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론에서 실천으로 (From Theory to Practice)
(1) Adult Learning Theory
성인학습 - 다섯 가지 가정 (Andragogy — five assumptions about adult learning)
- 성인은 독립적이고 스스로 결정을 내린다.
Adults are independent and self directing
- 성인에게는 축적된 많은 경험이 있고, 학습에 있어 이것은 풍부한 자원이 된다.
They have accumulated a great deal of experience, which is a rich resource for learning
- 학습의 가치는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상황과 통합되는 것에 있다.
They value learning that integrates with the demands of their everyday life
- 과목 중심적인 접근보다는, 즉각적이고 문제 중심적인 접근에 관심을 갖는다.
They are more interested in immediate, problem centred approaches than in subject centred ones
- 외부적 동력보다 내적 동기에 의해서 학습한다.
They are more motivated to learn by internal drives than by external ones
(2)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학습자가 가르침과 배움을 구성하는 것의 통제권을 갖는다.
Organising teaching and learning so that learning is within the learners’ control
- Philip Candy
- 100 traits associated with self direction
- ability to be...
methodical and disciplined;
logical and analytical;
collaborative and interdependent;
urious, open, creative, and motivated;
persistent and responsible; confident and competent at learning;
reflective and self aware.
(3) 자기효능감(Self-Efficacy)
- Albert Bandura : 자기 자신의 대처능력에 대한 판단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가 달라진다.
people’s judgments of their own ability to deal with different situations is central to their actions
- 자기효능감이라고 불리는 이와 같은 판단은 정확할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지만 다음의 네 가지 정보에 의해 달라진다.
중요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성과, 성취 : performance attainments,
(2) 다른 사람 관찰 : observations of other people,
(3) 언어적 설득 : verbal persuasion, 믿을 만한 사람으로부터 칭찬을 들으면 도움이 된다.
(4) 생리적 상태 : physiological state, 스스로의 불안감이나 초조함을 자신의 약점이 아닌 기대와 흥분으로 재해석 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효능감 - 교수의 역할 (Self efficacy—roles for the teacher)
- Modelling or demonstration
- Setting a clear goal or image of the desired outcome
- Providing basic knowledge and skills needed as the foundation for the task
- Providing guided practice with corrective feedback
- Giv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learning
(4) 구성주의(Constructivism)
- 구성주의
- 구성주의의 기본 아이디어는, 학습자들은 그들이 원래 알고 있던 지식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학습자를 "수동적" 대상보다 "능동적" 주체로 본다.
(5)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
- 반성적 실천에 대한 이론의 발전에는 주로 Donald Schön가 기여(attributed to)하였다.
- 그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동안 얻은 이론적 지식이 실세 상황의 "지저분하고 불확실한(messy, indeterminate) 상황에는 잘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하였다.
- Schön 은 전문가들이 '자동적으로 수행(행위, 실천, 진료)를 하는 것을 professional “zones of mastery” 라 불렀다. 이것은 areas of competence 라고 할 수 있다.
- 기대하지 못했던 상황이나 사건이 벌어지면 두 종류의 반성(Reflection)이 일어난다.
하나는 "reflection in action"이다. (행동 중 반성). 이는 즉각적으로 일어나며 현재와 과거의 경험을 계속적으로, 창의적으로 적용시킴으로서 학습해나가고 발전해나가는 과정이다. 익숙하지 않은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에 이뤄지는 논리적 추론 과정이다.
두 번째는 "reflection on action"이다. (행동 후 반성). 이는 조금의 시간이 지난 후 일어나며, 지난 상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고(what happened), 그러한 의도치 않은 상황이 일어나게 된 이유는 무엇이고(what may have contributed to the unexpected event), 내가 취한 행동은 적절했는가(whether the actions taken were appropriate), 그리고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how this situation may affect future practice)에 대한 사고 과정이다.

Reflection in action
ABC of Learning and Teaching in Medicine
BMJ. 2003 Jan 25;326(7382):213-6.
Applying educational theory in practice.
Source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Centre at Simon Fraser University, Burnaby, British Columbia, Canada. dkaufman@sfu.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