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적 TRIAD교육의 위험성(Med Educ, 2019)

The perils of teaching medical triads

Fizza Manzoor1 & Donald A Redelmeier1,2,3





과포화된 커리큘럼과 증거 기반 교육의 환경에서, Medical Triad(MT)는 비록 전통적인 가르침의 한 특징임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변화에서도 살아남았다. MT는 특정한 constellation에서 동시에 함께 발생하는 세 가지 임상적 특징의 그룹으로 정의되며, 진단 정확도가 triangular geometry의 법칙에 따를 수 있다고 가정한다.

In a setting of overhauled curricula and evidence-based education, however, one aspect of traditional teaching has survived recent transformations: namely, the medical triad. A medical triad is defined as a group of three clinical features that occur together in a specific constellation, and presumes that diagnostic accuracy might obey the laws of triangular geometry.


MT는 여전히 의과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는 영원한 전통을 나타낸다. 쿠싱의 Triad같은 것이다.

The triad represents a lasting tradition that is still taught in medical schools. Consider Cushing’s triad,


3종류의 변화는 CREST 증후군과 같은 테트라드와 5종류까지도 확장될 수 있다.

Variations of triads may extend to tetrads and pentads such as the CREST syndrome


특정 질병에 대한 특징을 함께 묶으면 그 상태에 대한 원형이 생성되기 때문에 의료 3종류는 단순한 소형 교습 보조기구가 아니다. 그러나 모든 환자가 전형적인 세 가지가 모두 확인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어떤 환자들은 3가지 징후를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 결과, triad는 혼란을 야기하고, 학생들의 common presentation에 대한 이해를 왜곡시킬 수 있다.

Medical triads are not merely compact teaching aids because grouping features together for a specific disease creates an archetype for the condition. However, not every patient will have the classic findings. Indeed, some patients exhibit none of the signs in a triad. The net result creates confusion and can skew students’ understanding of common presentations.


또한 Triad는 진단에 대한 과도한 자신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를 피하기 위해, 교육자들은 종종 학생들에게 감별진단을 광범위하게 실시하도록 권장한다. 그러나, 한 연구에 따르면 의대생들은 1/4의 사례에서는 상충하는 추가 정보를 제공하였음에도 초기 진단을 재고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 따라서 3종류는 지나친 자신감과 진단의 조기 종결premature closure를 초래하는 피상적인 패턴인식을 장려할 수 있다. 

Triads may also lead to overconfident diagnostic reasoning. To avoid this error, educators often encourage students to brainstorm a broad differential diagnosis; however, one study showed that in almost one in fourcases, medical students did not reconsider their initial diagnosis even when provided with conflicting additional information.3 Therefore, triads may encourage superficial patternrecognition that results in overconfidence and premature closure. 


MT는 다른 인지적 편견을 조장할 수도 있다.4 Triad는 발병 가능성을 판단할 때 질병의 전반적인 유병률을 무시함으로써 base rate를 생각하지 않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두통, 두근거림, 땀]이 날 때, 의대생들은 Triad가 더 흔하게 나올 수 있는 것(예: 공황발작)은 생각하지 않고 pheochromocytoma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Triad는 가장 덜 흔한 한 가지 feature보다도 세가지가 조합으로 나타날 가능성을 과대평가하게 하여 conjunction fallacy에 빠지게 한다. 따라서 의료 3종류는 잘못된 확률 판단과 잠재적 오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Medical triads may also foster other cognitive biases.4 Triads can lead to base rate neglect by ignoring the overall prevalence of a disease when judging its likelihood. When a patient presents with headaches, palpitations and sweating, a medical student might instantly consider pheochromocytoma instead of a common condition that lacks a popular triad (e.g. panic attacks). Additionally, triads may lead to the conjunction fallacy by implying that a joint combination (triad) is more likely than the least common individual feature. Thus, medical triads may lead to faulty probability judgements and potential misdiagnoses.


MT의 사용에 찬성하는 한 가지 논쟁은 그것들이 앞으로 궁극적으로 임상 노출을 통해 더 발전할 학습자들에게 단지 일시적인 보조 도구 역할만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연구들은 unlearning이란 대단히 어려운 것이어서, 경험의 양이 엄청나게 늘더라도, 원래 하던 불완전한 추리에 대한 면역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했다.6 Traid를 지지하는 또 다른 진술은 MT가 진단의 유일한 기준을 형성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그저 대부분 confirmatory testing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불행하게도 specificity가 결여된 triad는 불필요한 시험과 급격한 비용상승을 촉진할 수 있다.

One argument in favour of the use of medical triads is that they serve as temporary aids for learners who will ultimately progress further by clinical exposure. However,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extensive experience does not immunise clinicians against faulty reasoning because unlearning is so difficult.6 Another statement cited in defence of triads is that medical triads rarely form the sole basis of a diagnosis and mostly serve to guide confirmatory testing. Unfortunately, triads that lack specificity may promote unnecessary testing and steep financial costs.


비록 일부 교육자들이 학생들에게 triad의 한계에 대해 주의를 주지만, 종종 시험에 있어서, 그리고 교수들에게 triad는 종종 그 가치가 과대평가된다. 의사라는 휴머니티를 깊이 중시하는 전문직에 있어, 학습자들이 분별없는 triad를 설파하게 가르치기보다는, 신중한 성찰적 사고를 할 수 있또록 돕는 데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Although some educators caution students about the limitations of triads, their value is often overstated in examinations and teaching rounds. A profession that values humanity so deeply might do more to help learners become cautious reflective thinkers rather than mindless triad preachers.






 2019 Feb;53(2):110-112. doi: 10.1111/medu.13637. Epub 2018 Nov 26.

The perils of teaching medical triad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2
Institute for Clinical Evaluative Sciences, Toronto, Ontario, Canada.
3
Evaluative Clinical Sciences, Sunnybrook Research Institute, Toronto, Ontario, Canada.
PMID:
 
30478908
 
DOI:
 
10.1111/medu.13637


신뢰할 시간: LIC와 EPA(Acad Med, 2014)

Time to Trust: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David A. Hirsh, MD, Eric S. Holmboe, MD, and Olle ten Cate, PhD



환자는 유능하고 숙련된 임상의가 치료하기를 기대하며, 이 표준을 충족하지 않는 의사는 최소한 자격을 갖춘 동료의 감독을 받아야 한다. 학생과 레지던트들은 '훈련자'라는 딱지가 붙어 있는 한 적절한 감독을 받아야 한다.

Patients expect to be treated by competent, experienced clinicians, and any physician not meeting these standards should, in the very least, be supervised by qualified colleagues. Students and residents must receive appropriate supervision as long as they are labeled as “trainees.”


대부분의 젊은 의사들은 아직 감독되지 않은 의료행위에 대하여 [완전한 책임에 가까운 그 어떤 것]도 경험하지 못했다. 레지던트 훈련 중에도 일부 영역에서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완전히 신뢰받지는 않는다.

most young physicians have not yet experienced anything close to full responsibility for unsupervised practice. Even during residency training, in some domains, trainees are not completely trusted to practice fully independently.


그러나 [훈련 중 환자에 대한 돌봄 책임을 온전히 부담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한다면, registration이후에 안전한, 고품잊릐 의료행위에 대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Limiting opportunities for trainees to experience full responsibility for care during their training could lead to difficulties after registration in their provision of safe and high quality care.



방어적 의료의 구조

Structures of Defensiveness


"방어적 의료행위"라는 것이 의사가 [환자가 의료과오 소송을 거는 것을 막기 위해서] 과연 가치있는지 [의심스러운 검사, 프로시져, 상담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같은 맥락에서 "방어적 수련"도 존재할 수 있고, 이것은 교육 설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방어적 수련은 품질과 안전의 실수lapse를 피하기 위한 시도로서, 과도한 슈퍼비전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도한-감독"을 받는 것은 수련을 더 길게, 고비용으로, 비효율적으로 만들고, 연습생의 완전한 책무성 개발을 저해한다.

If “defensive medicine” is the practice of ordering medical tests, procedures, or consultations of doubtful clinical value to protect the prescribing physician from malpractice suits, we suggest that, in the same spirit, “defensive training” may also exist and may affect educational design. Defensive training may lead to the practice of abundant supervision in an attempt to avoid lapses in quality and safety. In this circumstance, the “over-oversight” makes training lengthy, costly, and inefficient and undermines the trainees’ development of full responsibility.


방어적 수련은 교육에 불필요한 중복성을 유발한다. 연습생의 결정적 약점을 놓치지 않기 위해 과잉된 불필요한 구조가 발생한다.

Defensive training also drives unnecessary redundancy in education because close oversight may be lacking. Redundant structures arise to ensure that a trainee’s critical weaknesses are not missed.


필요한 Redundancy는 그렇다고 치더라도, 과도한 redundancy는 그것이 효율성이 부족하고 비용이 증가로 이어진다면 문제가 된다.

Necessary redundancy aside, excessive redundancy should be worrisome, especially if it lacks efficacy and increases cost.


LIC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는 전통적인 로테이션 임상실습의 대안으로 의대생들이 시간에 따라 환자의 종합적인 치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As alternatives to traditional rotation-based clerkships, LICs allow medical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mprehensive care of patients over time


LIC는 전통적인 짧은 로테이션 방식의 약점을 다루기 위해 설계되었다.

LICs were designed to address weaknesses of traditional short- block rotations.


교육적 연속성과 퀄리티

Educational Continuity and Quality


LIC 모델은 교육적 연속성을 회복한다.6 이것은 Trainee-환자 관계와 Trainee-감독자 관계 둘 다에 대해서 그렇다. LIC의 교육적 연속성은 또한 trainee-trainee 팀워크와 trainee-system work에 대해서도 보다 강력한 종단적 효과를 가지며, 이는 의료 퀄리티와 환자안전의 핵심이다.

LIC models restore educational continuity,6 both in trainee–patient relationships and trainee–supervisor relationships. The educational continuity in LICs should also foster more robust longitudinal trainee–trainee teamwork and trainee–system work—cornerstones of quality and safety.1,7 


UME 임상실습과 많은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널리 퍼져 있는 전통적인 단기 로테이션식 의료 교육 방식은 일련의 의료 분야에서 "dwell time드웰 타임"을 기반으로 짜여진 훈련이 가장 원만한 의사를 배출할 것이라는 믿음에 근거를 두고 있다.8 그러나 이러한 믿음은 교육 이론과 증가하는 경험적 증거에 의해 심각하게 도전받고 있다.8,9 무엇보다도,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종단적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코치 및 멘토와의 지속적인 관계가 중요하다.10

The traditional short-rotatio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which is prevalent in UME clinical clerkships and many residency programs, is grounded in the belief that training organized in “dwell time” experiences in a series of medical disciplines will produce the most well-rounded physician.8 However, this belief is seriously challenged by both educational theory and growing empiric evidence.8,9 First and foremost, ongoing relationships with coaches and mentors able to provide longitudinal assessment and feedback are critical for development of expertise.10


둘째, 이제 환자에게 안전하고 양질의 치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 전문직 간 팀워크의 중요성을 명확히 인식한다.12 교사-훈련자-실습자-환자 연속성 외에, trainee-interprofessional team의 연속성도 중요하다.113,14

Second, there is now a clea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terprofessional teamwork in delivering safe and high- quality care to patients.1,12 In addition to teacher–trainee and trainee–patient continuity, trainee–interprofessional team continuity is also important.1,13,14


한 연구에서 베르나베오와 동료11은 세 개의 내과 레지던스에서의 로테이션 trainsition을 조사했다. 그들은 간호사, 의료원, 케이스 매니저를 포함한 레지던트와 비의사 직원이 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새로운 로테이션이 시작될 때 레지던트와 비의사 직원이 모두 [거의 공식적으로 소개가 없었고 서로 고립되었다]고 느꼈으며, 뭔가 되게 하려면 불필요하게 dysfunctional work-around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했다11 이러한 현 상황은 전문직간 업무에 필요한 효과적인 사회적 정체성 형성의 기회를 감소시킨다.8 

In one study, Bernabeo and colleagues11 examined rotational transitions in three internal medicine residencies. They found that residents and nonphysician staff, including nurses, medical clerks, and case managers, acknowledged the critical importance of relationships yet admitted that residents and nonphysician staff were rarely formally introduced at the start of new rotations, felt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often had to engage in dysfunctional work-arounds to get things done.11 This current state of affairs diminishes the opportunity for effective social identity formation needed for interprofessional work.8 


아마도 베르나베오와 동료들이 발견한 가장 심각한 사실은, 교수를 제외하면(교수는 rotational transition의 영향을 가장 인지하지 못한 집단이었다), 모두가 로테이션 시기의 환자 치료가 고통받았다는 것을 인식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전통적인 전문성과 "적어도 해는 가하지 말아라"라는 윤리관에 대한 anathema일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된) 대중의 기대와도 정면으로 충돌한다. 레지던트들은 로테이션 중에 일이 잘못될 것을 예상하고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 스트레스를 어떻게 적응하고 처리하는지를 배웠다는 것을 분명히 공유했다.11

Perhaps the most sobering finding from Bernabeo and colleagues11 was that all participants except faculty, who admitted to being the least aware of the effects of rotational transitions, recognized that in many instances patient care suffered during rotational transitions. This is not only anathema to our traditional views of professionalism and “primum non nocere” ethic but is also in direct conflict with the expectations of the public noted above. Residents explicitly shared that they expect and accept that things go wrong during transitions and that they have learned how to adapt and deal with this stress.11


역량이란 것을 [감독supervision이 점차 줄어드는 상황에서의 발달적 progression]으로 본다면, 현재 임상 훈련의 짧은 로테이션 구조는 [성과에 초점을 맞춘 역량 기반 교육 모델의 목표]와 전혀 효과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기관 환경과 프로그램 커리큘럼은 훈련생들에게 적절한 수준의 의사에 대한 평가와 정확한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의미 있는 환자, 교사, 대인 관계 및 전문 팀간 연속성을 제공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환자들이 안전하고 양질의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If competence is viewed as a developmental progression under decreasing levels of supervision, then it is hard to envision how the current short-rotation structure of clinical training can effectively align with the goals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al models that focus on outcomes.9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program curriculum have to provide for the trainees some level of meaningful patient, teacher, interpersonal, and interprofessional team continuity to facilitate assessment and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appropriate level of entrustment. in doing so we must ensure that patients receive safe and high-quality care.


EPA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는 교육자가 적절한 능력을 획득한 후, 교직원이 훈련생에게 감독 받지 않고 실행하도록 위임하는 전문 관행의 단위다.

EPAs are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faculty entrust to a trainee to execute unsupervised, once he or she has obtained adequate competence to do so.


감독자가 타당한 위임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 중요한 요소는 preceptor와 trainee가 충분히 서로를 아는 것이다. 교육자가 수련자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 수련자가 능력이 있다고 한다 하더라도 환자에게 감독받지 않고 일하는 것을 쉽게 신뢰하지 않을 수 있다.18 짧은 로테이션에 기초한 임상실습은 감독의사가 학생 사이에서 [위임 결정에 필요한 장점과 한계를 인식할 만큼의 충분한 관계]를 구축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For supervisors to make valid entrustment decisions, a critical factor is sufficient acquaintance of preceptors with their trainees. If preceptors do not know their trainees well, they may not readily trust them to work unsupervised with patients, even if the trainees are reportedly competent.18 It follows that short rotation-based clerkships may not allow clinicians to build sufficient relationships with students to acknowledge their strengths and limitations, which is essential for entrustment decisions.11


임상 훈련에서 효율적인 역량 기반 진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책임의 점진적 증가는 연습생과 그 감독관 사이의 상호 지지가 필요하다. 교육적으로 제한적이고 단편적인 감시는 임상 훈련의 전통적인 순환형식의 구조에 내재된 약점이다.8 종방향 참여는 EFA와의 역량 기반 교육에 더 도움이 된다.

 The gradual increase of responsibility to enable efficient competency-based progression in clinical training requires mutual acquaintance between trainees and their supervisors. Educationally, limited and fragmented oversight is an inherent weakness of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rotation format of clinical training.8 Longitudinal engagement is more conducive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with EPAs.


이제는 신뢰할 시간

Time to Trust


훈련의 어느 시점에서는 훈련생에 대한 자신감과 신뢰를 쌓기 위해 감독을 점차 줄여야 한다. 짧은 로테이션은 가장 진지한 위탁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감독자의 능력을 약화시킨다. 감독관은 연습생을 신뢰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연습생은 신뢰받을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At some point in training, supervision must gradually decrease to build self-confidence and trustworthiness in trainees. Short rotations undermine supervisors’ capacity to make serious entrustment decisions. Supervisors need time to trust trainees, and trainees need time to be trusted.


지금의 시간은 보다 효과적인 전문 개발에 필수적인 결정적 연속적 관계 개선을 위하여, 더 효과적으로 배분되고,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재설계되어야 한다.6, 8,10 의사-환자 연속성이 품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리고 코칭과 피드백이 전문적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교직원-훈련자의 연속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지극히 논리적이다.

The current time available needs to be better distributed and radically redesigned to enhance the critical continuity relationships essential to more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6,8,10 Given that physician– patient continuity enhances quality,19 and that coaching and feedback are essenti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it is logical that faculty–trainee continuity is critically important.6,10


종단적 관계는,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만든다. 짧은 로테이션이 겉으로는 시간을 절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종단적 관계가 초기의 신뢰 개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Longitudinal relationships, by design, proportion time more effectively and thus may enable the earlier development of trust, compared with short rotations that superficially appear to save time.




 2014 Feb;89(2):201-4. doi: 10.1097/ACM.0000000000000111.

Time to trust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uthor information

1
Dr. Hirsh is associate professor in medicine and cofounder and director, Cambridge Integrated Clerkship,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achusetts. Dr. Holmboe is chief medical officer and senior vice president,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Dr.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Netherlands.

Abstract

Medical education shaped by the learning sciences can better serve medical students, residents, faculty,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patients. With increasing innovation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more focused attention on educational principles and how people learn, this era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 offers promise. Principles manifest in "educational continuity" are informing changes in educational structures and venues and are enriching new discourse in educational pedagogy, assessment, and scholarship. The articles by Myhre and colleagues and Woloschuk and colleagues in this issue, along with mounting evidence preceding these works, should reassure that principle-driven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is not only possible but can be achieved safely. In this commentary, the authors draw from these works and the wider literature on longitudinal integrated educational design. They suggest that the confluences of movements for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open new possibilities for other educational and practice advancements in quality and safety. With the adven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explicit milestones, and improved assessment regimens, overseers will increasingly evaluate students, trainees, and other learners on their ability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time spent in an activity. The authors suggest that, for such oversight to have the most value, assessors and learners need adequate oversight time, and redesign of educational models will serve this operational imperative. As education leaders are reassessing old medical school and training models, rotational blocks, and other barriers to progress, the authors explore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longitudinal integrated learning models and entrustment.

Comment in

PMID:
 
24362396
 
DOI:
 
10.1097/ACM.0000000000000111


졸업생을 전공의로 신뢰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J Grad Med Educ. 2014)

Trusting Graduates to Enter Residency: What Does It Take? 

Olle ten Cate, PhD




이 논문의 제목에 있는 간단한 질문은 학부 의학교육(UME)의 기본적 기능을 반영한다. 지난 세기 동안, 의료 훈련의 목적은 독립적인 의료행위에 대한 준비에서 전공의 수련에 대한 준비로 옮겨갔다. 이를 위해서는 UME에서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벤치마크가 필요하다.

The simple question in the title of this piece reflects the fundamental function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In the past century, the purpose of medical training has moved from readiness for independent medical practice to readiness for postgraduate training. This requires a new benchmark for the transition from UME.


여러 전공의 프로그램이 역량을 소위 위임 가능한 전문 활동(EPA)과 관련시키고 있다.

An increasing number of postgraduate programs have now started to link competencies to so-calle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1–4


전공의 교육이 훈련 후 첫날부터 감독되지 않은 연습을 준비하는 경우, 학부 훈련에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대부분의 학부 훈련은 일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추론을 사용하는 것은 논리적인 생각이다. 레지던트 첫날부터 직장에서 의사가 어떤 책임을 져야 하는가? 그것은 '의과대학 학생들이 이론 및 실기 시험에서 반드시 어떤 성적을 얻었어야 하는가?'와 같은 질문이 아니다. 레지던트가 슈퍼비전이 제한적인 상황(즉, 시행되고 있는 모든 것을 검사하지 않음)에서 하는 의료행위를 신뢰하는 것은 환자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숙고적deliberate 결정이다.

If postgraduate training prepares for unsupervised practice from the first day after training, for what does undergraduate training prepare? Much of undergraduate training is workplace-based and it is a logical thought to use the same reasoning: What responsibilities are expected of the physician in the workplace from the first day of residency? That is not the same question as ‘‘What grades must medical students have attained in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exams?’’ Trusting residents to work with limited supervision (ie, not checking everything that is being done) is a deliberate decision that affects patient safety.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문서들은 의사가 학부 의료훈련이 끝날 때 어떤 자질과 역량을 보유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7–9 하지만, 훈련 첫날부터 정확히 레지던트가 안전하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었다.

Many documents during the past decades have attempted to describe what qualities or competencies physicians should possess at the end of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7–9 However, looking at what exactly residents are expected to do safely from the first day of training has not been the general method,



"전공의 진입을 위한 핵심 전문 활동" (CEPAER)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CEPAER),


저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 시책에 대해 칭찬을 받아야 한다.

The authors are to be commended on this initiative for several reasons.


첫째는 그것의 일반적 특성 때문이다. 전공의 교육을 위해 정의된 EPA 개념이 UME에서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각 의과대학들은 이것들을 스스로 정의하기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훨씬 더 좋은 전략은 모든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의 국가 및 국제 표준으로 학교 전체에 걸쳐 일반화가 가능한 EPA를 정의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다.

The first is its generalized nature. As the EPA concept, defined for postgraduate education, is now emerging in UME, schools may start defining these by themselves. However, a much better strategy is a concerted effort to define generalizable EPAs across schools, as a clear benchmark for any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rogram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둘째, EPA의 수가 제한적이다. 상세 활동의 긴 목록은 체크리스트로 변환되어 그 위력을 상실하는 경향이 있다. 의대생들에게 훈련을 마칠 때까지 제한된 감독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하고 포괄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현명한 결정이다.

Second, the number of EPAs is limited. Long lists of detailed activities tend to transform to checklists and lose power. It is a wise decision to focus on the most important and comprehensive acts medical students should be entitled to do with limited supervision by the end of training.


셋째, 핵심 EPA를 정의하는 것은 선택적 EPA를 위한 여지가 있음을 암시한다. 커리큘럼의 국지적 차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그것은 [고정된 시간과 유연한 표준]에서 [고정된 표준과 유연한 시간]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재의 교육 이니셔티브의 유연한 역량 기반 특성을 매우 많이 반영한다.12

Third, defining core EPAs implies there is room for elective EPAs. Next to providing space for local differences in curricula, it also very much reflects the flexible competency-based nature of current training initiatives, which are moving from fixed time and flexible standards to fixed standards and flexible time.12



a. 모든 EPA가 그 자체로 EPA가 되는가?

a. Are All EPAs Really Stand-Alone EPAs?


EPA는 trainee에게 (UME EPA라고 본다면) 간접적인 감독만 받고도 수행할 수 있는 업무를 명확히 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EPA는 시작과 끝을 가진 전문적인 행위로서,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구한다. 감독 수준을 낮추기 위한 위임결정은 훈련을 위해 EPA를 사용하는 데 있어 핵심이다. 또한 EPA는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해야 한다(예: 더 큰 EPA의 필수 부분이 아님). 이러한 개념은 제안된 EPA가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해야 한다. 

EPAs should be designed to make clear what trainees are entitled to do with—for UME EPAs—indirect supervision only. EPAs are professional acts with a beginning and an end, and require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Entrustment decisions to decrease the level of supervision are key in using EPAs for training. In addition, an EPA should be independently executable (eg, not be a necessary part of a bigger EPA). These notions should be helpful to determine whether the suggested EPAs can serve as such. 


예를 들어, 검사를 오더하는 것과 처방전을 쓰는 것(EPA 4)은 두 개의 EPA를 정당화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반대로, 검사를 권고하는 것(EPA 3)은 검사를 오더하는 것(EPA 4)과 쉽게 분리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검사를 권고하는 것은 진정한 EPA가 아닐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권고하는 행위'는 "환자 치료에 대한 책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인이나 심지어 환자조차 검사를 "권고"할 수는 있지만, 간접적인 슈퍼비전 상태에서도 이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것이어야 EPA라 할 수 있다.

Ordering diagnostic tests and writing prescriptions (EPA 4), for instance, may be such different things that they may justify 2 EPAs. Conversely, recommending diagnostic tests (EPA 3) may not be easily separable from ordering tests (EPA 4). Further, recommending tests (EPA 3) may not be a true EPA if it does not include a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with only indirect supervision. A layperson or patient could also recommend a test, but only the responsibility to do this with only indirect supervision makes it an EPA.


EPA 10은 "긴급하거나 긴급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평가 및 치료"로 수정한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EPA가 될 것이다." 물론 현재 기술된 EPA에서 recognition을 하는 부분은 매우 중요하며, 도움을 언제 구해야 하는지를 인정하는 것고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 사항은 EPA가 아니라 EPA의 설명에 속한다.

EPA 10 would be an excellent stand-alone EPA if formulated as ‘‘initiating evaluation and treatment in patients requiring urgent or emergent care.’’ Of course the recognition part of this EPA is crucial, as well as acknowledging the need to seek help in most cases. This level of detail belongs to the description of the EPA rather than to its title.


b. 모든 EPA에 대해서 간접적 감독만으로 충분한가?

b. Is Acting With Indirect Supervision Adequate for All of the EPAs?


"간접적 감독indirect supervision"은 13개 모든 EPA의 초점이다. '간접적 감독'이란 것은 [감독관이 patient encounter의 장소와 물리적으로는 떨어져있지만, 즉시 병원에서나 전화나 다른 매체를 통해 물리적으로 available한 감독]으로 정의된다. 다만 불확실 한 것은, 이 때 [간접적 감독]이란 것이 의료행위 후에 그 일을 모두 점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일부sample만을 점검해도 되는지 여부이다. 일부 EPA의 경우, 특히 시험(EPA 3 및 EPA 4), 의약품 처방(EPA 4) 및 수행 절차(EPA 12)에 대해서는, 이것이 명확히 기술되길 권한다.

‘‘Indirect supervision’’ is the focus of all 13 EPAs. This is defined as supervision that is away from the site of the patient encounter, but immediately available physically in the hospital or by telephone or other media. Not stated is whether indirect supervision means that a supervisor should check the work afterward, or a sample of it. For some EPAs, notably recommending and ordering tests (EPA 3 and EPA 4), prescribing medication (EPA 4), and performing procedures (EPA 12), I suggest that this must be specifically addressed.


c. 이 EPA의 한계는 무엇인가?

c. What Are the Limitations of These EPAs?


대부분의 EPA에 대한 설명은 그들의 범위를 정확히 밝히지 않는다. 예를 들어 EPA 3에서 언급된 "공통 테스트"와 EPA 12의 "일반 절차"는 어느 것인가? EPA 4도 마찬가지다. 전공의는 어떤 시험, 처방 및 치료법을 오더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지 못하는 것은 무엇인가? 투명성을 위해서라면, 모든 관련 검사와 프로시져의 목록을 이 EPA의 설명에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The descriptions of most EPAs do not exactly reveal their scope. For instance, which are the ‘‘common tests’’ mentioned in EPA 3 or the ‘‘general procedures’’ in EPA 12? The same holds for EPA 4: Which tests, prescriptions, and therapies may the graduate order and which not? It is important for the sake of transparency to include listings of all relevant tests and procedures in the description of these EPAs.


d. 의미와 간결성

d. Sense and Simplicity


교육의 복잡성과 반드시 단순화되지는 않는 많은 유용한 이론과 운영에도 불구하고, 만약 무언가가 교사들에게 울림을 주고, 기억될 수 있는 단순하고 명확한 용어로 제시될 수 있다면, 많은 혁신의 힘은 크게 증대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EPA에도 적용된다.

Despite the complexity of education and many useful theories and operations that are not necessarily simplistic, the power of many innovations is greatly enhanced if they can be presented in simple and clear terms that resonate with teachers and can be remembered. This will also hold true for EPAs.


"1일차 인턴이 감독 없이 수행하거나 주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테스트 및/또는 절차에 대한 사전 통보된 동의 획득" (EPA 11)은 "검사와 프로시져에 대한 informed consent 획득"이라고 수정할 수 있다.

One example, ‘‘Obtain informed consent for tests and/or procedures that the day 1 intern is expected to perform or order without supervision’’ (EPA 11), could just as well be called ‘‘Obtain informed consent for tests and procedures,’’


또한 EPA에 걸쳐 언어를 정렬align하는 것은 단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linical encounter"(EPA 5)가 "patient encounter"(EPA 6)가 서로 다른 단어일 필요가 없다.

Aligning language across EPAs would also serve simplicity, for example, ‘‘clinical encounter’’ (EPA 5) or ‘‘patient encounter’’ (EPA 6) don’t need to be different words.


UME EPA 제목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읽을 수 있다: 

UME EPA titles could simply read as follows: 

  • standard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EPA 1); 

  • prioritized differential diagnosis following a patient encounter (EPA 2); 

  • ordering and prescribing tests and therapies (EPAs 3 and 4); 

  • documentation of clinical encounters in the patient’s record (EPA 5); 

  • oral patient presentation (EPA 6); 

  • giving and receiving patient handovers (EPA 8); 

  • initiating evaluation and treatment in patients requiring urgent or emergent care (EPA 10); 

  • obtaining informed consent for tests and procedures (EPA 11); and 

  • general medical procedures (EPA 12).



몇 가지 일반적 관찰 
Some General Observations


현재 EPA 설명은 장황하다.

The EPA descriptions are lengthy.


나의 권고는 EPA를 짧게 유지하고, 무엇이 포함되고 무엇이 포함되지 않은지 명확히 설명하고, 대부분의 텍스트는 지식/술기/태도의 rubric을 가지고 "활동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activity"아래로 옮기는 것이다.

My recommendations are to keep the EPAs short, clearly state what is included and what is not, and move most of the text under ‘‘description of the activity’’ to a rubric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or ‘‘curriculum’’).6


마지막으로, 언어에 대해서 한 마디만 하겠다. 이 문서의 저자들은 'entrustable'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확장했다. EPA 문헌에서 entrustable이라는 단어는 연습생이나 전문가에게 위임되는 속성을 가지는 [업무나 책임]을 묘사하는 형용사로 사용되어 왔다. 사람에 대해서 trustworthy할 수 있지만, 사람을 entrustable하거나 pre-entrustable할 수는 없다. 나는 trustworthy를 entrustable로 대체하려는 강한 경향을 이해한다. trustworthy하지 않다는 것은 dishonesty를 함축하기 때문이다. Pre-entrustable은 not yet trustworthy보다 더 친근하게 들린다.

Finally, a word about language. The authors of this document have extended the meaning of the word entrustable. In the EPA literature, the term has been used as an adjective that pertains to tasks or responsibilities that have the property of being entrusted to trainees or professionals. People themselves may be trustworthy, but not entrustable or pre-entrustable. I understand the strong tendency to replace trustworthy with entrustable, as being not trustworthy connotes dishonesty. Pre-entrustable may sound friendlier than not yet trustworthy.


그러나 trustworthiness는 단순히 정직함honesty그 이상이다. 캠브리지의 철학자 오노라 오닐15는 최근 [신뢰성trustworthiness은 역량, 정직, 신뢰성의 세 가지 특징을 필요로 한다]고 설명했다. 케네디와 동료16은 기본적으로 의학 연수생들에게 동일한 특징, 즉 지식/기술, 진실성, 양심성, 그리고 한계를 분별하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honest하고 reliable한 사람조차도 EPA에 대해서는 아직 trustworthy하지 않을 수 있다.

Trustworthiness, however, is more that honesty. Cambridge philosopher Onora O’Neill15 recently explained that trustworthiness requires 3 features: competence, honesty, and reliability. Kennedy and colleagues16 found basically the same features for medical trainees: knowledge/skills, truthfulness, conscientiousness, and also discernment of limitations. Thus, even honest and reliable persons may not yet be trustworthy for an EPA.


당연히, 이러한 각 EPA에 대해 무엇이 포함되고 무엇이 제한되는지 명시해야 한다. 임상 질문을 작성하고, 전문가 간 작업을 하며, 환자 안전에 기여하는 것은 그 자체로 EPA가 아니라 중요한 EPA의 일부일 수 있다.

Naturally, for each of these EPAs it must be specified what is included and what are its limitations. Forming clinical questions, working interprofessionally, and contributing to patient safety may be part of important EPAs rather than EPAs in their own right.








 2014 Mar;6(1):7-10. doi: 10.4300/JGME-D-13-00436.1.

Trusting graduates to enter residency: what does it take?

PMID:
 
24701302
 
PMCID:
 
PMC3963798
 
DOI:
 
10.4300/JGME-D-13-00436.1


모든 EPA가 정말 EPA인가? (Med Teach, 2016)

Are all EPAs really EPAs?

Ara Tekian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 USA




EPA는 "필요한 역량을 입증하는 즉시 이 활동을 감독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실무의 단위"로 정의된다(10 Cate et al. 2015). EPA는 (정의된 시작과 끝을 가진) 프로세스 및 결과라는 측면에서 독립적이고, 관찰 가능하며, 측정 가능한 단위다. "역량"은 총체적으로 훌륭한 의사를 정의하는 개인의 능력이지만, "EPA"는 전문가의 일상 업무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그 업무의 성과를 인식recognize할 수 있다.

An EPA is defined as “a unit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can be fully entrusted to a trainee, as soon as he or she has demonstrated the to necessary competence execute this activity unsupervised” (ten Cate et al. 2015). EPAs are independent, observable, and measurable units of work in both process (with a defined beginning and end) and outcome. While “competencies” are abilities of individuals that in the aggregate define a good physician, “EPAs” are units of work that represent the day-to-day work of the professional, which can lead to a recognized outcome.


EPA는 다양한 훈련 단계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의료 교육과 작업장의 기대치 사이의 차이를 메울 수 있다. 이러한 역량을 정의하고 적용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EFA를 학부 의료 교육(UME)으로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있었다(Chen et al. 2015).

EPAs can be defined at different stages of training and can bridge the gap between medical education and the expectations of the workplace. With the movement to define and apply these competencies, there has been discussion to expand EPAs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Chen et al. 2015).


첸 외 에 따르면, AAMC가 발행한 13개 핵심 EPA는 모든 전공에 대해 대학원 수준에서 EPA를 지원할 수 있는 "기준 활동"을 개략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According to Chen et al., the 13 Core EPAs published by AAMC outlines “baseline activities” that can support EPAs at the postgraduate level for all specialties.


핵심 EPA가 미국의 UME 커리큘럼에 공식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 요구사항은 정책, 자원 및 프로그램적 함의를 포함하여 큰 이해관계가 있다.

As Core EPAs are expected to be formally introduced to the UME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these educational requirements have heavy stakes, including policy, resource, and programmatic implications.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문제와 관련된다. 

(1) 개별적인 작업이 아니므로 포커스된 위탁 의사결정에 적합하지 않은 EPA 

(2) 다른 EPA와 분리할 수 없는 EPA 

(3) 실제로는 교육 목표에 가까운 EPA

(4) 숙련도 수준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포함하는 EPA 

(5) 너무 넓은 EPA 

(6) 개별적인 업무이지만, 위탁 결정에 적합하지 않은 EPA (10 Cate 등, 2015)


Specifically, they relate to six problems: 

(1) EPAs that are not discrete tasks and so are unsuitable for focused entrustment decisions; 

(2) EPAs that are inseparable from other EPAs; 

(3) EPAs that are really educational objectives; 

(4) EPAs that include adjectives that refer to proficiency level; 

(5) EPAs that are too broad; and 

(6) EPAs that are discrete tasks, but are not suitable for entrustment decisions (ten Cate et al. 2015).


EPA 6: 임상적 만남의 구두 제시

EPA 6: provide an oral presentation of a clinical encounter


이 EPA는 복수의 해석이 가능하며, 따라서 임상적 만남에서 예상되는 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 EPA에서 구두 프레젠테이션을 위해서는 의료진 중 적어도 한 명이 참석해야 한다. 그러나 임상 환경에서 의료팀은 그때그때 달라질 수 있고 구성원이 다양하며 있으며, 이는 EPA 6이 책임질 수 있는 결정을 촉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학생은 일부에 대해서는 entrustable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다.

It is open to multiple interpretations and thus warrants additional clarification on what is expected in the clinical encounter. In addition, the EPA requires at least one member of the health care team to be present for the oral presentation. However, clinical settings have different health care team members that can vary, and this implies that EPA 6 cannot stimulate an entrustable decision; a student may be entrustable for some, but not for others.


EPA 7: 임상 질문을 작성하고 증거를 검색하여 환자 치료 진행

EPA 7: form clinical questions and retrieve evidence to advance patient care


이 EPA의 초점은 1차 문헌과 2차 문헌에서 증거를 retrieve하는 능력에 있다. 따라서 이 EPA가 필연적으로 지식을 환자집단에 적용하여 임상적으로 관련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현장 학습의 일환으로 EPA를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focus of the EPA is on the ability to retrieve evidence from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It does not necessarily assess the ability of the student to apply that knowledge to his or her patient population to make clinically relevant decisions. This means that there would be difficulty in assessing this EPA as part of on-the-spot learning


EPA 9: 전문가 간 팀의 일원으로 협업

EPA 9: collaborate as a member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이 EPA는 별도의 작업 단위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역량을 구성한다. EPA 7과 유사하게, 특히 학부 수준에서 직접 또는 현장 학습을 통해 이를 평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학생들은 어떤 시점에서든 건강 전문가와 함께 환자 치료를 진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또한, 학생은 자신이 상호작용하는 건강 전문가의 설정, 상황 및 유형에 따라 다르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 협력의 수준, 양, 빈도 및 효과에 대해 감독자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This EPA does not constitute a discrete unit of work, but rather a competency. Similar to EPA 7, it may be difficult to assess this through direct or on-the-spot learning, particularly at the undergraduate level. Students should have this ability with health professionals at any point of their training to advance patient care. Furthermore, the student may intera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tting, context, and the type of health professional he or she is interacting with. How would the supervisor account for the level, amount, frequ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collaboration?


EPA 13: 시스템 고장을 식별하고 안전 및 개선 문화에 기여

EPA 13: identify systems 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이는 환자 안전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강조한다(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2016). 이 능력은 대학원 과정에 들어갈 때 모든 의사에게 내재되어야 하므로 위임될 수 있는 업무 단위보다는 교육 목적이나 역량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emphasizes patient safety and knowledge of the systems supporting it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2016). This ability should be embedded in all physicians at the time of entering a postgraduate program, so it can be considered more of an educational objective or a competency, rather than a unit of work that can be entrusted.






 2017 Mar;39(3):232-233. doi: 10.1080/0142159X.2016.1230665. Epub 2016 Sep 15.

Are all EPAs really EPAs?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 Chicago , IL , USA.
PMID:
 
27633048
 
DOI:
 
10.1080/0142159X.2016.1230665


만약 위임에서의 '신뢰'가 사회적 판단이라면? (Med Educ, 2015)

What if the ‘trust’ in entrustable were a social judgement?

Andrea Gingerich




Hauer 등 1명은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 '우리의 발견은 신뢰를 발전시키는 경험이 아마도 이정표로 세분화될 수 없는 합성적이고 전체적인 판단을 수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신뢰는 효과적인 평가 시스템의 핵심 부분으로 점점 공식화되고 있다.2 우리가 우리의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적 판단인 신뢰와 그것을 의학 교육에서 공식적인 평가 시스템의 기초로 사용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까? 확실히 신뢰성은 사회적 추론이며 역량처럼 '객관적'은 아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신뢰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특성이다.3 실제로, 사회 심리학의 근거에 따르면, [다른 사람의 도덕적 특성인 정직, 성실, 신뢰성에 관한 정보를 찾는 것]이 우리의 가장 흔한 사회적 판단을 반영한다고 말한다.

Hauer et al.1 conclud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trust can involve a synthetic, holistic judgement that perhaps cannot be fragmented into milestones.’ Yet, trust is increasingly formalised as a key part of an effective assessment system.2 What might be the outcome if we were to take our most influential social judgement – trust – and use it as the foundation of a formal assessment system in medical education?Certainly, trustworthiness is a social inference and not as ‘objective’ as things like competencies. However, it is, above all, the trait we value most in others.3 In fact, there is evidence from social psychology to suggest that the search for information regarding others’ moral characteristics – honesty, sincerity, trustworthiness – reflects  the social judgements we most commonly make.4


'면밀한 감독관들은 

  • 언제 훈련생들이 중요한 결정을 내리도록 신뢰할 수 있을지, 

  • 언제 훈련생들이 독립적으로 중요한 의료 절차를 수행할 수 있을지, 

  • 언제 훈련생들에게 가까운 감독이나 관찰이 필요한지

...를 감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자연적 경향을 억제하고 우리의 공식적인 평가 시스템에서 '객관적'적 조치들로 대체하려고 하기보다는, 감독관의 신뢰 판단을 이용하고 '평가 목적으로 신뢰성에 대한 이러한 직감들을 완전히 이용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이는 케이트가 위임 가능한 전문 활동(EPA) 개념을 처음 도입했을 때의 제안을 반영한 것이다.2

It has been said that ‘...conscientious supervisors often sense when they can either trust trainees to make critical decisions or perform critical medical procedures independently, or when close supervision or observation will be necessary’2 [my emphasis]. So, rather than trying to suppress these natural tendencies and to supplant them with ‘objective’ measures in our formal assessment systems, might it not be more prudent to take advantage of supervisors’ trust judgements and ‘fully exploit these gut feelings about trustworthiness for assessment purposes’?7 This reflects ten Cate’s proposal when he first introduced the concept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2


인상 형성의 "모든" 단계에서 타인의 신뢰성에 대한 우리의 결정이 그들의 사교성이나 능력에 관한 정보보다 타인에 대한 우리의 판단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5 또한 신뢰성 판단의 이러한 만능성은 단순히 사회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들이 우리의 의료 훈련 모델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될 수 있다. 지금도 모든 곳의 수련자들이 직접적인 관찰 없이 임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뢰받고 있으며, (특별히 우려할만한 이유를 정당화할 구체적인 징후가 없는 상황에서조차) 경험 많은 감독자들은  임상 진단과 관리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기 위해 직감, 직감, 불안감 등을 이용하고 있다.n.6

It has been shown that, in ALL stages of impression formation, our determination of another’s trustworthiness is more influential in our judgements of other people than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ir sociability or their competence.5 Further, it could be argued that the omnipresence of judgements of trustworthiness is not merely a social phenomenon, but that these are also deeply entrenched in our medical training model. Right now, trainees everywhere are being trusted to perform clinical activities without direct observation and experienced supervisors are using their gut feelings, intuitions and senses of uneasiness to increase their vigilance in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even in situations in which there are no specific indications to justify such concern.6


그렇다면, 우리는 평가 시스템의 기초로서 '전문직 활동'보다는 EPA의 '신뢰가능성'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춘다면 어떨까? 이러한 초점의 변화는 평가 설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What, then, if for argument’s sake, we were to focus more on the ‘entrustable’ aspect of EPAs than on the ‘professional activities’ as the basis for an assessment system? How might that shift in focus affect the assessment design?


만일 '신뢰라는 개념은 [관찰된 능력]을 훨씬 넘어서는 '역량'까지도 반영한다'라고 본다면, 우리가 이것(EPA의 위임가능/신뢰가능)을 잘 할 수 있으려면, [신뢰의 사회적 판단]을 더 잘 활용하고, 신뢰를 다른 역량처럼 취급하려는 유혹에 어떻게 저항할 것인가에 대해 매우 다르게 생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7

To be able to do this well, we may need to think very differently about how to best utilise the social judgement of trust and resist the temptation to treat it in the same way we treat other competencies, especially if ‘the idea of trust reflects a dimension of competence that reaches further than observed ability’.7


우선, 우리는 신뢰 판단이 인지적 요소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신뢰는 [희망과 자신감과 같은 감정, 기꺼이 취약해지려는 의지, 바람직한 결과에 대한 기대]와 관련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불신은 공포, 회의, 냉소, 망설임, 신중함, 조심성 그리고 경계와 관련이 있다.8 이러한 감정(및 인식)을 고려해본다면, 신뢰는 위험을 감수하는 활동이다. 즉, trainee를 감독함에 있어서 그들의 임상역량의 한계까지 밀고 나가는 것은 관리자가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다.

For a start, we would need to account for the idea that trust judgements have an affective as well as a cognitive component. More specifically, trust is associated with the emotions of hope and confidence, with a willingness to be vulnerable and with expectations of favourable outcomes. By contrast, distrust is associated with fear, scepticism, cynicism, hesitance and increased wariness, watchfulness and vigilance.8 These emotions (and cognitions) fit with the idea that trusting is a risk-taking activity, and certainly overseeing trainees as they push towards the limits of their clinical competency is a risktaking activity for supervisors,9


또한 타인에 대한 신뢰도 감시와 함께 경계심을 유지하고 가능한 위협을 탐지하는 것은 우리가 의식적인 생각 없이도 빠르고 심지어는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일임을 고려해야 한다.10 위임결정에 대해 anchor되어있는 평가 시스템은 신뢰라는 것이 의식적이면서도deliberate 동시에 자동적인automatic 사회적 인지 과정임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시스템은 의사의 임시적인 주관적 신뢰와 신뢰성에 대한 판단을 존중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12,13 왜냐하면 신뢰라는 것은 [추정될 수 있고, 암시될 수 있고, 느껴질 수 있고, 창조될 수 있고, 발견될 수 있고, 얻어질 수 있거나 잃을 수 있지만] 관찰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We should also consider that maintaining vigilance and detecting possible threats along with monitoring trustworthiness in others is something we can do rapidly and even without conscious thought.10 An assessment system anchored in entrustment decisions would need to grapple with the fact that trust judgements incorporate both deliberate and automatic social cognition processes.11 More importantly, this system would need to respect and support physicians’ ad hoc subjective judgements of trust and trustworthiness12,13 because trust can be assumed, inferred, felt, created, discovered, earned and lost, but not observed.


신뢰도 평가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문서화해야 할 것은 행동이 아닐 수 있다.

Given these factors in the assessment of trustworthiness, behaviours may not be the most appropriate performance feature to document.


이 시스템에서는 trainee가 수행한 퍼포먼스의 품질을 설명하기보다는, 임상적 관리감독 및 감독자 개입에 대한 유동성과 맥락 특이적의 설명이 더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가 단계 X부터는 procedure를 인계받아야 했다' 또는 '나는 이중 점검해야 한다고 느꼈다'와 같은 기술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평가시스템은 우리가 감독관들에게 '알고 있다' 또는 '인식한다'와 같은 순수한 인지 활동에 초점을 맞추도록 지시하는 것에서 '보면서 불안했다' 또는 '안정적이었고, 확신을 주었다'와 같은 신뢰와 더 일치된 감정을 보고하도록 격려하는 것으로 전환하도록 요구한다.

Rather than describing the quality of their clinical performance, this system might value descriptions of the fluidity and context-specificity of clinical oversight and supervisor intervention,12–14 which might be evidenced in comments like, ‘I needed to take over the procedure at step X’ or ‘I felt compelled to double-check...’9,15,16 Such an assessment system would require us to shift from directing supervisors to focus on purely cognitive activities such as ‘knowing’ or ‘recognising’ to encouraging them to report feelings more congruent with trust such as ‘being on edge while observing’ or ‘feeling calm and reassured during the procedure’.


이러한 노력은 우리로 하여금 [관측 가능하고 행동적이며(객관적인) 수행 결정을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활동']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도록 했다. 그러한 노력을 통해, EPA의 구성은 기능적으로 역량 평가로 축소된다. 그러나, trainee의 학습과 환자 안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우리의 임상 감독자들에게 매 순간마다 기대하는 '신뢰'는 이것보다 훨씬 더 역동적이고, 문맥적이며, 덧없고, 주관적이다. 그렇긴 하지만, 주관성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진짜'이다.

This effort has led us to place greater focus on the ‘professional activities’ a learner is able to perform based on observable, behavioural (objective) determinations of performance. Through such an effort, the construct of EPAs is functionally reduced to assessments of competence. However, the ‘trust’ we expect our clinical supervisors to wield with such skill from moment to moment in order to balance trainee learning and patient safety is substantially more dynamic, more contextual, more ephemeral, and more subjective than this. That said, it is no less ‘real’ for its subjectivity.


EFA를 미니-역량으로 줄이기 보다는, 이러한 신뢰 판단을 최대한 활용하는 보완적 평가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rather than reducing EPAs to mini-competencies , might it not be more useful to design a complementary assessment system that takes full advantage of these trust judge-ments? 


13 Hauer KE, ten Cate O, Boscardin C, Irby DM, Iobst W, O’Sullivan PS. Understanding trust as an essential element of trainee supervision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4;19 (3):435–56.





 2015 Aug;49(8):750-2. doi: 10.1111/medu.12772.

What if the 'trust' in entrustable were a social judgement?

Author information

1
Prince George, British Columbia, Canada.
PMID:
 
26152484
 
DOI:
 
10.1111/medu.12772
[Indexed for MEDLINE]


임상학습환경(Med Teach, 2019)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onas Nordquista,b, Jena Hallc, Kelly Caverzagied, Linda Snelle,f, Ming-Ka Chang, Brent Thomah , Saleem Razacke , and Ingrid Philiberti



재정적 제약과 임상 생산성에 대한 기대는 교육 활동의 가용 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Norman and Dogra 2014; Kilty et al. 2017; Weiss et al. 2018) 연습생과 교사의 스트레스, 번아웃, 비인간화, 의료에서 정서적 고갈에 대해 악영향을 주었다 (Gruppen et al. 201).8; 메이시 재단 2018).

Financial constraints and clinical productivity expectations have negatively affected available time for educational pursuits (Norman and Dogra 2014; Kilty et al. 2017; Weiss et al. 2018) and have contributed to higher levels of stress, burnout, depersonalization, and medical emotional exhaustion in trainees and in their teachers (Gruppen et al. 2018; Macy Foundation 2018).


임상적 맥락에서 배우는 것은 건강 전문가 훈련의 토대이다. 여기에는 대안이 없다. 또한 많은 의료 시스템은 학습자가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존하며, 이를 교육 기관에서 제거하는 것은 환자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Learning in a clinical context is foundational in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there is simply no alternative. In addition, many healthcare systems rely on the service that learners provide to patients, and to remove them from teaching institution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patient care.


북미 지역의 연구들은 훈련의 맥락이 된 학습 환경의 질이 졸업 후 수년간 졸업생들이 제공하는 치료의 질을 예측하는 변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Tamblyn et al. 2005; Asch et al. 2009). 또한 이는 해당 의사의 처방 패턴이나(Cadieux et al. 2007) , 환자 관리, 보건의료 자원의 활용에도 영향을 주었다 (Chen et al. 2014; Sirovich et al. 2014; Dine et al. 2015). 마찬가지로, 일반 외과의사의 합병증 비율은 그들이 훈련했던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순위와 관련이 있었다. 더 높은 순위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낮은 합병증 비율과 관련이 있다(Bansal et al. 2016).

Studies from North America have shown that the qua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d the context for training was a predictor of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by graduates for years after graduation (Tamblyn et al. 2005; Asch et al. 2009) and influenced prescribing patterns (Cadieux et al. 2007) and patient management and use of health care resources (Chen et al. 2014; Sirovich et al. 2014; Dine et al. 2015). Similarly, complication rates for practicing general surgeons were associated with the ranking of the residency program in which they had trained—with higher ranked residency programs correlated with lower complication rates (Bansal et al. 2016). 


따라서, CLE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연습생이 환자 치료에 배우고 참여하는 환경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향후 수십 년 동안 미래의 졸업생들의 의료행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는 훈련 의사가 현재 의료 제공의 최전선과 의료 관행의 미래를 대표하기 때문에 미국의 임상 학습 환경 검토(CLER)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Weiss et al. 2013, 2018).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the CLE not only have a positive impact in the settings where trainees learn and participate in patient care but also affect the practice of future graduates, potentially for decades to come. This provides the rationale fo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 (CLER)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as physicians in training represent both frontline of health care delivery today and the future of the practice of medicine (Weiss et al. 2013, 2018).



임상학습환경 - 개념의 모호성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An elusive concept


임상 학습 환경은 임상/학습/환경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한다. 임상학습환경에 대한 초기 정의는 의료 교육 환경의 기후와 전반적인 분위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Genn and Harden 1986) 학습이 발생하는 기후climate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off and McAleer 2001). 메이시 재단(2018년)은 학습 환경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involve three key elements: clinical work; learning; and environment. Early definition focused on the climate and overall ambiance of the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Genn and Harden 1986)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climate in which learning occurs (Roff and McAleer 2001). The Macy Foundation (2018) define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사회적 상호 작용, 조직 문화와 구조, 그리고 참가자의 경험, 인식, 학습을 둘러싸서 형성하는 물리적이고 가상적인 공간." 이러한 다양한 기존 정의들이 CLE 개념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social interactions, organizational cultures and stru-tures, and physical and virtual spaces that surround and shape participants’ experiences, perceptions, and learning.”These differences in existing definitions highlight the complexity of the CLE concept


여기서 우리는 CLE를 그림에서 표시한 "작업 환경"(trainee가 환자 진료를 배우고 참여하는 임상적 상황)과 "교육적 맥락"(기대 학습 성과 및 평가 방식을 정의하는 실라버스, 교육과정, 목표) 사이의 중복된 공간으로 정의한다.1번.

In this thematic examination, we the define the CLE as overlapping space between the “work environment” (the clinical context in which trainees learn and participate in patient care), and the “educational context” (the syllabi, curricula, and goals that define methods for learning, expected learning outcomes, and assessment practices), shown in Figure 1.



학습환경 평가의 역사적 맥락

A historical perspective on assessmen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커트 르윈의 1930년대와 1940년대 사회심리학 연구(Lewin 1947)는 교육적 기후를 측정하는 기구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였다(Genn and Harden 1986, Palmgren 2016). 초기 연구들은 학습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학생들의 인격적 욕구personality needs와 본질적으로 무관하거나 독립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Genn and Harden 1986).

Kurt Lewin’s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in the 1930s and 1940s (Lewin 1947)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s to measure educational climates (Genn and Harden 1986 and Palmgren 2016). Early studies showed that learners’ perceptions of their environment “were essentially unrelated to, or were independent of the students’ personality needs” (Genn and Harden 1986).


the Dundee Ready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or DREEM (Roff et al.1997)—


영국의 일반의학위원회가 발간한 첫 번째 TD 보고서는 의대생들이 이상적이지 못한 조건에서 train된다는 사실에 대한 결정적 담론을 열었다(GMC 1993). 이 보고서는 집단 괴롭힘, 성차별, 괴롭힘, 감독 품질 및 임상 교수진들 간의 부정적 롤모델과 같은 문제를 강조하여 임상 학습 환경의 기업이 교육자와 규제자의 주의를 끌게 했다(Roff et al. 2005 및 Palmgren 2016) 궁극적으로 이것은 환자 안전 문제였으며, 이는 의사라는 전문직에 대한 대중의 신뢰에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The first Tomorrow’s Doctor report publish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in the UK opened a critical dialog on the suboptimal conditions under which medical students were trained (GMC 1993). The report highlighted problems such as bullying, gender discrimination, harassment, quality of supervision and the presence of poor role models among clinical teaching faculty, bringing the enterprise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to the attention of educators and regulators (Roff et al. 2005 and Palmgren 2016) Ultimately, this was a patient safety issue with a potentially devastating impact on the public’s trust in the profession.


  • the Postgraduate Hospit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PHEEM)

  • a result of the 1984 death of Libby Zion in a New York teaching hospital,

  • The ground-breaking report To Err is Human by the Institute of Medicine

  • the ACGME instituted a national limit on work hours for physicians in training (Philibert et al. 2002).


유럽에서는 1998년 유럽 근로시간지침을 이행함으로써 훈련의 내과의사의 근무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다타와 데이비스 2014). 여기에 대해서 의료계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Maisonneuve et al. 2014). 특히 외과 전문의의 훈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으며 (Hopmans et al. 2015), 연습생 근무 조건 및 웰빙 개선의 증거는 거의 없었다(Rodriguez-Jare~no et al. 2014).

In Europe, implementation of the European Working Time Directive in 1998 severely reduced the working hours of physicians in training (Datta and Davies 2014), with mixed reactions from the medical community (Maisonneuve et al. 2014), indications of a negative impact on training, particularly in surgical specialties (Hopmans et al. 2015), and little evidence of improvement in trainee working conditions and well-being (Rodriguez-Jare~no et al. 2014).


현재 [학습 환경 평가]는 (미국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accreditor들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을 수집하는 중요하고, 민감하며, 타당한 도구로 사용중이다. 

  • 학부 의료 교육(LCME 2018; Mavis et al. 2014; Lockwood et al. 2004)에서도, 

  • 미국 대학원 의료 교육을 위한 인증 기관(ACGME)에서도(Holt et al. 2018; Ibrahim et al. 2014). 

Assessmen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currently are used by accreditors 

  •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LCME 2018; Mavis et al. 2014; Lockwood et al. 2004) and 

  • by the US accreditation body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an important, sensitive and valid tool to collect learne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US and internationally (Holt et al. 2018; Ibrahim et al. 2014). 


학습환경에 대한 평가 결과는 인증과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내부적으로 사용된다. 2013년 미국 PGME에서 새로운 인증 시스템을 시작했을 때, 여기에는 프로그램 연수생을 위한 연간 데이터 검사에 CLE의 학습자 및 교수진 평가와 CLER 프로그램을 통한 CLE의 전용 검토가 포함되었다(Wagner et al. 2016; Co et al. 2018; Weiss et al. 2018).

The results are used in accreditation and internally for program improvement. When the US accreditation postgraduate body for medical education launched a new accreditation system in 2013, this included both learner and teaching faculty assessments of the CLE in annual data screening for programs trainees, and a dedicated review of the CLE through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 (CLER) program (Wagner et al. 2016; Co et al. 2018; Weiss et al. 2018).


학습환경에 관해 남은 문제들

Current challe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국가 이해관계자 합의 문서는 과밀 임상 환경, 인력 부족 및 서비스 압력, 임상 작업 부하를 CLE의 학습 장벽으로 식별했다(Kilty et al. 2017). 다른 연구와 일관되게, 개선의 관점에서 가장 어려운 영역으로 확인된 영역은 "조직과 업무 조건"과 "환자 치료 중 상급 의사와 함께 배우는 시간"이었다(Kilty et al. 2017). 영국의 바와-가르바 사건은 이것의 뼈아픈 예다. 이 사례와 이와 유사한 일반적인 관찰은 "서비스 압력이 학습 기회에 영향을 미쳐서, 인지 과부하를 일으키고, 그 결과 물리적 공간에 대한 제약을 통해 성찰과 토론 시간을 제한한다"라는 가설을 추가로 뒷받침한다(Kilty et al., 2017, 페이지 8).

A national stakeholder consensus document identified overcrowded clinical environments, understaffing and service pressures and clinical workload as barriers to learning in the CLE (Kilty et al. 2017).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the domains identified as most challenging from an improvement perspective were the “organization and conditions of work” and “time to learn with senior doctors during patient care” (Kilty et al. 2017). The Bawa-Garba case in the United Kingdom is a poignant example of this (Vaughan 2018). This case and similar general observations further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ervice pressures impact opportunities to learn, resulting in cognitive overload, limiting time to reflect and discuss and through constraints on physical space” (Kilty et al. 2017, p. 8).


Macy Foundation은 범위 지정 검토를 의뢰하여 CLE를 네 가지 핵심 요소(개인, 사회, 물리 및 가상, 조직)로 디구성하는 개념 모델을 도입했다. 또한 상당한 학문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임상학습 환경을 탐구한 연구에는 개념적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강조하였다(Gruppen et al. 2018).

The Macy Foundation commissioned a scoping review introduced a conceptual model that deconstructed the CLE into four central components (personal, social, physical and virtual, and organizational). It also highlighted that, despite considerable academic efforts, there is a lack of conceptual clarity in studies that have explored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Gruppen et al. 2018).


에비뉴 프레임워크 소개

Introducing the avenues framework


. The model approaches the CLE through six different lenses, which we have termed “avenues”  for this exploration (Figure 2)



To examine how different academic fields and foci haveinformed the study of the CLE, in Table 



Conclusions


Gruppen L, Irby D, Durning, Maggio L. 2018.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AMEE MedEd Pub. 7:73.


Weiss KB, Co JPT, Bagian JP. 2018.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6 focus areas: CLER national report of findings 2018. J Grad Med Educ. 10:25–48.









 2019 Mar 17:1-7. doi: 10.1080/0142159X.2019.1566601. [Epub ahead of print]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Medicine (Huddinge) , Karolinska Institutet , Stockholm , Sweden.
2
b Department of Research and Education , Karolinska University Hospital , Stockholm , Sweden.
3
c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Queen's University , Kingston , Canada.
4
d Internal Medicine ,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 Omaha , NE , USA.
5
e Medicine ,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6
f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 Ottawa , Canada.
7
g University of Manitoba , Winnipeg , Canada.
8
h University of Saskatchewan , Saskatoon , Canada.
9
i Accreditation Counci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 Chicago , IL , USA.

Abstract

Learning in a clinical context is foundational in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there is simply no alternative. The subject of the clinicallearning environment (CLE) is at the forefront of discussions. In this introduction to a themed issue on the CLE, we present an expanded conceptual model that approaches the CLE through six different lenses, termed "avenues:" architectural, digital, diversity and inclusion, education,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with each avenue represented by a paper. The aim is to facilitate dialog around the contributions of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to research on the CLE. Collectively the papers highlight the overlap between the various "avenues" in how they influence each other, and how they collectively have shaped the work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CLE. The expectation is that the various avenues can add to existing knowledge and create new ideas for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cross nations for learners and teachers with the ultimate aim of improving patient care. Research and efforts to improve the CLE are critical to learning,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well-being for trainees as they learn and participate in patient care, and to the quality of care they will deliver over decades of practice after graduation.

PMID:
 
30880530
 
DOI:
 
10.1080/0142159X.2019.1566601


의학교육의 가치 얹기: 미래 의사들을 보건의료 전달체게 변혁에 참여시키기(J Gen Intern Med, 2015)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Engaging Future Doctors to Transform Health Care Delivery Today

Steven Y. Lin, MD1, Erika Schillinger, MD2, and David M. Irby, PhD3




의대생 교육은 일반적으로 미래의 의사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의 의료 제공 문제를 무시한다. 미래에 대한 이 초점은 오늘날의 긴급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실패한다.

Medical student education typically aims to increase the supply of future physicians while ignoring current problems in health care delivery. This focus on the future fails to address the pressing challenges of today.


이러한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무practice 재설계나 의료교육 모두에서 중요한 개혁이 필요하다. 일차 진료에서 카파시티capacity 문제에 대해 제안된 해결책 중 하나는 비임상 의료팀 구성원 및 학습자와 "share the care"하는 것이다.1

To achieve this change, significant reforms are needed in both practice redesign and medical education. One proposed solution to the capacity issue in primary care is to “share the care” with non-clinician health care team members and learners.1


우리는 sharing the care가 capacity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의료 교육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비전을 수립하는 데 이상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1학년 때부터 모든 의대생이 1차 건강관리 팀에 소속되어 훈련 단계에 적합한 진료를 제공하는 의미 있는 역할에 종사한다면 어떻게 될까? 아직 공식적인 환자 진료를 제공할 진단이나 치료 기술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초기 의대생들은 인구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훈련을 받고 일상적인 예방(pap smears, 대장경, 유방조영술)이나 만성 치료 서비스(당뇨병 환자에 대한 발과 눈 검사)가 늦어진 환자를 찾아나갈 수 있다면 어떨까?

We believe that sharing the care goes beyond addressing the capacity-demand problem and may serve as an ideal starting point for building a new vision for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What if every medical student starting in year one is embedded in a primary health care team and engaged in meaningful roles of providing care appropriate to their stage of training? What if, even if they do not have the diagnostic or treatment skills to provide formal patient care yet, early medical students are trained to do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and can reach out to patients overdue for routine preventive (pap smears, colonoscopies, mammograms) and chronic care services (foot and eye exams for diabetics)?


이 의료 훈련 모델은 현재 AHC의 인프라를 바꾸지 않고도 우리의 의료 제공 시스템에 귀중한 capacity을 추가할 수 있다.

This model of medical training can add valuable capacity to ou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without changing the current infrastructure of academic health centers.


우리는 이것을 "부가가치 의료 교육"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강력한 경험적 학습 경험은 우리의 의료 전달 시스템에 가치와 능력을 더해줄 수 있다. 이는 환자 치료 작업에 의대생을 교육하고 참여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학생들은 중복 작업을 발생시키거나 임상 교수진의 추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 방법으로 의료 팀의 일원으로서 관리에 참여하고 책임을 지기를 열망한다.

We call this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where powerful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can also add value and capacity to ou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his can be achieved by training and involving medical students in targeted patient care tasks. Students are eager to engage in care and take on responsibilities as part of the health care team in ways that do not generate duplicative work or consume additional energy from the clinical faculty.


부가가치 의료 교육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학생들과 교수진들은 모든 학생들의 재능과 헌신을 활용하여 오늘날의 환자 치료에 가치를 더하는 진정한 직장 학습 경험을 창조함으로써 그들의 커리큘럼을 재부팅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where much of the pioneering work on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has been done,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are working together to reboot their curriculum by creating authentic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that leverage the talents and commitments of every student to add value to the care of patients today.


스탠포드 의과대학은 또한 종단적 1차 진료 커뮤니티 파트너십을 운영함으로써, [보건 지도, 동기부여 면접, 환자 교육을 통해 치료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보건소]에 일부 1학년 의대생을 배치하고 있다.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s also embedding some first year medical student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where they provide care through health coach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patient education delivered via longitudinal primary care community partnerships.


초기 수련자들을 임상 기록 전문가로 변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녹취scribe 프로그램은 우리의 1차 진료 클리닉을 high-performing 진료로 변화시키는 한편, 전자 진료 기록 시대에 의학을 실습하는 데 필요한 기술력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들은 [교육]과 [진료]라는 종종 상충하는 두 가지 목표를 하나의 통합하여 추구함으로써 이 둘 사이의 균형을 맞춘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A scribe program designed to turn early trainees into clinical documentation experts has the potential to change our primary care clinics into high-performing practices, while equipping students with the technological skills needed to practice medicine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ra. All these programs are similar in that they balance the often conflicting missions of education and patient care by merging these two objectives into a single pursuit.


이 꿈을 현실로 바꾸려면 리더십, 자원 재배치, 커리큘럼 재설계가 필요하다. 비전을 명확히 하고, 변화에 대한 긴급성을 창출하며, 자원을 이동시키고, 교직원 개발을 제공하며, 새로운 임상 훈련 사이트와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한 리더십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초기 임상 훈련에 전념하고 있는 기존 자원의 리디렉션이 필요할 것이다.

Transforming this dream into reality will take leadership, redeployment of resources, and curricular redesign. Leadership is needed to 

  • articulate the vision, 

  • generate urgency for change, 

  • shift resources, 

  • provide faculty development, and 

  • build partnerships with new clinical training sites. 

  • This will require some redirection of existing resources currently devoted to early clinical training,


학생들의 임상 경험을 다시 상상해보고, 임상 스탭들에게 학생들이 일상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직원개발과 교수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커리큘럼 혁신과 재설계는 이러한 새로운 경험과 기술을 위한 기회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일 것이다.

Faculty and staff development will be needed in order to reimagine the clinical experience for students and provide the clinic staff with skills to actively involve students in their daily work. Curricular innovation and redesign will be essential to offer opportunity space for these new experiences and skills.


우리는 부가가치 의료 교육의 원칙이 이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고 또 할 것이라고 믿는다. 이러한 원칙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1) 모든 의대생을 위한 조기의 통합적 근무지 학습, 

  • (2) 비임상 보건의료 제공자의 이해와 존중을 촉진하기 위한 전문직간 팀 기반 QI 문화, 

  • (3) 협업 및 데이터 중심 인구 건강 관리, 

  • (4) 학습자 중심적이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개발 단계에 맞춰 조정되는 전문적 역할의 최적화 

  • (5) 고성능의 환자 중심 1차 진료의 제공과 함께 강력한 경험적 학습 경험의 융합.

We believe that the principles of value-added medical education should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revolution. These principles include: 

  • (1) early integrated workplace learning for all medical students, 

  • (2) an interprofessional team-based quality improvement culture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respect of non-clinician providers, 

  • (3) collaborative and data driven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 (4) optim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that are learner-centered and continuously adjusted to changing stages of development, and 

  • (5) the fusion of robust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with the delivery of high-performing, patient-centered primary care.






 2015 Feb;30(2):150-1. doi: 10.1007/s11606-014-3018-3.

Value-added medical educationengaging future doctors to transform health care delivery today.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Division of General Medical Disciplines, Department of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11 Quarry Road, Suite 405, MC 5985, 94304, Palo Alto, CA, USA, stevenlin@stanford.edu.
PMID:
 
25217209
 
PMCID:
 
PMC4314499
 
DOI:
 
10.1007/s11606-014-3018-3


현장에서 배우기: 시간-가변적 의학 훈련에서 맥락의 가치(Acad Med, 2018)

Learning in Practice: A Valuation of Context in Time-Variable Medical Training

Pim W. Teunissen, MD, PhD, Jennifer R. Kogan, MD, Olle ten Cate, PhD,

Larry D. Gruppen, PhD, and Lorelei A. Lingard, PhD



역량 기반 모델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훈련 시간이 고정되었다.

Before the advent of the competency-based model, time-in-training was fixed; after completing the required training time


시간 변동성이 있는 훈련은 역량 기반 교육의 논리적 결과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1

One might even argue that time-variable training is the logical consequence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1


역량 기반, 시간 변동성 교육(CBTVT)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해 교육자와 학습자는 학습자의 발달에서 맥락과 맥락-내-시간의 역할을 높이 평가하게 된다.

To move the debate on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training (CBTVT) forward, educators and learners must come to appreciate the role of context and time-in-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learners.


임상 학습 경험은 교실 교육보다 훨씬 더 다양하며, 그러한 경험의 맥락은 모든 학습자에게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3

Clinical learning experiences vary much more than classroom education, as the context of those experiences is to a large extent different for every learner.3


이러한 맥락변동성은 직장 학습의 본질적인 부분이다. 그 학습의 목표는 전문직에게 필요한 임상적 내용을 숙달할 뿐만 아니라 가변적이고 변화하는 맥락에서 근무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This variability in context is an inherent part of workplace learning. The goal of that learning is not only mastering the clinical content of a profession but also learning how to work in variable and changing contexts. 


최적의 학습 편익을 얻기 위해 역량 기반 교육은 명시적 학습 성과의 형태로 구조를 제공하려고 노력해왔다.4 보건의료에서 직장 학습의 구조화 및 공식화 증가는 [훈련 비용, 환자 안전 및 학습 결과의 투명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진행되었다.5

To yield the optimal learning benefit,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sought to provide structure in the form of explicit learning outcomes.4 The increased structuring and formalization of workplace learning in health care, has gone hand in hand with an increased focus on the costs of training, patient safety, and transparency of learning outcomes.5


맥락-내-학습은 임상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 이상을 수반하며 공식화된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 지금껏 포착되지 않았거나 앞으로도 결코 포착되지 않을 수도 있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We argue that learning-in-context entails more tha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expertise and includes features that have not been, and may never be, captured in formalized, competency-based curricula.



학습목적을 위한 컨텍스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Deliberate Use of Context for the Purpose of Learning


숨겨진 커리큘럼은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을 통해서 전달은 되고 있지만, 공개적으로 인정되지는 않는 문화적 풍습을 가리킨다.6 효과적인 CBTVT는 [명시적인 커리큘럼 목표]와 이제는 잠재 커리큘럼의 일부가 된 [기회와 기대]를 보다 목적을 가지고 정렬할 것을 요구한다. 잠재 커리큘럼은 종종 맥락 특이적이며, 예컨대 각각의 맥락이 학습자의 발달에 긍정적이고 독특한 기여를 갖는 가치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The hidden curriculum refers to the cultural mores that are transmitted, but not openly acknowledg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practices.6 Effective CBTVT requires more purposeful alignment between explicit curricular goals and the opportunities and expectations that are now part of the hidden curriculum. The hidden curriculum is often context specific and may have constructive components, such as when contexts are valued for their positive and unique contributions to learners’ development.7


현재 컨텍스트와 이들이 잠재적으로 제공하는 경험은 종종 로테이션 일정에 속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조정되지 않는다. 이론적으로, 커리큘럼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훈련생들은 전략적으로 특정 역량을 support하면서 동시에 challenge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맥락은 임상적 초점을 가지면서 동시에 리더십이나 의사소통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것일 수 있다.

Currently, contexts and the experiences they potentially offer are often part of fixed rotation schedules and are not adjusted according to learners’ needs. In theory, to increase curricular flexibility, trainees could strategically be put in contexts that both support and challenge particular competencies. For instance, contexts could be conceptualized not only as having a clinical focus but also as being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or communication competencies, for instance.


교육 과정에 서로 다른 직장의 역학을 포함시키는 것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은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9 훈련생은 고정된 로테이션 스케줄보다는 의도적으로 전략에 따라 가변적 맥락을 경험함으로써 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Deliberately choosing to include different workplace dynamics in a curriculum could achieve this goal . Trainees could arguably benefit from experiencing variable contexts according to a conscious educational strategy rather than a fixed rotation schedule.9


모든 경험이 이상적이지는 않다. 실제로, 특히 3차 병원에서 임상 교육은 점점 더 학업의 단편화, 짧은 환자 체재, 빈번한 핸드오프, 짧은 회전, 부적절한 감독, 관찰, 가르침 등, 이 모든 것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11 단편화된 학습 경험의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에 대처하기 위해 Hirsh et al12는 임상 교육의 조직적 원칙으로서 연속성을 권고했다. 짧은 로테이션에서 종단적 경험으로 바꾼다면, 피훈련자와 훈련자 사이의 지도guidance, 평가, 교육신뢰도가 향상되고, 이는 학습자의 진행progression의 가능성을 촉진한다.13-15 그러나 앞으로 졸업생들이 다양한 맥락과 친숙하지 않은 상황에 대처해야 하는 현재의 의과대학생들에게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은 중요한 21세기 기술로서 강조되어 왔다. 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훈련이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경험을 필요로 할 것이다.

Experiences can be far from optimal. Indeed, clinical education, particularly in tertiary hospitals, suffers increasingly from the fragmentation of disciplines; short patient stays; frequent handoffs; short rotations; and inadequate supervision, observation, and teaching—all of which can negatively impact learning.10,11 To counteract these negative aspects of a fragmented learning experience, Hirsh et al12 recommended continuity as an organizing principle of clinical education. Moving from short rotations to longitudinal experiences enables better guidance, assessment, and trust between preceptors and trainees, which in turn fosters better possibilities for the progression of learners.13–15 However, adaptive expertise has been stressed as an important 21st-century skill for graduates to enable them to cope with a variety of contexts and unfamiliar situations.16–18 Training to develop this skill would require experience in a variety of clinical settings.


맥락-속-시간 의 가치

The Value of Time-in-Context


학습 목적을 위한 컨텍스트의 의도적 사용과 관계없이, CBTVT의 논의에서 특정 맥락 내에서 보내는 시간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학습자마다 다르므로, 비교적 빠른 학습자가 임상 환경에서 잔여 시간을 사용하여 보다 정교하고 nuanced한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한 추가 개발 방향은 다른 학습자-컨텍스트 조합에 따라 다를 것이다.

Regardless of the deliberate use of context for the purpose of learning, recognizing the value of time-in-context is important in discussions of CBTVT. Variation in the time needed to attain learning objectives may permit those learners who are relatively fast to use their remaining time in a clinical environment for the refinement and maturation of more sophisticated and nuanced capabilities. The direction of such further development will vary between different learner–context combinations.


예를 들어, 외과 연습생이 일반 수술과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습득한 경우, 그들은 수술 후 관리를 다른 전문 분야와 협상하거나 어려운 임상 상황에서 가족 회의를 주도하는 등, 그들의 위치적인 전문 지식의 관계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역량 기반 교육 모델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생들은 생물의학 및 기술적 차원을 숙달하기 전까지 이러한 의료행의위 관계적 차원에 집중하지 못한다.19,20

For instance, if surgical trainees have acquired the technical competencies associated with general surgery, they could focus more on the relational and social aspects of their situated expertise, such as negotiating postoperative management with other specialties or leading family meetings in challenging clinical situations. Despite the effor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al models, learners struggle to attend to such relational dimensions of clinical practice until they have mastered the biomedical and technical dimensions.19,20


특정 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없는 연습생이라도, 이미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실천하는 것]에 필요한 요구되는 역량과 성숙도에 도달했더라도, 해당 맥락에서 추가적인 시간을 할애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이 시간은 "dwell time"14,21,22 또는 "tea steeping"이라고 불렸는데, 이러한 명칭은 이 기간이 학습자의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거나 아무런 guide없이 지낸다는 식으로 잘못된 암시를 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이 기간은 잘 준비된 전문직으로 발전해나가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supported transition 기간이 될 수 있다. 즉, 이 시기에는 비판적 성찰과 지식, 기술 및 이들의 경험적 학습 적용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커리큘럼에 삽입된 성찰 기간으로 의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Even for trainees who do not need to develop specific competencies, there is value in spending additional time practicing in the context in which they have reached the required level of competence and maturity necessary for relatively independent practice. This time has been called “dwell time”14,21,22 or “tea steeping,”23 which erroneously suggests that a learner’s development is idle during this period or that it happens unguided. In contrast, we characterize this phase as a supported transition to independence, which can add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well-prepared professionals. It may be deliberately organized as reflective periods strategically inserted into a curriculum to foster critical reflection and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techniques, and their application to experiential learning.


이렇게 본다면 새로운 학습 기회가 생겨난다.  첫 번째 기회는 자기 효능감과 관련이 있다. 기준을 맞췄다는 것이 항상 학습자에 대한 신뢰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만약 신뢰 관계가 발전된다면, 감독자들은 학습자가 독자적으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들이 자기 효능감을 기를 기회를 제공한다.14

new learning opportunities emerge.24 The first opportunity relates to self-efficacy. Meeting standards may not always translate into learner confidence. But if a trusting relationship has developed, supervisors may support their learners in practicing independently, which presents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develop a sense of self-efficacy.14


두 번째 학습 기회는 실패의 경험과 관련이 있다. 독립적 의료행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young professional로서 의도한 대로 되지 않은 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밖에 없다.

The second learning opportunity has to do with the experience of failure. With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independent practice, it is inevitable that there will be times when a young professional has to take responsibility for something that did not go as intended.


이것은 겉보기에 사소한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큰 재앙일 수도 있다. 연습생에게는 이렇게 guided independence와 mentored reflection을 위한 관계가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초반의 고난struggle 시기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이러한 맥락에서 연습생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동료들의 사회적 지원], [멘토나 코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감독관의 조언]을 얻게 될 것이며, 자기가 그 환자에 대한 care를 맡을 수 있도록 [신뢰받았다entrusted라는 확신]을 얻을 것이다.

This may be something seemingly minor, Or it may be a major calamity . For trainees, it is important to experience some of these initial moments of struggle in a context where they have the established relationships in place for both guided independence and mentored reflection.25 In such a context, trainees would have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s they know, the advice of a supervisor who can act as a mentor or coach, and the certainty that they had been entrusted with caregiving for that patient. 


우리가 젊은 의사들에게 잘 풀리지 않은 상황에 대해서 감정적, 조직적, 그리고 잠재적인 법적 영향을 어떻게 대처하도록 가르칠 것인가가 뒤따라는 그들의 커리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학습 기회를 위한 시간과 신뢰가 있을 때에만, 의사들이 도전을 성숙하고 건설적으로 다루고, 회복탄력성을 기르기 위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기치 못한 사건들은 중요하고, 경험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고,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특정 맥락 내에서 보내는 시간은 곧 그러한 사건이 나타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다.

How we teach young doctors to cope with the emotional, organizational, and potential legal ramifications of situations that go awry will impact the rest of their careers. Helping physicians deal with challenges maturely and constructively and develop strategies for resiliency is possible only when there is the time and trust in place for such learning opportunities. These more or less unexpected events are important, take time, and are unpredictable. Time- in-context, therefor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such events to emerge.


역량의 개념

Exploring Conceptions of Competence


Sfard의 습득과 참여 은유 사이의 26 구분이 workplace learning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의 결과를 강조한다.

Sfard’s26 distinction between an acquisition and a participation metaphor highlights the consequences of different perspectives on workplace learning.


Sfard는 생각과 의사소통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1998년 신학 논문에서 그녀는 두 가지 배움의 은유를 묘사했다. 

Sfard’s work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and communicating. In a seminal 1998 paper, she described two metaphors of learning. 


첫째, 습득 은유는 학습의 개별적, 인지적, 기술적 합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 비유에 따르면 CBTVT에서 교육 시스템은 학습자가 각자 서로 다른 속도로 성취를 이뤄나가는 동안 조정되어야 하는 것이며, 학습자가 요구되는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것은 개인의 문제이다. 따라서 이 은유에서 조직 시스템, 임상 장치 및 의료 팀의 맥락 역할은 시간적 공간적 배경backdrop으로 취급된다. 이와 같은 '습득' 은유는 의학교육의 많은 면에서 확인된다. 예를 들어, 특정 근무지 공간세팅이 어떻든 관계없이 프로그램의 모든 연습생을 위한 고정된 학습 목표 세트가 그 사례이다. 모든 학습자가 역량 기반 의료 교육 모델에서 고정된 표준 목표의 달성을 보장하고자 추구pursuit할 경우에, 특히 CBTVT모델에서의 progress의 개념을 이러한 '표준 목표' 달성에만 의존하는 경우, 학습 맥락을 더 균일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압력이 증가된다. 다양한 임상 작업장이 있는 세계에서 맥락의 균일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단순히 인위적일 뿐만 아니라, 이는 학습자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강력한 도구인 "근무지 맥락의 가변성"을 빼앗길 위험이 있다.3

First, an acquisition metaphor focuses on individual, cognitive, and technical- rational aspects of learning. This metaphor positions us to frame the discussion on CBTVT as a matter of individuals attaining required objectives while the educational system adjusts to their differing paces of attainment. Consequently, the role of context—the organizational system, the clinical unit, and the health care team—is treated as a temporal and spatial backdrop. The acquisition metaphor of learning is recognizable in many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It is exemplified, for instance, by a fixed set of learning objectives for all trainees in a program regardless of their specific workplace setting. The pursuit to ensure that all learners attain fixed, standard objectives in a competency- based medical education model may increase pressure on learning contexts to become more uniform, especially if we move toward a CBTVT model where progress solely depends on attaining these standard objectives. Not only is increasing uniformity of context artificial in a world of richly diverse clinical workplaces but it also risks robbing clinical training of a powerful tool for advancing learner competence—the variability of workplace contexts.3


이와는 대조적으로, Sfard의 참여 은유는 학습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학습에 위치, 관계, 참여 및 컨텍스트를 접근한다. "참여적 학습" 이론도 의료 훈련과 관련된다.27,28 각각의 근무지 맥락은 독특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연구 결과 연습자들은 공식적인 written 커리큘럼에 포함된 내용과 무관하게, 환자 치료에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작업장이 제공해야 할 것을 배운다.3,29 이러한 관점에서 드러나는 것은, 역량이란 것은 학습자와 근무work의 situated exigencies 사이의 관계에 놓여 있으며, 여기에는 환자 프레젠테이션, 협업적 상호작용 및 조직 구조와 정책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직장 학습을 이렇게 개념화할 때, 이는 [개인의 인식]을 넘어선다.30 그들은 의미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특성의 중요성, 학습자의 발달 궤도에 대한 맥락적 영향, 그리고 학습자가 embed되어있는 문화적 경험의 다양성을 인식한다.3,24 이러한 참여적 성향을 CBTVT에 고려함으로써, 맥락적 변동성을 강조하고,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 요구하는 컨텍스트에 따른 역량을 인식하고 개발할 것을 기대하고 지원한다. 

In contrast, Sfard’s26 participation metaphor approaches learning as situated, relational, and participatory and context as an integral component of learning. Theories of participatory learning have also informed medical training.27,28 Each workplace context offers unique learning opportunities, and research shows that trainees learn what a workplace has to offer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patient care, regardless of what is included in the formal, written curriculum.3,29 From this perspective emerges the notion that competence l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 and the situated exigencies of the work, including patient presentations, collaborative interaction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policies. Generally, these conceptualizations of workplace learning go beyond the boundaries of an individual’s cognition.30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nature of meaning making, the contextual influences on learners’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the plethora of cultural experiences in which learners are embedded.3,24 Adding this participatory orientation to discussions of CBTVT sets up the potential for programs to capitalize on contextual variation and to expect and support learners in recognizing and developing the context-bound competence that their practice context requires of them. 


이 두 가지 은유는 CBTVT의 토론을 통해 흐르는 근본적인 긴장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역량은 개인의 특징인가, 아니면 개인과 그들의 맥락 사이의 의도적인purposeful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는 퀄리티인가? 합리적인 방법은 두 가지 옵션을 모두 수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옵션을 거부하지 않는 것이다.

These two metaphors help us to understand an underlying tension that runs through the debate on CBTVT—is competence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or is it a quality that emerges from a purposeful soci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ntext? A reasonable way forward would be to accept both options or at least not to reject either option.


실용적으로는, CBTVT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는 [학습자의 practice 환경에서 제공되는 상황별 기회]에 따라 [확장하고 세분화할 수 있는 최소 성과의 표준화된 집합]을 만드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Practically, in light of CBTVT, it could mean creating a standardized set of minimum outcomes which learners can expand on and refine according to the context-specific opportunities afforded in their practice settings.



맥락-기반 학습과 CBTVT

Context-Driven Learning and CBTVT


마지막으로, 우리는 역량이 개인의 속성일 뿐만 아니라 개인과 맥락의 목적적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퀄리티라고 받아들일 때의 함의를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육이란 [개인의 역량을 확보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형성하는 것]이다.31

Finally, we highlight the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CBTVT when we accept that competence is not only an individual attribute but also a quality that emerges from a purposeful soci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ntext. It requires us to adopt the perspective that education is as much about generating meaningful experiences as it is about attaining individual competence.31


학습자를 지원하고 도전하기 위한 맥락을 전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집단적 역량"이라 불리는 것에 접근해나갈 수 있으며, 또는 학습자가 더 큰 시스템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Strategically selecting contexts to create experiences that support and challenge learners could begin to approach what has been called “collective competence” or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can recognize their place in the larger system


다양한 종류의 의료진이라는 맥락에 참여하는 경험도 고려해볼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전략적으로 구성하여 학습을 진전시킬 수 있다. 팀은 부문별(예: 의학)에서 부문간(예: 가족 보건 팀)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공동 배치(예: 수술실)에서 분산(예: 완화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different kinds of team contexts could also be considered and strategically organized to advance learning; teams range 

  • 과별 from discipline specific (e.g., medicine) 

  • 과간 to interdisciplinary (e.g., family health team), and 

  • 같은 장소 from colocated (e.g., operating room) 

  • 다른 장소 to distributed (e.g., palliative care).


이론적으로 보자면, 의미 있는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머물르는 것을 지향하는 교육모델에서는 시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새롭고 의미 있는 경험을 접할 확률이 점차 감소했을 때, 이것이 다음 학습 환경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통찰력은 그러한 placement에 대한 최소한의 표준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의 획득과 참여 은유 모두를 포함하는 CBTVT 모델로 이어질 수 있다.

In theory, an educational model aimed at placing learners in environments with a high probability of meaningful experiences has no clear time limit. The gradual decline of the probability of encountering new and meaningful experiences could be an indicator that it is time to move on to a new learning environment. This insight could be combined with having attained a minimum set of standard learning objectives for that placement, leading to a model of CBTVT that encompasses both an acquisition and a participation metaphor of learning.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모델에서는 학습자가 로테이션을 통해 잠재적으로 더 빠르게 또는 더 느리게 움직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Finally, we must be aware of the possible impact of a model where learners potentially move faster or slower through rotations,


고도로 개별화된 시간 변동성은 경험이 많은 학습자가 다른 컨텍스트로 빠르게 이동할 경우, 피어티칭에 이용할 수 있는 유능한 학습자의 수를 계속 줄여나가게 된. 게다가, 각 의료팀은 늘상 일반적으로 초심자 멤버를 더 많이 갖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시간 변동성, 특히 훈련의 조기 완료는 더 많은 초보 팀 구성원을 가르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던 유능한 학습자를 제거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에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학습 환경에도 영향을 미친다.

Highly individualized time variability could reduce the number of competent learners available for (near-) peer teaching if more experienced learners quickly move on to other contexts. In addition, teams would then generally have more novice members. Therefore, time variability, particularly early completion of training, not only influences an individual learner but also influences the learning environment by removing competent learners who could have contributed to teaching more novice team members.


Conclusion


만약 우리가 맥락을 배움의 배경backdrop으로만 다룬다면, 우리는 잠재적으로 우리의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맥락 관련 학습 기회를 빼앗을 것이다. 여기에 의료 교육자와 학습자의 난관이 있다. CBTVT 모델에서 교육과정이란 [일단 학습자가 습득하기만 하면 다음 맥락으로 이동하는 set of learning targets]가 되어서는 안 된다.

If we treat context only as a backdrop for learning, then we potentially rob our learners of valuable context-related learning opportunities. Herein lies a challenge for medical educators and learners. CBTVT models should not treat the curriculum as a set of learning targets that, once obtained, allow learners to move on to new contexts.


우리는 모든 학습자가 직장에서 많은 표준적이고 사전 설정된 학습 목표를 충족해야 하지만 전략적으로 조직된 학습 환경 내에서 추가적인 맥락별 역량 개발과 개인적 성장을 위한 여지를 남기는 대안을 제안한다.

We propose an alternative that recognizes that all learners will have to meet a number of standard, preset learning targets in their workplace but that leaves room for further context-specific competence development and personal growth within learning environments that have been strategically organized.


우리는 공간적 배경보다는 교육 전략으로 맥락을 활용하는 것이 CBTVT를 강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We contend that using context as an educational strategy rather than a spatial backdrop promises to strengthen CBTVT.



 2018 Mar;93(3S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S22-S26. doi: 10.1097/ACM.0000000000002070.

Learning in Practice: A Valuation of Context in Time-Variable Medical Training.

Author information

1
P.W. Teunissen is professor,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nd maternal fetal medicine specialist,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J.R. Kogan is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education,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L.D. Grupp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L.A. Lingard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The logical consequence of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moving to time-variable training. Competency-based, time-variabletraining (CBTV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how learners interact with their learning context and how that leads to competence.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iscuss this relationship. They first explain that the time required to achieve competence in clinical practice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clinical experiences that are conducive to ongoing competence development. This requires both curricular flexibility in light of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learners' development and a balance between longitudinal placements and transitions to different environments.Along with the deliberate use of the opportunities that learning environments offer, there is value for learners in spending ample time-in-context. For instance, guided independence is possible when trainees do not progress immediately after meeting curricular learningobjectives. Next,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CBTVT can be illustrated by two learning perspectives-Sfard's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metaphors-which leads to the assertion that competence is both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a quality that emerges from a purposeful social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ntext. This theory recognizes that the deliberate use of context could be used to approach learning as acquiring collective competence.Based on this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ontext, and competence, the authors propose an approach to CBTVT that recognizes that all learners will have to meet a number of standard preset learning targets in their workplace, while still having room for further context-specific competence development and personal growth within strategically organized learningenvironments.

PMID:
 
29485483
 
DOI:
 
10.1097/ACM.0000000000002070


본과3학년에 대한 학대가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Med Teach, 2017)

Mistreatment of medical students in the third year may not be the problem

Stuart J. Slavina and John T. Chibnallb

aDepartment of Pediatrics, Office of Curricular Affairs,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 Louis, MO, USA; bDepartment of Neurology and Psychiatry,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 Louis, MO, USA




의대 학생들의 학대와 학대는 미국 전역의 의대에서 상당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Fnais et al. 2014). 전국의 모든 졸업 의대생들에게 배포되는 의대 졸업 설문지(AAMC 2016)는 학생들에게 

  • 공개적인 모욕, 

  • 신체적 피해, 

  • 원치 않는 성적 접촉, 

  • 인종, 성별, 성적 성향을 이유로 낮은 평가나 성적

...을 포함한 17가지 특정 유형의 학대에 대한 일련의 질문을 하는 전체 섹션을 가지고 있다.

Mistreatment and abuse of medical students has been recognized for some time as a significant problem in medical schools across the US (Fnais et al. 2014). The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Graduation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every graduating medical student in the country (AAMC 2016) has an entire section in which it asks students a series of questions about 17 specific forms of mistreatment including 

  • public humiliation, 

  • physical harm, 

  • unwanted sexual advances, and 

  • lower evaluations or grades because of race, gender, or sexual orientation.


"대부분의 학생들은 3년 동안 적어도 한 번은 어떤 형태의 학대를 보고하였다." (Fried et al. 2012년)

“the majority of our students continued to report some form of mistreatment at least once during their third-year clerkships” (Fried et al. 2012).


LCME는 의과대학에 다음과 같은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의학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학생 관계에 대한 전문적 행동강령을 정의 및 공표하고, 코드 위반을 다루는 효과적인 서면 정책을 개발하고, 불만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을 갖추고, 부적절한 행동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지원한다.(LCME 2015).

The Licensing Commission on Medical Education has a standard that requires that a medical school 

“defines and publicizes its code of professional conduct for faculty–student relationships in its med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s effective written policies that address violations of the code, has effective mechanisms in place for a prompt response to any complaints, and supports educational activities aimed at preventing inappropriate behavior” (LCME 2015).



이러한 학대에 대한 오해는 두 가지 주요한 방법으로 존재한다. 첫째, 학대가 사실 다양한 근본적 원인이 있을 수 있는 증상으로 볼 수 있음에도, 학대는 가해자의 비전문적태도unprofessionalism에 대한 "진단"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This misperception of mistreatment exists in two primary ways. First, mistreatment has tended to be viewed as a “diagnosis” of unprofessionalism of the perpetrator when it may be more appropriately viewed as a symptom with a range of possible underlying causes.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보이는 두 번째 오해는 학대와 학생들의 행복, 고통, 그리고 공감을 떨어뜨리는 것 사이의 관계가 분명하다는 믿음이다. 그렇지 않다.

The second misconception that appears to be prevalent is the belief that the link between mistreatment and student well-being, distress, and falling empathy is clear. It’s not.


Third-year student perceptions at SLU



Table 1. Rating of impact of sources of demoralization.


고찰

Discussion


만일 우리가 3학년 의대생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려면, 학대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 아닐 것이다. 만약 우리가 불행한 교수와 레지던트에게, 그들이 학생들을 학대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불행하게 남는다면, 그들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 환경에 기여하고 있는 독성은 남아있을 것이다. 안타깝게도, 많은 기관에서 사용되는 의대 학생들의 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일차적인 접근법은 교직원(및 레지던트)에게 그런 행동을 하지 말라고 말해주는 것이다.

If we are going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third-year medical students, making reduction or elimination of mistreatment a primary focus may not be the most effective strategy. If we take a resident or faculty member who is unhappy and get them to stop mistreating students but they remain unhappy, then the toxicity that they are contribut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s may remain. Unfortunately, the primary approach to prevent mistreatment of medical students used at many institutions appears to be to tell faculty (and residents) not do it


주민과 교직원의 과로와 우울증이 만연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불행한 주민들과 교직원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SLU 3학년 학생들에게 가장 높은 사기를 떨어뜨리는 요소라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Given the high prevalence of burnout and depression in residents and faculty, it should be no surprise that working with unhappy residents and faculty were the highest rated demoralizing factors for SLU third-year students.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평가와 관리를 하는 동안, 교수진은 계속해서 전문가답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여전히 받을 필요가 있다. 원인은 그 행동에 대한 핑계excuse가 아니라 그 행동에 대한 설명explanation으로 보아야 한다.

Whil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underlying causes moves forward, the faculty member needs to still receive the clear message that continuing unprofessional behavior is not acceptable. Causes should be seen as an explanation of, not an excuse for, the behavior.


Mistreatment를 '진단'으로 보든 것이 아니라 '증상'으로 볼 때 이런 노력이 더 효과가 있을 것이다.

Seeing mistreatment for what it is, a symptom rather than a diagnosis may make those efforts more impactful.







 2017 Aug;39(8):891-893. doi: 10.1080/0142159X.2016.1270438. Epub 2017 Jan 18.

Mistreatment of medical students in the third year may not be the problem.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Pediatrics, Office of Curricular Affairs ,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St. Louis , MO , USA.
2
b Department of Neurology and Psychiatry ,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St. Louis , MO , USA.

Abstract

Mistreatment and abuse of medical students has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problem in medical schools. We believe, however, that the problem of mistreatment has been viewed incorrectly. This misperception of mistreatment exists in two primary ways. First, mistreatment has tended to be viewed as a "diagnosis" of unprofessionalism of the perpetrator when it may be more appropriately viewed as a symptom with a range of possible underlying causes. The second misconception that appears to be prevalent is the belief that the link between mistreatmentand student well-being, distress, and falling empathy is clear. It is not. We present (1) evidence that other factors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may be having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student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nd (2) recommendations for changes that may produce enhancement to medical student mental health in the clerkship year.

PMID:
 
28097902
 
DOI:
 
10.1080/0142159X.2016.1270438


루머와 가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J Grad Med Educ, 2018)

Helping Program Directors Effectively Manage Rumors and Gossip

Mariam Rahmani, MD




진화적인 관점에서, 가십은 자기 잇속만 증진하고 외부인을 멀어지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직장에서, 가십은 꽤 흔하며, 1 온라인 여론조사는 미국 근로자들의 90%가 그 행동에 참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3 비슷한 숫자는 다른 나라에서 추정되고, 감소될 수 있다.4생산성을 높이고 사기를 떨어뜨리다 한 연구에 따르면, 직원들이 자신들을 사실이라고 믿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그들이 불리한 대우를 받기 위해 조직에 복수를 하려는 의도에 따라, 소문을 퍼뜨릴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또 다른 조사는 미국 사무실의 96%가 가십에 참여했다고 시인했지만, 심지어 여러 가지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대화 중 72%에서 사적이고 부정적인 가십, 주로 21%에서 긍정적인 가십, 그리고 7%에서만 부정적인 가십을 주로 한다.6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gossip can be used to advance self-serving interests and develop closeness at the expense of alienating outsiders.2 In a workplace setting, gossip is quite common, with 1 online poll showing 90% of US workers participate in the behavior.3 Similar numbers are estimated in other countries.4 Rumors can waste time, reduce productivity, and lower morale. One study has shown that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transmit rumo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believe them as true, when the motivation is to seek revenge on the organization for unfavorable treatment.5 Another survey showed that although 96% of employees at a US office setting admitted to participating in gossip, there was an even mix of positive and negative gossip in 72% of the conversations, predominantly positive gossip in 21%, and predominantly negative gossip in only 7%.6


프로그램 이사(PD)

program directors (PDs)


레지던트 훈련 동안 오랜 시간 함께 일하는 것은 동지애를 형성하지만, 또한 소문을 퍼뜨리는 장소가 될 수도 있다.7

Working together for long hours during residency training builds camaraderie, but may also serve as a breeding ground for gossip.7


PD가 훈련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루머에 노출되었을 때, PD는 그것을 관리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when a PD is exposed to a rumor that affects the training program, he or she may not be equipped to manage it.


이 프레임워크는 니모닉 'RUMR' (FIGURE)을 구성하는 4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This framework includes 4 steps that comprise the mnemonic ‘‘RUMR’’ (FIGURE).


  • 1. 관심 보이지 않기. 루머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는 것은 피해야 하며, 이것은 루머가 퍼지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2.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소문의 영향을 파악한다(주민, 교직 학생, 교수진, 행정직, 환자 등).

  • 3. 소문을 다루거나 무시하는 것에 대한 찬반 양론을 측정하라.

  • 4. 적절한 경로를 통해 교정 및 교정.  소문에 대한 언급이 필요한 경우, PD가 감독자와 함께 또는 없이 주도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고, 필요에 따라 기관의 GME 리소스 또는 인사부 회의를 소집하고, 사용할 통신 채널을 결정하십시오.

  • 1. Remain indifferent. Avoid showing keen interest in the rumor, which can help discourage the rumor from spreading.

  • 2.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rumor on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residents, rotating students, faculty, administration, leadership, and patients.

  • 3. Measure the pros and cons of addressing or ignoring the rumor.

  • 4. Remedy and redress through appropriate route. If the rumor needs to be addressed, consider whether it is appropriate for the PD to take the lead with or without a supervisor, seek the council of the institution’s GME resources or HR department as needed, and determine which communication channels to use.



근무지에서 사적 관계

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직장 내 낭만적인 관계는 일반적이며, 일부 설문조사는 약 40%에서 50% 정도의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PD는 이를 무시해서는 안 되며, 제3자의 소문에 대한 세부정보를 구하지 말고(제1단계는 무관심한 상태) 레지던트의 업무에 집중해야 한다. 만약 이 로맨틱한 관계가 그들의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다루어질 만큼 충분히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Workplace romantic relationships are common, with some surveys showing a prevalence of roughly 40% to 50%.9,10 When faced with the rumor of a romantic relationship involving 2 single residents, the PD should not ignore it, but avoid soliciting details about the rumor from third parties (step 1, remain indifferent) and focus on the residents’ work performance. If the romantic relationship does not affect their work performance, it is likely not significant enough to be addressed.



불륜을 저지르는 1명의 레지던트나 2명의 레지던트가 모두 연루돼 있다면 상황은 불투명해진다. 이 경우, 소문의 영향은 업무 수행 또는 레지던트의 정서적, 사회적 복지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2단계는 영향을 이해한다).

The situation becomes murky if the rumor involves 1 or both residents who are in committed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having an affair. In this case, the impact of the rumor may be gauged by work performance or by the potential impact on the residents’ emotional and social well-being (step 2, understand the impact).


다음 단계는 루머를 다루는 비용이 이를 무시하는 비용보다 큰지 평가하는 것이다(3단계). 이 경우 이 소문을 계속 방치하면 레지던트들의 명성에 해가 될 수 있으며, 결국 그들이 알게 되면 동료들이 사전에 그들에게 말하지 않은 배신감을 심어줄 수 있다. 반면에, 그 소문을 인정하거나 다루는 것은 그 소문을 믿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어서, 그 소문을 퍼뜨릴 위험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소문을 피해자들에게 알림으로써 그들이 상황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발언권을 갖도록 하는 데 힘을 실어줄 수 있다.

The next step is to assess whether the cost of addressing the rumor outweighs the cost of ignoring it (step 3, measure the pros and cons of taking action). In this case, letting the rumor continue could possibly result in harm to the residents’ reputations, and, when they eventually find out, instill in them a sense of betrayal that their colleagues did not tell them earlier. On the other hand, acknowledging or addressing the rumor has the chance of giving it credence, thereby risking its spread. However, informing the victims of the rumors also empowers them to have a say in how the situation is managed.


레지던트와 대화하는 방법을 고려한 4단계(적절한 경로를 통해 루머를 바로잡고 바로잡기) 이 경우 PD가 주민과 직원과 대화해 소문이 프로그램 문화에서 사라지는 것을 기대해 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 소문에 연루된 주민에 대해서는 인사부나 GME 대표 등 제3자를 포함하면 레지던트들이 자신의 업무 성과를 평가하지 않는 사람과 더 편하게 지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fourth step (remedy and redress the rumor through appropriate route) considering how to talk to the residents. In this case, it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PD to talk to the residents and staff as a group to set expectations that rumors are discouraged in the program’s culture. Regarding the residents involved in the rumor, a potential benefit of including a third party such as an HR representative or a GME representative is that the residents may feel more comfortable with someone who does not evaluate their job performance.


PD가 레지던트와 담당 교수와의 로맨틱한 관계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되면 (소문의 영향을 이해하고) 2단계의 관련성이 명확해진다. 교직원과 교직원의 힘의 차이가 학습자의 학대와 성희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성희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프로그램과 기관에 대한 법적 책임이 될 수 있다.

If the PD hears a rumor about a resident being involved in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supervising faculty member, the relevance of the second step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rumor) is clear, as the power differential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faculty member can lead to learner mistreatment and sexual harassment, which can create liability for the program and institution.


이것의 결과는 중요하고 복잡하다; 부서장, 기관의 인사부, GME 사무실을 포함한 여러 당사자가 참여해야 할 수도 있다. PD는 낭만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를 감독하거나 평가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이것은 순환 일정과 통화 일정을 변경해야 할 수도 있다. PD는 또한 관련 당사자들에게 다른 당사자의 임무, 성적, 급여 또는 승진을 결정하지 않도록 족벌주의 협정을 체결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는 편애를 피하고 개인의 평가가 개인적인 감정보다는 업무 성과에 기초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11,12

The ramifications of this are significant and complicated; multiple parties, including the department’s chair, the institution’s HR department, and the GME office, may have to be involved. The PD must ensure that those in a romantic relationship do not supervise or evaluate each other, which may require changing the rotation schedule and the call schedule. The PD may also ask the involved parties to enter into a nepotism agreement, so that one does not determine the other’s assignment, grade, salary, or promotion. This helps to avoid favoritism and ensure that an individual’s evaluation is based on work performance rather than personal feelings.11,12



인력 턴오버 

Personnel Turnover


직원 이직은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포함한 모든 직장의 불가피한 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는 4단계 프레임워크 (RUMR)를 교직원이 자신의 부서를 떠날까봐 걱정하는 소문을 듣는 PD에게 적용한다. 

  • PD는 1단계(관심 없이)로 소문교환을 하지 않는다. 

  • 두 번째 단계(충돌을 알아본 뒤)에 따라 PD는 이 소문이 레지던트들을 걱정하게 만들 정도로 중대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 세 번째 단계(소문에 대처하거나 무시하는 측정 장단점)로서 PD는 주민들이 겪는 예상 스트레스와 프로그램 지도부의 신뢰성과 신뢰를 고려한다. 

  • 네 번째 단계(적절한 경로를 통해 치료하고 바로잡기)인 만큼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3자를 포함하기보다는 PD가 이 소문을 다루는 것이 더 적절하다.

Personnel turnover is an unavoidable part of any workplace, including residency programs. Here we apply the 4-step framework (RUMR) to a PD who hears a rumor that residents are worried a faculty member may leave their department. 

  • As the first step (remain indifferent), the PD does not engage in the rumor exchange. 

  • As the second step (understand impact), the PD realizes that the rumor is significant enough to cause the residents to worry. 

  • As the third step (measure pros and cons of addressing or ignoring the rumor), the PD takes into account the anticipatory stress experienced by the residents and the credibility and trust of the program leadership. 

  • As the fourth step (remedy and redress through appropriate route), it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D to handle this rumor rather than including a third party because it involves the training program.


차별적 대우

Preferential Treatment


레지던트들 사이에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세 번째 유형의 소문은 일부 주민들에 대한 불공정하거나 특혜적인 대우로, 나머지를 (실제 또는 인식된) 불이익에 놓이게 하는 것이다.

A third type of rumor that can evoke strong feelings among residents is unfair or preferential treatment of certain residents, placing the rest at a (real or perceived) disadvantage.


  • 첫 번째 단계로, PD는 소문을 알아채고 관여하지 않는다. 

  • 두 번째 단계로, PD는 이 소문의 중요성을 평가한다.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와 동기 부여는 한 집단의 차별에 대한 평등의식과 감정적 반응에 대한 개인의 믿음에 달려 있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PD는 이 소문이 다뤄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 이 소문은 레지던트와 PD의 레지던트 관련 결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PD는 레지던트를 직접 만나 협의나 휴가(적절한 경로를 통해 치료 및 재정비)를 결정할 때 사용하는 정책과 기준을 설명한다. 

  • 만약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 PD는 특혜를 바로잡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PD는 또한 모든 레지던트들이 볼 수 있는 공유 포털에서 휴가 일지나 회의 일지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PD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수록 레지던트들이 자신의 설명으로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1

As the first step, the PD notices the rumor and does not engage in it (remain indifferent). As the second step, the PD evaluates the significance of this rumor (understand the impact). Because employees’ work satisfaction and motivation have been shown to be contingent on one’s beliefs about parity and emotional reactions to discrimination against one’s group,13 the PD decides that this rumor needs to be addressed (measure pros and cons of addressing). Because this rumor involves residents and the PD’s decisions about residents, the PD meets with the residents in person to explain the policies and criteria used to decide which residents get to attend conferences or take leave (remedy and redress through appropriate route). If the concern has merit, the PD makes every effort to correct the preferential treatment. The PD can also increase transparency by making a leave log or conference log available in a shared portal that all residents can view. The more accurate information the PD can provide, the less room for residents to fill in the gaps with their own explanations.14






 2018 Dec;10(6):616-619. doi: 10.4300/JGME-D-18-00380.1.

Helping Program Directors Effectively Manage Rumors and Gossip.

PMID:
 
30619515
 
PMCID:
 
PMC6314352
 [Available on 2019-12-01]
 
DOI:
 
10.4300/JGME-D-18-00380.1


수용과 분투: 정체성, 암묵적 편향 인식, 관리(Acad Med, 2018)

Striving While Accepting: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Javeed Sukhera, MD, DABPN, FRCPC, Michael Wodzinski, Pim W. Teunissen, MD, PhD,

Lorelei Lingard, PhD, and Chris Watling, MD, FRCPC, PhD




편견은 어디에나 있다. 

  • 명시적 편견은 의식적인 태도나 특정 그룹에 대한 의도적인 차별을 포함한다.1 

  • 대조적으로, 암묵적 편견은 그들의 인식 밖의 개인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태도나 행동을 포함한다.2–4 이러한 암묵적인 편견은 불평등을 확대하고 환자와 보건 전문가 간의 신뢰를 감소시킴으로써 건강 불균형을 영속화할 수 있다.

Bias is everywhere. 

  • Explicit biases include conscious attitudes or intentional discrimination toward certain groups.1 

  • In contrast, implicit biases include attitudes or behaviors that exert a powerful influence over individuals outside their awareness.2–4 These implicit biases can perpetuate health disparities by widening inequities and decreasing trust between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이에 대응하여, 교육자들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암묵적 편견의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잠재적인 개입을 연구하고 있다.9~16 이전의 연구는 편견이 어떻게 인식되는지, 그에 따른 긴장감이 발생한다는 것, 그리고 이것이 반성과 화해를 필요로 하는 과정을 촉발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In response, educators are identifying potential interventions to mitigate the adverse impact of implicit bias on health care.9–16 Previous research describes how once biases are brought into awareness, there is an ensuing tension,14 which triggers a process that requires reflection and reconciliation.15–20


IAT(Implicated connection test)는 참가자들에게 단어를 연결하고 특정 개념 사이의 자동 연관성을 평가하도록 요청하는 온라인 응답 시간의 메트릭이다.18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is an online metric of response time that asks participants to associate words and assess automatic associations between certain concepts.18 


IAT는 응답 대기 시간을 측정하며, 암묵적 편견의 메트릭스로서 사용을 서포트하는 몇 가지 심리학적 특성을 보여주었다.18,21–27 IAT로부터 받은 피드백 정보는 수치나 죄책감과 같은 오래 지속되고 강력한 감정을 촉발할 수 있으며, 이런 감정을 마주칠 때마다 재협상renegotiation을 필요로 한다.

The IAT measures response latency and has demonstrated several psychometric properties that support its use as a metric of implicit bias.18,21–27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IAT may trigger long-lasting and powerful emotions such as shame or guilt,28,29 which require renegotiation each time they are encountered.30–33


참여자들은 자신의 편견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조정reconcile하는데 애를 썼는데, 사실상 비현실적인 스스로의 열망적과 모순된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19 우리의 초기 발견의 함축적 의미는 anti-bias 교육은 [의료 전문가들이 비현실적이고 완벽주의적인 기준을 고수하는] 문화 내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준은 정신적 고통과 자기 의심을 불러일으킨다.

Participants struggled to reconcile feedback information about their biases, as they found it inconsistent with an aspirational version of themselves that seemed unrealistic to achieve.19 The implications of our initial findings suggest that antibias education takes place within a culture where health professionals hold themselves to unrealistic and perfectionistic standards,34,35 which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distress and self-doubt.36


어떤 건강 전문가에게 있어서, 자신이 암묵적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안다는 것은 자신의 이상적인 자기 표현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For any health professional, learning that they hold implicit biases is unlikely to align with their ideal self-representation.


정체성과 암묵적 편견 관리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우리는 정신 의학 레지던트와 교수진 사이의 신체적 또는 정신질환을 가진 개인들에 대한 암묵적 위험 편견을 탐구하기로 결정했다. 많은 정신 건강 전문가들은 destigmatization을 그들 역할의 일부로 보고 있기 때문에, 환자들에 대해 분명히 긍정적인 편견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그들의 암묵적인 편견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37–39 위험에 대한 명백한 태도와 암묵적인 편견 사이의 불일치는 발생할 때마다 처리되고 협상되어야 하는 개인 내에서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plicit bias management, we chose to explore implicit dangerousness biases toward individuals with physical or mental illness among psychiatry residents and faculty. Man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view destigmatization as part of their role and therefore hold explicitly positive biases toward their patients, which do not always align with their implicit biases.37–39 This discrepancy between explicit attitudes and implicit biases about dangerousness may create tensions within an individual that must be processed and negotiated whenever they arise. 


방법

Method


In this study, we defined implicit bias as associations, attitudes, or beliefs that exist and enact their influence outside of an individual’s conscious awareness.


풍부한 그림은 복잡하거나 도전적인 상황의 개념화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건강 전문가 연구에 이전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는 감정적으로 도전적인 상황이라고 생각되는 상황에 대한 더 깊은 탐사를 촉진하기 위해 시각적인 방법을 선택했다. 특히, 우리는 풍부한 그림이 암묵적 가정을 명시하는 것과 관련된 질적 인터뷰를 통해 어려움과 한계를 해결할 수 있기를 바랐다. 참가자들 중 한 명이 찍은 풍부한 그림의 예는 그림 1과 같다.

Rich pictures have been used previously in health professional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conceptualizations of complex or challenging situations.49,50 We chose a visual method to foster deeper exploration of what we believed was an emotionally challenging situation. In particular, we hoped that a rich picture might address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with a qualitative interview related to making implicit assumptions explicit.49 An example of a rich picture by one of our participants is provided as Figure 1.



We used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o conduct our study as we worked on existing research to build theory toward a social process that is not well explained by an established theoretical construct.51–53 

  • Constructivism assumes that individuals construct thei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world through a cycle of experience, reflection, and action.54 

  • Onc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coding and inductive analysis were conducted by a team consisting of J.S. and M.W. J.S. and M.W. met regularly, revising the discussion guide and ensuring that analysis was consistent with an effort to theoretically sample resident learners and faculty. 

  • Partway through the analysis, we found that several participants struggled with visual representations, so we chose to add visual prompts (Figure 2) to encourage reflection.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within our recruitment pool, we included full-time and part-time faculty and junior and senior resident learners. 

  • The first seven transcripts were transcribed and coded line-by-line by J.S. and M.W. Subsequent transcripts were coded line-by-line by J.S., who us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nd shifted toward focused consolidation of codes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themes. 

  • At regular intervals, analysis was shared and discussed with the team who worked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xplanatory theory and synthesized overall findings.



결과

Results


정체성 긴장을 인정하기

Acknowledging identity tensions


일단 그들이 그들의 암묵적인 편견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자,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그들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구획화하고 분류한다는 것을 인정했다. 정신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함께 일하는 것의 요구는 그들이 달성하기 불가능한 이상을 추구하기 위해 그들 자신에게 가하는 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였다. 편견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느냐는 질문에 한 레지던트는 편견(R04)을 인식하고 관리하기 위해 개인적 정체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재보정해야 하는) "필터"를 가지고 어떻게 구분해 왔는지를 설명했다. 

Once they were provided feedback about their implicit biases, most of our participants acknowledged categorizing and compartmentalizing their identities as part of their experiences. The demands of working with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ppeared to influence the pressure they place on themselves to strive for an ideal that was impossible to achieve. When asked how they reconcile bias, one resident described how they have compartmentalized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separated by a “filter” that they must constantly recalibrate to recognize and manage biases (R04). 


또 다른 레지던트는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직업적 정체성의 차이를 묘사하기 위해 "산"을 그렸다. 또한 여러 참가자는 자신의 실제 모습을 묘사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하거나 이상적 자아와 관련된 "햇볕"을 사용하는 날씨 은유를 설명했다(F02, R05, F06). 전반적으로, [참가자들은 차분하고, 자신감 있고, 편견이 없는 이상적인 직업 정체성]과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의 산물인 실제 정체성]을 대조했다.

Another resident drew a “mountain” to depict the divide betwee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R07). Several participants also described weather metaphors using “clouds” to describe their actual self or with “sunshine” related to their ideal self (F02, R05, F06). Overall, participants contrasted an idealized professional identity that was calm, confident, and unbiased with an actual identity that was vulnerable and a product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열망하는 전문직업적 자아는 노력할 가치가 있는 이상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일부 교수진은 편향되지 않도록 "압력"을 일으키는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F03; F10). 교수진의 한 참석자는 "판단적이지 않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 내 임무의 일부라고 생각하며, 이것은 내가 직장에서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를 집이나 회사 밖에서도 취하는 것은 이상적이다.(F07)"

The aspirational professional self was viewed as an ideal worth striving for. Some faculty described that they have developed a professional identity which contributes to “pressure” to not be biased (F03; F10). A faculty participant shared, “I feel like it’s part of my job to not be judgmental and that’s something I want at work … it’s an ideal, you know, at home or outside of work too” (F07),


한 레지던트는 레지던트 훈련(R01)에서 [직업적 정체성은 자신의 진정한 자아 발달발을 대체supercede하는 일종의 과장된 정체성]이라고 설명했다. 그 주민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 모두는 편견을 가지고 있지만 전문직 종사자들은 편견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내가 가진 편견이 무엇이든 간에, 나는 다소 줄이고 싶거나 적어도 그 편견을 인지하고자 한다 " (R01). 레지던트와 교수진 모두 이상화된 자아를 향한 노력과 관련된 과정이나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A resident described the professional identity as being a sort of superordinate identity that “supersedes” the development of their authentic self during residency training (R01). The resident went on to say: “I guess we all have bias but professionals do not have bias. Whatever biases I do have, I either want to kind of reduce or at the very least, be aware of ” (R01). Both resident and faculty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there was a process or struggle associated with striving toward their idealized self.



수용하면서 분투하기

Striving while accepting


암묵적 편견이 어떻게 인식되고 관리될 수 있는지에 대해 숙고해 볼 것을 요청받았을 때, 참가자들은 두 가지 중요하고 뚜렷한 과정을 설명했다. 

    • 하나는 대부분의 참가자들의 정체성에 본질적인 자기 계발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이었다. 

    • 다른 하나는 자신의 결점과 인간성에 대한 점진적인 수용이었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성찰과 대화를 통해, 한 개인이 실제 자신을 받아들이면서 이상적인 자아에 도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When asked to reflect on how implicit bias could be recognized and managed, participants described two salient but distinct processes. 

    • One was a constant striving for self-improvement that was intrinsic to most participants’ identity. 

    • The other was a gradual acceptance of their flaws and humanity. Most participants described that through reflection and dialogue, an individual could strive for an idealized self while accepting the actual.


일단 그들의 암묵적 편견이 IAT를 통해 드러났을 때, 몇몇 참가자들은 스스로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는 것"을 설명했는데, 이것은 그들이 암묵적 편견과 관련된 긴장을 어떻게 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속적인 반사와 행동의 과정을 암시했다. 레지던트는 이 과정을 "매일" 점검하는 것으로 묘사했고, 교수진 참가자들은 이 과정을 "항상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하는 여정"이라고 설명했다(F06). 한 레지던트는 이 과정을 "자기 개선" (R03)으로 묘사했고, 교수 참가자들은 "자기 연민"이라고 묘사했다.

Once their implicit biases were revealed through the IAT, Several participants described the “constant questioning” of themselves (F03) suggesting an ongoing process of reflection and action that was central to how they reconciled tensions related to implicit bias (F09). A resident described this process as checking themselves “on a daily basis” (R10), while a faculty participant described the process as “a journey” that required “being constantly vigilant” (F06). One resident described the process as working toward “self-betterment” (R03), while a faculty participant described “self- compassion” (F05).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 외에도,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그들 자신의 편견을 점진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한 레지던트는 자신의 편견에 대해 "더 인식"하면서 "해체dissipate하지 않을 것"(R01)이라고 말하였다.

In addition to striving for betterment, most participants described a gradual acceptance of their own biases. One resident described working to be “more aware” of their biases while accepting that they would not “dissipate” (R01), while another resident stated:


어떻게 그들이 수용을 위해 균형을 잡았는지에 대한 참가자들의 서술에는 차이가 있었다. 일부는 자기 계발 필요성을 강조했고, 일부는 수용을 강조했으며, 또 어떤 사람은 [자신들은 이미 다른 이들이 추구하는 것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한 참석자는 "완벽한 통찰력"에 근접했다고 말했고, "나는 내가 누군지 꽤 잘 알고 있고, 모든 편견과 모든 것을 가지고 있어, 나는 이것에 대해 알고 있다" (F10). 비록 이 사람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이 추구하는 것에 거의 도달했다고 느꼈지만, 그들은 계속해서 노력하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There was variation in participants’ description of how they balanced striving with accepting. Some emphasized the need to self-improve, some emphasized acceptance, and one suggested that they had already reached what others strive for. One participant described that they had close to “full insight” and stated, “I pretty much know who I am, and with all the biases and everything, I am aware of this” (F10). Although this individual felt they had come close to reaching what others strive for, they continued to emphasize the need to keep striving. Another faculty participant offer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stating that they reconcile tensions by



관계의 역할

The role of relationships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관계를 통해 정체성의 긴장을 조정했다. - 암묵적 편견은 혼자서는 관리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 몇몇 교수진들은 긴장을 조정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의 공유를 어떻게 중시하는지 설명했다.

Most participants reconciled identity tensions through relationships— emphasizing that implicit bias cannot be managed alone. Several faculty described how they valued sharing with others to reconcile their tensions.


교직원과 레지던트들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를 통해 어떻게 reconcilation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에서 차이를 보였다. 

    • 대부분의 교수진 참가자들은 자신들을 "롤모델"이라고 표현했고, 

    • 대부분의 레지던트들은 교수 멘토의 지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그들이 어떻게 편견을 조화시키는지를 설명할 때, "지속적으로 내성적이고 명상".

Faculty and residents differed in their description of how reconcili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Most faculty participants described themselves as “role models” (F02, F03, F05, F06, F08, F10, F11), while most residents emphasized the need for guidance from faculty mentors. For example, when describing how they reconcile biases by “constantly introspecting and meditating,”


대부분의 레지던트들이 암묵적 편견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교수진의 potential을 언급했지만, 교수진이 이러한 노력을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While most residents mentioned the potential of faculty mentors in helping them to recognize and manage implicit biases, there were variable responses on whether faculty could support these efforts.


레지던트들은 또한 멘토들이 안전의 맥락에서 명확성과 확신을 가져올 수 있을 뿐이라고 언급했다. 한 레지던트는 교수 멘토마다 variation이 커서 예측 불가능하다(R01)라는 인식이 지속됐고, 또 다른 레지던트는 편견에 대한 성찰을 장려한 교직원의 수가 "소수"에 불과했으며레지던트들이 "외부적 조언을 구하도록" 권장된 편견에 대해 교수들이 "공식화된 교육"을 충분히 받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이 프로세스"(R04) 이용 가능한 지침의 부재는 거주자 참여자에 의해 암묵적 편견을 해결하기 위한 장벽으로 명확히 식별되었다.

Residents also noted that mentors could only bring clarity and reassurance within the context of safety. One resident stated that variation in faculty mentors led to a constant sense of “unpredictability” (R01), while another mentioned that there were only “few” faculty preceptors that encouraged reflecting on biases and questioned whether faculty received enough “formalized training” on biases which motivated the resident to “seek external advice on this process” (R04). The lack of available guidance was clearly identified by resident participants as a barrier to addressing implicit biases


교직원들이 스스로를 역할 모델로 보았지만, 레지던트들은 또한 일부 교직원의 availability 문제를 제기했고, 암묵적인 편견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를 롤모델하는 일부 교수의 성찰적 능력에도 문제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다른 레지던트는 교사의 인성(인간성)을 받아들여 서로 sympathize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Although faculty viewed themselves as role models, residents also suggested that there were issues limiting the availability and reflective capacity of some faculty to effectively role model how to address implicit biases. Another resident accepted the “humanity” of their teach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ympathizing” with each other (R02).


고찰

Discussion


어떻게 정신과의사가 이상을위하 분투하는가

How psychiatrists describe striving for the ideal


수용과 분투는 어려운 일이다.

Striving while accepting is challenging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보건 전문가 학습자는 롤모델의 영향력과 커리큘럼의 공식 및 비공식 요소를 통한 경험으로부터 점차 사회화된다.62 의료전문가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험을 하게 될 경우, 불충분함inadequacy과 충동증후군imposter syndrome 36,66에 직면할 수 있다.

The health professional learner is gradually socialized through their experiences,24,25,59 the influence of role models,60,61 and the formal and informal elements of their curriculum.62 When health professionals face experiences that suggest they are not living up to expectations, they may face feelings of inadequacy63–65 and imposter syndrome.36,66


[높은 성취와 완벽주의를 보상하고 장려하는 문화]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암묵적인 편견을 관리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다보면] 심리적 고통을 받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노력하더라도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accepting에 대해 아는 것은 무엇인가?

Constantly striving to manage one’s implicit biases within a culture that rewards and incentivizes high achievement and perfectionism66,67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psychological distress for learners. Since striving on its own may have negative consequences, what do we know about accepting?


Acceptance를 촉진하는 것은 현재 "struggling고투" 학습자의 맥락 또는 피드백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68-70 Teal과 동료 14는 [암묵적 편견의 거부]에서 [점진적 수용]에 이르는 발달 궤적을 촉진하기 위해 인지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우리의 연구는 앞선 연구를 확장하여, 보건 직업 교육의 연속체에서 acceptance를 촉진하는 것의 중요함을 강조한다.

Facilitated acceptance is currently described either in the context of the “struggling” learner or in the feedback literature.68–70 Teal and colleagues14 suggest that cognitive strategies are required to facilitate a developmental trajectory from denial of implicit bias to gradual acceptance. Our study extends previous research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cceptance throughout the continuum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우리의 이전 연구는 [암묵적 편견에 대한 피드백이 어떻게 건강 전문가 정체성과 관련된 긴장을 유발하는지]를 강조했지만, 이번 결과는 [겉으로 보기에 서로 반대되는 과정들 사이의 균형을 용이하게 하는 인지 전략이 암묵적 편견을 인식하고 관리하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우리는 또한 이 과정이 관계를 통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While our previous research highlighted how feedback about implicit bias triggers tensions related to health professional identity, our findings build on previous theory to suggest that cognitive strategies that facilitate balance between seemingly opposite processes are integral to recognizing and managing implicit biases. We also learned that this process can be facilitated through relationships.


교수와 학습자의 reconciling은 서로 다르다.

Reconciling through relationships is different for faculty and learners


  • 레지던트들은 필사적으로 편견 관리에 대한 지침을 원했고, 그것을 제공해줄 수 있는 교수진의 잠재력을 보았지만, 너무나 자주 이러한 가능성은 실현되지 않는다. 

  • 교수진들은 자신들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있으며, 자신들을 역할 모델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그들은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 충분히 설득력이 있을 만큼 자신의 편견을 인식하거나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

  • Residents desperately wanted guidance on bias management and saw potential in their faculty mentors to provide it, but this potential is too often unrealized. 

  • While faculty may identify their own struggles and see themselves as role models, they are not recognizing and managing their biases convincingly enough for many of their learners.


함의

Implications


자신의 단점 수용에 대한 촉진된 성찰을 통해 균형을 이룬다면, [이상적인 전문적 자아를 위해 노력하는 개인의 욕망]을 이용함으로써 암묵적 편견 인식과 관련된 실천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

Leveraging an individual’s desire to strive for an idealized professional self may facilitate practice changes related to implicit bias recognition if balanced through facilitated reflection on accepting one’s shortcomings.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보건 전문가 교육 내에서 암묵적 편견에 대한 논의는 정체성의 긴장을 유발한다. [개별적 단점을 수용]하는 동시에 [자기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그러한 긴장을 성공적으로 조정하고 암묵적 편견을 관리하기 위한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과 동시에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개념을 만드는 것은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정직하고 진정한 관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Discussions about implicit bias with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trigger identity tensions, and striving for self- improvement while accepting individual shortcomings may provide a model for successfully reconciling such tensions and managing implicit biases. Enacting the concept of striving while accepting may require honest and authentic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29 Bynum WE 4th, Artino AR Jr.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8;93:874–880.


13 Sukhera J, Watling C. A framework for integrating implicit bias recognition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ad Med. 2018;93:35–40.


32 Cruess RL, Cruess SR, Boudreau JD, Snell L, Steinert Y.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socializ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 guide for medical educators. Acad Med. 2015;90:718–725.


68 Bynum WE 4th. Filling the feedback gap: The unrecognised roles of shame and guilt in the feedback cycle. Med Educ. 2015;49:644–647.


55 Hennink MM, Kaiser BN, Marconi VC. Code saturation versus meaning saturation: How many interviews are enough? Qual Health Res. 2017;27:591–608.


57 O’Reilly M, Parker N. “Unsatisfactory saturation”: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notion of saturated sample sizes in qualitative research. Qual Res. 2013;13(2):190–197.









 2018 Nov;93(11S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arn Serve Lead: Proceedings of the 57th Annual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essions):S82-S88. doi: 10.1097/ACM.0000000000002382.

Striving While Accepting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plicit BiasRecognition and Management.

Author information

1
J. Sukhera is assistant professor in psychiatry and paediatrics,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and a PhD candidat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M. Wodzinski is an MD candidate,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P.W. Teunissen is professor of workplace learning in healthcare,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and gynecologis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L. Lingard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C. Watling is professor and associate dean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and scientist,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London, Ontario, Canada.

Abstract

PURPOSE:

Implicit biases worsen outcomes for underserved and marginalized populations. Once health professionals are made aware of their implicit biases, a process ensues where they must reconcile this information with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The authors sought to explore how identity influences the process of implicit bias recognition and management.

METHOD: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the authors recruited 11 faculty and 10 resident participants working at an academic health science center in Canada. Interviews took place from June to October 2017. Participants took an online version of the mental illness implicitassociation test (IAT) which provides users with their degree of implicit dangerousness bias toward individuals with either physical or mental illness. Once they completed the IAT,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draw a rich picture and interviewed about their picture and experience of taking their IAT.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procedures to develop focused codes and work toward the development of a deepe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among themes.

RESULTS:

Once implicit biases were brought into conscious awareness, participants acknowledged vulnerabilities which provoked tension betwee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y reconcile these tensions through a process described as striving for the ideal while accepting the actual. Relationships were central to the process; however, residents and faculty viewed the role of relationships differently.

CONCLUSIONS:

Striving for self-improvement while accepting individual shortcomings may provide a model for addressing implicit biasamong health professionals, and relational dynamics appear to influence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managing biases.

PMID:
 
30365434
 
DOI:
 
10.1097/ACM.0000000000002382


가장 위대한 세대(JAMA, 2015)

The Greatest Generation

Gurpreet Dhaliwal, MD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and Medical Service, San Francisco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San Francisco, California.




"요즘 의대생들은 비장을 촉진하는 법을 모른다." 또는 "요즘 전공의들은 환자가 아니라 시계를 보고 있다." 의학 교육 컨퍼런스에서 장기간에 걸친 독백을 예고하는 이러한 발언은 두 가지 유형의 반응을 보인다. 고개를 끄덕이거나 화난 눈알을 굴린다.

“Medical students these days don’t know how to palpate a spleen” or “The modern resident is watching the clock, not his patients.” Such statements, which often herald protracted monologues at medical education conferences, are met with two types of responses: affirming head nods or exasperated eye rolling.


당신은 그렇게 대단하지 않았다.

You Weren’t That Great


현대 연수생들의 비판은 "요즘 아이들"로 시작되지만 불가피하게 "거인의 시대"라는 향수로 끝나게 된다. 내가 그랬을 때... 이것들은 모두 고무적인 이야기들이다. 하지만 그들은 아마 사실이 아닐 것이다.

Critiques of the modern trainee start with “kids these days” laments but inevitably end with “days of giants” nostalgia. When I was … These are all inspiring stories. But they probably aren’t true.


우리가 기억을 재생산할 때마다, 우리는 기억을 재생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을 재구성하고 있다. 우리의 뇌는 사건의 핵심을 기억하는 데는 뛰어나지만 그 세부 사항을 기억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래서 우리는 공백을 채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쉽게 세부사항을 윤색하고, 배경을 바꾸거나, 등장인물을 생략한다. 의식적으로 속이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그건 기억력이 작용하는 방식일 뿐이다

Each time we recount a memory, we aren’t replaying it; we are reconstructing it. Our brains are superb at remembering the gist of an event but inadequate at remembering its details—so we fill in the blanks. In doing so, we effortlessly embellish a detail, shift the setting, or omit a character. We are not consciously trying to deceive. It’s just the way memory works.


주의하라, 우리가 훈련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을 재생할 때마다, 우리는 그 상황을 마지막 반복보다 더 harrowing하게 만들거나, 우리 자신을 더 헌신적으로 혹은 능숙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전쟁 이야기들은 종종 자신감과 세세한 부분, 그리고 감정을 가지고 들려주는데, 이것은 그들을 훨씬 더 믿을 수 있게 한다. 하지만 그것이 훨씬 더 정확한 것은 아니다.1

Beware, that each time we replay those autobiographical memories about our training, we are prone to make the situation more harrowing or ourselves more dedicated or skillful than the last iteration. These war stories are frequently told with confidence, detail, and emotion, which makes them far more believable—but that doesn’t make the many more accurate.1


요즘 애들

Kids These Days


2013년 타임지는 커버스토리인 "The Me Me Me Me Generation"을 출간했다. 그것은 어른들이 오늘날의 젊은이들에 대해 이미 알고 있는 것, 즉 그들이 자격이 있고 자기 중심적이라는 것을 입증했다. 그러나 어떤 노인들은 프리퀄이 있다는 것을 알고는 번쩍 정신을 차렸다. 이미 1976년에 뉴욕 매거지는 커버스토리로 1970년대를 "Me decade"라고 선언하며 당시 젊은 세대였던 베이비 부머 세대들의 나르시시즘을 조롱하였던 것이다.

In 2013 Time published a cover story, “The Me Me Me Generation.” It validated what the elders already knew about today’s young adults: that they are entitled and self-centered. Some elders were sobered though when they learned there was a prequel: a 1976 New York Magazine cover story that declared the 1970s as “The MeD ecade” and ridiculed the narcissism of the then-young baby boomer generation.


이러한 엄청난 언론 보도에도 불구하고, 세대간의 차이 증거는 희미하다.

Despite the immense press coverage, evidence of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is flimsy.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피터 카펠리 교수는 세대별 성향을 분석하고 1960년대 이후로 청년층의 일에 대한 태도가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수천년 마다 다른 증거는 없다."라고 그는 결론짓는다. "그들은 단지 더 젊을 뿐이다."2 자기 중심적이 되는 것은, 영구적인 세대적 특성이 아닌, 이른 성년의 일시적이고 적응적인 조건이다.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ofessor Peter Cappelli has analyzed the surfeit of generational proclamations and maintains that young adults’ attitudes toward work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1960s. “There’s no evidence millennials are different,” he concludes. “They’re just younger.”2 Being self-focused is a temporary and adaptive condition of early adulthood, not a permanent generational characteristic.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번 윗세대는 젊은이들을 바라보며 그들이 근본적인 변화가 있다고 믿는다. 

  • 중세시대에 길드 주인은 그들의 견습생들에 대해 불평했다. 

  • 고대 그리스에서 아이들은 "유대하고, 버릇없고, 권위에 대한 경멸이며, 연장자들에 대한 무례"로 비난을 받았다. 

  • 바퀴나 화재와 같은 당시의 신기술에 아이들이 매료된 것을 한탄한 동굴사람도 틀림없이 있었을 것이다. 

And yet each aging cohort looks upon the youth and believes they have identified a fundamental change in the species. In the Middle Ages, guild masters grumbled about their apprentices. In ancient Greece, the children were accused of “luxury, bad manners, contempt for authority, and disrespect to elders.” No doubt there was a caveman who bemoaned his children’s fascination with the new technology of the day, such as the wheel or fire. 


나이 든 의사들이 젊은 의사들에 대해 불평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신체검진의 쇠퇴는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한탄이었다. 레지던트들의 신체검진능력 부족에 대한 JAMA 연구에 대해, 편집자 조지 엥겔은 "최근 의학 졸업생들 사이에서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의 임상적 무능"을 언급했다. 3 그것은1976년이었다.

And so it is with older doctors complaining about younger doctors. The decline of the physical examination has been their favorite lament. In response to a JAMA study of physical examination shortcomings of medical residents, editorialist George Engel cited “the unacceptable degree of clinical incompetency among recent medical graduates.”3 Thatwasin1976.



우리는 적군을 만났고, 그 적군은 우리 자신이다.

We Have Met the Enemy and He Is Us


주치의들은 레지던트들이 practice of medicine을 탈피하고 있다고 걱정한다. 우리는 왜 젊은 의사들이 이 모든 검사를 지시하는지 궁금해 한다. 왜 그들은 우리처럼 위대한 역사와 의사 전문가가 될 수 없을까? 답은 간단하다. 그들은 우리를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과학은 행동이 개인의 특성보다는 환경에 의해 훨씬 더 영향을 받는다고 거듭해서 확인한다.

Attending physicians worry that residents are devolving the practice of medicine. We wonder: why do young physicians order all these tests? Why can’t they be great history-and-physical practitioners like us? The answer is simple: they are watching us. The social sciences repeatedly affirm that behavior is influenced far more by the environment than by individual traits.


사람들은 그들의 인구 통계학에 따라서가 아니라, 그들이 살고 있는 문화에 따라서 행동한다. 그것이 오늘날의 학생들이 그들의 주치의와 똑같이 행동하는 이유고, 그 반대도 그렇다. 최근에 병원 직원 회의에 참석하셨습니까? 모두가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

People act the way they do because of the culture they live in, not their demographic. That is why students today behave exactly like their attendings—and vice versa. Been to a medical staff meeting lately? Everyone is looking at their smartphone.


재밌는 강의를 듣고 싶은가? 우리 모두 그렇다. TED 강연을 본 후에, 젊은 사람이든 나이든 사람이든 awful grand rounds를 견디고 앉아 있을 수 있을까?

Want to be entertained in lectures? We all do. After seeing TED talks, can anyone young or old bear to sit through an awful grand rounds?


의료계라는 위계의 세계에서, 선배 의사가 창조하는 것은 다음 세대가 아니라 문화이다. House staff 파업이라는 자연실험의 결과, 그 당시 최전방을 지킨 주치의의 검사 오더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음이 드러났다. 항생제의 부적절한 처방과 불필요한 영상화에 대한 수많은 연구는 레지던트가 아니라 이미 수련을 마친 의사에 관한 것이다. 의학 교육에서 지리(geography)는 운명이다. 고효용(higher utilization) 환경에서 수련을 받은 레지던트는 더 많은 비용이 드는 의료행위를 하기 마련이다. 지금 목격하는 현상에 불만을 갖는 교수라면, 미국 소설가 제임스 볼드윈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어린이들은 어른의 말을 잘 들었던 적은 한 번도 없지만, 어른의 행동을 따라하는 데 실패했던 경우 역시 한 번도 없다."

In the hierarchical world of medicine, the established practitioners create the culture, not the next generation. The natural experiment of a house staff strike revealed no change in laboratory testing with attendings on the front lines.4 The countless studies about inappropriate prescribing of antibiotics and unnecessary imaging are about practicing physicians, not residents. In medical education, geography is destiny: residents who train in higher-utilization environments go on to practice more costly medicine.5 Faculty who don’t like what they see should heed the words of the American novelist James Baldwin, who said, “Children have never been very good at listening to their elders, but they have never failed to imitate them.”



결론

Conclusions


우리는 망가진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고치는 데 앞장서는 것은 젊은 의사들이다. 그들은 건강 관리를 더 낫고, 더 싸고, 더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을 찾고 있다. 그러나 루시안 레이프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장벽은 "광범위하게 퍼진 무례에 뿌리를 둔 문화적 장애"이다. 6 세대적 고정관념과 훈련생에 대한 근거 없는 비판을 재활용하는 교직원들은 의사들 사이에서 무례의 문화를 조성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들의 겸손함은 사기, 학습, 팀워크를 손상시킨다.

We have a broken health care system, and it is the younger physicians who are leading efforts to fix it. They are searching for ways to make health care better, cheaper, and safer. But as Lucian Leape notes, the major barrier to achieving these goals is “a dysfunctional culture rooted in widespread disrespect.”6 Faculty members who voice generational stereotypes and recycle unfounded criticisms about trainees do nothing but foster a culture of disrespect among physicians. Their condescension undermines morale, learning, and teamwork.


진정으로 훌륭한 교수라면 견습생들을 비판하기를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그 평가는 구체적이고 교정적이어야 한다. 그것의 목적은 폄하가 아니라 동기부여여야 한다. 또한 내가 너보다 더 고결하다고 말하지 말고 너의 동료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The great faculty members do not shy away from critiquing their apprentices. But those appraisals are specific and corrective. They are meant to motivate, not disparage. They say I’m your colleague, not a loftier version of you.


오늘날의 훈련생들은 어느 모로 보나 전문적이고, 배우려는 의욕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세대처럼 환자들에게 헌신하고 있다. 학생들과 레지던트는 근무 시간에 따르면서도 집에서 로그온하여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오더를 작성하고, 통화 중인 동료와 연락을 취한다.7 그들은 가족 모임을 위한 오프 날에도 병원에 온다. 그들은 전례 없는 서류 작업, 컴퓨터 작업, 처리량에도 불구하고 환자와 접촉한다. 그리고 그렇다, 그들은 끊임없이 스마트폰을 한다. 스마트폰으로 의사에 대해 읽고, 동료들에게 진료를 받으라고 문자를 보내고, 환자 가족들과 대화를 한다.

Today’s trainees are every bit as professional, motivated to learn, and devoted to their patients as previous generations. Students and residents follow duty hours but then log on from home to monitor their patients, write orders, and stay in touch with their on-call colleagues.7 They come to the hospital on their mandated days off for family meetings. They connect with their patients despite unprecedented paperwork, computer work, and throughput. And yes, they are on their smartphones constantly— reading about medicine, texting colleagues to coordinate care, and talking with patients’ families.


톰 브로코우는 거의 1세기 전에 태어난 사람들을 가장 위대한 세대로 분류한 것으로 유명하다. 동의하지 않는다. 현세대는 가장 위대한 세대다. 그리고 좋은 소식은 다음 것이 훨씬 더 나아질 것이라는 것이다.

Tom Brokaw famously labeled individuals born nearly a century ago as the greatest generation. I disagree. The current generation is the greatest generation. And the good news is that the next one will be even better.





 2015 Dec 8;314(22):2353-4. doi: 10.1001/jama.2015.10622.

A PIECE OF MY MIND. The Greatest Gener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and Medical Service, San Francisco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San Francisco, California.
PMID:
 
26647253
 
DOI:
 
10.1001/jama.2015.10622


네 가지 근본적 교육원칙(J Grad Med Educ, 2017)

Four Fundamental Educational Principles

Kenneth M. Ludmerer, MD, MACP




레지던트 경험은 직업훈련이 아닌 전문교육으로 행해져야 한다. 이것은 레지던트들이 미래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을 의미하며, 단지 현재를 위해 배우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

At its best, the residency experience must be conducted as professional education, not as vocational training. This means preparing residents to adapt to the future, not merely learn for the here and now,


전문직 교육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뿐만 아니라 왜 어떤 일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교육해야한다. 그것은 전문직의 가치, 지역사회에서 의사의 역할, 그리고 더 나은 건강관리 시스템과 더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전문직의 책임에 대한 성찰을 포함해야 한다. 그것은 단지 일을 위한 실용적 훈련이 아니라 지적 탐구를 포함한다.1

Professional education instills an understanding of why something should be done, not just what to do. It must involve reflection on the values of the profession, the role of the doctor in the community,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profession to create a better health care system and a healthier society. It involves intellectual inquiry, not merely practical training for the job.1


네 가지 핵심 교육적 원리

4 cardinal educational principles


(1) the assumption of responsibility for patient management; 

(2) the opportunity to engage in reflective learning; 

(3) ensuring that residents are not burdened with non-medical tasks; and 

(4) continuity of care.


책무성에 기반한 교육

The Assumption of Responsibility


개인이 환자 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는 것을 배우기 전까지는 성숙한 의사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안전과 학습을 위해 레지던트는 attending에게 supervise를 받으며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실제로는 더 경험이 많은 동료 레지던트가 순간순간 감독을 제공할 수 있다.

It is axiomatic that an individual is not a mature physician until he or she has learned to assume full responsibility for patient management. For safety and learning, residents are supervised by, and accountable to, attending physicians. In practice moment-by-moment supervision may be provided by more experienced resident colleagues.


[독립성을 높여야 하는 레지던트의 교육적 필요성]과 [사용 가능한 가장 숙련된 의사의 보살핌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의 안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문제를 제기한다.

Balancing the educational needs of residents, who require increasing independence, with the safety of patients, who may benefit from being cared for by the most experienced physician available, presents challenges.


Medical error는 훈련생들에 대한 부적절한 감독과 연관되어있따는 강력한 데이터가 있으며, 더 면밀한 감독이 치료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있다.7-10 

  • 레지던트에 대한 supervision은 "의사가 환자를 관리하는 맥락에서 개인적, 전문적 및 교육적 발달 문제에 대한 모니터링, 지침 및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11(p828) 

  • 여기에는 "환자의 안전을 최대화하기 위해 특정 임상 상황에서 의사의 강점과 약점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11(p828) 

  • 좋은 감독은 환자 안전을 촉진하는 것 이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즉, 레지던트들은 경험 많고 배려 깊은 의사를 관찰함으로써 모범적인 전문적 행동을 모델링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There is robust data linking medical errors to inadequate supervision of trainees, with research showing that closer supervision leads to improved quality of care.7–10 Supervision in residency is ‘‘the provision of monitoring, guidance and feedback on matters of personal,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he doctor’s care of patients.’’11(p828) This includes the ability ‘‘to anticipate a doctor’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particular clinical situations, in order to maximize patient safety.’’11(p828) Good supervision provides benefits beyond promoting patient safety: the opportunity for residents to observe experienced, caring physicians modeling exemplary professional behavior.


현재의 증거는 감독자와 피감독자의 관계가 supervision의 효율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일 요소로서, 어떤 특정 감독 방법을 사용하느냐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11

Current evidence suggests that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is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effectiveness of supervision, far more important than the particular supervision methods used.11


좋은 supervision의 특징

qualities of effective supervisors are listed in the BOX.


BOX Qualities of Effective Supervisors11 

  • 감독관들은 임상적으로 유능하고 박식해야 하며 좋은 교수법과 대인관계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훈련생들이 경험과 능력이 쌓이면 관계도 달라져야 한다.

  • 훈련생들은 그들의 실수에 대한 분명한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 훈련생들이 실수와 약점을 알 수 있도록 correction이 모호하지 않게 전달되어야 한다. 

  • 유용한 감독 행동에는 임상 작업에 대한 지침 제공,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고,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며, 피드백과 reassurance를 제공하고, 역할 모델링을 하는 것 등이다.

  • 비효과적인 감독 행동에는 엄격함, 편협함, 공감을 하지 않음, 지원을 제공하지 않음, 훈련생들의 우려를 따르지 않음, 가르침에 대한 관심 부족, 감독 평가 측면에 대한 지나친 강조가 포함된다.

  • Supervisors need to be clinically competent and knowledgeable, and have good teaching and interpersonal skills. 

  • The supervising relationship changes as the trainee gains & experience and competence. 

  • Trainees need clear feedback about their errors; corrections must be conveyed unambiguously so that trainees are aware of mistakes and weaknesses. 

  • Helpful supervisory behaviors include giving guidance on & clinical work, linking theory and practice, solving problems jointly, offering feedback and reassurance, and role modeling. 

  • Ineffective supervisory behaviors include rigidity, intolerance, lack of empathy, failure to offer support, failure to follow trainees’ concerns, lack of concern with teaching, and overemphasis on the evaluative aspects of supervision.


좋은 감독관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교직원들이 더 나은 교사 및 감독자가 되도록 교육할 수 있다. 그러나 좋은 임상 감독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Good supervisors are made, not born, with evidence that faculty can be taught to be better teachers and supervisors.11,13–15 However, good clinical supervision is time consuming.


감독 개선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은 레지던트들이 독립적 의료행위에 대한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수련을 마치지 않고, 환자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장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해야 할 trainee의 책임이 더 크게 요구된다. 레지던트 교육 문화는 도움을 청하는 것을 discourage할지도 모른다. 레지던트들은 자유롭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그들은 비난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17–19

Even with improved supervision, programs must encourage residents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lest they emerge from training ill-prepared for independent practice. This places great responsibility on trainees to call for help when they need it. The culture of residency may discourage asking for help. Residents must feel free to call for help; they must not fear recriminations.17–19



성찰적 학습

Reflective Learning


레지던트의 지적 성장을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충 보는 것보다, 더 적은 수의 환자를 깊이 보는 것이 더 낫다. 20(p270)

It is better for residents’ intellectual growth to study fewer patients in depth than more patients superficially. 20(p270)


레지던트 근무 시간은 일주일에 80시간으로 제한되지만, 그들의 업무량은 줄어들지 않았다.23 이미 바쁜 작업 속도는 훨씬 더 빨라져서 "압축적 작업"으로 불리곤 한다.

Residents are limited to 80 hours per week in the hospital, but their workload has not decreased.23 The already hectic pace at which they worked became even faster, a phenomenon that became known as ‘‘work compression.’’23


지난 30년 동안 레지던트는 환자를 입원하고 퇴원시키는 데 현저하게 능숙해졌다. 그러나 종종 배움이 소외되는 경우가 있다."24(p83)

During the past 3 decades residents have become remarkably adept at admitting and discharging patients. Yet, frequently, learning is marginalized.’’24(p83)


이것의 결과는 질문을 하지 않는 태도, 권위에 도전하지 않는 경향, 사실적 지식의 학습만 지나치게 강조, 기본적인 원칙과 문제 해결 기술에 대한 집중력 감소, 그리고 의학의 더 큰 목적이나 의사가 되는 도덕적인 의미에 대한 고려의 결여 등이다.

The result is a less questioning attitude, a tendency not to challenge authority, overemphasis on learning facts, diminished focus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little contemplation of the larger purposes of medicine, or the moral meaning of being a doctor.25



교육에 우선순위 두기

Primacy of Education


원칙적으로 GME는 교육에 관한 것이므로 교육 가치는 레지던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주요 결정요인이 되어야 한다. 레지던트 시스템의 핵심 단층선fault line은 "교육"과 "서비스" 사이의 긴장이다.

In principle, GME is about education, thus educational value should be the primary determinant of any services residents provide. A central fault line in the residency system is tension between ‘‘education’’ and ‘‘service.’’


돌봄의 연속성

Continuity of Care


연속성있는 치료는 더 나은 예방 서비스, 임상 결과, 환자 만족도와 신뢰도, 경제적 효율성을 포함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연속성은 또한 현대 학습 이론에서 정당성을 가진 핵심 교육 원칙이다. 연속성은 레지던트가 문제 해결 시도가 성공하는 것을 목격할 수 있게 해주고, 진단 및 치료 절차의 결과를 관찰하며 질병과 치료의 전 과정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Continuity of care has many benefits, including better preventive services, clinical outcomes, patient satisfaction and trust, and economic efficiencies.27,28 Continuity also is a core educational principle, with justification in modern learning theory.29–31 Continuity allows residents to witness the success of their attempts at problem-solving, observe the result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and appreciate the full course of disease and treatments.


현행 규정은 1년차 레지던트를 16시간으로 제한하고, 24시간 교대 근무를 마친 후 4시간 이내에 시니어 거주자를 퇴원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강제 교대는 자연적 환자 관리와 교육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육 연속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

The current rules limit first-year residents to 16 hours and require upper-level residents to be out of the hospital within 4 hours of completing a 24-hour shift. Such forced departures may interrupt the natural patient care and educational flow of the workday, and thus challenge educational continuity.


많은 레지던트들이 근무시간 보고서를 위조하는 것과 환자 진료 제공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하는 관료적이고 융통성 없는 시스템에 좌절감을 표명한다.33

Many residents voice frustration with a bureaucratic, inflexible system that forces them to choose between falsifying duty hour reports and providing patient care.33







. 2017 Feb; 9(1): 14–17.

PMCID: PMC5330201
PMID: 28261390

Four Fundamental Educational Principles


임상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8)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a systematic review

Maaike A van Houten-Schat,1,2 Joris J Berkhout,3 Nynke van Dijk,4 Maaike D Endedijk,5 A Debbie C Jaarsma2 & Agnes D Diemers1




도입

INTRODUCTION


의학의 빠른 발전 속도 때문에, 의대생들과 레지던트들이 의사로서 평생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의대생과 레지던트의 평생 직업적 발전을 위한 한 가지 중요한 전략은 자기조절학습SRL이다.

Because of the rapid pace of developments in medical science, it is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to learn how to practise lifelong learning as doctors. One important strategy for the lifelo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s self-regulated learning (SRL).1–3


전반적으로, SRL은 [원하는 수준의 성취도에 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습 경험 전체에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과정을 modulation하는 것]을 의미한다. Sitzmann과 Ely의 메타 분석은 다양한 SRL 이론에 의해 설명된 다양한 과정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조절 주체(골 설정) 

  • 조절 메커니즘(예: 계획, 모니터링, 학습 전략, 동기 및 감정 제어) 

  • 조절 평가(자체 평가, 귀인, 자기 효과).

여러 연구들이 학생들의 자기조절전략 사용이 학업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verall, SRL refers to the modulation of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ural processes throughout a learning experience in order to reach a desired level of achievement.5,8 A meta-analysis by Sitzmann and Ely showed that the various processes described by different theories of SRL can be categoris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 regulatory agent (goal setting); 

  • regulatory mechanism (e.g. planning, monitoring,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and emotion control), and 

  • regulatory appraisal (self-evaluation, attributions and self-efficacy).9 

Multiple studies have shown the positive effects of students’ use of self-regulation strategies in academic outcomes.10,11


하지만, 의학 교육의 많은 부분이 교실이 아닌 근무지에서 일어난다. 근무지에 기반을 둔 학습에서 의대생들과 레지던트들은 임상 실습에서의 경험으로부터 배운다. 임상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은 교실academic 환경에서의 SRL과는 다른데, 이는 임상 맥락에서 학생은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학습 목표에만 집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실 환경에서 학습을 적절하게 스스로 조절하는 학생들도 더 복잡한 임상 환경에서는 학습을 스스로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However, a large part of medical education occurs in the workplace instead of in classrooms.3,12–15 In workplace-based learni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learn from their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12 Self-regulated learning in a clinical context is different from SRL in an academic setting because in a clinical context the student cannot solely focus on his or her own learning goals as these are subsidiary to the provision of health care to patients.16 It may therefore be that students who adequately self-regulate their learning in an academic setting may have difficulties in self- regulating their learning in the more complex clinical setting.


우리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i) 임상 환경에서 의대생 및 거주자의 SRL을 연구하기 위해 어떤 이론 모델을 사용하였는가? 

(ii) 의대생과 거주자가 임상 환경에서 사용하는 SRL 전략은? 

(iii) SRL의 어떤 요소가 의대생과 거주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iv) 의대생 및 거주자의 SRL을 지원하기 위해 어떤 개입이 사용되었으며, 개입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가?

our research questions were: 

(i) What theoretical models have been used to stud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i) What SRL strategies do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us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ii) Which factors of SRL have been reported to influenc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v) What interventions have been used to support SRL i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nd what effects did the interventions have?


방법

METHODS


Selection process


Review procedure



결과

RESULTS


프로세스는 그림 1에

The study selection process for this review is depicted in Fig. 1.


학생과 전공의의 SRL을 연구하기 위해서 어떤 이론적 모델이 사용되었나?

What theoretical models have been used to stud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우리가 포함시킨 18개의 연구 중, 7개의 연구 2,3,23–27은 Zimmerman의 순환 3상 모델을 보고했고, 8개의 두 개의 연구28,29는 Knowles의 이론적 모델을 보고했고, 30의 연구31은 Pintrich.32의 원칙에 기초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비록 이 세 가지 이론은 그들의 관점이 다르지만, 능동적 참여, 목표 설정, 계획 구현, 프로세스의 자체 평가가 공통적이다.

Of the 18 studies we included, 

    • seven studies2,3,23–27 reported the cyclical three-phase model of Zimmerman,8 

    • two studies28,29 reported the theoretical model of Knowles,30 and 

    • one study31 used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principles of Pintrich.32 

Although they differ in their perspectives, these three theories agree upon 

    • active engagement, 

    • goal setting, 

    • implementation of a plan and 

    • self-evaluation of the process.20,33


이 검토에서 나머지 8개 연구는 특정 이론적 모델을 설명하지 않았지만, SRL을 정의할 때 동일한 프로세스(목표 설정, 계획 구현 및 자가 평가)를 언급했다.

Although the remaining eight studies34–41 in this review did not describe a specific theoretical model, they did mention the same processes (goal setting, implementation of a plan and self-evaluation) when defining SRL.


임상환경에서 학생과 전공의는 어떤 SRL전략을 사용하는가?

What SRL strategies do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us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세 가지 연구가 각각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진 이 문제를 다루었다.

Three studies addressed this question, each with a different approach.


첫째, Berkhout et al.23은 임상의 학생들의 자기 평가 SRL 행동의 5가지 다른 패턴을 기술했다: 

    • 참여적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열심히 일하고 동기를 부여하며) 

    • 지극히 기회주의적 (학습 환경에 비판적인 비정형 학습 행동은 쉽게 동기를 상실함) 

    • 불확실한 (수동적, 감독자에 의존적, 배울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필요하다.) 

    • 자제하는 (높은 동기 부여와 자기 비판적, 질문하기 두려워)

    • 힘이 드는 (열심히 일하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어야 하며, 어려움에 처하는 것을 두려워해야 한다.)

Firstly, Berkhout et al.23 described five different patterns of clinical students’ self-assessed SRL behaviour: 

    • engaged (hardworking, motivated and not afraid to make mistakes); 

    • critically opportunistic (unstructured learning behaviour, critical of the learning environment, loses motivation easily); 

    • uncertain (passive behaviour, dependent on supervisor, requires a safe environment in which to learn); 

    • restrained (highly motivated and self-critical and afraid to ask questions), and 

    • effortful (hard working, needs to be told what to do, and afraid to admit being in difficulty).


둘째로, 우즈 외 연구진.24는 임상 환경에서 SRL에 대한 세 가지 접근방식을 식별했다. 

    • 첫 번째 접근방식인 '학습 기회가 부족하다는 인식에 묵종하는 것'은 의대 학생들이 인지하는 체계적이고 환경적인 장벽을 강조했다. 

    • 두 번째 접근 방식인 '이용 가능한 기회에서 선택'에서 학생들은 서로 다른 학습 요구의 균형에 초점을 맞추었고, 어느 정도 시간이 학습보다는 서비스에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 마지막 접근법은 '새로운 학습 기회 창출'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량을 최적화하려고 노력했다.

Secondly, Woods et al.24 identified three distinct approaches to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 The first approach, ‘acquiescing to a perceived lack of learning opportunities’, emphasised the systemic and environmental barriers that medical students perceived. 

    • In the second approach, ‘choosing from available opportunities’, students focused on the balance of different learning needs and realised that some time must be spent on service rather than learning. 

    • The last approach was ‘creating new learning opportunities’, in which students tried to optimise their amount of learning.


마지막으로, 사가세르 외 연구진.3은 가정의학과 레지던트의 SRL 활동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다. 저자들은 SRL이 short loop and long loop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Finally, Sagasser et al.3 conducted research on the self-regulatory activities of family practice residents. The authors identified that self-regulation of learning occurred in a short and a long loop.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친는가?

Which factors of SRL have been reported to influence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표1

Seven of the included studies addressed the factors influencing SRL. The results are summarised in Table 1.


어떤 개입이 사용된 바 있는가?

What interventions have been used to support SRL i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hat effects did the interventions have?


three types of intervention: 

    • (i) guiding of SRL via mentoring or coaching; 

    • (ii) support of SRL via learning plans and goal setting, and 

    • (iii) supportive tools, such as an online environment and clinical encounter cards.



고찰

DISCUSSION


SRL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종종 결여되어 있고,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사용될 때(예: Zimmerman, 8 Pintrich32 및 Knowles30) 이 프레임워크는 교실 환경에서의 연구로부터 비롯되었다. 맥락이 SRL에 미치는 알려진 영향을 고려하면, 이러한 모델은 복잡한 임상 상황에 쉽게 적용될 수 없다.

We found that a theoretical framework of SRL is often lacking, and when a theoretical framework was used (e.g. Zimmerman,8 Pintrich32 and Knowles30), this framework stemmed from research in a classroom setting. Considering the known influence of context on SRL, these models cannot be applied easily to the complex clinical context.


Berkhout et al.,23 Woods et al.24 및 Sagasser et al.3의 연구는 개인이 임상 환경에서 SRL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패턴, 접근 방식 또는 활동을 설명했다. 이러한 다양한 전략들은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의 SRL 전략 사이에 개별적인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전략들도 맥락마다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studies of Berkhout et al.,23 Woods et al.24 and Sagasser et al.3 described various patterns, approaches or activities that individuals use to self-regulate their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These different strategies suggest that there are not only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residents’ SRL strategies, but that the strategies they use also differ in different contexts.


상황에 따라 SRL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이것은 [임상적 맥락에서의 학습은 SRL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상호작용이 있는 복잡한 과정]이라는 이전의 발견 2,9,42를 지원한다. 이러한 요인 중 일부는 임상 환경(시간 압력 및 환자 관련 요인)에 고유한 것이다.2

There are many factors tha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may hav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SRL. This supports earlier findings2,9,42 that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is a complex process, in which there is an interplay of factors affecting the SRL process. Some of these factors are unique to the clinical environment (time pressure and patient-related factors).2



SRL은 개인과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 리뷰는 학생들의 SRL 전략 사이의 개별적인 차이점을 보여주었고, 이는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을 서포트하는 개인화된 접근법이 필요함을 암시한다. 멘토나 코치의 지원과 학습 계획 및 목표 설정의 사용은 의대생과 레지던트의 SRL 과정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중재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이러한 개입이 사람과 상황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코치나 멘토의 지원은 SRL 프로세스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보인다.23,26,29

Self-regulated learning is shap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This review revealed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SRL strategies, implying that an individualised approach to supporting student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required. The support of a mentor or coach and the use of learning plans and goal setting were found to be interventions that have a positive outcome o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RL processes. This might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se interventions allow for adaptation to person and context. Moreover, the support of a coach or mentor seems to be a prerequisite for the SRL process to develop to its full potential.2,3,26,29


모든 개입은 SRL의 첫 두 단계, 즉 목표 설정과 조절 메커니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연구들 중 어느 것도 조절 평가에 초점을 맞추지 못했다. 학습자가 목표를 향한 진행 상황을 평가하는 SRL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 입니다. 조절 평가는 학습 경험을 완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새로운 학습 노력의 출발점이 된다.

All of the interventions revealed a positive outcome on the first two phases of SRL, namely goal setting and regulatory mechanisms. None of the studies focused on regulatory appraisals. This is the last phase of the SRL process, in which learners assess their progress towards goals. Regulatory appraisal is crucial to completing the learning experience and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new learning endeavours.



함의

Implications for practice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임상적 맥락에서 SRL이 아직 그것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특히, progress를 평가하는 것은 더 많은 관심을 받을 만하다. 따라서, 우리는 두 가지 병행적 접근법을 권고한다. 

    • (i), 개인의 목표 설정과 성찰 기술을 향상시키고 SRL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터벤션 도입

    • (ii) 학생들에게 그들의 기술을 실제로 사용할 기회를 주는 학습 환경을 조성. 

From our research, we conclude that SRL in the clinical context is not used to its full potential yet. In particular, assessing progress deserves more attention. Therefore, we recommend two parallel approaches: 

    • (i), introduce interventions to improve individuals’ goal setting and reflection skills and improve their SRL confidence, and 

    • (ii),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actually use their skills. 


이것은 학생들이, 예를 들어, 각 환자에 대해 더 많은 시간, 더 많은 환자 접촉, 그들의 감독자로부터의 지원과 멘토의 안내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students should get, for example, more time for each patient, more patient encounters, support from their supervisor and guidance by a mentor.



Strengths and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CONCLUSIONS


본 연구는 임상 환경의 SRL이 복잡한 과정이며 학생들의 SRL에 개별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들은 개인, 사회 및 상황별 수준에서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is study revealed that SRL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a complex process and that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students’ SRL. These are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at the individual, social and contextual levels.


우리는 학습자가 목표를 향한 진행상황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 격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자들이 임상 환경에서 SRL을 구현할 때 이중 접근법을 채택해야 하며, 

  • SRL을 위해 학생의 개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 직장에서 멘토나 코치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좋은 SRL 환경을 만드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

...을 암시한다.

We were able to identify a knowledge gap in how learners assess their progress towards go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ors should adopt a dual approach when implementing SRL in the clinical context and should focus on both improving students’ individual capacities to regulate their learning and creating a good SRL climate in the workplace, possibly supported by a mentor or coach.







 2018 Oct;52(10):1008-1015. doi: 10.1111/medu.13615. Epub 2018 Jun 25.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a systematic re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and Elderly Care Medicine, University Medical Cent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2
Centre for Research and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re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3
Centre for Evidence-Based Education, Academic Medical Centre,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4
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Academic Medical Centre, University of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5
Department of Educational Sciences, Faculty of Behavioural, Management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Twente, Enschede, the Netherlands.

Abstract

OBJECTIVES:

Research has suggested beneficial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RL)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orkplace-based learning. Ideally, learners go through a cyclic process of setting learning goals, choosing learning strategies and assessing progress towards goals. A clear overview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successful key strategies, influential factor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to stimulate SRL in the workplace is missing. This systematic review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and a theoretical base for effective SRL strategies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for their learning in the clinical context.

METHODS:

This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We systematically searched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PsycINFO, ERIC and the Cochrane Library from January 1992 to July 2016.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includ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review process and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included studies. A total of 3341 publications were initially identified and 18 were included in the review.

RESULTS:

We found diversity in the use of SRL strategies b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which is linked to individual (goal setting), contextual (time pressure, patient care and supervision) and social (supervisors and peers) factors. Three types of intervention were identified (coaching, learning plans and supportive tools). However, all interventions focused on goal setting and monitoring and none on supporting self-evaluation.

CONCLUSIONS: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s a complex process that results from an interaction between person and contex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unravelling the process of SRL in the clinical context and specifically on how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ssess their progress towards goals.

PMID:
 
29943415
 
PMCID:
 
PMC6175376
 
DOI:
 
10.1111/medu.13615


정신질환자에 대한 낙인에 대한 임상실습의 영향: 메타분석(Med Educ, 2018)

The influence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towards mental illness: a meta-analysis

Eleni Petkari,1,2 Ana I Masedo Gutierrez,2,3 Miguel Xavier2,4 & Berta Moreno K€ustner2,3,5





도입

INTRODUCTION


정신 질환(MI)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은 두 가지 도전에 직면해야 한다: 

  • 첫째, 그 질병이 그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

  • 둘째, stigma때문에 사회로부터의 혹은 스스로의 rejection과 non-acceptance로 인한 스트레스.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MI) have to face a twofold challenge: 
  • first, the impact that the illness has on their lives in all its facets,1 and 
  • second the stress created by rejection and non-acceptance by both themselves and society because of stigma.2,3 

사회적 인식 이론에 따르면, 낙인은 인지, 감정, 행동적 요소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이다. 

  • 지요소는 나쁜 예후에 대한 위험성이나 믿음과 같은 고정관념을 포함하는 태도를 말하는 반면, 

  • 정서요소들은 MI를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두려움이나 분노와 같은 편견의 표현을 포함한다. 

  • 행동요소는 보통 MI를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의도를 나타낸다. 차별에 대해, 회피, 평가 절하 또는 사회적 거리를 통해 표현된다.

According to social cognition theory,4 stigma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that encompasse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ural elements. 

  • Specifically, the cognitive elements refer to attitudes that include stereotypes, such as dangerousness or beliefs for a poor prognosis, 

  • whereas emotional elements include the expression of prejudice, such as fear of or anger towards people with MI. 

  • Finally, behavioural elements refer to intentions for interaction with people with MI, usually based on discrimination, expressed through avoidance, devaluation or social distance.3,5


증가하는 증거는, 일반 인구와 마찬가지로, 정신 건강 전문가들이 그들의 환자들에게 낙인을 표현할 가능성이 있으며, 장래의 건강 관리 전문가들은 그러한 환자들과 함께 일할 가능성을 적어도 매력적이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낙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시도에서, 낙인 해소를 위한 교육적 개입은 대중들에게, 그리고 중요한 것은 장래의 보건 전문가들에게 널리 전달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환자와의 접촉을 포함하지 않는 안티-낙인 교육 개입은 단지 단기적인 효과만을 가지고 있는데, 아마도 MI라는 이름 뒤에 있는 인간을 평가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환자와의 접촉이 긍정적인 태도를 확립하기 위한 핵심 요소인 것 같으므로, 정신 건강 관련 연구 커리큘럼이 포함된 임상실습이 포함되어야 한다.

Increasing evidence shows that, like the general populatio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re likely to express stigma towards their patients,6 and prospective health care professional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working with such patients as unattractive at least.7,8 In a continuous attempt to tackle stigma, educational interventions aimed at its reduction have been widely delivered to the public9 and importantly to prospective health care professionals.10 However, anti-stigma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do not include contact with real patients have only short-term effects,11 perhaps due to the dearth of opportunities for appreciating the human being behind the label of MI.12 As contact with patients seems to be a key element for establishing positive attitudes,13 the inclusion of a clerkship in the curriculum of mental health-related studies



임상실습은 보통 마지막 학년 또는 끝에서 두 번째 학년에 제공되고, 실제 환자와 함께 실시간 상황에서 직접 접근하여 젋은 전문직세대에게 MI를 가진 환자에 대한 긍정적이고 효율적인 접근을 교육하기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The clerkship is offered usually in the last or second-to-last academic year and offers a hands-on approach in real-time situations with real patients, creating an ideal context for teaching young generations of professionals a positive and efficient approach to patients with MI.14,15



결과는 또한 각 개입에 대한 목표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초점이 개별적 낙인의 구성 요소(태도, 영향 또는 행동 의도) 중 하나 또는 단일 결과로서의 조합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실,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낙인의 구성요소를 선택하는 것은 실제로 개입의 효율성에 관한 상충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results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targeted outcome for each intervention,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focus is on one of the components of stigma (attitudes, affect or behavioural intentions) separately or on their combination as one sole outcome. In fact, the selection of the stigma components either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might actually lead to conflicting outcomes regarding the intervention’s effectiveness.



본 연구

The present study


따라서, 현재 연구는 장래의 의료 전문가들이 사무직 완료 후 결과로 표현한 오명(전반적으로 태도 [AT], [AF] 및 행동적 의도[BI])의 변화를 탐구한다. 목적은 

  • (i) 임상실습이 학생의 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모든 가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메타 분석을 수행한다. 

  • (ii) 낙인 전반과 각 구성 요소(AT, AF 및 BI)에 대한 효과 추정치를 제공한다. 

  • (iii) 각 결과의 잠재적 조정 요인(즉, 대학 프로그램, 임상실습 기간, 임상실습 설정, 이론 교육, 실험 설계, 출판 연도, 연령 및 성별)을 식별해야 한다.

Thus, the current study explores changes in stigma (overall, attitudes [AT], affect [AF] and behavioural intention [BI]), expressed by prospective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the outcome after completion of a clerkship. The aims are to 

  • (i) carry out a systematic meta-analysis of all available studies that examine the effects of clerkship on health care students’ stigma, 

  • (ii) provide an effect estimate for overall stigma and for each of its components (AT, AF and BI) and 

  • (iii) identify potential moderating factors of each outcome (i.e. university programme, clerkship duration, clerkship setting, inclusion of theoretical training, experimental design, year of publication, age and sex).



METHODS


Literature search


Inclusion criteria


Coding procedure


stigma component (overall, attitude [AT], affect [AF] and behavioural intention [BI]),



도구들

Instruments measuring stigma


The included studies assessed stigma using 12 different instruments, with some of them measuring stigma as a whole, providing a total score. Examples of such instruments are: 

    • the Mental Illness Clinician Attitudes Scale (MICA),18 examining beliefs, emotions and behaviours related to the patient’s treatment, perceived dangerousness or social interaction; 

    • the Mental Health Attitudes Scale (MHAS),15 focusing on knowledge, negative stereotypes or anxiety; 

    • and the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Scale (AMI),14 examining fear or worry, as well as the willingness to have a friend or neighbour with MI. 


Other scales measured stigma components through distinct subscales that corresponded to AT, AF and BI. Examples are: 

    • the Opinions towards Mental Illness Scale (OMI),19 encompassing the subscales of Authoritarianism, Benevolence, Mental Hygiene Ideology, Social Restrictiveness or Interpersonal Aetiology; 

    • the Community Attitudes Towards Mental Illness Scale (CAMI),6 which is similar to the OMI with the exception of Interpersonal Aetiology; 

    • and the Attributions Questionnaire (AQ-27),20 measuring the expression of Pity, Anger, Fear, Responsibility, Willingness to Help and Segregation. 


Lastly, some studies focused only on the BIs, measuring them through 

    • the Social Distance Scale (SDS)21 or 

    • the Devaluation Discrimination Scale (DDS),22 

both of which explore the willingness to have social interactions with people with MI (see Table S1 online for detail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distribution of instruments and their subscales into the stigma components (overall, AT, AF and BI), we were guided by the distribution carried out in a previous meta-analysis on stigma outcomes,4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of stigma.


Data analyses


결과

RESULTS


최종 샘플

Final sample


22개 연구

Twenty-two studies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providing data from 22 independent samples.



낙인의 변화

Stigma changes after clerkship


크게 감소

Our analysis yielded a highly significant medium effect size for overall stigma reduction (k = 22, Hedge’s g = 0.354; p < 0.001; 95% CI, 0.26, 0.45) and improvement of AT (k = 9) (Hedge’s g = 0.308; p = 0.003; 95% CI, 0.10, 0.51) and BI (k = 10) (Hedge’s g = 0.247; p < 0.001; 95% CI, 0.17, 0.33).


Subgroup analyses




메타-회귀

Meta-regression analyses


가중된 혼합 효과 메타-규제 분석은 여성들이 전반적인 낙인 변화 수준을 더 높게 보인 반면에 출판 연도나 참여자의 연령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시간의 경향이 있었다. 

The weighted mixed-effects meta-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omen displayed higher levels of overall stigma change (k = 22, B = 0.007, standard error [SE] = 0.002, z = 3.23; p = 0.001),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for publication year or participants’ age. Finally, there was a trend of clerkship duration influencing overall change positively (k = 22, B = 0.028, SE = 0.016, z = 1.78; p = 0.007). 


AT와 BI와 관련하여, 분석은 출판 연도와 임상실습 길이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여성들은 AT에서 더 큰 변화를 보였고, 어린 학생들은 AT와 BI를 더 잘 보여주었다.

Regarding AT and BI, the analyses showed a non- significant effect for publication year and clerkship length. However, women showed greater change in AT (k = 6, B = 0.001, SE = 0.006, z = 1.95; p = 0.05)and BI (k = 6, B = 0.009, SE = 0.002, z = 2.76; p = 0.005) and younger students showed better AT and improved BI (k = 6, B =  0.057, SE=0.02, z =  3.02; p = 0.002). 



출판 편향

Publication bias



고찰

DISCUSSION


우리의 메타 분석의 결과는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낙인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 결과는 행동적 의도를 바꾸는 것보다 [전반적인 낙인인식]과 [태도]를 바꾸는 힘이 더 크다는 것을 드러내는 반면, MI를 가진 환자에 대한 학생들에 대한 정서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한 차이는 놀랍지 않은데, 행동의 변화가 가장 어려운 것이며, 행동의 변화란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고 능동적인 방식으로 도움을 제공려는 의도를 가정한다.26

The findings of our meta-analysis confirm that there is a beneficial influence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levels. More specifically, the findings reveal a greater power of clerkship for changing overall stigma and attitudes than for changing behavioural intentions, whereas clerkship does not influence the student’s affective state towards patients with MI. Such differences are not surprising, given that behaviour is the most difficult component to change, as it assumes an intention to increase interaction with patients and help provision in an active way.26


현재의 연구 결과는 임상실습이 모든 대학 프로그램에 걸쳐 전반적인 낙인과 학생들의 차별적인 행동 의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낙인을 해결하고자 할 때, 임상실습생이 환자 관리에 참여할 기회를 주는 것이 이론적 배경, 방법론 또는 학습 목표와 같은 대학 커리큘럼의 특정 구성요소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clerkship was beneficial for reducing overall stigma and the students’ discriminatory behavioural intentions across all university programmes. This indicates that when targeting stigma the opportunity for involvement in patients’ care offered by a clerkship is more important than the specific components of university curricula, such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methodology or learning targets.


특히, 입원 및 외래환자의 환경 조합에서 이뤄지는 임상실습은 (순수하게 기관화된 환경에 정착한 사무직과는 달리) 학생들의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더 강력하다. 실제로 후자는 [행동적 의도]와 [전체적인 오명]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없고 단지 작은 영향만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의하지 않은 변화는 [학생들이 입원환자를 위험으로 간주될 수 있는 행동을 보이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미래가 demoralisation된 사람들로 인식한다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

Specifically, clerkships that take place in a combination of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are more powerful in altering students’ attitudes, as opposed to those settled in purely institutionalised conditions, in line with Sher & New.31 Indeed, the latter have no effect on attitudes at all and only a small influence on behavioural intentions and overall stigma. Such an insignificant change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students perceive the inpatients as people who display behaviours that may be considered dangerous32 and who immerse themselves in a state of demoralisation33 regarding their future.


영향력 있는 것으로 입증된 또 다른 요소는 임상실습의 한 부분으로 이론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특히, 이론적 훈련을 포함하지 않은 연구의 경우, [전체적인 낙인]과 [태도(=인지요소)]에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대면 상호작용과 함께 이론적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Another element that was proven to be influential is the implementation of theoretical training as part of the clerkship. Specifically, overall stigma and attitudes remained the same for studies that did not include a theoretical training, pointing out the importance of accompanying the face-to-face interaction with such a component, in line with Economou et al.34


그러나 환자를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치료하려는 [의도]는 임상실습에 그러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달라지는 듯 하며, 이는 결국 사회적 상호 작용에 관한 한 환자와 접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However, the intention to treat patients in a more positive manner seems to alter independently of whether the clerkship includes such a component or not, implying eventually that when it comes to social interactions, contact with patients is all that matters.


마지막으로, 여성들은 전반적으로 낙인을 덜 보이고, 더 나은 [태도]와 [행동 의도]를 보여주었고, 비록 남성과 여성은 MI를 가진 사람들에게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지만, 여성이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말한 기존 리뷰를 부분적으로 입증했다. 임상실습의 영향은 [행동 의도]에 대해서는 동일한 패턴을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이전의 조사결과에 따라, 젊은 세대는 태도와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20,36

Finally, women showed less overall stigma, and better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partially corroborating an earlier review suggesting that although men and women tend to have similar attitudes they behave in a different way towards people with MI, with women being more friendly.35 The influence of clerkship seems to follow the same pattern for behaviour intentions but not for attitudes. Additionally, younger age seemed to influence positively both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in line with previous findings.20,36


Limita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사실, 그 낙인 구성요소들은 임상실습 후에 각자의 변화 패턴을 따르고 있으며, [행동]에는 영향이 적은 반면, [감정]에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정]에 대한 연구는 다른 것에 비해서 매우 적은 편이므로 변화는 무시할 수 없다. 감정이 행동의 동기부여 메커니즘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 요소는 추가적인 탐사를 요구한다. 아마도 공감을 표적으로 삼음으로써 학생들은 두려움과 거절의 감정을 바꿀 수 있고 이런 식으로 MI를 가진 사람들을 더 호의적으로 대우하려는 그들의 의도를 높일 수 있다.

Indeed, the stigma components seem to follow their own pattern of change after clerkship, with behaviour being the less affected whilst there is a lack of change in affect. Nevertheless, changes cannot be discarded as affect has been significantly understudied compared with other stigma outcomes. As emotions constitute the motivating mechanism of actions, this component demands further exploration. Perhaps by targeting empathy, students can alter their feelings of fear and rejection and this way boost their intentions for more favourable treatment of people with MI.


학생은 사회의 구성원이기에, [MI를 가진 환자에 대해 무례하거나 부정적 꼬리표를 통해 특성을 부여하는] 사회적 맥락에서 기인하는 집단적 영향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비록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갖고 있던 미신은 임상실습을 통해 사라지더라도, 전반적인 부정적 태도, 행동, 그리고 특히 감정은 그대로일 수 있다.

As members of a society, students cannot remain immune to group influences originating in a societal context that is characterised by disrespect towards patients with MI and attributes to them neg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labelling.38,39 Hence, although students may have their myths dispelled through their clerkship, they may largely retain their negative attitudes, behaviours and, importantly, emotions.


결과적으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더 넓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끌게 되는데, 이는 현재의 사회 구조에 도전해야 하며, stigma-free한 사고방식을 가진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더 큰 규모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41

Consequently, our findings draw attention towards a wider societal issue,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for interventions on a larger scale in order to challenge the current societal structure and produce citizens with a stigma-free mindset.41







 2018 Jul;52(7):694-704. doi: 10.1111/medu.13548. Epub 2018 Mar 2.

The influence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towards mental illness: a meta-analysi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Behavioural and Social Sciences, European University Cyprus, Nicosia, Cyprus.
2
International Maristan Network, http://www.redmaristan.org.
3
Department of Personality, Assessment and Psychological Treatments, Faculty of Psychology, University of Malaga, Malaga, Spain.
4
Department of Mental Health, CEDOC, NOVA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Lisbon, Lisbon, Portugal.
5
Biomedicine Institute of Malaga-IBIMA, Malaga, Spain.

Abstract

CONTEXT:

In university programmes preparing students to work with patients with mental illnessclerkship is proposed as a component that may contribute to the battle against stigma, through bringing students into contact with the patients' reality. Yet, the precise contribution of clerkship remains unclear, perhaps because of the variety of university programmes, clerkship characteristics or types of stigma explored. This is the first systematic meta-analysis of available evidence determining the precise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clerkship on stigma and the potential moderators.

METHODS:

We carried out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 Eric, PsycINFO, Pubmed, Scopus, UMI and Proquest dissertations, aiming to identify all the studies exploring health care students' stigma of mental illness (measured as overall stigma or as attitudes, affect and behavioural intentions) before and after a clerkship from 2000 to 2017. Twenty-two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providing data from 22 independent samples. The total sample consisted of 3161 students. The effects of programme (medicine, nursing, occupational therapy, and their combination), study design (paired-unpaired samples), publication year, sex, age and clerkship context, and inclusion of theoretical training and duration, were examined as potential moderators.

RESULTS:

Our analyses yielded a highly significant medium effect size for overall stigma (Hedge's g = 0.35; p < 0.001; 95% confidence interval [CI], 0.20, 0.42), attitudes (Hedge's g = 0.308; p = 0.003; 95% CI, 0.10, 0.51) and behavioural intentions (Hedge's g = 0.247; p < 0.001; 95% CI, 0.17, 0.33), indicating a considerable chang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tudents' affect. Moderator analyses provided evidence for the distinct nature of each stigma outcome, as they were influenced by different clerkship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clerkship context, theoretical training, age and sex.

CONCLUSIONS:

The robust effect of clerkship on students' stigma of mental illness established by the present meta-analysis highlights its role as a crucial curriculum component for experiential learning and as a necessary agent for the battle against stigma.

PMID:
 
29498433
 
DOI:
 
10.1111/medu.13548


보건전문직교육에서 기초의학지식의 전이에 대한 비판적 네러티브 리뷰(Med Educ, 2018)

A critical narrative review of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Jean-Marie Castillo,1,2,3,4 Yoon Soo Park,3 Ilene Harris,3 Jeffrey J H Cheung,1,5 Lonika Sood,3,6,7 Maureen

D Clark,3,8 Kulamakan Kulasegaram,1,9 Ryan Brydges,1,10 Geoffrey Norman11 & Nicole Woods1,2



도입

INTRODUCTION


1910년 Flexner 보고서 이후, 기초의학이 미래 의료에서 임상 추론에 역할을 한다는 가정 하에 기초 과학 교육을 HPE에 포함시켰다. 최근의 연구는 기초 과학 지식이 임상 지식과 임상 추론의 습득에 있어 학습자와 practitioner에게 실제로 유익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실제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임상추론에 transfer할 것을 보장하는 기초 과학 교육의 특정 교수법과 평가 접근법에 대한 문헌에서 제한적인 논의가 있었다.

Since the Flexner report of 1910,1 education in the basic sciences has been included in HPE on the assumption that it plays a role in clinical reasoning during future practice.2–4 Recent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does indeed have benefit for learners and practitioners in their acquisition of clinical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5,6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discussion in the literature about the specific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approaches in basic science education that ensure that students will, in fact, transfer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 to their clinical reasoning.7


기초 과학 지식의 전이는 하나의 학습 환경에서 습득한 기초 과학 지식을 다른 맥락에서의 임상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8 임상 추론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전달을 최적화하는 목표는 HPE와 문제 해결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에서 복잡한 교육과정 문제를 제시한다.8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can be defined as the application of basic science knowledge acquired in one learning context to the solving of a clinical problemin another context.8 The goal of optimising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presents a complex curricular challenge in HPE and in the broader literature on problemsolving.8


임상추론에서 기초 과학의 가치는 정적static 지식 구조의 개발을 넘어선다. 오히려, 기초과학 지식은 의학적인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역동적인dynamic 정신 구조의 발전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the value of the basic sciences in clinical reasoning goes beyond the development of static knowledge structures. Rather, basic science knowledge should als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ynamic mental structures to support medical problemsolving.


수십 년의 연구가 학습자들에 의한 임상적 추론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spontaneous transfer가 특히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3~15 해부학, 생화학, 유전학 등의 기초과학 각각에 대한 지식만으로는 임상 실습의 충분한 토대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기초 과학 교육에 대한 연구는 기초 과학 훈련이 어떻게 학생들이 그들의 기본 과학 지식을 현실 세계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지 탐구해야 한다. 그러나, HPE의 문헌은 기본적인 과학 교육 방법의 효과와 학생들이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전수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도왔는지에 관한 제한된 증거를 제공한다.16

Decades of research have demonstrated that the spontaneous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by learners is exceptionally difficult.13–15 Taken in isolation, knowledge of the basic sciences, such as anatomy, biochemistry and genetics, does not provide a sufficient basis for clinical practice. Therefore, research in basic science education must explore how basic science training enables students to apply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 to real-world problems. However, the literature in HPE provides limited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basic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whether they have been successful in helping students transfer their basic science knowledge.16


기존 연구를 철저히 검토하지 않으면, 학생들이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임상추론으로 transfer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이론, 모델 또는 모범 사례를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이용 가능한 증거를 포착하기 위해 기본적인 과학적 지식을 임상 추론에 전달하는 것에 관한 문헌의 검토와 통합을 수행하였다.

Without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existing work,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ories, models or best practices that might support students in the transferring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hus, we undertook to conduct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on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o capture the available evidence.



방법

METHODS


본 연구는 문헌에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체계적인 탐색 전략을 기반으로 한 비판적 서술적 검토다. 단일의 경험적 질문에 관련된 대답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체계적인 검토 결과와 대조적으로, 우리는 기초 과학 교육 맥락에서 지식 전이의 개념을 더 잘 이해하고자 했다. 따라서,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기존 문헌에서 전이가 개념화 및 평가되는지, 평가된다면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문헌을 검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 critical narrative review, based on a systematic search strategy, to gather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By contrast with the results of a systematic review, which is designed to provide an answer relevant to a single, empirical question, we aimed to gain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knowledge transfer in the context of basic science education. Therefore, we analysed the results of our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using a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in order to understand if and how transfer is conceptualised and evalua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외전이/내전이

Conceptual framework: ‘transfer out’/’transfer in’


분석18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체계는 교육 문헌 내에서 잘 정립되어 있으며, 의료 교육 문헌에서도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지식의 전이에서 두 가지 주요 특징을 식별한다. 즉, transfer out과 transfer in 이다

The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used to guide the analysis18 is well established within the education literature and has also been used successfully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19–21 The framework identifies two major dimensions in the transfer of knowledge: transfer out and transfer in.18


'트랜스퍼 아웃'은 학습 상황에서 개발된 지식을 새로운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트랜스퍼 아웃'은 수십 년 동안 연구의 초점이 되어왔던 전형적인 전이 개념화의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학생에게 환자가 피로, 체중 증가, 피부색 수정, 변비를 보이는 임상적 문제가 제시될 수 있다. 이 학생은 이전에 유사한 사례를 통해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관련된 증상을 배웠으며, 현재 자신의 지식을 갑상선 기능저하증 진단을 하고 새로운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하고 있다.

‘Transfer out’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developed in a learning situation to the solving of a new problem. ‘Transfer out’ exemplifies the typical conceptualisation of transfer that has been a focus of research for decades.13 For example, a student may be presented with a clinical problemin which a patient presents with fatigue, weight gain, modification of skin colour and constipation. The student previously learned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hypothyroidism through a similar case; he now applies his knowledge to diagnose hypothyroidism and solve the new clinical problem.


그러나 'transfer out'만으로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없다. 학습자에게 평생 동안 보건 전문가가 겪을 수 있는 무한한 문제를 모두 제공하도록 HPE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이론적으로, 전문가는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보장고자] 또는 [제한된 활동 또는 상황을 위한 매우 구체적인 일상적 전문지식의 개발하고자] 지식의 학습과 적용에 있어 그 또는 그녀의 실행 범위를 엄격하게 제한할 수 있다.

Yet, ‘transfer out’ alone cannot capture the entirety of what is needed to solve new problems. It would be impossible to design an HPE programme that would provide learners with the infinite array of the problems a health professional might encounter during a lifelong practice. In theory, a professional could tightly limit his or her scope of practice to ensure a high level of efficiency in the learning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highly specific routine expertise for a limited set of activities or situations.18,22,23


그러나, 이러한 극단적인 수준의 전문화는 대부분의 건강 직업에서는 불가능하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것은 UME에서의 철학에 반하는 것이다. 결국, 효율적인 문제 해결은 지식의 직접적인 적용(transfer out)보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한다. 효율성의 개발이 보건 전문가들에게 중요한 기술이지만, practitioner는 새로운 학습이 필요한 특이한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However, this extreme level of specialisation is simply not possible in most health professions. More significantly, it runs counter to the generalist philosophy of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Ultimately, efficient problem solving requires more than the direct application of knowledge (i.e. more than ‘transfer out’). Although the development of efficiency is an important skill for any health professional, practitioners will inevitably encounter unusual situations that require new learning.18,22,23


'transfer in'은 새로운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행지식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8,24 기초과학교육의 맥락에서 'transfer in'은 사전 기초과학지식이 새로운 임상적 내용으로부터 학습을 용이하게 할 때 발생한다.

‘Transfer in’ refers to the use of prior knowledge to facilitate new learning.18,24 In the context of basic science education, ‘transfer in’ occurs when prior basic science knowledge facilitates learning from new clinical content.


예를 들어, 학생들은 우선 갑상선 호르몬이 혈액에 의해 몸 안에 퍼지고, 다수의 장기와 상호작용하며, 갑상선 호르몬의 부족은 다수의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신진대사 경로를 느려지게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과학 개념에 대한 지식은 학생들이 첫 번째 임상 문제나 주제에 대한 새로운 강의를 들을 때 아디슨 병(Adrenal hormone의 부족)에 대해 더 쉽게 배울 수 있게 한다.

For example, a student might first learn that thyroid hormones are spread in the body by the blood and interact with a multitude of organs, and that a lack of thyroid hormones results in a slowing down of several metabolic pathways affecting a multitude of organs. Knowledge of these basic science concepts might subsequently enable the student to more readily learn about Addison’s disease – a lack of adrenal hormones – when he is presented with his first clinical problem or a new lecture on the topic.


이 사례에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은 새로운 콘텐츠의 학습을 촉진하도록 transfer in할 수 있다. 이 렌즈를 이용하면, 미래 학습을 가장 잘 지원할 조기 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고품질 교육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것이다. 실제로 'transfer in'에서 학습자의 성공은 궁극적으로 'transfer out'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임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18,25

In this instance, the basic science knowledge could ‘transfer in’ and facilitate the learning of new content. Using this lens, a focus on early learning experiences that will best support future learning becomes critical in creating high-quality education. Indeed, a learner’s success at ‘transfer in’ will ultimately positively impact ‘transfer out’ and therefore clinical performance.18,25


비록 이것이 의학 교육 연구의 전이를 이해하는 비교적 새로운 방식이지만, '전입'은 종종 간과되는 기초 과학 교육의 잠재적인 가치를 탐구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Although it is a relatively new way of understanding transfer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ransfer in’ provides a useful way of exploring the potential value of basic science education that is often overlooked.18,24


Search strategy


Data collection, data extraction and analysis


Ethics


결과

RESULTS


HPE 기본 과학 및 임상 추론 성과에 RCT 사용을 보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Few studies reported the use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f instruction in basic sciences in HPE and clinical reasoning outcomes


총 9803건의 연구가 확인되었고(복제 논문은 제외), 627건의 연구가 전체 텍스트 평가를 위해 검색되었으며 15건의 연구가 검토에 포함되었다(그림 1).

A total of 9803 studies were identified (after the exclusion of duplicate articles); 627 studies were retrieved for full-text evaluation and 15 were included in the review (Fig. 1).


임상 추론에 대한 기초과학 지식의 전이를 탐구한 검토에 포함된 15개 연구 중 93%가 'Transfer out'를, 7%(하나의 연구)는 'Transfer in'를 조사했다(표 1). 이러한 개입은 주로 의과대학(53%)과 특히 커리큘럼의 초기(1:40%, 2: 33%)와 생리학 과정(53%)에서 이루어졌다.

Of the 15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that explored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93% explored ‘transfer out’ and 7% (one study) explored ‘transfer in’ (Table 1). The interventions took place predominantly in medical schools (53%), especially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curriculum (Year 1: 40%; Year 2: 33%), and in physiology courses (53%) (Table 2).


기초과학의 교육은 'TO와 TI'에 대한 임상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Instruction in the basic sciences positively impacted clinical reasoning for ‘transfer out’ and ‘transfer in’


검토한 논문에서, 기초과학 지식은 'transfer out'을 위한 임상 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는 기초과학 지식이 몇 가지 임상추론 과제에서 성과를 향상시켰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과제에는 

    • 임상 기능에 잠재적으로 책임이 있는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26 

    • 환자 정보 및 후속 조치를 포함한 치료 계획의 결정, 27 

    • 보다 광범위한 임상 문제 해결이 포함되었다.28–31 

In the reviewed papers, basic science knowledge positively impacted clinical reasoning for ‘transfer out’. These studies suggested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enhanced performance in several clinical reasoning tasks. These tasks included: 

    • the explanation of the mechanisms potentially responsible for clinical features;26 

    • the determination of a therapeutic plan including patient information and follow-up,27 

    • and, more broadly, clinical problem solving.28–31 


효과적인 교육 전략에는 

    • 기초 및 임상 과학의 커리큘럼 통합, 

    • 개념 지도의 사용, 

    • 임상 사례의 분석, 

    • 3차원 가상 현실의 사용이 포함되었다.

특정 매체 대 다른 매체의 사용은 'transfer out'을 강화하지 않았다(예: 현미경 vs 이미지, CD vs 강의33).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included 

    • the curricular integration of basic and clinical sciences,28 use of concept maps,26,31 

    • analysis of clinical cases,27,29 and 

    • use of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30 

The use of a specific medium versus another did not enhance ‘transfer out’ (e.g. light microscopy versus projected images,32 or CD versus lecture33).


세심한 통제가 이루어진 소수의 연구는 기본적인 과학 지식에 의해 뒷받침되는 임상 추리 과제를 확인하고 어떻게 'transfer out'를 조성할 것인가에 대한 추론을 이끌어냈다. 첫째, 임상 기능의 기본적인 설명 메커니즘(즉, 기초 과학 지침)을 가르치는 것은 초보 진단 전문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진단 정확성의 유지를 지원했다.

A small number of carefully controlled studies identified clinical reasoning tasks supported by basic science knowledge and drew inferences about how to foster ‘transfer out’. First, teaching the underlying explanatory mechanisms (i.e. basic science instruction) of clinical features supported the maintenance of diagnostic accuracy over time in novice diagnosticians.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conceptual coherence theory에 비추어 이러한 연구의 저자들에 의해 설명되었다.38 개념적 일관성 이론CCT은 근본적인 인과 메커니즘에 대해 학습하는 것이 문제의 임상적 특성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정신적 표현을 제공하고, 따라서 각 진단 범주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장기 기억력과 전달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한다.38

These positive results were explained by the authors of these studies in the light of conceptual coherence theory.38 Conceptual coherence theory posits that learning about the underlying causal mechanisms provides students with a coherent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clinical features of problems, and thus enhances long-term memory and transfer by making sense of the features of each diagnostic category.38


기초과학 지식을 analogies와 함께 가르치는 것은 임상 추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기본적인 과학 지식의 예를 가르치는 상식적인 analogies가 'transfer out'을 뒷받침했다.39 임상 문제에 대한 설명을 필요로 하는 즉각적인 시험에서, analogy를 활용하여 가르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좋은 성과를 보였다.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analogies demonstrated a positive effect on clinical reasoning. Particularly, commonsense analogies as teaching examples of basic science knowledge supported ‘transfer out’.39 Students taught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an analogy outperformed students taught basic science knowledge alone without analogies on immediate tests that required explanations of clinical problems.


여러 가지 관련 임상 문제를 연습하면서 기초 과학 지식을 가르치는 것도 이후에 'transfer out'를 촉진하였다.40 다양한 임상적 또는 전공별 맥락을 포함하여, 학생들이 기초 과학을 배우고 문제해결을 연습했을 때 임상 추론이 개선되었다. 임상추론 개선은 유사한 사례와 새로운 사례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the practice of multiple related clinical problems promoted subsequent ‘transfer out’.40 The explanation of clinical reasoning was improved when students learned basic science and practised solving problems, including in varied clinical or disciplinary contexts. This improvement in clinical reasoning was observed for both similar and new cases.


단일한 생의학 개념을 설명하는 문제와 다수의 생의학 개념을 언급한 문제 모두에서 효과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문제 맥락에서의 variability은 임상 추론을 강화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식별되었다.40

The variability in the contexts of problem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as its effect was observed in both problems that illustrated a single biomedical concept and those that referred to multiple biomedical concepts.40


다양한 맥락에서 복수의 문제를 연습하는 가치는 문제의 심층적인 개념적 생의학적 구조를 식별하고 후속 transfer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value of practice with multiple problems in a multitude of contexts may have helped in the identifying of the deep conceptual biomedical structure of the problems, and subsequently supported transfer.


한 연구에서는 'transfer in'에 대한 기초 과학 지식의 가치를 탐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새로운 관련 콘텐츠(미래 학습을 위한 준비)의 후속 학습을 촉진하는지 여부를 탐구함으로써 임상 기능의 기본 과학 인과 메커니즘 학습의 가치를 입증했다.20

A single study was identified as exploring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for ‘transfer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value of learning basic science causal mechanisms of clinical features by exploring whether they facilitate the subsequent learning of new related content (preparation for future learning).20


기존 평가는 임상적 추론에 대한 기초과학 지식의 가치를 파악하기에는 민감성이 부족할 수 있다.

Traditional assessments may lack the sensitivity to capture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비록 특별히 평가 전략을 비교한 연구는 없지만, 우리의 분석은 또한 전통적인 평가가 임상 추론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의 가치를 획득하기에 충분한 민감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단순 암기 시험의 성능에서 어떤 편익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임상 추론의 평가에서는 차이가 입증되었다.34–37,40 저자들이 단지 사실적 리콜에만 집중했다면, 기초 과학 훈련의 어떠한 장점도 포착되지 않았을 것이다.

Although no study specifically compared assessment strategies, our analysis also suggests that traditional assessments may lack sufficient sensitivity to capture the value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No benefit was observed in performance on rote memory tests, whereas differences were demonstrated in assessments of clinical reasoning.34–37,40 If the study authors had focused solely on factual recall, no advantages of basic science training would have been captured.



고찰

DISCUSSION


우리의 결과는 기초과학지식의 임상적 추론에 대한 transfer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이유가 있다. 

  • 첫째, 심리학적 개념으로서 transfer는 교육자와 연구자가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lens가 아닐 수 있다. 연구자들은 기초과학 지식이 미래의 임상 실습에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할 수 있지만, transfer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덜 명백할 수 있다. 

  • 둘째로, 기초 과학 교육(예: 과학적 추리, 연구 능력, 전문적 정체성 개발)과 관련된 목표의 다양성으로 인해 궁극적으로 교수진과 학생 모두에게 임상 추론과 실천에 대한 준비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 셋째, 기초과학지식의 임상적 추론에 대한 전이를 가르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육자들은 실천과 관련된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모든 기초과학 교육자가 임상적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 마지막으로, 기본 및 임상 과학의 통합에 대한 강조는 [전이]보다 [임상추론]으로 우리의 관심을 이동시켰을 수 있다.16 기본 및 임상 과학의 통합은 학습 목표일 뿐만 아니라 커리큘럼 전략이다.41 교육전략과 교육성과 간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transfer와 관련한 초점이 저하될 수 있다.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few studies designed to evaluate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There are several possible reasons for this. 

  • Firstly, transfer – as a psychological concept – may not be a lens through which education is typically considered by educators and researchers. Although investigators may agree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is important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they may be less explicit on whether a focus on transfer is desirable. 

  • Secondly, the multiplicity of objectives associated with basic science education (e.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research abilities, professional identity) might ultimately distract both faculty staff and students from preparation for clinical reasoning and practice. 

  • Thirdly, in order to teach and assess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educators must know what is relevant for practice. However, not every basic science educator will understand clinical relevance. 

  • Lastly, the emphasis on the integration of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may have shifted our attention away from the critical dimension of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16 Integration of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s a curricular strategy, as well as a learning goal.41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tructional strategy and the educational outcome is not made clear, the focus on transfer may suffer. 


사례로서 기초과학 지식을 흔한 analogy와 함께 가르치거나, 다수의 임상 문제를 연습해보는 것이 'transfer out'을 지원하였다. 이것은 중요한데, 임상추론에 기초과학적 개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먼저 문제를 그 문제와 관련있는 개념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와 [학습한 기초과학 개념] 사이의 유사성은 '깊은(개념적) 구조적 수준'에서 식별되어야 한다'8 (예를 들어, 유체 역학의 층류 흐름은 심혈관과 호흡 시스템 모두에서 식별될 수 있다39).

Teaching basic science knowledge with commonsense analogies as teaching examples,39 or with the practice of multiple related clinical problems supported ‘transfer out’.40 These studies shared a common characteristic: they emphasised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support transfer. This is critical because, to use a basic science concept in clinical reasoning, the trainee must first accurately categorise the problem as one that is appropriate to this concept.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blem and the known basic science concept ‘must be identified at the level of the deep (conceptual) structure’8 (e.g. laminar–turbulent flow in fluid dynamics can be identified in both the cardiovascular and the respiratory systems39).


교육적인 도전은 일반적으로 초보자들이 문제를 표면적 구조를 기반으로 식별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반면에 전문가들은 문제를 underlying principle로 본다. 8,42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초심자는 맥락과 표면 수준에서 주어진 단서들을 바탕으로 그것을 자신의 mental representation과 비교할 가능성이 더 높다. 문제의 표면적 representation은 misleading할 수 있고, 올바른 기본 과학 개념의 식별을 방해할 수 있다.39 예를 들어, 물리학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전문가들은 모멘텀의 보존을 확인했지만, 초심자는 경사진 평면과 같은 맥락적 세부 사항에 집중했다.43

The educational challenge arises because novices typically identify problems based on surface structures, whereas experts ‘see the problem as an underlying principle’.8,42 When encountering a new problem, a novice is more likely to compare it with his or her mental representation based on contextual and surface-level cues. The surface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can be misleading and can hamper the identification of the correct basic science concept.39 For example, faced with physics problems, experts identified conservation of the momentum, whereas novices focused on contextual details, such as an inclined plane.43


실천을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practice


기초과학에서 교육 관행을 개선하려면 다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교수개발은 이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가 확인한 교육 전략을 보급하는 데 필수적이다. 실제로, 기본 과학 지식을 임상 실습으로 전이하는 것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개인 교사의 역할이 성공에 필수적이다.5,6,44,45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 in the basic sciences requires a multifaceted approach.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ransfer and to disseminate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we have identified. Indeed, the role of individual teachers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practice.5,6,44,45


기초 및 임상 과학 교사 간의 긴밀한 협력은 

    • 기초 과학 교육의 목적을 명확히 결정하고(예: 임상 추리 또는 과학적 추론의 개발로 전이)

    • 의미 있는 기초과학 지식이 무엇인지 식별하며,

    • 영향impact을 포착할 수 있는 평가를 deliberate하게 생성하여, 전이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추론의 관련 dimension을 선택하게 해준다

Close collaboration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 teachers is foundational 

    • to the clear determination of the objectives of basic science education (e.g. transfer to clinical reasoning or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 to the identifying of meaningful practical basic science knowledge, and 

    • to the selection of relevant dimensions of clinical reasoning to assess transfer through the deliberate creation of assessments that can capture impact.


또한 커리큘럼 리더는 이러한 관행을 육성하는 데 필요한 커리큘럼 구조를 만들고 이러한 협업을 육성하고 보상하는 데 필요한 기관 지원과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45

Further, it is essential that curriculum leaders create the curricular structures needed to nurture these practices and ensure the institutional support and resources required to foster and reward this collaboration.45


연구를 위한 함의

Implications for research


이를 위해, 'transfer out'/'transfer in' 개념적 프레임워크18은 향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우리가 현재 조사하지 않는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전통적인 transfer out의 차원을 넘어 확장된다: , 즉, 기초과학 지식이 미래의 임상 콘텐츠의 학습과 임상 추론의 개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To this end, the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18 may present an important guide for future research. This framework extends beyond the traditional dimension of ‘transfer out’ to examine the issues we currently do not investigate, namely: how basic science knowledge may impact the future learning of clinic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2018 Jun;52(6):592-604. doi: 10.1111/medu.13519. Epub 2018 Feb 8.

critical narrative review of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astillo JM1,2,3,4Park YS3Harris I3Cheung JJH1,5Sood L3,6,7Clark MD3,8Kulasegaram K1,9Brydges R1,10Norman G11Woods N1,2.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2
Centre for Ambulatory Care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3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4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Nantes University, Nantes, France.
5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6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isconsin School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in Madison, Madison, Wisconsin, USA.
7
Aurora Health Care, Green Bay, Wisconsin, USA.
8
Library of the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9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10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11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Transfer' is the application of a previously learned concept to solve a new problem in another context. Transfer is essential for basic science education because, to be valuable, basic science knowledge must be transferred to clinical problem solving. Therefore,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ventions that enhance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is essential. This reviewsystematically identifies interventions describ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literature that document the transfer of basic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and considers teaching and assessment strategie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Articles related to basic science teach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in HPE were analysed using a 'transfer out'/'transfer in' conceptual framework. 'Transfer out'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developed in one learning situation to the solving of a new problem. 'Transfer in' refers to the use of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to learn from new problems or learning situations.

RESULTS:

Of 9803 articles initially identified, 627 studies were retrieved for full text evaluation; 15 were included in the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93% explored 'transfer out' to clinical reasoning and 7% (one article) explored 'transfer in'. Measures of 'transfer out' fostered by basicscience knowledge included diagnostic accuracy over time and in new clinical cases. Basic science knowledge supported learning - 'transferin' - of new related content and ultimately the 'transfer out' to diagnostic reasoning. Successful teaching strategies included the making of connections between basic and clinical sciences, the use of commonsense analogies, and the study of multiple clinical problems in multiple contexts. Performance on recall tests did not reflect the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CONCLUSIONS:

Transfer of basic science knowledge to clinical reason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HPE that requires further development for implementation and scholarship.

Comment in

PMID:
 
29417600
 
DOI:
 
10.1111/medu.13519
[Indexed for MEDLINE]


의료전문성 습득과 유지: Deliberate practice를 통한 전문가-수행능력 접근(Acad Med, 2015)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Medical Expertise: A Perspective From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K. Anders Ericsson, PhD




전문가-퍼포먼스(EP) 접근 방식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법은 

  1. 실제 세계에서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우수한 성과를 확인한 다음, 

  2. 이상적으로 실험실 검사를 위한 표준화된 작업을 통해 

  3. 퍼포먼스를 포착하고 재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음악, 발레, 스포츠, 체스와 같은 경쟁이 있는 영역에서,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난 성과를 내는 개인을 식별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다.4 대조적으로, K–12 교육, 심리 치료, 수술과 같은 인간의 훈련 및/또는 치료와 관련된 전문지식을 측정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 이러한 영역에서 개인에게 재현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객관적 척도를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proposes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reproducibly superior performance in the real world, and then to capture and reproduce this performance, ideally with standardized tasks for examination, in the laboratory.2,3 In domains with competitions—such as music, ballet, sports, and chess—identifying individuals whose performances are reproducibly superior is relatively simple.4 In contrast,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measure expertise when it involves the training and/or treatment of humans—such as in K–12 education, psychotherapy, and surgery. Identifying objective measures of reproducibly superior performance for individuals in these domains is challenging. 


이러한 영역의 객관적 성과는 일상 생활의 치료 결과에 의해 측정될 수 있지만,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

Objective performance in these domains can be measured by the outcomes of treatments in everyday life, but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necessary amount of outcome data is difficult.


치료받은 환자에 의한 사전 및 사후 평가의 차이에 기초한 심리치료사의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66.7 유방 재구성 및 수술과 같은 일부 의료 영역에서, 일부 치료의 경우, 가장 중요한 척도는 성공의 환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psychotherapists based on the difference of pre- and post- rating by treated patients is possible.6,7 In some domains of medicine, such as breast reconstructions8 and hand surgery,9 patient satisfaction ratings of outcomes serve as the most important measures to assess the success of medical treatments.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법은 신뢰성 있고 객관적이며 장기적인 결과를 요구한다. 수술에서 그러한 결과는 암의 재발률감소가 될 수 있다. 전문가 개개인 사이의 차이점을 이해하려면 수백 시간의 교육, 심리 치료, 수술에 대한 평균 결과 계산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한 엄청난 양의 행동 간 상호작용은 평균적 퍼포먼스에서 관찰된 개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특정 행동이나 행동에서의 차이를 식별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한다.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requires reliable, objective, long-term outcomes. In surgery, such outcomes may be reduced reoccurrence of cancers.13,14 Understand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professionals’ performance requires the calculation of average outcomes for many hundreds of hours of teaching, psychotherapy, and surgery. The associated massive amounts of behavioral interactions make it very difficult to identify differences in specific behaviors or actions that might account for the observed individual differences in average performance.


앞서 언급했듯이, 일부 영역(체스, 음악, 스포츠)에서는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내는 전문가를 확인하는 것이 간단하다.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된 전문 분야 중 하나는 체스이다. 체스 선수의 기술 수준은 체스 토너먼트에서의 승리와 패배에 의해 결정된다. 체스 등급이 다른 상대와의 약 20-40경기의 결과는 한 개인에 대한 정확한 체스 등급을 계산하는 데 필요하다.15 체스 경기를 완료하는 데는 100시간 이상의 체스 경기 또는 1,000회 이상의 체스 이동이 필요합니다. 체스 게임의 결과에 있어서 모든 체스 움직임이 똑같이 중요한 것은 아니므로, 어떤 움직임은 체스 선수 사이의 기술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다. 사실, 경기당 소수의 결정적 움직임만이 체스 등급이 낮은 선수들과 우수 선수들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전문지식 개발을 위한 훌륭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As mentioned, identifying experts with consistently superior outcomes is simpler in some domains (chess, music, sports). One of the most extensively researched domains of expertise is chess. A chess player’s skill level is determined by his or her wins and losses at chess tournaments; outcomes from some 20 to 40 matches against opponents with different chess ratings are necessary to compute an accurate chess rating for a single individual.15 To complete that number of chess matches takes over 100 hours of chess playing or over 1,000 chess moves. All chess moves are not equally important for outcomes of chess games; thus, some moves will not differentiate chess players with different skill levels. In fact, evidence shows that only a small number of critical moves per game will clearly distinguish superior players from those with lower chess ratings, offering a great opportunity for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세계 정상급 선수들은 체스 포지션을 광범위하게 탐구한 후 가장 좋은 움직임을 선택했다. 반면, 클럽 선수들은 더 많은 시간동안 생각하더라도 최고의 움직임을 고려조차 하지 않았다.

The world-class players picked the best move after exploring the chess position extensively—from half a minute to around 20 minutes, whereas the club players did not even consider the best move during their extended deliberation.


얼핏 보면 이런 유형의 테스트는 개방형 응답을 허용하는 의학의 환자 관리 시나리오와 유사하지만, 체스 연습게임은 실제 체스 게임과 정확히 동일한 반면, 환자 관리에 대한 key-feature problem은 의사들의 경험에 의해서 구성된다. 주요 특징 문제에 대한 정답은 합의를 통해 숙련된 의사들에 의해 검증되는 반면, 올바른 체스 움직임은 세계 정상급의 체스 선수들에 의해 결정되며, 더 최근에는 그들이 선택한 움직임에서 인간 선수들보다 훨씬 뛰어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의학에서 사례 관리 시나리오는 의대생과 직원의 최소 역량을 시험하도록 설계된 반면, 체스의 이동-선택 테스트는 regional에서 international 수준까지 체스 기술의 전체 스펙트럼에 걸친 실제 성과를 예측한다. 의학은 실제 환자의 실제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성과를 측정하려면 시험이 필요하다.

At a glance, this type of test might seem similar to patient management scenarios in medicine that allow open-ended answers,18 but the chess positions are exact duplicates from actual chess games, whereas the key-features problems for managing patients are constructed by experienced medical doctors. The correct answers for the key-features problems are validated by experienced medical doctors through consensus, whereas the correct chess moves are determined by world-class chess players and more recently by computer programs, which are vastly superior to human players in their move selection.19 Finally and most important, the case-management scenarios in medicine are designed to test medical students’ and personnel’s minimal competencies,18 whereas the move- selection tests are predictive of real-world performance across the whole spectrum of chess skill from regional to international level.17 Medicine requires tests, to measure performance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real-world outcomes of actual patients.


체스 선수들이 완성된 체스 경기를 분석하고 그들이 열등한 움직임을 선택했다는 것을 깨달을 때, 그들은 미래의 경기력을 향상시킬 기회를 갖게 된다. 체스 선수들은 많은 체스 포지션들의 움직임을 가장 잘 알려진 동작으로 선택함으로써, 처음 선택했을 때 낮은 동작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chess players analyze a completed chess match and realize that they have selected an inferior move, they have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future performance. By attempting to select moves for a large number of chess positions with known best moves, chess players can identify occasions when their initial selections led to inferior moves.


체스에서 할 수 있는 이러한 유형의 독학은 최상의 움직임을 가진 체스 포지션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체스 성능의 효과적인 학습과 향상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type of solitary study, using a library of chess positions with best moves, can provide an environment for effective learning and improvement of chess performance.


이러한 종류의 훈련이 선생님에 의해 감독되고 guide될 때, 그것은 "Deliberate practice (DP)"이라고 불립니다. 이것은 저와 제 동료들이 1993년에 소개한 개념입니다. 우리는 DP신중한 연습을 "반복과 연속적인 개선을 통해 개인의 수행의 특정 측면을 개선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개인화된 훈련 활동"으로 정의했고, "피드백을 통해 최대한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 개인들은 그들의 training을 최대한의 집중하여 모니터링하는데, 이는 많은 노력이 들기에 하루에 가능한 훈련 시간을 제한시키게 된다."

When this type of training is supervised and guided by a teacher, it is called “deliberate practice”—a concept my colleagues and I introduced in 1993.20 We defined deliberate practice as “the individualized training activities specially designed by a coach or teacher to improve specific aspects of an individual’s performance through repetition and successive refinement,”21(pp278–279) and we clarified that, “To receive maximal benefit from feedback, individuals have to monitor their training with full concentration, which is effortful and limits the duration of daily training.”21(p279)


DP신중한 연습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우리는 모두 같은 명문 국제 음악 학원에 다니는 바이올린 학생들의 발달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했다.20

To test for the effects of deliberate practice, we collected data on the development of violin students all attending the same prestigious international music academy.20


이 연구는 이 정도의 엘리트 수준의 수행능력을 보여주는 연주자들 사이에서조차, 혼자 하는 연습의 양이 중요한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들이 다른 두 그룹보다 더 많은 연습을 축적했습니다.20

This research showed that even at this elite level of performance, the amount of solitary practice accounted fo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more highly accomplished violinists had accumulated more practice than the other two groups.20


이 결과는 적어도 연구 당시 가장 높은 수준의 연기자들 중에서 타고난 재능이 유일한 결정적인 요소라는 견해와 모순된다.

This finding contradicted the view, common, at least at the time of the study, that among the highest levels of performers, innate talent was the only determining factor.


3가지 유형의 표상representations을 이용한 일련의 전문가 성과 개발

Development of Expert Performance as a Sequence of States With Three Types of Representations


전문가-성과 접근법은 한 도메인에서 개인의 성과가 점진적으로 발전한다고 가정한다.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assumes that an individual’s performance in a domain develops gradually


이러한 가정에 따라 최소한 원칙적으로 각 개인의 퍼포먼스 발달을 [안정된 수행능력 상태]의 ordered sequence라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그림 1 참조). 각 상태는 세 가지 유형의 표현과 상호연결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다른 표현은 전문 음악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그림 2).

According to this assumption, it should be possible, at least in principle,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s performance as an ordered sequence of stable states of performance (see Figure 1). Each state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three types of representations and their interconnections. These three different representations can be easily identified in expert musicians (Figure 2).




  • 첫 번째 유형의 정신 표현은 전문적인 음악가들이 음악을 연주하면서 만들어내고자 하는 특정 소리를 상상하게 합니다즉, 공공 콘서트를 준비함에 있어 전문적인 음악가들은 청중들을 위해 연주할 때 어떤 음악이 궁극적으로 어떤 소리를 낼지 상상할 것이다(그림 2의 표현 1 참조). 이와 동일한 표현(프레젠테이션 1)을 통해 음악가들은 음악을 연주하기 전에 원하는 부분의 소리를 형상화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대표자(그림 2)는 첫 번째 표현에서의 이미지를 [음악가의 연주를 듣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을 수 있는 행동]으로 표현하려고 합니다. 

  • 세 번째이자 마지막 대표자(그림 2의 3번 대표)는 전문 음악가들이 현재 연주하면서 그들의 연주가 어떻게 들리는지 들을 수 있도록 한. 음악의 야심찬 표현(프레젠테이션 1)과 음악의 실제 표현(프레젠테이션 3) 사이의 불일치는 전문적인 음악가들에게 다음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 집중 연습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차이를 식별하고, 그런 다음, 결국 원하는 표현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를 만들어냅니다.

  • The first type of mental representation allows expert musicians to image the particular sounds that they want to attain while playing a piece—that is, in preparing for a public concert, expert musicians will image what a piece of music will eventually sound like when they perform it for an audience (see Representation 1 in Figure 2). This same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1) allows musicians to form an image of the desired sound of a part of the piece before they play it. 

  • The second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2 in Figure 2) attempts to translate the image in the first representation into actions which result in music that anyone listening to the musician’s performance can hear. 

  • The third and final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3 in Figure 2) permits expert musicians to listen to what their current performance sounds like as they are playing. Any discrepancy between the aspired expression of music (Representation 1) and the actual expression of music (Representation 3) allows expert musicians, first, to identify differences, which they can reduce by focused practice, and then, eventually to produce an approximate realization of the aspired expression.






물론 세부적인 인지 과정과 연습 활동은 전문 영역(예: 체스, 음악, 스포츠, 교육, 수술)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인 원칙은 남는다: 전문가 수준을 지향하는 성과자는 퍼포먼스의 특정 측면을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교육 활동 뿐만 아니라 그것을 퍼포먼스의 다른 모든 측면과도 통합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포부가 있는 전문가들이 한 가지 성과를 개선하고 숙달했을 때, 그들은 다른 개선가능한 측면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e detailed cognitive processes and practice activities will, of course, differ across domains of expertise (e.g., chess, music, sports, teaching, surgery), but the general principle remains: Performers aspiring to expert levels must engage in training activities that are not only designed to improve particular aspects of performance but are also integrated with all the other aspects of performance. When aspiring experts have improved and mastered one aspect of performance, they must then direct their attention to other improvable aspects. 


제 동료들과 저는 음악분야에서 전문적인 연주가 발전하는 것을 설명하거나 묘사하기 위한 체계를 제안했습니다. Bloom의 발견과 일관되게,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악기 연주의 시작을 포함한다. 우리는 악기 연주가 적어도 처음에 부모나 전문 선생님에 의한 가르침과 거의 항상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악기의 초기 연주를 명확하게 확인한다. 어떤 사전 훈련 없이 즐거운 음악을 만들어 내는 것은 어려운 반면, 어린이조차도 아무런 지시 없이 시행착오를 통해 공을 차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악기를 배우는 아이들의 집중적인 연습 시간은 하루에 10분에서 20분 정도로 비교적 짧을 것을 권장하며, 따라서 어린이가 연습 바깥에서 engage in play할 수 있다.

My colleagues and I proposed a framework for explaining or illustrating the development of expert performance in music.20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Bloom,22 our framework includes the start of playing an instrument. We explicitly identify the initial playing of an instrument because playing an instrument is nearly always linked to, at least in the beginning, instruction by a parent or professional teacher.20 Producing enjoyable music without any prior training is difficult, whereas even a child can learn to kick a ball by trial and error without any instruction. The duration of focused practice for children learning an instrument is recommended to be relatively short, around 10 to 20 minutes per day, allowing the child to engage in play outside of practice.


정기적인 연습의 시작 단계 동안, 부모들은 아이들이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여 그들의 성과를 향상시키도록 돕는다. 결국 이 야심찬 음악가들은 그들 자신의 연주 소리를 듣고 스스로 어떤 문제를 발견할 수 있게 해주는 그들 자신의 정신적 표현을 얻게 될 것이다. 하지만, 처음에는 대부분의 젊은 음악가들이 그들 자신의 음악의 소리를 듣는 능력이 부족하다.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강사가 없다면, 비디오 연습 세션을 분석하는 연구에서 보여지듯이, 초심자들은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 하게 된다.

During the beginning phases of regular practice, parents help the children to detect errors and make corrections and, thus, improve their performance. Eventually the aspiring musicians will acquire their own mental representations that permit them to hear the sounds of their own playing and detect any problems by themselves.2 Initially, however, the majority of young musicians lack the ability to hear the sounds of their own music. Without an instructor to help them identify and correct problems, beginners end up just playing the same mistakes over and over, as shown by studies analyzing videotaped practice sessions.23


게다가, 사람이 만들어내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은 계속해서 노력하고 발전하려는 동기부여에 중요하다. 

Additionally, the ability to listen to the music that one produces is critical for the motivation to keep striving to improve. 


요약하자면, DP신중한 연습(그림 1의 중간 부분 참조)은 advanced 학생(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음악 학교의 학생 등)이 연습 활동에 대한 교사 권고 사항(훈련 과제)을 따를 때 발생한다. 즉, 다음을 가정해야 한다.

  • 학생들이 현재의 연습 목표(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최대한의 집중력을 발휘하며, 

  • 학생들이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거나 스스로 생성하며, 

  • 훈련 과제가 반복할 기회를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To summarize, deliberate practice20 (see middle part of Figure 1) occurs when advanced students (such as those at an internationally acclaimed music school) follow their teachers’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ctivities (training tasks)— assuming, that is, that the students practice with full concentration toward the current practice objectives (training goals); that the students receive or self- generate immediate feedback; and that the training tasks offer opportunities to make repetitions with gradual improvements (structure of practice).


중요한 것은, 어떤 영역에서든 훌륭한 교사는 학생들이 다음과 같은 정신적 표현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 학생들은 결국 대부분의 스스로 자신의 선생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고, 

  • 자신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고,

  • 그리고 결국에는 자신의 연습 목표를 설계하고, 

  • 점점 더 자신의 퍼포먼스를 이미지화, 모니터링, 정교화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Importantly, an excellent teacher in any domain helps his or her students develop their own mental representations such that the students can eventually take on most of the teacher roles, evaluating their own performance and even, eventually, designing their own practice goals and being able to increasingly image, monitor, and refine their own performance.


저와 제 동료가 50~70세의 전문 피아니스트들을 20대의 젊은 피아니스트와 비교했을 때, 두 가지 흥미로운 결과를 발견했습니다. 

  • 노화를 연구하기 위해 고안된 실험실 업무(예: 빠른 선택, 문자의 빠른 치환)에 대해서는, 나이든 전문가들은 젊은 전문가들보다 훨씬 더 나쁜 성과를 거두었고, 연령에 맞는 아마추어 피아니스트 그룹의 성과와 일치시켰다. 

  • 가장 흥미로운 것은, 우리가 모든 젊은 피아니스트와 나이든 피아니스트들을 음악적으로 관련된 작업에 대해 실험했을 때, 우리는 다시 한 번 나이든 피아니스트들 사이에서 퍼포먼스 저하를 관찰했습니다. 우리는 이 감소가, 어떤 나이든 피아니스트에 대해서는, 저하가 멈추거나, 주간 연습을 통해서 저하 정도가 줄어든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통계적으로) 유지 연습의 양(주간 연습시간)을 통제했을 때, 더 이상 나이 차이는 중요하지 않았다.29

When my colleague and I29 compared expert pianists ranging in age from 50 to 70 years old with young expert pianists in their 20s, we found two interesting results. Using laboratory tasks designed for research on aging (e.g., speeded choices, speeded substitution of digits for letters), the older experts performed much worse than the young experts and matched the performance of a group of amateur pianists matched for age.29 Most interestingly, when we tested all young and old pianists on musically relevant tasks, we again observed a reduction in performance among the older expert pianists; we found that, for some older pianists, this decrement was associated with stopped or at least reduced engagement in weekly practice. The age differences were no longer significant when we controlled (statistically) for the amount of maintained practice (weekly hours of practice alone).29


보다 일반적으로, 퍼포먼스 리뷰에 따르면 타이핑이나 파일럿과 같은 활동에서, 스킬은 연습을 중단한 이후 시간의 함수에 따라 소멸해간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의 한 연구에서 나온 증거는 1년 혹은 그 이상 동안 크로스워드들을 푸는 것을 멈출 경우 크로스워드 대회에서의 성과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스포츠에서 나온 많은 증거들은 훈련의 완전한 중단뿐만 아니라 연습의 강도의 감소도 스포츠 수행의 생리적인 적응과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매주 높은 수준의 연습을 하는 60세에서 70세 이상의 마스터 선수들이 달성한 높은 수준의 성과는 주목할 만하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높은 수준의 성과를 유지하는 데 있어 평생 동안 계속되는 연습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문가 성과에서 나이와 관련된 저하는 연습량의 감소에 의해 매개된다.

More generally, a review of performance shows that skill in activities, such as typing and flying airplanes, decays as a function of the length of time since the cessation of practice.30 Evidence from one recent study shows that taking a break from solving crosswords for a year or more reduces a puzzler’s performance in crossword competitions.31 Also, a large body of evidence from sports shows that reductions in the intensity of practice, as well as complete cessation of training, lead to decreased physiological adaptations and decrements in sports performance.32 The high level of performance attained by master athletes over the age of 60 and even 70 who, importantly, engage in high levels of practice weekly is remarkable.33 Collectively, these findings imply that continued practice during one’s life is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a high level of performance, and that the age-related declines in expert performance are mediated by reduced engagement in practice.34


의료분야에 전문가 성과 접근방법 및 DP의 적용

Applying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and Deliberate Practice to Medicine


어떻게 하면 DP을 통해 전문적인 수행의 이론적 틀을 음악에서 의학으로 성공적으로 transfer할 수 있을지는 분명하지 않다. 아이들은 종종 전문적인 음악가가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음악계에 들어온다. 학생들의 능력을 점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각 악기의 커리큘럼은 첫 10년에서 15년의 수업을 지배한다. 처음부터 음악 학생들은 가족과 친구들 앞에서 공연하도록 격려 받는다. 더 높은 수준의 기술에서는 관객 앞에서 더 복잡한 음악을 연주한다. 선생님들뿐만 아니라 대중 공연을 듣는 다른 음악가들로부터도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들이 많다.

How to successfully transfer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expert performance with deliberate practice from music to medicine is not obvious. Children are often introduced to the domain of music with the idea that they might become expert musicians. A curriculum for each instrument, designed to gradually improve students’ skills, governs the first 10 to 15 years of i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music students are encouraged to perform in front of family and friends; at higher levels of skill, they perform more complex pieces in front of audiences. Opportunities for feedback from not only teachers, but also other musicians who listen to public performances, abound.


대조적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미래의 의사들은 일반적으로 K-12 교육에 첫 13년을 소비한다. 그리고 4년을 더 보내면서 학사 학위를 따고 자연 과학을 공부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완전한 임상 훈련은 임상실습이 있는 의과대학 3학년 때까지 시작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시점이 되어서야 학생들은 전공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시작한다(예: 수술, 정신과, 영상의학과, 소아과). 이 임상 훈련과 전문화는 진단에 관한 전문적 기술을 습득하고 특정 의료 절차의 실행을 시작하는 것에 해당한다.

In stark contrast,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future medical doctors typically spend the first 13 years of learning in general K–12 education, and then they spend another 4 years acquiring a bachelor’s degree, often studying natural science. Traditionally, full clinical training does not begin until the third year of medical school with clerkship, and only at this point do students begin to make decisions about specializing (e.g., in surgery, psychiatry, radiology, or pediatrics). This clinical training and specialization corresponds to the beginning of acquiring specialized skills in diagnosis and the execution of specific medical procedures.


의학 훈련은 전통적으로 먼저 이론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그 다음에는 퍼포먼스가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실제 상황에서의 실제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의학 분야에서는 지식에 대한 전통적인 초점과 신중한 연습을 통한 점진적인 기술 습득에 대한 무시neglect는 "한번 보고, 한번 해보고, 가르친다"는 잘 알려진 속담이 대표적으로 잘 보여준다. 이 격언은 의료 훈련생이 새로운 절차를 사실상 즉각적으로 숙지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고전적인 수술에 대한 광범위한 훈련에도 불구하고, 경험이 많은 외과의들의 학습 곡선은 typical했다. 즉, 복강경 수술에서 중요한 오차의 감소는 얼마나 많은 수술 경험이 있느냐의 함수였다.36

Training in medicine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acquiring, first, theoretical knowledge and, then, actual experience in real-world situations, where performance has consequences for patients. In the domain of medicine, the traditional focus on knowledge and neglect of gradual skill acquisition through deliberate practice is exemplified by the well-known saying about learning and performing medical procedures, “See one, do one, teach one.” This adage implies virtually instantaneous mastery of new procedures among medically trained individuals; however, In spite of extensive training in classical surgery, the learning curves of the experienced surgeons were typical: the reduction of significant errors in laparoscopic surgery wa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completed procedures.36


단순히 절차를 보기만 하는 것이 비효율적인 것처럼, CME 강의와 전문적 경험의 축적도 마찬가지입니다. CME 강의에 참석하는 것은 참여 의사들의 실제 진료에 있어 의미 있는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한 리뷰의 결과였다.37 이와 유사하게, 다른 연구 38,39에서는 supervised training 이후의 경험 축적은 지속적인 편익을 보여주지 않았다.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시작한 첫 해 동안의 초기 경험에서 얻는 일부 이익 외에, 추가적인 전문 경험에서 얻은 임상적 판단력 향상은 매우 제한적이었다.40

Just as simply watching a procedure is ineffective, so too are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lectures and accumulated hou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A review showed that attending CME lectures did not effect any meaningful changes in participating doctors’ actual practice.37 Similarly, other research38,39 has not shown sustained benefits of longer professional experience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after completing supervised training. Beyond some gains from the initial experience during the first years of independent practice, benefits for improved judgment from additional professional experience are very limited.40


추가적 임상 경험이 성능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실제 환경에서 특정 유형의 경험이 얼마나 available한가는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통제 밖에 있다.

There are several reasons that additional professional experience does not seem to improve performance. Availability of particular types of experience in real-world settings is typically not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er;


레지던트에게는 상사의 조언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지만, 독립적한 임상의는 그러한 기회를 가질 가능성이 낮다. 보다 잘 설계된 학습 환경41(연수생과 실무자 모두)에서 적극적인 피드백을 구하는 것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Supervisor는 레지던트가 designed practice를 통해 자신의 성과를 적절히 바꿔나갈 수 있도록 개인화된 특정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권장하고 훈련해야 한다.

Medical residents enjoy the possibility of seeking advice and feedback from their supervisors, but clinicians in independent practice are less likely to have the same opportunity. Actively seeking feedback needs to be supported by better-designed learning environments41—for trainees and those in practice alike. Supervisors should be encouraged and trained to give specific individualized feedback that allows the resident to make appropriate changes to his or her performance through designed practice42;


그러나 상급자가 겪는 한 가지 어려움은 환자가 최종 진단을 받고, 치료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trainee에게 완전히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유감스럽게도 이 기간은 며칠, 몇 주, 몇 개월 또는 심지어 몇 년이 걸릴 수 있다.

however, one challenge for supervisors is that they cannot give trainees completely accurate feedback until patients have been assigned a final diagnosis and treatments have been completed, which could, regrettably, take days, weeks, months, or even years.


전문가들이 훈련생들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한 가지 혁신은 시뮬레이션이다.

One innovation through which experts can give feedback to trainees is simulation.


20세기 기술 발전은 비행기 조종사와 중요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훈련시키는 시뮬레이터를 설계할 가능성을 제공했다(예: 원자로 운전사, 열차 운전사).

Developments in technology during the 20th century afforded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simulators for training airplane pilots and others with critical jobs (e.g., operators of nuclear reactors, drivers of trains).


결과는 시뮬레이터가 실제 상황의 중요한 지각 및 제어 특성을 기능적으로 대표하기represent 위해서는 목표 기술을 신중하게 분석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findings indicate that the target skill must be analyzed carefully to ensure that the simulator functionally represents the critical perceptual and control characteristics of real-world situations.


지난 수십 년 동안 의학에서 시뮬레이터의 사용이 현저하게 진보했다.

The last several decades have witnessed remarkable advances in the use of simulators in medicine.


혁신적인 리뷰에서 Issenberg와 동료 48은 어떤 특정 교육 조건이 이전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학습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시뮬레이터 외부에서 절차의 성능 향상과 관련됨). 

  • 효과적이고 전이가능한transferable 학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명확한 성과 목표를 갖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 즉각적이고 정확한 피드백을 받고 할당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였다. 

후속 검토에서 저자들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보이는 이러한 요소들이 DP의 요소들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또한 각 훈련자가 숙달된 성과와 관련하여 사전에 정의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시뮬레이터에서의 훈련이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9

In a groundbreaking review, Issenberg and colleagues48 analyzed learning outcome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in an effort to assess which particular training conditions were transferable (i.e., associated with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ocedures outside the simulator).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effective, transferable learning was linked to having explicit performance goals. Receiving immediate, accurate feedback and repeatedly performing the assigned task were also vital elements. In a subsequent review,49 these authors argued that these elements, shown to be essential for effective learning, corresponded to the elements of deliberate practice. They also argued that training in the simulator must be extended until each trainee reaches a predefined level of performance associated with mastery.49


또 다른 포괄적 검토의 저자들은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최선의 교육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고 말했다.

  • "분산 연습, 구조화 연습, DP", 

  • "피드백을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 

  • 객관적 훈련 목표

매우 최근의 리뷰 작성자들은 이러한 유형의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 학습이 전통적인 의학 교육에 비해 향상된 학습과 관련이 있다는 것과 (예: 진료소에서의 강의실 교육 및 감독 성과) 환자 치료 및 건강 개선과 같은 임상 결과로의 중요한 transfer를 가져온다고 확인했다..

Authors of another, comprehensive review determined that medical education using simulators embraces best teaching practices: “distributed, structured, and deliberate practice,”51(p336) “appropriate mechanisms for feedback,”51(p336) and objective training goals. Authors of a very recent review52 found that this type of simulation- based mastery learning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learning compared with traditional medical education (i.e., classroom instruction and supervised performance in clinics) and results in significant transfer to clinical outcomes, such as improved patient care and health.




Mastery learning과 차별화되는 DP를 활용한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법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as Distinct From Mastery Learning


DP은 mastery learning과는 다르다. mastery learning의 개념과 실천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시작하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핵심 아이디어는 K–12 학생들이 같은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학생에게 어떤 주제를 숙달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줌으로써, 다음 교육 주제로 이동할 때 모든 학생은 필수 조건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deliberate practice, is distinct from mastery learning. The concept and practice of mastery learning has a long history, beginning in the 1920s and 1930s.53 The central idea is that K–12 students are able to attain the same learning goals, but require different amounts of time to do so.54 Giving all students enough time to master a topic or skill (as determined by meeting some predefined test score) ensures that all students have the same or similar mastery of the prerequisites when they move on to the next educational topic.


이 mastery learning 개념은 일반 K–12 교육처럼, 학생이 advanced 과정을 위한 사전 요건으로 특정 지식과 기술 필수 조건을 숙달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학습 기술이 점진적으로 복잡해지는 순차적 커리큘럼 내에서 의미가 있다.

The mastery concept makes sense within a sequential curriculum for learning skills of increasing complexity, such as in general K–12 education, which requires students to master specified knowledge and skill prerequisites to be prepared for more advanced courses


의학의 경우 의과대학에서의 훈련은 이후에 어떤 전공을 선택하든지와 무관하게 미래의 training을 위한 것이다. CME가 의료실무에 아주 작은 영향을 미칠 뿐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그리고 첫 해 이후의 임상경험 축적은 퍼포먼스 향상에 미미한 영향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현재 의학교육의 효과가 의료 전문가의 능력을 개발하는 데 적합한지 의문을 품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medicine, the training in medical school prepares students for further training in any medical specialty. Given that continued professional education has only a very modest impact on clinical practice37 and the accumulation of professional experience beyond the first years has only a small effect of performance,38–40 one might question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medical education is optimal for developing performance of medical professionals.


DP를 통한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방식은 많은 점에서 일반 교육의 반대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교육은 훈련과 경험을 통해서 기대하는 특정 최종 제품에 집중함으로써 시작되기 때문이다. 즉, 외과의사 또는 영상의학 전문의와 같은 의료 전문가의 대표적인 목표 성과는 동료보다 우수한 환자 성과를 내는 것이다.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is in many respects the opposite of general education because it starts by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particular desired end product of training and experience—namely, the representative target performance of medical specialists, such as surgeons or radiologists who have patient outcomes that are superior to their peers.


mastery learning에 대한 몇 가지 기준은 deliberate practice을 위한 몇 가지 선행 조건들과 일치한다. 여기에는 

  • 련에 대한 명확한 목표의 중요성, 

  • 즉각적이고 정확하며 상세한 피드백에 대한 접근, 그리고 

  • 전 지정된 성과를 달성할 때까지 반복과 연습의 기회가 포함된다. 

Several of the criteria for mastery learning55 are consistent with some of the prerequisites for deliberate practice; these include 

  • the importance of an explicit goal for training; 

  • access to immediate, accurate, and detailed feedback; and 

  • opportunities for repetition and practice until a prespecified level of performance has been attained. 


mastery learning에서 학습은 거의 전적으로 학습자가 특정 기준 시험에서 획득한 성과에 의해 평가된다.

In mastery learning, learning is evaluated almost entirely by the learner’s attained performance on the specified criterion test.


마스터 학습은 행동주의의 이론적 프레임워크 내에서 개발되었으며, 따라서 습득한 성과를 중재하는 인지적 프로세스를 평가하지 않는다. 이와 직접적인 대조를 이루는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법은 사고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작업이 포함되며, [개선된 성과를 최종 전문가 성과와 관련된 다른 기술 및 지식과 조정 및 통합하는 방법]을 평가하는 것이 포함된다.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법에서, [다양한 기술의 성공적인 통합과 지속적인 정교화]는 높은(전문가) 수준의 복잡한 성능 개발을 위한 핵심이다.

Mastery learning was developed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behaviorism and thus does not entail assessing the cognitive processes mediating the acquired performance. In direct contrast,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includes an attempt to assess participants’ thought processes and involves evaluating how the improved performance is mediated through and integrated with other skills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final or target superior professional performance. For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the successful integration and continued refinement of different skills provide the keys to the development of high (expert) levels of complex performance.


인지적 표현을 획득하여 치료한 전문가 성과 예제로서의 수술

Surgery as an Example of Expert Performance Mediated by Acquired Cognitive Representations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법에 따르면, 특정 영역의 전문가 성과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서 

  • 첫 번째 목표는 실제 맥락에서 재현할 수 있는 뛰어난 성과를 식별하는 것이다. 

  • 다음 단계는 그러한 맥락에서 이 성과를 연구하거나, 실험실에서의 대표적 작업을 통해 성능을 포착하여, 우수한 성과를 반복적으로 재현하여, 매개 특성과 정신 표현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마지막 단계에는 잠재적인 전문가에 대한 관련 인지 표현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만드는 것이 포함된다.

According to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 the first goal in the scientific study of expert performance in a particular domain is to identify reproducibly superior performance in authentic contexts. 

  • The next step is either to study this performance in that context or, ideally, to capture the performance through representative tasks in the laboratory so that the superior performance can be repeatedly reproduced so as to identify its mediating characteristics and, in particular, its acquired mental representations. 

  • The final step involves creating training methods that can develop the associated cognitive representations in potential experts effectively.


수술 전문가의 퍼포먼스 파악

Identifying expert performance in surgery


특정 의학 전문 분야에 대한 활동을 찾는 것은 쉽지 않으나, 한 가지 좋은 예시는 암 수술 성과에 대한 가능한 관심사항을 살펴보는 것이다 

It is not easy to find activities for specific medical specialties, One of the best examples, however, where this link is possible concerns outcomes of cancer surgery.


특히 두 가지 관련 연구에서 비커스와 동료13,14는 환자 성과가 특정 절차에 대한 외과의사 경험의 함수로 점차 개선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two particularly relevant studies, Vickers and colleagues13,14 show that patient outcomes gradually improve as a function of the surgeons’ experience with a particular procedure.


더 많은 경험의 함수로써 수술 결과의 이러한 개선은 수술의 독특한 특징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여러 의료행위와 달리, 외과의사들은 수술 중 실수나 예상치 못한 다른 문제들로부터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는다. 또한 수술 후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환자가 수술 후 치료를 받는 동안 외과의사는 문제를 진단할 기회를 자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관련 문제의 원인에 대한 즉각적인 수정 수술과 피드백이 필요할 수도 있다.

These improvements in surgical outcomes as a function of more experience are likely related to unique characteristics of surgery. Unlike many other medical activities, the surgeons receive immediate feedback from mistakes and other unexpected problems during surgery. Further, during the subsequent hours or days the patient is in postoperative care, the surgeon often has the opportunity to diagnose problems, which might even lead to the need for immediate corrective surgery and feedback about the cause of the associated problems.


외과의사의 성과를 중재하는 인지 과정

Cognitive processes that mediate surgeons’ superior performance


기존의 기술 습득 이론과 마찬가지로, 전문가의 성과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전문가는 퍼포먼스를 자동화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 전통적인 이론에 따르면, 전문가의 성과는 주로 직관에 의해 이끌어진다. 이 아이디어는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한 연구에서, 조사관들은 8명의 외과의사에게 복강경 수술 전, 중, 그리고 복강경 수술 후에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에 대해 일반적인 질문을 했다.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결론은 외과의사들이 간단한 규칙을 가지고는 가장 간단한 사례만을 수술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직관은 외과의사들의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A common view of experts’ performance, in line with traditional theories of skill acquisition, is that the experts have automated their performance56,57; thus, experts’ performance, according to some traditional theories, is guided primarily by intuition.58,59 This idea is testable: In one recent study,60 investigators asked eight surgeons general questions about their decision making before, during, and after laparoscopic surgeries. Probably the most interesting conclusion was that surgeons reported that they could execute only the most straightforward cases according to simple rules. In other words, intuition did not drive the surgeons’ performance.


다른 연구에서, (수술 완료 후 즉시 수집된 사고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했다) 경험이 많은 외과의사들은 그들이 불일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수술 기획, 계획 실행, 수술 감시를 위한 정교한 표현refined representation을 획득했다는 가설을 명백하게 뒷받침한다.

In another study, The findings—based on information about thought processes collected immediately after a completed surgery62—clearl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experienced surgeons have acquired refined representations for planning surgery, implementing the plan, and monitoring the surgery so they can detect mismatches.


이러한 발견과 일관되게, 과거 수술에서 몇 달 또는 몇 년이 지연된 후 리콜된 사고에 대한 보고는 신뢰할 수 없다.—중간기간에 잊어버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Consistent with these findings, reports of recalled thinking during past surgeries after a delay of months or years are unreliable—most likely because of forgetting in the interim period.


전문가들은 사고하기 보다는engage in thinking, 패턴을 즉각적으로 인지한다는 전제를 뒷받침하는 관련 근거는 일부 전문가들로부터 나온 것이며, 이 전문가들은 performing하는 동안 thinking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56–59 이러한 보고서는 특히 경기 후 인터뷰를 한 운동선수들이 단순히 (직관적으로) 옳다고 느끼는 대로 했다고 보고하는 스포츠에서 자주 나타난다.63

A related body of evidence supporting the premise that experts immediately recognize patterns, rather than engage in thinking, comes from some experts themselves, who report that they were not thinking while performing.56–59 These reports are particularly frequent in sports, where athletes, who are interviewed after a competition, often report simply doing what felt right.63


또 다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축구선수들에게 비디오를 보여주다가 예기치 않게 테이프를 멈춘 뒤 스크린을 가렸다. 그리고서는 선수들이 다른 축구 선수들이 경기장에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기억하는 능력을 연구했다. 결과는 덜 숙련된 축구 선수들보다 더 숙련된 축구 선수들에게 훨씬 뛰어났다. 이 두 연구의 결과는 더 많은 숙련되고 전문적인 수행자들이 주어진 상황에 대해 더 유용하고 보고 가능한 정보를 더 많이 추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In another study, investigators “occluded” soccer players’ vision while the players were watching a video of a soccer game by unexpectedly stopping the tape and blanking the screen.65 They found that the players’ ability to accurately recall where the other relevant soccer players were on the field and where they were heading was significantly superior for more-skilled soccer players than less skilled.65 Investigators in both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more-skilled and expert performers had extracted more useful and reportable information about the given situation.


연구자들은 유사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의 중요한 세부사항(상황 인식)을 상기하거나 스포츠 이외의 영역에서 핵심 데이터가 제거된 후, 그 상황에 대한 전문가의 정신적 표현mental representation을 평가하였다.66

Investigators have used this methodology to assess experts’ ability to recall salient details of a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situation awareness) or to assess their mental representations of a situation after key data have been removed in domains other than sports.66


수술에서의 상황 인식situation awareness에 대한 연구는 숙련된 외과의사들이 수술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정보의 이상적인 표현(2번 프리젠테이션)에 더 잘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황 인식situation awareness은 전화 통화와 같은 외부 간섭이 수술을 방해할 때 감소해야 한다.

Studies of situation awareness in surgery show that more-skilled surgeons are better able to access the ideal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2) relevant to the current state of the surgery. Situation awareness should decrease when external interference, such as a telephone call, interrupts a surgery.


복강경 시술 중 수술 오류를 분석한 결과, injury가 발생하는 경우는 기술적 오류보다는 해부학적 구조를 잘못 인지했기 때문이었으며, 이는 외과의사들이 부적절한 정신 표현을 발달시켰음을 지칭한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다른 전문분야의 외과의사들은 그들이 그들의 관심을 증가시켰을 때 수술 중 중요한 부분에서 행동이 둔화되거나 심지어 중지되었다고 보고했다. 이 연구는 또한 외과의사들이 소위 "간편한" 수술 동안 그들의 주의와 상황 인식을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수술들이 near miss 또는 error와 관련이 있다는 증거를 보고했다. 마찬가지로, 반과 동료들은 "시니어 외과의사들은 실수를 범하기 더 쉽다"고 주장했다. 요컨대,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숙련된 외과의사의 일부 표준 수술에서 자동적인 습관적 프로세싱(낮은 상황 인식)을 하고 있음을 뒷받침한다.

An analysis of surgical errors during a particular laparoscopic procedure showed that the injuries were due to mispercep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rather than technical errors, indicating that surgeons had developed an inadequate mental representation.70 According to another study,71 surgeons of different specialties reported slowing or even halting action at critical points during the surgery when they increased their attention. This study also reported evidence that surgeons decreased their attention and situation awareness during so-called “easy” operations and that these surgeries were associated with near misses or errors.71 Similarly, Bann and colleagues72(p414) have argued that “senior surgeons are more prone to slips and lapses.” In sum, findings from these studies70,72 support the idea of automatic habitual processing (low situation awareness) in some standard surgeries by experienced surgeons;


그러나, 나는 이러한 종류의 처리processing는 전문지식의 표시가 아니라 오류의 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주의 감소reduced attention의 표시라고 생각한다. 다른 전문적 퍼포먼스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경험 있는 외과의사가 우수한 퍼포먼스를 보이는 것은 그들이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비하고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을 신중하게 고려할 수 있도록 수술 상태를 계획, 실행 및 모니터링하는 정교한 표현refined representation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however, I argue that this type of processing is not a sign of expertise but, rather, a sign of reduced attention that may be leading to an increased risk of error. Consistent with research on expert performance, the superior performance of experienced surgeons is associated with refined representations to plan, to execute, and to monitor surgical states, which allows these surgeons to be prepared for unexpected outcomes and carefully consider the best solutions to problem situations.2,24


정신 표현 개발 및 정제: 교육에 대한 시사점

Developing and refining mental representations: Implications for training


수술 계획, 실행 및 모니터링에서 언급할 수 있는 정신 표현 발달의 증거는 학습자가 이러한 표현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하는 데 어떻게 교육이 설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여러 연구 결과는 수술실 외부에서 진행되는 훈련이 가질 수 있는 잠재적 편익을 뒷받침한다.

The evidence for developing mental representations to refer to in planning for, executing, and monitoring surgeries raises questions about how training might be designed to help learners develop these representations more effectively. Several findings support the potential benefits of training outside the operating room.


요컨대,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신표현의 존재와 수술실 밖에서 이들을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지원하는데, 이것은 그들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의료 교육을 설계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In sum, these findings support the existence of mental representations and the ability to access them outside the operating room, which has implications for designing medical education to support their development.


임상 강사들이 이전 수술의 비디오를 검토하고, 특별히 관련된 상황의 기록을 추출하여, 이러한 기록을 라이브러리에 저장할 수 있다면, 훈련생들에게 해부학적 구조를 식별하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If clinical instructors were able to review videos of prior surgeries, extract recordings of particularly relevant situations, and store these recordings in a library, they would be able to develop in trainees the ability to identify anatomical structures.


현재 수술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피드백 루프 생성

Creating feedback loops that allow for improvements of current surgery performance


의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발전 중 하나는 수술 중 훈련생들의 행동을 주의 깊게 기록하여 near miss와 mistakes를 식별하려는 현재의 노력이다.

One of the most interesting developments in medicine is the current effort to carefully document a trainee’s behavior during surgery to identify near misses and mistakes.


한 사례 연구에서 마크 번스타인이라는 캐나다 신경외과의사는 그가 2000년부터 2006년 5월까지 수행한 모든 선택적인 수술 후 컴퓨터에 모든 오류를 기록하고 입력하기 위해 그의 팀과 함께 일했고 (n = 1,000 이상) 그의 이후까지 계속했다.전기의 2차 기간 동안 오류와 관련된 합병증의 평균 수는 50% 이상 감소했다. 이러한 오류 감소(특히 기록(2001-2002)의 첫 해)오류를 기록하는 데 주의를 기울이는 단순한 행동이 이후의 오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one case study, a Canadian neurosurgeon named Mark Bernstein worked with his team to record and enter all errors into a computer after every elective surgery he performed (n = over 1,000) from 2000 to 2006.75 Bernstein continued to record his errors from August 2006 to May 2013,76 and the error rates associated with this latter period were compared with the earlier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errors and error-related complications fell by over 50% during the second period. This reduction in errors, especially during the first years of recording (2001–2002), suggests that the mere act of attending to errors to record them may have an effect on their subsequent occurrence. 


아마도 수술 중 행동 측정에서 가장 흥미로운 발전 중 하나는 수술의 체계적인 비디오 기록과 비디오테이프의 상세한 분석이다.77

Perhaps one of the most exciting developments in the measurement of behavior during surgery is the systematic video recording of surgeries followed by detailed analyses of the videotapes.77


개선을 위한 교육 목표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 이러한 유형의 비디오 녹화 방식은, 경험이 적은 외과의사들에게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과의사들이 그들의 수술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훈련시킴으로써 환자들의 합병증 비율을 줄이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type of video recording, as a means to identify training goals for improvement, is not limited to less experienced surge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complication rates for patients by training the surgeons to increase their skill in performing their surgeries.


비디오 녹화 및 그 독립적인 평가를 사용하는 방법론은 약점과 잠재적 문제를 식별할 수 있는 잠재적인 피드백 루프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The methodology of using video recordings and their independent assessment seems to offer a potential feedback loop through which weaknesses and potential problems can be identified.



수술 절차 학습을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

How to introduce learning of surgical procedures


외과 수련생들은 mastery learning 접근법을 통해 교육을 받을 때, 특정 절차에 대한 일반적인 지시를 받고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는 훈련생들의 행동의 정확성에 대한 피드백과 절차를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제공합니다. 그런 다음 훈련생은 미리 정해진 숙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절차를 반복합니다. 최근의 검토 결과에 따르면 시뮬레이터 훈련 참가자는 시뮬레이터, 동물 모델, 복잡한 요인이 없는 인간 환자에게도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모의실험 훈련이 훈련이나 간단한 임상 사례와 유사한 조건으로 시험했을 때 우수한 수행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유형의 훈련은 independent surgeon의 우수한 수술 성과를 구축하고 형성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When surgical trainees are trained through the mastery learning approach, they receive general instruction about a particular procedure and then are allowed to perform the procedure with a simulator. The simulator provides feedback about the accuracy of trainees’ actions and, often, the amount of time they took to complete the procedure. The trainees then repeat the procedure until they have reached a predetermined proficiency level. A recent review shows that simulator-trained participants perform better than the control participants when tested on the simulator, on animal models, and even on human patients who lack complicating factors.81 These findings show that simulator training leads to superior performance when tested with conditions similar to training or simple clinical cases, but so far this type of training has not been designed to build and shape the superior surgical performance of independent surgeons.


DP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방식은 [시뮬레이터에 요구되는 성능]이 [실제 환자에 대한 절차]와 비교했을 때 주요 측면에서 매우 유사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demands that the required performance on the simulator be an extremely close approximation of the relevant aspects of the procedure on an actual patient.2


예를 들어, 아이들은 피아노를 연주할 때 최고의 자세와 기술을 자발적으로 채택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들은 아이들이 올바른 기본적인 행동과 자세를 얻을 때까지 그들의 연주를 지도하고 면밀히 관찰한다. 올바른 기본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 기술적으로 어려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는 외과 수련생은 자신의 미래 기술을 극대화하기 위해 올바른 기초 기술을 습득하는 것에 대한 감독된 지침supervised instruction을 받아야 한다. 현재, 훈련생들은 시뮬레이터로 procedure를 할 때 방식에 무관하게 자신에게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그들은 일반적으로 미래에 더 어려운 수술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더 발전된 기술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한다.

To illustrate, children do not spontaneously adopt the best postures and techniques when playing the piano, so their teachers instruct them and closely monitor their playing until the children acquire the correct fundamental actions and postures. Failure to adopt the correct fundamental actions will limit the individual’s ability to perform technically difficult music pieces (also, incorrect fundamental technique often leads to overuse injuries among adult professional musicians). Similarly, surgical trainees using simulators should receive supervised instruction about acquiring the correct fundamental technique to maximize their future skill. Currently, trainees are allowed to execute the procedure on the simulator in whatever manner feels most natural to them; they typically receive no information about more advanced techniques that might be useful in successfully completing more challenging future surgeries.


수술 환경의 전문가 성과에는 광범위한 응급 절차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행동이 순서에 따라 빠르게 실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차에서는 확립된 행동 순서가 바람직하다. 엘리자베스 헌트와 동료들은 소생술을 위한 "급속 사이클 계획적 관행"이라고 이름 붙인 훈련 절차를 개발했다.

Expert performance in the surgical environment requires the ability to execute a wide range of emergency procedures. For some of these procedures, the primary emphasis is on the speed in which simple sequences of actions are executed; in such procedures, entrenched action sequences are desirable. Elizabeth Hunt and colleagues83 developed a training procedure that they named “rapid cycle deliberate practice” for resuscitation.


전문가-퍼포먼스 관점에서 중요한 질문은 시뮬레이터에서 수술 절차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인지 표현이 수술실의 실제 환자에 대해 작업할 때 정신적 표현과 일치하는지 여부입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An important question to ask when considering the expert-performance perspective is whether the cognitive representations used to perform surgical procedures in the simulator match mental representations when working on actual patients in the operating room. Research so far is inconclusive.


최소한 하나의 일반 훈련 접근방식은 시뮬레이터 훈련 중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것과는 다른 표현의 획득과 관련된 문제를 최소화한다. Palter와 Grantcharov는 그들의 훈련을 실제 환자들에 대한 개인의 수술 수행의 비디오테이프의 분석에 집중했다. 각각의 수술이 끝난 후, 강사는 비디오테이프를 검토하여 약점을 확인한 다음 이러한 약점을 교정하기 위한 대상 훈련을 시뮬레이터에 할당했다.

At least one general training approach minimiz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acquiring representations during simulator training that differ from those used in the operating room. Palter and Grantcharov88 centered their training on an analysis of videotapes of individual’s surgical performance on actual patients. After each completed surgery, an instructor reviewed the videotape to identify weaknesses and then assigned targeted training in the simulator for remediating these weaknesses.


비디오테이프 성능에 대한 블라인드 분석은 DP그룹이 대조군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Blind analysis of the videotaped performance showed that the deliberate practice group was now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수술실적 유지

Maintaining surgical performance


수술 결과의 가장 일관된 예측 변수 중 하나는 특정 외과의사가 완료한 수술의 양이다. 수술 결과에 대한 최근 연구는 특정 유형의 연속 수술 사이의 시간이 환자의 결과와 상당히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간격이 길수록 환자의 결과가 나빠진다. 이 패턴은 이전에 검토한 다른 유형의 기술에 대한 연구와 일치한다.

One of the most consistent predictors of surgical outcomes is the volume of surgeries completed by a given surgeon. Recent studies of surgical outcomes have shown that the length of time between consecutive surgeries of a given typ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patient outcomes—the longer the gap, the worse the patient outcomes.89–91 This pattern is consistent with the earlier reviewed studies29–34 on other types of skills.






다른 의료 행위에서 퍼포먼스 향상을 매개하는 인지적 프로세스들

Cognitive Processes That Mediate Improvements in Performance in Other Medical Activities


X-ray 판독 퍼포먼스

Performance of X-ray interpretatio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interpreting X-rays is relatively easy for mammograms.


환자와의 임상적 상호작용

Clinical interactions with patients


대부분의 전문 의사들의 일상 활동의 중요한 측면은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포함한다. 환자와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다음을 포함한다. 

    • 환자의 의학적 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인터뷰 

    • 치료에 의해 환자의 문제가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육을 위한 논의 

    • 특히 중요한 것은 관리 계획을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대화이다. 

An important aspect of most professional medical doctors’ everyday activity involves communication with patients. These interactions with patients103 include interviews to elicit information about patients’ medical problems, discussions to educate patients about how their problems might be improved by treatment, and of particular importance, conversations to jointly develop a plan for care. 


권장 치료 계획을 준수하는 것(처방된 약을 복용하는 것을 포함해서)이 만성 질환에 대한 환자 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는 명확하다. 따라서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면 환자의 치료 계획에 대한 순응이 증가하고 치료 결과도 개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구에 따르면 암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과 그 예후에 대한 이해가(이것은 의사의 의사 소통 능력과 관련이 있다) 말기 치료에 대한 더 나은 결정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Clear evidence shows that adherence to the recommended treatment plan, including taking prescribed medications, influences patient outcomes for chronic diseases.104,105 Improving a doctor’s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likely increases his or her patients’ adherence to treatment plans and, in turn, improves outcomes. Similarly, research has shown that cancer patients’ understanding of their disease and its prognosis, which is tied to doctors’ communication skills, is related to better decisions about end-of- life treatments.106


동시에, 다른 최근의 연구들은 의사들이 [심각한 질병을 가진 환자와의 의사소통에 관한] 단기간의 훈련 또는 병원 의사 소통 기술에서 일반적인 훈련을 받은 후에는 환자 만족의 증가나 환자 결과 개선을 보여주지 못했다.

At the same time, other recent studies have failed to demonstrate increased patient satisfaction or improved patient outcomes after physicians experienced either short-term training in communicating with patients with serious illness108 or general training in hospitalist communication skills.109


특히, 더 장시간 진행된 훈련을 받은 경우에는 [훈련 중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지만, 이러한 영향이 임상 환경으로까지 이전되지 않았다.

Notably, only with the more extended training did the investigators observe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 during the training,108 but these effects did not transfer to the clinical environment.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교육 가능한 기술의 집합이며) 성인 훈련(즉, 기존의 성인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워크숍이나 심지어 4일간의 훈련조차 일상적인 활동의 실질적인 개선을 달성하기에 불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CME 활동이 임상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전의 관찰과 일치한다. 그리고 처음 몇년간의 독립적인 의료행위가 지나면 단지 경험의 축적만으로는 객관적인 성과를 거의 향상시키지 않는다.

The idea of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s a set of teachable skills implies training adults (i.e., making changes to preexisting adult behaviors); therefore, it seems plausible that workshops or even a four-day training will be insufficient for attaining substantial improvement in everyday performance.2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earlier observations that continued professional medical education courses did not influence behavior in the clinic,37 and that mere professional experience after the first couple of years of independent practice or deliberate practice rarely improves objective performance.38–40,111,112


우다와 반 드 위엘은 의대생들이 이미 이전에 습득한 많은 습관과 의사 소통 기술을 가지고 의대에 입학했다는 중요한 점을 지적합니다; 이러한 습관들은 단순한 경험은 물론 교육이나 모델링을 통해서도 바뀔 가능성이 낮다. 이 저자들은 의사소통 기술을 변화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의사나 훈련생과 동료, 친척, 실제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녹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런 다음 강사는 비디오를 보고 의사나 수습생에게 직접 다룰 수 있는 주요 약점과 문제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선생님의 일대일 지도는 피아노 교사들과 테니스 코치의 개인들과의 직접적인 업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Wouda and van de Wiel103 make the important point that medical students already enter medical school with a number of previously acquired habits and skill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people; these habits are unlikely to change with mere experience, and they are difficult to modify even through instruction or modeling. These authors103 argue that the most effective methods of influencing communication skills involve video recording a physician’s or trainee’s interactions with peers, relatives, and real patients. Instructors can then view the videotapes and identify key weaknesses and problems that they can then address directly with the physician or trainee. In this way, the teacher’s one-on-one guidance may not differ much from piano teachers’ and tennis coaches’ directed work with individuals.


처음에 임상 강사는 간단한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습 평가관은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핸드볼리를 훈련하는 동안 훈련생은 코치가 일관된 방식으로 전달하는 쉬운 타구를 위해 네트에 서 있을 수 있다. 승승장구하면서 코치는 더 많은 도전을 하게 되고, 결국 선수와 코치는 훈련생들이 정식 경기 중에 백핸드 발리를 준비하는 단계까지 나아가게 된다.

At first the clinical instructor may provide simple situations, so the trainee can anticipate what will happen. For example, during the training of backhand volleys, the trainee might be standing at the net waiting for an easy hit that the coach delivers in a consistent manner. With increased success, the coach will make serves more challenging, and eventually the player and the coach will engage in a volley in which the trainee must be prepared for backhand volleys during regular playing.


학생들이 자신의 주요 약점을 이해하고 제거하기 위해 연습한 후, 정보를 얻거나 환자를 치료 계획에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더 많은 (테이프 기록) 환자 인터뷰에 참여하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향상된 의사소통 기술이 환자의 정보를 암호화하고 결합하는 것뿐만 아니라 환자의 반응과 기대에 대한 지각과 반응을 위해 훈련자의 점점 더 세련된 정신 표현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뛰어난 의사소통 기술의 개발은 지속적인extended 과정이며, 의사들에게 의사 소통 기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경력 내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위한 계획을 설계할 것을 권한다.

Afte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o eliminate their key weaknesses, students would engage in more (tape-recorded) patient interviews with the goal of gaining information or preparing the patient for the plan of care. Importantly, the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must be integrated into the trainee’s increasingly refined mental representations not only for encoding and combining patient information but also for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patients’ reactions and expectations.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superb communication skills is an extended process, and the recommendation is that doctors design a plan for continued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out their career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ir communication skills.


총괄

In Sum


전문성 이론들에 따르면, [패턴 매칭]과 [이전에 실행된 행동에 대한 기억의 손쉬운 retrieval]은, 자연스럽게 지식과 규칙의 고려를 대신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과 일치하지 않는 연구 결과는 CME 세미나 및 컨퍼런스에서 접한 새로운 지식이 병원의 습관적인 행동 변화로 쉽게 전환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익숙한 작업에 대한 추가적인 경험은 성능 정확도를 계속 향상시키지는 않는다대신, 관련 작업 시퀀스를 일관성 있고 효율적이며 거의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According to expertise theories, pattern matching and effortlessly retrieved memories of previously executed actions eventually, naturally replace knowledge and consideration of rules. A finding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se theories indicates that new knowledge encountered at CME seminars and conferences is not effortlessly converted into changes in habitual behavior in the clinic.37 Furthermore, research shows that additional professional experience with familiar tasks does not consistently improve accuracy of performance38–40 but, rather, primarily makes the associated action sequences consistent, efficient, and nearly effortless.


그 대신에, 퍼포먼스의 개선은 (DP를 동반하는 전문가-퍼포먼스 접근방식에 의해 제안되는) 즉각적인 피드백을 포함한 목표 지향 훈련과 관련이 있다. 효과적인 연습은 훈련 활동 중에 사람들이 더 높은 성과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함으로써, 현재의 습관적인 수행방식를 넘어서려고 노력하는 정신 표현의 정교화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진적인 성과 개선을 위해서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 [교정 트레이닝 및 피드백을 통해 습득한 기술과 지식을 통합하고 전이하는지]를 모니터하기 위한 장기적인 약속이 필요합니다. 이 훈련 과정은 지도 교사들의 도움을 받을 때 더 효과적이고 신뢰할 수 있을 것이다.

Instead, improved performance is related to goal-directed training with immediate feedback, as suggested by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Effective practice involves the refinement of mental representations during training activities through which individuals attempt to go beyond their current habitual performance by trying to attain higher performance goals. To facilitate these gradual improvements in performance, a long-term commitment to monitor performance in the clinic is necessary for integrating and transferring the skills and knowledge gained through corrective training and feedback. This training process will be more effective and reliable with the help of a supervising teacher.


의료 퍼포먼스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의료 학생과 레지던트 선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is understanding of how to improve medical performance could have implications for the selec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 applicants;


시뮬레이터에서의 수행능력과 공간지각 능력 사이의 관계를 증명한 첫 번째 연구 중 하나의 결과는 둘 사이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한다. 공간 능력 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외과 레지던트도, 결국에는 공간 능력 시험이 높았던 레지던트와 유사한 수준의 시뮬레이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치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동일한 연구팀의 후속 연구는 "10분간의 감독관습과 피드백을 거친 후", 공간 점수가 높은 학생 뿐만 아니라 낮은 학생도 시험 점수가 높았음을 보여준다.

The results of one of the first studies115 to demonstrate this relationship between simulator performance and spatial ability cast doubt on this assumption. The surgical residents with lower scores on the spatial ability test were able to eventually achieve a simulated performance comparable to that of the high-ability residents. A subsequent study by the same research group examining dental students showed that “after 10 minutes of supervised practice and feedback,”116(p756) students with the lower visual–spatial scores performed as well as those with higher test scores.


비록 비디오 게임 경험뿐만, 아니라 공간 능력을 측정하는 기본 테스트 점수가 초기에는 시뮬레이터 기반 수행능력을 상당히 예측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개인간 차이는 점차 감소하였고, 마찬가지로, 초심자의 경우, 기본적 능력과 시뮬레이터 퍼포먼스 사이의 상관관계는 습득된 기술acquired skill의 수준에 따르는 함수로 변화하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시뮬레이터로 확인한 수행능력의 개인 차이가 수술실에까지 transfer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연구자들은 경험이 많은 외과의들의 공간능력을 테스트했고, 그 점수가 수술 수행의 개별적 차이를 유의하게 연관시키거나 설명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그 결론으로 "연습과 수술 경험이 선천적인 능력의 영향을 사라지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Although performance on basic tests measuring spatial ability,117 as well as video game experience,118 has been found to significantly predict initial simulator performance,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simulators decrease with extended training, and, likewise, the correlations between basic abilities and simulator performance for novices change as a function of level of acquired skills.119 Even more importantly, individual differences in simulator performance do not seem to transfer significantly to the operating room.120,121 Investigators tested the spatial abilities of experienced surgeons and found that their scores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 or account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surgical performance,116 which led the investigators to conclude that “practice and surgical experience appear to obviate the impact of innate abilities.”116(p757)


초보자들이 새로운 영역에서 새로운 활동을 시작할 때, 그들은 그들의 기존 기술과 능력에 의존해야 하지만, 초보자들의 기술이 교사 주도 연습을 통해 향상되고, 적절한 representation을 습득하여 superior performance를 서포트할 수 있게 되면, '실제 수행능력'과 '기본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진다.

When novices begin a new activity in any new domain, they must rely on their existing skills and abilities, but as their skills are constructed during teacher-led practice and as they acquire appropriate representations to support their superior performance, the correlations between actual performance and basic ability fall to insignificance.


전통적인 직업 교육은 이런 유형의 느린 기술 습득과 정교함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설계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클리닉에서 처음 수술을 경험할 때까지, 훈련자들은 지식과 일반적인 규칙을 얻는 데 수천 시간을 보냈을 수 있지만, 실제 수술 수행에는 불과 몇 시간밖에 쏟지 않았다. 음악, 발레, 체스, 스포츠와 같은 전문 분야에서는 실용적 또는 기술적 훈련과 이론적 훈련 사이의 비율이 반대로 나타난다.

Traditional professional education has not designed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this type of slow acquisition and refinement of skills. For example, in preparing for their first surgical procedure in the clinic, trainees may have spent thousands of hours acquiring knowledge and general rules, but only a handful of hours performing the actual procedure. In other domains of expertise, such as music, ballet, chess, and sports, the ratio between practical or technical training and theoretical training is reversed.


의료 훈련을 다음과 같이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기술에서의 초기 교육(예: 수술 절차 실행, 환자 인터뷰 및 인식 기반 진단 수행)을 훨씬 더 빨리 시작할지도 모른다. 또한 비디오와 시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어떤 procedure에 대한 훈련을 조기에 시작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환자들에 대한 위험이 없다면, 의대생과 레지던트들은 시뮬레이터의 기본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수백 시간을 연습하고, 이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들은 도서관에서 수집된 절차의 비디오를 이용하여 신중한 연습을 통해 훈련을 통해 지각과 공간적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다.

reform medical training. For example, initial training in fundamental skills (e.g., in the execution of surgical procedures, in interviewing patients, and in making perception-based diagnoses) may begin much sooner. The availability of videos and simulators should enable the identification of procedures for which training could begin early. Without risks to patients,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could benefit from hundreds of hours of practice with fundamental techniques in simulators. They could develop perceptual and spatial skills from training with deliberate practice using videos of procedures collected in a library.


전문가-퍼포먼스 프레임워크는 [정신 표현과 습득된 기술]의 개발을 모니터링하고 촉진하는 일반적인 접근방식을 제공하며, [정신 표현과 습득한 기술]은 훈련생이 우수한 개인 성과를 매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재현 가능한 우수한 임상 성과를 식별하고 분석함으로써 의료 교육자가 퍼포먼스와 관련 표현을 효과적으로 개발해줄 수 있는 훈련을 설계하거나 "reverse engineer"해야 한다. 의대생, 인턴, 레지던트가 필요한 정신적 표현들을 획득했을 때, 그들은 자기조절을 하는 학습자가 될 것이고, 즉, 의료계의 구성원들이 전문직 경력 전반에 걸쳐 자신과 팀 구성원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를 가지고 있다.

The expert- performance framework offers a general approach for monitoring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mental representations and acquired skills which trainees can use to mediate superior individual performance. Identifying and analyzing reproducibly superior clinical performance should enable medical educators to design or “reverse engineer” training that will effectively develop this performance and the associated representations. When medical students, interns, and residents have acquired the necessary set of mental representations, they will have become self-regulated learners—that is, members of the medical community who have the tools to improve their and their team members’ performances over their entire professional careers.







 2015 Nov;90(11):1471-86. doi: 10.1097/ACM.0000000000000939.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medical expertise: a perspective from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K.A. Ericsson is Conradi Eminent Scholar and Professor, Department of Psychology,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orida.

Abstract

As a part of a special collection in this issue of Academic Medicine, which is focused on mastery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this Perspective describes how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is consistent with many characteristics of mastery learning. Importantly, this Perspective also explains how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provides a very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acquisition of skill. Whereas traditional education with mastery learning focuses on having students attain an adequate level of performance that is based on goals set by the existing curricula,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takes an empirical approach and first identifies the final goal of training-namely, reproducibly superior objective performance (superior patient outcomes) for individuals in particular medicalspecialties. Analyzing this superior complex performance reveals three types of mental representations that permit expert performers to plan, execute, and monitor their own performance. By reviewing research on medical performance and education, the author describes evidence for these representations and their development within the expert-performance framework. He uses the research to generate suggestions for improved training of medical students and professionals. Two strategies-designing learning environments with libraries of cases and creating opportunities for individualized teacher-guided training-should enable motivated individuals to acquire a full set of refined mental representations. Providing the right resources to support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ll allow such individuals to become self-regulated learners-that is, members of the medical community who have the tools to improve their own and their team members' performances throughout their entire professional careers.

Comment in

PMID:
 
26375267
 
DOI:
 
10.1097/ACM.0000000000000939


임상실습에서 학생의 피드백탐색 행동 명확화(Med Educ, 2013)

Clarifying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clinical clerkships

Harold G J Bok,1 Pim W Teunissen,2,3 Annemarie Spruijt,1 Joanne P I Fokkema,4 Peter van Beukelen,1

Debbie A D C Jaarsma5 & Cees P M van der Vleuten2





도입

INTRODUCTION


Archer에 따르면 피드백은 인지, 기술 및 전문적 개발을 지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0 그러나 임상 상황은 예측할 수 없고, 그때마다 다른 교수 방법이 사용되기 때문에 임상 작업장의 피드백은 감독자와 FR 모두에게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임상 성과에 대한 피드백은 '효과적인 임상 훈련의 핵심'으로 설명되어 있다.9 직장 학습에 대한 연구는 피드백 제공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피드백을 받거나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사람들의 역할은 여전히 설명되지 않았다.

According to Archer, feedback plays a central role in supporting cognitive, technic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10 However, feedback in the clinical workplace is often difficult for both supervisors and recipients because the clinical setting is unpredictable and different teaching methods are used within it.11 Despite these challenges, feedback on clinical performance is described as the ‘cornerstone of effective clinical training’.9 Research into workplace learning has yielded valuable insights into the provision of feedback, but the role of those receiving or actively seeking feedback has remained under-explored.12,13


조직 심리학에서, '피드백 탐색 행동'이라는 용어는 Ashford와 Cummings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피드백을 유치하는 과정에 관련된 과정을 지칭하는 것이다.14,15 이러한 저자들에 의해 구성된 이론적 모델은 피드백을 추구하는 세 가지 주요 동기를 제안한다.

  • 유용한 정보에 대한 욕구(도구적 동기) 

  • 자존심을 옹호하거나 강화하려는 욕구(에고-기반 동기)

  • 나에 대한 다른 사람의 인상을 보호하거나 강화하려는 욕구(이미지-기반 동기)14

In organisational psychology, the term ‘feedback-seeking behaviour’ was coined by Ashford and Cummings to refer to processes involved in inviting feedback.14,15 The theoretical model constructed by these authors proposes three primary motivators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 the desire for useful information (instrumental motive), 

  • the desire to defend or enhance one’s ego (ego-based motive), and 

  • the desire to protect or enhance the impressions that others hold of one (image-based motive).14


이 모델에서 중요한 개념은 피드백을 구하는 사람들의 목표가 그들의 성과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을 결정한다는 것이다.19–23 개인적 특성에 대한 자기 이론에 기초하여 학습 목표 지향성과 목표 지향과 구분할 수 있다,20 

Dweck에 의해 각각, 

  • 학습지향: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새로운 일을 마스터하고, 새로운 것을 이해하고 싶은 욕구' 

  • 성과지향: '자신의 역량에 대한 긍정적인 판단을 획득하고 부정적인 판단을 피하려는 욕구 24

An important notion in this model is that the goals of those seeking feedback determine how the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ir performance.19–23 Based on self-theories about personal attributes, a learning goal orienta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20 described by Dweck as, respectively, ‘a desire to learn new skills, master new tasks, or understand new things’ and ‘winning positive judgements of your competence and avoiding negative ones’.24


목표 지향과 피드백 추구 행동 사이의 관계는 동기 부여에 의해 조정된다. 다른 말로 하면, 지배적인 동기를 바탕으로, 특정한 목표가 형성되고, 이것은 피드백을 찾는 행동을 인도한다.21 또한 어떤 목표를 지향하느냐에 따라 피드백 추구에 따르는 비용 및 편익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다.17,25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feedback-seeking behaviour is mediated by motivation; in other words, based on a predominant motive, a specific goal is formulated, which then guides the feedback-seeking behaviour.21 Goal orientation also determines how the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of feedback are weighed in decisions about feedback seeking.17,25


사회 및 조직 심리학 문헌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드백 추구는 복잡한 현상이다. Teunissen et al.는 레지던트들의 목표 지향성이 예상되는 부정적인 효과와 피드백을 요청하는 잠재적 이익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주치의의 감독 방식은 레지던트의 피드백 탐색 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같았다.

As described in the social and organisational psychology literature, feedback-seeking behaviour is a complex phenomenon. Teunissen et al. showed that residents’ goal orientations influenced their perceptions of the expected negative effects and potential benefits of asking for feedback. Furthermore, the attending physician supervisory style seemed to partially influence the resi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일반적으로 임상 사무직은 다소 비정형적인 학습 환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간주되며, 그 환경 내에서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제시되어 왔다.27–29

Clinical clerkship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comprise a rather unstructured learning environment and different factors have been shown to influence students’ learning within that environment.27–29


METHODS


Setting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in the clinical phase (Years 5 and 6) of the 6-year undergraduate curriculum of the Faculty of Veterinary Medicine, Utrecht University (FVMU), Utrecht, the Netherlands.


Study design


As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students’ feedback seeking behaviour in the veterinary medicine clinical setting, we designed an explorative qualitative study using an interpretive approach.30,31 Our aim was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feedback-seeking behaviour of students in a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by describing our perceptions of that behaviour as they resulted from th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students. 


The interviews were structured based on theoretical concepts of feedback-seeking behaviour.19–23 We combined inductive and deductive approaches to gain insight into feedback-seeking behaviour. This topic has received rather limited atten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therefore we also considered previous work in fields outside medical education.32 We used semi-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to gain in-depth information and encourage students to openly share their views.33


Participants and procedure


Between April and June 2011, the principal researcher (GJB) interviewed students who had been sampled by maximum variation sampling to ensure that the sample included students following a variety of animal species tracks and in various phases of training. The logic and power of maximum variation sampling lie in selecting information-rich cases for in-depth study.33


Within 1 week of the interview,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comment on a one-page summary of his or her interview in order to support a member-checking protocol.34 The summary was written by the principal researcher and reflected participants’ answers to the main questions in the interview. Eight participants responded to this request, but made no suggestions for change. To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new issues in subsequent interview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iteratively. Interviewing continued until theoretical saturation was reached.


Interview development

    • The interviews were structured using questions about students’ goals and motives in seeking feedback, characteristics of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ur and factors influencing this behaviour. 

    • The questions were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nd a theoretical framework derived from social and organisational psychology (Fig. 1).19–23 

    • Two pilot interviews resulted in minor changes to the wording but not the content of the questions. The main questions were:


1 Why do you seek information about your performance of a clinical task?

2 Which factors influence the way you seek feedback?

3 How do you obtain information about your performance?



Analysis

  • We used a template analysis method35 involving an iterative process of reducing and displaying the data, culminating in a template consisting of codes representing categories and factor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we designed an initial template, which was modified in the subsequent iterativ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We u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conceptual model only in designing the interview structure; we used an inductive approach to analyse the interviews. 

  • The analysis resulted in an extensive list of codes, which were categorised. 

  • The principal researcher (GJB) coded all transcripts and constructed themes. 

  • Using the list of codes, another researcher (PWT) re-coded the eighth interview. 

  • The two researchers reached agreement on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ir analyses through discussion. 

  • After 12 transcripts had been coded, theoretical saturation was reached and the final template was constructed. 

  • GJB, two medical education experts (PWT, CPMvdV) and two experts in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ADCJ, PvB) agreed on the final template after discussion. 

  • The coding of the two remaining interviews confirmed the final template.


Confidentiality and ethical considerations



결과

RESULTS


The main categories to result from the analysis are interrelated, which shows that students dynamically adjust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ur to fit a particular context. Fig. 2.


왜 학생들은 피드백을 탐색하는가?

Why do students seek feedback?


개인적 요인: 피드백 탐색자의 의도

Personal factors: intentions of the feedback seeker


어떤 목표들은 학생들에게 피드백 추구 동기와 피드백 회피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 피드백 추구(예: 임상 능력을 입증하고, 임상 능력을 개발하고,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문가로서 성장함으로써 긍정적인 판단을 받는 것) 

    • 피드백 회피(예: 부정적인 판단을 피하고, 동료들에 비해 낮은 임상 능력을 보여주어야 하는 것을 피함) 

게다가, 학생들은 환자와 고객에 대한 책임감으로 피드백을 구하고자 동기부여를 받았고, 이것은 학생들은 임상 능력 향상 목적의 피드백 탐색을 자극했다.

The analysis indicated that distinctive goals can motivate students in seeking feedback (e.g. receiving positive judgements by demonstrating clinical competence, developing clinical competence and growing as a professional by improving knowledge and skills) and in avoiding feedback (e.g. avoiding negative judgements and avoiding having to demonstrate inferior clinical competence compared with one’s peers). Furthermore, students were motivated to seek feedback out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patients and clients, which stimulated them to seek feedback to improve their clinical competence.


개인적 요인: 피드백 탐색자의 특성

Personal factors: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seeker


피드백을 추구하는 행동은 또한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행복과 같은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Feedback-seeking behaviour was also influenced by a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his or her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감독관 중 한 명이 나도 한 팀으로 대했다. 마치 내가 수의사 대학원생인 것처럼. 이것은 제가 매일의 임상 사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 매우 강력한 동기 부여였습니다. 그 결과 저는 더 자주 피드백을 요청했습니다.' (P5)

‘One of my supervisors treated me as one of the guys. As if I was a graduate veterinarian. This was a very strong motivator for me to participate actively in daily clinical practice and as a result I asked more frequently for feedback.’ (P5)



개인적 요인: 피드백 제공자의 특성

Personal factors: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provider


학생들은 피드백 제공자의 특성이 피드백을 탐색하도록 장려했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또한 [학생들이 질문을 할 시간이 있고 감독자들이 대답할 의향이 있는] 안전한 학습 환경에서 피드백을 더 요요청할 수 있었다. 감독자들은 학생들에게 신뢰를 얻어야 했고, 이러한 신뢰는 피드백을 주기 전에 학생들의 task 수행을 관찰함으로써 강화되었다. 학생들은 특정 직무에서 숙련되고 경험이 있다고 생각하는 상급자에게 피드백을 요청하는 것을 선호했다.

Studen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provider, encouraged them to seek feedback. They also remarked that asking for feedback was promoted by a safe learning climate, in which students had time to ask questions and supervisors were willing to answer them: Supervisors had to seem credible to students and this credibility was enhanced when supervisors observed task performance before giving feedback. Students preferred to ask for feedback from supervisors whom, they perceived as skilled and experienced in the task in question.


대인관계 요인: 피드백 탐색자와 제공자의 관계

Interpersonal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back seeker and provider


학생-감독자 관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피드백 추구에 영향을 미쳤다. 관계를 지속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학생들은 피드백을 요구할 가능성이 더 많아졌다. 학생-감독자 관계의 위계적 특성과 슈퍼바이저가 피드백 제공자와 평가자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는 것도 중요하다.

The student–supervisor relationship influenced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different ways. As the duration of a relationship increased, the student became more likely to ask for feedback.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student–supervisor relationship and the combining by supervisors of the roles of feedback provider and assessor were also important:



무엇이 학생의 피드백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What influences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학생들이 팀의 일원이라고 느끼는 정도, 환자 진료에 참여하는 것, 그리고 스스로 인지하는 의사소통 기술은 모두 학생들이 피드백을 요구하도록 자극했습니다.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felt they were part of a team, their involvement in patient care and their self-perceived communication skills all stimulated students to ask for feedback:


에고

Ego


피드백을 요청하기 전에 학생들은 에고ego에 대한 비용(즉, 부정적인 피드백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과 이점(예: 긍정적인 피드백에서 발생하는 높은 자존감)을 비교했다. 이 분석의 결과는 개인 및 대인 관계에 따라 다릅니다. 

    • 특정 임상 과제를 숙달하고 싶은 학생들은 피드백(신뢰할 수 있는 피드백 제공자)으로부터 예상 비용(부정적 피드백으로 인한 신뢰 손실)을 능가하는 혜택을 기대할 수 있었다. 

    • 자존감을 높이고 인정을 받기 위해 피드백을 요청한 학생들은 (부정적인 피드백이나 상사의 행동에 의해 강요된 무능력에 의해) 자아가 손상될 위험을 고려했다. 

Before asking for feedback, students weighed the perceived ego costs (i.e. negative emotions resulting from negative feedback) and benefits (i.e. enhanced self-esteem arising from positive feedback). The outcome of this analysis depended on 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Students who were eager to master a specific clinical task were likely to let expected benefits from feedback (credible feedback provider) prevail over expected costs (a loss of confidence as a result of negative feedback). Students who asked for feedback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and gain recognition took account of the risk for damage to their ego by feelings of incompetence imposed by negative feedback or the behaviour of the supervisor. This process is illustrated by this student:


이미지

Image


인식된 이미지perceived image에 대한 비용과 이점은 또 다른 영향 요소를 나타냅니다. 학생들은 임상 작업장에서 동료, 환자 및 감독자들이 자신에 대한 특정 사전 인식(이미지)을 갖고 있다고 느꼈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그들의 이미지를 개선시키기 위해 피드백을 구하고, 또는 이미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피드백을 찾지 않게 만든다. 개인과 대인 관계 요소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잠재적인 위험과 편익을 평가하고 상황에 맞는 피드백을 찾는 행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보였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자신의 피드백을 볼 수 있는 그룹의 구성(예: 그 상황을 목격하는 동료의 숫자)에 따라 자신의 피드백을 찾는 행동을 조정했다고 언급했다. 

Perceived image costs and benefits represented another influencing factor. Students felt that in the clinical workplace, peers, clients and supervisors had certain preconceptions (images) about them. This presented students with a choice between seeking feedback in the hope that it would improve their image, or refraining from seeking feedback in order to prevent any potential damage to their image.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students appeared to make an assessment of the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and to embark on context-specific feedback-seeking behaviour. For example, a student mentioned that she adapted her feedback-seeking behaviour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that might witness the feedback (e.g. the number of peers present):


피드백을 받는 것을 거부하는 학생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지하는 동시에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다른 학생들의 행동을 모니터링할 것이다.

If a student decided against inviting feedback, he or she would monitor the behaviour of others in order to evaluate his or her own behaviour while maintaining a positive image.


피드백 이득에 대한 인식

Perceived feedback benefit


또한, 피드백의 관련성, 양, 질 또한 학생들의 피드백 추구에 영향을 끼쳤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자신이 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을 관찰하지 않았던 감독자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평가절하했다. 또한, 받은 피드백의 가치는 자신의 목표와 연관지어 판단했다.

In addition , the perceived relevance, quantity and quality of feedback also impacted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For example, students placed less value on feedback received from a supervisor who had not observed the subject performing the task in question. Furthermore, the value of received feedback was judged in relation to a student’s goal:




학생들은 어떻게 피드백을 탐색하는가?

How do students seek feedback?


피드백 출처와 주제

Feedback source and topic orientation


임상 작업 공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퍼포먼스에 대한 정보를 다른 학생, 감독자(예: 전문의, 레지던트), 고객, 간호 직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얻었다. 학생은 잠재적 위험과 편익에 대해 상황을 판단하여, 이에 따라 특정 피드백 source에 접근한다.

In the clinical workplace,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about their performance on a specific clinical task from other students, supervisors (e.g. specialists, residents), clients, nursing staff or a combination of these. Depending on their context-dependent assessment of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students would approach a specific feedback source:


임상 작업 공간에서 학생들은 수행해야 했던 작업과 관련된 특정 수의학 지식, 특정 수의학 기술 및 심층적 지식에 대해서 피드백을 구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작업이 달라짐에 따라, 이러한 FSB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In the clinical workplace, students sought feedback on specific veterinary knowledge, specific veterinary skills and in-depth knowledge relating to a task they were required or had been required to perform. Over time and depending on the task, this behaviour might change:


피드백 탐색 행동의 타이밍

Timing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잠재적 위험과 편익에 대한 상황별 평가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피드백을 구할 적절한 타이밍(예: 특정 임상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직후, 나중)을 결정했다. 학생들은 특히 이미지나 자아에 대한 비용cost를 걱정할 때 피드백 추구를 미룰 가능성이 높았다.

Based on their context-dependent assessment of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students determined the appropriate moment for seeking feedback (e.g. during or immediately after performing a specific clinical task or at a later, more appropriate time). Students were particularly likely to postpone the seeking of feedback when they were worried about costs to their image or ego:


피드백 탐색 행동의 빈도

Frequency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학생들이 피드백을 원하는 빈도는 잠재적 위험과 편익을 상황별로 평가한 결과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다양한 임상 작업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 학생이 학습지향적이고, 자신의 상사에 의해서 피드백을 구하도록 동기부여되어있고, 특정 임상 과제에 해당하는 주제에 관심을 가질 때, 피드백을 요청하는 빈도가 높아질 것이다. 

    • 반면, 성과 지향적인 학생이 자신의 이미지를 위태롭게 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인 피드백을 찾는 빈도는 아마도 줄어들 것이다.

The frequency with which students sought feedback appeared to depend on the outcome of the context-dependent assessment of potential risks and benefits, and therefore varied for different clinical tasks. For example, 

    • when a student was learning goal-orientated, motivated by her supervisor to seek feedback, and interested in the topic behind the specific clinical task, she would increase the frequency of asking for feedback. 

    • By contrast, when a performance goal-oriented student was confronted with a situation in which his self-image was at stake, his frequency of active feedback seeking would probably decline:


피드백 탐색 행동의 유형

Types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학생들은 피드백을 얻기 위해 두 가지 주요 전략을 사용했다. 

    • 그들은 다른 학생, 감독자 등의 행동을 모니터했고, 

    • 특정 source로부터 피드백을 요청했다. 

학생들이 후자의 전략이 자신을 무능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고 우려할 때(즉, 자아와 이미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모니터하는 전략을 활용하는 대신, inquiry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Students used two main strategies to obtain feedback: 

    • they monitored the behaviour of other students, supervisors and others, and 

    • they explicitly asked for feedback from a specific source. 

When students were concerned that the latter strategy might make them look incompetent (i.e. it might incur ego and image costs), they tended to monitor others and not to use the inquiry strategy:


고찰

DISCUSSION


학생들은 그들의 피드백 추구에 영향을 준 두 가지 광범위한 목표, 즉 학습 목표 지향과 성과 목표 지향을 설명했다. 후자에 대해서는 학생들을 두 가지 범주로 구별할 수 있었다. 

  • 자신의 임상 능력을 보여주고 긍정적인 판단을 받고 싶어서 피드백을 받으려는 의욕을 가진 학생들과, 

  • 피드백의 부정적인 영향(부정적 판단을 받거나 다른 사람의 임상 능력보다 열등함을 보여주는 위험)을 잠재적으로 피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진 학생 

Students described two broad goals that influenced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ur: a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e were able to distinguish two categories of students subject to the latter orientation: 

  • students who are motivated to seek feedback because they want to demonstrate their clinical competence and receive positive judgements, and 

  • students who are motivated to avoid potentially negative effects of feedback, such as negative judgements and demonstrations of their clinical competence as inferior to that of others. 


학습 목표 지향성을 가진 학생들은 그들의 지식과 기술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임상 능력을 개발하고 프로페셔널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불확실성을 줄이는 데 집중했다. 목표 지향에 대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 심리학 영역 내에서 피드백 행동에 대한 연구와 일치한다.19,20

Students with a learning goal orientation focused on improv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and on reducing uncertainty with the aim of developing their clinical competence and growing as a professional. These findings about goal orientation are consistent with research on feedback-seeking behaviour within the domain of organisational psychology.19,20


우리는 목표 지향 외에 피드백 제공자의 특성, 피드백 탐색자의 특성, 피드백 탐색기와 제공자 간의 관계 등 두 가지 다른 개인적 요소와 대인 관계 요인을 제안한다.

In addition to goal orientation, we propose two other personal factors and one interpersonal factor: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provider,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seek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back seeker and provider.


교수진과 학생들은 이러한 관계적 요소를 알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요소들은 적극적인 피드백을 구하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 임상실습에 관해서는 상황적 차이가 학습자와 감독자 사이의 역학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예: 임상적 로테이션 대 레지던트 교육).

faculty staff and students should be aware of these relational factors, which influence active feedback seeking behaviour and as a consequence may enhance learning. People involved with clerkships should be aware that contextual differences (i.e. clinical rotation versus residency training) influence the dynamic between learner and supervisor.


우리가 제안하는 개인(대인)적인 요인들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였고, 학생들의 피드백을 찾는 행동은 [비용-편익 분석의 결과에 따라] 특정 상황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The (inter)personal factors we propose interact continuously and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is influenced by the factors they perceive to be the most salient in a certain situation, depending on the outcome of a cost–benefit analysis


우리의 결과는 학생들의 비용-편익 분석의 결과가 

  • 자아의 인식 비용 및 편익, 

  • 이미지에 대한 인식 비용 및 편익, 

  • 인식된 피드백 이익

...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outcome of students’ cost–benefit analyses is determined by three categories of factor: 

  •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to the ego; 

  •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to image, and 

  • perceived feedback profit. 

이러한 범주는 다른 연구에서 확인된 피드백을 찾는 세 가지 주요 동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 도구적 동기(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서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

  • 자아 기반 동기

  • 이미지 기반 동기

These categories appear to be in line with three main motives for seeking feedback identified in other studies: 

  • an instrumental motive (i.e. to use feedback as an instrument for achieving a goal); 

  • an ego-based motive, and 

  • an image-based motive.12,21,22,36


Goffman은 개개인은 피드백을 특정한 자기표현self-presentation을 유지하기 위한 귀중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37 피드백 탐색 행동은 잠재적으로 피드백을 찾는 학습자의 불확실성이나 무능함을 노출시킬 위험이 있다. 학생들은 임상실습 동안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유지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피드백을 구함으로써 잠재적으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고, 이것을 image-threatening 상황으로 인식하여 피드백을 원하는 빈도를 줄였다고 언급했다.

Goffman pointed out that individuals perceive feedback as a valuable resource with which to maintain a particular self-presentation.37 Feedback-seeking behaviour can potentially expose uncertainty or incompetence in the learner seeking feedback. The need to maintain a positive self-presentation was recognised by students seeking feedback during clinical clerkships, who mentioned that their perceptions of image-threatening situations as potentially incurring of significant costs decreased the frequency with which they sought feedback.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임상실습에서 학생들의 피드백 탐색 행동을 특징짓는 다섯 가지 요소를 제안합니다: 출처, 주제, 타이밍, 빈도 및 방법.

Based on our analysis, we propose five elements that characterise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clinical clerkships: 

  • source, 

  • topic, 

  • timing, 

  • frequency, and 

  • method.


Strengths and limita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for practice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FSB는 연속적인 피드백 경험들에 맞게 행동을 조정하면서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피드백은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구하도록 자극하는 구체적인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FSB는 학생이 자신이 임상 팀의 일원으로 인정받고 환자 치료에 대한 책임을 받는다고 느낄 때 증가한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develops as students adjust their behaviour to consecutive experiences of feedback. It is therefore essential that feedback should meet specific requirements that stimulate students to actively seek feedback. As feedback-seeking behaviour increased when the student felt him or herself to be recognised as a member of the clinical team and to be given responsibilities in patient care.



교사가 학생을 임상 팀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 같다. 또한 임상 환경에서 관리자의 행동이 학생들의 피드백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우리는 임상 작업장에서 학생들의 피드백 탐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피드백에 대한 관리자 훈련과 학생 훈련에 통합할 것을 제안한다.

it seems advisable that teachers should develop strategies to make the student feel accepted as a member of the clinical team. Furthermore, as supervisors’ behaviour within the clinical setting influenced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we propose to incorporat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the clinical workplace into feedback training for supervisors and students.




그 결과는 또한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피드백을 구하는 행동을 촉진하거나 방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ing climate also promotes or deters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2013 Mar;47(3):282-91. doi: 10.1111/medu.12054.

Clarifying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 in clinical clerkships.

Author information

1
Quality Improvement in Veterinary Education, Faculty of Veterinary Medicine, Utrecht University, Utrecht, the Netherlands. g.j.bok@uu.nl

Abstract

CONTEXT:

Why and how do students seek feedback on their performance in the clinical workplace and which factors influence this? These questions have remained largely unanswered in research into workplace learning during clinical clerkships. Research on feedback has focused mainly on feedback providers. Whether and how feedback recipients actively seek feedback are under-examined issues. Research in organisational psychology has proposed a mechanism whereby feedback seeking is influenced by motives and goal orientation mediated by the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of feedback. Building on a recently published model of resident doctors' feedback-seeking behaviour,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students' feedback-seeking behaviours in the clinical workplace.

METHODS:

Between April and June 2011, we conducted semi-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with veterinary medicine students in Years 5 and 6 about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ur during clinical clerkships. In the interviews, 14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ir goals and motives for seeking feedback,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ur and factors influencing that behaviour. Using template analysis, we coded the interview transcripts and iteratively reduced and displayed the data until agreement on the final template was reached.

RESULTS:

The students described 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to explain their reasons for seeking feedback. The factors related to inten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 provid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edback seeker and provider. Motives relating to image and ego, particularly when students thought that feedback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age and ego, influenced feedback-seeking behaviour and could induce specific behaviours related to students' orientation towards particular sources of feedback, their orientation towards particular topics for and timing of feedback, and the frequency and method of feedback-seeking behaviour.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during clinical clerkships, students actively seek feedback according to 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Perceived costs and benefits influenced this active feedback-seeking behaviour.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wards the optimising and developing of meaningful educational opportunities during clerkships.

PMID:
 
23398014
 
DOI:
 
10.1111/medu.12054
[Indexed for MEDLINE]


EPA 핵심 개념(J Grad Med Educ, 2013)

Nuts and Bolts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Olle ten Cate, PhD




The Challenge


신뢰할 수있는 전문 활동 (EPA) 개념을 통해 교수는 연수생에게 필요한 감독 수준에 대해 역량 기반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역량 기반 교육은 모든 학습자가 교육 완료시 충분한 수준의 숙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표준화 된 숙련도를 목표로합니다 .1-6 ACGME 또는 CanMEDS 역량은 그 전체를 합하면 전문가의 자질을 설명하는 프레임 워크를 구성합니다. 그러한 틀은 교육과 평가에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워크는 의료 실천medical practice의 세계로 번역되어야합니다. 역량 프레임 워크가 일상적인 업무에서의 훈련 및 평가에는 너무 이론적 일 것이라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translation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EPA이다.

Th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concept allows faculty to make competency-based decisions on the level of supervision required by trainees. Competency-based education targets standardized levels of proficiency to guarantee that all learners have a sufficient level of proficiency at the completion of training.1–6 Collectively, the competencies (ACGME or CanMEDS) constitute a framework that describes the qualities of professionals. Such a framework provides generalized descriptions in teaching and assessment. However, these frameworks must translate to the world of medical practice. EPAs were conceived to facilitate this translation, addressing the concern that competency frame-works would otherwise be too theoretical to be useful for training and assessment in daily practice. 


What Is Known


신뢰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헬스케어를 위한 핵심 개념입니다. 환자는 의사를 신뢰해야하며, 의료 제공자는 고도로 상호 의존적 인 의료 시스템에서 서로를 신뢰해야합니다. 교육 환경에서 감독자는 연수생에게 언제 무엇에 대해 임상 책임을 맡길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한 EPA는 전문적인 실습professional practice의 단위이며, 충분한 특정 역량을 획득했을 때 갑독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행을 맡길 수 있는 업무 또는 책임으로 정의됩니다. EPA는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하고,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프로세스 및 결과로, 위임 결정에 적합합니다. 난이도, 위험도, 또는 정교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EPA 순서를 배치하면 GME의 중추가 될 수 있습니다 .6


Trust is a central concept for safe and effective health care. Patients must trust their physicians, and health care providers must trust each other in a highly interdependent health care system. In teaching settings, supervisors decide when and for what tasks they entrust trainees to assume clinical responsibilities. Building on this concept, EPAs are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defined as tasks or responsibilities to be entrusted to the unsupervised execution by a trainee once he or she has attained sufficient specific competence. EPAs are independently executable, observable, and measurable in their process and outcome, and therefore, suitable for entrustment decisions. Sequencing EPAs of increasing difficulty, risk, or sophistication can serve as a backbone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6



역량이 EPA와 다른 점은?

How Do EPAs Differ From Competencies?

  • EPA는 역량의 대체품이 아니라, 역량을 임상 실무로 translate하는 수단입니다.

EPAs are not an alternative for competencies, but a means to translate competencies into clinical practice.

  • 능력은 의사에 대한 설명이며, EPA는 직무에 대한 설명이다.

Competencies are descriptors of physicians, EPAs are descriptors of work.

  • 일반적으로 EPA는 여러 역량이 통합적, 전체적이 됨을 필요로합니다. 표 1은 다른 EPA가 몇 가지 역량 영역에서 숙련도를 요구하는지 보여줍니다.

EPAs usually require multiple competencies in an integrative, holistic nature. TABLE 1 shows howdifferent EPAs require proficiency in several competency domains.


완전한 EPA 기술에 필요한 것은?

What Is Included in a Full EPA Description?




마일스톤과 EPA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How Do EPAs Relate to Milestones?


ACGME의 정의에 따르면, 마일스톤은 특정 역량이 발달하는 단계입니다. 이정표는 감독자의 EPA 결정 (예 : 직접 감독 감독 대 원격 감독)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Milestones, as defined by the ACGME, are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competencies. Milestones may link to a supervisor’s EPA decisions (eg, direct proactive supervision versus distant supervision).


위임 결정에 필요한 것은?

What Do Entrustment Decisions Require?


위임 결정을 위해서는 자신의 한계를 이해하고 언제 도움을 요청해야하는지 등의 일반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임상 기술 및 능력을 고려해야 한다. 독립적 의료행위 수행에 대한 위임 결정을 내리려면 일반적으로 다수의 상황에서 숙련도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Entrustment decisions involve clinical skills and abilities as well as more general facets of competence, such as understanding one’s own limitations and knowing when to ask for help. Making entrustment decisions for unsupervised practice requires observed proficiency, usually on multiple occasions.


현실에서 위임 결정은 4 가지 변수 그룹에 의해 영향을받습니다.

(1) 훈련생의 속성 (피로, 자신감, 훈련 수준);

(2) 감독자의 속성 (예 : 관용 또는 엄격);

(3) 상황 (예 : 하루 중 시간, 이용 가능 시설); 과

(4) EPA의 성질 (희귀, 복합 대 보통, 용이).

In practice, entrustment decisions are affected by 4 groups of variables: 

(1) attributes of the trainee (tired, confident, level of training); 

(2) attributes of the supervisors (eg, lenient or strict); 

(3) context (eg, time of the day, facilities available); and 

(4) the nature of the EPA (rare, complex versus common, easy). 


위임 결정은 임시적 (예 : 야간 근무 중 발생) 또는 구조적 (연수생이 특정 감독 수준에서 이 활동을 수행 할 수 있다는 인식을 확립)과 같이 더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임상 맥락에서는 매일 많은 임시적 위임 결정이 발생합니다. 구조적 위임 결정은 연수생이 감독을 덜 해도 되는 기준을 통과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합니다. 그러한 경우에 수여되는 인증서는 책임수여증서(STAR)로 불려지므로, 신중하게 문서화해야합니다 .2

Entrustment decisions can be further distinguished as ad hoc (eg, happening during a night shift) or structural (establishing the recognition that a trainee may do this activity at a specific level of supervision from now on). In the clinical context, many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happen every day. Structural entrustment decisions formally acknowledge that a trainee has passed a threshold that allows for decreased supervision. The certificate awarded at such occasions has been called a statement of awarded responsibility (STAR) and should be carefully documented.2



오늘부터 시작하자

How You Can Start TODAY


몇 개의 EPA 수련에 필요한지 결정하십시오.

Decide how many EPAs are useful for training.


임시적 위임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되는 많은 EPA가있을 수 있지만, 구조적 위임 결정 (즉, 인증 또는 STAR)을 유도하는 EPA는 광범위한 책임을 수반하고 그 숫자가 제한적이어야 합니다. GME 프로그램의 경우 20-30 개의 EPA만이 권장됩니다.

While there can be many EPAs that serve to make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EPAs that lead to structural entrustment decisions (ie, certification or STARs) should involve broad-based responsibilities and be limited in number. For a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 no more than 20 to 30 EPAs are recommended.


평가에 EPA 활용하기

Use of EPAs in Assessing Trainees


EPA가 평가의 초점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연수생이 이 EPA를 실행할 수 있다고 믿을 수 있습니까? 답은 EPA의 5 단계 감독 수준으로 번역 될 수 있습니다.

EPAs can be the focus of assessment. The key question is: Can we trust this trainee to execute this EPA? The answer may be translated to 5 levels of supervision for the EPA:


1. 직접 감독하에도 관측은 가능하지만 수행은 안된다.

2. 직접적이고 능동적 인 감독하에 실행

3. 요구시에 즉시 도와줄 수 있는 반응적감독 하에서 수행

4.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감독 및 / 또는 사후 관리

5. 연수생이 더 많은 동료들에게 감독을 제공할 수 있음

1. Observation but no execution, even with direct supervision

2. Execution with direct, proactive supervision

3. Execution with reactive supervision, ie, on request and quickly available

4. Supervision at a distance and/or post hoc

5. Supervision provided by the trainee to more junior colleagues


What You Can Do LONG TERM








 2013 Mar;5(1):157-8. doi: 10.4300/JGME-D-12-00380.1.

Nuts and bolts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Comment in

PMID:
 
24404246
 
PMCID:
 
PMC3613304
 
DOI:
 
10.4300/JGME-D-12-00380.1


MD학위의 토대 정의: 1년차 전공의를 위한 Core EPA(Acad Med, 2016)

Toward Defining the Foundation of the MD Degre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Robert Englander, MD, MPH, Timothy Flynn, MD, Stephanie Call, MD, MSPH, Carol Carraccio, MD, MA, Lynn Cleary, MD, Tracy B. Fulton, PhD, Maureen J. Garrity, PhD, Steven A. Lieberman, MD, Brenessa Lindeman, MD, MEHP, Monica L. Lypson, MD, MHPE, Rebecca M. Minter, MD, Jay Rosenfield, MD, MEd, Joe Thomas, MD, Mark C. Wilson, MD, MPH, and Carol A. Aschenbrener, MD



LCME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에서 정한 표준은 교육 성과보다는 필수 주제와 학생 경험에 더 중점을 둡니다. 모든 학부 과정은 결과 기반 학습 목표를 가져야하지만, LCME 표준은 이러한 "결과"가 무엇이어야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2

Standards set by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focus more on required subject matter and student experiences than on educational outcomes. Although all undergraduate courses must have outcomes-based learning objectives, the LCME standards do not provide guidance as to what those “outcomes” should be.2


결과적으로 특정 임상 적 능력과 의학 학위 (MD) 졸업 예정자에 대한 acument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명확하고 표준적인 기대치의 결여로 인해 레지던시 프로그램 디렉터의 기대와 새로운 레지던트의 성과 사이에 격차가 생기고, 레지던트의 성과에 (학교마다) 중대한 이질성이 생겼다 .3-6

As a result, there is disagreement about the specific clinical abilities and acumen that should be expected of a medical degree (MD) graduate. This absence of clear, standard expectations has led to a gap between residency program directors’ expectations and new residents’ performance and to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entering residents’ performance.3–6


문헌은 레지던트가 종종 감독없이 수련 초기에 임상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증거로 가득 차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이몬드 (Raymond)와 동료 7 명은 10 가지 핵심 전문 분야에서 2,500 명 이상의 거주자를 연구하여 일상적인 업무 (보험 회사와의 간호 토론)에서 감정적 인 라덴 (화난 환자 관리), 기술적 인 도전 ) 처음 며칠 동안.

The literature is replete with evidence that residents are trusted to perform clinical tasks early in residency often without supervision. For example, Raymond and colleagues7 studied more than 2,500 residents from 10 core specialties who reported performing activities from the routine (discussing a patient’s care with an insurance company) to the emotionally laden (managing an angry patient) to the technically challenging (performing a thoracentesis) during their first days.


지난 10 년 동안 미국과 캐나다의 의학 교육자들은 의대에서 레지던트로의 전환을 포함하여 교육 및 훈련의 전환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습니다.

Over the past decade, medical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ave begun to focus on the transitions in education and training, including the transition from medical school to residency.8,9


개발 지침

Guiding Principles for Developing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Drafting Panel은 몇 가지 지침 원칙을 수립했으며, 첫 번째는 환자 안전이 이 작업의 주요 동기가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7 월 효과"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본 연구에 참여하기위한 우리의 이론적 근거는 주로 두 가지 환자 안전 문제에 기반을두고 있습니다 : 

(1) 새로운 레지던트의 임상 기술은 매우 가변적이며 프로그램의 기대에 항상 부합하지 않습니다 

(2) 레지던트들은 직접적인 감독없이 적절한 지시 나 평가를받지 못한 많은 활동을 수행합니다.

The Drafting Panel established several guiding principles, the first being that patient safety would be the primary motivator for this work. Whether or not the “July effect” exists,12,13 our rationale for engaging in this work was primarily based on two patient safety issues: (1) The clinical skills of new residents are highly variable and do not always meet the expectations of program directors,5,14,15 and (2) residents perform many activities for which they may not have had adequate instruction or assessment without direct supervision.16


두 번째 기본 원칙은 전문과 선택과 상관없이 모든 의사에게 적용되는 공통 기술의 "핵심"을 개발하는 것이 었습니다. 포괄적 인 의과 대학 교육은 모든 의료 학교 졸업생 (예 : 절차 전문 봉합)에 적용하기보다는 전문 분야에 특화된 기술뿐만 아니라 환자 치료 이외의 학교 사명과 관련된 추가 기술 교육을 포함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추가 기술을 다루려고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The second guiding principle was to develop a “core” of common skills that apply to all physicians, regardless of specialty choice. A comprehensive medical school education includes instruction in additional skills linked to the school’s mission beyond patient care as well as in skills that are specific to a specialty rather than applicable to all medical school graduates (e.g., suturing for the procedural specialties). We did not attempt to address these additional skills.


세 번째 기본 원칙은 학습자 평가가 의학 교육의 핵심 요구 사항을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잦은 형성적 평가에 기초한 평가 시스템을 계획하여 종합적인 증거에 기반한 위탁 결정을 궁극적으로 완성했습니다.

Our third guiding principle was that learner assessment is critical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ny core requirements in medical education. We envisioned an assessment system based on frequent formative assessments, ultimately culminating in entrustment decisions based on the aggregate evidence.


마지막으로, 우리의 네 번째 기본 원칙은 이러한 핵심 요구 사항의 구현은 교수개발을 위한 강력한 자원과 결합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교수진은 교수, 평가 및 피드백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배우고 직접 감독없이 특정 업무를 수행 할 준비가되어 있는지에 대한 위탁 결정을 내릴 수있는 기술을 개발해야합니다.

Finally, our fourth guiding principle was that implementation of such core requirements must be coupled with robust resources for faculty development. Faculty will need to learn new approaches to teaching, assessment, and feedback and develop the skills to make entrustment decisions regarding a student’s readiness to perform specific tasks without direct supervision.


개념 프레임워크

Conceptual Framework: Choosing EPAs and Linking Them to Competencies and Milestones


EPAs의 개념은 2005 년에 추상적이고, 맥락에 독립적이며, 세분화 된 역량의 본질에 따르는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실질적인 접근법으로서 도입되었습니다. EPA는 care delivery에 중점을 두는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작업 단위이며, 따라서 평가 프로세스를 학습자가 실제로하는 일과 직장에서 관찰하는 내용과 일치시킵니다. EPAs는 또한 평가 방정식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감독에 대한 신뢰 개념과 그 의미를 소개한다.

The concept of EPAs was introduced in 2005 as a practical approach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created by the abstract, context- independent, and granular nature of competencies. EPAs are observable and measurable units of work that focus on care delivery and, as such, align the assessment process with what learners actually do and what faculty observe in the workplace. EPAs also introduce the notion of trust and its implications for variable levels of supervision to the assessment equation.19


  • EPA는 교육자가 학습자와 실제 care 전달에 필요한 역량의 통합을 평가할 수있게 해줍니다. 

  • 역량은 임상 활동의 성공적인 수행을 뒷받침하는 학습자 능력의 세분화 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합니다. 

  • 역량과 이정표는 주어진 EPA에 대한 위임으로 진행할 수없는 학습자를 "진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EPAs allow educators to assess a learner’s integration of the competencies needed for actual care delivery into her or his performance. 

  • The competencies in turn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granular components of the learner’s abilities that underpin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clinical activities. 

  • Competencies and their milestones thus can serve to “diagnose” a learner who is unable to progress to entrustment on a given EPA.


EPAs는 처음에는 수퍼바이저가 연습하지 않고 EPA를 연습 할 수있는 능력에 연계 된 위탁 교육을 통해 레지던트 전환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우리는 UME-GME 전환을 위해 이 위임 개념을 채택했다 .17,18 신규 레지던트는 항상 직접 감독 (직접 감독관) 또는 간접 감독 (수석 주민 또는 교수진 즉시 지원 가능) 중 하나를가집니다. 따라서 우리는 레지던트에 들어가기위한 핵심 EPA를 "모든 레지던트들이 직접 감독없이 거주 첫날에 수행해야하는 활동"으로 정의했습니다.

EPAs were initially designed for the residency-to-practice transition with entrustment linked to the learner’s ability to practice the EPA unsupervised. We adapted this entrustment concept for the UME-to-GME transition.17,18 New residents always have either direct supervision (supervisor directly in the room) or indirect supervision (senior residents or faculty immediately available to assist). Therefore, we defined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as “activities that all entering residents should be expected to perform on day one of residency without direct supervision.”11


Getting to the Final 13: Why These EPAs?


List 1 Final 13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11


1. Gather a history and perform a physical examination

2. Prioritize a differential diagnosis following a clinical encounter

3. Recommend and interpret common diagnostic and screening tests

4. Enter and discuss orders/prescriptions

5. Document a clinical encounter in the patient record

6. Provide an oral presentation of a clinical encounter

7. Form clinical questions and retrieve evidence to advance patient care

8. Give or receive a patient handover to transition care responsibility

9. Collaborate as a member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10. Recognize a patient requiring urgent or emergent care and initiate evaluation and management

11. Obtain informed consent for tests and/or procedures

12. Perform general procedures of a physician

13. Identify system 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See List 1 for the final 13 EPAs.11


EPA를 핵심 역량에 매핑하기

Mapping the EPAs to Their Critical Competencies


See List 2 for these domains of competence and 

List 3 for examples of the competencies within the domain of patient care.


다음으로 Q-sorting 방법론을 사용하여 각 EPA에 대해 5 ~ 8 가지 가장 중요한 역량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냈습니다. 이론적으로 각 EPA는 여러 역량에 매핑 될 수 있지만 그 중 소수만이 위탁에 도달해야합니다. 우리는 핵심 역량을 학습자가 직접 감독없이 활동을 수행하기 전에 증명해야하는 역량으로 정의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에는 점화, 조향, 제동 및 GPS 관리 역량이 포함됩니다. 이 경우 첫 번째 세 가지 역량은 새 드라이버에 대한 위탁 결정에 중요 할 수 있지만 마지막 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신규 거주자는 수혈, 중추선 또는 예방 접종과 같은 업무에 대한 직접 감독없이 정보에 입각 한 동의를 얻을 수 있어야합니다. 그렇게하려면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환자와 그 가족을 상담하고 교육하는 것과 같은 환자 치료 역량이 필요합니다. 비록 그러한 procedure를 수행하는 것(환자 치료 -1)이 정보에 입각 한 동의를 얻는 데 중요 할 수도 있지만, 레지던트는 수혈처럼 그들이 직접 하지 않는 절차에 대한 동의를 얻는 경우도 많으므로 procedure에 관한 역량은 informed consent EPA에 연결하지 않았습니다.

Next, we used a Q-sorting methodology to reach consensus on the five to eight most critical competencies for each EPA. Theoretically, each EPA could be mapped to many competencies, but only a few of those are required to reach entrustment. We defined critical competencies as those that must be demonstrated before a learner may perform the activity without direct supervision. For example, driving a car includes competencies in ignition, steering, braking, and managing a GPS. In this case, the first three competencies would be critical to an entrustment decision for a new driver, while the last is not. Similarly, a new resident should be able to obtain informed consent without direct supervision for tasks such as blood transfusions, central lines, or immunizations. Doing so requires patient care competencies such as developing and carrying out management plans and counseling and educat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lthough performing the procedure (Patient care-1) might seem critical to obtaining informed consent, residents often obtain consent for procedures they do not do (e.g., blood transfusion), so we did not link procedural competency to the informed consent EPA. 


핵심 역량을 위한 마일스톤 개발

Developing Milestones for the Critical Competencies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를 통해 13 개 이상의 EPA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된 각 역량에 대한 이정표를 만들었습니다. 이정표는 발달 연속체를 따라 수행 수준을 향상시키는 학습자의 행동 적 기술자입니다. 우리의 이정표는 시간 내과, 27 건의 외과, 28 건의 소아과, 29 건의 정신과학, 30 건의 응급 의학에서 발표 된 5 세트의 ACGME 전문 이정표에서 주로 얻었습니다 .31 우리는 각 역량에 대해 두 가지 이정표를 개발했습니다. 또는 선임 할 수있는 학습자이고 다른 하나는 직접 감독없이 활동을 수행 할 자격이있는 것으로 정의 된 위임 할 수있는 학습자를 대표한다.


We created milestones for each of the competencies linked to 1 or more of the 13 EPAs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Milestones are behavioral descriptors of learners at advancing levels of performance along a developmental continuum. Our milestones were derived predominantly from the five sets of ACGME specialty milestones that were published at the time—internal medicine,27 surgery,28 pediatrics,29 psychiatry,30 and emergency medicine.31 We developed two milestones for each competency—one representing a novice or preentrustable learner and the other representing an entrustable learner, defined as one who is competent to perform the activity without direct supervision.


평가 가이드와 교수 개발

Guiding Assessment and Faculty Development


우리는 선행적이고 신뢰할 수있는 학습자를 위한 이정표를 기반으로 각 EPA에 대한 묘사적인 행동 서사 및 사례 비 네트를 만들었습니다. 그림 1은 EPA, 역량 및 이정표 간의 관계와이 서술 설명을 작성하기위한 이정표의 사용 결과를 보여줍니다.

we created descriptive behavioral narratives and case vignettes for each EPA based on the milestones for preentrustable and entrustable learners. Figure 1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and the resultant use of the milestones to build these narrative descriptions.


최종 버전에는 각 EPA에 대한 설명, 주요 기능 목록, 핵심 역량 및 중요 시점에 대한 링크, 예상 행동 및 임상 적 비 네트에 대한 서술 및 2014 년 6 월에 공유 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1

The final version includes a description of each EPA, a list of key functions, links to critical competencies and milestones, and narrative descriptions of expected behaviors and clinical vignettes for both preentrustable and entrustable learners, and was shared in June 2014.11



다음 단계

Next Steps: Testing the EPAs in the Field


커리큘럼을 개발할 때 교육자는 구조적 함의에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위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가시키는 교육 구조는 무엇입니까?

In developing curricula, educators will need to pay attention to structural implications. What is the educational structure that best advances students toward entrustment?


핵심 EPA의 최종 목록이 2 년 이내에 발표되었지만이 프레임 워크를 구현하고 테스트하기위한 두 가지 조사 방법이 이미 진행 중입니다. 첫째, AAMC는 각 EPA를 가르치고 의대생을 위탁하기위한 경로를 묘사하는 데 필요한 교과 과정, 평가 및 교수 개발 프로그램을 정의하기 위해 회원 의대 중 10 개국의 다년간 파일럿을 후원합니다.

Although publication of the final list of core EPAs happened less than two years ago, two avenues of inquiry are under way already to implement and test this framework. First, the AAMC is sponsoring a multiyear pilot with 10 of its member medical schools to define the curriculum, assessment,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needed to teach each of the EPAs and to delineate pathways to entrustment for medical students.


또한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에서 열린 2015 년 AAMC 의학 교육 회의에는 기관이 핵심 EPA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2 시간짜리 포스터 세션이 포함되었습니다.

In addition, the 2015 AAMC medical education meeting in Baltimore, Maryland included a two-hour poster session devoted to how institutions are implementing the core EPAs.


네덜란드와 독일은 의대 졸업생을위한 핵심 EPA 개발에도 관여하고 있습니다.

The Netherlands and Germany also are engaged in developing core EPAs for their medical school graduates.


핵심 EPA의 구현은 AAMC의 Continuum 프로젝트 (www.aamc.org/initiatives/epac/) 소아과 교육 (Education in Pediatrics) (4 개 기관의 소규모 학습자를 대상으로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됩니다.

Implementation of the core EPAs also will be tested through the AAMC’s Education in Pediatrics Across the Continuum project (www.aamc.org/initiatives/epac/), a pilot program involving a small number of learners at four institutions.


핵심 EPA와 전문 분야 및 하위 분야 EPA를 연결하면 전문 개발 궤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있는 연속적인 학습 및 평가가 가능합니다. 

  • 첫째, 학습자가 숙련 된 기술로 거주하게되면 프로그램 디렉터와 교수진은 학습자의 능력을 평가할 필요없이 이러한 기본 기술을 즉시 구축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거주 기간 동안 발달 연속체를 따라보다 신속한 진전 기회를 제공합니다. 

  • 둘째, 수련 교육이 끝날 때 학습자의 수행 수준은 실습으로 전환됨에 따라 인증 유지의 첫 번째 사이클에 대한 학습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Linking the core EPAs with specialty and subspecialty EPAs provides a continuum of learning and assessment that could have major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rajectories. First, if learners enter residency with a known skill set, program directors and faculty can immediately build on these baseline skills without having to assess the learners’ abilities. This opens an opportunity for more rapid progress along the developmental continuum during residency. Second, learners’ level of performance at the end of residency training could guide their learning for the first cycle of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s they transition into practice.


Conclusions


시행을 통해서만 우리는 이러한 13 가지 임상 과제에 대한 위탁이 [새로운 의사가 그들의 레지던트 기간이 시작될 때 책임을 맡을 준비가되어지고 첫날부터 환자에게보다 안전한 치료를 제공 할 것]이라는 가설을 시험 할 수 있습니다.

Only through implementation can we test the hypothesis that entrustment on these 13 clinical tasks will result in new physicians being better prepared to assume responsibilities at the outset of their residency years and provide safer care to their patients from day one.







11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2013. https://www. mededportal.org/icollaborative/resource/887. Accessed March 1, 2016.


12 Young JQ, Ranji SR, Wachter RM, Lee Toronto, CM, Niehaus B, Auerbach AD. “July effect”: Impact of the academic year- end changeover on patient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n Intern Med. 2011;155:309–315.

XXX


13 Averbukh Y, Southern W. A “reverse July effect”: Association between timing of admission, medical team workload, and 30-day readmission rate. J Grad Med Educ. 2014;6:65–70.

XXX



 2016 Oct;91(10):1352-1358.

Toward Defining the Foundation of the MD Degree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Author information

1
R. Englander was senior director of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at the time this work was done. He is now associate dea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Minneapolis, Minnesota.T. Flynn is senior associate dean for clinical affairs, University of Florida College of Medicine, Gainesville, Florida.S. Call is program director for internal medicine,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ichmond, Virginia.C. Carraccio is vice president for competency-based assessment programs,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orth Carolina.L. Cleary is vice president for academic affair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Upstate Medical University, Syracuse, New York.T.B. Fulton is professor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and competency director for medical knowledg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M.J. Garrity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and physiology and associate dean, University of Colorado Anschutz Medical Campus, Aurora, Colorado.S.A. Lieberman is senior dean for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School of Medicine, Galveston, Texas.B. Lindeman is chief resident,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M.L. Lypson is professor of internal medicine and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d associate chief of staff for education, VA Ann Arbor Healthcare System, Ann Arbor, Michigan.R.M. Minter was associate professor of surgery and learning health sciences, associate chair for education, Department of Surgery, and associate program director in general surgery,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at the time this work was done. She is now professor and Alvin Baldwin Jr. Chair, Department of Surgery,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Dallas, Texas.J. Rosenfield is vice dean of the MD program,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J. Thomas is a resident in emergency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M.C. Wilson is clinical professor of internal medicine and associate dean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owa Carver College of Medicine, and designated institutional official, University of Iowa Hospitals and Clinics, Iowa City, Iowa.C.A. Aschenbrener was chief medical education officer,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at the time this work was done.

Abstract

Currently, no standard defines the clinical skills that medical students must demonstrate upon graduation.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bases its standards on required subject matter and student experiences rather than on observable educational outcomes. The absence of such established outcomes for MD graduates contributes to the gap between program directors' expectations and new residents' performance.In response, in 2013,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convened a panel of experts from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define the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every resident should be able to do without direct supervision on day one of residency, regardless of specialty. Using a conceptual framework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this Drafting Panel reviewed the literature and sought input from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mmunity. The result of this process was the publication of 13 coreEPAs for entering residency in 2014. Each EPA includes a description, a list of key functions, links to critical competencies and milestones, and narrative descriptions of expected behaviors and clinical vignettes for both novice learners and learners ready for entrustment.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as already begun to develop the curricula, assessment tools, faculty development resources, and pathways to entrustment for each of the 13 EPAs. Adoption of these core EPAs could significantly narrow the gap between program directors' expectations and new residents' performance,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increasing residents', educators', and patients' confidence in the care these learners provide in the first months of their residency training.

PMID:
 
27097053
 
DOI:
 
10.1097/ACM.0000000000001204


근무지기반평가 이해: 옳은 질문을, 옳은 방식으로, 옳은 것에 대해, 옳은 사람에게(Med Educ, 2012)

Making sense of work-based assessment: ask the right questions, in the right way, about the right things, of the right people

Jim Crossley1 & Brian Jolly2






도입

INTRODUCTION


역사적으로 평가는 종종 중요한 것보다는 측정 가능한 것을 측정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30 년 동안 우리는 점점 더 중요한 것을 가르치고 평가하려고 시도합니다.

Historically, assessments have often measured the measurable rather than the important. Over the last 30 years, however, we increasingly attempt to teach and assess what matters most.


이 개혁에는 세 가지 주요 주제가있었습니다.

This reformation has had three main themes:


첫째, (예를 들면 Biggs and Collis의 SOLO (관찰 된 학습 결과의 구조) 분류법에 반영되어있는 것처럼) 피상적인 지식 테스트에서 이해, 분석, 해석 대한 테스트로의 변화가 지식테스트 설계에 도움을 주었다.

First, the move from the testing of superficial knowledge towards the testing of understanding,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reflected, for example, in Biggs and Collis’ SOLO (structure of observed learning outcomes) taxonomy,1 has informed developments in knowledge test design.


(http://dohwan.tistory.com/1430 , http://dohwan.tistory.com/887)


둘째, Bloom의 원래 분류 체계에 반영된 기술과 태도가 지식만큼 중요 할 수 있다는 인식은 새로운 형식의 임상 시험에 기여했습니다.

Second, the recognition that skills and attitudes can be as important as knowledge, reflected in Bloom’s original taxonomy,2 has contributed to new formats of clinical examination.


마지막으로 심리 측정의 관점에서 보자면, 평가자의 주관성과 성과의 사례 특이성을 강조하면서, OSCE와 mini-CEX와 같이 다양한 평가 형식에 걸쳐 여러 개의 '미니'테스트 샘플을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해갔다.

Finally, psychometric perspectives, in highlighting assessor subjectivity and the case-specificity of performance,3 have prompted a move towards multiple ‘mini’ test samples across many different assessment formats, such as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and the eponymous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mini-CEX).4


이러한 발전의 대부분은 평가를 해체하였으며deconstructed, 어떤 사람은 그 결과로 학습learning을 해체deconstruct하였다고 주장한다. 즉, 평가를 위해서 행동을 하위 구성 요소로 분해하거나, 단순히 그러한 방식으로 샘플링하게 되었고, 이는 학습자가 전체 그림에 더 집중하지 않고 개별적 요소나 "역량"에 더 신경쓰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역량 운동은 완전히 대조되는 방향을 제공했습니다. 실제로 실무에서는 실제 업무상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역량의 모든 구성 요소가 함께 정리되고 통합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밀러의 피라미드는 이해를 위해서 지식은 필요하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는 것을 암시함으로써 이러한 아이디어를 잘 모델링한다. 이해는 필요하지만 능력(또는 역량)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으며, 능력은 필요하지만 실제 매일매일의 퍼포먼스에 충분하지는 않습니다 .6 피라미드의 각 새로운 레이어는 분리 된 것을 재구성합니다.

Many of these developments have deconstructed assessments and, some would argue, consequentially deconstructed learning. That is, breaking the assessed behaviour into subcomponents, or even simply sampling it in that way, has mandated learners to focus less on the big picture and more on elements or underpinning ‘competencies’. Interestingly, however, the competency movement also provided an altogether contrasting direction. It argued that, in practice, all the component parts of a competence must be marshalled together and integrated to deal with real workplace problems.5 Miller’s pyramid6 models this idea well by implying that knowledge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understanding. Understanding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ability (or competence), and ability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actual day-to-day performance.6 Each new layer of the pyramid reconstructs what had been separated.


이것은 (통제 된 (해체 된) 환경에서 평가할 때 의사의 능력이 실제 일상적인 수행을 신뢰할 수있게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을 입증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자면) 평가에도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진다.7,8 의사가 실제로 매일매일 수행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의사가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 할 때 평가를 받아야합니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직장 기반 평가 (WBA)의 중요성에 대한 사례를 나타냅니다.

This proves to be highly relevant in assessment because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doctors’ abilities when assessed in a controlled (deconstructed) environment do not dependably predict their actual day-to-day performance.7,8 To know how a doctor is actually performing on a daily basis, he or she must be assessed when engaged in normal work. In essence, this represents the case for the importance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WBA 평가 결과는 약한 참여와 실망스러운 안정성을 보여준다

WBA evaluations show poor engagement and disappointing reliability


WBA는 다른 평가가 할 수 없는 것을 측정하기 때문에 전 세계 대학원 평가 프로그램에 빠르게 통합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었다.

Because WBA measures what no other assessments can, it has been rapidly incorporated into postgraduate assessment programmes around the world. Nevertheless, it has been relatively unpopular.



'이 전문직(의사)에 있어서, 전문적인 행동의 복잡성을 평가하기위해서 환원적인 '체크박스' 방식의 접근법 사용하는 것에 대해 냉소를 던진다. 또한 개별적인 평가 방법의 표준, 방법 및 목표와 관련한 혼란은 광범위하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냉소 존재하며, 전문직 내에서 WBA에 대한 cynicism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9

‘The profession is rightly suspicious of the use of reductive ‘‘tick-box’’ approaches to assess the complexities of professional behaviour, and widespread confusion exists regarding the standards, methods and goals of individual assessment methods… This has resulted in widespread cynicism about WBA within the profession, which is now increasing.’9




또한, WBA 방법을 정신 측정법으로 평가 한 결과, 매우 다양한 결과가 얻어졌습니다. 많은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에서 평가자는 평가자 간 차이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평가자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trainee에 대해서 차등을 두지 않고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11,12 이것은 심리 측정 관점에서 reproducibley discriminate하려면 매우 많은 수의 평가자와 사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Furthermore, where WBA methods have been psychometrically evaluated, highly variable results have been obtained. in many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mes, scores are found to be very vulnerable to assessor differences, and assessors have generally been indiscriminate in rating most trainees very positively.11,12 This means that from a psychometric perspective, very large numbers of assessors and cases are required to discriminate reproducibly among trainees.


여기서 어디로 가는가?

Where do we go from here?


몇 가지 기본적 도구 설계 이슈를 통한 WBA 향상 제안

This paper offers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WBA by looking at some basic instrument design issues.


방법

METHODS


우리는 프로세스의 종점에서 시작했다. 

We start at the endpoint of the process. What do assessors think they are measuring and where do they put their mark?


결과

RESULTS


어떤 척도가 가장 적합한가?

What scales work best?


평가자는 퍼포먼스에 대한 의견이 같아도, 척도를 다르게 해석한다

Assessors may agree on performance, but interpret response scales differently


흥미롭게도, 평가자는 관찰 한 것에 동의 할 때조차 반응 척도에 대한 해석에 대해 종종 의견이 다릅니다. 흔히 토론의 대상이 되는 것은 환자와 관련된 poor한 능력이 '의사 소통' 영역에 속하는지 아니면 '전문성'영역에 속하는지, '좋지는 않은' 성과가 '불만족'으로 간주되어야하는지에 관한 문제입니다.

Interestingly, they often disagree over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response scale even when they agree about what they have observed. Common points of discussion include the issue of whether a poor ability to relate to patients falls within the ‘communication’ or the ‘professionalism’ domain, and whether a performance that ‘wasn’t very good’ should be deemed as ‘unsatisfactory’.



PBA에 대한 평가에서도, PBA 글로벌 요약 척도를 사용할 때 평가자들은 서로서로 훨씬 더 면밀히 동의하고, 더 변별도가 생긴다고 제안했습니다.

A parallel evaluation of PBA suggested that, when using the PBA global summary scale, assessors agreed with one another much more closely and were much more discriminating than they were when using comparable scales on the other instruments.


Crossley 등은 이러한 관찰 결과가 다른 WBA 방법에서도 보편적인가를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연구에서, assessor-relevant alignment가 점수의 신뢰성을 향상 시켰다는 가설을 시험했다.

With reference to this observation, Crossley et al.16 tested the hypothesis that such assessor-relevant alignment improved the reliability of scores in a study designed to evaluate whether this observation generalises to other methods of WBA.


원래의 척도는 normative and developmental했다. 

'고급 훈련 중 예상 수준에서 수행'.

The original scales were normative and developmental. 

‘Performed at level expected during advanced training’.


그러나 새로운 척도는 'clinically anchored'되어있었다. 

'우수하고 시의 적절한 컨설팅 기술을 보여줌으로써 복잡하거나 어려운 상황에서 포괄적 인 역사 및 / 또는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남에 뒤 따르는 훌륭한 임상 적 판단을 보여줍니다. '

However, the new scales were ‘clinically anchored’. 

‘Demonstrates excellent and timely consultation skills, resulting in a comprehensive history and⁄ or examination findings in a complex or difficult situation. Shows good clinical judgement following encounter.’


단순히 임상 평가자의 우선 순위에 scale을 align하는 것 만으로도 변별도를 상당히 증가 시켰고, 평가자 의견 차이를 줄였습니다. miniCEX, CBD 및 급성 치료 평가 도구 (ACAT) 18의 'on-take'및 'post-take'버전에서 이러한 변화는 좋은 '훈련 중' 신뢰도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평가 횟수를 줄이기에 충분했습니다 (일반화 가능성 계수 0.7). 각각 6에서 3, 8에서 3, 10에서 9, 30에서 15로 줄이면서, 그 결과로 평가자 작업 부하를 약 50 % 절약 할 수 있습니다.

Simply aligning the scale with the priorities of clinician assessors substantially increased assessor discrimination and reduced assessor disagreement. In the miniCEX, CBD, and the ‘on-take’ and ‘post-take’ versions of the Acute Care Assessment Tool (ACAT),18 these changes were sufficiently large to reduce the number of assessments required to achieve good ‘in-training’ reliability (generalisability coefficient of 0.7) from six to three, eight to three, 10 to nine and 30 to 15, respectively, facilitating a saving of approximately 50% in assessor workload.


신뢰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을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측정 도구에서 나타났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Not only did the reliability improve markedly, but it did so across a wide variety of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in variable contexts. Why did this happen?


응답 척도는 인지적 구조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Response scales need to reflect cognitive structuring


1980 년 이전에 여러 관찰자들은 평가자의 인지적 특성이 유전적으로 또는 제도적으로 고정된 속성(예 : 성별, 연령, 인종, 직업)보다 rating 과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많은 연구에 대한 획기적인 검토에 따르면, 경험이 많고 보다 인지적으로 복잡한 평가자들은 후광 효과에 덜 민감했으며, 상세한 anchor를 최소화된 anchor보다 선호했다.

As long ago as 1980, various observers remarked that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raters have greater influence on the rating process than more genetically or institutionally fixed attributes (e.g. sex, age, race, job). a landmark review of many studies,19 suggested, that more experienced and more cognitively complex raters were less susceptible to halo effects and also preferred detailed anchors to minimal descriptors.


그들은 또한 평가자가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평가자의 인지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평가자의 인지적 스키마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보다) 평가 양식의 포멧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된 결론이었고, 심지어 형식과 관련된 연구에 '모라토리엄'을 선언하였다. 

They also found, that the perceived purpose of rating has a substantial effect on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rater. However, their main conclusion suggested a lesser need to investigate the format of a rating form (and even suggested a moratorium on format-related research) than to understand, and appropriately utilise, the cognitive schema of the raters.


다른 증거들도 평가자의 인식 체계의 중요성을 확인해주지만, (다음의 예는) 좋은 alignment를 통해서 어떻게 response format이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잘 활용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Other evidence affirms the importance of raters’ cognitive frameworks, but shows how the response format might exploit these frameworks by good alignment.20

      • no anchors at all, 
      • one anchored solely with textual descriptors, 

      • one anchored with naturally generated auditory stimuli, and 

      • one in which both text and auditory anchors


평가 대상이 되는 퍼포먼스의 차원에 대해 비교하기가 어렵습니다. 각 학문분야나 전공분야, 전문직에 따라서 연수생 평가에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이 다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각 평가도구는 궁극적으로 고유합니다unique. 사실, Crossley 등의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평가 양식에서 척도 앵커scale anchor는 서로 다른 도메인들의 '불편한 혼합'을 나타냈습니다. 왜냐하면 평가를 위한 specific한 임상 앵커를 작성하면서 다양성 맥락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만들기가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요점 일 수 있다: response scale은 평가자의 리얼리티 맵에 맞춰야합니다.

it is difficult to make comparisons with respect to the dimensions of performance examined. Each discipline, specialty and profession has a different conception of what may be important in assessing its trainees; consequently, each rating instrument is ultimately unique. Indeed, in the study by Crossley et al.,16 scale anchors represented an ‘uncomfortable mixture’ of separate domains on the various assessment forms as it was difficult for the authors to write specific clinical anchors for assessments that could be used across a wide variety of contexts. However, that may be the point: the response scale needs to be aligned to the reality map of the judges.


말 그대로, 가자의 경험에 resonate하는 앵커가 '적절한 수준'또는 '만족'과 같은 추상적인 descriptor보다 더 도움이 되는 탐구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clearly, anchors that, literally, resonate with raters’ experiences might be a more profitable avenue of exploration than abstract descriptors such as ‘at expected level’ or ‘satisfactory’.


객관적 관찰보다는 판단을 요구하라

Ask for judgements rather than objective observations


다양한 WBA 도구는 서로 다른 개념적 출발점에서 퍼포먼스에 대해 묻습니다. 표 2는 세 가지 도구 각각에서 두 가지 예 (항목 줄기 및 응답 옵션)를 제공합니다.

Different WBA instruments ask about performance from different conceptual starting points. Table 2 provides two examples (item stem and response options) from each of three instruments:



    • Mini-CEX는 구조 수준 (의사의 상대적으로 안정된 특성 또는 특성), 

    • 'PBA PL4'및 'SAIL 1'접근법은 프로세스 수준

    • 'PBA 글로벌 요약'및 'SAIL 글로벌 등급'은 결과 수준에서 성과를 묻습니다. 

    • the mini-CEX seems to address performance at the structural level (the relatively stable characteristics, or traits, of the doctor), 

    • ‘PBA PL4’ and ‘SAIL 1’ approach performance at the process level, and 

    • the ‘PBA global summary’ and ‘SAIL global rating’ ask about performance at the outcome level. 


이 평가 활동에서 성과 또는 구조 수준 질문에는 어느 정도의 판단력이 개입된다. 그것은 단순히 무언가 일어 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In this rating activity, outcome or structure-level questions require a degree of judgement; it is not simply a matter of establishing whether or not something took place.


그러나 주관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지난 수십 년 동안 examiner agreement을 늘리기위한 시도에서 프로세스 단계에 초점을 둔 도구의 역사를 가져왔다. 예를 들어, '시각적 인 접촉', '환자에게 어디에서 옷을 입히 겠느냐', '악수'를 했느냐 등은 1970 년대와 1980 년대에 개발 된 컨설팅 평가의 일반적인 성과 항목입니다. 성과 점수는 대개 항목의 점수의 합계를 기준으로합니다.

However, concerns about subjectivity have, over the past few decades, led to a history of instruments focused at the process level in an attempt to increase examiner agreement. For example, ‘made visual contact’, ‘told patient where to put clothes’, and ‘shook hands’ are common performance items from consulting assessments developed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 performance score is usually based on the sum of scores on the items.



그러나 도입부에서 설명한 것처럼 퍼포먼스는 부분의 합 이상입니다. 즉, 아마 :

However, as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perhaps performance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In other words, perhaps:


‘shook hands’ (process) + ‘made visual contact’ (process) =/= ‘establish rapport’ (outcome) or ‘inter-personal skill’ (structural attribute). 


아마도 좋은 대인 관계 기술을 갖춘 의사는 상호 작용이나 신뢰를 성취하기 위해, 주어진 상황의 고유 한 성격에 따라 자신의 프로세스 수준의 동작을 다르게 구현할 것입니다. 제스처가 우월함을 과시하거나 과도하게 공식적인 것으로 나타날 때 악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또는 환자가 원치 않는 도전이나 친밀감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접촉을인지 할 수있을 때 눈을 마주 치지 않도록 할 것이다.

Perhaps a doctor with interpersonal skills will implement his or her process behaviours differently depending upon the unique nature of the interaction in order to achieve rapport or trust: he or she might avoid the handshake when the gesture might come across as implying superiority or as overly formal, and might avoid making eye contact when the patient may perceive such contact as representing an unwelcome challenge or level of intimacy.



평가자는 프로세스 수준 관측에 묶이지 않을 때보다 일관되고 변별력있게 성과를 판단합니다.

Assessors judge performance more consistently and discriminatingly when they are not tied to process level observations


퍼포먼스가 부분의 합보다 더 복잡하고, 적절한 경험을 가진 관찰자들이 우수한 퍼포먼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는 바가 있다면, 우리는 오히려 반직관적인 관찰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결과 수준의 성과 또는 구조 수준의 속성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은 실제로 일어난 일에 대한 객관적인 대응보다 더 나은 평가자 간 agreement와 성과에 대한 discrimination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If performance is more complex than the sum of its parts and if a good performance is something upon which appropriately experienced observers agree, we might just expect a counter-intuitive observation. Subjective judgements about outcome-level performance or structure-level attributes might result in more assessor agreement and more performance discrimination than objective responses about what actually took place.


이것은 정확히 연구에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Regehr 등 27)이 OSCE 항목 (표준 설정 목적으로 만 사용)을 동반 한 global scale이 actual items보다 더 신뢰할 수있는 점수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This is exactly what the literature demonstrates. The phenomenon was described by Regehr et al.,27 who discovered that the global scale that accompanied OSCE items (for standard-setting purposes only) provided more reliable scores than the actual items.


또한 많은 다른 평가에서도, 주관적인 판단의 신뢰성은 일반적으로 객관적인 체크리스트의 신뢰성만큼이나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된다

It also holds true in many other evaluations that the reliability of subjective judgements is commonly at least as good as that of objective checklists.


본질적으로, 작업의 하위 구성 요소에 대한 무수히 많은 증거물을 모아서 내리는 결론은,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전체를 고려하는 것보다 더 좋은 그림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In essence, scraping up the myriad evidential minutiae of the subcomponents of the task does not give as good a picture as standing back and considering the whole.


WBA방법들은 얼마나 제네릭한가?

How generic are WBA methods?


대부분의 WBA도구들은 모든 퍼포먼스 영역에 대한 판단을 요구한다.

Most WBA instruments ask for judgements about all performance domains



이것은 WBA 도구 설계에서 흥미로운 특징입니다. WBA 도구들은 매우 광범위한 맥락 (임상 적 만남, 기술 절차, 서신 서신, 사례 토론, 응급 진료 등)에서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대부분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거의 동일한 성과 영역에 대해 질문합니다.

      • 임상 방법 (병력 복용 및 검사);

      • 임상 적 판단 (진단 및 계획);

      • 의사소통;

      • 전문직업성

      • 임상의 조직 및 관리

WBA를 설계한 사람이 왜 모든 컨텍스트가 모든 도메인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우수한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생각하는지는 불분명하다.


This is an interesting feature of WBA instrument design. Although the instruments were developed to assess performance in a very wide range of contexts (clinical encounters, technical procedures, written correspondence, case discussions, emergency care, etc.), they almost all ask about the same domains of performance, such as: 

      • clinical method (history taking and examination); 

      • clinical judgement (diagnosing and planning); 

      • communication; 

      • professionalism, and 

      • organising or managing the clinical encounter. 

It is unclear why designers consider that every context provides good data for assessing every domain.



명백히, 모든 컨텍스트가 모든 도메인에 대해 동일하고 유효하고 신뢰할 수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물을 피요가 있다. 사실, 데이터는 이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G연구에서 영역 수준 점수를 시험 할 때, 어떤 영역 점수는 다른 사람보다는 더 나은 감정인 계약 및 차별을 표시합니다. 비판적으로 보자면, 도메인 점수의 상대적인 신뢰성은 컨텍스트에 따라 다릅니다.

The obvious question then concerns whether every context provides equally valid and reliable data for every domain. In fact, that is not what the data show. When G studies examine domain-level scores, some domain scores display better assessor agreement and discrimination than others. Critically, the relative reliability of domain scores varies across contexts.


Table 3 illustrates this by presenting the domains from three diverse instruments,4,13,28



여기에 제시된 데이터는 매우 제한적이지만, 관찰되는 맥락이나 활동에서 분명하게 성과 영역이 입증될수록 더 나은 reliable한 판단으로 이어진다. 요약하면, 평가자는 특정 상황이나 활동에서 명확하게 증명할 수있는 성과 영역일수록 더 신뢰도가 높고,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The data presented here are quite limited, but arguably those domains of performance that are clearly demonstrated in the context or activity being observed are associated with more reliable judgements. In summary, assessors may make more reliable, and hence more valid, judgements about domains of performance that they can see clearly demonstrated in a particular context or activity.



어떤 평가자가 가장 적합한가?

Which assessors are best-placed to judge?


서로 다른 응답자 그룹은 (평가자 간 차이에 더하여) 서로 다른 관점을 제공해준다.

Different respondent groups provide discrete perspectives over and above the expected person-to-person variation


다중 소스 평가 및 피드백 (MSF)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판단을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 때문에 동료 평가를 대체로 대체합니다. 첫 번째 합리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로 다른 응답자 그룹이 서로 다른 시각을 제공합니까? 그렇다면 MSF는 단순히 숫자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단일 그룹에서의 평가에 추가적인 가치를 얹어준다. 서로 다른 관점은 두 가지로 반영됩니다. 

    • 일부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더 엄격하다

    • 집단은 다른 집단과 구분되는 '입맛taste'을 가지고 있다(즉, 순위를 다른 방식으로 매긴다)

Multi-source assessment and feedback (MSF) has largely superseded peer ratings because of the conviction that it is important to gather judgements from several different perspectives. The first rational question then is: do the different respondent groups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If they do, then MSF adds value (and not just numbers) to single-group peer ratings. Different gazes will be reflected in two psychometric outcomes: 

    • some groups are genuinely more stringent than others or 

    • have different ‘tastes’ (i.e. rank subjects differently)


이것은 데이터에서 관찰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서로 다른 직위의 평가자가 각기 다른 수준의 엄격 성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This is observed in the data. A number of studies report that raters of different designations rate with different levels of stringency


직위에 따라 평가자들은 각기 다른 표준과 개별 의사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간호사가 선호하는 의사도 있고 동료가 선호하는 의사도 있습니다.

different respondent designations have different standards and different views of an individual doctor; typically some doctors are preferred by nursing staff and some by their peers.



특정 직위에서의 관점이 다른 관점보다 더 타당한 경우가 있다.

The views of some designations are more valid than those of others


다른 명칭이 다른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누구의 시각이 가장 타당한지 물어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해답이 자명합니다. 예를 들어, 임상의의 판단에 대해 서기관이나 환자가 의견을 말할 수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Given that different designations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it seems rational to ask whose perspective is the most valid. In some cases the answers are self-evident. For example, few clerical staff or patients are likely to be able to comment on a clinician’s judgement.



'저는 비서이기에 그 의사의 임상 업무에 관한 질문에는 대답 할 수 없었지만,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통해서 이것이 좋다고 믿습니다. 나는 내가 아는 것에 만 대답 할 수있다. '

‘As I am a secretary I was unable to answer any questions regarding the Dr’s clinical work although from comments from others I believe this to be good. I can only answer what I know.’



즉, 임상의가 아닌 사람이 임상 항목을 판단하도록 요청할 때 대개 응답률이 낮을 것임을 의미합니다. 다른 영역에서는 가장 타당한 응답자 또는 가장 적합한 응답자 인 사람이 덜 분명하거나 놀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가 데이터에서 명확한 것이 하나 있다: 정기적으로 퍼포먼스의 어떤 측면을 관찰하는 응답자 그룹은 서로 가장 closely agree합니다.

This means that response rates are usually low when non-clinicians are asked to judge clinical items. In other domains it may be less clear or surprising who is the most ‘valid’ or best-placed respondent. However, there is a clear trend in the evaluation data: respondent groups of people who regularly observe an aspect of performance agree with one another most closely.



예를 들어, 법정에서 허용되지 않는 '소문'에 해당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일 평가 방법이 모든 임상적 능력을 포괄 할 수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단일 전문 집단도 모든 임상적 능력을 평가할 수는 없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임상적 역량이 너무 넓어 아무도 모든 것을 볼 수 없습니다. 각 방법은 성능에 대한 렌즈를 나타내며 다른 의료 전문가는 해당 렌즈를 통해 보는 사람들의 역할을합니다.

It could, for example, amount to ‘hearsay’, which is inadmissible in a court of law. However, for the same reason that no single assessment method can encompass all of clinical competence, it is clear that no single professional group can assess it either. Clinical competence is so broad that no-one sees it all. Each method represents a lens on performance and different health professionals act as the viewers who look through those lenses.


궁극적으로 성과 측면을 판단 할 능력이 있고, 그것을 관찰 할 기회가있는 평가자라면, 신뢰할 수있는 평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Ultimately, assessors who have the competence to judge an aspect of performance, and have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it, appear to provide more reliable ratings.


CONCLUSIONS


전체적인 그림은 확실하다: 높은 수준의 평가는 판단의 문제이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올바른 사람들에게 올바른 질문을 하면 효과적입니다.

the overall picture seems compelling: because high-level assessment is a matter of judgement, it works better if the right questions are asked, in the right way, about the right things, of the right people.


여러 측면에서, 우리가 WBA 도구와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데있어서 얼마나 비합리적이었는지가 명확히 관찰된다. 

  • 우리는 종종 모든 응답자에게 전문성이나 관찰 기회와 상관없이 모든 성과 영역에 대해 의견을 말하도록 요청했습니다. 

  • 우리는 평가자를 특정 유형의 관측에만 한정시키면서, 그들이 가진 통합/맥락화/가중 능력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 우리는 종종 심사 위원에게 관찰하지 못하는, 기껏해야 추론 할 수 있는 성과 영역에 대해 의견을 말하도록 요청했다.

  • 우리는 평가자에게 (종종 경멸적 또는 결정적 진술을 포함하는) 명백히 느슨한 'merit-oriented'또는 '훈련 지향적 인' 응답 척도를 제공하면서, 그들에게 이것을 일관되게 해석하고 사용하도록 기대했습니다.

In many respects, the most remarkable observation might be how irrational we have been to date in designing WBA instruments and processes. 

  • We have often asked all respondents to comment on all areas of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ir expertise or their opportunity to observe. 

  • We have often wasted the integrating, contextualising, weighting capacity of appropriate (and expensive) judges by limiting them to certain types of observation. 

  • We have often asked judges to comment on domains of performance that they do not observe and can, at best, only infer. 

  • We have frequently confronted assessors with self-evidently loose ‘merit-oriented’ or ‘training-oriented’ response scales that include pejorative or determinative statements, and expected them to interpret and use those items meaningfully and consistently.










 2012 Jan;46(1):28-37. doi: 10.1111/j.1365-2923.2011.04166.x.

Making sense of work-based assessmentask the right questions, in the right way, about the right things, of the right people.

Author information

1
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UK. j.crossley@sheffield.ac.uk

Abstract

CONTEXT:

Historically, assessments have often measured the measurable rather than the important. Over the last 30 years, however, we have witnessed a gradual shift of focus in medical education. We now attempt to teach and assess what matters most. In addition, the component parts of a competence must be marshalled together and integrated to deal with real workplace problems.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is complex, and has relied on a number of recently developed methods and instruments, of which some involve checklists and others use judgements made on rating scales. Given that judgements are subjective, how can we optimis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is paper gleans psychometric data from a range of evaluations in order to highlight features of judgement-based assessments that are associated with better validity and reliability. It offers some issues for discussion and research around WBA. It refers to literature in a selective way. It does not purport to represent a systematic review, but it does attempt to offer some serious analyses of why some observations occur in studies of WBA and what we need to do about them.

RESULTS AND DISCUSSION:

Four general principles emerge: the response scale should be aligned to the reality map of the judges; judgements rather than objective observations should be sought; the assessment should focus on competencies that are central to the activity observed, and the assessors who are best-placed to judge performance should be asked to participate.

Comment in

PMID:
 
22150194
 
DOI:
 
10.1111/j.1365-2923.2011.04166.x


퍼포먼스-기반 평가의 이상과 중요성 구현하기(Teach Learn Med, 2013)

Realizing the Promise and Importance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Jennifer R. Kogan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Raymond and Ruth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Eric Holmbo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USA





도입

INTRODUCTION


직장 내 평가 (WBA)가 점차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가장 광범위하게 WBA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일상적 (습관적) 관행 또는 "실제로 의사가 수행하는 것의 평가"입니다 .3.4 WBA와 다른 평가 방법를 구별해주는 것은 맥락 내에서의 퍼포먼스를 평가한다는 점이다 2.

Of increasing importance is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Most broadly, WBA is the assessment of day-to-day (habitual) practices in the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or “the assessment of what doctors actually do in practice”.3,4 What distinguishes WBA from other assessment modalities is that it enables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n context.2


높아지는 WBA의 중요성

THE GROWING IMPORTANCE OF WORK-PLACE BASED ASSESSMENT


WBA는 일상 생활의 진실성authenticity을 통합적으로 동시에 여러 필수 역량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10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통제된 환경에서의 지식과 능력의 평가는 임상 역량을 보장하거나 실제 일상적 퍼포먼스를 예측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11,12

WBAs can evaluate multiple, essential competencies simultaneously in an integrated fashion in the authenticity of day-to-day practice.10 This is crucial because mastery of medical knowledge and ability as assessed in a controlled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to ensure clinical competence and predict actual day-to-day performance.11,12


WBA의 평가는 연수생의 능력이 의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해 관계자, 즉 환자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CBME 운동은 부분적으로 현재의 보건 의료 및 의료 교육 시스템이 환자, 환자 인구 및 공중 보건 시스템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대중의 비판에 의해 촉진된 것이다.13 따라서 WBA는 의학 교육 공동체가 [졸업 한 연수생의 역량]과 [훈련 중 환자의 안전과 진료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책임을 지도록 보장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중요하다 .14

assessment in WBA can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how the trainees’ abilities impact the most important stakeholder in medical education—the patient. The CBME movement was in part catalyzed by the public’s criticism of the current healthcare and medical education systems’ inability to meet the needs of patients, populations of patients and the public health systems that serve those patients.13 Therefore, WBA is an important mechanism to ensure that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s accountable for the competence of the trainees it graduates and for enhanced patient safety and quality during training.14


WBA는 임상 감독자에게 즉각적으로, 그리고 앞으로 연수생에게 어떻게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14,16,17 궁극적으로 WBA는 연수생에게 직접 감독 없이도 임상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독립성을 부여하는 위탁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8

WBA, can inform clinical supervisors about how they need to supervise the trainee immediately and going forward.14,16,17 Ultimately, it is WBAs that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make entrustment decisions granting graduated levels of independence to trainees to perform clinical responsibilities without direct supervision.18


이제는 평가가 학습자를 주도하거나 촉진해야하는 "학습의 평가"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로 이동합니다 .21,22 WBA의 유틸리티 요소는 안정성, 타당성, 실행 가능성, 수용 가능성, 비용 효과성을 넘어, 이제는 미래의 학습 및 전문성 개발을 촉진하기위한 촉매 효과를 포함해야한다 .22,23 WBA는 연수생들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의미있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평가자를 도울 수 있어야한다.

Now there is a shift from “assessment of learning” to “assessment for learning” where assessment should drive or catalyze the learner.21,22 The utility elements of WBA extend beyond reliability, validity, practicability, accept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and now include its catalytic effect to drive future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22,23 WBA should be able to assist assessors in providing trainees with meaningful feedback to enable them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4,20


이것은 근본적이고 중요한 생각의 변화입니다. WBA는 단순한 [연수생에 대한 평가]에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진료의 질에 대한 연수생의 역량의 영향]을 통합하는 평가로 진화해야합니다

This is a fundamental and critical shift in thinking: WBA must evolve from assessments of just the trainee to assessments that incorporate the impact of trainees’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care provided to the patient


WBA가 학습을 촉진시키는 것이라면 평가는 단순한 숫자 이상이어야합니다. 풍부한 내러티브, 질적 평가가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점점 중요 해지고 있습니다. 9 의료는 복잡하며, 마찬가지로 역량도 통합적 방식으로 평가해야 한다. 수치적 등급에서 질적으로 풍부한 관측치로 나아가는 것은 연수생의 지속적인 학습 및 임상 기술 성장에 필수적인 구체적인 피드백을 더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If WBAs are to catalyze learning, assessments must be more than just numerical ratings. Rich narrative, qualitative assessments are increasingly being viewed as important in achieving this goal.9 Medical practice is complex, as is assessment of competencies in an integrated fashion. Shifting from numerical ratings to qualitatively rich observations can better inform the specific feedback which is essential for trainees’ ongoing learning and clinical skills growth.26


진화하는 WBA

EVOLVING WORKPLACE-BASED ASSESSMENT


20 개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mini-CEX는 우수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습자는 mini-CEX 경험이 유용하고 유용하다는 것을 스스로보고합니다 .28,29보다 구체적인 역량을 겨냥한 다른 관찰 도구는 the Direct Observation of Practical Skills,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and the Professionalism mini-CEX 등이 있으며, 형성평가로서의 효용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불행히도, 지금까지의 어떤 연구도 이러한 직접 관찰 도구 및 평가 중 어떤 것도 실제 진료 변경이나 환자 치료 개선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입증하지 못했습니다. (30-32) 

More than 20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mini-CEX possesse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properties, and learners self-report that they find the mini-CEX experience to be helpful and useful.28,29 Other observation tools targeting more specific competencies include the Direct Observation of Practical Skills,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and the Professionalism mini-CEX, which possess reasonable utility for formative purposes.30–32 Unfortunately, no study to date has yet demonstrated that any of these direct observation tools and assessment processes leads to actual practice changes or improved patient care.27,33 


개별 trainee에 대해 평가하는 또 다른 WBA 방법은 차트에 의한 recall 또는 사례 기반 토론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환자의 의료 기록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임상 결정에 대한 질문과 토론을 통해 연수생을 평가합니다. 두 가지 방법의 가치는 임상 추론의 평가가 실제 환자에게 제공된 care를 가지로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Another WBA method involving a single trainee-patient encounter is chart-stimulated recall or the case-based discussion.33–36 These methods assess the trainee through questioning about and discussion of clinical decisions using the patient’s medical record as the stimulus. The value of both methods is that assessment of clinical reasoning is performed using care delivered to actual patients.


환자 성과에 초점을 둔 WBA 준거

CRITERION WORK-BASED ASSESSMENT FOCUSED ON PATIENT OUTCOMES


환자는 또한 관찰 과정에 참여하고 고품질의 치료를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직접 관찰은 점차 환자를 평가 과정의 중심에 둘 필요가있다. 이 접근법은 발달적, 기준 - 참조 평가에 초점을 둔 CBME의 초점과 잘 일치한다.

a patient is also involved in the observational process and is entitled to high-quality care. Therefore, the future of direct observation will need to center the assessment process on the patient; this approach is well aligned with CBME’s focus on developmental,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25


전통적으로 WBA 규모 앵커는 ordinal ( "merit"의 정도) 또는 상대비교 수준의 성과를 사용했습니다 .27 그러나 규범적normative 평가는 연수생이 역량 표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연수생이 표준 기준과 비교되는 준거criterion 참조 평가로 바꿈으로서, 연수생이 독립적인 의료에 대한 준비 상태 또는 직업에 대한 위임에 WBA를 grounding할 수 있다17,44

Traditionally, WBA scale anchors used ordinal (degree of “merit”) or comparative levels of performance.27 However, normative assessment fails to ensure that trainees meet competence standards. The shift to criterion referenced assessment, in which trainees are compared to standard criteria, holds promise by grounding WBA in a trainee’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or entrustment in the tasks of the profession.17,44


비-의사 의료진과 환자를 평가자로 확장하기

EXPANDING THE ASSESSOR POOL TO INCLUDE NONPHYSICIAN HEALTH PROFESSIONALS AND PATIENTS


지금까지 방금 설명한 평가 방법에 의해 예시 된 바와 같이, WBA 평가자는 주로 의사였습니다. 그러나 WBA의 가치는 학습자가 임상 시스템에서 어떻게 수행하는가에 대한 추가적 시각을 제공 할 수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도록 평가자 풀을 확장한다면 더욱 향상 될 것입니다. Multisource feedback (MSF)은 환자 및 다른 의료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풍부한 경력 정보를 학습자와 실습 의사에게 제공 할 수있는 확립 된 WBA 방법입니다 .46 일반적으로 MSF 도구는 정신 분석을 기반으로 한 설문 조사입니다.

To date, the WBA evaluators, as exemplified by the assessment methods just described, have been primarily physicians. However, the value of WBA will be enhanced by expanding the assessor pool to include individuals who can provide additional perspectives about how the learner performs within clinical systems. Multisource feedback (MSF) is an established WBA method that can provide rich information from patients and other healthcare providers to learners and practicing physicians across an entire career.46 Typically, MSF instruments are psychometrically based surveys;


MSF는 대인 관계 기술, 의사 소통, 전문성 및 전문 직업인 간의 팀워크를 평가하는 데 특히 가치가 있습니다. 후자는 시스템 기반 연습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46 MSF 도구의 대부분은 psychometrially-based이지만, 질적 또는 혼합 된 접근법은 새로운 관심을 받기 시작합니다.

MSF is particularly valuable for assessing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and interprofessional teamwork, the latter an important component of systems-based practice.46 Although the majority of MSF instruments are psychometrically based, qualitative or mixed approaches are beginning to receive renewed attention.


현재까지의 연구는 MSF가 형성평가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대부분의 developmental work이 의사를 훈련 중에 발생하지만 MSF 사용은 GME에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Research to date demonstrates MSF is best used for formative assessment, and although most of the developmental work has occurred among practicing physicians, MSF use is rapidly growing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47,53


아마도 가장 중요한 변화는 [환자자신의 경험과 기능적 상태와 같은 스스로 확인하는 중요 성과에 관한] 환자의 관점을 포함하는 확장일 것이다. Institute of Medicine은 환자 중심의 진료를 모든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핵심 역량으로 강조했으며, 환자 중심의 진료는 미국 의료 개선을 위한 세 가지 목표 중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15 진료가 환자 중심인지 여부를 결정하려면 환자의 관점을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15,56 점차, 환자 설문 조사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품질을 판단하기위한 독립적인 평가 도구로 이용되고있다 .57-60 가장 잘 알려진 도구의 일부는 PAR (캐나다) 61 및 CAHPS 조사 (미국 )가 있다 46,57,60

Perhaps the most important shift is the growing inclusion of the patient perspective regarding their experience and self-identified important healthcare outcomes such as functional status. The Institute of Medicine identified patient-centered care as the core competency for all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centered care is an essential part of the triple aim for improving U.S. healthcare.15 To determine if care is patient centered, obtaining the patient perspective is essential.15,56 Increasingly, patient surveys are being used as stand-alone assessment tools to provide feedback and judge quality.57–60 Some of the best known instruments are the PAR (Canada)61 and the family of CAHPS surveys (United States)46,57,60



환자인구집단에 대한 돌봄을 측정하도록 평가를 확장하기

EXPANDING ASSESSMENTS TO MEASURE CARE PROVIDED TO POPULATIONS OF PATIENTS


직접 관찰과 같은 도구를 사용한 단일 환자 encounter에 대한 평가가 극히 중요하게 남아있을 것이라는 점은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대부분의 의사 (입원 환자와 외래 환자 모두)는 급성 및 만성 병태의 환자"군"을 돌봅니다. 따라서 우리는 WBA에 대한 생각을 한 환자에 대한 단일 관찰에서 환자 집단 (또는 그룹)에게 제공되는 치료 평가로 확장해야합니다. 여러 그룹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성과를 평가하는 평가 방법에는 방금 언급한 설문도 있지만, process 그리고 진료의 outcome에 초점을 둔 임상 진료 감사 (의료 기록 감사라고도 함)도 포함됩니다 .64,65

Although there is little doubt that assessment of single patient encounters using tools such as direct observation will remain vitally important, most physicians (both inpatient and outpatient) care for populations of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conditions. Therefore, we must expand our thinking about WBA from a single observation of a provider with a patient to an assessment of the care that is provided to populations (or groups) of patients. Assessment methods for examining performance across groups of patients include the surveys just highlighted but also clinical care audits (also known as medical record audits) using performance measures targeting process and outcomes of care.64,65


Process 측정은 전형적으로 검사/시술/치료에 대한 오더여부 또는 코디네이션과 후속 케어, 불필요한 검사 안함 등이 있다.

Process measures typically target whether and how a clinical process was accomplished, such as 

  • ordering key tests (e.g., hemoglobin A1c in patients with diabetes), procedures (e.g., screening mammography) and therapies (e.g., aspiri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appropriately tracking coordination and follow-up of care, or 

  • not performing unnecessary tests (e.g., imaging for low back pain).


Outcome 측정은 중간 (예 : 혈압 및 혈당 조절) 또는 직접 (예 : 수술 합병증 및 사망) 일 수 있습니다. Outcome 측정법은 생성하기가 더 어려우며 유의미한 차이 또는 신호를 발견하기 위해 환자 샘플을 더 많이 필요로합니다. 결과적으로 개인 수준에서 측정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종종 practice level에서 가장 잘 분석됩니다.

Outcome measures can be intermediate (e.g., blood pressure and glycemic control) or direct (e.g., surgical complications and mortality). Outcomes measures are harder to create and often require larger patient samples to detect meaningful differences, or signals, in care. As a result, they are more challenging to measure at the individual practitioner level and are often best analyzed at the practice level.66


Cochrane Collaboration의 체계적인 검토를 비롯한 여러 연구에서 의견을 수렴하면, 피드백을 포함한 audit이 의사와 수련의가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중등도의 의미있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67-69

Several studies, including a systematic review by the Cochrane Collaboration, have demonstrated that audit with feedback can lead to modest but meaningful improvements in care provided by practicing physician and physicians-intraining.67–69


결론은 퍼포먼스 측정을 통한 평가가 역량을 평가하고 품질 및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방법이며, 학습자는이 WBA 방법에 가능한 한 빨리 introduce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The bottomline is that assessment through performance measurement is now a vital method for evaluating competence and improving quality and safety, and learners should be introduced to this WBA method as early as possible.


진화하는 또 다른 outcome WBA 측정은 환자에게 의미있는 기능적 결과를 목표로하는 환자보고 결과 측정 (PROM)의 사용이다. 예를 들어, 영국은 PROM을 품질 프로그램에 사용하여 허니 그래픽, 무릎 및 엉덩이의 기능적 상태 관절 성형술 및 정맥류 수술을 포함한다. 정형 외과 수술 후 정맥 혈전증과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 장기적인 결과는 환자의 이동성과 기능이 더 나은지 여부이다.

Another evolving outcome WBA measurement is the use of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PROMs) that target meaningful functional outcomes for patients.73 For example, the United Kingdom is using PROMs in its quality programs to assess functional status after herniorraphy, total knee and hip arthroplasty, and varicose vein surgery.74 Although preventing venous thrombosis and infection after arthroplasty is important, ultimately the long-term outcome of interest is whether the patient has better mobility and function.


WBA가 품질 및 환자 안전을 기본 참고 프레임으로 사용하는 환자 집단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전반적인 퍼포먼스overall performance를 집계하고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포트폴리오는 연수생이 성찰와 개선을 위해 여러 WBA를 사용하는 메커니즘으로서의 약속을 계속 보여주는 하나의 접근 방식입니다 .75

As WBA evolves to focus on populations of patients using quality and patient safety as the primary frame of reference, approaches to aggregate and judge overall performance will be needed. Portfolios are one approach that continues to show promise as a mechanism for trainees to use multiple WBAs for reflection and improvement.75



WBA의 효과적인 도입과 실행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BA


WBA 문헌은 "이상적인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 WBA 도구를 개발, 평가 및 정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로 인해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라 도구 그 자체만 지나치게 강조되었습니다. 명백해진 것은 이미 우리는 선택할 수있는 많은 WBA 도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4,27,46,67 WBA가 완전한 꿈을 이루기 위해 가장 refine이 필요한 것인 도구가 아니라 평가자이다.76,77 이는 평가 질문, 응답, 체크리스트의 문구를 수정하면 평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Miller 피라미드의 평가 도구와는 대조적입니다. 

The WBA literature has, to a large degree, been focused on developing, assessing, and refining WBA tools with the hopes of creating the “ideal tool.” This has led to an overemphasis of the tools rather than the users of the tools. What has become apparent is that we have plenty of WBA tools from which to choose.4,27,46,67 To reach the full promise of WBA, the rater, not the instrument, is what requires the most refining.76,77 This is in contrast to assessment tools lower on Miller’s pyramid in which revising the wording of test questions, responses, and checklists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WBA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양식 수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평가자를 교육하는 것입니다. 인간 판단은 WBA의 중심이므로 판단을 내리는 사람의 품질과 전문성이 평가의 품질에 결정적입니다 .26 WBA 방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려면, 관찰을 하고, 관찰을 종합하여 판단을 내리고, 효과적인 피드백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평가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Improving the quality of WBA is not so much about “fixing the form” but rather training the rater. Human judgment is central in WBA, so the quality and expertise of the person who is making the judgment is decisive for the quality of the assessment.26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ny WBA method will require development of the assessor, both in making observations, synthesizing observations into a judgment, and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to the learner.


평가 교육 이외에도 WBA를 교육 프로그램에 구현하는 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임상 기술은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임상 기술은 여러 상황에서 표본 추출되어야합니다. 또한 평가의 주관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평가자를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해야 합니다. 다양한 맥락과 평가자를 대상으로 샘플링하면 미래의 성과를 예측할 수있는보다 일반적인 추론이 가능합니다 .10 여러 WBA 방법의 가용성을 고려할 때 동일한 WBA를 사용하여 동일한 역량 (삼각 측량)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역량을 평가하면 "program of assessment"로 나아갈 수 있다.87,79

In addition to rater training, there needs to be thoughtful approaches to implementing WBA into the training program. Clinical skills must be sampled across multiple contexts because clinical skills are context specific. It is also necessary to sample across assessors to overcome subjectivity of assessments. Together, sampling across contexts and assessors permits more generalizable inferences that can predict future performance.10 Given the availability of multiple WBA methods, different WBAs can be used to assess the same competency (triangulation) and assessment of different competencies in this way can constitute programs of assessment.78,79



연구 아젠다

RECOMMENDATIONS FOR A FUTURE RESEARCH AGENDA


  • 미래의 연구는 미래의 학습을 촉진하고 환자의 진료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수생에게 평가 및 피드백의 질을 이중으로 향상시키는 최상의 평가자 훈련 사례를 명확히해야합니다 .76,77

  • 연구 조사는 WBA 피드백에 대한 연수생 수용력을 높이기위한 전략을 확인해야합니다.

  • 풍부한 서사를 이끌어내는 모범 사례와 훈련생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하게 해석하고 해석하는 전략을 식별 할 수있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80

  • 현재까지 WBA에 대한 결과 기반 연구는 주로 실현 가능성, 학습자 또는 평가자 만족도, 지식, 기술 또는 태도의 자체보고 된 변화에 중점을 둡니다 .33 

  • WBA, 결과 피드백, 학습자 향상 간의 결정적인 연결을 증명할 수있는 연구 조사 디자인 , 진료 제공 및 환자 결과의 개선이 필요하다.

  • 환자 결과에 중점을 둔 기준 기반 평가를 사용하고, 비 전문인 건강 전문가 및 환자를 평가자로 사용하고, 환자 집단 (예 : 감사, PROMS)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WBA 접근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 마지막으로 평가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강화하여 WBA 도구를 함께 사용할 수있는 방법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 Future research needs to clarify best rater training practices that dually improve the quality of assessments and feedback to trainees to catalyze future learning and improve patient care.76,77 

  • Research studies also need to identify strategies for increasing trainee receptiveness to WBA feedback.26 

  • We need research that will identify best practices for eliciting rich narratives and strategies for collating and interpreting them rigorously to ensure good judgments are made about trainees.80 

  • To date, outcomes-based research on WBA has largely focused on feasibility, learner or assessor satisfaction, or self-reported changes in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33 

  • Research study designs that can demonstrate conclusive links between WBA, the resultant feedback, learner improvement, and improvement in care delivery and patient outcomes are needed.33,81 

  • We need more research on newer WBA approaches that use criterion-based assessments focused on patient outcomes, use nonphysician health professionals and patients as assessors, and focused on patient populations (i.e., audits, PROMS). 

  • Finally,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research focused on assessment programs, demonstrating how WBA instruments can be used together.


결론

CONCLUSIONS


의학교육은 WBA를 활용하여 연수생 역량 평가를 환자 개개인과 환자 집단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성과에 맞출 수있는 기회가있는 유망한 기로에 있습니다. WBA는 연수생이 시간 기반 또는 규범 적 패러다임에서 역량 및 기준을 토대로 한 평가로 나아갈 수있는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Medical education is at a promising crossroads in which there are opportunities to better utilize WBA to align the assessment of trainee competency with those outcomes that will meet the needs of both individual patients and populations of patients. WBA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trainees are able to do further advancing assessments from a time-based or normative paradigm to one that is competency and criterion based.


15. Institute of Medicine. Crossing the quality chasm: Anewhealth systemfor the 21st century. March 2001. http://www.iom.edu/∼/media/Files/Report% 20Files/2001/Crossing-the-Quality-Chasm/Quality%20Chasm%202001% 20%20report%20brief.pdf. Accessed July 8, 2013.






 2013;25 Suppl 1:S68-74. doi: 10.1080/10401334.2013.842912.

Realizing the promise and importance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

Author information

1
a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Raymond and Ruth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 Philadelphia , Pennsylvania , USA.

Abstract

Work-based assessment (WBA) is the assessment of trainees and physicians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of day-to-day competencies and practices in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s. What distinguishes WBA from other assessment modalities is that it enables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in context. In this perspective, we describe the growing importance, relevance, and evolution of WBA as it relates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upervision, and entrustment. Although a systematic review is beyond the purview of this perspective, we highlight specific methods and needed shifts to WBA that (a) consider patient outcomes, (b) use nonphysician assessors, and (c) assess the care provided to populations of patients. We briefly describe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BA and identify outstanding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its use.

PMID:
 
24246110
 
DOI:
 
10.1080/10401334.2013.842912


UME에 EPA 프레임워크 도입: AAMC Core EPA 도입 초기의 교훈(Acad Med, 2017)

Implementing a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ramework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arly Lessons From the AAMC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Pilot

Kimberly Lomis, MD, Jonathan M. Amiel, MD, Michael S. Ryan, MD, MEHP, Karin Esposito, MD, PhD, Michael Green, MD, ScM, Alex Stagnaro-Green, MD, MHPE, Janet Bull, MA, and George C. Mejicano, MD, MS, for the AAMC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Pilot Team




지난 10 년 동안 의학 교육에서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구현하려는 추진력은 중요한 전환점에 도달했습니다. 이론은 신속하게 실천으로 옮겨 가고 있습니다 .1 이러한 변화는 신뢰할 수있는 전문 활동 (EPA)의 개발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원래 Olle ten Cate2가 대학원 의학 교육 (GME)에서 독립적 인 실무로 전환하는 맥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PA는 "충분한 특정 능력을 획득한 사람에게 감독이 없는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위임된 업무 또는 책임"을 나타냅니다. 이 구조를 학부 의학 교육 (UME)에 적용하면 의대 졸업생이 전공의 진입 시점에 직접 감독받지 않고도 수행 할 것으로 예상되는 작업을 설명하는 프레임 워크가 제공됩니다 .3

Over the past 10 years, the momentum to implement competency-based curricula in medical education has reached an important turning point—theory is rapidly translating to practice.1 This transformation has been catalyzed by the development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Originally described by Olle ten Cate2 in the context of the transition from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o independent practice, EPAs represent “tasks or responsibilities to be entrusted to the unsupervised execution by a trainee once he or she has attained sufficient specific competence.” Applying this construct 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offers a framework to describe the tasks that graduating medical students might be expected to carry out without direct supervision on entering residency.3


EPA 프레임 워크는 역량 기반 의학 교육의 다른 구성 요소, 특히 역량 및 이정표를 보완합니다. 역량은 학습자의 능력으로 성능을 기술하고, 이정표는 역량 입증demonstrate을 위한 학습자의 진행을 표시합니다. 대조적으로, EPA는 작업 단위를 기술합니다 .4,5 이러한 구조는 불가분합니다. 전공의가 위임을 받기 위해서는 특정 EPA와 관련된 필요한 역량을 개발해야하며 통합 된 방식으로 이러한 역량을 현재 진행중인 활동에 적용해야합니다. 감독자는 어떤 학습자가 직접적인 감독없이 그 일을 완수하도록 위임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주어진 일을 수행하면, 학습자가 필요한 역량을 소유하고 있다고 추론infer 할 수 있습니다.

The EPA framework complements other constructs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competencies and milestones.4 Competencies describe performance as the abilities of a learner, and milestones mark a learner’s progress toward demonstrating competency. In contrast, an EPA describes a unit of work.4,5 These constructs are inextricable—an individual must develop the necessary competencies relevant to a particular EPA, and she must apply those competencies in an integrated manner to the activity at hand in order to be entrusted. A supervisor may infer that a learner possesses the requisite competencies if she performs a given task in a manner sufficient to be entrusted to complete that task without direct supervision.


전공의 프로그램 디렉터들은 일부 의과 대학 졸업자들이 전공의 첫 주에 예상되는 환자 치료 책임의 일부를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 왔습니다.

Residency program directors increasingly have expressed concern that some medical school graduates are not prepared for some of the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expected of them in the first weeks of residency.7–9


모든 UME 프로그램에서 공식적 위임은 학습자가 일정 수준의 독립성을 가지고 필수적인 환자 치료 활동을 수행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EPA는 적어도 전공의 첫 날에 문제가 없도록 하려면 UME 프로그램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guide해주며, 의과대학의 임상 감독자가 학생에게 어떤 것을 위탁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교육해야 하는지를 guide해준다

Formal entrustment from any UME program should signify that a learner can perform the requisite patient care activities with a certain level of independence. EPAs can serve as an outline for what a UME program must, at minimum, teach for a learner to be successful on day one of residency and what clinical supervisors in medical school must entrust their learners to be able to do without direct supervision in the next phase of training.


전공의 수련을 위한 핵심 EPA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List 1 presents the resulting 13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Core EPAs) that were published in May 2014.5


List 1 The 13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2014

1. 병력을 수집하고 신체 검사를 수행하십시오.

2. 임상 조우 후에 감별진단 우선 순위 결정

3. 일반적인 진단 및 선별 검사를 권장하고 해석하십시오.

4. 오더 / 처방전 입력 및 논의

5. 환자 기록에 임상 만남을 기록하십시오.

6. 임상 만남에 대해서 구두 발표 

7. 임상 질문을 작성하고 환자 진료를 advance하기 위해 증거를 검색하십시오.

8. transition care 책임에 대한 환자 핸드 오버를 제공하거나 받는다.

9. 전문 팀의 일원으로서 협력한다.

10. 긴급하거나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확인하고 평가 및 관리를 시작하십시오.

11. 검사 및 / 또는 절차에 대한 정보에 입각 한 동의 얻기

12. 의사의 일반적인 술기를 수행하십시오.

13. 시스템 실패를 확인하고 안전과 개선의 문화에 공헌한다.


1. Gather a history and perform a physical examination

2. Prioritize a differential diagnosis following a clinical encounter

3. Recommend and interpret common diagnostic and screening tests

4. Enter and discuss orders/prescriptions

5. Document a clinical encounter in the patient record

6. Provide an oral presentation of a clinical encounter

7. Form clinical questions and retrieve evidence to advance patient care

8. Give or receive a patient handover to transition care responsibility

9. Collaborate as a member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10. Recognize a patient requiring urgent or emergent care and initiate evaluation and management

11. Obtain informed consent for tests and/or procedures

12. Perform general procedures of a physician

13. Identify system 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Core EPA 파일럿에 대하여

About the Core EPA Pilot


Aims


we are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systems that use the Core EPA framework to achieve two aims. 

    • First, we want to develop objective and reliable summative determinations of each student’s readiness to perform the 13 Core EPAs that are based on multimodal evidence of EPA-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 

    • Second, we want to sharelessons learned regarding the Core EPA framework to optimize this approach and foster its propagation to other UME programs.


Timeline


Organization



Interinstitutional 팀은 각 핵심 EPA와 네 가지 주요 개념에 중점을 둡니다.

Interinstitutional teams focused on each of the Core EPAs and on four main concepts:


1. 공식적 위임 : 위임의 바람직한 교육 결과를 고려할 때, 새로운 커리큘럼과 평가 방식이 필요합니까? 누가 위임 결정을 내릴 것입니까? 언제 어떤 증거가 있습니까? 위탁 결정은 시간 제한이 있습니까? 레지던트 프로그램 디렉터는 위탁 결정의 신뢰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Formal entrustment: As we consider the desired educational outcome of entrustment, are novel curriculum and assessment practices needed? Who will make entrustment decisions? When and upon what evidence? Are entrustment decisions time-limited? How will residency program directors view the credibility of entrustment decisions?


2. 평가 : 모든 핵심 EPA를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하며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까? 공식적 피드백은 위탁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 되는가? 누가 평가를 제공합니까? 학생, 거주자, 환자 및 기타 건강 관리 전문가는 어떻게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까?

2. Assessment: Can all Core EPAs be assessed in a reliable, valid, and cost- effective manner? How is formative feedback used in the process of entrustment? Who provides the assessment? How might students, residents, patients, and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be engaged in the assessment process?


3. 커리큘럼 개발 : 위임 결정에 필요한 학습 경험은 무엇입니까? 교과 과정에있을 때 그들이 발생해야합니까? 핵심 EPA의 순서는 어떻게 정해야합니까?

3. Curriculum development: What are the learning experiences required to inform entrustment decisions? When in the curriculum should they occur? How should the Core EPAs be sequenced?


4. 교수 개발 : 교수가 역량 평가를 수행하고, 핵심 EPA에 링크 된 형성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습자를 위탁하는 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4. Faculty development: What are effective practices to prepare faculty to perform competency assessments, to provide formative feedback linked to the Core EPAs, and to participate in decisions to entrust learners?


궁극적인 문제는 파일럿의 기간과 범위를 넘어 UME의 핵심 EPA 프레임 워크 구현으로 환자의 치료의 질이 향상되는지 여부입니다.

The ultimate question, beyond the time frame and scope of the pilot, is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re EPA framework in UME will result in improved quality of care for patients.


지금까지의 결과

Pilot Findings to Date


These guides consist of two manuals. 

  • The first is for curriculum developers and contains details on how the drafting panel mapped the Core EPAs to domains of competence. 

  • The second is for frontline faculty and learners and describes each Core EPA with associated narrative descriptions and clinical vignettes.5


공식적 위임
Formal entrustment


초기 논의는 핵심 EPA 프레임 워크가 다른 평가 방법과 다른 점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근본적으로 위탁은 작업장 기반의 construct입니다. 핵심 EPA는 역량을 결정하기위한 직관적 접근 방식이며, 임상 감독자는 진료전달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암묵적으로 임시적 위탁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이것은 직관적 인 접근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임시 위임 결정은 여러 요소에 기반을두고 있으며 그 중 일부만이 학습자의 통제하에 있습니다 .12,13 공식적인 구조로 이 암시적 위탁 프로세스를 증폭한다면, 체계적이고 유익하며 신뢰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transfer가능한 unsupervised practice를 학습자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방법을 촉진할 것이다.

Early discussions have focused on how the Core EPA framework differs from other assessment methods. Fundamentally, entrustment is a workplace-based construct. The Core EPAs are an intuitive approach to determining competency,11 since clinical supervisors routinely make implicit,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throughout the process of care delivery. However, such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are based on multiple factors, only some of which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learner.12,13 Amplifying this implicit entrustment process with a formal structure may foster a more systematic, informative, reliable, and ultimately transferable method of credentialing learners for unsupervised practice.


핵심 기능을 수행하고 주어진 핵심 EPA의 필수 역량을 달성하는 것 외에도, "위임을 받는다"는 것은 각 학습자가 신뢰할 수 있어야 함trustworthy을 뜻한다.5,12 신뢰성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자기의 한계를 알기(식별력), 

    • 정직하게 의사 소통 (신뢰성), 

    • 자신의 약속을 이행하는 것(성실성conscientiousness) .14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 key functions and achieving the requisite competencies of a given Core EPA, to be entrusted demands that each learner be trustworthy.5,12 Trustworthiness includes 

    • knowing one’s limits (discernment), 

    • communicating honestly (truthfulness), and 

    • fulfilling one’s commitments (conscientiousness).14 


발달 과정에 있는 학습자를 신뢰할 수 없다고 선언하는 것에 대한 우려 때문에, 대안적 표현을 사용하여 이러한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합니다.

Because of concerns about declaring a developing learner to be untrustworthy, specific feedback regarding these elements should be provided using alternative language.


평가

Assessment


교육 일선의 교수는 임상 환경에서 학생들을 관찰 할 수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방식으로 관찰 결과를 기록하도록 위임 받아야합니다 .12

Because frontline faculty are in a position to observe students in clinical environments, they must be commissioned to record their observations in a systematic fashion.12


UME는 여러 임상 분야에 걸쳐 핵심 EPA에 대한 공통의 기대를 설정해야하는 어려움에 직면 해 있습니다.

UME faces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shared expectations for the Core EPAs across clinical disciplines.


파일럿의 일환으로, 우리는 현재 작업 환경에 기반한 평가를 포착하기위한 툴로서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Chen과 동료 (목록 2 참조)가 UME에 채택한 감독 척도의 사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작업장에서 임시 위임 결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평가 증거가 총괄적 위임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됩니다.

As part of the pilot, we are currently exploring the use of the supervision scale adopted for UME by Chen and colleagues15 (see List 2), with the inclus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as a tool to capture workplace-based assessments. multiple forms of assessment evidence, including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in the workplace, will be used to render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15



List 2 Propose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ntrustment and Supervision Scale

1.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할 수 없음 Not allowed to practice EPA

a. Inadequate knowledge/skill (e.g., does not know how to preserve sterile field); not allowed to observe

b. Adequate knowledge, some skill; allowed to observe

2.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할 수 있으나, 예방적, 총체적 감독이 필요Allowed to practice EPA only under proactive, full supervision

a. As coactivity with supervisor

b. With supervisor in room ready to step in as needed

3.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만 도움을 주는 것으로 충분함 Allowed to practice EPA only under reactive/on-demand supervision

a. With supervisor immediately available, all findings double checked

b. With supervisor immediately available, key findings double checked

c. With supervisor distantly available (e.g., by phone), findings reviewed

4. 감독이 없는 상황에서 EPA를 수행하도록 허가함 Allowed to practice EPA unsupervised

5. 다른 사람이 EPA를 수행하는 것을 감독할 수 있음 Allowed to supervise others in practice of EPA


Based on the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Proposed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ntrustment and Supervision Scale developed by Chen et al.15 Reproduced with permission. EPA indicate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많은 보건 시스템에서 학생들은 환자 치료 활동에서 좀더 주변적인 역할로 강등 되었기 때문에 핵심 EPA에 참여할 충분한 기회가 없을 수 있습니다 .16 학생들이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관련 보건 시스템과 협력하여 UME 프로그램은 충분한 임상 경험을 보장해야합니다. UME의 임상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임상 팀에서 짧은 기간 동안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도록 구성됩니다. 그러나 많은 교수진은 단시간에 상호 작용을했던 학생들을 공식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워한다. 에피소드 관찰을 포착하기위한 간단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 외에도, 우리는 위탁 결정을 요약하기 위해 종단 관계를 창출하기 위한 임상 경험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In many health systems, students have been relegated to a more peripheral role in patient care activities, so they may not hav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me of the Core EPAs.16 UME programs in collaboration with their associated health systems must ensure sufficient clinical experiences for students to develop competence. Clinical programs in UME are typically constructed to provide breadth of experience, with short periods on a variety of clinical teams. Yet, many faculty members are reticent to formally assess students with whom they have had only brief interactions. In addition to developing facile tools to capture episodic observations, we may find that a reorganization of clinical experiences to create longitudinal relationships will be needed to inform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17



교수개발

Faculty development


UME의 핵심 EPA 프레임 워크와 관련된 교수진 지식과 기술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 일 것입니다. 여기에는 각 핵심 EPA에 필수적인 콘텐츠 개발이 포함됩니다. 

    • 해당 자료를 가르치는 방법; 

    • 직접 관찰 및 피드백 제공 기술; 

    • 시의 적절하고 표준화 된 데이터를 제공하기위한 평가 전문가; 

    • 성과에 대한 적절한 문서; 

    • 위탁 결정을 내리는데 활용하는 증거를 적절히 검토할 수 있는 전문성


Building faculty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the Core EPA framework in UME will be imperative, including developing content that is essential for each Core EPA; methods to teach this material; techniques for direct observation and provision of feedback; assessment expertise to provide data that is accurate, timely, and standardized; appropriate documentation of performance; and expertise in the judicious review of evidence to render entrustment decisions.



원칙

Guiding Principles


이 프레임 워크가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위탁 결정은 학습자가 기관 간을 이동할 때 인식되어야합니다. 한 학교에서 위탁받은 졸업생은 다른 학교의 레지던시 프로그램 디렉터의 기대에 부합해야합니다. 모든 의대에서 성과에 대한 일관된 기준이 요구됩니다.

For this framework to have meaning, entrustment decisions must be recognized as learners transfer between institutions; a graduate who was entrusted at one school should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residency program director at another. Consistent standards for performance across all medical schools will be required.


모든 학교에서 응집력있는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는 핵심 EPA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고자하는 기관이 목록 3에 제시된 지침 원칙을 따르도록 권장합니다.

To support a cohesive approach across all schools, we recommend that institutions intending to use the Core EPA framework follow the guiding principles provided in List 3.


List 3 Guiding Principles for Institutions Implementing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Core EPAs) Framework

• 각 EPA에 대한 교육 기회와 평가를지도하기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채택한다.

• Employ a systematic approach to map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assessments for each EPA


• 각 EPA에 요구되는 특정 지식, 기술 및 태도 이외에 신뢰성의 속성을 명시 적으로 측정합니다.

• Explicitly measure the attributes of trustworthiness in addition to the 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each EPA


• 집계 된 성과 기록을 통해 각 학습자의 성과에 대한 종단적 관찰을 생성하고, 위탁 결정을 알리는 데있어 종단 관계 및 공식 코칭 구조의 부가 가치를 고려하십시오.

• Create a longitudinal view of each learner’s performance via, at minimum, aggregated performance evidence, and consider the added value of longitudinal relationships and formal coaching structures in informing entrustment decisions


• 각 EPA에 대한 각 학습자에 대한 여러 평가자의 다중 모달 성과 증거 수집

• Gather multimodal performance evidence from multiple assessors about each learner for each EPA


• 총괄적 위탁 결정을 뒷받침하는 증거 자료에 각 학습자의 위임에 관한 전반적 전문적 판단을 포함시킵니다

• Include global professional judgments about the entrustment of each learner in the body of evidence that supports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 위임에 대한 궤적을 따라 형성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재교육과 책임의 잠재적 가속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보장합니다.

• Ensure a process for formative feedback along the trajectory to entrustmen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both remediation and potential acceleration of responsibilities


• 각 학습자의 성과 기록을 검토하는 훈련 된 그룹 (위임위원회)이 정식 위임 결정을 내려고 유지하는 프로세스를 만듭니다.

• Create a process to render and maintain formal entrustment decisions by a trained group (entrustment committee) that reviews performance evidence for each learner


• 각 학습자가 기대에 부응하고 성과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고 검토하며 위탁을 성취하기 위해 개별화 된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위탁 프로세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Ensure that each learner is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entrustment process—aware of expectations, engaged in gathering and reviewing performance evidence, and generating individualized learning plans to attain entrustment


• 핵심 EPA 커리큘럼 개발자 안내서 5에 현재 기술되어있는 것처럼 개별 학습자에 관한 공식 위임 결정을 국가적으로 확립 된 성과 기대치와 일치시킵니다.

• Align formal entrustment decisions regarding individual learners with nationally established performance expectations, as currently described in the Core EPAs Curriculum Developer’s Guide5


영향, 한계, 다음 단계

Impact, Limitations, and Next Steps


핵심 EPA 파일럿은 두 가지 잠재적 영향 수준을 가질 수 있습니다.

The Core EPA pilot could have two potential levels of impact. 


첫째, 개별 학교가 핵심 EPA를 organizing 프레임워크로 적용 할 때, 학생들은 EPA를 배우고 실습 할 수있는 기회를 창출 할 것이며, 저부담 형성 평가를 구현할 것입니다 .23 우리는 의과 대학 졸업자가 전공의 과정에 들어가기 위한 core responsibility를 더 잘 준비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UME에서 GME로의 전환을 크게 개선할 것이다.

First, as individual schools apply the Core EPAs as an organizing framework, they will creat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and practice the EPAs and will implement low-stakes formative assessments.23 We expect this work to better prepare medical school graduates for the core responsibilities of entering residents, resulting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UME to GME transition.


둘째, 위탁 구조를보다 높은 수준의 영향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GME로의 advancement는 개인의 준비 가능성을 총체적으로 보장하는 것에 달려있다.

Second, to escalate the entrustment construct to a higher level of impact, advancement into GME would become contingent on ensuring individuals’ readiness in a summative fashion


이 과정은 기관간에 일관되고 존중받는 공식 위임 결정을 내릴 것을 요구합니다. 모든 학생에게이 결과를 얻으려면 

  • 적절한 학습 기회, 

  • 평가를위한 구조화 된 프로세스, 

  • 그러한 결정을 알리는 데 필요한 증거의 정의, 

  • 위탁위원회의 실행, 

  • 코칭 및 개선 프로세스, 

  • UME에서의 GME로의 교육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

...가 필요합니다.

This process will require making formal entrustment decisions that are consistent and honored across institutions. Attaining this outcome for every student demands 

  • adequate learning opportunities, 

  • a structured process for assessment, 

  • a definition of the evidence necessary to inform such decisions, 

  • implementation of entrustment committees, 

  • processes for coaching and remediation, and 

  • a structure to enable an educational handover from UME to GME.


National conversation은 13 개의 핵심 EPA 모두가 UME에 대한 적절한 목표를 제시하는지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현재의 EPA가 EPA의 정의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논란이있다. 또한 핵심 EPA에 대한 진정한 학생 참여는 많은 보건 시스템에서 문제가 될 수있다. 우리는 학생들이 모든 EPA에 대해 동일한 위탁 수준에 도달 할 수있는 위치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National conversations have raised concerns about whether all 13 Core EPAs represent appropriate goals for UME. There is some debate about whether they all, as currently written, meet the definition of an EPA.24 Additionally, authentic student participation in some of the Core EPAs may be a challenge in many health systems. We are cognizant that our students may not be in a position to reach the same level of entrustment for every EPA.


Engaging the Broader Community



Conclusions



====찾아야 함====

Englander R, Flynn T, Call S, et al. Toward defining the foundation of the MD degree: Core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Acad Med. 2016;91:1352–1358.


1 Irby DM, Cooke M, O’Brien BC. Calls f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 by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1910 and 2010. Acad Med. 2010;85:220–227.


17 Hirsh DA, Holmboe ES, ten Cate O. Time to trust: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cad Med. 2014;89:201–204.


2 Ten Cate O. Nuts and bolts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J Grad Med Educ. 2013;5:157–158.


5 Englander R, Aschenbrener CA, Call SA, et al.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MedEdPORTAL. 2014. https://www.mededportal.org/icollaborative/ resource/887. Accessed November 9, 2016.


24 Ten Cate O. Trusting graduates to enter residency: What does it take? J Grad Med Educ. 2014;6:7–10.






 2017 Jun;92(6):765-770. doi: 10.1097/ACM.0000000000001543.

Implementing a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ramework in Undergraduate MedicalEducationEarly Lessons From the AAMC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Residency Pilot.

Author information

1
K. Lomis is associate dea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or of surgery,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ennessee. J.M. Amiel is associate dean for curricular affairs and associate professor of psychiatry, Columbia University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New York, New York. M.S. Ryan is assistant dean for clinical medical education and associate professor of pediatrics,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ichmond, Virginia. K. Esposito is associate dean for curriculum and medical education and professor and vice chair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healt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Herbert Wertheim College of Medicine, Miami, Florida. M. Green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director for student assessment, Yale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A. Stagnaro-Green is regional dean and professor of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Rockford, Illinois. J. Bull is lead specialist in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G.C. Mejicano is senior associate dean for education and professor of medicine,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ortland, Oregon.

Abstract

In 2014,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published a list of 13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Residency (Core EPAs) that medical school graduates might be expected to perform, without direct supervision, on the first day of residency. Soon after, the AAMC commissioned a five-year pilot with 10 medical schools across the United States, seeking to implement the Core EPA framework to improve the transition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In this article, the pilot team present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early results of collaborative efforts to provide guidance to other institutions planning to implement the Core EPA framework. They describe the aims, timeline, and organization of the pilot as well as findings to date regarding the concepts of entrustment, assessment, curriculum development, and faculty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over the first two years of the pilot, the authors offer a set of guiding principles for institutions intending to implement the Core EPA framework. They also discuss the impact of the pilot, its limitations, and next steps, as well as how the pilot team is engaging the broader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ey encourage ongoing communication across institutions to capitalize on the expertise of educators to tackle challeng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is novel approach and to generate common national standards for entrustment. The Core EPA pilot aims to better prepare medical school graduates for their professional duties at the beginning of residency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patient care.


위탁가능도 척도: 역량바탕 임상평가에서의 유용성(Acad Med, 2016)

Entrustability Scales: Outlining Their Usefulness for Competency-Based Clinical Assessment

Janelle Rekman, MD, Wade Gofton, MD, MEd, Nancy Dudek, MD, MEd,

Tyson Gofton, PhD, and Stanley J. Hamstra, PhD





직장 기반 평가 (WBA)의 필수 구성 요소는 임상 감독자이며, 레지던트의 성과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은 풍부하면서 미묘한 차이를 평가할 수 있지만 때로는 편향을 반영 할 수도 있습니다 .1,2 이러한 편향은 종종 낮은 신뢰도를 나타내는 WBA 도구를 초래합니다 .3-5

A necessary component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is the clinical supervisor, whose subjective judgments of residents’ performance can yield rich and nuanced ratings but may also on occasion reflect bias.1,2 These biases often result in WBA tools demonstrating low reliability.3–5


흥미롭게도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가자는 연수생의 성과에 대한 의견이 크게 다른 것은 아니고, 오히려 평가 척도 또는 응답 형식 (예 : "숫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해석하는 방법이 서로 달랐다.9 WBA에서 평가자 합의를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 어떻게 의미있는 주관적인 판단을 잡아낼 것인지는 현재 명확하지 않다. 행동적으로 고정 된 ordinal scale로 정의하는 "Entrustability 척도"는 평가자에게 임상 적 의미가있는 판단을 반영합니다.

Interestingly, recent work suggests that raters do not so much disagree on trainee performance but, rather, on how to interpret the assessment scale or response format (e.g., how to “choose a number”).9 How to improve rater agreement in WBA and meaningfully capture subjective judgment is not currently clear. “Entrustability scales,” which we define as behaviorally anchored ordinal scales reflect a judgment that has clinical meaning for assessors.


역량 기반의 의학 교육 (CBME)이 보편화됨에 따라 직장 현실을 반영하는 임상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배포해야 할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 해지고있다.

A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becomes more prevalent, the need to develop and deploy clinical assessment tools that reflect workplace reality becomes more and more critical.10,11




위임

Entrustment


임상 업무를 competent하게 수행하는 것을 배우는 것은 모든 의학적 학습자가 전문적인 독립에 이르는 길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임상 프리셉터는 전공의가 독립적으로 과제를 완료 할 수 있는지 계속해서 질문해야합니다.

Learning to perform clinical tasks competently is a process all medical learners must navigate on their road to professional independence. Clinical preceptors should continually be asking themselves if the resident is capable of completing a task independently.15,16


EPA는 연수생에게 맡길 수 있거나 위임할 수 있는 전문 분야의 필수적인 책임으로 정의됩니다.

EPAs are defined as essential responsibilities of the specialty that can be left, or entrusted, to a trainee.


개별 전공의에게 위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전공의가 독립적으로 의료행위를 하게 될 경우 실제로 수행 할 작업 또는 추상적인 지식과 일반화된 기술을 보다 넓은 맥락에 두는 행위에 대한 평가를 필요로한다.19 임상 강사는 훈련의 최종 단계 뿐만 아니라, 모든 중요 시점에서 위임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Determining whether to entrust individual residents entails evaluating them against what they will actually do when practicing independently, or putting their abstract knowledge and generalized skills into a larger context.19 Clinical instructors can (and do) make entrustment decisions at all milestones levels, not just in the final stages of training.


  1. "이 전공의는 물리적으로 함께 존재하는 상급자 또는 스텝의 도움을 받아 일반적인 수술 후 문제를 인식하고 관리합니다."14

  2. "이 전공의는 일반적인 시술 후 문제를 인정하고 관리합니다 ... 상급자 또는 스텝이 상담해줄 수 있지만, 물리적으로 그 자리에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3. "이 전공의는 복잡한 수술 후 문제를 독립적으로 인식하고 관리합니다."14

  4. "이 전공의는 팀을 이끌 수 있으며, 복잡한 수술 후 문제의 평가와 관리에 감독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14

  5. "이 전공의는 독립적인 진료를 할 준비가 되어있다"

  1. “This resident recognizes and manages common post-operative problems … with the assistance of senior residents or staff members who are physically present.”14

  2. “This resident recognizes and manages common post-operative problems … with the assistance of senior residents or staff members who are available for consultation, but not physically present”
  3. “This resident recognizes and manages complex postoperative problems … independently.”14

  4. “This resident can lead a team and provide supervision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omplex post-operative problems.”14

  5. “ready for independent practice”




위임 척도: construct-aligned scale의 한 종류

Entrustability Scales: A Species of Construct-Aligned Scales


최전선 교육자들이 [평가 도구가 전공의에 대한 진정한 평가를 잡아낸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rossley와 Jolly22는 효과적인 평가 도구는 construct alignment를 갖는다고 제안했는데, 이 말은 이 도구가 평가자의 전문 지식과 우선 순위를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의 교육 평가에 대한 평가에서 van der Vleuten 및 Verhoeven5는 평가 도구의 가치는 도구 자체보다는 사용자 (평가자)에 달려있다고 언급했습니다.

It is crucial for frontline educators to feel an assessment tool captures their true appraisal of a resident. Crossley and Jolly22 have suggested that effective assessment tools have construct alignment, which means that the tool reflects the expertise and priorities of the evaluator. In a recent review of in-training assessment, van der Vleuten and Verhoeven5 note that the value of assessment instruments depends more on the users (raters) than on the instruments themselves.


Entrustability 척도는 임상의와 교육자의 전문 지식 및 우선 순위에 부합하기 때문에 construct-aligned anchor scale의 한 종입니다. Zwisch 척도 (24)는 아주 간단한 예입니다. 척도의 최하단에는 "보여주고 말하기"와 맨 위에는 감독자의 존재가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만 보장되는 "감독 만"이 있습니다. 이 두 레벨 사이에서, 연수생은 능동적 인 도움의 단계와 수동적 인 도움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연수생의 지명 된 수술 절차 완성 능력을 평가하는 위탁 가능성 척도의 또 다른 예는 O-SCORE (표 1)입니다.

Entrustability scales are a species of construct-aligned anchor scales because they align with the expertise and priorities of clinician–educators. The Zwisch scale,24 is a great simple example. At the lowest end of the scale is “show and tell,” and at the top, “supervision only,” at which the supervisor’s presence is warranted only to ensure patient safety. In between these two levels, a trainee progresses through a stage of active help and a stage of passive help. Another example of an entrustability scale that assesses a trainee’s ability to complete named surgical procedures is the O-SCORE (Table 1).25



위탁 척도의 장점

Benefits of Entrustability Scales


construct alignment 덕분에 평가자가 자신의 평가 결정이 의미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Raters find increased meaning in their assessment decisions due to construct alignment


주치의가 "평균보다 높음"이면 4점 또는 "평균보다 낮음"이면 2점와 같은 ordinal 범주로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대신, 위탁가능성 척도는 평가자가 다음과 같은 범주에 속하는지 여부를 위임하거나 위임하지 않도록하는 범주적인 판단을 하도록 한다. 평점 척도 오류는 부분적으로는 평가자가 암묵적인 범주형 (간격) 판단을 (전통적으로 추상적 척도에 의해 요구되는) ordinal 판단으로 변환하지 못하는 것에서 발생합니다.27 평가자의 기존 범주형 스키마에 맞춰, reverse engineering descriptor를 사용함으로써 entrustability scales은 평가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있다.

Rather than requiring an attending physician to translate his or her assessment into an ordinal category such as 4 for “above average,” or 2 for “below average,” entrustability scales acknowledge the categorical judgment—to entrust or not to entrust— that raters have used successfully in the workplace.2 Rating scale error is partially due to a rater failing to correctly translate implicit categorical (interval) judgments into the ordinal judgments traditionally required by abstract scales.27 By reverse engineering descriptors to fit raters’ existing categorical schemas, entrustability scales can increase assessment reliability.22


게다가, 위탁가능성 척도는 임상 교육의 맥락에서 이미 평가자에게 의미가있는 판단을 반영합니다 .28 위탁 가능성 척도는 현실 세계의 판단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판단은 평가를 의미있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마취과 의사는 "나는 이 일에 대해서 내 전공의만 남겨 둘 수 있을 것인가?"라고 생각하는 것에 익숙합니다. 평가 양식에 이 판단을 공식화하는 것은 배우자와 연수생 모두에게 덜 부담스럽고 ​​의미있는 것입니다 .13

Moreover, entrustability scales reflect a judgment that already has meaning for evaluators in the context of clinical education.28 Because entrustability scales are based on this real-world judgment . That is, this real-world, practical judgment makes the assessment meaningful. For example, anesthesiologists are accustomed to thinking, “Can I leave my resident alone to do this task?” Formalizing this judgment on an assessment form is less onerous for and more meaningful to both the rater and the trainee.13


행동 기반 평가 척도는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narrative wording은 평가자가 쉽게 해석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왜냐하면 숫자와 단 한두개만의 단어(평균)를 포함하는 척도와 달리, construct에 대해서 ready-made rich description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Behavioral-based rating scales have a long tradition,30 and their narrative wording seems to be easier for raters to interpret because they offer a ready-made rich description of the construct, compared with scales that include only numbers and just one or two words (e.g., “average”).


Crossley와 동료 9는 실제 척도는 그대로 두고, 앵커만 변경 한 평가 도구를 비교 한 연구에서이를 입증했습니다. Narrative를 제시한 construct-aligned 척도를 갖춘 버전은 더 큰 신뢰도를 보여 주었고, 이는 WBA 도구의 열악한 신뢰성은, 전통적으로 가정 한 것처럼 평가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잘못 정렬된 척도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 때문일 수 있습니다.

Crossley and colleagues9 demonstrated this in a study comparing assessment tools in which they changed only the anchors, not the actual scale. The version of the scale with narrative, construct- aligned anchors showed greater reliability, suggesting that the poor reliability of WBA tools may not, as traditionally assumed, be due to differences in rater assessment but, instead,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poorly aligned scales.



평가를 주고 받는 것에 대한 문화 바꾸기

Changing the culture of giving and receiving assessment


그러나 레지던트 의사는 전문직업인이기 때문에 역량의 향상을 위해, 이 성인 학습자는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 건설적인 비판을 받아야합니다.

Resident physicians are professional students, however, to advance toward competency in residency, these adult learners must also receive constructive critique on the areas in which they must improve.


그러나 의료 분야에서 평가결과는 척도의 상단 부분으로 치우쳐있고, 대부분의 전공의는 "평균 이상"에 이라는 점수를받습니다 .31 이러한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재교육 방법이 없기 때문에, 주치의와 우호적 근무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기 때문에 등이 있다. 평가자는 정당화를 위해서 더 많은 것이 필요하거나, 낮은 점수로 인해 법적 조치가 뒤따를 경우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주저 할 수도 있습니다.

Frequently, however, medical assessment results are skewed toward the top of the scale, and most residents receive “above average” scores.31 Medical educators have proposed many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ncluding the lack of remediation options and the desire of attending physicians to preserve a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Physician raters may also be hesitant to assign low scores if these require more justification or could lead to legal action.31


실제로, 임상 평가자들은 전공의들에게 그들의 수행능력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또는 "예상 수준보다 낮다"는 사실을 이야기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On a practical level, clinical raters are unlikely to tell their residents that their performance was “unsatisfactory” or even “below the expected level”—and even more unlikely to fail them.13 


Entrustability Scale은 연수생의 부족이나 동급생에 대한 순위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위한 연수생의 준비로 피드백을 집중시킵니다 .25 안전한 독립적 실천에 대한 외부 기준에 대한 평가는 WBA 저울에 내재 된 가장 일반적인 약점 두 가지를 극복합니다 - 중앙 경향central tendency과 관대 편향leniency bias1 - 그리고 평가자가 모든 범주 / 숫자를 사용할 수있는 자유를 창출한다.

Entrustability scales naturally focus feedback on a trainee’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rather than on a trainee’s deficiencies or his or her ranking with respect to peers.25 Basing evaluations on the external reference of safe independent practice overcomes two of the most common weaknesses inherent in WBA scales—central tendency and leniency bias1—and creates freedom for the assessor to use all categories/numbers on the scale.9


또한 Entrustability 척도는 임상 평가자가 실제 판단을 반영하는 내러티브 설명을 토대로 경멸적이지 않은 평가를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이것은 평가자 입장에서는 정직한 평가의 가능성을 증가시킬뿐 아니라 (즉, 관심있는 구성을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있게 해줄뿐 아니라) trainee 입장에서 평가를 (동료와의 비교가 아닌) 안전한 독립적 의료행위를 위한 진전의 표현으로 해석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Entrustability scales also help clinical raters make nonpejorative assessments based on narrative descriptions that reflect real-world judgments. This not only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n honest assessment (i.e., it allows for a more valid assessment of the construct of interest) but also helps trainees interpret the assessment as a representation of their progress toward safe independent practice, rather than as a comparison with their peers


아마도 전공의는 (예를 들어, "평균 이하입니다"또는 심지어 단순히 "평균수준입니다."와 같은 평가보다) "당신이 아직이 요추 천자를 할 준비가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먼저 해부학을 들여다 보겠습니다. "(위탁 가능성 앵커 척도 1 점) 또는"환자에게 상처 감염이 있고 항생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해주었습니다. 그러나 부작용을 설명하고 감염이 악화되는 경우 간호사에게 전화하라고 환자에게 알려야한다고 상기시켜야했습니다. " 등의 평가가 더 편안할 것이다. 

Perhaps residents are more comfortable hearing assessments such as “I don’t think you are ready to do this lumbar puncture yet. First look up the anatomy and let me show you” (a score of 1 on an entrustability anchor scale) or “You did a good job of explaining that the patient has a wound infection and needs antibiotics. But I needed to remind you to explain the side effects and to tell the patient to call the nurse if the infection appears to be worsening” (a score of 3)—rather than, for example, “You scored below average” or even, simply, “Your performance was average.”



위탁과 이정표

Entrustment and milestone progression


역량 기반 평가 프로그램의 핵심은 느리게 학습해가는 전공의들을 적절하게 파악하는 것입니다. Entrustability 척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자를 추적하고 그들이 "곡선에서 떨어지는"단계를 평가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이 과정을 능률화합니다.

a key aspect of a competency- based assessment program should be the timely identification of residents who are progressing slowly. Entrustability scales streamline this process by providing a way to track learners over time and assess stages during which they are “falling off the curve.”13


코호트 측정과 비교할 때 이 성취 모델은 개개인의 학습을 명확하게 반영합니다.

Compared with cohort measurement, which would measure only changes in standing, this achievement model unambiguously reflects individual learning.


평가자 훈련과 위탁가능도 척도

Rater training and entrustability scales


새로운 WBA 도구가 구현 될 때마다 평가자 편향과 주관성에 대한 우려는 평가자 교육이 얼마나 필요한지에 대한 토론을 촉구해야합니다 .1 실제로 여러 근거들은 평가자 훈련이 평가 도구의 적절한 사용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세션은 자원 집약적이며 시간이 많이 걸리며 (종종 2 시간에서 4 시간의 시간이 필요함) 학습 환경 외부에서 구현하기가 어렵습니다 .36 이러한 이유로 인해 장기적으로 잠재적 인 가능성이 의심 스럽습니다.

Whenever a new WBA tool is implemented, concerns over rater bias and subjectivity should prompt discussions about how much rater training is necessary.1 Indeed, evidence shows that rater training can increase proper use of an assessment tool35; however, these training sessions are resource intensive, time consuming (often requiring two to four hours of a rater’s time), and difficult to implement outside of a study environment.36 For this reason, their potential long-term feasibility is questionable.


전통적인 평가자 교육 프로그램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지도자들이 이러한 유형의 규모, 특히 초반에는, 외부 참조를 의도한대로 사용하지 않는 평가자 (즉, 독립적인 능력의 평가 대신 동료 그룹 내에서의 비교로 되돌아가는 평가자)를 모니터링해야합니다. 레퍼런스 프레임 훈련(reference of reference training)은 평가자의 reorientation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아웃라이어 평가자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scale 원칙을 realign함으로써 이득을 볼 수 있을 때 시도해볼 수 있다.

traditional rater training programs may no longer be necessary. Nonetheless, when education leaders use this type of scale, especially the first time, they should monitor for raters who fail to use the external reference as intended (i.e., who revert to comparing within peer group instead of evaluating for independent competence). A method for creating targeted rater reorientation, called frame- of-reference training, could be attempted by monitoring regularly for outlying raters likely to benefit from realignment to scale principles.


맥락 복잡성과 위탁가능성 척도

Context Complexity and Entrustability Scales



entrustment-aligned 도구조차 모든 WBA 도구와 공유하는 한계가 있는데, 바로 락적 복잡성을 완전히 설명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13 평가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특정 전공의에게만 특정적이어서, 날씬한 환자에서 요추 천자를 완료하는 것은 더 비만한 환자를 대상으로 요추 천자를 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것은 이 두 가지가 심지어 같은 EPA로 다뤄짐에도 그러하다. 사실, 많은 맥락적 요인들이 위임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는 시간 경과에 따른 다수의 평가를 권장합니다 - 이상적으로는 여러 명의 평가자가 평가에 참여해야 한다 - 이를 통해 전공의 평가에서 맥락에 따른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위탁 가능성 척도를 사용하는 도구는 평가자가 내러티브 설명을 남길 수있는 공간에서 이익을 얻습니다.


A limitation that entrustment-aligned tools share with all WBA tools is their inability to completely account for context complexity.13 Although assessments are specific to a particular resident performing a specific task, completing a lumbar puncture on a slim patient is different from completing one on a patient with a larger body habitus—even though both procedures are coveredby the same EPA. Indeed, because many contextual factors influence entrustment decisions,17 we recommend multiple assessments over time—ideally completed by several raters—to limit the impact of contextual variations on overall trainee assessment. Additionally, tools using entrustability scales benefit from a space for raters to leave narrative  comments.38




Conclusions


전선 임상가들은 전공의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 "번역과정에서 상실"되기를 원치 않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피하는 데 도움이되는 도구는 임상 학습 환경을 더 가치있게 생각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전공의에게도 (연차보다는) 최종 목표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돕는 도구가 사용된다면, well-constructed, actionable한 피드백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Entrustability Scale (또는 Independence-Aligned Scale)은 역량 기반 환경에서 특정 임상 적 척도 판단과 특정 척도 척도 측정을 동기화 할 수있는 큰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Frontline clinicians do not want their judgments of residents’ abilities to get “lost in translation,”40 so a tool that helps them avoid this problem would add value to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Likewise, a tool that helps residents focus on an end goal (rather than on a grade)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 amount of well-constructed, actionable feedback they receive. Entrustability scales (or independence-aligned scales9 or construct-aligned scales) show great potential for synchronizing actual clinical rater judgments with specific anchor scale measures in the competency- based environment.








 2016 Feb;91(2):186-90. doi: 10.1097/ACM.0000000000001045.

Entrustability ScalesOutlining Their Usefulness for Competency-Based Clinical Assessment.

Author information

1
J. Rekman is a general surgery resident and master'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tudent,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W. Gofton is an orthopedic surgeon,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N. Dudek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T. Gofton is Wissenschaftlicher Mitarbeiter, Department of Philosophy, Eberhard Karls Universität, Tübingen, Germany. S.J. Hamstra is vice president, Milestones Research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Meaningful residency education occurs at the bedside, along with opportunities for situated in-training assessment. A necessary component of workplace-based assessment (WBA) is the clinical supervisor, whose subjective judgments of residents' performance can yield rich and nuanced ratings but may also occasionally reflect bias. How to improve the validity of WBA instruments while simultaneously capturing meaningful subjective judgment is currently not clear. This Perspective outlines how "entrustability scales" may help bridge the gap between the assessment judgments of clinical supervisors and WBA instruments. Entrustment-based assessment evaluates trainees against what they will actually do when independent; thus, "entrustability scales"-defined as behaviorally anchored ordinal scales based on progression to competence-reflect a judgment that has clinical meaning for assessors. Rather than asking raters to assess trainees against abstract scalesentrustability scales provide raters with an assessment measure structured around the way evaluators already make day-to-day clinicalentrustment decisions, which results in increased reliability. Entrustability scales help raters make assessments based on narrative descriptors that reflect real-world judgments, drawing attention to a trainee'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rather than his/her deficiencies. These scales fit into milestone measurement both by allowing an individual resident to strive for independence i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cross the entire training period and by allowing residency directors to identify residents experiencing difficulty. Some WBA tools that have begun to use variations of entrustability scales show potential for allowing raters to produce valid judgments. This type of anchor scale should be brought into wider circulation.

PMID:
 
26630609
 
DOI:
 
10.1097/ACM.0000000000001045


보건의료인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밀레니엄 컨퍼런스 2011의 요약과 합의(Teach Learn Med. 2014)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ummary and Consensus Statements of the Millennium

Conference 2011

Grace C. Huang, Lori R. Newman, and Richard M. Schwartzstein 

Carl J. Shapiro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t Harvard Medical School and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Boston, Massachusetts, USA



도입

INTRODUCTION


환자 치료에서의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은 반박의 여지가 없다. 비판적 사고라 부르든, 아니면 그와 유사한 construct (진단 적 추론, 문제 해결, 임상 적 추론)로 부르든, 여기에는 사고 과정에 대한 마음가짐뿐만 아니라 고등 정신 능력을 포함한다 .7 비판적 사고는 효과적인 판단을 위한 전제 조건이며, 임상 적 영역에서의 그것의 부재는 지연된 진단, 놓쳐버린 진단, 인지 오류, 잘못된 환자관리 등으로 이어진다. 비판적 사고의 핵심은 다수의 보건전문직 역량 프레임워크에 분명하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8-14 비록 많은 임상가가 명확한 교육보다는 경험과 관찰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습득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결코 이 기술을 습득하지 못합니다.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in patient care is undisputed. Whether termed as critical thinking or its related constructs (diagnostic reasoning, problem solving, clinical reasoning),1–6 it involves higher order mental abilities as well as mindfulness about the process of thinking.7 Critical thinking is a prerequisite for effective judgment, and its absence in the clinical realm can result in delayed or missed diagnoses, cognitive errors, and mismanagement. The centrality of critical thinking is clearly reflected in competency frameworks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8–14 and although many clinicians achieve critical thinking through experience and observation rather than explicit instruction, others never master this skill.


그러므로 그 어느 때보다도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의학 지식의 끊임없이 팽창은 "전문가"임상의의 개념을 바꾸었다. 기존에는 경험과 지식 (즉, 기억에서 불러올 수있는 모든 것, "정적인" construct)였다면, 이제는 어떻게 기존에 접하지 못한 문제에 대해서 해결책을 얻기 위해 정보를 액세스하고 적절히 적용 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 "동적"구조).15 정보는 신뢰성, 증거기반, 전문적 실천과의 일관성 등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며, 따라서 모호하거나 모순되는 데이터 중에서 정보를 해석해내는 능력은 비판적 사고의 특징입니다. 무엇보다 의료 비용이 치솟는 시대에 비판적 사고는 진단용 검사의 제약과 제한된 자원의 적절한 stewardship이라 할 수 있다.

The need to teach critical thinking, therefor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recent years, the ever-expanding nature of medical knowledge has altered the concept of an “expert” clinician as one defined simply by experience and knowledge (i.e., all that can be recalled from memory, a “static” construct) to how one can access and appropriately apply information to achieve solutions for problems not previously seen (a “dynamic” construct).15 Information must be distinguished as being reliable, evidence based, and/or consistent with expert practice, and thus the ability to interpret information in the face of equivocal or conflicting data is a hallmark of critical thinking. Moreover, in an era of skyrocketing health care costs, critical thinking allows for restraint in diagnostic testing and appropriate stewardship of limited resources.16


이 회의의 목적을 위해 우리는 임상 상황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예 : 개념화, 분석, 평가) 정보를 (병력, 기록, 신체 검사 또는 진단 조사에서 수집 한) 정보에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했습니다. (Scriven과 Paul21에서 채택), 정확하고 일관되며 논리적이며 적절한 조치로 이어집니다. 회의의 목적은

  • (a) 비판적 사고의 원칙을 보건 전문가 교과 과정에보다 명확하게 통합하기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 (b) 비판적 사고의 평가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었습니다.

For the purposes of this conference, we defined critical thinking in the clinical context as the application of higher cognitive skills (e.g., conceptualization, analysis, evaluation) to information (gathered from medical history, records, physical exam, or diagnostic investigation) in a way that leads to action that is precise, consistent, logical, and appropriate (adapted from Scriven and Paul21). The goals of the conference were 

  • (a) to develop strategies for integrating principles of critical thinking more explicitly into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and 

  • (b) to devise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critical thinking.


METHODS


In the fall of 2010, we sent a request for applications to the deans of all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ccredited by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A committee of Institute faculty familiar with the Millennium Conference process and background in the topic selected teams based on highest scores on three explicit criteria: 

(a) demonstrated commitment to curricular innovation, 

(b)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sciences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c) quality of the team members. 


Institutions were asked to convene a four-to five person team (Table 1). Our rationale for including nursing colleagues in a traditionally medically oriented conference series was to acknowledge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nursing literature in critical thinking22–24 and to explore opportunities for interprofessional training.




RESULTS


합의문

Consensus Statements


주제1: 가르침

Topic 1: Teaching.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거나 강화하기 위해서는 인지(예 : 신경 생물학,인지 편향, 확률 적 사고)와 인지 기술에 관한 내용을 모두 전달해야합니다. 교육은 전 핵심 커리큘럼에 걸쳐 구성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의 핵심이어야 한다. 모듈 형태의 짧은 세션이 비판적 사고를 위해 잘 훈련된 교수자에 의해서 교육되어야 하며, 핵심 과목들 사이에 고르게 분포해있으면서,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해로운 습관 (예 : 정신적 지름길, 암기 기억에의 의존)을 기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학년부터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To teach and/or enhance critical thinking, one must convey both content about cognition (e.g., neurobiology, cognitive biases, probabilistic thinking) and cognitive skills. The teaching should be woven through and integral to the core curriculum for doctors and nurses. Short modular sessions taught by specially trained individuals could be interspersed among core courses, with reinforcement throughout the curriculum. In addition, attention to how students think should begin with the 1st year of their professional training to forestall the development of deleterious habits (e.g., mental shortcuts, reliance on rote memorization).


이러한 종단적이고 통합 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This longitudinal, integrated approach would have the following goals:


• 문제 해결과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공통 언어 제공

• 학습과 사고의 신경 생물학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논리적 인 추론과 메타인지의 기본 원리, 일반적인 인식 편향에 대해 친숙하게 함

• 교실이나 임상 환경에서 학습자가 즉시 작업에 바로 적용 할 수 있도록, 발달 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함

• 학생들의 마음 습관과 문화를 증진시켜 학생들이 "어떻게 답을 얻는가"가 그 답만큼 중요하다는 개념을 강화함


• To provide a common language for students with respect to problem solving

•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thinking, principles underlying logical reasoning and metacognition, and a familiarity with common cognitive biases

• To provide knowledge and skill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 such that the learner can readily apply the principles to the work at hand, whether in the classroom or clinical setting

• To promote habits of mind and a culture among students that will reinforce the notion that how one gets to the answer is as important as the answer itself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전반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Overall strategies to teach critical thinking include the following:


• 학생들이 지식을 소화하고 적용 할 수 있도록 학습 과정의 속도를 늦춤.

• 문제 해결이 필요한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 시킴

• 학생들이 의사 결정에 어떻게 도달했는지를 정당화해보도록 함

• 사고(과정)를 명시적으로 만들기

• 학습자 측의 자기 성찰요구


• Slowing down the pace of the learning process to enable students to digest and apply knowledge

• Actively engaging the learner in tasks that require problems to be solved

• Compelling students to justify how they arrived at decisions

• Making thinking explicit

• Requiring self-reflection on the part of the learner


  • 사례 중심의 교육적 교수 방법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례는 "학습의 노력work of learning"이 문제 해결에 집중 될 수 있도록 기본적이고, 접근 가능한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 반대로, 복잡하거나 희귀 한 질병에 대한 논의는 모호한 미세 사안에만 초점을 맞추게 될 수 있습니다.

  • 채택 될 수있는 접근법의 다른 예는 (a)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필수 정보의 식별에 초점을 맞춘 "적시 (just-in-time)"학습, 그리고 (b) 공동 연습을 중심으로 한 팀 기반 학습을 통해서 높은 수준의 사고 능력을 육성합니다. 그러한 세션은 전문 간 그룹으로 구분할 수있다.

  • 학생들이 "빠르게 결단을 내리도록" 강요하는 시뮬레이션 연습은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드러내고 자기 성찰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디 브리핑 세션이 중요합니다.

  • 개념 지도 또는 메커니즘 맵은 기본적인 과학 개념과 임상 결과 사이의 링크를 표시하는 시각 도구로, 학생이 문제를 해결할 때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Case-based instructional approaches to teaching can enh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However, cases should focus on basic, accessible concepts to permit the “work of learning” to be oriented on problem solving; otherwise, discussion of complex or rare diseases may focus on obscure minutiae. 

  • Other examples of approaches that can be employed are (a) “just-in-time” learning with a focus on identification of the required information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and (b) team-based learning,25 which centers on collaborative exercises to foster higher level thinking skills. Such sessions may be particularly amenable to interprofessional groupings. 

  • Simulation exercises that compel students to “think on their feet” can reveal the learners’ thought processes and reinforce self-reflection; debriefing sessions are critical in this regard. 

  • Concept or mechanism maps26 are visual tools that display links between basic science concepts and clinical findings, thereby assisting students in understanding how one gets from one point to another in solving a problem.

이러한 교육 방법과 전략이 교실 환경과 임상 환경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임상 환경은 비판적 사고를 유지하고 촉진하는 데있어 특별한 어려움을 낳기도 한다. 

  • 환자들은 점차 이미 진단명을 가지고 병원에 오고 있으며, 이는 discovery process를 단축시킨다. 

  • 또한 외래 환경에서 생산성을 강조하는 것이 분석적 추론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임상의는 가이드라인이나 프로토콜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적 근거를 이해하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라인이나 프로토콜을 준수해야 하기도 한다. 

  • 테크놀로지는 사실적 정보에 거의 즉각적으로 접근 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방사선학 연구 및 실험실 검사의 발전으로 의학 면담 및 신체 진단 기술이 떨어지고 있다.

Although these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can be used in both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the patient care environment poses particular challenges for sustaining and promoting critical thinking. Patients increasingly present to the hospital with a predetermined diagnosis, which curtails the discovery process, and the emphasis on productivity in the ambulatory environment tends to impede analytical reasoning. Adherence to guidelines and protocols is expected without confirmation that clinicians understand the scientific basis underlying these recommendations. Technology has made access to factual information almost instantaneous, and advances in radiologic studies and laboratory testing have undermined skills in medical interviewing and physical diagnosis.


임상 환경이 비판적 사고에 필요한 개인적인 특성이나 태도의 발달을 저해 할 수도 있습니다. 

  • "숨겨진 커리큘럼"은 사실적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는 사람 또는 엄청난 길이의 감별진단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보상하고는 한다. 

  • 시니어 스텝 뿐만 학습자조차 질문에 대한 답을 모르는 것을 인정하는 것을 싫어할 수 있습니다. 

  • 의료팀의 위계적 구조는 대다수가 지지하는 진단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 또한, 전공과마다 동일한 이슈(예를 들어, 복통)에 대해서도 접근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초보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 이러한 다양한 접근법을 cohesive한 전략으로 통합하기 어려울 수 있다.

The clinical environment may also hinder the development of personal attributes or attitudes necessary for critical thinking. The “hidden curriculum” rewards those who can provide factual information quickly and differential diagnoses of great length. Learners, as well as senior staff, may be loath to admit they do not know the answer to a questi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healthcare teams27 makes it difficult to question working diagnoses that are espoused by the majority. Moreover, different specialties have varying approaches to the same issue (e.g., abdominal pain), and novices may have difficulty integrating these approaches into a cohesive strategy for solving problems.


다양한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표준화 된 질문 목록은 진단 과정에서 메타인지 및 다른 인지 과정을 자극 할 수 있습니다 ( "어떻게 그 해결책에 도달 했습니까? 무엇이 적합하지 않습니까? 다른 일이 벌어 질 수 있습니까?"). 

  • 전통적으로 "평가 및 계획"으로 결합되어있는 것 중에서, "평가"부분을 보다 강조함으로써(예 : "상태가 개선되는가 안정되는가 악화되는가?"), 충분한 근거없이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CT 한번 찍어보자). 

  • 논란을 받아들이는 것은 진단 또는 치료 계획을 수호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Various strategies may combat these challenges. A standardized checklist of questions can stimulate metacognition and other cognitive process checks during the course of diagnosis (“How did you arrive at that solution? What doesn’t fit? Could something else be going on?”).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assessment” portion (e.g., “Is the condition improving, stable, or worsening?”) of the traditionally coupled “assessment and plan” may help mitigate the formulation of plans without sufficient rationale (“Let’s just get a CT scan”). Embracing controversy may cultivate the ability to defend a diagnostic or therapeutic plan.


  • 보상 시스템의 변화 (예 : "누가 가장 좋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까?")와 학제 간 회의 및 팀에 대한 노출이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사고 과정을 말로 표현하고 증상, 신체적 소견, 실험실 데이터, 기본 과학 원리 및 환자의 진단 간의 연관성을 설명 할 수 있는 교수진은 전임상 교육과정에서의 비판적 사고를 강화하고 확장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교수가 기존의 결론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임상 적 용기", "호기심"및 "체계적인 회의론"의 모범을 줌으로써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를 불러 일으킬 수 있습니다.

Changes in the reward system (e.g., “Who can ask the best question?”) and greater exposure to interdisciplinary conferences and teams may help ameliorate these negative influences. Faculty who can verbalize their thought processes and explicate the links between symptoms, physical findings, laboratory data, basic science principles, and the patient’s diagnosis can reinforce and extend the preclinical thinking curriculum. Clinicians who model “clinical courage,” “curiosity,” and “systematic skepticism” by questioning prior conclusions can inspire critical thinking among students.


불확실성의 표현은 비판적 사고를 자극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학습자는 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식별 할 수 있어야 한다. 

  • 학습자는 자신의 지식의 질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고 (예를 들어, "내가 그것을 어떻게 알았는가?" "이 정보에 대해 나는 얼마나 확신하는가?"), 지식의 gap을 채울 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

  • 자신의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은 (종종 불확실한 진단이나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의 연기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서포트를 필요로하는) 환자들과 자신의 추론을 공유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치료에 중요한 파트너십을 수립 할 수 있습니다.

Expressions of uncertainty can be used to stimulate critical thinking. Learners need to be able to identify what they know and don’t know. They should be ab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ir knowledge (e.g., “How do I know that? What is my level of certainty about this information?”) and formulate a plan to fill in gaps of their knowledge. By learning how to address their own uncertainty, students can develop the skills needed to share their reasoning with patients who often require support to accept uncertain diagnoses and postponement of unnecessary testing or treatments, thereby establishing partnerships critical for effective care.




주제2: 평가

Topic 2: Assessment.


학교 또는 병원은 비판적 사고를 평가하는 행위를 통해서 이 기술의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비판적 사고는 독립적으로만 존재하는standalone 역량이 아니라, 여러 역량을 통해 실행되는 구성 요소 또는 테마로 간주되어야합니다. 따라서 한 가지 전략만으로는 비판적 사고에 대한 평가가 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평가 포트폴리오는 학생의 능력에 대한 보다 완벽한 그림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건강 전문 분야에서 다양성과 타당성을 가진 여러 가지 도구가있다.

The act of assessing critical thinking reinforces the importance of this skill within a school’s/medical center’s value system. Critical thinking should be viewed as a component or theme that runs through several of the competencies rather than a standalone competency. As such, assessment of critical thinking may not be well served with a single strategy; a portfolio of assessments may provide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student’s competence. Several instruments with varying degrees of validity and appli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are available.28–34


평가는 학습자가 능력을 확립하는 발달의 이정표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해야합니다. 전통적인 영역 (지식, 기술, 태도)에서 중요한 이정표는 표 3에 나와 있습니다. 교수진은 수업이 시작될 때 이것을 명시함으로써 학생들이 평가받을 준비를 하게끔 해야 한다. 학생들이 평가받을 루브릭은 학생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진은 비판적 사고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교정하기 위한 노력을해야합니다. 능력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은 의학 외의 진로에 대해 상담을받을 수 있습니다.

Assessment must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al milestones by which learners establish competence. A first approximation of the milestones in the traditional domain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s noted in Table 3. Faculty members must be explicit with students when instruction starts so that students are prepared to be evaluated on their thinking. The rubrics by which students will be assessed must be transparent to them. Furthermore, faculty members should make efforts to remediate students who are challenged by the need to think critically. Those who are unable to achieve competence might be counseled toward careers outside of medicine.


성찰적 실천이 비판적 사고에 필수적인만큼, 성찰은 반드시 평가적evaluative해야 한다. 즉, 학습자는 자신이 수행한 것 중에서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 무엇인지 평가해야 한다. 비판적 사고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교사는 학습자를 직접 관찰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전통적인 평가 도구 (객관식과 에세이 시험, OSCE, 미니 CEX41)를 비판적 사고의 평가에 적용 할 수 있습니다. 차트 - 자극 리콜, 스크립트 일치 테스트 42 개, 주요 기능 시험 43 개, 44 개 및 개념지도 45와 같은 최신 기술도 평가 목적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To the extent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vital to critical thinking, the reflection must be evaluative, namely, the learner must assess his or her performance for areas in need of improvement. To assess attitudes toward critical thinking, teachers may use a range of possible inventories35–40 in addition to direct observation of the learner. 

To evaluate performance, many traditional assessment tools (

  • multiple-choice and 

  • essay exams, 

  • OSCEs, 

  • mini-CEX41) 

...can be adapted for the evaluation of critical thinking. 


Newer techniques such as 

  • chart-stimulated recall,42 

  • script concordance tests,43 

  • key features examinations,44 and 

  • concept maps45 may also be modified for assessment purposes.



주제3: 교수개발

Topic 3: Faculty development.


효과적인 교수 개발은 비판적 사고가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진행된다는 것을 전제로하며, 교수진은 학생이 습득해야 하는 지식, 기술 및 태도에 익숙해져야 한다. 많은 교수진이 자신의 업무에서 비판적 사고의 특징을 보여줄 수도 있을지 몰라도, 모든 교사가 이 분야의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사고의 모든 요소에 익숙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결과적으로, 혼합 된 교수 모델이 권장됩니다.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presupposes that critical thinking is taught throughout the curriculum and faculty members are familiar with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be attained. Despite the fact that many faculty members may demonstrate features of critical thinking in their own work, it is unrealistic to expect that all teachers will be comfortable with all the 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necessary to teach and evaluate students effectively in this area. Consequently, a blended faculty model is recommended.



과학 분야에서 잘 훈련되고 비판적인 사고 방식을 사용하는 헌신적 핵심 교육자 교수진은 여러 교실의 일반 교수진을 위한 강사이자 자원으로서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이 모델은 핵심 교수진의 영향력을 증폭시키고, 모든 교수들 간 비판적 사고와 관련하여 공통된 어휘를 설정함으로써, 발생할 문제에 대한 의사 소통을 개선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개선하기위한 노력을 향상시킵니다. 이 접근법은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 및 전달에 대한 통제]와 [모든 교사의 참여 필요성]을 사이의 합리적 균형을 이루도록 해준다. 높은 수준의 기술과 헌신을 필요로하는 학습자 평가는, 최소한 프로그램 초기에는, 핵심 교수진의 역할이 될 수도 있다. 다른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와 마찬가지로 교수진 행동의 작은 변화가 학생의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 core faculty of committed educators, well trained in the science and use of critical thinking, should serve as trainers and resources for the general faculty members across departments. This model amplifies the impact of a core faculty alone and helps establish a common vocabulary with respect to critical thinking among all teachers, thereby improving communication about problems encountered and efforts to remediate struggling learners. This approach also reasonably balances control over the content and delivery of the curriculum and the need to engage all teachers. Assessment of learners, which requires a higher level of skill and commitment, may best be reserved for core faculty, at least in the beginning of a program. As with any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small changes in faculty behavior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 performance.



핵심 교수진은 처음에는학과 내에서 "활동가"역할을 받아들이려는 교사로 구성되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교수들은 모탈리티&모비디티 라운드와 같은 전통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분석적 추론이라든가, bedside에서 초기의 비판적 사고 행동을 자극하기위한 프레임 워크 (예 : SNAPPS46)의 사용과 같은 비판적 사고에는 익숙할지도 모른다. 교수들이 교수개발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전략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The core faculty should consist initially of teachers who wish to accept the role as “activists” within their departments. The general faculty may be familiarized with critical thinking features via the introduction of discussions of analytical reasoning into traditional settings such as morbidity and mortality rounds, and the use of frameworks (e.g., SNAPPS46) to stimulate initial critical thinking behaviors at the bedside. Strategies to motivate other faculty to engage in faculty development include the following:



• 학생 성과 (즉, 추론 능력이없는 학생)의 "격차"를 해결할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 학생측으로부터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고 평가받을 요구를 창출한다.

• 환자 안전, 비용 절감 및 비판적 사고 사이의 연관성 수립

• 비판적 사고를 중요시하는 문화 창조

• 교육자로 identify된 교수의 진급을 위한 중요 요소로서 이 분야의 전문성 개발을 수립함

• 이 분야의 우수한 교육에 대한 보상

 교육에 대한 동료-관찰에서 비판적 사고를 평가 영역으로 포함 시킴

• 국가 기관 (예 : 의학 교육 연락위원회, 대학원 의학 교육 인정위원회)의 인정 검토 활용


• Calling attention to the need to address “gaps” in student performance, (i.e., students not competent in reasoning abilities)

• Creating a demand on the part of students for teaching and evaluation in critical thinking

• Establishing links between patient safety, cost containment, and critical thinking

• Creating a culture that highly values critical thinking

• Establis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area as an important factor for promotion of faculty identified as educators

• Rewarding excellent teaching in this area

• Including critical thinking as an evaluable domain in the peer observations of teaching

• Leveraging accreditation reviews by national agencies (e.g.,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Counci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비판적인 사고를 지원하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커리큘럼, 평가 및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 제공을 지원하는 기본 원칙에 기초해야합니다. 프로그램에는 다음 요소가 포함되어야합니다.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o support critical thinking should be well grounded in basic principles that support curriculum, assessment, and provision of feedback to the learners. Programs should incorporate the following elements:


• 비판적 사고의 과학에 근거한 강력한 기반

•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사람의 전문성과 신뢰성.

• 궁극적으로 교수진 개발의 수혜자가 될 학생들의 기술 향상에 중점

• 가능한 한 교수진 개발은 교사의 일상 업무에 통합

• 비판적 사고의 교육에 대한 모델

• 교수진 간 모범 사례 공유 (예 : 비판적 사고의 양질의 교수법을 보여주는 비디오 라이브러리)

• 비판적 사고를 토론 할 때 사용되는 공통 언어에 중점

•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를 추적 할 수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


• A strong foundation should be grounded in the science of critical thinking

• Those who deliver the programs must have expertise and credibility

• There should be a focus on enhancing the skills of the students who will ultimately be the beneficiaries of the faculty development

• As much as possible, faculty development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daily work of the teachers

• The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should be modeled

• Best practices should be shared among faculty (e.g., a video library of exemplars of quality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 There should be an emphasis on a common language to be used when discussing critical thinking

•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metrics that will enable tracking of the efficacy of the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고찰

DISCUSSION


그러나 궁극적으로 비판적 사고의 의미있는 통합을 위해서는 과정보다 결과를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 패러다임에서 완전히 벗어나야합니다.

Ultimately, however, the meaningful integration of critical thinking requires a complete shift fromour current educational paradigm, which emphasizes diagnostic outcome over process.



품질 및 안전 운동은 진단적 오류를 조명함으로써, 비판적 사고 아젠다를 위한 길을 이미 열어 놓은 캠페인으로서, 이 영역의 연구를 촉진하는 데 사용해야합니다. 많은 부분이 시스템에 집중되었지만, 인지 오류 문제는 생의학 문학과 일반 언론 모두에서 주목을 끌고있다 .2 Trainee들은 이제는 "앵커링(anchoring)", "유용성 편향", "조기 결론"등과 같은 용어에 더 익숙해 질 것이다.우리의 언어가 "시스템 1 사고"라는 용어로 채워지는 데 까지는 그다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The quality and safety movement is a highly visible campaign that has already paved the way for the critical thinking agenda by bringing diagnostic error to light and should be used to promote work in this area. Although much of the focus has been on systems, the issue of cognitive error is increasingly drawing attention both in the biomedical literature47,48 as well as the lay press.2 Trainees are now more likely to be familiar with phrases such as “anchoring,” “availability bias,” and “premature closure.” It will not take much to populate our language with “System 1 thinking.”49


비판적 사고의 측정은 여전히 ​​정신적 과정mental process과 태도 측정이 갖는 고유의 어려움으로 인해 어렵습니다.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중등 및 고등 교육 문헌에서 기인 한 다양한 도구는 다양한 수준의 유효성 확인을 보여 주었고 29,30,33,34, 건강 관리에 적합 할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전통적인 평가 방법 (객관식 질문, OSCE, mini-CEX)을 조정하여 비판적 사고를 더욱 명시적인 평가 목표로 삼는 것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remains elusive, largely due to the inherent difficulty of measuring mental processes and attitudes. Measuring dispositions toward critical thinking is equally challenging. A variety of instruments originating from the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literature have demonstrated various levels of validation29,30,33,34 and may be adaptable to healthcare. Early initiatives may need to focus first on the adjustment of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s (multiple-choice questions, OSCE, mini-CEX) to more explicitly include assessment objectives that target critical thinking.


그러나 비판적 사고 운동에서의 성공의 진정한 표시는 (장애물보다는 오히려) 챔피언으로서 임상 교수진의 참여가 될 것입니다. 의료 환경은 패턴 인식, 직관적 인 의사 결정, 알고리즘 의학과 같은 사고의 패러다임을 영속화시킵니다. 또한, 교수진은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의 기술과 과학에 대한 교수개발 시도는 교수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모욕하지 않는 메시지로 조심스럽게 표현되어야 한다..

The real marker of success in the critical thinking movement, however, will be engagement of the clinical faculty as champions, rather than stumbling blocks. The healthcare environment perpetuates paradigms of thinking such as pattern recognition, intuitive decision making, and algorithmic medicine. Furthermore, faculty may be resistant to being told how to teach students to think critically. Initiatives to develop faculty in the art and science of critical thinking must carefully articulate a message that does not denigrate their prior knowledge and skills.


비판적 사고 교육을 추구하는데 실패한다면, 비판적 사고라는 근본적 기술이 빠져있는 의료환경에 이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환경을 전적으로 통제하는 것은 프로토콜 및 자동화 된 의사 결정이다. 진단 오류는 "사업 수행"비용의 일부가됩니다. 환자는 과도한 검사를 받고, 그로 인해 benign하고 incidental한 소견을 해결하기 위해 침해적인 절차를 받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의료환경 묘사가 비현실적인 것만은 아니며,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줍니다.

Failure to pursue the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may lead to a healthcare environment devoid of this fundamental skill. Such an environment would be governed entirely by protocols and automated decision support. Diagnostic errors would be part of the cost of “doing business.” Patients would carry multiple conflicting diagnoses while undergoing invasive procedures to work-up benign, incidental findings resulting from overtesting. This depiction of healthcare is not out of the realm of reality and illustrates the vital importance of teaching how to think.


REFERENCES









 2014;26(1):95-102. doi: 10.1080/10401334.2013.857335.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summary and consensus statements of the Millennium Conference 2011.

Author information

1
a Carl J. Shapiro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t Harvard Medical School and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 Boston , Massachusetts , USA.

Abstract

PURPOSE:

Critical thinking is central to the func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However, this topic is not explicitly taught or assessed within current programs, yet the need is greater than ever, in an era of information explosion, spiraling health care costs, and increased understanding about metacognition.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Shapiro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nd the Josiah Macy Jr. Foundation jointly sponsored the Millennium Conference 2011 on CriticalThinking.

SUMMARY:

Teams of physician and nurse educators were selected through an application process. Attendees proposed strategies for integrating principles of critical thinking more explicitly into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Working in interprofessional, multi-institutional groups, participants tackled questions about teaching, assessment, and faculty development. Deliberations were summarized into consensusstatements.

CONCLUSIONS:

Educational leaders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dialogue about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in health professionseducation and recommend strategies to teach critical thinking.

PMID:
 
24405353
 
DOI:
 
10.1080/10401334.2013.857335


탁월한 임상교육: 지식의 변형과 개발 필요성(Med Educ, 2014)

Excellence in clinical teaching: knowledg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required

David M Irby



도입

INTRODUCTION


'실력이 없어도 가르칠 수 있다'라는 오래된 농담이 있습니다. 이 폄하적 논평은 교육을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하면서, 특정한 형태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고, 전문 임상가로서의 일차적 기능과 소명을 다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주어져도 상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실상은, 무엇이든 잘 하는 사람(의료행위든 교육이든)만이 우수한 임상 교사가 될 수 있습니다.

There is an old joke : ‘Those who can’t do, teach.’ This disparaging comment portrays teaching as something everyone can do, that requires no particular form of expertise and should be left to those who can no longer perform their primary function and higher calling as expert clinicians. Actually, only those who can do well (practise medicine and teach) can become excellent clinical teachers.


수년 전 전국 회의에서 Lee Shulman은 교육을 위해 필요한 독특하고 필수적인 능력은 [학습자가 학습자의 수준에서 이해하고 접근 할 수 있도록 자기가 아는 내용 지식을 변형 할 수있는 능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실제로 전문 분야의 내용 지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교사teacher만이 소유하는 추가적이고 특유한 형태의 지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Shulman은 이러한 특수한 형태의 교사 지식을 '교육학 내용 지식'즉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로 묘사했다. 여기에는 내용, 학습자, 교육학, 맥락,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교육 스크립트에 통합하는 지식이 포함된다.

Years ago at a national meeting, Lee Shulman, argued that the unique and essential capacity for teaching was the ability to transform one’s content knowledge into something understandable and accessible to learners at their own levels. He was actually addressing the adage that opened this paper by asserting that the taken-for-granted content knowledge of a specialty is insufficient for teaching; an additional and distinctive form of knowledge that only teachers possess is required. Shulman described this special form of teacher knowledge a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r PCK.3,4 This knowledge includes the knowledge of content, learners, pedagogy, context and the integration of all of these into teaching scripts.


PCK에 관한 Shulman의 주장은 임상 교육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을 제기합니다. 임상 교육을 위해 의사가 갖추어야 하는 지식은 무엇입니까?

Shulman’s assertion about PCK raises some interesting questions about clinical teaching. What knowledge do physicians need for clinical teaching?



임상 교육을 위한 지식의 변형

KNOWLEDGE TRANSFORMATION FOR CLINICAL TEACHING


임상 교육에는 숙달과 변형이 포함됩니다.


(i) 의학 및 환자에 대한 지식;

(ii) 맥락에 대한 지식;

(iii) 교육학 및 학습자에 대한 지식, 그리고

(iv) 교육 스크립트에 통합 된 지식 (그림 1).


Clinical teaching in medicine involves mastering and transforming: 

(i) knowledge of medicine and patients; 

(ii) knowledge of context; 

(iii) knowledge of pedagogy and learners, and 

(iv) knowledge integrated into teaching scripts (Fig. 1).



Table 1



의학과 환자에 대한 지식

Knowledge of medicine and patients


탁월한 임상 교사는 의학 및 교수법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식을 명확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6-8 빠르게 변화하는 임상 의학 환경에서 학습을 촉진하려면 단기간에 학습자가 기억할 수 있도록 포인트를 기억하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명확하고 잘 조직 된 프리젠테이션은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따라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지식을 표현하는 데 중요합니다.

excellent clinical teachers have a breadth of knowledge about medicine and teaching, and are able to convey that knowledge in a clear and organised manner.6–8 Facilitating learning in the fast-paced environment of clinical medicine requires the ability to teach in short periods of time and to make the points memorable so learners can retain them. Clear and well-organised presentations are key to representing knowledge in a way that is understandable to learners at varying levels and in response to their requests for information.9


학생들이 교실에서 임상으로 이동할 때 지식을 재구성해야합니다. 환자가 질병으로 나타나지 않고 표식과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새로운 정신적 표현mental representation이 필요합니다.

When students move from the classroom to the clinical world they must reorganise their knowledge. As patients do not present as diseases, but, rather, as signs and symptoms, a new set of mental representations are required.


학생은 여러 사례를 본 후에 장기 기억에 패턴을 만들기 시작하며, 그러면서 학생은 패턴 인식 및 질병 스크립트를 사용하여보다 자동화 된 추론을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 질병 스크립트는 세 가지 구성 요소가 통합 된 스키마 유형을 나타냅니다.

After a student has seen multiple cases he or she begins to form patterns in long-term memory, thus laying the foundation for more automated reason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illness scripts. Illness scripts represent a type of schemata, which incorporate three components: 


(i) 인과적 가능 요인

(ii) 질병 기작 또는 결함, 그리고

(iii) 병의 임상 표현 또는 자연적 진행 .11-13

(i) causal enabling factors; 

(ii) the disease mechanism or fault, and 

(iii) the clinical presentation or natural progression of the illness.11–13



맥락에 대한 지식

Knowledge of contexts


임상 교사는 다양한 맥락에서 가르친다

Clinical teachers work in a variety of contexts.15


상황에 따라 환자의 유형, 치료 된 질병 및 치료 옵션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 기회가 생겨난다.

In addition, context makes a difference in terms of the types of patients seen, diseases treated and treatment options available, all of which create different opportunities for learning.


임상 교사는 자신의 임상 공동체 (예 : 외래 진료소)에 참여할뿐 아니라 종종 학술 및 교수 개발 커뮤니티에도 참여합니다 (예 : 의학 부서, 학자 프로그램 교육).

Clinical teachers not only participate in their clinical communities of practice (e.g. the out-patient clinic), but often participate in academic and faculty development communities as well (e.g. departments of medicine, teaching scholars programmes).


교육학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

Knowledge of pedagogy and learners


의학, 환자 및 상황에 대한 지식 외에도 임상 교사는 일반적인 교수법 전략에 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의사는 일반적으로 관찰이라는 견습과정을 통해 이것을 이해해나간다. 그들은 가르침의 좋은 사례와 나쁜 사례를 관찰함으로써 배웁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육 전략에는 질문 사용, 사례 토론, 관찰 및 피드백이 있으며, 그 외에 Aunt Minnie, OMP, SNAPPS와 같은 임상 교육 방법도 있다.

In addition to knowledge of medicine, patients and contexts, clinical teachers acquire and master knowledge of general pedagogical strategies. Physicians in training typically develop this pedagogical understanding through the apprenticeship of observation; they learn by observing positive and negative examples of teaching. Commonly used pedagogical strategies include the use of questions, case discussions, observation and feedback, and specific clinical teaching methods such as Aunt Minnie,18 the one-minute preceptor19–24 and SNAPPS [summarise history and findings; narrow the differential; analyse the differential; probe preceptor about uncertainties; plan management; select case-related issues for self-study].25,26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분한 경험을 쌓은 임상 교사는 수준별로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게됩니다. 여기에는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저지르는 오류에 대한 지식과 내용을 어떤 경로로 이해해가는지에 따른 일반적 발달 경로에 대한 지식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교수자는 학습자에 대한 질문을 생각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학습자의 지식과 수행 능력]이 [다른 학습자에게서 관찰된 표준적 성과]에 얼마나 근접하는지 등이다.

Over time and with sufficient experience, clinical teachers come to understand what learners know and can do by level. This includes knowledge of students’ typical errors and normal development paths in understanding content.15 These general understandings guide questions of learners to ascertain how closely a specific learner’s knowledge and performance approximate the norm of student performance the clinical teacher has observed in other learners at that stage of development. 


교육 스크립트로 통합된 교육

Knowledge integrated into teaching scripts


임상 교육의 본질적 지식은 이러한 모든 형태의 지식을 교육용 스크립트에 통합하는 것으로, Shulman이 '교육학 내용 지식PCK'이라고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모든 형태의 지식은 사례 중심의 교육 스크립트에 통합됩니다. 연극 대본처럼 교습 스크립트는 교육 내용 선택과 학습 상호 작용을 guide하며 교사가 작업 메모리를 과부하하지 않고 학습자와 환자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합니다.

The quintessential knowledge of clinical teaching is the integration of all of these forms of knowledge into teaching scripts, or what Shulman describes a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3,4 All of these forms of knowledge are integrated into case-based teaching scripts.15 Like the script of a play, teaching scripts guide content selection and teaching interactions, allowing the teacher to focus on the learner and the patient without overloading working memory.


교육 스크립트에는 대개 사례, 환경 및 교육 방법에 따라 3 ~ 5 개의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교육 포인트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교수 포인트는 종종 특정 임상 주제와 과제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관찰한 학습자의 공통적 오류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오류에 대한 지식은 임상 교사의 교수 요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Teaching scripts typically contain three to five commonly used teaching points, which vary by case, circumstance and teaching method.27 These teaching points are often associated with the teacher’s observations of common learner errors in mastering particular clinical topics and tasks. This knowledge of common errors directly affects the teaching points of clinical teachers,


새로운 교수 전략을 통합하기 위해 자동화 된 교수 스크립트를 변경하려고 할 경우, 그것이 일상화되어 새로운 교수 스크립트에 통합되기 전에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Changing automated teaching scripts to incorporate new teaching strategies requires a great deal of practice before it can be routinized and incorporated into new teaching scripts.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지식 형태를 의료행위와 임상 교육에 사용되는 비공식적이고 암묵적인 지식인 실용적인 지혜practical wisdom이라 묘사했습니다. 이러한 지식은 자동화되고 캡슐화되어있기 때문에, 언제나 의식적으로 접근가능한 것도 아니고, 따라서 언제나 다른 사람에게 전달 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임상전문가는 특정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을 설명 할 수 없지만, 전문적 임상교사는 그것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는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일반적인 오류를 극복하는지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것들이 모두 강의 스크립트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Others have described this form of knowledge as practical wisdom, which is informal and tacit knowledge used for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teaching.29,30 Such knowledge is not always accessible to conscious thought because it is automated and encapsulated, and therefore cannot always be passed on to others. Thus, expert clinicians may not be able to describe how to master a particular skill, whereas expert clinical teachers can do so because they are used to explaining not only how to do the task, but also how to overcome typical errors,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into their teaching scripts.28


임상 추론과 임상적 교육 추론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INSTRUCTIONAL REASONING


의사가 자신의 전문 분야 환자 문제를 접하게되면 자동적 진단이 가능합니다. 장기 기억의 스키마와 질병 스크립트로부터 빠른 패턴 인식을 하여 가설을 생성한다.

Physicians encountering patient problems within their domain of expertise make their diagnosis in an automatic, nonanalytic manner. Hypotheses arise from rapid pattern recognition derived from the schemata and illness scripts in long-term memory.


그러나 전문 분야를 벗어나거나 문제가 인식 가능한 패턴에 맞지 않을 때 이러한 접근법을 쓰지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임상의는 의학 및 임상 실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보다 천천히, 보다 분석적 추론 과정을 사용합니다 .12,31

Clinicians deviate from this approach when they are outside their domains of expertise or when the problem does not fit a recognisable pattern. In those circumstances, clinicians use a slower, more analytical reasoning process based upon their knowledge of medical science and clinical practice.12,31


이것은 Kahneman의 이중 프로세스 모델로 설명됩니다. 

  • System1 처리는 자동화되고 즉각적인 패턴 인식이며 

  • System2 처리는 의식이 있고 느리고 신중하며 분석적인 과정이다.32 

두 가지 추론 프로세스의 결합이 실제로 일상적으로 사용됩니다.

This is described as the dual process model by Kahneman: System1 processing is automated and instantaneous pattern recognition, and System2 processing is conscious, slow, deliberate and analytical.32 A combination of both reasoning processes is routinely used in practice.


임상 교육에 있어서, 초기에는 추론 과정이 임상과 유사하며, 종종 학습자에 대한 진단과 동시에 이뤄진다. 이 두 가지 추론 과정 (임상추론 및 교육추론)의 결합은 임상 교사가 질병 스크립트 및 강의 스크립트의 지시 사항에서 환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을 선택하게합니다.

In the midst of clinical teaching, the initial reasoning process is clinical and often parallels the diagnosis of the learner.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reasoning processes (clinical and instructional) leads the clinical teacher to select an appropriate diagnosis for the patient from an illness script, and an instructional point from a teaching script.


임상 교육에서의 추론은 측흥적으로 만들어지며, 스크립트화 된다. 이것은 임상 추론 과정과 유사하지만 구별된다. 초점은 다르지만 (환자 대 학습자) 초기 진단은 비슷합니다. 임상 교육 추론은 [교사의 지식과 생각 (환자와 학습자의 계획, 진단, 대화 형 교육 및 반성)]을 [임상 상황의 역동적 요구 사항]과 연결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을 제공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메타인지를 통해서 모니터링되며, 이것은 anticipatory planning, 실시간 모니터링, 사후 성찰에 대응된다.

Reasoning about clinical teaching is both improvised and scripted; it parallels but is distinct from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Initial diagnosis is similar, although the focus is different (patient versus learner). Clinical instructional reasoning connects the teacher’s knowledge and thoughts (planning, diagnosis of patient and learner, interactive teaching and reflection) with the dynamic requirements of the clinical setting in order to provide targeted instruction to the needs of his or her learners.27 This whole process is monitored by metacognition, which mirrors anticipatory planning, monitoring in real time, and reflecting afterward.33


이 분야의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훌륭한 임상 교사가 사전에 더 많은 계획을 세우고, 사후에 더 많이 평가와 성찰을 한다는 것입니다 .27,34 덜 전형적인 임상 교사는 성찰을 하지 않으며, 그 결과 경험만 많은 비전문가가 된다.

One of the important findings in this area of research is that excellent clinical teachers engage in a great deal of planning beforehand, and evaluation and reflection afterward.27,34 Less exemplary clinical teachers engage in less reflection and become experienced nonexperts.37



교수개발을 통한 지식 성장

KNOWLEDGE GROWTH THROUGH FACULTY DEVELOPMENT


임상 교육을위한 지식 변화는 임상 교사에게 복잡하고 지속적인 프로세스입니다.

Knowledge transformation for clinical teaching is a complex and ongoing process for clinical teachers.


교수 개발을 위한 이 지식 변환 프로세스의 네 가지 의미 :

  • (i) 새로운 스크립트를 검토, 해체하고 연습하십시오.

  • (ii) 기본 개념에 중점을 둔다.

  • (iii) 사용중인 지식knowledge-in-use를 보여주고,

  • (iv) 임상 교육을 위한 지지적 조직적 환경 조성 (그림 1).

four implications of this knowledge transformation process for faculty development:

  • (i) examine, deconstruct and practise new scripts; 

  • (ii) focus on foundational concepts; 

  • (iii) demonstrate knowledge-in-use, and 

  • (iv) create a supportive organisational climate for clinical teaching (Fig. 1).



새로운 스크립트 검토, 해체 및 연습

Examine, deconstruct and practise new scripts


모든 임상 교사는, 아무리 초심자라도, 수련 과정에서 수년간의 교육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전의 스크립트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스크립트를 작성하게 된다. 기존 지식과 스크립트는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학습을 ​​도울 수 있지만, 방해 할 수도 있다 .38) 따라서 두 가지가 중요하다.

    • 첫째, 임상 교사는 자신의 교육 스크립트를 검토할 필요가있다. 

    • 둘째, 새로운 교수 스크립트가 기존 스크립트와 경쟁하고,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대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Because all clinical teachers, even those who are novices, have ha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during their training, new teaching scripts are built on prior scripts. Prior knowledge and prior scripts can help or hinder learning of new teaching practices.38 This has two implications: 

    • firstly, clinical teachers need to examine their own teaching scripts, and 

    • secondly, they need to practise new pedagogies and content enough to allow these new formulations to compete with, and potentially displace, older scripts.


예를 들어, OMP 워크샵에 참여하는 많은 임상 교사들은 이 모델을 사용하여 가르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 모델을 사용하는 연습을 관찰해보면, 기존 교육 스크립트가 새로운 모델과 다름을 깨닫게 됩니다. 따라서 임상 교사를 새로운 교수법을 배우는 데 참여시키는 첫 번째 단계는 기존의 교수 스크립트에 대한 보다 정확한 자기 인식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자기 발견과 때로는 놀라움을 토대로 새로운 모델이 현재 모델과 어떻게 다른지를 볼 수 있습니다.

For example, many clinical teachers who participate in workshops on the one-minute preceptor23 think that they use the model in their teaching. However, when they are required to practise and be observed using the model, they discover that their existing teaching scripts are at variance with the new model. Hence, the first step toward engaging clinical teachers in learning a new pedagogy is to trigger a more accurate self-perception of their existing teaching scripts. On the basis of their self-discovery and sometimes surprise, they can begin to see how the new model differs from their current model.


특정 주제 나 기술을 가르쳐본 기간이 길면 길수록, 교육은 더 일상화, 자동화된다. 나중에 추가 연습을 통해 정교화되고 수정될 수 있는 초기 스크립트를 작성하려면, 많은 연습 기회를 교수 개발 세션에 포함시켜야합니다.

The longer clinicians teach a particular topic or skill, the more routine and automated the interchange becomes. Multiple practice opportunities must be included in faculty development sessions in order to create an initial script that can be refined and revised later with further practice.


deliberate practice 모델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연습하는 것을 관찰하는 코치를 활용한다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연습없이 새로운 교육 방법을 시연하고 토론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동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때로는 기존 스크립트를 수정하는 것이 어렵 기 때문에 전체 작업을 구성 요소로 분해하고 부분 연습에 참여해야합니다. 어느 쪽이든, 피드백을 통한 반복 연습이 필요합니다.

This works best using the deliberate practice model and having a coach watch the new skills being practised.42–44 Thus, demonstrating and discussing new pedagogies without practice will typically not change behaviour. Sometimes modifying existing scripts is so difficult that it is necessary to break the whole task into component parts and participate in part practice. Either way, repeated practice with feedback is necessary.45



기본 개념에 초점두기

Focus on foundational concepts


교육의 가장 어려운 측면 중 하나는 가르치지 않을 내용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무수한 세부 사항을 필수적이고 매우 단순화 된 개념으로 줄이는 것은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법을 배우는 과정의 일부입니다. 모든 학문과 전공과 의료행위에는 조직화 원리와 기본 개념이 존재하고, 학습자는 이것을 이해함으로써 그 분야에 조금 더 다가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모르고는 이해할 수 없는 practice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to master aspects of teaching concerns deciding what content to leave out of a presentation. Being able to reduce the myriad of details to essential and highly simplified concepts is part of the process of learning to teach effectively. Every discipline, specialty and practice has organising principles and foundational concepts, which, if understood by learners, offer them access to the field and comprehension of otherwise mysterious practices.


임상 교사들은 교육 경험이 쌓일수록 기본 개념으로 돌아가게 된다고 보고한다.46 교수개발은 이러한 기본 개념 프레임 워크에 대한 토론을 촉진하고, 교사가 (핵심 개념보다는) 모든 사실을 가르쳐야한다는 공통된 믿음을 불식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있다.

Clinical teachers report that the longer they teach, the more they go back to basic concepts in their instruction.46 Faculty development can promote discussion of these fundamental conceptual frameworks and help dispel the common belief that teachers must teach all the facts (rather than core concepts).


전문 직업인 교육 및 팀 기반 케어에 대한 강조가 증가함에 따라, 교수 개발에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참가자를 참여시키는 이점이 많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양성으로 인해 이해력이 향상되고, 가정에 도전하게 되고, 관점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대로 공통의 이해를 달성하고 다양한 관점에 대한 관용을 달성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은 비용이라 할 수 있다. 한 가지 좋은 전략은 처음에는 (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변경, 리더십 및 피드백과 같은 영역에서) 공통의 역할, 작업,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With increasing emphasis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team-based care, There are significant advantages to incorporating participants from differing specialties and professions in faculty development because the diversity enriches understanding, challenges assumptions and expands perspectives. However, there is a cost in terms of the time required to achieve shared understanding and tolerance for diverse points of view. One strategy is to focus initially on shared roles, tasks and understandings in areas such as team communication, systems change, leadership and feedback.



사용중인 지식 보여주기

Demonstrate knowledge-in-use


교수진 개발자는 교수 개발 워크숍에서 최고의 교수법을 모델링하고 실제로 사용하는 지식을 시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규 임상 교사는 좋은 교육행위를 관찰함으로써 이익을 얻게 된다. 특히 임상 현장에서 입증 된 경우 더욱 그러합니다.

Faculty developers can model best teaching practices in faculty development workshops and demonstrate knowledge use in action. New clinical teachers in particular benefit from observing good teaching practices, especially when demonstrated in the context of their clinical workplace.


(토론을 촉진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일반적인 교수법을 워크샵에서 가르 칠 때, 새로운 기술의 transfer과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세트닉이 내용지식 안에 통합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내용정보와 교육지침이 모두 포함 된 튜터가이드가 가장 도움이됩니다. 본질적으로, 이 가이드는 전체 과정을 scaffold하고 교육 내용 지식을 부분적으로 볼 수 있게 합니다. 예제 사례는 전공과목에서 볼 수있는 일반적인 사례를 묘사해야하며, 단순한 사례에서 복잡한 사례로 진행되어야합니다.

When teaching new general pedagogical strategies in workshops, such as that of facilitating a discussion, the new techniques should be embedded within the content knowledge to be taught in order to maximise transfer and use. This is why tutor guides that include both content information and instructional guidelines are most helpful. In essence, these guides scaffold the whole process and mak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rtially visible. the practice cases should portray common cases seen in the specialty, and should progress from simple to complex cases.


교육에서 모범 사례를 배우는 일은 학습에 관한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Part of learning best practices in education is acquiring a new language about learning.


(예 : 행동,인지, 사회) 이론, 새로운 개념 (예 : PCK,인지 도제) 및 일반적인 교수법 기술 (예 : 1 분 프리셉터) 등이 있습니다.

learning theories (e.g. behavioural, cognitive, social), new concepts (e.g. PCK, cognitive apprenticeship), and general pedagogical skills (e.g. the one-minute preceptor).


지지적 분위기 조성하기

Create a supportive organisational climate


가르침에 대한 지식은 실천 공동체 내에서 함께 구성됩니다. 따라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은 공동 작업을 포함해야 한다.

Knowledge for teaching is co-constructed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As such,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should incorporate collaborative


참가자 간 연결을 학습하고 강화함으로써 임시 공동체 또는 teaching commons를 창출합니다 .48 그러나 교사는 교실 및 임상 환경에서 실습 공동체 내에서 일합니다. 대부분의 교수 개발 프로그램은 워크숍이나 종단 펠로우쉽 프로그램 내에서 만들어진 임시적 공동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교육행위가 이뤄지는 근무지학습공동체는 무시합니다. 새로운 (교육) 전략은 근무지에서의 교수법 개선을 위해 formulate되어야한다.

learning and strengthen connections among participants, thereby creating a transitory community or teaching commons.48 However, teachers also work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in their classrooms and clinical settings. Most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focus on the transitory community created in a workshop or longitudinal fellowship programme, and ignore the workplace learning communities of teaching practice. New strategies need to be formulated to improve teaching in the workplace.49


임상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고 노력하는 문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관적 리더십과 지원, 교수진 개발, 자원 및 계획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은 한 진료소 또는 한 코스의 마이크로 시스템 내에서 또는 부서 또는 기관 차원에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

Creating a culture that is committed to suppor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linical teachers requires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support, faculty development, resources and planning.49,50 The process can start within a micro-system of one clinic or one course, or at the departmental or institutional level.


CONCLUSIONS


42 Coughlan EK, Williams AM, McRobert AP, Ford PR. How experts practise: a novel test of deliberate practice theory. J Exp Psychol Learn Mem Cogn 2014;40 (2):449–58. XXX


43 Duvivier RJ, van Dalen J, Muijtjens AM, Moulaert VR, van der Vleuten CP, Scherpbier AJ.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clinical skills. BMC Med Educ 2011;11:101.







 2014 Aug;48(8):776-84. doi: 10.1111/medu.12507.

Excellence in clinical teachingknowledge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required.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Abstract

CONTEXT:

Clinical teachers in medicine face the daunting task of mastering the many domains of knowledge needed for practice and teaching. The breadth and complexity of this knowledge continue to increase, as does the difficulty of transforming the knowledge into concepts that are understandable to learners. Properly targeted faculty development has the potential to expedite the knowledgetransformation process for clinical teachers.

METHODS:

Based on my own research in clinical teaching and faculty development, as well as the work of others, I describe the unique forms of clinical teacher knowledge, the transformation of that knowledge for teaching purposes and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RESULTS:

The following forms of knowledge for clinical teaching in medicine need to be mastered and transformed: (i) knowledge of medicine and patients; (ii) knowledge of context; (iii) knowledge of pedagogy and learners, and (iv) knowledge integrated into teachingscripts. This knowledge is employed and conveyed through the parallel processes of clinical reasoning and clinical instructional reasoning. Faculty development can facilitate this knowledge transformation process by: (i) examining, deconstructing and practising new teachingscripts; (ii) focusing on foundational concepts; (iii) demonstrating knowledge-in-use, and (iv) creating a supportive organisational climate for clinical teaching.

CONCLUSIONS:

To become an excellent clinical teacher in medicine requires the transformation of multiple forms of knowledge for teachingpurposes. These domains of knowledge allow clinical teachers to provide tailored instruction to learners at varying levels in the context of fast-paced and demanding clinical practice. Faculty development can facilitate this knowledge transformation process.

PMID:
 
25039734
 
DOI:
 
10.1111/medu.12507


임상수련에서의 위임(entrustment) 결정(Acad Med, 2016)

Entrustment Decision Making in Clinical Training

Olle ten Cate, PhD, Danielle Hart, MD, Felix Ankel, MD, Jamiu Busari, MD, MHPE, PhD, Robert Englander, MD, MPH, Nicholas Glasgow, MD, Eric Holmboe, MD, William Iobst, MD, Elise Lovell, MD, Linda S. Snell, MD, MHPE, Claire Touchie, MD, MHPE, Elaine Van Melle, PhD, and Keith Wycliffe-Jones, MBChB,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ollaborators




신뢰와 위임이라는 용어는 의학 교육 문헌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7 환자와 임상의 간의 신뢰는 좋은 돌봄의 토대이며, 연수생과 의료 전문가 감독 간의 신뢰는 효과적인 임상 교육의 핵심입니다. 위탁 결정은 일상적인 임상 진료와 직장에서의 평가를 align하려는 시도를 반영합니다.


The terms trust and entrustment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1–7 Trust between patients and clinicians is foundational to good care, and trust between trainees and supervising medical professionals is key to effective clinical education. Entrustment decision making reflects an attempt to align assessment in the workplace with everyday clinical practice.8–10


신뢰, 통제, 자율

Trust, Control, and Autonomy


환자와 사회가 의료계에 부여한 신뢰란, 양질의 서비스와 그 품질을 통제 할 전문적인 의무에 대한 것이며, 이는 사회적 계약이라 불린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건강 관리 시스템에 대한 대중의 신뢰 감소가 관찰되어이 계약에 이의가 제기되어왔다 .16,17 보건 의료의 중대한 사건들이 이러한 과정이 촉발되었습니다.

The trust that patients and society bestow on the medical profession, in return for high-quality service and a professional obligation to control its quality, has been named a social contract.15 In the past decades, a decrease in public confidence in health care systems has been observed, challenging this contract.16,17 Critical incidents in health care have triggered this process.


1970 년대 이래로 의료의 질, 안전 및 상해를 측정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전문가와 대중 모두가 품질 결핍을 느꼈고, 체계적인 퀄리티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되었습니다 .21,22 보건 의료에 대한 대중의 신뢰는 보건 의료 산업에 대한 공공 통제 강화와 의료계 내부 통제 개선 노력에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While the ability to measure quality, safety, and harm in health care has increased substantially since the 1970s, it has also made both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aware of quality deficiencies and of the need for systematic quality improvement.21,22 The decrease of public trust in health care has thus sparked interest in greater public control over the health care industry23 as well as efforts to improve internal control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24


통제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말하지만, 반대로 신뢰는 위험을 어느 정도 받아들임을 함축한다. 내부 통제는보다 안전한 보건 의료 세상을 만들기 위한 것이지만, 통제를 위한 조치는 궁극적으로 환자 안전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불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잠재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지난 수십 년 동안 레지던트에 대한 감독이 점점 늘어났으며, 그 결과 레지던트 수련을 마치기 전까지 환자에 대한 온전한 책임을 경험하지 못하는 지점에 다다르기에 이르렀다전공의로 하여금 환자 책임을 지게 할 경우 따라올지도 모르는 소송에 대한 두려움이 이러한 추세에 기여했습니다 . Mattar 등은 최근, 수련이 끝날 때 외과의가 여러면에서 교과 교육에 대한 준비가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 의료행위를 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전례없는 수의 전공의들이 펠로우 과정을 밟고자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새로운 수련과정의 모델은 점진적 책임 시스템을 복원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적절한 감독을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과거에 만연했던 감독받지 않은 의료행위를 위험한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Control strives to exclude risk, while trust implies that risk must be accepted to a certain extent. Internal control is intended to create a safer health care world, but measures to exert control often convey a message of distrust7,17 that can ultimately jeopardize patient safety. In an attempt to mitigate possible risks, supervision of residents has increased in the past decades to a point where learners hardly experience the full responsibility of health care before they commence unsupervised practice.24 Fear of litigation for having trainees take responsibility has contributed to this trend. Mattar et al25 recently found that surgeons at the end of training were, in many respects, not ready for fellowships, let alone unsupervised practice, and an unprecedented number sought to extend their training through fellowships. New training models are needed to reinstate a system of graded responsibility.24 This can be achieved only with adequate supervision, to avoid the dangerous circumstances created by the unsupervised practice of learners that was previously common.



점진적 책임 시스템따라, 이러한 새로운 수련 모델은 연수생이 더 높은 수준의 숙달에 도달하도록 자극해야합니다. 주어진 작업을 하기 위해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 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런 것이 하나의 자극이 될 수 있다. 학습자가 이미 마스터 한 것과 새롭게 숙련되어야 하는 것 사이의 거리를 ZPD라고 부른다.26 이러한 격차가 유발하는 건설적인 마찰은 학습을 위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필수적이다 .27 효과적인 교육에서 감독자는 이러한 '마찰friction'을 만들어내야 하며, 그 과정에서 학습자가 이것을 처음 수행 할 때 불완전하게 행동 할 위험을 감수해내야 한다. 리스크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위탁 결정의 본질이다. 환자 안전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감독]과 [건설적인 마찰 사이에서 기인하는 위험]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

Based on a system of graded responsibility,25 these new training models must stimulate trainees to push for higher levels of mastery. An imminent need to acquire new knowledge or skills necessary to do a requested job often serves as that stimulus. An adequate distance between what a learner has mastered and an incremental new level of proficiency has been called a zone of proximal development.26 The constructive friction that this gap causes is unavoidable and necessary for learning.27 Effective education requires supervisors to create this friction while taking the risk that a learner will act imperfectly when performing new tasks the first time. Creating a manageable level of risk is inherent in decisions about entrustment. Balancing effective supervision with the risk inherent in creating constructive friction is critical to preserving patient safety.28



등록과 인증은 공식적인 신뢰, 책임, 자율성의 순간이다. 자율성이라는 단어는 정서적 요소로 가득차있다. 

  • 심리학자들은 내재적 동기 부여의 핵심 조건으로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하는 경향이있다. 29 

  • 사회학자들은 자율성을 다른 직종과 전문직을 구별하는 핵심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30 

  • 의사들은 전통적으로 자율성을 환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주장해왔다.

Registration and certification formally mark moments of trust, responsibility, and autonomy. The word autonomy is emotionally charged. Psychologists tend to stress the freedom to make one’s own choices as a key condition for intrinsic motivation,29 sociologists view autonomy as a core feature that distinguishes professions from other occupations,30 and physicians have traditionally claimed autonomy as a necessary condition to maximize benefits for patients.31



퀄리티, 안전, 책무성, 투명성에 대한 현재의 견해에 따르자면, 자율적 의료행위라는 것은 (협력의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공유된 전문직 표준 내에서의 전문적 선택으로 제한된다. 의료행위의 실천 주체는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기에, '필요한 수준의 상호의존성'이라는 새로운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관계적 자율relational autonomy이라는 용어가 도입되었습니다 .32) 수련의 또는 전공의의 감독받지 않은 의료행위는 감시받지 않는 자율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왜냐하면 부서와 기관 수준의 감시가 늘 있을 것이므로), 교사 및 멘토가 해줘야만 하는 교육적 감독이 서서히 희미해지는fading 것을 의미한다.

Current views on quality, safety,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restrict autonomous practice to the freedom to make professional choices within the boundaries of shared professional standards with the interdependence of collaboration. As health care ceases to be practiced by soloists, the term relational autonomy was introduced to stress the new characteristic of necessary interdependence.32 Unsupervised practice by medical trainees does not imply autonomy without oversight—since there will be continued departmental and institutional oversight—but the fading of required educational supervision, such as by teachers and mentors.



의료에서 신뢰와 위임의 개념

Defining Trust and Entrustment in Health Care and Training


옥스포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 신뢰Trust는 "사람이나 물건의 어떤 품질이나 속성에 대한 신뢰 또는 의존"입니다. 

  • 위탁Entrust이란 "[사물 또는 사람]의 돌보심이나 처분 또는 [사역의 수행]을 사람에게 또는 사적으로 알리는 것"입니다. 

  • 위임Enstrutment은 "위탁하는 행위 또는 위임된다는 사실"입니다.


  • Trust, according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is “confidence in or reliance on some quality or attribute of a person or thing.” 

  • To entrust is “to confide the care or disposal of [a thing or person] or the execution of [a task] to or with a person.” 

  • Entrustment is “the action of entrusting or the fact of being entrusted.”33




Pollock23은

Pollock23 explains that 

trust involves the confident expectation that a person can be relied on 

      • to honour implied or established commitments to an individual and 

      • to protect [the individual’s] interest. 

It renders the individual vulnerable to the extent he cannot oversee or control the actions of the other, on whose expertise or integrity he may depend.


Mayer 등이 제공하는 신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행동에 의한 취약성을 기꺼이 받아들이려는 의지. 이러한 의지는 상대 집단이, 그들에 대한 감시나 통제가 있든지 없든지, 그 집단을 신뢰하는 사람에게 중요한 행동을 해 줄 것이라는 기대에 기반한다.

A definition of trust provided by Mayer et al34 is 

the willingness of a party to be vulnerable to the actions of another party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e other will perform a particular action important to the trustor, irrespective of the ability to monitor or control that other party.


의료 훈련 환경에서 trust란 사전적 정의를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감독관이나 의료팀이 trainee에게 의존하는 것으로서, 이 trainee가 특정한 전문직으로서의 업무를 정확히 수행할 것으로 믿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움을 요청할 의지가 있다고 믿는 것". Trust는 truster와 trustee의 상호의존성이며, trainee의 실수가 감독관 개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감독관이 취약성vulnerability를 (의도적으로) 생성함을 의미한다따라서 trust는 trustee의 행동으로 인해 취약해질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수용을 수반하며, 이러한 수용은 trustee가 아마도 예측한 방식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기대에 기바한다.


In a medical training setting, trust can be understood by interpret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to be “the reliance of a supervisor or medical team on a trainee to execute a given professional task correctly and on his or her willingness to ask for help when needed.” Trust requires interdependence between truster and trustee, and creates supervisor vulnerability, as mistakes made by a trainee may affect the supervisor personally.1 Trust thus entails an acceptance of being vulnerable to the actions of a trustee—an acceptance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e trustee will probably perform in a predictable way.34–



추청적 신뢰, 초기 신뢰, 확립된 신뢰

Presumptive, initial, and grounded trust


감독관-수련생 사이에는 세 가지 모드의 신뢰가 존재한다: 추정적 신뢰, 초기 신뢰, 확립된 신뢰

three modes of trust in clinical supervisor–trainee relationships: presumptive trust, initial trust, and grounded trust.


추정적 신뢰는 연수생과 사전 상호 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전적으로 자격증에 의존한다. 자격증, 기관, 추천서 등에 대한 신뢰이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기본적으로 존재합니다. 추정 신뢰의 위반을 회복 시키려면 보통 시간이 필요하다.

Presumptive trust15 is based solely on credentials, without prior interaction with the trainee. It is trust in diplomas, institutions, or referents recommending the person and is often present as a default unless it is breached. Restoring a breach of presumptive trust usually requires time.38



초기 신뢰는 첫인상을 기반으로하며 때로는 신속한 신뢰 또는 얕은 신뢰라고도합니다 .39 첫 인상의 정확도는 연수생 변수 (바람직한 인상을 보여주고자 함)와 감독의사 변수 (기분, 성별, 지능, 유사 연수생 경험)에 달려 있다 .40 신뢰 성향은 누군가에게 의지하고자 하는 성향으로 정의되며, 다양 할 수 있습니다. 초기 신뢰는 후광 효과 (후반에 관찰 된 자질에 대한 첫인상 색채 판단)와 자기 충족 예언 효과 (예 : 초반의 나쁜 인상은 지속적인 긴장감 또는 관계에 대한 자신감 부족을 초래할 수 있음)에 취약합니다. 초기 신뢰는 의료 의사 결정에서의 패턴 인식과 닮았습니다.

Initial trust is based on first impressions and is sometimes called swift trust or thin trust.39 The accuracy of first impressions is likely affected by trainee variables (desire to make a favorable impression) and supervising clinician variables (mood, gender, intelligence, experience with similar trainees).40 Trust propensity, defined as a dispositional willingness to rely on someone, can vary. 35 Initial trust is vulnerable to halo effects (first impressions color judgment of qualities observed later) and self- fulfilling prophecy effects (e.g., early bad impressions may create lasting tension or a lack of confidence in a relationship). Initial trust bears some resemblance to pattern recognition in medical decision making.40



확립된 신뢰는 연수생과의 본질적이고 장기간의 경험에 기초합니다. 예를 들어, 사회는 개인을 차별없이 운전하도록 신뢰합니다. 단,이 신뢰는 특정 조건에 근거해야합니다(최소 연령, 이론 시험에 합격, 실기 시험에 합격하고 암묵적으로 여러 시간의 감독하에 운전 한 경우). 의료 연수생에 대한 신뢰는 연수생이 감독없이 행동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관찰과 관련 데이터가 선행되어야한다.

Grounded trust is based on essential and prolonged experience with the trainee. For example, society places trust in individuals to drive a car unsupervised, provided this trust is grounded with specified conditions (minimum age, having passed a theoretical exam, having passed a practical exam, and implicitly having executed a number of hours of supervised driving). Grounded trust in medical trainees should be preceded by sufficient observation and pertinent data to qualify the trainee to act without supervision.




임시적, 총괄적 위임 결정

Ad hoc and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위임 결정은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 위임 결정은 임시적일 수 있으며, 이는 의료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또는 

  • 위임 결정은 총괄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임 결정은 근거가 있는 신뢰를 기반으로 하며, 일반적인 인증의 성격을 지니며, 특정 단위의 전문적 의료행위를 감독없이 행동 할 수 있는 특권을 말한다.

categorize entrustment decisions. We propose two categories. Entrustment decisions may be ad hoc,1 as happens continuously in health care situations, or summative,2 when the entrustment decision is based on grounded trust and has the nature of a generalized certification and privilege to act without supervision for a specified unit of professional practice.41


연수생에 대한 임상 감독자의 임시적 위임 결정은 일반적으로 연수생의 예상 신뢰도, 예상되는 위험, 취업의 긴박성, 현재 특정 작업에 대한 특정 연수생의 적합성을 토대로 결정합니다. 그러나 미래에 유사한 결정을 내릴 때 반드시 이 경우를 전례로 삼을 필요는 없다.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by clinical supervisors about trainees are usually based on a mix of estimated trustworthiness of the trainee, estimated risk of the situation, urgency of the job to be done, and suitability of this task at this moment for this learner. They do not necessarily constitute a precedent for similar decisions in the future.


대조적으로, 총괄적 위임 결정은, 충분한 평가를 근거로, 교육 프로그램 책임자 또는 임상 역량위원회의 결정을 따르며, 그 연수생이 미래에서 특정 수준의 감독만을 받으면 된다는 인증 또는 특권이 된다.

In contrast,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grounded in sufficient evaluation and made by educational program directors or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should lead to certification and privileging of the trainee to act in the future with a specified level of supervision.


신뢰를 위한 단계

The progression toward being trusted


1. 배석 및 관찰 Be present and observe 

2. 직접 감독하에 수행 Act with direct supervision 

3. 간접 감독하에 수행 Act with indirect supervision 

4. 감독 없이 수행 Act without supervision 

5. 다른 사람을 감독 Provide supervision



5 단계 감독 체제가 제안되었다. 표 1은 이 등급을 요약 한 것입니다. 14,41,45,46 연수생은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면, 최대한 초기에 이들 단계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지지적 수련환경을 갖춰놓고서, 감독받지 않으면서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상태를 [수련생이 법적으로 자격을 갖출 때까지] 미루는 것은, 수련생으로부터 소중한 의료행위의 기회를 빼앗는 것이다.

a framework of five levels of supervision has been proposed. Table 1 summarizes the specifications of these levels from various previous publications.14,41,45,46 Trainees may progress through these levels as early as it is deemed safe. Waiting to trust trainees to act unsupervised until after they are legally qualified deprives them of the valuable opportunity to practice unsupervised while still in a supportive training environment.


안전한 연습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학습자의 진정한 책임 경험을 자극하는 균형 잡힌 원격 관리가 중요합니다 .47

Balanced, distant supervision that ensures safe practice while at the same time stimulating the authentic experience of responsibility in learners is key.47


근무지 평가로서의 위임 결정

Entrustment Decision Making as Workplace Assessment



직장 내 평가는 의료 전문가의 관찰에 의존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양한 컨텍스트, 환자 및 감독자에 따라 다르므로 표준화 할 수 없습니다.

Workplace-based assessment is fraught with difficulty, as it relies on observations by medical professionals. It cannot be standardized, as it depends on varying contexts, patients, and supervisors.



지난 10 년 동안 직장에서 더 타당한 평가를 추구하는 것은 점수의 신뢰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예를 들어, 내과 의사 거주자에 대한 전통적으로 긴 임상 평가 시험을 여러 개의 최소 임상 평가 시험으로 분류하면 표본 추출 및 일반화 가능성이 더 높아졌지만, 합리적인 신뢰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관찰 건수가 50건은 되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역량을 타당하게 평가하는 평가 도구를 설계하는 것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In the past decade, the quest for more valid assessment in the workplace has focused on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generalizability of scores. For example, breaking down the traditionally long clinical evaluation exam for internal medicine residents into multiple mini- 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led to better sampling and generalizability,55 but the number of observations to establish a reasonable reliability has been estimated to be as large as 50.56 Designing assessment instruments to validly assess competencies has had limited success.57



평가의 consequential validity는 그 목적에 기인한다 .60) 위임 결정은 연수생의 능력뿐 아니라 권리와 의무도 확인하는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있다 .61-63 위임의 초점은 현재의 관찰 가능한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감독없이 새로운 생소한 상황으로까지 훈련생의 능력을 transfer하는 데 있습니다.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an assessment stems from its purpose.60 Entrustment decisions have a clear purpose, which is to confirm not only the ability, but also the right and the duty, for a trainee to act.61–63 The focus is not on rating current observable performance but, instead, on the transfer of the trainee’s capacity to new, unfamiliar situations, without direct supervision.


위임 결정에 관여하는 요인

Factors Involved in Entrustment Decision Making


몇몇 저자들 (4,52,65-67)은 연수생의 위탁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조사했다.

Several authors4,52,65–67 have investigated how entrustment decisions for medical of trainees come about.


여러 가지 요소 각각의 다섯 가지 범주가 함께 연수생에게 작업장에서 새롭고 중요한 임무를 맡기기 위해 임시 결정을 내리는 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요소는


(1) 연수생,

(2) 그 결정을 내리는 감독자, 

(3) 맥락 또는 상황, 그리고

(4) 작업 또는 활동. 

(5) 연수생과 감독자 사이의 관계


(5)는 그 자체를 요인으로 하여 함께 카테고리로 제안되었으며, 2 이것은 신뢰의 발전을 조건으로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five categories, each of multiple factors, together determine whether an ad hoc decision is taken to entrust a trainee with a new and critical task in the workplace. These factors ar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1) the trainee, 

(2) the supervisor making that decision, 

(3) the context or circumstances, and 

(4) the task or activity. In addition, 

(5)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 has been suggested as a category, with its own factors,2 as this appears conditional for the development of trust.


총괄적 위임결정의 토대 갖추기

Grounding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총괄적 위임 결정을 내릴 때, 목표는 오직 trainee 요인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임시 결정과는 달리, 총괄 결정은 관리자가 누구인지, 맥락이 어떠한지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합니다. 연수생이 충분한 능력을 입증하고 감독받지 않은 채 실행할 수있는 전문 연습 단위를 의미하는 EPAs는 총 위탁 결정의 초점이 될 수 있습니다.

In making a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 the aim is to focus on trainee factors only. In contrast to ad hoc decisions, summative decisions should depend little on supervisor features and context characteristics. EPAs, which are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trainees are permitted to execute unsupervised once they have demonstrated sufficient competence,13,41 can be the focus of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이러한 총괄적 위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훈련 단계, 전문 분야, EPA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그러한 결정의 타당성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항상 다수의 정보 출처를 활용해야 한다. 표 3은 문헌에 언급 된 필수 유형 및 정보 출처를 고려한다.

Factors affecting these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will vary, depending on stage of training, specialty, and the EPA, but there will always be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involved to support the validity of such decisions. Table 3 considers the requisite types and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stated in the literature.


케네디 (Kennedy) 등이 제안한 가장 기초적인 요소 인 적격성, 양심 성, 진실성, 자기 자신의 한계를 판단하는 것은 위임 결정의 기본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에서 표현 된 요소들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법 (Arthritre 's Rhetoric)만큼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연설자의 정신이 지능, 성격 (신뢰성, 정직), 선의(좋은 의도)의 세 가지에 대한 인식에 기초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이것들은 Mayer 등이 신뢰와 신뢰를 지원하기 위해 제안한 능력, 완전성, 자비의 윤리에 부합하며, 철학자 오닐이 제안한 역량, 신뢰성, 정직의 신뢰 조건에도 부합한다.

The most foundational factors— competence, conscientiousness, truthfulness, and discernment of one’s own limitations, as proposed by Kennedy et al69—are fundamental to any entrustment decision. They align, for instance, with factors expressed in philosophy, dating as far back as Aristotle’s Rhetoric.71 Aristotle suggested that a speaker’s ethos should be based on the listener’s perception of three things: intelligence, character (reliability, honesty), and goodwill (favorable intentions). These are parallel to the ethics of ability, integrity, and benevolence proposed by Mayer et al34 to support trust and with the current philosopher O’Neill’s17,70 proposed trust conditions of competence, reliability, and honesty.





결론

Summing Up


우리는 의료 교육의 목표를 감독이 없는 상태에서의 의료행위을 위한 준비로 정의하고, 직장에서 제공되는 감독 수준에 따라 직장에서의 평가 결과가 측정되도록 권고합니다.

We define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as readiness for unsupervised practice and recommend that the outcome of assessment in the workplace be measured in terms of the level of supervision to be provided.



의료 종사자에게 임상 업무를 위임하는 것은 의과 대학생, 레지던트, 펠로우가 훈련받는 거의 모든 임상 환경에서 매일 여러 번 발생하는 일종의 쉬운 과정입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간접적이거나 원격 감독에서는 어떻게, 언제, 그리고 학습자가 책임을 부여 받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많은 요소가 나타난다.

The entrustment of clinical tasks to medical trainees is a seemingly easy process that occurs multiple times every day in almost every clinical setting where medical students, residents, or fellows are trained. Yet, when analyzed, many factors appear to determine how, when, and whether learners are granted responsibilities under indirect or distant supervision.


위임 결정을 명시 적으로 지정하면 현상 유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첫째, 최적의 위임을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둘째,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환자 중심 진료를 위임의 frame of reference로 둠으로써, 초점이 명확히 환자가 되게 할 수 있다.

  • 셋째, 명백한 위임은 교육 과정 설계와 관련된 어려운 대화를 필요로한다.

Making entrustment decisions explicit can help to change the status quo. 

  • First, this requires more effective assessments to make the optimum entrustment. 

  • Second, making safe, effective, patient-centered care the frame of reference for the entrustment brings the focus back more firmly to the patient.59 

  • Third, explicit entrustment requires the hard conversations around curriculum design.


위임 결정은 임상가가 단순히 관찰 된 성과를 보고하기보다는, 연수생에게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가까운 장래에 수반되는 기회 및 위험에 대해 더 의식적으로 생각하도록 강제합니다.

Entrustment decision making forces clinicians to think more deliberately about opportunities bestowed and risks incurred in the near future by granting responsibility to trainees, rather than simply reporting observed performance.







 2016 Feb;91(2):191-8. doi: 10.1097/ACM.0000000000001044.

Entrustment Decision Making in Clinical Training.

Author information

1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the Netherlands. D. Hart is associate program director of emergency medicine and director of simulation, Hennepin County Medical Center, and assistant professor,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both in Minneapolis, Minnesota. F. Ankel is executive director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Healthpartners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Bloomington, Minnesota, and professor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Minneapolis, Minnesota. J. Busari is program director, Department of Pediatrics, Atrium Medical Center, Heerlen, and associate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R. Englander,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was senior director of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N. Glasgow is dean, Medical School,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Australia. E.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W. Iobst is vice dean and vice president for academic and clinical affairs, Commonwealth Medical College, Scranton, Pennsylvania. E. Lovell is associate program director of emergency medicine, Advocate Christ Medical Center, Oak Lawn, Illinois, and clinical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linois. L.S. Snell is professor of medicine,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nd senior clinician educator,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C. Touchie is chief medical education advisor, Medical Council of Canada, and associate professor, University of Ottawa Faculty of Medicine, Ottawa, Ontario, Canada. E. Van Melle is education researcher, Queen's Univ

Abstract

The decision to trust a medical trainee with the critical responsibility to care for a patient is fundamental to clinical training. When carefully and deliberately made, such decisions can serve as significant stimuli for learning and also shape the assessment of trainees. Holding back entrustment decisions too much may hamper the trainee's development toward unsupervised practice. When carelessly made, however, they jeopardize patient safety. Entrustment decision-making processes, therefore, deserve careful analysis.Members (including the authors) of the Internation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ollaborativ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entrustment decision-making process in health care training during a two-day summit in September 2013 and subsequently reviewed the pertinent literature to arrive at a description of the critical features of this process, which informs this article.The authors discus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erminology of trust and entrustment in the clinical workplace. The competency-based movement and the introduc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ce educators to rethink the grounds for assessment in the workplace. Anticipating a decision to grant autonomy at a designated level of supervision appears to align better with health care practice than do most current assessment practices. The authors distinguish different modes of trust and entrustment decisions and elaborate five categories, each with related factors, that determine when decisions to trust trainees are made: the trainee, supervisor, situation, tas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 The authors' aim in this article is to lay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new approach to workplace training and assessment.

PMID:
 
26630606
 
DOI:
 
10.1097/ACM.0000000000001044


스키마를 활용하여 교육해야 할 것인가? 무작위연구 근거(Med Educ, 2012)

Should we teach using schemas? Evidence from a randomised trial

Sarah Blissett,1–3 Rodrigo B Cavalcanti1–3 & Matthew Sibbald1–3





도입

INTRODUCTION


인지 부하 이론의 렌즈를 통해 보는 정보 과부하

Information overload through the lens of cognitive load theory


인지 부하 이론은 작업 기억의 유한이라는 한계를 통해 학습의 어려움을 봅니다 .1 주제가 다수의 상호 작용적 요소를 포함하면 작업 기억이 압도되어 학습하기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많은 상호 작용 요소를 지닌 복잡한 과목은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각 요소를 개별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으로 교육하였다.1,2 예를 들어, 심혈관계 신체 검사를 학습하려면 학생들은 각 관련 진단에 대한 finding 목록을 습득해야합니다.

Cognitive load theory views the challenges of learning through the finite limitations of working memory.1 When a subject matter involves multiple interacting elements, it can overwhelm working memory and become difficult to learn. Traditionally, complex subjects with many interacting elements are taught by presenting each element separately to reduce cognitive load.1,2 For example, learning cardiac physical examination requires students to master lists of findings for each relevant diagnosis.


그러나 학생이 알 수없는 수축기 심잡음을 가진 환자를 만날 때, 그들은 기억력에 엄청난 도전이 되는 진단을 얻기 위해이 모든 정보를 통합해야합니다. 대안적인 접근법은 그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 하는지를 명시 적으로 가르치는 것으로서, 이 때에는 정보를 스키마로 조직화하거나, 정보를 임상적, 병태생리학적 변인을 가지고 구분할 수 있는 진단적 표상으로 조직화하는 것이다. 스키마는 상호 작용하는 요소간에 가장 중요한 링크를 제시함으로써 인지 부하를 줄입니다.

However, when students face a patient with an unknown systolic murmur, they must integrate all of this information to arrive at a diagnosis, a task that presents a tremendous challenge to working memory. An alternative approach is to explicitly teach how the elements interact by organising information into schemas1 or representations of diagnoses distinguished by relevant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 variables. Schemas reduce cognitive load by presenting the most important links between interacting elements.


스키마와 지식의 조직화

Schemas and knowledge organisation


초보자가 습득 한 지식 항목은 종종 격리된 사실isolated fact로 장기 기억에 저장됩니다. 격리된 사실은 다른 관련 정보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ecall과 임상 문제에 적용이 어렵다. 이 정보가 임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기 위해서는 임상 소견 및 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성해야합니다 .2 이렇게 하려면 학습자는 여러 가지 인과 관계 가설을 연결하고,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자세히 설명elaborate해야 한다. Bordage는 이렇게 고도로 연결된 개념적 지식을 '컴파일 된compiled'것이라고 설명합니다 .3 스키마 그룹 진단은 관련 임상 및 병리학 적 변수에 따라 진단됩니다. 따라서 스키마를 제공할 경우, 스키마는 [구조화되고 임상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compiled knowledge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tems of knowledge acquired by novices are often stored in long-term memory as isolated facts. Isolated facts are hard to recall and apply to clinical problems because they are not linked to other relevant information.3 In order for this information to be useful in solving clinical problems, it needs to be reorganised around clinical findings and concepts.2 This requires trainees to link multiple causal hypotheses and elaborate on them in order to build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concept. Bordage describes this highly linked conceptual knowledge as ‘compiled’.3 Schemas group diagnoses by relevant clinical and pathophysiologic variables. Therefore, the provision of schemas is hypothesis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compiled knowledge because schemas present the information in a structured, clinically relevant way.




스키마와 임상 추론

Schemas and clinical reasoning


초보자가 사용하는 진단 추론 전략에는 hypothetico-deductive 및 schema-based reasoning이 포함됩니다. Elstein 등 4)은 

    •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을 임상의가 가설을 순차적으로 공식화하고 시험하는 과정이라고 기술한다. 

    • schema-based reasoning은 주요 임상 기능을 사용하여 진단 세트를 포함 또는 배체하는 프로세스입니다. 

관측 연구에서 Coderre 등 5)은 초보 의대생들이 hypothetico-deductive 전략과 비교하여 스키마 기반 전략을 사용할 때 높은 진단 성공을 달성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더 높은 진단 성공의 이유를 스키마 기반 추론으로 돌리고 싶을 수 있지만, 스키마 사용은 임상 문제를 더 철저히 이해하고 있는 학생에게도 surrogate가 될 수 있다.

Diagnostic reasoning strategies used by novice learners include hypothetico-deductive and schema-based reasoning. Elstein et al.4 describ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as a process whereby clinicians formulate and test hypotheses in a sequential fashion. By contrast, schema-based reasoning is a process in which key clinical features are used to include or exclude sets of diagnoses. In an observational study, Coderre et al.5 found that novice medical students achieved higher diagnostic success when employing a schema-based strategy compared with a hypothetico-deductive strategy. It is tempting to attribute the higher diagnostic success to schema-based reasoning. However, the use of schemas may also be a surrogate for students with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problem.5


지식의 조직화와 추론 전략을 서로 연관시키기

Relating knowledge organisation and reasoning strategies


지식 조직화과 추론 전략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3,6] 

    • 단순 암기를 통해 얻은 분산된 지식은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을 강제한다. 

    • 반대로, 정교한 인과 관계 네트워크를 갖춘, 고도로 컴파일 된 지식은 스키마 기반 추론을 촉진한다. 

따라서 스키마를 가르치는 것은 더 전문가와 유사한 형태로 지식을 조직화하도록 촉진하고 전문가와 같은 추론을 촉진하는 데 모두 유익한 효과가있을 수 있습니다.


Knowledge organisation and reasoning strategies are likely to be linked.3,6 Dispersed knowledge acquired through rote memorisation might forc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Conversely, highly compiled knowledge stored as elaborate causal networks may promote schema-based reasoning. Therefore, teaching schemas may have beneficial effects in both promoting more expert knowledge organisation and facilitating expert-like reasoning.


스키마-기반 접근법 테스트

Testing a schema-based approach


스키마 기반 교육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는 테스트 점수가 향상되고 진단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9 이들 연구에서는 스키마가 스키마-기반 추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그에 적합한 구조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을 상기합니다.

Previous studies of schema-based instruction identified improved test scores and better diagnostic accuracy .9 These studies suggest that schemas provide information in a structure that enables the use of schema-based reasoning. 


경험이 많은 임상의들은 스키마 기반 교육은 학생들에게 배우지 않은 것에 대한 추론을 준비시킬 수 없다는 점에서 스키마 기반 교육을 비판했다. 8.9 심지어는 전문가들조차 낯선 문제에 직면했을 때에는 스키마적 추론을 포기하고 hypothesis testing을 사용한다. 10 스키마를 배운 초보 학생들은 hypothetico-deductive 접근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탐색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학생들은 가르쳐주지 않은 진단에 부딪 힐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Seasoned clinicians have been critical of schema-based instruction, arguing that schemas cannot prepare students to reason through an unlearned diagnosis.8,9 Even experts abandon schematic reasoning and adopt hypothesis testing when faced with an unfamiliar problem.10 Novice students taught with a schema have not had to navigate the material using a hypothetico-deductive approach. As a result, students may struggle when encountering untaught diagnoses.


우리는 무작위 시험에서 초보자들 사이의 심장 청진 기술 습득에 대한 전통적인 틀의 스키마와 비교하여 스키마 기반 교육의 효과를 테스트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We aimed to test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structio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 traditional framework on the acquisition of cardiac auscultation skills among novices in a randomised trial.


METHODS


Population


Year 2 medical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were invited to participate. Students had previously completed two 4-hour sessions covering the components of the cardiac physical examination. All participants provided informed consent.



Design



Participants attended one of 14 sessions, each of which included up to five participants. Sessions were randomised into two categories to include 

    • a control sample that received an instructional framework based on the traditional approach (Fig. 1) and 

    • an intervention sample that received an instructional framework based on a diagnostic schema (Fig. 2). 

Both frameworks contained the same information. However, the organisation of the information differed

    • The traditional framework (Fig. 1) was structured around individual valvular lesions and listed the 10 clinical features of each diagnosis in a table format. 

    • The schema framework (Fig. 2) grouped diagnoses according to clinical features based on murmur location and timing (e.g. ‘apex beat’, ‘radiation’ and ‘character’ for a murmur heard at the apex).


Before the schemas were developed, we conducted a search for existing frameworks in the literature. This revealed two schemas that were inappropriate for the study. One schema used a finding not available on the simulator, hepatomegaly, as a key distinguishing feature of cardiac lesions, whereas the other was a cumbersome, long framework beyond the scope of a novice.18 Therefore, two experts with 10 years of experience in cardiac physical examination were consulted to develop an appropriate schema. The schema was revised based on pilot data.


The study was divided into four phases: 

    • learning; 

    • consolidation; 

    • testing, and 

    • retesting. 


The first three phases all occurred in the same session. Retesting occurred 2–4 weeks later. All written materials were handed to the facilitator at the end of the session to prevent any contamination between groups.




Learning phase


In groups of two to five studen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duce the diagnosis of four unknown cardiac lesions (aortic regurgitation, aortic stenosis, mitral regurgitation and ventricular septal defect) on the simulator using the assigned framework. A facilitator was available for technical troubleshooting, but did not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Each participant was asked to record his or her diagnosis and the key features that had led to it. Once the group had finished, participants were given a written answer guide. The group was allowed 15 minutes to resolve any incorrect diagnoses or clarify examination features. 


This case-based, collaborative design was intended to foster learning while limiting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guidance to the framework provided. The four lesions chosen were derived from a survey of internists who identified them as key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for general practice.12 Learning worksheets were reviewed to ensure no misconceptions were learned using either framework. Each diagnosis was scored as correct or incorrect. Key features were categorised as correct features in the schema,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or incorrect features.


Consolidation phas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15 minutes to review the instructional framework prior to testing. They were allowed to discuss any learning difficulties within their group.


Testing and retesting phase


Participants individually completed a written test and then a practical test without the aid of their instructional framework. Participants were invited to undertake a repeat written test administered 2–4 weeks after the initial session. Retesting was limited to the written test by logistical constraints.



Written test


Participants completed a 19-question written test including single-response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multiple-response MCQs and short-answer questions.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first group (n = 9) tested features which linked or distinguished diagnoses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 The second group (n = 10) tested features of individual diagnoses (factual knowledge questions). 

Sample questions from each group are included in Table 1. Both groups involved diagnoses familiar to the participants from the learning phase (taught lesions) and not taught to the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phase (untaught lesions). All tested diagnoses were present in both the structured and factual knowledge questions. The written test was marked by two researchers blinded to group allocation. Disagreement was resolved by consensus.


Practical test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vidually identify four unidentified lesions on Harvey

      • Two of the tested lesions were taught lesions from the learning phase (aortic regurgitation and mitral regurgitation). 

      • The remaining two lesions, aortic sclerosis and hypertrophic cardiomyopathy, were included on the instructional frameworks, but not in the learning phase (untaught lesions).



Data analysis




RESULTS


A total of 5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26 were assigned to the schema-based and 27 to the traditional-based instruction.


학습 단계

Learning phase


  • 시간에 차이 없음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ime used to complete the learning phase between participants assigned, respectively, to the schema-based and traditional instructional frameworks (45 ± 11 minutes and 39 ± 8 minutes, respectively; t12 = 1.2, p = 0.24). 

  • 진단 정확도 차이 없음
    Accuracy in diagnosing the four lesions in the learning phase was similar between those assigned to the schema-based and traditional frameworks (98% versus 93%, respectively; t163 = 1.9, p = 0.06). 

  • 전통적 방식으로 했을때, total feature, correct feature, incorrect feature 더 많음
    Students assigned to the traditional framework identified 

    • more total features (4.4 ± 1.8 versus 3.8 ± 1.1; t210 = 2.9, p = 0.004), 

    • more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1.4 ± 1.3 versus 0.1 ± 0.4; t210 = 9.9, p < 0.001), and 

    • more incorrect features (0.2 ± 0.6 versus 0.04 ± 0.2; t130 = 3.1, p = 0.003) compared with those assigned to the schema-based framework. 

  • 스키마를 받은 경우 스키마에 제시된 feature를 더 많이 찾음
    Students who received the schema identified significantly more features present in the schema (3.7 ± 1.1 versus 3.0 ± 1.3; t210 = 4.3, p < 0.001).



시험 단계

Testing phase


Written tests were scored independently by two raters with high inter-rater reliability (Spearman’s r = 0.961, p < 0.001). 

  • 교육 방식에 따른 유의한 차이 있음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instruction type on performance (F1003,3 = 17, p < 0.001). 

  • 교육 방식과 문제 유형은 서로 상호작용 있음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type and question type (F1003,3 = 18, p < 0.001). 

스키마-기반 교육이 구조화된 지식 문항에서 더 높은 점수, 그러나 사실적 지식 문항에서는 더 높지 않음.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74% versus 55%; p < 0.0001), but not on factual knowledge questions (62% versus 62%; p = 0.93). 


2~4주 뒤 f/u
On follow-up testing 2–4 weeks later (n = 37, 70% of participants), these findings remained unchanged. 

  • 교육 방식이 퍼포먼스에 영향 줌, 교육 방식과 문제 유형에 상호작용 있음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instruction type on performance (F509,3 = 12, p = 0.001)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type and question type (F509,3 =5, p = 0.02). 

  • 스키마 그룹이 구조화된 지식 문항에서 더 잘함
    Students in the schema group performed better on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62% versus 42%; p = 0.001), but not on factual knowledge questions (52% versus 48%; p = 0.41).


On the practical test

  • 스키마-기반 교육이 더 높은 진단정확도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greater diagnostic accuracy (61% versus 26%; mean difference = 35%, 95% confidence interval [CI] 22–47; t205 = 5.40, p < 0.001). 

  • 스키마-기반 교육이 가르친 lesion과 가르치지 않은 lesion 모두에서 더 높은 진단정확도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greater diagnostic accuracy for both taught (77% versus 39%, mean difference = 38%, 95% CI 20–56; t102 = 2.26, p < 0.001) and untaught (44% versus 13%, mean difference = 31%, 95% CI 15–48; t89 = 3.75, p < 0.001) lesions. 

    • For taught lesions, schema-instructed students identified the same number of overall features, more correct features in the schema, fewer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and fewer incorrect features (Table 2). 

    • For untaught diagnoses, schema-instructed students identified fewer overall features, fewer correct features not in the schema and fewer incorrect features (Table 2).


DISCUSSION


우리의 결과는 초심자들에게 심포지엄에서 스키마 기반 교육을 강력하게 지지합니다. 우리는 스키마로 지시받은 학생들이 전통적인 프레임 워크로 학생들이 지시 한 것보다 높은 진단 성공을 달성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26 %의 진단 정확도는 2 학년 학생의 진단 정확도에 대한 이전 평가에서 얻은 비율 (19-24 %)과 비교할 만합니다. 이는 이 그룹이 우리 설계에 의해 불공정하게 불리 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ur results provide strong support for the use of schema-based instruction in cardiac auscultation among novice students. We found that students instructed with a schema achieved higher diagnostic success than students instructed with the traditional framework. Of note, the 26% diagnostic accuracy achieved by the control group was comparable with rates achieved in previous evaluations of diagnostic accuracy among Year 2 medical students (19–24%),12,19 which suggests that this group was not unfairly disadvantaged by our design.




초보자에게는 스키마가 어떤 이점이 있습니까? 스키마가 지식 조직 및 진단 추론 전략을 수정하여 초보자에게 이익이된다는 가설은 우리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필기 시험 결과는 (사실에 대한 진단적 지식을 변경하지 않고) 스키마가 구조화 된 지식의 양을 늘림으로써 조직화된 지식을 수정했다는 증거를 제공합니다. 효과의 크기 (38-40 %)는 이전 연구의 스키마와 유사하여 신상 문제의 점수를 30 % 향상시킵니다. 추론 전략이 직접적으로 측정되지는 않았지만 (언어 프로토콜로 압도적 인 초보자들을 두려워하여), 스키마를 배운 학생들은 자신의 진단에 도달하기 위해 스키마에서 발견한 feature를 보고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스키마를 배운 학생이 스키마 기반 추론을 많이 사용함을 의미합니다.

How do schemas benefit novices? The hypothesis that schemas benefit novices by modifying knowledge organisation and diagnostic reasoning strategies is supported by our data. The results on the written test provide evidence that schemas modified knowledge organisa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tructured knowledge without changing factual knowledge of diagnoses. The magnitude of the effect (38–40%) is similar to that in a previous study in which schemas were found to improve scores on nephrology questions by 30%.8 Although reasoning strategy was not directly measured (for fear of overwhelming novices with a verbal protocol), schema-instructed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features from the schema in arriving at their diagnosis. This suggests a higher use of schema-based reasoning by schema-instructed students.



스키마 기반 교육에 단점이 있습니까? 스키마를 사용하여 교육할 경우, 학생들이 아직 알려지지 않은 병변에 대한 진단 정확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비-스키마 기반의 옳은 feature를 생성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전통적 교육을 받은 그룹이 가르치지 않은 병변에 대해 더 많은 수의 정확한 feature를 찾아냈음에도, 진단 성공이 더 좋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스키마 기반 지시 그룹은 진단 성공률이 30 % 높습니다. 두 가지 설명이 가능합니다. 

  • 첫째, 전통적인 교육을 받은 그룹이 틀린 feature를 더 많이 찾아냈기 때문이다. 틀린 feature는 진단 추론을 틀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째, 스키마 기반 교육을 받은 그룹이 더 많은 스키마 기반 feature를 찾아냈기 때문이다. 스키마를 기반으로 찾아낸 feature는 진단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데 도움이되므로, 비 스키마 기반 기능보다 진단 프로세스에 더 유용 할 수 있습니다.

Is there a downside to schema-based instruction? We anticipated lower diagnostic accuracy on untaught lesions among students instructed with schemas because they may be less likely to generate nonschema-based correct features. Although the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did generate a greater number of correct features for untaught lesions, this did not translate into higher diagnostic success. In fact, the schema-based instruction group had 30% higher diagnostic success. Two explanations are possible. 

  • Firstly, the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identified more incorrect features. Incorrect features may have a derailing effect on diagnostic reasoning. 

  • Secondly, the schema-based instruction group identified more schema-based features. Schema-based features may be more helpful in the diagnostic process than non-schema-based features as they help distinguish diagnoses.










 2012 Aug;46(8):815-22. doi: 10.1111/j.1365-2923.2012.04311.x.

Should we teach using schemasEvidence from a randomised trial.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Abstract

CONTEXT:

Schema-based instruction may alter knowledge organisation and diagnostic reasoning strategies through the provision of structured knowledge to novice trainees. The effects of schema-based instruction on diagnostic accuracy and knowledge organisation have not been rigorously tested.

METHODS:

Year 2 medical students were randomised to learn four cardiac diagnoses using schema-based instruction (n = 26) or traditional instruction (n = 27) on a high-fidelity cardiopulmonary simulator (CPS). Students completed case-based learning in groups of two to five and underwent individual written and practical tests. The written test consisted of questions testing features that linked or distinguished diagnoses (structured knowledge) and questions testing features of individual diagnoses (factual knowledge). A practical test of diagnostic accuracy on the CPS was performed for two diagnoses present in the learning phase (taught lesions) and two untaught lesions. A majority of students (n = 37, 70%) voluntarily returned for follow-up written testing 2-4 weeks later.

RESULTS:

Learning time and accuracy did not differ between students on schema-based and those on traditional instruction. Students receiving schema-based instruction performed better on structured knowledge questions (p < 0.001) and no differently on factual knowledge questions (p = 0.7). Relative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mained unchanged on follow-up testing. Diagnostic success was higher in the schema-based instruction group for taught lesions (mean difference = 38%, 95% confidence interval [CI] 20-56; p < 0.001) and untaught lesions (mean difference = 31%, 95% CI 15-48; p < 0.001).

CONCLUSIONS:

Schema-based instruction was associated with improved retention of structured knowledge and diagnostic performance among novice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proof-of-concept for a schema-based approach and suggests there is substantial benefit to using this approach with novice trainees.

PMID:
 
22803759
 
DOI:
 
10.1111/j.1365-2923.2012.04311.x


회진상황에서의 교육: 올스타 교수는 어떻게 하는가?(Med Teach, 2017)

Attending rounds: What do the all-star teachers do?

Frank W. Merritta, Melissa N. Noblea, Allan V. Prochazkaa,b, Eva M. Aagaarda and Chad R. Stickratha

a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Aurora, CO, USA; bDenver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Denver, CO, USA




도입

Introduction


주치의는 임상 적 추론을 이끌어 내고 시연하고, 신체 검사 및 병력 습득과 같은 기본 기술을 모델링하고, 일반적인 주제 교육에서 관련 저널 기사에 이르기까지 임상 지식을 전달할 수있는 기회를 갖습니다 (Stickrath, Aagaard, et al. 2013).

the attending physician has the opportunity to elicit and demonstrate clinical reasoning, to model basic skills such as physical exam and history taking, and to impart clinical knowledge ranging from general topic teaching to the referencing of relevant journal articles (Stickrath, Aagaard, et al. 2013).



회진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면, 길고, 불필요하고, 학습자에게 교육적인 내용이 거의 제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Shankel & Mazzaferri 1986; Shulman 외 1992, Elliot & Hickam 1993, Irby 1994b, Williams 외 2008). 더욱이, 대부분의 임상 교사는 주치의 역할을 하는 동안 가르칠 충분한 시간이 없다고보고했다 (Williams 외, 2008; Crumlish et al. 2009). 레지던트의 근무 시간 제한으로 인해 시간 제약이 더욱 커지고, 교육에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Goitein et al 2005, Harrison & Allen 2006, Reed 외 2008, Roshetsky 외 2013). 지난 20 년 동안 회진 중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간은 크게 감소하였으며(Miller 외 1992, Elliot & Hickam 1993, Priest 외 2010), 전통적인 침상 옆 회진시 교육에서 주로 회의실에서 개최되는 컨퍼런스 (Crumlish 외 2009, Priest 외 2010)로 바뀌어갔다. 이러한 변화는 BST가 의학 교육의 기본 요소라고 생각하는 전문 임상 교육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McGee 2014; Peters & Ten Cate 2014).

When conducted ineffectively, rounds can be lengthy, redundant, and provide little educational content for learners (Shankel & Mazzaferri 1986; Shulman et al. 1992; Elliot & Hickam 1993; Irby 1994b; Williams et al. 2008). Moreover, most clinical teachers report not having enough time to teach their teams while attending (Williams et al. 2008; Crumlish et al. 2009). The implementation of resident work hour limitations has led to even greater time constraints and perhaps had unintended effects on education (Goitein et al. 2005; Harrison & Allen 2006; Reed et al. 2008; Roshetsky et al. 2013). Over the last 20 years,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decrease in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eaching during rounds (Miller et al. 1992; Elliot & Hickam 1993; Priest et al. 2010) as well as a shift from traditional bedside rounding to rounds that are held primarily in conference rooms (Crumlish et al. 2009; Priest et al. 2010). This shift has raised significant concerns among expert clinical educators who feel that bedside teaching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McGee 2014; Peters & Ten Cate 2014).


방법

Methods


세팅과 연구 설계

Setting and study design


The present study used both direct observation of a large cohort of attending physicians and an attitudinal assessment of their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clinical teachers in the current era. We analyzed data from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of general medicine inpatient teams at 4 teaching hospitals affiliated with a large public medical school from July 2010 to March 2012. Initial results and methods from this study have been previously published (Stickrath, Noble, et al. 2013).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Fourth-year medical students were trained to accompany teams on rounds, silently and unobtrusively, while observing and recording the frequency and location (bedside, hallway, or conference room) of various activities. Observers used a pre-defined checklist of activities thought to be important during rounds, which was cre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local expert opinion. The observers used a recorded whether or not each activity was performed for each patient seen during rounds. Th teaching activities included 


(1) 환자 치료 계획에 관한 질문 다루기

(2) 일반적인 의학 주제의 가르침,

(3) 특정 증거 기반 의학 문헌을 검토,

(4) trainee가 학습 이슈로 찾아낸 주제에 대한 교육,

(5) 병력청취 기술 습득,

(6) 신체검사 기술 교육,

(7) 구두발표 기술 교육,

(8) 미래 학습 계획을 논의하고,

(9) 학습자에게 피드백 제공.

    • (1) addressing questions about the patient care plan, 

    • (2) teaching of general medical topics, 

    • (3) reviewing specific evidence-based medicine literature, 

    • (4) teaching on a topic that was identified as a learning issue by the trainees, 

    • (5) teaching history-taking skills, 

    • (6) teaching physical examination skills, 

    • (7) teaching oral presentation skills, 

    • (8) discussing a future learning plan, and 

    • (9)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


교육 효과성에 따른 계층화

Stratification by teaching effectiveness


The rounding episod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learner satisfaction as measured by the Likert scale. The scores for each rounding day were averaged across the trainees. The three groups were determined by natural breaks in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scores.


자료 분석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그룹 간 회진시간 차이 없음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spent rounding per patient between these groups (Table 1).


세 가지를 제외하고 회진 당 교육활동 갯수 차이 없음

The frequencies of the remaining teaching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able 2; Figure 1).




세 가지 구체적인 교육활동의 빈도와 전체적인 교육효과성에 유의한 관계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each of same three specific teaching activities and teaching effectiveness scores, while modeling history taking was modestly correlated with lower scores (Table 3).




고찰

Discussion


첫째, 우리는 호진 교육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학습자의 절반 이상이 교육의 가치를 향상시킬 실질적인 여지가 있음을지지하면서 교육에 만족하지 않았습니다. 가장 낮은 등급의 교사조차도 환자 당 평균 1.5 교습 활동 (또는 반올림 에피소드 당 약 15 회)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모든 교육이 효과적인 교육은 아니다는 개념을 지지한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First, we found a wide range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teaching on rounds: More than half of the learners were dissatisfied with teaching, supporting the notion that there is substantial room to im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round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even the lowest-rated teachers still performed an average of 1.5 teaching activities per patient (or about 15 per rounding episode), supports the concept that not all teaching is effective teaching.



사실, 우리는 일군의 최고의 교사가 특정 유형의 가르침을 동료들보다 더 자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에는 환자 특정적이고, 학습자 주도 교육 주제, 피드백 제공이다.

In fact, we found that the best teachers in our cohort engaged in certain types of teaching more frequently than their peers, namely patient-specific and leaner-identified teaching topics and providing feedback.



이 모델은 

  • 환자 특이적 교육의 중요성, 

  • 학습자에 대한 교육 진단 및 타겟팅, 

  • 학습자가 식별 한 교육 주제 탐색, 

  • 실시간의 구체적인 피드제공 

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습니다. (Irby Ramani 2003, Gonzalo 외. 2013).

These models have consistentl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 patient-specific teaching, 

  • diagnosing and targeting teaching to the learner, 

  • seeking learner-identified teaching topics, and 

  • providing real-time, specific feedback (Irby 1994a; Ramani 2003; Gonzalo et al. 2013).



특정 교육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 외에도, 최고의 교사는 환자 당 전체적으로는 시간을 덜 쓰면서도, 환자 당 교육 행동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효과적인 교사는 덜 효과적 인 교사 (2.1 대 1.5)보다 환자 당 전체 교육 활동을 약 30 % 더 많이 수행했습니다.

In addition to more frequently engaging in certain teaching behaviors, we found that the best teachers actually engaged in more overall teaching behaviors per patient, while spending slightly less time overall. The most effective teachers performed about 30% more total teaching activities per patient-encounter than their less effective counterparts (2.1 versus 1.5).



우리는 이러한 교사들이 어떻게 시간 효율성을 향상 시켰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지만, 우수한 임상 교사는 사전 준비를 통해서 더 효과적으로 회진을 할 수 있다고 이전에 제안되어왔다. (Irby 1992; Kroenke et al. 1997; Ramani 2003; Gonzalo et al. 2013) 또는 여러 활동을 병행하여 수행 할 수 있습니다 (Stickrath, Aagaard, et al. 2013).

While we were unable to delineate this clearly how these teachers achieved enhanced time-efficiency, it has been previously proposed that excellent clinical teachers are able to round more efficiently by preparing substantially in advance (Irby 1992; Kroenke et al. 1997; Ramani 2003; Gonzalo et al. 2013)or by performing multiple activities in parallel (Stickrath, Aagaard, et al. 2013).



Bedside Teaching : 학생과 교사가 환자의 병상에 옆에서 사례를 논의하고 임상 절차를 시연하는 임상 회진의 일부입니다. 주치의가 환자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보고 환자 인터뷰, 신체 검사 및 카운슬링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을받을 수있는 기회입니다.

Bedside Teaching: A part of clinical rounds where both student and instructor attends the patient's bedside to discuss the case and/or demonstrate a clinical procedure. This is the student's opportunity to see how the attending physician relates to the patient and to get hands-on instruction in interviewing a patient, physical examination, and counseling skills.


학습자 중심 교육 : 학생들의 요구가 우선시되는 교육 방법. 

  • 학습자는 지식 격차를 규명하고, 학습 격차를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학습 효과를 추적해야합니다. 

  • 교사는 정보를 spoonfed 하듯 제공하는 대신이 과정을 촉진해야합니다. 

이 접근법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고자가 학습과 지속적인 교육을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킵니다. 학습자 중심 교육은 교사 중심 교육의 반대입니다.

Learner-Centred Education: A method of teaching in which the students' needs have priority. 

  • Learners are responsible for identifying knowledge gaps, actively participating in filling them, and keeping track of their learning gains. 

  • Teachers are expected to facilitate this process instead of supplying "spoonfed" information. 

This approach increases the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and prepares them for self-learning and continuous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the opposite of teacher-centered education.






 2017 Jan;39(1):100-104. doi: 10.1080/0142159X.2017.1248914. Epub 2016 Nov 12.

Attending rounds: What do the all-star teachers do?

Author information

1
a University of Colorado School of Medicine , Aurora , CO , USA.
2
b Denver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 Denver , CO , USA.

Abstract

AIM: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teaching activities performed during rounds between the most effective and least effective inpatient teaching attending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56 attending physicians supervising 279 trainees. Trained observers accompanied teams during roundsand recorded the frequencies of educational activities that occurred. Students and residents then rat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on rounds.

RESULTS:

Attending physicians with the highest learner satisfaction scores performed significantly more teaching activities per patient than attending physicians who were rated as average or less-effective (2.1 vs. 1.4 vs. 1.5; p = .0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3 out of the 9 specific teaching activities observed, including answering specific patient-care related questions (77% vs. 66% vs. 47%; p = .003), teaching on learner chosen topics (8% vs. 2% vs. 2%; p = .02), and providing feedback (31% vs. 10% vs. 0.1%; p = .001).

CONCLUSIONS:

Specific categories of teaching activities-patient-specific teaching, teaching on learner-identified topics, and providing real-time feedback-are performed more frequently by the highest-rated attending physicians, which can guide faculty development.

PMID:
 
27841061
 
DOI:
 
10.1080/0142159X.2017.1248914


레지던트가 교육을 하게 만드는 동기는? 임상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Med Educ, 2016)

What motivates residents to teach? The Attitudes in Clinical Teaching study

Sarah Dotters-Katz,1 Charles W Hargett,2 Aimee K Zaas3 & Lisa G Criscione-Schreiber4



도입

INTRODUCTION


이타적인 이유, 자신을 가르친 선생님으로부터의 영감, 특정 과에 리크루트 되고자하는 욕구 등이 고위 임상의들 사이에서 교육을 하는 내적 동기로 확인되었습니다 .1 동기 부여는 복잡하며, 개인적인 목표와 추진력, 강화 요인 등이 포함된다.1 동기 부여 개인적인 태도와 상호 작용한다. 태도는 우리가 사물이나 개념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변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2 어떤 것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가지면 동기 부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동기 부여가 높으면 개념이나 활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Internal motivations to teach, including altruistic reasons, inspiration from prior teachers and desire to recruit into a specialty, have been identified as motivations to teach among senior clinicians.1 Motivation is complex and includes personal goals and drives as well as reinforcing factors.1 Motivation interacts with personal attitudes; attitudes are how we feel about an object or concept and can be changed.2 Having a favourable attitude to something can affect motivation, and being highly motivated can have an impact on the attitude one has to a concept or activity.2


레지던트 또는 registrar로도 알려져있는 GME trainee는 임상 교육의 중요한 원천입니다. 그들은 의대생의 임상 교육을 최대 85 %까지 제공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그들은 그것의 주요 책임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Graduate medical trainees, also known as residents or registrars, are a crucial source of clinical teaching; they have been estimated to provide up to 85% of medical students’ clinical teaching and they consider it one of their primary responsibilities.3,4.



교사의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없이 많은 RAT (resident-as-teacher)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가르침에 대한 레지던트의 지식과 교육에 대한 열정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6-8 한 연구에서 지던트들은 RAT프로그램 후에 준비도가 높아졌다고 느꼈고, 자신감이 생겼고, '건강한 불안'을 경험했다.

innumerable resident-as-teacher (RAT) programme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residents’ teaching skills and such programmes have been shown to favourably impact residents’ knowledge about teaching as well as their enthusiasm for teaching.6–8 In one study, residents felt more preparedness, confident and ‘healthy anxiety’ about teaching after a resident as teacher programme.9



  • 컨설턴트 또는 교수진으로도 알려진 주치의 중 교사의 한 가지 주목할만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의 1/4이 학생 중심적이며 교육이 재미 있고 학습자 중심이어야하고 교사의 1/4은 성과 지향적이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 교수자들 사이의 유사한 신념 평가는 3 분의 1 이상이 임상가와 교사로서 강력한 정체성을 포함하는 공통적 인 신념을 공유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신념을 가진 교수자들은 [교수법과 교수법 기대감에 대한 낮은 신념을 가진 교수진]보다 더 많은 것을 가르쳤다 .12 

  • 다른 연구에서 다수의 교사가 교사 그룹은 교육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긍정적 인 의견을 많이 갖고있는 반면, 소수 교사들은 교육의 즐거움 부족, 교육에 대한 여러 장애요인 등 교육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1 

  • 작업량이 크다고 느낄수록 교육 시간이 적어졌고, 심지어 고위 임상가조차도 교육과 임상 치료 및 수많은 임상 교육 장벽이 의학 교육 시스템에 존재한다 .13,14

  • Among attending physicians, also known as consultants or faculty members, one notable study of beliefs about teaching found that a quarter of teachers were student oriented, believing that teaching should be fun and learner focused, and a quarter were performance oriented, focusing on students’ mastery of content for problem solving.11 

  • A similar evaluation of beliefs among faculty members found over a third sharing a common belief profile, including a strong identity as both a clinician and a teacher; individuals with these beliefs taught more than faculty members who shared belief profiles that included lower confidence in their teaching and teaching expectations.12 

  • The largest group of medical teachers in another study shared high agreement with positive statements about the intrinsic value of teaching, whereas a small number of faculty members were more aligned with negative statements about teaching, including lack of enjoyment of teaching and excessive barriers to teaching.1 

  • A greater perceived workload has been associated with decreased time for teaching and even senior clinicians struggle with the competing demands of education and clinical care, and numerous barriers to clinical teaching exist i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13,14



레지던트는 교수들과 비슷한 시간 및 직장 관련 장벽을 경험할 수 있지만, 동기와 태도는 중요한 방식으로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레지던트는 학습자와 교사 모두의 이중 역할을 navigate해야 합니다. 교수진과 비교하여 레지던트들은 학습 우선 순위가 다르며, 시간에 따라 요구 사항이 다르며, 교수진보다 동기 부여가 다를 수 있습니다 .15,16 또한 근무 시간 규정에 따라 의사 내과의 교육 및 학습 기회가 제한 될 수 있습니다.

While residents may experience similar time and workplace-related barriers to those of faculty teachers, their motivation for and attitudes towards teaching may differ in important ways. Notably, residents must navigate the dual roles of both learner and teacher. Compared with faculty members, residents have different learning priorities, different demands on their time and are likely to have different motivations for teaching than do faculty members.15,16 Additionally, duty-hours regulations may limit teaching and learning opportunities for doctors-intraining.



따라서 우리는 태도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인 Q 방법을 사용하여 의학 문학의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교습에 대한 비슷한 태도를 공유하는 거주자 그룹을 정의하고자했습니다. Q 방법론은 건강 관련 질문과 태도를 연구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어왔다 .18-20

Thus, we aimed to address this gap in the medical literature by using Q methodology, a technique used to study sets of attitudes, to define groups of residents who shared similar attitudes towards teaching. Q methodology has been widely used to study health-related questions and attitudes.18–20




방법

METHODS


As is typical for Q methodology research, our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eps.22 

  • The first step was developing a set of statements for participants to rank order. 

  • The second step was identifying potential subjects and administering the Q-sort survey. 

  • The third step involv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se steps are described below in more detail.


Statement set


We first performed a literature search using PubMed, which combined two literature sets; the first used any combination of resident, fellows, trainees or resident as teacher and the second included motivation, attitudes, education and teacher.


The study authors, through a process of independent analysis and then subsequent mutual negotiation and discussion, narrowed this list to 47 statements (the number needed for this Q-sort) by combining duplicates and merging statements that were very similar in nature or had synonymous meanings.


Subjects and sorting


Q-sorts were administered online with the open source program FlashQ (Hackert & Braehler, 2007). Following an introduction with instructions, each participant was shown all 47 teaching statements in a random order and asked to sort the cards based on their attitude towards their role as a clinical teacher.


Respondents to the Q-sort could elect to enter demographic data, including gender, year of training, training classification (resident vs. fellow), medical specialty, previous training in education and plans to teach after culmination of medical training.


Data analysis


Individuals’ rankings of the Q set were analysed using by-person factor analysis to calculate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viewpoints. Factor analysis followed by varimax rot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clusters of respondents whose Q-sor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uncorrelated with other participants (i.e. people with similar views share the same factor). The best factor solution was identified based on both objective criteria and interpretability. Each factor was defined by at least two non-confounded Q-sorts. 

The KaiserGuttman criterion, Humphrey’s rule and the screen test were used to guide factor inclusion.23 Factors are defined as groups of individuals with similar opinions, feelings and views in relation to the subject being studied. To be isolated as a factor, a group must have at least two individuals within it. We performed iterative analyses, independently interpreted the defining characteristic attitudes within each factor, and by consensus decided that the three-factor analysis best identified distinct attitudinal groups. For this analysis, a Z-score is defined as the weighted normalised average score for a specific statement based on all of the respondents within that factor. A p-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Demographic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Analysis of participants’ Q-sorts resulted in a three factor solution, with each factor representing a distinct group of attitudes towards teaching in the clinical setting. Our representative one-word descriptions of these attitudinal groups was: enthusiasm, reluctance and rewarded.


요인1: 열정

Factor 1: enthusiasm


요인 1로 분류 된 훈련생은 임상 교육에 대한 열정 (진술 # 5, +5)으로 정의됩니다. 열정적 인 교사는 학습자가 훌륭한 의사가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시간을두고 교육에 전념합니다 (진술 # 39, +3, 14, +3). 친구들과 비교했을 때, 그들은 일반적으로 자신감이 있으며 (진술 # 43, +1) 가르치기 위해 준비했습니다. 열정적 인 교사는 시간 (진술 # 37, 1, # 38, 2, # 41, 2, # 40,2)과 사회적 기대 또는 피드백 (진술 8, 1, # 28, 0)과 같은 외부 압력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하다. .

Trainees who were sorted into factor 1 are defined by feeling enthusiasm (statement #5, +5) for clinical teaching. Enthusiastic teachers make time for and are committed to teaching because it is important to them that learners become good doctors (statements #39, +3; 14, +3). Compared with their peers, they generally feel confident (statement #43, +1) and prepared to teach. Enthusiastic teachers are relatively indifferent to external pressures such as time (statements #37, 1; #38,  2; #41,  2; #40,  2) and social expectation or feedback (statements #8,  1; #28, 0).


마지막으로 '나는 두 가지 기본 원칙에 따라 가르친다 : (i) 열정은 전염성이 있고 (ii) 레지던트는 의대생의 직업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Finally, ‘I teach based on two guiding principles: (i) enthusiasm is contagious and (ii) residents are the single largest influence on medical student career choices’.



요인2: 주저함

Factor 2: reluctance


소극적 인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은 중요하며 (성명서 # 1, +2),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즐긴다 (진술 # 6, +3), 자신의 의무에 압도 당하고, 긍정적인 인센티브를 느끼지 못한다. 마지 못해하는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그들의 임상 업무량 (진술 문 # 37, +5)과 근무 시간 (진술 문 # 40, 2)에 의해 교수법이 제한된다고 생각합니다. 마지 못해하는 교사들은 교사로서 요구받는 기대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가르 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느낍니다. 이러한 교사들은 학습자의 관심 수준 (진술 # 31, +1)에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교육에서 좌절을 느낄 가능성이 더 높다

Reluctant teachers feel that teaching is important (statement #1, +2) and enjoy the interaction with the learner (statement #6, +3), but also feel overwhelmed by their duties and perceive little in the way of positive incentives to teach. Individuals with a reluctant attitude feel their teaching is limited by their clinical workload (statement #37, +5) and duty hours (statement #40, 2). Reluctant teachers are less aware of their expectations as a teacher and feel the least prepared to teach. Compared with their peers, reluctant teachers are more influenced by their learners’ level of interest (statement #31, +1) and more ment #33,likely 2).to feel frustrated with teaching (state-


'마지 못해 교사'연수생의 경우, 임상 교육의 노력은 직접적인 인센티브를 거의 갖지 못했지만, 교육에 시간을 쓸 가치가 없다는 것에는 매우 강력하게 반대했다 (진술 # 36, # 5). 이 그룹에서 가르치는 활동은 감사와 존경의 느낌을 가져 오지 않으며 (진술 # 2, # 1, # 28, # 1) 또는 전문적인 인정으로 이끄는 것은 아닙니다 (진술 # 25, # 2, # 27, # 4 ). 교수법은 의견을 표현하기위한 출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진술 문 # 23, # 2).

For ‘reluctant teacher’ trainees, the effort of clinical teaching had little direct incentive, although they very strongly disagreed that teaching was not worth their time (statement #36, 5). In this group, the activity of teaching doesn’t bring about feelings of appreciation and respect (statements #2, 1; #28, 1) or lead to professional recognition (statements # 25, 2; #27, 4). Teaching is not viewed as an outlet for expressing opinions (statement #23, 2).


이 요소에서 연수생이 느낀 가르침을 둘러싼 스트레스는 '나는 내 공부에 쓸 시간이없고,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는데 쓸 시간은 더 없다'는 진술에 예시되어있다.

the stress surrounding teaching felt by trainees in this factor is exemplified in this statement: ‘I do not have time to spend to learn the material, much less teach it to another person’.



요인3: 보상받음

Factor 3: rewarded


보상받는 교사들은 가르침의 목표-지향적 장점에 대해 더 많은 의견을 나눕니다. 이 그룹에서는 개인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의사 소통 기술을 향상 시키며 (문 제 20, 4) 최신 문헌을 알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합니다 (진술 문 # 22, +2). 보상을받은 교사는 교육 역할을 기대받을 것으로 느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가르칠 때 존경받습니다 (문 # 28, +3). 이 그룹은 또한 자신의 전문 분야가 의학 교육과 관련이 있음을 가장 강력하게 동의했습니다 (진술 문 # 13, +5).

Rewarded teachers share agreement with more of the goal-directed benefits of teaching. For this group, teaching provides insight into personal strengths and weaknesses (statement #24, +5), improves communication skills (statement #20, +4) and keeps teachers up to date on the literature (statement #22, +2). Rewarded teachers are the most likely to feel expected to teach (statement #8, +2) and respected when they do teach (statement #28, +3). This group also agreed the most strongly that their specialty i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statement #13, +5).


기관이 교육에 가치를 둔다는 것에 대한 매우 강한 믿음을 감안할 때, 보상받은 교사는 기관 또는 프로그램과 alignment에 관련된 기대와 보상을 느끼게됩니다. 그들의 동료들에 비해, 보상받은 교사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이 가르침을 위해 훈련생을 인정하고 보상한다고 느낍니다. (진술 문 # 23, 0) 이들은 부서에서 그들에게 교육을 하라고 했기 때문에 가르치는 것이며, 그들 자신의 교사들로부터 영감을 받았기 때문이 아니다(진술서 # 17, 1). 보상받는 교사는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즐기지 않으며 (제 6 항, 제 2 항), 학습자가 노력하지 않고도 적절한 가르침을받는다고 느끼기 쉽습니다 (진술 # 35, 0). 이들이 특별히 가르침에 열정이 있다거나, 헌신적인 것은 아니다.이들에게 가르침이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키지 않습니다 (성명서 # 4, 0). 이들은 근무 시간으로 인해 제한받는 느낌이 가장 적습니다 (진술 문 # 40, 5).

Given their very strong belief that the institution values teaching (statement #11, +4), rewarded teachers feel expectations and rewards related to institutional or programme alignment. Relative to their peers, rewarded teachers feel that their programme recognises and rewards trainees for teaching (statement #23, 0) and are more likely to teach because their department or division asks them to (statement #10, 2), not because they’ve been inspired by their own teachers (statement #17, 1). Rewarded teachers do not enjoy the interaction with learners (statement #6, 2) and are more likely to feel that learners receive adequate teaching without their efforts (statement #35, 0). They are not particularly enthusiastic about (statement #5, 0) or committed to (statement #3, 1) teaching, nor does teaching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statement #4, 0). Rewarded teachers were the least likely to feel limited by duty hours (statement #40, 5).




'나는 교육을 준비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교육에 필요한 시간을 보호해주는 것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있다'

‘I learn a lot in reviewing for teaching’. ‘There is emphasis placed on protected time for teaching’



다른 요인들과 크게 대조적으로이 그룹의 개인들로부터 근무 시간이 가르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15 개의 의견이있었습니다.

In striking contrast to the other factors, there were 15 comments from individuals in this group specifically stating that duty hours did not affect teaching.



고찰

DISCUSSION


가장 큰 그룹의 연수생은 우리가 '열정적 인 교사'라고 묘사 한 요소로 분리되었습니다. 참여한 연수생의 절반 이상을 포함하는 이 집단은 긍정적 인 태도와 가르침에 대한 동기 부여를 공유함으로써 장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르 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The largest group of trainees segregated into a factor we described as ‘enthusiastic teachers’. This cluster, which included over half of participating trainees, shared bo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and motivation to engage in teaching, making it highly likely these individuals will teach despite potential barriers.


RAT 프로그램이 '열정적 인 교사'를 목표로 삼을 때에는, 태도를 바꾸거나 가르치는 동기 부여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기술 향상에 집중해야 한다.

Targeting ‘enthusiastic teachers’ for RAT programmes does not mean trying to change their attitudes or provide motivation to teach, but rather might be able to focus on improving teaching skills.


우리가 확인한 두 번째 그룹 인 '마지 못해 하는 교사'는 그룹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강하게 식별하는지에 대해 불확실해하며, 임상 업무 요구가 교육의 장애 요인이라고 강력하게 이야기한다.

The second group we identified, the ‘reluctant teachers’, as a group endorse uncertainty regarding what and how to teach and strongly identify with statements identifying barriers to teaching based on clinical work demands.


열정적 인 교사 들과는 대조적으로,이 그룹의 연수생들은 가르치기위한 동기가 낮으며, 다른 요구에 시간과 노력을 소비한다. Early trainee중에 이러한 태도를 가진 레지던트가 많았으며, 이는 교육 및 시간 관리에 대한 불안감과 일치합니다.

By contrast with the enthusiastic teachers, trainees in this group have a low motivation to teach, being consumed by other demands on their time and efforts. This attitudinal group was highly populated by early trainees, which is consistent with insecurity in teaching and time management concerns.


교수진의 동기와 태도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집단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 그룹의 구성원들은 교육에 동기부여가 되어있지는 않지만, 전반적으로 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교육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지만 동기부여가 낮은 연수생들에 대해서는 교육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의 장벽 (방향 부족, 준비 및 기술 부족)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This population has not been identified in studies looking at faculty members’ motivation for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1,12 Despite not having the motivation to teach, members of this attitudinal group endorsed overall positive attitudes about teaching. In trainees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teaching but low motivation based on perceived barriers, efforts could focus on addressing barriers to teaching (such as lack of direction, preparation and skill) in order to improve the motivation to teach.



'마지못해 하는' 레지던트들은, 지식, 기술, 태도 등 무엇이 되었든, 교육 과정의 특정 부분에서 무엇을 다뤄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한 지시와 요구를 내려야 할 것이다.

trainees in this group would benefit from clear instructions and expectations from faculty members regarding what to teach, perhaps responding to requests to address specific parts of the curriculum, whether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




우리가 확인한 마지막 하우스 직원 그룹은 '보상받은 레지던트'로 분류되며, 그들이 가르치는 것에서 얻는 보상과 인정에서 만족을 얻습니다. 즉,이 그룹의 구성원은 가르치는 동기가 부여됩니다. 이 집단의 훈련생은 이전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으며, 여러 학과 교수들에게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1,14,24 외부 보상은 이 집단을 가르치도록 동기를 부여하지만 일반적으로 가르침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공유했다. 따라서이 그룹의 교수법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은 교수법에 대한 긍정적 인 태도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The final group of house staff we identified is categorised as ‘rewarded’, and they derive satisfaction from the rewards and recognition they get from teaching. In other words, members of this group are motivated to teach. This group of trainees has not been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and this subset is commonly identified at the faculty level across disciplines.1,14,24 Although external rewards motivate this group to teach, they generally shar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eaching. Thus, to improve teaching in this group, efforts could focus on developing positive attitudes about teaching.




이 연구에서 전반적인 응답률은 낮지 만 총 107 명의 연수생이 설문 조사를 완료했으며 Q-sort 방법론은 통계적 유의미성을 얻기 위해 큰 숫자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Though the overall response rate in this study was low, a total of 107 trainees completed the survey, and Q-sort methodology does not require large numbers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2016 Jul;50(7):768-77. doi: 10.1111/medu.13075.

What motivates residents to teach? The Attitudes in Clinical Teaching study.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Maternal Fetal Medicin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North Carolina, USA.
2
Division of Pulmonary, Allerg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Durham, North Carolina, USA.
3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Durham, North Carolina, USA.
4
Division of Rheumatology and Immunology,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Durham, North Carolina, USA.

Abstract

CONTEXT:

Graduate medical trainees have a critical role in the teaching of other trainees. Improving their teaching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ir attitudes towards teaching and their motivation to teach. Both have been incompletely explored in this population. We aimed to better understand graduate medical trainees' attitudes towards teaching and motivation to teach in the clinical setting in order to inform modifications to resident-as-teacher (RAT) programmes and enhance teaching practices.

METHODS:

We applied Q methodology, an established sorting method,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trainees' engagement in teaching. We invited house officers at our institution to rank-order 47 statements regarding their attitudes to and motivation for teaching. Respondents explained their Q-sort rankings in writing and complete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By-person factor analysis yielded groups of individuals with similar attitudes.

RESULTS:

One hundred and seven trainees completed the Q-sort. We found three primary groups of attitudes towards teaching in the clinicalsetting: enthusiasm, reluctance and rewarded. Enthusiastic teachers are committed and make time to teachTeaching increases their job satisfaction. Reluctant teachers have enthusiasm but are earlier in training and feel limited by clinical workload and unprepared. Rewarded teachers feel teaching is worthwhile and derive satisfaction from the rewards and recognition they receive for teaching.

CONCLUSIONS:

This improved understanding of common attitudes shared by groups of residents will help curriculum designers create RAT programmes to further reinforce and encourage attitudes that promote teaching as well as improve trainees' motivation to teach. Designing RAT programmes that acknowledge the attitudes to and motivations for teaching should help develop effective teachers to improve educational outcomes. Directed efforts to enhance motivation for reluctant teachers and encourage more positive attitudes in rewarded teachers may lead to improved teaching behaviours among residents.

PMID:
 
27295481
 
DOI:
 
10.1111/medu.13075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