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newyorker.com/online/blogs/newsdesk/2013/04/why-bostons-hospitals-were-ready.html)


2013년 4월 15일, 2013 보스턴 마리톤에서 결승선 직전에서 두 개의 폭탄이 터졌다.


이 테러에서 3명이 사망하고 17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그러나 부상자 중 사망자는 없었다. 

'성과'라는 단어를 쓰는 것 조차 안타깝고 조심스럽지만,
어찌되었든 이 정도 수준의 '의학적 성과'를 보일 수 있었던 것은
9/11이 그들에게 남긴 문화적 유산(cultural legacy) 덕분이었다.

"We’ve learned, and we’ve absorbed"

사건이 터지자마자 각 병원의 인력은 빠르게 동원되고, 
동원된 인력은 그 상황에 맞게 재조직되었으며,
혹시 모를 2차 3차 테러에 대비했고,
테러의 내용으로부터 환자가 오기 전에 이미 필요한 수술의 종류를 예상하여
수술장 및 인력을 갖추어 놓았다.

각 병원마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한 지휘관(commander)을 임명해 두었지만
그 지휘관이 무슨 일을 시키기 전에 모든 사람이 자율적으로 조화롭게 움직였고
폭발이 일어난지 단 35분만에 첫 번째 환자가 수술대에 오를 수 있었다.

"We have replaced our pre-9/11 naïveté with post-9/11 sobriety."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undee)

던디

Dundee Listeni/dʌnˈd/ (Scottish GaelicDùn Dè), officially the City of Dundee, is the fourth-largest city in Scotland. It lies within the eastern central Lowlands on the north bank of the Firth of Tay, which feeds into the North Sea. Under the name of Dundee City, it forms one of the 32 council areas used for local government in Scotland.

The town developed into a burgh in Medieval times, and expanded rapidly in the 19th century largely due to the jute industry. This, along with its other major industries gave Dundee its epithet as the city of "jute, jam and journalism".


The name "Dundee" is made up of two parts: the common Celtic place-name element dun, meaning fort; and a second part that may derive from a Celtic element, cognate with the Gaelic , meaning 'fire'.[4]





The SDMCG Learning Outcome Project

Phase 1. The specification of learning outcomes

  • 2000 3, SDMCG 스코트랜드의 어떤 의과대학을 졸업하든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자질과 역량을 정의하는 학습성과(learning outcome) 구성하였다.
    • In March 2000, following almost a year of extensive consultation with staff and students from the five Scottish medical schools, the Scottish Deans’ Medical Curriculum Group produced an agreed set of learning outcomes that clearly define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medical graduates from any of the Scottish schools. These outcomes were published as ‘The Scottish Doctor - Learning Outcomes for the Medical Undergraduate in Scotland: a foundation for competent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Phase 2. ‘The Scottish Doctor’ learning outcomes and assessment

  • 2002년, 'The Scottish Doctor' 번째 에디션이 출간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첫 번째 에디션에서 정의된 '성과(outcome)' 조금 수정하였으며, 어떻게 이들 학습성과를 평가(assess) 있을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A second edition of ‘The Scottish Doctor’ was published in 2002. This incorporated amendments to the outcomes in the light of feedback relating to the first edition and also demonstrated how each learning outcome might be assessed.
  • 번째 단계(phase) 또 다른 목적은 모든 학교에서 사용가능한 형태의 평가도구와 평가문항(assessment items or questions) 개발하는 것이었다.
    • One of the aims of this second phase of the work was to establish a collection of assessment items or questions that were acceptable to, and useable by, all schools. These would include set standards and encompass element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at are applicable to the exit level assessment of the outcomes, wherever that occurred in the various schools’ programmes.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섯 가지의 핵심 주제별로 팀을 구성하였다. : 
    • 흔한 주소(Medical Complaints)
    • 의사소통(Communication)
    • 공공보건(Public Health)
    •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
    • 의과학(Medical Science)
      • Five working groups were established to address the over-arching themes: Common Medical Complaints, Communication, Public Health, Professionalism, and Medical Science.  Specific topics were chosen from the level 4 outcomes and assessment items established..


Phase 3. Refine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and cross-linking with the recommendations publish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 번째 단계에서는 학습성과를 세밀하게 다듬고, GMC에서 출판되어있는 Tomorrow's doctor와의 연관짓기(cross-linking)작업을 하였다.
    • Since the publication in March 2000 of ‘The Scottish Doctor’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move internationally in medical education to an outcome-based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see section 2.1).  In the UK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has been concerned with learning outcomes.  It has a statutory role to oversee, quality assure and authoris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UK.  The Council publishes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hich medical schools must adhere to in order to attain GMC recognition (see section 2.2).  In phase 3 of ‘The Scottish Doctor’ project the learning outcomes statements in ’The Scottish Doctor’ have been mapped to those published by the GMC in ‘Tomorrow’s Doctors’ (General Medical Council 2002).  An evaluation has been carried out as to where they were congruent and where they differed.  In general, the two frameworks were found to be equivalent and the number of changes in ‘The Scottish Doctor’ outcomes requi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ere relatively small.
  • 이번 단계에서의 The Scottish Doctor 리뷰하는 과정에서 여러 전문분과(응급의학과, 피부과, 신경과, Palliative care, 약리학..) 학습성과와 교과과정을 고려하였다.
    • The work of reviewing ‘The Scottish Doctor’ learning outcomes has also been informed by the descriptions of curricula and learning outcome frameworks reported for a series of specialised areas in medicine including acute and emergency medicine, dermatology, neurology, palliative care,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and sexual health.



(출처 : http://www.scottishdoctor.org/index.asp,
http://www.scottishdoctor.org/resources/scottishdoctor3.doc)




(출처 : http://wppandphotos.blogspot.kr/2012/12/knowledge-is-having-right-answer.html)


(1) 

지식은 옳은 답을 알고 있는 것이다.

지능은 옳은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것이다.



(2)

"다른 이의 지능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하지만 다른 이의 지식을 과대평가하지도 말라."


"Never underestimate the person's intelligence, 

but don't overestimate their knowledge." - Sydney Jacobson






"정서적 교감"은 좋은 스토리텔링의 기본입니다. 물론, 청중들로 하여금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이 이야기가 중요하다고 느끼게 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야기의 핵심을 유지하는 가운데 어떠한 세부사항을 가지치기해낼 것인가를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축가인 미스 반 데 로에의 말을 빌리자면 이렇습니다. "우리는 진실을 전달하기 위해서 가끔 거짓말을 해야 할 때도 있다" 아마 이러한 태도는 특히 과학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더욱 중요하지 않을까요. 



Because good storytelling is all about emotional connection. We have to convince our audience that what we're talking about matters. But just as important is knowing which details we should leave out so that the main point still comes across. I'm reminded of what the architect Mies van der Rohe said, and I paraphrase, when he said that sometimes you have to lie in order to tell the truth. I think this sentiment is particularly relevant to science education.


사람들이 종종 저에게 과학을 수준을 낮추고 있다고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저는 현재 MIT의 박사과정에 있으며 과학에 있어 '세부적인 내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그 분야의 전문가들간의 대화에서 그렇다는 뜻이지, 열세살짜리 학생을 가르칠 때까지 그렇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과학을 배우는 단계의 어린 학생이 '모든 바이러스는 DNA가 있어'라는 수준의 틀린 지식을 갖게 된다고 해서 그 아이가 과학을 공부하고, 그렇게 성공할 가능성 자체를 망치진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과학에 대해서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고 과학 공부하는 것 자체를 싫어하게 된다면 이것은 아이가 가진 잠재력의 싹을 자르는 것과 같습니다. 


Now, finally, I am often so disappointed when people think that I'm advocating a dumbing down of science. That's not true at all. I'm currently a Ph.D. student at MIT, and I absolutel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etailed, specific scientific communication between experts,but not when we're trying to teach 13-year-olds. If a young learner thinks that all viruses have DNA, that's not going to ruin their chances of success in science. But if a young learner can't understand anything in science and learns to hate it because it all sounds like this, that will ruin their chances of success.


무언가를 해보시고 싶다면 카메라를 집어들어도 좋고, 블로그를 하셔도 좋습니다. '심각함'만은 던져두세요. '전문용어'도 마찬가지고요. 웃게 만들어 주세요. 관심을 갖게 해주세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귀찮은 세세한 것들은 던져버리고 바로 핵심으로 들어가세요. 어떻게 시작하면 좋겠나고요? 이렇게 해보세요. "내가 이야기를 하나 해줄께. 들어볼래?"


Pick up a camera, start to write a blog, whatever, but leave out the seriousness, leave out the jargon. Make me laugh. Make me care. Leave out those annoying details that nobody cares about and just get to the point. How should you start?Why don't you say, "Listen, let me tell you a story"?







타일러 디윗이 바이러스가 박테리아를 감염시키고 번식하는 과정을 설명한 그림

























과학계에 만연한 "진지함"이란 문화





"이렇게 쓰면 얼마나 쉬운가?"






"그런데 이 문장을 과학자들에게 검토받는다면 이런 코멘트들이 올 것이다"






"정확성"이라는 압제









"세상에, 이렇게 재밌다니!!"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elphi)


  • 정의
    • 전문가들의 의견수립, 중재, 타협의 방식으로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한 하향식 의견 도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으로 1948년 미국의 RAND연구소에서 개발되어 IT분야, 연구개발분야, 교육분야, 군사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 주요 특징
    • 델파이 기법은 어떠한 문제에 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판단으로 정리하는 일련의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이것은 추정하려는 문제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없을 때에 "두 사람의 의견이 한 사람의 의견보다 정확하다"는 계량적 객관의 원리와 "다수의 판단이 소수의 판단보다 정확하다"는 민주적 의사결정 원리에 논리적 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전문가들이 직접모이지 않고 주로 우편이나 전자 메일을 통한 통신수단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돌출된 의견을 내놓는다는것이 주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수행 절차
    • 초기계획수립: 측정대상 전제조건 확인, 전문가 섭외, 역할배정
    • 산정: 전문가 각자의 경험지식 기반 산정
    • 합의도출: 의견조정작업, 합의도출, 중재, 반복수행
    • 정리 및 기록: 합의결과 정리, 산정치 결정, 전제조건 정의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델파이_기법)



History[edit]

The name "Delphi" derives from the Oracle of Delphi. The authors of the method were not happy with this name, because it implies "something oracular, something smacking a little of the occult".[citation needed] The Delphi method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group judgments are more valid than individual judgments.
(여러 사람의 의견이 한 사람의 의견보다 더 타당(valid)하다는 가정에 근거함)

The Delphi method was developed at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to forecast the impact of technology on warfare.[8] In 1944, General Henry H. Arnold ordered the creation of the report for the U.S. Army Air Corps on the future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at might be used by the military.

Different approaches were tried, but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forecasting methods, such as theoretical approachquantitative models or trend extrapolation, in areas where precise scientific laws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quickly became apparent. To combat these shortcomings, the Delphi method was developed by Project RAND during the 1950-1960s (1959) by Olaf Helmer, Norman Dalkey, and Nicholas Rescher.[9] It has been used ever since, together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reformulations, such as the Imen-Delphi procedure.

Experts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 on the probability, frequency, and intensity of possible enemy attacks. Other experts could anonymously give feedback. This process was repeated several times until a consensus emerged.

Key characteristics[edit]

The Delphi Method communication structure

The following key characteristics of the Delphi method help the participants to focus on the issues at hand and separate Delphi from other methodologies:


주요한 특징

 - 참여자의 익명성

 - 정보 흐름의 구조화

 - 주기적 피드백

 -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

Anonymity of the participants[edit]

Usually all participants remain anonymous. Their identity is not reveal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nal report. This prevents the authority, personality, or reputation of some participants from dominating others in the process. Arguably, it also frees participants (to some extent) from their personal biases, minimizes the "bandwagon effect" or "halo effect", allows free expression of opinions, encourages open critique, and facilitates admission of errors when revising earlier judgments.

Structuring of information flow[edit]

The initial contributions from the experts are collected in the form of answers to questionnaires and their comments to these answers. The panel director controls the interactions among the participants 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and filtering out irrelevant content. This avoids the negative effects of face-to-face panel discussions and solves the usual problems of group dynamics.

Regular feedback[edit]

Participants comment on their own forecasts, the responses of others and on the progress of the panel as a whole. At any moment they can revise their earlier statements (언제든 앞에서 자신이 제시한 의견의 수정이 가능하다). While in regular group meetings participants tend to stick to previously stated opinions and often conform too much to the group leader; the Delphi method prevents it.

Role of the facilitator 
[edit]

The person coordinating the Delphi method can be known as a facilitator or Leader, and facilitates the responses of their panel of experts, who are selected for a reason, usually that they hold knowledge on an opinion or view. The facilitator sends out questionnaires, surveys etc. and if the panel of experts accept, they follow instructions and present their views. Respons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en common and conflicting viewpoints are identified. If consensus is not reached, the process continues through thesis and antithesis, to gradually work towards synthesis, and building consensus.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elphi_method)





DELPHI


Delphi (/ˈdɛlf/ or /ˈdɛlfi/GreekΔελφοί[ðelˈfi])[1] is both an archaeological site and a modern town in Greece on the south-western spur of Mount Parnassus in the valley of Phocis.

Delphi was the site of the Delphic oracle, the most important oracle in the classical Greek world, and became a major site for the worship of the god Apollo after he slew Python, a dragon who lived there and protected the navel of the Earth. Python (derived from the verb pythein, "to rot") is claimed by some to be the original name of the site in recognition of Python which Apollo defeated.[2] The Homeric Hymn to Delphic Apollo recalled that the ancient name of this site had been Krisa.[3]

Apollo's sacred precinct in Delphi was a panhellenic sanctuary, where every four years, starting in 586 BC[4] athletes from all over the Greek world competed in the Pythian Games, one of the four panhellenic (or stephanitic) games, precursors of the Modern Olympics. The victors at Delphi were presented with a laurel crown (stephanos) which was ceremonially cut from a tree by a boy who re-enacted the slaying of the Python.[4] Delphi was set apart from the other games sites because it hosted the mousikos agon, musical competitions.[2]

These Pythian Games rank second among the four stephanitic games chronologically and based on importance.[4] These games, though, were different from the games at Olympia in that they were not of such vast importance to the city of Delphi as the games at Olympia were to the area surrounding Olympia. Delphi would have been a renowned city whether or not it hosted these games; it had other attractions that led to it being labeled the "omphalos" (navel) of the earth,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the world.[5]

In the inner hestia ("hearth") of the Temple of Apollo, an eternal flame burned. After the battle of Plataea, the Greek cities extinguished their fires and brought new fire from the hearth of Greece, at Delphi; in the foundation stories of several Greek colonies, the founding colonists were first dedicated at Delphi.[6]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elphi)


  • Entrance Requirement
    • 20세기가 시작되면서 교육 개혁의 가지 분야만이 다른 분야들에 비하여 크게 뒤떨어져 있었다. 바로 입학 요건이다.
      • "의학교육의 가장 장애물은 낮은 입학 기준이다"
    • 1900년대 초의 MS 가장 뛰어난 젊은 인재들을 모으고 있긴 했지만, 여전히 여러 학력 검증이 불분명한 학생들도 들어오고 있었다. 서로 다른 수준의 학생들이 동일한 medical course 같이 밟고 있었다.
    • 그러나 1900년대 초반에 의학교육자들은 입학 조건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일정한 입학기준이 없이는 교육의 혼란은 일어날 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의학이 점차 과학적으로 엄격해지면서 준비가 되지 않은 학생들이 재수강을 해야 하거나 학교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생긴 것이다.
    • 입학 요건은 1900년보다 훨씬 이전부터 논의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전 논의의 맥락은 전혀 달랐다. AMA college degree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나, 의학교육자들은 college degree 자체보다 특정 과목을 배운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독일어나 프랑스어도 알기를 바랐다.
    • 그러나 이러한 욕심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일정 수준 이상의 학생 자체가 적었던 이다.
    • 1900년대 초에, 국가적 교육 시스템이 점차 공고해지기 시작했다. , , 고등학교 교육은 물론이고 전에는 무시당했던 자연과학 분야도 점차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 결과로 MS 까다로운 입학요건 내걸 있었다.
      • 입학기준은 공공 학교 체계가 가장 허술한 남부에서 가장 낮았다.
    • 입학기준을 설립하고자 하는 움직임의 요지는 대학 수준의 과학과목을 선행 요건으로 하는 것이었다.
    • Medical school들이 요구하는 입학 요건은 high school이나 college 수준을 빠르게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 결과 바로 충분한 수의 학생이 갖춰지진 않았고, enrollment 크게 감소했다.
    • 그렇지만 Medical school official 이러한 현상에 대해 기뻐했다. 정도는 충분히 감수할 있는 비용이었다.
    • 교육시스템이 Medical school 따라잡았다. High school college 다니는 학생은 빠르게 증가했다. 이전과는 상황이 바뀌어서 qualified applicant 필요 이상으로 많아졌다.
    • Medical school 발전하는 학교 시스템으로부터 이득을 봤을 뿐만 아니라 입학 요건을 통하여 시스템을 shape하기도 했다. Medical school 입학 요건을 갖춤에 따라서 college들은 premedical course 제공하기 시작했다.
    • Medical school school system shape하는 있어서 individually, 그리고 collectively 도움을 주었다.
      • Individually : University 속한 MS들은 캠퍼스의 undergraduate campus에서 premed program 조직하는 것을 도왔다.
      • Collectively : Medical school 또한 입학요건을 고등학교나 college 보냄으로써 최신의 기준을 전달했다.

 

  • 의학교육 역사상 어느 토픽보다도 입학요건은 수많은 미신(myth) 만들어냈다.
    • 1) 때문에 하는 아님에도 그것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이라는 오해를 사곤 했다.
  • 문제에 대한 혼란은 Medical profession 단일한 집단(monolith) 보는 흔한 오해로부터 일어나기도 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cademic physician ordinary practitioner 구분할 필요가 있다.
    • 입학요건이 physician들의 이미지나 지위를 높이기 위해서 하는 것이라는 의심이 있었으나, 입학요건은 의사집단 전체에 의해서 도입된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자들에 의해서 도입된 이다.
  • 다른 미신은 입학요건으로 인해 2)구성원의 사회적 특성이 변했다 것이다. 기존에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었던 직업이, 이제는 -상위 class에게만 제한된 것이다.
    • 입학요건이 이러한 경향을 강화시킨 것은 맞지만, 그것들이 주된 원인은 아니었다.
    • 1890년대와 1900년대 입학 정원이 크게 감소하면서, 입학요건이 있기 전에도 profession 사회적 구성은 이미 well-to-do segment 옮겨져 있었다.
  • 입학 정원의 감소는 모든 수준의 Medical school에서 벌어지고 있었다. 1900년대 초반에, Cornell 정책은 '1학년에 학생들을 골라내어 4학년에 가능하다면 모든 학생을 졸업시키는 것이다'
  • 같은 현상은 작은 학교들에서도 나타났다. 느슨한 입학요건을 요구하는 학교도 진급과 졸업에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곤 했다.
  • 모든 학교가 성적과 진급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러한 학교에서 졸업한 학생은 state licensing board에서 걸러지게 되었다.
    • 국가적으로 1906년의 리포트는 38개의 의과대학 졸업생 , 면허시험 탈락율은 20% 넘었다고 되어있다.
  • 1880년대부터 WWI까지, medical profession 사회적 구성은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었던 직업이 well-to-do segment로만 한정되었고, 노동자, 이민자, 소수민족, 흑인들은 배제되었다.
    • 따라서 입학정원 감소는 underprivileged에게 가장 손해였다(took its greatest toll on..)
  • 입학요건이 가져온 결과 하나는 일부 학생들의 기회를 박탈한 이었다.
    • Profession 이미 가난한 사람들은 없는 것이 되었다.
  • 1900년대 초반에, 준비되지 않은 사람이 Medical school 들어갈 있다고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하지만 많은 의학교육자들은 Medical school 적절한 역할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교육적 이상을 따라야 하는가 평등주의적 이상을 따라야 하는가?
  • Education Egalitarian 사이의 긴장은 완화되지 않았다. 그리고 입학요건이 확고해지며 Medical school 일차적 기능이 egalitarian 아니라 educational임이 분명해졌다.
  • 겉으로는 입학요건은 그것의 목표를 달성한 것처럼 보였다. 학생들은 나은 performance 보였고, 준비된 학생들이 입학하면서 입학정원감소도 점점 사라졌다.
  • 그러나 입학요건에 대한 지속적인 불편함이 숨겨져 있었다. 지적 능력 외에 실제로 나중에 중요할 것으로 보이는 인격은 평가할 있는 것이 아니었다.
  • 의학교육자들은 좋은 medical student 선발하고 있었고, 이러한 방식은 이를 통하여 미래에 훌륭한 의사를 키워낼 있을 것이란 믿음에서 작동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들도 개인적 성격을 평가하지는 못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고, 그에 대한 좌절감도 있었다. Pedagogy 관한 의학교육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더라도, 이러한 한계에 대해서 그들을 겸허해질 밖에 없었다.




  • Chapter 5. The Shaping of the Modern Medical School
    • 1890년과 1910 사이의 시기 의학교육 뿐만 아니라 medical school에게도 중요한 시기였다. 시기는 medical research 미국의 medical school에서 스스로의 자리를 확립해가는 시기였다.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들어오게 되었고, medical school 점차 국가의 교육 시스템에 대하여 의견을 내기 시작하였다.

 

  • Teaching and Research
    • 1890년과 1910 사이의 의학교육학자에게는 가지 임무 있었다. 하나는 1)의학을 좀더 과학적인 방법으로 가르쳐야 한다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2) 이상 유럽에 비해서 열등하지 않은 연구를 하는 이었다.
      • 그들은 철학이나, 사회과학이나, 물리학을 공부했던 사람들이 걸었던 길과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이었다.
    • 1890년대 중반을 거치는 동안에도 의대에서 Research 지위는 여전히 불안정 것이었다.
      • 수입, 장비, 시설등을 비롯한 모든 면에서 쉽지 않았다.
      • Medical research만을 다루는 저널은 1896년이 되어서야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J of Exp Med)
    • 그러나 1890년대 중반, 연구를 향한 태도는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하였다. 부정적인 예측에도 불구하고 J of Exp Med 성공을 이뤘고, 다른 많은 저널들이 뒤따라 생겼다.
      • 1906년에 30 정도의 의대에 연구를 하는 faculty 적어도 두명은 있었고 1911 수가 60으로 늘었다.
      • 당시의 의과대학들은 교육 분야의 리더십을 통해서 인정받는 만큼 연구를 통해서도 인정받았고, 미국의 experimental medicine 유럽에 대하여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섰다.
    • 의학교육의 발전과 의학연구의 발전은 서로 밀접한 관계 가지며 나아갔다.
      • 의학연구와 관련된 학회들의 회원들은 의학교육의 개혁에 앞장섰던 사람들로도 채워졌다.
    • 이러한 과정은 1909 Harvard Medical School biological chemistry chair Otto Folin 임명된 것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 생화학교실의 개설은 당시 Harvard 대단히 시급한 일이었다. (이미 다른 학교에는 있었음)
    • 연구가 반드시 medical school 따라가야 하는 것은 아니었고 research institute 같은 다른 대안 존재하였다.
      • 유럽의 Koch institute, Pasteur institute 등이 있었고, 미국에는 Rockefeller Institute 있었다
    • 그러나 미국에는 의학연구에 있어서 medical school 가장 중요한 되었고, 미국의 medical scientist들은 교육과 연구가 밀접히 관련된 것이라고 믿었다. 학생들로부터 떨어져 존재하는 연구자는 중요한 excitement stimulation 기회를 잃는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Rockefeller institute 후에 Rockefeller university 이름을 바꾸었다.
    • Medical school 연구를 촉진시켜야 한다는 생각은 19세기 중반 독일 대학에서 유래했다고 있다.
      • "학생과 교수는 함께 하는 것이며, 그저 사람이 다른 사람에 비해 조금 앞서 있을 뿐이다."
    • Progressive education 널리 퍼지며 teacher-investigator에 대한 infatuation 높아졌다.
      • "최고의 medical teacher investigator이다."
    • 모든 사람이 investigator 만이 가르칠 있다는 사실에 동의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investigator 'handicapped' as teacher라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선생님은 연구자라는 생각은 20세기 초의 사회적/정서적 상태에 좀더 부합하엿다.
    • 1900년대 초에, 의학연구는 미국 medical school에서 확고한 위치를 잡게 되었다.
      • "의학 연구는 의학 교육의 핵심(the very soul)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 연구의 관계가 항상 그렇게 부드럽지만은 않았다. 둘은 자주 갈등을 일으켰다.
      • 연구와 교육은 모두 교수의 시간을 잡아먹는 일이었다.
      • 교실이 작으면 교수들은 학생에 써야 하는 시간이 적고 많은 시간을 연구에 할애할 있었기에 교실 사이즈를 줄이는 것은 학생 뿐만 아니라 교수들의 이익에도 부합했다.
    • 연구는 재정적 부담 초래했다. : 시설, 기자재 등등.
    • 20세기의 10년간 과학은 medical school에서 기이한 위치에 있었는데, 이러한 모호한 상태는 교육과 연구 사이의 긴장 상태 때문이었다. <교육에 관한 논의에서는 과학의 위치는 공고했다.>
      • 비록 일부는 good scientific education 학생들이 어떤 진로를 희망하든 중요하다는 원칙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말이다.
    • 그러나 <연구에 관한 논의를 때문 상당한 혼란> 붉어졌다. Medical school 적절한 역할이란 무엇인가? 연구? 교육?
      • 간단히 말하면 교육과 연구 사이에 어디에 선을 그어야 것인가가 불분명했던 것이다. 비슷한 갈등은 현재의 의과대학에도 존재한다.
    • 흔히 제안된 가지 방안은 practical school scientific school 나누자 것이다.
    • 하지만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었다.
      • 종합하면 1910년에 연구는 이상 미국 의대의 바깥에 머물 없었고, 그러나 연구의 정확한 형태는 아직 확립되지 못하고 있었다.

 

  • Medicine Enters the University
    • 1890년대와 1900년대에 다른 중요한 사건 있었다. 바로 의학교육이 대학 안으로 들어온 이다. 대학들은 의학교육에 1870년대부터 눈독을 들이고 있었으나 1890년이 되어서야 medical school 대한 control 갖기 시작하였다.
    • 의학교육이 움직여온 방향을 보면, 대학이 이것을 흡수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의학교육자들은 다른 분야의 교육자들과 마찬가지로 어떻게 의학을 가르쳐야 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 그러나 이러한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medical school university 사이의 연합은 초기에 상당한 어려움 있었다. 이것은 Harvard 사례(Eliot 개혁에 강력하게 저항한 교수들)에서도 확인된다. 19세기가 끝날 때까지 대부분의 medical school 사적 소유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교수들은 사업에서 손을 생각이 없었다.
    • 그러나 전체적인 움직임이 너무도 강력하였기에 일부 medical faculty 저항은 소용이 없었다.
      • 1)뛰어난 리더십과 능력을 갖춘 공격적인 university president medical school 대한 responsibility 쥐는 것을 그들의 mission으로 생각하였다.
      • 의학은 신학(divinity) 가지고 있던 최고의 지위(prestigious profession) 차지하기 시작했다.
    • 이에 더하여 2)독일의 영향 미국 의학에 여전히 많이 퍼져 있었고, 많은 medical faculty들은 대학과 강력한 유대관계를 갖는 것에 대해서 상당히 수용적이었다. 남아있던 조금의 의심마저 3)JHMS 성공으로 사라졌다.
    • 의학이 대학에 기반을 잡으면서, 과정은 self-sustaining하게 되었다.
      • 또한 양쪽에 모두 도움이 되는 면이 있었는데, Medical School 안정적인 재정적 지원을 필요로 했고, 대학은 강한 medical school 소유함으로서 교육적 지위를 확보할 있었다.
    • Medical school 대학의 연합은 1890년과 1910 사이에 활발히 일어났으며, 진정한 university 체제로의 전환은 갖춰진(thorough) 교육 가능하게 하였다.
      • Arrangement 끝난 , 대학은 medical school 재정적 지원을 하였다.
    • 대학과 medical school 연합은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바와는 조금 차이가 있었다. 일부 사람들은 medical school 대학이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을 상상하였다. 그러나 이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서로 다른 캠퍼스에 있었고, faculty간의 연락은 드물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대학의 정신이 점차 점차 medical school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 1910 이전에는 50개의 의과대학이 genuine university department였다. 중에 재정적 지원을 받는 곳은 극소수였다. 그럼에도 대학이 의학교육의 리더임은 분명했기에 medical school에게는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 University medical school 등장은 당시 의학교육자들에게 의학교육을 이끄는 으로 인식되었다.
      • 의학교육에 기여한 많은 agency들이 있었지만, 중에서도 great universities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 Flexner report이전에 의학교육이 irreversible momentum 가질 있었느냐에 대한 답이 여기 있다. 대학들이 이미 주도권을 쥐고 있었기 때문이다.
    • 만약 university medical school 새로운 시대의 등장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이것은 구시대의 소멸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1860년대의 의사가 되기 위한 다양한 진로들이 소멸되어간 것이다.
      • 1873 MGH Harvard medical graduate 인턴을 한정시켰다.
      • 의학교육은 '대학의 영역' 되어버린 것이다.




  • The Growth of a National Movement
    • 의학교육의 개혁이 국가적 움직임이 것은 1890년대 이후이다. 같은 현상은 전체적으로 향상된 교수 집단, 그리고 학교간의 경쟁에 기인한 바가 있지만,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의학 저널, clubs, societies같은 것들은 모두 교육적 아이디어의 토론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양한 학교의 의학교육자들은 친분을 쌓고, 같은 학회 활동을 하면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서로 격려해주며 지지해주었다.
    • 교육 이념의 확산에 기여를 국가 기관이 있다. 하나는 AAMC이며, 다른 하나는 AMA이다.
      • 이들은 학교들이 교육과 관련한 목소리를 있게 해줬고, 토론과 논의의 장이었다. 또한 출판물을 통해서 전체 medical community 의학교육과 관련한 주제에 관심을 갖도록 해주었다. 그리고 1907 AAMC Council on Medical Education 학교들에 대한 평가를 시작하였을 , 개혁적 움직임은 가속화되었다.
    • 1910 이전에는 조직 모두 의학교육 개혁에 어떠한 움직임도 취하지 않았다.
      • 사실 1910년이 되어서야 학교의 1/3정도가 가입하였고, 가입을 위한 최저 조건도 낮았다.
      • 그럼에도 조직 모두 점차 의학교육에 규칙화된(regularize), 그리고 조직화된(coordinate)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 1891 Western Reserve대학의 대표는 AAMC 3년제 medical course 정의를 분명히 내려달라고 요구했다.
      • AAMC medical school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그들의 목소리는 대변했으나 외부 조직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
      • 그러나 결정이 내려지고 정책으로 시행되면 member 아닌 학교도 educational issue clarification 이득을 보았다.
    • 다양한 토론의 가지 결과는 커리큘럼의 균질성을 향한 움직임이었다.
      • 이러한 움직임은 AMA AAMC 의해 촉진되었고, 조직 모두 model curricula 출판하였다.
    • 그러나 1900년대 초반에 의학교육은 균일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 해부학은 학교에 따라 126시간부터 1248시간까지 다양했다.
    • Standardization 돌릴 없는 추세였다. 비록 극단의 variation 크긴 했지만, 대부분의 학교는 일정 범위 내에 몰려 있었다.
      • 전반적으로 미국의 교통과 통신 기술이 발달하였고, 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영향을 느낄 있었다.
      • 절대적인 동등성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의 유사함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1900년대의 의학교육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던 변화였다.
      • 학교간 차이를 조율하고, 모든 곳에서 course requirement '동일한 것을 의미하도록' 만들기 위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었다.
    • 1900년대 초반의 학교에서 medical degree 따는 것은 전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 되었다.
      • 요구조건이 까다로워졌고, 과목은 어려워졌고, 시험의 난이도도 올라갔다.
    • 그러나 학생들은 별로 신경쓰지 않는 하였다.
      • 쉽게 MD degree 있는 학교들이 여전히 있었음에도, 많은 학생들이 점차 스스로 고된 프로그램에 지원하였다.
      • 학생들은 faculty에게 많은 지원을 해달라는 청원을 하기도 했다.
    • 또한 일부 학교들이 아직 입학 요구조건을 제정하지 않았음에도 학생들은 이전보다 준비된 상태로, 꿈을 가지고 의대에 들어왔다.
      • 1900년대 초반 의대에는 가장 능력있는, 가장 평판좋은 학생들이 들어오고 있었다.
    • 의학교육이 변하며 학생들은 많은 것을 요구받았듯, 교수들에게도 많은 것이 요구되었다.
      • 우선 어떤 것을 가르치고 어떤 것을 가르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했다.
      • 또한 교육 기법도 점차 익히기 어려워졌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아니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문제였던 것이다.
    • 이에 따라 1890년대의 의학교육자들은 어느 때보다도 교육적 책임을 지게 되었다.
      • 국가적 수준에서, 의사들을 모으고 교육 방법에 대한 토론 기회를 제공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관은 AAMC였다. 교육과정을 자세히 보고, 세밀한 부분까지 토의하였다. 의학교육은 자체로 전문 분야가 되었고, 많은 physician들이 그들 스스로를 의학교육자로 보기 시작했다.
    • 가르친다는 것이 개념적으로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했다. 진료를 보면서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이전보다 많은 시간을 들여야 했다.
    • 교수자의 숫자가 늘어나도, 여전히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점차 교수들이 private practice 하면서 educational duty 손을 놓기 시작했다.
    • 이러한 이유로, 1890년대와 1900년대의 몇몇 의대들은 진료는 하지 않는 full-time instructor 고용하였다.

 

  • Medical Education in 1910
    • 1900년대 초에, 의학교육의 새로운 시스템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시스템은, 과학 과목에 강조를 두고, 실험실 방법을 통해 가르치며, full time professor 고용하는, 독일로부터 영감을 받은 방식이었다.
    • 미국인들은 유럽식의 방법을 단순히 미국에 그대로 가져오지 않았다. 미국적 환경에서 도입될 있도록 적용하는 과정에서 변형되었다.
      • 독일의 privatdocenten 도입되지 않았고, 독일의 학교에서 다른 학교로 돌아다니는 것도 미국에 도입되지 않았다.
      • 그리고 무엇보다도, 모두에게 동일한 기회를 제공하는 미국의 평등주의적인 교육이, 일부 엘리트에게 최고의 교육을 제공하는 유럽과 가장 다른 점이었다.
    • 이러한 것들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1890년대에 많은 주에서 면허시험을 도입하면서, leading school 졸업생들은 개혁이 느린 학교의 졸업생들보다 나은 performance 보였다.
    • 대중들도 의학교육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 예로서 Homeopathy 점차 유명세를 잃어가기 시작했다.
      • 또한 1890년대에 여러 주에서 licensing law 제정되었으며, 훗날의 1930년대 만큼은 아니더라도 의사는 대중으로부터 인정받는 직업이 되었고, 이런 변화는 의사가 키워지는 방법에 대한 차이의 인식에서 근원한 것이었다.
    • 의학교육의 진보는 부드럽고, 평등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 교육과정은 과목마다 질적으로 서로 달랐고, 어떤 course 너무 붐볐다. 어떤 학교는 변변찮은 도서관 하나 없었다.
      • 기금이 부족한 것이라든가, 실험실/병원 시설이 후진 것은 상위권 학교에서도 흔한 현상이었다.
    • 가장 문제는 proprietary school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1870년과 1900 사이에 미국의 medical school 숫자는 배가 되었고, 1906 162개로 최고를 찍었다. 1910년까지 생기고 사라진 학교를 모두 포함하면 457개의 학교가 미국 또는 캐나다에서 운영되었다. 최악의 학교에서는 돈을 있는 사람은 누구든 입학이 가능했다.
    • 1910년의 미국 의학교육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당한 수준의 학교별 격차를 있다.
      • Table 4.4 : 6 급으로 분류한 1910년의 미국 의대.
    • 최고 수준의 학교는 JH, Harvard, Columbia등이 있었다.
    • 3급과 4급에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는 도달했지만, 매우 우수한 수준은 아닌 학교들 있다. 학교들의 대부분은 Post-Flexner period에도 살아남았다.
    • 아래 급에 해당하는 학교들은 상당히 고전중이었다.
      • 중에서도 Tier 5 Tier 6 차이가 있었는데, Tier 5 단순히 흉내내기보다는 나은 수준의 실제 실험실과 clinical work 이뤄지고 있었다. Tier 5 실제로 교육 개혁을 하고자 하는 학교들이었다.
      • Tier 6 학교는 Post-Flexner period 살아남지 못했다.
    • 같은 질적으로 엄청난 격차는 현대의 관점에서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 Proprietary school 내에서도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 Georgetown,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Baltimore Medical College 같은 proprietary school 그래도 돈만 버는데 급급한 다른 학교들과는 달랐다.
    • 이러한 학교들을 전체적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1910년의 개념적 혁명(Conceptual Revolution) 확실했다. 최하위 학교를 포함한 모든 학교가 새로운 교육적 이념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었다. Catalog 가지고는 학교간 차이를 수가 없을 정도였다. 가장 좋지 않은 학교도 같은 교육적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새로운 개념이 얼마나 퍼져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 Tier 1~Tier 5 내에서도 새로운 교육 목표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성공한 정도는 학교마다 달랐을지라도 그렇게 하고자 하는 의지만은 비슷했다.
      • Tier 6만이 medical school 여전히 사업으로 보고 있었다.
    • 1910, 아직 풀리지 않은 많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학교간 차이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에 있어서 엄청난 걸음을 것은 분명했다. 많은 지표들이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 유럽으로 공부하러 가는 미국인들의 수는 크게 줄었다.
      • 때는 의학교육에서 가장 거부하는 하나였던 Science 공고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 많은 사람들이 의학교육의 새로운 시대가 1910년의 Flexner Report만을 기다려왔다고 생각하나, 1910 이전의 의학교육자들의 성장하는 모습이나 성과를 본다면, 시대는 이미 시작된 것과 같았다.
    • 모든 성공한 운동에는 운동이 목표를 달성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특정한 시점이 있다. 의학교육에서 시점은 1905 즈음이다.
    • 당시 이미 Modern Medical Education 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가지 지표는, Flexner report 나오기 전에 보여준 진전된 정도(degree of progress)이다.
      • 학교마다 차이는 있었을지 몰라도 모든 학교에서 개선이 이뤄지고 있었다.
    • 번째 지표는 학생들이 쉬운 길을 있었음에도 점차 나은, 어려운 학교로 모여들었다는 사실이다. 순간적으로 enrollment 감소했다가도 다시 증가하였고, 학교들은 나은 개별적 교습 환경을 위해서 입학 정원의 숫자를 제한하였다.
    • 반대로 1910 proprietary school 이미 상당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그러한 학교들은 이미 사업으로서는 불안정한 모험이었다. 1900 이후, 미국 의학교육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학교들은 점차 자리를 잃어갔다.
    • 번째 신호는 faculty 당사자들로부터 나왔다. 그들이 이룬 성과에 만족하는 교수들은 어느 곳에도 없었다(Tier 6 제외). 그들은 꾸준히 '아직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 Faculty들은 학교는 그들이 지금까지 얼마나 발전하였는가 보다, 앞으로 어떤 것이 이뤄질 있을 것인가를 기준으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 초기의 의학교육 개혁이 성공할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확실하게 이야기 없었다. Harvard, Michigan, Penn 등은 이례적인 사례라고 여겨졌고, 그들이 것을 따르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1880년대 중반에, 미국 의학교육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시기동안 선구자적인 생각들이 medical school 사이에 퍼져나갔고, 지위는 공고해졌다. 학교는 program 확대시켰고, 입학 기준이 강화되었으며, 무엇보다 '새로운 교수법' 퍼져나갔다. 1910년의 미국 의학교육은 전의 어느 때보다도 발전된 상태에 있었던 것이다.
  • 이런 개혁적인 시기와는 다르게, 1885년부터 1910 사이에는 의학이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적 토론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생들은 단순한 암기보다 추론(reason)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1870년대와 1880년대의 선구자적 학교들에서는 상당히 공유되고 있었지만, 이후 소위 'developmental period'에는 이러한 새로운 교육 원칙이 퍼져나가는 시기였고, 1900 이후에야 강력한 움직임이 되었다.
  • Developmental period 다른 시기로 구분되어야 하지만, 가지만은 pioneering period 공통된 점이 있었다. 바로 개혁에 대한 강력한 충동(impulse)였다. Civil War 거치며 medical school들은 개혁에 있어서 최대의 적이었지만, 발전한 학교들은 modern educational ideal 위해 일하는 최우선 동력(primary force)였다. Developmental period 동안 교육 개혁이 점차 학교들로부터 튀어나오기 시작하였다(sprang).

 

  • The Reform Movement Gains Strength
    • 1880년대 중반, 미국 medical school 사이에 새로운 태도(attitude) 나타나기 시작했다.
      • 1885 생긴 U of Southern California in LA "very best" 추구하였다.
    • 또한 이미 있던 전국의 학교들도 기존의 proprietary school 벗어나서 modern medical school 변화하고자 하였다.
    • 1880년대 초반, 개혁 움직임은 아직 그렇게 강하지 않았다. 그러나 1893년에, 90%이상의 학교가 3년제 과정을 운영하였고, 일부 leading school 이미 의무적 4년제 과정(compulsory four-year program) 도입하였다.
    • 1890년대 개혁가들은 1870년대의 개혁가들에 비해 그들이 가지게 장점 충분히 활용하였다.
      • 하나는 pioneering school이었다.
      • 번째는 숫자였다(sheer number) : older physician 은퇴
    • 개교 JHMS 과학적 의학교육을 전파하는데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우수한 사례였을 뿐만 아니라, 학교의 졸업생은 전국의 의과대학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 Scientific physician 숫자는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사람들이 더해지면서 수가 더욱 증가되었다.  1890년대에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교육학적 시야가 싹틀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 가장 중요한 것은 1890년대의 개혁가들은 scientific method 효과가 있다는(work) 강력한 근거를 가지고 있었다.
      • 19세기 후반의 많은 위대한 발견들. 가장 중요한 것은 germ theory of disease.
    • 근대적인 형태의 Germ theory 1860년대 루이스 파스퇴르에 의해서 '자연발생설'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도입되었다.
      • 로버트 코흐의 Anthrax . 모든 질병의 원인은 bacteria일지도 모른다.
    • Germ theory 단순히 지적인 구성(intellectual construct) 유용했던 만은 아니다. 반론의 여지가 없는 실제적인 이득도 가져다주었다.
      • 수술방에서의 감염의 방지에 적용되면서 modern surgery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였고, 공공보건에 있어서 위생사나 보건사들에게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의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 기대수명이 50세가 되지 않던 19세기 말의 사회에서는 이러한 발견은 대단한 것이었다.
    • Germ theory 다른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와도 동반하여 등장하였다.
      • Immunology, endocrinology. Myxedema 치료하기 위한 thyroid extract 사용.
      • 진단은 좀더 정교해졌다. 진단은 X-ray ECG 함께 정교해였고, 당시 의학교육자들이 가진 중요한 생각은 이런 것들은 우연한 발견이 아니라는 것이었다(X ray 예외로 하고). Scientific knowledge 이상 소수만 아는 그런 것이 아니었다. 이제 이것은 의학을 행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하는 것이 것이다.
    • 1890년대와 1900년대에 확립된 의학적 예방 또는 치료는 매우 적었다. 어떤 사람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평균수명 증가는 위생과 영양 덕분이지, 의학적 치료법 때문은 아니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은 충분하지 못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관점에는 당시에 퍼져 있던 scientific medicine 대한 열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확실한 치료법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scientific medicine 대한 열정은 그렇게 높았을까?
      • 여기에 대한 가지 답변은, 치료적 측면의 의학의 효과는 의학의 다른 측면에 대한 기여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고통을 줄여주고, 수명을 늘려주고, 신뢰도가 높은 진단과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는 등도 중요하게 봐야 한다. 'Cure' 의사의 유일한 역할만은 아니었다.
    • 여기에 더해서, 질병의 원인과 기전을 알아가는 즐거움 무시하면 된다. 연구자들이 이러한 것을 알아갈수록 질병에 대한 공포는 만큼 적어지게 되었다.
    • 마지막으로, 이같은 열정이 있을 있었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장차 등장할 발견의 원천이 '방법(method)' 알아냈다는 physician들의 자신감이었다.
      • 1870년대에 이러한 관점은 그저 단순한 믿음에 지나지 않았지만, 1890년대에 '실험적 접근법' germ theory 통해서 이미 충분히 입증된 것이 되었다.
    • 과학적 방법에의 강조는, 많은 사회 역사학자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Progressive Era 많은 미국인들을 지탱해준 과학에의 믿음(faith in science) 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 신뢰할 있는 지식, 전문가의 신비로움, 이런 것들이 20세기 초의 medical profession rising prestige 바탕에 깔려 있었다.
    • 그리고 1890년대에, 미국 의학교육은 새로운 시대에 들어서게 된다. 다시 한번 개혁이 이뤄질 환경이 조성되고 있었다.

  • The Diffusion of Educational Ideals
    • 1890년과 1910 사이에 일어난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에서 일어난 일들은 상위권 학교(better school)에서 어떻게 의학교육이 향상되었는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였다.
      • 1891 St Louis Medical College Washington University Medical Department 되었다.
      • 1899 Missouri Medical College 합쳐졌고
      • 1906 medical school full university department 되었다.
      • 그러면서 term 8달로 늘렸고, 4년제 교육과정을 도입하였고, course offering 확대하였고, teaching staff 수를 늘렸고, laboratory 신축하였다. Enrollment 잠시 주춤하는 했지만 다시 원래만큼 상승하였다.
    • 발전의 속도는 1900 이후 빨라졌다.
      • 다양한 전공과목에 대해서 새로운 clinical elective 도입하였고, clinical faculty 규모가 엄청나게 커졌다.
    • 1900년에 Washington University 교육방법에도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
      • Laboratory experiment, bedside case teaching 강조되고, Problem Solving 강조되었다.
    • 1910년에 이러한 방법은 실험 기구와 자재들이 충분했던 preclinical 교과목에 대하여 가장 도입되어 있었다.
      • Clinical instruction에는 이러한 방법들이 조금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것은 무엇보다 병원 시설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 "learning by doing"이라는 새로운 교육 철학은 JHMS, Harvard, Penn만큼 도입되진 않았지만, 분명히 비슷한 방법을 따라하고는 있었다.
    • Washington University 이러한 사건들은 특이하거나 드문 일은 아니었다. 1885년과 1910 사이에 전국의 의대에서 비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 이러한 학교들이 곧바로 modern medical school 되지는 않았지만, 점차 해가 지나면서 조금씩 향상되고 있는 것은 분명했다.
    • Gradual, quiet, unpretentious 진화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하지만 일부 학교는 시작과 동시에 mature form 의학교육을 제공하였다.
    • 이러한 학교들의 prototype Cornell University Medical College였다. 곧바로, Cornell Harvard, JHMS, Columbia 등의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 시기의 개혁에 대한 신뢰는, 새로운 학교든 오래된 학교든, 1870년대와 1880년대 pioneering year 같았다.
      • 코스가 길어지고 엄격해졌지만, 무엇보다 학생을 active participant 하는 새로운 교육 방법이 도입되었다.
    • 이에 더하여, 학생들을 'memorizer' 아닌 'thinker' 키우기 위한 새로운 교육 이념이 미국 medical school 사이에 퍼지기 시작하였다.
      • 하나는 critical skill 키우는 것이었는데 "Habit of mind"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 번째는 'ability to learn for oneself'로서, 의사들이 up-to-date 상태를 유지할 있게 해주는 것이다.
    • 이런 교육적 이념이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용되었지만, 모든 과목의 교육이 동등하게 발전한 것은 아니었다.
      • 보통은 clinical 과목보다 scientific 과목에서 보다 많이 개선되었다.
      • 비록 이렇게 과목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인 교육은 크게 향상된 것이어서 1900년의 가장 나쁜 교육도 1870년대의 가장 좋은 교육보다 전반적으로 낫다고 있었다.
    • 한가지 Innovative period 다른 , 새로운 physician group 의학교육을 담당하게 것이다. 1890년대와 1900년대의 많은 미국 의학교육의 리더들은 외국으로의 postgraduate 과정을 다녀오지 않았다.
    • 1890년대는 물론이고, 1900년대에 많은 수의 의학교육의 리더들은 유럽에서의 교육 경험이 전혀 없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로 넘어갈 무렵, 독일 파의 영향(German influence)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었다. 미국 의학의 주요한 기풍(dominant ethos) 이들의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영향력은 간접적인 것이었다.
      • 이제 미국인들은 이상 미국으로 가서 공부해야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 결과, 1890년대부터 수가 줄어들어, 1900년대에는 Leipzig, Strassburg, Berlin 등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서로가 서로를 존재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 Western Reserve JHMS 방식의 clinical teaching 고려했다.
      • 이러한 예들은 modern medical school 어떻게 퍼지기 시작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이 상대방을 고려하여 스스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시작했는지를 보여주는 예이다.
    • 학교들의 발전하면서 서로가 점차 강력한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 Harvard JHMS 기반을 두고 있던 의학저널의 통제권을 쥐려고 시도했다.
    • 간단히 말해서 1890년대와 1900년대에, 야심찬 학교들은 여전히 'the best' 되고자 했다.
      • 'the best' 단순히 많은 수의 졸업생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 그것보다 정말 중요한 것은 졸업생의 질과 학교의 학문적 평판이었다.
      • 세대 전만 해도, medical school들은 교육과정의 간섭에 대단한 반감을 나타냈으나, 그들이 이제는 오히려 앞장서서 개혁을 주장했다.
    • 이러한 경쟁은 재정적으로 위험한 개혁도 - 그것이 비록 교육적으로 합당하더라도 - 망설임없이 진행해나갈 정도였다.
      • 나은 교육을 위해서 그들은 직접적인 재정적 손해도 감수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laboratory teaching 도입은 교육적으로는 뛰어난 선택이었지만, 비용은 상당했다.
      • Columbia 입학 요건을 강화시켰다. 지출은 늘었지만 Enrollment 50%이상 감소하였고, 수입도 감소하였다.
    • 재정적 희생의 최고봉은 학생에게 practical instruction 제공하기 위해 스스로 Class size 제한한 것이었다.
    • Medical school 부담하는 비용은 상승하고, 그들이 받는 수업료 수입은 감소하면서 faculty들은 사비를 털기 시작했다.
    • 이러한 현상은 상위 학교에서만 나타난 현상이 아니었다. 1913 문을 닫은, 특별히 뛰어날 것도 없는 Kansas Medical College에서도 dispensary clinic building 짓기 위한 기금 모금이 있었다.
    • 1900년대에 modern medical education ideal 분명 미국 의학 community 전반에 퍼져 있었다. 이러한 발전은 최고 수준의 학교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작고 발전한 학교들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1) 시험의 종류

캐나다의 MCC(Medical Council of Canada)에서는 의학평가시험(Medical Council of Canada Evaluating Examination : MCCEE)과 의사시험(Medical Council of Canada Qualifying Examination : MCCQE)을 시행하고 있는데 의사시험은 의학지식(knowledge) 및 임상 의사결정(clinical decision making)을 평가하는 필기시험인 PartⅠ과 실질적인 진료기능(clinical skill)을 평가하는 실기시험인 PartⅡ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앞으로 시행될 National Assessment Collaboration(이하 ‘NAC’) 시험이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것은 2011년 처음 시행될 시험으로 그간 캐나다의 각주마다 자체적으로 실시하던 외국 의과대학 출신자들에 대한 평가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하나로 통합하고 캐나다 전 지역에 통용할 수 있는 평가체제 구축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2) 의사면허의 취득

캐나다에서 의사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과정은 각 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캐나다 의학평가시험(MCCEE)에 합격하고(캐나다와 미국 의과대학을 졸업하지 않은 외국 학생에 한한다.), 캐나다 의사시험(MCCQE)의 PartⅠ에 합격한 다음, 졸업 후 공인된 캐나다 또는 미국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최소 1년간의 수련과정을 거쳐 캐나다 의사시험(MCCQE) PartⅡ에 합격해야 한다. MCCQE PartⅡ에 합격하면 캐나다 개업의사자격증(Licentiate of Medical Council Of Canada :LMCC)을 발급받는데, 이는 퀘벡을 제외한 캐나다 각 주의 면허관리기관에서 면허를 부여할 때 요구하는 조건이다.


가정의학 자격증(Certification)은 캐나다 의학회(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로부터 받는데, 이 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2년의 가정의학 수련프로그램을 마치고 학회의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다른 전문 분야의 자격증은 왕립의학회(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로부터 받는데 이 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캐나다나 미국의 인증 평가된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규정된 기간(4년 이상)의 수련과정을 마쳐야 한다. 이후 해당하는 전문 분야의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에 모두 합격해야 한다.


퀘벡주는 퀘벡의학회(College des medecins du Quebec)를 통하여 자신들만의 전문의 인증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퀘벡의학회에서는 퀘벡주에서 수련과정을 거치지 않은 지원자들로부터는 지원을 받지 않고 있다.



3) NAC(National Assessment Collaboration)

NAC 시험은 2011년도에 처음으로 시행되는 시험제도로, 캐나다 국내의 의사수 부족을 대처하기 위한 의과대학의 증설 계획이 현실화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점나다에서 취업을 원하는 외국 의과대학 출신자(International Medical Graduation, 이하 'IMGs')들의 지원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이 배경이라고 여겨진다.


이는 2004년도 ‘Canadian Task Force on Licensure of IMGs'의 보고서에 근거를 하여 연구되어 왔으며 캐나다 지역과 지방에 표준화된 수행평가 방법 체계가 개발되었다.


NAC의 궁극적인 목표는 IMGs를 대상으로 캐나다 전지역에서 통하는,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단기적인 목표는 하나의 국가적 임상시험을 시행함으로써 현재의 각 지방에서 이미 행하여 지고 있는 IMG 평가프로그램의 중복을 피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캐나다 전공의매치프로그램(CaRMS)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데 시험결과는 전공의 선발 및 지원자의 중간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NAC의 기구 및 체계를 살펴보면 NAC은 MCC의 전적인 관리책임하에 NAC's Administrative Body 가 있고 NAC Central Coordinating Commitee(NAC3) 가 있으며 이들은 MCC 위원회에 보고를 하게 되어 있다.


NAC3은 각 지방의 IMG평가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국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 SET 개발을 감독한다. 현재 NAC3은 NAC-OSCE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NAC OSCE Test Committee가 개발, 리뷰, 시험 내용 테스트 등의 실무를 진행하고 있다.

NAC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지원자의 지식, 이해력, 임상술기 및 분야별 최근 의학지식의 이용 능력

2) 캐나다에서의 질병과 손상의 빈도

3) 보건 예방 및 재활

4) 정신, 육체 및 사회적 건강의 유지

5) 지역 및 국가의 보건자원, 비용대비 효용성, 제한점에 근거한 보건체계에 대한 이해

6) 환자, 가족, 타 보건직종인 및 지역사회와의 필수적인 대인관계기술

7) 사회의 필요성에 연관된 성, 도덕, 윤리 및 법률적 사안들에 대한 지식


시험은 임상 표현을 바탕으로 12개의 문항이 구성되어 NAC-OSCE 시험과 별도의 지필시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수 비중은 NAC-OSCE시험이 75%, 지필시험이 25%이다.



가. NAC-OSCE

NAC-OSCE의 각 문항은 10분 동안 진행되며 각 문항 사이에는 2분의 시간이 주어진다. 이 시험은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임상 상황에서 7분간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등 환자진료수행 능력을 평가하게 되며 채점위원이 시험실 안에서 평가를 진행하며, 이 후 3분간 표준화된 구두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NAC-OSCE의 평가영역은 병력청취, 신체진찰, 체계화 기술(Organization skills), 의사소통기술, 언어구사능력, 감별진단, 데이터해석, 검사 및 관리(management) 중 7~9개를 선정하여 각각 4점 척도로 평가한다. 평가척도는 다음과 같다.

1) 1=‘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안됨

2) 2=‘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미흡함

3) 3=‘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됨

4) 4=‘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준 이상으로 잘함


나. NAC의 지필시험

지필시험은 45분간 별도로 치러지며 치료와 관련된 지식을 평가한다. 문항은 23개의 단답형으로 전 연령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약물치료, 부작용,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 등에 연관된 치료관련 지식을 평가하는데 최소한 4명의 의사 채점위원이 각각의 답변에 NAC-OSCE와 동일한 4점 척도로 평가하여 평균을 구한 것이 응시자의 점수가 된다.


응시자의 총점 결과는 평균점이 500이고 표준편차가 100이 되도록 표준점수로 변환되어 나타나며 합격선은 [3=‘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됨]이라고 정한 점수이며, 이와 연관되어 당락이 결정된다. 시험결과는 응시자의 총점과 함께 개별 응시자의 피드백을 위한 시험결과 분석보고서가 제공되는데, 이 보고서에는 9개의 영역별 수행 점수의 그래프도 포함되며 응시자가 [3=‘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됨] 이하의 점수를 받는 문항의 목록도 제시된다.

원칙적으로 1년에 한 시즌 시행되는데, 이는 캐나다 전공의매칭프로그램(CaRMS)과 연계되어 있다. 정해진 날짜 외에도 MCC가 미리 공지하는 몇 개 날짜에 다른 주에서 신청을 할 수 있다. 비용은 각 장소(주)별로 소요되는 비용이 다르므로 사전에 공지를 한다.


캐나다와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의과대학 졸업자들은 다음의 각 단계를 거쳐야 캐나다의 의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 IMGs의 캐나다 의사 면허 취득과정

1) 출신학교의 응시자격 확인

2) 온라인 ‘자가평가 시험’(SAE-EE)

3) 지원 서류 제출

4) MCCEE

5) NAC-OSCE : 주에 따라 MCCQE Part I을 합격한 자만 지원을 하기도 함

6) MCCQE Part I

7) MCCQE Part II


(캐나다 및 미국 본토의 의과대학 졸업자는 MCCQE Part I과 Part II 단계만 시행한다.)




(출처 : 캐나다 의사 국가시험원 MCC 방문 보고서(2011. 04. 27 ~ 05. 03),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Articl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Knowledge)과 지능(Intelligence)  (0) 2013.06.07
델파이 기법  (0) 2013.06.05
GDP를 향한 케네디의 일갈.  (0) 2013.06.02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2) 2013.06.02
Curriculum  (0) 2013.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