 (Lippitt)와 동료들은 계획된 조직 변화에는 단호한 설득, 보상이나 징벌 수여, 신뢰 구축, 공통 비전에 대한 열렬한 지지를 보여주는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개인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적어도 한 명의 강력한 지지자advocate가 있어야한다고 제안했다. 변화가 지속되려면, 조직 내에서 강력한 개인이나 파벌이, 비록 그들이 프로세스 초기에 옹호자가 아니었더라도, 결국 변경 노력에 협조해야합니다.

Lippitt and colleagues suggest that planned organizational change must have at least one strong advocate who exercises personal influence through a variety of strategies, such as assertive persuasion, awarding rewards or punishments, building trust, and enthusiastically demonstrating support for the common vision.18 Furthermore, if change is to be enduring, powerful individuals or fac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must eventually cooperate with the change effort, even if they are not early advocates of the process.


교수진과 행정관 외에도 학생들은 커리큘럼을 변경하는 동안 중요한 지지 베이스가 될 수 있습니다. 의대학생들의 피드백과 열의는 교수진을 앞으로 밀어 넣어 일부 설정에서 변화의 추진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In addition to faculty and administrators, students can be an important base of support during curricular change. medical students’ feedback and enthusiasm have helped sustain the momentum of change in some settings by ‘‘pushing’’ the faculty forward.9,20


교과 과정 변경 노력에서 제기 된 하나의 권력문제는 교육과정을 누가 소유하고 통제하는지에 대한 문제입니다. 학교인가 또는 교수진인가? 일부 학교는 이 문제를 명확히하는 상위 지침을 작성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여전히 ​​그것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One power issue that has arisen in curricular change efforts is the question of who ‘‘owns’’ or ‘‘controls’’ the curriculum: the school or the faculty. Some schools have written senate guidelines that clarify this issue; others are still struggling with it.



자원 할당

Resource allocation.


의과 대학 내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부서별 자율성 시스템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The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within medical schools tends to promote a system of departmental autonomy.


부서 이익과 연구 및 진료 수입 요구는 교육 기관 차원의 교육 목표 달성보다 우선시되는 경향이있다.

department interests and research and clinic-revenue imperatives tend to take precedence over the achievement of institution-wide educational goals.14


재단이 지원하는 교과 과정 변경 이니셔티브가 일반적이지만 변화를 시작하고 실행하기위한 외부 기금에 의존하는 것은 변화 노력의 제도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혁신이 진행됨에 따라 다른 외부 자원으로부터 충분한 자금을 모으고, 또는 초기 지원이 끝나면 내부 세출을 통해 변경 노력에 대한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

While foundation-supported curricular change initiatives are common, reliance on external funding to initiate and implement change may have negative ramification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hange effort.2 As the innovation progresses, care must be taken to garner sufficient funds from other external sources, or through internal appropriation, so that support for the change effort continues once the initial grant support runs out.



외부 환경과의 관계

Relationship with external environment.


상호 목표를 확인하고, 비전을 공유하고, 외부 기관과 조직 간의 의사 소통 프로토콜을 수립함으로써 지속적인 지침과 지원을받을 수 있습니다 .7,11,16,22,23 Glaser와 동료는 더 큰 공동체의 '맥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내부 구조 및 절차가 조직이 혁신 전략을 구현할 때 외부 환경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줍니다.

Identifying mutual goals, committing to a shared vision, and establishing communication protocols between external bodies and the organization open the door for continued guidance and support.7,11,16,22,23 Glaser and colleagues find that having internal structures and procedures for monitoring ‘‘the pulse’’ of the larger community helps organizations adjust to external environmental imperatives as they implement innovation strategies.1


의과 대학의 경우 외부 지지자는 정부 기관,인가 기관, 학회, 보건 전문 기관 및 관리 의료 기관뿐만 아니라 학교가 위치한 지리적 커뮤니티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Kantrowitz와 동료들은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성공을 공유하고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 유사한 혁신에 종사하는 다른 의과 학교와 관계를 발전시킬 것을 권고합니다.

In the case of medical schools, external supporters may include government bodies, accrediting agencies, scholarly societies, health professions organizations, and managed care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geographic community in which the school is located. Kantrowitz and associates recommend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other medical schools that are engaged in similar innovations to exchange ideas, share successes, and solve problems together.22


조직 구조

Organizational structure.


의과 대학에서 찾아 볼 수있는 매우 자율적인 교실 구조는 교실 간 통합 및 협업이 요구되는 교육 기관 차원의 교육 혁신에서 큰 과제가 된다.

The highly autonomous departmental structure found in medical schools presents a challenge to institution-wide curricular innovation that requires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departments.


조직 구조가 통합적 또는 밀접하게 조직 구조가 "분절적"또는 "느슨하게 결합 된"시스템보다 기관 전체의 변화에 ​​더 잘 부합한다. 예를 들어, Kanter는 부서간 통합적 fluid 경계를 가진 조직이 rigid한, "분절적" 교실 구조를 가진 조직보다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흐름을 더 잘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26 Rogers 역시 부서 간 상호 연결 및 대인 관계 네트워크의 수준이 높을 때 부서간에 더 효과적으로 혁신과 새로운 아이디어가 퍼져 나간다고 말했다.

Researchers point out that ‘‘integrative’’ or ‘‘closely linked’’ organizational structures are more amenable to institutionwide change than are ‘‘segmental’’ or ‘‘loosely coupled’’ systems. Kanter, for example, finds that organizations with ‘‘integrative,’’ fluid boundaries between departments better facilitate the free flow of ideas than do rigid, ‘‘segmental’’ departmental structures.26 Rogers, too, notes that innovations and new ideas spread more effectively across departments when there is a higher degree of interconnection and interpersonal networks among units.8


느슨하게 결합 된 작업 단위를 사용하는 조직에서는 변경이 한 영역에서 구현하기 쉽지만 확산이 어려울 수 있다. 27 그러나 조직 차원의 혁신을 구현할 때는 세그먼트가 결합 된 느슨하게 결합 된 시스템이 무조건 나쁜것total loss는 아니다. 로젠 블럼 (Rosenblum)과 루이 (Louis)는 분산된 느슨하게 결합 된 시스템이 단위 간의 충분한 긍정적 인 상호 작용이 있으면 변화를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In organizations with loosely coupled work units, change may be easy to implement in one area, but then prove difficult to spread.27 Segmented, loosely coupled systems are not at a total loss, however, when it comes to implementing organization-wide innovations. Rosenblum and Louis find that decentralized, loosely coupled systems may still be successful in effecting change if there is sufficient positive interaction among units.


일반적으로, 세분화 된 모델은 높은 상호 작용, 연결 및 참여 적 팀 중심 네트워크가있는 모델과 비교할 때 광범위한 변화를 달성하기가 어렵습니다 .16,28

In general, segmentalized models are seen as less able to accomplish broad change in comparison with models with high interaction, connection, and participatory, team-focused networks.16,28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더 많은 '통합적'구조의 필요성을 인식 한 의과 대학은 이러한 도전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충족시킵니다. 예를 들어, 카프만 (Kaufman)은 교과 과정 변경을 감독하기위한 학제 ​​간 커리큘럼 태스크 포스와 새롭고 통합 된 거버넌스 구조의 수립을 기술하고있다.

Recognizing the need for more ‘‘integrative’’ structures to facilitate change, medical schools meet this challenge in creative ways. Kaufman, for example, describe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ask force and a new, integrated governance structure to oversee curricular change.21



교육과정

Curriculum


변화의 필요성

Need for change.


조직이 변화에 대한 진실한 '필요성'을 먼저 밝히지 않고서는 혁신적인 경로를 시작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자주 놓치는 것은 관리자 또는 이사회만으로는 필요를 인식하고 변화를 촉구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변화가 일어나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수적이라는 전제가 널리 퍼져 있어야합니다 .2,27

It may seem self-evident that an organization would not embark on an innovative path without first identifying a bona fide ‘‘need’’ for change. What is not always recognized is that it is not enough for the administrators or board of directors to recognize that need and call for change. In order for change to occur and be lasting, there needs to be a widespread agreement that change is requisite.2,27


때로는 변화를위한 추진력이 기관 외부에서 시작됩니다. 다른 때에 변화의 필요성은 내부에서 비롯됩니다. 핵심은 변화가 '현실과 효용'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지 여부입니다. '31, p.27 즉, 혁신은 잠재적 인 새로운 사용자가 경험하는 실제 문제를 다루는 데 관련이 있어야합니다.

Sometimes the impetus for change originates outside the institution; at other times the need for change comes from within. What is key is whether the change meets the standards of ‘‘reality and utility.’’31,p.27 That is, the innovation must appear relevant to its potential new users for dealing with real problems that they experience.


혁신의 범위와 복잡성

Scope and complexity of the innovation.


변화 전략을 계획 할 때, 다루어야 할 초기 질문 중 하나는 변화 노력의 범위와 복잡성에 관한 것입니다. 조직 전체가 참여해야하고 상당히 복잡해야합니까? 아니면 조직이 제한된 범위의 "파일럿 프로젝트"로 시작해야합니까?

In planning a change strategy, one of the initial questions to deal with concerns the scope and complexity of the change effort. Should it involve the entire organization and be fairly complex, or should the organization start with a ‘‘pilot project’’ of limited scope?


일부 연구자들은 단계적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프로세스가 덜 파괴적이며 조직 구성원 모두에게 불안한 자극을주기 때문에 "파일럿"또는 "시험"이니셔티브의 성공적인 사용에 주목합니다. 그러나 어떤 연구자들은 "시범 사업"을 사용하기 위해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합니다. "성공적인 혁신은 조직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토대로 구축되었습니다. 테스트 프로젝트가 ''평범한 것으로 판단된다면 회원들의 헌신과 지원을 얻는 데 필요한 매력적인 품질을 가지지 못할 것입니다. 제한된 범위의 소규모 프로젝트는 사람들이 심오한 투자를하지 않기 때문에 논란없이 더 쉽게 묻히거나 포기될 수 있습니다 .28,31

Some researchers note the successful use of ‘‘pilot,’’ or trial, initiatives because the phased-in, incremental process is less disruptive and anxiety-provoking for the organization members involved than a sweeping, organization-wide initiative would be.9,20,32 However, other researchers offer some provisos to the use of ‘‘pilot projects.’’ Successful innovation is built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an organization’s members. If a test project is judged ‘‘trivial,’’ it will not have the engaging quality necessary to garner members’ commitment and support. Small projects of limited scope are more easily shelved or dropped without controversy because people are not deeply invested in them.28,31


Crandall과 동료들은 조직 지도자들이 조직의 맥락에주의를 기울이고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선택한다고 조언했다. . . 변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눈에 띄고 지속적인 노력을 필요로 할만큼 충분히 커야 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변화를 심각하게 왜곡시키는 대처 전략을 채택할 만큼 거창해서는 안 된다. "31, p. 범위가 복잡하고 광범위 한 혁신은 구현에 어려움을 낳을 수 있는 반면, 작은 단계로 나누면 잘 성공할 수 있습니다 .28

Crandall and colleagues advise that organization leaders be attentive to their organizations’ contexts and choose a balanced approach: ‘‘from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 . . the greatest success is likely to occur when the size of the change is large enough to require noticeable, sustained effort, but not so massive that typical users find it necessary to adopt a coping strategy that seriously distorts the change.’’31,p.26 While innovations that are complex and broad in scope may pose difficulty in implementation, they succeed best when broken into small steps.28


프로세스

Process


조직 리더는 때론 혁신의 계획 단계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며 변화의 시작과 구현이 더 쉬울 것이라고 믿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변화의 각 단계마다 독특하고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하며 변화를 구현하는 프로세스는 종종 예상보다 오래 걸립니다.

Sometimes organizational leaders err by believing that the planning stage of an innovation is the ‘‘hard part’’ and that the ini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change will be easier. In truth, each stage of change presents unique and unanticipated challenges, an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hange often takes longer than expected.


협력적 환경

Cooperative climate.


Colwill과 동료들은 의대에서 교과 과정 혁신을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여러 학문 분야 나 부서의 사람들을 모으는 필요성을 구체적으로보고합니다. 흥미롭게도 조직의 변화 자체가 제대로 관리된다면 협업적인 조직 환경을 창안 할 수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Colwill and colleagues report specifically on the necessity of bringing individuals of different disciplines or departments together to plan and implement curricular innovation in medical schools. Interestingly, organizational change itself, if properly managed, can be the impetus for the creation of a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34


변화 과정에 참여하려면 친숙한 관행을 배제하고 새로운 관행을 채택해야합니다. 따라서 변화의시기는 조직 구성원에게 불확실성과 불편 함의 도전적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알려지지 않은 영역으로 모험을 돕기 위해서는 참가자에게는 혁신에 대한 첫 시도가 실패 할 경우 처벌에 대한 두려움없이 새로운 행동을 시도 할 수 있다는 확신이 필요합니다. 위험을 보상하는 기관은 혁신의 분위기를 육성한다 .19,23,28,35 동료 간의 의견 불일치를 표출air하는 능력은 변화에 도움이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된다.

Engaging in the change process requires that one put aside familiar practices and adopt new ones. Thus, a period of change can be a challenging time of uncertainty and even discomfort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assist them in venturing into unknown territory, participants need assurance that they can try out new behaviors without fear of punishment if their first attempts at innovation fail. institutions that reward risk taking foster an innovative climate.19,23,28,35 the ability to air disagreements among colleagues helps to crea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change.24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교과 과정 변화에 대한 긍정적이고 존중받는 근무 환경의 중요성은 과장 될 수 없습니다

In sum,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respectful work climate to successful curricular change cannot be overstated.


조직 구성원의 참여

Participation by the organization’s members.


조직 회원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것은 변화 과정에서 중요한 특징입니다. 1,2,10,11,16,18,26,36,40 조직의 구성원이 참여를 통해 프로젝트에 투자 할 때, 완료까지 프로젝트를보십시오 .19,28

broad participation by an organization’s members is an important feature in the change process.1,2,10,11,16,18,26,36,40 As an organization’s members invest themselves in the project through their participation, they strengthen their commitment to see the project through to completion.19,28


또한 일반적인 구성원들은 의사 결정시 지도자에게 어떤 '신뢰의 영역'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참가자들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지나치게 지배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Furthermore, rank-and-file members tend to grant their leaders a certain ‘‘zone of trust’’ in decision making. Being overly reliant on participants in decision making can be just as problematic as being too dominant.27


의사소통

Communication.


참가자들 간의 의사 소통을 통해 공유 된 의미가 합체coalesce 될 것이며, 참가자들은 공통되고 공통된 목적을 함께 수립 할 것입니다. 사 소통을 통해 목표가 수립되고, 명확히 밝혀지고, 선언됩니다 .2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ensures that a shared meaning will coalesce, and participants will formulate a common and unified purpose together. Through communication, goals are established, clarified, and then proclaimed.2


연구자들은 의사 소통이 자주 이루어질 것을 권고한다. Dannefer et al.은 의사 소통에서 "계획된 중복성"을 권장한다. 그들은 다양한 방법과 반복의 사용이 일회성 또는 단일 매체 접근법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Researchers recommend that communication be frequent.2,41 Dannefer et al., for example, recommend ‘‘planned redundancy’’ in communication. They find that the use of a variety of methods and reiteration is much more effective than one-time or single-medium approaches.41


사람들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 통합 및 회수하기 때문에 목표와 계획에 대해 반복적으로 상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Repeated reminders of goals and plans are important because people receive, integrate, and recall information selectively.


어떤 종류의 의사 소통이 유용합니까? 모든 종류가 유용하다 : 서면 및 구두, 공식 및 비공식.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 소통이 간결하고, 빈번하며, 정직하고, 사실이며, 실질적이며 시기 적절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32 의사 소통은 신뢰와 명확성을 구축해야합니다 .18,41 정보가 간단하고 시의적절하게 전달되지 않으면 참가자는 (잘못된 정보, 풍자와 장난에 기초하여) 벌어지고 있는 일에 대해 자신만의 해석을 형성합니다.

What kinds of communication are useful? All kinds: written and verbal, formal and informal. Most important is that communication be succinct, frequent, honest, factual, substantive, and timely.32 Communication should build trust and clarity.18,41 If information is not delivered in a straightforward and timely manner, participants will form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what is happening, based on misinformation, innuendo, and hunches.


의과대학에서의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in medical schools.


두 가지 의사 소통 방식이 의대에서 특히 효과적이었습니다. 첫 번째는 대면 인터랙션이다. 우리의 하이테크 사회 에서조차, 그것을 대신 할 수는 없습니다. 일대일 상호 작용은 즉각적인 피드백과 설명을 할 수있는 기회를 허락하고 오히려 비언어적 단서의 차원을 더해줌으로써 오해의 가능성을 줄입니다.

Two forms of 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especially effective in medical schools. The first is face-to-face interaction. Even in our high-tech society, there is no substitute for it. One-on-one interaction reduces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by allowing the opportunity for immediate feedback and clarification and also by having the added dimension of nonverbal cues.41


의학 학교에서 특히 유용한 두 번째 유형의 의사 소통은 데모demonstration입니다. 제안 된 교수법의 시연은 교수진에 의한 새로운 교수법의 보다 신속한 이해와 성공적인 채택을 가져왔다 .19,40

The second type of communication found especially useful in medical schools is demonstration. demonstration of proposed teaching practices brought more immediate understanding and more successful adoption of new teaching methods by faculty.19,40


반대의견을 표출시키기

Airing dissent.


물론 모든 의사 소통이 긍정적이고 reaffirming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이의 제기가 예상되며 포럼은 이의 제기와 우려의 방송을 위해 제공되어야합니다. 앞서 '협동적 분위기'에서 언급 한 아이디어를 유지하면서 참가자들은 반대 의견을 표명하는 것이 안전함을 느껴야 한다. 그들은 완전히 듣고, 진행중인 토론에 공헌 한 것으로 인정 받고, 피드백을 받아야합니다.

Naturally, not all communication will be positive and reaffirming. Dissent, too, is to be expected, and forums should be provided for the airing of objections and concerns.19,41 In keeping with ideas mentioned earlier under ‘‘cooperative climate,’’ participants must feel safe in taking the risk to express dissenting views. They must feel fully heard, be acknowledged for contributing to the ongoing discussion, and receive feedback.


반대 의견을 경청하는 것은 계획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계획 반대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변화 과정에 대한 그들의 commitment를 심화시킵니다. 그들의 아이디어를 경청하고 이것이 계획에 통합되면, 반대자들은 "계획자"가된다.

Listening to dissenters not only benefits the plan, but also invites the participation of plan opponents and deepens their commitment to the change process. As their ideas are heard and incorporated into the plan, dissenters become ‘‘planners.’’


반대자가 자신의 의견을 방송 할 수있게함으로써 또 다른 이점이 발전합니다. 때로는 우려를 표명할 때, 그 의견이 지지받지 못할 것을 두려워한다. 그렇게 되면 반대자는 빨리 ''증기를 잃는다. '' 또는 반대자들은 다른 참가자들이 자신의 입장을 지지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깨닫는다. 다시 말하면, 청중을 찾지 못한 사람은 조용해진다. 반대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 것이 훨씬 더 위험합니다..

Another benefit evolves from allowing dissenters to air their views. Sometimes in the voicing of one’s concerns, one sees that one’s fears are ungrounded. Then the dissenter quickly ‘‘loses steam.’’ Alternatively, the dissenter may find no support for his or her position among other participants. Again, that individual, finding no audience, may quiet himself or herself. There is far greater danger in not allowing dissent to be expressed.


여기서 교훈은 심지어 의견 차이조차 개인이 변화 과정에 참여하고 헌신하는 수준을 높일 수있는 기회로 간주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The lesson here is that even dissent should be regarded as an opportunity for individuals to deepen their levels of participation in and commitment to the change process.


제도화 기간의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during institutionalization.


변화 과정의 마지막 단계 인 제도화는 특수한 종류의 의사 소통을 요구합니다. 변화는 부담스럽고, 결국에는 가장 헌신적 인 개인조차도 활력을 상실하게 만듭니다. 이를 수행하는 한 가지 방법은 교수진이 통찰력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할 수있는 포럼을 제공하여 혁신이 조직 환경의 일부로 계속 유지되도록하는 것입니다.


The final stage of the change process, institutionalization, calls for special kinds of communication. Change is demanding and can eventually deplete the vitality of even the most committed of individuals. One way to do this is to provide forums for faculty to share their insights and their new ideas so that innovation continues to be part of the organizational milieu.


인적자원개발

Human resource development.


인적 자원 이론가들은 사람들이 안락함, 안전, 존중, 자기 성취 및 의미있는 관계에 대한 필요가 충족 될 때 사람들이 자신의 업무에서보다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Human resource theorists maintain that people are more effective in their work when their needs for comfort, safety, respect, self-accomplishment, and meaningful relationships are met.43



변화는 힘들고 긴 과정이며 지속적인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종종 예상보다 오래 걸립니다. 또한 변화에는 낡은 행동 패턴이 따로 따로 설정되어 있고 새로운 절차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여 불안감, 부적절 함 및 불확실성이 발생함에 따라 손실 감정이 수반됩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변화하는 참가자가 특히 번아웃을 입기 쉽다는 사실에 주목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행동을 배우는 데 도움이되는 다양한 지원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Crandall과 동료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지원이 제공 될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 정서 (정서적 지원 및 안심)

    • 인지 (혁신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그에 대한 이해),

    • 술 개발 (훈련 및 코칭) .31

Change is a difficult and lengthy process, requiring sustained energy; it often takes longer than anticipated. In addition, change involves feelings of loss as old behavior pat-terns are set aside and feelings of anxiety, inadequacy, and uncertainty arise in meeting the demands of new procedures.2,12,40 Many researchers note that during change participants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burn-out, and need a variety of support mechanisms to assist them as they develop new skills and learn new behaviors.2,7,9,10,13,18–20,31,33,44 Crandall and colleagues suggest that support comes in three areas:

    • affective (emotional support and reassurance), 

    • cognitive(clear understanding of the innovation and one’s part in it), and 

    • skills development (training and coaching).31 


흔한 훈련 문제

Common training problems.


혁신은 교수진이 원하는 혁신의 이론적 토대를 이해하고 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습득 할 때 채택 될 가능성이 큽니다.

An innovation is more likely to be adopted when the implementers, usually faculty, understand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desired innovation and are trained in the skills required to implement it.


교육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오류 중 하나는 프로그램으로 시작시점의 초기 훈련 세션이 충분하다고 믿는 것입니다. Joyce와 Showers는 문제 해결에 참여할 기회와 함께 제공되는 후속 코칭이 필요하다고 설명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습득 한 동료와 함께 새로운 행동의 실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One common error in the area of training is to believe that an initial training session, presented as a program is being launched, is ‘‘enough.’’ Joyce and Showers explain that follow-up coaching, coupled with opportunities to engage in problem solving with colleagues as new skills are practiced,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implementation of new behaviors.44


훈련에 대한 또 다른 흔한 실수는 리더에게 필요한 지원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리더십 능력이 "선천적"인 것으로 믿습니다. 사실, 이들은 배울 수 있고 개발할 수있는 기술입니다.

Another common area of ‘‘lack’’ in training is in providing necessary support and skill building for leaders. Many people believe leadership abilities to be ‘‘inborn,’’ when, in fact, these are skills that can be learned and developed.


변경 과정에서 신입 회원이 조직에 가입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입 회원은 지속적인 혁신에 동참하도록 사회화되어야합니다. 신입 회원은 조직의 문화 나 맥락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허약 한 새 프로그램을 의도하지 않게 방해 할 수 있습니다.

It is likely that new members will join the organization during the change process. It is important that these new members be oriented and socialized to the ongoing innovation. New members can unintentionally disrupt a fragile new program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enough with the organization’s culture or context.



보상 구조

Reward structure.


혁신을 계획, 시작 및 실행하려면 시간과 에너지를 재분배해야합니다. 이 재분배를 유지하려면, 조직은 혁신에 계속 참여할 회원들을 유인하기 위해 보상 구조 (즉, 급여, 인정, 재임 기간 및 판촉)를 변경해야합니다. 몇몇 연구자들은 변화를 보상하는 인센티브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합니다. Kanter는 보상 시스템을 목표 달성에 대한 보상보다는 개인의 미래 생산성에 대한 투자로 간주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To plan, initiate, and implement an innovation requires a redistribution of time and energy. If this redistribution is to be maintained, the organization must change its reward structure (that is, salaries, recognitions, tenure, and promotions) to entice members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innovation. Several researchers discuss the need for an incentive system that rewards change.1,16,18,20,25 Kanter suggests that reward systems be viewed as an investment in the future productivity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as payoff for goals achieved.26



보상 체계를 변화시켜 승진, 급여 인상, 근태 결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해야 한다. Kantrowitz등은 혁신 프로그램을 실험과 같이 설계하고 홍보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한다.

Along with changing reward structures so that one’s teaching does factor into promotion, salary increases, and tenure decisions, Kantrowitz et al. suggest designing and promoting an innovative program as an experiment.



평가

Evaluation.


참가자들의 시선에서 혁신을 높이는 또 다른 방법은 원하는 변경을 구현하는 조직의 진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수있는 조형 평가 기술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이론 및 실습이 엄격하게 테스트되는 의과 대학 환경에서 평가가 잘 수행되면 교수진이 유효하고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분석 표준에 따라 혁신 프로세스를 정당화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저자들은 의대 학교 환경에서의 교과 과정 변경 과정의 일부로 단기 및 장기 평가를 언급 할 때 'Critical' 이나 'Crucial'같은 같은 용어를 사용합니다.

Another way to elevate an innovation in the eyes of participants is to employ formative evaluation techniques to ensure close monitoring of the organization’s progress in implementing desired changes. In a medical school setting, where theories and practices are tested rigorously, an evaluation done well serves to legitimize the innovative process by holding it to standards of analysis that the faculty regard as valid and meaningful. Many authors use terms such as ‘‘critical’’ and ‘‘crucial’’ when referring to short- and long-term evaluation as part of the curricular change process in medical school settings.9,10,19,20,22,41,46


(Denial 이나 People-shuffling과 같은 단순한 대처 전략이 아니라) 평가에 교정적 행동이 수반되는 한, 변화 노력을 향상시키고 강화시킬 수있다 .16) 평가는 협력적 활동이기 때문에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열린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의 협력적 분위기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So long as evaluation is accompanied by corrective action (and not just shallow coping strategies such as denial or people-shuffling), it can improve and reinforce the change effort.16,28 Because evaluation is a collaborative activity, it can contribute to fostering open communication and an organizational cooperative climate, as discussed earlier.35


Dannefer와 동료들은 포커스 그룹의 열린 대화가 프로젝트의 새로운 '소유권'을 육성하기 때문에 포커스 그룹이 특히 효과적인 평가 기법이라고 지적했다.

Dannefer and co-workers note that focus groups are a particularly effective evaluative technique, as the open dialogue of the focus group fosters renewed ‘‘ownership’’ in the project.41


Rebecca Henry는 프로젝트 평가가 

    • 다양한 이해 관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 프로그램 요소를 개선하고 명확하게하고, 

    • "변화 의제를 지속적으로 유지"

...하는 세 가지 중요한 목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합니다. "47, p.149

Rebecca Henry comments that project evaluation served three important purposes: 

    • to provide information to various stakeholders, 

    • to refine and clarify elements of the program, and 

    • to ‘‘keep the change agenda alive.’’47,p.149


일시적 퍼포먼스 저하

Performance dip.


'퍼포먼스 저하 요인'은 새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자주 발생하는 조직의 퍼포먼스 감소를 나타냅니다. 다행스럽게도, 개인이 계속해서 지원을 받고 필요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함에 따라, 이러한 일시적인 감소는 되돌아 갈 것이고, 성과는 새로운 '최고'에 도달 할 것입니다. '33 Eastwood와 Louis는 퍼포먼스 저하 기간동안 리더는 전문적 지원을 제공하고, 원하는 결과에 대한 조직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하고, 필요한 경우 조정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리더는 개혁을 전복시킬 정도로 많은 구조 조정을 허용하지 않도록주의해야한다. 오히려 Eastwood와 Louis는 지도자들이 프로그램 목표를 향해 계속해서 나아갈 것을 권고합니다. 작은 승리를 인정하고 일상적인 성공을 축하하는 것은 ''경기 침체기 ''기간 동안의 사기를 도울 수 있습니다 .33

The ‘‘performance-dip factor’’ refers to the often-noted decrease in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that occurs as a new program is implemented. Fortunately, over time, as individuals continue to receive support and master the necessary new skills, this temporary decline will reverse, and performance will reach new ‘‘highs.’’33 Eastwood and Louis suggest that during a performance dip leaders continue to provide professional assistance, monitor the organization’s progress toward the desired outcomes, and make adjustments where needed. Leaders are cautioned, however, not to allow so much restructuring that the reform program is subverted. Rather, Eastwood and Louis advise that leaders continue to press forward toward program goals. Recognizing small victories and celebrating day-to-day successes can help bolster morale during the ‘‘performance dip’’ period.33


리더십

Leadership.


캐런 루이 (Karen Louis)는 "고의적으로 조사하려고 시도하지 않은 연구에서도 리더십 요소가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13, p.945

It is so prevalent that Karen Louis states, ‘‘The leadership factor emerges even in studies that did not deliberately attempt to investigate it.’’13,p.945


리더십 특징과 행동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의과 대학에서는 학장이 주로 리더 역할을 수행합니다. 미국, 푸에르토 리코 및 캐나다의 100 개가 넘는 의과 대학에 대한 두 개의 독립적 인 연구에서 Hendricson et al. Cohen과 동료들, Colwill과 동료들, Mennin과 Krackov는 의과 대학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 변화의 촉진자가 학장이었다고보고했다. 29,34 , 40 다른 사람들이 지도자가 될 수 없다는 말은 아니다. 위원회 위원장, 고위직 및 준 학장도 변화를 이끌어 갈 수있는 후보자입니다. 핵심 리더는 누구나 혁신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그 사람이 누구일지 식별 가능해야 한다. Bland et al. 마일스와 루이스 (Miles and Louis)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리더십이 성공적인 혁신 프로젝트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합니다 .16,48

In medical schools, the dean frequently fills this role. In two separate studies of over 100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Puerto Rico, and Canada, Hendricson et al. found that the leader in educational change was usually the dean.30 Cohen and colleagues, Colwill and associates, and Mennin and Krackov also report that the most important facilitator of educational change in the medical school settings that they studied was the dean.29,34,40 This is not to say that others cannot serve as leaders; committee chairs, senior faculty, and associate deans are also likely candidates to lead change. Whoever the primary leader is, it is important for that individual to remain as the identifiable leader throughout the innovation process. Both Bland et al. and Miles and Louis identify stable project leadership as being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innovative projects.16,48


Bland and colleagues (1999)는 이전에 지도자의 효과와 관련이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16 가지 행동을 추적하여이 16 가지 행동을 네 가지 범주로 분류했습니다.

    • (1) 조직적 권한 (예 : 조직 권한 사용, 보상 제공 또는 자원 배분)

    • (2) 명성 / 연합 세력 (예 : 다른 사람이 인식하는 전문적 / 징계 전문 기술 사용, 연합 형성을 통한 다른 사람의 권한 부여),

    • (3) 적극적인 참여 적 거버넌스 (예 : 적극적으로 일관되게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조직 구성원이 사명을 완수하기위한 구조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 (4) 문화적 / 가치 적 영향 (예 : 조직의 기본 의미 또는 목적을 나타내는 이야기 또는 기호의 명확한 표현, 파트너십의 가치를 정의, 형성 및 유지).

Bland and colleagues (1999) tracked 16 behaviors previously shown to be associated with leaders’ effectiveness, and placed these 16 behaviors into four categories: 

    • (1) organizational power (e.g., uses organizational authority; provides rewards or allocates resources), 

    • (2) prestige/coalition power (e.g., uses professional/discipline expertise as perceived by others; empowers others through building coalitions), 

    • (3) assertive participative governance (e.g., actively and consistently seeks input from others; provides structural mechanisms for organization members to accomplish the mission), and 

    • (4) cultural/value influence (e.g., articulates the stories or symbols that represent the underlying meaning or purpose of the organization; defines, shapes, and maintains the values of the partnership).

성공적인 지도자들은 조직적 권력 행동보다 참여적이고 문화적 /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더 자주 사용했다 .48 성공적인 지도자는 덜 성공적이었던 지도자보다 조직적 권력 행동을 참여적이고 문화적 /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과 더 자주 함께 사용했다 .

the more successful leaders used organizational power behaviors less often than they employed participative and cultural/value-influencing behaviors.48 the successful leaders more frequently accompanied their organizational power behaviors with use of participative and cultural/value-influencing behaviors than did the less successful leaders.


기본 지도자가 필요로하는 기술은

    • 갈등을 관리하고,

    • 격려와 긍정적 인 보강을 제공하고,

    • 프로젝트를 집중적으로 유지하고시기 적절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 리더십에 대한 독단적 인 참여 방식을 사용하고,

    • 모든 프로젝트 참여자와 이해 관계자 간의 열린 의사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 신뢰를 쌓고,

    • 다양한 견해를 존중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상황을인지하고,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 공유 비전 및 문화 / 가치를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1,7,25,40,48

Skills that a primary leader needs include being able 

    • to manage conflict, 

    • to provide encouragement and positive reinforcement, 

    • to keep the project focused and moving forward in a timely manner, 

    • to use an assertive participative approach to leadership, 

    • to facilitate open communication among all project participants and stakeholders, 

    • to build trust, 

    • to honor diverse views and perceive situation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and, perhaps most important, 

    • to build and effectively communicate a shared vision and culture/values.1,7,25,40,48


리더의 조직 비전에 대한 지지와 다른 리더십 특징들

Leaders’ advocacy of organizational vision, and other leader-ship qualities of special note.


참여자 간의 광범위한 지원이 혁신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리더는 광범위한 지원을 구축하고 참여자들 사이에서 혁신적인 지도력을 개발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합니다. 참여자란 교수, 행정직원, 학생입니다. 변화는 공동의 책임입니다. 특히 변화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기술과 전문 분야를 갖춘 개인이 프로젝트의 다양한 하위 목표를 완료하여 완료 될 수 있도록 모집해야합니다 .2,19,21,22,25 지도자는 다음과 같아야합니다. 

    • 통제력을 상실하지 않고 전력을 공유하고, 

    • 지배하지 않으면서 눈에 보이고 활동적이며, 

    • 지원을 계속 제공하면서 책임을 위임 할 수 있어야합니다 .28

Because widespread support among participants is vital for an innovation’s success, the primary leader needs to be able to build broad-based support and cultivate and support innovative leadership from among participants: faculty, administrators, and even students. Change is a shared responsibility. Particularly as the change process proceeds, individuals with varied skills and areas of expertise need to be recruited to lead various sub-objectives of the project through to completion.2,19,21,22,25 The primary leader, then, needs to be able 

    • to share power without losing control, 

    • to be visible and active without dominating, and 

    • to delegate responsibility while continuing to offer support.28


이것은 지도력의 복잡하고 역설적 인 성질을 가리킨다 .6,68 지도자가 "융통성있게"할 필요성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주목된다 .2,19,23,48 Fullan과 Stiegelbauer는 이것을 간결하게 진술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여러면에서 개인이 특정 형태의 변화에 ​​더 헌신(집착)할수록,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이행하도록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

This points to the complex and paradoxical nature of leadership.2,6,48 the necessity for a leader to be ‘‘flexible’’ is noted by several researchers.2,19,23,48 Fullan and Stiegelbauer state this succinctly: ‘‘Ironically, in many ways, the more committed an individual is to the specific form of change, the less effective he or she will be in getting others to implement it.’’2,p.9


반면 리더는 프로젝트의 핵심이 손상될 정도로 유연해서는 안된다. 변화에 대한 조직의 비전을 유지하고 지원하는 것은 리더의 책임입니다. 수많은 연구자들은 조직의 혁신적인 비전에 대한 지도자의 명확하고 반복적 인 의사 소통의 중요성에 주목합니다.

On the other hand, a leader must not be so flexible that the integrity of the project is compromised. It is the leader’s responsibility to maintain and support the organization’s vision for change. Numerous researchers note the importance of the leader’s clear and repeated communication of the organization’s innovative vision.1,6,9–11,16,19,21,25,27,29,30,42


우리는 이전에 지도자가 변화 과정에 대한 참가자들의 서로 다른 견해를 존중함에있어서 융통성을 갖도록하는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지각 틀 이론가 Bolman과 Deal은 하나의 조직을 인식 할 수 있는 4 가지 일반적 프레임을 가정한다.

    • (1) 구조적: 공식적인 역할과 관계를 강조

    • (2) 인적 자원-지향적: 사람들의 필요에 초점을 맞추고,

    • (3) 정치적: 희소 한 자원에 대한 갈등을 중심에 둠

    • (4) 상징적 / 가치 - 기반: 하는 가치를 지닌 문화로서의 조직

볼만과 딜 (Bolman and Deal)은 지도자가 여러 가지 지각 프레임 즉 렌즈를 통해 주어진 상황을 바라 볼 때 직면하는 다양한 도전을 가장 잘 처리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We mentioned earlier the importance for the leader to be flexible in respecting participants’ differing views toward the change process. perceptual frame theorists Bolman and Deal, posit four ‘‘frames’’ through which one commonly perceives one’s organization: ‘‘

    • (1) structural—emphasizing formal roles and relationships, 

    • (2) human resource– oriented—focusing on the needs of people, 

    • (3) political —centering on conflict arising over scarce resources, and 

    • (4) symbolic/value-based—viewing organizations as cultures with shared values.’’43,48 

Bolman and Deal suggest that leaders are best able to handle the variety of challenges that they encounter if they view any given situation through several perceptual frames, or ‘‘lenses.’’


Bland et al. 연구에서 의과 대학에서 가장 성공적인 지도자들은 프로젝트의 상황을 볼 때 적어도 두 가지 지각 틀을 사용했다.

Bland et al. found that in the medical schools in their study, the most successful leaders employed at least two perceptual frames when viewing the circumstances of their projects.48


리더쉽에 대한 마지막 한 가지 점 : 연구자들은 광범위한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참여가 지나치게 무거워서 변화 과정을 질질 끌게 만들면 안된다는 점을 기억하십시오. 루이와 마일즈는 예를 들어 계획하는데 1 년 이상을 소비하지 말 것을 제안합니다. 그들은 참가자들의 지원과 헌신이 개발 프로젝트와 함께 성장할 것이라고 조언합니다. 그러나 혁신 프로세스가 지연되면 참가자들의 관심과 지원이 급감 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변화의 기세에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것은 리더의 책임입니다 .22,25,28,31

One final point on leadership: Recall that while researche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road-based participation, that participation must not become so ponderous that it drags down the change process. Louis and Miles suggest, for example, that no more than one year be spent in planning. They advise that participants’ support and commitment will grow along with the developing project. If the innovation process stalls, however, participants’ interest and support may plummet. Again, it is the leader’s responsibility to continually fuel the momentum of change.22,25,28,31



고찰

DISCUSSION


문헌의 현재

State of the Literature


우선, 일반적으로 고등 교육의 성공적인 교과 과정 변화와 특히 의사의 전문 교육에 대한 특징을 다루는 문헌이 비교적 적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조직 변화 문학과 K-12 교과 과정 변경 문헌을 찾은 이유이기도합니다.


First of all, we were surprised by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sources available that add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curricular change in higher education in general, and in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physicians in particular. This is why we also sought out organizational change literature and K–12 curricularchange literature.


연구 결과

Our Findings



실제로,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분명해 보일 것이라고 말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러한 권장 사항은 친숙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완료된 것보다 쉽습니다. 성공적인 변화 전략에 대한 ''계속해서 ''머무르는 것은 어렵습니다. 전략 권장 사항 중 하나를 간과하는 것은 혁신 프로세스의 아킬레스 건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Krackov와 Mennin이 혁신 과정을 '많은 요소 들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으로 규정하고, '변화가 성취하기 어렵다'는 statement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열심히 일해야하며 필연적으로 흔들릴 때 회복 할 수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12, p.S3

In fact, some might say they seem obvious. However, while these recommendations may seem familiar, they are easier said than done. ‘‘Staying the course’’ of successful change strategies is difficult, and overlooking any one of the strategy recommendations may become the Achilles’ heel of one’s innovation process. We wholeheartedly agree with Krackov and Mennin’s characterization of the innovation process as a ‘‘complex interaction among many elements,’’ and with their statement that ‘‘change is difficult to accomplish; it requires dedication, hard work, and the ability to recover when we inevitably falter.’’12,p.S3


우리는이 목록을 더 세분화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중요한 요소 중 가장 필수적인 사항을 확인했습니다.

We wanted to see whether we could further refine this list and identify the most essential of these important elements.


리더십, 협력 적 기후, 조직 구성원 참여, 평가, 인적 자원 개발 및 정치 (표 1 참조)와 같은 6 가지 범주의 기능이 문헌에서 주로 발견되었습니다.

Six categories of features were found to predominate in the literature: leadership, cooperative climate, participation by organization members, evalu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politics (see Table 1).


문헌 및 문헌에서 빈도별로 이러한 범주 및 하위 범주의 강점에 주목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노력의 정확성이 문헌의 높은 가변성에 의해 방해 받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While we note the strengths of these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by their frequencies in the literature, we acknowledge that our precision in this effort was hampered by the high variability of the literature.


리더십과 협력적 분위기

Leadership and cooperative climate.


학술적 문화와 긍정적 인 분위기의 유지는 의과 대학의 커리큘럼 변화뿐만 아니라 최적의 연구 생산성, 창의력과 혁신, 교직원 사기 등에 대한 의과 대학에서 중요합니다.

The maintenance of an academic culture and a positive climate are important to a medical school, not just for curricular change but also for optimal research productivity, creativity and innovation, faculty morale, and more.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참여

Leadership and participation by organization members.


또한 지도자는 조직에 실제로 참여적 거버넌스가 있음을 보장해야합니다. 이것은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듣고 자하는 것 이상의 의지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진이 참여할 수있는 공식 메커니즘을 설정 한 다음 그 교수진이 참여하도록 "nudge"해야 한다.

Leaders must also assure that there is real participative governance in the organization. This requires more than a willingness to listen to others and have an open door; it requires that one set up formal mechanisms for faculty to participate and then that one ‘‘nudge’’ faculty to do so.


리더십과 평가

Leadership and evaluation.


평가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의사 결정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지도자는 다가오는 결정에 중요한 정보가 평가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확인해야합니다. 따라서 리더는 유용하고 시기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 할 수 있도록 평가자와 긴밀히 협력합니다. 평가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트의 프로세스와 결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변화의 과정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식별하는 작업이 복잡한 이유는 변화 과정에 대한 각 개인의 인식이 독특하기 때문이다. 변경 전의 교과 과정 및 교과 과정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설명 (예 : 학생들의 만족도, 습득 한 역량, 교수진 노력)은 변경 및 주기적으로 토론 및 결정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제공합니다.

One of the primary purposes of evaluation is to collect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The leader must identify what information, important for upcoming decisions, is to be gathered through an evaluation. Thus, the leader works closely with the evaluator to assure that useful and timely data are collected. Another purpose of evaluation is to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project’s process and outcomes. As each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 change process is unique, the variety of realities at play serve to complicate the task of discerning a clear picture of the change process. Having an objective description of the curriculum and curricular outcomes before the change (e.g., students’ satisfaction, competencies acquired, faculty effort), as well as periodically during the change, provides a common understanding for discussions and decisions.


우리의 검토에서 언급했듯이, 평가란 의과 대학에서 유용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응용 교육 연구로 프레이밍하고, 평가 결과를 연구 성과로서 제시함으로써 커리큘럼 작업의 가치를 높이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연구의 integrity와 의사 결정의 유틸리티를 모두 다루는 평가 설계의 개발은 계획 단계에서 결정되어야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일반화 할 수있는 데이터]와 [보다 즉각적인 의사 결정을 위한 데이터] 사이의 긴장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커리큘럼 프로젝트의 프로세스와 결과에 대한 '실제'데이터를 확보하면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고 자원을 할당하는 데 리더가 될 것이므로 중요합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초기에 명확하고 객관적인 설명이 필요하며 측정 대상이 되는 성과에 대해서 대해 너무 지나치게 rigid하지 않아야합니다. Hembroff와 동료 연구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듯) 실제 프로그램이 구현되기 전에 평가자가 참여할 때 , 프로그램 목표가 많은데 아직 실제 구현의 현실에서 벗어나지 않은 경우 평가의 유연성은 최종 평가 전략이 실행 된 프로그램의 필연적 인 목표 명확성을 고려하기 위해 필요하다. "49, p.338

As noted in our review, medical schools find evaluation not only a useful tool but also a means to raise the value of curriculum work by framing the project as applied education research and presenting the evaluation data as research outcomes.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design that addresses both research integrity and decision-making utility is, therefore, one of the issues that needs to be determined in the planning stage. Recognition of this tension between the need for generalizable data and data for more immediate decision making is important. It is important because having ‘‘real’’ data about the process and outcomes of the curriculum project will serve the leader in maintaining momentum and allocating resources for sustainability. As a consequence, it is necessary to have a clear, objective description at the beginning of a project and yet not to be too rigid early on about the outcomes to be measured. As Hembroff and colleagues point out, ‘‘When evaluators are brought in (as most of us think they should be) prior to actual program implementation, and where the goals for the program are many and are as yet untempered by the realities of actual implementation, evaluation flexibility is necessary so that the final evaluation strategy takes into account the inevitable goals clarification of the program as carried out.’’49,p.338


교과 과정 변화를 실행하는 기관은 지역 사회의 맥박pulse을 모니터링하기위한 내부 구조와 절차를 가져야합니다 .1 외부 사건은 교육 기관 또는 교육 기관이 존재하는 환경에 대한 영향으로 인해 커리큘럼 이니셔티브에 대한 적응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an institution implementing curricular change needs to have internal structures and procedures for monitoring the pulse of the community.1 External events, due to their impacts on an institution or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stitution exists, may necessitate adaptations to the curriculum initiative.


교육과정혁신은 본질적으로 다른 유형의 변화보다 길며, 결과 성공의 측정은 수 년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Curricular innovations are by nature more lengthy than are other types of change, and the measurement of outcome success may span years.


리더십과 인적자원개발

Leadership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거의 모든 교육과정 변화에서 일부 또는 모든 교수진을 대상으로하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Nearly all curriculum changes also require training for some or all of the faculty.


자주 언급되는 인적 자원 개발의 두 번째 측면은 보상을 제공하고 보상 개발을 교과 과정 개발 및 새로운 교과 과정과 연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The second aspec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is frequently mentioned i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rewards and aligning rewards with curricular development and with implementing the new curriculum.


내부 자금 조달 할당을 재조정하는 방법에는 

    • 새로운 커리큘럼에 필요한 노력에 맞추기 위해 핵심적 자원이 할당되는 방법을 점진적으로 바꾸는 것,

    • 커리큘럼 변경 참여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승진 구조 조정

    • 교수직 계급 내에서 새로운 역할을 통합하도록 임명appointment 시스템 변경.

Methods of realigning internal funding allocations may include 

    • gradually shifting how central allocations are distributed to departments to match the effort needed for the new curriculum, 

    • adjusting the promotion structure to place a higher value on curricular-change involvement, or 

    • changing the appointment system to incorporate new roles within the ranks of the faculty.


이러한 재배치와 보상의 재배치가 없다면 새로운 커리큘럼은 생존하지 못할 것이며 종종 이름만 변한 구식 커리큘럼이 다시 나타날 것입니다.

Without this realignment of resources and rewards, the new curriculum will not survive, and often the old curriculum will reemerge, perhaps under the guise of the new name.


리더십과 정치

Leadership and politics.


'커리큘럼을 바꾸는 것보다 묘지를 옮기는 것이 더 쉽다'는 오래된 말은 그럴 만 한 이유가 있습니다. 커리큘럼을 바꾸는 것은 매우 정치적인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교과 과정 변화의 실체를 연구하는 동안 내적 및 외적 정치적 지형을 성공적으로 통과해야하는 것은 리더 (들)입니다. 리더는 내부적으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성공적으로 "팔고", 공식 및 비공식적 인 권력 구조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커리큘럼의 공유 된 소유권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주요 교육과정 요소의 통제가 새로운 이니셔티브에 맞도록 영역 다툼을 막아야 한다.

There is a good reason for the old saying, ‘‘It is easier to move a graveyard than change a curriculum,’’ for changing a curriculum is a highly political process. It is the leader(s) who must successfully traverse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terrain while others are working on the substance of the curricular change. Internally, the leader(s) must successfully ‘‘sell’’ the new approach and use his or her knowledge of both the formal and the informal power structures to build shared ownership of the new curriculum and head off turf battles as the control of major curriculum pieces shifts to match the new initiative.


외부 정치학은 학교에 관심이 있고 교과 과정에 영향을 줄 수있는 외부 선거구와 협력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External politics involves working with outside constituencies who have an interest in the school and can have an effect on the curriculum.


일부 교과 과정 혁신은 국가 지도자들과의 상호 작용을 필요로합니다. 특히 혁신의 범위 나 규모가 주요 정부 기금을 요구하는 경우.

Some curricular innovations require interactions with state leaders, especially if the scope or magnitude of the innovation calls for significant state funding.


리더십에 대한 마지막 말

Concluding remarks about leadership.


거의 모든 기사는 변화에 관한 시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독자는 유창하게 유혹을 퍼붓고 자기 자신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그래, 나는 이것을 안다, 나는 이것을 안다". 그러나 아는 것과 그것을 하는 것은 서로 다르다.

Nearly every article about change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visionary leadership, such that a reader is tempted to glaze over and skip such sections, saying to one’s self, ‘‘Yeah, I know this, I know this.’’ But knowing one should do this and knowing how to do it are two different things.



FINAL THOUGHTS






 2000 Jun;75(6):575-94.

Curricular change in medical schools: how to succeed.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and Community Health,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Minneapolis 55455-0392, USA. bland001@tc.umn.edu

Abstract

Society's changing needs, advancing knowledge, and innovations in education require constant changes of medical school curricula. But successful curricular change occurs only through the dedicated efforts of effective change agents. This study systematically searched and synthesized the literature on educational curricular change (at all levels of instruction), as well as organizational change, to provide guidance for those who direct curricular change initiatives in medical schools. The focus was on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institutionalizing curricular change efforts; thus, only those articles that dealt with examining the change process and articulating the factors that promote or inhibit change efforts were included. In spite of the highly diverse literature reviewed, a consistent set of characteristics emerged as being associated with successful curricular change. The frequent reappearance of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he varied fields and settings suggests they are robust contributors to successful change.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are in the areas of the organization's mission and goals, history of change in the organization, politics (internal networking, resource allocation,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organizational structure, need for change, scope and complexity of the innovation, cooperative climate, participation by the organization's members, communi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training, incorporating new members, reward structure), evaluation, performance dip (i.e., the temporary decrease in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as a new program is implemented), and leadership. These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in detail and related specifically to curricular change in medical school settings.

PMID:
 
10875502
[Indexed for MEDLINE]


역량, 호기심, 창의성(Adv in Health Sci Educ, 2012)

On competence, curiosity and creativity 

Geoff Norman




의학의 실천은 어떤 전문직과 마찬가지로 독창성에 대해 보상해주지 않으며,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그렇지 않는 것이 합당하다. 전문가는 (다름 사람들이 만든) 방대하고 전문화 지식체를 마스터함으로써 그 지위를 획득합니다. 전문가의 역할은 이 지식체계에 무언가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고객이 가진 문제에 대한 판단을 내릴 때 이 지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The practice of medicine, like any profession, does not really reward creativity, nor, from a utilitarian perspective, should it. A professional acquires the status by mastering a large and specialized body of knowledge—knowledge that other people created. His role is not to add to this knowledge, but to use his judgment in applying this knowledge to his client’s problem.


물론 몇몇 의과대학 졸업생들은 연구자로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지만, 이것을 하기 위해서 어떤 전문직 자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고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호기심이나 창의력과 같은 일반적 특성이 중요하다고 립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우리는 분명히 과정이나 단위에서 이것들을 operationalize 하지 않습니다. 리는 호기심에 대해 보상을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역량에 대해 보상을합니다. 역량 중심의 커리큘럼을 향한 현재의 움직임, 즉, 전적으로 정의된 기술의 숙달을 토대로 판단되는 역량을 지향하는 역량바탕교육과정보다 이것을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은 없다..

Of course a few medical graduates DO generate new knowledge as researchers, but this does not require any professional qualification, as my own career attests, since they do not have clients. So, while we may pay lip service to general traits like curiosity and creativity, we certainly do not operationalize these in courses or units. We don’t reward curiosity; we reward competence. Nothing demonstrates this more clearly that the current movement towar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ere competence is judged entirely on the basis of mastery of defined skills.


역설적이게도, 대학원에서는 '역량을 갖춘competent'이라는 용어는 거의 경멸적인 용어라는 점이다. "그는 competent하긴 한데, 충분히 창의적이지 않다."라는 뜻이다.  역량은 능력은 사다리의 맨 아래에있다. 집의 기초와 같다. 완전히 막장failure가 아니라면, 적어도 competent하다고 가정합니다.

Paradoxically, in graduate school, ‘‘competent’’ is almost a pejorative term, as in, ‘‘Well, he’s competent enough but he’s not very creative.’’ Competence is the bottom rung of the ladder; the foundation of the house. And it’s assumed that anyone who is not an abject failure is at least competent.


"정의된 지식과 기술의 숙달"로 표현되는 "역량"이 항상 ''표준''은 아니 었습니다. McMaster PBL이 개발되었을 때, 5 년마다 모든 지식이 변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 할 수있는 기술을 습득해야했습니다. 학생들에게 현재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너무 많은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지식에 대한 시험을 경멸하듯 보았고, "문제 해결 능력"은 PBL 왕관의 보석이었습니다. 이 mantra는 완전히 틀렸지만, 한편으로 해방군이었습니다. 커리큘럼위원회는 행동적 목표의 폭압으로부터 해방되어,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냐보다 어떻게 배우냐가 더 중요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스스로의 관심사를 따르도록 격려 할 수있었습니다.

Competence, as expressed as mastery of a defined body of knowledge and skills was not always the ‘‘gold standard’’. Back when McMaster PBL was developed, the dominant mantra was that all knowledge would change every 5 years, so students had to acquire the skills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t then followed that they need not worry too much about acquiring today’s knowledge. So examinations of knowledge were viewed with disdain,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the jewel in the PBL crown. Although the mantra was completely wrong, it was a liberating force. Curriculum committees were liberated from the tyranny of behavioural objectives and could encourage students to follow their interests, since it mattered less what you learned than how you learned.


한편으로, 학생은 학부생으로서 생각한 종류의 지적 보상의 종류를 재발견해야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자율과 수입면에서 가장 큰 전문 보상은 안과, 비뇨기과, 중재적 심장학과 같은 시술중심procedure-driven 전문 분야에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는 가능한 전공과의 목록을 더 많이 늘어놓을수록, 내재적 보상과 외부 보상 사이에서 Faustian choice에 직면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러나 그와 함께 이 탐색에 참여하면서, 나는 그가 "doctoring이 무엇인가"에 대해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에 놀라게 되었다. 그의 인생 전체는 어떻게 의과 대학에 "들어오는가"에 집중되어 있었고, 의대에서 "나와서"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데는 거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습니다.

On the one hand, the student was desperate to rediscover the kind of intellectual rewards he found as an undergraduate; on the other, he recognized that the greatest professional rewards in terms of autonomy and income were in procedure-driven specialties like ophthalmology, urology, and interventional cardiology. The more he went down the list of possibilities, the more it became evident that he was faced with a Faustian choice between intrinsic and external rewards. But as I engaged in this search with him, I was struck by how little he understood about what doctoring was all about. To this point,his entire life was focused on getting INTO medical school, and very little time was devoted to thinking what it would be like to get OUT OF medical school and become a doctor. 


나는 현재의 통계에서 학부생의 약 30 %가 의과 대학에 입학하기를 원하지만, 어쨌든 3 %만이 그렇게 된다는 것을 읽었습니다.

I read somewhere that current statistics are that about 30 % of undergraduates want to get into medical school, but only 3 % will.


학생들은 더 이상 자신의 관심에 기반해 과목을 수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사탕처럼 높은 점수가 전달되는 '새bird'코스를 택합니다. 학점의 인플레이션은 만연합니다. 교수들이 성적을 충분히 잘 주지 않으면 학장에게 지적을 받는다 (이름도 말할 수 있다!). 학생이 기대치보다 낮은 점수를 받으면 학생과 교수 쌍방의 문제(그리고 종종 가족까지의)로 간주됩니다.

Students no longer take courses based on interest; they take ‘‘bird’’ courses where high marks are handed out like candies. Mark inflation is rampant; professors are challenged by deans because their grades aren’t high enough (yes, I can name names!). When a student receives a mark lower then her expectation, it is viewed as a mutual problem of the student and the professor (and often, her family).


이것들은 모두 현재 학생과 교수진 모두에게 학부과정의 경험을 지속적인 악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성적이 점점 더 인플레이션되고 학생이 이 시스템과 '게임'을 하는데 능숙해질수록 입학위원회의 일도 점점 더 어려워진다.

All of these are now constant aggravations that degrade the undergraduate experience for students and faculty alike. And it makes the job of the admissions committee that much harder as grades inflate and students become better and better at gaming the system.


그러나 진짜 비극은 이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정말 잃어버린 것은, 학생들이 흥미를 유발하고 그들을 매혹시키는 대안적인 직업을 추구 할 수있는 기회입니다. 학생이 창의성과 호기심을 발휘할 수 있는 그 기회 말이다.

But this is not the real tragedy. What has really been lost is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pursue an alternative career that interests and enchants them; that permits them to exercise creativity and curiosity.


McMaster의 첫 번째 교육 학장 인 Bill Walsh는 PBL에 대해 "우리가 정말로 원했던 것은 그들이 의사가 되어 무언가 재미있는 일을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The first education dean at McMaster, Bill Walsh, once said about PBL that ‘‘All we really want is for them to become doctors and have some fun doing it’’.





 2012 Dec;17(5):611-3. doi: 10.1007/s10459-012-9416-6.

On competencecuriosity and creativity.

Erratum in

  •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3 Mar;18(1):157.
PMID:
 
23076677
 
DOI:
 
10.1007/s10459-012-9416-6


역량바탕교육, EPA, 언어의 힘(J Grad Med Educ. 2013)

Competency-Based Educatio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nd the Power of Language 


Olle ten Cate, PhD





저널을 편집하는 것은 언어에 관한 것입니다.

Editing a journal is all about language.



CanMEDS 역량 프레임 워크의 7 가지 역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강력한 언어입니다. 이와 비교하여 (ACGME) 핵심 역량은 이론적으로 덜 강력하지만 또한 레지던트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구조화하는 역할을합니다.

The 7 roles of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 , now prevalent around the world, representpowerful language. By comparison, (ACGME) core competencies seemlinguistically less powerful but also serve to structure new perspectives about residency training.



역량 (competency)은 신속하게 파악되어 이제는 어디에서나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역량에 같은 의미를 부여합니까? 역량이 지식 - 기술 태도 (KSA)와 어떻게 다른지 묻는다면, 많은 사람들은 KSA보다 역량이 더 통합적이라고 생각한다 .2) 동시에 ACGME는 의학 지식(K), 대인 관계 및 의사 소통 기술(S), 프로페셔널리즘(A)를 각각의 "핵심 역량"으로 제시한다. "Lurie3는 최근에 역량에 관한 흐릿한 언어가 의학 교육에서의 평가 방법 개선에 어떻게 기여하지 않았는지를 설명하면서, "assessment of competencies"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The word competency has caught on quickly and is now being used ubiquitously. Do all of us, however, give it the same meaning? If asked how the competencies are different from knowledge-skills-attitudes (KSA), many consider the competencies to be ‘‘more integrated’’ than the KSAs are.1,2 At the same time, ACGME has called the terms medical knowledg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 each ‘‘core competencies.’’ Lurie3 has recently elaborated on how the blurred language around competencies has not contributed to improved assessment practices in medical education and suggests that the idea of ‘‘assessment of competencies’’ should be abandoned.


의사의 중요한 자질을 언어로 포착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너무 길거나 너무 이론적이어서 실용적이지 못한 자세한 설명만 만들어졌다.

The need to capture important qualities of physicians in language has led to detailed descriptions that can be too long or too theoretical to be practical.


1950 년대까지 Miller5는 인간의 작업 메모리가 제한되어 있으며 한 번에 7 개 (62 개) 이상의 독립적 인 요소를 포함 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연수생을 관찰하는 동안 정교한 역량, 하위 competencies,이정표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려면인지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상 교육자가 역량 개념 및 모든 새로운 언어를 이해할 수없는 경우 연수생 역량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없습니다.

As far back as the 1950s, Miller5 argued that human working memory is limited and cannot contain more than 7(62) independent elements at a time. To use an elaborate framework of competencies, subcompetencies, and milestones while observing trainees may cause cognitive overload. If clinical educators cannot comprehend the competency concept and all of its new language, they may not be able to effectively assess trainee competencies.


여기서, EPA 개념이 등장한다. EPA는 역량을 임상 실습과 연계하여 실현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6 EPA는 의사가 일상적으로하는 일을 나타내므로 새로운 언어는 더 간결하고 덜 복잡 할 수 있습니다.

Here, is where th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concept emerges. The EPAs were designed to link competencies to clinical practice and make them feasible.6 Because EPAs represent what physicians do in daily practice, the new language can be briefer and less complicated.


EPA의 기술과 적용에 대한 정확한 표현 방식은 하나도 없지만, "전문적 활동"을 파악하고 인증하는 목적을 충족하는 한, EPA의 성격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적용될 수있다.

Although there is no single correct mode of description and application of EPAs, as long as it serves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professional activity’’ to be mastered and certified, different views of the nature of EPAs may be applicable.


능력, 이정표 및 EPA가 GME 커리큘럼의 언어가되어야한다면, 공통된 정의를 사용하고 해당 용어가 의미하는 바를 공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러한 투명성만으로도 해당 지역이 현지 해석을 초월하고 국가 간, 국가 간, 국제 간 협업 및 교류를 촉진 할 수 있습니다.

If competencies, milestones, and EPAs are to become the language in postgraduate curricula, it will be of utmost importance to use common definitions and have a common understanding of what the terminology means. Only that transparency will enable the field to transcend local interpretations and stimulate interinstitut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exchange.




 2013 Mar;5(1):6-7. doi: 10.4300/JGME-D-12-00381.1.

Competency-based education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nd the power of language.

PMID:
 
24404218
 
PMCID:
 
PMC3613319
 
DOI:
 
10.4300/JGME-D-12-00381.1


역량바탕의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Acad Med, 2015)

Realizing the Prom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Eric S. Holmboe, MD




첫째, 윌리엄스와 동료 1은 교수진의 충분한 직접적인 관찰 없이는 이정표의 모든 잠재력을 실현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둘째, 그들은 인증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단순히 "체크 박스를 체크"하는 표준적인 로테이션 종료 평가로 이정표를 사용하면 이정표의 목표와 목적을 훼손 할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First, Williams and colleagues1 argue that without sufficient direct observation by faculty, the full potential of the Milestones cannot be realized. Second, they posit that using the reporting Milestones as typical end-of-rotation evaluations to simply “check the box” to meet accreditation requirements also will undermine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Milestones.


직접적인 관측과 피드백의 필요성

The Need for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조지 엥겔 (George Engel)은 전문성 개발에 필수적인 직접적인 관찰과 피드백이 없거나 부족하여 결과가 불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관찰 및 피드백이 없는 자기평가는 효과가 없다 .4,5 Anders Ericsson의 6,7은 여러 영역에서 고의적 인 연습 및 코칭의 중요성에 대해 의학 교육, 특히 역량 기반 모델에 적용 할 수있다.

George Engel emphasized that the absence, or insufficiency, of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which is essenti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leads to deficient outcomes. Furthermore, self-assessment without observation and feedback is ineffective.4,5 In addition, Anders Ericsson’s6,7 work on the importance of deliberate practice and coaching in multiple fields is applicable to medical education, especially in a competency- based model.


고의적인 연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유익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코치의 조심스러운 눈 아래에서, 잘 정의 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최근 Boud와 Molloy는 효과적인 피드백은 실제로 피드백의 수신자가 실제로 행동을 시도했을 때만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Deliberate practice involves repetitively working on well-defined tasks under the watchful eyes of a coach who provides informative feedback to help the learners continuously improve and refine their competence. Recently, Boud and Molloy8 argued that effective feedback only truly occurs when the recipient of the feedback has actually attempted the action.


직접관찰과 피드백의 현실

The Reality of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in Practice


직접 관찰의 질과 양은 의학 교육 연속체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부족했다.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irect observation has been persistently insufficient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9


모든 대학원 2 학년과 3 학년의 거의 3 분의 1이 한 학년 동안 공식적으로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수술과 마취와 같은 훈련은 수술실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직접 관찰을 할 수는 있지만, 수술을받지 않은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중요한 의사 소통 (예 : 진찰 및 의사 소통)을 관찰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almost a third of all postgraduate year 2 and 3 residents were never formally observed over an entire academic year. Disciplines such as surgery and anesthesia can take advantage of the operating room to perform ongoing direct observation,10 but they may not observe other important competencies, such as history taking and communication, in nonoperative settings.


윌리엄스와 동료들은 교수진 시간 및 기술 평가의 공통적이고 겉으로보기에는 다루기 힘든 문제를 인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강조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Milestone과 같은 노력이 unfunded mandates라고 주장했다 .11 그러나 대학원 의학 교육 (GME)에 대한 공공 투자를 고려할 때, unfunded mandates라는 주장의 근거는 정당화하거나 지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Williams and colleagues importantly highlight citing the common and seemingly intractable problems of faculty time and skills in assessment. Others have argued that efforts such as the Milestones are unfunded mandates.11 The unfunded mandate rationale, however, is exceedingly difficult to justify and support when you consider the public investment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이정표는 또한 일반적으로 환자 경험 조사 (즉, 환자가 학습자를 관찰)를 통해 수집 된 평가 프로세스에 환자 입력의 중요성을 통합합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가 학습 환경에서 고품질의 진료와 안전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훈련중인 의사를 적절한 수준으로 감독 할 권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종종 환자들이 의학 교육 시스템의 한가운데에 정면으로 앉아 있다는 사실을 무시합니다.

The Milestones also incorporate the importance of patient input into the assessment process, usually captured through patient experience surveys (i.e., their observation of the learner). More important, patients are entitled to appropriate levels of supervision of physicians-in-training to ensure high- quality care and safe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e too often ignore the fact that patients sit squarely in the middle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최근 코간 (Kogan)과 동료 연구원은 지적했듯이, 우리는 평가지 인식 (기술)을 교육 및 임상 치료 문제로 간주해야합니다. 환자는 평가의 객체가 아니라 평가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As Kogan and colleagues14 recently pointed out, we must view rater cognition (skill) as both an educational and clinical care issue. Patients must be the subject, not the object, of assessment.


교수진이 직접 관찰을 수행 할 수있는 시간이 있는지는 대부분 각 기관이 정면으로 대응해야 하는 시스템 문제이며, 21세기 의료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의사 양성에 대해서 전문직과 공공 사이의 사회적 계약의 한 부분이다.

The availability of time for faculty to conduct direct observation is mostly a system issue that rests squarely with the institution, which must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portion of the social contract between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related to training physician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meet 21st-century health care needs.



직접적인 관찰 및 피드백에 대한 장애 극복

Overcoming Obstacles to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Asch와 동료들은 산과학에 대한 수련 교육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에서 보여주었듯, 레지던트가 경험하고 수행하는 의료의 질은, 그 레지던트가 나중에 독립된 의사로서 제공할 의료의 질과 매우 유사하다. 안전하고 수준 높은 훈련을받는 학습자와 함께, 환자가 안전하고 수준 높은 치료를받을 수 있도록하는 것은 훈련 기관의 윤리적 및 도덕적 책임입니다.

As Asch and colleagues15 demonstrated in their landmark study of residency training in obstetrics, the quality of care a resident experiences and delivers is very likely to be the quality of care that she or he will deliver as a practicing physician. Ensuring that patients receive safe and high-quality care in conjunction with learners receiving safe and high-quality training is an ethical and moral responsibility of training institutions.16


임상가 - 교육자 교수진은 역량 기반 의학 교육 (CBME) 시스템의 핵심 핵심을 구성합니다. 우리는 고도의 유능한 보건 의료 인력을 생산하는 대중의 의무를 충족시키기 위해 시간과 필요한 교육 및 평가 역량을 갖추기 위해 임상의와 교육자 교수진에 투자해야합니다.

Clinician–educator faculty constitute the essential core of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system. we must invest in our clinician–educator faculty to ensure that they have the time and necessary teaching and assessment competencies to meet our public obligation to produce a highly competent health care workforce.



역량, 마일스톤, 나스

Competencies, Milestones, and the NAS


첫째, 이정표는 그 자체가 "NAS"가 아니라 NAS의 9 가지 요소 중 하나이다. 

둘째, 이정표는 커리큘럼의 개발, 평가 방법 및 도구의 선택, 평가 판단을 알리고 안내하는 프레임 워크 역할을해야한다. 의학은 정적 인 직업이 아니며, ACGME는 마일스톤이 정제되고 개정되어야한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합니다. 이정표는 또한 학문의 전체 성을 정의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들은 임상 능력의 더 큰 "전체"의 핵심 요소입니다.


First, the Milestones are not “the” NAS but, rather, one of nine total elements.19 

Second, the Milestones should serve as a framework to inform and guide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choice of assessment methods and instruments, and assessment judgments by the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Medicine is not a static profession, and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fully recognizes that the Milestones will need to be refined and revised. The Milestones also do not define the totality of a discipline. Rather, they are key elements of a larger “whole” of clinical competence. 




 2015 Apr;90(4):411-3. doi: 10.1097/ACM.0000000000000515.

Realizing the prom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r.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Milestone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places a premium on both educational and clinical outcomes. The Milestones component of the Next Accreditation System represents a fundament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s part of the drive to realize the full promise of CBME. The Milestones framework provides a descriptive blueprint in each specialty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ssessment practi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utcomes project in 1999,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the larger medical education communit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ir approach to assessment. Work-based assessments, which rely heavily on the observations and judgments of clinical faculty, are central to a competency-based approach. The direct observation of learners and the provision of robust feedback have always been recognized as critical components of medical education, but CBME systems further elevate their importance. Without effective and frequent direct observation, coaching, and feedback, the full potential of CBME and the Milestones cannot be achieved. Furthermore, simply using the Milestones as end-of-rotation evaluations to "check the box" to meet requirements undermines the intent of an outcomes-based accreditation system. In this Commentary, the author explores these challenges, addressing the concerns raised by Williams and colleagues in their Commentary. Meeting the assessment challenges of the Milestones will require a renewed commitment from institutions to meet the profession's "special obligations" to patients and learners. All stakeholders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must commit to a professional system of self-regulation to prepare highly competent physicians to fulfill this social contract.

PMID:
 
25295967
 
DOI:
 
10.1097/ACM.0000000000000515


역량바탕교육과정 개발: 고통과 환호(Adv in Health Sci Educ, 2010)

Buil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agony and the ecstasy

Mark A. Albanese Æ George Mejicano Æ W. Marshall Anderson Æ

Larry Gruppen




도입

Introduction


의사 역량은 모든 수준에서 의학 교육의 초점이되어 왔습니다.

Physician competencies have increasingly been a focus of medical education at all levels.


학부 의학 교육 (UME)에 역량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은 실제로 ACGME / ABMS 역량보다 앞서있었습니다.

The move to introduce competencies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ctually preceded the ACGME/ABMS competencies.


전체 학부 역량에 대한 ACGME / ABMS의 보급 외에도, 그들은 전문 사회의 여러 직책 감독자를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내과의 Clerkship Director (CDIM)는 최근 Core Medicine Clerkship Curriculum Guide 버전 3을 발표했습니다 : 모든 목표가 ACGME 핵심 역량으로 코딩 된 교사 및 학습자를위한 리소스입니다 (http://im.org/CDIM/ 참조). ). 가정 의학 교사회 (Society of Teachers of Family Medicine)는 2004 년에 이러한 역량에 기반한 가정 의학 교과 과정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http://www.stfm.org/curricular/index.htm 참조). 또한 산부인과 및 산부인과 학부모 협의회 (ACGME / ABMS Competency)에 코딩 된 목표가 산술 및 산부인과 학부모 목표에 대한 산부인과 및 산부인과 학회 (APGO) 제 8 판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In addition to penetration of the ACGME/ABMS to overall undergraduate competencies, they have been used as a basis for several of the specialty society’s preparatory materials for clerkship directors. 

  • The Clerkship Directors in Internal Medicine (CDIM) recently released version 3 of the Core Medicine Clerkship Curriculum Guide: a resource for teachers and learners in which all objectives are coded to the ACGME core competencies (see http://im.org/CDIM/). 

  • The Society of Teachers of Family Medicine released the Family Medicine Clerkship Curriculum Resource in 2004 that is heavily based on these competencies (see http://www.stfm.org/curricular/index.htm). 

  • Also, objectives contained in the Association of Professor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APGO) 8th Edition of Objectives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Clerkships have been coded to the ACGME/ ABMS Competencies.


UME수준에서 역량이란 무엇인가?

What does competency mean at the UME level?


의학 교육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어떻게 새로 입학 한 의대생이 ACGME / ABMS 역량을 충족 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이동move시킬 것인가이다.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is how to move a learner from being a newly entering medical student to being capable of meeting the ACGME/ABMS competencies.


의대생 졸업생이 competent physician이 아니라면, 그들은 무엇인가? 개념을 희석하지 않도록 역량이라고 부르면 안된다는 주장이 제기 될 수 있습니다 (즉, progress competencies, pre-competencies, sub-competencies, or proto-competencies 같이 다른 표현으로 부르는 것이 낫습니다) ).

If graduating medical students cannot be competent physicians, what then can they be? It could be argued that they should not be called competencies so as to not dilute the concept (i.e., it would be better to call them something different like ‘‘progress competencies, pre-competencies, sub-competencies, or proto-competencies’’).


특정 역량에 대해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도록 유혹을 받았지만 결국에는 이미 복잡한 개념 인 것에 혼란을 야기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신, 예상되는 결과의 유형에 대한 기대치를 조정함으로써 역량이 진보progression의 단계에 적응할 수있는 위치를 취하여 의사가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대 졸업생은 competent physician이 아니더라도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나아갈 만큼 competent할 수 있다.

While we were sorely tempted to adopt such terminology for the specific competencies, in the end we think it would add confusion to what is already a complex concept. Instead, we will take the position that competencies are adaptable to stage of progression toward becoming a physician by adjusting the expectations for the type of outcomes that are expected. In this context, although the graduating medical student would not be becoming a competent physician, they would, however, be competent for proceeding to residency.


이전 연구에서 (Albanese et al., 2008) 우리는 역량과 그들의 UME단계에서의 derivative는 다음 다섯 가지 특성을 가져야한다고 제안했다.

In previous work (Albanese et al. 2008), we proposed that competencies and their UME derivatives should have the following five qualities:


1. 최종 성과물 또는 목표 상태의 수행에 중점을 둡니다.

2. 교육 프로그램에서 배운 것을 즉각 적용하려는 기대를 반영하십시오.

3. 측정 가능한 행동 (들)로 표현할 수 있어야합니다.

4. 다른 학습자의 수행 수준에 의존하지 않도록 역량 판단의 standard를 사용하십시오.

5.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바를 학습자뿐만 아니라 다른 이해 관계자들에게도 알린다.


1.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end-product or goal-state of instruction.

2. Reflect expectations that are an application of what is learned in the immediate instructional program.

3. Be expressible in terms of measurable behavior(s).

4. Use a standard for judging competence that is not dependent upon the performance of other learners.

5. Inform learners, as well as other stake-holders, about what is expected of them.



역량은 ABMS / ACGME의 역량과 같은 포괄적 역량을 다루는지 아니면 의과 대학의 첫 학기에 적합한보다 구체적인 역량을 다루는 지에 따라 다양한 '세분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Competencies can also have a wide variety of ‘‘granularity’’ depending upon whether one is dealing with overarching competencies such as those of the ABMS/ACGME, or the more specific ones tha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first semester of medical school.



목적과 목표는 코스별로 다르지만, 역량은 주어진 시간에 발생하는 전체 학습 경험에 걸쳐 수평 적 및 수직적으로 통합된다. 

  • 수평 통합 (Horizontal Integration)은 의학 (정상적인 해부학, 생리학, 면역 체계 기능)을 근간으로하는 다양한 개념의 전문 지식 축적

  • 수직적 통합을 위해서는 여러 개념을 동시에 환자 치료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적용 할 수 있어야합니다.

Whereas goals and objectives are course specific, competenci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tegrate across the entire set of learning experiences occurring at a given time. 

  • Horizontal integration refers to the accumulation of expertise in the various concepts that underlay medicine (normal anatomy, physiology, immune system functioning) while 

  • vertical integration requires the ability to simultaneously apply multiple concepts in a way that facilitates application to patient care.


목적과 목표의 평가는 구체적인 학습 경험에 중점을 두는 반면, 역량 평가는 과정 전반에 걸쳐 통합적이며 해당 시점까지 취해진 모든 과정에서 누적 될 수 있습니다.

An assessment of goals and objectives would focus on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whereas an assessment of competencies would be integrative across courses and be cumulative across all courses taken to that point.





기존의 교육과정 모델에서, 커리큘럼이 끝나면 기적이 일어나고, 학생들은 레지던트로 갈 준비가되었습니다.

By the conclusion of the curriculum, a miracle has occurred and students are ready for residency.


그림 2는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보여줍니다.

Figure 2 depict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는 학생 평가가 과정에 기반 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므로 모델에서 학생의 개별 과정 평가를 제거했습니다.

Note also that we have removed the individual course assessment of students from the model because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udent assessment can be course-based, but not necessarily so.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유능한 졸업생의 자질로 시작하여, 조각을 소화 할 수있는 부분들로 잘라냅니다.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arts with the qualities of the competent graduate and then slices and dices them into digestible parts


역량 평가는 커리큘럼 전체에 역량이 축적됨에 따라 점차 복잡해집니다. 역량은 축적accumulate되는 이유는 역량들이 누적되면서 평가해야 할 skill이 '복잡'해지지, 점차적으로 '길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The assessments of competencies become progressively more complex as the number of competencies accumulates across the curriculum. The competencies accumulate because the skills assessed become increasingly complex, not because the assessments become incrementally longer as the separate competencies pile up. 



CBME는 무엇인가?

What is a competency-based medical curriculum?


McGaghie와 동료 (1978)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능을 통해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했습니다.

  • (1) 특정 환경에서 의료에 필요한 기능 (또는 역량)을 중심으로 구성;

  • (2) 의대에 입학 한 학생들의 지적 능력을 고려할 때, 적절한 준비, 명확한 학습 목표, 충분한 학습 자원, 유연한 시간 계획이 주어지면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높은 수준의 정의 된 역량을 달성 할 수 있다는 결론;

  • (3) 교육은 학생 학습의 과정과 학습을 만드는 데 사용 된 기술이 모두 시험 대상 가설로 간주되는 실험이다(18 쪽).


McGaghie and colleagues (1978) distinguish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rom others by three features: 

(1) Organization around functions (or 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in a specified setting; 

(2) Grounding in the principle that students of the intellectual ability of those admitted to medical schools, when given adequate preparation, unambiguous learning goals, sufficient learning resources, and a flexible time schedule, can with rare exceptions achieve the defined competence at high levels of proficiency; and 

(3) It views education as an experiment where both the processes of student learning and the techniques used to produce learning are regarded as hypotheses subject to testing (p. 18).


이들은 역량 기반 교과 과정을위해 mastery learning framework을 채택하고 세 가지 요소로 특성화합니다 :

  • (1) (단순히 학습 과제에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학습 과제로 어떤 지식을 bring하는지, 

  • (2) 광범위하게 정의 된 의학 역량을 소규모의 누적 단계로 분해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필요와 진도에 따라 많은 학습 자료 (서적, 실험실 경험, 교사 및 기타 사항)를 사용하여 개별 요율로 작업 할 수있게하는 것 ; 

  • (3) 역량의 성장을 문서화하고 교육 질에 대한 귀중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각 학습 단계에서 학생 성취도를 철저히 평가해야 함 "(19 쪽).


They proceed to adopt a mastery learning framework for competency-based curricula and characterize it by three elements: ‘‘

  • (1) knowledge of what a student brings to a learning task, not merely what is to be taken from it; 

  • (2) that broadly defined competencies of medicine be dismantled into smaller, cumulative steps, through which students may work at individual rates using many learning resources (books, laboratory experience, teachers, and other things)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and rates of progress; and 

  • (3) that student achievement be thoroughly assessed at each learning stage in order to document the growth of competence and to provide valuable feedback 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p. 19).


Merenstein et al. (1990)은 다음 두 가지 속성을 갖기 위해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정의했습니다.

(1) 학습 목표는 정확하고 행동 적이며 측정 가능한 용어로 정의되며,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2) 학습자는 동의 한 조건 하에서 특정한 역량을 입증 할 것으로 기대된다. "(Howsam and Houston 1972).

Merenstein et al. (1990) defin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have the following two attributes: ‘‘

  • (1) Learning objectives are defined in precise, behavioral, and measurable terms, and are known to learner and teacher alike; and 

  • (2) the learner is expected to demonstrate specific competencies under the conditions agreed upon’’ (Howsam and Houston 1972). 

이 두 가지 특성을 통해 역량을 목표와 분리하는 것에 대해 혼란이있는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From these two attributes, it can be seen why there is some confusion about what separates a competency from an objective.


UME역량과 ACGME 역량?

UME competencies and the ACGME/ABMS competencies?


ACGME의 여섯 가지 역량

The following are the six central competencies of the ACGME/ABMS:

  • 1. Patient care provide patient care that is compassionate,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health problems and the promotion of health.

  • 2. Medical knowledge demonstrate knowledge about established and evolving biomedical, clinical, and cognate (e.g., epidemiological and social-behavioral) sciences and the application of this knowledge to patient care.

  • 3.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investigate and evaluate their patient care practices, appraise and assimilate scientific evidence, and improve their patient care practices.

  • 4.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demonstrat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result in effective information exchange and learning with patients, their patients’ families and professional associates.

  • 5. Professionalism demonstrate commitment to carrying out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dherence to ethical principles, and sensitivity to a diverse patient population.

  • 6. Systems-based practice demonstrate an awareness of and responsiveness to the larger context and systemof health care and the ability to effectively call on systemresources to provide care that is of optimal value.


UME에서 가장 유용하기 위해서는 목표 상태의 역량 목표가 어느 정도 UME의 종점을 반영해야합니다. 레지던트의 수행수준을 넘어서는 목표 상태를 채택하면 의대생을 더 나은 의사를 만들 수 있을지 몰라도, 학생 및 교수진에 대한 많은 재교육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교수진은 역량과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성과가 "학생의 요구에 적합함"을 정당화 할 수 있어야합니다. 너무 멀고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 상태를 설정하는 것은 자멸을 낳고, 사기일 수 있습니다.


To be most useful in UME, the goal-state target of competencies must at, some level, reflect the terminal point of UME. Adopting a goal-state beyond readiness for the graduated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of residency may make students better physicians eventually, but will probably lead to much remedial work and/or stress for students and faculty. The faculty must be able to justify the competencies and the outcomes used to measure them as being relevant for the needs of students. Setting them to a too remote and unachievable goal-state can be self-defeating and demoralizing.


역량바탕 교육 만들기

Creat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커리큘럼 디자인에 필요한 특수성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역량을 어떻게 slice and dice 할 수 있습니까?

How do you slice and dice the overarching competencies to achieve the specificity needed for curriculum design?


커리큘럼 역량을 씹을 수있는 bites으로 잘라내어 다이싱하는 것은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구현하는 주요 과제 중 하나입니다.

Slicing and dicing curriculum competencies into chewable bites 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of implementing a competency based curriculum.


Brown et al. (1973)은 하위 역량을 기술, 개념 및 인간의 세 범주로 분류하는 특정 역량을 클러스터링했습니다.

Brown et al. (1973) clustered the specific competencies that they called subcompetencies into three categories: technical, conceptual, and human.


Quinlan (1975)은 장기 시스템 커리큘럼으로 시작했습니다. 이 큰 틀 안에서, 기관 체계는 주요 영역으로 나뉘어져 주제로 나뉘었다. 주제는 학습 목표, 최종 목표, 관련 조건 및 학습 자료의 논리적 순서로 구분됩니다.

Quinlan (1975) started with an organ system curriculum. Within this larger framework, organ systems were divided into major areas that were then broken down into topics. Topics were divided into a logical sequence of learning objectives, terminal objectives, associated conditions and learning resources.


Burg et al. (1976)는 소아과 의사가 어린이를 올바르게 돌보기 위해 필요한 행동의 종합 목록으로 소아과 역량을 정의했습니다. 작업 차원은 (1) 데이터 수집, 구성 및 기록, (2) 데이터 평가, (3) 문제 관리 및 건강 유지의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능력 차원은 5 가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 (1) 민감성, 공감,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포괄적 인 보살핌에 대한 헌신, (2) 사실적 지식, (3) 대인 관계 기술, (4) 기술적 기술, (5) 임상 적 판단 (Burg et al., 1976).

Burg et al. (1976) defined competency in Pediatrics as a comprehensive list of behaviors needed by a pediatrician to care for children properly. The task dimension had three levels: (1) Gathering, organizing and recording data, (2) Assessing data, and (3) Managing problems and maintaining health. The abilities dimension had five levels: (1) Attitudes as represented by maintaining work habits and reaction patterns that reflect sensitivity, empathy, and devotion to continuing comprehensive car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2) Factual knowledge, (3) Interpersonal skills, (4) Technical skills, and (5) Clinical judgment (Burg et al. 1976).


분명히, 교육 프로그램을 창출하기 위해보다 구체적이고 발달 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포괄적 인 역량이 정의되는 많은 방법이있었습니다. 아마 유일한 최선의 방법은 없습니다.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결정하기 전에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방법을 시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Clearly, there have been many ways in which overarching competencies have been defined in more specific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for creating instructional programs. There probably is no single best way. It may be necessary to try out two or three different methods before deciding on the one that ‘‘feels right.’’


학생들은 어떻게 자신의 능력을 시연할 수 있습니까?

How will students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각 역량에 대한 성과의 증거로 간주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What will be considered evidence of competent performance for each competency?


45 년 동안 흔히 제기 된 공통적 인 불만은 교수가 학생들의 임상 교육 과정에서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을 관찰하는 횟수가 제한된 것이다 (Engel 1976, Seegel and Wertheim, 1962).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 학생들이 자신의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능력을 평가받는 역량을  설정한다면, 평가를 어떻게 할지 결정해야합니다. 교수진은 학생을 관찰해야합니까, 아니면 나중에 교수 검토를 위해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 할 수 있습니까?

A common complaint voiced for over 45 years is the limited number of times that faculty observe students doing a history and physical during their clinical education (Engel 1976; Seegel and Wertheim 1962). If competencies are created to alleviate this problem so that students are evaluated on their history and physical exam skills, it needs to be determined how this will happen. Will faculty have to observe students live, or can it be videotaped for later faculty review?


학생들은 모든 역량과 모든 성과에 대해 역량을 보여 주어야합니까?

Must students demonstrate competence for every competency and all outcomes?


역량의 세분성 및 관련 결과에 따라 전체 커리큘럼에 걸쳐 수 백 또는 수천 개의 결과가있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각각의 모든 결과에 역량을 발휘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시스템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합니다. 하나의 접근법은 세 가지 유형으로 역량을 분류 할 수 있습니다.

    • 매우 구체적인 방식으로 평가받는 것이 중요한 것

    • 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

    • 샘플링 할 수있는 것

Depending upon the granularity of competencies and their associated outcomes, there may be hundreds or even thousands of outcomes across an entire curriculum. It would be impractical to require students to demonstrate competency in each and every outcome. A system must be developed to address this in a reasonable manner. One approach could be to classify competencies into three types: 

    • those that are critical to be assessed in a very specific manner, 

    • those that can be assessed in a more general manner and 

    • those that can be sampled.


학생이 최소 수 (예 : 3/10)의 능력을 입증 할 것으로 예상되는 고유 한 역량이있을 수 있습니다. 이 유형의 샘플링은 자체 장치에 맡기기 때문에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바람, 물, 학생들은 모두 저항이 최소화되는 경로를 선택하며, 이 경로가 반드시 균형 잡힌 역량을 입증하는 길은 아닐 수 있다. 다양한 역경, 사례, 평가 방법 등에서 역량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이러한 제약 조건은 최소 역량 수와 함께 지정해야합니다.

there may be distinct competencies from which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demonstrate competence in a minimum number (say 3 of 10). Care must be exercised in this type of sampling because left to their own devices; wind, water and students will all take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not necessarily the path to a balanced demonstration of competence. If it is important that competency be demonstrated in a range of contexts, cases, assessment methods, etc.; these constraints need to be specified along with the minimum number of competencies.


커리큘럼에서 역량을 어떻게 파싱해야합니까?

How should competencies be parsed across the curriculum?


학생들이 의대 졸업을 앞두고 마지막 3개월 사이에 역량을 입증하기게 만들어두며, 역량을 기반으로 구축 된 다른 시스템뿐만 아니라 교수진도 overwhelm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커리큘럼의 정의 된 부분에 도달 할 때까지 어떤 역량이 완료되어야하는지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벤치 마크를 분석하면 교수진이 역량을 습득하고 성취도를 친숙한 방식으로 문서화하는 데 도움이되는 긴급 성과 권한을 학생들에게 부여하게됩니다.

If students wait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until their last 3 months in medical school, it will overwhelm faculty as well as the other systems built around the competencies. Thus, it will be important to set out expectations for what competencies should be complete by the time students reach defined parts of the curriculum. Having benchmarks parsed throughout the curriculum will give students the sense of urgency and authority to push faculty to help them learn the competencies and document their achievement in a developmentally friendly way.


학생들은 언제 역량을 demonstrate할 수 있습니까?

When will students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두 가지 극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학생들이 준비만 되면 언제든 vs 사전에 계획된 대규모 그룹에서만.

The two extremes for addressing this issue are: whenever students feel ready and only in large group pre-scheduled assessments (e.g., exams).


중요한 관련 쟁점은 여러 역량을 여러 번 (즉, 연속 방식으로) 평가해야하는지 아니면 한 번 평가가 충분한 지 여부입니다. 이것이 쟁점이 되는 이유는, 지식과 기술 모두 사용되지 않는 경우 decay하기 때문이며, 이는 기술이 특히 내용특수성이 높은 것으로 입증 된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예 : 학생이 울혈 성 심부전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게는 신체 검사를 수행 할 능력이있을 수 있지만 당뇨병 성 망막증의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 검사를 수행 할 능력이 없을 수 있음).

An important related issue is whether some competencies should be assessed at multiple times (i.e., in a serial fashion) or whether a ‘‘one time’’ assessment will suffice. This is a complex issue because both knowledge and skills tend to decay if they are not used (reinforced) and skills, especially, have been demonstrated to have a high degree of content specificity (e.g., a student may be competent to perform a physical examination for a patient presenting with symptoms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but not competent in performing a physical examination for a patient presenting with symptoms for diabetic retinopathy). 


지식 기반 평가는 아마도 내용의 특수성에 영향을 받기 쉽지만, 대부분의 시험은 지식의 일반화 추정치를 산출하기에 충분한 항목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임상 기술의 수행 능력 평가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가진 환자의 가용성에 의해서 제약을 받으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일반화 능력을 입증하기위한 임상 기술의 학생 성과에 대한 적절한 표본을 얻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신체 검사를 수행하는 등 능력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기술의 경우 최소한 두 가지 상황에서 평가해야합니다.

Knowledge-based assessments are probably just as susceptible to content specificity, but most examinations contain enough items on them to yield generalizable estimates of knowledge. Assessments of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however, are generally time consuming and constrained by the availability of patients with the desired variety of presenting problems. Thus, obtaining an adequate sample of student performance of clinical skills to demonstrate generalizable competence is very challenging. For skills that are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competence, such as performing a physical examination, they should be assessed in at least two different contexts.


학생들이 역량에 관한 성과를 어떻게 기록하고 문서화합니까?

How will student achievement of competencies be documented and filed away?


역량 달성을 쉽게 접근 가능한 형태로 문서화하고 정리하는 것은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메커니즘은 사용하기 쉽고 결과는 추적을 위해 중앙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해야합니다.

Documenting and filing away competency achievement in a readily accessible form is a critical step. The mechanism needs to be easy to use and the result needs to go into a central data-base for tracking.


역량 달성에 대한 모니터링 및 통보는 어떻게 이루어 집니까?

How will monitoring and notification of competency attainment be accomplished?


역량 달성 모니터링은 필요악이다. 이와 관련된 문제는, 학생들이 '플러그를 뽑기'전에 몇 차례나 능력을 시연해볼 시도 기회를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학생들이 모든 역량에 대해서 아니면 일정 비율의 역량에 대해서만 충족하면 되는지에 대한 결정이다.

Monitoring competency attainment is a necessary evil. Related issues are how many times should a student be allowed to attempt to demonstrate competence before ‘‘pulling the plug’’ and whether students must achieve competence on all competencies or only a fixed percentage of them (e.g., 80%)?


왜 학생 진도를 모니터링하는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초기 결정입니다. 부담 수준, 지침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학생들이 책임있는 성인이라고 assume하는 것이며, 그들이 만족스러운 발전을 보이지 못한다면 action이 뒤따를 것입니다. 이것은 대다수의 학생들에게 사실 일 수 있지만, 희망을 잃지 않게하는 외부의 자극이 필요한 사람들이있을 것입니다.

Deciding why you are monitoring student progress is an important early decision. Atone level, one can provide guidelines and let students monitor their own progress. This assumes that students are responsible adults and they will take action if they are not making satisfactory progress. While this may be true for the large majority of students, there will be those who need some external prompting to keep them from getting hopelessly behind.


역량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How will competence be measured?


UME 인증 및 유지 관리를 위해 설계된 역량이 UME에 사용되는 경우, 어느 정도의 적합성을 고려한 다음 각 표준을 보유 할 것인지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이루어져야합니다. 역량을 평가하는 데 사용 된 접근 방식이 간단할수록 구현 및 유지가 더 쉬워집니다. 그렇다고해서 역량을 평가하는 복잡한 방법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역량 및 그로부터 파생 된 측정 가능한 결과를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는 복잡한 기술 집합을 반영한다는 것입니다. 복잡한 기술을 측정하려면 복잡한 측정 기술이 필요합니다.

If competencies designed for certifi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re to be used for UME, carefu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which are more and less appropriate and then to what standard each shall be held. The simpler the approach used to assess competence, the easier it will be to implement and sustain. This is not to say that complex methods of assessing competencies will not be needed. One criterion for judging competencies and the measurable outcomes derived from them is that they reflect a complex set of skills. Measuring complex skills is likely to require complex measurement techniques.


역량 기반 교육의 핵심 쟁점은 역량이 binary 결정인지 아니면 여러 단계인지 여부입니다. 무능력자incompetence조차도 모두 같은 무능력자가 아니며, 극단적으로나 또는 심대한 무능력자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때 무능력이 다단계 일 수 있다고 주장 할 수있다.

A key issue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whether competency is a binary decision, or multi-level. One could argue that even incompetence may be multi-level with some unfortunate individuals being not just incompetent, but EXTREMELY or PROFOUNDLY incompetent.


탈 밸트 (Talbot, 2004)는 이원화 된 역량 체계에서의 위험은 역량이 '최소치'가 되는게 아니라, 역량이 최대치(목표)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Talbot (2004) argues that the danger in a binary graded competency systemis that rather than the floor, competence becomes the goal.


이 주장을 UME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은 역량이 예 / 아니오 결정인지 여부 또는 양쪽 끝에 물건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해야합니다. 역량을 여러 단계를 갖는다고 해석한다면 역량기반교육과정에서 [최소역량]이 [수월성]을 대신하여 목표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Extending this argument to the UME level would require deciding if competence is a yes/no decision or whether there is something in between and things on either end. A multi-level interpretation of competence would be better able to avoid having minimum competence overtaking excellence as the goal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IU)는 불만족스럽고 한계가 있으며 기대 수준을 만족시키는 훌륭한 5 단계 평점 척도를 채택했습니다.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IU) has adopted a 5-option rating scale consisting of: unsatisfactory, marginal, meets expectations, commendable, excellent.


두 번째 핵심 쟁점은 UME에서 사용할 표준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SIU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5 단계 연속체를 사용한다면, 우리는 연속체에 어디에 학습자가 놓여 있는지를 결정해야합니다.

A second key issue is how to set standards to use in UME. If we use a 5-level continuum like that used at SIU, we need to determine where learners lie in that continuum.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평가조차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개념으로서의 최소 능력은 측정 영역에서의 최소 통과와 공통점이 많고 최소 통과 기준 설정은 최소한 1954 년 이후 측정 문헌에서 문제가되었습니다. 많은 수의 수험생이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교수가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However, even this type of assessment is fraught with difficulty. Minimum competence as a concept has much in common with minimum passing in the measurement realm and establishing minimum passing standards has been a challenge in the measurement literature since at least 1954 . If a large number of examinees fail an exam, it can be due to faculty having unrealistic expectations. 


세 번째 핵심 쟁점은 능력, 특히 지식과 태도와 같이 덜 관찰 가능한 영역에서의 역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Merenstein et al. 역량 평가의 위험으로 주목하십시오. " '배워야 할 것이 아니라 측정 할 수있는 것을 측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469 쪽) (Merenstein 외. 1990).

A third key issue is how to measure competency, especially in the less observable domains such as knowledge and attitudes. As Merenstein et al. note as a danger in competency evaluation, ‘‘There can be a tendency to measure what is measurable rather than what needs to be learned’’ (p. 469) (Merenstein et al. 1990).



시험은 지식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이었습니다. UME의 문제는 개별 학교가 일반적으로 USMLE exams 수준의 심리 측정 품질을 갖는 최저 통과 수준을 도출할 만큼의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합/불합 결정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Examinations have been the traditional means of assessing knowledge. The problemfor UME is that individual schools generally do not have enough data to draw upon to setminimum passing levels that have the psychometric quality of those set on the USMLE exams. This leaves the determination of passes or fails to be relatively error prone. 



마지막은 역량 중심의 커리큘럼에서 어떻게 grade할 것인가이다. SIU 및 UI에서 사용되는 5 가지 옵션 척도는 고려할 수있는 대안을 제공합니다. 또한 합격 / 불합점 채점 시스템이 역량 기반 커리큘럼과 가장 잘 호환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The final key issue that we will deal with is how to grade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5-option scales used by SIU and UI offer alternatives that can be considered. It would also seem that a pass-fail grading system would be the most compatible with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메이는 C의 최하위 경계를 75 % 또는 80 %의 최소 역량으로 설정 한 다음 고정 된 비율에 따라 더 높은 등급을 할당하여 대학 정책에 위임 된 A-F 채점 시스템을 수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마도 우리가 직면 한 가장 대담한 권고는 "목표는 90%의 학생이 90%의 역량을 90%의 경우에 달성하는 것"(28 페이지) (1976 년 5 월) . 역설적이게도 유연한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 할 수있는 제한적인 제약에 직면했을 때 표준은 75-80 %로 완화되었습니다. 이는 보편적 인 표준으로서 높은 수준의 성능을 설정했을 때 빠질 수 있는 함정을 지적합니다.

May describes accommodating an A–F grading system mandated by university policy by setting the lowest boundary of a C to be minimum competency at either 75% or 80% and then allocating higher grades according to fixed percentages. Perhaps the most audacious recommendation we encountered also came from May who stated that ‘‘The goal is to have at least 90% of the students achieve 90% of the competencies 90% of the time’’ (p. 28) (May 1976). Ironically, when faced with the constraint of having limited ability to provide flexible scheduling, the standards were relaxed to 75–80%. This points to the pitfalls of setting high levels of performance as a universal standard.


교수의 buy-in

Faculty buy-in and faculty development


역량 기반 커리큘럼의 기회가 매우 적다면, 교수진 buy-in과 엄청난 규모의 교수 개발이 필요할 것입니다.

I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o have a ghost of a chance, it will require faculty buy-in and massive amounts of faculty development.


개별 교수진이 역량 평가 문서화를 더 많이 해야 할수록, 그들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 많은 헌신과 교수 개발이 필요합니다.

The more assessment of competence falls on individual faculty to document, the more commitment and faculty development will be necessary for them to fulfill their role.


Discussion/summa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2010 Aug;15(3):439-54. doi: 10.1007/s10459-008-9118-2. Epub 2008 May 15.

Buil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agony and the ecstasy.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Wisconsin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Madison, 53726-2397, USA. maalbane@wisc.edu

Abstract

Physician competencies have increasingly been a focus of medical education at all levels. Although competencies are not a new concept, whe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and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ABMS) jointly agreed on six competencies for certification an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of physicians in 1999, it brought about renewed interest. This article gives a brief overview of how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differs from other approaches and then describes the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h a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succes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requires careful planning, preparation and a long-term commitment from everyone involv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Buil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really about maintaining quality control and relinquishing control to those who care the most about medical education, our students. In the face of the many challenges that are facing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including declining availability of teaching patients and over-burdened faculty, instituting quality control and relinquishing control will be necessary to maintain high quality.

PMID:
 
18481188
 
DOI:
 
10.1007/s10459-008-9118-2


역량중심 의학교육 : 이론에서 실제까지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ory to practice

JASON R. FRANK1, LINDA S. SNELL2, OLLE TEN CATE3, ERIC S. HOLMBOE4, CAROL CARRACCIO5,

SUSAN R. SWING6, PETER HARRIS7, NICHOLAS J. GLASGOW8, CRAIG CAMPBELL9, DEEPAK DATH10,

RONALD M. HARDEN11, WILLIAM IOBST12, DONLIN M. LONG13, RANI MUNGROO14, DENYSE

L. RICHARDSON15, JONATHAN SHERBINO16, IVAN SILVER17, SARAH TABER18, MARTIN TALBOT19 &

KENNETH A. HARRIS20


최근 몇 년간 역량중심 의학교육(CBME)은 교육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이 패러다임에 대해서 합의된 부분은 많지 않다. 우리는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것들을 살펴보았다.


다중 단계 그룹 프로세스(multi-stage group process)를 이용해서 consensus conference를 열어 CBME에 대한 문헌을 살펴보고, 명확히 해야 할 쟁점을 밝히고, 여러 분야의 교육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의와 개념을 세우고, 미래에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20세기의 outcome movement를 중심으로 CBME의 진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outcome movement는 accountability and curricular outcomes and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promotes greater learner-centredness and de-emphasizes time-based curricular design에 초점을 둔다.) 이 패러다임에서는 역량 및 그와 관련된 용어들의 다각도적, 역동적, 발전적, 맥락적 특성을 강조한다. 


여기서는 CBME 접근법과 이와 관련된 개념을 설명하는 동시에 많은 의학교육자들이 이 논의에 참여하고 21세기 CBME의 잠재력과 위험요인을 모두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Practice points

. 역량 기반 교육은 전문 교육의 부활 패러다임입니다.

. CBME는 커리큘럼의 결과로서 역량 또는 사전 정의 된 능력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 CBME 패러다임은 역량과 역량발달의 개념을 재정의합니다.

. CBME는 전 세계적으로 의사 훈련에 대한 많은 도전 과제와 함께 큰 약속을하고 있습니다.

. CBME는 현대 의학 교육을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습니다.


.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resurgent paradigm in professional education.

. CBME is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or predefined abilities, as outcomes of the curriculum.

. The CBME paradigm employs redefined concepts of competence and its development.

. CBME holds great promise along with many challenges for physician training worldwide.

. CBME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미래에 경험보다는 전문성이 역량 기반 실천 및 인증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Aggarwal & Darzi 2006)

We believe that in the future, expertise rather than experience will underlie competency-based practice and...certification (Aggarwal & Darzi 2006)



CBME라는 용어가 이 전문직에 도입되었으며, 상위 일반 의학 저널 (Leung 2002, Aggarwal & Darzi 2006)에서 토론되고있다. "역량"은 많은 영역에서 의학 교육 계획의 단위가되었다 (Leung 2002; Albanese et al.2008).

CBME has entered the lexicon of the profession and is now debated in the top general medical journals (Leung 2002; Aggarwal & Darzi 2006).‘‘Competencies’’ have become the unit of medical educational planning in many jurisdictions (Leung 2002; Albanese et al.2008). 


방법

Methods: The ICMBE Collaborators



역량바탕교육의 기원

Origin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전문가 육성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법에 대한 요구는 60 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Grant 1975, Spady 1977, Carraccio 외 2002) Tyler (1949)와 Mager (1997)의 연구에서 언급된 프로그램 목표와 목표에 중점을 두는 방식이 20 세기 초반에 널리 채택되었지만, 다른 이들은 프로그램 최종 제품을 희생하여 프로세스에 대한 집중을 거부했습니다. 성과기반교육 (OBE)은 이것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했다 (Block 1974, Rubin & Spady 1984, Levine 1985, Spady 1994, Harden 1999). OBE는 학습자와 프로그램 결과물을 강조했으나 이를 달성하기위한 경로 및 과정을 강조하지 않았습니다. 지식 목표를 중심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기준은 프로그램의 제품에 관계없이 교육 과정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지만, OBE는 반대 입장을 취합니다. 성과에 따라 모든 커리큘럼 결정이 guide되고, 커리큘럼 프로세스는 부차적이다 (Harden 1999). 이러한 맥락에서 역량 기반 접근법은 OBE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Calls for competency-based approaches to preparing professionals go back 60 years or more (Grant 1975; Spady 1977; Carraccio et al. 2002) Although an emphasis on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articulated in the work of Tyler (1949) and Mager (1997) was widely adop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others rejected the ensuing focus on process at the expense of program end-products. Outcome-based education (OBE) arose in response (Block 1974; Rubin & Spady 1984; Levine 1985; Spady 1994; Harden 1999). OBE emphasized learner and program outcomes, not the pathways and processes to attain them. Whereas traditional criteria organized around knowledge objectives tend to emphasize the instructional process, regardless of the product of the program, OBE takes the opposite position: outcomes guide all curriculum decisions, and curriculum processes are secondary (Harden 1999). In this context, competency-based approaches to curricula can be seen as a type of OBE.



CBME의 rationale

The rationale for CBME


CBME가 새로운 것이 아니라면 지금 왜 그런 관심을 끌고 있습니까? 최근 몇 년 동안 세력 및 추세가 CBME에 특별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If CBME is not new, why it is attracting such interest now? In recent years, number of forces and trends have given rise to a particular interest in CBME.


1. 교육과정 성과에 초점

1. A focus on curricular outcomes


CBME의 지지자들은 전문직에 대한 책임과 감시의 시대에, 의학 교육자들은 모든 졸업생들이 실무에 대비할 수 있도록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많은 commentators들이 여러 커리큘럼이 졸업생에게 필요한 성과를 명시적으로 정의내리지 않을 뿐만아니라, 성과의 배움, 평가, 습득을 확인하고 있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serve할 인구의 요구에 명시적으로 연계된 접근 방식을 옹호하며, 이들은 본질적으로 실용주의자이다. 각 커리큘럼 요소는 학습자 결과에 기여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하나의 핵심 영역의 능력(예 : 절차 적 기술)이 다른 능력(예 : 의사 소통)의 부족을 보완하는 현상은, 전문직과 대중에게 해를 끼친다고 주장한다.


Advocates of CBME argue that, in an era of greater accountability and scrutiny of the professions, medical educators must ensure that every graduate is prepared for practice. Commentators in many countries have noted that many curricula do not even explicitly define the outcome abilities needed of graduates, let alone ensure they are learned, assessed, and acquired. They advocate an approach to curriculum planning that, explicitly tied to the needs of those served, is inherently utilitarian: each curricular element must contribute to learner outcomes or be cut. In addition, they argue that the phenomenon of allowing ability in one essential domain (e.g., procedural skills) to compensate for lack of ability in another (e.g., communication) does a disservice to both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served.


2. 능력을 강조

2. An emphasis on abilities (competencies as the organizing principle of curricula)


목표 기반 접근법의 환원주의는 기술, 태도, 진료의 고차원적인 측면을 희생하여 지식에 지나치게 강조하게되었다 (Talbot 2004). 또한 독립적 지식 목표 목록은 학습learning이 커리큘럼 전체에 통합되어 있지 않은 프로그램을 만들고는 한다. CBME 패러다임에서, 교육과정 요소는 구성주의적 방식으로 서로 구성되도록 조정됩니다. 역량을 organizing framework로 사용함으로써 교육자는 앞선 학습 요소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관찰 가능한 능력을 강조하는 학습 경험을 설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기회를 갖게됩니다 (McGaghie 1978, Voorhees 2001a, Carraccio 외 2002).


the reductionism of objectives-based approaches has led to an over-emphasis on knowledge at the expense of skills, attitudes, and higher order aspects of practice (Talbot 2004). In addition, independent lists of knowledge objectives can create a program in which learning is not integrated across the curriculum. In the CBME paradigm, curricular elements are tailored to build on one another in a constructivist manner. by using competencies as an organizing framework, educators have an opportunity to address these issues by designing learning experiences that continuously incorporate prior learning elements and emphasize observable abilities (McGaghie 1978; Voorhees 2001a; Carraccio et al. 2002).



3. 시간 기반 훈련을 강조하지 않음

3. A de-emphasis of time-based training


현대 의학 교육은 실제로 취득한 능력 (오랜 2000)보다는 훈련 (예 : 회전)에서 소비 된 시간의 양을 중시한다. 자격증 시험 자격과 같은 의사 자격 증명의 측면은 특정 경험에 소비되는 시간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oriented toward the amount of time spent in an aspect of training (e.g., a rotation) rather than the abilities actually acquired (Long 2000). Aspects of physician credentialing, such as eligibility for certification exams, tend to focus on time spent on specific experiences.


융통성있는 시간주기를 가진 커리큘럼은 엄격하게 시간 중심으로 구성된 커리큘럼보다 효율적이고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Bell et al. 1997; Long 2000; Carraccio 외. 2002).

a curriculum with flexible time periods may be more efficient and engaging than a strictly time-based curriculum (Bell et al. 1997; Long 2000; Carraccio et al. 2002).


4. 학습자 중심 촉진

4. The promotion of learner-centredness


CBME는 trainee가 자신의 진도와 발전에 책임을 지도록 장려합니다.

CBME, encourages traine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progress and development by mapping out a transparent pathway frommilestone to milestone on their way toward competence.



CBME란 무엇인가? 핵심 개념 정의

What is CBME? Defining the key concepts


역량 기반 의학 교육의 정의는 문헌에서 매우 다양하다. 그러므로 Box 2에 열거 된 CBME 관련 개념의 정의를 제안한다.

the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s highly variable in the literature. We therefore propose the definitions of CBME-related concepts listed in Box 2.




Competence

The array of abilities across multiple domains or aspects of physician performance in a certain context. 

Statements about competence require descriptive qualifiers to define the relevant abilitiescontext, and stage of training

Competence is multi-dimensional and dynamic. It changes with time, experience, and setting.


Competency

An observable ability of a health professional, integrating multiple components such a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Since competencies are observable, they can be measured and assessed to ensure their acquisition.

Competencies can be assembled like building blocks to facilitate progressive developmen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 outcomes-based approach to the design,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using an organizing framework of competencies.


Competent

Possessing the required abilities in all domains in a certain context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Dyscompetence

Possessing relatively less ability in one or more domains of physician competence in a certain context and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Incompetent

Lacking the required abilities in all domains in a certain context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Progression of competence

For each aspect or domain of competence, the spectrum of ability from novice to mastery.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physician to the level of ability required for optimal practice in each domain. At any given point in time, and in a given context, an individual physician will reflect greater or lesser ability in each domain.


CBME 패러다임의 핵심 교리는 다차원적, 역동적, 맥락적, 발달적 역량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The central tenets of the CBME paradigm require an understanding of physician competence as multi-dimensional, dynamic, contextual, and developmental.


Dreyfus (2004; Carraccio et al., 2008 참조)에 의해 기술 된 바와 같이, 능력의 각 영역에 대해, 초심자에서 마스터에 이르는 능력의 상응하는 스펙트럼이있다. 그러나 우리는 일단 자격증을 취득하면 의사가 영원히 자격을 갖춘 의사를 가정하는 정적 개념의 정적 개념 대신에, 역량의 개념을 끊임없이 변화하는 맥락적 CONSTRUCT로 강조합니다 (Koens et al., 2005).

For each domain of competence, there is a corresponding spectrum of ability from novice to master, as described by Dreyfus (2004; see also Carraccio et al. 2008). However, instead of a static concept of competence that postulates a physician who, once certified to practise, is competent forever, we emphasize the concept of competence as an ever-changing, contextual construct (Koens et al. 2005).


예를 들어, 전공의 수련 후 곧 도시의 대학 교육 병원에서의 의료에 적합한 것으로 증명 된 외과의사가 개발도상국의 한 농촌 병원에서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능력의 진보"에 대한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역동적이고 발전적이거나 후퇴하는 역량 개념에 대해 말하고 실천이나 학습 환경에 토대를 둔 역량을 의미한다.

For example, a surgeon certified as fit for practice in an urban academic teaching hospital soon after graduation from residency may find it difficult to cope in a rural hospital in a developing country. The idea of ‘‘progression of competence’’ speaks to this conception of competence as dynamic, developing or receding over time, and as grounded in the environment of practice or learning.


또한 우리는 역량competencies을, 작은 학습요소로부터 조립assemble 할 수 있는 역량competence의 ingredient로 간주 할 것을 제안합니다.

Furthermore, we propose that competencies be viewed as ingredients of competence, which can be assembled from smaller elements of learning.


현재 의사는 독립적으로 연습 할 준비가되어있는 시점에서 역량을 갖춘 것으로 간주됩니다. 역량에 대한 정적 인 견해는 종종 시간 기반의 자격 증명에 상당히 의존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역량을 갖춘"이라는 용어는 어떤 역량 영역이, 어떤 맥락에서, 그리고 어떤 의학교육 단계에 대한 것인지를 언급 하는지를 명시하는 수식어와 함께 사용되어야한다고 제안한다. 

Currently, a physician is deemed competent at the point where he or she is considered ready to practise independently. This static view of competence often rests quite arbitrarily on time-based credentialing. We therefore propose that the term ‘‘competent’’ be used with modifiers that specify which domains of ability, which context, and what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it refers to. Thus, 

  • a second-year medical student could be competent to enter a supervised undergraduate clinical rotation on a teaching hospital ward, 

  • a resident trainee could be competent to run an intensive care unit autonomously overnight, and 

  • a graduate of a residency program could be competent to perform some, but not all, procedures independently in a rural institution.


EPA은 본질적으로 특정 맥락에서의 역량입니다. 즉, 주어진 전문 분야 내에서 우수한 의사가 기대하는 전문적인 활동을 수행 할 수있게하는 통합된 역량이다.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re essentially competencies in context; that is, an integration of the competencies that allow one to perform the professional activities expected of a good doctor within a given specialty.


  • 우리는 하나 이상의 역량 영역 (예 : 의사 소통 능력)에 상대적인 결함이있는 의사를 지칭하는 비교 용어로 "dyscompetence"를 제안합니다. 
  • "무능incompetent"하다고 말하는 것은 그의 모든 능력이constellation of abilities가 특정 단계의 학습자가, 특정 상황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판단입니다. 
  • We propose ‘‘dyscompetence’’ as a comparative term to refer to physicians who have a relative deficiency in one or more domains of competence (e.g., communication abilities). 

  • To say that a physician is ‘‘incompetent’’ would be a judgment that his or her constellation of abilities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a specified stage of training or practice, in a specified setting (e.g., a third-year medical student could be incompetent to function in an ambulatory clinic with intermediate supervision).



CBME 기획

Planning CBME


전통적인 프로그램은 "학습자는 무엇을 알아야합니까?"또는 "어떻게 우리가 학습자를 가르쳐야합니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반면, CBME는 결과로 시작합니다. CBME는 "졸업생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arden 외. 1999).


Whereas a traditional program may begin with the question, ‘‘What do learners need to know?’’ or ‘‘How shall we teach our learners?’’, CBME begins with outcomes. CBME is organized around the question, ‘‘What abilities are needed of graduates?’’ (Harden et al. 1999).



기대되는 점과 위험 요소

Promise and perils: implications of the CBME approach for the health professions



CBME를 도입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은

Among the benefits promised by the adoption of CBME are:


. 역량의 새로운 패러다임. ICBME 공동 작업자가 지정한 용어는 의사 전문 역량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새로운 담론과 각 전문인의 능력을 습득, 유지 관리 및 향상시키는 데있어 의학 교육의 역할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 A new paradigm of competence. The terms identified by the ICBME Collaborators can facilitate a new discourse on what is meant by physician competence and the role of medical education in the acquisition,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h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professional.


. 성과에 대한 헌신. 대학원 능력을 중시하는 CBME 커리큘럼은 임상의가 환자와 지역 사회에 봉사 할 수 있도록 의학의 사회적 계약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 A renewed commitment to outcomes. CBME curricula, with their emphasis on graduate abilities, can fulfill medicine’s societal contract to prepare clinicians to serve their patients and communities.


. 개발 이정표에 대한 평가를위한 새로운 초점. 개발을 이끌 기위한 빈번하고 실용적인 평가에 대한 CBME의 요구는 학습 과정에서의 평가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 A new focus for assessment on developmental milestones. CBME’s requirement for frequent, utilitarian assessment to guide development emphasizes the role of assessment in the learning process


. 의료 교육의 진정한 연속체를 촉진하는 메커니즘. CBME는 의학 교육과 실습의 각 단계에 대한 역량과 이정표를 정의함으로써 학부 의학 교육에서 레지던트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에 이르는 교육 프로그램의 수직 및 수평 통합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 A mechanism to promote a tru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By defining competencies and milestones for each stage of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CBME can promote vertical and horizontal integration of training programs, fro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residency 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 학습자 중심의 커리큘럼을 촉진시키는 방법. 보다 유연한 시간대에 경험을 제공하고 학습자의 발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CBME는 의사가 자신의 진료 속도로 진보하는 과정에 진정으로 참여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A method to promote learner-centred curricula. By providing experiences within a more flexible time frame and focusing on the learner’s development, CBME can help physicians-in-training to become truly engaged in a process that progresses at their own rate of acquisition.



. 의학에서 시간 기반 자격 증명을 덜 강조하는 방법. 학부 교육에서 레지던트 교육으로의 전환은 전문적인 개발이나 역량 유지에 주로 예정되고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기간보다는 기술의 증거에 기반을 둘 것입니다. 시간은 교육 자체가 아니라 학습 자원이됩니다.

. A way to de-emphasize time-based credentialing in medicine. Transitions from undergraduate education to residency education 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r maintenance of competence would be based primarily on evidence of skills rather than on predetermined and universally applied time frames. Time then becomes a resource for education, not the marker of learning itself.


. 교육의 이식성.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을 채택하면 의사, 의사 자격 증명 및 관할 지역에 걸쳐 교육 할 수있는 학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 Potential for portability of training. The adoption of a competency-based approach can facilitate the movement of physicians, physician credentials, and credit for training across jurisdictions.


CBME도입의 잠재적 위험은..

Among the potential perils and challenges of CBME are:


. 환원주의의 위협. 역량을 정의하고 평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부는 관찰 가능한 가장 작은 단위로 나누어 학습자와 교사 모두를 좌절시키는 끝없는 nested 목록을 만듭니다.

. The threat of reductionism. In an effort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defining and assessing competencies, some have resorted to breaking them down into the smallest observable units of behaviour, creating endless nested lists of abilities that frustrate learners and teachers alike.


. 최소공약수를 강조하는 오류. CBME의 비평가들은 역량을 너무 포괄적으로 집중함으로써 학습자는 excellence가 아니라 milestone이 의학의 궁극적 인 목표라는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Promoting the lowest common denominator. Critics of CBME have pointed out that, by focusing on an array of competencies so comprehensively, learners may perceive a underlying message that milestones and not excellence are the ultimate pursuit in medicine.



. 물류적인 혼돈. 전 세계의 많은 교육 시스템이 시간 기반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예 : 1 회전마다 정해진 주를 필요로 함)보다 역량 기반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까? 수천 명의 의료 연수생이 자신의 페이스대로 진행되는 일정을 어떻게 관리 할 수 ​​있습니까 (예 : 순수 CBME 커리큘럼).

. Logistical chaos. Given that many educational systems around the world are time-based (e.g., requiring a precribed number of weeks for each rotation), how can a transition to a more competency-based system be accomplished? How can health care manage the scheduling of the thousands of medical trainees progressing at their own pace (in a pure CBME curriculum, for example)?



. 진정성의 상실. CBME 커리큘럼이 구현된다면, 그리고 교육 설계 영역 및 성과에 중점을 둔다면, 지난 2000 년 동안 의학을 잘 수행해 온 멘토링 및 immersion는 어떻게됩니까? 현재의 커리큘럼의 충실도fidelity와 강점을 잃지 않고 CBME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 Loss of authenticity. If a CBME curriculum is implemented, along with its language of domain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its focus on outcomes, what happens to the mentoring and immersion that has served medicine well for 2000 years? Can we use CBME without losing the fidelity and strengths of our current curricula?



. 유용성의 폭정. 순수한 CBME 접근법은 본질적으로 실용주의적이며, 정의 된 프로그램 결과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내용과 경험을 없앨 것을 제안합니다. 이것은 직업의 일부 이해 관계자에게는 받아 들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The tyranny of utility. A pure CBME approach is inherently utilitarian, and proposes cutting content and experiences that do not directly contribute to defined program outcomes. This can be unacceptable to some stakeholders in the profession.


. 새로운 교육 기술의 필요성. 더 큰 규모의 CBME 교육을 채택하려면 새로운 기술, 새로운 모듈 및 새로운 평가 도구가 실용적이고 효과적이어야합니다.

. The need for new educational technologies. Adopting teaching CBME on a larger scale would require new techniques, new modules, and new assessment tools to be practical and effective.


. (변하지 않으려는) 관성과 자원 부족. 많은 관할 구역에서 CBME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평가, 교육, 인프라 및 어쩌면 보강 된 인력에 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 Inertia and lack of resources. For many jurisdictions, CBME adoping a approach would require significant assessment, investments in teaching, infrastructure and and perhaps even an augmented workforce.







Focusing on outcomes

In an era of greater public accountability, medical curricula must ensure that 

all graduates are competent in all essential domains.


Emphasizing abilities

Medical curricula must emphasize the abilities to be acquired


De-emphasizing time-based training

Medical education can shift from a focus on the time a learner spends on an educational unit 

to a focus on the learning actually attained.


Promoting greater learner-centredness

Medical education can promote greater learner engagement in training.








 2010;32(8):638-45. doi: 10.3109/0142159X.2010.501190.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theory to practice.

Sourc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Canada. jfrank@rcpsc.edu

Abstract

Although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has attracted renewed interest in recent years among educators and policy-makers in the health care professions, there is little agreement on many aspects of this paradigm. We convened a unique partnership -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 to examine conceptual issues and current debates in CBME. We engaged in a multi-stage group process and held a consensus conference with the aim of reviewing the scholarly literatur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dentifying controversies in need of clarification, proposing definitions and concepts that could be useful to educators across many jurisdictions, and exploring future directions for this approach to preparing health professional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evolution of CBME from the outcomes movement in the 20th century to a renewed approach that, focused on accountability and curricular outcomes and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promotes greater learner-centredness and de-emphasizes time-based curricular design. In this paradigm, competence and related terms are redefined to emphasize their multi-dimensional, dynamic,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nature. CBME therefor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of medical curricula and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in reshaping the enterprise of medical education. We elaborate on this emerging CBME approach and its related concepts, and invite medical educators everywhere to enter into further dialogue about the promise and the potential perils of competency-based medical curricula for the 21st century.

PMID:
 
2066257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학부의학교육의 잠재교육과정: 의과대학생의 교육에 대한 인식의 질적연구(BMJ, 2004)

The hidden curriculu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Heidi Lempp, Clive Seale




Introduction


Methods


We undertook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content of the hidden curriculum and how it is delivered to medical students.



Results


개인적인 격려

Personal encouragement


36 명의 학생 중 26 명은 긍정적 인 역할 모델로 46 명의 특정 스태프 멤버를 확인하여 격려와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교사, 학생, 환자 및 동료와의 의사 소통에 대한 이러한 노력은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Among the 36 students, 26 identified 46 specific staff members as positive role models who had an encouraging and motivating impact on them. These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and to communicating with students, patients, and colleagues were highly rated.


언급 된 롤모델의 대부분은 남성 의사 (27/46)였으며, 이들은 지식, 전문 권력 및 권한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하게 여겨졌다. 여성 롤모델 (19/46)은 더 많은 "인간적"특성을 보여주었고, 즉 관용, 정직, 존중, 학생에 대한 지지 등이었다.

Most of the role models mentioned were male doctors (27/46), who were seen particularly valued in relation to their knowledge, professional power, and authority. The female medical role models (19/46) were said to convey more “human” attributes: support tolerance, integrity, respectfulness, and towards students.



우연한 가르침

Haphazard teaching


대부분의 학생들 (25/36)은 임상 교수에 의한 교육의 haphazard한 특성을 언급했고, 이는 주로 특히 명시된 시간표를 무시하는 방식이었다. 20 명의 학생들은 수업 세션에 대한 예상치 못한 변화가 시간 낭비이며 매우 보편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최종 학년 학생들 (6/7)은 일부 선생님들에게 헌신이 부족하고 교수 기술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에 대해 특히 비판적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사가 교육 세션에서 참석하지 않은 것을 위해 일련의 변명을했습니다. 임상 교사들이 가르침에 대한 열의가 부족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학생들은 종종 심하게 동기부여를 상실했다. 이로 인해 학생과 교사 모두 결석이 반복되는 사이클이 반복되었습니다.

Most students (25/36) described the haphazard nature of teaching, particularly by clinical staff, who often disregarded the overt timetable. Twenty students indicated that unscheduled changes to teaching sessions were time wasting and very common. Final year students (6/7) were especially critical of what they perceived as a lack of commitment and poor teaching skills in some teachers. Despite this, most students gave a series of excuses to explain teachers’ absence from educational sessions. Often students were profoundly demotivated by their perception that many clinical teachers had a low level of commitment to teaching, and this led to a repetitive cycle of non-attendance by students and teachers alike.


위계의 중요성

Importance of hierarchy


학생들이 의학에서 위계 구조의 중요성에 대해 배운 주요 방법 중 하나는 이전 연구에서 지적 된 특징인 굴욕을 주는 교육을 통한 것입니다 .57 총 21/36 명의 학생들이 29 가지 굴욕 사건을보고했습니다.

One of the principal ways in which students learnt about the importance of hierarchy in medicine is through teaching that involved humiliation, a feature noted in previous studies.57 In total, 21/36 students reported 29 incidents of humiliation:


보고 된 거의 모든 가해자는 남성 의사 (28/29 사건)였습니다. 전형적으로 사건은 병동 회진 중에 발생했으며, 학생이 같은 반복되는 질문에 답을 못하거나(11 건) 부적절한 임상 검진에 대해서 지적받을 때(8 건)였다.

Almost all the reported perpetrators were male doctors (28/29 incidents). Typically the incidents occurred in ward rounds, when students were unable to answer the same repeated question (11 incidents) or when they were criticised for an inadequate clinical examination (8 incidents).


간호사와 조산사가 의과 대학생을 불손하게 대한다는 보고가 여러 건있었습니다 (15/23 임상 학생). 그러한 행동은 전문적인 경쟁 정도를 나타낼 수있다.

There were also several reports of nurses and midwives treating medical students disrespectfully (15/23 clinical students). Such behaviour may indicate a degree of professional rivalry.519


경쟁적이 됨으로써 앞서나가기

Getting ahead by being competitive


학생들 중 절반 (18/36)은 협력보다는 경쟁이 의학의 특성을 정의하는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는 임상 학생 (16/23)에서 비임상 학생 (2/13)보다 일반적인 관점이었다.

Half of the students (18/36) reported that competition rather than cooperation i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medicine, a view that was more common among clinical students (16/23) than non-clinical students (2/13).


임상 기간 동안 학생들은 stand out 하기위해 서로에게 칼을 겨눈다. (3 학년 학생)

You notice that students during the clinical years try to stand out, stabbing each other. (Year 3 student)



Discussion


일반화가능성을 평가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함

Further studies of the hidden curriculum from other medical schools are needed, including the perspectives of clinical teachers, to assess the generalisability of our findings.






 2004 Oct 2;329(7469):770-3.

The hidden curriculu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qualitative study of medical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Author information

1
Academic Rheumatology, Guy's, King's and St Thomas' School of Medicine, King's College London, London SE5 9RJ. heidi.k.lempp@kcl.ac.uk

Abstract

OBJECTIVE:

To study medical students' views about the quality of the teaching they receive during their undergraduate training, especially in terms of the hidden curriculum.

DESIG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individual students.

SETTING:

One medical school in the United Kingdom.

PARTICIPANTS:

36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cross all stages of their training, selected by random and quota sampling, stratified by sex and ethnicity, with the whole medical school population as a sampling frame.

MAIN OUTCOME MEASURES: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teaching received during their undergraduatetraining.

RESULTS:

Students reported many examples of positive role models and effective, approachable teachers, with valued characteristics perceived according to traditional gendered stereotypes. They also described a hierarchical and competitive atmosphere in the medicalschool, in which haphazard instruction and teaching by humiliation occur, especially during the clinical training years.

CONCLUSIONS:

Following on from the recent reforms of the manifest curriculum, the hidden curriculum now needs attention to produce the necessary fundamental changes in the culture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MID:
 
15459051
 
PMCID:
 
PMC520997
 
DOI:
 
10.1136/bmj.329.7469.770


보건전문직교육에서 습득적역량과 참여적역량: 국제보건 분야의 정의와 평가(Acad Med, 2017)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finition and Assessment in Global Health

Quentin Eichbaum, MD, PhD, MPH, MFA, MMHC




역량의 보다 완전한 모델은 실천공동체와 개개인의 전문성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더욱 중요하게는 이 둘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둠으로써 한 인간은 개인의 지혜와 사회적 관계를 모두 지니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미래 연구는 이 "공유 된 적성"의 성격을 깊이있게 탐구해야한다 .

- 곽 외 1

The more complete model of competence focuses on communities of practice and on individual expertise and, importantl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recognizing that humans possess both individual wisdom and social connectednes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in greater depth the nature of this “situated shared competence.” —Leung et al1



역량 기반 학습으로의 보건 전문 교육 추세에 따라 고소득 국가 (HIC)의 글로벌 보건 프로그램은 계속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의 대다수는 학생과 연수생이 저소득 및 중산층 국가 (LMIC)에서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1 개월 이상 일렉티브을 수행하는 패러다임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3

Global health programs in high-income countries (HICs) continue to proliferate, with many following the tren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ward competency- based learning. Furthermore, a majority of these programs are adopting a paradigm in which students and trainees undertake elective work for periods of one or more months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2,3


• HIC 프로그램이 저 자원 환경에서 지역 보건 상황의 특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며, 맥락-특이적 역량 개발에 LMIC 보건 전문가 및 근로자를 포함하지 못함.

• HIC의 문화 및 학습 환경에서 유행하는 개인주의와 LMIC 상황에서의 집단주의 사이의 "분리disjunction"에 대한 과소 평가.

• LMIC의 저 자원 환경에서 일하는 HIC의 학생 및 연수생의 글로벌 건강 역량 평가의 한계.


• the failure of HIC programs to take sufficient account of the specificity of local health contexts in low-resource settings and to be inclusive of LMIC health professionals and workers in the development of context-specific competencies;

• an underappreciation of the “disjunction” between the individualism prevalent in cultural and learning contexts in HICs and the collectivism in LMIC contexts2,3; and

• the shortcomings in the assessment of global health competencies of students and trainees from HICs working in the low-resource settings of LMICs.



우리는 식민지 시대의 세계적 건강 유산을 뛰어 넘는 중대하고 변혁적인 학습 경험을 창출하고 상호 의존성공유에 기반한 공평한 파트너십을 개발하기 위해 이러한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We nee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o create significant,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5 that move beyond the colonialist legacy of global health6,7 and to develop equitable partnerships based on interdependence and sharing.



맥락의 문제
The Problem of Contexts


글로벌 건강 역량에 관한 논쟁에서 핵심 질문은 그러한 역량이 "맥락 연계 (context-linked)"또는 "맥락 무관(context-free)"인지 여부입니다. 4 유감스럽게도 맥락은 종종 학습자에게 암시 적입니다 .10 

  • "맥락-무관"경우, 언제 어디서 배우든, 우리는 상황에 관계없이 이러한 역량에 대해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한 맥락에서 배운 역량은 다른 맥락에서 전달되고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견해는 역량을 갖춘 개인이 일반적으로 맥락 전반에 걸쳐 유능하다는 것을 가정하고, 한 맥락에서 개인의 성과는 다른 유사한 맥락에서 성과를 예측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A central question in the debate about global health competencies is whether such competencies are “context- linked” or “context-free.”4 contexts are, unfortunately, often left implicit for learners.10 If competencies are context-free, they can be learned at any time and place, and we can assess learners on these competencies, independent of context. Competencies learned in one context can be transferred and applied in other contexts. This view posits that a competent individual is generally competent across contexts, and that the individual’s performance in one context predicts performance in other similar contexts.11


  • 대조적으로 역량이 "맥락-연계" 되어 있으면 컨텍스트간에 전이될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러한 맥락과 관련하여 학습하고 평가해야합니다 .11 경험 많은 글로벌 보건 의료 종사자는 한 가지 건강 컨텍스트에서의 역량이 다른 컨텍스트로 반드시 전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합니다.

In contrast, if competencies are context-linked, they cannot be transferred across contexts; rather, they must be learned and assessed in specific relation to those contexts.11 Experienced global health workers recognize that competence in one health context does not necessarily transfer to a different context.4


HIC의 글로벌 보건 프로그램은 주로 LMIC의 지역 보건 상황의 특수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4 그들은 상황에 관계없이 역량 목록을 가르치며, 다양한 LMIC 사이트에서 그러한 역량을 일렉티브를 선택한 연수생들이 전이할 수 있다고 편리하게 고려합니다.12

Global health programs in HICs have largely failed to take adequate account of the specificity of local health contexts in LMICs.4 They tend to teach generic lists of competencies, independent of context, and conveniently consider such competencies transferable across the diverse LMIC sites that their trainees choose for electives.12



  • 개인이 맥락과 독립적으로 획득 할 수있는 것들(습득적 역량)과 

  • 특정한 건강 컨텍스트 (들)과 관련이 있고 맥락의 역동적 인 사회적 상호 작용에의 참여에 의존하는 것들(참여적 역량)

...로 역량의 분류를 제안한다.

I propose a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into 

  • those that individuals can acquire independent of context (acquired competencies) and 

  • those that are linked to specific health context(s) and depend on participation in the dynamic social interactions of the context (participatory competencies).


습득적 역량과 참여적 역량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배움이라는 것이 "개인이 획득하고, 유지하고, 개인적 이득을 얻기 위해 이용할 수있는 것"이라는 생각은 집단주의적 관점에서는 거의 생각할 수 없다. -Bleakley et al13

The idea that learning is something that an individual can acquire, retain and exploit for personal gain is almost unthinkable from a collectivist perspective. —Bleakley et al13



개인은 "죽어가는 환자에게 조언"과 같은 역량을 배우고 간단히 check off 할 수 있습니까? 아니면 이 역량은 그렇게 간단히 배우기에는 너무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복잡하고 맥락에 따라 달라집니까? 죽어가는 환자에 대한 상담은 참여 적 역량으로 분류됩니다.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컨텍스트간에 전이될 수 없습니다.

Can an individual learn and simply check off a competency such as “counsel a dying patient”? Or is this competency too culturally and socially complex and too contextually situated to be so readily learned? Counseling a dying patient would be classified as a participatory competency: It is highly dependent on context and cannot be generically transferred across contexts. 



학습 접근법 : 습득과 참여,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Learning approaches: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Sfard14는 "습득"과 "참여"의 은유를 사용하는 학습 접근법을 구분합니다. 

    • 습득 메타포는 개인이 습득하고 소유 할 수있는 것으로 학습을 바라보고, 상황에 따라 전이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인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참여 메타포는 학습이 그룹 및 커뮤니티 내에서 참여 및 공유 된 상호 작용을 통해 동적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및 맥락적으로 "위치한"것으로 평가합니다. 다시 말해서, "참여가 곧 배움"이며 "배움(참여와 같은)은 개인의 정적 인 획득이나 속성 이라기보다 지속적인 과정으로 간주된다."11,14 이 관점에서 볼 때, 학습은 오히려 맥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쉽게 전이가능한 것이 아니다.

Sfard14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approaches to learning using the metaphors of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The acquisition metaphor views learning as something the individual can acquire and possess, that can be transferred across contexts, and for which the individual can therefore be effectively assessed. The participation metaphor views learning as being socially and contextually “situated,” arising dynamically through participation and shared interactions within groups and communities. In other words, “participation is learning” and “learning (like participation) is viewed as a continuous process” rather than as a static acquisition or attribute of the individual.11,14 Learning, by this view, is inextricably linked to contexts rather than transferable.


역량에 대한 또 다른 담론은 학습에 대한 개인주의적 접근과 집단주의적 접근 사이의 구분이다 .11) 

    • 개인주의와 자율성이 높은 HIC는 일반적으로 학습을 개인 내에서 발생하고 습득되어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개인주의적 접근을 한다. 11,14. 

    • LMIC는 주로 그룹 또는 집단의 측면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그룹 상호 작용 및 참여에서 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학습을 봅니다. 

습득과 참여에 대한 학습은 각 개인주의 문화와 집단 주의적 문화에서 우세하다.

Another discourse of competence is the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approaches to learning.3,11 

    • HICs that rank high in individualism and autonomy are generally individualist in their approach to learning insofar as they view learning as something that occurs within the individual and is acquired and “possessed”11,14 by the individual. 

    • LMICs understand themselves primarily in terms of the group, or collective, and view learning as arising dynamically out of group interactions and participation. 

The learning metaphors of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thus predominate, respectively, in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cultures.



두 은유는 모두 타당성이 있으며 "단지 하나만 취사선택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각자의 장점을 가져와 통합해야"합니다. 14 개인주의 문화의 훈련생이 집단주의적 문화에서 일하고 배우는 경우, 관점, 태도, 학습 접근법의 분리disjunction는 학습 부조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IC 연수생의 학습에 대한 경쟁적이고 능동적 인 개인 주의적 접근 방식은 호스트 LMIC에서 학습에 대한보다 협동적이고 참여적인 집단 주의적 접근 방식과 충돌 할 수있다.

Both metaphors have validity, and they should be integrated to “bring to the fore the advantages of each” because there are “dangers in choosing just one.”14 Be that as it may, when trainees from individualist cultures work and learn in collectivist culture settings, a disjunction of perspectives, attitudes, and approaches to learning may lead to a learning dissonance. For example, HIC trainees’ competitive and proactive individualist approach to learning may clash with the more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collectivist approach to learning in the host LMIC.4


역량을 습득적인 것과 참여적인 것으로 분류하기

Classifying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


기존의 리스트는 개인주의자와 집단주의자의 문화와 학습에 대한 각각의 접근법을 구분하지 않는다.

The core competency lists of major health professional organizations—such as those of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15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CanMEDS framework)16 do not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cultures and their respective approaches to learning.


나는 의학 교육자들이 능력을 획득하는 것이나 참여하는 것으로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획득 된 역량은 개인이 습득하고 소유 할 수있는 역량이며 직접 관찰 및 심리 측정과 같은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17,18이 모델에서 ACGME 핵심 역량 영역 인 의학 지식 및 환자 진료 영역은 대부분 의학 전문 분야는 주로 획득 한 역량으로 구성됩니다. 다른 네 가지 ACGME 핵심 역량 영역 (실습 기반 학습 및 개선, 시스템 기반 실무, 전문성 및 대인 관계 기술 및 의사 소통)의 역량은 대부분의 전문 분야에서 참여적 역량으로 보는 것이 우세하다.

I propose a model in which medical educators classify competencies as either acquired or participatory. Acquired competencies would be those that the individual can acquire and possess and that we can assess using standard methods such as direct observation and psychometric evaluation.17,18 In this model, the ACGME core competency domains15 of medical knowledge and patient care would, in most medical specialties, be composed mostly of acquired competencies. Competencies in the other four ACGME core competency domains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systems-based practice, professionalism,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would include, in most medical specialties, a preponderance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참여 적 역량은 다른 개인 및 그룹과 관련된 역동적 인 사회적 맥락에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관찰이나 표준 척도를 통해 쉽게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Participatory competencies are “situated”20 in dynamic social contexts involving other individuals and groups, and we cannot readily assess them through direct observation or standard metrics.


이러한 분류는 각각에 취득 된 참여 적 역량의 혼합을 나타냅니다 (표 1).

these classifications reveals a blend of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each (Table 1).




참여적 역량의 평가

Assessment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LMIC의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일하는 HIC 연수생의 역량 평가는 몇 가지 과제를 안겨줍니다.

Assessing competencies of HIC trainees working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MICs presents several challenges


특히 집단 주의적 환경에서 참여하는 역량은 연수생 및 의료 팀의 다른 구성원이 참여하는 다차원 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참여 적 역량을 평가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자기 주도적 평가 (Self-Directed Assessment) 추구입니다 .4이 접근법에서 연수생은 관련 출처의 범위에서 피드백과 평가를 적극적으로 추구seeking합니다 (교수 및 보건 시스템에서 권한을 부여 받음). 그 후, 연수생은이 피드백을 자신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participatory competencies— particularly in collectivist settings— requir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volving the trainee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The most congruent method for assess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is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4 In this approach, the trainee proactively seeks feedback and assessment from a range of relevant sources (while being empowered by faculty and the health care system to do so); subsequently, the trainee translates this feedback into improving his/her performance.8


Boud25는 과도한 자신감이나 부정확 한 판단으로 인해 자기 평가가 부정확 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자기 평가는 개인 주의적 활동을 의미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동료, 교사 및 기타 정보 출처를 포함해야합니다."라고 주장합니다. 단 한명의 preceptor에 의해 평가받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러한 외적 자원이 "공동평가자"로서 참여하게 되면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25,26

To avoid the hazards of overconfidence and self-misjudgment that result in inaccurate self-assessment, Boud25 insists that “self-assessment should not imply individualistic activity [but] should commonly involve peers, teachers, and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The inclusion and participation of such “external sources”8 as coassessors, in contrast to having just a single assessing preceptor, enhanc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s.25,26


Moonen-van Loon 등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평가자 그룹의 고유한 특성과 평가되는 역량이 신뢰도에 영향을 준다 하더라도, 복수 평가자가 전공의의 역량을 평가하는 것이 단일 평가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또는 자기평가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안정적이라고 결론 지었다.

A recent study by Moonen-van Loon et al27 concluded that having multiple assessors evaluate resident competence was more reliable than using single assessors (or than using self-assessment alone), althoug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ssessor group and the competencies being assessed could affect such reliability.


팀원, 동료, 교사 및 기타 출처를 포함하는 자기 주도적 평가 추구 방식은 참여 적 역량을 평가하는 데 적합합니다. LMIC의 자원 부족 상황에서 다른 출처source는 연수생과 협력하고 상호 작용 한 보조 의료 종사자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예 : 간호사, 의료진, 행정관, 지역 사회 근로자). 이것은 21 세기를위한 Lancet Independent Global Commission of 21 세기의 교육에 주창 된 "transprofessionalism"이라는 개념과 일치 할 것입니다 .5 직장의 맥락에서 수행되고 동료 및 감독자를 평가자로서 포함하는 평가가 더 높은 타당도를 갖는다.28

The approach of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which includes team members, peers, teachers, and other sources, is befitting for assess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low-resource settings in LMICs, the other sources might include ancillary health care workers who have worked and interacted with the trainee (e.g., nurses, medical officers, administrators, community workers). This would be consonant with the notion of “transprofessionalism”  advocated in the seminal work of the Lancet Independent Global Commission on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for the 21st Century.5 Assessments performed within the context of the workplace and that include coworkers and supervisors asassessors have enhanced validity.28 


사회 과학의 방법을 포함하여, 질적 및 혼합 평가 방법은 상황에 맞는, "맥락-연계"된 참여적 역량을 평가하는 데 매우 적합 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 헤드 (Whitehead)와 동료 연구원은 표준적 심리측정 검사 방법이 가치 있고 필요한 것이지만 역량 중심 평가 환경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평가 접근법, 특히 사회 과학의 평가 접근법은 위치에 있고 상황에 맞는 비 의학 전문가 (내재적) 역할을 평가할 수 있어야합니다. "

Qualitative and mixed assessment methods, including methods from the social sciences, may be well suited for assessing situated, context-linked, participatory competencies. Whitehead and colleagues29 argue that although standard psychometric methods are valuable and necessary, they “are not sufficient for a competency-oriented assessment environment. New assessment approaches, particularly ones from the social sciences, are required to be able to assess non-Medical Expert (intrinsic) roles that are situated and context- bound.”


평가 접근법 중이 저자들은 현실적 탐구와 민족지 학적 방법론을 제안한다. 둘 다 복잡한 사회 구조를 평가하고 문맥과 사회적 위치를 고려하도록 고안되었다.

Among the assessment approaches these authors29 suggest are the realist inquiry and ethnographic methodologies, both of which are designed to assess complex social constructs and take account of context and social locations.



왜 문화적 역량만으로 불충분한가

Why “Cultural Competence” Is Insufficient


학생들과 연수생들이 LMIC "문화"에서 선택 과목을 준비 할 수 있도록 HIC의 글로벌 건강 프로그램은 종종 문화적 역량에 관한 코칭과 지도를 통합합니다. 그러나 문화적 역량이라는 용어는 가정들과 왜곡 된 인식들로 가득 차있다 .32-35

  • 문화를 정의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 그 문화를 묘사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 LMIC 문화의 HIC 연수생과 같이, 문화에 외부인은 어느 정도까지 역동적 인 뉘앙스를 이해할 수 있습니까?

이것은이 기사의 범위를 벗어나는 복잡한 주제입니다.

(1) 문화적 능력을 가르치는 것 자체가 국제보건 역량의 다른 단점을 개선하기에 불충분하며,

(2) 문화적 능력이 가르쳐지고 실행되는 한, 습득적 역량보다는 참여적 역량으로 취급되어야한다.

To prepare students and trainees for their elective work in LMIC “cultures,” HIC global health programs often incorporate coaching and guidance in cultural competence. The term cultural competence is, however, loaded with assumptions and skewed perceptions.32–35 

  • Who defines a culture? 

  • What delineates that culture? 

  • To what extent can outsiders to a culture (like HIC trainees in an LMIC culture) understand its dynamic nuances? 

This is a complex topic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except to argue that 

(1)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in itself is insufficient to remedy other shortcomings of competency in global health, and 

(2) to the extent that cultural competence is taught and implemented, it should be treated as a participatory rather than acquired competency.


문화는 다방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개인의 삶의 경험과 정체성에서 복잡한 방식으로 교차하는" 다양한 차원으로 구성됩니다. 36 문화적 역량의 컴파일 된 목록은 그것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것이며, 고정 관념으로 이어질 수 있는 assumption을 만들어낼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일부는 "문화적 겸손"이나 "문화적 인식"이라는보다 겸손한 목표를 채택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완화시킬 것을 제안합니다.

Cultures are multifaceted and composedof a variety of dimensions that “intersect in complex ways in the life experienceand identity of any one individual.”36 Compiled lists of cultural competencies run the risk of being simplistic and making assumptions that verge on stereotyping. Some suggest mitigating these risks by adopting the more modest goals of “cultural humility” or “cultural awareness.”37


문화적 역량 과목은, 문화적 역량을 대부분 개인주의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연수생이 습득하는 기술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종종 정적이고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가르쳐지며, 특정 문화의 맥락적, 내면화 된 가치를 고갈시킨다. 그러나 쿠마 가이 (Kumagai)와 립슨 (Lypson)은 "문화적 역량은 복부 검사가 아니다." 문화적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통해 쉽게 획득 및 점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문화는 정적인 것이 아니라 역동적 상호 작용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회 정치적 흐름과 기술 혁신의 결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Cultural competence courses are mostly conceived as individualist, with cultural competency viewed as a skill that trainees acquire. Such courses are often taught in a static and informational manner, depleted of the contextual internalized values of the specific culture. As Kumagai and Lypson,32 however, point out, “cultural competency is not an abdominal exam.” Cultural competency cannot be readily acquired and checked off using a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list. Cultures are not static but, rather, are situated in dynamic interactions, and they change with time as a consequence of sociopolitical flux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공유'의 은유와 멘탈모델

Metaphors and Mental Models of Sharing


Holmboe17은 교육자들이 새로운 개념의 역량을 의미있는 변화로 이끄는데 어려움을 겪은 주된 이유는 공유된 정신 모델의 부족이라고 주장합니다. "공유 된 마음"38과 "공유 된 학습"과 같은 공유의 은유와 모형은 개인 주의자 - 집단 주의자의 분열과 그것과 관련된 문화적 및 학습 부조화를 연결하는 역할을한다. 이러한 공유 모델은 사회적 학습 이론, 집단주의 및 참여 적 역량의 개념과 일치한다. 이러한 모델을 채택하면 HIC와 LMIC 보건 전문 교육 프로그램 간의 아이디어, 혁신 및 자원의 양방향 공유뿐만 아니라 글로벌 건강 역량 개발에 LMIC 보건 전문가의 참여가 촉진되어야합니다.

Holmboe17 argues that a major reason educators have struggled to translate emerging concepts of competency into meaningful change is the lack of shared mental models. Metaphors and models of sharing such as “shared mind”38 and “shared learning”39 serve to bridge the individualist–collectivist divide and its associated cultural and learning dissonances. These models of sharing align with social learning theories, collectivism, and the notion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Adopting these models should promote inclusion of LMIC health professionals in developing global health competencies as well as the bidirectional sharing of ideas, innovations, and resources between HIC and LMIC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s.


Epstein과 Street38은 "transactional care"가 아닌 "interactional care"를 촉진하기 위해 "shared mind"에 대한 은유를 발전시킵니다.

Epstein and Street38 advance their metaphor of “shared mind” to promote “interactional care” rather than “transactional care.”


  • transactional한 접근은 정보 교환, 협상 (심의 형태) 및 의사 결정의 개별 선택에 초점을 둡니다. 

  • interactional한 접근 방식은 공유의 속성을 통합합니다.

In this model, the transactional approach to care focuses on information exchange, negotiation (as a form of deliberation), and individual choice in decision making. The interac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incorporates attributes of sharing:


• 공유 정보는 (예 : 학습자와 환자 간) 공유 된 지식; 질병, 건강 및 학습의 특정 상황; 정보의 획득 및 양보다는 이해 및 의미에 초점을 맞 춥니 다

• 공동 숙의는 계약적 관계, 협상, 위험의 정량화보다는 협업적 인식과 선호도의 상호 발견에 초점을 맞춘다. 

• 공동 의사 결정은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관계적인 자율성과 합의 결정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 shared information focuses on shared knowledge (e.g., between learners, with patients); specific contexts of illness, health, and learning; and comprehension and meaning rather than just acquisition and quantity of information;

• shared deliberation focuses on collaborative cognition and mutual discovery of preferences rather than contractual relationships, negotiation, and quantification of risk; and

• shared decision making focuses on relational autonomy and consensus decisions rather than individual autonomy.


공유를 기반으로 한 이러한 상호 작용 모델은 트랜잭션 모델과 같이 정적이지 않으며, 동적입니다. 이와 같이, 그것은 사회적으로 집단적 (집단 주의적) 상호 작용을 통해 맥락적으로 존재하고 발생하는 참여적 학습의 많은 속성을 포함한다.

This interactional model of care based on sharing is dynamic, not static like the transactional model. As such, it includes many of the attributes of participatory learning that are contextually situated and arise through social group (collectivist) interactions.



Heifetz 등 40이 쓴 것처럼 :

공유 언어shared language는 선도적인 적응 변화에서 중요합니다. 사람들이 같은 의미로 같은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문제에 대한 중요한 차이를 놓고도 더 효과적으로 의사 소통하고, 오해를 최소화하며, 같은 페이지에 있다는 느낌을 얻습니다.


As Heifetz et al40 write:

Shared language is important in leading adaptive change. When people begin to use the same words with the same meaning, they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minimize misunderstandings, and gain the sense of being on the same page, even while grappling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issues.


세계 보건 교육에서 공유하는 중요한 패러다임은 위치 및 상호 작용 학습이 발생할 수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천 공동체 (CoP)입니다. CoP의 학습은 역동적이고 공유되며 참여 적입니다. 전문가 나 초심자에게 개인 행동이나 지식을 수동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20, 41

An important paradigm of sharing in global health education is the community of practice (CoP), which provides a space in which situated and interactional learning can occur. Learning in CoPs is dynamic, shared, and participatory—it is not an individual act or a passive transfer of knowledge from expert to novice.20,41



역량과 관련하여 위치, 참여 및 상호 작용 학습의 개념을 캡슐화하기 위해 Klass47은 "입지 역량situated competence"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 역량은 특정 맥락과 역동적 인 상호 작용에 situated하고 있으며, 그 맥락에 참여하고 근무하는 개인 간에 situated하고 있으며, 개인과 맥락의 "상황 적 또는 체계적 요인들"사이에 situated하고 있다.

To encapsulate the concepts of situated, participatory, and interactional learning with regard to competencies, Klass47 has coined the term “situated competence.” Situated competencies are linked to a specific context and “situated” in the dynamic interactions both 

  • between individuals participating and working in that context, and 

  • between individuals and the context’s “situational or systems factors.”47


그러나 역량의 "위치 적 성향"(맥락 특이성)은 로컬 제약 조건을 넘어선 상황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딜레마를 제기 할 수있다.

The “situated-ness” (context-specificity) of competencies may, however, pose a dilemma to their generalizability to contexts beyond their local constraints.



Regehr48은 상황 특이성과 일반화 가능성 사이의 이러한 딜레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Regehr48 distills this dilemma between context-specificity and generalizability as follows:


일반화 가능한 교육 이론이 로컬에서 실용적인 가치를 갖기에는 일반화가능성이 너무 약하고, 현지화 된 해결책이 현지 상황에 너무 강하게 실재적 가치로 포함된다면, 우리는 집단 교육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해결책이 없다고 결론내릴 수 밖에 없다.

If generalizable education theories are too weakly generalizable to be of local practical value, and if localized solutions are too strongly embedded in the local context to be of practical value, we must conclude that there may be no generalizable solutions to our collective education problems.


따라서 공유의 은유는 맥락 특이성과 일반화 가능성 사이의 중요한 연관성을 제공한다. 역량과 관련하여 Leung 등은 맥락 특이성과 공유를 통한 학습 전이의 필요성을 모두 고려한 통찰력있는 용어 인 "situated shared competence"을 제안했다. 

  • "situated shared competence""[개인이 어느 정도 인식을 공유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개인적 및 집단적 요소를 통합하는"공유 모델을 제공한다. 1 

  • 공유란, interactional하기에, 하나의 상황 또는 상황에서 다른 상황이나 상황으로의 "학습의 정적"전달과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점이 등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Metaphors of sharing thus provide a critical connection between context- specificity and generalizability. With regard to competency, Leung et al1 have proposed the insightful term “situated shared competence” that takes account of both context-specificity and the need for a transfer of learning to occur through sharing

  • Shared situated competence provides a model of sharing that “integrates individual and collective factors acknowledging that cognition is to some degree shared across individuals.”1 

  • Sharing, by being interactional, permits “new ideas and perspectives [to] emerge”38 in contrast to a static “transfer of learning” from one situation or context to another.



국제보건교육의 새로운 역량 영역

New Competency Domains in Global Health Education


여기에서는 집단주의, 참여 적 학습, 공유라는 개념에 뿌리를두고있는 세계적 건강 교육에서 3 가지 새로운 역량 영역을 제안한다. 


Here, I propose three new competency domains in global health education that are rooted in the concepts of collectivism, participatory learning, and sharing

  • resourceful learning; 

  •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리소스적 학습

Resourceful learning


루드 미어 (Ludmerer)는 "20 세기 전반에 걸친 의학 교육의 최대 결핍은 임상 적 불확실성에 대해 학습자를 제대로 훈련시키지 못한 것이다"라고 쓴다. LMIC의 자원이 제약 된 의료 환경은 세계적 건강 프로그램에 연수생에게 Bjork이 "바람직한 어려움"이라고 묘사한 불확실성으로 가득차있다. 이 용어는 [어려움을 발생 시키지만 "보다 내구성 있고 유연한 학습"을 초래하는 학습 조건]을 의미합니다 .51 바람직한 어려움은 학습자가 도전적인 학습 과제를 능동적으로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 할 수 있습니다 .9 학습자를 불편하고 불확실하게 만드는 반면, 학습을 ​​다른 상황에 적응시키는 능력을 키워준다.

Ludmerer50 writes that “the greatest deficiency of medical education throughout the twentieth century … was the failure to train learners properly for clinical uncertainty.” The resource- constrained health care settings in LMICs are fraught with uncertainties that present trainees in global health programs with what Bjork describes as “desirable difficulties.”51,52 This term refers to learning conditions that seem to create difficulty but result in “more durable and flexible learning.”51 Desirable difficulties can motivate the learner to proactively seek out challenging learning tasks9 that, while making the learner uncomfortable and uncertain, lead to enhanced learning and the ability to adapt such learning to other contexts.


지식이 풍부한 학습의 구성 요소로서, 바람직한 어려움을 찾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 평가를 추구하는 데 필수적인 수준의 자기 동기 부여, 모니터링 및 참여가 필요합니다 .9

Seeking out desirable difficulties, as a component of resourceful learning, requires a level of self-motivation, monitoring, and participation that is essential for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9


Englander 등 49)은 불확실성을 다루고, 모호성을 인식하며, 인지적 유연성을 실천하고, 팀과 집단에 참여할 수있는 역량과 같이 수완있는 학습과 유사한 특성을 포함하는 개인적 및 전문적 개발 역량을 제안했다.

Englander et al49 have proposed a competency domain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includes attributes similar to those of resourceful learning, such as 

    • the capacity to deal with uncertainty, 

    • recognize ambiguity, and 

    • practice cognitive flexibility, and 

    •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teams and collectives.


트랜스 프로페셔널리즘과 변혁적 학습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의사와 보건전문가만으로는 LMIC의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없습니다. 지역 사회의 근로자, 관리자, 정책 입안자 및 관리자의 참여를 통한 transprofesionalism은 보건 시스템 성과를 향상시키기위한 공유를 촉진합니다 .5 비-보건전문가를 포함 시키면 국제보건 연수생의 자기주도적 평가 탐색에 대한 참여도 허용됩니다. 이 포함적 역량 원칙은 집단주의와 참여적 역량 개발 및 평가에도 부합한다

Physicians and health professionals alone cannot effectively deliver health care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MICs. Through inclusion of community workers, managers,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transprofessionalism promotes sharing to improve health system performance.5 Inclusion of non–health care professionals also permits their participation in the global health trainee’s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This inclusive competency do- main is also congruent with collectivism and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participatory competencies. 


변혁적 학습은 "change agent"역할을 할 수있는 리더를 개발함으로써 글로벌 건강의 변화와 혁신을 촉진시키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5 변형 학습은 암기와 같은 학습에 대한 정적 접근으로부터 역동, 협동, 참여적 인지 전략으로의 전환을 말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의사 결정과 현지 우선 순위에 부합하는 자원의 창의적인 adaptation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ransformative learning aims to promote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in global health by developing leaders who can act as “change agents.”5 Transformative learning includes a shift away from static approaches to learning, like memorization, toward dynamic, collaborative, and participatory cognitive strategies that lead to more effective decision making and creative adaptation of resources to address local priorities.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국경을 넘어, 불평등의 역사적인 구배를 넘어, 공동 학습을 목표로 진정으로 평등한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 것인가? -Binagwaho et al39

[W]hat might it take to catalyze a truly equal dialogue aimed at shared learning across borders and across historical gradients of inequality? —Binagwaho et al39


상호 의존적 인 세계에서, 건강 공평성 문제와 사회 정의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평가하는 역량 영역은 세계 보건 교육에 필수적입니다. 이 영역은 HIC와 LMIC 간의 양방향 학습과 상호 학습이 있어야한다는 개념을 강화합니다.

In an interdependent world, a competency domain assessing awareness and apprehension of health equity issues and social justice seems essential for global health education. This domain reinforce the notion that learning should be bidirectional and reciprocal between HICs and LMICs.


HIC와 LMIC 간의 양방향 학습의 개념은 또한 국제보건 교육에서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핵심 개념에 부합하며, "학문적 사일로"를 해체하고 "직업의 종족주의"를 지양할 필요성과 일치합니다.

The notion of bidirectional learning between HICs and LMICs also aligns with the core concept of “interdependence” in global health education and the need to dismantle “academic silos” and discourage the “tribalism of the professions.”5


Binagwaho 등은 사회 정의와 건강 형평성의 세계적 건강 역량 영역에 부합하는 학습에서 양방향 파트너십을 암시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세계에서의 공유 학습"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그들은 "호혜성과 존중"에 기반한 "공유 학습"모델을 제안하는데, 이는 "리버스 혁신"으로 이어지는 "맥락을 초월한 실험"을 촉진한다. 

Binagwaho et al39 use the language “shared learning in an interconnected world” to connote a bidirectional partnership in learning that is consonant with a global health competency domain of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They propose a model of “shared learning” based on “reciprocity and respect” that promotes “experimentation across contexts” leading to “reverse innovation.” 


이 역량 영역에서 "공유 된 학습"개념은 건강 불평등, 식민주의의 역사적 유산에 대한 연수생의 이해를 촉진하고, 양방향 학습과 "호혜적 관계"을 증진시키는 "공유 된 마음"38의 은유와 부합한다. 54 사회 정의와 건강 평등이라는 국제보건 역량 영역은 참여와 공유라는 개념에 확고하게 뿌리를두고있다.

In this proposed competency domain, the “shared learning” concept resonates with the metaphor of “shared mind”38 to promote the trainee’s understanding of health inequalities and historical legacies of colonialism, and to promote bidirectional learning and “reciprocal relationships.”54 A global health competency domain of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is thus firmly rooted in the concepts of participation and sharing.



Conclusions


기존 HIC의 국제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LMIC의 리소스가 제한된 환경에서 특정 컨텍스트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역량 모델을 고안했습니다. 이 모델은 주로 학습에 대한 개인 주의적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하며 학습은 획득 된 속성으로 간주되고 평가되며, 일반적으로 학습에 실질적인 참여 요소가있는 호스트 LMIC의 상대적 집단주의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Global health education programs in HICs have devised competency models that take insufficient account of specific contexts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in LMICs. These models are largely based on individualist approaches to learning, in which learning is viewed and assessed as an acquired attribute, and they generally fail to recognize the relative collectivism of host LMICs in which learning has a substantial participatory component.


역량을 취득 또는 참여로 분류하고 적절한 방법론 (참여 적 역량을 추구하는 자기 주도적 평가와 같은)을 사용하여 각 유형을 평가하는 것은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방식을 제공 할 수 있으며 국제보건 교육에서 덜 dissonant하고, 더욱 포괄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Classifying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 and assessing each type using appropriate methodologies (such as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for participatory competencies) may provide a valid approach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 less dissonant, more inclusive, approach to global health education.


이 분류 적 접근은 또한 풍부한 학습, 경공업 및 변형 학습, 건강 평등 및 사회 정의를 통합하는 새로운 글로벌 건강 역량 영역을 공유하고 개발하는 새로운 정신 모델을 채택 할 것을 제안합니다. 특정 맥락을 고려하여, 취득한 또는 참여하는 역량의 분류는 다른 보건 전문가의 교육에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있다.

This classificatory approach also suggests adopting fresh mental models of sharing and developing new global health competency domains that incorporate resourceful learning,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nd health equity and social justice. By taking account of specific contexts, the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 may apply more broadly to education in the other health professions.





====찾아야 함=====

1 Leung S, Epstein R, Moulton C-AE. The competent mind: Beyond cognition. In: Hodges BD, Lingard L, eds. The Question of Competence: Reconsidering Medical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haca, NY: IRL Press; 2012:155–176.


4 Eichbaum Q. The problem with competencies in global health education. Acad Med. 2015;90:414–417.


17 Holmboe ES. Realizing the prom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5;90:411–413.


29 Whitehead CR, Kuper A, Hodges B, Ellaway R. Conceptual and practical challenges in the assessment of physician competencies. Med Teach. 2015;37:245–251.








 2017 Apr;92(4):468-474. doi: 10.1097/ACM.0000000000001382.

Acquired and Participatory Competenci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Definition and Assessment in Global Health.

Author information

1
Q. Eichbaum is associate professor of pathology, microbiology, and immunology; associat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director, Vanderbilt Pathology Program in Global Health; and clinical fellowship program director,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ennessee. The author is also cofounder, Consortium of New Southern African Medical Schools (CONSAMS).

Abstract

Man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s in high-income countries (HICs) have adopted a competency-based approach to learning. Although global health programs have followed this trend, defining and assessing competencies has proven problematic, particularly in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of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where HIC students and trainees perform elective work. In part, this is due to programs failing to take sufficient account of local learning, cultural, and health contexts.A major divide between HIC and LMIC settings is that the learning contexts of HICs are predominantly individualist, whereas those of LMICs are generally collectivist. Individualist cultures view learning as something that the individual acquires independent of context and can possess; collectivist cultures view learning as arising dynamically from specific contexts through group participation.To bridge the individualist-collectivist learning divide, the author proposes that competencies be classified as either acquired or participatoryAcquired competencies can be transferred across contexts and assessed using traditional psychometric approaches; participatory competencies are linked to contexts and require alternative assessmentapproaches. The author proposes assess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through the approach of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which includes multiple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 as assessors.The proposed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as acquired or participatorymay apply across health professions. The author suggests advancing participatory competencies through mental models of sharing. In globalhealth education, the author recommends developing three new competency domains rooted in participatory learning, collectivism, and sharing: resourceful learning; transprofessionalism and transformative learning; and social justice and health equity.

PMID:
 
27603041
 
DOI:
 
10.1097/ACM.0000000000001382
[Indexed for MEDLINE]


의학교육에서 의료인문학 개발을 가로막는 여섯 개의 착각(Med Educ, 2017)

Six fallacies that hinder development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lan Bleakley




실용주의자 오류 

The utilitarian fallacy.


예술이 '건강'을 생산한다는 오류입니다. '건강'과 '행복'을 연결시키는 오류이다. 공리주의는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을 조장 할 때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예술은 행복 (그리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만 보아서는 안되며, 오히려 당황과 불편함을 만들어 냄으로써 습관에 의문을 제기하고 '다르게 생각하는'법을 배우는 것이 목적이다. 예술에 대해 문명화civilize를 시도하고서, 비슷하게 의학 인문학을 문명화하는 것은 실수입니다. 의학 교육의 예술은 깃털을 흐트러놓고 선입견을 뒤집어 놓아야합니다 .2

That the arts produce ‘health’ is a fallacy. To link ‘health’ and ‘happiness’ compounds the fallacy. Utilitarianism says that an action is morally right when it promotes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But art does not necessarily set out to promote happiness (and then health), but rather to create puzzlement and discomfort, so that we question habit and learn to ‘think otherwise’. It is a mistake to attempt to civilize art, and then to civilize the medical humanities by proxy. Art in medical education should ruffle feathers and upset preconceptions.2



'재미'와 '독창성'오류.

The ‘fun’ and ‘creativity’ fallacies.


의학 인문학의 지지자들은 '예술'을 '재미' 또는 '창의성'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장 마비, 폐렴, 편집증 망상 또는 장기 부전에 대해 과연 무엇이 재미있고 독창적입니까? 더구나, 그러한 얕은 낙관주의는 예술과 예술가의 소명을 사소한 것으로 만든다. 예술은 종종 보상없는 고통이다. 실패한 실험, 잘못된 생각, 막다른 노동과 땀이지만, 단지 가끔씩 영감을 불어넣어준다. 또한, '창의력'은 그것이 드러내는 것 이상을 숨기는 족제비 단어 또는 '신god'용어입니다. '창의적'의 형태는 무척 다양해서, 기만과 속임수, 그리고 광기의 일부 형태까지도 여기에 들어간다3

Proponents of the medical humanities can often be found to equate ‘art’ with ‘fun’ and ‘creativity’. This trivialises medicine: what is fun and creative about a heart attack, pneumonia, paranoid delusions or organ failure? Further, such shallow optimism trivialises art and the vocation of the artist. Art is often unrewarding toil: failed experiments, misguided thinking, dead-end labour or perspiration with occasional inspiration. In turn, ‘creativity’ is a weasel word, or a ‘god-term’, concealing more than it reveals. There are many forms of the ‘creative’, including deceitfulness and guile, and some forms of madness.3



'개인적인 표현'의 오류.

The fallacy of ‘personal expression’.


많은 예술가들은 자서전과 자백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아티스트는 개인적-고백 모드에 명시적으로 저항하면서, 그 자체로 무언가를 말하거나, 공유 된 문화적 관심사를 표현하는 인공물을 제작합니다.

Many artists pride themselves on unhooking from autobiography and confession. Artists produce artefacts that speak for themselves or express shared cultural concerns, explicitly challenging personal-confessional modes.


예술적 생산은 '서술 적 (narrative)'이라고하는 잘못된 가정.

The fallacious assumption that artistic production is ‘narrative’ based.


모든 사람들이 이야기의 관점에서,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 '시간의 삶'에 대해 생각하고 추론한다는 생각은 틀렸다.5 포스트 모던 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주제와 플롯의 개념을 모두 일시 중지 (심지어 삭제)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Gilligan과 동료들의 Listening Guide (LG) 4)는 작가의 의도보다는 독자가 어떻게 수용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mediated interpretation을 통해서 환자로서 저자의 목소리를 deflect한다. 또한 시각적 수사학의 기법도 원래의 음성보다는 mediated interpretation으로 편향되어 있습니다. 나아가 그러한 중재 및 분석 틀은 많은 예술가들이 침범하고자 하는 바로 그 개념 인 '협약convention'을 제공한다.

The assumption that everyone thinks and reasons in terms of story, or more generally ‘life in time’, is false.5 One of the defining features of postmodern literature is to suspend (or put under erasure) both the subject and notions of plot. Further, Gilligan and colleagues’ Listening Guide (LG),4 is oriented to reader reception rather than autho-rial intention, deflecting fromthe voice of the patient as author through mediated interpretation. The technique of visual rhetoric  is also biased towards mediated interpretation rather than original voice. Further, such mediating and analytical frameworks offer ‘conventions’, the very notion that many artists seek to breach.



예술가 및 작가를 예술품 및 저작의 '품질'과 분리시키지 못하는 오류

The error of excluding artists and writers from judging the ‘quality’ of art and writing.


의료 및 건강 관리 학생들이 시각 예술이나 창의적 작문을 하도록 요구되는 경우 현장의 전문가로서 경험이 풍부한 전문 예술가 및 작가와 협력하여 수행해야합니다. 예술 작품이 치료적 목적만 갖는다면, 인공물을 판단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인공물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합니다. 따라서, 건강 관리 전문가가 만들어낸 기준이 아니라 숙련된 전문가 (다시 말하면 작업 예술가 및 작가)와 품질 기준을 합의해야합니다. 후자는 (시 또는 그림을 그 자체로 engage하기보다는) '해석'에 중점을 갖게끔 유도하는데, 이로서 artefact의 '의미'를 찾게 한다. 또한 학생들이 (좋은 의료의 핵심인) 모호함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을 갖게끔 한다. 


Where medical and health care students are asked to produce visual art or creative writing, they should do this in collaboration with experienced, professional artists and writers as experts in the field. If the art-making is framed as purely therapeutic, then the artefact need not be judged. But the artefact should surely be considered as worth examining in its own right. Then, criteria for quality should be agreed with experienced professionals (again, working artists and writers) rather than using surrogate or mediating techniques drawn on by health care educators. The latter encourage a focus on interpretation, to get at the ‘meaning’ of an artefact (see the paragraph below), rather than engaging with the poem or painting in its own right, and teaching students to have tolerance of ambiguity or uncertainty, which is key to good medical practice.


해석이 필요하다는 오류

The fallacy that interpretation is necessary.


해석보다 평론(appreciation)이 우선합니다. 학생들이 바로크적 묘사를 가까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은 해석의 필요성을 없애줍니다. 역설적으로, 의대생이 초보자에서 초급 전문가로 옮겨 감에 따라 역설적이게도 임상 적 통찰력은, 시각적 증상이나 구두 신호와 단서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인지 적 추론에서 패턴 인식으로 전환합니다. 환자를 만날 때 appreciation는 항상 해석에 앞서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자는 단지 해결해야 할 문제로 축소치환 될 수 있습니다.


Appreciation precedes interpretation. Teaching students ‘close noticing’ and baroque description, as methods of appreciation, obviates the need for interpretation.7 Paradoxically, as medical students gain experience, moving from novice to ‘beginner expert’ status, so clinical acumen shifts its base from cognitive reasoning to pattern recognition, whether the stimuli are visual symptoms or verbal cues and clues. In meeting patients, appreciation should always precede interpretation, otherwise the patient may be reduced to a problem to be solved.





 2017 Feb;51(2):126-127. doi: 10.1111/medu.13236.

Six fallacies that hinder development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Plymouth, UK.
PMID:
 
28084053
 
DOI:
 
10.1111/medu.13236


의학교육과 헬스케어 시스템: 왜 교육과정 개혁이 필요한가? (BMC Med Educ, 2014)

Medical education and the healthcare system – why does the curriculum need to be reformed?

Gustavo A Quintero




Background


Flexner 보고서에서 오늘까지

From the Flexner report to today



Abraham Flexner는 유명한 1910 년 보고서 [1]에서 20 세기 상반기에 보편적 인 의학 교육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보고서 15 년 후, 플렉스 너 자신은이 새로운 의학 커리큘럼이 사회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측면보다, 의학의 과학적 측면에 우선권을 부여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 이후로, 의학 교육은 진행중인 논쟁의 주제였습니다. 토론의 핵심은 의료의 사회적, 인본주의적 특성을 희생시키는 댓가로 생물학적 이해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의학 교육 모델의 연대순 진화는 표 1에 요약되어있다.

Abraham Flexner, in his famous 1910 report [1], proposed the model of medical education that prevail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owever, 15 years after his report, Flexner himself recognized that this new medical curriculum gave precedence to the scientific aspects of medicine over its social and humanistic aspects [2]. Since then, medical educ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on-going debate. The core of the discussion revolves around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on biological understanding at the expense of its social and humanistic characteristics. The chronological evolution of medical education models is summarized in Table 1 [3-8].


과학적 지식과 기술 능력은 여전히 ​​사회 - 인본주의 적 역량 개발에 필요한 인간 차원에 대한 탐구보다 우위를 점하고있다.

Scientific knowledge and skills competences still hold their supremacy over delving into the dimensions of the human being,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ocio-humanistic competences.



건강 - 질병 과정

Health-illness process


건강 - 질병 과정의 특징을 밝히는 것는 의학 커리큘럼 디자인 이전에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것은 지역 사회와 개인의 건강과 질병의 현실을 이해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회복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취해야 할 행동을 결정할 것입니다.

Characterization of the health-illness process is a crucial step prior to medical curriculum design. This will determine th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health and illness of communities and individuals, and the action that should be taken to prevent disease and restore and maintain health.


커리큘럼 디자인은 건강과 질병을 '상태'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개인, 집단, 사회 및 문화의 뭉치에서 동시에 작동하는 여러 형태의 결정의 상호 작용에서 기인하는 '프로세스'로 바라보아야 하며, 이 모든 것은 역사적 특징이 있습니다. 사실, 사회와 문화는 실증주의적 인식론에서 상상하는 것처럼 질병의 인과적 요인이 아니라, 그보다 건강과 질병이 발생하는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대륙continent에 가깝다.

Curriculum design should then consider health and illness not as states but rather as processes resulting from the interaction of multiple forms of determination that operate simultaneously in the ambit of individuals, collectives, and in society and culture, all of which have a historical character. In fact, society and culture are not causal factors as imagined in positivist epidemiology, but are the broad and general continents where health and disease occur.


의료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의학 교육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healthcare system


의사는 환자와 지역 사회의 이익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해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고 그러한 시스템을 이끌 준비가되어 있어야합니다. 이 현실은 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을 수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hysicians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complex systems and to lead such systems in an effort to protect the best interests of patients and communities. This reality makes it necessary to modify the way medicine is taught and learned;


불확실한 직업은 전문가가 자신의 업무 결과를 직접 통제 할 수없는 직업입니다 [9].

An uncertain profession is one where the professional cannot directly control the outcome of his work [9].


Flexner 보고서를 제출 한 지 100 년 후 현대 의학 교육의 네 가지 목표가 권장되었습니다 (표 2) [10]

One hundred years after the Flexner report, four goals for modern medical education were recommended (Table 2) [10]


시스템 기반 커리큘럼은 "글로벌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핵심 전문 역량을 특정 상황에 적응시키는 데있어 의료 시스템의 성과를 향상시켜야" 한다. 개혁의 세 가지 세대에 대해서, 의학 교육은 

    • 전문성을 창출하는 informative 학습에서 

    • 전문가를 양성하는 formative 학습, 그리고 더 나아가서

    • "리더십 속성을 개발하고", "그것을 통해서 계몽된 change agent를 양성하는" transformative 학습이 되었다.

the System Based Curriculum, should “improve performance of the healthcare system in adapting core professional competencies into specific contexts, on the basis of global knowledge”. In those three generations of reforms, medical education has moved from informative learning that produced expertise, to formative learning that produced professionals, to transformative learning that is “about developing leadership attributes; its purpose is to produce an enlightened change agent” [10].



Rosario 경험 : 의료 시스템을 향상시키기위한 커리큘럼 변경

The Rosario experience: changing the curriculum to enhance the healthcare system


가르시아 (Garcia)에 따르면 "의학 교육은 의사 훈련을위한 과정이며, 사회에서 지배적 인 경제적 사회적 구조에 종속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의학 교육은 사회적 현실과 분리 될 수 없다. 의학 교육이 과정process이라면, 학부 교육으로 시작하지만 거기서 끝나지 않는 연속체로 이해해야합니다. 이것은 평생 학습입니다.

According to Garcia [13], “medical education is the process for training doctors, subordinate to the dominant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in societies in which it takes place”. Therefore, medical education cannot be divorced from social reality. If medical education is a process, it must be understood as a continuum that begins with undergraduate training but does not end there; it is lifelong learning.


2013 년에 시작하여 콜롬비아 보고타의 로자리오 대학교 의과 대학 및 보건 과학 스태프 직원은 의료 수요에 기반한 암시 적 변이가있는 의학에서 학부 과정 커리큘럼 개혁을 실시했으며 (그림 1), 학력에 대한 커리큘럼 특성,

Commencing in 2013, staff at the Rosario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Bogotá, Colombia, implemented an undergraduate curriculum reform in medicine which has implicit variations based on the healthcare needs (Figure 1), with curriculum attributes for undergradu-


Conclusions








 2014 Nov 12;12:213. doi: 10.1186/s12916-014-0213-3.

Medical education and the healthcare system--why does the curriculum need to be reformed?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dad del Rosario, Carrera 24 # 63C-69, Bogota, Colombia. gustavo.quintero@urosario.edu.co.

Abstract

Medical educ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ongoing debate since the early 1900s. The core of the discussion is about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on biological understanding at the expense of its social and humanistic characteristics. Unfortunately, reforms to the medical curriculum are still based on a biological vision of the health-illness proces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urrent needs of society, which is education's main objective, the learning processes of physicians and their instruction must change once again. The priority is the concept of the health-illness process that is primarily social and cultural, into which the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re inserted. A new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that addresses a comprehensive instruction of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historical) aspects of medicine, with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cquire leadership, teamwork, and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introduce improvements into the healthcare systems where they work.

PMID:
 
25387484
 
PMCID:
 
PMC4228189
 
DOI:
 
10.1186/s12916-014-0213-3


모든 건강은 글로벌하고, 모든 의료는 사회적이다: 사회과학을 전임상 교육과정에 통합하기(Acad Med, 2016)

All Health Is Global Health, All Medicine Is Social Medicine: Integrating the Social Sciences Into the Preclinical Curriculum

Jennifer Kasper, MD, MPH, Jeremy A. Greene, MD, PhD, Paul E. Farmer, MD, PhD, and David S. Jones, MD, Ph





50 년 전, 사회 과학의 기초를 넓히려는 의대생은 보건대학교에 입학하라고 권유받았을 것입니다 .1 보건대학은 전통적으로 개인에 대한 인구를 강조하고, 질병 예방에 대해 가르치고, 역학 및 생물 통계학에 중점을 둡니다. 반면에 의대는 개개인의 의사에 의한 개별 환자의 보살핌을 강조하고 생의학의 강력한 환원주의를 병상으로 옮기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공중 보건과 의학 사이의 경계가 희미 해졌습니다. 비 전염성 질병이 전 세계적으로 인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질병의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의학에서 주목을 끌었다.

Fifty years ago, medical students seeking a broader foundation in the social sciences would have been told to enroll in a public health school.1 Public health schools traditionally emphasized the population over the individual, taught disease prevention, and focused on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edical schools, on the other hand, emphasized the care of individual patients by individual physicians and focused on translating the powerful reductionism of biomedical science into bedside practice. In recent decades, however, the line between public health and medicine has blurred.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noncommunicable diseases on population health globally has refocused attention in medicine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2


이러한 발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미국 의과 대학 협회와 의학 교육위원회 (LCME)는 사회 과학이 의학 교육에서보다 큰 역할을 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4,5 

  • 2015 년에 의과 대학 입학 시험MCAT은 지원자의 사회 및 행동 과학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기 시작했습니다. 

  • 또한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의 조항은 의사가 전통적인 클리닉 환경 밖의 지역 사회 구성원 및 단체 (예 : 학교, 기업)와 협력하여 빈약 한 건강에 기여하는 복잡한 요인을 해결할 수 있도록 권장합니다. 

  • 마지막으로 옹호론자들은 의사들에게 성행위와 물질 사용에 관한 질문뿐만 아니라 건강과 건강 관리의 필수적인 측면으로의 창구로서 환자의 사회적 역사를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

Increased awareness of these developments has led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nd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to recommend that the social sciences play a larger role in medical education.4,5 

  • In 2015, the Medical College Admission Test began to assess applicant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6 

  • In addition, provisions of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encourage physicians to collaborate with community members and organizations (e.g., schools, businesses) outside the traditional clinic setting to address the complex factors that contribute to poor health.7 

  • Finally, advocates have called on physicians to consider patients’ social history not just as questions about sex and substance use but also as a window into essential aspects of their health and health care.8,9


미국이나 해외에서 환자가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기 위해 의사는 미시적 관점의 생물 의학 연구 요소를 거시적 관점의 공중 보건과 종합해야합니다. Westerhaus와 동료들은 이러한 외견 상 다른 세상 사이에 필요한 연결 고리를 만들기 위해 사회 의학의 관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의학 교육의 "포괄적 변형"을 요구했습니다. 

To help patients achieve optimal health, whether in the United States or abroad, physicians must synthesize the micro- perspectives of biomedical research with the macro-perspectives of public health. To create the necessary link between these seemingly disparate worlds, Westerhaus and colleagues10 called for a “comprehensive transformation” of medical education that takes social medicine perspectives seriously. 


사회 의학은 사회, 질병 및 의학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로서, 양적 (예 : 경제, 인구 통계, 역학)과 질적 사회 과학 (예 : 인류학, 역사, 정치 과학)을 통합하여 미시적이거나 거시적인 사회적 요인이 어떻게 인간의 질병과 그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12 사회 의학은 의사가 인간의 건강을 최적화하기 위해 의사 나 병원 외부의 사회적 현실에 개입해야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Social medicine i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ety, disease, and medicine,11 incorporating the quantitative (e.g., economics, demography, epidemiology) and qualitative social sciences (e.g., anthropology, history, political science) to understand how micro- and macroscopic social factors influence human disease and its distribution worldwide.12 Social medicine recognizes that physicians must engage with social realities outside the clinic or hospital to optimize human health.


사회 의학은 새로운 분야가 아닙니다. 의사 Rudolf Virchow13은 1848 년에 "의학은 사회 과학이며, 정치는 더 큰 스케일의 의학과 다를 바 없다"라고 썼다. 20 세기에 사회 의학은 대륙 유럽, 남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영국에서 견인을 발견했다. (Thomas McKeown)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를 개발했다.

Social medicine is not a new field. Physician Rudolf Virchow13 wrote in 1848 that “medicine is a social science, and politics is nothing else but medicine on a large scale.” In the 20th century, social medicine found traction in continental Europe, South Africa, Chile, and England, where physician–demographer Thomas McKeown developed the study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14


그러나 아직 미국 의과 대학 교과 과정에서 광범위한 발판을 찾지 못했습니다 .15-20 LCME가 승인 한 의과 대학의 10 % 미만이 사회 의학을 가르칩니다 .21,22

but it has yet to find a broad foothold in U.S. medical school curricula.15–20 Less than 10% of LCME-accredited medical schools teach social medicine.21,22


의대생의 세계 보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과 대학의 사회 의학 커리큘럼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의대에서 세계 보건 경험에 참여한 미국 의대생 졸업생의 수는 지난 30 년 동안 5 배로 증가했다. 23 ~ 26 그러나 이 학생들의 40 %는 세계 보건이 훈련 중에 적절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고보고했다 .24) 마찬가지로, 전문 분야에서 45 %에서 71 %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글로벌 건강 선택 과목을 제공합니다 .27,28

The burgeoning interest in global health among medical students also has increased the need for social medicine curricula in medical schools. The number of graduating U.S. medic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global health experience during medical school has increased fivefold in the last 30 years.23–26 Yet 40% of these students reported that global health was inadequately covered during their training.24 Similarly, depending on the specialty, 45% to 71% of residency programs offer global health electives.27,28


이 기사에서는 2007 년부터 하버드 의대 (Harvard Medical School, HMS)의 1 학년 학생들에게 필요한 사회 의학 및 세계 보건 (ISM) 과정 소개 강의에 대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In this article, we share our experience teaching the Introduction to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SM) course, which has been required for first-year students at Harvard Medical School (HMS) since 2007.



ISM과목에 대하여

About the ISM Course



HMS의 사회과학 관련 과목

Like other medical schools, HMS regularly updates its curriculum to incorporate the changing realities of inpatient and outpatient care.31 As part of such a reform in 2007, HMS substantially increased the amount of curriculum time devoted to the social sciences, requiring students to complete a four-course sequence: 

  • ISM; 

  • health policy; 

  • clinical epidemiology and population health; and 

  • medical ethics and professionalism.


ISM과목의 전제

Informed most directly by the disciplines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medical anthropology, the ISM course begins with a basic premise

  • 의학은 사회적 맥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 의사는 질병의 사회적 결정 요인, 질병의 사회적 의미 변화, 의료 행동 및 의료행위의 다양성,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이해해야합니다.

  • Medicine is inextricably embedded in social contexts. 

  • Physicians need to understand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the changing social meanings of disease, the diversity of health care behaviors and practices, and th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effectiveness. 


과목의 목표는 사회과학의 개념을 손에 잡히는 것, 실제 세계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것

The goal of the course is to make social medicine concepts tangible and applicable to real-world clinical settings. 

To achieve this goal, the ISM course presents students with concrete questions: 

  • Who is most likely to get sick? Why? 

  • How can physicians intervene upstream to prevent disease? 

  • Once a person is sick and seeks health care, what can be done to harness our knowledge of biological and social forces to improve the delivery of that care and, ultimately, to optimize population health and well-being? 


의사는 돌봄을 제공할 의무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건강성과 달성을 위해 창의적일 필요가 있음을 가르친다.

The course teaches that physicians have a responsibility not just to provide care but also to work creatively to achieve desired health outcomes. This tenet is a fundamental reconceptualization of the task—and obligation—of physicians.



일관된 학습성과. 학생은 다음을 할 수 있어야 함.

(1) 역사, 인류학, 사회학, 역학, 인구 통계학, 경제학, 지리학 등 임상에 대한 사회 과학의 잠재적 기여를 인식한다.

(2) 환자에게 최적의 건강 결과를 얻는 데있어 주요 장애물을 인식한다.

(3) 질병의 원인과 분포에 대해 생각하거나, 건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고안 할 때, 환자의 사회적 세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해한다.

(4) 임상 실습에서 의대생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모델로 삼을 수 있도록, 장점과 한계점을 지닌 가능한 솔루션의 툴킷을 개발한다.

The ISM course maintains consistent learning objectives: Students should be able to 

(1) recognize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history, anthropology, sociology, epidemiology, demography, economics, and geography, to clinical care; 

(2) appreciate the major obstacles to achieving optimal health outcomes for patients; 

(3)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atients’ social worlds, both when thinking about the causes and distribution of disease and when designing solutions to health care problems; and 

(4) develop a toolkit of possible solutions, with their strengths and limitations, to serve as models for the challenges medical students encounter in clinical practice.



기본 템플릿은 이렇다. 사회적, 경제적, 구조적 요인이 어떻게 최적의 의료 제공을 방해 하는지를 보여주는 임상 사례로 시작됩니다. 이 증례는 천식 발병과 함께 응급실에 반복해서 발표 한 어린이를 묘사합니다. 학생들이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을 넘어서 생각하도록 격려합니다 (예 : 가족이 일차 진료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하거나 부모가 치료 계획을 준수하는 중요성을 이해하지 못함). 학생들은 다음을 탐구한다.

The course follows a basic template. It begins with a clinical case that illustrates how social, economic, and structural factors impede the provision of optimal medical care. The case describes a child who presented repeatedly to an emergency room with asthma flares. We challenge students to think beyond the explanations that readily come to mind (e.g., the family lacked access to primary care or the parents did no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dhering to the treatment plan). Students explore 


  • 주거 환경이 천식의 병인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 이민 신분이 보험 및 보건 진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 언어와 독해력 장벽이 어떻게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지,

  • 환자와 의사 사이의 불신이 의료를 혼란시키는 지,

  • 빈곤이 병적 상태와 사망률을 악화시키는 방법, 

  • 오존 붕괴를 줄이기 위해 시행 된 새로운 환경 규제가 천식 치료 비용을 어떻게 증가 시켰는가?

  •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천식 유병률, 진단 및 관리가 어떻게 다른지 조사함으로써 국내 및 전세계 건강 간의 관계를 조사하도록 함

  • 의료 - 법률 파트너십과 같은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의사들은 주거 환경과 건강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의사들이 다른 전문가들과 어떻게 팀을 이룰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34,35

  • how housing conditions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asthma, 

  • how immigration status affects access to insurance and health care, 

  • how language and literacy barriers create misunderstandings, 

  • how mistrust between patients and physicians disrupts medical care, 

  • how poverty exacerbates morbidity and mortality, and even 

  • how new environmental regulations, implemented to decrease ozone depletion, increased the cost of asthma medications.32,33 

  • We also ask studen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omestic and global health by exploring how asthma prevalence, diagnosis, and management might differ in a resource- poor setting abroad. 

  • By introducing programs such as the medical–legal partnership, we demonstrate how physicians can team up with other professionals to improve housing conditions and health outcomes.34,35 

환자가 기존의 1 차 진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가 너무 많기 때문에, 최적의 건강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사는 필요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종종 "상자 밖"에서 생각해야합니다.

All too often, treatment fails even when patients have access to conventional primary care, so physicians must think outside the box to develop the innovative solutions that often are required to achieve optimal health outcomes.36


강의, 리딩, 사례기반 튜토리얼

After presenting students with a broad vision of the necessary scope of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 and with the challenge of taking responsibility for treatment outcomes, the ISM course proceeds through weekly lectures, readings, and case-based tutorials to introduce the concrete methods and analytic tools of social medicine. The course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ections. 

  • 첫 번째는 질병 부담,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건강 불평등, 인종 및 빈곤의 복잡성을 포함하여 사회 의학의 기본 개념을 소개합니다. 학생들은 보스턴의 건강 불평등에 대한 데이터를 검토하고 가능한 설명을 찾아 도시의 이웃을 도보로 탐험합니다 .37

  • The first introduces foundational concepts in social medicine, including burden of diseas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health inequalities, and the intricacies of race and poverty. Students examine data on health inequalities in Boston and explore the city’s neighborhoods on foot in search of possible explanations.37 

  • 두 번째 절에서는 질병에 대한 책임, noncompliance의 원인, 지식 생산의 역동성, 치료 접근 및 건강 결과의 불균형에 대한 설명 등과 같은 질병의 사회적 의미를 탐구합니다. 이 섹션의 특정 주제에는 의료의 가치를 높이기위한 전략이 포함됩니다: 이해 상충이 임상 시험의 설계, 실시 및 해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세계 보건 정책을 지시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기위한 의학 연구의 사용 .38

  • The second section explores the social meanings of disease, including responsibility for disease, causes of noncompliance, dynamics of knowledge production, and explanations for the disparities in treatment access and health outcomes. Specific topics in this section include strategies for increasing value in health care; how conflicts of interest impact the design, conduct, and interpretation of clinical trials; and the use of medical research to generate the data needed to direct global health policy.38 

  • 마지막 절에서는 

    • 질병에 대한 사회적 및 의학적 반응을 형성하는 제도적, 경제적, 문화적 역동성 분석

    • 의사가 이 지식을 사용하여 환자를 advocate 할 수있는 방법에 대한 탐구하고, 보건 의료 전달을 개선하고 지역, 국가 및 세계 보건 정책을 구체화하는 것 

  • ...등을 포함하는 "중개적 사회 의학 (translational social medicine)"을 조사합니다 

  • The final section investigates what we call “translational social medicine,” which includes both an analysis of the institutional, economic, and cultural dynamics that shape social and medical responses to disease and an exploration of how physicians can use this knowledge to advocate for their patients, improve health care delivery, and shape local, national, and global health policy. 


사례연구

Case studies, chosen to reflect current events and to serve as models for the challenges that students will inevitably encounter in their own clinical 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have explored Hurricane Katrina, gun violence, emerging global campaigns for cancer treatment, and the Ebola epidemic. 

  • Students hear firsthand from physicians, community health workers, and patients who have used social medicine to improve health outcomes. 

  • They acquire a toolkit of possible solutions to such problems. 

  • In their writing assignments, students reflect on the patients they have met and the home visits they have made during their doctor–patient course (which runs concurrently with the ISM course), further strengthening the links between social medicine and clinical care. 

  • Our multidisciplinary faculty of clinicians, researchers, and epidemiologists, many with joint expertise in history, anthropology, and global health, serve as lecturers and tutors.


전임상 교육과정에 사회과학을 포함시키는 것의 어려움

Challenges to Introducing the Social Sciences Into the Preclinical Curriculum


HMS 커리큘럼을 확대하여 사회 의학 및 글로벌 건강에 필수 과목을 포함시킨 것은 학생의 저항을 유발했습니다. 1 학년 의대생이 세계 보건 및 사회 의학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유능한 의사가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른 이들은 실험실 과학자로서 경력을 쌓기를 원합니다. 어느 그룹도 처음에는 사회 의학이나 글로벌 건강과 미래의 직업과의 관련성을 알지 못합니다. 연례 코스 평가, 포커스 그룹 및 비공식적 인 대화에서 학생들은 ISM 과정을 비판했습니다. 비평은 실용적, 반사회적, 지역적의 세 가지 주제로 분류했습니다.

Expanding the HMS curriculum to include a required course on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provoked resistance from students. Although an increasing number of first-year medical students have an interest in global health and social medicine, many remain focused on acquiring the basic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be a competent physician in the United States. Others want to develop careers as laboratory scientists. Neither group initially sees the relevance of either social medicine or global health to their future careers. In their annual course evaluations, in focus groups, and in informal conversations, students critiqued the ISM course. We have grouped their critiques into three themes—pragmatic, antisocial, and local.


교육 개혁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학생들은 의학 교육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에 참여하는 법을 배웁니다 .39 완전하게 익혀야 하는 지식이 너무 많기 때문에 보드 시험, 선배 학생, 주치의 등을 찾아 어떤 유형의 지식 더 중요한지에 대한 힌트를 얻고, 그리고 나서 이로부터 학습의 우선 순위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학습방식이 학생들로 하여금 이 과목의 '실용성'에 대한 비판을 하게 만든다. 왜냐하면 기존에 학생들이 배우던 것은 환원주의적인 의학의 지식과 기술을 강조하며, 학생들은 질병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나 patient advocacy보다 해부학, 생리학, 유전학이 더 중요하다고 결론을 내리기 때문이다. 다른 과목이나 임상실습에서는, 학생들은 반복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과 테크놀로지의 힘에 노출된다.

As educational reformers have noted, students learn to attend to the “hidden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39 Faced with too much knowledge to master completely, they look to board exams, senior students, and attending physicians for clues to decipher which types of knowledge are more important, then they triage their priorities accordingly. This practice fuels students’ pragmatic critique of the ISM course—because these sources emphasize the technical knowledge and skills of reductionist biomedicine, students conclude that anatomy, physiology, and genetics are what really matter rather than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or patient advocacy. In other courses and clerkships, students are repeatedly exposed to the power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medicine can diagnose and cure disease. 


일부 학생들은 진단 및 치료법을 통해 기술적 숙련도만 익힌다면, 환자의 사회적 경제적 조건에 관계없이 환자를 도울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또는 어떤 학생들은 환자가 겪는 삶의 혼란은 사회 복지사, 경제학자, 정치인의 몫이라고 서둘러 결론을 내려버린다. 이것이 antisocial critique의 한 종류이다

Some students conclude that, as long as they gain technical proficiency with diagnosis and therapeutics, they will be able to help their patients, regardless of their patient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thers rush to delegate the messiness of their patients’ lives to social workers, economists, and politicians. This is the antisocial critique. 


마지막으로, 세계 보건의 가치에 대한 회의론자들은 local critique를 한다. 미국에서만 일하기를 계획하는 일부 학생들이 가난한 빈곤국의 질병이나 분만 문제를 공부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보스턴에서 cardiology 진료를 하기만을 원한다면 왜 레소토의 에이즈와 결핵에 대해 배워야 하는가?

Finally, skeptics of the value of global health in medical education levy the local critique—some students who plan to work only in the United States see little reason to explore the diseases or delivery problems of remote, impoverished countries. If one hopes to practice cardiology in Boston, why learn about AIDS and tuberculosis in Lesotho?


'실용성 비판'에 대한 두 가지 대답이 있다.

We have two responses to the pragmatic critique. 


  • 첫째, LCME 기준의 최근 개정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 의학 및 세계 보건은 점점 의학 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의 progress을 평가하는 시험에 포함됩니다.

  • 둘째, 더 중요한 것은, 기술 역량적 역량은 의사가 환자에게 제공해야하는 것의 최소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의사가 치료 계획을 잘 따르지 못하게 방해하는 실제 현실(예 : 빈약 한 주택, 위험한 지역, 간헐적 인 일, 식량 불안정)을 알지 못하면, 아무리 약리학이나 병태 생리학에 대한 전문 지식이 많더라도 더 나은 임상결과를 얻지 못할 것이다.

  • First, as is evident from the most recent revision of the LCME standards,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ncreasingly are being included on exams used to evaluate students’ progress during medical education.4 

  • Second, and more important, technical competence is the minimum that physicians must offer their patients. If a physician remains oblivious to the lived realities that prevent a patient from following through with a treatment plan (e.g., poor housing, unsafe neighborhoods, intermittent work, food insecurity), then no amount of expertise in pharmacology or pathophysiology will result in better clinical outcomes. 

의사가 실제로 달성 한 결과에 책임을 지는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가 등장하면서, stakes가 증가하게 되었다. 즉, 의사는 환자의 임상성과 향상을 위해서 가능한 모든 것을 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사회적 세계에 관여해야 한다.

The advent of accountable care organizations, which hold physicians responsible for outcomes actually achieved, increases the stakes—physicians need to do everything possible to improve patient outcomes, which requires engaging in their patients’ social worlds.



Antisocial critique에 대해 답하자면, 의과학 및 기술은 실제로 그것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환자에게 도달하는 전달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에만 그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이 필요하지만, 어떤 수많은 사람들에게는 이미 효과적인 개입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전달되지 못하는 것이 더 큰 문제가 된다. 이미 호흡기 질환과 설사병을 치료할 수 있지만, 이것들은 여전히 유아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계속 존재합니다. 생의학 개입이 최선의 선택 일지라도, 환자가 의료에서 혜택을 볼 수 있는지는 의료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 및 정치 시스템에 달려 있다. 이것은 단순히 보건 의료 접근 및 개혁에 관한 정치적 문제가 아닙니다. 대신, 사회 세력이 질병 패턴과 치료 결과를 어떻게 형성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에 대한 정교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 가정과 직장 환경,

  • 의료 자원의 현지 가용성,

  • 보험 및 건강 관리 비용의 세부 사항

  • 환자의 사회 경제적 생활이 그들에게 요구하는 요구.

As for the antisocial critique,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can only live up to their potential if we develop delivery systems that reach those patients who will actually benefit from them. While new scientific discoveries are needed to treat many diseases, for countless others, effective interventions already exist but are not fully deployed. Respiratory and diarrheal diseases persist as leading causes of child mortality, even though they can be treated with existing interventions.40,41 Even when biomedical interventions are the best option, patients’ ability to benefit from them are embedded 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that impact the outcomes of medical care.42 This is not simply a political question about health care access and reform. Instead, understanding how social forces shape disease patterns and treatment outcomes involves sophisticated questions about 

  • home and work environments, 

  • local availability of medical resources, 

  • details of insurance and health care costs, and 

  • the demands that patients’ social and economic lives make on them.9 

이러한 요인들이 겉으로 보기에는 간단한 기술적 문제처럼 보이는 것을 복잡한 생물사회적 문제로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43 ISM 과정과 같은 사회 의학 과정은 학생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판단, 분석 및 창의성에 도움이됩니다.

Any of these factors can transform a seemingly straightforward technical fix into a complicated biosocial problem.43 A social medicine course, like our ISM course, hones the judgment, analysis, and creativity that students will need to solve these problems.


local medicine이라는 비판은 국제보건과 국내보건의 잘못된 이분법을 해체함으로써 가장 잘 해결됩니다. 글로벌 관점과 로컬 관점 모두 의료 행위를 이해하는 데 적합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국제보건을 마치 일부 자원 부족 국가와 같이 다른 곳에 존재하는 건강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국제보건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의해 정의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21 세기에 세계 인구의 건강에 대한 경제적, 문화적, 지적, 물질적 상호 연관성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합당하다4 마치 은행은 내수 재정에 영향이 없는 다른 국가의 경제를 무시할 수 없는 것처럼, 미국의 의사, 그리고 의과대학은 당장 눈 앞의 환자에게만 집중해서는 안 된다. 2014 ~ 2015 년 에볼라 전염병으로 인한 비극은 이것을 잘 보여준다.

The local medicine critique is best addressed by dismantling the false dichotomy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dicine. Both global and local perspectives are relevant for understanding medical practice anywhere. Many believe that global health refers to health as it exists somewhere else, like the resource-poor nations of the global South. Global health should not be defined by any particular geographic zone but, rather, by the economic, cultural, intellectual, and material interconnectedness of the health of global populations in the 21st century.44 As bankers cannot disregard the economies of other nations as having no impact on their domestic fortunes, American physicians—and medical schools— cannot focus only on the patients in front of them. The 2014–2015 Ebola epidemic made this tragically clear.45



마지막으로 국제보건은 전염병이나 해외 여행을하는 임산부 및 어린이 보건 전문가에게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모든 의사들은 해외에서 이민 온 환자들을 만날 것입니다. 세계 곳곳에서 부자와 빈자의 환자는 심장병, 당뇨병, 암과 싸웁니다 .46 그들은 복잡한 치료 요법을 통해 돌보고, 값을 치르고, 삶을 구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더욱이 마치 서로 전혀 달라보이는 상황에서도 의료전달의 문제에는 공통점이 많다. 한 곳에서 배운 교훈은 종종 다른 곳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티에서 항 레트로 바이러스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기술은 Boston에서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혁신적인 프로그램에 적용되었습니다 .47

Finally, global health is not just a problem for infectious disease or maternal and child health specialists who travel abroad. All physicians will encounter patients who have emigrated from abroad. Throughout the world, patients, rich and poor, struggle with heart disease, diabetes, and cancer.46 They struggle to access care, pay for it, and structure their lives to follow through with complex treatment regimens. Moreover, the delivery challenges in seemingly disparate settings share much in common. Lessons learned in one place can often be applied elsewhere. For instance, techniques designed to improve antiretroviral outcomes in Haiti were adapted in an innovative program that improved treatment outcomes in Boston.47



ISM과목의 효과

Impact of the ISM Course


ISM 과정의 공식 평가는 학생들이 필요한 사회 의학 커리큘럼의 혜택을 입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2013 년 가을, 학생들은 ISM 과정을 치르기 전에 사회 의학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고 관련된 사전 고용을 확인하기위한 사전 테스트를 완료했습니다.

  • 비록 25 %가 학부생으로서 관련 코스 교육을 마쳤고 35 %가 사회 의학에서 경험학습을 해보았다고 했지만(예 : 지역 사회 기반 조직에서 근무 한 경험이 있음),

  • 학생의 31 %만이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 무엇을 의미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에 대해 자신감을 보고했고,

  • 단지 14 %만이 건강 결과의 차이와 불균형을 구별 할 수 있다는 것에 자신감을 표시했다

The first, formal evaluation of the ISM course demonstrated that students benefited from the required social medicine curriculum. In the fall of 2013, students completed a pretest to gauge their knowledge of social medicine prior to taking the ISM course, as well as to identify any relevant prior employment. 

  • Even though 25% had completed relevant course work as undergraduates and 35% reported experiential learning in social medicine (e.g., having worked for a community-based organization), 

  • only 31% of students felt confident that they knew what was meant by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 only 14% felt confident that they could distinguish between a difference and a disparity in health outcomes.


학기말에 학생들은 과정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비슷한 사후 검사를 완료했습니다.

  • 64 %는 미국과 해외에서 사회 의학 개념과 임상 실습과의 관련성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있다고보고했다.

  • 81 %는 사회 역사를 수행하고 그 중요성을 이해할 수있는 능력이 뛰어나다 고 느꼈다.

  • 80 %는 사회 의학이 전반적인 교육에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습니다.

At the end of the semester, students completed a similar posttest survey to gauge the impact of the course. 

  • Sixty-four percent reported a deeper understanding of social medicine concepts and their relevance for clinical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 81% felt better equipped to conduct a social history and understand its significance, and 

  • 80% stated that social medicine was very important to their overall education.


전임상 커리큘럼에서 사회 의학과 글로벌 건강 수립 : 앞으로 나아 가기

Establishing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n the Preclinical Curriculum: Moving Forward


사회 의학 및 글로벌 건강 코스는 이미 고급 사회 과학 학위를 소지 한 학생과 필수과목으로만 사회과학을 경험한 학생들 모두에게 부합해야 한다. 이 작업은 어렵지만 가능합니다. 관심있는 교수진에게 커리큘럼 시간 및 지원을 제공하는 의과 대학은 가치있는 코스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학생들은 건강과 건강 결과의 사회적 결정 요인을 다루고 환자와 지역 사회를 대신하여 개입하기 위해 개별 임상가의 저평가 된 힘을 인식하고 행동 할 수 있도록 사회 의학에 노출되어야합니다. 이 작품은 옹호, 체계적 탐구, 혁신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때로는 한 가지 질문을합니다 (예 : "월말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Courses in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must accommodate students who already hold advanced social science degrees and those whose only engagement with the social sciences was a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 in college. This task is daunting, but it is possible. Medical schools that provide interested faculty with curriculum time and support can develop valuable courses. All students must be exposed to social medicine so that they can come to recognize and act on the underappreciated power of the individual clinician to address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health outcomes, and to intervene on behalf of patients and their communities. This work can take the form of advocacy, systematic inquiry, innovation, and sometimes asking a single question (e.g., “Do you have difficulty making ends meet until the end of the month?”).48





 2016 May;91(5):628-32. doi: 10.1097/ACM.0000000000001054.

All Health Is Global Health, All Medicine Is Social MedicineIntegrating the Social Sciences Into the Preclinical Curriculum.

Author information

1
J. Kasper is assistant professor and chair, Faculty Advisory Committee on Global Health, Harvard Medical School, and faculty member, Division of Global Health,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for Children, Boston, Massachusetts. J.A. Greene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and of the history of medicin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P.E. Farmer is Kolokotrones University Professor of Global Health and Social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D.S. Jones is A. Bernard Ackerman Professor of the Culture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and Faculty of Arts and Sciences,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achusetts.

Abstract

As physicians work to achieve optimal health outcomes for their patients, they often struggle to address the issues that arise outside the clinic.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influence patients' burden of disease, access to treatment, and health outcomes. This challenge has motivated recent calls for increased attention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t the same time, advocates have called for increased attention to global health. Each year, more U.S. medical students participate in global health experiences. Yet, the global health training that is available varies widely. The discipline of social medicine, which attends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social meanings of disease, and social responses to disease, offers a solution to both challenges. The analyses and techniques of social medicine provide an invaluable toolkit for providing health care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In 2007, Harvard Medical School implemented a new course, required for all first-year students, that teaches social medicine in a way that integrates global health. In this article, the authors argue for the importance of including social medicine and global health in the preclinical curriculum; describe Harvard Medical School's innovative,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these disciplines, which can be used at other medical schools; and explore the barriers that educators may face in implementing such a curriculum, including resistance from students. Such a course can equip medical students with the knowledge and tools that they will need to address complex health problems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PMID:
 
26703416
 
DOI:
 
10.1097/ACM.0000000000001054


기본의학교육을 위한 WFME 기본기준 프레임워크 설계(Med Teach, 2016)

Designing an evaluation framework for WFME basic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SEAN TACKETT1, JANET GRANT2 & KRISTIN MMARI3

1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USA, 2Th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in Context (CenMEDIC), UK, 3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USA




도입

Introduction


의사의 현재 또는 예상되는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의과대학이 증식하면서 (Tsai 외 2012, WHO 2013, Duvivier 외 2014), 의학 교육의 질은 점점 더 엄격 해지고있다. 의학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위한 여러 메커니즘이 있지만, 의과 대학의 인증은 황금 표준이 되었습니다 (Gordon & Karle 2012).

As medical schools proliferate around the world to address current or projected shortages of physicians (Tsai et al. 2012; Global Health Workforce Alliance and WHO 2013; Duvivier et al. 2014),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is drawing increasing scrutiny. While there are multiple mechanisms to assure quality i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s has become the gold standard (Gordon & Karle 2012).


2010 년 외국 유학생 교육위원회 (ECFMG)에서 발표 한 결과 - 2023 년까지 모든 인증 신청자는 공인 된 의대 (ECFMG 2010)를 졸업해야합니다 - WFME 표준 및 절차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가 기관을 평가하고 인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As the result of an announcement in 2010 by the Education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 (ECFMG) – that by 2023 all applicants for certification will be required to have graduated from an accredited medical school (ECFMG 2010) – the WFME standards and procedures are being used for evaluating and recognizing accrediting agencies.


따라서 WFME 표준은 100 개가 넘는 기존 인증 기관의 평가에 사용될 수있을뿐만 아니라 수십 가지 인증 시스템의 생성을위한 템플릿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Therefore the WFME standards may not only be used for evaluation of over 100 existing accreditation authorities, but will likely serve as the template for the creation of dozens more accreditation systems.


WFME 절차에 따라 모든 국가 인정 기관은 의과 대학이 인정 과정의 일부로 자체평가를 수행하도록해야합니다 (WFME 인정 기준 2012). 자체평가는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초의 WFME 표준을 적용 할 타당성을 평가하기위한 파일럿 연구 (Grant et al. 2003)는 2003 년 11 개국에서 실시되었는데, ECFMG의 재정 지원과 WFME의 전문 지식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대학이 자체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10.6 개월이었고 수석 교수진에서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했습니다. 최근의 분석 (Hays 2014)은 2012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원래 표준에 필요한 것보다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역시 자체평가를 완료하는 데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WFME procedures require all national accrediting authorities to have medical schools conduct a self-study as part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WFME Recognition Criteria 2012). The self-study is known to be laborious; a pilot study (Grant et al. 2003)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 original WFME standards was conducted in 11 countries in 2003, finding that even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ECFMG and expertise from the WFME, each self-study took an average of 10.6 months and required significant time from senior faculty. A recent analysis (Hays 2014) suggested that more resources will be required to comply with the 2012 standards than were needed for the original standards; this also likely portends that more resources will be needed to complete a self-study. 


WFME는인가 기관이 인증 기준 (WFME Application 2013)을 준수하는 방법에 대해 의과 대학에 지침을 제공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각 학교에서 받게되는 지침은 다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인정 기관인 LCME (Medical Education Liaison Committee)는 모든 인증 기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공개적으로 자체 시험 데이터 수집 계측기 (DCI) (LCME 2014)를 공개합니다. 각 대학은 방문심사 전에 이것을 완료해야 한다. 그러나 LCME DCI는 LCME 표준에 구체적으로 링크 된 데이터를 요구하며, 요청 된 데이터의 대부분은 미국 의과 대학에서 정기적으로 작성하는 연례 전국 설문 조사에서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미국 이외 지역에서는 LCME DCI가 유용하지 않을 수 있다.

While the WFME does require accrediting agencies to provide guidance to medical schools for how they can comply with accreditation standards (WFME Application 2013), the guidance that schools might receive is likely to vary. The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 (LCME), an accrediting body in the US, offers the clearest guidance of any accrediting body, making publicly available its self-study Data Collection Instrument (DCI) (LCME 2014), which must be completed by medical schools prior to a site visit. However, the LCME DCI asks for data specifically linked to LCME standards, and much of the requested data comes from the annual series of national surveys routinely completed by the US medical schools. It is unlikely that the LCME DCI would be useful outside of the US.


WFME 표준에 대한 자세한 평가 템플릿을 만든다면, 자체평가를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의대가 인증 기준을 충족하고 특히 자원이 제한적인 경우에도 CQI를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평가 기준을 표준화하면 인증 기준에 대한 근거 자료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되며 품질 향상을 주도하는 인기있는 방법 인 국내 및 국제 벤치마킹 방법을 마련 할 수 있습니다 (Kirch & Prescott 2013)

A detailed evaluation template for the WFME standards could simplify a self-review, thereby helping medical schools meet accreditation standards and engage in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articularly where resources are limited. Standardizing the metrics of evaluation would have benefits for improving the evidence-base for accreditation standards and may pave the way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benchmarking, an increasingly popular method of driving quality improvement (Kirch & Prescott 2013)



방법

Methods


Standards from ‘‘Basic Medical Education: WFME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The 2012 Revision’’ were used for this study. Standards are organized into nine areas, composed of a total of 36 subareas where individual standards are described. In total, there are 100 ‘‘basic standards’’ and 91 ‘‘quality improvement’’ standards. Annotations are included in the standards document to provide definitions and clarify intent for the language in the standards. Only basic standards were analyzed because they represent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any medical school, and their analysis would have the most generalizability to medical schools worldwide.


We conceptualized the accreditation standards as program objectives for the basic medical education program and as providing an implicit logic model template


In defining the logic model for program evaluation, each standard was viewed as potentially requiring the evaluation of inputs, processes, outputs and/or outcomes to assess to what it extent it was or was not achieved. 

  • Inputs refer to material or human resources required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o be conducted. 

  • Processes refer to educational program tasks or activities, which could include admitting, teaching and evaluating students during the program as well as administrative processes. 

  • Outputs refer to the direct result of processes

  • Outcomes refer to the final student ‘‘product’’ that the program produces.


Due to the variability in standards’ formatting, our first step was to further itemize each standard into its simplest component. 

  • For example, for a standard that stated a ‘‘medical school must formulate and implement . . .’’ the standard was broken into two components: ‘‘medical school must formulate’’ and ‘‘medical school must implement’’ as these required two different actions that would need to be evaluated. 

  • At times when a conjunction was used to link words whose meanings were nearly synonymous (e.g. ‘‘methods and practices’’), the standard was not further broken down. 

  • While many standards detailed criteria in their annotation, some did so in the standard itself, like ‘‘The medical school must define, state and publish the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used for assessment of its students, including the criteria for setting pass marks, grade boundaries and number of allowed retakes. (B 3.1.1)’’ Such a standard could be evaluated by measuring pass marks, grade boundaries and retakes, but in this analysis, it was counted as one standard to be consistent when comparing to standards that detailed criteria in annotations.


Once these simplified items were created, each item was categorized as requiring evaluation of an input, process, output and/or outcome. 

  • Once each simplified item was categorized, it was then interpreted to determine a relevant evaluation question, and example data sources and indicators were elaborated based on the evaluation question. 

  • This process was completed by one author (ST) and reviewed in detail by the other authors. Where discrepancies existed, consensus was achieved through iterative discussion and revisions.


To provide a summary understanding of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tandards, the ratio of simplified items to original standards was calculated for each standard area. Number and percentage of simplified items that were classified as inputs, processes, outputs and outcomes were also calculated using total number of simplified items as the denominator.


Appendix 2,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결과

Results


WFME 기준으로부터 평가가능한 단순화된 아이템을 만드는 어려움

Challenges in creating evaluable simplified items from WFME standards 


    • 일부 표준은 간단했고 "의대에서는 커리큘럼 모델 (B 2.1.1)을 정의해야 함"과 같은 간단한 평가가 제안되었지만 대다수는 더 복잡했습니다. 

    • 예를 들어, '의대는 정책을 수립하고 구현해야한다', '커리큘럼 요소를 확인하고 통합하는 것', '프로그램 평가에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적용하는' 두 개의 다른 프로세스를 평가합니다. 

    • 다른 기준들에는 '의과대학는 지식, 기술 및 태도 (B 3.1.2)'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한다는 3 가지 평가 영역 각각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과 같은 기준의 결합문이 포함되었습니다.

    • While some standards were simple and suggested a straight-forward evaluation, such as, ‘‘The medical school must define the curriculum model (B 2.1.1)’’, the majority were more complex. 

    • For example, numerous standards used phrasing such as, ‘‘The medical school must formulate and implement’’policies, ‘‘identify and incorporate’’ curriculum elements or ‘‘establish and apply’’ mechanisms in program evaluation,which in each case suggested evaluating two distinct processes. 

    • Other standards included the conjunction in the predicate of the standard, like ‘‘The medical school must ensure that assessments cove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B 3.1.2)’’, which would require evaluation of each of the three domains of assessment. 


표준 문구가 비교적 단순한 경우에도 주석은 복잡한 평가를 암시 할 수 있습니다

Even when the standard wording was relatively simple, the annotation could imply a complex evaluation: 



기준을 프로그램 평가 프레임워크로 배치하는 것

Placing standards into the program evaluation framework 


첫째, 표면적으로 일부 기준은 측정을 위한 입력, 프로세스, 결과 또는 결과의 한 유형만을 지정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표준의 실제 logistics가 고려되었을 때 기준의 복잡성이 증가한 것으로 보였습니다

    • 예를 들어, "의대는 교직원이 적절하게 제공 될 수 있도록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충분한 물리적 시설이 있어야합니다. (B 6.1.1) ''- 물리적 자원의 투입에 초점을 맞추고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진정으로 '충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은 프로세스, 결과 및 / 또는 결과를 측정해야한다.

    •  "의과 대학 의과 대학은 의료진이 직원, 학생, 환자 및 간병인에게 안전한 학습 환경을 보장해야합니다. (B 6.1.2) ''는 평가를 위해 다양한 투입물, 프로세스 및 산출물을 요구할 것이다. 그러한 표준은 실수 (예 : 직원, 학생 또는 환자의 손해)에 의해 가장 잘 측정 될 수 있습니다.

First, while on the surface it appeared that some standards were specifying only one type of input, process, output or outcome to measure, when the actual logistics of measurement were considered for the standard, the complexity of the standard seemed to grow. 

    • For example – ‘‘The medical school must have sufficient physical facilities for staff and students to ensure that the curriculum can be delivered adequately. (B 6.1.1)’’ – appears to focus on the input of physical resources, but to truly assess their ‘‘sufficiency,’’ the standard requires measuring processes, outputs and/or outcomes.

    •  Standards like ‘‘The medical school must ensure a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safe for staff, students, patients and their carers. (B 6.1.2)’’ would require a variety of inputs, processes and outputs for evaluation; such a standard is likely best measured by lapses (e.g. harms to staff, students or patients).




둘째, 어떤 경우에는 기준의 의도를 분별하기가 어려웠습니다.

Second, in some cases, it was challenging to discern the intent of the standard: 


"의과 대학은 졸업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제시해야하는 의도 된 교육 결과를 정의해야합니다.

- 지식, 기술 및 태도에 관한 기본 수준에서의 성과 (B 1.4.1)

- 의학의 모든 분야에서 미래 경력을위한 적절한 토대 (B 1.4.2)

- 보건 부문에서의 미래 역할. (B 1.4.3)

- 이후의 대학원 교육 (B 1.4.4)


‘‘The medical school must define the intended educational outcomes that students should exhibit upon graduation in relation to 

– their achievements at a basic level regar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B 1.4.1) 

– appropriate foundation for future career in any branch of medicine (B 1.4.2) 

– their future roles in the health sector. (B 1.4.3) 

– their subsequent postgraduate training (B 1.4.4)’’ 



이 예에서 "기본 수준"으로 교육받은 졸업생이, 어떻게 대학원 교육, 보건 분야에서의 향후 역할, 의학 분야에서의 경력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인지가 불명확하다.

In this example, it is unclear how graduating students educated at a ‘‘basic level’’ would not also be suited for post-graduate training, their future roles in the health sector or a career in any branch of medicine. 




셋째, 직설적 인 표현이 반드시 직접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의과 대학은 평생 학습을 위해 교과 과정을 준비해야한다 (B 2.1.3)." '평생 학습'을위한 교과 과정 설계와 전달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를 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이 주제를 가르치기위한 의학 교육의 표준 커리큘럼은 없으며 평생 학습에서의 학생 역량 평가를위한 표준 방법도 없습니다 (B 1.1.6에서도 암시되고 있음).

Third, straightforward wording does not necessarily mean straightforward evaluation. 

    • ‘‘The medical school must ensure that the curriculum prepares the students for lifelong learning.(B 2.1.3)’’ seems to suggest a straightforward evaluation of curriculum design and delivery for ‘‘lifelong learning’’.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for teaching this topic, nor is there any standard means of assessing student competency in lifelong learning (which may also be implied by B 1.1.6). 


평가가능한 단순화된 아이템의 정량화

Quantifying evaluable simplified items


원래 100 개의 표준은 244 개의 구성 요소 항목으로 분리되었습니다 (표 1). 대부분의 표준 (64/100, 64 %)은 하나 이상의 평가 항목으로 분리되었습니다. 비율이 6.6 인 대학원 / 학부 영역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 대해 WFME 표준 당 평균 1.8 ~ 2.4 개의 단순화 된 항목이있었습니다. 이 영역에서 표준 B 5.1.1은 24 개의 항목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단일 표준에서 가장 많습니다. 모든 표준에 대한 완전한 평가 매트릭스는 보충 자료로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부록 1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original 100 standards separated into 244 component items (Table 1). Most standards (64/100, 64%) separated into more than one evaluable item. There were an average of1.8–2.4 simplified items per WFME standard for all areas,except for the Academic Staff/Faculty area where the ratio was 6.6. In that area, standard B 5.1.1 separated into 24 items, the most for any single standard. A complete evaluation matrix for all standards is included in Appendix 1,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고찰

Discussion


의학 교육에 대한 WFME 기본 기준에 대한이 분석은 작성된 표준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This analysis of the WFME basic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suggests that it may be challenging to interpret and evaluate the standards as they are written. 


WFME가 기준 제정을 위해 제출 한 전제 중 하나는 '기준은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하며, 측정 할 수 있어야한다 ....'(Basic Medical Education 2012)이지만,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의과 대학 평가 방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리게 될 여러 가지 장벽을 확인하였다. WFME 기준은 평가를 염두에두고 작성되었지만, 이것이 개별 의과 대학 평가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다시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히려 WFME 기준을 가지고 자체 로컬 컨텍스트에 맞춘 기준을 개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인증 기관의 템플릿 역할을하기위한 것입니다.

Among the premises that the WFME listed for creating its standards were that ‘‘Standards must be clearly defined and...measurable ....’’ (Basic Medical Education 2012) yet this analysis encountered multiple barriers to determining how to evaluate medical schools against the standards. It is important to reiterate that while WFME standards were created with assessment in mind, they are not intended to be used for assessment of individual medical schools. Rather, WFME standards are intended to serve as a template for accrediting authorities, which would then be expected to tailor WFME standards to their own local contexts.


예를 들어, 교직원/교수 영역의 표준을 더 세분화하고 단순화하여 표준 형식을보다 균일하게 만들려고 시도하는 것이 유용 할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it may be useful to attempt to make standards-formatting more uniform, possibly by further itemizing and simplifying standards like those in the Academic Staff/Faculty area. 


추적 할 측정 항목을 선택하는 것은 의학 교육의 질을 최적화하는 활동을 장려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 연구는 몇 가지 문제점을 확인했다.

Selecting what metrics to track is critical to incentivizing activities that optimize medical education quality.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issues.


예를 들어, 분모가 36이냐, 100이냐, 244이냐에 따라 기준에 따른 전체 compliance가 달라지므로, 표준 수는 중요 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수집 절차는 어차피 어떤 경우든 동일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준의 숫자가 많아지면(즉 더 간단하고, 평가하기 쉬우며, 보다 세분화 된다면) 약점 영역을 개선하기 위한 보다 명확한 비교와 명확한 타겟팅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만, 이 연구는 기준 자체가 더 prescriptive해져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혁신과 창조성을 저해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Norcini & Banda 2011).

For example, the number of standards may be important, as overall compliance rates with standards would vary if the denominator were 36 (as it was in the original WFME standards) 100, or 244. Because the data collection procedures would likely be the same in every case, it would seem that a greater number of standards – that would be simpler, easier to evaluate, and offer greater granularity – would facilitate clearer comparisons and more specific targeting of interventions to areas of weakness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here that this analysis does not imply that the standards themselves should become more prescriptive, as this may stifle innovation and creativity (Norcini & Banda 2011)). 


균형 된 스코어 카드는 개발 된 국가의 건강 시스템 (Asbroek 외 10 명 2004 년, Schoen 외 16 명)과 개발 도상국 (Peters et al. 2007)을 포함한 복잡한 조직과 시스템의 성과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Balanced scorecard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to drive performance in complex organizations and systems, including national health systems in the developed (ten Asbroek et al. 2004; Schoen et al. 2006) and developing world (Peters et al. 2007).


마지막으로, 의대가 필요한 투입 (예 :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 절감), 프로세스 (소그룹에서 강의까지) 및 학생 성과 (예 : 특정 역량 달성)에 대한 균일한 메트릭스를 사용하는 경우, 의과 대학의 구조와 기능이 분명해질 것이다.

Finally, It is possible that should medical schools use uniform metrics regarding necessary inputs (e.g.itemized budget for educational program), processes (e.g.hours spent in small group versus lecture) and student outcomes (e.g. achievement of specific competencies), the essential compon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medical school would become apparent.


이번 연구 결과, 단 하나의 기준만이 프로그램 outcome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원래의 WFME 표준을 분석해도 outcome과 관련된 표준은 매우 적은 수만 발견되었습니다(2/36, 5.6 %) (Abdalla 2014). 이러한 상황은 충분히 이해가능한데, 학교가 자신의 졸업생을 모니터하기 위해 로지스틱하게 어렵거나 자원이 많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인증 기관 역시 이것을 의과대학의 책임으로 보고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적 책무성(social accountability)이 점차 강조되면서, 의과대학들은 그들이 만들어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합니다. 의학 교육에서 성과를 점점 더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있을뿐 아니라, outcome을 평가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함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책무성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기관 (Mullan et al., 2010, Sen Gupta 외 2014)과 국가 의학 교육 시스템 (Chen et al., 2013) 수준에서 발표된 바 있다.

It is notable that in our analysis only one standard appeared to require evaluation of a program outcome. An analysis of the original WFME standards also found a minority of standards (2/36, 5.6%) related to outcomes (Abdalla 2014). This is understandable as it may be logistically challenging or resource-intensive for schools to monitor their own graduates, and accrediting agencies may not see this as the school’s responsibility. However, the growing movement toward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Boelen et al. 2012), including the explicit goal of the WFME revision to embed social accountability throughout its standards (Lindgren & Karle 2011), would require medical schools to be accountable for the outcomes they produce. Not only is tracking medical education outcomes being recognized as increasingly important, but it is being demonstrated to be feasible. Attempts at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have been published for institutions (Mullan et al. 2010; Sen Gupta et al. 2014) and national medical education systems (Chen et al. 2013).


TheNET은 기관 네트워크에 포함 된 학교의 보건 직업 교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측정하기위한 완벽한 프레임 워크를 만들고 조종했다 (Larkins et al., 2013). 우리의 분석은 인정 기관이 각 의과 대학 또는 그것의 의학 교육 시스템 전체가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장하고자 할 때 학생 성과 평가를 명시 적으로 요구하도록 WFME 표준을 개정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TheNET has created and piloted a complete framework to measure social accountability of health profession education for schools included in its network of institutions (Larkins et al. 2013). Our analysis suggests that WFME standards would need to be revised to explicitly require student outcomes evaluation when accrediting agencies seek to ensure that each medical school – or its medical education system as a whole – is functioning in a socially accountable manner.




결론과 권고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eps


이 분석은 모든 기준을 동등하게 취급했지만, 기준의 중요성을 토대로 데이터 수집에 우선 순위를 두지 않았습니다. 기본 의학 교육을위한 WFME의 '기본 기준'은 의대의 정의에 부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지만 교육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일부 기준이 다른 기준보다 중요 할 수 있습니다 (van Zanten 외. 2012). 데이터 수집뿐만 아니라 표준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이는 특히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더 나은 의학 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is analysis treated all standards equally, but did not prioritize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standard. While it can be argued that all of the WFME ‘‘basic standards’’ for basic medical education would need to be in place for an institution to meet the definition of a medical school, ultimately some standards may prove more critical than others to medical student education (van Zanten et al. 2012). Prioritizing standards as well as data collection may enable best use of resources, and thus better medical education, especially in resource-poor settings





Larkins SL, Preston R, Matte MC, Lindemann IC, Samson R, Tandinco FD, Buso D, Ross SJ, Palsdottir B, Neusy AJ. 2013. Measuring social accountabilit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pilot testing of an evaluation framework. Med Teach 35(1):32–45.


Mullan F, Chen C, Petterson S, Kolsky G, Spagnola M. 2010. The social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Ranking the schools. Ann Intern Med 152(12):804–811.


van Zanten M, Boulet JR, Greaves I. 2012. The importance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Med Teach 34(2):136–145.


Kirch DG, Prescott JE. 2013. From rankings to mission. Acad Med 88(8):1064–1066.







 2016;38(3):291-6. doi: 10.3109/0142159X.2015.1031737. Epub 2015 Apr 29.

Designing an evaluation framework for WFME basic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USA .
2
b Th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in Context (CenMEDIC) , UK .
3
c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 USA.

Abstract

PURPOSE:

To create an evaluation plan for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basic medicaleducation.

METHODS:

We conceptualized the 100 basic standards from "Basic Medical EducationWFME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The 2012 Revision" as medical education program objectives. Standards were simplified into evaluable items, which were then categorized as inputs, processes, outputs and/or outcomes to generate a logic model and corresponding plan for data collection.

RESULTS:

WFME standards posed significant challenges to evaluation due to complex wording, inconsistent formatting and lack of existing assessment tools. Our resulting logic model contained 244 items. Standard B 5.1.1 separated into 24 items, the most for any single standard. A large proportion of items (40%) required evaluation of more than one input, process, output and/or outcome. Only one standard (B 3.2.2) was interpreted as requiring evaluation of a program outcome.

CONCLUSIONS:

Current WFME standards are difficult to use for evaluation planning. Our analysis may guide adaptation and revision of standards to make them more evaluable. Our logic model and data collection plan may be useful to medical schools planning an institutional self-review and to accrediting authorities wanting to provide guidance to schools under their purview.

PMID:
 
25923235
 
DOI:
 
10.3109/0142159X.2015.1031737


'역량'을 논할 때 우리가 보는 것과 보지 못하는 것: 'god term'에 대하여 (Adv in Health Sci Educ,2009)

What we see and don’t see when we look at ‘competence’: notes on a god term

L. Lingard




'역량'은 보건 전문 교육에서 가장 소중한 아이디어 중 하나입니다. 그것은 20 세기의 수사학자인 케네쓰 버크 (Kenneth Burke)가 '신의 용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일종의 교육적 우상으로서, 다른 모든 표현을 종속시키는 표현입니다. 이 '신의 용어'는 보건 전문가 교육에 관한 매우 다양한 담론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우리 시대의 다른 '신의 용어'처럼 ('환자 안전'이란 용어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으며, '객관적 평가'는 오랫동안 god term의 하나였다)는 '역량'은 수사적 트럼프 카드로서, 흔히 어떻게 보건의료인 교육을 해야하는지를 이야기할 때 대화를 종결짓는 단어가 된다.

‘Competence’ is one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s most cherished ideas. It’s what the 20th century rhetorician Kenneth Burke would call a ‘god term’ (Burke 1952): a sort of education idol, an ‘‘expression to which all other expressions are ranked as subordinate’’ (Weaver 1953). This god term presides over many of our conversation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versations including curriculum reform, evaluation systems and program accreditation, to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nd, like other god terms of our era (‘patient safety’ has recently emerged as one, ‘objective assessment’ has long been another), ‘competence’ is a rhetorical trump card, regularly played as the last word in debates about how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function.


수사학자에게, 그런 종류의 힘을 지닌 언어는 조금 더 가까이에서 들여다봐야 한다. 케네 쓰 버크 (Kenneth Burke)가 주장한 것처럼 ( 'Burke 1935)' "모든 '봄'의 방식은, '안 봄'의 방식이기도 하다". 그는 단어가 "종결적 화면"으로서의 기능을하는 방식에주의를 기울였습니다. "어떤 용어가 현실을 반영한다고 할지라도, 용어는 본질적으로 현실의 선택이며, 이는 다른 말로 하면 현실의 왜곡이기도 하다"(Burke 1966) (원래 강조).

To a rhetorician, any bit of language with that kind of power cries out for a closer look. ‘‘Every way of seeing is also a way of not seeing’’, as Kenneth Burke asserted (Burke 1935). He drew attention to how words function as ‘‘terministic screens’’: ‘‘even if any given terminology is a reflection of reality, by its very nature as a terminology it must be a selection of reality, and to this extent it must function also as a deflection of reality’’ (Burke 1966) (emphasis in original).


전통적인 사용법에서 "역량"이란 은 개인주의적 개념이다. 이 때 강조되는 것은 교육과 실습을 거치면서 지식과 기술이 수행하고, 그것이 평가되는 "유능한 의사"를 양성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역량'이라는 '신의 용어'는 보건 전문 교육이 '개인'에 중점을 두는 현실을 반영합니다.

In its conventional usage, competence is an individualist notion. The emphasis is on producing and maintaining ‘‘the competent physician’’ whose knowledge and skill is performed and assessed over the course of his or her training and practice. In this regard, the god term reflects the reality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s focus on the individual.


우리는 분명히 개개인의 학문적 자격을 중요하게 여긴다. 

  • 우리는 (심지어 문제 기반 학습과 같은 집단 활동의 맥락에서도)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성적을 부여합니다

  • 개인 지식과 기술을 검토하여 면허를 부여한다.

  • 우리는 개별 CME 크레딧을 가지고 면허를 취득한 의사의 역량 개발을 모니터링합니다. 

  • 우리는 개별 학생을 대상으로 문제적 성과를 개선합니다.

We admit candidates based on individual academic qualification; we assign individual grades to students (even in context of group activiti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we license trainees based on examination of individual knowledge and skill; we monitor licensed practitioners’ ongoing development through accrual of individual CME credits; we remediate problematic performance by targeting the individual performer.


성인 학습과 성찰적 실천과 같은 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역량'이란 '신의 용어'는 우리의 관심을 '자율적 학습자'로 유도한다(Bleakley 2006).

Based in learning theories such as adult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the god term of competence selects for our attention the autonomous learner (Bleakley 2006).


학습자 개인에 초점을 둠으로써, 이 용어는 역량이 맥락과 무관하게, 즉 시간과 공간에 제약받지 않는다는 개념을 유발한다. 이것은 호지스가 "능력 상태state of competence"라고 부르는 개념을 만들어내게 하였고, 이 state of competence는 초심자가 state of incompetence에서 출발하여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상태이다(Hodges 2006). 역량을 '도달가능한 상태'라고 생각할 때, "일반적으로 유능한 의사"라고 말하기를 어려워하지 않는데, 즉 한 가지 상황에서의 의사 소통 능력이 미래의 다른 유사한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능력도 예측해준다는 것이다. 인지심리학 연구는 "모든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유능한 개인"에 대한 주장을 경고하지만, "역량"이라는 단어로부터 우리는 여전히 "일반적인 능력"과 "일반적으로 유능한 의사"라는 개념을 떠올리게 한다.

By selecting the individual learner for emphasis, the god term also invokes the notion that competence is context-free, untied to time and space. This, in turn, gives rise to the concept of what Hodges has called a ‘‘state of competence’’, something novices move to ‘‘from a state of incompetence’’ (Hodges 2006). In conceiving competence as a state to be achieved, we not surprisingly end up talking about the generically competent practitioner, one whose, say,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ne situation should predict future communicative performances in other, similar situations. And while cognitive psychology research warns us against the claimthat an individual can be universally competent in all contexts, still our competence discourse evokes the notion of generic abilities and generically competent practitioners.


우리는 '역량'을 바라보는 우리의 방법이 교육 시스템의 개인주의적 지향성을 반영한다는 것에 놀랄 이유가 없다. 이것이 이치에 맞는 것은, 교육 시스템이 대형 의료 시스템의 개인 주의적 지향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면허, 청구, 의료법적 책임 등이 다 의사 개인에 대해 이뤄진다. (Sidhom and Poulsen 2006). 버크 (Burke)가 말했듯이, 신의 용어는 공동체 또는 맥락의 '궁극적 동기'를 나타낸다.

We should not be surprised that our way of seeing competence reflects the individualist orient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This makes good sense, because the education system is predicated on the individualist orientation of the larger healthcare system, in which licensure, billing, and medico-legal accountability function on an individual practitioner basis (Sidhom and Poulsen 2006). As Burke put it, a god term manifests the ‘‘ultimate motive’’ of a community or context.


  • 요약하면, '역량'은 현재의 개인주의적 헬스케어 시스템과 교육 문화를 반영reflect합니다

  • 이 용어는 개별 학습자와 그들이 머리, 손, 마음에 가지고있는 지식, 능력 및 가치를 선택select합니다. 

  • 그렇다면 이 용어가 왜곡deflect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 용어가 만들어내는 사각 지대는 무엇인가? 유능한 개개인이 모여서 무능한 팀을 이룰 수 있다. 전통적인 역량 담론은 우리가 이 현실과 씨름하는 것을 돕지 않습니다. 이 끈적거리는 교육 및 임상 문제에서 우리의 관심을 빗나가게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는, 역량을 확인하는 또 다른 방법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To summarize then, ‘competence’ reflects our individualist healthcare system and education culture. It selects for our attention the individual learner and the knowledge, abilities and values they possess in their heads, hands and hearts. What, then, does it deflect our attention from? What blind spots does it produce? An example from my own work comes to mind: competent individual professionals can—and do, with some regularity— combine to create an incompetent team. The conventional discourse of competence doesn’t really help us grapple with this reality; it deflects our attention from this sticky educational and clinical problem. However, alternative ways of seeing competence are emerging that may help us address this.


'역량의 집단주의적 담론 (collectivist discourse of competence)'이라고 부르는 것의 출현은 복잡한 체계로서의 헬스케어의 본성에 대한 사회적 및 조직적 분야에서의 관심 증가를 반영한다. '집단적 역량'은 참여를 통해 지식이 구성된다고 전제하는 사회적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의존한다 (Lave and Wenger 1991). 이 초점은 의료와 같은 도제 또는 근무지-기반 학습 환경에서 특히 적절합니다. 교사도 학습자도 '무엇을 배우는지'를 완전히 통제하지 못한다. 학습은 사회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육체적, 사회적 및 조직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다.

The emergence of what I will call a ‘collectivist discourse of competence’ reflects growing attention in the social and organizational spheres to healthcare’s nature as a complex system. ‘Collective competence’ draws on social learning theory with its premise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through participation (Lave and Wenger 1991). This focus is particularly appropriate in apprenticeship or work-based learning settings like medicine, where what is ‘learned’ is not in the complete control of teacher or learner; it emerges as a consequence of the social interaction, which is shaped by the physical,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



사회적 학습 이론은 개인에 대한 지식을 수집하고, 체계화하고, 문서화하는 것을 넘어서, 집단적 환경에서 지식을 공유, 토론, 혁신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Eraut 2000; Mittendorf 외.

Social learning theories move our focus beyond capturing, codifying and documenting knowledge of individuals, and towards the ways through which knowledge is shared, discussed, and innovated in a collective setting (Eraut 2000; Mittendorf et al. 2006).


마찬가지로, 분산 인식distributed cognition은 협동 작업을 '어느 한 개인에게도 귀인하지 못하는 공동 성취'로서의 '인지적 성취'라고 개념화합니다 (Hutchins 1990). 이러한 개념은 지식이 역동적이고, 학습이 복잡하고 불확실하며, 정보와 규칙이 기술 및 임상 그룹의 사회 의식에 저장되는 임상 훈련 시대에 특히 유용합니다.

Similarly, Distributed cognition conceptualizes collaborative work as ‘‘cognitive accomplishments’’ that ‘‘can be joint accomplishments, not attributable to any individual’’ (Hutchins 1990). This concept is particularly useful in this era of clinical training in which knowledge is dynamic, learning is complex and uncertain, and information and rules are stored in technologies and in social rituals of clinical groups.


Bleakley와 Bligh가 주장 하듯, "학습은 주로 situated and distributed knowing에 대한 합법적인 접근에 관한 메타 프로세스"이다. 이는 개개인이 가진 지식저장소의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이나 지식에 접근하는 방법을 배우는보다 폭 넓고 절박한 맥락에 가치를 두는 것이다. "(Bleakley and Bligh 2007).

As Bleakley and Bligh argue, ‘‘learning is largely a meta-process concerning legitimate access to situated (contextlinked) and distributed knowing. This is not to deny the value of one’s own store of knowledge, but to place this in the wider and more pressing context of learning how to learn or how to access knowledge’’ (Bleakley and Bligh 2007).


팀 성과의 맥락에서 '역량'은 단순히 정보를 재생산하는 능력이 아니며, 공동으로 지식을 생산하는 방법을 아는 것을 포함한다. '분산된 인지'에 의해 가능해진 '조정'은 집단적 역량의 한 표현이다. 공유된 지식은 조화 된 행동을지지하는 공유 된 기대를 돕는 일의 공유 된 정신적 표현을 만들어 낸다 (Salas et al., 2007). 팀 인식team cognition의 이러한 모델은 시스템의 각 부분은 별개의 것이 아니며, 오히려 시스템의 한 부분의 변화나 약점이 다른 부분은 물론 전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결합"이라는 핵심 개념을 반영합니다.


In the context of team performance, competence includes knowing how to jointly produce knowledge, rather than simply reproduce information. The ‘‘coordination’’ made possible by distributed cognition is one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competence: shared knowledge helps produce shared mental representations of tasks, which assists shared expectations, which support coordinated actions (Salas et al. 2007). Such models of team cognition reflect the key notion of ‘‘coupling’’, the idea that parts of a system are not discrete but, rather, that their connectedness is such that a change or weakness in one part of the system affects both other par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집단적 역량'이라는 새로운 담론은 [유능한 개인으로 구성된 무능한 팀]에 대한 나의 예를 이해할 수있는 토대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여기에 사각지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집단주의에 대한 비판 가운데 하나는, 개인이 책임감으로부터 벗어나는 문제이다. 따라서, 역량을 '대체'하는 god term로서 'collective competence'을 제안하는 것이 아닙니다. 'Seeing'의 방식은,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 '선택'하고 '왜곡'한다.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진 것이고, 그 결과로 무언가가 선택되고 왜곡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나이브한 수용에 저항하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버크 (Burke)가 말했듯이, '신의 용어'는 그것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익숙해지면서, 점차 자연의 보편적이고, 불가피한, 현실의 질서를 보여주는 것에 위험이 있다.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것을 낯설게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그것을 지지하는 동기가 무엇인지 밝히고, 적응력 있고 유연한 역량 담론을 위한 공간을 열어야 한다.


The emerging discourse of collective competence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my example of an incompetent team comprised of competent individuals. It is not, however, without its own blind spots. Among the critiques of collectivism is the problem of deflected attention from individual accountability. Thus, I’m not proposing ‘collective competence’ as a replacement god term. Each way of seeing, selects and deflects . Recognizing that our cherished idea of competence is constructed, and that it consequently selects and deflects—this is the necessary first step in guarding against naı¨ve acceptance. For as Burke suggests, the danger with god terms is that, through repeated use and familiarity, they become suggestive of a natural, universal and inevitable order of reality. Teasing them apart is an exercise in making them unfamiliar, excavating the motivations that underpin them, and opening space for an adaptive and flexible discourse of competence.




 2009 Dec;14(5):625-8. doi: 10.1007/s10459-009-9206-y.

What we see and don't see when we look at 'competence': notes on a god term.

PMID:
 
19856124
 
DOI:
 
10.1007/s10459-009-9206-y
[Indexed for MEDLINE]


잠재 교육과정 분석: 문화적 그물 활용(Med Educ, 2013)

Analysing the hidden curriculum: use of a cultural web

Liz Mossop,1 Reg Dennick,2 Richard Hammond1 & Iain Robbe´3



도입

INTRODUCTION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이 어려운 이유는 단순이 프로페셔널리즘에 포함될 속성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만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학생들이 선량한 태도와 나쁜 태도의 폭 넓은 스펙트럼에 노출되어있는 환경에서 '올바른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한다. 이 환경은 상대적으로 제어 할 수없는 근무지 환경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상황을 포함한다. 프로페셔널리즘 아무리 잘 가르치더라도 잠재 교육과정인 문화 및 환경의 영향은 선의를 지닌 교사의 기여를 손상시킬 수 있다.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s challenging, not least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defining the attributes to be included in this complex skill set.2,6 An area of focus for many refers to the difficulty of teaching the ‘right thing to do’ in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exposed to a wide spectrum of behaviour and attitudes, both good and bad. This environment has several contexts, including that of the relatively uncontrollable workplace. No matter how well taught professionalism is, it is possible for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and environment – the hidden curriculum – to undermine the work of well-intentioned teachers.



잠재 교육과정

The hidden curriculum


고전적으로, 잠재 교육과정은 '조직 구조와 문화 수준에서 기능하는 일련의 영향'으로 정의됩니다.

The hidden curriculum is classically defined as ‘a set of influences that function at the level of organisational structure and culture’,8


임상 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은 그들이 새롭게 속하게 된 새로운 community of practice의 '규칙'을 배우면서 PIF 프로세스를 거친다. 프로페셔널리즘 학습의 핵심 요소로 널리 인식되어있는 이 situated learning이라는 프로세스는 종종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또래와 교사들의 태도와 행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훌륭한 전문가가되는 과정과 새로운 환경에 '들어맞기fit'기 위해 필요한 것을 배우는 과정 사이에는 갈등의 여지가 있습니다.

During clinical training, students undergo a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9 as they learn the ‘rules’ of the new community of practice they are joining.10 This process of situated learning, widely recognised as a key element of learning professionalism,11,12 is heavily influenced by the often non-overt attitudes and behaviours of peers and teachers. There is the potential for conflict between the process of becoming a good professional and that of learning what is necessary to ‘fit’ into a new environment.


그러므로 잠재 교육과정의 영향을 무시한 프로페셔널리즘의 본질이나 교육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비판을 받았다. 8,13-16 학생들은 의사가 되는 것이 진정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배우고, 의학교육 지도자는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있다 .17,18 부정적인면이 확인되면 숨겨진 커리큘럼을 변경하려고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되어왔다. 19,20 교수개발은 종종이 과정의 핵심 구성 요소로 포함된다

Theoretical discussions around the nature of professionalism or how it should be taught have therefore been criticised when the influence of the hidden curriculum is ignored.8,13–16 Students need to learn what it truly means to be a doctor and medical education leaders must be aware of the issues in the hidden curriculum influencing this process.17,18 It has been suggested that it may be necessary to attempt to change the hidden curriculum if negative aspects are identified.19,20 Faculty development is often included as a key component of this process



잠재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Compon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잠재적 영향에는 롤모델, 규칙 및 규정, 제도적 속어 사용 및 자원 할당과 같은 요소 등이 있다.

Hidden influences include elements such as role models, rules and regulations, the use of institutional slang and resource allocation.8


비즈니스 분석가는 문화적 모델을 고객의 인식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전략을 개발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하나의 특정 모델 인 문화 웹 (그림 1)은 기업의 사명과 가치를 고려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여러 가지 주제를 나타냅니다. 교육적 맥락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이 적용가능하다.

Business analysts use cultural models as a means of recognising customer perceptions and develop strategy accordingly. One particular model, the cultural web (Fig. 1),22 identifies several different themes that can be used to consider the mission and values of a company. The applicability of these elements in the educational context can easily be recognised.



잠재 교육과정 찾아내기

Identifying the hidden curriculum


잠재 교육과정의 요소는 그것을 개선해야 할 것인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평가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the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is rarely formally assessed despite the need to establish whether remediation may be necessary.


기관 내에서 숨겨진 커리큘럼을 분석하기위한 구체적인 시도가 있었지만 이를 위한 확립 된 방법론이 없으면 어렵다 .23,24

Specific attempts have been made to analyse the hidden curriculum within institutions, but without an established methodology for doing so, this is difficult.23,24


전형적인 요인에는 롤모델, 특정 사건, 비공식 학습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학생마다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해가 달라서, 그것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학생의 판단은 완전히 reliable하지 않다. 그리고 medical professionalism의 정의에 대한 전반적인 합의가 없는 한, 이것이 놀랍지는 않다.

Typical factors to emerge include role models, specific events and informal learning. However, students may not be completely reliable in their ability to identify these influences as thei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may be variable.29This is perhaps not surprising given the general lack of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6,13


민족지학 연구는 '보이지 않는'영향에 대한 가장 유효한 그림을 제시하지만, 이는 구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여러 이해 관계자로부터 체계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량적 방법과 정 성적 방법을 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 일 수 있지만, 이는 많은 기관에서 실현 불가능할 수 있으며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Ethnographic studies give the most valid picture of ‘unseen’ influences,31 but these are costly and time-consuming to implement.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that systematically collect data from multiple stakeholders is probably the most effective strategy, but this may be unfeasible for many institutions and, again, has not been validated sufficiently.19



방법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focus groups was chosen in order to establish perceptions of staff and students within the school. A total of seven groups were led by an independent researcher (staff groups) and a trained student researcher (student groups). It was hoped that the use of a student researcher and the consequent absence of an authority figure would help the student groups feel more able to contribute. Selection for the groups was carried out using a combination of stratified random and purposive sampling, and participation was voluntary. Each contributor gave individual consent and his or her anonymity was assured.


Johnson et al.’s cultural web22 was developed as a framework by which data could be collected and analysed. The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the themes in the web and the facilitators used a semistructured approach to discuss the non-overt influences within the curriculum in each category. Discussion around the potential for these factors to manipulate the development of behaviours in students was encouraged.


  •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 was undertaken using a combination of a priori themes derived from the model developed by Johnson et al.22 and emergent themes. NVivo Version 8.0 (QSR International Pty Ltd, Doncaster, Vic, Australia) was used to manage this process. 

  • Initial analysis was undertaken by two researchers until agreement was reached on the first two transcripts. 

  • Analysis was completed by a single researcher once the coding had been confirmed. 

  • An iterative process was used to draw out themes of interest and relevance to the area under study. 

  • These themes were then cross-checked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grouped together accordingly across the a priori themes.



결과

RESULTS


주제 분석

Thematic analysis




핵심 가정

Core assumptions



이것과 관련된 몇 가지 주제가 등장했으며 특히 학교 내 공동체 의식에 대한 언급이있었습니다. 직원과 학생들은 하나의 팀과 같은 분위기를 확인했습니다.

Several themes in relation to this emerged,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feeling of community within the school. Staff and students identified a team-like atmosphere:


참가자들은 신설 학교에서 예상되는 대로 환경을 혁신적이고 실험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이것의 한 요소로서 논의되었다.

Participants judged their environment as innovative and experimental, as might be expected in a new school; risk taking was discussed as an element of this:


혁신적인 커뮤니티로서의 학교를 이야기할 때,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경험했던 다른 환경과의 차이점을 확인하여 커뮤니티 주제를 강화하도록 권장하는 듯했습니다.

This discussion about the school as an innovative community seemed to encourage participant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it and other environments they had experienced, reinforcing the community theme:


특히 직원 그룹은 개인이 역할과 책임의 전통적인 경계에 구애받지 않고, 학교내에서 '무엇이든 해보세요' 태도의 존재를 확인했습니다.

The staff groups in particular identified the existence of a ‘do anything’ attitude within the school, in which individuals might ignore traditional boundaries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참가자들은 학교 내에서 열심히 일해야한다는 인식에 동의했습니다. 학생들은 전체 시간표 및 시험 일정에 대한 엄격함에 대해 논의했으며 직원들은 자신의 역할과 학생의 작업량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Participants agreed that there was an awareness within the school of the need to work hard. Students discussed the rigours of a full timetable and examination schedule, and staff commented on the workloads of both their own roles and students.


학교가 성취 한 것에 관해, 그리고 확인 된 공동체의 일원임을 언급하면서 자긍심이 나타났습니다. 학교에 소속 된 느낌은 매우 중요했으며 직원들은 student body내에서 이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A sense of pride emerged in discussions about what the school had achieved, and with reference to being a member of an identified community. The feeling of belonging to the school was very important and staff were able to recognise this within the student body:


학교의 공동체적 분위기는 이 주제에서 더 논의되었습니다. 학교는 직원들과 학생 단체들 사이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관계에서도 친절하고 편한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

The school’s community atmosphere was discussed further within this theme. The school was described as being friendly and relaxed, within both the staff and student bodies, as well as in relations between them:


교원들은 학교의 핵심 패러다임이 교육에 초점을 두고 교육을 존중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종종 연구에 지장을 준다고 표현했습니다.

Faculty staff participants expressed the belief that a core paradigm referred to a focus on, and respect for, teaching, sometimes to the detriment of research activities:


루틴

Routines


참가자들은 그들이 발견한 루틴을 논의하도록 요청 받았다. 다소 역설적이게도 떠오르는 주제는 (학생들이 극도로 엄격하게 지각 한 시간표 지정을 제외하고는) 학교 내 루틴의 부재에 관한 것이 었습니다.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scuss routines they identified . Somewhat ironically, an emerging theme concerned the lack of routine within the school, with the exception of timetabling, which was perceived by students as extremely strict:


학교 일상에 대한 비공식적인 접근 방식이 때로는 위압적으로 느껴졌으며, 학생들은 이것을 다루기 어려워했다.

An informal approach in the routine of the school was felt to prevail on occasion and represented something students struggled to manage:


처음에는 직원 중 일부가 "그냥 이름으로 부르세요."라고 말하면서 조금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나서 또 다른 직원들과 이야기 할 때 그들은 , "오, 당신은 나에게 닥터 so-and-so 또는 교수 so-and-so라고 불러야한다."라고 말했다. 이런 것들이 학교 전체에 걸쳐서 이름으로 부르든, 직위로 보르든 통일되었으면 좋겠다. 5 분마다 바뀌는 것(flip-flopping)보다 조금 더 체계적이면 좋겠다. (학생 그룹 1)

‘And it’s a bit difficult where, at the start, some members of staff will say, ‘‘Call me by my first name.’’ And then when you talk to someone else about a member of staff about them, they’re like, ‘‘Oh, you should call me Doctor so-and-so or Professor so-andso.’’ And it’s kind of – it would be nicer to have a sort of, across the whole school say, everyone will be called by their first name. Apart from in correspondence. Or everyone will be called by their full title kind of thing. Something just a bit more structured than kind of it flip-flopping every five minutes.’(Student group 1)



학교가 교육활동을 강조하는 것은 루틴과 핵심 가정 사이에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었으며, 참가자들은 이것을 루틴이 반영된 것으로 강조하였습니다. 비록 학생들이 이것이 단순한 패러다임이 아니라고 느꼈지만,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하는 일상이 논의되었습니다.

Demonstrating a degree of overlap between routines and core assumptions, the school’s emphasis on teaching activities was highlighted by some participants as reflecting its routines. Discussed within most groups was the routine of ‘work hard, play hard’, although students felt this was not a simple paradigm:



의식

Rituals


그룹은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던 의미를 가진 사건이나 활동을 언급하면서 학교 내에서 의식이 이루어 졌다고 느낀 것을 묘사하도록 요청 받았다. 학장의 연례 칵테일 파티, 직원 및 학생을위한 사교 행사는 중요한 사회 의식으로 강조되었습니다. 학생 연례 카바레, 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튜토리얼 및 학교 내 농가 방문과 같은 교육 관련 활동 인 'Land Rovers'와 같은 기타 행사도 중요한 학교 의식으로 논의되었습니다.


The groups were asked to describe what they felt constituted a ritual within the school with reference to an event or activity with meaning that had influenced themselves or others. The annual dean’s cocktail party, a social event for staff and students, was highlighted as an important social ritual. Other events, such as the annual student cabaret, the student mentoring programme, and teaching-related activities such as tutorials and visits to farms in the school, branded ‘Land Rovers’, were also discussed as important school rituals.


통제 시스템

Control systems


외부 소스를 통한 학교 통제 개념이 논의되었습니다. 학교가 중앙 대학교와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지만 여전히 특정 규정을 준수해야하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준수하고 있는 규정등이 확인되었다.

The concept of control of the school, through external sources, was discussed; an emergent theme concerned a mixture of compliance and conflict, whereby the school is able to act independently of the central university, but still must comply with certain regulations, or does comply for different reasons:


분리 된 정체성의 존재에 대한 인식 또한 통제의 주제에 속하며, 이에 대한 논의는 갈등 및 준수와 관련된 논의와 중첩됩니다. 학교 구성원들은 일반적으로 단과대학이 지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중앙 대학교와 매우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a separate identity also falls into the theme of control, discussions of which overlapped with those around conflict and compliance. Members of the school generally felt that the school was very distinct from the central university, both geographically and psychologically:


"하지만 나는 많은 메인캠퍼스가 우리가 누구 였는지 알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고, 실제로 우리 캠퍼스에 대해 정말로 듣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분명히 우리가 실제로 거기에 가지 않기 때문에, 수의사로서 우리는 수업 들으러 메인 캠퍼스에 가지 않습니다. '(학생 그룹 3)

‘But I doubt that a lot of main campus would really know like who we were, and like hadn’t really heard of our campus really. Because obviously we don’t really go there for, well us as a vet school don’t go there for lectures.’(Student group 3)


조직 구조

Organisational structure


여러 주제를 중심으로 한 학교 구조에 대한 토론. 학교 내 의사 소통은 매우 다르게 인식되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에게 의사 소통은 대체로 좋았지만, 어떤 사람들은 학교가 성장하면서 의사소통이 변화하는 양상이나, 학생들 사이에 돌아다니는 소문 등의 이슈를 언급했다.

Discussion around the structure of the school from within centred on several themes. Communication within the school was perceived very differently. Some felt that communication was generally good, whereas others were aware of changes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the school, and issues with rumours emerging within the student body:


사회적 그룹화의 문제는 다른 맥락에서 주제로 떠올랐다. 직원들은 수년간의 학생 통합에 관해 논의했으며 의사 소통과 혼합을 장려하지 않은 그룹의 등장을 언급했습니다. 학생들은 '파벌'의 맥락에서 집단을 논의했습니다.

The issue of social groupings arose as a theme in different contexts. Staff discussed student integration between years, and referred to the emergence of groups that perhaps did not encourage communication and mixing. Students discussed groups in the context of ‘cliques’:


'... 수의사 학교에는 상당히 파벌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당신이 그 그룹에 속해 있지 않다면, 당신도 알다시피, 당신은 거의 늘상 배제될 것입니다. '(학생 그룹 3)

‘...at vet school there are aspects which are quite cliquey almost, you know. And if like you’re not in that group then, you know, you don’t get involved kind of thing.’(Student group 3)



또한 루틴이라는 주제에서도 나온 것처럼, 교직원과 학생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특히 사회적 이벤트와 관련하여 이것이 어떻게 해석되었는지에 관한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Also within the theme of routines was a prominent issue referring to how staff and students interact within the school, and how this was interpreted, particularly with reference to social events:



"하지만 정말로, 사람들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 - 스태프 스포츠 데이와 같은 것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서로 축구를하거나 자전거 경주를 하는 동안 직원과 학생들 사이의 거리는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것이 학생과 교직원 관계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태프 그룹 2)

‘But I think, really, things like the student–staff sports day, which really shape the kind of community of people. There is not one big distance between staff and the students if you want to play football against each other or do bicycle racing. So I think this is really an important part of student–staff relations.’(Staff group 2)



학교 내에서 이용할 수있는 지원 조직에 대한 토론에서 주제로 등장했습니다. 직원들은 학생들이 까다로운 교육 과정을 마칠 수 있도록 막대한 지원을받을 수 있다고 느꼈고, 학생들 역시 이러한 측면을 가치있게 여기고 접근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습니다.

Support available within the school arose as a topic in discussion about organisation. Staff felt students were able to access a huge amount of support to help them complete a demanding course, and students equally valued this aspect of the culture and did not feel afraid to access it:




권력 구조

Power structures


권력의 주제는 그룹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었습니다. 누가 학교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이에 어떻게 반응했는지에 대한 의견이 다양했습니다. 직원과 학생 내 계층 구조의 존재 또는 부재에 관한 대화가있었습니다. 학교의 운영 구조는 상대적으로 '평평한' 것으로 묘사되어 친근하고 개방 된 느낌을 더했습니다.

The theme of power was discussed extensively in the groups. Opinions on who was in control of the school and how others reacted to this varied. There was dialogue regarding the presence or lack of a hierarchy within both staff and students. The management structure of the school was described as relatively ‘flat’, which added to feelings of friendliness and openness:


그러나 일부 참가자는 이것을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owever, some participants did not find this easy to manage:


평평한 구조이기 때문에, 누가 주요 관리자인지, 누구에게 가야하는지 불확실하다"(스탭 1 그룹)

because it’s such a flat structure, you’re never quite sure of okay, who is line manager there? Who do I go to?’(Staff group 1)


학생들은 또한 학교 계층에 대한 그들의 인식이 달랐습니다. 그들은 직원 - 학생 계층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것이 어떻게 행동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말했다.

Students also differed in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hierarchy. They focused on the staff–student hierarchy and how this affected behaviour:


직원 및 학생 모두 학생회의 힘과 학교 내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있는 능력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Both staff and students commented on the power of the student body and its ability to influence decisions within the school:


'학생들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일을 크게 좌우합니다. 따라서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더라도, 그것이 학생들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는 어떤 위원회로 가게 되면, 심각했던 문제가 그냥 사라져버린다. '(스태프 그룹 1)

‘To a large extent the students dictate the way things are done within the school. So even if you do put a serious point across, it then goes back to certain committees where students will have a lot of input into it and what was a serious sometimes just gets dressed – brushed under the carpet and you know, forgotten about, really.’(Staff group 1) 


그룹 간의 현저한 유사성 중 하나는 일반적인 대화에서 종종 제기 된 '수의사와 비 수의사'의 구분에 관한 것입니다. 학교와 학생들이 보기에 수의사가 더 강력한 위치에있는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두 그룹 간의 이분법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분명히 인식되었고 학생들은 또한 '수의대 학생'으로 분류되는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One of the striking similarities among the groups concerned the distinction between ‘vets and non-vets’, which was often raised within the general conversation. Vets were often described as being in a more powerful position in both the school’s and students’ eyes. The dichotomy between the two groups was clearly perceived by many and students also described the importance of being labelled a ‘vet student’:



스토리

Stories


일반적으로 그룹 토론을 통해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졌지만 롤모델링 및 학생들의 프로페셔널리즘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뚜렷한 주제가 등장했습니다.

In general, storytelling occurred throughout the group discussions, but some distinct themes emerged within these stories, often relating to role-modelling and its influence on students’ professionalism:



"좋은 예가 교수들이 하는 욕설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교수들은 거리낌없이 하고 거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른 교수들은 그것을 매우 불편해한다. 그리고 교직원이 그런 식으로 행동한다면 학생들도 그래도 되는 것인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 그리고 매우 어려운 선이 있습니다. '(학생 그룹 1)

‘I think perhaps a good example is swearing by members of staff. Some will do it quite freely in lectures. And there’s not a problem there. But other lecturers get very upset by it. And then it’s the point of if the staff member acts like that, does that allow the students to swear? Or doesn’t it? And there’s a very difficult line.’(Student group 1)


심볼

Symbols


기호는 크게 사건, 위치, 사람 및 사물과 관련된 네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습니다. 학교에서 구입 한 브랜드 의류는 많은 학생들에게 상징적 인 것으로 강조되었습니다. 학장의 '개'는 일반적으로 열정적 성격을 나타내는 직원을 대표하는 상징적 '사람'으로 묘사되었습니다.

Symbols broadly fell into four categories pertaining to events, locations, people and objects, respectively. Branded clothing, purchased from the school, was highlighted as something symbolic to many students. The dean’s dog was described as a symbolic ‘person’, representing the enthusiastic nature of the staff in general.



고찰

DISCUSSION



잠재 교육과정 해석

Interpreting the hidden curriculum


의사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는 정체성을 갖게 되면, 학생들이 졸업 후 전문직으로 근무할 때 자신이 환자나 동료 직원보다 우월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학교는 사회적 계약의 다른 측면을 강조하지 않은 채로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러한 측면을 장려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습니다. 전문가는 과도한 권한을 행사하지 않으면서, 그들이 사회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주의해야합니다 .35 이것은 잠재 교육과정으로 강화 될 수 있는 강력한 메시지이다.

The occasional superior identity of clinicians referred to in the narratives may encourage graduates entering the workplace as professionals to feel superior to their patients and co-workers. The school may be viewed as encouraging this aspect of professionalism without reinforcing the other side of the social contract.34 Professionals must take care not to overly exert their authority and to ensure that they contribute effectively to society.35 This is a strong message which should be reinforced by the hidden curriculum.


    • 대조적으로, 독립적 사고를 정당화하는 것은 자율적 전문가로 발전해야하는 학생에게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업가 정신은 자기 진료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대학에서 대학의 통제를 벗어난 행동을 승인하는 것은 반란을 승인하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습니다. 

[전문직업적 자율성]과 [조직에 의한 통제]는 학생들이 근무현장의 복잡성을 다루는 능력을 개발하는 과정이며, 미래 전문직의 삶에서 주된 주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유사한 유형의 갈등을 미리 경험해보는 것은 미래를 위한 좋은 준비일 수 있다.

By contrast, the legitimisation of independent thought ma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as they need to develop into autonomous professionals. An entrepreneurial spirit may benefit those who enter private practice. However, sanctioning actions independently of a controlling body such as the university may be interpreted as approving rebellion. The constant conflict between professional autonomy and organisational control will be a theme in students’ future professional lives as they develop the ability to negotiate the complexities of the workplace36 and thus the experience of a similar type of conflict may be seen as good preparation for the future.


잠재 교육과정 관리

Managing the hidden curriculum


영향이 확인되면 관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필요한 모든 변경은 개인, 교수 및 기관 수준에서 이루어져야합니다 .19,32


Once influences have been identified, they may need to be managed; any changes that are necessary should occur at individual, faculty and institutional levels.19,32


문화 그물의 사용

The use of the cultural web


문화적 웹은 기존에 인지 된 숨겨진 커리큘럼 요소와 몇 가지 추가 영역을 식별 할 수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정책 개발, 평가 및 평가, 자원 배분 및 제도적 속어의 사용은 Hafferty8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모두 현재 연구에서 나타났습니다.


The cultural web appears to have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previously recognised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plus several additional areas. For example, policy develop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resource allocation and the use of institutional slang are described by Hafferty8 and all emerged in the current study.


강점 약점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CONCLUSIONS







 2013 Feb;47(2):134-43. doi: 10.1111/medu.12072.

Analysing the hidden curriculum: use of a cultural web.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and Science, University of Nottingham, Nottingham, UK. liz.mossop@nottingham.ac.uk

Abstract

CONTEXT:

Major influences on learning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come from the hidden curriculum. These influences can contribute positively or negatively towards the professional enculturation of clinical students. The fact that there is no validated method for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poses problems for educators considering professional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hether a cultural web, adapted from a business context, might assist in the identification of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at a UK veterinary school.

METHODS:

A qualitative approach was used. Seven focus groups consisting of three staff groups and four student groups were organised. Questioning was framed using the cultural web, which is a model used by business owners to assess their environment and consider how it affects their employees and customers. The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sed thematically using a combination of a priori and emergent themes.

RESULTS:

The cultural web identified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for both students and staff. These included: core assumptions; routines; rituals; control systems; organisational factors; power structures, and symbols. Discussions occurred about how and where these issues may affect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CONCLUSIONS:

The cultural web framework functioned well to help participants identify elements of the hidden curriculum. These aspects aligned broadly with previously described factors such as role models and institutional slang. The influence of these issues on a student's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requires discussion amongst faculty staff,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he framework is promising for the analysis of the hidden curriculum and could be developed as an instrument for implementation in other clinical teaching environments.

PMID:
 
23323652
 
PMCID:
 
PMC3562476
 
DOI:
 
10.1111/medu.12072


통합의 해체: 교육과정 전략으로 통합의 합리적 적용을 위한 프레임워크(Acad Med, 2012)

Perspective: Deconstructing Integration: A Framework for the Rational Application of Integration as a Guiding Curricular Strategy

Ellen Goldman, EdD, and W. Scott Schroth, MD, MPH





2010 년 Academic Medicine의 2010 년 미국 및 캐나다 의과 대학의 의학 교육 보고서에서 보고 된 학교의 82 %는 통합이 커리큘럼의 핵심 특징이며 지속적인 커리큘럼 개혁을위한 계획이라고 언급했습니다.

In Academic Medicine’s 2010 compendium of medical education reports from U.S. and Canadian medical schools, 82% of reporting schools mentioned integration as a central characteristic of their curriculum and of their plans for ongoing curricular reform.4


커리큘럼 통합의 이론적 근거는 문헌에 잘 기록되어있다. 

  • 지식을 적용한 경험은 이해력을 자극하고, 그것을 체계화하며, 새로운 지식을 개발할 수있는 기반이된다 .5-8 

  • 또한 의사가 할 수 있어야 하는 추론의 유형(분석적, 경험적, 창의적)은 이해 (지식의 이해), 적용(경험), 합성 (추가 지식 개발)로 이어지는 활동을 필요로 한다.

The rationale for curricular integration is well documented in the learning literature: 

  • Experience applying knowledge motivates its comprehension, helps codify it, and serves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knowledge.5–8 

  • Further, the types of reasoning in which physicians must be able to engage— analytical, heuristic, and creative9— require a progression of activity that includes comprehension (of knowledge), application (experience), and synthesis (further knowledge development).10,11


교육에서의 통합은 "개별 요소 또는 기능의 의도적 uniting 또는 meshing"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정의됩니다.

Integration in education is most broadly defined as “any intentional uniting or meshing of discrete elements or features.”18


커리큘럼 통합의 개념이 찬사를 받았지만 문헌에는 또한 도입과 관련된 관행에 대한 비판이 포함되어있다 .9,18,19 이러한 비판은 주로 통합은 커리큘럼 개발의 전략이지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라는 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전략을 사용하기 위한 기초, 즉 달성하려는 목표가 명확해야하며, 프로그램, 코스 및 세션의 세 가지 수준에서 전략의 적용을 신중하게 실행해야합니다.

Although the concept of curricular integration has been lauded, the literature also contains criticism of the practices associated with its implementation.9,18,19 We contend that these criticisms most often arise from a failure to understand that integration is a strategy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not a goal in itself. The basis for using this strategy—that is, the goal that it is designed to achieve—should be clear, and the application of the strategy at all three levels—program, course, and session—should be carefully executed.



교육과정 통합의 일반적 어려움

General Challenges of Curricular Integration



(의학교육 바깥에서) 교육과정 통합은 "폭식을 조장하여 영양 실조 환자를 치료하는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어떤 형태로든 통합이 더 많을수록, 그 자체로 일종의 개선이라는 가정이 있습니다. 근본적인 교과 문제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없다면 교육과정 개혁은 모자람만 못한 지나침(overkill)이 될 수 있다.

Proposals for curricular integration (outside medical education) have been described as “treating undernourished persons by promoting gluttony”18—in other words, there is an assumption that more integration, in any form, is an improvement. Absent a proper diagnosis of the underlying curricular problems, it would be easy to deliver curriculum reform “overkill.”


의학 교육자들은 "학습자 중심 접근법"과 같은 과거의 교육과정 개혁 ​​노력을 비판하면서 

  • "종종 [교육의 목적 및 목표]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채택 된 전략]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교육 컨셉이 그 자체로 목적이 되어버리면, overall aim을 상실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 또한, 새로운 교육 방법 (예 : PBL)도 [그 방법의 기반이 되는 개념] 또는 [그 방법이 실제로 무엇을 달성하는지]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로 적용된다고 지적해왔다. 

  • 통합과 관련하여, 통합의 방법은 유일하지 않다고 지적되었다. 각 의과 대학은 자신의 목표, 구조 및 제약 조건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한다.9

Medical educators, in criticizing past curricular reform efforts such as shifts to learner-centered approaches, have noted that 

  • “often no clear distinction is made between the aims and objectives of educational provision and the strategies adopted for their achievement; educational concepts may become ends in themselves, and the overall aim becomes lost.”19 

  • Moreover, new methods of education (e.g., problem-based learning)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applied without a ful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they are based on or what is achieved in practice.19 

  • With respect to integration, it has been noted that there is no one way to integrate: Each medical school needs to select methods appropriate for its own goals, structure, and constraints.9


따라서 의학교육에서 통합은 맹목적으로 옹호되거나, 전반적인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이 도입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통합은 그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Thus, there is a risk that medical education integration activities may be advocated blindly and implemented at the level of delivery (classroom or clinic) without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overall purpose is desired. As a result, integration activity may fall short of its potential.




교육과정 통합의 프레임워크

An Organizing Framework for Curricular Integration


Figure 1 illustrates our proposed framework for aligning and enhancing the value of medical education integration activities.




프로그램 수준의 결정

Program-level decisions


    • 프로그램 수준의 커리큘럼 개발 결정은 의과 대학의 사명을 고려하여 시작됩니다 : 특정 교육 기관의 의학 교육의 목적. 

    • 이는 프로그램 목표를 알려주고 목표 달성 정도를 결정하기위한 측정 가능한 목표를 수립합니다. 

    • 프로그램 목표는 필수 서비스, 학제 간 교육 또는 특정 임상 기술 또는 기관에서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험과 같은 구체적인 교육 요구 사항을 알려줍니다. 

    • 또한 프로그램 목표는 프로그램 수준 통합의 근거rationale를 제공하여 통합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전략으로 만듭니다.

    • Progra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begin with considering the medical school’s mission20: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at the particular institution. 

    • This informs the program goals, which in turn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measurable objectives for determining how well the goals are being met. 

    • The program goals will inform specific educational requirements, such as mandatory servic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r particular clinical skills or experiences deemed important by the institution. 

    • Additionally, program goals provide the rationale for program-level integration, making integration a strategy to achieve the goals.


    • 하나의 프로그램 목표가 임상 팀워크에서 우수성을 육성하는 것이라면,

    • if one program goal is to foster excellence in clinical teamwork,

    • 프로그램의 주요 초점이 지역 사회 기반의 실천에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라면,

    • if a major focus of the program is to develop capabilities in community- based practice,


각 사례에서 통합의 세부 사항은 달라집니다. 두 가지 예에서 통합은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전략입니다.

In each example, the specifics of integration will be different; in both examples, integration is a strategy for achieving program goals.


프로그램 수준의 커리큘럼 의사 결정이 명확하고 교육 과정 통합이 프로그램 목표 중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선택되면, 여러 가지 결정을 내려야합니다.

Once the program-level curriculum decisions are clear, and curricular integration is selected as a strategy for achieving some of the program goals, a number of program-level integration decisions need to be made. Table 1





  • 목적 (왜?) : 달성하려는 통합은 무엇입니까?

  • 형태 (무엇?) : 어떤 요소가 통합되어야 하는가?

  • 차원 (언제?) : 통합 활동의 경계는 무엇입니까?

  • 환경 (Where?) : 통합 교육은 어떤 교육 환경에서 이루어져야합니까?

  • 일관성 (어떻게?) : 통합 활동을 통합하고 무결성을 제공하는 기본 원칙 또는 원칙은 무엇입니까?

  • Purpose(s) (Why?) : What is the integration trying to achieve?

  • Forms (What?) : Which elements are to be integrated?

  • Dimensions (When?) : What are the boundaries of the integration activity?

  • Environments (Where?) : In what teaching environments should integration take place?

  • Coherence (How?) : What underlying principle or principles unify the integration activity and provide it with integrity?




코스(과목)-수준 결정

Course-level decisions


과목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 개발 결정은 과정 목표, 내용, 순서, 평가 형식과 관련됩니다 (그림 1) .20 

    • 과정 목표는 프로그램에서 특정 과목의 역할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 또한 학생, 분야 (예 : 전문과별 역량, 시험 요구 사항), 기타 이해 관계자의 요구에 기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 활동은 교수 설계 이론(ADDIE?!)에서 "분석Analysis"이라고도 합니다. 분석에 필요한 많은 정보는 프로그램 수준의 통합 결정에서 비롯됩니다. 학생에 대한 정보(예 : 학부 전공, 과거 경험)도 필요합니다. 특정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시작 지식과 기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to be made at the course level relate to course objectives, content, and sequencing, as well as form of assessment (Figure 1).20 Course objectives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role of the course in the program and the needs of the students, the field (e.g., specialty competencies, examination requirements), and other stakeholders. This activity is referred to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s “analysis.” Much of the information needed to complete the analysis will result from the program-level integration decisions;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 body (e.g., undergraduate majors, past experiences) is also needed. Further analysis may be necessary to assess students’ starting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specific course.


과목 목표가 확인되면 내용을 결정하고, 순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과목 목표는 평가수단(예 : 테스트, 관찰)과도 조화를 이루어야합니다. 이러한 코스 수준의 커리큘럼 결정은 교육 디자인 이론에서 "디자인"이라고합니다.

Once the course objectives have been identified, the content can be specified and its order of presentation determined. The course objectives should also be aligned with assignments or other means of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have achieved them (e.g., tests, observations). Together, these course-level curriculum decisions are referred to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s “design.”



디자인 결정은 과목을 프레이밍하며 과목 수준에서 필요한 통합의 성격을 결정합니다. 그림 1에서 언급했듯이 과정 수준의 통합 결정에는 필요한 통합 유형과 교수/자원/스케줄링에 대한 관련 의미가 포함됩니다. 필요한 통합의 본질을 결정하는 유용한 방법은 Harden 1의 "통합 사다리"(표 2에 요약 됨)에 설명 된 연속체를 따라 과목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The design decisions frame the course and determine the nature of integration required at the course level. As noted in Figure 1, course- level integration decisions include the types of integration needed and the associated implications for faculty, resources, and scheduling. A useful way of determining the nature of integration required is to locate the course along the continuum depicted in Harden’s1 “integration ladder” (summarized in Table 2).


코스 디렉터가 직면하는 질문은 이것이다 "과목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유형의 통합이 필요합니까?"

The question facing course directors is, “What type of integration is needed to achieve the course objectives?”


카네기 재단 보고서에서 "의대에서 더 많은 임상 경험을 병합하는"일반적인 권고안을 고려하십시오 .3이 목표는 연속체를 따라 다양한 지점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달성 될 수 있습니다 (표 2).

Consider the general recommendation in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to “incorporat[e] more clinical experiences earlier in medical school.”3 This objective can be achieved in many ways at different points along the continuum (Table 2).


    • 예를 들어, Gross Anatomy와 같은 기초과학 과정은 과정에서 임상 데모 또는 생존 환자 조우를 "nest"할 수 있습니다. 

    • 또는, 그러한 과목이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대신, "다학제적" 사례 기반 방식으로 교육 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신체 시스템에 대한 과목에서 다뤄지거나, 

      • "doctoring" 과목의 초기 임상 경험에서 다뤄질 수도 있다. 

이 두 가지 예는 코스 수준 분석이 코스 수준 통합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줍니다.

For example, a basic science course like Gross Anatomy could “nest” clinical demonstrations or live patient encounters in the course. Alternatively, the course could cease to exist in stand-alone form; instead, the material could be taught in a “multidisciplinary,” case-based manner across courses on different body systems or in conjunction with early clinical experiences in a “doctoring” course. These two examples illustrate how course-level analysis will affect course-level integration decisions.




    • 많은 수의 의대 학생들이 해부학 원리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 없다고 판단되면 "nesting"또는 "complementary" 통합을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 If the analysis determines that a large number of the medical school’s students do not have adequate preparation in the principles of anatomy, then “nesting” or “complementary” integration would make sense.


    • 앞서 결정한 프로그램-수준 통합 결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커리큘럼이 (커리큘럼 통합의 기본 원리로서) 장기 시스템에 의해 조직되어야한다고 결정되었고, 분석 결과 학생들은 해부학 원칙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되어 있다면, Multidisciplinary 통합 접근법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 Previous program-level integration decisions are also influential: If it has been decid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by organ systems (as the underlying principle of curricular integration), and analysis indicates that students have adequate preparation in the principles of anatomy, then a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approach may be appropriate.


카네기 재단 보고서에서 "의과 대학 후반부에 지식 구축을위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지적한 목표의 충족도 여러면에서 달성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총 해부학 교수진과의 세션은 학생들이 지식을 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임상실습 안에 "nested"될 수 있습니다. 외과적 개입을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합성하는 것과 같이 학생들의 고차원 적 사고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면, multidisciplinary 접근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Meeting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knowledge building later in medical school”3 may also be achieved in many ways. For example, sessions with Gross Anatomy faculty could be “nested” into clerkships to help students apply knowledge. If the aim is to develop students’ higher-level thinking, such as synthesizing information to identify surgical intervention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may be appropriate.


어떤 수준의 통합을 이루려고 하는지는, 특히 그 통합이 사다리에서 높은 위치에 있을 때는, 과목 delivery에도 여러 collateral implication을 줄 수 있다.

    • 첫째, 과목이 통합 수준을 높이게 되면, 중앙 집중식 과정 설계와 전반적인 교육과정 계획을 위하여 더 많은 교수 시간이 요구됩니다.

    • 둘째, 모든 교수진이 전통적 전문 분야 이외의 융합 과정에서 팀 교육이나 교수법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교수진의 채용 및 교수개발과 관련된 교육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수준의 전략을 결정하지 못하면, 교수들의 노력과 교육과정의 일관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부적절한 과목-수준의 전략이 채택 될 수 있습니다.

    • 또한, 과목 수준에서의 조정되지 않은 통합 전략은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통합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커리큘럼 개발 결정을 내린 다음 각 단계에서 통합 결정을 내리면 통합의 "다다익선" 실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The level of course integration targeted, particularly if it is one of the higher levels on the continuum, may have important collateral implications for course delivery.18 

    • First, as courses move to increasing levels of integration, more faculty time is required both for centralized course design and overall curriculum planning. 

    • Second, not all faculty may be comfortable with team teaching or teaching in fused courses outside their traditional areas of expertise. These issues may increase the costs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cruitment and development of faculty who must take on new roles. In addition, failing to determine program-level strategies first may lead to the adoption of an inappropriate course- level strategy with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faculty effort and curricular coherence. 

    • Further, uncoordinated integration strategies at the course level may lead to more integration than is necessary to achieve program goals. As the examples above demonstrate, first mak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and then the integration decisions at each level may help avoid the “more is better” phenomenon.


앞서 말한 단계들이 항상 선형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특히 과목 레벨에서는 의사 결정의 상호 작용이있을 수 있습니다. 즉, 통합 연속체에 대한 코스의 적절한 위치를 논의하면 내용 및 순서 결정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프로그램 수준에서 내려진 결정을 바꿔서는 안됩니. 그렇게 되면 과목이 교육과정을 좌지우지하게되며, 효과적인 교육과정 oversight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강사와의 충분한 심의 및 토론 시간을 통해 프로그램 수준의 커리큘럼 개발 및 통합 수준 결정을 통해 과목 수준의 의사 결정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We noted earlier that these steps may not always be linear. Particularly at the course level, there may be interplay of the decision making; that is, discussing the appropriate placement of the course on the integration continuum may result in changes to the content and sequencing decisions. Such discussions should not, however, change decisions that have been made at the program level: That would allow courses to drive the program and indicate a lack of effective curricular oversight.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oting ample deliberation and discussion time with faculty to ensure that they clearly understand the progra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tegration decisions driving course-level decisions.




수업 수준 결정

Session-level decisions


세션 수준 코스 개발 ​​결정은 목표, 내용, 순서, 전략 (교수 방법, 형식 및 자료) (그림 1)과 관련이 있습니다 .20 이러한 측면을 교수 설계 이론에서 "개발Development"이라고 부릅니다. 교수진은 이 단계에서 거의 무한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Session-level course development decisions relate to objectives, content, sequencing, and strategies (teaching methods, formats, and materials) (Figure 1).20 These aspects are referred to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s “development.” Faculty have almost endless options in this stage of course development.


"올바른"교수 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세션의 목표에 기초해야합니다. 교수가 대답해야하는 질문은 "세션이 끝나면 학생들이 무엇을 알기를 원하거나 할 수 있는가?"21,22

Selecting the “right” teaching strategies should be based on the session’s objectives. The question that faculty must answer is, “What do we want the students to know or be able to do at the conclusion of the session?”21,22


Carnegie Foundation 보고서는 "의학 교육의 연속체에서 형식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3 학습 관점에서 볼 때 교수진은 통합을위한 "판"을 깔아줄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학생 자신이 지식과 경험을 통합해야합니다. Benor9는 차이점을 설명했습니다.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recommends “strengthening connections between formal and experiential knowledge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3 From a learning standpoint, although faculty can “set the table” for integration, the learner ultimately needs to integrate his or her own knowledge and experience. Benor9 described the difference:


      • 어떤 교육과정은 여러 학문분야가 동시에 제시되며, 그 분야들간의 상호 연결을 보여주지만, 학생에게 transfer을 요구하지 않는다. 

      • 한편으로는 학생에게 한 학문분야가 다른 학문분야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고, 공통점은 무엇인지를 학생이 일반화하고 찾아내도록 하는 교육과정이 있다. 

이 두 가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 전자는 교육과정 기획자, 즉 매크로 수준에서 통합을 보여줍니다. 

      • 후자는 학습자, 미시적 수준의 통합이다.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a curriculum in which many disciplines are represented simultaneously, reflecting many interconnections among them but not requiring the student to achieve any transfer, and a curriculum in which the student is required to generalize,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to draw conclusions applicable to other disciplines…. The former type of curriculum demonstrates integration on the part of the planner, at the macro- level; the latter, on the learner’s at the micro-level.



개개인의 학습자의 인지 처리 차원은 블룸의 목표 분류의 마지막 두 단계 인 "합성"과 "평가"에서 발생합니다. 10,11 이러한 두 단계를 목표로하는 교수법에는 문제, 사례, 시뮬레이션, 프로젝트의 사용이 포함됩니다 , 연습 및 비평. 반대로 강의, 비디오, 예제, 역할 연기 및 데모를 통해 낮은 수준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습니다.

The individual’s learner’s cognitive processing dimensions related to integration occur at the final two levels of Bloom’s taxonomy of objectives: “synthesis” and “evaluation.”10,11 

    • Teaching methods that target these two levels include the use of problems, cases, simulations, projects, exercises, and critiques. 

    • (In contrast, lower-level objectives can be achieved through lectures, videos, examples, role-play, and demonstrations.)


표 3에서는 학습자가 자료를 통합 할 수 있도록 성인 학습 관점에서 고안된 세션 활동의 개요를 제공합니다 .5-8, 17,20-22

In Table 3, we provide an outline of session activities that are designed from an adult learning standpoint to help the learner integrate material.5–8,17,20–22


학생이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관련 어휘와 용어에 익숙해야하며, 내용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합니다 .9 이것은 블룸의 목표 분류법에서 "합성"이 위치한 곳과 일치합니다. 또한 Session synthesis는 참여와 성찰에 의해 촉진된다 .6,7,21,22 학생들은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적인 훈련과 실습을 필요로 할 수 있나, 교수진은 그렇게하도록 돕기 위해 수많은 기술을 사용할 수있다 .21,22 우리 경험에 따르면 공유 된 참여 활동shared engagement activity (소그룹 활동)는 다음처럼 할 때 효과적이다.

    • 학생들에게 그룹이 사용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 대답해야 할 명확한 질문이있는 구조화 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 모든 그룹 구성원 (타임키퍼나 보고자 포함)에 대한 역할 할당

    • 완료된 작업을 전략적으로 활용합니다 (예 :보고 할 때 반복 줄이기, 교수에 의한 주요 내용 요약).

Students’ ability to integrate knowledge and experience requires that they be familiar with relevant vocabulary and terminology and have some level of knowledge of the content.9 This is consistent with where “synthesis” occurs on the taxonomy of objectives.10,11 Session synthesis is also fueled by shared engagement and reflection.6,7,21,22 Students may require additional training and practice to develop these skills, however, and faculty can employ numerous techniques to help them do so.21,22 In our own experience, we have found that shared engagement activities (i.e., small-group work) are effective when we 

    • explain to students why groups are being used, 

    • provide a structured approach with clear questions to be answered, 

    • assign roles for all group members (including someone to keep time and someone to report out), and 

    • make strategic use of the work completed (e.g., limited repetition when reporting out, faculty summarization of critical points). 


우리는 수업 세션 전후에 특정 질문을 할 때 학생들의 성찰 능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학생들은 코스 웹 사이트에 게시된 서면 성찰으로 응답해야합니다. 교수진은 이러한 게시물에 대한 graded 피드백과 함께 추가 성찰을 위한 코멘트를 줄 수 있다.

We have found that students’ reflective abilities increase when we pose specific questions either before or after class sessions, to which students must respond with a written reflection posted on the course Web site. Faculty provide graded feedback on these posts along with comments to foster additional reflection.



준비

Preparation


학습자에게 필요한 배경 정보 제공

• 앞으로 올 일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십시오.

Give the learner needed background information 

• Set expectations for what is to come


사전에 독서 과제, 질문 또는 문제를 할당하십시오.

• 세션 진행 방법을 명확하게 기술하십시오.

Assign readings, questions, or problems in advance 

• Describe clearly how session will run


연결짓기

Linking


• 두뇌 자극 : 이미 학습자와 경험 한 학습자를 연결하십시오.

• Stimulate the brain: Connect to what the learner already and/or has experienced


• 이전 세션 및 / 또는 다른 과목에서 세부 사항 회상

• 최근 경험에 대한 질문

• Reference/recall specifics from prior session and/or other coursework 

• Query about recent experiences



참여

Engagement



• Excite : 관련성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를 연결시킵니다.

• 자료 및 학습 지침 제시

• 참여 : 학습자가 자료를 사용하여 사전 지식 및 경험과 통합시킵니다.

• 인식 증진 : 학습자가 자신이 얻은 것을 깨닫도록 도와줍니다.

• Excite: Hook the learner by showing the relevance 

• Present material and learning guidance 

• Engage: Have the learner use the material to integrate it with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 Foster awareness: Help the learner realize what he or she has gained


• 놀랄만한 통계, 환자 이야기 등을 후크로 사용하십시오.

• 사례, 문제, 프로젝트 등을 제시하고 원하는 사고 / 행동을 제시하십시오.

• 문제를 해결하고 계획을 세우며 응답을 작성하기 위해 개인, 쌍 또는 소그룹을 할당하십시오.

• 반성과 토론의 기회를 제공한다. 피드백

• Use alarming statistics, a story of a patient, etc., as a hook

• Present a case, problem, project, etc., and the thought/action desired 

• Assign individuals, pairs, or small groups to solve a problem, develop a plan, formulate a response, etc. 

• Provide opportunity for reflection and discussion; feedback


전이

Transfer


• 새로운 학습의 유지 강화

• Enhance retention of new learning


• 향후 검색을위한 단서 및 전략 제공

• 다음 세션 설명

• Provide cues and strategies for future retrieval 

• Describe next session



권고와 결론

Recommendations and Conclusions


커리큘럼 개발 전략으로 통합을 구현하려면 교수진과 학생, 그리고 종종 추가 리소스가 필요함은 명백하다. 교수 및 학생은 새로운 교수 및 학습 방법의 도입 초기에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교수진은 협업적 형식이나보다 능동적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가르 칠 준비가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과목 재설계 과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경험적 학습 활동을 개념화하고 코드화하는 것보다 강의를 하는 것이 훨씬 더 쉬울 수 있습니다. 

  • 어떤 학생들은 능동적 학습에서 스스로 공부해야 한다거나 그룹으로 공부해야 한다는 것에 분개할 수 있다. 이들은 교수에게 지식을 전수 받도록 "돈을 낸"것으로 인식합니다. 

  • 이를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 및 그룹 학습의 방법과 가치에 관한 추가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또한 교실 및 실험실과 같은 시설은 그룹 작업을보다 잘 수용 할 수 있도록 다시 설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일정을 변경하고 적절한 시설을 찾고 평가 메커니즘을 수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있는 관리 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Clearly, implementing integration as a curriculum development strategy requires considerable effort on the part of both faculty and students and, frequently, additional resources. Faculty and students may experience initial discomfort when new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are introduced. 

  • Faculty may not be prepared to teach using collaborative formats or more active learning methods. 

  • Redesigning courses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energy; it is far easier to deliver a lecture than it is to conceptualize and codevelop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 Students for whom active learning is a new experience may resent learning on their own and in groups with others, perceiving that they have “paid” for learned faculty to impart knowledge to them. 

  • This may require additional material to be developed regarding the methods and value of self-directed and group learning. 

  • Further, facilities, such as classrooms and laboratories, may need to be redesigned to better accommodate group work. 

  • Addit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may be needed to help change scheduling, locate appropriate facilities, and modify evaluation mechanisms.



동시에 통합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면 많은 잠재적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교수진은 연구 및 출판 기회로 이어지는 새로운 협력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팀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을 향상시키고 코스 리더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더 많이 가르치는 것을 즐긴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 학생들, 특히 멀티 태스킹 밀레니엄 세대의 학생들은 수업 시간을 좀 더 즐길 수 있으며, 배우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으로되기 때문에 앞으로 점차 도움이 될 기술들을 습득하게됩니다. 

  • 궁극적으로, 의과대학을 졸업 한 의사가보다 고도로 발달 된 분석적, 경험적 및 창조적 사고 기술을 활용한다면 환자와 지역 사회가 도움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은 [통합을 하나의 전략으로 삼고,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의 일부로서 채택되고 시행되는 교수 설계의 사용한다면] 교수들이 도움을 줄 수 있다.



At the same time, adopting a systematic approach to integration offers many potential benefits. 

  • Faculty may enter into new collaborations that lead to research and publishing opportunities. These collaborations may enhanc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team teachers and offer new opportunities for course leadership. They may also discover they enjoy teaching more. 

  • Students, particularly those of the multitasking millennial generation, are likely to enjoy class sessions more and, by becoming more self-directed in their learning, gain a skill that will serve them well for the rest of their careers. 

  • Ultimately, patients and communities will benefit from physicians who graduate from medical school with more highly developed analytic, heuristic, and creative thinking skills—skills that faculty helped them develop through the use of instructional design adopted and implemented as part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urricular reform that used integration as a strategy.



11 Krathwohl DR.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2002;41:212–218.









 2012 Jun;87(6):729-34. doi: 10.1097/ACM.0b013e318253cad4.

Perspectivedeconstructing integration: a framework for the rational application of integration as a guiding curricular strategy.

Author information

1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Washington, DC 20037, USA.

Abstract

In response to historical criticism, evolving accreditation standards, and recent reports on curricula, medical educators and medical schools have been eagerly pursuing integration as a goal of curricular reform. The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broadly considers integration to be the deliberate unification of separate areas of knowledge, and it provides support for the concept that integration better meets the needs of adult learners in professional education. The use of integration as a curricular goal is not without its critics, however, nor is it free of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s propose that most of these difficulties arise from a failure to recognize that integration is a strategy for curricular development rather than a goal in itself, and they argue that adopting a systematic approach to integration offers many potential benefits. They articulate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issues that they believe are critical to consider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curricular integration, and they suggest that integration should be approached as a subset of broader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They propose a three-level framework for applying integration as a guiding curricular strategy, in which decisions about integration must follow curricular decisions made at the program level, the course level, and then the individual session level.

PMID:
 
22534596
 
DOI:
 
10.1097/ACM.0b013e318253cad4


교육과정보다 Cognition을: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통합 다시 생각하기(Acad Med, 2013)

Cognition Before Curriculum: Rethinking th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Learning

Kulamakan Mahan Kulasegaram, Maria Athina Martimianakis, PhD,

Maria Mylopoulos, PhD, Cynthia R. Whitehead, MD, PhD, and Nicole N. Woods, PhD





플렉스 너 보고서 (Flexner Report, 1910)는 기본 과학 교육을 의학 교육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규정했기 때문에 임상 기술 교육을 기본 과학 교육에 통합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2

incorporating the teaching of basic sciences with clinical skills training has been a concern since the Flexner Report (1910) characterized basic science training as a crucial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2


이 2 + 2 커리큘럼 형식이 거의 유비쿼터스 방식으로 도입되자마자 의학교육자는 두 가지 지식 영역을 통합하지 못했음을 관찰했습니다

Soon after the nearly ubiquitous adoption of this 2+2 curriculum format, medical educators observed that it failed to integrate both knowledge domains


최근의 주요 교육 보고서는 통합을 의학교육의 전략적 우선 순위로 설명하고 있으며, 통합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고 제안했다.

Recent major education reports outline integration as a strategic priority for medical education,13,14 suggesting that integration is not a solved problem.


우리는 의학 교육자들이 프로그램, 코스 및 세션 수준에서 기초 및 임상 과학을 어떻게 통합했는지 설명하기 위해 확립 된 분석 프레임 워크를 사용합니다.

we use an established analysis framework15 to describe how medical educators have integrated basic and clinical science at the levels of programs, courses, and sessions.





방법

Method


Our primary analysis focused on literature published in the last 30 years (1982–2012) that articulated learning rationales, interventions, designs, and methods for achieving integration.16


We organized our selected articles using the framework proposed by Goldman and Schroth (2012).15 This framework examines integration as a strategy for achieving curriculum goals at three levels: program, course, and session. 

  • 프로그램: We define program as the superstructure of the curriculum that organizes all the formal education activities

  • 코스: A course is a discrete component within the program focusing on specific units of knowledge, and 

  • 세션: a session encompasses the specific, day-to-day activities relevant to teaching a portion of a unit of knowledge

The framework purport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focuses both on 

  • 매크로 수준: 로지스틱 문제, 조직적 문제
    the macro level (logistical or organizational concerns) as well as on 

  • 마이크로 수준: 학습의 인지적 측면과 같은 교육적 문제
    the micro level (educational concerns such as the cognitive aspects of learning).



결론

Results


프로그램 수준의 통합

Integration at the program level


프로그램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구조, 즉 공식 커리큘럼 계획입니다 .15이 수준에서 통합을 계획하는 두 가지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수평 적 통합과 수직 적 통합입니다 .20,21

The program is the structure within which education occurs—that is, the formal curriculum plan.15 Two very common methods of planning for integration at this level are horizontal integration and vertical integration.20,21 


    • 수평 통합은 교육 프로그램 내에서, 병리학 및 약리학과 같은 다양한 내용 영역에 걸쳐 개념 학습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수직 통합은 여러 학문 분야 또는 지식 간의 연결입니다. 수직 통합은 종종 기초 과학 및 임상 과학의 통합과 동의어입니다 .21,22

    • Horizontal integration refers to connecting the learning of concepts across different content areas, such as pathology and pharmacology, within a program of study.21

    • Vertical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is th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or bodies of knowledge. Vertical integration is often a synonym for the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21,22


또 다른 유형의 프로그램 통합은 종단적 통합 또는 전체 의과대학 교육과정 통합으로서, 점차 인기를 얻고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기존의 2 + 2 접근 방식의 한계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의 통합에는 초기의 기초 과학 지식을 경험적 임상 학습과 연결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커리큘럼의 다른 영역도 종단적으로 통합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인기있는 접근 방법은 임상실습 중 여러 전공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Another type of program-level integration, longitudinal integration or the integration of the entire medical school curriculum, is gaining increasing traction, partly in response to the limitations of the 2+2 approach for training medical students. This type of integration involves connecting early factual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experiential clinical learning. Other areas of the curriculum can be longitudinally integrated as well; for example, one popular approach is integrating different specialties during clerkship.


프로그램 통합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 중 하나는 학생들이 임상 학습 시기에 기초의학을 revisit하는 것입니다 .25 이러한 back-to-basic sciences 모델은 임상 상황에서 학습이 이루어질 때 기초과학 개념을 reintroduce합니다 .26,27이 접근법은 임상 문제 해결에서의 기초 과학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26

One innovative approach to program integration is to revisit basic sciences as students progress into clinical learning.25 The back-to-basic-sciences clerkship model reintroduces basic science concepts when learning takes place in clinical situations.26,27 This approach aims to increase the use of basic science in clinical problem solving.26


그러나이 전략이 보편적으로 성공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약간의 의심이 있다. 

    • 첫째, 지식을 한 맥락에서 다른 맥락으로 이전transfer하는 것은 거의 보편적으로 쉽지 않다.

    • 둘째, 3~4학년 학생들은 임상 추론을 위한 더 advance된 스키마를 형성하고 있고, 기초 과학의 관련성에 대해 감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Training의 초기에 기초 과학의 맥락에서 경험적 학습을 구현하는 것이 더 유용 할 수도있다.

    • 또한, 임상 학습의 폭 넓은 요구를 감안할 때, 기초 과학을 review하는 것을 학생들은 추가적 부담으로만 인식 할 수 있습니다.

However, there is reason to doubt that this strategy will be universally successful. 

    • First, transfer of knowledge from one context to another is almost ubiquitously poor.29–31 

    • Second, students in later stages of training are forming advanced schemas for clinical reasoning32 and may not appreciate the relevance of basic science; it may prove more useful to implement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context of basic science earlier in training.33 

    • Further, given the extensive demands of clinical learning, students may perceive the review of basic science as additional cognitive load.34


통합에 대한 또 다른 공통적 인 접근법은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기초의학적 내용을 제공하거나 37-40, 기초의학 수업과 임상 교육 간의 근접성proximity을 높이는 것입니다. 앞서 말한 기본 과학을 revisit하는 것과 유사하게, 후자는 반복을 통해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transfer할 것을 기본 전략으로 삼고 있다. 종종 교육 내용의 Proximity와 함께 교수인력의 재배치가 따라오곤 한다. 몇몇 연구는 커리큘럼 초기에 개념을 가르치기 위해 임상 교수를 배치하려고 시도하거나, 임상 상황에서 기초과학자를 초청하여 가르치려는 노력 등을 보여주었다.

Another common approach to integration is to provide either more basic science throughout the curriculum37–40 and/or to increase the proximity between basic science teaching and clinical teaching. The latter is often the default strategy that, like revisiting the basic sciences (described above), relies on the spontaneous transfer of knowledge by the learners by virtue of repetition.41 Often coupled with proximity is the redeployment of teaching personnel. Several studies42,43 have outlined attempts to employ clinical faculty to teach concepts early in the curriculum and/or efforts to invite basic scientists to teach or present in clinical settings.


반복적으로 활용되는 프로그램 수준 전략은 전통적인 또는 하이브리드 PBL 커리큘럼을 채택하는 것입니다. 몇몇 연구에서는 기초 과학과 임상 교육을 통합하는 수단으로 PBL을 기술하고있다 .45-50 PBL은 언뜻보기에는 통합을 위한 직관적 인 플랫폼이 될 수있다 .51,52 학습자는 실제 문제의 지식을 추출하여, 어떻게 기초의학과 임상표현이 관련되는지 맥락적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는 PBL 기반 커리큘럼의 내용, 설정, 교사의 다양성 등이 학교마다 다양하다는 것이고, 그것들이 모두 학습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PBL을 통해 훈련받은 학생들이 반드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얻지는 못했지만, systemic review의 결과는 학습성과가 전통적인 교과 과정과 대등함을 시사한다 .55,56

A recurrent program-level strategy is to adopt a traditional or hybrid problem- based learning (PBL) curriculum. Several studies describe PBL as a means of integrat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ing.45–50 At first glance, PBL may be an intuitive platform for integration.51,52 Learners extract knowledge from real-world problems, allowing a contextualized demonstration of how basic sciences and clinical presentations relate to one another. PBL-based curricula are, however, delive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53 with variationsin content, setting, and tutors54—all of which affect learning outcomes. Although students trained through PBL do not necessarily gain less basic science knowledge,48 systematic reviews of knowledge outcomes in PBL curricula suggest that the results are equivalent to traditional curricula.55,56 


이러한 발견은 통합에서 중요한 것은 프로그램의 전달 방법(즉, PBL)이 아니라, 오히려 그 내용임을 암시합니다. 또 다른 유사한 커리큘럼 평가에서도 전달방식이 아니라 교육 내용과 평가가 통합의 결정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se findings hint that integration is not specifically tied to the delivery method of the program (i.e., PBL) but, rather, to the content. Another similar curriculum evaluation also suggests that content and assessment, not delivery, are the deciding factors for integration.58


전반적으로 이러한 혼동은 모든 프로그램 수준 전략 평가의 한계점이다. 학습 결과는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아 프로그램 간의 차이에 대한 이유를 평가하기가 어렵다. 또한 기초과학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단계를 불완전하게 기술한 경우가 많고, 평가는 실제 학습이나 실제 변화보다는 학습자 만족도 또는 태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5-37,42-47 프로그램 수준의 연구가 비교 방식으로 적절한 통제군을 가지고 지식이나 기술을 평가한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통제군을 사용했더라도, 대게 기초 과학 지식을 측정한 경우가 많으며, 26-28 그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가 얼마나 임상 이론에 기초 과학 개념을 적용 할 수 있게 되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거의 제공하지 못한다.

Overall, this confounding is a limitation of evaluating any program-level strategies: learning outcomes are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making it difficult to assess the reasons for differences between programs.59,60 Furthermore, the literature incompletely describes the specific steps taken to integrate basic sciences, and evaluation attempts often measure learner satisfaction or attitudes rather than actual learning or changes in practice.35–37,42–47 Program-level research can rarely evaluate knowledge or skills in a comparative fashion and with appropriate controls. When such evaluations do occur, they often measure factual basic science knowledge,26–28 and their findings offer little insight into a learner’s capacity to apply basic science concepts to clinical reasoning.61




코스 수준의 통합

Integration at the course level



우리는 두 가지 공통적 인 방법에 중점을 둡니다 : 기초의학 교육의 맥락화 공유 교육.

We focus on two common methods: contextualization of basic science concept teaching62,63 and shared teaching.64


맥락화는 임상 상황에서 기본 과학 원리 또는 개념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 : Laplace의 법칙은 폐의 유체 흐름을 나타냄). 

    • 맥락화된 교육은 임상 강의 또는 PBL 사례에서 기본 과학 개념의 예를 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초과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는 모의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 될 수 있습니다 .38,41,65,66 

    • 맥락화의 한 가지 방법인 사례기반교육환자 관리의 맥락에서 기초 과학 및 임상 개념을 가르치며, 지식에보다 실용적이고 적용된 설정을 제공합니다 .40,65

Contextualization is demonstrating the applicability of a basic science principle or concept in a clinical situation (e.g., Laplace’s law describes fluid flow in the lungs). 

    • Contextualized teaching can be accomplished in multiple ways, including presenting examples of basic science concepts during clinical lectures or PBL cases, as well as simulated cases demonstrating how basic science is applied.38,41,65,66 

    • One such approach to contextualization, case-based teaching,66–70 involves teach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concepts in the context of patient management, which provides a more practical, applied setting for knowledge.40,65


거의 틀림없이, 학습 원리에 따르면 기초과학 정보를 맥락화하는 것을 지지한다. 기초과학 정보를 맥락화함으로써 개념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개념을 추상적으로 가르치기보다는 임상 지식에 적용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임상 적용은 학습자와 더 관련이 있으며 참여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맥락화는 임상 영역을 단지 기초 과학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여러 맥락 중 하나로 만들 수도 있다. 특정 과학적 개념이 임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얼마나 유용한지를 설명하는 대신, 임상 문제는 실제로 행해지는 개념의 demonstration이 됩니다.

Arguably, learning principles support contextualizing basic science information as doing so provides a concrete exemplar of the basic science concept.52 The concept is not an abstraction but, rather, demonstrably applicable to clinical knowledge. In addition, the clinical application is more relevant for the learners and likely more engaging.68,69 However, contextualization may also make the clinical realm simply another context among others in which basic science principles can be applied. Instead of illustrating how a particular scientific concept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linical problem, the clinical problem becomes a demonstration of the concept in action.


이것(맥락화)이 기초 과학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인 전략 임에도 불구하고, 목표가 임상적 개념에 대한 이해라면 학생을 misdirect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체 흐름의 원리가 의학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묘사하기 위해서 천식의 맥락에서 유체 흐름의 원리를 제시 할 수 있습니다. 이 접근법은 천식의 임상적 측면을 이해하기 전에, 유체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학습자는 유체 흐름의 원리를 아는 것이 왜 특히 천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지는 모른 채로 기초 과학에 노출됩니다. 기대와는 달리, 학습자는 이 개념을 임상 문제와 연관짓지 않고서도 과학적 원리를 잘 이해할 수 있다.31 PBL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성과를 보여주었는데, (PBL에서) 학습자들은 임상 문제 해결시에 기초 과학에 대한 명확한 언급을 더 많이 했지만, non-PBL 통제군과 비교했을 때, 더 많은 개념적 오류를 저질렀다.

Although this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teaching basic science,52 it can be misdirected if the goal is to develop students’ understanding of clinical concepts. For example, the principles of fluid flow can be presented in the context of asthma in order to illustrate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to medicine. This approach places the emphasis on understanding fluid flow prior to understanding the clinical aspects of disorders. Learners are exposed to the basic science without the benefit of understanding why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asthma. Contrary to expectation, learners may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cience without adequately relating the concept to clinical problems.31 Early studies of PBL notably showed this unintended outcome in that learners made more explicit references to basic science when solving clinical problems but also made more conceptual errors compared with non-PBL controls.85,86


인사 기반personnel-based 접근 방식은 공유 교육 모델입니다. 공유 교육 과정은 여러 교육 세션에 걸쳐, 기본 과학자와 임상의가 함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코스를 가르치도록 배치합니다.

A personnel-based approach is the shared teaching model. Shared course teaching places basic scientists and clinicians together to teach a course either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cross learning sessions.


맥락적 요소는이 접근법의 성공 또는 실패에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요소에는 ..

    • 교사들의 시너지,

    • 커버되는 내용의 깊이,

    • 모든 배경의 교사로부터의 초기 buy-in (또는 그 부족) 및

    • 기초 과학자와 임상의 간의 exchange의 질.


contextual factors w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is approach. These factors include 

    • the synergy of the teachers, 

    • the depth of content covered, 

    • early buy-in (or lack thereof) from teachers of all backgrounds, and 

    • the quality of the exchange between basic scientists and clinicians.


유 교육에 대한 저항이 가장 적은 방식은 통합에 영향을 가장 작게 줄 기초 과학 및 임상 콘텐츠의 순차적 전달입니다. 교사들이 지식을 연결하는 데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한다면, 공유 교육은 전통적인 2 + 2 공식을 미니어처 반영로 devolve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해결이 어려울 수 있는데, 기초과학자와 임상 교수진이 기초과학이 얼마나 많이 가르쳐 져야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며, 학생들은 기초교수보다 임상교수에게 더 높은 가치를 둔다는 근거들 때문이다 (92).

The path of least resistance for shared teaching is sequential delivery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content that likely has minimal effect on integration. We believe that if teachers pay inadequate attention to linking knowledge, then shared teaching runs the risk of devolving into a miniature reflection of the traditional 2+2 formula. These challenges may prove difficult to surmount because basic scientists and clinical faculty may disagree on how much basic science should be taught92 and given the evidence (in teaching evaluations)93 suggesting that students may value clinical instructors more highly than basic scientists.


이론적으로 학습자가 보다 통제 된 환경에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수준의 결과를 평가하는 것보다 과정의 수준에서 통합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쉬워야합니다. 그러나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통합 및 비 통합 과정을 비교하는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In theory,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at the level of course should be easier than assessing program-level outcomes, as the learners are in a more controlled environment. However, as with programs, studies comparing integrated and nonintegrated courses are rare.



세션 수준의 통합

Integration at the session level


많은 세션 - 수준의 증거는 무작위 통제 시험이나 교육 개입의 시뮬레이션과 같이 고도로 통제 된 연구에서 유래한다.

Much of session-level evidence derives from highly controlled studie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r simulations of education interventions.


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한 가지 기술은 인과 관계 네트워크causal network에서 기초 및 임상 과학을 제시하는 것이다. 일련의 실험적 연구는 교과서로 질병의 징후와 증상을 가르친 학생들에 비해, 병리학 적으로 통합 된 설명을받은 학생들이 어려운 임상 사례 (vignettes에서 설명)를 더 잘 진단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연구는 생리학과 병리학 사이의 인과 관계를 만드는 것이 진단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기술이라는 증거를 제시합니다.

One technique to achieve integration is presenting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n a causal network. A series of experimental studies96–99 demonstrated that students who received causally integrated explanations of pathologies were better able to diagnose difficult clinical cases (described in vignettes) compared with students who were taught the textbook signs and symptoms of the pathologies. These studies provide some evidence that creat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etween physiology and pathology is an effective technique in improving diagnostic ability.


인과적 통합은 단지 기억과 retention을 위한 보조장치aid가 아닙니다. 기초과학 (상부 운동 신경 세포의 생리학과 같은)과 임상 특징 (뇌졸중의 증상과 같은) 사이의 인과 관계는 학습자의 마음 속에 무수한 진단적 특징을 조직하는데 필요한 프레임워크를 만들어주었다 .102이 인지적 개념적 일관성은 통합 된 기초 과학 교육의 이점이다.

Causal integration is not just an aid for memory and retention.101 Rather,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sciences (such as the physiology of upper motor neurons) and clinical features (such as the symptoms of stroke) created a framework within learners’ minds that allowed them to organize the constellation of the features of a diagnosis.102 This cognitive conceptual coherence is the advantage of integrated basic science teaching.


전반적으로 세션 수준에서 콘텐츠 통합은 의미있는 교육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접근법은 또한 임상 추론을 뒷받침하는 기초 과학의 핵심 역할을 강조하는 연구에 이론적으로 기초를두고있다 .106 캡슐화 이론Encapsulation theoryexpert clinician에서 기초 과학과 임상 전문 지식 간의 관계를 기술한다 .107 기초과학 지식은 전문성이 발달하면서 임상 지식에 의해 포위enfolded된다.  예를 들어 전문가들은 임상 및 기초과학에서의 presentation을 자세히 설명하기보다 진단명이나 "염증"이나 "패혈증"과 같은 의미있는 범주로 축소합니다. 이렇게 축소collapse된 상태의 메커니즘과 거기에 담긴 의미는 전문가의 개념 속으로 포착됩니다. 기초과학 개념을 흡수하거나 "encapsulation"하면, 임상 활동에 필요한 스키마를 점진적으로보다 정교하게 다듬어나갈 수 있다. 이 스키마는 명시적으로 기초과학 지식에 의존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기초과학 정보는 임상 지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조직 원칙입니다. 전문가는 필요에 따라이 기본 과학 지식을 보유하고 사용합니다. 일련의 연구는 전문가는 어렵거나 일상화되지 않은 문제에 직면 할 때 이러한 기초과학 지식을 extract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109,110 이 발견은 기초 과학이 임상 추론을 위한 기반이라는 아이디어를 뒷받침합니다. 이 연구들은 기초 과학 지식이 임상 지식을 anchoring 하는 인지적 프레임워크를 형성한다는 오랜 견해를 입증한다.

Overall, integration of content at the session level seems to have a meaningful educational impact. This approach is also theoretically grounded in research that highlights the essential role of basic sciences in supporting clinical reasoning.106 Encapsulation theory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sciences and clinical expertise in expert clinicians.107 It posits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becomes enfolded by clinical knowledge as expertise develops108; for example, experts collapse detailed explanations of clinical and basic science presentations into meaningful categories such as a diagnosis or description like “inflammation” or “sepsis.” The mechanisms and implications of states such as inflammation are captured within the concept for the expert. This absorption or “encapsulation” of concepts from basic science leads to progressively more sophisticated schemas for clinical activity. These schemas may not explicitly rely on basic science knowledge; however, the basic science information remains a key organizational principle for understanding clinical knowledge. Experts retain and use this basic science knowledge as needed; a series of studies showed that experts tend to extract this basic science knowledge when they confront difficult or nonroutine problems.109,110 These findings further support the idea that basic science is a platform for clinical reasoning. These studies validate a long held assumption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forms a cognitive framework for anchoring clinical knowledge.111






고찰

Discussion


어떤 통합을 했는지에 대한 묘사는 많지만, 학습 결과를 평가한 경우는 드물다. 특히 비교군이나 대조군을 사용한 경우는 더 그렇다. 한 가지 이유는 프로그램 및 코스 레벨에서 기초 및 임상 과학을 통합 한 결과를 평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잡성은 [기초 과학(그리고 기초 과학자)의 중요성에 대한 태도], [통합의 실현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있는 구조적 및 경제적 자원과 같은 사회 문화적 요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도 설명해준다.

Although description is ample, evaluation for learning outcomes—especially evaluation against comparators or control groups—is scarce. This paucity is partly a result of integrating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at the program and course levels, where outcomes are more difficult to evaluate. This complexity may also account for the largely absent consideration of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attitudes towards the importance of basic science (and basic scientists) as well as structural and economic resources that can impact the feasibility of integration.


둘째, 통합은 실제 학습적 측면보다 방법과 기법의 측면에서 기술된다(즉, 지식이나 기술 개발이 아니라 로지스틱 또는 조직적 측면이 주로 언급된다). 수평 및 수직 통합은 교육과정 내에 가르침과 배움이 실제로 통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조직 원리organization principle이다. 그러나 이러한 로지스틱 변화가 학생의 기초 과학 및 임상 지식의 적극적 통합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매우 자주, 통합을 위한 활동은 조직적 변화organizational change가 자동으로 통합을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로 수행된다. 결국 통합은 학습 개선을 위하 도구가 아니라 통합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버린다.

Secondly, integration is often described in terms of the methods and techniques rather than in terms of actual learning (i.e., logistically and organizationally as opposed to knowledge or skill development).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are organization principles that create the space within the curriculum for the actual act of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to occur. However, whether these logistical changes lead to activ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s and clinical knowledge by the student is unclear. Too often, integration activities are carried out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organizational change made will automatically result in integration. This leads to integration becoming an end in itself instead of a means to improved learning.





그래서 '통합'이란게 도대체 무엇인가?

What is “integration” anyway?



통합의 첫 번째 단계는 커리큘럼에서 통합의 목적과 가치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 문헌에 따르면 통합은 주로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데 사용된 방법론 - 즉 커리큘럼 구성 요소의 재배치 또는 정렬 - 으로 특징지어진다. "수직"과 "수평"은 통합 방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용어이지만, 용어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기본 및 임상 과학을 통합하는 목적을 흐리게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지식 영역의 통합은 학습자 내에서 발생하는 인지 활동을 강조해야한다. 단순히 "통합된" 커리큘럼을 만든다고 해서 인지적 통합이 자동으로 발생하지는 않는다.

The first step in considering integration is to outline the purposes and value of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However, the literature reveals that integration is most often characterized by the methodology by which it is achieved: the rearrangement or alignment of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Although “vertical” and “horizontal” are useful terms for describing the methods of integration, we argue that overreliance on terminology can obscure the purpose of integrating basic and clinical sciences. We propose that, foremost, integration of these domains of knowledge should emphasize the cognitive activity that occurs within the learner. Simply creating “integrated” curricula will not automatically create cognitive integration.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기본 및 임상 과학을 통합하는 목적이 서로 다른 유형의 지식들 사이의 개념적, 인지적 연결을 달성하는 것임을 제안한다 .102,111 "통합"이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출처의 지식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 관련되는 상황을 말한다. 그리고 통합은 전문적 의료행위(진단, 관리 등)에 대한 이해와 수행을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정의는 그 자체로 학습자-중심적이며, 기초 및 임상 과학에 대한 노출의 결과로 학습자  내부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중점을 둡니다.

With this in mind, we suggest that the aim of integrating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s to achieve a conceptual, cognitiv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knowledge.102,111 The term “integration” refers to situations in which knowledge from different sources connect and interrelate112 in a way that fosters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of the professional activities of medicine (diagnosis, management, etc.). This definition is learner-centered and focuses on changes within the learner as a result of exposure to basic and clinical science.


따라서 기초 과학의 이상적인 활용은 학습자가 임상 개념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구성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가 됩니다. 통합은 임상 개념을 기초 과학과 연결시킬 때 학습자 내에서 발생하는 인지 기능 또는 인지적 활동으로 이해되어야합니다. 이러한 이해가 채택되면 학습 환경, 특히 직장 환경이 어떻게 인지 통합을 돕거나 방해하는지를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어야합니다.

Therefore, the best use of the basic sciences is as a tool for helping learners more effectively understand and organize clinical concepts. Integr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cognitive function or operation that occurs within the learner as he or she links clinical concepts with basic science. Once this understanding is adopted, the focus should shift to examining how the learning context, particularly workplace environments, aid or hinder cognitive integration.




의학교육 연구를 위한 권고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인지적 통합이 통합의 의도한 목표라면, 성과 척도는 기본 과학 사실의 만족도, 태도 또는 지식의 retention 뿐만 기초과학 지식의 transfer 및 application까지 포함해야합니다. 임상 추론이나 기술 수행에서 학생들이 기본적인 과학 내용을 사용하는 방법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If cognitive integration is the intended goal of integration, then the outcome measures for research should encompass not just satisfaction, attitudes, or even retention of basic science facts but also the transfer and application of basic science knowledge. assessing how students use that basic science content in clinical reasoning or in the performance of a skill would provide valuable evidence


연구자들은 통합 전략이 학습자가 임상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기초 과학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 할 수있었습니다. 이 연구는 물론 평가 도구 (일부는 이미 이용 가능하다)를 필요로 하며, 이 평가도구는 학습자들이 임상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것을 요구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학생을 평가할 때 explanation을 요구해야 한다. why 와 how, 즉, 진단의 기초가되는 특정 메커니즘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researchers could examine whether these integration strategies enable learners to adequately use basic science to understand clinical concepts. This research would, of course, require assessment tools—some of which are already available113,114—that specifically require learners to display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clinical concepts. For example, assessments could also require an explanation—that is, the why113 and how—of a particular mechanism that underlies the diagnosis.





의학교육 실천을 위한 권고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ion practice


교수 관점에서 인지적 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단계는 교육 내용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합을 인식의 문제로 재구성하는 것은 초점을 [내용이 아니라] [그 내용을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되는 학습 개입]으로 옮기게 해준다.

From a teaching perspective, the specific steps to achieve cognitive integration may differ from content area to content area. Still, reframing integration as a cognitive issue shifts focus away from the content and places emphasis, instead, on the learning interventions conducive to teaching the content.


이러한 변화는 교육자들이 통합을 위한 session-level 강의를 조직하고 지원하는 데 더 많은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구합니다. 통합이 인지 과정으로 이해된다면 특정 정보의 통합이 이루어져야합니다. 임상 학습의 각 순간에 기초 과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더 중점을 두지 않고 강조하지 않으면, 코스나 임상실습을 재구성하는 것이 쓸데없는 일일 수 있습니다.

This shift requires that educators pay greater attention to organizing and supporting session-level teaching for integration. If integration is understood as a cognitive process, then the integration of specific information must occur. Without greater focus and emphasis on how basic sciences apply at each moment of clinical learning, reorganizing courses and clerkships could be a futile exercise.


이처럼 기초 과학의 보다 microscopic한 통합을 달성하는 것은, 커리큘럼 계획자에게 교육 일정이나 임상실습을 재구성하는 것보다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각 세션 및 관련 콘텐츠는 자료가 학습자가 explicit and discernable한 연계를 만들도록 주의 깊게 검토해야합니다. 교수개발과 함께, 교수 전략의 모범적 사례를 통일적으로 채택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커리큘럼 기획자는 또한 잠재교육과정에 관심을 두고, 잠재교육과정이 진정한 학습이 아니라 단순 사실 습득을 보상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Achieving this more microscopic integration of basic sciences may be more difficult for curriculum planners than reorganizing teaching schedules or clerkships. Each session and its associated content will require careful review to ensure that the material creates explicit and discernable linkages for learners. Uniformly adopting best practice teaching strategies, coupled with faculty development, may be required. Curriculum planners must also attend to the hidden curriculum95 and whether it rewards the acquisition of facts as opposed to true understanding.


이와 관련하여 통합적 학습의 평가는 기초 과학이 임상 실습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사실을 회상하는 능력이 아니라) 학생들의 정교한 이해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평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학습을 평가하려는 목적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통합이 교육과정에서 공식적으로 가치있는 중요한 목표임을 알려줄 것이다.

Relevant to this, the assessment61 of integrated learning should reflect students’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how the basic sciences relate to clinical practice— not their ability to recall facts. Focusing on assessment will not only allow direct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but also inform students that integration is an important goal that is formally valued by the curriculum.






15 Goldman E, Schroth WS. Perspective: Deconstructing integration: A framework for the rational application of integration as a guiding curricular strategy. Acad Med. 2012;87:729–734.


34 van Merriënboer JJ, Sweller J. Cognitive load theor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Med Educ. 2010;44:85–93.




 2013 Oct;88(10):1578-85. doi: 10.1097/ACM.0b013e3182a45def.

Cognition before curriculumrethinking the integration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Mr. Kulasegaram is a PhD candidate,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Program and Program fo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aculty of Health Science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He is also a Wilson Centre Fellow,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Dr. Martimianakis is director of scholarship,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Paediatrics, and scientist, Wilson Centr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Dr. Mylopoulos is assistant professor of paediatrics, University of Toronto, scientist, Learning Institute, Sick Kids Hospital, and scientist, Wilson Centr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Dr. Whitehead is vice chair for education,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scientist, Wilson Centre, and education scientist, Centre for Ambulatory Care Education, Women's College Hospital,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Dr. Woods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urgery, and education scientist, Wilson Centr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bstract

PURPOSE:

Integrat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concepts in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is an important challenge for medical educatio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includes a variety of educa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concepts at multiple levels of the curriculum. To date, assessment of this literature has been limited.

METHOD:

In this critical narrative review, the authors analyzed literature published in the last 30 years (1982-2012) using a previously published integration framework. They included studies that documented approaches to integration at the level of programs, courses, or teaching sessions and that aimed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The authors evaluated these studies for evidence of successful integrationand to identify factors that contribute to integration.

RESULTS:

Several strategies at the program and course level are well described but poorly evaluated. Multiple factors contribute to successful learning, so identifying how interventions at these levels result in successful integration is difficult. Evidence from session-level interventions and experimental studies suggests that integration can be achieved if learning interventions attempt to link basic and clinicalscience in a causal relationship. These interventions attend to how learners connect different domains of knowledge and suggest that successful integration requires learners to build cognitive associations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

CONCLUSIONS:

One way of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 is as a cognitive activity occurring within learners. This perspective suggests that learner-centered, content-focused, and session-level-oriented strategies can achieve cognitive integration.

PMID:
 
23969375
 
DOI:
 
10.1097/ACM.0b013e3182a45def


어렵게 배운 것: 학부교육과정 개발의 10가지 교훈(Med Educ, 2016)

Learning the hard way: 10 lessons for developing undergraduate curricula

Hannah Jacob1 & Caroline R Fertleman2





도입

INTRODUCTION


현상 유지를 바꾸는 문제와 저항하는 사람들을이기는 기술은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 .1

The challenges of changing the status quo and techniques for winning round those who resist are well documented.1



전문가를 조심하라!

BEWARE THE SPECIALIST


다양한 커리큘럼 및 학계에 커리큘럼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묻는 것은 최종 제품이 균형 있고 유용 할 수 있도록하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것의 위험은 모두가 자신의 세부전공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Asking a range of clinicians and academics about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is one way of ensuring that the final product is balanced and useable. The danger of doing this, however, is that everyone thinks their subspecialty is the most important.



사람들은 앓는 소리 하기를 좋아한다

PEOPLE LOVE TO MOAN


교과 과정 개발에 대한 inclusive한 접근법의 또 다른 단점은 많은 사람들의 견해를 경청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대부분 부정적인 것 : '이것들을 너무 많이 배웁니다.', '... 우리는 그것에 대해 충분한 노출을 얻지 못합니다 ...' 다른 사람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들을 준비를 하고, 다른 배출구가 없도록 하라.


Another downside of an inclusive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s that you have to listen to the views of lots of people. Mostly negative ones: ‘They learn too much of this...’, ‘...we don’t get enough exposure to that...’, Brace yourself to be a sounding board for all the things people want to say and have no other outlet for.




학부 교육은 50년짜리 교육과정이 아니다

UNDERGRADUATE TRAINING CANNOT TAKE 50 YEARS



어떤 사람들의 바람과 달리, 어떤 시점에서 의대생은 졸업하고 실제로 일자리를 얻어야합니다. 5 주 안에 학습 목표 50 페이지 모두를 다룰 수 있다면 정말 좋겠지 만,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중요한 것을 우선 순위로 정해야합니다.

Despite what some people might want, at some point medical students have to graduate and actually get jobs. It would be lovely if they covered all 50 pages of those learning objectives in 5 weeks, but it’s probably not going to happen and we need to prioritise what is important.



영원한 것은 없다.

NOTHING IS FOREVER


우리는 커리큘럼이 그 시대의 아이이고 그 맥락이 모든 것이라는 것을 압니다. 의심 할 여지없이 대학원 교육과 아동 건강 서비스 구성이 인식 할 수 없을 정도로 다른 경우 10 년 내에 완전히 옛날 것이 될 것입니다.

We know that a curriculum is a child of its time and that context is everything. No doubt it will be completely obsolete in 10 years when postgraduate training and the configuration of child health services are unrecognisably different.



상향식 방법은 도움이 된다.

BOTTOM UP HAS SOMETHING TO OFFER


의대생, 주니어 의사 및 학부모가 커리큘럼 개발에 참여한 것에 대한 상당한 비판이 있지만, 그들의 통찰력이 종종 가장 유용하고 실용적이며 관련성이 있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고객을 무시하는 것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Despite considerable criticism of the involvement of medical students, junior doctors and parents in developing our curriculum, it is no surprise that their insights were often the most useful, pragmatic and relevant. Ignore the punters at your peril.



모두가 자신만의 의제를 가지고 있다.

EVERYONE HAS AN AGENDA


그것이 의과 대학의 뿌리깊은 전통에 기반을 둔 것이든, 자기 전공으로 무언가를 더 가져오기 위한 지옥을 향한 욕망이든 모두는 무엇인가를 원합니다. 이것은 반드시 문제가되는 것은 아니지만 누군가가 '결코 작동하지 않을 것'또는 '이 일을 할 때 요점을 볼 수 없다'라고 말한다면 기억해 둘 가치가 있습니다. 변화 관리 분야의 전문가들은 현상 유지에 가장 유리한 사람들은 변화를 포용하는 것을 가장 꺼려하며 잃을 것을 두려워한다고 경고합니다.


Whether it is based in deep-rooted traditions in a medical school or a hell-bent desire to improve recruitment to the specialty, everyone wants something. This is not necessarily a problembut is worth remembering in those moments when someone says ‘It will never work’ or ‘I can’t see the point in doing this’. Experts in change management warn that those who are best off with the status quo may be the most reluctant to embrace change, fearing that they stand to lose.


모두가 공유하기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SHARING IS NOT EVERYONE’S CUP OF TEA


우리는 의도적으로 커리큘럼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로부터 대화를 시작하고 바이 인을 달성하기 위해 착수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것은 많은 호응을 얻었으며 사람들은 기꺼이 기존의 커리큘럼이나 이전에했던 일에 대한 접근성을 기꺼이 제공했습니다. 우리는 이미 수행 된 작업을 기반으로하여 중복을 피할 수있었습니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자신의 것을 공유하기를 즐기지 않고, 단지 다른 사람이 한 것만 보길 원하는 사람들이 있다.


We deliberately set out to start conversations and achieve buy-in from a wide range of stakeholders in the curriculum. By and large this was well received and people were willing to give us access to their existing curricula or to previous work they had done. We were able to build on what had already been done and avoid duplication. Inevitably, there were some who did not fancy sharing and just wanted to see our stuff without offering theirs.



내용을 줄인다고 학생이 멍청해지지 않는다

BEING FOCUSED IS NOT THE SAME AS DUMBING DOWN


많은 (시니어) 임상의와 학자들은 전국적인 아동 건강 커리큘럼이 시간 낭비이며, 최소공통분모만을 수용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은 아동 건강의 핵심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추면 의대생이 모두 바보가 되고, 기초 과학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가 없어질 것이라 느꼈습니다.

A number of (senior) clinicians and academics told us that a national child health curriculum was a waste of time and would cater for only the lowest common denominator. They felt that focusing on the core components of child health would mean medical students would all end up stupid and have no knowledge or understanding of basic science.


다른 사람의 문제로 만들라

MAKE IT SOMEONE ELSE’S PROBLEM



어떤 커리큘럼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아동 건강과보다 일반적인 능력 사이의 균형을 맞추어야했습니다. 모든 사람은 다른 누군가가 일반 기술을 가르치고, 자신은 전문가 영역을 가르치길 원한다. 그러나 일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습니다. 우리 모두는 이러한 것들을 가르치기 위해 시간과 자원을 투입 할 책임이 있으며, 교육과정에서 그것이 반영되도록 기꺼이 노력해야 한다.


As with any curriculum, we ha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competencies specific to child health and more generic ones. Everyone wants someone in another specialty to teach the generic skills so they can get on with teaching about their specialist area. It doesn’t work like that though. we all have a responsibility to commit time and resources to teaching them these things so you have to be willing for your curriculum to reflect that.



시대와 함께 움직여라

LET’S MOVE WITH THE TIMES


의대생은 우리가 의대에서 배우고 있었던 것을 배울 수도, 배워서도 안됩니다.

Medical students cannot and should not be learning the stuff we were learning at medical school.


학부생들이 어린 시절 예방 접종 스케줄을 배우는 것은 20 세기에 확고하게 뿌리를 내린 아이디어입니다. 그들은 모두 스마트 폰을 가지고 있으며 Google은 0.41 초 안에 일정을 알려줍니다 (우리는 확인했습니다).

Insisting undergraduates rote learn the childhood immunisation schedule is an idea rooted firmly in the 20th century. They all have smartphones and Google will give you the schedule in 0.41 seconds (we’ve checked).




 2016 Dec;50(12):1186-1188. doi: 10.1111/medu.13094.

Learning the hard way10 lessons for developing undergraduate curricula.

Author information

1
Institute of Child Health, University College London, London, UK.
2
Department of Paediatrics, Whittington Hospital National Health Service Trust, London, UK.

Abstract

The present study outlines key learning points derived from 2 years spent developing a national undergraduate curriculum for child health. Findings are sourced from analyses of a series of semi-structured musings by beleaguered educationalists and may serve to reassure others engaged in developing undergraduate curricula that it is possible to survive the process and even to produce something quite good. The authors' best advice is to do it, but don't say we didn't warn you.

PMID:
 
27873418
 
DOI:
 
10.1111/medu.13094




Developing a pragmatic medical curriculum for the 21st century

Nicholas R Evans, Ben Warne & Diana F Wood




INTRODUCTION


Hippocrates. Galen. Harvey. Osler. Watson. The one played by George Clooney in ER. As newly- qualified doctors follow in the footsteps of these grandees of medicine they should begin their careers with a sense of amaze- ment, inquisitiveness and wonder. However, we must recognise the realities of modern medicine:

  •  junior doctors are most amazed by the complexity of their labyrinthine ePortfolio; 

  • their curiosity is immediately satisfied by a quick supervision from Dr Google; and 

  • their wonder has turned to wondering how to extract their patient list from a jam in an apparently Neolithic hospital printer.



Traditional approaches based on the ‘doctor as a scholar and a scientist’, ‘doc- tor as a practitioner’ and ‘doctor as a professional’1 are insufficient. We propose that medical curricula could be improved by being FAR- CICAL: Fostering A Relevant Cur- riculum that Is Closer to Actual Life.


CURRICULUM CORE COMPETENCIES


The doctor as a bluffer


The doctor as a story-teller


The doctor as a negotiator


The doctor as an engineer


The doctor as a treasure hunter



ASSESSMENT


CURRICULUM EVALUATION


CONCLUSION



FINAL REFLECTIONS (FOR WE ARE EDUCATIONALISTS)


Of course, the medical profession, particularly its educators, can rarely be considered to be so cynical. The fact that learners (and indeed their teachers) are able to negotiate these real-world demands and pitfalls whilst covering the broad spectrum of clinical and scientific content should be applauded. Although hospitalbased medical training is fraught with such real-world challenges, it is by no means an aberration. Clinical education in communities, and primary and secondary care, in a range of health care services across the world will share many of these problems as well as having their own eccentricities (and some communities can be very eccentric). The test for med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will be to embrace the challenges posed by evolving technology, increasingly complex service structures and changing views of the clinician’s role, whilst remaining true to our established commitment to teaching the learner the skills they need to thrive as clinicians. That is, once they’ve fixed the printer...






 2016 Dec;50(12):1192-1194. doi: 10.1111/medu.13079.

Developing a pragmatic medical curriculum for the 21st century.

Author information

1
School of Clinical Medicine, 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UK.

Abstract

Medical education within a hospital setting presents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e range of educational experiences on offer is often vast, though may be lost in the overworked and convoluted environment of a tertiary centre. As our learners are increasingly consumed by the literal and figurative labyrinths of hospitals and electronic learning logs, are we failing to train them in the skills they need to deliver 21stcentury health care? In response to this problem we propose a FARCICAL approach: Fostering A Relevant Curriculum that Is Closer to Actual Life.

PMID:
 
27873426
 
DOI:
 
10.1111/medu.13079
[Indexed for MEDLINE]






동기 이론들이 의학교육과정 개발과 개편을 Guide하였는가? 문헌고찰(Acad Med, 2012)

Have Motivation Theories Guided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Medical Education Curricula? A Review of the Literature

Rashmi A. Kusurkar, MD, PhD, Gerda Croiset, MD, PhD, Karen V. Mann, MSc, PhD,

Eugene Custers, PhD, and Olle ten Cate, PhD





교육 심리학은 학습 과정이 인지적 (무엇), 정서적 또는 동기부여 (왜), 메타인지적 조절 (어떻게)의 3 가지 측면에 매핑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3

  • 인지적 요소는 정보의 선택, 연관, 구체화, 적용과 같이 사람들이 콘텐츠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사고 활동을 포함합니다.

  • 정서적 요소학습시에 발생하는 감정에 대처하는 것으로, 정서적 요소가 학습의 진행에 긍정적, 중립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4이 구성 요소는 동기적 측면을 포함합니다.

  • 메타인지적 조절 요는 학생의 학습 행동 및 접근법에 대한 방향 설정, 계획, 모니터링, 테스트, 진단, 조정, 평가, 성찰을 포함합니다 .3,5,6

Educational psychology tells us that learning processes can be mapped on three dimensions: cognitive (what to learn), affective or motivational (why learn),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how to learn).3 

  • The cognitive component of learning involves those thinking activities that people use to process content, including selecting, relating, concretizing, and applying information.3,4 

  • The affective component involves coping with the feelings that arise during learning and may affect the progression of a learning process positively, neutrally, or negatively.3,4 This component includes aspects of motivation. 

  •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component involves orienting, planning, monitoring, testing, diagnosing, adjusting, evaluating, and reflecting on the student’s learning behavior and approach.3,5,6

LOT (Learning-Oriented Teaching) 모델은 진정한 학생 중심의 의학 커리큘럼에서 이러한 세 가지 차원 모두 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커리큘럼 개발자를 안내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The Learning- Oriented Teaching (LOT) model suggests that in a truly student-centered medical curriculum, all three of these dimensions should guide curriculum developers in constructing learning environments.7



교육 내용 - 인지적(또는 무엇) 차원-이 오랜 기간 동안 교육과정 개혁을 지배했습니다. 어떻게 자료를 제시하고, 교과 과정의 요소를 구성하고 통합하며, 주제들의 순서를 정하고, 방법을 적용하고, 학생들을 평가할 것인지가 중요한 논의의 쟁점이되었습니다 .8 이러한 각 문제는 주로 processing of information에 대한 것이다

Content concerns—the cognitive or “what to learn” dimension—have dominated curricular reform for a long time. How best to present materials, structure and integrate elements of the curriculum, sequence topics, apply methods, and assess students have been important issues of deliberation.8 Each of these issues appears to address predominantly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6


의학 교육에서 학습스타일은 메타인지 조절이나 "어떻게 배울 것인가"에 초점을 둔 문제 기반 학습 (PBL)등의 도입에 의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9-11 또한, 정서적 또는 "왜 배우는가" 차원도 약간의 주목을 받았다.

Styles of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have been affected by the introduc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related methods, which focus on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or “how to learn” dimension.9–11 Additionally, the affective or “why learn” dimension has received some attention.


우리는 특정 교육 방법보다는 학생들의 동기부여 수준과 유형이 성과의 더 큰 결정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커리큘럼 개발자의 진지한 관심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믿습니다.

We believe that students’ levels and types of motivation may be larger determinants of their individual outcomes than particular methods of teaching and deserve serious attention from curriculum developers.15


동기는 생각과 행동을 결정합니. 그것은 왜 행동이 시작되고, 지속되고, 멈추는지,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에 영향을줍니다 .17 학업 환경에서 동기와 학습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교육에서의 학습동기 유발은 심화 학습과 좋은 학업 수행뿐만 아니라 긍정적 학습자 웰빙와 만족에 중요합니다 .20-22

Motivation determines thought and action—it influences why behavior is initiated, persists, and stops, as well as what choices are made.17 In an academic setting, motivation and learning are integrally related;18 this means that for learning to take place, motivation is important.19 Motivation in education is also important for deep learning and good academic performance as well as positive learner well-being and satisfaction.20–22



연구 질문 : 학생의 동기가 의학 교육의 교과 과정 변경 및 개혁을 안내하는 데 중요한 요소 였습니까?

research question: Has student motivation been an important element in guiding curricular changes and reforms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


To examine our research question, we reviewed selected sources in the literature of both motivation theory an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review was not performed as a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because our goal was to answer a focused research question.


결과

Results


동기이론의 짧은 역사

Short history of motivation theory


동기에 관한 이론의 발달은 상당히 최근의 현상으로, 20세기 초반에 시작되었다. 

The development of theories of motivation is a fairly recent phenomenon, dating back only to the 20th century. Below, we provide a short history of motivation theory.


성취필요이론(1938). 

이 이론은 Murray가 "성취의 필요성"이라는 조금 다른 성향의 사람들을 관찰한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이들은 "장애물 극복, 권력 행사, 가능한 한 쉽고 빠르게 뭔가를 하려고 노력"한다 (Franken24에 의해 인용 됨) . Murray는 Thematic Apperception Test를 고안하여 인간 동기의 변화를 측정하고 역동적이고, 시간 및 맥락에 따른 동기 부여의 구조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동기를 고정 된 특성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작 할 수있는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Need to achieve theory (1938). This theory was based on Murray’s observation that people have differing tendencies, called “the need to achieve,” to “overcome obstacles, to exercise power, to strive to do something difficult as well as and as quickly as possible” (cited by Franken24). Murray devised the Thematic Apperception Test to measure variations in human motivation and described a dynamic, time- and context-dependent construct of motivation. He did not view motivation as a fixed trait but as one that could be manipulated to enhance learning.



드라이브 이론 (1943)

Hull이 제시한 학습에 관한 드라이브 이론은 니즈는 그것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행동을 유도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신체의 steady state를 유지한다고 주장한다(Weiner25가 인용). Hull은 심지어 동기 부여 계산을 위한 공식을 개발했습니다.

Drive theory (1943). Hull’s drive theory of learning proposed that needs drive behavior in a way that results in fulfillment of these needs, thus maintaining a steady state in the body (cited by Weiner25). Hull even developed a formula for calculating motivation.


욕구 계층 이론 (1943).

Maslow's26 이론은 사람의 삶에서 서로 다른 필요의 상대적인 중요성에 근거합니다. Maslow는 기본적인 인간의 추진력이나 동기 부여는 궁극적으로 자기 실현 (즉, 잠재력의 실현)의 욕구를 반영하며, 이것은 근본적인 필요 (생리적, 안전, 사랑과 소속, 존중)가 충족 될 때만 행동으로 나타난다. 교육 및 학업 성취의 욕구은 개인으로서 발전하려는 소망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자기 실현 수준의 요구에 부합합니다.

Theory of hierarchy of needs (1943). Maslow’s26 theory was ba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ifferent needs in a person’s life. Maslow proposed that basic human drive or motivation ultimately reflects a need for self- actualization (i.e., the fulfillment of one’s potential), which comes into action only if one’s underlying basic needs— physiological, safety, love and belonging, and esteem—are satisfied. The need for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can be viewed as reflective of the wish to develop as an individual and, thus, would fall into the self-actualization level of needs.


성취 동기 계산 방법 (1953)

McLelland와 그의 동료들은 성취 동기 계산을 위한 정확한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McLelland 등은 모든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을 예측할 수있는 [일반화 된 동기]가 모든 개인에 존재함을 입증했다. 기저의 동기 부여 구조는 stable한 것으로, 행동을 예측해준다.

Method for scoring achievement motivation (1953). McLelland and his colleagues27 developed a precise method for scoring achievement motivation. McLelland et al demonstrated that a generalized motivation exists in every individual that can predict his or her behavior in a wide variety of situations. The underlying motivational construct seems stable and predictive for behavior.



기대 가치 이론 (1966). 

Atkinson28은 모든 개인이 "성공 동기"와 "실패 회피 동기"를 둘 다 가지고 있다고 제안했다. 개인의 전반적인 동기는이 두 차원의 결과 합입니다. 그는 동기부여motivation은 동기motive, 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기대, 성공 또는 실패의 인센티브 가치에 좌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의 동기부여의 양quantity을 측정하는 수식을 고안했습니다. 그는 목표가 너무 쉽지도 어렵지도 않을 때 동기 부여와 노력이 가장 강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Expectancy-value theory (1966). Atkinson28 proposed that every individual has both a “motivation to succeed” and a “motivation to avoid failure”; the individual’s overall motivation is a resultant sum of these two dimensions. He found that motivation is dependent on motive, expectancy of success or failure, and incentive value of success or failure. He also devised a formula to measure the quantity of motivation of an individual in a given situation. He predicted that motivation and effort would be the strongest when reaching the target was neither too easy nor too difficult.



성공 이론을 피하기 위한 동기 (1968)

Horner29는 여성이 남성보다 [성공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성취 동기가 낮았다 고 제안함으로써, 동기 부여에 성별 측면을 추가했습니다. Horner에 따르면 여성의 성공은 친구, 여성성, 인기의 손실을 의미 할 수 있습니다 .29 Spence and Helmreich (1978, Beere30)는 남성과 여성의 성취 동기를 비교했습니다. 남성이 지적 도전과 경쟁에 대한 욕구가 높았지만, 여성은 열심히 일하려는 desire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Horner and Spence와 Helmreich는 (현재의 연구에서도 관찰 된) 성별에 관련된 동기의 차이를 확립하기위한 길을 열었습니다 .31,32

Motive to avoid success theory (1968). Horner29 added a gender aspect to motivation by suggesting that women showed lower achievement motivation than men because women had a greater “fear of success” than did men. This fear, according to Horner, grows out of consideration of the consequences of success, which for women may mean loss of friends, femininity, and popularity.29 Spence and Helmreich (1978; cited by Beere30) compared men and women o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and showed that men scored higher on a desire for intellectual challenge and competitiveness, whereas women scored higher on a desire to work hard. Horner and Spence and Helmreich paved the way for establishing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motivation, which have also been observed in current research.31,32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1974). 

이 이론은 "개인이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그리고 그 해석이 어떻게 사고와 행동과 관련되는지"에 대한 것이다.33 Weiner33은 능력, 노력, 업무 난이도, 을 성취의 귀인attribution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했습니다.

Attribution theory (1974). This theory is concerned with “how individuals interpret events and how this interpretation relates to their thinking and behavior.”33 Weiner33 identified ability, effort, task difficulty, and luck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attributions for achievement.



사회인지 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 1977).     

Bandura34는 인간은 [호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영향력의 네트워크에서] 자신의 동기 부여, 행동, 발달에 대한 기여자contributor로 역할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자기 효능감의 개념은 사회인지이론 (SCT)의 핵심이며, 이는 자기 효능감에 대한 개인의 판단이 활동에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는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수행 할 수 있다고 믿는 활동을 수행 및 지속하고, 수행 할 수 없다고 느끼는 활동을 회피한다.

Social cognitive theory (1977). Bandura34 proposed that people function as contributors to their own motivation, behavior, and development within a network of reciprocally interacting influences. The concept of self-efficacy is central to social cognitive theory (SCT), meaning that an individual’s judgments of self-efficacy determine how much time and effort he or she invests in an activity. Thus, people generally undertake, perform, and persist at activities that they believe themselves to be capable of performing and avoid those that they feel incapable of performing.34



자기 결정 이론 (1985). 

Deci and Ryan20-22,35는 사람의 행동이 동기 부여의 수준뿐만 아니라 동기의 질quality이나 유형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제안을했다. 그들은 동기 부여의 두 가지 유형, 

    • 즉 사람이 개인적인 관심에서 우러난 활동을 추구하게하는 내재적 동기 부여

    • 보상을 얻거나 손실이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활동을 추구하는 외재적 동기 부여

자기결정이론 (SDT)은 깊은 학습과 더 나은 성과로 이어지는 내재적 동기를 더 바람직한 유형의 동기로 제시한다내재적 동기는 자율성, 역량, 관련성의 내재적 요구에 기반합니다. 22 :

Self-determination theory (1985). Deci and Ryan20–22,35 proposed that a person’s behavior is determined not only by level of motivation but also by the quality or type of motivation. They described two types of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which makes a person pursue an activity out of personal interest, and extrinsic motivation, which makes a person pursue the activity to obtain a reward or to avoid loss or punishment.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puts forward intrinsic motivation as the desired type of motivation as studies found it to lead to deep learning and better outcomes.20–22 Intrinsic motivation is built on the individual’s inherent need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20–22:


• 자율성"내가 원하기 때문에 한다"고 느끼는 필요성을 묘사한다.

• The need for autonomy describes the need to feel that “I am doing it because I want to.”


역량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 할 수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느낌을 묘사합니다.

• The need for competence describes the feeling that one has the capability to achieve one’s desired goals.


관계성은 일, 행동 및 업적을 통해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다른 사람들 (즉, 부모, 교사, 친구, 또래 집단)과 관계를 맺거나 중요해질matter 수 있는 것이다

• The need for relatedness describes being able to relate to or matter to significant others (i.e., parents, teachers, friends, peer group) in one’s life through work, actions, and achievement.



사람이 본질적으로 동기 부여를 얻으려면 이러한 세 가지 요구, 즉 자율성, 역량, 관계성이 충족되어야합니다. SDT는 동기 부여의 질에 대한 동기 부여에 대한 연구를 주도했습니다. 우리는 SDT가 의학 교육에서 매우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SDT를 다른 이론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15,23,36-38이 이론의 적용을이 기사의 토론에서 확장합니다.

These three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must be satisfied for a person to be intrinsically motivated. SDT steered research on motivation toward quality of motivation. We have explained SDT in more detail here than we did the other theories because SDT is considered to be very relevant in medical education.15,23,36–38 We expand on applications of this theory in this article’s Discussion.



목표 이론 (2000)

핀트 리치 (Pintrich)가 인기있게 만든 39 가지 목표 이론은 숙달mastery과 성과performance라는 두 가지 목표 지향 유형에 기초하여 개인의 동기를 설명합니다. 

    • 숙달 지향적인 사람은 목표가 마스터링, 학습, 이해에 집중되어 있으나, 

    • 성과 지향적인 사람은 목표가 작업에서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더 나은 성과를 보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발생합니다.

Goal Theory (2000). Made popular by Pintrich,39 goal theory explains individuals’ motivation on the basis of two goal orientation types: mastery and performance. Mastery goal orientation occurs when the individual’s goals are focused on mastering,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e task, whereas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occurs when the individual’s goals are focused on performing better in comparison with others at the task.



의학 교육을 위한 결론 및 권고. 

이 다른 동기 부여 이론에서 파생 된 의학 교육의 결론과 권고 사항은 표 1에 요약되어있다.이 짧은 역사가 보여주는 것처럼, 동기 부여 이론이 발전함에 따라, 이론의 초점은 동기 부여의 양적 측면에서 동기 부여의 질적 측면으로 옮겨갔다.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ion.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ion that we derived from these different motivation theories are summarized in Table 1. As this short history shows, as motivation theories have developed, their focus has shifted from consideration of only the quantity of motivation24,25,27,28 to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of motivation.20,33,34,39


이러한 초점의 전환은 현재 동기 부여를 가장 잘 설명한다고 생각되는 이론 (SDT, SCT, 목표 이론, 귀인 이론)이 모두 질적 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는 사실에서도 드러난다. 따라서 의학 교육의 초점은 학생들의 동기 부여 양을 향상시키는데에만 두면 안되며,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초점을 두어야 한다.

This shift in focus is also reflected in the fact that the theories currently considered most relevant in addressing motivation—SDT, SCT, goal theory, and attribution theory—all take a qualitative approach. Thus, in keeping with current understandings, the focus in medical education should not be solely on enhancing the quantity of motivation in our students but also on improving its quality.






Table 1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 Derived From Theories of Motivation


Need to achieve theory (Murray)24

  • 학생들의 동기 부여는 맥락과 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 교육자가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학생의 동기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otivation of students is context- and time-dependent.

  •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tudent motivation because it can be enhanced by educators.


Drive theory (Hull)25

  • 요구는 행동을 유도하며, 그 결과 요구가 충족된다.

  • 학생들의 요구 사항을 이해하면 교육자가 학생의 동기 부여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커리큘럼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Needs drive behavior, which results in satisfaction of these needs.

  • Understanding students’ needs can help educators arrange curricula in ways that enhance student motivation.


Hierarchy of needs theory (Maslow)26

  • 자신의 잠재력을 충족시키는 '자기 실현'은,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 될 때만 행동에 옮겨지는 need이다.

  • 교사가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기를 원한다면, 학생들의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어야합니다.

  • “Self-actualization,” i.e., fulfilling one’s potential, is a need, which comes into action only if one’s basic needs are satisfied.

  • If educators desire students to work up to their potential, students’ basic needs should be satisfied.


Method for scoring achievement motivation (McLelland et al)27

  • 모든 상황에서 안정적인, 일반화된 동기가 있습니다. 그것은 선천적이거나 어린 시절의 경험에 달려 있습니다.

  • 어린 시절과 고등학교를 통해 학생들이 배우도록 동기 부여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There is a generalized motivation which is stable in all situations. It is inborn or depends on childhood experiences.

  • It is important to focus on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during childhood and through high school.


Expectancy-value theory (Atkinson)28

  • 개인의 전반적인 동기는 성공하려는 동기와 실패를 피하려는 동기의 합이다. 동기 부여는 동기, 성공/실패의 인센티브 가치, 성공/실패의 기대expectance에 따라 달라집니다.

  • 너무 쉽지도 어렵지도 않은 과제에 직면했을 때 학생들의 노력이 가장 강하기 때문에, 학습 동기 부여를 위해 학생들에게 최적의 과제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An individual’s overall motivation is a sum of her motivation to succeed and her motivation to avoid failure. Motivation is dependent on motive, incentive value of success/failure, and expectancy of success/failure.

  • It is important to provide optimal challenges to students to motivate learning, as their efforts are strongest when faced with a task that is neither too easy nor too difficult.


Motive to avoid success theory 1968 (Horner)29

  • 여성들은 "성공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또 다른 차원의 동기 부여를 가지고 있습니다.

  • 커리큘럼을 계획하는 동안 동기의 성별 차이를 고려해야합니다.

  • Women have an additional dimension in motivation, called “fear of success.”

  •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while planning curricula.


Attribution theory (Weiner)33

  • 개인은 자신의 성공과 실패가 내적 또는 외적 요인 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속성은 과제에 대한 동기와 행동을 결정합니다.

  •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려면, 학생들이 성공이나 실패의 원인을 무엇으로 생각하는지 이해해야합니다.

  • Individuals attribute their successes and failures to different factors, which can be internal or external. These attributions determine their further motivation and behavior toward the task.

  • To be able to motivate students, educators need to understand to what students attribute their successes or failures.


Social cognitive theory (Bandura)34

  • 개인은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자신의 동기와 행동을 제어합니다.

  • 학습을 포함하여 과제에 대한 동기 부여를 얻으려면, 개인은 과제로부터 자기효능감을 느껴야합니다.

  • Individuals control their own motivations and behavior within the network of their social environment.

  • To be motivated for a task, including learning, an individual needs to feel self-efficacious at this task.


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and Ryan)20–22,35

  • 개인은 내재적인 것과 외재적인 것의 두 가지 동기 유형을 가질 수 있습니다. 내재적 동기 부여는 학습 / 교육을 포함한 모든 활동에 바람직한 유형의 동기 부여입니다. 보상은 외재적 동기를 유도하고, 내재적 동기를 줄입니다.

  • 학생들이 내재적 동기 부여를 강화하려면 교육자는 자율성, 역량, 관계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야합니다.

  • An individual can have two types of motivation: intrinsic and extrinsic. Intrinsic motivation is the desirable type of motivation for all activities, including learning/education. Rewards drive extrinsic motivation and reduce intrinsic motivation.

  • To enhance intrinsic motivation among students, educators should satisfy students’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Goal theory (Pintrich)39

  • 목표 지향성이 개인의 동기를 유발합니다. 숙달 목표 지향은 작업 숙달에 중점을 두는 반면, Performance 목표 오리 엔테이션은 다른 사람보다 잘하려는 것에 초점을 둔다.

  • 숙달Mastery 목표 오리엔테이션은 학생들에게 선호되는 오리엔테이션 유형입니다.

  • Goal orientation drives an individual’s motivation. Mastery goal orientation focuses on mastering a task, whereas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focuses on being better than others.

  • Mastery goal orientation is the preferred type of orientation in students.





의학교육과정 발달의 짧은 역사

A short history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이 섹션에서는 중요했던 의학 교육 모델 및 교과 과정의 선정 된 발달로 방향을 전환하고 인지, 정서적/동기, 메타인지 조절의 학습 차원에 의해 유도되었는지 여부를 고려합니다.

In this section, we turn to selected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models and curricula that have been significant and consider whether they were guided by the cognitive, affective/ motivational, and/or metacognitive regulation dimensions of learning.



도제 모델 (18 세기 -19 세기). 

의학 교육의 발전된 역사의 대부분은 미국 18세기, 유럽에서는 더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에서의 의학 교육은 주로 개업의-교사에 의존하는 견습 모델로 시작되었다. 견습생은 훈련을 받았고 권위있는 기관에 의해 규제되지 않았습니다. 이 모델은 학습의 인지 및 메타인지 조절 요소를 향상시키는 데 기반을 둔 것으로 보인다.

Apprenticeship model (18th–19th centuries). Most of the written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dates back to the 18th century in the United States and earlier in Europe.41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tarted mainly as an apprenticeship model40 that was dependent on the practitioner–teacher under whom the apprentice obtained training and was not regulated by any authoritative body. This model seems to have been based on improving th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components of learning.


Flexner 모델 (1910). 

면허는 유럽에서 1800 년대에 표준이되었습니다 .41 미국의 교과 과정 개혁 ​​노력은 아브라함 플렉스 너의 1910 년 카네기 재단 보고서 이후에, 모든 의학 교육 학교가 공통된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2,242,43 의과대학 입학 자격은 과학 학사 학위여야하며, 의학 교육과정은 2 년간의 기초 과학과 환자와의 긴밀한 접촉을 포함한 2 년간의 실질적인 임상 교육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42 이러한 교과 과정의 변화는 학습의인지적 요소에 기반한 것이다. Flexner의 기본 교과 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견해는 미국, 캐나다 및 유럽의 일부 지역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서도 의학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48 Flexner 보고서에 따르면, 기초과학과 임상 교육의 분리가 너무 심해져서, 학생들이 기초 과학 학습이 의사가 되는 것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알기가 어려워서 의학 학습에 관심을 잃었다는 보고가 나왔습니다.

Flexner model (1910). Licensure became the norm in Europe in the 1800s.41 In the United States, curricular reform efforts aimed at ensuring that all medical teaching schools met common standards of quality intensified after Abraham Flexner’s report to the Carnegie Foundation in 1910.2,42,43 Flexner recommended that the entry qualification for medical study should be a bachelor’s degree in science and that the medical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two years of basic sciences followed by two years of (practical) clinical education involving close contact with patients.42 These curricular changes were based on improving the cognitive component of learning. Flexner’s view of the importance of basic sciences in the medical curriculum influenced medical education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some parts of Europe,44 but also in Asia.45 Following the Flexner Report, the separation of basic sciences and clinical education grew so profound40 that reports emerged that students were finding it difficult to see how the study of basic sciences was relevant to their goal of becoming a doctor and were, thus, losing their interest in the study of medicine.8,46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 모델 (1952).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는 1952 년 의학 교육에 통합 된 접근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핵심은 문제 해결에 기반을 둔 교육, 학생들이 자신의 교육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는 것, (각 교실이 아닌) 위원회가 교육과정을 연속체로 설계하는 것, 학제 간 교육, 기본 과학과 임상 과학의 포함 등이다. 문제 해결이라는 개념과 및 분야의 통합이라는 개념은 나중에 다른 대학에서 더 발전되었다.이 모델은 인지 및 메타인지 조절 요소를 대상으로했다. 동기 부여 요소에 대한 고려는 암묵적이었다.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model (1952). In 1952,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adopted an integrated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The central themes included teaching based on problem solving, students accepting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education, faculty subject committees (rather than departments) designing the curriculum as a continuum,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integrating basic sciences with clinical sciences.8,47–49 The concepts of problem solving and integrating disciplines were developed further in other universities at a later time.8 This model was geared toward th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components; the consideration of the motivation component was implicit.



PBL 모델 (1968). 

의학 학습에 대한 커리큘럼 접근법이 크게 발전한 것은, 문제 해결 기술이 훌륭한 진단 및 의사가 되는 토대를 형성한다는 가정하에, PBL 모델을 도입 한 것이 었습니다 .51 PBL의 바탕이 되는 한 가지 중요한 주제는 학생들의 사전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 모델에서는 임상 사례 또는 건강 관련 문제의 형태로 정보를 학생들에게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기초, 임상, 사회 과학의 관련 정보를 탐구하고, 이 정보를 기존 지식과 연결해야합니다. PBL에서는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책임을지기를 기대합니다. 더 나아가, 교사의 역할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서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전환해야 한다.

PBL model (1968). A major development in curricular approaches to learning medicine was the introduction of a PBL model,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roblem-solving skills form the basis of being a good diagnostician and health care provider.50 One important theme underlying PBL is elaborating students’ prior knowledge.37,51,52 In this model, information is presented to the students in the form of clinical cases or health- related problems. The students are asked to delve into the relevant information from basic, clinical, and social sciences and connect this information with their existing knowledge. In PBL, students are expected to own the responsibility for learning; further, teachers are expected to make a transition from disseminating information to facilitating learning.37


따라서 PBL은 학습의 메타인지 조절을 지지하는 자기주도학습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구축되었습니다 .6,50,53이 모델의 목표와 원래 발표 된 설명에는 입학을위한 선발 과정의 일부로 사용한다는 것 외에 학생의 동기 부여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학생들의 동기 부여는 PBL의 맥락에서 이점으로 언급되었다 .50 우리는 동기 유발 과정에 대한 고려가, 특히 소그룹과 응용 지향적 학습의 맥락에서, 암묵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이 모델은 학습의 인지 및 메타인지 구성 요소를 향상시키는 데 기반을 두고 있으며, 동기 요소의 개선은 모델이 구현되는 과정에서 보다 명확해진다.

Thus, PBL was also built around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serves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of learning.6,50,53 This model’s goals and the original published description do not include any consideration of student motivation, except its assessment as a part of the selection procedure for admission.37,50 Motivation of students has been mentioned in the PBL context as an advantage.50 We conclude that consideration of motivational process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small-group and application-oriented learning, was implicit. Thus, this model was based on improving th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components of learn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motivational component became apparent as the model was implemented.37,51


통합 커리큘럼 모델 (1995). 

통합 교육 과정은 각 학문 분야와 그것에 의해 가르쳐지는 문제를 다른 모든 분야 또는 의학 교육의보다 넓은 맥락에서 배치하기위한 목적으로 수립되었다 .54 이러한 접근 방식에서 

    • 수평적 통합은 특정 분야 1 년 또는 특정 phase에 다뤄지는 내용의 통합을,

    • 수직적 통합은 전임상 및 임상 과학의 통합을 의미했다. 54-56 

수직적 통합 커리큘럼은 임상 실습의 맥락에서 기초 과학을 배치하고 환자와의 조기 접촉을 도입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실제 환자와의 초기 접촉의 명시된 이점 중 하나는 학습을위한 학생의 동기를 자극하는 것이다. 54,59,60

Integrated curriculum model (1995). Integrated curricula were established with the aim of placing each discipline and the matter taught by it in the context of all other disciplines or in the broader context of medical education.54 Within this approach, 

    • horizontal integration meant integration across the medical subjects taught in a particular year or phase of the program, and 

    • vertical integration meant integration of preclinical and clinical sciences.54–56 

Vertically integrated curricula were introduced with the aim of placing basic sciences in the context of clinical practice and to introduce early student contact with patients.54,56–58 One of the stated advantages of early contact with real patients is stimulating student motivation for learning.54,59,60


성과 기반 교육 모델 (1998). 

결과 기반 교육은 커리큘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로서 교육 프로그램의 기대 성과를 사용한다 .61 교과 과정 개발은 "어떤 종류의 의사를 만들어 내고 싶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기반으로합니다. 모델은 사회의 건강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과 같은 개별 학습자 성취를 넘어서는 결과를 다룰 수 있습니다. CanMEDS63 및 ACGME 는 실제로 성과 기반 교육을 확립하고, 이러한 모델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모델은 인지 및 메타인지 조절 요소를 대상으로했습니다.

Outcome-based education model (1998). Outcome-based education uses the desired outcomes of the educational program as the basis for developing a curriculum.61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s thus based on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sort of doctors do we want to produce?”62 This type of model can address outcomes beyond the individual learner achievement, such as meeting the health needs of society. The CanMEDS63 and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64 competency frameworks provide further tools to establish outcome- based education in practice and ways to assess this model objectively. This model targeted th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components.


나선형 커리큘럼 모델 (1999). 

1999 년 Harden66은 1960년 브루너 (Bruner)가 최초로 기술 한 나선형 커리큘럼이 의학 교육에서 어떻게 창안 될 수 있는지 설명했다. Harden에 따르면, 의학 커리큘럼에서 내용의 반복적인 조직화와 커리큘럼의 전체적 구조는 무시되고 있다. 이 모델은 새로운 접근 방식에서 이러한 결함을 수정하려고했습니다. 나선형 커리큘럼을 사용하면 단순한 사실에서 복잡한 이해로 이동하여 반복적으로 주제를 재방문하여, 계층 구조로 지식을 구축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Z 자 모양의 교육과정이 설명되어있다. 이는 기초 및 임상 과학의 수직적 통합을 기반으로합니다. 이 모델은 인지 및 메타인지 조절 요소를 개선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동기 부여 요소에 대한 고려가 암묵적이었다.

Spiral curriculum model (1999). Harden66 in 1999 described how a spiral curriculum, first described by Bruner in 1960, can be created in medical education. According to Harden, repetitive organization of content 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urriculum are neglected in medical curricula. This model tried to correct for this particular deficiency in its new approach. A spiral curriculum allows for building of knowledge in layers—that is, moving from simple facts to a more complicated understanding, thus revisiting topics iteratively. More recently, Z-shaped curricula58,67 have been described; these are based on vertical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 This model was designed to improve th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components; the consideration of the motivational component was implicit.


경험 기반 학습 모델 (2004). 

경험 기반 학습 모델 (2000 년 Eraut68이 learning in the workplace로 처음 기술됨)은 "실제 참여participation in practice"라는 개념에 기반을두고있다. 60 임상 학습에 주로 관련되며 학습 스펙트럼은 수동적 관찰에서 의사로서의 과업 수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60 학생들은 단계별로 환자에 대한 책임을 부여받으며, 이는 상황 기반 시나리오에서 실습 경험을 쌓고 자신의 역량에 대한 자신감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동료들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환경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학습의 메타인지 구성 요소와 일치하며 동기 요소도 고려합니다.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2004). The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first described by Eraut68 in 2000 as learning in the workplace) is based on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in practice.”60 It is related mainly to clinical learning, and the learning spectrum ranges from passive observation to performance of the tasks of a doctor.60 Students are given responsibility for patients in a graded manner, which helps them gain hands-on experience in context-based scenarios and develop confidence in their competence. It also allows them to learn from their peers and from others in the environment. The model is consistent with an emphasized metacognitive component of learning, and it considers the motivational component as well.


LIC 모델 (2005). 

LIC 모델은 의학 교육과정에서 최근에 발달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는 의학의 핵심 역량에 대해 광범위하게 교육 받고, 졸업후 교육에 진출 할 수있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고도의 프로페셔널리즘을 갖춘, 환자 지향적인 의사를 만드는 것입니다. LIC는 환자가 실제로 돌봄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여러 전문과에 걸친 환자 돌봄을 결합한다. 초점은 병의 경과와 복잡성을 이해하고, 의사와 환자의 관계에서 연속성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환자를 추적following하는 데 있습니다. 이 모델의 동기에 대한 고려는 암묵적입니다. 이 모델은 아직 개발 및 테스트 단계에 있습니다. 이 커리큘럼 모델의 학생 중 첫 번째 집단은 최근에 졸업했습니다. 따라서이 모델의 효과와 효과는 여전히 입증되어야합니다.

Longitudinally integrated clerkships model (2005). The longitudinally integrated clerkships (LICs) model69 is a recent curricular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Its aim is to create doctors who are broadly educated across the key competencies of medicine, have the knowledge and skills to enter graduate training, and exhibit high levels of professionalism and patient- centered orientation. LICs combine patient care across various disciplines, in the way patients experience care; the focus is on following patients, so as to understand the course and complexity of their illnesses and to enable formation of continuity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s. This model’s consideration of motivation is implicit. This model is still in the development and testing stages—the first cohorts of students from this curriculum model graduated recently. Thus, this model’s effects and effectiveness remain to be demonstrated.


의학 교육 커리큘럼의 발전 요약

1984 년 Harden 등은 커리큘럼을 계획하거나 검토하기 위해 SPICES 모델을 제안했다. 다음 커리큘럼 특성의 연속체 중 어느 한쪽으로의 이동을 지원하는 요인을 설명합니다 : 

    • 학생 중심 / 교사 중심 (S); 

    • 문제 기반 / 정보 수집 (P), 

    • 통합 / 과목 기반 (I); 

    • 지역 사회 기반 / 병원 기반 (C); 

    • 선택형 / 유니폼 (E); 

    • 체계적인 접근 / 도제 기반 접근법 (S)

SPICES는 앞서 제시 한 모델 중 일부를 선행하지만, 다음과 같은 의학 교육 커리큘럼의 주요 발전 사항을 요약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Summing up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curricula. In 1984, Harden et al70 proposed the SPICES model for planning or reviewing a curriculum. It describes the factors supporting a move to either end of the continuum of the following curriculum characteristics: student-centered/teacher-centered (S); problem-based/information-gathering (P), integrated/discipline-based (I); community-based/hospital-based (C); with electives/uniform (E); and with a systematic approach/apprentice-based approach (S).70 SPICES predates some of the models we presented above, but it offers a helpful guide for summing up the major developments in medical education curricula, which are as follows:



1. 개업의 / 교사에 따른 교육은, 보다 표준화 된 교육 형식으로 바뀌었다 .4,70

1. Practitioner/teacher-dependent teaching has changed to more standardized teaching formats.44,70


2. 비 규제적이고 주관적인 교수 또는 훈련 접근법은, 커리큘럼을 따르는 보다 표준적이고 목표-기반 교수 접근법으로 바뀌었다.

2. Unregulated, subjective teaching or training approaches have changed to more standard, objectives-based teaching approaches, which follow a curriculum.44


3. 전공 또는 학문 기반 교육 접근법은, 일부 의과 대학에서보다 통합 된 접근 방식으로 대체되었습니다 .8

3. Specialty- and discipline-based educational approaches have been replaced by more integrated approaches in some medical schools.8


4. 교사 중심의 교과 과정과 접근법은, 학습자 중심의 가르침을 강조하는 접근 방식으로 바뀌었다 .2,70

4. Teacher-centered curricula and approaches have given way to approaches that emphasize learner- centered teaching.2,70


5. 기초 및 임상 과학의 고립된 교육은, 통합 된 교육 접근법으로 대체되고있다.

5. Isolated teaching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s being replaced by integrated teaching approaches.70


6. 역량이 진단 및 관리 기술만 필요하다는 견해는, 의사 소통 기술, 협동 기술 및 전문성과 같은 역량을 포함하는 보다 폭 넓은 교육 접근 방식으로 진화했다.

6. The view that competence requires only diagnostic and management skills has evolved to a more broad-based educational approach that includes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collabor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44


7. 지식 기반 평가는, 역량 기반 평가로 발전했다.

7. Knowledge-based assessment has evolved toward competency-based assessment.44


8. 병원 기반 교육은, 일부 의과 대학에서 지역 사회 기반 또는 농촌 지역의 실습 기반 교육을 포함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70

8. Hospital-based training has changed at some medical colleges to include community-based or rural practice- based training.70



동기와 의학교육

Motivation and medical education


LOT 모형의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발전은 주로 학습의인지 구성 요소를 개선하는 데 기반을두고 있음을 알 수있다 (표 2). 그러나 많은 교과 과정 변화에서의 동기 부여 구성 요소에 대한 고려는 암묵적으로 또는 회고 적으로 인식되었거나 아직 개발 중에있다 (예 : 경험 기반 학습 모델) .60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T model, we observe that, in general, curricular developments have been largely based on improving the cognitive component of learning (Table 2). Consideration of the motivational component in many curricular changes has, however, been implicit or recognized in retrospect, or is still in development (e.g.,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60


문헌 검토를 통해, 학생 동기가 커리큘럼 개혁의 주도적 추진력이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기는 주로 의학 교육에서 자연스런 부산물과 결과로 암묵적으로 간주되어왔다. 우리는 의학 교육 문헌에서 학생들의 동기에 대한 많은 명시 적 저작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From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it appears that student motivation has not been a predominant driver of curriculum reform. Mainly, it has implicitly been assumed as a natural by-product and outcome in medical education. We did not find many explicit writings on student motivation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고찰

Discussion



동기 이론가들은 종종 학습과 교육에서의 동기 부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의학 교육 커리큘럼의 개발자들은 동기 부여에 deliberate하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과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otivation theorists have oft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in learning and education. However, developers of medical education curricula have appeared to undervalue the importance of paying deliberate attention to motivation.


학생들의 동기 부여라는 개념을 커리큘럼의 기초의 핵심 부분, 특히 외재적 동기(즉, 학습 좋은 성적, 명예, 성공, 금전적 보상)보다는, 내재적 동기(즉, 학습과 환자를위한 학습)를 자극하는 개념으로 통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재적 동기 부여는 의대생의 학습, 수행 및 복지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t is important to incorporate concepts in student motivation as an integral part of the foundation of medical curricula, particularly the concept of stimulating intrinsic motivation among medical students (i.e., learning for the sake of learning and patients) rather than extrinsic motivation (i.e., learning to be rewarded with good grades, honors, success, or money). Intrinsic motivation has been shown to lead to better learning, performance, and well-being among medical students.32,72


SDT에 따르면 자율성, 역량, 관계성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지원하는 것이 본질적인 동기 부여를 자극하고 학습 및 실습에 대한 진정한 사랑을 가르치는 데 필수적입니다 .21,22 PBL, 수직 통합, 경험 기반 학습, 및 LIC는 학생의 관심과 동기 부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학생의 자율성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며, 학생들의 학습에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의 중요성 등은 교육과정 계획에서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해왔다.

According to SDT, supporting students’ need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s essential to stimulate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inculcate a true love for learning and practice.21,22 Some curriculum models—like PBL, vertical integration, experience-based learning, and LICs—do address issues of student interests and motivation. What appear to be given less attention in curricular planning are enhancing student autonomy,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o students, and giving importance to providing effective feedback71 on students’ learning.


즉, 피드백은 성적의 형태가 아니라 학습 과정에서 제공되어야합니다 .74 Hattie와 Timperley74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이 왜 효과가 없는지와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위한 모델을 설명했습니다. Cleveland Clinic Lerner College of Medicine의 커리큘럼은 총괄 성적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형성적 피드백을 통해 학생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하는 "feedback-rich"모델의 예입니다 .75 학생 동기를 자극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는 통제-지향적 교육과 "평가는 학습을 주도한다"는 말을 너무 협소하게 이해한채로 평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that is, feedback should be provided o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not just in the form of grades.74 Hattie and Timperley74 have outlined how feedback provided to students may not be effective; they have also described a model for giving effective feedback. The Cleveland Clinic Lerner College of Medicine’s curriculum is an example of a “feedback- rich” model that is aimed at improving student competence through formative feedback, as no summative grades are given.75 One of the challenging issues for stimulating student motivation is the existence of control-oriented teaching37 and assessment systems stemming from the (perhaps too narrow) understanding that “assessments drive learning.”76



그러나 평가에 대한 피드백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공되지 않으면, 교육자는 성적이라는 더 큰 외재적 동기를 자극 할 위험이 있습니다. 현재의 의학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동기 부여를 일부 강화하지만, 동시에 다른 수단을 가지고 동기 부여를 침식합니다. 특히 내재적 인 동기 인 SDT의 권고에 따라 원하는 동기를 자극하는 데 많은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따라서 동기 부여의 질은 trade-off를 겪고 있다.

If feedback is not given on these assessments in an effective way, however, educators risk stimulating among students greater extrinsic motivation, which is driven by grades. Thus,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system through some means fortifies students’ motivation while it also erodes their motivation through other means. In particular, not much attention is paid to stimulating the desired kind of motivation, as recommended by SDT, which is intrinsic motivation.22 Quality of motivation, therefore, suffers in the trade-off.



우리는 의대생의 동기를 자극하기위한 교육 철학을 채택하면 평생 학습에 종사하는 의사 (면허 및 규칙에 의해 통제되는 대신 자율적으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측합니다. 이는 의학 실습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비록 사회와 건강 관리 시스템의 작업 조건이 의사의 내재적 동기 부여를 자극하는 방향으로 맞추어져 있지 않더라도, 우리는 교육자로서 적어도 교육과정이 내재적 동기부여에 기여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We predict that adopting a teaching philosophy designed t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in medical students could lead to doctors wh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autonomously instead of being controlled by licensure and rules), which is so important in the practice of medicine. Even if society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health care system are not geared toward stimulating intrinsic motivation among doctors, we as educators may at least shape our curricula to contribute to it.



Limitations


이 검토의 가장 중요한 한계는 우리가 교육과정 개혁에 관한 출판 된 문헌만을 토대로 결론에 도달했다는 것입니다.

The most important limitation of this review is that we reached our conclusions on the basis of only the published literature on curricular reform.



Conclusion


16 Kusurkar RA, Croiset G, Ten Cate TJ. Twelve tips to stimulate intrinsic motivation in students through autonomy-supportive classroom teaching derived from self- determination theory. Med Teach. 2011;33:978–982.


58 Wijnen-Meijer M, Ten Cate TJ, Van der Schaaf M, Borleffs JC. Vertical integration in medical school: Effect on the transition to postgraduate training. Med Educ. 2010;44:272–279.


45 Gwee MCE, Samarasekera D, Chay-Hoon T. Role of basic sciences in 21st century medical education: An Asian perspective. J Int Assoc Med Sci Educ. 2010;20:299–306. XXX


65 Herwaarden CLA, Laan RFJM, Leunissen RRM. The 2009 Framework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in Dutch]. http://www.vsnu.nl/ Media-item/Raamplan-Artsopleiding-2009. htm. Accessed August 16, 2011. XXX


74 Hattie J, Timperley H. The power of feedback. Rev Educ Res. 2007;77: 81–112.


75 Fishleder AJ, Henson LC, Hull AL. Cleveland Clinic Lerner College of Medicine: An innovative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physician investigators. Acad Med. 2007;82:390–396.







 2012 Jun;87(6):735-43. doi: 10.1097/ACM.0b013e318253cc0e.

Have motivation theories guided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medical education curricula?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R.Kusurkar@vumc.nl

Abstract

PURPOSE:

Educational psychology indicates that learning processes can be mapped on three dimensions: cognitive (what to learn), affective or motivational (why learn), and metacognitive regulation (how to learn). In a truly student-centered medical curriculum, all three dimensions should guide curriculum developers in constructing learning environments. The authors explored whether student motivation has guidedmedic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s.

METHOD:

The authors reviewed the literature on motivation theory related to education and on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to identify major developments. Using the Learning-Oriented Teaching model as a framework, they evaluated the extent to which motivationtheory has guide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ers.

RESULTS:

Major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motivation theory indicate that motivation drives learning and influences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at gender differences exist in motivational mechanisms, and that the focus has shifted from quantity of motivation to quality of motivation and its determinants, and how they stimulate academic motivation. Major developments in medical curricula include the introduction of standardized and regulated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problem-based, learner-centered, integrated teaching, outcome-based, and community-based approaches. These curricular changes have been based more on improving students' cognitive processing of content or metacognitive regulation than on stimulating motivation.

CONCLUSIONS:

Motivational processes may be a substantially undervalued factor in curriculum development. Building curricula to specifically stimulate motivation in students may powerfully influence the outcomes of curricula. The elements essential for stimulating intrinsic motivation in students, including autonomy support, adequate feedback, and emotional support, appear lacking as a primary aim in many curricular plans.

PMID:
 
22534597
 
DOI:
 
10.1097/ACM.0b013e318253cc0e


유비쿼터스 정보의 시대의 의과대학생 교육(Med Teach, 2016)

Educating medical students in the era of ubiquitous information

Charles P. Friedmana,b, Katherine M. Donaldsonc and Anna V. Vantsevichd

a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 USA; bSchool of Information, School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MI, USA; cNORC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dSan

Francisco VA Medical Center, Mental Health Service, San Francisco, CA, USA




도입

Introduction


위대한 하키 게임의 열쇠에 대해 물었을 때, 전설적인 아이스 하키 선수 인 Wayne Gretzky는 우리에게 간단한 비밀을 남겼습니다. 그는 "퍽이 있을 곳으로 향한다"고 말했다. 흔히 인용되는 이 조언은 의학 교육의 필수 요소가되었다. 왜냐하면 이 은유로서의 '퍽'이 있을 곳은 지금 '퍽'이 있는 곳과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When asked about the key to playing great hockey, the legendary ice hockey player, Wayne Gretzky, left us with a simple secret. Great hockey players, he said, ‘‘skate to where the puck is going to be.’’ This often-quoted advice has become an imperative for medical education because the metaphorical ‘‘puck’’ is going to be in a very different place from where it currently resides.


많은 연구와 예측은 종이에서 헬스케어에 대한 전자 문서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줍니다. 

  • 미국에서는 사무실 기반의 의사에 의한 기본적인 전자 건강 기록 (EHR) 시스템의 채택률이 48 %였으며 매년 약 6 % 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Hsiao & Hing 2014). 2010 년 미국 건강 정보 기술 조정관 (National Office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1에 의해 개최 된 합의 회의에서 2019 년까지 의료의 80 %가 전자적으로 문서화 될 것이라고 결론 지었다 (Blavin & Buntin 2013). 

  • 영국에서는 EHR이 1990 년대에 유비쿼터스 화되었으며, 급성 치료에 대해서 디지털 문서화로 전환이 진행되고있다 (Anderson et al., 2006). 

  • 네덜란드와 덴마크와 같은 소수의 국가는 완전한 디지털 시스템에 거의 근접해있다 (Kierkegaard 2011). 

공인 된 개인이 접근하기는 물론 분석 목적으로 재사용하기가 훨씬 어려운 종이 형태에서, 훨씬 더 유동적이고 계산 가능한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은 생의학에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Many studies and projections point to continuous progress from paper to electronic documentation of health care. In the United States, adoption of a basic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system by office-based physicians stood at 48%, and this figure has been increasing by approximately 6% each year (Hsiao & Hing 2014). A consensus meeting, convened in 2010 by the U.S.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1, concluded that 80% of care would be documented electronically by 2019 (Blavin & Buntin 2013). In the United Kingdom, EHRs became ubiquitous in the 1990s, and the transition to digital documentation of acute care is underway (Anderson et al. 2006). A small number of nations, such as the Netherlands and Denmark, have achieved close approximations to fully digital systems (Kierkegaard 2011). The transformation of medical data from paper representation, where it is difficult for authorized individuals to access it and even more difficult to reuse it for analytical purposes, to a much more fluid and computable digital form, has profound implications for biomedicine in ways that can be seen with increasing clarity.


이제 의대생은 '디지털 원주민'입니다 (Prensky 2001). 비록 의학 교육의 연속체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지만, 이는 전 세계적 현상입니다.

Entering medical students are ‘‘digital natives’’ (Prensky 2001). Even though medical education continua vary around the world, this is a global phenomenon.



헬스케어의 정보화된 미래

The informational future of health care


향후 10년간 어떤 진료환경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가?

What can we reasonably expect the practice environment to look like in the coming decade?


(거의 대부분) 디지털화된 의료 시스템

A (mostly) digital health system


현재 추세를 기반으로 보자면, 향후 10 년 동안 일차 및 급성 치료는 전자 건강 기록 (EHR)에 정기적으로 기록 될 것입니다 (Blavin & Buntin 2013). 결과 데이터는 계산 가능하고 유동적이며, 원래 수집 된 위치에서 치료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곳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건강 정보의 이동성을 향한 발전을 억제해온 프라이버시, 보안, 상호 운용성, 경쟁적 도전 등의 복잡한 네트워크는 점차적으로 공공 및 민간 부문에 넘어갈 것이다 (JASON 2013, Health Level Seven International 2015). 

Based on current trends, in the next 10 years primary and acute care will be routinely documented in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Blavin & Buntin 2013). The resulting data will be computable and securely fluid, meaning that it can safely move from where they were originally collected to wherever they are needed to support care. The complex network of privacy, security, interoperability, and competitive challenges that have slowed progress toward health information mobility will gradually yield to determined effort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evident (JASON 2013; Health Level Seven International 2015). 


건강 관리 소비자는 일상적으로 디지털 형식으로 자신의 진료 및 건강 상태에 관한 데이터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의 대부분은 센서 및 개인 장치에 의해 생성됩니다. 개인에 관한 오믹 (Omic)의 데이터는 정밀 의학의 실행을 안내하면서 진료 결정을 내리는 데 일상적으로 사용됩니다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Institute of Medicine 2012).

Health care consumers will routinely have access to data about their own care and health status in digital form; many of these data will be generated by sensors and personal devices. ‘‘Omic’’ data about individuals will be routinely used in making care decisions, ushering in the practice of ‘‘precision medicine’’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Institute of Medicine 2012).


이러한 발전의 중요성은 review를 위한 의료 문서 자료의 가용성을 훨씬 뛰어 넘습니다. 의사 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일부는 기하 급수적으로 말합니다), 최적의 진료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독립적 인 데이터 요소의 수는 인간 정보 처리의 한계를 나타내는 '7+ 2를 크게 상회할 것이다(Stead et al. 2011). 정보 기술은 이산 데이터 요소로 존재하는 대량의 정보를 처리 할 수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모든 가용 데이터를 이해하여 최적의 진료 결정에 이를 수 있도록] 인간 인지에 필요한 동반자가 될 것입니다 (Norman 1997) .1 결과적으로 best practice는 부분적으로는 기억에, 부분적으로는 계산에 의해서 이뤄진다는 인식이 일반화될 것이다.

The significance of these developments goes far beyond the availability of care documentation data for review. As the amount of data bearing directly on practice decisions increases—some would say exponentially—the number of independent data elements required to make an optimal care decision will greatly exceed the ‘‘seven plus or minus two’’ which represents the limit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Stead et al. 2011). Because of its ability to process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that exist as discrete data elements, information technology will therefore be a required companion to human cognition to make sense of all available data and arrive at optimal care decisions (Norman 1997).1 As a result, there will be a general recognition that best practice is, in part, remembered, and in part, computed.



향후 10 년 동안 보건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선 할 수있는 신뢰할 수있는 '학습하는 건강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를 보게 될 것입니다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 미국 보건 복지부는 '학습하는 건강 시스템'을 2024 년 국가 목표 (특히 2015 년 보건 정보 기술 국가 코디네이터 사무실)로 목표로 삼았습니다. 

  • 유럽 ​​공동체는 또한이 개념을 채택했다 (Delaney et al., 2015). 

학습하는 건강 시스템은 유체 및 계산 가능한 형태로 점차 증가하는 건강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하는 인프라입니다. 이러한 인프라는 특정 건강 문제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virtuous learning cycled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학습주기 내에서 데이터 집계 및 분석을 통해 진료 개선을 위한 경로가 밝혀지며, 즉시 이 지식을 적용하여 의료행위를 변경하고 지속적으로 개선 할 수 있습니다. 학습 건강 시스템 인프라는 질병 발생을 탐지하고, 유행병을 추적 및 관리하고, 신약 및 기타 중재의 의도 된 것과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모니터하기위한 국가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보건 품질 향상 외에도 공중 보건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Institute of Medicine 2013).

The coming decade will also see significant elements of a trusted ‘‘learning health system’’ that enables the health system to continuously study and improve itself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as specifically targeted the learning health system as a national objective for 2024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increasingly 2015). 

  • The European Community has also embraced this concept (Delaney et al. 2015). 

The learning health system is an infrastructure that makes the best possible use of health data that are increasingly available in fluid and computable form. Such an infrastructure is able to support multiple virtuous learning cycles, each focused on a specific health problem. Within a learning cycle, data aggregation and analysis reveal pathways to care improvement, followed immediately by the application of this knowledge to change practice and enable continuing improvement. The learning health system infrastructure can support public health, in addition to health care quality improvement, by providing a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to detect disease outbreaks, track and manage epidemics, and monitor the effects, both intended and unintended, of new drugs and other interventions (Institute of Medicine 2013).



지식 클라우드의 서포트

Support from a ‘‘Knowledge Cloud’’


생의학 지식이 계산 가능한 형태로 상징적으로 표현 될 때, 그 지식은 질문에 답하거나 의사 결정 관련 조언을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10 년 동안, practice을 지원하기위한 지식의 sophistication, comprehensiveness, accessibility은 가상의 '지식 클라우드'에 포함 된 임상 사례를 묘사하기에 충분할 것입니다. 헬스케어 소비자뿐만 아니라 임상의도 지식 클라우드에 접근 할 것입니다. 현대 스마트 폰에서 사용할 수있는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extrapolation이라고 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는 자연어로 제시된 생의학적 질문에 응답할 것이다(Athenikos & Han 2010, Bauer & Berleant 2012).

When Biomedical knowledge is represented symbolically in computable forms, it can be employed in resources that answer questions or offer decision-specific advice. In the coming decade, the sophistication, comprehensiveness, and accessibility of knowledge to support practice will be sufficient to portray clinical practice as embedded in a virtual ‘‘knowledge cloud.’’ Clinicians as well as consumers of health care will have access to the knowledge cloud. As a direct extrapolation of technology available on contemporary smart phones, the cloud will respond to biomedical questions posed in natural language (Athenikos & Han 2010; Bauer & Berleant 2012).


클라우드는 급속하게 확장된 생의학 지식의 코퍼스를 기반으로 해답을 줄 것입니다. 또한 요청에 따라 대답의 이유를 설명 할 것입니다. 클라우드는 소위 '푸시 모드'로 작동하여 일상적으로 조립 된 건강 관련 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을 기반으로 응급 임상 문제를 예측하거나 탐지 할 때 조언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2011 년에 IBM의 왓슨 (Watson) 기술은 인간의 전문가보다 더 뛰어나게, 평이한 언어로 제기 된 일반적인 지식 문제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의료 지식 클라우드가 어떻게 작동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Pepitone 2011, Yuan 2011). 아직은 이용 가능하지 않지만 지식 클라우드에 대해 상상하는 기능이 향후 10 년 내에 크게 성취 될 수 있습니다.

The cloud will both give answers based on a rapidly expanding corpus of biomedical knowledge; and, on request, will explain these answers. In addition to answering questions addressed to it, the cloud can also operate in so-called push mode, delivering advice when it predicts or detects an emergent clinical problem based on real time analysis of routinely assembled health-related data. IBM’s Watson technology, which in 2011 was able to ‘‘understand’’ and answer general knowledge questions posed in plain language, better than human experts, provides a clue to how a medical knowledge cloud might function (Pepitone 2011;Yuan2011), and suggests that the envisioned capabilities of the knowledge cloud, while not presently available, might be largely achievable early in the coming decade.


클라우드에는 개인 건강 정보가 아닌 지식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에 대한 액세스는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문제에 거의 영향을받지 않습니다. 생물 의학 지식의 영역에서 타당도, 적용 가능성 및 출처가 주요 우려 사항이됩니다. 신뢰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를 관리하고 신속하게 업데이트해야합니다.

Because the cloud contains knowledge and not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ccess to the cloud is largely immune to issues of privacy and security. In this domain of biomedical knowledge, validity, applicability and source become the primary concerns. To be trusted, the cloud will have to be curated and rapidly updated.



의학교육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역량 1: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알기

Competency 1: Knowing what you do and don’t know


지식 클라우드 시대에 직면했을 때, 의료 제공자가 내린 진단appraisal이 실제로 옳은가보다, 의사가 상황에 대한 판단을 옳게 하고있는지 여부가 것이 더 중요 할 수 있습니다.

When confronted with a medical decision in the era of the knowledge cloud, it may be more important for a care provider to know whether her appraisal of the situation is correct or incorrect, than for the appraisal to actually be correct.



이 첫 번째 역량을 설명하는 또 다른 방법은 유능한 임상의는 반드시 '보정calibrated'되어야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보정'이라는 것은 의사의 자신감이 정확성과 일치하는 것을 말한다. 즉, calibration은 의사의 실수에 대한 자기 평가와 실제 오류 사이의 일치를 향상시킵니다 (Berner & Graber 2008). 의사는 자신의 지식이나 능력의 한계에 도달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진료 결정을 내리면서 언제 도움을 요청해야하는지 알아야 한다 (Eva & Regehr 2007; Moulton & Regehr 2007).

Another way of describing this first competency is to say that competent clinicians must be ‘‘calibrated’’; their confidence aligns with their correctness. In other words, calibration improves ‘‘the match between the physician’s selfassessment of errors and actual errors’’ (Berner & Graber 2008). Clinicians will know when to ask for help when making real-time care decisions because they can sense that they have reached the limit of their knowledge or competence (Eva & Regehr 2007; Moulton & Regehr 2007).


4 개 셀로 이뤄진 '자신감 보정 매트릭스'(그림 1)는 이 묘사의 목적을 위해 유용한데, 우리는 일반적으로 임상적 문제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단순하게 이분법적으로 묘사하기 때문이다(Friedman et al. 2005).

A four cell ‘‘Confidence Calibration Matrix’’ (Figure 1)is useful to portray this relationship, recognizing that, for purposes of this portrayal, we are simplistically dichotomizing what is usually a complex assessment of a clinical problem as ‘‘correct’’ or ‘‘incorrect’’ (Friedman et al. 2005).




왼쪽 하단 셀은 under-confident miscalibration입니다. 이 상황은 대체로 안전한데, 왜냐면 의사가 실제로 옳았음에도 틀리다고 생각하여 이용 가능한 지식 클라우드 또는 기타 소스로부터 도움을 구하기 때문이다. 임상가는 이미 도달 한 결론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miscalibration이 이상적이지 않은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첫째, 헬스케어에서는 적시성이 필수적인 상황이 있는데, 클라우드에 컨설팅하는 것은 아무리 민첩하고 반응이 좋더라도 시간이 걸립니다. 

  • 둘째, 클라우드를 suboptimal하게 사용하면 임상의의 평가가 틀린 것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the lower left cell is under-confident miscalibration. This situation is usually safe because the clinician, thinking she is incorrect when in fact she is correct, will seek assistance from the increasingly available knowledge cloud or other sources. This will usually confirm the conclusion the clinician has already reached. There are, however, two reasons why this form of miscalibration is not ideal. 

  • First, there are situations in health care where timeliness is essential and consulting the cloud, no matter how agile and responsive it is, will take time. 

  • Second,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suboptimal use of the cloud might change a clinician’s assessment from correct to incorrect.



오른쪽 상단 셀은 안전하지 않은 형태의 miscalibration입니다. 임상의는 틀렸음에도 자신의 평가가 정확하다고 믿는 곳입니다. 이 miscalibrated 상태에 있는 임상의는 클라우드이나 다른 소스로부터 조언을 구하는 동기가되지 않습니다. 문제를 감지 한 클라우드가 임상의에게 조언을 보내더라도 무시 당할 수 있습니다.

The upper right cell is the unsafe form of miscalibration; this is where the clinician is incorrect but believes her assessment is correct. A clinician in this miscalibrated state will not be motivated to seek advice, from the cloud or other sources. Even if the cloud, sensing a problem, pushes advice to the clinician, it is likely to be ignored.


오른쪽 아래의 행렬의 네 번째 셀은 임상의가 잘못된 상태를 감지하여 교정된 상태입니다. 이 경우 클라우드와의 협의가 상황을 수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특정 영역이 교육에 가장 큰 함의를 준다. 유비쿼터스 시대에 trainee는 [생각하고 상황을 바로 잡기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있는 한] 틀렸다는 이유만으로 downgraded되어서는 안된다. 역사적으로 의학 교육은 정답을 지닌 학생들에게 보상을 주었다. 그러나 정보화된 미래에는 자신의 지식의 결함과 한계를 이해하고 불확실성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학생들에게 보상이 돌아가야 한다.

The fourth cell of the matrix, in the lower right, is the calibrated state where the clinician is incorrect and senses it. In this case, a consultation with the cloud will likely correct the situation. This particular cell has the greatest implications for education, suggesting that, in the era of ubiquitous information, trainees should not be downgraded for being wrong, as long as they know they are wrong and are capable of using the cloud to rectify the situation. Historically, medical education has rewarded students who carry the right answer in their heads. In the informational future, we should instead reward students who understand the flaws and limits in their knowledge and appropriately manage their uncertainty.


교정calibration을 향상시킬 수있는 교육적 접근 방법은 무엇입니까? 하나의 전략은 교육적으로 검증 된 실습과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이다. 연수생이 문제에 대한 평가를 내리면, 교육자는 정기적으로 평가에 대한 자신감의 수준과 그 결론에 도달 한 원인에 대해 질문해야합니다. 확신 평가를 의식 수준으로 높이면, trainee는 자신감을 평가하기위한 일상적인 내부 대화internal dialogue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Miscalibration의 사례는 문서화되어야하고 preceptor와 논의되어야합니다. 이 접근법은 자신감 평가 및 관련된 대화를 공식적/체계적으로 임상 교육에 적용하는 새로운 교육적 접근 방식을 필요로합니다.

What educational approaches can enhance calibration? One strategy would use the instructionally tried-and-true approach of practice and feedback. When a trainee offers an assessment of a problem, preceptors should routinely ask her about her level of confidence in the assessment and what brought her to that conclusion. Elevating confidence assessment to a conscious level will help the trainee initiate a routine internal dialogue of assessing confidence. Instances of miscalibration should be documented and discussed with preceptors. This approach requires new pedagogical approaches that build confidence assessment and the associated dialogue formally and systematically into clinical education.


이 접근법을 강화하기 위해 임상 프리셉터는 동일한 유형의 행동을 모델링해야합니다. Preceptor는 자신의 자신감과 교정 수준에 대해 더 많이 introspective하게 인식하고 기꺼이 토론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사고에 대한 생각을 연구하는 메타인지 (metacognition)라는 새로운 분야는 임상 교육에서 교정을 촉진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추가 정보를 제시 할 수 있습니다 (Qurik 2006).

To reinforce this approach, clinical preceptors should model these same types of behaviors. Preceptors will need to become more introspective about, aware of, and willing to discuss their own confidence and levels of calibration. Finally, the emerging field of metacognition, the study of thinking about thinking, may shed some additional light on how to promote calibration in clinical education (Qurik 2006).






역량 2: 좋은 질문을 하는 능력

Competency 2: Ability to ask a good question


두 번째 역량은 불완전한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있는 능력을 보장합니다. 클라우드를 최대한 활용하기위한 핵심 기술은 좋은 질문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좋은 대답을 얻는 가장 좋은 방법은 좋은 질문을하는 것입니다 (Taylor 1962; Debons 2008). 뭔가를 배우기 위해서는 무엇인가를 알아야합니다. 따라서 좋은 질문을하기 위해 임상의는 당면한 문제에 대한 중요한 것을 알고 있어야합니다 (Tang & Ng 2006).

The second competency will ensure that they will have the ability to use the cloud to improve their incomplete knowledge. The key skill for making best use of the cloud is the ability to frame a good question. The best way to get a good answer is, and will remain, to ask a good question (Taylor 1962; Debons 2008). It is necessary to know something in order to learn something. Therefore, to frame a good question, the clinician must know something important about the problem at hand (Tang & Ng 2006).


논증을 위해 다시 단순화하면서, 우리는 임상의가 지식 클라우드와 상호 작용하기 전에 개인 지식의 세 가지 상태를 고려한다. 

  • 첫 번째 상태는 임상가가 즉각적인 관심 대상이 되는 문제에 대해 지식이 부족하여 클라우드의 대답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질문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 상태에 있는 임상의는 클라우드에서 도움을 얻을 수 없으며,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되거나, 검색된 정보로 잘못 인도 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상태에서 임상의는 부분적으로만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질문을 구성하기에는 충분한 상태이다. 이 경우 클라우드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세 번째 상태는 임상의의 개인 지식이 이미 완료된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클라우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식의 기하 급수적 인 급증으로 특징 지어지는 미래에, 개인이 사소한 문제와 관련하여이 완전한 지식 상태에있을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있다.

Again simplifying for the sake of argument, we consider three states of personal knowledge preceding a clinician’s interaction with the knowledge cloud. 

  • The first state is about a where the clinician has insufficient knowledge problem of immediate interest to frame a question such that the cloud’s answer will be helpful. A clinician in this state will not be able to obtain assistance from the cloud and will remain unable to address the problem at hand – or may be misled by the information retrieved. 

  • A clinician in the second state has partial knowledge that is nonetheless sufficient to frame a good question. In this case the cloud can be helpful. 

  • The third state is where clinician’s personal knowledge is already complete. In this state the cloud is not needed; however, in a future characterized by exponential proliferation of knowledge, it is increasingly unlikely that any individual will be in this full-knowledge state with respect to a non-trivial problem.


이 분석은 커리큘럼 구성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This analysis provides guidance on how to structure a curriculum


커리큘럼의 초점은 [모르는 것을 알아내는 데 필요한 것을 배우는 것]으로 옮겨가야 한다. 다시 말하면, 좋은 질문을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을 배우는 것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된 교육 접근법은 지식의 양보다 지식의 조직화를 강조하여인지 심리학자들이 '비계scaffolding'라고 부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Kim & Hannafin 2011).

The focus of the curriculum should shift to learning just what is needed in order to find out what one doesn’t know – or, alternatively, to learning what one needs to know in order to ask a good question. This shifted educational approach stresses organization of knowledge over volume of knowledge, changing the focus to what cognitive psychologists call ‘‘scaffolding’’ (Kim & Hannafin 2011).


오늘날의 연수생은 미래의 클라우드 지원 임상 실습을 준비하기 위해 좋은 질문을 세우는 데 충분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공식 교육 프로그램은 [유효한 조언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성숙하지만] [임상 실습에 적용하기에 아직 성숙하지 않은] 초기 버전의 클라우드와 같은 지식 자원을 사용해야합니다. 교육 환경에서의 임상 시뮬레이션 상황은 실제 환자의 안전을 위태롭게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 개발 된 지식 기술은 이러한 기술이 보다 성숙되고 널리 보급되었을 때, 학생들이 필요로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일반적으로 교육 프로그램은 [그 시점에서 클라우드의 상태가 어떻든간에], 클라우드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challenge해야합니다.

Today’s trainees will require ample practice in formulating good questions to prepare them for the cloud-supported clinical practice of the future. To this end, form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employ early versions of cloud-like knowledge resources that are mature enough to provide valid advice but perhaps not yet mature enough to be deployed in clinical practice. In doing this, we can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simulated clinical problems posed in educational settings do not jeopardize the safety of actual patients. Partially developed knowledge technology can be used in these situations to help students develop skills they will need in a future when that technology is more mature and widely deployed. In gener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challenge students with problems that require use of the cloud, whatever the state of the cloud might be at that point in time.


오늘의 학생들을 미래의 클라우드 지원 관행에 준비시키려면 평가를 '클라우드 호환cloud-compliant'하게 바꿔야 한다. 미래의 시험은 '오픈 클라우드' 시험이어야합니다. 정보화 된 미래가 미래 의료환경의 특징이라면, 일반적으로 closed book 형태의 시험에 대한 정당성은 거의 없습니다. 주어진 closed 시험은 질문의 답을 구름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그 scaffolding에 attach된 fact가 아닌 학생의 비계scaffolding을 평가해야합니다. 1960 년대 맥 마스터 대학 (McMaster University)에서 도입 된 ''트리플 점프 (triple jump) 운동의 modification은 PBL에서의 개척적인 작업의 일환으로, ''오픈 클라우드''시험을위한 모델 역할을합니다 (Painvin, Neufeld , Norman, Walker, & Whelan 1979, Smith 1993). 이 논의에 맞추기 위해 수정 된 트리플 점프의 표현은 그림 2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 이 시나리오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개인 지식만을 기반으로 할당 된 문제를 먼저 통과합니다. 이것은 '비계'점수를 생성합니다. 

  • 문제를 두 번째로 통과하면 학생은 지식 클라우드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패스는 두 가지 점수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사용의 품질과 관련된 프로세스 점수와 클라우드의 지원을 받아 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하였나를 기준으로 한 최종 점수.

To prepare the students of today for the cloud-supported practice of the future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evaluations ‘‘cloud-compliant.’’ Exams in the future should be ‘‘open-cloud’’ exams. Given the informational future that will characterize practice, there is in general little justification for closed-book, closed-note exams. Any closed exams that are given should assess a student’s scaffolding as opposed to whatever facts might attach to that scaffolding, since those facts are retrievable from the cloud. A modification of the ‘‘triple jump’’ exercise that was introduced at McMaster University in the 1960s, as part of their pioneering work in problem-based learning, serves as a model for the ‘‘open cloud’’ exam (Painvin, Neufeld, Norman, Walker, & Whelan 1979; Smith 1993). A representation of the triple jump, modified to fit this discussion, is portrayed in Figure 2. In this scenario, students get a first pass through an assigned problem based on their personal knowledge only; this will generate a ‘‘scaffold’’ score. In a subsequent second pass through the problem, the student can access the knowledge cloud. The second pass will generate two scores: a process score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ir use of the cloud, and the most important final score based on how well she could solve the problem when assisted by the cloud.




역량 3: 근거를 평가하고 가중치를 둘 수 있는 능력
Competency 3: Evaluating and weighing evidence


미래 클라우드의 많은 질문에 대한 답변은 임상 지침과 같은 저장된 지식 저장소에서 비롯 될 것이지만 다른 것들은 이전에 설명한 것처럼 leaning health system을 통해 액세스 할 수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실시간 쿼리에서 나옵니다.

While many of the future cloud’s responses to questions will come from stored knowledge repositories such as clinical guidelines, others will come from real-time queries of databases accessible through a learning health system as previously described.


따라서 클라우드를 discriminating하게 사용하려면 불확실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합니다.

Thus, a discriminating user of the cloud must be able to evaluate uncertainty.


세 번째 역량은 임상 결정이 컴퓨터가 아니라 사람들에 의해 계속 될 것이며 클라우드의 역할은 명령이 아닌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가정합니다. 의학이 공유 된 의사 결정의 시대로 접어 들면서, 증거를 평가하고 가중치를 두는 기술은 계속 중요 할 것입니다. 미래의 의사 결정은 임상의 간 전문 팀뿐만 아니라 환자와 그 가족을 포함하여 팀의 결정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종종 불분명하고 모순되는) 추가 요소는 이러한 개인의 다양한 신념과 시각에서 파생됩니다.

This third competency assumes that clinical decisions will continue to be made by people, not machines, and that the role of the cloud will be to give advice and not orders. Skills in evaluating and weighing evidence will continue to be important as medicine enters an era of shared decisionmaking. Future decisions about care will be team decisions—not just by inter-professional teams of clinicians, but also includ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dditional factors bearing on these decisions, factors that are often fuzzy and conflicting, will derive from the varying beliefs and perspectives of these individuals.


따라서 미래 의사에게 필요한 지식 스캐폴딩의 일부는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 결정과 관련되어야합니다. 이것은 공식적인 의사 결정 모델링 및 분석, 증거에 기반한 의사 결정 및 문헌의 비판적 평가, 메타 분석, 데이터 마이닝 및 신호 탐지와 같은 주제에 대한 커리큘럼 관심 증가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재 이 세 번째 역량을 다루기 위한 교육과정 변경은 smallest departure이다. 의과 대학은 수십 년 동안이 주제가 임상의로서 미래의 업무와 관련이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투쟁 해왔다 (Luther & Crandall 2011). 클라우드의 시대가 다가 오면서 이전에 설명한 두 가지 역량을 다루기 시작한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증거에 대한 평가와 가중치를 두는 능력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분명해질 것입니다.

So part of the future practitioner’s knowledge scaffolding, referenced earlier, must relate to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This requires increased curricular attention to such topics as: formal decision modeling and analysis,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and critical evaluation of literature, meta-analysis, and data mining and signal detection. In many ways, the curricular changes to address this third competency represent the smallest departure from however, current practice; medical schools have struggled for decades to make this subject matter appear to trainees to be relevant to their future work as clinicians (Luther & Crandall 2011). As the era of the cloud approaches and curricular changes begin to address the two competencies described previously, the importance of weighing and evaluating evidence will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결론: CPD에 대한 함의

Concluding observations: implications for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여기까지 언급되지 않은 탁월한 질문이 있습니다. 이미 진료중인 의사 및 기타 건강 전문가를위한 평생 학습의 틀로 어떻게 작용합니까? 새로운 의료 지식 환경은 또한 현재 시스템 하에서 교육받은 시니어 의사들에게도 해당될 것이다. 지식 클라우드는 새로운 졸업생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의사들에게도 잘 작동해야합니다. 의학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여기에 설명 된 많은 교육 도전 과제는 현재의 임상 의사 세대의 CPD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there is a transcendent question not mentioned up to this point: How do these issues work into a framework of continuous, lifelong learning for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who are already in practice? the new medical knowledge environment will also exist for more senior practitioners who have been educated under the current system. The knowledge cloud must work for them as well as it works for these new graduates. Many of the educational challenges described here for the education of medical students apply equally well to the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current generation of practicing clinicians. 







 2016 May;38(5):504-9. doi: 10.3109/0142159X.2016.1150990. Epub 2016 Mar 30.

Educating medical students in the era of ubiquitous information.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 Ann Arbor , MI , USA ;
2
b School of Information, School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 MI , USA ;
3
c NORC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Health Sciences , Bethesda , MD , USA ;
4
d San Francisco VA Medical Center, Mental Health Service , San Francisco , CA , USA.

Abstract

Health care around the world is going digital. This inexorable trend will result in: (1) routine documentation of care in digital form and emerging national infrastructures for sharing data that allow progress toward a learning health system; and (2) a biomedical "knowledge cloud" that is fully integrated into practice environments and accessible to both providers and consumers of healthcare. Concurrently, medicalstudents will be complete digital natives who have literally grown up with the Internet and will enter practice early in the next decade when the projected changes in practice approach maturity. This essay describes three competencies linked to this evolving information environment-(1) knowing what you do and don't know, (2) ability to ask a good question, and (3) skills in evaluating and weighing evidence-and suggests educational approaches to promote student mastery of each competency. Shifting medical education to address these competencies will call into question many current methods but may be essential to fully prepare trainees for optimal practice in the future.

PMID:
 
27027546
 
PMCID:
 
PMC4898157
 
DOI:
 
10.3109/0142159X.2016.1150990


역량바탕교육의 정책적 함의(Med Teach, 2010)

Identifying the policy implication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SARAH TABER1, JASON R. FRANK2, KENNETH A. HARRIS3, NICHOLAS J. GLASGOW4, WILLIAM IOBST5 &

MARTIN TALBOT6, FOR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1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2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and University of Ottawa, Canada, 3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University of Ottawa, and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Canada, 4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ustralia, 5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n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USA, 6University of Sheffield, England







도입

Introduction 


역량 기반 의학 교육 (CBME)이 건강 전문 교육의 매력적인 틀로서 받아 들여짐에 따라, 교육자와 학습자는이 접근법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CBME의 진보를 위해서는 핵심 교리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group의 구성원은 핵심 원칙을 명확히하고 공통된 용어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제안 된 패러다임의 시행은 기관, 의학 교육 지도자 및 의료 정책 입안자에게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가질 것임이 분명 해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더 많은 논쟁을 촉진하기 위해 CBME의 정책적 차원들을 간략하게 검토합니다.

A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gains acceptance as an attractive framework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ducators and learners will face a range of challenges in realizing the full potential of this approach. Recognizing that the advancement of CBME requires a shared understanding of its central tenets, th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group have worked to articulate core principles and to arrive at a common understanding of terms. During this process, it became apparent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posed paradigm will hav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institutions, medical education leaders, and health care policy-makers. In this paper, therefore, we briefly examine the policy dimensions of CBME in order to stimulate further debate on the issues arising. 




원칙, 희망, 과제

Principles, promise, and challenges 


ICBME 공동 작업자는 보건 전문 교육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을 구별하는 세 가지 중요한 원칙을 설명합니다.

The ICBME Collaborators describe three overarching principles that distinguish a competency-based approach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의사의 역량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이며 문맥 적이며 발달 적입니다. . 이것은 여러 영역의 능력을 포함합니다. . . 능력의 각 영역마다 초보자에서 마스터에 이르는 다양한 능력의 범위가 있습니다. . 역량의 개념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맥락 적 구조이다. . 각 의사는 어느 한 상황에서 언제든지 독특한 능력의 constellation 를 가지고있다. "

. physician competence is ‘‘multidimensional, dynamic, contextual, and developmental. . .[I]t involves multiple domains of ability . . . For each domain of competence, there is a corresponding spectrum of ability from novice to master. . .[T]he concept of competence [is] an ever-changing, contextual construct. . .[such that] each physician has a unique constellation of abilities at any time in any one context.’’ 


. 역량 학습의 작은 요소들로부터 조합될 수 있는 ingredients of competence로 볼 수 있습니다. . Competencies란 abilities 또는 capabilities로서 CBME의 조직 단위입니다. "

. competencies can be viewed as ‘‘ingredients of competence, which can be assembled from smaller elements of learning. . .[C]ompetencies are. . .abilities or capabilities and are the organizing units of CBME.’’ 


. CBME는 졸업시에 필요한 능력을 염두에두고 교육 과정을 조직하는 교육 패러다임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ICBME Collaborators는 "역량 구성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구현, 평가 및 평가에 대한 결과 기반 접근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의도한 성과로부터 후향적으로backward 작업함에 따라 교육자들은 연수생이 필요한 역량을 획득 할 때 도달해야 할 마일스톤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위한 학습 방법과 평가 도구는 학습자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선택 될 수있다. "(Frank et al. 2010).

. CBME, therefore, is an educational paradigm whereby curricula are organized with the end – the abilities needed of graduates – in mind. More specifically, it is defined by the ICBME Collaborators as ‘‘an outcomes-based approach to the design,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using an organizing framework of competencies.’’ Further, by ‘‘working backward [from the desired outcomes], educators can . . . identify milestones that trainees will need to reach as they acquire the required competencies. Instructional methods and assessment tools for these abilities can then be select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learners’’ (Frank et al. 2010). 


현대 의학 교육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과 비교할 때, CBME의 개념화는 outcomes abilities 에 중점을두고 훈련 전반에 걸친 발달 단계에서 이러한 능력을 평가할 것을 약속합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커리큘럼을 촉진할 수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시간 기반 교육 및 자격 인증에서 벗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In comparison with prevailing approaches in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this conceptualization of CBME promises greater emphasis on outcomes abilities and on the assessment of those abilities at developmental milestones throughout training. It also provides a mechanism for the promotion of learner-centred curricula, along with the potential to move away from time-based training and credentialing in medicine. 


그러나, 동일한 이유로, CBME는 몇 가지 중요한 도전을 제시합니다. 임상 의사에게 중요한 모든 영역에서 역량을 확인, 정의 및 평가하는 데 필요한 작업 외에도 Frank와 coauthors (2010)는 현재의 의학 교육 및 보건 시스템에서이 접근법의 채택 및 구현에 대한 장벽을 설명합니다. 시간 기반 시스템에서 벗어나기 위해 요구되는 노력, 교육, 인프라 및 평가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자원, 그리고 아마도 인력 요구 사항을 증대시키는 데 필요한 자원 (이 호의 638-645 페이지 참조).

However, by the same token, CBME presents several significant challenges. Beyond the work needed to identify, define, and assess competencies in all of the domains important for a practising physician, Frank and coauthors (2010) describe barriers to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is approach in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systems, including the effort that will be required to move away from a time-based system, the resources necessary to meet the demands of teaching, infrastructure, and assessment, and perhaps even augmented workforce requirements (see pp. 638–645 in this issue). 





주요 정책함의

Major policy implications 


'정책'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이 토론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정책을 다양한 옵션과 그 잠재적 효과를 고려하여 조직 또는 시스템 결정을 내리는 과정으로 광범위하게 적용합니다 (Torjman 2005). 정책적 함의는 정치적, 경영 적, 재무 적, 행정 적 관점을 포함한 다수의 유리한 점에서 조사 될 수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메소 (프로그램, 제도) 및 매크로 (건강 관리) 분야에서 의학 교육 지도자, 의료기관 및 정책 입안자를위한 주요 고려 사항에 대해 광범위한 교육 정책 렌즈를 통해 CBME의 개념을 검토합니다 시스템, 사법권 및 국제 수준) (표 1 참조).

The term ‘‘policy’’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For the purposes of this discussion, we apply it broadly to refer to the process of making organizational or system decisions by considering a number of options and their potential effects (Torjman 2005). Policy implications can be examined from a number of vantage points, including political, managemen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perspectives. In this section, therefore, we examine the concepts of CBME through a wide educational policy lens, noting key considerations for medical education leaders,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policy-makers, at both the meso (program, institutional) and macro (health care system, inter-jurisdic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see Table 1). 



프로그램과 기관 정책함의

Program and institutional policy implications 


프로그램 및 기관 수준에서 CBME의 구현은 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성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제공과 이러한 프로그램의 연계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함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 할 수 있습니다.

At the program and institutional levels, the implementation of CBME will hav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rganiz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for the alignment of these programs with the delivery of health services. These implication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수련 로테이션과 의료서비스의 로지스틱스

1. Logistics of training rotations and health service delivery 


의학 교육의 일반적인 모델에서 교과 과정과 자격 인증은 훈련에 소요 된 고정 시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Long 2000; Carraccio 외 2002; Frank et al. 2010). 이러한 고정된 교육 기간은 교육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연수생의 참여뿐만 아니라 교육 로테이션에 대한 계획되고 예측 가능한 일정으로 쉽게 전환됩니다. 현상을 유지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시간 기반 시스템의 연수생은 로테이션이 끝나기 전에 획득한 능력을 폭이나 깊이 면에서 여전히 로테이션 후에도 풍부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전을위한 최선의 방법임을 나타내는 증거는 없습니다.

In the prevailing model of medical education, both curricula and credentialing tend to emphasize fixed times spent in training (Long 2000; Carraccio et al. 2002; Frank et al. 2010). These fixed training periods easily translate into planned and predictable scheduling for educational rotations, as well as for trainees’ participation in the delivery of health services. Defenders of the status quo will argue that trainees in a timebased system who have achieved competence before the end of a rotation can still continue to enrich their abilities, in terms of either breadth or depth; however, no evidence is available to indicate that this is the best way to make such progress. 


CBME는 학습자가 특정 영역을 통해 다른 속도로 진행하고 평균보다 빠르거나 느린 역량을 달성 할 수 있도록 시간 기반 교육을 덜 강조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융통성있는 학습자 중심의 접근법은 불가피하게 의학 교육 및 보건 서비스 제공 일정 수립에 영향을 미칩니다. 연수생이 필요한 역량을 획득하고 로테이션을 일찍 떠날 수있는 가능성이있을 때 어떻게 단위 일정을 계획 할 수 있습니까? 충분한 연수생이 평균보다 느리게 끝날 것이라고 가정하여 일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까? CBME 패러다임을 완전히 포용하기 위해서는 보건 서비스 제공에있어 연수생에 대한 의존도를 철저히 조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스케줄링과 관련된 추가 과제로는 교육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직원, 시간 또는 자원 부족으로 병목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CBME has the potential to de-emphasize time-based training, meaning that learners may progress at different rates through certain areas, and achieve ‘‘threshold’’ competencies faster or slower than the average. This inherently flexible and learner-centred approach has implications, however, for the scheduling of both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service provision. How can a unit plan its call schedule when the potential exists for trainees to acquire the competencies needed and leave a rotation early? Can one assume that enough trainees will finish slower than the average, thus balancing out the schedule? The reliance on trainees in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may need to be thoroughly examined in order to fully embrace the CBME paradigm. Additional challenges associated with scheduling include the potential for rotations to become bottlenecked by a lack of staff, time, or resources to meet educational needs. 


2. 환원주의 vs 수월성 논쟁

2. The reductionism versus excellence debate 


CBME의 비판자들은 더 작고 작은 구성 요소로 역량을 줄이는 것을 비판했다 (Talbot 2004). 가장 초기의 목소리 논평자 중 한 명인 그랜트 (Grant, 1999)는 행동주의자의 힘을 빌어 프로페셔널리즘을 공격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역량 기반 접근법은 지나치게 단순화되었고 전문적인 임상 실습의 결정 불가능한 복잡성을 해결하기에는 완전히 부적절하다고 주장하였다. CBME의 환원주의적 특성은 전체가 항상 그 부분의 합과 같지 않다는 비판을 받아왔으며, 모든 역량의 통합을 의미하는 능력에 필요한 헤아릴 수 없을만큼 중요한 요소가 있이 지적된다. 그러나 훈련중인 의사의 성숙 과정은 자기 주도적이거나 경험적 학습보다 시간-기반 훈련 프로그램에서 가장 잘 수행된다는 증거도 부족하다.

Critics of CBME have highlighted its focus on reducing competence into smaller and smaller component parts (Talbot 2004). Grant (1999), one of the earliest and most vocal commentators, argued that CBME represents an attack on professionalism by virtue of a behaviourist, competencebased approach to clinical training that is overly simplistic and totally inadequate to address the often unquantifiable complexities of expert clinical practice. The reductionist potential of CBME has left it open to criticism on the grounds that the whole is not always equal to the sum of its parts, and that there is an immeasurable je ne sais quoi needed for competence that implies the integration of all competencies. That being said, however, there is a lack of evidence that the maturation process of physicians-in-training is best undertaken in a timebased training program rather than through self-directed or experiential learning. 


CBME 모델을 채택 할 때 의학 교육자는 교육과정과 평가를 개인 역량에 기반하면서 동시에 통합된 역량의 덜 가시적 인less tangible 측면을 무시하지 않을 수 있을지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교육자는 CBME 모델이 자기주도적 평생 학습을 통해 수월성을 추구 할 수 있도록 졸업생을 준비하는 데있어 역할을 고려해야합니다.

In adopting a CBME model, medical educators must consider how to base curricula and assessment on individual competencies while not neglecting the less tangible aspects of an overall, integrated competence such as described by Grant (1999). In addition, educators must consider the role CBME models can play in preparing graduates for the pursuit of excellence over a lifetime of self-directed learning in practice. 


3. 교수의 참여 증대와 교수개발 강조

3. Greater involvement from faculty and greater emphasis on faculty development 



CBME는 개별 관찰 학습 경로의 감독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관찰과 평가 측면에서 더 많은 교수 참여를 요구할 것입니다 (Holmboe 2004; Frank et al. 2010). 그 의미는 추가 교수진이 필요하거나 개별 임상 교사가 더 많은 시간을 교육에 쏟아야 하며, 따라서 진료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교수진 의견에 대한 필요성은 의학 교육 프로그램 및 학술 센터의 지도자에게 다양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교수진의 추가 참여 필요성은 어떻게 구성 될 수 있습니까? 환자 치료에 대한 잠재적 영향은 무엇입니까? 보상에 대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추가 직원이 필요합니까? 

CBME will require greater faculty involvement in terms of direct observa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in the supervision of individualized learning pathways (Holmboe 2004; Frank et al. 2010). The implication may be a need for additional faculty, or for individual clinical teachers to spend more time teaching, thus taking clinical practice time away from an already underserviced enterprise. Regardless, the need for greater faculty input raises various questions for leaders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and academic centres. 

  • How can the need for additional involvement from faculty be organized? 

  • What is the potential impact on patient care? 

  •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remuneration? 

  • Will additional personnel be required? 

복잡성을 추가하는 것은 익숙한 현실이며, 추가 리소스에 대한 필요성과 관련된 문제가 종종 정부, 학술 센터, 병원 및 기타 의료 기관과 같은 여러 이해 관계자 그룹의 공동 책임임을 잘 알고 있습니다.

Adding to the complexity is the familiar reality that issues concerning the need for additional resources are often the shared responsibility of a number of stakeholder groups, such as governments, academic centres, hospitals, and other health care organizations. 


또한, 변화 관리에 중점을 둔다면, 새로운 능력과 기존의 교수진 모두 역량 기반 접근법을 먼저 이해하고 실행하기위한 지식과 도구를 갖추기 위해서는 교수개발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In addition, significant investments in faculty development, including an emphasis on change management, will be needed to equip both new and existing faculty with the knowledge and tools to first understand, and then implement, a competency-based approach. 



4. 평가의 중요성

4.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이 테마 문제에 대한 다른 공헌자로서, 현대 의학 교육은 결과 (예 : 대학원 역량, 의사 실적, 학습자 만족도 또는 환자 간호 품질)보다 프로세스(교육 방법)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CBME 접근법은 바람직한 결과, 즉 실습을 위해 연수생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을 정의하고 설계하는쪽으로 이동합니다.

As other contributors to this theme issue note, contemporary medical education tends to emphasize process issues (instructional methods) over outcomes (e.g., graduate competence, physician performance, learner satisfaction, or patient care quality). A CBME approach moves toward defining and then designing education around desired outcomes – that is, the competencies needed to prepare trainees for practice. 


교육 커리큘럼의 디자인이 성과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변화한다면, 역시 평가도 그러해야 한다. 원하는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평가 도구와 전략이 필요합니다. CBME의 경우 연수생의 명시된 역량을 측정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Holmboe 외. 2010).

If the design of educational curricula changes to focus on outcomes, so too must assessment. Assessment tools and strategies are needed to measure the desired outcomes; in the case of CBME, the ability to measure trainees’ achievement of stated competencies is essential (Holmboe et al. 2010). 


따라서 CBME는 형성평가와 총괄평가에 대한 함의를 지닌다. 실용적이고 전체론적 인 방식으로 역량 획득과 연수생이 훈련을 통해 이정표로 나아가는 과정을 명시 적으로 측정해야합니다. 의학 교육자와 지도자는 역량을 측정하고 역량에 대한 건설적인 피드백을 연수생에게 제공하는 새롭고 견고한 평가 도구가 어떻게 실현되고 개발 될 수 있는지 고려해야합니다. 또한 CBME 접근 방식에서 의학 교육자는 교육이 특정 개인에 대한 치료의 끝없는 반복이 되지 않도록 '최종적 실패'와 같은 개념을 정의하는 방법을 고려해야합니다.

Thus, CBME ha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tools; both will be needed to explicitly measure, in a manner that is both pragmatic and holistic, the acquisition of competencies and trainees’ progress toward milestones throughout their training. Medical educators and leaders must consider how new, robust, assessment tools that measure competencies and provide trainees with constructive feedback about competency milestones can feasibly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in a CBME approach, medical educators must consider how to define concepts such as ‘‘terminal failure,’’ such that training does not become an endless loop of remediation for certain individuals. 


5. 프로그램 평가와 인증의 성과-기반 접근법

5. Outcomes-based approaches to program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CBME가 결과에 더 중점을 두겠다고 약속하면 인증 표준 및 시스템도 훈련 프로그램이 이러한 성과를 달성 할 수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야합니다. 결과에 기반한 프로그램 평가로의 전환은 (달성 된 결과에 대한 더 큰 책임 성을 포함하여 많은 이익과 기회와 관련되어 있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결과 측정 및 정의의 선택과 데이터 수집 및 해석은 모두 주의하여 수행해야합니다.

If CBME promises a greater emphasis on outcomes, standards and systems of accreditation must also evolve to evaluate the ability of training programs to deliver those outcomes – that is, to prepare graduates adequately for practice. Although a shift toward outcomes-based program evaluation is associated with many benefit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greater accountability for outcomes achieved, it is also fraught with challenges. The selection of outcome measures and definitions, as well as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must all be carried out with caution. 


로얄 칼리지 의사와 캐나다 외과 의사 및 미국 대학원 의학 교육 대학의 역량 기반 프레임 워크 구현에 대한 경험에 따르면, 결과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인증을 변화시키는 과정은 느렸다.  캐나다에서는 2002 년부터 CanMEDS 역량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방법을 보여주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지만, 프로그램 및 대학은 졸업생의 성공 또는 실무에 필요한 역량 획득 실패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Royal College 2009)

Experience at both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and the American College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frameworks (CanMEDS, and the Outcomes Project, respectively) have shown that the shift toward greater emphasis on outcomes through accreditation has been slow. In Canada, although training programs have been required since 2002 to demonstrate how they are teaching and assessing the CanMEDS competencies, programs and universities are not held accountable for their graduates’ success or failure in attaining the competencies needed for practice (Royal College 2009). 


시스템 수준의 정책함의

System-level policy implications 


CBME는 또한 자금 지원, 보건 인적 자원, 면허 및 일반인에 대한 책임과 관련하여 거시 시스템 차원에서 의학 교육 지도자 및 정책 입안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CBME also has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leaders and policy-makers at the macro system level with respect to funding, health human resources, licensure, and accountability to the public. 


1. 의학교육 펀딩

1. Funding of medical education 


의료 교육의 시간 기반 모델에서 벗어나면 정부와 다른 지불 자의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스템에서 레지던트 포지션은 고정 된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자금을 조달하므로 비용을 예측하고 연간 예산을 계획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관할 지역에서 레지던트들은 순위에 따라 등급별 급여 등급을 사용하여 의료 서비스 제공에있어 그들의 역할에 대해 지불됩니다. 

  • 유연하고 학습 중심적인 의학 교육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 정부 및 기타 이해 관계자가 변경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 복잡한 이슈를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지불 자와 이해 관계자 간의 대화가 어떻게 촉진 될 수 있습니까? 

  • 훈련 기간과 관련이없는 블록 자금 지원과 같은 역량 기반의 의학 교육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하는 옵션은 무엇입니까? 

  • 연수생이 조기에 끝날 수 있도록하는 재정적 인센티브와 같은 특정 자금 조달 모델에서 어떤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것들은 견제와 균형(졸업생의 능력에 대한 책임을 포함)에 의해 어떻게 완화 될 수 있습니까?

Moving away from a time-based model of medical education will have implications for the funding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by governments and other payers. In traditional systems, residency positions are funded on the basis of fixed blocks of time, making it possible to predict costs and to plan annual budgets. Moreover, in many jurisdictions residents are paid for their role in health service provision using a graded pay scale based on rank. 

  • What changes will be needed by universities, governments, and other stakeholders to enable funding of medical education that is as flexible and learnercentred as the curriculum? 

  • How can a dialogue between the various payers and stakeholders be facilitated to examine this complex issue? 

  • What options exist to facilitate the funding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uch as block funding per graduate that is not tied to length of training? 

  • What unintended consequences might arise from certain funding models (such as a financial incentive to ensure that trainees finish early), and how can they be mitigated by checks and balances, including accountability for the competence of graduates? 


2. 인적자원 함의

2. Health human resource implications 


일부 관할권에서는 CBME가 전통적인 모델보다 짧은 시간에 연습을 위해 졸업생을 준비 할 수있는 기회로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특히 호주 정부는 졸업생이 필요로하는 기술과 역량을 강조함으로써 역량 기반 모델이 실제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생산성위원회 2005, 국민 건강 인력 태스크 포스 2008, 2009, 국민 건강 및 병원 개혁 Commission 2009). 다른 사람들은 역량 기반 프로그램이 커리큘럼에서 필수적이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고 신속하게 마스터하는 커리큘럼 영역을 통해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하여 교육 기간을 단축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Grantcharov & Reznick 2009).

In some jurisdictions CBME has been praised as an opportunity to prepare graduates for practice in less time than traditional models. In particular,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said that, by emphasizing the skills and competencies needed by graduates, a competency-based model can actually help to address workforce shortages (Productivity Commission 2005; National Health Workforce Taskforce 2008, 2009; National Health and Hospitals Reform Commission 2009). Others believe that competency-based programs can shorten length of training by eliminating non-essential areas from the curriculum and allowing trainees to progress swiftly through areas of the curriculum that they quickly master (Grantcharov & Reznick 2009). 


그러나 CBME가 훈련을 단축하고 실무 진입을 가속화함으로써 노동력 부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증거가 부족합니다. 이러한 희망은 근시안적일 수 있다. 개별 학습자 간의 차이점, 보건 서비스 제공에서의 연수생의 필수적인 역할, 훈련생이 성숙하고 그들이 습득 한 역량을 전반적인 역량 및 실습에 통합하는 데 필요한 시간 등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CBME의 적절한 실행의 효과는 경우에 따라 훈련을 길게 할 수도 있습니다. 훈련이 평균적으로 단축되거나 길어 지거나 동일하게 유지되는지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CBME는 인력 계획에 영향을 미쳐 이미 어려운 문제에 또 다른 복잡성을 더하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이러한 요구의 정의definition가 관점에 따라 다르다면, 학습자의 역량이 졸업생이 제공하는 요구(즉, 사회적 건강 요구)에서 파생되어야한다는 관념이 있다. 실제로 보편적 정의definition가 없다는 사실은 의료 교육 및 인력 계획을 알리기 위해 이러한 요구를 더 잘 조사하고 정의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의미합니다.

However, there remains a lack of evidence that CBME will shorten training and thus help to relieve workforce shortages by accelerating entry into practice. It may be argued that this hope is short-sighted, for it fails to consider issues such as differences among individual learners, trainees’ essential role in health service delivery, and the time needed for trainees to mature and to integrate the competencies they acquire into overall competence and fitness for practice. Indeed, the effect of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CBME may be, in some cases, to lengthen training. Although concrete data are needed on whether training will, on average, be shortened, lengthened, or remain the same, it is clear that CBME will have implications for workforce planning, adding another layer of complexity to an already challenging issue. The very notion that the competencies of learners should be derived from the needs of those served by graduates (i.e., societal health needs) is challenging, given that the definition of those needs varies by perspective; indeed, the fact that no universal definition exists implies the imperative to better explore and define those needs in order to inform medical education and workforce planning. 


3. 더 큰 책무성과 역량 vs 수월성 논쟁

3. The need for greater accountability, and the competence vs excellence debate 


21 세기의 의학 교육을 향상시키는 주요 동력 중 하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수준에서 생산 된 졸업생의 질에 대한 더 큰 책임에 대한 요구였습니다 (Curry 외, 1993; Donaldson 2001, 운영위원회 2001, Kwasnik 2004). CBME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 할 수있는 고유 한 위치에 있습니다. 그러나 무엇을 어떻게 보고report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은 의학 교육 지도자와 정책 입안자 모두가 신중하게 고려할 가치가있다. 현재의 인증 및 면허 시스템, 사회 건강 요구에 대한 명확한 이해, 의료 법적 영향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더 큰 책임에 대한 요구는 '전문성'의 전통적인 패러다임과 자기 규제 직업으로서의 의학 개념에 영향을 줄 수있다 (Murray et al 2000; Donaldson 2001; Irvine 2001; Lanier et al 2003).

One of the major drivers for improving med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a call for greater accountability, at both the program and system level, for the quality of graduates produced (Curry et al. 1993; Donaldson 2001; Steering Committee 2001; Kwasnik 2004). Given its focus on outcomes tied to preparedness for practice, CBME is uniquely positioned to meet this demand; however, the selection of what and how to report merits careful consideration by medical education leaders and policy-makers alike. It may require an examination of current systems of certification and licensure, a clearer understanding of societal health needs, as well as the consideration of medico-legal implications. Lastly, demands for greater accountability may have implications for traditional paradigms of ‘‘professionalism’’ and the notion of medicine as a self-regulated profession (Murray et al. 2000; Donaldson 2001; Irvine 2001; Lanier et al. 2003). 


"졸업생의 능력에 대해 보고"하기 위해서는 대중, 정부 및 기타 이해 관계자의 교육이 필요하다. 아마 졸업생에게 기대되는 것, 역량 자체에 대한 개념, 더 중요한 것은 전문성이 평생 학습이라는 개념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장기 추적 (Campbell 외. 2010). Dreyfus와 Dreyfus (1986)가 말했듯이, 탐구는 유능한 전문가를위한 것이 아니라 전문가를위한 것이 었으며 공식 대학원 교육이 끝날 때까지 성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공, 정부 및 기타 이해 관계자들에게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수료한다고해서 전문성이 보장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대중에게 졸업생이 독립적인 진료행위를 할 수 있을 만큼 유능하다는 것을 보증 할 책임이 있지만 (즉 특정 상황에 필요한 모든 영역에서 최소한의 역량 수준을 달성음을 보여줌) 의학 교육 공동체는 역량의 정의가 지정된 관행 영역 내에서 정기적으로 바뀔 수 있음을 인식하여, 수련을 마친 사람들이 평생 전문성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준비해야합니다.

The ability to ‘‘report’’ on graduates’ competence also requires the education of the public, governments, and other stakeholders about what is expected of graduates, the notion of competence itself and, more importantly, the concept that expertise is a life-long pursuit (Campbell et al. 2010). As stated by Dreyfus and Dreyfus (1986), the quest is not for a competent specialist, but for an expert, and this might not be accomplished by the end of formal postgraduate training. There is a need to educate the public, governments, and other stakeholders that one’s exit from residency programs does not guarantee expertise. Although there is a responsibility to the public to assure that graduates to independent practice are competent – i.e., they have attained minimum standards of competence in all domains needed for a certain context –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must also ensure that those exiting are prepared for life-long progression toward expertise, recognizing that the definition of competence may change regularly within designated areas of practice. 


4. 진료와 면허에 대한 "맥락적" 역량의 함의

4. Implications of ‘‘contextual’’ competence for practice and licensure 


맥락적 역량의 개념은 평생 학습, 실습 및 면허에 영향을 미친다. 

  • 역량을 갖추었다는 것이 "의학 교육이나 실습의 정의 된 단계에서 일정한 맥락에서 모든 영역에서 필요한 능력을 소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면, ICBME 공동 작업자는 

  • '역량이 부족하다incompetent'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정의하는 것도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은 의학 교육이나 실천의 정의 된 단계에서 특정 맥락에서 모든 영역에서 요구되는 능력이 결여되어있는 것이다. 또한 

  • dyscompetence가 의미하는 것은 '특정 맥락 또는 의학 교육의 어떤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능력이 떨어진다'"이다. 

이 세 가지 정의 모두 역량은 실천 맥락에서 분리되어 고려되거나 측정 될 수 없다는 개념을 명시 적으로 제시한다.

The concept of contextual competence has implications for lifelong learning, practice, and licensure. If being 

  • competent means ‘‘possessing the required abilities in all domains in a certain context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Frank et al. 2010), the ICBME Collaborators also feel it is essential to define what it means to be 

  • incompetent, i.e., ‘‘lacking the required abilities in all domains in a certain context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and what is meant by 

  • dyscompetence, i.e., ‘‘possessing relatively less ability in one or more domains of physician competence in a certain context and at a defined stage of medical education or practice.’’ 

All three definitions make explicit the notion that competence cannot be considered or measured in isolation from the practice context under consideration. 


  • 이러한 정의가 인증, 면허, 지속적인 전문 개발 및 역량 프로그램 유지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 까? 

  • 이러한 정의가 승인되고 채택된다면, 실습 기반 평가는 면허 및 잠재적으로 재 인증 / 검증을위한 요구 사항이 될 것인가? 

  • 관할 지역에 걸쳐 '능력'의 정의에 대한 문맥의 의미는 무엇이며, 궁극적으로 자격 증명의 이식성에 대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 What implications do these definitions have for certification, licensure,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maintenance of competence programs? 

  • If these definitions are endorsed and adopted, will practice-based assessment become a requirement for licensure and, potentially, re-certification/ validation? 

  •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context for the definitions of ‘‘competence’’ across jurisdictions and, ultimately, for the portability of credentials? 


  • 마지막으로, 누가 '맥락'을 결정 하는가? 

  • 상황이 점차 집중되고 필요한 역량의 폭이보다 좁아짐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전문화 된 분야의 의학을 선호 할 위험이 있습니까? 

  • 만약 그렇다면 이것이 일반 전문 분야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Lastly, who decides on the ‘‘context’’? 

  • Is there a risk of favouring increasingly specialized areas of medicine, such that the context becomes increasingly focused and the breadth of necessary competencies more narrow? 

  • If so,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generalist specialties and society? 




고찰

Conclusions 



이 백서는 역량 기반 의료 교육 접근법과 관련된 중간 및 매크로 수준 정책 및 시스템 문제에 대한 초기 탐구입니다. CBME는 그것이 기능 할 복잡한 시스템과 분리되어 고려 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마찬가지로 비록 CBME의 이론적 교훈을 받아 들일지라도, CBME는 복잡한 도전 과제 및 질문과 함께 여러 잠재적 인 이점과 기회를 제공하므로 시간 중심의 의료 훈련을 역량 기반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임을 의미합니다.

This paper is an initial exploration of meso- and macro-level policy and systems issues associated with a competency-based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It is clear that CBME cannot be considered in isolation from the complex systems in which it is meant to function. Similarly, it is clear that CBME presents a number of potential advantages and opportunities, coupled with complex challenges and questions, which implies that transforming time-based medical training to a competency-based system will be a daunting task, even if there is acceptance of the theoretical precepts of CBME. 


이해 관계자 참여를 위해 훨씬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합니다. 의학 교육 지도자, 연수생, 학술 센터, 건강 관리 기관 및 제공자,  의료 규제 기관 및 라이센스 기관, 인정 기관, 정부 기관, 사회, 기회, 문제점 및 가능한 해결 방법에 대해 논의합니다.

Much more work is needed to engage stakeholders, including medical education leaders, trainees, academic centres,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providers,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and licensing bodies, accreditation bodies, governmental agencies, and society, to discuss the advantages, opportunities, issues and possible solutions. 






 2010;32(8):687-91. doi: 10.3109/0142159X.2010.500706.

Identifying the policy implication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STaber@rcpsc.edu

Abstract

At their 2009 consensus conference,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proposed a number of central tenets of CBME in order to advance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lthough the proposed conceptualization of CBME offers several advantage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a greater emphasis on outcomes, a mechanism for the promotion of learner-centred curricula, and the potential to move away from time-basedtraining and credentialing in medicine, it is also associated with several significant barriers to adoption.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CBME through a broad educational policy lens, identifying considerations for medical education leaders,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policy-makers at both the meso (program, institutional) and macro (health care system, inter-jurisdic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rough this analysis, it is clear that CBME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complex challenges and questions, and cannot be considered in isolation from the complex systems in which it functions. Much more work is needed to engage stakeholders in dialogue, to debate the issues, and to identify possible solutions.

PMID:
 
20662582
 
DOI:
 
10.3109/0142159X.2010.500706

[Indexed for MEDLINE]

CPD와 KT: 시너지를 위한 기회(J Contin Educ Health Prof. 2011)

CPD and KT: Models Used and Opportunities for Synergy

JOAN SARGEANT, PHD; FRANCINE BORDUAS, MD; ANNE SALES, PHD, RN; DOUG KLEIN, MD MSC; BRENNA LYNN, PHD;

HEATHER STENERSON, MED





스테이지 소개, 정의 및 설정

Introduction, Definitions, and Setting the Stage 



지속적인 전문 개발 (CPD)지식 번역 (KT)은 공통 목표 (즉, 의료 및 보건 전문 실무의 향상, 따라서 환자 치료 및 인구 건강 결과)를 공유하는 의료 분야 내의 분야입니다. 여러면에서 유사하고 대표적인 CPD 문헌에 링크되어 있지만, 1 개의 두 필드는 서로 다르고 분리되어 발전해왔다. 이 article에서는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이유와 향상된 시너지 효과에 대한 기회를 살펴 봅니다.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nd knowledge translation (KT) are fields within health care that share common goals (ie, the improvement of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al practice and hence patient care and population health outcomes). While similar in many ways and linked in seminal CPD publications,1 the two fields also differ and have developed somewhat separately. This article explores reasons for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enhanced synergy. 


CPD 란 건강 전문가가 환자, 일반 대중 및 전문직을 돌보는 데 사용하는 지식, 기술, 전문적 성과 및 관계를 유지, 개발 및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교육 활동을 가리 킵니다. 1-3 CPD는 더 좁은 초점을 맞춘 전통적인 교훈적인 의학 교육 (CME)의 개념에서 유래하지만; 

  • 임상 도메인뿐 아니라 추가 전문 실무 역량 (예 : 의사 소통, 협업, 전문직)을 다룹니다. 과

  • 자기 주도적 평생 학습과 실습을 강조한다.

그러나 CPD는 CME와 마찬가지로 개인에 초점을 맞추기를 계속하지만, 환자의 보육을 향상시키고 건강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CPD refers to an array of educational activities that health professionals undertake to maintain, develop, and enhance the knowledge, skills,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relationships they use to provide care for patients, the public, and the profession.1−3 CPD evolves from the more narrowly focused and traditional concept of didactic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 addresses not only the clinical domain, but also additional professional practice competencies (e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professional); and 

  • emphasizes self-directed lifelong learning and learning from practice.4 

CPD continues, however, like CME, to generally focus on the individual, yet the overarching goal is to enhance patient care and improve health outcomes. 


많은 부분에서 implementation science과 유사한 지식 번역 (knowledge translation, KT)지식이 실제 적용되는 방식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분야이며,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 결과를 개선하고, 더 효과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헬스케어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하여 근거기반의료를 적용한다 .5,6 캐나다 보건 연구원 (CIHR)은 KT 이니셔티브에 많은 관심과 기금을 지원하고 지식 번역을 "합성, 보급, 교환 및 지식의 윤리적 응용을 통해 캐나다인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역동적이고 반복적 인 프로세스"로 정의합니다. 또한 KT가 보다 효과적인 건강 서비스 및 제품을 제공하고 보건 의료 시스템을 강화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Knowledge translation (KT), similar in many aspects to implementation science, is a relatively new field that refers broadly to the ways that knowledge is applied in pract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 improve patient outcomes, 

  • provide more effective health services, and 

  • strengthen health care systems.5,6 

The 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Research (CIHR) devotes extensive attention and funding to KT initiatives, and defines knowledge translation as “a dynamic and iterative process that includes synthesis, dissemination, exchange, and ethically sound application of knowledge to improve the health of Canadians; provide more effective health services and products; and strengthen the health care system.”6 


그러나 KT 활동의 초점은 개인 건강 전문가가 최선의 근거를 적용하여 실천을 바꾸고 환자 결과를 개선 할 수있게하는 데있다. 의료 시스템과 정책이 목표 일지라도 CPD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개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7

However, much of the focus of KT activities is also upon enabling individual health professionals to change their practice and improve patient outcomes by applying best evidence. Although health systems and policies may also be the target, the focus has generally been on the individual, similar to CPD.7 



KT와 CPD의 궁극적 인 목표는 환자 치료와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이지만, 이러한 목표를 향한 길은 다릅니다. 

  • CPD의 경우, 전통적으로 교육 및 학습을 활용한다 

  • KT는 행동 변화를보다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개입을 통한다. 

이러한 상이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2 개의 필드와 관련 연구를 제한된 교차로가 있는 평행 스트림으로 작동하게했습니다.

While the ultimate goals of both KT and CPD are to improve patient care and outcomes, the paths towards these goals differ. 

  • For CPD, the path has been traditionally through education and learning; 

  • for KT, through interventions which more directly promote behavior change. 

These different orientations have generally led to the two fields and their related research operating as parallel streams with limited intersection. 


CPD와 KT의 두 분야를 더 자세히 살펴 보는 것이 시급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 한 가지 대답은 광범위하며 환자 치료와 건강 결과를 향상시키는 공통 목표에 관한 것입니다. 현재 30 ~ 40 %의 환자가 최선의 근거로 정보를 제공받지 못했으며, 20 %에서 50 % 이상이 부적절한 치료를받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8-10 교육을 통한 증거의 적용을 강화하기위한 전략 (CPD) 또는 다른 중재 (KT)는 새로운 임상 증거가 개선으로 이끄는 데 필수적입니다. 

  • 두 번째 이유는 CPD 분야에 주로 관련된 것인데, 최근 의학 전문가 또는 인정 기관의 요구조건이 학습 또는 지식 변화뿐만 아니라, CPD의 결과로 개선 된 의사 성과 및 건강 결과를 보여줄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의사가 이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데 집중하십시오. 우리는 CPD와 KT 접근법을 더 잘 이해하고 조정함으로써 이러한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Why is it now timel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two fields of CPD and KT? 

  • One answer is broad and concerns the shared goal of improving patient care and health outcomes. It is now estimated that 30% to 40% of patients do not receive care informed by best evidence and that 20% to over 50% receive care that is inappropriate.8−10 Strategies to enhance application of evidence in practice, whether through education (CPD) or other interventions (KT) is essential if new clinical evidence is to lead to improvement. 

  • The second reason, more specific to the field of CPD, is reflected by the recent requir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 and accrediting bodies to demonstrate improved physician performance and health outcomes as a result of CPD, not just learning or knowledge change,11 forcing CPD professionals to focus on how best to help physicians achieve these outcomes. We propose that closer understanding and alignment of CPD and KT approaches will lead to this end.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두 분야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현재와 잠재적 인 교차점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의 각 분야에 대한 지배적 인 개념 모델을 기술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 다음 섹션에서는 CPD와 KT의 실행을 알려주는 개념 모델을 제시합니다. 둘째, 각각의 목표 결과와 세 번째는 복잡한 시스템 내에서 두 필드 사이에 중첩됩니다. 토론에서 전달 된 우리의 믿음은 CPD와 KT가 중복되어 교차해야만 실제, 전문 성과 및 건강 결과에서 증거의 개선 된 적용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결합 된 분야는 사용 된 특정 전략과 보건 전문가의 영향뿐만 아니라 보건 전문가와 개입에 대한 문맥과 문화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describe and compare the dominant conceptual models informing each field of research, with the view of increasing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fields and to identify the current and potential points of intersection. In the following sections, we present the conceptual models informing, first, the practice of CPD and KT; second, the target outcomes of each, and third, overlap between the two fields within complex systems. Our belief, forwarded in the discussion, is that CPD and KT do and must overlap and intersect in order to become more effective in promoting improved application of evidence in practice,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health outcomes. The combined fields need not only to consider the impact of the specific strategy used and the health professionals targeted, but also the influence of the context and culture upon both the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intervention. 







개념적 모델

Conceptual Models 



CPD와 KT의 실천

The Practice of CPD and KT 


CPD와 KT 둘 다에 대한 개념 모델은 활동을 묘사하기 위해 유사한 순환 반복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림 1a 및 1b). 아래 표 1과 표 1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Conceptual models for both CPD and KT draw on similar circular, iterative representations to depict activities (FIGURES 1a and 1b).12,13 We describe these below and map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ABLE 1. 





CPD 모델은 일반 교육 이론 및 실습에서 파생 된 Kern's13 커리큘럼 디자인 모델을 기반으로합니다. 이 모델에는 다음과 같은 6 단계가 있습니다.

  • 문제를 확인한다.

  • 대상 청중에 대한 문제의 구체적인 특징을 결정하기 위해 요구 사항 평가를 수행

  • 확인 된 요구 사항에 따라 목표와 목표를 설정

  •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교육 전략을 선택

  • 도입(시행);

  • 평가; 

  • 피드백을 통해 프로그램에 반영

The CPD model is based on Kern’s13 curriculum design model, derived from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This model has 6 steps, which include: 

  • identify a problem; 

  • conduct a needs assessment to determine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problem for the target audience; 

  • set goals and objectives based on identified needs; 

  • select educational strategies to meet the goals; 

  • implement; 

  • evaluate; and 

  • feedback to inform the program. 


마찬가지로 Moore는 개인이 어떻게 배우는 지에 대한 이론과 증거를 요약하고 5 단계를 확인했습니다.

  • 학습의 기회를 인식

  • 자원 검색;

  • 학습

  • 배운 것을 시험

  • 배운 것을 실천에 통합

Similarly, Moore14 summarized theories and evidence on how individuals learn, and identified 5 steps: 

  • recognize an opportunity for learning; 

  • search for resources; 

  • engage in learning; 

  • try out what was learned; and 

  • incorporate what was learned into practice. 



Graham 등은 개별 행동에 대한 계획된 행동 이론을 검토하고 이러한 이론 전반의 공통 요소를 파악하여 지식을 행동으로 전환시키는 7 단계 KT주기를 확인했습니다.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개인이 특정한 변화를 줄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구합니다. 지식 - 행동 (KTA)주기의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제를 확인

  • 지식을 지역 맥락에 적응

  • 지식 사용에 대한 장벽을 평가

  • 개입을 선택, 조정 및 구현

  • 지식 사용을 감시

  • 결과를 평가

  • 지식 사용을 유지

Graham et al12 identified a 7-step KT cycle for translating knowledge into action, derived from a review of planned action theories for individual behavior and identifying common elements across these theories. Planned-action theories explor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ikelihood of an individual’s making a specific change. The steps in the knowledge to action (KTA) cycle are: 

  • identify a problem; 

  • adapt knowledge to local context; 

  • assess barriers to knowledge use; 

  • select, tailor, and implement interventions; 

  • monitor knowledge use; 

  • evaluate outcomes; and 

  • sustain knowledge use. 


흥미롭게도이 세 모델은 PDSA (Plan-Do-Study-Act) 품질 개선 (QI) 사이클과 유사합니다 .15 모두 공통점이 무엇입니까?

  • 문제 식별,

  • 문제를 탐구하고 집중

  • 적절한 개입 계획,

  • 개입을 실시

  • 변경 프로세스의 결과를 평가

Interestingly, these three models are also similar to the Plan-Do-Study-Act (PDSA) cycle of quality improvement (QI).15 What they all have in common are 

  • problem identification, 

  • exploring and focusing the problem, 

  • planning for appropriate intervention, 

  •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 and 

  • evaluating the outcomes of the change process. 



그러나 CPD와 KT, QI의 중요한 차이점은 QI가 활동이 발생하는 팀, 컨텍스트 및 시스템을 명시 적으로 연구하고 고려하는 반면 CPD와 KT는 개별 실무자에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However,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CPD and KT, and QI, is that QI explicitly studies and considers the team, context, and system within which activities occur, while CPD and KT tend to focus on the individual practitioner. 


중요한 것은, 20 년 이상 제안 된 KT 중재 (예 : 리마인더, 감사)의 추가 채택은 덜 체계적인 방식으로 CPD에서 사용되지만, 프로세스 차이는 CPD 학습 활동에 대한 기존의 초점을 포함한다는 점입니다 .16 KT 중재는 학습 이외에 변화를 발생시키는 다른 방식을 통해 작용합니다. 이러한 다른 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강제 기능 (즉, 전문가들이 약물 형식을 제한하는 것과 같이 다른 관행을 강요하기 위해 노력하는 환경 변화);

  • (2) 사회적 영향력을 이용하는 방법 (예 : 의견 교환 중재, 사회 구성 요소를 통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 과

  • (3) 전문가가 이미 가지고있는 지식의 더 큰 인식과 적절한 적용을 촉진시키는 방법 (예: 리마인더).

Importantly, process differences include a traditional focus on learning activities in CPD, although the additional adoption of KT interventions (eg, reminders, audit) while proposed for over 20 years4 are used in a less systematic manner in CPD.16 KT interventions work through other modes of generating change in addition to learning. These other modes include: 

  • (1) force functions (ie, changing the environment in which professionals work to force different practices, such as restricting drug formularies); 

  • (2) methods using social influence (eg, such as opinion leader interventions, where the primary component is to effect change through social relations); and 

  • (3) methods that promote greater awareness and appropriate application of knowledge the professional already has (eg, reminders).17 


우리의 견해로 볼 때, CPD와 KT 결과의 차이점은 프로세스 접근 방식의 차이에 크게 달려있다

  • CPD는 근본적으로 실천에 영향을 주기 위한 지식 습득과 관련되어 있다. 

  • KT에서는 지식 습득을 포함한 여러 접근법이 사용되며, 전문가가 필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그 지식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장애요인이 있다고 가정하는 접근법도 있다.

KT 활동의 초점은 종종 장벽의 식별과 완화이며, 지식의 부족은 단지 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In our view, the differences between CPD and KT outcomes lie largely in the differences in process approaches. 

  • CPD is fundamentally concerned with knowledge acquisition in order to influence practice change. 

  • In KT, multiple approaches, including knowledge acquisition, are used, some of which assume that professionals have the knowledge they need, but are constrained by barriers from using that knowledge appropriately. 

The focus of KT activities, then, is often the identification and mitigation of barriers, only one of which may be lack of knowledge. 




KT와 CPD의 성과

Outcomes of KT and CPD 


CPD 및 KT의 예상 결과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 KTA주기의 명백한 목표는 새로운 지식의 채택의 결과로서 행동 및 / 또는 시스템 변화입니다.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KTA주기의 단계는 변화를 가능케하는 것으로 알려진 명확한 활동에 더 중점을 둡니다. 

  • 교육 관점에서 볼 때 CPD 중재의 목표는 반드시 변화가 아닐 수도 있으며, 그보다는 다양한 수준에서의 학습이다. 교육 결과의 수준은 일반적으로 Kirkpatrick의 교육 결과 평가를위한 프레임 워크 (1967.18,19)에서 처음으로 제시됩니다.이 프레임 워크는 교육 개입 (즉, 반응, 학습, 행동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네 가지 수준의 결과를 제시합니다 (그림 2 참조).

There is a major difference in anticipated outcomes of CPD and KT. 

  • The explicit goal of the KTA cycle is behavior and/or systems change, as the result of adoption of new knowledge. Based on planned action theories, the steps of the KTA cycle are hence more focused on explicit activities known to enable change. 

  • The goal of CPD interventions, coming from an education perspective, may not necessarily be change, but learning at various levels. Levels of educational outcomes are commonly demonstrated by Kirkpatrick’s framework for evaluating educational outcomes, originally presented in 1967.18,19 The framework proposes four levels of outcome for educational interventions—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impact on society (see FIGURE 2). 




이 모델은 보건 전문 교육의 성과 평가를 이끌 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이론적 인 관점에서 교육이 효과적 일 수있는 방법에 대해보다 종합적으로 통찰력을 갖기 때문에 수정되었습니다. 주목할만한 추가 사항은 전문 직업 교육의 결과를 종합 한 연구 팀이 만들었습니다 .21 그들은 2단계 학습에 하위 수준을 추가했습니다 : "태도와 인식의 수정". 또한 4단계 결과를 두 하위 수준으로 나누었습니다 : "조직 실천의 변화"및 "환자 / 고객에게 이익"(표 2 참조).

The model has been used extensively to guide outcomes assessment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20 and has also been modified as theoretical perspectives have more comprehensively informed thinking regarding the ways in which education can be effective. Notable additions were made by a research team synthesizing outcome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21 They added a sublevel to Level 2, Learning: “Modification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and divided level 4, Results, into two sublevels: “Change in organizational practice” and “Benefits to patients/clients” (see TABLE 2). 




마찬가지로 Moore는 CPD 활동의 교육 성과를 계획하고 평가하기위한 6 단계 모델을 만들기 위해 4 단계 Kirkpatrick 프레임 워크를 확장했습니다. 그는 새로운 레벨 1, 참여를 추가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역량의 발달에 대한 Miller의 피라미드를 포함시켜 Learning 레벨을 확장했습니다. 이 수준은 지식 습득의 결과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차별을 아는 것, 즉 “knows,” “knows how,” and “shows how,” 의 방식을 차별화합니다. Moore는 또한 "행동"을 "성과" 또는 Miller의 “does” 수준으로 대체하고 Miller의 프레임 워크를 확장하여 환자 및 지역 사회 결과를 모두 포함합니다 .14,22 원래 Kirkpatrick 모델과 이러한 수정 사항은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Similarly, Moore14,22 expanded upon the 4-level Kirkpatrick framework to create a 6-level model for planning and assessing educational outcomes of CPD activities. He added a new Level 1, Participation, and most significantly, expanded upon the Learning level by including Miller’s pyramid23 of progressive levels of competence. These levels differentiate the ways of knowing, that is, “knows,” “knows how,” and “shows how,” discriminations that are helpful in focusing our thinking about the outcomes of acquiring knowledge. Moore also replaces “Behavior” with “Performance,” or Miller’s “does” level, and expands Miller’s framework to include both patient and community outcomes.14,22 The original Kirkpatrick model and these revisions are noted in TABLE 2. 



이러한 각 CPD 결과 모델의 계층 구조에서 각각의 오름차순 수준에 따라 결과의 복잡성이 증가합니다. 학습 관점에서 CPD로부터 행동 및 시스템 변화에 대한 KT의 관점으로 변하는 것이다.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및 환경 요인, 결과를 실현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과제도 증가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유사성은 여러 모델에 걸쳐 존재합니다. Barr et al이 "태도와 인식"을 추가한 것은 우리가 "행동 변화"를 볼 때 인식과 태도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마찬가지로 무어는 다양한 지식에 대한 고려를 용이하게합니다. 두 접근법 모두 교육 성과의 다양한 뉘앙스를보다 명확하게 제시하고보다 정교하고 따라서 유용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With each ascending level in the hierarchy of each of these CPD outcomes models, the complexity of the outcome increases—removing CPD from a learning perspective to the KT perspective of behavior and/or systems change. The inter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 the length of time for the outcome to be realized, and challenge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lso increase. Again, similarities exist across models. The addition of “attitudes and perceptions” by Barr et al21 reminds us to consider the influences of one’s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behavior change.” Similarly, Moore’s incorporation of Miller’s work facilitates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kinds of knowledge. Both approaches make more explicit the multiple nuances of educational outcomes and provide a more sophisticated and hence useful overview. 


그러나 교육 성과의 그러한 모델은 본질적으로 단순하고 직선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그러한 결과가 달성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각 레벨은 그 아래의 레벨에 기반을 두었다고 개념적으로 느끼게 만든다 (예 : 행동 변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향상, 개인의 행동 변화가 더 큰 사회 또는 조직 영향에 기여 함). 그러나 이러한 선형적인 conceptual sense는 각 수준에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및 맥락 적 요인의 다양성에 대해 설명해주지 못한다. 24) 이는 저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발생한다.

However, such models of educational outcomes tend to appear simplistic and linear in nature, and do not reflect the multiplicity of factors that influence whether those outcomes are achieved. There is a conceptual sense that each level builds on the one below it (eg, increased knowledge and skill are required for behavior change, individual behavior change contributes to a larger societal or organizational impact), yet the conceptual sense remains linear, without an appreciation of the multiplicity of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outcomes at each level.24 This occurs in spite of explanations of the authors to the contrary. 




CPD와 KT의 중첩부: 성과 평가의 복잡성 잡아내기

Overlap Between CPD and KT: Attempts to Capture the Complexity of Assessing Outcomes 


지난 몇 년 동안 CPD와 KT를 연결하려는 공식적인 노력이 제기되었으며 두 분야가 행동 변화를 다루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16 이러한 노력은 또한 행동 변화에 영향을 줄 수있는 외부 요소에 대한 이해를 통합하려고 시도합니다. 이 사업의 리더 인 Davis는 CPD와 KT를 비교하여 KT가 목표 변경 활동과 증거의 변경 및 채택을 가능하게하는 이론 기반 접근 방식을 통해 변화하는 관행에서, 전통적인 교육 이니셔티브보다 훨씬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KT는 변화 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개인뿐만 아니라 의료 시스템을 가능하게합니다. Davis 등은 단일 프레임 워크에서 두 개의 모델을 사용하도록 제안한다.

Formal efforts to link CPD and KT have been put forward over the past years and recognize that the two fields are addressing behavior change.16 Such efforts also attempt to incorporate understanding of external factors which may influence behavior change, a move we support. Davis,25 a leader in this initiative, compared CPD and KT and proposed that KT, through its targeted change activities and theory-based approach to enabling change and uptake of evidence, could have far greater impact than traditional education initiatives alone in changing practice. KT enables the health care system as well as the individual, using change-based models. Davis et al25 propose using two such models in a single framework. 


  • Pathman26 모델은 표적으로 한 개인 또는 인구에 초점을 맞추고 동의, 채택, 마침내 순응을 통해 인식의 변화 진행을 제안합니다.

  • Green's27 건강 증진 모델은 변화를 일으키거나, 가능하게하거나, 강화함으로써 시스템 개입이 세 가지 방식으로 변화를 지원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 2003 년 이래로 여러 모델이 시스템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구체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중재 및 구현 노력의 발전을 이끌 기 위해 사용됩니다.

  • The Pathman26 model focuses on the targeted individual or population and suggests progress of change from awareness, through agreement, adoption, and finally adherence. 

  • Green’s27 health promotion model demonstrates how system interventions can work in three ways to support change, by predisposing, enabling, or reinforcing the change. 

  • Since 2003, a number of models have proposed specific approaches to changing both systems and behavior and are used to guid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and implementation efforts. 


CPD 모델로 돌아가보면, Moore12는 변화에 초점을 둔 CPD에 대한 복잡한 개념적 프레임 워크를 제안합니다. 이것은 4 가지 섹터 또는 이론 기반 접근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그들은:

  • 의사 학습 단계 (5 단계);

  • 앞서 설명한 Green의 model27을 사용한 교수 설계 전략 (3 전략);

  • 앞에서 설명한 Moore의 교육 성과의 확장된 프레임 워크(결과 7 단계). 과

  • 진도를 측정하고 프로세스에 정보를 주는 평가 (3 가지 평가 방법).

To return to a CPD model, Moore12 proposes a complex conceptual framework for CPD that is focused on changing It is comprised of four sectors or theory-based approaches. They are: 

  • stages of physician learning (5 stages); 

  •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using Green’s model27 described earlier (3 strategies); 

  • Moore’s expanded framework of educational outcomes as described earlier (7 levels of outcome); and 

  • assessment to measure progress and inform the process (3 assessment approaches). 


부문과 그 구성 요소는 상호 작용, 반복 및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계의 복잡성과 교육 성과, 특히 진료 변경, 환자 상태 및 인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The sectors and their components are interactive, iterative, and cyclical, demonstrating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s and the influences on educational outcomes, especially practice change, patient status, and population health. 


변화의 복잡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해, 해리슨 (Harrison)은 환자의 안전과 비용 상승에 대한 우려에 이끌려, CPD와 새로운 증거를 의사의 practice로 번역하는 시스템 기반의 프레임 워크를 제안했다. 시스템 이론은 시스템과 그 구성 요소가 어떻게

  •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 처리하고,

  • 환경으로 산출물을 생산하는지에 초점을 둔다

To further emphasize the complexity of change, Harrison28 proposed a systems-based framework for enhancing CPD and translation of new evidence into physician practice, activities driven by concerns for patient safety and rising costs. Systems theory focuses on how a system and its components 

  •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 

  • process it, and 

  • produce outputs into the environment. 


관계가 중요합니다 (즉, 개인간 및 개인과 조직 간의 관계). 그는 새로운 정보를 의사 관행으로 번역 할 때 6 가지 유형의 시스템의 상호 작용을 제안하고 연습을 변경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작업인지 강조합니다. 마찬가지로 KT 분야에서 새로운 증거 및 행동 변화의 채택에 따른 시스템 및 문맥 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것은 개인, 맥락, CPD 또는 KT 중재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새로운 모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9,30 시스템과 맥락을 다루는 그러한 연구는 결합 된 KT-CPD 영역을 풍부하게 할 것이다.

Relationships are important (i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nd between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He proposes the interaction of six types of systems in translating new information into physician practice, emphasizing just how difficult a task it is to change practice. Similarly, in the KT field, methodical exploration of system and contextual influences upon adoption of new evidence and behavior change are leading to new models for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dividual, context, and the CPD or KT intervention.29,30 We believe that such studies addressing systems and context will enrich the combined KT-CPD field. 



고찰

Discussion 


그럼 우리 모두 어디있는거야?  의학 교육 분야와 마찬가지로 KT와 CPD 중재가 왜 효과가 있고 왜 실패 하는지를 결정하는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개념 모델에 대한 우리의 검토는이 조사 흐름이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다양한 요인 또는 조건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CPD 및 KT는 진공 상태에서 발생하지 않습니다. 메타 분석은 교육이나 변화를 유도하는 다른 방법에 중점을 두어 중재의 결과를 결정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이되지만, 실제로 어떤 것이 왜 효과적인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되지 않으며 상황의 영향을 고려하지도 않습니다.

So where are we with all this? Similar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31 there are few studies to determine why KT and CPD interventions work and why they fail. Our review of conceptual models indicates that this stream of inquiry is needed; various factors or conditions influence outcomes12,14,25,28; CPD and KT don’t take place in a vacuum. While metaanalyses are helpful in determining and comparing outcomes of interventions, whether focused on education or other methods of inducing change, they don’t really help us understand why something works or doesn’t, and don’t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context. 


예를 들어, 메타분석에서 모든 대규모 강의 세션 32 또는 모든 감사 및 피드백 개입 33은 무작위 통제 연구에서 연구 된 교육 "알약"과 같은 unimodal 개입으로 간주됩니다. 메타 분석은 환자 치료의 과정과 결과와 관련하여 그 영향을 종합하는 데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결과가 실현 된 이유에 대한 내용과 설명이 없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우리는 "과연" 개입이 작동하는지와 더불어 "왜"특정한 개입이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하는 접근법을 시도 할 것을 제안한다.

For example, all large group didactic sessions32 or all audit and feedback interventions33 in meta analyses appear to be considered as unimodal interventions, like an educational “pill” studied in randomized-control studies. While necessary for synthesizing their impact as related to processes and outcomes of patient care, meta-analyses are generally bereft of context and explanation of why the outcomes were realized. As previously noted, we propose that approaches enabling understanding of “why” specific interventions work, as well as “if” they work, be undertaken.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 방법 연구의 구성 요소로서 수행 된 질적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위한 하나의 접근법이다. 그들은 개입과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별적 또는 맥락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ennedy 등 34)은 새로운 지식이 실천으로 번역되는 것을 탐색하기위한 CPD 개입에 대한 우아한 연구를 설명합니다. 그들은 표준화 된 환자 조우를 통해 객관식 질문과 행동을 통해 지식을 테스트 한 후 인터뷰를 통해 지식의 불일치를 탐구했습니다. 그들은 지식을 실천함에 있어서 차이를 설명하는 두 가지 요소(확실성과 긴박감)가 있음을 알게되었고, CPD 중재에서 이들에 초점을 맞추면 실제로 새로운 지식의 적용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했다.

Qualitative studies conducted either alone or as components of mixed-method studies are one approach to this end. They can begin to explore the factors, both individual and contextual, that influence an intervention and its outcomes. For example, Kennedy et al34 describe an elegant study following a CPD intervention to explore translation of the new knowledge into practice. They tested knowledge through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behavior through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s, followed by exploration of knowledgebehavior discrepancies through interviews. They learned that two factors explained the gap in applying knowledge to practice—level of certainty and sense of urgency—and suggest that focusing on these inCPD interventions may enhance application of new knowledge in practice. 


BEME35가 실시한 체계적인 검토와 같은 다른 접근법은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ammick36은 환자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 뿐만 아니라 Kirkpatrick의 교육 결과에 대한 Barr'21 adapted 모델을 사용하여 모든 수준에서 교육 성과를 결정했습니다.

  • 반응;

  • 기술, 지식, 인식 및 태도의 변화;

  • 학습자 행동의 변화.

이렇게 교육 성과를 배열함으로써 중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달성 할 수있는 결과에 대한 포괄적 인 관점을 보여준다.

Other approaches such as systematic reviews conducted by BEME35 can provide contextual information. For example, Hammick36 determined educational outcomes at all levels using Barr’s21 adapted model of Kirkpatrick’s19 educational outcomes, not just those impacting patient care: 

  • reactions; 

  • changes in skills, knowledge, perceptions and attitudes; 

  • changes in learners’ behavior. 

An array of educational outcomes like this allows for a comprehensive view of how an intervention works, and the outcomes it can achieve. 


Kirkpatrick의 결과 피라미드, 인식 및 태도의 변화, 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종종 행동 변화의 선구자입니다. Hammick 등은 교육 개입의 결과에 대한 개인적 및 환경 적 요인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교육 결과 및 기타 행동 변화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그룹화 요인에 근거한 "3-p"체제를 도출했다.

  • 전조 요인 (문맥 적, 사회적, 정치적 요소와 교육 기획자, 교사,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 프로세스 요인 (교수 및 학습 접근법);

  • 제품 요인 또는 결과.

As implied by Kirkpatrick’s pyramid of outcomes, chang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and enhancing knowledge and skills, are often precursors of behavior chang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upon the outcomes of education interventions, Hammick et al36 also drew on the “3-p”framework  predicated on three grouping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outcomes of education and other behavior change interventions: 

  • presage factors (contextual,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lanners, teachers, learners); 

  • process factors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 product factors or outcomes. 


특정 주제 또는 결과를 다루는 질적 연구를 검토하고 종합하는 접근 방식 인 메타 합성은 양적 접근 방식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메타 분석처럼 명확하게 정의되지는 않지만 또 다른 유망한 접근법입니다. 메타 합성에 대한 몇몇 접근법은 정량적 연구의보다 질적 측면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고 있으며, 최근 논문은 두 가지 접근의 강점을 바탕으로 메타 분석과 메타 합성을 모두 포함하고있다.

Meta-synthesis, an approach to reviewing and synthesizing primarily qualitative studies that address a specific topic or outcome, is another promising approach, although the methods are not so clearly defined as in meta-analysis, which uses quantitative approaches exclusively. Some approaches to meta-synthesis have included review of more qualitative aspects of quantitative studies, and recent papers have included both meta-analysis and meta-synthesis, drawing on the strengths of the two approaches.38 


이러한 접근 방식은 CPD 및 KT를보다 포괄적으로 볼 수있는 창을 제공합니다 39.

  • 그들이 가질 수있는 영향; 과

  • 그 영향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 인구 및 맥락 간의 상호 작용.

These approaches present a window into more holistic ways39 of viewing CPD and KT; 

  • the impact they may have; and 

  • the interactions among the activity, the population, and the context that influence that impact. 


Realist evaluation은 복잡한 사회 환경 (예 : 바쁜 의료 환경)에서 복잡한 사회 개입 (예 : 교육 또는 행동 변화)을 연구하는 포괄적 인 접근 방식입니다. 현실주의적 평가는 "프로그램이 왜, 누구를 위해,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작동합니까?"결과에 덧붙여, 특히 중재가 효과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설명 구성 요소에 참여합니다.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비교 결과 연구에서 간과됩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실주의적 평가는 "메커니즘 (개입) + 맥락 = 결과"라는 공식이 보여주는 인과 관계에 근거한다.

Another, realist evaluation40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tudying complex social interventions (eg, education or behavior change), in complex social environments (eg, busy health care settings). Realist evaluation asks the questions, “Why does a program work, for whom, and under what circumstance?” In addition to outcomes, it attends particularly to the explanatory components of whether an intervention works or not, components generally overlooked in comparative outcome studies. More specifically, realist evaluation is based upon a view of causation as captured in the formula: “mechanism (intervention) + context = outcome”; 


즉, 개입 자체와 그 결과에 이르게하는 것은 개입과 상황 사이의 상호 작용이다. 우리는 이것이 CPD와 KT 연구자와 평가자에게 유용한 관점이라고 생각한다. 현실주의적 평가는 또한 이론에 근거한다. 즉, 개입, 맥락 및 결과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조심해야 할 것은 이러한 평가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은 복잡하며, 많은 자원과 시간을 필요로합니다. 그러나 실제 평가의 목표는 CPD 및 KT 조사의 목표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CPD 연구가 이론적, 과학적으로 이루어질 것, 맥락에 대한 연구와 영향을 주는 조건들을 연구해야 한다는 최근의 요청과도 일치합니다.

that is, it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ext that leads to the outcome, not just the intervention itself. We believe this is a helpful perspective for CPD and KT researchers and evaluators.41 Realist evaluation is also theory-based; that is, it strives to make explici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intervention, context, and outcomes. Yet, as a caution, it is complex to undertake appropriately, and requires extensive commitment of resources and time. Yet the goals of realist evaluation appear consistent with those of CPD and KT research, to understand not just what works but under what conditions it works. They are also consistent with recent calls for CPD research to be more theoretically and scientifically based, and to include study of context and influencing conditions.3 



고찰

Conclusions 



CPD와 KT 모델 및 접근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탐구는 공통점, 특히 환자 및 시스템 관리를위한 결과 향상에 중점을 두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는 것을 인식하게합니다. 이러한 모델을 통해 권장되는 프로세스는 평가, 계획, 조치 및 취해진 조치의 결과 평가 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합니다. 모델과 접근법은 아마도 실제 성능의 차이에 대한 근본적인 이론에서 다를 수 있습니다. CPD 모델은 성능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지식 부족을 고려하며, KT 모델은보다 광범위한 장벽과 전략을 강조합니다.

Our exploration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PD and KT models and approaches leads us to recognize that the commonalities, particularly the focus on improving outcomes for patients and systems of care, are notable. Processes encouraged through these models are also very similar, with an emphasis on the need for assessment, planning, taking action, and evaluating the results of actions taken. The models and approaches differ, perhaps, in their underlying theories of the reasons for gaps in practice performance. The CPD model has focused on lack of knowledge as the principal reason for performance gaps. KTmodels emphasize a wider range of possible barriers and strategies. 


또한 중요한 것은 행동 변화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강조하는 것이나, 의료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적용하는 맥락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는 것이 점점 수렴한다는 사실입니다. 특정 집단에 대한 지식 사용 및 실천 변화에 대한 맥락의 영향을 이해하려면 메타 합성 및 현실주의적 평가를 포함한 새로운 방법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맥락의 영향과 전문 직업적 상호 작용 및 팀 관리의 역할에 관한 QI 분야에서 얻은 교훈은 CPD 및 KT 세계에서 인정 받기 시작했습니다.

Importantly, we also find convergence of these parallel streams in the growing emphasis on understanding underlying mechanisms of behavior change, as well as on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culture in which providers practice and in which they apply the knowledge they have and acquir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context on knowledge use and practice change for a particular population is complex, and may require use of newer methods of synthesizing evidence, including meta-synthesis and realist evaluation. Finally, the lessons being learned from the QI field regarding both the influence of context and the role of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 and team care are only beginning to be appreciated in the CPD and KT worlds. 


요약하면, 우리는 CPD와 KT의 병행 흐름의 차이점보다 더 많은 유사점이 있으며 더 큰 협력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개선 된 환자 및 건강 결과와 관련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KT 및 CPD 연구자와 의사 결정권자는 이러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및 KT의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전문 지식을 공유하고 공동 작업하고 공동 작업 할 수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In summary, we propose that there 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in the parallel streams of CPD and KT, and it becomes apparent that greater collaboration is possible and needed. In the attempt to achieve goals relating to improved patient and health outcomes, KT and CPD researchers and decision makers have the opportunity to join their efforts, share expertise, synergize, and collaborate in improving research and knowledge translation to address these complex issues.











 2011 Summer;31(3):167-73. doi: 10.1002/chp.20123.

CPD and KT: models used and opportunities for synergy.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Joan.sargeant@dal.ca

Abstract

The two fields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nd knowledge translation (KT) within the health care sector, and their related research have developed as somewhat parallel paths with limited points of overlap or intersection. This is slowly beginning to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compare the dominant conceptual models informing each field with the view of increasing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two fields, how they are similar and where they differ, and the current and potential points of intersection. The models include the "knowledge-to-action'' (KTA) cycle informing KT, models informing CPD curriculum design and individual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Kirkpatrick model for evaluating educational outcomes. When compare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conceptual designs, processes, and outcomes, the models overlap. We also identify shared gaps in both fields (eg, the ne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context in which CPD and KT interventions take place) and suggest opportunities for synergies and for moving forward.

PMID:
 
21953657
 
DOI:
 
10.1002/chp.20123


복잡한 의학교육의 세계에서 자기조직, 통합, 그리고 교육과정(Med Educ, 2010)

Self-organisation, integration and curriculum in the complex world of medical education

Stewart Mennin






'물리학 자 리차드 피인 먼 (Richard Feynman)은 지구를 바라 보는 우주 공간의 외계인들은 24시간마다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이빨을 닦아서 생기는 가느다란 세로줄을 놀라면서 볼 것이라고 말했다. 낮과 밤을 구분하는 새벽 선의 밝은면에 있는 양치질의 선은 "적절한 시기에 치아를 닦을 것을 명령하는" 단 한 명의 폭군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아침에 독립적으로 이빨을 닦기로 결정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의 개별 행동에 의해 형성됩니다. 아무도 선을 형성하도록 명령하지 않았지만, 각각 독립적으로 행동한 결과, 공간과 시간에 독특한 패턴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 선과 지구 주위의 움직임은 'self-organization'의 예입니다. 즉, 많은 패턴의 개별 단위를 관리하는 규칙에서 글로벌한 패턴이 발생하는 것이다...개체의 유형은 여러가지 일 수 있으며, 각 개체를 지배하는 규칙은 수학적 규칙, 물리적 법칙 또는 생물학적 행동 일 수 있습니다 .'1

‘The physicist Richard Feynman once described how aliens from outer space looking at the Earth would, to their astonishment, see a thin vertical line of millions of people brushing their teeth that rotated around the Earth every 24 hours. This line of tooth brushers, just on the bright side of the line of dawn that separates day and night, is not created by a single tyrant that orders each of those people to brush their teeth at just the right moment. Rather it is formed by the individual actions of millions of people who had independently decided to brush their teeth in the morning. Nobody has ordered them to form a line, yet, each acting independently has generated a distinctive pattern in space and time. This line and its motions around the Earth is an example of ‘‘self-organisation’’, that is, when a global pattern emerges from the rules that govern a large number of individual units … there can be many different types of individual units. The rules that control them can be mathematical rules, physical laws, or biological behaviours.’1



도입

INTRODUCTION


위의 새벽의 밝은면에서 생성되는 "global line of toothbrushers" 이 알려주는 교훈은 의학교육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의학교육은 전체를 개별 구성 요소로 축소하여 전체를 이해할 수 없고, 간단한 선형 방정식으로 설명 할 수 없기 때문에 복잡합니다. 그것은 외부 세계에 열려 있고 그 환경과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교환하고있는 시스템입니다.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환경에 영향을줍니다.

What can we learn from a global line of toothbrushers, just on the bright side of the dawn, that i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It is complex because the whole cannot be understood by reducing it to its component parts, nor can it be described by simple linear equations. It is a system that is open to the outside world and is continuously exchanging energy with its surroundings. It is affected by and, in turn, affects its environment.


학교 내외에서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 교환 및 학습을 통한 의과 대학 전체의 커리큘럼 표현은 복잡한 시스템입니다 .2 자연 과학의 파생물 인 복잡성 과학(Complexity science)복잡한 시스템에서의 상호 작용의 역동성, 조건, 결과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복잡성 과학은 특정 조건 하에서 변화와 변형을 가져 오는 본질과 조건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A medical school as a whole, and the expression of its curriculum through the interactions, exchanges and learning that take place within and outside of the school, is a complex system.2 Complexity science, a derivative of the natural sciences, is the study of the dynamics, conditions and consequences of interactions in complex systems.3–7 It focuses on the nature of and conditions that lead to change and transformation under particular conditions.5



최근 미국의 의학 교육은 '의학 교육은 끊임없는 불안의 상태에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묘사된다8). 현재, 미국의 의학교육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교육학으로 후퇴하려는 경향과 개선된 상호 작용, 진정성, 통합, 변형적인 교수-학습 접근법을 향한 강력한 권고 사이에 위치해있다. 건강과 질병의 사회적 결정 요인 사이의 상호 작용의 역동적 인 본질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진화하는 사회적 건강요구의 우선순위를 다루어야하는 미래의 보건 전문가 양성의 목표이기도 하다.

A recent description of American medical education included the statement: ‘Medical education appears to be in a state of perpetual unrest.’8 Currently, it exists in a state of tension between the tendency to fall back into traditional teacher-centred pedagogies and the urge to reach forward to newer, more interactive, authentic, integrative and transformative approaches to learning and teaching. A realisation is emerging that what is needed are approaches that embrace and recognise the dynamic nature of the interaction between health and the social determinants of disease in order to promote capability11–14 as a goal for the preparation of future health professionals who must address the evolving priority health needs of society.8,15–18



우리가 학습과 이해의 문제에 어떻게 반응하고 틀을 잡을 것인가는 내일의 건강전문가의 양성과 그들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How we respond to and frame the issues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 will have profound effects on the preparedness of tomorrow’shealth professionals and their impact on society. 


다양한 사람들이 내년도 교육과정 위원회에 포함되어, 협력하여 의과 대학 커리큘럼 개정을 검토하고 권고하도록 요청했다고 상상해보십시오.

Imagine that a diverse group of people, have been asked to work together as a committee during the coming year to review and recommend revisions to the curriculum at a medical school.


당신은 이 위원회의 의장입니다. 최종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 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많은 회의 과정에서 정보가 교환되고, 관점 및 가치가 제시되며, 위원회의 구성원들과의 상호 작용이 진화할 것이며, 자료를 검토하고, 위원회가 직면한 과제에 적용됩니다. 위원회는 복잡한 적응 시스템 (adaptive system)으로서 기능합니다. Complex adaptive system이란 '항상 예측할 수없는 방식으로 행동 할 수있는 자유로운 개인 (에이전트)의 모음으로서, 한 에이전트의 행동이 다른 에이전트의 컨텍스트를 변경하도록 상호작용하는 행동을 주고받는다. '26

You are the chair of this committee. It is clear to you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edict accurately what will finally happen and that over the course of many meetings your interactions with members of the committee will evolve as information is exchanged, points of view and values are put forward, and data are reviewed and applied to the challenges faced by the committee. The committee functions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a collection of individuals (agents) with freedom to act in ways that are not always totally predictable, and whose actions are interconnected so that one agent’s actions change the context for other agents.’26 


커리큘럼 위원회는 다른 복잡한 적응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경험을 통해 배우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합니다. 위원회의 각 구성원은 다른 상호 작용 수준에서 중첩 된 다른 complex adaptive systems의 구성원이기도합니다. 27 학교 내에서 중첩 된 부서, 지역 사회에 중첩 된 학교 및 외부의 사회 집단에 중첩 된 개인 학교 등 가정과 같은 것들이 있다.

The curriculum committee, like other complex adaptive systems, will learn from its experience and adapt to changing circumstances as it pursues its task over time. Each person on the committee is also a member of other complex adaptive systems that are nested one within the other at different levels of interaction,27 such as departments nested within the school, the school nested in the community and individuals nested in social groups outside the school, such as families, etc.


위원회는 정적이지 않습니다. 사람들과 정보가 끊임없이 드나든다. 그것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활동을 교류하여 평형상태와는 거리가 먼, 유동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10,26,28위원회의 경계, 신념 및 규칙은 정의되었지만, 여전히 부정확하고 모호하다.

The committee is not static. There is a constant flow of people and information into and out of it. It is open to the exchange of different forms of information and activity that keep it in a state of flux, energetically far from equilibrium.10,26,28 The committee’s boundaries, beliefs and rules are defined, yet are imprecise and fuzzy.6


질문, 의견 불일치 또는 그룹 구성이 다양하고 토론에 새로운 정보가 추가 될 때마다 그룹의 역동성에 혼란disturb가 발생한다. 집단은 이전의 패턴이나 이해의 구성 (안정성), 새로운 이해 상태 (새로운 패턴)에 도달하기 위해 자신을 변화시키고 재구성(자발적 자기조직화)하는 경향이있다 .7,20, 최종적으로 위원회가 제안한 새로운 커리큘럼은 통합 된 집단 사고, 경험 및 상호 작용을 시간 경과를 반영하여 emerge한 것이다.

Each time there is a question, a disagreement, or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varies and new information is added to the discussion, the dynamics of the group are disturbed. The group tends either to return to its previous pattern or configuration of understanding (stability) or to change and reconfigure itself (to undergo spontaneous self-organisation) to arrive at some new state of understanding (i.e. a new pattern).7,20,28 The final pattern, the committee’s proposed new curriculum, will emerge from and reflect its integrated collective thinking, experience and interaction over time.



Capra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조직의 패턴은 특정 시스템의 특징인 configuration of relationships이다' .4 Configurations of pattern은 일반적으로 통합과 학습이 개인 또는 그룹 수준에서 어떻게 발생 하는지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학생과 교사가 사전에 설정된 결과, 목표, 기한에 의해 자신에게 부여된 경계에 응답 할 때, 그들은 동시에 자기 조직화 프로세스를 겪는다. 세부 사항은 각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조직의 각 수준에서 유사한 프로세스가 발생합니다 (scale-free self-similarity) .29

Capra says: ‘A pattern of organisation is a configuration of relationships characteristic of a particular system.’4 Configurations of patterns are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in general, and to understanding how integration and learning occur individually and in groups. When students and teachers respond to the boundaries placed on them by sets of outcomes, objectives and deadlines, they too will respond with a process of self-organisation. The details will vary in each setting, yet a similar process occurs at each level of organisation (scale-free self-similarity).29



각 그룹은 잦은 단일루프 피드백을 통해 구성원 (에이전트)간에 여러 상호 작용을 경험합니다. 복잡한 적응 시스템이 스스로 구성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통합, 학습, 이해를 달성하는 기본 과정을 자기 조직화라고 부른다.

Each group experiences multiple interactions among its members (agents) with frequent short-loop feedback. The underlying process by which complex adaptive systems organise themselves, adapt to changing circumstances, and achieve integration, learning and understanding, is called self-organisation.4,7,10




자기조직화

SELF-ORGANISATION


자기 조직화는 새로운 구조, 패턴 또는 속성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과정을 말하며, 비선형 동역학을 포함하는 다중 피드백 고리를 특징으로한다. 자기 조직을 설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고전적인 예는 Benard cell이다 (도 1).

Self-organisation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new structures, patterns or properties arise spontaneously and are characterised by multiple feedback loops involving non-linear dynamics.4,30 A classic example often used to illustrate self-organisation refers to the formation of Be´nard cells31 (Fig. 1).




단지 어떤것들을 서로 가까이 놓는 것만으로는 새로운 패턴과 자기 조직의 출현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Benard cell의 경우 열의 외부 구배가 필요합니다. 새로운 패턴의 출현은 분자(에이전트) 자체의 특성의 함수이다.

Merely putting things in proximity, by itself,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the emergence of new patterns and self-organisation. An external gradient, in this case, of heat, is necessary. The emergence of the new pattern is a fun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lecules (agents) themselves.



자기 조직에는 'self'가 없으며 목적론적 의미에서 보자면, 목적을 가지고 미리 결정된 종말점도 존재하지 않는다 .7 그것은 과거와 현재가 제한과 통제없이 미래를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자유로운 과정이다 .7 자기 조직화에서 나온 것은 완전히 통합되고 전체적인 것입니다. 그것은 (새로은 패턴을 이끌어낸) 부분의 합과 다르다. 의과대학, 교과과정, 학습의 현실을 구성하는 요인들과 변수들 사이에서도 자기조직의 원칙과 과정이 작용합니다.

There is no ‘self ’ in self-organisation, nor is there a predetermined endpoint that is purposeful in a teleological sense.7 It is an open-ended process in which the past and present provide a basis for the future without limiting and controlling it.7 What emerges from self-organisation is fully integrated and whole. It is different from and not the sum of the parts that led to the new pattern. The same principles and process of self-organisation operate among the agents and variables that constitute the reality of medical schools, curricula and learning.


발적 패턴 (위의 사례에서 제안된 새로운 커리큘럼)은 바로 직전에 어떤 상황이었는지에 달려있다. 듀이 (Dewey)는 과정 자체에서 끝이 나왔다고 믿었다 .32 브루너 (Bruner)는 학습이 사물 간의 관계로서 존재함을 강조했다. 흐릿한(모호한) 경계는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제약을 해방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상황의 변화를 ​​즐기는 것은 deliberate practice and reflection의 일부이며, 피드백을 통합하면 자기 조직화 과정으로서의 전문성 개발이 촉진된다 .35,36 학습은 자기 조직화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속성이다 .29,37 자기 조직을 촉진하는 것은 표 1에 열거되어있다.

The emergent pattern (the proposed new curriculum in the example given) depends on what came just before and at the same time influences what will come next.29 Dewey believed that the ends emerged from within the process itself.32 Bruner33 emphasised learning as being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ngs. Fuzzy (ill-defined) boundaries, function as liberating constraints in that they provide a stable structure within which change can occur. Being playful with variations of a situation is part of deliberate practice and reflection, and incorporating feedback promotes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s a selforganising process.35,36 Learning is a continuously emergent property of self-organisation.29,37 A summary of conditions that promote self-organisation are listed in Table 1.



교사, 학습자 및 커리큘럼 플래너는 대화, 이야기, 문제 등을 통해 자기 조직화 (통합)를위한 조건을 촉진합니다. 이 모든 것이 현상 유지 (예 : Be'nard 세포 예)를 방해하고 호기심, 상호 작용 및 교환을 자극합니다. 피드백과 성찰은 자기 조직에 유리한 조건을 촉진시키는 비선형적 순환 루프로서 기능한다 .7,13,26,29

Teachers, learners and curriculum planners promote conditions for self-organisation (integration) through dialogue, stories, problems, all of which serve to disturb the status quo (like heat in the Be´nard cell example) and stimulate curiosity, interaction and exchange. Feedback and reflection function as non-linear recursive loops that promote conditions favourable to self-organisation.7,13,26,29



함께 일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은 자기자신들을 reorganize하여 [학습 목표 또는 합의된 행동이나 설명에 관한 결정]의 형태로 shared understanding에 도달할 때까지 여러 가지 가능한 패턴이나 상태를 거쳐나간다. 이것은 비선형적으로, 되풀이되는 상호 작용으로서, 이 과정의 초반에 그룹은 불안정해지기도 한다. 자기 조직의 과정을 통한 변화를 포함하는 의학교육의 예로는 개인 및 집단 성찰, 형성 및 총재 평가, 다양한 형태의 사례 토론 및 지역 사회 기반 교육이 포함됩니다.

A group of people beginning to work together experience multiple non-linear, recursive interactions that initially serve to destabilise the group and move it though a variety of possible patterns or states until its members reorganise themselves and a shared understanding emerges in the form of a group decision about learning objectives or an agreed-upon action or explanation.9,25 Other medical education examples that involve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self-organisation include individual and group reflectio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various forms of case discussions and community based education, to name a few.




가르침, 통합, 그리고 자기조직화

TEACHING, INTEGRATION AND SELF-ORGANISATION


통합이란 여러 단계의 재귀적 상호 작용에서 나타나는 동적인 상호 연결을 의미합니다. 통합을 위해 순서와 근접성을 갖추는 것은 필수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통합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상호 작용의 nature와 quality에 대한 것이며, 그것이 어떻게 유동적이고 전체적인 새로운 패턴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지에 대한 것입니다.

Integration refers to the dynamic interconnectedness that emerges from recursive interactions at multiple levels. Putting things in sequence and proximity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integration. Integration is more about the nature and quality of interactions over time and how they lead to the formation of new patterns that are fluid and whole.


커리큘럼 디자인, 통합, 학습은 새로운 패턴이 상호 작용에서 나오는 조건에 관한 것입니다. 학생은 transition (dynamic system에서는 상전이phase shift라고 함)을 경험하고, 새로운 이해 패턴이 등장합니다(학습). 성찰은 자기 조직화를 촉진하는 재귀적 과정이다.

Curriculum design, integration and learning are about the conditions under which new patterns emerge from interactions.9 The student experiences transitions (phase shifts, in the language of dynamic systems6) and new patterns of understanding emerge (learning).37–39 Reflection is a recursive process that facilitates self-organisation.6,35


교사는 맥락적으로 풍부하고, 반복이며(성찰과 함께 반복적으로 변화하는), 관계적인 교육과정과 학습 경험을 설계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자기 조직)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복잡한 적응 시스템의 현 상태를 disturb하는 모든 것을 제어 매개 변수control parameter라고 하며, 시스템은 제어 매개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다른 상태(자기 조직화 방향)로 이동하게 된다.

Teachers help students learn (self-organise) by designing curricula and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contextually rich, recursive (iterative variations with reflection) and relational.9,20 Anything that serves to disturb the status quo of a complex adaptive system (i.e. a variable outside or inside the system), to which the system is sensitive and which helps move it through different states (towards self-organisation), is called a control parameter.6 


  • 커리큘럼 성과 및 가이드는 학습자를 orient하는 제어 매개변수이지만, 학습자의 구체적인 경로를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40,41 

  • 문제 기반 학습 (PBL)의 문제, 사무실의 환자, 특정 접근법 교사 주어진 순간에 받아 들여지고 잘 짜여진 질문은 모두 통제 매개 변수가 될 수있다 .6,29

  • Curriculum outcomes and guides function as control parameters that orient learners, yet do not decree the specific path taken by the learner.40,41 

  • The problem in problem-based learning (PBL),25 the patient in your office, the particular approach a teacher takes in a given moment, and a well-framed question can all be control parameters.6,29


교육 방법마다 richness에 차이가 있으며, 각 교육방법이 상호 작용(즉, 현상 유지를 방해하고 자기 조직화 또는 학습을 자극 할 수있는 잠재력)을 증진시키는 정도도 다르다. 커리큘럼과 교육-학습 경험이 상호 작용할수록 disturbance가 커지고 자기 조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teaching methods differ in their richness and in the extent to which they promote interactivity (i.e. their potential to disturb the status quo and stimulate self-organisation, or learning). The more interactive the curriculum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e greater the degree of disturbance and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self-organisation will occur.20


교사와 학생, 그리고 의사와 환자의 관계의 본질은 일어나는 일과 발생하는 것에 영향을 미칩니다. 교과 과정에 관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볼 때, Doll은 다음과 같이 썼다 : 

"선생님과 학생 사이의 반성적 관계에서, 선생님은 선생님의 권위를 받아 들일 것을 학생에게 요청하지 않는다. 오히려 교사는 

학생에게 그 권위에 대한 불신을 중지시키고, 

교사와 함께 탐구에 참여하도록 요청합니다. 

교사는 주어진 조언의 의미를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돕고, 

학생들이 쉽게 대립 할 수 있도록 하고, 

개별 학생이 지난 암묵적 이해에 대해서 함께 성찰한다.'9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doctor and patient, influences what happens and what emerges. In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Doll, writes: 

‘In a reflec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e teacher does not ask the student to accept the teacher’s authority; rather, the teacher asks the student to suspend their disbelief in that authority,to join with the teacher in inquiry, into that which the student is experiencing. The teacher agrees to help the stude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dvice given, to be readily confrontable by the student, and to work with the student in reflecting on the tacit understanding each has.’9


교사와 학생은 권력 차이를 일시 중지하고, 상호 관계 중심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학습을 향상시킵니다 .37,44

The teacher and student suspend power differences and enter into a reciprocal relationship-centred approach that enriches learning for both.37,44


의사와 환자 간의 관계 위주의 치료는 제스처와 언어의 상호 재귀 적 교환을 통해 어떤 의미 패턴이 출현하는지에 대한 복잡한 반응 적 대응 과정입니다. Knowing이란 두 사람, 학생과 교사, 그리고 의사와 환자 사이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에서 Knower와 Known이 계속해서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나옵니다.

Relationship-centred care between the doctor and patient is a complex responsive process45 of relating in which patterns of meaning emerge through the reciprocal recursive exchange of gesture and language.46 Knowing is understood to emerge from the continual flow of interaction between knower and known, from transactions in the space between two people, a student and teacher, and a doctor and patient.9 


자기조직화하는 커리큘럼을 통해 학습하면 교사와 학생들이 공동 진화 할 수 있으므로, local exchange를 경험하는 각 참가자는 상호 작용의 결과로 변화한다.

Learning in a self-organising curriculum allows teachers and students to co-evolve, so that each participant in the local exchange is changed as a result of his or her interactions.



학생 A는 '우리 그룹은 세션이 끝날 때 학습 목표를 세웁니다. 그게 최선의 방법인지 모르겠습니다. 당신 그룹에서 어떻게됩니까? '

학생 B는 다음과 같이 대답합니다. '우리 그룹에서는 필요가있을 때 토론 전체에서 학습 목표를 세우고 마지막에는 학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을 선택합니다.'

학생 A는 말한다, 나는 본다. 내 그룹에 제안 할 것 같아. '

학생 B는 '그것이 효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라고 묻습니다. 학생 A는 대답합니다.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



Student A says, ‘Our group makes learning objectives at the end of the session. I’m not sure that’s the best way to do it. What happens in your group?’ 

Student B replies, ‘In my group, we make learning objectives throughout the discussion as the need arises and then at the end we select the most important ones for study.’ 

Student A says, ‘I see. I think I’ll suggest that to my group.’ 

Student B asks, ‘I wonder if it will make a difference?’ Student A replies, ‘It might. It’s worth trying.’




두 학생은 동시에 결과이자 과정다. 이해는 그들 사이에 놓여지며, 둘 중 하나에 속박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현재의 공간을 탐색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을 열어내는 것으로부터 나타난다 .9) 둘 모두가 co-determinates이기 때문에 주체와 객체의 구분은 사라진다. 학습은 참가자들 간의 교류로서 존재하며, 그 행동이 곧 앎knowing이다. 

  • 지식은 knower의 마음 속에 분리되어지지 않는다. 

  • 오히려 그것은 knowing으로 나타납니다. 

  • 지식은 authentic, recursive, transactive process를 거쳐 공동으로 만들어지며, 끊임없이 진화하는 상황에 대한 적응적 반응이다.

Both students are simultaneously product and process. Understanding is placed between them, not contained in one or the other. It emerges from the opening up of new spaces of possibility from the exploration of current spaces.9 The distinction between object and subject evaporates because both are co-determinates of one and the other. Learning exists as the exchange between participants, an action that becomes knowing. 

  • Knowledge is not constructed separately in the mind of the knower; 

  • rather, it emerges as knowing; 

  • co-created during an exchange in an authentic, recursive, transactive process, an adaptive response to continuously evolving circumstances.



통합과 자기조직화

INTEGRATION AND SELF-ORGANISATION



역량 및 성과는 전반적인 교수, 학습 및 평가 전략을 조직하고 구성하기 위한 광범위한 statement이며, 그 안에서 자기조직적 학습이 발생할 수 있도록 모호한 경계로 기능 할 수 있습니다. 역량 기반 교육 과정은 교사와 학생들의 학습의 자유를 제약하기에는 너무 하향식이고 위험 할 수 있다고 비판 받았다. 57-59 전통적으로 통합의 부담은 개별 학습자에게 떨어진다. 커리큘럼에서 통합이란 주로 교육 내용, 순서, 학습 공간, 프로세스를 근접하게 두는 것이 었습니다

Competencies and outcomes are broad statements meant to organise and frame overall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strategies and can function as fuzzy boundaries within which self-organising learning occurs. Competency-based curricula have been criticised as being too ‘top-down’ and at risk for constraining teachers’ and students’ freedom to learn.57–59 Traditionally, the burden of integration has fallen locally upon the shoulders of the individual learner.60 Integration, as applied in curricula, has been primarily about the proximity and sequence of content,41 and the learning venues and processes


자기 조직화 학습은 학습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원이 풍부한 맥락 속에서 반복적으로 상호 작용할 때 이루어지는 '상향식 (bottom-up)'과정이다 .61 하향식 교육과정 계획과 상향식 학습은 상호보완적이며, 이상적으로는 둘 다 HPE의 기획, 실행, 학습 및 평가에서 역동적이고 지속 가능한 통합을 달성하기 위해 동시에 작용한다.

Self-organised learning is a ‘bottom-up’ process that takes place through local recursive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learning resources in a rich context.61 Top-down curriculum planning and bottom-up learning are complementary and, ideally, should both come into play at the same time to achieve dynamic and sustainable integration in the planning, implementation, learning and evaluation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교육과정과 자기조직화

CURRICULUM AND SELF-ORGANISATION



커리큘럼이 어떻게 자기조직 할 수 있습니까?

How can a curriculum be self-organising?


개별 양치 잎은 전체 고사리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을하고 각 고사리 잎의 각 부분의 모양은 전체 잎의 모형입니다. 이것은 규모가없는 자기 유사성 (self-similarity)이라 불리우며, 이러한 조직은 여러 네트워크가 공통적인 guiding principles를 준수하는 것으로 특징 지어진다.

An individual fern leaf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whole fern and the shape of each part of each fern leaf is a miniature of the whole leaf. This is referred to as scale-free self-similarity in which organisation is characterised across networks by adherence to a common set of guiding principles.62


자기 유사성 (self-similarity)은 정의 된 결과와 건강 및 질병, 사회 건강과 같은 생성적인 주제가 서로 비슷한 시간대 (예 : 6 년 또는 4 년)로 발생할 수있는 통합 커리큘럼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1 년, 1 개월, 1 주, 1 주 미만으로 계획하면 학습 경험에서 단편화 및 일관성 손실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그림 2

Self-similarity provides a way to think about designing an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defined outcomes and generative themes such as health and illness and the health of society can occur over different time-scales in a self-similar way (6 years or 4 years, 1 year, 1 month, 1 week; planning for less than 1 week increases the risk of fragmentation and loss of coherence in the learning experience). Figure 2




커리큘럼의 각 연도마다 동일한 overall outcome이 결정된다. 오히려 학습자마다 특정 시간에서 이해 수준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다양할 것이다.

The same overall outcomes are described in each year of the curriculum. What varies is the capacity to express the competence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learner has at a given time.



자기 조직화에 기반한 커리큘럼 디자인은 "풍부하고 재귀적이며 관계형이며 엄격한 것"으로 특징 지어졌으며 커리큘럼이 어떻게 복잡한 적응 시스템으로 이해 될 수 있는지를 조명합니다.

Curriculum design based on self-organisation has been characterised by Doll as rich, recursive, relational and rigorous9 and it illuminates how a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풍부함커리큘럼의 깊이, 의미의 층 및 가능한 다양한 해석을 의미합니다. 커리큘럼은 ... 형태나 모양을 잃지 않고 도발적으로 생성 될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은 교묘 한 성질, 섭동, 풍요 로움을 필요로합니다 .9 예를 들어, 25PY 흡연자의 숨가쁨의 기초가 되는 원리에 대한 연구가 있습니다. 신생아 및 85 세의 여성이 매년 교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Richness refers to the depth of the curriculum, its layers of meaning and its different possible interpretations. Curriculum needs to be ‘…provocatively generative without losing form or shape…it needs disturbing qualities, perturbations, to provide richness’.9 An example is the study of the principles that underlie shortness of breath in different contexts, such as in a 25-pack per year smoker, a newborn baby and an 85-year-old woman, which can occur in every year of the curriculum.


재귀 (Recursion)환경과의 상호 작용과 문화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사상에 대한 생각을 반복하는 것이다. 재귀에서는" ...... 안정과 변화가 있습니다. 질서 정연하지만 예측할 수없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9 따라서, 학습자가 변화하더라도 교육 구조는 안정적입니다. 복잡성 과학은 나선형 교과 과정을지지한다. 학습 과정의 다음 단계의 시작이되는 시험, 실용, 포트폴리오 및 기타 완결과 더불어 재귀적이고 발달 적이며 포괄적이다.

Recursion is about looping thoughts on thoughts in reflectiv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with culture as an essential part of transformation. In recursion ‘…there is both stability and change …in an orderly but often unpredictable manner’.9 Thus, the educational structure is stable as the learner changes. Complexity science advocates for spiral curricula40 that are recursive, developmental and comprehensive with tests, practicals, portfolios and other completions that become the beginning of the next part of the learning process.9


재귀의 관점에서 성찰은 역량을 개발하고 탐구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Doll은 교과 과정에 관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 대화에 의해 발생 된 성찰이 없다면, 재귀는 얕아지고, transformative하지 않다. 그것은 reflective recursion이 아니라 단지 repetition 일뿐입니다. '9

Reflection conceived as recursion is helpful in developing competence and promoting inquiry. In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Doll writes: ‘…without reflection engendered by dialogue, recursion becomes shallow not transformative; it is not reflective recursion, it is only repetition.’9


관계끊임없이 변하는 것으므로, 서로 다른 것들 사이의 연관성을 찾는 것이 중요해진다. 통합 학습 경험은 인간 관계를 상호 작용에 대한 설명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평가합니다. '중요한 것은 환경과 문화와 사람과의 연결입니다. 우리 local한 관점은 점점 더 큰 문화적, 생태적, 우주적 매트릭스로 통합됩니다.'9

Relations are constantly changing and it becomes important to seek the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things. An integrated learning experience values human relationships as an essential aspect of explanations about interactions: ‘What becomes important are the connections with people, with the environment and the culture …our local perspectives integrate into a larger cultural, ecological, cosmic matrix…’9


강건성은 변형적 커리큘럼에서 중요합니다. 그것은 '의도적으로 다른 대안, 관계, 연관성을 찾는 것'을 의미하거나, 우리의 이해를 뒷받침하는 가정을 찾고 찾아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9 보건 전문가의 급변하는 세계에서, 그것은 새로운 질문을 구성하는 학습자의 능력 11을 말합니다 새로운 상황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이해를 추구하십시오.

Rigour is important in a transformational curriculum. It means ‘purposely looking for different alternatives, relations, connections...’ or looking for and uncovering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our understanding.9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of the health professions, it refers to the capability11 of learners to frame new questions, define problems and seek understanding in new situations.





복잡성과 의학교육연구

COMPLEXITY AND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Radford에 따르면 : 

According to Radford: 



'학교가 complicated하다는 것을 부정 할 수는 없지만, 복잡성의 개념은 우리가 그 학교가 기능하는 것을 보는 방식에 더 많은 차원을 제공합니다 ... complicated system은 상대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변수가 제한되어 있으나, complex system은 잠재적으로 무한한 변수가있을 수 있습니다.

‘Nobody would deny that schools are complicated but the concept of complexity brings a further dimension to the ways in which we see them functioning…whereas complicated systems are understood to be relatively contained and limited in terms of their interacting variables, complex systems are open and subject to potentially unlimited variables. 


Complicated system은 강도와 ​​상호 작용 패턴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측정 가능한 변수의 관점에서 이해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Complex system에서 특정 요소의 영향은 특정 시간에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요소 간 상호 작용의 맥락에서 새로운 변수 또는 특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수 또는 특성은 상호 작용하는 구성 요소의 맥락이 아니라, 상호 작용하는 프로세스 자체에 의해서 설명가능하다. '13

Complicated systems tend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measurable variables that remain relatively stable in terms of strength and patterns of interaction. I

n complex systems, the influence of the particular factors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that they enjoy with others at any moment in time…With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between the elements new variables or characteristics may emerge that cannot be accounted for withi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ng components but only in that of the interactive process itself.’13


의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복잡한 시스템을 구성 요소로 환원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상호 작용 패턴을 찾는 데 실패합니다. 학교와 같은 복잡한 시스템은 예측과 통제의 환원 방법에 저항력이있다 .13 복잡성 과학이 의학 교육의 어휘에 들어가기 때문에, 여러 변수가 동시에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을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69 유망한 접근법 , 구조 방정식 모델링은 의학 교육에서 이미 나타났습니다 .70,71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often seeks unsuccessfully to reduce complex systems to their component parts, searching for regular and predictable patterns of interaction. Complex systems, such as schools, are resistant to reductive methods of prediction and control.13 As complexity science enters the lexicon of medical education, we will need to find new ways to study systems in which multiple variables are interacting simultaneously.69 One promising approach, structural equations modelling, has already appeared in medical education.70,71




의과 대학을 복합 적응 시스템으로 생각하면 새로운 의문이 제기됩니다. 

  • 자기 구성에 기여하는 의대의 핵심 요소, 구조 및 학습 이벤트는 무엇입니까?

  • 학교에서 자기 조직화와 학습의 출현에 중요한 기존 및 새로운 응급 구조를 어떻게 식별 할 수 있습니까?

  • 복잡한 적응 시스템으로서 접근하는 학교는 어떻게 지도력과 관리 실천을 변화 시키나요?

  • 변화, 융통성 및 적응력에 어떻게 대처할 학교의 적합성을 연구 할 수 있습니까?

  • 의과 대학에서의 출현 조건은 무엇이며 어떻게 식별, 개발, 지원 및 유지 될 수 있습니까?

  • 의과 대학에서의 학습은 어떻게 인본주의적이고 인성 중심이 될 수 있습니까?

Thinking of medical schools as complex adaptive systems raises new questions. 

  • What are the key elements, structures and learning events in medical schools that contribute to their self-organisation? 

  • How can existing and new emergent structures that are important for self-organisation and emergence in learning be identified in schools? 

  • How does approaching schools as complex adaptive systems alter leadership and management practices? 

  • How can the fitness of the schools to cope with change,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be studied? 

  • What are the conditions for emergence in a medical school and how can they be identified, developed, supported and sustained? 

  • How can learning in medical schools become more humanistic and person-centred?




CONCLUSIONS




복잡성과 자기 조직의 관점을 수용하는 것은 연구 질문을 공식화하고 커리큘럼을 계획 및 수행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것은 우리가 학습을 자기 조직에서 나오는 변형으로 이해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수준의 학습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관계와 교류의 질에 더 집중하게됩니다. 관계 중심의 교수법은 복잡한 커리큘럼에서 학습의 초점이다.

Embracing the perspective of complexity and self-organisation affects how we formulate research questions, and plan and conduct curricula. It affects how we understand learning as transformation that emerges from self-organisation. It focuses us more intently on the quality of human relationships and exchang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earning at all levels. Relationship-centred teaching becomes the focus of learning in a complex curriculum.


의학 교육은 자기 조직화로서 학습을 받아 들일 필요가 있으며 복잡한 교과 과정에서는 ... '아무도 진리를 소유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이해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It is time for medical education to embrace learning as self-organising and emergent in a complex curriculum ‘...where no one owns the truth and everyone has the right to be understood’.9






 2010 Jan;44(1):20-30. doi: 10.1111/j.1365-2923.2009.03548.x.

Self-organisationintegration and curriculum in the complex world of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ell Biology and Physiology,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Albuquerque, New Mexico, USA. smennin@gmail.com

Abstract

CONTEXT:

The world of medical education is more complex than ever and there seems to be no end in sight. Complexity science is particularly relevant as medical education embraces a movement towards more authentic curricula focusing on integration, interactive small-group learning, and early and sustained clinical and community experiences.

DISCUSSION:

medical school as a whole, and the expression of its curriculum through the interactions, exchanges and learning that take place within and outside of it, is a complex system. Complexity science, a derivative of the natural sciences, is the study of the dynamics, conditions and consequences of interactions. It addresses the nature of the conditions favourable to change and transformation (learning).

CONCLUSIONS:

The core process of complexity, self-organisation, requires a system that is open and far from equilibrium, with ill-defined boundaries and a large number of non-linear interactions involving short-loop feedback. In such a system, knowledge does not exist objectively 'out there'; rather, it exists as a result of the exchange between participants, an action that becomes knowing. Understanding is placed between participants rather than being contained in one or the other. Knowledge is not constructed separately in the mind of the knower, but, rather, it emerges; it is co-created during the exchange in an authentic recursive transactive process. Learning and knowing become adaptive responses to continuously evolving circumstances. An approach to curriculum based on self-organisation is characterised as rich, recursive, relational and rigorous and it illuminates how a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The perspective of complexity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broadens and enriches research questions relevant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t focuses our attention onto how we are together as human beings. How we respond to and frame the issues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 that challenge contemporary medicine and, by extension, medical education, in a complex and rapidly changing world can have profound effects on the preparedness of tomorrow'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ir impact on society.

Comment in

PMID:
 
20078753
 
DOI:
 
10.1111/j.1365-2923.2009.03548.x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