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eper-Hughes, Nancy. 1978. “Saints, Scholars, and Schizophrenics: Madness and Badness in Western Ireland.” Medical Anthropology 2(3): 59-93.

이 article에서 저자는 농촌의 아일랜드 사람들에서 특히 정신분열병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labeling theory"라는 틀로써 설명한다. 비록 정신과 치료 비율 정보가 특정 질환의 정신질환 유병률을 정확히 대변하지는 않지만, 조금 다른 측면에서 한 국가가 정신보건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의미가 있다. 저자는 정상과 비정상에 대한 이 지역사회의 정의, 진단 경향성의 차이, 치료와 입원에 대한 문화, 역사적 태도 등의 측면에서 이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우선 통계수치를 보면 남성, 미혼에서 유병률이 높고, Protestant보다 Catholic에서 높고, 70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한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미혼 남성에서 높은 현상은 첫 번째 진단 시기가 20대중반에서 30대 후반에 이른다는 점이고, 아일랜드의 농촌에서 지연된 성년기(postponed adulthood)와 이에 따른 정체성 혼란(identity crisis)과 연관이 된다. 

진단의 측면에서 정신분열병에 대한 미국 의사와의 진단 경향의 비교를 보면 아일랜드 의사의 진단 경향과 차이를 보인다. 

아일랜드 정신분열증 환자의 전형적 사례를 보면 여기에 기여하는 사회적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데, 여성의 이민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독신주의, 농촌 인구의 고령화, 대가족의 감소, 농촌에서의 삶과 그 지역의 시설이 활력을 잃어가는 것, 그리고 정상과 비정상 행동을 구분하는 기준이 너무 엄격한 것 등이 있다. 또한 이들이 사용하는 모호한 언행(double-speak) 역시 정신분열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일랜드 시골의 심각한 인구불균형으로 인해 대부분의 노인들은 혼자 고립되어 가난하게 사는 독신남, 독신녀, 과부 등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인 인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관이 생겼으며, 이런 보호시설에 보내는 것이 해결책이 되었다. 

아일랜드는 다른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광인(insane)'을 치료하는 일반적 경향을 따랐다. 그 경향의 변화단계는 대개 다섯 개로 나눠진다. (1.Madness Freed and Sanctified, 2.Madness Excluded and Punished, 3.Madness Confined and Moralized, 4.Madness Educated and Rehabilitated, 5.Madness Silenced and Sedated) 아일랜드 의원과 병원을 방문한 미국 정신과의사들은 실질적으로 psychotherapy 등이 전혀 없음에 놀란다. 치료는 주로 신체적 치료(physical therapy)가 강조된다.



Lester, Rebecca. 1995. “Embodied Voices: Women’s Food Asceticism and the Negotiation of Identity.” Ethos 23(2): 187-222.

저자는 이 article에서 중세시대 수녀가 되었던 여성들의 금식과 그와 관련된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들의 금식은 그 시대의 여성의 신체상(body boundaries)와 관련이 있다. 이 시대에 여성은 항상 타인과의 관계속에서 정의되었다. 또한 여성의 정체성은 필연적으로 신체상의 침범을 수반했다. 가임(fertility, 월경으로 상징되는), 성관계(아내로서의 역할), 임신과 출산, 그리고 모성(아이를 돌보는 것으로 전형화되는) 것이 그것들이다. 여성이 독립하여 자율권을 가지려는 열망은 여성에 대한 사회의 기대와 완전히 배치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 당시 여성에 대한 교회의 입장은 결혼을 해서 남성의 지배(dominance)아래에 있는 것이면서, 동시에 성모마리아에서도 알 수 있듯, 어머니이면서도 동정을 유지하는 것 역시 가톨릭에서 중요한 것이었다. 


중세시대의 여성에게 있어서 교회는 여성상에 대한 기대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안전한 피난소였다. 수녀들은 이 곳에서 아주 심한 금식을 하기도 했는데, 이들이 금식을 한 것은 현대 여성들의 금식과는 달리 날씬해지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과 하나가 되기 위함(one with God)이었다. (어떤 학자는 그 금식을 "holy anorexia"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위와 같은 의미(금식의 목적)에서 'anorexia'라는 단어는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


저자는 이 시대 수녀가 된 한 여성의 모습을 통해 이들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열하고 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매우 이른 나이에 종교에 귀의했다는 것, (2)(자매의 죽음 등으로 인해)여성성, 딸로서의 역할이 강조된 어린 시절을 보냈다는 것, (3)사랑하는 사람이 죽는 것을 계기로 신앙심이 더 강해진 것, (4)결혼을 가지고 부모와 큰 다툼을 벌인 것, (5)Sexuality가 큰 anxiety였다는 것, (6)수녀가 된 이후에도 금욕적인 생활이 더 강해진 것 등이다. 


이 시대에 '여성'은 '음식'에 은유될 수 있었고, '음식'이라는 것은 다른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이었다. 젖을 먹인다는 것은 그 자체로 신체상의 침범(성관계, 출산)을 모두 보여주는 것이었고, 젖을 먹이는 것 외에도 여성은 여러 'fluid'를 분비하게 된다. 그러나 금식을 함으로써 이들은 '분비'도 하지 않았고, 월경도 멈추었다. 그들의 신체는 순수하고 온전한 것이었다. 또한 금식 상태에서 성체를 받아 먹음으로써, "to eat Christ is to become Christ"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nursing의 측면에서 이들은 금식을 통해 nursing에 대한 두 가지 역할을 모두 할 수 있었다. Holy woman은 Christ의 nurser이면서, 그에 의해 nursed 되었다. 그녀는 공급자면서 수혜자였으며, Christ가 먹는 음식이면서, 그에게서 나온 음식을 먹는 사람이었다. 


이런 내용들을 바탕으로 '음식'이 왜 여성을 상징하는 것이 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여성들은 음식을 통제함으로써 신체상을 통제하였고, 신과의 영적 합일(spiritual union)을 이루었으며, 중세시대 사회에 여성의 자율과 의존에 대한 갈등을 해결할 수 있었다. 


Martin, Emily. 2007. “Introduction.” Bipolar Expeditions: Mania and Depression in American Cul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33.

이 article에서 저자는 미국의 Manic depression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미국 문화는 조증행동(manic behavior)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productivity"로 바라보기 때문이다. 조증행동에서 나오는 높은 수준의 에너지는 기업가, CEO, 연예인 등이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라고 본다. 

Rational and Irrational : 어떤 사람에게 조울증이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의 '합리성'에 대한 의심을 품게 한다. 그러나 과연 일반적인 사람은 전적으로 '이성적'인가 하는 점에서 딜레마가 생긴다. 사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는 "조울증이라는 진단 아래서 살아가기(living under the description of manic depression)"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두 가지 사회적 사실(social fact)을 보여주는데 하나는 그들이 진단을 받았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이 진단은 그 사람을 묘사하는 여러가지 중 하나라는 것이다. 

Brains and Genes : 서구 문화에서는 정신적 병(malady)이 있다는 것보다 신체적 병이 있다는 것이 훨씬 더 타당성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 이래로 사람들은 조울증이 "뇌의 병"이라는 근거가 나올때마다 이를 반긴다. 이는 '신체적 병은 치료될 수 있다'라는 믿음 때문이면서, 또한 보험, 장애수당(disability payment), 보상청구권(compensation claim) 등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Drug Factor : 일반적으로 기분장애(mood disorder)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데, 이와 관련해서 봐야 할 것이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등의 처방이 증가하는 속도이다. 또한 이들 제약회사들은 민족지학자들을 고용하여 문화마다 질병의 뉘앙스를 연구하고, 단어를 대체하여 질병에 대한 개념을 바꿔놓는다. 새로운 약들은 정신질환에 대한 분류를 바꾸어놓아서, 사람들로 하여금 원래는 '비이성적'인 것으로 분류된 '조증'을 창의력, 생산성, 이윤의 향상으로 바라보게 만든다. 

A Short History of Manic Depression : 조울증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역사의 변화, 정신의학의 발전, 이를 둘러싼 사회(TV show, 언론 등)의 변화 등을 간략히 요약하고 있다. 1990년에는 manic depression을 bipolar disorder이라는 단어가 대체하게 되었다. 



Ozawa-de Silva, Chikako. 2008. “Too Lonely to Die Alone: Internet Suicide Pacts and Existential Suffering in Japan.”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32: 516-551.

이 article에서 저자는 일본의 집단자살 문제를 다루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자살, 특히 젊은층이 인터넷 자살모임 사이트를 통한 집단 자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자살과 관련한 웹사이트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를 보면, 젊은 층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존재에 관한 고뇌(existential suffering)을 알 수 있으나, 이런 고뇌가 정신질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다고는 할 수 없다. 이들은 혼자 죽기를 두려워하는(too afraid to die alone) 특성이 있으며,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모여서, 죽고자 하는 선택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개개인의 고뇌(suffering)에 대한 인류학의 최근 연구로 덕에 agency와 structure의 이분법에 대해서 좀 더 정교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일본인들이 가지고 있는 자아(selfhood)와 내세(afterlife)와 연관지어서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Ikigai(worth of living, 삶의 가치)를 찾지 못하는 자살 웹페이지 방문자들과 그들이 치유로서 자살을 보는 관점을 고려할 때 사회적 고뇌에 대한 연구는 '의미'와 '의미의 상실'에 대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또한 자기 자신과 모든 것들에 관계가 있다고 보는 일본인들의 개념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자살 역시 한 사람이 자신의 자율권을 주자하는 것이라고 보는 일본인들의 일반적인 관점과 달리, 동반자살(suicide pacts)는 개개인들의 자신의 결정권을 집단의 결정에 굴복하여 포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자살은 ikigai의 상실, 심한 존재론적 고뇌, 심한 외로움, 다른 사람과의 소통부재 등의 특징을 지니지만, 일본의 대중매체는 이러한 자살에 대해서 동정하기보다는 부책임하고, 생각없는 행동으로 묘사하곤 한다. 


자살과 관련된 정신질환 문제를 경제 문제와 연관짓는 학자도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기대, 열망, ikigai를 포괄하는 사회적 차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자살과 관련한 최근 몇 가지 사회적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제약회사에서는 정신질환을 '마음의 감기'라고 묘사하기 시작했으며, 인터넷 사용이 크게 증가했고, 이와 더불어 '히키코모리'가 등장했으며, 이지매와 입시 지옥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shinjyu(심중, 心中)은 동반자살을 하기로 한 사람들의 모임을 뜻한다. 여기에는 부모-자식의 동반자살, 가족의 동반자살 등이 포함되나 일본에서 이를 '비극적 사건(자살)'으로 보는 반면, 서양에서는 '개탄스러운 살인'으로 본다. 또한 일본에서 홀로 자살한다는 것은 남은 가족에게는 낙인이 되는 반면, 집단 자살이 대해 다른사람과의 소통과 연결을 찾는 사람들의 슬픔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인터넷 집단자살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모르나, 그 전부터도 집단자살 이라는 것은 존재해왔다. 집단자살과 관련된 웹사이트가 아이들에게 해로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며, 아이가 아니더라도 '자살을 생각해본 적은 있으나 어떻게 해야할지 불확실한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웹사이트의 글에는 '의미가 없다',' 외롭다' 등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외롭다'에 대해서는 내적 갈등도 관찰된다. 외롭지만, 사회적 활동을 하는 것은 불편하다는 것이다. 또한 내세(afterlife)에 대한 관점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ikigai의 측면에서, 개개인들이 뚜렷한 ikigai를 느끼기 힘든 문화적 환경이 전통적 가족관의 상실, 가족의 구조 변화, 사회적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는 실패감과 맞물리면서 깊은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ikigai의 문제는 adolescent가 길어지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젊은 사람들은 학생 때는 입시에만 집중하다가, 졸업 후에도 부모의 집에 얹혀 사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사회적 의무감이 더 강해지는 adulthood에 들어가기를 꺼려하는 모습을 보인다.


1990년대 중반, 일본에는 힐링 붐이 일었다. 이는 그 당시 급격하게 자살이 증가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많은 서양사람들에게 있어서 자살한다는 것은 개인적인 것으로서, 매우 가까운 사람이나 가족들만 공유하는 것이지 모르는 사람과 같이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집단자살을 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 다른 사람과 자살을 한다는 것은 '신뢰'가 필요한데, 그들은 기존의 관계속에서 신뢰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Friend-Enemy-Stranger의 세 관계에서 Stranger는 자살동반자로서 나머지 둘이 가진 문제에서 자유롭다. 


또한 자살 웹사이트는 이들이 외로움(loneliness)을 표출하고 공감할 수 있는 장소이다. 그럼으로써 이들은 개개인의 외로움을 공유된 외로움으로, 고장난 외로움을 유익한 외로움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정신적 고통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자신을 더 들여다보고 성장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다. 







Emily, Martin. 1988. “Premenstrual Syndrome, Work Discipline and Anger.” The Woman in the Body. Boston: Beacon Press, pp. 113-138.

이 article에서 저자는 여성의 Premenstrual Syndrome(PMS)과 이를 대하는 남성, 직장, 사회의 관점을 다루고 있다. PMS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은 주로 심리학적/생물학적인 것이고, 호르몬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19세기에는 월경을 병리학적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 당시에 주로 문제가 되었던 것은 월경과 직장에서의 업무능력 사이의 관계였다. 1차대전과 2차대전 사이 시기에 월경이 심신을 약화시킨다는(debilitate) 연구결과가 많이 나온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여성들의 취업이 남성들이 일자리를 구하는데 방해가 되었고, 반대로 2차대전이 시작된 이후 월경은 전혀 문제가 아니다(not a liability)라는 연구가 나온 것도 같은 맥락이다. 

PMS로 돌아와, 여성들이 스스로 PMS에 대해 보고한 바를 보면 대체로 정신적 신체적 규율이 필요한 상황에서 능력을 발휘하는게 어렵다는 내용이 많다. 이러한 것은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졌고, 고용자들은 나머지 시간에 더 높은 강도의 업무를 요구하기도 했다. PMS의 incidence가 반대로 업무 규율이 더 강한 곳에서 더 높은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는 별로 연구된 바는 없으나, 여성들은 집안일에 대해서도 clumsy해진다고 말한다. 

PMS로 인한 주기적 변화가 사회적 구조적으로 잘 조화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렇다면 실제 업무에 대해서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여러 연구에서 여성의 업무능력은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다. 반면, PMS에 흔한 것 중 하나는 분노(anger) 이다. 그러나 여성이 PMS로 인한 정서적 변화를 나타낸 것에다가 폭력적으로 반응한 남편의 행동은 여성보다 더 '통제불가능한' 행동이다. 또한 여성들은 이 분노에 대해 "홀린(possessed)"기분이라고 묘사하기도 하는데, 여성이 의미한 바와 달리 사회는 이것을 '몸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하곤 한다. 또한 여성들은 분노를 표출한다고 해서 기분이 좋아지는 것도 아니다.

Article은 끝 부분에 Gloria Steinem의 냉소적인 상상을 서술하며 마무리짓는다. 만약, 만약에, 남성이 월경을 하고 여성이 하지 않는다면 어떨까? 



Scheper-Hughes, Nancy. 1985. “Culture, Scarcity and Maternal Thinking: Maternal Detachment and Infant Survival in a Brazilian Shantytown.” Ethos 13(4): 291-317.

이 article은 문화와, 빈곤과, 모성에 대한 것이다. 브라질의 Alto do Cruzeiro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녀의 치료와 생존에 대한 엄마로서의 신념과 정서, 실제 행동양상을 설명하고 있다. 


브라질에서는 매년 백만명의 5세이하 유아가 기생충 감염이나 만성적 영양실조로 사망한다. 제3세계의 영아 사망은 주로 의료기술의 문제보다는 정치경제적 문제로 다뤄지나, 여기에서는 다른 측면 - 극악의 조건에서 스스로 생존하기 위해 살아남을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약한 아이에 대한 엄마의 무심함과 무관심 - 을 보고있다. 즉, 경제적 박탈과 모성의 박탈의 연결고리는 어떻게 되는지를 다룬다. 이런 환경은 삶을 'luta'라는 은유에 빗댄다. 이는 강자와 약자 사이의, 더 나아가서는 약한 자와 더 약한 자 사이에 생존을 위한 싸움을 의미하는 것이다. Alto의 여성들은 "a mingua"로 죽어가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허락해야 한다 말한다. "a mingua"란 관심, 돌봄, 보호 없이 죽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모성'이라는 사고와 행동이 정신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보편적인 정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것을 주장한다. 


- 이 곳에서 아이를 출산한 산모는 아이의 체질이나 기질에 따라서 '투자'가 달라진다. 진체적, 정신적으로 "fighter", "survivor"의 특징을 빨리 보이는 아이들에게 더 호감을 보인다. 

- 이곳 여성들에게 태어난 아기가 첫 해에 살아남기 위해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좋은 음식, 적절한 영양, 우유, 비타민"이라고 누구나 말한다. 하지만 역설적인 것은, 어떤 엄마도 '자신의 아이'가 사망한 주요 원인으로 음식이 부족하거나 우유가 적은 것을 꼽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 "'doenca de crianca'는 엄마를 대단히 소모시켜요. 슬프게 만들죠. 우리는 그런 병은 치료하지 않아요. 그들은 죽어야 하기 때문에 죽는 것이죠. 항상 약한 사람은, 나중에 커서도 스스로를 지켜내지 못할 거에요. 차라리 더 약한 쪽이 죽는 것이 나은거죠."

- 모성에 대한 연구에서 우리는 '현대, 서구, 부유한' 가족에서 나온 연구를 주로 보게 된다. 그러나 많은 아이를 낳고, 문화에 기반한 선호도 차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자하여, 그 일부만이 살아남기를 바라는 제3세계의 현실은 다르다. 이 곳에서는 아이의 장례식이 드문 일이 아니며, 아이가 걷거나, 말하거나, 또는 의료적 사고가 생겨 급하게 세례를 받아야 하기 전까지 아이에게 이름조차 주지 않는다. "엄마의 사랑"은 지켜보고, 보호하고, 살펴주는 정서가 아니라 "시간을 두고 지켜보며 기다리는 것(watchful waiting)"으로 대체된다. 

- 인간의 정서에 대한 생물학적 기초를 완전히 반박할 수는 없지만, 사랑과 애착관계는 문화에 의해 의미가 만들어지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현상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Inhorn, Marcia. 2004. “Middle Eastern Masculinities in the Age of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Male Infertility and Stigma in Egypt and Lebanon.” Medical Anthropology Quarterly 18(2): 162-182.

이 article에서 저자는 최신 생식 기술(new reproductive technology, NRT)가 중동지방의 '남성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남성 불임은 전세계의 전체 불임 중 약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나, 그 비율만큼 많이 연구되어있지는 않다. 이 article에서는 중동지방의 두 도시(이집트의 카이로, 레바논의 베이루트)에서 남성 불임의 문제를 연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환경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으로 인해서 남성 불임의 위험이 높다. 


중동과 같은 출산촉진론자의 사회에서 남성의 불임은 특별히 더 문제가 된다. 정력과 가임성이 모두 '남성성(manhood)'과 연결되며, 따라서 남성이 불임이라는 것은 대단히 무기력한 것이면서, 낙인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이슬람의 문화는 제3자에 의한 생식세포를 제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ICSI라는 새로운 생식기술의 등장으로 인해서 복잡한 윤리상, 혼인상의 딜레마가 생겨났다. 이로 인해 남성 불임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ICSI라는 기술이 사회적 낙인과 은밀함(secrecy)에 추가적인 역설적 상황을 덧데게 되었다.


- 중동지방에서는 남성불임이 특히 높은데, 그 이유는 여성불임의 원인이 되는 성매개전염병이 낮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고, 유전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는 그 지역의 환경오염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레바논에서는 전쟁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 

- 불임남성이라는 것이 이집트에서는 특히 더 비밀스럽고 사적인 일이고, '남성성'을 훼손하는 것인 반면, 레바논에서는 이러한 분위기가 조금 덜해서 커다란 비밀도 아니고 주변 사람들에게 그 분야의 좋은 의사에 대한 자문을 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레바논의 교육수준이나 전쟁과 연관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레바논 남성은 행복해보이지 않았고 '응답할 기분이 아니'라는 이유로 응답을 꺼렸다. 

- 정자 공여에 대한 종교적 문화적 금지로 인해 ICSI는 불임남성에게 유일한 희망이 되었다. 물론 ICSI도 정자가 섞일지 모른다는 일말의 불안감과, 자녀가 태어나더라도 "시험관 아기"라는 낙인이 찍힐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다.



Wentzell, Emily. 2013. “Aging Respectably by Rejecting Medicalization: Mexican Men’s Reasons for Not Using Erectile Dysfunction Drugs.” Medical Anthropology Quarterly 27(1): 3-22.

저자는 이 article에서 발기부전치료제라는 의학을 거부함으로써 바람직한 나이듦(respectable aging)을 추구하는 멕시코 남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Lifestyle Drug의 생산이 늘어나고, 노인병학에 대한 의학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가령(aging)과 성(sexuality)에 대한 의료의 문제가 서로 엉키고 있다. 비아그라와 같은 약제는 남근중심적 섹스를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를 건강한 나이먹음의 표식으로 생각하도록 한다. 그러나 노년에도 "젊은" 섹스를 즐길 수 있게 도와주는 약제가 보편화되었음에도, 저나는 섹스를 즐기지 않거나 조금만 즐기고도 '바람직한 나이듦'을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멕시코의 Cuernavaca의 한 비뇨기과에서 이뤄진 이 민족지적 연구에 따르면 삽입을 하는 섹스가 전통적으로 성공적인 남성상과 관련되어 있지만, 발기부전이 있는 많은 나이든 노동자 계급의 맥시코 남자들은 '젋은' sexuality와 그것을 위한 약을 거부하고, 가정과 가족을 중심으로 한 '성숙한' 남성성을 그린다. 저자는 사회적 격려와 발기부전 약을 쓰는것에 대한 구조적 disincentive가 남자들로하여금 발기부전을 자연스럽고 적절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함을 주장한다.





'Articl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3주 Biological Citizenship  (0) 2013.09.29
제11주 Culture and Mental Health.  (0) 2013.09.28
제7주 Structural Violence  (0) 2013.09.28
제6주 Belief and Healing.  (0) 2013.09.28
제5주 Biomedicine Examined.  (0) 2013.09.28

Farmer, Paul. 2004. Pathologies of Power: Health, Human Rights, and the New War on the Poo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폴 파머. 김주연 리병도 역. 2009. 『권력의 병리학: 왜 질병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먼저 찾아오는가』, 처음-4장까지.]



Bourgois, Philippe and Jeff Schonberg. 2007. “Intimate Apartheid: Ethnic Dimensions of Habitus among Homeless Heroin Injectors.” Ethnography 8(1): 7-31.

이 article에서 저자들은 캘리포니아의 노숙자들, 헤로인 사용자, 크랙 사용자들을 연구를 바탕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백인, 라틴계 사람들의 위계적 관계를 밝히고 있다. 이들은 모두 헤로인에 중독되어 있고, 궁핍하게 살고 있다는 특징을 공유하지만 이이들은 건강에 대해서 서로 다른 'ethnicized habitus(민족적 체질)'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색에 따라 강요되는 이들의 일상의 관계를 'intimate apartheid'라고 부르고 있다. 

이 article은 이들의 삶을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어떻게 거시적인 권력관계가 개개인의 신체와 행동에 스며드는지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이것들이 건강, 즉 '민족적 체질'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들에게 있어 저자는 '민족적 체질'을 형성하는 두 가지 요소를 설명하는데, 하나는 헤로인 투여시의 방식으로, 백인들은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방식을 주로 하는 반면, 흑인들은 intravenous 방식을 고집한다. 두 번째는 이들의 돈을 버는 전략인데, 이는 명백하게 외부적, 사회적 권력관계에 의해 결정지어진다. 백인들은 주변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는 사업체에서 파트타임 직업을 통해 수입을 얻는 반면, 흑인들은 주로 절도나 빈집털이 등을 통해서 돈을 버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흑인들은 절도를 '전문화' '특성화'시킨다. 

이러한 '민족적 체질'을 형성하는 이 두 가지 요소들은 더 넓은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이념적 맥락과 연관이 있는데, 예를 들면 이들이 파트타임 직업을 갖지 않는 것은 백인이 소유한 사업체에 고용되어 일을 하는 것에서 노예제도와 유사성을 찾기 때문이면서, 동시에 unionized industrial labor market의 붕괴와도 연관이 있다. 또한 백인은 가족과의 연결이 거의 없고, 가족들도 이들에게 관심을 두지 않는 반면, 흑인들은 가족과 친지와의 연락이 닿으며, 심지어 스스로를 '성공했다'고 여기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궁극적으로 투약 방식의 차이까지 이어지며, 투약 방식의 차이는 다시 한 번 질병과도 연결이 된다. 





Evans-Pritchard, E. E. 2010[1937]. “The Notion of Witchcraft Explains Unfortunate Events.” A Reader in Medical Anthropology. Malden: Wiley-Blackwell, pp. 18-25.

이 article에서 저자는 불운(misfortune, 예컨대 곡물 저장고가 무너져서 입은 부상))의 원인을 마법(witchcraft)로 돌리는 Azande족(Zande어)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그들이 '마법'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일련의 인과관계(chain of causation)중에서 특정 조건에 대한 것이다. 한 예로서, 곡물 저장고가 무너져서 그 아래 있는 사람이 다쳤다고 할 때, 왜 그 특정 시점에, 왜 하필 그 곡물저장고 아래 있던 사람이 다쳤을까? 이것을 설명해주는 것이 '마법'이다. 우리는 이런 일이 벌어졌을 때, '전혀 관계없는 일들이 '우연'히 동시에 일어났다'라 생각하지만 이들은 마법때문에 일어났다고 해석하는 것이다. 

또한 그 마법은 "왜(why)"그 일이 생겼는지에 대한 설명이지 "어떻게(how)" 그 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한 것은 아니다. 곡물 저장고가 무너진 원인이 흰개미가 기둥을 갉아먹어서 그렇다는 것은 그들도 안다. 또한 그들에게 있어 사망의 자연적 원인(natural cause)와 마법은 상반되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 보충해주는 개념이다. 말하자면 '마법'이란, 소위 '확인사살(second spear)'같은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모든 질병이나 사망의 원인을 '마법'에 돌리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인 사회적 규칙, 규범, 금기는 지켜져야 하며, 이런 것들을 다 지켰는데도 불구하고 어떤 '불운'이 닥쳤을 때, 그 때 이들은 그 원인을 '마법'이라 여기는 것이다. 

이들에게 있어 '마법'은 일상적(ordinary)한 것이지, 기이한(extraordinary)한 것이 아니며, 정상적(normal)인 것이지 비정상(abnormal)이 아니다. 하지만 마법은 명확한 개념이라기보다는 감각적 경험을 초월한 것으로써, 그들 자신도 마법을 완벽하게 이해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마법이란 Zande에게는 그들의 신념(belief)을 현실화(actualize)하는 것이지, 지식화(intellectualize)하는 것이 아니며, 그들의 교리(tenet)은 교리(doctrine)보다는 사회적으로 통제된 행동으로 나타난다.



Good, Byron J. 2010[1994]. “Medical Anthropology and the Problem of Belief.” A Reader in Medical Anthropology. Malden: Wiley-Blackwell, pp. 64-76.

이 article에서 저자는 신념(belief)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과학(의학을 포함하여)과 종교적 근본주의(religious fundamentalism)은 '신념'이라는 개념에 있어서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의료인류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의학의 세부 영역인 행동과학이나 공중보건 영역에 있어서 '신념'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 질병을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신념'이 중요하고, 왜 잘못된 신념은 고쳐져야 할까? 합리성(rationality)과 상대주의(relativism)에 대한 논쟁에서 '신념'이라는 단어의 역할을 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 'Rationality and the Empiricist Paradigm in Anthropology'에서 저자는 Azande족의 마법(Witchcraft)에 대한 신념 등을 예시로 들면서, 합리성(rationality)에 있어 가장 난감한 문제는 "명백히 비합리적인 신념"에 대한 것이며, 경험주의에서 '신념'의 역할은 무엇이고, '신념'과 '지식'의 경계는 어디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되묻고 있다.

The Problem of Belief in Anthropology 에서는 '신념'이라는 단어 자체에 대해 조금 더 살피고 있다. 영어에서 'belief'라는 단어의 역사를 용례, 영문학, 철학적으로 살펴보고, 'knowledge'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특히 인류학에서 'belief'라는 개념에 대한 분석이 거의 되어 있지 않은 면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언급하고 있는데, (1)belief와 knowledge를 병치시켜놓으면 belief를 마치 반사실적(counter-factual) 주장으로 여기는 조짐이 보인다는 점 (2)인류학의 analytic category에서 'belief'는 주로 종교 내지는 folk science의 논의와 가장 가깝다는 점 (3) 인류학 문헌에서 'belief'라는 단어가 서로 다른 이론적 패러다임하에서 다양한 빈도와 분석적 의미로 사용된다는 점 (4)다른 문화를 'belief'라고 칭하는 것은 인류학적 관찰자의 위치와 지식에 권위를 주입한다는 점 (5)여전히 'belief'라는 단어는 odd job word로 보인다는 점 등의 가설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A Shaking of the Foundations에서는 인류학이 20세기 사회학에 '인간의 지식은 문화적으로 만들어지며 생활과 사회적 구조와의 관계에서 구성된다'라는 주장을 통해 기여한 바가 있지만, 경험주의적 패러다임에 기반한 comparative, cross-cultural study의 기반은 최근 몇 년간 흔들리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Ots, Thomas. 1990. “The Angry Liver, the Anxious Heart and the Melancholy Spleen.”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14(1): 21-58.

이 article에서 저자는 "lived-body"에 대한 중국식 전통 의학의 접근법을 서술하고 있다. 서구 의학은 정신(psyche)과 신체(soma)를 서로 분리된 것으로 보며, 정신질환에서 신체화된 증상을 "이차적인 것" 또는 "비특이적인 것"으로 무시하곤 한다("superior mind over inferior body). 이런 관점은 "embodiment"라는 단어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또한 영어에는 독어의 Leib와 같이 신체와 정신이 합해진 body-mind unity 내지는 "lived-body"를 지칭하는 단어가 없다.  반면 중국식 전통 의학은 좀 더 전체적(holistic)으로 바라보면서 정신과 신체가 갖는 관계를 중요시하는데, 이는 article의 제목과 같이 간(liver)은 화(anger)와, 심장(heart)는 긴장(anxiety)과, 비장(spleen)은 우울(melancholy)과 연관되어 있다고 해석하는 중국식 전통의학의 방식을 직접 환자를 만나보고 주요 증상들을 위주로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다. 


Moerman, Daniel. 2002. “Doctors and Patients: The Role of Clinicians in the Placebo Effect.” Understanding and Applying Medical Anthropology. Mountain View: Mayfield Publishing Company, pp. 133-141.

치유 과정에 있어서 플라시보효과는 분명 흥미로운 현상이면서, 또한 연구자들에게 좋은 연구주제이기도 하다. 저자는 여기서 "플라시보효과"라는 말 자체가 모순이라고 말한다. 왜냐면, '플라시보'가 이미 '효과가 없다'라는 뜻인데, 이것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효과가 왜, 어떻게 나타나는 것일까?

의료인류학적 측면에서, 어떤 민족의학이든 환자와 치유자의 신념(belief)은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둘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에 대해서 플라시보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제시된 결과 보면, 환자가 어떠한 성격적, 심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는 치료의 결과와 관계가 없으며, 또한 누가 위약에 반응할지 예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그보다는 치유자(의사)의 신념이 환자의 그것보다 치료 효과에 대해서 훨씬 더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것은 어떤 사람들은 왜 특정 약의 특허가 만료되거나 OTC로 전환되었을 때 효과가 감소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데, 이 article이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oucault, Michel. 1994[1963]. The Birth of the Clinic: An Archaeology of Medical Perception. New York: Vintage Books. [미셸 푸코. 홍성민 역. 2006. 『임상의학의 탄생』, 서론-3장 (pp. 14-100).]

히스테리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열 달 동안 하루에 10시간부터 12시간까지 목욕을 시켰다는 18세기, 그리고 '질병을 해부학적으로 바라보게 된' 19세기에 의학의 '시선'이 어떻게 이동해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다시 말하면 19세기의 위대한 발견이 있기 전, 의학 체계가 그다지 진보하지 않았던 당시에 의학 분야의 담론 구성이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서술하고 있다. 


그 첫번째는 "질병을 공간화(spatialiser)와 분류하기" 이다. 첫 번째 공간화의 장에서 의사들은 환자를 유사성의 대상 위에서 구별하려고 했으며 개별성은 중요하게 보지 않았다. 그러나 두 번째 공간화하기에서는 개별 환자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찾아낼 수 있는 섬세한 의학적 시선이 중요해졌다. 

제3의 공간화하기는 사회 안에서 질병의 경계가 생기고, 질병이 의학적 투자의 대상이 되며, 지역에 따라 의학적 배치에 차별이 생겨 의학적 혜택을 더 많이 받는 지역과 계층으로 사회가 구획되는 현상이라 정의하였다. 그러나 병원이란 인위적인 장소이며, 병원에서는 어떤 질병도 순수한 모습으로 남아있을 수 없다.

전염병이 제3기의 모습(제3의 공간화)으로 사회적 구조 위해서 질병과 의학적 경험과 의사들의 의료행위를 통제하려 했을 때 마주칠 수밖에 없었던 과제는 의학의 정치적 입장이 무엇인가를 개념 정의하는 일이었고, 이것이 왕립의학회의 기원이다. 왕립의학회가 병리학적 현상을 집단적 수준에서 관리하는 공식 기관이 되면서 지식을 총체화(totalisation)하는 방법이 새로워졌다. 이제 의학적 시선을 구성하는 것은 지식의 굴레가 아니라, 끊임없이 돌아다니며 정보를 수집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지식을 수정하는 열려젠 총체화의 영역이 되었다. 

또한 의학적 공간이 사회적 영역을 가로질러 깊숙히 침투해갔으며, 의학은 범위가 확장되어 건강한 사람을 관리하는 것까지 포괄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자유로운 장"인데,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의학적 기술 사이에 합치점이 생겨나 의사와 정치가들이 하나의 목소리로 의학적 제도화를 저지하는 모든 방해물을 걷어치우라고 요구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1)병원 구조, (2)의료 행위와 교육에 관한 법률이 있다.

이 시기에 필요한 제도 개편의 요구는 '개인의 의학적 관찰과 의과대학의 시험제도와 일상적인 치료행위에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었고, 특히 의과대학보다 병원에서 하는 의학 강의에 일정한 형식을 부여하는 것이 더욱 시급했다. 다시 말하자면 한마디로 의학적 시선에 부여된 대상을 말로 어떻게 표현할지 몰랐다고 할 수 있다. 즉 관찰 가능한 것이 말로 표현되지 못했던 것이다.


Kleinman, Arthur. 1995. “What is Specific to Biomedicine?” Writing at the Margin: Discourse between Anthropology and Medicin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1-40.

의학은 무수히 많다(Medicine is nothing if not multitudinous)로 시작하는 이 article은 우선 초반부에 이 '많은'의학의 공통점을 나열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의학의 '무수함(multitudinousness)'은 더욱 두드러지는데, 그 이유중 하나는 어떤 의학도 역사적 맥락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Biomedicine 역시 다원적(plural)이기 때문에 한 지역의 치료적 전통의 globalization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Biomedicine이 현지화(indigenization) 과정을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이종성(heterogeneity)에도 불구하고 biomedicine과 그 서구적 근원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특히 지식 생산과 훈련 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scientific paradigm을 보고자 한다. 

총 네 가지를 다루고 있는데 (1)Monotheism적인 특징과 Monotypic order를 중시하는 점, (2)Suffering과 Healing보다는 Disease와 Treatment를 강조한느 점, (3)강력한 수술(그리고 수술로 대표되는 치료)을 위한 점진적 검색, (4)관료화, 전문화, 의료화(medicalization)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들 특징에 대해 저자는 이것은 비단 의학에 국한된 것이라기보다는 사회적 현상의 하나로 봐야한다고 말한다.


Good, Byron. 1994. “How Medicine Constructs Its Objects.” Medicine, Rationality, and Experience: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5-87.

이 Article에서 저자는 하버드 의과대학에서의 연구를 통해서 의학이 어떻게 그 대상을 형성하는가(how medicine constructs its object)에 대한 견해를 서술하고 있다.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의학을 어떻게 배우는가 하는 문제는 그들이 "어떻게 그들의 뇌를 바꿔가는가" 또는 그들이 어떻게 "정보와 interaction하는가"와도 연관이 있다. 따라서 진단과 치료의 대상으로서 어떻게 'illness'를 구성해가는지, 그리고 의학 지식이 의미하는 세계관을 만들어나가는 '형성 과정'을 살펴본다. 

질병에 대해, 질병은 근본적으로, 심지어는 베타적으로 생물학적인 것이라는 관점에 충격을 받은 저자는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연구를 하면서 의학을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의 새로운 접근법을 익히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일종의 새로운 세계에서 살아가도록 만들어지는 과정이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Dan Sperber가 "cognitive development의 첫 단계는 이미 완성되어 인식가능한 세계에서 그와 관련된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지식을 축적해나갈 세계를 만들어가는 것이다"라고 했다. 마찬가지로 의학의 세계에 들어온다는 것은 의학의 기초적 언어와 지식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의학적"방식으로 현실을 구성해나가는 기본적 practice를 배우는 것이며, 여기에는 '보는 것', '쓰는 것', '말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 중 '보는 것'은, 특히 해부학 실습으로 대표되는 이것은 단순히 '비인간적인' 경험이 아니라, 사람에 대한 관점을 신체, 질병사례, 환자, 시신 등과 같은 의학적 시선에 적합한 방법으로 볼 수 있게 재구성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리고 '쓰는 것'과 '말하는 것'은 환자의 경험적 narrative를 그대로 전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들간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이 중 어떤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제시할 것인지를 훈련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유재량(arbitrariness)에 대해서도 학습하게 된다. 







Rural Healthy People 2010 : 농어촌지역 보건문제의 우선순위와 진료모델

Rural Healthy People 2010 : Identifying Rural Health Priorities and Models for Practice

Larry Gamm, Ph.D., Linnae Hutchison, M.B.A., Gail Bellamy, Ph.D., and Betty J. Dabney, Ph.D.





두 가지 주요 목표는 (1)건강한 삶을 질적으로, 기간적으로 늘리는 것, (2)건강불평등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The two major goals of Healthy People 2010 are to increase the quality and years of healthy life and to eliminate health disparities


일차의료에 접근성은 여전히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Access to primary care remains a challenge in many rural areas


일차의료 뿐만 아니라 응급의료(EMS)에 대한 접근성 문제 사례도 심심찮게 들려온다.

In addition to problematic access to primary care, there is anecdotal reporting of serious deficiencies in access to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in rural areas.


정신질환이 농어촌지역에서 더 흔하지는 않고, 일부 연구에 따르면 유병률이 더 낮지만, 높은 자살률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Mental disorders appear to be no more prevalent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and according to some studies are less prevalent (Hartley, Bird, & Dempsey, 1999). There is evidence, however, of higher suicide rates-a standard indicator of mental illnessin rural areas, particularly among adult males and children (Eberhardt et al. 2001; Hartley et al., 1999).


2형 당뇨병도 농어촌지역에서 더 유병률이 높다.

Type 2 diabetes, arguably the most rapidly growing chronic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is more prevalent in rural than in urban areas.


정신질환과 마찬가지로, 구강보건도 적절한 의료인력이 지원되지 않아서 불균형 상태에 있다.

Like mental health, oral health in rural America suffers from disproportionately low numbers of professional providers


젊은 층 사이에서 흡연 및 약물 사용 비율이 도시지역보다 높다.

Tobacco use (cigarettes and smokeless tobacco) and substance abuse (in the form of alcohol, methamphetamines, and inhalants) are higher among youths in rural than in urban areas (Cronk & Sarvela, 1997;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001).


제1, 제2 사망원인인 심장질환과 암은 농어촌지역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Heart disease and cancer, the number one and number two leading causes of death, generally do not appear disproportionately in rural areas















 2002 Winter;18(1):9-14.

Rural healthy people 2010identifying rural health priorities and models for practice.

Source

Southwest Rural Health Research Center, School of Rural Public Health, Texas A&M University System Health Science Center, Bryan, 77802, USA. gamm@srph.tamu.edu




Citation

Database: PsycINFO
[ Journal Article ]
Anthropology and the abnormal.
Benedict, R.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Vol 10, 1934, 59-82. doi:10.1080/00221309.1934.9917714

Abstract

  1. All kinds of abnormalities (in our culture) function with ease and honor in other cultures, and apparently without danger or difficulty to the society. The author discusses especially the trance, homosexuality, and megalomania. The categories of the abnormal in our civilization are prevailing local types of instability. Although they give some information about the stresses and strains of western civilization, they afford no final picture of inevitable human nature. Conclusions about such behavior must await the collection of psychiatric data from other cultures. (PsycINFO Database Record (c) 2012 APA, all rights reserved)



















Benedict, Ruth(1959)는 이 article에서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것은 문화적으로 정의되는 것이다(“normality is culturally defined.”)라는 명제의 근거로서 다른 사람을 극도로 신뢰하지 못하는 문화를 가진 한 부족의 이야기 등을 언급한다. 같은 맥락에서 사람들은 흔히 “It is habitual”이라는 말 대신 “It is morally good”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이 둘이 사실상 동일한 뜻이라고 말한다




의생명 기술과 미래의 병원

Biomedical technology and the clinic of the future


의생명 기술의 선두에 있는 전문가들이 의료에 있어서 large-scale system의 영향력에 대한 의견을 나눠본다.







In summary, the technologies are here that will entirely transform healthcare. For that reason, it is vitally important that we now focus on realigning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incentives driving researchers, academic institutions and publishers. 


The way forward is at least threefold. First, to engage the patientswho must demand methods for data sharing that move past current privacy issues; second, to promote open-access platforms for sharing of data, models and tools; and third, to reward scientists for publication of models, not papers. If these challenges can be met, the future promises to be a world of healthcare honed by data collected from a vast majority of patients being treated in real time.







First, we have to develop suitable technical methods and user interaction models to integrate the diverse data sources


Second, we have to ensure that what we know is accurate. That is, we have to clean up our existing evidentiary knowledge base


Third, we have to ensure that we know what is known.


Fourth, we have to know whether we can safely proceed to clinical decision-making from computer models that are not completely based on human clinical trials, randomized or observational.


Fifth, there will need to emerge regulatory clarity around the use of data displays of this complexity. 


Finally, how much better is our new knowledge than older knowledge? When is the incremental benefit of a genomic variant(s) or gene expression profile relative to a family history or classic histopathology insufficient and when does it add rather than subtract variance? 





 2011 Mar;29(3):215. doi: 10.1038/nbt.1796.

Biomedical technology and the clinic of the future.

[No authors listed]
PMID:

 

21390022

 

[PubMed - indexed for MEDLINE]




Odds와 Odds Ratios 이해하기

Making Sense of Odds and Odds Ratios

David A. Grimes, MD, and Kenneth F. Schulz, PhD, MBA


많은 의사들에게 있어 승산(Odds)과 승산비(Odds Ratios, 이하 OR)는 이해하기 어렵다. Odds는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그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 확률로 나눈 것"이다. Odds Ratio는 "한 그룹에서의 odds를 다른 그룹에서의 odds로 나눠준 것이다" (예를 들어 약을 복용한 그룹의 odds/약을 복용하지 않은 그룹의 Odds


확률(Probability)이 낮을 때(예를 들어 10% 이하일 때)는 OR은 실제의 relative risk(상대위험도, RR)를 반영한다. 그러나 사건의 확률이 높아질수록 OR은 점점 더 RR보다 과장되어 OR이 더 이상 RR을 대체하지 못한다. OR은 association(연관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항상 좋지만, RR을 대체하기에 항항 좋은 것은 아니다. OR을 이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그 활용은 OR이 연관성의 측정 용도로 적절한 Case-Control study와 logistic regression에 제한되어 사용되는 것이 좋다.






Converting Probability and Odds


Probability to Odds

The formula for converting from probability to odds is 


probability/(1–probability) = odds

Example

With a probability of 0.30, the odds would be calculated as 0.30/(1–0.30)0.30/0.700.43



Odds to Probability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ormula for converting odds to probability is


odds/(odds+1) = probability

Example

With an odds of 4, the probability would be calculated as 4/(4+1) = 4/5 = 0.80



PITFALLS OF ODDS RATIOS


OR은 몇 가지 단점이 있다.

Odds ratios have important drawbacks. 


첫 번째로, 의사들은 '확률'로 생각하지 '승산'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First, clinicians think in probabilities, not odds. 


두 번째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OR은 RR을 과대평가한다. 특히 흔한 사건에 대해서 더 그러한데, OR이 1.0보다 크면 그 값은 항상 RR보다 크며, 반대로 OR이 1보다 작으면 그 값은 항상 RR보다 작다.

Second, as noted above, odds ratios exaggerate the effect size compared with a relative risk, especially for common outcomes. If the odds ratio is greater than 1.0, it is larger than the relative risk. Conversely, if the odds ratio is less than 1.0, it is smaller than the relative risk.8,9 


이 차이는 사건의 가능성이 0.1~0.2를 넘어서면 점차 더 심해진다.

This discrepancy becomes clinically important only when the baseline probabilities of the outcome exceed 0.10 to 0.20.


WHY BOTHER WITH ODDS RATIOS?


OR은 몇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 OR이 연관성의 측정에 있어서는 매우 타당하나, RR의 대체역할로 항상 타당하진 않다. 첫 번째로 OR은 Case-Control study에서 Relative effect를 보는데 적당하다.

Odds ratios have several key roles to play. Although they are always a valid measure of association, they are not always a good substitute for relative risk. First, odds ratios are the appropriate measure of relative effect in case-control studies.11


두 번째로, OR은 메타분석에서 많이 쓰인다. 메타분석에서 연구자들은 차이를 더 두드러지게 보여주고 싶어하나, RR로는 그것이 제한적이다.

Second, odds ratios are commonly used in meta-analysis, which aggregates research studies to increase the power to find differences. With frequent outcomes, relative risks are constrained.12


예를 들어 baseline이 0.85인 상태를 0.99로 (100%에 매우 가까운) 끌어올렸다고 해도 Relative risk는 0.99/0.85=1.2밖에 되지 않는다. 즉, 새로운 치료가 20%의 향상효과밖에 없는 것처럼 보인다.

For example, assume that baseline fertility is 0.85. What would be the relative risk and odds ratio if a new treatment boosted fertility to 0.99? The relative risk of fertility with the new treatment compared with baseline would be 0.99/0.85, or 1.2. Thus, the new treatment increased the fertility rate by only 20%. 


이는 baseline이 0.85로 높았기 때문이며, 역학연구에서 1.2~1.5범위의 RR은 '약한 연관성'으로 평가받아서 해석하기가 어렵다. 

The highest possible increase in fertility rate can lead to only a small increase in the relative risk because the baseline rate (the referent) is so high.12 In epidemiology, relative risks in the range of 1.2 to 1.5 (“weak associations”) are difficult to interpret; bias can easily account for them.13 


반대로 같은 결과를 OR로 계산하면 99/5.7=17이 된다. (0.99/0.01)/(0.85/0.15) 

In contrast, the odds ratio of the fertility treatment in this example would be 99/5.7, or 17.


세 번째로, OR은 교란변수를 통제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로 나온 값이다. OR을 adjust하는 것은 통계 소프트웨어에서 쉽게 가능하며 이해하기 쉽다. 교란변수를 관리하지 못할 것에 대한 걱정이 OR에 대한 걱정보다 크다.

Third, odds ratios are the output of logistic regression, a technique often used to control for confounding bias in research analysis.14 Adjustment of odds ratios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widely available through software packages and is easily understood. Properly addressing confounding in research usually trumps concerns regarding odds ratios.



SUMMING UP


많은 의사들에게 있어 OR은 이해하기 쉽지 않으며, 잘못 해석할 가능성도 높다. "희귀 질환 가정"하에서, 사건의 확률이 0.1~0.2보다 작을 때는 OR과 RR은 서로 대체가능하나, 확률이 높을 때는 전혀 그렇지 않다.

Odds ratios are hard for many clinicians to understand and susceptible to misinterpretation.2 Under the “rare disease assumption,” when the probability of an outcome is less than 0.10 or 0.20, the odds ratio and relative risk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his is not true when the probability is higher.






 2008 Feb;111(2 Pt 1):423-6. doi: 10.1097/01.AOG.0000297304.32187.5d.

Making sense of odds and odds ratios.

Source

Family Health International, Research Triangle Park, North Carolina 27709, USA. dgrimes@fhi.org

Abstract

Odds and odds ratios are hard for many clinicians to understand. Odds are the probability of an event occurring divided by the probability of the event not occurring. An odds ratio is the odds of the event in one group, for example, those exposed to a drug, divided by the odds in another group not exposed. Odds ratios always exaggerate the true relative risk to some degree. When the probability of the disease is low (for example, less than 10%), the odds ratio approximates the true relative risk. As the event becomes more common, the exaggeration grows, and the odds ratio no longer is a useful proxy for the relative risk. Although the odds ratio is always a valid measure of association, it is not always a good substitute for the relative risk.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odds ratios, their use should probably be limited to case-control studies and logistic regression, for which odds ratios are the proper measures of association.







Semantic differential is a type of a rating scale designed to measure the connotative meaning of objects, events, and concepts. The connotations are used to derive the attitude towards the given object, event or concept.

Semantic differential[edit]

Osgood's semantic differential was an application of his more general attempt to measure the semantics or meaning of words, particularly adjectives, and their referent concepts. The respondent is asked to choose where his or her position lies, on a scale between two bipolar adjectives (for example: "Adequate-Inadequate", "Good-Evil" or "Valuable-Worthless"). Semantic differentials can be used to measure opinions, attitudes and values on a psychometrically controlled scale.


Fig. 1. Modern Japanese version of the Semantic Differential. The Kanji characters in background stand for "God" and "Wind" respectively, with the compound reading "Kamikaze". (Adapted from Dimensions of Meaning. Visual Statistics Illustrated at VisualStatistics.net.)






Semantic differential

The semantic differential is a scale used for measuring the meaning of things and concepts. There are two aspects of meaning: denotative and connotative. The semantic differential measures connotative meaning.

  • Denotation - what a name or concept refers to (denote - to mark out plainly, to indicate)
  • Connotation - the suggestive significance of a word, apart from its explicit and recognized meaning

Consider automobiles or school mascots. Names such as "Jaguar" or "Huskies" denote animals. Their connotation is power. In contrast, the "Oregon Ducks" project a different image or connotative meaning.

denotation = eagle, bird

connotation = strength, power









(출처 : http://psychology.ucdavis.edu/sommerb/sommerdemo/scaling/semdiff.htm)






The Semantic Differential and Attitude Research

DAVID R. HEISE


This review was facilitated greatly by the "Contemporary Bibliography of Research Related to the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Urbana, Ill.: January, 1967; mimeographed), made available by Charles E. Osgood. The work was carried out while the author was a staff member in the Methodology in Sociology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a project funded by the Institute of General Medical Sciences of NIH. This chapter was prepared especially for this volume.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asures people's reactions to stimulus words and concepts in terms of ratings on bipolar scales defined with contrasting adjectives at each end. An example of an SD scale is:

Usually, the position marked 0 is labeled "neutral," the 1 positions are labeled "slightly," the 2 positions "quite," and the 3 positions "extremely." A scale like this one measures directionality of a reaction (e.g., good versus bad) and also intensity (slight through extreme). Typically, a person is presented with some concept of interest, e.g., Red China, and asked to rate it on a number of such scales. Ratings are combined in various way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person's feelings.


A number of basic considerations are involved in SD methodology:

(1) Bipolar adjective scales are a simple, economical means for obtaining data on people's reactions. With adaptations, such scales can be used with adults or children, persons from all walks of life, and persons from any culture.


(2) Ratings on bipolar adjective scales tend to be correlated, and three basic dimensions of response account for most of the co-variation in ratings. The three dimensions, which have been labeled Evaluation, Potency, and Activity (EPA), have been verified and replicated in an impressive variety of studies.


(3) Some adjective scales are almost pure measures of the EPA dimensions; for example, good-bad for Evaluation, powerful-powerless for Potency, and fast-slow for Activity. Using a few pure scales of this sort, one can obtain, with considerable economy, reliable measures of a person's overall response to something. Typically, a concept is rated on several pure scales associated with a single dimension, and the results are averaged to provide a single factor score for each dimension. Measurements of a concept on the EPA dimensions are referred to as the concept's profile.


(4) EPA measurements are appropriate when one is interested in affective responses. The EPA system is notable for being a multi-뾢nd p. 235�variate approach to affect measurement. It is also a generalized approach, applicable to any concept or stimulus, and thus it permits comparisons of affective reactions on widely disparate things. EPA ratings have been obtained for hundreds of word concepts, for stories and poems, for social roles and stereotypes, for colors, sounds, shapes, and for individual persons.


(5) The SD has been used as a measure of attitude in a wide variety of projects. Osgood, et al., (1957) report exploratory studies in which the SD was used to assess attitude change as a result of mass media programs (pp. 305-311) and as a result of messages structured in different ways (pp. 240-241). Their chapter on attitude balance or congruity theory (pp. 189-210) [excerpted in Chapter 13 of this volume] also presents significant applications of the SD to attitude measurement. The SD has been used by other investigators to study attitude formation (e.g., Barclay arid Thumin, 1963), attitudes toward organizations (e.g., Rodefeld, 1967), attitudes toward jobs and occupations (e.g., Triandis, 1959; Beardslee and O'Dowd, 1961; Gusfield and Schwartz, 1963), and attitudes toward minorities (e.g., Prothro and Keehn, 1957; Williams, 1964; 1966). The results in these, and many other studies, support the validity of the SD as a technique for attitude measurement. The question of validity, and other issues in assessing attitudes with the SD, will be treated in more detail after a general discussion of SD theory and technique.



(출처 : http://www.indiana.edu/~socpsy/papers/AttMeasure/attitude..htm)










얼마에서 얼마까지 수가 연속함을 가리키는 이른바 포괄적인 숫자를 표기할 때에는 처음 숫자와 마지막 숫자 사이에 붙임표(-)를 그어서 나타낸다. 앞 숫자와 뒤 숫자가 두 자리 이하, 즉 99 이하일 때는 전부를 적는다.

[○] 1-9, 10-30, 55-59             [×] 01-09, 1-30, 55-9


앞과 뒤의 숫자가 모두 세 자리 이상, 즉 100 이상일 때는 뒤 숫자는 밑에서 두 자리까지 줄여서 적을 수도 있다.

[○] 135-139 또는 135-39         [×] 135-9


앞 숫자가 00, 즉 100단위로 끝날 때는 뒤의 숫자는 전부를 적는다.

[○] 1900-1976                       [×] 1900-76


앞 숫자의 밑에서 두 번째 자리, 즉 10단위가 0일 때는 뒤 숫자는 끝 숫자만 적거나 숫자 전체를 적어야 한다.

[○] 203-204 또는 203-4           [×] 203-04






나. 한글맞춤법 문장 부호 사용 규정

(1) 온점(.), 고리점(o)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쓴다.

①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압록강은 흐른다(표제어)

꺼진 불도 다시 보자(표어)

②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1919. 3. 1. (1919년 3월 1일)

③ 표시 문자 다음에 쓴다.

1. 마침표  A. 물음표 가. 인명

④ 준말을 나타내는데 쓴다.

서. 1987. 3. 5. (서기)


(2) 물음표(?)

의심이나 물음을 나타낸다.


(3) 느낌표(!)

감탄이나 놀람, 부르짖음,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낸다.


(4) 반점(,), 모점(、)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낸다.

①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쓴다.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 공원이다.

다만, 조사로 연결될 적에는 쓰지 않는다.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를 사군자라고 한다.

②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 쓴다.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③ 바로 다음의 말을 꾸미지 않을 때에 쓴다.

슬픈 사연을 간직한, 경주 불국사의 무영탑

성질 급한, 철수의 누이동생이 화를 내었다.

④ 대등하거나 종속적인 절이 이어질 때에 절 사이에 쓴다.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난다.

흰 눈이 내리니, 경치가 더욱 아름답다.

⑤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애야, 이리 오너라.

예, 지금 가겠습니다.

⑥ 제시어 다음에 쓴다.

빵, 이것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용기, 이것이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젊은이의 자산이다.

⑦ 도치된 문장에 쓴다.

이리 오세요, 어머님.

다시 보자, 한강수야.

⑧ 가벼운 감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아, 깜빡 잊었구나.

⑨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쓴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된다.

아무튼, 나는 집에 돌아가겠다.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등)

뒤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너는 실망할 필요가 없다.

⑩ 문장 중간에 끼어든 구절 앞뒤에 쓴다.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탁하지 않소.

철수는 미소를 띠고, 속으로는 화가 치밀었지만, 그들을 맞았다.

⑪ 되풀이를 피하기 위하여 한 부분을 줄일 때에 쓴다.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⑫ 문맥상 끊어 읽어야 할 곳에 쓴다.

갑돌이가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철수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친구이다.

⑬ 숫자를 나열할 때에 쓴다.

1, 2, 3, 4

⑭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에 쓴다.

5, 6 세기 6, 7 개

⑮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에 쓴다.

14,314


(5) 가운뎃점(․)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

①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쓴다.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공주·논산, 천안·아산·천원 등 각 지역구에서 2 명씩 국회 의원을 뽑는다.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②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3·1 운동 8·15 광복

③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6) 쌍점(:)

① 내포되는 종류를 들 적에 쓴다.

문장 부호 :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등

문방사우 : 붓, 먹, 벼루, 종이

②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쓴다.

일시 : 1984년 10월 15일 10시

마침표 : 문장이 끝남을 나타낸다.

③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쓴다.

정약용 : 목민심서, 경세유표

주시경 : 국어 문법, 서울 박문서관, 1910.

④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따위를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쓴다.

오전 10 : 20 (오전 10시 20분)

요한 3 : 16 (요한복음 3장 16절)

대비 65 : 60 (65대 60)


(7) 빗금(/)

①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쓴다.

남궁만/남궁 만 백이십오 원/125원

착한 사람/악한 사람 맞닥뜨리다/맞닥트리다

② 분수를 나타낼때에 쓰기도 한다.

3/4 분기 3/20


(8) 큰따옴표(“ ”), 겹낫표(『 』)

가로쓰기에는 큰따옴표, 세로쓰기에는 겹낫표를 쓴다.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낸다.

①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쓴다.

"전기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책을 보았을까?"

"그야 등잔불을 켜고 보았겠지."

②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쓴다.

예로부터 "민심은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9) 작은 따옴표(‘ ’), 낫표(「 」)

가로쓰기에는 작은따옴표, 세로쓰기에는 낫표를 쓴다.

①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쓴다.

"여러분! 침착해야 합니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고 합니다."

② 마음 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쓴다.

'만약 내가 이런 모습으로 돌아간다면 모두들 깜짝 놀라겠지.'

[붙임]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드러냄표 대신에 쓰기도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10) 소괄호( ( ) )

① 언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적에 쓴다.

커피(coffee)는 기호 식품이다.

3.1 운동(1919) 당시 나는 중학생이었다.

'무정(無情)'은 춘원(6.25때 납북)의 작품이다.

니체(독일의 철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② 특히 기호 또는 기호적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쓴다.

(1) 주어 (가) 명사 (라) 소리에 관한 것

③ 빈 자리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우리 나라의 수도는 ( )이다.


(11) 중괄호( { } )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쓴다.

주격 조사 { 이 가}

국가의 3 요소 {국토 국민 주권}


(12) 대괄호( [ ] )

①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 쓴다.

나이[年歲] 낱말[單語] 手足[손발]

②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쓴다.

명령에 있어서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종에 있어서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는다.


(13) 줄표( ― )

①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낸다.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에 대해 부연하는 말이 끼여들 때 쓴다.

그 신동은 네 살에―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를 나이에―벌써 시를 지었다.

②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 쓴다.

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었다.

이건 내 것이니까―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절대로 양보할 수 가 없다.


(14) 붙임표(-)

①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 낼 적에 쓴다.

겨울-나그네 불-구경 손-발 휘-날리다

슬기-롭다 -(으) 걸

②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

나일론-실 디-장조 빛-에너지 염화-칼륨


(15) 물결표(∼)

① '내지'라는 뜻에 쓴다.

9월 15일 ∼ 9월 25일

②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쓴다.

새마을 : ∼ 운동 ∼ 노래

-가(家) : 음악∼ 미술∼


(16) 드럼냄표(˚, ˙)

˙이나 ˚을 가로쓰기에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에는 글자 오른쪽에 쓴다.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한글의 본 이름은 훈민정음이다.(밑줄 그은 부분 : 윗점)

중요한 것은 왜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 하는 문제이다.(굵은 부분 : 윗점)

[붙임] 가로쓰기에서는 밑줄( ______, ~~~~)을 치기도 한다.

다음 보기에서 명사가 아닌 것은?


(17) 숨김표(××, ○○)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18) 빠짐표(□)

글자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낸다.

① 옛 비문이나 서적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에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大師爲法主□□賴之大□薦(옛 비문)

②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다.


(19) 줄임표(……)

① 할 말을 줄였을 때에 쓴다.

"어디 나하고 한 번……." 하고 철수가 나섰다.

②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쓴다.

"빨리 말해!" "……."




※ 한글맞춤법 문장 부호 사용 보충 설명

(1) 온점(.)

불완전 문장에도 써야 한다.

추석 명절.

놀라운 일.


(2) 물음표(?)

불완전 의문문에도 사용해야 한다.


(3) 반점(,)

조사 뿐 아니라 ‘및’, ‘또는’ 등과 연결될 때에도 쓰지 않는다.

사람은 말과 글 또는 행동으로 의사 표시를 한다.


나열의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을 때는 안 쓸 수 있다.

아버지 어머니가 함게 나가셨어요.


특수한 경우이지만, 수직 나열 시 나열항마다 반점을 하지 않는다.

그 곳에는 여러 그림이 걸려 있었다.

김홍도의 그림

허백련 등의 초기 작품

추사의 글씨


의미의 혼동이 있을 때 쓰는 것이 좋다.

우리들은 그 때 차를 마시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을 바라보았다.


(4) 가운뎃점(․)

이 부호는 일본과 우리만 사용하는 부호로 국제적 통용성이 적다.


(5)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 ‘’)

따옴표 안에도 구두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다.

그는 혼자서 탄식하였다. “세상은 뜻대로 되지 않는구나.”


(6) 줄표(―)

줄표는 전각 너비이다. 반각 너비를 하면, 붙임표(-)가 되고 만다.









참고 1 : 알아 두면 도움이 되는 논문 작성의 원칙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아니라, 논리적 타당성을 가지고 독자를 설득해야 한다. 주장하는 내용을 증명할 책임은 주장하는 사람에게 있다.


(4) 성실성의 원칙

다른 사람의 글이 자신의 논지에 도움이 될 경우에, 누구의 글이라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가급적 원전을 읽고, 그것을 토대로 논의에 이용해야 한다.


(5) 독창성의 원칙

엄격한 의미에서 완전히 새롭고 독창적인 것이란 없다. 하지만 여기서의 독창성이란 주제의 독창성, 방법의 독창성, 연구 결과의 독창성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6) 예술성의 원칙

논문은 반드시 딱딱하고 건조하기만 한 글일 필요는 없다. 잘 다듬어진 문장, 신선한 예시, 적절한 형식화를 통해 예술성을 높일 수 있다.


(7) 효과적인 구성의 원칙

논문의 내용 중 어떤 부분을 부각시키는 것이 좋을지를 결정한다. 따라서 평소 구성이 잘된 글을 읽거나 그러한 글을 모방하여 써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논리적인 구성의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
































(이하는 본문에서 발췌)




1) 띄어쓰기의 오류(Table 2)


띄어쓰기 잘못의 대부분은 괄호, 단위, 검사명, 시술명, 진단명 표기의 오류였고 간혹 명사와 명사의 띄어쓰기 잘못도 있었다. 괄호는 한글이 포함된 문장에서는 반드시 붙여야 하며 영문만으로 쓴 문장에서는 반드시 띄어 써야 한다. 단위의 사용도 그리 복잡하지 않다.

우선 숫자와 한글 단위는 반드시 붙여 쓰며(예; 7명, 4예, 10개, 2회, 5개월, 3분 등)

영문의 단위는 반드시 띄어 써야 한다(예; 8 mm, 3 Hz, 130/80 mmHg, 50 mg, 8.7 g 등).

한글과 한글인 경우는 반드시 띄어 쓴다(예; 다섯 개, 두 달, 오 분, 다섯 시간, 일곱 명, 세 군으로, 네 가지 약물 등).



검사, 진단과 시술은 전문 용어이므로 붙여 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사와 명사는 반드시 띄어 써야 함). 

예를 들어서 신경학적검사, 자기공명영상, 전산화단층촬영, 뇌파검, 뇌척수액검사, 근전도검사, 비디오-뇌파검사, 측두엽절제술, 심부전기자극술, 뇌실복강단락술, 신경전도속도검사,결핵성뇌막염, 전신성홍반성루푸스,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톨로사헌트증후군, 길랑-바레증후군, 말초신경병증, 기억력장애, 연하장애, 전두엽기능장애, 안구운동장애, 감각장애, 소뇌실조증 등은 붙여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반드시 띄어 써야 한다.(명사와 명사이므로 )

뇌파 소견, 병리 소견, 임상 증상, 임상 소견, 이상 소견, 추적 검사, 유병 기간, 혈류 변화, 혈류 감소, 실험 전에, 2개월 후, 수면 중, 세포 내, 내측두엽간질 환자, 내분비검사 시 등은 반드시 띄어 써야 한다. 

비교적 자주 볼 수 있는 단어 중에 제1차, 제2권, 제3상, MRI상, 뇌파 소견상 등은 붙여 쓰는 것이 옳은 표기법이다. 단, 명사끼리라도 그 논문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예를 들면 학회지 2002년도 제5호의 종설에서 매우 빈번하게 사용된‘복합약물요법’과‘단독약물요법’등의 경우가 그 예이다.



2) 어휘 선택 및 철자법의 오류 (Table 3)


어휘 선택의 오류에는 우선 불필요한 말을 쓰거나 쓸데없이 길게 늘여서 쓰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첫째“신경학적검사를 시행하고 그 후에 M R I검사를 시행하였고 필요한 경우 뇌파검사를 시행하였다” => “신경학적검사 후 M R I를 하였고 필요하면 뇌파검사를 하였다”로 줄여쓰는 것이 좋다. 

‘시행’이라는 단어를 한 페이지에 2 5회 사용한 원고도 있었는데‘검사’또는‘수술’이라는 말에 ‘시행’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M R I상(또는 신경학적검사상 뇌파검사상, 병리검사상 등)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으며(비정상 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등) . . ,”는“M R I는 정상이었으며. .·,”로 줄이는 것이 좋겠다.


그 다음으로는 중복해서 사용한 말이 많았다. “대상은..., 환자 2 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라고 하거나“기존의 많은 연구들의 결과들에서 알 수 있듯이”라고 표기한 것은 한글 학자가 지적하는 오류이다. 두 번째 문장에서 ‘많은’이 복수이므로 그 후의‘들’과‘들’은 삭제해야 옳은 표현이다.


어깨번호는 쉼표나 마침표 다음에 표기해야 하는데 부호 전에 사용한 경우가 많았고 저자명에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박성호13 등”은“박성호 등13”이 옳은 표현임.). 


또 수동태로 쓴 문장도 많았다. “관찰되지 않았다”는“없었다”로“진단이 내려질 수 있다”는“진단할 수 있다”는 것이 바람직하고“생각되어져, 여겨진다. 보여진, 사용되어지고 있는, 의뢰되어진다”등은 어법상 맞지 않고 매우 어색한 표현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철자법에서 가장 많이 틀리는 것은“율과 률”의 사용법이다. 모음과‘ㄴ’받침 뒤만‘율’이며 나머지는 모두‘률’이다. 

합격률, 사망률, 출혈률, 삭감률, 비율, 생존율이 맞는 표기법이다. 


그 다음으로는“예와 례”인데 숫자와 함께 쓸 경우는 모두‘예’로 쓰며 반드시 붙여 쓴다. 

즉‘6예’, ‘1 2예’가 맞다.

“예와 명”의 사용에도 잘못이 있는데 “ALS 6명”과“ALS 환자 6예”는 틀린 표현이며 이것은 “ALS 환자 6명”이나“ALS 6예”로 써야 한다. 즉‘환자’는 사람이므로‘명’을 쓰고 A L S는 사람이 아니므로 ‘예’로 써야 한다.




2. 투고규정의 위반

전체 오류 4 , 5 8 6개 중에서 투고규정을 위반한 것은 1 , 3 7 8개( 2 8 . 7 % )이며 대부분이 Table, REFERENCES, Figure 작성의 오류였다(Table 1).


1) Table 작성의 오류(Table 4)

원저 2 1편의 T a b l e은 모두 5 6개였으며 총 오류는 5 9 2 개로서 Table 한 개당 1 0 . 6개의 잘못이 있었다. 가장 많은 것은 구두점 사용의 오류였고 약자 및 어깨기호 사용의 오류가 뒤를 이었으며 그 외에는 제목 표기, 줄긋기, 괄호 사용 등의 오류였다.

구두점 사용의 오류를 보면“* ; p < 0 . 0 5”는“* p < 0 . 0 5”가 맞는 표기법이고 

“AD,Alzheimer disease;” “AD;Alzheimer disease,”가, 

“SP, sphenoid electrode; CH, check electrode;”“SP; sphenoid electrode, CH; check electrode,”가 각각 옳다.


약자를 풀어서 쓰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공인된 약자(학회 홈페이지)가 아니면 어떠한 경우라도 약자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T a b l e이나 F i g u r e는 그 자체만으로 충분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목이 두 줄일 경우에는 아래 줄은 왼쪽 맨 끝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Table 맨 위의 줄은 두 줄로 써야 한다.


3) Figure 작성의 오류


구두점 사용의 오류가 가장 많았고, 약자를 풀어 쓰지 않거나, 그래프의 s y m b o l을 투고규정에 어긋나게 쓴 경우 등이 있었다. 중요한 것은 F i g u r e의 l e g e n d는 소제목(구;phrase )과 설명(절; sentence)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소제목이 없는 경우가 7 0 %에 가까웠고 현재형으로 써야 하는데 과거형으로 쓴 경우가 4 0 %였다.







논문 투고의 흔한 오류 - 원저 2 1편에 대한 재검토 -

Common Mistakes in Preparing Manuscripts - Review of 21 Original Contributions -

저자명
박성호
문서유형
학술논문
학술지
대한신경과학회지 20권 6호 731-734 1225-7044 KCI 권호별 논문보기
발행정보
대한신경과학회 |2002년 |한국어
주제분야
의약학 > 신경과학
서지링크
의학연구정보센터








<들어가며>


분석의 가설


(1) 문장 작성에 있어서 주술관계의 호응을 맞추는 데에는 적절한 어절수가 있다.

(2) 적절한 어절수를 맞추면 주술관계의 호응은 잘 지켜질 수 있다.

(3) 동시에 수동태의 부적절한 사용도 피할 수 있다.


분석 대상


대한내과학회지 제69권 제3호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제46권 제9호

대한영상의학회지 제53권

대한병리학회지 제39권 제4호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한 조건>


(1) 알기 쉬운 단어를 사용할 것

의미 전달이 뛰어난 전문용어의 사용

되도록 보편적이고 널리 쓰이는 일반단어의 사용

세계의 각종 어휘 조사를 보면 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단어 수는 약 3만 정도로 많게 잡아야 4만 단어에 불과함.

이 범위에서 벗어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쉽고 올바른 논문을 작성하는 데 문제가 됨.

《연세한국어사전》: 과도하게 어려운 단어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음.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어휘빈도를 이용하여 표제어 5만 개를 수록)


(2) 문장 길이가 짧을 것 

어절수가 20개를 초과할 경우 문장의 주술관계가 복잡해지거나 얽혀서 내용 파악 어려움.

작성한 논문이 누구의 발견인지, 혹은 다른 연구를 얼마나 참고했는지 구분이 되지 않아 논문으로서 가치 상실우려


(3) 우리말 어법에 맞게 쓸 것 

평균 어절 20개 전후의 문장 길이 유지
주술관계 호응도 향상
수동태의 과다한 사용 지양





2005년도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정기 워크샵 


▶ 일시: 2005년 11월 30일 (수), 오후 2시
▶ 장소: 서울대병원 임상의학연구소 1층 강당
▶ 주최: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 참석대상: 의편협 회원 학술지 관계자 (참석자 수 2명 내외, 참가비 없음)

일 정

오후 2 : 00 - 2 : 10     회장 인사 :
                                           박 찬일 (의편협 회장, 연세의대)
     2 : 10 - 2 : 40     편집인의 역할 : 
                                           조 승열 (JKMS 편집인, 성균관의대)
     2 : 40 - 3 : 10     심사위원의 역할 : 
                                           한 동수 (한양의대, 내과학)
     3 : 10 - 3 : 40     의학학술지 평가 기준 :    
                                           홍 성태 (서울의대, 기생충학)
     3 : 40 - 3 : 55     휴  식
     
     3 : 55 - 4 : 25     우리말 논문 바로 쓰기 : 
                                           송 영빈 (이화의대, 인문과학부)

     4 : 25 - 4 : 55     우리말 의학용어의 기본 원칙 :
                                              황 건 (의협용어위원장, 인하의대)
     4 : 55 - 5 : 35     편집인이 알아야 할 통계 처리에 대한 검증 :
                                           박 병주 (서울의대, 예방의학)





(출처 : http://www.123rf.com/photo_8939791_a-survey-questionnaire-for-customer-satisfaction-with-checkboxes.html)





답변의 형태(Format of responses)

개방형 질문이 있고 폐쇄형 질문이 있다. 폐쇄형 질문에 "기타"란을 둬서 두 형식을 혼합할 수도 있다.

The responses can be in open or closed formats. In an open ended question, the respondents can formulate their own answers. In closed format, respondents are forced to choose between several given options. The advantages of each of these formats are shown in box 1. It is possible to use a mixture of the two formats— for example, give a list of options, with the final option of “other” followed by a space for respondents to fill in other alternatives.


There are several forced choice formatsThese are shown in box 2. Out of these formats, ranking is probably least frequently used, as the responses are relatively difficult to record and analyse.


설문지의 길이(Length of questionnaire)

정해진 답은 없다. 다만,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응답률이 높다. 

There are no universal agreements about the optimal length of questionnaires. It probably depends on the type of respondents. However, short simple questionnaires usually attract higher response rates than long complex ones. In a BMJ survey of stroke survivors both the response rate and the proportion of completed forms were higher for a shorter questionnaire (six questions with a visual analogue scale) compared with a longer and more complex questionnaire (with 34 questions).4


질문 배치하기 (Arranging the questions)


일반적인 것에서 세부적인 것으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사실과 관계된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시작은 폐쇄형 질문으로.

시작은 메인 주제와 관련된 내용으로

인구학적/개인적 질문으로 시작하지 말기

The order of the questions is also important. Some general rules are:

- Go from general to particular.

- Go from easy to difficult.

- Go from factual to abstract.

- Start with closed format questions.

- Start with questions relevant to the main subject.

- Do not start with demographic and personal questions.


다양한 포멧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긍정에서 부정 순서로 가는 응답지와, 부정에서 긍정 순서로 가는 응답지를 섞어놓는 스케일을 활용하기도 한다.

It is useful to use a variety of question format as shown in box 2 to maintain the respondents’ interest. When a series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are used, it may be a good idea to mix positive negative— for example, interesting to dull—with negative positive—for example, useless to useful—scales. This might make the respondents think more and avoid the tendency to tick the same response for every question.


Filter questions are useful to ensure that respondents answer only relevant questions. However, avoid a highly complex filter regime. Make good use of arrows and boxes to clarify the filter regime.


도입부, 개인별 편지, 마무리(Introduction, personalised letter, and ending)


설문조사의 목적이나, 참여의 중요성, 응답 내용의 비밀보장 등에 대한 개인별 맞춤 커버레터를 넣는 것은 좋다. mail-merge를 사용해서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 감사를 표시하는 것도 중요하다.

It seems a good idea to have either a personalised covering letter or at least an introduction explaining briefly the purpose of the survey, the importance of the respondents’ participation, who is responsible for the survey, and a statement guaranteeing confidentiality.5 A personalised letter can be easily generated using mail-merge on a word processor. It is also important to thank the respondent at the end of the questionnaire.


어떻게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인가(How to administer the questionnaires)


There are several ways of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They may be self administered or read out by interviewers.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may be sent by post, email, or electronically online. Interview administered questionnaires may be by telephone or face to face.


자가기입식 방법 : 저렴하고, 비밀 보장이 되고, 응답자의 편의에 맞춰 작성

Advantages of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clude:

- Cheap and easy to administer.

- Preserve confidentiality.

- Can be completed at respondent’s convenience.

- Can be administered in a standard manner.


설문조사관을 활용한 방법 : 문맹도 참여가능, 애매모호항 문항에 대해 확실히 설명 가능

Advantages of interview 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clude:

- Allow participation by illiterate people.

- Allow clarification of ambiguity.


The exact method of administration also depends on who the respondents are. For example, university lecturers may be more appropriately surveyed by email; older people by telephone interviews; train passengers by face to face interviews.



파일럿 연구와 설문조사지 평가 (Piloting and evaluation of questionnaires)


설문조사지를 디자인 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기 때문에 첫 번에 완벽하게 만들기는 어렵다. 일단 설문지를 만들면 사전 조사(파일럿 연구)를 수행해보아야 하며, 작은 규모의 조사에서는 한 번이면 충분하나 대규모 조사에서는 세 phase의 파일럿조사가 필요하다.

Given the complexity of designing a questionnaire, it is impossible even for the experts to get it right the first time round. Questionnaires must be pretested— that is, piloted—on a small sample of people characteristic of those in the survey. In a small survey, there might be only pretesting of the drafted questionnaire. In a large survey, there may be three phases of piloting. 


첫 번째 단계는 한정된 질문에 대해서 매우 꼼꼼하게 물어본다 : 서로 다른 워딩의 영향이라든가, 특정 답을 할 때 생각하게 되는 것, 특정 단어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등.

In the first phase we might ask each respondent in great detail about a limited number of questions: effects of different wordings, what they have in mind when they give a particular answer, how they understand a particular word, etc. 


두 번째 단계에서는 전체 설문문항을 설문조사관에 의해서 설문해본다.

In the second phase the whole questionnaire is administered by interviewers.


응답자나 설문조사관의 반응을 분석하면 설문조사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이상적으로는 응답자간 응답에 variation이 충분히 있어야 한다. 각 설문문항은 서로 다른 것을 물어야 한다. 즉, 두 설문문항이 지나치게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면 안된다. 또한 응답률이 너무 낮아서도 안된다. 

Analysis of the responses and the interviewers’ comments are used to improve the questionnaire. Ideally, there should be sufficient variations in responses among respondents; each question should measure different qualities—that is, the responses between any two items should not be very strongly correlated— and the non-response rate should be low. 


세 번째 단계에서는 파일럿 연구를 더 다듬어서 문항의 순서를 조정하고, 문항을 거르고, 전체적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In the third phase the pilot test is polished to improve the question order, filter questions, and layout.







Leung, Wai-Ching. "How to design a questionnaire." student BMJ 9.11 (2001): 187-189.








설문의 목적(Objectives in designing questionnaires)


(1) 응답에 응하는 사람을 최대한 확보한다. : 

응답률을 높이는 것. 어떻게 설문을 수행할 것인지, 어떻게 라뽀를 쌓을 것인지, 설문의 목적은 무엇인지, 응답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인지 생각해야 한다. 설문의 길이도 적절해야 한다.

(2) 조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 : 

질문을 통해 어떤 것을 물을 것인지, 어떻게 물어볼 것인지, 어떤 순서로 물을 것인지, 설문지의 전반적인 레이아웃은 어떤지 생각해야 한다.

There are two main objectives in designing a questionnaire:

- To maximise the proportion of subjects answering our questionnaire—that is, the response rate.

To maximise our response rate, we have to consider carefully how we administer the questionnaire, establish rapport, explain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remind those who have not responded. The length of the questionnaire should be appropriate.

- To obtain accurate relevant information for our survey.

In order to obtain accurate relevant information, we have to give some thought to what questions we ask, how we ask them, the order we ask them in, and the general layout of the questionnaire


무엇을 물어볼지 정하기(Deciding what to ask)

독립변수

종속변수

교란변수

there are three potential types of information: 

Information we are primarily interested in—that is, dependent variables. 

Information which might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s—that is, independent variables.

Other factors related to both dependent and independent factors which may distort the results and have to be adjusted for—that is, confounding variables.


Box 1: Advantages of open or closed format

열린 형식(Open format) : 다양한 범위의 응답. 

- Allows exploration of the range of possible themes arising from an issue

- Can be used even if a comprehensive range of alternative choices cannot be compiled

닫힌 형식(Closed—that is, forced choice—format) : 응답하기 쉽고, 기록하기 쉽고, 보고하기 쉽다.

- Easy and quick to fill in 

- Minimise discrimination against the less literate (in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or the less articulate (in interview questionnaire)

- Easy to code, record, and analyse results quantitatively

- Easy to report results



설문 문항의 구체적인 워딩(Wording of individual questions)


짧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라. : 

Use short and simple sentences

간단한 팁을 주자면, 하나 혹은 두 개의 절(clause)로 구성되도록 하라

Short, simple sentences are generally less confusing and ambiguous than long, complex ones. As a rule of thumb, most sentences should contain one or two clauses. Sentences with more than three clauses should be rephrased.


한 번에 한 가지만 물어라

Ask for only one piece of information at a time

For example, “Please rate the lecture in terms of its content and presentation” asks for two pieces of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 “Please rate the lecture in terms of (a) its content, (b) its presentation.”


부정문은 피하라.

Avoid negatives if possible

Negatives should be used only sparingly. For example, instead of asking students whether they agree with the statement,


정확한 질문을 하라.

Ask precise questions

하나의 단어도 여러 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medicine : general medicine? specialty medicine?)

Questions may be ambiguous because a word or term may have a different meaning. For example, if we ask students to rate their interest in “medicine,” this term might mean “general medicine” (as opposed to general surgery) to some, but inclusive of all clinical specialties (as opposed to professions outside medicine) to others.


질문의 프레임 : 얼마나 자주 책을 빌리나요? => 지난 6개월간 몇권의 책을 빌렸나요?

Another source of ambiguity is a failure to specify a frame of reference. For example, in the question, “How often did you borrow books from your library?” the time reference is missing. It might be rephrased as, “How many books have you borrowed from the library within the past six months altogether?”


물어보는 사람이 질문과 관련한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확실하게 하라

Ensure those you ask have the necessary knowledge

For example, in a survey of university lecturers on recent changes in higher education, the question, “Do you agree with the recommendations in the Dearing report on higher education?” is unsatisfactory for several reasons. Not only does it ask for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s there are several recommendations in the report, the question also assumes that all lecturers know about the relevant recommendations.


세부사항의 수준을 구체적으로 정하라

Level of details

정확한 세부사항의 수준을 정해야 필요한 정보를 다 모으면서, 불필요하게 세세한 내용은 거를 수 있다.

It is important to ask for the exact level of details required. On the one hand, you might not be able to fulfill the purposes of the survey if you omit to ask essential details.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avoid unnecessary details. People are less inclined to complete long questionnaires. 


개인의 재정적 문제나 결혼과 관련한 민감한 정보는 기밀로 다뤄야 한다.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confidential 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financial matters or marital relationship issues.


민감한 사항들

Sensitive issues

민감한 사항에 대해서 진실된 대답을 얻기는 쉽지 않다. "컨닝을 한 적이 있는가?" 와 같은 문제. 좀 덜 직접적으로 물어볼 필요가 있다.

It is often difficult to obtain truthful answers to sensitive questions. Clearly, the question, “Have you ever copied other students’ answers in a degree exam?” is likely to produce either no response or negative responses. Less direct approaches have been suggested.2 


"어쩌다 보니 학위 시험에서 다른 학생의 답을 배낀 적이 있는가?"

Firstly, the casual approach: “By the way, do you happen to have copied other students’ answers in a degree exam?” may be used as a last part of another decoy question.


"다음 중 학위 시험에서 답을 맞췄던 방법을 골라보라" => 보기에 "다른 사람의 답 배끼기" 넣기

Secondly, the numbered card approach: “Please tick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tems which correspond to how you have answered degree examination questions in the past.” In the list of items, include “copy from other students” as one of many items. 


"의대생이 학위 시험에서 다른 사람의 답을 배낀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너도 그런 적이 있는가?"

Thirdly, the everybody approach: “As we all know, most medical students have copied other students’ answers in degree exams. Do you happen to be one of them?” 


"존은 진의 답을 배꼈다. 존이 잘못했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면 어떤 벌을 줘야 할까?"

Fourthly, other people approach. This approach was used in the recent medical student survey.3 In this survey, students were given the scenario, “John copies answers in a degree exam from Jean.” They were then asked, “Do you feel John is wrong, what penalty should be imposed for John, and have you done or would you consider doing the above?”


비뚤림 최소화하기

Minimise bias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방향으로 답을 하는 경향이 있다. 중립적으로 보이는 문제도 이러한 비뚤림에서 벗어날 수 없다. "저녁 일 때문에 수업을 빠진 것이 몇 번이나 되는가?" => "저녁 일이 수업시간과 충돌한 적이 몇 번이나 있는가?"

People tend to answer questions in a way they perceive to be socially desired or expected by the questioner and they often look for clues in the questions. Many apparently neutral questions can potentially lead to bias. For example, in the question, “Within the past month, how many lectures have you missed due to your evening job?” students may perceive the desired responses to be “never” to the first question. This question could be rephrased as, “Within the past month, how many times did your evening job commitment clash with lectures? How many times did you give priority to your evening job?”


Take another example. The question, “Please rate how useful the following text- books are. Please also state whether they are included in your lecturer’s recommended reading list?” There is a risk that the students may perceive that they should rate books recommended by lecturers more favourably than those not recommended by their lecturers. This risk may be minimised by putting the second question later on in the questionnaire





Leung, Wai-Ching. "How to design a questionnaire." student BMJ 9.11 (2001): 187-189.





(출처 : http://www.dineshbakshi.com/igcse-business-studies/marketing/revision-notes/809-designing-a-questionnaire)





통계조사 방법론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법에 의하면, 

응답자들이 조사표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하는 동안에 거치게 되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설문의 오류를 만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지 순서가 달라짐에 따라 

응답자들의 조사표에 대한 응답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인지심리학적 연구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에 사용되는 사회 통계 조사표의 설문 문항들을 선별하여 

선택지의 순서를 원래대로 했을 경우와 역순으로 바꾸었을 때 응답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한꺼번에 많은 선택지들을 읽고 평가해야하는 순위 문항의 경우 

선택지의 순서를 바꿈에 따라 응답이 달라지는 확실한 순서효과가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순서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선택지 개수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개수의 선택지 문항을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선택지가 섯 개 이상이 되는 문항에서 원래 순서일 때와 역순일 때 

다른 응답 양상이 나타나는 순서효과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통계 조사를 위한 설문지제작 시 

이러한 효과가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통계 조사 방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 선택지의 개수와 순서에 따른 응답의 변화

저자명
이경수, 송현주, 손영우, 황명진, 박영실
문서유형
동향/연구보고서
간행물
통계연구
발행정보
통계청 |2008년 |한국 |한국어
서지링크
국회도서관 (청구기호 332.058 ㅌ363)









2013 행복한 진로학교

①강도현-화려한 스펙을 버리고 골목을 누비다 

②고원형-스카우트 거절 후 찾아온 ‘아름다운 배움’ 

③윤태호-가지 않은 길에서 만난 만화 ‘미생’ 

④권장희-교사를 그만두고 게임중독 치유 전문가로! 

⑤최혁진-그때부터 내 꿈은 협동조합이었다

⑥하종강-내게 ‘노동’은 노래였다

⑦김현수-정신과 의사, 대안학교 교장되다

⑧송인수-강은 곡선으로 흘러 아름답다



“진로는 직업을 택하는 게 아니다”과연 좋은 일자리란 무엇일까. 이런 의문을 품은 이들을 위해 ‘행복한 진로학교’를 지상 중계한다. 첫 번째 강연자 강도현씨는 헤지펀드 트레이더에서 사회적 기업 운영자가 되기까지 자신의 경험을 진솔하게 털어
  조회수 : 25,374  |  강도현 (카페바인 운영자, <골목사장 분투기> 저자)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36)




“하고 싶은 거 해도 굶어 죽지 않아”행복한 진로학교 두 번째 강연자 고원형 ‘아름다운배움’ 대표는 대학원에 다니던 중 자신이 남을 도울 때 행복한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고 시민단체를 만들었다. 그는 원하는 삶을 선택하는 용기를 가지라고 말한다
  조회수 : 25,633  |  고원형 (‘아름다운배움’ 대표)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372)




“내 데뷔작? 쓰레기 같았다”만화가 윤태호씨의 데뷔작은 출판사에서 아홉 번이나 퇴짜 맞았다. 그는 뭔가를 잘하는 것만이 재능이 아니라며, 자신의 길을 가기 위해 가시밭길을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 의지 또한 재능이라고 말했다.
  조회수 : 23,590  |  윤태호 (만화가)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43)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주지 마라”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주지 마라. 아이들은 심심할 때 책을 읽거나 놀이를 하며 창조력을 기른다. 심심할 겨를이 없었던 아이는 고3이 돼도 하고 싶은 게 없다고 말한다. 이래서야 어떻게 진로를 찾겠나.
  조회수 : 69,814  |  권장희 (놀이미디어교육센터 소장)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18)





“후쿠시마 사고 때 의료생협 의사를 보라”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의료생협 의사들은 앞 다투어 위험한 곳으로 뛰어들었다. 일본 협동조합을 통해 공생의 힘을 배울 수 있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런 협동의 교육철학을 배우는 일이다.
  조회수 : 10,797  |  최혁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업운용본부장)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05)





“노동 문제 해결해야 교육 문제도 해결된다”우리나라는 학교에서 노동법이나 노동인권을 가르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장차 노동자가 될 아이들이 자신을 방어하지 못한다. 노동기본권이 보장되면 학문에 뜻 없는 아이들까지 기를 쓰고 대학에 갈 일이 사라진
  조회수 : 13,450  |  하종강 (성공회대 노동대학장)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94)




“왜 우리 아이들이 무기력해졌을까?”어른들이 착각하는 게 있다. 아이들의 무기력은 문제의 결과일 뿐이다. 뭔가를 시도했다가 실패하느니 차라리 아무것도 안 하는 게 낫다고 학습한 것이다. 아이를 과잉보호하면서 정서적으로는 방임하는 상황도 벌어
  조회수 : 14,943  |  김현수 (성장학교 별 교장, 정신과 전문의)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32)





“좋은 일자리의 기준을 바꿔라”부모들은 진로 걱정 때문에 아이들을 사교육으로 내몬다. 그런데 졸업자 30명 중 1명만이 대기업 등 ‘좋은 일자리’에 들어간다. 한 반의 1등만선택받는 셈이다. 나머지는 다 낙오자일까, 더 행복한 길은 없을까.
  조회수 : 9,490  |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동대표)  |  webmaster@sisain.co.kr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6837)










(출처 : http://myfertilitychoices.com/2013/01/fertility-treatments-may-increase-the-risk-of-birth-defects/)




"특정 계절에 임신이 된 아이가 더 건강하다"라는 믿음은 불가사의한 명제였다. 

최근, 과학자들이 이 이상한 현상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왜 그러한지도 알아낸 듯 한다.


5월은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지 않은(unfavorable)계절임이 드러났다. 

5월에 임신이 된 아이들은 조산(born premature)의 가능성이 13% 더 높고, 임신주수도 평균 이하였다. 

출생시 저체중과 미숙아는 여러 건강 문제와 연결이 된다 - 면역계, 시력, 청력, 인지 발달 등등. 

이러한 차이가 그 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1월에서 5월 사이에 임신이 된 경우 임신 주수가 평균보다 1주정도 감소했다가, 

6월에 임신이 된 아이에서 다시 급격하게 평균으로 회복된다.


출생시 체중만 따지자면, 여름이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6월에서 8월 사이에 임신한 여성이 임신기간동안 체중이 가장 많이 늘었고 

평균적으로 다른 달에 임신한 아이보다 8g 정도 더 무거운 아이를 출산했다.



(출처 : http://news.sciencemag.org/sciencenow/2013/07/the-best-season-to-get-pregnant.html?ref=hp)














"특정 계절에 임신이 된 아이가 더 건강하다"라는 믿음은 불가사의한 명제였다. 최근, 과학자들이 이 이상한 현상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보였다. 그리고 왜 그러한지도 알아낸 듯 한다.

It almost seems like a mystical correlation. Babies conceived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appear healthier than those conceived during other times. Now, scientists have shown that the bizarre phenomenon is actually true—and they think they may know why it happens.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던 콜럼비아 대학의 경제학자 Douglas Almond는 "이미 오래 전에 행해졌어야 할 분석이다"라면서, "움직일 수 없는 증거(smoking gun)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전의 근거보다는 훨씬 더 강력한 것이 사실이다"라고 했다.

The work is "a really long-overdue analysis," says economist Douglas Almond of Columbia University, who was not involved in the study. "This is maybe not quite a smoking gun," he says, "but it's much stronger than the previous evidence."


1930년대 이전까지는, 연구자들은 겨울에 태어난 아이가 후에 더 많은 건강 문제를 가지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성장이 느리고, 정신장애가 있고, 일찍 죽는 것 등) 그 당시 제시된 설명 중 하나는 겨울에는 질병, 기온, 공기오염 정도 등의 조건이 더 나쁘기 때문에 산모와 아이가 더 취약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경제학자들은 인구학적으로 살펴보았고, 조금 더 복잡한 문제들이 걸려있다는 것을 알았다.

백인이 아니고, 결혼을 안한,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여성(산모)들의 아이가 건강과 발달 장애가 있을 확률이 높았다. 또한 그러한 아이들은 1년 중 6월 이전에 임신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 때문에 계절적인 영향으로부터 사회경제적 영향을 배제하는 것은 어려워보였다.

As early as the 1930s, researchers noticed that children born in winter were more prone to health problems later in life: slower growth, mental illness, and even early death. Among the proposed explanations were diseases, harsh temperatures, and higher pollution levels associated with winter, when those expectant mothers and near-term fetuses might be most vulnerable. But recently, as economists looked at demographics, the picture got more complicated. Mothers who are nonwhite, unmarried, or lack a college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have children with health and developmental problems.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conceive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at made it hard to tease out the socioeconomic effects from the seasonal ones.


이 오래된 문제를 위해 새로운 접근 방법을 시도했고, 1994년부터 2006년까지의 출생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요인을 통제하기 위해서 한 부모로부터 태어난 자녀들만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계절적 요인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가 최근 PNAS에 발표되었다.

Economists Janet Currie and Hannes Schwandt of Princeton University took a new approach to resolving this long-standing question, using data from the vital statistics offices in New Jersey, New York, and Pennsylvania about births between 1994 and 2006. To control for socioeconomic status, their study looked only at siblings born to the same mother. And lo and behold, seasonal patterns persist, they report online today in the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5월은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지 않은(unfavorable)계절임이 드러났다. 5월에 임신이 된 아이들은 조산(born premature)의 가능성이 13% 더 높고, 임신주수도 평균 이하였다. 출생시 저체중과 미숙아는 여러 건강 문제와 연결이 된다 - 면역계, 시력, 청력, 인지 발달 등등. 이러한 차이가 그 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1월에서 5월 사이에 임신이 된 경우 임신 주수가 평균보다 1주정도 감소했다가, 6월에 임신이 된 아이에서 다시 급격하게 평균으로 회복된다.

May is the most unfavorable time to get pregnant, the study finds. Babies conceived this month (and thus delivered in winter) were 13% more likely to be born premature, and their gestation time was almost a week below the average, Currie and Schwandt report. Because low birth weight and prematurity have been linked to diverse health problems—weaker immune systems, poorer vision and hearing, and slower cognitive development—this variation could help explain differences later in life. The study found that for conceptions between January and May, gestation length declined by about a week before shooting back up to average length in June.

출생시 체중만 따지자면, 여름이 임신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할 수 있다. 6월에서 8월 사이에 임신한 여성이 임신기간동안 체중이 가장 많이 늘었고 평균적으로 다른 달에 임신한 아이보다 8g 정도 더 무거운 아이를 출산했다.

In terms of birth weight, summer was the best time to conceive. The team found that mothers who conceived from June through August gained more weight during their pregnancies and gave birth to infants who were, on average, about 8 grams heavier than in other months.

연구자들은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자료를 확인하여, 임신주수가 감소하는 시기가 대부분의 환자가 독감과 유사한 증상(flu-like symptom)으로 병원을 찾는 기간과 근접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2009년 H1N1 인플루엔자가 다른 해에 비해서 2개월 정도 일찍 유행했을 때, 임신주수가 감소하는 시기 역시 더 빨라졌고 더 드라마틱해졌다. 연구자들은 독감(flu)이 출산을 앞당겼다고 주장한다. "이 근거를 보면 임신한 여성은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맞아야 합니다"

The researchers then looked t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ata and found that the annual dip in gestation length closely aligns with the time when the most patients visited the doctor for flulike symptoms. In 2009, when the H1N1 pandemic struck about 2 months earlier than a typical flu season, the dip in gestation time came earlier, too, and was more dramatic. Currie and Schwandt suggest that flu could cause mothers to deliver early. "I think it really gives support to the idea that pregnant women should be vaccinated for flu," Currie says.


산모-태아를 전문으로 하는 Hyagriv Simhan은 "임신 기간에 있어 며칠의 차이는 작지만, 중요하다."라고 했다. 또한 한 달 이내의 수준에서 조산으로 태어난 아이들의 대부분이 심각한 건강 문제를 겪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규모 인구집단 수준에서 이 영향력은 크다고 말한다. 독감과 조산의 관계를 연구한 Simhan은 독감은 신생아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긴 하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라고 한다. 예컨대 비타민D 레벨이 태아의 발달에 중요할 수 있다.

A few days' difference in gestation length is small but significant, notes Hyagriv Simhan, a maternal and fetal doctor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in Pennsylvania who was not involved in the work. Although babies born less than a month premature don't usually face significant health costs, he says that the difference is meaningful when averaged over a large population. Simhan, whose own research has suggested a link between influenza and early delivery, says that flu is a likely factor in newborn health, but not the only one. For example, he notes, vitamin D levels that dip at important points in fetal development could also be important.




Within-mother analysis of seasonal patterns in health at birth

  1. Hannes Schwandt
  1. Edited by Kenneth W. Wacht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and approved June 4, 2013 (received for review April 22, 2013)

Abstract

A large literature describes relationships between month of birth, birth weight, and gestation. These relationships are hypothesized to reflect the causal impact of seasonal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recent work casts doubt on this interpretation by showing that mother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give birth in months that are associated with poorer birth outcomes. Seasonality in the numbers of conceptions in different months can also induce a mechanical correlation between preterm birth and month of birth. This paper analyzes the seasonality of health at birth using a large sample of 647,050 groups of US siblings representing 1,435,213 children. By following the same mother over time, we eliminate differences in fixed maternal characteristics as an explanation for seasonal differences in health at birth. We find a sharp trough in gestation length among babies conceived in May, which corresponds to an increase in prematurity of more than 10%. Birth weight conditional on gestation length, however, is found to be strongly hump-shaped over the year, with 8–9 additional g for summer conceptions. We examine several potential mechanisms for explaining seasonality in birth outcomes that have generally been dismissed in the literature on seasonality in rich countries, notably disease prevalence and nutrition. The May trough in gestation length coincides with a higher influenza prevalence in January and February, when these babies are nearing full term, whereas the hump shape in birth weight is associated with a similar pattern in pregnancy weight gain.












1932. Workers in Western Electric’s Hawthorne Works plant in Cicero, Ill., perform better 

when lighting and other working conditions are tinkered with—regardless of what the change is.


 Researchers realize that the workers are simply responding positively to attention from managers. 

This becomes known as the “Hawthorne Effect.”

(출처 : http://images.businessweek.com/ss/07/08/0809_timeline/source/5.htm)






호손 효과( - 效果, 영어: Hawthorne effect)는 근로자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그들의 행동이 변하며 따라서 일시적으로 효율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1924년에서 1932년 사이에 미국 일리노이 주 시서로(Cicero)에 있었던 '호손 웍스'(Hawthorne Works)라는 공장에서 수행된 일련의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에서 처음 관찰된데서 유래한다. 최근 들어서는 호손 효과의 의미는 확장되어 어떤 새로운 관심을 기울이거나 관심을 더 쏟는 것으로 대상의 사람들이 행동과 능률에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변했다.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호손_효과)



The Hawthorne effect is a form of reactivity whereby subjects improve or modify an aspect of their behavior being experimentally measured simply in response to the fact that they know they are being studied,[1][2] not in response to any particular experimental manipulation.


History[edit]

The term was coined in 1950 by Henry A. Landsberger[3] when analysing older experiments from 1924-1932 at the Hawthorne Works (a Western Electric factory outside Chicago). Hawthorne Works had commissioned a study to see if its workers would become more productive in higher or lower levels of light. The workers' productivity seemed to improve when changes were made and slumped when the study was concluded.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ductivity gain occurred due to the impact of the motivational effect on the workers as a result of the interest being shown in them.

This effect was observed for minute increases in illumination. In these lighting studies, light intensity was altered to examine its effect on worker productivity. Most industrial/occupational psychology and organizational behavior textbooks refer to the illumination studies[citation needed]. Only occasionally are the rest of the studies mentioned.[4]

Although illumination research of workplace lighting formed the basis of the Hawthorne effect, other changes such as maintaining clean work stations, clearing floors of obstacles, and even relocating workstations resulted in increased productivity for short periods. Thus the term is used to identify any type of short-lived increase in productivity.[3][5][6](생산성의 단기적 향상)

Evaluation of the Hawthorne effect continues in the present day.[7][8][9]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Hawthorne_effect)


(출처 : http://jama.jamanetwork.com/article.aspx?articleid=1346175)



"그 당시의 범죄는 단순힘 몇몇 의사들 개개인의 행위가 아니었다. 

의과대학, 의생명과학 연구소의 저명한 인사들은 물론이며 

의사협회와 각 전공 학회의 대표격 인물들의 상당한 개입이 있었다."


""우리는 나치 정권하에서 자행된 의료 범죄에 대해 의사에게 막중한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며, 

이를 현재와 미래에 대한 엄중한 경고로서 받아들이고자 한다."


“The crimes were simply not the acts of individual doctors, but rather took place with the substantial involvement of leading representatives of the medical association and medical specialist bodies, as well as with the considerable participation of eminent representatives of university medicine and renowned biomedical research facilities,” the group

said in the declaration. “We acknowledge the substantial responsibility of doctors for the medical crimes committed under the Nazi regime and regard these events as a warning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S MONTH MARKS THE ANNIVERsary of the conclusion of a 140-day trial that gripped the world 65 years ago, the Doctors Trial in Nuremberg, Germany. On trial were 20 physicians and 3 nonphysician Nazi officials who were charged with organizing and participating in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including medical experiments and procedures conducted on concentration camp prisoners and others without their consent. 


Of the 20 physicians on trial, 16 were found guilty, 4 of whom were executed for their crimes.


But the extent of the involvement of German physicians went well beyond the 20 physicians tried in the Doctors Trial—a fact finally acknowledged by the German Medical Association a few months ago.


In a long-awaited and striking statement, the society used the occasion of its 115th meeting, fittingly held in Nuremberg in late May, to adopt the Nuremberg Declaration of the German Medical Assembly 2012, which said, “We acknowledge the substantial responsibility of doctors for the medical crimes committed under the Nazi regime and regard these events as a warning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contrast to still widely accepted views, the initiative for the most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did not originate from the political authorities at the time, but rather from physicians themselves,” the declaration said.


The Nuremberg Doctors Trial revealed that organized medicine, medical schools, and scores of ordinary physicians participated in unethical human experimentation and genocide. However, despite its key involvement during the Nazi era, the German Medical Association has never acknowledged its role or the role of German physicians in World War II atrocities—until now.


“The crimes were simply not the acts of individual doctors, but rather took place with the substantial involvement of leading representatives of the medical association and medical specialist bodies, as well as with the considerable participation of eminent representatives of university medicine and renowned biomedical research facilities,” the group said in the declaration. “We acknowledge the substantial responsibility of doctors for the medical crimes committed under the Nazi regime and regard these events as a warning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One of the legacies of the Doctors Trial is the Nuremberg Code, which defines core principles for rights of participants in medical research, such as voluntary consent and the absence of coercion (http://tinyurl.com/794hahy).


The German Medical Association’s declaration acknowledged that the “human rights violations perpetrated in the name of medicine under the Nazi regime continue to have repercussions to this day and raise questions concerning the way in which physicians perceive themselves, their professional behavior, and medical ethics.” 


Of the many lessons to be learned from distortions of medical practice that occurred during the Nazi era, among the most important is understanding the human motivations that led physicians to subordinate the needs of individual patients to the demands of the government.


“The German physicians believed they were behaving morally and following the dictates of the Hippocratic Oath by transforming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nto a new relationship in which the state became the doctor and the German people became the ‘patient,’ or the volk,” said Sheldon Rubenfeld, MD, clinical professor of medicine at Baylor College of Medicine and president of the Center for Medicine After the Holocaust, in Houston, in an e-mail.







 2012 Aug 15;308(7):657-8. doi: 10.1001/jama.2012.9649.

German medical groupapology for Nazi physicians' actionswarning for future.

Livingston EH.




(출처 : http://visual.ly/big-data)




개인 식별 정보가 제거된 정보의 양이 더 많아질수록 

연구(연구 참여자의 동의가 필요한)와 질적 향상(동의 없이 가능한)의 경계가 흐릿해지고 있다.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윤리학자들은 이제 이러한 질문을 하게 되었다 


"개개인의 동의를 받는 것이 생명을 구할 수도 있는 혁신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지는 않은가?"


Faden 등은 중환자실에서 중심관 연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시술에 대한 연구가 

연구윤리에 대한 우려때문에 거의 중단되었다고 말하며, 

미국에서 이러한 종류의 감염으로 매년 불필요하게 죽어가는 3000명에 대한 우려는 어떻게 된 것이냐며 되묻는다.


궁극적으로는 정보 공유의 장벽을 허무는 방향의 관리 정책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명을 살릴 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







"각 환자의 경험은 최고의 근거이며, 이들 정보가 합져치면 서로 다른 상황에 따라 어떤 것이 가장 효과가 있는가를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TO IMPROVE HEALTH CARE IN THE UNITED STATES, the Institute of Medicine (IOM) has advanced the “learning health care system”—a place where “each patient-care experience naturally reflects the best available evidence, and, in turn, adds seamlessly to learning what works best in different circumstances.”1,2 With increasingly more data being digitally collected in every health care encounter, prospects improve for the integration of clinical care and research. 


CERIC - "일상적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여 의료의 세 가지 목적(개개인에게 최고의 의료 공급하기, 인구집단에게 더 나은 의료 제공하기, 비용 대비 더 높은 가치 창출하기)을 달성할 수 있을 것"

Routinely collected data “provide great potential for extracting useful knowledge to achieve the ‘triple aim’ in health care— better care for individuals, better care for all, and greater value for dollars spent,”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from the IOM’s Clinical Effectiveness Research Innovation Collaborative (CERIC).3


However, the recent doubling in use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suggests that “big data” will inevitably be applied to health care, potentially improving quality and efficiency.4


Although such developments hold great promise, continued progress cannot be ensured unless the...

(1) cultural and ethical issues related to patient privacy and the 

(2) need for individual institutions to maintain some degree of control over the data they collect are addressed.


Ideally all stakeholders, and especially the public, would converge on a consensus to allow more widespread use of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lth care when that use is generating knowledge that serves the public good. We see evidence that this is already happening at the local level, when researchers and subjects develop trusting relationships.5 It is also happening in networks of institutions who gather, share, and analyze health care data.6


개인 식별 정보가 제거된 정보의 양이 더 많아질수록 연구(연구 참여자의 동의가 필요한)와 질적 향상(동의 없이 가능한)의 경계가 흐릿해지고 있다.

Now, with large quantities of deidentified health data on individuals being amassed, the boundary between research (which requires the participant’s consent) and quality improvement (which happens constantly without consent) is becoming blurred. 


이같은 변화에 따라 윤리학자들은 이제 이러한 질문을 하게 되었다 "개개인의 동의를 받는 것이 생명을 구할 수도 있는 혁신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되고 있지는 않은가?"

The change is causing some ethicists to ask: Are requirements for individual consent creating insurmountable barriers to life-saving innovation?


As the CERIC reports,3 many benefits of the use of big data are already evident


Increased availability of routine health care data is also accelerating research

Studies that once required decades of data collection from selected populations in experimental settings can now be accomplished in just months by mining large data sets, producing more generalizable results


These examples illustrate how the use of health data infrastructure might improve the safety, quality, and efficiency of care. But to benefit from these advances and others not yet imagined, overly burdensome oversight and consent rules for research processes must be avoided.


의사가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가 좋은지를 모를 때 생길 수 있는 해로움(harm)에 대한 윤리적 고려가 필요하다.

The authors argue that moral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harm that can occur when physicians do not have information needed to determine which approaches work best. The authors point out, for example, that more than half of medical treatments are used without sufficient proof of their effectiveness. 


Faden 등은 중환자실에서 중심관 연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법에 대한 연구가 연구윤리에 대한 우려때문에 거의 중단되었다고 말하며, 미국에서 이러한 종류의 감염으로 매년 불필요하게 죽어가는 3000명에 대한 우려는 어떻게 된 것이냐며 되묻는다.

Faden et al10 describe an intervention preventing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intensive care units that was almost halted because of concerns about research ethics oversight. What about concern and oversight for the 3000 patients who “will die unnecessarily each year in the United States from this type of infection?” Faden et al ask.


궁극적으로는 정보 공유의 장벽을 허무는 방향의 관리 정책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명을 살릴 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

Ultimately, oversight policies and practices must be developed that will eliminate barriers to sharing information and prevent losing precious opportunities to improve care and save lives.


At the same time, trusted partnerships must be developed among institutions that collect health care data so that they can share it in ways that best serve patients’ needs.


To work, such partnerships must recognize and accommodate each entity’s obligation to protect its patients’ privacy as well as its own business interests. The HMO Research Network (HMORN) is one of many consortia learning to navigate this shared territory.


Through advances in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the needed tools are available to prevent future harm, eliminate waste, and learn with better certainty which treatments are most effective. This can be accomplished without risking patient privacy or proprietary business interests. By overcoming cultural impediments based on outdated ideas about the collection and use of everyday health care information, it will be possible to fulfill the IOM’s vision of an integrated, comprehensive health care system using routinely collected health care data for continual learning that seamlessly serves individual patients and the public good







 2013 Jun 19;309(23):2443-4. doi: 10.1001/jama.2013.5914.

Building trust in the power of "big dataresearch to serve the public good.

Source

Group Health Research Institute, 1730 Minor Ave, Ste 1600, Seattle, WA 98101, USA. larson.e@ghc.org

PMID:

 

23780455

 

[PubMed - indexed for MEDLINE]




( 출처 : http://scienceroll.com/2012/10/25/key-trends-in-the-future-of-medicine-e-patients-communication-and-technology/)



증폭(Augmentation)


Sensory Augmentation : 

Auditory vision substitution - Myoelectric prosthesis - Augmented olfaction - Augmented hearing - Telescopic & Microscopic vision


Neuroprosthetics : 

Hybrid assisted limbs - Exoskeletons - Neuroprosthetics - Optogenetics 


Etc 

Enhanced metabolism 


재생(Regeneration)

Synthetics & Artificial Organs

Synthetic blood - Tissue regeneration - Artificial vascular system - Artificial muscle - Artificial general-purpose cells - Artificial limbs - Artificial retinas


Etc 

3D printed organs



진단(Diagnostics)

Big data

Open health records - Question answering computing systems - Data-driven patient communities - Data-driven diagnostics


Sensors(External)

Non-invasive glucose sensors - Rapid gene sequencing - At-home - In-clothes - Medical tricorder


Sensors(Internal)

Epidermal Sensors - Ingestible sensors - Tissue-embedded sensors - Blood stream sensors



원격의료(Telemedicine)

Remote virtual presence

Robotic surgery - AR sugery asistance - Robotic healthcare assistants


M-health

App-driven diagnostics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Telemetrics 


ETC

Virtual triage, AI therapists, Full body simulation, Full brain simulation



생물노인학(Biogerontology)

Cryonics

Suspended animation - Full-body cryopreservation - Reverse crynics


Life extension

Anti-aging drugs - Generic engineering



(치료)Treatments

3D printers 

3D-printed drugs - Personalized medicine


Life extension 

Stem-cell treatments - Prenatal gene manipulation - Gene therapy - Anti-aging stem-cell treatment


ETC 

enterotype treatments, nanocomposite drug carriers 


(출처 : http://www.nytimes.com/2011/07/11/health/policy/11docs.html?pagewanted=1)




의사들은 생명을 살리곤 하지만, 가끔은 간호사에게 막 대하고, 환자의 말을 듣지 않는 그저 아는 체 하는 사람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의과대학들은 이러한 문제가 있는 지원자들을 걸러내려는 노력이나 이들을 더 낫게 만들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지만, 점차 이러한 것이 달라지고 있다.

Doctors save lives, but they can sometimes be insufferable know-it-alls who bully nurses and do not listen to patients. Medical schools have traditionally done little to screen out such flawed applicants or to train them to behave better, but that is changing.



MMI라고 불리는 이것은 지원자들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도 엄청난 영향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스텐포드, UCLA, 신시네티 대학 등을 포함한 최소 8개의 미국 의과대학에서 시행중이며, 캐나다에서는 13개 대학이 시행중이다.

The new process has enormous consequences not only for the lives of the applicants but, its backers hope, also for the entire health care system. It is called the multiple mini interview, or M.M.I., and its use is spreading. At least eight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 including those at Stanfor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and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 and 13 in Canada are using it


버지니아텍 캐릴리온 관계자에 따르면 '지원자들이 얼마나 자립심이 있는지, 얼마나 팀으로서 일할 의지가 있는지' 를 테스트하는 문제를 만들었다. 이 시험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원자의 첫마디가 아니다. 맞고 틀린 것이 없기 때문이다. 대신, 다른 사람과 의견이 다를때, 팀으로서 일해야 할 때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본다.

Virginia Tech Carilion administrators said they created questions that assessed how well candidates think on their feet and how willing they are to work in team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interviews are often not candidates’ initial responses — there are no right or wrong answers — but how well they respond when someone disagrees with them, something that happens when working in teams.


"우리는 점수는 좋지만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간다운 것, 의사소통 기술이 부족한 사람을 걸러내려고 합니다" VTC의 부학장 Stephen Workman의 말이다.

“We are trying to weed out the students who look great on paper but haven’t developed the people or communication skills we think are important,” said Dr. Stephen Workman, associate dean for admissions and administration at Virginia Tech Carilion.


"이러한 면접방식이 만들어진 것은 면접관의 점수는 첫 5분이 지나면 거의 바뀌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로부터 출발했다. 다수의 면접관을 활용함으로서 임의편향(random bias)를 제거하고, 상황면접(situational interview)를 활용하여 성격적 결함을 발견하고자 한다" 라고 이 시스템의 개발자인 맥마스터 대학의 교수인 Harold Reiter는 말한다.

The system grew out of research that found that interviewers rarely change their scores after the first five minutes, that using multiple interviewers removes random bias and that situational interviews rather than personal ones are more likely to reveal character flaws, said Dr. Harold Reiter, a professor at McMaster University in Hamilton, Ontario, who developed the system.


실제로 MMI의 점수는 3~5년 후 의사결정능력, 환자관계, 문화적 역량 등을 평가하는 USMLE 점수에 대해 높은 예측력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In fact, candidate scores on multiple mini interviews have proved highly predictive of scores on medical licensing exams three to five years later that test doctors’ decision-making, patient interactions and cultural competency, Dr. Reiter said.


AAMC의 Chief Executive인 Darrell G Kirch는 이렇게 말했다. "제가 처음 의과대학에 들어왔을 때는, 개개인이 전문가가 되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그 전문성을 팀기반 환자진료에 적용시킬수 있는가가 핵심입니다."

“When I entered medical school, it was all about being an individual expert,” said Dr. Darrell G. Kirch, the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Now it’s all about applying that expertise to team-based patient care.”


일대일 면접은 지원자의 사회적 기술에 대해서 평가하기에 부족함이 많은데, 왜냐하면 한 명의 면접관의 의견만이 반영되고, 종종 학업적인 질문만 하거나 "왜 의사가 되려고 하는가요?"라는 판에 박힌 질문만 하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이다.

One-on-one interviews are offered but provide poor assessments of a candidate’s social skills because they reflect only one person’s view, often focus on academic issues and elicit practiced responses to canned questions like “Why do you want to become a doctor?”


Even more dangerous is when poor communication becomes so endemic that the wrong operations are performed. A 2002 study published in Th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of one such incident found that the patient, doctors and nurses went along with the mistaken treatment because they were used to being kept in the dark about medical procedures. Asurvey by the Joint Commission, a hospital accreditation group, found communication woes to be among the leading causes of medical errors, which cause as many as 98,000 deaths each year.













Correlation


Correlation (co-relation) refers to the degree of relationship (or dependency) between two variables.

Linear correlation refers to straight-line relationships between two variables.

A correlation can range between -1 (perfect negative relationship) and +1 (perfect positive relationship), with 0 indicating no straight-line relationship.

The earliest known use of correlation was in the late 19th century[1].



Introduction

When we ask questions such as "Is X related to Y?", "Does X predict Y?", and "Does X account for Y"?, we are interested in measuring and bet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Correlation measures the extent to which variables:

  1. covary
  2. depend on one another
  3. predict one another

The extent of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by convention, is denoted 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 X and variable Y is indicated by rXY.

Correlations are standardised to vary between -1 and +1, with 0 representing no relationship, -1 a perfect negative relationship, and +1 a perfect positive relationship.

A variety of bivariate correlational statistics are available, the choice of which depends on the variables' level of measurement:

Correlational analyses should be accompanied by appropriate bivariate graphs, such as:


The world is made of covariation

Responses which vary can be measured as a variable (i.e., responses are distributed across a range).

Responses to two or more variables may covary. These variables share some variation. When the value of one variable is high, the value of other variable tends to be high (positive correlation) or low (negative correlation).

If you look around, you may notice that the world is made of covariation! e.g.,

  • pollen coun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ee activity
  • rainfal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mount of vegetation
  • hours of stud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st performance
  • number of fire trucks attending a fire is correlated with cost of repairs for the fire[2]
  • Sibling's IQ is positively correlated
  • air temperatur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mount of clothing worn

The more you look, the more you'll see that there are many predictable patterns of co-occurrence between phenomena (i.e., things tend to occur together).


Scatterplots[edit]

Independent variable (IV) (predictor) is placed on the X axis and dependent variable (DV) is placed on the Y axis. Each case is plotted according to its X and Y value.

r = .76


Visual inspection of scatterplots is essential[edit]

It is unwise to rely solely on correlation as a statistic that indicates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ithout also examining a visualisation of the data such as through a scatterplot.

For example, the linear (straight-line) correlation in each of these four scatterplots is .82, yet the nature of what the data indicat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s very different for each.

Four sets of data with the same correlation of 0.816



Correlation does not equal causation

[http://www.burns.com/wcbspurcorl.htm Spurious correlations]



See Correlation does imply causation (Wikipedia)

Range restrictio


Pearson/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X and Y are shown when the two variables' ranges are unrestricted, and when the range of X is restricted to the interval (0,1).


See outliers and restricted range





(출처 : http://en.wikiversity.org/wiki/Correlation)












(출처 : http://allsquareinc.blogspot.kr/2006/05/confirmation-bias.html)


잠깐 실험을 하나 해 보겠습니다. 위에 네 장의 카드가 있습니다. 한 쪽에는 숫자가 써있고, 반대 쪽에는 알파벳이 쓰여 있습니다. 다음 문장이 틀렸음을 증명하려면 어떤 카드를 뒤집어야 할까요? 

"한 면에 모음이 있다면, 반대 면에는 짝수가 있다"


Here's a little test: Pictured to the right are four cards. Each card contains a letter on one side, and a number on the other. Which cards must you turn over to prove the following statement false? "If a card has a vowel on one side, then it has an even number on the other side."


Peter Wason과 Philip Johnson-Laird는 비슷한 128명에게 비슷한 실험을 하였고, 가장 흔한 대답은 "A와 4입니다" 였다. 두 번째로 흔한 대답은 "A만 뒤집어보면 된다" 였다.  "A와 9" 라는 옳은 답을 말한 사람은 5%에 불과했다.

Researchers Peter Wason and Philip Johnson-Laird gave a similar test to 128 college-educated subjects in 1972. The most frequently given answer was "A and 4," (46 percent), with "only A" the second most popular (33 percent). Only 5 percent gave the correct answer, which is "A and 9."


A를 뒤집어보면 된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된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4 카드를 뒤집어서 뒷면에 모음이 있어야 하는지를 봐야 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그것은 위의 명제가 틀렸음을 증명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It's fairly obvious that you must turn over the A-card: if there is an odd nu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card, you have proven the statement false. The popular tendency is to also turn over the 4-card to see if there is a vowel on the other side. However, the statement does not say an even-numbered card cannot have a consonant. For the same reason, turning over the S-card proves nothing, since the statement makes no claims about cards with consonants. On the other hand, turning over the 9-card and finding a vowel proves the statement false.


왜 이 문제를 틀린 사람이 그렇게 많을까? 정답은 흔히 일어나는 논리적 행위인 ""확증 편향"이라는 것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어떤 것이 '틀렸음'을 증명하는 것보다 어떤 것을 '옳았음'을 증명하는 것을 선호한다. 따라서 위의 문제를 보면, 해야 하는 일이 '틀렸음'을 증명하는 것임에도(9를 뒤집어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신념이 '옳았음'을 증명하고 싶어지는 것이다(4를 뒤집어서).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잘못된 가정을 세우게 되는 것이다.
Why does this test fool so many people? The answer is a common act of reasoning called confirmation bias. Research shows that most people prefer confirming something rather than proving something wrong. Therefore, we gravitate toward confirming our beliefs--even when our task is to disprove something. (By turning over the 4-card we're trying to find further confirmation of the statement.) In the process, we make some flawed assumptions. 







(출처 : 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748703811604574533680037778184.html)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



자신의 신념이나 가설에 들어맞는 정보를 선호하는 경향성

Confirmation bias (also called confirmatory bias or myside bias) is a tendency of people to favor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ir beliefs or hypotheses.[Note 1][1] 

People display this bias when they gather or remember information selectively, or when they interpret it in a biased way

The effect is stronger for emotionally charged issues and for deeply entrenched beliefs. 

For example, in reading about gun control, people usually prefer sources that affirm their existing attitudes. 

They also tend to interpret ambiguous evidence as supporting their existing position. 

Biased search, interpretation and memory have been invoked to explain attitude polarization (when a disagreement becomes more extreme even though the different parties are exposed to the same evidence), belief perseverance (when beliefs persist after the evidence for them is shown to be false), the irrational primacy effect (a greater reliance on information encountered early in a series) and illusory correlation (when people falsely perceive an association between two events or situations).


A series of experiments in the 1960s suggested that people are biased toward confirming their existing beliefs

Later work re-interpreted these results as a tendency to test ideas in a one-sided way, focusing on one possibility and ignoring alternatives. In certain situations, this tendency can bias people's conclusions. 


두 가지 해석 : Wishful thinking, 틀릴 것에 대한 비용을 높여 계산함.

Explanations for the observed biases include wishful thinking and the limited human capacity to process information. 

Another explanation is that people show confirmation bias because they are weighing up the costs of being wrong, rather than investigating in a neutral, scientific way.


신념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줘서 그 믿음을 유지시키거나 더 강하게 만듬

Confirmation biases contribute to overconfidence in personal beliefs and can maintain or strengthen beliefs in the face of contrary evidence. Poor decisions due to these biases have been found in military, politic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Confirmation_bias)








(출처 : http://mrplasko-psych-soc.wikispaces.com/Self-serving+bias)




자기 고양적 편견(Self-serving bias)


자기 고양적 편견 (self-serving bias) 은 어떤 개인이 단체의 성공이 자신으로 인한 것으로 여기는 반면, 실패의 경우 다른 구성원의 탓으로 돌리는 경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기 고양적 편견은 공동체 사회에서 성공을 자신의 입신양명을 위해 가로채려는 반면, 실패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양으로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유쾌한 정서와 결합되면 이러한 편견은 더욱 증가한다.[1][2]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자기_고양적_편견)


self-serving bias, sometimes called a self-serving attributional bias, refers to individuals attributing their successes to internal or personal factors but attributing their failures to external or situational factors.[1] This bias is a mechanism for individuals to protect or enhance their own self-esteem.[2] 

For example, a student who attributes a good grade on an exam to his or her own intelligence and hours of studying but a poor grade to the professor’s poor teaching ability and unfair test questions is exhibiting the self-serving bias. 


Studies have shown that similar attributions are made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the workplace,[3] interpersonal relationships,[4] sports,[5] and consumer decisions.[6] 

Both motivational processes (i.e. self-enhancementself-preservation) and cognitive processes (i.e. locus of control, self-esteem) influence the self-serving bias.[7] 

There are both cross-cultural (i.e.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culture differences) and special clinical population (i.e.depression) considerations within the bias.[8][9] 


Much of the research on the self-serving bias has used participant self-reports of attribution based on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task outcomes or in naturalistic situations.[1] Some more modern research, however, has shifted focus to physiological manipulations, such as emotional inducement and neural activation,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biological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the self-serving bias.[10][11]





(출처 : 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articleid=1572865&show=html#idb24)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


질적 연구, 그 중에서도 특히 FGI에서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얻게 된다. 초보자는 물론이고 경험이 풍부한 연구자조차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 압도당할 수 있다. 한시간짜리 인터뷰에서 보통 5~6시간에 걸쳐 30~40페이지 정도에 달하는 녹취록이 나온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의 주된 목적은, Robson에 따르면 "데이터를 줄이는 것" 이다.

Qualitative research and, in particular, focus-group interviews generate large amounts of data, which tend to overwhelm novice as well as experienced researchers. A 1 h interview could easily take 5–6 h to transcribe in full, leading to thirty to forty pages of transcripts. Thus, a central aim of data analysis, according to Robson (1993), is to reduce data.


Casey는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의 목적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분석을 할 때에는 연구의 본래 목적으로 돌아가야 하며, 분석을 통해 걸러진 것들은 연구의 목적과 직결되어야 한다" 라고 하였다.

Casey (2000) build on this concept and suggest that the purpose should drive the analysis; they believe that ‘analysis begins by going back to the intention of the study and survival requires a clear fix on the purpose of the study’.


질적 분석의 과정은 상황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bring meaning to a situation)이지, 양적 연구에서와 같이 '진리'를 찾는 것이 아니다. Strauss와 Corbin은 분석을 "연구자와 데이터의 상호작용"이라고 칭하였다. 대상자를 선정하고 데이터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연구자의 주관이 반영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주관성'이 어느 정도 개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rocess of qualitative analysis aims to bring meaning to a situation rather than the search for truth focused on by quantitative research. Strauss & Corbin (1998) describe analysis as ‘. . . the interplay between researchers and data’, acknowledging that there is an extent of subjectiv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generated data.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regardless of the type of research (qualitative or quantitative) an extent of subjectivity exits


이 점을 인정한다면,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bias)를 줄이기 위해서 Krueger와 Casey는 분석 과정은 체계적이고, 순서가 있고, 검증할 수 있어야 하며, 연속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Having made this point, in order to minimise the potential bias introduced in analysing and interpreting focus group data Krueger & Casey (2000) point out that the analysis should be systematic, sequential, verifiable, and continuous. 


이 과정을 거치면 신뢰성, 일관성, 일치성(conformability) 뿐만 아니라 '근거(trail of evidence)'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들은 질적 데이터의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Following this path provides a trail of evidence, as well as increasing the extent of dependability, consistency and conformability (Lincoln & Guba, 1989) of the data, important issu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qualitative data (Secker et al. 1995). 


근거를 확보하는 첫 번째 단계는 데이터 분석 과정을 분명하게 밝힘으로서 그 과정이 깔끔하게 이해가능하고, 기록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다른 연구자로 하여금 본인의 연구를 검증(verify)할 수 있게 해주고, 선택적 인지를 줄여주고, 연구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준다. 이러한 객관성을 확보하려면, 근거를 구성하고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The first step in establishing a trail of evidence is a clear procedure of data analysis, so that the process is clearly documented and understood. This step would allow another researcher to verify the findings; it safeguards against selective perception and increases the rigour of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re must be sufficient data to constitute a trail of evidence. 


데이터 분석의 주된 자료는 기록된 인터뷰때 한 말의 기록이다. 그렇지만 인터뷰에 대한 고찰(reflection)이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록 또한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Although the main source of data analysis is the recorded spoken language derived from the interview; nevertheless, reflection about the interview, the settings and capturing the non-verbal communication expressed by the member of the groups would add a valuable dimension to the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data.



Approaches to data analysis


질적 데이터 분석은 여러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많이 사용되는 것은 Green과 Thorogood이 밝힌 바와 같이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접근법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Krueger의 프레임워크 분석(Framework analysis) 방법을 주로 설명하면서, Ritchie와 Spencer가 밝힌 프레임워크 분석의 몇 가지 중요한 단계를 포함시킬 것이다. Krueger 방법의 장점은 일련의 단계를 통해서 처음 이 연구를 하는 사람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프레임워크분석은 개인 인터뷰나 그룹 인터뷰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다.

There are a number of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In practice, as Green & Thorogood (2004) identified, most researchers use a combination of approaches. The present paper describes Krueger’s (1994) framework analysis, but also incorporates some key stages of ‘framework analysis’ described by Ritchie & Spencer (1994). The advantage of the Krueger (1994) approach is that it provides a clear series of steps, which could help first-time researchers to manage the large amount and complex nature of qualitative data much more easily. ‘Framework analysis’ is used for both individual and focus-group interviews.


질적 분석은 데이터 수집과 동시에 일어난다는 점에서 양적 분석과 다르다. Krueger는 분석의 연결체(continuum of analysis)를 떠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Unlike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particularly focus-group analysis, occurs concurrently with data collection. Krueger (1994) suggests that a helpful way of thinking about this role is to consider a continuum of analysis ranging from the mere accumulation of raw data to the interpretation of data:


the analysis continuum: raw data; descriptive statements; interpretation.



분석 과정은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서로 겹쳐서 일어난다. Ritchie와 Spencer가 말한 프레임워크 분석은 '고도로 연결된 많은 단계를 거치는 분석과정'이며, 다섯 개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친숙화(Familiarization)

2. 주제 찾기(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3. 색인(indexing)

4. 도표 작성(charting)

5. 지도 작성 및 분석(mapping and interpretation)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analysis does not take place in a linear form and that one part of the process overlaps another. ‘Framework analysis’ as described by Ritchie & Spencer (1994), is ‘an analytical process which involves a number of distinct though highly interconnected stages’. The five key stages outlined are: familiarization; 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indexing; charting; mapping and interpretation.


데이터 분석 단계는 토의를 능숙하게 촉진(facilitating)하여 인터뷰를 풍부하게 만들면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순간부터 시작되며,  이 때 관찰한 것과 정보를 기록한다.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begins during the data collection, by skilfully facilitating the discussion and generating rich data from the interview, complementing them with the observational notes and typing the recorded information. 


그 다음 단계는 '친숙화'단계이다. 녹음한 테이프를 반복하여 듣고, 녹취록을 반복해서 읽고, 관찰 노트와 요약 노트를 읽는다. 이것의 목적은 세부적인 내용까지 완전히 익숙해져서 인터뷰를 세분해나가기 전에 전체로서의 그림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주요 주제가 드러난다.

This stage is followed by familiarisation with the data, which can be achieved by listening to tapes, reading the transcripts in their entirety several times and reading the observational notes taken during interview and summary notes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interview. The aim is to immerse in the details and get a sense of the interview as a whole before breaking it into parts. During this process the major themes begin to emerge.


다음 단계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다(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이를 위해서 텍스트의 옆에 짧은 메모 형식으로 메모를 남겨두는데, 그 내용은  텍스트에서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개념 등이며 카테고리를 만들기 위한 시작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상황 서술문(descriptive statement)이 형성되고, 연구의 질문에 따라서 분석이 진행된다. 

The next stage involves 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by writing memos in the margin of the text in the form of short phrases, ideas or concepts arising from the texts and beginning to develop categories At this stage descriptive statements are formed and an analysis is carried out on the data under the questioning route. 


세 번째 단계인 '색인'은 하나의 케이스 안에서, 혹은 케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옮기고 인용구를 정리/강조하고, 비교하는 과정이다.

The third stage, indexing, comprises sifting the data, highlighting and sorting out quotes and making comparisons both within and between cases. 


네 번째 단계는 원래의 context로부터 인용구를 떼어내서 새롭게 형성된 주제에 따라 적절히 재정리 하는 것이다.

The fourth stage, charting, involves lifting the quotes from their original context and re-arranging them under the newly-developed appropriate thematic content


색인과 도표 작성은 데이터를 manage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줄여나가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슷한 인용구를 자르고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단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Krueger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제안했다.

Indexing and charting could also be viewed as managing the data.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is task is data reduction, which is achiev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data and cutting and pasting similar quotes together. In order to manage this stage successfully Krueger (1994) suggests the following practical steps.



Practical steps for managing and sorting out data


Krueger와 Casey는 긴 책상이나, 컴퓨터를 활용하기를 권했으며, QSR NUT*IST라는 소프트웨어도 있지만, 워드나 아니면 수작업으로 할 수도 있다.

Krueger & Casey (2000) advocate the use of either a long table or a computer-based approach for cutting, pasting, sorting, arranging and rearranging data through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Although there is specialised software such as QSR NUT*IST (Richards, 1998), it is possible to analyse the transcripts using Microsoft Word, or indeed ‘by hand’.


a) 각각의 줄에 번호를 붙인다. 

number each line of each transcript;

b) 두 장의 복사본을 만든다. 하나는 자를 것이고 하나는 보존용이다. 

make two hard copies of each transcript; one to cut up and one that stays intact;

c) 서로 다른 색지에 녹취록을 인쇄한다. 

print transcripts on different coloured paper, e.g. ‘professionals’ green, ‘young people’ blue,’ single parents’ yellow, ‘working mums’ pink;

d) 작업에 사용할 녹취록의 순서를 적절하게 정렬한다.

arrange the working transcript in a reasonable order, i.e. sequence in which the interview took place, categories of participants: age, young people; social group, low-income families or professionals; gender, male or female;

e) 플립차트 등을 테이블에 펼쳐놓고 각각의 페이지에 분석할 질문을 쓴다.

have enough pages of flipchart or newsprint. Place the pages on the long table, on the floor or on the wall. Write on each page one of the focus group questions to be analysed.





위의 과정이 완료되었으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다음을 한다.

Having prepared for this stage, Krueger & Casey (2000) suggest that the researcher should read each quote and answer these four questions: 

1. 질문한 내용에 대해 대답하였는가? 그렇다면 3번, 아니면 2번, 모르겠으면 우선 옆에 놔둔다.

did the participant answer the question that was asked? If yes, go to question 3; if no, go to question 2; if don’t know, set it aside and review it later;


2. 다른 질문에 대해 대답한 것인가? 그렇다면 그 질문 아래다 가져다 붙이고 아니라면 3번.

does the comment answer a different question in the focus group? If yes, move it to the appropriate question; if no, go to question 3;


3. 주제에 대해서 중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가? 그렇다면 적절한 질문 아래다 가져다 붙이고, 아니라면 치워둔다.

does the comment say something of importance about the topic? If yes, put it under the appropriate question; if no, set it aside;


4. 더 앞서 언급된 내용이 있는가? 있다면 적절한 그룹을 만들기

is it something that has been said earlier? If yes, start grouping like quotes together; if no, start a separate pile.


Interpretation of data


이제 마지막 단계이다. 지도 그리기와 해석하기. 여기서 해야 하는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개개의 인용구가 논리적으로 말이 되어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분석적이어서 인용구간의 관계를 알 수 있어야 하면서, 전체로서 연결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data are now ready for the final stage of analysis, i.e. mapping and interpreting. One of the tasks here is not only to make sense of the individual quotes, but also to be imaginative and analytical enough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otes, and the links between the data as a whole.


Krueger는 일곱 개의 기준을 언급했고, 다음과 같다.

Krueger (1994) provides seven established criteria, which suggest the following headings as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coded data: words; context; internal consistency; frequency and extensiveness of comments; specificity of comments; intensity of comments; big ideas


Consider the actual words used and their meaning

Consider the context

Consider the frequency and extensiveness of comments

Intensity of the comments

Internal consistency

Specificity of responses

Big ideas




Development of the framework


위의 기준은 뒤의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These criteria are reduced to the following five headings in a later publication (Krueger & Casey, 2000): frequency; specificity; emotions; extensiveness; big picture









 2004 Nov;63(4):655-60.

Focus-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Source

School of Health and Policy Studies, University of Central England, Birmingham, UK. Fatemeh.Rabiee@uce.ac.uk

Abstract

In recent years focus-group interviews, as a means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have gained popularity amongst professionals within the health and social care arena. Despite this popularity, analysing qualitative data, particularly focus-group interviews, poses a challenge to most practitioner researchers. The present paper responds to the needs expressed by public health nutritionists, community dietitians and health development specialists following two training sessions organised collaboratively by the Health Development Agency, the Nutrition Society and the British Dietetic Association in 2003. The focus of the present paper is on the concepts and application of framework analysis, especially the use of Krueger's framework. It provides some practical steps for the analysis of individual data, as well as focus-group data using examples from the author's own research, in such a way as to assist the newcomer to qualitative research to engage with the methodology. Thus, it complements the papers by Draper (2004) and Fade (2004) that discuss in detail the complementary role of qualitative data in researching human behaviours, feelings and attitudes. Draper (2004) has provide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es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Fade (2004) has describ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y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ng individual interview data. The present paper, using framework analysis concentrating on focus-group interviews, provides another approach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출처 : http://www.emeraldinsight.com/journals.htm?articleid=1572865&show=html#idb24)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는 보건 분야의 연구에서 개개인이 왜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는가에 대한 이유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신념, 감정 등을 연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Focus-group interview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in health research for exploring what individuals believe or feel as well as why they behave in the way they do.


이 방법을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개개인의 감정, 태도, 행동에 영향을 주는 원인, 신념, 문화와 같은 것들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함이다.

The main aim i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meanings, beliefs and cultures that influence the feelings, attitudes and behaviours of individuals.


이 논문의...

앞 부분에서는 FGI에 대해서 흔히 묻는 질문에 대한 답과 이 방법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설명할 것이고, 

뒷 부분에서는 Krueger가 제시한 FGI의 데이터 분석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the first section of the present paper describes some of the commonly-asked questions about the use of focus-group interviews in health research and the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before and during this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second section provides a detailed and practical account of Krueger’s (1994) framework of data analysis.



FGI는 무엇인가? (What is a focus-group interview?)



Focus Group(포커스 그룹, FG)이란, Lederman에 의하면, '특정 집단을 반드시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더라도 목적 의식이 분명한(purposive) 인터뷰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심도있는(In-depth) 그룹 인터뷰를 활용하는 것. 이들은 주어진 주제(topic)에 대한 집중적인(focused) 논의를 하게 된다' 라고 하였다.

A focus group is, according to Lederman (see Thomas et al. 1995), ‘a technique involving the use of in-depth group interviews in which participants are selected because they are a purposive, although not necessarily representative, sampling of a specific population, this group being ‘focused’ on a given topic’. 


따라서 연구의 참가자들은 특정 주제에 대해서 '할 말이 있는' 사람들로 골라야 하며, 일정 연령대에 속해있고, 비슷한 사회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서로 대화하는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선정되어야 한다.

Participants in this type of research are, therefore, selected on the criteria that they would have something to say on the topic, are within the age-range, have similar socio-characteristics and would be comfortable talking to the interviewer and each other (Richardson & Rabiee, 2001).


이러한 대상자 선정 방법은 'applicability'라는 개념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인터뷰 참석자들이 연구 분야에 대한 지식을 근거로 선택되는 것을 뜻한다. 집단 역학(Group Dynamics)은 FGI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로서, 이는 FGI로 수집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범위가 그룹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되며, 따라서 일대일 인터뷰보다 더 깊고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his approach to selection relates to the concept of ‘Applicability’, in which subjects are selected because of their knowledge of the study area (Burrows & Kendall, 1997). One of the distinct features of focus-group interviews is its group dynamics, hence the type and range of data generated through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group are often deeper and richer than those obtained from one-to-one interviews (see Thomas et al. 1995).


FG에게서는 특정한 이슈에 대한 다양한 범위의 정보와 개개인의 감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그룹간의 차이도 조명해 볼 수 있다.

Focus groups c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a range of ideas and feelings that individuals have about certain issues, as well as illuminating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 between groups of individuals


FG를 통해서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양적 연구를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대일 인터뷰와 마찬가지로, FGI의 결과는 참가자 말을 인용함으로써 일상적 용어로 제시될 수 있다.

Focus groups can generate large amounts of data in a relatively short time span, and the findings may be used to precede quantitative procedures. Like one-to-one interviews, the results of focus-group interviews can be presented in uncomplicated ways using lay terminology supported by quotations from the participants.


FG의 독특한 점은 그룹 내 상호작용을 통해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룹의 멤버들이 서로 토론을 주고받는 것에 대해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Krueger와 Casey는 어떤 사람들에게는 자신을 드러내는 것(self-disclosure)가 자연스럽고 편안한 반면,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과정이 신뢰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The uniqueness of a focus group is its ability to generate data based on the synergy of the group interaction (Green et al. 2003). The members of the group should, therefore, feel comfortable with each other and engage in discussion. Krueger & Casey (2000) point out that for some individuals self-disclosure is natural and comfortable, while for others it requires trust and effort. 


이러한 이유로 이들은 FG의 대상자를 선택하는데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것을 권고했다. Krueger는 풍부한 데이터는 그룹을 이루고 있는 개개인이 토론에 온전히 참여할 준비가 되었을 때만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한(homogeneous) 그룹 구성할 것을 주장했다. Krueger의 연구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비슷한 특성(성별, 연령, 인종,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y recommend investing time and effort in selecting members of the group. Krueger (1994) believes rich data can only be generated if individuals in the group are prepared to engage fully in the discussion and, for this reason, advocates the use of a homogenous group. Based on the topic under investigation Krueger (1994) suggests that participants should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gender group, age-range, ethnic and social class background.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그룹의 균일성에 대해서 반대를 하지는 않더라도, 참여자들이 서로서로 모르는 것을 권장하기도 하는데, 왜냐하면 이를 통해서 더 정직하고 자발적인 표현이 가능하고, 더 광범위한 응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기존에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던 관계나 리더쉽의 패턴이 인터뷰에 개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Most researchers, although they would not disagree with the concept of homogeneity, recommend that participants should not know each other, thus encouraging more honest and spontaneous expression of views and a wider range of responses. It also prevents set behaviours relating to pre-existing relationships and patterns of leadership in the group (see Thomas et al. 1995). 


Kitzinger는 반대로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그룹을 활용하기를 주장했는데, 왜냐하면 이미 서로를 알고 있다는 것이 서로에 대한 코멘트를 해주기가 더 편하고, 그래서 상대의 의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Kitzinger (1994), on the other hand, advocates the use of pre-existing groups, as acquaintances could relate to each other’s comments and may be more able to challenge one another. 


개인적 경험으로는 민감하고 개인적인 문제일수록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그룹을 활용하는 것이 더 좋아보인다. 왜냐하면 구성원간에 이미 어느 정도 신뢰가 깔려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의견을 더 표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ersonal experience indicates that when exploring very sensitive and personal issues the use of pre-existing groups might be advantageous, as there is already an extent of trust amongst the members of the group, which will encourage the expression of views.


기존에 있던 그룹을 활용하든, 새롭게 그룹을 형성하든, 그룹 촉진자(facilitator) 또는 조절자(moderator)의 역할이 무시되어서는 안된다. 참가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관계를 잘 조절함으로써 서로를 몰랐던 참가자들도 편하게 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감정과 생각,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어야 한다. 

Regardless of whether a pre-existing or newly-formed group is used, the important role of the group facilitator or moderator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Krueger, 1994; Burrows & Kendall, 1997). A skilful moderator, as well as being able to manage the existing relationship, coul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participants who do not know each other feel relaxed and encouraged to engage and exchange feelings, views and ideas about an issue. 


촉진자난 조절자와 별도로, 서기는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집단 역학의 영향을 기록하고, 관점의 변화나 교환, 토론의 주제에 따른 영향을 살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언어적 자료의 분석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Apart from the facilitator or moderator a note taker should be present to observe non-verbal interactions, indicate the impact of the group dynamic, document exchanges of views and the general content of discussion and note which statement is made by which particular individual, thereby supplementing the oral text and enabling a fuller analysis of the data (Kitzinger, 1994, 1995).


FGI에 대한 또 다른 FAQ 중 하나는 FG의 숫자와 관련된 것이다. Krueger는 어떠한 분명한 패턴이 떠오르고, 추가적인 FG에서 반복적으로 동일한 내용이 언급될 때까지 FGI를 반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몇몇 다른 연구자들은 (Krueger 자신을 포함해서) 간단한 연구 주제에 대해서는 세번이나 번 정도의 FGI면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Another frequently-asked question is about the number of focus groups. Krueger (1994) suggests continuing with running focus groups until a clear pattern emerges and subsequent groups produce only repetitious information (theoretical saturation). However, several authors, including Krueger (1994), suggest that for a simple research question the number of focus groups necessary may only be three or four (for a full discussion of this issue, see Burrows & Kendall, 1997).


이상적인 참가자 수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Krueger과 Casey는 6명에서 8명 사이를 추천하는데, 작은 그룹에 더 큰 잠재력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6명에서 10명 정도의 숫자가 적당한데, 왜냐하면 충분히 다양한 관점을 얻어야 하면서도, 무질서해지거나 분절화(fragmented)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The optimum number of participants for a focus group may vary. Krueger & Casey (2000) suggest between six and eight participants, as smaller groups show greater potential. However, the number generally suggested as being manageable is between six and ten participants; large enough to gain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small enough not to become disorderly or fragmented.


이러한 그룹에 대한 연구 경험을 떠올려 볼 때, 자신감이나 자존감이 낮은 참가자는 그룹 토의에 잘 참여하려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FGI는 참여자들이 이 FG라는 커뮤니티를 통해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불참자의 문제이다. 불참자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계획된 인원보다 10~25%정도 더 많은 참여자를 모집하는 것이 좋다. 참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리 모두가 동의하는 날짜를 얻어서 며칠 전에 다시 알려주는 것이다. 

Experience of researching these groups suggests that lack of confidence and low self-esteem often prevent these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a group discussion. Focus-group interviews could, therefore, be used as a vehicle to empower the participants from these communities. Another potential problem in using focus groups is the number of non-attenders. The recommendation is, therefore, to over-recruit by 10–25%, based on the topic and groups of participants. In order to maximise participation it is important to obtain an agreed date from the informants well in advance of the interviews and to remind them a few days before they start. 


각각의 그룹 인터뷰는 1~2시간 정도 소요되며, 주제와 그 복잡한 정도, 질문의 숫자, 참여자의 숫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Each group interview usually lasts approximately 1–2 h, based on the complexity of the topic under investigation, number of question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2004 Nov;63(4):655-60.

Focus-group interview and data analysis.

Source

School of Health and Policy Studies, University of Central England, Birmingham, UK. Fatemeh.Rabiee@uce.ac.uk

Abstract

In recent years focus-group interviews, as a means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have gained popularity amongst professionals within the health and social care arena. Despite this popularity, analysing qualitative data, particularly focus-group interviews, poses a challenge to most practitioner researchers. The present paper responds to the needs expressed by public health nutritionists, community dietitians and health development specialists following two training sessions organised collaboratively by the Health Development Agency, the Nutrition Society and the British Dietetic Association in 2003. The focus of the present paper is on the concepts and application of framework analysis, especially the use of Krueger's framework. It provides some practical steps for the analysis of individual data, as well as focus-group data using examples from the author's own research, in such a way as to assist the newcomer to qualitative research to engage with the methodology. Thus, it complements the papers by Draper (2004) and Fade (2004) that discuss in detail the complementary role of qualitative data in researching human behaviours, feelings and attitudes. Draper (2004) has provide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bases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Fade (2004) has describ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y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ng individual interview data. The present paper, using framework analysis concentrating on focus-group interviews, provides another approach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출처 : http://scienceroll.com/2012/08/15/a-cartoon-guide-to-becoming-a-doctor/)


<대충 요약>

- 모든 것이 좋다 vs 좋아하는 것이 없다. : 모든 과가 다 좋으면 가정의학과

- 성적이 나쁘다, 좋다, 완전 좋다

= 성적이 완전 좋은데...

- 외과 체질이면 : 정형외과, 성형외과, 신경외과, 일반외과, 비뇨기과

- 외과가 별로면 : 피부과, 안과, 영상의학과

= 성적이 그저그런데...

- 성격이 좀 Nerd 라면 => 병리과나 신경과

- 아이가 좋으면 => 소아과

- 아이는 그냥 딱 2분간만 좋으면 => 산부인과

- 자는 아이만 좋으면 => 마취과

- 아이는 냄새나! => ADHD가 있으면 응급의학과, 잠에 대한 것도 따져보고, 성격도 따져보고 온갖 것 다 따져봤는데도 모르겠다면 내과.

= 성적이 나쁜데...

- 사람을 좋아하고, 직접 만지는 것도 좋으면 => 재활의학과

- 사람을 좋아하는데, 만지기는 싫다면 => 정신건강의학과



<감상>

- 성적 좋은 외과 성향 학생에게 일반외과, 비뇨기과 추천하는 것만 빼면 우리나라하고 많이 비슷한 것 같기도.....

- 산부인과는 우리나라 상황이 상황인만큼 비교가 힘들고..

- ADHD 있으면 응급의학과...에서 푸흣.











빈도주의 : 

- 만약 우리가 f값을 안다면(실제로는 모르지만), 설문 결과로 얻게 될 F는 얼마가 될 것인가?

- 200명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다면, 그 결과값 F는 95%의 확률로 33%와 48%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베이지안

- 만약 F라는 데이터가 주어진다면, 참값 f는 얼마가 될 것인가?

- 200명을 대상으로 '단 한 번의' 설문조사를 해서 F=40%라는 결과를 얻었다면, 참값 f는 95%의 확률로 33%와 48%사이에 위치할 것이다. 



Last time we derived the Frequentist result that when f=40%, if you repeatedly conduct surveys of N=200 people, then 95% of those surveys will produce values for F that are between 33% and 48%, which was our definition of F being "close" to f.

The Frequentist answers a subtly different question: if we knew f(which we don't), what would the survey result F be likely to be? So I drew it with a backward pointing arrow instead.


In contrast, the Bayesian result says: given that you actually conducted one survey of N=200 people in which you measured F=40%, then the true value f is 95% likely to be between 33% and 48%.

The Bayesian approach directly answers our question: given the data F, where is the true f likely to be? So I drew it with a forward arrow in the diagram. 



(출처 : http://meandering-through-mathematics.blogspot.kr/2011/05/bayesian-probability.html)




베이지안 확률론(Bayesian probability)은 확률을 '지식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확률론이다. [1] 확률을 발생 빈도(frequency)나 어떤 시스템의 물리적 속성이라고 여기는 것과는 다른 해석이다. 이 분야의 선구자였던 18세기 통계학자 토마스 베이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어만(Earman 1992)에 따르면 베이지안 확률에는 두 가지 시점이 있는데 그 하나는 객관적 관점에서 베이지안 통계의 법칙은 이성적 보편적으로 증명될 수 있으며 논리의 확장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주관주의 확률 이론의 관점으로 보면 지식의 상태는 개인적인 믿음의 정도(degree of belief)로 측정할 수 있다. 많은 현대적 기계 학습 방법은 객관적 베이지안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다. 베이지안 확률은 확률에 대한 여러 개념 중 가장 인기있는 것 중의 하나로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이론에 많이 응용된다. 어떤 가설의 확률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전 확률을 먼저 밝히고 새로운 관련 데이터에 의한 새로운 확률값을 변경한다베이즈 정리는 이러한 확률의 계산에 있어 필요한 절차와 공식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Bayesian probability is one of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probability and belongs to the category of evidential probabilities. The Bayesian interpretation of probability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e branch of mathematical logic known as propositional logic that enables reasoning with propositions whose truth or falsity is uncertain. To evaluate the probability of a hypothesis, the Bayesian probabilist specifies some prior probability, which is then updated in the light of new, relevant data.[1]

The Bayesian interpretation provides a standard set of procedures and formulae to perform this calculation. Bayesian probability interprets the concept of probability as "an abstract concept, a quantity that we assign theoretically, for the purpose of representing a state of knowledge, or that we calculate from previously assigned probabilities,"[2] in contrast to interpreting it as a frequency or "propensity" of some phenomenon.

The term "Bayesian" refers to the 18th century mathematician and theologian Thomas Bayes, who provided the first mathematical treatment of a non-trivial problem of Bayesian inference.[3] Nevertheless, it was the French mathematician Pierre-Simon Laplace who pioneered and popularised what is now called Bayesian probability.[4]

Broadly speaking, there are two views on Bayesian probability that interpret the probability concept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objectivist view, the rules of Bayesian statistics can be justified by requirements of rationality and consistency and interpreted as an extension of logic.[2][5] According to the subjectivist view, probability quantifies a "personal belief".[6] Many modern machine learning methods are based on objectivist Bayesian principles.[7] In the Bayesian view, a probability is assigned to a hypothesis, whereas under the frequentist view, a hypothesis is typically tested without being assigned a probability.


Bayesian methodology [edit]

특징 

In general, Bayesian method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concepts and procedures:

  • The use of random variables to model all sources of uncertainty in statistical models. This includes not just sources of true randomness, but also uncertainty resulting from lack of information.
  • The sequential use of the Bayes' formula: when more data become available after calculating a posterior distribution, the posterior becomes the next prior.
  • For the frequentist a hypothesis is a proposition (which must be either true or false), so that the frequentist probability of a hypothesis is either one or zero. In Bayesian statistics, a probability can be assigned to a hypothesis that can differ from 0 or 1 if the true value is uncertain.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Bayesian_probabilit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