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 호기심, 창의성(Adv in Health Sci Educ, 2012)

On competence, curiosity and creativity 

Geoff Norman




의학의 실천은 어떤 전문직과 마찬가지로 독창성에 대해 보상해주지 않으며,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그렇지 않는 것이 합당하다. 전문가는 (다름 사람들이 만든) 방대하고 전문화 지식체를 마스터함으로써 그 지위를 획득합니다. 전문가의 역할은 이 지식체계에 무언가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고객이 가진 문제에 대한 판단을 내릴 때 이 지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The practice of medicine, like any profession, does not really reward creativity, nor, from a utilitarian perspective, should it. A professional acquires the status by mastering a large and specialized body of knowledge—knowledge that other people created. His role is not to add to this knowledge, but to use his judgment in applying this knowledge to his client’s problem.


물론 몇몇 의과대학 졸업생들은 연구자로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지만, 이것을 하기 위해서 어떤 전문직 자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고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호기심이나 창의력과 같은 일반적 특성이 중요하다고 립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우리는 분명히 과정이나 단위에서 이것들을 operationalize 하지 않습니다. 리는 호기심에 대해 보상을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역량에 대해 보상을합니다. 역량 중심의 커리큘럼을 향한 현재의 움직임, 즉, 전적으로 정의된 기술의 숙달을 토대로 판단되는 역량을 지향하는 역량바탕교육과정보다 이것을 더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은 없다..

Of course a few medical graduates DO generate new knowledge as researchers, but this does not require any professional qualification, as my own career attests, since they do not have clients. So, while we may pay lip service to general traits like curiosity and creativity, we certainly do not operationalize these in courses or units. We don’t reward curiosity; we reward competence. Nothing demonstrates this more clearly that the current movement towar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ere competence is judged entirely on the basis of mastery of defined skills.


역설적이게도, 대학원에서는 '역량을 갖춘competent'이라는 용어는 거의 경멸적인 용어라는 점이다. "그는 competent하긴 한데, 충분히 창의적이지 않다."라는 뜻이다.  역량은 능력은 사다리의 맨 아래에있다. 집의 기초와 같다. 완전히 막장failure가 아니라면, 적어도 competent하다고 가정합니다.

Paradoxically, in graduate school, ‘‘competent’’ is almost a pejorative term, as in, ‘‘Well, he’s competent enough but he’s not very creative.’’ Competence is the bottom rung of the ladder; the foundation of the house. And it’s assumed that anyone who is not an abject failure is at least competent.


"정의된 지식과 기술의 숙달"로 표현되는 "역량"이 항상 ''표준''은 아니 었습니다. McMaster PBL이 개발되었을 때, 5 년마다 모든 지식이 변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 할 수있는 기술을 습득해야했습니다. 학생들에게 현재의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너무 많은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지식에 대한 시험을 경멸하듯 보았고, "문제 해결 능력"은 PBL 왕관의 보석이었습니다. 이 mantra는 완전히 틀렸지만, 한편으로 해방군이었습니다. 커리큘럼위원회는 행동적 목표의 폭압으로부터 해방되어,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냐보다 어떻게 배우냐가 더 중요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스스로의 관심사를 따르도록 격려 할 수있었습니다.

Competence, as expressed as mastery of a defined body of knowledge and skills was not always the ‘‘gold standard’’. Back when McMaster PBL was developed, the dominant mantra was that all knowledge would change every 5 years, so students had to acquire the skills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t then followed that they need not worry too much about acquiring today’s knowledge. So examinations of knowledge were viewed with disdain,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the jewel in the PBL crown. Although the mantra was completely wrong, it was a liberating force. Curriculum committees were liberated from the tyranny of behavioural objectives and could encourage students to follow their interests, since it mattered less what you learned than how you learned.


한편으로, 학생은 학부생으로서 생각한 종류의 지적 보상의 종류를 재발견해야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자율과 수입면에서 가장 큰 전문 보상은 안과, 비뇨기과, 중재적 심장학과 같은 시술중심procedure-driven 전문 분야에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그는 가능한 전공과의 목록을 더 많이 늘어놓을수록, 내재적 보상과 외부 보상 사이에서 Faustian choice에 직면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러나 그와 함께 이 탐색에 참여하면서, 나는 그가 "doctoring이 무엇인가"에 대해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에 놀라게 되었다. 그의 인생 전체는 어떻게 의과 대학에 "들어오는가"에 집중되어 있었고, 의대에서 "나와서" 의사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는 데는 거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습니다.

On the one hand, the student was desperate to rediscover the kind of intellectual rewards he found as an undergraduate; on the other, he recognized that the greatest professional rewards in terms of autonomy and income were in procedure-driven specialties like ophthalmology, urology, and interventional cardiology. The more he went down the list of possibilities, the more it became evident that he was faced with a Faustian choice between intrinsic and external rewards. But as I engaged in this search with him, I was struck by how little he understood about what doctoring was all about. To this point,his entire life was focused on getting INTO medical school, and very little time was devoted to thinking what it would be like to get OUT OF medical school and become a doctor. 


나는 현재의 통계에서 학부생의 약 30 %가 의과 대학에 입학하기를 원하지만, 어쨌든 3 %만이 그렇게 된다는 것을 읽었습니다.

I read somewhere that current statistics are that about 30 % of undergraduates want to get into medical school, but only 3 % will.


학생들은 더 이상 자신의 관심에 기반해 과목을 수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사탕처럼 높은 점수가 전달되는 '새bird'코스를 택합니다. 학점의 인플레이션은 만연합니다. 교수들이 성적을 충분히 잘 주지 않으면 학장에게 지적을 받는다 (이름도 말할 수 있다!). 학생이 기대치보다 낮은 점수를 받으면 학생과 교수 쌍방의 문제(그리고 종종 가족까지의)로 간주됩니다.

Students no longer take courses based on interest; they take ‘‘bird’’ courses where high marks are handed out like candies. Mark inflation is rampant; professors are challenged by deans because their grades aren’t high enough (yes, I can name names!). When a student receives a mark lower then her expectation, it is viewed as a mutual problem of the student and the professor (and often, her family).


이것들은 모두 현재 학생과 교수진 모두에게 학부과정의 경험을 지속적인 악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성적이 점점 더 인플레이션되고 학생이 이 시스템과 '게임'을 하는데 능숙해질수록 입학위원회의 일도 점점 더 어려워진다.

All of these are now constant aggravations that degrade the undergraduate experience for students and faculty alike. And it makes the job of the admissions committee that much harder as grades inflate and students become better and better at gaming the system.


그러나 진짜 비극은 이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정말 잃어버린 것은, 학생들이 흥미를 유발하고 그들을 매혹시키는 대안적인 직업을 추구 할 수있는 기회입니다. 학생이 창의성과 호기심을 발휘할 수 있는 그 기회 말이다.

But this is not the real tragedy. What has really been lost is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pursue an alternative career that interests and enchants them; that permits them to exercise creativity and curiosity.


McMaster의 첫 번째 교육 학장 인 Bill Walsh는 PBL에 대해 "우리가 정말로 원했던 것은 그들이 의사가 되어 무언가 재미있는 일을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The first education dean at McMaster, Bill Walsh, once said about PBL that ‘‘All we really want is for them to become doctors and have some fun doing it’’.





 2012 Dec;17(5):611-3. doi: 10.1007/s10459-012-9416-6.

On competencecuriosity and creativity.

Erratum in

  •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3 Mar;18(1):157.
PMID:
 
23076677
 
DOI:
 
10.1007/s10459-012-9416-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