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EPA가 정말 EPA인가? (Med Teach, 2016)
Are all EPAs really EPAs?
Ara Tekian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Chicago, IL, USA
EPA는 "필요한 역량을 입증하는 즉시 이 활동을 감독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실무의 단위"로 정의된다(10 Cate et al. 2015). EPA는 (정의된 시작과 끝을 가진) 프로세스 및 결과라는 측면에서 독립적이고, 관찰 가능하며, 측정 가능한 단위다. "역량"은 총체적으로 훌륭한 의사를 정의하는 개인의 능력이지만, "EPA"는 전문가의 일상 업무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그 업무의 성과를 인식recognize할 수 있다.
An EPA is defined as “a unit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can be fully entrusted to a trainee, as soon as he or she has demonstrated the to necessary competence execute this activity unsupervised” (ten Cate et al. 2015). EPAs are independent, observable, and measurable units of work in both process (with a defined beginning and end) and outcome. While “competencies” are abilities of individuals that in the aggregate define a good physician, “EPAs” are units of work that represent the day-to-day work of the professional, which can lead to a recognized outcome.
EPA는 다양한 훈련 단계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의료 교육과 작업장의 기대치 사이의 차이를 메울 수 있다. 이러한 역량을 정의하고 적용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EFA를 학부 의료 교육(UME)으로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있었다(Chen et al. 2015).
EPAs can be defined at different stages of training and can bridge the gap between medical education and the expectations of the workplace. With the movement to define and apply these competencies, there has been discussion to expand EPAs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Chen et al. 2015).
첸 외 에 따르면, AAMC가 발행한 13개 핵심 EPA는 모든 전공에 대해 대학원 수준에서 EPA를 지원할 수 있는 "기준 활동"을 개략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According to Chen et al., the 13 Core EPAs published by AAMC outlines “baseline activities” that can support EPAs at the postgraduate level for all specialties.
핵심 EPA가 미국의 UME 커리큘럼에 공식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 요구사항은 정책, 자원 및 프로그램적 함의를 포함하여 큰 이해관계가 있다.
As Core EPAs are expected to be formally introduced to the UME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these educational requirements have heavy stakes, including policy, resource, and programmatic implications.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문제와 관련된다.
(1) 개별적인 작업이 아니므로 포커스된 위탁 의사결정에 적합하지 않은 EPA
(2) 다른 EPA와 분리할 수 없는 EPA
(3) 실제로는 교육 목표에 가까운 EPA
(4) 숙련도 수준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포함하는 EPA
(5) 너무 넓은 EPA
(6) 개별적인 업무이지만, 위탁 결정에 적합하지 않은 EPA (10 Cate 등, 2015)
Specifically, they relate to six problems:
(1) EPAs that are not discrete tasks and so are unsuitable for focused entrustment decisions;
(2) EPAs that are inseparable from other EPAs;
(3) EPAs that are really educational objectives;
(4) EPAs that include adjectives that refer to proficiency level;
(5) EPAs that are too broad; and
(6) EPAs that are discrete tasks, but are not suitable for entrustment decisions (ten Cate et al. 2015).
EPA 6: 임상적 만남의 구두 제시
EPA 6: provide an oral presentation of a clinical encounter
이 EPA는 복수의 해석이 가능하며, 따라서 임상적 만남에서 예상되는 내용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 EPA에서 구두 프레젠테이션을 위해서는 의료진 중 적어도 한 명이 참석해야 한다. 그러나 임상 환경에서 의료팀은 그때그때 달라질 수 있고 구성원이 다양하며 있으며, 이는 EPA 6이 책임질 수 있는 결정을 촉진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즉, 학생은 일부에 대해서는 entrustable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다.
It is open to multiple interpretations and thus warrants additional clarification on what is expected in the clinical encounter. In addition, the EPA requires at least one member of the health care team to be present for the oral presentation. However, clinical settings have different health care team members that can vary, and this implies that EPA 6 cannot stimulate an entrustable decision; a student may be entrustable for some, but not for others.
EPA 7: 임상 질문을 작성하고 증거를 검색하여 환자 치료 진행
EPA 7: form clinical questions and retrieve evidence to advance patient care
이 EPA의 초점은 1차 문헌과 2차 문헌에서 증거를 retrieve하는 능력에 있다. 따라서 이 EPA가 필연적으로 지식을 환자집단에 적용하여 임상적으로 관련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현장 학습의 일환으로 EPA를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focus of the EPA is on the ability to retrieve evidence from primary and secondary literature. It does not necessarily assess the ability of the student to apply that knowledge to his or her patient population to make clinically relevant decisions. This means that there would be difficulty in assessing this EPA as part of on-the-spot learning
EPA 9: 전문가 간 팀의 일원으로 협업
EPA 9: collaborate as a member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이 EPA는 별도의 작업 단위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역량을 구성한다. EPA 7과 유사하게, 특히 학부 수준에서 직접 또는 현장 학습을 통해 이를 평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학생들은 어떤 시점에서든 건강 전문가와 함께 환자 치료를 진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또한, 학생은 자신이 상호작용하는 건강 전문가의 설정, 상황 및 유형에 따라 다르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 협력의 수준, 양, 빈도 및 효과에 대해 감독자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This EPA does not constitute a discrete unit of work, but rather a competency. Similar to EPA 7, it may be difficult to assess this through direct or on-the-spot learning, particularly at the undergraduate level. Students should have this ability with health professionals at any point of their training to advance patient care. Furthermore, the student may intera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tting, context, and the type of health professional he or she is interacting with. How would the supervisor account for the level, amount, frequ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collaboration?
EPA 13: 시스템 고장을 식별하고 안전 및 개선 문화에 기여
EPA 13: identify systems failures and contribute to a culture of safety and improvement
이는 환자 안전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강조한다(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2016). 이 능력은 대학원 과정에 들어갈 때 모든 의사에게 내재되어야 하므로 위임될 수 있는 업무 단위보다는 교육 목적이나 역량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emphasizes patient safety and knowledge of the systems supporting it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2016). This ability should be embedded in all physicians at the time of entering a postgraduate program, so it can be considered more of an educational objective or a competency, rather than a unit of work that can be entrusted.
Med Teach. 2017 Mar;39(3):232-233. doi: 10.1080/0142159X.2016.1230665. Epub 2016 Sep 15.
Are all EPAs really EPAs?
Author information
- 1
- a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ollege of Medicine ,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 Chicago , IL , USA.
- PMID:
- 27633048
- DOI:
- 10.1080/0142159X.2016.1230665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임상교육(Clerkship & Resid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할 시간: LIC와 EPA(Acad Med, 2014) (0) | 2019.04.19 |
---|---|
졸업생을 전공의로 신뢰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J Grad Med Educ. 2014) (0) | 2019.04.06 |
만약 위임에서의 '신뢰'가 사회적 판단이라면? (Med Educ, 2015) (0) | 2019.04.02 |
임상학습환경(Med Teach, 2019) (0) | 2019.04.02 |
의학교육의 가치 얹기: 미래 의사들을 보건의료 전달체게 변혁에 참여시키기(J Gen Intern Med, 2015) (0) | 201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