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Assumptions

(with explanation of each in parentheses)


1. 모든 사람은 지혜롭다.
Everyone has wisdom. (This doesn't mean everything that everyone says is wise. It means that behind what they say is wisdom, and we will listen for it.)


2. 가장 지혜로운 결과를 위해서는 모든 사람의 지혜가 필요하다.
We need everyone's wisdom for the wisest result. (In the same way that a diamond is more valuable when it is cut with more facets, what we come up with will be more valuable when we have illuminated more facets of what we are working with.)


3. 틀린 답이란 없다.
There are no wrong answers. (See number 1 -- behind what may seem on the surface as a wrong answer -- and I have heard some that were positively evil on the surface -- there is wisdom, and that is what we will listen for. The corollary, of course, is that there are no right answers, only the best we can come up with given our limitations.)


4.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The who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Trite, yes, but points to consensus as creating a larger answer that is not identical to any one view, but includes the wisdom of many. Diamond image again. I think of compromise as smaller than the sum of its parts, consensus as larger. Like a puzzle picture, which is the sum of the puzzle pieces and their relationships. All puzzle pieces are included, or there is a hole.)


5. 모두가 모두를 경청할 것이다.
 Everyone will hear others and be heard. (This doesn't mean that everyone has to talk all the time -- then nobody would be heard. It means listening to others as well as making sure your wisdom is on the table.)




   Assumption of the Virgin


Artist           Peter Paul Rubens

Year            1626

Type            Oil on panel

Dimensions   490 cm × 325 cm (190 in × 128 in)

Location       Cathedral of Our Lady, Antwerp





준거

의미

주요 질문

적절성

(Relevance)

원조활동이 수원국과 공여국의 우선순위 및 정책에 부합하는 정도

프로그램의 목표가 유효한가?

프로그램의 활동과 산출물은 최종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전반적인 목적과 그 하위 목표의 달성에 있어서 적합한가?

프로그램의 활동과 산출물은 의도하는 영향과 효과에 부합하는가?

효과성

(Effective-

ness)

원조 활동이 그 목표를 달성한 수준

원조 활동의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으며, 어느 정도까지 달성될 것으로 예상되는가?

목표의 달성 혹은 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효율성

(Efficiency)

투입 자원 당 질적, 양적 산출물로 나타나는 경제성 지표. 동일한 산출물을 얻기 위하여 투입되는 자원의 양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음.

원조 활동은 비용-효과적이었는가?

목표는 적절한 기한 내에 달성되었는가?

여러 다른 대안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는가?

영향력

(Impact)

원조 활동으로 인한 전체적인(긍정적-부정적, 직접적-간접적, 의도적-비의도적) 변화. 사회, 경제, 환경 등에 대한 영향 포함.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의 결과로 어떤 일이 생겼는가?

수혜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달라진 것은 무엇인가?

영향을 받은 사람의 수는 얼마나 되는가?

지속가능성

(Sustain-

ability)

공여국의 재정 지원 종료 후 원조 활동의 긍정적 효과의 지속성

공여국이 재정 지원을 종료한 이후 어느 정도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가?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 Criteria에 대한 세 가지 질문
(i) Are they sufficient to provide a sound assessment of the quality, value, and significance of an aid intervention?
(ii) Are they necessary
(iii) Are they equally important?

- Criteria에 대해 추가적인 고려사항
* Relevance : 수원국의 needs에 대한 고려가 적다.
* Effectiveness : 역시 수원국의 needs에 대한 고려가 적다.
* Sustainability : 후행적 지속가능성(retrospective sustainability)에 대한 고려가 적다.
* Efficiency : 다양한 종류의 비용(non-monetary costs)를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종종 효율성이 '가장 돈이 덜 드는'으로 오해되곤 한다.
* 빠진 것이 있음
= Quality of process : ethicalit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 Exportability : 다른 원조 활동에 대해 기여할 수 있는가







젊은 나이에 성공가도를 밟아온 MD-PhD 과정 학생들 및 이제 막 clinician-investigator로서의 커리어를 쌓아가려고 하는 사람들이 흔히 갖는 문제는, 실패를 두려워하며 이른 시기의 성취감에 기대어 살아가려고 하는 자세이다. 그 정도 위험을 감당해내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새로운 발견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며, 많은 경우 일시적인 지체(gut check)일 뿐이다. 내 생각에는, 완전히 새로운 어떤 것을 시도할 때에는 실패할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패의 가능성은 최대한 줄여나가는 것에 익숙해진, 일찍 성공을 맛본 사람들이 이런 자세를 갖는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사람들은 흔히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하지만, 내가 보기에 이것은 전략적 에러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자세는 결과가 뻔히 예상되는, 누군가가 도달해놓은 지점에 스스로를 제한시켜놓기 때문이다. 


One problem is that M.D.-Ph.D. candidates and early-career clinician-investigators are typically people who have been very successful in their young lives and who worry about failing to live up to that early success. Taking the kinds of risks that are necessary to make truly new discoveries is a gut check for many people. In my view, in order to try something completely new, a person must be willing to fail; that doesn’t come easily to accomplished young people who—having devoted so many years of their lives to training and to establishing independent research careers—feel the need to diminish their risk of failure. People become conservative in their decision-making in order to minimize risk, and I think that is a strategic error, because it limits you to problems for which someone else has already reached the point where the outcome is predictable.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23 May 2012 Vol 4 Issue 135 135cm6



자폐증(Autism)의 새로운 진단 방법에 관한 Ted talk.


- Autism이라고 진단을 받게 되는 나이는 평균적으로 5세이다. (미국 기준)
- 하지만 Intervention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시기(Window of opportunity)는 3세 이전이다.
- 아이에게 미칠 영향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을 고려하면 Early Detection, Early Treatment가 대단히 중요하다.

- 이러한 목적 하에 아이의 Social Engagement 수준을 바탕으로 Autism을 진단하는 기술을 연구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의 Social Engagement란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에 공감하는 자세)

- 아이에게 영상을 보여주고(첫 번째 그림의 오른쪽 아래 사진, 장난감 자동차에 타고 있는, 서로 다툰 듯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아이의 시선을 분석하면(이를 Funnel of attention이라 명명함)
- 정상 아이는 여자아이(두 번째 그림의 빨간 기둥)에, Autistic한 아이는 자동차의 문(두 번째 그림의 녹색 기둥)에 시선을 주로 둔다. 이러한 차이를 Social Engagement의 차이라 본 것이다.
- 이런 개념을 바탕으로 소아과에서 흔히 사용하는 Growth chart를 만들면 (Growth chart of Social engagement) 맨 아래 그림과 같고, 여기서는 Autistic한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의 Eye fixation의 변화가 생후 6개월 이내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다 빨리 Autism을 진단할 수 있다.

(출처 : http://www.ted.com/talks/ami_klin_a_new_way_to_diagnose_autism.html)




Word Cloud : 

Dr LEE Jong-wook (Former Director-General) speeches.



(사진 출처 :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97&l=62589&iskin=lol)




좋은 팀웍이란 

불확실하고 잠재적인 팀의 이득을 위하여 

자신의 확실하고 즉각적인 이득을 포기하는 것에 있어

망설이지 않을 수 있는 

구성원간의 

신뢰.




(사진 출처 : http://www.anxiety.net/anxiety-disorders-in-children.html)




긍정적인 사고는 좋지만,
근거없는 낙관보다는
조금의 불안감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상황을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도 있다.







처음 2분은 재밌고, 조금 식상한 2분이 지나면, 나머지 10분의 이야기는 놀랍다.

재미삼아 초반 2분만 추천.
그 뒤는 보셔도 그만 안 보셔도 그만.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의 High-Performer 국가들로부터 더 나은 학교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취지의 Ted talk.

우리나라가 싱가폴, 핀란드, 홍콩 등등..과 더불어 PISA의 High-Performer 국가인 것은 사실이라손 치더라도, 아마 이 Talk을 한 사람도 우리나라에 살면 마냥 이렇게 좋은 소리가 나오진 않을 것이다.

아무튼 가장 눈에 띄었던 대목은

"And the most impressive outcomes of world-class systems is that they achieve high performance across the entire system. You've seen Finland doing so well on PISA, but what makes Finland so impressive is that only five percent of the performance variation amongst students lies between schools. Every school succeeds. This is where success is systemic. And how do they do that? They invest resources where they can make the most difference. They attract the strongest principals into the toughest schools, and the most talented teachers into the most challenging classroom."

그러니까 핀란드의 경우 학교간 차이가 5%에 불과하다는 것!
(진짜?!)


아무튼 이 외에 High-Performer 국가의 특징으로

'placing a high value on education', 
'embrace diversity with differentiated pedagogical practices', 
'share clear and ambitious standards across the entire spectrum', 
'nowhere does the quality of an education system exceed the quality of its teachers.' 

등등을 꼽고는 있지만

차라리 (적어도 우리나라에 대해서는) 말콤 글레드웰이 Outlier에서 말한 "농사짓는 동양 문화의 기본적인 근면성실한 문화 + 언어 체계(일,이,삼,사 vs One,Two,Three,Four)가 주는 산수 공부에의 이점이 더 그럴듯해 보인다. 



http://www.ted.com/talks/andreas_schleicher_use_data_to_build_better_schools.htm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