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ivation and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developing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Mischa Willis-Shattuck1, Posy Bidwell1, Steve Thomas*1, Laura Wyness2, Duane Blaauw3 and Prudence Ditlopo3



o 배경

¡ MDG 달성을 위해서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시스템 강화가 필요하며, 핵심은 동기부여된 의료인력 의료인력의 유지라고 있음.

¡ 아프리카에서는 HIV/AIDS 인해서 문제가 악화됨.

 

¡ 국제적 이주가 현재 문제의 핵심 원인 하나로 지적되고 있음.

¡ 간호사들은 전문직업적 발전, 나은 , 개인적 안위를 위하여 이주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아프리카에서만 $500M 이상의 돈이 궁극적으로 해외로 이민 의료인력의 양성(medical education) 소모되고 있음.

 

¡ 부유한 국가에서는 가난한 국가를 타겟으로 인력 모집이 손쉬운 해결책이 .

¡ 이로 인해 가난한 국가들의 상황은 악화되어 남은 인력의 업무량이 증가하고 동기가 저하됨.

 

¡ 일부 국가에서는 외국에 나간 의료인력이 본국으로 송금할 돈을 위해서 의도적으로 의료인력을 수출하는 경우도 있음(Filipino nurses) 그러나 본국으로 송금한 돈이 의료에 사용된다는 보장도 없을뿐더러, 경험많은 인력이 빠져나감으로서 본국의 의료시스템이 발전하는데는 오히려 악영향을 .

 

¡ 의료인력의 이민 문제는 국외로 빠져나가는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농촌에서 도시로, 공공 영역에서 사적 영역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문제가 .

¡ 개발도상국은 그들 자신의 의료시스템을 지키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

 

o 방법

¡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사용

¡ Motivation 정의 : 'an individual's degree of willingness to exert and maintain effort towards organizational goals

 

o 결과

¡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대상으로 연구들이 포함되었음

- Africa : Benin, Cameroon, Ghana, Kenya, Malawi, Mali, Senegal, South Africa, Tanzania, Uganda, and Zimbabwe

- Asia : Bangladesh, Jordan, Georgia, Kazakhstan, Malaysia and Vietnam

 

¡ 동기부여와 관련된 일곱 개의 요인

- Financial (in terms of salary or allowances)

- Career development (in regards to the possibility to specialise or be promoted)

- Continuing education (having the opportunity to take classes and attend seminars)

- Hospital infrastructure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health facility, in papers often described as 'work environment')

- Resource availability (refers to equipment and medical supplies that are necessary for health workers to perform their job)

- Hospital management (refers to having a positive working relationship with the management with whom the health workers work and with)

- Personal recognition or appreciation (either from managers, colleagues of the community)


¡ : Other themes included fringe benefits (e.g. housing and transport allowances) [21,22], job security [23,24], personal safety [25], staff shortages [21,26] and social factors, such as effect on family life [21,22].

 











 2008 Dec 4;8:247. doi: 10.1186/1472-6963-8-247.

Motivation and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developing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Abstract

BACKGROUND:

A key constraint to achieving the MDGs is the absence of a properly trained and motivated workforce. Loss of clinical staff from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is crippling already fragile health care systems. Health worker retention is critical for health system performance and a key problem is how best to motivate and retain health workers. The authors undertook a systematic review to consolidate existing evidence on the impact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centives on motivation and retention.

METHODS:

Four literature databases were searched together with Google Scholar and 'Human Resources for Health' on-line journal. Grey literature studies and informational papers were also captur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1) article stated clear reasons for implementing specific motivations to improve health worker motivation and/or reduce medical migration, 2) the intervention recommended can be linked to motivation and 3)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developing country and 4) the study used primary data.

RESULTS:

Twenty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y consisted of a mixture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Seven major motivational themes were identified: financial rewards, career development, continuing education, hospital infrastructure, resource availability, hospital management and recognition/appreciation. There was some evidence to suggest that the use of initiatives to improve motivation had been effective in helping retention. There is less clear evidence on the differential response of different cadres.

CONCLUSION:

While motivational factors are undoubtedly country specific, financial incentives, care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issues are core factors. Nevertheless, financial incentives alone are not enough to motivate health workers. It is clear that recognition is highly influential in healthworker motivation and that adequate resources and appropriate infrastructure can improve morale significantly.


Evaluated strategies to increas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Carmen Dolea,a Laura Stormonta & Jean-Marc Braicheta





o 배경

¡ 훈련받고 동기부여가 의료인력을 의료취약지에 배치함으로서 필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MDG 달성에 기여할 있음.

¡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의료인력 분포에 있어 지역적 불균형이 심각한데,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반면, 전체 간호인력의 38%이하, 전체 의사인력의 25% 이하만 지역에 배치되어 있음.


¡ 최근 년간 연구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의 관심은 농촌 외딴 지역의 의료인력 문제 해결책을 찾고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에 집중되고 있음. 이에 발맞추어 WHO역시 최근 관련 영역의 지식 기반을 확장하고 근거 중심의 세계적 권고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음.

¡ 문헌은 프로그램의 부분으로서 여러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평가하고자 하였음.

 

o Conceptual framework

¡  문헌은 농촌 외딴 지역 의료인력은 다음의 가지가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 (1) 의료인력이 특정 지역에 머물 것인가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 보건시스템 정책이 (1) 요인에 대응하는 정도

 

¡ 여러 가지 연구가 있으나 특정 retention 전략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많지 않음.

 

o Results

¡ 프레임워크를 설정하였으며, 정책이 영향을 있는 영역으로 가지를 정함.

- attractiveness of rural/remote areas for students and/or health works,

- recruitment/deployment,

- retention, and

- health workforce or health system performance.

- 앞의 프레임워크는 순서대로 수요 따라 모집 유지 생기고, 궁극적으로 보건의료의 질이 향상된다는 논리를 따르고 있음.

 

o 1) Attractiveness

¡  개의 문헌에서 attractiveness 대한 것을 다루고 있었으며, 대부분은 education intervention이었음.

¡ 선진국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

- 농촌 지역 출신의 보건의료인력이 농촌지역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높음

- 농촌 세팅에서의 임상 로테이션을 도는 것이 긍정적 영향을

- 농촌 의료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준비(교육과정 포함) 시키는 것이 흥미를 높임.

 

¡ 농촌 지역으로 자리를 옮기거나, 농촌 지역에 머물거나, 아니면 농촌 지역을 떠나는 것은 다른 것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음.

-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재정적 인센티브가 긍정적 영향(특히 간호사 그룹에서) 주었음

- CPD프로그램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호주의 예를 보면 농촌에서 오래 장기 근무하는 의사에게 재정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효과가 있음.

- 호주에서 농촌지역 GP 대한 개인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도 효과가 있었음.

- 미국에서 의과대학생들에게 농촌 진료 경험을 하게 하는 또는 장학금 정책을 시행한 것도 효과가 있었음.

 

o 2) Recruitment

¡ 미국에서 시행된 개의 다면적 교육 프로그램에서 농촌지역 진료를 선택하는 졸업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음.

¡ 호주의 bonding scheme에서도 농촌 진료를 하는 의료인력 증가를 유도했음.

¡ 그러나 외의 다른 연구에서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았는데, 예컨대 남아공의 의무근무 정책, 니제르의 재정 인센티브 정책, 말리의 농촌 의료인력 지원 정책 등이 있음.

 

o 3) Retention

¡ Retention 측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 있음 : 근무기간, 농촌 지역에 머무는 의사의 비율, 생존률, 이직률, 정착률 등등

¡  개의 연구에서 근무 기간(length of service) 보고했는데, 하나는 평균 15개월이라고 보고하였으며, 다른 하나(말리)에서는 평균 4년이라 보고하였음.

¡ 농촌지역에 머무는 의료인력의 비율을 보고한 연구에서의 결과는 편차가 큰데, 미국의 bonding scheme에서는 20% retention rate 보인 반면, 호주의 재정 인센티브 프로그램에서는 86%까지도 보이고 있음.

¡ Matsumoto 등이 보고한 사례를 보면, 일본의 자치의과대학은 농촌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의무복무 제도를 활용하고 있는데, 의무복무가 종료된 이후에도 70%이상의 졸업생이 6 이상 고향 지역에 남는 것으로 보고하였음.

¡ 의료인력의 생존률 평가하는 역시 가지 방법인데, Rabinowitz 등은 미국의 Physician Shortage Area Programme 졸업생의 2/3 이상이 11~16 이후에도 같은 지역에서 가정의학 진료를 하고 있음을 보고하였음.

 

o Impact

¡  개의 문헌에서 유지(retention) 전략 도입 이후 의료인력의 일부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고, 다섯 문헌에서는 직무만족도가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음.

¡  개의 문헌에서 의료서비스 전달의 향상에 대해 보고하였는데, 예컨대 의료의 , 전원(Referrals) 감소, 대기시간 감소 등이었음.

 

¡ 대부분의 개입방법이 attraction부터 performance까지 다면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 정책 입안자들은 정책을 도입하는 시점부터 도입하고자 하는 정책으로 기대하는 효과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해야 .

 





 2010 May;88(5):379-85. doi: 10.2471/BLT.09.070607.

Evaluated strategies to increas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Abstract

The lack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is a worldwide concern. Many countries have proposed and implemented interventions to address this issue, but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iveness of such interventions and their sustainability in the long run.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attract and retain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from an impact evaluation perspective. It reports on a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that have conducted evaluations of such interventions. It presents a synthesis of the indicators and method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rural retention interventions against several policy dimensions such as: attractiveness of rural or remote areas, deployment/recruitment, retention, and health workforce and health systems performance. It also discusses the quality of the current evidence on evaluation studie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more thorough evaluations to support policy-makers in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increase availability of health workers in underserved area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reaching the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MID:
 
20461133
 
[PubMed - indexed for MEDLINE] 
PMCID:
 
PMC2865654
 

Free PMC Article

Attraction, recruitment and distribution of health professionals in rural and remote Australia: early results of the Rural Health Professionals Program

Anna L Morell*†, Sandra Kiem†, Melanie A Millsteed† and Almerinda Pollice†




(출처 : http://www.aifs.gov.au/institute/pubs/factssheets/2011/fs201103.html)



o 배경

¡ 호주는 공공/개인 의료시스템이 Medicare라는 공통의 universal public health funding 의해서 운영되고 있음. WHO 따르면 호주 인구 전반의 건강 지표는 점차 좋아지고 있으나, 농촌 외딴 지역, Aboriginal 인구의 건강지표는 상대적으로 열약함.

¡ 이는 호주가 농촌 외딴 지역의 의료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도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점차 악화되고 있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WA Rural Health Professionals Program (RHPP)라는 프로그램을 도입함.

 

o The Rural Health Professionals Program

¡ RHPP 2012 1 시작되었고, 농촌과 보건의료 관련 인력(allied health professional) 분포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더불어 해외에서 인력을 모집하여 호주의 농촌 외딴 지역에서 근무할 있게 . 다만 개발도상국의 의료인력을 모집하지는 않음.

¡ 잠재적 후보자(potential candiate) 고용주(employer)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홍보(marketing) 활동이 이루어졌고, RWA 직원들이 candidate employer 매칭시켜주기 위해서 노력하였음.

 

¡ ASGC 시스템상의 외딴 지역(Remoteness Area) 배치하였음.

¡ 모집할 인력과 배치될 지역(position) 대해서 다음의 기준을 정했음.

- RA2~RA5 위치만 해당됨

- 후보자가 이미 농촌/외딴 지역에서 근무중이라면 농촌/외딴 지역으로만 가능함.

- 근무 position 일차의료를 50%이상의 수행하는 곳이어야 .

- 근무 position 0.4 Full Time Equivalent 이상이어야 .

- 후보자는 최소 12개월 이상 해당 position 근무할 의지가 있어야 .

- 후보자는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health profession에서 근무해야 .


o 결과

¡ 모집한 사람 69%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32.85세였음.

¡ 60% 국내에서 교육받았음.

¡ 간호사와 물리치료사가 각각 29% 21% 가장 많았음.

¡ 87% regional area, 13% remote area 배치되었음.

¡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게 이유는 재정적 지원이 가장 많았음(51%)

¡ 외딴 지역에 배치된 것과 상관관계를 갖는 요인은 국내에서 교육받음, 농촌 또는 외딴 지역 거주경험 있음, 간호사( 직종과 대비), 높은 이었음.

 

o 결론

¡ 연구는 호주의 농촌 외딴 지역에 모집되고 근무하게 인력에 대해 살펴보았음.

 

¡ 이러한 초기 결과로부터 향후 계획을 세울 있는데, 예를 들면 해외에서 교육을 받은 경우 외딴 지역에서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며, 나이 사람은 외딴 지역에서 근무하는 것을 조금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과거 연구 문헌을 살펴보면 농촌 외딴 지역에서 교육받은 경우에 그러한 지역에서 근무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HPP에서도 54% 과거에 농촌/외딴 지역 거주경험이 있다고 밝혔음.

¡ 그러나 반대로 46% 그런 지역에서 거주한 경험이 없고, 100명의 보건의료인력은 RHPP 지원에 따라 도시지역으로부터 농촌지역으로 이주해왔음.

¡ 향후 지속적인 평가가 중요하며, RHPP 통해 모집된 의료인력 뿐만 아니라, 그러한 지원 없이 자발적으로 농촌/외딴지역에서 근무하는 집단과의 비교도 필요할 것임.

 






 2014 Mar 6;12:15. doi: 10.1186/1478-4491-12-15.

Attractionrecruitment and distribution of health professionals in rural and remote Australia: early results of theRural Health Professionals Program.

Abstract

BACKGROUND:

Australians living in rural and remote communities experience relatively poor health status in comparison to the wider Australian population (Med J Aust 185:37-38, 2006). This can be attributed in part to issues of access to health services arising from difficulties in recruiting and retaining health professionals in these areas. The Rural Health Professionals Program is an initiative design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llied healthand nursing professionals in rural and remote Australia by providing case managed recruitment and retention support services. This paper reports on early analysis of available programme data to build knowledge of factors related to the recruitment and distribution of health professionals in rural andremote Australia.

METHODS:

Administrative programme data were collected monthly from 349 health professionals over the first 13 months of programme operation. These data were collated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software.

RESULTS:

Sixty-nine percent of recruits were women, and recruits had a mean age of 32.85 (SD = 10.92). Sixty percent of recruits were domestically trained, and the top two professions recruited were nurses (29%) and physiotherapists (21%). Eighty-seven percent were recruited to regional areas, with the remaining 13% recruited to remote areas. Among reasons for interest in the programme, financial support factors were most commonly cited by recruits (51%). Recruitment to a remote location was associated with being domestically trained, having previously lived in a ruralor remote location, being a nurse (as opposed to an allied health professional) and older age.

DISCUSSION:

The findings provide early support for a case managed recruitment programme to improve distribution of health professionals,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marketing and promotion of the programme. It is recommended that an outcome evaluation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programme on recruitment and distribution outcomes.

CONCLUSION:

The findings herein begin to address gaps in the literature relating to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distribution ofhealth professionals. While this provides some preliminary indication that case managed recruitment and retention programmes have capacity to improve distribution, further research and evaluation is required to confirm the impact of the programme on retention.

PMID:
 
24602181
 
[PubMed - in process] 
PMCID:
 
PMC3973976
 

Free PMC Article

What is a reasonable length of employment for health workers in Australian rural and remote primary healthcare services?

Deborah Jane Russell1,2,4 MBBS, MClinEpid, FRACGP, Research Fellow

John Wakerman1,3 MBBS, MTH, FAFPHM, FACRRM, Professor, Director

John Stirling Humphreys1,2 BA(Hons), DipEd, PhD, Emeritus Professor






o 배경

¡ 농촌 외딴 지역의 일차의료인력(PHC)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해당지역에 머무는 기간이 얼마나 되며, 무슨 요인에 의해서 달라지는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 현재로서는 retention 패턴에 대한 지식이 제한적이고, 다양한 지역적 맥락과 직종에 따른 PHC인력 배치의 기준(benchmarks) 부족함.

 

¡ 합리적인 근무유지 기간(reasonable length of stay) 기준선(benchmarks) 제시하기 위해서 크게 가지 전략을 활용함

-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PHC workforce-retention indicators and benchmarks;

- secondary analysis of existing Australian PHC workforce datasets; and

- a postal survey of 108 rural and remote PHC services,

 

o 결과 결론

¡ 문헌 조사와 이차 자료 분석으로부터는 유용한 자료를 얻을 없었으나, 일차 자료 분석을 통해서 지역과 직종에 따른 retention 차이를 있었음.

¡ 6달까지는 유사했으나 이후부터 24개월(2)까지의 차이가 컸으며, 자료를 근거로 임시적인 기준선을 제안하였음.

¡ 지역과 직종에 따른 의료인력 유지의 기준선은 경험적으로 계산될 있으며, 이를 통해 retention performance 높이고, 직원 교체(staff replacement) 따른 비용 절감의 기회로 활용 가능함.

 






 2013 May;37(2):256-61. doi: 10.1071/AH12184.

What is a reasonable length of employment for health workers in Australian rural and remote primary healthcare services?

Abstract

BACKGROUND:

Optimising retention of rural and remote primary healthcare (PHC) workers requires workforce planners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a reasonable length of employment and how this varies. Currently, knowledge of retention patterns is limited and there is an absence of PHC workforce benchmarks that take account of differences in geographic context and profession.

METHODS:

Three broad strategies were employed for proposing benchmarks for reasonable length of stay. They compris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PHC workforce-retention indicators and benchmarks; secondary analysis of existing Australian PHC workforce datasets; and a postal survey of 108 rural and remote PHC services, identifying perceived and actual workforce-retention patterns of selected professional groups.

RESULTS:

The literature review and secondary data analysis revealed little that was useful for establishing retention benchmarks. Analysis of primary data revealed differences in retention by geographic location and profession that took time to emerge and were not sustained indefinitely. Provisional benchmarks for reasonable length of employment were developed for health professional groups in both rural and remote settings.

CONCLUSIONS:

Workforce-retention benchmarks that differ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and profession can be empirically derived, facilitating opportunities for managers to improve retention performance and reduce the high costs of staff replacement. WHAT IS KNOWN ABOUT THE TOPIC?Health services located in small rural and remote locations are likely to continue to experience workforce shortages and high costs of recruitment.Health workforce retention is therefore crucial. However, effective rural health workforce planning and use of strategies to maximise retention of existing health workers is hindered by inadequate knowledge about baseline employment-retention patterns. WHAT DOES THIS PAPER ADD? Differences in health worker retention patterns by geographic location and profession are most evident after the first 6 months through until the end of the second year of employmentHealth worker-retention benchmarks that differ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and profession are proposed.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Benchmarking workforce retention in comparable health services can enable identification of best practice and the underpinning retention strategies. Workforce planners can use this, together with knowledge of baseline retention patterns and the high cost of staff replacement, to guide the design, timing and implementation of cost-neutral retention strategies.

PMID:

 

2349782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How evidence-based workforce planning in Australia is informing policy development in the retention and distribution of the health workforce

Ian F Crettenden, Maureen V McCarty, Bethany J Fenech*, Troy Heywood, Michelle C Taitz and Sam Tudman





o 배경

¡ 호주의 당면 과제

- The self-sufficiency challenge

- The demographic challenge

- The cost challenge

- The co-ordination challenge

- The distribution challenge

¡ HWA 설립의 과정

- 1995 AMWAC 설립

- 2000 AHWAC 설립

- 2006 AMWAC AHWAC 해체(ceased), 2010년까지 한시적 Taskforce 설립

- 2008 COAG National Partnership Agreement on Hospital and Health Reform 동의

- 2008 이와 동시에 HWA 설립 (HWA is an Australian Commonwealth statutory authority and reports to the Standing Council on Healthc (SCoH).)

¡ HW2025 프로젝트의 목적

- 현재의 문제는 국가 수준의 문제이며, HW2025 국가 수준에 초점을

- 미래 의료인력 정책과 개혁의 방향의 토론을 위한 토대 마련

 

o 연구 목적

¡ 어떻게 호주에서 근거중심 보건의료인력 계획을 활용하고 있는가

¡ HW 2025 project 원칙과 방법론

 

o 연구 방법 : Workforce supply 예측

¡ Dynamic stock and flow model 활용

¡ 개의 핵심 input

- 1) workforce stock (in 5-year age and gender cohorts);

- 2) domestic new entrants;

- 3) migration (permanent and temporary); and

- 4) net exits, which included all permanent and temporary flows out of the workforce.


o 연구 방법 : Workforce demand 예측

¡ Utilization method 활용

¡ 현재의 Service utilization pattern 기반하고 있으며 potential demand unmet demend 대한 가정은 없음

 


o 연구 방법 : 시나리오 분석

¡ 가능한 정책 옵션의 효과를 보여주기 위하여 Scenario analysis 활용

      • Ÿ Innovation and reform scenarios

        • Ÿ Productivity scenario
        • Ÿ Low demand scenario
        • Ÿ Workforce retention scenario (nurses only)
      • Ÿ Immigration scenarios

        • Ÿ Medium and high self-sufficiency scenarios
      • Ÿ Other impact scenarios

        • Ÿ High demand scenario
        • Ÿ Capped working hours scenario (doctors only)

¡ 기본 원칙

- Methodological robustness and coherency

- Use of national data

- Explicit assumptions

- Consultation and review processes

- Iterative process

 


o 결론

¡ HW2025 방법과 원칙의 가치

- 기존의 의료인력 계획은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기관(정부, 고용자, 전문직)에서 이루어졌으나 국가 수준의 그림을 얻지는 못하였음.

- 이전에도 국가 차원의 계획을 수립한 적은 있으나 각각의 전문과목 인력을 개별적으로 조사하였고, 시기적으로도 분절된 고립된방법이었음.

- 역사적으로 보건의료와 고등교육 sector 의료인력 계획 단계에서 서로 연결지어진 적이 없었음.


¡ 호주의 번째 핵심(major), 장기적 국가수준의 예측으로서 근거 중심의 접근을 통해서 하던대로 하는식은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음을 보여줌

¡ 의료인력 예측을 기반으로 미래 방향을 토론하는 기반이 있음.

¡ HW2025 한번 하고 마는(one-off)프로젝트가 아니며 HWA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킬 것임.

 





 2014 Feb 3;12:7. doi: 10.1186/1478-4491-12-7.

How evidence-based workforce planning in Australia is informing policy development in the retention anddistribution of the health workforce.

Abstract

BACKGROUND:

Australia's health workforce is facing significant challenges now and into the future. Health Workforce Australia (HWA) was established by the Council of Australian Governments as the national agency to progress health workforce reform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providing a skilled, innovative and flexible health workforce in Australia. HWA developed Australia's first major, long-term national workforce projections for doctors, nurses and midwives over a planning horizon to 2025 (called Health Workforce 2025; HW 2025), which provided a national platform for developing policies to help ensure Australia's health workforce meets the community's needs.

METHODS:

A review of existing workforce planning methodologies, in concert with the project brief and an examination of data availability, identified that the best fit-for-purpose workforce planning methodology was the stock and flow model for estimating workforce supply and the utilisation method for estimating workforce demand. Scenario modelling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possible alternative futures, and to demonstrate the sensitivity of the model to various input parameters. Extensive consultation was conducted to test the methodology, data and assumptions used, and also influenced the scenarios selected for modelling. Additionally, a number of other key principles were adopted in developing HW 2025 to ensure the workforce projections were robust and able to be applied nationally.

RESULTS:

The findings from HW 2025 highlighted that a 'business as usual' approach to Australia's health workforce is not sustainable over the next 10 years, with a need for co-ordinated, long-term reforms by government, professions and the higher education and training sector for a sustainable and affordable health workforce. The main policy levers identified to achieve change were innovation and reform, immigration, training capacity and efficiency and workforce distribution.

CONCLUSION:

While HW 2025 has provided a national platform for health workforce policy development, it is not a one-off project. It is an ongoing process where HWA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improve health workforce projections incorporating data and methodology improvements to support incremental health workforce changes.

PMID:
 
24490586
 
[PubMed - in process] 
PMCID:
 
PMC3922608
 
Free PMC Article


Right time, right place: improving access to health service through effective retention and distribution of health workers

Ian Crettenden1, Mario Dal Poz2 and James Buchan1,2*




¡ 호주가 가지고 있는 지역간 의료인력 분포의 문제는 다른 나라들도 익숙할 것임.

¡ 이러한 만국 공통의 HRH문제를 향후 시리즈로 게재 예정이며 2013 11 브라질 Recife에서 있는 Third Global Forum, 2013 11 호주 Adelaide에서 있을 HWA annual conference와도 시기가 맞음.

¡ 세계 모든 국가는 보건의료서비스의 접근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개의 핵심 요소가 있음.

- 효과적인 유지(retention) 전략을 활용한 부족 기술의 유지

- 가장 효과가 기대되는 곳에 대한 적절한 배치

¡ 보건의료인력 시장의 dynamic nature 감안하면 유지 배치 정책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보건의료인력 상황과 보건의료시스템의 우선순위에 맞춰져야 하며 정기적 효과 평가가 중요함

 

¡ 호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료인력의 유지와 배치는 중요한 의제이며 농촌 외딴 지역의 효과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를 달성하기 위해서 점차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또한 보건의료인력의 안정성 향상을 통해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도 있음.

¡ 이러한 관계는 모든 국가에서 현재 Universal Health Coverage(UHC) 달성하기 위한 논쟁에서 더욱 두드러짐. UHC 핵심 영역은 보건의료인력의 access, availability, acceptability이며, 다른 말로는 at the right time, in the right place라고 있음.

 

¡ 여러 국가에서 인센티브나 규제와 같은 전략을 시도하였으며 여러 전략들은 대개 가지로 분류됨교육 / 재정 인센티브 / 규제 / 서비스전달 재구성 (education; financial incentive; regulation; or service delivery reorganization)

¡ 여러 문헌에서는 지속적 향상이 있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함께 도입하거나(bundling), 다양한 전략을 연달아(sequencing) 도입할 것을 강조함. 또한 적절한 후속 평가가 없는 것을 한계로 지적함.

 

¡ HWA 국가 수준의 호주 보건의료인력의 기획/훈련/배치를 담당하는 연방 기구이며, 다양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HWA 역량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고, 보건의료인력의 배치를 개선하고자 노력중임.

¡ HWA 효과적인 유지와 배치 정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의사와 간호사 인력에 집중하고 있음. 배치 측면에서 HWA 농촌 외딴 지역의 보건의료인력 관련 핵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하에 움직이고 있음.

¡ HWA 현재 시도되고 있는 여러 수단들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작업은 OECD에서 OECD국가들의 의사의 지역 분포를 조사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음.  

¡ HWA 또한 간호사 인력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2013 Nov 25;11:60. doi: 10.1186/1478-4491-11-60.

Right timeright placeimproving access to health service through effective retention and distribution of healthworkers.

Author information

  • 1Health Workforce Australia, Adelaide, Australia. james.buchan@hwa.gov.au.

Abstract

This editorial introduces the 'Right timeRight placeimproving access to health service through effective retention and distribution of health workers' thematic series. This series draws from studies in a range of countries and provides new insights into what can be done to improve access to healththrough more effective human resources policies, planning and management. The primary focus is on health workforce distribution and retention.

PMID:
 
24274820
 
[PubMed - in process] 

Free full text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n resource constrained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Seble Frehywot1*†, Yianna Vovides2†, Zohray Talib1, Nadia Mikhail1, Heather Ross1, Hannah Wohltjen1,

Selam Bedada1, Kristine Korhumel1, Abdel Karim Koumare3 and James Scott1



o 배경

¡ 2006 WHO 57 국가에서 의사, 간호사 등을 포함하여 420 명의 보건의료인력이 부족하다고 발표하였음. 이들 국가 다수는 보건의료인력을 확충하고 취약지의 균등한 분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여러 국가에서 의과대학 입학생 숫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농촌 지역에 새로운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있음.

¡ 그러나 늘어난 의과대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에 있어서 가지 과제는 교육의 질을 유지하는 것인데, 교수의 숫자 한계가 있고, 경우 기존에 갖추어진 의과대학에서 신생 의과대학과 교수를 제공하거나 공유하는 방법을 생각할 있음. E-learning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신생 의과대학 외딴 지역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임.


o 결과

¡ E-learning 대한 문헌 중에서는 브라질, 인도,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문헌이 많았음.

¡ E-learning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58% 의사 교육에 활용되고 있었고 간호사, 약사, 치과의사 교육에 대한 것이 24%였음.

¡ E-learning 투자를 이유는 다양하였으나 교육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한 목표였음.

- 농촌지역의 E-learning

        • Ÿ 인도의 농촌 지역에서는 Christian Medical College Tufts University 협력하여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 훈련 시스템을 성공시킨 있음. 이에 따르면 원격학습의 파생효과로서 농촌지역에 의사 유지(retention) 향상되었음.
        • Ÿ 인터넷 접속이 제한적인 지역에서는 blended learning 방식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으며, 예컨대 모바일 e-learning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임상 훈련과 농촌지역 학생에 대한 지원을 시행한 연구가 있음.
        • Ÿ 의학교육에서 E-learning 다양한 형태를 띄고 있었는데 Blended learning 가장 흔한 형태였고, 뒤를 Computer assisted learning 잇고 있었음. 외에도 시뮬레이션과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기반 학습, e튜터와 e멘토 등이 있었음.

        • Ÿ 효과성을 평가한 69개의 문헌 35개는 e-learning 다른 방법간의 성과를 비교하였고, 34개는 e-learning 대한 학생과 교수의 태도를 질적연구로 조사하였음.

- 의료인력의 유지(retention) 향상에 대한 E-learning 효과성

        • Ÿ e-learning 보건의료인력 훈련의 장애요인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있음. 이상의 연구로부터 교수와 학생이 e-learning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더불어 보건의료와 관련한 해당 지역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개발도상국에서 보건의료 종사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고 평가하였음.
        • Ÿ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blended learning 통해 보건의료 종사자들이 기존에 다른 방법으로는 제공받을 없었던 professional development 제공함으로서 retention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음.

o 결론

¡ E-learning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는 수단이며, E-learning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많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교수들의 효과와 효율을 높일 있음.

¡ 그러나 e-learning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관이 일정 수준 이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인적 자원과 시설 자원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나, ·저소득 국가에서 이는 쉬운 일이 아님.

¡ E-learning 도입을 진행하기 전에 해야 질문

- 우리의 현재 위치는 어디인가?

        • Ÿ Is the institution ready to develop, implement, and maintain an e-learning program?
        • Ÿ What is the institutional buy-in for such a program to succeed (what does the institution plan to supply to support programmatic success?
        • Ÿ What infrastructure to support e-learning exists now and how reliable are those resources?

- 우리는 어디로 가고자 하는가?

        • Ÿ What exactly are we trying to accomplish with the adoption of e-learning into our curriculum? Is this being used to provide new educational material or is it being used to increase the outreach to more students and/or students in remote sites?
        • Ÿ What are the goals of the e-learning program both short-term and long-term?

- 어떻게 가고자 하는 곳에 도달했는가를 있을 것인가?

        • Ÿ What are the key indicators for success?

 










 2013 Feb 4;11(1):4. doi: 10.1186/1478-4491-11-4.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n resource constrained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bstract

BACKGROUND:

In the face of severe faculty shortages in resource-constrained countriesmedical schools look to e-learning for improved access tomedical educat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literature on e-learning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 and presents the spectrum of tools and strategies used.

METHODS:

Researchers reviewed literature using terms related to e-learning and pre-servic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in LMIC. Search terms were connected using the Boolean Operators "AND" and "OR" to capture all relevant article suggestions. Using standard decision criteria, reviewers narrowed the article suggestions to a final 124 relevant articles.

RESULTS:

Of the relevant articles found, most referred to e-learning in Brazil (14 articles), India (14), Egypt (10) and South Africa (10). While e-learning has been used by a variety of health workers in LMICs, the majority (58%) reported on physician training, while 24% focused on nursing, pharmacy and dentistry training. Although reasons for investing in e-learning varied, expanded access to education was at the core of e-learningimplementation which included providing supplementary tools to support faculty in their teaching, expanding the pool of faculty by connecting to partner and/or community teaching sites, and sharing of digital resources for use by students.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takes many forms. Blended learning approaches were the most common methodology presented (49 articles) of which computer-assisted learning (CAL) comprised the majority (45 articles). Other approaches included simulations and the use of multimedia software (20 articles), web-based learning (14 articles), and eTutor/eMentor programs (3 articles). Of the 69 articles that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tools, 35 studies compared outcomes betweene-learning and other approaches, while 34 studies qualitatively analyzed student and faculty attitudes toward e-learning modalities.

CONCLUSIONS: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s a means to an end, rather than the end in itself. Utilizing e-learning can result in greater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ile simultaneously enhancing facult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However, this potential of e-learningassumes a certain level of institutional readiness in human and infrastructural resources that is not always present in LMICs. Institutional readiness for e-learning adoption ensures the alignment of new tools to the educational and economic context.

How can medical schools contribute to the education,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rural physicians in their region?

James Rourkea





o 배경

¡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은 쉽지 않음. 여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충분하고 지속가능한 농촌 의료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정부와 의과대학의 협력이 필요함.

¡ 농촌 지역 의사의 모집과 유지에 있어서 의학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있으나 세계 대부분의 의과대학은 대도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의과대학생은 도심에서 풍요롭게 자란 경우가 많고 농촌의 보건의료 요구와 농촌의 경험은 거의 없음.

¡ 졸업 의사가 되어서도 거의 대도시에서 진료를 하게 되며 농촌으로 유입되는 의사는 거의 없음.

¡ 일부 대도시의 의과대학들은 농촌 지역 의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작은 도시에 위치한 일부 의과대학은 농촌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도 . 이들 의과대학의 졸업생들은 지역 지역에 대해서도 의료를 책임지기도 .

¡ 그러나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를 비룻한 개발도상국에서 많은 졸업생들은 본국의 농촌에서 자리를 잡기 보다는 선진국들의 유혹에 의해 선진국의 농촌 지역 의료에 종사하게 되는 경우도 많음.


o 사회적 책무

¡ 의과대학은 대학이 속해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책무가 있으며, 의과대학들이 지역의 의사인력 교육, 모집, 유지 등에 대해 가지는 역할에 대해 가지 근본적 질문이 있음.


¡ 농촌지역출신 학생

- 농촌지역 출신의 학생이 의과대학에 입학할 있을까? 농촌 의료인력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있어서 농촌지역에서 진료를 의사는 농촌지역에서 자랐을 가능성이 훨씬 높음.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에서 농촌지역 출신 학생들은 의과대학에서 소수에 불과함. 농촌지역 출신의 학생들도 평등한 기회를 부여받아야 .

- 정부와 의과대학은 협력적으로 일관된 정책을 추진해야

        • Ÿ Outreach education
        • Ÿ 다양성을 존중하는 입학정책
        • Ÿ 등록금과 장학금 제도

- 호주에서는 국가 정책과 인센티브에 의해 농촌 출신의 학생 비율이 배로 늘었음.

- 원주민이나 토착민도 중요한 인구집단이며 문화 차이와 이로 인한 오해 역시 장벽 하나임. 캐나다의 The Indigenous Physicians Association Association of Faculties of Medicine of Canada 협약을 통해 소속 집단의 입학생을 늘리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였음.


¡ 연관성을 갖춘 교육

- 의과대학 학생들은 농촌 지역의 맥락에 맞는 교육을 받고 있을까? 의학교육의 많은 부분이 전세계적으로 공통적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많은 부분이 맥락의존적이라고 있으며 농촌지역은 늘상 인구학적,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과는 차이가 있어왔음. 이러한 차이를 아는 것은 건강결정요인, 건강상태, 질병 유형 등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함.

- 농촌 진료 관련 교육과정을 농촌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그들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문제와 통합시켜서 경험할 있는 것이 중요하며, 농촌지역에서 근무하는 의사들은 많은 경우 의과대학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을 배운 바가 있음.

- 또한 이러한 경험을 긍정적인 경험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농촌 진료 관련 의학교육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travel logistics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같이 참여시키고 preceptor 훈련시키고 지원하는 것도 같이 고려되어야 .

- 일부 의과대학에서는 임상 로테이션을 길게 만들어서 학생들이 지역사회와 깊은 연결을 갖도록 하여 많은 이해를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 (University of Michigan Upper Peninsula Education Program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Flinders University Murray River Clerkship Project (Australia) and, more recently, the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Canada))


¡ 졸업 수련과정

- 졸업 수련과정에서 농촌 맥락에 맞는 수련을 받을 있을까? 농촌 지역에서 근무하는 의사들은 그렇지 않은 의사들보다 졸업 수련과정에서 농촌 진료에 대한 수련과정을 경험한 경우가 많음.

- 졸업 수련과정에서 농촌 진료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것은 이들이 농촌 진료를 하도록 유도하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농촌 진료에 실제로 필요한 지식과 술기를 가르치는 측면에서도 중요함. 특히 농촌과 도시의 일반 진료가 점차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성을 더한다고 있음.

- 이러한 인식이 늘어감에 따라서 농촌 일반 진료에 특화된 전공의 수련 직업 수련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있으며, Australian College of Rural and Remote Medicine 좋은 사례임.

- 지난 50년간 대도시에서의 진료는 분절화와 과도한 세분화가 진행되어왔으나, 농촌지역에서는 이러한 방식이 작동하지 않으며 지역을 담당하는 general specialist 반드시 필요함. 지역사회의 요구를 맞추기 위해서는 일반외과의, 내과의, 산과의, 소아과의, 정신과의 등을 지역의 general specialist로서 키워야 .

- 농촌에 초점을 교육에 있어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이 협력을 있는 가능성은 충분함.


¡ 전문직 개발

- 농촌 의사들이 적절한 전문직 개발을 이룰 있을까? 농촌 의사들은 폭넓은 지식과 능숙한 술기를 유지하고 개발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 농촌 의사들을 학생 전공의 교육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며, 농촌 의학교육 네트워크의 부분으로서 의과대학은 outreach leaning opportunities 제공할 있음.

- 여러 국가에서 농촌지역 의사들은 지속 의학교육(CME) 위한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그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음.

- 의과대학은 농촌 관련 교육과 연구를 통합함으로서 많은 기여를 있음.

 

o 농촌 진료에 이르는 파이프라인

¡ 진료에 이르는 파이프라인(pipeline to practice)라는 개념은 농촌지역을 위해서 일할 의사, 간호사를 비롯한 여러 보건의료인력에 모두 해당되는 말로서, 이것이 성공적이려면 파이프라인의 모든 부분이 , 협력적으로 작동해야 .

¡ 농촌 출신으로서 의과대학에 입학하는 학생의 비율을 늘리는 , 의과대학 기간 동안에 긍정적인 농촌 진료의 경험을 심어주는 , 전공의 수련 프로그램에서 농촌 진료를 포함하는 등은 농촌 진료에 대한 흥미와 적합한 지식·술기를 갖춘 의사를 키워낼 것임.

¡ 농촌 진료를 위한 의사를 모집하고 유지하는 것은 진료 환경, 보건의료 시스템, 경제적 요인 등등 여러 가지를 신경 써야 . 진료 관련 요인으로는 농촌 협동 진료소와 다학제간 지원이 가능한 병원 등이 있으며 정규 시간을 초과한 근무, 경력 개발을 위한 비용의 지원이 필요함. 또한 배우자의 직장, 자녀 교육과 안전 등도 중요한 이슈임.

¡ 농촌 의사들의 학회나 협회는 여러 중요하고 필수적인 이슈들을 해결하는데 핵심 역할을 있을 것임.

 





 2010 May;88(5):395-6. doi: 10.2471/BLT.09.073072.

How can medical schools contribute to the educationrecruitment and retention of rural physicians in theirregion?

Author information

  • Faculty of Medicine,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St John's, NF, A1B 3V6, Canada. dean.medicine@mun.ca









Integrated strategies to tackle the inequitable distribution of doctors in Thailand: four decades of experience

Suwit Wibulpolprasert*1 and Paichit Pengpaibon*2


Address: 1Deputy Permanent Secretary, Ministry of Public Health, Thailand and 2Office of Permanent Secretary, Ministy of Public Health, Thailand


Email: Suwit Wibulpolprasert* - suwit@health.moph.go.th; Paichit Pengpaibon* - ppaichit@pengpaiboon.th




o 배경

¡ 보건의료인력 분포의 불균형은 전세계적인 문제임

- 번째 형태 : 의사와 같은 전문직의 불균등한 분포. 가장 문제가 되는 .

- 번째 형태 : skill mix 불균형. 많은 나라들(방글라데시, 브라질, 중국, 파키스탄)에서 의사가 간호사보다 많음.

- 번째 형태 : 과도한 전문화

- 번째 형태 : 의료기관의 불균등 분포

- 다섯 번째 형태 : 성별 불균등

¡ 사회경제적, 보건의료시스템, 보건의료인력개발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얽혀 있으며, 행위별수가제, 중앙통제의 실패, 소득의 불균등과 같은 요인들은 점차 private sector로의 밀집을 가속화시키는 요임임.

¡ 반면 공공보건부분에 대한 투자는, 비용 제한, 케이스별 수가제 또는 인두제, 소득 분배의 개선과 효율적인 중앙통제 등은 보건의료인력이 농촌지역, 도심의 빈민, 공공의료서비스로 분포하게 유도하는 요인임.

¡ 따라서 의사 불균등 분포의 문제는 보건의료시스템 뿐만 아니라 사회의 전체적 불평등의 문제로 바라봐야 .

 

o 태국의 농촌 공공의료 시스템

¡ 태국의 전체 인구는 6230만명 정도로(2002 기준), 중저소득 국가이며, 65% 인구가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음. 75개의 province, 774개의 district, 81개의 subdistrict, 6297개의 commune (Tambons) 구성되어 있음.

¡ 태국의 의료시스템 개발에서 초기의 주요한 활동은 새로운 학교를 짓는 것이었으며, 번째 의과대학은 1888 설립되었고, 이후 간호대학, 치과대학, 약학대학 등이 설립되었음. 이들 기관의 졸업생은 주로 수도에 배치되었고, 당시 정부가 고수준(high-level) 보건의료인력을 만드는 비용이 상당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junior high school 졸업 1~2 정도의 수련을 받은 농촌 지역을 위한 저수준(lower-level) 의료인력도 양성하였음(조산사, 위생사 ).

¡ 1950년대까지는 모든 province 병원이 있었으나 초기 개발 시기에 의과대학생들은 졸업 공공보건부에 고용되어 일하는 조건으로 장학금 지원을 받았고, 장학금을 받지 않은 학생은 졸업 의과대학에 남았으며, 장학금을 받은 학생은 provincial hospital이나 일부 대형 농촌 병원에 배치되었음.

¡ 1977 이후의 농촌 보건 발전 정책은 농촌 공공보건서비스의 확대를 가져와서 2001 12월에는 728개의 district hospital 생겨서 district 95% 이상을 커버하였음. Provincial level에는 92개의 병원이 있었고, 25개는 500에서 1000병상 정도 규모로 지역 병원(regional hospital) 지정되었고, 나머지 병원 역시 150개에서 450 병상 규모였음.

¡ 공립대학을 졸업한 모든 전문직(간호사 제외) Ministry of University Affair 소속이며, 파라메딕과 간호사는 공공보건부 소속임. 2002 11개의 공립의과대학이 있으며, 개의 사립의과대학이 있고, 14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함.

¡ 공립의과대학을 졸업 하면 3년간 공공분야에서 근무해야 하며, Public doctor 개인적으로 진료를 수도 있고, 많은 의사들은 실제로 그렇게 . 그러나 개인 진료를 하지 않으면 250달러를 추가적으로 받음.


  

o 의사 분포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전략

¡ 농촌 보건 기반시설 확충

- 농촌의 보건의료인력 확충을 위하여 1979 태국 정부는 통합 국가 농촌 개발 프로젝트 일환으로 농촌 보건 개발(rural health development) 시작하였음.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시 지역 병원의 확충은 1982년부터 1986년까지 한시적으로 중단되었음.

- 자원이 농촌지역으로 몰리면서 농촌 district hospitals 수와 능력이 향상되었음. 전략으로 인하여 농촌 시설의 의료서비스 질과 접근성이 향상됨.

 

¡ 교육 전략

- 농촌 보건의료인력 모집, 훈련, 고향 배치

        • Ÿ 농촌 보건의료인력 모집과 훈련, 고향에 배치, 개인 진료 가능성의 제한 등이 효과를 보았으며, 전략은 현재에도 농촌지역 보건소 병원 인력 배치의 주요 전략(backbone). Province별로 모집한 이후(Provincial mechanism), provincial health office 계약을 하여 졸업 이후에 2 내지 4년동안 공공부문에서의 근무를 서약하게 .
        • Ÿ 의학교육에 이러한 전략을 사용한 것은 일정 부분 성공을 가져왔고, 1974 처음 시도되어 1980년대에도 지속적으로 확장되었음. 2/3 졸업생은 3년간의 의무복무 이후에도 농촌에서 근무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Ÿ 북동부의 의과대학에서 이뤄진 연구는 학생을 모집할 농촌지역에서 자란 학생들로만 제한하는 것이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줌. 시스템은 운영상의 문제로 대부분 의과대학에서 중단되었는데, 이후 농촌 출신 의과대학생의 비율은 1983 47%에서 1994 23%까지 떨어졌음.
        • Ÿ 1994 공공보건부는 국내 두뇌 유출(internal brian drain) 대응하여 농촌만을 위한 의사를 매년 300 양성하기로 하였음. 투명하고 참여적 방법을 통하여 학생을 선발하였고, 1995 30명으로 시작하여 2002 293명까지 늘어났음. 이로 인해서 농촌 출신 의과대학생의 비율은 1994 23%에서 2001 31.5% 다시 증가하였음.
        • Ÿ 1997 4, 폭발적 경제 성장(economic boom) 시기에 113명의 의무복무 중이던 의사가 벌금을 지불하고 의무복무를 사임(resign) 하였음. 당시 심층 조사를 통해서 농어촌 출신의, 지방 의과대학을 졸업한 졸업생들에서 사임률이 낮다는 것이 밝혀졌음. 호주나 미국 등에서도 농촌 모집과 훈련이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음.
        • Ÿ 지방 의과대학을 설립하는 역시 효과적인 방법이며, 반대로 대도시(central) 의과대학은 의사들을 대도시로 몰리게 하는 기능을 .

- 의학교육, 전공과목 수련, 전문의 요건 정비

        • Ÿ 의학교육 정비 : 1979 모든 의과대학은 district hospital에서 진료할 있는 졸업생을 배출해야 된다는 것을 명시함.
        • Ÿ 전공과목 수련 : 해외로 전공과목 수련을 위하여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1971 전공과목 수련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현재는 42 specialty board 존재함. 전공과목 수련 프로그램의 정원은 1997 이후로 동결된 상태임. 또한 대부분의 경우 수련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년간의 농촌진료 경력이 있어야 .
        • Ÿ 전문의 요건 정비 : 농촌 district hospital에서 5 이상 근무하면 board examination 응시할 있고, Certificate of Proficiency 받게 . 

¡ 전문직 배치 전략

- 농촌 보건의료인력 모집, 훈련, 고향 배치

        • Ÿ 보건소(health center) 수준에서의 기본 진료 역량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것은 중요하나, 여전히 35%에서 70% 환자들은 보건소(health center) 건너뛰고 district provincial hospital 선호함.
        • Ÿ 공급 확충 : 많은 사람들이 의사의 수를 늘리면 농촌지역의 의사 분포 역시 개선될 것으로 생각하지만 이러한 전략은 매우 비용이 많이 . 멕시코 등의 다른 국가에서도 의사의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분포가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의사가 과잉으로 공급되기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 있음.
        • Ÿ 태국에서 의료인력 양성을 확충한 것은 공공의료서비스의 확장과 외부 두뇌유출에 따른 것이었음. 1994 이후 내부 두뇌유출로 인하여 많은 공공병원은 퇴직한 의사를 고용하기 시작하였음.
        • Ÿ 일부 국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외국 의과대학 졸업생들을 수입함으로서 해결하고자 했음.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다른 나라의 의사 부족을 야기할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

 

¡ 재정적 전략

- 장학금 지원

        • Ÿ 의대, 치대, 약대, 간호대 학생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원한 공공분야에서 2년에서 4년간 근무하도록 . 농촌 보건시스템 개발 초기에 활용된 전략. 현재는 이상 존재하지 않음

- 의무 공공 근무

        • 1967 외부 두뇌유출에 대응하여 시작되었으며, 1972 졸업생이 배출되었음. 4년간은 자원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은 공공 기관에서 근무하는 것과 높은 학비를 내는 중에 선택할 있었음. 1972년부터는 의무사항이 되었음. 1980년과 1990 사이에 농촌 지역 의사 수를 늘리는데 주요하게 기여한 전략임.

- 경제적 인센티브

        • Ÿ 농촌 지역에서 진료를 하는 의사들에게 주는 인센티브 제도를 1975 도입하였음. 그러나 여러 인센티브 제도를 종합하여도 농촌지역에서 일하는 의사가 받는 봉급은 도심지역에서 근무하는 의사의 봉급보다 낮음. 또한 special allowance 단계로 나눠진 것도 여러 불평등을 야기하였음.

- 등록금 인상 농촌 진료를 이용한 Payback

        • Ÿ 물가인상을 반영하여 등록금을 올리자는 제안이 있었으며, 등록금을 부담할 없는 학생은 농촌지역에서 3년간 근무함으로서 면제받을 있음. 유사한 제도를 미국에서 활용한 사례를 보면 성공 수준이 다양함.

- 건강 재정 시스템 정비

        • Ÿ 2001 시작된 new Universal Coverage Health Insurance scheme 따라 capitation 기반한 재정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었음.

 

¡ 사회적 전략

- 사회적으로 인정해주는 것과 직무에 대한 만족은 중요한 요인임. 1970년대에 농촌지역에서 근무하게 의사는 다양한 실행적 문제를 맞닥뜨렸음. 관리자로서의 교육은 받은 적이 없었음에도 졸업 직후에 그러한 역할을 해야만 했음. 다양한 문제에서 압박이 거세졌고 1978 Rural Doctor Society 창립됨. 또한 1982년에는 Rural Doctor Foundation 창립됨. 농촌지역 근무 의사들의 사기와 의욕을 고취하고자 했음.

- 또한 사회적으로도 공공보건에 대한 지원이 늘어났음. 매년 hardship award 수여했고, the best rural doctor of the year 1976 이후 수상하였음. 일부 의과대학에서는 농촌 지역에서 우수한 활동을 펼친 동문에게 the model Thai of the year 같은 특별한 인정을 해주었음.

- 인력 관리와 실행 전략

        • Ÿ 3년의 의무복무를 마친 의사들은 선호하는 지역에서 자리를 잡을 있으며, 승진기회도 많아짐.
        • Ÿ 파라메딕, 장비, 시설, 주거, 교통, 통신과 같은 Logistic support 크게 향상되었음. 













 2003 Nov 25;1(1):12.

Integrated strategies to tackle the inequitable distribution of doctors in Thailandfour decades of experience.

Abstract

Inequitable distribution of doctors with high concentration in urban cities negatively affects the public health objective of Health for All. Thus it is one of the main concerns for most health policy makers,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strategies to solve inequitabledistribution of human resources for health (HRH)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by using four decades of experience in Thailand as a case study for analysis.









Review Article 

RURAL HEALTH CARE IN MALAYSIA

Kamil Mohamed Ariff1 and Teng Cheong Lieng2 

1Klinik Kamil Ariff, Perlis and 2International Medical University, Negeri Sembilan Darul Khusus,

Malaysia


o 일반 현황

¡ 말레이시아 인구는 2120만명이며, 44%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음.

¡ 낙후된(disadvantaged)농촌 지역사회, 특히 빈민, 여성, 유아, 영아, 장애인 등에 대해서 보건을 향상시키는 것이 우선순위였음.

¡ 보건부는 농촌 지역사회의 주요 의료공급자(main healthcare provider)이며,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s) 보조적인 역할을 .


o 농촌 보건 향상을 위한 시도와 한계

¡ 농촌 진료소간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농촌 거주민들은 현대 보건의료자원의 지원을 받고, 적절한 시설로 보내질(referral) 있었음. 기동대(mobile team), 왕진서비스(flying doctor service), 지역사회 건강증진팀(village health promoters) 등이 외딴 지역의 보건의료를 공급하였음.

¡ 농촌 인구의 보건상태는 크게 향상되었으나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농촌 사람들의 건강을 달성하는 수단으로 원격의료(telemedicine) 프로젝트를 시도하였음.

 

 



(출처 : http://www.featurepics.com/online/Malaysian-Rural-Scenery-823046.aspx)






 2002 Apr;10(2):99-103.

Rural health care in Malaysia.

Abstract

Malaysia has a population of 21.2 million of which 44% resides in rural areas. A major priority of healthcare providers has been the enhancement ofhealth of 'disadvantaged' rural communities particularly the rural poor, women, infants, children and the disabled. The Ministry of Health is the main healthcare provider for rural communities with general practitioners playing a complimentary role. With an extensive network of rural health clinics,rural residents today have access to modern healthcare with adequate referral facilities. Mobile teams, the flying doctor service and village healthpromoters provide healthcare to remote areas. The improvement in health status of the rural population using universal health status indicators has been remarkable. However, differentials in health status continue to exist between urban and rural populations. Malaysia's telemedicine project is seen as a means of achieving health for all rural people.

PMID:

 

12047504

 

[PubMed - indexed for MEDL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