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nterventions do rural doctors think will increase recruitment in rural areas: a survey of 2778 health workers in Beijing

Jinwen Wang1, Jianglian Su1, Huijuan Zuo1, Mingyan Jia2 and Zhechun Zeng1*







o 배경

¡ 세계적인 농촌 외딴 지역의 의료인력 부족 문제로 인하여 global health-care goal 달성이 어렵고, 건강 불평등도 커지고 있음. 중국에서도 도시-농촌간 불균형은 여전히 문제임.

¡ 중국은 거대 농경 국가이며 13 인구 중에서 6.7억명의 인구가 농촌에 거주중임. 1949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도입하여 모든 인민을 농촌 거주자와 도시 거주자로 분리하였음. State Council 도시와 시골의 공식 정의에 대한 규정을 발표함.

¡ 중국은 도시와 시골의 이중(dual) 경제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으며 수입, 문맹률, 의료서비스 접근성 다양한 측면에서 지역의 차이가 존재함.


¡ 면허소지의사(licensed doctor) 대한 법률 있으며, 도시 지역에서 대부분의 의사들은 5년제 학사학위 소지자로서 면허를 가지고 있음. 그러나 대부분의 농촌 의사들은 qualified doctor로서의 면허를 가지고 있지 않음. 도시 의사와 달리 농촌 의사들은 public fund에서 봉급을 받지 않으며 사회보장(social insurance) 받지 못함. 이들은 직업적 장래와 수련 기회도 열악함.

¡ 농촌 의사들은 사람들을 빈곤(impoverished)해지는 것으로부터 막아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 이들이 비록 기술적으로 훌륭하지 않고 좋은 기구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들이 제공하는 일차의료서비스는 비용을 절감시켰으며 농촌 사람들에게 적절한 시기의 치료를 제공했음.

¡ WHO 연구진은 외딴 지역의 의료인력을 확충하기 위한 가지 구체적 조언을 하였는데, 예를 들면 재정적 인센티브를 준다거나, 수련 프로그램을 만든다거나, 근무 조건을 향상시키는 등이 있음.

¡ 중국 정부는 도시와 농촌간 건강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고, 2003년에는 New Cooperative Medical Scheme (NCMS)이라는 농촌 거주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건강보험제도를 시작함. 또한 농촌 의사들을 위한 특별 보조금(special government allowance) 도입함. 2006년부터는 농촌 의사들을 위한 대규모 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함.

¡ 이러한 프로그램에 많은 재정이 투입되었으며, 프로그램이 확장되어 일부 효과를 나타낸 것도 있었으나 이들 전략에 대한 효과(impact) 아직 부족하며, 농촌 지역에는 여전히 많은 의사가 부족한 실정임.


o 결과

¡ 2778명의 베이징의 농촌 의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실시한 결과를 보면, 농촌 의사들은 일반적으로 평균연령이 높았으며, 7.23%만이 면허를 소지하고 있었음. 농촌 의사의 53% part-time 으로 일하고 있었으며, 농촌 의사들은 training strategy 부적절하다고 응답함. 농촌지역에 의사를 모집하기 위해 가장 좋은 전략은 소득과 퇴직연금을 타겟으로 전략이라고 답함.

 





o 결론

¡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농촌지역 의사 모집에는 재정적 인센티브(봉급 인상) 비재정적 인센티브(근무환경 개선)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중국의 경제 체제가 변하는 과정에서(economic transition) 연금 시스템은 농촌의 농부들보다 도시 근로자에게 훨씬 높게(high coverage rate) 책정되었음.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것의 영향을 받았을 .


¡ 농촌 의사들이 어디서 근무할 것인지에 영향을 주는 것에는 소득 요인도 있음. 농촌 의사 중에서도 qualified doctor 수입이 높음에도 일부 qualified doctor 부업으로 농사를 짓고 있음.


¡ 중국의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농부들이 자유 이주권을 제한하였고, 시스템하에서 농촌 의사들은 농부로 분류되어서 도시 의사들이 누리는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음.


¡ 다른 연구들이 적절한 수련을 통해서 의사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의사를 모집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연구에서 나타난 바로는 그러하지 않음. White 등은 농촌 외딴 지역 의사들의 자신감을 높이는데 medical training 대단히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음. 연구에서 현재의 수련 시스템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일부 의사들도 있었으나 2/3 의사들은 젊은 의사들을 모집하는데 별로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함. 이러한 결과는 중국의 문제가 다른 나라의 문제보다 복잡함을 시사함.

 







 2013 Aug 21;11(1):40. doi: 10.1186/1478-4491-11-40.

What interventions do rural doctors think will increase recruitment in rural areas: a survey of 2778 health workersin Beijing.

Abstract

BACKGROUND:

A shortage of health professionals in rural areas is a major problem facing China, as more than 60% of the population lives in suchareas.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by the government to improve the recruitment of rural doctors. However, the inequitable distribution of doctorsworking in China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asons for the poor recruitment and to propose possible strategies to improve the situation.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9 and November 2009 data were collected from 2778 rural doctors in Beijing, China. A quantitative survey was used to explore health workers' perceptions as to what factors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recruitment and whether access to training had been effective in increasing their confidence, enhancing their interest in practicing medicine and increasing their commitment to recruitment.

RESULTS:

Rural doctors were generally older than average in China. Of the 2778 participants, only 7.23% had obtained a license as a qualified doctor. For 53% of the rural doctors, the job was part-time work. The survey showed that rural doctors considered the training strategy to be inadequate. In general, the initiatives identified by rural doctors as being of most value in the recruitment of doctors were those targeting retirement pension and income.

CONCLU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rural doctors, specific initiatives that promised a secure retirement pension and an increased income were considered most likely to assist in the recruitment of rural doctors in Beijing.

PMID:
 
23964857
 
[PubMed - in process] 
PMCID:
 
PMC3765180
 

Free PMC Article

A COMPARISON OF METROPOLITAN AND RURAL MEDICAL SCHOOLS IN CHINA: WHICH SCHOOLS PROVIDE RURAL PHYSICIANS?

Lexin Wang

School of Biomedical Sciences, Charles Sturt University, Wagga Wagga, New South Wales, Australia





o 배경

¡ 농촌 의료취약지의 의사 부족 문제는 오래 전부터 여러 나라의 문제였으며 중국 역시 예외가 아님.

¡ 농촌 의료취약지 진료의 진입장벽(enter)으로는 이것에 대해 졸업생들이 가지고 있는 태도 인식적 장벽이 주요한 요인이며, 농어촌 의료취약지 진료의 지속 저해요인(retention)으로는 직무스트레스, 직업적 고립, 가정 이슈 등이 주요함.

¡ 농촌 지역의 의료인력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은 여러 가지로 모색되어왔는데, 재정적 인센티브나 대리의사제도 여러 제도가 있었고 성공여부는 다양했음.

¡ 농촌출신 또는 그러한 경험을 많이 학생이 결국 농촌에서 자리를 잡게 된다는 측면에서 농촌에 위치한 병원에 대한 노출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도 많이 시도되었음.

¡ 중국정부는 9억명에 달하는 농촌지역 인구를 위하여 농촌지역에 다수의 의과대학을 설립하였고, 농촌의사 양성 프로그램을 시도하였음. 연구에서는 도시지역(metropolitan) 위치한 의과대학과 농촌지역에 위치한 의과대학을 비교한 것임.

o 방법

¡ 12개의 도시지역 의과대학과 10개의 농촌의과대학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





o 결과

¡ 농촌지역 의과대학이 입학생 수와 졸업생 수가 모두 적음.

¡ 농촌지역 의과대학은 인근 지역에서 입학하나, 대도시 의과대학은 전국에서 입학함.

¡ 모든 농촌지역 의과대학은 농촌지역 의사를 양성하며, 의과대학은 256명의 졸업생 88(34.4%) 농촌지역에서 진료를 한다고 보고함.

¡ 12 도시지역 의과대학 10 대학에서는 전혀 농촌지역 의사를 양성하지 않으며, 나머지 2 의과대학은 73명의 졸업생이 농촌지역에서 진료함.





o 고찰

¡ 중국의 농촌지역 의과대학은 의사 부족 해소에 대해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음.

 




 2002 Apr;10(2):94-8.

comparison of metropolitan and rural medical schools in China: which schools provide rural physicians?

Abstract

To compare the role of metropolitan and rural medical schools in the provision of rural physicians, a survey was conducted in 12 metropolitan and 10rural medical schoolsRural medical schools enrolled fewer students (P = 0.019), and produced fewer graduates (P = 0.023) than metropolitanmedical schools. Students in rural medical schools were mainly from surrounding regional cities and counties, whereas those in metropolitan schoolswere from cities nationwide (P < 0.001). All rural medical schools produced rural physicians; one rural school reported that of its 256 graduates, 88 (34.4%) entered rural practice. Ten of the 12 metropolitan medical schools did not produce any rural physicians, whereas the remaining twometropolitan schools registered a total of 73 graduates who selected a rural practice lo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ural medical schools may play a key role in overcoming the shortage of physicians in rural communities in China.

PMID:

 

12047503

 

[PubMed - indexed for MEDLINE]


HEALTH SERVICE DELIVERY IN CHINA: A LITERATURE REVIEW

KAREN EGGLESTONa, LI LINGb, MENG QINGYUEc, MAGNUS LINDELOWd and ADAM WAGSTAFFd,*

aUCLA International Institute, Los Angeles, CA, USA bChina Center for Economic Research, Peking University, Beijing, China c Centre for Health Management and Policy, Shandong University, Jinan, China dThe World Bank, Washington, DC, USA


o 의료불균형과 의료접근성 (Affordability, disparities and access)

¡ 의료비용지출이 인구당소득(per capita income)이나 물가(prices)상승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서, 1990년과 2002 사이에 도심지역에서는 8, 농촌지역에서는 7 상승하였음. 또한 GDP 의료비용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1980 3.17%에서 2003 5.65% 증가하였음.

¡ 이러한 비용의 증가는 평균적인 수입의 증가, 질병 양상(caseload) 변화, 새로운 기술의 도입 등이 주요 원인임.

¡ 빠르게 증가하는 비용과 함께 확실한 것은, 중국의 빈민들에게 있어 정도의 비용은 감당할 없는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이로 인해서 중국의 보건의료시스템은 농촌 지역과 도심 지역 사이에 의료시스템의 활용 결과(outcome) 엄청난 격차를 가져왔음.

 






 2008 Feb;17(2):149-65.

Health service delivery in China: a literature review.

Abstract

We report the results of a review of the Chinese- and English-language literatures on service delivery in China, asking how well China's health-care providers perform and what determines their performance. Although data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suggest caution in drawing conclusions, a critical reading of the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current health service delivery in China leaves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quality, responsiveness to patients, efficiency, cost escalation, and equity.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se problems will not be solved by simply shifting ownership to the private sector or by simply encouraging providers -- public and private -- to compete with one another for individual patients. By contrast, substantial improvements could be (and in some places have already been) made by changing the way providers are paid -- shifting away from fee-for-service and the distorted price schedule. Other elements of 'active purchasing' by insurers could further improve outcomes. Rigorous evaluations, based on richer micro-level data, could considerably strengthen the evidence base for service delivery policy in China.

PMID:

 

1788002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China’s human resources for health: quantity, quality, and distribution

Sudhir Anand, Victoria Y Fan, Junhua Zhang, Lingling Zhang, Yang Ke, Zhe Dong, Lincoln C Chen






o 배경

¡ 지난 30년간 중국의 경제개혁은 전례 없는 경제와 가계소득의 성장을 가져왔으며, 절대빈곤수준을 감소시켰음. 그러나 이러한 성장의 과실이 평등한 사회 개발에까지 온전히 분배된 것은 아니며 보건 분야에서의 불평등은 많은 대중의 불만을 야기했음. 정부는 보건의료시스템의 개혁을 위해서 가지 주요 전략을 시도하고 있음.

¡ 어느 국가에서든 보건의료시스템의 개혁은 가지 자원을 필요 하는데, 하나는 재정 자원이고, 다른 하나는 물적 자원(physical)이며, 마지막 가지는 인적 자원. 보건의료인력이 전체 예산에 부분이며, 보건시스템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명백하기에 중국 개혁의 성패는 적절한 보건의료인력을 양성하고 유지하는 것에 있음.

¡ 중국은 1950년대에 대규모 위생 캠페인을 통해서 현대 의학 종사자 시스템과 전통 의학 종사자 시스템을 통합시켰고, 기본 의료 서비스 확대를 위해서 para-professional 훈련시켰음. 1966년의 문화혁명 기간에는 맨발의 의사(barefoot doctor) 농촌에 파견하였고, 1998년에는 종합대학의 증설과 함께 3차교육 시스템을 확충하여 의사, 간호사, 공공보건교육을 늘려나갔음.





o 결과

¡ 다른 여러 국가와 달리 중국은 2005 간호사보다 의사의 수가 많았음 (190만명의 의사, 140만명의 간호사) 도심지역의 의사 밀도는 농촌지역의 2 이상이며, 간호사 밀도는 3 이상임.

¡ 대부분의 중국의 의사(67.2%) 간호사(97.5%) junior college secondary school level까지만 교육받았으며, 1998 이후 의학교육의 양적 확대가 있었음.

¡ 의사와 간호사 모두 지역간(inter-county) 불평등이 심각한데, 이는 within-province 차이가 between-province 차이보다 심한 편임.

¡ 지역간 불균형 원인의 1/3 이상은 도농간 불균형이며 이것이 지역간, 계층간 health outcome 차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2008 Nov 15;372(9651):1774-81. doi: 10.1016/S0140-6736(08)61363-X. Epub 2008 Oct 17.

China's human resources for healthquantityquality, and distribution.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se China's current health workforce in terms of quantityquality, and distribution. Unlike most countries, China has more doctors than nurses-in 2005, there were 1.9 million licensed doctors and 1.4 million nurses. Doctor density in urban areas was more than twice that in rural areas, with nurse density showing more than a three-fold difference. Most of China's doctors (67.2%) and nurses (97.5%) have been educated up to only junior college or secondary school level. Since 1998 there has been a massive expansion of medical education, with an excess in the production of health workers over absorption into the health workforce. Inter-county inequality in the distribution of both doctors and nurses is very high, with most of this inequality accounted for by within-province inequalities (82% or more) rather than by between-province inequalities. Urban-rural disparities in doctor and nurse density account for about a third of overall inter-county inequality. These inequalities matter greatly with respect tohealth outcomes across counties, provinces, and strata in China; for instance, a cross-coun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2000 census shows that the density of health workers is highly significant in explaining infant mortality.


Human resource governance: what does governance mean for the health workforc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vril D Kaplan1, Sarah Dominis1, John GH Palen1* and Estelle E Quain2






o 배경

¡ 보건의료시스템의 각각을 이루는 부분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서 ·저소득 국가(LMIC)에서 어떻게 인력부족이 시스템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음.

¡ 2010 Ranson 등은 LMIC 의료인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하는 21개의 질문을 선정하였음. 질문들은 regulatory, financial and organization mechanisms; and planning, policy development, and inter-sectoral collaboration 등과 같이 여러 분야에 걸쳐 있음.

¡ 연구는 20 국가의 Health System Assessment 분석을 통하여 8개의 거버넌스 원칙(strategic vision, accountability, transparency, information, efficiency, equity/fairness, responsiveness and citizen voice and participation) 걸쳐 보건의료인력 이슈를 살펴보았음.

  

o 방법

¡ 대상 국가 Health System Assessment 시기

- Angola 2010

- Antigua and Barbuda 2011

- Cote dIvoire 2010

- Dominica 2012

- Grenada 2011

- Guyana 2010

- Kenya 2010

- Lesotho 2010

- Mozambique 2012

- Nigeria 2009

- Senegal 2009

- St. Vincent and Grenadines 2012

- Southern Sudana 2007

- St. Lucia 2011

- St. Kitts and Nevis 2012

- Tanzania 2010

- Uganda 2011

- Ukraine 2011

- Vietnam (two provinces) 2009

- Zimbabwe 2010

 

o 결과

¡ 투명성(Transparency)

- 고용 정책

        • Ÿ 여러 국가에서 의료공급자의 봉급에 특정 지역에서 거주하기 위해서 필요한 비용, 직무 수행을 하기 위해 동기부여를 있는 요인 등이 고려되지 않고 있었음. 케냐, 레소토, 나이지리아, 베트남 등은 직급(level) 테뉴어에 따른 봉급 스케일을 적용하고 있었음.
        • Ÿ 일반적으로 봉급 수준이 일반 대중에 자동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관련 자료를 얻는 것도 쉽지 않았음. 예외적으로 베트남만이 2002 이후 관련 자료를 쉽게 얻을 있게 되었음(widely available)
        • Ÿ 많은 국가에서 농촌 외딴 지역의 필수의료서비스 제공은 지역사회의 의료인력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그들에게 적절한 보상/직업적 승진에 대한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음.

¡ 효율성(Efficiency)

- 인센티브

        • Ÿ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의료인력에게 donor project 통해 보조 수입을 제공하고 있었음.
        • Ÿ 앙골라, 케냐, 레소토, 모잠비크 등의 국가는 농촌 지역 근무에 대해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음.

¡ 평등성(Equity/Fairness)

- 농촌과 도시의 입학생·졸업생

        • Ÿ 많은 국가에서 농촌과 도시의 의료인력 불균형이 있음.
        • Ÿ 조사 대상 20개국 가이아나의 HSA만이 농촌지역 출신 학생들에게 우선권을 준다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생은 도시 출신이었음




 2013 Feb 15;11(1):6. doi: 10.1186/1478-4491-11-6.

Human resource governance: what does governance mean for the health workforc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bstract

BACKGROUND:

Research on practical and effective governance of the health workforce is limited. This paper examines health system strengthening as it occurs i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health workforce and governance by presenting a framework to examine health workforce issues related to eight governance principles: strategic vision, accountability, transparency, information, efficiency, equity/fairness, responsiveness and citizen voice and participation.

METHODS:

This study builds off of a literature review that informed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that describes linkages and assigns indicators between governance and the health workforce. A qualitative analysis of Health System Assessment (HSA) data, a rapid indicator-based methodology that determines the ke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 health system using a set of internationally recognized indicators, was completed to determine how 20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e operationalizing health governance to improve health workforce performance.

RESULTS/DISCUSSION:

The 20 countries assessed showed mixed progress in implementing the eight governance principles. Strengths highlighted include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financial flows from sources to providers by implementing and institutionalizing the National Health Accounts methodology; increasing responsiveness to population health needs by training new cadres of health workers to address shortages and deliver care to remote and rural populations; having structures in place to register and provide licensure to medical professionals upon entry into the public sector; and implementing pilot programs that apply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centives as a means to increase efficiency. Common weaknesses emerging in the HSAs include difficulties with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health workforce policies that outline a strategic vision for the health workforce; implementing continuous licensure and regulation systems to hold health workers accountable after they enter the workforce; and making use of health information systems to acquire data from providers and deliver it to policymakers.

CONCLUSIONS:

The breadth of challenges facing the health workforce requires strengthening health governance as well as human resource systems in order to effect change in the health system. Further research into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interventions that enhance the link between thehealth workforce and governance are warranted to determine approaches to strengthening the health system.

PMID:
 
23414237
 
[PubMed] 
PMCID:
 
PMC3584723
 

Free PMC Article


One hundred and eighteen years of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are there any lessons for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Till B.arnighausen*, Rainer Sauerborn

Department of Tropical Hygiene and Public Health,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Heidelberg, INF 324, 69120 Heidelberg, Germany







o 배경

¡ 많은 수의 저소득·중소득 국가들은 사회건강보험(Social Health Insurance, SHI) 도입을 고려하고 있음.

¡ SHI 1883 독일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도입 이후 지금까지 독일 시스템을 분석함으로써 다른 국가들을 위한 교훈을 도출할 있음.


o 결론

¡ 소규모의, 비공식적, 자발적 건강보험제도를 활용하여 재정 운영과 재정 견고성(solidarity) 대해 학습할 있으나, 전국민에 대한 보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이들 제도를 공식화하고 강제할 원칙을 도입해야 . 일단 일부 인구를 대상으로 건강보험이 도입되면 다른 지역과 인구집단에 대한 점진적 확대가 용이해짐.

¡ SHI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요구, 가치, 경제적 상황에 맞추어 적절한 복리후생제도(benefit package) 뒤따라야 .

¡ 다원적(pluralistic) SHI제도에서 재정이 병합(merge)된다면 위험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함.

¡ 자치(self-governance) 방식은 국가적 규제 또는 시장의 규제를 대신하여 보건시스템을 분권화/민주화 시키고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음.

¡ 행위별수가제 시스템 내에서 정치적 압력 또는 기술적 수단(technical mean)으로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는 공급자의 행동을 규제할 있다면 비용을 절감할 있음.





 2002 May;54(10):1559-87.

One hundred and eighteen years of the German health insurance system: are there any lessons for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Abstract

A number of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LMICs) are considering social health insurance (SHI) for adoption into their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or striving to sustain and improve already existing SHI schemes. SHI was first introduced in Germany in 1883. An analysis of the German system from its inception up to today may yield lessons relevant to other countries. Such an analysis, however, is largely lacking, especially with regard to LMICs.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gap. For each of the following lessons, it considers if and under which conditions they may be of relevance to LMICs. First, small, informal, voluntary health insurance schemes may serve as learning models for fund administration and solidarity, but in order to achieve universal coverage government action is needed to formalise these schemes and to introduce a principle of compulsion. Once compulsory health insurance exists for some people, incremental expansion of coverage to other regions and social groups may be feasible to achieve universality. Second, in order to ensure sustainability of SHI, the mandated benefit package should be adapted incrementally in accordance with changing needs, values and economic circumstances. Third. in a pluralistic SHI system equity, as well as risk pooling and spreading, can be enhanced if funds merge. The optimal number of funds, however, will depend o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SHI system as well as on other objectives of the system, including choice and competition. A risk equalisation scheme may prevent the adverse effects of risk selection, if competition between insurance funds is introduced into the system. Fourth, as an alternative to both state and market regulation, self-governance may serve as a source of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as well as a means of decentralising and democratising a health care system. Finally, costs can be successfully contained in a fee-for-service system, if cost-escalating provider behaviour is constrained by either political pressure or technical means.



The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to health and health system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critical review of major primary care initiatives

Margaret Elizabeth Kruk a,*, Denis Porignon b, Peter C. Rockers a, Wim Van Lerberghe b a University of Michigan School of Public Health, Ann Arbor, MI, United States

b Department for Health System Governance and Service Delivery,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o 배경

¡ Alma Ata선언으로부터 30년이 지났으며, 이후 ·저소득 국가들에서는 일차의료 확장이 보건의료서비스 확대의 핵심 전략이 되었음. 새천년개발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다시 한번 일차의료를 강화(redouble)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


o 결과

¡ 대다수의 일차의료 프로그램이 의료전달체계, 재정 개혁, 지역사회 강화 등의 여러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

¡ ·저소득 국가에서 일차의료에 초점을 건강 이니셔티브(health initiatives) 합리적인 비용으로 의료접근성을 향상시켰음.

- 브라질, 코스타리카 : 경제적으로 열악한 지역을 선정하여 일차의료 이니셔티브 진행하여 빈부간 접근성 격차 줄임.

- 멕시코 : 빈민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행

- 이란, 라틴아메리카, 스리랑카 :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 태국 : 농촌지역에 일반의(generalist physician) 확충, 농촌 건강보험 제공, 농촌 진료소 확충하여 빈민층 아동의 사망률 떨어뜨리고, 빈부간 격차 줄임.

- 스리랑카 : 만성질환 증가를 보건의료재정이 따라가지 못하여 농촌 지역의 만성질환 관리에 문제 생기고 농촌의 빈민들이 비용을 지불하고 개원가(private clinic) 방문을 하게 .

¡ 일차의료 프로그램이 유아 사망률을 낮추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빈부 격차에 따른 사망 격차도 좁혀 주었음.

¡ 일차의료는 여러 국가에서 보건의료시스템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이라 있음.






 2010 Mar;70(6):904-11. doi: 10.1016/j.socscimed.2009.11.025. Epub 2010 Jan 19.

The contribution of primary care to health and health system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 critical review of major primary care initiatives.

Abstract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Declaration of Alma Ata. During that time, primary care has been the central strategy for expanding health services in many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recent global calls to redouble support for primary care highlighted it as a pathway to reaching the health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 this systematic review we described and assessed the contributions of major primary care initiatives implemented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in the past 30 years to a broad range of health system goals. The scope of the programs reviewed was substantial, with several interventions implemented on a national scale. We found that the majority of primary care programs had multiple components from health service delivery to financing reform to building community demand for health care. Although given this integration and the variable quality of the available research it was difficult to attribute effects to the primary care component alone, we found that primary care-focused health initiative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have improved access to health care, including among the poor, at reasonably low cost. There is also evidence thatprimary care programs have reduced child mortality and, in some cases, wealth-based disparities in mortality. Lastly, primary care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platform for health system strengthening in several countri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how to optimize the delivery of primary care to improve health and achieve other health system objectives (e.g., responsiveness, efficiency) and to what extent models of care can be exported to different settings.

Copyright 2010 Elsevier Ltd. All rights reserved.





The Metrics of the Physician Brain Drain

Fitzhugh Mullan, M.D.









o 배경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은 지난 50년간 의사들의 대규모 이민으로 인해 혜택을 국가들이라고 있음. 이들 국가로 유입되는 의사들은 일자리를 찾으러 오는 의사들도 있지만 수련을 받기 위해서 오는 의사도 많음.

¡ 이러한 두뇌유출 대해서 많은 논의가 있었고 미국 내에서도 점차 해외에서 유입되는 의사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에 대해서 Institute of Medicine 이나 the Council on Graduate Medical Education (COGME) 등에서도 우려를 표한 있음.

¡ 선진국으로 이민을 의사들이 본국에 송금하는 금액과, 후에 이들이 본국에 설립할 진료 교육 연계시스템을 놓고 두뇌습득(brain gain)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체로 의료에 대한 국가간 격차가 커지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음.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다수의 해외 의과대학 졸업생이 근무하고 있음에도 이들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않았기에 논문에서는 위의 나라에 대한 의료인력 유입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




o 결과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의사 23~28%정도가 외국 의과대학 졸업생이었으며, 저소득국가가 전체 외국 의과대학 졸업생 40~75%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음. 중에서도 인도, 필리핀, 파키스탄 등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음.

¡ 영국, 캐나다, 호주에는 남아프리카에서 유입된 의사가 많았으며, 미국에는 필리핀에서 유입된 의사가 많았음. 가장 유출이 심한 20개국 9 국가가 사하라 이남 지역 국가이거나 캐리비안 지역 국가였음.








o 결론

¡ 여러 국가에서 두뇌유출은 이전에 식민지 지배 관계에 있던 것과 관련이 있었으며, 영어의 활용 또한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두뇌 유출 고소득의 영어권 국가로 이주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하나, 이러한 유출로 인해서 ·저소득 국가에는 의료 시스템적 공백이 심각해질 있음.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이들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국가교육에 투자한 자원도 있으며, 이들은 또한 능력있고 야망있는 인적자원이기도 .

¡ ·저소득 국가의 여러 의과대학은 서구의 영향을 받은 탓에 해당 지역이나 지역의 질환에 적합한 교육을 하고 있지 못하여 대학의 졸업생들이 본국에서의 기회에 만족하지 못하고 지역 문제와 관련된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하여서 해외로의 진로를 모색하게 .

¡ 외국 의사에 의존하는 경향이 모든 선진국의 특징은 아니며, 위의 4 국가를 제외하고 나머지 26 OECD국가 중에서는 3 국가에서만 10%이상의 해외 의과대학 출신 의사들이 근무중임(뉴질랜드, 스위스, 노르웨이) 스위스의 해외 출신 의사 60% 독일 출신이며, 노르웨이에서도 33% 독일 출신임. 사실상 스위스와 노르웨이에 있는 해외 의사 유럽 바깥 지역 출신 의사는 거의 없음. 프랑스와 일본은 각각 3% 1% 그침.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이 해외 의과대학 졸업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책을 도입한 적이 없음에도 이렇게 해외에서 유입된 의사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은 이들 없이는 의사 수가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

¡ 또한 이들 국가들은 의사 수를 늘려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 인력을 늘리기 위한 정책을 추진중이며, 이는 향후 가까운 미래에도 이러한 경향이 유지될 것임을 의미함.

 





 2006 Feb 2;354(5):528-30; author reply 528-30.

The metrics of the physician brain drain.

Comment on





Alma-Ata: Rebirth and Revision 2

Supporting the delivery of cost-eff ective interventions in primary health-care systems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Simon Lewin, John N Lavis, Andrew D Oxman, Gabriel Bastías, Mickey Chopra, Agustín Ciapponi, Signe Flottorp, Sebastian García Martí, Tomas Pantoja, Gabriel Rada, Nathan Souza, Shaun Treweek, Charles S Wiysonge, Andy Haines








o 배경

¡ 1978 134국의 대표들은 Alma-Ata 모여 일차 의료의 핵심 원칙 대해서 based on practical, scientifically sound and socially acceptable methods and technology made universally accessible through peoples full participation라고 선언하였음.

¡ 저소득 중소득 국가,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국가들을 보면 일차의료를 보면 상당한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고 새천년개발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멀어 보임.

¡ 관리와 재정상의 효과적 운영, 의료전달체계의 정비가 저소득·중소득 국가에서 시급한 문제임.


o 핵심 결론

¡ 의료공급자와 환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에 경제적 인센티브가 효과가 있으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도 나타날 있음.

¡ 사용자가 비용을 부담하게 되면 필수와 비필수(essential and nonessential) 의료서비스 사용이 모두 감소하나 사용자의 부담을 완전히 없애는 역시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함.

¡ 제공 업무의 이동, 의사나 간호사로부터 비전문직 공급자(lay provider) 제공 업무가 이동하는 것은 보장 범위를 넓힐 아니라 의료인력자원 부족을 해결 있는 방법이 수도 있음.

¡ 다수의 수직적 프로그램은 의료서비스 공급의 중복, 분절, 비효율을 야기할 있음.

¡ 예상되는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과 같은 향상 전략(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효과적이며 중요함.

 








 2008 Sep 13;372(9642):928-39. doi: 10.1016/S0140-6736(08)61403-8.

Supporting the delivery of cost-effective interventions in primary health-care systems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Abstract

Strengthening health systems is a key challenge to improving the delivery of cost-effective interventions in primary health care and achieving the vision of the Alma-Ata Declaration. Effective governance, financial and delivery arrangements within health systems,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are needed urgently in low-income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is overview summarises the evidence from systematic reviews of health systemsarrangement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evidence relevant to primary health care in such settings. Although evidence is sparse, there are several promising health systems arrangement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primary health care. However, their introduction must be accompanied by rigorous evaluations. The evidence base needs urgently to be strengthened, synthesised, and taken into account in policy and practice, particularly for the benefit of those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health care advances of recent decades.

Staffing remote rural areas in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A literature review of attraction and retention

Uta Lehmann*1, Marjolein Dieleman2 and Tim Martineau3

Address: 1School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the Western Cape, Bellville 7535, South Africa, 2KIT Development Policy and Practice, Royal

Tropical Institute, PO box 95001, 1090 HA Amsterdam, The Netherlands and 3Liverpool School of Tropical Medicine, Pembroke Pl, Liverpool, L3 5QA, UK






o 배경

¡ 의료 접근성에 대한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고, 여기에는 Millennium Developmental Goals 말라리아, 결핵, HIV/AIDS 같은 상위 우선순위 질병을 정복하기 위한 노력 등이 포함됨.

¡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균등한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필수적임.

¡ 보건의료인력(health workforce) 효율적인 의료서비스의 핵심이며, 동시에 저개발국가(resource-poor countries)에서는 보건의료인력이 가장 핵심적 문제이기도 .

¡ Joint Learning Initiative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보건의료인력 분포의 불균형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가장 어려운 국가(least afford it)에서 가장 심각함.

- 아시아 : 지구 인류의 절반이 분포하고 있는 아시아에서는 세계 보건의료인력의 30%만이 존재하는 상황임.

- 아프리카 : 가장 질병부담이 심각한 대륙이며, 보건의료인력의 요구와 적절한 분포가 필요함.


¡ 보건의료인력 분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는 것은 오래된 국제보건불평등 이슈이며, 저소득국가를 중심으로 상황은 악화되고 있음.

¡ 가장 심각한 문제 하나는 보건의료인력을 모집하고, 양성하고, 유지하는 일이며 낮은 임금, 열악한 근무환경, 감시감독의 부족, 열악한 시설 등등이 저개발국가에서 보건의료인력 문제를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임.

¡ 보건의료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는 국가 내에서도 다양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 도시와 농촌간의 불균형이 심각함.

- 방글라데시 : 개의 도심지역에 전체 의사의 35% 있는 반면, 지역에는 전체 인구의 14.5%만이 거주하고 있음.

- 가나 : 1997, 전체 의사의 87.2% 도시지역에서 근무하는 반면, 전체 인구의 66%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음.


¡ 심각한 인력분포 불균형으로 어떤 지역에서는 전혀 훈련받지 않은 인력이 배치되기도 .

¡ Padarath 등은 부의 위계에 따라 보건의료인력이 이동하게 되는 국제적 컨베이어 벨트 저소득국가에서 농촌지역, 외딴지역으로부터 도심지역으로 흐르고 있으며, 다시 저소득국가의 개인 사업(private sector)영역에서 고소득국가의 취약지(underserved area) 흐로고 있다고 비유했음.

¡ 이렇게 불평등의 수준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책입안자들과 관리자들은 농촌지역/외딴지역의 의료인력 유치(attraction) 유지(retention)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적절한 전략을 세우려면 우선 저소득 중소득 국가(MLICS) 맥락에서 외딴 지역의 보건의료인력의 유지와 관련된 요인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리뷰 논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전략과 유치·유지의 연결고리를 찾아보고자 .

¡ 유치와 유지에 대한 논의는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연결되는데, HRM 인력관리의 다양한 면을 포괄함. Buchan 봉급, 직무만족, 전망, 근무 비연관 이슈 등이 복잡한 관계를 이루고 있어서 인력을 모집하고 동기부여를 하는 단일한 해결책은 없다라고 말한 있음. 보건분야 전략의 성공 여부는 보건인력시장의 사회경제적, 정치적, 조직적 맥락과도 닿아있음.

¡ 다양한 요인들이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o 결과

o 일반 사항(Conceptual Framework)

- 외딴지역의 보건의료인력의 유치와 유지에 대해서 가지 상호연관된 요소들을 봐야 하는데, 가지는 외딴 지역에 머물기로 받아들이고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 다른 하나는 그러한 요인에 응답하는 정부의 전략.

- 다양한 이론과 모델이 존재

Ÿ Neoclassic Wage Theory : 경제적 인센티브와 고용가능성 따라서 결정이 달라짐.

Ÿ Behavioural Theories : 직무 만족을 중요한 요소로 강조

Ÿ Pull요인과 Push요인
Pull 요인 : 높은 봉급, 양호한 생활여건
Push 요인 : 낮은 임금, 열악한 생활여건

- 전략을 수립하고 분석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Push요인과 Pull요인은 국제적 환경/국내 환경/지역 환경/근무 환경/개인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생각할 있음.

- 고용자(employer)들은 근무 환경 수준에서 영향을 있으며, 정부(government) 지역 환경과 국내 환경 수준에서 영향을 있음.

 

- 외딴·농촌 지역의 유치 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개인 요인(Individual factors)

        • Ÿ 이것은 개인별 특징(연령, 성별, 결혼유무) 등에 따라서 달라짐.
        • Ÿ 개인 요인 생활 요인에 대해서 최근 일부 저소득 국가에서 이뤄진 연구가 보고되고 있음. 일반적으로 연령, 교육수준, 성별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소와 근무지를 이탈하는 원인의 상관관계는 모호함.
        • Ÿ 결혼 여부와 관련하여 근무지를 바꿀 의향과 결혼 여부도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일부 연구자들은 미혼자인 경우 근무지를 떠나고자 하는 의향이 높고 높은 이직률을 보인다고 보고한 있음.
          예시) 말레이시아 : 배우자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가정에 대한 책임이 미치는 여향이 컸음. 남성의 이직은 주로 경제적 원인에 의한 것인 반면, 여성의 이직은 결혼 또는 가정과 관련한 요인인 경우가 많음.
        • Ÿ 어떤 생활방식에 익숙한가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촌 지역에서 자라난 것이 영향을 주는가가 상당한 논쟁이 있음.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농촌 지역에서 자라난 것이 향후 농촌 지역사회로 돌아올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음.


- 지역 요인(Local factors)

        • Ÿ 개인 요인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결론이 분분하나, 일반적 생활환경과 관련해서는 어느 지역에서 근무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들이 공통적으로 보고되고 있음.
        • Ÿ 세계적으로 자택, 의료, 자녀교육 등의 환경이 열악한 것은 외딴 지역을 떠나는 주요 원인임. 또한 일반 생활환경 (상수도, 전기, 도로 교통)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

- 근무 요인(Work-related factors)

        • Ÿ 봉급(pay) 근무조건이 근무지 선택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문헌별로 결론이 다양함. 태국의 사례를 보면, 봉급을 높이는 것이 근무지 이탈과 (negative)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WHO에서 여섯 개의 아프리카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를 보면 24% 응답자만이 높은 봉급을 받기 위해서 근무지를 옮겼다고 응답하였음.
        • Ÿ 봉급과 관련된 이슈는 복잡한데, 일부 문헌에서는 요인을 소득 생성 가능성(ability to generate income)이라 해석하고 있음. 이는 부업, 절도(theft), 비밀리의 보수(under-the-table payment), 도심 지역에서의 개인 클리닉 운영 등을 소득수준 보전을 위해 활용되는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음.
          예시) 앙골라 : 1990년도 중반에 의사들은 시간의 개인 아르바이트로 일주일치 봉급을 있었음.
        • Ÿ Vujicic 등의 국제 연구에 따르면, 봉급 향상이 3배에서 15 사이인 경우에는 저소득 국가에서 고소득 국가로 이주하는 것에 대해 봉급이 미치는 영향이 일정 부분 무반응(unresponsive) 면이 있다고 보고한 있음.
        • Ÿ 근무 환경과 직무 만족도는 고소득 저소득 국가에서 유치와 유지에 중요한 요인인데, 북베트남에서 이뤄진 연구를 보면 동기부여를 하는 주요한 원인은 관리자, 동료의 긍정적인 평가, 지역사회의 긍정적 평가, 직장/소득/수련의 안정성인 것으로 보고된 있음.
        • Ÿ 지속 교육(continuing education), 경력 개발(professional advancement) 근무지 유지와 갖는 관계는 불분명함. 고소득 국가에서 이뤄진 많은 연구에서 근무지 이탈과 경력 개발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찾지 못했음. 그러나 아프리카 6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에서 전체 보건의료인력의 5%에서 20% 훨씬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음.

 

- 국가 환경(National environment)

        • Ÿ 앞에서 인용한 아프리카 6개국을 대상으로 연구로부터 국가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이민을 가는 주요한 원인으로 사회적 불안정성과 사회 갈등이 지적되었음.
        • Ÿ 급격하게 등장하고 있는 중요 요인 하나는 global health initiative 가지는 영향(i.e. Brain Drain). 이로 인한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는 않으나, 현재까지의 조짐으로는 국가보건을 강화하는 요인이라기보다는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국제 환경(International environment)

        • Ÿ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에서 국제적 맥락의 변화가 보건의료인력의 부족을 부추기는 요인이 되고 있는데, pull factor로서 높은 봉급, 나은 근무 조건, 안전한 근무 환경, 나은 교육 여건과 경력 개발 기회, 정치적 탄압으로부터의 해방, 언론의 자유 등이 지목되고 있음.
        • Ÿ 이러한 요인들이 모두 중요하긴 하지만, Padarath 등은 WHO에서 1970년대 후반 시행한 연구를 인용하며, 아무리 pull factor 강력하더라도 이민은 push factor 강력할 때에만 일어난다라고 주장하였음.

 






Ÿ o 외딴·농촌 지역의 유치 유지를 개선시키기 위한 전략

- 앞의 요인들을 고려할 정책 입안자들이 취할 있는 전략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음.

1. 기존에 알려진 유치·유지 요인을 활용함.
2. 숙련되었지만 유치·유지가 용이한 인력을 활용
3. 의료서비스전달체계의 특징을 바꿈, , 이상 공급하지 않음.
4. 대안적 의료서비스전달시스템을 개발함.


- 여기서는 1. 기존에 알려진 유치·유지 요인을 활용함 대해서 보고자 하며, 가지 전략을 취할 있음.

1. 농촌 진료를 위한 보건의료인력의 모집과 훈련
2. 인센티브와 의무근무 활용
3. 근무 조건의 개선
4. 생활 여건의 개선


- 1. 농촌 진료를 위한 보건의료인력의 모집과 훈련

        • Ÿ 예시) 태국 : 지난 40년간 보건의료의 불균형을 상당히 개선했는데, 모집과 수련을 적절히 결합한(rural recruitment in combination with rural location of training) 것이 주효하였음. 지역 내에서 모집되고 수련을 받은 인력이 지역에서 적응하였고 지역에서 거주할 준비가 되어있었음. 간호사, 조산사, 위생사 등과 같은 파라메딕들도 지역에서 모집하고 훈련시켜서 고향과 같은 지역으로 파견하였음.
        • Ÿ 에티오피아, 가나, 케냐의 사례에서 있듯 아프리카 국가의 많은 정부는 새로운 의과대학을 설립하여 문제중심, 학생중심, 지역사회기반의 의학교육을 활용하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 대한 단기, 장기 효과는 아직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음.
        • Ÿ 이러한 전략을 활용한 것을 보고한 연구는 많으나, 영향(impact) 장기적 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음.

Ÿ 2. 인센티브와 의무근무 활용

        • Ÿ 많은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인센티브와 의무복무를 활용하고 있음.
          • Ÿ 예시) 인도네시아 : 의무복무와 경제적 인센티브를 같이 활용하였음. 외딴 지역에서 근무하는 의사는 도시 지역에서 근무하는 의사보다 배의 봉급을 받으나, 이러한 차이는 도시지역의 추가적인 소득 기회로 인해서 거의 상쇄됨. 또한 전공과 수련(specialist training) 대한 국가 보조를 해주었는데 이러한 인센티브의 도입 외딴 지역의 학교 졸업생에서 특히 외딴 지역에 대한 근무 준비도가 높아졌음.
          • Ÿ 예시) 태국 : 공공보건부(Ministry of Public Health) 학생을 모집하여 등록금, 생활비, 주거비, 학습자료 등을 거의 전적으로 지원해주고, 졸업 후에는 주로 외딴 지역에서 공공보건서비스에 대한 의무복무를 시킴.
          • Ÿ 예시) 남아프리카공화국 : 보건부는 의무복무와 경제적 인센티브를 도입하여 보건의료인력 분포의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하였음. 경제적 인센티브가 일부 보건의료인력에게 단기적 차원의 진로 계획에는 영향을 주었으나, 대부분의 농촌 병원의 인력 문제는 여전히 그대로임.
          • Ÿ 예시) 잠비아 : 농촌 지역 외딴 지역에 의사를 모집하기 위한 종합 패키지 전략(봉급, 주거, 학비, 차량, 교육) 시도하였고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음. 비용이 많이 들긴 하였으나 외국 거주자를 활용하는 것보다는 훨씬 들었음.
        • Ÿ 많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특히 의사에 대해서 의무복무 제도를 활용해왔음 (멕시코, 에콰도르 ) 졸업생들이 스스로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은 외딴 지역에서 근무하는 경험을 수행하였음. 그러나 농촌 진료의 경험이 지역에서 진료를 지속할 것인가와의 상관관계는 밝히지 못했음.
        • Ÿ 일부 연구자들은 의무복무 프로그램은 강제하기 어렵다는 점과 행정적 역량과 정치적 의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하고 있음. 또한 성공여부는 넓은 시스템적 맥락에 달려있다고 주장하기도 .


Ÿ 3. 근무 조건의 개선

        • Ÿ 근무 조건 개선, 직무 만족 향상의 효과에 대한 근거는 많지 않음.
        • Ÿ 파푸아뉴기니와 필리핀 등에서 이뤄진 연구를 보면, 적절한 관리감독이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을 향상시켰으며, 비슷한 결과가 다른 연구에서도 나타난 있음.


Ÿ 4. 생활 여건의 개선

        • Ÿ 삶의 질과 특정 지역에서의 생활 지속 여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연구들은 많으나 실제로 활용된 바는 많지 않음.
        • Ÿ 예시) 태국 : 태국은 예외적인 경우로 농촌지역의 일반적 사회기반시설(도로, 통신, 상수도, 라디오 ) 확충한 있는데 Nitayarumphong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심지역과 차이가 커서 의료인력 분포 불균형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인정한 있음.

 








Staffing remote rural areas in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A literature review of attraction and retention

Uta Lehmann, Marjolein Dieleman, and Tim Martineau


Abstract

Background

Many countries in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today suffer from severe staff shortages and/or maldistribution of health personnel which has been aggravated more recently by the disintegration of health systems in low-income countries and by the global policy environment. One of the most damaging effects of severely weakened and under-resourced health systems is the difficulty they face in producing, recruiting, and retaining health professionals, particularly in remote areas. Low wages, poor working conditions, lack of supervision, lack of equipment and infrastructure as well as HIV and AIDS, all contribute to the flight of health care personnel from remote areas. In this global context of accelerating inequities health service policy makers and managers are searching for ways to improve th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staff in remote areas. But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strategies firs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decisions to accept and/or stay in a remote post,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mid and low income countries (MLICS), and which strategies to improve attraction and retention are therefore likely to be successful. It is the aim of this review article to explore the links between attraction and retention factors and strateg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organisational diversity and location of decision-making.

Methods

This is a narrative literature review which took an iterative approach to finding relevant literature. It focused on English-language material published between 1997 and 2007. The authors conducted Pubmed searches using a range of different search terms relating to attraction and retention of staff in remote areas. Furthermore, a number of relevant journals as well as unpublished literature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While the initial search included articles from high-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the review focuses on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About 600 papers were initially assessed and 55 eventually included in the review.

Results

The authors argue that, although factors are multi-facetted and complex, strategies are usually not comprehensive and often limited to addressing a single or limited number of factors. They suggest that because of the complex interaction of factors impacting on attraction and retention, there is a strong argument to be made for bundles of interventions which include attention to living environments,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They further explore the organisational location of decision-making related to retention issues and suggest that because promising strategies often lie beyond the scope of human resource directorates or ministries of health, planning and decision-making to improve retention requires multi-sectoral collaboration within and beyond government. The paper provides a simple framework for bringing the key decision-makers together to identify factors and develop multi-facetted comprehensive strategies.

Conclusion

There are no set answers to the problem of attraction and retention. It is only through learning about what works in terms of fit between problem analysis and strategy and effective navigation through the politics of implementation that any headway will be made against the almost universal challenge of staffing health service in remote rural area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