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의 해체: 교육과정 전략으로 통합의 합리적 적용을 위한 프레임워크(Acad Med, 2012)

Perspective: Deconstructing Integration: A Framework for the Rational Application of Integration as a Guiding Curricular Strategy

Ellen Goldman, EdD, and W. Scott Schroth, MD, MPH





2010 년 Academic Medicine의 2010 년 미국 및 캐나다 의과 대학의 의학 교육 보고서에서 보고 된 학교의 82 %는 통합이 커리큘럼의 핵심 특징이며 지속적인 커리큘럼 개혁을위한 계획이라고 언급했습니다.

In Academic Medicine’s 2010 compendium of medical education reports from U.S. and Canadian medical schools, 82% of reporting schools mentioned integration as a central characteristic of their curriculum and of their plans for ongoing curricular reform.4


커리큘럼 통합의 이론적 근거는 문헌에 잘 기록되어있다. 

  • 지식을 적용한 경험은 이해력을 자극하고, 그것을 체계화하며, 새로운 지식을 개발할 수있는 기반이된다 .5-8 

  • 또한 의사가 할 수 있어야 하는 추론의 유형(분석적, 경험적, 창의적)은 이해 (지식의 이해), 적용(경험), 합성 (추가 지식 개발)로 이어지는 활동을 필요로 한다.

The rationale for curricular integration is well documented in the learning literature: 

  • Experience applying knowledge motivates its comprehension, helps codify it, and serves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knowledge.5–8 

  • Further, the types of reasoning in which physicians must be able to engage— analytical, heuristic, and creative9— require a progression of activity that includes comprehension (of knowledge), application (experience), and synthesis (further knowledge development).10,11


교육에서의 통합은 "개별 요소 또는 기능의 의도적 uniting 또는 meshing"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정의됩니다.

Integration in education is most broadly defined as “any intentional uniting or meshing of discrete elements or features.”18


커리큘럼 통합의 개념이 찬사를 받았지만 문헌에는 또한 도입과 관련된 관행에 대한 비판이 포함되어있다 .9,18,19 이러한 비판은 주로 통합은 커리큘럼 개발의 전략이지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라는 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전략을 사용하기 위한 기초, 즉 달성하려는 목표가 명확해야하며, 프로그램, 코스 및 세션의 세 가지 수준에서 전략의 적용을 신중하게 실행해야합니다.

Although the concept of curricular integration has been lauded, the literature also contains criticism of the practices associated with its implementation.9,18,19 We contend that these criticisms most often arise from a failure to understand that integration is a strategy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not a goal in itself. The basis for using this strategy—that is, the goal that it is designed to achieve—should be clear, and the application of the strategy at all three levels—program, course, and session—should be carefully executed.



교육과정 통합의 일반적 어려움

General Challenges of Curricular Integration



(의학교육 바깥에서) 교육과정 통합은 "폭식을 조장하여 영양 실조 환자를 치료하는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어떤 형태로든 통합이 더 많을수록, 그 자체로 일종의 개선이라는 가정이 있습니다. 근본적인 교과 문제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없다면 교육과정 개혁은 모자람만 못한 지나침(overkill)이 될 수 있다.

Proposals for curricular integration (outside medical education) have been described as “treating undernourished persons by promoting gluttony”18—in other words, there is an assumption that more integration, in any form, is an improvement. Absent a proper diagnosis of the underlying curricular problems, it would be easy to deliver curriculum reform “overkill.”


의학 교육자들은 "학습자 중심 접근법"과 같은 과거의 교육과정 개혁 ​​노력을 비판하면서 

  • "종종 [교육의 목적 및 목표]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채택 된 전략]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교육 컨셉이 그 자체로 목적이 되어버리면, overall aim을 상실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 또한, 새로운 교육 방법 (예 : PBL)도 [그 방법의 기반이 되는 개념] 또는 [그 방법이 실제로 무엇을 달성하는지]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로 적용된다고 지적해왔다. 

  • 통합과 관련하여, 통합의 방법은 유일하지 않다고 지적되었다. 각 의과 대학은 자신의 목표, 구조 및 제약 조건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한다.9

Medical educators, in criticizing past curricular reform efforts such as shifts to learner-centered approaches, have noted that 

  • “often no clear distinction is made between the aims and objectives of educational provision and the strategies adopted for their achievement; educational concepts may become ends in themselves, and the overall aim becomes lost.”19 

  • Moreover, new methods of education (e.g., problem-based learning)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applied without a ful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they are based on or what is achieved in practice.19 

  • With respect to integration, it has been noted that there is no one way to integrate: Each medical school needs to select methods appropriate for its own goals, structure, and constraints.9


따라서 의학교육에서 통합은 맹목적으로 옹호되거나, 전반적인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없이 도입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통합은 그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Thus, there is a risk that medical education integration activities may be advocated blindly and implemented at the level of delivery (classroom or clinic) without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overall purpose is desired. As a result, integration activity may fall short of its potential.




교육과정 통합의 프레임워크

An Organizing Framework for Curricular Integration


Figure 1 illustrates our proposed framework for aligning and enhancing the value of medical education integration activities.




프로그램 수준의 결정

Program-level decisions


    • 프로그램 수준의 커리큘럼 개발 결정은 의과 대학의 사명을 고려하여 시작됩니다 : 특정 교육 기관의 의학 교육의 목적. 

    • 이는 프로그램 목표를 알려주고 목표 달성 정도를 결정하기위한 측정 가능한 목표를 수립합니다. 

    • 프로그램 목표는 필수 서비스, 학제 간 교육 또는 특정 임상 기술 또는 기관에서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험과 같은 구체적인 교육 요구 사항을 알려줍니다. 

    • 또한 프로그램 목표는 프로그램 수준 통합의 근거rationale를 제공하여 통합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전략으로 만듭니다.

    • Progra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begin with considering the medical school’s mission20: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at the particular institution. 

    • This informs the program goals, which in turn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measurable objectives for determining how well the goals are being met. 

    • The program goals will inform specific educational requirements, such as mandatory servic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r particular clinical skills or experiences deemed important by the institution. 

    • Additionally, program goals provide the rationale for program-level integration, making integration a strategy to achieve the goals.


    • 하나의 프로그램 목표가 임상 팀워크에서 우수성을 육성하는 것이라면,

    • if one program goal is to foster excellence in clinical teamwork,

    • 프로그램의 주요 초점이 지역 사회 기반의 실천에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라면,

    • if a major focus of the program is to develop capabilities in community- based practice,


각 사례에서 통합의 세부 사항은 달라집니다. 두 가지 예에서 통합은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전략입니다.

In each example, the specifics of integration will be different; in both examples, integration is a strategy for achieving program goals.


프로그램 수준의 커리큘럼 의사 결정이 명확하고 교육 과정 통합이 프로그램 목표 중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선택되면, 여러 가지 결정을 내려야합니다.

Once the program-level curriculum decisions are clear, and curricular integration is selected as a strategy for achieving some of the program goals, a number of program-level integration decisions need to be made. Table 1





  • 목적 (왜?) : 달성하려는 통합은 무엇입니까?

  • 형태 (무엇?) : 어떤 요소가 통합되어야 하는가?

  • 차원 (언제?) : 통합 활동의 경계는 무엇입니까?

  • 환경 (Where?) : 통합 교육은 어떤 교육 환경에서 이루어져야합니까?

  • 일관성 (어떻게?) : 통합 활동을 통합하고 무결성을 제공하는 기본 원칙 또는 원칙은 무엇입니까?

  • Purpose(s) (Why?) : What is the integration trying to achieve?

  • Forms (What?) : Which elements are to be integrated?

  • Dimensions (When?) : What are the boundaries of the integration activity?

  • Environments (Where?) : In what teaching environments should integration take place?

  • Coherence (How?) : What underlying principle or principles unify the integration activity and provide it with integrity?




코스(과목)-수준 결정

Course-level decisions


과목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커리큘럼 개발 결정은 과정 목표, 내용, 순서, 평가 형식과 관련됩니다 (그림 1) .20 

    • 과정 목표는 프로그램에서 특정 과목의 역할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 또한 학생, 분야 (예 : 전문과별 역량, 시험 요구 사항), 기타 이해 관계자의 요구에 기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이 활동은 교수 설계 이론(ADDIE?!)에서 "분석Analysis"이라고도 합니다. 분석에 필요한 많은 정보는 프로그램 수준의 통합 결정에서 비롯됩니다. 학생에 대한 정보(예 : 학부 전공, 과거 경험)도 필요합니다. 특정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시작 지식과 기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to be made at the course level relate to course objectives, content, and sequencing, as well as form of assessment (Figure 1).20 Course objectives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role of the course in the program and the needs of the students, the field (e.g., specialty competencies, examination requirements), and other stakeholders. This activity is referred to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s “analysis.” Much of the information needed to complete the analysis will result from the program-level integration decisions;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 body (e.g., undergraduate majors, past experiences) is also needed. Further analysis may be necessary to assess students’ starting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specific course.


과목 목표가 확인되면 내용을 결정하고, 순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과목 목표는 평가수단(예 : 테스트, 관찰)과도 조화를 이루어야합니다. 이러한 코스 수준의 커리큘럼 결정은 교육 디자인 이론에서 "디자인"이라고합니다.

Once the course objectives have been identified, the content can be specified and its order of presentation determined. The course objectives should also be aligned with assignments or other means of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have achieved them (e.g., tests, observations). Together, these course-level curriculum decisions are referred to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s “design.”



디자인 결정은 과목을 프레이밍하며 과목 수준에서 필요한 통합의 성격을 결정합니다. 그림 1에서 언급했듯이 과정 수준의 통합 결정에는 필요한 통합 유형과 교수/자원/스케줄링에 대한 관련 의미가 포함됩니다. 필요한 통합의 본질을 결정하는 유용한 방법은 Harden 1의 "통합 사다리"(표 2에 요약 됨)에 설명 된 연속체를 따라 과목을 배치하는 것입니다.

The design decisions frame the course and determine the nature of integration required at the course level. As noted in Figure 1, course- level integration decisions include the types of integration needed and the associated implications for faculty, resources, and scheduling. A useful way of determining the nature of integration required is to locate the course along the continuum depicted in Harden’s1 “integration ladder” (summarized in Table 2).


코스 디렉터가 직면하는 질문은 이것이다 "과목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유형의 통합이 필요합니까?"

The question facing course directors is, “What type of integration is needed to achieve the course objectives?”


카네기 재단 보고서에서 "의대에서 더 많은 임상 경험을 병합하는"일반적인 권고안을 고려하십시오 .3이 목표는 연속체를 따라 다양한 지점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달성 될 수 있습니다 (표 2).

Consider the general recommendation in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to “incorporat[e] more clinical experiences earlier in medical school.”3 This objective can be achieved in many ways at different points along the continuum (Table 2).


    • 예를 들어, Gross Anatomy와 같은 기초과학 과정은 과정에서 임상 데모 또는 생존 환자 조우를 "nest"할 수 있습니다. 

    • 또는, 그러한 과목이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대신, "다학제적" 사례 기반 방식으로 교육 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신체 시스템에 대한 과목에서 다뤄지거나, 

      • "doctoring" 과목의 초기 임상 경험에서 다뤄질 수도 있다. 

이 두 가지 예는 코스 수준 분석이 코스 수준 통합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줍니다.

For example, a basic science course like Gross Anatomy could “nest” clinical demonstrations or live patient encounters in the course. Alternatively, the course could cease to exist in stand-alone form; instead, the material could be taught in a “multidisciplinary,” case-based manner across courses on different body systems or in conjunction with early clinical experiences in a “doctoring” course. These two examples illustrate how course-level analysis will affect course-level integration decisions.




    • 많은 수의 의대 학생들이 해부학 원리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 없다고 판단되면 "nesting"또는 "complementary" 통합을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 If the analysis determines that a large number of the medical school’s students do not have adequate preparation in the principles of anatomy, then “nesting” or “complementary” integration would make sense.


    • 앞서 결정한 프로그램-수준 통합 결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커리큘럼이 (커리큘럼 통합의 기본 원리로서) 장기 시스템에 의해 조직되어야한다고 결정되었고, 분석 결과 학생들은 해부학 원칙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되어 있다면, Multidisciplinary 통합 접근법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 Previous program-level integration decisions are also influential: If it has been decid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by organ systems (as the underlying principle of curricular integration), and analysis indicates that students have adequate preparation in the principles of anatomy, then a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approach may be appropriate.


카네기 재단 보고서에서 "의과 대학 후반부에 지식 구축을위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지적한 목표의 충족도 여러면에서 달성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총 해부학 교수진과의 세션은 학생들이 지식을 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임상실습 안에 "nested"될 수 있습니다. 외과적 개입을 확인하기 위해 정보를 합성하는 것과 같이 학생들의 고차원 적 사고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면, multidisciplinary 접근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Meeting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knowledge building later in medical school”3 may also be achieved in many ways. For example, sessions with Gross Anatomy faculty could be “nested” into clerkships to help students apply knowledge. If the aim is to develop students’ higher-level thinking, such as synthesizing information to identify surgical intervention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may be appropriate.


어떤 수준의 통합을 이루려고 하는지는, 특히 그 통합이 사다리에서 높은 위치에 있을 때는, 과목 delivery에도 여러 collateral implication을 줄 수 있다.

    • 첫째, 과목이 통합 수준을 높이게 되면, 중앙 집중식 과정 설계와 전반적인 교육과정 계획을 위하여 더 많은 교수 시간이 요구됩니다.

    • 둘째, 모든 교수진이 전통적 전문 분야 이외의 융합 과정에서 팀 교육이나 교수법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하는 교수진의 채용 및 교수개발과 관련된 교육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수준의 전략을 결정하지 못하면, 교수들의 노력과 교육과정의 일관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부적절한 과목-수준의 전략이 채택 될 수 있습니다.

    • 또한, 과목 수준에서의 조정되지 않은 통합 전략은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통합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커리큘럼 개발 결정을 내린 다음 각 단계에서 통합 결정을 내리면 통합의 "다다익선" 실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The level of course integration targeted, particularly if it is one of the higher levels on the continuum, may have important collateral implications for course delivery.18 

    • First, as courses move to increasing levels of integration, more faculty time is required both for centralized course design and overall curriculum planning. 

    • Second, not all faculty may be comfortable with team teaching or teaching in fused courses outside their traditional areas of expertise. These issues may increase the costs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cruitment and development of faculty who must take on new roles. In addition, failing to determine program-level strategies first may lead to the adoption of an inappropriate course- level strategy with substantial implications for faculty effort and curricular coherence. 

    • Further, uncoordinated integration strategies at the course level may lead to more integration than is necessary to achieve program goals. As the examples above demonstrate, first making the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and then the integration decisions at each level may help avoid the “more is better” phenomenon.


앞서 말한 단계들이 항상 선형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특히 과목 레벨에서는 의사 결정의 상호 작용이있을 수 있습니다. 즉, 통합 연속체에 대한 코스의 적절한 위치를 논의하면 내용 및 순서 결정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프로그램 수준에서 내려진 결정을 바꿔서는 안됩니. 그렇게 되면 과목이 교육과정을 좌지우지하게되며, 효과적인 교육과정 oversight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강사와의 충분한 심의 및 토론 시간을 통해 프로그램 수준의 커리큘럼 개발 및 통합 수준 결정을 통해 과목 수준의 의사 결정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We noted earlier that these steps may not always be linear. Particularly at the course level, there may be interplay of the decision making; that is, discussing the appropriate placement of the course on the integration continuum may result in changes to the content and sequencing decisions. Such discussions should not, however, change decisions that have been made at the program level: That would allow courses to drive the program and indicate a lack of effective curricular oversight.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oting ample deliberation and discussion time with faculty to ensure that they clearly understand the progra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tegration decisions driving course-level decisions.




수업 수준 결정

Session-level decisions


세션 수준 코스 개발 ​​결정은 목표, 내용, 순서, 전략 (교수 방법, 형식 및 자료) (그림 1)과 관련이 있습니다 .20 이러한 측면을 교수 설계 이론에서 "개발Development"이라고 부릅니다. 교수진은 이 단계에서 거의 무한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Session-level course development decisions relate to objectives, content, sequencing, and strategies (teaching methods, formats, and materials) (Figure 1).20 These aspects are referred to i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as “development.” Faculty have almost endless options in this stage of course development.


"올바른"교수 전략을 선택하는 것은 세션의 목표에 기초해야합니다. 교수가 대답해야하는 질문은 "세션이 끝나면 학생들이 무엇을 알기를 원하거나 할 수 있는가?"21,22

Selecting the “right” teaching strategies should be based on the session’s objectives. The question that faculty must answer is, “What do we want the students to know or be able to do at the conclusion of the session?”21,22


Carnegie Foundation 보고서는 "의학 교육의 연속체에서 형식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3 학습 관점에서 볼 때 교수진은 통합을위한 "판"을 깔아줄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학생 자신이 지식과 경험을 통합해야합니다. Benor9는 차이점을 설명했습니다.

The Carnegie Foundation report recommends “strengthening connections between formal and experiential knowledge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3 From a learning standpoint, although faculty can “set the table” for integration, the learner ultimately needs to integrate his or her own knowledge and experience. Benor9 described the difference:


      • 어떤 교육과정은 여러 학문분야가 동시에 제시되며, 그 분야들간의 상호 연결을 보여주지만, 학생에게 transfer을 요구하지 않는다. 

      • 한편으로는 학생에게 한 학문분야가 다른 학문분야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고, 공통점은 무엇인지를 학생이 일반화하고 찾아내도록 하는 교육과정이 있다. 

이 두 가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 전자는 교육과정 기획자, 즉 매크로 수준에서 통합을 보여줍니다. 

      • 후자는 학습자, 미시적 수준의 통합이다.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a curriculum in which many disciplines are represented simultaneously, reflecting many interconnections among them but not requiring the student to achieve any transfer, and a curriculum in which the student is required to generalize,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to draw conclusions applicable to other disciplines…. The former type of curriculum demonstrates integration on the part of the planner, at the macro- level; the latter, on the learner’s at the micro-level.



개개인의 학습자의 인지 처리 차원은 블룸의 목표 분류의 마지막 두 단계 인 "합성"과 "평가"에서 발생합니다. 10,11 이러한 두 단계를 목표로하는 교수법에는 문제, 사례, 시뮬레이션, 프로젝트의 사용이 포함됩니다 , 연습 및 비평. 반대로 강의, 비디오, 예제, 역할 연기 및 데모를 통해 낮은 수준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습니다.

The individual’s learner’s cognitive processing dimensions related to integration occur at the final two levels of Bloom’s taxonomy of objectives: “synthesis” and “evaluation.”10,11 

    • Teaching methods that target these two levels include the use of problems, cases, simulations, projects, exercises, and critiques. 

    • (In contrast, lower-level objectives can be achieved through lectures, videos, examples, role-play, and demonstrations.)


표 3에서는 학습자가 자료를 통합 할 수 있도록 성인 학습 관점에서 고안된 세션 활동의 개요를 제공합니다 .5-8, 17,20-22

In Table 3, we provide an outline of session activities that are designed from an adult learning standpoint to help the learner integrate material.5–8,17,20–22


학생이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관련 어휘와 용어에 익숙해야하며, 내용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합니다 .9 이것은 블룸의 목표 분류법에서 "합성"이 위치한 곳과 일치합니다. 또한 Session synthesis는 참여와 성찰에 의해 촉진된다 .6,7,21,22 학생들은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적인 훈련과 실습을 필요로 할 수 있나, 교수진은 그렇게하도록 돕기 위해 수많은 기술을 사용할 수있다 .21,22 우리 경험에 따르면 공유 된 참여 활동shared engagement activity (소그룹 활동)는 다음처럼 할 때 효과적이다.

    • 학생들에게 그룹이 사용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 대답해야 할 명확한 질문이있는 구조화 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 모든 그룹 구성원 (타임키퍼나 보고자 포함)에 대한 역할 할당

    • 완료된 작업을 전략적으로 활용합니다 (예 :보고 할 때 반복 줄이기, 교수에 의한 주요 내용 요약).

Students’ ability to integrate knowledge and experience requires that they be familiar with relevant vocabulary and terminology and have some level of knowledge of the content.9 This is consistent with where “synthesis” occurs on the taxonomy of objectives.10,11 Session synthesis is also fueled by shared engagement and reflection.6,7,21,22 Students may require additional training and practice to develop these skills, however, and faculty can employ numerous techniques to help them do so.21,22 In our own experience, we have found that shared engagement activities (i.e., small-group work) are effective when we 

    • explain to students why groups are being used, 

    • provide a structured approach with clear questions to be answered, 

    • assign roles for all group members (including someone to keep time and someone to report out), and 

    • make strategic use of the work completed (e.g., limited repetition when reporting out, faculty summarization of critical points). 


우리는 수업 세션 전후에 특정 질문을 할 때 학생들의 성찰 능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학생들은 코스 웹 사이트에 게시된 서면 성찰으로 응답해야합니다. 교수진은 이러한 게시물에 대한 graded 피드백과 함께 추가 성찰을 위한 코멘트를 줄 수 있다.

We have found that students’ reflective abilities increase when we pose specific questions either before or after class sessions, to which students must respond with a written reflection posted on the course Web site. Faculty provide graded feedback on these posts along with comments to foster additional reflection.



준비

Preparation


학습자에게 필요한 배경 정보 제공

• 앞으로 올 일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십시오.

Give the learner needed background information 

• Set expectations for what is to come


사전에 독서 과제, 질문 또는 문제를 할당하십시오.

• 세션 진행 방법을 명확하게 기술하십시오.

Assign readings, questions, or problems in advance 

• Describe clearly how session will run


연결짓기

Linking


• 두뇌 자극 : 이미 학습자와 경험 한 학습자를 연결하십시오.

• Stimulate the brain: Connect to what the learner already and/or has experienced


• 이전 세션 및 / 또는 다른 과목에서 세부 사항 회상

• 최근 경험에 대한 질문

• Reference/recall specifics from prior session and/or other coursework 

• Query about recent experiences



참여

Engagement



• Excite : 관련성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를 연결시킵니다.

• 자료 및 학습 지침 제시

• 참여 : 학습자가 자료를 사용하여 사전 지식 및 경험과 통합시킵니다.

• 인식 증진 : 학습자가 자신이 얻은 것을 깨닫도록 도와줍니다.

• Excite: Hook the learner by showing the relevance 

• Present material and learning guidance 

• Engage: Have the learner use the material to integrate it with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 Foster awareness: Help the learner realize what he or she has gained


• 놀랄만한 통계, 환자 이야기 등을 후크로 사용하십시오.

• 사례, 문제, 프로젝트 등을 제시하고 원하는 사고 / 행동을 제시하십시오.

• 문제를 해결하고 계획을 세우며 응답을 작성하기 위해 개인, 쌍 또는 소그룹을 할당하십시오.

• 반성과 토론의 기회를 제공한다. 피드백

• Use alarming statistics, a story of a patient, etc., as a hook

• Present a case, problem, project, etc., and the thought/action desired 

• Assign individuals, pairs, or small groups to solve a problem, develop a plan, formulate a response, etc. 

• Provide opportunity for reflection and discussion; feedback


전이

Transfer


• 새로운 학습의 유지 강화

• Enhance retention of new learning


• 향후 검색을위한 단서 및 전략 제공

• 다음 세션 설명

• Provide cues and strategies for future retrieval 

• Describe next session



권고와 결론

Recommendations and Conclusions


커리큘럼 개발 전략으로 통합을 구현하려면 교수진과 학생, 그리고 종종 추가 리소스가 필요함은 명백하다. 교수 및 학생은 새로운 교수 및 학습 방법의 도입 초기에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교수진은 협업적 형식이나보다 능동적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가르 칠 준비가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과목 재설계 과정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경험적 학습 활동을 개념화하고 코드화하는 것보다 강의를 하는 것이 훨씬 더 쉬울 수 있습니다. 

  • 어떤 학생들은 능동적 학습에서 스스로 공부해야 한다거나 그룹으로 공부해야 한다는 것에 분개할 수 있다. 이들은 교수에게 지식을 전수 받도록 "돈을 낸"것으로 인식합니다. 

  • 이를 위해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 및 그룹 학습의 방법과 가치에 관한 추가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또한 교실 및 실험실과 같은 시설은 그룹 작업을보다 잘 수용 할 수 있도록 다시 설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일정을 변경하고 적절한 시설을 찾고 평가 메커니즘을 수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있는 관리 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Clearly, implementing integration as a curriculum development strategy requires considerable effort on the part of both faculty and students and, frequently, additional resources. Faculty and students may experience initial discomfort when new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are introduced. 

  • Faculty may not be prepared to teach using collaborative formats or more active learning methods. 

  • Redesigning courses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energy; it is far easier to deliver a lecture than it is to conceptualize and codevelop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 Students for whom active learning is a new experience may resent learning on their own and in groups with others, perceiving that they have “paid” for learned faculty to impart knowledge to them. 

  • This may require additional material to be developed regarding the methods and value of self-directed and group learning. 

  • Further, facilities, such as classrooms and laboratories, may need to be redesigned to better accommodate group work. 

  • Addit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may be needed to help change scheduling, locate appropriate facilities, and modify evaluation mechanisms.



동시에 통합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면 많은 잠재적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교수진은 연구 및 출판 기회로 이어지는 새로운 협력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팀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을 향상시키고 코스 리더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더 많이 가르치는 것을 즐긴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 학생들, 특히 멀티 태스킹 밀레니엄 세대의 학생들은 수업 시간을 좀 더 즐길 수 있으며, 배우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으로되기 때문에 앞으로 점차 도움이 될 기술들을 습득하게됩니다. 

  • 궁극적으로, 의과대학을 졸업 한 의사가보다 고도로 발달 된 분석적, 경험적 및 창조적 사고 기술을 활용한다면 환자와 지역 사회가 도움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은 [통합을 하나의 전략으로 삼고,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의 일부로서 채택되고 시행되는 교수 설계의 사용한다면] 교수들이 도움을 줄 수 있다.



At the same time, adopting a systematic approach to integration offers many potential benefits. 

  • Faculty may enter into new collaborations that lead to research and publishing opportunities. These collaborations may enhance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team teachers and offer new opportunities for course leadership. They may also discover they enjoy teaching more. 

  • Students, particularly those of the multitasking millennial generation, are likely to enjoy class sessions more and, by becoming more self-directed in their learning, gain a skill that will serve them well for the rest of their careers. 

  • Ultimately, patients and communities will benefit from physicians who graduate from medical school with more highly developed analytic, heuristic, and creative thinking skills—skills that faculty helped them develop through the use of instructional design adopted and implemented as part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urricular reform that used integration as a strategy.



11 Krathwohl DR.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2002;41:212–218.









 2012 Jun;87(6):729-34. doi: 10.1097/ACM.0b013e318253cad4.

Perspectivedeconstructing integration: a framework for the rational application of integration as a guiding curricular strategy.

Author information

1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Washington, DC 20037, USA.

Abstract

In response to historical criticism, evolving accreditation standards, and recent reports on curricula, medical educators and medical schools have been eagerly pursuing integration as a goal of curricular reform. The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broadly considers integration to be the deliberate unification of separate areas of knowledge, and it provides support for the concept that integration better meets the needs of adult learners in professional education. The use of integration as a curricular goal is not without its critics, however, nor is it free of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In this perspective, the authors propose that most of these difficulties arise from a failure to recognize that integration is a strategy for curricular development rather than a goal in itself, and they argue that adopting a systematic approach to integration offers many potential benefits. They articulate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issues that they believe are critical to consider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curricular integration, and they suggest that integration should be approached as a subset of broader curriculum development decisions. They propose a three-level framework for applying integration as a guiding curricular strategy, in which decisions about integration must follow curricular decisions made at the program level, the course level, and then the individual session level.

PMID:
 
22534596
 
DOI:
 
10.1097/ACM.0b013e318253cad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