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ly implementation of WHO recommendations for the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James Buchan,a Ian D Couper,b Viroj Tangcharoensathien,c Khampasong Thepannya,d Wanda Jaskiewicz,e Galina Perfilievaf & Carmen Doleag
o 배경
¡ 농촌과 도시의 보건의료인력 불균형은 거의 모든 국가의 문제임.
¡ 이러한 차이로 인해서 농촌에서는 mortality가 높아지고, 도시의 병원은 과밀해짐.
¡ 2010년 WHO는 이 문제에 대해서 다음의 두 가지를 행하였는데, 하나는 정부간 협의를 촉진시켰고, 다른 하나는 Global Task Force를 구성하여 16개의 근거 기반 권고안을 개발하였음.
o Policy analysis and mutual learning : Asia perspective
¡ APAA(Asia-Pacific Action Alliance)는 WHO의 권고안을 기반으로 정책을 분석하였음. Table 3와 같이 국가별로 여러 정책이 시도되었지만 일부는 공통적인 것도 있었음.
¡ 정책의 효과를 평가한 연구는 많지 않고, 개별 정책의 효과만을 분리하여 평가하기도 어렵고, 교란 요인도 있을 수 있지만 impact를 input-output-outcome과 구분하는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볼 수도 있을 것임.
o Policy analysis and mutual learning : Europe perspective
¡ 유럽에서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정책이 시도되었으나, 이들 시스템의 성공을 평가하기는 쉽지 않음.
¡ 여러 정책을 종합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반면, 이것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시도하고자 제안되는 것’과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사이의 격차가 큰 비용의 낭비를 가져올 수도 있음.
o 결론
¡ WHO권고안은 여러 국가에서 유용하게 활용됨. 그러나 여러 시도에서 배운 교훈을 공유할 수 있는 더 효과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며, 적절한 평가를 할 수 있어야 함. 다양한 정책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어떤 맥락적 요인이 작용하는지를 이해해서 ‘가장 효과적인 정책 조합’을 찾아낼 필요가 있음.
Early implementation of WHO recommendations for the retention of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Abstract
The maldistribution of health worker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a policy concern in virtually all countries. It prevents equitable access to healthservices, can contribute to increased health-care costs and underutilization of health professional skills in urban areas, and is a barrier to universalhealth coverage. To address this long-standing concer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issued global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rural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the health workforce. This paper presents experiences with local and regional adaptation and adoption of WHOrecommendations. It highlights challenges and lessons learnt in implementation in two countries -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and South Africa - and provides a broader perspective in two regions - Asia and Europe. At country level, the use of the recommendations facilitated a more structured and focused policy dialogue, which resulted in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more relevant and evidence-based policies. At regional level, the recommendations sparked a more sustained effort for cross-country policy assessment and joint learning. There is a need for impact assessment and evaluation that focus on the links between the rural availability of health workers and universal health coverage. The effects of anyhealth-financing reforms on incentive structures for health workers will also have to be assessed if the central role of more equitably distributed healthworkers in achieving universal health coverage is to be supported.
- PMID:
- 24347707
- [PubMed - in process]
- PMCID:
- PMC3853959
'Articles (Medical Education) > 농촌,취약지,공공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지역학생을 선발하면 농촌지역으로 갈까? (0) | 2014.05.26 |
---|---|
의과대학이 어떻게 농촌 의료인력의 교육, 모집,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 (0) | 2014.05.26 |
보건의료인력 안정성의 이점(benefit) (0) | 2014.05.16 |
개발도상국에서 보건의료인력의 Motivation과 Retention (0) | 2014.05.16 |
농촌 및 외딴 지역의 의료인력 모집과 유지를 위한 전략 평가 (0) | 201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