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겪는 의료현장: 정서적 대화, 의미, 정체성 발달(Med Educ, 2012)

Entering medical practice for the very first time: emotional talk, meaning and identity development

Esther Helmich,1 Sanneke Bolhuis,2 Tim Dornan,3 Roland Laan2 & Raymond Koopmans1




도입

INTRODUCTION


처음으로 의료 행위을 시작하는 것이 어린 학생들에게 혼란스럽고 힘들며 압도적 인 것으로 알고 있지만, 기존 연구는 workplace 학습의 정서적 차원이 무시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Although we know that entering medical practice for the first time can be confusing, daunting and overwhelming for young students,5 our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the emotional dimension of learning in workplaces tends to be ignored.6


감정과 그 의미는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고 경험의 네러티브를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정서적 상태에 개인적 의미를 부여하는 법을 배웁니다. 이 의미있는 사회적 참여 행위는 소속감과 정체성 구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서적 경험과 정체성 개발은 양방향 관계에 있습니다. 의료 현장에서 감정적으로 큰 영향을 준 사건은 전문적인 가치와 정체성의 개발을위한 강력한 자극을 나타내며, 정체성 발달 자체가 강한 정서적 혼란을 야기 할 수 있습니다.

Emotions and the meanings attributed to them may help people make sense of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7 Through participation in social practice, and by constructing a narrative of their experiences, students learn to give personal meaning to their emotional states. This meaningful social act of participation may then lead to a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construction.8 Emotional experiences and identity development are involved in a two-way relationship: emotionally salient incidents in medical workplaces represent powerful stimuli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values and identity,9,10 and identity development can itself give rise to strong emotional disruptions.11


정체성 개발은 개인적 또는 사회적 수준에서의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과정입니다. 

  • 학생은 자신의 특정한 개인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초기 임상 실습 중의 감정적 경험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 업무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의료 전문가로서의 미래의 역할을 파악하게됩니다. 

  • 자신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하고 그것에 대해 make sense함으로써 학생들은 발전하는 정체성을 shape and reshape한다. 

의대생의 workplace경험에 대한 네러티브은 의학 교육에서 정체성이 어떻게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있다.

Identity development is an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process that can be considered at individual or social levels.11 

  • Students give meaning to their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early clinical placements within their particular person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 Through participation in work activities they begin to identify with their future roles as health care professionals. 

  • By telling stories about their experiences and trying to make sense of them, students shape and reshape their developing identities. 

An inquiry into medical students’ narratives of workplace experiences, then, ma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how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co-constructed within medical education.11,12




METHODS


Ethics



맥락

Context


At Radboud University Nijmegen Medical Centre, all Year 1 medical students participate in a compulsory 4-week nursing attachment. They are allocated to a nursing home or a hospital ward, in which they work as assistant nurses. The main educational goals of this early nursing attachment are to familiarise students with patient care, to help them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and empathy, and to stimulate reflection on professional behaviour. We considered this nursing attachment a particularly suitable context in which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 because of the opportunities it provid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patient care.15


참여자

Participants


As students’ perceptions were previously shown to be related to gender, age, prior experience and place of attachment,16 we purposely selected respond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Table 1.



연구 설계

Study design


'일반적이면서 독특한 수준에서의 경험의 의미를 설명하고 해석하고 이해한다'

We adopte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relying on the ideas of the philosophers Heidegger and Gadamer. The main aim of such an approach is to ‘describe,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meanings of experiences at both a general and unique level’.17 


'일상적 실천의 의미를 구현하는 모범이나 패러다임 사례를 찾는 것.'

Our goal was to ‘find exemplars or paradigm cases that embody the meanings of everyday practices’.18 As the construction of meanings and identities largely occurs through language or narrative, we decided to interview students and analyse their narratives of workplace experiences.



자료 수집

Data collection


In order to stay as close to students’ experiences as possible, the first researcher visited the students at their workplaces during their attachments. She then carried out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using a narrative interviewing technique. 

    • Interviews started with the question: What is it like to be a medical student on this ward? 

    • Throughout the conversation, the interviewer took care to remain attentive and open to what was being said. She asked questions as they seemed appropriate to seek clarification or reflection. 

    • Judicious use of prompts such as ‘Tell me about the most impressive event you have encountered’ and ‘What did you feel ⁄ think⁄ do?’ helped students to stay focused on their actual experiences. 

The interviews lasted 45–90 minutes.


자료 분석

Data analysis


The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To maintain confidentiality, participants were given pseudonyms. After carrying out 17 interviews, we felt we had gained a rich sense of respondents’ experiences. Because phenomenological analysis can be adversely affected by volume of data, the first author 

    • carefully read all the transcripts, 

    • made ‘thick descriptions’, and 

    • purposively selected the nine that most clearly illustrated the range of responses for in-depth analysis. 

This involved choosing between the transcripts of comparable respondents to achieve a balance of hospital and nursing home placements and maintain a variety of emotional experiences and ways of giving meaning to these.


In the course of listening to audio-recordings and reading their transcripts, we undertook a narrative analysis, focusing on ‘what’ was happening in students’ stories and ‘how’ they narrated their experiences and constructed their identities.12 

    • Two researchers (EH, SB) carried out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whole stories and of individual parts of the texts, and then compared these two interpretations, constantly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holistic and categorical meanings.17–19 

    • Data reduction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salient excerpts that captured essential meanings. 

    • In doing so, we were looking for explicit emotional talk or paralinguistic dimensions of emotions and instances of meaning making and identity development. 

The qualitative research software ATLAS.ti (ATLAS.ti GmbH, Berlin, Germany) was used to sort fragments and search for relationships and general themes.



    • Throughout the planning and conduct of the research, the first author kept a reflective journal, in which she 

      • explained the various decisions made during the different stage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 included written summaries of all interpretations. 

    • EH and SB discussed this process and the main interpretations in several consecutive research meetings with the other authors. 

    • We judiciously tried to bring our pre-understandings into consciousness, acknowledging that narratives and interpretations are always co-constructed.19 

    •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writing and rewriting, our interpretations were further refined.





RESULTS


연구 결과 개요

Outline of findings


응답자가 서술 한 경험은 네 가지 주요 주제를 따랐습니다.

  • 부정 및 긍정적 감정을 느끼고 표시 함;

  • 사회 환경과의 부조화에 적응하거나 부조화를 경험하는 것;

  • 역할을 찾거나 찾지 못한다.

  •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거나 참여하지 않음.

The experiences narrated by respondents followed four main thematic strands: 

  • feeling and displaying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 adjusting to or experiencing dissonance with the social milieu; 

  • finding or not finding a role, and 

  • participating or not participating in social practice.


다른 참가자의 이야기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그들의 경험은 분석에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네 가지 패러다임에 공명했습니다.

Figures 1–4 present excerpts of longer individual narratives exemplifying four distinct patterns of emotional talk, meaning making and identity development, and, respectively, representing four different paradigms. Other participants’ narratives are not displayed, but their experiences informed the analysis and resonated with the four paradigms.



불안감

Feeling insecure


정 : 낸시의 서술은 '편한 느낌'을 갖지 못함(그림 1)에 관한 것이었고, '일단' 환자에게 직면하면 '확신이 없으며', '너무 큰 부담'이 될 것을 두려웠음을 묘사했다. 그녀는 환자의 고통에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고, 병동를 떠난 후에도 환자를 떠올린다는 것에 대해 스스로 반박했다.

Emotions: Nancy’s narrative is about not feeling ‘at ease’ (Fig. 1), feeling ‘not sure’ when she is faced with patients ‘at once’, and fearing being ‘too large a burden’. She does not know how to respond emotionally to the suffering of patients and contradicts herself about whether she thinks about them after she has left the ward.


조정 : 낸시는 '조정할 필요가있는 것'을 여러 번 언급하며, '모든 것이 실제로 예상했던 것과 완전히 다르다는 것'과 '쉽지 않음'을 언급합니다.

Adjustment: Nancy mentions several times that she ‘needed to adjust’, that ‘everything is really different from what I had expected’ and ‘not easy’.


역할 발견: 낸시는 어떻게 '환자를 향해 행동해야하는지'를 모릅니다. 그녀는 '흰 유니폼을 입는다'고하지만, 그녀는 '학생 일 뿐이며, 환자와 이야기를 하는 것이 '내 역할에 합당한지' 궁금합니다.

Role finding: Nancy does not know how she ‘should behave towards patients’. Although she does ‘wear a white uniform’, she is ‘only a student’ and she wonders if talking with patients ‘fits my role’.


여 : 낸시는 간호사 일은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그녀는 '일을 할 없는 일이 많으며', 스스로 '불필요하다'고 느낍니다. 환자에 의해 '그냥 여기에서 일하는 것 뿐이다'고 인식될 때, 정말로 즐거웠다. 그녀는 '다른 간호사와의 상호 작용'이 어려웠음을 이야기하고 그녀가 '팀의 일부가 아님'을 명시 적으로 밝혔다.

Participation: Nancy had ‘expected it was easy to do some nursing stuff’, but she feels she is ‘not capable of doing many things’ and is ‘superfluous’. Being recognised by a patient ‘that I just work here’, she ‘really enjoyed’. She narrates her difficulties in ‘interacting with other nurses’ and explicitly states she is ‘not really part of the team’.


순응

Complying


감정 : 요한은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인 방식으로보고합니다. 요한은 "다음 날 아침에 그들이 움직임을 지나고 밤새도록있다"(그림 2)와 같은 상황을 묘사 할 때, 또는 '정력적 인 사람'이었던 누군가가 이제는 '침대에만 누워'있는 상황을 말할 때 조차도 감정 표현의 거의 parularuistic 한 표현(한숨, 웃음, 멈춤)을 하지 않았다 . 

Emotions: John reports his experiences in quite an objective manner. John makes almost no paralinguistic expressions of emotions (sighing, laughing, pauses), even when describing situations such as ‘you discover the next morning that they have passed a motion, and that they have been in it all night’ (Fig. 2) or when someone who ‘was an energetic person’ is now ‘bedbound’.


조정 : 요양원에서 요양원은 '그다지 아름다운 것은 아니지만' '그런 일이 생길 수 있으며'상황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한 도움을 제공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Adjustment: In the nursing home, ‘it is not all that beautiful’, but as ‘such things may happen’ and ‘you cannot change the situation’, John believes you ‘should just offer help wherever possible’.


할 발견 : 존은 사람들을 돕기를 원하지만, 자신이 그들을 도울 수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그는 '여기는 꽤 바쁘게 돌아간다'고 반복해서 말하고 있는데, 이는 '여가 시간에만 환자들과 이야기 할 수 있음'(및 텍스트의 다른 편집 된 부분)을 의미합니다.

Role finding: John would like to help people, but he does not know if he ‘can help them’. He repeatedly states ‘it is quite busy here’, which means that ‘you can only talk with patients in your spare time’ (and other edited parts of the text).


참여 : John은 일정 기간 후 '혼자 할 수 있는 것들이 생겼지만' '감독자는 다르게 했기 때문에' '때로는 함께 일하는 것이 문제가된다'고 말했다. 그는 스스로 생각하기에 자기에게 기대되는 바에 순응하는 방식으로 경험에 의미를 부여한다. 즉 '환자에게 구조를 부여해야 하며', '무언가가 허용되지 않을 때'에는, '그들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환자들과의 상호 작용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환자 중 일부는 말하기를 원하지 않거나', '환자의 사생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Participation: John says that after a while ‘you are allowed to do things on your own’, but as ‘supervisors do act differently’, ‘working together sometimes is problematic’. He seems to give meaning to his experiences predominantly by complying with what he thinks is expected: ‘you need to give them [the patients] structure’ and when something ‘is not allowed’, ‘you should tell them’. Interacting with patients remains difficult as ‘some of them don’t want to talk’ and ‘you just need to pay attention to patients’ privacy’.



발전

Developing


감정 : 이 서사는 감정으로 포화되어 있다. Sarah는 병원에 가는 것이 매우 어려웠는데, 왜냐하면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이 쉽지 않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정말로 tiring하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진심으로 '환자에게 공감하기 어렵다' 또는 특히 '환자가 슬플 때에는' '그들과 이야기 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자신을 '언제나 매우 불확실하다', '모든 것을 잘못될까 두려워 하는'것으로 묘사합니다. 실습의 끝에서 그녀는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지만' '좀 더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Emotions: This narrative is saturated with emotions. Sarah found it ‘very difficult’ (Fig. 3) to go to the hospital because it is ‘not easy to talk to people’ and it is ‘really tiring’ to meet new people. She considers it ‘pretty difficult to really empathise with patients’ or ‘to be able to talk to them’, especially ‘when patients are sad’. She describes herself as being ‘always very uncertain’ and ‘afraid to do everything wrong’. At the end of the attachment she is ‘still very uncertain’, but she has gained ‘some more confidence’.


정 : Sarah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일'에 '익숙해지는'것이 좋은지, 어느 정도까지 익숙해지는 것이 좋은 것인지 궁금해합니다. 병동의 경험을 고려할 때, 그녀는 간호사들이 '무슨 일이 잘못되었는지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는 것'이 상당히 좋았으며, 그녀도 미래에 '마찬가지로 그렇게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생각했다. 

Adjustment: Sarah is wondering if and to what extent it is a good thing to ‘get used’ to ‘what happens to people’. Considering ward practices, she thinks it is ‘fairly good’ that nurses ‘talk to each other about what’s going wrong’ and hopes she ‘will be able to do this in the future as well’.


역할 발견 : Sarah는 발달적 용어로 그녀의 역할을 설명합니다. '실습을 돌고 있을 때 환자와 의사 소통하는 법을 배워야합니다.'라고 말했으며, 환자와 처음 의사소통을 하게 되는 순간에는 '누군가 함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는데, 왜냐하면 혼자서 '뭔가 새로운 것'을 할 용기가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환자와의 상호 작용과 관련하여 Sarah는 '그 기술을 개발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것은 '쉽지 않겠지만confronting' 그녀는 '그렇게 되고' 싶습니다.

Role finding: Sarah describes her role in rather developmental terms, stating ‘you should learn’ to communicate with patients ‘when you are in practice’ and that the first time this happens ‘there needs to be someone present’ because she does not dare ‘to do something new’ on her own. With respect to interaction with patients, Sarah says ‘it will take a lot of time’ ‘to develop that skill’. This ‘will be confronting’, but she wants to ‘open up’ to this.


참여 : 병동에 있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Sarah는 '어느 순간에는 아주 잘 진행되었다'고 말합니다. 그녀가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진짜 동료는 아닙니다'라고 말하지만, 의식적으로 행동을 관찰하면서 '자연스럽게 참여해야한다'라고 결론을 이끌어냅니다.

Participation: Although being on the ward ‘is not easy’, Sarah says that ‘at a certain moment it went quite well’. The people she works with ‘are not colleagues really’, but as she consciously observes their behaviour, she is led to conclude that ‘you join in naturally’.



참여

Participating


감정 : 레베카는 '환자와의 접촉'을 좋아합니다 (그림 4). 많은 경험이 '좋은'것이지만 때로는 치매에 걸린 환자가 '너무 많은 것을 잊어버리는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사람들이 더 이상 말을 할 수없는 '어려운'상황을 말합니다. 그녀는 정말로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그녀를 '무력'하게 만든다.하지만 그녀는 할 수 없다. 그러나 Rebecca는 전반적으로 '이 장소에 있어서 매우 행복하며', '매우 즐기고 있다'라고 말한다.

Emotions: Rebecca loves ‘having contact with patients’ (Fig. 4). Many experiences are ‘nice’, but sometimes it ‘is a pity’ that demented patients forget so much. She refers to ‘difficult’ situations, when people are not able to talk anymore. This makes her feel ‘powerless’ because she ‘really want[s] to help, but [she] can’t’. However, overall Rebecca ‘is really happy with this placement’, which she is ‘enjoying very much’.


조정: Rebecca는 그녀가 '노래하고 농담하는'간호사와 어떻게 '친해졌는지'설명하지만, '지금은 그냥 참여하면 된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또한 '일이 아주 루틴하게 진행된다는 것을 알았을 때'비판적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지 말하기'가 중요하며, 종종 '어떤 일이 벌어질지 잘 전달이 안된다'고 했다.

Adjustment: Rebecca describes how she ‘had to get used to’ nurses who were ‘singing’ and ‘joking’, but ‘now you just join in’. However, she is also critical when ‘you notice that things go on quite routinely’ and she emphasises that it is important to ‘tell people what is going to happen’ and that ‘sometimes they are not told’.


역할 발견 : 레베카는 '내가 뭔가 할게 없는지' 슬쩍 물어보면서, 쉽게 fit in 하였다. 할 일이 없다면 그녀는 '게임'을 하거나 '대화에 참여' 할 것입니다.

Role finding: Rebecca easily fits in, saying she will ‘walk by’ to ‘ask if I can do something’. If there is nothing to do, then she will ‘play games’ or ‘get into conversation’.


참여 : Rebecca는 명시 적으로 병원과의 비교를 통해 요양원에서 '환자와 더 많이 상호 작용할 수있는 기회가 더 많습니다.'라고 말하면서 '더 많은 일을 스스로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정말로 그것을 좋아한다'.라고 했다.

Participation: Rebecca explicitly makes the comparison with the hospital, stating that in the nursing home ‘you have more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patients’, that ‘you are allowed to do many more things on your own’, that ‘you are really participating’ and ‘I really do like that’.




고찰

DISCUSSION


주요 결과 요약

Summary of main findings


의료 학생들의 첫 번째 직장 경험에 대한 서술은 네 줄을 따라 전개되었습니다.

  • 느낌과 감정을 표시;

  • 조정;

  • 역할 찾기,

  • 참여.

Medical students’ narratives of their first workplace experiences unfolded along four lines: 

  • feeling and displaying emotions; 

  • adjusting; 

  • role finding, and 

  • participation.


'불안정한 느낌'이라는 첫 패러다임은 불확실성을 느끼는 것과 너무 큰 부담을 두려워함이 특징입니다. 

  • 우리는 이 패러다임이 직장에서의 이러한 첫 경험을 두려움과 어려움으로 해석하고 미래의 의사로서의 새로운 역할에서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 모르는 학생을 대표한다고 생각합니다. 

  • 이 학생들은 어렵고 무서워서 'real life'과의 대결을 피하거나 연기하려고 시도한다. 

  • 다른 사람들과 connect하지 못하기 때문에 의미있는 참여에 관여하지 못하고 정체성 개발이 제한됩니다.

The first paradigm, feeling insecure, is characterised by feelings of uncertainty and fear of being too large a burden. 

  • We consider this paradigm to be representative of students who interpret these first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as fearful and difficult, and who do not know what to do or how to behave in their new roles as future doctors. 

  • These students may try to avoid or postpone a confrontation with ‘real life’ because this is difficult and scary. 

  • Not being able to connect with others prevents them from engaging in meaningful participation and thus limits their identity development.



순응 패러다임은 대체로 분리 된 채로 남아있는 행동을 특징으로합니다. 

  • 이 패러다임은 거의 practice의 구조와 절차적 측면에 대해서만 의견을 말하는 학생, 규정에 충실하고 직장의 부정적인 특징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하는 학생을 나타냅니다. 

  • 비판적 성찰이 동반되지 않고, 순응과 순종만이 있다.

  • 따라서 자율적 직업적 정체성의 개발은 크게 압류 당한다.

The paradigm of complying is characterised by the act of remaining largely detached. 

  • This paradigm represents students who comment almost exclusively on structural and procedural aspects of practice, try to stick to the rules and accept even negative features of the workplace in order to fit in. 

  • It does not embrace critical reflection, but only conformity and obedience. 

  • The development of an autonomous professional identity is thus largely foreclosed.


발전 패러다임은 정서 탐험과 개인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합니다. 

  • 이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잘못하는 것을 두려워할지 모르지만, 불확실성에 대한 자신의 느낌과 다른 사람에게 어떤 지원이 필요한가를 의식적으로 성찰할 수 있습니다. 

  • 그들은 불확실성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현재의 자신의 전문성 수준에 맞춰서 적절하게 해석한다. 이로서 학생들은 developmental space를 생성하게 되는데, 

    • real practice에서 어떻게 직장에서 환자와 다른 사람들과 가장 잘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탐색하고,

    • 그들이 어떻게 직업적 정체성을 구축 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The developing paradigm is characterised by active involvement in emotional exploration and personal development. 

  • Students who fit this profile may be afraid of doing things wrongly, but they are able to reflect consciously on their feelings of uncertainty and the support they need from others. 

  • They interpret their feelings of uncertainty as appropriate to their current level of expertise, which creates developmental space in which they can explore in real practice how they can best relate to patients and others in the workplace, and how they can build a professional identity.


마지막 패러다임인 참여는 환자 치료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개인 및 전문성 개발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 기회를 인정하고 형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 자신의 감정을 수용하고 

  • 의미 형성의 구체화되고 분화된 프로세스에 참여하며, 

  • 이로 인해 환자와의 관계 및 주어진 사회적 관행에의 참여에 기반하여, 균형 잡힌 전문적 정체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The last paradigm, participating, is characterised by active contribution to patient care, and the recognition and shaping of learning opportunities in order to enhanc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ents who fit this profile are 

  • receptive to their own feelings and 

  • engage in an embodied and differentiated process of meaning making, 

  • which may lead them to develop a balanced professional identity, predominantly bas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their participation in a given social practice.




개인적, 사회적 정체성 발달

The personal and social in identity development


우리의 패러다임은 마르 시아 (Marcia)가 묘사 한 정체성 상태 패러다임 (identity status paradigm)과 뚜렷한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 '정체성 확산'이라는 용어는 우리의 '불안함'에 해당한다.

    • 그의 "차압"이라는 용어는 우리의 '순응'에 해당합니다.

    • 그의 '모라토리엄'이라는 용어는 우리의 '발전'에 해당하며,

    • 그의 '신분 달성'이라는 용어는 우리의 '참여'에 해당합니다.

Our paradigms show striking similarities to the identity status paradigms described by Marcia,20 whose use of 

    • the term ‘identity diffusion’ corresponds to our use of ‘insecure’; 

    • his term ‘foreclosure’ corresponds to our ‘complying’; 

    • his term ‘moratorium’ corresponds to our ‘developing’, and 

    • his term ‘identity achievement’ corresponds to our ‘participating’.


우리의 주요 연구 결과는 의대생의 직장 학습에 관한 다른 경험적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참여와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학생과 교사의 관계는 미래의 환자와의 관계에서 학생들이 되돌아볼mirrored 수 있는 핵심 경험입니다. 일반적으로 직장에서 다른 사람들로부터, 또는 다른사람들과 학습하는 것은 많은 직장 기반 학습 이론의 핵심입니다.

Our main findings are in line with those of other empirical work about medical students’ workplace learning, and show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and social relations.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re key experiences that may be mirrored by students in their future relations with patients.22,23 In general, learning from and with others in the workplace is central to many workplacebased learning theories.25–28



1 학년 의대생들 사이에 병동에서 관계를 맺을 수있는 능력이 큰 차이를 발견했습니다. '경험 기반 학습 모델'에서 (교육과정 요소와 인간 상호 작용을 포함한) 사회적 맥락은 의대생의 참여를 유도하는 주요 조건으로 간주된다. 이것은 학습 환경의 특성으로 주로 개념화 된 발달 공간developmental space의 중요성에 대한 최근의 제안과 일치한다. 우리의 패러다임 사례는 직장이 학생들의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We found large differences among Year 1 medical students in their abilities to enter into relationships on wards. In the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29 the social context, including curriculum factors and supportive human interactions, is considered to comprise the main conditions leading to the participation of medical students. This is congruent with more recent sugges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al space, which is also mainly conceptualised as a characteristic of learning environments.30 Our paradigm cases demonstrate how workplaces can influence students’ participation.



그러나 참여 또는 발달 공간은 [사회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 사이의 협상적 또는 관계적 상호의존성일 수 있습니다. 근무지에서 배우는 것은 [어떻게 직장이 참여를 제공하는지]와 [어떻게 개인이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는지] 사이의 상호 작용의 결과입니다.

Participation or developmental space, however, can also be thought of as a negotiated or relational interdependence between social and personal factors.31 Learning in workplaces, then,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how workplaces afford participation and how individuals are able to engage in social practice.32,33



학생들은 자신의 이상적인 개념을 재 개념화할 필요가 있었으며, 서로 다른(때로는 상반되는) 의학 담론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야했습니다. 우리는 학생들이 경험 한 큰 차이에 대해 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의과 대학의 첫 입학시 의과 대학생의 서술을 탐구했습니다.

Students needed to reconceptualise their idealised notions of themselves and to balance different and sometimes contradictory discourses in medicine. We explored the narratives of medical students at their first entry into medical practice to provide more insight into the large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their experiences,



정서와 전문직 정체성

Emo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y


비록 감정이 전문적인 행동과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최근의 여러 연구에서 학생들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꺼려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지금의 의학 교육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감정을 억압하도록 사회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따라서 의학 훈련에서 환자, 학생 및 교사의 감정에 더 많이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한다. 우리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중 일부는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했지만, 그들은 이러한 감정의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들이 어떻게 느꼈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 또는 이야기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심지어 감정적 반응이란 학생으로서 익숙해져야 하는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말하기도 했다.


Although emotions are known to be strongly related to professional behaviour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36,37 students in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eemed reluctant to express their emotions. This has led to the suggestion that medical education still socialises students to suppress their emotions,37,38 and to a call for greater attendance to the emotions of patients, students and teachers in medical training.39 Although some of the students in our study freely expressed their feelings, they tended to minimise the impact of these feelings and emphasised that they did not need or like to talk about how they were affected, even explicitly stating that emotional reactions are something one just has to get used to.



Strengths and weaknesses


함의

Implications for medical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대부분의 학생들은 'Sarah'와 'Rebecca'에 의해 예시되는 것처럼 매우 긍정적 인 것으로 환자와 미래의 동료들과의 첫 번째 상호 작용을 경험하고 보람 있고 전문적인 정체성 개발에 도움이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 '낸시'나 '존'과 같은 학생들은 긍정적 인 경험이 적습니다. 불확실한 감정에 압도되어 첫 환자 경험을 두렵고 힘든 것으로 해석하여 자신의 감정을 다룰 수 없게되거나 다른 사람들과 의미있는 관계를 맺을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작게는 직업적 정체성의 개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detachment와 냉소까지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의학 교육자로서 우리는이 그룹의 학생들을 식별하고보다 긍정적 인 방식으로 반응하도록 도와야합니다.


Most students, as exemplified by ‘Sarah’ and ‘Rebecca’, experience their first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future colleagues as highly positive and interpret them as rewarding and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Others, like ‘Nancy’ and ‘John’, have less positive experiences. Overwhelmed by feelings of uncertainty, they interpret their first patient experiences as fearful and difficult, which may lead them to be unable to deal with their own feelings or to engage in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may at least hamper the development of an embodied professional identity, but may even lead to detachment and cynicism. As medical educators, we should find ways to identify this group of students and help them to react in more positive ways.



CONCLUSIONS


이 연구는 학생들이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보여주며,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들어갈 때 자신의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학생 간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학생들은 다음의 것들에 있어서 서로 다릅니다. 

  • 병동 활동에 참여할 수있는 능력

  • 의대생과 미래 의사로서의 역할을 찾는 방법

  • 자신의 감정을 경험하고 표현하는 방법

의학 교육자는 학생들이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다양한 의미를 탐구하고 경쟁 할 수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원하는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대안적 해석을 제안하도록 도와야합니다.


This study reveals large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how they relate to other people and in how they give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as they enter medical practice. Students differ 

  • in their abilities to engage in ward practices, 

  • in how they find their roles as medical students and future doctors, and 

  • in how they experience and express their emotions. 

Medical educators should help students to be sensitive to their emotions, offer space to explore and contest different meanings, and, if necessary, suggest alternative interpretations in order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desired professional identities.






 2012 Nov;46(11):1074-86. doi: 10.1111/medu.12019.

Entering medical practice for the very first timeemotional talkmeaning and identitydevelopment.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rimary and Community Care, Radboud University Nijmegen Medical Centre, Nijmegen, the Netherlands. e.helmich@elg.umcn.nl

Abstract

CONTEXT:

During early clinical exposure, medical students have many emotive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ion in social practice, they learn to give personal meaning to their emotional states. This meaningful social act of participation may lead to a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construction.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play between those experiences and students' identity development. Our research questions asked how medical students give meaning to early clinical experiences and how that affects thei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METHODS:

Our method was phenomenology. Within that framework we used a narrative interviewing technique. Interviews with 17 medicalstudents on Year 1 attachments to nurses in hospitals and nursing homes were analysed by listening to audio-recordings and reading transcripts. Nine transcripts, which best exemplified the students' range of experiences, were purposively sampled for deeper analysis. Two researchers carried out a systematic analysis using qualitative research software. Finally, cases representing four paradigms were chosen to exemplify the study findings.

RESULTS:

Students experience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they met during early clinical experiences in very different ways, particularly in terms of feeling and displaying emotions, adjusting, role finding and participation. The interplay among emotions, meaning and identity was complex and four different 'paradigms' of lived experience were apparent: feeling insecure; complying; developing, and participating.

CONCLUSIONS:

We found large differences in the way students related to other people and gave meaning to their first experiences as doctors-to-be. They differed in their ability to engage in ward practices, the way they experienced their roles as medical students and future doctors, and how they experienced and expressed their emotions. Medical educators should help students to be sensitive to their emotions, offer space to explore different meanings, and be ready to suggest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at foster the development of desired professional identities.

PMID:
 
23078684
 
DOI:
 
10.1111/medu.12019


모든 선생님이 임상추론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 것(Med Educ, 2004)

What every teacher needs to know about clinical reasoning

Kevin W Eva



도입

INTRODUCTION


미스테리 이야기를 읽을 때 'whodunit'을 결정하는 것과 유사하게, 진단상의 어려움은 이용 가능한 각 정보를 고려하고 제시된 패턴에 대해 가장 그럴듯한 설명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Analogous to determining ‘whodunit’ when reading a mystery story, the diagnostic challenge involves considering each piece of availabl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most plausible explanation for the illustrated pattern.


임상 교사가 직면 한 문제는 아마도 더 커집니다. 임상 강사는 위에 열거 한 모든 일을 수행 할 수있을뿐만 아니라 각 학생의 전문 지식을 육성하기 위해 지식과 추론 전략을 초보 의사에게 전하는 방법을 찾아야합니다.

The challenge facing clinical teachers is perhaps even greater. Not only must clinical teachers be capable of performing all the tasks listed above, but they must also find a way to convey their knowledge and reasoning strategies to novice diagnosticians to nurture each pupil’s own expertise.


지난 반세기 동안 그렇게(=진단을) 할 수있는 능력은 가르쳐야 할 내용 영역의 전문성과 관련은 있지만, 서로 구분되는 것임이 확실해졌다. 임상 교육전문성의 유지는 부분적으로 임상 전문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한다 3 그러나 임상 교사가 추가로 알아야 할 것은, 그러한 임상추론 경향에 내재한 심리적 메커니즘이, 언제나 introspection이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Over the last half century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ability to do so is related to, but distinct from, expertise within the content area to be taught.2 The maintenance of clinical teaching expertise requires, in part, an understanding of strategies expert clinicians use, often unconsciously, to reason through diagnostic case presentations like that which opened this article.3 Adding to the clinical teacher’s challenge is the fact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such reasoning tendencies are not always available to introspection.4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무엇입니까 (그리고 어떻게 유추됩니까?)?

WHAT IS THE MOST LIKELY DIAGNOSIS (AND HOW IS IT DERIVED)?



의학 교육자들이 전통적으로 임상 추론의 '분석적 모델'로 알려진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징후와 증상 및 진단 간의 관계에 대한 신중한 분석을 추정하는 모델은 임상 전문 지식의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해리슨의 내과학 원리는 폐렴과 폐 혈전 색전증 (PTE)의 징후로서 호흡 곤란을 나타냅니다.

One need not look very far to recognise that medical educators have traditionally focused on what are known as ‘analytic’ models of clinical reasoning; models that presume a carefu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signs and symptoms and diagnoses are the hallmark of clinical expertise. For example,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presents shortness of breath as an indication of both pneumonia and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감별진단 목록을 생성하고 적절한 진단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각 진단에 상대적인 확률로 가중치를 부여 할 수 있습니다.

Generation of a differential list of relevant diagnoses and application of an appropriate diagnostic algorithm then allows each diagnosis to be weighted in terms of its relative probability.6


Bayes의 정리 또는 회귀 분석을 사용한 임상 추론 모델은 이러한 추론의 유형을 가장 잘 나타냅니다 .7,8 간단히 말해,이 모델은 의사가 특정 진단이 나타날 수있는 선험적 확률과 각 증거를 진단과 연관시키는 조건부 확률을 알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그림 1에 나와있는 이 과정은 근거 중심의 의학 운동에 가까운 사람들에 의해 계속해서 촉진되고있다.

Clinical reasoning models that incorporate Bayes’ theorem or regression analyses best represent this form of reasoning.7,8 Briefly, these models assume that physicians are aware of the a priori probability with which a particular diagnosis may present and the conditional probability associating each piece of evidence with the diagnosis. This process, illustrated in Fig. 1, continues to be promoted by individuals close to the evidence-based medicine movement.9,10


실제로 다양한 전문성 모델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석 프로세스가 사용되었습니다 .13-15 그러나 어떤 모델이든, 그것의 근간은 기능 (예 : 증상 및 증상)과 범주 (예 : 진단)를 연결하는 인과관계의 규칙이 세계로부터 추출 될 수 있으며, 임상 추론에 대한 전문성의 개발은 규칙을 더 개발하고 정교화하여 현실에 점점 더 부합되게 만드는 것이다. 

In fact, analytic processes have been used in many ways across different models of expertise.13–15 At the heart of each approach, however, is the fundamental belief that causal rules linking features (e.g. signs and symptoms) to categories (e.g. diagnoses) can be extracted from the world and that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clinical reasoning consists of the development and elaboration of rules that become more and more attuned to reality. 


임상 적 추론에 대한 이러한 견해에서 교육자의 임무는 그러한 규칙의 개발을 촉진하는 것이다. 임상 교사는 학생에게 '객관적일 것'을 요구하고, '진단 가설을 생성하기 전에 사용 가능한 모든 증거를주의 깊게 고려하십시오'라고 권고합니다.

This view of clinical reasoning suggests that the educator’s task i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uch rules.

a clinical teacher admonishes a student to ‘be objective’ and ‘carefully consider all the evidence available before generating diagnostic hypotheses’.




그러나 위에 열거 한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지난 15 년 동안 점점 더 많은주의를 기울여 왔습니다.

There is, however, another way to solve the problem described above – one that has received increasing amounts of attention over the past 15 years.


'120을 10으로 나눈 값이 무엇입니까? '라고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12'라고 신속하고 쉽게 응답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하게, 임상의는 종종 추론에 '이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패턴 인식"이라고 불리는 것은, 그림 2에 나와있는 보다 일반적인 형태의 '비 분석적 추론'으로서, 본질적으로 현재의 사례를 과거에 경험 한 사례와 비교하고, 이러한 과거의 경험을 사용하여 특정 사례가 특정 진단 카테고리에 속할 확률에 관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다. 

When asked, ‘What is 120 divided by 10?’, most of us can quickly and effortlessly respond ‘12.’ Clinicians are similarly often in such a position that they need not ‘reason’ at all. Referred to as pattern recognition in some circles, the more general form of ‘non-analytic reasoning’, illustrated in Fig. 2, essentially amounts to comparing the current case to those that have been encountered in the past and using these past experiences to make judgements regarding the probability that any particular case belongs within a particular diagnostic category.17,18



이러한 '추론'의 형태는 conscious awareness 없이도 종종 자주 일어날 수 있어, sufficient automaticity로 발생한다고 가정됩니다. 인간은 우리 행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해야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현실적으로 우리 행동과 의사 결정의 원천은 종종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습니다.

This form of ‘reasoning’ is hypothesised to occur with sufficient automaticity to make it often take place without conscious awareness. Despite the tendency we as humans have to offer explanations for our actions, in reality the sources of our behaviour and decisions are often unknown to us.4


임상의가 진단 적 결정에 도달하기 위해 비 분석적 과정을 사용한다는 증거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 예를 들어, Brooks et al. 지각학적으로 상당히 구별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전에 보인 경우와 유사한 피부병의 경우 진단 정확도가 더 높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더 나아가 Hatala 등은 진단적으로 관련성이없는 특징(예 : 은행가)조차도, 그 관련없는 정보가 유사한 경우 후속 사례의 진단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다.

the evidence that clinicians use non-analytic processes in reaching diagnostic decisions is indisputable.19 For example, in a series of studies Brooks et al. showed that diagnostic accuracy is higher for dermatological cases that are similar to cases seen before relative to cases that are perceptually quite distinct.20 Furthermore, Hatala et al. reported that even diagnostically irrelevant features of a case (e.g. being a banker) have an impact on the diagnosis of subsequently presented cases in which the irrelevant piece of information is similar.21


임상 의사 결정의 비 분석적 기반을 사용하는 능력은 전문 지식에 따라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두려워하여 의대생에게 패턴 인식의 사용을 지지해서는 안된다고 주장되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주니어 의과대학생이 사용하는 전략과 경험이 풍부한 의사가 사용하는 전략이 서로 질적으로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보다 직접적으로, 학생들이 분석적 방식으로 추론했을 때를 비분석적으로 추론했을 때와 비교한 경우, 초보자들 사이에서도 비 분석적 추론을 사용하도록 훈련받은 그룹에서는 진단 정확도가 (적어도 좋지는 않더라도) 비슷한 정도를 보였다. 판단의 비 분석적 근거는 추론의 분석적 형태보다 열등하지 않으며 임상 교사는 과거 사례와의 유사성이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음을 학생들에게 알려야합니다.

It has been argued that the ability to use non-analytic base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increases with expertise and, as a result, the use of pattern recognition should not be advocated among medical students for fear of ‘potentially grim consequences’.22 (p 699) In reality,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strategy employed by even the most junior medical students is qualitatively indistinguishable from that employed by experienced doctors . More directly,whenever the advantage of teaching students to reason in an analytic manner has been explicitly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teaching students to trust in their non-analytic judgements, diagnostic accuracy has been at least as good if not better in the group trained to use non-analytic reasoning, even among relative novices.22,32 Non-analytic bases of judgement are not inferior to more analytic forms of reasoning and clinical teachers should inform their students that similarity to past instances can serve as a useful guide.




분석적 추론과 비분석적 추론의 결합 전략

THE UNION OF ANALYTIC AND NONANALYTIC REASONING STRATEGIES


즉, 임상 적 추론에 대한 비 분석적 접근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진단 오류의 원인이 될 수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첫인상은, 유용하지만, 종종 경험이 많은 임상의들 사이에서도 부정확합니다.

That being said, it does appear to be true that excessive reliance on non-analytic approaches to clinical reasoning can be a source of diagnostic error. First impressions, while useful, are often incorrect, even among experienced clinicians.24



Eva는 이러한 편향이 비 분석 처리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 기인한다는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사례에 존재하는 증거 (즉, 더 많은 분석 처리를 촉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명령)를 명시 적으로 나열하는 간단한 지시가 이러한 유형의 편견을 제거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Eva has provided evidence that these biases derive from excessive reliance on non-analytic processing; simple instruction to explicitly list the evidence present in a case (i.e. an instruction that can be anticipated to promote more analytic processing) was found to be sufficient to eliminate this type of bias.27


임상 교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이 두 가지 형태의 가공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을 인식해야합니다. 결과적으로 임상 적 추론의 최적 형태는 분석 및 비 분석 프로세스가 역할을 하는 additive model로 간주되어야합니다. 이러한 모델 중 하나가 그림 3에 나와 있습니다.

Where does this leave the clinical teacher? First, it must be recognised that these two forms of processing are not mutually exclusive. As a result, the optimal form of clinical reasoning should be considered an additive model in which both analytic and non-analytic processes play a role. One such model is illustrated in Fig. 3.


초보자와 전문가 모두 양방향 흐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8 새로운 사례를 접하는 초기 단계에서 비 분석 처리가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분석 처리는 가설 테스트에서 지배적 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 두 가지 형태의 추론은 상당한 상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한다. 이 두 추론방식은 연속체상에 배치되어있다기 보다는, 임상 추론 과정의 전체적인 정확성에 보완적 기여를하며, 각각 다른 것에 영향을 미친다 .29-31

The bi-directional flow can be expected to occur in both novices and experts.28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ile non-analytic processing is expected to dominate during the initial phases of considering a new case and analytic processing is expected to play a dominant role in hypothesis testing, these two forms of reasoning should be viewed as being very interactive; rather than lying along a continuum, they are instead complementary contributors to the overall accuracy of the clinical reasoning process, each influencing the other.29–31



  • 분석적 기법만을 사용하도록 지시받은 학생들은 가상의 급류 임상 특징에 휩싸여, 관찰 된 패턴을 단일한 진단 실체와 조화시키기가 어렵다는 것이 분명 해졌다. 

  • 반대로 분석적 확인을 수행하지 않으면, 고도로 숙련 된 임상의들 조차도 조기 종결 및 진단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it appeared clear that students who were instructed to use purely analytic techniques found themselves awash in a virtual torrent of clinical features, making it difficult to reconcile the observed pattern with a single diagnostic entity. 

  • Furthermore, other work suggests that failure to perform an analytic confirmation results in premature closure and diagnostic errors, even among highly experienced clinicians.24




결합의 'State'

THE ‘STATE’ OF THE UNION


학생들을 '좋은 문제 해결 자'또는 '분석 및 비 분석 처리의 훌륭한 조정자'가되도록 양성하는 임상 교사의 필요성을 추론하는 것은 쉽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구식이고 정확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심지어 같은 전문분야 내에서도) 특정 임상 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책이 다른 임상 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책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한다는 강력한 발견 때문이다. 추론 능력은 개인에게 할당 될 수있는 '특성'이 아닙니다. 의심 할 여지없이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은 진단자이지만, 임상 교사는 문제가 놓인 맥락(즉, 'state')이 의사 결정의 정확성과 두 추론전략 사이에서의 최적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해야합니. "맥락"은 상황적 요소 (예 : 임상 설정 및 최근 발표 된 사례)와 개인적 요인 (예 : 임상의의 경험 및 현재의 사고와 의견)을 모두 포함합니다.

From the above description of clinical reasoning it is easy to infer the need for clinical teachers to nurture students to become ‘good problem solvers’ or ‘good co-ordinators of analytic and non-analytic processing’. Such views of the diagnostic process are outdated and inaccurate, because of the robust finding that the successful solution of a particular clinical problem does not accurately predict the successful solution of another clinical problem, even within an area of specialisation.34,35 Reasoning ability is not a ‘trait’ that can be assigned to an individual. Undoubtedly some individuals are better diagnosticians than others, but clinical teachers must recognise that the context within which a problem is being addressed (i.e. the ‘state’) has a major impact on the accuracy of the decisions reached and the optimal balance between potential reasoning ‘strategies.’ ‘Context’ includes both situational factors (for example the clinical setting and cases that have been present recently) and personal factors (for example the experience of the clinician and current thought and opinion).



학생들에게 균일한 교과 과정을 제공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어떤 두 명의 학생은 정확히 같은 경험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임상 진료에 대한 state-based conception은 아마도 학생들에게 임상 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여러 가지 전략이 제공되어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 일 것입니다.

Despite attempts to offer students a uniform curriculum, no two students ever have exactly the same experiences. This state-based conception of clinical practice is perhaps the most fundamental reason for ensuring that students are provided with multiple strategies that might enable them to work through a clinical problem.


어떠한 단일한 construct도 임상 추론만큼 넓은 영역에서의 '전문가'라는 용어를 완전히 정의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비유로 독서 전문성의 개발을 고려하십시오. Levy와 Hinchley는 독서 능력의 구성 요소 기술 분석을 수행하면서 일련의 11 가지 독서 테스트를 실시하여 열등한 독자보다 우수한 독자가 평균적으로는 더 좋았지만, 모든 독자는 몇 가지 강점과 약점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사실 56 % 의 우수한 독자는 하나 이상의 테스트에서 부족함을 보였으며, 열등한 독자의 58 %는 하나 이상의 테스트에서 우수한 기술을 보여주었습니다.

With this in mind, it becomes unlikely that any single construct will ever fully define the term ‘expert’ in a domain as broad as clinical reasoning. By way of analogy, consider the development of reading expertise. In performing a component skills analysis of reading ability, Levy and Hinchley administered a series of 11 reading tests and found that while poor readers were on average worse than good readers, any individual reader had some strengths and some weaknesses.36 In fact, 56% of the good readers exhibited performance deficits on one or more tests and 58%of the poor readers showed superior skill on one or more tests.




함의

IMPLICATIONS FOR CLINICAL TEACHERS


우선 이 리뷰는 사례를 중심으로 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초기 학생들은 정신적 인 사례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하기 시작하면서 비 분석 프로세스가 기여할 수있는 확고한 토대를 빨리 개발할 것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의학 교육자에게는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좋은 교육학의 기본 원칙입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새로운 것은 몇 가지 복잡하고 정교한 사례가 효과적인 교육 도구로서 차선책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인식입니다. 맥락 특이성 문제를 해결하고 analogy에 기반한 추론을 위해서는 적절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

  • 많은 예가 보입니다.

  • 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 이 예는 특정 조건이 존재하는 방법의 범위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First and foremost this review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eaching around examples. The earlier students begin to accumulate a mental database of cases, the sooner they will develop a firm foundation on which to allow non-analytic processes to contribute. This idea is not new to medical educators – it is a fundamental principle of good pedagogy. What is relatively new, however, is the recognition that a few complex and elaborate examples are likely to be suboptimal as effective teaching tools. Context specificity and the need to build up an adequate database from which to reason by way of analogy demand

  •  that many examples be seen,

  •  that students be enabled to actively engage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  that the examples provide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range of ways in which specific conditions present.34



임상 교사 및 커리큘럼 계획자는 학생들이 교육적으로 유용한 사례에 적절히 노출될 수 있도록 보장해야합니다.

clinical teachers and curriculum planners is required to ensure that students receive adequate exposure to pedagogically useful cases.


둘째, 임상 교사는 적어도 Flexner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임상 교육에 대한 전통적인 2 단계 접근법이 부적절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이 전략은 정확한 진단에 도달 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지, 유일한 방법이 아닙니다. 유사하게, 단순히 병동에서 일하면서, 일련의 환자들과 상호 작용하더라도, 사례의 기본 원칙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면 미래 사례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 할 수있는 방법 중 하나를 약화시킴으로써 학생들에게 불만을 줄 수 있습니다.

Second, clinical teachers should recognise that the traditional 2-stage approach to clinical teaching, dating back at least as far as Flexner,39 may be inappropriate. It must be recognised, however, that this strategy provides a way of reaching the correct diagnosis, not the way. Similarly, simply working on a ward and interacting with a series of patients without additional focus on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the cases may do students a disservice by weakening one of the avenues by which they might be able to derive solutions to future cases.


셋째, 사례를 통한 연습은 결과 지식의 최종 사용 방식을 모방하는 형태로 진행되어야합니다. 임상의가 진단이 알려진 새로운 경우에 접하는 경우는 드물다. 챕터 주제 (또는 강의 주제)의 결과로 이미 진단을 알고있는 교과서 사례를 통해 학습하는 것은 환자가 병동에 왔을 때 학생이 해당 진단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습니다.

Third, practice with cases should proceed in a way that mimics the eventual use of the resulting knowledge. Clinicians rarely encounter a novel case in which the diagnosis is known. Working through textbook cases in which one already knows the diagnosis as a result of the chapter topic (or the topic of the lecture) does not enable the stud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would be able to recognise the case if it were to show up on the ward.


많은 연구자들은 학생들이 여러 범주의 사례가 서로 섞여있는 'mixed practice'가 교육학적으로 이상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른 진단 범주에서 다음 사례 블록으로 진행하기 전에 학생들이 한 진단 범주의 사례 블록을 통해 작업하는 blocked practice과 반대되는 방식).

many investigators have shown that ‘mixed practice’ in which students see cases of multiple categories mixed together (as opposed to blocked practice in which students work through a block of cases from one diagnostic category before proceeding to the next block of cases froma different diagnostic category) is pedagogically optimal.42,43


또한 임상 교사는 학생들이 여러 문제 사이에서 자발적으로 의미있는 비교를 할 것으로 의존해서는 안됩니다. 학생들은 표면적으로 서로 구분되는 문제의 근본적인 개념에서 유사점을 식별하라는 명시적인 지시를 받았을 때 analogy를 통해 성공적으로 추론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4 이와 같이, 가능할 때마다 새로운 사례에 내재된 원리와 과거의 사례에 내재된 원리가 서로 연관되어 제공되어야 합니다.

Furthermore, clinical teachers should not rely on students to make meaningful comparisons across problems spontaneously. Students are much more likely to successfully reason by way of analogy when they have been explicitly instructed to attempt to identify similarities in the underlying concepts of superficially distinct problems.44 As such, principles inherent in novel examples should be related back to those inherent in past examples whenever possible.


마지막으로, 임상 추론의 유연성과 맥락 특이성의 prevalence는 학생평가에 매우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이 정확한 진단 또는 관리 계획을 제공했기 때문에 그 과정을 구성하는 생리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했을 것으로 가정해서는 안됩니다. 맥락 특이성에 시달리는 영역(즉, 모든 영역)에서는, 학생의 수행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평가에 대한 '다중 생검'접근법이 필요합니다. 후향적으로 보았을 때, 상황 특이성은 트리플 점프, 환자 관리 문제, 긴 에세이 및 구술 시험과 같은 평가 운동의 poor한 psychometric quality에 주요한 원인이된다는 것이 분명 해졌다.

Finally, the flexibility inherent in clinical reasoning and the prevalence of context specificity has very real implications for clinical teachers’ evaluation of trainees. One should not assume that because a student has provided an accurate diagnosis and⁄ or management plan, he or she fully understands the phys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process. In domains that are afflicted by context specificity (i.e. all domains), a ‘multiple biopsy’ approach to evaluation is required to accurately assess a student’s performance. In hindsight it has become clear that context specificity is a major contributor to the poor psychometric qualities of evaluation exercises like the triple jump, patient management problems and long essay and oral examinations.46








 2005 Jan;39(1):98-106.

What every teacher needs to know about clinical reasoning.

Author information

1
Program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Department of Clinical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L8N 3Z5, Canada. evakw@mcmaster.ca

Erratum in

  • Med Educ. 2005 Jul;39(7):753.

Abstract

CONTEXT:

One of the core tasks assigned to clinical teachers is to enable students to sort through a cluster of features presented by a patient and accurately assign a diagnostic label, with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y being the end goal. Over the last 30 year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debate within the health sciences education literature regarding the model that best describes how expert clinicians generate diagnostic decisio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ovide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clinical reasoning for frontline clinical teacher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fferent approaches to clinical reasoning will be examined using one of the core divides between various models (that of analytic (i.e. conscious/controlled) versus non-analytic (i.e. unconscious/automatic) reasoning strategies) as an orienting framework.

DISCUSSION:

Recent work suggests that clinical teachers should stress the importance of both forms of reasoning, thereby enabling students to marshal reasoning processes in a flexible and context-specific manner. Specific implications are drawn from this overview for clinical teachers.

PMID:
 
15612906
 
DOI:
 
10.1111/j.1365-2929.2004.01972.x
[Indexed for MEDLINE]


임상에서 배우기: 배움의 단서와 신뢰도 판단(Med Educ, 2012)

Learning from clinical work: the roles of learning cues and credibility judgements

Christopher Watling,1 Erik Driessen,2 Cees P M van der Vleuten2 & Lorelei Lingard3





도입

INTRODUCTION


의학 교육자가 학습을 용이하게하는 환경을 제공하려면 학습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In order for medical educators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learning,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are most influential in learning is required.


임상 교사가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관한 많은 관심은 피드백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4-7 많은 요소들이 학습자가 피드백을 인식하고, 해석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 내과 레지던트의 피드백에 대한 인식을 연구 한 한 연구는 레지던트들이 행동 계획의 개발을 유도하는 시기 적절하고 사적인 피드백을 중시했지만, 발신자가 신뢰할만한 것으로 인식하지 못한다면 피드백을 거부 할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 교육 과정 평가에 대한 레지던트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이 과정에서 받은 피드백의 가치는 다음에 영향을 받는다

    • 평가자의 신뢰와 참여에 대한 그들의 인식,

    • 건설적인 비판에 대한 그들 자신의 수용성,

    • 자기 평가와 같이 자기 실적에 대한 다른 정보 출처에 대한 신뢰도.9

  • 자기 평가 메커니즘에 대한 탐구는 개인이 자기 자신의 수행에 관한 다양한 정보 출처에 접근하고, 해석하고 이에 반응하는 유사하게 복잡한 과정을 제안했으며, 이 출처는 외부 (예 : 피드백)와 내부 (예 : 감정적 인 상태)가 있다

Much of the attention around how clinical teachers can influence learning has focused on the provision of feedback.4–7 Many factors affect how feedback is perceived, interpreted and used by learners. 

  • One study exploring internal medicine residents’ perceptions of feedback found that residents valued well-timed, private feedback that fostered the development of an action plan, but might reject feedback if they did not perceive the sender as credible.8 

  • An exploration of residents’ perceptions of in-training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value learners placed on the feedback they received in this process was influenced by 

    • their perceptions of the evaluator’s credibility and engagement, 

    • their own receptivity to constructive criticism, and 

    • the extent to which they trusted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ir performance, such as self-assessment.9 

  • Explorations of self-assessment mechanisms have suggested a similarly complex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access, interpret and respond to a variety of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ir own performance, both external (such as feedback) and internal (such as their emotional state).


학은 학습자가 스스로 조절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위한 전략을 선택하고, 목표에 대한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할 때 향상됩니다 .11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의 현재 상태가 학습 목표와 관련이 있는가를 보여주는 정보에 접근하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것에 기반한다.11,12 피드백은 자기조절의 중요한 촉진제로 널리 받아 들여지지만, 학습자가 그것을 수용하거나 이해할지는 straightforward하지도, 확실하지도 않다.

Learning is enhanced when learners are self-regulating, actively engage in setting learning goals, select strategies for achieving these goals and monitor their progress toward these goals.11 Self-regulation hinges on learners being able to access and interpret information that indicates how their present state relates to their learning goals.11,12 Although feedback is widely accepted by educators as a valuable facilitator of self-regulation,11 its acceptance and uptake among learners are neither straightforward nor assured.




학습자는 실제로 무엇을 배워야하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 출처를 제공받으며 이 정보 중 어느 것이 주의를 요하는지 결정해야합니다. 따라서 의학 학습자가 정보를 분류하고 해석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더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Learners are, in fact, presented with many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what should be learned and must make decisions about which of this information requires their attention. Hence, there is a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process by which medical learners sort, interpret and integrate information as they learn.


이 연구에서는 의사가 학습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식한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의미있는 학습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이러한 경험의 구성 요소와 특성을 탐구합니다. 우리는 어떤 경험이 영향력있는 것으로 여겨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학습자들에게 resonate 할 수 있는 이유를 묻습니다.

In this study, we focus on experiences perceived by doctors as having been influential in their learning, and explore the constitu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experiences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meaningful learning to occur. We ask not only what experiences are considered influential, but also what allows these experiences to resonate with learners.



방법

METHODS


To elaborate an explanatory theory of how medical trainees are influenced in their learning, we used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in which the vantage points of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alike are accounted for as the data are interpreted.13 The constructivist approach further implies that existing relevant literature, including that exploring perceptions of medical learning, self-assessment and feedback,2,3,10,14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our research questions and interview probes, and provided sensitising concepts that informed the data analys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eded in an iterative fashion. A purposive sample of early-career academic faculty staff was recruited from a single, large Canadian medical school. All faculty staff within the first 5 years of their initial academic appointment were sent an e-mail introducing the study and inviting their participation. This group was targeted as it was anticipated that these individuals would have the benefit of reflective distance from their training, but remained close enough to training to recall important details.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university’s ethics committee.


Twenty-two (10 male, 12 female) faculty members representing a range of medical and surgical specialties (internal medicine, n = 3; psychiatry, n =4; oncology, n = 3; surgery, n = 4; neurology, n =4; paediatrics, n = 3; medical genetics, n = 1) participated in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s lasting up to 1 hour.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without identifying data. Interview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customary in grounded theory.15 Analysis occurred alongside and informed data collection: initial transcripts were read in detail and emerging themes were identified, some of which were specifically explored in subsequent interviews using new interview probes. Transcripts were repeatedly re-examined as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mpleted to provide ongoing comparisons across the dataset, a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a robust coding scheme for organising and classifying data thematically. Consistent with a theoretical sampling approach, data collection continued until saturation of themes was achieved. 

  • Once the coding scheme was refined, the complete dataset was analysed with the goal of raising the analytic level from the categorical to the conceptual. 

  • This final level of analysis involved elabor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cepts, and identifying an interpretive model that would account for the data and render them meaningful.13 

  • Finally, we examined our emerging model in the light of existing theories and considered how our findings elaborated or challenged these theoretical constructs.



결과

RESULTS


우리의 데이터에서 나오는 것은 임상 학습의 모델이었습니다. 그 핵심은 임상업무 그 자체입니다 : 임상 경험이 축적되고 그것을 처리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들이 임상 업무에 참여할 때, 학습자는 경험의 해석과 지식의 구조를 촉진시키는 다양한 정보 소스 또는 '학습 단서'를 마주친다. 이러한 단서에는 피드백, 역할 모델, 임상 결과, 환자 또는 가족 반응, 또래와의 비교가 포함됩니다. 단서는 [정보 신뢰성에 대한 학습자의 판단]과 [미래의 성과를 형성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에 대한 성찰에 따라 통합된다. 학습자 자신의 태도와 가치를 비롯한 다양한 학습 조건은 이러한 신뢰성 판단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성찰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이 모델의 각 요소는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Emerging from our data was a model of clinical learning, the core of which is the clinical work itself:learning occurs through the accumulation and processing of clinical experiences. As they participate in clinical work, learners can attend to a variety of sources of information, or ‘learning cues’, that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from it. These cues include feedback, role models, clinical outcomes, patient or family responses, and comparisons with peers. The integration of a cue depends on the learner’s judgement of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and his or her reflection on how it should be used to shape future performance. Various learning conditions, including the learner’s own attitude and values, shape how these credibility judgements are made and how reflection proceeds. Each element of this model, illustrated in Fig. 1




임상 업무에서의 학습

Learning from clinical work


관련 임상 경험의 축적은 모든 참가자들에 의해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었습니다.

The accumulation of relevant, hands-on clinical experience was highly valued by all participants:


많은 참가자들은 종종 영향을 받은 임상 사례를 생생하게 회상 할 수있었습니다. 부정적인 결과나 강한 감정적 반응을 일으킨 사례가 특히 기억에 남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참가자 중 한 명은 훈련 중 수술 사고를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나타났습니다.

Many participants were able to recall influential clinical cases with striking clarity, often years after their occurrence. Cases with negative outcomes or cases that engendered a strong emotional response seemed especially memorable, as one participant noted in reference to a surgical mishap during training:


'그일은 내 마음 속에 아주 생생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거의 ​​모든 세부 사항을 기억하고 있습니다.'(P21)

‘It’s something that sticks in your mind very vividly and you remember almost every detail.’ (P21)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학습하는 것 외에도, 참가자들은 직장에서 숙련 된 개인을 관찰할 기회를 중요시했습니다.

In addition to learning by doing, participants valued opportunities to observe skilled individuals at work.



배움의 단서

Learning cues


피드백

Feedback


감독자로부터의 건설적인 피드백이 훈련의 핵심 요소가되어야한다는 견해를 받아 들였지만, 진정으로 영향력있는 피드백이 드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음과 같은 의견에 의해 전달 된 감정의 덜 극단적 인 버전이 널리 표현되었습니다 :

Although participants embraced the notion that constructive feedback from supervisors should be a key element of medical training, their stories suggested that truly influential feedback was uncommon. Less extreme versions of the sentiment conveyed by the following comment were widely expressed:


많은 참가자들은 임상 경험 자체에서 학습 경로는 종종 명확하고, 임상 경험에서 배운 내용을 간단히 확인하는 정도의 피드백은 별다른 가치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인식했습니다. 영향을 준 피드백의 특성으로는 즉각성, 진행중인 임상 업무와의 확실한 관련성, 학습자 자신의 평가 및 가치와의 일치 등이 있습니다.

Many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learning path was often clear from the clinical experience itself, and that feedback that simply confirmed the content learned from the clinical experience provided little additional value. Examples of influential feedback that did emerge shared certain characteristics, including: 

        • immediacy, 

        • firm grounding in the clinical work at hand, and 

        • alignment with learner self assessment and values.


피드백이 도움이 된 한 가지 상황은 학습자가 임상 정보를 해석하기가 어렵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어려운 경험에 대한 debriefing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One circumstance in which participants did recognise the value of feedback was in the debriefing of difficult experiences, when the clinic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earner was difficult to interpret or potentially misleading.






롤모델

Role models


역할 모델은 학습에 중요한 것으로, 학습자가 열망할 수 있는 관찰 가능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도움을줍니다.

Role models, identified by every participant as critical to their learning, cue learners by providing observable standards to which they can aspire.


'나는 그가 말한 것에서 배운게 아니라, 그를 모방함으로써 배웠다.'(P15)

‘I learned from him by emulating, not at all by what he said.’ (P15)


많은 참가자들은 '롤모델들은 자신들이 그러한 영향력이 있음을 모를거라'고 생각했습니다.

Many participants suspected that their role models were unaware that they served in this capacity:



임상 성과

Clinical outcomes


임상 결과는 학습자의 성공에 대한 유형의, 객관적인 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Clinical outcomes were viewed as providing tangible, objective cues to the success of learner performance.


그러나 일부 참가자는 성과 및 진행 상황의 지표로서 임상 결과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을 우려했다. 임상 업무는 본질적으로 variability가 있어서, 임상 결과가 행운과 기회에 영향을받을 수 있으며 임상 시나리오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식하게했습니다.

However, some participants sounded notes of caution about over-reliance on clinical outcomes as indicators of performance and progress. The inherent variability of clinical work led some to recognise that learning outcomes may be subject to luck and chance and may vary according to how a clinical scenario plays out:


결과적으로 나쁜 결과가 항상 무능력의 신호일 수는 없으며, 마찬가지로 좋은 결과가 항상 좋은 역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In effect, a poor outcome may not always be a reliable signal of incompetence, and a good outcome may not always indicate competence.





환자와 가족의 반응

Patient and family responses


환자와 가족의 반응과 반응은 두 가지 방법으로 학습 단서 역할을합니다. 첫째, 학습자는 감독자를 관찰할 때 환자와 가족의 반응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으며, 롤모델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고, 어떤 행동을 모방해야 할 것인지 결정할 때 도움이 된다.

The reactions and responses of patients and families serve as learning cues in two ways. Firstly, learners attend to these responses as they observe their supervisors at work and use them to guide their selection of role models and their determination of which behaviour to emulate:


'어떤 의사가 아주 가혹하고 매우 임상적인 방식으로 제거 할 수없는 악성 종양에 소식을 전하였을 때, 그 의사가 방을 나간 다음, 그들의 가족은 완전히 황폐화되었습니다. 나는 아마 이 일을하는 더 좋은 방법이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 나는 그 때 그것을 어떻게 생각 하겠는가를 기억한다. "(P19)

‘I saw someone delivering the news to someone of a malignancy that couldn’t be removed, and it was done in a very kind of harsh and very clinical way. Then the staff person left the room and that person, their family, was just completely devastated. I thought, there’s probably a better way to do this... I remember at that time thinking that’s not how I would do it.’ (P19)


둘째, 환자 및 가족 반응에 대한 학습자의 관찰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직접적인 지침이됩니다.

Secondly, learners’ observations of patient and family responses serve as a direct guide to the quality of their own performance.


(기대에 대한) 부합

Measuring up


학습자가 사용하는 또 다른 단서는 존경받는 감독자가 설정 한 기대치 또는 동료 성과에 대해 그들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부합했는지에 대한 인식에 관한 것입니다. Round가 열릴 때, 학습 환경에서 질문에 응답하도록 요청받는 것과 같은 공개 학습은 이러한 측정 프로세스를 명시 적으로 나타냅니다. 한 참가자는 '그룹 환경에서의 실패 또는 당황에 대한 두려움은 매우 강력합니다'(P21) 고 했으며, 다른 참가자는 '내 동료 앞에서 믿을만한 선생님에 의해 굴욕을 당하는 것 만큼 동기부여가 되는 것도 없다.'(P3) 자신이 '기대에 부합하고 있다'는 것은 또한 매우 안심할 수 있으며, 자신의 학습자 또는 독립적 인 연습을위한 준비 상태보여줄 수 있습니다.


Another cue used by learners concerns their perceptions of how effectively they measured up, either to expectations set by respected supervisors or to peer performance. Public learning, such as being asked to respond to questions in a rounds setting, makes explicit this process of measuring up. One participant acknowledged that ‘fear of failure or of embarrassment in a group setting is very powerful’ (P21) and another commented: ‘Nothing will motivate me like humiliation by a credible teacher in front of my peers.’ (P3) Knowing that one is ‘measuring up’ can also be very reassuring, and can persuade a learner of her or hi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학습 조건

Learning conditions


학습자가 임상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서를 통합하는 과정은 우리가 '학습 조건'이라고 부르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의 영향을받습니다. 학습을위한 내부 조건 중 많은 참가자들은 학습에 개방적인 태도를 중요시했다.

The process by which learners incorporate the cues that arise from their clinical work is influenced by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ich we have termed ‘learning conditions’. Among internal conditions for learning, many participants saw value in an attitude of openness to learning,


'... 그들이 배워야한다는 것을 알고 있고, ... 스스로 겸손 해지고 사람들로부터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알고있는 사람.'(P12)

‘…someone who knows that they’re there to learn and who can… humble themselves a bit and understand that you can learn from people.’ (P12)



이러한 개방성은 학습자가 임상 환경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가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가치에 공감하는 사람일수록 더 의미가있을 수 있습니다.

This openness is influenced by the personal values the learner brings to the clinical setting so that experiences and people that resonate with these values are more likely to be meaningful.


데이터 세트 전반에 걸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 한 외부 조건은 학습자에게 자율권을 제공하는 것이 었습니다. 학습자가 자신의 임상 업무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있는 기회는 다음과 같이 강력하게 동기 부여되었습니다.

An external condition that emerged as powerfully influential across the dataset referred to the provision of autonomy to the learner.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take ownership of their clinical work were strongly motivating:


우리가 로테이션에서 더 많은 자유를 얻었기 때문에 ... 더 독립적으로 행동하려고 했다. "와우, 우리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 미래를 위해서, 환자를 위해서, 그리고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서 이 모든 것을 알 필요가있다. 

Because we were given more freedom in our rotations... to act more independently, we started to go, ‘‘Wow, we really need to know this stuff for our own sake, for the future, for our patients, to be able to be good physicians.’’’ (P6)


학습자의 자율성은 necessary facilitator of transition to practice이며, 독립적으로 수행 할 수있는 능력은 역량에 대한 매우 신뢰할 수있는 지표입니다.

Later in training, learner autonomy is a necessary facilitator of transition to practice, and the ability to perform independently is a highly credible indicator of competence:


'나는 내가 역량을 충분히 가졌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사실 독립적으로 진료를 해야하는 상황이 와서야 내가 진짜로 아는 것이 아니었음을 깨달았다.'(P19)

‘I think I felt I was competent but I didn’t really know until... I was forced in situations to operate independently.’ (P19)



신뢰도 판단

Credibility judgement


이 임상 학습 모델의 핵심은 신뢰도 판단과정으로서, 이 때 학습자는 제시된 학습 단서를 학습자가 정렬하고 가중치를 매기고, 가치를 부여하며, 어떤 정보를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할 때 통합해야하는지, 아니면 어떤 정보를 무시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들이 임상 업무에 참여할 때, 학습자는 이러한 단서를 사용하여 교사 나 동료에서 관찰 한 행동 중 어느 것을 따라해야 하고 그러지 말아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들 자신의 행동과 접근법 중 어느 것이 미래에도 유지되어야 하는지, 수정이나 조정이 필요한것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잇다.

At the heart of this model of clinical learning is the process of credibility judgement, in which learners sort, weigh and assign value to the learning cues presented to them, deciding which information must be integrated into their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which information can be dismissed. As they participate in clinical work, learners use these cues to make decisions about which of the behaviours they observe in teachers or colleagues merit emulation and which should be ignored, and which of their own actions and approaches should be retained in future events and which require modification or adjustment.


 믿을 만하다고 판단되는 단서만 학습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합니다.

our model suggests that only those cues judged as credible become influential in shaping learning.


그러나 모든 학습 단서가 신뢰도에 대해 비판적인 검토를 거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의 피드백은 신뢰성에 대한 질문을 반드시 거친 다음에야 받아들여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부정적인 피드백은 특히 비판적으로 면밀히 조사되지만, 신뢰도가 적절하다면 크게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피드백이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피드백 메시지가 학습자의 자체 평가와 일치해야합니다.

However, not all learning cues are subjected to the same degree of critical review of their credibility. Feedback from teachers, for example, appears to be rarely accepted without being subject to questions about its credibility. Negative feedback is scrutinised especially critically, but can be strongly influential if its credibility is accepted. Acceptance may require the message of the feedback to be aligned with the learner’s self-assessment:


피드백에 대한 신뢰성 판단은 피드백 소스를 학습자가 얼마나 존중하는지에 영향을받습니다. 존중은 임상가로서의 성과에 따라 달라진다. 감독자의 비 정통 스타일이 학습자의 의견에 대한 존경심을 감소시키지 않는 이 예에서와 같이 학습에 대한 스타일은 영향이 적다

Credibility judgements about feedback are also influenced by the learner’s respect for the source of the feedback. Respect seems to derive largely from that individual’s performance as a clinician, rather than his or her style of relating to the learner, as in this example in which a supervisor’s unorthodox style did not diminish the learner’s respect for his opinion:



'카우보이로 알려진 한 컨설턴트가 있었는데 사람들을 많이 싫어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완전히 다르게, 그러나 그는 최고의 임상적 통찰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뭔가를 하자고 하거나, 또는 그가 당신이 무언가를 한 방식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중요한 것이다... 그것은 정말로 중요했습니다.

‘There was one consultant who was known as a cowboy who did things often just to spite people, completely differently than the way everybody else did them, but who had the best clinical acumen of anybody... And so when he said to do something a certain way or when he didn’t like the way you had done something, it mattered… it really mattered.



또한, 존중은 훈련을 통해 진화하는 역동적인 구성입니다.

Furthermore, respect is a dynamic construction that evolves through training:


'처음 레지던트를 시작할 때에는 정말로 알지 못합니다 - 모든 사람들은 똑같습니다. 그들은 모두 컨설턴트이고 똑같이 지식이 풍부해 보인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연습하고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행동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말하는 내용이 나머지 부분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또한 그 사람의 행동을 나머지 [medical] 커뮤니티가 어떻게 보고있는지도 알 수 잇다.

‘When you first start off in residency you don’t really know – everyone is kind of the same. They’re all consultants and they’re all equally knowledgeable... but then over time you sort of watch them practise a bit and see how they behave and how they act and whether what they say is in agreement with what the rest of the [medical] community says.


감독관에게 주는 존경심에서 오는 신뢰가 비판적 피드백의 수용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The credibility that respect affords a supervisor may facilitate acceptance of critical feedback:


감독자로부터의 피드백이 신뢰할만 한 것인가는 신중하게 검토되었지만, 특정 출처의 정보는 이러한 비판적 검토를 필요로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무엇보다도, 임상 업무 자체는 참가자들에 의해 본질적으로 신뢰할 만하다.

Although feedback from supervisors is carefully weighed for its credibility, certain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seem not to require this critical review. Above all, the clinical work itself is presented by participants as inherently credible,


'그것은 항상 내 마음 속에 머물러 있습니다 ... 한 사례가 있다, 정말 중대하게 ... 우리가하는 일을 보여 주었고,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의미가 있는지, 얼마나 많은 책임을 가지고 있는지 ... 그것은 저에게 ... 정말로 복잡한 환자와 아픈 환자라는 측면에서 좀 더 조심스럽게 다루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P14)

‘It always sticks in my mind, that... one case, that really profoundly... showed me what we do... and how much it matters, how much it means to people, how much responsibility you have... It showed me how to... really be a little bit more careful in terms of... those really complex patients and sick patients and to be there in the moment.’ (P14)


이 임상 경험이 가치가 있었는지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고, 이를 본질적으로 가치있는 순간으로 받아 들였습니다. 마찬가지로, 환자나 가족으로부터의 직접적인 피드백도 믿을만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This individual did not question whether this clinical experience had merit, but accepted it as an intrinsically valuable moment that demanded attention. Similarly, direct feedback from patients or families is viewed as innately credible.



'... 나는 그 환자에게 나쁜 소식을 전한 후, 가족이 나에게 말했다.'너는 차갑게 보이거나 동정심이 없다. ''나는 그것을 진지하게 생각했다. '(P3)

‘...after I told the patient the bad news, then the family told me, ‘‘You seem cold or kind of not compassionate.’’ I took that very seriously.’ (P3)



'나는 처음에 그것을 기각 할 예정이었지만, 그리고나서 그렇게 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 때 일어났던 일에 대해 왜 나는 생각하지 않으려 했던 것일까... 나는 이것을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내가 더 잘할 수있는 말이나 행동을 알아내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P7)

‘I mean at first I was going to dismiss it and I thought, well, that isn’t really fair to her, you know. Why don’t I think about what happened in that encounter... I just thought I’d better not take this personally and try to figure out was there something that I said or did that I could do better.’ (P7)



피드백을 기각하는 초기 성향이 극복되었다는 것은 환자의 피드백이 가진 선천적인 신뢰성을 말해줍니다. troubling feedback이 감독관으로부터 오는 경우 즉시 기각 될 수 있지만, 환자에게서 오는 경우에는 기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That the initial inclination to dismiss this feedback was overcome speaks of the innate credibility of feedback from patients; troubling feedback may be readily dismissed when it comes from a supervisor, but not so when the source is a patient.



고찰

DISCUSSION


우리 연구에서 학습을위한 중심 자원으로서의 임상 연구의 출현은 Teunissen 등이 자신의 학습에 대한 레지던트의 관점에 대해보고 한 결과에 부합한다. Teunissen은 레지던트가 감독자와 환자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관찰함으로써 학습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2 개인 지식은 업무 관련 활동의 해석을 통해 구축되었습니다 .2 피드백은 학습자가 임상 경험을 해석하는 데 사용하는 많은 단서 중 하나일 뿐이며, 그것이 신뢰성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통과하지 않는 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The emergence of clinical work as the central resource for learning in our study echoes findings reported by Teunissen et al. on residents’ perspectives of their own learning.2 Teunissen et al. found that residents perceived that they learned by doing and then observing the reactions of others, including their supervisors and their patients, to what they did.2 Personal knowledge was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work-related activities.2 Feedback is just one of a number of cues learners use to interpret their clinical experiences and it cannot be influential unless it survives a critical assessment of its credibility.

이러한 신뢰성 판단의 과정은 특별한주의를 기울일 가치가있다. 그러한 판단은 어떻게 이루어 집니까? 인간의인지에 관한 연구는 복잡한 판단 작업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인지 전략이나 휴리스틱을 사용하여 접근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지는 문제나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한 휴리스틱들은, 종종 일부 정보에 집중하면서 동시에 다른 정보를 무시하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adaptive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판단을 용이하게하는데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This process of credibility judgement deserves particular attention . How are such judgements made? Research on human cognition suggests that complex judgement tasks are often approached using a range of relatively simple cognitive strategies or heuristics, the choice of which maybe determined by the specific problem or environment.16 Such heuristics, which often involve attending to some information while ignoring other information, may be not only adaptive but also effective in facilitating sound judgements.16 


우리의 연구는 임상 학습 중에 학습자는 (아마도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credibility에 따라 정보를 분류하는 휴리스틱을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의사의 실제 작업에 포함 된 정보는 엄청나게 많다. 예를 들어, 환자 및 가족의 반응이나 임상 결과는 너무도 intrinsic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어떤 휴리스틱을 쓰든지 판단에서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된다. 반면 감독자로부터의 피드백과 같은 정보는 덜 강하게 가중치가 부여되며, 신뢰할만한 것으로 여겨지려면 추가적인 증거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의 작업 환경 학습에 대한 초기 탐구와 일치하며, 임상 결과, 환자 만족 및 환자 피드백은 의사가 자신의 수행 능력에 대한 신뢰할 수있는 지표로 간주됩니다 .18,19

Our work suggests that during clinical learning, learners may engage heuristics, perhaps at a largely unconscious level, that sort available information according to its credibility. Information that is embedded in the actual work of the doctor carries tremendous weight. For example, patient and family responses and clinical outcomes are perceived as so intrinsic to the work that they cannot be ignored in any judgement heuristic, whereas information such as feedback from supervisors is weighted less strongly and must be supported by additional evidence if it is to be judged credible. These findings align with earlier explorations of doctors’ workplace learning, in which clinical outcomes, patient satisfaction and feedback from patients were regarded by doctors as credible indicators of their performance.18,19



궁극적으로 신뢰성 판단에서 살아남지 못한 정보는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없지만, 학습자에게 도전적인 것일지라도 신뢰할만한 정보는 행동의 변화(action)를 demand 할 수 있습니. 도전적, 부정적인 또는 감정이 많이 담긴 임상 경험은 학습에 강력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포함하고있는 학습 단서가 매우 신뢰할 수있는 판단의 휴리스틱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이 학습 단서들은 neutral한 사건과는 다른 방식으로 학습자의 관심을 요구합니다.
Ultimately, information that does not survive credibility judgement is unlikely to influence learning, whereas information that is deemed credible, even if challenging to the learner, may demand action. Challenging, negative or emotion-laden clinical experiences may be such powerful learning influences precisely because the learning cues they contain emerge from the judgement heuristic as highly credible, demanding learner attention in a way that neutral events do not. 


이전의 연구는 부정적 피드백이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왜냐하면 수령인의 정서적 반응이나 부정확하다는 인식 때문에 의도된 결과가 종종 방해 받기 때문입니다 .20-22 우리의 결과는 이러한 이해를 더욱 세련되게 만듭니다. 우리는 환자 나 가족으로부터의 부정적인 피드백이 실제 상황에서 변화를 가져온 많은 예를 발견했다. 아마도 그러한 정보가 신뢰할 만하다고 판단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Previous work has suggested that negative feedback may be problematic because its intended effects are often thwarted by recipients’ emotional responses or their perceptions that it is inaccurate.20–22 Our results refine this understanding. We found many examples in which negative feedback from patients or families motivated a change in practice, probably because such information was judged to be credible.


그러나 학습자가 초점을 맞출 곳을 결정할 때 주로 내부적으로 구축 된 신뢰성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인다면, 그 단서가 잘못되었을 경우 임상 학습이 탈선 할 위험이 있습니다. Eva와 Regehr23은 자기 평가의 영역에서 동일한 위험을 인식했다. 자기 평가의 재구성을 요구하면서 다음을 밝혔다.
  • 그들의 학습에 대한 개인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단서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
  • 그 단서가 오도될 수 있는 상황
  • 정보의 신뢰할 수있는 외부 소스가 균형과 수정을 제공하기 위해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However, when the decisions learners make about where to focus their attention are based largely on internally constructed notions of credibility, there is a danger that clinical learning may be derailed if the cues learners rely on lead them off course. Eva and Regehr23 recognised the same danger in the realm of self-assessment. In their call for a reformulation of self-assessment, they identified 

  • the need to understand the cues that influence individuals’ judgements about their learning, 

  • when those cues may be misleading, and 

  • how trustworthy external sources of information can be incorporated to provide balance and correction.23



그렇다면 의학 선생님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무엇입니까? 교사는 자신의 의견이 (때로는 더 확실하게 신뢰할 수있는) 다른 학습 단서와 경쟁하고 있음을 인식해야합니다. 교사는 
  • 롤모델 역할을 할 때, 
  • 행동을 통해 학습자에게 단서를 줄 때, 
  • 학습자가 모방 할 수있는 예를 제공 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What, then, is the message for medical teachers? Teachers must recognise that their feedback competes for attention with other, sometimes more innately credible, learning cues. Teachers are perhaps never more influential than 

  • when they serve as role models, 

  • cueing learners through their actions and 

  • providing examples that learners can emulate.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임상 결과가 학습자에게 자신의 수행 능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존 할 수 없을 때, 디 브리핑을 요구하는 순간에 교사가 때로는 중요하다고 인식했습니다.

Our participants recognised, for example, that teachers were sometimes critical at moments that called for debriefing, when clinical outcomes could not be relied upon to give accurate information to learners about their performance.






CONCLUSIONS









 2012 Feb;46(2):192-200. doi: 10.1111/j.1365-2923.2011.04126.x.

Learning from clinical work: the roles of learning cues and credibility judgement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linical Neurological Sciences, Schulich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chris.watling@schulich.uwo.ca

Abstract

CONTEXT:

How learners interpret their clinical experiences to create meaningful learning has not been well studied. We explored experiences considered by doctors to be influential in their learning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process.

METHOD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we interviewed 22 academic doctors who had been in practice for ≤ 5 years.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flect on experiences they considered to have been influential during their train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for emerging themes was conducted iteratively with data collection.

RESULTS:

A model of clinical learning emerged in which the clinical work itself is central. As they observe and participate in clinical work, learners can attend to a variety of sources of information that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 and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from it. These 'learning cues' include feedback, role models, clinical outcomes, patient or family responses, and comparisons with peers. The integration of a cue depends on the learner's judgement of its credibility. Certain cues, such as clinical outcomes or feedback from patients, are seen as innately credible, whereas other cues, particularly feedback from supervisors, are subjected to critical judgement.

CONCLUSIONS:

Learners make complex judgements regarding the credibility of information about clinical performance. Credibility judgements influence the learning that arises from the clinical experience. Further understanding of how such judgements are made could guide educators in providing credible information to learners.

Comment in


학습자, 실행자, 돌보미, 팀원: LIC와 BC에서 이상적인 의과대학생에 대한 묘사(Med Teach, 2016)

Learners, performers, caregivers, and team players: Descriptions of the ideal medical student in longitudinal integrated and block clerkships

BRIDGET C. O’BRIEN1, DAVID HIRSH2, EDWARD KRUPAT2, JOANNE BATT1, LORI A. HANSEN3, ANN N. PONCELET1, BARBARA OGUR2 & KAREN E. HAUER1

1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SA, 2Harvard Medical School, USA, 3University of South Dakota, USA




도입

Introduction

 

핵심임상실습은 의사로서의 의과대학생의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합니다 (Dornan 외 2007, Bell 외 2009, Cooke 외 2010).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과 문화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메시지를 접하게됩니다 (Bombeke et al., 2010; Karnieli-Miller 외. 2010; Monrouxe 2010; Walters 외. 2012). 일부 메시지는 평가서에 명시 적으로 표시되며 임상 교사, 레지던트, 동료 및 환자의 의견을 반영합니다. 다른 것들은 (암시적으로) 임상에서 학생들이 관찰하거나 보았던 태도와 행동으로부터 추론된다 (Hafferty 1998, Kenny et al 2003, Lingard et al 2003, Ginsburg & Lingard 2011, Holden et al. 2012).

 The core clinical year of training plays a key part in medical students’ development as physicians (Dornan et al. 2007; Bell et al. 2009; Cooke et al. 2010) From the people and cultures with which they interact, students encounter varying messages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most valued in students and physicians (Bombeke et al. 2010; Karnieli-Miller et al. 2010; Monrouxe 2010; Walters et al. 2012). Some messages appear explicitly in evaluation forms and feedback from clinical teachers, residents, peers, and patients; others are inferred from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students observe or see encouraged, condoned, and discouraged in clinical settings (Hafferty 1998; Kenny et al. 2003; Lingard et al. 2003; Ginsburg &Lingard 2011; Holden et al. 2012).


 

비록 LIC와 BC가 임상 의학을 배우기위한 비슷한 형식의 교과 목표와 목표를 공유하고 있지만, 구조, 과정, 잠재교육과정에 의해 강화되는 특성과 행동은 다를 수 있습니다 (Hafferty 1998). 

  • 학생, 환자 및 감독자 간의 종단 적 관계를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LIC는 환자 중심주의, 점진적인 독립성 및 책임감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Ogur & Hirsh 2009; Hauer 외, 2012a, b, Hirsh 외, 2012a, b, Konkin & Suddards 2012), O'Brien et al. (2012), Teherani et al. (2013)), 

  • 로테이션 기반의 BC는 다른 사람들과 협력시의 효율, 적응력 및 유연성을 우선시하는 경향이있다 (Bernabeo et al.

 Although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 and block clerkships share similar formal curricular goals and objectives for learning clinical medicine, their structures, processes, and hidden curricula may differ such that varying qualities and behaviors are reinforced (Hafferty 1998). 

  • Clerkship structures designed to support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eir patients, and supervisors seem to reinforce patient-centeredness, progressive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Ogur &Hirsh 2009; Hauer et al. 2012a,b; Hirsh et al. 2012a,b; Konkin &Suddards 2012; O’Brien et al. 2012; Teherani et al. 2013) while 

  • rotation-based block clerkships tend to prioritize efficiency, adaptability, and flexibility in working with others (Bernabeo et al. 2011).


 

잠재교육과정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한 시점에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스냅샷을 캡처하고 학생과 환경 설정간에 비교하는 단면 연구입니다. 시간과 경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검토하거나 문화적 규범과 가치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시각을 비교하는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Most studies of the hidden curriculum are cross-sectional, capturing a snapshot of students’ perceptions at a single point in time and comparing across students and settings. Few studies examine changes in perceptions over time and experience or compare faculty and student perspectives on cultural norms and values.


잠재교육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는 학습 환경이나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여러 유형, 자질,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얻어야합니다. 이를 위한 한 가지 접근법은 이상적인 학생에 대한 description을 연구하는 것이다 (Thompson et al. 2010). 이상적인 학생과 의사에 대한 의학적 학생의 인식을 기술 한 몇 가지 연구는 자질과 특성의 목록을 산출했다 (Lown et al., 2010; Miles & Leinster 2010)

  •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행동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공감, 임상 적으로 유능한)

  • 헌신적 인 직업 윤리 (근면),

  • 시간 및 자기 관리 (동기 부여, 자기 주도 및 독립적 학습자) (Lown et al. 2009).

 To study the hidden curriculum, researchers must gain insight into the types of people, qualities, and behaviors that others perceive to be most valued in a learning environment or program. One approach is to study descriptions of an ideal student (Thompson et al. 2010). The few studies describing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deal student and physician yielded lists of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Lown et al. 2009; Miles &Leinster 2010), for example, 

  • personal and professional conduct (honest, trustworthy, empathic, clinically competent), 

  • committed work ethic (diligent), and 

  • time and self-management (motivated, self-directed and independent learner) (Lown et al. 2009). 


그러나 이 목록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의 차이에 대한 조사 없이 '맥락이 제거된 상태로' 제공됩니다. 또한 이 목록은 다양한 특성과 특성 간의 상호 의존성을 보여주지 못합니다. 즉, 학생이나 의사가 한 가지 역할을 수행 할 때 어떻게 이러한 특성의 조합을 활성화하거나 우선 순위를 매기는지 모른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목록에는 잠재교육과정의 출처와 학생의 전문성 개발에 미칠 수있는 잠재적 인 영향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These lists are generally presented ‘‘context-free’’, with little investigation into differences in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Lists also fail to show the interdependence among the different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 how certain combinations of these characteristics might be activated or prioritized when a student or physician is in one role or another. Consequently, such lists do not describe the sources of the hidden curriculum and its potential impact on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방법

Methods

 

Design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using an approach based on phenomenography, which seeks to describe qualitatively different ways people understand a concept or experience (Marton 1988; Stenfors-Hayes et al. 2013). This approach aligns well with the purpose of our research, 

    • which seeks to understand the variety of ways in which students conceptualize a phenomenon (an ideal clerkship student) and 

    • how contextual factors such as time of year, clerkship model, and supervisors may contribute to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Participants and setting

 

We collected descriptions of the ideal student during early and late-year interviews with third-year students participating in either LICs or block clerkships at one of three US institu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niversity of South Dakota Sanford School of Medicine; and Harvard Medical School). This was the first year of clinical training for all students. Students self-selected their clerkship model. Interviews occurred during the 20092010 academic year. We invited all LIC students from each institution (n¼1016) and a sample of 1520 block students from each institution, making sure that block students started rotations in different specialties so we could represent the range of block experiences.

  

At the end of the same academic year, we interviewed participating students’ clinical supervisors from a procedurally oriented specialty (obstetrics/gynecology (OB)) and a medically oriented specialty (internal or family medicine (MED)). We interviewed up to three supervisors who responded from each clerkship model and specialty at each institution.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 at each institution approved the study.

 

Data collection and instrument

 

Trained research assistants from each site conducted first interviews with each student within the first six months of the year (early) and second interviews at the end of the year (late). The same research assistants conducted interviews with Interviews occurred clinical supervisors. in-person or by phone and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ideal student question was part of a larger interview protocol for both students and supervisors.

 

    • Early year, research assistants asked students, ‘‘What do you think makes an ideal medical student in your clerkship program?’’ 

    • Late year, research assistants read the early-year description back to the student, and then asked, ‘‘Would you change that description now? If so, how?’’ 

We chose this approach to elicit students’ perception of changes and new insights after reflecting on their clinical experience (Thompson et al. 2010). 

    • Research assistants asked clinical supervisors, ‘‘In general, what do you think makes an ideal medical student in the [‘LIC program’ or ‘block clerkship’]?’’

 

Data analysis

 

Upon completion of early-year interviews, two authors (BCO and KEH) reviewed transcripts to check the quality of responses and revise the end-of-year interview guide accordingly. After completion of late-year interviews, one author (BCO) reviewed students’ and supervisors’ descriptions of the ideal student, de-identified with respect to site, clerkship 13 categories model, and specialty. This review yielded representing qualities, characteristics, attitudes, and behaviors in students’ and supervisors’ descriptions of the ideal. The coding team (BCO, DH, EK, JB, and KEH) then reviewed 15 students’ and 7 supervisors’ transcripts to pilot the proposed categories. Through group discussion, the coding team consolidated the list to 10 categories, using these to code all descriptions.

 

Next, one author (BCO) reviewed the transcripts again, summarized each description, and used these summaries and the 10 categories to generate five profiles of the ideal student: performer, learner, caregiver, team-player, and mindful practitioner (Table 2). The coding team agreed that these represented students’ conceptions of the ideal. We checked the credibility of the profiles by conducting three focus groups with a nonparticipant sample of early third and fourth-year medical students from LICs and block clerkships. Students in these groups verified the ideal-student profiles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ofiles.

 

The coding team reviewed all descriptions of the ideal student and coded them for alignment with one or more profiles. The coders noted students’ response to their early year description (agree, disagree, add, or modify), which helped inform our understanding of changes in students’ perspectives from early to late year. Coders also documented any qualities or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frequently among several profiles.

 

Finally, we revealed the clerkship model and specialty (for supervisors) of each description and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profiles to describ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ample quotes are provided in tables and text. Students’ quotes are followed by an L (LIC) or B (block) and a random ID number. Quotes from clinical supervisors are noted with CS.



Results

 

Researchers interviewed 24 LIC and 24 block students and 17 LIC clinical supervisors (8 OB, 9 MED) and 9 block clerkship supervisors (4 OB, 5 MED) (Table 1).

 


LIC and block students’ descriptions of an ideal fit five profiles (Table 2).

 


Performer profile

실행자 프로필

다른 사람들에게 지식 / 유능한 / 자신감을 보이는 데 집중

  • 긍정적 인 평가를 목표로 한 성과 지향적 인 목표에 중점을 둡니다.

  • 상사를 존경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 인 인상을주기 위해 모든 것을 배우고 관심을 갖도록 유도 된 행동 또는 행동

  • 지식이 풍부하고 강력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상사와의 상호 작용 준비에 중점을두고 직접 감독하고 예상하고 준비 할 수 있습니다.

Focus on appearing knowledgeable/capable/confident to others

  • Focuses on performance-oriented goals geared toward positive evaluations

  • Appears or acts motivated to learn and interested in everything out of respect for supervisors OR in order to make a positive impression on others

  • Appears knowledgeable, has a strong fund of knowledge

  • Self-directed with a focus on preparing for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able to anticipate and prepare

Learner profile

학습자 프로필

자신의 학습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 평가보다는 이해를 배우려는 열망으로 학습 지향적 인 목표에 중점을 둡니다.

  • 학습 목표 정의

  •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가르치도록 격려하기 위해 관심, 열의, 열정을 보여줍니다.

  •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는 것에 대해 적극적입니다.

Focus on advancing own learning

  • Focuses on learning-oriented goals with a desire to learn for understanding rather than for evaluation

  • Defines learning goals

  • Shows interest, eagerness, and enthusiasm for the purpose of encouraging others to teach you

  • Is aggressive about making sure to learn what you need to learn

Caregiver profile

간병인 프로필

환자와의 관계에 집중 / 환자 치료에 대한 기여

  • 환자와의 좋은 우호 관계 형성

  • 그저 배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환자의 이익을 위해 환자를 잘 알아야 한다.

  • 연민, 경청, 환자의 관점를 이해할 수있는 환자 중심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

  • 환자 중심적 행동을 보여줌 - 환자 치료, 환자 추적, 환자 옹호에 기여

Focus on relationships with patients/contributions to patient care

  • Develops good rapport/relationship with patients

  • Knows patients well not just for learning sake, but for the patient’s benefit

  • Has patient-centered characteristics such as compas- sion, good listening, able to understand patient per- spective

  • Demonstrates patient-centered actions – contributes to patient care, follows up with patients, advocates for patients


Team-player profile

팀 플레이어 프로필

인간 관계 /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둡니다.

  • 팀 구성원, 동료, 임상 감독자, 직원과의 상호 작용을 강조합니다.

  • 도움이 됨. 기꺼이 기여하고자 함. 융통성 있는; 적응력이 좋은; 다양한 성격의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있다.

Focus on relationships/interactions with others

  • Emphasizes interactions with team members, peers, clinical supervisors, staff

  • Is helpful, willing/eager to contribute; flexible; adaptable; able to get along with many different types of personalities

Mindful practitioner profile

사려깊은 의사 프로필

웰빙, 개인 / 전문성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 의사가되기 위해 훈련의 요구와 의학 / 개인적인 관심 밖의 삶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 개인적 및 전문적 발전을 반영하여 시간을 찾는 것을 강조합니다.

  • 개인 복지, 자기 보존을 보장 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보여줍니다.

Focus on well-being, personal/professional development

  • Tries to balance life outside of medicine/personal interests with the demands of training to be a physician

  • Emphasizes finding time to reflect on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Shows awareness of the need to ensure personal welfare, self-preservation

 


실행자

 Performer profile

 

Performer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지식 있고 유능하며 자신감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합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자질이 평가에 크게 반영되어 있다고 믿었 기 때문에, 지식의 강력한 기금을 보여주고 관심을 가지거나 열정적 인 것처럼 보이는 자질도 포함됩니다.

The performer strives to meet others’ expectations and appear knowledgeable, competent, and confident. Qualities include demonstrating a strong fund of knowledge and appearing interested or enthusiastic because students believed that these qualities factored heavily in evaluations.

 

Performers는 조기 및 후기 모두에서 LIC 학생들보다 BC 학생들의 설명에서 더 두드러졌습니다.

 The performer profile was more prominent in block students’ descriptions than LIC students’, both early and late years.



학습자 프로필

Learner profile

 

학습자는 학습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환자를 보거나 추적하고, 절차에 참여하고, 질문하고,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읽는 기회를 찾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입니다. 자질은 다른 사람들의 인정보다는 학습을 즐기고 개인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The learner prioritizes learning and invests substantial effort in pursuing opportunities to see or follow up with patients, participate in procedures, ask questions, and/or read to improve understanding. Qualities include enjoying learning and seeking personal development rather than acknowledgement by others.


학습자 프로파일은 LIC 학생과 블록 학생 모두에서 초기와 후기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여러 명의 LIC 학생은 후기에는 돌보니 프로필로 초점을 옮겼습니다.

The learner profile was the most frequent among both LIC and block students early and late years, although several LIC students shifted focus toward the caregiver profile late year. 



돌보미 프로필

Caregiver profile

 

Caregiver은 환자와 치료에 기여할 수있는 기회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환자 중심주의, 연민,주의, 존경, 파트너십, 환자와의 관계를 통해 진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The caregiver values patients and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their care. Qualities include patient-centeredness, compassion, attentiveness, respect, partnership, and engagement with patients to improve their care.

  

 

팀 플레이어 프로필

Team-player profile

 

팀 플레이어는 상사, 레지던트, 동기, 다른 건강 전문가와의 대인 관계에 적응합니다. 호감을 갖고 존중하며 적응력이 있고 팀 지향적이다. LIC와 블록 학생들이 모두 '팀 플레이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팀의 구성원으로 생각한 사람과 팀과 어떻게 상호 작용했는지에 따라 의미가 약간 달랐습니다 (예 : 큰 와드 팀의 일원으로 일하거나 단 한 명의 주치의와 진료소 직원이있는 진료소).

The team player is attuned to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residents, peers, and/or other health professionals. Qualities include being likable, respectful, adaptable, and team-oriented. While both LIC and block students used the term ‘‘team player’’, the meanings differed slightly depending on who they considered part of the team and how they interacted with teams (e.g., working as part of a large ward team or working in a clinic with a single supervising physician and clinic staff). 

 

 

초기에, 블록 학생들은 LIC 학생들보다 이 프로파일에 맞는 이상적인 학생에게 더 적응했고, 그들은 LIC 학생들보다 후기에도 이 프로파일을 강조하였다. BC 학생들은 긍정적 인 평가를 얻고, 학습을 향상 시키며, 환자 치료에 도움이되는 팀원과 함께하는 데있어 가치를 보았습니다. 몇몇은 또한 가르침을 통해 팀에 추가적인 가치를 제공 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Early year, block students were more attuned than LIC students to an ideal student who fit this profile and they continued late year to emphasize this profile more than LIC students. Block students saw value in getting along with team members to obtain positive evaluations, enhance learning, and benefit patient care. A few also mentioned being able to offer some added value to the team through teaching.

 

LIC 학생들이 초반에 이 프로파일의 요소를 언급했을 때, 그들은 환자를 따라갈 때 발생할 수있는 다양한 의료 전문가를 고려하여, interprofessional lens의 관점에서 팀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블록 학생들과 달리, LIC 학생들은 그들의 임상실습 집단에서 학생 동료들과의 긴밀한 관계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LIC 학생들은 이상적인 학생이란 동료의 관심사 또는 웰빙을 관찰하고 전반적인 학습 환경에 기여한 사람이라고 했다.

When LIC students mentioned elements of this profile early year, they focused on team interactions with an interprofessional lens, considering the variety of health professionals whom they might encounter when following patients. Unlike block students, LIC students talked about close relationships with student peers in their clerkship cohort; they appreciated the ideal student as one who looked out for peers’ interests or well-being and contributed to the overall learning environment.

 

후기에, learning과 team player사이의 긴장을 인정하며, description을 수정했다.

Late year, block students modified their description to acknowledge tensions between learning and being a team player. 

 

사려깊은 의사 프로필

Mindful practitioner profile


Mindful practitioner는 번아웃 또는 냉소를 피하기 위해 개인의 이익을 추구 할 필요성을 인정했고, 의학과 의학 수련의 demands를 받아들였다. 사려깊은 의사의 자질로는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성찰하고, 자신을 신뢰하는 법을 배우며, 전문적인 책임을 인정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The mindful practitioner appreciates the demands of medicine and medical training and the need to pursue personal interests to avoid burnout or cynicism. Qualities include reflecting growth on one’s and development, learning to trust oneself, and accepting professional responsibility.


소수의 학생 만이 이 프로필 (3 명의 LIC 및 3 명의 블록 학생)과 일치하는 이상적인 학생을 묘사했다. 사려깊은 의사로서의 자질은 중요하지만, 이상적인 학생을 완전히 대표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한 사람들이있었습니다.

While only a small number of students described an ideal student who matched this profile (3 LIC and 3 block students) and several noted that while the qualities of a mindful practitioner were important, they were not sufficient to fully represent an ideal student.


 

 

 

프로필 전반에 걸쳐 프로필 확인 및 가치 특성

Profile verification and valued characteristics across profiles

 

우리가 LIC와 BC의 3 학년 및 4 학년 학생들과 소규모 그룹으로 이 프로필을 심사했을 때 그들은 프로필에 동의했습니다. 그러나 어떤 임상 환경에서는 특정 프로필을 선호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른 말로하면, 이 프로파일들은 시간과 장소라는 'situatedness'을 가졌습니다. 그들은 이러한 상황이 모든 상황에서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When we vetted these profiles with small groups of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from LIC and block clerkships, they agreed with the profiles. However, they emphasized that, in certain clinical settings, teams and attendings favored some profiles more than others. In other words, these profiles had a ‘‘situatedness’’ – a time and a place – to them. They felt these profiles would be unlikely to suffice alone in all circumstances.


두 모델의 학생들은 이상적인 학생이란 '지식과 스킬이 부족한 사람이 되는 힘든 상황에서도 회복탄력성이 있는 사람'이라고 묘사했습니다. 

''바보처럼 느껴지는 순간을 즐기기 만하면됩니다. 당신은 뭔가를 배우기위한 발판으로 그것들을보아야합니다. 의사로서 이런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항상 모든 것을 알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L-3672).

Students from both models also described the ideal as resilient to the challenge of being the person with the least knowledge and skills: 

‘‘You just have to learn to relish those moments where you feel like an idiot. You have to view those as a springboard to go learn something. And I think as a physician that’s important, too, because you won’t always know everything’’ (L-3672).

 


임상 감독관

Clinical supervisors

 

대부분의 LIC 및 BC 임상 감독자의 이상적인 학생에 대한 설명은 학생들이 말한 학습자 프로필과 일치했습니다. 감독자들은 자기 주도적이고 독립적이며 학습 기회를 찾는 데 능동적이었던 학생들을 반복적으로 칭찬했습니다.

Similar to students, most LIC and block clinical supervisors’ descriptions of the ideal student matched the learner profile. Supervisors repeatedly lauded students who were self-directed, independent, and proactive in seeking learning opportunities.



두 모델 모두의 감독자는 일반적으로 열정과 자기 동기 부여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학생에게 가장 관심있는 영역이 아닌 콘텐츠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또한 감독자는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성을 중요시하고 가르침에 대한 감사를 표했습니다.

Supervisors in both models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enthusiasm and self-motivation generally, and for content that might not be the area of greatest interest to the student. Supervisors also valued students’ receptivity to feedback and expressed appreciation for teaching.

 

LIC 수퍼바이저는 학생들이 BC와 비교하여 LIC에서 더 많은 initiative, assertiveness, ownership을 필요로한다고 말했다

"자신을 일정에 대한 노예로 보지 않고 자신의 교육을 통제하고 실제로 그것을 움켜 잡고 실행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 (L-704CS).

LIC 학생과 마찬가지로 LIC 감독관은 모델에 강력한 조직력과 멀티 태스킹 및 우선 순위의 균형이 필요한 모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LIC 수퍼바이저는 또한 학생들이 발달적인 학습의 "프로세스를 신뢰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것은 학생들이 초기에 역량이 제한되는 것에 대한 comfort를 언급한 것과 같다. 블록 감독자는 이러한 개념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LIC supervisors stated students needed more initiative, assertiveness, and ownership of learning in LICs compared to block clerkships: 

‘‘Not seeing yourself as a slave to the schedule but really seeing yourself as needing to be in control of your education and really grabbing it and running with it’’ (L-704CS). 

Similar to LIC students, LIC supervisors thought the model required strong organizational skills and the ability to multitask and balance priorities. LIC supervisors also noted that students needed to ‘‘trust the process’’ of learning developmentally, which resonated with students’ descriptions of gaining comfort with limited competence early on. No block supervisors mentioned these concepts.

 

블록 감독자의 거의 절반은 타인의 요구 사항을 예측하고,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며, 팀과 지식을 공유하는 등 "smart"하게 활동을하는 학생을 이상적으로 설명했습니다. LIC 수퍼바이저는이 프로필을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Nearly half of block supervisors described ideal students in performer profile terms: being ‘‘smart’’, anticipating others’ needs, picking up skills quickly, and sharing knowledge with the team. No LIC supervisors described this profile.

 

블록 감독자는 서로 돕고, 레지던트과 integrate하고, 직원들과 잘 상호 작용하는 팀원을 이상적인 학생이라고 보았다.

Block supervisors envisioned the ideal student as a team player who helps, integrates with residents, and interacts well with staff.

 

 

 

 

고찰

Discussion 


우리는 학생들이 말년에 어떻게 설명을 확장하거나 변경했는지 검토함으로써 두 가지 임상실습 모델에서 핵심 임상실습 경험의 영향을 탐구했습니다. LIC와 BC, 초기와 후기 모두에서 학습자 프로필이 걸쳐 가장 두드러졌지만, 다른 사람들을 위한 수행의 가치 (초기 및 후기 블록에서 더 일반적)와 팀 구성원을 위하는 것 (초기 및 늦은 블록에서 더 일반적), 환자와의 관계 형성 (LIC에서 후기에 더 흔하게 나타 났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두 그룹 모두에서 증가했다)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다.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core clerkship experiences in two specialty types in two clerkship models by examining how students broadened or shifted their descriptions late-year. Although the profile learner was most prominent across models and time, we found differences in the value placed on performing for others (more common in block early and late years), serving team members (more common in block early and late years)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patients (more common in LIC late year, increased in both groups over time).

 

학습 환경 영향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s

 

임상 학습 환경의 사람, 활동, 규칙 및 규범은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학생에 대한 인식을 제공합니다 (Pratt et al., 2006; Thompson et al. 2010). LIC 모델과 BC모델 모두에서 학습자 프로파일의 prevalence는 임상 교육 첫 해에 학생들이 학생과 같은 역할을 강화하는 많은 경험과 평가를 받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놀랄 일이 아닙니다. 임상실습은 종종 학생들이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환자 치료에 진정으로 참여하도록하는 스트레스가 많은 학습 환경입니다 (Dornan 외 2007, O'Brien 외 2007, Dolmans 외 2008). 두 모델의 학생들은 적극적이고 자발적이며 열정적 인 것이 학습에 중요하고 감독자와 팀 구성원이 높이 평가한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The people, activities, rules, and norms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form students’ perception of an ideal student (Pratt et al. 2006; Thompson et al. 2010). The prevalence of the learner profile in both LIC and block models is unsurprising given that students in their first full year of clinical education have many experiences and assessments that reinforce student-like roles. These are often stressful learning environments that challeng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role and to participate authentically in patient care (Dornan et al. 2007; O’Brien et al. 2007; Dolmans et al. 2008). Students in both models recognized that being proactive, self-motivated, and enthusiastic were important for their learning and highly regarded by supervisors and team members. 


그러나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떤 행동과 가치는 감독관이 명시적으로 제시하지만, 다른 것은 학생들이 어떻게 이상적인 모습을 달성해야 할지 추론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학생들의 이상에 대한 설명을 수행 할 수있는 강한 압력감이 반영되어 지식이 풍부하고 실력을 발휘하도록 표현하십시오. BC 학생들의 이상에 대한 설명은 (지식을 발휘하고 기술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perform에 대한 더 강한 압력감을 반영한다. 임상 감독자와의 상호 작용이 짧으므로, 블록 학생들은 LIC 학생들보다 긍정적 인 인상을 심어줄 필요가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Han et al., 2015). 이에 따라 그들은 적응력과 효율성을 높이는 법을 배울 수있다 (Bernabeo et al., 2011; Holmboe et al. 2011; Hauer et al. 2012a). 대조적으로, 학생과 감독자 간의 종단적 참여는 학생들이 자신의 한계와 학습 목표를 밝히는 것을 편안하게 느끼는 협력적 관계를 이루게 도와준다.

However, our findings suggest that while some student behaviors and values are made explicit by their clerkship supervisors, others require students to infer how they should achieve an ideal. Block students’ descriptions of the ideal reflected a stronger sense of pressure to perform – to appear knowledgeable and demonstrate skills. With brief periods of interaction with clinical supervisors, block students may have felt the need to make a positive impression more acutely than LIC students (Han et al. 2015). Correspondingly, they may learn to value adaptability and efficiency (Bernabeo et al. 2011; Holmboe et al. 2011; Hauer et al. 2012a). By contrast, longitudinal engagement between students and supervisors can support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 which students feel comfortable revealing their limitations and learning goals (Hirsh et al. 2007; Hauer et al. 2012b; Hirsh et al. 2012a; Bates et al. 2013).



몇몇 연구들은 임상실습에 따라서 "환자 중심성"에 상당한 variability가 있음을 제안한다 (Haidet et al., 2006; Hirsh et al., 2012a). LIC 학생들은 BC학생보다 

  • 학습 환경을 보다 환자 중심적으로 평가하고 (Ogur 등, 2007; Hirsh et al., 2012a) 

  • 환자 중심적 태도를 유지하고 (Ogur 등, 2007; Hirsh 등, 2012a),

  • 보다 적극적으로, 의사와 비슷한 역할에 참여한다. (Worley 외 2006, Ogur & Hirsh 2009, Hauer 외, 2012a, O'Brien 외.

Several studies suggest variability in the patient-centeredness of clerkship learning environments (Haidet et al. 2006; Hirsh et al. 2012a). LIC students rate their learning environment as more patient-centered (Ogur et al. 2007; Hirsh et al. 2012a), maintain patient-centered attitudes (Ogur et al. 2007; Hirsh et al. 2012a), and engage more actively and in physicianlike roles (Worley et al. 2006; Ogur &Hirsh 2009; Hauer et al. 2012a; O’Brien et al. 2012) than their peers in block clerkships.

 

간병인 프로파일은 우리가 희망하는 것보다 덜 자주 나타 났으며,

the caregiver profile appeared less frequently overall than we might hope,

 

왜 caregiver는 ideal의 현저한 특징이 아닌가? 어쩌면 감독자는 환자 중심적 행동을 당연하게 생각하거나 예외 상황을 보지 않는 편이어서 환자 중심적 행동이 '이상적인'학생을 전형적인 것과 차별화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감독자가 환자 상호 작용이나 질문의 ​​표현 ( "이상적인 의사"가 아닌 "이상적인 학생") 이외의 학생들과 상호 작용하는 경향이 이 발견을 설명 할 수 있습니다.

Why was this not a salient feature of the ideal? Perhaps supervisors take patient-centeredness for granted or see exceptions so rarely that patient-centered behaviors fail to differentiate the ‘‘ideal’’ student from the typical. Alternately, supervisors’ tendency to interact with students outside of patient interactions or the phrasing of the question (‘‘ideal student’’ rather than ‘‘ideal physician’’) may explain this finding.

 

팀 플레이어 프로필에는 LIC 및 BC의 업무 프로세스 및 사회적 상호 작용의 차이점이 나타납니다. 몇몇 블록 학생들은 ideal을 "팀 선수"라고 묘사하면서 환자의 이익을 위해 팀과 협력 할 권한을 부여 받기보다는 팀의 우선 순위에 종속 된 역할을 묘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오리엔테이션은 다음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잇다.

  • 입원 팀의 위계 구조,

  • 학습 또는 환자의 요구와 선호보다 업무와 효율성에 중점을 두는 것,

  • 근무 시간 변경으로 팀 구성원 및 역학이 자주 변경되는 것

Differences in the work processes and social interactions of LICs and block clerkships emerged in the team-player profile. Several block students described the ideal as a ‘‘team player,’’ tending to describe their role as subservient to the teams’ priorities rather than empowered to work with the team for the benefit of patients. This orientation may reflect 

  • the hierarchy of the inpatient team, 

  • increased emphasis on tasks and efficiency rather than on learning and/or on patients needs and preferences, or 

  • duty hours changes that result in frequently changing team membership and dynamics (Reed et al. 2008; Shea et al. 2012; Block et al. 2013; Stevens et al. 2014). 


블록 학생들은 도움이되고, 성격이 좋으며, 기꺼이하면 더 나은 학습 경험을 얻었고, 더 나은 평가를 받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대인 관계 및 팀 위주의 특성이 BC 감독자에게 두드러 졌기 때문에 감독자가 암시 적으로 또는 명시 적으로이 프로필을 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Block students noted that being helpful, good-natured, and willing often resulted in better learning experiences and, some said, better evaluations. These interpersonal and team-oriented more characteristics were salient to block supervisors as well, suggesting that supervisors may implicitly or explicitly reinforce this profile. 


대조적으로, LIC 학생들은 자신의 환자에 대한 책임을 지고, 새로운 환경으로 환자를 따라갈 때 팀, 의사 및 기타 건강 전문가와 상호 작용하여 매우 독립적으로 일합니다. 이에 따라 LIC 학생들은 종종 팀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환자의 관점과 환자의 이익에 대한 상호 작용 및 의사 소통 프로세스에 집중했습니다.

By contrast, LIC students work quite independently,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panel of patients (Hauer et al. 2012a; O’Brien et al. 2012) and interacting with teams,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when following patients into new environments. Correspondingly, LIC students often focused on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and for the patient’s benefit rather than from the team’s perspective, which often focused on team efficiency.

 

 

함의

Potential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우리의 연구 결과는 직업적 정체성 구축에 영향을 줄 수있는 LIC와 BC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보여준다. (Monrouxe, 2010; Goldie, 2012, Jarvis-Selinger 외. Frost and Regehr (2013)은 의과 대학생의 직업적 정체성 구축이라는 것은 의사가 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의 적극적인 협상과 화해로 특징지었다. 마찬가지로, ‘‘identity customization processes’’ (Pratt et al. 2006)과 ‘‘possible selves’’(Markus & Nurius 1986)의 이론은 사회 문화적 환경의 단서가 학생들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고 제안한다. 이 비전에는 사람들이되기를 희망하는 이상적 자아와 그렇게 되기를 두려워하는 자아가 포함됩니다 (Markus & Nurius 1986). identity construction 과정에서 개인은 이러한 가능한 자아와 자신이 참여한 경험에 근거하여 정체성을 판단한다 (Pratt et al., 2006; Thompson et al., 2010).

 Our findings shed light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s in LIC and block clerkships that may influence the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Monrouxe, 2010; Goldie, 2012; Jarvis-Selinger et al. 2012). Frost and Regehr (2013) characterize medical students’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as an active negotiation and reconciliation of multiple different ways of being a physician. Similarly, theories of ‘‘identity customization processes’’ (Pratt et al. 2006) and ‘‘possible selves’’(Markus &Nurius 1986) suggest that cues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surroundings inform visions of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future. These visions include ideal selves people hope to become as well as selves they fear becoming (Markus &Nurius 1986). During identity construction, individuals assess the fit between the identity they are constructing from these possible selves and the experiences in which they participate (Pratt et al. 2006; Thompson et al. 2010).


우리가 이상적인 의사보다는 이상적인 학생에 대해 물었더라도, 우리의 연구 결과는 학생들이 자신과 타인의 시각에서 자신들이 어떻게 되어야 할지를 적극적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전 연구는 각 학생이 identity construction 과정에 다르게 참여할 것이며, 과정에서 의학교육자가 과정의 촉진자로 참여한다면 학생이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Frost & Regehr 2013). 우리의 연구는 의학 교육자들에게 직무 교육 환경과 이러한 환경에서의 가능한 자아에 대한 학생들의 해석에 대한 창을 제공합니다. 학생들의 이상과 역할 개발에 대한 다른 사무직 모델의 영향은 더 많은 조사를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Although we asked about the ideal student rather than the ideal physician, our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are actively trying to understand who they should be from their own and others’ perspectives. Earlier work suggests that each student will engage in the process of identity construction differently and that students may benefit from medical educators’ involvement as facilitators in the process (Frost &Regehr 2013). Our work provides medical educators with a window into students’ interpretations of their clerkship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ir possible selves in these environments. Different clerkship models’ influences on student ideals and role development merit further investigation.

 

 

Limitations

 

 

Conclusion

 

우리는 이상적인 학생의 다섯 가지 프로파일을 확인했으며 LIC와 BC에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이상적인 학생을 학습자 (자기 주도적, 능동적, 호기심)로 묘사 함을 발견했습니다. 다른 프로필들 중에서 우리는 BC 학생들이 performer 프로필에보다 잘 조화를 이루고 LIC 학생들이 caregiver 프로필에 더욱 부합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BC 학생들이 팀 플레이어를 이상적인 모습으로 지칭하는 경향이 더 많았지만, LIC 학생들은 '팀'을 정의할 때 동료 및 다른 전문가를 포함하는 팀으로 다르게 정의했습니다.


We identified five profiles of the ideal student and found that the most students in both LIC and block clerkships described the ideal student as a learner (self-directed, proactive, curious). Among the other profiles, we found block students more attuned to a performer profile and LIC students more attuned to the caregiver profile. Block students more often ascribed an ideal to team player but also defined ‘‘the team’’ differently, with LIC students perceiving a team that includes peers and other professionals.


Frost HD, Regehr G. 2013. ‘‘I am a doctor’’: Negotiating the discourses of standardization and diversity in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Acad Med 88(10):1570–1577.


Goldie J. 2012.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al students: Considerations for educators. Med Teach 34(9):e641–e648.


Jarvis-Selinger S, Pratt DD, Regehr G. 2012. Competency is not enough: Integrating identity formation into the medical education discourse. Acad Med 87(9):1185–1190.


Stevens CD, Wilkerson L, Uijtdehaage S. 2014. Longitudinal continuityexperiences can repair disconnects in the core clerkships for medicalstudents. Acad Med 89(2):205–207. 






 2016;38(3):297-305. doi: 10.3109/0142159X.2015.1033390. Epub 2015 Apr 20.

Learnersperformerscaregivers, and team playersDescriptions of the ideal medical student in longitudinal integrated and block clerkships.

Author information

1
a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 Francisco , USA .
2
b Harvard Medical School , USA .
3
c University of South Dakota , USA.

Abstract

BACKGROUND:

Hidden curriculum literature suggests that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nd curricular designs reinforce disparate values and behaviors.

AIM:

This study explores potential differences in learning environments afforded by two clerkship models through perceptions of the idealstudent.

METHODS:

In this qualitative study, research assistants interviewed 48 third-year students and 26 clinical supervisors from three US medicalschools. Students and supervisors participated in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 or block clerkships. Students and supervisors described the ideal student in their clerkship. Using phenomenographic techniques, authors identified five ideal student profiles and coded students' and supervisors' descriptions for alignment with one or more profiles.

RESULTS:

Most students in both models described an ideal student who matched a learner profile (proactive and self-directed). More LIC students described an ideal student who fit a caregiver profile (engaging with and advocating for patients) and more block students described performer (appearing knowledgeable and competent) and team-player (working well with others) profiles. Supervisors' descriptions paralleled students' descriptions but with less emphasis on caregiving.

CONCLUSIONS:

Ideal student descriptions in LIC and block models may reflect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and values emphasized in each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students' construction of professional identities that warrant further exploration.

PMID:
 
25894329
 
DOI:
 
10.3109/0142159X.2015.1033390
[Indexed for MEDLINE]


임상실습 준비시키기: 레지던트 셰도잉 프로그램(Acad Med, 2012)

Preparing Students for Clerkship: A Resident Shadowing Program

Simon R. Turner, MD, MEd, Jonathan White, MD, PhD, Cheryl Poth, PhD, and

W. Todd Rogers, PhD




전임상에서 임상 교육으로의 전환은 많은 의대생에게 어렵습니다 .1 그들이 직면하는 도전 가운에는 낯선 환경, 새로운 역할, 임상 지식 및 기술 부족이 있습니다. 임상실습을 시작하는 학생들은 자신에게 기대되는바를 잘 모르기 때문에 어떻게 행동하고 행동해야하는지에 대해 불확실해한다. 학생들은 50 %의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대한 준비가 잘되어 있지 않다고 느꼈으며, 93 %는 학생들의 좋은 introduction이가 전환을 더 쉽게 만들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교육자들도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시작하기에 준비가 덜 되었다고 생각한다.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education is difficult for many medical students.1 Among the challenges they face are unfamiliar environments, new roles, and a lack of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Students entering clerkship may be uncertain as to how to behave and act, mainly because they (dont) know what (is) expected of them.2 Radcliffe and Lester1 found that 50% of students did not feel well prepared for clerkship, and 93% thought a good introduction would make the transition easier. Educators, too, find students unprepared to begin clinical duties;


학생들을 임상실습에 준비시키는 강의 프로그램은 종종 임상 trainee와 직접 관련이없는 지식과 기술에 중점을 둡니다.

Classroom programs intended to prepare students for clerkship often focus on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not directly relevant to clinical trainees.4


의대생을 임상 환경에 초기에 노출시키는 프로그램은 유망한 결과를 보여 주었고, 이는 situated learning이론과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6 새로운 임상 지식과 기술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거나 적용 할 기회. 또한 초기 임상 경험은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 역할에 대한 명확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

Programs that expose medical students to the clinical environment early on have shown promising results, which may be understood through the theories of situated learning5 an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6 The chance to observe, or even apply, new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in a real-world setting reinforces students learning.5 Furthermore, early clinical experiences have been shown to decrease students anxiety about clerkships and increase their clarity regarding their roles.7


그러나 조기 임상 경험의 기회는 범위와 접근 방식 모두에서 종종 제한적입니다. 최근의 experience-based preparatory courses에 따르면, 그들은 측정 가능한 목표가 부족한 경향이 있으며 대다수 (83 %)는 하루부터 1 주일 정도에 불과하다.

Yet, opportunities for early clinical experiences are often limited in both scope and approach. According to a recent review of experience-based preparatory courses, they tend to lack measurable objectives and the vast majority (83%) last only between one day and one week.8


임상 준비 프로그램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가까운 동료를 교사이자 멘토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프로그램은 학습자와 교사 간의 사회적 및 인지적 일치를 높여주는 등 잘 확립 된 편익을 가지고있다. 

  • 니어 피어 학습의 한 가지 형태는 저학년 학생이 상급 학생이나 레지던트임상 환경에서 관찰하고 관찰하고 때로는 임상 활동에 참여를 셰도잉하는 것이다.

  • 영국의 의대생이 HO를 shadowing할 때, 그들은 자신의 필요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경험을 얻었고, 직장 환경에 익숙해졌으며, 미래의 역할을 지향하고 구체적이고 관련 의학 지식을 배웠다고보고했습니다.

  • 마찬가지로, 1 학년 학생들이 3 학년 학생들을 shadow한 프로그램에서 그들은 의학 실습, 의사가되는 과정, 의료 제공자, 실제 환자의 본질 및 의학 절차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11

One wa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eparatory programs is to use near-peers as tutors and mentors. Such programs have well-established benefits, including improved social and cognitive congruence between learner and teacher.9 

  • One form of near-peer learning is shadowing, in which junior students follow senior students or residents in a clinical setting, observing and sometimes participating in clinical activities. 

  • When graduating British medical students shadowed house officers, they reported that they gained experience directly relevant to their needs, became familiar with their work environment, were oriented to their future role, and learned specific and relevant medical knowledge.10 

  • Similarly, in a program where first-year students shadowed third-year students, they learned about the practice of medicine, the process of becoming a doctor, providers of healthcare, the nature of real patients and the procedures of medicine.11




프로그램

The Program


개발

Development


Drawing on our own experiences as students and teachers of medicine, in 2009, we developed a program to prepare students for clerkship and to address some of the issues faced by other preparatory programs. Our program applied the benefits of near-peer, experience-based shadowing programs to preclinical students, capitalizing on the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 of residents. 


기대효과

We hoped that, by exposing students to and having them participate in clinical activities, they would both better understand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the trainee’s role within it, and gain th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perform that role.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we also wished to develop a program with minimal financial cost and administrative effort.


대상과 이유

The program allows a first-year medical student to shadow a volunteer first-year resident from any specialty on multiple occasions over an extended period. 

    • We chose first-year students because of the potential for the greatest impact on their education as well as the potential to optimize the amount of time for students to form a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eir resident throughout their training. 

    • We chose first-year residents because of their wide variety of clinical rotations, their high level of clinical expertise relative to medical students, and their closeness to students in age and training. 

1년차 레지던트지만 충분

We hoped this proximity would foster near-peer interaction, a better understanding of student’s needs, and closer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residents. Although the clinical abilities of first-year residents are not as developed as those of more senior residents, we felt that their knowledge and skills, relative to those of first-year students, were sufficient to allow effective teaching.




묘사

Description


모집

At the beginning of the academic year, we present the program to students and residents at their respective orientations and invite them to participate. Recruitment continues with a series of e-mail invitations and follow-up question-and-answer sessions. 


Shadowing 기간, 시간

Once all participants have been determined, each first-year medical student is randomly assigned to shadow one first-year resident during clinical activities for four to six hours, once per month, for eight months (32–48 hours direct contact per year). Sessions are scheduled during the residents regular work duties and when the student is free of other academic obligations. Students can, at their discretion, shadow at night or on the weekends; however, because our institution already allocates students one morning and one afternoon per week to study or pursue additional learning opportunities (such as shadowing), concerns over work-hour restrictions are mitigated. We encourage participants to select shadowing times and settings that are mutually convenient and that provide a variety of clinical experiences. 


Shadowing 범위

We place no limitations on the setting of the shadowing experiences, as long as they are clinically based. Possible situations include morning rounds, outpatient clinics, the emergency room, the operating room, labor and delivery wards, and evenings when the resident is on call. 


레지던트 관리감독

A student’s observation of and participation in clinical activities must always be under the resident’s direct supervision, and the resident must inform their own supervising physician or team of the student’s presence at least a day in advance.



관련 자료 제공

We hav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the program’s various stakeholders a number of documents with differing purposes. 

    • 학습과 관련된 문서
      To optimize their learning, the students (and participating residents) receive documents containing objectives related to clinical medicine, a description of the life and work of a clinical trainee, and the CanMEDS competency framework.12 

    • 안전한 교육환경을 위한 문서
      To ensure a safe and educational atmosphere for students and patients, and to improve the fidelity of the intervention, they also receive a document (available to readers upon request from the author) that describes the program format, including recommended shadowing frequency, duration and settings, policies related to harassment and abuse, and rules regarding student roles and resident supervision. 


학생이 잡일을 해서는 안됨 

    • Included in these rules is the stipulation that students are not to be used solely for educationally worthless “scut work,” but should be exposed to all parts of the resident’s job so they can better understand the day-to-day work. 

레지던트는 관리감독을 잘 해야함

    • Residents must carefully judge and monitor the amount of patient care responsibility they give to students, always keeping in mind the student’s very junior level and the fact that they are often interacting with patients for the very first time. 

    • In all settings, and especially with regards to procedural skills, writing orders, or providing medical advice, students must be closely supervised and never placed in a situation that compromises patient safety.

    • The ultimate authority regarding a student’s activities rests with the patient’s attending physician. 


최대한의 학습을 위한 권장사항

    • The documents also include suggestions to maximize the learning potential of the shadowing sessions. For example, we encourage participants to schedule sessions for times when the clinical setting is busy enough to be interesting and educational, but not so hectic as to make teaching and interaction difficult.


행정비용 최소화를 위한 노력

    • Aside from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s and program description, the administrative effort required to run the program consists solely of the short recruitment process and answering occasional e-mails from participants. 

    • During the program, students and residents also receive monthly e-mail reminders to schedule shadowing sessions. These e-mails include responses to frequently asked questions and suggestions to deal with any problems encountered, and serve as a distribution mechanism of program documents. 

    • In the program’s inaugural year, the administrative duties were performed by one of the authors, at that time a graduate student. In the following years, these duties have been taken over by an administrative staff member within the Faculty of Medicine.


도입

Implementation


신청자 중 무작위로 83명(레지던트 신청자와 동수) 배정

We therefore randomly selected 83 students to be partnered with residents. The remaining 90 students formed a control group for comparison.


Shadowing한 시간

Stud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reported a mean total shadowing time of 44.5 hours during their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significantly greater than any informal shadowing carried out independently by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28.6 hours, P < 0.001). The mean reported length of a shadowing session was 4.13 hours (SD = 1.28 hours, range 1–8 hours). 


Shadowing한 장소

Students reported participating in a wide variety of clinical settings, including 

  • inpatient ward rounds, 

  • outpatient clinics, 

  • the emergency room, 

  • labor and delivery, 

  • scrubbing in the OR, and 

  • on call at night. 


Shadowing한 활동

The activities in which they spent the most time were (in descending order) 

  • history taking, 

  • charting, 

  • physical examination, and 

  • CanMEDS behaviors.



평가

Assessment


Of the 63 students in the program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 즐거움 59 (93.6%) stated they enjoyed participating, 

  • 동료에게 권장 58 (92.1%) would recommend the program to a colleague, and 

  • 재참여 의사 57 (90.5%) would participate again. 


또 해야하는가?

When asked if the program should be available again the following year, 

  • all but one (98.4%) of the responding intervention group students, 

  • all 57 (100%) of the responding control group students, and 

  • 66 of the 70 (94.3%) responding residents agreed.


학생의  향상도

  • The interven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larger increase in their mean score on the preparedness scale (SD = 0.85) from pre to post intervention than did the control group (SD = 0.11, P = 0.005). 

  • Fifty (79.3%) of the responding intervention group students and 52 (74.3%) of the responding residents thought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had better prepared the students for third-year clinical rotations. 

  • The majority of students and residents thought tha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mproved the student’s medical knowledge, the quality of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health professionals and with patients, and their ability to perform physical examinations and take medical histories.




Lessons Learned


우리의 더 큰 평가의 한 부분으로 인터뷰 한 레지던트들은 

  • 예상보다 적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했고, 

  • 더 적은 수의 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면 더 많은 주민들이 가입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또한 기본 임상 지식의 보충, 

  • 전문성에 대한 깊은 이해, 그리고 

  • 부담이 적은 환경에서 교육을 실습해볼 수 있는 기회

....등 참여로 인한 혜택을보고했습니다. 레지던트를 모집 할 때 이러한 혜택을 강조해야합니다.

The residents interviewed as part of our larger evaluation stated that participation required even less time and effort than they had expected, and that more residents would have signed up had they known how little work was required. They also reported benefits for themselves from participating, including the cementing of basic clinical knowledge, a deepe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nd the opportunity to practice teaching in a low pressure setting. These benefits should be emphasized when recruiting residents to participate.




 2012 Sep;87(9):1288-91.

Preparing students for clerkship: a resident shadowing program.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lberta, Canada. sturner@ualberta.ca

Abstract

The preparation of medical students for clerkship has been criticized, in terms of both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ir new role as clinical trainees and their ability to carry out that role. To begin to address this gap, the authors report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a novel program in which first-year medical students shadow first-year residents during their clinical duties. The program matches each student to a single resident, whom they shadow for several hours, once per month, for eight months. In the programs inaugural year (2009-10), 83 student-resident pairs participated; over 70% responded to pre- and post-intervention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an 18-item preparedness scale. The authors used those responses to evaluate the program. Compared to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program assessed themselves as better prepared to learn in a clinical setting. The low-cost student-resident shadowing program described in this article provided an early and structured introduction to the clinical environment, which may help prepare students for the transition into clerkship.

PMID:
 
22836844
 
DOI:
 
10.1097/ACM.0b013e3182623143


의과대학생의 임상실습 준비: Transition Course 분석(Acad Med, 2008)

Preparing Medical Students for Clerkships: A Descriptive Analysis of Transition Courses

Ann Poncelet, MD, and Bridget O’Brien, PhD




전임상 교육에서 임상교육으로의 전환은 의대생에게 특히 스트레스가 깊고 불안한 자극으로 나타났습니다 .1-4 모든 의대에서는 학생들의 임상 진료 준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임상 교과 과정에 임상 중심의 코스와 경험을 포함시켜 Transition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불안의 일부를 줄이고자 했다.5-8

The transition from preclerkship to clerkship educa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particularly stressful and anxiety provoking experience for medical students.1–4 All medical schools have incorporated clinically oriented courses and experiences into the preclerkship curriculum in the effort to improve students’ preparation for clinical settings and, correspondingly, to reduce some of the stress and anxiety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5–8


학생들은 오더 및 경과 기록 작성, 정맥 주사 (IV) 라인, 병원 장비 식별과 같은 임상 실습의 특정 측면에 대해 준비가되지 않았다고 느끼는 것을보고했습니다.

Students have also reported feeling unprepared for specific aspects of clinical practice such as writing orders and progress notes, starting an intravenous (IV) line, and identifying hospital equipment.9,10 


한편, 임상실습 관리자들은 3 학년 의대생이 다음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충분히 유능하지 못하다고보고했습니다.

  • 의사 소통 능력,

  • 인터뷰 / 신체 검사 기술,

  • 임상 역학 및 확률 론적 사고,

  • 전문성 및

  • 라이프 사이클 단계.

Meanwhile, clerkship directors have reported that third-year medical students are not sufficiently competent in important domains such as 

  • communication skills, 

  • interviewing/physical exam skills, 

  • clinical epidemiology and probabilistic thinking, 

  • professionalism, and 

  • life cycle stages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는 한 가지 이유는 임상 교수들의 부적절한 appreciation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임상 실습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데 필요한 지원과 지침이 부족하면,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충분히 확신하고 편안함을 느끼기 어려울 것이다.12 

One reason why these challenges persist may be an inadequate appreciation by clinical faculty for the amount of support and guidance that students, need in order to feel sufficiently confident in and comfortable with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clinical practice.12 


학생들이 임상실습과정으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많은 도전 과제들은 다음이 잇다.

  • 임상 세팅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특정 지식 및 정보,

  • 그들이 일할 수있는 환경에 익숙해 질 기회, 

  • 첫 임상실습날부터 수행 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들과 활동의 종류를 실습 할 수있는 기회.

Many of the challenges that students associate with the transition to clerkships highlight their need for 

  • spec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is directly relevant to clinical settings, 

  • opportunitie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settings in which they will be working, and 

  •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 kinds of tasks and activities that they will most likely be expected to perform in their first clerkships.



지금까지는 학생들이 과목별 자기보고식 만족도를 넘어선 전이 과정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으며. 특정 임상 과제를 수행하고 기술을 습득하기위한 사전 및 사후 과정 자기 평가 수준의 변화가 있었다. 세 가지의 문헌밖에 없었고, 각각은 접근법이 매우 달랐다.

Thus fa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bout the efficacy of transition courses beyond students’ self-reported satisfaction with courses13 and changes in preand postcourse self-assessed levels of preparation to performspecific clinical tasks and acquire skills.9 We found only three transition course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which were each notably different in approach.



이 질문에 비추어 우리의 목적은

  • 전환 과목에서 사용되는 내용과 교육 접근법을 설명하고,

  • 이 강좌의 목적과 내용이 임상실습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과제와 일치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 전환 과정을 설계하거나 연출하는 교육자를 지원할 수있는 프레임 워크를 제공합니다.


In light of these questions, our purpose is 

  • to describe the content and educational approaches used in transition courses, 

  •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objectives and content of these courses are aligned with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to clerkships, and 

  • to provide a framework that can assist educators who are involved in designing or directing transition courses.



Transition Courses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ransition Courses


The data we present on transition courses are based on the results of an open-ended survey, conducted in 2003, that was e-mailed to curriculum deans at the 125 U.S. medical schools that existed then. Of the 56 dean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45%), only 30* described transition courses that met our criteria: 


(1) 코스는 최소 1 일 이상 12 주 미만이었고,

(2) 과정은 직무 직전에 이루어짐,

(3) 임상실습으로의 전환에 중점을 둔 코스 내용

(4) 응답을 코딩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었습니다.

  • (1) the course was at least one day and no more than 12 weeks, 

  • (2) the course occurred immediately before clerkships, 

  • (3) course content focused specifically on transition to clerkships, and 

  • (4) sufficient information was provided to allow us to code the responses.


We identified three curricular themes fromour analysis of the courses: 

  • (1) 새로운 정보와 기술

  • (2) 임상 환경에서의 사전 지식, 기술 및 태도의 검토 및 적용,

  • (3) 학생 복지 및 스트레스 감소.

  • (1) presentation of new information and skills, 

  • (2) review and application of preclerkship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a clinical setting, and 

  • (3) student well-being and stress reduction.





Course length and design


Most courses (83%) were one week or less in duration, and the longest course was seven weeks.


Content and themes


The array of content areas within each theme is described in Table 2.






새로운 정보와 기술

New information and skills.


코스 설명에 나타난 가장 일반적인 주제 중 하나는 새로운 임상 기술이었습니다. 이 기술은 

      • 차트에 오더, 처방전 및 메모 작성과 같은 다양한 항목을 다루었습니다. 

      • 봉합 및 인공 호흡과 같은 절차 적 기술; 

      • 다른 건강 관리 직원과의 커뮤니케이션 스킬. 

One of the most common topics that appeared in course descriptions was new clinical skills. These skills covered 

      • a range of items such as writing orders, prescriptions, and notes in the chart; 

      • procedural skills such as suturing and resuscitation; and 

      • communication skills with other health care staff. 

대부분의 코스는 학생들에게 와드, 수술실 (OR) 및 외래 환자 클리닉과 같은 다양한 임상 설정을 익히도록 정보와 실제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Most courses provided information and practical experiences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different clinical settings such as the wards, the operating room(OR), and outpatient clinics.




지식, 술기, 태도의 검토와 적용

Review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대략 반 정도의 과정은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구두 발표와 같은 preclerkship 커리큘럼에서 다루어 진 임상 기술을 검토 할 시간을 보냈습니다.

Roughly half of the courses devoted time to reviewing clinical skills that were covered in preclerkship curricula such as history taking, physical exam, and oral presentations.


일반적으로 전환 과정 커리큘럼은 학생들이 실제 임상 환경의 요구 및 기대에 적합한 방식으로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도록 연습 할 수있는 지침 및 / 또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여러 코스에서 전문성을 언급하면서 종종 임상 환경과 관련된 주요 측면을 강조했습니다. 기본 의학 주제, 기본 과학 주제, 전문 주제 및 환자 인구에 대한 지식과 같은 지식 주제의 검토는 매우 일반적이지 않았으며, 특히 길이가 더 짧은 코스에서 그러했다.

Typically, the transition course curriculum provided instruction and/or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actice using these skills in ways appropriate to the demands and expectations of real clinical settings. Similarly, several courses addressed professionalism, often highlighting key aspects relevant to clinical settings. Review of knowledge topics such as basic medical topics, basic science topics, specialty topics, and knowledge about patient populations was not very common, particularly in the courses that were shorter in length.


학생의 웰빙과 스트레스 조절

Student well-being and stress reduction.


과정의 3 분의 2에는 학생 복지 및 스트레스 감소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주제와 활동에는 현직 신입생의 조언이나 조언, "와드에서 살아남기" 핸드북과 같은 서면 가이드, 정서적 문제와 의대생의 독특한 위치에 대한 토론, 학생 옹호가 포함되었습니다.

Two thirds of the courses included content specifically related to student well-being and stress reduction. Topics and activities included tips or advice from current clerkship students, written guides such as a “surviving the wards” handbook, discussions of emotional issues and of the unique position of medical students, and student advocacy.



교수법

Instructional approaches


우리가 공부 한 전환 과목은 표 3에 나와있는 것처럼 여러 가지 다른 교수법을 통합했습니다.

The transition courses we studied incorporated several different instructional approaches, as shown in Table 3.


예상했던대로 코스에서 사용 된 다양한 접근 방식의 수는 3 가지 주제 모두를 다루는 코스뿐만 아니라 더 긴 코스에서 더 높았습니다.

As might be expected, the number of different approaches used in a course tended to be higher in longer courses as well as in courses addressing all three themes.



목적, 목표

Purpose or objectives


단 7 개의 전환 과정 만 명시적인 목적이나 학습 목표를 표명했습니다. 포함 된 목표 및 목표

  • 임상 환경에서의 학생들의 comfort 개선,

  • 특정 임상 및 / 또는 절차 적 기술 수행에있어 학생의 comfort 및 숙련도 향상,

  • 학생들이 임상 기술을 연습하고 피드백을받을 수있는 기회를 제공,

  • 학생들이 사무직에서 사용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소개

  • 학생에서 전문가로의 전환을 촉진


Only seven transition courses stated an explicit purpose or learning objectives. Goals and objectives included 

  • improving students’ comfort in clinical settings, 

  • improving students’ comfort and proficiency in performing specific clinical and/or procedural skills, 

  •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actice clinical skills and receive feedback, 

  • introducing new knowledge and skills that students will use in the clerkships, and 

  • facilitating the transition from student to professional.



학생평가, 과정평가

Student assessment and course evaluation


대부분의 코스는 주로 학생들의 서면 과목 평가 (1 ~ 4 일 동안 지속되는 코스의 53 %, 1 주간 지속되는 코스의 90 %, 2 ~ 7 주간 지속되는 코스의 100 %)를 통해 코스 평가를 포함했습니다

Most courses included an evaluation of the course, primarily through students’ written course evaluations (53%of courses lasting one to four days, 90% of courses lasting one week, and 100%of courses lasting two to seven weeks).



예시

Course examples


In Appendix 1, we present three examples to illustrate the differences among transition courses with respect to curricular content,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emphasis placed on each of the three major course themes.




고찰

Discussion


이러한 결과는 

  • 학생들의 clinical practice 진입을 촉진하고 

  • 임상 활동에 참여할 수있는 능력을 향상 시키며 

  • 임상실습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과도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 지향적이고 경험에 기초한 입문 기간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These findings signal a need for a clinically oriented and experientially based introductory period that can 

  • facilitate students’ entry into clinical practice, 

  • improve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clinical activities, and 

  • reduce the excessive anxiety and stress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to clerkships. 


전환 과정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는 방법을 제공 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는 이러한 과정의 설계 및 평가를 안내하는 기본 틀이나 원칙이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Transition courses can provide a way of satisfying this need, but so far there seems to be no framework or principles to guide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these courses.


임상실습으로의 전환은 문제 해결 학습, 임상 기술 과정, preceptorships 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5-8 한 가지 설명은 이러한 노력이 보다 즉각적인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임상실습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학생들의 불안의 근원이되는 염려와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최근의 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 모델은 학생들이 주로 임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실용적인 능력, 전문적 정체성, 자신감을 개발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Students’ transition to the clinical clerkship year continue to be a challenge despite the addi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clinical skills courses, and preceptorships in the preclerkship curriculum.5–8 One explanation may be that these efforts do not address the more immediate issues and concerns that are the sources of students’ anxieties during the transition to clerkship. Furthermore, a recent model of students’ learning in the clerkships shows that students develop practical competence, professional identity, and confidence primarily by participating in clinical activities.12


전환 과정을 설계하기위한 지침으로 제안하는 프레임 워크는 세 가지 원칙에 기반합니다. 

  • 첫째, Transition course에서는 학생들이 특히 어렵거나 도전적인 것으로 확인 된 측면임상 교수 또는 실습 감독이 학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기능하고 환자 돌봄에 기여하는 데 필요한 것을 주로 다뤄야 한다. 과정의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것을 감안할 때, 어떤 내용들은 전환 과정에서 다루기에 적절하지 않으며, 따라서 단기간에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있는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두 번째로, 코스는 학생과 임상 교수에 의해 확인되고 학생의 수행 및 임상실습 참여와 관련이 있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가져야합니다. 

  • 셋째, 교육 과정은 교육적 접근법을 사용해야하며 필요와 목표에 부합하는 학습 활동을 포함해야합니다.

The framework we propose as a guide for designing transition courses is based on three principles. 

  • First, the course must address aspects of the transition to clerkships that students have identified as particularly difficult or challenging and that clinical faculty or clerkship directors recognize as necessary for students to function in clinical settings and contribute to patient-care activities. Given that the courses are relatively short in durat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some needs are not appropriate to address in a transition course and, thus, to focus on those that can reasonably be addres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 Second, courses must have specific, measurable objective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needs identified by students and clinical faculty and that are relevant to students’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 in the clerkships. 

  • Third, courses must use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include learning activities that match the needs and objectives.




원칙1: 학생과 실습 감독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해결하라

Principle One: Address aspects that students and faculty or clerkship directors recognize as problematic


연구한 모든 전환과정은 입문 과정에서 학생의 성과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소개하기 위해 코스 시간을 사용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절차를 가르치고, 안전 예방책을 가르치며, 그리고 / 또는 임상 현장에 오리엔테이션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학생들이 사무직에 들어갈 때 기술 및 절차 적 기술이 부적절하다는 인식과 일치합니다. 또한 임상 현장에서 복잡성과 작업 속도를 감안할 때 학생들이 임상 환경에 순응하기가 어려워한다는 연구와도 일치한다

All of the transition courses we studied used course time to introduce new information and skills that were perceived as important to students’ performance in the clerkships. Most often, this involved teaching students basic procedures, teaching safety precautions, and/or providing an orientation to clinical sites. These efforts are consistent with perceptions that students have inadequate technical and procedural skills when they enter the clerkships and have difficulty acclimating to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given the complexity and pace of work in the clinical sites they rotate through.9–11,15



원칙2: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한 목표를 세우라

Principle Two: Articulate specific, measurable objectives


7 개의 코스 만 특정 목표 또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여전히 개선될 여지가 많다. 이러한 목표의 대부분은 임상 환경과 임상 및 절차 적 기술을 통해 학생의 안락 수준을 목표로했습니다.

Only seven courses identified specific goals or objectives, revealing considerable room for improvement. Most of these objectives targeted students’ levels of comfort in clinical settings and with clinical and procedural skills.



원칙3: 요구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학습활동을 사용하라

Principle Three: Use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meet needs and objectives


학생들이 직면하는 대부분의 과제는 임상 환경에서의 성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필요로하는 새로운 정보와 기술은 실용적이며 그들이 임상 환경에서 기능하도록 돕고, 자신이하고있는 업무와 활동에 대해보다 자신감을 갖거나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해주며, 더 일찍 임상실습에서 더 많은 환자 관리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사전 지식과 기술을 임상 상황에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보고합니다. 이러한 요구는 특히 첫 임상실습에서 발생할 상황을 미리 경험하고 숙지 할 수있는 기회를 전환 과목에 포함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

Most of the challenges that students face are related to performance in clinical settings. For example, the new information and skills that students need are practical and will help them to function in clinical settings, to feel more confident or comfortable with the tasks and activities they are doing, and to participate in more patient-care activities earlier in the clerkships. In addition, students report difficulties connecting prior knowledge and skills to clinical situations. These needs suggest that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clinical settings, particularly those in which their first clerkship will occur, are particularly important activities to include in transition courses.21


대부분의 코스는 적극적이고 실습적인 경험을 제공 할 기회를 제공했지만, 관찰과 피드백을 얼마나 많이 포함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인 피드백이 없다면, 연습의 기회는 학생들의 성과를 향상시키지 못할 것이다.

Most courses did provide opportunities for active, hands-on experiences, but it is not clear how many of these experiences included observation and feedback. Without specific feedback, such opportunities to practice are less likely to improve students’ performance.22



분석

Analysis


따라서 우리는 코스가 세 가지 주제 모두를 다루고 각각의 목표를 명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Correspondingly, we conclude that it is appropriate for courses to address all three themes and to specify objectives within each.


  • 코스 기간은 코스가 합리적으로 달성 할 수있는 목표, 코스가 커버 할 수있는 컨텐츠의 양, 그리고 사용할 수있는 수업 방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환 코스 설계의 핵심 요소입니다. 진정한 연습과 임상 실험에 대한 기회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코스는 최소 1 주일을 권장합니다.

  • 이상적으로, 코스는 학생들이 임상 환경에서 일상적인 활동을 경험할 수있는 기회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합니다. 이 시간은 구조화되어야 하며, 학생이 이러한 설정 작업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동료 또는 임상의에 의해 안내되어야 합니다. 가능한 한 최대로, 이러한 경험은 학생들의 첫 번째 직무 현장에서 발생해야합니다.

  • 또한, 코스는 학생들이 실제 또는 시뮬레이션 된 임상 상황에서 기존 기술을 사용하여 연습 할 시간을 제공해야합니다. 이 관행은 반드시 준수되어야하며 드백을 포함해야합니다. 소그룹 토론 세션 및 대형 그룹 강의 또는 교훈 세션과 같은 다른 접근법과 활동은 코스의 내용 및 목표와 일치 할 때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ourse duration is a key factor in the design of transition courses because it influences the objectives that a course can reasonably achieve, the amount of content a course can cover, and the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can be used. Given the importance of opportunities for authentic practice and clinical immersion experiences, we recommend that courses be a minimum of one week. 

  • Ideally, courses should dedicate a significant portion of time to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day-to-day activity in clinical settings. This time needs to be structured and guided by peers and/or clinicians so that students can efficiently gain a significant understanding of the workings of these settings. To the greatest extent possible, these experiences should occur at the site of students’ first clerkship.

  • In addition, courses need to provide time for students to practice using existing skills in real or simulated clinical situations. This practice must be observed and include feedback. Other approaches and activities such as smallgroup discussion sessions and largegroup lectures or didactic sessions can be used sparingly, when they are consistent with the content and objectives of the course.


1 년차와 2 년차에 걸치는 통합 된 종단 코스가 학생들이 임상실습으로 성공적으로 전환 할 수 있도록 준비 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Whipple 등 24)은 일부 임상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안락함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 중에서 커리큘럼을 밟은 학생들 사이의 직무 초기에 상당히 높았 음을 나타냅니다.

There is some evidence suggesting that integrated, longitudinal courses spanning the first and second years can prepare students to transition more successfully to their clerkship year. For example, Whipple et al24 indicate that students’ comfort with some clinical skill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beginning of clerkships among students who went through the curriculumthan among students who did not.



어떤 문제는 전임상 교과 과정의 조기 임상 경험 통해 종단적 방식으로 가장 잘 대처할 수 있는 반면, 어떤 문제는 첫 번째 임상실습 직전에 집중적인 전환 과정을 통해 더 잘 수행 될 수 있습니다.

It may be that some of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early clerkship experiences are best addressed in a longitudinal fashion through the preclerkship curriculum, whereas others are better attended to through a focused transition experience immediately preceding the first clerkship.



결론

Conclusions


설문 조사에 응답 한 미국 의과 대학의 절반 이상이 임상실습 전환 과정을 보유하고 있었다.

More that half of U.S. medical schools responding to our survey had specific transition courses before the clerkships.


우리는 의과 대학의 진료과에서 환자 간호 활동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식적인 전환 과정에 적어도 일주일을 할애하는 것이 좋습니다. 

We recommend that medical schools devote at least one week to a formal transition curriculum that i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ability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patient-care activities in the clerkships. 

  • 학습 목표 및 교과 내용에 중점을 두는 가장 적합한 세 가지 주제: 새로운 임상 지식 및 기술 습득, 임상 환경에서 기존 지식, 기술 및 태도의 적용, 학생 복지.

  • 수업 방법에는 임상 설정에서의 구체적인 활동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이상적으로는 첫 번째 임상실습의 상황을 다루어야 한다.

  • 각 과정은 특정 전환 과제를 다루는 명확하게 정의 된 목표를 가지고 있어야하며 목적 달성에 가장 적합한 학습 활동을 포함해야하며 학생 성과 및 과정 효능을 평가하는 방법이 있어야합니다.

  • Three themes that are most appropriate for courses to focus on with respect to learning objectives and curricular content include acquisition of new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application of exist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the clinical setting; and student well-being. 

  • Instructional methods should include specific activities in clinical settings, ideally the settings of the first clerkship. 

  • Each course must have clearly defined objectives that address specific transition challenges, include learning activities best tailor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and have methods for evaluating student outcomes and course efficacy.








 2008 May;83(5):444-51. doi: 10.1097/ACM.0b013e31816be675.

Preparing medical students for clerkships: a descriptive analysis of transition courses.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Neur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lifornia 94143, USA. ann.poncelet@ucsf.edu

Abstract

Students have reported several challenging aspects of the transition to clerkships, such as applying clinical knowledge, learning experientially, using clinical skills, adjusting to clinical settings, and understanding roles. In an effort to address some of these challenges, a number of medical schools have added transition courses to their curricula, but little information about these courses has been published. The authors draw on findings from a study of the design and content of 30 transition courses offered in U.S. medical schools, to examine various approaches and provide a framework to guide the design of transition courses. Most courses (83%) were between one day and one week long. The authors identified three primary course themes: presentation of new information and skills, review and application of content covered in the preclerkship curriculum, and student well-being. All courses presented new information and skills, and more than half of the courses (53%) addressed all three themes. The most common curricular topics were technical/procedural skills, safety precautions, orientation to clinical settings, review of clinical skills, and stress management. Hands-on experienc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ructional approach. Few courses had explicit goals and objectives, and evaluation of students was rare. Transition courses can address some of the need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early clerkship experiences. These courses should explicitly target areas of need that are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s well as those identified within one's own institution. They should include clear objectives, learning activities tailored to the areas of need and objectives, and student and course evaluations.

PMID:
 
18448897
 
DOI:
 
10.1097/ACM.0b013e31816be675


임상실습 책임교수는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할까? (Acad Med, 2004)

Do Clerkship Directors Think Medical Students Are Prepared for the Clerkship Years?

Donna M. Windish, MD, Paul M. Paulman, MD, Allan H. Goroll, MD, and Eric B. Bass, MD, MPH






지난 몇 년 동안 미국 조직은 의료 교육의 모든 단계에서 커리큘럼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했습니다. 의학교육자가 이러한 많은 변화를 뒷받침하지만, 실행은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12

Over the past several years, U.S. organizations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curricular reform in all stages of medical training. Although medical educators support many of these changes,11 implementation can be a challenge.12


핵심 임상실습에서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사전 학습 준비의 중요성을 균등하게 인식했습니다. 관심을 끌기 위해 몇 가지 역량이 선정되었습니다.

  • 의사 소통 능력,

  • 면담 / 신체 검사,

  • 임상 역학 및 확률 론적 사고,

  • 전문 직업 의식,

  • 진료 시스템 및

  • 생명주기 단계에 대한 관심 15


collaborators have uniform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eclerkship preparation to successful student learning in the core clerkships. Several competencies have been singled out for attention: 

  • communication skills, 

  • interviewing/physical examination, 

  • clinical epidemiology and probabilistic thinking, 

  • professionalism, 

  • systems of care, and 

  • attention to life-cycle stage.15 


문제는이 6 개 영역에서 전임상 역량의 적절한 수준과 핵심 직무에 대한 준비의 적절성입니다. 미국 의과 대학의 커리큘럼 계획을 알리기 위해 핵심 직책 감독자에 대한 전국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6 가지 핵심 역량에 대한 적절한 준비 과정 및 학생 준비 상태에 대한 의견을 결정했습니다.

At issue is the appropriate level of preclerkship competence in these six areas and the adequacy of preparation for the core clerkships. To help inform curriculum planning at U.S. medical schools, we conducted a national survey of core clerkship directors to determine their views on the appropriate level of clerkship preparation and on the current state of student preparedness with regard to the six core competencies.



METHOD


Study Design and Target Population


We conducted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of clerkship directors at 32 U.S. medical schools.


Sampling Strategy


Given the target population, we decided on a selection process that would ensure a broad representation of medical schools. We first stratified all medical schools by awards received fro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for the 2001 federal fiscal year.16 


From this list,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ose in the top half of research funding dollars and 

    • those in the bottom half of research funding dollars. 


Schools were then separated into four geographic regions in the United States: 

    • Northeast, 

    • Southeast, 

    • Midwest, and 

    • West/Southwest. 


Using a random numbers table, we chose eight schools from each region (four schools with top 50% NIHfunding, and four schools with bottom 50% NIH funding), giving a total of 32 schools.


Survey Instrument


In 2000, the U.S.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funded the Family Medicine Curriculum Resource Project to help educators develop a resource document to address all four years of family medicine education, medicine including the core family clerkship. As part of the project, a Preclerkship Collaborative Workgroup (comprised of educators in pediatrics, internal medicine and family medicine) identified 



의과 대학의 첫 2 년 동안 우선 순위가 높은 6 가지 역량 :

six competencies as high priorities in the first two years of medical school: 


    • 의사 소통 능력,

    • 인터뷰 / 신체 검사,

    • 임상 역학 및 확률론적 사고,

    • 전문 직업 의식,

    • Systems of care를 이해하고

    • 환자의 라이프 사이클 단계를 이해합니다.


    • communication skills, 

    • interviewing/physical examination, 

    • clinical epidemiology and probabilistic thinking, 

    • professionalism, 

    • understanding systems of care, and 

    • understanding a patient’s life-cycle stage.



Survey Administration


We mailed questionnaires to each clerkship director in October 2002. Reminder letters were sent four weeks later. A final mailing was sent at eight weeks to those who did not respond to the first two mailings.


Data Analysis


We calculated and display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by percentage. For each competency, we also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reporting that students need at least intermediate ability, and the percentage reporting that students are less prepared than necessary.



결과

RESULTS


Of the 190 clerkship directors surveyed, 140 (74%) returned the questionnaire.The response rate varied somewhat by clerkship type and geographic location(see Table 1).




필요한 역량 및 준비 상태

Level of Ability Required and Preparation Needed in Each Competency



대부분의 임상실습 감독은 학생들이 첫 번째 핵심 임상실습에 들어가기 전에 여섯 가지 역량 중 다섯 가지 역량역량을 intermediate 수준으로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그림 1 참조). 조사원 사무원의 95 % 이상이 학생들이 의사 소통 기술 및 전문성에서 중급에서 고급 수준의 능력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상대적으로 73 %는 학생들이 보육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능력이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he majority of clerkship directors re-ported that students need at least intermediate ability in five of six competencies before entering their first core clerkship (see Figure 1). Over 95% of the clerkship directors surveyed felt students need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of ability in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 Comparatively, 73% felt that students need minimal or no ability in understanding systems of care.


Many clerkship directors indicated that their clerkship provides formal training in at least one of these six competencies because they believe students do not receive as much instruction as necessary in the preclerkship curriculum. 


Sixty percent of respondents stated they offer training in inter-viewing/physical examination, 35% in communications skills, 32% in epidemiology/probabilistic professionalism, thinking, 27% in 27% in life-cycle stages, and 14% in systems of care. 



하위 그룹 분석

Subgroup Analyses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사무원 및 각 기관의 특성에 따라 재검토되었습니다. 비 외과 1 차 의료 분야 (가정 의학, 내과 및 소아과)의 사무직 직능 검사자의 견해는 외과 또는 비 주치의 분야 (산부인과, 산부인과, 수술 및 정신과)의 그것들과 비교되었다 (표 2 참조).

We reexamined responses to each ques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clerkship directors and their individual institutions. The views of clerkship di-rectors in nonsurgical primary care disciplines (family medicine, internal medicine, and pediatrics) were compared to those in the surgical or non–primarycare fields (obstetrics/gynecology, surgery, and psychiatry) (see Table 2).


전임상 교과 과정에서 더 많은 관심을 필요로하는 가장 중요한 역량을 확인하라는 질문에 32 %는 인터뷰 / 신체 검사, 21 % 의사 소통 기술, 16 % 전문성, 16 % 역학 / 확률 론적 사고, 8 % 이해 수명주기 단계, 6 % 이해 케어 시스템, 2 %는 다른 주제를 나열했습니다.

When asked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hat needs more attention in the preclerkship curriculum, 32%cited interviewing/physical examination, 21% communication skills, 16% professionalism, 16% epidemiology/probabilistic thinking, 8% understanding lifecycle stage, 6% understanding systems of care, and 2% listed other topics.




고찰

DISCUSSION


우리의 연구는 가정 의학 임상실습을 위한 커리큘럼 개선에 초점을 둔 프로젝트를 알리는 데 목적이 있었지만, 다른 일차진료 분야 외에도 모든 임상 분야의 견해에 대한 주목할만한 공감대를 보았습니다.

Although our study was aimed at informing a project focused on improving curricula for family medicine clerkships, we saw a striking consensus of views in all of the clinical disciplines represented, not just in family medicine or the other primary care-oriented disciplines.


하위 집단 들간의 비교의 대부분은 6 가지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예비 학습 훈련에 대한 의견이나 인식에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 주었다. 의견의 일치도가 높다는 것은 많은 전문 분야의 사무장이 핵심 직무에 대한 의대생 준비와 관련하여 비슷한 견해와 우려를 갖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즉, 준비가 중요하며 응답자의 거의 절반이 준비가 불충분하다는 점입니다.

the majority of our comparisons between subgroup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inions or perceptions about the preclerkship training of students in the six competencies. The high concordance of opinions indicates that clerkship directors of many specialties share similar views and concerns regarding medical student preparation for the core clerkships, namely that preparation is important and that in the view of nearly half of respondents, preparation is inadequate.




6 가지 역량은 의학 교육의 연속체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인식됩니다. 1999 년에 ACGME는 레지던트들이 훈련이 끝날 때 숙련되어야하는 6 가지 역량을 승인했습니다 .10 

The six competencie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throughout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In 1999, the ACGME endorsed six competencies that residents should have proficiency in by the end of their training.10 Each of these competencies coincides with areas we assessed:

  • communication skills (ACGM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 interviewing/physical examination skills (ACGME: patient care), 

  • professionalism (ACGME: professionalism), 

  • systems of care (ACGME: systems-based practice), 

  • epidemiology/ probabilistic thinking (ACGME: medical knowledge and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and 

  • life-cycle stages (ACGME: patient care).


우리의 결과는 많은 의과 대학의 학생들이 임상실습 기간에 들어가기 전에 충분히 준비되어있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1984 년 미국 의사 협회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의 프로젝트 패널이 의사의 일반 전문 교육과 의학 준비 과정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 한 이래로 많은 과학자들이 기초 과학 교육과 임상 교육을 통합하고 문제 중심 학습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한다는 요구에 부응 해왔다. 대부분의 교과 과정 변경은 임상 기술과 사회 생활 교육에 대한 종합 과목을 통해 교육 첫 2 년 동안 발생했습니다 .18

Our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in many medical schools may receive inadequate preparation before entering the clerkship years. Since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project panel on the General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Physician and College Preparation for Medicine report in 1984, many schools have responded to the call to integrate basic science teaching and clinical education, and to place a greater focus on problem-based learning. Most curricular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first two years of training through multidisciplinary courses in clinical skills and sociobehavioral education.18

















 2004 Jan;79(1):56-61.

Do clerkship directors think medical students are prepared for the clerkship years?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altimore, Maryland 21287, USA. dwindish@jhmi.edu

Abstract

PURPOSE:

Educators have begun to question whether medical students are adequately prepared for the core clerkships. Inadequate preclerkship preparation may hinder learning and may be predictive of future achievement. This study assessed and compared the views of clerkship directors regarding student preparation for the core clinical clerkships in six key competencies.

METHOD:

In 2002, a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of 190 clerkship directors in internal medicine, family medicine, pediatrics, surgery, obstetrics/gynecology, and psychiatry from 32 U.S. medical schools. Clerkship directors were asked to report their views on the appropriate level of student preparation needed to begin the core clinical clerkships (none, minimal, intermediate, advanced), and the adequacy of that preparation (ranging from "much less" to "much more than necessary") in six key clinical competencies.

RESULTS:

A total of 140 clerkship directors responded (74%). The majority reported that students need at least intermediate ability in five of six competencies: communication (96%), professionalism (96%), interviewing/physical examination (78%), life-cycle stages (57%), epidemiology/probabilistic thinking (56%), and systems of care (27%). Thirty to fifty percent of clerkship directors felt students are less prepared than necessary in the six competencies. Views were similar across all specialties and generally did not differ by other clerkship director characteristics.

CONCLUSIONS:

Almost half of clerkship directors were concerned that students do not receive adequate preparation in key competencies before starting the core clinical clerkships. Many medical schools may need to give more attention to the preclerkship preparation of students in these high-priority areas.

PMID:
 
14690998
[Indexed for MEDLINE]


임상 준비에 대한 학생의 의견(Med Educ, 2005)

Students’ opinions about their preparation for clinical practice

Katinka J A H Prince,1 Henny P A Boshuizen,2 Cees P M van der Vleuten3 & Albert J J A Scherpbier4






도입

INTRODUCTION


전임상 교육은 학생들에게 임상 교육을 준비시키는 것으로되어 있지만, 의대가 이러한 면에서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징조가 있습니다. 

  • 래드클리프 (Radcliffe)와 레스터 (Lester)가 인터뷰 한 결과, transition periods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1 

  • 학생들은 지식이나 기술이 충분하지 않아 환자에게 도움이되지 않아 스스로 useless하다는 느낌을 보였습니다 .1 

  • Alexander와 Haldane은 또한 전임상 교육이 특히 스트레스를 많이받는 기간이라고 했다.

Although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is supposed to prepare students for clinical education, there are signs that medical schools are not entirely successful in this respect. 

  • Interviews by Radcliffe and Lester with final year medical students showed that transition periods were prime causes of stress.1 

  • Students described  feeling useless, unable to contribute to patient care because they had insufficient knowledge or skills .1 

  • Alexander and Haldane also highlighted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education as a particularly stressful period.2


  •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4학년 학생의 4 분의 1은 전임상 과정에서 임상 과정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3 

  • Firth은 정신과 환자와 이야기하는 것이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유발했으며, 사례 발표, 개인 생활에 미치는 영향, 죽음과 고통을 다루는 것 등도 스트레스 요인이 되었다.

  • Another study showed that a quarter of final year students had difficulty making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studies to clinical work.3 

  • Firth found that talking to psychiatric patients caused the greatest reported stress among students, and that presenting cases, effect on personal life, and dealing with death and suffering also led to perceived stress.4



전임상에서 임상으로의 전환을 보다 부드럽게 하는 방법으로 지식과 응용이 함께 학습 된, 실제적이고 통합된 과제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문제 기반 학습 (PBL)은 이러한 과제를 제공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PBL 학생들은 전임상과정에서 임상 시험으로 쉽게 옮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use of more authentic, integrated tasks, in which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re learned together, has been proposed as a way to make the pre-clinical)clinical transition less problematic.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said to offer such tasks. If these claims are substantiated, PBL students should be able to transfer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training with relative ease.


Transition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대부분의 권고는 전임상 시기에 맞춰져 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임상 시기에 대한 노력ㄷ 필요하다. 

  • Remmen et al. 임상실습에서 교육 자원이 최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의사의 대부분이 주니어 의사에 의해 제공되고, 주로 수동적인 경험에 그치기 때문에, 의대생을 위한 좋은 학습 환경을 자동으로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7 

  • 학생들은 코칭, 피드백 및 감독이 부족하다고 자주 지적했습니다. 

  • 루비츠와 응우 엔의 연구에 따르면, 임상 로테이션에서 학생의 학대 (언어 적, 신체적, 성적 및 학업 적)의 유병률이 93.7 %로 높았으며, 학생의 ability to function 뿐만 아니라 그 medical center에서 레지던트 수련을 받고자 하는 desire에도 영향을 미쳤다.8

Most recommended measures to ease the stress of the transition focus on the pre-clinical phase. However, we might also direct our efforts at the clinical side of the divide. 

  • Remmen et al. showed that clinical clerkships do not automatically provide the perfect learning environment for medical students because educational resources are not used optimally, most of the teaching is provided by junior doctors and passive experiences abound.7 

  • Students frequently indicated that coaching, feedback and supervision were suboptimal. 

  • In a study by Lubitz and Nguyen, the prevalence of reported abuse (verbal, physical, sexual and academic) among students in their clinical rotations was high (93.7%) and had a negative impact on both student ability to function and their desire to remain at the medical centre for residency training.8


이 글의 저자들에 의한 포커스 그룹 연구에 따르면, 임상실습 초기에 학생들이 인식 한 변화에는

  • 전문직 사회화와 관련된 부정적인 경험,

  • 실제 환자 문제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

  • 다른 학습 전략을 채택 할 필요성 .9.

A focus group study by the authors of the present article showed that changes perceived by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clinical clerkships included 

  • negative experience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socialisation, 

  • difficulties in apply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to real patient problems, and 

  • the need to adopt different learning strategies.9



Professional socialisation 는 의료계의 가치와 태도에 대한 점진적 동화를 수반한다. 

  • 학생들이 임상 단계에 진입하면, 갑작기 전문적 행동을 보여줄 필요가 생긴다. 

  • 학생들은 오랜 근무 시간과 새롭고 매우 다른 환경에 적응해야합니다 .9 

  • 무엇보다 자신에게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 확실하지 않다.

이러한 사회화 요인들은 보슈 이젠 (Boshuizen)이 "shock of practice"의 증상 중 하나로 확인한 학생들의 학습의 위기를 설명 할 수있다.

Professional socialisation entails gradual assimilation of th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medical profession. 

  • The need to display accepted forms of professional conduct becomes suddenly much more urgent when students enter the clinical phase. 

  • Students have to adjust to long working hours and to a new and very different environment.9 

  • On top of that they are uncertain about what is expected of them. 

These socialisation factors may explain the crisis in students’ learning that Boshuizen identified as among the symptoms of the  shock of practice .10


지식과 기술에 관해서, 학생들은 그들이 항상 임상 실습에 충분히 준비되지 않았음을 느낀다학생들의 지식은 특정 질병과 관련된 증상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지만, 임상상황에서는 실제 환자가 제시하는 징후와 증상에 기초하여 진단해야했습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학생들은 많은 질병의 증상을 나열 할 수 있었지만 환자가 증상과 불만을 호소했을 때 진단을 내릴 수 없었습니다.


Concerning knowledge and skills, students discovered that they did not always meet the demands of clinical practice. Their knowledge was organised around symptoms associated with particular diseases, but they now had to make a diagnosis on the basis of the signs and symptoms presented by a real patient. To put it briefly, although the students were able to list the symptoms of many diseases, they were unable to generate a diagnosis when a patient presented with symptoms and complaints.



방법

METHODS



Subjects


Subjects were students at Maastricht Medical School, the Netherlands, who had recently begun their clerkship rotations. The Maastricht undergraduate curriculum offers 4 years of theory-oriented, preclinical training and 2 years of clinical clerkships. It aim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by a PBL curriculum with clinical skills training in the Skillslab throughout the pre-clinical phase.14 Clerkships begin at the end of Year 4 in the departments of surgery, internal medicine and psychiatry or with an elective.




Questionnaire


We designed a written survey on the 5 categories of transition-related problems identified in the focus group study

  • professional socialisation; 

  • workload; 

  • patient contact; 

  • knowledge, knowledge application and skills, and 

  • learning an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explored students’ recent experiences as  new  clerks in those areas. The comments of 5 senior students on clarity and readability were incorporated into the final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95 items and took approximately 20 minutes to complete according to the students in the pilot.


Procedure


We obtained a mailing list from the dean’s office of all the students whose first clerkship rotation was scheduled in 1998 (n ¼ 126). Of these 126 students, 20 were not doing a clerkship at the time of the survey. The remaining 106 participants were sent a questionnaire, together with a let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 reply-paid envelope. We tried to maximise the response by sending out a reminder letter and telephoning non-responders after 2 and 4 weeks, respectively. To enable monitoring of the response, the questionnaires had unique identity codes. The codes were removed before data entry, so that participants’ names and individual responses could not be linked to the results.


Data analysis


We calculated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proportion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RESULTS


이행기와 사회화

Transition and professional socialisation


Although almost half of the students were nervous at the start of clerkship, most students reported being mentally ready for this phase (Table 1). 

  • 준비부족, 갑작스러움
    Half of the students did not feel well prepared and 40% agreed that the transition was abrupt

  • 자퇴 생각
    Of the students, 11.2% indicated that they had considered leaving medical school at the start of clerkship. 

  • 적응 어려움
    They had difficulty adjusting to the daily routine

  • 생각보다 나음
    Clerkship was better than expected for 71.8% of the students and 36.7% indicated that during clerkship they experienced for the first time what it was like to be a doctor. 

  • 안내시간의 긍정적 효과
    Agreement was overwhelming concerning the positive effect of a good introduction and substantial with respect to the desirability of a general introduction. 

  • 현재의 introduction에 만족
    Less than half the students thought the current introduction was satisfactory.




Workload

  • 정신과 < 내과 < 외과
    The number of hours of clinical work was lower in psychiatry (median ¼ 40 hours, interquartile range 25–75% ¼ 35–30 hours) compared with internal medicine (median ¼ 50 hours, interquartile range ¼ 45–50) and surgery (median ¼ 50 hours, interquartile range ¼ 45–53.75) (P<0.001). 

  • The number of hours for independent study showed a descending order from psychiatry to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5, 3 and 1.5 hours of self-study, respectively) (P ¼ 0.002) (Table 2).

  • 근무량이 많음
    Approximately half the students thought the hours were long, the workload heavy and the work tiring. 

  • 공부시간 부족
    Nearly 75% of the students perceived a huge change in workload and thought they had insufficient time for studying.



Patient contact


  • 환자 contact는 문제 없음
    For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patient contacts posed no problems and had a favourable effect on their learning (Table 3).


지식과 지식의 적용

Knowledg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skills


  • Gap이 있음. 지식이 부족함
    The majority of the clerks perceived gaps in their knowledge and half of them did not have the appropriate knowledge readily available (Table 4). 

  • 전임상에서 배운것과 다른 지식을 요구함
    More than half the students agreed that clinical practice called for a different type of knowledge than they had acquired during pre-clinical training. 

  • 전임상시기의 학습은 이해보다 인정받기 위함이었음
    Some students volunteered that assessment in the preclinical phase had stimulated them to study for recognition rather than understanding. 

  • 행동과학영역의 지식은 충분, 행동과학>임상지식>기초지식
    Knowledge was perceived to be sufficient by half the students for the behavioural science domain and by 25.4% and 18.5% for the domains of clinical science and basic science, respectively. 

  • 해부학, 약리학 부족
    Knowledge deficiencies were mostly perceived in anatomy and pharmacology (27 and 16 students, respectively).



  • 스킬 준비는 잘 되어있음
    As for clinical skills, the majority of students felt themselves to be well prepared and able to perform clinical duties. 

  • 증상을 recognize하기 어렵고,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어려움
    However, 43% had difficulty recognising symptoms and only a quarter felt confident about findings from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 감독받고 있지 않음
    Almost a third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their findings were not checked by supervisors.


학습과 교육

Learning and education


  • 독립적으로 공부할 수 있음
    Table 5 shows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felt capable of studying independently, found what they learned in clinical practice easy to retain, and studied because they were interested in a subject. 

  • 평가가 학습을 guide 했음
    Assessment guided the learning of slightly over a third of the students. 

  •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학습함
    One of the results of clerkship was that most students studied in a different way and 64.8% of students said they studied more intensively.


  • 전임상 교육은 relevant하고 PBL은 좋은 준비과정임
    A large majority agreed that pre-clinical training had been relevant and that PBL had been a good preparation for clinical practice. 

  • SP는 좋은 준비과정임
    Simulated patient (SP) contacts were thought to be good preparation by over half the students, although fewer students appreciated the discussion of the contacts afterwards. 

  • BST는 좋은 학습경험. 
    Bedside teaching was seen as a good learning experience by many students, but fewer than half of them regarded the patient handover at the end of the day as such. 

  • 주니어 의사는 70%가 좋음, 시니어 의사는 42.9%가 좋음
    Junior and senior doctors were regarded as good teachers by 70% and 42.9% of the students, respectively.



개방형

Open questions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실습생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원했습니다. 그들은 환자를 입원시키는 법을 배우기를 원했으며, 특히 신속하고 체계적인 신체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었습니다.

More than half the students wanted more information about what was expected of them as clerks, their role and their responsibilities. They wanted to learn how to admit patients, particularly how to carry out a quick, structured, physical examination.



인식

The most salient early clerkship impressions fell into 7 categories (in order of frequency):


1 작업 부하 (증가); 1

2 환자 접촉 (높은 가치); 2

3 학습 (임상 연습에서 더 빠르고 더); 

4 동료와의 접촉 (직원 및 직원-학생 접촉에 관한 매우 긍정적이고 매우 부정적인 설명);

5 지식 (부족함); 5

6 새로운 환경 (병원 계층 구조),

7 의사의 직업 내용. 7

1 workload (increased); 1 

2 patient contact (highly valued); 2 

3 learning (more and faster in clinical practice); 3

4 contact with colleagues (very positive and very negative statements about staff and staff-student contact); 

5 knowledge (lack of); 5 

6 new environment (hospital hierarchy), and 6

7 the content of the profession of a medical doctor. 7



고찰

DISCUSSION


우리의 기대와는 달리 마스 트리 히트 PBL 학생들이 직면 한 문제는 전통적인 커리큘럼에서 학생들이보고 한 문제와 유사합니다.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e problems encountered by the Maastricht PBL students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by students in traditional curricula:


작업량

Workload


특정 활동에 소요 된 시간을 과대 평가하는 경향이보고 된 업무량을 부 풀릴 수 있었지만, 실습학생이 보고 한 시간이 전임상 모듈에서 학습 관련 활동에 대해 보고된 시간의 두 배 이상으로 학습량이 크게 증가했다.

Although the tendency to overestimate the amount of time spent on certain activities may have inflated the reported workload, the fact that the number of hours reported by the clerks was at least twice that reported for study-related activities in a pre-clinical module suggests a substantial increase in workload.15



지식, 지식 및 기술 적용

Knowledg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skills


포커스 그룹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특히 기본 과학 지식에서 결함을 경험했습니다.

As in the focus group study, most students experienced deficiencies, especially in basic science knowledge.


학생들은 역사와 신체 검사를 수행 할 수 있다고 느꼈지만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불안했습니다. Regehr과 Norman은 또한 주어진 질병의 징후를 암기하는 능력은 환자가 임상 환경에서 증상을 호소했을 때 그 질병을 인지 할 수있는 능력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Students felt able to perform a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but were insecure about how to interpret the findings. Regehr and Norman also found that students’ ability to recite the appropriate signs of a given disease did not guarantee their ability to recognise that disease when a patient presented with symptoms in a clinical setting.18




학습 및 교육

Learning and education


그 결과 학생들은 임상실습 동안 내재적으로 동기 부여가 된 학습으로 전환했다. 학생들의 말에 따르면 평가 프로그램은 기계적 학습을 강화함으로써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ents switched to more intrinsically motivated learning during clerkship. Remarks made by the students suggest that the assessment programme may play a role by reinforcing rote learning.


개선을위한 권장 사항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학생들은 전임상 (pre-clinical)과 임상 양측에서 조정을 제안했다. 여기에는 임상 전 단계에서 실제 환자와의 접촉 및 개인지도 그룹과 같은 구조화 된 교육 활동 및 임상 단계에서의 공부를위한 헌신적 인 시간이 포함되었습니다. 학생들은 사무직에 그들을 소개하는 더 좋은 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Students suggested adjustments on either side of the  pre-clinical)clinical divide . These included contact with real patients in the pre-clinical phase and structured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tutorial groups, and dedicated time for studying in the clinical phase. Students also suggested that a better way of introducing them to the clerkships could be developed.




CONCLUSIONS


분명히, PBL은 마스 트리 히트 (Maastricht)에서 실행되는 방식에 기인 할 수 있지만,이 전환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만병 통치약은 아닙니다. 

Apparently, PBL is not a panacea for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is transition, although this may be attributable to the way it is implemented in Maastricht.



학생들이 교실과 임상 환경 사이의 문화적 차이에 적응해야한다는 것은 필연적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교육자로서 책임을 회피하고 학생들의 발전을 저지하는 불만족스러운 상황을 받아들이지 않아야한다고 믿습니다. 본 연구는 이전의 질적 결과에 대한 정량적 인 확인을 제공함으로써 전환 문제의 심각성을 확인합니다

It is inevitable that students should have to adjust t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clinical setting. However, we believe that as educators we should not shirk our responsibilities and accept an unsatisfactory situation that stifles students’ progress.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e urgency of the transition problem by providing quantitative confirmation of our earlier qualitative findings.







 2005 Jul;39(7):704-12.

Students' opinions about their preparation for clinical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Skillslab, Faculty of Medicine, Maastricht University, 6200 MD Maastricht, The Netherlands. K.Prince@sk.unimaas.nl

Abstract

INTRODUCTION:

There are data that suggest that medical students do not feel sufficiently prepared for clinical practice in the clerkships.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training causes problems.

OBJECTIVES:

To seek quantitative verification of qualitative findings from an earlier focus group study on problems medical students encounter when entering the clinical phase of undergraduate training.

METHODS:

At the start of the clinical phase, all Year 4 students at Maastricht Medical School were surveyed on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training and its effects on workload, knowledge, skills and learning.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67%. Students were uncertain as to how to behave and act, mainly because they did not know what was expected of them. They experienced a drastic increase in workload and a lack of time for studying.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moderately prepared with regard to knowledge and they regarded their physical examination skills as satisfactory. Students reported having difficulty applying theoretical knowledge in clinical practice and perceived shortcomings in basic science knowledge. In addition, they felt compelled to change their learning strategies.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findings of the focus group study. The students experienced problems related to professional socialisation and workload and deficiencies in knowledge and the organisation of knowledge. A good starting point for improvement may involve exploring students' suggestions of an extensive introduction into the clerkships, a more gradual transition with regard to workload and closer integration of pre-clinical and clinical education.

Comment in

PMID:
 
15960791
 
DOI:
 
10.1111/j.1365-2929.2005.02207.x


역량바탕 졸업후수련: 이론과 실제의 갭을 연결할 수 있을까?(Acad Med, 2007)

Viewpoint: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Training: Can We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Olle ten Cate, PhD, and Fedde Scheele, PhD







의학 교육의 혁신이 성과 기반 교육으로 옮겨 감에 따라 많은 조직에서는 의사가 훈련을 통해 달성해야하는 결과를 정의하기위한 도구로서 역량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을 지지합니다. 역량 기반 교육 프레임 워크는 비록 의학 교육에서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여러 국가에서 전국 규모로 대학원 교육에 도입되어 왔으며 그 영향은 전례가 없었습니다. 3-7 이러한 변화는 정당화 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역량 기반의 프레임 워크가 더 나은 교육과 건강 관리로 이어질 것이라는 확신은 없으며, 일부 사람들은 그저 교육적인 유행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As innovations in medical education move toward outcome-based training,1 specifically in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many organizations advocate identifying and assessing competencies as tools for defining the outcomes we should attain with our doctors in training. Competency-based training frameworks, although not new in medical education,2 have only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postgraduate training on a nationwide scale in several countries, and their impact has been unprecedented.37 This shift may be justified, but many involved in medical training are not convinced that a competency-based framework will lead to better training and health care, and some consider it no more than another educational fad.810


일부 저자는 역량 기반 운동이 좋은 교육을 위한 새로운 장애물을 만들어 낼지도 모른다고 우려합니다. "진정한 도전은 전문성보다는 역량을 강조하는 문화에서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입니다."11 전문성보다는 역량? 이 혼란은 어떻게 가능합니까? 미국의 Royal Medical College of Canada (RCPSC), 미국의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위원회 (ACGME), 영국의 General Medical Council (GMC), 네덜란드 중앙 의료 전문 대학 (Central College of Medical Specialties)과 같은 전문 의학 교육자들과 분별있는 governing bodies가 전문성 개발을 방해 할 수있는 교육 모델을 도입한 것일까? 이것은 몇몇 저자의 인식 인 것 같다 .12,13 그러나 다른 이들은 역량 기반 훈련의 도입으로 대학원 교육의 성공의 열쇠를 찾은 것 같다 .14-16 이 두 그룹은 근본적으로 서로 동의하지 않는 것일까 아니면 역량을 정의 할 때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해가 있는 것일까? 역량 용어에 대한 혼란을 면밀히 검토하고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을 연결하는 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 보아야 할 것 같다.

 Some authors even worry that the competency-based movement will create new obstacles for sound training: “the real challenge is to produce expert professionals in a culture that emphasizes competency rather than expertise.”11 Competency rather than expertise? How is this confusion possible? Would professional medical educators and sensible governing bodies, such as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RCPSC),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in the United States,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Central College of Medical Specialties in The Netherlands really introduce educational models that would discourage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is seems to be the perception of several authors.12,13 However, others seem to have found the key to success in postgraduate training with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training.1416 Do these two groups of authors fundamentally disagree, or is there misunderstanding because they speak a different language when it comes to defining competency? It seems time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confusion about competence terminology, and to find out what is needed to bridge different viewpoints about competency-based training.


 

 

 

 

역량은 행동이 아닌 개인적 품질입니다.

A Competency Is a Personal Quality, Not an Action


대학원 교육을위한 역량 프레임 워크는 대개 모든 의료 전문가, 즉 모든 의사가 습득해야하는 일반적인 자질의 논리적 집합으로 읽습니다. 많은 개인과 위원회가 관련성과 포괄성을 검토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이론적인 구조를 형성한다.

Competency frameworks for postgraduate training usually read as logical sets of general qualities that every medical specialistin other words, every doctorshould acquire. They have been reviewed by many individuals and committees for their relevance and comprehensiveness. Nevertheless, they still form a theoretical construct.

 

프레임 워크를 커리큘럼과 평가 프로그램으로 번역 할 때 competence and competency 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 한편으로 역량은 일반적으로 훌륭한 의사의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속성으로 공식화됩니다. 

  • 다른 한편으로, 역량 평가를 시도하자마자 ECG 해석, 사산아버지의 부모 상담 또는 제왕 절개술 수행과 같은 상세한 기술이나 활동으로 축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역량 목록에는 개별 활동 (근육 위축, 척수 촉진) 또는 문제의 병리 (자발적 낙태, 다중 임신)가 포함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When it comes to translating the framework into a curriculum and into an assessment program, the meanings of competence and competency are not so clear. 

  • On one hand, competencies are usually formulated as broad, general attributes of a good doctor. 

  • On the other hand, as soon as we attempt to assess competencies, they tend to get reduced to detailed skills or activities: interpreting an ECG, counseling parents of a stillborn child, or performing a cesarean section. Lists of competencies tend to include individual activities (assessment of muscle atrophy, palpation of the spine) or even just the pathology in question (spontaneous abortion, multiple pregnancy).

 

우리는 여기서 신중해야합니다. 물론 이 목록의 저자는 연수생이 심전도를 해석 할 수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거나 연수생이 다중 임신을 처리 할 수있는 능력을 보여 주어야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역량 기반 평가 프로그램competency-based assessment program에서 일어나는 것은 사람의 개념적 상태가 행동 수행, 활동 또는 의학 용어와 혼합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역량의 의미를 흐리게합니다 .17 우리는 competence and competency 은 옥스포드 사전 (Oxford Dictionary of Dictionary)에서 일차적으로 정의된 바에 따라서만 사용되어야한다는 견해를 강력하게지지합니다. Competence and competency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성공적으로 행동 할 수있는 능력"18 위의 예에서 실제 능력은 특별히 명시되어있는 것 같지만 사실 전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의사가 다태 임신을 처리 할 수있는 역량을 갖추어야한다고 말하면 다음 질문이 따라와야 한다. 이러한 역량은 무엇입니까? 이 질문은 거의 대답하지 않습니다.

We should be cautious here. Of course, authors of these lists mean to say that the trainee should posses the competence to interpret an ECG, or that the trainee should demonstrate the ability to handle a multiple pregnancy. But what happens in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program is that the conceptual state of a person is mixed with his or her performance behavior, with an activity, or even with a medical term (Peter's competencies include genetic anomalies). This blurs the meaning of competence.17 We strongly support the view that competence and competency should be used only as they are primarily defined in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The ability to do something successfully.”18 Competence and competencyboth words may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are a “quality or state of being.”19 In the examples above, the actual competence seems specifically stated, but it is actually not defined at all. If we state that the doctor should have the competencies to be able to handle a multiple pregnancy, then our next question should be, what are these competencies? This question is rarely answered.

 


이 언어 혼란의 기원은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임상 교육자는 평가 프로그램에 역량 프레임 워크를 구현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역량을 구체적으로 만들어야합니다. 감독관과 연수생은 달성해야 할 교육 목표가 무엇인지 파악해야하며 구체적으로 평가 대상을 알아야합니다. 일반적인 역량은 평가하기 어렵지만 특정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상 교육자는 역량을 지정할 필요성을 느낍니다. 그러나 이 사고 방식은 최종적으로 일반 역량의 원래 의미를 반영하지 않는 활동으로 공식화 된 특정 역량의 긴 체크리스트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언어 적 게으름linguistic laziness은 가능한 경우 어구를 짧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역량의 transcription이 [활동 X를 수행 할 수있는 능력]에서 [활동 X]로 전환 할 때 용어상의 혼동이 추가됩니다.

 The origin of this linguistic confusion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As clinical educators implement competency frameworks into assessment programs, they must make competencies concrete so that they may be clearly assessed. Supervisors and trainees need to know which educational targets are important to attain, and they must know what, specifically, will be assessed. A general competency is difficult to assess, but the ability to execute a specific activity can be observed and appraised. So, clinical educators feel the need to specify competencies. However, this line of thinking tends to produce long checklists of specific competencies, formulated as activities that, in the end, do not quite reflec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general competency. In addition, linguistic laziness tends to make us shorten phrases where possible. But when the transcription of competency shifts from the ability to execute activity X to activity X, this adds to the terminology confusion.


따라서 이 기사 전체에서 우리는 '역량'의 원래의 의미, 즉 무언가를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있는 능력이라는 정의를 사용할 것입니다.

 Throughout this article we will, therefore, use the term competency in its original meaningthe ability to do something successfully.


 

 

 

 

역량은 일반 속성으로 제한되어야합니다.

Competencies Should Be Limited to General Attributes


일반 역량은 의사 훈련에 책임이있는 대부분의 governing bodies 및 교육 지도자들이 강조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RCPSC의 7 가지 캐나다 의학 교육 길잡이 (CanMEDS)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은 본질적으로 직업과 사회 전반에서 요구되는 일반적인 능력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일상적인 업무 환경에서, 이러한 역할은 자신이 대표하는 역량이 실제로 매우 일반적이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주민들은 화요일에 커뮤니케이터, 수요일에 공동 작업자, 목요일에 전문가가되어 월요일에 건강 옹호 역할을하도록 요청받지 않습니다. 모든 역할은 눈에 띄지 않고 측정 할 수있는 복잡한 방식으로 서로 얽혀 있습니다.

General competencies are what most governing bodies and educational leaders responsible for physician training like to stress. For instance, the ability to perform the RCPSC's seven Canadian Medical Education Directions for Specialists (CanMEDS) roles3 is essentially the possession of general competencies that are demanded by the profession and society in general. In the day-to-day work environment, these roles are not automatically recognized because the competencies they represent are indeed so general. Residents are not asked to play a health advocate role on Monday, be a communicator on Tuesday, collaborator on Wednesday, and an expert on Thursday. All roles are intertwined in a complex way that makes them less visible and measurable.

 

일상적인 활동이 레지던트와 그들의 감독관을 잡아두고 있다. 상담 사무실을 운영하고, 진단 절차를 수행하고, 회의를 주재하고, 환자를 소개하는 등의 활동이 근무일의 걱정입니다. 건강 옹호자 또는 전문직업성과 같이 "모호한"분야에서 발달상황을 문서화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는 것은 의사의 "실제" concern에서 벗어나 무거운 작업량에 부담을주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일부 감독자는 이러한 활동에 대한 조사를 요구할 때 불평하기 시작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로그북을 기능적 활동의 목록으로만 쓰게 하는 것은 의사를 기술적 작업을 완료하면 체크해서 넘겨버리는 정비공으로 축소시키는 것이다. 유능한 전문가는 여러 상세한 운영 역량의 합 이상입니다.

It is the day-to-day activities that keep residents and their supervisors occupied. Running the consultation office, performing a diagnostic procedure, chairing a meeting, presenting a patient, and other such activities are the worries of the working day. Keeping a portfolio to document progress in the “vague” fields, such as health advocacy or professionalism, may easily feel like an extra burden on top of a heavy workload, distracting from the “real” concerns of the doctor. No wonder some supervisors start complaining when asked to keep tabs on thes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keeping a logbook merely of lists of functional activities reduces the profession to that of a mechanic, checking off technical tasks as they are completed. The competent professional is clearly more than the sum of many detailed operational competencies.

 

따라서 우리는 역량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 할 때 역량을 활동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제안합니다

  • 역량은 의사의 일반적인 속성으로 정의되어야하며 제한된 자질에 국한되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우리의 견해로는 특정 역량의 긴 목록을 공식화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혼란 스럽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 반면에 활동은 전문 직업의 구성 요소입니다. 역량 기반 대학원 교육을 구축하기 위해 소위 위임 할 수있는 전문 활동 (EPA)을 제한적으로 수립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이 개념을 설명하고 역량과 EPA가 2 차원 매트릭스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We therefore propose to disentangle competencies from activities when constructing competency-based training programs. 

  • We argue that competencies should be defined as general attributes of a doctor and should be confined to a limited set of qualities. In our view, formulating long lists of specific competencies is not necessary and is confusing, and therefore we do not recommend it. 

  •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re the constituting elements of professional work.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training, they may well be specified to a limited number of so-calle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20,21 We will explain this concept and show that competencies and EPAs are relat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역량과 활동을 구분 짓고 둘 다 사용하십시오.

Separate Competencies from Activities, but Use Them Both


교육자의 관점에서 학습 목표를 명시해야합니다. 그들이 역량으로 표현된다면, 이러한 목표 각각을 더 세분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ACGME 및 CanMEDS 프레임 워크에서 수행되었습니다. ACGME 모델은 28 가지보다 자세한 역량을 설명합니다. CanMEDS 2005 모델은 또한 28 가지 주요 역량을 식별합니다. 그러나보다 구체적인 126 개 특정 역량을보다 세분화 된 수준에서 설명합니다 .3 이러한 역량을 특정 졸업후 과정으로 번역 할 때 이러한 역량을 더욱 자세하게 지정하는 경향이 발생할 것입니다. Work floor에서 일부 임상의는 역량 기반 평가 모델의 복잡성에서 길을 잃습니다. 그들은 어떤 전문적인 활동이 적절하게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완벽하게 나타낼 수 있지만 이러한 활동을 역량으로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From an educationalist's point of view, learning objectives must be specified. If they are phrased as competencies, there is a tendency to split each of these objectives into more detail. This has been done in the ACGME and CanMEDS frameworks. The ACGME model describes 28 more detailed competencies.4 The CanMEDS 2005 model also discerns 28 key competencies; however, 126 more specific enabling competencies are described on a more detailed level.3 When translating these competencies to a specific postgraduate course, a tendency to specify these competencies even further will arise. On the work floor, some clinicians get lost in the complexities of the competency-based assessment model. They are perfectly able to state which professional activities need to be carried out adequately, but they have trouble valuing these activities as competencies.


역량과 활동 중에서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두 가지가 모두 훈련 과정의 적절한 부분이며 각각이 전문 교육의 전반적인 목표의 다른 차원을 대표한다는 점을 인정함으로써 역량 및 임상 실무의 개념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차트 1은 산부인과 학에서의 대학원 의학 교육을위한 이러한 화해를 보여줍니다. 고용주, 동료 또는 환자는 새로운 산부인과 전문의가 칼럼의 일반 역량에 대해서 높은 점수를 얻었는지보다 제일 윗 줄의 전문적인 활동을 위임 할 수있는 충분한 능력을 가졌는지에 더 관심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들은 이러한 일반적인 역량이 일상적인 실천을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라는 것을 알고있을 것입니다.

It is not necessary to choose between competencies and activities. Rather, by acknowledging that both are relevant pieces of the training process and that each represents a different dimension of the same overall objective of professional training, we can reconcile the concepts of competence and clinical practice. Chart 1 illustrates this reconciliation for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in obstetricsgynecology. An employer, a colleague, or a patient would probably be more interested to know whether a new obstetricsgynecology resident has demonstrated enough competence to be entrusted with the professional activities in the top row of the figure than whether he or she has received high marks for the general competencies in the vertical column.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would probably realize that these general competencies are important prerequisites for day-to-day practice.


능력을 시연 할 때, 역량과 활동은 별개의 것이 아니며 둘 다 필요하다. 우리는 동료 또는 연수생이이 활동을 적절하게 완료하는 데 필요한 모든 역량을 갖추었을 때 중요한 활동을 수행하도록 전적으로 신뢰해야합니다. 차트 1에 나와있는 것처럼 거의 항상 이러한 활동은 여러 가지 역량을 필요로합니다.

 When it comes to demonstrating competence, it is not one or the otherit's both. We should only fully trust colleagues or trainees to carry to out a critical activity once they have attained all the competencies that are needed to adequately complete this activity. Almost invariably, these activities require several (groups of) competencies, as is illustrated in Chart 1.


이러한 방식으로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구축하고 중요한 활동을 구분하며 일반 역량을 강조 할 때, 전문 분야를 구성하는 중요한 활동을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됩니다. 'Critical activity'라는 것은 사회와 전문가가 특정 직업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모든 요소, 그리고 우리 모두가 훈련 된 전문가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한다고 동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Critical activity라는 용어만으로는 너무 제한적 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몇 가지 중요하고 결정적인 사건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We aim to identify all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we would agree a specific medical specialist can be asked to do. 이러한 활동에는 수술 절차를 수행하고, 환자에게 나쁜 소식을 전하며, 학제 간 회의를 주재하는 등의 활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활동을 EPA로 분류했습니다. 연수생에 대한 환자 및 강사의 신뢰와 그 연수생에 대한 책임 위임은 이러한 접근법에서 필수적인 개념으로, 대학원 연수의 가장 중요한 결과인 전문 연수생의 준비 능력을 반영하기 때문에 필수적입니다.


When we buil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is fashion, distinguishing important activities and emphasizing general competencies, it is helpful to identify the critical activities that constitute a specialtyall the elements that society and experts consider to belong to that profession, the activities of which we would all agree should be only carried out by a trained specialist. Critical activities as a term may be too limited, because it usually signifies only a few crucial, decisive events. We aim to identify all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we would agree a specific medical specialist can be asked to do. These activities can include executing an operational procedure, conveying bad news to a patient, chairing an interdisciplinary meeting, and many others. We have labeled these activities EPAs.20 Patients' and instructors' trust in a trainee and their entrustment of responsibility to that trainee are essential concepts in this approach, because they reflect the most important outcome of postgraduate training: a trainee's readiness to bear professional responsibility.21


 

 


 

 


EPA와 STAR

EPAs and Statements of Awarded Responsibility


EPA는 직업적으로 직업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구성하는 전문적인 활동들입니다. 우리가 유능한 산과 의사를 생각한다면 그 직업의 핵심을 구성하는 활동을 나열 할 수 있어야합니다. 이러한 각각의 활동은 충분히 유능한 전문가에게 위임되어야하는 작업 단위로 정의 될 수 있습니다. EPA는 훈련 중 어느 시점에 평가되고 승인되어야하는 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활동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EPA는 전문가 훈련이 필요하지 않은 일상 활동에서 그들을 구분하기 위해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한다 (목록 1) .20

EPAs are those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together constitute the mass of critical elements that operationally define a profession. If we think of a competent obstetrician, we should be able to list those activities that form the core of that profession. Each of these activities may be defined as a unit of work that should only be entrusted upon a competent enough professional. EPAs are critical activities in a medical discipline that, according to opinion leaders in the field, must be assessed and approved of at some point during training. To be precise, EPAs have been specified with a number of conditions to be met, to demarcate them from daily activities that do not require specialist training (List 1).20

 

List 1

Conditions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1. 주어진 맥락에서 필수적인 전문 직업의 일부입니다.

2. 적절한 지식, 기술 및 태도가 필요합니다.

3. 전문직 인력의 recognized output를 인정 받아야한다.

4. 유자격자에게만 국한되어야합니다.

5.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해야합니다.

6. 일정 시간내에 실행 가능해야합니다.

7. 프로세스 및 결과 (잘 수행되었거나 잘 수행되지 않음)에서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해야합니다.

8. 하나 이상의 역량을 반영해야합니다.

1. Is part of essential professional work in a given context.

2. Must require adequat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3. Must lead to recognized output of professional labor.

4. Should be confined to qualified personnel.

5. Should be independently executable.

6. Should be executable within a time frame.

7. Should be observable and measurable in its process and outcome (well done or not well done).

8. Should reflect one or more competencies.


EPA는 감독자가 연수생이 그러한 활동에 책임을 질 준비가되었음을 확인하는 순간 다소간의 공식 자격을 부여받을 수있는 작업 단위로 간주되어야합니다. 이 위탁은 어떤 순간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의식ceremony을 필요로하지 않습니다. 야간 근무 중 감독관은 복잡한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trainee를 신뢰할 것인지 결정해야합니다. 역량 기반 커리큘럼을 디자인 할 때, EPA의 위임은 연수생이 현재부터 독립적으로 문제의 활동을 수행 할 수있는 충분한 능력을 입증했음을 의미하는 성명서에서 공식적으로 인정 될 수 있습니다. 특정 EPA에 대한 STAR는 연수생이 그 EPA를 위탁받아 독립적으로 수행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threshold가 된다. EPA에 대한 STAR에 수시로 수여하는 것은 관리자가 어느 시점에서 연수생이 모든 중요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지에 대해 의도적으로 결정하도록 요구합니다.

 EPAs should be considered units of work that may be awarded a more or less formal qualification at the moment when supervisors confirm that the trainee is ready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such activities. This entrustment does not require a ceremony, because it can happen at any moment. During a night shift, a supervisor on call must decide whether to trust a trainee to handle a complex case. In design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entrustment of an EPA may be acknowledged more formally, in a statement that implies that a trainee has demonstrated enough competence to carry out the activity in question independently from now on. A statement of awarded responsibility (STAR) for a specific EPA may mark the threshold on which it is entrusted to a trainee to be carried out independently. Awarding STARs for EPAs over time requires supervisors to make deliberate decisions about their trainees' competence to perform all critical activities at some point in time.


왜 이러한 용어에 대한 두문자어를 만들고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는 척합니까? 그 자체로 개념은 그리 참신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디렉터 및 커리큘럼위원회와의 논의에서 이러한 약어는 역량 기반 교육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모든 임상 감독자는 야간 또는 다른 순간에 연수생에게 신뢰를 부여하는 경험이 있습니다. STAR를 수여함으로써이 결정을보다 공식화하면 감독자는 역량 기반 교육을 이해하고 개발할 수 있습니다. 레지던트가 수련과정의 매우 후반부까지 중요한 직업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 할 수없는 빈도를 우리는 놀라게 하며, 종종 훈련 기간 동안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전문의가 되는 순간 그들은 이러한 모든 활동의 폭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는 공중 보건 의사를위한 교과 과정 설계를 안내하기 위해 EPA 개념을 사용했는데, 공중 보건 고용주들 사이에 큰 신뢰를 얻었 기 때문에 직원들은 실제로 중요한 기술을 훈련받습니다.

 Why create acronyms for these terms and pretend to introduce new concepts? The concepts in themselves may be not so novel. However, in our discussions with program directors and curriculum committees, we have found these acronyms to be extremely useful in explaining how to think in terms of competency-based training. Every clinical supervisor has experience with granting trust to a trainee, be it during a night shift or at other moments. Making this decision more formal by awarding a STAR helps supervisors understand and develop competency-based training. It strikes us how often residents are not allowed to carry out critical professional activities independently until very late in a course, or not at all during their training period, but the day after their specialist registration, they are expected to execute the breadth of all these activities independently. We have also used the EPA concept to guide the curriculum design for public health physicians, which generated great confidence among public health employers that their staff would be trained in skills that really matter.22


제안 된 새로운 산부인과 - 부인과 커리큘럼 프레임 워크는 주민들이 EPA를 실행하는 데 미리 정해진 수준의 숙련도에 도달했을 때 STAR에게 수여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이 커리큘럼은 5 단계의 능숙도를 인정합니다.

  • (1) 지식이 있고, 

  • (2) 완전한 감독하에 수행 할 수 있고,

  • (3) 보통 감독하에 수행 할 수 있으며,

  • (4)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 (5) 감독자 및 강사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23

이 점진적인 커리큘럼은 학습 지향적 교육의 철학과 일치합니다 .24 레벨 4는 STAR에서 수여 할 수있는 활동의 위탁 수준을 나타냅니다. 차트 1은이 커리큘럼에서 파생됩니다.

 The proposed new national obstetrics–gynecology curriculum framework in the Netherlands suggests awarding a STAR when residents have reached a predetermined level of proficiency in executing an EPA. This curriculum acknowledges five levels of proficiency: 

(1) has knowledge, (2) may act under full supervision, 

(3) may act under moderate supervision, 

(4) may act independently, and 

(5) may act as a supervisor and instructor.23

This progressive curriculum is in line with the philosophy of learning-oriented teaching.24 Level 4 reflects the level of entrustment of the activity that may be awarded with a STAR. Chart 1 is derived from this curriculum.


역량 프레임 워크는 학부 커리큘럼에서도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역량은 반드시 증명되어야하는 전문적인 환경과 관련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임'이라는 용어의 관점에서, 이것은 임상 환경에서 전문적인 활동에 대한 책임을 연수생에게 주는 것이 이치에 맞습니다. 임상실습에서 의대생은 혈압 측정, 환자의 초기관리, 집중 진단 및 치료 절차 수행에 이르기까지 잘 정의 된 제한된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데 충분한 능력 수준에 도달 할 수 있습니다. 일부 의과 대학에서는 고등의 의대생이 학생 주도의 와드를 운영 할 책임이 있습니다 .25

Competency frameworks are increasingly used in undergraduate curricula as well. We believe that competencies should b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y must be demonstrated. In the terminology of entrustment, it only makes sense to give trainees responsibility for professional activitie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n the clinical clerkships, medical students may reach levels of competence that may be sufficient to execute well-defined, limited activities independently, ranging from measuring blood pressure to managing initial intake of patients and performing focused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s. In some medical schools, senior medical students receive responsibility to run a student-led ward.25


 

 

 

 

역량 평가: 실용적 접근

Assessing Competence: A Practical Approach


감독관은 다른 용어로 식별되는 경우에도 EPA 실행에있어 수련생의 위임 가능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일을 자주 한다. 이 영역의 잘못된 판단은 환자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점차적으로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 임상 전문 지식의 대용 마커로 간주되는 테스트가 연수생 평가에 사용됩니다. 

  • 지식 테스트, 시뮬레이션, 일지, 미니 임상 시험 평가 (MiniCEX) 절차, 기술 능력의 객관적 구조 평가, 비디오 관찰, 전문 행동 평가 도구 등이 개발되어 모든 관련 역량의 평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작업 및 다중 소스 피드백 절차 동안의 임상 관찰은 인기를 얻었으며 테스트 배터리는 종종 포트폴리오에 요약됩니다. 

  • 연수생과 책임있는 임상 교사는이 포트폴리오를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합니다. 

  • 임상 감독관은 역량 개발에 대한 정기적 인 평가를 수행하고 다음 단계의 교육을위한 과제를 설정합니다. 

Supervisors are used to making judgments about trainees' entrustability in the execution of EPAs, even if it is identified by different terminology. Misjudgments in this area could be harmful for patients. Increasingly, in competency-based curricula, tests that are considered surrogate markers for clinical expertise are used for assessing trainees. 

  • Knowledge tests, simulations, logbooks, mini 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MiniCEX) procedures,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video observation, instruments to assess professional behavior, and many more procedures are being developed in an attempt to cover assessment of all relevant competencies. 

  • Clinical observations during the job and multisource feedback procedures have gained popularity, and the test battery is often summarized in a portfolio.

  • Both the trainee and the responsible clinical teacher review and comment on these portfolios. 

  • Clinical supervisors make regular evaluations of competency development and set tasks for the next stage of training. 

역량은 CanMEDS 모델, ACGME 모델, GMC 모델, 6 또는 다른 일반 역량과 같이 규정 된 역량 프레임 워크 내에서 표현됩니다. 많은 임상의는 이러한 역할이 모두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많은 사람들이 일상적인 교육 및 평가 관행에서 프레임 워크를 준수하도록 동기를 부여 받게됩니다.

Competence is expressed within a prescribed competency framework, be it the CanMEDS model, the ACGME model, the GMC model,6 or another set of general competencies. Many clinicians will confirm that these roles are all important, and many will be motivated to comply with the framework in their day-to-day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널리 사용되는 모델에는 단점이 있습니다. 우선, 많은 테스트의 이해, 실행 및 해석에 교육 및 심리 측정 전문 기술이 필요합니다. 고부담 결정과 달리, 많은 임상의는 이러한 정교한 방법으로 완전히 이익을 얻기에는 시간, 전문 지식 및 조직적 / 재정적 자원이 부족하다. 그러나 그들은 명확한 임상 업무에서 합리적으로 잘 임상 수행을 판단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이미 수련생에게 특정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청할 때 수련생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수준의 자신감을 경험합니다. 오히려 너무 이론적이면서 임상 활동과 분리 된 포트폴리오 기반 역량 프레임 워크로 작업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역량 역할을 평가하도록 요청 받으면 많은 임상가가 자신의 세계에서 어느 정도 소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In practice, however, there are drawbacks to these widely used models. At first, the understanding, execution, and interpretation of many tests demand educational and psychometric expertise. For high-stakes decisions this may be justified, but many clinicians have too little time, expertise, and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resources to profit fully from these sophisticated methods. However, they are often able to judge clinical performance reasonably well in clear-cut clinical tasks. They already experience varying levels of confidence when asking trainees to execute specific tasks. Working with portfolio-based competency frameworks that seem rather theoretical and disconnected from these clinical activities, and being asked to assess competency roles under these circumstances, may make many clinicians feel somewhat alienated from their own world.


우리는 혁신적인 교육 및 평가 방법의 사용을 방해하고 싶지 않습니다. 반대로, 우리는 이러한 혁신의 상당수가 매우 가치 있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임상 감독자가 걱정됩니다. 

  • 정교한 평가 절차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면, 임상 병동의 일상 활동에서 벗어나게 되고, 퀄리티가 향상되기보다는 오히려 임상 교육자의 관심과 참여가 감소 할 수 있습니다. 

  • 우리의 견해로는, 임상 교육의 일상적 수행에서 개인 감독자를 지원하는 것은 대학원 교육 혁신의 성공을 최적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학원 교육 혁신의 핵심 초점이되어야합니다. 

  • 또한 감독자의 주관적이지만 전문적인 판단은 대부분의 다른 평가 방법보다 더 풍부한 정보원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마지막으로 중요한 환자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연수생에게 신뢰감을 부여하는 감독자는 연수생의 competence뿐만 아니라 performance도 평가해야합니다. 감독관이 개인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평가에 대한 강력한 접근 방법입니다. 실패한 레지던트는 종종 실패한 supervisor를 암시합니다.

We do not want to discourage the use of innovative methods of training and assessment. On the contrary, we do believe that many of these innovations are extremely valuable. At the same time, though, we are worried about the clinical supervisor. 

  • Moving away from the daily activities of the clinical ward to focus on sophisticated assessment procedures may lead to a decrease in a clinicianeducator's interest and engagement in clinical teaching rather than an increase in these qualities. 

  • In our view, supporting the individual supervisor in the daily practice of clinical teaching should be the central focus of any innovation in postgraduate training, not just to optimize the success of innovations in postgraduate training. 

  • In addition, we believe that the supervisor's subjective but expert judgment is potentially a richer source of information than most other methods of assessment. 

  • Finally, a supervisor granting trust to a trainee to execute critical patient care implies assessing not only the trainee's competence, but also his or her performance. It is a powerful approach to assessment because it involves the supervisor personally. A failing resident often implies a failing supervisor.21



졸업후교육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을 구축 할 때 역량과 (위탁 할 수있는) 전문 활동 간의 매트릭스 관계가 중심이되어야한다. 우리는 EPAs에 기초한 연수생의 성과 평가가 종종 간단하고 구체적인 절차로 수행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일반적인 역량에 대한 올바른 평가는 종종 실현 될 수 없지만, 이러한 유형의 평가는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심리적 및 정신 분석 연구의 관점에서, 일반 역량을 측정하기위한 정교한 절차가 타당성 확인 절차에서 중요한 참고 수단이 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충분한 EPA가 STAR로 보상을 받으면 일반 역량에 대한 추론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사실, EPA가 동시에 여러 가지 일반적인 역량을 반영하고 개별 역량이 다른 EPA에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 역량의 모든 관련 EPA가 STAR로 보상을 받으면 역량이 자연스럽게 얻어집니다. 만약 업을 분석하고, 모든 EPA가 나열되고, 행렬은 차트 1에 요약 된 방식으로 구성된다면, 커리큘럼은 일반 역량에 대한 일반 교육 및 사회 요구와 와드에 대한 임상 교육의 실천에 모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In the construction of an assessment program for postgraduate trainees, the described matrix relation between competenci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should, in our opinion, be the central focus. We believe that performance assessment of trainees, based on EPAs, can often be done with simple, concrete procedures. A valid assessment of general competencies often cannot be realized, but this type of assessment may not always be necessary. From a psychological and a psychometric research point of view, sophisticated procedures to measure general competencies may serve as valuable reference instruments in validation procedures. But, in general, we may well focus on the inference of general competence once enough EPAs have been rewarded with STARs. In fact, as EPAs reflect several general competencies at the same time, and as individual competencies show themselves in different EPAs, competencies are naturally achieved when all relevant EPAs for a particular competency have been rewarded with a STAR. If the profession is analyzed, all EPAs are listed, and a matrix is constructed in a way that is abbreviated in Chart 1, the curriculum can do justice both to the general educational and societal needs for general competencies and to the practice of clinical training on the ward.


우리는 신뢰도가 낮은, 전통적인, 개인적인 trainee에 대한 관찰을 옹호하지 않습니다. MiniCEX와 같은 유망한 절차가 수퍼바이저가 처리 할 수있는 방식으로 관찰 품질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STAR에 합당한 유형의 관측을 객관화 할 필요가있다. 아마도 이미 임상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정보가 이러한 표준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우리는 책임있는 관리자가 자신의 연수생을 평가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향후 연구는 감독자가 위탁 결정을 내리는 데 가장 도움이되는 정보 출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e do not advocate a return to unreliable, traditional personal observations of trainees. Promising procedures, such as the MiniCEX, are being developed to support the quality of observations in a way that supervisors can handle. In addition, we need to objectify what types of observations deserve a STAR. Probably, information already availabl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may be used to determine these standards. In any case, we believe the responsible supervisor must play a central role in assessing his or her trainees. Future research may help to establish which sources of information best help supervisors make decisions of entrustment.

 

EPA와 STAR를 사용하여 역량바탕교육과정 구축하기

Using EPAs and STARs to Buil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모든 전문 분야의 분석은 모든 관련 EPA를 식별해야합니다. EPA의 폭과 포괄성에 대한 몇 가지 논쟁이있을 수 있지만 EPA는 항상 유능한 일단 연수생에게 완전히 위임 될 수있는 중요한 활동을 반영한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우리는 50-100개의 EPA가 5 년에서 6 년 동안의 졸업후 의학 과정의 목표를 포괄 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1은 EPA 목록을 작성하는 데 충족되어야하는 조건을 지정합니다. 다음으로, EPAs는 차트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프레임 워크에서 역량과 대조되어야합니다.

 An analysis of any specialty should identify all relevant EPAs. There may be some debate about the breadth and comprehensiveness of an EPA,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EPAs always reflect a critical activity that may be fully entrusted to a trainee, once he or she is competent. We believe that 50 to 100 EPAs should be able to cover the objectives of a full postgraduate medical course of five to six years. List 1 specifies the conditions that should be met in compiling a list of EPAs. Next, EPAs should be contrasted with competencies in a framework such as the one illustrated in Chart 1.


결과적으로, 프로그램 기획자는 서로 다른 EPAs에 대한 STAR의 예상 속성에 대한 표준도달시간을 구성해야한다 (표 1). Trainee가 이것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를 정기적으로 평가해야합니다.

 Subsequently, program planners should construct a standard time line for the expected attribution of STARs for the different EPAs (Table 1). Deviations from the schedule should be evaluated regularly.




특정 EPA에서 STAR를 달성하는 시간은 다양 할 것이며 적어도 네 가지 요소에 달려 있습니다.

 The time to achieve the STAR in a specific EPA will vary and will depend on at least four factors:


 

 

 

1. EPA자체

1. The EPA

 

복잡하고 고위험의 EPA를 다룰 때 감독자는 연수생이 느린 학습 곡선을 가질 것을 기대해야합니다. 연수생의 경험에서 자주 발생하는 EPA의 경우 연수생은 가파른 학습 곡선이 있어야합니다.

When dealing with a complex and high-risk EPA, supervisors should expect trainees to have a slow learning curve. For an EPA that occurs frequently in a trainee's experience, the trainee should be expected to have a steep learning curve.

 

2. 근무환경

2. The working environment

 

진료소가 특정 STAR를 담당하는 많은 임상의를 갖춘 경우, 연수생이 실패한 경우의 백업 시스템이 잘 구성되어 있거나 첫 해에 교과 과정에 STAR이 필요한 경우 가파른 학습 곡선이 예상 될 수 있습니다.

If the clinic needs many clinicians with a particular STAR (e.g., for ventouse delivery on the labor ward), if the backup system for cases in which a trainee fails the EPA is well organized, or if the curriculum demands a STAR in the first years of training, a steep learning curve may be expected.

 

3. 수련자

3. The trainee

 

높은 수준의 동기 부여와 충분한 자신감을 지닌 영재 교육생은 비교적 가파른 학습 곡선을 가질 수 있습니다.

A gifted trainee with a high level of motivation and sufficient self-confidence may have a relatively steep learning curve.

 

4. 교육자

4. The clinical teacher

 

임상의 교사가 EPA에 익숙하고 평가 절차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판단에 도달 할 수 있다면 가파른 학습 곡선이 예상 될 수 있습니다.

If the clinical teacher is comfortable with an EPA, is able to use the assessment procedure properly, and is able to reach a judgment, a steeper learning curve may be expected.

 

연수생의 평가가 여러 EPA의 역량 수준에서 표현 된 느린 학습 곡선을 나타내면 시험 전지에 수집 된 모든 특정 정보 외에도 평가자는이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합니다. EPAs 및 STAR의 도움으로 구축 된 역량 기반 커리큘럼에서는 유연한 교육 기간이라는 개념이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If the evaluation of a trainee shows a slower learning curve expressed in the level of competence of several EPAs, besides all specific information gathered in the test batteries, evaluators should consider these four factors. I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structed with the help of EPAs and STARs, the notion of a flexible training length emerges as obvious.

 


이론과 실습의 평가 요구 충족

Meeting the Assessment Needs of Both Theory and Practice


일반적으로 테스트 배터리를 사용하여 역량을 평가하는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임상 작업 현장과의 연결이 끊어 질 위험이 있습니다. 일반 역량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커리큘럼 구축의 핵심 초점으로 의료 분야의 중요한 전문 활동 인 EPA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EPA 및 일반 역량은 차트 1에 나와있는 것처럼 2 차원 프레임 워크와 관련되어야합니다. 모든 일반적인 역량을 다루는 EPA를 파악하여 철저한 역량 기반 교육을 보장 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견해에 따르면, work-based assessment는 우리 모델에서와 같이 EPA와 일반 역량 모두에 초점을 맞추어야합니다.

Competency-based curricula that mainly use test batteries to assess competencies from general competency frameworks risk losing the connection with the clinical work floor. We suggest using EPAs, critical professional activities of a medical discipline, as the central focus of curriculum building, without disregarding general competencies. EPAs and general competencies should relate in a two-dimensional framework, as illustrated in Chart 1. EPAs addressing all general competencies can be identified to ensure thorough, competency-based training. In our opinion, work-based assessment should focus both on EPAs and on general competencies, as it does in our model.

 

우리가 제안하는 표준 시간표는 연수생이 다른 EPA에 대한 STAR을 수집해야 할 때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을 사용하여 평가자는 느린 학습자를 쉽게 감지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빠른 학습자도 식별되어 추가 교육 경험의 혜택을받을 수 있으며 작업 감독을 요청받을 수 있으며 결국 초기 인증의 혜택을받을 수 있습니다.

The standard time schedules we suggest can define when trainees should collect STARs for different EPAs. Using this model, evaluators can easily detect slow learners and conduct additional assessments to evaluate them if necessary. Fast learners will also be identified and may benefit from additional training experiences, may be asked to supervise tasks, and may eventually benefit from earlier certification.

 

우리는 이러한 평가에 대한 EPA 기반의 실제 접근법이 교육 이론과 임상 교육 실습 모두에 공의를 줄 것이라고 믿는다.

We believe that this practical EPA-based approach to assessment will do justice to both educational theory and clinical teaching practice.







 2007 Jun;82(6):542-7.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training: can we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The Netherlands. t.j.tencate@umcutrecht.nl

Abstract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as recently stimulated by national governing bodies in Canad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and other countries, is a major advancement, but at the same time it evokes critical issues of curricular implementation. A source of concern is the translation of general competencies into the practice of clinical teaching. The authors observe confusion around the term competency, which may have adverse effects when a teaching and assessment program is to be designed.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ompetency terminology. To connect the ideas behind a competency framework with the work environment of patient care, the authors propose to analyze the critical activities of professional practice and relate these to predetermined competencies. The use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nd statements of awarded responsibility (STARs) may bridge a potential gap between the theor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EPAs reflect those activities that together constitute the profession. Carrying out most of these EPAs requires the possession of several competencies. The authors propose not to go to great lengths to assess competencies as such, in the way they are abstractly defined in competency frameworks but, instead, to focus on the observation of concrete critical clinical activities and to infer the presence of multiple competencies from several observed activities. Residents may then be awarded responsibility for EPAs. This can serve to move toward competency-based training, in which a flexible length of training is possible and the outcome of training becomes more important than its length.

PMID:
 
17525536
 
DOI:
 
10.1097/ACM.0b013e31805559c7


임상 진단에서 기초과학의 가치(Acad Med, 2006)

The Value of Basic Science in Clinical Diagnosis

Nicole N. Woods, Alan J. Neville, Anthony J. Levinson, Elizabeth H.A. Howey, Wieslaw J. Oczkowski, and Geoffrey R. Norman



분명히, 일부 임상의 - 마취과 의사, 집중 치료사, 신장 전문의 -는 일상 생활에서 생리학의 많은 개념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다른 의사들이 기초 과학을 필요로하거나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임상의의 추론에 대한 연구는 임상의가 일상적 진단에서 기초 과학을 사용한다는 증거를 거의 보여주지 못했다.

Clearly, some clinicians—anesthesiologists, intensivists, nephrologists—use many concepts from physiology in their daily practice. But it is less clear that other physicians need or regularly use basic science. Indeed, studies of clinician reasoning have shown little evidence that clinicians use basic science in routine diagnosis.1,2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진단에서 직접적인 휴리스틱 가치가 거의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불확실성이있는 경우 생물 의학 지식은 임상 증상에 대한 설명에 coherence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3 이것은 전문가가 매우 어려운 경우에 직면 할 때 기초 과학을 활용한 설명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는 Norman, Brooks 및 Trott의 연구 결과와 일치합니다. .4

It would seem that an understanding of mechanisms would have little direct heuristic value in the diagnostic task. However, in cases of uncertainty, biomedical knowledge may provide coherence in the explanation of clinical cues.3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by Norman, Brooks, and Trott, which showed that when experts are confronted with very difficult cases they make extensive use of basic science explanations.4



전문가는 생의학 지식도 잘 알고 임상 지식도 잘 알기 때문에, 각각의 지식이 expertise와 독립적으로 관련 될 수 있지만, 반드시 진단 기술과 인과 관계가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Experts have better recognition of biomedical knowledge and better recognition of clinical knowledge, so both could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expertise, but both need not be causally associated with diagnostic skill.


인과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Bruin은 기초 과학 지식, 임상 지식 및 진단 정확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여러 모델을 조사하기 위해 통계 기법,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했습니다 .7 과학 지식이 임상 지식을 예측하며, 그 결과 진단 정확도가 향상된다는 모델의 fit이 가장 좋았지만, 이 모델의 연관성 (경로 계수)은 0.31~0.43 정도에 그쳤다.

To explore causal associations, de Bruin used a statistical techniqu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o examine several models of the relation between basic science knowledge, clinical knowledge, and diagnostic accuracy.7 The best fit arose froma model in which basic science knowledge predicted clinical knowledge that in turn predicted diagnostic accuracy. However, while the fit was good, the strength of association (path coefficients) was only moderate for experts, ranging from.31 to .43.


 생의학 지식이 진단 기술과 인과 관계가 있다면, 전문가에게 있어 그 연관성은 약하기보다는 강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상관관계이기 때문에, 엄격한 의미에서의 인과 관계는 추정 할 수 없습니다.

 if biomedical knowledge were causally related to diagnostic skill, one would expect the associations to be stronger, not weaker, with experts. Further, the relations were derived from correlational data, and causal relations, inthe strictest sense, cannot be presumed. 


임상 추론에서 기초 과학의 인과적 역할을 명확하게 증명하기 위해서는 생물 의학 지식의 존재 또는 부재를 실험적으로 조작하고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야합니다.

To unequivocally demonstrate a causal role for basic science in clinical reasoning, one should experimentally manipul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biomedical knowledge and examine its impact on diagnosis.


  • 한 그룹의 학생들은 각 증상에 대한 기초과학적 description을 배웠으며 증상과 징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설명했습니다. 

  • 또 다른 그룹은 징후 나 증상을 질병과 관련 짓는 확률을 배웠다. 

각 그룹은 15 개의 서면으로 구성된 동일한 진단 테스트를 수행했습니다. 학습 직후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일주일 후, 질병 확률을 배운 학생들은 성과가 10 % 하락한 반면, 기초과학적 description을 배운 그룹은 전혀 decay가 없었습니다.

One group of students learned a basic science description of each condition, which explained how the signs and symptoms came about; and another group learned the probabilities relating the signs or symptoms to the diseases. Each group did the same diagnostic test, consisting of 15 written cases. Immediately after learning there was no difference, however one week later, the students who had learned the disease probabilities had a 10%drop in performance, while the group that learned a basic science description showed no decay at all.


예비적이기는 하지만, 이 연구 결과의 의의는 기초 과학의 중요한 역할은 증상/징후와 진단과의 관계를 재구성하여, 의미 있고 기억에 남는 것으로 만든다는 것입니다.

Nevertheless, these findings, although preliminary, lead to the notion that a critical role for basic science may be to permit the reconstruction of the relation between signs/symptoms and diagnoses by making these relationships meaningful, hence memorable.



방법

Method


참여자

Participants


자료와 도구

Materials and apparatus


두 조건 모두를 위한 학습 자료는 동일한 임상 특징이나 증상을 포함하는 단락으로 구성됩니다. 진단 불가능한 정보 만 다릅니다. 

  • 기초 과학 (BS) 조건에서 서면 자료에는 관련 해부학 및 생리학에 대한 간략한 개요가 포함되었습니다. 이 질환의 구체적인 증상은 시스템의 여러 가지 장애로 인한 것으로 설명되었습니다. 

  • Feature List (FL) 조건에서 진단 과학과 관련이없는 추가 역학 정보 (유행, 예후 등)가 기본 과학 교육 자료와 길이가 거의 같도록 설명되었습니다.

The learning materials for both conditions consisted of paragraphs that included the same clinical features or symptoms. Only the nondiagnostic information differed. 

  • In the Basic Science (BS) condition, the written materials included a brief overview of relevant anatomy and physiology. The specific symptoms of the disorder were described as resulting fromvarious disruptions to the system. 

  • In the Feature List (FL) condition, additional epidemiological information, which was not diagnostically relevant (such as prevalence, prognosis, etc.) was included to make the description approximately equal in length to the Basic Science training materials.



절차

Procedure


참가자는 컴퓨터 실험실에서 최대 5 명까지 동행했습니다. 

  • 기초 과학 상태의 참가자는 장애의 증상을 배우고 또한 증상의 원인 뒤에있는 생물 의학 정보와 증상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질병 과정"을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두도록 지시 받았습니다. 

  • 피처 목록 조건의 참가자는 장애의 증상을 배우고 유행 률 및 치료 옵션과 같은 기타 정보를 배우는 데 중점을 둡니다.

Participants were run in cohorts of up to five people in a computer laboratory. 

  • Participants in the Basic Science condition were told to learn the symptoms of the disorders and also to focus on learning the “disease process”— the biomedical information behind the causes of the symptoms and how the symptoms relate to each other. 

  • Participants in the Feature List condition were told to learn the symptoms of the disorders and also to focus on learning other information such as prevalence rates and treatment options.


분석

Analysis




결과

Results


첫 번째 및 두 번째 테스트 기간의 각 그룹에 대한 평균 점수는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두 그룹 모두 첫 번째 테스트에서 동일하게 수행되었으며 정확도는 70 %입니다. 그러나 delay 후, FL그룹의 정확도는 51 %에 불과했습니다. BS 그룹은 62 %, F (1,53) 5.95, p. 이는 효과 크기가 .65로 중간 정도에서부터 큰 정도까지입니다.

The mean scores for each group at the first and second test periods are shown in Table 1. Both groups performed identically on the first test, with 70% accuracy. However, after the delay, the group that had learned the feature lists had an accuracy of only 51%vs. 62%for the basic science group, F(1,53)  5.95, p  .05. This amounts to an effect size of .65, which is in the range of a moderate to large effect.



고찰

Discussion


결과는 초기 연구 및 기대치와 일치합니다. 학습 직후에는 생물 의학 정보의 맥락에서 질병의 증상을 학습 한 학생들은, 역학 정보의 맥락에서 증상을 학습 한 학생과 수행수준이 유사했지만, 1주일 뒤에는 Causal knowledge를 가진 학생들에서 degradation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earlier study and our expectations. Students who learned the symptoms of a disease in the context of biomedical information performed similarly to students who learned the symptoms in the context of epidemiological information immediately after learning, but the students with causal knowledge showed a substantially smaller degradation of performance after a one week delay.



한 가지 가능한(하지만 불완전한) 설명은 인과 관계 모델에 feature를 imbed하는 것이 학습에 의미있는 맥락을 제공하여 자료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것은 기억에서 의미의 역할에 관한 많은 증거와 일치합니다. 설명과 관련된 문제점은 지연 후 BS 상태의 참가자가 진단 작업을 수행하는 데 향상된 성능이, 이 시점에서 비슷하게 강화 된 메모리를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BS 6.13 / 8; FL 6.00 / 8). 

A possible, but incomplete, explanation is that imbedding the features in a causal model provides a meaningful context for learning, leading to enhanced memory for the material. This is consistent with a large body of evidence about the role of meaning in memory. The problemwith the explanation is that the enhanced performance on the diagnostic task by participants in the BS condition after a delay was not accompanied by a similarly enhanced memory for the features at this time (BS  6.13/8; FL  6.00/8). 


대안으로는 덜 잘 이해되는 설명이지만, 기초과학이 특징과 진단의 관계에 대한 coherence의 척도를 제공했기 때문에 케이스의 특징 중에서 인과 관계 모델과 일치하는 (따라서 올바른) 것이 최종 판단에서 더 weighted 되었다는 설명이다. 이 설명은 기본 과학 지식은 encapsulated된 것이며, 임상 지식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진단 정확도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De Bruin (2005)의 발견과 일치합니다.

An alternative, though less well understood explanation is that basic science provided a measure of coherence to the relation between features and diagnoses, so that features of the case that were consistent with the causal model (and hence correct) were weighted more heavily in the final judgment. This explanation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 of De Bruin (2005) showing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was best characterized as encapsulated, and was related to diagnostic accuracy only indirectly through its relation to clinical knowledge.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커니즘은 여전히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지만, 이 연구는 기초 과학 지식이 임상 지식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 fact들의 inert corpus가 아니라는 것을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보여 주었다. 정반대로, 기초 과학에 대한 좋은 이해는 장기적으로 진단 성공의 주요 결정 요인 인 것으로 보인다.

Regardless, while the mechanismis still to be precisely delineated, this research showed experimentally for the first time that basic science knowledge is not an inert corpus of facts that does not interact with clinical knowledge, which was the conclusion of earlier studies. Quite the converse, a good understanding of basic science appears to be a major determinant of diagnostic success in the long term.


제안 된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한, 임상적 특징과 질병 사이의 연결 고리를 확립하는 명백한 인과 메커니즘을 확립하는 것에 상당히 의존할 수있다. 그렇다면 이 메커니즘을 임상과의 관계로부터 분리하는 교육은 거의 가치가 없다. 따라서, 생리학이든 약리학이든 과목을 self-contained body of facts and concepts로 취급하여 기전과 임상 표현과의 관계를 명백하게 보여주지 않는 교육은 가치가 없다.

To the extent that the proposed mechanisms are operating, they might depend critically on establishing explicit causal mechanisms establishing links between features and diseases. If so, instruction that divorces mechanisms fromclinical correlates will likely be of little value. Thus, a preclinical course in physiology or pharmacology that treats the subject as a self-contained body of facts and concepts, and that does not explicitly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echanisms and disease manifestations is likely of little value.









 2006 Oct;81(10 Suppl):S124-7.

The value of basic science in clinical diagnosis.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Toronto, Wilson Centre, 200 Elizabeth Street, Eaton South 1-565, Toronto, Ontario, Canada M5G 2C4. nikki.woods@utoronto.ca

Abstract

BACKGROUND:

The role of basic science knowledge in clinical diagnosis is unclear. There has been no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its value in helping students recall and organize clinical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causal knowledge may lead to better recall and diagnostic skill over time.

METHOD: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learned either four neurological or rheumatic disorders. One group learned a basic scienceexplanation for the symptoms. The other learned epidemiological information. Both were then tested with the same set of clinical cases immediately after learning and one week later.

RESULTS:

On immediate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curacy (70% for both groups). However, one week later, performance in the epidemiology group dropped to 51%; the basic science group only dropped to 62%.

CONCLUSIONS:

Basic science knowledge relating causal knowledge to disease symptoms can improve diagnostic accuracy after a delay.

PMID:
 
17001122
[Indexed for MEDLINE]


임상에서 맥락(Context)을 재정의하기: 의학교육 연구와 훈련에 대한 함의(Acad Med, 2010)

Perspective: Redefining Context in the Clinical Encounter: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Steven J. Durning, MD, Anthony R. Artino, Jr., PhD, Louis N. Pangaro, MD, Cees van der Vleuten, PhD, and Lambert Schuwirth, MD, PhD





의사 훈련 및 실습은 강의실에서 바쁜 입원 병실, 응급실, 수술실 및 외래 진료소에 이르는 여러 복잡한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환경이나 컨텍스트는 의사가 의학을 배우고, 가르치고, 수행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므로 의학 교육의 연구 및 훈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Physician training and practice occur in many complex environments ranging fromclassrooms to busy inpatient wards, emergency rooms, operating rooms, and ambulatory clinics. These environments, or contexts, influence how physicians learn, teach, and practice medicine and, thu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이 기사에서는 의학 교육과 관련하여 임상 만남에서 컨텍스트라는 용어의 사용을 탐구합니다.

In this article, we explore the use of the termcontext in the clinical encounter as it relates to medical education.



상황에 대한 현재 견해와 관련된 과제 : 성과와 용어

Challenges Related to Current Views of Context: Outcomes and Terminology


의학 교육자들은 이 복잡한 시스템에서 여러 요소 (위에 정의 된대로)를 조사했지만, 이 요소들은 대부분 고립되어있었습니다. 이러한 연구가 개별 요인의 중요성을 조명 할 수 있지만, 투입 요소와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탐색 할 때 요소들을 고립시켜 연구하는 방식의 한계는 분명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페셔널리즘과 같은 개별 시스템 요인을 다루는 수많은 예측 타당도 연구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는데, selected input은 outcome에 미미한 차이밖에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이다.1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의학 교육 연구는 시스템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 탐구하는 것에는 아직까지는 한계가 있다

Medical educators have investigated several factors (as defined above) in this complex system, but largely in isolation. Although such studies can illuminat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factors, the limitation of approaching factors in isolation is evident when one explores the association between inputs and outcomes. For instance, numerous predictive validity studies that have addressed individual system factors, such as professionalism , have found a consistent theme: selected inputs tend to explain little variance in outcome(s).1–10 Stated another way, medical education research has been limited by not yet exploring interactions between systemcomponents,


의학 교육 분야의 제한적인 연구 결과는 미미한 성공만을 이루었을 뿐이며, 지난 수십 년 동안 학부모 IQ 및 학교 유형과 같은 개별 시스템 요인으로 지능 (IQ) 테스트의 상승을 설명하려고 시도한 human intelligence 분야의 연구 결과와 다르지 않다 11, 12

The restricted findings from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re not unlike those from the human intelligence literature, which, for decades, has attempted to explain the rise in intelligence (IQ) testing with individual system factors like parental IQ and type of school, but with little success.11,12



의학 교육 연구에 대한 또 다른 과제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하는 복수 용어의 사용 또는 양자 택일로 잠재적으로 상충되는 여러 가지 의미를 동일한 용어에 부여하는 것입니다.

An additional challenge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the use of multiple terms that essentially mean the same thing or, alternatively, give multiple, potentially conflicting meanings to the same term.



컨텍스트에 대한 현재의 관점

Current views of context


컨텍스트에 대해서 의학 교육 문헌에는 몇 가지 정의가 있는데, 두 가지 일반적인 범주에 속합니다. 

하나는, 만남이 발생하는 세팅 또는 물리적 위치 (예 : 외래, 구, 응급실 및 수술실)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컨텍스트는 "문제가 어디서 발생한 것입니까?"라는 질문에 답합니다.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ere are several definitions, which fall into two general categories. Context may refer to the setting or physical location of the encounter (such as ambulatory, ward, emergency department, and operating room). In this sense, context answers the question “Where does the problemtake place?”



다른 하나로, 컨텍스트는 제시된 문제와 관련된 시험문제에 제공된 추가 정보와 같은 문제의 내용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context-rich"한 객관식 질문은 임상 프리젠테이션의 많은 세부 사항을 포함하는 반면, "context-poor"한 질문은 환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거나 아주 적게 포함합니다. 마찬가지로, 현재 병력이 지난 후에 수집 된 일상적인 정보도 일반적으로 컨텍스트으로 간주됩니다.

Context may also refer to the content of aclinical problem, such as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in a test question that is related to a presenting problem. Fromthis perspective, a “context-rich” multiple-choice question includes many details of a clinical presentation, whereasa “context-poor” question does not include (or includes very little) patient information. Likewise, routine information collected after the history of  present illness is typically thought of as context.



컨텍스트의 재정의

Redefining context


  • 컨텍스트는 라틴어 contextere에서 유도된 것으로, "서로 엮어서 만든다"를 의미한다. 

  • 웹스터 온라인 사전에서 컨텍스트는 "무언가 존재하거나 발생하는 상호 관련 조건"이라고 정의하며, environment와 유의어이다.13 이 정의는 location 또는 setting과 동일시 될 수 있습니다 . 

  • 컨텍스트에 대한 두 번째 정의는 "단어 나 구절을 둘러싸고 그 의미를 밝힐 수있는 담론의 부분"이다. 13 의학에서이 담론은 환자를 만나는 시간에 누적 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컨텍스트라는 용어는 정적인 상황에 제한되지 않으며, 진화하는 것이다. 


  • The word context is derived fromthe Latin contextere, meaning “to weave together.” 

  • Webster’s online dictionary defines context as the “interrelated conditions in which something exists or occurs,” with environment as a synonym.13 This definition can be equated with location or setting. 

  • A second definition of context is “the parts of a discourse that surround a word or passage and can throw light on its meaning.”13 Because in medicine this discourse includes information that accumulates during the time of a patient encounter, the termcontext is not restricted to a static situation but, instead, is one that evolves



이와 같이 컨텍스트는

  • (1) 환경에 존재하거나 발생하는 무언가의 의미를 더하는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을 포함하며, 

  • (2)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가 추가됨에 따라 의미의 변화를 허용합니다. 

의학적 만남을 "weave together"하는 요소는 참가자와 그들의 상호 작용을 포함합니다. 

  • 참가자는 환자 및 의사 (때로는 환자의 가족 구성원, 의대생, 간호사 및 / 또는 거주 의사와 같은 추가 개인)입니다. 

  • 상호 작용에는 참여자가 방문의 물리적 위치뿐만 아니라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가 포함됩니다.

As such, context 

  • (1) comprises interacting factors that add to the meaning of something that exists or occurs in an environment and 

  • (2) allows for change in that meaning as information is added over time. 

The factors that “weave together” the medical encounter involve the participants and their interactions. 

  • The participants are the patients and physicians (and, at times, additional individuals such as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 medical students, nurses, and/or resident physicians); 

  • the interactions include how participants relate to each other as well as to the physical location of the visit.


만남의 최종 결과 또는 "성공"은 이러한 독특한 참여적 요소요소간 상호 작용에 달려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임상 적 만남의 결과는 상호 작용하는 다원적 input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임상적 만남을 개별 참여자의 입장에서 보는 관점과 전체 시스템의 입장에서 보는 관점 (즉, 시스템의 모든 구성 요소가 각각 개별 참여자와 전반적인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견해가있다.

The end result, or “success,” of the encounter depends on these unique participant factors and their interplay— in other words, the outcome of the clinical encounter likely has multifactorial inputs that interact. Thus, there is 

  • a view of context in the clinical encounter from the individual participant and 

  • another view from the entire system(i.e., how all the components in the system interact to affect the individual participant and overall outcome, respectively).


컨텍스트에는 참가자 간의 위치 및 상호 작용뿐만 아니라 시간도 포함됩니다. 임상 정보의 상호 작용으로 간주되는 '컨텍스트'는 임상 정보가 누적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합니다. 예를 들어 임상 만남은 시간이지나면서 발전하거나 진행합니다. 컨텍스트가 만남의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고려할 때 임상적 마주침의 결과는 정적이 아니며 그 결과는 단순히 환자나 의사에게 달려 있지 않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대신, 임상적 만남의 결과는 환자 (의사)와 환자 (의사)가 특정 시간 단위의 특정 위치에 대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결과는 다양한 system factors (환자에게 고유 한 요인, 의사 고유의 요인, 신체적 위치 또는 발생의 세팅에 고유 한 요인,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들로 이것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좌우된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사실, 이러한 요소들이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는 개념은 아마도 알고리즘, 체크리스트 및 지침이 건강 관리에서 왜 제한적인 효능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Context involves not only loc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but also time. Context, considered as the interaction of clinical information, changes over time as clinical information accumulates—for instance, the clinical encounter develops or progresses in time. Considering context as changing over the time of the encounter further illuminates the idea that the outcome of a clinical encounter is not static and its result is not merely dependent on the patient or the physician, for that matter. Instead, the outcome of a clinical encounter is dependent on those factors (patient and physician) and on how the patient and physician interact with respect to a specific problemin a specific location in a specific unit of time. More specifically, on reflection, it is clear that the outcome is dependent on a variety of systemfactors: 

  • factors unique to the patient, 

  • factors unique to the physician, 

  • factors unique to the physical location or setting of the encounter, and, finally, 

  • factors that represent their interactions (patient–physician, patient–setting, physician–setting, and patient–physician–setting). 

In fact, the notion that these factors interact in complex ways implies that, and perhaps helps one understand why, algorithms, checklists, and guidelines may only have limited efficacy in health care.



다른 분야로부터의 통찰

Insights From Other Fields


문맥과 수학 (카오스 이론)

Context and mathematics (chaos theory)


카오스 이론은 프로토 타입, 비선형, 수학적 모델입니다. 혼돈 이론과 같은 비선형 모델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 간 상호 작용으로 인해 결과가 비선형 (부가 적) 이외의 방식으로 누적 될 수 있으므로 초기에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Chaos theory is a prototypical, nonlinear, mathematical model. Nonlinear models, like chaos theory, argue that because of interactions between components in a system, the results can accumulate in nonlinear (other than additive) ways, making precise prediction of the outcome impossible at the outset.


카오스 이론은 흔히 "완전히 예측할 수없고 순전히 우연에 따르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카오스"라는 용어와 구별되어야합니다. 혼돈 이론은 무작위성을 주장하지 않는다. 대신 이론은 결과가 bounded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즉, 초기에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 할 수는 없지만, 가능한 상호 작용에 한계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Chaos theory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the term“chaos,” which is often used in the popular press to mean things that are completely unpredictable and purely subject to chance. Chaos theory does not argue for randomness; instead, this mathematical theory states that outcomes are bounded, meaning that although an outcome cannot be precisely predicted at the outset, there are limits to the possible interactions.


혼돈 이론에서 설명하는  카오스는 몇 가지 복잡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밝혀졌. 14-16 실제로 환자 간호와 같은 거의 모든 사회적 상호 작용은 chaotic하다16). 사회 상호 작용은 참여자 피드백이 독특하고 역동적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방법. 혼돈과 관련되거나 혼돈의 동의어 인 문항에는 복잡성, 소산 체계, 역동적 인 체계, 재앙, 분 지 및 출현 등이 포함되어있다.

Chaos, as described in chaos theory, has been found to apply to several complex systems.14–16 Indeed, some have argued that nearly all social interactions, such as patient care, are chaotic16 because social interactions evolve with participant feedback in unique and dynamic ways. A number of terms that are associated with chaos or are synonymous with chaos exist in the literature, include complexity, dissipative systems, dynamical systems, catastrophe, bifurcation, and emergence.16


혼돈 이론의 핵심 원리는 모든 결과가 "초기 조건에 민감한 의존성"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카오스 이론에 따르면 뛰어난 독서 기술(결과)을 지닌 의대생은 여러 요인(초기 조건)에 의해 이 결과에 이르른 것이다: 

    • 타고난 독서 기술, 부모를 격려하고, 관심과 읽고 동기 부여 (이러한 각각의 다른 요소들간에 긍정적 인 강화). 

    • 부모의 격려로 인해 잘 읽은 의사가 학생을보다 효과적으로 모델링 할 수있게 만들었을 수 있으며, 

    • 이는 결국 부모의 격려에 대한 학생의 수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강력한 상호 작용 또는 피드백 고리 ). 

결과적으로 "뛰어난 읽기 기술"은 개별 입력 또는 요소의 합보다 더 많을 수 있습니다. 대신 이같은 결과는 비선형 상호 작용에서 나온다.

A key principle of chaos theory is that any outcome has “sensitive dependence on the initial conditions.” For example, chaos theory would argue that a medical student who has exceptional reading skill (the “outcome”) likely had several factors(the “initial conditions”) that led to this result: 

    • innate reading skill, encouraging parents, and interest and motivation to read (with positive reinforcement between each of these other factors). 

    • The encouragement of the parents may have made the student more open to role modeling by a well-read physician, and 

    • this, in turn, may have influenced the receptiveness of the student to encouragement by the parents (a powerful reciprocal interaction, or feedback loop). 

The resulting “exceptional reading skill,” then, is likely more than the sumof the individual inputs, or factors; instead, the result emerges also from nonlinear interactions.



혼돈 이론 접근법에서 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단순히 모델에 더 많은 측정점을 포함한다고 되지 않는다. 더 많은 측정을 포함하면 혼돈 이론의 렌즈로부터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그러한 측정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탐구해야합니다. 카오스 이론은 비선형 방식으로 각 요소와 상호 작용의 고유 한 기여도를 조사 할 때 처음에는 관련성이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특정 매개 변수 또는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것은 선형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Fromthe chaos theory approach, the determination of the outcome is more than simply including more measurement points in the model. Although including more measurements can improve understanding, fromthe lens of chaos theory, we need to also explor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such measurements. Chaos theory highlight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ertain parameters, or factors, initially perceived as irrelevant that become relevant when we explore the unique contribution of each factor and their interactions in a nonlinear fashion. This is not to say that exploring linear relationships is not important. 


또한 시스템 구성 요소의 "극한 표현형"또는 "고전 예제"를 처리하면 결과와 구성 요소의 관계뿐만 아니라 시스템에서 다른 구성 요소와 동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있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별적인 경우에 주어진 시간과 공간의 특정 순간에 특정 요소 (예 : 환자 만족도)가 시스템의 다른 요소(예 : 의사의 안녕)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예측하기를 원한다면, 비선형 접근법이 최적이라고 제안한다. 또 다른 예로 천천히 한 병의 모래를 바닥에 쏟아 부으십시오. 모래 더미가 쌓일 것이지만, 더 면밀히 조사하면 모래 알갱이의 "눈사태"가 때때로 보일 것입니다.

Moreover, addressing “extreme phenotypes” or “classic examples” of system components can facilitate our understanding of not only the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 to the outcome but also our understanding of how the measure may dynamically interact with other components in the system. However, if we want to predict, in an individual case, how a specific factor (e.g., patient satisfaction) interacts with other factors in the system(e.g., physician well-being) at a given moment of space and time, this literature would suggest that nonlinear approaches are optimal. As another example, consider slowly pouring a bottle of sand onto the floor. The sand will forma pile, but with closer inspection we will see “avalanches” of sand grains fromtime to time.


이러한 눈사태에서 한 알의 모래 알갱이의 경로를 예측하는 것은 혼란스러운 시스템을 나타 내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습니다. 모래알이 서로 충돌하여 많은 상호 작용 효과를 나타냅니다. 

    • 모래 더미의 모양은 모래 병의 크기, 붓는 속도, 바람과 같은 초기 조건에 달려 있습니다. 

    • 그러나, 개별 모래알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모래 더미는 또한 카오스 이론과 '카오스'라는 용어 사이의 차이를 보여준다.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카오스 이론은 결과가 초기 조건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옵션은 무한하며 정확하게 예측 될 수는 없지만, 조건condition은 대략 후향적 분석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edicting the path of a single grain of sand in such an avalanche is not possible because it represents a chaotic system(it involves many, many interaction effects as grains of sand bump into each other). The shape of the sand pile is dependent on the initial conditions such as the size of the bottle of sand, speed of pouring, and wind; however, prospectively predicting where each grain of sand will lie in the pile is not possible. The sand pile also raises the difference, mentioned earlier, between chaos theory and the termchaos as typically used—chaos theory argues that the results are bounded by the initial conditions, and although the options are infinite and cannot be precisely predicted, conditions can be roughly predicted and can also be understood with retrospective analysis.



의학적 만남의 측면에서 볼 때 시나리오는 바쁜 외래 진료에서 좌절 된 환자를 보는 피곤하고 과로한 레지던트가 있을 수 있다. 환자가 기다려야만 한다는 사실은 사전 진단의 명확성 부족으로 인해 혼란스럽고 자신의 피로로 인해 환자의 주소를 반복적으로 다시 말해야하는 레지던트와 상호 작용하여 좌절되며 비선형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방문 만족감이 낮아질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 이러한 요소들은 위의 예에서와 같이 많은 서로 다른 상호 작용 효과를 통해 서로 충돌합니다.

In terms of a medical encounter, a potential scenario could be a tired and overworked resident seeing a frustrated patient in a busy outpatient practice. The fact that the patient has had to wait to be seen, is upset by the lack of clarity in prior diagnosis, and is frustrated by interacting with a resident who needs to repetitively restate the patient’s concerns because of his own fatigue likely leads to nonlinear results in the patient’s lack of satisfaction with the visit (an undesirable outcome). These factors “bump into each other” through many different interaction effects, much like the grains of sand in the example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성공적인 의사는 모든 경우에 적용가능하고, 복잡한 진료 환경에서 성공할 것을 기대하는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없는 가이드라인 또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임상에 접근 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모래가 모래에서 쏟아 질 때마다 모래 더미가 동일 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과 같습니다. 대신, 의사는 복잡하고 자주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요인 (환자, 의사, 환자, 의사, 환자 및 설정, 의사 및 설정)을 알아야합니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의사는 유연해야하고, 이러한 요소에 대해 적절히 반응하며, 요인 및 상호 작용에 기꺼이 적응할 수 있어야합니다.

More specifically, the successful physician cannot merely approach the clinical encounter with a relatively inflexible guideline or algorithm that he or she applies to all cases and expect success in the complex practice environment. That would be like expecting the sand pile to be identical each time sand is poured fromthe bottle. Instead, he or she needs to be aware of factors (patient, physician, setting, patient and physician, patient andsetting, physician and setting) that will interact in complex and frequently unexpected ways. In such a system, the physician must be flexible, have some responsiveness to these factors, and be willing and able to adapt to the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컨텍스트와 양자 물리학

Context and quantum physics


양자 물리학에서 Heisenberg의 불확실성 원칙은 위치와 운동량과 같은 특정 역학량이 동시에 정확한 값을 가질 수는 없다고 말합니다.

In quantum physics, the Heisenberg uncertainty principle17 states that certain dynamic physical quantities, like position and momentum, cannot both have precise values at the same time.


표준 물리학은 진자가 어디에서 끝나는지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Standard physics is able to describe only where the pendulumbegins and where it ends;


이 원칙은 의학 교육 및 의학 교육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서 주장하는 것은, 임상적 만남과 같이 여러 변화하는 부분이있는 시스템에서 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시스템 복잡성은 결과의 차이를 설명하는 우리의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This principle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 argument here is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edict the outcome in a systemwith multiple changing parts, such as a clinical encounter. In short, systemcomplexity affects our ability to account for variance in the outcomes.


우리는 진자 운동과 임상상황의 유사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우리는 시작점 (방문 시작)과 끝점 (바람직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 결과)을 알고 있지만, 그 사이에 있는 특정 순간에 일어나는 일은 불확실합니다 (설명 된 요인들 사이의 여러 비선형 상호 작용에 달려 있음) .

We propose the movement of a pendulumis analogous to the clinical encounter. We know the starting point (the beginning of the visit) and the ending point (desirable and undesirable clinical outcomes), but what happens in between is uncertain at a given moment of time (it depends on multiple, nonlinear interactions between the factors described).



문맥과 상황기반인지

Context and situated cognition


상황기반인지situated cognition 이론은 모든 사고와 학습이 환경의보다 큰 물리적, 사회적 맥락에서 "자리 잡은situated"된 것으로 간주되어야한다고 주장한다. 상황기반인지에서 "인지, 지식, 학습은 모든 사람과 환경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18 따라서, 상황기반인지는 참가자와 바람직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로 이어지는 그들의 환경 사이의 복잡한 상호 작용의 개념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상황기반인지 이론가들은 한 단계 더 나아가 환경과 사람을 동등하게 강조하였다 .19) 실제로, 상황기반인지의 두드러진 특징은 individual cognition을 상호작용과 문화의 더 큰 물리적 사회적 맥락 내에 배치하는 것이다"

Situated cognition theory contends that all thinking and learning must be viewed as “situated” within the larger physical and social context of the environment. Situated cognition views “cognition, knowing, and learning as all taking place as interactions between people and their environment.”18 Thus, situated cognition embraces the notion of a complex interplay between participants and their environment as leading to desirable (or undesirable) results. Situated cognition theorists, however, go even one step further, putting equal emphasis on the environment and the person.19 Indeed, the stand-out characteristic of situated cognition is the placement of individual cognition within the larger physical and social context of interactions and culturally constructed tools and meanings.18 


상황기반인지는 "개인의 환경"에서 "개인과 환경"으로 초점을 변화시킨다. 더욱이, 상황기반인지는 "글쓰기, 대화 또는 사고라는 것은 사람과 환경 사이의 대화의 결과로서, (이상적으로) 통합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서로를 수정하는 것"으로 본다.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일방향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환경 사이에 일종의 춤과 같이 균형 잡힌 성과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20

Situated cognition shifts focus from“individual in environment to individual and environment.”20 What is more, situated cognition sees “writing, conversing, or thinking as the result of dialogue in which the person and environment (ideally) modify each other so as to create an integral performance. It is the production of a well-coordinated performance that involves a kind of dance between person and environment rather than the one-way action of one on the other.”20


상황기반인지의 관점에서 의학적 만남을 보는 것은 enlightening하다. 예를 들어, 의사가 사전에 사례에 익숙하다 할지라도, 진행 방식을 정확히 알고있는 환자와 마주 치지 않습니다. 대신, 만남의 "성공"은 의사에 의해서나, 환자에 의해서나, 물리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의사, 환자 및 환경 사이에서 발생하는 역동적 인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때 상호작용은 의사, 환자, 환경에 걸쳐 불변하지 않는 것이 절대 아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임상 적 만남에서 맥락의 개념을 재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황기반인지의 관점을 포용합니다. 그러한 관점은 환경을 인정하는 것 이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을 그 환경에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동등한 지위에 두는 것입니다.  그림 1은 임상 만남에 대한 인식 론적 접근법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상황기반인지 이론은 의학적 만남과 그 상호 관계의 구성 요소 부분을 보는 모델을 제공하지만, 복잡한 시스템에서 참여자의 목표와 이용 가능한 자원의 문제를 조명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이 중요한 추가 정보가 생태 심리학의 시각을 통해 보여 질 수 있다고 믿는다.

Viewing a medical encounter froma situated cognition perspective is enlightening. For example, even if a physician is familiar with a case ahead of time, he or she does not enter that patient encounter knowing exactly how the encounter will proceed. Instead, the “success” of the encounter is determined not by the doctor, not by the patient, and not by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by the dynamic interactions that occur between the doctor, patient, and environment (interactions that are far from invariant across doctor, patient, and environment). Consequently, we embrace the situated cognition viewpoint as a way of reframing the notion of context in the clinical encounter, because such a viewpoint does more than just acknowledge the environment, it places the environment on equal footing with the people in that environment and their unique interactions. Figure 1 illustrates a situated cognition approach to the clinical encounter. However, although situated cognition theory does provide a model for viewing the component parts of the medical encounter and their interrelations, it does not illuminate the question of participant goals and available resources in the complex system. We believe that this important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viewed through the lens of ecological psychology.





컨텍스트 및 생태 심리학

Context and ecological psychology


생태 심리학은 참여에 대한 통합 된 에이전트-환경 관점을 선호합니다. 이 이론은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그러한 모델이 의학 교육과 같은 다른 분야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카오스 이론에서 나오는 수학적 모델의 사용을 포함합니다. 생태 심리학은 참여자의 목표가 복잡한 시스템에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환경은 참여자에게 기능적 가치 또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기회는 '어포던스'라고 불리며, 이것은 환경이 참가자에게 좋든 나쁘든 제공하는 어떤 것이다. 예를 들어 문 손잡이는 "회전 가능"의 여지가 있고 호수는 "수영 가능"의 여지를 제공한다. 어포던스는 "행동의 가능성"이며 모든 참가자에게 언제나 안정적으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어포던스는 특정 클래스의 참가자에게만 존재하며, 잠재적인 필요 (또는 의도)가 발생할 때만 중요합니다. 생태 심리학에서 '행동'할 수 있게 만드는 참가자의 기술과 능력을 effectivities라고합니다.

Ecological psychology prefers an integrated, agent–environment view of participation. This theory embraces the use of mathematical models emerging from chaos theory for understanding complex systems and how such models may be applied to other fields, such as medical education. Ecological psychology stresses the impact of the goals of participants as the driving behavior in complex systems. The environment gives functional value, or “opportunities,” to participants. These opportunities, referred to as affordances, are what the environment offers to participants, what it provides or furnishes, either for good or ill.21 For example, a doorknob provides the affordance of “turnable” and a lake the affordance of “swimmable.” Affordances are possibilities for action, and they are not stable for all participants at all times. Affordances exist only for certain classes of participants and are important only when a potential need (or intention) arises. A participant’s skill and ability to act in ecological psychology are termed effectivities.



따라서 생태 심리학은 

    • 어포던스 (가능성), 

    • 이펙티비티 (어포던스 사용 능력) 및 

    • 인텐션 (참여자의 목표에 따라 조정되는 어포던스를 얻으려는 욕구)의 개념을 통해 상황에 대해 알려줍니다. 

생태 심리학 관점에서, 능력을 얻고 유지하는 것은 intention 교육과 attention 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자는 잠재적으로 환경 적 요인을 감지하기 위해 자신의 인식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구축 된 또는 발생하는 만남의 목표와 후자를 의미합니다.

Thus, ecological psychology informs us about context through the notions of 

    • affordances (possibilities), 

    • effectivities (ability to use affordances), and 

    • intention (or desire to glean an affordance, which is directed by a participant’s goals)

From the ecological psychology perspective, obtaining and maintaining competence is accomplished through the education of intention and attention

    • 인텐션: the former refers to previously constructed or emerging goals of the encounter and 

    • 어텐션: the latter to the process of tuning one’s perception to detect potential environmental affordances.


예를 들어, 환자가 호흡이 곤란하고 왼쪽에 폐음이없는 응급실에 선물을 보낸 다음 신속하게 무력 전기 리듬으로 들어간다 고 가정합니다. 기술자는 의사가 진단에 이르기까지 유효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의사를 진단합니다. 의사는 긴장성 기흉의 즉각적인 치료를 즉각적으로 진단하고 숙고하고 있습니다. 긴장성 기흉은 출현하고 출현시 분명하지 않은 목표입니다. 그녀는 12 게이지 바늘을 요구하지만(어포던스), 크래시 카트에서 14 게이지 바늘을 발견합니다(어텐션). 그녀는 상태와 행동 방법을 이해하기 때문에(이펙티비티) 바늘을 환자의 왼쪽 가슴 벽에 빠르게 삽입하여 (인텐션) 부비동 리듬과 정상 호흡 소리로 돌아갑니다.

For example, suppose a patient presents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shortness of breath and absent lung sounds on the left side, then rapidly goes into a pulseless electrical rhythm. The technician pages the physician because he or she lacks the effectivity to arrive at the diagnosis. The physician rapidly diagnoses and contemplates the immediate treatment of the tension pneumothorax—a goal that emerges and was not evident on presentation. She calls for a 12-gauge needle (affordance) but then notices a 14-gauge needle on the crash cart (attention). Because she understands the condition and how to act (effectivity), she rapidly inserts the needle into the patient’s left chest wall (intention), resulting in a return to sinus rhythmand normal breath sounds.


또 다른 예는 다리 뒤쪽으로 방사되는 허리 통증을 앓고있는 환자 일 수 있습니다. 의사는 초점을 맞춘 신체 검사의 일환으로 스트레이트 레그 레이즈를 고려하지만(어포던스) 환자는 평평하게 누워있을 수 없습니다 (어텐션). 의사는 의자에 앉아 환자의 다리를 들어 올려서(인텐션), 환자의 증상을 재현하고 진단한다(이펙티비티). 이 예에서는 출발점과 원하는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과 관계 - 어포던스, 어텐션, 인텐션 및 이펙티비티의 다양한 측면 - 이 동적으로 등장합니다. 이것들은 처음부터 정확하게 예측 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근사한 의미에서, 시작은 물론 바람직한 결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그 사이에 일어나는 일은, 진자의 상황과 모래 알갱이의 예와 마찬가지로,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Another example could be a patient presenting with low-back pain that radiates down the back of the leg. The physician considers a straight leg raise as a part of a focused physical exam (affordance), but the patient cannot lie flat (attention). The physician thus raises the patient’s leg while sitting in a chair (intention), reproducing the patient’s symptoms and confirming the diagnosis (effectivity). In this example, the starting point is known as well as the desired outcome; however, the various aspects of the encounter—affordance, attention, intention, and effectivity—emerge dynamically. These cannot be precisely predicted at the outset. Therefore, the outset is known as well as the desirable outcomes, at least in an approximate sense; however, what happens in between is not known, similar to the situation in the pendulum and the grains-of-sand examples.



컨텍스트 및 상황 인식

Context and situation awareness


상황 인식은 관측자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최신의 이해로 이해된다 .22 공식적으로 말하면, 상황 인식은 "공간과 시간의 볼륨 내에서 환경 내의 요소에 대한 인식, 그 의미의 이해 , 그리고 가까운 장래에 그들의 지위를 projection하는 것"으로 정의된다22 이 틀은 시공간의 범위 내에서 환경의 요소들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고려하기 때문에보다 포괄적 인 관점을 요구한다.

Situation awareness is understood as an up-to-dat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round the observer.22 Formally stated, situation awareness is defined as “the perception of the elements in the environment within a volume of space and time, the comprehension of their meaning, and the projection of their status in the near future.”22 This framework requires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context, because the framework considers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the environment’s elements within a volume of space and time.


상황 인식은 또한 의학적 만남의 맥락에서 의사 결정과 성과를 알릴 수 있습니다. 개인이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에 영향을주는 환경 적 특징은 

      •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 (예 : 사용 빈도가 많은 시간에 제한된 시간), 

      • 사용 가능한 정보를 결정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 (예 : 기록의 가용성)

      • 시스템 복잡성 (환자 수, 문제 수, 지원), 

      • 시스템에 존재하는 자동화 수준 (예 : 프론트 데스크 및 간호사 지원 및 약속의 선별), 

      • 스트레스 

      • 작업량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황 인식에는 참여자에게 내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가 포함되며 시간과 공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지각 처리 및 제한된 관심, 제한된 작업 기억, 예상 편견 및 기존 스키마에 대한 패턴 매칭이 포함됩니다 .23-25

Situation awareness can also inform decision making and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a medical encounter. Environmental features that affect how well individuals perform include 

      • the capability of the system to provide the needed information (e.g., limited time in busy practice), 

      • the design of the system interface that determines which information is available (e.g., availability of records), 

      • system complexity (e.g., number of patients, number of problems, support), 

      • the level of automization present in the system(e.g., support from the front desk and nurses and triage of appointments), 

      • stress, and 

      • workload. 

Furthermore, situation awareness includes a number of factors internal to participants,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performance in space and time. These include perceptual processing and limited attention, limited working memory, expectation bias, and pattern matching to existing schemas.23–25


컨텍스트 및 전문 지식

Context and expertise


여러 문헌들이 전문 지식과 전문성 개발을 위해 의도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의도적인 연습은 훈련의 특정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종종 성과를 향상시키기위한 코치 또는 멘토의 피드백을 포함합니다. 많은 분야에서 전문 지식 개발을 위해 최소 10 년의 의도적인 연습이 필요하다고 제안됩니다 .26 의학의 실습과 같은 비선형 동적 과정의 전문가가되기 위해서는 간단한 교육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개인은 또한 확률이 합리적으로 평가 될 수 있도록 잠재적 인 진단을 여러 번 반복하여 평가하는 풍부한 경험이 필요합니다. 코치 나 멘토와 협력하여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스스로 학습하는 것보다 효율적입니다.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suggests that deliberate practice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Deliberate practice is the effortful focus on specific aspects of training and often includes feedback froma coach or mento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erformance. Many fields suggest that a minimumof 10 years of deliberate practice is needed to develop expertise.26 To become an expert in nonlinear dynamic processes, like the practice of medicine, simple instruction is unlikely to be enough. Individuals also need a wealth of experience through which evaluation of multiple iterations of a potential diagnosis are seen so that probability can be assessed reasonably. Working with a coach or mentor to improve performance is more efficient than learning on one’s own.


컨텍스트를 암시하는imply 한 가지 방법은 성능을 구성 요소로 해부하여 특정 기술에 대해 유용한 연습과 개선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문 체스 플레이어가되기 위해 고의적 인 연습 활동에는 체스에서 다른 전문가의 체스 이동을 연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 프로세스에는 수많은 체스 보드 위치와 잠재적 인 미래 위치를 고려해야합니다. 현재 밝혀진 의도적인 연습의 이론에서 명확하지 않은 것은, 의학의 상황은 상대적으로 정적인 체스보드처럼 경계지어지지 않는다는 생각이며, 임상상황의 구성 요소에는 추가적인 복잡성이 있다.

By parsing performance into components so that effortful practice and improvement can be obtained on specific skills, context is implied. For example, to become an expert chess player, a deliberate practice activity might involve studying the chess moves of other experts in chess. This process involves taking into account numerous chess board positions and potential future positions . What is not explicit in the current theory of deliberate practice is theidea that the context of medicine is not bounded like the relatively static chess board—there is the additional complexity of the practice setting component. 


의학적 맥락에는 또한 여러 참여 요소의 추가 상호 작용이 포함됩니다

    • 교육 모델은 다양한 분야에 따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의도적인 연습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고 본다(예 : 콘서트 피아니스트는 단거리 선수 또는 체스 마스터와는 다른 의도적인 연습 방법을 가짐) .26,27. 

    • 보다 포괄적인 견해는, 의사의 명시적 기술은 어떤 시스템 구성 요소가 포함되느냐(예 : 환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정 환자 관리 상황에서 요구되는 사항마다 최적의 의도적인 연습 활동이 다를 수 있음을 인식합니다.

The medical context also involves the additional interplay of multiple participant factors. Educational models recognize that different areas of expertise may require different approaches to deliberate practice (e.g., a concert pianist will have a different deliberate practice approach than a sprinter or chess master).26,27 This more inclusive view recognizes that explicit physician skills may vary on the basis of prevailing system component factors (e.g., patient needs) and thus optimal deliberate practice activities may differ on the basis of what is required in the specific patient- care situation.



의학과 다른 분야 사이에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의학에서 동일한 질병을 가진 두 명의 환자가 절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주어진 상황에서 환자가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그리고 그 환자가 의사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문제를 제기합니다. 컨텍스트 간섭 이론theory of contextual interference에 따르면, 전문가가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다양한 환경 (예 : 다른 연습 설정) 및 여러 수준의 어려움 (예 : 일반적 임상표현 vs 비전형적 임상표현, 임상표현의 시급성)을 달리하여 다양한 문제(예 : 증상 징후 발견)를 다루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전문 지식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컨텍스트가 중요하지만,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요인을 수정하는 것이 임상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Another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medicine and other fields that require expert performance is the idea that, in medicine, no two patients with the same disease are identical. This raises an additional issue of context—how a patient presents in a given setting and how that patient interacts with the physician. The theory of contextual interference argues that to become an expert, a learner needs practice dealing with a problem(e.g., a presenting symptomor finding) in different environments (e.g., different practice settings) and with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e.g., common versus atypical presentation and acuity of presentation). Thus, context seems important for developing expertise, yet we know little about how modifying different system components or factors might affect the clinical outcome.


또한 전문성 확보를 위해 노력할 때 arrested development 문제(전문가 수준에 이르지 못함)가 있습니다. 이 경우 주어진 영역에서 전문 지식이 확립되기 전에, 개인의 성과가 안정된 plateau에 도달하고 ,더 이상의 개선은 관찰되지 않습니다 (조기 또는 초기 자동화라고도하는 프로세스). 이 초기 자동화의 이유는 제대로 이해되지 않았으며, 일부는 개인이 하나 이상의 시스템 요소 및 / 또는 상호 작용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의 반영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문성에 대한 중요한 단계는 메타인지 (또는 사고에 대해 생각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메타인지 과정은 맥락적 요소와 상호 작용이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Early 또는 Premature automization를 완화 할 수있는 이 노력 단계 (고의적인 "메타인지"방식)는 또한 개인이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해 메타인지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전문성 개발 단계에서 개인은 학습자이자 교사가 됩니다. 즉, 그 또는 그녀는 고도로 자기 조절적이 됩니다.

Additionally, there is the issue of arrested development (i.e., not reaching the level of expert) when striving to obtain expertise. In this case, before expertise is established in a given area, an individual’s performance reaches a stable plateau and no further improvements are observed (a process that is often referred to as premature, or early, automization). The reasons for this early automization are poorly understoodand may, to some degree, reflect an individual’s failure to recognize one or more systemfactors and/or interactions. This suggests that an important step toward expertise involves metacognition (or thinking about and monitoring one’s thinking). Metacognitive processes may help one understand how contextual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can influence the outcome. This effortful step(deliberate “metacognitive” practice), which may mitigate early or premature automization, may also play a role in expertise whereby individuals employ metacognitive strategies to maintain theirexpertise. In this phase of expertise development, an individual becomes both the learner and the teacher; that is, he or she becomes highly self-regulated. 



문맥 및 자기 조절 (또는 자기 주도) 학습

Context and self-regulated (or self-directed) learning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육성하는 것은 오랫동안 의과 대학에서의 문제 기반 학습의 사용과 관련하여 의학 교육의 목표였습니다 .28 일반적으로 자기주도학습의 정의는 자기조절학습이라고 불리는 것과 매우 유사합니다. 그러나 종 인지 기능과 행동 요인만을 고려한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개념화와는 달리, 자기조절이론은 잘 확립되고 동기 부여적인 관점에서 성장해 왔으며, 감정(동기 부여 및 감정), 컨텍스트, 개인의 인지 및 행동 요인에 대해서도 고려한다.

Fostering self-directed learning has long been a goal of medical education, particularly as it relates to th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al school.28 In general, definitions of self- directed learning are very similar to what has been termed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educational psychology literature.29 However, unlike conceptualizat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often consider only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many theories of self-regulation have grown from well-established, motivational perspectives and, as such, include consideration for affect (motivation and emotion) and context,as well as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of the individual.


여러 가지 상이한 자기 조절 모델이 존재하지만, 사회-인식 이론은 환경의 맥락적 특성과 이러한 특징이 개인적 요인 (예 : 신념, 감정, 정보) 및 개인 행동 (예 : 추구하는 행동, 심도있는 처리 전략의 사용, 환경 제어 전략의 사용)과 상호작용하여 학습 및 성과를 향상(또는 방해) 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따라서 자기 조절 학습은 개인적 상황과 상황적 영향 간의 역동적인 상호교환의 산물인 상호 작용 현상으로 생각할 수있다. 이와 같이 자기조절학습, 또는 자기조절은 현대적으로 많은 현대 심리학자들에 의해 인간 활동을 정의내리는 핵심적이고 독특한 특징으로 간주된다.

Although several different models of self-regulation exist, social–cognitive theories are unique in their emphasis on contextual features of the setting and how these features interact with personal factors (e.g., beliefs, emotions, intelligence) and personal behaviors (e.g., help-seeking behaviors, use of deep processing strategies, use of environmental control strategies) to improve (or hinder) learning and performance. Thus, self- regulated learning can be thought of as an interactive phenomenon, the product of a dynamic interchange between personal and situational influences. As such,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 regulation more generally, is considered by many contemporary psychologists to be a core, defining, and distinctive feature of human activity.30



지난 20 년간 교육 분야에서 수행 된 연구에 따르면 개인적 성공 (학업 및 기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효과적으로 self-regulate 하는 법을 배워야한다는 사실이 일관되게 나타났습니다 .31 다양한 교육적 배경에서 수행 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공적인 학생 단순히 똑똑하기만 한 것이 아니며, 그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자신의 환경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적용합니다.

Research conducted during the last 20 years in the field of education has consistently shown that to achieve personal success (academic and otherwise), individuals must learn how to effectively self-regulate.31 In fact, research performed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reveals that successful students possess more than just smarts; they engage in self-generated, goal-directed activities and apply effective strategies to optimally adjust their environments in the service of their goals.32






교육 연구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위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맥락을 단순히 임상적 만남에서 주소를 둘러싼 물리적 위치 또는 추가 정보 이상의 것으로 본다. 대신 의학 교육에서 컨텍스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는 복잡한 시스템을 가리키는 것으로 봅니다. 결과는 환경 (환자, 의사, 설정 및 상호 작용)에서 요인 간의 상호 작용 및 피드백에 의해 유도됩니다. 이러한 상호 작용 및 피드백은 예측할 수 없으므로 비선형적일 수 있습니다.

As the preceding discussion indicates, we embrace the notion of context as more than the physical loc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surrounding the presenting complaint in the clinical encounter. Instead, we see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as referring to a complex systemthat evolves over time. The resulting outcome is driven by interactions and feedback among factors in the environment (patient, physician, setting, and their interactions); these interactions and feedback are not predictable and therefore can be nonlinear.


다음 단락에서 이러한 함의 중 일부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We detail some of these implications in the following paragraphs.


첫째, 우리는 연구자가 각 참가자에게 독특한 요인과 그 요인의 상호 작용을 연구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주어진 시스템 구성 요소 척도 (상황을 구성하는 환자, 의사 또는 만남 요인)에서 주어진 조건의 극단적 인 "표현형"또는 원형의 표현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전문성 개발에 관한 문헌과 일치합니다. 또한 상황 인식과 일치하는 상호 작용의 규모를 잠재적으로 탐구 할 수 있습니다.

First, we believe researchers should consider studying the factors unique to each participant and those factors’ interactions. For example, one can begin with extreme “phenotypes,” or prototypical representations of a given condition, in a given systemcomponent measure (patient, physician, or encounter factors that constitute the context). Such an approach is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t also allows for potential exploration of the magnitude of interactions, consistent with situation awareness.


구성 요소 상호 작용 (예 : 카오스 이론, 계층 적 선형 모델링, 구조 방정식 모델링 및 일반화 가능성과 같은 비선형 접근법)을 분석 할 때는 정교한 모델링 및 분석 기술을 고려해야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카오스 이론은 결과가 경계되어 있거나 제한되어 있으므로 초기 상태 (모래 더미 예제와 같은)를 고려할 때 크게 예측 가능하거나 설명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복잡한 시스템이나 혼돈 된 시스템을 분석하려면 정교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모든 분산이 전향 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을 포함해야합니다.

Sophisticated modeling and analysis techniques should be considered when analyzing component interactions (e.g., nonlinear approaches such as chaos theory as well a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generalizability). As stated earlier, chaos theory does stipulate that the outcomes are bounded (or restricted) and thus are largely predictable or explainable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initial conditions (like the pile-of-sand example). Thus, analyzing complex or chaotic systems involves the use of sophisticated analysis approaches and the recognition that all variance is not likely to be accounted for prospectively.


자아 조절의 관점에서, 몇 가지 중요한 질문이 연구를 위해 등장합니다. 

  • 첫째, 교육의 맥락이 변화함에 따라 의료 교육 과정에서 의사 (및 의사의 의사)의 자율 규제 역량이 바뀌는가?

  • 둘째, 전문 의사는 상대적 초심사보다 더 "스스로 통제"됩니까? 

  • 마지막으로, 의학계는 미래의 임상의가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인 성능을 위해 매우 중요하게 보이는 자기 통제 식 사고, 감정 및 행동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되는 어떤 조치도 취하고 있습니까? 

자기 조절 학습 관점에서 볼 때, 이들은 의학 교육자에게 중요한 실질적인 문제가됩니다.

Froma self-regulation perspective, several important questions emerge for research. 

  • First, do the self-regulatory competencies of physicians (and physicians in training) change over the course of their medical education as the context of their education changes? 

  • Second, are expert physicians more “self- regulated” than relative novices? 

  • And, finally, do schools of medicine do anything to help future clinicians develop those self-regulated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that would seemto be so critical for effective performance in various contexts? 

When considered from a self-regulated learning perspective, these become significant practical issues for medical educators.




자기 통제가 의미하는 바는 의학 교육에서 단계적으로, "자신에 대한 자신의(self-to-self) 훈련"의 사용에 대한 고려도 포함한다. 이러한 접근법에는 

  • 관측 레벨 (유능한 모델을 보면서 스킬의 정확한 형태를 구별 함), 

  • 시뮬레이션 레벨 (능숙한 모델의 일반적인 형태를 복사), 

  • 자기 통제 레벨 (모델로부터의 직접적인 감독이없는 통제 된 환경에서 스킬을 연습하는 것), 

  • 자기 조절 레벨(역동적이고 실제 환경에서 기술을 연습하고 성과 결과를 토대로 기술을 수정 함) .33,34 

자기 조절 학습 관점 연구자들은 의사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있는 중요하고 (그리고 조사되지 않은) 의사 요인을 탐구한다. 예를 들어, 교육 심리학자들은 최근 학습 성과 성과에서 성취와 관련된 감정이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인정했다 .35)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 긍정적 인 감정 (예 : 즐거움)은 유연하고 깊은 처리 전략 우수한 학습 및 성과를 가져옵니다. 반대로 

  • 부정적인 감정 (예 : 불안과 지루함)은 주의력 감소와 차선의 결과를 초래하는보다 얕은, 얕은 처리 전략의 사용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Self-regulation implications also include consideration of the use of stepwise, “social-to-self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Such an approach involves several levels of skill acquisition, including 

  • an observational level (discriminating the correct formof a skill by watching a capable model), 

  • a simulation level (copying the general formof a proficient model), 

  • a self- controlled level (practicing a skill in a controlled environment without direct supervision froma model), and 

  • a self- regulated level (practicing a skill under dynamic, real-world conditions and modifying that skill on the basis of performance outcomes).33,34 

A self- regulated learning view also suggests that researchers explore important (and underresearched) physician factors that may influence physician performance. For example, educational psychologists have just recently acknowledged the critically important role that achievement-related emotions play in learning and performance.35 Although limited, recent research findings have indicated that 

  • positive emotions (e.g., enjoyment) facilitate the use of flexible, deep processing strategies that result in superior learning and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 negative emotions (e.g., anxiety and boredom) have been associated with reduced attention and the use of more superficial, shallow processing strategies that result in suboptimal outcomes.36



상황기반인지와 생태 심리학은 의학 (의학 교육)에서 활발하고 활발한 실천 공동체를 성취하는 데 사용될 수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합니다. 이 두 이론적 인 견해는 학습과 이전을 촉진시키는 확실한 "authentic" 방법(예 : 정보가 풍부한 진정한 환경에서의 성과)을 주장 할 것이다 .19) 의학 교육에서 이것은 새로운 교육 방법을 탐구하는 연구를 포함 할 수있다 (예 : 비디오 테이프 녹음 참가자 그리고 발표되지 않은 표준화 된 환자를 사용하여 개별 요소와 상호 작용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출현 분야에는 대사 신경 영상 및 의사 및 / 또는 환자 요인의 전기 생리 학적 접근법 37과 그러한 요소가 어떻게 만남의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가 포함됩니다.

Situated cognition and ecological psychology suggest effective methods that might be used to achieve active, thriving communities of practice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These two theoretical viewpoints would argue for certain, “authentic” methods to promote learning and transfer (e.g., performance in information-rich, authentic settings).18 In medical education, this could include research that explores new instructional methods (e.g., videotaping participants and using unannounced standardized patients, both of which could shed additional light on individual factors and interactions). Other emerging fields of work include studying metabolic neuroimaging and electrophysiological approaches of physician and/or patient factors37 and how such factors may influence the context of the encounter.





 2010 May;85(5):894-901. doi: 10.1097/ACM.0b013e3181d7427c.

Perspectiveredefining context in the clinical encounter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Medicine (NEP), F. Edward Hébert School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USU), Bethesda, Maryland 20814, USA. sdurning@usuhs.mil

Abstract

Physician training and practice occur in complex environments. These complex environments, or contexts, raise importan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explore how studies from fields outside medicine can assist medicaleducators with their approach to the notion of context in the clinical encounter. First, they discuss the use of the term context in the clinicalencounter as it relates to medical education. They then detail the meaning and use of the term in diverse fields outside medicine, such as mathematics, physics, and psychology, all of which suggest a nonlinear approach to the notion of context. Next, the authors highlight two inclusive theories, situated cognition and ecological psychology, that propose factors that relate to context and that suggest some potential next steps for research and practice. By redefining context as it relates to the clinical encounter (by linking it to theory and research from several diverse fields), the authors hope to move the field forward by providing guidance for th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of medicaleducation.

PMID:
 
20520047
 
DOI:
 
10.1097/ACM.0b013e3181d7427c
[Indexed for MEDLINE]


전공의 교육의 현황과 공통역량교육에 대한 요구 (KMER, 2017)

Current Status of the Resident Education Program and the Necessity of a General Competency Curriculum

김현주1ㆍ허정식2

Hyeon Ju Kim1ㆍJung-Sik Huh2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가정의학교실, 2비뇨기과학교실

Departments of 1Family Medicine and 2Ur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Jeju, Korea






서 론


전공의의 수련과정은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한이후 일반의가 아닌 전문과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다. 각 대학병원 혹은 수련병원의 여건과 설립목적의 차이는 있지만 의과대학재학 중 배운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마련된 기본의학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적으로 임상환자를 대상으로 술기를 직접 시행하는과정이다.


전공의는 각 전문과목에 따라 수련과정이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1년의 수련의 과정과 전문과목마다 수련기간은 다르지만 3–4년의 전문과목을 수련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전문과목마다 각연차별로 수련과정에서 반드시 시행해야 할 술기를 포함한 역량과교육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미래의 전문의로서의 역량을 갖추게된다. 전공의의 경우에는 수련을 받는 피교육자인 동시에 의과대학생들의 임상실습을 도우며 직접 임상수기에 대해서 시범을 보이기도하고 의과대학생에게 직접 교육을 시키는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전공의는 미래의 의사가 되기 위한 의과대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실습과정을 통하여 의과대학생이 미래의 전문과목의 선택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전공의에 대한교육은 의과대학생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바라는 전문의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전공의 교육은 각 전문학회에서 연차별로 교육목표를 정하여 수련을받는 병원의 수준과는 상관없이 일정 수준 이상의 역량을 갖춘 전문의를 양성하기 위해 표준화된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있고 이에 적절한 교육과정을 유지하게 하고 있다.


전문의가 되기 위한 수련과정은 도제식 교육방식을 따르는 기관이 많아 전공의는 단순하게 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하는 데 도움을주는 정도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고, 전공의로서의 역할보다는 한 의국의 일을 도맡아 하는 비서의 역할로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아이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의는 치료자이면서 동시에 의료전문직으로서 스스로가 관리하는 교육과정을 통해 고도로전문화된 지식과 시술을 습득해야 하며 스스로 통제하고 관리를해야 하는 직업, 즉 자율성과 독점권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문의자격을 획득하는 과정인 전공의 과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에서의 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공의의 정의와 법적인 위치


전공의는 수련병원 혹은 수련기관에서 전문의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하여 수련을 받는 인턴 및 레지던트로 전문의 수련 및 자격인정등에 관하여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인턴은 의사 면허를 받은자로서 일정한 수련병원에 전속되어 임상 각 과목의 실기를 수련하는 의사로 레지던트는 인턴과정을 이수한 의사로서 일정한 수련병원또는 수련기관에 전속되어 전문과목 중 1과목을 정하여 수련하는의사로 정의되어 있다[1].


또한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의료법 제8장 보칙 제77조(전문의)에서 지정하듯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련을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자격 인정을 받아야 한다.’로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전공의수련환경과 지원에 대한 체계구축을 위해 연구가 진행되어 2015년12월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여 전공의의 수련시간을 주당 최대 80시간으로 제한하였으며 연속 근무시간은 36시간을 넘을 수 없게 되었고 응급상황의 경우 최대40시간을 넘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전공의의 수련시간에 법적인제한을 두게 되었다.


법적으로 제정되기 전까지는 전공의의 업무시간의 제한이나 휴가 등에 대해서는 각 수련병원의 과장이나 지도전문의의 생각에 의하여 다르게 진행되었다. 환자를 직접 담당하는 주치의로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의국의 비서를 대신하는 잡다한 일을 도맡아 시행하고 교육이라는 미명하에 인격적인 모욕감도 받는 경우도 있었으며과도한 진료업무 외에 직장 내 폭력, 의료사고의 책임문제, 당직비등도 문제가 되고 있다[1]. 이러한 문제는 전공의를 단순히 피교육자및 한 교실의 잡다한 업무를 도맡아서 하는 직원으로 취급하면서피교육자의 의무만을 강조하여 발생한다고 하겠다.


전공의의 현황과 수련과정의 문제점


전공의 과정은 각 전문과목마다 3–4년의 수련과정을 거치게 되어있다. 이러한 수련과정은 다른 전문직종과 마찬가지로 힘들거나 어렵고 수련과정 이후에 경제적인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전문과목을정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특히 전공의 확보율이 각 전문과목마다 차이가 있으며, 특히 위험성이 높은 수술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산부인과, 흉부외과, 일반외과, 비뇨기과의 전공의 확보에 큰 어려움을 안고 있다. 특히 비뇨기과의 경우 전공의 확보율은 2009년 90.2%, 2010년도 82.6%, 2011년54.9%, 2012년 47.0%, 2013년 44.8%, 2014년 25.3%로 급격하게떨어지고 있어 비뇨기과 환자의 진료와 치료 등에 많은 어려움이있다[2]. 각 전문과목마다 전공의 수는 각 전문과목에서 정하는 것은아니지만 각 전문의의 수급과 관련되어 공급과잉을 우려하여 점차전공의의 수를 조절하고 있다[1]. 이러한 전공의 지원의 감소는 지도전문의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전공의 수련과정에서도 악영향을 미칠수 있다.


또한 수련과정과 수련내용은 각 수련병원의 여건과 수련환경에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며 지도전문의의 역량에 따른 적절한 지도여부와 수련병원의 전공의 수련에 대한 지원, 부적절한 다른 전문과의 파견배치나 다른 수련병원의 환자 진료를 위한 파견근무 등이있다.


인턴과 각 전문과목별로 전공의의 수련실태조사와 가장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병원 내의 진료과목, 시설과 장비, 수련환경 등을확인하기 위한 병원신임평가는 수련병원 지정이나 전공의 과정의수련의 수를 정하거나 취소하는 등 전공의 교육과정의 개선 노력의하나이다.


보건복지부령인 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정 제7조제1항에서 인턴 수련병원의 지정기준을 살펴보면, 

  • 허가 병상 수는100병상 이상, 병상이용률 70% 이상의 환자 진료실적과 

  • 간호과 약국, 수술실, 인턴숙식시설 등의 일정 시설과 기구를 명시하였고,

  • 진료과목은 내과, 소아청소년과, 외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 시설 및 기구에서 내과의 경우에는 심전도기, 안저검사경, 인공호흡기, 천자류 등의기구가 갖추어져 있어야 된다.


레지던트 수련병원 지정기준은 제7조 제2항과 관련되어 있고

  • 공동기준은 필수전문과, 즉 내과,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외과, 산부인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및병리과 등이 설치되어야 하며 

  • 과목별로 전속 전문의는 1–2명으로 규정되어 있고 

  • 200병상 이상과 1년 이상의 인턴 수련실적을 요구하고 있다. 

  • 전문과목은 전속 지도전문의의 수, 연간 환자 진료실적,시설 및 기구 등이 수련에 알맞게 되어야 하지만 

  • 구체적인 교육내용이나 전공의 수련 이후에 역량에 대한 성과에 대한 법률적인 근거는마련되어 있지 않다.


즉 표준화된 수련의 제도와 변화하는 환경에 맞는 수련제도의변화, 감시, 수련내용의 통일과 적절한 평가 등이 아직 마련되어있지 않다. 전공의 수련과정의 경우에는 각 학회별로 수련과정의표준화를 위해 각 연차별로 업무나 교육내용, 역량을 제시하기도하고 있으나 인턴, 즉 수련의의 경우에는 환자를 진료하거나 응급실환자의 진료 혹은 병실 환자의 의사로서의 업무 등에 집중하고 있으며 교육에는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다.


또한 레지던트 수련과정의 경우 대부분 피교육자이면서 환자를직접 돌보면서 진료행위를 해야 하는 것으로 교육을 지도전문의로부터 직접 받기보다는 윗 연차, 즉 먼저 전문과목의 수련을 받은 전공의를 통해 연차별로 수년째 지속되는 인계장 등을 통하여 연차별로할 일과 자기주도학습을 시행하고 있다. 한 학회에서는 전공의를위한 핸드북을 만들어 환자의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책자를만들어 전공의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전문과목의 술기와처방, 약물사용법, 일반적 전신증상 치료법 등이 기술되어 있고 동의서에 대한 부분, 진단서 작성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3].


우리나라 전공의 수련과정의 교육목표와 연차별 내용


전공의 수련을 위해서는 각 전문학회에서 관리와 감시, 표준화된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각 수련병원에서의 인턴과 전문의 교육에 관심이 더 필요하다.


한 대학병원에서는 교수와 전공의가 함께 수련의를 위한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교육내용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신입전공의 오리엔테이션과 정기적인 교육과정을 통하여 진료의역량강화를 하고 있다. 또한 이처럼 교육을 시행하고 교육을 실시한강사로부터 문제를 수합하여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Appendix 1).수련의의 경우에는 2주에 한 번씩 그리고 평균 한 시간씩 각 과별로공통적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하고 있다(Appendix 2).


전문의가 되기 위한 전공의 수련과정은 각 학회에서 교육목표를지정하고 연차별로 교육내용에 대하여 표준화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통하여 각 과목의 전문의로서의 역량을 갖추기 위해 노력을 하고있다. 각 전문과목마다 특별히 필요한 수기에 대한 목표와 교육내용은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역량, 즉 전문의로서의 직업전문성은 유사할 것이다. 가정의학과의 전공의 수련과정의 목표와 연차별 교육과정을 보면 진료역량, 의사소통, 질병의 이해와 예방, 평생교육,병원 경영, 의료윤리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Appendix 3). 가정의학과의 각 연차별 교육내용은 환자의 진료실적 및 가정의학과,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은 필수과목이며 다른전문과목 중 최소 4개 전문과목을 수련해야 하며 학회참석은 전문학회와 의료윤리교육 1회 이상, 논문발표 및 논문게재를 필수로 지정하고 있다[4].


가정의학과의 연차별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1, 2, 3년차 공동으로가정의학과 전속수련 6개월 이상 지속적인 진료와 가족 중심, 환자중심적인 포괄적 진료를 제공하는 경험을 지도전문의의 지도와 감독아래 수행을 해야 하며, 자유선택과목으로 파견기간은 4–6개월 내로스포츠의학, 노인의학, 호스피스 완화의료, 특수클리닉 등 전공의가원하는 다양한 분야를 학회가 인정하는 의료기관에 파견하여 수련할수 있게 되어 있다. 1년차의 경우에는 의료윤리교육을 1회 이상참석을 하게 되어 있다(대한가정의학과 학회 홈페이지 참조).


다른 전문과목도 마찬가지로 환자의 취급범위, 교과내용, 즉 각전문과목의 기본적인 지식과 환자의 취급능력, 논문, 학술회의 참석등에 대하여 규정만 되어 있는 경우가 주로 되어 있지만 환자의의사관계, 의사소통 평생교육에 대한 부분은 없는 경우가 많다.


전공의 교육의 요구


전공의는 피교육자이지만 전공의 교육과정에 한 축을 담당하고있기 때문에 전공의들의 교육요구도 또한 중요하다. 한 대학병원에서 전공의를 대상으로 전공의 수련의 질 향상과 전공의 개개인의 학술연구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전공의 수련 내실화를 기하며 이를 정확한 교육 수요를 파악하여 맞춤형 전공의 교육계획의 기초자료로활용하기 위한 교육요구도 조사를 시행한 것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설문조사를 시행한 대상자는 인턴 14명, 레지던트 43명(내과계 24명, 외과계 19명)으로 전공의 교육활동이 제대로 시행되고있지 않은 이유로는 인턴과 레지던트 모두 업무과량이 13명, 33명으로 제일 많았으며 교육필요성의 인식부족도 각각 1명이었다(Appendix 4).


  • 선호하는 교육방법으로는 인턴의 경우 집합과 외부위탁교육을, 레지던트의 경우 외부 위탁교육(외부프로그램 코스 등)과 소규모그룹별 학습을 선호하였다. 

  • 전공의 수련의 질 향상을 위해 가장 필요한 교육과 가장 필요로 하는 교육은 각 과별 진단적 술기와수술 술기 등의 기본의학교육이라고 하였다. 

  • 원활한 교육 참여시간은 업무시간 혹은 점심시간을 선호하였고, 학술정보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 이를 바탕으로 인턴 정규교육에는진단 및 수술 술기를 반영하고, 전공의의 경우에는 기본의학교육특강, 영문 의학논문 작성법, 통계프로그램과 외국어 프리젠테이션과정을 운영 계획하고 있다.


전공의 공통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전공의와 전문의 간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의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으로는 임상 전문가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의학 연구자나 숙련된 의사소통가나교육자, 협력자, 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인지는 낮았다. 시급하게갖추어야 하는 역량으로는 전공의는 전공과목의 임상지식과 술기가 지도전문의는 스스로 배우고 습득하는 태도였다[5].


외국 전공의 공통역량 교육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의 경우 각 대학의 교육목표와 목적을 위해 졸업성과를 정하여 졸업 이후에 환자를 진료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강화시키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지속적인 자기개발과의사소통, 진료역량 강화 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전공의의 경우에도 전문과목의 특성을 반영하는 술기 등이 교육에반드시 필요하지만 환자와 의사소통, 진료역량 강화, 직업전문성,지속적인 자기계발 등은 모든 전공의에게 필요하며 아직 우리나라의경우에는 이러한 공통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은 없는 실정으로 외국의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국의 경우에는 정부의 기관과 관계없이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ity가 있고 전공의 수련과정, 전문의 시험 및 수련후 교육 등을 조절하고 있다. 특히 전공의 공통교육의 개발과 평가는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ACGME)이며, 모든 전공의는 환자관리, 의학지식, 진료바탕학습및 향상,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술, 직업전문성, 체계기반진료 등과같은 6개의 역량을 강조하며 이를 이수하고 평가를 통해 전공의의역량을 강화시키고 있다[6-8].


미국 대학병원에서의 전공의에 대한 공통교육과정의 주제에는 진료관리, 법의학, 연구설계, 비판적 사고능력, 협진의뢰서 작성기술, 리더십, 개인 재정 및 병원관리, 인적 자원관리, 팀 활동의 이해등이 포함되고 있다[8,9].


캐나다 전공의 교육의 공통교육과정을 살펴보면 1990년대 초에전공의 교육을 위한 역량을 발전시켜 CanMeds를 만들었고 현재까지 7번째 시기로 13개의 전문가 컨소시엄에서 의학교육과 술기에대한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역량으로는 의료전문가, 의사소통가,협력자, 관리자, 리더, 건강옹호자, 학자, 전문가 등의 7가지의 역량을 제시하고 실제적으로 교육기관이 시행할 수 있도록 공통교육과정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전공의에 대한 교육과정의 기본을 제시하고있다[10] (Appendix 5).


결 론


전공의의 수련교육과정은 의과대학에서 배운 기본의학교육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를 직접 진료를 하면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통하여 전문의로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전공의는 교육을 받는 피교육자이면서 학생들의 실습을 돕는 교육자의 역할을 담당하고있다. 단순하게 진료의 도움을 주는 과정이 아니라 전문의가 되어서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공동역량과 각 과목마다 필요한 전문역량이필요하다. 이는 전문직업인으로서 스스로 통제하고 관리해야 하는자율성과 독점권을 가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전문의로서의 역할, 즉 진료역량 외에 환자와 다른 직업군과의 의사소통, 의료윤리,전문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전공의 교육과정을 단순하게 각 전문과목별학회와 병원에만 맡길 것이 아니고 많은 전문가들이 모여 우리나라에서 필요로 하는전문의의 역량에 대하여 고민하고 공통적인 교육목표를 정하고 이를토대로 역량을 도출해내야 할 것이다. 전문과목에서 반드시 필요한술기 이외에 전문과목과 상관없이 이러한 역량을 키우기 위해 전공의 교육의 공통적인 교육과정이 만들어져야 하며 역량을 평가할수 있는 평가도구가 개발되어 보다 우수한 역량을 갖춘 전문의를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In order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advance not only the basic medical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but also that of residents. The quality of the training environment and educational goals for residency must also be improved for specialists. Although each institute including internal medicine, general surgery, family medicine, etc., strives to standardize, sets educational goals, and develops content to train capable specialists, the education programs focus on special techniques and competency of medical care for patients. The training environment of each residency program is different in each trainee hospital, and hospitals are making an effort to set education goals for the residents and improve thei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here is no common core education program for residents, while in the United States,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tandardized curriculum for residents, and in Canada, CanMEDs presents a basic curriculum to help residents develop competency. Fully capable specialists have more than just clinical competency; they also need a wide range of abilities includ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communication, cooperation, in addition to taking part in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ctivities. We need to provide a core curriculum for residency to demonstrate attention to and knowledge about health problems of the community.


Keywords: Curriculum, Residency,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

Jung-Sik Huh

Department of Ur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5 Aran 13-gil, Jeju 63241, Korea

Tel: +82-64-717-1760

Fax: +82-64-717-1131

E-mail: urohjs@jejunu.ac.kr

http://orcid.org/0000-0003-2767-4390

전공의 공통역량의 개념과 개발 (KMER, 2017)

Concept and Development of Resident Training Program for General Competencies

이선우

Sun Woo Lee

충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Department of Psychia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ejeon, Korea




서 론


우리나라는 자타가 공인하는 의료선진국이다. 의료기술은 선진국에 맞먹게 매우 발달되어 있고 의료 기반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의학연구도 우수한 연구성과를 세계에 제시하고 있다. 기본의학교육과정의 경우 한국의학교육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의학교육인증도세계평가기준을 그대로 적용을 시도하려고 하는 시점이다. 그러나우리나라의 전공의 교육만 시대에 많이 뒤떨어지는 것일까?


의료선진국에서는 전공의 수련과정에서 공통역량(general competency)및 전문역량에 대하여 체계화된 수련과정이 확립되어 있다.해당 전문 학회별로 전공의 과정을 이수하고 난 후에 해당 전공의가어떤 능력과 자질을 갖춘 전문의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전공의수련프로그램의 목표가 잘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공의 수련이 법률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의료선진국의 전공의 교육수련과정과 비교해볼 때 너무나도 뒤떨어진 수련과정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전문의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50년이 지나도록 거의 개편없이 의국중심, 해당 전문과목 중심의 폐쇄적이고 경직된 수련제도가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의국 중심의 가족적이고 혈연관계와 비슷한 수준에서 개인적 사사 수준으로 이루어지는 전공의 수련이 이어져 왔고,학회는 여기에 끼어들 틈이 없었던 것 같다[1]. 물론 여기에는 우리의전통적인 도제 중심적 스승관인 ‘훌륭한 스승을 따라 열심히 배우게되면 제자 역시도 비슷하게 된다’는 관점이 적용되는 것 같았고,말 그대로 스승의 능력, 자질 및 심지어는 인성까지도 온전히 받아들일 수만 있다면 가장 바람직한 제도로 볼 수도 있겠지만 늘 좋은결과를 균등히 보장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20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몇몇 선도적인 의과대학에서는 기본의학교육과정에서 인문사회의학, doctoring, 의사환자사회(patient-doctor-society)라는 여러 이름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의과대학교육에 도입하기 시작하였고[2], 10여 년 전부터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제2주기 의과대학 인증평가에서 기본의학교육과정에 필수교과목으로 지정되기에 이르러,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의학전문대학원, 의과대학에서는 기본의학교육과정에 필수적인 교과목으로 자리를 잡은 지 이미 오래다. 이러한 기본의학교육과정의 의료인문학이 전공의 수련과정으로 넘어오면서 이름과 성격이 조금바뀌는데 선진국에서는 공통역량, 일반역량 또는 핵심역량(core competency)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공통역량은 실제 환자를 진료하면서 수련하는 전공의 과정에서는 전문과목과 관련 없이 모든전공의 수련을 하는 의사라면 가져야하는 필수적인 의사 직무역량이라고 보는 것이 쉬운 이해일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 및의학전문대학원에서 배운 의료인문학 소양과 지식이 실제 수련과정에서 실천되고 발전되어 더 성숙해지는 것이 마땅하므로 한국에서전공의 공통역량 교육의 실시는 시급한 일이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의료선진국의 사례를 통하여 전공의 수련과정에서 공통역량의 교육이 시작된 배경과 수련과정 개발결과를 알아보고아울러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공통역량연구들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외국의 전공의 공통역량 개발과정


1. 미국의 전공의 공통역량


1981년 전공의 교육프로그램의 인증을 위한 독립적인 기관이 필요하다는 미국의료사회의 의견을 종합하여 졸업후교육인증위원회(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가 출범하였다. ACGME의 목적은 졸업 후 의학교육을평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들을 개발하고, 졸업 후 의학교육의질을 향상시키고, 졸업 후 의학교육과 관계된 문제들을 적절하게처리하기 위함이다.


1998년 ACGME는 일반역량 교육과정을 전공의 수련에 도입하는 동시에 성과 바탕 전공의 수련과정인 ‘The ACGME Outcome Project’를 시작하였다. ACGME는 미국전문과목협회(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와 함께 6가지 공통역량을 개발하고[3] (Figure 1), 이를 전공의 수련교육프로그램 인증평가에 점차적인도입을 추진하였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6가지 공통역량이란 전문과에 상관없이 모든 의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말하는데[4], 환자진료, 의학지식, 실무 바탕의 배움과 향상,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능력, 전문직업성, 의료제도 바탕의 실무가 있고 그 아래 30개 미만의하위역량이 설정되었다.


‘The ACGME Outcome Project’가 전공의 수련과정 인증평가에도입되면서 가지고 온 가장 큰 성과를 살펴보면, 전공의 교육수련에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는 것과 수많은 의료단체의 자발적인 수련과정의 변화 확산에 기여하였다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일반역량의 도입과 강화된 역량 중심 수련제도의 도입으로 의료의 질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5].


‘The ACGME Outcome Project’를 처음 시작할 때는 6개의 역량을 공통역량이라고 부르다가 2002년도 1차 개정작업 이후에는 핵심역량이라는 용어를 혼재하여 사용하였고[6], 이후 핵심역량으로 용어가 완전히 바뀐 것 같다. 따라서 현재 ACGME에서 핵심역량이라고 부르는 역량은 우리가 부르는 공통역량과 동일한 것이다.


2005년에 ACGME는 차기 인증시스템(Next Accreditation System, NAS) 도입을 검토하여 기존의 역량 중심 수련과정을 넘어서 각 역량의 단계를 수준별로 정한 소위 milestone 역량 중심 수련과정을 2013년부터 시기별로 출범시켰다[7]. 마일스톤이란 술기와지식의 습득을 수준별로 정한 것을 말하는데, 마일스톤 수련과정을통하여 전공의가 습득하는 역량의 수준을 단계별로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위와 같이 미국의 전공의 공통역량의 교육은 전공의 수련의 핵심이며, 이러한 공통역량을 바탕으로 모든 전공의, 전임의 수련과정을 milestone outcome으로 구성해 놓았다는 것이 특징이며, 새로운 NAS는 전공의 수련의 한 단계 높은 질적 향상과 더불어 전공의를 일일이 중앙에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각 병원별로 일차적으로 자율적인 평가를 수행하고 이 결과를 중앙으로 보내면 중앙에서 수집된 자료 전체를 분석하여 다시 개별 프로그램으로 피드백을해주는, 지속적 인증평가를 지향하는 모델이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지방문이나 방대한 양의 출력물보다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구축하여 이를 근거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평가를 하게되었으나 병원 각 단위에서의 주기적인 전공의 평가에 따른 부담증가와 평가의 복잡함 및 이해부족은 앞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할부분이다.



2. 캐나다의 전공의 공통역량


캐나다의 졸업 후 의학교육은 전문의 과정과 가정의 과정의 2가지로 분리되어 있으며,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RCPSC)와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라는 별도의 관리기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관리의 내용은 대동소이하며 특히 공통교육과정의 개발에서는 공동의 작업이 이루어졌다.


1993년을 시발점으로 하여 개발된 캐나다의 전공의 수련과정을 CanMeds라고 말하며, 1996년 캐나다 RCPSC는 모든 전문과목에걸쳐서 필요한 필수역량을 ‘CanMeds 2000 Project’라는 이름을붙여 새로운 틀로 개발하였다[8]. 이 틀은 RCPSC의 교육목표기준을이루고 있으며 전공의 수련과정에 대한 인증과 평가에 적용되었고,평생교육기준과 교육목표도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거론되는CanMeds의 유명한 7개 역량을 모든 의료 전문가에게 요구하는 일반역량이라고 규정하고, 7개의 역할(role)과 각 역할의 중심역량(key competency)으로 구분하였다[9] (Figure 2). 이러한 CanMeds에서의 역할은 미국 ACGME의 6개 공통역량 또는 핵심역량과 비슷한 개념으로, 중심 역할인 의학 전문가(medical expert)와 그 외6개의 역할, 즉 대화자(communicator), 협력자(collaborator), 건강수호자(health advocate), 관리자(manager), 학자(scholar), 그리고전문가(professional)로 이루어진다.


CanMeds는 CanMeds 2000이 발표된 후 주기적으로 개정작업이 이루어져 CanMeds 2005, CanMeds 2015가 발표되었다. 2015년도에 발표된 CanMeds 2015에서는 manager 역할이 leader로명칭이 바뀌게 되었고, 드디어 The draft CanMeds 2015 milestones guide (CanMeds milestones)가 나오게 되었다[10]. CanMeds milestones은 의사 자격증을 취득한 이후에서부터 최고의 마스터단계까지의 역량을 연속적으로 간주하며, 의사 시작시점 역량, Royal College examination 졸업시점, 전문의 자격증 시점에서의졸업 역량 등 각 단계별 졸업 역량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전공의 첫날 근무 시부터 요구되는 역량과 최고 마스터 단계의 역량까지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의 연속적인 발전이라는측면에서 볼 때 가장 발전된 역량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자신이 발표한 자료를 draft로 지칭하면서 향후 지속적인 개선작업이 있을 것임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3. 영국의 전공의 공통역량


영국의 의과대학생은 ‘Tomorrow’s doctors’에서 제시하는 것과같이 미래의 공통역량의 기초를 배우게 되며[11], 전공의 과정은Good Medical Practice (GMP)에서 공통역량을 제시하고 있다[12].영국에서는 의과대학을 졸업하면 우리나라의 인턴과정에 해당하는 2년 동안의 foundation training을 마친 후 전문의가 되기 위한 전공의 수련과정에 들어가게 된다. 전공의 수련과정은 run-through specialty training 유형 core training (CT)과 (higher) specialty training (ST)의 조합으로 구성된 유형으로 나뉘며, 전문과목에 따라두 가지 모두를 운영하기도 하고 어느 한 쪽만 운영하기도 한다. 수련기간은 전문과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CT는 2–3년,ST는 4–6년으로 구성된다[13]. Foundation training 동안은 모든의사가 동일한 교육과정에 따라 수련을 받지만, 전공의 수련의 경우General Medical Council (GMC)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전문과목별로 해당 UK’s Medical Royal Colleges와 faculties가 개발한교육과정에 따라 수련을 받게 된다. 현재 Royal College에서 허가된speciality와 sub-speciality 수련과정은 99개이다. 대다수의 교육과정이 전공의가 수련기간에 획득해야 하는 역량을 공통역량과 전문역량으로 구분하여 밝히고 있으며, 이들 역량은 영국의 의사상이라할 수 있는 GMP의 4가지 영역과 연계되어 있다.


<The four GMP domains>

    • Domain 1: knowledge, skills, and performance

    • Domain 2: safety and quality

    • Domain 3: communication, partnership, and teamwork

    • Domain 4: maintaining trust


영국의 각 전문과목협회의 전공의 수련과정이 매우 다른데, 이는GMC에서 각 전문과목협회에 프로그램 구성기준만을 제시하여 그기준만 통과하면 해당 전공의 과정을 인정하는 제도로서 미국이나캐나다와 같이 일정한 형태의 공통된 포맷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므로 영국의 내과 전공의 수련을 위한 교육과정을 통해 전공의 수련과정 중에 공통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14]. 


영국의 내과 전공의수련과정은 CT와 ST로 구분되어 있으며, CT에는 core medical training, acute care common stem, 그리고 broad based training(BBT)의 3개 과정을 인정하고 있다[15,16]. 

    • 많은 내과계열 전문과목에서 CT 교육과정으로 인정하고 있는 core medical training에서는전공의 역량을 크게 공통역량과 일반내과와 관련된 역량인 증상별역량, 계통별 역량, 진단검사, 그리고 술기 5개의 파트로 구분하고있으며[17], 여기에서 정의한 공통역량은 모든 의사들이 의과대학교육부터 졸업 후 교육까지 반드시 획득해야 하는 역량으로, 총 25개의역량과 각각에 대한 세부역량이 정의되어 있으며, 지식, 술기, 태도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기술되어 있다. 아울러 영국 GMC의 공통역량의 구체적인 예시에서는 각 해당 역량을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역량평가도구를 명시를 해놓았다는 것이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이다[18].

    • BBT 과정을 살펴보면, BBT은 general practice, 정신과, 소아과,내과를 순환하는 2년 과정으로 4개 전문과목에서 CT로 인정하는과정 중의 하나로, 여기에서는 communication,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standards of care & education, personal behavior,management & leadership 5개의 주제(theme)를 공통역량으로 정하고 각각의 주제에 해당하는 learning objectives와 함께 세부역량을 level 1과 2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다. Level 1은 1년차 동안 획득해야 하고, level 2는 BBT가 끝날 때까지 획득해야 한다. 여기에서도 각 해당 역량의 구체적인 역량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위 사례에서 보듯이 영국의 각 전문 학회는 다른 형태로 수련과정을 구성하고있지만 공통역량은 GMP 범위 안에서 구성되어 있다. GMC에서는 2017년도까지 전공의 수련과정에 generic professional capabilities (GPC)라는 것을 만들어 시행하려고 준비 중이다[19].


GMC에서 말하는 GPC는 9개의 domain으로 되어 있는데 전체적인구성은 CanMeds 2015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지식,술기, 태도도 나누어서 재배열 한 것이 특징으로 보인다[20].


국내의 전공의 공통역량 개발과정


1. 한국형 전공의 공통교육과정 개발 RESPECT 100


2007년도부터 한국의학교육평가원 기획연구개발위원회의 정책과제였던 ‘전공의를 위한 졸업 후 교육 공통교육과정 개발’ 연구가이루어졌고[21], 이 연구를 토대로 2010년 우리나라 전공의 교육의고유한 정체성과 주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면허의사 배출 100주년기념에 맞추어 전공의 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을수 있는 전공의 교육과제를 개발하고자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에서는 한국형 전공의 공통교육과정 개발보고서를 발표하였다[22].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에서 전문의사로서의 공통역량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최초의 연구였다. 이 연구에서 명명한 RESPECT 100의

    • R은 respect로서 존중으로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의과대학 및 병원문화에서 자칫 상실하기 쉬운 자신과 타인에 대한 존중을 다루었다.

    • E는 윤리(ethics)를 의미하나 윤리적인 내용은 이미 타 기관에서개발 중이어서 윤리적 측면 내의 다른 필요한 주제인 equity와 excellence를 주제로 선정하였다. 

    • S는 현재 의료계의 범세계적인주제로 상승되고 있는 safety를 다루었고 

    • P는 professionalism을,그리고 마지막으로 

    • T는 teamwork을 주제로 하였다. 

각 선정된 대주제는 다시 세부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2. ‘배우며 가르치는 전공의’의 역량


이 연구에서는 전공의 공통역량 중 중요한 ‘교육자로서 전공의’에해당하는 역량을 도출하고, 관련 역량에 대해 우리나라 전공의를대상으로 현황을 조사했다[23]. 전공의는 수련과정에 있는 학습자이자 환자나 보호자, 의과대학 학생이나 동료 의료인을 가르치는 교육자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역량을 모두 기르도록해야 한다는 취지이다. 교육자로서 전공의의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6개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배우며 가르치는 전공의(RALT: resident as learner & teacher)역량: ACCESS>

Active learner(능동적 학습자)

Clinical teacher(임상 교육가)

Curriculum developer(교육과정 개발가)

Educational scholar(교육학자)

Social communicator(사회적 의사소통가)

Supervisor/leader(관리감독자/지도자)


3. 전공의의 효율적 수련을 위한 전문과목별 수련과정 개편연구


2013년 대한의학회에서 수행한 보건복지부 정책과제인 전공의의 효율적 수련을 위한 전문과목별 수련과정 개편연구의 공통역량부분 연구에서는 국내의 선행연구인 RESPECT 100 연구와 미국ACGME의 6개 핵심역량, 캐나다 CanMeds의 7개 역할, 영국 GMC의 GMP 4개 역량을 참고로 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바람직한 전공의 공통교육역량을 제시하였다[24]. 이 연구에서는 8개 영역에서14개의 세부주제, 45개의 표준단위교육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서에서는 윤리, 의사소통 같은 영역에서는 이미 기존 학회 및교육 자료가 비교적 잘 구축되었다는 이유로 RESPECT 100 연구에서는 의도적으로 배제된 부분을 보충하여 국내․외의 기준을 총괄하여 가장 바람직한 공통교육역량안을 제시하였다.


4. 한국의 의사상(2013)


세계의학교육연맹은 의사의 포괄적 역량(global role of doctor)이라는 사업과제로 각 나라마다 의사의 역할에 대한 규명을 하도록권고하였고, 이를 계기로 2011년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정책과제로서 global role of doctor를 시작하여 4번째의 개정판을만들어냈으며, 2013년에는 보건복지부의 공모과제로 한국의 의사상 5번째 개정판 연구가 Ahn 등[25]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한국의의사상 연구에서는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을 실제 활용하기 위한다양한 방안들을 제안하여 전공의 교육, 지도전문의 교육 및 의학교육평가원의 졸업 후 교육 부문, 향후 대한의사협회의 보수교육(평생직업전문성개발) 등에서 활용되기를 희망하였다[25] (Figure 3).


5. 전문과목학회에 대한 공통역량교육 및 전공과목 수련 실태조사


이 연구에서는 2012년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연구개발위원회에서개발한 전공의 수련교육학회 인증기준(안)을 설문지형태로 바꾸어26개 전문의 배출 전문학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26].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개발한 전공의 수련교육학회 인증기준안은WFM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미국의ACGME, 영국의 GMC, 영국의 RCPSC, 호주의 AMC (Australian Medical Council) 등의 평가기준을 검토하여 만들어진 것이었다.이 연구에서는 26개 전문의 배출 전문학회에 대하여 6개 영역(교육수련목표, 교육수련과정, 정원정책, 지도전문의, 운영 및 체계, 교육수련병원에 대한 평가, 지도 및 감독)에 걸쳐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여기에는 전문학회의 공통역량 수련에 대한 조사도 포함되었다.대부분의 학회에서는 전공의의 공통역량 수련의 중요성을 매우 잘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전문가적 진정성, 협동, 의사소통 등에 중요를더 두었다. 그러나 실제 전공의 수련과정에서는 의료법규, 의료윤리등이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고, 자기존중과 타인존중은 그 중요성에 비해 교육과정에는 많이 포함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전문학회에서는 공통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실제 수련에의 적용은 아직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6. 전문의 전문과목별 공통역량 및 전문역량 연구


이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공통역량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의 의사상을 바탕으로 전문의 누구나 가져야 하는 공통역량을 제시하였다[27]. 한국의 의사상이 핵심역량(5개), 세부핵심역량(16개), 학습역량(65개)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학습역량이하의 구체적인 세부학습역량까지 지식, 술기, 태도로 나누어 세부학습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세부학습역량은 총 221개로 환자진료 88개, 소통과 협력 48개, 사회적 책무성 7개, 전문직업성 파트46개, 교육과 연구 32개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지식(70개), 술기(60개), 태도(91개)로 구분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각 세부학습역량을가장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으며, 미국과달리 아직 수준별 역량평가를 시행하지 않은 우리나라 수련제도에적용하기에는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 또한 있다.



결 론


1. 전공의 교육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전공의 수련교육에 공통역량 수련을 도입하였고, 전공의 수련의 핵심과정 중에하나로 자리 잡아 공통역량과 핵심역량은 같은 용어로 쓰일정도이다. 우리나라도 10년 전부터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을 시초로 전공의 수련교육에 공통역량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수련교육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공통역량을 파악하는연구를 지속하고는 있었으나 아직 미약한 인식으로 실제 전공의 수련에 적용되지는 못하였다.


2. 전공의에 대한 공통역량 수련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다. 최근 각 전공의 수련 주체들의 공통역량 수련에 대한 필요성과인식은 매우 높아졌으므로, 공통역량 수련을 통해서 사회 눈높이에 맞춘 한 차원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는인식 확산이 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공의 수련교육과 관련된 모든 단체들이 함께 모여 공통역량 수련과정을 개발하고이를 수련과정에 도입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


3. 공통역량은 기본의학교육과정에서 시작하여 졸업 후 교육 그리고 전문의 취득 후 평생직업전문성개발의 측면에서 한 의사의 일생을 통해 성숙하고 심화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한국의 의사상에 적합한 공통역량을 의사 전 생애를 한 주기로파악하여 그 수준을 top-down 방식으로 큰 틀에서 설계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런 작업을 위해서는 의과대학교육, 전공의 수련교육 및 평생직업전문성개발과 관련된 모든단체들이 모여 의사가 평생 갖추어야 할 역량개발을 중복 없이단계적으로 세세히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4. 전공의 공통역량 수련의 실시가 가능한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물론 이를 위해서 법과 제도가 정비되어야 하고 합당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이를 활용하여 실제 수련환경에서 평가와 적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공통역량의 평가에는주기적인 형성평가와 총합평가(전문의 고시)도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5. 공통역량의 수련과정을 우리나라에 지금 당장 도입한다고 해도 의료선진국에 비해 20년 정도의 격차가 있으며, 이른 시기에 적용되어도 모든 수련기관에서 비슷한 수준에서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공통역량 수련의 일부분을담당할 소위 “전공의 공통역량 수련을 위한 의학연수원” 같은기관 도입이나 전공의들의 공통역량 교육에 한하여 전문의평점과 같은 크레디트 제도의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6. 사회적 합의로 공통역량에 대한 역량 중심, 성과바탕 수련이사회의 요구와 필요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약속과 책임이라는인식이 확립되어야 한다. 이는 사회와 시대의 요구가 반영된보다 높은 수준의 자격보증제도라는 것이며, 의료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의 수혜자는 의료소비자인 국민들이기 때문에공통역량 수련에 소용되는 비용은 사회적 비용으로 충당되어져야 한다는 인식 또한 필요하다. 지금 국가는 의사들에게 사회적 책임만을 강조하고 있다. 의료가 공공재라는 인식이 있다면그 진료를 담당하는 인력의 육성 비용도 당연히 사회적 비용인것이다. 


우리나라는 법조인의 교육을 사법연수원을 통해, 군인은 정부 고용을 통하는 사회적 지원에 대한 합의의 역사가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국가의료보험제도를 통하여 국민건강증진에 노력해온 의사들의 노력뿐만 아니라 2015년 우리나라를 일시에 공포로 몰고 간 메르스사태에서 보듯 우리나라의모든 의사는 나라의 건강보험시스템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 보면 전공의에 대한수련교육에의 사회적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








Resident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lag far behind that of advanced countries. Given the problems the current system in South Korea has, it is time to consider a new resident training system, resident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Training for the general competencies was practiced in medical field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A, Canada, and the UK as early as 20 years ago. This system has rendered itself a key component of resident training. Although a few theoretical procedures on general competencies have been practiced in South Korea, the awareness of this concept is still very weak, and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actual training is a long way off from becoming effective. It is urgent for South Korea to adopt competency- and outcome-based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To this end, the knowledge of the concept of this type of training should be improved. Also, the system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o cover a doctor’s whole career, and be applied immediately. The competency- and outcome-based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is a system that assures high level qualifications. It reflects the needs of our society under the recognition that a professional organization should be committed and accountable in order to respond to social demands. As the benefits of the new training system reach the public and medical care consumers, training-related expenses should be borne by social costs.


Keywords: General competency, Development, Resident,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


Sun Woo Lee

Department of Psychia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82 Munhwa-ro, Jung-gu, Daejeon 35015, Korea

Tel: +82-42-280-7502

Fax: +82-42-280-7886

E-mail: leesw@cnu.ac.kr

http://orcid.org/0000-0002-0451-969X

진료와 술기 수행의 교육전략 (KMER, 2016)

Educational Strategies for Clinical and Technical Skills Performance


노혜린

HyeRin Roh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서 론


최근 과학적 개념, 진료역량, 사람과 사회 중심 등 기존의 기초의학, 임상의학, 의료인문학과 사회과학 영역을 각각 포괄하는 학습성과가 개발되어 교수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과대학들은 대부분 그 교육과정을 기초의학, 임상의학, 의료인문학과사회과학 영역으로, 또는 기초-임상의학 통합, 임상실습, 의료인문학과 사회과학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영역별 학습성과들은 현 교육과정에 적용이 용이하고 교수자가 받아들이기도 비교적 수월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각의 영역을깊이 있고 체계적으로 학습하기에 좋은 지침이 된다.


반면 이들 학습성과는 진료현장에서 의사의 직접적인 직무 수행을 학습하는 데는 그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진료와 술기를 수행할때는 과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추론하며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환자와 사회를 존중하는 등 위의 3가지 역량을 모두 함께 발휘해야 하는데 과학적 개념, 진료역량, 사람과 사회 중심 학습성과는 아직 통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성과에 구체적인 진료행위나 술기절차를 상세히 기술하기는 어렵다. 이에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진료수행지침기본임상술기지침을 개발하여 의과대학학생들의 학습과 교수자들의 교육을 돕고자 하였다.


지침의 개발방법과 주요 내용은 저자의 다른 논문(Roh et al.,2015b)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지침에 기술된 내용을 교수학습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저자는 진료수행지침과 기본임상술기지침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소개하고자한다. 우선 학생들의 문제점을 검토해보고 지침의 필요성과 목적을기술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침 개발이 시사하는 의학교육의 방향이무엇인지 검토해보겠다. 또한 저자가 그동안 실기시험을 운영하고학생들을 교육하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의과대학 학생들과 하였던교수학습 사례도 추가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진료와 술기수행 상황에서 보인 학생들의 문제점


학생들이 실기시험에서 보인 문제점은 질병 중심의 상급종합병원형 진료, 불완전한 수행, 암기식 진료, 그리고 시험지향 학습태도라고 요약할 수 있다(Table 1). 학생들이 실습하는 교육병원은 일부종합병원급이 있으나, 대부분 20개 이상의 전문과를 갖추고 중증질환에 대한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상급종합병원이다. 또한 교수진은 대부분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들이다. 이때 학생들이 주로 관찰하게 되는 진료행태는 외래나 병실에서 검사결과를위주로 질병을 감별진단하고 환자에게 질문과 설명을 간략히 하는것이다. 모든 진료행위가 이렇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이것이 진료행위의 대부분일 것으로 오해하곤 한다(Kurtz et al., 2004). 학생들은 이러한 오해 속에서 그들이 병원에서관찰했던 행태대로 실기시험에서도 행동하곤 한다. 실기시험에서보이는 학생들의 이러한 수행 행동들은 실제 진료 현장에서 임상문제를 해결하는 데 장애물이 될 수 있다. 환자 중심이 아닌 질병중심 태도로는 환자로부터 불충분한 정보만을 얻게 되고 이로 인해환자의 문제를 잘못 이해하여 오진을 유발하며 불필요한 치료를하게 될 수 있다(Platt & McMath 1979). 진료나 술기를 불완전하게수행하거나 체계적으로 지식을 적용하는 능력이 부족하면 실세계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하고 환자안전에도 해가 된다(Hauer et al.,2007).



1. 질병 중심 상급종합병원형 진료


학생들이 실기시험에서 보이는 진료행태가 환자 중심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생들은 우선 문항별로 어떤 질병사례인지 파악하고그에 따라 청취해야 할 병력이 무엇인지에 집중한다. 학생들은 환자가 말한 첫 마디가 주 증상이라고 간주하는 데 익숙하며 다른 증상이있는지 여부나 환자가 의사를 찾아온 진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진료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확인하지 않는다(Maguire & Rutter,1976; Roh et al., 2015a). 학생들은 흔히 의사 주도적으로 폐쇄형질문을 나열한다. 학생들은 신체진찰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며,신체진찰 중에도 환자에 대한 배려는 부족해 보인다(Park et al.,2012)


학생들은 진료한 환자의 특수한 병력과 신체진찰소견, 그리고걱정과 기대 등을 연계하여 환자교육을 하지는 못하고 있다. 환자의사전 지식, 감정이나 걱정, 질병이 삶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는관심을 가지지 않는다(Maguire et al., 1986). 환자가 걱정이나 고통을 표현하였다 하더라도 이에 대한 공감을 적절히 표현하여 라포를형성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매우 어려운 일이다(Hauer et al., 2007).


2. 불완전한 수행


불완전한 수행은 신체진찰, 환자교육, 환자와의 관계형성, 술기18 ,,의무기록 등에서 두드러진다. 그 중에서도 가장 부족한 부분은 신체진찰이다(Paul et al., 1998). 학생들은 기본적인 신체진찰 술기방법조차 정확하게 알고 있지 못하며 적절히 수행하지 못한다(Maviset al., 2013). 신체진찰 중에서는 가슴이나 배진찰을 흔히 시도하며(Haring et al., 2014) 근골격과 신경진찰은 특히 잘하지 못하였다(Peitzman & Cuddy, 2015).


학생들이 환자교육에서 흔히 보이는 행동패턴은 충분한 교육시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충분한 정보제공 또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시작 단계부터 라포형성을 충분히 하지 않고 바로 환자의 문제로 진입하는 경향을 보인다(Roh et al. 2015a). 환자들이 의사로부터 듣고 싶어 한다고 보고되고 있는 예후나 원인에 대한 정보, 스트레스에 대한 지지 등에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는다(Aspegren & Lonberg-Madsen,2005).


술기 중 흔히 학생들이 보이는 실수는 시술 전 준비과정과 시술후 마무리 과정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환자안전과 밀접하게관련 있다고 하여 강조되고 있는 무균조작, 폐기물 처리, 주사침관리, 의무기록 등에서 실수가 발견되었다(Roh, 2016a). 학생들에게 환자진료 후 subjective, objective, assessment, & plan (SOAP)노트를 기록하도록 하였을 때 학생들은 환자의 이름과 나이를 흔히생략하였고 자신의 이름과 사인 또한 흔히 생략하였다(Seo et al.,2016).


3. 암기식 진료와 술기 수행


학생들은 실기시험에서 평가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모든 내용을 암기하려는 경향이 있다. 강의록이나 지침에 나온 모든 예시질문들을 그 환자의 맥락에 맞는지와 상관없이 모두 수행하려고시도하기도 한다. 임상실습에서 예진을 하는 경우에도 학생들이 주증상과 현병력보다 계통적 문진에 더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것을 종종보곤 한다. 학생들은 신체진찰항목이나 술기방법들도 그 과학적 논리적 근거를 생각해보기보다 내용과 절차를 암기하곤 한다. 학생들은 환자-의사 간 상호작용에 필요한 기술들도 암기하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것은 그 수많은 병력청취와 신체진찰항목 중에 무엇이 중요한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학생들은필요한 병력을 체계적으로 추론하며 청취하기보다 암기한 질문을열거하는 데 치중하곤 한다(Hauer et al., 2007). 때로는 주 증상을정하지 않고 여러 동반증상 모두를 산발적으로 청취하기도 하고,다른 원인의 병태생리나 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배제 질문을생략하기도 한다(Mavis et al., 2013). 신체진찰 또한 추론하여 결정하지 못하고 오히려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순서대로 계통적 신체진찰을 하는 데 익숙하다(Mavis et al., 2013).


이러한 행태는 환자교육과 의무기록 작성에서도 나타난다. 학생들은 환자교육을 할 때 환자에게 진단명과 해야 할 검사와 치료에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일방적으로 나열하는 데 그친다(Maguire etal., 1986). 학생들의 환자진료 후 SOAP 노트를 살펴보면 SOAP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소견을 기록하는 것은 비교적 적절하였다.그러나 그 정확도는 떨어졌으며 병력(S)과 신체진찰(O) 내용과 진단(A) 및 계획(P) 간의 연관성은 없었다(Seo et al., 2016).


4. 시험지향 학습태도


학생들은 실기시험과 진료학습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가질 수있다. 학생들이 가지는 태도는 실세계 문제해결 역량을 개발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시험과 관련하여 가지는 학생들의 태도는 크게 3가지로 필기시험중시 태도, 술기와 의사소통 소홀, 그리고 실기시험 역량과 실세계진료역량을 구분하는 것 등이다. 학생들은 흔히 4학년이 되어 의사국가시험을 준비하기 전까지는 실기시험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역량이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 학생들은 종종 실기시험의 필요성이나 주관평가의 신뢰도를 불신하거나 실습재료 미비 등을 이유로실기학습을 소홀히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필기시험 위주의 학습을하면서 실기시험을 위한 학습은 4학년 2학기로 미룰 수 있다. 병력청취 위주로 임상실습에서 학습하면서 특히 신체진찰과 술기 수행,그리고 의사소통기술은 실기시험 직전에 학습할 수 있다.


학생들, 특히 실기시험을 앞두고 준비하는 학생들은 흔히 성적을잘 받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과 행동을 해야 하는지 또는 어떤 것들은하지 않아도 되는지에 대해 교수자에게 시험지향적인 조언을 청하기도 한다. 불행하게도 교수자들은 이에 맞추어 시험 상황이므로 실제상황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진료행위 중 일부를 하지 말라고 권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술기 평가에서 술기의 어디부터 어디까지 평가하며 어떤 행위는 하지 않아도 되는지에 대해 매우 긍금해하며 어떤 교수자는 환자안전에 중요한 행위라 하더라도 시험에 나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하지 말라고 하기도 한다. 환자와의 관계 형성을위한 의사소통기술의 범위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에서 평가한다고 발표된 몇 가지 환자의사 상호작용 외에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만을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학생들은 술기절차 중간에 어느 부분의 과정을 실패하였더라도 그 부분을 적절히 했다고 간주하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행태는 학교와 학교 문화가 실기시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 실기시험의 목적이 환자중심 진료와 일차진료 수준의 실세계 문제해결능력이라는 것을 구성원이 잘 인식하고 있는 학교 문화라면 실기시험에 대한 대비는 학교의 교육과정 안에 녹아 있으며 의사로서의 역량 개발과 크게 다르지않을 것이다. 반면 실기시험의 목적을 이해하지 못하여 전체 교육과정에서 구현되지 않고 졸업 직전 집중 학습을 통해 실기시험을 대비하는 경우 학생들은 실기시험을 위해 별도의 학습을 하여야 하고이는 실기시험에 대한 불만을 낳는다. 더 나아가 실기시험에 대한대비조차 소홀히 하거나 실기시험을 면허취득을 위한 도구로만 간주하게 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점수를 얻기 위한 행위가 무엇인지가환자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보다 중요하게 된다. 또한 실기시험에서다루지 않는 역량은 소홀히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의무기록 작성이환자안전에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능력은 잘 개발되어 있지않다(Seo et al., 2016).


지침의 필요성과 목적


일차진료 수준의 환자를 면담하고 진찰하며 교육하는 전체 진료과정과 기본적인 술기를 진료표준에 따라 안전하게 수행하는 역량을갖추어 환자 중심 진료를 하는 것은 기본의학교육의 핵심을 이루는매우 중요한 역량이다. 그러나 기존의 학습환경은 상급종합병원 중심의 교육환경이며 학교와 교수자는 환자 중심 진료라는 개념에익숙하지 않다.



1. 일차진료에 적합하지 않은 교육환경


교육현장은 주로 중증 환자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상급종합병원이기에 학생들은 일차진료 수준의 환자를 초진부터 시작하여 접근하는 방법을 보기도 어렵고 배우기도 어렵다. 상급종합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진료는 여러 의료기관을 거쳐 온 중증 재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환자들의 대부분은 이미 다양한 의사로부터진료와 검사를 통해 일차 진단을 받고 전문적인 치료를 위해 병원을방문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상급종합병원 의사들은 그 진단이 정확한지, 추가할 검사가 있는지, 치료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등에대해 고민하는 질병위주의 의료행태를 갖게 된다. 즉 병력청취와신체진찰을 자세히 하기보다 간략한 병력을 확인한 후 신체진찰보다는 검사에 의존하게 된다.


학생들이 교수자의 진료행위를 접하는 주요 맥락은 외래와 병실회진이다. 이때 이루어지는 진료행태는 환자에 대한 전인적 총체적접근이 아니라 주요 사항 위주로 간략히 확인하는 약식 진료이다.학생들이 전 과정을 아우르는 환자 접근을 관찰하고 경험하는 것은드물다(Kurtz et al., 2004). 이러한 경향은 최근 상급종합병원에서세부 분과 위주의 진료가 활성화되면서 더 심화될 것으로 예측한다.


2. 환자 중심 진료에 익숙하지 않은 학교와 교수자


교수자들은 의사 중심 진료와 도제식 교육에 익숙하며 실기시험을 경험하지 않은 세대이다. 임상실습이나 전공의 수련은 흔히 도제식으로 이루어지며 환자 중심의 의사소통이나 의료윤리법, 환자안전 등은 교수자들이 교육받을 당시 공식 교육과정에 들어있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교수자들은 학생들에게 진료행위나 술기 수행을교육하면서 그 안에 어떤 과학적 원리와 원칙이 있는지 그 근거를함께 설명하는 것 또한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였을 수 있다. 교수자들도 그들의 스승을 관찰하며 도제식으로 진료와 술기를 배웠기에그 근거를 학생교육하면서 다시 찾아보는 것도 쉽지는 않은 일이다.또한 교수자들은 교육의 전문가는 아니며 의학교육의 방향이나 실기시험이 지향하는 목적에 대해 모두 이해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학교의 교육과정 또한 의학교육의 새로운 흐름인 실기시험이나환자 중심 진료에 맞추어 개편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환자 중심 진료, 과학적 원리의 적용과 환자안전 표준에 따른 수행과교육은 대부분 교수자와 학습자 개개인의 몫이 된다.


3. 지침의 목적


진료수행지침과 기본임상술기지침은 이러한 학습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일차진료 수준의 행위와 표준을 환자 중심진료의 관점에서 그에 근거한 학문적 개념을 첨가하여 통합적으로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지침들은 실세계의 일차진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개발한 것이다. 단지실기시험 대비를 위한 지침으로 개발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자한다. 지침 개발자들은 학생들에게 질병 중심의 상급종합병원형 진료, 불완전한 수행, 암기식 진료, 그리고 시험지향 학습태도 등의수행 문제점이 있음을 인식하고 임상표현 중심의 일차진료, 지식,술기, 태도가 통합된 형태의 환자 중심 진료, 논리적인 체계적 진료,그리고 환자를 존중하는 태도, 상급종합병원에 의뢰하기 이전 단계에 시행하게 되는 기본적인 술기 등을 통합적으로 기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절차 하나하나의 구체적인 근거를 교과서에서검색하여 참고문헌으로 표기하였다. 또한 진료와 술기항목을 초벌작업해준 원저자의 절차와 개념을 편집위원과 자문위원들이 다시교차확인하였다. 이때 사용한 참고문헌은 전문의 수준의 전공서적이나 최신 논문보다는 되도록 학생 수준의 기본적인 내과, 외과,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가정의학, 응급의학 교과서, 기본 술기 교과서, 그리고 의료 의사소통 교과서 등을 중심으로 하여 일차진료 수준의 진료와 술기 수행을 기술하고자 하였다(Table 2).


4. 지침의 내용


진료수행지침(Roh, 2016b)은 의사가 환자를 만나 수행하게 되는진료과정을 환자에게 인사를 하는 시작 단계부터 의무기록을 작성하고 정리하는 마무리 단계까지 절차 단계별로 보여준다. 일차진료수준에서 의사가 접하게 될 임상표현(clinical presentation), 즉 환자가 표현하는 증상, 징후, 검사소견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진료수행지침은 그 진료과정에 필요한 병태생리의 과학적 개념과 의사소통연구결과 등에 근거하여 통합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기본임상술기지침(Roh, 2016a)은 의사가 환자를 만나 술기를수행하게 되는 전 과정을 의사가 술기세트를 준비하는 단계부터검사물과 폐기물을 처리하고 환자에게 주의사항을 설명하는 마무리단계까지 보여준다. 일차진료 수준에서 의사가 행하게 될 기본 술기를 중심으로 하였다. 기본임상술기지침은 신체진찰과 술기를 전문적으로 다룬 각종 문헌들을 참고하여 그 과학적 근거와 원칙을 명시하였다. 또한 술기절차의 세부적인 하나하나의 단계를 일일이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와 함께 술기수행 중 필요한 의사소통과 대인관계기법도 포함하였다.


교육적 시사점


단기간의 집중교육만으로는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침과실기시험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특히 실기시험만을대비하는 졸업직전 집중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왜곡시키고 환자안전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교육과정은 어느 특정 시기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조기에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단계별 나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Kurtz et al.,2004). 진료수행지침과 기본임상술기지침은 별도의 실기시험 대비프로그램에서뿐 아니라 전체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설정하고 교육에 반영하는 데 활용되도록 개발되었다. 저자는 지침이 의학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다음의 5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자한다.


1. 환자 중심 태도와 가치 강조


환자 중심의 진료를 위해서는 환자 중심적인 태도와 가치를 강조하여야 한다. 이것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두고 의료인문학이나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을 확대 구성하라는 주장과는 조금 다르다. 물론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 등을 아우르는 의료 인문사회 영역의 프로그램들은 확대되어야 한다. 그러나 저자가 주장하는 것은이러한 프로그램이 단지 확대되는 것뿐 아니라 기존의 교육과정에서도 질병 중심이 아니라 환자 중심의 가치가 존재해야 한다는 점이다.최근 환자 중심의 가치와 태도는 환자안전을 중심으로 재정립되고있는 추세이다. 전체 교육과정은 환자안전 관점에서 다시 성찰해볼필요가 있다(The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2010).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교육과정, 강의, 소그룹학습, 술기실습 등의교수학습방법, 문제바탕학습, 임상실습 등 모든 교육과정에서 환자중심의 가치와 태도가 강조되어야 한다. 문제바탕학습이나 임상표현기반 교육과정 등은 교과목 중심이나 장기계통 교육과정에 비해환자 중심적 접근을 강조한다.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의사소통기술과태도는 병력청취뿐 아니라 신체진찰, 환자교육, 그리고 술기를 수행할 때에도 강조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한 교육전략은 진료수행지침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Roh, 2016b).


2. 통합적 형태의 일차진료 경험 확대


상급종합병원 실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학생들의 불완전한 수행을 완전한 수행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통합적 형태의 일차 수준의 진료를 경험하고 학습할 기회가 학생들에게 많이 주어져야 한다.일차진료의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단지 지침만을 가지고 학습할경우 이는 실기시험만을 위한 반쪽짜리 학습이 되기 쉽다. 이것은단지 외래실습이나 의원급 병원에서 실습을 확대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강의, 임상실습, 문제바탕학습과 술기실습 등 전 과정에서 일차진료 수준의 내용을 가르치고 학습하도록 프로그램이 개편될 필요가 있다.


신체진찰, 환자교육, 환자와의 관계형성, 술기, 의무기록 등에서두드러진 불완전한 수행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병력청취 외에 신체진찰, 환자교육, 환자와의 관계, 의무기록 등을 총체적으로 아우르는통합학습이 필요하다. 그동안 여러 학교에서 기초의학 간, 임상의학간, 의료인문학 간 수평통합과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간 수직통합을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왔으나 주로 지식 영역의 통합에 치중하였다.이제는 술기와 태도 영역과의 통합적 학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에 지침의 내용은 지식과 술기 및 태도가 통합된 형태로 기술되어 있다.


3. 추론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 접근


암기식 진료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환자교육을 수행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스키마는 지식을 조직하고 사례에 적용하는 데 효과적이다(Blissett et al., 2012). 스키마를이용한다면 병력청취뿐 아니라 신체진찰도 체계적으로 접근해 갈수 있다. 임상추론교육에 대한 자세한 전략은 진료수행지침에 제안되어 있다(Roh, 2016b).


술기를 수행할 때에도 고인지기능이 필요하다. 환자의 신체적정서적 정신적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어떤 대처가 적절할지의사결정해야 하고 가장 적절한 술기 처치방법과 재료를 선택해야한다. 술기행위 하나하나가 내포하고 있는 과학적 개념과 근거를교육하고 이와 더불어 술기수행에서도 환자의 문제에 체계적으로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고인지기능을 활용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임상추론을 교육할 때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이것을 강의에 의존하거나 추론만 따로 떼어 교육하고 끝낸다는 것이다. 임상추론능력은 소그룹 또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의 경험을 통해 다듬어진다. 임상추론을 분리하여 교육하였다면 이후 의사소통 등과 통합하여 실습하는 과정이 뒤따르는 것이 좋다.


임상추론을 특정 교과목이나 장기계통 과정에서 다룰 경우 학생들은 추론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Eva, 2005). 그과정에서 학습하기를 바라는 질환은 대개 정해져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임상추론능력을 배양하기를 원한다면 장기계통 통합과정보다는 임상표현 또는 문제바탕학습 교육과정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약 교육과정이 아직 임상표현이나 문제 중심이 아니라면 장기계통 통합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문제바탕학습이나 임상표현 접근법을 교육하는 것이 학생들의 사고의 틀을 넓혀 줄 것으로 생각한다.


4. 교육환경 정비


학생들이 실제 진료현장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진료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면 임상술기센터와 표준화환자 관련조직을 갖추는 것이 유용하다(Barrows, 1993; Ledingham, 1998).센터와 조직이 존재하면 단지 실기시험뿐 아니라 다양한 교육활동을할 수 있기에 지속적으로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다. 표준화환자나술기실습을 관찰하고 피드백하고 교육자료로 재사용하려면 동영상촬영과 녹화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료나 술기실습을위해서는 동영상이나 이러닝, 표준화환자 사례 등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확보하고 있는 것이 좋다. 시험결과를 통계분석하면 사례를개선하고 표준화환자를 질 관리하며 학생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과 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려면 센터 관리자, 모형 관리자, 사례 관리자, 표준화환자 교육자, 정보 및 교육공학관리자, 통계분석가 등이 필요하다. 학교 입장에서는 인건비 등의재정적 문제와 교육행정업무의 확대 등에 의한 부담으로 임상술기센터나 표준화환자 관리를 피하고 외부 컨소시엄에 의존하게 될 수있다. 그러나 환자안전이 중요해지면서 병원 임상실습에서 학생들의 역량이 갖추어지기 전에 환자와 대면하는 것이 점점 더 제한되는것을 고려할 때 임상술기센터와 표준화환자 조직은 되도록 갖추기를제안한다.


그러나 임상술기센터와 표준화환자에 못지않게 병원 환경을 잘조성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학교가 흔히 하는 실수는 임상실습과정중에 표준화환자와 실습하게 하면서 실제 환자를 만날 기회를 제한하는 것이다. 임상술기센터에서만 학습한 경우 가상현장에서 하는가상상황이므로 실제와 괴리가 있을 수 있다. 저자가 교육한 3학년학생들이 진료수행평가에서 받은 환자의사상호작용 점수와 실제환자가 평가한 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점수 간에는 아무 상관관계가없었다(Roh, 2009). 결국 학생들은 임상실습과정에서 실제 환자를만나 진료와 술기를 경험하면서 실세계 문제해결능력을 맥락적으로습득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술기센터와 표준화환자는 임상실습 전단계에서 학생들이 환자에게 안전한 수준으로 술기와 태도를 갖추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실제 환자를 접하기 어려운맥락과 술기에 한해 임상실습을 보완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5. 학교와 병원문화 개선


시험지향 학습 태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병원의 문화를성찰해볼 필요가 있다. 문화는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과정은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문화를 개선하고자 할 때에는교육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때 공식 교육과정 외에 잠재적교육과정 또한 살펴보아야 한다.


학생들의 시험지향 학습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첫 번째 할 일은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이다. 평가가 학습을 촉진하는 것은 널리알려진 사실이다. 술기와 태도 관련 교과목의 성적 비중이 높아지면학생들은 그것을 학습하게 된다. 흔히 학교는 술기나 태도 영역의교과목을 개설은 하나 그 학점이나 비중이 매우 적어 성적에 영향을미치지 못하거나 다른 평가 없이 출석만으로 학점을 준다. 이럴경우 학교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는 술기나 태도학습이 별로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이 메시지에 순응하여 지식 영역학습과 필기시험 대비에 몰두하게 되고 실기시험은 시험 직전에시험으로만 대비하게 된다.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 모두를 변화시키는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학습자에게 환자 중심 태도와 가치, 실기시험의 진정한 목적과 의사의 역할을 가르친다고 학생들의 시험지향태도가 쉽게 바뀌지는 않는다. 학생들이 사회에 진출하여 맞닥뜨릴 교수나 조직이 의사 중심, 병원 중심이라면 환자 중심이라는 가치는단지 시험 합격을 위한 구호가 될 뿐이다. 즉 교수와 조직을 변화시키는 전략이 함께 수반되어야 학생들의 시험지향태도는 바뀔 수 있다.교수자에게 실기시험의 목적, 환자 중심 진료의 개념과 실천방안,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등을 설명하고 적절한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방법을 습득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학생들은 학교, 병원, 조직 구성원들이 변화하는 모습을 경험하면서 태도를 개선할 것이다.


진료수행을 위한 구체적 교수학습사례


실세계 진료수행에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으로 소그룹 토의학습,표준화환자나 환자와의 경험, 자기주도학습 유도, 다양한 맥락에서학습 등을 들 수 있다(Roh, 2016b). 여기서는 임상실습전 단계에서또는 임상실습과중 중 진료수행을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구체적인 사례를 저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소개해보고자 한다. 전체적인 교수학습의 흐름은 Mandin et al. (1997)의 보고를 참고하면좋다.


진료수행지침은 교수자에게 특히 좋은 교육지침이 된다. 

  • 진료수행지침 내용 중 학생들이 미리 학습하면 좋은 것은 총론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세계문제해결, 의사소통과 의무기록, 그리고 교수학습전략 등이다. 

  • 각론에서 학생들에게 학습 전에 보여주면 좋을 내용은학습성과와 대표증례, 관련증례, 참고문헌 등이다. 

  • 문제해결개요나자세한 병력과 신체진찰 목록을 학습 전에 제공하면 오히려 학생들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해결개요나 병력과 진찰목록은 교수학습활동이 끝난 후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할 때 활용하는것이 좋다.


1. 임상실습전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사례


1) 임상표현과 환자의 첫 대사 제시


임상실습전 교육과정에서 실제 환자를 섭외하여 교육에 참여시키기는 우리나라 여건에서 쉽지 않다. 따라서 교육주제로 선택한임상표현을 해결하는 데 가장 대표가 될 만한 흔한 환자 사례를결정한 다음 글, 동영상, 또는 표준화환자로 표현하여 제시하였다. 이때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은 환자가 의사에게 하게 되는 60초정도의 처음 대사들이다. 이 대사는 환자가 이야기하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의학용어로 잘 정리되지 않도록 유의해야한다. 또한 주 증상이 하나로 너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 것이좋으며 환자의 걱정이나 의사에게 기대하는 사항 등을 포함하는것이 좋다(Roh et al., 2015a). 학생들로 하여금 환자의 임상표현이무엇이겠는지 생각해보고 환자와 논의하여 이번 진료에서 주로 다룰의제가 무엇인지 검토할 여지를 주기 위해서이다(Table 3).


임상실습전 학생들의 경우 환자 경험이 부족하므로 글이나 동영상보다는 표준화환자를 활용하는 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현실감있게 환자의 임상표현을 경험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의사소통전문가들은 면담 시작 단계에서 인사와 환자 확인, 자기소개와 진료동의 구하기, 편안한 진료분위기 조성, 환자의 모든 문제 확인 후목록 정리, 환자의 주요 의제 확인, 의사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의제를제시하고 진료 초점 협상 등의 과정을 거칠 것으로 권장하고 있다(Silverman et al., 2013). 따라서 그냥 글이나 동영상으로 임상표현을 파악하는 것보다 학생이 직접 표준화환자를 만나 상호작용하면서이 단계를 경험하는 것이 학습효과가 클 수 있다. 사례를 제시하는이 단계에서는 우선 위의 과정 중 환자의 주요 의제 확인까지 진행하도록 한다.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돕기 위해 사전 혹은 비슷한 시기에의사소통 프로그램이 함께 동반되면 유용하다.


2) 임상표현과 주요 의제 토의


소그룹으로 모여 토의하도록 한다. 이 환자가 호소하는 주 의제가무엇이겠는지, 그리고 의학적으로 판단할 때 이 환자에게 발생한의료문제는 무엇인지, 환자가 의사를 방문한 진짜 이유는 무엇인지등에 대해 검토하고 환자와 어떻게 논의하여 주요 임상표현과 의제를 정할 것인지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대사를 짜보도록 한다.


다시 표준화환자를 만나 면담 시작의 나머지 단계를 진행하도록한다. 즉 의사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의제를 제시한 후 환자와 협상하여 진료의 초점을 어디에 맞출지 정하는 과정이다. 이때 의사가판단한 의제를 일방적으로 환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간에 의견을 교류하면서 라포 형성을 충분히 하는 것까지 실습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소그룹별로 다른 임상표현과 의제를선정할 수 있으며 이것이 틀에 박히지 않은 다양하고 유연한 학습측면에서 볼 때 오히려 효과적이다.


3) 주 임상표현 학습


교과서를 학습하여 임상표현의 정의를 확인하도록 한다. 환자의대사를 분석하여 교과서에서 확인한 임상표현과 맞는지 확인하도록한다.


저자는 저자가 근무하는 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하였거나 입원한환자 중 임상표현이 동일한 환자의 목록을 학생들에게 보여준 후토의하도록 한다. 이 목록에는 환자의 성별, 나이, 주 증상, 증상과징후의 특징, 진단명, 입원 여부 등이 요약되어 있다. 학생들로 하여금 이 표들에 나타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어떤 특징이 있는지,그리고 어떤 규칙을 도출할 수 있는지 토의해보도록 한다. 이 과정은‘engaging the data’라는 교수학습기법을 활용한 것이다(White etal., 2006). 이때 초벌 수준으로 스키마를 그려보는 것이 추후학습에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이 임상표현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어떤 병태생리 개념과 해부조직 구조, 그리고 관련된 질병을학습해야겠는지 토의하도록 한다. 학습주제들을 선정하여 조원끼리분담한 후 1차 모임을 해산한다. 학생들에게 자기주도학습을 위한참고문헌과 인터넷 사이트 등을 알려주고 2차 모임을 어떻게 진행할예정인지 공지한다.


4) 병태생리 토의 및 스키마 작성


두번째 모임을 시작하면 학습한 주제를 발표하면서 스키마를 수정한다. 스키마를 개발하면서 학습하는 과정은 Safi et al. (2012)와Aflatoonian et al. (2012)의 논문에 잘 제시되어 있다. 

    • 우선 그 임상표현을 일으키는 병태생리기전을 모두 정리해본 다음 

    • 대표적인 생리기전 2–3가지로 범주화한 다음 이름을 붙인다. 

    • 각 생리기전을 대표적인 병리기전 2–3가지 정도로 범주화한 후 이름을 붙인다. 

    • 각 병리기전에 해당하는 질환을 흔하고 중요한 것부터 나열한다.


이 과정을 아래에서 위로 다시 올라가면서 검토한다. 즉 임상표현의 대표 질환이 고루 분포하였고 흔하고 중요한 질환이 모두 포함되었는지 질환 리스트를 보면서 확인한다. 이후 병리기전이 범주화가타당한지 검토한 후 생리기전이 타당한지 재평가해본다. 이 과정을반복하면서 추가로 학습할 사항을 정리한다.


5) 스키마에 따른 진료 구조화


스키마의 각 단계, 즉 1단계 임상표현 확인, 2단계 생리기전, 3단계 병리기전, 4단계 질환 감별 등에서 환자로부터 더 확인해야 할병력이나 신체진찰이 무엇인지 검토하도록 한다. 환자에게 전달할정보가 무엇인지 검토한다. 임상표현과 스키마로부터, 그리고 이임상표현을 가진 환자가 어떤 걱정과 기대를 가질 수 있겠는지 다양한 맥락에서 검토해보고 환자교육 단계에서 어떤 사항이 추가되어야하겠는지도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윤리법적 문제나 사회경제적 이슈 등에 대해 토의할 기회를 준다. 전체적으로 추가 학습할 사항을정리한다. 추가 학습주제를 모두 정리한 후 나누어 맡고 2차 모임을해산한다. 이 시기에 맞추어 신체진찰 실습이나 의료인문학 프로그램이 동반된다면 학습의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6) 다양한 맥락에서 표준화환자와의 만남


세번째 모임을 시작하면 학습한 내용을 발표하면서 스키마를 수정하고 환자에게 청취할 병력 목록과 신체진찰 목록을 정리한다.이 목록을 바탕으로 세 명씩 짝지어 역할놀이를 하면서 대사와 진찰방법, 태도 등을 수정한다. 한 명은 의사, 한 명은 환자, 다른 한명은 시간관리 및 피드백의 역할을 담당하며 역할을 바꿔가면서한다. 역할놀이를 하면서 병력과 신체진찰 목록이 추가되기도 하고스키마도 더 정교하게 수정될 수 있다.


이후 표준화환자를 만나도록 한다. 저자는 임상표현별로 6–8개정도의 사례를 만들어 소그룹의 조원이 각각 다른 임상 맥락을 경험하도록 과정을 설계한다. 만약 대표증례만으로 표준화환자 실습이나 토의를 마무리할 경우 학생들은 임상표현과 관련하여 한 가지사례 틀만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경직된 사고는 같은임상표현이지만 다른 맥락에 있는 환자를 대할 때 오진을 하거나잘못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위험을 내포한다. 문제해결, 의사결정,비판적 사고 등 고인지기능을 숙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자신의 지식을 적용해보고 변형하면서 경험을 통해 성숙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저자는 스키마를 만든 후 환자를 만나는 단계에서 고인지기능이 성숙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학생들이 다양한맥락에서 경험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7) 지식, 술기, 태도의 통합과 전이


각각의 학생은 표준화환자를 만나 면담과 진찰, 그리고 환자교육을 마친 후 자신이 만난 환자의 정보를 의무기록형태로 정리하도록한다. 학생들은 소그룹별로 다시 모여 우선 표준화환자를 만나 어떤경험을 하였는지 성찰하고 환자와의 관계 형성과 면담을 통해 거둔성과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실습에 참여하였던 표준화환자들을초청하여 학생들에게 이 임상표현을 겪으면서 느낀 감정과 삶에 미치는 영향과 고민 등에 대해 피드백해주는 시간을 갖는다. 이 피드백시간은 표준화환자를 만난 직후에 할수록 학습에 효과적이다.이후 표준화환자로부터 수집한 정보가 무엇이었는지를 다른 조원들과 공유하며 스키마에 따라 진단과 치료계획과정을 진행해보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각 사례의 진단과 치료계획, 교육계획을 정리해보도록 한다. 이 과정이 끝난 후 진료수행지침의 해당 부분을 보여주고비판해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침에 있는 다양한 관련 사례들을토의하면서 임상추론과정을 되짚어보는 것도 좋다.


소그룹활동이 끝나면 저자는 각 사례별로 저자의 추론과 문제해결과정을 저자의 스키마를 그려가며 이야기해준다. 또한 이 임상표현 환자 중 기억에 남는 경험에 대해 학생들과 공유한다. 특히 윤리법적으로 갈등이 있었던 경우, 경제적 문제가 있었던 경우, 소아나노인 환자와의 경험, 보호자와의 경험, 의사소통에서 문제점 등 다양한 경험에서 의사로서 겪었던 소회를 밝힌다. 이후 학생들에게 이임상표현 환자를 만나 어떻게 할 것인지 행동계획을 정리해보도록한다. 최종 완성된 스키마와 진료구조화 목록, 그리고 행동계획을제출하고 마지막 모임을 마무리한다.



2. 임상실습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사례


1) 임상표현 공지 및 사전 준비 독려


임상표현은 되도록 임상실습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경험했을흔한 것으로 선정하여 사전에 공지한다. 만약 어떤 학생도 경험하지않은 임상표현을 선정했다면 꼭 그것을 지금 이 시점에 다루어야겠는지 그 타당성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려해보기 바란다. 학생들은자신이 경험한 주제를 다룰 때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학생들에게는 2가지를 준비해오도록 한다. 

    • 한 가지는 임상표현의정의, 병태생리, 관련 질환 등을 복습해 오는 것이고, 

    • 다른 하나는학생이 그 임상표현을 가진 환자 역할을 표현할 수 있도록 준비해오라는 것이다. 

즉 임상실습 중 학습을 할 때는 학생들이 환자 역할을하여 임상표현을 제시하도록 한다. 이때 환자가 학생에게 했던 이야기를 똑같은 표현으로 똑같은 시간 동안 해달라고 요청한다. 이렇게하는 이유는 임상실습 중에는 실제 환자나 실제 사례를 가지고 학습하는 것이 실세계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는 데 가장 바람직하기때문이기도 하며, 학생들은 환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면서환자 관점에서 그리고 의사 관점에서 환자와 사례에 대해 심층적으로 성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Table 4).


2) 스키마 작성 및 진료 구조화


스키마를 그리면서 임상표현과 관련된 병태생리 및 필수 질환을검토한다. 스키마를 조직하는 과정은 위에 임상실습 전 교육과정교수학습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스키마의 각 단계에서 확인할병력과 신체진찰이 무엇인지 검토하도록 한다. 환자교육에서 어떤정보들을 공유해야겠는지 검토하면서 환자의 감정, 사회경제적 문제점, 윤리법적 문제점 등도 논의한다.


3) 다양한 맥락에서 역할 놀이


한 명이 환자 역할을 하고 다른 한 명(되도록 그 임상표현을 맡지않았던 학생)이 의사 역할을 하여 역할놀이를 한다. 이때 다른 학생들은 환자 관점, 의사 관점에서 각각 관찰하며 피드백할 준비를 한다.학생들이 면담 시작 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구체적인 병력청취로들어가려고 시도할 수 있는데, 이것은 사전에 충분한 공지와 교육을통해 예방하는 것이 효과적인 환자-의사관계를 습득하는 데 바람직하다. 한 명의 사례가 끝나면 우선 의사 역할을 한 학생의 경험과성찰을 듣고 환자 역할을 맡은 학생과 관찰한 다른 학생들은 그에대한 피드백을 해준다.


의사 역할을 맡은 학생이 수집한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학생들은스키마를 이용하여 진단과 치료계획을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환자역할을 맡은 학생에게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이 환자에게서 빠뜨린 병력과 신체진찰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이 환자와의 관계 형성을 어떻게 하는 게 좋았는지에 대한 성찰을할 수 있다.


한 사례에 대한 토의가 끝나면 그 다음 한 명이 자신이 맡은 사례로환자 역할을 하고 또 다른 학생이 의사 역할을 한다. 역할놀이가끝나면 위에 기술한 대로 다시 토의를 진행한다. 이런 식으로 같은임상표현이지만 다른 맥락에 있는 다양한 환자를 역할놀이를 통해경험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맥락에 따라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이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실제 경험을 통해 습득하도록 한다. 이과정에는 time-in/time-out 기법이 적용하기에 유용하다(Cantrellet al., 1997).


4) 지식, 술기, 태도의 통합과 전이


역할놀이가 마무리되면 저자는 학생들이 이 임상표현을 가진 환자를 담당하면서 가졌던 경험들에 대해 공유하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의 경험이 다양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저자는 그 임상표현으로응급실을 방문하였거나 입원한 환자의 정보 목록을 보여주고 토의를하여 정리하도록 한다.


이후 저자가 이 임상표현을 가진 환자의 경험과 추론을 통한 문제해결과정을 저자의 스키마와 함께 보여준다. 이후 학생들에게 스키마를 최종적으로 수정해보고 행동계획을 수립해보도록 한다.



술기 학습 사례


실세계 술기 수행에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은 강의보다는 실습,그리고 피드백 등이다(Roh, 2016a). 비디오, 모형이나 시뮬레이션,역할놀이 등을 사용한 보고들이 많다. 술기를 학습하는 데 적절한교수자 대 학습자의 비율은 1:4로 알려져 있다(Meyers et al., 2011).기본임상술기지침의 각 항목은 사전에 학생들에게 학습해오게 한후 교수학습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자세한 교수학습전략은 기본임상술기지침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Roh, 2016a). 여기서는저자가 사용하였던 단계별 교육과정과 환자안전과의 통합과정의예를 보여주고자 한다.


임상술기는 조기부터 기본적인 술기부터 시작하여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술기는 임상실습에 진입하기 전에 환자에게 안전한수준으로 습득되어야 한다. 현 의료환경은 학생들이 술기능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환자에게 시술을 실습해보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그렇다고 학생들이 술기를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학생들이 환자에게 술기를 수행할 기본적인 수준에는 도달한 상태가되도록 임상실습 전에 교육을 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술기교육은 술기 자체나 술기 맥락이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진행해가도록 잘 조직할 것을 제안한다. 술기의 절차는 그 하나하나에 환자안전의 원칙과 과학적 개념을 담고 있으며 머리로 이해하였다고 심동 영역의 조율이 쉽게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핵심이 되는 기본 술기부터 차근차근 습득하도록 하면서 시간적 여유를주고 기본 술기가 습득된 후에는 점점 환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여러술기가 복합되어 있는 맥락에서의 문제해결을 도전하는 방향으로교육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는 술기의 난이도와 복합성에따라 그 수준을 나누며 난이도가 낮은 수준부터 단계별로 접할 수있도록 배려한다(Table 5). 난이도를 높이기 전에 평가를 시행하여술기를 습득하였는지 확인한 후 다음 단계의 술기로 진입한다.


1. 총론 


교육구체적인 일련의 술기교육을 시행하기 전에 먼저 술기 전체에해당하는 지식이나 술기, 태도 영역을 먼저 학생들에게 오리엔테이션과정을 통해 알려준다. 우선 저자는 환자안전의 개념과 중요성,특히 임상술기를 수행할 때 감염, 시술, 투약, 의사소통 등과 관련하여 어떤 오류가 발생하고 있으며 어떻게 예방해야 하는지에 대해충분한 시간을 들여 교육한다. 이렇게 교육하면서 환자 중심 진료에대한 태도가 자연스럽게 갖추어지도록 한다. 동의 구하기 등 술기와관련된 의사소통기술이 같은 시기나 이전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면좋다.


그 다음으로는 봉합사, 거즈, 소독제 등의 처치재료와 겸자, 집게,주사기, 폐기물통 등의 시술 및 수술도구를 직접 만져보게 하고이름과 특징을 암기하도록 한다. 이것은 각 술기의 준비과정에서세트를 준비하는 실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모든 술기의 마무리과정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의무기록과 처치명령의 원칙에대해 알려주고 간단하게 실습해보게 한다.


2. 단순 술기 실습


저자는 우선 무균조작이 필요 없는 술기부터 교육을 시작한다.위장관 삽관, 관장, 다발성 외상환자의 일차평가, 심폐소생술, 제세동법, 부목고정, 심전도찍기 등이 그것이다. 이때는 모형으로 실습하는데, 우선 각각의 술기를 세세한 절차 하나하나를 설명하면서 각각을 익히도록 한다. 특히 심폐소생술은 실패하였을 때 그 결과가뚜렷히 나타나기에 학생들의 술기 실습태도를 다지기에도 좋다.


그 다음으로는 상처 드레싱과 모의 수술실 실습을 한다. 그 이유는이 술기들이 대부분 술기의 기본이 되는 무균조작과 관련한 단순술기이기 때문이다. 상처 드레싱을 하기 위해서는 손씻기, 무균적으로 세트 준비, 무균장갑 착용, 무균방포 다루기, 소독하기, 폐기물버리기, 시술 중 무균 상태 유지하기 등 환자안전에 중요한 감염예방의 모든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모의 수술실 실습은 수술복과 모자,마스크 착용, 수술가운 무균적으로 입기 등을 포함하여 수술실에서감염 예방을 위한 기본원칙을 습득하게 해준다. 이때 쉽다고 강의만하지 말고, 절차 하나하나 환자안전의 의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익히도록 하여 무의식 중에도 무균 조작이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실습하게 하면서 피드백해주는 것이 좋다.상처 드레싱을 이해하면 화상드레싱, 배액관드레싱, 욕창드레싱 등을 추가하여 경험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비교적 단순한 술기는 정맥혈 채혈, 동맥혈 채혈,피하 및 근육주사, 정맥주사 등 주사기를 이용한 침습 술기 중 덜복합적이고 덜 위험한 것들이다. 이때 모형으로 실습하면서 주사기를 안전하게 다루고 검사물 채취를 안전하게 하는 데 집중한다.


3. 중간 수준의 복합술기 실습


무균조작과 날카로운 도구를 안전하게 다루는 능력이 어느 정도습득되면 좀더 복잡한 술기를 도전하게 한다. 국소마취, 농양절개배농술, 봉합술 등의 외과소수술과 혈액배양과 척추천자 등 어려운침습적 기술, 기관삽관, 도뇨관 삽입 등 좀더 세심한 기술이 필요한술기들이 그것이다. 이 술기들은 눈과 손의 조율이 필요하고 습득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여유를 주고 지속적으로 연습하도록하면서 피드백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난이도상의 복합적 맥락에서 실습


마지막 단계에서는 고도의 복합적 맥락을 경험하게 한다. 표준화환자가 모형을 착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술기를 수행하거나 시뮬레이션 모형을 가지고 팀이 함께 술기를 수행하는 것이 그것이다. 요폐색환자에게 도뇨관을 삽입하거나 통증에 힘들어하는 환자에게 화상드레싱을 하는 것, 비협조적인 열상 환자의 상처를 봉합하는 것,출혈이 있는 환자에게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면서 수혈하는 것, 열나는 환자에게서 혈액배양을 실시하는 것, 의료팀을 이루어 응급 환자의 활력징후를 소생시키는 것 등이 그것이다(Kneebone et al.,2006). 이때는 술기의 정확한 조작뿐 아니라 환자와의 상호작용을통해 술기절차의 전 과정을 경험하게 한다.



결 론


학생들이 실기시험에서 보인 문제점은 질병 중심의 상급종합병원형 진료, 불완전한 수행, 암기식 진료, 시험지향 학습태도였다.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으로는 상급종합병원 중심의 교육환경과 환자중심 진료에 익숙하지 않은 학교와 교수자를 꼽을 수 있다. 진료수행지침과 기본임상술기지침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원인을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에 임상표현 중심의 일차진료, 지식, 술기, 태도가 통합된 형태의 환자 중심 진료, 논리적인체계적 진료, 그리고 환자를 존중하는 태도 등을 통합적으로 기술하여 보여주고자 하였다. 지침은 학습자에게도 도움이 되겠으나 교수자에게 더욱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지침이 시사하는 것은 향후 의학교육의 방향이 환자 중심 태도와가치를 강조하고, 통합적 형태의 일차진료 경험을 확대하며, 추론을중심으로 한 체계적 접근을 습득하도록 하는 쪽으로 나아갈 것이며이를 위해 교육환경을 정비하고 학교와 병원 조직문화를 개선해야한다는 것이다. 환자 중심의 실세계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교수학습전략은 실제 맥락에서 경험을 통해 습득하도록 하는 학습을통합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은 조기에 시작하여 장기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이도와 복합성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이 학생들의 능력 기반을 탄탄히 하는 데 좋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ckground of developing guides to clinical performance and basic clinical skills and to introduce how to teach and learn using the guide. The students’ performance problems presented in an objective clinical skills examination were disease-centered tertiary hospital clinical care, incomplete performance, doing by rote, and an exam-oriented learning attitude. The problems were caused by a tertiary hospital-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schools and faculty who are unfamiliar with the concept of patient-centered care. The purpose of the guide to clinical performance and basic clinical skills i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address the causes. The guides show a clinical presentation approach to primary care; clinical care integrated wit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 schematic approach; and a patient-centered attitude. To achieve these goals, a strategy to change the educational culture is important. Curricular reform, faculty development, and improv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re suggested.


Keywords: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Clinical competence, Psychomotor performance

Corresponding author

HyeRin Roh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5 Bokji-ro, Busanjin-gu, Busan

47392, Korea

Tel: +82-51-890-8811

Fax: +82-51-893-9600

E-mail: hyerinr@gmail.com

http://orcid.org/0000-0002-3879-709X

Received: September 20, 2016

1st revised: October 23, 2016

Accepted: October 24, 2016

임상실습 준비를 위한 섀도잉(Neer-peer shadowing)프로그램 개발 팁(Med Teach, 2012)

Twelve tips for developing a near-peer shadowing program to prepare students for clinical training

SIMON R. TURNER, JONATHAN WHITE & CHERYL POTH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도입

Introduction


의학 교육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는 의대에서 전임상 과정에서 임상 과정으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은 임상 학습 환경과 임상실습생으로서의 새로운 역할에 익숙하지 않으며 (Prince et al. 2005) 적절한 기능을 수행 할 수있는 충분한 지식과 기술없이 임상 훈련을 시작합니다 (Windish et al. 2004).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학생들은 이 과도기를 모든 의대 기간 중 가장 어려웠다고 말하며 (Radcliffe & Lester 2003), 정신과적 증상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Chandavarkar 외. 2007).

The most challenging phase of medical education is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training in medical school. Students are unfamiliar with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new role as clerks (Prince et al. 2005) and begin clinical training without sufficient knowledge and skills to function adequately (Windish et al. 2004). Because of these challenges, students identified this transition period as the most difficult in all of medical school (Radcliffe & Lester 2003) and may experience high levels of stress and anxiety, as well as more severe psychiatric symptoms (Chandavarkar et al. 2007).



임상 훈련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하는 한 가지 효과적인 방법은 전임상 시기의 학생이 자신과 가까운 임상 실습생의 직무를 관찰하고 참여하는 근 피어 (near-peer) 섀도잉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Alford & Currie 2004) .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임상 환경에 소개되고 임상 교육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Lave and Wenger (1991)의  situated learning 및 legitimate peripheral practice theories을 적용한 것입니다. 학습자들은 neer-peer tutor와의 인지적, 사회적 합치congruence 경험으로부터 배우며, tutor들은 가르치는 과정에서 이익을 얻습니다 (Ten Cate & Durning 2007).

One effective way of easing the transition to clinical training is through the use of a near-peer shadowing program, in which pre-clinical trainees observe and participate in the job of a clinical trainee close to them in education level (Alford & Currie 2004). Learners are thereby introduced to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are taught knowledge and skills relevant to clinical training. Such programs are an application of the situated learning and legitimate peripheral practice theories of Lave and Wenger (1991). Learners benefit from the cognitive and social congruence they experience with their near-peer tutors, whereas the tutors themselves benefit fromthe teaching process (Ten Cate & Durning 2007).






Ti p 1 프로그램의 목표와 목적을 확인하고 명확히 말하십시오.

Ti p 1 Identify and articulate your program’s goals and objectives



그러나 임상실습을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프로그램을 최근 검토 한 결과, 많은 경우에서 분명히 명시되고 측정 가능한 목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oncelet & O'Brien 2008). 개입의 목표를 명확히 밝히는 것은 특히 피어링 상호 작용이 외부에서 모니터되거나 제어되지 않을 수있는 피어 투 피어 프로그램에서 중요합니다. 학습자와 튜터 모두에게 일련의 학습 목표를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활동이 목표에 부합하도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우리 프로그램에서 학습 목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출발점을 형성했으며, 프로그램 시작과 모집 중 모든 참가자에게 일정한 간격으로 배포되었습니다.

Yet, a recent review of programs designed to prepare students for clinical training found that many lacked clearly stated and measurable objectives (Poncelet & O’Brien 2008). Clearlystating the goals of an intervention is especially relevant in anear-peer program, in which the teaching interactions may notbe monitored or controlled externally. By providing a set oflearning objectives to both learners and tutors, you can help toensure that the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your program arealigned with your goals. In our program, learning objectivesformed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and were distributed to all participants during recruitment,at the start of the program and at regular intervals during theyear as a reminder.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프로그램 활동을 조정하십시오

Ti p 2 Align program activities with the breadth of students’ needs


프로그램의 목표와 활동은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반영되어야합니다. 임상 훈련을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방법을 논의 할 때, 학생들에게 이러한 전환이 야기하는 문제점의 폭을 알아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들은 또한 임상실습과정에서 필요로하는 지식과 기술 측면에서 부족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임상 단계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과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은 학생들이 임상 훈련에 참여하게 되었을 때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불안, 심지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Chandavarkar 외. 2007).

The program’s objectives and activities should be aligned with, and reflective of, students’ needs. When discussing how to prepare students for clinical training, it is important to note the breadth of the challenges this transition poses for students. They may also be poorly equipped in terms of th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by clerks, which are vastly different from those needed to succeed in pre-clinical training. These shortcomings may produce high levels of stress, anxiety, and even depres- sion in students as they approach and enter clinical training (Chandavarkar et al. 2007).


적절한 학습자 집단를 목표로 삼는다.

Ti p 3 Target an appropriate learner population


전통적인 4 년제 커리큘럼에서는 학생들에게 1, 2 학년에 임상 교육을 준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1 학년 학생들은 다양한 임상 전문 분야를 경험할 때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훈련하기가 더 쉽습니다. 그러나 2 학년 학생들은 구축해야 할 지식 기반이 강하고 임상실습 기간에 가까워서 섀도잉 프로그램으로부터 더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상적인 해결책은 1학년때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2학년의 전임상과정에서도 예비 임상 훈련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하여 1학년과 2학년 교육의 이점을 이용하는 장기적인 섀도잉 경험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인터뷰에 응한 학생들은이 프로그램을 즐겁고 유익한 것으로 묘사했으며 한 학생이 "1 학년 (의대)에서 가장 가치가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 a traditional four-year curriculum, a program to prepare students for clinical training could be provided to students in either their first or second year. First-year students may be easier to train as they may be more enthusiastic and more open to experiencing different clinical specialties.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however, have a stronger knowledge base upon which to build and may benefit by being closer in time to the clinical period for which such a program is meant to prepare them. The ideal solution may be to initiate a program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 and continue the program throughout the full two years of pre-clinical training, creating a long-term shadowing experience that takes advantage of the benefits of both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Students in interviews described the program as being enjoyable and highly informative, and one student reported ‘‘it’s definitely got the most value of all of first-year (medical school).’’



적절한 튜터 집단 선택

Ti p 4 Select an appropriate tutor population



near-peer 학습의 이점을 활용하여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려면 이러한 쉐도잉 프로그램의 교사는 직원이나 의사가 아닌 레지던트 또는 의대생이어야합니다. 레지던트들은 의대생에게 효과적인 교사라는 것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습니다 (Minor & Poenaru 2002). 학습자와 교사 간의 나이와 수련단계 상의 격차를 줄이면 학습자 자신과 비슷한 인지 체계에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감적이고 이해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o optimize the learning environment by taking advantage of the benefits of near-peer learning, the tutors in such shadowing programs should be either residents or senior medical students, and not staff physicians. Residents have repeatedly been shown to be effective teachers of medical students (Minor & Poenaru 2002), as have senior medical students (Alford & Currie 2004). Reducing the age and training gap between learner and tutor leads to teaching delivered in a cognitive framework more similar to the learner’s own 2008) more (Lockspeiser et al. and may help create a empathetic and understanding learning environment.


레지던트는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임상 지식과 기술은 물론 1 년 내에 여러 임상 전문 분야를 거쳐야하는 경향이 있어 1년차 레지던트가 다양한 학습 환경에 학생들을 노출시키는 이상적인 교사가됩니다.

Their relatively high level of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as well as their tendency to rotate through several different clinical specialties in a year also make first-year residents ideal tutors, exposing students to a variety of learning environments.




Ti p 5 자발적이지만 보상이 있는 튜터 참여 유도

Ti p 5 Make tutor participation voluntary but rewarding



자원 봉사자 교사의 여러 가지 잠재적 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참여를 요청받은 교사보다 참여에 열성적 인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열정은 교육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에서 학생과 교할 가능성이 커지고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보다는 더 많은 기여를 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우리 자신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과 레지던트 모두 자원 봉사자 교사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There are several potential advantages to the use of volunteer tutors. First, they are likely to be more enthusiastic about participation than tutors who have been required to partic- ipate. This enthusiasm, in turn, may make them more likely to engage with their student from both an educational and a personal standpoint, and more likely to want to contribute more than the bare minimum of time and effort. Both students and residents involved in our own program stressed the importance of using volunteer tutors.


그러나 적절한 수의 교사를 얻으려면 모집 인센티브를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은 교사의 프로그램 디렉터 또는 학장에게 교사의 참여를 기록하는 서면이나 교사 양성 증서, 참여 증서를 포함하여 참여를 장려하는 몇 가지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However, in order to obtain adequate numbers of tutors, recruitment incentives may need to be employed. Participants in our program suggested several such method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including teaching credits, a certificate of participation, or a letter documenting the tutor’s involvement written to the tutor’s program director or dean.



Ti p 6 튜터가 의학 지식 그 이상을 가르칠 수 있도록 준비 시키십시오.

Ti p 6 Prepare your tutors to teach more than medical knowledge


학습 목표는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충분하지 않습니다. 학습자 뿐만 아니라 튜터들도 목표를 명확히 통보 받아야 세션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튜터의 교육효과는 짧은 튜터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튜터 훈련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기 위해 노동 또는 자원 집약적 일 필요는 없습니다.

Learning objectives are essential for a successful program, but they are not on their own sufficient. The tutors, as well as the learners, should be explicitly informed of the objectives so that they have an idea of how to shape their sessions.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utors can be enhanced through a short tutor-training program. they need not be labor or resource intensive to be effective.


니어 피어 쉐도우잉 프로그램은 임상 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A near-peer shadowing program offers the potential to reduce students’ anxiety and stress regarding clinical training,


튜터는 임상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는 대신 임상 교육의 교육적, 육체적, 정서적 스트레스와 그러한 스트레스를 다루는 수단을 다룰 준비가 되어 있어야합니다.

Tutors should be prepared to address the educational, physical, and emotional stresses of clinical training and means for handling such stresses, instead of focusing sessions exclusively on clinical topics.



Ti p 7 프로그램 목표에 가장 잘 부합하도록 학습자-튜터 매칭을 최적화하십시오

Ti p 7 Optimize the method of matching learners to tutors to best suit your program goals


학습자가 임상 전문 분야 또는 성별을 기반으로 레지던트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면, 처음부터 파트너에게 공통점을 부여하는 이점을 가지며 비 의학적 주제에 대해 더 많은 토론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여학생들은 특히 여성 멘토와 가족 계획 및 경력 문제를 논의하는 데 관심이 있었고 여성 멘토가 부족한 문제도 확인된 바 있다 (Straehley & Longo 2006). 


그러나 몇몇 학생들은 무작위로 선생님을 배정했기 때문에 스스로는 찾아나서지 않았을 임상 전공이나 세팅을 경험하게되어 전임상 교육에 가치있는 다양성을 더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allowing learners to select their resident based on clinical specialty and/or gender has the advantage of giving the partners something in common from the outset and may encourage more discussions about non-medical topics.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were interested in discussing family planning and career issues with a female mentor, challenges that, together with a lack of female mentors, have also been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Straehley & Longo 2006). However, several students noted that random assignment of tutors lead to the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specialties and settings that they would not have sought out on their own, adding valuable variety to their pre-clinical training.



적절한 튜터-학생 관계의 발전을 유도하라

Ti p 8 Foster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tutor–student relationship


우리가 개발 한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은 프로그램 성공의 핵심 요소가 학생과 튜터의 관계 발달이라고 보고했습니다. 학생들은 그들의 레지던트를 '친구', 멘토 ''또는 ''큰 누이처럼 ''보았습니다. 이 관계로 인해 질문을 하고, 지식 부족을 인정하고, 스트레스 및 라이프 스타일과 같은 비 의학적 문제에 대해 토론하는 것을 더 편하게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는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학습자와 튜터의 고정된 일관된 페어링을 사용하고 튜터들로 하여금 단순히 교사teacher가 되는 것 외에도 학생들에게 멘토가 될 수있는 잠재력을 orienting함으로써 튜터와의 관계를 장려 할 수 있습니다.


In the program that we developed, participants reported that a key element in the success of the programwas the relationship that developed between the student and tutor. Students came to view their resident as a ‘‘friend’’, mentor’’, or ‘‘like a big sister’’ and, because of this relationship, felt more comfortable asking questions, admitting their lack of knowledge and discussing non-medical topics such as stress and lifestyle. Such a relationship can be encouraged through the use of fixed, consistent pairings of learner and tutor throughout the program, and by orienting the tutor to the potential to be a mentor to their student in addition to simply being a teacher.



Ti p 9 실질적인 (임상)경험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십시오.

Ti p 9 Base the program in practical experiences


학습자는 전문성, 의사 소통 및 팀워크를 관찰하고 연습 할 수 있으며, 실제 질병 과정이있는 실제 환자에게 자신의 의학 지식과 기술을 적용 할 수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Learners can observe and practice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and teamwork, and are given a chance to apply their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to real patients with real disease processes.


게다가 공식적인 강의식didactic 교육은 피해야한다. 우리 자신의 프로그램에는 각 세션마다 예정된 토론 주제가 포함되어 있는데, 학생과 레지던트는 "강제적 인"및 "인공적인"것이라고 밝혔으며,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의 가장 덜 효과적인 부분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우리는 didactic teaching도 나름의 위치가 있다고 믿지만 그것이 섀도잉 프로그램 안에 있지 않다는 것을 믿습니다.

Furthermore, formal didactic teaching should be avoided. Our own program included a scheduled discussion topic with each session, which the students and residents found to be ‘‘forced’’ and ‘‘artificial’’ and were consistently rated as the least effective part of the program. We believe that didactic teaching has its place, but that it is not within a shadowing program. 






교사와 학생들이 학습 경험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라

Ti p 10 Give tutors and students control of the learning experience



학습 목표는 강요mandate 사항이나 체크리스트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지침guide이 되어야합니다. 학습자와 튜터는 병동, 응급실 또는 수술실, 낮이나 저녁 등에서 섀도잉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어야합니다. 튜터는 (그리고 일정 정도까지는 학생 자신도) 어느 정도의 임상 경험이 학생에게 가장 유용 할지를 가장 잘 판단 할 수 있습니다

Learning objectives should not be viewed as a mandate or a checklist, but rather as a guide.Learners and tutors should be allowed to decide whether they want to shadow on the ward, in the emergency room or in the operating room, during the day, the evening, or overnight. Tutors, and to a certain extent, students, may be the best judges of what aspects of the clinical experience would be most useful to students


학습자와 튜터 쌍이 자신의 유기적 경험을 생성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스스로 식별한 약점과 요구 사항과 관심사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By allowing learner and tutor pairs to generate their own organic experience, they are able to focus on the learner’s self-identified weaknesses and needs, as well as their interests.




Ti p 11 장기간에 걸쳐 프로그램 실시

Ti p 11 Conduct the program over a long-term period


학습자와 튜터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또 다른 방법은 오랜 기간 동안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대다수의 준비 프로그램은 1 주일에서 1 주일까지만 검토되었으며 (Poncelet & O'Brien 2008), 우리 프로그램은 매월 한 달에 8 개월 동안 열렸다. 학생들은 각각의 반복 된 상호 작용이 튜터와 좀 더 편안한 관계를 이루게 해 주었고, 이것은 매번 소개팅blind date하듯 새로운 supervisor를 만나는 것과 다르다고 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프로그램의 또 다른 이점은 마주 치게되는 임상 시나리오의 양과 다양성이 증가한다는 것이고, 이로 인한 학습 성취이다. 

Another way to strengthen the learner–tutor relationship is byconducting the program over a long period of time. Althoughthe vast majority of the preparatory programs studied in arecent reviewlasted only between 1 day and 1 week (Poncelet& O’Brien 2008), our own program took place once a month for 8 months, and students found that each repeated interac- tion further developed their comfort level with their tutor, as opposed to having to get to know a new supervisor each time in a series of ‘blind dates.’ The other advantage of a long duration program is an increase in the volume and variety of the clinical scenarios encountered and the learning accomplished.


Ti p 12 변화를 위해 교수진 임상 교육자를 준비 시키십시오.

Ti p 12 Prepare your faculty clinical educators for change



near-peer shadowing 섀도잉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마지막 단계는 그러한 프로그램이 학생과 교사에게 가질 수있는 긍정적 인 영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만약 프로그램이 성공적이라고 가정하면 학생들은 임상 교육을 더 잘받을 수 있습니다.

The final step in implementing a near-peer shadowing program is taking advantage of the positive impact such a program can have on students and tutors. Assuming your programis successful, your students will be better prepared for clinical training. 


학생들의 성과 향상을 예상할 수 있다면, 교육자는 학생들을 임상 교육 환경에 더 빠른 속도로 통합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됩니다.

Anticipating improved performance by students gives educators a chance to accel- erate the integration of students into the clinical teaching environment. 


또한 그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튜터는 우수한superior 교수법을 습득할 것입니다. 학생들과 레지던트들의 교육에 가능한 한 많이 참여시킴으로써 얻게 된 열정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자 풀을 활용하십시오.

Furthermore, tutors who participate in such a program will develop superior teaching skills. Take advantage of this enthusiastic and effective pool of educators by involving them as much as possible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and fellow residents.


학생들이 변화의 원동력이 될 것이며, 그들의 경험을 통해 프로그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기대하십시오. 학생들이 프로그램의 단점을 가장 잘 판단 할 수 있기 때문에, 피드백이나 임상참여를 더 늘려달라는 학생의 요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nticipate that students will be the drivers of change, and that their experiences can be used to improve the program. Be attentive to requests such as for more feedback or increased clinical involvement, as the students may be the best judges of the shortcomings of the program.






Conclusion





 2012;34(10):792-5. doi: 10.3109/0142159X.2012.684914. Epub 2012 Sep 21.

Twelve tips for developing a near-peer shadowing program to preparestudents for clinical training.

Author information

  • 1University of Alberta, Canada. sturner@ualberta.ca

Abstract

BACKGROUND:

One effective way to help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clinical training is the implementation of a near-peer shadowing program, in which pre-clinical trainees shadow clinical trainees.

AIMS:

This article describes techniques for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a near-peer shadowingprogram in the hope of improving the preparedness of students for clinical training.

METHOD:

A list of 12 tips were developed by combi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a reflection upon the authors' own experiences with developing a near-peer shadowing program, in which first-year medical students shadowed first-year residents.

RESULTS:

Both successes and failures were identified, both in the literature and in the author's own experiences. These can be use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grams.

CONCLUSIONS:

near-peer shadowing program has the strong potential to play a key role in preparing students to enter clinical training. These 12 tips, drawn from the literature and our own experience, will maximize the benefits for both student and tutor learning and minimize the potential pitfalls encountered by other programs.

PMID:
 
22994567
 
DOI:
 
10.3109/0142159X.2012.68491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쉐도잉(neer-peer shadowing)을 통한 임상실습 준비 향상 (Med Educ, 2014)

Enhanced clinical preparation using near-peer shadowing

David G Brauer, Rick Axelson, Jeff Emrich, Jane Rowat & Haraldine A Stafford



해결 된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What problems were addressed?


의과대학 교육에서 전임상 시기에서 임상실습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시기는 없을 것입니다. 그들이 임상실습 분야에 뛰어 들었을 때, "보고, 해보고, 가르친다"라는 말이 신속한 교육 및 기술 습득을 위한 최고의 모토가 된다. 그러나 우리는 임상시기에 '해볼' 때가 되기 전까지, 전임상 시기의 학생들이 '볼' 수 있게 해주는 기준이 전혀 없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In medical student education, perhaps no period is more challenging than the transition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learning. As they entered the clinical arena, in which the motto ‘see one, do one, teach one’ reigns supreme for rapid teaching and skills acquisition, we recogni- sed there was no standard that enabled pre-clinical students to ‘see’ their role on a team before they were required to ‘do’ it.




무엇을 시도 했습니까?

What was tried?


우리는 아이오와 카버 의과 대학 (Iowa City, Iowa, USA)에서 마지막 전임상 학기에 의과대학생과 PA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 주도의 가까운 피어 섀도우잉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Near-peer learning학습은 이러한 세션에서 일반적으로 더 많은 고학년 학생들을 신뢰할 수있는 역할 모델인 교사로서 활용한다.

We developed a student-initiated, near-peer shadowing programme for medical stu- dents and physician assistant-students in their final pre-clinical semester at the University of Iowa Carver College of Medicine (Iowa City, Iowa, USA). Near- peer learning utilises more senior students as teach- ers who are credible role models because they have advanced in the curriculum by successfully applying the skills commonly taught in such sessions.1


전임상 학생들은 몇 가지 입원환자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임상실습 학생교사student-teacher 와 쌍을 이루었습니다. 모든 참여자에 대한 expectations는 실습 1 주 전에 배포되었고, 교육 성과는 전자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습니다.

Pre-clinical students selected one morn- ing on one of several available in-patient services and were paired with a clinical student-teacher on that service. Expectations for all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1 week prior to the experience and out- comes were assessed using electronic surveys.




어떤 교훈을 배웠습니까?

What lessons were learned?


우리는 기존의 커리큘럼에 학생들의 임상학습을 준비하는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이 프로그램을 고안했습니다. 교수가 주도하는 임상 섀도잉은 학생들에게 clinical practice를 보여주지만, 학생들은 clinical learning에 대한 노출이 필요했다. 또한 임상 지식을 배워서 수행 한 것처럼, 어디에 가운을 벗어두어야 하는지, 어디서 점심을 먹어야하는지 등에 대한 많은 우려를 나타 냈습니다. near-peer learning은 'see one, do one, teach one'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만들었습니다. 전임상 학생들은 임상실습을 하기 전에 임상 학습에 대한 작지만 중요한 세부 사항을 관찰했으며, 임상실습을 하는 학생은 교육과 멘토링 경험을 얻게 된다.
We devised this pro- gramme to supplement the ways in which our curric- ulum prepares students for clinical learning. Clinically relevant educational sessions and shadow- ing led by faculty physicians expose students to clini- cal practice, but students needed exposure to clinical learning, and had expressed as much concern about where they should leave their coats or get lunch as they did over clinical knowledge. Near-peer learning crea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see one, do one, teach one’ approach: pre-clinical students observed small but important details of clinical learning before becoming clinical learners, and clin- ical students benefited by gaining teaching and mentoring experience.



기존 문헌에는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에 관한 보고가 거의 없다. 우리는 학생 (DGB)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추가 자금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near-peer teachers를 위한 강의 세션도 없고, 교수진의 헌신도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Few reports of related programmes exist in the health science literature. Ours is unique in that it was designed by a student (DGB) and required no additional funding, no instructional session for near- peer teachers, and no faculty member commitment.








 2014 Nov;48(11):1116. doi: 10.1111/medu.12589.

Enhanced clinical preparation using near-peer shadowing.

PMID:
 
25307653
 
DOI:
 
10.1111/medu.1258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레지던트들은 근무시간을 어떻게 사용할까? (Acad Med, 2016)

How Do Residents Spend Their Shift Time? A Time and Motion Study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Use of Computers

Lena Mamykina, PhD, David K. Vawdrey, PhD, and George Hripcsak, MD, MS





HIT와 EH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이들 기술의 impact가 중요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로는...

With the increasing focus on the dissemination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HIT) and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questions regarding the impact of these technologies on clinical practice become of paramount importance. Studies conducted thus far outline both

  • 장점 the benefits of HIT and EHRs, such as

    • reduction in medication errors and

    • improved patient outcomes,1,2 and

  • 의도하지 않은 결과 their unintended consequences, such as

    • reduced efficiency,

    • lower quality of care,

    • increased possibility of medical errors,3,4 and

    • disruptions in clinicians’ workflows, particularly if the design of the HIT or EHR does not match clinical work practices.5



HIT과 EHR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로 의사들이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여러 연구에서 HIT의 사용을 정확히 구분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EHT로 할 수 있는 일이 매우 많다.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HIT and EHRs, the actual patterns of clinicians’ use of these technologies remain poorly understood. Many studies do not discriminate between different types of tasks clinicians perform using electronic systems or only focus on particular types of HIT, such as

  • computerized provider order entry3,6,7 and

  • electronic documentation.8,9

However, the rich functionality of modern EHRs suggests that a wide variety of tasks related to patient care may now be performed using computing systems.


 

레지던트 워크플로우를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직접 환자를 보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매우 적고, 대부분의 시간을 educational and administrational task에 쏟는다. 이러한 현상은 수십년간 지속되어왔고, 레지던트의 시간 배분에 우려를 갖게 했다.

Previous studies of resident workflows suggested that physicians in training spend little time on direct patient care and the majority of their time on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tasks.10,11 These observations remained consistent for several decades,12,13 leading to a standing concern about residents’ time allocation.




방법

Method


세팅

Empirical setting


We conducted this time and motion study in June and July 2010 at NewYork- Presbyterian/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NYP/CUMC), a large urban teaching hospital in New York, New York. NYP/CUMC had over 2,300 beds and discharged over 110,000 patients in 2009, with an average length of stay of 6.4 days.16


We conducted this study with residents (first-, second-, and third-year) on the general medicine service.


In 2004, NYP/CUMC deployed a commercial EHR system (Allscripts Sunrise, Allscripts, Chicago, Illinois). Before that, NYP/CUMC used WebCIS, which was developed in-house. The Allscripts Sunrise EHR system included a number of modules, separated into tabs (e.g., results, flowsheets, orders). Most licensed independent practitioners entered their notes directly into the EHR via a keyboard and mouse as opposed to using dictation.



연구대상

Subjects


At the time of the study, 16 residents rotated on the general medicine service (8 second- or third-year residents and 8 interns). Four (25.0%) of these residents participated in a pilot study, conducted immediately prior to the study described here. Another 7 (43.8%) participated in the final data collection study—3 (42.9%) of these participants were interns, who began their first rotations 3 to 4 weeks prior to the study, and 4 (57.1%) were second- or third-year residents.



연구설계

Study design


This study used a time and motion design to allow us to capture data on clinical activities with a high level of detail.10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an experienced observer (L.M.) shadowed each participant for the 7 to 14 hours of their day shift (typically starting between 7:00 am and 8:00 am and ending between 3:00 pm and 9:00 pm). We did not include night shifts in the study. While shadowing participants, the observer captured all their activities using a custom-developed iPad application. Notably, the application allowed us to capture multiple activities simultaneously to account for multitasking (e.g., when participants were viewing a patient’s record while talking on the phone). The observer had extensive expertise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observations of clinicians’ use of electronic documentation systems17 and clinical work practices.18


용어

Taxonomy of clinical activities


Overhage 가 개발하고 Pizziferri 가 refine한 modified taxonomy of clinical activities를 사용

For this study, we used a modified tax- onomy of clinical activities developed by Overhage et al19 and refined by Pizziferri et al,20 which we expanded to allow for a fine-grained examination of computer-based activities. The final breakdown of the computer-based activities category is given in Table 2.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The analytic approach used in this study was inspired by the work of Zheng et al5 that described multiple analytical tools to visualize and uncover hidden regularities embedded in the sequential execution of patient care tasks in a clinical workflow. The frequencies and durations of activities were calculated using Excel (version 14.5.8 for Mac, Microsoft, Redmond, Washington).


Finally, we reviewed all field notes taken during observations and grouped them in accordance with the taxonomy based on the category of activities they referred to. We also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f notes and transcripts from interviews. These notes, transcripts, and themes were used to provide context and explanations for data captured with the time and motion study.





Results


 

활동의 일반 패턴

General patterns of activities



The total times spent by residents on different clinical activities per shift are presented in Table 1.


다양한 활동을 동시에 하므로 개별 시간의 합은 총 시간보다 많다

Notably, because the study allowed for the capturing of different activities that happened at the same time, the total time of captured activities (1,149.4 minutes) exceeded the total observation time per shift (720.2 minutes on average) by 429.2 minutes (59.6% of shift time), suggesting that 59.6% of residents’ time was spent multitasking.



컴퓨터 기반활동

Computer-based activities


표2

Table 2 presents a more detailed breakdown of the residents’ computer- based activities per shift.




활동 시각화

Visualizing activities


Figure 2 shows a heat map visualization of the activities captured for each participant during the observed clinical shifts.

 

환자를 직접 보는 상황

As is evident from the visualization, patient interactions (black) happened mainly in three different ways:

  • as part of the morning prerounding activities,

  • after rounds (usually to carry out the established care plans), and

  • sometimes before the end of the shift.

 

 

인턴과 레지던트의 차이: 인터뷰에서 응답자들은 higher level of skill이나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직접 환자를 만나는 것은 주로 인턴의 일이라고 생각했다.

The figure also shows that there was a visible difference in time spent with patients between interns and residents; the informal interview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interns as being primarily responsible for direct patient contact, unless it involved procedures that required a higher level of skill or expertise.

 

컴퓨터와 종이가 모두 사용되는 시간

Both computers and paper were most commonly used

  • in the morning while preparing for rounds,

  • after rounds to update care plans, and

  • later in the day to document changes in patients’ conditions and to check off completed to-do list items.

 

아침시간에 컴퓨터 활용은 paper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레지던트는 회진때 볼 용도로 중요한 EHR 자료를 종이에 옮겨적는다. 그러나 오후에는 컴퓨터의 사용은 communication사이사이에 tight하게 배치되어 있었는데, 레지던트들이 다른 사람과 전화 등으로 토론을 하기 때문이다.

In the morning hours, the use of computers was tightly coupled with the use of paper. During this time, the residents copied important bits of data from the EHR onto their paper notes to have this information available for rounds. In the afternoon, however, the use of computers was tightly interspersed with communication, as residents often engaged in discussions with others in person and on the phone while using computers.




고찰

Discussion


이전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레지던트는 전체 근무시간의 50% 이상의 시간을 컴퓨터를 쓰면서 보냈고, 직접 환자를 보는 시간은 10% 이하였다 그러나 우리가 찾은 차이는 이전 연구 (40% and 12%) 보다 더 두드러진 것이었다. 두 가지 요인을 밝혀준다.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our study showed that residents spend considerably more time interacting with computers (over 50% of their shift time) than in direct contact with patients (less than 10% of their shift time). The difference we found, however, was even more pronounced than what had been reported in earlier studies (e.g., 40% computer use and 12% patient care10). The study may have identified two factors that might contribute to the high level of computer use: inefficiencies in the design of the EHR system and an increasing reliance on computing systems for access to patient data. 



EHR 시스템 설계의 비효율성

Inefficiencies in the design of the EHR system


첫째, 컴퓨터 기반 활동의 대부분이 documentation과 관련된 것이었다(35%). 이는 이전 연구에 비해서도 높은 것이며 (21%), 우리 기관의 이전 보고와 비교해도 높다. 이러한 관측결과는 전자기록이 불가피하게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갖게 한다.

First, the study indicated that a signif- icant portion of the computer-based activities was dedicated to documentation (128.7 minutes, 35.3%). This finding is higher than similar findings in previous reports (e.g., 21% of time spent on documentation22,23), including a previous report from our institution.24 This observation raises a question about whether electronic documentation is inevitably time consuming



본 연구는 비효율적인 시간소모와 관련한 전자기록의 몇 가지 측면을 보여준다. 예컨대 레지던트는 9.3%의 시간을 note를 읽기보다는 notes의 목록을 보는데 쓴다. 이러한 상황은 레지던트가 주치의가 progress note를 "drop"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발생하는 것이며, 이 "drop"하는 것은 논의된 진료계획을 실제로 수행하기에 앞서서 '공식적'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새로운 note가 있을 때 EHR이 레지던트에게 알림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patient record의 분절이 있어서, patient data catetory에 여섯 개의 분절된 item들이 있고 레지던트들은 상당한 시간을 이 서로 다른 영역들로부터 자료를 통합하는 작업에 사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데스크탑 컴퓨터에 의존하는 방식과 환자에게 떨어져있는 위치는 레지던트가 환자를 직접 보면서 컴퓨터기반활동을 통합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한다.

This study may have highlighted several aspects of electronic documentation that contributed to inefficient use of time spent documenting. For example, residents spent 33.9 minutes (9.3%) of their shift time viewing the list of available notes rather than reading them. Our field notes suggested that these situations often occurred when residents were waiting for an attending physician to “drop” their progress note, which would make the discussed care plan official, before proceeding with the planned activities. Because the EHR did not alert the residents to newly posted notes, they had to periodically look for updates. In addition, the high degree of fragmentation in the organization of the patient record, reflected in the six distinct items within the looking-up-patient- data category (which corresponded to six different areas of the EHR containing patient data), may have required residents to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consolidating data from these different areas. Finally, the reliance on desktop computers and their positioning away from patients made it impossible for clinicians to integrate computer-based activities with more 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환자 자료 접근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에 의존 증가

Increasing reliance on computing systems for access to patient data



레지던터의 컴퓨터 기반 활동의 약 절반가량은 documentation과 관련된 활동이 아니라 환자자료를 열어보는 것 등등에 사용되었다.

Second, the study suggested that half of residents’ computer-based activities time was spent on activities not related to documentation but, rather, to

  • reviewing patient data (looking up patient data, 70.8 minutes [19.4%]);

  • managing and coordinating patient care (managing orders, 48.1 minutes [13.2%], and

  • communicating, 9.6 minutes [2.6%]); and

  • other activities (other, 24.0 minutes, [6.6%]).

 

이러한 결과는 patient care의 delivery는 오더와 to-do list의 잦은 업데이트를 필요로 함을 시사하며, 그래야 patient care team이 각자의 역할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비공식 인터뷰에서 레지던트들은 신장내과와 같은 분과 로테이션을 경험한 경우 환자 접촉에 덜 의존하고 EHR에 저장된 정보에 더 의존한다고 응답하였다.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환자 자료의 양이 많아지고 풍부해질수록 이러한 경향은 더 심해질 것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이러한 자료를 해석하는데 환자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컴퓨팅 시스템이 환자와 의사간의 engagement를 diminish하기보단 facilitate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livery of patient care necessitates frequent updates to orders and to-do lists to allow members of patient care teams to carry out their respective responsibilities in an efficient and effective manner. Moreover, during the informal interviews, residents who previously completed specialty rotations, such as nephrology, reported decreased reliance on patient contact and increased reliance on information stored within the EHRs (e.g., the available laboratory test results). With the growing amount and richness of patient data available only through computing systems, these trends are likely to amplify. Questions remain, however, as to the role of patients in helping clinicians to interpret these data and ways in which computing systems can help facilitate engagement between patients and clinicians, rather than diminish it.




Study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이미 의료행위는 컴퓨터 의존에 있어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 그렇다면 의사가 이것을 이용해야 하는가 마는가, 얼마나 이용해야 하는가가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위해 사용하고, 어떤 정도로 컴퓨팅 시스템이 진료행위를 support할 수 있는지 아는 것이다.

Arguably, the practice of medicine may have reached the “point of no return” in regard to its reliance on computing systems. The question then becomes not whether and how much clinicians should use computers, but what they should use them for and to what degree the use of computing systems can support clinical care activities.






 2016 Jun;91(6):827-32. doi: 10.1097/ACM.0000000000001148.

How Do Residents Spend Their Shift Time? A Time and Motion Study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Use of Computers.

Author information

  • 1L. Mamykina is assistant professor of biomedical informatics, Department of Biomedical Informatics,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New York. D.K. Vawdrey is assistant professor of clinical biomedical informatics, Department of Biomedical Informatics, Columbia University, and vice president, Value Institute, NewYork-Presbyterian Hospital, New York, New York. G. Hripcsak is chair, Department of Biomedical Informatics, Vivian Beaumont Allen Professor of Biomedical Informatics, Columbia University, and director, Medical Informatics Services, NewYork-Presbyterian/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New York, New York.

Abstract

PURPOSE:

To understand how much time residents spend using computers compared with other activities, and what residents use computers for.

METHOD:

This time and motion study was conducted in June and July 2010 at NewYork-Presbyterian/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with seven residents (first-, second-, and third-year) on the general medicine service. An experienced observer shadowed residents during a single day shift, captured all their activities using an iPad application, and took field notes. The activities were captured using a validated taxonomy of clinical activities, expanded to describe computer-based activities with a greater level of detail.

RESULTS:

Residents spent 364.5 minutes (50.6%) of their shift time using computers, compared with 67.8 minutes (9.4%) interacting with patients. In addition, they spent 292.3 minutes (40.6%) talking with others in person, 186.0 minutes (25.8%) handling paper notes, 79.7 minutes (11.1%) in rounds, 80.0 minutes (11.1%) walking or waiting, and 54.0 minutes (7.5%) talking on the phone. Residents spent 685 minutes (59.6%) multitasking. Computer-based documentation activities amounted to 189.9 minutes (52.1%) of all computer-based activities time, with 128.7 minutes (35.3%) spent writing notes and 27.3 minutes (7.5%) reading notes composed by others.

CONCLUSIONS:

The study showed that residents spent considerably more time interacting with computers (over 50% of their shifttime) than in direct contact with patients (less than 10% of their shift time). Some of this may be due to an increasing reliance on computing systems for access to patient data, further exacerbated by inefficiencies in the design of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PMID:
 
27028026
 
PMCID:
 
PMC4879085
 [Available on 2017-06-01]
 
DOI:
 
10.1097/ACM.0000000000001148
[PubMed - in process]


의도한 전체에서 추출된 부분의 합: 역량과 수련중 평가(Med Educ, 2009)

The sum of the parts detracts from the intended whole: competencies and in-training assessments

 

Elaine M Zibrowski,1 S Indu Singh,1 Mark A Goldszmidt,1 Christopher J Watling,1 Cynthia F Kenyon,1 Valerie Schulz,1 Heather L Maddocks2 & Lorelei Lingard3




 


도입

INTRODUCTION


캐나다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수련중평가in-training assessment, ITA를 CanMEDS  role에 따라 구조화해야 한다. 전형적인 형태는 ITAR(in-training assessment report)을 활용하여 감독자 의사가 피훈련자의 수행능력을 매 임상 로테이션 종료 시점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Canadian residency programmes are now required to structure their in-training assessment (ITA) processes around the CanMEDS roles. This typically involves asking the supervising clinician(s) to appraise train- ees’ performance at the end of every clinical rotation using an in-training assessment report (ITAR) which is platformed on the framework (Fig. 2).7


 


 

최근 레지던트의 CanMEDS 역할에 대한 인식에 관심이 모였고, 레지던트들이 역할들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함이 드러났다. 한 연구에서는 반 이하의 의사만이 CanMEDS 역할에 친숙하다고 했고, 다른 연구에서는 Health Advocate라는 역할이 레지던트에게 실체가 없다intangible고 응답했다. 그러나 각 역량이 어떻게 평가되는지와 피훈련자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가 없다.

Recent attention to residents’ perceptions of CanMEDS has identified shortcomings in their knowledge and appreciation of the roles. In one study, less thanhalf of resident doctors surveyedwere familiar with the roles and another study found the role of Health Advocate to be particularly intangible for residents.8,9 However, there has been no inquiry into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ay competen- cies are assessed and trainees’ perceptions of them.



비쥬얼 레토릭visual rhetoric 이론에 따르면, 한 문서의 구조가 메시지에 담긴 가치를 전달한다. 즉, '시각적 구조는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의상dress'가 아니라, 의미를 담고 있는 구조물construction이다.' 시각적 구조가 학습자의 태도와 행동에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 이전에도 보고된 바 있다. optometry record의 비쥬얼 레토릭 분석에 기반하면, 구조가 환자 데이터의 우선순위 설정에 영향을 주고, 진단 자료의 포함 여부와 배치에 대해서 틀리게 인식하게 한다.

The theory of visual rhetoric asserts that visual layout and the structure of a document have the potential to communicate value-laden messages: that is ‘visual structures …are not external ‘‘dress’’’,10 but, rather, they are constructions that carry meaning.11–13 The idea that visual structures can shape learner attitudes and actions in unintended ways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 visual rhetorical analysis of an optometry record, Varpio et al.14 postulated that its structure influenced learners’ prioritisation of patient data and produced a false sense of the ordering and inclusion of diagnostic data.



 

방법

METHODS


본 연구의 자료는 레지던트의 ITA에 대한 인식 조사의 한 부분으로 이뤄졌다.

The data described here were collected as part of a study exploring residents’ perceptions of their ITA.17


근거이론접근법에 따라서 preliminary 분석이 수행되었다.

Follow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18 preliminary analysis was carried out alongside data collection to facilitate the ongoing elaboration of emerging themes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and refined interview probes.


 

결과

RESULTS


참가자 인구통계, 주제

Participant demographics and emergent themes

 

 

 


CanMEDS 교육

CanMEDS education


포커스그룹에 참여한 레지던트들은 CanMEDS 기반 수련을 거의 받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은 CanMEDS 교육이 각 과에서 로테이션 시작할 때 Royal College에서의 공식 자료를 초반에 나눠주는 것 외에는 없다고 응답했다.

Focus group participants articulated that they had received little CanMEDS-based training. Most per- ceived their CanMEDS education to have been limited to their department’s circulation of official material from the Royal College at the beginning of a clinical rotation:


참여자들은 그러나 공식적인 CanMEDS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지 않았다.

Participants did not, however, perceive the need for a formal CanMEDS curriculum, explaining:


'저에게는 거의 상식같아요'

‘To me, a lot of that stuff is common sense.’ (R14)


CanMEDS 의 롤모델링은 거의 없다.

Role-modelling of CanMEDS-relevant behaviours was perceived as occurring only rarely:


'사람들은 롤모델 역할을 하지만, CanMEDS 프레임워크 방식은 아니다'

‘People role-model, but it’s not in the framework of CanMEDS.’ (R23)


대신, 참여자들은 ITAR이 각 역할에 대한 정보 주는 일차 출처 역할을 한다고 했다.

Rather,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 ITAR served as their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roles, explaining:


'내가 그걸 아는 이유는 평가지에 있기 때문이에요'

‘I just know them all because we see them on our evaluations.’ (R22)




역량에 대한 친숙함, 관련성

Familiarity and relevance of the competencies


비록 레지던트들이 CanMEDS 기반으로 수행능력이 평가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긴 했지만, 프레임워크에 그다지 친숙하지는 않았다. 몇몇 레지던트들은 각 역량의 이름을 옳게 알고 있는지 불확실해 했으며, 어떤 레지던트들은 하나도 제대로 이름을 말하지 못했다.

Although residents were aware that their perfor- mance assessments were CanMEDS-based, their familiarity with the framework was limited. Several individuals seemed unsure about whether the names of competencies they identified were actually correct and some had difficulty naming a single competency.


비록 대부분이 각 역할들이 의사로서 중요하게 갖춰야 할 특징을 대표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논의는 대체로 한 가지 특정한 역할의 협소한 정의에 초점을 맞추는 식이었다. 예를 들면, 한 역할 내에서의 enabling competencies에 대해서 말할 때, 레지던트들은 자신이 속한 전공에서 rate한 역할에 초점을 맞췄다.

Although most agreed that, overall, the roles repre- sented important attributes for doctors, their discus- sion seemed to focus on a narrow definition for any given role. For example, during the focus group, when speaking about enabling competencies within a role, residents tended to focus on the roles rated by their own department’s ITAR.


모든 역할들 중 레지던트들은 Medical Expert가 가장 관련되고 중요한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여기에 대한 논의는 이 역량을 주로 '의학과 과학 지식의 습득'에 대한 것으로 인식했다.

Of all the roles, residents tended to regard that of Medical Expert as being the most relevant and important. However, their discussion of it illustrated that they perceived this competency to primarily involve the acquisition of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개념들은 행동을 정의하는데 모호하다고 불만을 표했다.

Most participants compla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other competencies seemed nebulous in terms of its defining behaviours:


CanMEDS의 holistic한 철학과 다르게, 많은 참여자들이 각 역량의 중첩되는overlapping 것에 대해서 혼란스러워했다.

By contrast with the CanMEDS holistic philosophy, several participants seemed confused regarding the overlapping nature of the competencies:


레지던트들은 CanMEDS 가 근무 환경에 관련되어 있는것인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표했다. 이들의 회의적인 태도는 프레임워크가 모든 임상로테이션에 늘 적용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인식과 연관된다. 

Residents also questioned the relevance of CanM- EDS to their work environment. Their scepticism seemed related to the perception that the framework wasn’t always applicable to every clinical rotation:


일부 참여자들은 피훈련자들이 특정 역할을 능숙하게 발전시킬 기회게 제한된다고 했고, 특히 Health Advocate과 Manager에서 그랬다. 

Several participants discussed clinical contexts in which trainees might have limited opportunities to develop proficiency in particular roles, especially those of Health Advocate and Manager:



유사하게, 참여자들은 특정 수련 단계에서 일부 역할들의 관련성에 의문을 표했다.

Similarly, participants questioned the relevance of some roles to particular training levels:


'Resource management는 정의상 우리 레지던트보다는 주치의에게 해당된다'

‘Resource management, by definition, kind of falls on the attending more than on us as residents.’ (R9)

 




CanMEDS 기반 평가의 타당도

Validity of CanMEDS-based assessment


참여자들은 역량-기반 ITA의 타당도에 대해 우려했다. 피훈련자들은 ITA가 효과적이려면 교수와 레지던트가 함께 헌신하고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참여engagement에 있어서, 레지던트들은 어떻게 일부 bias가 역량-기반 평가에 방해가 되는지 의견을 주었다. 주된 비판은 각 로테이션에서 역량과 관계된 행동을 수행할performing, 그리고 그것을 누군가가 관찰할being observed 기회가 적다는 것이다.

Participants expressed concerns regarding the per- ceived validity of their competency-based ITAs. Trainees interviewed individually emphasised that joint commitment or engagement, by both faculty and residents, was critical in making ITA effective.17 However, within the context of engagement, resi- dents commented on how some sources of error bias could hinder competency-based assessment. The main criticism was that any given rotation often presented only limited opportunities for both per- forming and being observed performing behaviours relevant to the competencies:



'교수들은 우리가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보는 일이 별로 없다'

‘Staff don’t see you interacting with patients a lot of the time.’ (R20) 



이러한 제한된 관측은 과연 supervisor가 평가를 내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자신들을 보았는지enough exposure에 의문을 갖게 한다.

This perception of limited observation seemed to lead several residents to question whether their supervisors would have enough exposure to them to make legitimate performance appraisals:



고찰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일개 대규모 도시 의과대학에서의 레지던트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레지던트들이 일부 역량을 다른 역량보다 더 잘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더 중요한 것은, 피훈련자의 CanMEDS에 대한 전반적 인식이 왜곡되어distort 있으며, 이것은 ITAR에 노출되는 것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Our study involving residents from several programmes at one large, urban medical school confirms previous findings that trainees understand some competencies better than others.8,9 More important, we would argue, is the finding that trainees’ overall conception of CanMEDS appeared to be distorted, and this in turn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ir exposure to the ITAR.



우리는 레지던트들이 ITA 경험을 매개로 CanMEDS 역할을 알게 된다는 것을 찾았고, 이 과정에서 프레임워크의 원래 철학을 반영하지 못하는 구조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의료행위의 스펙트럼에 걸쳐서 통합되고 상호 보완적인 방식). 피훈련자들은 각각의 역량을 상호배타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We found that residents’ acquaintance with the CanMEDS roles was mediated by their ITA experi- ences, which may have served to produce an under- standing of the construct that was not reflective of the framework’s philosophy (i.e. complementary in nat- ure and integrated across the spectrum of medical practice). Trainees viewed the individual competen- cies as being mutually exclusive,


(최근의 수정에도 불구하고) ITAR의 전통적 구조는 여전히 남아 있다. 비주얼 레토릭은 이러한 전통적인 구조가 참여자가 ITAR 경험으로부터 이끌어낸 잠재적 의미에 주는 영향을 보여준다.

ITAR’s traditional structure of discrete items rated across Likert scales remained intact. Visual rhetoric provides a framework for exploring the influence of this traditional structure on the potential meanings extracted by participants from their ITAR experiences.


비주얼 레토릭 이론에 따르면, 시각적/비언어적 구조(목록 형식)가 각 항목이 서로 고립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일부 항목이 다른 항목에 대해서 우선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어떠한 의미와 가치가 들어간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ITAR에 관한 비주얼 레토릭 분석은 CanMEDS 를 둘러싸고 구성되는 의미와 프레임워크가 기반하고 있는 통합적 철학이 상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anMEDS 다이어그램의 트레이드마크는, 데이지 꽃으로 묘사되며, 여러 역할이 Medical Expert와 중첩되는 것을 보여준다. Expert는 중심에 위치함, 다른 것보다 더 큰 글씨체로 쓰여지고, 다른 꽃잎petal과 교차된다는 특권이 있다. 대조적으로 ITAR은 위계적인 형태로 우선순위를 보여주는 unique role을 목록으로 보여준다. Medical Expert가 가지는 특징은 목록에서 가장 상단에 위치한다는 것으로부터 암시될 수 있지만, 다른 역할과의 관계는 시각적으로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 각각의 역할은 여러개의 enbling competency로 분절화되어 별개의 sub-entity로 보여진다.

The theory of visual rhetoric approaches visual, non- linguistic structures, such as list formats, in which items tend to be isolated from one another and some items are given visual priority over others, as not being merely aesthetic. Rather, they can convey meaningful, value-laden messages.10–13 A visual rhe- torical analysis of the ITAR suggests that the meaning it constructs around CanMEDS conflicts with the integrated philosophy underpinning the framework. The trademarked CanMEDS diagram, which is depicted as a daisy, is visually organised so that the other roles overlap with that of Medical Expert. Expert is privileged by its central position, larger font and the fact that it intersects with all the other ‘petals’. By comparison, the ITAR lists unique roles which are prioritised in a hierarchical fashion. The prominence of Medical Expert may be suggested by its presence at the top of the list, but its relationship to the other roles gets little or no visual representa- tion. Furthermore, each role is fragmented into several enabling competencies, which are also presented as discrete sub-entities.




ITAR의 시각적 레이아웃은 의미를 전달하는 구조물이다. 이 레이아웃은 각 역할이 별개로 여겨지는 것처럼 보여주며, 그렇게 개별적 entity로 이해할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권위있는 기관의 문서이므로) 말하는 듯 하다. 이러한 비주얼 레토릭적 관점은 역량-바탕 프레임워크를 둘러싼 비판과도 일치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구체적인 역량의 장황한 목록을 만들어내나, 어떤 행동activity로 표현되었을 경우 그다지 원래의 의미를 반영하지 않는다'

The visual layout of the ITAR is a construction that carries meaning:11 it tells trainees that the roles are to be treated separately, that they can and (because this is a document with institutional authority) probably should be understood as distinct entities. This visual rhetorical perspective appears to be concordant with much of the criticism surrounding competency-based frame- works: ‘…this thinking tends to produce long checklists of specific competencies, formulated as activities that, in the end, do not quite reflect the original meaning.’1 (p 543)


역량-바탕 프레임워크가 이렇게 '분절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비판하면서, Huddle과 Heudebert는 '임상역량을 분절화하여 측정가능한 형태의 작은 단위로 나눠진 수행performance들은 '역량있는 의사'를 구성하도록 다시 합해지지 않으며, 그럴 수 있지도 않다'. 그러나 피훈련자들은 ITAR의 '작은 체크박스'의 맥락에서 CanMEDS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이러한 분절화anatomisation을 내면화하고 잇는 것으로 보이며, 일부 역할은 수행할 수 없고, 다른 총괄적 역할more global thing보다 Expert role에 더 초점을 맞춘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각각의 조각이 더해지면 원래 의도한 역량을 구성할 수 있는가'의 문제 외에도 ITAR에서 보여지는 항목이 피훈련자가 애초에 의도한 전체가 아니라 각각의 조각에 집중하게끔 만든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Critiquing the tendency of competency-based frame- works towards such ‘anatomising’, Huddle and He- udebert argue that ‘the measurable bits of performance that follow from anatomising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discrete learning objectives do not and cannot add back together to constitute the skill and ability of the competent physi- cian’.4 However, trainees still seemed to internalise the anatomisation as they talked about CanMEDS in the context of the ‘little boxes’ on the ITAR, of not being able to ‘practise’ some roles, and about the need to focus on the Expert role rather than on other roles, which are ‘more global things’. Our data suggest that, aside from the problem of whether the pieces ‘add up to the kind of competence we are actually interested in’,4 their presentation as items within the ITAR draws trainees’ attention towards these pieces and away from the intended whole.



Varpio 등, Lingard and Haber의 연구에서도 generic structure 를 학습자들이 지속적으로 접하게 되면, 그것을 rigid한 것으로 여기게 된다고 말한다. 그것이 마치 '규칙the rule'인 것처럼 여기게 되며, 비판적/창의적/유연하게 바라보지 못하게 된다. 우리 연구에서도 피훈련자들이 ITAR을 지속적으로 접하면서, CanMEDS의 전형이라고 여기게 된다.

The work of Varpio and colleagues14 and Lingard and Haber15,16 has highlighted the suggestion that when a generic structure is repeatedly encountered by medical learners, they may come to treat it rigidly. They may view it as being ‘the rule’ and have difficulty in approaching it critically, creatively or flexibly. Our results suggest that, as trainees continually encounter the ITAR, they appear to see it as the embodiment of CanMEDS.


레지던트들이 Medical Expert role이 가지는 지위가 중요하다는 점은 옳게 인식했지만, 이것이 '의학과 과학 지식, 임상 술기의 수준'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잘 못 인식하고 있었다.

Although residents appeared to correctly perceive the prominent position of the Medical Expert role, they incorrectly viewed it as referring solely to the level of one’s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clinical skills.


더 나아가서, 비록 이러한 인식이 우려할 만한 것이긴 하나, 이것을 레지던트들이 그 역할들을 personally enact한다고 해석해서는 안된다. 피드백의 전달에 대해서 우리가 아는 바와 유사하게, 어떤 역할이 특정 의료행위에서 더 salient한지를 생각해야 할 사람은 교수일지도 모른다.

Further, although this lack of recognition is concerning,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ndicating that residents do not, in fact, personally enact the roles. In a manner that echoes what we know about the delivery of feedback,19,20 it may be that faculty need to be more overt in thinking aloud about which roles are salient in a particular practice and labelling these.


19 Kogan JR, Bellini LM, Shea JA. Have you had your feedback today? Acad Med 2000;75 (10):1041.






 


 


 


 


 




 2009 Aug;43(8):741-8. doi: 10.1111/j.1365-2923.2009.03404.x.

 

The sum of the parts detracts from the intended wholecompetencies and in-training assessments.

Author information

  • 1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ondon, Ontario, Canada. elaine.zibrowski@schulich.uwo.ca

Abstract

OBJECTIVES:

Despite the fact that Canadian residency programmes are required to assess trainees' performance within the context of the CanMEDS Roles Framework, there has been no inquiry into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framework and their in-training assessments (ITA). Using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of ITA, we explored residents' perceptions of these competencies.

METHODS:

From May 2006-07, a purposive sample of 20 resident doctors from internal medicine, paediatrics, and surgery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ITA experience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eded in an iterative fashion consistent with grounded theory. In April 2008, a summary of recurrent themes was presented during a focus group interview of another five residents to afford further elaboration and refinement of thematic findings.

RESULTS:

The in-training assessment report (ITAR) was perceived as a primary source of residents' information on CanMEDS. Residents' familiarity with the set of competencies appeared to be quite limited and they possessed narrow definitions of the roles. Several trainees questioned the framework's relevance and some appeared confused about the overlapping nature of the roles. Although residents viewed the central Medical Expert role as the most relevant and important competency, they incorrectly perceived it as only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medi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 visual rhetorical analysis of a typical ITAR suggests that the visual features found within this assessment tool may be misrepresenting the framework and the centrality of the Medical Expert role.

CONCLUSIONS:

Resident doctors' knowledge of CanMEDS was found to be limited. The visual structure of the ITAR appears to be a factor in residents' apparent distortion of the CanMEDS construct from its original holistic philosophy.

PMID:
 
19659487
 
[PubMed - indexed for MEDLINE]

 

007 살인면허 (KJME, 201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연수원

이윤성





어쨌든 면허(license)란 본디 “국가나 권위 있는 기관이 특 정의 행위나 영업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일”을 의미한다. 따라서 면허에는 허가하는 특정 행위가 따른다. 007 살인면허 의 ‘살인’도 행위이고, 운전면허의 ‘운전’도 그러하다. 그런데 의사면허의 ‘의사’는 행위나 영업을 일컫는 말은 아니다. 다시 사전을 보면, 면허에는 허가한 행위를 할 수 있는 자격 (certificate)의 의미도 있다. 아마도 의사면허는 의사의 자격 을 국가가 증명한 것인가 보다.


의사면허는 의사 자격과 함께 ‘진료행위’ 면허를 함께 의미 하는 것으로 본다. 즉, 의사면허를 가지면 의사라는 자격과 동 시에 진료를 할 수 있는 면허를 모두 취득한다. 대한제국 때에 초기 의사들에게는 의사면허를 부여하지 않았다. 1908년에 첫 의사면허가 발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현상은 미국도 마찬가지였다. 의사가 부족하던 때에 의사면허는 동시에 의 사 자격과 진료 면허를 의미하여도 문제가 없었다.


의사 자격은 한 번 취득하면 영원하다. 마치 박사 학위와 같다. 의사 자격이란 의학을 전공하고 사람의 몸이나 질병, 건강 등에 대하여 일정한 지식이나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는 의미 일 터이고, 진료 면허는 의사 자격을 가진 사람 가운데 다른 사람을 대상으로 질병 치료나 건강 증진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는, 즉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다룰 수 있는 허가라고 보아야 한다. 나는 의사 자격은 있되 진료 면허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의사 자격과 진료 면허를 구별하는 까닭은 의사 자 격은 해당하는 사람의 자격이지만, 진료 면허는 다른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일이기 때문이다. 당연히 진료 면허를 유지하려면 조건이 필요하다. (운전면허도 제2종은 9년마다 갱신해야 한다.) 대부분 나라에서는 진료 면허를 유지하는 조 건으로 교육을 요구한다. 전문직에는 당연히 필요한 평생의 학교육(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이다. 평생교 육은 우리나라에도 연수교육이라는 형태로 있다. 있지만 연 수교육을 이수하지 않더라도 특별한 불이익이 없다. 아니다! 의료법에는 처벌 규정이 있지만, 연수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해서 처벌 받은 의사가 있다는 말을 아직 들어본 적이 없다.


이제 의사 자격과 진료 면허를 구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당 연히 진료 면허는 의사 자격을 가진 사람 가운데 진료 수행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만 부여해야 한다. 이와 유사한 개념은 다른 나라에도 있다. 미국에서 독립진료면허(license to practice medicine without supervision)는 USMLE step 3 에 합격하여야 한다. 이 시험에 응시하려면 의사(M.D.)로서 국내 졸업생은 1~2년(주마다 다름), 외국 의대 졸업생은 3년 의 수련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USMLE step 3에 합격하지 않더라도 의사지만 진료를 할 수 있는 면허는 없다. 다만 전공 의 과정처럼 지휘 감독을 받으면서 진료를 할 수 있을 뿐이다. 일본에는 졸업 후 임상연수(卒後臨床硏修) 과정이 있다. 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2년 동안 임상수련을 받지 않으면 (달리 시 험은 없지만) 개업을 할 수 없다. 영국에서는 의사국가시험이 없다. 여러 영연방국가도 그렇다. 의과대학을 졸업하면 의사 자격(M.D.)을 얻고 1.5년 정도 수련을 받아야 등록된 의사 (registered physician)가 된다.


우리 사회는 실력 있는 의사보다는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의 사를 바라고 있다. 그것도 친절하고 자신을 잘 이해해 주는 의 사를 바란다. 사회가 바라는 의사 상(像)이 바뀌었다면 의학 교육도 당연히 바뀌어야 한다. 죽지 않았다면 변하지 않는 것 은 없다.









Korean J Med Educ > Volume 22(2); 2010 > Articl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10;22(2): 89-90. doi: http://dx.doi.org/10.3946/kjme.2010.22.2.89

007 살인면허
이윤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연수원
Certificate or License
Yoon-Seong Lee
National Teacher Training Center for Health Personne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Yoon-Seong Lee ,Tel: +82.2.740.8352, Fax: +82.2.764.8340, Email: yoonslee@snu.ac.kr
Received: 20 May 2010;  Accepted: 27 May 2010.


수련교육의 검토와 반성

글·이 무 상 􄦢

연세의대 교수






Ⅰ. 들어가면서 


모든 고위 전문직은 완전 자유시장 체제를 선호하지만 구호에 그치고 있다. 모든 나라에 서 모든 전문직업인에 대한 통제는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의료인에 대한 통제는 어느 나라에서나 강화 일변도이다. 예로서, 의과대학의 의학 - 기본교육(BME, Basic Medical Education ; 과거의 UME)1)후에 졸업 또는 면허시험에 합격하였다고 의사로 인정하는 나라는 없어져 가고, 의대 졸업 직후의 의사 면허 취득자는 의료에 입문할 자격을 취득하였다고 보는 것이 세계적 조류이다. 즉, 많은 국가는 의대 졸업생이 일정 수준의 졸업후 교육(PME,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 =GME)인 전공의 수련(residency program)을 받아야 의사로 인정 한다. 

    • 전형적인 예가 미국이다. 미국은 의사면허가 연방면허가 아니라 주 면허이기 때문에 자치령을 포함하여 54개 의사면허 관리기구가 있다. 대부분의 주는 의대 저학년 재학 중에 지식 검증위주의 USMLE Ⅰ과 고학년에서 USMLE Ⅱ-CK(clinical knowledge)와 졸업 전후 에 USMLE Ⅱ-CS(clinical skill)를 합격해야 졸업 후에 병원에 의사 - 수련자(수련의)로서 취업 이 가능하다. 즉, 의대 졸업 후 병원 취업 전에 최소 3개의 면허시험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 리고 다시 의사 - 수련자로서 그 주에서 1~3년 근무를 해야 USMLE Ⅲ에 대한 응시자격이 생기고, 합격해야 그 주의 의사면허가 발급되어서 그 주에서만 독립 진료와 수련 및 연수가 가능하다. 엄격히 말하면 이때부터 의사이다. 물론 전문의 자격은 의사면허 취득과정인 수 련의 과정과 중복되어 진행되지만 그 의미는 별도의 해석 과정으로 집행된다. 
    • 일본에는 미 국보다는 덜하지만 유사한 제도가 재작년부터 도입되었다. 의대 재학 중에 Kyoyo Test(共用 試驗)를 거치고, 의대 졸업 직전에 의사면허시험을 거치고, 합격 후에 기본 수련 2년을 거쳐 야 의사면허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 영국, 프랑스, 호주, 독일 등도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1) 미국을 중심으로 사용하여 왔던 의과대학 교육을 의미하는 UME(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의사양성교육으로서의 졸업전 교육)는 학문기초교육을 하는 학부교육인 UE(Undergraduate Education)와 유사하다. 그러나 school system(학제)로서의 의사양성교육과 정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직업교육인 의학교육으로서의 기본, 기초교육이란 의미로 WFME(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 WHO 후원기관)은 BME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런 변화가 늦었지만 국내에서도 시도된다. 지난 5월 26일 보건복지부와 보건사 회연구원이 공동 주최한‘보건의료인력인력개발 기본계획 정책방향 및 과제’공청회에서 2009학년도 4학년부터 의사면허 다단계 시험과 실기시험의 실시 계획과 기성의사의 면허 갱신제도 도입 계획의 검토를 발표하였다. 또한 작년에는 의사면허 취득 후 2년의 기본 수련 과정을 거쳐야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한 의사로 인정하는 제도의 도입을 검토한다고 발표하 였다. 사실 이런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연구는 이미 20년 전부터 일부 전문가로부터 있 어왔다. 그런데 과거와는 달리 특별한 저항 분위기가 의료계에서 느낄 수가 없다. 모든 분야 에서 국제화 개방화가 촉진되며 국민의료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인식과 이런 제도들이 국 민의료는 물론이고 국내의 기성의사들의 보호와 국익의 보호에도 도움이 된다는 인식에 공 감하고 있거나, 의사면허 또는 전문의 자격에 대한 이해가 의학·의료·의학교육·병원계 에서 이제는 변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이런 변화는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다. 의료계 가 등한시 하든 전문직 양성에 관한 사회학적 검토와 연구가 의약분업 갈등을 계기로 우리 의료계의 개원가 내에서 스스로 일고 있다. 그래서 의학교육, 특히 GME인 수련교육의 정체 성을 다시 한 번 검토한다. 



2) WFME는 PME를 사용하지만, 「졸업후 의학교육」이란 의미에 혼동이 주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는 지금까지 사용한 용어인 GME를 많이 사용한다.




Ⅱ. 수련교육은 교육부 소관인가? ; 과정 측면 




모든 나라 의료계에는 항상 많은 난제가 있듯이 작년의 우리나라에는 약대 6년제가 그 중의 하나였다. 약학교육계·약사계는 약사도 이제는 보건인이 아닌 의료인3)의 하나인 임상약사 (clinical pharmacist)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임상약학(clinical pharmacy) 교육을 위한 학교교육 기간연장을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약사의 기본 질 향상과 전문성 - 고도화를 목표로 한다는 명분이다. 하기는 우리나라 약사들은 professional인 pharmacist라기 보다는 businessman 인 단순 druggist인 경우가 많아서 고도의 의약분업이 실시되는 국민의료 차원에서 약사의 질 향상은 분명히 필요하고 시급하기도 하다. 문제는 양성과정에 대한 해석이다. 



어느 나라에서나 전문직 기초교육은 학교교육체제이고 교육부 관할이다. 그러나 학교교 육을 마치고 전문직 자격을 취득한 전문직의 기본 질 향상과 전문성 - 고도화를 위한 전문 직 양성·관리에 관한 1차적 책임부처는 교육부가 아닌 타 부처이다. 세계 어디에도 전문직 의 기본 질 향상과 전문성 - 고도화 과정을 순수 학교교육으로 진행하는 나라는 없다4). 물 론, 어느 나라에서나 이러한 양성과 관리과정을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경우는 많 다. 그런데 보건복지부는 약대 6년제가 약사의 기본 질 향상과 전문성 - 고도화라는 명분임 에도 불구하고 약사양성과정에 관한 직업교육학적 검토를 부실처리하고, 약대 6년제는 교육 과정(curriculum)이라는 단순 문제라며 교육부로 넘겼다. 복지부 논리가 맞다면 현재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 수많은 종류의 전문직의 기본 질과 전문성 - 고도화 업무를 맡고 있는 타 부 처의 업무도 교육부로 이첩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행정처리는 많은 종류의 타 보건의료 직의 기본 질 향상과 전문성 - 고도화를 맡고 있는 보건복지부의 지금까지의 행정과도 괴리 되었고, 또한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인이라는 전문직 양성과 관리 책임을 맡고 있다면 전문 직 자격 취득을 위한 기초적 직업교육을 하는 학교교육과 전문직의 기본 질 향상과 전문성 - 고도화를 위한 직업교육에 대해 최소한의 교육학적 식견과 검토가 있어야 했다. 따라서 어떻게 보면 보건복지부의 처리는 직무유기일 수 있다. 왜 그런가를 검토하기로 한다. 


3) 미국 약사양성교육의 목표는「from basement to patient bed-side, from product oriented to patient oriented, from health personnel to medical personnel, from marginal occupation(professional도 아니고 businessman도 아닌 중간이란 의미의 용어) to professional occupation」라고 표현하고 있다.

4) 사시 합격으로 자격을 취득한 법조인의 기본 질 향상과 전문성-고도화는 대법원의 사법연수원 소관이다.


교육부는 이 문제를 위하여 연구위원회를 운용하였다. 이곳에서 가장 먼저 취급한 것이 우리나라 고등교육 학제(high education school system)에서 학문의 기초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학부교육(undergraduate education, UE)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학부교육에서의 전문직 양성을 위한 기초교육 과정의 타당성을 점검하였으며, 전체 고등교육과정 체제 내에서 이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가였다. 고등교육 기관에서의 학문 기초교육(UE)과 직업교육과의 관계 정비 및 고등직업교육의 발전을 목적으로 신학·의학·법학·경영학 등등의 전문대학원 체 제를 도입하고 동시에 학제와 학위제도를 정비하겠다며 이미 10여 년 전부터 노력하여 온 교육부로서는 당연한 것이었다. 두 번째가 약학대학 교육에 대한 교육평가학적인 검토였다. 즉, 지금까지의 약학대학 교육이 약학(pharmacy, pharmaceutical science)이라는 학문의 학부기 초교육과정(academic program in UE)이었는가, 아니면 약사라는 전문직 양성을 위한 기초교육 과정(Pharmaceutical Education as a professional or occupational education)에 충실하였는가에 대한 검토이었다. 



이러한 검토에서 현 약학대학 교육은 학문기초교육이었지, 전문직 양성교육은 아니었다 는 평가와 약계의 약대 6년제 주장은 의사의 학교교육인 BME와 수련교육인 GME의 정체 성에 대한 몰이해에서 출발했다는 점이 큰 약점으로 들어났었다. 즉, 당시의 교육학 전문가 와 비 - 약계 위원들은 의사의 수련교육의 예를 들면서 약사에게 임상약학의 수학이 필요 하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이를 학교교육 기간의 연장으로 해결하는 것은 직업교육학 논 리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였다. 교수 이기주의 및 학과목 이기주의로 편성 운영되는 현 약 학대학 교육과정은 학문기초교육에 해당되므로, 이를 개선하여 직업교육 교과과정으로서 의 개선과 함께 약사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받았다. 그리 고 또한 임상약학 교육이 필요하고 임상약사가 필요하다는 약계와 보건복지부의 명분과 논 리를 그대로 받는다고 하면, 의과대학에서 기초교육을 마친 의사를 임상의사(clinical physician)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의과대학교육 6년에 4~5년의 임상수련 교육기간을 더해 10~11년의 고등교육기관 교육인 학교(대학)교육이 필요하고, 현재의 전공의 수련교육 도 교육인적자원부가 맡아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의료계도 약계의 임상약사 양성을 반대하기보다는 약대 6년제 교육의 모순을 지적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전문직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사회·교육부·약계는 약대 6년제에 반대하는 것을 의료전문직의 사회학적 특성5)으로만 이해하면서 밥그릇 싸움이라고 의료계 를 매도하였다. 여기서 우리 정부와 사회는 고위 전문직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너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느 나라이건 대표적 전문직인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1차적 과정은 「BME+GME」로 이루어진다. 우리 의학계·의료계·의학교육계·병원계는 비록 직역 간에 이해와 권익이 서로 상충하는 면이 많이 있어도, 이러한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교육과정의 특성을 이해하기 때문에 간혹 갈등하며 수련교육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하지만, 이러한 고 위 전문직 양성과정의 특성을 국외자가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바로 이렇게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GME의 특성이고 또한 수련교육 과제의 근본이다. 그래서 대표적 전문직인 의사양성교육제도에 대한 교육학적이고 사회학적인 이해를 의학계·의료계·의학교육계· 병원계도 이제는 직역 간의 권익을 떠나 좀 더 심화할 필요가 있다. 


5) 구조-기능주의적 관점이건, 갈등론적 관점이건, 또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전문직업적 특성이건



Ⅲ. GME는 훈련인가 수련인가? ; 개념 측면 



기술전수가 주 목적인 도제교육(apprenticeship)과 같은 성격에서 출발한 의사양성 과정을 졸 업후 의학교육과정(GME)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최초로 학문적, 과학적으로 교육프로그램화하 고 공식화해서 전문의 프로그램(Residency Program)과 전문의 제도로 정착시킨 나라는 미국이 다. 그런데 이 제도를 도입한지 1세기가 되어가는 미국에서도 이제는 그들의 제도와 국민의료 와의 관계를“disaffected public”,“ disspirited residents”,“ disturbed & dys-functional government”, “disorganized specialty movement”, “discouraged faculties”, “dissonant calls between distancing medical organization”한“Dis”시대라고 폄하하면 서, GME의“disenchantment”를 역설하지만(Walt, 1993), 개선이 여의치 않다고 한탄한다. 



여기서 의학교육과 전문직의 정체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누구나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은 전문직인 의사의 양성이 목표라고 한다. 의사학적으로 physician과 surgeon은 기원이 다르지만 오늘 날의 physician은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그렇다면 왜 의사양성교육 (Physician Education)라고 하지 않을까? 두 가지 용어의 목표가 같은 동의어임에도 세계는 굳 이 전자를 선호한다. 하기는 전자는 학문적인 의미가, 후자는 기술적인 의미가 강하다. 바로,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을 갖는 것이 고위 전문직 양성과정의 특성이다. 즉, 학문과 연구에 바탕 을 둔 양성과정이 고위 전문직업인 양성과정이다. 그래서 학문과 연구에 바탕을 둔 양성과정 이기에 GME를 훈련(training)이 아니라 교육(education) 개념으로 본다는 논리가 설득력이 강한 것이다6). 그래서 우리나라도 GME인 전문의 훈련(residency training)을 훈련(訓練)이 아니라 수련 (修鍊; self-directed learning and rarely involve supervised training)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수련교육인 전공의 과정을 직업교육학 개념으로 교육으로 보는 이유는 교육은 훈련 을 포함하나 훈련은 교육을 포함하지 않고, 교육 없는 훈련으로는 스스로 학습하는 CPD(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7)가 불가능하고, 교수자(teacher)가 아닌 주인(master) 에 의한 훈련은 주인의 자기 복제(self-replication)과정으로서 학습자인 도제(apprentice)는 주 인의 능력을 능가할 수 없으나, 목표에서 교육은 교수자와 같은 능력 수준이 되는 것이 종점 (endpoint)이 아니라 기점(starting point)로 본다는 점이다. 직업 분류로 보면, 일반적으로 기술 직에는 장인(crafts), 기술자(technicians), 전문직(professions)이 있고 전문직은 전문직 정신 (professionalism)을 강조한 특별한 훈련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6) Training may produce a physician who is elegant in his skill, but a education should produce a physician who is elegant with his skill; Charles Gregory.

7) CPD는 지금까지 CME(Continuous Medical Education)이라고 하여 왔으나, 연수교육 및 보수교육은 모든 직종에 적용되고, 또한 의사에게는 전문직 정신(professionalism)이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WFME는 CPD를 사용한다.



의사들은 누구나 의사양성 과정 중에서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서 BME보다는 GME가 더 중요하다고 한다. 그 이유를 교육학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학에는 성인교육학 (androgogy)라는 분야가 있다. 원래 교육학(pedagogy)은 이름 그대로 어린 사람(pedi; ex. pediatrics)의 교수·학습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성인교육학과는 교수·학습의 속성이 전연 다르다. 성인 학습은 반드시 그 내용이 학습자 자신에게 되먹임 되도록 학습동기가 강하게 작용하게“problem-centered”,“ experience-center”,“ meaningful to learner”해 야 한다. 이런 원칙은 일반 교육에서도 당연하지만 매우 강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수 련교육은 전형적인 성인교육으로서, 더구나 학교교육으로 기초교육(BME)을 마친 학습자는 이 특별한 성인교육 과정으로 사회화와 전문화(socialization & professionalization)가 이루어져서 전문직업인(profession)으로 비로소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임상의사로서는 BME보다 는 GME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WFME 의견을 빌어서 다시 검토한다. WFME는 2003년 3월에「Global Standards of Medical Education」발표하면서 일반적으로 의사양성 교육과정의 3단계를 BME, GME, CPD로 나누지만, 의사는「BME + GME」로 비로소 양성되고, 나라마다 다른 양성교육 체제 때문에 GME 과정이“pre-registration training”, “vocational / professional training”, ”specialist and subspecialist training”, “other formalized training program”일 수는 있지만 이 모두를 포함한다고 정의한다. 또한 GME는 수료 후에 학위(degree or diploma)나 자격증(certificate)을 주는 과정이기도 하지만, BME와 GME는 분명 하게 구분할 수 있지만, GME와 CPD는 분명하게 구분할 수 없고 엄격히 구분해서도 안 된다 고 말하고 있다. 즉, 전문직인 의사양성에서 완성이란 없고, 끝임 없는 교육과 수련이 있는 것 이 전문직의 운명이라는 것이다. 이 WFME의 GME 국제기준은 9개의 대영역(Mission and Outcomes, Training Process, Assessment of Trainees, Trainees, Staffing, Training settings and Educational Resources, Evaluation of Training process,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Continuous Renewal)에38개의소영역을“must”는기본적인기준으로,“ should”는질적발전을위한기 준으로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국제화 개방화된 지구촌에서 이 국제 기준을 어느 나라도 거부하기 어렵게 되었다. 



Ⅳ. GME는 BME보다 어렵다? ; 관리 측면 



모든 나라에서 국민의료 이상(양질, 공공성, 윤리, 저 비용, 고효율, 균배 등등)은 동일하다. 이상적 국 민의료라는 말에서는 사회주의 색채를 느낀다. 그래서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에서 국민의료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국민의료 이상 달성에 중요한 요소는 국 가 경제력과 적정한 의사인력의 수급이다. 특히 국가 경제력에 걸 맞는 의사인력의 적정 공급 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가 갖추어져 있다 하더라도 국민의료 이상을 달성하는 것 이 쉽지 않다. GME 이상이 국민의료 이상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의사라는 전문직이 이해 하고 지향하는 의사로서의 책무와 역할에 대한 지향 방향과 국민의료의 그것과는 같지 않다는 점이 문제라는 것이다. 즉, 전문직인 의사는 Science, Technology, Cure, Action, Individual을 의사의 책무와 역할로서 중요시함에 반해서, 국민의료는 Science 보다는 Humanism, Technology 보다는 Social Context, Cure 보다는 Care, Action 보다는 Health Promotion, Individual 보다는 Community를 중요시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국 민의료와 GME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 



그래서 의학교육학 원로들은 흔히“GME가 BME보다 어렵다.”고 한다. GME는 학교교육 의 특성을 벗어난 본격적인 성인 교육과정이고, 기성 사회에 진출한 대표적 전문직인 의사 를 양성하는 실질 과정이고, 또한 병원이라는 기업에서 근로를 제공하면서 학습하기 때문이 다. 그래서 GME 실행과정인 전공의 수련과 관련된 관리에는 항상 갈등이 있다. 전공의 과정 은 분명히 교육이고 수련이지만, 보기에 따라서는 엄연히 근로이고 이익을 창출하기 때문이 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점이 고위 전문직 양성교육과정의 특성이다. 전공의 노조라는 문제가 불거진 최근의 갈등도 그 한 예이다. 



최근의 갈등의 원인을 보면 첫째가 약대 6년제 문제에서 검토하였듯이 전문인 양성을 위한 기초 교육과정인 고등교육 체제하에서의 학교교육에 대한 이해 수준조차도 낮은데, 이보다 더 나아간 GME에 대한 이해 수준의 차이는 수련지도자, 경영자, 학습자, 의료소비자, 의학·의 료·의학교육·병원계, 정부를 포함한 각각의 관계자간에 격차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관계자 모두가 아전인수의 해석으로 일관한다. 즉, 전공의 수련교육 과정을 제일 잘 이해하고 있다는 의학·의료·의학교육·병원계 조차도 직역별로 그때그때의 형편에 따라서 주장이 수시로 바 뀐다. 예로서 동일인임에도 불구하고 수련중인 전공의 때와 전문의 때의 인식이 다르고, 전문 의라고 하더라도 지역사회 개원 시와 병원계의 지도전문의 봉직 시의 주장이 다르며, 이 같이 수시로 변하는 주장과 해석은 GME 관련 단체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아전인수식 주장을 조장시키는 요소로는 GME인 전공의 수련과정에 대한 법과 제도의 미 비에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법·제도 미비의 근저에는 GME와 관련된 여러 정부 부처의 행 정적 통제의도도 엿볼 수 있다. 즉, GME인 전공의 수련과정에 대한 의학·의료·의학교육· 병원계의 분열된 주장을 빌미로 정부는 GME는 양질의 국민의료의 근본 중의 하나라는 명분 으로 통제 하에 두려는 데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다. Rational-Legal 관료제의 전형이다. 그 러나 관료제로는 교육학적인 의미로 수련교육의 발전은 어렵다. 수련교육은 전문직 정신에 충 실한 미래 전문직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전문직 정신의 제일의 기본은 자율·자유(autonomy) 이며, 바로 이러한 자율·자유에 의한 양성교육과정이 수련(修鍊; self-directed learning and rarely involve supervised training)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GME 제도의 출발과 전개 과정은 미국의 경우와는 매우 다르다. 자율·자유 는 처음부터 없었고, 정부는 의학·의료·의학교육·병원계가 자율·자유로 GME를 운영한다 고 강변하지만 사실은 현재에도 전연 없다. 하물며 수련교육제도에 관한 혁명적 발상의 창안이란 있을 수 없다. 그래서 지난 20년간 수없이 반복되는 주제인「전문의료인력 수급정책과 전공의 수련교육의 발전 과제」또는「의료인력의 질 수준의 향상」이라는 주제가 너무 진부한 것이다.  



Ⅴ. 마치면서 



우리 의과대학의 학교교육인 BME에서는 엄청난 많은 변화가 지난 10년간에 있었고, 지금 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의사양성을 위한 기초교육제도에 학제의 변화, 의사인력의 수급과 직결된 의과대학 입학정원의 감축, 의학교육계 스스로 자율로 도입한 의과대학 인정평가제도, 다양한 학문을 이수한 학생의 모집, 다양한 임상실습과정의 도입, 다양한 학과목의 도입, 고비 용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도입, 강의평가, 의사면허시험제도의 변화 등등, 과거에 비하면 엄청난 변화를 주고 있다. 이를 위해 각 대학들은 엄청난 재정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세계 의 흐름을 따르는 것이다. 



그런데 선진국은 이러한 BME에서의 변화만이 아니라 GME와 CPD에서도 혁명적 변화를 주고 이미 시행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GME와 CPD에 변화가 전연 없다. 다만, 정부의 Rational-Legal 관료적 조정 의지와 의학·의료·의학교육·병원계의 각 직역 간에 권익에 연연한 체면치례를 위한 변화 흉내만이 있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역시“GME는 BME 보다 어렵고, CPD는 GME보다 더 어렵다”고 하는 것이다. 모든 일에서 원칙에 충실하지 않 고, 자율·자유가 없으면 근본적 발전이란 없게 마련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BME의 변화처 럼 우리나라 GME도 변해야 한다. 국제화 개방화가 촉진되고 있는 지구촌에서 세계적 흐름에 따르지 않고 변화를 거부하면, 결국은 국민의료와 의학·의료·의학교육·병원계 모두에게 손실이 생길 것을 우려한다. 결론적으로 GME인 수련교육의 발전과 전문의료 인력의 질 향상 과 수급에 대한 방안을 지금까지 몰라서 못하고, 또한 못한 것은 아니다.         



인턴제도 폐지 논의 이후의 의학교육 변화 (KMER, 2015)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fter the Dismantlement of the Intern Training System

양은배1ㆍ김병수2ㆍ신좌섭3

Eunbae B. Yang1ㆍByung Soo Kim2ㆍJwa-Seop Shin3

1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2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종양혈액과, 3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Division of Oncology and Hem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의학 및 의료시스템의 발전은 의료인력 양성체계의 변화를 요구 하고 있다. 의과대학을 졸업한 인턴이 담당했던 의사의 단순 반복업 무는 전산화되었거나 일부 업무는 간호사에게 위임되었다. 이런 맥 락에서 인턴제도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끊임없이 제기되었으며 (Ahn, 2013), 1990년대 인턴과 전공의 수련제도 개편 필요성이 공론화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0년 대한의학회를 중심으로 인턴 제도 폐지가 재논의 되어 2018년 이후 폐지가 예상되었다. 50년 이상 유지해온 인턴제도 폐지는 여러 가지 사회적, 교육적 대비가 필요한 사항이다. 예를 들어 의료인력 양성 체계, 의과대학 교육과 전공의 수련교육에 미치는 영향, 의과대학 졸업생의 진로교육, 전공 의 선발방법 등 의학교육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이를 계기로 한국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인턴제도 폐지가 의 과대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인턴제도 폐지에 대한 논의는 의과대학 임상실습교육 내실화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인턴수련과정은 의사면허 취득 후 세부 전공 분야를 선택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공통적인 수련 교육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턴제도가 폐지된다면 의과대학 교육 이후 곧바로 세부 전공분야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의과대학 졸업 생은 의사면허 취득자로서 가져야 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의과대학 임상실습기간 동안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진료에 참여하는 체험형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체험형 임상실습과 관련하여 Bax & Godfrey (1997)는 의과대학 학생이 임상실습에서 습득해야 하는 술기항목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으며, Kim et al. (2003)은 의과대학 수준 에서 학생인턴제도가 이러한 체험형 교육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인턴제 폐지에 대한 논의는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선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Chung, 2013). 인턴제도는 전공 선택을 위한 탐색과정으로 인식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인턴 제도가 폐지될 경우 학생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세부 전공을 선택하도록 할 것인가가 중요한 쟁점이 된다. Fernandez-Llamazares et al. (1997)은 의과대학 졸업 후 전공선택 에서 수련과정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여 전공 을 선택하는 것이 자신의 의사생활을 만족하게 할 수 있는지를 결정 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Rogers (1996)는 의과대학 졸업 후 수련과정을 선택하는 데는 의과대학 성적, 나이, 성별, 경제적 이유, 군 복무 여부, 결혼 여부, 가족의 권유 등 의식적 동기와 무의식적 동기, 자신의 성격 특성 등 많은 다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고 보고하였다. Lim & Cho (2002)도 의과대학 학생들의 졸업 후 전공선택 요인이 다양하므로 의과대학 학생의 적응을 돕고 제반 의사결정과정에 도움을 주는 체계적인 진로지도의 중요성을 강조하 였다. 같은 맥락에서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04)는 의과대학 학생의 진로계획과 전공 선택에서 의과대학의 책무성을 강조하였다. 심리학이나 교육학의 이론적인 논거를 빌려 오지 않더라도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직업을 선택할 때 삶이 더욱 만족스럽고 일의 효율성이 증가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인턴제도 폐지 논의로 인해 확산된 의과대학 임상실습교육 내실화와 학생 진로지도 방안에 대해서 탐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턴제도 폐지 논의와 함께 제기된 임상실습교육과 학생 지도 관련 선행 연구결과를 분석 하였으며, 의학교육 전문가 12명(2014년 11월 2일), 수련교육 책임 자 8명(2014년 10월 8일),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10 명(2014년 10월 12일)의 의견을 수렴하여 체험형 임상실습교육과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탐색교육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체험형 임상실습교육 


1. 체험형 임상실습을 위한 법적 요건 정비 


인턴제도 폐지 논의와 함께 의과대학 임상실습이 체험형 임상실습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Kim et al., 2015). 의과대학 임상실습에서 학생의 활동은 크게 세 가지이다. 

    • 첫째는 교수의 회진, 외래, 수술, 검사 등에 참여하면서 의료진의 진료행위를 관찰하는 것이다. 
    • 둘째는 수술실에서 보조자로 참관하 거나, 일부 과의 외래, 응급실에서 임상 술기를 학습하는 것이다(예, 봉합, 드레싱, 동맥혈가스검사, 심전도, 심폐소생술 등). 
    • 셋째는 교수 또는 전공의가 지정해 준 환자를 진찰(문진, 청진, 촉진, 타진, 신경학 적 검사 등)하거나 의무기록을 열람하여 발표를 하는 것이다. 

임상실 습병원의 규모, 교육체계 및 교육환경에 따라 학생들이 실제 진료에 참여하는 정도는 다르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환자 진료에 참여하 지 못하는 관찰형 임상실습이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 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는 것은 학생 임상실습을 위한 법적 요건의 미비이다. 현행 법률규정만으로는 의과대학생의 의료 행위에 대하여 실습병원, 의료진, 학생, 환자를 보호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Kim, 2013). 


첫째는 지도교수의 지도․감독과 관련한 문제이다. 의료법 시행규 칙 제19조는 의과대학생 등의 의료행위를 자세하게 규정하고 있는 데, 동법 제②항은 의학․치과의학․한방의학 또는 간호학을 전공하 는 학생은 ‘전공분야와 관련되는 실습을 하기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 ․ 감독을 받아 행하는 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Enforcement Rule of the Medical Service Act, 2015). 그러나 병원 사정에 따라 지도교수의 지시를 받은 임상 강사나 전공의의 지도ㆍ감독을 받아 학생실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임상 강사 나 전공의 감독을 받는 것은 사전에 지도교수의 지시가 있었다 하더 라도 의료법 제27조에 의해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임상 강사나 전공의는 무면허 의료행위를 교사한 것에 해당하여 형사처벌은 물론이고 자격정지 3개월에 처할 수 있으 며, 병원도 의료기관 업무정지 3개월의 처분을 받을 소지가 있다(의 료법 제66조 제1항 제5호). 또한 학생은 교수 또는 전공의가 지정해 주는 환자의 사례 발표를 위해 환자를 문진, 진찰할 때 교수를 대동하 지 않는 경우도 무면허의료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둘째는 환자 의무기록 열람과 관련한 문제이다. 학생은 환자사례 발표를 위해 환자의 기록을 열람한다. 이때 교수, 전공의, 간호사가 함께하는 예도 있으나, 학생이나 전공의 ID로 환자 의무기록을 보고, 일부 영상기록과 검사기록을 발표물에 첨부한다. 의료법 제21조 제①항은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종사자는 환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 게 환자에 관한 기록을 열람하게 하거나 그 사본을 내주는 등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제②항에 는 제①항의 예외 항목이 명시되어 있는데, 의과대학 학생의 의무기 록 열람은 해당하는 항목이 없다. 환자와 보호자가 그 사실을 알게 되어 고소를 제기하는 경우 관련 의료진은 형사처벌, 자격정지 및 민사상의 책임을 져야 한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18조는 정보수집자(의료기관)에 의한 제3자(의과대학 학생은 의 료진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보 제공을 제한하고 있다.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목적으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의과대학생의 환 자사례 발표가 학술연구에 포함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의과대학 학생의 체험형 임상실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 해서는 몇 가지 법적 요건이 정비될 필요가 있다. 첫째, 의료법 시행 규칙 제19조 제②항 제1호와 관련하여 의료현장에서 교수가 모든 학생의 의료행위에 대해 지도ㆍ감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학생이 의료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지도교수의 감독이 필요하다.’ 라는 시행규칙을 ‘교수, 임상 강사, 전공의(인턴, 레지던트)의 지도 ㆍ감독이 필요하다.’라고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또는 ‘교수의 지시 를 받은’이라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둘째, 의료법 제21조 제②항 기록열람의 예외 규정과 관련하여 의과대학 학생이 정해진 기간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면 의무기록 열람이 가능하다 는 항목을 추가해야 한다. 그러나 임상실습을 넘어서서 환자의 진료 에 비중을 더 두는 경우라고 한다면 위와 같은 미시적 접근보다는 의료법 제27조 제①항 제3호를 보다 강화하여 ‘실습면허’를 인정하는 방안이 학생과 병원 그리고 환자를 보호하는 데 더 적절할 수 있다. 



2. 의과대학 학생의 실습면허 


체험형 임상실습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의학지식, 술기 및 태도를 갖춘 학생에게 실습면허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2; Yoon et al., 2013). 실습면허는 일정 수준 이상의 교육을 이수한 학생에게 제한된 합법적 자격 을 부여하는 것으로 환자의 권리 보호 및 동의, 의료과오의 책임소재 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의과대학 학생에게 실습면허를 부여하는 방안으로는 다음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의과대학에서 일정한 수준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에 게 임상실습 진입 단계에서 부속병원 또는 협력병원에서 통용되는 실습면허를 부여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은 임상실습 중심으로 개편 되고 있는 현재의 의과대학 교육과정과 의과대학별로 임상실습 시작 시기가 다른 점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습면 허 부여를 위한 의과대학의 교육과 평가방법이 타당하고 신뢰로운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는 임상실습 진입 단계에서 국가 수준 또는 한국의과대학 ․ 의학전문대학원협회에서 실습면허 시험을 시행하거나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교육과정 인증을 통해 실습면허를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국가수준이나 의학 교육 관련 기관에서 일괄적으로 실습면허 부여 자격을 평가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올라간다. 그러나 대학마다 임상실습 시작 시기가 다른 점, 실습면허시험이 대학의 교육과정 편성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시험에 통과하지 못한 학생을 구제하기 위한 2차 시험이 필요한지 아니면 다음 해에 시험을 보도록 해야 할지도 고려해야 한다. 어떤 경우이든지 학생들이 임상 실습 단계에 진입하기 전에 실습면허를 부여하는 것이 의과대학 교육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3. 임상실습 평가 표준화 


임상실습과정에서의 학생 평가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가 높다. 국가시험에 포함된 객관구조화된 진료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과 진료수행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항목에 대한 교육은 표준화된 평가서가 개발되어 활용되 고 있으나, 임상실습 전반에서 평가가 표준화되어 있지는 않다. 어떤 대학은 학생들의 실제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 자료 부족과 변별력을 이유로 필기시험을 통해 성적을 부여한다. 학생들이 임상실습과정 에서 경험하는 활동이 수행 유무로만 표기되는 경우도 많다. Alliance for Clinical Education (2012)은 임상실습 평가의 중요성 을 강조하고 16가지 표준화된 평가방안을 제시하였으며, Cyr et al. (2014)는 임상실습과정에서 점수화된 평가루브릭(rubric)의 효 용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체험형 임상실습교육 강화를 위해서는 임상실습에서 학생들이 수행하는 활동별로 평가루브릭을 만들어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임상실습에서 사용되는 평가루브릭은 교육 내용에 기초해서만 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 과거력검사, 신체검진, 진단검사, 사정 및 치료 계획, 절차적술기, 의학지식, 감별진단 및 문제해결, 진료중심 의 학습과 개선, 대인관계 및 협동, 직업전문성, 개인책무성 등의 항목이 평가되어진다. 임상실습 평가루브릭 개발 시 각 항목별 성취 수준은 절대기준을 이용하여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한데, 일 반적으로는 5단계(not observed, unacceptable, marginally acceptable, acceptable, exceptional) 척도가 많이 사용된다. 


한편 임상실습 평가 표준화는 임상실습교육을 내실화하는 의미 뿐만 아니라 전공의 선발의 타당성을 높이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상위 단계의 프로그램이 어떤 선발정책을 갖고 있는가는 하위 교육 프로그램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인턴이나 전공의 수련프로 그램이 의과대학 임상실습에서 사용하는 표준화된 평가양식을 선발 도구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빠른 속도로 임상실습 평가가 표준화 될 것이다. 




4. 임상실습 포트폴리오 개발과 활용 


포트폴리오는 자신의 실력을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이나 관련 내용 을 집약한 자료수집철 또는 작품집을 의미한다. 이러한 포트폴리오 가 학습의 개념과 연결되면서 의학교육 전반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학습 포트폴리오는 의과대학 입학에서부터 졸업까지 자신의 학습, 생활 등 성장 전반에 관한 체계적인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Davis et al., 2001). 임상실습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이 목표를 이루어가는 과정은 학생마다 고유하고 독특할 수밖에 없다. 포트폴리오는 학생 개개인의 고유한 발전과정을 담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포트폴리오 는 학생들의 학습맥락을 파악하고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적인 평가도구이다(Friedman Ben David et al., 2001). 의과대학 재학기간에 만들어지는 포트폴리오는 그 자체로도 임상실 습교육을 내실화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인턴제도가 폐지되고 곧바로 전공의 단계로 진입해야 한다면 의과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 및 발전과정을 담은 포트폴리오는 중요한 선발자료가 될 수도 있다. 전공의 수련단계에서 포트폴리오 도입이 확산되는 추세임을 고려할 경우 의과대학 단계에서부터 포트폴리오 작성을 훈련하는 것은 자기계발과 관리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국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회 차원에서 전국 41개 의과대학이 공 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플랫폼을 개발하여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별 대학들은 이를 바탕으로 대학 특성에 맞는 포트폴리오 항목을 모듈화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실습교육 내실화를 위한 포트폴리오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두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첫째, 포트폴리오는 자신의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서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지적인 성찰활동이다. 학습에서 성찰이란 학습자 자신의 학습경험, 학습과정 및 그 성과를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고 자신이 설정한 학습목표를 달성했는 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사고에 대한 사고(thinking about thinking)’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Gama, 2004). 따라서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이 임상실습과정 동안 경험하고 학습한 모든 활동에 대한 성찰결과를 포함해야 한다. 
    • 둘째, 포트폴리오는 학생의 학습과정과 어떤 개선활동을 했는지 기록하도록 하여 평생학습자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평생학 습역량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핵심 역량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1999; General Medical Council, 2009;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2005), 교육과 평가가 어려 운 역량 중의 하나이다. 포트폴리오는 평생학습자로서의 역량을 교육하고 평가하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5. 임상실습 책임자를 위한 지침서 발간과 교육 역량 강화 


임상실습교육을 담당하는 책임자의 역량 강화가 수반되지 않는 다면 임상실습교육을 내실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한국의과대학․의 학전문대학원협회 차원에서 임상실습 책임자를 위한 지침을 발간하 고, 이들의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임상 실습 책임자를 위한 지침은 임상실습교육 책임자가 알아야 하는 교육 관련 사항으로 실제 임상실습교육에 활용 가능한 형태로 개발 되어야 한다. Alliance for Clinical Education (2012)가 발행한 ‘임상 실습 교육 책임자를 위한 지침서’는 좋은 사례이다. 또한 한국의과대 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차원에서 임상교육 책임자 역량 강화를 위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전공의 수련교육 에서 지도전문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듯이 임상실습교육 책임자들 에게도 일정한 시간 이상의 교육 이수요건을 부여하고, 일정한 역량 을 갖춘 교수들이 임상실습교육을 책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졸업 후 진로탐색을 위한 과정 


의과대학 졸업생의 80–90%는 출신 대학의 부속병원 또는 협력병 원에서 인턴수련을 받는다. 이들은 이 기간 의과대학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전공을 경험하거나 진로선택에 대해 고민했기 때문에 의과대 학 단계에서는 어떤 전공을 할 것인지 고민하지 않아도 되었다. 만약 인턴제도가 폐지된다면 이런 기회가 없어질 것이다. 전공의 수련병원의 규모별, 지역별 편차가 크므로 의과대학 학생들이 모든 병원의 수련과정을 알기 어렵다. 해당 과를 알아도 의국의 분위기나 수련에 필요한 장․단점 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도 있다. 수련병원 입장에서도 자기 대학 학생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원자를 만나기 어렵다. 교육병원이 아닌 병원들은 더 큰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턴제도 폐지 논의를 통해 새롭게 주목받 고 있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진로지도는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의과대학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개선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전공을 경험하게 하거나 체계적인 진로지도프로그램 운영 및 졸업 후 전공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선을 통한 전공 경험 확대 


의과대학의 임상실습과정은 학생들이 다양한 전공을 경험하는 중요한 기회이다. 따라서 임상실습과정에서 전공영역에 대한 경험 과 정보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는 오랫동안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의 중요한 이슈였다. 임상실습 교육과정 편성원리로 필수와 선 택의 개념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2), 대부분의 의과대학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 응급의학 및 가정의학을 필수 실습과목으 로 규정하고, 다른 과목들은 선택형 임상실습으로 전환하였다. 이러 한 선택형 임상실습제도는 학생들에게 전공탐색 기회를 제한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의과대학 임상실습에서 전공 경험을 확대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선택 임상실습을 1주 이상의 필수 임상실습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라도 다양한 전공을 소개하고 각 전공 이 어떤 분야인지를 경험하도록 하겠다는 취지이다. 이러한 의과대 학 임상실습교육의 변화가 바람직한가에 대한 의문이 있다. 의과대 학 수준에서 학생들이 반드시 경험해야 하는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필수과정으로 개발하고 자신의 적성과 앞으로의 진로와 관련된 임상 실습 전공을 선택과정으로 개설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임상실습 교육 과정 편성원칙이었다(Harden et al., 1984). 모든 임상실습 과목을 필수로 이수하게 하는 것은 다양한 전공 분야에 대한 경험을 제공한 다는 측면이 있지만 제한된 의과대학 교육기간 내에서 충분한 수준 의 임상실습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 여전히 다른 대학의 인턴과 전공의 수련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외국의 많은 의과대학은 필수 임상실습과정을 제외하고는 학생들이 대학 내외에서 자유롭게 임상실습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더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일부 대학에서 운영하는 모든 과목의 필수 임상실습은 바람직한 해결책이 아닐 수 있다. 


의과대학 졸업생들이 출신대학의 수련병원이 아니라 다른 기관 의 수련병원에 지원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관의 수련환경에 대한 정보와 경험이 더욱 제한된다. 이것은 의과대학 임상실습 교육과정 의 개방성에 대한 문제이다. 의과대학 졸업 이후 인턴과 전공의 수련과정 선택의 다양화를 위해서는 의과대학 교육과정이 다른 의과 대학 학생들에게도 개방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방학기간을 이용해 서 타 의과대학의 학생 인턴을 경험하게 할 수도 있다. 이미 일부 수련병원이 인턴 지원자를 확보하는 방안의 하나로 운영하고 있는 제도이기도 하다.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회에서 여름방 학과 겨울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전국 의과대학이 참여하는 학생인턴 프로그램 또는 선택형 임상실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방안 도 가능하다. 임상실습의 대외적 개방 문제는 이수학점, 교육기간의 상호 비교 가능성, 교육내용의 표준화, 평가의 객관화, 교육비용 등 여러 가지 이슈가 동반되기는 하지만 학생들이 다양한 전공의 수련기관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는 점은 분명하다. Mihalynuk et al. (2006)은 이러한 선택 임상실습과정이 전공 분야 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2. 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 


의과대학이 상대적으로 관심을 두지 못했던 부분은 학생의 진로 지도이다. 그 이유를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겠으나 졸업생의 대부분이 인턴과정을 통해 자신이 어떤 전공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인턴제도 폐지 논의와 관계없이 의과대 학 학생들은 자신들의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신의 적성이나 관심보다는 자신의 성적과 인기 전공에 몰리는 경향을 보인다. Park et al. (1999)은 의과대학 재학생들이 다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라면 의과대학에 진학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50.3% 의 학생만이 진학의사를 밝히고 있으며,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나 전공선택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36.0%에 이른 다는 보고를 한 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의과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스스로 원해서 또는 다른 사람의 권유로 의과대학 입학 후에 의과대 학에 들어온 것을 후회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것으로 끝난 것은 아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라도 다른 직업세계와 마찬 가지로 의사라는 직업군 속에는 다른 속성을 가진 전공이 존재한다. 의사에게 있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부합하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자신의 자아실현뿐만 아니라 환자들에게도 중요한 의미가 있 다. 이것은 의과대학 졸업 후 전공선택을 위한 진로지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04)가 의과대학 학생들의 체계적인 진로지도를 위해 제시한 4단계 모형(자기평가, 전공탐색, 전공선택, 실행)은 학생 진로지도에 유용한 틀을 제공한 다. 의과대학 수준에서는 자기평가와 전공탐색과정이 중요하다. 

  • 첫 번째 단계는 자신의 적성과 능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자기평가이다. 자기평가는 스스로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이해하는 과정이다. 학생은 자신의 관심사, 선호하는 가치, 능력, 개인적 특성 및 스스로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에 대해 정직하고 성실하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 스스로 자기 자신에 대해 더 잘 알수록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전공선택에 성공적으로 다가갈 수 있으며,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만족할 가능성이 크다. 의과대학은 학생의 진로지도 과정에 자기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도체계를 수립 필요가 있다. 
  • 두 번째 단계는 학생들에게 졸업 후 전공의 수련프 로그램의 특징을 포함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Sharon et al. (2005)은 의과대학 졸업 후 전공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바 있는데, 수련 동안의 학위 취득, 연구와 교육 기회, 지적인 도전, 멘토나 역할모델, 수련기간 및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졸업 후 전공선택과 관련하여 의과대 학 학생이 이러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정기적으로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 현황집을 발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편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임상실 습 이외에도 전공의 수련과정에 있는 사람들이 무엇을 배우고, 어떻 게 생활하는지를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비정규과정을 개설하는 것도 방법이다. 의과대학 저학년에서부터 의학의 다양한 전공 분야 를 소개하는 프로그램(Mayo 사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의사 들과의 대화(Vendervilt 사례), 전공의 셰도잉 프로그램(Michigan 사례), 진로탐색 컬리지 프로그램(UCLA 사례), 진로탐색 박람회(연 세대학교 의과대학 사례) 등 다양한 형태의 학생 진로지도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의과대학에서의 학생 진로지도의 중 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다. 




결 론


인턴제도는 1950년대 전문의제도와 함께 도입되어 현재까지 시행 되고 있는 제도이다. 의료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턴제도의 효용성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2012년에는 대한의학회 와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2018년부터 인턴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아직 인턴제도의 유지 또는 폐지에 대한 정책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의료계는 인턴제도 폐지가 가져올 교육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의학교육 관계 기관 또한 인턴제도 폐지가 의과대학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많은 논의를 해왔 다. 이러한 논의를 고찰해 보면 인턴제도 폐지 논의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의과대학 교육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의과대학 임상 실습교육이 체험형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과대학 단계 에서 학생들의 진로지도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의학교 육의 이 두 가지 변화는 인턴제도 폐지와 함께 강조되기는 하였지만, 오랫동안 많은 의학교육자의 관심 분야였으며, 인턴제도폐지와 관계 없이 의과대학이 수행해야 할 기본적인 책무였다. 우리나라 인턴제도는 의과대학과 수련병원 간의 거버넌스(governance) 가 단절된 상황에서 의학교육 기본과정(basic medical education)과 졸업 후 의학교육과정(graduate medical education) 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였다. 예를 들어 인턴제도는 의사면허가 없는 의과대학 학생의 참관형 임상실습의 한계를 극복하고, 의사면 허 취득자로서 체험형 진료경험을 현장에서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자신의 적성과 역량에 맞는 전공을 탐색하는 기간으로 순기능 역할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인턴제도 폐지 논의를 통해 관심이 확산 된 의과대학에서의 체험형 임상실습교육을 정착시키고, 졸업 후 진 로선택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 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법률적 요건 정비, 학생 임상실 습 면허제도, 임상실습 평가 표준화, 임상실습 포트폴리오와 개발과 활용, 임상실습 책임자를 위한 지침서 발간과 교육 역량 강화 등은 하나하나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사항들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과 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 주도적 역할이 있어야 한다.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탐색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은 개별 의과대학의 관심과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인턴제도 폐지 논의와 함께 확산된 임상실습교육의 내실화와 진로지도는 현장 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들의 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연구 와 진료 못지않게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있어야 한다. 지금부터 라도 의과대학 교수의 역량 개발을 위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이 체계 화 되어야 한다. 의학교육을 통해 역량 있는 의사의 배출은 의학교육 기관만의 책무는 아니다. 의학교육은 공공재인 의사를 양성하는 것 이므로 국가와 사회의 지원을 필수로 한다. 많은 선진국이 의학교육 비용의 상당 부분을 정부에서 지급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의과대학 학생 실습병원이 갖추어야 할 요건과 인증기준 (KMER, 2015)

Accreditation Standards for Designating Teaching Hospitals for Medical Students in Korea

박종훈1ㆍ김영창2ㆍ문동석3ㆍ박귀화4ㆍ채수진5ㆍ유효현6ㆍ안덕선7

Jonghoon Park1ㆍYoungchang Kim2ㆍDongseok Moon3ㆍKwihwa Park4ㆍSujin Chae5ㆍHyohyun Yoo6ㆍDucksun Ahn7 

1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2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3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흉부외과, 4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5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6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학교실, 7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1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2Department of Pediatrics, Soonchunhyang University of College of Medicine, Chonan; 3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International St. Mary’s Hospital; 4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cheon; 5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 Social Medicine,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6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Jeonju; 7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Seoul, Korea




서 론 


유능하고 바람직한 의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병원을 중심으로 이 뤄지는 임상실습교육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는 과거 의학교육이 이론 위주였다면 현대의 교육이 현장 중심으로 갈 수밖 에 없는 시대적 상황에 기인하는 바 크다.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해서는 교육과 관련된 기본 제도가 잘 정립되어야 하고, 질적 수준이 보장된 교육병원의 확보가 중요한 요소로서 국제의학교육연 맹(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과 국제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도 기본의학교육과정 평가 인증 가이드라인을 통해 교육병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의과대학 평가인증에서도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해 일부 기준들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현행 평가제도에서는 의과대학과 의학교육프로그램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교육병원 자체에 대한 실제적이고 세부적인 평가항목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병원 평가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병원의 관점에서 병원과 관련된 평가기준 은 유일하게 의과대학 평가인증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의과대학평가의 항목이라 실제로는 병원평가라고 할 수는 없 다. 의과대학 평가인증은 기본의학교육과정을 포함하여 6개 영역의 97개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실습병원 관련 항목은 임상실습교육을 위하여 유효병상 500병상 이상의 대학부속교육병 원의 확보 여부와 실습병원 내에 실습생들을 위한 교육환경이 제대 로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 학생 20인당 최소 1개의 학생 전용공간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정도다. 그 외에 교육병원과 관련된 제도는 보건복지부가 전공의 수련병원을 관리대상으로 하는 수련병원 평가가 있다. 수련의 및 전공의 수련을 위한 최소 진료과목의 충족 여부와 병원의 규모 그리고 전공과별 시설, 진료실적 등을 전공의 수련병원의 평가항목으로 정하고 있다. 수련병원 규정은 학 생 실습과는 사실상 무관한 것으로 결국 교육병원을 학생 임상실습 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제도나 기준은 없으며 단지 수련병원이 어떠 한 근거도 없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학생 실습과 졸업 후 교육에 해당하는 수련의와 전공의 교육은 교육의 목표 및 방법에 있어서 학생 실습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병원의 지정 및 운영과 관련한 평가 제도가 전무한 것은 학생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제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교육병원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교육적 가치에 중점을 둔 교육병원 지정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며(Lee, 2009),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의 평가기준과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구체 적으로 언급하였다. 즉 어떠한 기준으로 누가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기술한 바 교육병원은 연구와 교육수행을 중시하는 학구적인 의료기 관(academic medical center)으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언급 한 것이다. 외국의 경우 국제적으로 동일한 기준으로 교육병원을 평가 인증하는 경우는 없지만, WFME나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에서 제시하는 기준들 을 참조하여 평가인증을 적용하는 경우들이 있다. 



교육병원 평가의 국내외 현황


1. 국내 현황 


우리나라는 의과대학생들의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을 지정하고 평가하는 제도가 없다. 다만 수련의와 전공의를 대상으로 하는 수련병원의 지정기준은 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은 수련병원의 규정을 따르고 있다. 41개 의과대학에 94개 병원이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학별로 1–8개까지 교육병원으로 지정하고는 있다. 법적으로는 100병상 이상이고 수련의 수련병원이면 학생 임상실습교육에 활용되는 교육협력병원이 될 수 있는데 200여 개에 달하는 수련병원이 결국 학생 교육을 할 수 있는 자격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전공의 수련과 학생 실습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교육과 수련의 개념이 모호해 지고 결국 학생 교육의 질적인 문제가 야기되는 것이다. 


의학교육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1차 진료가 가능한 의사의 양성에 있다. 그렇다면 당연히 직접 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의학교육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따라서 학생들이 직접 환자를 접하면서 술기를 익히고 의사로서의 태도와 가치관을 쌓을 수 있는 임상실습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Chang et al., 1993; Kim et al., 1995; Park & Kim, 2004; Yang et al., 2007). 과거 우리나라에서의 임상실습은 진료과정에 간접적으로 참여함으 로써 전문가의 업무수행을 관찰하는 도제식 방식이었다(Kim & Kee, 2009; Lee et al, 2002). 이러한 방식의 교육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은 그동안 꾸준히 지적되어 왔으나(Lee, 2007) 교육병원의 기준이 미비하듯 아직은 답보상태라 할 수 있다. 


한편 유일하게 임상실습과 관련된 항목이 있는데 바로 의과대학 평가인증의 임상실습에 관련된 항목(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2) 8가지가 그것으로 다음과 같다

  • (1) 임상실습에 대한 준비교육이 있는가? 
  • (2) 임상실습 지침서가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가? 
  • (3) 임상실 습은 학생이 의사의 역할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는 가? 
  • (4) 임상실습이 충분한 기간 실시되고 있는가? 
  • (5) 임상실습을 위한 장소가 다양하며 외래 환자 중심 실습은 적절한가?
  • (6) 학생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임상실습과정이 있는가?
  • (7) 임상실습 책임교수가 지정되어 있고, 학생에 대한 지도감독과 피드백이 적절 한가? 
  • (8) 대학은 임상실습교육을 위하여 대학 부속교육병원을 확보 하고 있으며, 병원 내에 학생교육시설을 갖추고 있는가? 

그러나 이러한 평가기준은 의학교육의 관점에서 제시된 항목으 로 의과대학 평가인증에 활용되고 있을 뿐 실제 병원 인증기준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즉 위에서 언급한 평가항목은 의과대학 평가인증을 위한 일부의 항목일 뿐 병원 평가가 아니기 때문에 병원의 관점에서는 영향력이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의과대학 평가인증의 임상실습병원 관련 항목을 포함한 규정 을 정립하여 교육병원의 인증기준으로 새롭게 정비되어야 할 필요성 이 있는 것이다. 



2. 외국 사례 


1) 대만 


대만의 의과대학은 2년의 예과와 우리의 수련의 과정과 유사한 1년의 과정을 포함한 5년의 의학과 과정으로 되어있다. 수련의 과정 이 의과대학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대만은 임상실습과 연관된 교육병 원 인증제도를 오래 전부터 실시하고 있다. 대만의 병원인증제도는 1978년에 시작하였으며 교육부 산하 보건부가 평가기준 설정 등 평가를 주도했다. 당시 33개 병원 중 30곳의 병원이 인증을 받았으며 2년 주기로 4회에 걸쳐 56개 병원이 인증을 받았다. 그 후 1986년에 교육병원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고 인증이 의무화되었으며, 1988년에 평가대상을 교육병원에서 전국의 병원으로 확대하였다. 대만의 의료보호법(Medical Care Act)에 따르면 교육병원은 교육, 연구, 의사와 보건의료종사자 훈련/교육을 목적으로 한 훈련시설, 의과대학생과 보건의료계열 학생들을 교육하는 병원으로 교육병원 인증을 통과한 병원을 말한다. 교육 여부와 병상 수에 따라 의과대학 부속병원(medical center, teaching, 500병상 이상), 지역병원 (regional hospital, teaching, 300병상 이상), 구역병원(district hospital, teaching, 100병상 이상 또는 non-teaching)의 3단계 수준 으로 분류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인증평가 참여 여부는 자발적이지 만 평가결과에 따라 진료비 가산율을 차등 지급하는 정책이었으며, 1995년부터 전국민건강보험을 실시한 후 비급여 진료를 시행하는 일부의 병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이 인증에 참여하고 있다. 자발 적 참여라고는 하지만 교육병원의 인증 여부가 수익과 연계되어 있어서 실제로는 모든 병원이 참여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미국식 제도와 매우 유사하다. 다시 말해서 교육병원의 인증 여부는 전공의 정원 수 및 수련비용을 포함, 병원 경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1999년 보건부는 평가인증을 전담할 기구인 The Taiwan Joint Commission on Hospital Accreditation이라는 인증 기구를 설립하였으며 이 기구는 보건부, 타이완 의학회, 타이완 병원 협회 등이 지원하였다. 대부분의 병원은 병원인증을 받는데, 이 가운 데 교육병원 인증은 별도의 평가인증기준이 마련되어 있고, 2008년 의 경우 전체 병원 493개 중 469개 병원이 인증을 받았으며 인증 병원 가운데 129개(27.5%) 병원이 교육병원인증을 획득했다. 


대만의 교육병원 평가기준(Huang et al, 2009)은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의학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의대생, 수련의, 전공의 교육뿐 아니라 간호, 약학, 방사선, 임상병리학과 학생 교육까지를 망라하고 있다. 6개 영역 95개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준은 충족(pass) 과 미충족(fail)으로 평가한다. 세부항목을 보면 교육자원(educational resource) 20개, 교육과 수련계획 및 성과(teaching and training plans and outcomes) 42개, 연구업적(research and results) 9개, 임상교수개발과 평생교육(development of clinical faculty and continuing education) 8개, 학술교류와 지역사회교육(academic exchanges and community education) 8개 그리고 행정(administration)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Table 1). 






2) 미국 


미국의 교육병원(Bunton & Henderson, 2013)은 연구와 교육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academic medical center (AMC)라는 개념으 로 통칭한다. 이러한 AMC들은 의과대학 단독, 병원 단독 또는 대학 과 병원이 같은 법인하에 있거나 아니면 별도의 상황에서 협약에 의한 관계일 수도 있는 등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하며, 진료와 교육 그리고 연구의 3가지 의무를 갖는다. 미국에는 약 1,000개가 넘는 교육병원이 있는데 이런 병원에서는 기본 의학교육과 전공의 교육뿐 아니라 다양한 보건 의료직의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 병원은 ACGME의 평가인증을 통과해야 하는데 세계적인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기준에 의하면 해당 지역사회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의료진 양성을 위한 교육병원에 대한 특별한 resource를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2014). 또한 대학병원 의 quality와 환자 안전활동과 더불어 의대생 및 수련의 교육과 임상 연구를 위한 기준의 기본 틀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교육병원의 적용기준은 의과대학과 조직적으로 혹은 행정적 으로 통합되어 있어야 하고, 해당 병원은 상기 의과대학의 의대생과 수련의 교육의 주요 기관이어야 한다. 구체적인 항목을 보면 다음과 같다. 

    • (1) Medical professional education (MPE) 1: 병원의 최고 관리자는 병원이 임상실습 및 수련교육기관의 역할을 할 것을 승인 하고 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5개의 평가기준이 있다. 
    • (2) MPE 2: 병원 의료진, 환자군, 시설 및 설비 등이 임상교육 및 수련교육프 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와 일치한다. 3개의 평가기준이 있다. 
    • (3) MPE 3: 의대생 및 전공의 교육 담당 교수진의 확인이 가능하고 각각의 교수의 역할과 의과대학 및 전공의 수련본부와의 관계가 규정되어 있다. 3개의 평가기준이 있다. 
    • (4) MPE 4: 병원은 의대생 과 수련의의 연차별 지도편달의 빈도 및 정도(수준)에 대해 알고 있고 계획대로 시행한다. 6개의 기준이 있다. 
    • (5) MPE 5: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학교육은 별도 규정된 운영과 관리조직에 의해 조율하고 관리되고 있다. 4개의 기준이 있다. 
    • (6) MPE 6: 모든 의대생 및 전공의는 병원의 모든 관련 정책과 절차에 따라야 하며 이들이 행하는 모든 진료는 병원의 환자안전과 질 관리의 범주와 규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5개의 기준이 있다.
    • (7) MPE 7: 진료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원내에 존재하는 임상권한, 업무기술서, 혹은 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진료를 제공할 허가를 받아야 한다. 2개의 기준이 있다. 



3) 한국의 교육병원 평가기준 제안 


임상실습교육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교육병원의 기준을 정하고 교육병원을 평가, 인증하는 것은 당연히 시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에서의 교육병원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여러 차례 논의된 바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저자들은 외국의 사례를 참고 삼아 인증기준을 연구 해 보았다. 저자들이 제시하는 교육병원이 갖추어야 할 기준을 연구 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된 사항은 의료진 자격의 적절성(교수개발, 교육 책무성에 대한 인식, 교육 관련 경력 등),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적절성, 임상교육의 목적과 목표설정, 모니터링과 정기적인 검토, 학생 교육에 대한 환경의 적절성(시설, 환자군, 의료진 수 등) 전공의 교육참여, 자체 평가 역량 등이다. 영역은 5개 영역에 총 28개 문항 즉, 운영체계(10가지), 교육프로그램(8가지), 교육자원(5 가지), 교수개발체계(3가지), 지역사회와 국제교류(2가지) 등이다. 

  • 각 영역을 살펴보면 우선 운영체계는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임상실 습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 교육병원은 대학과 유기적인 협조관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효율적인 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제반 여건을 구비해야 한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 예를 들면 교육병원 은 학생 교육을 위한 전담부서가 병원 내에 있고 이의 운영을 위한 적절한 인적자원과 예산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 운영하는 교육수련부의 차원을 넘어 대학과의 실질적이고 긴밀한 관계 설정은 매우 중요한 항목이라 할 수 있다. 
    • 한편 임상 과에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는 적절한 수의 행정 직원이 있어야 하며 교육병원의 장은 교육과 관련해서 적합한 자격을 갖추고 있어야만 한다. 
    • 병원 내에 학생 교육을 총괄하는 책임자가 있어야 하며(예, 교육 부원장) 의학교육 관련 위원회가 있고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어 야 한다.
    • 학생 교육에 필요한 적절한 수의 의사를 확보해야 하며 의사들은 학생 교육에 적합한 자격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 교육병원 은 환자의 안전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 있어야 하며 학생 교육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여 집행해야 한다. 
  • 두 번째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 의과대학의 교육목 표가 반영된 임상실습교육의 목적과 목표, 성과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임상실습교육 책임자가 지정되어 있어야 한다. 
    • 임상실습 지침 서가 제공되어, 실제로 활용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항목들은 기존의 의학교육 인정평가에서도 주목하는 항목들이다. 
    • 그리고 임 상실습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학생의 수행능력을 적절 하게 평가하며 학생에 대한 지도감독과 피드백이 적절하고 학생을 위한 적절한 안전교육과 예방교육이 실습 전에 준비되어야 한다. 
    • 또한 교육병원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주기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개선에 활용해야 한다. 
  • 교육 자원에서는 당연한 요건으로 교육병원은 
    • 수련병원에 준하는 시설은 기본적으로 충족하여야 하며 학생교육을 위한 적절한 교육기본시설과 학생복지시설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는 병원 내 시설뿐 아니라 일상과 관련된 시설까지를 의미한다. 
    • 교육병원은 교육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학술정보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교육을 담당하 는 교육자를 위한 충분한 공간과 시설 및 설비를 확보하고 있는 것도 하나의 항목이 될 수 있다. 
  • 교수 개발 체계에서는 교육병원은 
    • 의사를 위한 원내 교수개발프로그램이 있고,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 교육병원은 의사를 위한 원외 의학교육 관련 활동의 지원이 적절하게 보장되어야 하며 
    • 교육병원은 교육에 대한 성과 보상규정이 있고, 시행해야 한다. 
  • 마지막 항목인 지역사회와 국제교류 분야는 교육병원의 사회적 책무를 의미하는 것으로 
    • 교육병원은 지역사회와 유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교류하고 있으며
    • 국제적인 교류(세미나 참여, 학술 교류, 인적 교류 등)도 적절해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결 론 


의학교육이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 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의 연 속선 상에 있음을 고려할 때 1차 진료능력을 함양하고 나아가서는 다음 단계인 졸업 후 교육을 위한 역량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실습교육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과거의 교육이 이론 중심의 교육과 전문가의 진료 모습을 보고 간접적인 경험을 얻는 임상실습교육이 주였다면 현재의 교육은 임상현장에 맞는 실질적이고 다양한 교육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것은 이러한 교육목표를 잘 반영하는 것이다. 많은 나라들이 이러한 점을 감안하 여 교육병원에 대한 규정과 기준을 만들고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현재까지도 교육병원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 없이 수련병원의 규정으로 임상실습의 현장인 교육병원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다. 실제로 이로 인한 부작용이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기도 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교 육병원과 관련된 정책이라는 것이 수련병원 지정과 의과대학 평가인 증의 임상실습병원에 관련된 일부 평가기준이 유일한 것으로 이들은 대부분 교육의 질적인 면보다 형식적인 면에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 을 받고 있다. 이에 저자들이 주장하는 교육병원 지정에 관한 평가항 목에서는 교육병원이 임상실습에서 교육적 가치실현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병원과 대학 간의 연계시스템을 강조하였으며 병원 내에서의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실천에 역점을 두고 있다. 다만 외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교육병원제도가 잘 정착해서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육병원으로 지정되는 경우 교육과 관련된 투자가 병원의 수익에서 보전되어야 하는데 국내 여건에서는 이는 매우 어려운 조건이라는 것이다. 즉 대만과 미국의 경우 교육병원으로 지정되면 재정적 이득이 발생하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의료시스템하 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들은 외국의 사례와 국내의 상황을 참조하여 교육병원의 인증기준을 제시하는 것인데 이러한 기준이 실제로 양질의 의학교육을 지향하는 교육병원의 토대가 될 수 있기 를 바라는 것이다.  








의과대학 학생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의 역할 제고 방안 (KMER, 2015)

Improving the Role of the Teaching Hospital in the Clinical Clerkship

김영창

Young Chang Kim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Department of Pediatrics,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Cheonan, Korea



서 론 


의사를 양성하는 의학교육은 기본의학교육, 졸업 후 교육, 평생교육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연속성 있게 수행되어야 한다. 즉 기본의학 교육은 졸업 후 교육을 받기 위한 준비라고 볼 수 있어 기본의학교육의 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의과대학의 임무(mission)는 진료, 연구, 교육이다. 이러한 임무 를 수행하기 위해서 대학은 병원을 직접 설립하거나 또는 자격을 갖춘 병원과 제휴하여 교육병원(teaching hospital)으로 지정하여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21세기를 맞이하여 의학지식과 기술이 세분화되고 빠른 발전과 더불어 사회구조와 인식의 변화에 따라 의료환경에 괄목할 만한 큰 변화가 있었고, 이에 따라서 의학교육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변화되어 왔다. 특히 임상실습을 통한 지식과 술기, 태도 등이 강조되어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소인 병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 하게 되었다. Lee et al. (2009)은 학생교육병원에 대한 연구에서 바람직한 학생교육병원모델을 제시한 바가 있다. 이에 저자는 국내 외 의학교육의 변화 추이와 의학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들에 대해 고찰해 보고, 특히 학생임상실습 교육에 기여하는 교육병원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병원의 탄생 


미국에서 1910년 Flexner 보고서 발표 이후 현재의 의학교육 체계가 갖추어졌다. 즉 의학교육은 대학(university)의 학구적 (academic)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교수는 연구를 수행하여야 하며, 학생은 실험실습과 임상실습에 직접 참여하여 배워야 한다는 원칙이 정해졌고 현대 의과대학의 미션은 교육, 연구, 환자진료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대학은 학생들을 위한 임상실습과 교수들의 진료와 임상연구를 위해 병원이 필요하였고 의과대학은 스스로 병원 을 설립하여 부속병원으로 운영하거나 적절한 능력을 갖춘 병원과 제휴하여 교육협력병원(affiliation hospital)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이 교육병원은 대학의 교육목적과 목표를 공유해서 학생들이 임상 경험을 할 수 있는 환자군과 검사시설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일부 분을 담당하게 되었다. 


더욱이 1900년대 초 병원은 의과대학의 임상실습을 담당하고 임상연구를 함으로써 질환의 원인과 병태생리 등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여 의학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지역사회 속에서 교육 병원은 수준이 높은 병원으로 인식되는 장점이 있어 병원에 따라서 는 여러 대학과 제휴하기도 했다. 


이러한 제도가 발전하여 1920년대 후반부터 대학, 병원과 연구소 등이 소유권은 독립적이지만 의학교육, 연구와 진료를 위해서 매우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긴밀하게 운영되는 제도, 즉 ‘medical center’ 개념(1928년 Columbia-Prebysterian Medical Center, 1932년 New York Hospital-Cornell Medical Center)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는 ‘academic medical center (AMC, 교육연구병원)’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Ludmerer, 1999). 


국내의 경우 의학교육에 관련된 법조항인 대학운영규정 제4조에 의하면 의학․한의학 및 치의학에 관한 학과를 두는 의학계열이 있는 대학은 부속시설로 부속병원을 직접 갖추어야 하며, 또는 부속병원 이 없을 때는 교육에 지장이 없도록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병원에 위탁하여 실습할 수 있는 조치를 하도록 하였다.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대학은 학교법인인 대학부속병원에서 교육을 하고 있지만 일부대학들은 학교법인이 아닌 사회복지법인, 재단법인인 종합병원에서 교육을 하고 있다. 최근 일부 의과대학의 경우 수련병원 자격이 취소되었는데도 임의로 학생교육을 위한 위탁병원을 변경하고 교수 지위 인정을 포함시켜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다. 사립의대의 경우 학교법인인 대학부속병원과 국립의대인 경우 특수법인 병원의 지도 전문의만을 교수로 인정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를 보면 교육병원에 대한 통일된 정의는 없지만 학생 교육보다는 전공의교육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현재 기본의학교육 과 졸업 후 교육을 담당하는 미국 교육병원의 수는 약 천개이나 이 중 중요한 병원은 약 400개이다. 이들 병원은 미국의과대학협회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의 Council of Teaching Hospitals and Health System (COTH)을 구성하고 있다(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00). 이 중 116 개의 COTH 병원은 ‘integrated academic medical center hospital’ 로 일부는 병원의 소유권(ownership)을 대학이 갖고 대학의 department chair가 병원의 진료과장을 겸임하기도 하나 약 60%의 병원은 소유권이 분리되었지만 전통적으로 대학의 department chair가 진료과장을 겸해서 운영되고 있다. 또한 138개의 COTH 병원은 ‘independent academic medical center hospital’로 대학과 제휴는 되었지만 독립적인 관리(governance)구조를 가지고 운영되 고 있다(교육병원이란 법인격과 무관하게 학생 임상실습이 이루어 지고 있는 병원을 통칭). 


임상실습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국의 의학교육이 연구와 진료에 비해서 비중이 감소하는 원인 (Watson, 2003)과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인들 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1. 연구 우선(dominance of research) 


미국의 의료환경은 시기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시대로 구분된다(Ludmerer, 1999) (Table 1). 

    • 1차 세계대전 이후 의사양성 을 위한 학생과 전공의에 대한 교육이 대학의 가장 중요한 임무로 인정되어 교수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교육에 치중했다. 
    • 또한 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연구의 수준이 주로 임상적 연구였기 때문에 교수들은 병원에서 환자를 관찰하는 것이 곧 연구와 직결되었으며, 따라서 학생의 임상실습교육도 자연히 같이 할 수 있었다. 
    • 그렇지만 의학의 현저한 발전으로 인해 연구수준이 임상적 관찰보다 분자유전 적 연구가 대세를 이루게 되어 연구장소가 병동이 아닌 실험실이 됨으로써 학생교육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되었다(Ludmerer, 1999). 


또한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는 1945년 이후 연구기금 지원을 대폭 확대하였다. 그 결과 대학은 특정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교수요원을 임용하고, 교수도 의학교 육보다는 연구소 위주의 연구에 치중함으로써 기본의학교육에 필요 한 전반적인 의학지식에 대한 교육이 제한을 받게 되었다. 또한 교수와 대학의 평가가 연구업적 위주로 됨으로써 교수는 연구비 수주와 연구업적을 내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의학의 발전과 인류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의생명 분야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세계적인 추세를 따라 연구중심병 원(research driven hospital)이 최근 지정되어 연구 활성화를 촉진하 고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연구업적이 교수 개인과 기관을 평가 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어 교육병원 교수들은 교육보다는 연구와 진료에 훨씬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2. 교육병원의 환자진료 치중과 이에 따른 교수와 전공의 업무 가중 


1965년부터 미국에서는 Medicare와 Medicaid인 의료보장프로 그램이 교육병원의 주요 수입원이 되었다. 따라서 교육병원은 이익 창출을 위해서 전보다 훨씬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했고, 더욱이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관리의료(managed care)가 도입되어 더 욱더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AMC 산하 병원과 연구소는 스스로 진료수입과 연구비 수주로 인해 재정적인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으나 의과대학은 AMC 기금에 의존해야 되었기에 양질의 교육 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었다. 현대의학이 도입되 고 1980년대 의료보험의 전면실시 등을 포함한 의료보장제도와 환 경의 변화로 인하여 병원들은 생존을 위해서 환자진료에 치중해야 했다. 교육병원도 예외가 아니어서 교수들은 더 많은 환자를 진료해 야 했고 교수업적평가도 진료와 연구의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학생교육 비중은 축소되었다. 그 결과 전공의들이 교수를 대신하여 교육에 참여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업무 부담이 늘었다. 현실적으로 임상실습학생들의 설문조사결과에 의하면 전공의들이 학생교육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공의들이 수련과정 중 교육자 (teacher)로서의 역할에 대한 교육은 전무한 상태로 이는 학생교육 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교육병원은 더 많은 환자진 료를 위해서 교육지원시설을 연구 또는 검사실 시설로 변경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 비중의 위축으로 인하여 대학과 교육병원 간의 관계가 대학부속병원에서 병원부속대학으로 변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현행 법체계에서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의 관리 


우리나라 현행 법령에서 의과대학 교육병원과 관련된 규정은 너 무 미흡하다. 즉 ‘대학설립․운영규정’ 제4조 제2항은 ‘대학은 교사 중 교육․연구활동에 적합한 교육기본시설을 갖추어야 하고, 지원시 설과 연구시설은 제3항에 따라 확보한 면적의 범위에서 대학이 그 필요에 따라 갖출 수 있도록 하며, 부속시설은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조에 따른 학교헌장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다만 의학․ 한의학 및 치의학에 관한 학과를 두는 의학계열이 있는 대학의 경우에는 부속시설 중 부속병원을 갖추어야 하되, 교육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 서 다른 병원에 위탁하여 실습할 수 있는 조치를 한 경우에는 그러하 지 아니하다’라고 규정하고 있을 뿐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이 어떠한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지, 어떻게 기준 충족 여부를 평가해야 하는지, 누가 그것을 평가해야 하는지 등에 관하여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모든 수련병원은 교육병원이 될 수 있어 전공의 수련병원 기준만 으로 관리되고 있다. 2013년 고등교육법시행령 일부 개정령에서 위 규정을 위반하였을 시 행정처분기준이 재입법되었지만 이는 대학 이 투자를 기피하는 제도로 악용할 수 있어 교수지위의 인정에 대한 문제와 더불어 대학부속병원이 없어도 의과대학의 설립이 가능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는 의학교육의 특수성을 제대로 감안하지 못하여 대학은 교육 부, 병원은 복지부 소관인 이원적 관리체계에 기인한다. 즉 고등교육을 관할하는 교육부는 의과대학의 임상실습교육을 중요하게 생 각하지 않아 학생의 임상실습병원인 수련병원이 교육병원으로 적 절한지에 대한 관리를 하지 않고 있으며, 복지부는 이를 알고는 있지만 전공의 교육에 치중하여 학생교육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는 형편이다. 



4. 교육병원의 질 관리 


의학교육에서 임상실습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질적 수 준이 인정되는 교육병원의 확보가 중요하다. 국제의학교육연맹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은 ‘교육병원은 의학교 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그 적합성과 질적 수준이 주기적으로 평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2003). 그나마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의학교육인증평가를 통해서 대학과 교육병원으로 하여금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시설을 비롯한 프로그램의 개선을 유도하여 부실한 교육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사립 의과대학인 경우 지역적으로 여러 병원을 설립하여 멀티캠퍼스식 교육병원을 운영하고 있는데, 문제점으로는 주 교육 병원을 제외한 다른 지역병원의 학생을 위한 학습과 복지시설의 미흡, 각 교육병원 간 교육의 동등성을 유지하기 위한 표준화 노력의 미흡 등이 발견되었다(Kim et al., 2005). 


임상실습교육을 위해 외국에서는 대학부속병원 이외에도 지역사 회 병원과 제휴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병원은 일정 수준 이상의 질적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선정기준이나 평가 없이 수련병 원이면 그대로 인정되어 왔다.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대학과 교육병원의 역할 제고 방안 


1. 교육연구병원 조직구조의 변화 


미국의 경우 교육이 중요한 기능인 대학조직은 AMC 형태로 변화ㆍ발전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의료환경의 변화로 인해 서 진료수입이 감소되었다. 이는 다양한 미션을 수행해야 하는 교육 연구병원에게는 장애요인이 되었다. 이는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AMC 산하의 센터와 연구소보다는 대학이 상대적으로 더욱 영향을 받아 교육기능은 소홀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연구병원의 교육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새로운 조직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Phillips et al., 2008; Rosenblatt et al., 1997). Mission-based management란 의사결정이 광범위하고 정확한 자 료를 기초로 하여 미션위주로, 공정성이 있게, 목적에 적합하게 자원 이 분배되도록 하는 과정이라고 AAMC는 정의하였다(Howell, 2002). 많은 대학들은 AAMC의 지침서를 통해서 대학에 맞는 조직 을 개발하였다(Schwartzstein et al., 2008). 연구기금의 배정은 연구 비 수주에 따라서, 진료에 대한 투자는 발생되는 진료비에 따라서 하고 있지만, 교육비에 대해서는 미국의 경우 주 의과대학은 주의 지원을 받아 해결하고, 사립대학은 주로 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하 고 있다. 따라서 이 제도를 시행해서 임무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면 수입과 지출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수집이 필요하다(Whitcomb, 2002).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교수들이 자신의 연구에 몰입함으로 써 교육이 소홀히 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초와 임상의학 분야의 교육전담교수를 각각 선발하여 교육을 담당하게 하고, 교수업적평가에서 연구업적이나 진료실적에 부담을 갖지 않 도록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과 환경은 다르지만 교수들이 진료와 연구 에 부담이 많고 업적평가제도에 있어서도 교육비중은 상대적으로 적어 교육이 소홀히 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교수 트랙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2. 임상실습교육 내실화 


1) 의과대학과 교육병원의 확고한 연계체제와 대학교육 담당조직 과 병원 운영조직 간의 긴밀한 의사소통체제 구축 


의과대학의 사명과 비전에 기초한 분명한 의학교육의 목표에 따라서 교육연구병원과 구성원들이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인가 인식하는 병원과 대학의 핵심가치의 공유와 강화가 필요하다. 병원 내 교육을 전담하는 대학구조와 책임자(학생교육, 졸업 후 교육)를 통한 교육책임(responsibility)을 공유함으로써 교육연구병원은 경 영압박으로부터 교육사명감을 지키려는 노력을 해야 된다. 또한 병 원 내에 교육지원시설에 대한 투자를 비롯하여 병원 평가에 교육업 적을 추가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교육과정의 기획과 평가,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을 위해 교육학 전공자가 참여하여 교육을 총괄하는 교육센터(education center)가 필요하다. 교육총괄기구는 학장과 교육담당 보직자를 보 좌하면서 캠퍼스 간의 의사소통과 협력을 지원하는 전문조직을 통해 서 정기적인 의과대학-교육병원 합동회의나 캠퍼스 책임자 간 조정 회의 등을 통해 각 캠퍼스들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 



2) 임상실습효과를 높이는 교육적 방안 


일차 진료를 담당할 수 있는 포괄적인 능력을 가진 의사양성을 위한 임상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교육 간 협력체제를 유지하고, 주 교육병원을 제외한 다른 병원에는 실습학생을 위한 충분한 학습과 복지시설을 마련하고, 화상비디오를 이용한 원격학습체제를 구축하여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려는 노력과 더불어 표 준화 작업을 통한 학생평가의 일관성 확보가 필요하다.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병원의 상황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임상실 습교육과정의 재조정을 한다면 교육병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3. 교육병원 제도 개선 


1) 바람직한 학생교육병원 모델 


의학교육에서 임상실습은 중요하다. 따라서 Lee et al. (2009)은 바람직한 학생교육병원에 관한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의대 임상실습 교육의 현황과 의대 교육 시 부속병원과 협력병원의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외국의 학생교육병원 활용현황을 분석하여 현 실적인 모델과 이상적인 모델의 바람직한 학생교육병원을 제시한 바가 있지만, 이후 구체적인 토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향후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 교육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새 패러다임의 바람직 한 모델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 위탁교육기관 지정기준 개발과 평가인증 


현행 법체계상 대학부속병원이 없는 의과대학은 위탁교육을 시 킬 수 있다고 하고 있으나, 적절한 선정기준은 아직 없는 실정으로 위탁교육기관 지정기준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기본 의학교육과 졸업 후 교육의 질적 보장을 위한 모든 교육병원에 대한 평가인증이 필요할 것이다. 교육병원의 기준은 당연히 대학부속병 원의 기능 즉, 진료, 연구, 봉사를 고려한 최소한 행정운영체계, 교육 지도자 수 및 연구수준, 병상 및 진료과 수, 병원 내 교육지원시설 등에 대한 각각의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3) 관리체계의 일원화 


의사양성 교육은 기본의학교육, 졸업 후 교육과 평생교육의 세 단계이지만 국외에서는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 교육은 하나의 의학 교육으로 간주되어 두 과정의 질 관리가 중요하여 유럽과 캐나다에서는 학장 책임하에 두 교육과정이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의학교육 학자를 중심으로 이러한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 이원화가 되어 있어 기본의학교육은 학장이, 졸업 후 교육은 병원장이 관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의학교육의 연속성 측면에서 행정체제에 대한 대학과 병원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고등교육법, 대학설립운영규정 등 교육 관련 법령에서 학생교육병원에 관한 규정이 미흡하여 임상 실습교육의 질 보장 확보를 위한 교육병원 관련 규정의 보완이 필요 하다. 관련 정부 부처는 교육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해서 이원화된 관리체계를 일원화하려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4) 교육병원에 대한 재정 지원 


의과대학과 교육병원들에 대한 경영상의 압력은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 큰 걸림돌이다.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대부분의 의과대학이 국공립으로 주(state)에서 교육비를 지원받고 있고, 사립의대 일부는 주에서 지원을 받기도 하지만 주로 학생등록 금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졸업 후 교육에 대한 교육비용은 정부에 서 병원에 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립의대는 국가에서 재정지원을 받지만, 사립의대는 등록금과 진료수입에 의존하고 있 다. 따라서 교육연구병원이 교육이란 본연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 기 위해서는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 교육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결 론 


의사양성교육에서 첫 과정인 기본의학교육 중 임상실습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육병원이 교육을 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 다 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대학의 교육 미션을 공유하는 교육전담조직을 설치하여 학생교육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졸업 후 교육을 담당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수준이 높은 임상실습을 위해서 교육병원에 대한 질 관리와 함께 기본의학 교육과 졸업 후 교육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육병원 모델의 도입과 정부의 대학과 교육병원에 대한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기본의학교육과 졸업 후 교육으로 이원화된 정부의 관리체계의 일원 화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의 역할(KMER, 2015)

The Role of the Teaching Hospital in the Effective Clerkship

백선용ㆍ윤소정ㆍ감비성ㆍ이상엽ㆍ우재석ㆍ임선주

Sun Yong BaekㆍSo Jung YunㆍBeesung KamㆍSang Yeoup LeeㆍJae Seok WooㆍSun Ju Im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

Medical Education Unit,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서 론 


병원은 환자 진료를 목적으로 하는 곳이다. 또한 병원은 학생들의 임상실습과 전공의 교육 및 지속적인 전문직업성 개발(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등 교육과 학습이 동시에 일어나 는 곳이기도 하다. Dornan et al. (2007)은 의학교육을 위한 진료현 장을 ‘환자, 학습자, 임상의사가 의료와 학습 두 가지의 목적을 위해 함께 있는 공간’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 정의는 교육병원의 포괄적 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학습자는 임상실습을 수행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CPD 관점에서 진료를 하는 임상의사까지 학습자 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학생은 독립적으로 진료를 할 수 있는 의료인이 아니라는 점에서 전공의 또는 임상의사와 다른 학습자이다. 학생은 임상 지도 교수의 지도 아래에서만 진료에 참여할 수 있고, 의료팀 구성원과 환자는 의사가 아닌 참관하는 학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임상실습 을 수행하는 학생에게 주어진 의무와 역할이 불명확하다. 또 학생은 병원의 정보시스템과 같은 환경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학생은 임상실습을 수행하는 동안 많은 어려움에 접한다. 의학지식과 감별진단능력의 부족, 임상술기능력 부족 또는 시간관 리 등 학생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있지만, 학생의 역할과 진료범위에 대한 불확실함, 병원문화 등 교육병원의 역할에 대한 부분도 제기된다(O’Brien et al., 2007). 특히 임상실습에서 학생의 힘든 점과 실습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병원에서 학생을 직접 지도하는 임상교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병원은 환자 진료를 목적으로 여러 의료 직종이 함께 근무하는 곳이다. 학생이 임상실습을 수행하는 동안 진료에 참여하 는 것은 다양한 의료직종과의 관계 속에서 가능하므로 교육병원 구성원의 역할도 중요하겠다. 


이렇듯 임상실습에서 학습은 환자, 의사 및 다양한 의료 직종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며 물리적 환경 또한 강의실과 다르므로 진료현장에서의 학습은 강의실에서의 학습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 진료현장에서의 학습의 특성과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살펴보는 것은 학생들의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육병원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상실습을 수행하는 학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 해서 먼저 임상실습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특성과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교육병원의 역할 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임상실습에서의 학습의 특성과 관련 요소 


1. 임상실습에서의 학습의 특성


 임상실습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가장 큰 특성은 학습이 진료현장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Dornan et al., 2011). 진료현장은 학생들 이 졸업 후 의사가 되어 업무를 해야 하는 곳이기 때문에 학습내용 이 타당할 수 있다.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배운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즉각적으로 적용시켜 볼 수 있으며, 환자와 함께 배움이 항상 일어 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임상실습 지침서의 문서상의 교육과 실제 로 일어나는 교육이 상이하여 학생들이 배움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또 병원은 환자의 진료업무를 우선하기 때문에 임상교수 또는 교육 과정 관련 교수가 학습과정이나 학습성과를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고, 학생과 임상교수가 배움을 준비하거나 지도할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다. 


임상실습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두 번째 특성은 학생이 환자에게 서 배우는 것이다. 학생이 환자 진료를 통해 배우는 것은 교과서에 기술된 문자로 배우는 것보다 아주 효과적(Slotnick, 1999)이고, 진 료 전후에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학생은 중요하지만 흔하지 않은 증상의 환자를 경험하기 어렵고, 초보자인 학생이 진료에 참여함으로써 환자의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임상실습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세 번째 특성은 임상 지도교수, 의료팀의 구성원 및 동료로부터 학습이 일어나는 것이다. 실습을 하는 학생은 다른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의 역할과 전문 직업성 등 암묵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Eraut, 2000). 그러나 학생 이 구성원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경우 학습이 감소하고, 나쁜 영향을 받아 좋지 않은 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임상실습 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특성을 Table 1에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2. 임상실습에서 학생, 환자 및 교수의 3자 관계 


임상실습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특성으로 ‘환자로부터의 학습’에 대해 기술하였다. 즉 강의실에서 학습은 학생과 교수 간의 2자 관계 속에서 일어나지만 진료현장에서 학습은 학생, 환자 및 교수의 3자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Dornan et al., 2007). 따라서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위해서는 학생과 임상 지도교수의 관계뿐만 아니라 학생 과 환자와의 관계 또한 중요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임상실습에서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 되어 왔다. 임상교수는 학생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학생이 실습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적절한 피드백과 지도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또 효과적인 실습교육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활동에 근거하여 평가를 객관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Im, 2012). 그러나 Bleakley & Bligh (2008)에 의하면 임상실습과정에서 의 교육은 환자가 중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상교수의 교육역할 또는 학생과 임상교수의 상호작용에만 의미와 타당성을 둔다고 비판 하면서 학생과 환자 사이의 협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재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Stockhausen (2009)은 임상실습에 참여하여 학생과 임상교수 사이에서 교육과 학습을 중개하는 환자를 ‘경험을 중개하는 사람 (experience broker)’이라고 표현하면서 직무현장에서 환자의 역할 을 강조하였다. Rees et al. (2007)는 학생들이 ‘환자에 대하여’가 아니라 ‘환자와 함께’ 배우는 사회과학 관점의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때 임상교수는 학생이 환자의 문제해결에 깊이 관여하도록 기회를 주는 학생의 지원(support) 또는 자원(resource)의 역할을 하게 된다. 


Mol et al. (2011)은 유럽,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시행한 16편의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환자는 학생의 진료에 대해 만족하였다고 하였다. 특히 환자는 학생이 진료할 때 진료시간이 길고 진찰을 꼼꼼히 하며 환자교육을 꼼꼼히 시행하기 때문에 만족 감을 나타내었으며, 학생교육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자부심은 환자 에게 동기부여가 되었다. 국내에서는 학생교육에 참여하는 환자의 입장에 대한 연구가 없으나 학생이 직접 진료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 지고 있다. 교육병원에 방문하는 환자에게 학생이 진료할 수 있다는 사실과 학생의 진료범위에 대해 알리고 동의를 받을 필요가 있다. 만일 환자가 학생이 진료하는 것에 대해 사전에 알지 못한 채로 또는 원하지 않은 채 참여를 하거나 초보자인 학생이 환자에게 침습 성 시술을 시행하거나 수술방에서 마취된 상태에서 기관내삽관 또는 골반 진찰을 수행한다면 윤리적․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임상실습에서 학습의 관련 요소와 학습모형 


Eraut (2004)는 진료 현장에서 학습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의료업무 자체(tasks), 학생, 의료환경(context)의 3가지를 제시하였다. 

    • 우선 의료업무는 여러 직종들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 다. 예를 들면 충수염 수술을 할 때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복부의 해부학적 구조와 충수돌기를 절제하는 부분에 관심이 있으며, 수술 방 간호사는 함께 수술을 하지만 집도의사와는 다른 부분에 집중하 며, 마취의사는 환자의 마취에 관심을 두고 있다. 각기 다른 일, 다른 동료, 다른 환자와 만나지만 각기 역할들은 서로 연결되어 진료업무를 효과적・효율적으로 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학생이 직종별로 다른 역할에 대해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생이 맡은 역할에 대해 알고 행할 수 있어야 한다. 

    • 다음으로 의료환경(context)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래, 병동 또는 수술방과 같은 물리적 환경은 학생 들의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수술방과 같은 환경에서는 술기와 의사결정 역량을, 외래에서는 진단과 처치 영역을 배우는 등 물리적 환경에 따라 습득할 수 있는 지식이 다르고, 컨퍼런스에서 의자 배치를 예로 들면 학생이 뒤에 앉는 경우 집중도나 참여도는 다를 수 있다. 사회적 환경은 여러 직종이 함께 의료업무를 하고 있는 체제를 의미하므로 병원조직의 문화나 관습 등을 포함한다. 

    • 마지막으로 학습자 개인의 지식구조, 적극적 참여 여부, 신체와 정신적 상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Sheehan et al., 2005). Sheehan et al. (2005)은 뉴질랜드 병원 환경에서 임상과를 순환 하는 인턴의 경험을 분석하여 인턴의 학습과정에 대한 모형을 제시 하였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두 가지 분명한 요소는 환자 진료와 관련된 업무와 의료팀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것이었다. 이 두 요소는 임상술기뿐만 아니라 사고방식과 같은 전문직업성에 대해 배움으로 써 의료인으로서의 자신감과 정체성을 갖게 하는데 영향을 준다. 


이상으로 임상실습에서 학습의 특성, 학생, 환자 및 임상의사의 3자 관계, 학습의 관련 요소와 모형을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임상실 습에서 학생의 배움은 병원의 진료환경에서 환자 및 구성원과의 깊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Figure 1은 학생, 환자, 임상교수와 의료팀의 3자 관계와 진료환경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모형에서 학생이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세 가지 관점은 첫째, 학생과 환자의 관계에서 학생이 환자의 의료업무에 깊이 참여하고, 둘째, 학생과 임상교수 또는 의료팀의 관계에서 의료팀의 구성원과 상호작용하며, 셋째, 학생이 의료업무와 의료팀에 깊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과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임상실습에서 학생과 교육병원의 역할 


Figure 1에서 제시한 의료업무, 의료팀, 의료환경의 세 가지 관점 에서 학생의 역할과 교육병원의 역할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으며, Figure 2에 요약하였다. 


1. 의료업무


학생이 환자의 의료업무에 깊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 이다. 우선 학생은 환자 진료를 위한 지식과 술기 등 사전 준비가 되어 있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하며, 학생 자신이 환자 진료상황에서 자신이 진료할 수 있는 범위와 역할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교육병원의 임상교수는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그 수가 충분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 자질을 갖추어 교육의 목표를 명확히 인지하고 학생을 적절하게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 Ashley et al. (2009)은 외래 또는 수술방에서 학생이 환자 진료에 깊이 관여하도 록 하기 위해 임상교수가 실천해야 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된 내용은 환자에게서 학생 진료에 대한 동의를 받고, 학생의 지식수준 을 파악하며,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을 준비시킨다. 가급 적 학생이 먼저 진료하도록 권장하며, 환자에게 학생을 소개하여 학생이 적극적으로 환자를 진료할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 한다. 학생의 진료가 끝난 뒤에는 환자에게 감사를 표시하며, 학생에 게 수행에 대해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이다. 


임상실습현장에서 임상교수와 함께 전공의가 학생교육에 많이 참여하는데 이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수 있다(Lee et al., 2002). Post et al. (2009)은 전공의들에게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학생교육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이 다양한 진료업무를 경험하기 위해서 교육병 원에 방문하는 환자는 질병군이 다양하고 환자의 수가 적절하여야 한다. 환자는 학생이 진료하는 것에 대해 충분히 정보를 받고 알고 있어야 한다. 



2. 의료팀 


학생이 의료팀의 일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학생은 의료팀 내 구성원 각각이 맡은 역할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하며, 다른 직종과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교육병원의 의료 팀 구성원은 임상실습을 수행하는 학생도 의료팀 일원으로 인지하고 학생의 역할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생을 존중하여야 한다. 


의료팀이 업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팀이 지향하는 분명 한 목적, 분명한 업무 분장과 역할에 대한 지침, 팀원이 합의한 규칙, 준비와 훈련, 신뢰와 존중, 정기적인 검토, 그룹이 함께 성취한 것에 대한 인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Hammick et al., 2009). 학생이 팀원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의료팀 구성원 모두에게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겠다. 


Hammick et al. (2007)에 의하면 의료직종 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은 전문직업성 교육의 한 영역이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직종 간에 협력적으로 업무를 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은 비교적 쉽게 향상이 되나, 의료시스템 내 다른 직종에 대한 태도나 인식의 긍정적 변화는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학생 때부터 시작하여 전공의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IPE 교육 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또 효과적으로 IPE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반응을 잘 이해하고 교육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의 개발 이 핵심이라고 하면서 IPE에서도 임상교수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3. 병원의 환경, 문화와 제도 


학생이 의료업무와 의료팀에 깊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사회적 제도와 환경에 관한 부분도 중요하다. 교육병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해서는 외래, 병동 또는 수술방에서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의 좌석 배치 등이 적합해야 하며, 임상실습교육에 필요 한 공간뿐 아니라 학생들이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도 필요하다. 학생은 전산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최근 지식을 비롯한 온라인 자료검색을 쉽게 할 수 있어야 한다. 


교육병원은 학생을 의료팀원으로 포함하는 제도의 정비가 필요 하다. 예로 학생이 임상실습 중 발생한 감염 등의 위험에 대해 보상받 을 수 있어야 하며, 학생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발생한 환자 안전문제 에 대해 보상체제가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학생을 포함한 의료팀 구성원의 역할을 규정에 명시하고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서로 간의 역할과 의무 및 전문직업성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며, 교육 참여에 대한 의무와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거시적으로 실습 학생 이 환자의 정보에 합법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법적 장치와 임상실 습면허 등의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병원은 위와 같은 병원의 ‘교육’과 관련된 수행에 대해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질적으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체적인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결 론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의 역할을 의료업무, 의료팀,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교육병원은 학생이 의료업무와 의료팀의 활동에 깊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것을 위한 환경과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핵심이다. 교육병원은 양적인 지표뿐 만 아니라 학생 교육의 질(quality)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교육병 원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 임상 지도교수, 의료팀 구성원이 학생 의 참여를 잘 인지할 수 있도록 학생을 포함한 구성원의 역할을 분명히 하는 제도를 만들고 이것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병원은 환자에게 ‘병원의 교육’의 역할을 인식할 수 있도록 반복 적으로 안내하며, 더 나아가 임상실습면허, 학생으로 인한 환자 안전 문제에 대한 보상 등 제도적 뒷받침을 통해 학생이 환자와 접촉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교육병원의 ‘교육’역할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해 나가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임상 실습은 학생 스스로의 노력뿐만 아니라 교육병원의 변화 더 나아가 의료문화와 의료시스템 전반에 걸친 변화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의과대학 학생 임상실습병원의 현황과 발전(KMER, 2015)

Teaching Hospitals for Basic Medical Education in Korea, Present and Future

임기영

Ki Young Lim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ural Sciences,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우리나라 학생 임상실습병원의 현황


의과대학 수가 많지 않았던 1970년대 중반까지 우리나라의 모든 의과대학은 학교법인에 소속되어 있는 소위 대학부속병원을 운영하 면서 의과대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의 거의 대부부분을 이 대학부속 병원이 담당해왔다. 그러던 중 1978년부터 시행된 서울대병원설치 법 1991년에 시행된 국립대학병원설치법에 따라 10개 국립 의과 대학들이 특수법인화되었고, 같은 법에 따라 의과대학 교수들이 관 련 대학병원의 직무를 겸할 수 있도록 겸직이 허용되면서 국립 의과 대학과 사립 의과대학의 부속병원 형태가 이원화되기 시작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 기존 사립 의과대학이나 신설 의과대학 중 일부가 복수의 병원을 운영하면서 한 병원만 학교법인인 대학부속병원으로 운영하고 나머지 병원들은 의료법인으로 운영하는 일종의 편법 운영 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는 아마도 학교법인인 대학부속병원은 교 육용 재산이라서 재산권 행사에 제약이 많은 반면 의료법인은 수익 재산이라 그런 제약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사실상 개인 소유의 사립 의과대학 중 일부가 이러한 운영방식을 취하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 된다. 러면서 뚜렷한 법률 혹은 규정상의 근거 없이 의료법인 병원들도 대학병원으로 지칭하고 소속 의사들을 의과대학 전임교수 로 임용하여 왔다


2014년을 기준으로 삼을 때 31개 사립 의과대학 중 23개 의과대 학은 소유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병원이 모두 학교법인 대학부속병 원인 반면, 5개 의과대학(가천, 성균관, 을지, , 한림)은 하나의 대학부속병원과 복수의 의료법인 협력병원의 형태로 운영 중이다. 특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서남대학교 의과 대학 등 3개 사립 의과대학은 아예 부속병원 없이 협력병원만 운영하 고 있다

  • 다만 이 중 관동대학교 의과대학2014630일 관동대 학교 전체가 명지학원으로부터 인천가톨릭학원으로 인수되었고, 새 로 개원한 국제성모병원이 학 교법인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교육부 승인을 받음으로써 정상화되었다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은 울산에 소재한 울산대학교병원이 학 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소속이 긴 하지만 교육용 재산이 아닌 수익용 재산으로 등록되어 교 육부로부터 부속병원으로 인 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복 지법인인 서울아산병원이 실질적인 학생 교육병원의 기능을 하고 있다
  •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 경우 부속병원이던 광주 소재 남광병 원이 보건복지부 감사결과 수련병원 자격이 취소되면서 교육부로부 터도 학생 임상실습병원의 자격을 잃게 되었고 그 후 현재까지 부속 병원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결국 서남대학교 재단과 아무 연관이 없던 전주예수병원과 협력병원 협약을 체결하여 학생 임상실 습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학생 임상실습병원은 학교 법인 대학부속병원 단일 체제에서 학교법인, 특수법인, 의료법인, 사회복지법인 등 다양한 법인격을 가진 병원으로 복잡해지고 있고,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 경우와 같이 학교와 무관한 병원이라도 협약 을 통해 임상실습을 담당하는 혼란스런 상태에 이르고 있다



학생 임상실습병원 운영의 문제점 


의과대학이 부속병원을 두지 않고도 운영할 수 있게 된 근거는 대통령령인 대학설립운영규정이다. 이 규정 제4(교사) 2항에는 실습교육을 위해 부속병원을 직접 갖추거나 그 기준을 충족하는 병원에 위탁하여 교육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여기서의 기준은 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 제7조 제1항에 따른 인턴과정 수련병원의 지정기준을 의미한다. 즉 현행 규정에 의하면 의과대학은 부속병원을 직접 갖추지 않더라도 인턴수련병원 이상의 병원과 협약하여 학생실습을 위탁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 규정은 의대뿐 아니라 치대 및 한의대도 적용된다. 즉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학생 임상실습병원이 갖추어야 할 기준에 대한 독립적인 기준이 없고, 일반적으로 중소규모의 병원이라도 통 과하기 어렵지 않은 인턴수련병원 지정기준을 아무런 교육적 근거 없이 가져다 씀으로써 결과적으로 의과대학과 협약만 맺으면 전국의 수많은 인턴수련병원이 대학병원이 될 수 있는 빌미를 주고 있는 셈이며 그것이 실제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현실화된 것이다


한편 이 문제와는 별개로 부속병원 및 협력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들의 교수 신분을 어떻게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0 국립 의과대학의 경우는 서울대병원설치법 및 국립 대학병원설치법에 따라 의과대학 교수들이 특수법인인 대학병원 의사를 겸직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국립 의과대학의 경우는 교육 부에 의해 임용 가능한 전임교수의 정원이 통제되는 데 반해, 소속병 원 전부가 학교법인인 24 사립 의과대학(관동대학교 의과대학 포함)은 부속병원의 수에 상관없이 병원 근무 전문의를 모두 전임교 수로 임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 따라서 부속병원의 수가 많은 일부 사립 의과대학의 경우 자연히 전임교수의 수도 늘어나 1,000명을 넘는 곳도 있다. 특히 1990년 이후 부속병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의과대학 교수의 수도 따라서 증가하여 현재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전임교수는 전체 대학교수의 15% 이상, 활동 중인 전체 의사 수의 10% 이상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렇게 많은 수의 교수들이 모두 교수 본연의 임무인 교육과 연구, 진료를 골고루 수행하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대부분의 교수는 진료에 거의 모든 시간을 투입 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고, 결과적으로 임상실습을 포함한 학 생교육의 질은 교수 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향상되지 못했다


더 큰 문제는 의료법인 병원을 협력병원으로 운영 중인 7개 사립 의과대학이다. 201111 감사원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과 성균 관대학교 의과대학을 포함한 7개 사립 의과대학의 14개 협력병원에 근무하는 의과대학 교수 1,818명을 전임교수로 인정할 수 없다며 이들의 계약을 해지하고 이들에게 지급된 사학연금 등 교비 약 607 억 원을 환수하라고 교육과학기술부에 통보하고 교육부는 이에 따른 행정처분을 20122월에 내림으로써 큰 파문을 일으켰다. 그러나 비슷한 시기에 사립 의과대학 교원의 협력병원 의사 겸직을 인정한 사립학교법 개정안(2011. 12. 30. 국회본회의 가결, 2012. 1. 26. 공포, 2012. 7. 27. 시행)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개정법 실시 이전에 임용된 교수들에 대하여 울산공업학원(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성 균관대학(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일송학원(한림대학교 의과대 학), 성광학원(차의과학대학교), 가천학원(가천의과학대학교) 등 학 교법인 5곳이 협력병원 겸직교수의 교원임용계약 해지처분을 취소 해 달라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낸 소송이 서울행정법원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받아냄으로써 대량 해직사태를 피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교육부는 이와 같은 사태를 계기로 사립학교법 시행령을 개정 하여 협력병원에 근무하는 겸직교수의 수를 (대학의 임상교육 필요 학생정원×1)+(전문대학원의 임상교육 필요 학생정원×2)+(일반 대학원의 임상교육 필요 학생정원×1.5)로 제한하였다. 여기서 임상 교육 필요 학생정원은 편제완성연도를 기준으로 학생정원 중 예과 1, 2학년을 제외한 정원(예과과정이 없는 경우에는 전체 정원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정원으로 규정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부속병원 인 경우 임용할 수 있는 전임교수의 수에 제한이 없는 반면 협력병원 은 학생정원에 연동되어 전임교수의 수가 제한되는 것이다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 경우는 매우 특수하다. 서남대학교 의과 대학은 소수의 기초의학교수만 전임교수로 근무 중이며 임상의학교 수는 없는 상태이다.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 정확한 전임교수 수는 계속 바뀌고 있어 파악이 힘들다.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은 남광병원 의 수련병원 자격이 취소되면서 학생 임상실습이 문제가 되자 전주 예수병원과 협력병원 관계를 맺는다. 이때 협력병원인 전주예수병원은 다른 6개 사립 의과대학의 경우와는 달리 학교재단과 실제적으 로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병원이다. 남대학교 의과대학과 전주예 수병원은 협약을 맺으면서 전주예수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 80여 명을 서남대학교 전임교수로 무더기 임용을 했다. 이때 서남대학교 전임교수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서남대학교에서 급여가 나와야 하는 관계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주예수병원이 80여 명 전문의의 급여를 서남대학교에 기부금의 형태로 보내면 서남대학교는 이를 월급으로 주기로 하였다. 그러나 서남대학교 재단이 불안정한 관계 로 전주예수병원은 협약된 기부금을 보내지 않았고 따라서 서남대학 교에서 월급이 지급되지도 못했다. 결과적으로 월급 지급을 근거로 80여 명 교수 임용자들을 국민연금에서 사학연금으로 옮기려던 계 획이 실행되지 못했다. 2014년 교육부는 서남대학교 협력병원 실태 를 조사할 때 이들 80여 명이 사학연금 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점을 들어 전임교수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고 결과적으로 서남대학교에 신입생 모집 정지 처분을 내리게 되었다. 서남대학교는 이에 불복하 여 소송을 하였고 이 과정에서 교수들을 사학연금에 가입시켰다. 현재 교육부는 전임교수 신분을 확인할 때 사학연금 가입자인지에 의존하여 판단한다. 즉 교육부는 자체적으로 전임교수의 자격기준 이나 등록자료를 갖고 있지 않다는 말이며, 임용과정의 절차와 무관 하게 대학교의 인사위원회를 통과하고 이사회 임용결의가 있었고 급여를 받은 내역만 있으면, 그래서 사학연금에 가입이 되어 있다면 전임교수로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인 듯하다. 이와 같은 상황은 인천가톨릭학원으로 인수되기 전의 관동대학교 의과대학에서도 있 었다. 당시 관동대학교 의과대학은 명지병원과의 협력병원 관계를 종결하면서 학생실습병원이 시급히 필요하니까 제일병원, 성애병 원, 그리고 분당 제생병원 등과 연이어 협력병원 협약을 체결하고 이들 병원에 근무하던 전문의 200여 명에게 전임교수 임용을 하였 다. 교수 임용을 위한 방법과 절차는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그리고 이들 전원은 관동대학교 의과대학이 인천가톨 릭학원에 인수되면서 교수신분이 없어졌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정상적 절차인지, 적법한 처리인지 따져 볼 여지가 많음에도 불구하 고 교육부는 별다른 입장을 표시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묵인하고 있는 인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기본의학교육과정 중 임 상교육에 관련하여 어떤 형태의 병원에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자격을 갖춘 교수로부터 교육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합의된 내용이 없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학생 임상실습교육을 논할 때 병원의 규모나 병원의 법인격과 같이 병원의 자격을 따졌을 뿐 어떤 사람이 어떻게 임상실습을 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전혀 없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초래된 배경에는 일차적으로 교육부가 의학교 육의 특수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의대생의 임상실습을 공대생의 현장 실습, 간호대생의 병원실습과 동일한 차원에서만 다루어 왔기 때문 이다. 또한 보건의료인력 교육에 공동의 책임이 있다 할 보건복지부 역시 졸업 후 의학교육(graduate medical education)인 전공의 교육 에만 제한적으로 관심을 가져왔을 뿐 기본의학교육과정은 자신들과 무관한 영역으로 무시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인턴 수련병원, 레지던트 수련병원의 자격조건을 정하고 질 관리를 하면서도 학생 임상실습병원을 지정하고 질 관리하려는 노력은 아무도 하지 않았 다. 한편 의과대학, 특히 사립 의과대학은 대학병원이라는 명칭이 갖는 다양한 이점들을 극대화하기 위해 부속병원, 협력병원을 지속 적으로 늘려나갔고, 이에 따라 의과대학 교수의 수 역시 비례하여 증가해 갔다. 환자들의 대학병원 쏠림현상, 수련병원으로 지정되는 경우 값싼 노동력으로서 전공의들을 고용할 수 있다는 이점, 그리고 대학병원으로서 전문의들을 대학교수로 채용할 경우 급여나 처우가 상대적으로 낮아도 잘 이직하지 않는다는 장점, 더구나 교육용 재산 이 아닌 수익재산으로서 부속병원, 혹은 협력병원을 운영하더라도 소속 의사들에게 교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 등에서 대학병원은 교육기관으로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의료환경 속에서 대형병원이 살아남기 위한 수단, 더 나아가 이윤을 극대화 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면이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하급수 적으로 늘어난 의과대학 전임교수 중 상당수는 교수로서의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고, 더 나아가 학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전혀 없거나 현실적으로 교육에 종사할 여건에 있지 못한 상황이 벌어졌 고 결과적으로 학생 임상실습교육의 질은 과거보다 오히려 저하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및 관동대학교 의과대학의 경우 에서 보았듯이 의과대학과 특정 병원이 서로의 필요에 의해 협약서 만 가지고 스스로 교육협력병원을 칭하고 개개인에 대한 자격기준이 나 심사 없이 소속 전문의 전부를 무더기 전임교수로 발령하여 교육 을 맡기는 행태는 매우 우려할 만한 사태이며, 이를 제지하지 않을 경우 앞으로 의과대학 신설과정에서 굳이 대형병원을 자체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실 의과대학이 난립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지리멸렬한 의과대학 교육병원의 실태를 바로잡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학생 임상실습병원의 조건 


임상실습병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유력하게 제시되고 있는 것이 소위 교육병원(academic medical center, 교육 연구병원 또는 교학병원이라고도 함)의 개념이다. 이 개념에 의하면 법인격과 무관하게 어떤 특정 병원이 교육과 연구에 적합한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여 기준을 통과한 병원에만 교육병원, 특 히 학생교육병원(student teaching hospital)의 자격을 부여하자는 것이다. 그리고 생교육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 중에서 대학이 선 별하여 전임교수를 임용하자는 것이 핵심이다. 안은 학교법인, 특수법인, 사회복지법인 등이 혼재되어 있는 우리 상황에서는 관행 을 최대로 수용할 수 있고 부작용이나 저항이 가장 적은 안이라 할 수 있다


아직까지 교학병원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없다. 연구를 중시하는 사람들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연구중심병원이 바로 교육병원의 모델이라고 주장한다. 즉 병원 내에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연구전담교수를 두고 대학원 교육을 맡아 하며 임상연구를 주도할 수 있는 병원이 명실상부한 교육병원 즉 academic medical center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 경우 당연히 교육병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병상 수도 많은 병원들 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규모가 크고 임상연구능력이 뛰어난 병원이 학생 임상실습에 적합한 병원이라고 볼 수는 없다. 실제로 학생 수준의 임상실습은 1, 2차 병원이 지역사회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질병을 다룬다는 점에서 더 적합할 수도 있다. 즉 전공의 들을 수련시키고 임상연구를 하기 위한 교육병원과 기본의학교육과 정에서의 임상실습교육을 위한 교육병원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학생 임상실습병원을 논할 때 더욱 중요한 요소는 병원의 규모나 기타 하드웨어적 요소가 아니라 교육을 담당 할 교수의 자격에 관한 사항들이라 할 수 있다. 즉 아무리 외형적으로 훌륭한 병원이라 할지라도 교수가 진료나 연구에 전념을 하느라 학생교육에 대해 소홀할 수밖에 없다면 그 병원을 학생교육병원이라 부르기 힘들다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경우처럼 대학 전임교 수라는 직위가 교육을 목적으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에게 권위 있게 보이고, 우수한 진료인력을 끌어들이기 위한 목적으로 남용되는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따라서 이제는 우리나라도 특정 병원에 속해있다고 해서 모두 교수로 임용되는 체제에서 벗어나 캐나다 등 일부 선진국처럼 교육과 연구에 투입하는 시간의 비율에 따라 전임교수와 비전임교수를 철저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전체 근무시간의 최소 50% 이상 교육과 연구를 하는 의사만 전임교수가 될 수 있고, 반대로 진료가 50% 이상인 의사는 동일 병원에 근무한다 해도 비전임교수인 진료교수나 임상교수, 혹은 그 밖의 임의의 명칭으로 임용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 하다면 전임교수 내에서도 트랙을 나누어 교육전담 전임교수, 연구 전담 전임교수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한 의과대학에 서 진료에 50% 이상을 투입시키지 않는 전임교수의 수를 200명 이상 확보하기는 힘들 것이다. 자연히 전임교수 임용을 남용하여 교수로서의 정체성이 없거나 실제로 교수 역할을 수행하기 힘든 사람까지 의과대학 전임교수로 임용되는 일이 현저히 줄어들게 될 것이고, 반대로 비전임교수들의 경우에는 진료에 전념하면 되므로 논문이나 교육의 부담 없이 근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의과대학 은 필요하다면 전임교수를 1, 2차 병원에 파견 근무토록 하여 그곳에 서 학생 실습을 담당하게 하거나, 반대로 1, 2차 병원 소속의 의사라 할지라도 전임교수 임용의 기준을 만족하고 임용 심사를 통과하면 의과대학 전임교수로 임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결 론 


해방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의학교육, 특히 임상교육은 소위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3차 병원인 대학병원에서 거 의 대부분의 임상실습이 이루어지는 것은 일차진료의사 양성이라 는 일반적인 의과대학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부적합하다는 지적 에도 불구하고 시정되지 못했고, 오히려 지난 20여 년간 대학병원의 법인격이 다양해지고 양적으로 급속히 팽창하면서 의과대학 교수 의 수도 비례하여 급증하면서 임상실습교육의 부실화를 초래한 측면이 있다. 즉 임상실습병원이 많아지면서 한 대학의 학생이라 할지라도 이 병원, 저 병원으로 분산되어 실습을 받고, 그러면서도 중앙에서 이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기능이 따라가지 못해 학생들이 소위 기회적 학습(opportunistic learning)을 받게 되는 일이 많아졌 다. 또한 교수의 수는 많아졌으나 그만큼 교육에 대한 책임감은 희박해지고, 물리적으로도 진료와 연구의 압박으로 교육에 투입할 시간이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최근에는 일부 부실 대학의 경우이긴 하지만 임의로 협력병원 관계를 맺은 병원에 학생 실습을 떠넘기는 사태까지 초래되고 교육이나 연구능력이 전혀 검증되지 않은 협력병원 의사들을 무더기로 전임교수에 임용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와 같은 난맥상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의료계는 지금까지의 틀을 과감히 깨고 미래의 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최선의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교학병원 혹은 교육병원 지정 기준을 잘 정하는 것이 물론 중요하다. 상업적 차원, 혹은 의료기관의 생존 차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현재의 대학병원 체계를 대신하여 교육과 연구라는 공익적 목적을 중심으로 하는 진정한 의미의 academic medical center 체제를 도입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 게 아니,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교수인력체계의 정비이다. 즉 교육병 원의 기준을 정하는 것 이상으로 전임교수 임용기준을 정해 실제로 교육과 연구의 능력을 갖추고 있고,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사람만이 전임교수가 되어 책임 있는 임상실습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학병원과 대학교수가 지금과 같이 상업 적 목적을 위해 남용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고령화사회 대비를 위한 의학교육자들의 과제

Preparing to meet the needs of an ageing population – A challenge to medical educators globally

ELLEN TULLO1, TIEN K. KHOO2 & ANDREW TEODORCZUK1

1Newcastle University, UK, 2Griffith University, Australia








의료서비스가 노인의 요구를 잘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Growing evidence suggests that health services are not adequately meeting the needs of older people (RCPsych 2005; PHSO 2011; CQC 2012; RCP 2012).


의학교육자들의 근본적 관심은 인구 전반의 요구와 전체적인 문제여야 한다.

Arguably, a fundamental concern for medical educators must be to address the healthcare needs and challenges of the population at large.


최근, Francis report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의료서비스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했고, 미디어에서도 크게 이슈가 된 바 있다.

Most recently, the ‘‘Francis report’’ identified significant shortcomings in care particularly relevant to older people, and received widespread media coverage, bringing this issue to the attention of the public (Mid Staffordshire NHS Foundation Trust Public Inquiry 2013)



이러한 불균형은 어디서 발생하는 것일까?

So, why the mismatch between current medical education and demographic trends?


교육과정을 바꾸는 것은 복잡하다. 따라서 인구수준의 역학적 변화가 기존의 교육과정에 통합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First, curriculum change is a complex process; hence there is an inevitable delay between the epidemiological changes at a population level and integration into an existing, and sometimes inflexible, structure.


정책적 수준에서 보면 졸업후 교육과정에서 단절이 발생한다.

At a policy level, these concerns about a potential disconnect have been articulated in the UK by Greenaway in The Shape of Training report (2013), which sets out a road map for the training of postgraduate medical staff.


The Shape of Training report에서 의사들은 단일 질병이 아니라 복합적 질병상태의 환자를 여러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에서 돌볼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The report recognises that the majority of doctors will need to be able to work in multi-professional teams caring for patients with complex conditions, rather than single diseases.


이러한 지적은 학부 교육에도 반영되는데, 치매나 섬망같이 고령층에서 흔한 질환이 핵심적으로 다뤄지지 않고 있고, 학생들은 교육기간동안 고령층 환자와 접촉 기회가 적다.

These concerns are mirrored at an undergraduate level. Common but challenging conditions affecting older people such as dementia and delirium do not prominently feature as core conditions within pre-qualifying curricula (Tullo & Gordon 2013), and students infrequently come into contact with frail older patients during their studies.


더 문제인 것은, 보건의료전문직에서 노인 환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왜 이러한 태도를 갖게 되며, 언제 생기는 것인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Moreover, there is evidence that healthcare professionals continue to hold negative attitudes towards older people and unfortunately see them as burdensome (Tadd 2011; CQC 2012; Teodorczuk et al. 2013). It remains unclear when and how ageism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arises, and how it can be effectively tackled.



국제적으로 보면, Specialism과 Generalism의 긴장관계가 전인적 진료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의사들이 미래에 만날 환자에 대한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Internationally, there is a recognised tension between specialism and generalism that compromises holistic care for older people (Barnett et al. 2012) and fails to prepare future doctors for the patient group they will encounter.


학생은 specialist로 키우고 있지만, 막상 졸업 후 그들 대부분은 generalist가 된다.

Put another way, we continue to prepare students at medical school to be specialists when most will later become generalists.


따라서 근대 의학의 특징에 맞게 학생들의 기대치를 변형시키고, 고령층 인구를 '주 사업 대상'으로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

Hence,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as to the nature of modern medicine and to encourage them to recognise older people as ‘‘core business’’.



의학교육자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많은데, 교육과정 개발의 측면에서 노령과 만성질환을 cross-cutting 주제로 통합시켜야 한다.

There is much that medical educators can do to begin addressing these problems. In terms of curriculum development, we suggest that ageing and chronic illness should be integrated as cross-cutting themes, rather than remaining solely under the auspices of geriatric medicine or psychogeriatrics as parent specialties.



교육분야 연구도 중요한데, 우리는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하고 싶어하는가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한다.

Educational research has an ongoing part to play. While general gaps in knowledge and skills are evident, the exact nature of students’ learning needs remain under-explored. A review of delirium teaching interventions showed that few investigated or addressed students’ learning needs prior to implementation (Teodorczuk et al. 2010).


교육 이론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Attention to educational theory will support the introduction of effective teaching interventions.


역사적으로 교육에 환자와 대중을 참여시키는 것은 상당히 긍정적이었는데, 아직 나이들고 병약하고 인지적 장애가 있는 환자를 참여시키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Historically,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PPI) in teaching shows considerable promise (Spencer 2011), yet efforts to involve older, frailer, and cognitively impaired patients remain rare.


또한 교육법에도 처점을 두어야 하며, 특히 이제 IPE를 '하면 좋은 것' 정도로 놔둘 수는 없다.

Moreover, a focus on relevant teaching methods is required. In particular, given the failure of team work as a contributor to safe care of older peopl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lthough logistically challenging, cannot be seen a luxury.



In summary, medical educators have a key role in ensuring that healthcare students possess the appropriat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care for older people, who compris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health service users.






 2015 Feb;37(2):105-7. doi: 10.3109/0142159X.2014.955845. Epub 2014 Sep 3.

Preparing to meet the needs of an ageing population - A challenge to medical educators globally.

Author information

  • 1Newcastle University , UK .
PMID:
 
25182333
 
[PubMed - in process]


턴 순환(rotational)식 교육에 대한 재고

The rotational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time to confront our assumptions?

Eric Holmboe,1 Shiphra Ginsburg2 & Elizabeth Bernabeo1







CONTEXT:

학부의학교육과 졸업후의학교육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수 차례의 이행과도기(transition)를 겪게 되는데, 이는 주기적으로 뿐만 아니라 단 하루 안에도 발생하기도 한다. 사전에 스케줄이 결정되어 짧은 수련이 반복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임상실습은 Abraham Flexner의 보고서에 기초한 것으로,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최적의 수련기간과 구조는 어떠해야 하며, 한 과에서 다른 과로의 이행(transition)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가 부재한 상태로 오랜 기간 활용되어왔다. 

Trainees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engage in multiple transitions as part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cluding many transitions that occur on both periodic and daily bases within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e clinical rotation, based on either a medical discipline or clinical care setting and occurring over a predetermined, short period of time, is a deeply entrenched educational approach with its roots in Abraham Flexner's seminal report. Many assumptions about the presumed benefits of clinical rotations have become pervasive despite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on their optimal timing and structure, and on how transitions between clinical rotations should occur.


METHODS:

사회학적, 학습이론적, 질과 안전 향상 측면에서 보고자 함.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ssue of rotational transitions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sociology, learning theory,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safety.


RESULTS:

사회적 관점에서 여러 전문직간 관계와 전문직으로서의 성장에 더 많은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학습이론적 관점에서 인지과학과 교수이론에서 제시하는 방식과 현재 하고 있는 방식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질과 안전의 측면에서는 학습자를 임상 소생태계(clinical microsystem)에서 보다 의미있는 참여자로 참여시킬 필요가 있다.

Discussion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addresses the need for much greater attention to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hereas that from the learning theory perspective examines the gap between what is known from pedagogical and cognitive science and what is currently practised (learning theory).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quality and safety refers to the critical need to embed trainees in functional clinical microsystems as meaningful participants.


CONCLUSIONS:

이행과도기(transition)가 학습자/교수/기타보건의료직/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search is urgently needed on the effects of transitions on trainees, faculty staff, non-doctor health care providers and patients in order to optimise future competency-based training models and confirm or refute current assumptions.






  • However, the Flexnerian revolution also led to greater emphasis on structure and process in training, including curricula grounded in the ‘scientific basis of medical practice and clinical experience’, and inspired current medical education as a teacher-centred system in which trainees advance as a function of ‘dwell’ time, simply based on the amount of time spent in a program.1,2 
  • 과거에는 의대만 다녀도 충분했음. At the time of the Flexner report, the completion of medical school was considered sufficient to prepare the vast majority of individuals to practise medicine.
  • 전 세계적으로 비슷함. The situation is similar throughout the rest of the world. In Canada, for example, the length of rotations varies substantially among specialties, but most PGME rotations in Canada last 4–8 weeks8,9  
  • OBME로의 이행이 어려운 이유 However, the transformation to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is causing significant tension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nd often makes agonisingly slow progress.13 One likely cause of this tension and slow progress may be that educators are trying to insert competency-based assessments and curricula into a system that is clearly designed to emphasise structure and process, including the use of multiple clinical rotations, over outcomes.


  • 1년에 걸친 턴과 At the first level are the rotations trainees must complete.
  • 하루 내에서도 바뀌는 턴 At the second level are the daily transitions trainees experience while on a rotation


  • 교수들도 한 unit을 기준으로는 잠시 머무는 사람일 뿐 Moreover, like trainees, many faculty staff are transient members of the clinical units in which they supervise trainees and oversee patient care.



간호사와 기타 보건의료인력은 수련의/교수/환자와 환자 가족에게 있어서 중요한 '연속성'의 요소이다. The main difference is that nurses and ancillary staff are the stable members of the clinical unit. They serve as vital threads of continuity, not only for trainees and faculty members, but, perhaps more importantly, also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disruption caused by moving trainees and faculty in and out of the clinical unit affects these vital health care workers.



  • 현재의 가설은 아래와 같음
    • 1 frequent rotations allow for greater diversity and breadth of exposure to different disciplines and more opportunities to learn in medical school, and, in postgraduate training, more concentrated focus on subspecialty areas as a method to develop expertise; 
    • 2 frequent rotations effectively teach residents how to adapt to and cope with multiple practice stylesvarying expectations and stress, all of which are skills that will be necessary in their future practice, and 
    • 3 frequent rotations promote greater trainee independence in action by forcing them to adapt and learn on their own.



  • 이러한 가정들이 인증평가 기준에 반영되어 있음. These assumptions have been codified and reinforced by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policies in several countries, most notably the USA and Canada, 8,9,24,25 the development of which was spurned by the Flexner report.26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 수련의 사회학적 의의 Sociologists conceive of medical training as a process by which new values and behaviours are inculcated, appropriate to ‘membership’ in the field of medicine
  • Switchi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between clinical services every 2–4 weeks may impede or delay adequate socialisation, resulting in specific behaviours and patterns that may be counterproductive to bot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atient care
  • To begin, there is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hidden curriculum’ and the mixed messages learners frequently experience during clinical rotations may erode the humanistic traits essential to the delivery of high-quality care.41
  • Further, frequent transitions may marginalise trainees’ relationships with patients.
  • Although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re unquestionably important, so are relationships with others on the health care team.47–49 Too often the definition of ‘team’ for a trainee is the trainee him- or herself, the other medical trainees on the rotation (students, interns, etc.) and the faculty attending doctor, a definition that fails to acknowledge other individuals caring for the patient.

  • '자율성'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함 In essence, professional autonomy should be granted and re-conceptualised as ‘relational autonomy’.51 Relational autonomy recognises that human agents are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meaning autonomy is socially constructed and that action is:
    • ‘…dependent upon particular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power structures in which we are embedded. Autonomy requires more than mere freedom from interference; it requires that one’s relationships with particular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be constituted in such a way as to give one genuine opportunities for choice.’51



THE LEARNING THEORY PERSPECTIVE


  •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broad range of learning theories offered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and the relatively narrow range of theories privileg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54
  • Faculty should be working alongside trainees on a daily basis to provide real-time evaluation and feedback. Ericsson’s61,62 seminal work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aching, role-modelling and mentoring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 Yet, it is hard to imagine how moving trainees and faculty (the presumed coaches) around every 2–4 weeks facilitates high-quality assessment and feedback. 
  • This situation makes it very difficult for the trainee to develop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faculty teacher, and leads to, at best, superficial assessment and feedback.
  • 다른 교수에게 피드백에 관해 정보를 잘 안주게 됨. 새 교수는 바닥부터 시작함. Compounding this situation is the reluctance to feed forward information about trainees from one faculty member to the incoming member because of fears, bias or prejudice around grades.63–65 The net result is that the new faculty member must start from scratch (if at all) to determine where the trainee is developmentally. 
  • 수련의들은 impostorism, 즉 그 때만 잘 넘기자는 식의 태도를 가지게 됨 Lastly, we know that trainees’ abilities to self-assess and self-supervise are inadequate and inaccurate (as they are in all professionals), especially among the least knowledgeable and skilled.68–70 Trainees are also at risk for feelings of impostorism,71 characterised by an inability to internalise a sense of competence or skill despite concrete evidence of their abilities.72
    • However, as trainees are repeatedly forced to adapt to new clinical rotations, expectations, responsibilities and pressures, it is possible that a subset fail to realise or reach their potential as they simply do what they need to in order to ‘survive’ and endure each transition.
  • 물론 평가이론에 근거하자면 다수의의 평가자가 참여하면 '공정성'은 향상될 수도 있음 In fairness, some educators might argue that frequent transitions improve equitability in evaluation by increasing the sample of faculty and others who evaluate and judge the trainee. This is certainly consistent with psychometric principles: reliability is usually better with higher numbers of evaluators.74





THE QUALITY AND PATIENT SAFETY PERSPECTIVE


  • Unfortunately, substantial evidence exists that trainees too often must learn and work in dysfunctional microsystems.32,88
  • 좋은 소생태계란..As Batalden and colleagues pointed out, successful microsystems are characterised in part by strong interdependence between members,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nd the generation of performance results.87
  • These challenges are even more acute in ambulatory training, in which trainees in a number of specialties may rotate in and out of a clinic to see patients for perhaps half a day per week, or may rotate between multiple clinics during an ambulatory block or posting.
  • However, as noted in several recent reviews, trainees are seldom active participants on quality improvement teams or projects, and the rotational nature of training is a major contributor to this current state of affairs.93,94
  • Trainees are also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what doesn’t work and can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how to improve work processes and safety.97,98







 2011 Jan;45(1):69-80. doi: 10.1111/j.1365-2923.2010.03847.x.

The rotational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time to confront our assumptions?

Author information

  • 1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19106, USA. eholmboe@abim.org

Abstract

CONTEXT:

Trainees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engage in multiple transitions as part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cluding many transitions that occur on both periodic and daily bases within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The clinical rotation, based on either amedical discipline or clinical care setting and occurring over a predetermined, short period of time, is a deeply entrenched educational approach with its roots in Abraham Flexner's seminal report. Many assumptions about the presumed benefits of clinical rotations have become pervasive despite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on their optimal timing and structure, and on how transitions between clinical rotations should occur.

METHOD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ssue of rotational transitions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sociology, learning theory,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safety.

RESULTS:

Discussion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addresses the need for much greater attention to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hereas that from the learning theory perspective examines the gap between what is known from pedagogical and cognitive science and what is currently practised (learning theory).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quality and safety refers to the critical need to embed trainees in functional clinical microsystems as meaningful participants.

CONCLUSIONS:

Research is urgently needed on the effects of transitions on trainees, faculty staff, non-doctor health care providers and patients in order to optimise future competency-based training models and confirm or refute current assumptions.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0.

PMID:
 
21155870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임상적 비판적 사고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linical Critical Thinking Skills Scale

신수진1·양은배2·공병혜3·정덕유4

1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2연세대학교 의학교육과, 3조선대학교 간호학과, 4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Su-Jin Shin1 · Eunbae Yang2 · Byunghea Kong3 · Dukyoo Jung4

1Department of Nursing,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3Department of Nursing, Chosun

University, Gwangju; 4Division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서 론

비판적 사고기술은 결론에 도달하기 위한 가정과 변수를 규명하고, 결정을 내리기 위한 능동적, 조직적, 인지적인 과정으로 이를 위해 주어진 자료를 정련하고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선택 가능한옵션을 인식하고 대안을 탐색하는 것(Taylor, 2003)으로 정의하고있다. 이러한 비판적 사고능력은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이 함께고려되어 왔으며 비판적 사고성향과 비판적 사고기술로 개념화되어 왔다(Facione et al., 1994).


비판적 사고성향사고하는 습관이나 태도, 경향으로 정의된다면, 비판적 사고기술비판적 사고를 위한 추론, 분석 등의 특수한능력을 의미한다(Facione et al., 1994; Watson & Glaser, 1964). 비판적 사고성향과 비판적 사고기술은 상호 보완적이며 상호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Perkins et al., 1993; Profetto-McGrath,2003),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비판적 사고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판적 사고를 교육의 성과로 측정하고자 몇 가지 표준화된 도구가 개발되었다. 먼저, 비판적 사고성향을 측정하는 도구로 California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 (Facione &Facione, 1994)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고,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연구에서 Watson & Ga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WGCTA) (Watson & Glaser, 1964), California Critical ThinkingSkill Test (CCTST) (Facione & Facione, 1994)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도구는 대상자의 보편적인 비판적 사고기술 및 성향정도를 측정하는 도구이며, 특정한 분야의 실질적인 문제들에 대한 비판적 사고과정과 사고능력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비판적 사고능력은 특정 분야 및 특정 시대의 상황과 맥락에 의존적인 개념으로서 이해되고 측정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에 개발되어 다수 연구에서 사용된 비판적 사고성향도구와 비판적 사고기술도구는 이러한 측면에 있어서 제한점을 갖고 있다.


간호교육에 있어 비판적 사고능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Shin et al., 2005; Shinet al., 2006; Tiwari et al., 2003), 기존의 연구는 보편적인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도구에 의한 연구로 임상 상황이라는 맥락적요인이 고려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비판적 사고가 간호교육과 간호실무에서의 주요한 목표이자 본질적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간호학적 측면에서의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도구가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즉, 비판적 사고능력을개발하기 위해서는 추상적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해보다는 비판적 사고과정과 맥락에 근거한 비판적 사고능력의 적용을 규명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한국이라는 공간적, 문화적 상황과 임상이라는 맥락적 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필요하다는 결론을 함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존 도구의 제한점이 나타남에 따라 한국적 문화의 맥락을 반영하는 비판적 성향도구가 간호학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다(Kwon et al., 2006; Yoon, 2004). 하지만 비판적 사고가 비판적 성향과 비판적 사고기술로 정의되고 있는 실정에서 임상적 맥락에서비판적 사고능력의 인지적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전무한 실정이며, 더 나아가 비판적 사고능력에 임상적 간호 상황을 반영하여 고안된 측정도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Clinical Critical Thinking Skills,CCTS)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인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 측정도구를 개발한다. 2) 개발된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 측정도구의 난이도와 변별도를 확인한다. 3) 개발된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한다. 4) 개발된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2. 연구방법


1) 개발단계


(1) 개념정의

문항구성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비판적 사고능력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한 개념분석(Shin & Jung, 2009; Shin et al., 2008)을 통해 비판적 사고능력의 하위요소를 파악하였다. 또한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 중 WGCTA, CCTDI, CCTST 등과 같은 기존의 도구를 분석 및 고찰하였다.


(2) 문항구성

본 도구에 포함될 문항구성은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3개의 영역, 12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하고 각 영역에 따른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표 1). 임상적 비판적 사고능력의 기본개념과 하위영역의타당성은 간호학 박사 3인, 간호학 교수 3인 및 철학과 교수 2인, 교육학 교수 1인 등의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서 구축되었고, 각 영역에따라 총 4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3) 내용타당도 검정

내용타당도는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제대로 측정하였는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문항의 정확성, 적절성, 측정하려는 특성과의 연관성, 문항구성상의 기술적 오류, 문법, 이해 용이성 등에 대한 내용을 검증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의견으로부터 내용타당도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출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어휘나 문장의 흐름은 국어학자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전문가 팀은 비판적 사고에 대한 연구경험이 있는간호학 박사 2인, 철학박사 1인, 교육학 박사 1인, 간호학 교수 2인,총 6명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에게 연구의 목적과 문항개발과정을 설명하고 예비도구를 직접 전달하거나 전자우편으로 발송한 후문항의 타당성을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직접 듣고 토의하였다. 문항이 간호학적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내용인지를 4점척도로 평가하고 ‘매우 타당하다’와 ‘대체로 타당하다’에 표시된 문항은 임상적 비판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데 타당한 문헌으로 간주하였다. Lynn (1986)의 기준에 따라 CVI가 0.8 이상인 33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4) 예비도구 문항분석

① 자료수집

전국 5개의 간호대학 4학년 65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연구목적, 연구 참여의 자율성 및 비밀보장에 대한 설명을 받고, 연구대상자인 학생이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하면, 연구 참여 동의서를 작성한 후 설문에 응하도록하였다. 수집된 652명의 자료 중 미비한 자료를 제하고 최종 627명의 자료를 본 연구분석에 이용하였다.


②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ver. 18.0 (SPSS Inc., Chicago,IL, USA), TestAn 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을 위해 문항분석 프로그램인 TestAn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를 산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가 이용되었다.


(5) 최종문항선정

문항분석결과를 반영하여 33개 문항에서 답가지분석 등을 통해수정, 삭제한 후 최종 30문항을 선정하였다.


2) 평가단계


(1) 연구대상

서울, 충청, 전라 지역의 3개 대학을 근접모집단으로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자율적인 참여에 동의한 284명의 대학생에게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상적 맥락을 반영한 도구로서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간호학 전공자가 아닌 학생도 조사에 포함하였다.


(2) 자료수집

연구자 3인이 연구의 목적과 방법,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설명한 후 대상자가 직접 문제지를 읽고 답안지에 답을 기입하는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40분이었다.


(3) 측정도구


① 일반적 배경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으로 측정한 변수는 전공, 연령, 평균수학능력점수의 등급, 철학, 논리학, 비판적 사고, 문제중심학습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한 학습경험 여부로 구성되었다.


②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적 비판적 사고능력 측정도구가 비판적 사고성향과는 어떤관계를 갖는지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Yoon (2004)이 개발한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가보고형측정도구로 7개의 하위영역, 총 27문항으로 구성된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s α= 0.84,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Cronbach’s α= 0.85였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BILOG-MG ver. 3.0, IBM SPSSver. 19.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하여 문항분석 프로그램인 BILOGMG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모수 logistic model로 난이도, 변별도,검사정보함수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CCTS 도구의 신뢰도를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가 이용되었다. 준거타당도 검정을 위해서는 t-test와 analysis of variance (사후검증 scheffe), Pearson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1. 개발단계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2.5세였고 수학능력시험의 평균 등급은 2.29등급이었다. 약 59%의 학생이 철학과목을 수강하였고,32% 대상자가 논리학 수강경험이 있었다. 약 70%의 학생이 문제중심학습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한 학습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각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2).난이도는 7번, 21번 문항이 각각 0.04, 0.03으로 낮게 보고되었고, 1번 문항이 0.98로 가장 높은 난이도를 나타냈다. 변별도는 7번과 21번 문항이 -0.01, 0.00로 낮게 나타났고, 13번 문항의 변별도가 0.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신뢰도

개발한 1차 문항의 Cronbach’s α값은 0.30으로 나타났다.



2. 평가단계

본 예비연구결과 33문항 중 문항분석결과 및 연구자의 이론적근거를 바탕으로 변별도가 낮거나 정답이 모호한 문항이라고 판단되는 3문항(문항 4, 21, 31)을 제외하고 최종 문항인 30문항으로 다시 재구성되어 평가단계를 통해 검증되었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평가단계 조사에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표 3). 간호학과 학생이 202명, 비간호학 전공 학생이 82명이었다.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2.32세였고, 수학능력시험 평균 등급은2.37등급이었다. 38.7%의 학생이 철학과목을 수강하였고, 12.7%의 대상자가 논리학 수강경험이 있었으며, 44.7%의 학생이 비판적사고 과목을 수강하였다. 약 35%의 학생이 문제중심학습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한 학습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1)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각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4).난이도 분석결과 매우 어려운 문항 6문항, 어려운 문항 1문항, 중간인 문항 6문항, 쉬운 문항 12문항, 매우 쉬운 문항 5문항이었다. 어려운 문항은 21번(7.54), 27번(3.88), 20번(3.66), 17번(3.56), 16번(2.87) 순이었으며, 매우 쉬운 문항은 1번(-7.31), 9번(-3.81), 8번(-2.45),28번(-2.41), 13번(-2.26) 순이었다. 매우 쉬운 문항으로 나타난 1, 9,8, 28, 13번의 경우 변별도가 0.5 이상이었다.



(2) 검사정보함수

임상적 비판적 사고능력 검사도구의 검사정보함수는 다음과 같다(그림 1). 이 도구는 비판적 사고능력이 낮은 피험자부터 높은 피험자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능력점수피험자들의 능력점수 -1.125 지점에서 최대량의 검사정보(maximum information)를 나타낸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능력 1.0 이상의 피험자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3) 신뢰도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0.55로 나타났으며, 해당 문항을 제외한 검사의 신뢰도 또한 0.50-0.58의 범주로 나타나 특정 문항을 제거한다고 해도 검사의 신뢰도가 크게 상승하지는 않았다.


4) 준거타당도


대상자의 CCTS 평균 점수는 17.10±3.60이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3.55±0.34였다.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은 전공, 출신고교소재지, 임상경험, 학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비판적 사고 과목, 문제중심학습 및 시뮬레이션 학습경험에 따른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구체적으로 간호학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CCTS 점수가 높았으며, 임상경험에 따른 차이는 실습만 경험한 경우보다 실무경험이 있는 경우 CCTS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점이 3.5 이하인 경우가 3.51-3.99인 경우보다 CCTS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5). CCTS 점수와 비판적 사고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062, p= 0.306) (표 6).






고 찰


본 연구에서 개발된 CCTS 검사도구는 총 30문항의 자가보고형질문지로 각 문항은 5지 선다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단계에서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결과 난이도가 낮은 7번과 21번의문항의 검토가 필요하고, 변별도검사에서 변별도가 낮게 나타난 1,4, 7, 10, 21, 31번 문항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재검토결과 7번 문항은 문장이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은 부분이 있고 부정형질문형태로 문항이 개발되어 변별도와 난이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어, 문항을 삭제하지 않고 질문방법을 부정형 질문형태에서 긍정형으로 변경하여 더 명확하게 질문내용을 수정 보완하여본 조사에 반영하기로 결정하였다. 
  • 21번 문항은 비판적 사고기술중 ‘추론’영역의 근거가 되는 자료 찾기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논리적 추론능력을 통해 근거를 도출하기보다는 상황이 너무 어렵고 복잡하게 주어진 부분이 있어 결과적으로 최종문항선정에서는제외하기로 하였다. 
  • 1번 문항은 비판적 사고기술의 하위영역 중 ‘분석’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이므로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분석결과변별도가 높게 나타나 본 조사에 반영하기로 하였다. 
  • 반면 4번 문항도 ‘분석’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의미를 파악하는 비판적 사고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이었으나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분석결과변별도가 0.15로 낮게 나타나고 1번 문항과 유사하다는 결론하에삭제하였다. 
  • 10번 문항은 ‘분석’ 하위영역 중 맥락으로 필요한 정보연결하는 비판적 사고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문항의 답가지를 수정하여 그 의미를 명확히 한 다음 본 연구에 반영하기로 하였다. 
  • 31번 문항은 ‘평가’ 하위영역의 추리의 논리적 강도를 평가하는 비판적 사고기술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문제의 배경이 간호윤리에 대한 문제였으나 판단이 모호하고,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있다는 근거하에 삭제하였다. 

따라서 본 예비연구결과 33문항 중문항분석결과 및 연구자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3문항(문항 4,21, 31)을 제외하고 최종문항인 30문항으로 다시 재구성되었다.



평가단계의 본 조사연구에서는 문항 하나하나의 특성이 피험자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불변성을 기반으로 하여(Seong, 2005)고전검사이론의 제한점을 극복한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에 의해 분석하였다. 문항난이도란 문항이 어느 능력 수준에서기능하는 지수로, 문항의 어려운 정도를 의미하는데, 본 연구결과문항반응이론검사에서 –2.0 이하 점수의 의미인 ‘매우 쉽다’는 5개의 문항(1, 8, 9, 13, 28)과 2.0 이상의 ‘매우 어렵다’는 6개의 문항(16,17, 20, 21, 27, 29)으로 도출되었다. 문항변별도란 ‘그 문항이 무엇을측정하고 있느냐, 그 문항이 측정해야 할 것을 측정하고 있느냐, 그문항이 학생의 능력을 변별하는 힘이 있느냐’를 묻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Seong, 2005). 본 연구결과 난이도검사에서 매우 쉬운 5개의 문항(1, 8, 9, 13, 28)은 로지스틱모형의 변별도 기준으로 ‘낮음’부터 ‘좋음’으로 분포되어 있어 난이도는 쉬우나 변별력에 있어서 어느정도 변별하는 능력이 있음이 나타났다. 하지만 매우 어려운 6개의문항에서 29번을 제외한 16, 17, 20, 21, 27번은 변별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난이도가 높은 문항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쉬운 지문이나 이해하기 수월한 표현으로 수정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검사정보함수 분석결과 최대정보를 제공하는 지점이 약-1.13이었다. 본 검사도구가 비판적 사고기술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함이 아닌 기본적인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을 갖추었는지에 대한 검사도구로 좀 더 유용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개발된 CCTS의 신뢰도 측면에서는 1차로 개발한 33개 문항의Cronbach’s α값은 0.30으로 낮았다. 이에 문항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삭제한 4, 21, 31번 문항을 제외하고 다시 Cronbach α값을 구한결과 0.41로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낮은 신뢰도 결과를 보여 신뢰도의 수준을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발단계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가 4년제 간호대학 학생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어, 평가단계 본 조사에서는 대상자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편차를 높임으로써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검사점수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학생 그룹의 이질성이 있으며(Oermann & Gaberson, 2009), 피험자 집단이 이질적일수록 관찰점수의 분산이 커지고 신뢰도 계수의 분모 부분이 작게 되어 신뢰도가 증가하게 된다(Seong, 2007). 이에 본 조사에서는 간호학 전공자가 아닌 대상자를 포함시켜서 대상자를 다양하게 하여 편차를 높인 결과 신뢰도가 0.55로 높아졌으나 여전히 다소 낮은 수치이다. 이는 연구대상자의 수를 확대하여 재조사를 통해 내적 신뢰도를 재검증해볼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문항답가지분석을 통해 부적변별문항이나 오답지 매력도 등을 점검하여 신뢰도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 간호학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CCTS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본 CCTS가 임상적 상황을 반영한 비판적 사고기술을 측정함에 있어 전공자의 경험과 경력이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 CCTST와 WGCTA가 일반적인 비판적 사고능력 측정도구임에 반해 CCTS가 임상적 맥락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 있음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임상경험에 따른 차이는 실습만 경험한 경우보다 실무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또한, CCTS가 임상기반으로 한 비판적 사고기술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도구임을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학점과 비판적 사고기술은 기존 연구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Ip et al., 2000), 일반적으로 학점이 높을수록 비판적 사고기술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서는 이 3.5 이하인 경우가 3.51-3.99인 경우보다 CCTS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CTS의 점수에 대상자의 학점보다 대상자의 임상경험 여부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추후 연구를 통해서 임상경험 여부를 통제한 후 학점 간의 CCTS 점수 차이를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CCTS 점수와 비판적 사고성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에서도 기존에 개발된 도구로 측정한 비판적 사고기술과 비판적 사고성향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Perkins et al., 1993; Profetto- McGrath, 2003)와 둘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다는 상반되는 연구결과(Lim, 2006; Shin et al., 2005)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고, 단순히 문항의 정답을 맞힌 수를 가지고 분석하기보다 추후 도구 표준화를 통해 난이도를 고려한 Z점수 또는 T점수를 산출하여 재분석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 30문항으로 구성된 비판적 사고기술 검사도구는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결과 문항 난이도가 비교적 쉽고 변별도가 중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능력의 범위에 대한 정보를 고르게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 수준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나타났다. 추후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신뢰도를 재검증하고 난이도와 변별도에 따른 표준화 점수를 분석하여 임상적 비판적 사고기술의 수준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test entitled Clinical Critical Thinking Skills (CCTS) by using item response theory (IRT) and examined its validity. In the development stage, data obtain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62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a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index with the TestAn 1.0 program. In the evaluation stage, data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84 nursing and non-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a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index with the BILOG-MG program. Criterion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group comparison method. Five items received low discrimination index scores according to the IRT results. In terms of the criterion validity, CCTS scores differed according to major (t=2.21, p=0.028), location of high school (F=4.35, p=0.014), clinical experience (t=5.66, p=0.004), and grade point average (F=7.17, p< 0.001). The CCTS can be used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skills in the clinical setting.


Keywords: Thinking, Education, Instrumentation



의과대학 임상실습의 변화: 학생인턴제도의 가능성에 대한 전망

Changes in the Clerkship in Korean Medical Schools: The Prospect of a Student Internship

윤태영1,2ㆍ이종근1ㆍ오인환1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예방의학교실, 2의학교육학교실

Tai Young Yoon1,2 · Jong Keun Lee1 · In Hwan Oh1

Departments of 1Preventive Medicine and 2Medic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2011년 한국의학교육협의회에서는 수련기간 단축의 일환으로인턴제도 폐지를 정부에 건의하기로 의결하였고, 이어서 보건복지부에 전문의제도 전담팀을 구성하고 보건의료미래위원회에서 인턴제 폐지를 추진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인턴제 폐지는 의료계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2012).


인턴제도가 폐지되면 보건복지부고시 제2011-174호「전공의 연차별 수련교과과정」에 기술된 ‘의사면허 취득자에 대하여 의과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실지 환자진료를 할 수 있는 체험으로 향상시키는 과정이며 앞으로 독자적으로 진료를 할 수 있는 실력을 양성시키는데 그 목적을 둔다’는 인턴 수련의 교육목표 중 일부는 새롭게 계획되는 new resident 1년차와 의학과 학생에게 나눠지게 된다(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2). 인턴이 경험하는체험적 수련의 일부를 의학과 학생이 임상실습에서 습득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 입장에서 고려할 수 있는 임상실습교육 강화의 한 방법으로 학생인턴제도가 있다.


학생인턴제는 의학교육 기본과정에서 점차 강조되어온 임상실습이 좀 더 적극적, 참여적, 능동적, 자율적, 효율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현장실습 학습형태의 하나로 미국에서 발전하였는데(Lee,2002), subinternship 또는 acting internship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서브인턴제(subinternship)로 쓰이기도하나 의학교육계에서 서브인턴제라는 용어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학생인턴제(student internship)라는 용어를 쓰기로 하였다(Kim, 2005).


미국에서 의학과 3학년 임상실습은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WilliamOsler 등의 노력으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데 비해 학생인턴제는 임상실습의 개념과 명확하게 구분이 어렵고 잘 정리되어 있지않은데, 학생인턴제가 학문적 배경이 없이 미국의 시대적 상황에의해 나타났기 때문이다. 즉,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의사가 부족하던 많은 병원들에서 학생들에게 전공의 역할의 일부를 시켰는데,전쟁으로 교육병원 의사들이 대거 군병원에서 근무하게 되어 전공의 부족이 심화되면서 인턴 역할을 의대생들이 많이 하게 되었고이 상황이 전후에는 널리 제도화된 것이다(Fagan et al., 1998). 그 후학생인턴의 역할 변화와 현황에 대한 연구(Marracino et al., 1998)와 함께 이들에게 무엇을 어디까지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전국적인합의를 위해 학생인턴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내과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Green et al., 2002; Green etal., 2004; Sidlow, 2001; Sidlow et al., 2002), 학생인턴이 전공과목 선택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학생인턴교육과 관련 있는 전공에서 연구되었으며(Azizzadeh et al., 2003; Coates et al., 2003;Hueston et al., 2004), 이의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있다(Aiyeret al., 2008; Coates et al., 2003; Lampe et al., 2008; Lindeman etal., 2013; Lyss-lerman et al., 2009; Woodland et al., 2011).


우리나라에서 학생인턴제는 임상실습을 강화하는 개념으로1999년부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내과실습에 subintern제도라는 이름으로 시도되어 관심을 끌기 시작했고(Kim, 2002),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논의과정에서도 제시되었는데(as cited in Roh etal., 2007), 2002년 제11차 의학교육합동학술대회에서 이 주제의 심포지엄을 통해 우리나라 의학교육계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Kim, 2002; Kook, 2002; Lee, 2002; Yoo, 2002). 그 후 일부 의과대학에서 진료참여형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발로 학생인턴제를 시작하고(Park et al., 2003) 평가모듈을 개발하기도 하였으나(Kim etal., 2003), 미국에서와 같이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생인턴제는 2006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Roh et al., 2007). 2005년에 교육인적자원부가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정착을 위하여 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에 ‘서브인턴제’를 추진하고 졸업 후에 인턴과정을수료하지 않아도 되도록 관련 대통령령을 개정할 것을 골자로 하는‘서브인턴제 도입 시안’을 보건복지부에 요청하였고, 이를 의학교육과 의료 관련 단체장들이 검토하게 되면서 의료계의 화두가 되었는데, 의료계에서는 참여형 임상실습의 도입에는 원칙적으로 찬성하였으나, 서브인턴이라는 용어가 적절치 않다고 하여 학생인턴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하였다(Kim, 2005). 그 이후 대형 대학병원을중심으로 방학기간에 전국의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2-4주간의학생인턴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자체 의과대학 정원보다 인턴 정원이 많은 대형병원에서 타 의과대학생에게 병원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이용되어 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Lee, 2013, January30). 2012년부터 시작된 포스트 2주기 의과대학인증평가에 ‘4주간이상의 학생인턴제의 실시’가 우수항목으로 포함되어 이의 시행이장려되고 있는 상태이고, 많은 대학에서 성과바탕교육과정으로의개편과 함께 4학년 임상실습과정에 학생인턴제를 시행을 준비하고있으며(Yoon, 2010), 학생인턴제 시행에 대한 평가도 보고되고 있다(Choi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의학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인턴제 폐지라는 큰변화에 있어 학생인턴제가 미국과는 의료환경이 다른 우리나라에서 인턴제의 공백을 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이를 실시하기 위하여 우리가 알아야 할 것과 준비할 내용들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학생인턴제도


1. 학생인턴제의 개념 및 목표


전술한 미국 학생인턴제의 역사 때문인지 우리나라에서는 학생인턴제의 정의가 아주 명확하게 합의된 것 같지 않다. Park et al.(2003)은 학생인턴제가 학생이 피교육생 신분이면서도 병동이나외래환경에서 진료팀의 일원이 되어 환자진료에 직접 참여하되 인턴에 준하는 역할을 담당케 하여 과거의 피동적인 임상실습에서 탈피하고 적극적인 행위자가 되도록 하는 제도라고 하고, Lee (2002)는 지금까지의 견습 훈련적 실습교육의 개념에 참여와 책임이 따르는 수련교육의 개념이 가미된 좀 더 ‘현장 맞춤형’ 실습교육형태의하나로 정의하였으며, Kook (2002)은 학생인턴들이 상급자의 감독하에 입원 환자에 대해 직접적으로 책임을 지고 진료를 하며 처치명령(처방)권을 가지는 등 인턴 수준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고 정의하였는데, 이 정의들에서는 시행시기인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한다는 내용이 표면적으로 강조되지는 않았다.


Sidlow (2001)는 미국의 의학교육과정에서 학생인턴제의 역할이변화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이상적으로는 학생인턴제의 교육목표가 3학년에서 경험한 임상실습의 전체 내용을 보강하고 확장하는내용이어야 하며 실제 입원 환자를 독립적으로 치료·관리하는데필요한 지식과 술기가 특히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목표를 위해 학생인턴제는 상급 전공의의 감독하에 있지만 4학년 학생이 인턴의 역할을 완전하게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학생인턴에게는 

    • 1) 헌신적인 교육조정책임자가 필요하며,
    • 2) 명시적인 학습목표가 제공되어야 할 뿐 아니라,
    • 3) 환자관리를 강조하는 주제의 학생인턴 대상 집답회를 별도로 마련해 주고,
    • 4) 주치의가 공동서명하는 처치명령(처방)권이 있어야 하며, 
    • 5) 담당의사의 감독하에 새로운 질환에 대한 경험을 하도록 교차보완(crosscoverage)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져야 하고,
    • 6) 교육목표의 달성 여부를 구체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평가척도가 개발되어 엄격한 평가를 받을 의무가 부과되어야 한다(Fagan et al., 1998).


Lee (2002)는 오늘날 미국의 의학교육 기본과정(basic/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B/UME)에 학생인턴제가 임상실습의 중요한 형태로 자리 잡게 된 배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데, 

    • 1) 의사양성이 주목적인 의학교육 기본과정에서 의과학의 발달로 과학적세부내용이 과도하게 교육되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이 작용하고 있고, 
    • 2) 1975년 이후 미국에서는 졸업 후 의학교육(graduate medicaleducation, GME)에서 인턴과정이 없어지게 되면서 학생인턴제가UME와 GME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 3) 미국의 임상실습교육에서 과거보다 입원 환자에 비하여 외래 환자 교육의 중요성이 커져서 Fagan et al. (1998)은 3학년 임상실습교육에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의 비중을 늘리고 4학년 학생인턴제에서 입원환자와 관련된 교육을 주로 하게 되었으며, 
    • 4) 현대 의학교육의 개념은 UME와 GME의 연계성을 중요하게 보는데, 학생인턴제는 이러한 개념의 변화와 잘 어울리는 교육방식이란 것이다.



2. 학생인턴제의 교육내용


명확한 교육목표와 수준이 결정되는 것이 학생인턴제의 시행에주요한 요소인데, Fagan et al. (1998)은 3학년 실습내용을 보완하고4학년에 필요한 임상실습주제를 포함하는 학생인턴의 교육주제를지식, 수기, 태도 및 전문성 개발로 구분하여 Table 1과 같이 진술하고 있는데, 흉통(chest pain), 용적 과부하/고혈압(volume overload/hypertension), 호흡곤란(dyspnea), 통증(pain), 열(fever), 전해질과산염기 부조화(electrolyte and acid-base disorders), 정신상태이상(altered mental status), 위장출혈(gastrointestinal bleeding) 등의문제를 가진 입원 환자의 관리에 중점을 둔 지식을 갖추도록 교육하고, 이들 질환에 대한 치료와 관련된 임상약리학을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수기 영역에서는 병력청취(history taking), 이학적 검사(physical diagnosis), 의사소통(communication), 기본 처치수기(managerial, basic procedures), 근거중심의학의 적용(applying evidence based medicine), 환자교육(teaching) 등에 대한 술기들이 교육되며, 태도 및 전문성 개발 영역에서는 학생이 자율성(autonomy),책임감(responsibility) 및 스트레스 관리(managing stress)능력 등을 갖추도록 교육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Kim (2002)은 1999년부터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작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임상실습(subintern제도)의 목표를 다음과같이 8개로 두었다. 1) 환자진료에 필요한 병력을 청취할 수 있어야한다, 2) 진찰기술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3) 환자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5) 의무기록지를 작성할 수 있어야한다, 6) 증례 환자에 대하여 제대로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 7) 환자진료에 필요한 수기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8) 환자-의사와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 목표를 Table2와 같이 정하였다. 1) 18가지 주소로 입원한 환자에 대한 의학적접근을 할 수 있어야 하며, 2) 10가지 기본수기를 직접 시행할 수 있어야 하며, 3) 12가지 수기에 대하여 실습동안 1회 이상 관찰하여야하고, 각 수기의 목적과 방법 및 위험도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4)학생의무기록지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Park et al. (2003)은 2002년부터 가천의과대학교 의학과 3학년을대상으로 내과학(12주), 소아과학(6주), 산부인과학(6주), 일반외과학(4주), 정신과학(4주), 응급의학(4주) 등 6개 핵심과목에 대한 학생인턴제를 시행하였는데, 학생들은 교수나 전공의의 적극적인 지도를 받아 병력청취, 신체검사, 각종 의무기록 작성을 맡았으며, 처치술이나 수술, 주간 진료와 야간 당직에 이르는 과거 인턴역할의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하였는데, 학생이 담당할 수 있는 의료행위의 한계를 고려하여 진료참여 임상실습 상황하에서의 기본의료행위를 임상지도자의 감독/지도 정도에 따라 수준별로 3단계로 구분하여 학생들과 전공의들에게 제시하였다.


Green et al. (2002)은 대부분의 미국 의과대학에서 내과 학생인턴제가 시행되고 있어, 이와 관련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합의된공통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 Sidlow et al. (2002)이 조사한 내용을바탕으로 조사대상자의 60% 이상이 내과 학생인턴이 경험하고 알아야 할 내용 중에 중요하다고 판단한, 입원 환자에게 중요한 임상상황 17개, 14개의 종합적인 기술과 4개의 술기를 Table 3과 같이 정리하여 발표하였는데, 이 중에는 4학년생들이 그 동안의 경험을 정리해야 하는 것과 새롭게 경험해야 하는 것들이 포함되었다. 그 후17개의 입원 환자에게 중요한 임상상황과 4개의 종합적인 기술이포함된 핵심 내과 임상실습 주제(Table 4)가 공표되었고, 각 주제에대하여 Table 5와 같이 주제의 논리적 근거, 3학년 실습에서 미리알아야 할 내용, 학생인턴이 알아야 할 구체적 학습목표를 지식, 태도, 술기 영역으로 기술하여 관계자들에게 전달하여 합의를 이루는 업적을 세웠다. 좋은 의사를 만들어 내려는 이러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Aiyer et al., 2008), 다른 전공에서도 이러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Coates et al., 2003; Hueston et al., 2004; Lampe et al.,2008; Lindeman et al., 2013). 각 대학의 교육위원회에서 고민하고있으며, 학생인턴제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 학생인턴제의 교육목표와 (핵심)학습목표의 합의된 표준안이 제시되는 것인데, 이는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협회와 의학회가 힘을 합쳐 추진해야 할 중요한 사안이 될것이다.







학생인턴제의 시행과 관련한 법적 문제와 대응 방안


학생들의 임상실습으로 인한 법적인 문제는 

  • 1) 회진, 외래, 수술,검사실 등에서 이루어지는 의료행위에 대한 관찰과, 
  • 2) 의료인의 지도하에서 환자에게 의료행위를 시행하는 것과, 
  • 3) 환자의 의무기록을 열람하는 것 등과 관련되어 있다(Korean Association of MedicalColleges, 2012).


임상실습에 관련된 법률로는 기본적으로 

    • 1) 의료법 제21조(기록열람 등)와 
    • 2) 의료법 제27조(무면허 의료행위 등 금지) 제1항 제3호와 의료법 시행규칙 제19조 2항 1호(전공 분야와 관련되는 실습을하기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감독을 받아 행하는 의료행위), 
    • 3)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개인정보의 수집·이용)와 제17조(개인정보의 제공), 그리고 제18조(개인정보의 이용·제공·제한) 등을 들수 있다.

현행법상 임상실습과 관련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은 

    • 1) 학생들이 지도교수 외에 임상강사나 전공의의 지도를 받는 일이 많은데, 이는 의료법 제27조(무면허 의료행위 등 금지) 제1항 제3호와 의료법 시행규칙 제19조 2항 1호(전공 분야와 관련되는 실습을 하기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감독을 받아 행하는 의료행위)를 위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교수가 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를 진찰하는 경우에도 의료법적 갈등의 요소가 있으며,
    •  2) 학생이 환자의 기록을 열람할 때 전공의의 명의로 정보에 접속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현행 의료법 제21조(기록 열람 등)에는 의과대학생의 의료기록 열람에 대한 항목이 없으므로 법적 분쟁의 소지가 있고, 
    • 3) 상기 개인정보보호법에도 병원의 개인정보를 의료진에포함되지 않는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법적 다툼이 있을 수있다.


이러한 임상실습의 법적 문제를 해결하려면,

  • 첫째, 대학과 대학병원이 협의하여 임상실습 학생(특히 학생인턴)을 진료팀의 일원으로 구성하고 이를 사회에 천명해야 하며, 이에는 정부(보건복지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임상실습학생에게도 병원직원에게 부여되는 직원번호와 유사한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병원전산체계를 이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필요하며, 학생과 관련된 의료분쟁 발생 시 기존 병원조직이 대응하던 방식이 학생에게도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 대학병원은 환자가 대학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진료팀의 일원인 학생의 의료행위를 받을 수 있으며, 교육목적으로 환자의 의료정보가 열람될 수 있음을 사전에 알리고 이에 관하여 동의를 받도록 해야 한다. 최근 소비자주의, 환자안전과 권리가 의료에서 주요한 사항이 되고 있는데, 좋은 의사가 잘 양성되어야 이러한 것들이확보될 수 있으므로 정부와 함께 의료계가 힘을 합쳐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 이것이 대학병원 이용에 대한 암묵적 동의로 인정될 때까지 계속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이를 원활하게 이루려면 학생인턴에게 의료행위를 할 수 있는 자격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것이 실습면허(가면허, 임시면허)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고려와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2). 실습면허에 가장높은 권위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에서 3학년 임상실습을 완료할 시점에 실기시험을 실시하여4학년 학생인턴을 하기 위한 실습면허를 발급하는 것이다. 그러나현재 국시원의 자원과 시설로는 3천명이 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실기시험을 단기간에 시행하기 어려우며, 또 학생에게 여러 번의 시험 기회를 주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다른 방안은 3학년 임상실습내용과 수준을 표준화하여 핵심내용의 실습을 마무리하고 성적을이수하면 학생인턴을 할 수 있는 실습면허(자격)를 수여하는 것이다. 3학년 임상실습과정에 대한 평가·인증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장협회나 한국의학교육평가원에서 의과대학인증사업과 함께 하던지 개별 프로그램 인증형식으로 시행할 수 있겠다. 그러나 실습면허를 시행하게 되면 도리어 3학년 학생들의 임상실습이 위축되는 자가당착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검토해야 할 내용이다.
  • 둘째, 임상실습의 법적 문제를 해결하려면 관련 법률을 개정하여야 한다. 1) 우선 의료법 시행규칙 제19조 2항 1호의 ‘전공 분야와관련되는 실습을 하기 위하여 지도교수의 지도·감독을 받아 행하는 의료행위’에서 ‘지도교수’를 ‘지정된 의료인(지도교수, 임상강사,전공의 등)’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이로써 임상실습 담당 지도교수의 지시를 받은(지정된) 주치의(전공의)나 임상강사가 학생을 지도·감독·평가하는 것의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2) 의료법 제21조(기록 열람 등) 제2항에 ‘의학·치과의학·한방의학 또는 간호학을전공하는 학생이 전공교육과 관련하여 임상실습을 하는 경우’ 환자에 관한 기록 열람이 가능하다는 항목을 신설하여야 한다.
  • 학생인턴제와 관련한 법적 문제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임상실습이라는 더 큰 명제에 포함되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Kim (1992)은일찍이 의과대학생의 학내 의료행위가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다고할지라도 학생 의료행위의 당위성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대학은 
    • 1)필수 의료행위의 범주를 설정해야 하는데, 임상실습에서 경험해야할 내용의 종류와 수준을 미리 정해야 하며, 
    • 2) 학생들의 의료행위가 환자진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면밀한 규범을 제정하고 이를 실습에 앞서 학생들에게 주지시켜야 하며, 
    • 3) 의료행위에 대한학생들의 책임한계를 분명히 밝히고 안전보장책을 개발하며, 학생들은 실습내용별로 관찰, 부분시행, 완전시행 등으로 나누어 환자의 양해를 미리 얻어 두는 것이 필요하며, 
    • 4) 임상실습에 대한 교수들의 관심과 지도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교수들의 적극적인 지도자세가 필요하며, 
    • 5) 전공의에게 학생실습 지도방법에 대한 훈련을 강화하여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임상실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하며, 
    • 6) 환자들에게 대학병원의 설립목적과 임무를 명확히 밝히고학생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원활한 학생임상실습이 이루어지도록 기획해야 하며, 
  •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 1) 학생실습교육에 대한 충분한 홍보를 통해 사회의 폭넓은 이해를유도하고, 
    • 2)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법적보장을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결 론


미국에서 발달한 임상실습교육과정의 한 유형인 학생인턴제는이미 우리나라 일부 대학에서 시행 중이며 많은 대학에서 시행을고려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에서처럼 인턴제가 폐지된다면 학생인턴제는 우리나라 임상실습의 중요한 교육방안으로정착될 것이다. 학생인턴제가 역량 있는 우리나라 의사들을 양성하는 역할을 하려면 대학병원의 역할에 대한 대학과 병원관계자들의 각성과 노력,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시행을 위한 의료계의 협력과 함께 관련법의 개정과 국민들의 대학병원에 대한 인식 변화를위한 홍보 등 정부와 사회의 관심과 협조를 이끌어내는 의료계의지혜가 절실한 시점이다.




The subinternship (student internship), a subtype of bedside and clinical training was firs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Currently, some medical schools conduct a student internship and many other universities are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 student internship in Korea. If the intern system is abrogated beginning in

2016 as in the United States, then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 internship will be greatly emphasized for clinical

training. To produce good and competent medical doctors, members of medical schools and affiliated hospitals

must acknowledge the role of the educational hospital and support student internships. In addition, the

effort of the medical community to develop and apply a standard curriculum to the student internship is also

required. Above all, the attention of society and the nation is essential to make legal policy changes regarding

the conducting of student internships and enhance understanding about the authorized practices in university

hospitals. The medical community’s effort to draw attention to this issue is greatly required to implement a student

internship at this time.

Keywords: Student internship, Subinternship, Clinical medical education

인턴수련제도 폐지에 따른 기본의학교육-졸업 후 의학교육의 변화

The Change of Basic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fter Intern Training System Dismantling

김병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혈액종양내과

Byung Soo Kim

Division of Oncology and Hem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의학교육은 크게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rion, BME)과 의사면허 취득 후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졸업 후 의학교육(graduate medicaleducation, GME), 그리고 전문의 취득 후 이루어지는 평생의학교육(continuous medical education, CME) 등 크게 3과정으로 분류된다. 이 중 우리나라의 인턴수련과정은 의사면허를 취득 후 처음으로 진행되는 졸업 후 의학교육이다. 그런데, 21세기 들어 인턴수련제도 폐지와 관련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아마도 이와관련된 정책적 결단이 조만간 진행될 듯하다(Wang, 2011).

이에 본 고에서는 현행 인턴수련제도 역할에 대한 정리를 하고인턴수련제도 폐지가 기본의학교육에 미칠 영향으로 학생실습에미칠 법리-교육적 영향과 진로결정에 대한 영향 등을 중점적으로기술한 후 졸업 후 의학교육에 미칠 영향과 관련 이슈들을 간략히고찰하고자 한다. 그런데 본 주제들은 의과대학 학생, 의과대학, 그리고 수련병원 등뿐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를 비롯한 병원에 내원하는 국민 전체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신중히 다뤄져야 하리라고 여겨지며, 본 저자 또한 해당 이슈에 대한 모두 통달하고 있지를못한 연유로 일부 사안에서는 언급이 부족할 수 있음에 우선 양해를 구한다.


인턴수련제도의 역할

우리나라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 졸업생들이 의사국가고시(의사국시)를 보고 합격하는 순간부터 의사의 역할을 수행할법적 자격을 지니게 되나, 거의 대부분에서 의사 역할을 할 능력이부족하다는 사실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의사자격증을 취득한 후 일정 규모 이상의 전공의 수련자격을 지닌병원에서 전공의교육을 받아야 실제 의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능력을 배양시키는 졸업 후 의학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졸업 후 의학교육의 주체는 수련병원이며, 현재의 병원중심전공의 수련교육체계의 틀은 1976년 4월에 ‘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8088호)이 제정되면서 체계가 완성되었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런데 특정 과목의 전문의를 준비하는 전공의과정은 해당 학술단체(학회)가 별도로 교육의 책임을담당하고 있으나, 인턴의 경우는 교육을 책임지는 학술단체가 없이전적으로 병원(협회)로부터 관리만 받는 것이 지금까지의 현실이다. 그러면 인턴제도가 의과대학 졸업 후 수련교육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여 왔을까? 이는 현재 가동되고 있는 보건복지부고시 제2011-174호 ‘전공의 연차별 수련교과과정’ 고시에 명시된 인턴교육내용을 발췌한 아래 내용들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법적으로 명시된 인턴교육목표 및 교과과정을 정리하면, 현재의사면허 취득자는 의과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환자진료를 할 수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병실 입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료 전반에 대한 임상수련을 받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내용들로 규정된 인턴수련교육의 역할은 20세기 중반에 규정된 것이며 인증평가 등을 통한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교육 질 보증(quality assurance)활동 속에서 임상실습교육이 강화되고 의사국시가 이론뿐 아니라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OSC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등 임상수기 및환자진료에 대한 평가도 시행함으로써 일차진료역량을 지닌 의사(primary care physician)로서의 자격을 측정하고 있는 21세기의 현실에서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뿐만아니라 병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산화 및 환자의 권리증진과관련된 진료 전문화 추세 속에서 인턴이 각 과 과장, 전문의 및 상급 전공의와 과거와 같이 man to man의 도제식으로 수련을 받을기회가 거의 없어졌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인턴 때 내과, 외과,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자유선택 2개 과 이상의 순환근무규정은진로탐색 측면에서 바람직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인턴수련제도가가동됨으로써 학생들은 진로설정을 인턴 이후로 미루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턴수련과정에서 노출될 가능성이 낮은 전문화된 임상의학 및 첨단 의생명연구 분야와 의료정책 및 윤리 등을 포함한 인문사회의학 등의 진로에 대해 학생들이 진지하게 고민할 기회를 박탈하는 역설적 현상이 발생함도 사실이다.

결국 보건복지부 고시에 명시된 현행 인턴수련제도의 교육적 역할이 미약해지고 있음은 자명하기 때문에 인턴수련제도의 개선이요구되는 상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여러 이유들로 현행 인턴수련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에서 보건복지부는 인턴수련제도 폐지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듯하다. 만약 그렇다면 “인턴수련제도 폐지가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에서의 기본의학교육 및 졸업 후 의학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예측하고 준비함이 중요할 것이다. 우선 기본의학교육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인턴과정의 체험적 학습을 최대한 임상실습과정에 포함시킴으로써 의사 역할을 실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졸업생을 배출하여의사국시에 합격시킴이 가장 바람직해 보인다. 그리고 임상실습기간 중에 최대한 학생들에게 진로탐색을 수행할 기회도 제공하여야할 것이다.

임상실습교육에 미치는 법리적 영향과 과제

인턴과정의 체험적 학습을 최대한 임상실습과정에 포함시키기위해서는 의사면허를 취득하지 않은 임상실습학생들이 정식 의사인 인턴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므로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관련 법규를 찾아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현재 법적으로 명시된 사항을 보면, 학생들은 실습과정 중 의료행위가 제한적으로 가능하며 전공 분야와 관련된 실습을 하기 위해서는 지도교수의 지도감독을 받아야 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 그런데 법적 해석상 임상강사나 전공의의 감독을 받는 것은(사전에지도교수의 지시가 있었다 하더라도) 의료법 제27조에 의해 무면허의료행위에 해당할 소지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임상 강사나 전공의는 무면허의료행위를 교사한 것에 해당하여 형사처벌 외에 자격정지 3개월에 처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당해 병원도 의료기관 업무정지 3개월의 처분을 받을 위험이 있다(법 제66조 제1항, 제5호 및제10호). 극단적으로 해석하면 임상실습학생이 과제수행을 위하여교수를 대동하지 않고 환자를 문진, 진찰할 때 무면허의료행위로해석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학생이 학습 또는 과제수행을 위해 해당환자의 기록을 열람할 때, 지도교수, 임상강사, 혹은 전공의와 함께하지 않고 학생ID나 타 의사의 ID를 도용하여 환자 의료기록을 보고, 일부 영상기록과 검사기록을 과제에 첨부한 경우, 의료법 제21조(기록열람 등) 제1항 ‘의료인이나 의료기관 종사자는 환자가 아닌다른 사람에게 환자에 관한 기록을 열람하게 하거나 그 사본을 내줌으로써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에 저촉되기때문에 만약 환자와 보호자가 그 사실을 알게 되어 고소를 제기하는 경우 관련 의료진은 형사처벌, 자격정지 및 민사상의 책임을 져야 하는 실정에 있다. 물론 제2항에는 제1항에 예외 되는 제12호 항목이 있으나, 학생의 의료기록열람에 해당되는 항목은 불행히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결국 현행 법률구조상 임상실습학생이 ‘학생인턴제’ 등의 제도를 통하더라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체험적 교육을 받기 곤란한여지가 있기 때문에 임상실습학생들의 지도감독의 권한을 지도교수의 감독하에 있는 전공의 이상의 의사로 확대하고 교육적 목적에서의 학생 환자진료 및 진료기록열람을 허용하는 등의 법률개정이 절실하다.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영국 등 선진외국에서 시행하는 임상실습을 통한 체험적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단계별 면허’ 혹은 ‘가면허’제도의 도입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만하다.


임상실습교육 내용에 미치는 영향 및 과제

인턴수련제도 폐지가 결정된다면, 임상실습의 내용에 있어서도개편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 1) 일차진료역량을 갖출 수있는 교육과정 구성, 
  • 2) 다양한 진로탐색을 위한 선택실습 기회제공, 
  • 3) 임상실습 평가방법의 표준화가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특히‘일차진료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일차진료역량’의 정의가 제시가 되어야 이에 맞게 학습목표를 설정하고교과과정 및 실습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학생의체험적 교육이 가능할 시스템이 병원에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인턴수련제도 폐지와 무관하게 교육병원이 갖추어야 할 기본요소이다. 이에 관해서는 선진외국에서도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이를 반영한 최근의 연구결과로 의과대학 졸업 후 병원에 투입된 인턴들의 임상술기수행능력이 진료현장의 요구에 부합하지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의과대학 3-4학년 학생들에게 1주마다점심시간 1시간을 할애하여 30주간 숙련된 트레이너에게 진료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표준화된 수기교육을 시행한 결과 인턴들의업무수행능력이 교육 전 25%에서 교육 후 90%까지 상승됨을 관찰함으로써 표준화된 임상실습교육의 중요성을 증명한 보고가 있었다(Costello et al., 2010). 우리나라에서도 학생인턴의 운영에 대한연구를 진행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었다(Roh et al., 2007).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행동은 평가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전공의 선발기준이 임상실습의 내실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만약 일률적인 필기시험 위주의 학교성적과 의사국시를 중요한기준으로 하여 전공의를 선발하면 임상실습교육의 내실화를 기대하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모든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이 공유할 수 있는 표준화된 임상실습 항목들을 개발 결정하고 관련 performance record를 지원하여 수련병원에 제출하도록 해 전공의 선발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진외국에서는 많은 노력과 시도를 꾀하고 있다. 최근의 대표적인 연구로 외과 전공의 선발을 할 때 외과에 특화되어 표준화된 시험인 surgery-specific written exam (SSWE)을 보고 이를 수련을 마친 후 치르는 외과전문의시험인 American Boardof Surgery In-Training Exam (ABSITE) 성적과의 관련성을 분석한결과 SSWE가 미국 의사면허시험인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Exam (USMLE)보다 매우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높음을 증명한 보고가 있었다(Farkas, 2012).

마지막으로 현행 의과대학생의 진로결정을 위한 실습교육의 범위가 지나치게 임상의학에 치우쳐 있음이 자명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도 필요해 보인다. 특히 의학 분야에 최고의 두뇌를 지닌 우수 인재들이 몰리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researchand development, R&D) 분야에 의과대학생들을 노출시키고 R&D역량을 증진시킴은 미래의 우리나라 국력을 결정할 중대사로 생각된다. 그 이유는 1950-1960년대에 사범대학 및 섬유 등 경공업학과가 최고의 인기학과였는데 1960-1970년에 우리나라는 치열한 교육열과 경공업을 중심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1970-1980년 즈음에는 물리학과 등 기초과학과 전자 및 기계공학 등 중공업학과가 최고의 인기학과였는데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탄탄한 기초과학역량 속에서 전자 및 자동차 등의 중공업 중심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었음을 생각하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의학이 최고의 인기학과가 된 지 십수 년이 된 현 시점에서 볼 때 의학관련 분야가 향후 우리나라의 성장엔진이 되어야 함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차세대 세계경제성장 엔진으로 주목을받고 있는 health technology의 기본은 기초의생명과학 R&D이기때문에 의료산업 관련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체험을 통한진로탐색 확대가 절실해 보인다. 또한 리먼 브라더스 사건과 도요타리콜 사건 등을 통하여 세계적으로 윤리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있을 뿐 아니라 의료전달체계 등 의료관리 측면에서 여러 현안들이 산적한 우리나라 의료계 설정을 감안할 때 의료윤리 및 보건의료정책 등 인문사회의학에 대한 중요성 또한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을 듯하다. 즉, 학생들에게 임상의학에만 매몰되지 말고졸업 후 개척할 많은 신세계(blue ocean)가 눈앞에 펼쳐져 있음을알리는 취지에서의 진로탐색교육이 절실해 보인다.

수련병원 및 전공과 진로결정에 대한 영향 및 과제

인턴의 가장 중요한 의미인 전공 임상과 결정의 측면을 감안할때, 임상실습과정에서의 탐색을 차치하고, 졸업 후 수련병원 및 전공과 결정을 위한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함에 있어서 학교의 역할도요구될 전망이다. 그런데 이를 위해서는 전공의를 모집하는 수련병원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학교 차원에서는 졸업학생과 수련병원 간의 정보교환 기회를 제공할 수동적 역할에 그칠 가능성이 크리라고 보인다. 물론 미국의 경우처럼 수련병원과 전공의 지원자를연결하는 matching program을 학교 차원에서 운영할 수는 있으나,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들 간의 긴밀한 협조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matching program은 외관상 매우 공정하게보임은 사실이나, 예기치 못한 bias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한다는사실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로 의과대학수가 적은 지역이 많은 지역에 비하여 home-field advantage가 높음으로써 matching program에서도 bias가 발생함을 관찰한 보고가 있었다(Falcone, 2013).

본 저자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걱정되는사안은 혹시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고등학교 선생님과 비슷하게 진로지도 역할을 수행하는 상황이 벌이지지 않을까?”하는 점이다. 우리나라 대학입시의 과열과 파행성 속에서 고등학교 3학년 선생님들이 족집게식 대학 진로상담 역할을 요구받고있듯이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 졸업학생들이 특정 수련병원에 대한 지원 과열과 파행성에 노출될 경우 교수들이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물론 본 문제의 배후에는 수련병원들의 질과 경쟁력의 편차가심한 사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인턴수련제도의 폐지가 수련병원들이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역설적으로 배가시키는 순기능도 가능하리라는 추측도 든다.

졸업 후 의학교육에 미칠 영향과 과제

현행 법률구조상 인턴의 교육적 역할이 기본의학교육의 임상실습과정으로 포함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면 인턴수련제도 폐지는 당연히 임상과 전공의 수련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병원의 전산화 및 전문 간호사와 physician assistant제도 등 여러 변화속에서 과거에 비하여 인턴의 진료 역할이 매우 축소된 현 시점에서는(현행 의과대학 임상실습과정이 원칙대로 잘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면) 생각보다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으리라고생각된다. 다만 각 과별로 공통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해 보이나 이와 관해서는 대한의학회를 중심으로 각 전문학회들 간에활발한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본 고에서 언급할 상황은 아닐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인턴수련제도 폐지가 전공의 모집에 미치는 영향은 임상과 전공의 수련교육 자체에 미치는 영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리라고 예상된다. 특히 현행 임상실습에 많이 노출되지 않는 특수 임상과의 경우 더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인턴수련제도가 폐지된다면 각 병원에서는 인기과와 비인기과를 막론하고 학생들에게 활발한 홍보(수련과정과 진로지도 포함)를 펼쳐야 하는 부담이 분명히있다. 그리고 선발과정의 공정성 또한 사회적 주목을 받을 것이기때문에 전공의 선발과정의 합리적이고 공정한 운영을 위한 각 수련병원 간의 합의점 도출이 반드시 보증되어야 하며 구체적이고 정밀한 준비와 실행에 대한 부담이 높아질 전망이다. 이런 과정 속에서학생들은 인턴으로 임상과에 지원할 때에 비하여 을(乙)이 아닌 갑(甲)의 입장으로 전공과를 공정히 선택할 기회가 늘 것이 기대되며,오랜 기간 동안 관행으로 굳어온 비합리적인 의국문화 또한 척결될순기능도 있으리라고 희망해 본다.

인턴수련제도 폐지가 졸업 후 교육에 미칠 영향은 의과대학의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변수 속에서 예측하기 힘든 다양성이 많기때문에 비교적 간단히 중요한 사항만 기술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히 바라보아야 할 핵심사항은 졸업 후 교육의 목표가 특수 전문분야의 의료인 양성과 유능한 일반 의사 양성의 측면에서 어떻게설정되어야 할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이를위해서는 선진외국의 사례를 살펴봄이 가장 좋을 듯하다.

  •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수련제도를 가동하고 있는 일본은 1948년부터 1년의 인턴과정을 이수한 후 의사국시에 응시하는 제도를도입하였으나 의사면허 취득 전 의료행위 및 병원 수련체제의 문제점 등이 제기되어 1968년에 인턴수련제도를 폐지하였다. 그러나 의사로서의 인격함양과 일차진료역량을 지닌 의사(primary care physician)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04년부터 2년 과정의 졸업후 임상연수제도를 활성화시켰고 이 과정에 필요한 재정은 전액 국고에서 부담하여왔다. 즉, 6년 과정의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국가면허시험을 합격하면 임상연수과정 2년을 마치고 일반의가 되거나추가로 3-4년의 전공의과정을 밟을 수 있는 것이다(Sato &Fushimi,2012).
  • 미국은 일부 과에서는 transitional year로 여겨지는 internship과정을 거치나 대부분에서는 residency program에 졸업 후 바로응시할 수 있다. 이에 미국 의과대학에서는 sub-internship제도를가동하고 있으며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1년 이상의병원수련을 받아야 한다. 영국은 5년 과정의 의학 및 임상실습교육후 1년간의 pre-registration house officer (foundation year 1)과정을 마쳐야 General Medical Council에 등록이 인정되어 독립적인의료행위를 할 수 있다. 그 후 2-3년의 senior house officer (foundation year 2)과정을 거친 후 Th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Board (PMETB)에서 전문의 자격을 심사받을 수 있다. 
  • 프랑스에서는 6년 과정의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취득 후 바로 일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의과정을 희망한다면 의과대학 졸업 후 인턴을 포함하여 5년의 전공의과정을거쳐야 한다. 
  • 독일의 경우에는 6년 과정의 의과대학을 졸업 후 1년6개월 남짓의 실습의사과정을 거친 후 정식으로 의사면허를 부여받고 일반의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전문의 취득을 위한 전공의과정에 지원하게 된다.

이상 선전외국의 졸업 후 수련제도를 살펴보면, 제도는 서로 상이하지만, 국민보건향상을 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양질의 의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면서 특수 전문 분야의 의료인 이전에 유능한 일반 의사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에 있어서도 인턴수련제도 폐지와 관련된 졸업 후 교육의 개편이 본 취지에 부합하여야 하리라고 여겨진다.

결 론

리나라에서 1958년 전문의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전문의제도는 우리나라 의료인력 양성 및 질 보증의 근간을이루고 있으며, 그 동안 인턴은 전문의 취득을 위한 전공의 입문과정으로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그런데 과거와 달리 임상실습 및 의사국시의 개선과 발전으로 진로탐색으로서의 기능과 체험적 의학교육으로서의 역할이 많이 퇴색하였으며 진료업무의 효율화와 환자들의 권리의식 강화로 인턴이 의사로서 수행하는 역할 및 피교육자로서의 수련기회 또한 현저히 축소되었다. 이에 2004년부터 인턴수련제도의 폐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물론 인턴수련 폐지만이 우리나라 의학교육체계를 개선할 유일한 방안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턴수련제도의 법리적 근거 및 시행 현황 등을 냉정히 평가할 때 인턴수련제도의 교육적 가치는 과거에 비하여 현저히 약화된 사실은 분명해보인다. 가뜩이나 의사양성교육기간이 과도히 긴 우리나라의 현실(기본: 의과대학 6년, 인턴 1년, 전공의 4년[총 11년, 남자 군대 포함14년], 전임의: 1-3년, 총 12-17년)을 감안할 때 인턴수련제도의 폐지는 긍정적으로 검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인턴수련제도의 폐지와 함께 본 고에서 언급한 여러 사안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대책이 준비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에 대한 과도한 의료기관의 집중과 특정의료기관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선호도 때문에 의료전달 및 전공의 수급체계가 왜곡된 현실에 대한 대책 또한 병행되어야 인턴수련제도 폐지의 취지를 왜곡하지 않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인턴수련제도 폐지는 국민보건향상을 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양질의 의사인력 양성을 위하여 결정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기본의학교육의 임상실습교육 및 졸업 후 의학교육의 개선을 꾀하여 기본적 인격소양과 일차진료역량을 지닌 유능한의사들을 많이 배출함이 궁극적인 목표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턴수련제도 폐지는 학생, 학교 당국, 그리고 수련병원 등뿐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를 비롯한 국민 전체와 관련되어있기 때문에 신중히 다루어져야 하리라고 여겨진다. 그 이유는 전공의는 전문의학지식을 공부하는 피교육자를 넘어서 수련병원 내의 진료실무 및 교육(후배 전공의, 실습학생, 환자 등)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의료계의 미래를 짊어질 엘리트들이기 때문이다(Kim et al., 2003).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expected changes in the medic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evaluate approaches

to coping with the abolition of the postgraduate intern training system. It is expected that after the intern

training system is dismantled, postgraduate medical students will b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practice

opportunity for clinical practice and to inquire into their medical specialization. Therefore, major improvements

in the clinical education curriculum must be made so that students can do so through the clinical education

program. Offer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erform clinical practice through the clinical education program

might require a revision in the laws and regulations on clinical education as well as the standardization of

the clinical education curriculum in line with international practices. Reform measures to provid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inquire their specializations might be the introduction of a medical curriculum containing diverse

fields and the establishment of a matching program to assign medical students to their residency programs

after medical school. Finally, the fact that the basic concern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the cultivation

of primary care physicians must not be forgotten even after the dismantling of the postgraduate intern

training system.

Keywords: Intern training, Basic medical educatio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