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s of Nature and Nurture in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Primary Care Physicians in Rural Area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obert G. Brooks, MD, Michael Walsh, Russell E. Mardon, PhD, Marie Lewis, MPH, and Art Clawson, MS







o 배경

¡ 미국 인구의 20%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나 해당 지역에서 진료를 하는 의사는 의사의 11% 불과함. 지난 20년간 의사 공급이 증가하였지만 오히려 일차의료 종사하는 의사는 감소하고 있고, 농촌지역에서 근무하는 의사는 증가하였지만, 도시와의 상대적 비율 측면에서는 감소하였음.

¡ 종합하면, 농촌지역에 의사를 모집하고 유지하는 것은 점차 어려운 일이 되고 있으며, 의과대학에 따라 일차의료 농촌지역에서 근무할 의사를 양성하는 정도의 차이가 크고, 농촌지역의 의료접근성이 해당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에 의사를 모집하고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 농촌 진료에 대한 의사의 선택과 관련하여,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데에 천성과 양육 무엇이 중요하냐의 질문은 매우 오래된 질문이며 여전히 논란이 진행중임.

- 천성이라 함은 의과대학 입학 전에 가지고 있던 요소라고 있으며 어떤 학생이 농촌 진료에 대한 높은 선호를 가지느냐를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데 중요함.

- 양육 의과대학 전공의 수련과정과 관련된 측면으로 학생들이 농촌 진료에 관심을 가질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

¡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음.









o 결과

¡ 농어촌에서 성장한 , 일차의료 전공과에 대한 선호 등과 같은 의과대학 입학전 요인이 농촌지역에 대한 의사의 모집(recruitment) 관련이 있었음.

¡ 수련 요인(농촌 진료 관련 교육과정과 해당 지역 로테이션(특히 전공의 기간)) 농촌 지역에 대한 의사의 유지(retention) 관련 있었음.





o 결론

¡ Geyman 등이 농촌 의료인력 양성의 길은 멀고도 복잡하다.라고 했으며, 농촌 의료인력에 대한 의사들의 관심에 대해서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사람들은 그들(의사, 의대생) 어떤 의학 교육을 받았는지 보다 그들이 어떤 성격(특징) 가진 사람이냐와 연관되어 있다.라고 주장하기도 . 또한 농촌지역에서 성장한 의사를 양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것을 고려하지 않는 정책은 실패하게 되어있다라고 말함.

¡ 반대로, 의과대학 입학 인구사회학적 요소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통제 연구는 제한적이며, 의과대학과 전문의 수련 시기에 농촌 진료에 대한 노출이 중요한 역할을 것으로 보고하는 연구들도 많음.

¡ Pathman 1996 정리한 리뷰에 따르면 대부분의 초기 연구들이 입학 학생들의 특징을 통제하지 못하였고, 결과 요인들에 의한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음. 또한 많은 보고된 연구들이 소수의 그룹을 대상으로 불완전한(less robust) 설계하에 연구를 수행하여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음.

¡  연구에서 리뷰한 논문들이 설계와 통제 측면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의과대학과 전공의 수련 환경이 학생의 최종적 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임. 물론 초반에 분야에 관심을 보였던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분야 진로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이나, 가정의학을 전공자 절반 이상은 의과대학 입학 시기에는 진로 선택 옵션으로 생각하지 않았음이 보고된 있음.

¡ 가정의학에 중점을 두는 의과대학의 졸업생이 분야 진로를 택하는 것은 명백해 보이며, 가정의학 전공자 높은 비율로 농촌 진료를 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와 별도로 일반 가정의학진료(general family practice) 강조하는 것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임.


¡ 여러 연구에서 농촌 보건 요소와 가정의학에 중점을 전공의 프로그램이 분야 전공자를 양성한다는 것을 지지하고 있으며, 농촌 진료에 대한 미션(rural missions) 표방하며 농촌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프로그램, 농촌지역 로테이션이 프로그램이 해당 의사를 양성할 가능성이 높음. 이들 중에서도 농촌 로테이션의 존재 여부와 길이가 유지(retention) 가장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정보들은 교육자들과 정책입안자들에게 대단히 중요함. 초기 모집에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로 다름.

- 농촌 지역 진료에 관심이 있는 지원자를 고르는 것이 의과대학 입학위원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 학생의 태도와 전공과 흥미에 대한 입학 설문조사를 하는 것이 도움이 있음.

- 일단 학생을 선발한 후에는 일차의료와 농촌 의료에 대한 양육적(nurturing)분위기가 형성되어야 . 농촌 진료에 특화된 트랙이나 농촌 진료에 대한 강조를 하는 모두 학생의 준비를 도와줄 있음.

- 전공의 프로그램에서 가정의학 진료를 강조하는 것은 의과대학 시기에 시행하는 로테이션보다 훨씬 효과가 좋음.

¡  리뷰에서는 학생 선발과 공식 훈련과정에 중점을 두었지만 전공의 수련 요소 역시 중요함. 일단 새로운 지역사회에 의사와 가정이 자리를 잡게 되면 지속적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것에는 전문직 관련, 생활 관련, 경제 관련 이슈들이 중요하게 작용함.

¡ 전문직 차원에서의 고립, 근무 시간, 적은 교육 기회, 낮은 경제적 보상 등이 모두 부정적으로 작용할 있으며, 이들 많은 것들이 의학교육자들의 영역 밖에 있음. 지역사회에 의사 뿐만 아니라 의사의 가족들을 함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농촌지역사회에서 생활에 대한 안내와 지역의 독특한 요구조건, 근무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 등등이 연구되어야 .

¡ 향후 전문직 고립(professional isolation) 막고 지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위해서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기간에 인터넷을 활용한 수련이 장려되어야 것임.

¡ 농촌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 그들을 위해 일하고자 하는 의사들이 필요로 하는 , 교육자와 정책입안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하여야 의료의 질을 높일 있음.

¡ 해결방안은 적합한 학생을 선발하고, 의과대학과 전공의 기간에 적합한 기회를 제공하여 농촌 일차의료에 맞도록 훈련시켜 배출해야 것임.

 









Effectiveness of financial incentives in exchange for rural and underserviced area return-of-service commitments: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Ian P. Sempowski, MD, CCFP(EM)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





o 배경

¡ 캐나다 인구의 1/3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나, 12.8% 가정의학과의사(family physician) 이들의 의료를 담당하고 있음. 재정적 인센티브는 농촌 취약지로의 회귀(Return-of-service, ROS) 유도하기 위한 가지 전략임.

¡ ROS프로그램의 일차적 목표는 농촌지역 의사 수급의 단기적 개선이며, Buyout option 있어서 의사가 때까지 받은 재정적 인센티브를 일정 수준의 이자와 함께 반납하거나 재정적 패널티를 받음으로서 의무로부터 벗어날 있음. 의과대학생들은 진로나 가족계획이 확립되기 전에 계약을 맺게 되므로 ROS 대한 능력 또는 헌신 정도가 변할 가능성이 있음.

¡ ROS프로그램의 번째 목표는 의무기간 이상을 넘어서서 의사들을 지역에 유지 정착시키는 것인데, 이것이 과연 프로그램에 현실적인 목표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음.

¡ 캐나다 의과대학생들의 부채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서 의사들의 인구학적 분포라든가, 전공의 선택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음. 미국은 캐나다보다 유사한 경험이 많기 때문에 federal National Health Service Corps (NHSC)라든가 state-based scholarship programs 등으로부터 배울 점이 있을 것임.

¡ 뉴질랜드에서 의과대학생의 부채는 진로 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골지역을 떠나게 만드는 요인으로 나타났음. 캐나다에서도 온타리오의 Under-serviced Area Program (UAP) 또는 알버타의 the Rural Physician Action Plan 지난 수년간 진행되어 왔음. UAP 이제는 등록금을 받지 않으며, 최소 3년간의 의무근무를 경우에 등록금 상환을 면제해줌(www.health.gov.on.ca).

¡ 연구는 ROS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관련 문헌을 리뷰하였음.


o 결론

¡ 주요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일부 미국 프로그램에서 확인된 높은 buyout rate에도 불구하고 모집(recruitment)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됨.

¡ 캐나다 의과대학의 등록금이 인상되고 의과대학생들의 부채가 늘어나는 것이 원인으로 보임.

¡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자발적으로 농촌지역 근무를 선택한 학생이 지역에 머물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이 나타났음.

¡ 재정적 인센티브에만 의존하는 프로그램보다 다면적 접근을 하는 프로그램이 성공적임.

¡ 대체적으로 단기 모집에 대한 목표는 달성하였으나, 장기적 유지 측면에서는 만큼 성공적이지 못함.


o 고찰

¡ 이상적으로는 이들 프로그램의 효과는 해당 지역의 건강 환자 지표로서 평가해야 하나, 프로그램의 규모가 작고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불가능함. 따라서 모집율 또는 유지율(recruitment and retention rates) 이차 지표로서 사용할 있음.

¡ 단기 모집이라는 일차 목표는 달성하였으며, 다만 해당 분야에 대한 무관심또는 높은 buyout rate 문제가 . 미국에서는 특히 잠재 소득이 높기 때문에 buyout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캐나다에 그대로 적용시키는 것은 다른 문제로 보임.

¡ ROS 프로그램들에 대한 주요 우려 특정 지역에 새로 배치받아 단기간 일하고 떠날 의사가 지역에 장기간 머물고 있는 의사보다 높은 경제적 인센티브를 받는다는 모순이 있음. 북온타리오에 의사를 공급하고 있는 The Northern Physician Retention Initiative 4 이상 근무한 의사에게 매년 보너스를 지급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음. 외에도 수가를 다양하게 하거나, 보너스를 활용하거나 다른 기금 모델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해 보임. new Ontario Family Health Network (www.ontariofamilyhealthnetwork.gov.on.ca/english) 가지 사례임.

¡ 장기 유지라는 이차 목표의 달성은 일차 목표에 훨씬 미치는데, 1992 Pathman 등의 연구에 따르면 스스로 선택해서 지역으로 의사가 ROS프로그램에 의해 의사보다 훨씬 오래 머무는 것으로 나타남. 스스로 특정 지역을 선택한 의사는 농촌 의료에 대해 스스로 가지고 있는 흥미 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할 있으며, 지역에서 진료를 유지하기 위한 추가의 수련을 스스로 찾아서 받았을 있음.

¡ 장기 유지 측면에서 Rabinowitz 등이 보고한 다면적 프로그램이 성공적인 사례임. 의과대학과 전공의 프로그램은 동기부여가 학생들을 해당 지역 진료에 준비될 있게 하고, 병원과 지역사회는 적절한 지원 체계를 갖추며, 정부는 재정적 보상을 통한 지원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음.

 










 2004 Spring;9(2):82-8.

Effectiveness of financial incentives in exchange for rural and underserviced area return-of-service commitments: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bstract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that provide financial incentives to physicians in exchange for a rural or underserviced area return-of-service (ROS) commitment.

METHODS:

Medline and Ovid HealthSTAR databases were searched from 1966 to 2002.

STUDY SELECTION:

The initial search yielded 516 results. Bibliography review yielded additional references. Articles were excluded if they involved financial incentives to change physician behaviours or enhance profit. Ten publications were selected as the highest level of evidence available. The quality of the evidence was low and of limited applicability (1 retrospective and 1 prospective cohort study, the remainder cross-sectional surveys). Three studies were from Canada, 1 from New Zealand, and the remaining 6 were from the United States.

RESULTS:

Outcome measures included initial recruitment of physicians, buyout rates and long-term retention. The majority of studies reported effective recruitment despite high buyout rates in some US-based programs. Increasing Canadian tuition and debt among medical students may make these programs attractive. The 1 prospective cohort study on retention showed that physicians who chose voluntarily to go to a rural area were far more likely to stay long term than those who located there as an ROS commitment. Multidimensional programs appeared to be more successful than those relying on financial incentives alone.

CONCLUSION:

ROS programs to rural and underserviced areas have achieved their primary goal of short-term recruitment but have had less success with long-term retention.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cost effectiveness of existing ROS programs and the incorporation of other retention strategies, such as medical education initiatives, community and professional support, differential rural fees and alternate funding models.




A critical review of interventions to redress the inequitable distribution of healthcare professionals to rural and remote areas

NW Wilson1, ID Couper2, E De Vries3, S Reid4, T Fish5, BJ Marais1 


1Ukwanda Centre for Rural Health, Faculty of Health Sciences, Stellenbosch University, South Africa

2Division of Rural Health, Faculty of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Witwatersrand, Johannesburg, South Africa

3School of Public Health and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Cape Town, Cape Town, South Africa

4Centre for Rural Health, Nelson R Mandela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Kwazulu Natal, South Africa

5Faculty of Health Sciences, Stellenbosch University, Tygerberg, South Africa




o 개요

¡ 농촌 지역사회의 의료인력 부족은 평등한 보건의료전달 체계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면서도 동시에 해결하기 힘든 문제임. 선진국은 물론이고 개발도상국에서도 의료인력의 분포는 지역에 따라 편차가 심하며, 주로 도시와 같은 부유한 지역을 선호함.

¡ 농촌 지역사회는 평균적으로 많은 질병을 앓고 있으며, 가난하고, 교육 수준이 낮을 아니라 도심지역에 비해서 의료에 대한 접근성이 낮음. 이처럼 요구(needs) 서비스 사이의 간극은 Hart inverse care law 정리됨.

¡ 급격한 도시화는 전세계적 현상이나 기반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개발도상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음.

¡ Cochrane Effective Practice and Organization of Care (EPOC) group systematic review 통해서 이러한 도농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음. 기존의 Cochrane 리뷰들은 대체로 무작위대조군연구만을 살펴보고 있으나 무작위대조군연구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연구를 살펴보았음.

¡ 이와 같은 상대적으로 엄격한 선택기준으로 불구하고 과학적으로 rigorous 개입방법은 상당히 수가 적었고, 분야의 양질(high quality)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줌.








o 전략 1. 선발

¡ 다양한 국가에서 농촌 출신의 학생 농촌 지역의 근무(진료) 상관관계가 있다는 강력한 근거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농촌 출신 초등교육 and/or 중등교육을 농촌에서 받은 으로 정의하고 있음.

¡ 이러한 측면에서 농촌 출신이라는 점이 특히 농촌 지역을 근무지로 선택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으며, 미국에서 Physician Shortage Area Program (PSAP) 리뷰한 Rabinowitz 종단 연구에서 이것이 드러나고 있음.

- 미국(PSAP) : 농촌 출신인 것이 농촌 진료와 가장 강하게 연관되어 있었음. 다른 중요한 인자는 배우자의 출신지였음. 64% 농촌 의사가 농촌 출신의 배우자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

- 호주 : 마찬가지로 농촌 출신의 배우자가 있는 경우 농촌에서 진료할 가능성이 훨씬 높았음.

- 일본 : home prefecture recruiting scheme 성공적으로 농촌 출신에서 학생을 모집하여 지역에서 활동하는 의사로 키워내고 있음.

¡ 소수 인종 그룹이나 취약(underserved)인구집단이 농촌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높다는 근거를 제시하는 연구도 있으나 제한적임.

- 히스패닉 의사를 대상으로 미국에서 이뤄진 연구가 있으나 인종과 농촌 진료와의 연관성을 연구한 다른 보고는 없음.

¡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농촌 진료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연관의 강도는 연구에 따라 많이 다름. 반면 일부 연구에서는 성별은 중요한 인자가 아니라는 연구도 일부 있음.

¡ PSAP에서는 초기의 진로의향(입학시 가정의학 전공에 대한 관심) 농촌 진료를 하는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농촌에서 진료중인 의사 60% 의과대학 입학시 그러한 뜻이 없었다고 보고하는 연구도 있음. 또한 의과대학 지원 시기에 봉사지향적(service orientation)이었던 학생이 generalist career 찾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도 있음.

¡ 미국의 Rural Physician Associate Program (RPAP) 미네소타주에서 농촌 일차진료의사를 양성하는 성공적인 모델을 보여주었음. RPAP 성공에 학생 선발이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많은 학생들이 이미 일차진료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고 있었음. 또한 일차진료 세팅에서 9개월을 보낼 것이 권장되었음.

¡ 호주의 Flinders University Northern Territory Clinical School 설립하고, 지역의 정원을 두어 선발하였음. 이러한 선발방식은 인구가 희박한 Northern Territory에서 거주하며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음. 정원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농촌진료를 오래 지속하였고, 정원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10 이상 Northern Territory에서 근무할 가능성이 높았음.

 






o 전략 2. 교육

¡ 일반적으로 삼차병원을 중심으로 의학교육에서 학생들은 치료적(curative) 의료와 전문화된(specialized) 의료를 경험하게 되며, 일반의 농촌진료의 가능성은 점차 낮아짐. 교육과정의 내용과 적절한 임상환경에 대한 노출은 졸업생들이 미래에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음.

¡ 후향적, 설문지 기반 연구결과를 보면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이론의 내용은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적절한 지도와 감독이 동반된 Rural field residencies (immersion) 경우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Rural field residencies 효과만을 독립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인데, Immersion model 활용한 태국에서 연구에 따르면 농촌 의무복무를 이수한 이후 높은 비율로 농촌 진료를 계속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음. 다른 국가에서의 후향적 연구 역시 졸업 농촌 진료에 대한 노출과 더불어 곳에서 필요한 적절한 술기의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음.

¡ 수련 종료 이후에 대해서(post-vocational level) 일반의 수련(가정의학, rural health specialty) 마친 경우 농촌 진료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캐나다와 브라질에서의 연구 결과를 보면 지역의 균등한 배치를 위해서 전공과목이 세분화되는 경향을 제한하려고 했으나, 의과대학과 전문직 단체의 극렬한 저항이 있었음.

¡ 어떤 의과대학이 농촌 의사를 키워내는가?라는 제목의 미국 의과대학에서 설문조사를 보면 다음의 특징을 가진 의과대학이 가장 양성하는 것으로 나타남.

- 농촌지역에 위치, 공립, Generalist specialty제공, NIH로부터 연구비 수혜 적음

¡ Worley 등의 연구는 호주의 Flinders University에서 의학전문대학원(graduate entry)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진로를 연구하였는데, parallel rural community curriculum program 선택하였거나 Northern Territory Clinical School에서 수련받은 경우에 농촌진료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o 전략 3. 강제(Coercion)

¡ 의사가 특정 요건을 따르지 않을 경우 벌금 등을 부과하는 방식과 같이 강제로 농촌 의료인력 수급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은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논란도 많음.

¡ 전문직으로서 강제로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를 하도록 하는 강제적 수단은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의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는 잠재적 학생들을 멀어지게 수도 있음. 이러한 정책에서는 상당수 의사가 봉사요건(service requirement) 충족시키지 않으려고 하고, 문화적/종교적 신념에 의해서 문제가 악화될 수도 있음.

¡ Barley등은 37개의 설문문항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농촌 의사와 관련된 가정(assumptions), 특히 여성과 관련된 가정을 갱신해야(must be updated)함을 주장했음. 강제적 방법의 영향(impact) 대해서 펴가한 연구는 없으며, 이러한 방법이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있다는 우려가 많음.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관찰연구에 따르면 경험이 없는 의사들로 하여금 적절한 지원과 감독 없이 지역사회 봉사 하도록 하는 것은 오히려 자신감을 잃게 하고 소송에 얽히게 하며 젊은 의사들이 점차 농촌 진료를 자신의 진로 옵션에서 배제하도록 만든다고 보고하고 있음.





o 전략 4. 인센티브

¡ 학자금이나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서, 연구에 따라서 성과의 차이가 편임. 예를 들어 학자금, 대출, 대출상환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불분명한 것으로 보고된 있고,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시행된 정책의 결과를 연구한 WHO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정책이 보건의료인력의 지역적 불균형 해소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음.

¡ 근무 서약(return of service agreements) 이행하게 하는 것은 어떤 경우에도 쉽지 않고, 과도한 처벌을 가하는 것은 의과대학과 전문직 협회의 강한 반발에 부딪치게 .

¡ 농촌 진료에 대해서 경제적 인센티브를 지불하는 것도 다양한데, 캐나다에서 일반의의 분포는 underserved area 대해서 수가(fee) 올려주고, overserved area 대해서 수가를 낮추는 방식을 통해서 개선된 있음. 필리핀에서는 농촌진료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었으나 오히려 지방 정부가 의료인력을 높은 봉급으로 고용할 없다 사실이 부정적 영향을 주었음.

¡ 경제적 보상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설문조사를 기반하여 이뤄지고 있으며, 시장이론에 근거하자면 경제적 인센티브는 상황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양적 연구를 통한 근거는 거의 없음.

¡ Rose등이 장학금 제도(Friends of Mosvold Scholarship Scheme; FOMSS) 대해 보고한 바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농촌 출신의 학생들이 약간의 어려움은 있었지만 적절한 멘토링과 지원을 통해서 삼차병원에서 적응하였으며 농촌지역 병원 관계자가 학생 선발과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 의과대학 기간에 지속적 지원을 제공하고 졸업하면 병원 인력으로 바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24명의 FOMSS 졸업생 18명의 학생이 그들을 지원해준 지역(district)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보고되었음.

 





o 전략 5. 지원체계(Support)

¡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연구들로부터 농촌지역 의료인력에 대한 적절한 지원이 중요함이 드러나고 있으나, 최선의 전략이 무엇인지는 분명하지 않고 영향을 평가하는 근거도 부족함.

¡ 농촌의 의사를 국가에서 고용하는 경우에 적절한 지원을 해주는 것이 더욱 중요한데, 농촌 의사들이 가진 주요한 불만은 학문적 고립, 자문 지원 부족, 대리의사 부족, 시설부족등이 있음. 또한 가정과 생활환경의 문제(자녀교육, 여가생활, 편의시설, 배우자의 직장) 중요하게 제시되고 있음.

¡ 지속 전문직 개발(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CME)라고 불리던 있음) 역시 대단히 중요함. 이는 환자 진료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직무 만족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며, 농촌지역의 의사 모집과 유지에도 중요함.

¡ 기반시설(infrastructure) 장비, 대리의사 등도 CPD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며, 학문적으로 고립된 농촌 병원에 대한 의미있는 CPD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2009 Apr-Jun;9(2):1060. Epub 2009 Jun 12.

A critical review of interventions to redress the inequitable distribution of healthcare professionals to rural and remote areas.

Abstract

INTRODUCTION:

The shortag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rural communities is a global problem that poses a serious challenge to equitable healthcare delivery.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report geographically skewed distribution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favouring urban and wealthy areas, despite the fact that people in rural communities experience more health related problems. This re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most important studies addressing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doctors to rural and remote areas.

METHODS:

A comprehensive search of the English literature was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s (PubMed) database and the keywords '(rural OR remote) AND (recruitment OR retention)' on 3 July 2008. In total, 1261 references were identified and screened; all primary studies that reported the outcome of an actual intervention and all relevant review articles were selected. Due to the paucity of prospective primary intervention studie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and questionnaire-driven surveys were included as well. The search was extended by scrutinizing the references of selected articles to identify additional studies that may have been missed. In total, 110 articles were included.

RESULTS:

In order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in a clear and user-friendly fashion, the available evidence was classified into five intervention categories: Selection, Education, Coercion, Incentives and Support - and the strength of the available evidence was rated as convincing, strong, moderate, weak or absent. The main definitions used to define 'rural and/or remote' in the articles reviewed are summarized, before the evidence in support of each of the five intervention categories is reflected in detail.

CONCLUSION:

We argue for the formulation of universal definitions to assist study comparison and future collaborative research. Although coercive strategies address short-term recruitment needs, little evidence supports their long-term positive impact. Current evidence only supports the implementation of well-defined selection and education policies, although incentive and support schemes may have value. There remains an urgent need to evaluate the impact of untested interventions in a scientifically rigorous fashion in order to identify winning strategies for guiding future practice and policy.


Compulsory service programmes for recruiting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do they work?

Seble Frehywot,a Fitzhugh Mullan,a Perry W Paynea & Heather Rossa






o 개요

¡ 의무복무 프로그램(Compulsory service programmes) 20세기 초부터 있었음.

¡ 국가 프로그램에 따라 의무(Compulsory)라는 단어는 영문으로 obligatory, mandatory, requisite, coercive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

¡ 의무복무와 관련된 문헌은 소련(1920), 멕시코(1936), 노르웨이(1954) 등에서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여 1970년대에는 세계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프로그램의 보고가 늘어났음.

¡ 이렇게 급격하게 의무복무 프로그램이 증가한 이유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1978년의 Alma-Ata 선언에서 확인할 있듯 대체로 의료 공급(health provision) 불균형에 관심을 갖게 것에 있음.

¡ 이후 수년간 여러 국가에서 의무복무 프로그램을 만들어 도입하였음(그림 1)

¡ 70개국 이상에서 의무복무 프로그램이 있었거나, 현재 진행중임.


o 프로그램의 분류

¡ 여러 문헌 고찰과 면담 결과에 기반하여 저자들은 가지 분류법을 고안하였음.
(1) 근무 조건
(2) 인센티브가 있는 의무복무 프로그램
(3) 인센티브가 없는 의무복무 프로그램


¡ 분류별 설명

- 근무 조건 (Condition of service)

Ÿ 부류의 프로그램에서는 보건의료인력(health professionals) 정부에 고용된 것이며(work for), 개인적으로 또는 비정부기관에 속하여 근무할 없음. 또한 정부는 필요에 따라서 보건의료인력을 배치할 권한을 가짐.

Ÿ 예시 1) 이란(behvarz) : 수련 4년간 정부가 지정한 농촌 진료소(rural health clinic)에서 근무해야 .

Ÿ 예시 2) 쿠바 : 국내 뿐만 아니라 국외까지 의무복부지역

Ÿ 예시 3) 미얀마 : 시스템 내에서 평생(entire career) 지내야 .

Ÿ 예시 4) 호주 : 해외대학 졸업자(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 Rural Workforce Agencies 지정한 의료인력취약지 (district of workforce shortage)에서 10년간 의무복무


- 인센티브가 있는 의무복무 프로그램

- 부류의 프로그램에서는 정부의 강요(mandate)보다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 기간동안 근무하는 것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함. 정부의 역할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도입과 집행을 관리하는 것임. 가지 분류가 있으며 1 사례가 정리되어 있음. (교육(educational), 고용(employment), 생활보조(living-provision linked), 종합지원(bundled)


- 인센티브가 없는 의무복무 프로그램

- 부류의 프로그램에서는 근무 조건에 아무런 인센티브가 없음. 대개 의료취약지(underserved area)에서 1년정도의 아무런 인센티브가 없이 근무해야 .

- 인디아, 이라크, 말레이시아, 멕시코, 구소련, 베네수엘라 등에서 시행한 있음.



¡ 인센티브가 있는 의무복무 프로그램

- 교육

- 유형 1 : 학생들이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수련기간 동안 농촌지역에 배치되어(rural placement) 근무를 마쳐야 하며, 의무복무를 하지 않으면 학위를 받지 못함. 뉴질랜드의 약학대학 학생들은 농촌 externship 마쳐야 .

- 유형 2 : 졸업후/전공(전문과) 프로그램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의료취약지 근무를 필수로 해야 . 몽골, 베트남에서 이러한 종류의 제도가 시행중임.

- 유형 3 : 졸업 이후에 농촌지역에 배치되는 return of service programme 있고, 보통 교육에 대한 재정지원을 받은 연수만큼 복무하게 . 호주, 레소토, 일본 등에서 이러한 제도가 시행중임.


- 고용

- 유형 1 : 면허를 받기 위한 요구조건.

- 유형 2 : 진로 개발(career advancement) 요구조건. 에콰도르, 미얀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는 개인 진료소를 운영하기 위해서는(to practise privately) 일정 기간의 의무복무를 이행해야 .


- 생활보조

- 일부 국가에서는 주택과 같이 가정/자원과 연관된 형태의 지원을 시행하고 있음(케냐, 모잠비크) 또한 자동차 대출이자를 낮춰준다거나, 자녀의 학자금을 지원해주는 형태도 있음.


- 종합지원

- 에콰도르나 태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교육, 고용, 생활보조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 예시 1) 에콰도르의 Medicatura Rural 시스템은 의사, 간호사, 치과의사가 면허를 받기 위해서는 1년의 의무복무를 해야 . 배치된 지역이 얼마나 외딴 지역인지에 따라서 봉급이 달라지며 해당 지역에서 주택을 지원받음

- 예시 2) 태국에서는 공립 의과대학 졸업생은 필수적으로 3년간의 의무복무를 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국가에서 봉급을 받는데, 추가적으로 개인 진료를 통해서 수입을 올릴 수도 있으나, 공공의료기관(public system)에서만 복무하겠다는 서약을 하면 $250 추가금을 받음.

 

o 결과

¡ 논문에서 저자들은 70개국 이상에서 의무복무 프로그램을 어떤 식으로든 활용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정확한 시작 시점이 모호함.

¡ 이러한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유에는 가지가 있으며, 프로그램 도입 주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나, 알려진 경우 대부분은 보건부이거나 지역정부인 경우가 많음(ministry of health: 14; federal body: 6; state bodies: 2; private entity: 2; unknown: 48)

¡ 구체적인 방법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단은 면허(certification needed to practise) 주지 않는 것이며, 일부 국가에서는 교육기간 동안의 재정지원을 반환할 것을 요구하기도 .

¡ 의무복무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비용은 의료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지역의 면적, 인구, 국가의 경제적 상태 등에 따라서 크게 다르며, 아이티의 경우 미화 $100,000 수준이었던 반면, 호주의 경우 1천만 달러가 투입되고 있음. 대체로 국세(National taxes) 주요 재원임.

 





o 의무복무 프로그램의 성과

¡ 개요

- 많은 프로그램들이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지 않았거나, 이제 시작했기 때문에 성과를 측정하기에 시기적으로 이른 경우가 많음.

- 의무복무가 종료된 이후에도 농촌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의사의 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분명함.

- 예시 1) 노르웨이 : 의무복무가 종료된 이후에도 농촌지역에 지속적으로 머무르고 있는 의료인력들의 특징을 알아내기 위하여 다양한 요인을 측정해보았으며, 다음의 요인들이 나타났음 (성장지역(upbringing), 연령, 가족 구성과 성별). 노르웨이는 20% 의료인력이 농촌지역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예시 2) 나이지리아 : 대체로 의무복무 후에는 머물지 않는 것으로 보고됨.

- 예시 3) 페루 : 의무복무가 종료된 후에는 농촌에 머물러서는 안되며(not allowed), 만약 머물고자 한다면 의무복무 기간보다도 적은 봉급을 받게 .


¡ 영향

- 지역 근무 의사 증가

- 푸에르토리코에서 의무복무 도입 이전에는 78 지자체중 16 지자체에 전혀 의사가 없었으나 도입 이후 모든 78 지자체에 최소 1 이상의 의사가 근무하였음.

- 지역 근무 의지 고취

- 인도네시아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의무복무 프로그램은 의사들로 하여금 외딴 (remote area)에서 일하고자 하는 의지를 고취시켰음.

- 도농간 의료인력 배치 불균형 완화(mitigating staffing discordance)

- 의료 향상

-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농촌 병원의 근무직원 수준(staffing level) 향상되었으며, 환자 대기시간이 감소하였고, 의료인력들이 외딴 진료소(outlying clinic) 자주 방문하는 것으로 보고됨.


¡ 전문직 단체의 반대

- 여러 보건의료인력 단체들은 의무복무 프로그램에 반대했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음

- 프로그램의 비용, 효과성, 지속가능성

- 농촌의 시설 낙후

- 교통시설 불편(lack of transportation)

- 상수도, 전기, 설비 시설 부적합

- 의과대학에서 학습한 기술 적용 불가능

- 예시) 인도 : 3년제 의무복무 프로그램에 대한 반대시위가 있었고, 정부는 1년으로 기간을 단축하였음. 저항과 반대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전문직과의 사전 협의(planned in consultation) 필요함.

 

¡ 관리

- 프로그램의 성패는 광범위한 차원에서 보건의료의 지원시스템이 어떠한가에 달려있음.

- 정부는 의무복무 프로그램에 종사하는 인력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하는지 분명히 명시해야 .

- 예시 1) 에콰도르 : 정부는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의사들을 이미 충분히 성장한(qualified)의사로 기대했으나, 의사들은 의무복무 프로그램을 교육의 과정(part of education)으로 인지하여 감독이 없을 프로그램에 대한 환멸(disillusionment) 표시했음.

- 예시 2) 남아프리가공화국 : 의무복무 프로그램에 대한 모호한 가이드라인으로 인해서 진료소나 병원 사이에 인력 활용 수준에 차이가 컸음.

- 의무복무 프로그램에는 적절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며, 적절한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주지 않는 것보다 비용이 들어갈 수는 있지만, 의료서비스의 효과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할 있음.

- 예시 1) 잠비아 : 인센티브 기반 프로그램이 도입되기 , 농촌지역에 배치된 의사들은 농촌지역 근무를 피하기 위해서 정부로부터 사임(resigned)하였음.

 

¡ 보건의료인력의 이직

- 배치된 지역에서의 지속적인 근무 의지 부족으로 인하여 진료의 연속성이 떨어지며, 이는 의료취약지(underserved area)에서 근무하는 많은 인력이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함.

- 예시 1) 남아프리카공화국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관리자들은 농촌지역의 의사들이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인하여 환자들에 대한 진료가 느려지고, 진료의 질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였음. 의무복무를 하고 있는 의사들 34% 복무 종료 해당 지역을 떠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13% 개인 진료소를 차릴 계획을 가지고 있었음.

- 예시 2) 인도 : 외딴 지역에서 의무복무를 하는 의사들에게 전공과 수련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일차의료(general practice) 흥미가 없는 의료인력들의 이직이 더욱 가속되고 있으며, 이후에도 지역으로 돌아올 가능성은 낮아 보임.

 

¡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

- 의무복무 프로그램과 관련한 지역사회의 지원을 다룬 연구는 굉장히 드물지만, 배정된 지역에서 환영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고, 전문직으로서 최선을 다하게 하는데 중요한 요소임.

- 주제에 대한 면담 결과를 보면 에콰도르의 의사는 지역사회가 구성되어 있고, 지원을 해주어서 전혀 문제가 없었다라고 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의무복무를 위해서 배치된 의사들이 달라지게 기대하며 높이 평가했다라고 했음.

 

¡ 인권의 문제

- 의무복무 시스템에는 근본적인 딜레마는 전문직의 거주와 이전의 자유를 존중하면서 동시에 국가는 의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국가가 투자하는 비용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있는가.

 




o 논의사항

¡ 가지에 대해서 추가적 논의가 필요함
(1) 정책의 방향(policy concept)
(2) 정책의 도입(policy implementation)


¡ 정책의 방향(policy concept)

- 기본 전제

- 의무복무 프로그램은 정부가 시장의 영향력이나(market force) 보건의료인력의 선호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보건의료 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사회정의 구현과 보건평등 실현을 위한 도구라고 있음.

- 이러한 정책의 기본 전제는 정부가 지원하는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교육이 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활용될 있다는 것이며, 개개인은 과정에서 거의 비용을 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에 빚을 상태라 있다는 것임. 많은 경우에서 이것이 periphery, rural area, underserved population이라고 지칭되는 국가의 수요를 충당해야 하는 의무로 전환됨.


- 높은 이직

- 의무복무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공통적으로 높은 이직이라는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 문제를 조금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보통 의사들이 배치되는 곳은 농촌의 저개발 지역으로서 개인 또는 가정을 위한 필수품의 조달조차 어려운 곳이 많고, 이런 상황에서 이직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어야 .

- 여러 정책입안자들과 의무복무 프로그램의 전략을 계획하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예측가능한 이직 있는 상황이 아무런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상황보다 훨씬 낫다고 있음.

- 따라서 높은 이직은 프로그램의 단점이라고 없으며, 농촌지역의 열악한 환경에 실현가능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함을 의미함.


- 효과성의 근거

- 이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명하는 근거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보건서비스에 대한 연구에서 일반 인구집단을 상대로 효과성을 평가하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임.

- 의무근무 프로그램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지역 보건 서비스가 새롭게 생겨났는지 또는 향상되었는지를 측정하여 쉽게 가능함. 예를 들어 모잠비크는 국가적 프로그램 덕분에 모든 148 지역에 최소 1 이상의 의사가 배치되었다고 발표하였으며, 이는 국가 전체의 공공보건 영역의 성취일 뿐만 아니라, 특히 의무복무 프로그램이 기여한 것이라고 있음.


- 정책에 대한 우려

- 일부 사람들은 의무복무 프로그램에 대해서 개개 보건의료인력의 인권에 위배된다며 우려를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우려는 국가의 지원을 받은 교육을 받았다고 있는 보건의료인력의 권한에 대한 것이므로, 교육 시작시에 의무복무에 대한 명시가 있었다면 이를 인권침해라 없음.

- 국가가 국가보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재원을 보건과학대학(health science school) 설립하는데 사용하여, 그러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학생을 받아서 교육시킨다면, 그러한 학생이 취약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헌신할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은 합당하다고 있음.

 

¡ 정책의 도입(policy implementation)

- 논문에서 리뷰한 의무복무 프로그램의 스펙트럼으로부터 효과성과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원칙을 찾아볼 있음.

- 철저한 계획(Good Planning)

- 의무복무 프로그램의 복잡성은 지역사회에 배치되어 특정 기간 동안 근무를 한다는 점에서 기인하며, 발생할 있는 문제들을 관리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헌신 관계 달려 있음. 따라서 미래를 내다보고 사전 대책을 강구한 계획이 필수적이며 개개 의료인력은 농촌지역에서 근무에 적합하도록 훈련되어야 .


- 투명성과 명확성(Transparency and clarity)

- 철저한 계획과 연관된 것이 투명성이며, 의무복무 프로그램에 대해서 논리와 요구사항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있어야 .

- 스스로 선택의 기회를 줬다면 가지 않았을 곳에서 일하고 있는 보건의료인력은 특히 장소에 배치된 명확한 논리를 이해해아 하며, 의무복무 기간동안 일어날 있는 이슈들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가 있어야 .

- 제도에 대한 명확한 의도와 일관성이 프로그램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이며, 배치과정의 특성(배치기준, 기간, 개인의 의견 반영여부, 지역사회의 역할) 중요함.

- 예시 1) 노르웨이 : 노르웨이는 명확성 대한 좋은 사례로서, 모든 졸업생은 무작위의 숫자를 배정받고 순서대로 숫자가 호명되면 학생은 6시간동안 배정받고자 하는 지역을 선택할 있음. 매우 이례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정해진 지역을 바꾸는 것은 불허함.


- 지원제도(Support)

- 의무복무 기간중에 어떠한 지원제도를 제공하는가 역시 프로그램의 성공여부에 중요함. 봉급, 주택, 교육, 임상적 지원과 감독 등이 중요하며 이러한 지원체계 없이 외딴 지역으로 의사를 보내면 의사들은 효율적으로 근무하지 못하게 가능성이 높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대단히 떨어뜨릴 것임.

 






 2010 May;88(5):364-70. doi: 10.2471/BLT.09.071605.

Compulsory service programmes for recruiting health workers in remote and rural areas: do they work?

Abstract

Compulsory service programmes have been used worldwide as a way to deploy and retain a professional health workforce within countries. Other names for these programmes include "obligatory", "mandatory", "required" and "requisite." All these different programme names refer to a country's law or policy that governs the mandatory deployment and retention of a heath worker in the underserved and/or rural areas of the countr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study identified three different types of compulsory service programmes in 70 countries. These programmes are all governed by some type of regulation, ranging from a parliamentary law to a policy within the ministry of health. Depending on the country, doctors, nurses, midwives and all types of professional allied health worker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me. Some of the compliance-enforcement measures include withholding full registration until obligations are completed, withholding degree and salary, or imposing large fines.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se programmes more clearly, to identify countries that have or had such programmes, to develop a typology for the different kinds and to discuss the programmes in the light of important issues that are related to policy concepts and implementation. As governments consider the cost of investment in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the loss of health professionals to emigration and the lack of health workers in many geographic areas, they are using compulsory service requirements as a way to deploy and retain the health workforce.








7. Communicatio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l  다양한 종류의 Communication이 존재함(Secretaries type letters, memoranda, reports…)

l  Communication은 학교조직의 혈액(lifeblood)같은 것이고, 개인과 그룹과 조직을 이어주는 것이다.

l  Chester Barnard “because the structure, extensiveness, and scope of organizations are almost entirely determined by communication techniques”

l  Daniel Katz and Robert Kahn : “essence of organization”

l  일반적으로 조직은 Communication에 거의 70~80%의 시간을 쓰고 있다.

THE COMMUNICATION PROCESS



l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은 대개 ‘transmission reception 사이’, 그리고 ‘receiving decoding 사이에서 발생함.

Ideating

n  Developing an idea, message or information to transmit to some individual or group

n  누구든 발신자(Sender)가 될 수 있음

Encoding

n  발신자가 자신이 보내고자 하는 idea symbolize하는 것.

n  수신자가 이해할 수 있게 Symbol을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Symbol : words, nonverbal cues, pictures, diagram..)

n  Meaning cannot be transmitted

Transmitting

n  전송 : memoranda, telephone, computer, nonverbal cues

Receiving

n  Oral message의 경우 수신자는 ‘good listener’가 되어야 함.

Decoding

n  받은 메시지로부터 meaning을 해석해내는 것.

n  Because meaning cannot be transmitted, it cannot be received.

Acting

n  수신자는 어떤 형태로든 발신자에게 메시지를 받았다 또는 이해했다 와 같은 피드백을 줘야 함.

 


 

NONVERBAL COMMUNICATION

l  네 가지 형태 : Kinesis, Paralanguage, Proxemics, Chronemics

n  Kinesis : 표정, //다리/자세 등 Clothing 포함
(
양복 무늬는 Pinstripe > Solid > Chalk stripe > Plaid(격자) 순으로 권위적인 인상을 줌)

n  Paralanguage : voice quality, volume, speech rate, pitch, nonfluences (ah, um, uh), laughing, 누가 말하는가, 공간은 어디인가(Boss’s office)

n  Proxemics : Intimate zone(0~2fts), Personal zone(2~4fts), Social zone(4~12fts), Public zone(12fts<)

n  Chronemics : 시간의 활용 (미팅 시간에 늦는 것 등)

l  You cannot not communicate.



DIRECTION OF COMMUNICATION

l  네 가지 방향 : 하향, 상향, 수평, 대각

Downward Communication

n  활용 : clarify the goals, provide a sense of mission, assist in indoctrinating new employees

n  문제

u  직원은 듣고 싶은 말만 골라 듣는다(Subordinates select among various directives)

u  전달한 메시지가 잘 수신되었는지에 대한 노력과 시간 투자가 부족할 수 있음

u  상위 위계에 있는 사람이 특정 시기나 특정 주제에 관해서는 Channel 을 닫을 수 있음.

n  개선방안

u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도입

u  Administrator가 오피스에서 나와 직접 직원의 이야기를 듣는다 (Management by wandering around, MBWA)

u  정기적 supervisory-subordinate discussion을 갖는다.

Upward Communication

n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Communication

n  문제

u  Subordinate는 자신에게 해가 될 정보를 윗사람이 아는 것을 좋아하지 않음.

u  수준 높은(higher-level) 관리자는 직원들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킴으로서 Upward communication을 촉진함.

n  개선방안

u  Employee meeting (quality circle) : 직원의 수행에 방해가 되는 직무상의 문제, 요구 파악

u  Open Door Policy : 직원이 Administrator의 방에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 그러나 MBWA가 더 효과적인 방법임.

u  Employee Letters (신문고) : anonymous, all be answered, reply without delay

u  Participation in Social Group : unplanned upward communication에 효과적. 파티, 야유회, 골프모임 등

Horizontal Communication

n  같은 위계에 있는 사람들끼리의 의사소통. Cross-functional committees, council meeting

n  조직의 socialization process로서의 기능이 있음.

n  조직의 여러 기능이 서로 interdependent할수록 Horizontal communication이 필요함.

 

 

Diagonal Communication

n  다른 채널을 통한 communication이 불가능할 때에 중요함.

n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 지연을 줄여줌

The Grapevine

n  사람들은 나름의 Communication 채널을 만듦.

n  조직도에는 드러나지 않으며, 모든 informal communication을 포괄하는 개념.

n  Formal communication과 공존하고 있음.

n  Flexible하며 대체로 face-to-face communication의 형태, Rapid.

n  장점

u  Keep subordinates informed

u  Administrator subordinate attitude에 대해 알 수 있음.

u  Subordinate들의 감정배출구(safety valve for emotions)

u  공식적 절차에 앞서 새로운 정책에 대한 subordinates의 분위기 파악 가능

u  긍정적 코멘트를 통한 사기 증진

n  단점

u  Rumor : rumor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communication을 강화해야 함.

 

COMMUNICATION NETWORKS

Network Pattern

n  Network pattern

u  Derived from laboratory experiment

u  Centralize : Wheel network > Chain network > Y network > Circle network > Star network

n  Effectiveness of Different Networks

u  상황에 따라 effectiveness는 달라질 수 있음

u  Decentralized network에서 좀 더 morale이 높음.





Network Analysis

n  Survey sociometry 를 활용하여 분석. (rather than controlled laboratory experiments)

 


 



BARRIERS TO COMMUNICATION

Frame of Reference

n  같은 communication이라 하더라도 사람들은 학습/문화/경험에 따라 다르게 해석

n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Frame of Reference를 가지고 있다면 의사소통이 좀 더 효과적일 것.

Filtering

n  한 레벨에서 다른 레벨로 transmitting 되는 과정에서 일어남.

n  Downward, Upward 모두 일어날 수 있음.

u  Unintentional filtering: encoding, decoding 과정, 학습/문화/경험의 차이

u  Downward-Intentional filtering: 발신자가 결정

u  Upward-Intentional: reward, promotion 등이 관련되었을 때 등

Structure

n  Communication efficiency는 정보가 수신자에게 도달할 때까지 거쳐야 하는 단계가 많을수록 낮아짐.

n  Tall structure : horizontal communication flow에 효과적

n  Flat structure : bottom에 사람이 많음. Gate keeping이 적고 vertical communication 활발. Administrator information overload에 걸릴 수 있음.

Information overload

n  원인

u  외부 환경의 변화가 심해지면서 불확실성이 높아짐

u  Role specialization & Task complexity

u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

Semantics

n  같은 단어도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음. “understanding”을 전달할 수는 없음.

n  Concrete word(paper, book) – Abstract word(emotional responses)

n  자기만의 용어(own professional jargon) : outsider들은 이해하지 못함.

Status Differences

n  상급자-하급자의 지위의 차이가 free flow of information을 저해함.

n  지위가 높을수록 일부 level이 사라지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함.

n  Network analysis에서 볼 수 있듯 고위직과 하위직의 의사소통은 제한되기 마련임.

 

OVERCOM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Repetition

n  다양한 채널로 같은 메시지를 여러 번 보냄. (Written and Oral )

Empathy

n  수신자는 발신자가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예측하여야 함.

n  수신자의 frame of reference를 생각함.

Understanding

n  수신자가 understandable words/symbol을 보내야 함. (Readability 포함)

n  Understanding cannot be communicated; only messages can

Feedback

n  Two-way communication이 필요.

n  Written message Face-to-face보다 피드백의 기회가 적음.

n  직접 물어볼 수 있음 : “내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n  Guidelines

u  피드백을 장려하되 강요하지 않기

u  피드백을 준 사람에게 보상하고 받은 피드백을 활용하기

u  필요할 경우 피드백을 기다리지 말고 직접 찾아 들어가기(go straight to the source)

u  받은 피드백에 대한 결과를 피드백해주기

Listening

n  듣는 데 쓰는 시간은 30%도 안됨.

n  Guidelines

u  Stop talking

u  Put the talker at ease

u  Show the talker you want to listen.

u  Remove distractions

u  Empathize with the talker

u  Be patient

u  Hold your temper

u  Go easy on argument and criticism

u  Ask questions

u  Stop talking

 

 

 






Lunenburg, F., & Ornstein, A. (2011).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actices. Cengage Learning.








System 4 Organization


n  Renis Likert, 관료제 모델 식의 조직에 반대하였음. 조직을 지지하는 세 개의 핵심 요소를 주장

n  System1 System4의 차이

u  System1 : 착취적, 권위적, 관료적, 전통적

u  System4 : 참여적, 팀 중심.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ystem 1 organization

System 4 organization

Leadership

Little confidence and trust between administrators and subordinates

Subordinate ideas are solicited and used by administrators

Motivation

Taps fear, status, and economic motives exclusively

Taps all major motives except fear

Communication

One-way, down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flows freely in all directions

Interaction-influence

Little upward influence; downward influence overestimated

Substantial influence upward, downward, and horizontally

Decision making

Centralized; decisions made at the top

Decentralized; decisions made throughout the organization

Goal setting

Established by top-level administrators and communicated downward

Established by group participation

Control

Close over-the-shoulder supervision

Emphasis on self-control

Performance goals

Low and passively sought by administrators; little commitment to developing human resources

High and actively sought by administrators; full commitment to developing human resources

 

n  System2 System1보다 덜 classical하고, System3 System4보다 덜 Supportive하다.


n  Key Elements of System4

u  (1) Manager’s use of the principle of supportive relationship,

u  (2) the use of group decision making in an overlapping group structure,

u  (3) manager’s high-performance goals for the organization

 

u  조직은 구성원들이 개개인으로서가 아니라 높은 수행목표를 가지고 고도로 효과적인 업무그룹(work groups)으로서 작동해야 최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u  “linking pin” : 리더는 linking-pin으로서, 한 그룹의 대표이면서 다른 더 높은 그룹의 일원이어야 한다.


n  System4 variables 

u  Causal Variables : 독립변수, intervening variable end-result variable에 영향을 줌

u  Intervening Variable :

u  End-result Variable : 의존변수, 조직의 성취를 나타냄


n  조직을 System4까지 끌어올리기 위해서 Likert survey-feedback method leadership training을 추천함.

u  Survey : 조직시스템의 8가지 특징을 측정하는 것. 문항별로 주어진 continuum에 대해서 조직이 어떤 상태에 있는가를 응답함

l  System1 : exploitative authoritative

l  System2 : benevolent authoritative

l  System3 : consultative

l  System4 : participative


n  Likert에게 있어서 효과성은 System4와 같이 가는 것이었으므로, 조직을 개선한다는 것은 system4로 경영스타일을 바꾸고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모든 관리자들을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Lunenburg, F., & Ornstein, A. (2011).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actices. Cengage Learning.




BRIEF REPORT: ‘‘Where Do We Teach What?’’

Finding Broad Concepts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Joshua C. Denny, MD,1 Jeffrey D. Smithers, MD,2 Brian Armstrong, BS,3 Anderson Spickard III, MD, MS4

1Department of Medicine, Vanderbilt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N, USA; 2Department of Medicine and Pediatrics, Good Samaritan Regional Medical Center, Phoenix, AZ, USA; 3Vanderbilt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N, USA; 4Department of Medicine, Department of Biomedical Informatics, Vanderbilt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N, USA.



BACKGROUND: Often, medical educators and students do not know where important concepts are taught and learned in medical school. Manual efforts to identify and track concepts covered across the curriculum are inaccurate and resource intensive.


OBJECTIVE: To test the ability of a web-based application called KnowledgeMap (KM) to automatically locate where broad biomedical concepts are covered in lecture documents in the Vanderbilt School of Medicine.


METHODS: In 2003, the authors derived a gold standard set of curriculum documents by ranking 383 lecture documents as high, medium, or low relevance in their coverage of 4 broad biomedical concepts: genetics, women’s health, dermatology, and radiology. We compared the gold standard rankings to KM, an automated tool that generates a variable number of subconcepts for each broad concept to calculate a relevance score for each docum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and area-under-the-curve were derived for each ranking using varying relevance score cutoffs.


RESULT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reas were acceptably high for each broad concept (range 0.74 to 0.98). At relevance scores that optimiz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78% to 100% of highly relevant documents were identified.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the application of 63 to 1437 subconcepts for a given broad concept. The search time was fast.


CONCLUSIONS: The KM tool capably and automatically locates the detailed coverage of broad concepts across medical school documents in real time. Use of KM or similar tools may prove useful for other medical schools to identify broad concepts in their curricula.






"우리가 유전학을 언제 배우고 있더라?" 학장도, 교수도, 학생도 이러한 질문을 한다. 이런 질문에 대해 답을 하려고 무수한 전화와 이메일이 오간다.

‘‘Where do we currently teach genetics?’’ is a typical question asked in medical schools. 

    • A dean may pose this question in preparation of the school’s report to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 A faculty member may ask this question to prepare to teach a new genetics lecture added to the medicine clerkship. 
    • A medical student clerk may ask this question to prepare for her postcall bedside presentation of her patient with complications of an inherited disease. 

Questions about where concepts and topics are covered in the curriculum are typically answered through lengthy collaborative meetings and numerous emails and phone calls. These labor- and communication-intensive approaches may not be sufficiently detailed and sustainable to yield accurate, up-to-date answers.


교육자들은 교육과정의 내용을 관리하고, 추적하고, 조율하기 위헤서 웹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Educators have turned to the web to display medical school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to manage, track, and coordinate curricular content. 

Some medical schools support a full text electronic curriculum so that teachers and learners have quick access to the current curriculum. 1,2 

Other medical schools take a step further by placing electronic curricular documents and images into a database. 3,4 


KnowledgeMap(KM)이란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Each document is labeled with a manually derived set of keywords or titles to allow for searching and sharing of curricular content. Improvements on these efforts would obviate the need for manual identification and entry of selected concepts that describe a teaching session, and yet grant the ability to locate all concepts within each curricular document automatically. We have developed KnowledgeMap (KM) to provide these functions.



BACKGROUND

KnowledgeMap 설명


KnowledgeMap is a web-based application that uses a concept identifier to locate biomedical concepts automatically from search queries of medical education documents.5 Faculty members use the KM web application to upload presentations and lecture handouts in HTML, Microsofts Words, Adobe Acrobat s PDF, and Microsofts PowerPoints formats. As each document is uploaded, the KM concept identifier uses a rigorous algorithm6 to find all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 (UMLS, a composite vocabulary containing more than one million terms)6,7 concepts located in the document. KM has performed well in identifying biomedical concepts in large sets of medical curriculum documents.6


KnowledgeMap can also search for broad concepts, termed metaconcepts, in the curriculum. Examples of metaconcepts include ‘‘genetics’’ or ‘‘women’s health.’’ After a user submits a metaconcept query, such as ‘‘genetics,’’ the tool constructs a large list of related subconcepts (such as chromosome, point mutation, phenotype, etc.) using relationships defined in the UMLS. A user can decide how many subconcepts he or she wishes to search for by selecting from 6 expansion levels ranging from narrow (fewer subconcepts) to wide (more subconcepts). Once a user has selected the desired number of subconcepts and submits them for a search, KM returns the documents that contain the submitted subconcepts ranked by relevance. Analogous to a web search engine, the output lists all documents matching any subconcepts with the most relevant documents listed first. The user may select a document to see the display of subconcepts located in that document as shown in Figure 1.




METHODS

We tested the ability of KM to locate metaconcepts within the Vanderbilt School of Medicine curriculu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ed the study. First, we determined 4 metaconcepts of interest; next, we established gold standard rankings for a set of documents; and then we searched the document set for metaconcepts. The authors identified 4 metaconcepts relevant for curriculum- type coverage queries: ‘‘genetics,’’ ‘‘women’s health,’’ ‘‘dermatology,’’ and ‘‘radiology.’’ Two of these, ‘‘genetics’’ and ‘‘women’s health,’’ were actual concept queries posed by curriculum review committees at the Vanderbilt School of Medicine.


One author (A.S.) scored 383 documents from 19 firstand second-year medical school courses in order to establish the gold standard set of documents. The author has 12 years’ experience in teaching in all 4 years of medical school and was not familiar with the concept coverage algorithm or the vocabulary sets. He scored each document as 1) having little or no information (‘‘low’’ documents), 2) having a moderate amount of information (‘‘moderate’’ documents), or 3) hav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igh’’ documents), which pertains to each of the 4 metaconcepts tested. References and ‘‘suggested readings’’ sections in documents were ignored when ranking. To validate the gold standard rankings, an expert in each field (genetics, women’s health, dermatology, and radiology) scored a set of 10 documents. The percentage of exact agreement between each expert and author A.S. ranged from 90% to 100%; the overall k between the author and 4 experts was 0.84 (calculated with PRAM8).


Using each expansion level of the KM metaconcept search (up to 40,000 subconcepts), we generated relevance scores for each of the 383 documents. We calculat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y iterating through all possible score ‘‘cutoffs’’ to identify ‘‘high,’’ ‘‘moderate or high,’’ and ‘‘low’’ documents among all documents scored. Documents with a score of zero were classified as ‘‘low.’’ For the gold standard ‘‘high’’ set, we considered a true positive any document ranked ‘‘high’’ in the gold standard set and above a given score cutoff in KM; ‘‘moderate’’ and ‘‘low’’ documents were gold standard negatives. For the ‘‘moderate-high’’ set, we considered a true positive those documents above a given score cutoff that were ranked ‘‘high’’ or ‘‘moderate’’ in the gold standard set; ‘‘low’’ documents were the only gold standard negatives. We derive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from the calculat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each expansion set of each metaconcept. To compare the efficacy of each ranking, we calculated the area-under- the-curve for each ROC curve.9 The optim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determined by finding the northwest corner of each curve. For all statistical calculations, we used Statas version 7 (College Station, TX) and Microsofts Excel (Redmond,WA).




 2005 Oct;20(10):943-6.

"Where do we teach what?" Finding broad concepts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Abstract

BACKGROUND:

Often, medical educators and students do not know where important concepts are taught and learned in medical school. Manual efforts to identify and track concepts covered across the curriculum are inaccurate and resource intensive.

OBJECTIVE:

To test the ability of a web-based application called KnowledgeMap (KM) to automatically locate where broad biomedical concepts are covered in lecture documents in the Vanderbilt School of Medicine.

METHODS:

In 2003, the authors derived a gold standard set of curriculum documents by ranking 383 lecture documents as high, medium, or low relevance in their coverage of 4 broad biomedical concepts: genetics, women's health, dermatology, and radiology. We compared the gold standard rankings to KM, an automated tool that generates a variable number of subconcepts for each broad concept to calculate a relevance score for each docum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and area-under-the-curve were derived for each ranking using varying relevance score cutoffs.

RESULT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reas were acceptably high for each broad concept (range 0.74 to 0.98). At relevance scores that optimiz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78% to 100% of highly relevant documents were identified.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the application of 63 to 1437 subconcepts for a given broad concept. The search time was fast.

CONCLUSIONS:

The KM tool capably and automatically locates the detailed coverage of broad concepts across medical school documents in real time. Use of KM or similar tools may prove useful for other medical schools to identify broad concepts in their curricula.




Creating an ideal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Jason M Satterfield,1 Shelley R Adler,2 H Carrie Chen,3 Karen E Hauer,4 George W Saba2 & Rene Salazar1



OBJECTIVE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universally struggle with overfull curricula that make curricular changes quite challenging. Final content decisions are often influenced by available faculty staff, vocal champions or institutional culture. We present a multi-modal process for identifying ‘need to-know’ content while leveraging curricular change, using the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SBS) as an exemplar.


METHODS 

Several multi-modal approaches were used to identify and triangulate core SBS curricula, including: 

a national survey of 204 faculty members who ranked the content importance of each of the SBS content areas; 

a comprehensive review of leading medical SBS textbooks; 

development of an algorithm to assess the strength of evidence for and potential clinical impact of each SBS construct; 

solicitation of student input, and 

review of guidelines from national advocacy organisations. 


To leverage curricular change, curriculum mapping was used to compare the school’s ‘actual’ SBS curriculum with an ‘ideal’ SBS curriculum to highlight educational needs and areas for revision. Clinical clerkship directors assisted in translating core SBS content into relevant clinical competencies.


RESULTS 

Essential SBS content areas were identified along with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ays of teaching SBS within a medical setting. The triangulation of several methods to identify content raised confidence in the resulting content list. Mapping actual versus ideal SBS curricula highlighted both current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dentified opportunities for change.


CONCLUSIONS 

This multi-modal, several-stage process of generating need-to-know curricular content and comparing it with current practices helped promote curricular changes in SBS, a content area that has been traditionally difficult to teach and is often under-represented. It is likely that this process can be generalised to other emerging or underrepresented topic areas.





INTRODUCTION


급격한 의학 지식의 축적으로 인해 좋은 점도 많지만, 많은 의과대학들은 제한된 시간에 늘어난 지식을 가르치느라 고전하고 있다.

Although the rapidly expanding fund of medical knowledge offers new possibilities for the promotion of health and the treatment of disease, it creates a vexing problem for overburdened medical schools balancing dozens of growing disciplines and content areas with a static number of teaching hours and resources. 


새로운 교육과정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새롭게 "알아야 하는" 내용을 확정하는 타당하고 신뢰도 있는 절차와 현재의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음의 모델들이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curriculum mapping을 활용하여 사회/행동과학(SBS)교육과정의 개정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A valid and reliable process of identifying ‘need-to-know’ content while evaluating current curricular efforts is required to integrate new knowledge and to change set curricula. 

    • Important models of curricular mapping,1,2 
    • curricular change management, 3 and 
    • educational evolution since the time of the Flexner Report4,5 have been offered as starting points in the consideration of change. 

We present curricular change in the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SBS) as an exemplar for identifying core content and using curriculum mapping as leverage for inclusion.



미국 내의 morbidity와 mortality의 원인은 행동적/사회적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의사들에게 SBS를 가르침으로서 outcome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사회문화적 차이를 모르면 outcome이 악화된다.

Approximately half of all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USA are linked to behavioural and social factors,6,7 and training doctors in the SBS is associated with improved outcomes. 

    • Superior interviewing skills are linked to more accurate diagnoses, increased adherence, improved outcomes and greater patient satisfaction.8,9 
    •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appears to reduce racial and ethnic health disparities and improve clinical outcomes.10 
    • Conversely, lack of appreciation, exploration or understanding of socio-cultural differences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can lead to decreased adherence and, subsequently, poorer health outcomes.11,12


미국 인구 건강 향상을 위하여 IOM은 의사들에게 SBS에 관한 지식과 스킬을 익힐 것을 권고하고 있다.

With the goal of substantially improving the health of the US population, the Institute of Medicine (IOM) has called for doctors to acquire 

‘the knowledge and skills from the behavioural and social sciences needed to recognise, understand, and effectively respond to patients as individuals’.13 


또한 이 보고서에서는 의과대학에서는 4년간의 통합된 SBS교육을 다음의 여섯 개 영역에 대해서 할 것을 권고했다.

This report recommends that medical schools offer a 4-year, integrated SBS curriculum addressing six domains: 

    • mind–body interactions; 
    • patient behaviour; 
    • the doctor’s role and behaviour; 
    • doctor–patient interactions; 
    • social and cultural issues in health care, and 
    • health policy and economics. 


보고서에서 26개의 SBS토픽을 구분했지만, 의과대학은 총체적인 접근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report identifies 26 different SBS topics, medical schools need a systematic approach to determining the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essential for every medical student. To address this challenge, we employed a multi-modal process for identifying need-to-know SBS content for medical students while promoting curricular revisions. 


다음의 과정을 밟았다.

This process included the use of: 

    • a locally generated topic list ranked by national SBS experts to validate and focus the IOM content suggestions; 
    • a curriculum-mapping project to compare a local actual curriculum with the ‘ideal’ SBS curriculum, and 
    • collaboration with clinicians to translate ideal SBS content into clinical competencies to support clinical clerkship revisions. 


We first review current challenges for SB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escribe the ‘need-to-know’ principle, and then outline our content development and mapping processes. Although we focus on the SBS, this process may be applicable to content in other domains.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SBS교육과정 디자인과 도입시 도전과제들

Challenge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SBS curricula in medical schools


대부분 미국 의과대학이 약간의 SBS교육과정들을 가지고 있지만 정규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정도와 성공 수준에서 차이가 크다. 그 원인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Although most US medical schools include some SBS education, the degree and success of formal curricular implementation has been inconsistent. The variation in programmes results from challenges that include...

    • competing curricula, 
    • the legacy of the culture of biomedicine, and 
    • inadequate SBS faculty development and support.13

현재의 교육과정이 이미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SBS교육과정을 추가로 덧대는 것은 다른 교육과정 내용에 위협이 된다. 이러한 결과에는 함께 잘 일을 하지 못하는 사회과학자, 행동과학자들도 한 몫을 했다. 일부 사람을은 '나와 다른 그들'('us-and-them')식 자세를 취했고, 이로 인해 교육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줬다. 이러한 역학구도는 어느 내용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SBS에서 더 두드러지는데, 이는 SBS가 임상과의 관련성이 떨어져보이고 의대의 문화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SBS를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을 찬성하는 교수들조차도 자신들의 교육시간을 줄이라거나, 자원을 공유하라거나, 협력하라거나 하면 반발하는 경우가 많다.

Because current medical curricula are already crowded, the addition of SBS instruction may be viewed as threatening to other curricular content.14 This struggle for curricular space is unfortunately exacerbated by social and behavioural scientists and clinicians who fail to work well together. In some settings, an ‘us-and-them’ stance develops, negatively influenc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15 Although this dynamic can exist in any content area, it tends to be more pronounced in the SBS, which is often not accepted by a medical culture that may see the field as less relevant to clinical care. Even among those faculty staff who support medical students’ education in the SBS, the need to reduce teaching time, share resources, and collaborate effectively can prove challenging.14,15


더 넓게는 생의학적 문화가 상당한 장애물이 되고 있다.

More broadly, the legacy of the biomedical culture remains a significant impediment 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and valued SBS curricula. 

Although beliefs are shifting, mainstream clinical reasoning still attributes human disease to anatomic and biochemical abnormalities and tends to dismiss psychosocial determinants as less relevant.15 Without trained SBS educators advocating for SBS curricular content, the SBS may be overlooked or integrated poorly into the overall curriculum.16 If SBS content remains separate while other content is increasingly delivered in integrated formats, its peripheral status is highlighted and its value questioned. Teaching of the SBS can also be impeded by the ‘hidden curriculum’, the implicit messages communicated through role modelling and the imprinting of attitudes and values onto students by experienced educators.17


명확하게 규정된 SBS교육내용 세트와 SBS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통합이 필수적이다. 

To create an appropriately integrated, interdependent curriculum, a clearly defined (ideal) set of SBS content and competencies is required. Integration is critical to ensure that various components of the SBS curriculum reinforce one another and the larger curriculum, and that there is sequential development of SBS learning in an iterative or spiral configuration.



"꼭 알아야 하는 것(need-to-know)"의 원칙

The ‘need-to-know’ principle


급격히 증가하는 의과대학 교육과정 내용에 대응하기 위해서, 교육자들은 모든 의과대학생이 알아야 하는 지식과 술기의 내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rationale 하에 미국에서는 ACGME가 전공의 수련의 18개 역량을 개발하였다. 이 broad competencies는 모든 수련중인 의사가 "꼭 알아야 하는(need to know)" 것에 대한 전공과목간에 합의된 내용이다.

To address the dramatic increase in medical school curricular content, educators must restrict material to the fundamental knowledge and skills that every medical student needs to know, regardless of ultimate specialty. In the USA,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developed competencies18 for residency training based on this rationale. These broad competencies represent a consensus among medical disciplines regarding the need-to-know content and skills for all resident doctors-in-training. These baseline competencies in knowledge, patient car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professionalism,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and systems-based practice are applicable and have been adapted to all disciplines.


ACGME 전공의 역량은 포괄적인 가이드를 주기 위한 것이며,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세세한 내용은 담고있지 않다. 

The ACGME resident competencies are designed to offer broad guidance for general programme development and may provide insufficient detail for the construction of specific curricula.18 

For example, although the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ism may be considered SBS in nature, they are not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and are too limited in scope to guide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SBS curriculum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those in mind–body interactions and patient behaviour content emphasised in the 2004 IOM report,13 are not addressed. 

Accreditation standards for US medical schools19 include SBS content, but are similarly too broad to guide content development for medical students. 


더 구체적인 가이드가 있어야 할 것이다.

Without more specific guidelines, individual medical schools and residencies must develop internal benchmarks and competency definitions in determining required SBS content.



METHODS


이상적인 교육과정, 실제 교육과정, 그리고 역량의 'translation"

The ideal curriculum, the actual curriculum and translating competencies



교육과정 설문과 mapping 프로젝트를 하였다. 이상적인 SBS교육과정과 비교하는 것.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urriculum survey and mapping project1,2 to validate and focus the IOM content suggestions,13 estimate local curricular needs and translate essential content into clinical competencies. This project included a comparison of our school’s existing SBS curriculum with an ideal one. 

Firstly, we identified core SBS content by reviewing expert resources and reports from professional societies to create a comprehensive content list, which was subsequently winnowed to establish core SBS content based on the need-to-know principle. 

Secondly, we conducted a national survey of medical school faculty to validate and refine the truncated core content list (Fig. 1). 





실제 교육과정을 이상적인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었고, 이것이 교육과정 개혁의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었다.

Our school’s ‘actual’ SBS curriculum was determined using electronic keyword searches and faculty interviews. The comparison of actual with ideal helped to identify core SBS teaching priorities, effectively direct limited resources and leverage curricular change. In collaboration with the clinical clerkships, SBS content was translated into clinical competencies complementary to existing third-year materials.



이상적인 교육과정 만들기

Creating the ideal curriculum

우리는 이상적인 학부 SBS교육과정을 정의하는 것에 있어서 몇 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시키고자 했다.

We define the ideal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BS curriculum as including several key features, including: 

    • comprehensive coverage of core content; 
    • strong evidence base; 
    • potential for integration with other scientific disciplines; 
    • clinical relevance, and 
    • sensitivity to curricular structure limitations (e.g. available curricular hours, competing accreditation requirements,19 course organisation). 

We deliberately use the word ‘ideal’ to describe a curriculum representing essential, core SBS content, but readily acknowledge the feasibility issues involved in incorporating the full set of topics. Moreover, we realise that even our triangulated results may omit unpopular topics or emerging curricular needs. However, our process aims to mitigate inherent disciplinary biases in curriculum development.


포괄적이고 걸러지지 않은(unfiltered) 목록을 만들었다. (1)교과서 중심 (2)미 전문직 조직들로부터 목록 수합

We created a comprehensive, unfiltered list of SBS topics using a variety of resources. 

  • We began by reviewing six leading SBS textbooks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20–25 The first author (JMS) developed matrices of content areas that included all topics covered in the six textbooks, ratings on a scale of 1–5 for the depth of coverage of each topic in each textbook (i.e. no, minimal, fair, good or comprehensive coverage), and notations on special strategies for presenting and reinforcing the materials. Topics receiving at least fair coverage in one textbook were added to an initial SBS topic list. 
  • Next, we collected content lists and reports from US professional organisations (e.g. the Association of Behavioral Science and Medical Education,26 the American Psychosomatic Society,27 the American Medical Student Association,28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29 the Institute of Medicine,13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30 and the Society of Teachers of Family Medicine31). Substantial redundancies in the list were removed and similar items combined.


설문 결과

Survey results

Frequency counts and mean ratings were calculated across all participants for each content area and for each item. Items were rated on a 5-point scale, on which 

    • 1 = ‘We do not need to ensure that students are offered exposure to this topic during medical school’, 
    • 3 = ‘Worth some effort to see that students are offered exposure to this topic, but not a top priority’ and 
    • 5 = ‘It is essential that every effort is made to cover this topic’. 


Overall content area means were as follows: 

    • mind–body interactions, 3.92 (standard deviation [SD] = 0.37); 
    • patient behaviour, 4.13 (SD = 0.50); 
    • the doctor’s role and behaviour, 4.10 (SD = 0.36); 
    • doctor–patient interactions, 4.36 (SD = 0.21); 
    • socio-cultural issues, 4.22 (SD = 0.35), and 
    • health policy, 3.98 (SD = 0.32). Item means ranged from 3.07 to 4.77. 

Tables 1 and 2 list the highest- and lowest-rated items based on mean item ratings.






실제 SBS교육과정에 적용시키기

Application of the ideal to the actual SBS curriculum


"이상적인" SBS교육과정을 만들었더라도, 지금 진행중인 실제 SBS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전까지는 교육과정을 바꿀 수 없었다. 또한 교육과정 구조, 교수법, 문화 등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했다.

Although the robust, convergent validity of our newly created ‘ideal’ SBS curriculum was persuasive in its own right, curricular revisions could not be recommended until we had examined our school’s actual SBS curriculum. Moreover, many complex issues such as curricular structure, pedagogy and the local teaching culture required careful attention before any dissemination or implementation efforts could be made.


우리 학교의 SBS 교육과정을 리뷰하였다.

We reviewed our school’s medical student curriculum SBS content to...

    • maximise the coordination and 
    • use of pre-existing materials and to 
    • identify unmet curricular needs by comparing the actual with the ideal SBS curriculum


방법

    1. 키워드 검색
      Using an electronic keyword search
       
      (n = 370 keywords across six IOM domains13 derived from our core content list and synonymous MeSH terms), we identified, downloaded and reviewed all teaching materials in our school’s electronic curriculum database (‘Ilios’), including teaching cases, special projects and assignments, and learning objectives. (Ilios is a UCSF-developed database program used to store, coordinate and revise content for all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eaching sessions. ‘Published’ (i.e. completed) teaching materials are fully searchable and openly accessible via the Internet.) We found a total of 1444 hits and handreviewed all associated teaching materials. 
    2. 반구조화 면접
      Our team 
      also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all clerkship directors to elicit and catalogue formal and informal SBS teaching in core clerkships. 
    3. Medical education curricular maps
      We subsequently 
      created six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curricular maps with visual timelines corresponding to the six IOM domains. Comprehensive appendices for each map detailed case content, learning objectives and other curricular elements. This detailed, actual SBS curriculum was then compared with the ideal SBS curriculum to set development goals and priorities for medical school Years 1–3.


예상했던 바와 같이 가장 요구가 크고, 기회가 많은 학년은 3학년의 임상실습이었다. 

As anticipated, the area of greatest need and opportunity was the third-year clinical clerkships. 

Although students acquired a solid SBS knowledge base in Years 1 and 2, the concepts were often difficult to translate to clinical practice, inconsistently reinforced, and sometimes actively devalued by supervising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이상적인 SBS교육과정"의 내용이 각 IOM 영역에 translate 되었고, 이상적인 역량을 실제 임상실습 역량과 비교하고, 요구도가 높은 SBS역량으로 목록을 좁혀 나갔음.

As a first translational step, we applied the ACGME clinical competencies framework to our ideal SBS curriculum and translated the ideal SBS concepts into skill-based competencies for each IOM domain. 13 We then compared this list of ideal SBS competencies with actual clerkship competencies and data from the semi-structured clerkship director interviews. Lists of high-need SBS competencies were narrowed to a locally relevant list of nine competencies to guide future clerkship revisions.



토론

DISCUSSION


We developed a multi-modal process to find the closest, objective approximation to an ideal SBS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In an overfull curriculum with competing disciplinary champions, this transparent and carefully derived content list was more persuasive than personal opinions or student preference. This ideal SBS content was then adapted to carefully assessed local curricular needs, teaching priorities and available resources using an ‘ideal versus actual’ mapping approach to leverage change.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content was translated into clinical competencies to make its clinical relevance more obvious to non-SBS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Although specific SBS curricular needs are likely to vary across schools, the derived ideal SBS curriculum can b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curricular comparisons and need assessments at other institutions. Given the breadth of SBS content and its potential inclusion in many different courses and clinical teaching cases, a careful mapping and oversight process is probably even more essential for SBS than for other more circumscribed content areas. The translation of core content into clinical competencies may hold important benefits for other content areas, including the basic sciences.


응답자들이 자신이 준 점수에 대한 설명을 하지 않았으므로 왜 덜 중요하다고 했는지 이유는 알 수 없다.

Because survey respondents did not explain or justify their ratings, we cannot determine why certain items were viewed as less important. 

한 설문에서 1/3의 응답자들은 정신사회적 요인을 아는 것이 별로 도움이 안된다고 했다.

In two surveys of doctor, resident and student attitudes toward psychosocial factors in medicine, Astin et al.32,33 found about one-third of respondents believed that addressing psychosocial factors yielded minimal or no improvement in patient care. Most participants believed their past psychosocial training was ineffective and few desired additional training. 

이상적인 SBS교육과정에서 그 중요성을 높게 평가받은 항목들이 있더라도 정신사회적 내용에 대한 훈련 필요성을 낮게 보는 분위기는 이런 높은 우선순위 항목에조차 영향을 줄 수 있다.

Reasons cited for the view that psychosocial factors are less important included low self-efficacy, limited knowledge base, insufficient time and low reimbursement. 32,33 Although the perceived value of highly rated items in an ideal SBS curriculum may improve learner acceptance and motivation, prevailing attitudes regarding the value of psychosocial training and the importance of psychosocial factors in clinical care could undermine even the highest priority content.






 2010 Dec;44(12):1194-202. doi: 10.1111/j.1365-2923.2010.03713.x.

Creating an ideal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Abstract

OBJECTIVE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universally struggle with overfull curricula that make curricular changes quite challenging. Final content decisions are often influenced by available faculty staff, vocal champions or institutional culture. We present a multi-modal process for identifying 'need-to-know' content while leveraging curricular change, using the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s (SBS) as an exemplar.

METHODS:

Several multi-modal approaches were used to identify and triangulate core SBS curricula, including: a national survey of 204 faculty members who ranked the content importance of each of the SBS content areas; a comprehensive review of leading medical SBS textbooks; development of an algorithm to assess the strength of evidence for and potential clinical impact of each SBS construct; solicitation of student input, and review of guidelines from national advocacy organisations. To leverage curricular change, curriculum mapping was used to compare the school's 'actual' SBS curriculum with an 'ideal' SBS curriculum to highlight educational needs and areas for revision. Clinical clerkship directors assisted in translating core SBS content into relevant clinical competencies.

RESULTS:

Essential SBS content areas were identified along with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ays of teaching SBS within a medical setting. The triangulation of several methods to identify content raised confidence in the resulting content list. Mapping actual versus ideal SBS curricula highlighted both current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dentified opportunities for change.

CONCLUSIONS:

This multi-modal, several-stage process of generating need-to-know curricular content and comparing it with current practices helped promote curricular changes in SBS, a content area that has been traditionally difficult to teach and is often under-represented. It is likely that this process can be generalised to other emerging or under-represented topic areas.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0.

PMID:

 

2109175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출처 : http://jalt.org/test/bro_12.htm)



• Pearson r:

– 연속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

– 선형적 관계를 가정


• Spearman's r.

– 서열척도들간의 상관계수

– 연속변수라 하더라도 극단적인 값들이 존재하면 Pearson Correlation 대신 Spearman 상관계수를 사용할 수 있음.

– 계산 방법은 자료의 서열을 정한 다음, 이 서열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하면 됨.


• Phi(φ) coefficient.

두 범주 변수들간의 상관계수

각 범주 변수를 0과 1로 바꾼 다음, 이 둘 간의 Pearson 상관계수로 계산할 수 있음.

– 이 값은 부호가 의미가 없고, 최소값이 0은 아니다.


• Tetrachoric 상관계수

– 범주들간의 상관계수이나, 범주들이 인위적으로 이분화된 경우에 사용하는 이다.

– 이분화되기 전 원래 변수는 정규분포를 띠고 있다고 가정한다.


• 점이연 상관계수 (Point-biserial correlation)

– 하나가 연속변수이고 다른 하나고 이분변수일 때 사용하는 상관계수

– 이분변수를 0과 1로 코딩한 다음 Peason 상관계수를 계산하면이 상관계수가 된다.

– 검사에서 총점과 문항 (correct/incorrect 혹은 yes/no) 간의 상관계수를 구할 때 자주 사용된다.

– 두 집단의 t-검증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 이연 상관계수 (Biserial correlation)

– 하나가 연속변수이고 다른 하나고 이분변수일 때 사용하는 상관계수이지만 이분변수가 원래 연속변수인데 이분화한 경우에 상용한다.

– 이는 이분화되지 않았을 때 두 연속변수들간의 상관계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상관이 구해진다.


(출처 : http://qpsy.snu.ac.kr/teaching/multivariate/R_V.pdf)







Biserial correlation


If the sample is normally distributed (i.e., conditions for the computation of the biserial exist), then to obtain the biserial correlation from the point-biserial for dichotomous data:

Biserial = Point-biserial * f(proportion-correct-value)

 

Example: Specify PTBISERIAL=Yes and PVALUE=Yes. Display Table 14.

+-------------------------------------------------------------------------------------+

|ENTRY    RAW                   MODEL|   INFIT  |  OUTFIT  |PTBSE| P-  |              |

|NUMBER  SCORE  COUNT  MEASURE  S.E. |MNSQ  ZSTD|MNSQ  ZSTD|CORR.|VALUE| TAP          |

|------------------------------------+----------+----------+-----+-----+--------------|

|     8     27     34   -2.35     .54| .59  -1.3| .43   -.2| .65.77| 1-4-2-3      |

 

Point-biserial = .65. proportion-correct-value = .77. Then, from the Table below, f(proportion-correct-value) = 1.3861, so Biserial correlation = .65 * 1.39 = 0.90

 

Here is the Table of proportion-correct-value and f(proportion-correct-value).

p-va f(p-val) p-va f(p-val)

0.99 3.7335   0.01 3.7335

0.98 2.8914   0.02 2.8914

0.97 2.5072   0.03 2.5072

0.96 2.2741   0.04 2.2741

0.95 2.1139   0.05 2.1139

0.94 1.9940   0.06 1.9940

0.93 1.8998   0.07 1.8998

0.92 1.8244   0.08 1.8244

0.91 1.7622   0.09 1.7622

0.90 1.7094   0.10 1.7094

0.89 1.6643   0.11 1.6643

0.88 1.6248   0.12 1.6248

0.87 1.5901   0.13 1.5901

0.86 1.5588   0.14 1.5588

0.85 1.5312   0.15 1.5312

0.84 1.5068   0.16 1.5068

0.83 1.4841   0.17 1.4841

0.82 1.4641   0.18 1.4641

0.81 1.4455   0.19 1.4455

0.80 1.4286   0.20 1.4286

0.79 1.4133   0.21 1.4133

0.78 1.3990   0.22 1.3990

0.77 1.3861   0.23 1.3861

0.76 1.3737   0.24 1.3737

0.75 1.3625   0.25 1.3625

0.74 1.3521   0.26 1.3521

0.73 1.3429   0.27 1.3429

0.72 1.3339   0.28 1.3339

0.71 1.3256   0.29 1.3256

0.70 1.3180   0.30 1.3180

0.69 1.3109   0.31 1.3109

0.68 1.3045   0.32 1.3045

0.67 1.2986   0.33 1.2986

0.66 1.2929   0.34 1.2929

0.65 1.2877   0.35 1.2877

0.64 1.2831   0.36 1.2831

0.63 1.2786   0.37 1.2786

0.62 1.2746   0.38 1.2746

0.61 1.2712   0.39 1.2712

0.60 1.2682   0.40 1.2682

0.59 1.2650   0.41 1.2650

0.58 1.2626   0.42 1.2626

0.57 1.2604   0.43 1.2604

0.56 1.2586   0.44 1.2586

0.55 1.2569   0.45 1.2569

0.54 1.2557   0.46 1.2557

0.53 1.2546   0.47 1.2546

0.52 1.2540   0.48 1.2540

0.51 1.2535   0.49 1.2535

0.50 1.2534   0.50 1.2534

 

To obtain the biserial correlation from a point-biserial correlation, multiply the point-biserial correlation by SQRT(proportion-correct-value*(1-proportion-correct-value)) divided by the normal curve ordinate at the point where the normal curve is split in the same proportions.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oint-polyserial correlation and the polyserial correlation.



(출처 : http://www.winsteps.com/winman/biserial.htm)





Applied Statistics - Lesson 13

More Correlation Coefficients

Lesson Overview

Why so many Correlation Coefficients

We introduced in lesson 5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pearman rho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are more. Remember that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required quantitative (interval or ratio) data for both x and y whereas the Spearman rho correlation coefficient applied to ranked (ordinal) data for both x and y. You should review levels of measurement in lesson 1 before we continue.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data variables are not at the same level of measurement, or that the data might instead of being quantitative be catagorical (nominal or ordinal). In addition to correlation coefficients based on the product moment and thus related to th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 are coefficients which are instead measures of association which are also in common use.

For the purpos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e can generally lump the interval and ratio scales together as just quantitative. In addition, the regression of x on y is closely related to the regression of y on x, and the same coefficient applies. We list below in a table the common choices which we will then discuss in turn.

Variable Y\XQuantitiative XOrdinal XNominal X
Quantitative YPearson rBiserial rbPoint Biserial rpb
Ordinal YBiserial rbSpearman rho/Tetrachoric rtetRank Biserial rrb
Nominal YPoint Biserial rpbRank Bisereal rrbPhi, L, C, Lambda

Before we go on we need to clarify different types of nominal data. Specifically, nominal data with two possible outcomes are call dichotomous.

Point-Biserial

The point-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referred to as rpb, is a special case of Pearson in which one variable is quantitative and the other variable is dichotomous and nominal. The calculations simplify since typically the values 1 (presence) and 0 (absence) are used for the dichotomous variable. This simplification is sometimes expressed as follows: rpb = (Y1 - Y0) • sqrt(pq) / [sigma]Y, where Y0 and Y1 are the Y score means for data pairs with an x score of 0 and 1, respectively, q = 1 - p and p are the proportions of data pairs with x scores of 0 and 1, respectively, and [sigma]Y is the population standard deviation for the y data. An example usage might be to determine if one gender accomplished some task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ther gender.

Phi Coefficient

If both variables instead are nominal and dichotomous, the Pearson simplifies even further. First, perhaps, we need to introduce contingency tables. A contingency table is a two dimensional table containing frequencies by catagory. For this situation it will be two by two since each variable can only take on two values, but each dimension will exceed two when the associated variable is not dichotomous. In addition, column and row headings and totals are frequently appended so that the contingency table ends up being n + 2 by m + 2, where n and m are the number of values each variable can take on. The label and total row and column typically are outside the gridded portion of the table, however.

As an example, consider the following data organized by gender and employee classification (faculty/staff). (htm doesn't provide the facility to grid only the table's interior).

Class.\GenderFemale (0)Male (1)Totals
Staff10515
Faculty51015
Totals:151530

Contingency tables are often coded as below to simplify calculation of the Phi coefficient.

Y\X01Totals
1ABA + B
0CDC + D
Totals:A + CB + DN

With this coding: phi = (BC - AD)/sqrt((A+B)(C+D)(A+C)(B+D)).

For this example we obtain: phi = (25-100)/sqrt(15•15•15•15) = -75/225 = -0.33, indicating a slight correlation. Please note that this i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just calculated in a simplified manner. However, the extreme values of |r| = 1 can only be realized when the two row totals are equal and the two column totals are equal. There are thus ways of computing the maximal values, if desired.

Measures of Association: C, V, Lambda

A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point biserial, phi, and Spearman rho are all special cases of the Pearson. However, there are correlation coefficients which are not. Many of these are more properly called measures of association, although they are usually termed coefficients as well. Three of these are similar to Phi in that they are for nominal against nominal data, but these do not require the data to be dichotomous.

One is called Pearson's contingency coefficient and is termed C whereas the second is called Cramer's V coefficient. Both utilize the chi-square statistic so will be deferred into the next lesson. However, the Goodman and Kruskal lambda coefficient does not, but is another commonly used association measure. There are two flavors, one called symmetric when the researcher does not specify which variable is the dependent variable and one called asymmetricwhich is used when such a designation is made. We leave the details to any good statistics book.

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other measure of association, the 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termed rb, is similar to the point biserial, but pits quantitative data against ordinal data, but ordinal data with an underlying continuity but measured discretely as two values (dichotomous). An example might be test performance vs anxiety, where anxiety is designated as either high or low. Presumably, anxiety can take on any value inbetween, perhaps beyond, but it may be difficult to measure. We further assume that anxiety is normally distributed. The formula is very similar to the point-biserial but yet different:
rb = (Y1 - Y0) • (pq/Y) / [sigma]Y,
where Y0 and Y1 are the Y score means for data pairs with an x score of 0 and 1, respectively, q = 1 - p and p are the proportions of data pairs with x scores of 0 and 1, respectively, and [sigma]Y is the population standard deviation for the y data, and Y is the height of the standardized normal distribution at the point z, where P(z'<z)=q and P(z'>z)=p. Since the factor involving pq, and the height is always greater than 1, the biserial is always greater than the point-biserial.

Tetrachoric Correlation Coefficient

The tetrachoric correlation coefficient, rtet, is used when both variables are dichotomous, like the phi, but we need also to be able to assume both variables really are continuous and normally distributed. Thus it is applied to ordinal vs.ordinal data which has this characteristic. Ranks are discrete so in this manner it differs from the Spearman. The formula involves a trigonometric function called cosine. The cosine function, in its simpliest form, is the ratio of two side lengths in a right triangle, specifically, the side adjacent to the reference angle divided by the length of the hypotenuse. The formula is: rtet = cos (180/(1 + sqrt(BC/AD)).

Rank-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ank-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rrb, is used for dichotomous nominal data vs rankings (ordinal). The formula is usually expressed as rrb = 2 •(Y1 - Y0)/n, where n is the number of data pairs, and Y0 and Y1, again, are the Y score means for data pairs with an x score of 0 and 1, respectively. These Y scores are ranks. This formula assumes no tied ranks are present. This may be the same as a Somer's D statistic for which an online calculator is available.

Coefficient of Nonlinear Relationship (eta)

It is often useful to measure a relationship irrespective of if it is linear or not. The eta correlation ratio or eta coefficient gives us that ability. This statistic is interpretted similar to the Pearson, but can never be negative. It utilizes equal width intervals and always exceeds |r|. However, even though r is the same whether we regress y on x or x on y, two possible values for eta can be obtained.














데이터입력
5.1. Data Entry


Data entry for correlation,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is straightforward because the data can be entered in columns. So, for each variable you have measured, create a variable in the spreadsheet with an appropriate name, and enter each subject’s scores across the spreadsheet. There may be occasions where you have one or more categoric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these variables can be entered in the same way but you must define appropriate value labels. For example, if we wanted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adverts (advertising crisps!) a person saw and the number of packets of crisps they subsequently bought we would enter these data as in Figure 5.1.


예비분석 : 산점

5.2. Preliminary Analysis of the Data: the Scatterplot


Before conducting any kind of correlational analysis it is essential to plot a scatterplot and look at the shape of your data. A scatterplot is simply a graph that displays each subject’s scores on two variables (or three variables if you do a 3-D scatterplot). A scatterplot can tell you a number of things about your data such as whether there seems to b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hat kind of relationship it might be and whether there are any cases that are markedly different from the others. A case that differs substantially from the general trend of the data is known as an outlier and if there are such cases in your data they can severely bi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erefore, we can use a scatterplot to show us if any data points are grossly incongruent with the rest of the data set.


이변수 상관관계

5.3. Bivariate Correlation


Once a preliminary glance has been taken at the data, we can proceed to conducting the actual correla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pearman’s Rho should be familiar to most students and are examples of a bivariate correlation. The dialogue box to conduct a bivariate correlation can be accessed by the menu path AnalyzeÞCorrelateÞBivariate … and is shown in Figure 5.5.


피어슨 상관관계

5.3.1.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피어슨 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모수적 데이터가 필요하나, 사실 이 통계법은 극도록 robust한 방법이다.

For those of you unfamiliar with basic statistics (which shouldn’t be any of you … !), it is not meaningful to talk about means unless we have data measured at an interval or ratio level. As such, Pearson’s coefficient requires parametric data because it is based upon the average deviation from the mean. However, in reality it is an extremely robust statistic.



만약 가지고 있는 자료가 nonparametric이라면 Pearson에 체크된 것을 해제해야 한다.

This is perhaps why the default option in SPSS is to perform a Pearson’s correlation. However, if your data are nonparametric then you should deselect the Pearson tick-box. The data from the exam performance study are parametric and so a Pearson’s correlation can be applied. The dialogue box (Figure 5.5) allows you to specify whether the test will be one- or two-tailed. 


단측검정과 양측검정의 활용

One-tailed tests should be used when there is a specific direction to the hypothesis being tested, and two tailed tests should be used when a relationship is expected, but the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is not predicted. 


Our researcher predicted that at higher levels of anxiety exam performance would be poor and that less anxious students would do well. Therefore, the test should be one-tailed because she is predicting a relationship in a particular direction. What’s mor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vision time and exam performance is also expected so this too is a one tailed test.


유의할 단어(1) : 인과관계

5.3.1.1. A Word of Warning about Interpretation: Causality


상관계수를 해석할 때는 매우 조심해야 하는데, 인과관계에 대해서 정보를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A considerable amount of caution must be taken when interpreting correlation coefficients because they give no indication of causality. So, in our example, although we can conclude that exam performance goes down as anxiety about that exam goes up, we cannot say that high exam anxiety causes bad exam performance. This is for two reasons:


제3의 변수

·  The Third Variable Problem: In any bivariate correlation causality between two variables cannot be assumed because there may be other measured or unmeasured variables effecting the results. This is known as the ‘third variable’ problem or the ‘tertium quid’. In our example you can see that revision time does relate significantly to both exam performance and exam anxiety and there is no way of telling which of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if either, are causing exam performance to change. So, if we had measured only exam anxiety and exam performance we might have assumed that high exam anxiety caused poor exam performance. However, it is clear that poor exam performance could be explained equally well by a lack of revision. There may be several addition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orrelated variables, and these variables may not have been measured by the researcher. So, there could be another, unmeasured, variable that affects both revision time and exam anxiety.


인과관계의 방향

·  Direction of Causality: Correlation coefficients say nothing about which variable causes the other to change. Even if we could ignore the third variable problem described above, and we could assume that the two correlated variables were the only important on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doesn’t indicate in which direction causality operates. So, although it is intuitively appealing to conclude that exam anxiety causes exam performance to change, there is no statistical reason why exam performance cannot cause exam anxiety to change. Although the latter conclusion makes no human sense (because anxiety was measured before exam performance), the correlation does not tell us that it isn’t true.


해석에 r2 사용하기

5.3.1.2. Using r2 for Interpretation


인과관계에 대해서 직접적인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상관계수를 제곱하여 variability에 대한 결론을 낼 수 있다.

Although we cannot make direct conclusions about causality, we can draw conclusions about variability by squa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y squa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e get a measure of how much of the variability in one variable is explained by the other


For example, if w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exam anxiety and exam performance. Exam performances vary from subject to subject because of any number of factors (different ability, different levels of preparation and so on). If we add all of this variability (rather like when we calculated the sum of squares in chapter 1) then we would get an estimate of how much variability exists in exam performances. We can then use r 2 to tell us how much of this variability is accounted for by exam anxiety. These variables had a correlation of - 0.4410. The value of r2 will therefore be (-0.4410)2 = 0.194 . This tells us how much of the variability in exam performance that exam anxiety accounts for. If we convert this value into a percentage (simply multiply by 100) we can say that exam anxiety accounts for 19.4% of the variability in exam performance. So, although exam anxiety was highly correlated to exam performance, it can account for only 19.4% of variation in exam scores. To put this value into perspective, this leaves 80.6% of the variability still to be accounted for by other variables. 


r^2은 매우 유용하지만, 인과관계를 추론하는데 사용할 수는 없다.

I should note at this point that although r 2 is an extremely useful measure of the substantive significance of an effect, it cannot be used to infer causal relationships. Although we usually talk in terms of ‘the variance in Y accounted for by X’ or even the variation in one variable explained by the other, this says nothing of which way causality runs. So, although exam anxiety can account for 19.4% of the variation in exam scores, it does not necessarily cause this variation.


Spearman's Rho

5.3.2. Spearman’s Rho

비모수적 통계법으로서 parametric assumption이나 distributional assumption을 위반했을 때 사용한다.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is a nonparametric statistic and so can be used when the data have violated parametric assumptions and/or the distributional assumptions. Spearman’s tests works by first ranking the data, and then applying Pearson’s equation to those ranks. 


Spearman correlation은 변수가 interval이 아니라 ordinal일 경우에 사용한다.

As an example of nonparametric data, a drugs company was interested in the effects of steroids on cyclists. To test the effect they measured each cyclist’s position in a race (whether they came first, second or third etc.) and how many steroid tablets each athlete had taken before the race. Both variables are nonparametric, because neither of them was measured at an interval level. The position in the race is ordinal data because the exact difference between the ability of the runners is unclear. It could be that the first athlete won by several metres while the remainder crossed the line simultaneously some time later, or it could be that first and second place was very tightly contested but the remainder were very far behind.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s used because one of these variables is ordinal not interval.


Kendall's Tau (비모수적)

5.3.3. Kendall’s Tau (nonparametric)

Kendall's tau역시 비모수적 상관관계이지만 데이터세트가 작고 동순위(동점자)가 많을 때 상요한다. Spearman이 더 유명하긴 하지만, Kendall's 방법이 상관관계를 더 잘 보여준다는 의견도 많다.

Kendall’s tau is another nonparametric correlation and it should be used rather than Spearman’s coefficient when you have a small data set with a large number of tied ranks. This means that if you rank all of the scores and many scores have the same rank, the Kendall’s tau should be used. Although Spearman’s statistic is more popular of the two coefficients, there is much to suggest that Kendall’s statistic is actually a better estimate of the correlation in the population (see Howell, 1992, p.279). As such, we can draw more accurate generalisations from Kendall’s statistic than from Spearman’s.


(출처 : http://www.statisticshell.com/docs/correlation.pd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