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n resource constrained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Seble Frehywot1*†, Yianna Vovides2†, Zohray Talib1, Nadia Mikhail1, Heather Ross1, Hannah Wohltjen1,
Selam Bedada1, Kristine Korhumel1, Abdel Karim Koumare3 and James Scott1
o 배경
¡ 2006년 WHO는 57개 국가에서 의사, 간호사 등을 포함하여 총 420만 명의 보건의료인력이 부족하다고 발표하였음. 이들 국가 중 다수는 보건의료인력을 확충하고 취약지의 균등한 분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한 결과로 여러 국가에서 의과대학 입학생 숫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농촌 지역에 새로운 의과대학을 설립하고 있음.
¡ 그러나 늘어난 의과대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에 있어서 한 가지 큰 과제는 교육의 질을 유지하는 것인데, 교수의 숫자 한계가 있고, 이 경우 기존에 잘 갖추어진 의과대학에서 신생 의과대학과 교수를 제공하거나 공유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음. E-learning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신생 의과대학 및 외딴 지역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임.
o 결과
¡ E-learning에 대한 문헌 중에서는 브라질, 인도,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문헌이 많았음.
¡ E-learning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58%는 의사 교육에 활용되고 있었고 간호사, 약사, 치과의사 교육에 대한 것이 24%였음.
¡ E-learning에 투자를 한 이유는 다양하였으나 교육 접근성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한 목표였음.
- 농촌지역의 E-learning
- 인도의 농촌 지역에서는 Christian Medical College와 Tufts University가 협력하여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 훈련 시스템을 성공시킨 바 있음. 이에 따르면 원격학습의 파생효과로서 농촌지역에 의사 유지(retention)이 향상되었음.
- 인터넷 접속이 제한적인 지역에서는 blended learning 방식을 제안한 연구들이 있으며, 예컨대 모바일 e-learning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임상 훈련과 농촌지역 학생에 대한 지원을 시행한 연구가 있음.
의학교육에서 E-learning은 다양한 형태를 띄고 있었는데 Blended learning이 가장 흔한 형태였고, 그 뒤를 Computer assisted learning이 잇고 있었음. 그 외에도 시뮬레이션과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웹 기반 학습, e튜터와 e멘토 등이 있었음.
효과성을 평가한 69개의 문헌 중 35개는 e-learning과 다른 방법간의 성과를 비교하였고, 34개는 e-learning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태도를 질적연구로 조사하였음.
- 의료인력의 유지(retention) 향상에 대한 E-learning의 효과성
- e-learning은 보건의료인력 훈련의 장애요인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네 개 이상의 연구로부터 교수와 학생이 e-learning의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더불어 보건의료와 관련한 해당 지역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개발도상국에서 보건의료 종사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고 평가하였음.
- 또한 다른 연구에서는 blended learning을 통해 보건의료 종사자들이 기존에 다른 방법으로는 제공받을 수 없었던 professional development를 제공함으로서 retention을 향상시켰다고 보고하였음.
o 결론
¡ E-learning은 그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는 수단이며, E-learning을 활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더 많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교수들의 효과와 효율을 높일 수 있음.
¡ 그러나 e-learning이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관이 일정 수준 이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인적 자원과 시설 자원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나, 중·저소득 국가에서 이는 쉬운 일이 아님.
¡ E-learning 도입을 진행하기 전에 해야 할 질문
- 우리의 현재 위치는 어디인가?
- Is the institution ready to develop, implement, and maintain an e-learning program?
- What is the institutional buy-in for such a program to succeed (what does the institution plan to supply to support programmatic success?
- What infrastructure to support e-learning exists now and how reliable are those resources?
- 우리는 어디로 가고자 하는가?
- What exactly are we trying to accomplish with the adoption of e-learning into our curriculum? Is this being used to provide new educational material or is it being used to increase the outreach to more students and/or students in remote sites?
- What are the goals of the e-learning program both short-term and long-term?
- 어떻게 가고자 하는 곳에 도달했는가를 알 수 있을 것인가?
- What are the key indicators for success?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n resource constrained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bstract
BACKGROUND:
In the face of severe faculty shortages in resource-constrained countries, medical schools look to e-learning for improved access tomedical educat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literature on e-learning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 and presents the spectrum of tools and strategies used.
METHODS:
Researchers reviewed literature using terms related to e-learning and pre-servic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in LMIC. Search terms were connected using the Boolean Operators "AND" and "OR" to capture all relevant article suggestions. Using standard decision criteria, reviewers narrowed the article suggestions to a final 124 relevant articles.
RESULTS:
Of the relevant articles found, most referred to e-learning in Brazil (14 articles), India (14), Egypt (10) and South Africa (10). While e-learning has been used by a variety of health workers in LMICs, the majority (58%) reported on physician training, while 24% focused on nursing, pharmacy and dentistry training. Although reasons for investing in e-learning varied, expanded access to education was at the core of e-learningimplementation which included providing supplementary tools to support faculty in their teaching, expanding the pool of faculty by connecting to partner and/or community teaching sites, and sharing of digital resources for use by students.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takes many forms. Blended learning approaches were the most common methodology presented (49 articles) of which computer-assisted learning (CAL) comprised the majority (45 articles). Other approaches included simulations and the use of multimedia software (20 articles), web-based learning (14 articles), and eTutor/eMentor programs (3 articles). Of the 69 articles that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tools, 35 studies compared outcomes betweene-learning and other approaches, while 34 studies qualitatively analyzed student and faculty attitudes toward e-learning modalities.
CONCLUSIONS:
E-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is a means to an end, rather than the end in itself. Utilizing e-learning can result in greater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ile simultaneously enhancing facult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However, this potential of e-learningassumes a certain level of institutional readiness in human and infrastructural resources that is not always present in LMICs. Institutional readiness for e-learning adoption ensures the alignment of new tools to the educational and economic context.
'Articles (Medical Education) > 농촌,취약지,공공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의 근거중심의 의료인력 계획 (Health Workforce Australia) (0) | 2014.05.16 |
---|---|
호주 사례 - 보건의료인력의 효과적 배치(Health Workforce Australia) (0) | 2014.05.16 |
의과대학이 어떻게 농촌 의료인력의 교육, 모집,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 (0) | 2014.05.16 |
의사 분포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전략(태국 사례) (0) | 2014.05.16 |
말레이시아의 농촌 보건(Rural Health Care in Malaysia) (0) | 2014.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