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 및 연구자로서 교사를 개발하고 보상하기: 눈부신 진보와 위압적 과제(Med Educ, 2017)

Developing and rewarding teachers as educators and scholars: remarkable progress and daunting challenges
David M Irby & Patricia S O’Sullivan

 

 

도입

INTRODUCTION

1988년 세계 의료 교육 회의에서, 참가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의료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의제를 추구할 것을 다짐했다. 알려진 대로 에든버러 선언은 12가지 권고안을 내놨는데, 다섯 번째 권고안은 '교사를 콘텐츠 전문가만이 아닌 교육자로 양성하고, 이 분야의 우수성을 생물 의학 연구나 임상 실습의 우수성만큼 충분히 보상하라'는 글의 초점이다. 
At the 1988 World Conference on Medical Education, participants pledged themselves to pursue an agenda designed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worldwide. The Edinburgh Declaration,1 as it became known, made 12 recommendations; the fifth recommendation is the focus of this article: ‘Train teachers as educators, not content experts alone, and reward excellence in this field as fully as excellence in biomedical research or clinical practice’. 

그러나, 연구는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과 고등 교육에서 교육보다 늘 우선순위에 있으며, 그 결과 전문적 만족, 학업 촉진, 연구자와 교육자에 대한 유지 및 보수 비율의 차이를 초래한다.3,4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맥락에는 성별, 인종, 민족과 같은 다른 형태의 불평등도 포함된다. 이러한 불평등이 지속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Yet, research continues to trump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generally,2 resulting in disparities in rates of professional satisfaction, academic promotions, retention and remuneration for researchers and educators.3,4 The context within which this disparity takes place includes other forms of inequities as well, such as gender, race and ethnicity.5–10 Why do these inequities persist? 

 

 

교사들을 콘텐츠 전문가만이 아니라 교육자로 양성
TRAIN TEACHERS AS EDUCATORS, NOT CONTENT EXPERTS ALONE

 

에든버러 선언은 교사들의 컨텐츠 지식의 단순한 향상을 넘어 교육자로서 그들의 기술과 경력을 발전시킬 것을 권고했다. 콘텐츠 지식은 필수적이지만 교수법의 우수성을 위해서는 불충분하다. 교육자들은 교육자로서 직접적인 가르침을 넘어서는 다양한 교육적 역할에 대한 지식, 전문적 실천을 위한 기술, 정체성 형성을 필요로 한다.
The Edinburgh Declaration recommended moving beyond mere improvements in teachers’ content knowledge to advance their skills and careers as educators. Content knowledge is essential but insufficient for excellence in teaching. Educators need knowledge for their various educational roles that may extend beyond direct teaching, skills for professional practice and identity formation as an educator. 

 


교사를 교육자로 육성
Developing teachers as educators


역사적으로, 교수를 위한 전문적 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은 그들의 컨텐츠 지식이 최신인지 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교수진들은 연구에 몰두하고, 국내외 학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안식년을 완수하는 등 전문적으로 성장했다. 연구를 수행하던 이 최신 교수들은 훌륭한 연구자와 교사들로 추정되었다. 가르치는 데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았다. 
Historically,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faculty members focused on ensuring that their content knowledge was up to date. Faculty members grew professionally by engaging in research, presenting their work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completing sabbaticals. These up-to-date professors, who were conducting research, were assumed to be good researchers and teachers. No special knowledge or skills were required for teaching. 

Shulman은 이러한 가정에 도전했다. Shulman은 효과적인 가르침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그들의 발전 수준에서 접근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의 콘텐츠 지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Shulman은 이러한 독특한 형태의 교사 지식을 '교육적 콘텐츠 지식 또는 PCK'라고 불렀다. 교사들은 PCK, 즉 스크립트를 개발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시작하며, 그들이 내용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하도록 도울 방법을 발견함으로써 실제로 이러한 지혜를 심화시킨다.13 
Shulman challenged this assumption, recognising that effective teaching requires the ability to transformone’s content knowledge into something that is accessible and understandable to learners at their levels of development.11,12 Shulman called this unique formof teacher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r PCK’. Teachers develop PCK, or teaching scripts, and deepen this wisdomin practice by entering into dialogue with their students and discovering ways to help them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content.13 

이러한 관점 하에, 교직원 개발도 변화되었다.
Armed with these perspectives, the development of faculty members as teachers was transformed.

교사들은 직접적인 교육 외에도 다양한 학문적 역할을 수행하며, 추가적인 형태의 지식과 기술을 요구한다. 여기에는 멘토와 조언자, 커리큘럼 개발자, 학습의 평가자, 교육 지도자 및 학자로서의 역할이 포함된다. 또한 교육자는 혁신해야 하며, 새로운 기술을 교육에 적응시키고, 전문가 간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며,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이슈(예: 건강상의 차이)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교사는 조직 환경 내에서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공동 구축하면서 개인적, 직업적 정체성의 변화를 겪는다. [교육자 역할을 정체성에 통합시키는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며, 더 많은 교수와 교수진 개발에 참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그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18–21 
Teachers perform a wide variety of other academic roles besides direct instruction, requiring additional forms of knowledge and skills. These include roles as mentors and advisors, curriculum developers, assessors of learning, educational leaders and scholars.17 Educators also innovate, adapt new technologies to instruction, participate in interprofessional initiatives and attend to broader social issues (such as health disparities). Teachers undergo changes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as they co-construct their identities as educators within their organisational environments. Integrating educator roles into their identities occurs over time, influencing their choices about whether to engage in more teaching and in faculty development.18–21 

 

 

교수진 개발을 통한 교육인적 변화
Transforming educators through development of faculty members


많은 교수진에게 있어 교육에 대한 실무 지식과 교육자의 전문적인 기술과 정체성 형성은 관찰과 연습을 통해 발전한다. 그러나, 모든 교직원은 교수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이러한 지식, 기술, 정체성 형성을 확장할 수 있다, 16 
For many faculty members, the prac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the professional skills and identity formation of educators develop through observation and practice. However, all faculty members can expand this knowledge, skill and identity formation by participating in faculty development,16 

기초과학이 의학의 학습을 강화할 수 있는 것처럼, 교육학pedagogical contruct은 [가르침과 교육자의 다른 여러 역할]에 대한 배움을 증진시킬 수 있다. 
Just as basic science constructs can strengthen learning of medicine,22 so pedagogical constructs can advance the learning of teaching and other educator roles.13,23,24 

고등 교육에서 교수 개발에 대한 문헌을 검토해보면, 이러한 프로그램이 교수의 가르침과 학생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문서화한다.25-27 보건직업 문헌의 검토는 교육 리더십, 장학금 및 네트워킹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 종단적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강점을 추가로 강조한다.28,29 
Literature reviews of faculty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document positive impacts of these programmes on faculty members’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25–27 Reviews in the health professions literature additionally highlight the strengths of longitudinal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in advancing educational leadership, scholarship and networking.28,29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들은 또한 참가자와 근무지 사이에서 실천공동체를 형성한다.32 일부에서는 '교직 공동체teaching commons의 설립'을 요구했고, 다른 일부는 일시적transitory 실천공동체(교실 및 임상 환경에서 교수 개발 워크숍, 종적 프로그램, 주제 지향적 이익 그룹)와 근무지workplace 실천공동체(교실과 임상현장)에 대해 썼다.34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also build communities of practice among participants and in the workplace.32 Some have call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teaching commons’33 and others have written about transitory communities of practice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longitudinal programmes, topic-oriented interest groups) and workplace communities of practice (in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34 

 


고등교육 교사 인증
Certifying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많은 국가들과 기관들이 [교사들과 교육자들을 위한 인증 과정]을 실행했다. 이를 통해 모든 교직원이 확립된 전문직 기준을 충족하고 고등교육에서 가르치는 데 필요한 자격 증명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네덜란드에서 모든 대학교 교직원은 UTQ(University Teaching Qualification)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 영국에서 Professional Standards Framework는 양질의 교육을 위한 지침과 벤치마크를 제공한다.43
  • 스웨덴41과 독일40은 또한 의무적인 고등교육 교사 교육을 요구한다.
  • 미국에서는 고등교육에서 교사들의 역량을 정의하기 위한 노력이 44,45건 있었지만, 교사 자격증은 교직원 개발의 자발적인 부분을 계속하고 있다.  

many countries and institutions have implemented certification processes for teachers and educators. This ensures, as a matter of policy, that all faculty members meet established professional standards as teachers36–40 and have the necessary credentials to teach in higher education.41,42

  • In the Netherlands, for example, all university faculty members must acquire a University Teaching Qualification (UTQ) certificate.
  • In the UK, the Professional Standards Framework provides guidelines and benchmarks for quality teaching.43
  • Sweden41 and Germany40 also require compulsory higher education teacher training.
  • In the USA, there have been some efforts to define competencies for teachers in higher education44,45 but teacher certification continues to be a voluntary part of faculty development. 


여러 기관과 전문 그룹은 전문 개발 활동을 설계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의료 교육자를 위한 역량 표준]을 개발하였다. [필수 교사 자격증]부터 [자발적인 전문성 개발]까지 접근법이 다양하다.48–50
Several organisations and professional groups have developed competency standards for medical educators,38,45–47 which provide a framework for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pproaches range from mandatory teacher certification to voluntary professional development.48–50

역량 기반 인식 프로그램의 또 다른 예는 임상의사 교육자를 위한 캐나다 왕립 의사 및 외과의사 학위 프로그램이며, 이는 역량 집중 영역에 대한 인증이다.53 

Another example of a competency- based recognition programme is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Diploma programme for clinician educators, which is certification for a focused area of competence.53 



교육의 우수성을 보상합니다.
REWARD EXCELLENCE IN TEACHING


에든버러 선언의 두 번째 부분은 [생물 의학 연구와 임상 실습의 우수성만큼이나 전적으로 가르치는 데 있어 탁월함을 보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The second part of the Edinburgh Declaration involves rewarding excellence in teaching as fully as excellence in biomedical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is policy goal, structural changes are required,

 

학술활동의 재정의

Redefining scholarship

고등교육의 학술활동scholarship은 전통적으로 발견 위주의 연구와만 관련이 있다. 그러나 1990년, Boyer는 학문적 견해의 확대를 위해 연구를 포기하고 논쟁을 재탄생시킨 강력한 사례를 만들었다.57 그는 학술활동이 [발견, 통합, 적용, 보급/교육]의 네 가지 기본적 형태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각각은 엄격함rigour으로 수행될 수 있고, 동료 검토를 위해 가시화 될 수 있으며, 학술활동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다. Boyer의 연구를 바탕으로 Glassick은 [적절한 준비, 명확한 목표, 적절한 방법, 중요한 결과,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및 성찰적 비평]의 6가지 교육 학술활동 평가를 위한 표준을 제안했다.58,59 이것은 개선과 승진을 위한 교육자들의 기여를 평가하기 위한 투명한 기준을 제공했다. 
Scholarship in higher education has traditionally been associated exclusively with discovery-oriented research. However, in 1990 Boyer made a strong case for giving up the research versus teaching debate and reframing the argument in favour of an expanded view of scholarship.57 He argued that scholarship comes in four fundamental forms: discovery, integration, application and dissemination/teaching. Each of these can be performed with rigour, be made visible for peer review and be considered a formof scholarship. Building on Boyer’s work, Glassick proposed six standards for evaluating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dequate preparation, clear goals, appropriate methods, significant results, effective presentation and reflective critique.58,59 This offered a transparent set of criteria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educators for improvement and promotion. 

 

 

교육자 역할 구체화

Specifying educator roles

2006년 미국 의과대학연합회(AAMC)는 교육장학회의(교육장학회의)를 소집하여 [교육, 커리큘럼 개발, 조언과 멘토링, 교육 리더십과 행정, 학습자 평가] 등 5대 핵심 교육자 역할을 확정했다. 이 보고서는 또한 다음을 구분했다. 

  • '교육적 수월성' 퀄리티의 측정을 수반함.
  • '학술적 교육' 다른 사람의 업무(최상의 증거와 모범 사례)를 기반으로 함
  • '교수학습의 학술'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기반으로 할 수 있도록 보급을 추가로 필요로 함

In 2006,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convened a consensus conference on educational scholarship that identified five core educator roles: teaching, curriculum development, advising and mentoring, education leadership and administration, and learner assessment.17 The report also distinguished between

  • ‘excellence in teaching’ that involves measures of quality,
  • ‘scholarly teaching’ that builds on the work of others (best evidence and best practice), and
  •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additionally requires dissemination so that others can build on it. 

 

 

교육 학술활동 문서화 및 평가
Documenting and assessing educational scholarship

 

교직원의 교육장학금의 장점을 판단하기 위해, 교직원은 동료의 검토를 위해 그러한 기여가 가시화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했다. 교육자 포트폴리오(EP)는 교사들이 관련 교육자 역할에 대한 성과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공백을 메웠다. 또한 EP는 경력 개발, 멘토링 및 교수진 개발을 위한 도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EP는 K-12 교육 및 고등 교육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63–66 영국 품질보증국에 의해 사용됩니다.63 의학 내에서, 교수진은 학술적 홍보와 의학 교육자 아카데미(AME)에 대한 응용을 위해 EP를 사용합니다. 
To judge the merits of a faculty member’s educational scholarship, faculty members needed a mechanismto make those contributions visible for peer review. The educator portfolio (EP) filled this void by allowing teachers to present their accomplishments in relevant educator roles. EPs can also serve as a tool for career development, mentoring and faculty development. The EP is in widespread practice in K-12 education62 and higher education.63–66 It is used in the UK by the Quality Assurance Agency.63 Within medicine, faculty members use EPs for academic promotions and for applications to academies of medical educators (AMEs). 


그러나 EP는 variability과 길이, 평가에 대한 부정확한 지침 및 제도적 학술 진흥 절차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기대 편익benefits을 산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69–71 또한, 여러가지 교육자 역할(예: 직접 교육, 멘토링, 커리큘럼 개발, 학습자 평가 및 리더십) 사이의 구별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며, 이러한 역할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는 종종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EP들은 전통적으로 품질을 평가하기가 어려웠으며, 종종 위원회는 학술 홍보 과정 중에 그것들을 간과했다.

However, EPs often fail to produce anticipated benefits because of their variability and length, imprecise guidelines for evaluation and lack of inclusion in institutional academic promotion procedures.69–71 Furthermore, distinctions are not always made among the multiple educator roles (e.g. direct teaching, mentoring, curriculumdevelopment, learner assessment and leadership) and information is often not provided on the impact of these roles on learners. Because of these problems, EPs have traditionally been difficult to evaluate for quality and often committees overlooked themduring the academic promotions process. 

 


교육자를 위한 서포트

Supporting educators

 

보건 전문 기관들은 교육적 학술활동을 강화하고 교직원을 교육자로 인식하고 보상하기 위해 두 가지 구조 전략을 채택했다: 건강 전문 교육 장학금(HPESU) 및 의료 교육 기관 아카데미. 67

Health professions institutions have employed two structural strategies to strengthen educational scholarship and to recognise and reward their faculty members as educator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hip units (HPESU)72–75 and academies of medical educators.67 

 

HPESU는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다양하지만, [보건직업 교육과 관련된 학술활동에 종사하는, 기관 내에서 인식 가능하고 일관성 있는 조직적 실체]로 정의된다. 이들 조직은 교직원에 대하여 [멘토링, 교수개발, 협업연구, 상담]을 통해 교육적 학술활동을 지원한다. HPESU는 [교육적 사명]을 옹호하며 프로그램 평가, 교육테크놀로지, 교수개발과 같은 [행정 기능]을 종종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위는 종종 [교육과정 개발과 수행평가를 지도할 수 있는 최고의 증거]를 학술 지도자들에게 제공한다.76 이 조직은 학자로서의 교육자를 인정하고 지원하는 강력한 힘이다.
Although HPESUs vary considerably around the world, they are defined as being a recognisable, coherent, organisational entity within the institution that is engaged in scholarship related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73 These units offer faculty members support for their educational scholarship through mentoring, faculty development, collaborative research and consultation. HPESUs advocate for the educational mission and often have administrative functions such as programme evaluation, educational technology and faculty development. In addition, these units often provide academic leaders with best evidence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76 They are a powerful force for recognising and supporting educators as scholars.   

교육 및 보상 교육 개선을 위한 두 번째 구조적 또는 사회문화적 접근방식은 [의료 교육자 아카데미]에 의해 제공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교육 수월성을 인정하고 보상하기 위한 조직 구조입니다. 

  • 교육자 옹호,
  • 교수 개발 촉진,
  • 교육 혁신 및 장학금 장려,
  • 교육자의 경력 개발 및 학업 증진

The second structural or socio-cultural approach to improving teaching and rewarding educators is provided by academies of medical educators. They are organisational structures for recognising and rewarding excellence in teaching:

  • advocating for educators,
  • fostering faculty development,
  • stimulating educational innovation and scholarship, and
  • promoting career development and academic advancement of educators.67,68,77

이러한 유형의 아카데미는 학교, 대학, 국가 차원에서 조직된다. 아카데미에 들어가는 것은 지원자에 대한 엄격한 동료 평가에서부터, 단순히 아카데미가 제공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아카데미는 동료 교육자들 사이에 중요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한다. 많은 아카데미는 직업교육에서 창의성과 장학금을 육성하기 위해 혁신 기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육 관련 학술 작품을 발표하는 행사로 교육의 날education day을 스폰서한다. 교육 실천의 공동체를 대표하는 아카데미들은 [교육자들을 더 드러나게 하고visibility과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academic health science school의 문화를 변화시키려 한다.

Academies are organised at the level of schools, universities and nations.78 Entry into academies varies from rigorous peer review of applicants to simpl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offered by the academy. Academies create an important sense of community among fellow educators. Many academies offer innovation funding to foster creativity and scholarship in professions education and they typically sponsor education days for presentation of education-related scholarly works. Representing communities of teaching practice, academies seek to transform the culture of academic health science schools by providing visibility and support to educators. 

 

개혁 없는 변화

HANGE WITHOUT REFORM

그러나, 학문적 가치는 학문적 보상, 보수, 지위 및 승진에서 가르치는 것에 대한 특권을 계속 부여하고 있으며, 그 결과 지속적인 개혁 요구를 낳았다.79–81 연구자로서의 우수성과 교사로서의 우수성 사이의 연관성은 없다는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82
Yet, academic values continue to privilege research over teaching in academic rewards, remuneration, status and promotions,2 resulting in continuing calls for reform.79–81 This happens despite research showing no association between excellence as a researcher and excellence as a teacher.82

학문적 진흥에 있어서 [제도적 관성]의 이유는 (대학 문화와 정책에 강하게 내재된) 교육보다 학술연구에 우선 순위를 두는 것에서 비롯되며, 그 결과 대학의 많은 사람들이 [연구가 다른 모든 임무보다 더 많이 보상받아야 한다]고 믿게 된다. 결국, 연구는 그 기관에 지위와 자원을 가져다 주었지만,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 장학금은 거의 그렇지 않게 되었다. [연구-교육 사이의 reward 균형을 변화시키기 위한 간헐적 이니셔티브]는 진정한 개혁의 결과를 거의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교사-학자들은 대학의 교육 사명을 충족시키기 위해 요구되고 정책 입안자들은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 및 장학금 보상의 의무들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행동은 대학들이 가르치는 것에 대한 수사적인 찬사를 넘어 다양한 방법으로 교사들에게 실제로 보상을 주는 문화와 정책으로 옮겨갈 것이다.

The reason for institutional inertia in academic promotions derives from the century-old primacy of research and publishing scholarly work over teaching that is strongly embedded in university culture and policies, resulting in many in the university believing that research should be rewarded over all other missions.2 After all, research brings status and resources to the institution, whereas quality educational programmes and educational scholarship rarely do. Episodic initiatives to change the research–teaching balance of rewards are perceived as rarely resulting in true reform. Yet, teacher-scholars are required to meet the educational mission of universities and policymakers need to realign imperatives for rewarding teaching and educational scholarship as well as research. Such action would move universities beyond rhetorical praise for teaching toward a culture and set of policies that actually reward teachers in a variety of ways.

 

미래 방향

FUTURE DIRECTIONS

교육자를 모집, 개발, 보상 및 유지하려면 개혁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에는 다음이 필요합니다. 

  • 학업 정책 및 성과 기대치에 변화를 조성
  • 교육자에게 명확한 경력 궤적과 정체성을 제공
  •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 확대
  • HPESU 및 AoME 지원 
  • 모든 교육자에게 높은 기준을 보장하는 메커니즘 생성

To recruit, develop, reward and retain educators, a holistic approach to reform is needed going forward. This will require  

  • creating changes in academic policies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 providing a clear career trajectory and identity for educators, 
  • expand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 support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hip units and academies of medical educators, and 
  • creating mechanisms to ensure high standards for all educators.

예를 들어, 임상 교사는 종종 (임상 교육을 함으로써 생기는 생산성 저하를 적절히 설명하지 못하는) [높은 임상 생산성 기준]에 압도당한다.
For example, clinical teachers are often overwhelmed by high clinical productivity standards that do not adequately account for decreased productivity when teaching learners in clinical settings.

[생산성 기대치]는 교육 및 학습을 지원하도록 조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교사의 만족도, 정체성, 유지 및 전문적 성취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productivity expectations need to be adjusted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thereby improving teachers’ satisfaction, identity, retention and professional fulfillment. 

[학문적 보상 시스템]을 개혁하기 위해, 구현 과학implementation science에서 배운 교훈은 구조적 변혁을 위한 지침으로서 도움이 될 수 있다: 핵심 이해 당사자들과 참여시키고, 효과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 종합물을 광범위하게 보급한다.83 
To reform academic reward systems, lessons learned from implementation science may be instructive as a guide for structural transformation: engage key stakeholders, conduct effectiveness studies and broadly disseminate research syntheses.83 

'의료교육에서 새로운 프로그램과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보급하려면 적극적인 교육 리더십, 개인적 접촉, 헌신, 노력, 엄격한 측정 및 구현과학 원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역사, 문화, 제도적 정책 및 관행을 극복하기 위해 강력하고 끈질긴 옹호가 요구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Successful dissemination of new programs and ideas in medical education takes active educational leadership, personal contacts, dedication, hard work, rigorous measurement, and attention to implementation science principles.’84 We concur that strong and persistent advocacy will be required to overcome historic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교육자를 학업에 참여시키기 위해, 훈련 중에 정체성이 형성되는 학생과 전공의에게 [명확한 직업 경로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일부 학교는 학생 및 전공의를 위한 [의학교육 또는 보건전문직교육에 대한 scholarly concentration]을 통해 이러한 진로선택을 투명하게 한다.85,86 교직원 수준에서도 유사한 과정이 필요하다. 많은 학교들은 교직원들을 위한 [교수개발 인증 프로그램]과 보건직 교육학자들을 위한 [종단적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28,87 
To recruit educators into academic careers, a clear career pathway needs to be shown to students and residents whose identities are being formed during training. Some schools make this career option transparent through scholarly concentration on medical 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or students and residents.85,86 At the faculty member level a similar process is required. Many schools offer development certification programmes for faculty members, as well as longitudinal teaching programmes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28,87 

교육지도자 역할을 맡기를 원하는 교직원을 위해 [보건직업교육 석사학위, 보건직업교육 박사학위] 등이 교수-학습의 학술활동 증진을 원하는 교직원을 위해 존재한다.49 
For those faculty members who wish to take on educational leadership roles, masters degre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re widely available50 and doctoral programm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xist for those who wish to advance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49 

학술적 교육자scholary educator를 배출하는 핵심 요소인 [교수개발]은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육학적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면서 프로그램은 커리큘럼 개발, 평가, 멘토링, 리더십, 장학금 등 다른 교육자 역할도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게다가, 교직원들은 자신들이 과거에 학생이나 전공의일 때 한번도 배운 적 없는 성찰적 관행뿐만 아니라 퀄리티와 안전, 탐구와 학술활동 등도 가르쳐야 한다. 따라서, 교수개발은 이러한 새로운 기술에 대해 교수진에게 교육하기 위해 보건 시스템뿐만 아니라 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보건 전문가 교육과 함께 협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교육기술]뿐만 아니라 [기본 콘텐츠]로 돌아가, PCK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 둘을 자꾸 결합하는 완전한 동그라미full circle가 되어야 한다.

Faculty development, a key component of producing scholarly educators, will need to become comprehensive. While continuing to offer pedagogical knowledge and skills, programmes will also need to address other educator roles, including curriculum development, assessment, mentoring, leadership and scholarship. In addition, faculty members are now expected to teach quality and safety, inquiry and scholarship, as well as reflective practice, none of which were taught to them when they were students and residents. Faculty development is therefore teaming up with health systems as well as undergraduate, graduate and continu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educate faculty members on these new skills. Thus,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have come full circle in returning to teaching basic content as well as educator skills and frequently combining the two to improv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이와 함께 교직원 육성프로그램은 스스로 학습하고 스스로 조직화하는 [(임상현장workplace에서의) 교육 실천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다음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비공식 학습 공동체이다.3

  • 공유된 책임(예: 코스 감독, 임상실습 감독 및 레지던시 프로그램 감독),
  • 교육 장소(예: 강의실, 임상 및 전문가 간 팀 실습)
  • 관심 교육 분야(예: 시뮬레이션, 기술 및 팀 기반 학습)2

In additi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will need to find new way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self-teaching and self-organising communities of teaching practice in the workplace. These are informal learning communities that can form around

  • shared responsibilities (e.g. course directors, clerkship directors and residency programme directors),
  • locations of instruction (e.g. classroom, clinical and interprofessional team practice) and
  • pedagogical areas of interest (e.g. simulations, technology and team-based learning).32


모든 교육자들이 가르치는 데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받도록 하는 것이 정책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실천 공동체로서, 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은 명확하지 않다.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이미 [고등교육 교사 자격증]이 일반적이며, 다른 학교에서는 전임자 임용 전이나 그 이후 곧 교수진 개발을 요구하는 곳도 있다. 만약 교육자들이 교사 인증의 일환으로 장학금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 교육 장학금을 지원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필요할 것이다.
Ensuring that all educators receive the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for teaching should be a policy priority. As a community of practice, how to achieve that goal is less clear. Teacher certification in higher education is already the norm in some European countries and some schools elsewhere require faculty development prior to full-time academic appointment or soon thereafter. If educators are expected to engage in scholarship as part of their teacher certification, then new mechanisms of support for educational scholarship will be needed.

 

16 Irby DM. Excellence in clinical teaching: knowledg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required. Med Educ 2014;48(8):776–84.

24 Gusic ME, Baldwin CD, Chandran L, Rose S, Simpson D, Strobel HW, Timm C, Fincher RM. Evaluating educators using a novel toolbox: applying rigorous criteria flexibly across institutions. Acad Med 2014;89 (7):1006–11.

45 Srinivasan M, Li S, Meyers F, Pratt D, Collins J, Braddock C, Skeff KM, West DC, Henderson M, Hales RE, Hilty DM. “Teaching as a competency”: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ors. Acad Med 2011;86:1211–20.

31 ASPIRE. ASPIRE to excellence in faculty development AMEE Websit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2016 http://aspire-to-excellence.org/ 

47 Sherbino J, Frank J, Snell L. Defining the key roles and competencies of the clinician-educator of the 21st century: a national mixed-methods study. Acad Med 2014;89 (5):783–9.


 

 

 


Med Educ. 2018 Jan;52(1):58-67.

 doi: 10.1111/medu.13379. Epub 2017 Aug 3.

Developing and rewarding teachers as educators and scholars: remarkable progress and daunting challenges

David M Irby 1Patricia S O'Sullivan 1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Department of Medicine, UCSF,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 PMID: 28771776

 

Abstract

Context: This article describes the scholarly work that has addressed the fifth recommendation of the 1988 World Conference on Medical Education: 'Train teachers as educators, not content experts alone, and reward excellence in this field as fully as excellence in biomedical research or clinical practice'.

Progress: Over the past 30 years, scholars have defined the preparation needed for teaching and other educator roles, and created faculty development delivery systems to train teachers as educators. To reward the excellence of educators, scholars have expanded definitions of scholarship, defined educator roles and criteria for judging excellence, and developed educator portfolios to make achievements visible for peer review. Despite these efforts, the scholarship of discovery continues to be more highly prized and rewarded than the scholarship of teaching. These values are deeply embedded in university culture and policies.

Challenges: To remedy the structural inequalities between researchers and educators, a holistic approach to rewarding the broad range of educational roles and educational scholarship is needed. This requires strong advocacy to create changes in academic rewards and support policies, provide a clear career trajectory for educators using learning analytics, expand programmes for faculty development, suppor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hip units and academies of medical educators, and create mechanisms to ensure high standards for all educators.

의학교육으로 도약하기: 의학교육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Med Educ, 2017)

Making the leap to medical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educators’ experiences
Julie Browne,1 Katie Webb2 & Alison Bullock2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자들은 직업과 역할 변화의 지속적인 과정의 일부로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발전시킨다. 많은 의학 교육자들이 [정체성 사이의] 또는 심지어 [학문적 분야 사이의] [경계적 공간liminal space]을 차지하고 있다고 주장되어 왔다. 결과적으로, 일부 개인들은 안정적인 의료 교육자 정체성을 개발하고, 의료 교육 내에서 경쟁적인 직업 요구와 증가하는 변화의 속도에 직면하여 그것을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여러 의학교육자가 자신을 주로 임상 의사 또는 연구자로 보는 상황에서 특히 어려운 과제이다. 이러한 의사나 연구자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은 교육자 역할보다 거의 필연적으로 우선시 된다. 왜냐하면 그들은 더 나은 지원을 받고 더 많은 사회적 자본을 가지고 있고, 개인들이 그것들을 획득하는 데 더 감정적으로 투자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Hu et al.9와 Sabel et al.5 모두 열등하고 불명확한 정체성으로 인식되는 것을 얻기 위해 필요한 변화를 협상하는 데 수반되는 스트레스가 프로그램이나 조직의 지원과는 관계없이 종종 후배 교육자들이 더 많이 관여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제안한다.

Medical educators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part of a continual process of career and role change.1 Many medical educators, it has been argued, occupy a liminal space between identities2 and even academic disciplines.3 Consequently, some individuals struggle to develop a stable medical educator identity and to maintain it in the face of competing career demands and the increasing pace of change within medical education.4,5 This is a particular challenge in circumstances in which the individual views him- or herself primarily as a clinician or researcher.6–8 These primary professional identities almost inevitably take precedence over the educator role because they are better supported and carry more social capital, and because individuals are likely to have invested more emotionally in acquiring them.5 Both Hu et al.9 and Sabel et al.5 suggest that the stress involved in negotiating the changes necessary to acquire what is perceived as an inferior and nebulous identity often deters junior educators from becoming more involved, regardless of programme or organisational support. 

 

이러한 긴장에도 불구하고, 일부 의학 교육자들은 역할과 정체성에 모두 편안한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이것은 그들이 ['의학 교육 일을 하는 사람']에서 의학교육자를 [스스로 인정하는self-acknowledged 정체성]으로 전환한 지점이다. 
Despite these tensions, some medical educators are able to arrive at a point at which they are comfortable with both role and identity; this is the point at which they have transitioned from ‘someone who does medical education work’ into the self-acknowledged identity of the medical educator. 


[심리사회적 전환 이론]을 사용하여, 우리는 의료 교육자가 되는 과정을 [비교적 안정된 상태(일차적 전문 정체성)]에서 벗어나 [다른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의료 교육자 정체성)]로 전환하는 일련의 스트레스를 받는 변화를 통해 개념화한다.10 
Using psychosocial transition theory, we conceptualise the process of becoming a medical educator as one of moving out of one relatively stable state (primary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a series of sometimes stressful changes that lead to a transition into another relatively stable state (medical educator identity).10 

변화change와 전환transition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 11

  • 변화는 상황적이다: 그것은 새로운 교수나 지도자의 역할을 맡거나, 새로운 일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학생 또는 관리자 그룹과 마주치거나, 다른 평가 시스템 내에서 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 그러나, 전환은 심리적인 것이다: 그것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변화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내면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브리지스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전환이 일어나지 않는 한, 변화는 "걸리지" 않기 때문에 효과가 없을 것입니다.'11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hange and transition.11

  • Change is situational: it may involve taking on a new teaching or leadership role, starting a new job, encountering a new group of students or managers, or working within a different appraisal system.
  • Transition, however, is psychological: it concerns the inner alterations that are necessary to enable an individual to incorporate changes into his or her life. Bridges remarks: ‘Unless transition happens, the change won’t work because it doesn’t “take”.’11 


[일련의 변화를 성공적으로 협상]해내게 되면, 스스로 확인한self-identified 의학교육자 역할로의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이 사벨과 동료들이 보고한 [의학교육으로의 '도약']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5 교육자 역할로 자기정체성self-identifying하는 것은 [의학교육 커뮤니티 내에서 자신이 정당한legitimate 참가자이며] [그 분야에서 전문적 전문지식을 개발하고 유지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에 전념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느끼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환이다.  
An individual’s success in negotiating a series of changes is what leads to transition into a self- identified medical educator role: this, we suggest, is what constitutes the ‘leap’ to medical education reported by Sabel and colleagues.5 Self-identifying with the educator role is a required transition if individuals are to feel that they are legitimate participants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ready to commit themselves to the difficult task of developing and maintaining specialist expertise in the field.12 

특정 변화나 변화에 적응하는 개인의 능력은 [내적 요인]이나 [외적 요인]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이러한 요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약점]과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13
  • 내재적 성향(경험에 대한 개방성, 양심성 등)이 한몫할 수 있지만 [과거 경험과 개인적 가치, 야망]도 영향을 미친다.
  • 더욱이 적응은 [변화의 시기, 성격 및 상황, 부과 또는 선택 여부, 변경이 발생하는 개별 상황, 그리고 변화가 발생하는 조건을 이해하고 수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마지막으로,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은 [이용 가능한 지원과 개인이 채택할 수 있는 전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4,15 

An individual’s ability to adapt to a particular change or set of changes is affected by multiple factors,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 The individual’s response to these factors will vary depending on his or her perceptions of deficits versus resources available to meet them.13
  • Intrinsic tendencies (such as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may play a part, but previous experience, personal values and ambitions also have effect.
  • Moreover, adaptation may vary with the timing, nature and circumstances of the change, whether it is imposed or chosen, individual circumstances when the change occurs, and whether the terms on which the change takes place are understood and accepted.
  • Finally, the ability to adjust to change is affected by the support available and the strategies the individual is able to adopt.14,15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개인 임상 교사들이 그들의 [상충하는 여러 정체성을 저글링할 때 느끼는 인식]을 보고한다. 그러나, 제안된 해결책(예: 직업 기회 개발, 교수 시간 및 전문 개발 계획)은 종종 프로그램 또는 조직 수준인데, 이는 스트레스의 주 요인을 느끼는 수준이 여기기 때문이다.
A number of recent studies report the perceptions of individual clinical teachers as they juggle their competing identities; however, proffered solutions (e.g. in terms of developing career opportunities, time for 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chemes) are often at a programmatic or organisational level because it is at this level that the chief stressors appear to be felt.16,17 

그러나 Monrouxe가 주장하듯이, '정체성은 고정된 인지적 스키마가 아니라 우리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 차원에서 어떤 요소가 의학의 '수행'이나 성과를 촉진하거나 저해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12 우리는 의료 교육의 변화와 도전에 직면했을 때의 [개인의 끈기]에 대한 척도의 요소들을 탐구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However, as Monrouxe argues, ‘...identities are not fixed cognitive schemas; rather, identities are what we do’, and hen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factors, at an individual level, facilitate or impede the ‘doing’ or performance of medical education.12 We were concern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may tip the scales in favour of an individual’s persistence when faced with change and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방법

METHODS

 

그 후 우리는 세 개의 의료 교육 포커스 그룹 동안 수집한 데이터를 재점검했는데, 이 데이터는 여러 가지 경력 변화 동안 의료 교육자 정체성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하고 유지한 경험이 있는 개인과 함께 수행되었다.
We subsequently re-examined the data we had collected during three medical education focus groups,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 individuals who had experience of transitioning successfully into and maintaining a medical educator identity during a number of career changes. 

우리는 알고 싶었다: 
We wanted to know: 

 

  • (i) 이러한 개인들이 성공적인 self-identified 의료 교육자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주거나 방해한 요인은 무엇인가.  
  • (ii) 의료 교육자 역할에 적응하기 어려워 의료 교육자 정체성을 거부할 위험이 있는 전문가에 대한 개인화된 지원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지 여부. 
  • (i) what factors at an individual level had helped or hindered these individuals in making the transition into a successful, self- identified medical educator, and  
  • (ii) whether we could draw any conclusions from this that might help develop individualised support for professionals who are struggling to adjust to the medical educator role and are thus at risk of rejecting a medical educator identity.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심리사회적 전환 이론은 스트레스를 받는 변화를 협상하는 데 있어서 개인의 지지에 대한 필요를 탐구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 의료 교육자로서 식별을 향한 진보가 상당한 양의 스트레스 변화를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20 우리는 슐로스버그의 '포 S'(4S) 모델 14가 [개인이 성공적으로 변화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원래 설계되었기 때문에 포커스 그룹 데이터에 적합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만들 것이라고 이론화했다. 이 모델은 [교육환경의 변화와 전환을 어려워하는 성인을 위한 지원서비스 개발의 근거]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특히 유망했다.15

Psychosocial transition theory is a useful tool for exploring an individual’s need for support in negotiating stressful changes. As the progress towards identifying as a medical educator can involve a good deal of stressful change,20 we theorised that Schlossberg’s ‘Four S’ (4S) model14 would make an appropriate analysis framework for the focus group data as it was originally designed to support interventions to help individuals adapt successfully to change. It has been successfully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support services for adults who are finding change and transition in education settings difficult and was therefore particularly promising in this context.15 

 

우리는 프레임워크 방법을 통해 데이터가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이를 연역적으로 사용했다.21. JB와 KW는 매트릭스 프레임워크 형식을 사용하여 4S 주요 테마에 대해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코드화하고 차트화했습니다. 그런 다음 저자들은 이 네 가지 프레임워크 영역 각각 내에서 하위 테마를 유도적으로 식별했다. JB와 AB는 분석이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차트 작성에 더욱 힘썼다. 마지막으로, 세 명의 연구자 모두 실무와 결론에 대한 함의에 대한 분석에 대한 검토에 참여했다. 

We used it deductively through a framework method21 to examine if the data were a good fit. JB and KW independently coded and charted the data against the 4S main themes using a matrix framework format. The authors then inductively identified sub-themes within each of these four framework areas. JB and AB worked further on charting to ensure that analysis had been systematic and coherent. Finally, all three researchers engaged in a review of the analysis for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conclusions. 


결과

RESULTS

Schlossberg의 4S 프레임워크와 정렬된 우리의 데이터.15 그림 1의 각 사분면에 있는 17개의 글머리 부분 헤더는 우리의 자체 분석을 반영하며 Anderson 등의 계정 내의 더 큰 하위 테마 집합에서 도출된다.22
Our data aligned with Schlossberg’s 4S framework.15 The 17 bulleted subheadings in each quadrant in Fig. 1 reflect our own analysis, and are drawn from the larger set of sub-themes within Anderson et al.’s account.22

 



주제1. 자신

Theme 1. Self

슐로스버그의 틀에서, 15 self는 개인적인 특징과 심리적인 자원을 가리킨다.

  • 변화/새로운 역할에 대해 개인이 얼마나 편안함을 느끼는지,
  • 자신에게 기대되는 것을 얼마나 자신있게 이해하고 있는지,
  • 이전의 경험과 기대가 어떻게 그들을 이 곳에 이르게 했는지,
  • 현재 있는 곳이 자신이 있고자 하는 곳인지
  • 자신의 개인적 가치가 역할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In Schlossberg’s framework,15 self refers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to

  • how comfortable individuals feel with the change/new role,
  • how confident they are in their understanding of what is expected,
  • how prior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have brought them to this point,
  • whether it is where they want to be, and
  • how their personal values align with the role.

 

참가자들은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시니어 의학교육자]였으며, 다양한 경로(예: 고위직 임명, 고급 자격, 펠로우쉽, 상, 보조금 및 상)를 통해 이를 인정받았지만, 그들의 말에 따르면, 그들은 [의사, 학술, 과학자, 인문학자로서의 기존에 가지던 일차적인 정체성]에서 [의학교육자]를 향하여 지속적으로 움직여왔고 아직도 움직여가고 있었다:

Participants were senior medical educators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and had achieved recognition for this through a number of different channels (e.g. senior appointments, higher-level qualifications, fellowships, prizes, grants and awards), but their comments revealed a continuing sense that they were moving, or had moved, towards becoming medical educators from a primary prior identity as a doctor, academic, scientist or, in two cases, humanities scholar: 


다수의 참가자는 현장의 복잡성에 대해 언급했으며, 그 중 한 참가자는 의료 교육 인력의 다양성을 통합요소로 언급했다.
A number of participants referred to the complexity of the field, for one of whom the medical education workforce’s diversity appeared to be a unifying factor:

'우리'와 '우리 중 일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화자가 '우리' (즉, 의학 교육자)가 누구인지 분명히 알고 있음을 나타낸다. 의학교육의 다양성을 성공적으로 탐색하는 것은 의료 교육자 정체성 형성의 잠재적인 요소로 보인다.
The repeated use of ‘we’ and ‘some of us’ indicates that the speaker has a clear idea of who ‘we’ (i.e. medical educators) are. Successfully navigating medical education’s diversity appears here to be a potential factor in medical educator identity formation.

의대생들은 고등교육 내에서 신뢰를 갖기 위해서는 모든 3개 분야(과학연구, 교육, 의료실무) 모두 전문가가 돼야 한다는 불안감을 내포한 용어인 '임포스터 증후군'의 먹잇감이 될 위험이 있다. 자신의 전문지식을 편안하게 느끼는 것은 참가자들의 성공에 매우 중요했습니다.
Medical educators risk falling prey to ‘imposter syndrome’,23,24 a term that implies an uneasy sense that they need to be expert in all three fields (of scientific research,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in order to have credibility within higher education. Feeling comfortable in their own expertise was clearly crucial to the success of participants:

한 참가자는 [모든 것을 알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실제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One participant appeared to suggest accepting that they could not be expected to know everything might actually be a driver for forming a new identity:

 

네, 이것은 단지 지식의 문제가 아닙니다. 사회화, 정체성, 성격, 그리고 모든 종류의 것들입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단순한 정보의 저장소가 아닙니다. 당신은 거의 다른 사람입니다. (FG3, 참가자 P)
Yes, it’s not just about knowledge. It’s about socialisation and identity, personability and all that sort of thing. So you’re not just a repository of information. You are a different person almost. (FG3, participant P)


이 교육자에게는 [정보의 소유]가 필요하지만, 교육자 정체성의 구별되는 특징은 다른 사람의 전문적 발전의 촉진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시사하는 바는 의학교육자은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가 아니라 working relationship에서 [전문직업적 윤리와 실천적 방식]이 드러나는 방식에 의해서 정의된다는 것이다. 
For this educator, the possession of information is necessary; however,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educator identity is how one approaches the facilitation of ot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implication here is that medical educators are defined less by what they know than by their professional ethics and the practical ways in which these are expressed in their working relationships. 

의학 교육은 value-led한 전문직의 value-led한 활동이다.25 많은 참가자들은 처음에 의사나 과학자로서의 경력을 쌓게 된 것이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value라고 느꼈으며, 의료 교육에서의 그들의 노력이 이러한 가치를 뒷받침한다는 사실이 그들의 참여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Medical education is a value-led activity within a value-led profession.25 A number of participants felt it was their values that had first led them into careers as doctors and scientists, and the fact that their work in medical education supported these values was important in maintaining their involvement: 

 

 

주제 2. 상황

Theme 2. Situation

슐로스버그의 프레임워크에서 '상황'은 변화사건의 특징을 가리킨다. 

  • 무엇이 변화를 촉발시켰는지 
  • 변화에 대한 준비정도, 
  • 변화로 인한 추가적인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현재의 능력, 
  • 그 변화를 스스로 선택했는지
  • 그것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으로 이해하는지,
  • 결과적으로 자신의 지위가 향상되거나 손상되는지에 대한 개인의 의식

‘Situation’ in Schlossberg’s framework15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event, such as 

  • what triggered the change, 
  • the individual’s readiness for it
  • current ability to cope with the additional stress of change, 
  • whether the change was chosen, 
  • understanding of how long it will last, and 
  • the individual’s sense of whether his or her status is improved or damaged as a result. 

 

[변화는 일생 동안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변화의 진행은 획일적이지 않다]는 슐로스버그의 견해에 따라, 연령과 삶의 단계는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관심사가 되지 않는 것처럼 보였는데, 이들은 모두 적어도 의학교육분야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세네번째는 하고 있었다. 그러나 임상 및 학술 업무의 변경(및 증가)과 그 영향은 지속적인 주제였습니다.

In line with Schlossberg’s view that change affects people throughout their lives, but that change is not encountered in a uniform progression,15 age and stage of life did not appear to be significant concerns for participants, all of whom were in at least their third or fourth substantial role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changing (and increasing) clinical and academic workloads and their impact were constant themes: 

참가자들이 의학교육 및 기타 직업 활동과 관련된 [상충적 업무량 압력]을 경험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그들이 [의학교육에 참여하기로 선택한 정도와 그 안에서 행사할 수 있다고 느끼는 통제량]이었다. 우리의 참가자들은 스스로 선택했거나 의학교육 분야로 성공적으로 전환했지만, 그들은 교육자들이 어떻게 그들이 의학교육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통제력이 여러 가지 이유로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how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competing workload pressures associated with medical education and their other professional activities was the degree to which they had chosen to be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amount of control they felt able to exercise within it. Our participants had themselves chosen or transitioned successfully into medical education careers, but they expressed concern that educators’ control of how they occupied the role could be decreasing for a number of reasons: 

참가자들은 개인적으로 이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변화 속도가 증가함에 따른 후배 교육자들에 대한 우려]를 분명히 느꼈습니다.

Although participants seemed able to accept this personally, they clearly felt concern for junior educators as the rate of change increased: 

우리 모두에게 걱정되는 것 중 하나는 결국 의료 교육자가 되는 것이 임상의들에게 너무 심하게 뒤틀려서 발로 투표를 하고 의학교육을 떠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입니다. (FG2, 참가자 J)

One of the things that is worrying for all of us is the fear that eventually being a medical educator is just going to be so flipping hard for clinicians that they vote with their feet and leave medical education... (FG2, participant J)

 

[변화의 기간이 얼마나 지속될 것 같은지]를 이해하는 것은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 성공적으로 변화를 협상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참가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의료 교육, 특히 의료 교육계에 의해 주도되지 않는 맥락에서 이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비관했다.27 명확한 방향 감각이나 목표점을 정의하지 못한 것이 일부 사람들로 하여금 실패의식을 암시하게 했다. 

Understanding how long the period of change is likely to last is an important factor in negotiating change successfully in order to achieve transition. Participants were pessimistic that this would ever be possible in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in contexts in which the changes were not driven by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27 This inability to define a clear sense of direction or endpoint led some to hint at a sense of failure: 

 

 

주제 3. 지원

Theme 3. Support

 

변화를 겪고 있는 개인에 대한 지원은 다음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 개인적 서포트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로부터 이익을 얻으려는 의지)
  • 제도적 뒷받침의 강도
  • 적절한 자원의 가용성, 품질 및 관련성
  • 스스로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에 관한 다른 사람들의 태도

Support for individuals undergoing change may derive from

  • access to personal support networks (and willingness to benefit from these),
  • strength of institutional support,
  • the availability, quality and relevance of appropriate resources, and
  • the attitudes of others concerning the individual’s wish to involve him- or herself in the role.

 

참가자들은 멘토링, 조언, 코칭, 동료 평가 및 피드백을 포함하여 의료 교육 활동에 대한 많은 지원 소스를 식별했으며, 새로운 역할, 평가, CPD 자원 액세스 등을 담당했다. 일부 응답자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의료 교육에 대한 공식적인 인식이 높아지면서 더 나은 지원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했다. 

Participants identified a number of sources of support for medical education activities, including mentoring, advice, coaching, peer review and feedback, cover for new roles, appraisal, and access to resources for CPD. Some respondents felt that increased formal recognition of medical education in recent years had led to better support: 

그러나 참여자들은 분야, 기관, 부서, 심지어 각자의 역할에 따라 서로 협력하는 개인들 사이에서도 서포트가 다양하다고 보고했다. 임상의는 그들의 [다중적 역할에 의해 부과되는 실제적인 어려움]을 보고했다. 모두 CPD에 대한 자금과 자원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고했다. 
However, participants reported that support varied among sectors, institutions, departments and even between individuals working alongside one another, depending on their roles. Clinicians reported practical difficulties imposed by their multiple roles: all reported that funding and resources for CPD were difficult to secure. 

이러한 지원이 부족한 이유는 다양한 요인들과 관련이 있었다. 일부의 경우, [학생 수와 기대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 [증가하는 업무량의 압력을 공유해야 하는 동료의 부족]과 [행정 리소스 및 전문 지식 부족]과 같은 개인적인 문제 및 일상적인 문제였습니다. 지원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의학교육의 어려움과 복잡성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강의 및 CPD를 위한 용도로 지정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은 임상 환경에서 일하는 응답자들에게 특별한 관심사였다. 
The reasons for this lack of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factors. For some, the challenges were personal and of a day-to-day nature, involving lack of administrative resource and expertise, and a shortage of colleagues with whom to share workload pressures as student numbers and expectations increase. Others attributed difficulties in obtaining support to a continued lack of high-level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and complexities of medical education. Obtaining ring-fenced time for teaching and CPD was a particular concern for respondents working in clinical settings: 

이들의 주요 지원 소스는 의료 교육 분야 동료와 더 넓은 의료 교육 커뮤니티 자체에서 비공식적으로 제공되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정보를 찾고 있다. 
A major source of their support came informally from colleagues in medical education and from the wider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tself, particularly with regard to information seeking: 

참가자들은 큐레이션된 자료에 액세스하고 이를 동료 및 학생들과 공유하는 데 모두 적극적이었다.
Participants were active both in accessing curated material and in sharing it with colleagues and students: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의료 교육자들을 위한 비공식적인 커뮤니티 지원의 중요한 원천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를 시작하기 위해 개인적인 접촉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Social media represented a significant source of informal community support for these medical educators, although a number reported that it had required personal contact to get started:

트위터에서 많은 토론을 합니다. [...] 만약 여러분이 MedEd와 같은 해시태그를 사용한다면, 여러분이 클릭할 수 있는 수많은 토론과 기사들을 불러올 것입니다.

Twitter has a lot of discussions [...] If you just use the hashtags like MedEd and things like that then it will bring up a whole host of discussions and articles that you can click on.

 

다시 한 번, 참가자 스스로가 교육자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전적인 환경을 탐색했지만, 특히 진로 지원 측면에서 다음 세대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Again, although the participants themselves had navigated the challenging environment in order to maintain their educator identity, there was concern for the next genera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career support:


우리는 일반적으로 대학, 특히 명확하고 투명한 진로를 만드는 것에 대한 압박감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We need to make sure that pressure is brought to bear on, you know, universities generally, medical schools particularly about creating obvious and transparent career progression. 

 

대부분의 응답자는 보다 더 어린 동료들을 지원하는 것에 참여하고 잇으며, 책임을 느낀다고 보고했습니다.
Most respondents reported being involved in and feeling responsible for supporting less senior colleagues:

그러나 비공식 및 개인 네트워크는 특히 후배들에게 매우 유용하지만 가시성이 낮아서 접근성이 낮다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wever, there appeared to be some recognition that informal and personal networks, although invaluable, were less visible and therefore less accessible, especially to junior colleagues:

 

주제 4. 전략

Theme 4. Strategies

전략은 변화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채택된 전략]을 포함하는 대응이다. 그룹으로서, 우리의 응답자들은 개인으로서 개발한 매우 다양한 전략을 보고했지만, 이것은 대처에 대한 공통된 접근법을 시사하는 것처럼 보였다.
Strategies are coping responses that include the tactics adopted to get through a change successfully. As a group, our respondents reported a large variety of strategies they had developed as individuals, but which appeared to suggest a common approach towards coping.

 

주제 3에 보고된 교육 지원을 식별하고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의학교육 전문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매우 전략적인 접근법을 취했고,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몇몇 사람들은 대학원 의학 교육 자격을 취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 사람은 자신이 선택한 과정이 자신의 학습 요구에 직접 초점을 맞추지는 않았지만, 이를 적용해서 혜택을 얻을 수 있었다고 평했다. 
Despite th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and accessing educational support reported in Theme 3, many had taken a highly strategic approach to acquiring medical education expertise and had gone to considerable lengths to develop knowledge and skills. Several reported undertaking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qualifications. One commented that although the course he had chosen had not focused directly on his learning needs, he had been able to adapt it and benefit from it: 

이 교육자들은 집단으로서의 자기주도성이 매우 강했다. 대부분은 의학 교육 저널을 구독했으며 관련 정보를 찾기 위해 더 넓은 문헌을 훑어볼 용의가 있었다. 다른 이들은 소셜 네트워킹, 웨비나, 뉴스레터, 우편물 목록, 온라인 강좌, 원격 학습을 포함한 전자 자원 등 새로운 기술을 추천했다. 
These educators were highly self-directed as a group. Most subscribed to medical education journals and were willing to sift through wider literatures in order to find relevant information. Others recommended new technologies, including social networking, webinars, newsletters and mailing lists, electronic resources, including online courses and distance learning. 

참가자들은 거의 모두다 [일과 전문적인 협력에 대해 긍정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그들의 논의는 그들이 서로 다른 학문 분야, 상호 전문 그룹, 국가 및 국제 조직의 동료들과 맺었던 광범위한 협력 관계에 반복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Participants had a uniformly positive approach towards work and professional collaborations. Their discussions repeatedly reflected on the wider partnerships they had formed with colleagues from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interprofessional groups and national and international organisations.


위에서 논의한 비공식 네트워크와 전문 개발 기회를 스스로 활용하고 창출하는 것 외에도, 모든 인터뷰 대상자는 소속 기관 밖에서도 공식적인 네트워크와 관계를 맺기 위해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In addition to taking advantage of and creating for themselves the informal network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discussed above, all of the interviewees had made deliberate effort to engage with formal networks beyond their own institutions. 


[전문적 인식professional recognition의 역할]이 핵심 주제였으며 참가자들이 의료교육자의 정체성으로 전환했다고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데 분명히 중요했다.
The role of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a key theme and was clearly important in helping participants to feel that they had made a transition into the identity of a medical educator, 


[증가하는 규제]는 극복해야 할 과제였지만,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또한 '규제'를 조직 내에서 그리고 의료 교육을 위해 더 폭넓게 advocate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보았고, 이전에 poorly connected 되었던 교육 영역에 걸쳐 표준을 높이는 기회로 보았다. 
Although increasing regulation presented challenges, most participants also viewed it as providing opportunities to advocate within their organisations and more widely for medical education, and to raise standards across areas of education that had formerly been poorly connected.  

이러한 성공적인 교육자들은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의학교육을 둘러싼 문화의 변화에 의해 제공되는 기회를 신속하게 파악]했습니다.

These successful educators have been quick to identify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changes in the culture around medical education to assert their need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핵심 결과 요약

Summary of key findings

그들은 미래에 대한 우려, 특히 더 많은 주니어 교육자들을 대신하여, 그들은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자가 되려는 결정에 만족감을 표시했다.
Although they noted some concerns for the future, particularly on behalf of more junior educators, they generall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decisions to become medical educators.

[자아]의 관점에서, 모든 사람들은 [의학 교육자가 되는 것]과 [그들의 개인적인 가치] 사이에서 분명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분명히, [의학교육 업무]와 [개인의 가치] 사이의 '적합도fit'는 자신이 가진 의학교육자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성공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조정을 위해 노력을 들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가까웠다. 
In terms of self, all were able to make clear connections between being a medical educator and their personal values. Clearly, the ‘fit’ between their medical education work and their personal values was close enough to allow these individuals to invest effort in making the internal adjustments necessary to successfully transition into a new professional identity as a medical educator. 

둘째로, [상황(의료 교육에 대한 참여 증가의 특징)]에서, 그들의 의료 교육자 정체성에 대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그들이 의학교육에 참여하기로 선택한 정도, 그들이 그 안에서 행사할 수 있다고 느끼는 통제력, 그리고 의학교육의 미래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느낌이었다
Secondly, in terms of their sit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creased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a medical educator identity were the degree to which they had chosen to be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the amount of control they felt able to exercise within it and their sense that they could influence its future direction. 

셋째, 직장생활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받은 [개인적 서포트]가 그들이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였다. 참가자들은 연구나 임상 서비스보다 덜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의료 교육의 위상을 계획 및 양질의 교육 제공에 대한 자원 부족과 진로 및 개인 개발 기회를 포함한 교육 개선에 대한 우려와 일관되게 연결했다. 비록 참가자들이 의료 교육자 정체성으로 전환하기 위해 받은 지원 수준에 대해 일반적으로 불만족스럽지만, 비공식적인 정보 출처, 네트워킹, 자격, 역할 모델 및 멘토, AoME처럼 새롭게 알게 된 학회 및 전문적 인정 체계와 같은 모든 자원들이 그들을 위해 일하는 것을 확인했다. 
Thirdly, the personal support they had received to cope with changes in their working lives was a significant factor in helping them to deal with change. Participants consistently linked medical education’s perceived status as less important than either research or clinical service to their concerns about the shortage of resources for both planning and providing quality education and also for educational improvement including opportunities for career and personal development. Although participants were generally dissatisfied with the level of support they had received to make the transition to medical educator identity, all identified resources that had worked for them, such as informal sources of information, networking, qualifications, role models and mentors, learned societies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schemes such as that offered by the AoME. 

넷째, 이러한 참여자들은 그들 자신의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그들의 resourcefulness과 에너지로 특징지어졌다. 우리의 연구에서 확인된 성공적인 전략에는 정보 탐색, 기술 개발, 네트워킹 및 인식 찾기에 대한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교육의 기회와 정보를 찾는 데 적극적이었으며, 서로, 학생 및 교육생, 커리어 초기의 교육자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Fourthly, these participants were characterised by their resourcefulness and energy in developing their own strategies. Successful strategies identified in our research included adopting creative and active approaches to information seeking, skills development, networking, and seeking recognition. They were all active in seeking education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and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support one another, their students and trainees, and early career educators. 

 

 

고찰 

DISCUSSION

전환에 관한 문헌은 자연히 사별과 트라우마와 같이 삶이 변화하는 사건에 적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의 지원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4S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상담과 같은 개입은 큰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개인들을 돕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그들의 직장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즐겁고 자극적이며 깊은 보람을 주는 일상적 활동을, 예컨대 의학 교육을, 중대하거나 심지어 충격적인 인생 사건으로 보는 것은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The literature on transition naturally tends to focus on the support of those struggling to adapt to life- changing events such as bereavement and trauma. Interventions such as counselling using the 4S framework and others were designed to help individuals struggling to adapt to major changes. It may therefore seem incongruous to view medical education as a significant and even traumatic life event, when for many it is an enjoyable, stimulating and deeply rewarding daily activity that enriches their working lives. 


그러나 의학교육으로의 진출은 개인의 [직업적 정체성working identity]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대하고 때로는 고통스러운 직업의 전환을 의미한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문헌은 좌절, 실망, 스트레스, 사기가 저하 및 소모된 시기에 대한 교육자들 사이의 거의 보편적인 경험을 보고하고 있으며, 주된 직업 정체성의 붕괴에 대한 상실감과 함께 남아 있다. 나아가, 가르치고자 하는 의사를 표현하는 사람 중 실제로 상당한 의대 교육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가 거의 없지만, 한 연구에서 의대 교직원의 42%가 '심각하게 사직을 고려'하는 등, 대부분의 의대에서 교직원의 retention이 주요 과제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There is no doubt, however, that moving into medical education represents a major and occasionally painful career transition that profoundly affects the individual’s sense of his or her working identity. The literature reports an almost universal experience among educators of periods of frustration, disappointment, stress, demoralisation and burnout, coupled with a lingering sense of loss at the erosion of their primary professional identity.4–9,29 Furthermore, although there are few data to show how many of those who express a desire to teach actually go on to develop a significant medical education career, we do know that for most medical schools the retaining of teaching staff is a major challenge, with 42% of medical school faculty in one study expressing ‘serious intent to leave’.30,31 

의학 교육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이 의료 교육자 정체성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할 수 있거나 기꺼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교수개발을 책임지는 사람들이 개인 차원에서 이러한 꺼리거나 힘들어하는 교육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없다면], 교육 관행을 개선하고 확장하기 위한 학문적이고 전문적인 활동에 그들을 참여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Not all of those working in medical education are able or willing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to a medical educator identity. Unless those responsible for faculty development can find a way to support these reluctant or struggling educators at a personal level, it is almost impossible to engage them in scholarly and professional activities to improve and extend their education practice. 

의학교육 경력을 시작하는 직원에게 지원을 제공할 때는 다음과 같은 특정 상황에 맞는 조언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신(역할에 대한 이전의 경험과 아이디어 및 기대);
  • 상황(예상 사항에 대한 이해와 우려를 포함하여 스스로 찾은 상황);
  • 지원(사용 가능한 리소스, 필요한 리소스, 이러한 리소스를 어디에서 어떻게 액세스해야 하는지 여부) 
  • 전략(이들이 어려운 의료 교육 환경에서 번창할 수 있도록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개인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

When providing support to staff who are commencing medical education careers, it is important to tailor advice and support to their particular circumstances, including:

  • Self (their previous experiences and their ideas and expectations regarding the role);
  • Situation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including their understanding of and concerns about what is expected);
  • Support (the resources they have available, what they may need, and whether they know where and how to access these), and, finally,
  • Strategies (helping them to develop personal strategies to cope with changes so that they are enabled to thrive in the challenging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마지막으로, [의학교육자 역할, 잘 정의된 기대, 조직적으로 적절한 경계]에 대한 명확한 의사소통은 [(개인이나 의학교육 공동체에 모두에 존재할 수 있는) 정체성과 정당성에 대한 질질 끄는 불안]을 퇴치하는 데 중요하다. 이는 [기술 습득에 초점을 둔 조언, 구조적 지원, 개인 개발 및 실습을 위한 시간]과 결합되어야 한다. 두 가지 이점이 있다.

  • [의학교육 역할을 하는 사람들을 (직접) 지원하는 것]과,
  • [교육자가 아닌 사람들이 더 잘 이해하도록 [의료 교육자 정체성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대중적 얼굴public face]을 제공하는 것]

Finally, clear communication of the medical educator role, well-defined expectations and organisationally appropriate boundaries are important to combating lingering feelings of insecurity around identity and legitimacy in both individuals and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32,33 These should be coupled with the provision of targeted advice on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structural support and time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practice. This has a twofold benefit

  • in both supporting those who are in medical education roles and
  • in providing an easily recognisable public face of the medical educator identity to permit better understanding among those who are not themselves educators. 



Teunissen과 Westerman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전환transition이란 한 개인이 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이동하는 찰나의 순간이 아니라 역동적인 과정이다.'33 의료교육자는 다음을 통하여 교육자 역할로 전환하기 위해 고군분투할 수 있는 후배들을 도울 수 있다.

  • 첫째,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정체성으로의 전환을 만드는 능력과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이해한다.
  • 둘째, 긍정적인 대응/적응 전략을 채택하도록 돕는 것이다.

Teunissen and Westerman assert that: ‘A transition is not a moment but rather a dynamic process in which the individual moves from one set of circumstances to another.’33 Medical educators can help junior colleagues who may be struggling to move into an educator role by,

  • firstly,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ability and motivation to adapt to change and to make the transition to a new identity, and,
  • secondly, helping them to adopt positive coping strategies. 



    Appendix S1 Question guide for focus groups

 

Appendix S1 (Online only)

Question Guide for Focus Groups with Senior Medical and Dental Educators to identify Challenges for Practitioners in the Profession

 

1.       What are the key resources you use in your own teaching?

Are there any limitations within the resource? Can you think of possible improvements?

2.       What are the learning and teaching challenges you face in your subject area/discipline?

Why do you say that? Why do you see these as a challenge to the subject? You may want to assess how these could be overcome?

3.       How do you think the teaching in medicine and dentistry is likely to evolve over the next few years? Why do you say that? Why do you see the teaching in the subject going in this direction? Is this positive or negative? Why do you say that? What is driving this change/evolution in teaching?

4.       What gaps can you identify in the current coverage of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in medical and dental education?   

 

5.       How might the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or the HEA best address the identified gaps?

Why do you say that?

6.       Thinking back to question 2, what gaps might emerge in the near future, given the projected evol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al and dental education?

Why do you say that?  How can these be overcome?

7.       Can you think of any other ways in which the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or the HEA could support and advance learning and teaching in your medical education practice?   

8.       To what extent are the issues you have raised relevant to other higher education disciplines? Are there particular challenges faced by medical educators?

9.       What is your personal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medical educator?

 

 

 

 

 


Med Educ. 2018 Feb;52(2):216-226.

 doi: 10.1111/medu.13470. Epub 2017 Nov 28.

Making the leap to medical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educators' experiences

Julie Browne 1Katie Webb 2Alison Bullock 2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Centre for Medical Education, Cardiff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ardiff, UK.

  • 2Cardiff Unit for Research and Evaluation in Medical and Dental Education (CUREMeDE), Cardiff University, Cardiff, UK.

    • PMID: 29193365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ors often have prior and primary experience in other academic and clinical disciplines. Individuals seeking successful careers in the educ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must, at some point in their development, make a conscious transition into a new identity as a medical educator. This is a necessary move if individuals are to commit to acquiring and maintaining specialist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Some achieve this transition successfully, whereas others struggle and may even lose interest and abandon the endeavour. We explored senior educators' experiences of achieving the transition into medical education and their views on what helps and what hinders the process.

Methods: In 2015 we conducted three focus groups with 15 senior medical educators. All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We applied transition theory to guide our deductive analysis, using Schlossberg's Four S (4S) framework to code and report participants' self-reported perceptions of those factors relating to Self, Situation, Support and Strategy that had assisted them to make a successful transition to a fully acknowledged medical educator identity. Through inductive analysis, we then identified 17 explanatory sub-themes common to all three focus groups.

Results: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individual motivation, a sense of control, organisational support, and effective networking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ur were factors identified as contributing to successful transition into, and maintenance of, a strong self-identity as a medical educator.

Conclusions: The experiences of established medical educators and, in particular,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that have facilitated their transition to an acknowledged self-identity as a medical educator could assist in supporting new educators to cope with the changes involved in developing as a medical educator.

2025년 의학교육자의 직무 역할(J Grad Med Educ, 2018)

Job Roles of the 2025 Medical Educator
Deborah Simpson, PhD (@debsimpson3) Karen Marcdante, MD (@KMarcdante) Kevin H. Souza, MS (@KevinHSouza) Andy Anderson, MD, MBA (@rcathird) Eric Holmboe, MD, MACP, FRCP (@boedudley)

 

 

 

 

의학교육자들은 의사의 역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대학원 의학 교육(ACGME) 후원 기관 2025(SI2025) 인증 협의회는 [의료 및 대학원 의료 교육의 3대 원동력]민주화와 상품화, 기업화로 파악했다.1 Wartman과 Combs는 의료가 정보 시대에서 인공지능 시대로 변화함에 따라, 의료계는 "각종 기기devices는 점차 더 많이 인지적, 육체적으로 인간을 능가"함을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Medical educators recognize that physicians’ roles are rapidly changing.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s (ACGME’s) Sponsoring Institution 2025 (SI2025) initiative identified 3 major riving forces in health car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democratization, commoditization, and corporatization.1 Wartman and Combs argued that, as the practice of medicine transforms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edical community must accept that ‘‘devices will, on an increasing scale, outperform humans, cognitively and physically.’’

 

교육자로서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교육에 대한 진정한 역량 기반 접근법과 일치하는 미래 시스템에서 의사의 역할과 일치하도록 교육을 설계한다. 직무 분석에 따르면 2020년의 의사는

  • 환자와 모집단에 적합한 의료 임상의사,
  • 우수한 커뮤니케이터,
  • 디지털 데이터와 기술에 능통하고
  • 민첩하고 혁신 중심적이며, 전문 팀 간 리더와 구성원으로서 능력을 갖춰야 한다.

2 As educators, we seek to understand these changes and design education to be consistent with the roles of physicians in this future system consistent with a true competency-based approach to education.3 Job analyses reveal that physicians in 2020 must be

  • competent health care clinicians for patients and populations,
  • superb communicators,
  • fluent with digital data and technology,
  • agile and innovation-driven, and capable as leaders and members of interprofessional teams.2,4 

SI2025 태스크포스의 역량 27호(임상 및 교육 책임 교수에 대한 책임)는 의과대학에서 의료기관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분야의 의사 개발을 누가 책임질 것인가에 초점을 맞췄지만, 2025년 교육자의 구체적인 기술과 역할은 다루지 않았다.1

The SI2025 Task Force’s competence No. 27 (Accountability for Faculty with Clinical and Educational Responsibilities) focuses on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ians in these areas, with shifts frommedical schools to health care organizations, yet the specific skills and roles of educators in 2025 were not addressed.1


의료교육의 미래경향
Future Hard Trends in Medical Education


교육의 아웃소싱: 교과서 출판사들은 학생들이 숙제 운동을 하고 실시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했다. 학계, 전문사회, 판매업자 간의 교육 지향적 파트너십이 증가하고 있다. 예로는 미국 외과대학 및 프로그램 디렉터 협회가 개발한 수술 레지던트 스킬 커리큘럼9, AAMC/칸 준비 아카데미, 매년 4만 명 이상의 학생이 완료한 MedU 사례, 10개, 전문/전문학회에서 제공하는 교육 내 시험 및 준비 과정이 있다.

Outsourcing of Education: Textbook publishers & have built software platforms where students can do homework exercises and get real-time feedback.8 Education-oriented partnerships between academics, professional societies, and vendors are increasing. Examples include the Surgery Resident Skills Curriculum9 developed by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and Association of Program Directors in Surgery, the AAMC/Kahn Academy for MCAT Prep, the MedU Cases completed by more than 40000 students each year,10 and the in-training examinations and prep courses delivered by specialty/professional societies. 

기술: 가상 및 증강현실 기술은 내장된 학습 분석 기능과 함께 연습생 학습 및 새로운 형태의 실시간 평가를 지원하는 가상 회사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11,12
Technology: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ombined with built-in learning analytics, are used to create virtual companions that support trainee learning and new forms of realtime assessment.11,12

교육 분야에서의 학습 분석/빅 데이터: 큰 "교육" 데이터를 사용하면 개인과 그룹에 대한 개인별 맞춤 학습은 물론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ACGME의 마일스톤 데이터 분석13과 빅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강조하는 컨퍼런스의 출현 등이 있습니다.14
Learning Analytics/Big Data in Education: The use of big ‘‘education’’ data facilitates personalized learning for individuals and groups, as well as use of assessment data for program evaluation. Examples include the ACGME’s analysis of milestone data13 and the emergence of conferences highlighting how to analyze and use big data.14


소비자 및 공동디자이너로서의 학습자: 학생들이 일련의 짧은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고, 캡스톤 프로젝트를 마치고, 자격증을 취득하고, 특정 역할이나 직업을 준비할 수 있는 모바일 24/7 학습 및 테스트, 마이크로/나노 학위 등이 그 예다.15 
Learner as Consumer and Co-Designer: Examples include mobile 24/7 anytime/anywhere learning and testing and micro/nano degrees that allow students to take a series of short online courses, finish a capstone project, obtain a certificate, and prepare for a specific role or job.15 


규정 및 정렬: 규제 당국과 인가자는 교육 및 의료 결과(의료 품질, 안전, 환자 경험)를 통합 및 정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결정과 행동이 더 이상 단독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팀/직업 간 협업 관리와 교육에 대한 강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의사 결정은 자격증과 연습 범위에 따라 팀 구성원 간에 배포되며, 인공지능/기계 학습(예: 왓슨)에 의해 지원된다.2 

Regulation and Alignment: Increasingly, regulators and accreditors will focus on integrating and aligning education and clinical care outcomes (health care quality, safety, patient experience) as the primary driving force for the desig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across the continuum. There also is increasing emphasis on team/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are and education as decisions and actions will no longer be a solo act. Decision-making will be distributed among the team members based on their license and scope of practice, and suppor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machine learning (eg, Watson).2 


2025년 의료교육자 직무 역할
2025 Medical Educator Job Roles



 

2025년 의료교육자의 직무 역할 파악
Identifying Job Roles for the 2025 Medical Educator


진단 평가자
Diagnostic Assessor


교육에서 빅데이터의 활용은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교육자는 교육 경험(역량 기반 및 시간 가변 훈련 포함)을 개인화하고, 성과 평가를 맞춤화하고, 커리큘럼을 평가하기 위해 개인과 그룹의 성과 격차를 식별해야 한다. 진단 평가자로서, 교육자는 학습 및 예측 분석 결과를 개인, 코호트, 그룹 및 모집단에 대한 학습과 성과를 최적화하는 작업으로 변환하는 데 능숙해야 한다.

The use of big data in education will continue to grow. This requires educators to identify performance gaps for individuals and groups in order to personalize educational experiences (including competencybased and time-variable training), tailor performance assessments, and evaluate curricula.16 As diagnostic assessors, educators must be skilled at translating learning and predictive analytic results5 to actions that optimize learning and performance for individuals, cohorts, groups, and populations. 


콘텐츠 큐레이터(작성자가 아님)
Content Curator (not Creator)


국가 전문가가 개발한 고품질 콘텐츠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계약하는 수많은 전문 기관 및 사회, 교과서 업체, 판매업체 전반에 걸쳐 점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료에 액세스, 선택, 시퀀싱, 전달 및 학습자와 공유하여 진료 시 현지 니즈를 실시간으로 충족시키는 작업은 이미 여러 가지 전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콘텐츠 큐레이터로서, 교육자는 기존 교육 자료에서 콘텐츠 자료를 선택하고, 교수진, 전문직, 전문직, 인증 기관, 전문직 및 전문직 간 사회를 포함하여 이해관계자 간에 동맹을 구축하는 데 능숙해야 합니다.

High-quality content, developed by national experts, is increasingly available across a number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societies, textbook companies, and vendors who contract with experts in the field. Accessing, selecting, sequencing, delivering, and sharing these materials with learners to meet local needs, in real time at the point-of-care, already occurs in several specialties. As curators of content, educators must be skilled in selecting content materials from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building alliances across stakeholders, including faculty, specialties, professions, accrediting bodies, and professional and interprofessional societies. 


기술 어답터
Technology Adopter


1992년 최초의 스마트폰이 출시된 이후, 스마트폰의 효과와 다른 기술들이 우리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삶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기하급수적으로 계속될 것이며, 우리의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아니라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2025년의 의료 교육자는 적절한 기술 도구를 선택하고, 사용하고, 평가하는 데 능숙한 얼리 어답터여야 한다. 이는 앱에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몰입 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또한, 교육자들은 기술 사용이 잘못되거나 실패할 때를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Since release of the first smart phone in 1992, its effects and that of other technologies have transformed ou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This technological progress will continue at an exponential rate and presents an opportunity, not a threat, to enhance our work.17 Medical educators in 2025 must be early adopters, fluent in selecting, using, and assessing the appropriate technology tools. These range from an app to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immersion activity. In addition, educators will need to recognize when technology use is misguided or fails. 

 

학습자 중심 내비게이터 및 전문 코치
Learner-Centered Navigator and Professional Coach


개별 학습자 성과 대시보드의 진단 평가에서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으로 전환하려면 숙련된 교육 탐색기skilled educational navigator가 필요합니다. 의료 교육자는 [학습자 중심의 네비게이터]로서 확인된 성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원, 자료 및 실습 기회의 사용을 지도할 것이다. 전문 코치로써 교육자는 대면 및 가상적 촉진에 숙련되어 학습자의 정확한 의미구성을 지원하는 개인화된 그룹 코칭 세션을 제공해야 한다.
Moving from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individual learner performance dashboards to advancing learners’ growth and development will require a skilled educational navigator. Medical educators, as learner-centered navigators, will guide the use of resources, materials, and practice opportunities to achieve identified performance targets. As professional coaches, educators must be skilled in face-to-face and virtual facilitation, to provide personalized and group coaching sessions that support learners’ accurate construction of meaning. 


임상의 역할 모델
Clinician Role Model


역할 모델링은 example을 통한 가르침이다. 2025년의 의학 교육자는 다양한 2025년 의사 역할의 역량에 대한 모범이 되어야 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개별 진료 제공자 및
  • 탁월한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전문성을 갖춘 인터프로그래픽 팀의 리더/멤버입니다.

임상 및 교육자 역량의 일부로서 추가적인 역할 모델링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휴머니즘을 증명
  • 개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
  • 교차 토대를 갖춘 통합 시스템 사고 (예, 품질, 환자 안전 및 희박한 접근 방식) 

Role modeling is teaching by example.18 Medical educators in 2025 must be the exemplars for competence in the various 2025 physician roles. These include

  • individual care provider and
  • leader/ member of interprofessional teams, with superb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4

Additional role-modeling elements will focus on

  • demonstrating humanism,19
  • attention to personal well-being,20 and
  • integrated systems thinking with cross-cutting foundations (eg, quality, patient safety, and lean approaches) as part of clinical and educator competence.2 


학습 환경 설계자, 엔지니어, 설계자 및 구현자

Learning Environment Designer, Engineer, Architect, and Implementer

2025년에는 의학 교육자들이 학습 환경의 설계자가 될 것이다. 이 역할을 학습을 최적화하기 위해 "공간"을 설계하는 건축가 또는 엔지니어로 생각해 보십시오. 교육자들은 그들의 디자인을 알리기 위해 인간 학습, 인지, 기억 및 구현의 과학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학습 환경은 

  • 2025년 버전의 구글 행아웃이 될 것인가, 
  • 전문가 간 연습생들이 함께하는 증강현실 공간에서 팀 활동이 될 것인가, 
  • 개별화된 적응형 연습 연습이 될 것인가, 
  • 아니면 빠른 시간 경과 품질 개선 시뮬레이션이 될 것인가? 

이러한 의료 교육자 역할의 핵심은 학습 및 구현 과학의 기초이다. 
In 2025, medical educators will be design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ink of this role as an architect or engineer who designs the ‘‘space’’ to optimize learning. Educators will need to draw on the sciences of human learning, cognition, memory, and implementation to inform their designs. Will the learning environment be

  • a 2025 version of a Google Hangout,
  • a team activity in an augmented reality space with interprofessional trainees,
  • individualized adaptive practice exercises, or
  • a rapid time-lapse quality improvement simulation?

Key to this medical educator role is the underlying foundation in learning and implementation sciences. 

 

 



함의 Implications

교육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 교육자들은 이러한 역할 변화와 새로운 직업적 정체성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2017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유럽의료교육협회 기조연설에서 캐서린 루시가 지적한 바와 같이, "교직원의 가치는 더 이상 [의료와 교육에 관한 모든 우수한 지식이나 기술]과 연결될 수 없다."21 우리는 교육자의 가치가 [지혜, 문제에 대한 구조화된 접근법, 지속적인 학습을 모델링하는 능력, 그리고 모든 학습자가 최선을 다하기 위해 평가되고 지원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능력]에 있을 것이라는 루시의 비전에 동의한다.

As education evolves, medical educators must embrace these role changes and a new professional identity. As noted by Catherine Lucey in her keynote address at the 2017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in Helsinki, Finland, ‘‘The value of a faculty member can no longer be linked to superior knowledge or skills in all things health care and education.’’21 We share Lucey’s vision that educators’ value will lie in their ‘‘wisdom, structured approach to a problem, ability to model ongoing learning, and in their abilit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very learner is valued and supported to achieve their best.’’21 


 

 


J Grad Med Educ. 2018 Jun;10(3):243-246.

 doi: 10.4300/JGME-D-18-00253.1.

Job Roles of the 2025 Medical Educator

Deborah SimpsonKaren MarcdanteKevin H SouzaAndy AndersonEric Holmboe

    • PMID: 29946376

 

 

Free PMC article

교수개발을 통해서 교사의 전문직 정체성 강화하기(Acad Med, 2019)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Faculty Development
Yvonne Steinert, PhD, Patricia S. O’Sullivan, EdD, and David M. Irby, MDiv, PhD

 

 

 

교직원의 직업적 정체성은 그들의 학문적 생산성, 동기부여, 만족감뿐만 아니라 그들의 직업적 역할 선택에도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1,2 의사와 연구원으로서의 그들의 정체성은 대학과 병원에서 잘 지정되고prescribed 지원되는 경향이 있지만, 교사로서의 그들의 정체성은 그렇지 않다.23 그 결과, 임상 및 기초과학 교사는 종종 기관 및 동료가 교사로서의 역할을 중시하거나 지지하지 않는다고 느끼며, 이는 교사로서의 불만족이나/또는 학업 경력 포기로 이어질 수 있는 현상이다.4 우리는 교직원의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이 교직원들이 가치를 느끼고, 교육 활동을 추구하며, 교직 개발 오퍼링에 참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rofessional identities of faculty members exert a powerful influence on their choices of professional roles as well as their academic productivity, motivation, and satisfaction.1,2 While their identities as physicians and researchers tend to be well prescribed and supported by universities and hospitals,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are not.2,3 As a result, clinical and basic science teachers often feel that institutions and colleagues do not value or support their roles as teachers, a phenomenon that can lead to dissatisfaction with being a teacher and/ or the abandonment of an academic career.4 We maintain that bolstering faculty members’ identities as teachers could help them to feel valued, to pursu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participate in faculty development offerings.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교수진의 전문적 정체성을 탐색하고 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5 의과대학과 전문기관에서 지역, 국가, 국제적으로 제공되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도 제공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문헌에 보고된 대부분의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는 주로 교수 및 학습 개선6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전문적 정체성을 다루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사실, 어떤 면에서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다루지 않고] [교수와 학습에 대한 전문지식(예: 교육학 및 리더십 기술)에 중점]을 둔, 교수진의 [내용 전문성(자신의 분야에서 최신지견을 갖추기)에 대한 제도적 집중]을 반영하고 있다.7 우리는 교수 개발이 [교사 정체성의 형성]을 일깨우고, 영감을 주고,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교육학적 기술에 대한 이러한 기본적인 초점을 바꿀 때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can be used to explore and strengthen faculty members’ professional identities.5 These programs, offered locall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medical school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lso offer a sense of community that can indirectly support identity formation as a teacher. However, to date, most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focus primarily on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6; they rarely address professional identity. In fact, in some ways,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have mirrored the institutional concentration on content expertise of faculty members (e.g., being up-to-date in one’s field), with a focus on expertise in teaching and learning (e.g., pedagogical and leadership skills) without address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7 We contend that it is time to change this primary focus on pedagogical skills, as faculty development can help to awaken, inspire, and guide the formation of teacher identity.

 

우리는 [교수개발]을 [교수진이 개인 및 그룹 환경 모두에서, 교사 및 교육자, 지도자와 관리자, 연구자와 학자로서 지식, 기술 및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추구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합니다.8
We define faculty development to include all activities faculty members pursue to improve their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as teachers and educators, leaders and managers, and researchers and scholars, in both individual and group settings.8


프로페셔널 아이덴티티
Professional Identities


정체성의 개념은 사회과학에서 많은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모든 개념화는 [정체성은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개혁되는 역동적인 구조라는 전제]에 기초한다. 정체성은 다음을 포괄한다.

  • 개인들이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 어떻게 자신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인식되기를 원하는지
  • 더 넓은 지역사회에서 그들이 어떻게 인정받는지.13

The concept of identity has many meanings in the social sciences. However, all conceptualizations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identity is a dynamic construct, which is continually formed and reformed.11,12 Identity encompasses

  • how individuals understand themselves,
  • how they interpret experiences,
  • how they present themselves and wish to be perceived by others, and
  • how they are recognized by the broader community.13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다르거나 비슷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묘사하는 '아이덴티티'는 또한 조직에서 인지된 구성원 자격과 역할에서 파생되어 개인 행위자성 및 선택과 상호 작용한다. 또한, 개인은 여러 가지 정체성(예: 부모, 멘토, 연구원, 교사)을 가지고 있으며, 이 모든 것은 그들의 삶과 직업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것이 다를 수 있다.

Identity, which describes how people view themselves as different or similar to others, is also derived from perceived membership and roles in an organization and interacts with personal agency and choice.14–17 Additionally, individuals have multiple identities (e.g., parent, mentor, researcher, teacher),12,18 all of which may vary in relative prominence at different times in their lives and careers.19–21


고등교육 문헌의 교사 정체성
Teacher identity in the higher education literature


베이자르 외 23호는 교육에서의 직업정체성이란 [외적 개념과 교사의 기대]뿐 아니라 [교사들이 실무경험과 개인생활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엇을 전문직 업무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가정했다.

Beijaard et al23 postulat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ing refers not only to the influences of external conceptions and expectations of teachers but also to what teachers find important in their professional work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practice and in their personal lives.

 

[직업 정체성]은 [선생님들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선생님으로서 그들 자신을 이해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그들이 다른 사람들과 문맥과 관련하여 사물을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방법은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그대로 표현한다.
professional identity is not something teachers have, but something they use in order to make sense of themselves as teachers. The way they explain and justify things in relation to other people and contexts expresses, as it wer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의료교육 문헌의 교사 정체성
Teacher identity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학생들의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을 다루는 의학 교육에는 광범위한 문헌이 있지만, 교사의 정체성 발달에 관한 문헌은 25-29년 보다 희박하다.30
Although there is an extensive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addressing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5–29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s’ identities has been sparser.30

스타인어트와 맥도널드31은 의사들이 [가르치는 것을 그들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식]하여 [이전 교사들에게 자신이 받은 훈련에 보답하고, 다음 세대의 의사들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으며, 그들에게 지속적인 학습을 제공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임상의들은 또한 가르침이 개인적으로 활력이 넘치고 만족스럽다고 생각했다.
Steinert and Macdonald31 found that physicians perceived teaching as an integral part of their identity that allowed them to repay former teachers for their own training, gave them an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and afforded them ongoing learning. These clinicians also perceived teaching as personally energizing and gratifying.


비록 임상 교사들이 교사로서 강한 정체성을 개발할 수 있지만, 그 정체성은 처음에는 의사나 연구원으로서의 그들의 정체성에 비해 약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이러한 교사들이 practice하는 단체와 기관의 영향을 받는다.34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창기 의료 교사는 주로 교사보다는 의사나 연구원으로 보고 있으며], 교사 신분을 자신의 의사나 연구자 신원에 통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될 수 있다.235

Although clinical teachers may develop a strong identity as a teacher, that identity may initially be weak compared with their identity as physicians and researchers; it is also influenced by the group and institution in which these teachers practice.34 Studies have noted that beginning medical teachers often see themselves primarily as physicians or researchers rather than teachers, and that the integration of a teacher identity into their physician or researcher identity can be challenging.2,35

 

O'Sullivan 외 32,37은 보건 전문가 교사들이 [구획된 것(즉, 서로 다른 정체성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에서 [병합된 것(즉, 정체성이 분리될 수 없는)]에 이르는 연속체에서 특징지어질 수 있는 다중 정체성(예: 임상의사, 교사, 교수, 교수 개발자, 과학자, 멘토)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O’Sullivan et al32,37 noted that health professional teachers tend to report multiple identities (e.g., clinician, teacher, faculty developer, scientist, mentor) that can be characterized on a continuum ranging from compartmentalized (i.e., where differing identities are kept completely separate) to merged (i.e., where identities are inseparable).

교사들은 성숙함에 따라 새로운 정체성(예: 멘토, 프로그램 감독, 학장)을 통합하고, 역할이 바뀌고 진로가 진행됨에 따라 오래된 정체성은 삭제하려는 경향이 있다.
As teachers mature, they tend to incorporate new identities (e.g., mentor, program director, dean) and drop old identities as their roles shift and their careers progress.

Cantillon et al38은 임상의가 환경에 유동적으로 적응함으로써 교사와 임상적 정체성을 조정했다고 결론지었다. 더욱이, 이러한 조정은 개인의 선택, "두 [정체성]을 뒤섞거나, 그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찾거나, 교육과 임상 역할 사이의 [긴장을 최소화하는 병합된 정체성]을 구축forge"하는 등의 영향을 받았다.

Cantillon et al38 concluded that clinicians reconciled their teacher and clinical identities by fluidly adjusting to their environments. Moreover, these adjustments were influenced by individual choice, “juggling the two [identities], finding mutuality between them, or forging merged identities that minimized tensions between educational and clinical roles.” 

 

교수개발 문헌의 교사 정체성
Teacher identity in the faculty development literature

 

[전문적 정체성]은 교수개발 문헌에서 자주 논의되지 않지만, 논의되는 경우는 대개 교사의 경력과 리더십 개발에 집중하는 종단적 프로그램의 맥락에 있다.1,39–42 예를 들어, Lown et al41은 교직원의 정체성, 자신감 및 자기효율이 향상되었음을 탐구하였다.펠로우쉽에 참여했기 때문에 제정되었다.

Although professional identity is not frequently discussed in the faculty development literature, when it is, it is usually in the context of longitudinal programs that concentrate on teachers’ careers and leadership development.1,39–42 For example, Lown et al41 explored that faculty members’ sense of identity, confidence, and self-efficacy was enhanced because of their involvement in the fellowship.



교수개발을 통한 정체성 강화
Strengthening Identity Through Faculty Development


정체성은 진로 선택, 개발 기회, 교수 책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는 교수 개발이 그들의 기술 외에도 교사들의 정체성을 육성하고 강화하는 데 전략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 이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Because identity influences career choices,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teaching responsibilities sought,2 we assert that faculty development can and should be strategically used to foster and strengthen teachers’ identities in addition to their skills.

 

기존 프로그램에 ID 및 ID 형성 포함
Embed identity and identity formation into existing programs


ID와 관련된 질문을 합니다.
Ask questions related to identity.


기존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정체성과 정체성 형성의 측면을 쉽게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교직원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동안 다음과 같은 질문을 다룰 수 있다.

  • 당신의 교사로서의 진로는 무엇인가?
  • 이 역할을 지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는 무엇입니까?
  • 이러한 기회가 여러분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Exist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can readily incorporate aspects of identity and identity formation. For example, during an orientation program for new faculty members, the following questions could be addressed:

  • What is the career path of a teacher?
  • What networks are available to support you in this role?
  • How might these opportunities influence your identity?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과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이 교직원이 자신을 어떻게 보고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지에 대한 논의에 자연스럽게 들어맞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이덴티티는 교수-학습teaching and learning 워크숍으로도 통합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워크숍 동안, 촉진자는 참가자를 초청하여 [임상 환경에서 학습자를 지원하는 데 있어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 또는 역량 기반 의료 교육에 대한 워크숍에서 참가자는 [역량과 정체성 사이의 교차점을 어떻게 보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자기 자신과 학습자 모두를 위해 이 질문들을 포함시키는 열쇠는 논의 중인 내용이 교사 정체성을 탐구하도록 하고 교사 역할의 가치를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특정 경력 단계(예: 시작, 중간, 후반)를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은 [교수 역할 이행과 그에 수반되는 정체성의 변화]를 탐구하는 훌륭한 장소가 될 수 있다.

Although orientation programs and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seem to be a natural fit for the discussion of how faculty members see themselves and are seen by others, identity can also be integrated into teaching and learning workshops. For example, during a workshop on giving effective feedback, facilitators could invite participants to discuss how they see their role in supporting learners in the clinical setting; alternatively, during a workshop o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articipants could consider how they view the intersection between competencies and identity, for both themselves and their learners. The key to including these questions is to ensure that the content under discussion explores teacher identity and reinforces the value of the teaching role. In addition, programs aimed at specific career stages (e.g., beginning, middle, late)19,20 can be excellent places to explore shifting roles in teaching and the concomitant changes in identity.

 

 

종단적 프로그램의 ID를 지정합니다.
Address identity in longitudinal programs.


종단적 의료 교육 프로그램은 전문적 정체성을 탐구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정체성, 자신감,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공통적인 특징]들을 공유한다. 40–42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보호된 시간, 
  • 지지적 학습 환경,
  • 동료와 멘토와의 긍정적 관계,
  • 다른 사람들에 의한 교육 전문 지식의 검증,
  • 커뮤니티 구축 및 네트워킹,
  • 자기성찰의 강조  

Longitudinal medical education programs provide unique opportunities to explore professional identity. These programs share a number of common features, which can influence the identity,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f program participants.40–42 These include

  • protected time,
  •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mentors,
  • validation of educational expertise by others,
  • community building and networking, and
  • an emphasis on self-reflection. 


Lieff 외 1은 종적 프로그램에서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 가지 요인을 식별하였다. 

  • 개인 요인(개인 특유의 인지적, 정서적 측면을 포함한다) 
  • 관계적 요인(다른 요소와의 연결 및 상호작용으로 구성됨) 및 
  • 상황적 요인(프로그램 및 외부 작업 환경을 참조). 

Lieff et al1 identified three factors that can influence identity formation in longitudinal programs: 

  • personal factors (which includ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unique to the individual), 
  • relational factors (which comprise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 contextual factors (which refer to the program and the external work environment). 

종적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에서 이러한 요소에 대한 인식은 교사 정체성을 지원하거나 일깨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교수진의 복지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개별 agency/choice과 함께, 교직원이 지속적인 프로그램 지원 없이 직장으로 돌아오면 종적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열정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스톤 외 7이 관찰한 바와 같이, 훈련의 연속성은 전문적 발전의 정서적 측면을 탐구할 수 있다.

Awareness of these factors in longitudinal program design and implementation can help to support or awaken teacher identity, which in turn can increase faculty well-being and productivity. These factors, along with individual agency/choice, can also help to sustain the enthusiasm and identity generated in longitudinal programs once a faculty member returns to the workplace without ongoing program support. As Stone et al7 have observed, continuity in training allows for an exploration of the affective asp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커뮤니티 구축 및 네트워킹 기회를 구축합니다.
Build opportunities for community building and networking.


네트워크와 공동체 의식을 구축하는 것은 종종 종적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은 또한 교사의 정체성을 지지하고 강화할 수 있는 다른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중요한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1,41

Building networks and a sense of community is often a key feature of longitudinal programs. However, these elements can also form a critical component of othe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hat can support and strengthen teachers’ identity.1,41 

 

예를 들어, Cantillon 등은 임상의사가 자신의 임상 커뮤니티 및 자신이 속한 기관과 관련하여 어떻게 교사가 되는지를 탐구했다. 흥미롭게도, 그들은 임상 교사가 되는 것은 잠재적으로 상충되는 두 가지 책임의 영역(즉, managerial and professional) 사이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실천을 지속적으로 협상]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은 또한 [교육을 중시하는 기관]들이 제도적으로 정의된 역할에서 교사 정체성의 개발을 지지한다는 것에 주목했다. 

For example, Cantillon et al34 explored how clinicians become teachers in relation to their clinical communities and the institutions to which they belong. Interestingly, they found that becoming a clinical teacher entails continually negotiating one’s identity and practice between two potentially conflicting planes of accountability (i.e., managerial and professional); they also noted that institutions that valued teaching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ies in institutionally defined roles.

다른 맥락에서

  • 로운 외는 "더 큰 교육자 커뮤니티와 연결된 느낌"이 교사로서 교직원의 정체성(자신감 및 자기 효율)을 증진시켰다고 지적했다. 
  • 반면, 리프 등은 [학문적 정체성]은 소속감, 자신과 타인의 비교, 같은 생각을 가진 동료들과 학습 경험 공유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공동체에 소속된 것은 [validation 및 credibility를 제공]해주었고, 전문직 및 경력 개발에 종종 중요한 멘토링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In another context,

  • Lown et al41 noted that “feeling connected with a larger community of educators” promoted faculty members’ sense of identity (as well as confidence and self-efficacy) as a teacher, whereas
  • Lieff et al1 found that academic identity was influenced by a sense of belonging, comparing oneself with others, and sharing learning experiences with like-minded colleagues. Belonging to a community was also seen as offering a sense of validation and credibility46,47 as well as providing mentorship opportunities41,48,49 that are often critical to professional and career development.

[사회적 관계의 네트워크]는 사회적 정체성을 지지하고 유지한다. 교수 개발자는 정체성을 형성하고 지원하는 데 있어 실천적 공동체의 역할과 힘을 인식해야 한다.

A network of social relationships supports and sustains social identities. Faculty developers should be cognizant of the role and power of communities of practice in shaping and supporting identity.

 



반성을 촉진하다.
Promote reflection.


몇몇 저자들은 [내적 동기 부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의 중요성과 의료 교사들 사이의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데 있어 가르치는 것의 의미]를 강조해왔다. 다른 연구원들은 교사들이 어떻게 성찰할 기회를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성찰하는 과정 자체가 만족감과 교단에 대한 헌신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Lieff et al1은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담화, 관계, 적용 및 성찰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는 일련의 교수 개발 전략을 설명한다.

Several author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intrinsic motivations and the meaning of teaching in promoting and supporting identity formation among medical teachers.31,50 Other researchers have noted how teachers need opportunities to reflect and that the process of reflection itself may strengthen satisfaction and a commitment to teaching.7,43 Lieff et al1 describe a series of faculty development strategies that could facilitate a focus on identity and include the use of discourse, relationships, applications, and reflection.

또한 성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진로 선택에 대한 부조화dissonance에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여러 가지 면에서, 성찰은 직업적 정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Reflection can also help faculty members cope with a sense of dissonance regarding career choice35,51 that may emerge over time. In many ways, reflection can strengthen professional identities,

 

교수 개발자는 또한 [성찰적 실천]을 강화하기 위해 수많은 추가 참여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교수진 개발 및 교수진의 이야기를 기리는 네러티브의 역할, 또는 저널과 포트폴리오의 사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정체성에 대한 변화와 도전을 문서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교수 개발자로서, 우리는 종종 참여자들이 교수개발 활동에서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르침이나 평가에 관한 사례들을 사용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말하도록 격려한다.

Faculty developers can also use a number of additional engagement strategies to enhance reflective practices. These might include the role of narrative in faculty development and honoring faculty members’ stories,35 or the use of journals7 and portfolios,3 all of which can help to document change and challenges to identity. As faculty developers, we ofte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rticipants’ sharing their own experiences in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nd encourage them to tell their “story,” using case examples around teaching or assessment.

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용하십시오.
Capitalize on mentoring programs.


교수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특히 주니어 교직원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많은 대학에서 흔하다.
Mentoring programs for faculty members, especially junior faculty members, are common in many universities.53,54

멘토링은 [더 이상 공식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개인에게] 교수개발의 효과를 지속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경력 개발의 맥락에서, 직업적 우선 순위와 발전 기회에 대한 대화는 정체성과 관련된 자연스러운 토론 주제를 형성한다. 더구나 일부 교직원이 '임포스터 증후군'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역할, 능력, 자기 의심에 대한 지지적 성찰]의 기회가 경력을 쌓고 교사로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받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56

Mentoring could have an important role in sustaining the effects of faculty development once an individual is no longer engaged in a formal program. In the context of career development, conversations about professional priorities and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form a natural topic of discussion related to identity. Moreover, because some faculty members may suffer from an “imposter syndrome,” opportunities for supportive reflections on roles, abilities, and self-doubt can be helpful in charting a career and receiving the support needed to succeed as a teacher.56

 

 

교사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춘 독립형 교수진 개발 오퍼링 수행
Conduct stand-alone faculty development offerings focused on teachers’ identities


정체성은 그 자체로 워크샵의 주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Identity can also be the topic of a stand- alone workshop.

워크숍은 개인 정체성 탐색, 신분 형성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논의, UCSF에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방법에 대한 검토를 포함한 몇 가지 단계로 구성되었습니다.

The workshop comprised several steps, including the exploration of individual identities, a more general discussion of identity formation, and an examination of how to increase support for teache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at UCSF.

 

조직 변화 및 제도적 지원 옹호
Advocate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institutional support


우리는 또한 교사의 정체성, 역할, 발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교사와 교사들을 위한 지원의 하나의 표시이다. 교사들에게 학문적 진보를 향한 분명한 길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도 또 다른 방법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교사의 정당한 기여와 교육학술활동을 인정받아 진로와 승진 경로가 급변하고 있는데, 교수개발은 이러한 조직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헌에 따르면 개인들이 자신이 직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려면 [내부 및 외부의 두 가지 수준]에서 변화가 일어나야 하며, 조직의 발전과 변화가 일어나는 곳이 바로 여기다.

We also know that institutional support for teachers’ identities, roles, and development is critically important. Offer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s one sign of support for teaching and teachers. Making visible a clear path toward academic progression for teachers is another. In fact, career and promotion pathways have shift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in recognition of the legitimate contributions of teachers and educational scholarship,3 and faculty development can play a critical role in helping to bring about such organizational change.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for individuals to feel that they have a professional identity, change must occur on two levels—internally and externally7—and this is where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change come in. 

 

예를 들어, 조직 지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개인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위에서 설명한 대로), 
  • 교육 우수성을 지원하는 정책, 
  • 사용 가능한 리소스의 품질 및 관련성

For example, organizational support includes 

  • access to personal networks (as highlighted above), 
  • policies that support educational excellence, and 
  • the quality and relevance of available resources.



[업무 환경]은 성장을 가능케 하거나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덴티티 개발 및 지원에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요소를 형성한다.11 각종 [아카데미]들은 교육자 역할에 대한 구조적인 지원의 또 다른 예입니다. 아카데미란, [교육 혁신과 교육자에 대한 존경honor를 자극하고, 교직원의 교육 기술을 개발하고, 협업을 촉진하고, 멘토링을 제공하고, 승진 기준의 변화와 교육자 포트폴리오의 수용을 옹호하고, 승진 증진을 강화하도록 설계]되었다.
Work environments form another critical element in identity development and support1 because they can either enable or impede growth.61 Academies—which are designed to stimulate educational innovation and honor educators, develop the educational skills of faculty members, promote collaboration, provide mentoring, advocate for changes in promotion criteria and acceptance of educator portfolios, and enhance promotion46,60,62,63—are another example of structural support for the educator roles.

보건전문직에서의 학술연구단위도 특히 교육학자로서의 교사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원한다.64,65 그러한 Scholarship unit에서는 [교수개발에서 정체성 형성]을 중요한 연구분야로 다룰 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정체성 형성에서 전환점의 역할과 교사로서의 전문지식의 발전과 직업적 신분 형성 사이의 관계를 조사할 수 있었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hip units also reinforce and support teachers’ identities, especially as educational scholars.64,65 Such scholarship units could prioritize identity formation in faculty development a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They could also examine the role of transition points in identity 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s a teacher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또한 교육기관은 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있어 학생, 주민, 동료의 발전을 지원할 수 있다.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교사 경력을 쌓으려는 의지를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66

Institutions can als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udents, residents, and fellows in the formation of a teacher’s identity. Programs targeted to learners have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and their commitment to pursue a teaching career.66

결론

In Closing

리프 외 연구진은 교육 지도자와 교수 개발자는 교원 정체성의 성장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관계적, 맥락적 요인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Lieff et al1 have pointed out, educational leaders and faculty developers should be aware of the personal, relational, and contextual factors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eachers’ identities.

교수 개발은 교육에 대한 정체성teaching identity을 일깨울 수 있다. 교수개발에 온 사람들은 종종 그러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발전할 수 있는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faculty development can awaken a teaching identity. People who come to faculty development often have that identity, whereas others have a curiosity that can be developed.


여러 가지 면에서, 강한 정체성은 직업 선택뿐만 아니라 전문적 발전과 교육 리더십 기회의 선택을 지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Monrouxe12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In many ways, a strong sense of identity can help to direct the selec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al leadership opportunities as well as career choices. Monrouxe12 asserts that

 

강한 직업적 정체성은 개인들이 자신감과 "직업적 품행"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게 해주며, 따라서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준다.
a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enables individuals to practice with confidence and with a “professional demeanour,” thereby giving others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3 Irby DM, O’Sullivan PS. Developing and rewarding teachers as educators and scholars: Remarkable progress and daunting challenges. Med Educ. 2018;52:58–67.

 

5 Sklar DP. Moving from faculty development to faculty identity, growth, and empowerment. Acad Med. 2016;91:1585– 1587.

35 van Lankveld T, Schoonenboom J, Kusurkar RA, Volman M, Beishuizen J, Croiset G. Integrating the teaching role into one’s identity: A qualitative study of beginning undergraduate medical teacher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22:601–622.

18 Monrouxe L, Poole G. An onion? Conceptualising and researching identity. Med Educ. 2013;47:425–429. XXX

63 Shinkai K, Chen CA, Schwartz BS, Loeser H, Ashe C, Irby DM. Rethinking the educator portfolio: An innovative criteria-based model. Acad Med. 2018;93:1024–1028. XXX

56 LaDonna KA, Ginsburg S, Watling C. “Rising to the level of your incompetence”: What physicians’ self-assessment of their performance reveals about the imposter syndrome in medicine. Acad Med. 2018;93:763–768.

 

 


Acad Med. 2019 Jul;94(7):963-968.

 doi: 10.1097/ACM.0000000000002695.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Faculty Development

Yvonne Steinert 1Patricia S O'SullivanDavid M Irb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Y. Steinert is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directo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and Richard and Sylvia Cruess Chair in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P.S. O'Sullivan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surgery and directo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M. Irby is professor emeritus of medicine and senior research scientist,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 PMID: 30844931

 

Abstract

Although medical schools espouse a commitment to the educational mission, faculty members often struggle to develop and maintain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Teacher identity is important because it can exert a powerful influence on career choice, academic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However, most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focus on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rather than the awakening or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 identity. The goal of this Perspective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aculty members' professional identities as teachers, explore how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activities can support teachers' identities, and describe specific strategies that can be us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strategies include the embedding of identity and identity formation into existing offerings by asking questions related to identity, incorporating identity in longitudinal programs, building opportunities for community building and networking, promoting reflection, and capitalizing on mentorship. Stand-alone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focusing on teachers' identities can also be helpful, as can a variety of approaches that advocate for organizational change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achieve excell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faculty members need to embrace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and be supported in doing so by their institutions and by faculty development.

다시잡아두기: 어떻게 교육자가 상충하는 요구의 바다속에서 정체성을 유지하는가(Acad Med, 2019)

Remooring: A Qualitative Focus Group Exploration of How Educators Maintain Identity in a Sea of Competing Demands
Joshua Jauregui, MD, Patricia O’Sullivan, EdD, Summers Kalishman, PhD, Holly Nishimura, and Lynne Robins, PhD

 

 

학술의학academic medicine은 교수진의 임상, 연구, 교육의 토대 위에 세워진다.
Academic medicine is built on the foundation of academic faculty members’ clinical service, scholarship, and teaching.


보건 분야의 임상 교육자들에게 교육적 역할에서 탁월하다는 것이 항상 명확하게 그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대신, AHC는 전통적으로 교육적 우수성과 학술성이 기대되는 연구 기반 경력을 중시해왔지만 반드시 보상을 받는 것은 아니다.2
For clinical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excelling in educational roles is not always clearly valued. Instead, academic health centers have traditionally valued research-based careers in which educational excellence and scholarship is expected, but not necessarily rewarded.2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임상 교육자들은 그들의 업무를 일련의 역할과 책임으로 개념화하며, 교육자 정체성(EID)의 표현으로 개념화하지 않는다.3-6 비록 그들은 종종 임상 전문 분야에서 고급 교육을 받지만, 많은 사람들은 교육자로서 공식적인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하거나 아예 받지 않는다.7
Within this context, many clinical educators conceptualize their work as a series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not something they do as an expression of their educator identity (EID).3–6 Although they often have advanced training in their areas of clinical expertise, many have little or no formal training as educators.7


최근의 연구는 교육 기반 경력을 가진 임상 교육자들이 정체성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시사한다. 그들은 교육자의 역할과 책임을 맡으면서도 교육자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8 이러한 정체성 위기는 집단으로서 임상 교육자들이 전문적인 지원, 보안 및 장기적인 성공을 가능하게 하는 공유된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5,6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clinical educators with education-based careers face an identity crisis. They may not self- identify as educators even as they take on educator roles and responsibilities.8 This identity crisis may prevent clinical educators, as a group, from forming a shared identity that allows for professional support, security, and long- term success.5,6


[아이덴티티는 개인의 자아개념, 해석의 방식, 세계에 존재하는 방법]이다. 9,10 일반적으로 아이덴티티와 마찬가지로 EID도 개인이 [재해석 및 협상의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맥락]에서 생성되고 형성된다. 3,10–13 강한 아이디는 교수진을 위한 많은 이점과 연관되어 있다. 교육자로서 직업 만족도와 성취도의 향상, 직업적 고립과 감퇴의 감소를 포함한다.3–5 

Identity is an individual’s self-concept, manner of interpreting experience, and way of being in the world.9,10 EID, like identity generally, is created in and shaped by the contexts in which individuals interact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reinterpretation and negotiation.3,10–13 A strong EID has been associated with many benefits for faculty, including improvements in care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s educators, and decreases in professional isolation and attrition.3–5 

 

교수진 개발 펠로우쉽 프로그램(LFDP)은 1~2년간 지속되며, 종종 교수진 프로그램이나 의학 교육 펠로우쉽 프로그램으로 불리며 교수진의 EID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Longitudinal faculty development fellowship programs (LFDPs), lasting one to two years and often called teaching scholars programs or medical education fellowship programs, have been shown to enhance faculty members’ EID.

실천 공동체(CoPs)와 같은 LFDP는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종종 열정적인 실천에 대한 공유 접근 방식을 개발하는 공통 관심사를 가진 집단으로 인식된다.11
LFDPs, like communities of practice (CoPs), are recognizable as groups of people with common interests who, through sustained interaction, develop shared approaches to a practice about which they are often passionate.11

이러한 시간제한 CoP에 참여한 교수진들이 스스로 보고한 바에 따르면 행동 변화와 교육 학술활동이 증대되었다. 2차 적 이득으로 이들은 졸업생들의 교육과 학술활동의 질적 향상을 보고한다. 14,16,17 LFDP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역량, 자신감, 신뢰도, 연결성을 높이는 공유 학습 활동을 통해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게 된다는 점에서도 혁신적이다.
Faculty who have participated in these time-limited CoPs self-report behavior changes and increases in education scholarship; secondary beneficiaries report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graduates’ teaching and scholarship.14,16,17 LFDPs are also transformative in that participants come to identify as educators through shared learning activities that enhance their competence, confidence, credibility, and connection.15

교수들이 workplace에서 전임full-time으로 전환한 후 새로 구성된 EID를 유지하거나 학습을 translate하는 방법CoPs.18–21
how faculty members sustain their newly formed EID or translate their learning after they have transitioned full-time to their workplace CoPs.18–21

우리의 접근 방식은 교수개발을 [CoPs에 내장된 사회적 기업]으로 프레임화한다. 이는 여러 CoP로 구성된 역동적인 환경으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벵거의 관점에 의해 informed된 것이며, 두 개의 CoP에 연구를 집중하려는 O'Sulivan과 Irby의 과제에도 부합한다. 

Our approach frames faculty development as a social enterprise embedded in CoPs.19 It is informed by Wenger’s11 view of the world as a dynamic landscape consisting of multiple CoPs and responds to O’Sullivan and Irby’s19 challenge to focus research on two CoPs: 

  • the community created among participants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 the communities of teaching practice in the workplace.

 

 

방법

Method

 

연구 설계

Study design

우리는 구성주의적 기반 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여 다중 센터 교차 정성적 포커스 그룹 연구를 수행했다. 왜냐하면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은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데이터와 연구진들 사이의 적극적 관여]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그들의에 대해 성찰적이고 투명해야 한다.
We performed a multicenter, cross- sectional qualitative focus group study using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Becaus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s one of active engagement between the data and the researchers while developing new theories, the researchers should be reflexive and transparent about their roles.22,23

데이터 해석의 지나친 편향을 피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의 결정과 해석, 그리고 그것들이 우리의 개인적인 신념과 경험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반사적인 대화를 육성하기 위해 정기 회의를 예약했다.

To avoid undue bias in interpretation of the data, we scheduled regular meetings to foster reflexive dialogue about our decisions and interpretations and how they related to our own personal beliefs and experiences.

설정

Setting

 

도구 및 자료 수집

Instruments and data collection

우리는 참가자들의 공유된 경험과 인식을 이끌어내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 포커스 그룹을 선택했다. 24,25 우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직장 환경의 더 큰 맥락에서 EID의 진화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탐구하기 위해 졸업 후 1년 5년 후 코호트를 의도적으로 모집했다. 주임 조사관(J.J.)은 포커스 그룹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조사관(L.R.)이 관찰한 파일럿 포커스 그룹을 수행한 후 각 기관으로 이동하여 모든 포커스 그룹을 용이하게 하였다.
We chose focus groups as a data collection method to elicit participants’ shared experiences and perceptions.24,25 We purposely recruited cohorts one year and five years post graduation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f the evolution of EID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over time. The lead investigator (J.J.) facilitated all focus groups, traveling to each institution to conduct them, after conducting a pilot focus group observed by an investigator (L.R.) with expertise in focus groups.

 

CoP와 사회 정체성 이론 문헌은 포커스 그룹 가이드에 정보를 제공하였다. 모든 저자들은 파일럿 포커스 그룹 이후의 초기 포커스 그룹 가이드에 동의했고, 두 명의 저자(J.J.와 L.R.)는 신흥 테마의 탐사가 가능하도록 각 포커스 그룹 이후에 검토하고 수정했다.

CoP and social identity theory literature informed the focus group guide. All authors agreed on the initial focus group guide after the pilot focus group, and two authors (J.J. and L.R.) reviewed and amended it after each focus group to allow exploration of emerging themes.

보충 디지털 부록 1을 참조하십시오.

  •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vailable at http://links.lww.com/ACADMED/A580, for the protocol.

 

포커스 그룹에서 불일치 시각이 표면화되었을 때, 선임 조사자(J.J.)는 최종 분석에서 그들의 발생을 적절히 설명하기 위해 후속 포커스 그룹에서 그것들을 탐색했다. 이는 각 포커스 그룹에 이어 스크립트를 분석하는 반복 접근 방식과 일치하여 관심 영역에 대해 더 깊이 조사할 수 있었다. 기관별, 대학원별로 다른 주제에도 참석했습니다.
When discrepant views surfaced in a focus group, the lead investigator (J.J.) explored them in subsequent focus groups to make sure we adequately accounted for their occurrence in the final analysis. This was in keeping with our iterative approach to analyzing transcripts following each focus group, so we could probe more deeply into areas of interest. We also attended to themes that differed across institutions and postgraduate years.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우리는 상수 비교 접근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주제 분석을 수행했다.26,27 

  • 세 명의 저자가 처음에 모든 스크립트(J.J., H.N., L.R.)를 독립적으로 코드화했다. 
  • 모든 저자는 초기 코드를 반복적이고 공동으로 검토하여 예비 범주와 테마를 식별하였다. 
  • 두 명의 저자가 두 번째 코딩(J.J., L.R.)을 실시했다. 
  • 그 후 네 명의 저자가 만나 코드를 검토하고, 불일치를 해결하며, 필요에 따라 코드를 수정하고, 주제 구조의 최종 구성에 합의하였다(J.J., L.R., P.).O'S, S.K.) 
  • Wenger의 11개의 CoP와 Tajfel의 10개의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발견의 해석과 중요한 주제와 관계의 발전에 대한 우리의 정보를 알려 주었다. 
  • 두 명의 저자(J.J., L.R.)는 각 주제에서 코드화된 모든 발췌문을 최종 판독하여 주제와의 정렬을 확인하고 개념 모델을 개발하였다. 

We used the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to conduct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26,27 

  • Three authors initially independently coded all transcripts (J.J., H.N., L.R.). 
  • All authors iteratively and collaboratively reviewed the initial codes to identify preliminary categories and themes. 
  • Two authors conducted a second round of coding (J.J., L.R.). 
  • Then four authors met to review the codes, resolve discrepancies, revise codes as necessary, and agree on the final organization of the thematic structure (J.J., L.R., P.O’S., S.K.).
  • Wenger’s11 CoP and Tajfel’s10 social identity theories informed our interpretation of findings and the development of overarching themes and relationships.
  • Two authors (J.J., L.R.) performed a final reading of all excerpts coded under each theme, checking for alignment with the themes and developing the conceptual model. 



분석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우리는 구성원 확인을 수행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주제와 최종 개념 모델을 포함한 예비 조사 결과를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했다. 그들은 그 주제들이 그들의 경험에 반향을 일으켰다고 보고했다. 8개 코호트의 테마를 삼각 측량하는 것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To ensure trustworthiness of the analysis, we performed member checking. Participants reviewed preliminary findings including themes and the final conceptual model and provided feedback. They reported that the themes resonated with their experience. Triangulation of the themes from all eight cohorts helped ensure credibility of the data.

결과

Results

교직원 37명(졸업 후 1년 후 17명, 졸업 후 5년 후 20명)이 50~60분 동안 8개 포커스 그룹에 참여했다(표 1).
Thirty-seven faculty members (17 from one year post graduation, 20 from five years post graduation) participated in eight focus groups lasting 50 to 60 minutes (Table 1).

 

 

 

 

새 EID의 형성
Formation of new EID


교수진들은 그들의 LFDP CoP의 맥락에서 새로운 EID를 개발한다고 보고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았다.

  • 교육 언어에 대한 그들의 증가하는 숙달, 
  •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는지근거기반교육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새로운 기술과 자신감의 표시

모든 그룹은 졸업 날짜나 기관 제휴에 관계없이 이러한 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Faculty members reported developing a new EID in the contexts of their LFDP CoPs as evidenced by

  • their growing mastery of the educational language,
  • the ability to explain how people learn and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based teaching methods, and
  • the display of new skills and confidence.

All groups reported these findings, regardless of their graduation dates or institutional affiliation.

교수진들은 EID를 가정하는assuming 것을 묘사했고, [그들 자신을 믿을 만한 임상의와 신뢰할 수 있는 교육자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Faculty members described assuming EIDs and began to think of themselves as both credible clinicians and credible educators.

LFDP CoP는 [학구적인 추구scholarly pursuit]로서 [교육에 대한 공통된 열정으로, 과거에는 몰랐던,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에의 입장을 제공하였다.
The LFDP CoP provided entrance into a previously unknown community of like- minded people with a shared passion for education as a scholarly pursuit,

졸업생들은 또한 그들이 LFDP 참여를 통해 배운 새로운 언어가 어떻게 그들이 보건전문직 교육 분야의 리더들과 새롭게 소통하고 네트워킹할 수 있게 되었는지를 묘사했다.

Graduates also described how the new language they learn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LFDP enabled them to newly communicate and network with leade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ID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n EID



맥락.
Context.


[참가자의 EID뿐 아니라 지역, 지역, 국가 지원 및 위협에 대한 기관 및 부서의 장벽과 촉진자를 포괄하는] 맥락은 개인의 EID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참가자들은 졸업 후 LFDP 커뮤니티에서 이탈한 느낌을 설명하며, 보다 넓은 실천 영역에서는 새로 형성된 EID와 경쟁하여 정체성에 수반되는 제도적 요구와 책임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Context—encompassing institutional and departmental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participants’ EIDs as well as local, regional, and national supports and threats—exerted tremendous influence,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on an individual’s EID. Participants described feeling adrift from their LFDP community after graduation, explaining that in the wider landscape of practice, they needed to respond to institutional demands and responsibilities attached to identities in competition with their newly formed EID.

제 생각에 만약 이것에 대해 부정적인 것이 있다면, 직장에 복귀할 때, 이런 경험을 하는 것, 한편으로는, 개인적으로 그것에 대해 약간 흥분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당신 주위에는 아무도 없습니다. (제3조, 제5조)
I think if there’s anything that’s negative about this is that, when you return to work … having an experience like this, it, on one hand, you’re personally kind of excited about it. On the other hand, no one else around you is. (Institution 3, year 5)


참여자들의 [만족도와 가치감sense of value]은 교육자로서 그들의 목표가 더 넓은 [실천의 영역에 있는 사람들과 얼마나 잘 조화를 이루는지]에 의해 종종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가치관은 임상 교육자들을 활기차게 하거나 마비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sense of value was often affected by how well their goals as educators aligned with those in the wider landscape of practice. This sense of value had the power to energize or paralyze clinical educators.

매수buy-in가 없을 때는 매우 불만족스럽다. 꼼짝도 못하잖아. 나도 발전이 안 되고 기관도 발전이 안 돼서 너무 아쉽다. (제2, 제5조)
It’s very dissatisfying when there’s no buy-in. You’re stuck. You can’t make any progress and the institution couldn’t make any progress, so it’s very disappointing. (Institution 2, year 5)

 

[2년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LFDP 커뮤니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의도적으로 연습할 수 있기 때문에]더 넓은 연습 환경에서 새로 습득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자신감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이것은 1년짜리 프로그램 참가자들과는 대조적이었다.

Participants in two-year programs described feeling confident about using newly acquired skills in their wider landscapes of practice because they were able to gradually and deliberately rehearse them over time in their LFDP communities. This was in contrast to one-year program participants,

 

우리는 이 멋진 프로그램을 1년 동안 진행했는데, 그러고는 그 다음에는 절벽 뿐이다. 그냥 없어졌다. (1년제, 1년제, 1년제)
We had this wonderful program over the year and then there’s a cliff. It’s just gone. (Institution 1, year 1; one-year program)

 

에이전시.
Agency.


맥락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개별 행위자agency의 중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황적 장애 요인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수진이 광범위한 실무 환경에서 EID를 수정하고 재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찾는 것을 기술하였다.
An overemphasis on context may diminish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agency—the individual’s motivation and determination to find creative ways to respond to their situations.11 Despite contextual impediments, many faculty members described searching for structures to which they could remoor and reaffirm their EID in their wider landscapes of practice.


참가자들은 교육자의 역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장에서 더 많은 만족감을 느꼈으며, 기관 내에서나 전국적으로 교육자로서 점점 더 많은 소속사와 정체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
Participants reported feeling more satisfied at work as their competence as educators grew—and increasingly empowered to exert their agency and identity as educators both within their institutions and nationally,

몇몇 참가자들은 LFDP에 참여하기 전에 학문적 의학을 완전히 떠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들의 새롭게 형성된 EID는 그들을 지역적 그리고 국가적으로 학문적 의학에 참여하도록 유지시켰다.

Several participants reported that prior to participating in an LFDP, they were considering leaving academic medicine entirely. Their newly formed EID kept them involved in academic medicine, both locally and nationally.

제가 방사선학 교육회장이 되는 것을 도왔습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나는 회원으로 복무했고 그리고 나서 officer가 되었다. 그리고 제가 LFDP와 석사과정으로부터 배우고 얻은 것을 통해, 교육자로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저를 발전시키는 데 그 역할을 할 수 있었습니다. (제1기, 제5기)
It [LFDP] helped me to become president of one of the education societies in radiology. Over the course of the years, I served as a member and then I became an officer. And from what I’ve learned and gained from both it [LFDP] and the master’s program, I have been able to sort of parlay that into developing myself as an educator, on the national level. (Institution 1, year 5)

 

졸업생들은 그들의 지역 직장에서 교육 변화의 주체가 되었고, 학문의학에서 임상의사 교육자의 역할을 옹호한다고 보고했다.

Graduates reported becoming agents of educational change in their local workplace and advocates for the role of clinician educators in academic medicine.

저는 다양한 커리큘럼과 임상 교육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데 있어 제 부서로 복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교수진 개발 같은 것을 하고 있습니다.
I think being able to bring back to my department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arious curricular, clinical didactic … I’m doing faculty development kinds of things.

 

졸업생들은 솔선하여 [교직원을 멘토링]하거나 [다른 교직원을 교육자 CoP에 초대]하는 것을 기술했다.

Graduates described taking the initiative to mentor faculty or invite other faculty members into the educator CoP,

의학 교육 아카데미가 한 기관에 있을 때, 그것은 다른 교육자들과 연결되고 한 사람의 EID를 강화하는 맥락을 제공했다.

When an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was present at an institution, it provided a context for connecting with other educators and bolstering one’s EID.

[LFDP]의 경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의학 교육자 협회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지만, 우리는 그 안에 있습니다. 저는 정말 놀랍습니다. 나는 그 공동체의 일원이 되고 싶어. 그래서 나는 네가 조금 더 열심히 노력한다고 생각해. 나는 그것이 확실히 여기서 우리의 검증에 보탬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제가 말했듯이, 저는 교육에 대한 지원도 없고, 보호 시간도 없습니다. 외부 보조금 지원금을 받아야 하는데… 하지만 저는 그게 제 지역 사회라고 생각합니다. (제2, 제5조)
If you’re in [LFDP], it gave you an idea of things more to strive for. I’d never heard of the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before, but we’re in it … and I’m like wow, that’s really striking to see. I want to be part of that community, so I think you strive a little bit harder. I can tell you it definitely adds to our validation here. Like I said, I don’t have support for education, I don’t have protected time. I have to get outside grant funding … but I feel that it’s [the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my own community. (Institution 2, year 5)


졸업생들은 인맥을 쌓는 동시에, [교육 활동에 계속 관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Graduates described actively seeking ways to create projects to stay involved in educational pursuits while building connection.

제도적으로 교육 시간이 제한된 졸업생들은 종종 그들의 EID를 유지하기 위해 개인적인 시간을 사용해야 했다.
Graduates with limited institutionally sanctioned time for education often had to use personal time to maintain their EID,

 


고찰

Discussion

개인은 어느 순간에나 (다소 두드러지는) [다수의 사회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두드러짐salience]은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고 영향을 줄 수 있다. 벵거의 사회이론에 따르면, (LFDP를 포함한) CoPs는 고립된 것이 아니라, 개인이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와 사회 구조를 구성하는 광범위한 사회 시스템] 내에서 기능한다. 이러한 실무적 관점에서,

  • 개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 다른 CoP를 식별 또는 비식별identify or deidentify하거나,
  • [여러 커뮤니티 사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협상하거나, [특정 커뮤니티에 내에서 자신의 역량 및 책임]을 협상할 수 있다.

An individual has a multitude of social identities that become more or less salient at any moment of time; this relative salience can motivate and affect behavior.28,29 According to Wenger’s11 social theory, CoPs, including LFDPs, are not isolated but function within broader social systems that comprise many different communities and social structures with which individuals can identify. Within these landscapes of practice, individuals can

  • identity and/or deidentify with different CoPs over time, or
  • negotiate their identities among multiple communities and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e and accountability to that community.

LFDP 졸업은 교수진이 취약하다고 느낄 때 전환점이 되기도 하였다. [EID를 유지하고자 하는 졸업생]들은 교육자들이 전통적으로 학문적 의학에서 수행하는 [추가적인 역할의 제정]을 해야했기에 어려움을 겪었다.10,11 교육은 종종 연구와 임상 활동에 뒷전으로 밀린다. 의료 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저평가된 느낌, 두드러진 EID 개발의 어려움 및 낮은 자존감을 설명하였다.6 이것은 그룹의 낮은 자존감과 그 그룹과 동일시하려는 구성원의 욕구 사이의 잘 확립된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EID를 위협할 수 있다.
Graduation from an LFDP represents a transition point when faculty feel vulnerable. Graduates wishing to maintain their EIDs face challenges in doing so through enactment of the additional roles that educators traditionally play in academic medicine.10,11 Medical education often takes a back seat to research and clinical activities. In a previous study of medical educators, participants described feeling undervalued, reporting difficulty developing salient EIDs and low self- esteem.6 This can threaten EID, given the well-established correlation between a group’s low self-esteem and its members’ desire to deidentify with that group.10,30

[강력한 개인의 행위자성] 또는 [기관의 서포트]을 받은 졸업생들은 더 넓은 제도적 맥락에서 교육적 지원으로 전환함으로써 그들의 EID를 [두드러지게salient] 만들 수 있었다. 예를 들어, LFDP의 AoME 졸업자들은 이 영구적인 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할 때마다 임상 교육자로 재인식할 수 있는 힘을 느낀다고 설명했습니다. 2년제 펠로우쉽을 졸업한 교수진은 Fellowship CoP의 도움을 받아 EID를 기관지원시스템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숙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면서 LFDP 2년차에 번역을 연습하는 것이 장기 전환기라는 이점을 설명했다. 

Graduates with strong individual agency or institutional support were able to make their EIDs salient by remooring to educational supports in the wider institutional context. For example, graduates from the LFDP with an institutional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described feeling empowered by this enduring community to reidentify as clinical educators every time they engaged in its activities. Faculty members who graduated from two-year fellowships described the benefits of having time to be deliberate about remooring their EIDs to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with the help of their fellowship CoP, practicing translation during the second year of their LFDPs, which functioned as a prolonged transition period.

 

지원 컨텍스트의 정도에 관계없이, [두드러진salient EID를 가진 졸업생]들은 창의적으로 설계하거나 협력 교육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EID 지원에 연결하는 agency을 균일하게 사용exert했다. 종종, EID를 유지하는 데 가장 성공한 졸업생들은 LFDP를 졸업하기 전에 장기적인 교육 참여 기회를 생각하고 추구하기 시작했다.

Uniformly, an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supportive context, graduates with salient EID exerted agency to connect to EID supports by creatively designing or engaging in collaborative educational activities. Often, the graduates most successful at maintaining their EID began thinking about and pursuing long-term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engagement prior to graduation from the LFDP.

졸업생들은 [교육이 우선순위가 아닌 환경]에서 [교육적 변화를 촉진하려고 했을 때] EID의 [좌절감frustration]을 경험했다. 이러한 경우, 그들은 다음을 원한다는 것을 표현했다.

  • 개선된 멘토십
  • 교육 주제와 기사를 위한 간결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자원
  • 다른 졸업생들과 정기적으로 만나기 위한 공식적인 구조
  • 보호된 교육 시간
  • 더 많은 교육 연구 기금

Graduates experienced EID frustration when they tried to facilitate educational change in environments where this was not a priority. In these instances, they expressed a desire for 

  • improved mentorship;
  • a concise, easily accessible online resource for education topics and articles;
  • a formal structure for meeting regularly with other graduates;
  • protected education time; and
  • more educational research funding.

가장 자주, 그들은 현재 진행 중인 CoP가 임상 교육자로서 그들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표현했다.

Most often, they expressed a desire for an ongoing CoP to help support them as clinical educators.

어떤 경우, 졸업생들이 자신을 지지적인 맥락에 있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개인적인 이유나 직업적인 이유로 그들의 EID로부터 [표류]할 것이다. 종종, 이것은 [자신의 임상의 정체성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욕망]에서 비롯되었는데, 그것은 종종 교수진이 그들의 EID와 대립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많은 졸업생들이 EID를 뒷받침하는 활동에 대한 참여가 제한적이었는데, 이는 제도적 지원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참여로 인해 [가족과 가정 생활에서 시간을 빼앗겼기 때문]이었습니다. 교육 프로젝트를 위하여 헌신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이것은 [교수진의 reengagement 준비]가 개인적인 일정에 따라 흥할수도, 쇠퇴할수도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중요한 사항이다. 기관들은 임상 교육자 교직원이 개인 및 직업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31
In some instances, even when graduates found themselves in supportive contexts, they would drift from their EID for personal or professional reasons. Oftentimes, this originated from a desire to develop their clinician identities, which faculty often depicted as at odds with their EIDs. Many graduates limited involvement in activities that bolstered their EID, not because of a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but because they perceived that involvement took time away from their home and family life—they did not have dedicated time for education projects. This is an important reminder that faculty readiness for reengagement can wax and wane according to personal timelines. Institutions need to support clinical educator faculty in ways that allow them to fully attend to personal and career goals.31

 

드물게는 참가자들이 [낮은 수준의 지지를 받는 맥락에서, 작은 규모의 agency]를 반영하는 발언을 통해 [정체성의 침식]을 언급하였다. [침식]은 [EID를 유지하려는 동기가 낮았던] '표류'와 비슷하다. 그러나 [침식]은 침식을 경험하는 개인이 [추가적인 상황적 지원의 부족을 인식한다는 점]에서 [표류]와는 다르다. 이러한 요인들의 조합은 EID를 감소시켰고, 특히 5년 동안 졸업생들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 그룹에 맞는 참가자는 더 적습니다. 아마도 우리의 연구가 자원봉사를 한 졸업생들의 편의 표본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일 것입니다.
Rarely, participants made statements reflecting a small degree of agency in a context with a seemingly small degree of support, leading to a sense of identity erosion. Erosion is similar to drift in that motivation to maintain EID was seemingly low. It differs from drift in the sense that the individuals experiencing erosion additionally perceived a lack of contextual support. The combination of these factors led to diminishing EID, most notably in the graduates five years out. Fewer participants fit into this group, possibly because our study was based on a convenience sample of graduate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우리의 연구 결과는 [지원 시스템과 리소스가 EID 지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우], 교수개발 훈련의 이점이 직장으로 전이될transfer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는 참여자들이 그들의 기관의 교육 가치와 관련하여 그들의 교육 정체성을 구축했다는 칸틸론 및 동료들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Our findings substantiate that the benefits of faculty development training are more likely transferred to the workplace if support systems and resources are available to facilitate EID salience.33 This is consistent with Cantillon and colleagues’34 findings that participants constructed their teaching identities in relation to their institution’s value of teaching.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결과는 교수 개발자로서 우리가 LFDP와 졸업 후 직장 커뮤니티라는 두 가지 CoP를 염두에 두고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LFDP 참가자들은 졸업 후 무정함을 느낀다고 보고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변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Despite these limitations, our findings have taught us that we, as faculty developers, need to design ou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with two CoPs in mind: the LFDP and the postgraduation workplace community. Because LFDP participants report feeling unmoored post graduation, we need to prepare them for this transition. 

우리의 연구 결과는 또한 부서 의장과 학장이 임상 교육자가 인정받고 보상받고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승진을 위한 [임상 교육자 트랙]을 만들고 [교육을 위해 헌신할 시간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실질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맥락은 중요하다. 우리가 교수를 발전시킬수록, 우리는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질에 미치는 교수진의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 맥락적 지원을 더 의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Our findings also suggest that departmental chairs and deans need to take practical steps, such as creating clinical educator tracks for promotion and providing dedicated time for education, to ensure that clinical educators are recognized, rewarded, and retained. Context matters, and as we develop our faculty, we also need to more deliberately develop the contextual supports to maximize faculty impact on the quality of our education programs.  

 

 

 

 


Multicenter Study

 

Acad Med

  •  
  •  
  •  

. 2019 Jan;94(1):122-128.

 doi: 10.1097/ACM.0000000000002394.

Remooring: A Qualitative Focus Group Exploration of How Educators Maintain Identity in a Sea of Competing Demands

Joshua Jauregui 1Patricia O'SullivanSummers KalishmanHolly NishimuraLynne Robin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J. Jauregui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P. O'Sullivan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S. Kalishman is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Albuquerque, New Mexico. H. Nishimura is research analyst, Center for Faculty Educator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L. Robins is professor, Department of Biomedical Informatics and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 PMID: 30095452

 

Abstract

Purpose: Longitudinal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LFDPs) are communities of practice (CoPs) that support development of participants' educator identity (EID). This study explored how program graduates negotiated their newly formed EIDs among competing identities and demands in academic medicine.

Method: In this multicenter, cross-sectional, qualitative study, graduates of two LFDP cohorts (one and five years post graduation) were invited in 2015 to participate in a one-hour, cohort-specific focus group. The focus group included questions about views of themselves as educators, experiences of transition out of the LFDP, and sustainability of their EID following program participation. Researchers analyzed transcripts using Wenger's CoP and Tajfel's social identity theories to guide interpretation of findings.

Results: Thirty-seven graduates, 17 from one year and 20 from five years post graduation, participated in eight focus groups. They described developing a new EID in their LFDP CoPs. Three major themes emerged: context, agency, and identity. A push-pull relationship among these themes influenced faculty members' EID trajectory over time. Graduates described feeling unmoored from their LFDP community after graduation and relied on individual agency to remoor their new identities to supports in the larger institutional context.

Conclusions: LFDP graduation represented a transition point. Graduates found it challenging to lose supports from their time-limited CoP and remoor their EIDs to workplace supports. Remooring required individual agency and external support and affirmati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must be designed with transition periods and sustainability in mind to ensure that participants and institutions can benefit from their transformative effects over time.

임상교사 되기: 맥락 속에서의 정체성 형성(Acad Med, 2019)

Becoming a Clinical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Context
Peter Cantillon, MHPE, MSc, MRCGP, Tim Dornan, PhD, MHPE, MRCP, and Willem De Grave, PhD

 

 

 

 

보건 분야에서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의 필수 구성 요소인 임상 교육은 종종 계획되지 않은 비효율적이고 때로는 위협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1 임상 교사는 임상 학습 환경의 품질에 대한 중요한 결정 요소이지만 대부분의 임상 교사는 가르치도록 훈련받지 않았다.2 임상 교사를 위한 교수개발 이니셔티브는 불충분한 출석, 부적절한 학습 전이, 임상 커뮤니티의 변화에 대한 저항으로 인해 방해를 받아 왔으며, 일부에서는 임상 교사를 위한 교수 개발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숨겨진 커리큘럼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공식적인 교수진 개발이 없는 상황에서 많은 임상 교사들이 그 직업에 대한 그들의 업무trade을 배우고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의학 교육계는 [임상 교사가 되는 것]과 [임상 환경에서 일하는 것]의 관계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7

Clinical education, a vital component of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trai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is often characterized as unplanned, inefficient, and at times intimidating.1 Clinical teachers are critical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yet most clinical teachers have not been trained to teach.2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for clinical teachers have been hampered by poor attendance,3 inadequate learning transfer,4 and resistance to change in clinical communities,5 leading some to suggest that there is a hidden curriculum in the workplace that diminishes the effects of faculty development for clinical teachers.6 In the absence of formal faculty development, many clinical teachers are likely learning their trade on the job, but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as a poo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coming a clinical teacher and working in clinical settings.7

최근 주류 K-12 및 고등교육의 교사 개발에 대한 학문적 리뷰는 [교사 정체성]을 교사 생활의 중요한 조직 요소로 부각시켰다.8,9 [교사 정체성]은 교사가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다른 사람이 어떻게 보는지를,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규정한다.10
Recent academic reviews of teacher development in mainstream K–12 and higher education have highlighted teacher identity as a critical organizing element in the life of a teacher.8,9 Teacher identity defines how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how they are seen by others, and how they choose to conduct themselves.10

건강직업에서 정체성 연구는 주로 의대생과 초기 의대 졸업생의 직업 정체성의 출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반면 보건전문교사 정체성 개발 연구는 미미했다.

In the health professions, identity scholarship has largely focused on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and recent medical graduates.12 By contrast,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fessional teacher identity has been minimal.


아이덴티티 연구의

  • 한 쪽 끝에는 아이덴티티 발전을 위치시키는 개인주의(실증주의)
  • 시각과 문화적인 맥락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덴티티를 개념화하는 사회적 관계주의(상대주의) 관점

...사이의 인식적 연속체로 개념화할 수 있다.15

The scholarship of identity can be conceptualized as an epistemic continuum between, 

  • at one end, individualist (positivist) perspectives that situate identity development within the person and, 
  • at the other, social relational (relativist) standpoints that conceptualize identity as construc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in cultural contexts.15


[개인주의적 관점]은 [경험과 상황적 요인의 내부 합성]을 통해 개인들을 [하나의 일관성 있는 자아]로 구성하는 행위자agent로 위치시킨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에서 아이덴티티는 발달적 단계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고, [아이덴티티 상태]를 사용하여 분류될 수 있는 [안정적인 구성(자기 체계)]이다.

Individualist standpoints position individuals as agents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own identities through an internal synthesis of experience and contextual factors into a single coherent self.16,17 Identity, from this theoretical perspective, is a stable construct (a self-schema) that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developmental stages16,18 and categorized using identity statuses.17

 

대조적으로, [사회적 관계적 관점]은 개인들이 [다른 사람들과 대화적으로 그리고 사회적 맥락과 관련하여 그들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역동적인 사회적 과정]으로서 정체성 형성을 구성한다. 정체성은 재산property이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환경에 놓여 있는 [지속적인 과정]이다.19-21 이러한 사회적 관계적 관점에서 정체성은 [복잡하고 유동적이며 협상적]이다. Gee10이 설명하듯이, 관계적 정체성은 "특정 상황에서 특정한 '종류의 사람'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A social relational perspective, in contrast, construes identity formation as a dynamic social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construct their identity interactively with others and in relation to social context. Identity is not a property; rather, it is continuing process, situated in social and cultural settings.19–21 Identity, from this social relational perspective, is complex, fluid, and negotiated. As Gee10 describes, relational identity is “being recognized as a certain ‘kind of person’ in a given context.”

 

 


방법

Method

 

우리는 Levac과 동료들에 의해 요약된 6개의 단계 중 (1) 연구 질문 식별 (2) 관련 연구 확인 (3) 연구 선택 (4) 데이터 차트 작성, 요약 및 결과 보고의 다섯 가지 단계를 사용하여 범위 검토(2017년 6월)를 구성했다.22
We structured our scoping review (June 2017) using five of the six phases outlined by Levac and colleagues: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2)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3) selecting studies; (4) charting the data; and (5) collating, summarizing, and reporting the results.22



검색전략
Search strategy

 

 


데이터 선별
Data screening

 


데이터 차트 작성
Data charting

데이터 합성

Data synthesis

 

 



결과

Results

최종 데이터 세트( 박사학위 논문 25–28 및 저널 기사 30개 29–58)의 인구통계학적 세부 사항을 표 1에 요약하였다.
We have summarized the demographic details of the final dataset—4 doctoral theses25–28 and 30 journal articles29–58—in Table 1.

 

 



34개 연구 중 21개 연구(62%)가 연구를 배치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채택하지 않았으며, 다른 8개 연구(23%)는 이론을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했다. 34개 연구 중 단 5개 연구(15%)만이 연구과정에 걸쳐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통합했다. 흥미롭게도, 14개 연구의 저자(41%)는 기초 이론이나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여 강력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시사했다.

We found that 21 of the 34 included studies (62%) did not employ a theoretical framework to situate their research, and another 8 studies (23%) made very limited use of theory. Only 5 of the 34 studies (15%)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s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Interestingly, the authors of 14 studies (41%) explicitly stated that they were using either a grounded theory or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mplying a strong theoretical framework.

 

데이터 합성
Data synthesis


34개 연구 중 24개 연구(71%)를 오리엔테이션에서 주로 개인주의자로 분류했고(표 2 참조), 나머지 10개는 주로 사회적 관계(표 3 참조)로 분류했다.
We categorized 24 of the 34 studies (71%) as primarily individualist in orientation (see Table 2) and the other 10 as primarily social relational (see Table 3).

우리는 개인주의 연구에서 다음 세 가지 주제를 확인했다.
We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themes in the individualist studies:

(1) 정체성 저글링 (교사가 다양한 직업적 정체성을 어떻게 포지셔닝하는지) 
(1) Identity juggling (How teachers position their various professional identities); 

 

(2) 정체성 상호관계(임상의와 교사 정체성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2) Identity mutuality (How clinician and teacher identities relate to one another); and 

 

(3) 정체성 통합 (교사들이 일관성 있는 교사 정체성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법)

(3) Identity integration (How teachers strive to develop a coherent teacher identity).

 

 

 

 

 

우리는 사회 관계 연구에서 네 가지 주제를 확인했다.
We identified four themes in the social relational studies:

(1) 우발적 존재로서의 정체성(교사의 정체성이 사회적 인정과 지원에 어떻게 좌우되는가)
(1) Identity as contingent (How teacher identity is contingent on social acknowledgment and support);


(2) 협상된 정체성 (교사의 정체성이 개인과 직장 맥락 사이에서 어떻게 공동 구성되는가);
(2) Identity as negotiated (How teacher identity is co-constructed between individuals and workplace contexts);


(3) 조직적으로 inform되는 정체성(정체성이 조직문화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가)
(3) Identity as organizationally informed (How identity is shaped by organizational culture); and


(4) 의사 소통되는 정체성 (교사와 임상 동료 간에 신분 전달 방법)

(4) Identity as communicated (How identity is communicated between teachers and clinical peers).

 

 

 

개인주의 테마
Individualist themes

 

아이덴티티 저글링.
Identity juggling.


임상 선생님이 되는 것은 가르치는 것과 다른 직업적인 역할들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것을 의미했다. 교사들이 그들의 교수 역할을 개념화한 다양한 방법들은 그들의 다른 전문적 정체성(예: 보이지 않음, 병합됨, 구획화됨 또는 계층화됨; 표 2)에 의해 그들의 교수 동기와 관행에 강하게 영향을 미쳤다. 

  • 예를 들어, [보이지 않는invisible 교사 정체성]을 가진 교사들은 임상 교육을 저복잡성 활동으로 지정했으며, 따라서 지속적인 전문적 발전을 위한 우선순위가 높지 않았다.
  • 대조적으로, 자신의 교사 정체성을 임상의사 정체성과 [명시적으로 병합된 것explicitely merged]으로 개념화한 임상 교사들은 그들의 교사 역할을 더 중시하고, 효과적인 교육 행동을 옹호하며, 교육자의 소셜 네트워크에 관여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being a clinical teacher meant walking a tightrope between teaching and other professional roles. The various ways in which teachers conceptualized their teaching role vis-à-vis their other professional identities (e.g., invisible, merged, compartmentalized, or hierarchical; Table 2) strongly influenced their teaching motivations and practices.

  • For example, teachers with invisible teacher identities positioned clinical teaching as a low-complexity activity and, therefore, not as high a priority for thei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25
  • In contrast, clinical teachers who conceptualized their teacher identity as explicitly merged with their clinician identity were more likely to value their teaching roles,34 espouse effective teaching behaviors,34 and engage with social networks of educators.44



정체성 상호 관계.
Identity mutuality.


임상 교사 정체성은 [임상 교사 정체성의 지위]를 뒷받침했다. 특히, [임상적 통찰력이 있다고 인식되는 것]은 [임상 교사로서의 신뢰성]을 강화했다.33,39 일부 사례에서 그 반대도 사실이었다. 즉, 공식적인 임상 교사 역할을 갖는 것은 임상 동료들 사이에서 임상의 지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42,44 흥미롭게도, 전임인 동료와 비교했을 때, 파트타임으로 교육업무 임용을 받은 임상 교사들은, 환자 진료 약속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교사로서의 자기 효능감이 줄어든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35
Clinician identity underpinned the standing of clinical teacher identity. In particular, perceived clinical acumen reinforced the clinical teachers’ credibility.33,39 In some cases the converse was also true; that is, having a formal clinical teacher role could enhance a clinician’s status amongst clinical peers.42,44 Interestingly, clinical teachers with part-time academic appointments expressed a sense of diminished self- efficacy as teachers in comparison with their full-time clinician colleagues because of their reduced patient care commitments.35



정체성 통합.
Identity integration.


임상 교사들은 자신의 교사 정체성 구축 시 [역할 모델, 교수 경험, 학습자 피드백, 성찰]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들은 교사가 되는 과정을 모범적인 사람, 성공, 실패, 그리고 일관성 있는 교사 정체성에 대한 성찰적 통찰력을 통합한 self-authored 과정으로 묘사했다. 26,43,51 이 연구들은 또한 교사들이 그들의 직업적, 개인적, 그리고 교사 정체성 사이에서 어떻게 조화를 이루려고 노력했는지를 보여주었다.38
Clinical teachers emphasized the part played by role models, teaching experiences, learner feedback, and reflection in constructing their own teacher identities. They portrayed becoming a teacher as a self-authored process in which they integrated the example of model persons, successes, failures, and reflective insights into a coherent teacher identity.26,43,51 These studies also revealed how teachers strove to achieve congruence among their professional, personal, and teacher identities.38

 

사회적 관계 테마
Social relational themes


우발적 존재로서의 정체성.
Identity as contingent.


교사 정체성은 교사들의 지위와 역할이 [임상 동료들에 의해 어떻게 인식되는가]에 달려 있었다. 25,29 간호사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Paterson45와 Ramage46은 공식적인 임상 교수 역할을 가진 간호사들이 임상 작업장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손님처럼 느끼는 감정을 묘사했다. 이에 대응하여, 간호사 임상 교사들은 "코팅courting" 전략을 사용하여 임상 동료의 커뮤니티에 대한 환심을 샀다. 또한, 간호사 교육자들은 임상 동료에 의해 인정받고 수용되고 싶은 욕구에 자극되어, 그들이 목격한 형편없는 임상 사례들을 보고하지 않았다.
Teacher identity was contingent on how teachers’ status and role was recognized by clinical colleagues.25,29 In studies of nurse educators, Paterson45 and Ramage46 described how nurses with formal clinical teaching roles felt like unwelcome guests in clinical workplaces. In response, nurse clinical teachers used “courting” strategies to ingratiate themselves with communities of clinical colleagues.45,46 Moreover, driven by a desire to be acknowledged and accepted by clinical colleagues, nurse educators chose not to report examples of poor clinical practice that they had witnessed.45,46

 

협상된 신원.
Identity as negotiated.


적법한 참여자로 인정될 필요성에 의해, 임상 교사들은 그들의 교사 정체성을 [(임상 팀과 의료 기관의) 지배적인 담론]과 일치시켰다.31,53 실제로, 이러한 정렬aligning은 임상 교사들이 [더 선배 역할 모델로부터 전해진 교육 성향 관행]을 [무비판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교육적 실천practice of teaching 자신의 기관 내에서 어떤 위치를 갖는지에 따라 교사 정체성을 제정enact했다. 새로 입학한 임상 교사를 관찰한 Trede와 Smith는 (신규 교수들은) 동의하지 않더라도 정통적인 평가 관행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캔틸론과 동료들은 임상 팀 내에서 [체면과 인정을 잃을 것을 우려]해 [상급자의 교육 관행에 의문을 제기하는 후배 의사들의 거부감]을 설명했다. 이러한 발견은 함께 임상 교사 정체성의 개발이 교사들 간의 힘의 불평등으로 특징지어지는 맥락과 교사가 위치한 계층적 임상 팀 또는 기관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Motivated by a need to be recognized as legitimate participants, clinical teachers aligned their teacher identities with the dominant discourses in clinical teams and health care institutions.31,53 In practice, this aligning meant that clinical teachers tended to uncritically reproduce teaching dispositions and practices handed down from more senior role models and/or that they enacted teacher identities congruent with how the practice of teaching was positioned within their institutions. Observing new entrant clinical teachers, Trede and Smith53 found that these teachers tended to follow orthodox assessment practices even if they disagreed with them. Similarly, Cantillon and colleagues31 described junior doctors’ reluctance to question the teaching practices of their superiors for fear of losing face and recognition within clinical teams.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linical teacher identity is shaped by contexts characterized by inequalities of power among teachers and by the hierarchical clinical teams or institutions in which the teachers are situated.


조직적으로 inform되는 정체성
Identity as organizationally informed.


임상 교사 정체성 개발은 교사가 일하는 조직과 기관이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지원하는가]에 따라 좌우되었다.27,55 인정할만한 교사recognizable teacher 프로파일의 가시성은 교사 정체성의 강점을 알리는 조직 문화의 중요한 요소였다.41 기관이 identifiable teacher profile을 서포트할 경우, 더 강력한 교사 정체성과 더 큰 가르침 동기를 부여했다. 30, 30,57
Clinical teacher identity development was dependent on how the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in which teachers worked supported the role of “teacher.”27,55 The visibility of a recognizable teacher profile was a vital compon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that informed the strength of teacher identity.41 Institutions that supported an identifiable teacher profile engendered stronger teacher identities and greater motivation to teach.30,57


의사소통된 정체성
Identity as communicated.


몇몇 연구는 동료 임상의사들과 함께 일하는 데 어려움을 강조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교육 경험과 아이디어를 소통할 수 있는 공통 언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25,47,50 [공통언어의 부족]은 임상 커뮤니티에서 교사의 고립감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동료 교육자 커뮤니티]에 참여함으로써 의사들은 [더 강한 임상 교사 정체성의 출현, 향상된 동기 부여, 교수 개발에 참여할 가능성 증가] 등을 지지했다.25,50
Several studies highlighted clinical teachers’ difficulty engaging with fellow clinicians because they lacked a common language that allowed them to communicate their teaching experiences and ideas.25,47,50 Lack of a common language increased teachers’ sense of isolation in clinical communities; however, participating in communities of fellow educators supported the emergence of stronger clinical teacher identities, enhanced motivation, and increased the likelihood of participating in faculty development.25,50


토론 및 결론
Discussion and Conclusions



이 검토를 통해 임상 교사 정체성 개발을 조사하는 대부분의 연구자(우리가 검토한 논문의 71%)가 개인주의적 입장을 채택한 것을 발견했다. 이 관점은 [임상 교사가 정체성 형성의 행위자성agency를 갖는다고 봄으로써, 임상 근무환경을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정적 배경static backdrop으로 간주]한다.
Through this review, we found that most researchers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clinical teacher identity (71% of the articles we reviewed) adopted an individualist stance. This standpoint positions clinical teachers as having agency in constructing their identities and considers the clinical workplace a static backdrop to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Monrouxe와 Poole61은 "개인의 정체성이 측정 가능하고 알려진 실체가 될 수 있는 자기 내적인 것이라는 유혹적인 개념"을 "정체성(들)은 상호작용적으로 집행되며, 매우 유동적이고 맥락적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연구와 대조하면서, 보건전문직의 [정체성 연구에 대한 구성주의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Monrouxe and Poole61 highlighted the need for more constructionist approaches to identity scholarship in the health professions when they contrasted “the seductive notion of an individual’s identity being something internal to one’s self that can be a measurable and known entity” with research that “clearly demonstrates that identities (in the plural) are enacted interactionally and are highly fluid and contextual.”61



[개인주의자 중심의 연구]는 개인들의 임상의사, 연구원, 교사 정체성의 조화가 교수진 개발 및 새로운 교수 관행에 대한 개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통찰력은 임상 교사들이 왜 다른 정체성보다 특정 역할 정체성을 우선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하지 않는다.

Individualist- oriented research showed that individuals’ reconciliation of their clinician, researcher, and teacher identities influenced their openness to faculty development and new teaching practices. These insights do not explain why clinical teachers choose to prioritize particular role identities over others.

 

 

[사회적 관계 지향적 연구]는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사회화 행위자"가 어떻게 임상 교사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보여주었다.62 예를 들어, 일부 개인은 [자기가 속한 공동체가 임상 의사 및 연구자 정체성을 더 잘 지지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교육자 신분보다 임상의사 및 연구자 신분을 우선시]했다. 공동체에서는 교육자보다 임상의와 연구원 정체성을 선호할 수 있다. 왜냐하면 후자가 더 많은 사회적 자본을 유치하고 더 많은 개인적 투자를 요구하기 때문이다.63 놀랍게도, 보건 전문가들은 동료들이 인정해주고 지지해주는 정체성을 우선시한다.61,62
Social relational-oriented research showed how “socialising agents”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haped clinical teacher identity.62 For example, some individuals prioritized their clinician and researcher identities above their teacher identities because they felt that their community better supported their clinician and researcher identities. Communities may favor clinician and researcher identities over teacher identities because the former attract more social capital and require more personal investment.63 Unsurprisingly, health professionals prioritize identities that their peers recognize and support.61,62


교수진 개발의 추가적인 장애물은 [사회적으로 이미 짜여진scripted 교사 정체성을 복제하려는 임상 교사의 성향]과 그들 중 다수가 [위계적 환경에서 practice하고 있는 현실]을 모두 포함한다. 25,29,31,39,45,46 다른 이들의 행동양식을 복제하고 시니어 계급의 교수들에 대한 복종은 [훈련생 의사의 사회화 과정]과 유사하다. 인계보고 전달의 맥락에서, [인본주의적 관점]보다 [과학적 의학의 관점]을 특권화하는privilege 것으로 밝혀진 위계적 팀에 대한 연구가 있다. [순응해야 한다는 압박]은 보건 전문가들이 확립된 정체성, 규범 및 관행을 반복하도록 이끈다.65
Additional obstacles to faculty development include both clinical teachers’ propensity to reproduce socially scripted teacher identities and the reality that many of them practice in hierarchical settings.25,29,31,39,45,46 This replication of others’ practices and obeisance to those of higher rank is akin to the socialization of trainee doctors in hierarchical teams who have been found to privilege scientific medicine over humanistic perspectives in the context of delivering handover reports.64 The pressure to conform leads health professionals to reiterate established identities, norms, and practices.65


긍정적인 측면에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교수 개발자들이 더 강력한 임상 교사 정체성과 더 나은 교육 관행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workplace을 조작할 수 있는 컨텍스트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조작의 예로는 임상 교사가 서로 만나 교수 내러티브를 교환하거나, 교육 학술활동을 그랜드 라운드 프레젠테이션에 잠재적인 주제로 포함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On the positive side, our findings suggest that faculty developers should regard the workplace as a context that can be manipulat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ronger clinical teacher identities and better teaching practices.66 Examples of such manipulations might include creating opportunities for clinical teachers to meet one another to exchange teaching narratives or to include teaching scholarship as a potential topic in grand rounds presentations.

우리는 [상대론적 인식론]을 사용한 연구가 이러한 문제를 탐구하는 데 가장 적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실천이론, 문화역사활동론, 행위자네트워크론 등 사회문화이론에서 정보를 얻은 연구는 임상교사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활용될 수 있었다.
We suggest that research with a relativist epistemology may be best for exploring these issues. Research informed by sociocultural theories including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actor network theory could be used to explore clinical teacher identity.

우리의 리뷰 26,30–32,37,39–41,45–48,56의 여러 기사들은 교사들이 역할 사이에서 전환할 때 교사 정체성에 어떻게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이런 아이디어는 직장 내 임상 교사를 위한 교수진 개발 상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탐구해야 할 중요한 아이디어다.
Multiple articles in our review26,30–32,37,39–41,45–48,56 showed how teachers are sensitized to their teacher identities when they transition between roles. Ideas such as these are important to explore at a time when interest in situating faculty development for clinical teachers in workplaces is increasing.68

 

우리의 검토에 포함된 대부분의 연구의 한계는 그것이 명확하게 표현된 이론적 틀 안에 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이는 명확한 이론적 기준 프레임 내에서 연구 방법론을 배치하는 것이 그 용도를 정당화하기 때문에 약점이다.69 더욱이, 이론적 통찰력은 경험적 발견의 해석을 용이하게 한다.69
A limitation of most of the research included in our review was that it was not situated within clearly articulated theoretical frameworks. This is a weakness because positioning research methodologies within explicit theoretical frames of reference justifies their use.69 Moreover, theoretical insights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empirical findings.69

이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 개발이 교사 정체성, 신념 및 관행을 형성하는 환경 요인에 대한 교사의 사고력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임상 교사 정체성의 유지와 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해 보건 및 교육 기관 내에서 인지할 수 있는 교사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view, we suggest that faculty development should attempt to increase teachers’ mindfulnes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shape their teacher identity, beliefs, and practices. We emphasize, as others have done before,41,73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recognizable teacher profiles within health care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underpi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clinical teacher identity.

 



69 Bolander Laksov K, Dornan T, Teunissen PW. Making theory explicit—An analysis of how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describe how they connect to theory. BMC Med Educ. 2017;17:18.

72 Thomas A, Lubarsky S, Durning SJ, Young ME. Knowledge syntheses in medical education: Demystifying scoping reviews. Acad Med. 2017;92:161–166.

 

 

 


Review

 

Acad Med

  •  
  •  
  •  

. 2019 Oct;94(10):1610-1618.

 doi: 10.1097/ACM.0000000000002403.

Becoming a Clinical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Context

Peter Cantillon 1Tim DornanWillem De Grav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P. Cantillon is professor of primary care, Discipline of General Practice,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Galway, Ireland; ORCID: https://orcid.org/0000-0003-3776-9537. T. Dornan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Biomedical Sciences,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Northern Ireland, United Kingdom; ORCID: http://orcid.org/0000-0001-7830-0183. W. De Grave is an educational psychologist,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 PMID: 30113365

 

Abstract

Purpose: Most clinical teachers have not been trained to teach, and faculty development for clinical teachers is undermined by poor attendance, inadequate knowledge transfer, and unsustainability. A crucial question for faculty developers to consider is how clinicians become teachers "on the job." Such knowledge is important in the design of future workplace-based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The authors conducted a scoping review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coming a clinical teacher and the clinical environments in which those teachers work.

Method: In June 2017, using the scoping review design described by Levac et al (2010), the authors searched 12 databases. They subjected the articles discovered to four phases of screening, using iteratively developed inclusion/exclusion criteria. They charted data from the final selection of articles and used thematic analysis to synthesize findings.

Results: Thirty-four research repor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Most (n = 24) took an individualist stance toward identity, focusing on how teachers individually construct their teacher identity in tension with their clinician identities. Only 10 studies conceptualized clinical teacher identity formation as a social relational phenomenon, negotiated within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s. Twenty-nine of the included studies made little or no use of explicit theoretical frameworks, which limited their rigor and transferability.

Conclusions: Clinicians reconciled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with their identities as clinicians by juggling the two, finding mutuality between them, or forging merged identities that minimized tensions between educational and clinical roles. They did so in hierarchical social settings where patient care and research were prioritized above teaching.

교수개발 만다라: 이론기반 평가를 활용한 맥락, 기전, 성과 탐색(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7)

A mandala of faculty development: using theory-based evaluation to explore contexts, mechanisms and outcomes

Betty Onyura1 • Stella L. Ng1,2,3,4,5 • Lindsay R. Baker1,6 • Susan Lieff1,7 • Barbara-Ann Millar1,8 • Brenda Mori1,9

 

 

 

 

도입

Introduction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교수진의 학문적 역할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 개발 활동을 제공한다(Centra 1978; Steinert 2014). 비록 이러한 프로그램은 현재 보건 분야에서 보편화되었지만, 장기적인 영향과 영향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 연구 접근 방식의 부적절성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McLeod and Steinert 2010; O'Sulivan and Irby 2011; Singh 2013).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off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tended to support faculty in performing their academic roles (Centra 1978; Steinert 2014). Although, such programs are now commonplace in the health professions, questions remain about their long-term impact, and the (in)adequacy of existing research approaches for addressing impact questions (McLeod and Steinert 2010; O’Sullivan and Irby 2011; Singh 2013).

이론 기반 평가의 가치
The value of theory-based evaluation


교수개발 프로그램 결과를 입증하는 것은 가치 있고 점점 더 의무화되는 목표이지만, [프로그램이 결과를 실현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로 입증되어야 한다(Haji et al. 2013; Parker et al. 2011). 보건전문직 교육 프로그램의 변화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최근 몇 가지 노력이 있었지만(Parker et al. 2011; Sorinola et al. 2015), 연구는 여전히 미미한 상태이며, 조사된 결과의 범위는 개별 학습에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평가자는 종종 이러한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적 또는 이론적으로 근거가 있는 연계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과 또는 영향에 대한 주장을 제기하려는 블랙박스(또는 입력-출력 설계) 방식의 평가를 지향하곤 한다(Stame 2004). [투입과 산출]사이에 전개되는unfold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평가 연구는 프로그램 작동에 대한 좁고 왜곡된 이해만을 제공할 수 있다(Chen과 Rossi 1983).
Whereas demonstrat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 outcomes is a worthwhile and increasingly mandated objective, it should be corroborated by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by which programs realize outcomes (Haji et al. 2013; Parker et al. 2011). Though there have been a few recent efforts at exploring mechanisms of change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ming (Parker et al. 2011; Sorinola et al. 2015), research remains scant, and the scope of outcomes examined tends to be limited to individual learning. Too often, evaluators tend toward black box (or input–output design) evaluations that seek to lay claim to outcomes and/or impact without offering accompanying logical or theoretically grounded linkages as to how these outcomes may come about (Stame 2004). Without considering what unfolds between inputs and outputs, evaluation research can provide a narrowand distorted understanding of the workings of programs (Chen and Rossi 1983).

[복잡한 환경]에서 성과는 상호작용하는 또는 조절하는 효과의 다중 변수에 의존하며, 인간 추론과 행동의 복잡한 사슬, 개인과 맥락 사이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받는다(Patton 2011). 교수개발 프로그램이 다양한 결과를 발생시키거나 기여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 (1) 참가자들이 프로그램 활동과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 (2) 이러한 상호작용이 연습 상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개발하는 평가 전략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In complex environments, outcomes are reliant upon multiple variables with interacting or moderating effects, and are influenced by complex chains of human reasoning and action, and interplays between individuals and contexts (Patton 2011). In order to understand how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generate or contribute to various outcomes, one needs to adopt evaluative strategies that develop integrated understanding of

  • (1) how participants interact with program activities and
  • (2) how those interactions influence practice contexts.



개념적 프레임워크
Conceptual frameworks


[이론 기반 평가]는 일반적으로 사회 프로그램이 어떻게 변화를 만들어내는지에 대한 개념적 기초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 평가 접근 방식을 설명한다. (Blamey and Mackenzy 2007; Stame 2004) [현실주의적]이고 [이론 중심적]인 평가 접근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Theory-based evaluation describes a family of evaluation approaches generally focused on exploring the conceptual underpinnings of how social programs work to produce change. (Blamey and Mackenzie 2007; Stame 2004). It includes both realist and theory-driven evaluation approaches,

[현실주의Realist 평가]프로그램을 [개별 행위자와 사회 구조 사이에 지속적인 상호 작용이 있는 사회적 시스템]으로 본다(파우슨과 틸리 1997). [변화]는 구조와 행위자의 산물로 간주되며, 과제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것이, 누구에게, 어떤 상황에서, 그리고 왜 그런지 결정하는 것이다(파우슨과 틸리 1997). 이것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프로그램 자체가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은) 변화를 위한 자원과 기회를 도입한다고 주장한다. 프로그램에 노출되었을 때, 능력과 맥락에 따라 특정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사람들이다(McEvoy and Richards 2003; Pawson and Tilley 1997). 따라서, 중심적인 명제는 생성 메커니즘과 유용한 컨텍스트가 주어진다면 다음과 같은 특정 결과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Realist evaluation views programsas social systems in which there is a constant interplay between individual agency and social structures (Pawson and Tilley 1997). Change is viewed as a product of structure and agency, and the task is to determine what works, for whom, in what circumstances, andwhy (Pawson and Tilley 1997). Proponents contend that programs, in themselves, do notcreate change but, rather, introduce resources and opportunities for change; it is peoplewho, when exposed to programs, activate certain mechanisms and create change,depending on their capacity and context (McEvoy and Richards 2003; Pawson and Tilley1997). Thus, the central proposition is that given a generative mechanism and a conducivecontext, one can expect to observe specific outcomes: 

컨텍스트(C) + 메커니즘(M) + 결과(O)
Context (C)+Mechanism (M) + Outcome (O)

다양한 CMO 순열은 한 프로그램(Astbury 2013)에 존재할 수 있으며 메커니즘은 일부 컨텍스트에서는 효율적일 수 있지만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개인 전체에 걸쳐, 프로그램은 혼합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현실주의 평가자]는 단순히 별개의 결과를 식별하는 대신, 다양한 결과 패턴이 생성되는 방법과 이유를 이해하려고 한다(Astbury 2013).
Diverse CMO permutations can exist in any one program (Astbury 2013) and mechanisms may be efficacious in some contexts, but not in others. Consequently, over time and across individuals, a program can produce mixed outcomes. Rather than merely identifying discrete outcomes, realist evaluators seek to understand how and why various outcome patterns are generated (Astbury 2013).

 

[이론 중심 평가] 접근 방식은 또한 프로그램 입력과 관찰된 결과 사이에 발생하는 변환 프로세스의 조사를 요구한다(Chen과 Rossi 1983, 1989, 1992). 이 접근법에서 평가자는 [프로그램이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효과를 적절히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예: 사회학, 심리학, 미시경제학)로부터 현존하는 사회과학 이론을 도출해야 한다. 프로그램 활동은 단기(근접) 결과에서 장기(원격) 결과(서부 및 아이켄 1997)에 이르기까지 시간 경사를 따라 펼쳐지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궁극적으로, 평가자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주어진 프로그램이 어떻게 다양한 장단기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메커니즘을 자극하는지spur에 대한 일관된 설명account을 개념화하는 것
  • 특정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타당하고 방어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는 것

The theory-driven evaluation approach also demands examination of the transformational processes that occur between program inputs and observed outcomes (Chen and Rossi 1983, 1989, 1992). In this approach, evaluators are urged to draw upon extant social science theories from various disciplines (e.g., sociology, psychology, microeconomics) that can adequately anticipate and explain the effects that programs are expected to have. Programactivities are presumed to have effects that unfold along a temporal gradient, from short term (proximal) outcomes, to longer-term (distal) outcomes (West and Aiken 1997). Ultimately, the evaluator’s role is to

  • conceptualize a coherent account how of a given program spurs various mechanisms to generate various short- and long- term outcomes (Rogers et al. 2000), or
  • construct a plausible and defensible model of how a given program works (Chen and Rossi 1983).

 

이 계정/모델은 프로그램이 다루려고 하는 문제에 대한 [현존하는 사회과학 연구]에 기초해야 한다(Chen과 Rossi 1992). 경험적으로 기초가 된 사회과학 이론이 개념화된 연계를 지원하는 경우,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증거가 있다.

This account/model should be grounded in extant social science research on the issues the program seeks to address (Chen and Rossi 1992). Where empirically grounded social science theory supports conceptualized links, there is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the program.

현실주의 평가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적용의 도전과 주목할 만한 비평이 존재한다.

  • 첫째, 구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현실주의의 깃발을 사용한 여러 연구가 원칙을 지키지 못합니다(Astbury 2013; Monaghan 2012).
  • 둘째, 메커니즘의 개념이 종종 잘못 이해된다. 조사자들은 종종 메커니즘과 프로그램 활동을 혼동한다(Astbury and Leeuw 2010). 
  • 셋째, 특정 CMO 구성을 식별하는 것은 [관계를 해체하는 것]에 내재된 어려움으로 인한 방법론적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Astbury 2013; Davis 2005; Greenhalh 등). 2009). 
  •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원래 사양에는 C1 + M1 = O1이 포함되며, C2 + M2 = O2 등의 형태로 엄격한 가설을 표로 하는 행렬이 개발됩니다(파우슨과 틸리 1997; 파우슨 2013).

Despite the merits of realist evaluation, challenges in its application and noteworthy criticisms exist.

  • First, implementation can be daunting; several studies that wield the realist banner fail to adhere to its principles (Astbury 2013; Monaghan 2012).
  • Second, the concept of mechanisms is often misunderstood; investigators often conflate mechanisms with program activities (Astbury and Leeuw 2010).
  • Third, identifying specific CMO configurations can be a methodological headache due to difficulties inherent in disentangling relationships, and dealing with conflicting theories (Astbury 2013; Davis 2005; Greenhalgh et al. 2009).
  • Finally, original specifications for reporting findings include C1 ? M1 = O1, developing matrices that tabulate tight hypotheses in the form of C2 ? M2 = O2 etc. (Pawson and Tilley 1997; Pawson 2013).

 

그러나 이러한 [CMO 공식을 엄격하게 따르는 것]

  • (1) CMO 관계가 단순하고 선형적이라는 것을 무심코 암시하고
  • (2) 복잡한 다중 메커니즘 상호 작용 및 연관성에 대한 인식을 제한함으로써 현실주의 평가의 바로 그 목표를 훼손할 수 있다(Astbury 2013).

However, rigid adherence to these CMO formulas may undermine the very goals of realist evaluation by 

  • (1) inadvertently implying that CMO relationships are simple and linear and 
  • (2) limiting recognition of complex multi-mechanism interactions and concatenation (Astbury 2013).

이러한 경고를 염두에 두고, 우리는 현실주의와 이론 중심 평가를 통합하는 혼합 접근법을 제안한다.
Heeding these warnings, we propose a blended approach that integrates realist and theory-driven evaluation.

방법론

Methodology

[이론 기반 평가] 방법론은 일반적으로

  • (1) 이해관계자 협의,
  • (2) 목표 평가 질문에 대한 데이터 수집,
  • (3)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일관된 계정의 데이터 분석 및 개발

...을 포함한 세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Theory-based evaluation methodology can generally be grouped into three phases including:

  • (1) stakeholder consultations,
  • (2) data collection for targeted evaluation questions, and
  • (3) data analysis and development of a coherent account of how the program works.


대상 프로그램 및 설정
Target program and setting


우리는 토론토에 있는 교수진 개발 센터의 교육 학자 프로그램(ESP) 내에서 개략적인 단계를 수행했다.
We conducted the outlined phases within the Education Scholars Program (ESP) at the Centre for Faculty Development in Toronto.

1단계: 임시 프로그램 논리 매핑
Phase one: mapping provisional program logic


그런 다음 우리는 프로그램 활동, 출력 및 예상 결과 사이의 임시 연결을 도표로 나타내는 논리 모델을 개발했다('부록 1' 참조).
We then developed a logic model to diagrammatically represent provisional linkages between program activities, outputs, and anticipated outcomes (see ‘‘ Appendix 1’’).

 

 



2단계: 데이터 수집
Phase two: gathering data


데이터 출처에는 (a) 프로그램 참가자와 함께 하는 포커스 그룹 및 (b) 프로그램 졸업자와의 반구조적인 후속 인터뷰가 포함되었다.
Data sources included: (a) focus groups with program participants, and (b) semi-structured follow-up interviews with program graduates.

프로그램 참가자와 함께 그룹 포커스
Focus groups with program participants


질문의 표현은 해를 거듭할수록 진화했지만, (1) 커리큘럼 내용과 전달, (2) 개인적, 직업적 성장의 경험, (3) 교육 관행의 변화를 인식하는 등 세 가지 일관된 질문이 제시되었다.
Though the phrasing of questions evolved over the years, three consistent categories of questions were asked: (1) experiences of curriculumcontent and delivery, (2) experiences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nd (3) perceived changes in their educational practice.

프로그램 수료자와의 반구조 인터뷰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rogram graduates


프로그램 참여가 참가자의 개인 및 전문적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반구조 인터뷰 가이드('부록 2' 참조)를 개발했다.
We develop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see ‘‘ Appendix 2’’), to explore how program participation impacted participa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outcomes, and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se outcomes.

 

Appendix 2: Semi-structured interview protocol for longitudinal followup with program graduates

 

1. Please describe your current role(s) in education and what it involves.
Probes
• How does that (your role) affect the people you work with internally/externally?


2. We sent you the last reflection paper you wrote while in the program for review. We are interested in exploring your experiences since that point in time.
Probes
• Please describe your journey since your completion of the program?
• Have there been any changes for you since that point in time?
• What has your involvement been in education (in the academic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ystem) since the program?
• Have you had any influence in your role/capacity/system? In what ways have you influenced your surroundings?

 

3. Please describe any successes you have had since completing the program
Probes
• In what contexts have you had successes?
• How do you define success?
• Why do you think you were successful?

• What are the factors (individual or contextual) that influenced your success?
• Are there areas where you feel you haven’t achieved what you wanted to achieve?
• Why do you think you were unsuccessful?
• What would success look like for you over the next 5 years?

 

4. Who do you talk to about teaching and education?
Probes
• Why (do you talk to these people)?
• Have the people you talk to (engage with) about education changed since your completion of the program? Please explain
• Has your approach toward them changed? Please explain

 



3단계: 데이터 분석
Phase three: data analysis


우리는 프레임워크 분석 접근법(Ritchie and Spencer 1994; Ward et al. 2013)을 채택했다. 이는 둘 다 비판적 현실주의 패러다임(Snape and Spencer 2003)에서 도출된 우리의 통합 이론 기반 평가 접근법과 잘 일치하기 때문이다. 프레임워크 분석은 연역적 요소와 귀납적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구조화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정성적 조회에 관련된 유연성을 제공한다(Ward et al., 2013).
We employed a framework analysis approach (Ritchie and Spencer 1994; Ward et al. 2013) as it aligns well with our integrated theory-based evaluation approach as both derive from a critical realist paradigm(Snape and Spencer 2003). Framework analysis can include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elements, and provides a structured process for managing data, while allowing for the flexibility associated with qualitative inquiry (Ward et al. 2013).

결과

Results

그림 1은 주어진 시스템 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상호 관련 요소의 원형 그림인 만달라의 개념을 바탕으로 우리의 연구 결과를 모델링한다.
Figure 1 models our findings, by drawing on the concept of a mandala, which is a circular illustration of interrelated elements with special meaning within a given system.

 



즉각적 프로그램 컨텍스트(C1)
Immediate program context (C1)


보호시간
Protected time


참가자들은 입학 전에 매주 4시간 반의 보호시간을 확보해야 했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에게, 이것은 교육자로서 그들의 역할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는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했다.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secure four and a half hours of protected time weekly, prior to admission. For most participants, this provided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for focused attention on their roles as educators.

반대로, 임상 의무는 아니지만 부서로부터 보호 시간을 받은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참여를 제약하는 임상 역할과 교육 역할 사이의 지속적인 갈등을 경험했다.

Conversely, participants who received protected time from departmental but not clinical duties, experienced a sense of ongoing conflict between clinical and educational roles that constrained their engagement with program activities.

안전한 학습 환경
Safe learning climate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부정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 없이 아이디어 탐색, 경험 공유, 도전, 우려 등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안전한 공간이라고 인식했다.
Program participants perceived the program as a safe space that provided a platform for exploring ideas, sharing experiences, challenges, and concerns, without fear of suffering negative consequences.

사회적 상호 작용 및 네트워킹 기회
Social interaction and networking opportunities


이 프로그램은 학술 보건 과학 시스템에 걸친 보건 전문 교육자들에게 (만약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의미 있는 방법으로 관여하지 않았을) 다른 교육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The program provided an opportunity for health professional educators across the academic health sciences system to interact with other educators with whom they would not otherwise have engaged in a meaningful way.

교육 이론에 대한 노출 및 교육 분야에서의 경험 많은 실무자
Exposure to educational theory and experienced practitioners in education


교육과정은 참여자들을 교육에서 여러 이론적 관점에 노출시키고 관련 기술에 노출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것은 경험이 풍부한 촉진자와 학술적 건강 과학의 확립된 학문적 리더(및 실무자)에 의해 전달되었다.
The curriculum was designed to expose participants to multiple theoretical perspectives in education, and exposure to relevant skills. It was delivered by experienced facilitators and established academic leaders (and practitioners) in the academic health sciences.

기본 메커니즘(M1)
Primary mechanisms (M1)


협업-반사(또는 공동반사)
Collaborative-reflection (or co-reflection)


프로그램 활동은 참가자의 학업 관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 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 대화를 촉발했다. 참여자들은 능동적인 실무자active practictioner로서 서로의 경험 기반 지식에서 도출하고, 공유하고, 성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협업적 성찰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참여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이들은 이 과정이 지속적인 통찰력과 지원의 원천이기 때문에 개발의 중심이라고 인식했습니다.

Program activities triggered ongoing reflective dialogue about real-life challenges affecting participants’ academic practices. As active practitioners, participants could draw from, share, and reflect upon each other’s experience-based knowledge. This process of collaborative reflection was highly valued by programparticipants; they perceived it as central to their development as it was a source of ongoing insight and support.

자기반성 및 자기조절
Self-reflection and self-regulation


또한 프로그램 활동은 종종 참가자들의 교육 관행, 역할, 직업 야망, 개인적 목표와 관련하여 자아에 대한 조사를 필요로 했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은 내면의 성찰introspective reflection을 불러일으켰다. 결과적으로, 참여자들은 얻은 통찰력에 따라 행동하기 위해 개인적인 행동을 규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The program also triggered introspective reflection, as programactivities often necessitated examination of participants’ sense of self in relation to their educational practices, roles, career ambitions, and personal goals. In turn, participants could regulate or modify personal behaviours in order to act upon insights gained.

관계구축
Relationship building


프로그램의 과정을 통해, 계속되는 사회적 상호 작용은 참가자 사이의 개인적, 직업적 관계 모두의 발전을 촉진시켰다. 결과적인 사회적 제휴는 지속적인 지원과 향후 협력 이니셔티브의 기반을 형성했습니다.
Through the course of the program, ongoing social interactions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both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The resulting social affiliations formed the basis for ongoing support and future collaborative initiatives.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통한 교육학적 지식 습득
Pedagogical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various forms of learning


참가자들은 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지식 습득을 보고했습니다.
Participants reporte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이러한 지식 습득은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통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많은 참가자들이 관찰 학습을 개발의 중심이라고 보고했다.
Although this knowledge acquisition likely occurred through various forms of learning, many participants reported observational learning as central to their development.

결과(O)
Outcomes (O)


개별 결과(OI) 
Individual outcomes (OI) 


참가자들은 태도, 지식 및 업무 역할의 몇 가지 변화를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부 교수들은 자신들의 역할에 대한 불안이 덜하다고 보고했다. 많은 사람들이 더 박식하고 숙련되었다고 느꼈다. 이와 관련, 대부분이 교육자와 지도자로서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이 더 높다고 보고했습니다. 그 자료는 또한 교수들 사이의 더 강한 학문적 정체성과 그들의 역할에서 더 높은 의미와 목적 의식을 강조했습니다. 몇몇 졸업생들은 또한 고위직으로 승진했는데, 그들은 이 프로그램을 완성한 것과 거기서 얻은 이득이 그들의 덕이라고 그들은 말했다.
Participants attributed several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work roles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Some faculty reported less anxiety in their roles. Many felt more knowledgeable and skilled. Relatedly, most reported greater confidence and selfefficacy as both educators and leaders. The data also highlighted a stronger sense of academic identity among faculty and an enhanced sense of meaning and purpose in their roles. Several graduates also received promotions to senior roles, which they attributed to their completion of the program and gains made therein.

 

교육 실무 결과(OE)
Educational practice outcomes (OE)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참여의 기능으로서 교육 관행에 대한 몇 가지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했다. 여기에는 피드백, 학습자 관련, 교사 평가 수행을 포함한 교사의 수정이 포함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교육 관행이 일반적으로 더 이론적으로 알려졌다고 믿었다. 이것이 나타난 방법 중 하나는 다른 교육자들과의 공유된 실천 언어를 채택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프로그램 동안 습득한 교육 개념과 이론에 해당된다.
Participants reported several positive changes to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s a function of program participation. These included modifications to their teaching, including giving feedback, relating with learners, and performing teacher evaluations. Many believed their educational practices were generally more theoretically informed. One of the ways this manifested was in the adoption of a shared language of practice with other educators, corresponding to educational concepts and theories acquired during the program.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교육 학술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상당히 높다고 보고했습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 결과를 배포했습니다. 또한, 교수진들은 학부 내에서 교육자로서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실제로, 많은 졸업생들이 상담역할을 맡아 업무 부서 내에서 다양한 교육 이니셔티브에 대한 조언과 리더십을 찾고 있는 동료들의 핵심 연락 담당자로 활동했다고 보고했다.
Most participants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engagement in educational scholarship; for instance, participants conducted research and disseminated their findings. Additionally, faculty reported having greater credibility as educators within their academic units. Indeed, many graduates reported functioning in consultative roles, serving as key contact persons for their peers who sought them out for advice and leadership on a range of educational initiatives within their work units.

조직 결과(OO)
Organizational outcomes (OO)


보고된 많은 결과는 개인을 뛰어넘는 결과를 낳았다. 많은 교수진들은 교육 기관이 프로그램이 완료되는 대로 업무 단위 내에서 지속되온 학업 관행academic practice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했다. 이것은 두 가지 방법으로 증명되었다. 

  • 첫째, 참여자들은 교육 및 커리큘럼 개발 실무에 대한 품질 개선을 권고하고 제정enact했으며, 관련 혁신을 지원했다. 
  • 둘째, 참가자들은 향상된 신뢰성과 위치적positional 힘을 이용하여, [교육자에게 불이익을 주고 교육 관행을 저해할 수 있는] (기존의) 학문적 보건 과학 내의 시스템에 보상을 주는 개혁을 지지했다. 

Many reported outcomes had implications that extended beyond the individual. Many faculty described having the agency to make changes to ongoing academic practices within their work units,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This was manifested in two ways. 

  • One, participants recommended and enacted quality improvements to teach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practices, and supported relevant innovations. 
  • Two, participants took advantage of enhanced credibility and positional power to advocate for reform to reward systems within the academic health sciences that may disadvantage educators and undermine educational practice.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와 졸업자는 학생, 주민 및/또는 교직원을 위한 다양한 커리큘럼의 개발과 개정에 기여하고 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거의 모든 프로그램 졸업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훨씬 더 큰 교육자 네트워크의 일부라고 보고했다. 그들은 직업적, 지역적 경계에 걸쳐 더 큰 사회적 연대를 구축했다고 묘사했다.

Furthermore, program participants and graduates reported contributing to, and leading,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revision of various curricula for students, residents, and/or faculty. Nearly all programgraduates reported being part of a much larger network of educators upon graduation. They described having established greater social affiliations across professional and locational boundaries.

 

 

 



보조 메커니즘(M2)
Secondary mechanisms (M2)


심리적, 구조적 권한 부여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empowerment


우리는 [프로그램 졸업자의 행위자성]이 [직장에서의 변화를 집행하게 되는 기초적인 권한 부여 패턴]을 알아냈다. 우리는 이 권한 부여를 부분적으로는 본질적(심리적)으로, 부분적으로는 조직 내의 신흥 권력(구조적)에서 파생되는 것으로 개념화했다. 예를 들어, 한 참가자는 [자신의 교육 학술사업의 동인]으로서의 시스템 내에서 '적절한 사람'을 가진 [신흥emerging 전문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영감과 동기부여]를 모두 인정하였다.
We identified a pattern of empowerment underlying program graduates’ agency to enact changes in the workplace. We conceptualized this empowerment as partly intrinsic (psychological) and partly derived from emerging power within one’s organization (structural). For example, one participant credited both inspiration and motivation, as well as emerging professional networks with the ‘right people’ within the system as drivers of his/her educational scholarship work.

프로그램 참여에 의해 촉진된 [주요 직책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프로그램 졸업생들이 다양한 의제를 추진하는 데 도움을 준 비공식적이기는 하지만 중요한 힘의 원천이었다.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key positions, some of which were facilitated by program participation, were a critical, albeit informal, source of power that helped program graduates drive various agenda forward.

반대로, 소외감을 느끼거나 동료를 참여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 일하는 프로그램 졸업생들은 무력감을 느꼈다.
Conversely, program graduates who worked in contexts where they felt isolated or unable to engage peers felt disempowered.

[공식적인 리더십 직책]도 구조적 권한 부여의 원천이었고, 공식적인 리더십 직함이 없는 경우, 어떤 경우에는 강력한 위치에 있는 개인과의 관계에서도 참여자들의 의사일정 추진 능력이 제한되기도 했다.
Formal leadership positions were also a source of structural empowerment, and the absence of a formal leadership title, in some cases, limited participants’ capacity to drive an agenda forward, even in the presence of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s in powerful positions.

시스템(학술 건강 과학) 컨텍스트(C2)
System (academic health sciences) context (C2)


고위 리더십 지원
Senior leadership support


(교직원에게 책임이 있는) [시니어 리더의 우선 순위와 지원]은 교수진 개발에서 더 넓은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여러 참가자들의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시니어 리더의 지원을 받지engage 못한 참가자는 지식 습득물을 전이tranfer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었습니다.

The priorities and support of senior leadership (to whom faculty were account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apacity of several participants to realize the broader benefits from faculty development. Participants unable to engage the support of senior leadership, were limited in their capacity to transfer knowledge gains:

제가 그 이야기를 시작했는데, 눈을 돌렸을 때 그의 눈빛이 흔들리는 것을 들은 것 같아요. 당신이 팔고 있는 물건을 사지 않는 사람으로부터 설명하기는 어렵죠. (포커스 그룹 2011, 그룹 3)
I started talking about it and I think I heard his eyes rolling when I looked away… it’s difficult to explain from somebody who’s not buying what you’re selling. (Focus Group 2011, group 3)

다른 프로그램 졸업생들은 교육 활동을 낮은 우선순위로 강등시킨 고위 지도자들 밑에서 일했다.
Other program graduates worked under senior leaders who relegated educational activities to a low priority status.

교육 역할은 기본적으로 아무런 논의 없이 그녀가 원하는 역할이 전혀 아니라고 판단했을 뿐이며, 또한 그녀는 내가 점차적으로 자금을 대던 것에서 자금을 빼앗아갔다(인터뷰, 스콜라 4).
The education role basically, without any discussion, she just decided that that was not a role that she wanted continued at all… And also she has taken away funding from things that I had gradually gained funding for (Interview, Scholar 4)

리소스 가용성
Resource availability


[시간과 재정 자원]은 프로그램 졸업생의 의도와 교수진 개발로 얻는 이익을 실무에 통합하려는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교육 수요와 임상 의무, 일과 삶의 균형, 그리고/또는 보장 보상의 충돌이 빈번했다. 또한, 연구 및 새로운 프로그래밍을 위한 자금 확보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자금 확보는 성공에 매우 중요했습니다.
Time and financial resources were key influences on program graduates’ intention and capacity to incorporate gains from faculty development within their practice. Conflicts between educational demands and clinical duties, work-life balance, and/or secure compensation were frequent. In addition, competition for funding for research and new programming was tough; securing funds was critical to success.

지역 사회 참여
Community engagement


졸업생들은 성공적인 변화 이니셔티브를 도입하기 위해 [기관 내 다른 이해 관계자들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이해당사자들은 참여가 필요한 학생일 수도 있고, 집단적 의사결정에 있어 지원이 필수적인 동료일 수도 있다. 이해당사자들의 참여가 항상 다가오는 것은 아니었고, 프로그램 졸업생들은 종종 교육 관행을 강화하려는 노력에 대한 반발에 부딪혔다.
Graduates described needing the engagement of other stakeholders within their institutions, in order to introduce successful change initiatives. These stakeholders could be students whose participation was needed, or peers whose support was essential for collective decision-making. Stakeholder engagement was not always forthcoming, and program graduates frequently encountered resistance against their efforts to enhance educational practices.

지역사회의 필요성
Community needs


데이터 세트에서 우리는 [(다양한 작업 단위 내에서) 떠오르는emergent 요구에 대한 대응성]의 반복적인 테마를 식별했다. 프로그램 졸업생들은 종종 그들의 학계 내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 이니셔티브를 주도하거나 지원할 기회를 제공받거나 모색해야만] 했다.

Across the data set we identified the recurrent theme of responsiveness to emergent needs within various work units. Program graduates often needed to be presented with, or to seek out, opportunities to lead or support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addressed various needs within their academic community.

고찰

Discussion

결과 개요
Overview of findings


현존하는 이론과 문헌에 비추어 볼 때 CMO 관계
CMO relationships in light of extant theory and literature


프로그램 컨텍스트의 특정 기능은 시간, 안전한 공간, 교육학적 지식의 노출 및 사회적 상호 작용의 다중 수단과 같은 다중 변경 메커니즘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공간을 만드는 데 매우 중요했다. 그 자체와 내부에서의 이러한 발견은 놀랄만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만달라의 주목할 만한 기여는 프로그램 컨텍스트, 메커니즘 및 더 넓은 컨텍스트의 분리할 수 없는 계층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입증하는 것이다. 커리큘럼 내용에 대한 노출은 참가자의 지식 획득을 자극할 수 있지만, 다른 상황적 특성은 개별 학습을 넘어 이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변화 메커니즘을 촉발하는 데 중요하다.
Certain features of the program context were critical to creating a space conducive to generating multiple change mechanisms: time, a safe space, exposure to pedagogical knowledge, and multiple means of social interaction. These findings in and of themselves are unsurprising. But a notable contribution of the mandala is its demonstration of the interactions among inextricable layers of program context, mechanisms, and broader contexts. Whereas exposure to curricular content can spark participants’ acquisition of knowledge, other contextual features are critical to supporting this process and triggering change mechanisms beyond individual learning.

예를 들어, [교육에 집중하는 시간의 보호]는 전문적 발전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상황적 전제 조건이 없을 때,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의미 있는 참여가 제한되었고 다른 메커니즘이 억제되었다. 기존 연구는 학습을 위한 [전용dedicated 시간]을 집단 학습, 성찰, 장학금 및 리더십 개발에 매우 중요한 시간으로 식별한다(Rushmer 등). 2004; Zibrowski 등 2008).
For instance, the protection of time to focus on education was deemed essenti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this contextual precondition was absent, meaningful participation in program activities was constrained and other mechanisms were inhibited. Existing research identifies dedicated time for learning as critical for collective learning, reflection, scholarship and leadership development (Rushmer et al. 2004; Zibrowski et al. 2008).

교수진 개발 학습 공간의 [안전 인식perceived safety]도 변화 메커니즘을 가능하게 했다. 실제로, 안전한 교육 환경은 학습자가 실험, 음성 우려, 불확실성 인식 및 한계 확장을 충분히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선생님과 학습자 사이의 상호 신뢰 공간으로 특징지어졌다(허친슨 2003; 영 외 2015).
The perceived safety of the faculty development learning space was also an enabler of change mechanisms. Indeed, safe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been characterized as spaces of mutual trust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here learners feel comfortable enough to experiment, voice concerns, acknowledge uncertainty, and stretch limits (Hutchinson 2003; Young et al. 2015).

[교수진이 사회적 또는 정치적 파장을 두려워하지 않고 시스템적 과제를 논의]할 뿐만 아니라 [정보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공개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조건]은 확인된 변경 메커니즘을 가능하게 할 가능성이 더 높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내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지속적인 기회]는 관계적 및 협력적 변화 메커니즘에 필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Program conditions that allow faculty to openly exchange information and creative ideas, as well as discuss systemic challenges without fear of social or political repercussions, are more likely to enable the identified change mechanisms. Similarly, ongoing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 within the program provide the necessary foundation for relational and collaborative change mechanisms.

첫째, [성찰 과정]은 사회적(협업적 성찰) 수준과 개인(자기 성찰) 수준 모두에서 교수진 개발의 결과물을 촉진하기 위한 핵심 메커니즘으로 식별되었다.
First, reflective processes were identified as key mechanisms for the facilitation of outcomes from faculty development, both at the social (collaborative-reflection) and individual (self-reflection) levels.

성찰과 관련된 건강 직업 교육의 대부분의 논문은 개인 지향 성찰에 초점을 맞춘다(Ng et al. 2015).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발견은 참여자들의 [협업과 자기 성찰]에 대한 가치였다. 성찰은 수행되거나 발생한 사건에 대한 검사가 새로운 이해와 감사로 이어질 수 있는 지적 및 정서적 활동을 구성하는 인지 과정으로 설명되었다(2001년 Boud).
Most pape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lating to reflection focus on individually-oriented reflection (Ng et al. 2015); a notable finding in this study was participants’ valuing of both collaborative and self-reflection. Reflection has been described as a cognitive process, comprising intellectual and affective activities in which examination of actions performed, or incidents encountered, can lead to new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Boud 2001).

협력적 성찰(공동-성찰)[새로운 주관적 이해와 감사appreciated에 도달하기 위한 통찰력과 경험의 상호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둘 이상의 사람 사이의 인지적 및 정서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공유된 비판적 사고 과정]으로 정의되었다(Yukawa 2006). 실무자 그룹을 한데 모으는 전문 개발 프로그램 활동은 실제 과제에 대한 협업적 성찰을 위한 사회적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Watkins et al. 2011).
Collaborative-reflection (co-reflection) has been defined as a shared critical thinking process that involves cognitive and affective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people to facilitate mutual sharing of insights and experiences to reach new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s and appreciations (Yukawa 2006).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ctivities that bring together groups of practitioners can establish a social foundation for collaborative reflection on real-life challenges (Watkins et al. 2011).

[공동성찰적 실천]은 공동성찰을 통해 그룹이 [경험을 공유하고 주장과 증거를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안적 관점을 검토]할 수 있기 때문에, 리더십 개발 프로그래밍을 위한 중심 메커니즘으로 식별되었다(Lyso 2010; Watkins et al. 2011). 우리의 연구는 이러한 발견들과 일관되었고 아마도 '자신'을 넘어서는 성찰 연구를 계속할 가능성을 시사할 것이다.
Co-reflective practice has been identified as a central mechanism of change for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ming (Lyso 2010; Watkins et al. 2011) because through co-reflection, a group can share experiences, weigh arguments and evidence, as well as examine alternative perspectives (Yukawa 2006). Our research was consistent with these findings and may suggest the potential to continue to study reflection beyond the ‘self.’

성찰과 관련된 또 다른 흥미로운 발견은 [자기 성찰과 자기 조절의 연계성]이었다. 자기 성찰은 다양한 공식 및 비공식 출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드백 정보의 자기성찰적 분석을 포함한다(Moon 2004). (Ashford 2003; Moon 2004; Nesbit 2012) 이 연구에서, 이 프로그램은 자신의 교육 관행, 직업 야망 및 개인적 목표와 관련하여 내향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지속적인 다중 소스 피드백의 풍부한 소스를 제공하였다.
Another interesting finding related to reflection was the linked nature of self-reflection and self-regulation. Self-reflection involves introspective analysis of feedback information (Moon 2004), which can arise from a variety of formal and informal sources (Ashford 2003; Moon 2004; Nesbit 2012). In this study, the program provided a rich source of ongoing, multi-source feedback that could be analysed introspectively in relation to one’s own educational practices, career ambitions, and personal goals.

우리의 연구 결과에서, 자기조절은 (자기조절의) 적극적인 동반자로서 자기 반성과 짝을 이루었다. 기존 문헌은 [오랜 시간에 걸친 목표 지향적 활동을 향한 자기 성찰의 통찰력을 안내guide하는 것]이 자기 조절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Karoly 1993) 궁극적으로, 지속적인 자기조절은 변화하는 환경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적응뿐만 아니라 행동 전략의 개발, 새로운 행동의 채택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Nesbit 2012).
In our findings, self-regulation was paired with self-reflection as its active companion. Extant literature states that it is the process of self-regulation that guides the insights of self-reflection towards goal directed activities over time (Karoly 1993). Ultimately, ongoing self-regulation allows for the development of action strategies, adoption and maintenance of new behaviours as well as ongoing adaptation to changing environmental circumstances (Nesbit 2012).

마지막으로, [관계 구축]은 또한 주요 1차 변화 메커니즘으로 식별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전문직 및 조직 경계를 넘어 대학 관계를 발전시키고 육성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후속 협업 이니셔티브 및 전문 지원 네트워크의 토대를 마련합니다.
Finally, relationship building was also identified as a key primary change mechanism. The program provided a platform for development and nurturing of collegial relationships across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boundaries. These relationships set the foundation for subsequent collaborative initiatives and professional support networks.

우리의 통합 이론 기반 평가 접근 방식을 통해 우리는 어떻게 1차 변화 메커니즘과 단기 결과가 더 오랜 기간에 걸쳐 펼쳐지는 [2차 변화 메커니즘]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지 탐구할 수 있었다. 우리는 [권한 부여 프로세스Empowerment process]를 프로그램과 제도적 맥락에 걸친 CMO 상호 관계의 융합에 의해 촉발된 주요 2차 변경 메커니즘으로 식별했다. [임파워먼트]는 두 가지로 개념화되었다 - 심리적, 구조적.

Our integrated theory-based evaluation approach allowed us to explore how primary change mechanisms and short term outcomes can set stage for secondary change mechanisms that unfold over a longer time period. We identified empowerment processes as key secondary mechanisms of change, triggered by a confluence of CMO interrelationships across program and institutional contexts. Empowerment has been conceptualized as both psychological (Spreitzer 1995a; Thomas and Velthouse 1990) and structural (Kanter 1993; Laschinger et al. 2001, 2004).

 

[심리적 권한 부여]는 개인이 업무 역할 또는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재적 동기 부여 수단이다(Spreitzer 1995a; 토머스와 벨하우스 1990). 자신의 작업에 대한 의미, 역량 및 효과를 포함하여 본 연구에서 확인된 특정 개인 수준 결과와 경험적으로(긍정적으로) 연결되었다(Spreitzer 1995a, 1995b, 2009).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an intrinsic motivational vehicle through which individuals can affect their work roles or context (Spreitzer 1995a; Thomas and Velthouse 1990). It has been empirically (positively) linked to specific individual-level outcome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including a sense of meaning, competence, and efficacy about one’s work (Spreitzer 1995a, 1995b, 2009).


[심리적 권한 부여]에 관계없이, [조직 구조]는 개인이 다양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Kanter 1993). 구조적 권한 부여는 공식적(재량적 의사 결정력) 또는 비공식적(소셜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기회, 자원, 정보 및 지원에 대한 [접근(권한)]에서 도출된다(Kanter 1993; Laschinger et al. 2001, 2004). 
Regardles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can (dis)empower individuals from achieving various goals (Kanter 1993). Structural empowerment can be formal (discretionary decision making power) or informal (social networks) and is derived from access to opportunities, resources, information, and support (Kanter 1993; Laschinger et al. 2001, 2004).

 

우리의 연구는 교수 개발 컨텍스트(C1)가 중요한 정보(예: 교육학 전문 지식)에 대한 액세스를 촉진하고 관계(M1)의 개발과 전문 지원 네트워크(OO)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거나 재량적인 의사 결정력으로 공식적인 리더십 역할(OI)의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Our research shows that the faculty development context (C1) can be instrumental in facilitating access to critical information (e.g., pedagogical expertise), enabling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M1) and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support networks (OO) or securement of formal leadership roles (OI) with discretionary decision making power.

기존 연구는 [심리 및 구조적 권한 부여]를 의료 환경에서 혁신적 행동과 긍정적으로 연결했다(Knol 및 Van Linge 2009). 권한 부여는 또한 직무 수행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심리적 및 구조적 권한 부여]가 change agency를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교수진이 제도적 맥락(C2)에 영향을 미치도록 뒷받침된다.
Existing research has linked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empowerment positively to innovative behaviour in health care environments (Knol and Van Linge 2009). Empowerment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job performance (Butts et al. 2009). Thus both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empowerment can act to support change agency, with faculty bolstered to influence the institutional context (C2).

 

교수진 개발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첫째, 우리의 발견은 유용한 기관(C2)과 프로그램 맥락(C1) 내에서, 교수진 개발이 개별 교수진과 그 기관 모두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O)를 생성하는 일차 메커니즘(M1)을 촉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러한 결과와 관련 CMO 상호관계의 일관성은 추가 결과를 촉진하는 2차 메커니즘(M2)을 생성할 수 있다. 보고된 결과의 폭은 교수개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학술적 보건 과학 시스템 내의 기능이 [광범위]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교수개발은 교육역량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혁신과 학술개혁의 최전선에서 교육지도자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변화의 주체이자 지역사회 지도자로서 교직원의 발전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교수 개발자는 교수 개발 프로그램을 모범 사례의 보루bastions로서 유지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즉, 전달된 교훈lesson conveyed이 미래의 학술 보건 과학 시스템에 대한 높은 기준과 긍정적인 이상을 반영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First, our findings show that, within conducive institutional (C2) and program contexts (C1), faculty development can trigger primary mechanisms (M1) that generate positive outcomes (O) for both individual faculty and their institutions. Over time, the confluence of these outcomes and associated CMO interrelationships can generate secondary mechanisms (M2) that spur further outcomes. The breadth of reported outcomes underscores the broad span of functions within the academic health sciences system that can be influenced by faculty development. Not only does faculty development have the potential to enhance pedagogical competence, it can also aid the development of faculty as agents of change and community leaders, forming networks of education leaders at the forefront of curricular innovation and academic reform. Faculty developers should thus espouse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maintain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s bastions of best-practices—ensuring that the lessons conveyed reflect high standards and positive ideals for the academic health science systems of the future.

둘째, 이번 결과는 교수개발의 전달에서 실무 문제를 검토하는 데 유용한 모델을 제공한다. 이 모델은 원하는 목표나 영향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더 광범위한 상황적 특징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사양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제작자가 [자신이 성취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과 [실제로 그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펼쳐지는지] 사이의 연결고리를 검토할 수 있게 한다.

  • 교수 개발자는 예를 들어 중요한 메커니즘이 전개될 수 있는 컨텍스트를 만들 때 효과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들은 프로그램이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능가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표적 검사를 수행하여 프로그램 구성요소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탐색할 수 있다.
  • 그들은 또한 그들의 조직에서 [교수진의 행위자성]을 제약할 수 있는 권한의 부족을 상쇄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
  • 또한, 이론 기반 평가는 [이론 기반 프로그램 계획]으로 확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 설계 및 전달 전략의 개정을 알리기 위해 평가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다시 입력한다.
  • 마지막으로, 우리는 많은 교수진 개발 평가 노력을 특징짓는 [단기주의short-termism]를 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경험적으로 확립된 연계를 활용하여 미래의 학술활동에 inform할 수 있다.

 

Second, the results provide a useful model for examining practice issues in the delivery of faculty development. The model provides some specification of what needs to happen, and what broader contextual feature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for desired goals or impact to be achieved. It allows for the examination of links between what program creators assume they are accomplishing, and what changes actually unfold along the way.

  • Faculty developers can question their effectiveness in creating contexts where critical mechanisms can unfold, for example. They can explore whether program components work as expected by conducting targeted examination of areas where the program may excel or fails to meet expectations.
  • They can also strive to find ways to offset the lack of empowerment that may constrain faculty agency in their organizations.
  • Furthermore, theory-based evaluation can be expanded to theory-informed program planning (Baldwin et al. 2004) where results of evaluation are fed back into program development to inform revision of program design and delivery strategies.
  • Finally, we can strive to avoid the short-termism that characterizes many faculty development evaluation efforts and draw on empirically established links to inform future scholarship.

 

장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마지막으로, CMO 관계의 원형 설명 모델은 종적 교수 개발 프로그래밍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불완전한 표현일 수 있다. 실제로, "모든 모델은 잘못되었고, 일부는 유용하다"라고 말해왔다(Box and Draper 1987). 교수진 개발에서 지속적인 평가 노력을 위한 유용한 플랫폼을 제공하여 이론 기반 평가의 원칙적 목표 중 하나를 달성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다.

Finally, our circular illustrative model of CMO relationships may be an incomplete representation of what happens within longitudinal faculty development programming. Indeed, it has been said that ‘‘all models are wrong, some are useful’’ (Box and Draper 1987). It is our goal to provide a useful platform for ongoing evaluative efforts in faculty development, thus fulfilling one of the principle aims of theory-based evaluation.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  
  •  
  •  

. 2017 Mar;22(1):165-186.

 doi: 10.1007/s10459-016-9690-9. Epub 2016 Jun 13.

A mandala of faculty development: using theory-based evaluation to explore contexts, mechanisms and outcomes

Betty Onyura 1Stella L Ng 2 3 4 5 6Lindsay R Baker 2 7Susan Lieff 2 8Barbara-Ann Millar 2 9Brenda Mori 2 10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Centre for Faculty Development, Faculty of Medicine, Li Ka Shing Knowledge Institute, University of Toronto at St. Michael's Hospital, 4th Floor, 209 Victoria Street, Toronto, ON, M5B 1W8, Canada. onyurab@smh.ca.

  • 2Centre for Faculty Development, Faculty of Medicine, Li Ka Shing Knowledge Institute, University of Toronto at St. Michael's Hospital, 4th Floor, 209 Victoria Street, Toronto, ON, M5B 1W8, Canada.

  • 3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 4Centre for Ambulatory Care Education, Women's College Hospital, Toronto, ON, Canada.

  • 5Rehabilitation Sciences Institute (RSI),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 6The Wilson Centr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at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ON, Canada.

  • 7Li Ka Shing Knowledge Institute, St. Michael's Hospital, Toronto, ON, Canada.

  • 8Department of Psychiatr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 9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 10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 PMID: 27295217

 

Abstract

Demonstrating the impact of faculty development, is an increasingly mandated and ever elusive goal.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adequacy of current approaches. Here, we integrate realist and theory-driven evaluation approaches, to evaluate an intensive longitudinal program. Our aim is to elucidate how faculty development can work to support a range of outcomes among individuals and sub-systems in the academic health sciences. We conducted retrospective framework analysis of qualitative focus group data gathered from 79 program participants (5 cohorts) over a 10-year period. Additionally, we conducted follow-up interviews with 15 alumni. We represent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contexts, mechanisms, and outcomes as a "mandala" of faculty development. The mandala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mediate program context, and the broader institutional context of academic health sciences, and identifies relevant change mechanisms. Four primary mechanisms were collaborative-reflection, self-reflection and self-regulation, relationship building, and pedagogical knowledge acquisition. Individual outcomes, including changed teaching practices, are described. Perhaps most interestingly, secondary mechanisms-psychological and structural empowerment-contributed to institutional outcomes through participants' engagement in change leadership in their local contexts. Our theoretically informed evaluation approach models how faculty development, situated in appropriate institutional contexts, can trigger mechanisms that yield a range of benefits for faculty and their institutions. The adopted methods hold potential as a way to demonstrate the often difficult-to-measure outcome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allow for critical examination as to how and whethe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can accomplish their espoused goals.

Keywords: Faculty development; Program evaluation; Realist evaluation; Theory-based evaluation.

보건전문직 교수개발에서 어떻게 문화가 이해되는가: 스코핑 리뷰(Acad Med, 2020)

How Culture Is Understood in Faculty Develop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Lerona Dana Lewis, PhD, and Yvonne Steinert, PhD

 

 

 

 

 

 

교수 개발(FD)은 보건직업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정부 자원이 종종 할당되는 보건 서비스 개선에 중요한 공헌자이다. FD는 보건 전문가들이 교사 및 교육자, 지도자와 관리자, 연구자와 학자로서 지식, 기술 및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구하는 활동을 말한다. FD 활동들은 그들이 펼쳐지는 기관의 규범, 가치, 신념, 관행뿐만 아니라 설정과 자원의 영향을 받습니다. 다른 교육활동과 마찬가지로 FD도 가치중립적이지 않다—문화를 형성하고, 문화에 의해 형성된다.

Faculty development (FD) is an integral part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e improvement of health services for which government resources are often allocated.2–4 FD refers to those activities that health professionals pursue to improve their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as teachers and educators, leaders and managers, and researchers and scholars.5 These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setting and resources as well as by the norms, values, beliefs, and practices of the institutions in which they unfold. Like any other type of educational activity, FD is not value free—it shapes and is shaped by culture.


문화는 의료 전문가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학습된 신념과 행동의 통합된 패턴"으로 정의되었습니다; 그것은 "생각, 의사소통 스타일, 상호작용 방법, 역할과 관계의 관점, 가치, 관행, 그리고 관습"을 포함합니다. 6 FD는 국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종종 서로 다른 나라에서 기관 파트너에 의해 수행되고 있습니다. 블랫과 동료7은 "세계화가 증가하는 이 시대에 의료교육의 문화 간 공유 추세는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FD의 설계, 전달 및 효과가 문화의 영향을 받는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는 또한 FD가 문화의 개념을 어떻게 직접적으로 다루는지 모른다. 문화를 중요한 요소로 식별하는 FD 모델이 몇 가지 있지만, 8-10과 많은 저자들은 FD에서 문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11-13 저자들이 "문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할 때 저자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여전히 불분명하다.

Culture has been defined as “an integrated pattern of learned beliefs and behaviors” that can be shared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it includes “thoughts, communication styles, ways of interacting, views of roles and relationships, values, practices, and customs.”6 FD is growing internationally, and it is often undertaken by institutional partners in different countries. As Blatt and colleagues7 said, “In this age of increasing globalization, cross-cultural sharing of medical education represents a growing tren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design, delivery, and effectiveness of FD are influenced by culture. We also do not know how FD addresses notions of culture directly. While there are several models of FD that identify culture as a critical component,8–10 and a number of authors argue that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in FD,11–13 it often remains unclear what authors mean when they say that we should “take culture into account.”

 

더욱이, 세계화가 증가하고, 국가 문화 전반에 걸친 자원의 공유로, 4,7,14,15 문화가 F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해졌다.
Moreover, with increasing globalization and the sharing of resources across national cultures,4,7,14,15 an awareness of the influence of culture on FD becomes critically important.

[범위 검토scopring review]는 증거를 요약하거나 매핑하거나, 필드의 폭과 깊이를 전달하거나, 복잡한 개념을 명확히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7 범위 검토는 특히 문화와 FD의 개념을 탐구하는 데 유용하다.

Scoping reviews can be used to summarize or map evidence, convey the breadth and depth of a field, or clarify a complex concept.17 In our opinion, a scoping review is particularly useful for exploring the notion of culture and FD.


방법 Method

 

Arcsey와 O'Malley, 17명은 5단계로 구성된 공통 분석 프레임워크 및 검토 프로세스를 옹호합니다.
Arksey and O’Malley,17 advocate for a common analytic framework and review process consisting of 5 stages.

 

1단계: 연구 질문 식별
Stage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우리의 중요한 검토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보건 분야에서 문화와 FD에 대해 알려진 것은?
Our overarching review question was: What is known about culture and FD in the health professions?

 

2단계: 관련 연구 식별
Stage 2: Identifying relevant studies

 

3단계: 스터디 선택
Stage 3: Study selection

 

4단계: 데이터 차트 작성
Stage 4: Charting the data

 

5단계: 결과 수집, 요약 및 보고
Stage 5: Collating, summarizing, and reporting results


우리는 서술적 주제 분석과 정성적 주제 분석을 모두 사용하여 차트화한 데이터를 요약했다.17,18 기술 분석은 설명된 위치, FD 주제 및 접근 방식, 건강 직업 및 평가 방법에 대해 보고되었다. 정성적 주제 분석을 위해, 19 우리는 저자들이 FD 프로그램 또는 개입에서 문화를 다루는 방법을 탐구했다.
We summarized the data we charted using both a descriptive and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17,18 The descriptive analysis reported on the location, FD topic and approach, health profession, and evaluation methods described. For the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19 we explored how the authors addressed culture in their FD program or intervention.

 

 


결과

Results

기술분석
Descriptive analysis


위치.
Location
.


우리는 20개국에서 온 연구들을 포함했습니다. 미국이 가장 많은 연구(n = 37, 53%)를 가지고 있었다. 그 외에도, 중국에서 온 3개의 기사가 있었다; 캐나다,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베트남, 그리고 보츠와나, 덴마크, 아이티, 이란, 일본, 몽골, 네덜란드, 카타르, 러시아, 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국, 짐바브웨에서 각각 1개씩. 지역 그룹도 FD 프로그램에 대해 보고했습니다.—남아시아 5개국이 포함된 지역 그룹 4개국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1개국이 포함된 두 번째 그룹. 20 우리는 여러 국가의 참가자가 참여하는 FD를 "국제"로 분류했습니다.15,21–24

We included articles from 20 different countries. The United States had the most articles (n = 37, 53%). In addition, there were 3 articles from China; 2 from Canada, India, Saudi Arabia, Sweden, and Vietnam; and 1 each from Botswana, Denmark, Haiti, Iran, Japan, Mongolia, the Netherlands, Qatar, Russia, South Korea, South Africa, the United Kingdom, and Zimbabwe. Regional groups also reported on FD programs—One regional group included 5 South Asian countries4 and a second included 11 sub-Saharan African countries.20 We categorized FD involving participants from multiple countries as “international.”15,21–24


FD 주제 및 접근 방식.
FD topic and approach.


우리는 각 기사의 주요 초점을 결정하고 이러한 주제를 6개의 주요 FD 범주로 나누었다. 이 프로세스는 FD 내용 영역의 공통 분류를 통해 알려졌습니다.5 주요 콘텐츠 분야는 

  • 교수 및 학습(n = 30, 43%), 
  • 문화 역량(n = 13, 19%), 
  • 경력 개발(n = 13, 19%), 
  • 리더십(n = 5, 7%), 
  • 연구 및 장학(n = 6, 9%), 
  • 전문성과 윤리(n = 3, 4%)였다.

We determined each article’s primary focus and divided those topics into 6 major FD categories. This process was informed by a common classification of FD content areas.5 The major content areas were

  • teaching and learning (n = 30, 43%),
  • cultural competence (n = 13, 19%),
  • career development (n = 13, 19%),
  • leadership (n = 5, 7%),
  • research and scholarship (n = 6, 9%), and
  • professionalism and ethics (n = 3, 4%).


가장 일반적인 FD 접근 방식은 다양한 기간(2일에서 5일 교육 프로그램 및 1년 과정 등)으로 구성된 워크숍이었다. 많은 다년간의 펠로우쉽도 보고되었으며, 많은 FAIMER(국제 의료 교육 및 연구 선진화 재단) 프로그램의 일부로 보고되었다.20,21 대부분의 이니셔티브는 경험적 학습, 코칭 및 멘토링, 성찰적 실천과 같은 다양한 형식을 포함했다.

The most common FD approaches were workshops of varying duration, 2to 5-day training programs, and year-long courses. A number of multiple-year fellowships were also reported, many as part of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program.20,21 Most initiatives included multiple formats, such as experiential learning, coaching and mentoring, and reflective practice.

 

보건전문직
Health profession.


검토한 기사 중 53%(n = 37)가 다학제 보건 전문가 그룹을 위해 설계되었다. 또한 간호 분야에서는 17%(n = 12), 의학 분야에서는 16%(n = 11), 치과 분야에서는 7%(n = 5)로 나타났다.
Of the articles we reviewed, 53% (n = 37) were designed for multidisciplinary groups of health professionals. In addition, 17% (n = 12) took place in nursing, 16% (n = 11) in medicine, and 7% (n = 5) in dentistry.



평가 방법.
Evaluation methods.


62개(89%)의 기사가 평가 계획을 기술했다. 다른 개념적 모델들이 평가 과정을 안내했으며, 커크패트릭의 모델 8개 기사(11%)에 사용되었다. Chen의 프로그램 평가 모델은 1개 논문에서, Guskey의 평가 모델 다른 논문에서 기술되었다.85
Sixty-two (89%) articles described an evaluation plan. Different conceptual models guided the evaluation process, with Kirkpatrick’s model86 being used in 8 articles (11%). Chen’s program evaluation model87 was described in 1 article77 and Guskey’s evaluation model88 was described in another.85

참여자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의 변화는 다문화 평가 설문지 89와 의료 전문가들 사이의 문화적 역량의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재고와 같은 심리학적 특성을 입증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여러 연구에서 평가되었다.40

Changes in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culture were assessed in several studies using instruments that demonstrated psychometric properties, such as the Multicultural Assessment Questionnaire89 and the Inventory for Assessing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40

 

 

 

 

 

 


정성적 주제 분석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세 가지 주요 테마가 나타났다: 

  • (1) 문화는 자주 언급되었지만 설명되지 않음, 
  • (2) 다양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 문화, 
  • (3) 문화적 고려는 국제 FD에서 일상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

Three main themes emerged: 

  • (1) culture was frequently mentioned but not explicated; 
  • (2) culture centered on issues of diversity, aiming to promote institutional change; and 
  • (3) cultural consideration was not routinely described in international FD.

문화는 자주 언급되었지만 설명되지는 않았다.
Culture was frequently mentioned but not explicated.


전체 데이터 세트에 3개 기사만 문화를 정의했습니다. 전체 데이터 세트에 3개 기사만 문화를 정의했습니다. 한 기사는 문화를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배우고 전승한 한 무리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의미 체계이며, 문화에는 신념, 전통, 가치관, 관습, 의사소통 방식, 행동, 관행, 그리고 제도가 포함"된다고 정의했다. 이러한 문화의 개념은 게르츠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나머지 2개 기사도 가치관, 신념, 규범, 실천이 문화의 정의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Only 3 articles in the entire dataset defined culture. One article defined culture as “a system of meanings shared by a group of people learned and passed on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Culture includes beliefs, traditions, values, customs, communication styles, behaviors, practices, and institutions.”38 This conception of culture was based on Geertz’s work.91 The other 2 articles9,40 also underscored that values, beliefs, norms, and practices were integral to the definition of culture.

동시에, 문화라는 용어는 종종 다른 단어들과 함께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문화간호', '문화간호', '문화간호', '문화적 패권', '문화간호', '문화간호', '문화간호', '문화적 패권', '문화적 인식' 등의 문구가 흔했다. 다른 일반적인 문구들은 "학문의 문화," "학습의 문화," 그리고 "의학의 문화"였다.

At the same time, the term culture was often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words. For instance, phrases such as “institu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ulture,” “physician culture,” “college culture,” “teaching culture,” and “research culture” were common, as were “cross-cultural care,” “sociocultural competence,” “cultural diversity,” “cultural hegemony,” and “cultural awareness.” Other common phrases were “culture of scholarship,” “culture of learning,” and “culture of medicine.”

 

다른 방식으로, 문화라는 용어는 [저자와 독자 사이에 공유된 의미를 가정한 개념]의 "잡동사니grab bag"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였다. 예를 들어, Behar Horenstein과 동료 75의 글에서 "대학 문화"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추궁하는 것은 가정된 공유된 의미의 문제성을 드러낸다.

In different ways, the term culture appeared to represent a “grab bag” of concepts for which a shared meaning was assumed between authors and readers. For example, critically interrogating the meaning of “college culture” in an article by BeharHorenstein and colleagues75 revealed the problematic nature of assumed shared meanings.

 

문화는 제도적 변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성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Culture centered on issues of diversity, aiming to promote institutional change.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기사에서, FD 프로그램이나 활동의 명시된 목표는 

  • (1) 환자의 다양성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의료 관행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보통 문화적 역량의 중추 아래), 
  • (2) 과소대표된 교직원과 함께 작업함으로서 교수진의 구성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FD).

In articles focusing on diversity, the stated objectives of the FD program or activity were to change 

  • (1) health care practices by focusing on patient diversity (usually under the rubric of cultural competence) or 
  • (2) the composition of the faculty by working with underrepresented faculty members (often under the rubric of under represented minority FD).


13개 기사에서 [문화 역량에 초점을 맞춘 FD 이니셔티브]를 기술했는데, 문화적 역량은 "임상치료의 문화적 구성요소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및 인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38 이들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교직원들에게 교양간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여러 기사들은 FD 프로그램에서 종종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과정인 [개인적 가정, 편견 및 사회적 불평등의 성찰과 조사]라고 기술된 [비판적 의식critical consciousness]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Thirteen articles described FD initiatives focusing on cultural competence, which can be defined as the “knowledge, skills, and awareness required for attending to cultural components of clinical care.”38 The majority of these programs aimed to give faculty members the knowledge and skills to help learners work effectively in cross-cultural settings.15,38–47,49 Several article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ritical consciousness, described as reflection and examination of personal assumptions, biases, and social inequalities,43 a process that was often not addressed explicitly in FD programs.46,47

문화적 역량을 위한 FD는 보통 그 자체로 독립적stand-alone 프로그램으로 제공되었다. 그러나, 3개의 기사에서 기술된 FD 활동은 특정 과정과 연결되어 있었다. 41, 46, 47개의 여러 연구는 소규모 집단 사례 연구와 반사적 연습을 포함한 문화적 민감성을 촉진하기 위한 특정 [교육 및 학습 전략]을 강조했다. 38,43 흥미롭게도, 이 기사들 중 한 가지를 제외한 모든 것이 북미에서 왔다.
FD for cultural competence was usually offered as a stand-alone program. However, in 3 articles, the FD activities described were linked to specific courses.41,46,47 Several studies45–47 highlighte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cultural sensitivity, including small group case studies and reflective exercises.38,43 Interestingly, all but one of these articles came from North America.

[진로개발]에 초점을 맞춘 13개 기사 중 7개 기사는 교직원의 다양성을 높이고 저평가된 교직원의 학업성취도를 보장하기 위한 시책을 기술하였다.
Seven of the 13 articles focusing on career development described initiatives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faculty members and ensure the academic success of underrepresented faculty members.9,28,30,31,33,34,37

전반적으로, 교수진의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FD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미국 밖에서는 그러한 프로그램이 보고되지 않았다.
Overall, FD programs to increase faculty diversity were considered successful, though no such programs were reported outside the United States.


문화적 고려는 국제 FD에서 일상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
Cultural consideration was not routinely described in international FD.


24개의 기사는 국제 FD 프로그램에 대해 기술했다

  • 일부는 한 국가(예: 미국)에서 다른 국가(예: 중국, 러시아 또는 스웨덴)로 FD 프로그램 또는 활동을 옮겼으며, 
  • 다른 일부는 내용 또는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변경하여, 기존의 FD 프로그램을 채택했으며, 
  • 일부는 "파트너십"으로 설명되었다.20, 21,61 

Twentyfour articles described international FD programs. 

  • Some transferred an FD program or activity from one country (e.g., the United States) to another (e.g., China, Russia, or Sweden)62,69,71; 
  • others adapted known FD programs50,68,70 by making specific changes to the content or process; and 
  • some were described as “partnerships.”20,21,61 

또한 이러한 기사 중 약 50%에서 [국가적 맥락 또는 문화적 규범과 신념의 중요성]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단지 14(20%)에서만 [문화적 차이를 수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정 변화나 적응]을 기술했으며, 그 중 오직 하나의 프로그램만이 [문화적 관련성을 평가]하였다.50

Moreover, although close to 50% of these article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national contexts or cultural norms and beliefs, only 14 (20%) described specific changes or adaptations made to accommodate cultural differences, of which only 1 program evaluated for cultural relevance.50

몇 가지 프로그램이 미국에서 다른 나라(예: 스탠포드 FD 모델)로 옮겨졌으며, 이 때 프로그램이 특별한 수정이나 적응 없이 진행되었다. 한 예로, Wong과 Fang62는 미국에서 중국으로 FD 프로그램을 이전하는 것이 성공적이었으며, 이는 미국과 중국의 의과대학 제도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문화적 적응이 불필요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시책에서 왕과 아기셰바69는 "의료교사에게 존재하는 교육적 도전은 제도적, 문화적 경계를 모두 초월했다"며 문화적 수용cultural accommodation이 불필요하다고 봤다. 스웨덴에서는 [스웨덴과 미국의 의과대학 시스템 사이의 "근접성closeness"]이 FD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71
Several programs were transferred from the United States to another country (e.g., the Stanford FD model),71 without specific modifications or adaptations. In one instance, Wong and Fang62 argued that the transfer of an FD program from the United States to China was successful because of similarities between the medical school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ich rendered cultural adaptations unnecessary. In another initiative, Wong and Agisheva69 observed that “the educational challenges that exist for medical teachers transcended both institutional and cultural boundaries” and that cultural accommodation was unnecessary. In Sweden, the “closeness” between the Swedish and U.S. medical school systems was viewed as enabling the successful transfer of an FD program.71

FD 프로그램에 대한 적응이 이루어졌을 때, 그들은 지역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많은 방법과 전략을 포함했다. 

  • 아시아의 문화적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설계 원칙 통합4
  • 대한민국에서 근무일수 단축에 대한 현지 기대치를 수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간 단축70
  • 사우디 아라비아의 종교적 차이를 수용하기 위해 전문성 강화53;
  • 사우디아라비아, 53개 보츠와나, 52개 카타르, 68개 중국, 7개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현지 문화를 반영하기 위한 맞춤형 사례 및 역할극 시나리오 50;
  • 중국 및 러시아에서 과정 자료 및 전체 프레젠테이션 번역, 7,69 및
  • 남아프리카에서 이메일 사용과 아이티에서 온라인 설문 조사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 열악한 통신 네트워크에 적응하는 것.

When adaptations to FD programs were made, they included a number of methods and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local context: 

  • incorporating educational design principles to enhance cultural sensitivity in Asia4;
  • shortening the length of a program to accommodate local expectations of shorter work days in South Korea70;
  • reframing professionalism to accommodate religious differences in Saudi Arabia53;
  • tailoring case vignettes and role-playing scenarios to reflect local cultures in Saudi Arabia,53 Botswana,52 Qatar,68 China,7 and South Africa50;
  • translating course materials and plenary presentations in China and Russia7,69; and
  • adapting to poor telecommunications networks, which affected the use of email in South Africa50 and the use of online surveys in Haiti.63


또한 국제 교육자들이 지역적 맥락에 대한 준비되지 않은 느낌을 설명하면서 문화의 영향을 인정하였다. 예를 들어

  • 베트남의 FD 프로그램 운영자들은 현지 참가자들이 질병과 치료를 이해하는 방식, 간호사와 의사 간의 계층적 관계, 간호사가 수행하는 업무의 차이, 종교적 신념, 환자의 기대 등에 대해 준비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84
  • 다른 이니셔티브에서 중국에서는 가족 권리가 개별 환자 권리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그 결과 서구의 촉진자들은 의사와 환자의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역할극에서 비롯되는 논의를 정확하게 예상하지 못했다.7

The impact of culture was also acknowledged when international educators described feeling unprepared for local contexts. For example,

  • facilitators of an FD program in Vietnam reported that they were unprepared for the ways in which the local participants understood illness and treatment,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doctors, the difference in tasks performed by nurses, religious beliefs, and the expectations of patients.84
  • In another initiative in China, it was noted that family right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patient rights, and, as a result, facilitators from the West did not accurately anticipate the discussions that resulted during a role-play which focused on doctor–patient communication.7

어는 분명히 국제 FD에서 또 다른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그러나, 단지 몇몇 기사만이 언어의 차이가 어떻게 해결되었는지를 기술하였다. 7,62,69 FD는 지역 언어가 다른 경우에도 영어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영어 능력은 다양하여 일부 FD 프로그램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4,70 게다가 FD 문서와 자원 자료의 번역은 표준 관행이 아니었다.
Language is clearly another important consideration in international FD; however, only a few articles described how language differences were addressed.7,62,69 FD was most often conducted in English, even when the local language was different. However, participants’ fluency in English varied, affecting the success of some FD programs.4,70 In addition, the translation of FD documents and resource materials was not a standard practice.

더욱이, 문서가 번역되었을 때에도, 언어는 때때로 한계나 장벽으로 간주되었다. 4,62,70 일부의 경우, 동일한 단어가 로컬 언어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일부 워크숍에서는 번역의 충실도가 문제였으며, 1개의 경우 참가자와 진행자 간의 "소통 단절"으로 이어졌다.84
Moreover, even when documents were translated, language was sometimes considered a limitation or barrier.4,62,70 In some instances, equivalent words did not exist in the local language. As well, during some workshops, the fidelity of the translation was an issue and, in 1 case, led to a “breakdown in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facilitators.84


하지만, 

  • "큰 그림 번역"(즉, 청중에게 주기적인 요약을 제공하는 번역가) 및 
  • 속삭임 번역(즉, 번역가가 발표자에게 속삭인다). 

등은 프로그램에서 참가자 사이의 용기와 상호작용을 번역하는 효과적인 수단임이 입증되었고 다른 프로그램에서 평가를 용이하게 했다. 실로, [문화 통역사의 사용]은 FD 프로그램의 성공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왜냐하면 언어와 문화적인 맥락을 모두 해석했기 때문이다.63 However, “big picture translation” (i.e., a translator providing periodic summaries to the audience) and whisper translation (i.e., a translator whispering back to the presenter) proved to be effective means of translating plenaries and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in one program7 and facilitated evaluation in another.63 In fact, the use of cultural interpreters was reported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FD programs because these individuals interpreted both the language and cultural contexts.63

 

예를 들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자국의 "학술적 문화"가 열악함에 대해 말했고, 그들의 FAIMER 경험이 그들이 국내에서 학술활동 개발을 촉진하는 문화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했다.
For example, program participants in sub-Saharan Africa spoke of a poorly developed “culture of scholarship” in their own countries and noted that their FAIMER experiences helped them to build a culture that w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scholarship at home.

국제 FD 이니셔티브의 형식은 종종 1~2일에서 2주까지 또는 종단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50,67,84 국제 의료 교육자 교환은 다른 나라에 있는 5개 의과대학 중 1개 학교에서 몇 주를 보낸 독특한 형식이었다.24

The format of international FD initiatives was often described as workshop based, ranging from 1 or 2 days to 2 weeks, or as longitudinal in nature.50,67,84 The International Medical Educators Exchange was a unique format in which medical educators spent several weeks in 1 of 5 medical schools in another country.24

 

고찰

Discussion

1924년, "문화가 교육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라는 그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러시모어는 이렇게 썼다. 
"문화는 해석과 의미와 가치, 다른 것들과 지식의 다른 분야와의 관계를 암시한다."
In 1924, in response to his own question “What has culture to do with education?” Rushmore wrote that 

“culture implies interpretation and significance and values; relation to other things and to other branches of knowledge.”1 


이 범위 지정 검토는 Rushmore의 질문의 관련성을 강조했으며 문화와 FD에 대한 이해에서 핵심 개념, 결과 및 차이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우리는 2006년 이후 이 주제에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춘 문헌은 소수에 불과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우리는 또한 대부분의 기사가 문화를 정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This scoping review highlighted the relevance of Rushmore’s question and helped us to identify key concepts, findings, and gaps in our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FD. In particular, we found that only a small body of literature has focused on this topic explicitly since 2006. We also discovered that the majority of articles do not define culture;

 

문화를 정의하기

Defining culture

 

"내가 말할 때…"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기사에서."문화"라고 Pratt과 Schrewe92는 [의학에서 문화는 모든 것과 아무것도 아닌 것을 동시에 의미하는 "모호한 참조"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우리의 범위 검토는 문화라는 용어가 거의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 단지 3개의 기사만이 문화를 정의했고, 다른 기사에서는 문화가 "문화 인식" 또는 "학문의 문화"와 같은 다른 용어와 관련이 있는 경우, 이 용어들은 보통 설명되지 않았다. 이러한 발견은 문화의 개념과 그에 관련된 용어가 국내외 교육자들에게 동일한 의미를 전달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들은 또한 공동체로서, 우리는 문화라는 의미와 그 관련 용어(예: 문화 인식, 대학 문화)를 더 잘 정의하고 FD의 설계와 전달에서 문화의 어떤 측면이 중요한지 식별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In an interesting article, titled “When I Say…Culture,” Pratt and Schrewe92 noted that, in medicine, culture has come to be a “vague referent” meaning everything and nothing at the same time. Our scoping review supports the notion that the term culture is rarely defined clearly. Only 3 articles defined culture; in other articles, where culture was associated with another term such as “cultural awareness” or the “culture of scholarship,” these terms were not usually explained. These findings raise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notion of culture and its associated terms convey the same meaning to educator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y also suggest that, as a community, we need to better define what we mean by culture and its associated terms (e.g., cultural awareness, college culture) and to identify which aspects of culture are important in the design and delivery of FD.

문화적 다양성
Cultural diversity


우리의 주제 분석에서 나타난 한 가지 주제는 나이, 민족, 인종과 같은 사회적 위치의 차이와 연계된 문화에 대한 이해였는데, 이 모든 것들은 문화적 역량을 위한 FD와 과소대표된 교수진을 위한 FD로 다루어졌다.
One theme that emerged from our thematic analysis was an understanding of culture that was linked to differences in social location, such as age, ethnicity, and race, all of which were addressed in FD for cultural competence and for underrepresented faculty members.

미국 밖의 FD는 이 imperative가 반영되지 않았다.
FD outside the United States did not reflect this imperative.

환자 모집단의 다양성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 개입의 주된 초점은 교직원들이 학습자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보건 전문가들 사이의 문화적 역량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환자 치료 개선과 관련이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평가한 체계적인 검토 결과, 문화적 역량과 개선된 환자 결과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의 증거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94 우리의 연구 결과는 [문화 역량에 대한 교수진의 이해]와 [이 내용을 그들의 교육에 통합하는 인식된 능력의 변화]를 보고하면서 문화적 역량에 대한 FD가 종종 성공적인 것으로 인식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학생 행동 및 환자 관리의 변화와 관련된 문화적 역량에 대한 FD의 효과에 대한 보다 엄격하고 장기적인 평가의 필요성이 여전히 중요하다.95

The primary focus of interventions that aimed to address diversity in patient populations was helping faculty members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learners. A systematic review, that critically assessed whether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cultural competence among health professionals were associated with improved patient care, found that there was limited evid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ompetence and improved patient outcomes.94 Our findings suggest that FD for cultural competence was often perceived as successful, with reported changes in faculty members’ understanding of cultural competence and their perceived ability to integrate this content into their teaching.38,39,41 However, the need for more rigorous, long-term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FD for cultural competence that is linked to changes in student behavior and patient care remains important.95


[비판적 의식]은 학생, 환자, 그리고 과소되표된 소수 교수들 사이의 차이와 유사성에 대한 환원주의적 또는 단순한 사고방식과 반대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문화적 수사cultural trope를 기반으로 한 범주에 개인을 배치하는 것은 해로운 고정관념의 재확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critical consciousness is the antithesis to reductionist or simplistic ways of thinking of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mong students, patients, and underrepresented minority faculty, as placing individuals into categories based on cultural tropes can result in the reification of harmful stereotypes.

문화적 역량intercultural competence은 태도, 지식, 기술에 기초하여 문화 간 상황에서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 능력으로 정의되었다.96

  • 문화적 태도는 다른 문화를 가치 있게 여기고, 다른 문화를 이해하려는 호기심과 동기를 부여하며, 민족 중심적인 행동을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 간문화적 기술에는 비판적인 자기반성,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 불확실성을 참는 법을 배우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역량에 대한 인식과 획득을 촉진하는 것은 국내외에서 교육자의 전문성을 강화시킬 것이다.14,97

Intercultural competence has been defined as a person’s ability to interact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in cross-cultural situations based on their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96 

  • Intercultural attitudes include valuing other cultures, being curious and motivated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and being aware of ethnocentric behaviors; 
  • intercultural skills include critical self-reflection, questioning assumptions, and learning to tolerate uncertainty.

Promoting an awareness and acquisition of these competencies would enrich educators’ expertise both at home and abroad.14,97

 

 

국제 FD 프로그램
International FD programs


문화의 개념과 문화의 사용 방법을 신중하게 정의해야 하는 필요성이 세계화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The need to carefully define the concept of culture—and how it is being used—becomes even more important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분명히, 국가의 차이는 FD 교육자가 자신의 프로그램을 계획, 구현 및 평가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 따라서 이 검토의 많은 이니셔티브가 지역적 맥락의 중요성을 인정했지만, 대부분은 프로그램이 지역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법 또는 문화적 영향을 수용하기 위해 어떤 수정이나 개조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았다는 것이 놀랍다. 그들은 또한 프로그램의 문화적 관련성이나 지역적 맥락에 맞게 만들어진 어떤 accommodation도 평가하지 않는 것 같았다.
Clearly, national differences can influence the way that FD educators plan, implement, and evaluate their programs.7 It is surprising, therefore, that although many initiatives in this review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local contexts, most did not provide an explicit description of how their programs met local needs or what modifications or adaptations were made to accommodate cultural influences. They also did not seem to evaluate the cultural relevance of the program or any accommodations made to fit the local context.

또한 [문화를 고려하지 않음의 함의를 고려하는 것]과 [국가 문화를 필수화하거나 지나치게 단순화하지 않는 것]을 염두에 두는 것은 가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언어, 지리, 역사 또는 관행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관습에서 발생하는 국가 내 지역적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음을 제안한다.

  • 모든 국제 FD 프로그램에 정기적 니즈 평가를 포함시킨다. 
  • FD 활동 평가에서 문화적 관련성의 개념을 다룬다.
  • 교차 문화 FD에서 학습에 대한 언어와 접근 방식의 역할을 고려하라.

It also would be worthwhile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not taking culture into account and to remember to not essentialize, or oversimplify, national cultures as there may be regional differences within a country arising from language, geography, history, or localized customs that influence practices. We would therefore suggest that educators

  • include routine needs assessments in all international FD programs,4,50
  • address the notion of cultural relevance in the evaluation of their FD activities,50 and
  • consider the role of language and approaches to learning in crosscultural FD.7,50,84


이 범위 검토에서 나온 우리의 연구 결과는 채택된 프로그램, 적응된 프로그램 또는 진정한 파트너십의 세 가지 렌즈를 통해 국제 FD 프로그램을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헌과 문화적 겸손을 증진하는 관점에서 볼 때 FD 활동의 설계와 전달에 동등하게 참여하는 [파트너십 모델]이 선호된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국제 FD 파트너십이 주로 서구 이외의 국가로 서구 교육 프로그램을 [이전transferred했다는 것]을 강조한다. 나아가 FD 프로그램을 책임지는 교육자들은 문화적 차이에 대한 개방성, 문화적 겸손, 그리고 배운 교훈을 자신의 환경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욕망에서 시작하여 양방향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많은 면에서, 문화 간 역량 96에 포함된 지식, 태도 및 기술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ur findings from this scoping review suggest that international FD programs could be viewed through 3 lenses:

  • adopted programs,
  • adapted programs, or
  • true partnership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from the viewpoint of promoting cultural humility,98,99 a partnership model, with equal participation in the design and delivery of the FD activity, is preferred. However, our findings highlight that, with a few exceptions, international FD partnerships mainly transferred Western educational programs to non-Western countries. Moving forward, educators responsible for FD programs should work to promote bidirectional learning,7 starting with an openness to cultural differences, a sense of cultural humility, and a desire to bring lessons learned back to their own setting. In many ways,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subsumed in intercultural competence96 could help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마지막으로, 우리가 검토한 기사에서 문화의 개념은 종종 "국가적인" 문화를 언급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적인 문화나 학문적인 문화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었다.

Last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notion of culture in the articles we reviewed often referred to “national” cultures. There was little mention of professional or academic cultures, to name a few.

한계

Limitations

미래 연구

Future research


연구원들은 문화와 FD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평가하는 데 더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핵심 개념의 정의를 식별하고, 다음에 대해 연구를 시작해야한다.  

  • 문화와 언어가 가르침과 배움에 미치는 영향, 
  • 특정한 문화적 적응accommodation의 가치, 그리고 
  • FD 프로그램과 개입에서 문화적 관련성의 평가.

researchers should focus more explicitly on assessing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culture and FD, starting with identifying the definitions of key concepts and moving forward to include studying 

  • the influence of culture and language on teaching and learning, 
  • the value of specific cultural accommodations, and 
  • the evaluation of cultural relevance in FD programs and interventions.



결론

Conclusions

FD에서 문화적 영향을 수용하는 효과(예: 지역적 요구, 가치 및 신념 이해, 교수와 학습의 문화적 차이를 식별하고 인정, 지역 맥락과 문화에 대한 교재 맞춤화, 유연하고 대응력 있는 것)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Mor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accommodating cultural influences in FD (e.g., understanding local needs, values, and beliefs; identifying and acknowledging cultural differences in teaching and learning; tailoring teaching materials to local contexts and culture; and being flexible and responsive) is needed.

만약 우리가 Rushmore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스스로에게 "문화가 교육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라고 묻는다면, 우리는 문화가 1924년처럼, 오늘날에도 관련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If we return to Rushmore’s question and ask ourselves “What has culture to do with education?” we could say that culture is as relevant today as it was in 1924.

 

 


Review

 

Acad Med

  •  
  •  
  •  

. 2020 Feb;95(2):310-319.

 doi: 10.1097/ACM.0000000000003024.

How Culture Is Understood in Faculty Develop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Lerona Dana Lewis 1Yvonne Steinert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L.D. Lewis was postdoctoral fellow,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t the time this work was completed. Y. Steinert is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and the Richard and Sylvia Cruess Chair in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 PMID: 31599755

 

Abstract

Purpose: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culture is conceptualized in faculty development (FD) in the health professions.

Method: The authors searched PubMed, Web of Science, ERIC, and CINAHL, as well as the reference lists of identified publications, for articles on culture and FD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8. Based on inclusion criteria developed iteratively, they screened all articles. A total of 955 articles were identified, 100 were included in the full-text screen, and 70 met the inclusion criteria. Descriptive and thematic analyses of data extracted from the included articles were conducted.

Results: The articles emanated from 20 countries; primarily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cultural competence, and career development; and frequently included multidisciplinary groups of health professionals. Only 1 article evaluated the cultural relevance of an FD program. The thematic analysis yielded 3 main themes: culture was frequently mentioned but not explicated; culture centered on issues of diversity, aiming to promote institutional change; and cultural consideration was not routinely described in international FD.

Conclusions: Culture was frequently mentioned but rarely defined in the FD literature. In programs focused on cultural competence and career development, addressing culture was understood as a way of accounting for racial and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international FD programs, accommodations for cultural differences were infrequently described, despite authors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national norms, values, beliefs, and practices. In a time of increas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 awareness of, and sensitivity to, cultural contexts is needed.

임상교육자에서 교육적 학자, 그리고 리더: HPE분야에서 커리어 개발(Clin Teach, 2020)

From clinical educators to educational scholars and leaders: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advancing a career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ubha Ramani1 , Judy McKimm2 , Harish Thampy3 , Patricia S. O’Sullivan4, Gary D Rogers5 , Teri Lee Turner6, Margaret S Chisolm7, Rashmi A Kusurkar8, Richard Hays9 , Alice Fornari10 , Elizabeth K Kachur11, Keith W Wilson12, Helena P Filipe13 and Daniel J Schumacher14

 

 

 

 

도입

INTRODUCTION

 

다만 보건직의 교육자 역할이 범위, 책임, 명명법(표 1)에 따라 다르듯이, 다른 추진위원회의 학력진행 및 해석 기준도 다르다.1–4
however, just as health professions educator roles vary in scope, responsibilities and nomenclature (Table 1), so do the criteria for academic progression and interpretation by different promotion committees.1–4

 

 



권장 사항은 4가지 범주(그림 1),

The recommendations, listed under four categories (Figure 1),

 

 

 

HPE의 학자로서의 경력 시작
BEGIN A CAREER AS A SCHOLAR IN HPE

 

모든 교육자가 학술활동scholarship과 리더십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학술활동에 참여하는 초보 교육자의 경우, 관심분야를 파악하고, 연구자와 학자로 구성된 팀에 합류하고, 자신의 작품이 적절한 독창적인지를 인식하고, 첫 발표나 논문을 완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압도적으로 느낄 수 있지만, 인내심, 멘토쉽 그리고 초기 실패로부터 배우는 것은 성공적인 학술활동으로 이끌 수 있다. 4,5 우리는 교육 발전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우리는 관심있는 주제에 관한 문헌을 읽고, 저널의 이메일 알림에 가입하고, 전문 협회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그리고 자신이 속한 교육 환경에서 연구가능한 잠재적인 영역을 성찰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격차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Not every educator wants to pursue scholarship and leadership; however, for novice educators who wish to engage in scholarship, strategies that can help you get started include identifying areas of interest, joining a team of researchers and scholars, recognising whether your work is adequately original and completing that first presentation or paper. This can feel overwhelming, but perseverance, mentorship and learning from initial failures can guide successful scholarship.4,5 To raise awareness of educational developments, we suggest reading literature on topics of interest, subscribing to e-mail alerts from journals, joining professional associations or online communities and reflecting on potential areas for inquiry in one’s educational setting. This helps to identify gap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ion. 

 

여러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것이 유혹적이지만 관심의 Niche(예: 평가, 전문적 정체성 형성, 시뮬레이션)를 찾는 것은 전문지식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 만약 여러분이 교육자나 연구자로서 자신을 더 발전시키고 싶다면, 공식적인 학습은 매우 가치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HPE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 이론 및 개념(실용 전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관리자와 함께 작업하는 방법을 배우거나 온라인 리포지토리를 사용하여 관심 영역에서 최신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문헌 검색을 실행하는 것이 유용합니다.4
Although it is tempting to pursue multiple ideas, finding a niche of interest (e.g. assessmen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imulation) can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f you are keen to develop yourself further as an educator or researcher, then formal learning can be invaluable. This will equip you with the jargon, theories and concepts (as well as practical strategies) used in HPE. It is useful to learn how to work with a librarian or use an online repository to run literature searches to stay updated in your area of interest.4


중견 교육 학자로서의 지속적인 발전
CONTINUE TO ADVANCE AS MIDCAREER EDUCATIONAL SCHOLARS


문헌을 읽고, 회의에 참석하고, 연구결과를 발표 및 출판함으로써 교육학자들의 공동체에 가입한 후, 여러분의 학문적 관심사를 공고히 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세요. 주변으로부터 학계의 중심으로 나아가고 학문적 생산의 모멘텀을 유지하려고 노력하라. 만약 여러분이 임상적 의무와 교육적 의무를 모두 가진 교육자라면, 여러분의 교육적인 일을 두 번 세어 보도록 노력하세요.

  • 즉, 여러분이 디자인하고 있는 교육 자원을 출판하고
  • 그 결과 여러분의 직업 (당신이 돈을 받고 하는 일)을 여러분의 전문직업적 천직 (당신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 싶은가)과 맞추려고 노력하세요.

After joining a community of educational scholars by reading the literature, attending meetings and presenting and/ or publishing your work, think about consolidating your scholarly interests. Seek to move from the periphery towards the centre of a scholarly community and sustain the momentum of scholarly outputs. If you are an educator with both clinical and educational obligations, try to make your educational work count twice, i.e. 

  • try to publish the educational resources that you are designing and thus 
  • align your occupation (what you are paid to do) with your professional vocation (how you want to make an impact).8 

 

단지 독창적인 연구만이 학술활동은 아니다.

Scholarship is not just original research.

 


상자 1. Glassick의 교육 학술활동 우수성 기준 9
Box 1. Glassick’s standards of excellence in educational scholarship9

• 명확한 목표: 현장에서 중요한 질문을 식별하고, 작업의 목적을 명확히 설명하며,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한다.
• Clear goals: identify important questions in the field, clearly state the purpose of the work, and establish objectives that are realistic and achievable

• 적절한 준비: 현장에서의 기존 연구에 대한 이해도를 보여주고,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기술과 자원을 개발한다.
• Adequate preparation: show an understanding of existing scholarship in the field, and develop the necessary skills and resources to conduct the project

• 적절한 방법: 목표에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며, 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수정
• Appropriate methods: use methods appropriate to the goals, apply them effectively and modify them in response to changing circumstances

• 유의미한 결과(이 단계는 교육 목표의 달성을 의미하며, 통계적 유의성을 의미하지 않음): 목표를 적절히 달성해야 하며, 현장에 추가해야 하며, 추가 탐사를 위해 영역을 개방해야 한다.
• Significant results (this step refers to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and not to statistical significance): goals should be achieved adequately, should add to the field and should open areas for further exploration

•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효과적인 스타일, 조직, 명확성과 무결성으로 작업 제시
• Effective presentation: present work using effective style, organisation, and with clarity and integrity

• 성찰적 비평: 자신의 작업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작업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성찰 사용

• Reflective critique: critically evaluate your own work, and use reflec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future work

 

 

교육 기관의 교육 승진 기준을 숙지하고(가능한 경우 위원회에 봉사), 장학금/학업 활동 선택에 대해 전략적으로 행동하고, 활동을 문서화하고, 영향을 미치는 증거를 수집하십시오. 많은 기관에서는 교육 포트폴리오를 유지 관리해야 합니다. 예는 https://www.mededportal.org/publication/626/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멘토와 동료는 경력 개발에 대한 조언과 CV 및 교육 포트폴리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많은 교육자들은 그들의 시간과 충고에 관대하다;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는 학자들과 지도자들에게 연락하는 것이나 여러분이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지도를 받는 것을 주저하지 마시오

 

Try to familiarise yourself with your institution’s educational promotion criteria (serve on the committee if possible), and be strategic about your choice of scholarship/academic activities, document your activities and gather evidence of their impact. Many institutions require staff to maintain a teaching portfolio: an example can be found at https://www.mededportal.org/publication/626/. Mentors and colleagues can provide advice on career development and feedback on your CV and educational portfolio. Many educators are generous with their time and advice; do not hesitate to reach out to scholars and leaders you already know and to e-mail people you don’t know for guidance. 

 

교육 회의에 참석하고 자원봉사를 하며, 교육 기관 외부의 교육자들과 워크숍을 지원하고, 소셜 미디어에 참여하면 국내외 협력자 및 조직과 연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에는 워크샵에 일찍 도착하고, 모르는 사람과 나란히 앉아 공통 관심사와 프로젝트를 탐색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여러분의 작업과 전문 지식을 간결하게 설명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요약인 '엘리베이터 피치'를 준비하는 것을 고려해보세요.10

Attending and volunteering at educational meetings, facilitating workshops with educators outside your institution and engaging in social media can help you to connect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llaborators and organisations. Opportunities to network include arriving early at workshops, sitting next to someone you do not know and exploring common interests and projects. Consider preparing an ‘elevator pitch’, a persuasive summary of your work and expertise that can be described succinctly.10

 


HPE의 리더십 역할 모색
SEEK LEADERSHIP ROLES IN HPE


리더십은 독특한 기술, 조직적 사명감, 그리고 여러분이 일하는 맥락과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3 임상적 역할에서 교육적 리더십 역할로 옮기기 위해서는 정체성의 전환과 여러분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재평가해야 한다. 달성하고자 하는 직책이나 자격, 교육 철학과 비전, 그리고 이를 추진하는 방법이 포함된 5년 계획은 어떤 이니셔티브와 프로젝트에 참여할지, 어떤 프로젝트를 연기할지 결정하는 것을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Leadership requires a unique set of skills, a sense of organisational mission, and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nd systems within which you work.3 Moving to an educational leadership role from a clinical role requires an identity shift and a reappraisal of your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A 5year plan that includes positions or qualifications you would like to achieve, your educational philosophy and vision, and how to pursue it can make it easier for you to decide which initiatives and projects to engage in and which to defer.


효과적인 리더십은 교육 및 리더십, 관리 및 팔로어십(리더와 긴밀히 협력하고 정의된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높은 효과의 팀 구성원)에 대한 문헌을 연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여 적용하려는 의지를 포함한다.3 효과적인 리더는 또한 기술도 있다.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 관계 구축, 팀 전체의 제안을 존중하고 초대합니다. 전문적 개발 활동은 

  • 학문적 리더십, 
  • 변화 관리, 
  • 회의 주재하기,
  • 위임 및 권한 부여,
  • 협상,
  • 공개 연설,
  • 재무 관리,
  • 프로젝트 계획 및 관리,
  • 감성 지능

...등의 특정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1
Effective leadership involves studying the body of literature on education and leadership, management and followership (highly effective team members who work closely with leaders and actively contribute towards the accomplishment of defined goals), and a willingness to discover and apply new ideas.3 Effective leaders are also skilled at creating a psychologically safe environment, relationship building, and respecting and inviting suggestions from the whole team.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an help to develop specific skills in: academic leadership, change management, leading meetings, delegation and empowerment, negotiation, public speaking, financial management, planning and project manage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11

지역 및 국가 교육 위원회와 태스크포스(TF)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또는 추천을 요청합니다. 지역 및 지역 사회에 참여하고, 지역 지도자들과 네트워킹하며, 서서히 국가 및 국제 사회 위원회로 여러분의 시야를 넓힐 것을 권합니다. 소규모 프로젝트를 관리하거나 집중적인 평가 방법을 개발 및 구현하는 등 작은 리더십 역할을 기꺼이 맡으십시오. 열정, 마감 시간, 편안한 영역의 여백에 있는 업무를 포함하여 기꺼이 업무를 맡으려는 의지는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리더십 잠재력을 인식하고 미래의 기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Volunteer or solicit nominations to serve on local and national education committees and task forces. We recommend getting involved with local and regional societies, networking with regional leaders, and slowly expanding your horizon to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 committees. Be willing to take on small leadership roles, such as managing small projects 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focused assessment method. Enthusiasm, meeting deadlines and a willingness to take on tasks, including those at the margins of your comfort zone, can help others to recognise your leadership potential and think about you for future opportunities.

리더십 역할을 하는 코치, 멘토, 동료, 친구들을 관찰하는 것은 풍부한 경험이 될 수 있다. 그들과 가까운 동료들에게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여러분의 강점과 발전을 위한 영역, 그리고 여러분의 리더쉽 스타일을 어떻게 기를 수 있는지에 대해 정직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줄 것을 요청하세요. 상사와 효과적인 관계를 유지하고(관리) 성공과 과제에 대해 상사와 계속 연락하는 것은 중요하며, 심지어 어떤 계층에서든 최고에 근접해 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문제 해결 기술을 입증하고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면 더 큰 리더십 자리에 적합한 후보자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Observing coaches, mentors, colleagues and friends in their leadership roles can be a rich experience. Ask them as well as near peers to give you honest, constructive feedback on how you impact others, your strengths and areas for development, and how you can cultivate your leadership style. Maintaining an effective relationship with your supervisors (‘managing up’) and keeping them informed about your successes and challenges are important, even when one is near the top of any hierarchy. You may be regarded as a sound candidate for larger leadership positions if you demonstrate problemsolving skills and help to deliver better outcomes.

 

 

업무 관계를 종료해야 할 때는 갈등 없이 종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더십 역할을 맡은 후에도 경력 개발은 계속되며, 한 번 관리했던 동료와 함께 일하거나 이전에 업무 관계를 맺었던 동료에게 보고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When working relationships need to be terminated, it is important to do so without conflict. Career development continues even after taking on leadership roles, and you may find yourself working alongside or reporting to colleagues you once managed or with whom you had a prior working relationship.

 

보건 전문가 교육자로서 성찰적 실천에 참여
ENGAGE IN REFLECTIVE PRACTICE AS A HEALTH PROFESSIONS EDUCATOR


모든 직업 단계에서 자기 인식, 긍정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성찰적 실천은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성찰적 관행은 다음의 능력을 포함한다.

  • (활동 중, 즉각적인 행동 변화를 초래하는), 
  • (활동 후, 행동 계획의 미래 변화를 위한) 그리고 
  • (개인적, 전문적 및 제도적 성장을 위한) 

At all career stages, self-awareness, a positive mindset and reflective practice are critical for growth. Reflective practice includes the ability to reflect

  • in (during an activity, resulting in immediate change in action),
  • on (after an activity, for future change in action plans) and
  • for (towards goals for personal,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growth) action.12


호기심, 협업, 진정성, 창의성, 일관성, 겸손함, 자신의 가치를 기관의 가치관과 일치시키는 능력은 성찰적 실천에 필수적인 자질이다. 이러한 특성은 조직적/제도적 차원에서 의미 있고 지속 가능한 변화를 위한 길을 닦으며, 효과적인 학자이자 리더가 되는 것의 일부입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멘토링하는 능력, 동료, 후배, 선배들과 기꺼이 협력하려는 의지, 그리고 그들의 전문지식과 경험에 대한 인정 등이 다른 중요한 자질이다.
Curiosity, collaboration, authenticity, creativity, consistency, humility and the ability to align your own values with those of the institution are essential qualities for reflective practice. These characteristics pave the way for meaningful and sustainable change at the organisational/institutional level, and are part of being an effective scholar and leader. Other important qualities include the ability to inspire and mentor others, the willingness to collaborate with peers, juniors and seniors, and the acknowledgement of their expertise and experience.

경험이 풍부한 학자와 리더는 새로운 실무 영역을 탐색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모색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조직 외부에 피어 멘토링 그룹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중후반 경력 교직원의 경우 컨퍼런스 프레젠테이션, 오디오북, 웨비나, 워크샵, 팟캐스트 및 문학 독서의 선택을 통한 자기정리는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데 적절한 수단이다. 이는 단순히 편견이 될 수 있는 기존의 신념을 강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개방적이고 호기심을 갖는 것을 요구한다.
Experienced scholars and leaders continually seek out activities to explore new areas of practice and to develop new skills. Such activities can build a peer-mentoring group outside your own organisation. For the midto latecareer faculty member, selfcuration through the selection of conference presentations, audiobooks, webinars, workshops, podcasts and literature reading is an appropriate means for staying current and discovering new ideas. This requires staying open and curious, rather than merely reinforcing existing beliefs that could become prejudices.

가능할 때마다 전문적 발전을 위해 실천 공동체(CoP; 관심, 열정, 약속을 공유하는 그룹)에 참여하라.13 초보 교육자로서 여러분은 CoP의 주변부에서 시작할 수 있지만, 여러분이 경력을 쌓으면서, 커뮤니티와 더 많이 참여하고 중앙으로 더 가까워질 것이다. 리더로서 공동의 가치와 공유된 약속과 자원에 이상적으로 고정된 CoP의 개발을 육성하고, 커뮤니티에 새로운 구성원이 들어오는 것을 환영하며, 모든 사람이 커뮤니티 내에서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Whenever feasible, engage in a community of practice (CoP; a group with shared interests, passion and commitment who learn from each other) for professional development.13 As a novice educator, you may start at the periphery of a CoP; however, as you advance in your career, you will engage more with the community and will move closer to the centre. As a leader, nurture the development of CoPs, ideally anchored in common values and shared commitments and resources, welcome new members into the community, and allow everyone to contribute to continuing learning and growth within the community.

긍정탐구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구현에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이다.14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대조적으로, 긍정탐구는 고장난 것을 고치려고 하기보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파악하고 미래에 잘 될 수 있는 것을 상상함으로써 스스로 결정한 변화에 관여한다. 마지막으로 멘티와 멘토에게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 멘토링 스킬 개발에 힘써야 합니다.15 이러한 능력은 연공서열만으로 자동으로 개발되는 것이 아니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 개발에 대한 협업적인 휴머니즘적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Appreciative inquiry is a helpful framework for programm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14 In contrast to a focus on problem solving, appreciative inquiry engages in selfdetermined change by identifying the positive outcomes and envisioning what might work well in the future, rather than trying to fix what is broken. Finally, work on mentorship skill development in order to maximise the benefits to the mentee and the mentor.15 You do not automatically develop these capabilities just by seniority, and this requires a collaborative humanistic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Clin Teach

  •  
  •  
  •  

. 2020 Oct;17(5):477-482.

 doi: 10.1111/tct.13144. Epub 2020 Feb 19.

From clinical educators to educational scholars and leaders: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advancing a career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ubha Ramani 1Judy McKimm 2Harish Thampy 3Patricia S O'Sullivan 4Gary D Rogers 5Teri Lee Turner 6Margaret S Chisolm 7Rashmi A Kusurkar 8Richard Hays 9Alice Fornari 10Elizabeth K Kachur 11Keith W Wilson 12Helena P Filipe 13Daniel J Schumacher 14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USA.

  • 2Swansea University Medical School, Swansea, UK.

  • 3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UK.

  • 4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 5Griffith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Gold Coast Campus, Queensland, Australia.

  • 6Baylor College of Medicine, Texas Medical Center, Houston, Texas, USA.

  • 7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USA.

  • 8Faculty of Medicine,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 9James Cook University, Townsville, Queensland, Australia.

  • 10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Hempstead, New York, USA.

  • 11Medical Education Development, Global Consulting, New York, USA.

  • 12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 13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Lisbon, Lisbon, Portugal.

  • 14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 of Medicine, Cincinnati, Ohio, USA.

    • PMID: 32072757

 

왜 우리는 교사를 가르쳐야 하는가? 임상감독관의 학습 우선순위 확인(Adv in Health Sci Educ, 2018)

What should we teach the teachers? Identifying the learning priorities of clinical supervisors
Margaret Bearman1 • Joanna Tai1 • Fiona Kent2,3 • Vicki Edouard2 • Debra Nestel4,5 • Elizabeth Molloy6

 

 

 

도입

Introduction

미래 의료 인력을 개발하는 데 있어 경험이 풍부한 임상의의 역할이 중요하며 잘 알려져 있다. '임상 감독'이라는 용어는 [환자 치료]와 [훈련생 개발 활동]에 대한 감독 모두를 포함하기 때문에 종종 사용된다(Fitzpatrick et al. 2012; Strand et al. 2015). 하급 직원의 개발은 효과적인 임상 감독(de Jong et al. 2013; Kilminster and Jolly 2000)과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임상 감독자가 임상 전문지식 외에도 교수 기술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임상 감독자의 교육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환자 치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인정한다.
The role of experienced clinicians in developing the future health workforce is significant and well recognised. The term ‘clinical supervision’ is often used as the role involves both oversight of patient care and trainee development activities (Fitzpatrick et al. 2012; Strand et al. 2015). Development of junior staff is linked to effective clinical supervision (de Jong et al. 2013; Kilminster and Jolly 2000). It is consequently important that clinical supervisors have skills in teaching in addition to clinical expertise. This paper focusses upon clinical supervisors’ teaching role, with the acknowledgement that this is inextricably linked with patient care.


임상 감독관들에게 있어서 교직 역할은 때때로 불편하다. 2015년 임상 감독자의 정성적 연구에서 한 명의 의사가 지적한 바와 같이(Strand et al. 2015): 나는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을 받은 적도 없고, 교사가 되는 것에 대한 지식과 흥미가 전혀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나는 교육적인 훈련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The teaching role is sometimes uncomfortable for clinical supervisors. As one doctor noted in a 2015 qualitative study of clinical supervisors (Strand et al. 2015): I have not been educated to be a teacher, nor do I have any knowledge and interest in being a teacher …Most importantly, I have no pedagogic training at all…

 

임상 감독관들은 교육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보고한다(Andrews and Ford 2013, Henderson and Eaton 2013, Neville 및 French 1991). 단,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없다.

Clinical supervisors report the need for programs to assist in their development of education skills (Andrews and Ford 2013; Henderson and Eaton 2013; Neville and French 1991) although without specific detail regarding what they wish to learn.


우리는 임상의의 교육적 숙련도를 개발하는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교수 개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O'Sullivan and Irby 2011; Steinert et al. 2006). 짧은 워크숍부터 1년 동안 지속된 펠로우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임상 감독관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을 가르친다. 2016년 체계적인 검토는 관찰된 교육 변화 및 교육에서 독립적인 워크숍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가지 증거를 포함하여 이러한 프로그램의 가치를 나타낸다. 이 검토에 포함된 교수진 개발 커리큘럼은 다양하고, [교육 성과, 교수 원리, 특정 교수 기술, 평가, 교육 설계, 리더십 및 학술활동] 등을 다룬다(Steinert et al. 2016).

We use the term ‘faculty development’ to describe programs which develop the educational proficiency of clinicians (O’Sullivan and Irby 2011; Steinert et al. 2006). There is a broad sweep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ranging from the short workshop to year long fellowships, which teach clinical supervisors how to teach. A 2016 systematic review indicates the value of such programs, including observed changes to teaching and some evidence that stand alone workshops in teaching can have an impact. Faculty development curricula included in this review are diverse and cover teaching performance, principles of teaching, specific teaching skills, assessment, educational design, leadership and scholarship (Steinert et al. 2016). 

 

2013년 의료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교육 퍼포먼스]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 벗어나라"(Leslie et al. 2013)고 언급했지만, 다른 직종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교수진 개발 커리큘럼에 포함된 유형의 주제는 스탠포드 대학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잘 설명되며, 여기에는 "학습 분위기, 세션 제어, 목표의 소통, 이해와 유지의 촉진, 평가, 피드백 및 자기주도학습의 촉진"이 포함된다(요한슨 외). 2009).
A 2013 systematic review of medical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noted a ‘‘move away from a focus on teaching performance alone’’ (Leslie et al. 2013) but this may not hold true for other professions. The type of topics included within faculty development curricula are well illustrated by the Stanfor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which includes: ‘‘learning climate, control of session, communication of goals, promotion of understanding and retention, evaluation, feedback and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Johansson et al. 2009).

좀 더 최근에, Staljmeier 등(2010)은 인지적 도제 이론에서 도출하여 임상적 교수 우수성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했으며, 이는 평가 도구 역할을 한다. Maastricht 임상 교육 설문지(MCTQ)는 감독자 역할의 7개 범주 내에 24개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 적절한 행동 모델링, 
  • 학생 코칭, 
  • 개념 비계 제공 , 
  • 실천을 설명 
  • 성찰 장려, 
  • 목표 및 경계 탐색, 
  • 학습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

More recently, Staljmeier et al. (2010) drew from cognitive apprenticeship theories to develop a framework for clinical teaching excellence, which also serves as an assessment instrument. The Maastricht Clinical Teaching Questionnaire (MCTQ) contains 24 items within seven categories of a supervisor’s role:

  • modelling appropriate behaviour,
  • coaching students,
  • scaffolding concepts,
  • articulation of practice,
  • encouraging reflection,
  • exploration of goals and boundaries, and
  • providing a general learning climate conducive to learning.

다양한 교육 기관 및 국가 표준이 출판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의학 교육자 아카데미 (AoME) (2014)가 발행한 의료, 치과 및 수의학 교육자에 대한 전문 표준과 같은 교육자를 위한 다양한 기관 및 국가 표준이 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교수진 개발 커리큘럼에 대한 암시적이고 명시적인 지침을 제공한다.
various institutional and national standards for educators have been published, such as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medical, dental and veterinary educators published by the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AoME) (2014). These and similar provide implicit and explicit guidance to faculty development curricula.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가르치기를 열망하지만, 일차적인 초점이 환자 치료이며, 교육 원칙에 대한 훈련이 거의 없을 수 있는] 임상 감독자working clinial supervisor의 우선순위와 요구에 대한 정보는 주지 못한다.
However, these frameworks provide less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ies and needs of the working clinical supervisor, who is keen to teach but whose primary focus is patient care and who may have little training in education principles.

O'Sullivan과 Irby(2011)는 추가 연구를 위한 중요한 영역으로서 임상 감독과 관련된 [작업장workplace의 학습 요구]를 평가할 것을 지적하였다. 교수 개발자들은 임상 감독자들이 어떤 교육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지 또는 가장 골치 아픈지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효과적인 참여와 개발을 위해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교육 구성주의적 접근법의 핵심 개념과 일치합니다(Dennick 2012). 감독자의 자기 인식의 강점과 약점을 아는 것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학습자 중심의 접근을 촉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교수 개발 이니셔티브는 단일 세션 워크숍을 구성하므로(Steinert 등. 2006), 교수 개발 프로그램이 가장 필요한 인식 영역을 목표로 학습자를 참여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O’Sullivan and Irby (2011) identify assessing the learning needs of workplaces with respect to clinical supervision as an important area for further research. It would be illuminating for faculty developers to know which facets of teaching that clinical supervisors wish to focus on or find most troublesome. This aligns with the key tenet of constructivist approach to education, which suggests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circumstances is necessary for effective engagement and development (Dennick 2012). Knowing supervisors’ self-perceived strengths and weaknesses promotes a learner-centred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Furthermore, as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typically constitute a single session workshop (Steinert et al. 2006), it makes sense fo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o engage learners through targeting perceived areas of greatest need.

우리는 자기보고식 데이터의 한계를 알고 있으며, 특히 실제 사례와 크게 다를 수 있다(Norman 2014). 그러나 자기보고식 데이터는 어떻게 '현장의on the ground' 임상 감독자 자신이 개선 영역의 우선순위를 생각하는지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것은 자기 평가 능력보다는 자기 보고 데이터의 교육 전략 목적과 더 밀접하게 일치한다(Eva 및 Regehr 2008). 더욱이, 자기 평가는 일반적으로 자신을 표준과 비교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Boud and Falchikov 1989). 이 관점에서, 여기서 초점은 성과 표준이 아니고, [상대적 우선순위에 대한 감독자의 인식에 대한 질적 감각]이다.
We are aware of the limitations of self-report data, in particular it can be widely divergent from actual practice (Norman 2014). However, selfreport data indicates how ‘on the ground’ clinical supervisors themselves prioritise areas for improvement. In this way, it is more closely aligned with a pedagogic strategy purpose of self-report data rather than self-assessment ability (Eva and Regehr 2008). Furthermore, self-assessment is generally concerned with comparison of self to a standard (Boud and Falchikov 1989). In this instance, the standard of performance is not the focus here, but a qualitative sense of the supervisors’ perceptions of their relative priorities.


방법 Methods

맥락 Context

참가자들에게 4번째 전문적이고 다기관적인 워크숍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MCTQ를 완료할 기회가 주어졌다(ClinSACC)(Tai et al.
Participa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complete the MCTQ as part of a 4 h interprofessional and multi-institutional workshop program, called Clinical Supervision Support across Contexts (ClinSACC) (Tai et al. 2015).


샘플 Sample

호주 대도시 내 광범위한 지리적 지역의 급성 및 지역사회 환경에서 978명의 임상 감독관이 연구에 참여하도록 초청되었다.
978 clinical supervisors from acute and community settings in a broad geographical area within a metropolitan city in Australia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도구 Instrument

MCTQ는 처음에 학생들의 임상 감독자를 위한 피드백 도구로 사용되었다(Stalmeijer et al. 2010). 각 항목은 1 = 완전 불일치, 5 = 완전 동의)인 5 포인트 라이커트 척도로 평가됩니다. 전체 등급 점수와 열린 텍스트 주석을 위한 공간이 있습니다. 여러 연구에서 MCTQ가 피드백 도구로서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Boerboom et al. 2011a; Stalmeijer et al. 2008, 2010), 이것은 수의학 임상 교사를 위한 자가 평가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Boerboom et al. 2011b).
The MCTQ was initially used as feedback tool for clinical supervisors from students (Stalmeijer et al. 2010). Each item is assessed with 5-point Likert scale where 1 = fully disagree, 5 = fully agree). There is an overall rating score, and space for open text comments. Several studies suggest the MCTQ may be reliable and valid as a feedback tool (Boerboom et al. 2011a; Stalmeijer et al. 2008, 2010) and it has been used as a selfassessment instrument for veterinary clinical teachers (Boerboom et al. 2011b).

MCTQ는 개인 학습 니즈 분석을 위한 자기보고식, 자기평가도구(수정 또는 mMCTQ)로 만들기 위해 다시 작성되었다. 참가자들의 강점과 개선 분야에 대한 두 가지 개방형 질문이 포함되었다. 또한, mMCTQ는 임상 감독자의 자기 인식 학습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연구 목적과 더불어 참가자들에게 성찰적 도구 역할을 하였다.
The MCTQ was reworded to make it a self-report, self-evaluation tool (modified or mMCTQ) intended for a personal learning needs analysis. Two open-ended questions were included, on participants’ perceived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addition, to the research purpose of providing data regarding the self-perceived learning needs of clinical supervisors, the mMCTQ also served as a reflective tool for the participant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워크숍 참가자는 임상 감독의 기본 아이디어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성찰적 실천에 대한 짧은 소개를 거쳐, [자신의 학습 요구를 식별하는 성찰 활동]의 일환으로 mMCTQ의 종이 버전을 완성했다.
Workshop participants completed a paper version of the mMCTQ as part of a reflective activity identifying their own learning needs, after orientation to the fundamental ideas of clinical supervision and a short introduction to reflective practice.

자료 분석

Data analysis

임상 감독 강점과 개선 분야에 대한 두 가지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은 내용 분석 기법(Vaismoradi et al. 2013)을 사용하여 정성적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설명되었다. 세 명의 연구자(FK, MB, JT)는 각각 동일한 100개의 응답(강점 45개, 개선 분야 55개)을 유도적으로 코드화하여 진술의 명시적 내용에 기초한 코딩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단일 문을 여러 번 코드화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모든 응답(DN, FK, MB, JT)이 코드화되었다. 불확실성에 대해 논의했고 합의(JT, FK, MB)에 의해 최종 프레임워크가 해결되었다.
The responses to the two open-ended questions on clinical supervision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 were qualitatively analysed us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s (Vaismoradi et al. 2013), described as follows: Three researchers (FK, MB, JT) each inductively coded the same 100 responses (45 strengths; 55 areas of improvement) to develop a coding framework based on the manifest content of the statements. A single statement could be coded multiple times. All responses were then coded (DN, FK, MB, JT) using the framework. Uncertainties were discussed and the final framework resolved by consensus (JT, FK, MB).


윤리

Ethics


결과 Results

총 481명(49%)의 작업장 참가자가 mMCTQ 데이터를 연구에 사용할 것을 동의했습니다. 직업은 표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103명(21%)은 사전 전문적 개발이 없었다고 답한 반면, 203명(43%)은 기본 워크숍이나 실무 교육에 참석했으며, 더 적은 수는 광범위한 비공식 교육(64, 14%) 또는 추가 자격 취득(86, 18%)을 받았다.
A total of 481 (49%) workshop participants consented for their mMCTQ data to be used in the study. Professions are detailed in Table 1. While 103 (21%) reported no prior professional development, 203 (43%) had attended basic workshops or in-service training, with smaller numbers having had extensive informal training (64, 14%) or a further qualification (86, 18%).

 



개별 mMCTQ 항목 평균은 3.50에서 4.64까지 다양하며 mMTCQ에서 자체 보고한 가장 빈번한 것부터 가장 적게 수행되는 것까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Individual mMCTQ item means ranged from 3.50 to 4.64 and are presented in Table 2 from most frequently to least frequently performed as self-reported on the mMTCQ.

 



자유 텍스트 데이터의 정성적 분석을 위한 코딩 프레임워크, 코드 및 빈도수는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가장 많이 보고된 강점은 224건의 응답으로 '관계 수립' 카테고리로 공감대 형성, 접근성, 친근감 등이 포함됐다. '평가'는 가장 적게 인용된 강점으로 응답자가 식별하지 않은 유일한 범주였다. 가장 자주 보고되는 다섯 가지 강점을 설명하는 실례 인용문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The coding framework, codes and frequency count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ree text data are provided in Table 3. The most reported strength, with 224 responses, was the category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which included rapport building, approachability and friendliness. ‘Assessment’ was the least cited strength and the only category not identified by any respondent. Illustrative quotes describing the five most frequently reported strengths are provided in Table 4.

 

 

 




151개의 응답으로 가장 많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된 분야는 '피드백'이었다. 가장 적게 보고된 분야는 '존중하다'는 주제였는데, 이는 어떤 응답자도 확인되지 않았다. 개선을 위해 가장 자주 보고되는 영역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인용문은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The most reported area for improvement, with 151 responses, was ‘feedback’. The least reported area for improvement was the theme of being ‘respectful,’ which was not identified by any respondent. Illustrative quotes describing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reas for improvement are provided in Table 5.

 



고찰 Discussion

임상 감독자의 자체 평가된 장단점에 대한 이 대규모 조사는 작업장 학습 요구workplace learning needs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O'Sullivan and Irby 2011).

  • mMCTQ에서 확인된 임상 교육의 세 가지 가장 빈번한 측면은 [존중이나 관심을 보이거나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같은 [대인 관계 기술 또는 속성]이었다. mMCTQ에서 가장 자주 식별되는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측면은 [질문을 하거나] [새로운 것을 배우도록 장려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 질적 데이터에서 확인된 5가지 강점은 [관계 설정, 임상 전문 지식, 커뮤니케이션 기술, 열정, 정직이나 재치와 같은 기타 개별 속성]이었다. 전체적으로 참여자의 54%가 대인관계 능력이나 속성을 강점으로, 17%의 자유 텍스트 코멘트가 관계 구축을 핵심 강점으로 구체적으로 지목했다.

This large scale investigation of clinical supervisors’ self-assessed strengths and weaknesses addresses calls for research into workplace learning needs (O’Sullivan and Irby 2011).

  • The three most frequently performed aspects of clinical teaching identified in the mMCTQ were largely interpersonal skills or attributes, such as showing respect or interest or creating a safe environment. The four and fifth aspects most frequently identified in the mMCTQ concerned encouragement to ask questions or learn new things.
  • The top five strengths identified in the qualitative data were: establishing relationships, clinical expertise, communication skills, enthusiasm and other individual attributes such as honesty or tact. Overall, 54% of participants nominated interpersonal skills or attributes as their strengths and 17% of free text comments specifically identified relationship building as a key strength.

mMCTQ에서 확인된 가장 수행 빈도가 낮은 5개 영역 중 4개는 [학습자가 자신의 강점, 약점 및 학습 목표를 식별하고 탐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또한, 응답자들은 '충분한 시간 소요'를 상대적 약점 분야로 지정했다. 질적 데이터에서 확인된 상위 3개 개선 분야는 [피드백 제공, 성찰 및 통찰력 증진, 다양한 교육 전략 개발]이었다. 그 밖에 확인된 개선 분야로는 추가적인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교육 세션의 구조와 구성을 고려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전체적으로 참여자의 49%가 개선 분야로 [어떤 형태의 교육 전략]을 지명했고 15%는 [피드백]을 중점 분야로 구체적으로 지목했다.
Four of the five least frequently performed areas identified in the mMCTQ were prompting learners to identify and explore their strengths, weaknesses and learning goals. In addition, respondents nominated ‘taking sufficient time’ as an area of relative weakness. The top three areas for improvement identified in the qualitative data included: giving feedback, promoting reflection and insight, and developing a range of teaching strategies. Other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included undertaking further skills development and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teaching session. Overall, 49% of participants nominated some form of teaching strategy as an area for improvement and 15% specifically identified feedback as an area of focus.


본 연구는 임상 감독자의 '현장' 관점과 우선 순위를 조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mMCTQ와 자유 텍스트 데이터는 모두 [대인관계 기술과 속성]을 상대적 강점으로 인지함을 강조한다. 응답자들이 임상 교육에서 관계 구축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은 고무적이다. 킬민스터와 졸리(2000년)는 이러한 유형의 기술이나 자질이 효과적인 감독에 기여한다고 밝혔다. 임상 교육의 프레임워크는 종종 대인관계를 포괄한다

  • 예를 들어, 헤스케 외 연구진(2001)의 모델에는 "열정", "학습자에 대한 공감 및 관심", "학생에 대한 존중"과 같은 학습 결과가 포함되며 
  • MCCS는 "상사와 임상 사례 작업 중에 접한 민감한 문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윈스턴리 및 화이트 2011)와 같은 항목을 제시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Clement et al. 2016) 임상 교육에 있어 대인관계의 중요성이며 임상 감독에 대한 관계적 접근 방식의 강점과 한계를 논의하는 데 있어 귀중한 명시적 포인트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illuminate ‘on the ground’ perspectives and priorities of clinical supervisors. The mMCTQ and the free-text data both highlight self-perceived relative strengths in interpersonal skills and attributes. It is heartening that respondents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 building skills in their clinical teaching. Kilminster and Jolly (2000) identified these type of skills or qualities as contributing to effective supervision. Frameworks in clinical education often encompass the interpersonal dimension.

  • For example, Hesketh et al’s model (2001) includes learning outcomes such as ‘‘enthusiasm’’, ‘‘empathy and interest in learners’’ and ‘‘respect for student’’ and
  • the MCCS presents items such as: ‘‘I can discuss sensitive issues encountered during my clinical casework with my supervisor’’ (Winstanley and White 2011).

This suggests that the importanc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linical education, noted previously (Clement et al. 2016) and may well be a valuable explicit point for discussing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a relational approach to clinical supervision.


대인 관계 기술 또한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임상 행위의 특징이다. 대인적인 측면이 아닌 것 중에 한 가지 인식된 강점은 '임상 전문 지식'이었다. 종합해보면, 우리는 응답자들이 건강 전문가로서의 주요 역할의 일부로 매일 연습하는 기술에 대해 가장 자신 있다고 제안한다. 한 가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다른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 이치에 맞는다.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은 임상 감독관이 이 두 가지 독특한 역할, 즉 임상 실습과 교수 실습, 그리고 그것들이 어떻게 겹치거나 갈라지는지를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가치를 찾을 수 있다.
Interpersonal skills are also hallmarks of effective and professional clinical practice. One perceived strength which did not have an interpersonal aspect was ‘clinical expertise’.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respondents are most confident in skills that they practice daily as part of their primary role as a health professional. It makes sense to draw fromone form of expertise to build anothe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may find value in allowing clinical supervisors exploring these two distinctive roles—clinical practice and teaching practice—and how they overlap or diverge.

임상 감독관이 응답한 개선이 필요한 우선 순위는 수렴하였다. mMCTQ와 자유 텍스트 데이터는 개선을 위한 세 가지 광범위한 영역,

  • (1) 피드백
  • (2) 장단점에 대한 학습자의 탐색 촉진
  • (3) 시간 관리 및 계획과 같은 물류 문제

이것들은 차례대로 논의될 것이다.

Clinical supervisors also described convergent priorities for development. The mMCTQ and free-text data identifies three broad areas for improvement: 

  • (1) feedback 
  • (2) promoting learners’ explorations of their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 (3) logistical issues such as time management and planning. 

These will be discussed in turn.

많은 사람들이 '건설적' 또는 '부정적' 메시지의 전달을 개선하고자 하는 가운데, 임상 감독관이 자신의 피드백 관행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피드백 만남의 일환으로 학습자 결손을 드러내는 이러한 불편함은 감독자들이 학습자의 감정을 보호하기 위해 불완전하거나 '소멸vanishing'(1983년 말)과 같은 회피적 행동을 할 때 흔히 나타난다. 교육 피드백 기술은 일반적으로 커리큘럼에 존재하며 대부분의 전문가 프레임워크는 '피드백'(의학 교육자 아카데미 2014; Stalmeijer 외 2010) 또는 '상담'(Hesketh et al. 2001) 또는 '가이드'(Winstanley and White 2011)와 같은 관련을 언급한다. 여기에 유용한 세 가지 포인트가 있습니다.
It is not surprising that clinical supervisors wish to develop their feedback practices, with many wanting to improve delivery of ‘constructive’ or ‘negative’ messages. This discomfort in revealing learner deficits as part of the feedback encounter is commonly noted with supervisors undertaking avoidant behaviours such as incomplete or ‘vanishing’ (Ende 1983) performance information to protect the feelings of the learner. Teaching feedback skills is generally present in curricula and most expert frameworks mention ‘feedback’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2014; Stalmeijer et al. 2010) or related such as ‘counsel’ (Hesketh et al. 2001) or ‘guidance’ (Winstanley and White 2011). There are three points that are useful here.


  • 첫째, 피드백을 특별히 목표로 하는 교수진 개발은 바쁜 의료 전문가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참여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 
  • 둘째로, 어려운 상황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인지된 인문학적 및 대인관계적 강점과 불일치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명시적으로 탐구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 
  • 마지막으로, 피드백의 일반적인 개념은 지난 5년 정도 동안 정보 제공에서 학습자의 성찰과 통찰력을 용이하게 하는 대화식 접근으로 크게 이동했다(Ajjawi 및 Boud 2015). 

교육 피드백 기술은 이제 성능 격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이상으로 발전했습니다(1983년 Ende). 교육 피드백 기술은 그 자체로 중요한 교육 전략이 되었습니다(Boud and Molloy 2013년).

  • Firstly, faculty development which specifically targets feedback may be a way of motivating and engaging busy health care professionals. 
  • Secondly, providing feedback in challenging situations may cause dissonance with the perceived humanistic and interpersonal strengths, and this may be worth explicit exploration. 
  • Finally, general conceptions of feedback have shifted enormously in the last 5 years or so, from information provision to a dialogic approach which facilitates learner reflection and insight (Ajjawi and Boud 2015). 

Teaching feedback skills has now developed beyond providing information on performance gaps (Ende 1983), it has become a significant teaching strategy in its own right (Boud and Molloy 2013).


mMCTQ와 자유 텍스트 데이터는 임상 감독자들이 [성찰적 실천(이나 유사한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적다고 느낀다는 것을 나타냈다. 대인관계 기술의 자기 식별된 강점과 대조적으로, 성찰적 실천은 많은 임상적 역할과 잘 맞지 않는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에 임상 감독자들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mMCTQ and the free-text data indicated that clinical supervisors felt they had least capacity around promoting reflective practice or similar activities. In contrast to the selfidentified strengths of interpersonal skills, prompting reflective practice does not align well with many clinical roles. This may mean that the clinical supervisors are challenged by letting students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learning.

 

 

이는 mMCTQ에서 가장 자주 수행되는 항목을 비교함으로써 설명된다.

  • "학생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 "나는 진정으로 학생들에게 관심이 있다" 그리고
  • "안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합니다."—

반면 아래 응답은 빈도가 낮다.

  • "나는 학생들이 그들의 장점과 단점을 탐구하도록 자극한다."
  • "나는 학생들이 그들의 장점과 단점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고려하도록 자극한다."
  • "나는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수립하도록 장려한다."

전자는 교육자를 존경과 흥미와 안전을 가르치는 선생님으로 임명한다.
후자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배치한다.

 

This is illustrated by comparing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tems of the mMCTQ—

  • ‘‘I show respect to the students’’,
  • ‘‘I am genuinely interested in the students’’ and
  • ‘‘I create a safe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least frequently =

  • ‘‘I stimulate students to explor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 ‘‘I stimulate students to consider howthey could improv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 ‘‘I encourage students to formulate learning goals’’.

The former positions the educator as the teacher who bestows respect, interest and safety,

while the latter positions the learners as responsible for their own learning.

독립적 학습을 촉진하려면 피드백을 포함한 특정 교육 전략의 도구 상자가 필요하다. 이는 (이를 개선 분야로 지정한 49%가 지적한 바와 같이) 임상의에게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편안함 부족은 '똑같은 것을 한번 더 하는 것'을 일반적인 재교육 전략으로 사용한 임상 교육자에 관한 이전 연구에서도 뒷받침된다(Bearman et al. 2013; Cleland et al. 2013). 우리의 샘플 중 극소수만이 '스캐폴딩'과 '관찰'과 같은 특정 교육 전략에 강점을 보고했으며 이러한 것들은 교사 중심적인 경향이 있었다. 대화식 피드백, 동료 학습, 역할 놀이, 자기 또는 동료 평가와 같은 다른 학습자 중심의 기술은 확인되지 않았다. 프레임워크와 커리큘럼은 성찰적 실천(Academy of Medical Educators 2014, Winstanley and White 2011) 또는 자기주도적 학습(Johansson et al. 2009)는 교수진 개발 커리큘럼에서 어떤 학습자 중심의 교육 전략이 제공되는지 알 수 없다. 이 연구는 실제 학습자 중심의 기술에 대한 특정 초점이 임상 감독자에게 매우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romoting independent learning requires a toolbox of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including feedback. These may feel foreign to working clinicians, as is indicated by the 49%who nominated this as an area for improvement. This lack of comfort is supported by previous studies of clinical educators working with underperforming learners where ‘more of the same’ is a common remediation strategy (Bearman et al. 2013; Cleland et al. 2013). Only a very few of our sample reported strengths in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such as ‘scaffolding’ and ‘observation’ and these tended to be teacher-driven. Other more learnercentred techniques—such as dialogic feedback, peer learning, role-play and self or peer assessment—were unidentified. While frameworks and curricula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reflective practice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2014; Winstanley and White 2011) or self-directed learning (Johansson et al. 2009), it is unknown what learnercentred teaching strategies are provided within faculty development curricula.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fic focus on practical learner-centred techniques may be very beneficial to clinical supervisors.


보고된 로지스틱스의 문제는 교수개발 프로그램과 전문가 프레임워크 모두에 시사하는 바가 있는 핵심 발견이다.

  • 어떤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상축적 요구를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을 목표로 하지 않으며(Hesketh 등. 2001),
  • 다른 프레임워크는 이를 암시적으로 언급하고(Academy of Medical Educators 2014, Stalmeijer 등. 2010)
  • 다른 프레임워크는 여기에 (명확히) 초점을 맞춘다(Winstanley 및 White 2011). 

The reported challenge of logistics is a key finding with implications for bot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expert frameworks.

  • Some frameworks do not specifically target the capacity to navigate these types of competing demands (Hesketh et al. 2001),
  • others make implicit mention of it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2014; Stalmeijer et al. 2010) and
  • others focus on it (Winstanley and White 2011).

(배치 구조화, 강의 시간 할당 및 배치 환경에 대한 방향 지정과 같은) 로지스틱스 문제는 개선을 위한 영역을 설명하는 자유 텍스트 코멘트의 14%를 구성했다. 마찬가지로 '교육에 시간을 쏟는다'는 역량이 가장 적은 분야로 평가되었다. 교육과 관련 없는 문제로 치부하기 쉬워 보일 수 있지만, 이는 복잡한 서비스 역할은 물론 교직 업무를 저글링하는 임상 감독자들이 직면하는 실제 과제를 고려하지 않는다. 스타이너트 외 연구진(2016)이 최근 리뷰에서 언급했듯이, "대부분의 교수 개발 개입은 개업 임상의사를 목표로 했다." 모든 연구 결과 중, 이것은 전문가 프레임워크와 임상 감독자의 견해 사이의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며, '현장의on the ground' 우선 순위가 전문가 프레임워크와 현저하게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는 유용한 정보이다.

Logistical concerns such as structuring a placement, allocation of teaching time and orientation to the placement environment together comprised 14%of free-text comments describing areas for improvement. Similarly ‘taking time to teach’ was rated as an area of least capability. While it may seem easy to brush off as a problem that is not related to education, this does not take account of the real challenges faced by clinical supervisors juggling complex service roles as well as teaching duties. As Steinert et al. (2016) note in their recent review, ‘‘the majority of faculty development interventions targeted practicing clinicians’’. Of all the findings, this indicates the biggest gap between expert frameworks and the views of clinical supervisors and is a useful reminder that ‘on the ground’ priorities can markedly differ from expert ones.

[제한된 시간 내에 상충하는 요구를 다루기] 같은 복잡한 상황을 관리하는 데 있어 쉬운 답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수진 개발 워크숍은 부서 및 기관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제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임상 감독관이 자신의 로지스틱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대인관계 교류의 미시적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배치placement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임상 감독관이 배치 시작 시(즉, 프로세스의 이면 목적)에 대한 기대치를 설정하고 표현하도록 학습자를 준비시키는 경우, 이는 사용 가능한 시간의 사용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re are often no easy answers in managing complex situations such as competing demands within limited time.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can acknowledge the challenges presented by departmental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Prompting clinical supervisors to specifically address their logistics may be beneficial. This may require orientation to thinking about placements as a whole, rather than only focusing on the micro-skills of the interpersonal exchange. For example, if clinical supervisors prepare learners in establishing and articulating expecta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placement (i.e. the purpose behind processes), then this may assist in optimizing use of available time.

마지막으로, '학습의 평가assessment of learning'가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MCTQ가 제공하는 오리엔테이션에 대한 응답일 수 있지만, 임상 감독자, 교수 개발자 및 의료 교육 전문가들이 평가와 학습 촉진을 별개의 노력으로 보는지는 의문이다. 확실히 그들은 종종 별도의 도메인으로 표시된다(Academy of Medical Educators 2014). 그러나, [학생들의 작업에 대한 평가 또는 판단을 하는 것]은 종종 피드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어 학습을 촉진한다. 학습 내에서 작업에 대한 판단을 촉진하는 것이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를 도입하는 실질적인 수단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Finally, it is worth noting ‘assessment of learning’ was barely mentioned. This may be a response to the orientation provided by the MCTQ, however we wonder if clinical supervisors, faculty developers and medical education experts see assessment and facilitating learning as being separate endeavors. Certainly they are frequently indicated as separate domains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2014). However, we suggest that assessment, or making judgements about students’ work is often inextricably linked to feedback and hence facilitating learning. We suggest that promoting judgements about work within learning may be a practical means of introducing ‘assessment for learning’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2011).


결론

Conclusions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Professional Standards. (2014). http://www.medicaleducators.
org/write/MediaManager/AOME_Professional_Standards_2014.pdf. Retrieved 16 March 2017.


Ajjawi, R., & Boud, D. (2015). Researching feedback dialogue: An interactional analysis approach.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1–14. doi: 10.1080/02602938.2015.1102863. XXX


Boud, D., & Molloy, E. (2013). Rethinking models of feedback for learning: The challenge of design.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8, 698–712. doi:10.1080/02602938.2012.691462.


Strand, P., Edgren, G., Borna, P., Lindgren, S., Wichmann-Hansen, G., &Stalmeijer, R. (2015). Conceptions of how a learning or teaching curriculum, workplace culture and agency of individuals shape medical student learning and supervisory practices in the clinical workplace.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0, 531–557. doi:10.1007/s10459-014-9546-0. XXX


Tai, J., Bearman, M., Edouard, V., Kent, F., Nestel, D., & Molloy, E. (2015). Clinical supervision training across contexts. The Clinical Teacher. doi:10.1111/tct.12432. XXX


Vaismoradi, M., Turunen, H., &Bondas, T. (2013).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5, 398–405. doi:10.1111/ nhs.12048.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  
  •  
  •  

. 2018 Mar;23(1):29-41.

 doi: 10.1007/s10459-017-9772-3. Epub 2017 Mar 17.

What should we teach the teachers? Identifying the learning priorities of clinical supervisors

Margaret Bearman 1Joanna Tai 2Fiona Kent 3 4Vicki Edouard 3Debra Nestel 5 6Elizabeth Molloy 7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Centre for Research into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CRADLE), Deakin University, Geelong, Australia. margaret.bearman@deakin.edu.au.

  • 2Centre for Research into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CRADLE), Deakin University, Geelong, Australia.

  • 3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Melbourne, Australia.

  • 4WISER Unit, Monash Health, Melbourne, Australia.

  • 5Department of Surgery, Melbourne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Australia.

  • 6Monash Institute of Health and Clin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Melbourne, Australia.

  • 7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Australia.

    • PMID: 28315114

 

Abstract

Clinicians who teach are essential for the health workforce but require faculty development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skills. Curricula fo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re often based on expert framework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priorities as defined by clinical supervisors themselves. We sought to inform these curricula by highlighting clinical supervisors own requirements through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what do clinical supervisors identify as relative strength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is mixed methods study employed a modified version of the Maastricht Clinical Teaching Questionnaire (mMCTQ) which included free-text reflection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extual comments. 481 (49%) of 978 clinical supervisors submitted their mMCTQs and associated reflections for the research study. Clinical supervisors self-identified relatively strong capability with interpersonal skills or attributes and indicated least capability with assisting learners to explore strengths, weaknesses and learning goals. The qualitative category 'establishing relationships' was the most reported strength with 224 responses. The qualitative category 'feedback' was the most reported area for improvement, with 151 responses. Key areas for curricular focus include: improving feedback practices; stimulating reflective and agentic learning; and managing the logistics of a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Clinical supervisors' self-identified needs provide a foundation for designing engaging and relevant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Keywords: Clinical education frameworks; Clinical supervision; Clinical teaching; Faculty development;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걸출한 교육자 되기: 성공에 대하여 뭐라고 말하는가?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Becoming outstanding educators: What do they say contributed to success?
Larissa R. Thomas1 · Justin Roesch2 · Lawrence Haber1 · Patrick Rendón2 · Anna Chang3 · Craig Timm2 · Summers Kalishman4 · Patricia O’Sullivan5

 

 

도입

Introduction

 

의료교육 경력에서 성공하는 길은 초기 경력 교수진과 특히 지도를 하는 부서장, 부서장, 선배 멘토에게 수수께끼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들 자신의 경험이 종종 기초 과학자 또는 임상 조사원으로서이다. 연구 커리어에서 교수진(예: 보조금 및 논문 수)이 경력 진행을 위한 단계와 메트릭을 정의한 것과 달리, 의학 교육에서 주니어 교수가 성공적인 경력 궤적을 위한 유사한 로드맵 개요 벤치마크가 부족하다(Sanfey 및 Gantt 2012). 또한 멘토가 있을 수 있지만, 공식적인 멘토 관계와 멘토링 전략에 대한 지침은 덜 일반적이다(Feldman et al., 2010).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이러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장소이지만, 현재 의학교육의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은 종종 명시적으로 커리어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교수기술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Irby and O'Sullivan 2018).
The pathway to success in medical education careers can appear enigmatic to early-career faculty and especially to department chairs, division chiefs, and senior mentors who provide guidance, but whose own experiences often are as basic scientist or clinical investigators. In contrast to faculty in research pathways, who have defined steps and metrics for career progression (such as numbers of grants and articles), junior faculty lack a similar roadmap outlining benchmarks for a successful career trajectory in medical education (Sanfey and Gantt 2012). Furthermore, while mentors may be available, formal mentoring relationships and guidance on mentorship strategies are less common (Feldman et al. 2010). Althoug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re one venue that could provide such guidance, current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medical education often focus primarily on technical skill-building rather than explicitly on career advancement (Irby and O’Sullivan 2018).

연구자들은 직업 궤도에 대한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로서 사회 인지 직업 이론(SCCT)(Lent et al. 1994)을 자주 그린다. SCCT는 사회 인지 학습 이론(Bandura 1986)의 기초 위에서 확장하여 개별 요인(배경, 성별, 민족 등)과 상황적 요인(환경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 등) 사이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자기 효율성과 결과 기대치를 이끌어 내 직업 관심사, 목표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한다. 경력개발과 관련된 적응적 과정adaptive process을 더 잘 다루기 위해, SCCT 이론가들은 경력개발을 고려함에 있어서 프로세스 차원process dimension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프로세스 차원에는 다음이 있다.

  • 커리어 도전과 일상적인 경력 결정,
  • 커리어 전환 협상,
  • 커리어 내 개인적 목표 통합 및 추구,
  • 다양한 역할의 관리 및 경력 지연 검토(Lent and Brown 2013)

Researchers frequently draw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Lent et al. 1994)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understand influences on career trajectory. SCCT expands on the foundation of social cognitive learning theory (Bandura 1986) to describ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factors (such as background, gender, ethnicity), and contextu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 and interactions with peers) drive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to influence career interests, goals and performance. To better address the adaptive processes associated with career development, SCCT theorists proposed including process dimensions in considering career development. Some of these process dimensions include

  • examining career challenges and routine career decisions,
  • negotiation of career transitions,
  • integration and pursuit of personal goals within one’s career,
  • management of multiple roles and examination of career setbacks (Lent and Brown 2013).

이번 연구는 의학교육자의 경력을 연구하는 데 SCCT를 포함한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 여러 연구가 SCCT의 렌즈를 이용한 의료 교육자 경력과 관련 이론을 조사했으며, 주로 초기 경력 교수진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Researchers have used various frameworks, including SCCT, in studying the careers of medical educator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medical educator careers using the lens of SCCT and related theories, primarily looking at experiences of early-career faculty.

변화 변화를 연구하고 의료 교육 교직원의 형성을 식별한 다른 연구자들은 의료 교육에서 다양한 직업 단계와 관련된 긴장 및 다면적인 차원을 해석하기 위해 실무 커뮤니티의 중요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식별했다(Sethi et al., 2017). 경력 개발에 대한 연구는 또한 Schlossberg의 4S(자기, 상황, 지원 및 전략)를 사용하여 전환 이론transition theory에서 끌어낸 Browne 외(2018)가 포착한 정체성 형성과 중복된다.

Other researchers studying transformational change and identify formation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identified an overarching theoretical framework of communities of practice to interpret the tensions and the multi-faceted dimensions associated with various stages of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Sethi et al. 2017). Studies on career development also overlap with identify formation as captured by Browne et al. (2018), who drew from transition theory using Schlossberg’s 4 Ss (self, situation, support and strategy).


방법

Methods

 

이 연구는 연구자와 연구자 간의 상호 작용이 의미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건설주의적 패러다임에 뿌리를 두고 있다(Ng 등. 2019). SCCT가 지도한 이전 연구에서 확립된 우수 교육자의 관점을 더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확인했기 때문에, 본 연구는 SCCT를 참조 프레임워크로 채택하여 주제분석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This research is rooted in a constructivist paradigm, recognizing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researchers and those whom they study produces meaning (Ng et al. 2019). Because prior work guided by SCCT identified opportunities for further exploration of perspectives of established outstanding educators, this study used the approach of thematic analysis (Braun and Clarke 2006), employing SCCT as a reference framework.


이번 연구에는 두 개의 사이트가 포함되었는데, 두 개의 서로 다른 학문의 환경을 대표한다는 목표로 편의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둘 다 공립 대학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는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을 위한 의료 센터와 프로그램을 갖춘 종합 대학이다. UNM의 의료캠퍼스는 UCSF에 비해 규모가 작고 오랜 기간 동안 의료 교육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았다.
The study included two sites, which were selected as a convenience sample with the goal of representing two different academic environments. Both are public universitie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 is an academic medical center and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UNM) is a comprehensive university with both a medical center and progra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education. UNM’s medical campus is smaller compared to UCSF and has had less longstanding medical education infrastructure.

연구 참여자는 직접 교육, 커리큘럼 개발, 평가, 멘토링/자문 및 리더십/관리 분야에서 의료 교육 내에서 중요한 역할 또는 인정을 받은 전임 의사 또는 부교수 수준의 교수였다. 8명으로 구성된 조사팀에는 2개의 현장 기반 팀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팀에는 2명의 주니어 및 2명의 수석 의료진, 2명의 선임 교수진에는 모두 임상의, 2명의 임상의와 2명의 의사가 준비된 교육자가 포함되어 있다.
Study participants were full-time physician faculty at the full or associate professor level with prominent roles or recogni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in the areas of direct teaching, curriculum development, assessment, mentoring/advising and leadership/management. The eight-member investigator team included two site-based teams, each with two junior and two senior medical education faculty; the junior faculty were all clinicians, and the senior faculty included two clinicians and two doctorally-prepared educators.


그런 다음 각 현장 기반 팀은 2006년 AAMC 컨센서스 콘퍼런스(Simpson et al. 2007)에서 제정된 기준에 따라 의료 교육에 대한 기여의 주요 분야로 후보자를 하나 이상 분류했다. 직접 교육, 커리큘럼 개발, 평가, 조언 및 멘토링, 교육 리더십/행정. 이러한 범주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중요성(보급 및 평판 증명)은 참여 자격을 갖추기 위한 요건이었다.
Each site-based team then categorized each candidate by one or more primary areas of contribution to medical education according to criteria established in the 2006 AAMC consensus conference (Simpson et al. 2007): direct teaching, curriculum development, assessment, advising and mentoring, and educational leadership/administration. Prominence (as demonstrated though dissemination and reputation) in one or more of these categories was a requirement to be eligible for participation.


연구팀은 SCCT로부터 informed된 인터뷰 가이드를 개발했으며, 각 현장에서 연구 샘플에 포함되지 않은 1–2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한 후 가이드를 세분화하여 6개의 주요 질문을 프로브와 함께 작성했다("부록 1" 참조). 면접관은 소급 재검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콜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참가자의 경험과 관련된 추가 특이성, 상세성, 컨텍스트 및 이벤트를 장려하기 위해 조사를 사용했다.

The team developed an interview guide informed by SCCT, which was piloted at each site with 1–2 faculty not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then refined the guide, resulting in 6 main questions with probes (See “Appendix 1”). Interviewers used probes to encourage additional specificity, detail, context, and events related 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order to guard against recall bias that could emerge from a retrospective recounting.

 


팀 전체가 추가 조사를 위해 초기 인터뷰를 검토했다. 연구팀은 SCCT의 세 가지 광범위한 주제인 자기효능주의 신념, 결과 기대치, 개인적 목표를 사용하여 두 개의 대본을 검토함으로써 초기 코드북을 개발했다. 이러한 테마는 교육자의 경력 관점을 분류하는 출발점이 되었고, 이를 확장하여 추가 코드를 포함시켰다. 코드북은 광범위한 논의와 추가적인 대본 검토와 재검토를 통해 다듬어지고 최종 마무리되었다. 그 후 두 명의 수사관에 의해 각각의 녹취록은 독립적으로 코딩되었다. 즉, 인터뷰 대상자와 같은 사이트의 선임 수사관이 다른 사이트의 하위 수사관과 함께 작업했다. 각 쌍은 코딩의 차이를 판단하기 위해 만났고, 선임 조사관은 필요한 경우 면접 대상 기관에 대한 상황 정보를 명확히 했다. 이 조사관은 최종 합의 코드를 Dedoose (CA, Hermosa Beach)에 입력했다. 각 인터뷰 대상자가 식별된 주제와의 정렬을 검토하기 위한 경력 궤적을 설명하는 요약서를 개발하는 등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많은 단계가 수행되었다(Shenton 2004). 인터뷰는 정보 충분성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이후 인터뷰에서도 유사한 주제가 나타났다(Malterud et al., 2016).
The entire team reviewed initial interviews to refine additional probes. The team developed an initial codebook by reviewing two transcripts using three broad themes from SCCT: self-efficacy beliefs, outcome expectations, and personal goals. These themes served as a starting point for categorizing educators’ perspectives of their careers and they were expanded upon and additional codes included. The codebook was refined and finalized through extensive discussion and further transcript review and re-review. Each transcript was then independently coded by hand by two investigators: a senior investigator from same site as the interviewee worked with a junior investigator from the other site. Each pair met to adjudicate differences in coding, with the senior investigator clarifying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interviewee’s institution where necessary. The junior investigator entered the final consensus codes into Dedoose (Hermosa Beach, CA). Many steps were taken to ensur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including developing a summary for each interviewee to describe their career trajectory to examine for alignment with the identified themes (Shenton 2004). Interviews were continued until information sufficiency was reached, with similar themes appearing in subsequent interviews (Malterud et al. 2016).

코딩에 이어, 팀은 코드 보고서를 검토하고 테마를 합성하고 궤적 스토리와 정렬을 결정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시작했다. 이 과정은 1년 동안 여러 팀 회의를 통해 수행되었습니다. 테마는 SCCT의 요소를 유지하였고, 유도적으로 개발된 코드와 토론은 최종 테마를 도출한 경력 개발에 대한 세부 사항으로 이어졌다. 각 테마는 참가자 번호로 식별된 지지 인용문과 함께 설명됩니다.

Following coding, the team began an iterative process of reviewing the code reports, synthesizing themes and determining alignment with trajectory stories. This process was done over the course of a year with a number of whole team meetings. The themes sustained elements from the SCCT, and the inductively developed codes and discussions led to elaborations about career development that resulted in the final themes. Each theme is described with supporting quotes identified by a participant number.

 

성찰성

Reflexivity

 

[팀의 폭넓은 경험]은 특정한 편견에서 생길 수 있는 해석에 도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즉, 선배들은 대부분 교수진 개발에 투자를 했고, 후배들은 커리어 가이드guidance를 구했다. 건설주의 패러다임에서 우리는 후배 교수팀원들이 면접을 진행하고 면접지도자의 발전을 이끌도록 의도적으로 선택했는데, 이들이 진로지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대변했기 때문이다. 이 결정이 면접 조사 선택과 데이터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었지만, 이 잠재적 성찰성은 인터뷰 가이드 작성 및 분석 중에 빈번한 회의와 연구팀의 고위 구성원(기관 내 및 기관 간 모두)과 짝을 이루어 균형을 이루었다. 그 견해는 최종 테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서로 균형을 이루었다.

The team’s breadth of experience was helpful to challenge interpretations that could arise from particular biases: senior members largely had an investment in faculty development, and the junior members sought career guidance. From a constructivist paradigm, we intentionally chose to have junior faculty team members conduct interviews and lea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view guide, since they represented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were themselves seeking career guidance. Although this decision could have influenced choice of interview probes and interpretation of data, this potential reflexivity was balanced by frequent meetings and pairing with the senior members of the study team (both within and across institutions) during interview guide creation and analysis. The views balanced each other in the elucidation of the final themes.

결과

Results

표 1은 참가자를 설명합니다(표 1 참조).
Table 1 describes the participants (see Table 1).

 



테마 1: 기회는 준비된 마음을 선호한다.
Theme 1: opportunity favors the prepared mind


참가자들은 역할에 대한 준비를 하고 의료교육의 초기 성공을 이끈 초기 경험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경험은 종종 보호되는 시간 없이 관심 영역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개인은 자신의 관심분야를 다른 사람들에게 분명하게 전달했고, 그랬기에 발생하는 기회를 이용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Participants often recalled early experiences that prepared them for roles and led to initial successes in medical education. These experiences frequently involved volunteering in an area of interest without protected time. Individuals communicated their interests explicitly to others and were therefore poised to take advantage of opportunities that occurred. 

 

 

하위 테마: 첫 번째 기회로 이어지는 우연성에 대한 인식
Sub theme: perception of serendipity leading to first opportunities


기회가 생겼을 때, 연구 참가자들은 종종 이러한 성공을 우연한 감각이나 (우연히) '적절한 시기에 알맞은 장소'에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러나 많은 경우(예: 직책 개설을 유도하는 교직원의 퇴직)에 기회 또는 타이밍 요소가 존재했지만, 사전 작업 및 준비는 일반적으로 고려 대상이 되었다.

When opportunities arose, study participants frequently attributed these successes to a sense of serendipity or being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However, while some element of chance or timing did exist in many cases (for example, retirement of a faculty member leading to a position opening), prior work and preparation had usually positioned them for consideration.

하위 테마: 솔선수범하고 "예"라고 말함
Subtheme: taking initiative and saying “yes”


또 다른 하위 주제는 자발적으로 기회를 요청하는 것의 중요성과 자신의 초기 경력에서 생겨난 기회들에 대해 정기적으로 "예"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활동은 많은 참가자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기회로 직결되었다. 
Another sub-theme was the importance of taking initiative to ask for opportunities, as well as regularly saying “yes” to opportunities that arose in one’s early career. This proactivityled directly to new roles and opportunities for many participants. 

테마 2: 초기의 성공이 중요하다.
Theme 2: early successes matter


초기 성공은 종종 새로운 기회로 이어졌으며, 종종 리더십 위치 또는 역할의 형태로 가시성, 네트워킹 기회 및 추가 책임으로 이어졌다. 
Early successes often led to new opportunities, frequently in the form of leadership posi-tions or roles that led to increased visibility, networking opportunities, and additional responsibility. 

게다가, 이러한 초기의 성공은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었고, 의료 교육자로서의 진로를 재확인했다.
Additionally, these early successes were confidence-building and reaffirmed the career path of being a medical educator.

Theme 3: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은 직업 가속기
Theme 3: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re career accelerators


거의 모든 참가자들이 공식적인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마쳤습니다. 교수진 개발은 기술을 개발하고, 네트워크를 개선하고, 추가 개발에 대한 관심을 촉진함으로써 직업 가속기 역할을 했습니다. 역량 습득 측면에서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기존에 생소했던 교육원리, 교육이론, 전략 등을 명확히 하고, 의료교육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폭시켰다.
Nearly all participants had completed a formal development program. Faculty development served as a career accelerator by developing skills, enhancing a network, and spurring an interest in further development. In terms of skills acquisiti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clarified pedagogical principles, educational theory, and strategies that were previously unfamiliar, and fueled their further interest in medical education.

참가자들은 또한 동료 교육자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이점을 설명했는데, 이는 참가자들을 부서 밖의 새로운 아이디어에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향후 작업에 대한 협업과 지원을 위한 자원으로도 작용했다.
Participants also described unanticipated benefits of connection to a network of fellow educators, which not only exposed participants to new ideas outside of their departments, but also served as a resource for collaboration and support for future work.

테마 4: 멘토들의 마을이 필요하다.
Theme 4: it takes a village of mentors


오늘날 존재하는 등 공식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접하지 못한 참가자가 많았지만, 모든 참가자가 멘토를 확인했다. 멘토는 주로 진로·동료 멘토로 참여자들이 다음 단계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돕고, 새로운 기회에 대해 알리고, 직책·발전기회 지원을 독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Though many participants did not have access to formal mentoring programs such as exist today, all participants identified mentors. Mentors were primarily career and peer mentors,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participants prioritize next steps, alerting them to new opportunities, and encouraging them to apply for positions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참가자들은 특히 [학문적 일을 추진하는 데 있어 원동력이 되는] 동료 멘토에 대해 종종 말했다.

Participants often spoke about peer mentors who seemed to be driving forces, particularly in the pursuit of scholarly work



Theme 5: 네트워크는 경력을 발전시킵니다.
Theme 5: networks advance careers


내부/국내/외부/국내 네트워크 모두 경력 발전을 촉진했고, 전문 학회와 같은 공식 네트워크 및 동료 커뮤니티와 같은 비공식 네트워크를 포함했다. 참가자들은 주로 멘토, 의료교육 역할 참여, 교수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 네트워크에 진입했으며, 의료교육 공동체의 문화와 정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네트워크의 가치를 강조했다.
Both internal/local and external/national networks facilitated career advancement, and included formal networks such as professional societies, as well as informal networks such as peer communities. Participants usually entered these networks through a mentor, involvement in a medical education role, or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and highlighted the value of networks for helping them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politics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또한 네트워크는 참가자들에게 특정 기회(예: 연설 또는 위원회 의장 역할)와 향후 프로젝트를 위한 협력자들에게 모두 소개했습니다.

Networks also introduced participants both to specific opportunities (such as speaking or committee chair roles) and to collaborators for future projects.



Theme 6: 지원 작업 환경, 경력 향상
Theme 6: supportive work environments enhance careers


많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진로를 검증하기 위한 [지지적 업무 환경]의 중요성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는 감독자 및 동료와의 [지지적 업무 관계]와 [공유된 가치]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Many participants described the importance of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for validating their career paths. This environment included a combination of supportive work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and shared values.

참가자들은 또한 균형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원으로서 임상적 서포트를 제공하는 동료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유연성과 임상 백업을 지원하기 위해 작업 커뮤니티work community에 의존할 수 있었던 참가자들은 업무관련 및 업무비관련 책임 충족을 위해 더 많은 지원을 받는다고 설명했습니다.

Participants also commented on the importance of colleagues providing clinical support as a resource to help promote balance. Participants who were able to rely on a work community to support flexibility and clinical backup described feeling more supported in their efforts to meet work and non-work responsibilities.

 


Theme 7: 애정 어린 작업이 균형 있게 과제를 만들고 완화합니다.
Theme 7: loving work creates and mitigates challenges with balance


많은 교수진들은 그들의 진로를 통해 직장 밖의 삶이나 일과 관련하여 균형이나 안정을 달성하는 데 장애물을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그렇다"고 말하는 충동적 성향이 경력 초기에는 종종 기회로 이어졌지만, 중년이후에는 경력의 불균형에 기여했고, 사생활에 미친 (안 좋은) 대한 결과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Many faculty members described barriers to achieving balance or stability with respect to work or life outside of work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e same impulse to “say yes,” which had often led to opportunities early in their career, contributed to lack of balance, especially in mid-career, with consequences on personal life.

일부 참가자들은 새로운 책임을 지는데 있어 보다 까다로워지고 명확한 경계를 세울 수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경력에 걸쳐 종래에 걸쳐 더 큰 균형을 이루었다.

Some participants achieved greater balance longitudinally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as they were able to become more selective in assuming new responsibilities and established clearer boundaries.

거절하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아. 모든 것을 다 할 수는 없고, 할 일을 골라야 잘 할 수 있다. 그 중 일부는 당신의 직업에서 당신의 방향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D10)
I think it’s really important to say no to some things. You can’t do everything, and you have to pick and choose the things that you’re going to do so you can do them well. Part of that is understanding what your direction is in your career. (D10)


다른 교수진들은 그들의 학업이 자부심과 자생력의 원천이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근무 주 이외의 교육자의 책임 침해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Other faculty did not view encroachment of educator responsibilities beyond the traditional work-week negatively, as their academic work was a source of pride and self-sustaining.

나는 [균형]이라는 단어가 싫다. 도저히 충족시킬 수 없는 기대를 만들어 낸 것 같아요. 삶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그것은 불가능한 것을 암시하고 있다. 제가 믿는 것은 이렇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하는 일을 사랑한다면, 저절로 해결된다고 믿습니다. (D6)
I hate that word [balance]. I think it’s created expectations that are impossible to meet. There’s no way you can balance your life…That implies something that’s impossible… o here’s what I believe: I believe that if you love what you do, it works itself out. (D6)


보다 균형 잡힌 지원자에는 지원 커뮤니티, 가족, [업무 외 개인적 의무에 대한 보호 시간]을 관리schedule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되었습니다.
Enablers of greater balance included a supportive community, family, and the ability to schedule protected time for personal obligations outside of work.

테마 8: 임상 및 교육자 신분 상호 작용
Theme 8: interacting clinical and educator identities


뛰어난 교육자로서의 외부 인식에도 불구하고, 많은 참여자들은 임상업무가 전체업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더라도 주요 임상의사 정체성을 계속 옹호했다. 이러한 정체성은 때때로 단절된 것처럼 느껴졌지만, 경험이 풍부한 교육자들은 서로를 지탱하고 풍요롭게 하는 경향이 있는 임상적 정체성과 교육적 정체성의 중복을 인식했습니다.
Despite external recognition as outstanding educators, many participants continued to espouse a primary clinician identity, even if clinical work became a low percentage of their total effort. While these identities at times felt disconnected, experienced educators recognized overlap of their clinical and educator identities, which tended to sustain and enrich each other.

그것은 나의 주된 정체성이었던 적이 없다. 아이러니한 것은 제가 지금 제 시간의 60%를 교육 행정에 쓰고 30%만 임상 의사로 쓰고 있지만, 여전히 제 자신을 1차 진료 의사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교육자로서 제 역할을 무시하거나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 자신의 정의에 따르면, 저는 스스로 클리닉 파트타임에서 일하는 교육자가 아니라, 교육을 하는 1차 진료 의사라고 생각합니다. (C2)
It has never been my primary identity. It is ironic because I now spend 60 percent of my tim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only 30 percent as a clinician, but I still see myself as a primary care physician. That’s not that I discount or ignore my role as an educator, but I still don’t see it…in my own self-definition, I see myself as a primary care physician who teaches, rather than an educator who works in the clinic part-time. (C2)



토론
Discussion


 

공통 궤적에 대한 네 가지 핵심 관찰은 성공적인 교육자의 경력 개발에 관한 문헌에 추가된다.

  • 첫째, 교육자는 종종 성공이 우연의 일치에 기인함에도 불구하고 준비와 사전 준비를 통해 교육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러한 초기 단계들은 초기 기회(리더십 역할 또는 책임)로 이어졌고, 이를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을 포함한 네트워크, 멘토, 기회를 소개하는 "런치 포인트" 역할을 했다.
  • 둘째, 거의 모든 성공한 교육자들은 여러 명의 멘토가 있었으며, 그들은 종종 후원 역할을 했으며 동료 멘토쉽이 두드러진 역할을 했다. 네트워크 및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과 함께 멘토는 추가 멘토, 네트워크 및 교수진 개발을 포함하여 교육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소개하는 커리어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했습니다. 
  • 셋째, 일반적으로 의학교육 경로에 대해 지지적supportive인 작업 환경 내에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 마지막으로, 이 궤적은 직업의 각 지점에서 반복되고 나선형으로 보였으며, 그러한 성공은 새로운 개발 기회, 네트워크 및 멘토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기회로 이어졌다.

Four key observations about common trajectories add to the literature on career development of successful educators.

  • First, an educator began down the path of education through preparation and proactivity, despite often attributing success to serendipity. These early steps led to an initial opportunity (a leadership role or responsibility) that served as a launch point to introduce them to networks, mentors, and opportunities, includ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 Second, nearly all successful educators had multiple mentors, who often served in a sponsorship role, and peer mentorship played a prominent role. Along with networks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mentors served as career accelerators to introduce educators to more opportunities, including additional mentors, networks, and faculty development.
  • Third, interactions generally took place within a work environment supportive of medical education pathways.
  • Finally, this trajectory appeared to repeat itself and spiral at each point in the career, such that success led to new opportunities that allowed for new development opportunities, networks, and mentors



준비의 역할이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준비가 처음에는 비공식적인 기회를 이용하면서 나타났지만,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종종 경력 성장을 가속화했다. 의료 교육의 많은 교수 개발 연구와 리뷰는 참가자들이 무엇을 배우고 직면하는지 강조하였다(Steinert et al. 2006, 2016). 더 최근의 연구는 진로 진행에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역할을 다룬다(Leslie et al. 2013). 그러나, 이 연구는 교수 개발이 경력에 기여하는 방법에 대한 우리의 통찰력을 더해준다. 즉, [핵심 지식을 보완]하고 [문을 열어opening doors] 참가자들이 대내외적으로 새로운 역할을 맡을 준비가 더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role of preparation should not be undersold. While preparation initially manifested in taking advantage of informal opportunities, participation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often accelerated the career growth. Many faculty development studies and reviews in medical education have highlighted what participants learn and challenges they face (Steinert et al. 2006, 2016), and more recent studies address the role of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career progression (Leslie et al. 2013). However, this study adds to our insight about ways that faculty development contributes to the career: by supplementing key knowledge and opening doors, so that participants are better prepared to take on new rol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우리는 준비로 인한 초기 성공을 "발사점launch point"으로 특징지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 이니셔티브 및 교수진 개발 기회는 모두 새로운 기회를 시작하는 데 기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이 발사는 종종 의대 교육계 내의 가시성visibility과도 관련이 깊었다. 의료 정체성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시성은 [개인의 정체성] 및 [개인이 자신을 보는 방식], [지지받고 있다는 느낌]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Browne et al. 2018; Cantillon et al. 2018; Jauregi et. 2019; Onyura et. 2017; O'Suliban et al. 2016). 발사점의 중요성에 대한 이러한 관찰은 정체성 개발을 교수 개발 오퍼링에 보다 명시적으로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 줄 수 있다(Steinert et al. 2019).

We characterized initial success resulting from preparation as a launch point. As noted above, both individual initiative and faculty development opportunities help contribute to the launch into new opportunities. However, the launch was also often highly related to visibility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s described in the medical identity literature, this visibility may be related to identity, and how individuals see themselves and feel supported (Browne et al. 2018; Cantillon et al. 2018; Jauregui et al. 2019; Onyura et al. 2017; OSullivan and Irby 2014; OSullivan et al. 2016). This observation of the importance of a launch point may speak to the need to incorporate identity development more explicitly into faculty development offerings (Steinert et al. 2019).

 

우리의 연구는 멘토링이 필수적인 기여자였던 방법을 나타내는 이전 연구의 결과를 향상시킨다(Feldman et al. 2010). 

[공식적인 연구 멘토 관계]가 우세한 [연구 커리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의 참가자들은 주로 그들의 경력에 걸쳐 [다수의 직업 멘토]들을 언급했습니다. 그들은 종종 후원자였고, 참가자들에게 기회와 네트워크를 소개해주었다

Our study enhances findings from prior studies indicating the ways in which mentorship was an essential contributor (Feldman et al. 2010). In contrast to research pathways, in which formal research mentorship relationships predominate, our participants predominantly described multiple career mentors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 who were frequently sponsors, introducing participants to opportunities and networks (Travis et al. 2013; Chopra et al. 2018).

 

흥미롭게도, [동료 멘토]들은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프로젝트에 협력하는 등 많은 참가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연구들은 특히 주니어 교수의 동료 멘토링의 효과를 주니어 교수 멘토링으로 뒷받침해 왔다. 동료 멘토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의 발견은 [주니어 교수들은 (특히 네트워크를 개발하여) 동료 멘토와 코-멘토를 더 의식적으로 찾음]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terestingly, peer mentor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many participants, serving in a co-mentorship role by sharing networks and collaborating on projects. Studies have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peer mentoring specifically at junior faculty member to junior faculty member mentoring. (Heinrich and Oberleitner 2012; Johnson et al. 2011). Our finding of the importance of peer mentors suggests that junior faculty may benefit from more consciously seeking out peer mentors and co-mentors, especially by developing networks.

또 다른 두드러진 발견은 의료 교육 및 일과 삶의 균형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달성하는 데 있어 업무 환경의 역할이었다. SCCT의 개발자인 Lent and Brown(2013)은 개인 및 전문적 목표에 걸쳐 통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업무 환경이 지지적이었을 때, 업무 환경은 [임상의]와 [교육자]의 정체성의 합병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지적 공동체, 사회적 지원, 그리고 [개인적 목표에 부합하는 전문적 기회를 탐색할 수 있는 자유latitude]를 제공했다.

Another prominent finding was the role of the work environment in achieving successful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and work-life balance. Lent and Brown (2013), the developers of SCCT, highlighted the need to integrate across personal and professional goals. When it was supportive, the work environment helped reinforce the merging of clinician and educator identities that we observed, and provided intellectual community, social support, and latitude to explore professional opportunities that aligned with personal goals.

 

이러한 [임상의사-교육자에 대한 구조적 지원]은 교육자로서의 개발과 다른 전문적 역할 사이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되었다(Elmberger et al., 2018). 지지적 업무 환경이 일부 기관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주니어 교수진은 교수개발 프로그램 및 부서리더와 함께 전문적 개발의 일환으로 이러한 환경을 보다 명시적으로 육성하고자 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이 "그렇다"고 말하는 경향이 중기경력mid-career의 균형 부족에 기여했다고 자주 설명하였기 때문에, 작업 환경은 또한 [관리 가능한 작업량]을 중심으로 문화적 기대치를 설정하는 잠재적 역할을 할 수 있다(Strong et al., 2013).
Such structural support for clinician-educators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o minimize conflicts between development as an educator and other professional roles (Elmberger et al. 2018). Because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may not be readily apparent or available in some institutions, junior faculty, along wit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division or department leaders, may seek to cultivate this climate more explicitly as par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Given that participants often described that the tendency to “say yes” contributed to lack of balance in mid-career, the work environment could also potentially play a role in setting cultural expectations around manageable workload (Strong et al. 2013).

이전 문헌과 일관되게, 우리는 교육자로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초기 성공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Hu et al. 2015). 그리고 성공에서 우연한 역할이 인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인 준비가 종종 이러한 기회로 이어졌다(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Hu et al. 2015). 자기효능감 문헌과 연계하여, 우리는 특정 속성, 특히 사전 적극성proactivity이 새로운 기회와 성공에 기여했음을 발견했다(Browne et al. 2018; Sethi et al. 2017). 우리의 테마는 주로 SCCT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 신념을 자극하는 개인과 상황적 영향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이해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일치했지만, 우리는 또한 이 주제theme가 [교육자의 경력 성숙 과정에 걸쳐 복잡성과 깊이를 증가시키며 개인에 대해 여러 번 반복재생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Consistent with prior literature, we found that early successes are essential to launch a successful career as an educator (Hu et al. 2015), and that deliberate preparation often led to these opportunities, despite a perceived role of serendipity in their success (Bartle and Thistlethwaite 2014; Hu et al. 2015). Aligned with self-efficacy literature, we found that certain attributes, specifically proactivity, contributed to new opportunities and successes (Browne et al. 2018; Sethi et al. 2017). Although our themes largely aligned with previous work using SCCT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that spur self-efficacy beliefs, we also found that our themes replayed multiple times for an individual, spiraling with increasing complexity and depth over the course of the educator’s career maturation.

문헌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우리의 목표로 돌아가, 우리는 교육자로서 선배 교직원의 발전 관점, 그들의 직업에서 교육자가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 그리고 교육자의 경력에 미치는 교수진 발전의 영향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을 확인하였습니다. 설계에 의해 우리의 연구는 선배 교수들이 자신의 경력 개발을 회고적으로 바라볼 때 그들의 관점을 식별했다. 위에서 파악되고 기술된 모든 중요한 주제는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상급 교수진의 관점을 반영하며, 무엇이 상급 의학 교육자로서 성공하게 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제공한다

Returning to our goal of addressing gaps in the literature, we have identified important concepts related to perspectives of senior faculty in their development as educators, the diverse roles played by educators in their careers, and the impact of faculty development in educators’ careers. By design our study identified the perspectives of senior faculty as they looked retrospectively at their own career development. All of the important themes identified and described above reflect the view of senior faculty with extensive experience, giving a comprehensive look at what led to their success as senior medical educators. 

 

시니어 교수로서, 참가자들은 그들의 경력에서 다양한 역할들을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역할의 대부분은 의학교육에도 관련되어 있었지만, 의학교육을 직업으로 추구하기로 결정한 것을 알 수 있는 다른 관련 역할도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성공적인 시니어 교수는 문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하게 공헌했던 [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행동과 인식]을 기술했다. [준비된 상태]와 [기회의 응하기], [교육자로서의 조기 성공], [많은 동료(멘토, 동료)와 함께 참여하고 배우며], [전문 개발 프로그램]에 전념하고, [전문 네트워크]를 넓히고, [임상의와 교육자의 이중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주제였다.

As senior faculty, our participants described a variety of diverse roles in their careers. Many of these roles directly involved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related roles that might have informed their decisions to pursue medical education as a career. Successful senior faculty described common behaviors and perceptions of self that are important contributions to deepening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Being prepared and saying yes to opportunities, having an early success as an educator, engaging with and learning from many colleagues (mentors, peers), committing t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expanding professional networks, and holding the dual identities of clinician and educator were common themes.

 

마지막으로, 우리가 기술한 바와 같이, [교수진 개발 활동과 프로그램]은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다른 교육자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시니어 교육자들은 이를 경력 개발에 중요한 요소로 거의 보편적으로 언급하였다. 이러한 테마는 [자신과 다른 사람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미묘한 이해]와 이러한 시니어 임상 교육자의 경력이 위치한 더 큰 컨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문헌의 격차를 해소한다.

Lastly, as we have described,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nd programs are almost universally identified by successful senior educators as important factor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both in terms of acquiring new skills and knowledge and enhancing opportunities for networking with other educators. These themes address gaps in the literature by providing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self and others, and the larger context in which these senior clinical educators’ careers are situated.

 


제한사항

Limitations


흥미롭게도, 우리의 많은 참여자들은 의학교육이 덜 확립된 분야였을 때 그들의 경력을 시작했기 때문에, 그들의 초기 진로는 현재의 주니어 교수진의 그것과는 다를 수 있다. 특히, 샘플의 많은 참여자들이 의료 교육 리더 역할에 임명되었습니다. 더 많은 역할이 경쟁 프로세스를 통한 선택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리더십 역할 진입은 이제 덜 일반적일 수 있습니다. 교육 연구 및 의료 교육의 진로에 대한 정당성이 커짐에 따라 (Irby와 O'Sullivan 2018), 그리고 21세기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의학교육자의 역할도 진화하고 있다(Simpson et al., 2018). 이에 따라 초기 커리어 교수들은 또한 교육적 리더 직위에 지원할 더 많은 기회가 생겼고, [임상 및 기초 과학 멘토와 같은] 뛰어난 교육 연구 멘토에 대한 필요도 더 커질 수 있다.

 

 

Interestingly, since our many of our participants began their careers when medical education was a less established field, their early career pathways may differ from those of current junior faculty. Specifically, many participants in our sample were appointed to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roles; this type of entry into a leadership role may be less common now as more roles involve selection through a competitive process. As the legitimacy of educational research and medical education as a career pathway grows (Irby and O’Sullivan 2018), and roles of medical educators evolve to meet the needs of twenty-first century learners (Simpson et al. 2018), early career faculty may also have more opportunities to apply for educational leadership positions and a greater need for strong education research mentors akin to clinical and basic science mentors.

 

 

 

Browne, J., Webb, K., & Bullock, A. (2018). Making the leap to medical education: A qualitative study of medical educators’ experiences. Medical Education, 52(2), 216–226.

Cantillon, P., Dornan, T., & De Grave, W. (2018). Becoming a clinical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context. Academic Medicine, 94, 1610–1618.

Chopra, V., Arora, V. M., & Saint, S. (2018). Will you be my mentor? Four archetypes to help mentees succeed in academic medicine. JAMA Internal Medicine, 178(2), 175–176.

 

Elmberger, A., Björck, E., Liljedahl, M., Nieminen, J., & Bolander Laksov, K. (2018). Contradictions in clinical teachers’ engagement in educational development: An activity theory analysi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4(1), 124–140. 

 


Irby, D. M., & O’Sullivan, P. S. (2018). Developing and rewarding teachers as educators and scholars: Remarkable progress and daunting challenges. Medical Education, 52(1), 58–67. XXX

 

Jauregui, J., O’Sullivan, P., Kalishman, S., Nishimura, H., & Robins, L. (2019). Remooring: A qualitative focus group exploration of how educators maintain identity in a sea of competing demands. Academic Medicine, 94(1), 122–128.

Onyura, B., Ng, S. L., Baker, L. R., Lieff, S., Millar, B.-A., & Mori, B. (2017). A mandala of faculty development: Using theory-based evaluation to explore contexts, mechanisms and outcomes.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2(1), 165–186.

Steinert, Y., O’Sullivan, P. S., & Irby, D. M. (2019). Strengthening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 faculty development. Academic Medicine, 94(7), 963–968.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  
  •  
  •  

. 2020 Aug;25(3):655-672.

 doi: 10.1007/s10459-019-09949-7. Epub 2020 Jan 15.

Becoming outstanding educators: What do they say contributed to success?

Larissa R Thomas 1Justin Roesch 2Lawrence Haber 3Patrick Rendón 2Anna Chang 4Craig Timm 2Summers Kalishman 5Patricia O'Sullivan 6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Division of Hospital Medicine at Zuckerberg San Francisco General Hospital and Trauma Center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1001 Potrero Ave, 5H, San Francisco, CA, 94110, USA. larissa.thomas@ucsf.edu.

  • 2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NM, USA.

  • 3Division of Hospital Medicine at Zuckerberg San Francisco General Hospital and Trauma Center an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1001 Potrero Ave, 5H, San Francisco, CA, 94110, USA.

  • 4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 5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NM, USA.

  • 6Departments of Medicine and Surger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 PMID: 31940102

 

Abstract

Aspiring medical educators and their advisors often lack clarity about career paths. To provide guidance to faculty pursuing careers as educators, we sought to explore perceived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outstanding medical educators. Using a thematic analysis, investigators at two institutions interviewed 39 full or associate professor physician faculty with prominent roles as medical educators in 2016.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informed the interview guide. Investigators developed the codebook and performed iterative analysis using qualitative methods. Extensive team discussion generated the final themes. Eight themes emerged related to preparation, early successes, mentors, networks, faculty development, balance, work environment, and multiple identities. Preparation led to early successes, which served as "launch points," while mentors, networks,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served as career accelerators to open more opportunities, and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was an additional enabler of this pathway. Educators who reported balance between work and outside interests described boundary setting as well as selectively choosing new opportunities to establish boundaries in mid-career. Participants described multiple professional identities, and clinician and educator identities tended to merge and reinforce each other as careers progressed. This study revealed common themes describing trajectories of success among medical educators. These themes aligned with the SCCT, and typically replayed and spiraled over the course of the educators' careers. These findings resonate with other studies, lending credence to an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that can be shared with junior faculty who are exploring careers in medical education.

Keywords: Career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Identity development; Medical education; Mentorship.

HPE 교육과 실천에서 앎과 함 단절(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The disconnect between knowing and do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ractice

Renate M. Kahlke1,2,3 · Meghan M. McConnell4 · Katherine M. Wisener5 · Kevin W. Eva6





도입

Introduction


보건직 교육은 일반적으로 일단 자료가 학습하면, 학습자와 실무자들이 실무에서 행동할 때 그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러나 의료 환경은 복잡성으로 가득 차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는 전문의가 환자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것에 대한 지식과 신념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전문직 종사자들이 배운 것에 기초하여 그들의 관행을 바꾸는 사례들이 인상적으로 많지만, 지식이 항상 행동으로 옮겨지는 것은 아니라는 상당한 증거도 있다(Ginsburg et al. 2014; Grimshaw et al. 2002; Kennedy et al.). 2004; Légaré et al. 2015; May et al. 2009; Mazmanian 외 1998). 예를 들어, 항생제 과다처방과 관련된 정책 입안자 등은 증상의 원인이 바이러스일 가능성이 높고 항생제가 해로울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의사가 항생제를 처방하는 빈도(Fleming-Dutra et al. 2016)에 대해 오랫동안 우려해 왔다. 항생제 처방 시기 및 과다 처방 시 유해한 효과에 대한 전문가 지식을 높이기 위한 캠페인만 실시되었다(Meeker et al. 2014).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generally takes for granted that, once material is learned, learners and practitioners will make decisions based on their knowledge when acting in practice. However, healthcare environments are laden with complexity, and in some circumstances it can be difficult for professionals to act in way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ir knowledge and beliefs about what is in the best interests of their patients. While there are an impressive number of instances in which professionals do alter their practice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there is also considerable evidence that knowledge does not always translate into action (Ginsburg et al. 2014; Grimshaw et al. 2002; Kennedy et al. 2004; Légaré et al. 2015; May et al. 2009; Mazmanian et al. 1998). For example, policy makers and others concerned with antibiotic over-prescribing have long been concerned about the frequency with which physicians prescribe antibiotics (Fleming-Dutra et al. 2016) even when they know the cause of symptoms is likely viral and that antibiotics can only do harm. Campaigns solely intended to increase professionals’ knowledge about when to prescribe antibiotics and the detrimental effects of over-prescribing have had limited effect (Meeker et al. 2014).


이 기사는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증거를 알고 있고 대부분 가이드라인에 동의하지만, 그러한 사실들이 예상할 수 있는 만큼 준수compliance 수준이 높지 않은 상황을 다루고 있다.

This article addresses situations like these, in which it appears that most professionals are aware of the evidence and most agree with the guidelines, yet compliance is not as high as those facts would lead one to expect.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그러한 "gap"의 의미는 건강 전문 교육의 핵심이다;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데는 성공하지만, 그 지식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학습자가 행동하도록 지원하는support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 교육은 거의 쓸모가 없다.

The implications of such “gaps” between knowing and acting are core to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education that is successful in imparting knowledge and skills, but not in supporting learners to act in a way that is congruent with that knowledge is of little use.


"지식 대 행동 격차"를 조사하는 많은 증거들은 지식 구현에 대한 구조적 장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Kennedy et al. 2004). 항생제 처방 사례에서 대화 중 상당 부분은 항생제를 찾는 환자를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거나 원하는 항생제를 받지 못할 경우 환자가 관행을 이탈할 염려와 같은 구조적 장벽에 초점을 맞추었다(Rodrigues et al. 2013). 그러나 구조적 장벽이 유일한 이유는 아닐 것이다. 만약 그러한 장벽이 있다면, 같은 맥락에서 다른 전문가가 행동을 취하는 동안, 왜 다른 전문가는 행동하지 못 하는지를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전문직 종사자들이 지식과 신념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행동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 및 사회적 과정이 존재해야 한다(Cabana et al. 1999; Légaré et al. 2006; Martin and Mazmanian 1991; Redelmeier and Shafir 2015).

Much of the evidence that examines the “knowledge-to-action gap” focuses on structural barriers to implementing knowledge (Kennedy et al. 2004). In the antibiotic prescribing example, a good part of the conversation has centered on structural barriers, such as the lack of time available to effectively counsel patients seeking antibiotics or a fear of patients leaving the practice if they do not receive antibiotics they desire (Rodrigues et al. 2013). Such structural barriers are, however, unlikely to be the only forces at play; if they were, it would be difficult to explain why one professional might fail to act, while another, in the same context, takes action. Thus, there must be other, less easily identified, cognitive and social processes that impact the likelihood that professionals will be willing and able to act in ways that are congruent with their knowledge and beliefs (Cabana et al. 1999; Légaré et al. 2006; Martin and Mazmanian 1991; Redelmeier and Shafir 2015).


여기서 실행과학implementation science 분야는 어느 정도 방향을 제시한다. 이 분야의 학자들은 [모범 사례 구현]의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행동 변화 이론을 제기하려고 노력해왔다.

Here, the field of implementation science offers some direction. Scholars in this field have long sought to bring theories of behavior change to bear on problems of best-practice implementation.


감각화 도구sensitizing tools는 특정 순간에 지식의 구현(또는 그 결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범위한 이론 영역의 메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워크의 옹호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연구자들은 종종 특정 실무 문제에 대한 각 이론의 경계와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수십 년을 소비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러한 광범위한 "메뉴"의 한계는 여기까지일 수 밖에 없다(Francis et al. 2012).

Sensitizing tools offer a menu of broad theoretical domains that might influence implementation of one’s knowledge (or lack thereof) at a given moment. However, as advocates of these frameworks have noted, such broad “menus” can only go so far, given that researchers often spend decades untangling the boundaries and relevance of each theory to particular practice problems (Francis et al. 2012).


방법

Methods


이러한 현상을 알릴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다양한 분야의 여러 문헌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통합적 초점은 비판적 검토 방법론을 특히 가치 있게 만든다. 비판적 리뷰에서, 저자들은 어떤 하나의 관점에 대한 포괄적인 리뷰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지 않고, 오히려 복수의 문헌의 샘플링, 각 영역의 관련 핵심 이슈에 대한 비판적 분석, 관심 현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Grant and Boots 2009; Eva 2008). 이와 같이, 우리는 이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다른 분야의 기존 프레임워크와 이론적 관점을 찾기 위해 여러 문헌을 반복적으로 자문했다(2016년 쿡) 우리가 다루려고 했던 특정 문제에 대해 가장 관련성이 높은 이론과 발견사항에 대한 정보에 입각한 의사결정을 목표로 한다.

We sought to integrate multiple literatures from diverse fields that have potential to inform this phenomenon. This integrative focus makes critical review methodology particularly valuable. In critical reviews, authors do not claim to offer a comprehensive review of any one perspective; rather, they offer a sampling of multiple literatures, a critical analysis of relevant core issues in each area, and insight into the mechanisms that might impact the phenomenon of interest (Grant and Booth 2009; Eva 2008). As such, we iteratively consulted multiple literatures in an effort to find existing framework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from other fields that might address this issue (Cook 2016) with the goal of making informed decisions about the most relevant theories and findings for the particular problem we sought to address.


비판적 리뷰의 재귀적 성격을 통해 연구자들은 문제 공간을 지속적으로 다듬는 한편, 문헌으로 돌아와 새로운 이론 영역을 탐색할 수 있다(Cook 2016; Grant and Boots 2009). 이와 같이, 첫 번째 저자는 임상의사와의 상담, 다양한 이론적, 방법론적 관점을 가진 보건직 교육 연구자들과의 상담, 그리고 동시에 문제를 다듬고 문헌으로 돌아가는 반복적인 순환을 했다.

The recursive nature of critical reviews allows researchers to continuously refine the problem space, while returning to the literature to explore new theoretical territories (Cook 2016; Grant and Booth 2009). As such, the first author engaged in an iterative cycle that involved: consulting with clinicians, consulting with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ers with divers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and concurrently refining the problem and returning to the literature


예를 들어, 의료 교육에서 학습자가 자신이 배운 정보를 기억하는 조건(Kullier et al. 2008; Norcini et al. 2011)에 유의미한 주의를 기울였지만, 그러한 정보는 제외되었다. 그것은 분명히 배움의 기본이지만, 그 지식이 결코 행동으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기억은 거의 쓸모가 없다. 우리도 마찬가지로 학습 전이의 이론은 배제했는데, 우리가 다루려는 문제가 지식이 성공적으로 새로운 맥락으로 옮겨진 순간들에 대한 것이지만, 아직 행동에 관한 한 격차gap가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우리는 전문가들이 특정한 행동을 취해야 하는 것을 알지만, 실제로는 다른 행동을 해야 한다고 믿는 순간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지적, 사회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그들의 잠재적인 기여에 기초한 이론적 관점을 포함시켰다.

For example, although significant attention has been paid in medical education to the conditions under which learners remember the information they have been taught (Kulier et al. 2008; Norcini et al. 2011), such information was excluded. It is obviously fundamental to learning, but memory is of little use if the knowledge is never converted to action. We likewise excluded theories of learning transfer because our problem is specific to moments where knowledge has been successfully transferred to the new context, yet there is still a gap when it comes to action. Instead, we included theoretical perspectives based on their potential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cognitive and social mechanisms that might impact the moments when professionals believe they ought to take one course of action, but instead follow another.



결과

Results


행동의 의도 설정하기

Setting an intention to act


현대의 동기 이론가들은 행동 동기가 관련 행동에 대하여 다음 네 가지가 어떻게 교차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 개인의 인식 능력("내가 할 수 있을까?")

  • 개인의 자율성("결과에 대한 통제권을 내가 가지고 있는가?"), 

  • 결과적 보상의 예상 가치("가치 있는가?"), 

  • 개인과 그들의 사회적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의 성격 ("그 맥락이 나를 행동가능하게enable 하는가?") (Cook and Artino 2016). 

Contemporary motivational theorists argue that motivation to act is dependent on how the associated behavior intersects with an 

  • individual’s perceived competence (“Can I do it?”), 

  • their sense of autonomy (“Do I have control over the outcome?”), 

  • the anticipated value of the resulting reward (“Is it worth it?”), and 

  • the natur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ir social context (“Does the context enable me to act?”) (Cook and Artino 2016). 


전문가와 학습자는 [직무에 대해 역량이 있고, 결과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며, 직무와 관련된 가치 있는 인센티브가 있고, 사회적 맥락에서 그들의 의도를 뒷받침할 때] 행동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Deci et al. 1999).

Professionals and learners are most likely to act when they feel competent in performing a task, they assume ownership for the outcome, there is a valued incentive related to the task, and the social context supports their intention (Deci et al. 1999).


네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지 않을 때, 사람들은 여전히 행동에 대한 의욕을 가질 수 있지만, 그들이 그 일에 접근하는 질과 헌신은 후속 작업에 불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부여는 이분법적binary이지 않다. 개인을 "동기화" 또는 "동기화되지 않음"으로 깔끔하게 분류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 대신, 동기부여력은 개인이 그 일을 맡을 때 자신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자율성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 자율적인 형태의 동기 부여는 일반적으로 처벌 위협이나 보상의 약속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더 많이 추진된다. 

  • 보다 자율적인 형태의 동기부여는 개인의 가치체계와 통합된다(예: 이것이 좋은 의사가 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행동할 의욕이 생긴다). 자율적인 형태의 동기부여는 활동이 더 큰 질과 헌신을 가지고 수행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Gillet et al. 2010; Ryan and Deci 2000).

When all four conditions are not met, people may still be motivated to act, but the quality and commitment with which they approach the task can be insufficient for follow-through. However, motivation is not binary—individuals can rarely be neatly classified as “motivated” or “not motivated.” Instead, motivational forces vary in the degree of autonomy the individual perceives him/herself to have in taking up the task. 

  • Less autonomous forms of motivation are generally driven more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threat of punishment or promise of reward. 

  • More autonomous forms of motivation are integrated with an individual’s value system (e.g. I am motivated to act because this is what it means to be a good physician); autonomous forms of motivation are seen as more desirable because activities tend to be undertaken with greater quality and commitment (Gillet et al. 2010; Ryan and Deci 2000). 


개인의 동기부여가 얼마나 자율적인지의 정도는 전문가가 다른 사람이 아닌 어떤 경우에는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가에게 [지식에 부합하는knowledge-aligned 행동]의 가치가 완전히 내재화되고 가치 체계와 통합되는 경우(높은 자율성), [외부에서 부과하는 행위(낮은 자율성)]로 보는 경우보다 더 큰 지속력을 보일 것으로 예측한다(Ryan and Deci 2017).

The degree to which an individual’s motivation is autonomous may help to explain why professionals act on knowledge in some cases and not others. In cases where the value of the knowledge-aligned behavior is fully internalized and integrated with their value system (high autonomy), the model predicts that professionals will show greater perseverance than they would for actions that they see as externally imposed (low autonomy) (Ryan and Deci 2017).


항생제 처방의 경우에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면, 개입이 [자율성과 역량의 감정]을 촉진한다면 자율적인 동기부여를 강화하는데 더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준수성을 높이기 위해 의무 처방 지침을 따르도록 임상의에게 강요하는 것은 통제 또는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신호로 인식될 수 있으며, 이는 바이러스성 증상에 대한 처방을 줄이려는 동기를 실제로 낮출 수 있다. 또는 [전문가 자신의 가치를 자극]하고 [자율의식을 고취함]으로써 처방을 감소시키는 접근방식은 해당 과제task의 내면화를 촉진하고 불필요한 처방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원칙에 기초하여, 가이드라인은 엄격한 규칙을 정의하거나 감시를 통해 규칙을 집행하기 보다는, 의사들이 미묘하고nuanced 독립적인 임상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때 자율적인 동기 부여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Applying these principles to the case of antibiotic prescribing, interventions are likely to be more successful in enhancing autonomous motivation if they promote feelings of autonomy and competence. Trying to force clinicians to comply with mandatory prescribing guidelines in an attempt to increase adherence may be perceived as controlling or as a signal that their competence is not sufficient, which may actually lower their motivation to reduce prescribing for symptoms that are likely viral. Alternatively, approaches that encourage reduced prescribing by tapping into the professional’s own values and promoting a sense of autonomy would likely facilitate internalization of the task and decrease unnecessary prescribing. Based on these principles, guidelines are likely to enhance autonomous motivation when they support physicians in making nuanced, independent clinical decisions, rather than defining rigid rules or enforcing rules through surveillance.


[강한 의도strong intention]를 갖도록 만든다면 어려운 조건에서도 전문직 종사자들이 지식과 신념에 따라 행동하도록 오래동안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러한 의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혹은 왜 그렇지 않은지를) 고려하기 위해, 문헌은 우리에게 개개인의 행동을 일반적으로 단념시키는 다양한 인지적, 감정적, 사회적 장벽을 검토하도록 이끌었다.

Setting a strong intention can go a long way toward supporting professionals to act on their knowledge and beliefs, even under conditions where this is difficult. However, professionals must also maintain that intention over time. To consider how this is done (or why it is not), the literature led us to examine variou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barriers that commonly deter individuals from acting.



인지적, 감정적, 사회적 행동 장벽 극복

Overcoming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barriers to action


인지적 자율규제 프로세스

Cognitive self‑regulatory processes


일단 의도가 정해지면, 전문가들은 그것이 행동으로 전환되기 위해 그 의도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상황이 변화하여 개인이 그 의도를 갖도록 이끌고 간 동기적 힘이 덜 의미 있게 될 수도 있고, 새로운 기회 또는 다른 선택지distractor가 나타나서 가장 강력한 의도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시작할 수도 있다(Ecles and Wigfield 2002). 

Once an intention is set, professionals must maintain that intention over time for it to be converted into action. However, context changes such that motivational forces that drove the individual to set an intention can become less meaningful as emerging opportunities and distractors begin to waylay even the strongest intentions (Eccles and Wigfield 2002).


예를 들어, 학업적으로 동기가 부여된 의대생은 자신이 특히 어렵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읽도록 학습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단지 그때 그녀가 최근에 이수한 일렉티브와 특별히 관련이 있는 새로운 연구 논문을 우연히 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녀는 더 즉각적인 만족을 가져다 주는 특별한 관심의 주제에 대해 더 많이 읽어야 한다는 새로운, 더 매력적인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본래의 의도를 유지하고 있는가?

As an example, an academically motivated medical student might set a study goal to read about a topic that she finds particularly difficult only to then stumble upon a new research paper of particular relevance to an elective she recently completed—does she maintain her original intention or abandon it to pursue the emergent, more attractive goal of reading further on a topic of special interest that brings more immediate gratification? 


[의도의 유지]에 대해서는 장애물이나 방해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업무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의지력 또는 "의지의 힘"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Corno 1993). 그 개념은 원래의 동기 및 의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지되는지 여부를 설명함으로써 동기 부여에 관한 문헌에 기초한다. 인지적 관점에서 자기조절은 목표 설정(목표가 암묵적이거나 명시적인 경우), 추구, 달성/폐기의 사이클을 포함한다(Maes and Karoly 2005).

The maintenance of intention is often referred to as volition or the “strength of will” required to pursue a task through sustained effort, in spite of obstacles or distractions (Corno 1993). The concept builds on the literature on motivation by addressing whether or not the original motivations and related intentions are maintained over time.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self-regulation involves cycles of goal setting (where goals are either implicit or explicit), pursuit, and attainment/disengagement (Maes and Karoly 2005).


자율조절이론은 종종 자기통제를 [제한된 자원]으로 본다; 개인이 주어진 상황에서 자기 통제를 행함에 따라, 그들은 그 자원을 고갈시킨다(Vohs et al. 2014). 항생제 처방 사례에서 이는 전문의가 항생제를 요청하는 [여러 환자와 연달아 교류]하거나, [항생제를 끈질기게 요청하는 한 명의 환자와 교류]할 경우, 처방을 제한하려는 본래의 의도에서 끈기 있게 버티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른 이론가들은 자기조절이 복잡하고, 지속적이며, 적응적인 과정으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Kotabe and Hofmann 2015; Nigg 2017). 일단 목표가 설정되면, 달성 여부는 피드백의 가용성과 업무의 복잡성을 포함한 상황적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Maes and Caroly 2005).

Self-regulation theories often treat self-control as a limited resource; as an individual exerts self-control in a given situation, they deplete that resource (Vohs et al. 2014). In the antibiotic prescribing example, this suggests that if a professional interacts with several patients in a row who request antibiotics, or a single patient who persistently requests antibiotics, it may be very difficult to persevere with the original intention to limit prescribing. Other theorists suggest that self-regulation might be better understood as a complex, ongoing, and adaptive process (Kotabe and Hofmann 2015; Nigg 2017). Once a goal is set, attainment can be impacted by contextual variables including the availability of feedback and the complexity of the task (Maes and Karoly 2005).


[맥락적 요인]을 조사하는 것 외에도, 자율 규제에 관한 문헌은 개인의 목표와 의도를 달성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 내부의 요인]을 강조한다. 일례로 쾰의 행동 통제 이론(Kuhl과 Beckmann 1985)은 의도 유지를 위해 필요한 정보 처리 전략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동적 행동 통제는 다른, 더 매력적인 대안이 출현하는 상황에서도 목표를 의식적으로 지속하는 것이다. 

    • 동적 행동 통제는 의식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더 매력적인 옵션이 등장할 때(Corno and Kanfer 1993; Kuhl 1987), 비록 (더 어려운) 본래의 의도가 전반적으로 더 바람직할 때라도 개인들이 자신의 의도를 바꾸도록 이끄는 것이다. 

In addition to examining contextual factors, the literature on self-regulation emphasizes factors internal to the individual that may impact their ability to attain their goals and intentions. As an example, Kuhl’s Action Control Theory (Kuhl and Beckmann 1985) aims to expla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required to maintain an intention. 

    • Active action control is the conscious persistence toward a goal in situations where other, more attractive alternatives emerge. 

    • Passive action control is not consciously applied, and leads individuals to shift their intention when a more attractive option emerges (Corno and Kanfer 1993; Kuhl 1987), even when the more difficult original intention is more desirable overall. 

이러한 변화가 발생하는 이유는 수동적 행동 통제가 개인을 자동적이고 선택적으로 처리하도록 이끌기 때문이다. 이는 [새롭고, 더 즉각적으로 바람직한 옵션(예: 단맛의 달콤한 맛)]과 [원래 의도된 목표(예: 결과로 발생하는 배고픔)]에 내재된 부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Kuhl 1987).

Such shifts can occur because passive action control leads individuals to automatically and selectively process information, focusing on the positives inherent in the new, more immediately desirable, option (e.g., the sweet taste of a sugary treat) and the negatives inherent in the originally intended goal (e.g., the hunger that arises as a result of trying to lose weight) (Kuhl 1987).


이 연구 라인의 이론가들은, 상충하는 욕망이나 우선 순위에 직면하는 순간에 개인을 [수동적 행동 통제]에서 [능동적 행동 통제]로 전환시킴으로써, 자발적인 통제 전략이 효과적인 개입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전략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의집중]이나 [동기 부여적 통제motivational control]가 필요하다. 즉, 개인이 원래의 목표에 집중하고 가치를 두도록 촉진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원래의 의도가 포기될 경우 어떤 결과가 일어날지 생각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항체 내성균의 증가나 지속적인 체중 관련 건강 문제 등). 또는 목표가 달성될 경우 긍정적인 결과를 생각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Kuhl 1987). 또 다른 전략에는 목표를 달성하고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행동을 다루는 명시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포함된다(Gollwitzer 1993; Kuhl and Beckmann 1985; Maes and Karoly 2005).

Theorists from this line of research suggest that volitional control strategies can offer effective interventions by shifting individuals from passive to active action control, particularly at moments when the individual is faced with a competing desire or priority. Some such strategies involve attention or motivational control—prompting the individual to focus on and value the original goal. They might, for example, be prompted to think about what consequences will happen if the original intention is abandoned (such as the rise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or continued weight-related health issues) or to think about the positive outcomes if the goal is attained (Kuhl 1987). Another strategy involves creating an explicit plan to address the actions that are critical to attaining a goal and overcoming obstacles (Gollwitzer 1993; Kuhl and Beckmann 1985; Maes and Karoly 2005).


예를 들어, 항생제 처방에 대한 압력을 다루기 위해, 전문가들은 처방의 확실성을 결정하는 임계선, 동료들과 상의하기 위한 메커니즘, 그리고 항생제 원하는 듯 보이는 환자와 항생제에 대해 논의하는 접근법에 대해 명확한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즉, 가이드라인이나 교육 개입을 '처방'할 때, [전문적인 자율성]과 [발생할 수 있는 장애물에 대한 계획]을 함께 촉진한다면 더 성공적일 가능성이 높다.

For example, to deal with pressures toward antibiotic prescribing, professionals would likely benefit from creating a clear plan regarding what they consider to be the threshold for certainty in prescribing, mechanisms for consulting with colleagues, and approaches to discussing antibiotics with patients they perceive as antibiotic-seeking. In other words, prescribing guidelin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likely to be more successful if they both promote professional autonomy and planning for obstacles that might be encountered.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세스

Affective self‑regulatory processes


우선 순위가 서로 상충하는 고부담 또는 개인적으로 중요한 상황에서, 우선 순위 사이의 긴장이 어떻게 해결되는지에 있어 무드와 감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조건 하에서 어떻게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전문가들이 그들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과 일치하도록 지원하는 개입을 구축하는 방법을 푸는 데 매우 중요할 것 같다.

In high stakes or personally important circumstances where there are competing priorities, mood and emotion play a key role in how tensions between priorities are resolved. As a result, understanding this influence is likely to be critical to unpacking how decisions are made under these conditions and how to build interventions that support professionals to act in congruence with what they believe is best.


감정에 대한 연구는 [부정적인 감정 상태가 더 고의적이고 체계적인 정보 처리와 관련]이 있는 반면, [긍정적인 상태는 더 관계적이고 유연한 처리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블랑슈테와 리차드 2010; 브람스펠트와 가스퍼 2008; 마틴과 클로어 2013; McConnell and Shore 2011; Vanlessen et al. 2016) 거의 20년 전 엘스바흐와 바(1999)는 개인의 구조화된 의사결정 프로토콜에 대한 집착에 대한 기분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했다. (긍정적인 분위기의 개인에 비해) 부정적인 기분에 있는 사람들은 프로토콜의 모든 단계를 올바른 순서로 신중하게 실행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Elsbach and Barr 1999). 그 이후로, 다양한 연구는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는 개인들이 긍정적인 상태에 있는 개인들보다 특정한 순차적 단계를 고수해야 하는 지식에 더 많이 행동할 가능성이 있다는 제안을 지지했다(de Vries et al. 2012; Pham 2007).

Research on emotion suggests that negative affective states are associated with more deliberate, systematic processing of information, while positive states are associated with more relational, flexible processing (Blanchette and Richards 2010; Bramesfeld and Gasper 2008; Martin and Clore 2013; McConnell and Shore 2011; Vanlessen et al. 2016). Nearly 20 years ago, Elsbach and Barr (1999) conducted an experimen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od on individuals’ adherence to structured decision protocols. Relative to individuals in positive moods, those in negative moods were more likely to carefully execute all the steps of a protocol in the correct order (Elsbach and Barr 1999). Since then, a variety of research has supported the suggestion that individuals in negative affective states are more likely to act on knowledge that requires adherence to specific, sequential steps than those in positive states (de Vries et al. 2012; Pham 2007).


예를 들어, 의사가 바이러스 질환에 대해 가장 흔히 (항생제를) 처방한다면, 부정적인 감정상태에서 의사들은 구조화된 루틴에 따라 처방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만약 그들이 일반적으로 처방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 길을 따른다면, 그들은 부정적인 기분 상태에 있을 때 이러한 구조화된 일과를 따를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지만, [부정적인 감정상태가 리스크에 대한 내성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연구도 고려해야 한다(블랑슈테와 리차드 2010). 즉, 불안은 마치 위협이 있다고 생각하게 하여, 의사들을 애매한 단서까지도 해결하게끔 유도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위험 내성을 낮추고 (항생제) 처방이 정상적인 루틴이 아닐지라도 항생제를 처방하려는 경향을 더 높게 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physician most commonly prescribes for viral conditions, then negative emotions may make it more likely that they would pursue that structured routine over others. If they commonly follow a pathway that does not end in prescribing, they may be more likely to follow these structured routines when in a negative mood state, but such tendencies must als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research that suggests that negative affect can lower risk tolerance (Blanchette and Richards 2010). That is, anxiety tends to lead individuals toward resolving ambiguous cues by assuming threat, which lowers risk tolerance and might make the tendency to prescribe more likely even if prescribing is not one’s normal routine.


반대로, 긍정적인 감정은 더 큰 [관계적 처리(즉, 현재 문제의 측면을 알려진 것과 관련)], 창의적인 문제 해결, 정보에 대한 개방성과 관련이 있다(Bolte 및 Goschke 2010; Clore and Huntsinger 2007; Davis 2009). 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상태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대안적 사고와 행동을 위한 기회]를 더 많이 탐구할 가능성이 있다(예: 볼트 외 2003; 드레즈바흐와 고슈케 2004). 상충하는 가치가 있을 때, 하나가 다른 하나를 반드시 "눌러버리는" 것으로 끝난다고 보기보다([처방을 거부하고 지침을 준수하는 것] vs [환자의 기대에 부합하는 것]),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는 전문가는 환자가 항생제를 요구하는 이유를 이끌어내고 그러한 문제에 대한 환자와의 문제 해결을 유도할 가능성이 더 높다. 그들은 처방 지연, 추가 조사 또는 증상 관리 계획을 협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긍정적인 감정 상태에 있는 전문가는, 어떤 경우에는, 여러 가지 상반되는 동기 부여 동기를 만족시키는 방법을 찾는데 더 창의적일 수 있다.

In contrast, positive affect is associated with greater relational processing (i.e. relating aspects of a current problem to what is know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openness to information (Bolte and Goschke 2010; Clore and Huntsinger 2007; Davis 2009). Research has shown that individuals in positive states are more likely to explore new ideas and opportunities for alternative thoughts and actions (e.g. Bolte et al. 2003; Dreisbach and Goschke 2004). Rather than seeing the values conflict as necessarily ending in one value “winning out” over another (prescribing to comply with patient expectations versus refusing the prescription and complying with guidelines), a professional in a positive emotional state might be more likely to elicit the reasons that the patient is requesting antibiotics and to problem-solve with the patient around those issues. They may negotiate delayed prescribing, further investigations, or a plan for symptom management. In other words, a professional in a positive emotional state may, in some cases, be more creative in finding ways to satisfy multiple conflicting motivational drivers.


부정적인 감정 상태가 그 순간 프로페셔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프로토콜에 더 엄격하게 집착하게 할 수도 있지만, 미래에 부정적인 감정을 기대하는 것 또한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시 만족이 기대되는 유혹을 추구하는 경향 외에도, 사람들은 이전의 경험에 근거하여 부정적인 감정을 만들어내기 쉬운 상황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 "자기 보호"는 [예측 가능한 감정 상태]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주어진 순간에 [실제로 어떻게 느낄 것인가]와 무관하게 [개인이 어떻게 느낄 것으로 생각하는가]를 의미한다. 예상되는 부정적인 감정을 피하는 것은 학습자와 전문가가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하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hile negative emotional states can influence professionals’ behavior in the moment, and might cause them to adhere more rigidly to protocols, anticipation of negative emotion in the future can also impact behavior. In addition to a tendency to pursue temptations that are anticipated to be immediately satisfying, people tend to avoid situations that, based on previous experiences, are likely to produce negative emotions. This “self-protection,” involves anticipatory emotional states—that is, how individuals think they will feel, as opposed to how they will actually feel at a given moment. Avoidance of anticipated negative emotions may influence whether or not learners and professionals act on knowledge. 


예를 들어, 전문가들은 좌절감이나 불안감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진료행위의 변화를 피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Baumeister et al. 2007). 항생제 처방 예시에서, 전문가들은 [항생제를 찾는 것으로 보이는 환자와의 어려운 대화를 하는 것을 피하고 싶어]할 수 있으며, 환자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항생제 처방을 기본으로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professionals are likely to avoid making practice changes that are expected to generate feelings of frustration or anxiety (Baumeister et al. 2007). In the antibiotic prescribing example, professionals might avoid having difficult conversations with patients they perceive as antibiotic seeking and, in order to avoid conflict, default toward prescribing.


여러 연구에서 의료 제공자가 환자를 관리하는 방식에 [두려움]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했다(Coudeyre et al. 2006; Rodrigues et al. 2013).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fear influences how healthcare providers manage patients (Coudeyre et al. 2006; Rodrigues et al. 2013).


다시 말해, 의사들이 때때로 in situ decision을 내리는 것은, (비록 그러한 결정이 자신이 최선의 결정이라고 믿는 것과 다르더라도) 그러한 사건들이 부정적인 감정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은 미래 예상 사건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In other words, physicians sometimes make in situ decisions because of fear of an anticipated future event when those events are likely associated with negative emotion, even though those decisions are incongruent with what they believe to be the best decision in that situation.


다행히도, 개인이 자신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게 되면 기분과 감정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 연구는 일단 개인이 감정의 잠재적인 영향을 인식하게 되면, 그들은 그러한 감정들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고 감정이 그들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Gasper와 Clore 2002). 결과적으로, 의사들이 그들의 감정 상태를 유념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은 지식과 행동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Fortunately,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the influence of moods and emotions on performance can be modulated effectively once individuals are made aware of their emotional state. Research has shown that once individuals are made aware of the potential effects of emotion, they are able to self-regulate those emotions and limit the extent to which emotion influences their performance (Gasper and Clore 2002). Consequently, training physicians to be mindful of their emotional states may help facilitate the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사회적, 문화적 규범

Social and cultural norms


어떤 사람이 [자신이 가진 지식에 따르면 사회나 문화적 규범에 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믿을 때] 발생하는 더 큰 종류의 문제 중 하나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할 수 있다는 우려]이다. 사람은 보통 대부분의 경우, 그들이 옳다고 믿는 것과 어울리지 않는 행동이더라도, 반-규범적 행동을 피하는 방향으로 사회화된다

Concern about the negative reactions others might have in response to our actions is one form of a larger class of issues that arise when one’s knowledge leads them to believe it is appropriate to act against social or cultural norms. Individuals are socialized to, for the most part, avoid counter-normative behavior, even if it means acting incongruently with what they believe to be right. 


예를 들어, [빠른 환자 턴어라운드 시간]이 표준인 상황에서 학습자가 환자의 필요를 옹호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반면, advocacy-oriented한 맥락에서는 학습자가 환자-옹호 활동을 더 기꺼이 수행할 수 있다. 지식-부합 행동이 규범에 반하는 순간, 사회적 규범은 행동에 대한 중요한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사회문화 이론은 개인이 사회 규범에 대해 배우는 과정과 그 규범들이 어떻게 행동을 지배하게 되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는 렌즈를 제공한다.

For example, learners might avoid advocating for what they think their patient needs in contexts where quick patient turn-around times are the norm, whereas in contexts that are advocacy-oriented, the learner might be more willing to take on these activities. In moments when knowledge-congruent actions are counter-normative, social norms can form a significant barrier to acting. Sociocultural theories offer a lens to help explain the processes through which individuals learn about social norms, and how those norms come to govern behaviour.


사회문화 이론은 특히 암묵적 학습을 통해 루틴(언어적, 물질적)에 대한 참여가 개인을 사회화하는 데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Kahlke et al. 2018). 학습자들과 전문가들은 끊임없이 사회적 맥락 안에서 그리고 그들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암묵적 학습에 참여한다. 예를 들어, 실천 공동체 이론에 따르면, 개개인은 공동체에서 받아들여지는 언어와 실천을 유창하게 집행할 수 있는 맥락에 사회화된다(Lave and Wenger 1991; Wenger 1998). 이 일상적인 행동enactment을 통해, 실천practice이 평범하고 자연스러워진다; 학습자들은 그 공동체 안에서 합법성legitimacy과 포용inclusion을 증가시킴으로써 공동체의 관습과 가치를 배우고 영속시키는 것에 대해 보상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개인이 주어진 공동체 내에서 합법적인 성원권membership얻게 되면, 개개인은 어떤 행동 때문에 자신이 배제되거나 지위를 잃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집단 규범에 벗어난 행동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Sociocultural theories focus on how participation in routines (both linguistic and material) functions to socialize individuals, particularly through tacit learning (Kahlke et al. 2018). Learners and professionals constantly engage in tacit learning within and about their social context. In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for example, individuals are considered socialized into a context when they can fluently enact the language and practices accepted within that community (Lave and Wenger 1991; Wenger 1998). Through this routine enactment, practices become normal and natural; learners are rewarded for learning and perpetuating the practices and values of a community by gaining increasing legitimacy and inclusion within that community. As a result, when an individual gains legitimate membership within a given community, they tend to avoid actions that are outside of group norms because such action may result in exclusion or loss of status.


항생제 과다처방과 관련하여 근무지 문화는 과처방이 발생하는 주요 이유로 언급되어 왔다(Descheper et al. 2008). 최근의 연구는 의사들이 [항생제 처방을 낮추기로 약속하는 공공 선언문을 게시]하도록 하거나 (Meker et al. 2014) [낮은 항생제 처방을 "최고 의사"로 분류하고, 상대적으로 얼마나 항생제를 처방하는지를 보여주는 비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처방의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입을 조사했다(Meker et al. 2016). 의사들이 그들의 신념에 부합하지만 문화 내에서 역규범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영향을 주기 보다는, 이러한 개입은 문화 자체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맥락에서 작용하는 사회적 규범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려고 했다. 이러한 개입은 처방 행동을 바꾸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With respect to antibiotic overprescribing, workplace culture has been cited as a key reason why over-prescribing occurs (Deschepper et al. 2008). Recent studies examined interventions to influence prescribing culture by having physicians post public statements committing to lowering their prescribing (Meeker et al. 2014) or sending physicians data comparing them to their peers who are categorized as “top performers” in low prescribing (Meeker et al. 2016). Rather than influencing physicians to act in ways that are in alignment with their beliefs but are counter-normative within the culture, these interventions sought to influence physician perceptions of the culture itself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norms operating in their context. These intervention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altering prescribing behaviour.


사람들이 자신의 지식에 따라 행동하는 속도를 높이기를 원한다면, 특정 맥락의 특징이 보편적이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유용하다. 그 결과, [개인들이 자신의 지식에 따라 행동할지 여부나 혹은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할 때], 실행 규범(또는 기본 가치)의 단일 세트single set가 운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사회문화적 이론의 렌즈로 본다면, 규범norm의 이동성mobility과 불안정성instability은 반규범적 행동을 위한 생산적인 기회로 볼 수 있다(Engeström 1987; Fenwick et al. 2011). 개인이 보유한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대체 규범에 의존함으로써 역규범화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촉진될 수 있으며, 따라서 행동을 정당화한다.

It is useful for those wishing to increase the rate at which people act on their knowledge to recognize that the features of any given context are not universal. As a result, there is rarely a single set of practice norms (or underlying values) in operation when individuals are determining whether or how to act on their knowledge. Through the lens of sociocultural theory, mobility and instability in norms can be viewed as a productive opportunity for counter-normative action (Engeström 1987; Fenwick et al. 2011). Enabling individuals to act on the knowledge they possess in a context in which doing so would be counter-normative may be facilitated by drawing on alternative norms, thereby legitimating the behaviour.


예를 들어 긴즈버그 외 연구진(2014년)은 의사들이 왜 "잘못된" 행동을 취할 수 있는지를 합리화하는 경우(즉, 지식이나 신념이 일치하지 않는 행동), 그러한 행동이 다른 방식으로는 "올바른" 것(align)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종종 그렇게 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른 말로 하면, 모든 일련의 행동은 서로 상충하는 규범이나 가치관이 있을 경우, 어떤 규범과는 일치하는 동시에 다른 규범과는 불일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왜 어떤 사람이 그들의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행동하게 되는지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하나의 사회적 맥락 또는 여러 사회 맥락으로부터 도출된) [행위자의 (지식과 다른) 행동과 부합하거나, 그 행동이 우선되는 다른 신념]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For example, Ginsburg et al. (2014) found that when physicians rationalized why they might take actions they consider “wrong” (i.e., actions that are not knowledge or belief-aligned), they often did so because they understood those actions to be “right” in another way (aligned). In other words, any course of action might be simultaneously congruent and incongruent with different, competing norms and values. As such, to understand why one might act in a way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ir beliefs we need to consider whether or not the actor has other beliefs (drawn from within or across social contex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action and are given priority. 


긴즈버그 외 연구진에서는, 환자와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는 것이 "맞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것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면서도 과잉 처방을 시인한 의사들이 그렇게 하는 것을 분명히 했다. 그러므로 사회문화 이론에 따르면,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때는 복잡한 현실 속에서 서로 다른 힘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즉, [지식이 작용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을 할 때는 [(지식이 아니라) 상황에 맞는] 행동을 하게 만드는 명백한 "실패"의 근본 원인을 고려해야만 한다.

In Ginsburg et al.’s study, physicians who admitted to over-prescribing despite knowing that it might be “wrong” articulated doing so because they also believed it was “right” to build or mainta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Thus, sociocultural theory helps one be mindful of the possibility that decision-making takes place in a complex reality in which different forces can act in opposing ways such that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rate at which knowledge is acted upon must take into account the root cause of any apparent “failure” to act in a context-appropriate manner.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탐구가 인지과학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사회문화적 맥락과 그 함의 사이의 그러한 교차점은 의학 교육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다음을 경험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 학습자와 전문가가 어떻게 그러한 사회적 모순을 관리하는지, 

    • 모순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 전문직 종사자들이 그들의 지식과 일치하도록 행동할 수 있는 정도

    • 반-규범적 행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주어진 맥락에서 의사결정의 규범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

Such intersections between sociocultural contexts and their implications have been under-examined in medical education, as exploration of decision-making processes has largely been the domain of cognitive science. However, there is a need to look empirically 

    • at how learners and professionals manage such social contradictions, 

    • at the extent to which raising awareness of such contradictions can enable professionals to act in alignment with their knowledge, and 

    • at the possibility that counter-normative actions might shift decision-making norms in a given context over time. 


[모순에 대한 이론]과 [규범의 변화 이론]은 특정 유형의 행동에 대한 어포던스(및 제약)가 만들어질 때 정체성과 가치가 어떻게 "활성화"되고 협상되는지를 프레이밍하는데 유용하다. 교육학적으로 볼 때 학습자와 전문가가 의도적으로든 의도적이든 의도하지 않게든 어떻게 선택하는지, 어떤 지식을 실천할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While theories of contradiction and change in norms are useful to frame how identity and values are “activated” and negotiated to create affordances (and limitations) for particular kinds of action,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there is a need to examine how learners and professionals select,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what knowledge to implement at any given moment in practice.


고찰

Discussion


분야로서 보건직 교육은 지식이 어떻게 생성되고, 기억되고, 어떻게 응용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HPE는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는 데 내재된 복잡성을 과소평가했을 수도 있다. 학습자와 전문직 종사자들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감각을 가지고 있을 때 조차도 왜 종종 특정한 행동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지 이해하려면 다르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As a fiel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s a rich history of seeking to understand how knowledge is generated, remembered, and applied. It may, however, have under-estimated the complexities inherent in converting knowledge into action. There is a need to think differently if we are to understand why learners and professionals alike often have difficulty executing certain actions, even when they have a clear sense of what they ought to do.


학습자는 반드시 가능한 진단(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자신의 지식을 기꺼이 전달할communicate 수 있어야 하며, 상충하는 우선순위를 극복해야 하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감정적 상호작용이나 사회적 파장을 피하려는 경향을 극복해야 한다. 즉, 전문직 종사자들이 [일상적으로 자신의 지식을 실행에 옮기는 것을 곤란해하는 순간]은 어려운 순간이며, 이 순간에는 수많은 자기 규제와 사회적 기술이 요구된다

Learners must certainly have the knowledge required to generate a probable diagnosis (viral or bacterial infection). They must also, however, be willing and able to communicate their knowledge, and to overcome competing priorities and the tendency to avoid potentially detrimental emotional interactions or social repercussions. In other words, the moments where professionals routinely have trouble putting their knowledge into action are difficult ones, requiring a host of self-regulatory and social skills. 


학습자와 전문직 종사자가 알고 있는 것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의사에게 whole task(지식을 행동과 일치시키는 데 필요한 광범위하고 복잡한 기술)에 대해 가르쳐 지식을 전수한 후에도, [지식의 습득이 당연히 행동에 반영될 것이라고 믿기보다는] 공통적으로 실행을 어려워하는 행동들을 더 많이 식별해야 한다.

To support learners and professionals in acting on what they know, we need to identify more actions that are commonly difficult to implement even after relevant knowledge has been gained and teach to the whole task—the broad and complex skills required for aligning knowledge with behavior—rather than trusting that knowledge gains will be reflected in action.


어떤 개입이 특정 신념에 대한 전문적인 행위를 돕는 데 가장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맥락에 대한 헌신적인 탐구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서 제공된 프레임워크는 그러한 탐구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determining which interventions might be most effective in helping a professional act on a particular belief is likely to require dedicated exploration of the context; the framework provided here has been created to support such explorations.


결론

Conclusions


다양한 문헌에 대한 신중한 탐구를 통해 우리는 지식과 행동의 괴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밝혀냈다. 이러한 관점은 결코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전문가의 행동은 동기부여, 자율규제, 또는 사회문화적 맥락의 렌즈로만 설명될 것 같지 않다. 대신 이런 요소들과 렌즈는 밀접하게 얽혀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공동체 내에서 정당화되지 않은 관행에 관여하는 결정은 감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마찬가지로, 동기 부여는 예상되는 감정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가 행동 과정에서 오는 만족을 예상한다면 동기 부여는 더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 만약 부정적인 감정을 예상한다면 동기 부여는 경쟁 우선순위에 직면하여 더 낮아지고 덜 견딜 가능성이 있다.

Through deliberate exploration of a variety of literatures we have uncovered varied perspectives on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These perspectives are by no means mutually exclusive. Professionals’ behavior is unlikely to be explained solely through the lenses of motivation, self-regulation, or sociocultural context. Instead, these factors and lenses are intimately intertwined. For example, decisions to engage in practices that are not legitimated within a given community are likely to have emotional repercussions. Similarly, motivation is likely to be affected by anticipated emotional states—if a professional anticipates satisfaction resulting from a course of action, motivation is likely to be stronger; if he or she anticipates negative emotion, motivation is likely to be lower and less likely to endure in the face of competing priorities.


이러한 렌즈를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활용함으로써, 프로페셔널이 알고 있는 것을 어떻게 그리고 왜 그들이 하는 것과 연결시키는지(또는 그들의 지식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은 어떤 상황에서 그리고 어떤 교육적인 문제에서 하나의 렌즈가 더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식 구현을 이해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여 연구 및 교육용 렌즈를 지속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문제는 너무 복잡해서 단 하나의 정갈한 이론으로 해결될 수 없을 것 같지만, 다양한 관련 이슈를 분리하기 위해 이곳에서 행해진 노력은 교육자, 연구자 및 전문가들이 지식과 행동의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의미 있는 전체 맥락으로 재조립하는 것을 돕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한다.

Engaging these lenses, either in combination or individually, can offer insight into how and why professionals link what they know to what they do (or fail to act on their knowledge). Researchers and educators may find a single lens more useful in some circumstances and for some educational problems. However, there is likely to be a need to continually adjust research and educational lenses to account for multiple ways of understanding knowledge implementation. The problem is likely too complex to ever be resolved into a single tidy theory, but the effort made here to tease apart a variety of relevant issues offers a start towards helping educators,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reassemble the factors affecting the gap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into a meaningful whole in context.





Review

 

. 2020 Mar;25(1):227-240.
 doi: 10.1007/s10459-019-09886-5. Epub 2019 Mar 23.

The disconnect between knowing and do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practice

Affiliations 

Affiliations

  • 1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774 Echo Drive, Ottawa, ON, K1S 5N8, Canada. rkahlke@royalcollege.ca.
  • 2Department of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rkahlke@royalcollege.ca.
  • 3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rkahlke@royalcollege.ca.
  • 4Department of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 5Faculty Developmen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 6Department of Medicine &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Abstract

Safe and effective healthcare requires that new knowledge or skills, once learned, are incorporated into professional practice. However, this process is not always straightforward. Learning takes place in complex contexts, requiring practitioners to overcome various motivational, systemic, emotional, and social barriers to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This paper explores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individuals translate knowledge into action to provide insight into why disconnects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can arise. As a critical review, the aim was to draw on key literature from multiple fields to analyse and synthesize existing schools of thought and lay a strong conceptual foundation on which knowledge to action gaps might be considered. We iteratively consulted clinicians and experts in various fields to guide literature searches focused on theoretical perspectives that could inform educational and research efforts around knowledge-to-action gaps. Key theoretic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address when and how individuals decide to take action. Literatures from cognitive science address how clinicians and learners self-regulate to (sometimes) overcome barriers to action. Sociocultural theories examine the ways in which action might be prevented by social norms that conflict with what the individual knows and believes, potentially also giving rise to counter-normative action. No single perspective will entirely explain how health professionals and learners implement knowledge in practice. As a result, the authors offer multiple lenses through which to view the problem, and then propose how each of these lenses might better guide educational and research efforts to untangle this challenging but important issue.

Keywords: Affect;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review; Emotion; Motivation; Self-regulation; Sociocultural theory.


교육적 타당도: 다양한 형태의 '좋은' 가르침을 이해하는 핵심(Med Teach, 2019)

Pedagogical validity: The key to understanding different forms of ‘good’ teaching

Daniel D. Pratta , Brett Schreweb and Martin V. Pusicc

aCHES -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b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cNYU School of Medicine, Institute for Innovations in Medical Education, New York, NY, USA



"...한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관점은 [무엇이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어떤 방법이 합법적이며, 무엇이 근거로서 중요하며, 따라서 추구할 가치가 있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어떤 가치와 가정으로 가득 차 있다."(Eisner 1984, 페이지 22)

“…any (teaching) perspective one embraces comes replete with values and assumptions about what is valid and what trustworthy, methods are legitimate, what counts as evidence, and hence helps determine the ends that are worth pursuing.” (Eisner 1984, p. 22)


우리는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을 전달하고, 학생을 참여시키고, 질문을 하고, 학습과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교육학적인 기술 측면에서 좋은 가르침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교수개발은 종종 교육 스킬들로 이루어진 "도구 상자"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이 내포하는 것은 좋은 교육스킬이 있으면 좋은 가르침을 낳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우리는 좋은 가르침에 대한 그러한 관념은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다고 믿는다. 그것은 교육 스킬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그 수단이 지향하는 목적에 대해서만 타당성, 정당성,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We often think of good teaching in terms of pedagogical skills, such as setting learning goals, delivering content, engaging students, asking questions, assessing learning, programs, and providing feedback. Faculty development more often than not, tend to focus on developing a “toolbox” the sum is of pedagogical skills, of which assumed to produce good teaching. We believe such a conception of good teaching is fundamentally flawed. It is flawed not because pedagogical skills are unimportant, but because they can only be deemed valid, trustworthy and legitimate if we know the ends to which they are the means.


교육학적인 기술, 교육적 목적, 그리고 근본적인 가치와 신념의 상호관계는 누군가의 가르침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중요한 "교육적 타당성"을 구성한다.

The interrelationship of pedagogical skills, educational ends, and underlying values and beliefs constitute a “pedagogical validity” that is key to fully understanding someone’s teaching.


지적 타당도

Intellectual validity


가르침은 [진실, 증거, 그리고 특정한 형태의 추론을 다루는] 지적 활동이다. 병원이든 교실이든 지적 타당성은 학자적 또는 전문직의 업무를 특징짓는 지식과 추론이 어떤 형태인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 [지적 타당성에 기반하여 교육을 정당화하는 교사]들은 그들의 전공이나 전문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 중심 문제, 한계점 개념, 해결되지 않은 질문을 식별하고 설명한다. 지적 타당도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육을 하려면, 교육자는 그러한 개념, 문제, 그리고 질문에 적극적으로 학습자들을 참여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일단 핵심 개념을 숙달하고 난 뒤에는 학습자에게 정보를 주는 것이 지적 타당도에서는 그닥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학습자들이 불확실성과 복잡성의 조건하에서 사고와 추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Teaching is an intellectual activity that makes claims to truth, evidence, and particular forms of reasoning. Whether in clinical or classroom settings, intellectual validity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and forms of reasoning that characterize scholarly or professional work. Teachers that justify their teaching by its intellectual validity identify and explain key ideas, central issues, threshold concepts, and unresolved questions in their discipline or specialty. To be effective, teachers must be able to actively engage learners in those concepts, issues, and questions. Once core concepts are mastered, it is not so much a matter of informing learners that describes this pedagogical validity, as it is a matter of helping learners improve their thinking and reasoning under conditions of uncertainty and complexity.


여러 학문과 의학 전공분야에 걸쳐, 이것은 가장 일반적으로 지지되는 형태의 교육적 타당도이다. 교육적 타당도를 지지하는 주장은 학습자-지적 작업-교육내용 간의 근본적인 연결을 형성해야develop 하는 필요성에 기초한다.

Across disciplines and medical specialties, this is the most commonly espoused form of pedagogical validity. The argument in support of it is based up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fundamental conne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intellectual work and/or content in a discipline


교육 내용은 authorized form으로 학습되어야 하며, 평가는 실천에 유효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식과 수행의 위계 중 어디에 학습자가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증거 기반 실천의 윤리 안에서, 많은 의학교육자들은 미래 의사들의 교육에 지적 타당성을 기본적으로 고려한다.

What is taught must be learned in its authorized form, and assessment must be able to locate learners within a hierarchy of knowledge and performance that is presumed valid for practice. Within an ethos of evidence-based practice, many medical educators consider intellectual validity foundational to the training of future practitioners.


관계적 타당도

Relational validity


가르침은 상호의존적인 역할과 책임을 창출하는 관계적 활동이기도 하다. 이러한 교육적 타당성을 강조하는 교사들은 학습이 학습자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근본적인 가정은 교사들이 학습자에게 하는 모든 말은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를 통해 해석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은 설명, 정교함, 평가, 피드백, 지도, 격려, 역할 모델링을 위해 선생님들을 찾는다. 학습자들이 [얼만큼이나 '교사가 학습자의 최선의 이익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믿고 신뢰하는지]에 따라서 [어떻게 그들의 선생님이 말하는 것을 듣고 해석할지]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교사가 (자신의) 불확실성을 (학습자에게) 드러내려는 의지도 교사가 학습자의 관계에 달려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좋은 가르침은 근본적으로 관계적이다.

Teaching is also a relational activity that creates interdepend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Teachers that emphasize this pedagogical validity believe that learning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they have with learners. The underlying assumption is that everything teachers say to learners is interpret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Learners look to their teachers for explanation, elaboration, assessment, feedback, guidance, encouragement, and role modeling.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believe and trust that their teacher has their best interests in mind determines how learners will listen and interpret what their teacher says. Similarly, a teacher’s willingness to display uncertainty is also dependent on the relationship that that teacher has with learners. From this perspective, good teaching is fundamentally relational.


이는 피드백 과정에서 특히 명백하다. 예를 들어 텔리오 외 연구진(2015, 2016)은 "교육 동맹" 즉 신뢰와 존중의 상호 관계가 있는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그러한 신뢰와 존중의 설득력 있고 일관된 표현이 있을 때, 학습자들은 불확실성을 드러내고, 위험을 감수하고, 실수로부터 배우고, 이전의 사고와 믿음에 도전하는 피드백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This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process of feedback. For example, Telio et al. (2015, 2016) describe an “Educational Alliance”, that is,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here there is a mutuality of trust and respect. When there is a convincing and consistent expression of that trust and respect, it is safe for learners to reveal their uncertainty, take risks, learn from their mistakes and receive feedback that challenges prior ways of thinking and believing.


그러므로 상호 신뢰와 존경은 가르치는 데 있어서 관계적 타당성의 핵심이다. 신뢰가 없이는, 타당성도 없고, 존중이 없이는, 타당성도 없다. 상호 신뢰와 존중이 함께 도전적이면서도 지지하기에 편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데, 불확실성 속에서 학습자와 교사를 소리 높여 부르는 것이 안전하다.

Mutual trust and respect are, therefore, at the heart of relational validity in teaching. No trust, no validity; no respect, no validity. Together, mutual trust and respect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is challenging yet and comfortable for supportive, where it is safe wonder to learners and teachers aloud amidst uncertainty.


이러한 교육적 타당성의 형태 안에서, 교사들은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한 사람으로서 그리고 전문가로서 [그들이 누구인지]를 가르친다.

Within this form of pedagogical validity, teachers not only teach what they know; they also teach who they are as a person and as a professional.


도덕적 타당성

Moral validity


가르침은 또한 (윤리적 규칙이나 전문적인 지침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판단, 결정, 행동을 포함하는 도덕적 활동이다. 교실에서, 클리닉과 수술실에서 선생님들은 복잡하고 종종 혼란스러운 상황에 직면한다.

Teaching is also a moral activity involving judgments, decisions, and actions that cannot be arrived at by ethical rules or professional guidelines alone. In classrooms, clinics and operating rooms teachers are confronted with situations that are complex and often confusing,


종종 규칙이나 지침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직접적으로 대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These are often situations for which rules or guidelines cannot directly answer “What should I do?”


상충하는 권리, 강한 신념, 상반된 의견 또는 증거가 있는 복잡한 상황 앞에서 – 의학적 관행에 관한 것이든 – 명백하게 "옳은 것"은 없을 수 있다. 그러한 순간에는 저항을 직면하더라도, 도덕적 헌신과 실천적 지혜(슈워츠와 샤프 2010)가 결정을 내리고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기와 명료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face of complex situations with competing rights, strong beliefs, conflicting opinions or evidence – whether about medical or pedagogical practices – there may be no obvious “right” thing to do. In those moments a sense of moral commitment and practical wisdom (Schwartz and Sharpe 2010) can provide the motivation and clarity to enact and articulate a decision, even in the face of resistance.


여기서, 교육학적 타당성은 [행동과 말 사이의 일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말보다 행동으로 더 많이 가르친다. 교사들이 연민을 가르치기를 원한다면, 그들은 동정심이 있어야 하고, 윤리적으로 책임감 있는 행동을 가르치려면, 그들 자신의 행동에서 윤리적으로 건전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행동에 대한 근거는 관찰자들에게 분명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행동에 대한 근거를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Here, pedagogical validity is about the congruence between actions and words. We teach more by our actions than by our words. If teachers wish to teach compassion, they must be compassionate; if they wish to teach ethically responsible behavior, they must be ethically sound in their own actions – clinical and educational. However, because the rationale for those actions may not be obvious to observers, it also requires that teachers articulate the basis for their actions to their learners.


따라서, 교육의 도덕적 타당성은 일련의 도덕적 또는 윤리적 가치와 신념(내면의 도덕적 나침반)과 관련하여 일관성과 투명성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발되고 교수 목적을 위해 표현될 수 있는 내부적 도덕적 나침반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공감에 관한 것이다. 효과적인 교사들은 그들의 도덕적 가치에 대해 분명하고 일관성 있고 투명해야 하지만, 그들은 또한 공감하고 인내해야 한다. 특히 선생님이 지지하는 가치를 경멸하거나 불평하는 학습자들에게 더더욱 그러해야 한다. 의견 불일치와 토론을 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도덕적 타당성은 학습자에 대한 공감이 없다면, 그리고 도덕적 명확성과 헌신을 요구하는 바로 그 도전에 맞서 지속할 용기가 없다면 의미가 없다.

Moral validity of teaching is, therefore, about consistency and transparency in relation to a set of moral or ethical values and beliefs – an internal moral compass – that is developed over time and which can be articulated for teaching purposes. But it is also about empathy. While effective teachers must be clear, consistent and transparent about their moral values, they must also be empathic and patient, especially with learners that disavow/contest the values espoused by their teacher. Space for disagreement and discussion has to be available. In this sense, moral validity is meaningless without empathy for their learners and the courage to persist in the face of the very challenges that require moral clarity and commitment.


문화적 타당성

Cultural validity


가르침은 또한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이 어떻게 우리의 기준틀과 마음의 습관을 형성하는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타당성의 한 형태다. 쿠퍼 교수가 지적하듯이 대부분의 의학적 훈련은 환자에게 적용되고 교육이 훈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미묘한 점을 무시한다. 쿠퍼 교수는 그 결과 "우리(의학교육)은 그저 문화적으로 매개되지 않은 일련의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진리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을 뿐..."이라는 암묵적인 믿음이 생겼다고 지적한다. (Kuper 2014 p. 1148)

Teaching is also a form of cultural validity based on an awareness of how cultural values and social norms shape our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As Kuper notes, most medical training essentializes “culture” into stereotypes as it applies to patients and ignores the subtleties of how culture influences training, often resulting in a tacit belief that, “… we are merely teaching our students a series of objective, scientific truths that are not culturally mediated…”. (Kuper 2014 p. 1148)


그러나, 국가, 기관, 학문 및 심지어 의학 전문 분야가 "좋은 가르침"이 의미하는 "좋은 가르침"에 대해 특별한 기준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는 곧 "좋은 의사"가 의미하는 것에 대한 레퍼런스 프레임과 교차한다. (Pratt 외, 1998; Pratt와 Nesbit 2000; Pratt와 Collins 2013)

Yet, there is a reason to believe that countries, institutions, disciplines and even medical specialties have particular frames of reference about what “good teaching” means, which, in turn, intersects with frames of reference as to what “good doctoring” means. (Pratt et al. 1998; Pratt and Nesbit 2000; Pratt and Collins 2013)


그러므로, 우리가 교사의 역할을 맡게 되었을 때, 우리가 맡은 역할은 전적으로 우리 자신이 만든 것이 아니며, 우리가 도착하기 전에 이미 만들어져있었던 어떤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개성에 맞게 수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지만, 그것은 무엇보다도 가르치는 것, 배우는 것, 그리고 [전문적 또는 학문적 관행에 대한 특정한 가치와 믿음]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사회적 역할이다.

Thus, when we take on the role of teacher, we step into a role that is not entirely of our own making; it was there before we arrived. We may modify or craft it to our individuality, but it is first and foremost a social role constructed around particular values and beliefs about teaching, learning, and professional or disciplinary practices.


가르침은 본질적으로 어떤 장소, 시간, 전통에 입각한 책임과 기대를 불어넣는 문화적, 사회적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가르침의 문화적 타당성은 진리에 대한 주장, 관계의 본질, 예의, 도덕적 가치들이 문화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 우리가 가르칠 때, 우리는 학습자에게 [특정한 기준과 마음의 습관]을 함양하는 것이다.

By its very nature, teaching is a cultural and social role infused with responsibilities and expectations that are situated in place, time and traditions. The cultural validity of teaching, therefore, recognizes that claims to truth, the nature of relationships, propriety, and moral values are culturally and historically constituted. When we teach, we are enculturating learners into particular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그러나, [문화적 교육학적 타당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frame of reference와 마음의 습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권력과 특권의 차이처럼) 문화적으로 영향을 받는 의료행위 및 실천에 대한 여러 측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모델링할 능력과 의지가 요구된다.

However, cultural pedagogical validity not only requires an awareness of our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but it also requires the ability and will to model critical reflection upon those aspects of medical training and practice that are culturally infused with differences in, for example, power and privilege.


  • 가르칠 때 나는 누구의 세계에 손짓하고 있는가? 

  • 누구의 진실에 대한 주장을 나는 기초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 나와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선생님과 학습자의 적절한 관계는 무엇인가? 

  • 나의 가르침의 적절성을 어떤 기준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는가? 

  • 건강과 질병에 대한 우리의 전문적인 이해는 환자, 간병인, 가족에 대한 이해와 어떻게 다른가? 

  • 권력은 훈련과 연습의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Whose world am I gesturing to when teaching? 

  • Whose claims to truth do I accept as foundational? 

  • What is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for those whose culture is not mine? 

  • By what standards and norms should I judge the propriety of my teaching? 

  • How is our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health and illness different than that of patients, caregivers, and family? 

  • How might power influence aspects of training and practice?


우리는 임상의사가 폄하의 희생물이 되지 않고, 다른 전문분야의 접근방식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겸손함을 가지고 있을 때, 그리고 기초과학자들이 서로 다른 인식론과 지식창조에 대한 접근방식의 비교효용을 인정할 때 문화적 타당성의 영향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We see cultural validity’s influence when clinicians have the humility to recognize differences of another specialty’s approach without falling prey to denigration, and when basic scientists acknowledge the comparative utility of different epistemologies and approaches to knowledge creation.


훌륭한 교사들은 그들의 주장에 대해 신중하고 잠정적이어서, 다음의 것들이 유일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 진실을 주장할 수 있는 방법  

  •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법

  • 학습자들에게 무엇이 옳고, 좋으며 심지어 도움이 되는지를 결정하는 유일한 근거

그렇게 함으로써, 훌륭한 교사들은 자신의 "문화적 지식"과 위치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 과정을 투명하게 만든다.

Good teachers are cautious and tentative about their claims, so as to not assume they are 

  • the only way to claim truth, 

  • the only way to be in relationship with learners, or 

  • the only basis for deciding what is right, good or even helpful for learners. 

In doing so, they also make transparent the process of critical reflection on their “cultural knowledge” and positioning.


통합 - 교육적 정체성

Integration – pedagogical identity


가르침은 그 통합적 성격에 의해 지적 행위, 관계적 행위, 도덕적 행위, 문화적 행위다. 교사들이 발전함에 따라, 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이러한 "행동" 중 하나를 더 강조하고 독특한 교육학적 정체성을 취하게 되는데, 이것은 그들이 가르치는 데 "좋은" 것이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믿는 것에 대하여 내면에 퍼져있는 감각이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교육학적 타당성에 대한 상대적 강조는 [자기가 행하는 교육의 성격을 정의하는 것]이 된다. 그것이 [우리가 교사로서 누구인가], [우리는 훌륭한 가르침이 무엇이라고 믿는가]의 본질이다.

teaching is, by its integrated nature, an intellectual act, a relational act, a moral act, and a cultural act. As teachers develop, they emphasize one of these “acts” more than the others and take on a distinctive pedagogical identity, an internal pervading sense of commitment to what they believe is necessary and appropriate for them to be “good” at teaching. Relative emphasis on one or more forms of pedagogical validity, therefore, becomes a defining character of one’s teaching. It is the essence of who we are as a teacher and what we believe constitutes good teaching.


그러나 좋은 가르침은 [특정한 형태의 교육적 타당성에 대한 헌신] 이상이다. 그것은 또한 필요하다. 

  • 그 순간에 존재하여

  • 다음의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 중요성의 역동적인 패턴을 인지하고 

    • 그들의 뜻을 파악하고

    • 교육적 신분과 일치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다

Good teaching, however, means more than having a commitment to a particular form of pedagogical validity. It also requires 

  • being present in the moment and 

  • having the ability to rise above the moment to 

    • recognize dynamic patterns of significance, 

    • grasp their meaning and 

    • invent ways to respond in accord with one’s pedagogical identity. 


[우리가 무엇을 보고, 어떻게 해석하고, 어떻게 즉흥적으로 행동하는가]는 우리가 그러한 역동적인 순간에 가져다 주는 frame of reference와 마음의 습관에 의해 인도된다.

What we see, how we interpret and improvise is guided by the frames of reference and habits of mind we bring to those dynamic moments.


교사의 교육기술에만 초점을 맞춘 교수진 개발 및/또는 평가는 핵심을 놓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우리가 좋은 가르침을 이해하고 육성하고 싶다면, 우리는 그러한 기술, 즉 그들의 근본적인 교육적 타당성을 형성하고 활성화시키는 더 깊은 헌신에 주목해야 한다.

Faculty development and/or evaluations that focus only on the technical skills of teaching likely miss the point. If we want to understand and foster good teaching, we need to look to the deeper commitments that shape and animate those skills, that is, their underlying pedagogical validity.



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글씨 서윤서윤 아빠아빠 서윤서윤 아빠아빠서윤서윤 아빠아빠 아빠아빠서윤 서윤이는 일찍 일어났어요.


Kuper A. 2014. When I say … cultural knowledge. Med Educ. 48: 1148–1149. XXX


Pratt DD, Smulders D, Associates. 2016. Five perspectives on teaching: mapping a plurality of the good. Malabar, FL: Krieger Publishing.







, 41 (6), 638-640
 

Pedagogical Validity: The Key to Understanding Different Forms of 'Good' Teaching

Affiliations 

Affiliations

  • 1a CHES - Faculty of Medicine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Vancouver , Canada.
  • 2b Department of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Vancouver , Canada.
  • 3c NYU School of Medicine , Institute for Innovations in Medical Education , New York , NY , USA.

Abstract

The interrelationship of pedagogical skills, educational ends, and underlying values and assumptions constitute a teacher's 'pedagogical validity' - who they are as a teacher and why they teach the way they do. If reflection, judgment, and improvement are to be helpful, they must have regard for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what frames a teacher's pedagogical validity. This article briefly describes four kinds of pedagogical validity that teachers draw upon when explaining or justifying their notion of 'good' teaching. Teachers generally have some part of each, but most of us draw upon one or two more than all four as we define ourselves as teachers and make sense of our teaching.


보건전문직교육에 초점을 둔 멘토십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Perspect Med Educ, 201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ealth profession education-focused scholarly mentorship assessment tool

Christina St-Onge1 · Meredith Young2 · Lara Varpio3




문제

Problem


건강 전문가 교육 연구활동(HPES)은 [교육 활동에 종사하는 임상의사 교육자[2]]와 [연구 방법 및 이론에 대한 지식을 가진 박사 HPES 연구 과학자[2]]를 포함하여, 전문가와 공식 훈련을 받은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하는 공동의 노력[1]이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hip (HPES) is a collaborative endeavour [1] involving scholars across areas of expertise and formal training—including clinician educators [2] who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PhD trained HPES research scientists [2] with knowledge of research methods and theories.


학술적 멘토링은 종종 HPES 연구 과학자들의 직무 기술서에 교육 업무량 중 하나로 중요하게 명시되어 있다. (즉, 학술적 멘토링은 종종 교수개발 워크샵, 교실 교육 제공, 직장 기반 교육 제공과 같은 교육 활동과 함께 교직원의 직무기술서에 나와있는 것 중 하나이다.) 이러한 교육활동이 비공식적으로는 교육이지만, 불행하게도, 종종 승진과 종신 재직 위원회에서 학술적 멘토링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scholarly mentorship is often explicitly listed in HPES research scientists’ job descriptions a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ir teaching workload (i. e., scholarly mentorship is often incorporated within the teaching expectations in faculty job descriptions, subsumed along with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offering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classroom instruction, and/or workplace-based teaching) [4]. Unfortunately, while informally recognized as teaching, scholarly mentorship is not often formally recognized as such by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5].


HPES 연구 과학자들에게 요구되는 것과 승진과 종신 재직에 대해 인정되는 것 사이의 차이가 있다면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학술적 멘토링 협력에서 제공되는 교육적 지원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HPES 연구 과학자들은 구조적으로 이 작업에 관여하지 못하게 된다[5].

The gap between what is required of HPES research scientists and what is recognized for promotion and tenure is problematic. Without formal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support offered in these scholarly mentorship collaborations, HPES research scientists are structurally disincentivized from engaging in this work [5].



접근법

Approach


우리는 DeVellis의 [6] 8단계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도구를 개발했으며, Messick의 통합 타당성 이론[7, 8]은 우리의 유효성 접근법을 알려주었다.

We used DeVellis’s [6] 8-step framework to develop the tool, and Messick’s unified theory of validity [7, 8]informed our validation approach.


DeVellis 프레임워크의 1단계는 관심있는 구인을 정의하는 것이다. 우리의 구조는 HPES 연구 과학자들이 연구 협력을 위해 제공하는 학술적 멘토링이다. 세 기관 모두에서 양립가능성을 보장하고 승진 및 종신 재직 위원회가 학문적 멘토링을 가르치는 방법과 일치시키기 위해, 우리는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서 정의한 teaching이라는 용어를 우리의 구조에 라벨을 붙이기 위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정보를 주고, 훈련시키고, 지침을 전달하고, 지식을 전달하고, 길을 보여주고, 지시하는 것". 이 정의는 우리가 목적으로 한 학술적 멘토 활동[5]을 포괄하며, 우리 세 기관에 걸친 HPES 연구 과학자들의 직무 설명과 승진 기준을 포괄한다.

Step 1 of DeVellis’s framework is to define the construct of interest. Our construct is the scholarly mentorship provided by HPES research scientists in research collaborations. To ensure compatibility across all three institutions and alignment with how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label scholarly mentorship as teaching, we chose to use the term teaching as defined by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to label our construct: “to inform, to train, to give instruction to, to impart knowledge, to show by way, to instruct.” This definition encompasses the scholarly mentorship activity of interest to us [5], and maps across job descriptions and promotion criteria for HPES research scientists across our three institutions.


부록 1은 도메인 목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참조를 보여준다.

Appendix 1, shows all the references used to generate the list of domains.


귀납적 분석 접근법[10]을 사용하여, 학계 멘토링에 종사할 때 HPES 연구에서 필요한 기술을 구성하는 여섯 가지 영역을 식별했다.

Using an inductive analysis approach [10], we identified six domains that constitute the skills required of HPES research scholars when engaging in scholarly mentorship:


A. 해당 학술 분야의 전문성

B. 연구 방법론, 방법 및 프로세스에 대한 전문성

C. 실행 가능하고, 잘 조율된 연구 계획의 개발에 대한 숙련도

D. 자원, 동기 부여 및/또는 전문 개발 측면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능력

E. 네트워킹 및 가시성visibility 향상 측면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기능

F. 연구 결과의 보급과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능력.

A. Expertise in scientific or scholarly field;

B. Expertise in research methodologies, methods, and processes;

C. Proficiency in the development of a feasible, coordinated research plan;

D. Ability to offer support in terms of resources, motivation, and/or professional development;

E. Ability to offer support in terms of networking and increasing visibility;

F. Ability to support the dissemination and communication of research findings.


2단계에서, 1단계에서 식별된 도메인이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청사진 역할을 한다. 다음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완료하여 문항 풀을 생성했다.

In Step 2, the domains identified in Step 1 serve as the bluepr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We generated an item pool by completing the following processes in sequential order:


6개 영역의 26개 항목, 8개 배경항목, 9개 만족항목을 총 41개 항목으로 파악했다.

We identified 26 items for the six domains, 8 background items, and 9 satisfaction items, for a total of 41 items.


3단계에서는 평가 도구에 대한 구조를 결정한다. 항목(완전히 이견, 동의, 완전 동의)에 대해 4점 Likert 척도를 작성했으며, 1단계와 2단계(부록 1)에 수록된 조사 사례를 미러링하기 위해 "적용할 수 없음" 보기를 포함했다.

Step 3 calls for the selection of a structure for the assessment tool. We created a 4-point Likert Scale for items (Totally disagree, Disagree, Agree, Totally Agree), and included a not applicable option to mirror survey examples found in Steps 1 and 2 (Appendix 1).


4단계에서는, Messick의 내용 증거 개념화에 맞춰 전문가와 상담하여 평가 도구(v1)에 포함된 항목 풀을 검토하도록 요청했다. 

Aligned with Messick’s conceptualization of evidence of content, we consulted experts and asked them to review the item pool included in the assessment tool (v1) during Step 4. Stakeholders included:


e-메일을 통해 평가 툴(v1)을 공유하고, 각 참가자에게 

  • (1) 각 항목의 명확성, 

  • (2) 항목의 적절성, 

  • (3) 모든 공백 또는 누락 요소, 

  • (4) 잠재적 개선사항 

  • (5) 자신이 상황에 비춰본 도구의 타당성과 수용성

...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도록 요청했다. 각 이해관계자는 독립적으로 협의하였으며, 참가자들 간에 어떠한 결과도 공유되지 않았다.

Via email, we shared the assessment tool (v1) and asked each participant to comment on 

  • (1) the clarity of each item, 

  • (2) the appropriateness of items, 

  • (3) any gaps or missing elements, 

  • (4) potential improvements, and 

  • (5) the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the tool in their setting. 

Each stakeholder was consulted independently, and no results were shared across participants.


응답을 받은 후, 연구원들은 평가 도구에 대한 변경 사항을 논의하고 실행하기 위해 만났다. 5단계가 마무리되었을 때, 평가 툴(v2)은 6개 도메인에 매핑된 25개 항목(도메인 A, B, C의 경우 각각 5개 항목, 도메인 D와 E의 경우 3개 항목, 도메인 F의 경우 4개 항목), 배경 질문 6개, 총 33개 항목에 대한 만족도 질문 2개로 구성되었다.

After replies were received, the researchers met to discuss and implement changes to the assessment tool. By the end of Step 5, the assessment tool (v2) consisted of 25 items mapped to the six domains (5 items each for domains A, B and C; 3 items each for domains D and E, 4 items for domain F), six background questions, and two satisfaction questions for a total of 33 items.


영어 버전은 온라인 전자 보충 자료의 부록 2를 참조하십시오.

See Appendix 2, in the online Electronic Supplementary Material, for the English version.



성과

Outcomes


Messick의 구조 증거 개념화에 맞추어, 6단계에서 53명의 MD 협력자 또는 대학원생을 초대하여 설문을 받아보았다. 목표는 우리 도구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확립하는 것이었다DeVellis는 이 단계를 "development sample을 대상으로 한 설문시행"이라고 불렀으며,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도구의 수용가능성acceptability과 관련된 설문를 완료하도록 요청했다. 익명성을 보호하기 위해, 소속대학이 다른 연구 보조원이 참가자들에게 연락했다.

Aligned with Messick’s conceptualization of evidence of structure, in Step 6 we invited 53 MD collaborators or graduate students to complete the tool. The goal was to be able to establish the psychometric qualities of our tool. During this step, which DeVellis labels as administering the tool to a development sample, we also asked participants to complete a survey regarding the tool’s acceptability. To protect anonymity,a research assistant from a different participating university contacted participants


DeVellis의 7단계(항목 평가)와 8단계(스케일 최적화)를 결합하여 6단계의 피드백을 분석했다. 사회생태학적 항목들은 기술적으로 분석되었다. 고전적 시험 이론[12]의 원리에 따라, 척도의 정신계 특성(항목 난이도 및 차별)과 내부 일관성(크론바흐의 알파)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 분석을 실시했다. 고전적 시험 이론은 점수들의 의도된 서술적 사용intended descriptive use을 반영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12].

We combined DeVellis’s Steps 7 (evaluation of the items) and 8 (scale optimization) in analyzing the feedback offered by participants in Step 6. Sociodemographic items were analyzed descriptively. Relying on principles of Classical Test Theory [12], we conducted an item analysis to asses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of the scale. Classical Test Theory was chosen to inform our analysis because it reflects our intended descriptive use of the scores [12].


다음 단계

Next Steps


우리가 개발한 도구(SHPE(Scholly Teach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평가 도구)는 HPES 연구 과학자들이 제공하는 학문적 멘토에 대한 피드백을 열거, 평가 및 제공하는 증거에 근거한 수단이다.

The tool we developed—the Scholarly Teach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HPE) assessment tool—is an evidence-informed means for enumerating, assessing, and offering feedback on the scholarly mentorship offered by HPES research scientists.


10. Thomas DR. A general inductive approach for analyzing qualitative evaluation data. AmJ Eval. 2006;27:237–46.









 2019 Feb;8(1):43-46. doi: 10.1007/s40037-018-049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ealth profession education-focused scholarly mentorshipassessment tool.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é de Sherbrooke, Sherbrooke, Quebec, Canada. christina.st-onge@usherbrooke.ca.
2
Department of Medicin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3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Abstract

PROBLEM:

PhD-trained researchers work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regularly engage in one-on-one, or one-on-few, scholarlymentorship activities. While this work is often a formal expectation of these scientists' roles, rarely is there formal institutional acknowledgement of this mentorship. In fact, there are few official means through which a research scientist can document the frequency or quality of the scholarly mentorship they provide.

APPROACH:

OUTCOMES: The STHPE assessment tool has appropriat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evidence supporting acceptability. It can be used to document areas of strength and areas for improvement for research scientists engaged in HPE-related scholarly mentorship.

NEXT STEPS:

At present, the STHPE assessment tool is the only formally developed tool for which there is evidence of validity for use by PhD-trained researchers working in HPE to collect feedback on their scholarly mentorship skills. The STPHE has been used in promotion and tenure packages to document effectiveness and quality of scholarly mentorship.

KEYWORDS:

Assessment; Innovation; Scholarly Mentorship

PMID:
 
30632060
 
PMCID:
 
PMC6382618
 
DOI:
 
10.1007/s40037-018-0491-0


의학교육 개선, 그들만의 잔치(KJME, 200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실

이 윤 성




우리 대학에서 새 교육과정을 제시하였을 때에 교수들이 가장 많이 던진 질문은 “현 교육과정에 무엇이 문제인가?”였다. 지금의 교육과정으로 의사와 의학자를 훌륭하게 양성하였는데 “그런 교육과정에어떤 치명적인 결함이 있는가? 있다면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보라.”거나 “그렇게 바꾸면 더 나은 졸업생을 배출한다는 근거가 있느냐?”는 질문도 있었다. 급기야 교육 개선이란 의학교육을 한다는 인사들이 자신의 성과를 과시하기 위하여 만든 일거리라는 비난도 있었다. 이른바 의학교육 전문가들만의 잔치일 뿐이라는 비아냥거림도 들었다.


그렇더라도 이제 의학교육이 바뀌어야 한다는 데에 의문을 가진 교수는 많지 않다. 의학교육은 정말바뀌어야 하는가? 그 답은 의학교육을 둘러싼 여러 분야의 변화에서 찾아야 한다. 

① 환자들이 의사에게 기대하는 바가 달라졌다. 

② 건강보험과 같은 관련 제도가 바뀌어 관리의료 (managed care)로 변환하였다. 

③ 의학 지식이 진화하였다. 

④ 의사가 할수 있는 일과 할 일이 변하였다. 그리고 

⑤ 학생들의 요구가 이전과 같지 않다 (Dent et al., 2001). 


의사가 활동하는 사회가 변하였다면, 그리고 사회가 원하는 의사의 역할이 변하였다면, 의사 양성을 목표로 삼은 의과대학의 교육은 변하여야 한다. 몇 가지만 설명한다.


생명과학은 숨 가쁘게 진화하고 발전하고 있다.교육 내용도 당연히 많아졌다. 그러나 의사 양성 기간은 예나 지금이나 4년이다. 모든 지식을 쏟아 부을 수도 없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 반세기 전만 하더라도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은 교수의 강의가 거의 전부였다. 이제 지식은 정보라 부르고 정보는 너무많다. 의사는 정보를 찾아 가치를 판단하고 적용할수 있어야 한다.


국민에게 의료가 “혜택의 의료”에서 “권리의 의료”로 바뀌었는데도 의사만 의료시혜자로 남을 수없다. 의사는 보건의료의 공급자로서 역할이 강조된다. 다른 용역 제공과 다른 것은 사람의 건강과 생명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과 전문가정신 (professionalism)이 강조된다는 점이다. 세계보건기구는 

  • ① curer가 아닌 care provider, 

  • ② 윤리성과 효율성을고려한 보건의료의 decision maker, 

  • ③ 개인과 집단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교육자로서 communicator,

  • ④지역사회 건강을 위한 community leader, 

  • ⑤ 보건의료 시스템에서 manager

...를 21세기 의사의 역할로써 제시하였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6).


어떻게 변하여야 하는가? 의학교육 전략을 수립하는 원칙으로 이른바 SPICES model이 제시되었다.즉 

  • ① 교수보다는 학생을 중심으로 (Student-centered),

  • ②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문제나 업무를 바탕으로 (Problem-based/Task-based), 

  • ③ 교과목이나 학문보다는 통합하고 전문직간 교육으로 (Integrated and interprofessional), 

  • ④ 병원보다는 지역사회를 바탕으로 (Community-based), 

  • ⑤ 일률적인 교육과정보다는 선택 과정으로 (Elective), 

  • ⑥ 우연한 기회에 맡기기보다는 체계적으로 (Systemic) 

....교육전략을 마련하도록 권유한다 (Harden et al., 1984).그런 까닭에 PBL, OSCE, subintern, CPX, Skill Lab등이 교육과정에 거론되었다.


교수의 교육법은 어떠한가? 자기의 전공에서 남보다 깊은 지식을 많이 지니면 교수의 자질이 충분하다고 인정되던 때도 있었다. 지식이 일부 학자에게 집중되었던 시절이다.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식은 교수가 독점 (?)하던 지식이 아니라 무한히 넓은 정보의 바다에서 찾아야 한다. 교수는 지식도 많아야 하지만 잘 가르쳐야 한다. 오히려 대단한 학자보다는학문은 덜 깊어도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선생이 더 좋은 교수이다. “Teacher must teach to learn. Teacher must learn to teach.” 요컨대 교육에서 가르침 (teaching)보다 배움 (learning)이 더 중요하다. 의학교육 변화는 학생에 맞추어야 한다.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되도록 즐겁게 배워 몸에 지녀야 한다.


교육은 여러 면에서 변하여야 한다. 이런 변화를 주도하는 교수를 의학교육 전문가라 한다면, 의학교육은 의학교육 전문가만의 잔치일 수 없다. “그들만의 잔치”라는 비아냥거림은 무엇 때문일까? 그 해결방법을 모색해 본다.


(1) 변화의 방향과 범위와 속도를 정확하고 바르게 기획하여야 한다. 그러려면 ‘의학교육 전문가’는공부해야 한다. 단편적인 지식이나 용기만으로는 또는 다른 나라, 다른 대학의 변화를 단순히 복사하는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자신감을 가지고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여야 한다.


(2) 결국 교육을 담당하는 인력은 교수들이다. 교수들에게 끊임없이 교육 개선의 필요성이나 범위와 방법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알리고 부추기고 강조하여야 한다. 또 교육에 관한 교수 개발 (faculty development)은 절대로 소홀히 할 수 없다.


(3) 지원 세력이 필요하다. 아무리 일기당천의 실력과 패기가 있더라도 큰 변화에는 반드시 지원이 필요하다. 학장과 의학교육에 뜻을 가진 핵심 교수들의 지원은 필수이고, 나아가 지지 세력과 후원 세력이 필요하다.


(4) 교육 변화는 정당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예를들어 학장이 교육의 변화를 선언하고, 주임교수회나전체교수회에서 범위와 방향과 방법을 합의하도록하고, 여러 단계에 걸쳐 하나씩 결정하는 방법이 정당하다.


(5) 의학교육학회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이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야 한다. 한 대학에 모든 분야의전문가를 확보할 수는 없다. 교육과정, 교육 방법,교육 평가, 교수 개발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한 수준의 전문가가 필요하다. 이런 분야를 연구하고, 전문가를 양성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다가오는 변화를 선도할 것인가, 그냥 따를 것인가, 아니면 무시할것인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변화 자체를 부인하지는 못 한다. 의학교육과 관련된 논의와 활동이 ‘그들만의 잔치’로 끝나지 않으려면, ‘그들만’이 아닌 ‘우리’의 잔치로 바꾸어야 할 ‘그들’의 노력도 적지 않다.





119Perspective of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Y S Lee
Korean J Med Educ. 2006;18(2):119-12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06   
DOI: https://doi.org/10.3946/kjme.2006.18.2.119


멘토십만으로는 부족하다: 대학의학에서 커리어 개발에 대한 스폰서십의 역할(Acad Med, 2019)

Mentorship Is Not Enough: Exploring Sponsorship and Its Role in Career Advancement in Academic Medicine

Manasa S. Ayyala, MD, Kimberly Skarupski, PhD, MPH, Joann N. Bodurtha, MD, MPH, Marlís González-Fernández, MD, PhD, Lisa E. Ishii, MD, MHS, Barbara Fivush, MD, and Rachel B. Levine, MD, MPH



대학의학에서 멘토링은 오래 전부터 커리어 발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직업적 관계의 한 유형으로 여겨져 왔다.1

In academic medicine, mentorship has long been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ype of professional relationship for career development.1


멘토는 멘티에게 조언, 피드백, 코칭 등을 제공하며, 종단적 인간관계를 통해 발전을 촉진한다. 성공적인 멘토링은 멘토와 멘티 모두에게 변혁적이다. 비록 주된 초점은 멘티에게 있다.2

Mentorship fosters development through a longitudinal pers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mentor provides advice, feedback, and coaching to the mentee. Successful mentorship is transformative for both the mentor and mentee, though the primary focus is on the mentee.2


멘토링은 멘티들의 직업 만족도 향상 뿐만 아니라, 멘티들의 개인 발전, 학문적 진로, 연구 생산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5 비효율적인 멘토링은 주니어 교수진의 유지retaining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고, 대학의학에 대한 환멸과 보조금 지원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6 효과적인 멘토링과 학문적 생산성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많은 기관들이 구조화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했다.8–10

Mentorship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entees’ personal development, academic career path, and research productivity,4 in addition to improving their career satisfaction.5 Ineffective mentorship can lead to difficulty in retaining junior faculty, disillusionment with academic medicine, and decreased grant funding.6 Given the link between effective mentorship and academic productivity,7 many institutions have developed structured mentoring programs.8–10


그러나, 특히 여성에 대해서는 멘토만으로는 커리어 발전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소수집단UIM 교수진에서 불충분하게 대표되고 있다.11,12 스폰서십이라는 개념은 대학의학에서 인정을 받고 있다. 

이는 의료계와 비슷하게, 멘토링이 중요하지만 advancement를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비지니스 환경에서 스폰서십의 인기가 높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높은 자리와 여성과 소수민족에서 더 그렇다.

There is increasing awareness, however, that mentorship may not be sufficient for career advancement, particularly for women and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UIM) faculty.11,12 The concept of sponsorship is gaining recognition in academic medicine, in part due to its popularity in the business setting where mentorship is similarly viewed as important but not sufficient to guarantee advancement, specifically to high levels of leadership and for women and minorities.


비즈니스 맥락에서, 스폰서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n the business context, sponsorship is defined as


의사결정 프로세스 또는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누군가의 적극적인 지원. 이 사람은 스폰서하는 대상의 경력 향상을 위해 옹호, 보호, 투쟁한다.

active support by someon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organization who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decision-making processes or structures and who is advocating for, protecting, and fighting for the career advancement of an individual.13


스폰서십을 받으며, 프로테제는 높은 visibility를 얻게 되고, 경력 향상 기회를 얻게 된다.14 학술의학에서 이것은 높은 자리, 상, 인지도를 높힐 기회를 위해 추천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15

With sponsorship, a protégé is put forward by a sponsor for high-visibility, career-advancing opportunities.14 In academic medicine this may include being recommended for a leadership role, an award, or a high-profile speaking opportunity.15



방법

Method


연구설계와 표본

Study design and sample


2016년 존스홉킨스대 의과대학(JHSOM)에서 후원자 및 피후견인 샘플을 대상으로 1대1의 반구조화 인터뷰를 활용한 정성적 연구를 실시했다. 우리는 스폰서를 다른 교직원의 경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영향력이나 권력의 자리에 있는 교직원으로 정의했다.

We performed a qualitative study using one-on-on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a sample of sponsors and protégés at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JHSOM) in 2016. We defined a sponsor as a faculty person in a position of influence and power who would be able to advance the careers of other faculty.


우리는 프로테제를 리더십 잠재력이 높은 교직원이라고 정의했다.

We defined a protégé as a faculty person with high leadership potential.


우리는 이번 연구를 위해 10~15명의 스폰서와 10~15명의 프로테제를 모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스폰서들과 프로테제들은 스폰서-프로테제 페어로 모집하지는 않았다.

We aimed to recruit 10 to 15 sponsors and 10 to 15 protégés to interview for the study. Sponsors and protégés were not recruited as sponsor–protégé pair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우리는 각각 30분에서 40분 동안 일대일, 반체제 인터뷰를 실시했다. 인터뷰 가이드는 연구 저자들 사이의 반복 과정을 이용하여 멘토 1,6,16 및 스폰서십13,17에 관한 기존 문헌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4차례 시범면접(후견인 2명, 프로토인 2명)을 실시해 인터뷰 길이를 측정하고 질문의 명확성을 확보했다. 우리는 이러한 시범 인터뷰에 근거하여 수정하였으며, 최종 인터뷰 가이드는 스폰서 및 프로테지에 대해 약간 달랐다(부록 1).

We conducted one-on-one, semistructured interviews lasting 30 to 40 minutes each. An interview guid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mentorship1,6,16 and sponsorship13,17 using an iterative process among the study authors. We conducted four pilot interviews (two with sponsors and two with protégés) to gauge the length of the interview and to ensure clarity of questions. We revised on the basis of these pilot interviews, and our final interview guides varied slightly for sponsors and protégés (Appendix 1).



자료 분석

Data analysis


모든 기록은 세 명의 연구자(M.S.A., K.S., R.B.L)가 읽었는데, 그들은 "편집 분석 스타일"18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의미 있는 부분을 식별하고 데이터에서 임시 코딩 템플릿으로 초기 범주를 개발했다.

All transcripts were read by three researchers (M.S.A., K.S., R.B.L.), who used an “editing analysis style”18 in which they read the transcripts to identify meaningful segments of text and to develop initial categories from the data into a provisional coding template.


결과

Results



우리는 5가지 주제를 인터뷰로부터 확인했다. 

We identified five themes from the interviews: 


(1) 멘토는 다르다: 스폰서은 간헐적이며, 특정한 기회에 초점을 맞춘다. 

(1) Mentorship is different: Sponsorship is episodic and focused on specific opportunities; 


(2) 효과적인 스폰서는 경력 확립 및 연계성이 뛰어난 인재 스카우터이다. 

(2) Effective sponsors are career-established and well-connected talent scouts; 


(3) 효과적인 프로테제들은 그 일에 착수하여 충성을 유지한다. 

(3) Effective protégés rise to the task and remain loyal; 


(4) 신뢰, 존중 및 평가 위험은 성공적인 스폰서십 관계의 핵심이다. 

(4) Trust, respect, and weighing risks are key to successful sponsorship relationships; and 


(5) 스폰서십은 진로에 중요하다. 

(5) Sponsorship is critical to career advancement. 


We describe each theme below and include representative quotes.


멘토십은 다르다: 스폰서십은 간헐실적이고 특정한 기회에 집중한다.

Mentorship is different: Sponsorship is episodic and focused on specific opportunities


참가자들은 스폰서십을 멘토링과 구별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몇 가지 중요한 중복되는 특징도 언급했다(그림 1). 두 가지 관계는 대학의학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멘토십은 사람의 전체적인 종단적 경력 개발을 다루는 것으로 설명되는 반면, 스폰서십간헐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졌고 진로발전를 위해 프로테제를 포지셔닝하고 종종 제도적인 필요에 맞춰 특정한 높은 visibility획득 기회에 초점을 맞추었다.

Participants described sponsorship as distinct from mentorship, but they also named some key overlapping features (Figure 1). Both relationships were viewed as essential in academic medicine: Mentorship was described as addressing one’s overall longitudinal career development, whereas sponsorship was characterized as episodic and focused on specific high-visibility opportunities that position protégés for career advancement and often meet an institutional need.


오랫동안 유지되온 개인적 관계는 부차적인 것이거나 불필요했었다. 그보다는 재능 있는 사람을 기회와 연결시키는 것이었다.

An ongoing personal relationship was viewed as secondary, or not necessary, to connecting a talented person with an opportunity.


멘토가 길고 지속적인 발전 관계를 가지고 있는 반면, 스폰서는 ... 재능 있는 사람을 위한 기회를 만들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남성 스폰서)

Whereas a mentor has a long, ongoing developmental relationship, a sponsor is … in a position where they can create an opportunity for a talented person. (Male sponsor)


[A] 스폰서는 멘토링보다 더 직책(자리)과 관련이 있으며, 멘토링은 스폰서십에 비해 매우 개인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행정적인 위치에서, 나는 내가 멘토로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스폰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나는 정말로 나와 관계가 없는 사람들의 직업을 발전시킬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남성 스폰서)

[A] sponsor is more position-related [than what] I think of as mentoring, which I think is deeply personal. In an administrative position, I act as sponsor to many more people than I act as mentor to because I’m obligated to advance careers of people that I really have no relationship with. (Male sponsor)


한 스폰서는 그가 전국 회의에서 총회에서 플레너리로 선정된 경험을 설명했다. 그러나 그 기회를 준 스폰서와 현재는 관계가 없었고, 그럼에도 그 기회가 경력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했다고 설명했다.

One sponsor described an experience in which he had been selected to present a plenary at a national meeting. He explained that he did not have an ongoing relationship with the sponsor who put him up for this opportunity, yet the impact on his career was significant.


참가자들은 멘토와 후원 관계가 다양한 커리어 단계에서 어떻게 다른 중요성과 영향을 미쳤는지를 설명했다. 한 경력 동안 여러 명의 후원자가 있는 것이 유용하게 여겨졌다. 

    • 경력 초기에 멘토로부터의 조언과 코칭은 진로를 개척하는데 가장 유용하게 여겨졌다. 

    • 경력 후기에는 스폰서의 지원을 수반하는 경력 개발 기회에 대한 접근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Participants described how mentorship and sponsorship relationships had differing importance and impact at various career stages. Having multiple sponsors throughout one’s career was seen as useful. Early in one’s career, advice and coaching from a mentor were viewed as most useful in forging a career path. Later on, access to career-advancing opportunities accompanied by the backing of a sponsor was viewed as critical.


한 스폰서는, 프로테제가 조직의 사다리의 상층으로 올라가기 시작할 때 어떻게 후원이 필수적이 되는지를 설명하면서, 이 단계쯤 되면 멘토는 권력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One sponsor, explained how sponsorship becomes essential as a protégé begins to move up the organizational ladder, noting that mentors need to be in positions of power and influence to be effective at this stage.


한 프로테는 높은 자리와의 연결고리가 있는 멘토가 스폰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One protégé noted that a mentor who is highly placed and well connected can also be a sponsor.



유능한 후원자는 경력 쌓기와 연계성이 뛰어난 인재 스카우트다.

Effective sponsors are career-established and well-connected talent scouts


효과적인 스폰서는 항상 인재를 찾고 영향력 있는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스폰서는 이미 자리를 잡았어야 하고 유능한 프로테제에게 위협받아서는 안 된다는 데 스폰서와 프로테스 둘 다 동의했다.

An effective sponsor was portrayed as always on the lookout for talent and being part of influential networks (locally and nationally). Both sponsors and protégés agreed that a sponsor should be established and not threatened by a talented protégé.


스폰서는 [프로테제]의 장점을 잘 표현하여 다른 사람에게 추천한다. 그들은 [프로테제]의 기술과 양립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그것을 홍보한다. 그들은 미로를 항해하는 방법을 알아내는 것을 돕는다.

A sponsor … articulates the strengths of the [protégé] and endorses them to others. They look out for opportunities that may be compatible with [the protégé’s] skill set and they promote them. They help [the protégé] figure out how to navigate the maze. (Male sponsor)


마지막으로, 스폰서와 프로테제 둘 다, 스폰서는 프로테제에게 확고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Finally, both sponsors and protégés described the importance of the sponsor providing unequivocal support for a protégé.


효과적인 양성자는 그 일에 능력을 발휘하고, 충성심을 유지한다.

Effective protégés rise to the task and remain loyal


스폰서와 프로테제들은, 좋은 프로테제를 재능 있고, 추진력이 있고, 충성스러운 것으로 특징지었다. 스폰서들은 경력증진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프로테의 능력과 동기 부여에 초점을 맞췄다.

Sponsors and protégés characterized effective protégés as talented, driven, and loyal. Sponsors focused on the protégé’s ability and motivation to make the most of a career-advancing opportunity.


내가 가장 성공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한방이 있다. 독립적인 동기부여 요소가 있어야 한다. 내 생각에 즉각적인 가능성을 뛰어넘는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야. (남성 스폰서)

The individuals who I think are most successful have fire in their belly. There has to be an element of independent drive.… It’s people who have goals that I think go beyond the immediate possibility. (Male sponsor)


프로테제는 스폰서들에게 주목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Protégés need to demonstrate potential to be noticed by sponsors.


앞의 주제에서 언급했듯이, 스폰서는 경력 기회에서 프로테제를 후원할 때, 반드시 완전한 서포트를 해야 한다. 그 대가로, 프로테제의 충성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겨졌다.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theme, a sponsor must provide complete support to a protégé when sponsoring him or her in a career opportunity. In return, loyalty in a protégé was viewed as critical.


스폰서는 부서 및 기관의 필요와 성공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프로테제는 개인적인 성공에 더하여 그 일에 완전히 전념해야 한다.

Because a sponsor has to consider departmental and institutional needs and success, a protégé must be fully committed to the task in addition to his or her personal success.


신뢰, 존중, 그리고 위험 부담이 성공적인 후원 관계의 핵심이다.

Trust, respect, and weighing risks are key to successful sponsorship relationships


참가자들은 성공적인 스폰서 관계는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한다고 언급하였으며, 양 당사자에게 분명한 이익이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특징들은 스폰서가 자신의 명성을 이용하여 프로테제들을 옹호하는 역할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프로테제는 스폰서가 프로테제의 최대 이익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스폰서는 프로테제가 성공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느낄 필요가 있다. 후원자의 신뢰와 평판이 걸려 있기 때문에, 신뢰는 프로테제로 하여금 책임감을 느끼게 했다.

The successful sponsorship relationship was described by participants as based on trust and respect, with clear benefits for both parties. These features can motivate the sponsor to leverage his or her reputation to act as an advocate for the protégé. In addition, the protégé needs to feel that the sponsor has his or her best interests in mind and will offer opportunities in which the protégé can succeed. Trust ensures that the protégé feels accountable, as the sponsor’s credibility and reputation are on the line.


그들은 내가 하려는 일을 이해하고 나의 시간을 존중하며 이것은 매우 특별한 것이라는 것을 존중한다. 상호 존중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남성 스폰서)

There’s a mutual respect, that they [the protégé] understand what I’m trying to do and respect my time and respect that this is something very special. I think that mutual respect is very important. (Male sponsor)


한 프로테제는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는 경력증진 기회를 제공받았던 것을 돌이켜보며, 스폰서-프로테제 관계에 대한 신뢰의 개념을 되풀이했다.

One protégé echoed the concept of trust in the sponsor–protégé relationship when reflecting on being offered a potentially risky career-advancing opportunity.


네가 나에게 큰 일을 부탁하는 것이니 나는 실패하고 싶지 않다. 그래서 스폰서를 신뢰한다고 해서 비참하게 실패하지 않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만약 실제로 실패한다면, 그들은 그 이유를 알아내도록 도움을 줄 것이고,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이다.

This is a big thing that you’re asking me to do and I don’t want to fail. And so trusting this sponsor is not going to put you in a position where you would fail miserably, or if you did fail, they would help to figure out why, so that it doesn’t happen again. (Female protégé)


스폰서와 프로테스 둘 다 스폰서의 잠재적인 단점을 인정했다. 스폰서가 감수하는 위험이란 프로테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실적이 저조할 가능성을 감수하고 지원하는 것이다.

Both sponsors and protégés acknowledged the potential downsides to sponsorship. A risk for sponsors is backing a protégé who does not meet their expectations and performs poorly.


대부분의 프로테제들은 스폰서가 제공하는 기회에 감사를 표했지만, 거절하는 것도 어려운 일임을 인정했다.프로테제가 단순히 스폰서의 수족extension 처럼 여겨질 수 있다는 위험을 언급했다.

Although most protégés expressed appreciation of the opportunities that sponsorship provides, they also recognized the challenge of saying no. In addition, they raised the risk of being viewed only as an extension of their sponsor.


만약 당신이 프로테이고, 당신에게 기회를 주는 스폰서가 있다면, 그들은 당신에게 아마 원래는 스폰서에게 제공되었을 기회를 줄 것이다. 그러나 위험한 것은, 당신이 그 사람의 더 하위호환버전이라고 인식될 것이라는 것이다.

If you’re a protégé, and you have a sponsor who’s giving you opportunities, they’re going to give you opportunities that probably were offered to them. The risk is that you would just be perceived as the younger version of that person. (Male protégé)


참가자들이 공유하는 또 다른 위험은 후원자가 프로테의 잠재력에 관계없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Another risk shared by participants was that the sponsor may not be able to fulfill his or her role regardless of the protégé’s potential.


후원은 진로에 중요하다.

Sponsorship is critical to career advancement


참석자들은 스폰서십이 높은 자리의 리더 역할로 나아가는 데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Participants agreed that sponsorship is critical to advancing to high-level leadership roles.


스폰서들과 프로테제들은 또한 특정 프로테제의 advancement 이상의 혜택을 언급했다. 여기에는 조직의 전반적인 인재를 늘리고 리더십 개발, 리더십 계승 및 전환transition 계획을 촉진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Sponsors and protégés also described benefits of sponsorship beyond the advancement of a particular protégé. These included increasing the overall talent in an organization and facilitating leadership development, leadership succession, and transition planning.


참가자들은 후원과 공로merit라는 개념 사이의 긴장감을 학문적 진보의 토대라고 인정했다. 한 스폰서는 다른 사람들을 홍보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맹점을 인정했다.

Participants acknowledged a tension between the concepts of sponsorship and merit as the foundations of academic advancement. One sponsor acknowledged his own blind spot in promoting others.


덜 반짝이는 사람들, 덜 화려한 사람들은 내가 들판을 가로질러 보고 있는 후원자로서의 역할에서 무시당할 위험이 있다. 나는 나 같은 사람을 찾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리더로서의 어려운 점은 말없이 조용한 사람들의 후원자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남성 스폰서)

I think that the less glittery people, the less showy people, tend to have a risk of being ignored in a sponsorship sort of role where I’m looking across a field and I tend to find one like me.… I think the challenge as a leader is to become a sponsor for the more quiet folks. (Male sponsor)


한 프로테제는 스폰서십을 받는 것이 항상 순전히 실력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One protégé expressed concern that sponsorship does not always stem purely from merit.


성별에 관해서도 누가 후원을 받고 누가 후원을 받느냐에 대한 불협화음 나타났다. 스폰서들과 프테제들은 여성들이 남성과 다르게 후원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데 동의했다. 참가자들은 여성들이 후원을 받을 가능성은 낮지만 성공하기 위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This dissonance in who gets sponsored and who seeks out sponsorship also emerged with regard to gender. Sponsors and protégés agreed that women likely experience sponsorship differently from men. Participants viewed women as less likely to seek out sponsorship but also as needing the extra support it provides to be successful.


고찰

Discussion


이 연구에 앞서 대학의학에서의 멘토와 후원의 유사점과 대조는 잘 설명되지 않았다. 이것들은 그림 1에 강조되어 있다.

The similarities and contrasts between mentorship and sponsorship in academic medicine have not been well described prior to this study. These are highlighted in Figure 1,



우리의 멘토와 후원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했다. 연구에 따르면 스폰서는 진로에 초점을 맞추고, 권력에 대한 것이며, 스폰서, 프로테제, 그리고 종종 기관에도 이익이 되는 특정한 기회의 실행에 집중한다. 아마도 더 중요한 것은, 멘토가 자원과 권력에 접근할 수 있는 영향력 있는 자리에 있다면, 멘토도 후원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Many of our participants (especially the sponsors) understood the nuanced differences between mentorship and sponsorship, including the distinction that sponsorship is focused on career advancement, predicated on power, and concentrated on the execution of particular opportunities that are beneficial to the sponsor, the protégé, and often the institution. Perhaps more important, some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a mentor can also be a sponsor when that individual is in an influential role with access to resources and power.


경력에서 타이밍은 각 관계의 가치에 영향을 미쳤다. 

  • 참가자들은 멘토십을 초기 경력 개발에 특히 중요하다고 보았다.7 

  • 그러나, 그들은 또한 자리가 제한적인 고위직 진출의 기회에 대해서는, 스폰서십이 잠재적으로 더 큰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Timing in one’s career influenced the value placed on each type of relationship. Our participants viewed mentorship as especially important for early career development.7 However, they also recognized that sponsorship is of potentially greater value later in one’s career when there are fewer opportunities to advance to high-level positions


참가자들은 스폰서가 개인적인 오랜 관계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비즈니스 문헌에서는 스폰서십거래 관계나 전략적 제휴로 명시적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각 당사자는 명확한 목표와 기대를 가지고 있다.21 스폰서십의 거래적 성격은 멘토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데, 멘토십은 종종 매우 개인적이고 변혁적인 것으로 묘사된다.

Participants noted that sponsorship does not require a personal, long-standing relationship. In the business literature, sponsorship is explicitly described as a transactional relationship or a strategic alliance where each party has clear goals and expectations.21 The transactional nature of sponsorship provides a stark contrast to mentorship, which, is often described as highly personal and transformative.


전통적인 멘토 관계에 더 편안한 교수진들은 이러한 차이점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이 연구결과는 또한 대학의학과 비지니스 사이의 조직적, 문화적 차이가 존재함을 강조한다.

Faculty who are more comfortable with traditional mentorship relationships may struggle with this difference. This finding also highlights the organizat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medicine and business settings


우리의 참가자들은 스폰서십이 대학의학에서 높은 자리로 나아가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프로페셔널 네트워크는 커리어 성공에 중요하며 스폰서의 기본적인 특징이다.22 스폰서의 효과는 프로페셔널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과 영향력을 이용한다.

Our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sponsorship is critical to high-level advancement in academic medicine. Professional networks are critical for career success and are a fundamental feature of sponsorship.22 A sponsor’s effectiveness relies on his or her access to and influence in professional networks.


사업 환경에서 여성멘토들은 남성멘토보다 '조직적 영향력organizational clout'이 적어서 여성 경력 개발에 필요한 스폰서 역할을 덜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여성 멘토들이 조직에 많이 배치될 때 여성은 승진할 남자 못지않다.17

In business settings, mentors of women tend to have less “organizational clout” than those of men and therefore to be less able to serve as sponsors and advance women’s careers; however, when women’s mentors are highly placed in the organization, women are just as likely as men to be promoted.17


대학의학에서, 주니어 여성 교수들은 멘토 관계에 있어 같은 성별인지를 중시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들 자신의 부서나 기관 외부의 지도자와 멘토들로부터의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여성의 성공이 제한될 수도 있는데, 권력과 영향력을 갖춘 고위직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적기 때문이다.

In academic medicine, junior faculty women are more likely than male colleagues to value gender concordance in mentoring relationships and may fail to recognize the need for support from more senior faculty and from leaders and mentors outside their own department or institution.23,24 This may limit women’s success as there are many fewer women than men in high-level leadership positions with power and influence.25


게다가, 프로테즈는 높은 잠재력을 가진 스폰서들에 의해 "눈에 띌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신을 눈에 띄도록 만드는 것은, 자기 홍보와 관련된 잠재적인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불편하거나 우려하는 교수에게는 어려울 일일 수 있다.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스폰서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스폰서들이 자신을 홍보하는 여성이 너무 야심차게 보이거나 자기를 홍보하는 것처럼 보여서 불이익을 받는 현상, 즉 이중 구속double bind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고 말한다.

In addition, protégés need to be “seen” by sponsors as having high potential. This may be challenging for faculty who are uncomfortable or concerned about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self-promotion. Advocates of sponsorship from business settings view sponsorship as a way to address the so-called double bind that women face in which women who promote themselves are penalized for appearing too ambitious or self-promoting.13


우리 연구의 참가자들은 여성들이 남성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스폰서십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대학의학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여성들이 남성들과 비교했을 때, 전국회의에서 연설하거나, 논평을 작성하거나, 편집 위원회나 국가 위원회에서 활동하도록 제안되는 것과 같은, 직업에 도움이 되는 기회를 덜 제공받았다고 보고함을 보여주었다. 대학의학의 리더들은 리더십의 성별 다양성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서 스폰서십을 언급했다.11,

Participants in our study acknowledged that women likely experience sponsorship differently than men do. Recent research in academic medicine demonstrated that women are less likely to report having been the recipient of career-advancing opportunities—defined as being offered invitations to speak at a national meeting, to write an editorial, or to serve on an editorial board or a national committee—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15 Many thought leaders in academic medicine have pointed to sponsorship as one strategy for addressing gender diversity in leadership.11,26–29


한계점

Limitations


셋째, 우리의 연구 선택 과정 때문에, 우리는 스폰서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의 중요한 추가 관점을 놓치고, 후원자와 원생들의 견해만 포함시켰다. 넷째, 우리 연구의 후원자는 모두 남자였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의 정의에 근거하여 학술의학에서 후원자의 대다수를 정확히 나타내고 있다.

Third, because of our study selection process, we included only the views of sponsors and protégés while missing the important additional perspectives of those who have not benefited from sponsorship. Fourth, all of the sponsors in our study were men. However, this likely accurately represents the majority of sponsors in academic medicine based on our definition.


Conclusions







 2019 Jan;94(1):94-100. doi: 10.1097/ACM.0000000000002398.

Mentorship Is Not Enough: Exploring Sponsorship and Its Role in Career Advancement in Academic Medicine.

Author information

1
M.S. Ayyala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Rutgers New Jersey Medical School, Newark, New Jersey. K. Skarupski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associate dean for faculty develop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J.N. Bodurtha is professor, McKusick-Nathans Institute of Genetic Medicin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M. González-Fernández is associate professor and vice chair for clinical affairs,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L.E. Ishii is professor,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hief quality officer for clinical best practices, and senior medical director for clinical integration, Johns Hopkins Health System and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B. Fivush is professor,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senior associate dean for women,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R.B. Levine is associate professor and associate vice chair for women's academic careers, Department of Medicine, and associate dean for faculty educational developmen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2-1138-1289.

Abstract

PURPOSE:

To explore how sponsorship functions as a professional relationship in academic medicine.

METHOD:

The author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faculty in 2016: department chairs (sponsors) and faculty participants of an executive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protégés). Using editing analysis style, the authors coded interview transcripts for thematic content; a coding framework and themes were derived using an iterative process.

RESULTS:

Five themes were identified from 23 faculty interviews (12 sponsors, 11 protégés): (1) Mentorship is different: Sponsorship is episodic and focused on specific opportunities; (2) Effective sponsors are career-established and well-connected talent scouts; (3) Effective protégés rise to the task and remain loyal; (4) Trust, respect, and weighing risks are key to successful sponsorship relationships; (5) Sponsorship is critical to career advancement. Sponsorship is distinct from mentorship, though mentors can be sponsors if highly placed and well connected. Effective sponsors have access to networks and provide unequivocal support when promoting protégés. Effective protégés demonstrate potential and make the most of career-advancing opportunities. Successful sponsorship relationships are based on trust, respect, mutual benefits, and understanding potential risks. Sponsorship is critical to advance to high-level leadership roles. Women are perceived as being less likely to seek sponsorship but as needing the extra support sponsorship provides to be successful.

CONCLUSIONS:

Sponsorship, in addition to mentorship, is critical for successful career advancement. Understanding sponsorship as a distinct professional relationship may help faculty and academic leaders make more informed decisions about using sponsorship as a deliberate career-advancement strategy.

PMID:
 
30095456
 
DOI:
 
10.1097/ACM.0000000000002398


교육자들을 적응적교육프로그램에 대비시키기(Med Teach, 2018)

Preparing educators for adaptive education (AE) programs

Hilliard Jasona,b and Jane Westberga,b

aiMedtrust, London, England, UK; b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USA





도입

Introduction


보건전문직교육에 대한 적응형 교육

Adaptive Educa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적응형 교육1(AE)을 개별화, 개인화 또는 맞춤형 교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모든 학습은 각 학습자가 어떤 이니셔티브를 취하고 무엇이 가능한지에 따라 어느 정도 adaptive할 수 밖에 없다.

Adaptive education1 (AE) is sometimes called personalized, individualized, or customized education. All learning is somewhat adaptive, depending on what initiatives each learner takes and what is possible.


그러나 대부분의 건강 전문가 교육(HPE)에서 (많은 커리큘럼과 코스의 지속시간, 진행상황 및 내용은) 여러 학습자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변화를 거의 또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미리 계획되고 구현된다.

Yet, in much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the duration, pacing, and content of many curricula and courses are preplanned and implemented with little or no consideration for variations that may exist among specific learners involved.


최근 학술의학에서는 AE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시간변동적 교육을 포함하는 주제에 대해 완전하고 보충적인 이슈를 할애했다(Lucey et al. 2018; 10 Cate et al. 2018). 이번 의학 교사 특집호에는 AE(Quirk and Chumley 2018)의 여러 가지 측면이 있다.

Recently, Academic Medicine devoted a full, supplemental issue to a theme that includes time-variable education, a critical component of AE (Lucey et al. 2018; ten Cate et al. 2018). In this special issue of Medical Teacher, there are multiple examples of aspects of AE (Quirk and Chumley 2018).


일단 고퀄리티 테클놀로지 기반의 학습 자원을 개발하고 공유하기 위한 투자가 이루어지면 교수들은 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HPE에서, AE의 개념과 실행은 희귀하거나 불완전하다.

Once the investment is made in developing and sharing high-quality technology-supported learning resources, faculty time will be allocated even more efficiently. Still, in most HPE, the concept and practices of AE remain rare or incomplete.


AE는 학습에 대한 특별한 사고방식을 요구한다

    • AE의 구성요소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과정에 대해서 더 관심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학생들이 그들이 무엇을 배우는지 만큼,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해 깊이 관심을 갖는다. 

    • AE는 각 학습자의 진화하는 특성과 요구에 대응하여 가능한 한 맞춤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AE requires a particular mindset about learning. 

    • component of AE is an enhanced concern about the educational program’s processes, not just its content. For example, we care as deeply about how students learn as what they learn. 

    • Among other elements, AE implies offering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customized, as much as possible, in response to each learner’s evolving characteristics and needs.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실현가능하기 위해서, AE 프로그램은 

    • 1) 고도로 준비된 교육자, 

    • 2) 특별히 설계된 기술, 

    • 3) 정교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학습 경험이라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To be effective and economically feasible, AE programs need three conditions: 

    • 1) highly prepared educators, 

    • 2) specially designed technologies, and 

    • 3) sophisticated, simulation-based learning experiences.


AE의 토대

The foundation of AE.


AE는 모든 프로그램 교육자들이 지속적으로 "진단적"이 될 것을 요구한다. 교육자는 초기의 선발과정부터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각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식별하고 대응해야 한다. 효과적인 AE에서, [각 학습자의 경험의 초점, 속도, 지속 시간 및 전략]은 [각 개인의 독특하고 진화하는 특성과 준비 상태, 가용한 시간과 시간의 한도 이내의 자원]에 지속적으로 adapt한다.


AE depends on all program educators being continuously “diagnostic.” The educators must identify and respond to each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needs, initially,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and throughout the educational program. In effective AE, the focus, pace, duration, and strategies of each learner’s experiences are continuously adapted to each individual’s unique, evolving characteristics and readiness, the resources within limits of available and time.


왜 AE인가?

Why have AE?


결과는 분명하다. 모든 학습자는 여러 방식으로 고유하다. 전통적인 HPE에서는 학습자 사이의 명백한 특성 차이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다.6

The findings are clear. Each learner is unique in multiple, relevant ways: In traditional HP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re insufficiently considered.6


완벽한 AE가 가능한가?

Is full AE feasible?


최적의 개인화는 더 이상 선택사항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Optimal individualization should no longer be considered optional.


앞의 세 가지 가장 큰 과제는 다음과 같다. 

The three largest tasks ahead are as follows: 


(1) 준비된 교육자 준비 

(1) preparing educators who are ready; 

(2)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데 필요한 정교한 소프트웨어 개발 

(2) developing the sophisticated software needed to take advantage of our technologies’ potential; and 

(3) 시뮬레이션 전략의 충분한 수정: 이를 통해서 이러한 접근방식이 현재 무작위적이고 종종 비효율적인 임상 과제 중 상당 부분을 개선하고 대체할 수 있다는 교육자 및 규제 당국의 동의를 얻어야 함.

(3) refining our simulation strategies sufficiently to earn educators’ and regulators’ agreement that these approaches can improve upon and replace a significant portion of current, random, often inefficient clinical assignments.


교육자 준비는 우선순위가 높다

Educator preparation is a high priority.


교육 프로그램은 확립된 전통, 교수 능력과 태도, 행정 정책, 가용한 자원을 포함한 많은 영향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필요한 기관적 지원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때, AE 프로그램의 성공은 전망은 적절하게 준비되고 완전히 지지적인 교육자들을 얼마나 보유하느냐에 달려 있다.

Educational programs are shaped by the interplay of many influences, including established traditions, faculty capabilities and attitudes, administrative policies, and available resources. Assuming that the needed institutional support is available, the prospects for successful AE programs depend upon having appropriately prepared, fully supportive educators.



교육자 준비 프로세스

The educator preparation process


효과적인 교육자가 되고 그렇게 유지하는 것은 임상의가 되는 것만큼, 또는 유능한 연구자가 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다.

Becoming and remaining an effective educator can be every bit as demanding as becoming and an clinician or remaining effective researcher.


현재 교직원들은 대부분 non-AE 프로그램에서 교육을 받았고, 그 프로그램에서 근무해왔다. 이들이 경험한 것들 중 일부는 AE 교육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과 모순될 수도 있다.

Most current faculty members were educated in, and have worked in, non-AE programs. Some may different from, even contradictory to, what is needed for being an AE educator.


새로운 의료전문직 학교는 처음부터 적절한 교수진을 선발하고 AE 커리큘럼을 설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New HP schools have the advantage of selecting appropriate faculty and designing an AE curriculum from the outset.


프로그램 학습자와 함께 학습work할 모든 사람이 AE에 헌신해야 한다. 학습자가 노출되는 사람들 사이에 해소되지 않는 차이가 있을 경우(즉 "숨겨진 커리큘럼"이 있을 경우), 새로운 프로그램은 심각하게 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We consider it vital that all those with whom the program’s learners will work be committed to AE. if there are unresolved differences among those to whom the learners are exposed (when there is a “hidden curriculum”), the new program can be seriously diminished.


모든 교육자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all educators are or become:


1 ...모든 학습자를 깊이 존경하며, 그들의 다양성을 존중한다. 그들은 모든 학습자를 위한 일관되고 비판단적인 옹호자advocate이며, 효과적으로 학습자의 신뢰를 얻고 유지해야 한다.

1 …deeply respectful of all learners, valuing their diversity. They are consistent, non-judgmental advocates for all learners and are effective at earning and sustaining their learners’ trust.


2 ... "무대 위의 세이지"(King 1993년)의 역할을 기꺼이 포기해야 하며, 학습 상황의 중심에서, 옆에 선 가이드가 되는 것으로 변해야 하며, 참여적, 진정성, 그리고 성과와 관련된 과제의 설계자로 전환되어야 한다.

2 … content with giving up the role of “sage on the stage” (King 1993), shifting from being at the center of learning events toward being a guide, and a designer of tasks that are engaging, authentic, and outcomes-linked.


3 ... "말하기"보다 질문하고 질문을 받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그들은 개인을 지원하고 소규모 학습 그룹을 촉진하기 위해 대부분의 전통적인 대규모 그룹 활동을 포기한다(Westberg와 Jason 1996).

3 … focused on devoting more time to asking and inviting questions than to “telling.” They give up most traditional, large-group activities in favor of supporting individuals and facilitating small learning groups (Westberg and Jason 1996).


4 ...학습자를 자신의 학습 계획 수립에 참여시키는 데 능숙하다. 학생들이 프로그램 및 규제 기관의 기대 성과를 이해하도록 하고, 스스로의 목표를 수립하게 한다.

4 …skilled at involving learners in planning their own learning, including understanding the program’s and regulator’s expected outcomes, as well as setting their own goals.


5 ...멘토/코치/감독자 역할을 배우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한다.(Gawande 2011; Deiorio and Hammoud 2017; Marcdante and Simpson 2018). 그들은 지속적으로 멘토가 되고, 감독자로 일하며, 학습자의 자기 평가를 유도하고 촉진하는 데 능숙하다(Westberg 및 Jason 2001; Hawkins 등, 2012).

5 …comfortable learning to function in the roles of mentor/coach/supervisor (Gawande 2011; Deiorio and Hammoud 2017; Marcdante and Simpson 2018). They are well prepared for being ongoing mentors, serving as supervisors, and skilled at inviting and facilitating the learners’ self-assessments (Westberg and Jason 2001; Hawkins et al. 2012).


6 ...학습자가 [합의된 학습 성과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진행 상황에 대한 의미있는 형성평가 평가에 언제나 접근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평가는 부분적으로 디지털 기반 자원에 의해,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신뢰받는trusted 멘토의 직접 해석과 결합되어 전달될 수 있다.

6 …oriented to ensuring that the learners always have access to meaningful, formative assessments of their progress toward fulfilling the agreed-upon learning information outcomes. This assessment may be conveyed, in part, by digitally-based resources, combined with in-person interpretations by a trusted mentor who is available when needed.


7 ...학생에게 최적의 권한을 부여하는, 협동적이고 협력적인 기관 분위기를 서포트한다(Westberg와 Jason 1993). 그들은 종종 존재하는 교육자와 학습자 사이의 위계적 장벽을 줄이고, 새로운 학습자들이 의존적이고 복종적인 감정을 뒤로하고 미래의 전문가로서의 환영받고 있음을 느끼도록 돕는다.

7 …supportive of a collegial, collaborative institutional climate, with optimal empowerment of students (Westberg and Jason 1993). They help reduce the hierarchical barriers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that often exist, and help new learners feel welcome as emerging professionals, leaving behind feelings of being dependent and subservient.



적응형 교육을 위한 교육자 개발 프로세스

Educator development for adaptive education – the process


우리의 일반 원칙은 이렇다: 교수들의 발달과정에 있어서, 교수가 학생을 대했으면 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교수들도 대해져야 한다.

we offer a general principle: faculty need to be treated during their own development in the ways that we want them to treat their students and patients.



교육자 개발자로서, FDPer의 행동은 적어도 세 가지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As educator developers, our own behaviors can serve at least three purposes: 


(1) 교수-학습자가 수용하기를 원하는 접근법을 롤모델함 

(1) being role models of the approaches we want our faculty–learners to adopt; 

(2) (기술이 제공할 수 없는) AE의 인간, 대인관계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것, 예를 들어신뢰의 획득 및 유지, 진정한 배려 전달(Johnston 2018), 학습자가 의도된 결과에 대한 "소유"의식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 

(2) exemplifying the human, interpersonal components of AE (which technology cannot offer), such as earning and sustaining trust, conveying genuine caring (Johnston 2018), and helping the learners develop a sense of “ownership” of the intended outcomes; and 


(3) 교직원-학습자는 학생들에게 제공할 과정의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3) providing the faculty–learners with direct experiences of the processes that they will be providing for their students.



Being으로 시작해서, 진단적, 성찰적으로 유지하기

Begin by being, and remaining, diagnostic and reflective


우리는 이러한 AE의 중심 요소들의 일관된 롤모델과 실천가가 될 필요가 있다.

We need to be consistent role models and practitioners of these central elements of AE.


이러한 요소들은 HPE가 이러한 프로세스를 자체적으로 조정하고 채택하도록 보장하는 핵심 요소들이다. 우리의 교육자 개발 노력으로 이뤄지는 learning event(미팅/워크숍/멘토링)에서, 우리는 진단적 관찰을 하고 [공유되는 감정과 생각]을 명백하게 성찰할 수 있는 사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se are key elements of ensuring that HPEs adapt and adopt these processes for themselves. During learning events that are part of our educator development efforts (meetings/workshops/ mentoring), we need to provide examples of making diagnostic observations and overtly reflecting on feelings and thoughts being shared.


교육자 개발 과정에 참여하는 local 학생 포함

Include local student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educator development process


교육자 개발 과정의 참가자들 사이에 프로그램에 소속된 학생이 일부 있으면 몇 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 (1) 초점이 현실적인지 확인하는 것 

    • (2) 논의에서 다뤄지는 관점의 확대 

    • (3) 학생들이 환자 및 기타 교육자로서의 현재 및 미래의 역할을 준비하도록 돕는 것 

    • (4) 학생들이 전문적인 자아-이미지로 전환하도록 돕기 위한 노력 강화 

    • (5) 교직원과 학생 모두가 [학습자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환자에게 자기 관리를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과 마찬가지라는 것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Several goals can be achieved by having some of the program’s own student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educator development process. 

    • (1) ensuring that the focus is reality-based; 

    • (2) broadening the points of view contributed to discussions; 

    • (3) helping the students begin preparing for their current and future roles as educators of patients and others; 

    • (4) enhancing efforts to help the students transition to a professional self-image; and 

    • (5) helping both faculty and students gain a deeper understanding that empowering learners is parallel to the process of empowering patients in their self-care.


참가자의 학습 경험의 의도된 결과에 대한 "오너십"을 창출하고 강화할 수 있는 과제 주변의 이벤트 설계

Design events around tasks that can generate and strengthen the participants’ sense of “ownership” of the intended outcomes of their learning experiences


학습은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내부 동기에서 도출될 때 가장 잘 발생한다(10 Cate et al.). 그러한 동기("오너십")는 실제 보건전문직 학습자이든 모의 학습자이든 authentic하게 느껴지는 직무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수행되고 강화될 수 있다.

Learning generally happens best when it derives from the learners’ internal motivations (ten Cate et al. 2011). Such motivations (“ownership”) can be engendered and enhanced through participation in tasks that feel authentic, whether they are real or simulated, HP learners.



지속적인 학습의 토대로서 자기 평가에 집중

Focus on self-assessment as a foundation of continuing learning


교육자로서, 그리고 임상의로서, 우리가 하는 대부분의 일은 우리를 지도해주는 사람의 도움 없이 행해진다. 모든 경험을 통해 배우기 위해, 우리는 종종 우리 자신의 코치가 되기도 하며, 심지어 우리 자신의 활동을 즉각적으로 감시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지속적인 정확한 발전은 각 사건 도중, 그리고 사건 후에 가능한 한 자신의 성과에 대해 반성하는 습관을 필요로 한다.

Both as educators and as clinicians, much of our work is done without the presence of anyone who is equipped to coach us. To learn from all our experiences, we often need to be our own coach, even monitoring and adjusting our own activities on the fly. Our continuing accurately development requires the habits of being as reflective as possible about our own performance, both during and after each event


학습은 학습자로서 자신의 요구를 인식하고, 그것을 추구하도록 헌신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즉, 우리는 스스로 AE를 하는 것이다(Jason 1968). 

Learning is most effective when we, as learners, recognize our own needs and commit to pursuing them; that is,we engage in AE for ourselves (Jason 1968). 


참가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다양성을 인식하고 존중한다.

Recognize and respect whatever diversity exists among the participants


다양성은 AE를 수행하기 위한 핵심 근거인 동시에 건설적으로 관리를 위해서 연습이 필요하다. 교육자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이 AE를 잘 활용하려면, [스스로 다양성을 잘 관리]해야 하며, 동시에 [다른 사람들이 다양성을 관리하는 것을 배우도록 도와야] 한다. 비록 AE는 각 학습자의 고유성에 반응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그것이 학습자를 서로 격리시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AE 교육자로서 우리는 [개인의 다양성]과 [팀 기술 발전]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Diversity is both a key rationale for undertaking AE and a situation that takes practice to manage constructively. Those of us who are responsible for educator development, who want to bring AE to that work, need to be effective both in managing diversity well and in helping others learn to do so. Although AE involves being responsive to the uniqueness of each learner, that does not imply keeping learners isolated from each other. As AE educators, we need to be focused on both individual diversity and team skill development.


교육자 개발 참여자를 위한 AE 기반 교육 과정 작성

Create an AE-based curriculum for educator development participants


이는 명확히 정의된 결과, 작업, 프로세스 및 정기적인 형성 평가 등 통상적인 요소를 갖춘 커리큘럼이어야 한다. 형성평가는...

(1) 학습자의 진행 상황에 도전하고 결정내려야 하며,

(2) 다음 단계에서 선택해야 하는 사항을 지속적으로 구체화해야 한다.

It should be a curriculum with the usual elements: clearly defined outcomes, tasks, processes, and regular formative assessments that: 

(1) challenge and determine the learners’ progress and 

(2) continuously shape the choices made about next steps.


합의된 학습 성과를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남은 니즈가 무엇인지 안내해야 한다. 이러한 AE 기반 커리큘럼(시뮬레이션 작업 및 실제 작업 포함)은 다음의 것들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1) AE의 원칙과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 및 

(2) 각 학습자에게 개인적, 의미 있는 방식으로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생활에 가져오는 일련의 경험.

As they progress through the agreed-upon learning outcomes, the program should guide them to their remaining needs. Such an AE-based curriculum (including simulated and real tasks) can provide both: 

(1) a clarification of the principles and processes of AE and 

(2) a set of experiences that bring abstract ideas to life in a way that is personal and meaningful for each learner.


각 교육자의 요구에 최대한 맞춘 시뮬레이션 및 역할극 사용

Use simulations and role plays that are tailored as much as possible to each educator–learner’s needs


임상의사가 되는 것처럼, 교육자가 되는 것은 인지, 감정, 관계 및 의사소통 과제의 수행자인 "실행자doer"가 되기 위한 준비를 포함한다. 적절하게 선택된 역할극과 시뮬레이션은 어떤 주제에 대해 듣거나 읽는 것 보다 교육자에게 의미 있게 더 몰입할 수 있다(Isenberg et al. 2005; Ziv et al. 2005; Mo; Motola et al. 2013).

Becoming an educator, like becoming a clinician, involves preparing to be a “doer”, a performer of cognitive, emoti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asks. appropriately selected role plays and simulations can be meaningfully more engaging for educators than just hearing about or reading about a topic (Issenberg et al. 2005; Ziv et al. 2005; Motola et al. 2013).


모의 및 실제 상황에서 작업하는 교육자-학습자의 비디오 기록 및 설명

Video record and debrief the educator–learners as they work in simulated and real situations


비디오 녹화가 디브리핑과 결합되면, 복잡한 용량의 학습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Jason et al. 1971; Westberg 및 Jason 1994). 그리고 이 과정은 [충분히 편안하고, 비판단적이고, 감정적으로 안전한 상황을 보장하는 것]에 달려있다.

As we and others began demonstrating and confirming decades ago, video recordings, combined with debriefings, help accelerate the learning of complex capacities (Jason et al. 1971; Westberg and Jason 1994). That process, depends on our ensuring a sufficiently comfortable, non-judgmental, emotionally safe situation,


사람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존중하고 신뢰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스스로의 결정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다른 사람은 자신의 부정확한 점이나 맹점을 발견할 수도 있다. 동료와 조언자들이 우리와 우리의 학습을 지지할 것이라고 느끼고 확신하지 않는 한, 그리고 다른 사람이 우리를 해치는 방식으로 판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면, 우리는 자신의 불확실성, 두려움, 어려움을 드러내지 않고 감출 것이다.

For us to improve, we need to expose our decisions to others we respect and trust, who might detect any inaccuracies or blind spots we may have. Unless we feel supported and are convinced that our peers and advisors will support us and our learning, that they will not judge us in ways that might hurt us, we are likely to conceal rather than reveal our uncertainties, fears, and difficulties.


교육자가 서로 진단하고 지원하는 실제 및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서로를 관찰하는 경험 포함

Include experiences in which educators observe each other in real and simulated situations, being diagnostic and supportive with each other


즉, 우리는 학습자-교육자들이 서로, 그리고 실제 또는 모의 학생들과 함께 그들의 접근법과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That is, we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educators to practice developing their approaches and skills with each other, and with actual or simulated students.


학습자가 학습자와 함께 사용할 AE 작업 및 경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

Help the learner–faculty develop AE tasks and experiences for use with their learners


교수-학습자가 (자신의 학생들과 함께 나중에 사용할 계획 및 자원 등과 같은) [사용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은 매력적인 작업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교수-학습자가 개발한 '제품'의 품질과 그에 따른 효과성은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veloping usable products, such as plans and resources to be deployed later by the faculty–learners with their own students, can be an attractive set of tasks.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ose products and their effectiveness with students can contribute helpful information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or development program.


뒤로 미끄러질 준비를 하십시오.

Be prepared for backsliding


만약 우리가 교육자로서 이미 확립된 패턴을 수정하기 위해 노력하다보면, 우리는 압박을 받을 때마다 이전에 가지고 있던 패턴으로 계속해서 돌아갈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이러한 후퇴는 낙담의 원인이 되기 보다는, 미리 예상하고 반복적인 연습을 계획하고, 새로운 교육 전략을 강화함으로써 대비해야 한다.

if we strive to revise our well-established patterns as educators, we need to realize that our prior patterns may keep returning, especially when we are under pressure. Rather than being a cause for discouragement, such backsliding needs to be anticipated and prepared for, with plans for repeated practice and reinforcements of the new educational strategies


결론

Conclusions


AE의 완전한 이행을 위해서는, 우리는 적절하게 준비된 헌신적인 교육자들을 가져야 한다.

To achieve a full implementation of AE, we must have suitably prepared committed educators.


일단 우리가 효과적인 AE 프로그램의 본질적인 특징에 대해 명확히 알게 되면, 우리는 교육자-학습자들이 학생들을 대우했으면 하는 방법으로 교육자-학습자들을 대하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교육자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Once we are clear about the essential features of an effective AE program, we need a robust, ongoing educator development program that, in its essence, treats the educator–learners in the ways they will want to treat their students.



Deiorio NM, Hammoud M, editors. 2017.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coaching handbook. Chicago: AMA. https://www. ama-assn.org/sites/default/files/media-browser/public/ace/editorletter-preface-coaching-med-ed.pdf


Lucey CR, Thibault GE, ten Cate O. 2018. Competency-based, in the health time-variable education professions. Acad Med. 93:S1–S5.


Marcdante K, Simpson D. 2018. Choosing when to advise, coach, or mentor. J Grad Med Educ. 10:227–228.


ten Cate O, Gruppen LD, Kogan JR, Lingard LA, Teunissen PW. 2018. Time-variable training in medicin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cad Med. 93:S6–S11.





 2018 Aug;40(8):828-833. doi: 10.1080/0142159X.2018.1487049. Epub 2018 Jul 22.

Preparing educators for adaptive education (AEprograms.

Author information

1
a iMedtrust , London , England , UK.
2
b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 USA.

Abstract

CONTEXT:

There has long been awareness that educational experiences should be individualized. In the health professions, this tenet remains inconsistently implemented. Adapting to the widely divers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earners requires educators who are prepared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adaptive education (AE).

RATIONALE:

Learning experiences, for both educators and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an be substantially enhanced by mirroring clinical care, where we respect the uniqueness of each person and increasingly approach care as a collaboration. We are continuously "diagnostic," striving to understand our patients' clinical and life circumstances, adjusting to new findings. Learners are also unique in multiple, relevant ways. They deserve educators who work with them collaboratively and "diagnostically," adapting to changing information.

IMPLEMENTATION:

Until recently, hav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adapt to learner uniqueness was logistically and economically unrealistic. Now, thanks to deeper understandings of the learning process and new technologies, individualization is feasible. Here, we focus on the foundation step of preparing educators. Educator development: Suitably prepared educators are indispensable to success in becoming appropriately adaptive to learners' needs. For some educators, becoming more adaptive can be contrary to long-held assumptions and habits. We offer recommendations for effective educator development, without which authentic AE is unlikely.

PMID:
 
30033793
 
DOI:
 
10.1080/0142159X.2018.1487049


21세기의 임상가-교육자에게 필요한 핵심 역할과 역량 정의: 전국 혼합방법 연구 (Acad Med, 2014)

Defining the Key Roles and Competencies of the Clinician–Educator of the 21st Century: A National Mixed-Methods Study

Jonathan Sherbino, MD, MEd, Jason R. Frank, MD, MA (Ed), and Linda Snell, MD, MHPE





도입

Introduction


임상의사-교육자의 정의는 이 역할을 기술하는 몇 안되는 출판물 사이에도 상당히 다양하며, 21세기 CE의 능력이나 역량의 정확한 범위가 확립되지 않았다. CE에 대해 기술된 역할(예: 임상적 역할 대 전임 교육자)과 교육적 역할(예: 임상 교육 대 교육 설계) 모두 이질적이고 일관성이 없으며 정의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The definition of clinician–educator varies considerably within the small body of published work that describes this role,5–8 and the precise scope of abilities or competencies for 21st-century CEs has not been established. The roles described for CEs—both clinical (e.g., physician in practice versus full-time educator) and educational (e.g., clinical teaching versus education design)—are heterogeneous, inconsistent, and often undefined.



현재, 의료 교육 분야의 전문 지식 획득을 위한 세 가지 뚜렷한 경로가 의사 있다. 

(1) 비공식적, 임시적인 훈련(예: 교수진 개발 활동, 전문 사회 과정), 

(2) 펠로우쉽 훈련(예: 대학 또는 학술 보건 센터에서 현지에서 인증한 공식화된 프로그램), 

(3)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예: 석사, 박사)

Currently, three distinct pathways for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are open to physicians: 

(1) informal, ad hoc training (e.g.,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specialty society courses); 

(2) fellowship training (e.g., formalized programs certified locally by universities or academic health centers); and 

(3) graduate education programs (e.g., master’s, doctoral).



경로마다 내용, 프로세스 및 예상 결과는 프로그램마다 상당히 다르다.

within these routes, there is considerable variability in content, process, and expected outcomes.9,10


1. CE란 무엇인가?

2. 현대 CE 실무에 필요한 핵심 역량은?

3. CE에 가장 적합한 교육이나 준비는 어떤 유형으로 보입니까?


1. What is a CE?

2. What core competencies are needed for contemporary CE practice?

3. What type of training or preparation is viewed as optimal for CEs?


방법

Method


1단계: 국가 포커스 그룹

Phase 1: National focus groups


최종 질문 목록에서 다루는 CE 테마에는 정의, 필수 역량, 교육 프로세스 및 지원 프로세스가 포함되었다. (포커스 그룹 질문에 대해서는 http://links.lww.com/ACADMED/A198의 보충 디지털 부록 1 참조).

The CE themes addressed in the final list of questions included the definition, the required competencies, the training process, and the process of support. (For the focus group questions,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links.lww.com/ACADMED/A198).


2010년 9월, 우리는 이메일을 통해 모든 캐나다 의과장, 대학원 및 학부 의과 교육 부소장, 의료 교육 연구 센터장(n = 65)을 연구 초점 그룹에 참여하도록 초대했다. 각 포커스 그룹은 3-5명의 참가자를 포함하였으며, 2010년 10월 또는 11월 중에 텔레컨퍼런스 콜(J.S. 또는 L.S.가 주도하는)을 통해 이루어졌다. 포커스 그룹 세션의 평균 길이는 90분이었다.

In September 2010, we invited, via e-mail, all Canadian deans of medicine, associate deans of postgraduate an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s of centers for medical education or center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n = 65) to participate in the study’s focus groups. Each focus group included three to five participants and took place via teleconference call (led by J.S. or L.S.) during October or November 2010. The average length of the focus group sessions was 90 minutes.


우리는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여 오디오 녹음된 포커스 그룹 세션의 녹취록을 분석하였다.11–14 우리는 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분석을 수행했다; 두 명의 저자가 모든 녹취록(J.S. 및 L.S.)을 독립적으로 검토했다. 우리는 테마의 포화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포커스 그룹을 개최했다.

We analyzed the transcripts of the audio-recorded focus group sessions using a grounded-theory approach.11–14 We conducted the analysis concurrently with data collection; two authors independently reviewed all transcripts (J.S. and L.S.). We continued to hold focus groups until saturation of themes was reached.


우리는 주제와 하위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지속적 비교 접근법을 사용했다. 우리의 최종 주제 분석에서, 우리는 역량과 역량의 영역에서 합의에 도달했다. 우리는 우리의 문헌 검토 및 포커스 그룹 질문을 조종한 콘텐츠 전문가들과의 협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우리의 연구 결과를 삼각측량했다.

We used a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to identify themes and subthemes. In our final thematic analysis, we arrived by consensus at a list of domains of competence and competencies. We triangulated our finding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our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the content experts who piloted the focus group questions.



2단계: 국가 니즈 평가 설문 조사

Phase 2: National needs assessment survey


1단계부터의 분석에 기초해, 우리는 포커스 그룹에 의해 식별된 역량과 역량의 영역에 매핑된 일련의 범주형 조사 질문을 개발했다.

Building on our analysis from phase 1, we developed a series of categorical survey questions that mapped to the domains of competence and competencies identified by the focus groups.


CE의 필요성, CE의 역량 영역 및 CE가 되기 위해 필요한 교육 유형과 같은 주제를 다룬 8개의 주요 조사 문항이 있었다(조사 질문에 대해서는For ACADMED/A198 참조).

There were eight main survey items that addressed topics such as the need for CEs, the domains of competence of a CE, and type of training required to become a CE. (For the survey questions,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2, available at http://links.lww.com/ACADMED/A198.)


확립된(그리고 상충되는) 개념에 기초한 국부적 정의나 잘못된 표현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조사에서는 임상의사-교육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오히려 우리는 필요할 때 의학 교육 컨설턴트(또는 그것의 variant)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To prevent confusion with local definitions or misrepresentation based on established (and conflicting) concepts, we did not use the term clinician–educator in the survey. Rather, we used the term medical education consultant (or a variant) when required.



결과

Results


1단계: 포커스 그룹 결과

Phase 1: Focus group results


포커스 그룹 참여자들은 CE에 필수적인 속성으로 일관되게 다음을 언급했다.

(1) 임상 진료를 수행함

(2) 교육실무에 교육이론 적용함

(3) 교육 연구활동 참여함


The focus group participants consistently identified the following attributes as essential to CEs: 

(1) being active in clinical practice, 

(2) applying education theory to education practice, and 

(3) engaging in education scholarship. 


이러한 속성 각각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Each of these attributes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포커스 그룹 참가자들은 특정 행정직(예: 프로그램 책임자, 교육부장)을 CE 역할에 필수적인 것으로 일관되게 식별하지 않았다.

Focus group participants did not consistently identify a particular administrative position (e.g., program director, department chair of education) as essential to the CE role.



임상 진료를 수행함

Being active in clinical practice.


대다수의 참여자들은 "임상사-교육자"라고 불리게 될 개인들은 (의사 또는 다른 의료 전문가로서) 신빙성을 확보하고 이론을 실천으로 전환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꾸준한 임상실무를 필요로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참여자들은 의료인과 교육자로서 복수의dual 관점을 가짐으로서 CE는 의학교육에서 중요하고 새로운 문제를 식별할 수 있음을 주목했다.

The vast majority of participants indicated that individuals who are to be called “clinician– educators” require an active clinical practice (as a physician 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 to have credibility and to help them translate theory into practice. In addition, participants noted that having a dual perspective, as both a practitioner and an educator, allows the CE to identify important and emerging questions in medical education.


참여자들은 CE를 핵심 역할 모델로 보았다.

participants viewed CEs as key role models for other clinicians who teach:


임상에서 벗어나는 것은 실수이다. 나는 당신이 개발하고 실행하고 있는 어떤 것이든 최종 사용자end user와의 귀중한 관점과 소중한 연결을 잃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당신이 trainee와 관계가 없는 상태는 관계를 갖는 상황과 완전히 다를 것이다.

To move from being a clinician would be a mistake. I think that you would lose a valuable perspective and a valuable connection to the end users of whatever it is that you’re developing and putting into action. And it’s just not quite the same if you aren’t involved with the trainees.


그러나 소수의 참여자들은 임상진료가 필수적이지 않다고했다. 기본 과학 또는 사회 과학 교육자는 다음과 같이 의사와 협력할 경우 CE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A minority of participants, though, suggested that a clinical practice was not essential. In their view, basic science or social science educators could serve as CEs, provided they worked in collaboration with physicians:


실제로 임상업무를 하지 않지만, 임상환경에 매우 좋은 서포트를 제공할 수 있는 많은 능력을 가진 놀라운 교육자들이 있다. 우리가 환자 관리와 의사가 되기 위해서 배워야 할 것 중에는 임상에 기반을 두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 다양한 측면들이 있다.

I actually think that there are some amazing educators who do not come from a clinical background but who have a great deal of ability to provide very good support to [the] clinical environment … There are many other aspects of patient care and being a physician that we can learn from[,] areas that are not clinically based …


교육실무에 교육이론을 적용하는 것.

Applying education theory to education practice.


대부분의 포커스 그룹 참가자들은 CE는 [교육 이론을 교수-학습에 적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육teaching 역할(즉, "의사-교사")을 하는 다른 임상의와 구별되는 것으로 보았다.

Most focus group participants viewed CEs as distinguished from other clinicians with teaching roles (i.e., “clinician–teachers”) by their application of education theory to teaching and learning:


교육 연구활동 참여

Engaging in education scholarship.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포커스 그룹 참가자들은 CE를 광범위한 의학교육 분야에 사용되는 거에 기여하는 사람으로 묘사했다. 일부 참여자는 이 연구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답을 찾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는 교육 연구]로 협소하게 정의하였다. 다른 이들은 연구활동에 대한 더 광범위한 정의를 제안하였고, 여기에는 [근거, 이론적 프레임워크, 모범 사례에 기반한 교육 혁신의 대중적 보급]이 포함된다.

Finally, most focus group participants described the CE as someone who contributes to the evidence that informs the broad field of medical education. Some respondents narrowly defined this scholarship as education research in which a question is asked and an experiment or trial is performed to discover an answer. Others suggested a broader definition of scholarship, encompassing the public dissemination of an education innovation that builds on current evidence, theoretical frameworks, or best practices.


임상의사-교육자가 진짜료 의미하는 것은...이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기반하여, 일을 하는 새로운 방식을 찾아내고, 모범 사례를 찾아내서, 그러한 것들을 새로운 프로그램에 통합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A clinician–educator really means … someone who looks at new ways of doing things based on what’s happening [around] the globe, and looks for best practices, and incorporates those into new programs.



CE역량 다듬기

Refining CE competencies


2단계: 설문 결과

Phase 2: Survey results


이 조사 결과는, 응답자의 85%(287/338명)가 동의하거나 강하게 동의하는 등, 의료 교육 분야에서 고급 교육을 받은 의사가 교육 컨설턴트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0% 이상이 자신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CE에서 주당 최소 반나절 이상이 진료를 요구한다고 지적했다(그림 1 참조).

The survey results showed a strong endorsement of the view that physicians with advanced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are needed to serve as educational consultants, with 85% (287/338) of respondents agreeing or strongly agreeing. More than 40% of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ir training program would require the services of a CE* for at least one half-day per week (see Figure 1).



설문 조사 참가자들은 CE 트레이닝 프로그램 입학을 위한 임상 경험의 최소 필수 수준을 질문 받았다. 이 질문에 대한 응답자 284명 중 82명(29%)은 경험이 풍부한 임상의만 자격이 된다고 답한 반면 99명(35%)은 새로 실습을 시작한 의사를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으며 85명(30%)은 시니어 레지던트도 가능하다고 보았다. 단지 17명의 응답자(6%)만이 주니러 에지던트도 자격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Survey participants were asked what level of clinical experience should be the minimum prerequisite for admission to a CE training program. Of the 284 respondents to this question, 82 (29%) indicated that only experienced clinicians should be eligible, whereas 99 (35%) considered physicians newly entered into practice to be eligible and 85 (30%) viewed senior residents as eligible. Only 17 respondents (6%) indicated that junior residents should be eligible.


CE에 대한 13개 영역의 역량에 대한 응답자의 평가는 그림 2에 제시되어 있다.

Respondents’ ratings of 13 domains of competence for a CE are presented in Figure 2.



마지막으로, CE에 대한 특정 훈련 스트림에 대한 명확한 endoresement는 없었다(그림 3 참조). 조사 응답자 중 155명(55%)은 교육 석사학위가 효과적인 준비라는 데 동의하거나 강하게 동의했으며 109명(39%)은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데 동의하거나 강하게 동의했다.

Finally, there was no clear endorsement for any particular training stream for CEs (see Figure 3).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155 (55%) agreed or strongly agreed that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is effective preparation, and 109 (39%) agreed or strongly agreed that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re effective.



고찰

Discussion


CE는 임상진료를 하고있는 사람으로서, 교육에 이론을 적용하고, 교육 연구를 수행하며, 교육 문제와 이슈에 대해 다른 보건전문가에게 컨설턴트로 일하는 의료 전문가다(그림 4 참조).

CE is a clinician active in health professional practice who applies theory to education practice, engages in education scholarship, and serves as a consultant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 on education questions and issues (see Figure 4).



당사의 설문 조사에 응답한 응답자 중 85% 이상(그림 2 참조)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by more than 85% of respondents to our survey (see Figure 2)—are provided in Table 1.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여기서 제안하는 임상의사-교육자의 정의는 문헌의 비공식 설명과 일치한다.

The definition of clinician–educator that we propose here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aligns with informal descriptions in the literature,


전문의로서 의학교육자들은 근거 기반 교육 개선을 주도하고 전달하며, 많은 교육 임상의들을 참여시키고 동기를 부여할 전문성과 헌신을 가져야 한다..5

Specialist medical educators have the expertise and commitment to lead and deliver evidence-based educational improvements, and to engage and motivate the many teaching clinicians.5


아마도 임상의사-교육자의 주된 특성은 그들이 그들의 교육 활동과 관련된 연구업적을 생산한다는 것이다.16

Perhaps the primary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a clinician–educator is that they produce scholarship related to their educational activities.16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고용한 의사로서, 이들은 주로 임상에 종사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강의하며, 연구에 일부 만 관여하거나 또는 거의 관여하지 않는다.8

[D]octors employed by health service providers, [who] are primarily engaged in clinical practice, regularly teach, and have some or little involvement in research.8


학문은 발견(즉, 연구)과 관련이 있지만 통합, 응용 및 교육도 포함한다.17 학술활동은 학습, 평가, 커리큘럼 설계 및 건강 직업 교육의 광범위한 분야의 다른 측면에 도움이 되는 모범 사례를 발전advance시킨다.18 CE의 필수적 과제로는 보건전문직교육에 도움이 되는 근거와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Scholarship is concerned with discovery (i.e., research) but also includes integration, application, and teaching.17 It advances best practices to aid learning, assessment, curriculum design, and other aspects of the broad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18 Building the evidentiary and theoretical base that inform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an essential task for CEs.


그러나, CE의 역할의 이 핵심 요소는 종종 행정업무와 교육설계에서 발생하는 상충적 요구competing demands에 의해 위협받는다. 셰필드 및 동료의 연구에 따르면 CE는 연구활동에 근무시간의 13%(직업 설명에서 최소 20%가 아님)만 보호받으며, 43%의 교육연구는 정규 근무 시간 이외의 시간 이외의 시간대에 이뤄진다.

However, this key element of the CE’s role is often threatened by competing demands arising from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and education design.19 Research by Sheffield and colleagues20 suggests that CEs protect only 13% of their time for scholarship (not the minimum 20% in their job description) and that 43% of education scholarship occurs outside of the regular workweek.


비즐리와 동료들의 1997년 연구

Beasley and colleagues in 1997.


우리는 교육행정academic administration에 대한 강조가 핵심 특성에서 사라진 것을 발견했다. (조사 응답자 중 36%만이 교육 프로그램의 관리를 매우 중요하게 승인했다) 이는 Beasley와 동료들의 21년 이후 몇 년 동안 CE의 역할이 개선되었음을 시사한다.

we found diminished emphasis on academic administration as a defining characteristic (only 36% of our survey respondents endorsed administr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s very important), suggesting that the role of the CE has been refined in the years since Beasley and colleagues’21


마지막으로, 85%가 CE의 필요성을 지지함을 입증했지만, CE로서 의료진을 훈련시키는 과정은 명확하지 않았다. 대학원 교육이나 교수개발 프로그램 모두 응답자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지 못했다.

Finally, although our study demonstrated an 85% endorsement of the need for CEs, the process for training clinicians to meet this need was not clear. Neither graduate education nor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were strongly supported by respondents.


2010년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의과대학의 거의 30%가 자신의 교육적 사명을 지원하는 academies를 가지고 있으며, 또 다른 27%는 그러한 academies을 계획하거나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22 그러나 이러한 많은 academies의 주요 임무는 Clinician-teacher의 수를 증가시키고 이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며, Clinician-educators를 위한 것이 아니다. 미국 의과대학의 거의 절반이 의학 교육 펠로우십을 가지고 있지만, 톰슨과 동료9는 이 용어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펠로우십의 강도와 기간은 1개월에 10시간에서 48개월에 584시간까지 이른다.

A 2010 study found that nearly 30% of U.S. medical schools have academies that support their teaching mission, and another 27% are planning or considering such academies.22 However, the primary mission of many of these academies is to increase the numbers and serve the needs of clinician– teachers, not CEs. Although nearly half of U.S. medical schools have medical education fellowships, Thompson and colleagues9 found the term to be broadly applied: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such fellowships ranges from 10 hours in 1 month to 584 hours in 48 months.


한계

Limitations


첫째, 응답률 31%는 그 결과가 연구된 모집단을 대표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단, 이 응답률은 대규모 조사에 대한 평균의 표준 편차 내에 있다31. 전자 조사의 일반적인 결과를 반영한다.32 우리는 이 응답자가 대표성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First, the response rate of 31% may suggest that the results are not representative of the population studied. However, this response rate is within on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for large surveys31 and reflects typical results of electronic surveys.32 We believe it is representative:


둘째로, 모든 응답자들이 캐나다 출신이었기 때문에, 우리의 결과는 다른 나라들로 일반화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350명의 응답자들은 다양한 인구를 구성했다.

Second, because all respondents were from Canada, our results may not be generalizable to other countries. However, the 350 respondents made up a diverse population.


마지막으로, 거의 모든 CE 영역의 역량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는 설문조사가 차별성이 부족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조사 항목은 포커스 그룹 응답의 기초 이론 분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Finally, the broad endorsement of nearly all the CE domains of competence may suggest that the survey lacked discrimination. However, the survey item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of the focus group responses.


결론

Conclusions


우리의 연구결과는 CE의 필요성을 보여주며, 이는 교수들을 공식 프로그램을 통해 훈련시킴으로써 가장 잘 충족될 수 있다.

Our findings demonstrate a need for CEs that may best be fulfilled by training through formalized programs.





 2014 May;89(5):783-9. doi: 10.1097/ACM.0000000000000217.

Defining the key roles and competencies of the clinician-educator of the 21st century: a nationalmixed-methods study.

Author information

1
Dr. Sherbino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and director of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Faculty of Health Science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nd clinician-educator,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Dr. Frank is associate professor and director of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and director, Specialty Education, Strategy, and Standards,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Dr. Snell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core faculty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nd senior clinician-educator,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Abstract

PURPOSE:

To determine a consensus definition of a clinician-educator and the related domains of competence.

METHOD:

During September 2010 to March 2011, the authors conducted a two-phase mixed-methods national study in Canada using (1) focus groups of deans of medicine and directors of medical education centers to define the attributes, domains of competence, and core competencies of clinician-educators using a grounded theory analysis, and (2) a survey of 1,130 deans, academic chairs, and residency program directors to validate the focus group results.

RESULTS:

The 22 focus group participants described being active in clinical practice, applying theory to practice, and engaging in education scholarship-but not holding a particular administrative position-as essential attributes of clinician-educators. Program directors accounted for 68% of the 350 survey respondents, academic chairs for 19%, and deans for 13% (response rate: 31%). Among respondents, 85% endorsed the need for physicians with advanced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to serve as educational consultants. Domains of clinician-educatorcompetence endorsed by >85% of respondents as important or very important were assessment, communi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education theory, leadership, scholarship, and teaching. With regard to training requirements, 55% endorsed a master's degree in education as effective preparation, whereas 39% considere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effective.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is study's findings, the authors defined a clinician-educator as a clinician active in health professional practice who applies theory to education practice, engages in education scholarship, and serves as a consultant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 on education issues.

PMID:
 
24667507
 
DOI:
 
10.1097/ACM.0000000000000217


2025년 의학교육자의 직무역할(J Grad Med Educ, 2018)

Job Roles of the 2025 Medical Educator

Deborah Simpson, PhD (@debsimpson3)

Karen Marcdante, MD (@KMarcdante)

Kevin H. Souza, MS (@KevinHSouza)

Andy Anderson, MD, MBA (@rcathird)

Eric Holmboe, MD, MACP, FRCP (@boedudley)




의학교육자들은 의사들의 역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대학원의료교육인증위원회(ACGME) 후원기관 2025(SI2025) 이니셔티브는 의료 및 대학원 의학교육의 3대 원동력인 민주화, 상품화, 기업화 등을 확인했다.1

Medical educators recognize that physicians’ roles are rapidly changing.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s (ACGME’s) Sponsoring Institution 2025 (SI2025) initiative identified 3 major driving forces in health car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democratization, commoditization, and corporatization.1


  • 민주화 : "(어떤 것을)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행위, 모든 사람이 (어떤 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행위."3

  • Democratization: “[The act of making] (something) available to all people; [the act of making] it possible for all people to understand (something).”3

  • 상품화(Commoditization) : [A] 상품이나 서비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쟁 상품과 상대적으로 구별되지 않게 되는 과정. 일반적으로 말해서, 특정 범주에 속하는 상품들은 서로 너무 비슷해서 유일한 구별되는 특징은 가격이다."4

  • Commoditization: “ . . . [A] process in which goods or services become relatively indistinguishable from competing offerings over time. Generally speaking, commoditized products within specific categories are so similar to one another that the only distinguishing feature is pricing.”4

  • 기업화 : "기업 소유권이나 지배권의 적용 대상이 되는 것."5

  • Corporatization: “To subject to corporate ownership or control.”5



의학의 실천이 정보화 시대에서 인공지능 시대로 변화함에 따라, 의료계는 "Device는 점차, 더욱 큰 스케일로, 인지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인간을 능가할 것"이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2 교육자로서,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 미래 시스템에서 의사의 역할과 교육이 일치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그것이 교육에 대한 진정한 역량기반한 접근 방식이다. 

as the practice of medicine transforms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edical community must accept that ‘‘devices will, on an increasing scale, outperform humans, cognitively and physically.’’2 As educators, we seek to understand these changes and design education to be consistent with the roles of physicians in this future system consistent with a true competency-based approach to education.3


SI2025 태스크포스의 역량 27번(임상 및 교육 책임 교수에 대한 회계 책임)은 의과대학에서 의료기관으로 전환하면서 이들 분야의 의사 개발을 누가 담당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2025년의 교육자의 구체적인 기술과 역할은 다루지 않았다.1

The SI2025 Task Force’s competence No. 27 (Accountability for Faculty with Clinical and Educational Responsibilities) focuses on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ians in these areas, with shifts from medical schools to health care organizations, yet the specific skills and roles of educators in 2025 were not addressed.1



의학교육의 미래 하드 트렌드

Future Hard Trends in Medical Education


교육의 아웃소싱

Outsourcing of Education: 


교과서 출판사들은 학생들이 숙제 연습을 하고 실시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했다.8 학계, 전문사회, 벤더 간의 교육지향적 제휴가 증가하고 있다.

Textbook publishers have built software platforms where students can do homework exercises and get real-time feedback.8 Education-oriented partnerships between academics, professional societies, and vendors are increasing.


예를 들어 미국 외과 대학 및 외과 프로그램 이사회가 개발한 외과 레지던트 역량 커리큘럼9, AAMC/Kahn Academy for MCAT Preparation, MedU Cases for 400,000명 이상의 학생이 매년 이수하는 MedU Case, 10명, 전문/전문 사회가 제공하는 교육 내 시험 및 준비 과정을 포함한다..

Examples include 

    • the Surgery Resident Skills Curriculum9 developed by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and Association of Program Directors in Surgery, 

    • the AAMC/Kahn Academy for MCAT Prep, 

    • the MedU Cases completed by more than 40000 students each year, and 

    • the in-training examinations and prep courses delivered by specialty/professional societies.


테크놀로지 

Technology: 

가상 및 증강현실 기술은 학습 분석이 빌트인으로 결합하여 [학습과 새로운 형태의 실시간 평가]를 지원하는 가상 동반자companion를 만드는 데 사용될 것이다.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ombined with built-in learning analytics, are used to create virtual companions that support trainee learning and new forms of realtime assessment.11,12


교육 분석과 빅데이터 

Learning Analytics/Big Data in Education: 

'교육' 빅데이터의 사용은 개인과 그룹을 위한 개인화된 학습,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The use of big ‘‘education’’ data facilitates personalized learning for individuals and groups, as well as use of assessment data for program evaluation.


소비자이자 공동 설계자로서 학습자

Learner as Consumer and Co-Designer:

사례로는...

Examples include 

    • 24시간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학습과 평가 mobile 24/7 anytime/anywhere learning and testing and 

    • 마이크로/나노 학위: 일련의 짧은 온라인 코스를 수강하고, 캡스톤 과제를 마치면, 증명서를 얻고, 특정 역할이나 직무에 대비할 수 있음 micro/nano degrees that allow students to take a series of short online courses, finish a capstone project, obtain a certificate, and prepare for a specific role or job.15


규정과 합치

Regulation and Alignment:

규제 기관과 인증기관은 의학교육 연속체 전반에 걸쳐 교육과 임상의 성과(의료 품질, 안전, 환자 경험)를 통합하고 조정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며, 이것이 의료 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주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또한 의사의 임상적 판단과 행동은 더 이상 단독행위가 되지 않을 것이므로, 팀/직업간 협력 관리 및 교육에 대한 강조가 증가하고 있다.

Increasingly, regulators and accreditors will focus on integrating and aligning education and clinical care outcomes (health care quality, safety, patient experience) as the primary driving force for the desig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across the continuum. There also is increasing emphasis on team/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are and education as decisions and actions will no longer be a solo act.



Identifying Job Roles for the 2025 Medical Educator


2025 의료 교육자 직무 역할

BOX 2025 Medical Educator Job Roles

  • 진단 평가자: 빅 데이터 결과를 활용하여 개별/그룹별 성과 격차 파악 및 교육 개인화

  • 콘텐츠 큐레이터: 국가 전문가가 개발한 고품질 콘텐츠에 액세스, 선택, 시퀀스 및 제공

  • 기술 채택자: 얼리 어답터로서 적절한 기술 툴 선택 및 사용에 능통함

  • 학습자 중심의 네비게이터 및 프로페셔널 코치: 식별된 성과 목표 달성을 위한 학습자의 리소스 및 실습 가이드: 다양한 2025명의 의사 직무 역할에 대한 Exemplar

  • 학습환경 설계자, 엔지니어, 건축가 및 구현자: "공간"을 설계하여 과학(예: 학습)에서 제공하는 학습 최적화

  • Diagnostic Assessor: Use results of big data to identify individual/group performance gaps to individualize training

  • Content Curator: Access, select, sequence, and deliver high-quality content developed by national experts

  • Technology Adopter: Be an early adopter and fluent in selecting and using appropriate technology tool(s)

  • Learner-Centered Navigator and Professional Coach: Guide learners’ use of resources and practice to achieve identified performance targets Clinician Role Model: Exemplar for the various 2025 physician job roles

  • Learning Environment Designer, Engineer, Architect, and Implementer: Designs the ‘‘space’’ to optimize learning informed by sciences (eg, learning)



2025년 의료 교육자의 직무 역할 파악

2025 Medical Educator Job Roles


이것들이 의료와 의학교육의 판도가 변화함에 따라 바뀔 새로운 직무 역할이라는 데 대체로 동의하였다.

There was general agreement that these are new job role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landscape of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모든 사람이 모든 역할에서 동일한 수준의 능력을 가질 가능성은 낮지만, 2025년의 모든 의학 교육자는 6개 역할 모두에 기본적인 능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While it is unlikely that everyone will have the same degree of competence in each role, every 2025 medical educator will be expected to have basic competence in all 6 roles,



진단적 평가자

Diagnostic Assessor


교육에 빅데이터의 사용은 계속 증가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자는 학습경험을 개인화하고(능력 기반 및 시간 가변 교육을 포함), 성과 평가 맞춤화하고 커리큘럼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인과 집단의 performance gap을 식별해야 한다.16 진단 평가자로서 교육자는 학습과 예측 분석 결과를 translate하는 것에 능숙해야 한다. 이로서 개인, 코호트, 그룹, 인구집단의 학습과 퍼포먼스를 최적화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se of big data in education will continue to grow. This requires educators to identify performance gaps for individuals and groups in order to personalize educational experiences (including competency-based and time-variable training), tailor performance assessments, and evaluate curricula.16 As diagnostic assessors, educators must be skilled at translating learning and predictive analytic results5 to actions that optimize learning and performance for individuals, cohorts, groups, and populations.



내용 큐레이터(내용 생산자 아님)

Content Curator (not Creator)


전국적인 전문가가 개발한 고품질 콘텐츠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계약하는 다수의 전문 기관과 사회, 교과서 회사, 판매업자 등에서 점점 더 많이 이용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학습자와 함께 접근, 선택, 배열, 전달, 공유함으로써 point-of-care에서 현지의 요구를 실시간으로 충족시키는 것은 이미 몇 가지 전문분야에서 발생한다.

High-quality content, developed by national experts, is increasingly available across a number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societies, textbook companies, and vendors who contract with experts in the field. Accessing, selecting, sequencing, delivering, and sharing these materials with learners to meet local needs, in real time at the point-of-care, already occurs in several specialties.


콘텐츠 큐레이터로서, 교육자는 기존 교육 자료에서 콘텐츠 자료를 선택하고, 교수진, 전문의, 전문직, 인증기관, 학회 등의 이해당사자들 간의 제휴alliance를 구축하는 데 능숙해야 한다.

As curators of content, educators must be skilled in selecting content materials from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building alliances across stakeholders, including faculty, specialties, professions, accrediting bodies, and professional and interprofessional societies.


기술 적용자

Technology Adopter


2025년의 의료 교육자는 적절한 기술 도구의 선택, 사용 및 평가에 능통하고 얼리아답터가 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앱에서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몰입 활동까지 다양하다. 또한, 교육자들은 기술 사용이 잘못되었거나 실패할 때를 인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Medical educators in 2025 must be early adopters, fluent in selecting, using, and assessing the appropriate technology tools. These range from an app to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immersion activity. In addition, educators will need to recognize when technology use is misguided or fails.


학습자 중심 네비게이터이자 코치

Learner-Centered Navigator and Professional Coach


학습자 중심의 네비게이터로서 의료 교육자는 확인된 성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 자료, 연습 기회를 사용하도록 지도할 것이다.

Medical educators, as learner-centered navigators, will guide the use of resources, materials, and practice opportunities to achieve identified performance targets.


전문 코치로서, 교육자는 직접 대면과 온라인에서의 촉진에 능숙해야 하며, 학습자의 정확한 의미 구성을 지원하는 개인화된 그룹 코칭 세션을 제공해야 한다.

As professional coaches, educators must be skilled in face-to-face and virtual facilitation, to provide personalized and group coaching sessions that support learners’ accurate construction of meaning.



의사 롤모델

Clinician Role Model


롤모델링은 모범을 보임으로써 가르치는 것이다.18

Role modeling is teaching by example.18



학습 환경 디자이너, 엔지니어, 설계자 및 구현자

Learning Environment Designer, Engineer, Architect, and Implementer


2025년에는 의학교육자들이 학습 환경의 설계자가 될 것이다. 이 역할을 학습을 최적화하기 위해 "공간"을 설계하는 건축가 또는 엔지니어라고 생각해 보십시오. 교육자들은 디자인을 할 때 인간 학습, 인식, 기억 및 구현에 대한 과학에 토대를 두어야 할 것이다.

In 2025, medical educators will be design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ink of this role as an architect or engineer who designs the ‘‘space’’ to optimize learning. Educators will need to draw on the sciences of human learning, cognition, memory, and implementation to inform their designs.


이러한 의료 교육자 역할의 핵심은 학습과 실행과학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Key to this medical educator role is the underlying foundation in learning and implementation sciences.


함의

Implications


캐서린 루시가 지적한 바와 같이, "교수의 가치는 더 이상 모든 의료 및 교육 분야 더 우수한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것이 될 수 없다."21 우리는 교육자의 가치가 "지혜, 문제에 대한 구조화된 접근법, 지속적인 학습을 모델링하는 능력, 그리고 학습자가 존중받고 최선을 이루도록 지지받는 환경을 조성하는 능력에 있을 것"이라는 루시의 비전을 공유한다. 

As noted by Catherine Lucey ‘‘The value of a faculty member can no longer be linked to superior knowledge or skills in all things health care and education.’’21 We share Lucey’s vision that educators’ value will lie in their ‘‘wisdom, structured approach to a problem, ability to model ongoing learning, and in their abilit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very learner is valued and supported to achieve their best.’’21


우리는 이 기술들을 어떻게 배울까? 

우리는 이 새로운 역할에 대해 어떻게 보상받고 보상을 받을 것인가? 

최소 비용으로 학습을 극대화하고 능률화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는 무엇인가?

How will we learn these skills? 

How will we be compensated and rewarded for these new roles? 

What will be the optimal designs to maximize and streamline learning at minimal costs?



1. Duval JF, Opas LM, Nasca TJ, et al. Envisioning the sponsoring institution of the future: report of the SI2025 Task Force. J Grad Med Educ. 2017;9(6 suppl 1):11–57.


6. Sherbino J, Frank JR, Snell L. Defining the key roles and competencies of the clinician–educator of the 21st century: a national mixed-methods study. Acad Med. 2014;89(5):783–789.


18. Burgess A, Oates K, Goulston K. Role modelling in medic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eaching skills. Clin Teach. 2016;13(2):134–137.





 2018 Jun;10(3):243-246. doi: 10.4300/JGME-D-18-00253.1.

Job Roles of the 2025 Medical Educator.

PMID:
 
29946376
 
PMCID:
 
PMC6008009
 [Available on 2019-06-01]
 
DOI:
 
10.4300/JGME-D-18-00253.1


교수개발: 프로그램 설계에서 도입에서 연구까지(GMS J Med Educ, 2017)

Faculty Development: From Program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Scholarship

Yvonne Steiner




코멘터리

Commentary


교수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교수 개발 문헌에 대한 이전의 체계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는 

  •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일반적으로 높으며, 

  • 교수 구성원이 특정 프로그램이나 활동에 따른 태도, 지식, 기술 및 행동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고 있다. 

  • 우리는 또한 학생 학습과 조직 관행의 변화가 자주 보고되지 않으며 아직도 이해해야 할 것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

Based on previous systematic reviews of the faculty development literature to enhance teaching effectiveness [1], [2], we know that overall satisfaction wit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s generally high and that faculty members tend to report positive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following a particular program or activity. We also know that changes in student learning and organizational practice are infrequently reported and that there is much that still needs to be understood.


포괄적 프로그램 평가

Ensuring Comprehensive Program Evaluation


종종 세 가지 뚜렷한 영역으로 분류되는 평가의 목표를 기억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 책무성 입증

  • 새로운 통찰과 이해 생성

  • 발달을 지원하고 가이드함 

it is helpful to remember the goals of evaluation, which often fall into three distinct areas: 

  • demonstrating accountability, 

  • generating new insights and understanding, and 

  • supporting and guiding development [4]. 


평가는 종종 "프로세스 평가"로 알려진 형성적 평가와 "결과 평가"로 불리는 총괄적 평가가 있을 수 있다[5].

Evaluation can also be formative, often known as “process evaluation”, or summative, often referred to as “outcomes evaluation” [5],


교수개발에서는 처음부터 개입(혹은 프로그램)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애프터뷰(사후)로 추가해서는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흔히 "happiness" (또는 반응)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며, 미국평가협회가 강조하는 5가지 주요 원칙[http://www.eval.org/p/cm/ld/fid=51에서 2016년 12월 검색]에 따라 접근방식에 체계적인 것이 좋다.

In faculty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conduct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intervention (or program) from the outset, and not to add it as an afterthought, which is often the case. It is also recommended that we collect more than what has often been called “happiness” (or reaction) data and that we be systematic in our approach,following five key principles highlighted by the American Evaluation Association [http://www.eval.org/p/cm/ld/fid=51 retrieved December 2016]: 

  • systematic inquiry,

  • competence, 

  • integrity, 

  • respect for people, 

  • responsibility.

프로그램 평가의 원칙

 III. The Principles


A. 체계적 조사: 평가자는 철저하고 체계적이며 맥락적으로 관련된 데이터 기반 조사를 수행한다. 

A. Systematic Inquiry: Evaluators conduct data-based inquiries that are thorough, methodical, and contextually relevant. 


A1. 평가의 규모와 가용 자원에 참여하는 동안 사용하는 방법에 적합한 최고 기술 표준을 준수한다. 

A2. 핵심 평가 질문의 한계와 강점과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접근법을 일차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살펴보십시오. 

A3. 다른 사람이 작품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비평할 수 있도록 방법과 접근법을 정확하고 충분히 상세하게 전달한다. 

A4. 평가의 한계와 결과를 명확히 한다.

A5. 결과에 대한 평가자의 해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값, 가정, 이론, 방법, 결과 및 분석의 맥락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논의한다. 

A6. 평가 실무에서 신흥 기술을 사용할 경우의 윤리적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한다.


A1. Adhere to the highest technical standards appropriate to the methods being used while attending to the evaluation's scale and available resources. 

A2. Explore with primary stakeholders the limitations and strengths of the core evaluations questions and the approaches that might be used for answering those questions. 

A3. Communicate methods and approaches accurately, and in sufficient detail, to allow others to understand, interpret, and critique the work. 

A4. Make clear the limitations of the evaluation and its results.

A5. Discuss in contextually appropriate ways the values, assumptions, theories, methods, results, and analys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evaluator's interpretations of the findings. 

A6. Carefully consider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e use of emerging technologies in evaluation practice.


B. 역량: 평가자는 이해관계자에게 숙련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B. Competence: Evaluators provide skilled professional services to stakeholders.


B1. 평가팀이 평가를 능숙하게 완료하는 데 필요한 교육, 능력, 기술 및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B2. 가장 윤리적인 선택사항이 커미션을 진행하거나 평가팀의 전문적 준비 및 역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평가에 유의한 제한사항을 명확히 전달해야 한다. 직접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통해 누락되거나 약한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십시오.

B3. 평가팀이 평가의 문화적 맥락에서 작업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집단적으로 보유하거나 찾도록 한다. 

B4. 능력 있는 평가 관행에 필요한 새로운 개념, 기술, 기술 및 서비스를 배우기 위해 관련 교육, 훈련 또는 감독 관행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지속적인 전문적 개발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공식적인 과정과 워크샵, 자율 학습, 자신의 실무에 대한 자기 또는 외부 위탁 평가, 다른 평가자와 협력하여 평가적 기술 전문 지식을 배우고 다듬을 수 있다. 

B1. Ensure that the evaluation team possesses the education, abilities, skills, and experiences required to complete the evaluation competently. 

B2. When the most ethical option is to proceed with a commission or request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evaluation team's professional preparation and competence, clearly communicate any significant limitations to the evaluation that might result. Make every effort to supplement missing or weak competencies directly or through the assistance of others.

B3. Ensure that the evaluation team collectively possesses or seeks out the competencies necessary to work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evaluation. 

B4. Continually undertake relevant education, training or supervised practice to learn new concepts, techniques, skills, and services necessary for competent evaluation practice.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 might include: formal coursework and workshops, self-study, self-or externally-commissioned evaluations of one's own practice, and working with other evaluators to learn and refine evaluative skills expertise. 


C. 정직성: 평가자는 평가의 정직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직과 투명성을 가지고 행동한다. 

C. Integrity: Evaluators behave with honesty and transparency in order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evaluation. 



C1. 평가의 한계를 포함하여 평가의 모든 측면에 대해 고객 및 관련 이해관계자와 진실하고 공개적으로 소통한다. 

C2. 평가배정을 수락하기 전에 이해충돌(또는 분쟁의 외관)을 공개하고 평가 중 충돌을 관리하거나 완화한다. 

C3. 원래 협상된 평가 계획의 변경 사항, 변경의 근거, 평가 범위와 결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기록하고 신속하게 전달한다. 

C4. 평가의 수행과 결과에 대한 이해관계자, 고객 및 평가자의 가치, 관점 및 이해관계를 평가하고 명시한다. 

C5. 평가 절차, 데이터 및 결과를 정확하고 투명하게 표현한다. 

C6. 오해의 소지가 있는 평가 정보나 결론을 도출할 가능성이 있는 절차나 활동과 관련된 우려를 명확하게 전달, 정당화 및 해결한다. 불만 사항을 해결할 수 없는 경우 적절한 진행 방법에 대한 제안을 동료에게 문의하고 필요한 경우 평가를 거부하십시오. 

C7. 평가를 위한 재정적 지원의 모든 출처를 공개하고 평가 요청의 출처를 공개한다. 


C1. Communicate truthfully and openly with clients and relevant stakeholders concerning all aspects of the evaluation, including its limitations. 

C2. Disclose any conflicts of interest (or appearance of a conflict) prior to accepting an evaluation assignment and manage or mitigate any conflicts during the evaluation. 

C3. Record and promptly communicate any changes to the originally negotiated evaluation plans, that rationale for those changes, and the potential impacts on the evaluation's scope and results. 

C4. Assess and make explicit the stakeholders', clients', and evaluators' values, perspectives, and interests concerning the conduct and outcome of the evaluation. 

C5. Accurately and transparently represent evaluation procedures, data, and findings. 

C6. Clearly communicate, justify, and address concerns related to procedures or activities that are likely to produce misleading evaluative information or conclusions. Consult colleagues for suggestions on proper ways to proceed if concerns cannot be resolved, and decline the evaluation when necessary. 

C7. Disclose all sources of financial support for an evaluation, and the source of the request for the evaluation. 


D. 사람에 대한 존경: 평가자들은 개인의 존엄성, 웰빙 및 자긍심을 존중하고 그룹 내 및 전체에서 문화의 영향을 인정한다. 

D. Respect for People: Evaluators honor the dignity, well-being, and self-worth of individuals and acknowledge the influence of culture within and across groups. 


D1.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거나 반대되는 관점을 포함하여 개인과 그룹이 평가에 가져오는 관점과 이해의 범위를 이해하고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해 노력한다. 

D2. 평가 참여자와 관련된 현행 전문 윤리, 표준 및 규정(지식된 동의, 기밀성 및 위해 방지 포함)에 따라 준수한다. 

D3. 평가와 관련된 그룹 및 개인에 대한 유익성을 극대화하고 불필요한 위험이나 위해성을 줄이도록 노력한다. 

D4. 데이터를 기여하고 위험을 초래하는 자가 기꺼이 그렇게 하고, 평가의 편익을 얻을 수 있는 지식과 기회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D1. Strive to gain an understanding of, and treat fairly, the range of perspectives and interests that individuals and groups bring to the evaluation, including those that are not usually included or are oppositional. 

D2. Abide by current professional ethics, standards, and regulations (including informed consent, confidentiality, and prevention of harm) pertaining to evaluation participants. 

D3. Strive to maximize the benefits and reduce unnecessary risks or harms for groups and individuals associated with the evaluation. 

D4. Ensure that those who contribute data and incur risks do so willingly, and that they have knowledge of and opportunity to obtain benefits of the evaluation. 


E. 공공선 및 형평성: 평가자들은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의 공동재 및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한다. 

E. Common Good and Equity: Evaluators strive to contribute to the common good and advancement of an equitable and just society. 


E1. 평가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동시에 고객, 기타 이해관계자의 이해관계와 공공선을 인식하고 균형을 유지한다. 

E2. 특히 특정 이해관계자의 이익이 민주적이고 공정하며 정의로운 사회의 목표와 상충되는 경우, 평판에 대한 평가의 잠재적 위협을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E3. 역사적 불이익 또는 불평등을 악화시키는 평가의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E4. 사람을 존중하고 기밀성의 약속을 존중하는 형태로 정보에 공평하게 접근할 것을 목표로 데이터 및 결과의 투명성 및 적극적인 공유를 촉진한다. 

E5. 평가의 맥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향 및 잠재적 전력 불균형을 완화한다. 그 맥락 안에서 자신의 특권과 위치를 스스로 평가한다.

E1. Recognize and balance the interests of the client, other stakeholders, and the common good while also protecting the integrity of the evaluation. 

E2. Identify and make efforts to address the evaluation's potential threats to the common good especially when specific stakeholder interests conflict with the goals of a democratic, equitable, and just society. 

E3. Identify and make efforts to address the evaluation's potential risks of exacerbating historic disadvantage or inequity.

E4. Promote transparency and active sharing of data and findings with the goal of equitable access to information in forms that respect people and honor promises of confidentiality. 

E5. Mitigate the bias and potential power imbalances that can occur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s context. Self-assess one's own privilege and positioning within that context. 


스펜서[5]가 제안했듯이, 프로그램 평가는 그것이 요구하는 주의attention와 방법론적 엄격함이 주어져야 한다.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자원이 낭비되고 부정확하거나 부적절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As Spencer [5] has suggested, program evaluation must be given the attention and methodological rigour that it requires; if this is not possible, resources may be wasted and inaccurate or irrelevant conclusions may be drawn.


[프로그램 평가]와 [연구] 간의 잠재적 중복성도 고려해야 한다. 종합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외부적 편익뿐만 아니라 내부 편익도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는 새로운 지식과 이해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반면, 

  • 평가는 연습 공동체 내에서 의사결정에 정보를 제공하고/또는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5]. 

The potential overlap between program evaluation and research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comprehensive program evaluations can yield findings that have external as well as internal benefits. It has been stated that research aims to generate new knowledge and understanding, usually for consumption by the academic community, whereas, evaluation aims to provide useful feedback to inform and/or influence decision-making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5]. 


그러나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이 되든 간에, 평가는 

  • 능한 한 포괄적이어야 하며, 

  • 관련성이 있는 질문을 해야 하며, 

  • 적절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 복수의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평가하고, 

  • 윤리 원칙을 준수하며, 

  • 과를 진실된 방식으로 보고(그리고 전파)해야 한다[6]. 

However, regardless of what the ultimate goal might be, evaluation must be 

  • as comprehensive as possible, 

  • asking relevant questions, 

  • using appropriate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assessing the perspectives of multiple stakeholders, 

  • adhering to ethical principles, and 

  • reporting (and disseminating) findings in a truthful manner [6]. 


동시에, 연구와 마찬가지로, 엄격한 프로그램 평가의 단일한 "정답" 경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최상의 증거와 실천에 의해 알려지는 창조적이고 유연한 접근방식이 권장된다.

At the same time, as with research, there is no one “correct” pathway to rigorous program evaluation, and a creative and flexible approach, informed by best evidence and practice, is recommended.


강건한 연구 수행

Conducting Rigorous Research Studies


관점을 넓히기

Expanding our Scope


교수개발의 성과와 영향을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여전히 우선시되지만, 우리는 또한 특정 교수진 개발 개입의 결과로 그 형식이나 접근방식에 관계 없이 어떻게 변화가 발생하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프로세스 지향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7]. 예를 들어, 우리는 다양한 교수개발 개입(예: 워크숍 또는 종단 프로그램)이 교수진의 역량과 성과 변화를 어떻게 촉진하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성과 지향적인 연구의 초점을 확장]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8].

Although the need to assess faculty development outcomes and impact remains a priority, we must also carry out process-oriented studies to better understand how change occurs as a result of a particular faculty development intervention, irrespective of its format or approach [7]. As an example, we should consider expanding the focus of outcome-oriented studies to compare how different faculty development interventions (e.g. workshops or longitudinal programs) promote change in faculty members’ competence and performance [8].


또한 대부분의 교수진 개발 개입(예: 경험적 학습, 동료 지원, 피드백 및 반영)의 "핵심 특징"을 더 잘 분석하여 어떤 프로세스가 개인 및 그룹 수준에서 변화로 이어지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We should also try to better dissect the “key features” of most faculty development interventions (e.g. 

    • experiential learning; 

    • peer support; 

    • feedback and reflection) 

...to know which processes lead to change at the individual and group level.


개인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확인하는 것(예: 임상 교사의 태도와 가치가 어떻게 변했는가),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화를 평가하는 것도 가치 있을 것이다.[9] 이때 훈련의 전이에 초점을 두거나, 변화의 "durability"에 초점을 두거나, 변화를 지속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요인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10]. 교육, 사회 및 의료 혁신을 포함한 다양한 수준에서 변화를 창출하는 데 있어 보건 전문가의 역할을 고려할 때, 장기간에 따른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7]. 또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에서 계획된 예상되는 많은 결과들이 나타나는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종단적 평가와 후속 조치를 촉진하는 추가적인 자극제 역할을 한다.

The assessment of change, within the individual (e.g. how did a clinical teacher’s attitudes and values change) and over time, would also be worthwhil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ransfer of training [9], the “durability” of change, and factors which help to sustain change [10]. Given health professionals’ roles in creating change at multiple levels, including educational, social and health care transformation, assessment over time is critical [7]. In addition, many of the outcomes expected in a planne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take time to emerge. This serves as a further impetus to promote longitudinal assessment and follow-up.


우리는 또한 교수진 개발 개입이 본질적으로 복잡하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Pawson 외 연구진[11]은 다음과 같은 복잡한 개입의 특징에 대해 설명했다. 

    • 이들은 대개 여러 가설이나 이론에 근거하며, 일부는 다른 가설보다 더 잘 정의되고/또는 증거에 기반한다. 

    • 그들은 보통 광범위한 참여자들을 포함한다. (예: 교수진 개발자, 참가자, 학습자)  

    • "긴 여행"이 필요할 수 있다(설계에서 전달까지)성공 여부는 대개 비선형적인 사건의 누적 사슬에 따라 결정되며, 복수의 경로와 피드백 루프가 있다.

We also need to remember that faculty development interventions are complex in nature. Pawson et al. [11] have described features of complex interventions that include the following: 

    • they are usually based on several hypotheses or theories, some more well-defined and/or evidence-based than others; 

    • they usually involve a wide range of participants (e.g. faculty developers; participants; learners); and 

    • they may require a “long journey” (from design to delivery), with success dependent on a cumulative chain of events that is usually non-linear, with multiple pathways and feedback loops.


또한 복잡한 개입은 여러 사회 시스템에 내재되어 있으며, 교수개발 프로그램이나 활동을 평가할 때 이러한 복잡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addition, complex interventions are embedded in multiple social systems,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is complexity when evaluating –or studying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or activities.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보건 전문가들은 공식적인 방식과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교수의 역할에 대해 배운다[11]. 그러나, "많은 학습이 직장에서 일어난다는 강력한 지표가 있지만, [사람들이 어떻게 비공식적으로 학습하는지] 또는 [서로 다른 유형의 학습 경험의 상대적 가치]에 대해 알려진 것은 상대적으로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12]. 보건 전문가들이 직장에서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해서는 더 적게 알려져 있다. 비록 이것이 그들의 교육적 역할이 처음 나타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health professionals learn about their faculty roles in both formal and informal ways [11]. However, although “there are strong indicators that a great deal of learning takes place in the workplace, relatively little appears to be known about how people learn informally or about the relative value of different types of learning experiences” [12]. Even less is known about how health professionals learn in the workplace, even though this is where their educational roles first emerge.


Clarke와 Hollingsworth[13]는 우리의 생각을 ["교사를 바꾸는" 프로그램]이라는 관점에서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과 실천에 대한 성찰적 참여를 통해 스스로 전문적인 성장을 형성하는 능동적인 학습자"로 보는 것으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주장해왔다.

Clarke and Hollingsworth [13] have argued that it is time to shift our thinking away from programs that “change teachers” to viewing faculty members as “active learners shaping their own professional growth through reflective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practice”.


또한, 직장 학습[16]에서 롤모델링, 성찰, 참여engagement의 가치와 다음 질문을 탐구할 때의 장점이 있다. 우리가 일과 학문의 잘못된 이분법을 만들어 낸 것은 아닌가? 어떻게 하면 직장 학습을 더 가시적으로 할 수 있을까?

It also underscores the need to understand the value of role modelling, reflection and engagement in workplace learning [16] as well as the benefit of exploring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we created a false dichotomy between work and learning? How can we make workplace learning more visible?


직장학습은 실천공동체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7]

Workplace learning is closely tied to the no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 [17]


많은 저자들이 

    • 그들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 그들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 그들이 어떻게 개인과 조직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 수 있는지

...에 대해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했다.

a number of authors have recommended attention to how they evolve, how they function, and how they can lead 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growth and development.


그 결과, 우리는 교수의 전문직업적 개발과 학습을 촉진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상황적, 조직적 요인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더 많은 연구를 진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As a result, we should try to conduct more research that tries to understand the context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can promote or hinde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of faculty members.


우리는 또한 교수개발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평가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많은 저자들이 교수진 개발이 조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말했다[7], [20]. 그러나 우리는 일화적인 관찰을 넘어 이 주장이 사실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교수진 개발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의 부족은 놀랍다 [1], [8].

We also need to further assess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faculty development on the organization. A number of authors have stated that faculty development can – and should – enhance organizational capacity [7], [20]. However, we need to move beyond anecdotal observations and verify whether this assertion is, in fact, true. The paucity of research assessing the impact of faculty development on the organization is surprising [1], [8].



방법론 다듬기

Refining our Methodology


방법론적 관점에서, 이 분야의 연구는 여러 가지 도전에 의해 제한되었다. 예를 들어, 

    • 대부분의 교수개발 연구는 결과를 조사하기 위해 기술연구, 단일 그룹 설계연구를 사용해 왔으며, 이는 성과의 원인이 개입의 직접적 원인이라고 귀속시키기 어렵게 한다[8]. 

    • 또한 많은 연구들이 개입이 일어난 후 몇 년 후에 전적으로 사후 개입 조치에 의존하거나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도 "attribution of change"를 어렵게 만든다. 

    • 또한 연구원들은 실증적 패러다임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여러 면에서 변화의 과정을 보다 쉽게 포착할 수 있는 질적 방법론을 과소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From a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studies in this field have been limited by a number of challenges. For example, 

    • the majority of faculty development studies have used descriptive, single-group designs to examine outcomes, which make it difficult to attribute outcomes directly to interventions [8]. 

    • Many studies also rely entirely on post-intervention measures or collect data several years after the intervention took place [1], [2], making the “attribution of change” equally challenging. 

    • In addition, researchers have tended to over-emphasize a positivist paradigm and to under-utilize qualitative methodologies which, in many ways, can more easily capture the process of change.


교수개발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 관련 방법론을 사용하여 실증주의 패러다임을 넘어, 후기실증주의, 해석주의, 비판 이론 연구 패러다임[7]으로 구성된 연구 연구를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O'Sulllivan과 Irby[15]가 말한 바와 같이, 패러다임은 연구자 커뮤니티에서 널리 퍼진 examplary practice 모델을 정의한다. 그것은 어떤 조사 영역은 밝혀주지만, 다른 영역은 모호하게 한다.

it would be helpful to go beyond a positivist paradigm and conduct research studies framed by post-positivist, interpretivist and critical theory research paradigms [7], using associated methodologies to enrich our understanding of faculty development. As O’Sullivan and Irby [15] have stated, “a paradigm defines the prevailing model of exemplary practices for a community of researchers; it illuminates areas for investigation and obscures others”.


우리는 또한 이 분야의 연구가 이론적 모델이나 개념적 틀에 기반하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O'Sulllivan과 Irby[14], [15]에서는 교수 개발 커뮤니티와 직장 커뮤니티의 개념을 통합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이 분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했다.

We also need to ensure that research in this field is informed by theoretical models or conceptual frameworks. As an example, O’Sullivan and Irby [14], [15] have suggested that we use a conceptual framework that incorporates the notion of a faculty development community and a workplace community to conduct research in this area.


이 저자들은 이 분야의 연구가 교수개발 프로그램과 직장의 관계를 포함하여 과정과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가정한다.

Not surprisingly, these authors postulate that research in this area should focus on process and outcomes, including relationships within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and the workplace.


우리는 연구의 설계와 결과의 해석에 [이론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는 또한 새로운 방법론과 방법을 통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여러모로 실험적이고 준실험적인 설계에 대한 지나친 의존에서 벗어나 현상학, 민족학, 사례연구, 혼합된 방법을 사용하여 질적인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we should strive to utilize theory in the design of our research and in the interpretation of our results. We should also consider incorporating new methodologies and methods. In many ways, we need to move away from an over-reliance on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and consider qualitative designs, using phenomenology, ethnography, case studies and mixed methods [8], [21].


설계 연구design research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성공 사례는 해석론적 패러다임에 적합하며, 이니셔티브가 작동하는 방식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성공적인 구현에 기여한 맥락적 요인contextual factor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23]. 

Success cases, which can be used concurrently with design research, fit within an interpretivist paradigm and aim to reveal how an initiative is working and what contextual factors support successful implementation [23]. 


지속가능성 내러티브는 인간과 환경 시스템의 렌즈를 통해 사회의 발전을 탐구하고, 사람들의 삶이 개선될 경우 미래가 어떻게 될지 상상한다[24]. 이는 "교육계를 위한 일반적인 조사 방법 밖에 있는 연구 방법론"으로 간주된다.

Sustainability narrativ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a research methodology that lies “outside the normal modes of inquiry for the education communit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through the lens of human and environmental systems and imagines what the future would be like if people’s lives were improved [24].


지금까지, 우리는 변화를 평가하는데 자기평가와 설문지에 대한 지나치게 의존해왔다. 앞으로, 우리는 대체 데이터 소스의 사용을 고려하고 가능한 한 많은 이해관계자 관점(예: 학생, 동료)을 확인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방법론과 상관없이, 우리는 연구 설계, 연구 질문, 선택한 방법론의 일치성을 보장해야 한다.

To date, we have witnessed an over-reliance on self-assessment methods and survey questionnaires to assess change. Moving forward, we should consider the use of alternative data sources and try to ascertain as many stakeholder perspectives (e.g. students; colleagues) as possible. Lastly, irrespective of the methodologies chosen, we should ensure congruence between study design, research questions and the methodology that we choose.


지식 번역Knowledge translation 촉진

Promoting Knowledge Translation


보건 직업(지식 창조)에서 교수개발에 관한 어떤 논의도 이 분야에서 우리의 연구가 어떻게 우리의 실천(지식 대 행동)에 도움이 될지를 언급하지 않고서는 완료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연구가 실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반대로 실천이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이다[26].

No discussion of research on faculty develop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knowledge creation) would be complete without talking about how our work in this area can inform our practice (knowledge-to-action), as we must ensure that research informs practice – and that practice informs research [26].


이 분야의 지식 번역은 두 가지 관점에서 여전히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다. 우선, 교수개발은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증거를 취해서 그것을 동료들의 실제 행동으로 "전환translate"하면서 지식 번역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될 수 있다.

Knowledge translation in this field remains an urgent priority from two perspectives. On the one hand, faculty development can be perceived as an important means of knowledge translation as we take the available evidence and “translate” it into action for our colleagues.


흥미롭게도, Grahamet al. [27] 요약하자면, 지식을 실천으로 옮기는 데는 7단계가 있다.

Interestingly, as Grahamet al. [27] have summarized, there are seven stages in moving knowledge into practice that include: 


  • 현장의 문제 또는 지식의 Gap을 파악하고, Gap 해결을 위해 실행되어야 할 지식의 식별, 검토 및 선택 

  • 지역적local 맥락에 맞추어 지식을 적응adapting 또는 맞춤customizing

  • 지식 사용의 결정인자 평가 

  • 지식 또는 실천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개입 선택, 조정 및 구현 

  • 실제 지식 사용 모니터링 

  • 새로운 지식 사용의 결과 또는 영향 평가 

  • 새로운 지식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략 결정.

  • identifying a problem in practice, or a gap in knowledge, and identifying, reviewing, and selecting the knowledge to be implemented to address the gap; 

  • adapting or customizing the knowledge to the local context; 

  • evaluating the determinants of the knowledge use; 

  • selecting, tailor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s to address the knowledge or practice gap; 

  • monitoring the knowledge use in practice; 

  • evaluating the outcomes or impact of using the new knowledge; and 

  • determining strategies for ensuring that the new knowledge is sustained.


지식 번역, 즉 지식 구현의 과학에 따르면, 우리는 교수개발 개입을 평가하거나 연구할 의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를 보급하고 교수개발이 "최고의" 가능한 증거를 반영하도록 도울 의무가 있다. 다른 방식으로 교수진 개발은 발견, 통합, 적용 및 교육을 포함하는 일종의 연구활동으로 볼 수 있다[28]. 예를 들어, 발견, 응용, 통합을 통해 가능한 학자적 교육은 두 가지 요소를 필요로한다. 하나는 학술적 활동을 가르침에 적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파하는 것이다.

Knowledge translation, or implementation science, is also important in this field as we have an obligation to not only evaluate or study our faculty development interventions, but also to disseminate our findings and help to ensure that faculty development practices are informed by the “best” available evidence. In different ways, faculty development can be seen as a form of scholarship that includes discovery, integration, application, and teaching [28]. As an example, the scholarship of teaching, which is made possible through discovery, application and integration, entails two components. It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scholarly activities to teaching as well as the effective dissemination of results.


유리크[29]가 말했듯이, "가르침은 그것이 공개될 때 연구가 되고, 동료 평가와 비평을 거쳐야 하며, 다른 학자들에 의해 재현되고 구축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개념은 특히 교육범위에 걸친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를 설계, 구현 및 평가할 때 교육자와 학자들을 한데 모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 학술지의 이번 호와 관련이 있다.

As Glassick [29] has stated, “teaching becomes scholarship when it is made public, is available for peer review and critique, and can be reproduced and built on by other scholars”. This notion of scholarship is particularly pertinent to faculty development and to this issue of the journal, which aims to bring together educators and scholars as they design, implement, and evaluate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across the educational spectrum.




 2017 Oct 16;34(4):Doc49. doi: 10.3205/zma001126. eCollection 2017.

Faculty Development: From Program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Scholarship.

Author information

1
McGill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Richard and Sylvia Cruess Chair in Medical Education, Lady Meredith House, Montreal, Canada.
PMID:
 
29085893
 
PMCID:
 
PMC5654113
 
DOI:
 
10.3205/zma001126


임상의사는 어떻게 교육자가 되는가? 실천공동체 관점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6)

How do clinicians become teachers? A communities of practice perspective

P. Cantillon1 • M. D’Eath1 • W. De Grave2 • T. Dornan2,3





도입

Introduction


임상 교육은 의사로서의 형성formation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계획되지 않은, 무모한, 위협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Irby 1995; Spencer 2003). 임상 교사들은 임상 학습 환경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결정 요인이지만, 대개 그들은 가르치는 역할에 대해 훈련을 받지 않았다(Swanwick and McKimm 2010).

Clinical education plays a vital role in the formation of doctors, but is often characterised as unplanned, haphazard and intimidating (Irby 1995; Spencer 2003). Clinical teachers are critical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yet they are usually untrained for their teaching roles (Swanwick and McKimm 2010).


전통적인 교실 기반 교사 개발 접근방식은 출석률 저하의 문제에 직면해 왔다(Steinert 등). 2009), 또한 부적절한 학습 전이(O'Sulllivan 및 Irby 2011) 및 교사 저항(Dornan et al. 2005)의 문제도 있다.

traditional classroom-based teacher development approaches have encountered problems with poor attendance (Steinert et al. 2009), inadequate learning transfer (O’Sullivan and Irby 2011) and teacher resistance (Dornan et al. 2005).


교수개발 커뮤니티는 임상 작업장에서 더 많은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를 수용하려고 시도함으로써 대응했다(Leslie et al. 2013; Steinert 2012). 그러나 그러한 개입에 필요한 지식은 현저히 부족하다. 즉, '교사가 되는 것'에 대한 지식 '임상교수들이 위치한 전문적/제도적 맥락'의 관계에 대한 지식이 모두 필요하다.(O'Sulllivan and Irby 2011; Hafler et al. 2011; Stupans and Owen 2010).

The faculty development community have responded by attempting to situate more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in clinical workplaces (Leslie et al. 2013; Steinert 2012) but such interventions are being established against a background of a marked lack of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coming a teacher and the professional/institutional contexts in which they are situated (O’Sullivan and Irby 2011; Hafler et al. 2011; Stupans and Owen 2010).


임상의사가 어떻게 임상교사가 되는지에 대한 제한된 연구는 대체로 교사로서의 발달이 개개인의 일intra-individual이라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즉, 교사로서의 지식은 개인의 통찰력과 경험에 대한 해석에 기초한다.

The limited research that does exist on how clinicians become clinical teachers is largely based on the idea that teacher development is intra-individual, i.e. that teacher knowledge is constructed by teachers themselves based on their personal insight and interpretations of experience.


Intra-individual적 관점(Cook 2009; MacDougall and Drummond 2005a, b)으로부터, 임상교사들은 다른 임상 교사 롤모델을 관찰하고 모방할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학습과 교습 경험을 성찰함으로써 교사 숙련도를 개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Irby 1994; Pinskinsky et al. 1998; Pinskinskinsky and Irby 1997; Cook 2009; Cook 2009). 힉스와 맥칼리스터(2007)는 현상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많은 잠재적 자아들(예: 임상의사, 동료, 교사) 사이의 내면적 대화를 통해 교사의 정체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Using an intra-individual perspective (Cook 2009; MacDougall and Drummond 2005a, b) found that clinical teachers develop teaching proficiencies by observing and imitating clinical teaching role models, as well as reflecting on their own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Irby 1994; Pinsky et al. 1998; Pinsky and Irby 1997; Cook 2009).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Higgs and McAllister (2007) found that teacher identity emerges through an internal dialogue between many potential selves (e.g. clinician, colleague, teacher).


이러한 연구들은 임상 교사들이 본질적으로 self-authored임을 시사하지만, 최근 Jippes 외 연구진(2013년)에 의한 의료 교사들의 교육 혁신 채택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교사 발전에 대한 강력한 사회적(즉, 개인간) 결정 요소도 있다고 한다. 그들은 참여자들의 직장 소셜 네트워크 참여 패턴이 교수진 개발 행사 참석보다 교수 관행의 변화를 수용하는 훨씬 큰 예측 변수라는 것을 발견했다(Jippes et al. 2013).

These studies suggest that clinical teachers are in essence self-authored, yet a recent investigation of medical teachers’ adoption of educational innovations by Jippes et al. (2013) suggests that there are also strong social (i.e. inter-individual) determinants of teacher development. They found that participants’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workplace social networks were a much greater predictor of embracing changes in teaching practice than attendance at faculty development events (Jippes et al. 2013).


임상 교사가 되는 것에 대한 intra vs inter individual적 관점은 structure와 agency 사이의 긴장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이는 사회학 연구에 널리 퍼진 개념이다. 

  • Structure는 팀, 조직 및 사회적 규범과 같은 인간 관계의 패턴화된 배치를 나타내는 반면, 

  • Agency은 배우고 행동하기 위한 개인의 자율성을 나타낸다(Baker 2003). 

구조와 기관 사이의 긴장은 사회화 과정이나 개인의 자율성이 개인(예: 임상 교사)이 어떻게 발전하고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하는지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Baker 2003).

The intra versus inter-individual perspectives on becoming a clinical teacher can be characterised in terms of a tension between structure and agency; a concept that permeates social research. Social structure represents patterned arrangements of human relations such as teams, organisations and social norms whereas agency denotes individual autonomy to learn, to act etc. (Baker 2003). The tension between structure and agency may be understood in terms of whether processes of socialization or individual autonomy determine how an individual (for example a clinical teacher), develops and chooses to act (Baker 2003).


주류교육(초중등 교육) 연구자들은 교사 개발을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서, 자신의 개인적 역사, 현재의 조건, 신념, 가치,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영향 사이의 지속적인 대화"라고 설명한다(Carter and Doyle 1996; Carter 1990; Darling-hammond 2009; Va).n Eekelen 2005; Guskey 2002; Hamman et al. 2010; Kelchtermans 1993; Postholm 2012; Rogers and Scott 2008; Marsh 2002a.

in mainstream (primary and second level) education researchers describe teacher development as an ongoing dialogue between teachers’ personal histories, present conditions, beliefs, and values and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influences that surround them at a given place and time (Carter and Doyle 1996; Carter 1990; Darling-hammond 2009; Van Eekelen 2005; Guskey 2002; Hamman et al. 2010; Kelchtermans 1993; Postholm 2012; Rogers and Scott 2008; Marsh 2002a).


교사가 되는 것은 대체로 비공식적이고 암묵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초보 교사들은 그들이 현재 있고 있는 직장 환경에서 무의식적으로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정의된 사고, 발언, 행동 방식]을 습득한다(Marsh 2002b).

Becoming a teacher is thought to be largely informal and implicit (Eraut 2000). Novice teachers unconsciously appropriate histor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defined ways of thinking, speaking and acting from the workplace environments in which they have been and are currently situated (Marsh 2002b).


임상근무지 개념화: 실천공동체 관점

Conceptualising the clinical workplace: a communities of practice perspective


임상 팀은 환자 치료와 임상 학습의 핵심이다(Lingard et al. 2002).

Clinical teams are the nucleus of both patient care and clinical learning (Lingard et al. 2002)


Lave와 Wenger(1991)는 [situated된 언어와 실천]에서 어떻게 역량을 습득하는지를 공동체적 사회 구조에서 설명하기 위해 "실천 공동체" (CoP)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CoP(CoP)는 공통의 목표, 소통, 협상, 의미 도출의 체계와 함께, 말과 행동을 공유하는 방법을 가진 사람들의 그룹이다.

Lave and Wenger (1991) coined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CoP) to explain how becoming competent in situated language and practice occurs in communal social structures. A CoP is a group of people who have common goals, established systems of communication, negotiation, and derivation of meaning, as well as shared ways of talking and doing things.


Lave와 Wenger는 어떻게 신참자newcomer들이 합법적인 실무자가 되며, 어떻게 CoP 내에서 실천(업무)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발달시키는지를 설명했다(Lave and Wenger 1991). CoP는 규범, 기준, 그리고 가치있는 말, 존재, 행동의 방법을 가지고 있는데, 벵거(2010년)는 이를 '역량체제regimes of competence'라고 불렀다. 

Lave and Wenger explained how newcomers become legitimate practitioners and develop their identities within CoPs by participating in practice (Lave and Wenger 1991). CoPs have norms, standards, and valued ways of talking, being, and acting, which Wenger (2010) termed ‘regimes of competence’



'노땅'(예: 선임 컨설턴트)들은 CoP의 역량 체제를 구체화하고, '신임'에게 합법성, 참여 및 구성원 자격을 부여하는 반면, '신임'은 역량체제에 관한 숙련도를 확인하고 입증함으로써 인정을 받는다(Wenger 2010). 특정 CoP가 개인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공동체의 역량체제에 대한 개개인의 책임과 투자에 비례한다(Egan and Jaye 2009; Wenger 2010).

‘Old timers’ (e.g. lead consultants) embody a CoP’s regime of competence and grant legitimacy, participation, and membership to newcomers (Wenger 1998) whilst new entrants gain recognition by identifying with and demonstrating proficiency in the regime of competence (Wenger 2010). The influence that a particular CoP has on an individual’s development is proportional to the individual’s accountability to and investment in the community’s regime of competence (Egan and Jaye 2009; Wenger 2010).


정체성과 실천은 실천 이론의 공동체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체성은 지역사회와 기관에서 "존재의 방식"을 나타낸다. 아이덴티티는 [자아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인식]을 모두 포함한다. (Wenger 2009)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지역사회 또는 기관 내의 역량 제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수행하고 조정하려고 한다(Wenger 1998). 아이덴티티는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결정 요인이다.

Identity and practice are critical concepts in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Identity represents ‘‘ways of being’’ in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Identity incorporates perceptions of self as well as how the self is represented to others (Wenger 2009). Members of a community seek to perform and align their identities in a manner that is congruent with the regime of competence within that community or institution (Wenger 1998). Identity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how people (e.g. clinical teachers), choose to think and act.


CoP 이론의 "실천"이라는 용어는 [공동체에서 반복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이야기, 도구 및 경험의 공유 레퍼토리]를 나타내며, [공동체의 구성원은 이것을 공유하고, 이것과 협상하고, 여기에 기여한다] (Wenger and Wenger-Trayner 2015). 임상교육도 그러한 관행을 중 하나이다.

The term ‘‘practice’’ in CoP theory represents a shared repertoire of experiences, stories, tools and ways of addressing recurring problems that members of a community share, negotiate and contribute to (Wenger and Wenger-Trayner 2015). Clinical teaching represents such a practice.


책무성의 평면

Planes of accountability


모든 COP는 '저니맨'이 충성해야 하는 자체적인 역량체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Wenger 2010), 임상 교사들은 COP에 존재하는 힘과 영향력의 범위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실천공동체는 임상의사가 책무성을 가져야 하는 institution에도 situated되어있다. 그렇다면 임상 교사들은 [공동체 참여]와 [기관에 대한 책임감] 사이에서 일관성 있는 교사 정체성을 어떻게 개발하는가? 벵거(2010년)는 CoP와 기관들이 인간 개발과 학습의 관점에서 어떻게 서로 관련되는지 설명하기 위해 '책임의 평면'이라는 은유를 만들었다. 그는 수직면과 수평면을 묘사했다(그림 1 참조).

Since all COPs have their own regimes of competence, to which ‘journeymen’ must show allegiance (Wenger 2010), clinical teachers have to be able to locate themselves within the fields of power and influence that exist in COPs. Communities of practice are in turn situated within institutions to which clinicians are also accountable. How is it then, that clinical teachers develop coherent teacher identities between their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and accountability to institutions? Wenger (2010) coined the metaphor ‘planes of accountability’ to explain how CoPs and institutions relate to each other in terms of human development and learning. He described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s (see Fig. 1).



수직적 책임기관의 위계구조와 연관되며, 예를 들어 정책, 계약, 규정 및 커리큘럼에 의해 명시된다. 수직평면에서의 책임성은 기관의 구조규범, 가치, 관행의 준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임상의사의 수직적 책임은 'teaching'에 대한 맥락을 제공하는 한 기관과 'clinical teacher'로서의 인정하는 다른 기관에 모두 있을 수 있다. 이것은 '경영상의managerial' 책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Vertical accountability is associated with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institutions and made manifest by, for example, policies, contracts, regulations, and curriculums. Accountability in the vertical plane is about compliance with the structural norms, values, and practices of institutions. So, for example, a clinician’s vertical accountability might be to one institution that provides the context for teaching and another that provides him/her with recognition as a clinical teacher. This can be thought of as a ‘‘managerial’’ accountability.


수평적 책임은 참여자들이 CoP의 역량체제에 어떻게 책임을 지는지를 설명한다. 수평적 책임은 

  • 역량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 공통적으로 인정되는 표준의 적용, 

  • 동료의 구성원 자격 인정

  • 정체성의 구축

...등에 대해여 전문직 동료 사이에 협상을 벌이는 과정에서 작동한다(Wenger and Wenger-Trayner 2015). 이것은 일종의 "전문직업적" 책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Horizontal accountability describes how participants are accountable to a CoP’s regime of competence. Horizontal accountability is operationalised in the negotiation between fellow professionals of what it means to be competent, the application of commonly accepted standards, peer recognition of membership, and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Wenger and Wenger-Trayner 2015). This can be thought of as a ‘‘professional’’ accountability.


이 두 개의 평면은 구조structure와 주체agency의 관점에서 본 연구의 적절한 개념적 틀이다. 

  • 한편으로는 학습과 발전에 대한 사회구조의 기여를 부각시키는 학습의 사회이론이다. 

  • 동시에 CoP 이론은 개인들이 실천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구성원 자격 경험에 부여하는 개인적인 의미와 해석을 인정함으로써, 프레임워크에 개별 주체를 통합한다(Hughes 등, 2007).

It is also an apposit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research from a structure and agency perspective. 

  • On the one hand, it is a social theory of learning which highlights the contribution of social structure to learning and development. 

  • At the same time CoP theory incorporates individual agency within its framework by acknowledging the personal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that individuals attached to their experiences of membership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Hughes et al. 2007).


'임상의사는 어떻게 임상 커뮤니티와 (소속)기관에 대한 책임 속에서 교사의 정체성과 실천을 발전시키고 있는가?'

‘How do clinicians develop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in relation to their accountability to clinical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방법

Methods


인식론적, 이론적, 방법론적 입장

Epistemological,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stance


이 연구는 실천의 사회적 환경 내에서 학습을 주관하는 사회적 구성주의자 기반을 기반으로 한다(Kuper et al. 2008). 그러한 입장에 따라, 연구자들이 (텍스트) 데이터에 성찰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유효한 해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의 개념 체계는 CoP 이론(Wenger 1998)이며, 방법론은 CoP 이론에서 감작적인 개념을 도출하는 구성론적 해석이다.

This research is founded on a social constructionist base that situates learning within the social milieu of practice (Kuper et al. 2008). In line with that stance, it holds that valid interpretations can be reached by researchers’ reflexive engagement with (textual) data. Its conceptual framework is CoP theory (Wenger 1998) and the methodology is a constructivist interpretation, drawing sensitising concepts from CoP theory.


세팅

Setting


이 연구는 아일랜드의 한 의과대학에 인접한 한 교육 병원에서 수행되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 teaching hospital adjacent to a medical school in Ireland.


참여자

Participants


참가자는 상담 의사(국제사)로,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에게 전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수 병원에 계약했다. 그들은 모두 학부 및 대학원 교육에 참여했다.

The participants were consultant physicians (internists), contracted to the teaching hospital to provide specialist medical services to patients attending the hospital. They all participated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education.


설계

Design


표집

Sampling


(표 1 참조). 우리는 남성과 여성의 비례적 포함을 보장하기 위해 최대 가변성 샘플링을 사용했다. 최근에 임명되고 더 확립된 컨설턴트, 커리큘럼 리더, 그리고 학문적 직함이 있든 없든 간에 의사.

(see Table 1). We used maximum variability sampling to ensure the proportional inclusion of males and females; recently appointed and more established consultants; curriculum leaders; and doctors with or without academic titles.


절차

Procedure


잠재적 참가자는 전자우편(첨부된 정보시트 포함)으로 순차적으로 초청되어 참여하였다. 참여에 동의한 모든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현재의 직책에 이르기까지 교사로서 그들의 발전을 촉진시킨 중요한 인물, 사건, 맥락을 강조하는 발달 여정을 완성하도록 요청 받았다. 이 연습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인터뷰를 진행하기 전에 교사로서 그들이 발달해온 주요 특징과 예에 대해 숙고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시간 표시 막대에 언급된 장소, 사건 및 사람은 인터뷰 주제 안내서의 맞춤형 프롬프트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역할 모델, 사회적 맥락 및 랜드마크 형성 이벤트의 영향을 탐구할 때 그러했다. 

Potential participants were invited sequentially by e-mail (with an attached information sheet) to take part. All those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were asked to complete a developmental timeline highlighting the important persons, events, and contexts that influenced their development as teachers from childhood up to their current post. The purpose of this exercise was to ensure that participants reflected on the key features and events of their development as teachers prior to undergoing an interview. Places, events and persons mentioned in the timeline were used as customised prompts in the interview topic guide, particularly when exploring the influence of role models, social contexts and landmark formative events. 


반구조적 인터뷰는 교사의 발전 경험과 맥락을 탐구했다. 인터뷰 일정은 처음에 임상 교사 개발에 대한 이전의 정성적 연구에 사용된 주제 가이드(MacDougall 및 Drummond 2005a, b)에 의해 통지되었다. 그 후, 주제 가이드는 각 교사의 발달 타임라인 내용을 반영하도록 조정하였다. (부록 1의 항목 가이드를 참조하십시오.)

Semi-structured interviews explored teachers’ developmental experiences and contexts. The interview schedule was initially informed by a topic guide used in a previous qualitative study of clinical teacher development (MacDougall and Drummond 2005a, b). Subsequently, the topic guide was adjusted to reflect the contents of each teacher’s developmental timeline. (See topic guide in Appendix 1).


경험이 풍부한 질적 연구자(MD)가 인터뷰를 수행했는데, 참여 의사들이 주임 저자를 의학적 교육에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 알고 있었고, 이것이 그들의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각 인터뷰의 초반부는 참가자들에게 현재의 임상 강의 관행과 교사 정체성의 특징을 설명하고 성찰할 것을 요청했다. 각 인터뷰는 주로 교수들의 교사로서의 발달 여정과 그들이 학습하고, 근무하고, 교육했던 다양한 맥락을 탐구했다.

An experienced qualitative researcher (MD) carried out the interviews because participating physicians knew the lead author as someone interested in medical education and he felt this might affect their responses. The early part of each interview asked participants to describe and reflect on their current clinical teaching practice and features of teacher identity. The major part of each interview explored teachers’ developmental timelines and the various contexts in which they had learned, worked, and taught.


분석

Analysis


    •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반복적인 주기를 이뤘는데, 각 후속 인터뷰 일정은 모든 이전 인터뷰로부터 도출된 새로운 질문과 새로운 질문에 따라 조정되었다. 

    • 텍스트는 템플릿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King and Horrocks 2010). 

    • 우리는 데이터의 초기 공개 코딩에서 파생된 비상 코드와 주제와 분석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개념으로 작용한 실천 이론의 공동체에서 파생된 선행 테마를 사용한 초기 템플릿을 개발했다(Wenger 1998). 

    • PC와 MD는 처음 5개의 인터뷰 기록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 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초기 코딩 템플릿을 사용하여 별도로 작업했다. 

    • Emergent 테마를 식별하기 위해 별도로 일하고 그에 따라 코딩 템플릿을 조정했던 그들은 공통 코딩 템플릿에 동의하기 위해 만났다. 

    • 템플릿은 데이터에서 주요 emergent 주제를 나타내는 최상위 코드와 더 집중되거나 좁은 테마를 나타내는 하위 레벨 코드 계층으로 구성되었다(King et al. 2002; King and Horrocks 2010). 

    • PC는 처음 다섯 번의 인터뷰에 그 기록을 다시 적용하고 나머지 아홉 번의 인터뷰 내용을 분석했다.

    • We employed an iterative cycle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which each subsequent interview schedule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emerging understandings and new questions derived from all previous interviews. 

    • The transcripts were analysed using template analysis (King and Horrocks 2010). 

    • We developed an initial template using emergent codes and themes derived from an initial open coding of the data and a priori themes derived from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which served as sensitising concepts in the analysis (Wenger 1998). 

    • PC and MD worked separately using an initial coding template informed by the a priori themes to analyse the first five interview transcripts. 

    • Having worked separately to identify emergent themes and adjusted the coding template accordingly, they met to agree a common coding template. 

    • The template consisted of a hierarchy of codes grounded in the transcripts with the highest level codes representing major emergent themes in the data and lower level codes indicating more focused or narrower themes (King et al. 2002; King and Horrocks 2010). 

    • PC reapplied the transcript to the first five interviews and analysed the remaining nine interviews.


연구원들은 분석 과정 전후에 성찰 다이어리를 따로 보관했다.

The researchers kept separate reflexive diaries before and during the analytical process.


결과

Results


우리는 참여자의 설명 빈도에 따라 교사들 사이의 일치도를 표 2에 제시한다.

We Illustrate the congruence between teachers espoused identity and practice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participants’ descriptions in Table 2.



수평면

Horizontal (professional) plane


수평면을 지배하는 두 개의 전문 CoP는 임상 팀("회사")와 주니어 의사 커뮤니티("동아리")이다.1

Two professional CoPs, dominated the horizontal plane: clinical teams (‘‘Firms’’), and communities of junior doctors (‘‘Fraternities’’).1


Firms


회사 CoP는 컨설턴트(상급자), 다양한 레벨의 연수생(저니맨 및 신입사원)에서 의대생(공동체의 초보자)까지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참가자들은 어떻게, 회사CoP의 신참자로서, 그들이 지배적인 역량체제에 맞추어 정당한 참여자로 인정받기를 원했는지를 설명했다. 

Firm CoPs had a hierarchical structure from consultants (old-timers), trainees at various levels (journeymen and newcomers), down to medical students (seeking to become novice members of communties). Participants described how, as newcomers to firm CoPs, they sought recognition as legitimate participants by aligning themselves with prevailing regimes of competence. 


수석 컨설턴트와 더 많은 회사CoP의 선임 회원들은 회사 역량체제의 본보기를 보여주었고, 새로 온 사람들에게 합법성과 협상성을 부여했다. 역량체제에 align되어있고 이를 enact하는 것은 학습자와 동료 전문가들에 의해 신뢰할 수 있는 교사로 인식되는 데 있어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Lead consultants and more senior members of firm CoPs exemplified a firm’s regime of competence and bestowed legitimacy and negotiability on newcomers. Being seen both to align with and enact the regime of competence was an essential part of being recognised as a credible teacher by learners and fellow professionals.


회사CoP에는 확립된 규범과 관행에 도전하는 비판적 문화는 결여되어 있었다. 한 참가자가 관찰한 바와 같이:

There was a lack of a critical culture within firm CoPs that might otherwise have challenged established norms and practices. As one participant observed:


바보 같은 질문을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왜 우리가 이런 식으로 하는 거지?'라고 말했으면 좋았을 텐데. 그러나 나는 결코 그렇게 할 자신이 없었다. T12.

I wish I’d asked the silly questions, I wish I had said ‘why do we do it this way?’. But I never had the confidence to do that. T12.


다른 사람들을 비판하거나, 바보처럼 보이거나, 그들 자신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것을 두려워하여 회사CoP 내에서 질문을 하는 것을 피했다.

Participants also avoided asking questions within firm CoPs for fear of appearing to criticise others or look foolish and diminish their own credibility.


두려움 요인이 있다. 잘못 이해할까봐 서로 소통하는 경향이 줄어든다.

There would be a fear factor, you’d be less inclined to interact for fear of getting it wrong T8.


학생들과 연습생들은 보통 범죄를 일으키거나 더 나빠질 것을 두려워하여 선배들에게 질문을 하거나 피드백을 주지 않았다.

Students and trainees did not normally question or give feedback to seniors for fear of causing offence or worse


마찬가지로, 현재 회사CoP 내에는 비판적 문화가 부족하여 학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

Similarly, participants observed that a lack of a critical culture within the firm CoPs that they currently led, made it less likely they would get feedback from students:


아무도 당신에게 말할 배짱이 없을 것이기 때문에 당신이 컨설턴트일 때 피드백을 받지 못할 것이다. ...수령자들은 당신의 부하들이다.... 그리고 그런 맥락에서 나는 그들이 나중에 당신에게 다가와 말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고글리카혈증에 대해 몰랐던 그 소녀에게 좀 심하게 대했구나' T12.

You are not going to get feedback when you are a consultant because nobody is going to have the guts to tell you, … the recipients are your subordinates….and in that context I think it’s hard for them to come up to you afterwards and say ….‘You were a bit hard on that girl who didn’t know about hyperglycaemia’ T12.


참가자들은 또한 power of patronage로 특징지어지는 관계의 맥락에서는, 후배 동료들로부터의 피드백이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Participants also indicated that feedback from junior colleagues was less credible in the context of a relationship characterised by power of patronage.


체면을 보존하는 것은 회사 CoP에서 매우 중요했다. 참가자들은 동료들과 환자들 앞에서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이 줄어드는 것을 피하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설명했다. 이러한 관행은 학습자로서의 그들 자신의 굴욕(신뢰성 상실)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It was very important in firmCoPs to preserve face. Participants described how they would go to great lengths to avoid diminishing themselves or others in front of colleagues and patients. This practice was derived from their own experiences of humiliation (loss of credibility) as learners:


회사 CoP 내에서 체면을 보존하는 것에 대한 참여자들의 우려는, 신뢰도를 유지하기 위한 교육행위로 이어졌다. 이것의 예로는, 학생들의 지식 부족이나 잘못된 인식을 동료나 환자 앞에서 노출시키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질문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Participants’ concerns about preserving face within firm CoPs translated into teaching practices that sought to preserve credibility. An example of this was their careful use of questioning techniques that avoided exposing students’ lack of knowledge or misconceptions in front of peers or patients.


사람들을 겁주거나 잘못 알고 있다고 느끼게 하는 건 아니에요 사실 나는 아마도 다른 생각을 좋게 말하는 편에서 실수를 하거나, 친구나 동료들 앞에서 그들이 부족해 보이지 않도록 그들에게서 다른 생각을 끄집어내거나, 그들에게 점수를 주려고 노력할 것이다 T2

I’d be very conscious of not, intimidating people or you know, making themfeel that they’re getting things wrong. In fact I would tend to probably err on the side of saying okay what else would you think, or try and draw something else out from them or give them an out so that they don’t seem poor in front of their friends or colleagues T2


동아리

Fraternities


동아리는 회사 CoP 내부와 회사 사이에 위치한 주니어 의사 커뮤니티였다. 그들은 회사CoP보다 덜 위계적으로 묘사되었다. 동아리CoP에서의 "선임"들은 훈련생들과 동료 여행자들이었는데, 그들은 회사COP의 오래된 선임보다는 더 유용하고 덜 위협적이라고 여겨졌다. fraternity members사이의 지지/합법화/induction은 가장 오래된 회원들로부터의 폭포처럼cascade 내려왔다.

Fraternities were communities of junior doctors that were situated within and between firm CoPs. They were described as less hierarchical than Firm CoPs. The ‘‘old timers’’ in fraternities were trainees and fellow journeymen, who were regarded as more available and less threatening than old timer consultants in COPs. Support, legitimisation, and induction of fraternity members cascaded from the longest-standing members downwards.


동아리의 멤버쉽은 회원들이 역량체제를 탐색하는 방법회사CoPs 내에서 신뢰를 얻는 방법을 배우는데 도움을 주었다. '동아리' 참여는 모든 참가자들에 의해 교사로서 그들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Membership of fraternities helped members learn how to navigate regimes of competence and gain credibility within firmCoPs. Participation in fraternities was acknowledged by all participants as having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ir development as teachers.


내가 생각하는 최고의 선생님들은 다른 주니어 의사들이었다. 우리는 SHO 및 registrars와 많은 모임을 가졌는데, 그들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었고, 내가 지금껏 기억하는 내게 가장 기억에 남는 수업은 모두 이 모임에 있었다.

The best teachers I think were other junior doctors. We had a great fraternity of SHOs and registrars who would teach us and some of my best teaching moments and some of the things that I remember to this day were along the walls of the corridors T13


회사의 롤모델과 동아리 롤모델

Firm and fraternity role models


참가자들은 교사 정체성과 실습을 위해 생활 템플릿을 제공한 회사 및 동아리 내의 특정 개인 또는 롤모델에 대해 말했다. 롤모델이라는 지위는 회사CoP 또는 동아리CoP에서 [지식성, 사고 속도, 정확성, 진실성, 옹호advocacy 등과 같은] 역량체제의 중요한 요소를 드러낸 개인에게 부여되었다. 롤모델은 역량체제의 특성을 실현하는 사람(영웅)과 반체제적인 사람(빌런)으로 특징지어졌다.

Participants spoke about particular persons or role models within firm and fraternity CoPs who provided them with living templates for their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Role model status was conferred on individuals in terms of their representation of important elements of the regime of competence within firm and fraternity communities such as knowledgeability, speed of thought, accuracy, integrity, and advocacy. Role models were characterised as either embodying (heroes) or antithetical (villains) to regime of competence attributes.


예를 들어 영웅을 설명할 때 한 참가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For example when describing a hero role model one participant said:


롤모델로 여겨지는 사람은, 자신의 임상에서의 실천적 특성을 자신의 교육 행위에도 통합시켰다.

Participants identified with role models and incorporated features of their practice into their own teaching practice.


많은 의사들은 롤모델이 보여주는 전문직업적 특성과 기질을 재현하고reproducing 물려주었다handing on.

Participants described themselves as reproducing and handing on medical professional attributes and dispositions that had been demonstrated to them by role models.


반면, 빌런들은 역량 가치와 원칙의 체제에 반하는 성향과 관행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굴욕적이거나 무관심하거나 무능한 교사들로 묘사되었다. 빌런은 회사CoP의 역량체제와 관련하여 신참자들의 합법성과 인정을 부정함으로써 그들의 권력을 남용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빌런을 경험한 사람들은 자기자신은 그렇게 하지 않으리라는 동기를 부여받았다.

Villain role models, on the other hand, exhibited dispositions and practices that were antithetical to regime of competence values and principles. They were described as humiliating, disinterested, or incompetent teachers. Villain role models were portrayed as abusing their power by denying newcomers legitimacy and recognition in relation to a firm CoP’s regime of competence. Experiences of villain role models motivated participants to do the opposite in their own teaching.


참가자들은 자신을 빌런과는 탈동일시 하였으며, 자신의 임상 팀 내에서 더 나은 교육행위라고 생각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 그 사람들의 경험을 이용했다.

Participants dis-identified with villain role models and used their experiences of such persons to construct what they felt were better teaching practices within their own clinical teams:


수평면을 요약하자면, 참여자들은 두 개의 실천공동체에 책임을 져야 했다. 

    • 회사공동체는 위계적이었고 참여자들은 그들의 교사 정체성과 실천을 그 커뮤니티 내에서의 지배적인 역량과 일치시키도록 강하게 동기부여되었다. 

    • 동아리 공동체는 동료 여행자로 구성되었고, 기업 CoP 내에서 참가자들의 신뢰도를 확립하기 위해 상호 지원을 제공했다.

To summarise the horizontal plane, participants were accountable to two communities of practice. 

    • Firm communities were hierarchical and participants were strongly motivated to align their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s with the predominant regimes of competence within those communities. 

    • Fraternity communities were composed of fellow journeymen and provided mutual support toward establishing participants’ credibility within firmCoPs.


참여자들은 CoP 내의 롤모델에서 도출된 교수 관행의 예를 재현(또는 반박)하여 교사 정체성과 실천을 구성해나갔다.

Participants constructed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s by reproducing (or refuting), examples of teaching practice derived from role models within CoPs.


수직면

Vertical (managerial) plane


참가자들은 두 가지 유형의 기관, 즉 의료 기관(병원 및 클리닉)과 의과대학에 대해 설명했다. 기관들은 [자신의 명시적이거나 암묵적인 목표와 목적]를 위해 [특정 교육 활동과 방향을 권장하거나 제한고자] 관료적이고 계층적인 접근방식을 사용했다. 참가자들은 그들이 교육기관이 가치를 두는 규범과 목표와 관련하여 그들의 교사 정체성과 실천을 협상했다.

Participants described two types of institution in the vertical plane i.e. healthcare institutions (teaching hospitals and clinics) and medical schools. Institutions used bureaucratic and hierarchical approaches to privilege or marginalise particular teaching activities and orientations in relation to the explicit or implicit goals and purposes of the institution. Participants negotiated their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s in relation to what they interpreted as the valued norms and goals of the institutions


의료기관

Healthcare institutions


모든 참가자들은 교육에 가치를 두는 의료 기관에서 장시간 일하고 훈련하는 것을 묘사했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 

    • 임상 작업량 감소, 

    • 교육에 전념하는 시간을 포함하는 계약, 

    • 커리어 progression이 부분적으로는 학생들의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 의존하는 교육적 책임의 문화

All participants described extended periods of time working and training in healthcare institutions where teaching was valued. This manifested itself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 reduced clinical workloads, 

    • contracts that included dedicated time for teaching, and 

    • culture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in which career progression was dependent, in part, on positive student evaluations of teachers. 


참가자들은 교육에 가치를 두는 기관에서 일할 때 강한 교사 정체성의 발전이 있었다고 일관되게 묘사했다.

Participants consistently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strong teacher identities when they worked in institutions for which teaching was a valued activity.


병원들이 가르치는 것이 가르치는 것과 가르치는 것에 대한 그들의 헌신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방법들 중 하나는 교사들이 그들의 교육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One of the common ways that teaching hospitals demonstrate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and teaching quality was to make teachers accountable for their teaching.


당신은 당신이 가르치는 사람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평가될 것이고, 여기에는 학생들을 포함된다. 또한 그 결과에 대해 당신은 피드백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것이 여기서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나는 어떠한 피드백도 받지 못한다.

you would be formally assessed by the people you are teaching, and that includes the students, and that would be fed back to you through the department of medicine, and that doesn’t happen here at all, you don’t get any feedback T8.


[교육을 중시했던 교육기관에 대한 교사들의 책임감]은 그들의 교육행동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다.

Teachers’ accountability to institutions that valued teaching had a marked influence on their subsequent teaching practice.


참가자들은 교육병원이 교육에 가치를 두지 않으며, 대부분의 표준과 정책은 주로 임상 서비스와 처리량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묘사했다. 이는 참가자의 계약, 작업부하, 스케줄에 반영되었다.

Participants described the teaching hospital as one in which teaching was not valued and whose norms and policies were largely focused on clinical service and throughput. This was reflected in participants’ contracts, workloads, and schedules.


참가자들은 교육이 기관의 목표와 부합하지 않는 환경에서 교사들의 정체성이 어떻게 훼손되고 그들이 소중히 여기는 교육적 실천이 어떻게 제약받았는지를 언급했다. 예를 들어, 한 참여자는 많은 수의 환자를 치료해야 한다는 현재의 압력이 [어떻게 학습자들을 참여적 역할보다는 관찰자에게만 국한시키는지]를 설명했는데, 이는 그가 부적절하다고 느끼는 학습의 한 형태였다.

Participants described how their teacher identities were undermined and how teaching practices that they valued were constrained in an environment where teaching was not congruent with institutional goals. For example, one participant described how the current institutional pressure to treat high volumes of patients meant that learners were confined to observer rather than participatory roles; a form of learning that he felt was inadequate.


또한 환자 업무가 교육 업무에 비해 증가함에 따라, 교수로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하게 되었다.

The privileging of patient throughput over teaching also led to teaching behaviours that teachers felt were problematic: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소속된 기관의 암묵적 또는 명시적 목표와 정책과 관련하여 교사 정체성과 교육 행위를 협상했다. 여러 기관 사이를 오가면서, 교사 정체성과 실천은 기관의 규범과 목적에 맞게 재협상해야 했다.

Participants negotiated their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in relation to the implicit or explicit goals and policies of the institutions that they inhabited. As they moved between institutional settings, they had to renegotiate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in line with prevalent institutional norms and purposes.


의과대학

Medical schools


의과대학은 교육병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일상 업무에 있어서 의과대학의 영향력은 다소 멀었다. 참가자들은 의과대학이 부여하는 책임에 대해서 자신들은 무력하다고 규정했다. 예를 들어, 한 교사는 어떻게 그녀의 규율에 더 많은 교육업무가 부과되었는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Whilst medical schoo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eaching hospitals, their influence on the day-to-day work of participants was somewhat more distant. Participants characterised their accountability to medical schools as powerlessness. For example, one teacher spoke about how an increased teaching load was imposed on her discipline:


의과대학과 관련된 교사 정체성은 규정된 교육과정과 교육 작업량을 시행하는 사람이었다. 이는 종종 그들의 교육 신념과 가치에 반하는 행위를 하게 만들었다.

Teacher identity in relation to the medical school was of being a person who implemented prescribed curriculum and teaching workloads despite, at times, having to employ practices that were contrary to their teaching beliefs and values.


새 커리큘럼에서 우리는 많은 소그룹 학습과 많은 didactic stuff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나는 단지 우리가 침상 옆 교육을 희생하면서까지 그래야 하는지 확신할 수 없을 뿐이다. 예전의 커리큘럼에서 최종 의대생들은 병동을 많이 했다.

In the new curriculum I think we have a lot of small group teaching, we have a lot of the didactic stuff, and I’m just not sure if we’ve got it at the expense of bedside teaching. In the old curriculum the final med students were on the wards a lot.


때때로 참가자들은 자신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따르기 위해 의과대학 정책에 대한 그들의 책임에 저항했다.

At times, participants resisted their accountability to medical school policy in order to enact what they felt was appropriate teaching practice.


의과대학에 대한 책임은 학습자의 힘과 자기주장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의해서도 특징지어졌다.

Participants’ accountability to medical schools was also characterised by a common perception of increasing learner power and assertiveness.


확실히 지금 학생들은 매우 도전적이다. 그들은 좀 더 알고 싶어하고 당신이 왜 그렇게 했는지 설명해주기를 간절히 바란다. 나는 내가 훨씬 더 수동적인 학생이었다는 것을 알고있고 오, 그렇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 내 수첩에 적어놓고 그것으로 행복했다.

Certainly the students now are very challenging … they are keen to be involved, keen to know a bit more and keen for you to explain why you did it that way. I know I would have been a much more passive student and said oh that’s how it’s done. Wrote it down in my notebook and been happy with that


수직면을 요약하자면, 교육을 중요시하는 기관들은 강력한 교육자 정체성의 개발을 서포트했다. 반면, 교육을 덜 가치있게 생각하는 기관에서, 교사들은 

  • [그들의 정체성과 실천을 기관의 규범에 맞게 적응시키는 것]과, 

  • [기관에 대한 그들의 책임에 저항하면서 자신의 가치와 신념에 부합하는 교육 관행을 지속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To summarise the vertical plane, Institutions that valued teaching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strong teacher identities. In institutions where teaching was less valued, teachers had to choose between 

  • adapting their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s to fit with institutional norms or 

  • resisting their accountability to such institutions and persisting with teaching practices congruent with their own values and beliefs.


고찰

Discussion


수평면에서의 역량체제는 본질적으로 신뢰성에 관한 것이었다. 임상 교사들은 그들의 교육자로서의 정체성과 실천을 조정하여, 동료 의사들과 학생들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 보이게 했다.

The regime of competence in the horizontal plane (i.e. within clinical communities of practice), was essentially about credibility; i.e. being seen to ‘‘look the part’’ and ‘‘act the part’’ of a competent clinician and educator. Clinical teachers aligned their teacher identities and teaching practices so that they appeared credible to fellow doctors and to students


수직면의 기관적 역량체제(즉, 제도적 규범, 정책, 커리큘럼, 계약)에 대한 책임은 기관의 요구사항에 따르거나 저항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병원 구조가 교육을 가치 있는 것으로 인정하는 경우, 그것은 교육자로서의 주체성을 강화하고, 교육행동을 개선함으로써 더 강한 정체성의 개발을 서포트했다. 병원 문화가 교육을 소외시킬 때, 교육자의 주체성은 축소되며, 교사 정체성과 실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eachers’ accountability to institutional regimes of competence in the vertical plane (i.e. institutional norms, policies, curriculums, contracts), was about the alignment or resistance of teacher agency in relation to institutional requirements. For example, where hospital structure positioned teaching as a valued productivity it enhanced teacher agency and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stronger teacher identities with associated improvements in teaching practice. Teaching hospital cultures that marginalised teaching, diminished teacher agency and had negative effects on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에텔라 ̈펠토 외 연구진(2014년)은 

  • 교사의 주체성teacher agency이 강한 곳에서는 교사의 가치와 신념에 반하는 제도적 디카트(dictats)에 대한 저항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개개인의 주체성individual agency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에서는, 전문가들은 작업장의 구조적 요건에 맞게 자신의 정체성을 맞춤화하는 경향이 있다(Pratt et al. 2006). 

Etela¨pelto et al. (2014) found that, where teacher agency is strong, there is likely to be resistance to institutional diktats that run contrary to espoused teacher values and beliefs. In situations where individual agency is relatively weak, professionals tend to customise their identity to suit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the workplace (Pratt et al. 2006).


이 연구에서 교사 주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요인은 [제도적 규범 및 정책]과 [교사들 자신의 가치와 신념] 사이의 정렬 정도였다.

The factor that appeared to influence the teacher agency most in this study was the degree of alignment between institutional norms and policies and teachers own values and beliefs.


CoP와 실천의 보존

CoPs and the conservation of practice


벵거(2010년)는 배움이란 사회 구조를 생산하고 재현하는 과정이라고 개념화했다.

Wenger (2010) conceptualises learning as a process of producing and reproducing social structure.


위계질서는 일반적으로 CoP와 관련된 용어는 아니지만, 회사CoP는 초보자(학생)', 여행자(주민') 및 선임들의 불평등한 협상가능성으로 특징지어졌다.

Whilst hierarchy is not a term normally associated with CoPs, clinical firms were characterised by an inequality of novices’ (students’), journeymen’s (residents’), and old-timers’ (lead consultants’) negotiability.


CoP 이론에서, 협상가능성은 공동체의 [역량체제에 기여하거나, 역량체제를 형성할 개인의 권리나 힘]을 의미한다(Wenger 1998). 벵거는 협상가능성이란 identification에 의해서 완화된다고 주장한다. Identification이란 [개인이 커뮤니티의 구성원으로 인정받기 위해 얼마나 큰 투자를 해야하는지]이다. 

In CoP theory, negotiability describes the rights or power of an individual to contribute to or shape the regime of competence in a community (Wenger 1998). Wenger argues that negotiability is mitigated by identification: how much an individual person is invested in being recognised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역할 모델은 임상 팀 내의 역량체제에 대한 embodiement or antithetical한 것으로 간주되었고, 신규 참가자가 identify or dis-identify할 수있는 접근가능한 템플릿을 제공했다. 임상 공동체 내의 역량체제와 관련하여, 초심자와 여행자들은 신뢰성을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있었다. 이는 그들이 [인상 관리]를 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로부터 체면을 잃을 수 있는 행동을 회피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Role models were regarded as embodiments or antithetical to regimes of competence within clinical teams and provided accessible templates for newcomers to identify or dis-identify with. Novice and journeymen’s desire to be recognised as credible in relation to the regime of competence within clinical communities meant that they engaged in impression management and avoided actions that might cause them or others to lose face.


이것은 의료 전문 임상 팀 내의 비판적 문화가 결여에 기여했고, 한 세대의 의사로부터 다음 세대의 의사들로 교육행동이 대체로 매끄럽게 재생산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매우 다른 개발 경로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의 교육자 정체성과 실천이 뚜렷하게 조화를 이루는 이유marked congruence를 설명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발견은 또한 교수개발의 효율성을 저해한다고 여겨지는 소위 "교수 개발의 숨겨진 교육과정" (Hafler et al. 2011)의 특징 중 일부를 보여준다.

This contributed to a lack of a critical culture within medical professional clinical teams and is likely to have informed the largely seamless reproduction of teaching practice from one generation of doctors to the next. These findings may go some way towards explaining the marked congruence between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their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 despite their very different developmental pathways. These findings may also represent some of the features of a so called ‘‘hidden curriculum of faculty development’’(Hafler et al. 2011) that is thought to undermin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development initiatives. 


교사로서 발달의 정치학

The politics of teacher development


이 연구에서, 교사들은 그들 스스로가 [기관의 규범에 대한 책임감]과 [CoP에 대한 그들의 충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치 지형에 위치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이는 임상교사가 되는 것은 단순히 성찰과 다중 정체성의 합리화를 통한 self-authoring의 intra-individual process가 아님을 시사한다(Cook 2009; Higgs and McAllister 2007). 이것은 책임의 평면과 관련하여 유능한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한 사회적 과정이다. 여기서 긴급한 교사 정체성과 연습은 정치 지형의 긴장 관계에 대한 교사의 협상을 나타낸다.

In this study, teachers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situated in a political landscape characterised by their accountability to the norms of institutions and their allegiances to CoPs. This suggests that becoming a clinical teacher is not just an intra-individual process of self-authoring through reflection and rationalising multiple identities (Cook 2009; Higgs and McAllister 2007). It is also a social process of becoming recognised as a competent person in relation to planes of accountability, where emergent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represent the teacher’s negotiation of the tensions in a political landscape.


강점, 약점, 적용

Strengths, limitations and applications


우리의 연구는 회사CoP는 기존 관행을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이 때문에 교수개발에서 제안/요구하는 것에 대해 저항하는 장소가 될 수 있지만, 또한 교육에 대한 가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면 교수개발의 목적을 강하게 서포트할 것이다. 

Our research suggests that whilst Firm CoPs appear to conserve existing practice and may thus be sites of resistance to the suggestions of faculty development, focusing on changing the way that institutions value teaching could prove strongly supportive of teacher development goals and purposes.


마찬가지로, 교수진 개발자들이 주니어 의사 동아리는 (기업 CoP보다) 덜 위계적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이 교수개발 이니셔티브 참여로부터 유발된 [새로운 교사 정체성과 실천]에 더 도움이 된다고 간주해야 한다

Similarly, we would also like to suggest that faculty developers should regard junior doctor fraternity communities as less hierarchical than firm CoPs and therefore more conducive for participants to experiment with new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s derived from engagement with teacher development initiatives.




Appendix 1: Topic guide







 2016 Dec;21(5):991-1008. doi: 10.1007/s10459-016-9674-9. Epub 2016 Mar 9.

How do clinicians become teachers? A communities of practice perspective.

Author information

1
Discipline of General Practice, NUI Galway, Galway, UK. peter.cantillon@nuigalway.ie.
2
Discipline of General Practice, NUI Galway, Galway, UK.
3
School of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Netherlands.
4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Queens University, Belfast, UK.

Abstract

There is widespread acceptance that clinical educators should be trained to teach, but faculty development for clinicians is undermined by poor attendance and inadequate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situating teacher development initiatives in clinical workpl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becoming a teacher and clinical workplace contexts is under theorised. In response, this qualitative research set out to explore how clinicians become teachers in relation to clinical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Using communitiesof practice (CoP) as a conceptual framework this research employed the sensitising concepts of regimes of competence and vertical (managerial) and horizontal (professional) planes of accountability to elucidate structural influences on teacher development. Fourteen hospital physicians completed developmental timelines and underwent semi-structured interviews, exploring their development as teachers. Despite having very different developmental pathways,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their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 that were remarkably congruent. Two types of CoP occupied the horizontal plane of accountability i.e. clinical teams (Firms) and communities of junior doctors (Fraternities). Participants reproduced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 that were congruent with CoPs' regimes of competence in order to gain recognition and legitimacy. Participants also constructed their teacher identities in relation to institutions in the vertical plane of accountability (i.e. hospitals and medical schools). Institutions that valued teaching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ies along institutionally defined lines. Where teaching was less valued, clinicians adapted their teacher identities and practices to suit institutional norms. Becoming a clinical educator entails continually negotiating one's identity and practice between two potentially conflicting planes of accountability. Clinical CoPs are largely conservative and reproductive of teaching practice whereas accountability to institutions is potentially disruptive of teacher identity and practice.

KEYWORDS:

Agency; Clinical teacher; Community of practice; Faculty development; Planes of accountability; Structure; Teacher identity

PMID:
 
26961285
 
DOI:
 
10.1007/s10459-016-9674-9


교수개발: 의학교육자가 되는 길(Med Teach, 2012)

Faculty development: On becoming a medical educator

YVONNE STEINERT

McGill University, Canada



그것은 부수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능동적 선택이다... 어떻게 하면 이 일을 더 잘 할 수 있는지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어떻게 하면 그들(학습자)이 최고가 될 수 있을까? 만약 효과가 있다면, 그것을 더 잘 만들 수도 있을까? 만약 그것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왜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것을 더 좋게 만들 수 있을까? Steinert, 2008; 2010

It is not incidental. It is an active choice ... [We need to] ask ourselves how we can do this better ...How can we get them[the learners] to be the best that they can be? If it is working, can I still make it better? If it is not working, why not and how can I make it better? Steinert, 2008; 2010


맥락

Context



참가자의 관점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의학교육자는 자신의 발전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what do we know about participants’ perspectives – and how medical educators view their own development?


이 Practical Application의 목표는 이러한 발견들 중 일부를 제시하고 교육의 전면에 나가있는in the trenches 교육자들의 견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Practical Application is to present some of these findings and to provide the perspective of educators ‘‘in the trenches.’’


이 논의의 목적상, "의학교육자"는 교육, 커리큘럼 설계 및 평가, 교육 리더십과 혁신, 연구와 학술활동을 포함한 광범위한 역할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의학교육자는 [자신의 교육 행위를 개선하고 미래의 의료전문직으로서 학생 교육과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험과 이용 가능한 증거를 사용하여 자신이 하는 일을 적극적으로 성찰하는 개인들을 언급할 것이다(Steinert 2010). 학생과 자신에게서 최고의 것을 이끌어 내려는 열정 역시 자기개발이라는 개념과 연관되어 의학교육자를 정의하는데 중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또한 의학교육을 자신의 커리어 궤적의 결정적 요소로 의식적으로 초점을 두는 것도 중요하다.

For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medical educator’’ will encompass a broad spectrum of roles that include teaching, curriculum design and evaluation, educ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on, and research and scholarship. Moreover, medical educators will refer to individuals who actively reflect on what they do, using experience and available evidence to inform their educational practice and to enha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future health care professionals (Steinert 2010). A passion for bringing out the best in students and themselves, together with a conscious intent to focus on medical education as a critical component of their career trajectory, is also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definition, as is the notion of self-improvement.


일단 여러분이 무형의 것(즉 열정과 헌신, 헌신과 창의성)을 더할 수 있다면, 여러분은 의학교육자가 될 것이다.

You become a medical educator once you add the intangible – the passion and the commitment, the dedication and the creativity ...



활동

Activity


(1) 의학 교육자를 어떻게 정의하시겠습니까?

(2) 어떻게 의학 교육자가 되었는가?

(3) 의학 교육자로서 가장 뿌듯했던 순간을 묘사할 수 있는가?

(4)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5) 그 분야에 입문하는 젊은 사람에게 어떤 충고를 하겠는가?


(1) How would you define a medical educator?

(2) How did you become a medical educator?

(3) Can you describe a moment when you felt most proud as a medical educator?

(4) What do you think are the required competencies?

(5) What advice would you give a young person entering the field?


결과

Results


의학교육자가 되는 프로세스

The process of becoming a medical educator


주요 주제: 

    • 가르치고자 하는 흥미와 욕구

    • 특정한 직무의 책임을 다하는 결과로서 의학교육과 학습을 "하는 것doing"의 가치

    • 멘토와 롤모델의 가치

    • 같은 생각을 가진 개인들의 공동체에 속하는 것

    • 교수개발 기회 참여(예: 워크샵, 교육장학 프로그램)

    • 석박사 학위 (Steinert 2010)

Major themes included: 

    • the interest and the desire to teach, 

    • the value of ‘‘doing’’ medical education and learning as a result of specific job responsibilities, 

    • the value of mentors and role models, 

    • belonging to a community of like-minded individuals, 

    • participating in faculty development opportunities (e.g., workshops, Teaching Scholars Programs), 

    • pursuing an advanced degree (Steinert 2010).


표 1.


흥미롭게도, 몇몇 사람들은 그들이 어떻게 의학 교육자가 되었는지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언제 이 과정이 시작되었는지를 언급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그들이 임상 전 과정에 불만족하게 되었을 때, 의과대학에서 이 과정이 시작되었다는 것에 주목했다.

Interestingly, several individuals also noted that it was not how they became a medical educator that was of interest, but when this process started; for some this process began in medical school, when they became dissatisfied with their pre-clinical courses.


(교육자가 된다는 것은) 교육이라는 안경을 끼고 사물을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다. 이것은 사물을 보는 전혀 방식이다. 

It’s being able to look at things critically with education glasses on. It’s a different way of looking at things ...




인지된 역량

Perceived competencies


이 연구에 참여한 12명의 개인에게 의료 교육자의 핵심 역량을 확인하도록 요청하였다.

The 12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asked to identify core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ors.


교육 기본원리에 대한 지식: 교육적 행위를 이해하는 '새로운 언어'뿐만 아니라 커리큘럼 설계 및 평가, 교육 방법 학습자 평가에 대한 개념

knowledge of basic educational principles, which included concepts of curriculum design and evaluation, teaching methods, and learner assessment, as well as a ‘‘new language’’ by which to understand educational practices, 


교육내용에 대한 지식: 자신의 전공분야의 "마스터"가 되고 임상 전문성을 갖는 것

knowledge of the content being taught, which related to being a ‘‘master’’ of the medical specialty and possessing clinical expertise, 


연구 방법에 대한 지식: 비판적 평가, 정량적 및 정성적 연구 방법, 프로그램 평가 및 "증거 기반" 교육 관행에 초점을 맞춘 

knowledge of research methods, which included critical apprais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rogramme evaluation, and a focus on ‘‘evidence-based’’ educational practices, 


코어 스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 협력적인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과 일하고, "큰 그림"을 보고, 위험을 감수하고, 영감을 주고, "모범적인 방식의 모범을 보이는 것". 이 중 많은 것들은 효과적인 리더쉽의 특징이다(Kouzes & Posner 2002). 

core skills, which included the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work with others in a collaborative fashion, see the ‘‘big picture’’ and take risks, inspire and ‘‘model the way,’’ many of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leadership (Kouzes & Posner 2002); and 


핵심 특성: 열정, 열정, 자부심, 통찰력, 그리고 성찰을 포함. 교육현장에서 가르쳐보는 것, 'informed teacher로서의 기반을 닦은 경험'과 같은 실제 경험도 중요하다.

core attributes, which encompassed passion, enthusiasm, pride, insight, and reflection. Real experience, which referred to ‘‘teaching in the trenches’’ and ‘‘grounded experience as an informed teacher’’ were also identified as critical.


진짜 경험이 있어야 한다...의학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분석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직접 가르쳐야 한다. 현장에 있어야 한다.

You have to have real experience ...You cannot just be doing an analysis of medical teaching. You have to be teaching. You have to be in the trenches.



동료에 대한 조언

Advice to young colleagues


표 2에 요약된 그들의 조언

Their advice, summarized in Table 2


다음이 필요하다

    • 직업 목표를 되돌아보는 것. 

    • 열정과 흥미를 키우는 것. 

    • 교육의 문화에 몰입하는 것

    • 의학 교육 분야에서 advanced 훈련을 추구하는 것

    • 멘토를 구하는 것

the need to: 

    • reflect upon career goals, 

    • nurture passion and interest, 

    • immerse oneself in the culture, 

    • pursue advanced training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nd 

    • find a mentor. 


모험(위험을 감수하기 위해 "뛰어드는 것")의 가치는 의학 교육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기회를 만드는 방식이었고, 동료들로부터 인정받는 방법으로도 확인되었다.

The value of taking chances – and ‘‘jumping in’’ to take risks – was also identified as a way to facilitate new opportunities and recognition by colleagues, as was the benefit of conducting research on medical education.


여행의 본질을 발견하는 방법은 연구이다.

The way you discover the nature of the journey is through research...



Discussion


한 흥미로운 연구에서 힉스와 맥칼리스터(2007)는 언어 병리학자들 사이에서 '임상 교육자로서의 경험'을 연구했고, 그들의 경험이 여섯 개의 상호작용적이고 역동적인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자아 감각(혹은 자아 정체성)

  • 타인과의 관계 감각 

  • 임상 교육자가 됨의 감각

  • 주인 의식, 또는 목적적 행동, 

  • 역동적 자기합치의 추구

  • 성장과 변화의 경험

In an interesting study, Higgs and McAllister (2007) studied the ‘‘experience of being a clinical educator’’ among speech pathologists and discovered that their experiences consisted of six interactive and dynamic dimensions: 

  • a sense of self (or self-identity), 

  • a sense of relationship with others, 

  • a sense of being a clinical educator, 

  • a sense of agency, or purposeful action, 

  • seeking dynamic self-congruence, and 

  • the experience of growth and change.










 2012;34(1):74-6. doi: 10.3109/0142159X.2011.596588.

Faculty development: On becoming a medical educator.

Author information

1
McGill University, Montreal, QC, Canada. yvonne.steinert@mcgill.ca
PMID:
 
22250680
 
DOI:
 
10.3109/0142159X.2011.596588


CBME와 CPD: 변화를 위한 개념화(Med Teach, 2017)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 conceptualization for change

Jocelyn Lockyera, Ford Burseyb, Denyse Richardsonc,d, Jason R. Frankd,f, Linda Snelld,e and Craig Campbelld,g;

on behalf of the ICBME Collaborators





도입

Introduction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의 출현은 대학원 의학 교육을 결과 중심 교육 및 평가 모델로 전환하고 있습니다(Englander & Carracio 2014). CBME 원칙들은 아직 지속적 전문성 개발(CPD)에는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CBME 원칙들이 레지던트 교육에서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본다.

The adven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transforming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an outcomes-driven education and assessment model (Englander & Carraccio 2014). Although CBME principles have yet to be widely adopted i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we posit that they are just as important  as they are during residency training,


평가 활동과 교육적 개입은 상호 의존적이고 상호작용적입니다. 평가 활동도 교육적 개입일 수 있습니다. 특히 피드백이 그러한 활동의 필수적인 부분일 때 더욱 그러합니다.

assessment activit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interdependent and interactive: assessment activities can also be educational interventions, particularly when feedback is an integral part of those activities.


CPD에서 변화해야 하는 이유

The rationale for change in CPD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식 CPD 활동에 참여하는 의사가 참여하지 않는 동료보다 더 나은 치료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Goulet et al. 2013; Wenghofer et al. 2014). 그러나 동시에 또한 공식적인 그룹 학습이 행동 변화와 환자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는 한계가 있다 (Forsetlund et al. 2009). 또한 suboptimal한 의료를 하는 의사는 다음과 같은 경향이 있다. 

  • 격리(연령에 의해 또는 단독 진료로 인해)된 상태로 진료

  • 그들의 전문지식 범위 밖에서 진료

  • 진료 범위에 부합하는 certification이 없음 (Choudhry et al. 2005; Grace et al. 2014).

Although research findings show that physicians who participate in formal CPD activities are more likely to provide better care than their peers who do not participate (Goulet et al. 2013; Wenghofer et al. 2014),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impact of formal group learning on behavior change and patient outcomes (Forsetlund et al. 2009). also physicians identified as practising at a suboptimal level tend to be those who 

  • are isolated (whether by age or by virtue of working in a solo practice), 

  • are practising outside the scope of their expertise, and 

  • do not hold certification congruent with their scope of practice (Choudhry et al. 2005; Grace et al. 2014).


CME는 의사가 진료 영역에서 치료를 제공할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자신의 재량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사의 자기 평가 능력에 대한 알려진 한계를 감안한다면, 역량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Davis et al. 2006; Sarnor et al. 2010; Lockyer et al. 2011) . CPD의 CBME는 이러한 인식의 결여lack를 해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격차gap을 식별하여 지속적인 학습과 이후의 임상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has a vital role to play ensuring that physicians do not rely solely on their own discretion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sufficiently prepared to deliver care in an area of practice. Maintaining competence is challenging, given the known limitations to physicians’ ability to self-assess (Davis et al. 2006; Sargeant et al. 2010; Lockyer et al. 2011) . CBME in CPD has the potential to use to address this lack of awareness and identified gaps to guide ongoing learning and subsequent changes in clinical practice.


또한 의사가 그들의 직업의 과정을 통해 만드는 많은 전환점들도 부정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한 전환점에서는 의사의 역량이 변화하는 진료범위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Lockyer et al. 2014, 2015). 의사들은 필연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몇 번의 전환을 맞게 된다

  • 로운 기술(기술 개발 필요), 

  • 지리적 위치(새로운 문화 및 지역사회 규범에 적응해야 함) 

  • 개인의 요구나 공동체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방향으로 직업을 바꾸는 것.

also the many transitions points that physicians make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can have deleterious physicians effects. At transition it is critical for to assess whether their competence remains aligned to their evolving scope of practice (Lockyer et al. 2014, 2015). physicians inevitably make several transitions in succeeding years in response to new technology (which requires skill development), geographic relocation (which requires adaptation to new cultural and community norms), or the refocusing of a career in a new direction to meet personal or community needs.



CBME를 CPD에 적용하기

Applying CBME to CPD


CBME 자체는 "졸업성과에 근본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사회적, 환자의 필요성의 분석에서 도출된 능력을 중심으로 구성된, practice 준비를 위해 의사를 양성하는 접근법으로서, 시간 기반 교육은 강조하지 않으며 책임, 유연성 및 학습자 중심성이 향상됩니다." (Frank et al. 2010a, 페이지 636).

CBME itself is described as “an approach to preparing physicians for practice that is fundamentally oriented to graduate outcome abilities and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derived from an analysis of societal and patient needs. It de-emphasizes time-based training and promises greater accountability, flexibility, and learner centeredness.” (Frank et al. 2010a, p. 636).


CBME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학습 원리에 기초합니다. 

(1) 교육은 제공되는 인구의 건강 요구에 기초해야 한다. 

(2) 교육 및 훈련의 일차적인 초점은 (교육 시스템의 구조와 과정보다는) 학습자에게 기대되는 성과여야 한다. 

(3) 의사의 형성은 전문지식의 지속적인 발전이며 교육 및 진료의 연속체상에서 원활해야 한다(Frank et al. 2010b; Carracio et al. 2016).

CBME is based on three principles of learning, as follows: 

(1) education must be based on the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s served; 

(2) the primary focus of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the desired outcomes for learners rather than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3) the formation of a physician is a continuous progression of expertise and should be seamless across the continuum of education and practice (Frank et al. 2010b; Carraccio et al. 2016).


CBME는 실무 전반의 전문지식 향상을 지향한다. 그러나, 학부 및 졸업후 의학교육과 비교했을 때, CPD는 평가 및 감독, 피드백과 관련하여 더 개인화되고 덜 구조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일스톤 평가 또는 EPA를 통한 역량 입증이라는] 핵심적 CBME 개념은 CPD의 목표와 쉽게 일치된다.

CBME is oriented toward achieving progression in expertise throughout practice. However, in comparison wi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CPD has been more individualized and less structured with respect to role of assessment and oversight and the feedback. Nonetheless, the core CBME concept of demonstrating competencies of through the assessment milestones or EPAs is easily aligned with the goals of CPD.



의사에게 역량기반 CPD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핵심 요소

Key elements required to support a competency-based CPD model for physicians


현재, 면허증의 재검증, 재인증, 능력 유지 등의 용어가 이 시스템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들은 모두 의사들의 지속적인 전문적 발전을 보장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시스템은 나라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개발되었다.

    • 주로 의료 규제의 실패에 대한 대중의 우려에 대응(영국)

    • 의료 품질 격차 해소 필요성(미국) 

    • 전문직이 Practice에서 competent performance에 대해 헌신하고 있음을 보여줄 필요성(캐나다). 

이러한 각각의 시스템은 그들 자신의 방식으로 투명성과 책임감을 높이고 대중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Currently, the terms revalidation, recertification, maintenanceof competence, and maintenance of licensure are used to describe systems related to affirming th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hysicians. Thes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in different countries, primarily in response to 

    • public concerns regarding the failure of medical regulation(United Kingdom), 

    • the need to address the quality-of-care gap (United States), and 

    • the need for the profession to demonstrate commitment to competent performance in practice (Canada). 

In their own way, each of these systems is designed to promote great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nd to maintain the public’s trust.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최소 세 가지 요소가 있다.

    • 역량 체계: 반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역량에 대한 성찰을 가이드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 실행 범위: 의사의 전문적 역할, 책임 및 업무 맥락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업무별 니즈의 식별을 촉진한다. 

    • 성능 데이터: 개선해야 할 부분을 파악해야 합니다.

As illustrated in Figure 1, there are at least three elements : 

    • the competency framework, which provides the foundation that guides reflection on the competencies that must be maintained in general; 

    • scope of practice,which stimulates the identification of practice-specific needs based on a review of the physician’s professional roles, responsibilities, and practice context; and 

    • performance data, which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1. 더 광범위한 역량 목록. 

CPD에 대한 CBME 접근법은 (임상 전문지식과 직접 관련된 것 뿐만 아니라) 모든 역량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보고 메커니즘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철학적인 변화를 수반할 것이다. 

1. A broader list of competencies. A CBME approach to CPD would entail a philosophical shift in favor of developing data capture and reporting mechanisms for all competencies – not just those pertaining directly to clinical expertise.


2. 실무 전문지식의 진전 

실습을 위한 역량, 이정표 및 EPA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각 전문 분야별로 EPA와 단계별 목표를 기술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2. Progression of expertise in practice. A delineation of competencies, milestones, and EPAs for practice will be needed. Work is required within each specialty to delineate EPAs and milestones within the context of practice.


3. 의료행위의 범위에 따른 정렬 

CBME 접근법은 (practice를 위한 학습의 성과를 입증하기 위해) 의사의 직무 범위와 일치하는 학습 경험을 수행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3. Alignment with scope of practice. A CBME approach would require that learning experiences be undertaken in alignment with a physician’s scope of practice to demonstrate outcomes of learning for practice, including areas of competence.


4. 실습 기반 학습 지원 

Practice에서 학습의 향상은 코칭 및 동료 피드백과 같은 지원을 통해, 의사의 직무에 anchor된 학습 계획을 개발하고 구현할 수 있습니다.

4. Practice-based learning support. Enhanced learning in practice would benefit from assistance such as coaching and peer feedback to develop and implement plans of learning anchored in the physician’s work.


5. 다층적 평가 시스템. 

작업장에서 개인, 그룹 또는 팀의 성과를 포함하는 AOL, AFL 평가 시스템 구축

온라인, 실험실 및 교실 환경과 같은 다양한 맥락에서 지식과 기술의 평가.

5. Multi-level assessment systems. The creation of assessment systems of and for learning will be needed (see Lockyer et al. 2017, in this issue), encompassing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groups, or teams in the workplace as well as assessments of knowledge and skills demonstrated in various contexts, such as online, in the laboratory, and in classroom settings.


6. 보고 체계 

e-포트폴리오 시스템과 같은 보고 구조를 생성하면 의사는 자신의 역량을 계획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추적하고 증명할 수 있다.

6. Reporting infrastructure. The creation of reporting structures such as e-portfolio systems would enable physicians to track and to demonstrate how they are planning and maintaining their competence.



다음 세대의 CPD를 위한 학습활동 변화

Transforming learning activities for next generation CPD


교육적 회의 또는 그룹 학습 활동은 혼합된 대화형 형식과 didactic 형식을 사용하고, 심각하다고 여겨지는 결과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의사 행동 변화 또는 환자 결과 개선에 대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교육적 회의educational meeting만으로는 복잡한 행동을 바꾸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Forsetlund et al. 2009).

Educational meetings or group learning activities that use mixed interactive and didactic formats and focus on outcomes that are perceived as serious may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meetings on changing physician behaviors or improving patient outcomes. However, educational meetings alone are not likely to be effective for changing complex behaviors (Forsetlund et al. 2009).


캐나다의 accredited CPD 활동에 대한 최근 조사는, 그러한 활동이 의사가 행동 변화를 보이도록 증거를 분석하고, 새로운 정보를 평가하고, 학습 활동을 계획함으로써 지식을 실천하도록 준비시키도록 설계되기보다는, 정보를 기억하고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기 때문에 임상 행동 변화를 촉진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L egar e et al. 2015). 쌍방향, 실무 기반 및 종방향인 CPD를 설계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Marinopoulos et al. 2007; Forsetlund et al. 2009).

A recent examination of Canadian accredited CPD activities showed they were not designed to promote clinical behavior change because their focus was on 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instead of preparing physicians to put knowledge into practice by analyzing evidence, evaluating new information, and planning learning activities that lead to behavior change (L egar e et al. 2015). Designing CPD that is interactive, practice-based, and longitudinal is likely to yield better outcomes (Marinopoulos et al. 2007; Forsetlund et al. 2009).


의사들과 교육자들은 새로운 학습 접근법을 채택 및 촉진하고 있으며, 행동의 변화란 의사 특성과 시스템 요인의 영향을 받는 복잡한 과정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Greenhalh et al. 2004). 혁신적인 접근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Physicians and educators are adopting and promoting new approaches to learning, recognizing that changing behavior is a complex process affected by physician characteristics and systemic factors (Greenhalgh et al. 2004). Examples of innovative approaches


    • 정기적으로 만나는 소규모 그룹의 학습 활동. 가족 주치의의 경우, 그룹에게 연습 기반 사례를 처리하도록 돕고 증거 기반 지침 및 기타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무 기반 소그룹 2004년(Herbert et al., Herbert et al.,). 

  Learning activities in small groups that meet regularly.For family physicians, practice-based small groups,guided by a facilitator who assists the group to workthrough practice-based cases, drawing upon evidence-based guidelines and other materials, have demon-strated their effectiveness (Herbert et al. 2004; Armson &Wakefield 2013). 


    • 함께 근무하는 특정 의사 그룹에 초점을 맞춘 라운드 또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라운드는 실제 임상 상황 또는 차트 검토, 관리 데이터베이스, 병리 및 사망률 검토의 성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할 수 있습니다. 목표는 시스템 개선과 함께 자체(개인) 또는 그룹 데이터에 대한 의사 토론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종양 보드는 그 효과를 입증했다(Lamb et al. 2013). 마찬가지로, 팀이 솔루션 및 협업 관리를 논의하도록 하는 전문가 간 학습 활동도 일부 상황에서는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Reeves et al. 2013).

  Rounds and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a specific group of physicians who work together. Rounds may be based on actual clinical situations or on performance data from chart reviews, administrative databases and morbidity and mortality reviews; the objective is to facilitate physician discussion of their own (personal) or group data along with an examination of systems that may need improvement. In this regard, tumor boards have demonstrated their effectiveness (Lamb et al. 2013). Similarly, interprofessional learning activities that bring the team together to discuss solutions and collaborative care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some circumstances (Reeves et al. 2013).


    •   의사가 작업 강사, 마네킹 및 표준화된 환자와 함께 절차 및 기술을 다듬을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활동 및 피드백이 포함된 팀기반 활동(Boet et al. 2014;Magg). 

  Simulation activities that enable the physician to practise procedures and skills with task trainers, mannequins,and standardized patients, as well as participation in team-based activities with feedback (Boet et al. 2014;McGaghie et al. 2014). 


    •   학습자가 자신의 환경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실무 지침에 통합되고 있는 증거, 그리고 폐기된 실습이 효과적이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informed self-assessment 및 SDL 전략을 수립합니다. 여기에는 보다 일상적인 방식으로 질문을 하고 답변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e-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교육 활동과 질문을 기록하고, 실습을 반영하며, 역량을 입증한다(Lockyer et al. 2011; Gordon & Camp; 2013).

  Informed self-assess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that enable learners to scan their environment for new ideas, evidence that is being integrated into practice guidelines, and practices that have been discarded as being ineffective. This may also include asking questions and seeking answers on a more routine basis as well as using e-Portfolios to record educational activities and questions, reflect on practice, and demonstrate competence (Lockyer et al. 2011; Gordon & Campbell 2013).



평가 활동 강화

Enhancing assessment activities


재정 시스템 및 전략에는 고용주 및 정부로부터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의사 회비는 그러한 고품질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너무 어려운 프로그램은 의사에게 너무 어려운 장애물이나 과도한 부담이 될 수 있다. 

Funding systems and strategies will require buy-in from employers and governments; physician dues are unlikely to be enough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uch high-quality programs. The programs cannot be an excessive burden on the physician or a hurdle that is too difficult to cross. 


의사들에게 지속적인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접근법

approaches that can provide physicians with ongoing assessment and feedback


  •   감사와 피드백: 감사와 피드백은 일반적으로 작지만 잠재적으로 중요한 전문적 업무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그 효과는 기준 성과와 피드백 제공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다(Ivers et al. 2012, 2014). 감사에는 의료 기록의 상당히 간단한 검토와 기록된 정보의 표준 비교가 포함되곤 하지만, 더 복잡한 개입 또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북미 이니셔티브에서 미국 의료 대학 협회 품질 프로그램 정렬 및 교육 프로그램은 데이터 소스 정렬을 지원하고 있으며(예: 재무, 품질, 의뢰, 활용 및 환자 중심 결과 연구) 이와 함께 환자 진료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Davis et al. 2013). 

  Audit and feedback: Audit and feedback generally lead to small but potentially important improvements in professional practice. Their effectiveness seems to depend on baseline performance and how the feedback is provided (Ivers et al. 2012, 2014). Although audits can involve fairly simple reviews of medical records and the comparison of recorded information to standards, more complex interventions are also being developed. For example, in North America Initiative the Aligning and the Educating for Quality program of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supports the alignment of data sources (e.g. financial, quality, referral,utilization, and patient-centered outcomes research)with educational program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Davis et al. 2013). 


  •   다중 출처 피드백: 이 유형의 평가는 의사들에게 환자, 의료 동료 또는 동료(예: 간호사, 약사 및 기술 직원)의 관점에서의 관찰 가능한 행동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형의 평가 프로그램은 유효성의 증거를 입증했으며 다양한 임상 및 비임상 영역 측정에서 의사 및 외과의사의 성과에 관한 작은 효과와 큰 효과로 뒷받침된다(Al Ansari et al. 2014).

  Multi-source feedback: This type of assessment provides physicians with data about observable behaviors from the perspective of patients, medical colleagues or peers, and coworkers (e.g. nurses, pharmacists, and technical staff). This type of assessment program has demonstrated evidence of validity and is supported by small to large effect-siz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physician and surgeon performance across different clinical and nonclinical domain measures (Al Ansari et al. 2014).



  • 프로시져 또는 임상 치료를 직접 관찰하고 피드백: 이 접근법은 수술실에서 이미 훈련을 받은 외과의사가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수술실에서 또는 원격으로 그들과 합류할 수 있도록 고급 기술을 개발하는 외과의사에 의해 사용된다(Birch et al. 2007).

  Direct observation of procedures or clinical care with feedback: This approach is used by surgeons developing advanced skills, such that a surgeon already trained in the procedure joins them in the operating room or remotely to provide feedback (Birch et al. 2007).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CPD 시스템 내에서 CBME 접근 방식을 채택하려면 모든 단계에서 문화적 변화와 자원이 필요합니다. 

  • 개인 실무자는 평생 학습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며 임상 성과 데이터를 보고, 성과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며, 이러한 영역에서 역량을 다루는 학습 활동을 조정하는 데 있어 보다 체계적이어야 한다. 

  • 의료 시설 및 의료 시스템의 수준에서는, [의미 있는 임상 작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의사 그룹과 협력할 수 있는 직원의 개발 및 교육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CPD 제공자 조직은 스스로를 학습 촉진자로 인식하고, 리소스를 탐색하고 협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의사 면허를 담당하는 의료 규제 당국]과 [인증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통해 자격 증명을 제공하는 대학들]은 학습 성과 보고 방법 및 역량 입증 방법과 관련하여 현재의 기대expectation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Moving toward a CBME approach within CPD systems will require a cultural shift and resources to effect the changes needed at multiple levels. 

  • Individual practitioners should remain responsible and accountable for their lifelong learning and need to be more systematic in looking at clinical performance data, identifying performance improvement potential, and aligning learning activities to address competence in these areas. 

  • At the level of the health care facility and health care system, attention will have to be paid to the development and training of personnel who can work with physician groups to provide data on a regular basis that is related to meaningful clinical work. 

  • CPD provider organizations need to see themselves as facilitators of learning and to be able to navigate and negotiate resources. 

  •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responsible for licensing physicians, as well as colleges that provide credentials through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systems, will need to change their current expectations with regard to how learning outcomes are reported and how they demonstrate competence.




 2017 Jun;39(6):617-622. doi: 10.1080/0142159X.2017.1315064.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 conceptualization for change.

Author information

1
a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 Calgary , Canada.
2
b Faculty of Medicine,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 St John's , Canada.
3
c Department of Medicine , University of Toronto , Toronto , Canada.
4
d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5
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6
e Centre for Medical and Department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7
g Department of Medicine , University of Ottawa , Ottawa , Canada.

Abstrac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as important i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s at any other stage of a physician's career. Principles of CBME have the potential to revolutionize CPD. Transitioning to CBME-based CPD will require a cultural change to gain commitment from physicians, their employers and institutions, CPD providers,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medicalregulators. It will require learning to be aligned with professional and workplace standards. Practitioners will need to develop the expertise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ir own clinical performance data, identify performance improvement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and develop a plan to address areas of concern. Health care facilities and systems will need to produce data on a regular basis and to develop and train CPD educators who can work with physician groups. Stakeholders, such as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who are responsible for licensing physicians and other standard-setting bodies that credential and develop maintenance-of-certification systems, will need to change their paradigm of competency enhancement through CPD.

PMID:
 
28598738
 
DOI:
 
10.1080/0142159X.2017.1315064


메디컬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 의한 교수개발(Med Teach, 2015)

Faculty development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MOHAMED M. AL-ERAKY1,2, JEROEN DONKERS3, GOHAR WAJID1 & JEROEN J. G. VAN MERRIENBOER3

1University of Dammam, Saudi Arabia, 2Zagazig University, Egypt, 3Maastri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도입

Introduction


전통적으로, 전문직업적 가치와 행동은 역할 모델 (Kenny et al., 2003; Cruess & Cruess 2010)에 의해 가르쳐졌다. 역할 모델의 존재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증진시키는 데 필수적이지만,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사회 경제적 배경을 가진 이질적 학생들이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현재 더 이상 이러한 비공식적 프로세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Swick 등, 1999) . 학습자의 다양성은 어떤 것이 프로페셔널한 것이고 어떤 것이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것인지에 대한 학습자들 사이의 다양한 시각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프로페셔널리즘은 공식 커리큘럼 (Cruess & Cruess 1997)에서 명시 적으로 가르쳐 져야하며, 학부생 (Hesketh 외 2001)과 대학원생 (Batalden 외 2002)의 많은 의학 교육 시스템에 이미 통합되어 있습니다.

Traditionally,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urs have been caught from role models (Kenny et al. 2003; Cruess & Cruess 2010). The presence of role models is essential in promoting professionalism, but this informal process is no longer considered sufficient with the current heterogeneity of medical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medical schools with different social, cultural,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Swick et al. 1999). Such diversity nourishes a full spectrum of views among learners about what is professional and what is not professional in different contexts. Professionalism, therefore, must be explicitly taught in the formal curriculum (Cruess & Cruess 1997), and it has already been incorporated into many medical education systems for both undergraduates (Hesketh et al. 2001) and postgraduates (Batalden et al. 2002).


두 가지 주요 관심사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은 교수진에게 도전적입니다 (Bryden 외. 2010). 첫 번째 우려는 프로페셔널리즘이 맥락-특이적이라는 점이며, 왜냐하면 의료전문직에 대한 특별한 기대에 비추어 사회가 부여하는 특권이기 때문이다(Cruess 2006). 그렇기 때문에 프로페셔널리즘은 문화에 민감하며 모든 프로페셔널리즘에 들어맞는 교육과정은 없습니다 (Ho 외. 2011).

Teaching professionalism is challenging for faculty members (Bryden et al. 2010), because of two main concerns. The first concern is related to the context-specific nature of because it the professionalism, is a privilege granted by society in return of specific expectations from medical professionals (Cruess 2006). That’s why professionalism is sensitive to culture and there is no one-size-fits-all curriculum on professionalism (Ho et al. 2011).


두 번째 관심사는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고 배울 수있는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은 추상적인 개념으로만 가르칠 수 없다 (Steinert 외. 2007). 의사가 해야 할 것과하지 말아야 할 것을 설교하는 강의는 학생들에게 가장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교육으로 판명되었고 ... 모든 학생들을 정치적 올바름이라는 구속복을 입히는 결과가 될 수 있다(Gordon, 342). 더 유망한 접근법은 지식이 진정한 맥락에서 제시 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는 '상황 학습 이론situated learning theory'에 기술되어있다 (Lave & Wenger 1991; Cruess & Cruess 2006; Zink et al. 2009; Birden et al.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를 설명하기위한 일련의 시나리오 (또는 비 네트)를 사용하여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움으로써 토론과 성찰을 촉발시킬 수 있습니다 (Hatem 2003; Boenink et al. 2005; Hill-Sakurai 외. 2008). 프로페셔널리즘을 다룬 네트는 의료 행위의 복잡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Bernabeo 외. 2013).

The second concern is about how professionalism can be taught and learned. The domains of professionalism cannot be taught as abstract concepts (Steinert et al. 2007). Lectures on preaching what doctors ‘‘should do’’ and ‘‘should not do’’ proved to have least educational impact on students and may ‘‘...force all students into the straight jacket of political (Gordon, 342). correctness’’ 2003, p. A more promising approach is described in ‘‘situated learning theory’’, where knowledge needs to be presented in authentic contexts (Lave & Wenger 1991; Cruess & Cruess 2006; Zink et al. 2009; Birden et al. 2013). A set of scenarios (or vignettes) to describe professionalism dilemmas, can be used to trigger discussion and reflection that facilitate learning professionalism (Hatem 2003; Boenink et al. 2005; Hill-Sakurai et al. 2008). Professionalism vignettes reflect the complexities of medical practice and offer opportunities in an open and safe forum to guide students’ learning on un/professional behaviour (Bernabeo et al. 2013).



프로그램 개발

Programme development



방법

Methods


(1) 오리엔테이션 워크숍

(1) Orientation workshop


Table 2.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고 성찰하는 시간

Teachers were invited to share their experiences on professional lapses or moments of deep reflection in their actual clinical practice.


(2) 사례 개발

(2) Vignettes development


After the workshop, authors helped teachers in private meetings to describe critical situations and professionalism dilemmas with relevance to their specialities. Authors and teachers, together, developed multi-dimensional professionalism vignettes that describe real-life scenarios of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practitioners, patients, and colleagues.


(3)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3) Teaching professionalism


Teachers presented the developed vignettes (in written format) to students in their classes and clinical rounds. Teachers and authors, agreed on a preferred learning setting, where the class was divided in small groups of five to seven students. Each group discussed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professionalism dilemma in a particular vignette for 15minutes.


워크숍의 주요 주제

Table 2. Topics for presentations and activities of the workshop.

? 높아지는 프로페셔널리즘의 중요성 

?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쳐야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아라비아 문맥에서 프로페셔널리즘과 그 영역의 문화적 기반

? 보건 전문 교육 커리큘럼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기위한 지침 원칙

? 임상 과학에서의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 기초 과학에서 잃어버린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기회

? 프로페셔널리즘 문제에 대한 성찰을 위한 비네트 사용


 The growing significance of professionalism

 Why professionalism must be taught?

 The cultural basis of professionalism and its domains in the Arabian context

 The guiding principles to inculcate professionalism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urricula

 Teaching professionalism in clinical sciences

 The neglected opportunity to teach professionalism in basic sciences

 Using vignettes for guided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issues


결과

Results


A total of 28 teachers attended the workshop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 medicine (n¼13), nursing (n¼10), applied medical sciences (n¼3), (n¼2). and dentistry. 

After the workshop, authors, and teachers developed a total of 32 vignettes in various clinical aspects, portraying a blend of professionalism dilemmas. Sample vignettes are narrated in Table 3.



학생의 성찰을 유도하기 위한 질문 베터리

Teachers and authors suggested a battery of seven questions/triggers to guide students’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vignettes, as listed in Table 4.


프로페셔널리즘 비네트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기 위한 질문

Table 4. Triggers/questions to guide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vignettes.

* 그 상황에 있다면 어떤 감정이었을지 묘사하십시오.

* 주어진 시나리오의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는 무엇입니까?

* 그 상황에서 당신은 무엇을 할 것입니까? 그리고 왜?

* 귀하의 결정으로 예상되는 결과는 무엇입니까?

* 내가 동료나 환자의 입장이었다면 어떨까요? (역할 교대)

* 이 시나리오를 토론하면서 무엇을 배웠습니까?

* 현실에서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좀 더 준비가 되셨습니까?


* Describe your feelings, if you were in that situation.

* What is the professionalism dilemma of the given scenario?

* What would you do in that situation? and why?

* What are the expected consequences of your decision?

* What if you were in the shoes of the colleague or the patient? (swapping roles)

* What did you learn from discussing this scenario?

* Do you feel more prepared in case if you encounter a similar situation in reality?


프로그램 평가

Programme evaluation


Figure 2.


구조 평가

Construct evaluation


세 가지 원칙

Evaluation of programme construct was planned in view of three main guiding principles in professionalism education: 

(1) 프로페셔널리즘은 아라비아 문화에 맞는 상황에 맞는 토대에서 유도되었는가

(2) 프로그램 디자인은 situated learning theory를 기반으로 하였는가

(3) 참여적 설계 접근법이 프로그램 개발에서 저자와 교사 간의 책임 공유로 나타났는가


(1) professionalism has to emerge from a context-specific foundation that fits the Arabian culture, 

(2) programme design should acknowledge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3) the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 has to be manifested by the shared responsibilities between authors and teachers in programme development.



우리 프로그램이 이미 위의 세 가지 원칙을 충족 시켰음을 확인하는 징후가 있습니다. 

첫째, 프로페셔널리즘의 영역은 아라비아 문맥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다루는 지역 연구에서 유래했다 (Adkoli et al., 2011; Al-Eraky & Chandratilak 2012, Al-Eraky et al. 2013, 2014). Four-Gates 모델 (Al-Eraky 외 2014)에서는 8 가지 전문적 특성이 4 가지 주제 (Gates)에서 후보작으로 선정되었으며, 즉 : 자아 다루기, 작업 다루기, 다른 사람들 다루기, 하느님 다루기 등이 있습니다. 네 번째 문 (하나님과의 교제)은 사회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신앙'은 의사 소통의 초석을 대표하고 건강 관리 전문가 대다수의 사회적 가치를위한 기반을 나타냅니다. 아라비아 문맥에서, 자기 책임 성 및 자기 동기 부여는 각각 아랍어로 'taqwa'와 'ehtesab'로 해석되었다 (AlEraky et al., 2014). 이 연구는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을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인지 기반의 기반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There are indications to confirm that our programme has already fulfilled the above three guiding principles. First, the domains of professionalism have emerged from local studies that addressed professionalism in Arabian context (Adkoli et al. 2011; Al-Eraky & Chandratilak 2012; Al-Eraky et al. 2013, 2014). In the Four-Gates model (Al-Eraky et al. 2014), eight professional traits were shortlisted and coupled in four themes (Gates), namely: 

  • dealing with self, 

  • dealing with tasks, 

  • dealing with others, and 

  • dealing with God. 

The forth gate (Dealing with God) is pertinent to societies, where ‘‘faith’’ represents a cornerstone in communication and the basis for social values for a majority of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In the Arabian context, self-accountability and self-motivation were interpreted as ‘‘taqwa’’ and ‘‘ehtesab’’, respectively, in Arabic (AlEraky et al. 2014). These studies were us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cognitive base of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두 번째로,이 프로그램은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대한 학생들의 성찰을 자극하기 위해 실제 상황에서 이러한 속성과 가치에서 조작화된 SLT를 사용했습니다.

Second, the program used situated learning theory, where these attributes and values were operationalised in real-life situations to stimulate reflection among students on professionalismdilemmas.


셋째, 교사는 오리엔테이션 워크샵 

  • (1 단계)에서 프로페셔널리즘 경험을 공유하고, 

  • 비네트 (2 단계)를 개발하고, 

  • 적절한 학습 환경을 설계하고, 학생들의 반성을 성찰하는 트리거를 제안하였다(3 단계)

Third, teachers contributed with authors throughout programme by: sharing their personal experiences on professionalism lapses during the orientation workshop (step 1), developing the vignettes (step 2), designing an appropriate learning setting, and propose triggers to guide students’ reflection (step 3), as demonstrated in Figure 1.





성과 평가

Outcomes evaluation


Evaluation of programme outcomes was planned as per the Kirkpatrick’s model (1994). The model describes four levels of outcomes: 

  • (1) Reaction (of teachers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 (2) Learning to (which refers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of teachers); 

  • (3) Behaviour (which refers to the change of their teaching practice); and 

  • (4) Results (which refers to impact of the programme on students learning and organisational change).




일반적 고찰

General discussion


맥락-특이적 요소

Context-specific remarks


우리는 정보 제공에 기반한 전통적인 교육 시스템에 익숙한 교수들은 그들의 수업을 통제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 그들은 예를 들어 PowerPoint 나 화이트 보드를 사용하여 고전적 접근 방식으로 지식을 전달할 계획입니다. 선생님들은 자료를 자신들이 보관하고 싶어하며, 대개 세션이 끝날 때 토론이나 설명을 시간은 제한한다. 이것이 초반에 일부 선생님들은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 이유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 내용을 가르치는 데 익숙하지 않았고, 토론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측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찰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할당되었을 때, 세션은 교사와 학생들 모두에게 흥미로 웠습니다.

We noticed that teachers of traditional educational systems, that is based on information provision, like to be in control of their sessions. They plan to impart knowledge in a classical approach, for example, by using PowerPoint or a whiteboard. Teachers are keen to cover the materials in hand and they usually plan a limited period for discussion or clarification, usually at the end of the session. That’s why some teachers admitted that they felt unsecure at the beginning; because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eaching this content area and they could not anticipate the sequence of the discussion. But, when enough time was allocated for reflection, the session turned out to be exciting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다른면에서, 학생들은 매우 상호 작용적인 학습 경험의 형태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준비가되지 않았다고 느꼈습니다. 학생들은 각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서 자신의 결정을 옹호 할 근거를 마련해야합니다. 학생들은 비판적 사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 환자에 대한 공감, 무결성 및 명예, 신속한 의사 결정, 봉사의 범위 존중, 보건 팀의 다른 구성원들과의 협력 등을 배웠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실제 상황이 발생할 때 비슷한 상황을 잘 관리 할 준비가되어 있다고 느꼈다고보고했습니다.

On the other side, students also felt unprepared for the session, because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at form of highly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 Students have to build a rationale to advocate their decisions in each professionalism dilemma. Students listed a number of benefits they learned during sessions regarding 

    • critical thinking, 

    • being accountable for own actions, 

    • feeling empathy to patients, 

    • integrity and honour, 

    • prompt decision making, 

    • respecting the scope of service, and 

    • collaboration with other members of the health team. 

Students also reported that they felt better prepared to manage similar situations, if they would encounter themin real life practice.


비 네트의 사용은 아라비아 문맥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치는 데 특히 가치가있었습니다. 아랍 학생들은 경쟁을 조장하는 교육 환경에서 자랐고, 그들은 보통 하나의 옳은 답변을 찾는다 (Frambach 외. 2012). 그러나 의료 행위는 그다지 간단하지 않고, 불확실성과 모호함으로 가득합니다. 우리는 교사들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칠 때 무엇을 하거나 하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설교'를 하지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 또는 교사는 학생들이 각 프로페셔널리즘 딜레마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요소를 탐구하도록 도와야합니다. 왜냐하면 전문가란 절대적으로 옳은 답을 찾는 사람이 아니라 프로페셔널한 판단 기술을 개발하고, 각각의 상황에서 '가장 적절하고 실현 가능한'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대변하는 사람이어야 하기 때문이다(Coles 2002).

The use of vignettes was particularly valuable to teach professionalism in Arabian context. Arab students have been raised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fosters competition and they usually seek the ‘‘single’’ best answer, as the only truth (Frambach et al. 2012). Medical practice, however, is not that straightforward, but it is full of uncertainty and ambiguity. We advised teachers not to turn professionalism teaching into ‘‘preaching’’ on what or should should not be done. Alternatively,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explore different views and elements on each professionalism dilemma, because in reality, professionals are not supposed to find the absolute correct answer, but develop professional judgement skills and advocate what they think ‘‘most appropriate and feasible’’ action in each situation (Coles 2002).


배운 것

Lessons learned


첫째,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비 네트를 개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실제 상황의 복잡성을 반영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비 네트 1 (표 3)에서 학습자는 의사 (환자), 결석 한 동료 및 간호사 등 4 명의 이해 관계자의 이해 상충을 인정해야합니다.

First, developing vignettes on professionalism is not an easy job. It has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real situations. For instance, in Vignette 1 (Table 3), learners have to acknowledge the conflict of interest of four stakeholders, namely the doctor (self), the patient, the absent colleague, and the nurse.


둘째, 일부 비 네트는 학습자가 자신의 역할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균형 잡힌 삶을 누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 네트 4 (표 3)는 직무와 가족의 책임 사이의 전형적인 긴장을 보여줍니다. 프로페셔널리즘의 가치에 대한 '한계'를 결정하는 것은 학습의 기회였습니다. 모든 미덕은 두 가지 미덕 사이의 중간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극단적 인 애타주의는 손상의 결과와 양심의 가책에 빠지게 할 수 있습니다.

Second, some vignettes can help learners prioritise their roles to enjoy balanced life. For instance, Vignette 4 (Table 3) demonstrates the typical tension between duties and family responsibilities. It was a learning opportunity to decide the ‘‘limits’’ of professionalism values. All virtues are midway between two non-virtues. For instance, extreme altruism can lead to burn-out with the consequences of impairment and lack of conscientiousness.


셋째, 상황마다 세부 정보를 조정하여 단일 비네트를 가지고 다양한 버전으로 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예를 들어, Vignette 1 (Table 3)에서 결석 한 의사가 3 주 대신에 3 개월 동안 머무를 경우 어떻게 될까요? 캐릭터 간의 역할을 바꾸는 것은 같은 비 네트에 대해 다른 시각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Third, we recognised that different versions may evolve from a single vignette by fine-tuning some contextual details. For instance, in Vignette 1 (Table 3), what if the absent doctor will stay away for three months, instead of three weeks? Also swapping the roles among characters may offer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same vignette.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여기에 참여한 교수들은 자신의 코스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을 배우고 가르치는 개인적인 관심에 기반했습니다. 대안적인 접근법은 공식적으로 프로페셔널리즘을 명시적인 결과로 제시하고 교육 및 평가 도구를 정의하기위한 전략을 정의하기 위해 chairperson을 참여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프로그램이 임시 방편을 대표한다고 인정하지만 Steinert et al. (2005)는 전문성에 대한 교수진 개발이 필사적으로 희망하는 교과 과정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The study is not without limitations. The selection of participating faculty members was based on their personal interest to learn and teach professionalism in their courses. An alternative approach may engage chairpersons of departments to define a strategy to officially inculcate professionalism as an explicit outcome and then define tools for teaching and assessment. We admit that our programme represents an adhoc initiative, but Steinert et al. (2005) advocated that faculty development on professionalism can bring about curricular change, which we desperately hope.








 2015 Apr;37 Suppl 1:S40-6. doi: 10.3109/0142159X.2015.1006604.

Faculty development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Dammam , Saudi Arabia .

Abstract

INTRODUCTION:

Professionalism must be explicitly taught, but teaching professionalism is challenging, because medical teachers are not prepared to teach this content area.

AIM:

This study aims at designing and evaluating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 on learning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Arabian context. Programme development: The study used a participatory design, where four authors and 28 teachers shared the responsibility in programme design in three steps: orientation workshop for teachers, vignette development,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o students. The workshop provided the cognitive base on the salient attributes of professionalism in the Arabian context. After the workshop, authors helped teachers to develop a total of 32 vignettes in various clinical aspects, portraying a blend of professionalism dilemmas. A battery of seven questions/triggers was suggested to guide students' reflection.

PROGRAMME EVALUATION:

The programme was evaluated with regard to its "construct" and its "outcomes". The programme has fulfill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its design and it has emerged from a genuine professionalism framework from local scholarly studies in the Arabian context. Programme outcomes were evaluated at the four levels of Kirkpatrick's model; reaction, learning, behaviour, and results.

DISCUSSION:

The study communicates a number of context-specific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Arabian culture with respect to teachers and students. Three lessons were learned from developing vignettes, as reported by the authors. This study advocates the significance of transforming faculty development from the training discourse of stand-alone interventions to mentorship paradigm of the communities of learning.

CONCLUSION:

A three-step approach (orientation workshop, vignettes development,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proved effective for faculty development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professionalismProfessionalism can be taught using vignettes that demonstrate professionalism dilemmas in a particular context.

PMID:
 
25803591
 
DOI:
 
10.3109/0142159X.2015.1006604


교육연구에 초첨을 둔 전국단위 종단 교수개발 프로그램 개발(Teach Learn Med. 2017)

Designing a National Longitudinal Faculty Development Curriculum Focused on Educational Scholarship: Process, Outcomes, and Lessons Learned

Latha Chandrana, Maryellen E. Gusicb, J. Lindsey Lanec, and Constance D. Baldwind






문제

Problem


미국 의과 대학의 clinician educators가 늘어나고, 승진 과정에서 형평성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교수 간 전문성 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커졌다.

With increasing numbers of clinician educators in U.S. medical schools,1 and continuing challenges to give them equity in the promotion process,2 the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such faculty has never been greater.


종단적 경험학습은 성공적인 교수진 개발의 초석이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이 기술을 연습하고 동료 및 멘토로부터 피드백을받을 수 있습니다. 6,9,11-18 많은 FDP은 학술 프로젝트를 요구하며,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이 학습을 적용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멘토링을 받고, 협력 활동에 참여하고, 장래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합니다 .다년간의 FDP는 참가자들이 학업을 계획, 실시 및 보급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기반 경험 제공 목적에 최적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Longitudinal experiential learning has become the cornerstone of successful faculty development: It allows participants to practice skills and receive feedback from peers and mentors.6,9,11–18 Many FD programs require a scholarly project,6,10,12,13,15,16,19,20 through which participants apply learning, develop skills, receive mentoring, engage in collaborative activities,10,20 and lay the groundwork for future scholarship.6,14,16,20 For projectbased experiences, multiyear longitudinal FD programs are optimal9,15,21 because they provide sufficient time for participants to plan, conduct, and disseminate their scholarly work.


FDP가 제공되는 맥락은 그 효용성과 성공에 중요한 요소이다. 8,9,11 

  • 기관 단위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이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 내에서 피어 네트워크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준다 8,12,14,22 또한 공유하고 있는 문제 해결 및 사회적 지원에 참여하게 해준다.6,9,13-15,23,24 

  • 전국 단위 프로그램은 조금 다른 혜택을 제공하며, 참가자는 다양한 전문 지식을 갖춘 공동 기관 및 멘토의 여러 기관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기관 내 협업을 방해하는 silo-based thinking 및 turf(힘싸움)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The context in which a FD program is offered is an important factor in its efficacy and success.8,9,11 

  • Institution-based programs allow participants to develop peer networks within a community of like-minded individuals8,12,14,22 and to engage in shared problem solving and social support.6,9,13–15,23,24 

  • Nationally based FD programs offer these and other benefits;25–28 participants can interact with a multi-institutional network of collaborators and mentors with diverse expertise while avoiding the silo-based thinking and turf issues that sometimes inhibit collaborations within institutions.



개입

Intervention


개요

Overview


The ESP was established in 2006 by the Academic Pediatric Association (APA), a national pediatric organization of more than 2,000 members, including many clinician educators.


The ESP core faculty, who were drawn primarily from the APA’s Faculty Development Special Interest Group, developed, implemented, and refined the curriculum and assessed scholar and program outcomes. The APA provided staff and technical assistance and initial financial support.29


We have recruited multiple longitudinal cohorts of 20–25 scholars for the 3-year curriculum, using a competitive, peer reviewed national application process.


교육과정 설계 원칙
Guiding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


1. 교육 분야 연구라는 핵심 주제는 모든 커리큘럼과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짜여져 있습니다.

2. 우리는 ESP 활동에서 학자와의 모든 상호 작용에서 성인 학습의 원칙을 적용하고, 자기 주도, 관련 생활 경험의 실제 적용 직업 관련 목표 오리엔테이션을 장려합니다.

3. 강의는 적극적인 학습에 초점을 맞추고 학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습득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4. 교육 전문가에 의한 멘토링은 여러 수준에서 프로그램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5. 모든 참가자들은 커리큘럼에서 배울 때 발전하고 진화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학술 원칙을 구현하는 실제 경험을 제공합니다.

6. 동료학자 집단의 지혜동료의 피드백과 지원을 증진시키는 학습 과정에서 가능한 한 많이 사용됩니다.

7. 커리큘럼은 각 참가자에게 강력한 전문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활성화됩니다.

8. 커리큘럼은 참가자와 교수진의 평가와 피드백을 기반으로하는 역동적이고 진화하는 학습 프로그램입니다. 모든 참가자는 지속적인 개선 프로세스에 기여합니다.

    • 1. Our focal theme of scholarship in education is interwoven through all curriculum and program activities.

    • 2. We apply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in all interactions with scholars, encouraging self-direction, practical application of relevant life experiences, and career-related goal orientation in ESP activities.

    • 3. Teaching sessions are focused on active learning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cholars to practice new skills.

    • 4. Mentoring by educational experts is built into the program at several levels.

    • 5. All participants engage in projects that develop and evolve as they learn from the curriculum and provide practical experiences that embody the principles of scholarship.

    • 6. The collective wisdom of the peer group of scholars is used as much as possible in the learning process to promote peer feedback and support.

    • 7. The curriculum is invigorated by the creation of powerful professional networks for each participant.

    • 8. The curriculum is a dynamic, evolving learning program that is based on evaluation and feedback from participants and faculty. All participants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process.



교육과정 요약

Curriculum in brief


The ESP curriculum includes a 1-day teaching session (“ESP Day”) at three successive annual meetings of the Pediatric Academic Societies (PAS). Over 3 years, scholars must complete a mentored scholarly project and produce a project-related, peer-reviewed publication or a peer-reviewed presentation at a national academic meeting (workshop, platform talk, or poster). At graduation, scholars receive a Certificate of Excellence in Educational Scholarship from the APA.


Figure 1 presents an overview of the ESP curriculum.



Table 1 describes how the curriculum’s 12 educational objectives are implemented throughout the program and shows which learning and evaluation tools are linked to these activities.



교수

Faculty


ESP의 지도자들은 APA의 리더십 계급에서 온 경험 많은 교육자입니다. ESP 집행위원회의 4 명의 위원이 APA의 교육 위원장으로 재직하거나 과거에 있으며, 모두가 자국 기관의 교육 지도자입니다.

The leaders of the ESP are experienced educators drawn from the leadership ranks of the APA. Four members of the ESP Executive Committee are present or past Educational Chairs of the APA, and all are educational leaders at their home institutions.


프로그램에 대한 형성평가, 총괄평가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cholars and program


연수생을 지도하고 커리어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모든 학자들은 홈 멘토과 ESP 교수진을 지니고 있습니다. 연차 총회에서 직접 대면하고 정기적 인 전화를 통해 교수진의 프로젝트 및 EP에 대한 자주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ESP Day의 연례 검토 세션과 ISM에 내장 된 전화 상담을 통해 동료들로부터 정기적 인 피드백을 얻습니다.


To guide their scholarly work and support their career planning, all scholars have a home mentor and an ESP faculty advisor. They receive frequent formative feedback on projects and EPs from faculty advisors in face-to-face discussions at the annual meeting and through periodic telephone calls. They get regular feedback from peers at annual review sessions on ESP Day and telephone consultations built into ISMs.


프로세스의 형성 평가를 위해 ESP의 기본 원칙을 기반으로 정기적으로 지속적인 품질 개선을 실시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시작시 총 결과 평가에 대한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접근 방식을 계획했습니다. 양성 평가와 종합 평가 모두 커크 패트릭 (Kirkpatrick)이 개발 한 평가 계층 구조에 기반을 두었습니다. 참여/반응, 학습, 결과, 행동/임팩트


For formative evaluation of process, we conducte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regularly, based on the ESP’s Guiding Principles. In addition, to enable demonstr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we planned a systematic and scholarly approach to summative outcome evaluation at the start of the program. Both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s were based on the hierarchy of evaluation developed by Kirkpatrick: Participation/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Impact.30 



각종 도구들

Tools of the ESP curriculum


학습도구

Learning tools


프로젝트 플래너

FD 참가자의 생산적인 참여는 학술 프로젝트 활동에 의해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멘토링 된 학술 프로젝트는 ESP 커리큘럼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이는 주요 학술적 기술을 가르칠뿐만 아니라 전파 된 제품을 통해 학자의 경력을 향상시키는데도 도움이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프로젝트 플래너를 개발하여 학자들이 프로젝트 계획, 진행 상황 추적, 결과 문서화 및 학습 내용 반영을 돕습니다. 여기에는 다음 섹션이 포함됩니다.


(a) 목적, 이론적 근거 및 교육 의의

(b) 프로젝트 설명 (평가 계획 포함);

(c) 프로젝트 진행; 

(d) 최종 보고서


이 도구는 장래에 학자의 과제와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조정을 거쳤습니다.


Project Planner (Appendix): The literature shows that productive engagement of FD participants is facilitated by an academic project activity. The mentored scholarly project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ESP curriculum because it not only teaches a range of key academic skills but also helps to advance the career of a scholar by means of a disseminated product. We developed the Project Planner to help scholars plan their projects, track progress, document outcomes,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It includes the following sections: 

      • (a) Purpose, Rationale,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 (b) Project Description (including evaluation plan); 

      • (c) Project Progress; and 

      • (d) Final Report. 

This tool has undergone many adjustments over time to address scholars’ challenges and needs.



워크숍 리뷰 패킷

연수생들은 학술 교육자의 주요 활동에 익숙해 지도록 매년 소아과 회의에서 1 년 동안 두 차례의 워크샵에 참석하고 리뷰해야 합니다. 이 도구는 워크샵에서의 학술적 평가에 익숙해지게 한다. 워크샵 검토 패킷에는 총평 평가를 위한 양적 도구, 형성 평가를 위한 질적 검토 도구 및 성찰 활동이 포함됩니다.


Workshop review packet: Scholars are required to attend and review two workshops in their 1st year at the annual pediatric meeting to become familiar with a key activity of the scholarly educator. This tool familiarizes them with scholarly evaluation of workshops. The workshop review packet includes a quantitative tool designed for summative evaluation, a qualitative review instrument for formative evaluation, and a reflection activity.


교육자 포트폴리오

 (MedEdPORTAL : https://www.mededportal.org/publication/626)31에서 제공되는 템플릿은 학자들이 프로그램의 핵심 활동을 하도록 안내합니다. 교육자의 성과를 문서화하기 위해 권장되는 교육 활동의 5 가지 표준 영역을 포함합니다 .32 템플릿은 양적 및 질적 구성 요소 (표 및 간략한 서술)의 조합으로 개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유용한 형식을 제공합니다. 결과 정보 요약은 전형적으로 early career educator를 위한 약 25 페이지이며 나중에 승진, 구직 또는 교육 아카데미 또는 보너스 프로그램 신청에 적합한 간단한 요약 포트폴리오로 요약 될 수 있습니다.


The Educator Portfolio (EP) template (available on MedEdPORTAL: https://www.mededportal.org/publication/626)31 guides scholars in a core activity of the program. It includes the five standard domains of educational activity recommended for documentation of educator performance.32 With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onents (tables and brief narratives), the template provides a useful format for organizing a developmental portfolio. The resulting compendium of information, typically about 25 pages for an early career educator, can later be condensed into a briefer summative portfolio suitable for promotion, job seeking, or application to a teaching academy or award program.


교육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자체 평가

이 도구는 ESP의 교육 과정 목표에 기반을두고 있으며 참가자가 자기 주도 학습을 안내하고 프로그램 리더가 요구 평가 및 커리큘럼 평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자들은 발달 평가 척도로 1 점 (초보자), 2 점 (고급 초보자), 3 점 (유능한), 4 점 (실력), 5 점 (전문)으로 점수를 매 깁니다 .33 자기 평가는 학습자가 자신의 진도를 구조화 된 방식으로 성찰하게 한다 (프로그램 평가의 유틸리티에 대해서는 다음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Self-assessment of educational knowledge and skills: This tool is based on the curricular objectives of the ESP and can be used by participants to guide self-directed learning and by program leaders for needs assessment and curriculum evaluation. Scholars score items on a developmental rating scale: 1 (novice), 2 (advanced beginner), 3 (competent), 4 (proficient), and 5 (expert).33 The self-assessment encourages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progress in a structured way. (See the upcoming section for its utility in program evaluation.)


교육과정 평가도구

Curriculum evaluation tools


등록 연수생에 관한 자료

 Data on enrolled scholars: Standard Microsoft Excel software was used to create a database of scholar recruitment and demographic information, program status (Participation), and graduation data (Behavior).


연수생들로부터 받은 시간-가치 설문

 Time-Value Survey for scholars: This annual questionnaire asks scholars to report time expended versus value received for each program activity over the past 12 months. See Outcomes for details on items and the scoring rubric. Open-ended questions solicit comments on activities of highest/lowest value, how well activities enhanced scholars’ progress toward meeting their goals as an educator, and suggestions for program improvement (Reaction).


교수자들로부터 받은 시간-가치 설문

 Time-Value Survey for faculty: This tool is similar to the scholar questionnaire, but items reflect faculty activities over the past year (Reaction). 


교육지식과 스킬에 대한 자기평가

 Self-assessment of educational knowledge and skills: This tool provides educational value to scholars (see earlier), but the data gathered are also used by the program to assess scholar needs and guide curricular and program improvement (Learning and Behavior).


프로그램 종료시 설문

 End-of-Program Survey: This questionnaire, administered immediately postgraduation, includes six Likert scale items about the effectiveness of major program components, such as small-group interactive activities, individual projects, and faculty role modeling (Reaction and Behavior).


졸업 3년 후 설문

 Three-Year Postgraduation Survey: This questionnaire asks scholars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s on their careers 3 years after graduation. Six Likert scale items, ranging 1 (poor) to 3 (satisfactory) to 5 (excellent), include items such as “the effectiveness of ESP faculty/ scholar interactions in helping you create a professional network” and “the effect of program on your academic advancement at your institution.” An openended comment asks about the scholar’s most significant professional achievement since graduation (Reaction, Behavior, and Results/Impact).



학술성과 평가도구

Scholar outcome assessment tools.


교육포트폴리오 분석툴

 Educator portfolio analysis tool (available at https://www.mededportal.org/publication/1659): This tool was developed by the ESP Curriculum Committee to conduct research-quality evaluations of scholars’ educator portfolios. It contains 30 quantitative or qualitative items that evaluate the five domains of educational activity and six more items that evaluate scholarly activi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ool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34 (Behavior and Results/Impact).


CV분석툴

 CV analysis tool: This tool was adapted from tools used to evaluate FD programs at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20 and the Medical College of Wisconsin.35 It allows quantitative ratings of CV data over time in the areas of publications, presentations, grant funding, other scholarly activities, awards and honors, and leadership/advancement. Available on request, this tool could be used by any FD program to assess participant productivity using CVs (Behavior and Results/Impact).





형성적 프로그램 평가

Formative program evaluation


모집, 유지, 졸업

Recruitment, retention, and graduation


연수생학자군

Scholars


After 10 years, the ESP has enrolled 172 scholars in eight cohorts, with 94 graduates from the first six cohorts (94/122 D 77%). Fifty-five scholars from Cohorts 6, 7, and 8 are currently active in the program (55/172 D 32%). The dropout rate has been 9% across all cohorts (15/172). The rate for failing to graduate is 7% (8/122). Dropouts and failures typically occur because of job changes and/or shifts in career focus, lack of time (despite supervisors’ stated commitment to 10% time protection at enrollment), or personal issues. We recruit 20–25 scholars in 2 out of every 3 years. All cohorts have successfully filled. We manage a group of 40– 50 active scholars at one time, with two cohorts with different starting dates that are taught in parallel.


ESP Scholars across cohorts represent 80 institutions from all geographic regions of the United States. About half are in general pediatrics, one third in pediatric hospital medicine, and the rest in pediatric subspecialties. More than 75% are female, and at the assistant professor rank and about one third hold educational leadership positions in their departments (e.g., residency program director, clerkship, or fellowship director) at enrollment. Approximately 9% come from racial/ethnic minorities.


교수자군

ESP faculty


ESP faculty (roles described earlier) are recruited from the APA membership, which offers a large pool of clinical educators. The number of faculty has increased from 30 to 50 over the 10 years of the program. Faculty recruitment has been trouble-free, and retention is excellent. Currently, more than half of our faculty are program graduates (n D 27).



교육과정의 지속적 개선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1. 교육 학술활동. 10 년 동안 교육 학술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인기가 있지만 주요 문제에서 벗어난 활동을 제거했습니다(예 : 문제 학습자를 다루는 ISM, 교과 과정 개발에 대한 발표). 교수법은 다른 장소에서 일반적으로 가르쳐지기 때문에, 우리는 교육 장학금에 대한 원래의 초점을 유지하기 위해 훈련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전략적 결정을 학자 및 교수진과 공유했습니다. 우리의 모든 커리큘럼 노력에서 학술적 접근 방식을 모델링하는 것이 우리 졸업생들에 의해 인식되고 평가되었습니다.

1. Scholarship in education. Over the 10 years of the program, we enhanced our focus on educational scholarship, eliminating activities that were popular with scholars but distracted from our main focus (e.g., an ISM on dealing with problem learners, a presentation on curriculum development). Because teaching skills are commonly taught in other venues, we disciplined ourselves to maintain our original focus on educational scholarship. We have shared these strategic decisions with scholars and faculty role modeling of a scholarly approach in all our curricular efforts is noticed and appreciated by our graduates.


2. 성인 학습의 원리. 성인 학습자로서 학자들은 자신의 프로젝트 및 경력 개발과 관련이 있고 적극적인 실천을 제공하는 활동을 주장했습니다. 가능할 때마다, 커리큘럼 과제 및 실습 활동은 참가자의 관심과 필요에 맞게 개별화됩니다. 연수생학자들은 반복적으로 "적극적적 실천"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했습니다.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급 교수진의 시간 제약으로 인해 모든 과제 (예 : 워크샵 리뷰 및 ISM 반영)에 대한 자주적이고 상세한 피드백 제공이 제한됩니다. 실습 과제의 범위를 줄이기보다는 프로젝트 및 교육자 포트폴리오와 같은 최고 학술적 가치의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2.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As adult learners, scholars have insisted on activities that are relevant to their projects and career development and provide for active practice. Whenever possible, the curricular assignments and hands-on activities are individualized to match participant interests and needs. Scholars have repeatedly asked for feedback on all of their “active practice” work. Despite our best efforts, time constraints of our unpaid faculty limit our provision of frequent, detailed feedback on every assignment (e.g., workshop reviews and ISM reflections). Rather than curtailing the range of hands-on assignments, we have focused our feedback on assignments of highest scholarly value, such as projects and educator portfolios.



3. 적극적 학습. ESP Day 세션에 대한 학자 피드백의 끊임없는 주제는 직접 참여한 동료 상호 작용을 촉진하고 didactic 학습에 소요 된 시간을 줄이는 것이 었습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우리는 ESP의 날을 앞두고 더 많은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동시에 우리는 대면과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많은 커리큘럼 활동을 수정하여 피어 투 피어 피드백에 대한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는 소그룹의 실무 연습을 더 많이 포함 시켰습니다.

3. Active learning. A constant theme of scholar feedback on ESP Day sessions has been to promote hands-on peer interactions and reduce time spent on didactic learning. In response, we have provided more information through readings in advance of ESP Day. Simultaneously, we have modified many of our curricular activities, both face-to-face and online, to include more hands-on practice in small groups with ample opportunities for peer-to-peer feedback.


4. 멘토링. 우리는 모든 학자에게 양질의 멘토링을 제공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수생은 자신이 선택한 홈 멘토와 함께 ESP에 가입하여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ESP 교수진 고문을 배정받습니다. ESP 교수진은 프로젝트 및 경력 개발 관련 조언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분산 된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상호 작용을 품질 및 빈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어렵지만 학술 프로젝트 성공에는 중요합니다. 멘토와 어드바이저의 노력을 보완하기 위해 우리는 ESP 교수진이 프로젝트 재집중, 수정 또는 대체에 도움이 필요하면, ESP 교수진 외 다른 전문가로부터 추가 코칭을 받기가 어려운 학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이러한 과정을 공식화했습니다.

4. Mentoring. We have been successful in providing every scholar with high-quality mentorship. Scholars join the ESP with a self-selected home mentor to support their project, and they are assigned an ESP faculty advisor, who offers additional support for their projects and career development advice. Monitoring these interactions for quality and frequency is difficult in a dispersed program but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scholars’ projects. To supplement the efforts of mentors and advisors, we have formalized a process for scholars in difficulty to receive additional coaching from other experts on the ESP faculty, should they need help in refocusing, revising, or replacing their project.


5. 학술 원칙을 구현 한 실제 경험. 학술 프로젝트 작업은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학자 시간을 소비하며,이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은 교수진 및 프로그램 리더의 노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리는 프로젝트 플래너를 반복적으로 개선하여 학자들에게 그들의 프로젝트를 개념화, 구현 및 평가하는 데 필요한 구조를 제공하고, 처음 ESP의 첫날 전에 플래너의 첫 번째 초안을 완성합니다. 프로젝트에 어려움을 겪은 학자들을 위해 우리는 학자들이 졸업 요건을 성공적으로 채울 수 있도록 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지원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했습니다.

5. Practical experiences that embody the principles of scholarship. Working on scholarly projects consumes the most scholar time in the program, and supporting these projects takes the most effort from faculty and program leaders. We have iteratively improved our Project Planner to provide scholars with the structure they need to conceptualize, implement, and evaluate their projects, and they now complete the first draft of the planner before their first ESP Day. For scholars who experience project challenges, we have continually improved our system of project monitoring and support so that scholars have every chance to succeed in meeting graduation requirements.


6. 동료 의견 및 지원. 학자들은 프로그램에서 다른 것만큼이나 피어 학습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모든 학자와 교수진은 6 명의 학자와 3 명의 교수진으로 구성된 학술 프로젝트 그룹으로 구성되어 긴밀한 상호 작용을 촉진합니다. ESP의 날에, 우리는 이제이 그룹들이 프로젝트 공유, 피드백 및 지원을 만나고 참여할 수있는 연장 된 시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모든 ISM에 동료 상담이 추가되었습니다.

6. Peer feedback and support. Scholars value peer learning as much as anything else in the program. Hence all scholars and faculty advisors have been organized into scholar project groups of six scholars and three faculty to facilitate close interactions. On ESP Day, we now provide extended time for these groups to meet and engage in project sharing, feedback, and support. In addition, peer consultations have been added to all ISMs.



7. 전문 네트워크. 우리의 학습자는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지만, 그들은 서로간에 그리고 교수진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광범위한 전문 네트워크를 개발하고자합니다. 우리는 ESP Day 학습 그룹을 긴밀한 관계를 장려 할 수있을만큼 작게 유지하면서 네트워킹을 원활하게 할뿐 아니라보다 폭 넓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장려하기 위해 intercohort 아침 식사와 리셉션을 사용합니다. 우리는 학자들의 첫 ESP의 날에 앞서 친숙한 상호 작용을 통해 최근의 코호트 온라인 활동을 소개했습니다. 과거 졸업생들의 일부는 연례 미팅에서 매년 사회적으로 만나고 전화 회의를 통해 연락을 유지합니다. 졸업생들은 현재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해 동창회를 만들 계획입니다.

7. Professional networks. Our learners are geographically dispersed, but they want to network with one another and with faculty to develop a broad professional network. We facilitate networking by keeping the ESP Day learning groups small enough to encourage close relationships but also use intercohort breakfasts and receptions to encourage broader social interactions. We have introduced for recent cohorts online activities with getting-to-know-you interactions before the scholars’ first ESP Day. Some groups of past graduates meet socially each year at the annual meeting and/or stay in touch by conference calls. Graduates are now planning to create an alumni association to maintain their networks.



8. 역동적이고 진화하는 학습 프로그램. 지난 10 년 동안의 ESP 개발은 구현, 평가, 정제 및 재평가의 지속적인 사이클이었습니다. 우리는 교수진과 학자들과 직접 대면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어떤 것이 잘 작동하며,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대한 인상을 공유하고 지속적으로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모색했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을 향상 시켰을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구현 작업을 흥미롭고 도전적으로 유지했습니다.

8. Dynamic, evolving learning program. Development of the ESP over the past 10 years has been a continuing cycle of implementation, evaluation, refinement, and reevaluation. We have consulted with faculty and scholars face-to-face and via surveys, shared within the leadership team our impressions of what is working well and what needs improvement, and sought innovative solutions to persistent problems. This process has not only improved the program but also kept the task of program implementation interesting and challenging.


총괄적 프로그램 평가

Summative program evaluation


연수생의 프로그램 가치평가

Scholars’ assessments of program value


Table 2 presents data from Time-Value Surveys for 2006 and 2007 combined and for 2008. As would be expected, scholars generally devoted the most time to the activities that they considered the most valuable (and the opposite). Scholars attributed highest value to their scholarly projects and educator portfolio. Scholars’ overall ratings of the program show that effort expended and value received were equivalent.




Table 3 shows samples of written comments on the 2006–07 Time-Value Survey for scholars.





교수자의 프로그램 가치평가

Faculty assessments of program value


Table 4, faculty in 2007 and 2008 placed most value on their face-to-face work with scholars and teaching at the annual meeting.



CV분석 기반 연구성과

Scholar outcomes based on CV analyses



커크패트릭 모델에 기반한 프로그램 평가 요약

Summary of program evaluation data using Kirkpatrick’s model


Our previous publications have shown that at Kirkpatrick’s Behavior level, scholars after program completion not only disseminated their project results but also continued their productivity and took on new institutional roles.36,37 Our longitudinal outcomes data for Cohort 1– 4 show significant self-reported increases in productivity, leadership, and advancement.37


Finally, at the Results/Impact level, we found evidence in scholars’ postgraduation survey responses of new national leadership roles. Their CVs showed continued scholarly dissemination through publications and presentations, which testifies to their active engagement with the national community of educators.29 Areas of strength observed in scholars’ careers coincide with the program’s thematic emphasis on scholarship and dissemination.29,37



강점과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배운 점

Lessons learned


1. 교육 학술활동을 증진하는 것이 우리의 주된 목표였습니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발달 적이며 통합 된 커리큘럼을 창출하고 학습을 강화하고 노력 확산을 피하기 위해 명확한 초점을 유지하는 가치를 배웠습니다.

1. Promoting educational scholarship was our primary goal. To achieve that goal we learned the value of a creating a developmental and integrated curriculum and of maintaining a clear focus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and avoid diffusion of effort.




2. 일련의 guiding principles에 기반하여 커리큘럼 계획을 시작함으로써 우리 팀은 합의한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가치와 전략에 몯루할 수 있었으며, 신중하게 프로그램 개선을 할 수 있었다..

2. Starting curriculum planning with a set of guiding principles has helped our team focus on core values and strategies to achieve agreed-upon goals and thoughtfully plan program improvements.




3.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품질 향상이 필수적이었습니다. 학자 및 교수진의 형식적인 평가 데이터는 변화하는 필요에 대응하여 이러한 노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3.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was essential to maximize the value of our program for participants. Formative evaluation data from scholars and faculty helped to keep these efforts responsive to their changing needs.




4. 성공적인 커리큘럼은 건전하고 원칙적인 디자인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자신의 노력을 계획하고 구성하고 문서화하는 데 도움이되는 잘 구축 된 교육 도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도구의 출판 또한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직업 자산으로 판명되었습니다.

4. We found that a successful curriculum needed not only a sound and principled design but also wellbuilt educational tools to help learners plan, organize, and document their efforts. Publication of these tools also proved to be a career asset for programfaculty.




5. 모든 고급 학습자는 실용적이고 적절한 방식으로 학습을 적용 할 수있는 기회를 원합니다. 주니어 교수진 교육자에 대한 집중적 인 압박을 감안할 때, 우리 학자들은 특히 기관 기반의 책임을 이행하고 동시에 ESP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가정 기반의 학술 프로젝트에 동기를 부여 받았습니다.

5. All advanced learners want opportunities to apply their learning in practical and relevant ways. Given the intensive pressures on the time of junior faculty educators, our scholars were particularly motivated by home-based scholarly projects that helped them fulfill their institutional responsibilities and simultaneously meet ESP requirements.



6. 우리 학자들은 그들이 프로그램 교수진 배운 것 만큼이나 서로에게서 많이 배웠다고 우리에게 말했습니다. 프로젝트와 워크샵을 통한 동료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시각을 넓히고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며 사회적지지를 얻을 수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6. Our scholars told us that they learned as much from one another as they did from program faculty. Peer networking around projects and workshops gave them opportunities to expand their perspectives, solve practical problems, and obtain social support.



7. 우리는 최선의 일을하기 위해서는 교수자들도 학습자처럼 지지 공동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교수와의 상호 작용을위한 정기적 인 기회를 창출하는 것은 특히 공동 작업이 학문적 가치를 지닌 제품을 생산할 때 프로그램을 번창시키는 데 중요했습니다.

7. We learned that faculty, like learners, need a supportive community to do their best work. Creating regular opportunities for faculty interaction was critical to making the program thrive—especially when their collaborative work produced products of academic value.



8. 우리는 3 년간의 프로그램 기간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학술 프로젝트의 완성 및 보급을 가능하게하고, 강력한 멘토링 관계를 구축하고 학자 간의 네트워킹을 강화할 시간을 제공했습니다.

8. We found that the length of our 3-year program benefited scholars in several ways: It made possible completion and dissemination of a scholarly project, provided time for the building of strong mentoring relationships, and enhanced networking among scholars.




10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리는 학술활동에 초점을 두고, 교육 기술 관련 내용은 축소했으며, 주요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통합을 강화했고, 연수생의 성공 및 프로그램 사명을 증진시키기위한 커리큘럼 도구를 개발했고, 교수진 성장 및 협력에 대한 지원 개선에 초점을 맞추 었습니다.

Over 10 years, We increased the focus on scholarship and decreased content related to teaching skills, enhanced integration of key program components, developed curricular tools to promote scholars’ success and the program’s mission, and improved our support for faculty growth and collaboration.





 2017 Jul-Sep;29(3):337-350. doi: 10.1080/10401334.2017.1282370. Epub 2017 Mar 2.

Designing a National Longitudinal Faculty Development Curriculum Focused on EducationalScholarshipProcessOutcomes, and Lessons Learned.

Author information

1
a Academic and Faculty Affairs, Stony Broo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Stony Brook , New York , USA.
2
b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Educational Affairs , University of Virginia School of Medicine , Charlottesville , Virginia , USA.
3
c Department of Pediatrics , Children's Hospital Colorado and the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 Aurora , Colorado , USA.
4
d Department of Pediatrics ,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 Rochester , New York , USA.

Abstract

PROBLEM:

Clinical educators at U.S. academic health centers are frequently disadvantaged in the academic promotion system, lacking needed faculty development, mentoring, and networking support.

INTERVENTION:

In 2006, we implemented the national Educational Scholars Program to offer faculty development in educational scholarshipfor early career educators in pediatrics. We aimed to provide them with skills, experience, and initial success in educational scholarship and dissemination. The 3-year curriculum is delivered in interactive sessions at the annual pediatric academic meetings and online intersession modules. Curriculum content progresses from educational scholarship and implementing scholarly projects to dissemination and professional networking. Intersession modules address project planning, building an educator portfolio, reviewing the literature, using technology, authorship, and peer review. Concurrently, all scholars must complete a mentored educational project and demonstrate nationaldissemination of a peer-reviewed product to obtain a Certificate of Excellence in Educational Scholarship.

CONTEXT:

The setting of this study was a nationallongitudinal, cohort-base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built within the Academic Pediatric Association, a 2,000-member professional organization.

OUTCOME:

In 10 years, the Educational Scholars Program has enrolled 172 scholars in 8 cohorts; 94 have graduated so far. We describe how formative evaluation guided curriculum refinement and process improvement. Summative evaluations show that faculty and scholar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Participant outcomes from Cohort 1, assessed at Kirkpatrick's four levels of evaluation, demonstrate increases in scholarly productivity, leadership activities, and academic promotions.

LESSONS LEARNED:

Curriculum building is a dynamic process of ongoing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ur program benefited from designing an integrated and focused curriculum, developing educational principles to guide program improvements, creating curricular tools to help learners organize and document their efforts, supporting project-based learning with expert mentoring, and facilitating peer and facultynetworking and collaboration. A nationallongitudinal faculty development program can support growth in academic knowledge and skills, promote professional networking, and thereby enrich educators' career opportunities.

KEYWORDS:

Educational scholarship; cohort-based; curriculum developmentfaculty developmentlongitudinal program; national

PMID:
 
28632010
 
DOI:
 
10.1080/10401334.2017.1282370


변화하는 헬스케어 환경이 의과대학 교수의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Acad Med, 2006)

The Impact of the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o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Faculty at Four Medical Schools

Barbara A. Schindler, MD, Dennis H. Novack, MD, Diane G. Cohen, Joel Yager, MD,

Dora Wang, MD, Nicholas J. Shaheen, MD, MPH, Phyllis Guze, MD,

LuAnn Wilkerson, EdD, and Douglas A. Drossman, MD





"위기"란 용어는 수년간 미국 의료의 상태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카이저 재단 (Kaiser Foundation) 국가 연구에서 의사의 대다수는 최근 몇 년간 사기가 줄어들 었다고보고했습니다. 루드 메러 (Ludmerer)는 Time to Heal에서 정부 및 민간 자원으로부터의 기금 삭감, 연구에 대한 강조의 증가, 임상 수입 창출의 압력으로 인해 학술 의료 센터 및 의과 대학에서의 교육이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The term “crisis” has been used to describe the state of American medical care for a number of years. In a Kaiser Foundation national study, a majority of practicing physicians reported that their morale had waned in recent years.2 Ludmerer, in Time to Heal,3 argues that teaching in academic medical centers and medical schools is in serious jeopardy because of 

  • decreasing funds from governmental and private sources, 

  • increasing emphasis on research, and 

  • pressure to generate clinical revenues.


경제적 불확실성과 동료의 감소는 신체적, 정서적 이환율 증가 및 교수의 과도한 사망률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자리 손실과 재정적 불확실성은 건강에 대한 악영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의사와 거주자의 "번아웃"과 의사의 건강 및 환자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Financial uncertainty and colleague attrition, appeared to contribute to increased physical and emotional morbidity and seemingly excessive mortality among faculty. Job loss and financial uncertainty have been implicated in adverse effects on health.5–7 There is a growing literature on “burnout” among physicians and residents and its effects on physicians’ health and patient care.8–11


방법

Method


By modifying the survey instrument used in 1984 by Linn et al.14 the authors developed a 136-ite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was distributed to four medical schools: one private, three public, located in the east, the southwest, and the western part of the United States with interested researchers, representing a diversity of geographic locations, practice patterns, and revenue streams.


We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which took approximately 20 minutes to complete, to all 3,519 clinical and basic science faculty members employed at least half-time by the four schools between August 2000 and November 2001 in up to three mailings. The questionnaire was to be answered anonymously but included questions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sex, marital/partner status, number of children, religiosity, race, employment data, and discipline. 


We included three scales used in the 1984 study: 

  • a revised 16-item work satisfaction scale (the Physician Job Satisfaction scale [PJSS], a five-point scale where 1  “very dissatisfied” and 5  “extremely satisfied”),14 

  • the 10-item Rand Anxiety scale (a six-point scale where 1  “never” and 6  “always”),15 and 

  • a nine-item Life Satisfaction Scale (LSAT, a seven-point scale where 1  “terrible” and 7   “delighted”).16 

We added to the questionnaire measure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medications use, behavioral response to stressors, and perception of institutional health. 


We also included 

  • Revicki’s 18-item Work- Related Strain Inventory (WRSI, a four- point scale where 1  “applies” and 4   “does not apply”),17 and 

  • the 2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 three-point scale where 0  “rarely” or “none of the time” and 3  “most” or “all of the time”).18


사회인구학적 특성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결과

Results


근무 특성

Work characteristics



신체 및 정신 건강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CES-D (Centre for Epidemiology Study Depression Scale) 368 (20.5 %) 교수는 임상 우울증 (16 점 이상)과 일치하는 증상을 보고했다 .20이 측정에 따르면 CES- 231 명 (19.8 %)의 남성과 137 명 (22.3 %)의 여성이 16 점 이상 (p. 05)으로 우울 증상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응답자가 자기보고 된 증상을 사용했을 때, 132 (21 %) 명의 여성이 남성 (11.0 %)에 비해 지난 5 년간 "우울증"을 경험했다고보고했다. 젊은 교수 (27-35 세)는 (평균 점수 11.23) 시니어 교수(56-65 세)보다 CES-D 점수가 높았다 .

Us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y Study Depression Scale (CES-D), 368 (20.5%) faculty reported symptoms consistent with clinical depression (a score of 16 or above).20 According to this measure, there were only small sex differences in CES-Dreported depressive symptoms, with 231 (19.8%) men and 137 (22.3%) women scoring 16 or above (p  .05). In contrast, when respondents used the self- reported symptominventory, 132 (21%) women reported experiencing “depression” in the past 5 years as compared to 136 (11.0%) men. Younger faculty members (27–35 years) reported higher total CES-D scores (mean score of 11.23) than did older faculty (56–65 years), who had a mean score of 8.89 (p  .03).


Rand Anxiety Scale에서 0-100의 가능한 점수로 정상 범위 (점수 39)에서 72.5 % (1,369)의 의사가 정상범위 점수를 얻었고, 292 (15.5 %)는 경도의 불안을 나타내는 점수 ), 194 명 (10.3 %)에서 중등도 불안 (51-72 점), 34 명 (1.7 %)으로 심한 불안 (73 점)이 나타났다. 모든 학교의 평균 점수는 25.42 (표준 편차 [SD] 8.36)이었다. 연령 차이가 있었으며, 젊은 교수의 Rand Anxiety 점수가 평균 36.01 인 반면, 시니어 교수는 평균 점수는 26.80 (p .001)이었다.

On the Rand Anxiety Scale, with possible scores ranging from 0–100, 

    • 72.5% (1,369) of physicians had scores in the normal range (score,  39), 

    • 292 (15.5%) had scores indicating mild anxiety (score, 40–50), 

    • 194 (10.3%) indicated moderate anxiety (score, 51–72), and 

    • 34 indicated (1.7%) severe anxiety (score,  73). 

The mean score for all schools was 25.42 (standard deviation [SD]  8.36). Age differences were again noted, with younger faculty having a mean Rand Anxiety score of 36.01, whereas older faculty had a mean score of 26.80 (p  .001).


알코올 소비는 연령별로 증가하여 젊은 교사 (27-45 세) 중 24 % (210/878 명)가 일주일에 몇 번씩 술을 마시는 반면, 나이가 많은 교수 (56 세)는 45.3 % (159 / 351) 남성의 36 % (462 명 / 1,263 명)가 여성의 27.2 % (178/655 명)에 비해 일주일에 몇 번씩 마셨다.

Reported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by age, with 24%(210/878) of younger faculty (age 27–45) drinking daily to several times per week, compared to 45.3%(159/ 351) of older faculty (age 56 ). Thirty-six percent (462/1,263) of men drank daily to several times per week, compared to 27.2%(178/655) of women.



건강 관련 문제(새로운 발병 (18 개월 이내)과 과거 (5 년 이내))는 기초 과학자와 임상의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지난 5 년 동안 응답자의 약 72 % (1,400)가 한 건 이상의 건강 문제를 경험했는데, 

    • 가장 흔한 것은 요통 (29.7 % [579]), 체중 증가 또는 체중 감량 (24.9 % [485]), 두통 , 위염 (17.6 % [344]), 고혈압 (10.7 % 허리 통증 (6.3 % 123), 위염 (4.2 % [81]), 우울증 (3.1 % [60]), 두통 (2.8 % [54]). 

    • 약을 복용중인 사람은 적은 편. 항우울제 (4.6 %, 항우울제 4.0 %, 위장제 4.3 %, 진통제 4.3 %), 항우울제 (90 %), 항우울제 불안 완화제 (0.4 % [8]).

    • 여자들은 남자보다 지난 5 년간 불안 / 공황 (p. 02), 변비, 우울증, 두통, 고혈압, 체중 변화 (p .001), 당뇨병 을 더 많이 겪었다.

Health-related problems, both new onset (within 18 months) and past (within five yea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asic scientists and academic physicians. In the past five years, approximately 72%(1,400) of respondents experienced one or more health problems, 

    • the most common being back pain (29.7%[579]), weight gain or loss (24.9%[485]), headache (22.6%[441]), gastritis (17.6%[344]), and hypertension (10.7%[208]). New- onset problems included weight gain or loss (8%[156]), back pain (6.3%[123]), gastritis (4.2%[81]), depression (3.1% [60]), and headache (2.8%[54]). 

    • In general, respondents reported minimal use of medications, including antihypertensives (4.6%[90]), antidepressants (4.0%[78]), gastrointestinal medications (4.3%[84]), pain medications (4.3%[84]), and anxiolytics (0.4%[8]). 

    • Women reported higher rates than did men of anxiety/ panic (p  .02), constipation, depression, headache, hypertension, and weight changes (all p  .001), and diabetes (p  . 001) over the past five years.



직무 만족

Job satisfaction


중등도 만족 문항

    • "조직 / 행정 결정을 내리는 역할"

    • "승진 또는 성공을 위한 기회"

    • "일의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능력"

    • "급여 / 소득."


An average of 1,260 academic physicians completed each itemon the PJSS, a five- point job satisfaction scale. They rated themselves as moderately satisfied (2.93– 3.17) on the following scale measures: 

    • “role in making organizational/ administrative decisions,” 

    • “opportunities for promotion and/or increasing success,” 

    • “ability to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your work,” and 

    • “salary/income.” 


높은 만족 문항

    • "당신의 일과 관련된 지위와 위신의 정도"(3.44),

    • "지식이 풍부하고 최신(지식)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3.53),

    • "당신의 일에서 개인적인 만족을 얻는 능력"(3.70).


These respondents rated other aspects of their work somewhat higher: 

    • “degree of status and prestige associated with your work” (3.44), 

    • “ability to remain knowledgeable and current” (3.53), and 

    • “ability to derive personal gratification fromyour work” (3.70). 


가장 높은 문항

    • "직무가 교육적으로 자극을 주는지"(3.96).

Physicians were most satisfied with 
    • “the degree to which your work is educationally stimulating” (3.96). 


가장 낮은 문항

    • "당신에게 제공되는 인력 자원"(2.52)과

    • "당신의 경력을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멘토링되고 있는지"(2.64).

Physicians were less satisfied with 

    • “the manpower resources available to you” (2.52) and on 

    • “being mentored in a way that furthers your career” (2.64). 


기초>임상

    • "멘토링되고있다"

    • "당신의 일에서 개인적인 만족을 얻는 능력"

    • "당신에게 제공되는 인력 자원"

    • "가르침teaching에 할당 된 시간"

    • "작업량"

    • "당신의 일에서 개인적인 만족을 얻는 능력."

An average of 390 basic science faculty reported small bu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than academic physicians on six of the scale measures (p  .005), including 

    • “being mentored,” 

    • “ability to derive personal gratification from your work,” 

    • “the manpower resources available to you,” 

    • “time allocated to teaching,” 

    • “work volume,” and 

    • “ability to derive personal gratification from your work.”



직무 부담

Work strain


교수 관련 연구에 대한 작업 관련 인벤토리 (Work Related Strain Inventory, WRSI)에 대한 반응으로 몇 가지 중요한 직무 부담의 원인이 밝혀졌다.

    • 가족 생활에 대한 간섭 (35 % [685]) 및

    • "과거보다 더 초초Edgy"(30 % [586]).


Faculty responses to the Work Related Strain Inventory (WRSI) revealed some significant sources of work strain, including 

    • interference with family life (35%[685]) and 

    • being “more edgy than in the past” (30%[586]). 


동시에 720 (37 %)은 직무 기대치가 실현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전과 동일한 수준이라고 한 응답은 866 명 (44 %), 생산성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것은 644 명 (33 %), 전문직의 성장과 기술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고 보고한 것은 788 명 (40 %) 이었다. 기초와 임상 교수 사이의 WRSI 평균 평균 점수에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8 개 질문 중 8 개에서 임상 교수는 기초 교수보다 작지만 상당히 높은 수준의 업무 긴장을 보였다. 작업 긴장과 신체 증상의 빈도간에 유의 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At the same time, 720 (37%) reported that their job expectations were being realized, 866 (44%) that they were contributing to the same degree that they had previously, 644 (33%) that their productivity has increased, and 788 (40%) reported that their professional growth and skills continued to improv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total scores for the WRSI between academic physicians and basic science faculty. However, on eight of 18 questions, academic physicians indicated small bu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work strain than did basic science faculty.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work strain and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스트레스 반응

Response to stressors


Table 2 displays respondents’ answers to a series of questions about their behavioral response to stressors.



Life satisfaction


LSAT (Life Satisfaction Scale)에서 응답자는 직장 생활, 가족 생활, 재정, 사회 관계 및 신체 건강과 같은 삶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도록 요청 받았습니다. 대부분 평균 점수는 5 점 (대부분 만족 됨)과 6 점 (만족 스럽다) 사이였다.

On the Life Satisfaction Scale (LSAT), respondents were asked to rate various aspects of their lives, such as work, family life, finances, social relations, and physical health. For the most part, mean scores ranged between five (mostly satisfied) and six (pleased).



직업 안정

Job stability


There were several questions relating to perceptions of job stability. 

    • "현재와 미래의 급여 안정성이 임상 및 연구 생산성에 어느 정도 밀접하게 의존하는지"묻는다면 467 명 (24 %)은 급여가 "별로"또는 "전혀"의존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습니다. 493 명 (25 %)은 급여가 "완전히 의존적"이라고 응답했다.

    • "기관 변화로 인해 향후 2 ~ 3 년 내에 기관을 떠날 가능성이 얼마나 높습니까?"라는 질문에 245 명 (12.6 %)의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또는 "매우 그렇다" 638 명 (32.7 %)은 "전혀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 "최근에 얼마나 자주 학계를 떠날 생각을 했느냐"는 질문에 530 명 (27.7 %)이 "종종"또는 "자주"에 대해 생각한다고보고했으나 740 (38 %)는 "드물게"또는 "결코"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에 대해.

    • "최근에 얼마나 자주 당신이 조기 퇴직을 생각 하느냐"는 질문에 381 명 (20 %)은 "자주"또는 "자주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반면, 1,109 명 (58 %)은 "절대로"또는 " 드물게 "생각했습니다.

    • When asked “to what extent does the stability of your salary, now and in the future, closely depend on your clinical and research productivity,” 467 (24%) responded that their salaries were “not very” or “not at all” dependent on productivity, whereas 493 (25%) responded that their salaries were “completely dependent.” 

    • To the question, “how likely is it that you will be forced to leave your institution in the next two to three years because of institutional changes,” 245 (12.6%)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more likely than not” or “very likely,” whereas 638 (32.7%) responded “not at all likely.” 

    • When asked “how often in the recent past have you considered leaving academia,” 530 (27.7%) reported thinking about it “more often than not” or “often,” whereas 740 (38%) “rarely” or “never” thought about it. 

    • To the question, “how often in the recent past have you considered taking early retirement,” 381 (20%) reported thinking about it “often” or “more often than not,” whereas 1,109 (58%) “never” or “rarely” thought about it.



기관의 재정상태와 교수의 웰빙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and faculty well-being


응답자들은 기관의 재정 건전성을 5 점 척도로 묘사하도록 요청 받았는데, 여기에는 1 개는 "곤란한 상태"이고 5 개는 가장 좋은 상태였습니다 .

    • 270 명 (14 %)이 "우리는 문제가있다"고 응답했다.

    • 385 (20 %)는 "일이 이렇게 계속되면 우리는 곤경에 처할 수있다"고

    • 902 명 (47.2 %)은 "어려운시기가있을 수 있습니다."라고 선택했습니다.

    • 352 명 (18.5 %)만이 "우리는 꽤 좋은 모습"또는 "지금까지 최고였습니다"중 하나를 선택했습니다.

Respon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financial health of their institutions on a five-point scale, where 1  “we’re in trouble” and 5  “the best it’s ever been.” Two hundred and seventy one (14%) responded “we’re in trouble,” 385 (20%) stated “we could be in trouble if things continue this way,” and 902 (47.2%) chose “there may be difficult times ahead.” Only 352 (18.5%) chose either “we’re in pretty good shape” or “the best it’s ever been.” 


제도적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교수진 웰빙 척도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위의 5 가지 주요 척도 (삶의 만족, 직무 만족, 작업 스트레스, 우울증 및 불안)에 대한 재정 건전성에 대한 응답을 연관시켰다. 4 개 학교 모두에서 

    • 기관의 재정 건전성은 삶 만족도, 직무 만족도 및 업무 부담과는 작지만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지만

    • 기관의 재정 건정성은 우울증과 불안과의 긍정적 상관 관계. 

    • 제도적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는 학교 전체의 직업 만족도와 가장 관련이 있었다 (r-29 ~ -41, p. 

    • 기관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와 신체적 증상의 빈도 간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To investigate whether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were related to measures of faculty well-being, we correlated responses to the above question about financial health to the five main scale measures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ork strain, depression, and anxiety). At all four schools, 

    • there were small bu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dents’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ain; and 

    •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correlated most with job satisfaction across schools (r  –.29 to –.41, p  .001). 

    •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financial health and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동료의 이탈과 교수의 웰빙

Colleague attrition and faculty well-being


응답자들은 설문 조사 18 개월 전 종료, 사망, 은퇴, 질병으로 인해 떠났거나 사망 한 동료 수를 ​​문서화했습니다. 응답자가 종료 한 동료의 평균보다 6 배, 종결 된 사람들의 평균의 약 4 배를보고 한 학교 1을 제외하고는 평균 수치가 낮았고 (1.0) 학교 간 비교가 가능했습니다. 

    • 이러한 손실의 응답자에 대한인지 된 영향을 다양한 다른 척도에 대한 응답과 상관시키기 위해 응답자에게 동료 손실의 심각도를 순위 지정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여기에는 1 "영향 없음", 2 "보통 영향"및 3 "매우 부정적인 영향."

    • 이러한 모든 손실의 정서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교수 이탈의 각 범주에서 효과 질문에 대한 모든 응답의 합계 인 "총 영향 점수"를 작성했습니다. 전체 표본의 평균 총 효과 점수는 5 가지 주요 척도 (p .001, r. 200 ~ .301)와는 완만하지만 유의 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의사의 직무 만족도 (r-.300) 직무 관련 부담이 가장 두드러졌다(r -.301).


Respondents documented the number of colleagues who quit, were terminated, retired, left because of illness, or died in the 18 months prior to the survey. Mean numbers were low ( 1.0) and comparable across schools, with the exception of school 1, where respondents reported six times the mean of colleagues who quit and about four times the mean of those who had been terminated. 

    • To correlate the perceived effect on respondents of these losses with responses on the various other scales, we asked respondents to rank the severity of these colleague losses on them, where 1   “no effect,” 2  “moderate effect,” and 3  “very negative effect.” 

    • To evaluate the potential emotional impact of all of these losses, we created a “total effect score,” the sumof all the responses to the effect questions in each of the categories of faculty attrition. For the entire sample, the mean total effect score showed modest but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ive main scales (p  .001, r  .200 to .301), the most significant with physicians’ job satisfaction (r  –.300) and work-related strain (r  –.301).


성, 연령, 결혼상태, 전공에 따른 영향

Effects of sex, age, marital status, and discipline on scale meas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cale measures across some disciplines (see Table 3).




학교 간 비교

Cross-school comparisons



우리는 네 곳의 모든 학교에서 몇 가지 조치에 대해 여러 가지 차이점을 확인했다.

    • 응답자의 건강 관련 문제는 학교에서 비슷했고

    •   CES-D 스코어는 학교마다 다르지 않았다.

    • 그러나 4 번 학교의 Rand Anxiety 점수는 다른 학교보다 높았습니다 (p .001).

    • 학교 3에는 최연소 교수가 있었지만 학교 4에는 가장 오래된 교수가 있었으며, 또한 같은 기관에서 가장 오랫동안 고용되어있었습니다.

    • 작업 특성은 학교마다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 학교 1의 응답자는 학교 2(주당 61.14 시간, 57.32 시간, 0.001 시간)와 학교 3 (61.14 시간 56.96, p .001)보다 더 오래 근무했다

      • 학교 2의 응답자는 가르치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했으며, 학교 3의 응답자는 가장 적게 보냈습니다. 

      • 학교 2의 교수진은 학교 1 또는 4 (p .001) 및 학교 3 (p. 002) 응답자보다 학교의 재정 상태에 대해별로 우려하지 않는다고보고했습니다.

We noted a number of differences on some measures across all four schools. 

    • Respondents’ health-related problems were similar across schools, and 

    • the CES- Dscores did not vary between schools. 

    • Yet, the Rand Anxiety scores at school 4 were higher than at other schools (p   .001). 

    • School 3 had the youngest faculty, whereas school 4 had the oldest faculty, who also had also been employed at the same institution the longest. 

    • Work characteristics varied across schools as well: 

      • respondents at school 1 worked longer hours than at school 2 (61.14 hours per week compared to 57.32 hours, p  .001) and at school 3 (61.14 hours compared to 56.96, p  .001).

      • Respondents at school 2 devoted the most time to teaching, and those at school 3 the least. 

      • Faculty at school 2 reported being considerably less concerned about their school’s financial health than respondents at schools 1 or 4 (p  .001) and school 3 (p  .002).



고찰

Discussion


눈에 띄는 결과는 우울증과 불안의 예상보다 높은 비율(특히 젊은 교수 및 외과 의사에서), 성별 또는 학교에 따른 차이는 적은 것 등이다. 또한, 결과는 기관의 재정적 불안정에 대한 교수의 인식이 높은 수준의 업무 부담, 우울증 및 불안감과 관련되어있음을 보여준다.

Significant findings include higher than expected rates of depression and anxiety, especially in younger faculty and in surgeons, with minimal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or school. In addition, the results demonstrate higher levels of work strain, depression, and anxiety associated with faculty perceptions of their institution’s financial instability.


다소 놀라운 것은 우리가 응답자의 재정적 불안정, 업무 긴장 및 신체적 증상에 대한 인식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없음을 발견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수진은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보고했다. 결혼을하면 학업 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경력을 쌓는 동안 대학의학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경험 한 시니어 교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의 영향을 가장 적게 겪었습니다.

Somewhat surprising was that we fou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respondents’ perceptions of financial instability, work strain, and physical symptoms. In general, faculty reported high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being married mitigated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of the academic environment. Older faculty, who had experienced the most changes in academic medicine over the course of their careers, were the least affected by various stressors.


54.3 %의 응답률은 다른 의사 조사의 평균 응답률과 일치합니다. 사실, 설문지의 길이와 많은 질문의 민감한 성격 때문에 응답률은 예상보다 높습니다.

Our overall response rate of 54.3%is consistent with the average response rate in other physician surveys.21 Indeed, the response rate is higher than we anticipated, given the length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ensitive nature of many of the questions.


이 연구는 현재 의대생들이 점점 더 스트레스와 불만을 가진 교수진에 의해 교육받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합니다. 5 명의 교수 중 1 명은 설문지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유의 한 우울 증상을 나타내어 약 20 %의 유병률을 보였다. 우리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교수가 비슷한 우울증 발생률을 보인 반면,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우울 장애의 비율이 2 배까지 높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젊은 교수에서 우울증과 불안증의 비율이 더 높은 것은 당혹스럽다. 

  • 우리가 지역사회에서 CES-D 샘플을 사용한 최근의 연구는 알지 못하지만, CES-D and Zung Depression Scale을 사용하는 오래된 연구는 대등한 비환자 인구집단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우울 증상의 유병률이 약 9 % 가되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 National Comorbidity Survey는 15-54 세의 큰 국가 표본을 대상으로 12 개월간의 주요 우울증과 기분 부전이 12.8 %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거의 21 %가 우울 장애와 일치하는 증상을 나타 냈습니다.

This study raises the concern that current medical students are being taught by faculty who are increasingly stressed and dispirited. One in five faculty members had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at the time of completing the questionnaire, yielding a point prevalence of approximately 20%. Our study indicates that men and women faculty members had comparable rates of depression, whereas more generally women are reported to have up to twice  the rate of depressive disorders as men.23The higher rates of depression and anxiety reported by younger faculty are equally disconcerting. Although we are not aware of more recent studies using the CES-Din community samples, older studies using the CES-Dand the Zung Depression Scale,24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in a comparable nonpatient population should be about 9%.25,26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of a large national sample aged 15–54 years found a 12- month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and dysthymia combined to be 12.8%.27 Yet according to our study, nearly 21%of respondents indicated symptoms consistent with a depressive disorder.


응답자의 대다수는 초기의 직무 기대치가 실현되지 않고 있으며, 자신은 과거와 같은 contributor가 아니며 생산성이 감소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상당수의 교수진은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초초"하다고 느꼈습니다. 4 명의 교수진 중 1 명 이상은 학계를 떠나는 것에 대해 자주 생각했으며 5 명 중 1 명은 조기 퇴직에 대해 "종종 생각합니다".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ir initial job expectations were not being realized,that they were not the contributors they used to be, and that their productivity was decreasing. Significant numbers of faculty felt unsupported and “edgy.” More than one in four faculty members frequently thought about leaving academia, and one in five “often thinks” about early retirement. 


교수들이 불만을 품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오늘날의 경제적 현실을 감안할 때, 교수진은 교육 지원 감소와 임상 및 연구 생산성 향상에 대한 이중 압력에 직면합니다. 우리 코호트에서, 기관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교수들의 우려는 작업 부담의 증가와 직업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감소, 우울증과 불안증의 증가와 관련이있었습니다. 많은 교수들에게 학계가 매력적인 것은 환자 치료, 연구 및 교육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는 Ludmerer의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3 최근에는 환자 진료 책임이 급증하여 교육와 연구에 사용할 시간을 몰아내고 있다. 린 (Linn) 등의 1984 년 내과의사 대상 연구와 비교할 때 현재 우리 코호트는 학생 및 레지던트를 감독 할 시간이 적고 연구 시간이 절반으로 줄었다.

It is not surprising that academic faculty are discontent. Given today’s economic realities, faculty face the dual pressures of decreased support for teaching and increased demands for clinical and research productivity. In our cohort, concerns about the financial health of their institutions correlated with respondents’ increased work strain and decreased job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increased depression and anxiety. For many faculty, the lure of academia seems to have been the relatively stable mix of patient care, research, and teaching. Yet our study supports Ludmerer’s assertions3 that in recent years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have burgeoned, crowding out time for teaching and research. In comparison with Linn et al.’s 1984 study of internists,14 our current cohort has less time to supervise students and residents, and their research time has been cut in half.



1984 년 Linn과 동료의 연구에서 CES-D와 비교할만한 Zung Depression Scale을 사용하여 14 명의 교수가 14 %의 임상 적으로 우울한 증상을 나타내었지만 2001 년의 경우에는 20 %였다. 일반적으로 우리 코호트의 의사 교수들은 거의 모든 직업 만족도 척도에서 만족스럽지 않은 것처럼 보였습니다. LSAT에서 1984 명의 대학 의사들은 2001 년 샘플보다 일과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다소 만족했습니다. 두 그룹의 근무 시간은 비슷했지만 현재의 교수진은 1984 년의 코호트보다 교육과 연구에 더 적은 시간을 사용하며, 임상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Using the Zung Depression Scale comparable to the CES-D,24,28 the 1984 study by Linn and colleagues,14 revealed 14%of faculty with clinically significant depressive symptoms, in contrast with 20%in the 2001 sample. In general, academic physicians in our cohort appeared to be less satisfied according to almost every measure of job satisfaction. On the LSAT, the 1984 academic physicians were somewhat more satisfied with work and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an were the 2001 sample. Although the work hours of both groups were comparable, current faculty are spending less time teaching and doing research and more time doing clinical work than the 1984 cohort.



우리의 연구가 학술 의학에 관한 약간의 당황스러운 사실을 밝혀 주었지만, 또한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교수진 응답자는 자신의 일과 삶에 "대부분 만족"했습니다. 실제로 1984 년과 2001 년 사이의 "일반 생활"에 대한 응답자의 평가에서 "직장"에 대한 만족도의 감소는 "가족 생활", "여가 활동" , "사회적 상황"등이있다. 의대 학교 교수진은 여전히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일과 가정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있다. 90 %가 안정된 결혼 생활이나 헌신적 인 관계에 있었고, 대부분은 건강에 관심을 갖고 즐거운 사회 활동에 참여했으며, 가족 구성원과 감정적으로 논쟁하거나 withdraw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Although our study reveals some disconcerting facts about academic medicine, there is also some good news as well. On average, faculty respondent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ir work and life. Indee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pondents’ assessments of “life in general” between the 1984 and 2001 cohorts, the decreases in satisfaction with “work” perhaps being offset by the higher scores in such categories as “family life,”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situation.” Medical school faculty still work hard, but many may be paying more attention to balancing their work and home lives. Ninety percent were in a stable marital or committed relationship, and most seem to attend to their health and engage in pleasurable social activities, and rarely argue with or withdraw emotionally from family members.



의과대학 교수들에게는 아직 만족과 복지의 reservoir가 있지만, 스트레스와 불만의 증가는 점차 문제가 되고 있으며, 젊은 교수에 대한 멘토링이 필요한 듯 하다. 우리는 멘토링 및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교수진이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발전하도록 지원하고 장려하는 방법을 찾아야합니다. 우리는 불쾌감을 느끼거나 우울 할 수있는 동료를 확인하고 지원해야하며, 의사가 일반적으로 환자의 우울증을 감지하고 적절히 치료하는 데 열악한 현실적인 과제입니다.

Though there is a reservoir of satisfaction and well-being among medical school faculty, the increasing stresses and discontent challenge us, especially in mentoring younger faculty. We must find ways to support and encourage faculty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mentoring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We must identify and offer assistance and support to our colleagues who are dispirited or may be clinically depressed, a real challenge as physicians generally are poor at detecting and adequately treating depression in their patients.29




 2006 Jan;81(1):27-34.

The impact of the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o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faculty at four medical schools.

Author information

1
Educational and Academic Affairs,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900 Queen Lane, Philadelphia, PA 19129., USA. Barbara.Schindler@drexelmed.edu

Abstract

PURPOSE:

Increased pressure for clinical and research productivity and decreased control over the work environment have been reported to have adverse impacts on academic faculty in limited studies. The authors examined whether work-related stressors in academic medicine negatively affected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life and job satisfaction, of academic medical school faculty.

METHOD:

A 136-item self-administered anonymous questionnaire modified from a small 1984 study was distributed to 3,519 academic faculty at four U.S. medical schools following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 at each school. Validated scales measuring depression, anxiety, work strain, and job and life satisfaction; a checklist of comm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ymptoms; and questions about the impact of institutional financial stability, colleague attrition, and other work-related perceptions were used. Responses were analyzed by sex, academic rank, age, marital status, faculty discipline, and medical school.

RESULTS: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1,951 full-time academic physicians and basic science faculty, a 54.3% response rate. Twenty percent of faculty, almost equal by sex, had significant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with higher levels in younger faculty. Perception of financial instability was associated with greater levels of work strain, depression, and anxiety. Significant numbers of faculty acknowledged that work-related strain negatively affected their ment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but not life satisfaction or physical health. Specialties were differentially affected.

CONCLUSIONS:

High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job dissatisfaction-especially in younger faculty-raise concerns about the well-beingof academic faculty and its impact on trainees and patient care. Increased awareness of these stressors should guide faculty support and development programs to ensure productive, stable faculty.

PMID:
 
16377815


의과대학 교수들이 꿈을 이루게 하기: 혁신적,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Acad Med, 2002)

Helping Medical School Faculty Realize Their Dreams: An Innovativ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Linda H. Pololi, MBBS, Sharon M. Knight, PhD, RN, Kay Dennis, EdD, RN, and Richard M. Frankel, PhD





오늘날, 학술 의학에서 성공하고자하는 주니어 교수진은 건강 관리 전달에서 비용 절감의 시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비록 의대와 교육 병원이 자비 롭고 유능한 의사를 훈련시키는 데 전적으로 책임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술 의학에 대한 직업에 대한 열정을 덜 표현합니다.

Today, junior faculty wishing to succeed in academic medicine face daunting challenges in this era of cost containment in health care delivery. Faculty express less enthusiasm for careers in academic medicine, 1 even though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continue to be solely responsible for training compassionate and competent physicians.


멘토링 및 그 이점에 대한 대부분의 설명은 이원적, 멘토-멘티 모델에 초점을 둡니다. 이 전통적인 모델의 단점은 멘토의 개인적인 관점과 정보원의 한계, 멘토와 멘티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함, 성격 충돌, 전이 문제, 성적 역학, 정서적 또는 전문적 의존성, 일관성 부족, 수동성 역할 모델링과 관련이 있으며, 시간이 있는 시니어 멘토 부족 등이다. 당연한 일이지만, 우리 기관의 의학 교수진을위한 이 이원적 멘토링 관계의 결과에 상당한 다양성 있음을 알았습니다.

Most descriptions of mentoring and its benefits focus on a dyadic, mentor–prote´ge´(e) model. The drawbacks of this traditional model include 

the limitations of a mentor’s individual perspective and source of information, 

  • a lack of congruence in the expectations of mentor and prote´ge´(e), 

  • personality clashes, 

  • transference issues, 

  • sexual dynamics, 

  • emotional or professional dependency, 

  • lack of consistency, 

  • passivity related to role modeling, and 

lack of senior mentors with time available. Not surprisingly, we have observed considerable variability in the results of dyadic mentoring relationships for medical faculty in our institution.



이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CMP)은 성인 학습 이론과 Carl Rogers의 발견에 기반을두고 있습니다.

This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CMP) was grounded in adult learning theory and the findings of Carl Rogers13–16


CMP의 이론적 토대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Carl Rogers has written extensively on the qualities and attitudes important for the facilitation of learning and optim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He describes the effective teacher as one who shows acceptance, cares about and respects the learner, is emotionally congruent and genuine, and actively listens to the learner with empathic understanding.13 These are also important attributes in medical faculty and physicians in clinical practice, and qualities that foster a safe environment for learning. The provision of a safe,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facilitates the positiv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trust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we would add, physicians and patients. In this context, the learner or faculty participant can risk being more interactive, engaged, and open or exposed in the learning process, and will be more willing to apply learning to a new situation. The program we designed was founded on Rogerian methods.


Additionally, the CMP was firmly based on the principles of adult education. Adult education theory suggests that learners need to perceive the relevance of educational material to learn most effectively.14,15 Helping prote´ge´(e)s frame their own learning objectives, encouraging interactive sharing of ideas, providing constructive feedback and the opportunity to practice new skills—all integral parts of the mentoring program— were directly based on adult learning principles. Finally, learners ne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step back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Friere16 describes the cycle of action and reflection as ‘‘praxis,’’ where time is used to reflect upon and understand the learning experience at intellectual, personal, and emotional levels. Deeper learning occurs when the learner is emotionally engaged during or by the learning. The application of Rogerian and adult learning principles, coupled with a self-reflective approach advocated by Friere, were key in facilitating the goals and ultimate success of the program.



프로그램

THE PROGRAM


We have conducted the CMP twice over two academic years, 1999–2001.*


The 80-hour program spanned eight months and consisted of an initial three-day session followed by a full-day program once a month for six months. The goals of the program are presented in List 1

  • 제공 자료: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a manual that included extensive readings, bibliographies, and a career planning notebook.17 

  • 각 9시간 진행: Each nine-hour session combined skill development, structured career planning, and scholarly writing. 

  • 교수-학습법: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were learner-centered experiential learning, role-play, videotaping, group discussion, extensive feedback from peers and facilitators, storytelling, narrative writing, and self-reflection.



스킬 개발

Development of Skills



We devoted sessions to each of the following skill areas, which we believe are important for optimal performance in academic medicine: 

    • team building, 

    • value clarification, 

    • career planning, 

    • collaboration, 

    • negotiation, 

    • conflict resolution, 

    • oral and written presentations, and 

    • gender and power issues. 

The cohort stayed together throughout the day; the program director facilitated the cohort’s activities in collaboration with, for most sessions, a visiting facilitator with particular content expertise.


일정 진행

The daylong sessions followed a similar format, which we illustrate here by a description of a session on power: 

    • 잠시 체크인하고 간단한 시간을 보냈을 때 진행자는 각 참가자에게 힘이 문제가되는 직장 경험에 대한 설명을 적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 이야기는 진행자가 큰 소리로 읽었습니다. 이 과정에는 강압력의 다양한 스타일과 힘을 사용하는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다루는 20 분 강의가 이어졌다.

    • 휴식을 취한 후에, 그룹은 다시 모이고 컨센서스로 파워 시나리오 중 두 가지를 선택하여 역할 놀이와 토론을했습니다.

    • 워크숍에서 진행자는 개인이 롤 플레잉 상황에서 격려, 협상 및 존경의 힘을 보여줌으로써 그룹이 통찰력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 여러 참가자가 각 역할극에 참여하고 서로에게 도움을 주었습니다.

    • 점심 식사를 마친 후, 그룹은 세션에서 제공된 새로운 관점에서 자신의 시나리오를 어떻게 보았는지에 대해 쉽게 논의했습니다.

    • 마지막 활동으로 참가자들은 중요하고 의미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세션의 일부 측면에 대해 서면으로 성찰하였다.

    • 학업 계획 개발 및 글쓰기 기술을 다루는 두 개의 추가 활동이 포함되었습니다.

    • After a brief checking-in period and orientation to the day, the facilitators asked each participant to write a description of an experience in the workplace where power was an issue, one that they would like to work on. 

    • The narratives were read aloud by the facilitators. This process was followed by a 20-minute lecture that addressed the various styles of coercive power and more effective methods of using power. 

    • After a break, the group reconvened and by consensus selected two of their own power scenarios to role-play and discuss. 

    • During the workshop, the facilitators assisted individuals in demonstrating the power skills of encouragement, negotiation, and honoring during role-play situations, to which the group responded by offering insights and feedback. 

    • A number of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each role-play and offered help to each other. 

    • After lunch, the group engaged in a facilitated discussion of how they viewed their own scenarios from the potentially new vantage point afforded by the session. 

    • As a final activity,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reflect in writing on some aspect of the session they found important or meaningful. 

    • Two additional segments that addressed the development of an academic plan and writing skills were included in each day’s activities.



다른 활동

Other Activities


For one hour each day, participants were guided through the steps of formulating a written personal academic development plan.17 The components of the completed plan included 

    • clarifying and prioritizing values, 

    • identifying strengths, 

    • setting long- and short-term career goals, 

    • identifying tasks and learning objectives to achieve goals, 

    • writing learning contracts for skill development, and 

    • discussing or negotiating the plan with their supervisors.


Scholarly writing was also a focus of the program. 

    • 하루에 75 분의 시간을 저자 편집 담당자와 관련된 공동 작업에 사용했습니다.

    • 각 개인은 저널 기사, 초록, 사설 또는 책 장과 같이 프로그램의 8 개월 동안 완료 될 수있는 적어도 하나의 자체 선정 학술적 프로젝트에 자신의 노력을 집중 시켰습니다.

    • 대부분의 작문은 프로그램 세션 밖에서 진행되었지만 각 세션에서 15 ~ 20 분의 글쓰기 기간에 참여하고 서로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며 개인 작문 프로젝트 또는 글쓰기 과정 전반에 대한 통찰력과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

    • 작문 전문가가 이 프로그램의 일부를 facilitate 했습니다

    • Seventy-five minutes per day were devoted to collaboration on writing in the context of author–editor dyads. 

    • Each individual focused her or his effort on at least one self-selected scholarly writing project, such as a journal article, abstract, editorial, or book chapter, that could be completed during the eight months of the program. 

    • Although most of their writing was conducted outside the program sessions, during each session they engaged in 15- to 20-minute periods of writing, provided feedback to one another, and shared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that informed individual writing projects or the writing process in general. 

    • A writing expert facilitated this segment of the program.


평가

Evaluation


The authors evaluated the program using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e tracked individual participants’ written learning objectives for each day, and at the end of each session, requested a written narrative about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These were written on NCR (no-carbon-required) paper so that participants could keep a copy and thus compile written accounts of their thinking and learning throughout the program. Participants used self-selected code names on all evaluation instruments in order to ensure their confidentiality and anonymity


At the conclusion of the entire CMP, they engaged in audiotaped dyadic interviews that addressed open-ended questions (List 2) about their program-related learning and experience. They also received a copy of a written document that presen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ir written and voiced comments, with an invitation to review and provide feedback and comments regarding the completeness and accuracy of the findings. The participants concurred with our findings.



WHAT WE LEARNED


양적 자료

Quantitative Data


전체 참석률 89%

Program attendance and productivity in the area of academic writing were exceptional. The overall program attendance rate was 89%, with participants consistently demonstrating active involvement in the program. The reasons participants gave for non-attendance were clinical scheduling conflicts, illness, or attendance at national professional meetings. 


16명이 학술적 출판물

Sixteen scholarly manuscripts were submitted or accepted for publication by the cohort who participated in the initial program, and 11 were submitted by the cohort of the following year. Educational value and participant involvement were positively rated for all sessions. 


글쓰기 프로젝트는 2.11점. 프로그램의 이 요소에 대해서는 1.86점

Participants gave the writing project a mean rating of 2.11 (SD = 0.92) on a fivepoint scale where 1 = excellent and 5 = poor. All participants completed written plans for their academic careers and discussed their academic development plans with their supervisors. Participants gave this component of the program a mean rating of 1.86 (SD = 0.83) on a five-point scale where 1 = excellent and 5 = poor.



질적 자료

Qualitative Data


왜 프로그램을 선택했는가

Why faculty selected the program.


CMP에 참여하기로 선택한 사람들 사이에서 참여에 대한 하나의 뚜렷한 이유는 없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에는 진로지도 나 멘토링에 대한 열망, 의대에서 교수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 프로그램의 명성이 포함되었습니다.

No single rationale for participation predominated among those who elected to take part in the CMP. Their various reasons included a desire for career guidance or mentoring, positive experiences with faculty development in the medical school, or the reputation of this program in particular.


어떤 이들은 동료 간 의사 소통이 시니어 교수진 멘토링보다 더 편안하고 의미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한 사람은 "(쉽게 미뤄지거나 취소되는) 일대일 멘토링과는 달리 피어 기반 프로그램은 잠재적으로보다 신뢰할 수있는 멘토링 프로세스를 제공 할 수 있음을 관찰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당면한 문제와 장애물 등이 유사하기 때문에 동료들과 상호 작용하기를 원했다. "그들은 다양한 동료 그룹이 멘토링 요구가 다른 사람의 기술이나 성격과 일치 할 가능성을 최대화했다고 생각했습니다.

Some believed that communication between peers would be more comfortable and meaningful than that associated with senior faculty mentoring. One person observed that, unlike ‘‘one-on-one mentoring [which] easily seems to be put aside or cancelled,’’ the peer-based program could potentially offer a more reliable mentoring process. Some wanted to interact with peers because of commonality in that they ‘‘face(d) the same hurdles and problems and issues.’’ They perceived that a diverse peer group maximized the likelihood that their mentoring needs would match someone else’s skills or personality.


성 (gender)이 참여 결정에 역할을했는지 묻는 질문에 3 명의 참가자가 그렇다고 했다

when asked whether gender had played a role in their choices to participate, three participants reported that it had.


요약하면 참여자들은 멘토링이나 지도에 대한 욕구, 동료-기반 경험의 가치, 성 문제,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 인 경험, 프로그램의 긍정적 인 평판 등 다양한 요소에 대한 CMP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In summary, participants based their decisions to participate in the CMP on diverse factors: a desire for mentoring or guidance in general, valuing a peer-based experience, gender issues, prior positive experiences with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nd the positive reputation of the program.



참가자의 전반적 관점

Overview of participants’ perspectives.


참여자들은 CMP가 개인적 성장과 전문성 개발의 유익하고 가치있는 수단이라고 보았다. 모든 참가자들은 대다수의 개인이 프로그램을 매우 소중하게 생각한다고 인정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대해 가장 자주 언급 된 recommendation 중 하나는 프로그램을 지속하거나 또는 더 길게 만들어서 코호트가 재 소집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었습니다.

the participants viewed the CMP as a beneficial and valuable means of personal growt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l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the majority of individuals highly valued the program. Among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recommendations they voiced about the program was to continue or lengthen it, or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cohorts to reconvene.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이유는 학습 환경과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되었다.

Participants linked their favorable assessments of the program to both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ntent of the program.



학습 환경

Learning environment.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된 세 가지 주요 상황 요인을 확인했습니다.

    • 대인 관계를 조장하는 안전하고 협조적인 학습 환경 제공,

    • 프로그램 참여 및 성찰을 위해 정기적으로 예정된 시간 dedication 가능

    • 업무 환경과는 별도로 분리 된 프로그램 환경

Participants identified three primary contextual factors they associated with program effectiveness: 

    • the provision of a safe,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foster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 the dedication of regularly scheduled time for program participation and reflection, and 

    • a program setting that was separate and apart from the work environment.


참가자들의 상호 작용을 조장 한 안전한 환경의 결과는 

    • 관계의 발생, 

    • 경험의 공유, 

    • 상호 문제 해결, 

    • 동료 협력 

    • 우정

...이었습니다. 참가자 중 대부분은 비슷한 수준의 경력을 쌓은 동료와 비슷한 경험, 좌절감, 우려를 공유하는 동료와 상호 작용할 기회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A consequence of the safe environment that fostered participants’ interaction was 

    • the emergence of relationships, 

    • shared experiences, 

    • mutual problem solving, 

    • peer collaborations, and 

    • camaraderie. 

Most of the participants valued the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peers who were at a similar level in their careers and who shared similar experiences, frustrations, and concerns.


동료 / 동료 멘토링 프로그램이 "경험이 많은 선배와 멘토링하는 것보다 덜 효과적"이라고 생각한 한 사람을 제외하고, 다른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경험이있는 사람들은 동료 멘토링이 적어도 시니어 교수와의 멘토링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With the exception of one person who found the collaborative/peer mentoring program ‘‘less effective than mentoring with a more senior/experienced teacher,’’ those who had had prior experiences with other mentoring programs found peer mentoring at least as valuable as or more valuable than a senior faculty mentoring situation.


이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학습 환경의 종류는 개인의 성장에 기여할뿐만 아니라 참가자의 관계의 폭과 깊이를 증가 시켰을뿐 아니라 참가자가 프로그램 내용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계속 습득하게 만들었습니다.

The kind of learning environment provided by this program not only contributed to personal growth and increased the breadth and depth of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but also enhanced the participants’ consequent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ssociated with the program content.


의미있는 학습 성과에 중요한 것은 

    • 토론에 참여하기 위해 임상 적 책임으로부터 벗어나 고품질의 방해받지 않는 시간 투자,

    • 기술 습득 및 실습,

    • 협업 

    • 개인과 커리에어 초점을 둔 자기성찰

Critical to the meaningful learning outcomes participants associated with the program was 

    • the dedication of high-quality, uninterrupted time away from clinical responsibilities to engage in discussion, 

    • acquisition and practice of skills, 

    • collaboration, and 

    • personal and career-focused self-reflection.


따라서 참가자들은 대인 관계 커뮤니케이션 및 관계 구축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되는, 안전하고 지원 가능하며 비판적이며 개방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근무지 외부의 환경에서, 헌신적이고 중단되지 않고 양질의 시간을 보냈다는 점에서 프로그램 컨텍스트를 설명했습니다. 학습 환경은 참가자가 궁극적으로 프로그램 내용에서 파생 된 의미있는 학습 결과에 필수적이었습니다.

Participants thus described the program context as dedicated, uninterrupted, quality time spent in a setting outside the work milieu that provided a safe, supportive, nonjudgmental, open learning environment conducive to foster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requisite to the meaningful learning outcomes participants ultimately derived from the program content.



프로그램 성과

Program outcomes.


참가자들은 CMP에 참여하는 5 가지 주요 상호 연관된 유의미한 결과를 관련시켰다. 결과는

Participants associated five main interrelated meaningful outcomes with their participation in the CMP. The outcomes were


- 개개인이 중시하는 가치의 확인

- 핵심 가치에 기초한 단기 및 장기 경력 계획의 구조화 된 프로세스

- 긴밀하고 협조적인 관계의 발전

- 성, 힘, 협상, 갈등 관리, 학술적 글쓰기 및 구두 발표와 같은 영역에서의 기술 개발

- 대학의학 및 현재 기관에 남아 있기로 결정하게 한 직업 만족도 향상


-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governing values;

- a structured process of shortand long-term career planning based on these core values;

- the development of clos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 skill development in such areas as gender, power, negoti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cholarly writing, and oral presentation; and

- improved job satisfaction linked to the participants’ decisions to remain in academic medicine and the resolve to remain at their current institution.


가치의 명확화

Clarification of values.


프로그램 참가자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이러한 가치를 직업 계획에 연결하는 기회가 프로그램과 관련된 가장 의미있는 학습 성과 중 하나를 육성했다고 인식했습니다. 각자의 코호트에 존재하는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핵심 가치와 목표에서 유사점을 발견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게 생각하지도 못한 핵심 가치와 직업 계획 간의 연관성이 드러나기도 했다.

Program participants generally perceived that the opportunity to identify personal core values and to connect those values to career planning fostered one of the most meaningful learning outcomes associated with the program. Program participants were struck with the similarities they found in each other’s core values and goals despite the diversity present in their cohort. An unexpected revelation to many, however, was the connection between core values and career planning.


다른 참가자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글을 쓰고, 성찰하고, 자신의 가치를 명확히한 결과, 참가자가 소중히 여기는 것과 경력 계획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As another participant’s experience suggests, the consequence of writing down, reflecting on, and clarifying their values culminated in improved congruence between what the participants valued and their career planning:


참가자들은 또한 자신의 핵심 가치가 어떻게 업무와 개인 생활 모두에 반영되는지를 인식하고, 삶의 두 측면을 모두 성공적으로 이끌 계획을 세웠습니다.

Participants also began to recognize how or whether their core values were reflected in both their work and their personal lives and made plans to successfully address both aspects of their lives.




커리어 계획

Career planning.


참가자들은 타임 라인을 개발하고 1 년, 3 년 및 10 년 경력 목표를 작성하는 등 경력 계획 및 우선 순위 설정을위한 구체적인 단계를 적용하는 과정을 특히 가치있는 과정으로 파악했습니다.

The participants viewed the process of applying concrete steps for career planning and priority setting, including developing a time line and writing one-, three-, and ten-year career goals, as a particularly valuable process.


일부 개인은 이전에 자신의 단기 또는 장기 경력 목표에 대한 생각을하지 못했습니다. 많은 이들은 서면으로 경력 계획을 세우지 않았습니다. 커리어 계획 프로세스는 업무, 경력 및 개인 생활을 재구성하고, 직업 만족도, 생산성, 핵심 가치와의 일관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변화를 협상하기위한 노력을 촉진 시켰습니다.

Some individuals had not previously given thought to their shortor long-term career goals; many had never structured their career plans in writing. The career planning process invited a re-envisioning of their work, careers, and personal lives, and precipitated efforts to negotiate needed change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productivity, and consistency with core values.



관계 발달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참가자들은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동료 동료를 만나고 상호 작용할 수있는 기회를 소중히 여겼습니다. 그들은 서로 다른 시각을 발견하고, 비슷한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배우고 공유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작업 환경 내에서 덜 고립되고 편안해졌습니다.

Participants valued the opportunity to meet and interact with diverse peer colleagues from a variety of disciplines. They discovered disparate perspectives, learned from and shared with others in similar circumstances, solved problems, and, in the end, felt less isolated and more comfortable within their work environments.


프로그램의 결론으로 ​​많은 사람들이 협력적이고 지원적인 사회적 또는 전문적 네트워크를 형성했습니다.

By the conclusion of the program, many had formed collaborative and supportive social or professional networks.


참가자들은 동료 간의 존경과 협동이 다음에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Participants viewed the collegial respect and collaboration that emerged from their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as having impacts on 

    • 전문직으로서의 삶 their professional lives by improving their professional effectiveness, 

    • 근무지 관계 working relationships, and 

    • 직장 분위기 work climate in general.



스킬 발달

Development of skills.


참가자들은 학술적 글쓰기, 구두 발표, 성 및 힘 문제, 협상 및 갈등 관리뿐만 아니라 가치 설명 및 경력 계획에 대한 지식 및 기술 습득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그러한 지식과 기술은 우리가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성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프로그램에 의해 다루어지는 특별한 기술은 독특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들은 참가자들이 이전에 노출되지 않았고 다른 곳에서 얻을 수없는 기술이었습니다.


The participants value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in value clarification and career planning as well as in scholarly writing, oral presentation, gender and power issues, negoti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uch knowledge and skills ‘‘would help us succeed not only academically but [also] in diverse areas of life.’’The particular skills addressed by the program were seen as unique; these were skills to which the participants had not been previously exposed and would be unlikely to gain else-where. 



교수 유지

Retention of faculty.


이 프로그램은 우리 학교에서 교수진이 학술 의학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많은 참가자가 학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학술 의학의 성격과 기대에 대한 이해를 향상 시켰기 때문입니다.

The program affected faculty members’ retention in academic medicine at our school, in part because it helped many participants find greater satisfaction in their work and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and expectations of academic medicine.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그 요인으로 여러가지를 꼽았다. 

    • 한 개인은 자신감을 키우고 자기 옹호 (self-advocacy) 기술을 습득하여 교육 기관에서보다 편하게 지낼 수있게되었으며 따라서 교수진의 일원으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 다른 참가자에게 프로그램의 제공은 교수개발과 교수의 성공에 대한 기관적 의지가 의과 대학과 계속 제휴하려는 욕구를 강화 시켰습니다.

Those who experienced a positive impact on retention attributed it to a variety of factors. 

    • One individual gained the confidence and self-advocacy skills that made him or her more comfortable at the institution and thus more likely to choose to remain as a member of the faculty there. 

    • To another participant, the offering of the program suggested institutional commitment to faculty development and a concern about faculty success that reinforced the desire to continue being affiliated with the medical school.



고찰

DISCUSSION


CMP 프로그램은 교수 개발 과정에 대해 자기 주도적이고 자기 권한을 부여하며 협업 적이며 경험적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재임 및 승진 지침, 대학 정책 및 절차, 강의 사용을 강조 할 수있는 전통적인 초점과는 달랐습니다.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현을 알리는 이론적 개념과 일관되게 

  • 초기, 집중적 인 3 일 세션은 가치 설명, 목표 설정, 자체 권한 부여 및 팀 구성에 중점을 둡니다. 

  • 이 세션은 관점과 경험의 공유를 촉진하고 참가자들 간의 신뢰를 촉진하는 안전하고, 비-판단적 환경의 맥락에서 제공되었습니다. 

  • 궁극적으로 참가자들의 유대감에 기여했으며 이후의 각 세션을 특징 짓는 상호 작용적이고 협동적인 학습 과정의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The CMP program used a self-directed, self-empowering, collaborative, experiential approach to the process of faculty development. It differed from a more traditional focus that might emphasize tenure and promotion guidelines, university policies and procedures, and the use of lectures.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concepts that informe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 the initial, intensive three-day session focused on value clarification, goal setting, self-empowerment, and team building. 

  • The session was offered in the context of a safe, non-judgmental environment that promoted the sharing of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and fostered trust among participants. 

  • It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participants’ bonding and set the stage for the interactiv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that characterized each of the subsequent sessions.


로저스가 주장한 바와 같이, 참가자들은 성찰, 상호 작용, 관계 구축을 촉진하고, 지식과 기술 습득을 돕고, 개인 성장을 촉진하는 안전하고,지지 적이며, 자기 주도적이며, 평등 한 학습 환경을인지했다. 그러한 프로그램은 특히 여성의 경력 개발에 도움이 될 수있다.

Consistent with Rogers’ contentions,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a safe, supportive, self-directive, egalitarian learning environment that fostered reflection,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uilding, facilitated their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and fostered personal growth. Such a program may be particularly conducive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18


참가자들은 동료에 대해 소중히 여긴 특성이 멘토에게 기대되는 특성에 부합하더라도, 반복적으로 동료를 '멘토'가 아닌 '협력자'또는 '동료'(비 계급적 관계를 암시 함)로 식별했습니다: 통찰력, 경험, 아이디어, 지침, 문제 해결, 지원. Peer collaborator에 대한 그들의 언급은 peer-mentoring 프로세스의 비 계급적 성격을 반영하며, 여기에는 기존의 시니어-주니어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권력, 지배력, 의존성, 이전transference 등이 해결된 것과 관련된다. CMP는 또한 가용한 멘토가 부족하고, 일관되지 못하고, 한 사람의 관점에만 영향을 받는 한계 등 교수멘토링 상황에서 발생했던 다른 어려움을 피했습니다.

Participants repeatedly identified their peers as ‘‘collaborators’’ or ‘‘colleagues’’ (implying a non-hierachical relationship) rather than as ‘‘mentors,’’ even though the attributes they valued in their peers were 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s of having a ‘‘mentor’’2: shared insights, experiences, ideas, guidance, problem solving, and support. Their reference to peer collaborators reflects the non-hierarchical nature of a peer-mentoring process, a characteristic that addresses problematic issues in senior–junior mentoring relationships such as power, dominance, dependency, and transference. The CMP also circumvented other difficulties in dyadic faculty mentoring situations, including lack of mentors’ availability, inconsistency, and the limitations inherent in receiving just one person’s perspective.







 2002 May;77(5):377-84.

Helping medical school faculty realize their dreams: an innovativecollaborative mentoringprogram.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Faculty Development and National Center of Leadership in Academic Medicine, the Brody School of Medicine, East Carolina University, Greenville, North Carolina, USA. Linda.pololi@umassmed.edu

Abstract

Junior faculty wishing to achieve successful careers in academic medicine face many challenges. To facilitate faculty in their career development, the authors implemented and evaluated an innovative collaborative, or peer-group, mentoring program at their medical school. Based on Rogerian and adult learning principles, the program incorporated development of skills in key areas for career development, a structured values-based approach to career planning, and instruction in scholarly writing. The 80-hour program has so far been conducted twice over two academic years (1999-2001) with 18 faculty (50% wom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in the evaluation. Program attendance was 89%.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written academic development plan, an exercise they rated as valuable. They also completed an average of one to three manuscripts for publication. Evaluation data highlighted the critical nature of a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reasons participants chose to attend the program consistently. Key meaningful outcomes for most participants were: (1) identification of their core values; (2) a structured process of short- and long-term career planning based on these core values; (3) the development of clos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4) development of skills in such areas as gender and power issues, negoti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cholarly writing, and oral presentation, and (5) improved satisfaction linked to participants' decisions to remain in academic medicine. Participants developed a sense of personal transformation and empowerment. The authors conclude that collaborativementoring offers a new approach to faculty development that addresses limitations of traditional approaches in a satisfying and cost-effective way.

PMID:
 
12010691
[Indexed for MEDLINE]


국제 보건교육자를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개발: 실용 전략(Med Teach, 2012)

Project-based faculty development by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Practical strategies

STEWART MENNIN1, SUMMERS KALISHMAN1, MARY ANN EKLUND1, STACEY FRIEDMAN2, PAGE S. MORAHAN2 & WILLIAM BURDICK2

1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USA, 2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Institute, USA




도입

Introduction


이러한 변화로 인해 직원 개발이라고도하는 교수 개발은 다양한 분야의 교사들의 요구에 더욱 민감 해지고 있습니다. 그렇게하면서, 교수개발은 개인 교육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서 광범위한 지역 사회, 기관 및 사회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능한 실무자의 발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Because of these changes, faculty development, also referred to as staff development, is becoming more responsive to the felt needs of teachers in various areas (Steinert et al. 2006). In so doing, it has expanded beyond the acquisition of individual instructional skills to the development of capable practitioners who can meet the broad spectrum of community, institutional and societal needs


또한, 교수 개발 문헌의 대부분은 개별 교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최근에는 교수개발이 사회적 및 문화적 과정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In addition, while most of the faculty developme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individual teacher(Stritter 1983; Bland & Schmitz 1986; Hitchcock et al. 1993;Wilkerson & Irby 1998; Steinert et al. 2006), more recentlythere has been increased emphasis of faculty development as asocial and cultural process (Engestrom et al. 1999; Arrow et al.2000; Wenger et al. 2002; Davis et al. 2008; Engestrom 2008;Gergen 2009; Daniels et al. 2010; Bleakley et al. 2011;O’Sullivan & Irby 2011).


Fellowship 커리큘럼은 펠로우가 고국에서 보건 전문 교육의 변화를 소개하고 기존 사례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 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합니다. FAIMER 연구소의 목표는 "보건 전문가들 간 국제 공동체를 창설한다. 이들은 ''변화 요원 ''및 ''교육 학자 / 연구자 ''로서 신뢰할 수있는 기관 지도자가 되어야 하며, 보건 전문가 교육을 발전시키는 프로젝트 및 학술 활동에 협력 할 수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각 국가 및 지역의 의료 개선에 기여합니다."

The Fellowship curriculum centers around projects designed by Fellows to introduce change and improve existing practic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t their home institutions (Gusic et al. 2010). The goal of the FAIMER Institute is to create an international community of practice among health professions faculty who are credible institutional leaders as ‘‘change agents’’ and‘‘educational scholars/researchers’’ who can collaborate on projects and scholarly endeavors that advanc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and regions(www.faimer.org; Wenger et al. 2002; Burdick et al. 2006;Mouradian & Huebner 2007).




Methods


This study involved longitudinal qualitative analysis with triangulation of multiple data sources (interviews, document reviews) collected over the course of the first 16–18 months of the Fellowship.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ported here was completed by an external program evaluation team (SM,SK, and ME)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medical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based at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Office of Program Evaluation, Education, and Research(PEAR). One of the PEAR team members (SM) was also a faculty member for the FAIMER Institute. This team worked in collaboration with the FAIMER Education division staff and faculty for the FAIMER Institute (including SF, PM, and WB) to co-design and facilitate the use of findings as part of the Institute program evaluation, in line with collaborative approaches to evaluation (Cousins & Whitmore 1998;Fetterman et al. 2010). 



Transcripts of interviews with and written reports from 54 mid-career health professions faculty members (30 men and 24 women) from 18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two-year FAIMER Institute program between 2001 and 2006 formed the basis of the data in this study. Most Fellows had MD or MBBS degrees; some had PhDs in basic sciences. Each Fellow submitted six written project reports, including: 

  • (1) a project description in the initial Fellowship application, 

  • (2) four project progress reports at intervals of 3, 5, 11 and either a written or telephone report between 16 and 18 months after the initiation of the Fellowship, 

  • (3) a project poster, and 

  • (4) an abstract at the end of one year of the Fellowship. 

Project reports included the purpose, objectives, methodology and strategies, information about any changes, challenges and facilitators, and results and outcomes. 


In addition, Fellow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t the end of one year of the Fellowship via a one-hour semi-structured interview conducted face to face in Philadelphia by two individuals (SK, ME) from the PEAR external evaluation team.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Interview questions addressed participants’ views about critical incidents and reflections upon the FAIMER Institute, with the semi-structured format allowing for probing for deeper understanding. 


Typical questions included: 

  • Please describe successes and challenges you have experienced in implementing and sustaining your project; 

  • Please describe strategies you have implemented and are planning to address the continuation of your project; and 

  • Please describe activities that have helped sustain or maintain this project; 

  • In every project, there are unexpected and unanticipated events that affect what occurs. Please describe any unexpected or unanticipated events that have influenced your project.


Altogether, 324 reports and transcripts from 54 Fellows comprised the data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project-based faculty development in this report. These data were analyzed by the PEAR team of external evaluators (SM, SK, and ME), using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unfolding of each project to highlight key issues as described by Patton (2002) and iterative reading to identify points of change and departure from the original project proposal, unexpected successes or setbacks, and confounding events and circumstances. 

  • An initial series of reading and analysis focused on identifying skills and challenges that had an impact on project success. 

  • A subsequent series of reading and analysis by the same team for frequency distilled these skills and challenges into the three themes focused on project progress over time. 

  • A final review of these data, coupled with the experience and observations of the program faculty resulted in the 12 strategies recommend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aculty development projects. All quotes shared in the results were rendered anonymous in regard to gender, discipline, and country.



결과

Results


교수개발 프로젝트에서 배운 기술과 도전 과제

Skills learned and challenges encountered in faculty development projects


프로젝트에서 사용 된 주요 기술.

Major skills used in the projects, analyzed across Fellows and over time.


대부분의 휄로우가 프로젝트에서 유용하다고 생각한 세 가지 주요 기술 영역은 교육 방법, 리더십 및 관리, 관계 (협업, 네트워킹 및 멘토링)에 중점을 둡니다. 자신의 개인 능력 개발 이외에도 교수개발은 모든 프로젝트의 일부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젝트가 성숙되면서 더 자주 언급되었습니다.

The three predominant skill domains viewed useful in projects by the majority of Fellows were focused on educational methods, leadership and management, and relationships (collaboration, networking, and mentoring). In addition to their own personal skill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was a part of all projects, and was mentioned more frequently as projects matured over time.



(1 번 테이블).


프로젝트에서 자주 접하게되는 문제.

Challenges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projects, analyzed across Fellows and over time.


휄로우들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본국 기관에서도 많은 상충하는 책임을 맡았습니다.

그들은 또한 갑작스러운 전환에 있어 필연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펠로우십 환경에서는 우정, 서포트, 전문 지식, 직접 대면 멘토링을 통해 현장 펠로우쉽 환경에 집중할 수 있었으나, 소속 기관의 환경에서는 상충하는 work demands와 상대적 고립감을 느꼈다. 또한 펠로우들은 일반적으로 좋은 도서관 접근성 부족에 대한 좌절감을 표했습니다.

(Table 2). Fellows had many competing responsibilities at their home institutions as did their colleagues with whom they were working on projects.They also encountered difficulty in making the inevitably abrupt transition from immersion in the on-site Fellowship environment with camaraderie, support, access to expertise and face-to-face mentoring to the environment of their home institutions with competing work demands and relative isolation. Fellows commonly noted their frustration at the lack of good library access. 





교육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위한 주요 주제

Major themes for success in implementing education projects


리더십과 조직 기술.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kills.


펠로우는 "사람들을 관리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그들의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데 결정적이었다고보고했다. 펠로우가 설명한 상황, 리더십은 주로 적응적adaptive이며, 사람들이 직면하는 격차와 도전을 해소하는 데 필요한 일을 배우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Heifetz 1994). 서포트, 사용 가능한 리소스, 팀워크와 같은 FAIMER에서 배운 기술은 프로젝트의 설계 및 구현에 핵심 요소임을 인식했습니다. 또한 문서 작성, 평가 및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모든 펠로우들은 로직 모델, Gantt 차트 및 프로젝트 계획 프로세스와 같은 테크니컬한 조직화 스킬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Fellows reported that learning to ‘‘manage people’’ was crucial to implementing their projects. Leadership in the situations described by the Fellows is primarily adaptive and requires helping people to learn to do the work necessary to bridge the gaps and challenges they are facing (Heifetz 1994). They recognized that the support, the available resources, and the skills learned at the Institute, including teamwork, were vital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ir projects. In addition, they commented on the importance of documentation, evaluation, and appreciating others. All Fellow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technical organizing skills such as the Logic Model, Gantt Charts, and project planning processes.


휄로우는 제한된 자원과 관련된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프로젝트 규모를 변경할 필요성을 인식했습니다. 모든 휄로우들은 자신의 프로젝트가 초기에 실제로 구현 된 것보다 더 큰 규모로 초기에 잉태되었으며, 초기 경험에 근거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보다 현실적이고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축소되었음을 지적했습니다.

Fellows recognized the need to alter the scale of their projects to manage challenges related to limited resources. All Fellows indicated that their projects were conceived initially on a grander scale than was actually implemented and based on initial experiences and over time were scaled down to a more realistic and manageable level.


기술과 도전의 교차점을 강조하면서, Fellows는 변화에 대한 기관적 적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 방법 적용의 유용성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 파일럿 테스트와 'found pilot'(펠로우의 프로젝트와 연결될 수 있는 혁신을 이미 이루고 있는 다른 교수들)를 사용하면 기관 차원에서 프로젝트를 수용하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Hirshhorn & May 2000).

Highlighting the intersection of skills and challenges, Fellows noted the utility of applying educational methods to address challenges of institutional adaptation to change. Specifically, pilot testing and use of ‘‘found pilots’’ (other teachers already doing something innovative and different that could be linked with the Fellow’s project) helped to increase the institutional acceptance of projects (Hirshhorn & May 2000).



협력

Collaboration.


협력이란 상당한 차이와 경계를 넘어서 함께 작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협력은 "transformative"를 향해 공통점을 교환하는 것이며 (Olson & Eoyang 2001), 사회에 봉사하기 위해 건강 시스템에서 함께 일하게 될 미래의 보건 전문가를위한 교육의 관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공유 된 비전을 갖는 것이다. 여러 class의 펠로우들은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밝혔다. 펠로우들은 FAIMER에서의 경험과 FAIMER 교수진의 지원이 협력 능력을 향상 시켰다고보고했습니다. 한 펠로우는 "다른 나라의 교육자들과의 협력은 지식을 넓히고 풍성하게했다"고 말했다.

Collaboration refers to working together across boundaries, across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ith exchanges similarities towards transformative (Olson & Eoyang 2001) with a shared vision to improve the relevance and quality of education for future health professionals who will work together in their health systems to serve society.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as a recurrent theme identified by Fellows across the classes. Fellows across cohorts reported that their experience at the Institute and the support of FAIMER faculty enhanced their ability to collaborate. One Fellow said, ‘‘The important collaborations with educators from other countries ...broadened and enriched [my] knowledge.’’


개인적, 직업적 성장.

Personal professional growth.


개인적 직업적 성장, 특히 HPE 분야에서 경력을 쌓을 능력이 생겼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personal professional growth, especially in self-confidence and ability to pursue a career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그들은 FAIMER에서의 경험이 전문직으로서의 삶 뿐만 아니라, 한 개인으로서의 자신의 삶도 바꾸었다고 생각했습니다. 한 연구원은 "FAIMER는 [내] 전문직뿐만 아니라 내 개인적인 삶에서도 긍정적 인 변화의 도구가 될 수있는 지식, 도구, 네트워크 및 개인적인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They perceived their personal lives to be changed by their Institute experience, as well as their professional lives. One Fellow stated that ‘‘FAIMER gave [me] the knowledge, tools, network and personal opportunities to be a positive change agent, not only in [my] professional [life], but also in [my] personal life.’’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

Awareness of societal context.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리더십, 조직, 협력 및 개인 성장이라는 여러 가지로 짜여진 차원을 필연적으로 필요로했으며, 관련성은 사회 및 지역적 문화와 분리 할 수 ​​없었습니다. 펠로우들은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 향상 뿐만 아니라, FAIMER 경험을 각자의 국가 별 상황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였다. 한 연구원은 자신의 나라에 대한 심층적 지식이 그 지역에서 어떻게 해야 프로젝트가 효과적일지를 정확한 진단하도록 도왔으며, 이제 그녀는 자신의 국가 현실의 여러 영역에 지식을 적용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Successful projects necessarily involved multiple interwoven dimensions of leadership, organization, collaboration and personal growth, the relevance of which was inseparable from society and regional cultures. Fellows reflected often about challenges of adapting their FAIMER experience to their country-specific situations as well as increased awareness of the societal context. One Fellow indicated that in-depth knowledge of the reality of her/his country helped her/himmake an accurate diagnosis of what is effective for projects in that region, and now she/he can adapt knowledge to multiple areas of her/his country’s reality.


또한 Fellows의 의견은 Fellow의 개인적 진보에 긍정적으로 반영되지 않는 한 대학의 administrator들은 의학 교육의 스탠다드를 높이기 위한 지원을 거의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Additionally, Fellows’ comments reflected the realization that their university administrators provided little support for higher standards in medical education unless it reflected favorably on Fellow’s personal advancement.





고찰

Discussion


휄로우들의 공동 경험에서 얻은 결과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줍니다 : 교육에서 변화와 혁신을위한 쉬운 접근법과 레시피는 없습니다.

The results from the collective experiences of the Fellows confirm what is obvious: there are no easy approaches and recipes to change and innovation in education.


확인된 주제의 역동적 인 상호 작용은 각 상황마다 고유 한 것이었지만, 그것을 개발할 필요는 휄로우가 묘사 한 모든 상황에 공통적이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수행 된 프로젝트의 실제 현실에서, 학습이 "진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 반응"으로서 이해된다는 점에서 변화는 교육적이었다.

 (Snowden 2002; Heifetz et al., 2009).

The dynamic interplay of these themes was unique to each situation, yet the need to develop them was common to all situations described by the Fellows. Change, in the practical day-to-day reality of the projects followed in this study, was educational in the sense that learning is understood as in adaptive action response to evolving circumstances (Snowden 2002; Heifetz et al. 2009).



교수진은 배운 것을 실천할 필요가 있으며 즉각적인 관련성과 실용성이 핵심입니다. Fellows 보고서의 대다수는 특정 환경에서 특정 집단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 된 프로젝트를 기술 한 것이다 (Burdick et al. 2011).

faculty members need to practice what they learn, and that immediate relevance and practicality are key. The majority of Fellows’ reports described projects that were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a particular group in a particular setting (Burdick et al. 2011).



열두가지 권고 전략

12 Recommended strategies


(1) 프로젝트의 범위와 기간 조정.

(1) Adjusting the scope and time frame of the project.


모든 펠로우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로젝트가 보다 현실적이고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축소되었음을 지적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scope과 무관해보이며, 즉 프로젝트가 전체 커리큘럼에 관련된 것이든, 커리큘럼의 일부에 대한 것이든, 커리큘럼 내의 어떤 과정에 대한 것이든 마찬가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프로젝트 규모를 축소 할 필요성은 새로운 기술 및 평가 방법의 도입을 비롯하여 다양한 유형의 교육 변화 전반에 걸쳐 명확하게 드러났다. 보편적으로 프로젝트 목표는보다 구체화되고 범위가 제한적으로 재 작성되고 재구성되었습니다.

All Fellows indicated that their projects over time were scaled down to a more realistic and manageable level. This seemed to be the case regardless of the scope of the project, that is, whether the project involved a change in the entire curriculum, a segment of the curriculum, or a course within the curriculum. The need to scale down project size was also apparent across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changes, including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and assessment methods. Universally, project objectives were rewritten and reframed to be more specific and more limited in scope.



(2) 승인 필요.

(2) Approval requirements. 


모든 프로젝트는 학장,위원회, 기관 검토위원회 (윤리위원회), 교수진, 학생 및 지역 사회의 다양한 구성에 의해 승인되어야했습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 완료까지 시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했으며, 승인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었다.

All projects had to be approved by various configurations of Deans, committees, Institutional Review Boards (Ethics Committees), faculty, students, and communities. This added to the time required for completion, and was related to the need for scaling down the size of the projects. 



(3) 파일럿 테스트의 유용성.

(3) Usefulness of pilot tests. 


파일럿 테스트는 프로젝트에 대한 기관적 수용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되었습니다.

Pilot testing helped to increase the institutional acceptance of projects.




(4) 팀 빌딩 및 태스크 포스의 중요성.

(4) Importance of team building and task forces. 


다른 사람들을 모으고 관심을 가질 수있는 능력

The ability to gather and interest others


(5) 예상치 못한 지연과 좌절.

(5) Unanticipated delays and setbacks.


예기치 못한 사건은 삶에서 언제나 일어나며, 모든 휄로우가 그것에 적응해야했습니다.

Unanticipated events are a fact of life and all Fellows had to adapt to it.


(6) 진행과정에서 프로젝트를 수정할 수있는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6) Need for flexibility to modify the project along the way.


어떤 계획도 원래 계획대로 펼쳐지거나 이행되지 않았다.

No project unfolded and was implemented as originally planned.


(7) 변화하는 기관 우선 순위와 정책에 맞게 사업을 조정.

(7) Adapting projects to changing institutional priorities and policies.


정의에 따르면, 각 프로젝트는 기존의 커리큘럼이나 프로그램에 변형 또는 다른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현상 유지를 disturb하는 것이다.

By definition, each project was disturbing to the status quo, introducing a variation or different approach into an existing curriculum or program.


펠로우는 프로젝트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동료들의 견해와 이해를 통합해야했습니다. 각 프로젝트는 기관 zone of variability(혁신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내외부의 요구에 적응하여 완전히 다른 프로젝트가 될 수 있다 (Hall & Horde 1987). 모든 펠로우들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다른 시각을 받아들이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였습니다.

Fellows had to incorporate the views and understanding of their colleagues in order to be able to move projects forward. Each project has a zone of variability (innovation configurations) within which it adapts to the institution needs and outside of which it becomes another project altogether (Hall & Horde 1987). The ability to embrace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moving forward with a project was recognized by all Fellows.



(8) 'found pilot'를 사용하십시오.

(8) Using ‘‘found pilots’’. 


found pilots 와의 연결은 때때로 변화하는 긍정적 인 편견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Marsh & Schroeder 2002), 프로젝트의 파일럿 테스트 및 확장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Connecting with found pilots at times can become part of the positive devianceapproach to change (Marsh & Schroeder 2002) andhelp promote pilot testing and expansion of the desiredproject.



(9) 필연적이고 지속적인 교수개발 필요성.

(9) Inevitable and continued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프로젝트의 성숙으로 인해 협업, 확장, 제도화 및 지속 가능성을위한 필수 구성 요소로서 더 큰 교수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The maturation of projects created a need for greater faculty development as an essential component for collaboration, expansions, institutionalization, and sustainability.


(10) 프로젝트를 자주 평가하고 수정하기.

(10) Evaluating and modifying the project frequently.


빈번한 단기간의 평가는 더 작고, 아마도 더 많은 조정을 가능하게 했다.

Frequent short-term evaluations permitted smaller, and presumably more doable, adjustments.


(11)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펼쳐나가기

(11) Expanding with new people.


모든 프로젝트는 상호 의존적 공유 비전을 향한 지속적인 공동 작업의 형태의 협력을 필요로했습니다. 많은 프로젝트가 기관의 한 부분으로 정립되었습니다.

All projects required collaboration in the form of sustained collective work toward an interdependent shared vision. Many projects became established as part of the institution.


(12) 맥락을 온전히 알고 문헌을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12) Critical importance of reading the literature, knowing the subject in its full context.


대부분의 펠로우들은 HPE에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현장의 관련 문헌 및 프로젝트 관련 문헌에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또 다른 도전은 보건 전문 교육의 문헌 대부분이 영어로되어 있으며 많은 휄로우들이 영어를 제 2 외국어로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많은 펠로우는 그러한 문헌에 대한 접근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Most Fellows were relatively new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inexperienced with the relevant literature in the field in general and with project-specific literature. An additional challenge was that most of the literatur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in English and many Fellows speak, read, and writ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Finally, many Fellows noted the lack of access to such literature.










 2013;35(2):e971-7. doi: 10.3109/0142159X.2012.731096. Epub 2012 Oct 26.

Project-based faculty development by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educatorspracticalstrategie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ell Biology and Physiology,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NM, USA. menninsp@gmail.com

Abstract

BACKGROUND:

Project design and implementation, applied to real life situations, is emerging as an educational strategy for application of health professions faculty development learning within a supportive environment.

AIM: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roject evolution to identify common experiences, challenges, and successful strategies of 54 mid-career faculty members from 18 developing countries who attended th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between 2001 and 2006 and designed, conducted, and evaluated education innovations at their home institutions.

METHODS:

Chronological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54 projects over the initial 16-18 months of the 2-year Fellowship was based on an iterative qualitative analysis of 324 reports and individual interview transcripts collected over 6 years.

RESULTS:

Useful skill areas for project implementation included educational methods, leadership and management, and relationships/collaboration. Common challenges included competing responsibilities, lack of protected time, and limited resources. Themes identified with the evolution and success of education innovation projects includ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ollaboration, personal professional growth, and awareness of the relevant societal context.

CONCLUSIONS:

Common challenges and success factors in project-based faculty development were identified. Twelve practical strategiesto promote successful project-based faculty development emerged that can be generalized for faculty development.

PMID:
 
23102155
 
DOI:
 
10.3109/0142159X.2012.731096
[Indexed for MEDLINE]


기관 맥락에서 효과적인 교수개발: 전이를 위한 설계(J Grad Med Educ, 2016)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in an Institutional Context: Designing for Transfer

Francois J. Cilliers, MBChB, MPhil HE, PhD

Ara Tekian, PhD, MHPE




교수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근무지 전이가 확실히 일어나게 하는 학습이다.

A key challenge for faculty development is ensuring that learning is transferred to the workplace.


개입

Interventions


1. 교수개발을 직무 요구사항과 연관있게 하고, 기관의 필요와 개인의 열망 사이의 균형을 잡아라

1. Relate Faculty Development to Job Requirements and Balance Institutional Need and Individual Aspiration


교과 과정 개발이 직장으로 전이되는 것은 프로그램 내용이 직업 요구 사항에 맞을 때 일어날 가능성이 더 큽니다. 교수법 이외에도 교육 내용은 리더십과 연구 연구 기술, 교육 (예 : 보조금 작성, 출판), 감독 스킬 등을 반영해야합니다. 내용은 개별 교수들이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표현하는 challenge에 민감해야합니다

The transfer of faculty development into the workplace is more likely to happen when program content is true to job requirements.13,14 Beyond teaching skills, content selection should reflect leadership andscholarly research skills in methods, education (eg, grant writing,publishing) and supervisoryskills.3–6 The content should be sensitive to the challenges that individual faculty members express, whether informally or formally


제도적 관점에서 볼 때, 교수 개발 프로그램은 기관의 목표를 지원할 때 자원을 지원받을resourced 가능성이 더 큽니다. 교수개발 세션 중에 프로세스는 개인의 필요를 강조하고 이를 기관 우선 순위와 비교해야합니다.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is more likely to be resourced when it supports institutional goals. During faculty development sessions, the process should highlight individual needs and compare them to institutional priorities.


교육 내용, 리더십, 연구, 감독 기술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직업 요구 사항에 맞게 유지하십시오.

Keep program content true to job requirements—include teaching, leadership, scholarship, and supervisory skills.


개인이 비공식 대화에서 표현하는 과제에 주의하십시오.

Be attentive to the challenges individuals express in informal conversations.


요구 사정을 하십시오.

Do a needs assessment.


교수 개발 과정에서 개인과 기관의 필요를 비교하십시오.

During faculty development, compar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needs.




2. 교수개발을 실제 맥락과 관련시켜라

2. Relate Faculty Development to the Context of Practice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환경]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적용되는 환경]과 유사 할 때 전이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13,15

Transfer is more likely to happen when the environment where the program takes place resembles the setting in which new knowledge and skills will be applied.13,15



팀 또는 부서 기반의 행동 학습 방법을 고려하십시오

Consider team or department-based action learning approaches. 


3. 동료와 안전한 환경에서 연습해볼 기회를 제공하라

3. Provide Opportunities to Practice With Peers in a Safe Environment


이상적으로, 교수개발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개발 기술을 연습하는 것을 편하게 생각하는 학습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Ideally, faculty development occurs in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participants feel comfortable sharing their thoughts and ideas and practicing their developing skills.




지지하고 인정해주라; 시행 착오를 격려하고, 즐겨라

Be supportive and appreciative; encourage trial and error; have fun.


전체 기술을 시연하고 연습하십시오. 시나리오 또는 역할극 및 경험을 프로그램에 통합 할 수 있습니다.

Demonstrate and practice whole skills; incorporate scenarios or role play & experiences into the program.


참가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연습하고, 기술 향상을 위해 건설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하십시오.

Ensure that participants can actively participate, practice, and receive constructive feedback to improve on skills.



4. 확실하게 그리고 실현가능한 변화를 이룰 수 있는 길을 만들라

4. Make the Path to Change Clear and Feasible


교수개발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프로그램에서 옹호 된 변화를 실행하는 것이 어떻게 성과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인가]가 분명해야 합니다 .13

It should be clear to those participating in faculty development how implementing the changes advocated in the program will lead to improved performance.13



참가자 자신의 경험을 활용하십시오.

Draw from participants’ own experiences. 


역할 모델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콘텐츠의 적용을 설명하십시오.

Illustrate the application of program content using role models.


성공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실제 사례를 공유하십시오.

Share real world examples that demonstrate successful change.



5. 전이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예상하라

5. Anticipate Challenges in Transferring Learning to Practice


참여자에게 일이 잘못 될 수있는 방법과 장소를 예상하도록 도와줍니다.

Help participants anticipate how and where things can go wrong.


구현 (예 : 변경 관리, 리더십 및 프로젝트 관리)을 지원하기위한 추가 기술을 제공합니다.

Provide additional skills to support implementation (eg, change management, leadership, and project management).



6. 배운 것을 적용한 참가자에게 보상을 주라

6. Reward Participants for Implementing What Has Been Learned


참가자들이 배운 내용을 구현하면 가치있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가치는 개인적인 것일 수 있으며,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얻은 만족을 높이 평가할수록 가치가 있다고 느낄 것이다. 외부 존중과 보상도 중요합니다.


It should be realistic for participants to expect that implementing what they have learned will lead to valued outcomes.13–15 Value may be personal, with participants holding in high regard the satisfaction that comes from using new knowledge or skills. External regard and reward are also important.27



참가자는 (특히 자신의 개인 목표에 부합하는 경우에)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사용하여 얻는 만족을 중시합니다.

Participants will value the satisfaction that comes from using new knowledge or skills, particularly when it matches their personal goals.


교육 혁신의 날과 혁신적인 실천을 위한 상을 도입하기 위해 프로그램, 부서, 기관과 협력하십시오.

Work with the program, department, and/or institution to introduce educational innovation days and awards for innovative practice.


프로그램, 부서, 기관과 협력하여 교사 개발에서 파생 된 학습을 수행하는 것이 커리어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하십시오.

Work with the program, department, and/or institution to ensure that implementing faculty development–derived learning contributes to career progression.



참가자

Participants


7. 학습 내용 도입에 필요한 참가자의 개인적 능력을 고려하라

7. Consider Participants’ Personal Capacity to Implement What Is Learned


너무 부담스러운 기대는 전이를 초래할 가능성이 적으며 facilitator는 교수진의 시간, 에너지 및인지 능력에 대한 요구를 고려해야합니다.

Expectations that are too onerous are less likely to result in transfer, and facilitators should consider the demands that faculty members have on their time, energy, and cognitive capacity.9,13




구현 기대치를 현실적으로 유지하십시오.

Keep implementation expectations realistic. 


교수진에게 기존에 요구되는 시간, 에너지, 능력을 파악하십시오.

Get faculty to identify existing demands on their time, energy, and capacity.


참가자들이 이를 수 있는 초기의 작은 변화가 무엇인지를 확인하십시오.

Identify with participants what initial small changes are feasible for them.


8. 목표 설정, 후속 조치, 퍼포먼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라

8. Provide for Goal Setting, Follow-Up, and Feedback on Performance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배운 것을 적용 할 목표를 설정하도록 격려하십시오.

Encourage participants to set goals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


피드백 기회를 만들어라 (예 : 교육 상담사와의 일대일 상담, 직접 대면 또는 온라인, 강의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 학생의 피드백 및 / 또는 동료, 멘토 또는 감독자의 조언).

Arrange opportunities for feedback (eg, one-on-one consulting with an educational adviser, face-to-face or online; direct observation of teaching; feedback from students; and/or advice from a peer, mentor, or supervisor).


첫 번째 시도에 대해 숙고하고 개선 방법을 계획하도록 장려하십시오.

Encourage faculty to reflect on a first attempt and plan how to improve on it.


교육 자문관 또는 멘토와 지속적인 관계를 제공하십시오.

Offer ongoing engagement with an educational adviser or mentor.



도입

Implementation


9. 참가자들에게 배운 것을 근무지에서 적용할 기회를 주라

9. Give Participants the Opportunity to Apply Learning in the Workplace


프로그램의 설계에 배운 것을 적용 할 수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직장 환경으로의 전이가 이뤄질 수 있다. 직장 환경에서의 활동은 변화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Transfer to the workplace is aided by building opportunities to apply what has been learned into the design of the program.13–15 Activities in the workplace context are effective in bringing change.1,18,28



프로젝트를 사용하여 학습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한 내용을 적용하십시오.

Use projects to identify learning goals and to apply what is learned.


기관의 implementation 보조금을 요청하여 구현 노력에 자원을 지원하라

Resource implementation efforts by soliciting institutional implementation grants.


10. 맥락이 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상하라

10. Anticipate How the Context Can Influence Implementation


교수진 개발 담당자는 참가자가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배치 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이 환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엇이 충족되어야합니까? 

  • 부서 문화는 어떻습니까? 

  • 환경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행을지지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It is important that faculty development facilitators understand the transfer climate14,15 in which participants will be expected to deploy new knowledge or skills. Critical questions include the following: 

  • What needs have to be met? 

  • What is departmental culture like? 

  • How conducive will the environment be to supporting new ideas and practices?15,20


어떤 요구를 충족시켜야하는지, 어떤 부서 문화가 어떤지, 그리고 어떻게 도움이되는 동료가 새로운 아이디어와 실천을 지원할 것인가를 이해하십시오.

Understand what needs have to be met, what departmental culture is like, and how conducive colleagues will be to supporting new ideas and practices.


부서별 맥락에서 지원과 멘토링을 조직하십시오.

Organize support and mentoring in a departmental context.


감독자 및 동료와 협력하여 학습 적용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십시오.

Work with supervisors and peers to shore up support for applying learning.


참가자들이 토론하고 그들의 이니셔티브에 대한 지원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부서 외부 및 내부의 그룹을 조직하십시오.

Organize groups outside (and inside) of departments where participants can discuss and draw support for their initiatives.


11. 도입의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라

11. Design the Program to Enhance Accountability for Implementation


이는 성과 평가 중 교육 혁신에 대한 인정을 포함해야하며, 동등하게, 원하는 성과가 달성되지 않더라도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와야합니다.

This should encompass acknowledgement of education innovation during performance appraisal, and equally, some meaningful consequences if desired outcomes are not achieved.13,14




부서 및 교육 기관과 협의하여 성과 평가 중 교육 혁신에 대한 인식을 의미있는 결과로 포함시킵니다.

Work with the department and institution to include acknowledgement of education innovation during performance appraisal, with meaningful consequences.


교수 개발 사용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부서에 기관의 필요와 비전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책임을 부여해야 합니다.

Hold departments accountable during reviews for using faculty development to help them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institutional needs and vision.



Conclusions


1. Irby DM. Excellence in clinical teaching: knowledg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required. Med Educ. 2014;48(8):776–784.


7. Carraccio C, Iobst WF, Philibert I. Milestones: not millstones but stepping stones. J Grad Med Educ. 2014;6(3):589–590.





 2016 May;8(2):145-9. doi: 10.4300/JGME-D-15-00117.1.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in an Institutional ContextDesigning for Transfer.

PMID:
 
27168878
 
PMCID:
 
PMC4857507
 
DOI:
 
10.4300/JGME-D-15-00117.1


국제교수개발: FAIMER Initiatives의 교훈(Acad Med, 2014)

Global Faculty Development: Lessons Learned From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Initiatives

William P. Burdick, MD, MSEd




2001 년에, 국제 의학 교육 연구 진흥 재단 (FAIMER)은 전 세계의 모든 보건 전문가들에게 중직자 교수진을 위한 휄로우 십 프로그램 인 FAIMER Institute를 시작했습니다. 그 후 인도, 중국,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6 개의 FAIMER 지역 연구소가 생겼으며, 여러 곳이 계획 단계에서 있다. 모든 프로그램은...

  • 1 주에서 3 주간의 주거 세션부터 시작하여 

  • 11 개월 온라인 세션, 

  • 1 주일에서 2 주일 동안의 주거 세션 

  • 최종 11 개월 온라인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In 2001,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initiated the FAIMER Institute, a fellowship program for midcareer faculty members in all health professions from around the world. Subsequently, six FAIMER Regional Institutes were created in India, China, Brazil, and South Africa, with several others in planning stages. All programs begin with a 1to 3-week residential session, followed by an 11-month online session, another 1to 2-week residential session, and a final 11-month online session.


국제 보건 협력을 발전시키려는 노력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 해 있습니다 : 

  • 지역의 요구와의 연계, 

  • 지속적인 의존성, 

  • 신뢰의 발전. 

글로벌 교육 개발 노력은 특히 

  • 필요한 노력을 과소 평가하고 

  • 학문 문화와 인센티브의 차이에 의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Efforts to develop international health partnerships face many challenges: 

  • alignment with local needs, 

  • persistent dependency, and 

  • development of trust.1,2 

Global education development efforts are particularly challenged by 

  • underestimation of personnel effort needed, and 

  • variation in academic cultures and incentives.3,4


우리의 연구는 고-자원 기관의 "push"가 아니라, 저-자원 기관으로부터의 "pull"을 통해서 관계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려주었다. 또한 교수개발을 위한 로컬 역량 구축, 관대함, 양방향 학습에 대한 개방성, 파트너를 인간으로서 인식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Our work has also taught us about 

  • the importance of “pull” from the low-resource institution to set the direction and scope of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push” from the high-resource institution, as well as 

  • the necessity for local capacity building to run faculty development, 

  • generosity, 

  • openness to bidirectional learning, and 

  • recognition of the partner as a person.



성공적인 국제 협력을 위한 도구

Tools for Successful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실제로 작동하는 프로젝트

Projects that work


프로젝트는 지식 이전을 촉진하고 지역적으로 관련된 기관 변화를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 FAIMER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교육 디자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참가자들이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jects can be a powerful tool for facilitating transfer of knowledge and promoting locally relevant institutional change, and they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design components7 of the FAIMER education programs. We recommend allocating substantial time to helping participants plan their projects. 


우리의 프로젝트 토론은 펠로우에게 두 가지 질문에 답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시작됩니다 :

(1) 당신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무엇입니까? 

(2) 당신의 변화 이론은 무엇입니까? 


프로젝트 개발 과정의 또 다른 초기 요소는 "건강 증진과 프로젝트는 어떤 연결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대답하도록 요청하는 것입니다.

Our project discussions start by asking fellows to answer two questions: 

(1) What is the problem you are trying to address? and

(2) What is your theory of change? Another early element in the process of project development is to ask fellow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your project’s connection to improving health?


우리의 데이터에서 기관 변화에 대한 교육 프로젝트의 역할은 분명합니다

The role of education projects in institutional change is evident from ourdata



프로젝트 성공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우리는 신청 과정의 일부로 프로젝트의 기관 리더의 승인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주거 세션 전후에 리더와 화상 회의 통신을합니다. 그 결과 휄로우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혁신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한 프로젝트의 설계 및 구현에서 배운 기술은 다른 프로젝트로 이전 할 수있어 기관의 요구에 대응할 수있는 변화 요원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To enhance the likelihood of project success, we require institutional leadership endorsement of projects as part of the application process. We follow this by videoconference communication with the leadership before and after the residential sessions. The result is increased awareness of fellows’ projects and higher likelihood of sustained support for the innovation. Skills learn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e project also are likely to be transferable to another project, creating a cadre of change agents able to respond to institutional needs.


펠로우가 개발하고 구현 한 프로젝트 중 56 %는 학교의 교과 과정 정책에 통합됩니다. 

또한, 62 %는 자신의 프로젝트가 자신의 기관 내, 국가내 다른 곳, 다른 국가에서 복제되었다고보고했습니다.

The projects that fellows develop and implement are incorporated into the curriculumor policies at their schools in 56% of cases . In addition, 62% reportedthat their project was replicated at their institution, in another setting in their country, or in another country.8






커뮤니티 형성은 숨겨진 소스이다.

Building community is the secret sauce


우리는 그룹 규범에 관해 의견을 나누고 합의함으로써 각자의 새로운 batch 내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한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We acknowledge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within each new batch of fellows by discussing and establishing consensus about group norms.


우리는 함께있는 동안 광범위한 그룹 작업을하는 휄로우들을 포함하는 세션을 디자인하고, 세션 기간 동안 떨어져있을 때 잦은 listserv 및 전화 회의 통신을 사용합니다. 우리는 눈에 잘 보이도록 "leave titles by the door"하는데, 이는 다직전문가 그룹에 중요한 요소이며, 펠로우들에게도 똑같이 하도록 요청합니다. 많은 휄로우들이 FAIMER 경험 이전에 개인주의적이고 경쟁이 치열한 성공을 거뒀지만, 대부분의 졸업생은 교육자 커뮤니티를 창출함으로써 얻는 가치와 이점을 인정합니다. 커뮤니티의 중요성은 교수 개발 연구에서도 인정되었습니다.

We design sessions that involve the fellows in extensive group work while they are together, and use frequent listserv and conference call communication when they are apart during the intersession period. We conspicuously “leave titles by the door” and ask fellows to do the same, an important element in a multiprofessional group. Although many entering fellows achieved success before their FAIMER experience on individualistic, highly competitive pathways, most graduates acknowledge the value and benefits of creating a community of educator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has also been acknowledged in faculty development research.9


우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보건 전문가 교육자들은 정보 공유와 개인적 및 전문적 지원을위한 초국적 네트워크의 폭breadth과 강점strength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과제는 기관, 특히 상대적으로 자원이 제한된 기관 간에, 현저하게 유사하며, 각기 다른 국가 또는 지역의 동료들이 종종 이를 극복하기위한 유용한 전략을 제시합니다.

Our data indicate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value the breadth and stren gth of a transnational network for information sharing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support. Challenges are remarkably similar across institutions, particularly those enduring relatively limited resources, and fellows from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often offer useful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m.


리더십과 관리는 모든 문화에서 교육할 수 있다.

Leadership and management can be taught across cultures


우리가 리더십과 관리 기술을 가르치기 시작했을 때, 우리는 지역 문화적 차이가이 영역에서 아이디어의 효과적인 보급을 배제 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그러나 참여자가 진정한 지역 프로젝트에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리더십과 경영의 상징적, 관계 적 차원의 지역적 차이가 성공적으로 통합되었습니다.

When we started teaching leadership and management skills, we were concerned that regional cultural differences would preclude effective diffusion of ideas in this domain. However, as participants have applied skills to authentic local projects, regional differences in symbolic and relational dimensions of leadership and management have been successfully integrated.


이 맥락에서 문화의 발현으로서의 언어는 특히 중요합니다. 지식이 풍부한 원어민의 상담을 통해 단어 및 구문을 주의 깊게 번역하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 중국 지역 연구소 (China Regional Institute)에서는 혼란을 줄이고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이해 관계자", "탄력성"및 "권한 위임"과 같은 다른 용어와 함께 리더십 용어집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유지합니다.

 Language as a manifestation of cultur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is context. Careful translation of words and phrases through consultation with knowledgeable native speakers has been very useful. At our China Regional Institute, we maintain a constantly updated glossary of leadership-related terms, such as “stakeholder,” “resilience,” and “empowerment,” in addition to other terminology, to reduce confusion and promote consistency.


현장 개발이 변화를 강화할 수 있다.

Field development can amplify change


보건 전문 교육 분야는 많은 지역에서 약하다. 

    • 논문이나 서적과 같은 학술 자료는 빈번하게 생산되거나 쉽게 구할 수 없다. 

    • 보건전문직 교육에 초점을 맞춘 전문 협회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국가 또는 지역 회의 기회는 제한적입니다. 

    • 교수 승진을 위한 교육 관련 기준의 부재는 학술 문화와 인센티브의 중요한 차이를 나타냅니다. 그 결과 교수진이 승진에 "고려되지" 않을 분야에서 출판물을 생산하는 데 시간과 자원을 투입하지 못하게합니다.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s weak in many regions—

    • scholarly materials like articles and books are neither frequently produced nor readily available. 

    • Professional associations focused o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y not exist in these areas, and national or regional conference opportunities are limited. 

    • The lack of education-related criteria for promotion of faculty represents an important difference in academic culture and incentive; it discourages faculty from committing time and resources to produce publications in a field that will not “count” towards promotion.


협동이나 지식 확산과 같은 리더십 기술은 지역 보건 전문가 교육 분야를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는 3 개의 지역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약 300 명의 FAIMER 회원을 졸업 한 후 5 년 이내에 인도에서 극적인 현장 개발을 목격했습니다.

Leadership skills like collaboration and knowledge diffusion can lead to a stronger regiona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ield. We have witnessed dramatic field development in India within five years of initiation of three regional programs and graduation of about 300 FAIMER fellows.


로컬 혁신 프로젝트가 중요하지만, 이 프로젝트에서 창출 한 education scholarship에 대한 기여를 기반으로 한 academic promotion을 위해서는 "현장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Local innovation projects are important, but “field leadership” is needed to advocate for academic promotion based on contributions to education scholarship generated by these projects.


국제 성장의 교훈

Lessons from global growth


첫째, 새로운 프로그램의 시작을위한 추진력은 지속적으로 우리 쪽에서의 "push"이 아니라 상대 지역의 "pull"에서 왔습니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하는 강한 열망을 가진 이 지역의 집단parties들이 지역 내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물류, 승계 계획, 커리큘럼 적응 및 교수진 역량 구축을위한 지역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First, the impetus for initiation of new programs has consistently come from “pull” in the region, not “push” from our end. Interested parties in the region with a strong desire to implement the new program are able to consider local stakeholder needs. Local initiatives for logistics, succession planning, curriculum adaptation, and faculty capacity building are essential.


새로운 지역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개발에 몇 가지 요인이 기여했습니다. 

    • 하나는 (FAIMER 지역 연구소가 중요한 지역 내 자산이 될 수 있는) "underserved" 지역에서 잠재적인 FAIMER 연구소 지원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입니다. 

    • 다른 하나는 지역 프로그램을 만들기위한 펠로우들의 열정입니다. 

필라델피아에있는 FAIMER 연구소의 펠로우 선발은 

    • 제출한 교육 혁신 프로젝트의 질, 

    • 보건 전문가 교육 경험, 

    • 기관적 지원, 

    • 변화를 위한 대리인이 될 수있는 잠재력에 기반합니다. 변화 대리인으로서의 잠재력은 새로운 지역 프로그램의 개발에 참여할 가능성을 포함합니다.

Several factors have contributed to successful development of new regional programs. 

    • One is proactive engagement of potential FAIMER Institute applicants from “underserved” parts of the globe where a FAIMER Regional Institute could become an important local asset; 

    • another is passion from fellows for creating a local program.

Selection of fellows for the FAIMER Institute in Philadelphia is based on 

    • the quality of their proposed education innovation project, 

    • experien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 institutional support, and 

    • their potential to become an agent for change. Change agent potential includes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a new regional program.


지역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구성 요소에 대한 지역 교수진 리더십의 점차적인 증가는 지속적 의존성의 가능성을 줄입니다. 인도 프로그램의 시작 단계에서, 예를 들어지도 교수의 50 %는 지역적이었습니다. 5 년 동안 약 80 %까지 증가했습니다.

Gradually increasing local faculty leadership of program components in regional programs reduces the likelihood of persistent dependency. At the start of the Indian programs, for example, 50% of lead faculty were local; over a five-year period, that increased to about 80%.


관대함은 곱셈의 효과가 있다.

Generosity has a multiplier effect


Give and Take에서 Adam Grant10은 "giver"과 관련된 성공을 설명합니다 - 참가자의 교수 개발 촉진 기술이 강화되면 수백 명의 교사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수백 명의 학생들에게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In Give and Take, Adam Grant10 describesthe success associated with being a “giver”— When participants’ faculty development facilitation skills are strengthened, they may influence hundreds of teachers, who in turn will reach many hundreds more students.


학습은 양방향적이다.

Learning is bidirectional


우리는 참가자들의 학습에 개방적 마음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풍부한 자원을 가진 기관이 전문성을 가지더라도, 그들의 초점과 맥락은 종종 무의식적으로 좁아지기 마련이다. FAIMER에서 우리는 경제 발전, 사회 세력, 이주, 안전, 정치적 압력에 관한 "진정한"이야기를 배웁니다. 고-자원 상황에서 의료 전문가 교육은 alternative model에 대한 시야를 잃기 쉽습니다.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keeping an open mind to learning from participants. Although institutions with ample resources clearly have expertise, their focus and context is often unconsciously narrow. At FAIMER, we learn the “real” story on economic development, social forces, migration, safety, and political pressures. In the echo chamber of highresourc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t is easy to lose sight of alternative models.


파트너십은 개인적인 것이다.

Partnership is personal


파트너십은 개인적인 관계에 기반하며, 개인적인 관계는 신뢰를 기반으로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할 것이라고 말한 것은 해야 한다"는 단순한 전제에서 일합니다. 예측 가능성의 이런 종류에 대한 결과는 우리가 약속 한 것에 의해서 신중한 제약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파트너는 일반적으로 우리의 행동과 반응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Partnerships are built 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sonal relationships are built on trust. We work from the simple premise that we should do what we say we are going to do. The corollary to this kind of predictability is that we are carefully constrained on what we promise. Our partners are generally able to anticipate our actions and reactions.


우리는 다른 어떤 의사소통보다도, 글로벌 관계의 시작단계와 후속 조치에서 직접 대면하는 의사 소통에 투자하는 것이 가치가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Skype와 같은 무료 인터넷 기반 도구는 제한된 리소스를 가진 파트너가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연락처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유용함이 입증되었습니다.

We have learned that it is worthwhile to invest in face-to-face communication to begin a global relationship, with follow-up by almost any other means of communication. Free Internet-based tools like Skype have proven to be the most useful because partners with limited resources can use such tools to initiate contact as needed.


마지막으로 배운 교훈은 참가자를 사람으로 인정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환자를 사람으로 봐야 한다는 탄원을 종종 듣습니다. 학생에 관해서 글로 쓰여진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글로벌 파트너십에 참여한 참가자는 중요한 가치, 우선 순위 및 관점을 밝히는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최근 한 펠로우에게 처음으로 집에 전기가 들어왔을 때에 대해서 물었습니다. 그러자 그는 "전기에 관해서 묻지 마라."라고 하며, "처음 신발 한 쌍이 생겼을 때가 언젠지 물어보세요."라고 했다(답 : 그는 대학에 갔을 때 전기, 12 세 때 신발). 이 사람은 현재 MHPE를 보유하고 있으며 간호 대학의 교장입니다. 우리가 파트너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알게되면 가치와 우선 순위가 더 집중됩니다.

The final lesson learned is to acknowledge the participant as a person. We often hear the plea to see the patient as a person; not enough is written about the student as a person. Participants in global partnerships have stories that reveal important values, priorities, and perspectives. I recently asked one of our fellows when his family first obtained electricity at their home. “Don’t ask me about electricity,” he said, “ask me when I had my first pair of shoes” (answers: electricity—when he went to university; shoes—when he was 12 years old). This fellow now has an MHPE and is the principal of a college of nursing. Values and priorities come into sharper focus when we know the personal stories of our partners.




마무리

Concluding Remarks


이러한 노력을 통해 우리는 

  • 지역의 요구와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 지속적인 의존성을 피하고 

  • 신뢰를 발전시킬 수있었습니다. 


Through these efforts, we have been able to 

  • maintain alignment with local needs, 

  • avoid persistent dependency, and 

  • develop trust. 


글로벌 이니셔티브는 해외 파트너로부터 에너지를 얻고, 관대함이 가치를 이끌어갈 때 가장 성공적으로 성취된다. 전기와 신발 같은 개인적인 이야기는 우리를 연결시켜주는 접착제입니다.

Global initiatives are most successfully accomplished when the energy comes from the partner abroad, and generosity is the driving value. And personal stories, like those about electricity and shoes, are the glue that keeps us connected. 



3 Luo A, Omollo KL. Lessons learned about coordinating academic partnerships from an international network for health education. Acad Med. 2013;88:1658–1664.






 2014 Aug;89(8):1097-9. doi: 10.1097/ACM.0000000000000377.

Global faculty developmentlessons learned from the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initiatives.

Author information

1
Dr. Burdick is vice president for education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and clinical professor of emergency medicine,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Abstract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faculty development programs have operated since 2001 and are designed to overcome many of the challenges inherent in global health collaborations, including alignment with local needs, avoiding persistent dependency, and development of trust. FAIMER fellowship programs, developed for midcareer faculty members in all health professions from around the world, share goals of strengthening knowledge and skills in education leadership, education methods, and project management and evaluation. Building community is another explicit goal that allows participants to support and learn from each other.The author recommends several practices for successful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based on 13 years of experience with FAIMERfellowships. These include using authentic education projects to maintain alignment with local needs and apply newly acquired knowledge and skills, teaching leadership across cultures with careful communication and adaptation of concepts to local environments, cultivating a strong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promote diffusion of ideas and advocate for policy change, intentionally promoting field development and leadership to reduce dependency, giving generously of time and resources, learning from others as much as teaching others, and recognizing that effective partnerships revolve around personal relationships to build trust. These strategies have enabled the FAIMER fellowship programs to stay aligned with local needs, reduce dependency, and maintain trust.

PMID:
 
24918762
 
DOI:
 
10.1097/ACM.000000000000037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