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책무성을 갖춘 의과대학 만들기(AMEE Guide No. 109) (Med Teach, 2016)

Producing a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 AMEE Guide No. 109
Charles Boelena, David Pearsonb, Arthur Kaufmanc, James Rourked, Robert Woollarde, David C. Marshf and Trevor Gibbsg

 

도입 Introduction

"21세기는 의료 서비스 제공의 품질, 형평성, 목적적합성 및 효과 개선, 사회적 우선 순위와의 불일치 감소, 보건 전문가의 역할 재정의 및 국민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의 증거 제공 등 의과대학에 다양한 과제를 제시한다." (GCSA 2010)
“The 21st century presents medical schools with a different set of challenges: improving quality, equity, relevance and effectiveness in health care delivery; reducing the mis-match with societal priorities; redefining roles of health professionals and providing evidence of the impact on people’s health status.”
 (GCSA 2010)

(의학교육에는) 교육, 학습 및 평가 방법론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주로 의학교육 연구와 기초 교육 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에 의해 촉진되었다(Eva 2008; Gibbs et al. 2011). 컨텍스트, 교육 환경 및 학습 공간의 적용 가능성은 모두 "목적에 맞는" 의료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습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병행하여 발전하였다(Ross et al. 2014).
Changes have occurred i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ologies, mainly facilitated by a critical appraisal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the underlying theories of education (Eva 2008; Gibbs et al. 2011). The importance of contex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space have developed in parallel with new technologies for learning, all with a purpose of developing a “fit for purpose” healthcare professional (Ross et al. 2014).

20세기에 의학과 그것의 교육 시스템의 발전의 두드러진 특징은 전문화, 기술, 그리고 동반자 자격주의attendant credentialism에 대한 상대적으로 무비판적인 사랑이었다. 이것은 개인에게 [의료]와 [교육]의 실제 전달에 많은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지만, 동시에 두 시스템의 분리를 초래했고, 다른 시스템과의 분리를 가져왔다. 따라서 사회는 매우 유능한 실무자와 교육자를 통해 축복받았지만, 특히 가장 소외된 인구의 건강 요구에 대한 그들의 집단적 영향은 필요한 것보다 훨씬 적었다. 20세기 말까지, 직업교육의 근본적 사상가들 중 한 명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A salient feature of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its educational systems in the twentieth century has been a relatively uncritical love affair with specialization, technology, and attendant credentialism. While this has had many very positive effects on the actual delivery of health care and education to individuals, it has simultaneously led to a fractionation of both systems and their separation one from the other. Society has thus been blessed with highly competent practitioners and educators but their collective impact on the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s, most particularly the most marginalized, has been far less than is needed. By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Ernest Boyer, one of the seminal thinkers in professional education was led to observe:

"우리 시대의 위기는 기술적 역량이 아니라 사회적, 역사적 관점의 상실과 관련이 있다. 양심과 역량의 비참한 이혼이다."(Boyer 1997)

The crisis of our time relates not to technical competence, but to a loss of the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to the disastrous divorce of competence from conscience.” (Boyer 1997)

세계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소를 더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서 매우 가슴 아픈 의문이 생겼다: "사람들의 병을 치료한 뒤, 그들을 병들게 한 곳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무슨 도움이 되는가?"
As the world began to look more critically at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re arose a very poignant question: “What good does it do to treat people’s illness and then send them back to the conditions that made them sick?”

사회적 책무에 관한 시책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한 21세기 초의 맥락이다. 활동은 Francophone 의과대학 이니셔티브와 같은 집단을 통해 필리핀 시골에서 GCSA로 대표되는 진정한 글로벌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로 일어나고 있었다.
This was the context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when initiatives around social accountability began to take shape. Activities were occurring at a range of scales from the very local in rural Philippines through collectives such as the Francophone medical schools initiative to the truly global as represented by the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이 모든 것은 [의료계와 학계]가 [다음과 같은 모호하지 않은 의무가 있다는 중심 전제]에 토대를 두고 있다. 
All were predicated on the central premise that the medical profession and its academic community have an unambiguous obligation:

"…교육, 연구 및 서비스 활동을 지역사회, 지역 및/또는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시direct합니다."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and/or nation they have the mandate to serve.” 

우선적인 건강 문제는 정부, 의료 기관, 보건 전문가 및 대중이 공동으로 확인해야 한다(WHO 1995).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are to be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 care organis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WHO 1995).

GCSA는 높은 자원과 낮은 자원 상황에서 세계의 모든 지역을 끌어들여 기관, 조직 및 인증 시스템이 실제로 이 간단해 보이는 아이디어를 애니메이션화하려고 시도함에 따라 정확히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세밀하게 이해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보건과 교육을 위한 정치 시스템은 도움 없이 서로 거리를 두고 있다는 것이 점점 분명해졌다. Lancet Commission 보고서(Frenk et al. 2010)에 의해 우아하게 요약된 이 분리와 각 시스템 내의 분리는 증가하는 비용 효과, 목적적합성, 품질 영향 또는 건강의 형평성에 의해 일치하지 않는 건강 시스템에 기여했다는 것이 명백하다. 간단히 말해서, 이 시스템은 그들이 추정적으로 복무해야 할 사회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있었다.
The GCSA drew upon all regions of the world in both high and low resource situations to reach a more refined understanding of what exactly the implications were as institutions, organisations, and systems of accreditation attempted to actually animate this seemingly straight-forward idea. It became increasingly evident that, in most nations, the political systems for health and for education were unhelpfully distanced one from the other. Outlined elegantly by the Lancet Commission report Health Professions for a New Century (Frenk et al. 2010) it is apparent that this separation and the fractionation within each of the systems contributed to health systems whose increasing expense was not matched by an increasing cost effectiveness, relevance, quality impact, or equity in health. In short, the systems were not being held accountable to the societies they putatively served.

더 많은 개인과 조직이 (사회적 목적적합성,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대응성 및 그 너머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우리의 현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를) 노력한 끝에 많은 작업, 증거 및 경험을 얻었다
a great deal of work, evidence, and experience has been gained as increasing numbers of individuals and organisations have wrestled with how to change our current activities towards

  • social relevance,
  • social responsiveness to
  • social responsibility, and beyond that to 
  • social accountability.

이것은 단순히 좋은 의도를 넘어, 여러 부문에 걸쳐서 다음을 위하는 것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포부를 수반한다. 

  • 필요한 전문인력의 종류를 개념화합니다. 
  • 그것을 생산하고
  • 그들이 사회의 건강 요구를 해결하는데 있어 가장 높고 최선의 목적에 익숙해져 있는지 확인한다.

This carries with it the aspiration to move beyond good intentions to working across sectors to 

  • conceptualize the kind of professionals needed, 
  • produce them and
  • ensure that they are used to their highest and best purpose in addressing the health needs of their societies.

이는 건강 우선순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is means being able to assess their impact on health priorities.

 

사회적 책임 정의
Defining social accountability

지난 20년 동안, 보건 직업 학교 및 기타 의료 교육 제공자의 사회적 책임 개념은 특히 1995년(Boelen & Heck 1995)의 첫 정의 이후 탄력을 받았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현재의 정의는 이 날부터 인정되며, 현재 다음과 같이 인정된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concept of social accountability of health professions schools and other healthcare educational providers has gained momentum, notably since its first definition in 1995 (Boelen & Heck 1995). The present day defini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is accepted from this date and is now recognized as:

"…의과대학이 의무적으로 교육, 연구 및 서비스 활동을 지역사회, 지역 및/또는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요구를 해결하도록 지시해야 합니다. 우선적인 건강 요구 사항은 정부, 의료 기관, 보건 전문가 및 대중이 공동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the obligation of medical schools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needs of the community, region, and/or nation they have a mandate to serve. The priority health needs are to be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care organis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이 정의는 이제 진화하는 문헌에 포함되었고 전 세계의 많은 학교와 기관에 의해 채택되었다.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글로벌 컨센서스(GCSA 2010)는 이러한 정의를 재확인하고 나중에 사회적 책임과 대응성의 구체적인 정의를 용어집에 추가하였다.;

  • 사회적 책임이 사회적 인식 범위 내에서 진실되고, 목적적이며, 측정 가능한 활동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
  • 사회적 책임에서 사회적 책무까지

This definition has now become embedded in the evolving literature and has been adopted by many schools and organisations around the world. The Global Consensus for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GCSA 2010) reaffirmed this definition and later added the specific definition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veness into their terminology;

  • recognizing that social accountability reflects a true, purposeful, and measureable activity within the spectrum of social awareness;
  • from social responsibility to social accountability;

 

Boelen과 동료들은 나중에 이 주제를 명확히 했다(Boelen & Woollard 2011; Boelen et al. 2013). (표 1)

Boelen and colleagues later clarified this topic (Boelen & Woollard 2011; Boelen et al. 2013) (Table 1).

 

사회적 의무의 이러한 스펙트럼을 구조화함에 있어

In structuring this spectrum of social obligation, 

사회적 책임"사회의 요구에 대응하는 의무의 인식 상태"로 정의된다.

  • 즉, 지역사회가 헬스케어의 정의에 관여한다는 인식이다. 의료 교육에서 이는 공공 보건 정책과 보건 결정 요인을 설명하는 특정 강의에서 지역사회와 공공 보건 요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과정에 자주 반영된다. 

social responsibility is defined as: “a state of awareness of duties to respond to society’s needs” – recognition that the community plays a part in defining healthcare. In healthcare education this is frequently reflected in courses that raise awareness of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eeds, of specific lectures describing public health policies and health determinants.

사회적 반응성이라는 용어를 갖게 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사회의 요구를 다루는 행동의 과정course of action이다.

  • 실용적이거나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것은 학생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배우고, 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시간을 보내고, 관찰하고, 때로는 건강과 관련된 공동체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social responsiveness, defined as: a course of actions addressing society’s needs. In practical or educational terms, this is seen as students learning within the community, students spending time in the community, observing and sometimes partaking of community activities related to health.

사회적 책무는 이 스펙트럼의 끝에 나타난다.

  • 이러한 행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거나 결과로 전환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를 가지고, [특정 조치action가 "졸업생들의 직무, 보건 시스템 성과 및 모집단의 건강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끔 하겠다는 [지역사회와의 약속]이다. 따라서 이는 측정 가능한 활동이며, 이것이 사회적 책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Social accountability then emerges at the end of this spectrum as an engagement with communities to ensure that actions have the greatest chance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s upon graduates’ work, on health system performance and population’s health status together with a measure of how these actions affect or transition into results – it is therefore a measurable activity; a most important element within social accountability. 

GCSA 문서는 130개의 유사한 사고 조직과 개별 지도자로 구성된 국제 참조 그룹을 통해 개발된 주요 사업이었다. GCSA는 델파이(Delphi)와 중재(Mediated) 과정을 사용하여 전 세계 모든 지역의 대표가 10개의 행동 영역을 정의했으며, 이를 처리하면 학교가 사회적으로 책임을 질 수 있게 된다. 이 [10가지 행동 영역][사회에 대한 학교의 책임]의 네 가지 특정 요소에서 파생되었으며, 학교의 능력은 다음과 같다.

  • 사회의 현재 및 미래의 건강 요구와 과제에 대응한다.
  • (건강 요구에 따라)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우선순위를 재조정한다.
  • 다른 이해당사자와의 거버넌스 및 파트너십 강화
  • 평가와 인증을 사용하여 성과와 영향을 평가한다.

The GCSA document was a major undertaking developed through an international reference group of 130 similarly thinking organisations and individual leaders. The GCSA used a Delphi and mediated process, with representation from all regions of the world, to define 10 action areas, that if processed would enable the schools to become socially accountable. These 10 action areas were derived from four specific components of a school’s responsibility to society, notable the school’s ability to:

  • respond to current and future health needs and challenges in society;
  • reorientate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priorities accordingly;
  • strengthen governance and partnerships with other stakeholders;
  • use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o assess their performance and impact.

Boelen and Woollard(2009)의 획기적인 논문은 다음과 같다.
The landmark paper by Boelen and Woollard (2009) notes:

수월성excellence은 [자기자신의 행동이 사람들의 복지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증명하는 교육기관의 것이어야 한다. 이들이 배출하는 졸업생은 시민과 사회의 건강 증진을 위해 바람직한 모든 역량을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전문직업적 실천을 위하여 그 역량을 활용해야 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한 네 가지 원칙은 개인과 집단적 관점에서 사람들이 권리를 갖는 의료의 유형, 즉 질, 형평성, 목적적합성 및 효과성을 가리킨다. 따라서 건강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결정요인은 교육기관의 전략적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
… excellence should be reserved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verify that their actions make a difference to people’s well-being. The graduates they produce should not only possess all of the competencies desirable to improve the health of citizens and society, but should also use them in their professional practice. Four principles enuncia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refer to the type of health care to which people have a right, from both an individual and a collective standpoint: quality, equity, relevance and effectiveness. Therefore,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health must guide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Boelen과 Woollard는 또한 사회적 책무에는 교육 및 학습 조직이 단순이 아닌 활동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도록, 사회적 책무를 평가하기 위해 CPU 모델을 개발한 기관의 개념화, 생산 활동 및 졸업생의 사용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전위를 상술하다

Boelen and Woollard also noted that social accountability should include the institution’s Conceptualization, Production activities, and Usability of graduates, from which they developed the CPU model to assess social accountability, in order that teaching and learning organisations could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ir activities, rather than simplistically describe a potential.

"완전한 사회적 책무를 지기 위해, 기관은 자신의 '제품'(졸업생, 서비스 모델 또는 연구 결과)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권리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Boelen & Woollard 2009). 
“To be fully socially accountable, an institution needs to claim the right to question whether its ‘products’ (graduates, service models or research findings) are being used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ublic”
 (Boelen & Woollard 2009).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의 본질]은 [우선적인 건강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지역/국가]와 관여하고 대응하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에는 지역사회, 지역 보건 서비스 기관 및 정부를 포함한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건강을 개선하고 공정하고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The essence of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can be considered to be engaging with, responding to and impacting on their community/region/nation to address their priority health needs. This involves working in partnership with key stakeholders including communities, regional health service organisations, and governments towards improving health and providing equitable and effective health care.

 

왜 우리가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하는가?
Why do we need to be socially accountable?

 

사회적 책임의 초점인 사회적 결정요인과 건강
Social determinants and health a focus of social accountability

[안전한 이웃, 생활 가능한 소득, 교육적 성취, 적절한 영양 섭취, 기초 보건 및 사회 서비스에 대한 접근, 그리고 사회적 포함과 같은] 사회적 결정 요소는 국가의 어떤 의료 시스템보다 건강에 더 큰 역할을 한다(Marmot 2005).

  • 예를 들어, 미국의 모든 사람들이 중등학교를 졸업한다면, 미국의 모든 흡연자들이 담배를 끊을 때보다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Krueger et al. 2015).
  • 미국 남서부 뉴멕시코 주의 토착민들은 당뇨병에 대한 최상의 검사와 치료법을 가지고 있지만, 그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다.
  • high quality care가 poor outcome을 막아줄 수는 없습니다. (건강에 약 10%만 기여하는) 의료 시스템에 들어가는 엄청난 자금이 [우리 인구의 질병의 기저에 있는 것을 방치하는 것]을 보충할 수 없다. 그리고 (질병의 기저에는) 사회적 결정요인이 있다. 
  • 북미 원주민 인구는 가장 높은 비만율, 낮은 교육적 성취도, 열악한 식생활 및 사회적 소외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Social determinants such as safe neighborhoods, liveable income, educational attainment, adequate nutrition, access to basic health and social services, and social inclusion play a greater role in health than does any country’s healthcare system (Marmot 2005).

  • For example, a recent study revealed that if all people in the United States graduated from secondary school, more lives would be saved than if all smokers in the country stopped smoking (Krueger et al. 2015).
  • In New Mexico in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the indigenous population has some of the best screening and treatment for diabetes, but has the highest death rate from that condition.
  • High quality care cannot protect against poor outcomes. The heavy funding of the healthcare system (which contributes to only about 10% of what makes people healthy) cannot make up for the neglect of what underlies illness in our population—the social determinants,
  • and the indigenous population in North America among all groups suffers from the highest rates of obesity, low educational attainment, poor diet, and social marginalization.

 

의료 사업자 및 사회적 책임
Health care providers and social accountability

대부분의 국가에서, [AMC에서 생산한 보건 인력 졸업자의 배경 및 전문성]과 [국가와 지역사회 졸업자가 봉사해야 할 우선적인 보건 인력 요구] 사이에는 상당한 단절이 있다. 

  • 가난한 나라에서 부유한 나라로 의사들이 떠나가는 것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의사를 "기부"하는 국가에서는 투자 수익이 거의 나지 않는다.
  • 한 국가에 대해 적절하고 지리적으로 분포된 보건 인력을 생산하는 것은 사회 책임의 주요 요소로서, 인구의 진료 접근성 측면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적절한 의료 인력에 의해 생성된 지역사회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편익 측면에서도 중요하다(Frenk et al. 2010).

In most countries, there is a substantial disconnect between the background and specialties of health workforce graduates produced by our academic centers and the priority health workforce needs of the country and communities graduates are to serve.

  • Physician migration from poorer to richer countries remains at high levels leaving the “donor” country with little return on their investment.
  • Producing the appropriate and geographically distributed health workforce for a nation is a major element in social accountability, both in terms of a population’s access to care but also in terms of the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to communities generated by an appropriate, locally accessible health workforce (Frenk et al. 2010).

또한 의료 서비스 제공이 상당한 공공 자원을 소비하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의 사회적 사명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이유는 많지만, 종종 학교는 [급여가 적지만 더 건강을 촉진하는 외래 환자 및 예방 서비스] 대신에 [비싸고, 높은 강도의 절차 지향적인 입원 서비스]에 집중하도록 incentivize된다.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healthcare provision consumes substantial public resources, little of their attention is devoted to their social mission. Reasons are many, but often schools are incentivized to focus upon expensive, high intensity, procedurally oriented inpatient service instead of upon the lesser paid but more health promoting outpatient and preventive services.

기관이 사회적 임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추가적인 장벽은 학교 자체(부서 간, 대학 간, 미션 간)의 많은 사일로(교육, 임상 관리 및 연구)입니다. 기관의 사회적 책무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임무는 지역사회 건강에서 측정 가능한 개선을 보여주면서 목표가 외부로 향하는 곳에 상호 보완적이고 상호적으로 재강화하는 것mutually re-enforcing이어야 한다. 

A further barrier to institutions fulfilling their social mission is the many silos within the school itself—between departments, between colleges and between missions—education, clinical care, and research. To adequately express the institution’s social accountability, these missions must be complementary and mutually re-enforcing where the goal is outward facing, showing a measurable improvement in community health.

아마도 가장 큰 장벽은 [기관들이 행동하도록 동기를 부여받는 전통적인 방식]일 것이다. 예방에 대한 투자는 보상이 좋지 않으며, 1차 진료와 협업 치료를 실천하는 데는 충분한 위신이 없습니다. 사회적 책임의 또 다른 핵심 요소인 사회의 다른 이해당사자 및 부문과의 공동체 참여는 소수의 교수들이 기술을 가지고 있거나 투자를 위해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는 느린 과정이다. 직업들은 아마도 가장 자격이 있는 보건 분야에 대해 자율적으로 규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외부 규제]와 [기관의 책무]와 [우선순위 요구에 관한 지역사회가 창출한 조언과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불편이 있다.
Perhaps the greatest barrier is the traditional manner in which institutions are incentivized to behave. Investment in prevention is poorly rewarded, and practicing primary and collaborative care lacks sufficient prestige. Community engagement with other stakeholders and sectors in society, another key component of social accountability, is a slow process in which few faculty have skills or are allowed sufficient time for investment. Professions tend to be self-regulating with the health sector perhaps the most entitled. So there is an underlying discomfort with external regulation and community-generated advice and direction regarding priority needs and accountability of the institution.

의료 사업자와 사회적 책임의 필요성 사이의 관계는 Rourke(2013)가 제시한 수치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그림 1).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the need for social accountability may best be described by the figure presented by Rourke (2013) (Figure 1).

 

변화가 오고 있다.
Change is coming

[지역사회 건강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병원, 미션 및 지역사회 참여의 통합을 위한 학술 기관의 총체적인 약속]은 매우 중요한 요구이며 대두되고 있다(Kaufman et al. 2015). 사회적 책임을 promoting하는 세력이 커지고 있다. 하나는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증거 기반 실천" 운동이다(Sackett et al. 1996). 한 나라의 1인당 지출은 그 인구의 건강과 잘 관계가 없다.

  • 예를 들어, 미국은 1인당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의료 서비스에 지출하는 나라가 많습니다. 이는 국내총생산의 18%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WHO는 품질에서 37위를 기록하고 있다(데이비스 외 2014). 원인은 많지만 전문의에 비해 1차 진료비 지원 부족, 인구 내 높은 사회경제적 격차, 사회안전망 지원 부족 등이 있다. 새로운 Affordable Care Act("Obamacare")는 이러한 적자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결합니다(미국 의회 2010).

A total commitment by the academic institution to merge its colleges, hospitals, missions, and community engagement to address community health needs is a critical need and is emerging (Kaufman et al. 2015). Forces promoting social accountability are growing. One is the “evidence-based practice” movement, which is having a global impact (Sackett et al. 1996). The expenditure per person in a country correlates poorly with the health of that population.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spends more than any other country per capita on healthcare (double the next highest spender); 18%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Yet, the WHO ranks it 37th in quality (Davis et al. 2014). The reasons are many, but include poor funding of primary care compared to specialists, high socioeconomic disparities within the population and poor support for the social safety net. The new Affordable Care Act (“Obamacare”) addresses these deficits in many ways (US Congress 2010).

변화의 또 다른 중요한 힘은 의료 서비스 및 정부 간의 가치, 글로벌 예산 및 "capitation"으로의 이동입니다. 즉, 보험 회사나 제공자 집단은 (서비스 항목별로 '서비스 수수료'를 받거나 비용을 지불하는 대신) 가입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정해진 금액을 받는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환자가 응급실에 가거나 예방 가능한 질환으로 입원하거나 과다한 양의 약을 복용할 때마다 진료비나 보험사, 실습단의 지원금을 적게 받는다. 대신, 이 약정에서, 그들은 사람들을 건강하게 하고,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검사하고 다루는 것을 수반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 이것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business case"의 한 예이다.
Another important force for change is the movement among payers of healthcare services and governments toward value, global budgets, and “capitation.” In other words instead of getting a “fee for service” or pay for each item of service, an insurance company or provider group receives a fixed amount of money to manage the health of an enrolled population. Under this scenario, every time a patients goes to the emergency room, becomes hospitalized for a preventable condition or takes an excessive amount of drugs, the payers of care or insurance companies or practice group receives less funding. Instead, in this arrangement, they profit by keeping people healthy and that entails screening for and address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is is an example of the “business case” for social accountability.

Academic institution은 이제 [졸업생들이 사회적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건강지향적이고 다전문적인 건강관리 환경, 지역사회 현장에서 교육함으로써 [이러한 새로운 현실에 대비]해야 한다.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의 사회적 책임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북미 지역의 점점 더 많은 기관들이 Health Extension agents를 교육, 고용 및 배치하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에서 출발하여 농업 부문(Kaufman et al. 2010)과 지역사회 보건 종사자(Pittman et al. 2015)의 예를 사용하는 이 모델은, [지역사회 참여 교육의 서비스 학습 모델]을 활용한다. 

  • 배울 필요가 있는 사람들에게 일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문화적, 언어적 능력의 혼합, 그리고
  • 참여자가 속한 지역사회와 더 큰 신뢰를 형성한다(Ellaway et al. 2016).

Academic institutions have now to prepare graduates for this new reality by educating them in health-oriented, multi-professional healthcare settings, and community sites if they are to fulfill their social mission. To expand the role of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 being socially accountable, a growing number of institutions in North American are training, hiring, and deploying Health Extension agents. Originating from developing countries and using examples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Kaufman et al. 2010) and Community Health Workers (Pittman et al. 2015), this model utilizes a service learning model of community-engaged education; combining the skills of those

  • providing a front line service with those needing to learn,
  • blending cultural and linguistic ability, and
  • creating a greater trust with the communities served and from which the participants come (Ellaway et al. 2016).

 

국내외 운동
National and international movements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또한 새롭게 부상하고 지지하고 있는 국가 및 지역 운동으로부터 힘을 얻고 있다. 캐나다 의과대학은 국가적으로 일련의 사회적 책임 원칙(Capon et al. 2001)의 지침을 따르고 있다. 북미에서는 학업자원과 지역사회 보건의 우선적 요구를 연계하는 건강확장 운동을 확대하고, 학술기관 간 사회적 사명 성장을 촉진하는 비욘드 플렉스너 운동에 동참하는 학술기관이 늘고 있다. 명시적인 사회적 책임 권한을 가진 보건 전문학교의 국제 연합인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관의 방향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에 협력했다(Larkins et al. 2013).
The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social accountability is also getting a boost from emerging, supportive national, and regional movements. Canadian medical schools nationally are taking guidance from a set of social accountability principles (Cappon et al. 2001). In North America, a growing number of academic institutions are expanding the Health Extension movement to link academic resources with priority community health needs (www.healthextensiontoolkit.or) and a growing number are joining the Beyond Flexner movement which promotes the growth of social mission among the academic institutions (www.beyondflexner.org).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ealth professional schools with an explicit social accountability mandate,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has collaborated on a framework for assessing an institution’s orientation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Larkins et al. 2013).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대응형 보건 직업 교육 및 서비스를 위해 헌신하는 가장 오래 생존한 국제 조직 중 하나는 The Network: Towards Unity for Health이다. 1979년 WHO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이 기구는 WHO와의 공식 관계에서 비정부기구(NGO)가 되었다. 그것은 그것의 시작부터 전세계의 학문적 보건 기관들을 국가와 지역사회의 우선적 요구에 연계시키는 프로그램과 전략을 보급해야 하는 중대한 필요성에 대응했다. 사회적 책임 운동은 이 네트워크에서 견고하고 국제적인 파트너를 찾았습니다.

Finally, one of the longest surviving, international organisations devoted to community-responsiv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service is The Network: Towards Unity for Health. Founded in 1979 with support from the WHO, it became a Non-Governmental Organisation (NGO) in its official relations with the WHO. It responded from its inception to the critical need to disseminate programs and strategies that tied academic health institutions from around the world to the priority needs of their nations and communities. The social accountability movement has found a solid, international partner in this Network (www.the-networktufh.org).

 

사회적 책임을 보건 직업 교육에 어떻게 적용합니까?
How is social accountability applied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의과대학에 대한 사회적 의무의 개념은 북미와 캐나다의 의과대학에 대한 Flexner의 주요 보고서에서 이미 인지할 수 있었다. 그는 미래의 의사 준비에서 높은 기준을 채택하는 것을 강력히 옹호했으며, 의사의 기능이 "개인적이고 치료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이고 예방적인 것"이 될 것이라는 큰 희망을 품었다. 그는 의과대학이 '공공 서비스 기업'이 되어야 한다는 상념과 함께 사회적 필요의 개념을 소개했다. 안타깝게도 플렉스너의 보고서의 경우, 그가 의대의 거의 50%를 폐쇄한 결과 많은 학교들이 문을 닫게 되었고, 폐교된 학교들은 실제로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었다.
The concept of a social obligation for medical schools was already perceptible in Flexner’s seminal report of North American and Canadian medical schools (Flexner 1910). He was a strong advocate for the adoption of high standards in the preparation of future physicians and held great hopes that the physician’s function would become “social and preventive, rather than individual and curative”. He introduced the concept of social need, with the corollary that a medical school should be “a public service corporation”. Sadly in the case of Flexner’s report, his closure of almost 50% of the medical schools resulted in many schools closing which indeed were catering for the under-served populations.

"사회적"이라는 용어는 다른 문화에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유럽 국가에서는 국가 규제 기구에 의해 보증된 연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반면 미국에서는 개인의 권리에 대한 간섭과 자율성에 대한 위협을 암시할 수 있다. 본 가이드의 맥락에서 "사회적"은 라틴어 어원을 가리킨다. '소시에우스'란 동맹이란 뜻이다. 사회는 공동의 이익을 위해 헌신하는 개인과 기관들 사이의 완전하고 조정된 상호작용으로 보여진다. 저명한 역사학자 아놀드 토인비는 이렇게 말했다.
The term “social” may carry a different meaning in different cultures. In Western European countries, for instance, it may evoke solidarity, warranted by national regulatory bodies, while in the United States it may allude to interference with individual rights and threat to autonomy. In the context of this Guide, “social” refers to its Latin etymology: “socius”, meaning an ally. Society is seen as the complete and coordinated interactions amongst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committed to a common good. The noted historian Arnold Toynbee put it thus:

"사회는 인간 사이의 관계의 총체적 네트워크입니다. 그러므로 사회의 구성 요소는 인간이 아니라 그들 사이의 관계이다. 사회 구조에서 개인은 단지 관계의 네트워크의 foci일 뿐이다……. 눈에 보이고 눈에 띄는 사람들의 집합은 사회가 아니라 군중이다. 군중은 사회와 달리 집결하거나 분산하거나 사진을 찍거나 학살할 수 있다.(토인비 1947년)
“Society is the total network of relations between human beings. The components of society are thus not human beings but the relations between them. In a social structure individuals are merely the foci in the network of relationships…….a visible and palpable collection of people is not a society; it is a crowd. A crowd, unlike a society, can be assembled, dispersed, photographed, or massacred.” (Toynbee 1947)

따라서 (의과대학은) 현재와 미래의 건강 요구와 사회의 도전을 탐색하고,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이에 대처하며, 개입이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보장할 의무가 있다.
The commitment therefore is to explore current and future health needs and challenges in society, to act on them as efficiently as possible, and to ensure interventions have the highest possible impact on society.

1995년 WHO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정의는

  •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행복의 완전한 상태"로서 건강에 대한 동일한 조직의 정의와 일치하며,
  • 개인 및 집단적으로 사람들의 건강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직접 및 간접적 원인(즉, 정치, 인구학적, 역학,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적 요인"의 정의와 일치한다.

The 1995 WHO defini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WHO 1995) is consistent with

  • the same organization’s definition for health as “a complete state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of
  •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s a wide spectrum of direct and indirect causes, i.e. political, demographic, epidemiological, environmental, cultural, or economical, that can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 people’s health,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WHO 1946).

 

최근 몇 년 동안, 일련의 주요 검토와 보고서들은 [보건전문직 교육기관의 사명]을 '사회의 인구학적, 경제적, 문화적 변화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건강 요구와 명시적으로 연결]시키라는 권고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보고서는 영국 일반의학위원회(GMC 2015), 캐나다 의학부 협회(AFC 2010), 랜싯 글로벌 독립 위원회(Frenk et al. 2011), 그리고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글로벌 컨센서스(GCSA 2010)에서 나왔다. 이러한 모든 보고서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사회적 요구에 맞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과 욕망을 가진 졸업생 건강 전문가들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학교가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제공 분야에서 잠재력을 더 잘 활용하고 보건 분야의 전반적인 성과를 개선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그러한 사회적 책무에 대한 접근법이 의대를 [사회 정의를 증진하기 위한 더 넓은 운동] 안에 둘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Ritz et al. 2014).

In recent years, a series of major reviews and reports presented their recommendations to explicitly link the missions of health professional schools to people’s health needs as well as to demographic, 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in societies. Such reports emanated from the UK General Medical Council (GMC 2015), the Association of Faculties of Medicine of Canada (AFMC 2010), the Lancet Global Independent Commission (Frenk et al. 2011) and the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GCSA 2010). A common theme in all of these reports is the focus on graduating health professionals who have the skills and desire to provide health care that meets societal needs. They highlight ways for schools to partner with key stakeholders to better use their potential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provision and play a more prominent role in improving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health sector. It has been argued that such an approach to social accountability can place medical schools within a broader movement to promote social justice (Ritz et al. 2014).

글로벌 컨센서스 문서(GCSA 2010)는 사람들의 건강 상태에 가장 잘 영향을 미치는 의과대학이 기대하는 변화를 탐구한다. 의대를 대상으로 하는 동안, 그것이 권장하는 10가지 전략적 방향은 모든 건강 전문 학교 또는 건강 행위자에게 적용된다(표 2).
The Global Consensus document (GCSA 2010) explores the transformation expected of a medical school to make the best impact on peoples’ health status. While targeting medical schools, the 10 strategic directions that it recommends are applicable to any health professional school or health actor (Table 2).

표 2. 글로벌 컨센서스 그룹의 10가지 전략적 방향 (GCSA 2010)
Table 2. Ten strategic directions of the Global Consensus Group. (GCSA 2010)

1. 사회의 건강 요구 예측
2. 보건 시스템 및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3. 의사 및 기타 보건 전문가의 역할 변화에 적응
4. 성과 기반 교육 강화
5. 의과대학의 대응적이고 책임감 있는 거버넌스 구축
6. 교육, 연구, 서비스 제공 기준의 범위 정비
7. 교육, 연구, 서비스 제공의 지속적인 품질 개선 지원
8. 인가를 위한 의무적인 메커니즘의 확립
9. 글로벌 원칙과 컨텍스트 특수성의 균형 조정
10. 사회의 역할 정의

1. Anticipating society’s health needs
2. Partnering with the health system and other stakeholders
3. Adapting to the evolving roles of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4. Fostering outcomes-based education
5. Creating responsive and responsible governance of the medical school
6. Refining the scope of standards fo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delivery
7. Supporting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delivery
8. Establishing mandated mechanisms for accreditation
9. Balancing global principles with context specificity
10. Defining the role of society

10가지 전략적 방향의 목록은 논리적 순서를 반영한다.

  •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 건강상의 도전과 필요의 확인, 효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관계의 창출에서 출발 (영역 1과 영역 2).
  • 건강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보건 인력의 스펙트럼 중,
  • 의사의 예상 역할과 역량이 설명된다(영역 3)
  • 일관된 연구 및 서비스 전략과 함께 의과대학이 구현하기 위해 부르는 교육 전략(영역 4).
  • 국가 당국이 인식해야 할 수준(영역 8)의 높은 우수성(영역 6, 7)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준이 필요하다.
  • 사회적 책임은 보편적 가치(영역 9)이지만, 지역 사회는 궁극적인 성과 평가자(영역 10)가 될 것이다.

The list of the 10 strategic directions reflects this logical sequence,

  • starting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ntext, an identification of health challenges and needs and the creation of relationships to act efficiently (Areas 1 and 2).
  • Among the spectrum of required health workforce to address health needs,
  • the anticipated role and competencies of the doctor are described (Area 3)
  • serving as a guide to the education strategy (Area 4),
  • which the medical school, along with consistent research and service strategies, is called to implement (Area 5).
  • Standards are required to steer the institution towards a high level of excellence (Areas 6 and 7),
  • which national authorities need to recognize (Area 8).
  • While social accountability is a universal value (Area 9),
  • local societies will be the ultimate appraisers of achievements (Area 10).

 

사회적 의무의 구배
Gradients of social obligation

어떤 의과대학이든 사회적 의무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이 의무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명확한 WHO 정의에도 불구하고(ibid), 사회적 책임은 지역사회가 완전히 참여하는 교육보다는 지역사회 기반 또는 지향적 교육 및 학습에서와 같이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동화되는 경우가 많다(Ellaway et al. 2016). 또한, 서비스와 연구 활동에 대한 관심이 적은 학교의 교육적 임무에 너무 자주 제한을 받는다. 지난 몇 년 동안 저자들은 사회적 책임, 사회적 대응성, 사회적 책무의 세 가지 구분을 구별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의 정의를 확장해 왔다(Boelen & Woollard 2011).

While any medical school is or should be mindful of its social obligation, there has been constant confusion on what this obligation really implies. Despite the clear WHO definition (ibid), social accountability is often assimilated to interaction with the community, as in community-based or orientated teaching and learning rather than education in which the community is fully engaged (Ellaway et al. 2016). Also, too often is it restricted to the educational mission of a school, with less attention to service and research activities. Over the last few years, authors have expanded the definition of social obligation to distinguish three gradients: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responsiveness, and social accountability (Boelen & Woollard 2011).

[사회적 책임]기관이 사회의 우선적인 건강 필요와 과제에 대한 암묵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직감이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성향에 의해 유도되는 상태로 간주된다. 이 경우, 학교는 학교의 우선적인 조치가 무엇이어야 하는지 그리고 교육, 연구, 서비스 프로그램의 결과가 사람들의 건강에 의미 있는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른 건강 이해 관계자들과 상의할 필요를 느끼지 않을 수 있다.

  • 예를 들어, 의료 커리큘럼은 현장 경험에 대한 노출을 포함하여 건강 결정 요인 및 공중 보건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충분한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 졸업생이 공정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보건 시스템에 최적으로 적합하도록 획득해야 하는 주요 역량]에 기초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공중보건, 건강시스템 등에 대한 강의가 있다.

Social responsibility is seen as the state by which an institution has an implicit awareness of society’s priority health needs and challenges and is mainly guided by intuition or a natural inclination to address them. In this case, a school may not feel the need to consult other health stakeholders of what the school’s priority actions should be and whether the outputs of its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programs affect people’s health in a meaningful way. For instance, a medical curriculum may provide ample learning opportunities in a variety of disciplines related to health determinants and public health, including an exposure to field experiences, but is not built on key competences graduates should acquire to optimally fit into a health system designed to deliver equitable and efficient services. A typical example would be a lecture course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hat is public health, the health system, etc.

[사회적 대응성]사실에 대한 비판적 평가에 의한 건강 요구의 명시적 식별과 우선 순위를 의미한다. 이 경우, 학교는 이러한 우선순위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임무와 행동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고, 명확하게 식별된 결과에 더 의미 있게 자원을 streamline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학교는 현재의 보건 시스템과 보건 인력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효율적이고 공정한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일차 의료의 강력한 옹호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의 기대 결과는 첫 번째 진료 제공자로서의 실무에 관련된 능력을 보유한 충분한 수의 졸업생의 생산이다.
  • 따라서, 학생들은 지역사회 활동을 관찰하고 참여하기 위해 다양한 시간 및 발전 단계별로 지역사회로 보내진다. 커뮤니티의 규모, 구조 및 맥락에 대한 정의는 각 학교에 따라 다릅니다. 마찬가지로 교육 내용과 예상 학습 성과도 학교마다 다릅니다.

Further along the social obligation spectrum, and at a higher level on the scale is “social responsiveness”, which implies an explicit identification and prioritization of health needs by a critical appraisal of facts. In this case, a school is able to determine its mission and action programs to address those priority needs, and streamline its resources more meaningfully to clearly identified outcomes.

  • For instance, a school may have analyz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ent health system and health workforce, and be a strong advocate for primary health care as a strategy to provide efficient and equitable health services. Hence an expected outcome of its educational programs is the production of sufficient number of graduates possessing relevant competences to practice as the first line of care providers.
  • Hence, students are sent out to the community for varying lengths of time and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development to observe and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The definition of the size, structure, and context of the community varies with each school; similarly the educational content and expected learning outcomes varies from school to school.

["사회적 책임"]은 스펙트럼의 마지막 단계인 사다리의 가장 높은 단계로 간주된다. 여기에는 제품, 졸업생, 연구 결과 또는 의료 모델, 의료 시스템의 성능 및 사람들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의 적극적인 참여와 파트너십이 포함됩니다.

  • 예를 들어, 학교는 졸업생이 가장 필요한 분야에서 일하도록 장려하는 전략을 개발할 것이다. 졸업자는 지역사회에서 필요하고 잘 대표되지 않는 전문 분야로 장려된다. 연구는 지역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특별히 초점을 맞춘다(Straser et al. 2015). 사회적 책무는 이러한 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고 측정할 필요성을 내포하고 있다(표 1).

Social accountability” is seen as the highest step on the ladder, the final stage in the spectrum. It involves active engagement and partnering with key stakeholders, including those within the community, to ensure the best use is made of how its products, be graduates, research findings or health care models, impact upon health systems’ performance and people’s health status.

  • For instance, the school would develop a strategy whereby graduates are encouraged to work in areas where they are most needed; graduates are encouraged into specialties that are needed and poorly represented in the community; research is specifically orientated towards issues that are directly impacting upon the community (Strasser et al. 2015). Social Accountability, most importantly, also implies a necessity to evaluate and measure the effect of such change (Table 1).

세계 각지의 의과대학에 대한 관찰은 많은 학교가 사회적 책임의 기준을 만족하고 부분적으로는 사회적 대응성을 달성하지 못했으나 사회적 책임의 수준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또는 그러한 성과를 입증하기 위한 연구 전문지식이나 지원을 받지 못한 것일 수 있다). 표 1의 요소 5와 6은 이러한 차이를 특징으로 한다. 

Observations of medical schools from various parts of the world tend to show that many schools satisfy the criteria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in part social responsiveness, but have not achieved the level of social accountability (or perhaps have not had the research expertise or support to demonstrate such achievements). Elements 5 and 6 of Table 1 feature those differences.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학교의 경우 

  • 평가의 초점은 효율적인 관리가 성공적인 규정 준수와 동등한 범위의 프로세스에 있습니다. 
  • 외부 환경에 대한 제한적인 협의와 학계에 의해 본질적으로 설계된 규칙과 함께.

In the case of a socially responsible school,

  • the focus of evaluation is on process with scope that efficient management equates with successful compliance,
  • with rules essentially designed by the academic community and with limited consult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사회적으로 반응하는 학교의 경우

  • (평가의) 초점은 다른 보건 이해당사자들과 협의하여 확인된 (사회 우선 건강 요구와의 일치에 의해) 증명되는 결과에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회가 필요로 하는 보건 전문가의 질과 양, 
    • 우선적인 건강 문제를 다루는 연구 의제
    • 사람 중심의 관리를 제공하는 health setting의 모델.

In the case of a socially responsive school,

  • the focus is on outcome evidenced by congruence with society priority health needs identified in consultation with other health stakeholders.
  • Those outcomes may be: quality and quantity of health professionals needed by society, a research agenda addressing priority health issues or models of health settings delivering person-centered care.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학교의 경우, 

  • 평가의 초점은 사람들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있다. 이는 학교가 그들의 제품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추적하기를 열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졸업생들의 성과,
    • 연구 결과가 어떻게 실천으로 전환되는지,
    • 효율적이고 공정한 의료 서비스가 목표 집단에 제공되는지 여부. 
  •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학교는 그 행동의 장기적인 결과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인다.

In the case of a socially accountable school,

  • the focus of evaluation is on the impact on people’s health status, which implies that the school is keen to follow-up how its products are ultimately used: how graduates perform, how research findings are translated into practice, and whether efficient and equitable health services are delivered for a target population. A socially accountable school accepts the responsibility for long-term consequence of its actions.

 

학교성적을 평가하는 평가자 선택에서도 차이가 두드러진다. 

  • 사회적 책임의 경우 지역 학계에 속하거나 
  • 사회적 대응의 경우 외부일 수 있다. 
  • 두 경우 모두 평가자는 동료인 반면 사회적 책무의 경우 평가자는 다양한 의료 파트너로부터 제공되며, 주로 보건 기관, 보건 직업, 서비스 사용자 및 일반 대중을 대표한다. 

Difference is also notable in the choice of assessors in evaluating the school performance. They may belong to the local academic community in case of social responsibility, or be external in case of social responsiveness. In both instances, assessors are peers while in the case of social accountability, assessors are provided from a wider array of health partners, principally representing those the school is committed to serve, i.e. the health organisations, health professions, the users of the service, and the public at large. Box 1 demonstrates some examples of variability in defining social accountability.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평가합니까?
How is social accountability assessed?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글로벌 컨센서스는 사회적 책임을 지는 학교를 다음과 같은 것으로 묘사했다.

  • 현재와 미래의 보건 요구 및 사회 과제에 대응한다.
  • 이에 따라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우선 순위를 재조정한다.
  • 거버넌스와 다른 이해관계자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 평가와 인증을 사용하여 성능과 영향을 평가한다(GCSA 2010).

The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has pictured a socially accountable school as one that:

  • responds to current and future health needs and challenges in society;
  • reorients its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priorities accordingly;
  • strengthens its governance and partnerships with other stakeholders;
  • uses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o assess performance and impact (GCSA 2010).

학교가 사회적으로 책임을 지려면 선언된 의도, 프로그램 실행, 결과 및 영향 사이의 일관성을 입증해야 한다. 

  • 예를 들어, 학교가 건강 이견을 해소하기 위해 전념할 경우, 
    • 그것은 그러한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봉사하기 위해 적절한 능력을 가진 졸업생들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것이다.
    • 필요한 경우 지역 당국과 협력하여 일자리 기회를 열거나 창출할 것입니다.
    • 그것은 새로운 졸업생들에게 매력적인 1차 진료와 다른 전문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그것의 연구 능력을 사용할 것이다.
    • 시간 경과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를 평가하고 적절한 의사 결정 수준에서 최종 개선 조치를 제안할 것이다.

For a school to be socially accountable, it needs to demonstrate consistency between declared intentions, program implementation, outcome, and impact.

  • For instance, if a school is committed to address health disparities,
    • it will design education programs to prepare graduates with appropriate competences to serve in a way that will improve those disparities,
    • it will collaborate with local authorities to open or create job opportunities where required,
    • it will use its research capacity to improve the best ways to deliver primary care and other specialties that are attractive to new graduates,
    • it will assess health status changes overtime and suggest eventual remedial actions at appropriate decision levels.

사회적 책임 개념은 과학적으로 타당한sound 개념이다. 건강, 건강 시스템, 건강 파트너, 학교 거버넌스, 학교의 행동과 같은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하고, 이들 요소들 사이의 더 나은 관계가 건강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를 찾기 때문이다.

The social accountability concept is a scientifically sound one as it explicitly defines elements such as: health, health system, health partners, school governance, and school’s actions, and seeks evidence that a better relationship between these elements can make a greater impact on health.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학교는 [사회를 위해 공개적으로 약속한 것을 사회에 보고]해야 한다. 

  • 예를 들어, 벤치마크는 의료 학교가 특정 모집단의 건강 우선 순위를 다루기 위해 보건 당국과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는지 탐구할 것이다. 
  • 보다 효율적인 보건 서비스를 위해 의료와 공공의 건강을 통합하는 방법을 설계하고,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보다 효율적인 업무 할당을 제안한다. 
  • 가장 필요한 모집단에 대한 졸업생의 공정한 지리적 분포를 보장하고 보편적 보장을 위해 보건 이해 관계자와 협력한다. 

A socially accountable school should report back to society what it had publicly engaged to do for society,

  • e.g. benchmarks will explore how a medical school creates a relationship with health authorities to address health priorities in a given population,
  • suggests a more efficient allocation of tasks among health professionals, experiments, and designs ways to integrate medicine and public health for more efficient health service,
  • ensures a fair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graduates for population in greatest need and partners with health stakeholders for universal coverage. 

이것은 [동료들]뿐만 아니라, 함께 봉사하고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보건 당국, 보건 전문가, 시민 사회의 대표들(환자 및 고용주))에 의해서도 평가되는 학교의 사회적 책무로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대표자들이 유사한 사회적 책임 원칙을 채택한다면 이는 실현 가능할 것이다. 
This may develop in the future to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a school being assessed not only by peers, but also by those it intends to serve and work with, i.e. representatives of health authorities, health professionals, and civil society (patients and employers). This would be feasible if these representatives would adopt similar social accountability principles. 

개념화-생산-이용성의 약자인 CPU 모델과 같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평가 도구가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다. 우선순위의 건강 요구와 관련된 조치를 계획하고, 그러한 조치를 구현하고, 사회에 예상되는 영향을 초래하는 조치를 보장하기 위해 학교 약속을 탐구하는 일련의 매개 변수로 구성된다(Boelen & Woollard 2009). 상자 2와 3은 CPU 모델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특정 결과에 적용되는지를 보여준다.

Evaluation instruments of social accountability are beginning to emerge, such as the CPU model, an acronym for “Conceptualization-Production-Usability”, made up of a sequence of parameters exploring respectively the school commitments in planning actions relevant to priority health needs, in implementing those actions and in ensuring actions produced the anticipated affects on society (Boelen & Woollard 2009). Boxes 2 and 3 demonstrate how the CPU model is structured and applied to specific outcomes.

 

THEnet(Training for Health Equality Network)은 호주, 캐나다, 남아프리카 및 필리핀의 의과대학 샘플에서 테스트한 CPU 모델과 현장에서 파생된 벤치마크로 [평가 프레임워크]를 설계했다

  • 이러한 각 학교는 이 프레임워크가 건강 결과와 보건 시스템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식별하고, 학생, 직원 및 이해 관계자들 사이에서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 그것은 각 학교가 사회적 책임 임무, 비전, 목표를 검토하고 강점, 약점 및 격차를 식별할 수 있게 했다(Larkins et al. 2012).
  • 또한 THEnet은 이러한 벤치마크를 더 잘 달성할 수 있도록 참여 의과대학에 지원과 공유 경험을 제공했다.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THEnet) has designed an evaluation framework with benchmarks derived from the CPU model and field tested in a sample of medical schools in Australia, Canada, South Africa, and The Philippines (The Training for Health Equity Network 2011).

  • Each of these schools found the framework effective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affect a school’s ability to positively influence health outcomes and health systems performance, also to raise awareness of the issue among students, staff, and stakeholders.
  • It allowed each school to review their social accountability mission, vision and goals and identify strengths, weaknesses and gaps (Larkins et al. 2012).
  • THEnet has also offered participating medical schools the support and shared experience to better achieve these benchmarks.

ASPIRE 이니셔티브는 유럽 의료 교육 협회(AMEE) 활동이며, 의학, 치과 및 수의과 학교(AMEE 2012)의 연구와 교육의 우수성을 인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이니셔티브의 한 요소는 사회적 책무이다.
The ASPIRE initiative is an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activity that was designed to recognize excellence in education as well as research within medical, dental, and veterinary schools (AMEE 2012). One element of the initiative allows schools to demonstrate a level of excellence in social accountability,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핵심 가치와 지침 원칙으로서 수용해야 하는 점점 더 강제적인 이유를 더하는 많은 [부수적 편익]이 있으며, 이는 또한 평가 기준에 추가될 수 있다.

  • 비용 증가와 의료 수요 증가로 인해 의료 자원을 최선으로 활용해야 하는 필요성
  • 의료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통해 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술적 연구 잠재력의 초점 향상. 개인 진료 및 인구 건강 영향에 초점.
  • 사람들의 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실행 행동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입증할 필요성(사회적 책임의 증거 기반)
  • 변화하는 인구 통계 및 의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역할의 흥분과 보건 인력진 내 과제의 재분배
  • 당국과 공공이 추구하는 기관의 투명성 제고 필요성
  • 모든 보건 시스템은 아이디어, 접근 방식, 증거 및 영향을 지속적으로 진화해야 한다.

There are a number of ancillary benefits that add to an increasingly compelling reason for medical schools to embrace social accountability as a core value and guiding principle, which may also add to the assessment criteria:

  • the need to make the highest and best use of health resources, due to the rising costs and increased demands of healthcare;
  • the better focus of academic research potential to improve the health of citizens through better performance of health systems, focused on personal care and coordinated population health impact;
  • the need to prioritize and demonstrate performed action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people’s health—a feature of the evidence base of social accountability;
  • the excitement of new roles and reallocation of tasks within the health workforce to respond to changing demographics and health care demands;
  • the need for greater transparency of performance of institutions as sought by authorities and the public alike;
  • all health systems require an on-going evolution of ideas, approaches, evidence and impact;

 

사회적 책임을 지는 학교를 개발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
Practical tips for developing a socially accountable school

 

현재 위치 점검, 자체 평가
Benchmarking the current position, self-assessment

모든 학교는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학교를 발전시키기 위한 보편적인 전략은 없지만, 가능한 해결책으로 다양한 상황에 맞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상상할 수 있다.

Every school can claim in its own right it endeavors to respond to societal needs. While there is no universal strategy to develop a socially accountable school, several scenarios could be imagined to fit different situations, with possible solutions:

  • 시나리오 1: 학교는 알지 못합니다.
    • 사회의 우선적인 건강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학교가 상대적으로 외진 것을 모르고 있는 '아이보리 타워' 상황이다.
    • 개별 학과의 연구업무가 우수하고 업무의 질과 관련성을 확신하며 학교 전체의 사회공헌을 고려하도록 조직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 학교에서 옹호자가 되기 위해 헌신하는 한 명 또는 소수의 교수들은 사회적 책임을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했다.
    • 수석 교수진 또는 주요 이해 당사자는 (특히 글로벌 야망이 지역 또는 지역 야심을 무색하게 하는) 사회적 책임 개념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 우수성은 "최첨단의" 연구 성과와 동일시될 수 있으며, 소수의 지지자들만이 우수성이 사회 전체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능력에 의해 측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해야 할 것이다.
  • Scenario 1: School unaware.
    • The “ivory tower” situation where the school is unaware of its relative remoteness to fulfill society’s priority health needs. It is noted for excellence in the research work of individual departments, confident of the quality and relevance of its work and is not organized to consider the contribution to society of the whole school. One or a few faculty members who are committed to be advocates in their school have perceived social accountability as an important concept. Senior faculty or key stakeholders may question concepts of social accountability, particularly where global ambitions overshadow regional or local ones. Excellence may be equated with achievement in “cutting-edge” research, the challenge for the few advocates will be to argue that excellence should be measured by the capacity to contribute to health improvement for society as a whole (both local, regional, and global).
  • 시나리오 2: 학교는 의지가 있다, 단...
    • 교수들은 학교가 복무하는 사회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고, 사회적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해 임무와 프로그램을 재조정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할 것입니다. 일부 고립된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조정과 참여를 포함하여 좋은 실천을 보여줄 것이다.
    • 학교는 필요한 변화를 간절히 원할 수 있지만 자원 부족 및/또는 제한된 외부 및 이해관계자 지원으로 인해 그렇게 할 수 없다.
    • 이 학교는 다른 우선 순위를 요구할 수도 있는 상급 기관의 정치적 의지(&재정적 지원)에 의존할 수도 있다. 사회적 책임을 인정하고 촉진하는 국가 이니셔티브는 학계와 보건계의 저명한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환영할 것이다.
  • Scenario 2: School willing to, if only ……… 
    • Faculty of the school will be aware of its responsibilities to the society it serves, and express a willingness to readjust its missions and programs to better meet societal needs. Some isolated programs will demonstrate good practice including community alignment and involvement. School may be keen to make necessary changes but is not be able to do so due to lack of resources and/or limited external and stakeholder support. The school may rely on a political will (& financial backing) from higher authorities, which may demand different priorities. National initiatives to recognize and promote social accountability would be welcome, involving the academic community and prominent members of the health community.
  • 시나리오 3: 학교는 인지하고 있고 기꺼이 하려고 하지만…….
    •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는 어떤 우선순위 조치가 필요한지 알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졸업생들이 필요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연구 의제 및 보건소 네트워크에 대한 서비스 분야에서 건강 결정 요인을 다루겠다는 의지가 있다.
    • 그러나 학교는 [졸업생의 관행, 보건 시스템 관리 스타일 및 모집단 건강 지표의 변화에 미치는 스스로의 영향(또는 영향의 증거)]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학교 지도부는 보다 효율적이고 공정한 의료 제공 시스템에 대한 기여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주요 보건 이해 관계자들과 보다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이는 "결국, 우리가 책임져야 할 환자와 인구가 더 높은 수준의 건강을 달성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때에만 우리는 우리의 변혁적인 노력에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학장의 말로 대표된다.
    • 학교는 [건강 결과에 대한 영향의 증거를 얻는데 필요한, 복잡한 연구를 위한 전문 지식과 능력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 Scenario 3: School aware and willing, but……. 
    • In this context the school is aware of which priority actions are needed and has a significant experience interacting with the community. Educational programs are designed for graduates to acquire required competences and there is commitment to address health determinants in the research agenda and in services to a network of health centers.
    • However, the school is aware of its limited impact (or evidence of impact) in changing graduates practice, health system management style and population health indicators. The leadership of the school is determined to create a stronger partnership with key health stakeholders to optimize its contribution to a more efficient and equitabl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 This is exemplified by the words of their Dean: “Ultimately, we will have succeeded in our transformational efforts only when we can demonstrate that the patients and populations for which we are responsible have achieved a higher level of health
    • The school may need support in terms of providing expertise and capacity for the complex research that allows evidence of impact on health outcomes.
  • 시나리오 4: 학교, 의식, 의지, 그리고 궤도에 오른다
    •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이 학교는 동료들에게 인정받고 외부 벤치마킹을 통해 사회적 책임 분야에서 인정받는 리더가 될 것입니다. 그것은 비전과 전략을 지역사회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설계하고 통제하며, 전략과 연계된 프로그램과 프로젝트를 가질 것이며, 그것이 봉사하는 모든 인구에서 건강 시스템과 건강 결과에 대한 개선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질 것이다. 
    • 다른 좋은 학교나 팀과 마찬가지로, 그것은 그 영예에 안주하지 않을 것이다. 더 많은 일을 하고 더 높은 목표를 세우고 더 멀리 도달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지도 연합과 추진력이 여전히 필요하다.
  • Scenario 4: School, aware, willing and on track….
    • In rare cases the School would be a recognized leader in the field of social accountability – recognized by its peers and through external benchmarking. It will have vision and strategy designed and governed with its community stakeholders, it will have programs and projects aligned to strategy and will have the ability to demonstrate an improvement to health systems and health outcomes across all of the population it serves.
    • Like any good school or team it won’t be resting on its laurels – a strong guiding coalition and driving force is still needed to do more and aim higher and reach further.

 

문화의 변화, 생각의 변화: 변화를 주도한다.
Changing culture, changing minds: leading change

시나리오 1과 2를 택한다면 변화를 전달하고 사회적으로 더 책임감 있는 학교를 세우려는 사람들은 다양한 리더십 기술과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그들은 학교가 외부적으로 확립된 프레임워크에 반대했던 곳을 벤치마킹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아마도 사회적 책임을 위한 TENet 또는 ASPIRE 프레임워크로부터 시작할 것이다(Ross et al. 2014). 이로부터, 학교의 이전을 시작하기 위한 변화-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 학교는 이미 사회적 책임 원칙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는가? 
  • 또 뭘 해야 하죠? 무엇이 바뀌어야 합니까?
  • 왜 변화가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익할까요?
  • 어떻게 변화가 학교가 새로운 자금이나 지원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될까요?
  • (예: 한 지역의 건강 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른 보건 행위자와의 파트너십, 환자 중심의 관리 및 인구 보건 조치를 통합한 다중 전문 일차 의료 센터 실험, 연구 우선 순위 설정에 대한 지역사회 및 환자 참여, 탄소 발자국에 대한 인식 및 활동의 환경 영향)

If we take Scenarios 1 and 2, those who seek to deliver change and build a more socially accountable school will need a range of leadership skills and strategies. They would do well to benchmark where the school was against external established frameworks – perhaps starting with the THENet or the ASPIRE frameworks for social accountability (Ross et al. 2014). From this, a change-management strategy is needed to start a repositioning of the school:

  • What is the school already doing pertinent to social accountability principles?
  • What else should it do? What needs to change?
  • Why would change be beneficial to stakeholders?
  • How would change help the school attract new funding or support?
  • (e.g. partnership with other health actors to reduce health disparity in a territory; experimenting a multi-professional primary health care center integrating patient centered care and population health actions; community and patient involvement in setting research priorities; an awareness of carbon footprint and environmental impact of activity.)

 

그 결과 변경 대리인 또는 리더는 사회적 책임 행사를 주최하거나 워크숍을 통해 변화를 유발하고 주요 이해관계자를 초청하여 참여 학교로부터 모범 사례와 그것이 가져다 주는 이점을 들을 수 있다.

In turn the change agent or leader might seek to provoke change through hosting a social accountability event, or workshop and invite key stakeholders to hear good practice from participating schools and the advantages it brings.

사회적 책임 원칙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세 가지 핵심 전략이 있다.

  • 첫째, 사회적으로 진행 중인 작업의 우수성과 장점을 학교에 보여주십시오.
    • 좋은 홍보,
    • 수상,
    • 연구에 대한 환자/공공의 참여(grant에 필수적인 경우가 많음),
    • 국가 교육 또는 정책(잠재적으로 자금을 확보함)과의 정렬
  • 둘째, 무정부 상태가 아니라 비전과 일치하는 곳에서만 파트너십과 변화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전을 수립하는 이해 당사자인) 연합을 다시 활성화하고 참여시켜야 합니다. 비전은 기관의 우수성임을 기억하십시오. 학교의 정신을 이끄는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모든 측면에서 우수성을 목표로 합니다.
  • 셋째, 국가적으로나 세계적으로 로비를 합니다. 우리 모두는 국제 및 국가 문화가 우리와 일치할 때 지역적으로, 우리의 기관과 지역사회에서 변화를 성취하는 것이 최선이다. 사회 정의와 사회 변혁을 위한 이 광범위한 운동을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There are three key strategies for those wishing to uphold the principles of social accountability.

  • First, to demonstrate excellence and advantage to the Schools from the work going on with and for society –
    • advantages from good publicity,
    • prizes,
    • patient/public involvement in research (often essential for grants),
    • alignment with national educational, or policy drivers (potentially unlocking funding).
  • Second, to reinvigorate and involve the guiding coalition – the stakeholders who build the vision – not to be anarchic but because partnership matters and change can only be achieved where vision aligns with visions. Remember the vision is excellence of an institution– aim for that in all facets, including the social accountability driving the ethos of the school.
  • Third, lobby, both nationally and globally. We all best achieve change locally, in our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when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culture is aligned to ours. Help shape this wider movement for social justice and social transformation.

 

프로세스, 활동, 커리큘럼 및 기여 변경: 변경 관리
Changing processes, activities, curriculum, and contribution: managing change

학교가 변화의 과정을 따라 더 나아가고 있는 곳에서는 필요성은 모멘텀을 유지하고,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성공을 축하하고, 안일함을 피하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교육과정 이니셔티브는 쉬운 승리이고, 지역사회 참여와 진정한 책무를 덜 필요로 할지도 모르지만, 교육과정 이니셔티브는 더 깊고 깊은 변화를 자극하기 위한 좋은 출발점으로 남아 있다.

  • 예를 들어, 학생, 의대 직원, 보건 전문가가 참여하는 혁신적인 커뮤니티 프로젝트 만들기, 커뮤니티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가 학교에서 제시될 때 커뮤니티 대표가 참석하여 교류하도록 초대하는 것이다. 학교는 변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그러한 계획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Where the School is further along the process of change the need may be more about sustaining momentum, setting clear goals, celebrating successes, and avoiding complacency. Although curriculum initiatives may be easy wins, needing less community involvement, and true accountability, they remain good starting points to stimulate further and deeper changes.

  • For instance, the creation of innovative community projects involving students, medical school staff, and health professionals from the field; the invitation of community representatives to attend and interact when evaluation of community projects are presented at the school. How does the school capitalize on such initiatives to accelerate change?

학교의 원래 비전과 전략이 더 넓은 지도적 연대guiding coalition를 바탕으로 한 강력한 기반에 바탕을 둔다면 학교가 봉사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

  • 학교가 복무하는 지역 사회와의 관계 본질을 바꾸려고 노력하는 과정이 정체되고 있다면, 이 지도 연합의 문화와 헌법을 재검토하고 다시 활성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아마도 한가한 날을 위한 시간, 회의, 학교 재집중하기 위한 외부적으로 촉진되는 행사, 목표를 재검토하고 이러한 마지막 단계를 만드는 데 있어 장애물을 다시 한 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빠른 승리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혁신적 변화는 강점과 약점, 기회와 제약, 나아가야 할 집단적 결정에 대한 도전적인 대화가 필요합니다.

Significant change in a school’s contribution for and with the community it serves is more likely to happen if the school’s original vision and strategy is based on strong foundations with a wider guiding coalition.

  • If progress is stalling as a school seeks to change the nature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ies it serves then the culture and constitution of this guiding coalition may need to be revisited and reinvigorated.
  • Time perhaps for an away day, a conference, an externally facilitated event to refocus the school, re-examine the goal and look again at barriers to making these last steps.
  • Building the quick wins may help – but transformative change needs challenging conversations on strengths and weaknesses, on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collective decisions to move forward.

변화에 대한 장벽 및 저항
Barriers and resistance to change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의대를 개발하는 것이 항상 쉬운 일은 아니다. 학교의 철학과 조직 구조에 상당한 변화가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은 흔히 어려운 작업이다. 사회적 책임은 학교가 통제하려는 열망과 열망을 저해하고 변화에 대한 거부감과 빈번한 거부감으로 맞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교는 패러다임을 구현하기 위한 장벽을 의식해야 한다. 
Developing a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 is not always easy; a relatively new concept, which requires significant change in the schools’ philosoph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is frequently a daunting task. Schools must be conscious of the barriers to implement the paradigm, since social accountability impinges upon an eagerness and desire of the school to control and is frequently countered by unwillingness and frequent disincentives to change. 

마찬가지로, 개업의는 대개 치료를 제공하지만 환자의 사회적 요구를 항상 인식하거나 고려하지 않으며, 다른 보건 전문가에게 업무를 위임하는 것을 꺼린다. 연구자들은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문을 자주 피하거나 커뮤니티에 이익이 되는 질문을 피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연구는 종종 낮은 중요도, 발표되기 어렵고, 재정적인 지원을 얻기 어렵고, 그리고 종종 추진 위원회들의 눈에 낮은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Similarly, practicing doctors usually provide care, not always recognizing or taking into account the patients’ social needs or are reluctant to delegate tasks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 researchers frequently avoid questions related to the community or which will benefit the community, since the research produced is often seen of low importance, difficult to get published, hard to obtain financial support, and frequently occupies a lowly position in the eyes of the promotion committees. 

교수진은 종종 "사회적 책무"와 같은 개념을 진정한 생물 의학이 아닌 "부드러운" 개념으로 폄하하고, 학생들이 그 개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도록 하지 않는다. "사회적 책무"의 공간에서 일하면 사람들은 그들이 통제하는 영역인 편안한 영역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고 신용을 공유해야 하는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학교는 다른 방향으로 찢어질 것이다. 지역사회와 협력하고 그 지역사회의 입학 허가를 넓히려는 의지가 진보적인 학교가 원하는 것보다 더 좁게 정의된 우수성을 보상하기 위해 국가 운전자들(그리고 재정적 인센티브)과 충돌할 수 있다. 
Faculty often denigrates concepts like “social accountability” as “soft”, not true bio-medical science, whilst discouraging students to take the concept seriously. Working in the “social accountability” space moves people out of the comfort zone, a zone they control, into an arena where they have to learn from others and share credit. Schools will be torn in differing directions – a willingness to work with communities and widen access to admissions from that community may clash with national drivers (and financial incentives) to reward excellence as defined more narrowly than the progressive school may wish. 

긴장은 실제한다. 긴장을 극복하는 첫 번째 방법은 긴장을 인식하고 학교의 의사 결정 기관이 모든 이해 관계자들과 정직한 정보에 입각한 토론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보수적 세력이 투명성 제고, 기관의 지배구조 개선, 부족한 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정부, 납세자 및 시민 모두가 환영하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전세계적인 모멘텀의 존재를 깨닫기 시작하면 변화에 대한 저항은 최소화될 수 있다.

The tensions are real – the first way to overcome them is to recognize them and ensure decision-making bodies in the school engage in honest informed debate with all stakeholders. Resistance to change may be minimized if conservative forces begin to realize the existence of a worldwide momentum towards greater social accountability welcome by governments, taxpayers, and citizens alike for greater transparency, better governance of institutions, and more efficient use of scarce resources.

 

빈번한 과제와 이에 접근하는 방법
Frequent challenges and how to approach them

진정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의무의 스펙트럼을 따라 진행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과제를 해결하고 극복해야 한다. 표 3은 전 세계의 실제 사례에서 가져온 몇 가지 빈번한 도전 사례와 몇 가지 해결책을 제시한다.
A host of challenges have to be addressed and overcome to progress along the spectrum of social obligation to true social accountability. Table 3 notes some frequent examples of challenges, taken from real examples around the world, and some solutions.

 

향후 과제
Future challenges

우리는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지려면 미래에 환경적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즉, 두 학교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We suggest medical schools should in future be environmentally accountable if they are to be socially accountable – the two are inextricably interlinked.

의과대학에 환경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것은 어떤 모습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측정될 수 있을까요?
What would being environmentally accountable look like to a medical school, and how might it be measured?

첫째, 의과대학은 환경적으로 책임져야 한다

  • 즉, 우리가 사회로서 직면한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것이 미래의 학생과 직원, 그리고 학교에 의해 지역적으로 봉사되는 인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인식을 보여야 한다. 
  • 그러한 책임에는 학교와 학교 활동의 탄소 발자국의 계산과 직원, 학생 및 활동의 다른 환경 영향(예: 물과 자원 사용)에 대한 인식이 포함될 수 있다.

Firstly medical schools should b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 showing an awareness of the global environmental challenges we face as a society – and recognition of how these will impact on future students and staff, and the populations served locally by the school.
  • Such responsibility may include a calculation of the carbon footprint of the school and its activities, and recognition about other environmental impact of staff, students, and activities (e.g. water and resource use).

둘째로, 학교는 환경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 기후와 다른 자원 사용 측면에서, 지역 환경과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에 대한 인식을 입증해야 한다. 사실상, "지상에서 더 가볍게 여행하는" 방법에 대한 인식을 보여줍니다. 
  • 여기에는 물, 원자재, 에너지 절약 정책(건축 및 여행 정책 수정 포함)을 위한 정책과 우선순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활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옹호하는 이니셔티브를 장려할 수 있다.

Secondly, schools should be environmentally responsive:

  • demonstrating an awareness of the steps needed to alleviate their impact on the local and global environment, both in terms of climate and other resource use. In effect, to demonstrate an awareness of how to “tread more lightly on the earth”. 
  • This may include policies and priorities for saving water, raw materials, and energy (including amendments to building and travel policies), to reduce and recycle and to encourage initiatives that champion sustainable development.

셋째, 사회적 책임을 지는 모든 학교는 그러나 환경적으로 책임져야 한다: 

  • 인식과 대응성을 입증된 명확한 실천 계획과 연계하고, 학교와 봉사된 지역사회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피해가 불가피할 경우에는 피해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지역 사회와 협력해야 한다.
  • 그러한 활동은 환경적 책임을 지기 위한 접근 방식에서뿐만 아니라 측정 가능한 결과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Thirdly, any socially accountable school should however be environmentally accountable:

  • linking the awareness and responsiveness to the challenges highlighted with a proven clear plan of action; working with local communities to focus on how the school and its served communities can reduce its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mitigate damage to it where impact is inevitable.
  • Such activity may be manifest both in the approach to being environmental accountable but also in measurable outcomes.

[환경적으로 책무성을 갖는 학교]는 환경적 영향을 줄이고 미래 세대를 위해 건강 시스템이 점점 더 지속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교육, 연구 및 서비스를 통해 일을 하는 명확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가질 것이다. 이는 여행, 운송 및 에너지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에서부터 가정 의료에 더 가까운 곳에 대한 연구, 진단, 치료 및 관리에서 원자재 사용을 줄이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졸업생들이 자신과 자신의 직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게 되어 지역 및 글로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의과대학, 그들의 직원들과 졸업생들은 그들이 책임지고 있는 의료서비스가 그들이 봉사하는 지역 사회와 그들이 속한 행성의 장기적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환경 책임 학교는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폐기물 및 저평가 절차를 피하고, 가능한 경우 저탄소 기술을 선택하고, 환자 자율성을 강화하여 자신의 진료를 관리하는 [지속 가능한 의료 시스템]을 평가하고 촉진할 것이다(Mortimer 2010).

An environmentally accountable school would have clear and effective policies to reduce its environmental impact and work through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to ensure health systems are increasingly sustainable for future generations. This may range from effective policies on travel, transport, and energy use to research into closer to home health care, to reduced use of raw materials in diagnostics, therapeutics, and care. It would also have as outcomes graduates who understood the impact of themselves and their profession on the environment, so they are equipped with the skills to mitigate their impact on the local and global ecosystem. Through this, medical schools, their staff and graduates, can help ensure that the health services they are responsible for will promote the long term health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 and the planet they form part of. Environmentally accountable schools will evaluate and promote sustainable healthcare systems which use resources more efficiently, focus on prevention, avoid waste and low value procedures, chooses low-carbon technologies wherever possible and foster patient autonomy to manage their own care (Mortimer 2010).

사회적 책임을 지는 의대의 실제 사례
Practical examples of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s

 

좋은 교육실천 공유하기
Sharing good practice in education

교육 및 사회적 책임: 영국 헐 요크 의과대학
Education and social accountability: Hull York Medical School, UK

헐 요크 의과대학은 2003년에 설립되었는데, 이전에 검진받았던 지역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개선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HYMS는 이러한 목표를 향한 노력의 공로로, 특히 고품질 초등 및 지역사회 관리를 장려한 데 대한 지원으로 2013년에 ASPIRE – 사회적 책임 상을 수상하였다.
Hull York Medical School, situated within the Yorkshire and Humber region of east England, was established in 2003 to help improve health care provision in a previously under doctored area. HYMS was awarded the ASPIRE – Social Accountability Award in 2013 in recognition of its work towards this aim, particularly for its support in promoting high quality primary and community care.

초등돌봄 및 지역사회 기반 학부 교육
Primary care and community based undergraduate education

지역 대학원 교육 및 서비스 제공 지원
Support for postgraduate education and service provision in the region

사회적 책임 및 연구
Social accountability and research

캐나다 뉴펀들랜드 메모리얼 대학교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Canada

사회적으로 책임이 있는 의과대학은 지역사회와 지역의 우선적인 건강 요구에 영감을 받아 이에 대응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여기에는 생물 의학 발견에서 임상 연구, 인구 건강 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의과대학은 연구 및 지식번역/동원/응용에 대한 의제개발, 제휴, 참여 등 연구에 지역사회를 적극 참여시킨다. 연구는 지역 사회/지역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활동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으며, 여기에는 의료 서비스 및 서비스 인구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이 포함된다(AMEE 2012).
Medical schools that are socially accountable perform research that is inspired by and responds to their community and region’s priority health needs. This may include a range of topics, from biomedical discovery to clinical research to population health research. The medical school actively engages the community in research including developing the agenda, partnering and participating in research and knowledge translation/mobilization/application. The research gives priority to activities that create beneficial effects upon its community/region including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care for and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served (AMEE 2012).



사회적 책임 및 서비스 개발
Social accountability and service development

캐나다 북부 온타리오 의과대학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Canada

북부 온타리오 의과대학(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NOSM)은 캐나다에서 가장 최신의 의과대학으로 2002년에 설립되었으며, 사회적 책임에 대한 명시적 권한을 가지고 있다. 지리적으로 방대한(>800,000 평방 킬로미터) 인구와 인구가 희박한(80,000명의 인구) 지역의 인구를 위해, NOSM은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의료 교육의 고유한 모델을 개발했다(Straser et al. 2013). 북부 온타리오 주의 건강 결과는 전체적으로 지방 평균 이하이며, 특히 시골과 외딴 지역에 사는 인구의 40%와 원주민과 프랑코폰 인구의 상당한 소수민족에 대해 그러하다. NOSM은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전달에 능동적인 파트너로서 지역사회를 참여시켰고, 인구의 우선적인 건강 요구에 커리큘럼 내용을 집중시켰으며, 역사적으로 서비스가 부족한 설정과 임상 배치 기회를 구체적으로 조정했다. 포괄적 커뮤니티 사무직은 MD 프로그램의 중요한 종적 측면으로, 의대생들에게 1차 진료 환경에서 고품질 학습을 제공하고 졸업 시 유사한 요구 사항이 높은 시골 환경에서 실습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Straser et al. 2015). 교육학에 대한 비판적 접근 방식은 NOSM의 사회적 책임 의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교육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에 기초하며, 예를 들어 4년 MD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인구 및 공공 보건에 대한 과정을 포함시켰으며, 실제 Northern Ontario community에 설정된 시나리오가 있는 사례 기반 학습이다.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명시적 논의와 시골, 북부, 원주민, 프랑코폰 출신 학생을 선발하는 입학전형(Ross et al. 2014)이다.
The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NOSM) is the newest medical school in Canada and was established in 2002 with an explicit social accountability mandate. Serving the population of a geographically vast (>800,000 sq. km.) and sparsely populated (population of 800,000) region, NOSM has developed a unique model of distributed community-engaged medical education (Strasser et al. 2013). Health outcomes in Northern Ontario are below the provincial average as a whole and particularly so for the 40% of the population living in rural and remote communities and the significant minority populations of Indigenous and Francophone people. NOSM has engaged communities as active partners in the design and delivery of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the curricular content on the priority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 and specifically aligned clinical placement opportunities with settings that have been historically under-served. The Comprehensive Community Clerkship is a critical longitudinal aspect of the MD Program that provides medical students with high quality learning within a primary care setting and prepares them to practice in similar high-needs rural settings upon graduation (Strasser et al. 2015). A critical approach to pedagogy underlies continual evaluation of the teaching activities as they relate to the social accountability mandate of NOSM and has led, for example, to the inclusion of a course on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throughout the four-year MD program, case-based learning with scenarios set in real-life Northern Ontario communities, explicit discussion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an admissions process that favors selection of students from rural, northern, Indigenous, and Francophone backgrounds (Ross et al. 2014).

 

결론들
Conclusions

의과대학으로서 사회적 책임으로 나아간다는 것은 의과대학이 보건시스템의 change agent로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항상 새로운 건강관리 졸업생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진 모든 사람들과의 변화와 긴밀한 협력을 포함한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학교와 어떠한 직접적인 접촉도 한 적이 없었다. 그것은 진정한 지역사회 참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헌신, 그리고 상호 존중을 포함한다. 우수한 커뮤니티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개인에 의해 주도되는 변화는 헤드라인을 장식할 수 있지만, 전략적, 재정적, 관리 등 모든 수준에서 사회적 책임을 포함하려는 학교 전체의 지원 약속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면 이러한 변화는 여전히 고립되고 피상적인 것으로 남을 것이다.

Moving towards social accountability as a medical school means changing a medical school into a health system change agent. It always involves change and close working with all who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new healthcare graduate, many of whom have never historically had any previous direct contact with the school. It involves genuine community involvement, commitment to effective communication, and mutual respect. Whilst change led by individuals in developing and delivering excellent community projects may get headlines, such change will remain isolated and superficial if it does not flow from a supported commitment across the school to embed social accountability at all levels – strategic, financial, and managerial. 

사회적 책임은 또한 인증 기관을 포함하여 국가 당국, 정치 및 학계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힘들기는 하지만, 근본적인 아이디어에는 논란이 없고, 가장 전통적인 학교에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달성될 수 있다. (연구와 혁신 자금 지원의 해제를 통해, 비록 지역사회와 환자가 기금 모금과 교육 또는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으로 밀접하게 참여하지만).

Social accountability also requires support from national authorities, political, and academic, including accrediting bodies. Whilst tough, this can be achieved, simply because the underlying ideas are not controversial and can bring real benefit to the most traditional school (through unlocking research and innovation funding, though close community and patient engagement with fund raising and support for education or research projects).

 

 


Med Teach. 2016 Nov;38(11):1078-1091.

 doi: 10.1080/0142159X.2016.1219029. Epub 2016 Sep 9.

Producing a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 AMEE Guide No. 109

Charles Boelen 1David Pearson 2Arthur Kaufman 3James Rourke 4Robert Woollard 5David C Marsh 6Trevor Gibbs 7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a WHO Headquarters, Sciez-sur-Léman , France.
  • 2b Hull York Medical School , Hull , UK.
  • 3c University of New Mexico , Albuquerque , NM , USA.
  • 4d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 St. John's , NL , Canada.
  • 5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Vancouver , BC , Canada.
  • 6f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 Sudbury , ON , Canada.
  • 7g AMEE , Dundee , Scotland.
  • PMID: 27608933
  • DOI: 10.1080/0142159X.2016.1219029Abstract
  • Health systems worldwide are confronted with challenges due to increased demand from their citizens, an aging population, a variety of health risks and limited resources. Key health stakeholders, including academic institutions and medical schools, are urged to develop a common vision for a more efficient and equitable health sector. It is in this environment that Boelen and Heck defined the concept of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 a concept that encourages schools to produce not just highly competent professionals, but professionals who are equipped to respond to the changing challenges of healthcare through re-orientation of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commitments, and be capable of demonstrating a positive effect upon the communities they serve. Social Accountability calls on the academic institution to demonstrate an impact on the communities served and thus make a contribution for a just and efficient health service, through mutually beneficial partnerships with other healthcare stakeholders. The purpose of this Guide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Social Accountability, to explain it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to identify ways to overcome obstacles to its development. Although in the Guide reference is frequently made to medical schools, the concept is equally applicable to all forms of education allied to healthcare.

사회적 책무성: 의과대학이 복무할 인구집단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레임워크(Acad Med, 2018)

Social Accountability: A Framework for Medical Schools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opulations They Serve
James Rourke, MD, MClinSc, FCFP(EM), LLD

 

배경
Background

사회적 계약뿐만 아니라 법률, 규정, 인가를 허가함으로써 의과대학은 미래의 의사를 교육하고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의학 연구를 하도록 위임된다. 따라서, 사회적 책무는 의과대학과 의과대학의 기초가 된다. 1,2 따라서 사회적 책임은 모든 의대의 계획, 행동 및 영향을 통해 기대되어야 한다be expected. 하지만, 모든 의과대학의 맥락은 다르므로, 각 학교가 지역사회, 지역, 국가의 요구에 가장 잘 참여하고, 협력하고, 대응하는 방법은 다를 것이다.
By permit of legislation, regulation, and accreditation as well as the social contract, medical schools are entrusted to educate tomorrow’s doctors and conduct medical research to serve the needs of society; thus, social accountability is the foundation of both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schools.1,2 Social accountability should, therefore, be expected throughout every medical school’s plans, actions, and impact. However, every medical school’s context is different, so how each school can best engage with, partner with, and respond to the needs of its community, region, and nation will vary.

1995년 Boelen과 Heck3에 의해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개발되고 정의된 [사회적 책무]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The concept of social accountability as developed and defined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by Boelen and Heck3 in 1995 states:

[의과대학은] 교육, 연구 및 서비스 활동을 의무적으로 봉사해야 하는 지역사회, 지역,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시direct할 의무가 있다. 우선적인 건강 문제는 정부, 의료 기관, 보건 전문가 및 대중이 공동으로 확인해야 한다.
[Medical schools have] the obligation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and/or nation they have a mandate to serve.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are to be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 care organiz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2001년 보고서 "사회적 책임: 캐나다 의과대학의 비전:"을 통해 캐나다의 의과대학은 사회적 책임의 조기 채택자가 되었다. "캐나다 의대 교육의 미래 (FMEC: A Collective Vision for MD Education)"와 "캐나다 대학원 의학 교육을 위한 집단 비전"을 포함한 많은 후속 보고서를 통해 캐나다 의대는 사회적 책임이 캐나다 의학교육의 토대를 형성한다는 것을 재확인했다. 이제 사회적 책무의 입증은 캐나다 인증 요건에 포함된다.9
Canadian medical schools became early adopters of social accountability with the 2001 report “Social Accountability: A Vision for Canadian Medical Schools.”4 Through a number of later reports, including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in Canada (FMEC): A Collective Vision for MD Education” and “A Collective Vision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Canada,” Canadian medical schools have reconfirmed that social accountability forms the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Canada.5–8 And now demonstra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is included in the Canadian accreditation requirements.9

사회적 책무는 이제 의과대학이 [지역사회, 지역 및 국가, 특히 소외계층과 취약계층의 요구에 참여하고, 협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Social accountability is now understood to involve medical schools engaging, partnering with, and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ir community, region, and nation, especially their underserved and vulnerable populations.1,13

의료 교육에서 뛰어난 성과와 우수성을 장려하고 촉진하기 위해, AMEE(세계 최대 의료 교육 기관)는 ASPIRE 이니셔티브를 수립하였으며, 이 이니셔티브는 2012년 AMEE에서 시작되었다. 
To encourage and promote outstanding performance and excellence in medical education, AMEE (the world’s largest medical education organization) established the ASPIRE initiative, which was launched at AMEE 2012. 

ASPIRE 이니셔티브가 인정하기로 선택한 우수성의 첫 세 가지 영역은 학생 평가, 학생 참여 및 사회적 책임이었다. ASPIRE는 이러한 분야에서 수상 신청서를 제출한 의과대학 평가에 사용할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을 설립했다. 첫 번째 두 가지(학생과 학생 참여의 평가)는 훨씬 더 광범위하고 의과대학 전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보다 더 쉽게 정의되었다.
The first three areas of excellence the ASPIRE initiative chose to recognize were assessment of students, student engagement, and social accountability. ASPIRE established expert panels to develop the criteria to be used for assessing medical schools that submitted applications for awards in these areas. The first two (assessment of students and student engagement) were more readily defined than social accountability because this is much broader and involves the whole medical school.

궁극적으로 ASPIRE는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글로벌 컨센서스의 기초적인 연구, 10개의 출판된 문헌 및 진화하는 세계 경험을 바탕으로 ASPIRE-to-Excellence Award for Social Accountability의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 기준에 따르면,

  • 의과대학은 조직과 기능에서 사회적 책임 계획을 문서화하고,
  • 의과대학은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 활동에서 사회적 책임 활동을 문서화하고,
  • 의과대학 교육, 연구, 서비스, 졸업생, 그리고 파트너십이 공동체, 지역, 국가의 헬스케어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Ultimately, ASPIRE developed the criteria for the ASPIRE-to-Excellence Award for Social Accountability based on the foundational work of the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10 published literature, and evolving world experience. To be successful, schools are expected to

  • document social accountability plans in their organization and functions;
  • document social accountability actions in their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 activities; and
  • demonstrate positive impacts of their education, research, service, graduates, and partnerships on the health care and health of their community, region, and nation.1,16,17 

따라서 이러한 기준(및 그 기준)은 설문 등급, 연구 자금 및 학생당 교직원 수, 입학 등급 평균 및 MCAT 점수를 포함한 기타 조치 등을 사용하는 US News & World Report 등급과 상당히 대조적이다.

Thus, these criteria (and their measures) provide quite a contrast to the U.S. News & World Report ratings of medical schools, which consider survey ratings, research funding, and other measures, including number of faculty per student, admission grade point average and MCAT scores, and, for primary care medical schools, the percentage of graduates entering primary care residency training programs.

 

공통 테마
Common Themes

2017년 12월 현재 ASPIRE 사회책임상 신청은 29건이다. 29개 학교 또는 네트워크는 각각 자신의 사회문화적-지리적 맥락에 맞추기 위해 사회적 책임 의무를 설정했다. 모든 것이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었지만, 많은 사람들은 아직 입증할 수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거나 아직 가지지 못했다(예: 졸업생이 아직 시행되지 않은 새로운 학교). 그 결과, 지금까지 다음 10개 학교 또는 네트워크만이 ASPIRE-to-Excellence Award for Social Accountability를 받았다.

As of December 2017, there have been 29 applications for ASPIRE social accountability awards. Each of the 29 schools or networks established their social accountability mandate to fit their own socio-cultural-geographic context. While all demonstrated commitment to social accountability, many did not have or did not yet have a demonstrable impact (e.g., new schools whose graduates were not yet in practice). As a result, so far only the following 10 schools or networks have received the ASPIRE-to-Excellence Award for Social Accountability: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IUSOM),
  •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 Hull York Medical School,
  •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UNMSOM),
  •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Faculty of Medicine,
  • Brody School of Medicine at East Carolina University,
  • University of Leeds School of Medicine,
  •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Herbert Wertheim College of Medicine,
  • Leaders in Indigenous Medical Education (LIME) Network, and
  • Université Laval Faculté de Médecine.

수상 경력에 빛나는 10개 의과대학의 주요 공통 주제는 다음과 같다.
The major common themes among the 10 award-winning medical schools include:

  • 사회적 책무가 학교의 목적과 의무에서 명백하고 계획 및 일상적인 관리에 통합
  • 학교 입학은 학교 공동체, 지역 및 국가의 인구학적 혼합을 반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학교 교육과정은 지역사회·지역·국가의 고유한 지리적·사회적·문화적 맥락과 우선적인 건강 요구에 관련
  • 학교 지역사회, 지역 및 국가의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혼합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임상 학습 및 서비스 학습 경험의 포함
  • 취약하고 서비스가 부족한 환자, 지역사회 및 인구에 대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이해하고 행동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학습 경험에 대한 광범위한 노출 포함
  • 학교 지역사회, 지역 및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요구에 영감을 받아 대응하고 연구과제 개발, 협력 및 연구 참여, 지식 번역/이동 참여 등 연구에 지역사회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연구
  • 이 학교의 졸업생들과 보건 서비스 제휴는 취약하고 소외된 인구에 중점을 두고 지역사회, 지역, 국가의 건강과 보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 Social accountability being evident in the school’s purpose and mandate and integrated into its planning and day-to-day management;
  2. School admissions being focused on reflecting the demographic mix of the school’s community, region, and nation;
  3. The curriculum being relevant to the unique geographic,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priority health needs of the school’s community, region, and nation;
  4. The inclusion of clinical learning and service-learning experiences reflecting the diversity of the geographic, social, and cultural mix of the school’s community, region, and nation;
  5. The inclusion of extensive exposure to community-based learning experiences to understand and act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or vulnerable and underserved patients, communities, and populations;
  6. Research being inspired by and responding to the priority health needs of the school’s community, region, and nation and actively engaging the community in research, including developing the research agenda, partnering and participating in research, and taking part in knowledge translation/mobilization; and
  7. The school’s graduates and its health service partnerships having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and the health care of its community, region, and nation with an emphasis on vulnerable and underserved populations.

예시
Exemplars

서던일리노이 대학교 의과대학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IUSOM의 미션은 교육, 환자 관리, 연구, 지역사회 서비스를 통해 일리노이 중부와 남부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SIUSOM은 지역사회, 전문 조직, 보건 관리자 및 정책 입안자들과 매우 다양한 파트너십을 맺고 이 임무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시골지역 보건 이니셔티브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의료 인프라를 개선하고, 의대생들에게 시골지역 중심의 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일리노이 중부와 남부 지역의 시골지역과 소외지역을 지원하기 위한 SIUSOM의 지원 활동의 주요 구성요소이다.
The mission of SIUSOM is to provide for the people of central and southern Illinois through education, patient care, research, and community service. SIUSOM has a wide variety of partnerships with communities, professional organizations, health managers, and policy makers to help meet this mission. For example, the Rural Health Initiative is a major component of SIUSOM’s outreach efforts to assist rural and underserved areas in central and southern Illinois by increasing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improving local health care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rural-focuse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medical students.

SIUSOM의 입학 위원회는 미래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전인적holistic 과정을 사용한다. 사용된 선택 기준 중 하나는 광범위한 자원봉사 및 지역사회 봉사의 증거이다. 또한 SIUSOM에는 의사가 되는 것에 관심이 있는 지역 고등학생들을 격려하고, 의학의 진로를 위해 저표현 소수민족과 교육/경제적으로 불리한 학생들을 준비함으로써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파이프라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SIUSOM의 의대생 선발과정은 지역의 인구통계학적 혼합을 대표한다.
SIUSOM’s admissions committee uses a holistic process to select its future students. One of the selection criterion used is evidence of extensive volunteer work and/or community service. In addition, there are pipeline programs in place at SIUSOM that serve the community by encouraging local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ed in becoming physicians and by preparing underrepresented minority and educationally/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for careers in medicine. SIUSOM’s medical student admissions represent the demographic mix of the region.

2008년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선교학점수에서 SIUSOM은 졸업생의 45%가 일차의료 분야에서, 46.5%가 보건 전문직 부족 지역에서 practice하는 등 전국 15위에 올랐다.18 또한 전체 SIUSOM 의과대학 졸업생의 절반이 레지던트 후 일리노이 주에서 계속 practice하고 있다.
In a study of graduates in practice in 2008, SIUSOM was ranked 15th in the country on the social mission score, with 45% of the school’s graduates practicing in primary care fields and 46.5% practicing in health professional shortage areas.18 Furthermore, half of all SIUSOM medical school graduates continue to practice in Illinois after residency.

SIUSOM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사무소는 일리노이 주 하부에서 의사 개업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학교는 일리노이 주 다운타운에 있는 50개의 주요 접근 병원의 의사들이 캠퍼스 기반의 공식적인 교육 경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화상 회의 사이트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The SIUSOM Office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provides educational activities to improve physician practice throughout downstate Illinois. For example, the school has developed a network of video conferencing sites that allow physicians at 50 critical access hospitals throughout downstate Illinois to participate in campus-based formal educational experiences.

SIUSOM에서 수행된 대부분의 연구는 지역사회의 요구에 기초한다. 학교도 지역사회단체와 협력교부금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사회단체가 보건관련교부금을 마련함에 따라 자문역할을 하며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The vast majority of research conducted at SIUSOM is grounded in the needs of the community. The school is also actively engaged in collaborative grants with community groups, and serves as advisors and provides technical assistance to community groups as they prepare health-related grants.

2017년 SIUSOM은 ASPIRE 시상 과정을 거치는 것의 가치에 대해 발간하였다.19
In 2017, SIUSOM published about the value of going through the ASPIRE awards process.19

 

뉴멕시코 대학교 의과대학
University of New Mexico School of Medicine

UNMSOM은 의료교육의 사회적 책임에 있어 선구적인 기관이다. UNMSOM은 설립 이후 뉴멕시코 주에 대한 서비스를 명확한 우선순위로 포함시켰으며, 기관의 성공을 위한 척도로서 인구의 건강과 건강 형평성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20
UNMSOM is a pioneering institution in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Since its inception, UNMSOM has included service to the state of New Mexico as a clear priority and has focused on improving the population’s health and health equity as a measure of the institution’s success.20

UNMSOM의 프로그램의 사실상 다른 모든 측면과 마찬가지로, 입학 정책은 특정 의료 요구를 충족시키고 주로 시골 지역, 다양하며 상대적으로 저소득 국가의 인구 건강 상태를 개선하려는 학교의 명시적인 commitment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UNMSOM은 또한 중학교 때부터 시작하는 잘 설계되고 잘 관리되는 파이프라인 노력을 가지고 있다. UNMSOM의 학생 중 30% 이상이 의학에서 underrepresented background에서 왔으며, 히스패닉계/라티노계 및 미국계 인도계 학생의 수는 다른 MD 부여 의과대학과 비교하여 UNMSOM을 다양성의 95번째 백분위수에 둔다.
Like virtually all other aspects of UNMSOM’s programs, the admissions policies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 school’s explicit commitment to meet the specific health care needs and improve the population health status of their predominantly rural, substantially diverse, and relatively lower-income state. UNMSOM also has well-designed and well-managed pipeline efforts that start as early as middle school. Over 30% of UNMSOM’s student body comes from backgrounds that are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and the number of Hispanic/Latino and American Indian students puts UNMSOM in the 95th percentile for diversity in comparison with the nation’s other MD-granting medical schools.

UNMSOM은 보건 직업 교육의 핵심 요소로서 서비스 학습을 강력하게 촉진한다. 따라서, 더 전통적인 도시, 3차 교육 보건소에서의 경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모든 의대생들은 또한 커리큘럼의 매 년 동안 소외된 지역 사회 기반 환경(도시 및 보호 지역, 농촌 농업 및 목장 공동체)에서 실질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다.
UNMSOM strongly promotes service-learning as a core component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cordingly, to balance their experiences in more traditional urban, tertiary academic health center venues, all medical students also have practical experiences in underserved, community-based settings (urban and reservation Native American sites and rural farming and ranching communities) during each year of the curriculum.

2017년에는 미국의 다른 141개 MD 부여 의과대학보다 UNMSOM 졸업생은 가정의학에 매칭되는 비율이(30.2%) 높았다.21

In 2017, a higher percentage of UNMSOM senior medical students matched in family medicine residencies (30.2%) than any of the other 141 MD-granting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21

뉴멕시코 대학교(UNM) 보건 과학 센터 연구 프로그램은 "뉴멕시코 거주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임상 및 기초 과학을 연결하여 분자 의학 분야의 발견을 임상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UNM Clinical & Translation Science Center의 학술-커뮤니티 파트너십은 지역 보건 결정을 알리기 위한 증거 기반 관행의 보급을 지원하는 협업적이고 지속 가능한 연구를 통해 뉴멕시코의 다양한 인구의 건강과 웰빙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UNM) Health Sciences Center research programs “are focused around critical health problems affecting New Mexico residents and bridge the clinical and basic sciences to more rapidly deliver discoveries in molecular medicine to the clinical setting.”22 In addition, the UNM Clinical & Translational Science Center’s academic–community partnerships work to improve the health and well-being of New Mexico’s diverse population through collaborative and sustainable research that supports the dissemin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to inform local health decisions.

SIUSOM과 UNMSOM은 2011년 Beyond Flexner Alliance에 의해 입학 과정, 학부 및 대학원 과정, 학생 지원 이니셔티브를 통해 사회에 대한 의무를 가장 많이 이행한 6개 모델 학교 중 2개로 선정되었다.23

Both SIUSOM and UNMSOM were selected by the Beyond Flexner Alliance in 2011 as two of six model schools that most fulfilled their obligation to society through their admissions processes,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nd student support initiatives.23

라임 네트워크
LIME Network

LIME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ASPIRE가 의과대학이 아니라 오히려 오스트레일리아와 Aotaroa/뉴질랜드의 모든 의과대학의 대표자 집합이기 때문에 ASPIRE에게 challenge였다. ASPIRE는 네트워크 고려를 위한 파일럿으로서 신청을 받아들였고, 제출이 너무 강해서 상을 받았다.
The LIME Network application presented a challenge to ASPIRE as it is not a medical school but, rather, a collective of representatives from all the medical schools in Australia and Aotearoa/New Zealand. ASPIRE accepted the application as a pilot for considering networks, and the submission was so strong it earned an award.

LIME은 2005년에 설립되었으며 의료 교육에서 원주민 보건의 교육 및 학습의 질과 효과를 보장하고, 호주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아일랜드인(호주 출신)과 마오리족(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 출신)의 (—그러므로 총칭하여 원주민—) 의과대학생 채용 및 졸업에 있어 모범 사례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4 LIME 네트워크는 의료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제공에서 원주민 보건의 우수성을 홍보하면서 지식과 혁신을 증진하고 협력적인 노력을 지속하는 실천 공동체로서 운영됩니다.25
LIME was established in 2005 and is committed to ensuring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Indigenous health in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best practices in the recruitment and graduation of Aboriginal and Torres Strait Islander (from Australia) and Māori (from Aotearoa/New Zealand)—henceforth, collectively referred to as Indigenous—medical students.24 The LIME Network operates as a community of practice, which furthers knowledge and innovation and sustains collaborative efforts while promoting excellence in Indigenous health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delivery.25

LIME은 원주민의 리더십과 지식의 우수성을 인식하고 홍보하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협력 요소를 사용한다. 그 일환으로, LIME 품질 검토 프로세스는 개별 의과대학이 원주민 건강 커리큘럼의 품질과 원주민의 의료 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시책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자체적인 내부 검토 프로세스를 고안하고 시행하도록 장려한다
LIME recognizes and promotes the primacy of Indigenous leadership and knowledge and uses multiple collaborative components to achieve these goals. As part of this, the LIME quality review processes encourage individual medical schools to devise and implement their own internal review processes by which they can evaluate the quality of the Indigenous health curriculum and the effectiveness of initiatives to support the participation of Indigenous people in medical education programs.

공식적인 커리큘럼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원주민 보건 교육과 관련하여 잠재 커리큘럼을 다루는 것도 필수적이다.26 따라서 LIME 네트워크는 원주민 보건 및 개발의 이니셔티브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프로세스를 강조하기 위한 다양한 검토 도구를 개발하였고, 그 기관의 지배적인 가치가 원주민 건강의 가치와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심을 가졌다

It is also essential to address the hidden curriculum in relation to Indigenous health education to support formal curricular initiatives and for lasting and systemic change.26 The LIME Network, therefore, has developed a range of review tools to highlight the processes required to support initiatives in Indigenous health and development and to draw attention to how the dominant values of the institution have an impact on the value and learning of Indigenous health.

LIME 담당자와 그 동료들은 원주민 의료 및 보건 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원주민 의학교육을 지원하는 모범 교육 사례, 자원 개발,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학술적 작업을 개발하고 원주민 학생들의 모집과 유지를 지원합니다. 또한, LIME의 리더십은 오스트레일리아 및 Aotaroa/New Zealand의 인증 기관과 성공적으로 협력하여 모든 관련 영역에서 원주민 보건 또는 보건 인력 개발을 특별히 강조하는 인증 표준을 도입하였다.

LIME representatives and their colleagues engage with and deliver initiatives in Indigenous medical and health education and develop scholarly work on best teaching practices, resource development, and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to support Indigenous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Indigenous students.25 Further, the leadership of LIME successfully engaged with the accrediting body for Australia and Aotearoa/New Zealand to introduce accreditation standards that specifically highlight Indigenous health or health workforce development across all relevant domains.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의학을 공부하는 원주민 학생 수는 처음으로 인구 대등도population parity에 도달했다. 그 해에 원주민 의대 1학년 학생들의 intake가 2.5%로 가장 높았으며, Aotaroa/New Zealand는 인구 통계학적 형평성 면에서 원주민 학생 졸업에 근접했다. 그리고 2013년, "호주 정부의 보건 인력 프로그램의 검토"(The Mason Review)는 "영연방은 LIME(Leaders in Native Medical Education) 네트워크의 성공에 기초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27

In 2011, the number of Indigenous students studying medicine in Australia reached population parity for the first time, with the intake of first-year Indigenous medical students at a high of 2.5%, and Aotearoa/New Zealand is close to graduating Indigenous students at demographic equity. And in 2013, the “Review of Australian Government Health Workforce Programs” (the Mason Review) recommended that “the Commonwealth should build on the success of the Leaders in Indigenous Medical Education (LIME) Network.”27

과제들
Challenges

사회적 책임에 대한 ASPIRE-to-Excellence Award for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는 GME를 포함하지 않는데, 이는 GME가 대부분의 국가에서 대부분의 의대의 의무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GME가 의대의 핵심 요소이며, 학부 의대(UME)보다 내일에 필요한 의사를 개발하는 데 더 중요할 수 있다. GME가 역량 기반 교육으로 크게 변모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왜, 어떻게, 누가, 그리고 어떤 차이를 만들까요? 이러한 질문은 사회적 책임과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직업 훈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GME 프로그램이 다양하기 때문에 UME에 적용하는 것보다 이 단계의 의학 교육 연속체에 사회적 책임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훨씬 더 어려워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 이것은 GME 프로그램과 이들을 후원하고 인가하는 기관에게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The ASPIRE-to-Excellence Award for Social Accountability framework does not include GME—often referred to as resident training or vocational training—because GME is not included in the mandate of most medical schools in most countries.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however, GME is a core component of medical school, and it may be even more important th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in developing the doctors needed for tomorrow. As GME undergoes the major transformation to competency-based training, many are asking: Why, how, who, and what difference will it make? These questions are closely related to social accountability and providing vocational training directed toward meeting society’s needs. Because of the wide variety of GME programs, it is even more difficult to apply social accountability principles to this phase of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than it is to apply them to UME, so much work remains to be done. This should be a priority for GME programs and the organizations that fund and accredit them.

이러한 사회적 책임 대화의 또 다른 관심사는 생태계/환경에 관한 의대의 역할이다. 의과대학이 봉사하는 인구의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주요 기여자로서의 생태계/환경]과 [의과대학과 그 파트너들이 생태계/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사회적 책임의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의과대학은 생태계의 건강 및 환경 모범 사례를 개발하고, 역할 모델링하며, 교육함으로써 강력한 긍정적 생태계/환경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28 ASPIRE는 현재 이것을 2019년 버전의 사회적 책임 상 기준에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Another issue of concern for this social accountability conversation is the role of medical schools with regard to the ecosystem/environment. Both the ecosystem/environment as a major contributor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of the populations served by the medical school and the impact of the medical school and its partners on the ecosystem/environment are emerging as important components of social accountability. Medical schools can have a powerful positive ecosystem/environmental impact by developing, role modeling, and teaching ecosystem health and environmental best practices.28 ASPIRE is now working on integrating this into the 2019 version of the social accountability award criteria.

결론 Conclusion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의과대학은 지역사회, 지역 및 국가의 요구에 참여하고, 협력하고, 이에 대응한다. 이들이 봉사하는 인구(특히 소외되고 취약하며 소외된 인구)의 건강 향상은 의대 교육, 연구 및 환자 관리의 중요한 결과 척도로 간주해야 한다. 모든 의과대학은 사회적 책임의 우수성을 위해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s engage with, partner with, and respond to the needs of their communities, regions, and nations. Improvement in the health of the populations they serve (especially those who are marginalized, vulnerable, and underserved) should be considered vital outcome measures of medical school education, research, and patient care. Shouldn’t all medical schools strive for excellence in social accountability?

 

 


Acad Med. 2018 Aug;93(8):1120-1124.

 doi: 10.1097/ACM.0000000000002239.

Social Accountability: A Framework for Medical Schools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opulations They Serve

James Rourke 1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J. Rourke is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and former dean of medicine (2004-2016), Faculty of Medicine,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St. John's, Newfoundland, Canada, and chair, ASPIRE-to-Excellence Panel on Social Accountability,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ORCID: http://orcid.org/0000-0001-8019-0294.
  • PMID: 29642103
  • DOI: 10.1097/ACM.0000000000002239Abstract
  • Social accountability has gained importance and greater acceptance in the ever-increasing complexity and interconnectivity of patient care, education, and research that is the threefold mission of academic health science centers and networks. In this Invited Commentary, the author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the criteria for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SPIRE-to-Excellence Award for Social Accountability, which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medical schools to consider when examining their own social accountability. Per these criteria, schools are expected to document social accountability plans in their organization and functions; document social accountability actions in their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 activities; and demonstrate positive impacts of their education, research, service, graduates, and partnerships on the health care and health of their community, region, and nation. Award-winning schools integrate social accountability into the school's mission, planning, and day-to-day management. The health needs and diversity of the school's community, region, and nation are reflected in the school's admissions, curriculum, learning experiences, research activities, health care partnerships, and graduates. The author also describes three award winners as exemplars of social accountability and concludes by challenging every medical school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 to focus on meeting the needs of the populations it serves, especially those who are marginalized, vulnerable, and underserved.

 

의학교육 인증기준의 중요성(Med Teach, 2012)

The importance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MARTA VAN ZANTEN1, JOHN R. BOULET1 & IAN GREAVES2
1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and Educa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 (ECFMG), USA, 2Temple University, USA

 

 

 

 

도입

Introduction

전 세계적으로 학부 의학 교육의 구조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Karl 2004), 최소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해 교육의 질(예: 인증 시스템)을 평가하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 인증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지만, 본 문서의 목적상, [지정된 기관이 명확하게 정의된 표준과 절차를 사용하여 교육 기관을 검토하고 평가하는 과정]으로 정의됩니다.
There is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tructure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Karle 2004), and also differences in how organizations assess the quality of education (e.g., a system of accreditation) to ensure that minimum standards are met. The term accreditation has various meanings, but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defined as the process by which a designated authority reviews and evaluates an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a set of clearly defined standards and procedures.

최근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인증 필요성에 대한 인식(Carl 2008)과 의료 직업의 세계화와 의료 종사자의 이주 증가(Echert 2002; Ray et al. 2006)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인 관점에서 인증의 practices를 기술하는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1996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의과대학 부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의과대학의 거의 3분의 2가 외부 기관에 의해 인증받은 것으로 나타났다(Boelen & Boyer 2001). 전 세계에 위치한 9개 개발도상국의 의료 교육 인증 시스템을 비교한 연구는 엄격한 품질 보증 절차를 제정하려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고 결론짓는다(Cue to Jr., 2006). 전세계 인증 관행에 대한 반 잔텐 외 연구진(2008)은 authorities의 성격과 집행 수준에 상당한 차이variation가 있음을 입증했다. 
Despite the recent focus on the perceived need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Karle 2008) and the increasing globalization of the medical profession and migration of health care workers (Eckhert 2002; Ray et al. 2006), there are limited data describing accreditation practices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A report based on a 199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urvey of Ministries of Health and deans of medical schools indicates that almost two-thirds of medical schools are accredited by an external body (Boelen & Boyer 2001). A study comparing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in nine developing countries located throughout the world concludes that the trend toward instituting rigorous quality assurance procedures is spreading (Cueto Jr. et al. 2006). van Zanten et al.’s (2008) study of accreditation practices worldwide demonstrated that considerable variation exists in the nature of authorities and levels of enforcement. 

한국에서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의과대학 인증에 사용되는 기준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설문 응답자들의 직책과 이전 경험에 따라 표준의 중요도 수준이 다르지만 모든 기준의 내용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양2002).

A survey of stakeholders regarding standards used to accredit medical schools in South Korea revealed that all standards were deemed to have adequate content validity, although the level of importance of standards var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previous experience of the survey respondents (Yang 2002). 

 

 

방법

Methods

 

설문 설계

Survey design

 

세계 의료 교육 연맹(WFME)은 품질 개선을 위한 국제 기준 3부작을 개발했다. 여기에는 학부 과정으로 이어지는 의과대학의 질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의학교육 표준(WFME 2003) 문서가 포함된다. 본 문서는 제한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 [인증 절차 개발에 관심이 있는 국가 기관의 템플릿으로 기능]하도록 의도되었으며, 국가 및 지역 인증 절차 수립 모델로서 전 세계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Karl 2006). 우리는 전 세계의 학부 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인증하거나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을 설명하는 수많은 출판 문서에서 가져온 추가 기준으로 보완하여 [WFME 기준의 전체 집합으로 구성된 설문 조사]를 개발했다. WFME 표준에서 이미 다루어진 개념을 설명하는 이러한 보충 기관의 표준은 설문조사에서 반복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관련 기준의 universe를 나타내기 위해 설문조사를 설계했습니다.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has developed a Trilogy of Global Standards for Quality Improvement. These resources include a document, Standards in Basic Medical Education, aimed at helping organizations assess the quality of medical schools leading to an undergraduate degree (WFME 2003). This document is not designed to be used restrictively, but instead is intended to function as a template for national agencies interested in developing accreditation procedure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as a model for establishing national and regional accreditation procedures (Karle 2006). We developed a survey that consisted of the entire set of WFME standards, supplemented with additional standards taken fromnumerous published documents describing the criteria used to accredit or evaluat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around the world. Standards from these supplemental agencies describing concepts that were already covered in the WFME standards were not repeated in the survey. Therefore, we designed the survey to represent the universe of relevant standards used around the world. 

조사는 다음과 같이 9개의 WFME 주제 영역에 구성된 150개의 표준으로 구성되었다.
The survey consisted of 150 standards organized into the nine WFME topic areas as follows:

응답자들에게는 150개 기준서를 각각 읽어본 뒤, 학부형 의료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판단과 보장에 있어 기준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등급을 매기도록 지도했다.
Respondents were instructed to read each of the 150 standards, and then rate the standard based on their expert opin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tandard in determining and ensuring the quality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전문가들에게 다음과 같은 척도를 제공하여 각 표준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The experts were provided with the following scale to rate each of the standards:

(1) 중요하지 않음(표준은 품질 결정에 유용하지 않음).
(2) 중요하나 필수적이지는 않다(표준은 품질 결정에 다소 유용하지만 요구되지는 않는다).
(3) 필수(표준은 품질 결정에 매우 유용하며 요구됨).
(1) Not important (the standard is not useful for determining quality).
(2) Important but not essential (the standard is somewhat useful for determining quality, but is not required).
(3) Essential (the standard is very useful for determining quality and is required).

우리는 의료교육 인증 분야 전문가 22명에게 연락하여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과 익명으로 설문조사를 완료해 달라는 요청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들 개인 중 다수는 지역, 지역 또는 국제 인가 기관의 현재 또는 이전 고위 직원으로, 인가 또는 의과대학 질에 대한 주제에 대해 광범위하게 출판되었다. 

We contacted 22 experts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and provided them with a description of the research project and a request to anonymously complete the survey. Many of these individuals are current or former senior staff of local, regional, or international accrediting agencies, and have extensively published on the topic of accreditation or medical school quality. 

 

 

분석 Analyses

 

결과

Results

1차 응답기간 1개월 이내 8건의 설문조사가 반송됐고, 2차 달 발송된 독촉메일 2건에서는 총 13건의 완료된 설문조사에 대해 5건의 응답(응답률 59%)이 추가됐다.  
Eight surveys were returned within the first response period ofone month, and two reminder emails sent in the second month produced an additional five responses for a total of 13completed surveys (59% response rate).  

표 1은 각 13명의 응답자에 대해 제공된 등급 수, 모든 표준에서의 평균, 등급의 표준 편차, 평균 평균 평균 편차 및 루트 평균 제곱 오차를 표시합니다.
For each of the 13 respondents, Table 1 displays thenumber of ratings provided, the mean across all standards,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tings, the mean deviation fromthe grand mean,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 14개의 표준은 모든 평가 참가자로부터 3('필수')의 최고 등급을 받았고,
  • 4개의 표준은 2.00 이하('중요하지만 필수적이지 않음')의 평균 등급을 받았다.
  • 개별 표준에 대한 전문가들 간의 등급 변동성은 0(동일 합의)에서 0.76(중간 불일치)까지 다양했다.
  • 모든 등급으로부터 완전한 동의가 이루어진 표준, 평균 2.00 이하의 등급을 받은 표준, 0.50 이상의 차이를 가진 표준이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Fourteen standards received the highest rating of 3(‘‘Essential’’) from all survey participants, and four standards received mean ratings of equal to or less than 2.00 (‘‘Importantbut not essential’’). Variability in the ratings across the experts for individual standards ranged from 0 (unanimous agreement)to 0.76 (moderate disagreement). The results displaying the standards that had complete agreement from all raters as being‘‘Essential,’’ the standards that received mean ratings of 2.00 orless, and the standards with variances, across respondents,equal to or greater than 0.50 are presented in Table 2.  

 



고찰

Discussion

150개 기준 중 14개 기준이 퀄리티 결정에 필수적이라는 데 만장일치가 있었다. 이러한 필수 표준은 WFME 범주에 걸쳐 다소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전문가들은 다양한 입력과 프로세스를 다루는 표준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14개의 기준은 졸업생들의 성공적인 생산에 필요한 세계적으로 인정된 주요 특징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 '의과대학은 교육과정을 통해 분석적·비판적 사고를 포함한 과학적 방법과 증거 기반 의학의 원리를 가르치고 있다'는 기준에는 의학교육이 고차원의 사고를 포함시켜야 하며 많은 양의 정보를 단순 암기하는 것 이상의 것이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 '의과대학은 학생들이 환자와 접촉하고 졸업과 동시에 적절한 임상 책임을 지기 위한 충분한 임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보장한다'는 표준은 커리큘럼의 일환으로 응용적 임상 교육의 본질에 대해 설명한다. 
  • 다른 필수 표준은 평가 활동의 적절성을 보장한다. 필수기준은 도서관, 학교 리더십, 학교의 재정 안정성 등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으며, 교과과정 전달과 직접 관련이 없는 학습의 중요한 측면을 보여준다. 

 

Of the 150 standards, there was unanimous agreementamong the respondents that 14 of the standards are essentialfor determining quality. These essential standards are some-what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WFME categories, indicatingthat experts believe standards covering a range of inputs and processes are mandatory. These 14 standards describe globally accepted key feature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oduction of graduates.

  • For example, the standard, ‘‘The medical school teaches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ethod and evidence-based medicine, including analytical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out the curriculum,’’ states that medical education must include higher order thinking and be more than simple memorizationof a large quantity of information.
  • The standard, ‘‘The medical school ensures that students have patient contact and acquire sufficient clinical knowledge and skills to assume appropriate clinical responsibility upon graduation’’ speaks to the essential nature of students’ applied clinical education as part of the curriculum.
  • Other essential standards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activities. Essential standards also related to issues such as the library, school leadership, and the school’s financial stability and demonstrate crucial aspects of learning not directly related to curriculum delivery. 


이 14개의 필수 표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만장일치 합의는 이러한 것들이 모든 인가 시스템이 통합해야 하는 핵심 개념임을 시사한다. 또한 이 데이터는 인증 기관이 사용하는 이러한 표준이 세계적으로 인정된 최소 기준을 준수하는지 검증하며, 기관은 이러한 [필수적 기준에 포함된 개념]이 시스템의 일부로 구현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이 다른 표준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 의대 심사 과정에서 인정해야 할 인증기준의 위계구조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experts’ unanimous agreement on these 14 essential standards suggests that these are core concepts that all accrediting systems should incorporate. The data also validate that these standards that are used by accreditation agencies conform to globally accepted minimum criteria, and agencies should ensure that the concepts covered in these essential standards are implemented as part of their systems. This does not, however, mean that other standards are not important. Instead, it suggests that there is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ccreditation standards that needs to be acknowledged in the process of medical school review.


평균 점수가 2점 이하인 교육 리소스 범주에는 모두 4개의 표준이 있었습니다. 표준 중 두 가지는 매우 구체적인 리소스 요구 사항을 나타냅니다. 특정 문화권에서는 의대에 필요한 인풋을 상세하게 지정하는 것이 전통이지만, 이 정도의 특수화는 세계적으로 표준이 아니다. 특히 "의과 과정은 학교 내에서 활발한 연구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설정된다." 라는 기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합계점수를 받은 것이 눈에 띈다. 지난 세기에 걸쳐 세계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의 의과대학들이 연구 프로그램에 많은 자원을 투입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지만,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본다면 이 개념은 우선순위로 간주되지 않는다. 흥미롭게도, 미국에서 대학원 교육과 면허를 추구하는 많은 수의 의대생들을 교육하는 최근에 설립된 많은 기관들(즉, 미국 오스테오패스 학교, 카리브해에 위치한 일부 MD 허가 기관 등)은 작은 연구 프로그램만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1900년대 초에 Flexner (1910)가 추구했던 전통에도 불구하고, [교수진, 직원, 학생들을 위한 연구 기회를 통합한 의과대학]은, 적어도 세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의과대학과 관련된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이러한 강조는 오늘날 자격을 갖춘 졸업생들의 생산을 보장하는 데 더 이상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re were four standards, all in the Educational Resources category, where the average rating was 2 or less. Two of the standards refer to very specific resource requirements. While it is the tradition in certain cultures to specify in detail the inputs required for a medical school, this level of particularization is not the norm worldwide.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relatively low aggregate rating of the standard, ‘‘The medical course is set in the context of an active research program within the school.’’ While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over the past century for medical schools in most high income countries in the world to devote large resources to research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concept is not considered a priority worldwide. Interestingly, many of the more recently founded institutions that educate a large number of medical students who pursue postgraduate training and licensure in the United States, (i.e., US Osteopathic schools, some MD granting institutions located in the Caribbean, etc.) have only small research programs, if at all. Therefore, despite the tradition promoted by Flexner (1910) in the early 1900s of medical schools incorporating research opportunities for faculty, staff, and students, it appears that, at least from a global perspective, this emphasis on research programs associated with medical schools may no longer be considered relevant today in ensuring the production of qualified graduates. 

9개 기준은 0.50보다 큰 평가자 variability를 가진 것으로 나타나, 품질 보장에 있어 기준의 중요도 수준에 대해 전문가들이 차이가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표준은 지리적 및 문화적 영역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의료 교육의 측면을 나타낼 수 있다.

  • 예를 들어, 기본 과학과 임상 과학을 별도로 가르치는 것이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전통이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이러한 지식과 기술의 측면이 완전히 통합되어야 한다는 것이 관습이다.
  • 토착 인구의 건강이나 사회의 다른 부문의 고려사항과 관련된 기준은 보편적인 관련성은 낮을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는 데 학생의 권리와 관련된 표준을 포함하는 것의 중요성에 동의하지 않는다.

Nine standards had rater variability that was greater than 0.50, indicating that the experts disagreed substantially on these standards’ levels of importance in ensuring quality. These standards likely represent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that significantly vary across geographic and cultural realms.

  • For example, while it is the tradition in many parts of the world to separately teach basic sciences and clinical sciences, in other regions the convention is that these aspects of knowledge and skills should be fully integrated.
  • Standards related to the health of indigenous populations or considerations of other sectors of society may not be universally relevant.
  • Finally, experts do not agree on the importance of including standards that pertain to the rights of students in ensuring a quality education.

9개의 WFME 범주 내의 모든 표준에 대해 집계된 평균 등급은 전체적으로 전문가들이 기준의 여러 범주를 비교적 동등하게 평가했음을 보여준다. 평균평가(2.77점)가 가장 높았고, 교육자원(2.52점)과 학생(2.53점)이 가장 낮았다. 수준 높은 교사를 보장하는 표준에 대한 강조는 기대되었고, 분명히 그것은 자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Darling Hammond 1999) 대조적으로, 학교의 물리적 자원과 학생들의 권리와 관련된 기준들이 다소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은 문화와 전통의 변화로 설명될 수 있는 흥미로운 결과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학업성적 열람 및 이의신청권한을 보호하는 기준의 포함은 한 나라의 정부의 개방성과 투명성을 반영할 수 있다. 
The mean ratings, over respondents, aggregated for all the standards within each of the nine WFME categories demonstrate that, overall, the experts rated categories of standards relatively equally. Standards related to Academic Staff/Faculty received the highest mean rating (2.77), whereas the categories of standards related to Educational Resources (2.52) and Students (2.53) received the lowest. The emphasis on standards that ensure high-quality teachers was expected and clearly it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quality (DarlingHammond 1999). In contrast, the somewhat lower rating of standards related to a school’s physical resources and the rights of students is an interesting outcome that may be explained by variations in culture and tradition. For example, the inclusion of standards that protect the rights of students to view and challenge their academic records may reflect the level of openness and transparence of a country’s government. 

 

 

 

 

 

 

 


Med Teach. 2012;34(2):136-45.

 doi: 10.3109/0142159X.2012.643261.

The importance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Marta van Zanten 1John R BouletIan Greave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 1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Philadelphia, PA 19104, USA. mvanzanten@faimer.org

PMID: 22288991

 

Abstract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ve and absolute importance of individual standards used by accreditation agencies throughout the world.

Method: We developed a 150-item survey that consisted of all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standards, supplemented with additional standards used around the worl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experts rated the standards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standard for ensuring the quality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3-point scale was employed: 1 = not important, 2 = important but not essential, 3 = essential.

Results: Thirteen of 22 chosen experts anonymously completed the survey (59%). The mean values, over raters, across individual standards ranged from 2.32 to 2.87, indicating that most of the 150 standards are at least important, and often essential, for ensuring program quality. Fourteen standards received the highest rating of 3 ("Essential") from all experts, and four standards received mean ratings ≤2.00. Variability in the ratings across the experts for individual standards ranged from 0.00 (unanimous agreement) to 0.76 (moderate disagreement).

Conclusions: While there is some global variation in experts' opinions of accreditation standards, certain standards are considered essential. Our summary data are useful for determining best practices for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사회적 책무성과 인증: 교육기관을 위한 새로운 프론티어(Med Educ, 2009)

Social accountability and accreditation: a new frontier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Charles Boelen1 & Bob Woollard2

 

 

 

도입

INTRODUCTION

보건의료전문인력 생산의 수월성excellence을 염원하는 교육기관은 졸업생이 시민과 사회의 건강증진에 바람직한 역량을 모두 보유할 때뿐만 아니라 이를 전문적 실무에 활용할 수 있을 때 그 지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비록 의과대학이 현재 졸업생들이 사용되는 방식이나 봉사하는 방식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는 않지만held to account, 미래에는 그러한 책임이 요구될 수 있다. 교육 기관들은 점점 더 professional practitioner의 성과와 그들의 존재가 사회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명확히 해달라는 요구를 받고 있다.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aspires to excellence in the produc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be granted that status not only when its graduates possess all of the competencies desirable to improve the health of citizens and society, but when they are able to use them in their professional practice. Although medical schools are not presently held to account for the ways in which their graduates are used, and serve, their societies, such an accounting may be required in the future.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ly requested to be more explicit about their outputs of professional practitioners and the impact of their presence on social well-being. 


지난 반세기 동안, 의료 전문가의 교육의 질은 일련의 교육 발전을 통해 점진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1 
Over the last half-century, the quality of educa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has progressively improved through a series of educational advances.1 

이러한 교육적 혁신은 모두 매우 유용했지만, 이러한 혁신은 [의료 분야의 인적 자원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 위기를 시정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못했다.2 이러한 위기는 다음을 포함하는 기여 요소의 끔찍한 재고로 예시된다.

  • 의료진의 정량적 부족
  • 우선적인 의료 요구에 관한 특정 전공 분야의 불충분한 비율
  • 일차 의료진의 만성적인 부족
  • 보다 사회적이고 경제적으로 매력적인 직업적 환경으로 보건 전문가의 이동.
  • 농촌의 과소 서비스
  •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조치의 일반적인 결여
  • 자신의 건강 보호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시민들이 거의 동원되지 않음
  • 보건의 사회적 결정요소에 보다 효과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사회부문과 협력할 수 있는 열악한 인센티브
  • 직업적 이상을 희생하는 서비스 상품화에 대한 표류
  • 행정 및 공공에 의한 보건 전문가에 대한 신뢰 감소
  • 의료 전문가의 동기부여 저하  

Although these are all very useful, these innovations have not materially contributed to correcting the global crisis affect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health care sector.2 This crisis is exemplified by an appalling inventory of contributory factors, which include:

  • a quantitative lack of health care staff;
  • inadequate proportions of specialties with respect to priority health care needs;
  • a chronic dearth of primary health care staff;
  • the migr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to more socially and financially attractive working environments;
  • the underserving of rural areas;
  • a general deficit of effective action towards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 little mobilisation of citizens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protecting their own health;
  • poor incentives to work in partnership with the social sector for a more effective impact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 a drifting towards the merchandising of services at the expense of professional ideals;
  • lessening trust in health professionals by administration and the public, and
  • the de-motiva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그들은 그러한 위기에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교육기관이 교육, 연구, 서비스 임무를 통해 위기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는가? 교육프로그램의 설계·시행·추진이 [시민과 사회 전체의 요구에 부합]하고 [국민건강발전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정립하는 것이 절실하다
How can they cope with such a crisis? To what extent cananeducational institutionhelp mitigate the crisis through its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missions? It is imperative that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follow-up of educational programmes be established in a manner that ensures they are relevant to the needs of citizens and society as a whole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national health development. 

사회적 책임의 다른 파트너들(정책 입안자, 보건 서비스 관리자, 보건 전문가 및 대중)이 기대, 적응 및 품질 보증에 동등하게 헌신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the other partners in social accountability (policy makers, health service manager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are equally committed to anticipation, adaptation and quality assurance. 

사회적 책임의 의미
WHAT SOCIAL ACCOUNTABILITY IMPLIES


세계보건기구(WHO)는 의대의 사회적 책임을 '지역, 지역 또는 국가의 우선적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그들의 교육, 연구 및 서비스 활동을 지향direct해야 하는 의무'로 정의한다. [우선적 건강 문제]는 정부, 의료 기관, 보건 전문가 및 일반 대중이 공동으로 파악해야 한다.'3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s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as representing: ‘the obligation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or nation they have a mandate to serve.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are to be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care organisations, healthprofessionals andthe public.’3

이로부터, 사회적 책무성의 두 가지 특징인 [이타주의와 통합]이 등장합니다.

  • 이타주의는 주로 사회의 웰빙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 통합은 사회 캔버스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From this, two features of social accountability emerge: altruism and integration.

  • Altruism focuses primarily on society’s well-being and
  • integration is an integral part of the social canvas.

그룹의 원칙은 frame of reference로서 기능할 수 있다:

  • 사람들의 보호와 관련된 휴머니즘적 원칙
  • 의료 시스템과의 관계와 관련된 시스템적 원칙.

 

Two groups of principles may serve as frames of reference:

  • humanistic principles, which are relative to people’s protection, and
  • systemic principles, which are relative to the relationship of the institution with the health care system. 

 

인본주의 원칙

Humanistic principles

세계보건기구가 밝힌 [네 가지 원칙]은 개인과 집단적 관점 모두에서 사람들이 권리를 갖는 건강 관리의 유형을 가리킨다. 질, 형평성, 목적적합성, 효과성.

  • [질quality 원칙]은 시민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행복 상태를 보호하고, 회복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최선의 조치를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 [형평성의 원칙]은 모든 시민이 의료 서비스에 완전히 접근할 수 있고 어떤 형태의 차별에도 직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노력한다.
  • [관련성의 원칙]은 우선적인 의료 요구에 대한 대응과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개인 또는 집단에 대한 특별 주의의 제공을 추구한다.
  • [효과성의 원칙]은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공공의 이익에 봉사하는 방식으로 인적 및 물질적 의료 자원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Four principles, enunciated by WHO, refer to the type of health care to which people have a right, from both an individual and a collective standpoint: quality, equity, relevance and effectiveness.

  • The principle of quality seeks to provide the citizen with the best possible measures to protect, restore and promote a state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 The principle of equity tries to ensure that every citizen has full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and does not face any form of discrimination.
  • The principle of relevance seeks a response to priority health care needs and the provision of special attention to the most vulnerable individuals or groups in society.
  • The principle of effectiveness refers to the utilisa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both human and material, in a manner that serves the public interest in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way. 

 

체계적 원칙
Systemic principles


이러한 원칙은 [의료 시스템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와 그 안에서 가장 유용한 장소를 찾을 수 있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제도권 내 다른 이해관계자, 즉 정책결정자, 보건시스템 관리자, 의료전문가, 시민사회 등과 제휴해 활동하면 실효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 위에서 설명한 인문학적 원칙을 구현하기 위해, 이들 이해관계자는 각각 조정된 역할을 수행한다.

These principles rela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y of a health care system and to the capacity to find a most useful place in it. The institution is likely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if it works in partnership with other stakeholders in the system, namely, policy makers, health system managers,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civil society. In order to implement the humanistic principles outlined above, each of these stakeholders has a coordinated role to play.

 

예를 들어,

  • [정책 입안자]는 일관되고 통합된 의료 시스템의 장기적인 비전을 수립해야 한다.
  • [보건 시스템 관리자]는 이 비전과 일치하는 자원의 할당을 보장해야 한다.
  • [의료 전문가]는 적절한 범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획득해야 하며,
  • [시민]은 자신의 건강과 지역사회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더 큰 책임을 진다. 

For instance, the policy maker should frame a long-term vision of a health care system which is coherent and integrated;

  • the health system manager should ensure an allocation of resources that is consistent with this vision;
  •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should acquire competences to deliver the appropriate range of services, and
  • the citizen should assume greater responsibility in protecting his or her own health and that of the community.

모든 파트너는 자신의 역할을 조정하고 시너지를 발휘하여 의료 시스템과 인적 자원을 강화해야 합니다.4 

All partners should adapt their roles and act in synergy to strengthen the system and its human resources for health.4 

완전히 사회적으로 책임을 지기 위해서는, 기관은 자신의 '제품products'(졸업생, 서비스 모델 또는 연구 결과)이 대중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권리를 주장할 필요가 있다.

To be fully socially accountable, an institution needs to claim the right to question whether its ‘products’ (graduates, service models or research findings) are being used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ublic.

 

 

효과의 수월성

EXCELLENCE IN IMPACT

이러한 기관은 그 존재와 일의 최종 영향을 의심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책임을 지게 된다. 
By questioning its raison d’eˆtre and the final impact of its work, such an institution undertakes a higher order of social accountability. 

전문직의 '생산자producer'로서, 교육기관은 기관의 산출물output을 활용할 사회 기관들과 일련의 관계를 맺어야 한다. 동시에, 니즈는 끊임없이 진화하기에, 커리큘럼과 목표는 지속적으로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이에 필요한 일련의 관계, 정보 수집, 피드백 루프 및 변경의 영향자는 기관이 계획과 조치의 복잡성 원칙을 인식할 것을 요구한다.5-7 따라서 [원인과 결과의 선형 관계]가 아니라, [원하는 output을 정의하고, 실제 output을 측정하는, 명시적이고 적응 가능한 프로세스]를 만드는 것으로 대체되어야 하며, 졸업생이 진입하는 시스템의 요구에 적응해야 한다.

 
As a ‘producer’ of professionals, it must enter into a series of relationships with the social institutions that will utilise its output. At the same time, it must realise that needs are in constant evolution and thus its curriculum and goals must be in a state of constant adjustment. The series of relationships, information gathering, feedback loops and effectors of change needed for this require that the institution recognise principles of complexity in its plans and actions.5–7 Thus linear relationships of cause and effect need to be replaced by the creation of explicit, adaptable processes that define desired outputs and measure actual outputs while adjusting to the needs of the system their graduates are entering. 

원하는 효과impact를 얻으려면 원하는 졸업생 유형에 대한 초기 정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졸업생이 성취되더라도, 그들의 역량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의료 시스템에 의해 공정하게 보상되지 않는다면, 그들이 원하는 영향은 달성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졸업생들은 고용되지 못하거나, 혹은 인센티브를 받는 영역으로 돌아갈 것이다.   
Achieving the desired impact requires an initial definition of the type of graduates desired. However, even if such graduates are achieved, if their competencies are not formally recognised and fairly rewarded by the healthcare system, their desired impact will not be achieved. The graduates will either be underemployed or will revert to the kinds of practices that are incentivised.   

따라서 교육기관은 [보건 정책을 설계하는 사람], [의료 서비스를 조직하는 사람], 그리고 [획득된 역량이 요구되는 일자리 기회를 창출하고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람] 사이의 솔직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The educational institution must therefore initiate a frank conversation between those who design health policies, those who organise health care services and those who create job opportunities and support services requiring the acquired competencies. 

공익이 사익에 우세할 때, 협력은 비로소 생산적이다. 한 파트너의 구성원이 자신의 이익에 초점을 맞추고, 더 넓은 사회적 관점을 무시한다면 위협은 현실이 된다.
Partnership is productive within an institution if common interest prevails over private interests. The threat is real if the members of one partner focus on their own interests and ignore the wider social perspective.

의대교육의 창의성이 대부분 교육과정의 [사회적 목적과 도덕적 의무]보다는 [교과내용과 학습방법]에 집중되는 것이 놀라워서는 안 된다. 간단히 말해, 현재는 프로세스에 많은 focus을 두지만, impact에 focus는 충분히 주지 않고 있다. 

It should not come as a surprise that most of the creativeness in medical education concentrates on curriculum content and learning methods rather than on the social purpose and moral obligations of the curriculum. In brief, a lot of emphasis is placed on processes and not enough on impact. 

 

이 실망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세기 초, 아브라함 플렉스너는 카네기 재단에 의해 북미 의과대학의 질에 대한 검토를 맡도록 위임받았다. 미국 의료 시스템의 형평성 부족을 의식한 그는 [아프리카계 학생들이 그들이 속한 커뮤니티의 건강상태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의료교육의 혜택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플렉스너는 감히 좋은 의료 교육과 인구 건강 사이의 상관관계를 만들었다. 의학교육 개선을 통해 시민들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 그 운동의 주요 동기였다. 불행히도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 행해진 의과대학의 개혁이 교과과정의 [과학성scientific nature]을 강화하는 것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대는 부족했다. 12 

This disappointment is not new! At the beginning of last century, Abraham Flexner was mandated by the Carnegie Foundation to undertake a review of the quality of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ware of lack of equity in the US health care system, he recommended that Afro-American students should benefit from excellent medical educa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health status of their communities. Flexner dared to make a correlation between good medical education and population health. Achieving a positive impact on the health of citizens through improved medical education was indeed the prime motive for the exercise. Unfortunately this expectation fell short as the reform of medical schools conducted by his successors consisted of strengthening the scientific nature of the curriculum but little else.12

 

역사는 그 결과를 입증했다.

  • 기초과학의 교육 블록은 학생들이 환자와 사회 환경과의 접촉이 허용되기 전에 필수 통로가 되었다.
  •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도입은 제한적이고 늦다. 
  • 부문과 부서는 어떻게 해서든 자신의 자율성을 지킨다.
  • 수직적 교육은 [복잡한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적합한 통합적 교육]을 희생함으로써 강화된다.
  • 공중 보건 과학은 소외되어 왔다.

History has demonstrated the result:

  • blocks of education in the basic sciences became a compulsory passage before students were allowed any contact with patients and the social environment;
  • the introduction of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s limited and late;
  • disciplines and departments guard their autonomy jealously;
  • vertical teaching is enhanced at the expense of the integrated teaching best suited to address complex health issues, and
  • the public health sciences have been marginalised.

 

이것은 선의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였다. 졸업생의 영향에 대한 평가 부족과 사회의 진화하는 요구는 교육기관을 삶의 환경living environment으로부터 격리시키게 되었다. 이 모델은 100년 넘게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왔으며, 의과대학 인증의 parameter로 지속적으로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academe이 자신의 존재의 이유를 사회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의 근원으로서 설정할 역사적인 기회를 놓친 것이다.13 

These were unintended consequences of good intentions. The lack of assessment of the impact of graduates and the evolving needs of society have tended to isolate the institution from the living environment. This model has remained distressingly~prevalent worldwide for over a century and continues to inspire parameters for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s. This represents an historical missed opportunity for the academe to set as its raison d’eˆtre its impact on social well-being.13 


사회적 책임의 표현
EXPRESSIONS OF SOCIAL ACCOUNTABILITY


(그림 1).
(Fig. 1).



[개념화 영역]에는 전문적으로 필요한 종류의 협업 설계와 자신의 기술을 활용하는 시스템이 포함된다.

[생산 영역]은 훈련과 학습의 주요 요소를 포함한다.

  • The domain of conceptualisation involves the collaborative design of the kind of professional needed and the system that will utilise his or her skills.
  • The domain of production involves the main components of training and learning. 

[사용적합성 영역]에는 훈련된 전문가가 최고 최선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기관이 취하는 이니셔티브가 포함된다. 
The domain of usability involves initiatives taken by the institution to ensure that its trained professionals are put to their highest and best use. 

'사용적합성'이라는 용어가 '이용성utilization' 또는 '유용성usefulness'이라는 용어보다 선호된다. 졸업생들은 실제로 그들이 훈련받은 역량의 스펙트럼을 부분적으로만 적용하더라도, 그들이 어떤 의료 구조에서 고용되는 즉시 이용되고 유용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사용적합성] 개념은 [획득한 역량과 이를 실행할 기회 사이의 일치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적합성 영역은 훈련의 기반이 되는 보건 전문가의 프로필이 미래 작업 환경에서 적절하게 평가되도록 기관이 시작한 프로세스를 반영해야 한다.
The term ‘usability’ is preferred to the terms ‘utilisation’ or ‘usefulness’. Graduates may indeed be utilised and useful as soon as they are employed in any health care structure, even if they only partially apply the spectrum of competencies in which they have been trained. By contrast, the notion of usability refers to the degree of concordance between their acquired competencies and their opportunities to practise them. Therefore, the domain of usability should reflect processes initiated by the institution to ensure that the profile of a health professional on which the training was based is properly valued in the future working environment.

CPU 활동의 피드백 루프가 구축되려면 [지속 가능한 일련의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모든 주요 행위자들이 공통 가치 집합과 그러한 공통 가치를 표현하는 효과적인, 복잡하지만 효과적인 시스템을 공유하지 않는다면 사회적 책임성은 완전히 충족될 수 없다. 
A sustainable series of partnerships is necessary if feedback loops of CPU activities are to be built. Social accountability cannot be entirely fulfilled if all of the main actors do not share a common set of values and an effective, although complex, system through which to express those common values. 

표 1은 더 큰 사회적 관련성을 향한 교육 기관의 방향을 잡기 위해 특정한 규범, 지표 및 기준을 도출할 수 있는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Table 1 presents a general framework from which specific norms, indicators and criteria can be drawn to orient an educational institution towards greater social relevance.

 

 

 

현행 평가 및 인증 시스템 관련
RELATING TO CURRENT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S

 

의료교육연락위원회(LCME)가 북미의 의대를 평가하고 인가하기 위한 표준을 도입한 이후, 이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다양한 국가 이니셔티브를 통해 그리고 최근 세계 의료교육연맹(WFME)이 국제표준을 발행할 때까지, 생산 영역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개념화 및 사용적합성 영역에는 사소한 관심만이 표시되었다(표 2).

Since the introduction of norms for evaluating and accrediting medical schools in North America by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through the different national initiatives inspired by these and until the more recent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by the 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 (WFME), the main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domain of production, and only minor interest shown in the domains of conceptualisation and usability14–16 (Table 2). 

 



1995년 WHO는 사회적 반응적 보건 정책을 옹호하는 역할advocacy role에서 의료 교육의 품질 보증에서 사회적 책임 원칙을 고려할 것을 권고했다. 세계보건기구는 규범에 관한 구체적인 제안을 하지 않았고 또한 국가들로 하여금 개정된 인가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명시적으로 장려하지도 않았다. 17, 18 
In 1995, the WHO, in its advocacy role for socially responsive health policies, recommended that principles of social accountability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quality assurance of medical education. The WHO did not make concrete proposals regarding norms and nor did it explicitly encourage countries to avail themselves of revised accreditation systems.17,18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많은 국가적, 지역적 노력이 진행 중이다. 기관과 국가가 사회에 대한 의무를 최적으로 반영하지 않는 인가 접근방식을 채택하는데 너무 확고하게 관여하기 전에 사회적 책임에 기초한 표준을 수용하는 이니셔티브를 시작할 필요가 절실히 있다.
Many national and regional efforts are underway to establish accreditation systems. There is a pressing need to launch an initiative that embraces standards based on social accountability before institutions and countries become too firmly engaged in adopting accreditation approaches that do not optimally reflect obligations to society.

트렌드와 기회

TRENDS AND OPPORTUNITIES

세계화가 사회적 영향에 대해 재평가됨에 따라, 사회는 이러한 투자가 공공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확실한 증거로 투자를 정당화하려고 할 것이다.
As globalisation is reassessed for its social impact, societies will seek to justify their investments with more solid evidence of the impact of these investments on the public good.

 

윤리적 문제: 원인과 결과
Ethical issues: causes and consequences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노력에서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첫 번째, 해치지 않는 것)은 히포크라테스의 유산보다 더 오래되었다. 사회는 이러한 [주의cautionary 원칙]을 의사와 의사양성 기관에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사회는 행동에 대한 결정과 그 행동들의 장기적인 영향 사이에 관계를 확립할 것을 요구한다. 교육 전략과 인구 건강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쉽게 입증할 수 없지만, 대리지표proxies는 존재한다. 우리는 사회적 책임 기관을 그렇지 않은 기관과 구별할 수 있다.1,3 사회적 책무성을 갖는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의 우선적인 의료 요구에 반응하는 보건 전문가의 교육을 초래한다는 증거도 제공해야 한다. 

The aim to minimise risks (first, do not harm) in human endeavours that affect people’s health is older than the legacy of Hippocrates. Society demands this cautionary principle of its practitioners and, increasingly, of the institutions that produce them. Further, society demands that a relationship be established between decisions for actions and the long-term effects of those actions. Although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strategies and population health is not easily demonstrable, proxies exist. We can differentiate a socially accountable institution from one that is not.1,3 We should also provide evidenc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mes of socially accountable institutions result in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who are responsive to society’s priority health care needs. 

민주주의 문제: 개방성과 투명성
Democratic issues: openness and transparency


전문가들을 위해 남겨두던 지역들이 점점 더 대중들에게 접근하기 쉬워지고 있다. 정보에 대한 폭넓은 접근과 시민들의 보다 중요한 관심은 모든 기관의 관리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 사회적으로 책임이 있는 기관에 대한 명백한 인정은 학생들과 더 넓은 대중 모두를 안심시킬 것이다.
Areas that used to be reserved for experts are increasingly accessible to the public. Wide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more critical attention of citizens lead to questioning of the management of any institution. The explicit recognition of a socially accountable institution will reassure both its students and the wider public.

경제 문제: 결과 및 지원
Economic issues: results and support


투명성이 높아지면 기관 간 비교가 가능해진다. 사회적 책임 원칙에 기초한 인가 규범은 공공 당국, 기금 기관 및 시민 사회가 더 높은 사회적 영향을 위한 능력을 가진 기관들을 더 잘 알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할 것이다.
Greater transparency will induce comparisons among institutions. Accreditation norms based on principles of social accountability will enable public authorities, funding agencies and civil society to more knowledgably support those institutions with the capacity for a higher social impact.

정치적 문제: 시스템 접근 및 시너지 향상
Political issues: system approach and enhanced synergies

 

기관에 대한 좋은 통치는 [사회정치적 환경의 복잡성을 고려]하고, [(유사하거나 보완적인 임무를 가진) 다른 기관과 지속 가능한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점점 더 정의될 것이다. 우리는 정치당국이 우수성을 귀속시키고, [의료시스템의 응집성과 성과를 촉진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내는 데 적성aptitude을 보이는 기관]에 우선적으로 자원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Good governance of institutions will be defined increasingly by these institutions’ capacity to take into account the complexity of the socio-political environment and to take advantage of opportunities to build sustainable partnerships with other institutions with similar or complementary missions. We may anticipate that political authorities will attribute excellence and provide resources preferentially to institutions that show an aptitude to create synergies that induce greater coherence and performance of the health care system. 

 

결론

CONCLUSIONS

 

적절하게 설계되고 의무화된 인증 시스템은 복잡한 시스템의 품질과 변화에 강력한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특히 의료 교육 기관들에 해당된다.

Accreditation systems, properly designed and mandated, can be powerful forces for quality and change in any complex system. This is particularly true of the institutions of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09 Sep;43(9):887-94.

 doi: 10.1111/j.1365-2923.2009.03413.x.

Social accountability and accreditation: a new frontier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Charles BoelenBob Woollard

    • PMID: 19709014

 

Abstract

Context: An association with excellence should be reserved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verify that their actions make a difference to people's well-being. The graduates they produce should not only possess all of the competencies desirable to improve the health of citizens and society, but should also use them in their professional practice. Four principles enuncia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fer to the type of health care to which people have a right, from both an individual and a collective standpoint: quality, equity, relevance and effectiveness. Therefore,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health must guide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Discussion: Social responsibility implies accountability to society for actions intended to serve it. In the health field, social accountability involves a commitment to respond as best as possible to the priority health needs of citizens and society. An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verify its impact on society by following basic principles of quality, equity, relevance and effectiveness, and by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 system development. Its social accountability should be measured in three interdependent domains concerning health personnel: conceptualisation, production and utilisability.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fully assumes the position of a responsible partner in the health care system and is dedicated to the public interest deserves a label of excellence.

Conclusions: As globalisation is reassessed for its social impact, societies will seek to justify their investments with more solid evidence of their impact on the public good. Medical schools should be prepared to be judged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foster the adaptation of accreditation standards and norms that reflect social accountability. Only then can educational institutions be measured and rewarded for their real capacity to meet the pressing health care needs of society.

새로운 의과대학 인증평가 항목 ASK 2019(Med J Chosun Univ, 2019)
최효선, 안영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서론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은 수준 높은 의학교육을 통해 의료 의 질적 향상과 사회가 요구하는 의료인을 양성하는 사회적 책무 가 있다(1). 지난 3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의과대학은 시대가 요구 하는 의료인을 양성하기 위해서 의과대학의 교육환경과 수준을 향 상시키기 위한 자발적 노력을 지속해 왔다. 그 일환으로 1998년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ABMEK; Accreditation Board for Medical Education in Korea)가 발족되었고, 지금까지 대학교육 협의회(대교협)에서 해오던 의학교육평가를 의학계 자체적으로 전문성을 발휘하여 2000년부터 제 1주기 의학교육 평가인증을 시작 하였다(2-4). 사실 대교협의 평가는 평가 당시의 단기적 성과에 중 심을 두고 정량적으로 지표적 평가를 중심으로 하였다. 그런데 의 학교육평가인증의 목적은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 기본의학 교육의 질을 평가하여 의학교육의 질적 향상과 의학교육의 수월성 을 추구하는 것으로(5-7) 정성적으로 교육프로그램 및 앞으로 어 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1주기 평가영역은 6개영역으로 교육목표, 교육과정, 학생, 교수, 시설 설비, 행정 재 정이었으며 18개 필수항목, 46개 권장항목으로 평가하였다. 이후 재단법인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하 의평원)이 설립됨에 따라 의학교육평가인증 체제가 보다 체계화 되었다.

 

각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은 의학교육평가인증을 준비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평가인증을 통해 거듭할수록 대학의 평가 준비하 는 측면에서 재원과 시설의 외적인 요소의 확보에서 발전하여 교육 절차와 교육과정의 내실화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의과대학 평가인증이 교육환경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의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제도라는 인식이 전환되었다(8).

  • 한국의학교육평가원(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MEE)은 국가 적으로도 고등교육기관의 평가인증을 위한 인정기관의 필요성이 인식되었고, 2014년 교육부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인증 인정기 관으로 지정되었다.
  • 2016년에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세계의학 교육연합회(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평가인증기관으로 인정을 받았다.
  • 나아가 평가기준 항목은 세계 의학교육연합회(WFME)의 글로벌 기준(Global Standards)을 기반으로(9) 우리나라 의학교육 상황에 적절히 부합되며, 의학교육 의 수월성과 다양성이 존중되고, 정량적 기준이 아닌 정성적 기준 이 되도록 새롭게 개발되었다. 개정된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을 ASK 2019 (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로 칭하고, 2019년부터 모든 대학에 본격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10). 평가 를 통한 인증 결과는 6년, 4년 또는 2년 인증, 인증유예, 불인증 등 으로 차별화하고 있다.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평가인증 기준항목들은 2주기, Post 2주기를 거치면서 주기별로 평가인증 기본기준 항목을 각 75문항, 97문항으로 꾸준히 개정하여 왔다.

  • 모든 의과대학/의학전문대 학원은 Post 2주기 평가인증 기준 항목으로 평가인증을 받았으며, 평가영역은 대학운영체계, 기본의학교육과정, 학생, 교수, 시설·설 비, 졸업 후 교육의 6개 영역과 97개 기본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1).
  • 2019년부터 모든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은 ‘사명과 성과, 교육과정, 학생평가, 학생, 교수, 교육자원, 교육평가, 대학운영체 계와 행정, 지속적 개선’의 9개 영역, 36개 평가부문, 92개 기본항 목으로 세계의학교육연합회의 세계적 기준으로 구성된 ASK 2019 로 의학교육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런데 ASK 2019부터 새로운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기준항목들이 정량에서 정성으로 바뀜으로 해석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Post 2주기 평가인증 기준항 목을 기본으로 ASK 2019 항목들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 고자 한다.

 

본론

평가영역과 평가항목의 변화

  • 우리나라 평가인증은 1주기에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학생, 교 수, 시설설비, 행정재정의 5개 영영과 필수항목 18개, 권장항목 46개로 평가를 진행했으며, 
  • 2주기에는 필수, 권장 항목이라는 용 어가 기본항목으로 통합되었으며 ‘대학운영체계, 기본의학교육과 정, 학생, 교수, 시설 설비, 졸업 후교육’으로 6개 영역과 75개 기 본항목, 34개 우수항목으로 평가하였다. 
  • Post 2주기에는 대학운영 체계, 기본의학교육과정, 학생, 교수, 시설 설비, 졸업 후교육의 6 개 영역과 97개 기본항목, 44개 우수항목으로 평가하였다. 
  • 그런데 ASK 2019에서는 사명과 성과, 교육과정, 학생평가, 학생, 교수, 교육자원, 교육평가, 대학운영체계와 행정, 지속적 개선 등의 9개 영역과 92개 기본항목, 51개의 우수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Post 2주기의 기본의학교육과정영역이 ASK 2019에서는 교육과정, 학 생평가, 교육자원, 교육평가, 지속적 개선 등의 항목으로 분화되어 독립적인 영역이 되었고 대학운영체계 영역은 사명과 성과, 지속 적 개선을 영역을 포함하게 되었고 졸업 후 교육영역이 사라졌다 (Table 1).

 

 

Post 2주기와 ASK 2019의 평가영역, 평가부문과기준 수 

Post  2주기는  평가영역으로  대학운영체계,  기본의학교육과정, 학생, 교수, 시설 설비, 졸업 후 교육의 6개 영역, 20개 평가부문, 기본항목  97개,  우수항목  44개로  구성되었으나  ASK  2019에서는 평가영역으로 사명과 성과, 교육과정, 학생평가, 학생, 교수, 교 육자원, 교육평가, 대학운영체계와 행정, 지속적 개선 등의 9개 영역, 36개 평가부문, 기본항목 92개, 우수항목 51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항목의  수는  크게  변화가  없으며  평가영역과  평가부문이 좀  더  다양화,  구체화되고  독립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Table 2-1).

 




기본의학교육과정  영역에서  평가부문은 기존내용을 각 전문영역별로 나누어 구체화시켰으며 이해관계자의 참여, 교육적 교류 등 관리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학생영역, 교수영역은 축소화하여 선발 및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시설, 설비 영역은 기존과 비슷하며 졸업 후 교육이 기본의학교육과정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의학교육과정 평가항목에는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Table 2-2)

 



새로운 용어 및 항목 

학생영역에서는 크게 달라진 것은 없으나 학습 부진학생을 관리 및 지도, 학년별 유급율 변동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거나 유급학 생 구제 방안, 조언자 및 조언자 양성 프로그램을 권면하고 있다. 시설설비 영역에서는 전 기준과 특별히 달라진 항목이 보이지 않 으며 졸업 후 교육영역은 내용이 생략 되었다(Table 3).

 



ASK 2019 준비를 위한 제언

첫째, 예산을 미리 확인하여 집행해야 한다. 행정, 교육, 교육운 영, 교수개발, 학생 활동, 시설 등에는 반드시 예산이 필요하며 집 행해야 한다. 특히 교육과정 위원회 예산은 3,000만원 이상, 학생 교육관련 직접비용은 등록금의 5% 이상, 교수활동지원은 개인당 200만원 이상, 도서비는 교수와 학생 1인당 50만원 이상, 질관리 위원회, 발전기금 관리 위원회, 학생 교류활동, 장학금지급 등의 예산을 확보하여 집행해야 하며 반드시 증빙자료를 구비해야 한 다. 정성평가 항목으로 바뀌었음에도 실제 평가에서는 정량적 기 준을 근거로 평가되기 때문에 신경을 써야 하는 내용이다.

둘째,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행정지원으로 직원은 분야별로 5 명 이상 직원, 학생 지원과 관련된 전담직원이 있어야 하고 보직 자도 5개 분야 이상, 기초교수 25명 이상, 임상교수 85명 이상 등 이 있어야 한다. 특히 행정 지원 인력은 각 교실별 1명 이상 있어 야 한다. 갈수록 인증평가와 관련된 업무가 중요함으로 매년 실시 해야 하는 교육과정평가, 의도한 교육성과평가, 졸업성과 평가, 시 설, 복지 만족도 등을 주기적으로 평가해야 하는 전담할 인력, 센 터, 혹은 교육지원실이 필요하며, 재정적 지원과 함께 의학교육학 교실이 일부 내용을 감당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다. 더 나아가 인증평가에 관심을 갖고 실제 다른 의과대학 현장 평가에 참여하는 전임교원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 관련된 교수개발, 직원, 학생교육이 필요하다. 신임교수는 임용 1년 이내 15시간 교육과 관련된 교육을 받아야 하 고, 전임교수는 50% 이상이 연간 3시간 이상 의학교육과 관련된 연수 및 교육을 받아야 한다. 학장, 보직자에게 의과대학 인증평 가 및 의학교육과 관련된 전문적인 시각을 위해 관련교육이 필요 하다. 학생들은 기본 전공과 관련된 교육뿐만 아니라 새롭게 환자, 보호자 안전에 관련된 교육, 감염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교육, 성, 폭력 등과 관련된 교육 등이 필요하고 직원들에게도 새롭게 교육 적 교류, 성, 학교 정책 등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교수개발을 위 한 프로그램개발을 의학교육학교실과 함께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근거 자료를 남겨야 한다. 모든 일에 관련된 규정 및 지침이 있어야 하고 이를 진행함에 있어 지침 에 따른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여기에는 교원뿐만 아니라 직원, 학생, 이해관계자 및 관련자 참여의 공간도 필수적이다. 지리적으로 떨어진 교육병원에 연간 2회 이상의 학장과 보직자 방문실적이 있어야 하고 해당병원 담당자에게도 교육이 필요하다. 학생평가에 있어서도 형성평가를 권장하고 모든 평가에 피드백과 근거자료를 남겨야 한다. 특히 임상 실습평가에 있어서 지식적 항목뿐만 아니라 술기적 항목의 평가와 이에 대한 피드백, 근거자료를 남겨야 한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위원회(질 관리 위원 회 혹은 자체 평가 위원회 등)가 조직되어 이를 학기마다 점검하고 조언 받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과 강의, 평가의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다. 시대에 맞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의학 전공과정이 4년의 틀보다는 4년 6개월, 혹은 5년 교육과정으 로 확대되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수학습법에서 강의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향상 시키는 다양한 강의법이 도입 되어야 한다. 학년별 학생 수준에 따른 교육성과 기준을 개발하여 그에 맞는 다양한 평가법, 특히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술기, 태도 영역 등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도입되어야 한다. 평가영역 을 교수 각 개인의 고유의 영역으로 두면서 무관심하기보다 다양 한 평가를 유도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결론

ASK2019은 내용을 살펴보면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인증 평가 근거나 규정 없이 일회적, 단기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행정, 사명, 교육, 운영, 평가 등 모든 내용에 대한 근거, 관련 규정이 있어야 하며 이에 따른 주기적인 평가와 지속적인 개선을 행정, 교육, 시설에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평가하면 학생들 성적 평가만 생각했는데 앞으로는 성적평가 뿐만 아니 라 사명, 졸업성과, 의도한 교육성과인 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 시설, 복지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확대되었고 그 평가에 대한 원칙 및 관련 규정, 더불어 분석, 개선한 것까지 근거자료를 만들고 평가를 해야 할 상황인 것이다. 대상도 학생을 넘어 전임교원, 직원, 이해 관계자, 관련 전문가, 외부 기관까지도 아우르는 정책 및 운 영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검토하고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며 적극 동참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ASK 2019 in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
Hyoseon Choi, Youngjoon Ahn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wang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Youngjoon Ahn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309 Philmun-daero, Dong-gu, Gwangju 61452, Korea
Tel: +82-62-220-3981 
Fax: +82-62-220-3981
E-mail: yjoon@chosun.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3-2602-8004
Medical schools have a social accountability to educate competent medical traine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ine. Accreditation Board for Medical Education in Korea was established as an accreditation board in 1993. Now,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MEE) was opened and assessed the medical curricula and environments of each medical school which included medical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ssessment, students’ elections, medical facilities and the supporting system. KIMEE will assess each medical school with new items, called ‘ASK 2019’ starting from Year 2019. According to ASK 2019, KIMEE will assess 92 basic items and 51 excellence items which are 9 domains of mission and outcome, educational curriculum, students’ assessment, students, medical professors, educational resources, educational assessmen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continual improvement. We will actively prepare the budget, human resources, new medical curriculum, variou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administration supporting system and medical facilities to pass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Keywords: Accreditation, ASK 2019, Evaluation

 

 

졸업후의학교육의 사회적 요구에 반응하기: 인증의 역할(BMC Med Educ, 2020)

Responsiveness to societal need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role of accreditation
Ingrid Philibert1* and Danielle Blouin2

 

 

 

배경

Background

 

의료 교육 기업은 자신이 생산하는 의료 인력으로 서비스를 받을 시민에게 책임을 집니다 [1]. 적절한 규모의, 숙련된, 분산된 의료 인력이 모든 국가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인력의 구성과 기술은 의학 교육의 대학원 단계에서 상당 부분 결정된다. 30년 전, 세계 의료 교육 연맹(WFME)은 의료 교육의 목표가 모든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의사를 생산하는 것이라고 선언했고, 의료 과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 목표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했다[2]. 199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지역, 지역 및/또는 그들이 봉사하는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 그들의 교육, 연구 및 서비스 활동을 지향할direct 의무"[3]로 정의했다. 의료 교육 및 인증 전문가는 2013년 결과 기반 인증 세계 서밋에서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논의했습니다.각주 1 

The medical education enterprise is accountable to the citizens who will be served by the physician workforce it produces [1]. An appropriately sized, skilled, and distributed physician workforce is critical to the health of any nation. The composition and skill set of this workforce is determined in significant part during the postgraduate phase of medical education. Three decades ago,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declared that the aim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oduce physicians who will promote the health of all people, and noted that this aim was not being met despite progress in medical science [2]. In 199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d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as “the obligation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region, and/or nation they serve” [3]. Medical education and accreditation expert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ocial accountability at the 2013 World Summit on Outcomes-Based Accreditation.

 

정상 회담 참가자는 미국, 캐나다 및 네덜란드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인증 시스템에 초점을 맞춘 광범위한 영역에서 인증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기사에서는 대부분의 국가의 의료 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운영되는 점을 감안할 때 대학원 의학 교육의 더 실행 가능한 용어로 "사회적 대응성social reponsiveness"을 제안한다. 사회적 대응성은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행동 과정의 참여"로 정의되었습니다 [4]. 

Participants at the summit discussed the role of accreditation in a wide range of domains, focusing on the accreditation systems in different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Netherlands. In this article, we propose “social responsiveness” as a more actionable term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given its relatively decentralized operation in most nations’ health care systems. Social responsiveness has been defined as the “engagement in a course of actions responding to social needs” [4].

 

WFME와 WHO의 사회적 책임 정의에는 의료 교육 시스템이 생산하는 의료 인력의 역량에 대한 기대가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정의의 일반적인 특성은 그것들을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과 기관에 대한 실행 가능한 권장사항으로 변환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대응성responsiveness"이라는 용어는 정부, 의료 기관, 교육자, 전문가 및 일반인을 포함한 이해관계자가 의료 우선 순위를 집단적으로 식별해야 한다는 WHO의 기대와 일치한다[3].

Inherent in the WFME and WHO definitions of social accountability are expectations for the competencies of the physician workforce that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produces. Yet the general nature of the definitions makes it challenging to translate them into actionable recommendations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and institutions. The term “responsiveness” is congruent with the WHO expectation that health care priorities should be collectively identified by stakeholders, including governments, health care organizations, educators, professionals, and members of the public [3].

 

주 텍스트

Main text

 

대학원 의료교육의 사회적 대응성
Social responsivenes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의대에 대한 사회적 책임 기대치를 논의한 이전의 논평자들과는 대조적으로, 우리는 의대 이후 의사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PGME 시스템에서 사회적 대응성에 대한 네 가지 우선 순위를 설명한다. 

  • 첫 번째는 의료 인력의 규모, 전문적 혼합 및 지리적 분포가 환자 및 인구 보건 요구를 충족하기에 적절한지 확인하는 것이다[5, 6]. 
  • 두 번째 우선 순위는 전문직 종사자가 [점점 더 다양한 인구에서 보건의 차이[8]와 보건의 사회적 결정요인[9]]을 다루면서 [접근성, 인구 보건 및 자원 관리[7]에 대한 사회적 목표]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세트skill set을 갖추는 것이다. 
  • 세 번째 우선순위는 학습 환경의 다양성과 포괄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의사 노동력에서 인종, 민족 및 기타 소수민족의 표현을 증가시키고 모든 교육생을 위한 포괄적이고 지원적인 환경을 촉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 네 번째 우선순위는 [의사의 전문적 개발을 촉진]하는 동시에 [교육생이 진료를 배우고 참여하는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care]를 제공하는 안전하고 존중하고 지지적인 학습 및 근무 환경을 확보하는 것이다. 

In contrast to earlier commentators who have discussed social accountability expectations for medical schools, we focus on physician education after medical school and describe four priorities for social responsiveness in th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 The first pertains to ensuring that the size, specialty mix,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physician workforce is adequate to meet patient and population health needs [5, 6].
  • The second priority pertains to the skill set necessary to enable the profession to meet societal goals for access, population health, and the stewardship of resources [7] while addressing health disparities [8] and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9] in increasingly diverse populations.
  • The third priority relates to enhancing the diversity and inclusivenes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is includes increasing the representation of racial, ethnic, and other minorities in the physician workforce and promoting an inclusive and supportive environment for all trainees.
  • The fourth priority pertains to ensuring a safe, respectful, and supportive learning and working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hysicians while providing safe and effective care in settings where trainees learn and participate in care.

 

네 가지 우선순위에 대한 세부 사항은 표 1, 2, 3, 4에 나와 있습니다. 세 가지 우선순위는 미래의의사 노동력과 관련이 있으며, 하나는 미래의사 노동력의 전문적인 사회화를 위한 맥락을 제공하는 학습 환경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우선 순위는 Boelen의 사회적 의무 규모를 보완하고 운영화를 촉진합니다 [4].

Detail on the four priorities is shown in Tables 1, 2, 3 and 4. Three of the priorities relate to the future physician workforce, and one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the context for the professional socialization of the future physician workforce. These priorities complement Boelen’s social obligation scale and facilitate its operationalization [4].

 

표 1 우선순위 1: 의료진의 적절한 규모, 전문적 혼합 및 지리적 구성
Table 1 Priority 1: Appropriate size, specialty mix, and geographic composition of the physician workforce

 

 

 

표 2 우선순위 2: 지속 가능한 비용으로 의료 및 인구 보건에 대한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의사 역량
Table 2 Priority 2: Physician competencies for meeting societal goals for health care and population health at a sustainable cost

 

 

표 3 우선순위 3: 의료 인력의 다양성, 학습 및 작업 환경의 다양성 및 포괄성
Table 3 Priority 3: Diversity of physician workforce, and diversity and inclusiveness in the learning and working environment

 

 

표 4 우선순위 4: 의사를 위한 전문적 개발과 안전하고 효과적인 환자 관리를 공동 제작할 수 있는 안전하고 지원적인 학습 환경

Table 4 Priority 4: A safe,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e co-produc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physicians and safe and effective patient care

 

 

사회적 대응 목표 충족을 위한 접근 방식
Approaches to meeting social responsiveness aims

 

표 1, 2, 3, 4에서 우리는 네 가지 우선 순위를 다루기 위해 시스템 수준(정부 실체와 인가자), 기관 및 프로그램 및 개인의 개입을 요약한다. 이는 인증를 많은 영역에서 사회적 책임의 지렛대로 강조한다. 우리는 1995년 WHO 문서에서 논의한 사회적 책무에 대한 네 가지 가치, 즉 

  • (1) 관련성(의료 교육의 목표가 그것이 봉사하는 지역사회의 요구와 목표와 일치하는 정도), 
  • (2) 품질(의학교육이 trainee와 graduate가 practice하는 환경 양쪽에서 모두 양질의 효과적인 케어에 기여하는 정도)
  • (3) 비용 효과(의료 교육이 비용 효율적인 관리에 기여하는 정도), 
  • (4) 형평성(모든 사람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여성과 인종, 민족 및 기타 구성원이 의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3]

In Tables 1, 2, 3 and 4, we summarize interventions at the level of the system (government entities and accreditors), the institution and program, and the individual to address the four priorities. This highlights accreditation as a lever for social accountability in many domains. We relate the social responsiveness priorities we identified to four values for social accountability discussed in a 1995 WHO document:

  • (1) relevance (the degree to which the aims of medical education are congruent with the needs and aims of the communities it serves);
  • (2) quality (the degree to which medical education contributes to high-quality, effective care, both in the settings where trainees participate in care and in graduates’ future practice);
  • (3) cost-effectiveness (the extent to which medical education contributes to cost-effective care); and
  • (4) equity (making health care available to all, and making medical education accessible to women and members of racial, ethnic, and other minorities) [3].

표 1, 2, 3, 4에 나타난 네 가지 사회적 대응성 우선순위는 새로운 것이 아니며, 여기서 요약된 많은 측면은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에 대한 합의 문서와 일치한다[26]. 그러나 사회적 책무의 차원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상당한 합의에도 불구하고,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사회적 대응성을 폭넓게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 의료 인력의 규모와 분배 최적화[27],
  • 1차 진료 및 시골지역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 강화[28],
  • 학습자를 서비스 부족 환자에게 관리를 제공하는 설정에 노출시키는 서비스 학습 프로젝트

...처럼 단일 측면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맞추었다[29]. 대학원 학습 및 작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연습생 근무 시간 제한[30, 31]과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지원적인 학습 환경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12]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The four social responsiveness priorities shown in Tables 1, 2, 3 and 4 are not new, and many of the aspects summarized there are congruent with a consensus document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medical schools [26]. Yet, despite a general appreciation and considerable agreement on dimensions of social accountability, few studies have broadly addressed social responsivenes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ork to date has focused on efforts to address a single aspect, such as

  • optimizing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physician workforce [27],
  • enhanced funding for primary care and rural training programs [28], and
  • service learning projects to expose learners to settings that provide care for underserved patients [29].

Efforts to enhance the postgraduate learning and working environment have focused on trainee work hour limits [30, 31] and interventions to promote a safe, effective,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12].

  • 사회적 책무성 목표를 충족하는 프로그램을 장려하기 위해 [PGME를 위한 기금을 재할당하자]는 제안[32]과 같은 개념적 수준에서 더 광범위한 개입을 위한 제안이 일반적으로 제기되었으며, 일부 논평자들은 기금 할당에 사용할 측정 기준을 권고했다[33].
  • 캐나다에서는, 대학원 의학 교육의 미래를 다룬 한 단체 컨소시엄의 보고서가 의사들이 봉사하는 공공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을 강조했다[34].
  • 학부 의학 교육 수준에서 미국의 "사회적 책무" 지표 제안은 의과대학의 output을 졸업생이 어느 정도 비율로 일차의료나, 의료인 부족 지역에서 근무하는지, URM의 비율이 얼마인지 평가하였다. 의과대학 순위는 의과대학이 이러한 사회적 임무에 기여한 바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35].
  • Suggestions for broader interventions have generally been made at the conceptual level, such as proposals in the United States to reallocate funding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incentivize programs that meet social accountability aims [32], and some commentators have recommended metrics to be used in the allocation of funds [33].
  • In Canada, the report of a consortium of organizations that addressed the future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emphasized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physicians to the public they serve [34].
  • At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level, a US proposal for a “social mission” metric assessed the output of medical schools as the percentage of graduates who practice primary care, work in areas affected by a shortage of health professionals, and are members of under-represented minorities; their ranking showed that medical schools vary substantially in their contribution to these social missions [35].


량 기반 PGME 시스템이 사회적 대응 목표를 충족하려면 인증 기관은 다음을 보장해야 합니다.

  • 학습은 관련 역량을 강조한다
  • 졸업생이 의료 접근, 인구 건강, 환자 진료 경험 향상 및 유한 의료 자원의 책임에 대한 사회적 목표를 충족할 수 있는 속성을 보유한다.

Meeting goals for social responsiveness in a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requires accrediting organizations to ensure

  • that learning emphasizes relevant competencies, and
  • that graduates possess the attributes to meet societal goals for health care access, population health, improved patient experience of care, and stewardship of finite health care resources [8].

 

미국에서는 2019년부터 시행되는 인증기준에 따라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이 "숙의 설계"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지원 기관의 전반적인 임무 내에서, 그들이 복무serve하는 공동체의 요구, 그리고 그들이 양성고자 하는 의사의 능력에 적합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36]. 새로운 표준에는 또한 프로그램 평가 및 개선에서 인력 다양성이 고려될 것이라는 기대도 포함되어 있다[20]. 이와 같은 표준은 의사 교육 시스템이 사회적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원 의학 교육의 능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In the United States, accreditation standards that will become effective in 2019 call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to use a “deliberate design” approach to set aims relevant to the “needs of the communities they serve, within the overall mission of their sponsoring institution, and the capabilities of physicians they intend to graduate” [36]. The new standards also include an expectation that workforce diversity be considered in program evaluation and improvement [20]. Standards like these will increase the ability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influence change that allows the physician education system to better meet societal needs.

 

 

사회적 기대 충족을 위한 과제 극복
Overcoming challenges to meeting societal expectations

 

GME의 사회적 책무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은 시간적 제약, 다른 커리큘럼 구성 요소와의 경쟁, 재정적 제한, 그리고 제도적 저항에 의해 저해될 수 있다. 인가를 통한 사회적 책임의 촉진은 인가된 프로그램과 후원 기관이 운영되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 [복잡한 적응적 시스템]이라는 사실에 민감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감독 기관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상충적 요구]와 [의료 교육계의 다양한 이해 관계와 초점]을 충족시키는 능력을 제한시킨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에서, 책임성, 교육 집중, 신뢰, 역할 모델링 및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상출적 관점이 국가의 대학원 의학 교육 시스템의 미래에 대한 논의에서 나타났다[38].
Strategies to improve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can be impeded by time constraints, competition with other curricular components, financial limitations, and institutional resistance. The promotion of social accountability through accreditation will need to be sensitive to the fact that accredited programs and sponsoring institutions are complex adaptive systems [37]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operate. This constrains their ability to meet the range of potentially competing demands that arise from oversight organizations and the varying interests and foci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For example, in the Netherlands, competing perspectives with regard to accountability, educational focus, trust, role modelling, and work-life balance emerged in discussions about the future of the nation’s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38].


미국과 캐나다와 같은 대부분 시장 기반 시스템에서는 의료 인력의 규모와 혼합을 최적화하려는 노력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과제가 있다(표 1). 인가자는 일반적으로 인가 결정에서 인력진의 적정성 결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가를 [직접 지렛대]로 사용할 수 없다[39]. 또한, 공식 커리큘럼과 학습 경험은 generalist의 실습과 소외된 모집단의 관리를 촉진할 수 있지만, 이러한 모집단의 일반의 실습과 관리를 위한 의사의 공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은 일반의사 전문성 격하를 포함한 의료교육의 "숨겨진 커리큘럼"[40]을 해결해야 한다. 여기에는 매우 필요한 전문 분야에 대한 제너럴리스트 전공분야[41]와 재정적[42] 및 사회적[41] 보상 구조의 격하를 포함한다.
There are additional challenges with regard to efforts to optimize the size and mix of the physician workforce (Table 1) in largely market-based system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to a lesser degree, Canada. Accreditation cannot be used as a direct lever, as accreditors generally are enjoined from using workforce adequacy determinations in accreditation decisions [39]. In addition, while formal curricula and learning experiences can promote generalist practice and care of underserved populations, efforts to increase the supply of physicians for generalist practice and care in these populations need to address the “hidden curriculum” [40]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the disparagement of generalist specialties [41] and the financial [42] and societal [41] reward structure for these highly needed specialties.

세계적으로 의사들을 더 큰 자유, 더 높은 보상, 더 나은 삶의 질을 가진 국가로 이동시키거나 지역 의사들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뇌 유출"에 대한 우려가 있다 [43]. 2011년, WHO는 의사의 해외이주로 인해 질병 부담이 높고 이미 보건 인력의 부족에 직면하고 있는 국가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보건 인력의 국제 채용에 관한 글로벌 실무 강령을 제정했다[14]. 호주와 뉴질랜드의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교육 및 보건 시스템의 요소를 환자 치료 요구에 맞추는 것]이 [의사 "수입" ]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44]. 아랍에미리트에서는 에미리트 국민이 국가와 지역에 봉사할 차세대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이 있습니다 [45].
Globally, there are concerns with the “brain drain” that results from the migration of physicians to nations with greater freedom, higher reimbursement, and better quality of life, or to address local physician shortages [43]. In 2011, the WHO instituted a Global Code of Practice on the International Recruitment of Health Personnel, in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he out-migration of physicians may hurt nations that have a high disease burden and already face shortages in their health workforce [14]. Efforts to address physician shortage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have suggested that aligning elements of education and health systems with patient care needs is more effective than “importing” physicians [44], and in the United Arab Emirates there are efforts to train Emirati nationals to make up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to serve the nation and region [45].


GME의 사회적 요구와 기대치를 해결하는 것은 효과적인 접근 방식과 이해 관계자에 대한 홍보, 성공과 도전 탐색, 채택 또는 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실천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보급을 포함한 추가 작업의 영역이다.

Addressing societal needs and expectation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an area for additional work, including research on effective approaches and outreach to stakeholders, exploring successes and challenges, and gather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on effective practices for adoption or adaptation.

 

결론

Conclusion

 

대학원 의학 교육의 사회적 대응성은 시스템, 기관, 프로그램 및 개인 수준의 다양한 접근방식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인증은 다양한 국가 맥락과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대응성에 걸쳐 효과적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핵심 관측은 역량 기반 대학원 의학 교육 시스템에서 사회적 대응력을 충족하려면 학문이 관련 역량을 강조하고, 졸업생이 원하는 속성을 보유하도록 인가 기관이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대학원 의료교육을 후원하는 기관이 지원적이고 인문학적인 학습과 근무환경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환자진료를 제공하는 역할이 있다.

Societal responsivenes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range of approaches at the system, institution, program, and individual levels. Accreditation has the potential to be effective across different national contexts and across the various dimensions of social responsiveness. A key observation is that meeting social responsiveness in a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requires accrediting organizations to ensure that learning emphasizes relevant competencies, and that graduates possess desired attributes. At the same time, there is a role for institutions that spons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provide safe and effective patient care in a supportive, humanistic learning and working environment.

 

 

 

 

 

 

 


 

BMC Med Educ. 2020 Sep 28;20(Suppl 1):309.

 doi: 10.1186/s12909-020-02125-1.

Responsiveness to societal need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role of accreditation

Ingrid Philibert 1Danielle Blouin 2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rank H. Netter MD School of Medicine at Quinnipiac University, North Haven, CT, USA. ingrid.philibert@quinnipiac.edu.

  • 2Faculty of Health Sciences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and Faculty of Education,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 PMID: 32981520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Social accountability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defined as an obligation to direct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 the most important health concerns of communities, regions, and nations. Drawing from the results of a summit of international experts o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accreditation, we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ocal contexts in meeting societal aims and present different approaches to ensuring societal input into medical education systems around the globe.

Main text: We describe four priorities for social responsiveness that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needs to address in local and regional contexts: (1) optimizing the size, specialty mix,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physician workforce; (2) ensuring graduates' competence in meeting societal goals for health care, population health, and sustainability; (3) promoting a diverse physician workforce and equitable access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4) ensuring a safe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hysicians along with safe and effective patient care in settings where trainees participate in care. We relate these priorities to the values propo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or social accountability: relevance, quality, cost-effectiveness, and equity; discuss accreditation as a lever for change; and describe existing and evolving efforts to mak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ocially responsive.

Conclusion: Achieving social responsiveness in a competency-base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requires accrediting organizations to ensure that learning emphasizes relevant competencies in postgraduate curricula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at graduates possess desired attributes. At the same time, institutions sponsoring graduate medical education need to provide safe and effective patient care, along with a supportive learning and working environment.

Keywords: Accreditation; Diversity; Equity;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ocietal accountability.

의학교육 인증에서 CQI의 평가(BMC Med Educ, 2020)

Evaluation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accreditation for medical education

Nesibe Akdemir1,2*, Linda N. Peterson3, Craig M. Campbell4 and Fedde Scheele1,2,5,6

 

 

배경

Background

 

설계 [1]과 인증 시스템 [2, 3]의 가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의료 교육에서 지속적 질 개선(CQI)의 장점을 성찰한다.
The design [1], as well as the value of accreditation systems [2, 3], are topics that require additional research. In this study we reflect on the virtues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in medical education.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을 보장하고 졸업생이 배출한다는 암묵적인 믿음이 있다 [4,5,6]. 최근 외국 의학 졸업생 교육 위원회의 발표에 의해 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인가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발표문에는 2023년까지 미국 레지던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후보자는 세계의학교육연맹(World Medical Education)의 승인을 받은 단체로부터 적절한 공식화되고 적용된 표준에 의해 인정받은 의대 졸업생이 될 것이라고 명시돼 있다.

There is an implicit belief that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ensures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ese programs provide and the graduates they produce [4,5,6]. The importance of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has been further heightened by a recent announcement by the Educa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 The announcement states that, by the year 2023, the only candidates who can be certified, and therefore considered for residenc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ill be graduates of medical schools that have been accredited by organizations approved by the 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 as working to appropriately formulated and applied standards [7]. 

 

인증가 합의되었다는 존중에도 불구하고, 인증 과정이 실제로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쓰여진 바가 없다. 많은 국가에서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은 전통적으로 일화적episodic 평가에 기초해 왔다[8]. 일반적으로, 에피소드 평가는 현장 방문을 포함하는 인증 기관의 [외부 검토]이며, [지정된 간격으로 반복]된다 [8, 9]. 최근에는 인가의 초점이 일화 평가에서 CQI로 옮겨가고 있다[10,11,12,13]. 서비스나 제품에 대한 품질관리에 대한 접근방법으로 산업계에서 시작된 [14,15,16,17]은 품질지표를 사용하는 조직개선의 끝없는 주기이다[18].

Despite the respect that accreditation is accorded, little has been written about whether the accreditation process actually achieves its intended outcomes. In many jurisdictions,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has traditionally been based on episodic evaluation [8]. In general terms, an episodic evaluation is an external review by an accreditation authority that includes on-site visits and is repeated at specified intervals [8, 9]. More recently, the focus of accreditation has been shifting from episodic evaluation to CQI [10,11,12,13]. CQI, which originated in industry as an approach to quality control for services or products [14,15,16,17], is a never-ending cycle of organizational improvement that uses quality indicators [18].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CQI가 여러 국가에서 도입되었지만 의학 교육에 있어 CQI 시스템의 편익을 위한 문헌의 증거는 불충분하다. 그 결과는 충분한 경험적 증거 없이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관료주의 도구이다. 그런 만큼 의학교육에서 CQI의 장단점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유틸리티 중심 평가[19]에서 우리는 거버넌스 감독에 대한 일련의 품질 기준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단점을 더 잘 조명한다.

As explained before, the evidence in literature for the benefits of a CQI system in medical education is insufficient, although CQI has been introduced in several jurisdictions. The result is a new bureaucratic instrument that is being used without sufficient empirical evidence. As such,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pros and cons of CQI in medical education. In this utility-focused evaluation [19] we use a set of quality criteria for governance oversight to shed more light on these pros and cons.

 

방법

Methods

 

우리는 자연주의적 효용 중심 평가를 수행하기로 결정했다[19]. 
We chose to perform a naturalistic utility-focused evaluation [19]. 


의료 교육 인증 문헌에서 확고한 이론적 배경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의료 교육 분야에서 출발하지 않은 [정부 감독에 대한 일련의 품질 기준]을 사용하기로 선택했다.
We chose to use a set of quality criteria for government oversight that did not originate from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because a firm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accreditation literature for medical education was not available.

우리 저자 팀은 기준에 따라 인증 사례의 설명자와 CQI 평가자의 역할을 모두 맡게 되었다. 저자들은 기준을 사용하여 각 시스템에 대해 토론하고 평가했으며 품질 기준에 대한 패턴을 검색했다. 이러한 토론 중에 각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질문은 해당 시스템을 담당하는 저자에 의해 답변되었습니다. 이 과정은 저자들이 각 기준에 대해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반복되었다.

Our author team was assigned to the roles of both descriptor of the accreditation cases and evaluator of CQI based on the criteria. The authors discussed and evaluated each system using the criteria and searched for patterns with respect to the quality criteria. During these discussions, detailed questions about each system were answered by the author responsible for that system. This process was repeated iteratively until the authors reached consensus for each criterion.

 

 

사례 예: 세 가지 인증 시스템
Case examples: three accreditation systems

 

CQI의 장단점에 대한 논의를 위한 컨텍스트를 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인증 시스템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In the next section, the accreditation systems are briefly introduced to give the reader a context for our discussion about the pros and cons of CQI.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systems may be found on the websites of the accreditation authorities (afmc.ca; cacms-cafmc.ca; lcme.org; www.knmg.nl; www.royalcollege.ca) or obtained from the authors. 

 

미국과 캐나다의 학부 인증 제도
The American and Canadian undergraduate accreditation systems

 

북미에서는 캐나다 의과대학 인증위원회(CACMS)와 미국 및 캐나다의 의과대학 의료교육 연락위원회(LCME) 등 두 기관이 의학 학위 수여 프로그램을 인가한다. CACMS와 LCME는 그들이 인가하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외부 기관이다. 인증 주기는 동료 검토 팀의 현장 방문을 포함한다. 하나의 전체 조사와 다음 조사 사이의 간격은 8년이다. 전체 조사의 내부 검토 과정은 약 2년을 필요로 하며 인적 자원과 재정적 자원의 지출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In North America, two authorities accredit medical degree-granting programs: the Committee on Accreditation of Canadian Medical Schools (CACMS) for medical schools in Canada, and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for med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 CACMS and the LCME are external bodies with respect to the programs they accredit. The accreditation cycle includes an on-site visit by a peer-review team; the interval between one full survey and the next is 8 years. The internal review process for the full survey requires approximately 2 years and involves a major expenditure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2009년, 캐나다 의과대학협회(AFMC)는 주기 동안 표준 준수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CACMS 인증 표준의 중간 지점에서 검토를 포함하는 캐나다 의과대학에 대한 의무 중간 검토 프로세스(IRP)를 승인했다. AFMC IRP는 현재 CACMS와 독립적이며, 프로세스의 효과는 현재 진행 중인 검토의 대상이다. CACMS의 승인을 받은 LCME는 인증 표준 준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CQI 프로세스를 학교에게 요구하는 인증 표준을 도입했다. 이는 2015-16학년도에 시행되었다[5]. CQI에 대한 이러한 필수 요구사항의 유효성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2009, the Association of Faculties of Medicine of Canada (AFMC) approved a mandatory interim review process (IRP) for Canadian medical schools that includes a review of CACMS accreditation standards at the mid-point of the formal accreditation cycle, along with CQI to achieve and maintain compliance with standards throughout the cycle [8]. The AFMC IRP is currently independent of the CACM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is the subject of ongoing review. The LCME, with the endorsement of CACMS, has introduced an accreditation standard requiring schools to have a CQI process to monitor compliance with accreditation standards; this came into effect during the 2015–16 academic year [5].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se mandatory requirements for CQI.

 

 

네덜란드 대학원 인증제도
The Dutch postgraduate accreditation system

 

네덜란드 시스템에서는 레지던시 훈련의 인증을 위한 두 가지 중요한 외부 기관이 있다: 

  • CGS(레지던시 훈련의 인증을 위한 입법 대학)와 
  • RGS(전문 등록 위원회). 

In the Dutch system there are two important external authorities for the accreditation of residency training:

  • the CGS (Legislative College for Accreditation of Residency Training) and
  • the RGS (Specialist Registration Committee). 

이들은 네덜란드 왕립 의학 협회(KNMG)의 단체들이다. CGS는 인가를 위한 규정(훈련 요건)을 설정하는 책임을 지는 반면, RGS의 역할은 이러한 규정 준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교육병원 각 전공과에 RGS가 의뢰한 조사팀이 5년마다 방문한다. 교습병원의 레지던시 교육과 관련하여 특별히 의무적인 내부 품질 관리 시스템은 없지만, 내부 품질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도구와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어떤 형태의 CQI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ese are bodies of the 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 (KNMG). The CGS is responsible for setting regulations (training requirements) for accreditation, while the RGS’s role is to monitor compliance with these regulations. The medical specialties in teaching hospitals are visited every 5 years by a survey team commissioned by the RGS. There are no specific mandatory internal quality management systems regarding residency training in teaching hospitals; however, sufficient instruments and systems are made available to conduct internal quality control. Th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to perform some form of CQI.

 

캐나다의 지속적인 전문 개발 인증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ccreditation in Canada

 

CPD(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인증 시스템에는 공급자 기반 인증과 활동 기반 인증의 두 가지 기본 유형이 있습니다. 

There are two basic types of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ccreditation systems: provider-based accreditation and activity-based accreditation. 

 

  • 활동 기반 CPD 인증 시스템에서 제공자(의사)는 자신이 개발한 활동이 확립된 행정, 교육 및 윤리 표준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대한 증거를 인가 기관에 제출한다. 인증 기관이 표준이 충족되었다는 데 동의하는 경우, 활동은 승인된다. 활동 기반 인증은 예를 들어 캐나다의 가정의학과 대학(College of Family Physicians)에 의해 사용됩니다. 

In activity-based CPD accreditation systems, providers submit evidence to the accreditation organization about whether or not an activity they have developed complies with established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ethical standards. If the accreditation authority agrees that the standards have been met, the activity is approved. Activity-based accreditation is used, for example, by the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 공급자 기반 CPD 인증 시스템은 [일련의 표준을 준수함을 입증하는 능력에 기초하여] 조직을 지속적인 교육의 기관 제공자로 인정한다. 인가 과정에는 종종 동료-검토 팀이 CPD 조직의 리더십, 행정 직원 및 참가자와 특정 표준을 논의할 기회를 갖는 현장 방문이 포함된다. 조직이 승인되면 인증 주기 동안 개발하는 모든 활동은 자동으로 신용 승인을 받습니다.

Provider-based CPD accreditation systems recognize organizations as institutional providers of continuing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ir ability to demonstrate adherence to a set of standards. The accreditation process frequently includes an on-site visit in which a peer-review team has the opportunity to discuss specific standards with, among others, the CPD organization’s leadership, administrative staff, and participants. Once an organization is approved, all activities it develops during its accreditation cycle are automatically approved for credit. 

 

공급자 기반 인증 시스템은 캐나다 왕립 의사 및 외과 대학(RCPSC)이 국가 전문 학회를 포함한 국가 및 지방 CPD 조직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반면, CACME(Continuous Medical Education, CACME)는 지속적인 의료 교육의 대학 사무소에 초점을 맞춘다. (CME) 의학의 능력에 있어서. 이 두 제공자 인가 시스템은 연속적인 인가가 표현되고 촉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A provider-based accreditation system is used b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RCPSC) to focus on national and provincial CPD organizations, including national specialty societies, while the Committee on Accreditation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ACME) focuses on the university offices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in the faculties of medicine. These two provider accreditation systems will be used to illustrate the process by which continuous accreditation is expressed and promoted.

 

 

감독 기준
Criteria for oversight

 

인증은 실제로 감독 수단이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가 관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에서 정부 및 인증 프로세스의 감독 기능은 품질 개선을 달성하는 데 있어 유사한 어려움[20, 21]과 씨름할 수 있다. 네덜란드 정부정책과학협의회(WR)는 7가지 기준을 사회적 대응 감시를 위한 기준으로 식별했다 [22](표 1) 이들의 일반적인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우리는 미국과 캐나다의 대학 의학 교육, 네덜란드의 대학원 의학 교육, 캐나다의 CPD에서 CQI의 장단점을 평가하기 위해 이러한 기준을 사용했다.
Accreditation is actually a method of oversight. Oversight functions of government and accreditation processes in medicine may struggle with similar difficulties in achieving quality improvement [20, 21], even though different stakeholders are involved. The Netherlands Scientific Council for Government Policy (WRR) identified seven criteria as the basis for societally responsive oversight [22] (Table 1). Given their general applicability, we used these criteria to evaluate the pros and cons of CQI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and CPD in Canada.

 

Table 1 Summary of the seven criteria and associated tasks

 

결과

Results

 

결과는 표 2에 요약되어 있으며, 기관 차원에서 CQI의 장단점에 대한 저자의 평가를 반영하고 있다.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2 and reflect the authors’ evaluation of the pros and cons of CQI at the institutional level.

 

Table 2 CQI at the institutional level

 

고찰

Discussion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학교육의 인증를 위한 통합 시스템이 [외부 당국]과 공익에 봉사하기 위한 시기적절한 성찰과 조치를 지원하는 [로컬 CQI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외부 당국은 로컬 질관리 시스템이 있다면 더 적은 capacity만을 필요로 할 수도 있습니다. CQI의 단점은

  • 관련된 관료주의와 비용,
  • 다른 품질 시스템에 대한 간섭의 위험,
  • 열린 문화의 필요성,
  • 관련된 동료의 공평성과 의존성과 관련된 잠재적인 문제이다.

Our findings show that an integrated system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may consist of external authorities and the local CQI system supporting timely reflection and action to serve the public interest. External authorities might even need less capacity due to local quality systems. The downside of CQI is

  • the bureaucracy and costs involved,
  • the risk of interference with other quality systems,
  • the need for an open culture, and
  • potential issues with impartiality and dependency of colleagues involved.

 

우리의 발견은 부분적으로 다른 문헌과 상충된다. 1980년대 이후 CQI는 제조업과 공학, 금융업, 교육,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CQI를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예: 계획-도-체크-액터 또는 계획-도-스터디-액트 주기, 제조 및 기타 분야의 식스 시그마 표준, "총 품질 관리")이 사용되었다 [23]. 이들 모두는 "개선 주기cycle of improvement"라는 개념을 공유하고 있다. 제조업에서, CQI는 결함을 줄이고, 비용을 낮추고,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유용했습니다 [24, 25]. 건설업에서 그것은 경제적 이익, 고객 만족도 증가, 재작업 필요성 감소, 주택 사업의 결함 감소로 이어졌다 [26, 27]. 또한, CQI는 표준화 및 반복 프로세스에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23].

Our findings partially conflict with other literature. Since the 1980s CQI has been used in manufacturing and engineering, the financial sector, education, and health care.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to pursue CQI (e.g., the plan-do-check-act or plan-do-study-act cycle, the Six Sigma standard in manufacturing and other fields, “total quality management”) [23]. All of these share the concept of a “cycle of improvem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CQI has been useful in reducing defects, lowering costs, and increasing quality and productivity [24, 25].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has led to economic benefits, increased customer satisfaction, a reduced need to re-do work, and declining defects in housing projects [26, 27]. Further, CQI is readily applicable to standardized and repetitive processes [23].

수술 치료에서 그것은 감염률을 감소시키고 수술실의 지연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23]. 이러한 긍정적인 문헌 보고서를 우리의 맥락에서 CQI의 평가와 비교하는 것은 긍정적인 결과의 출판 편향을 시사한다. 의료 및 의학교육에서 경제적 효과와 기타 결과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28,29,30]. 우리의 맥락에서 비용 대비 편익 비율이 항상 긍정적이지는 않을 수 있다. 계획-실행-연구-행위 사이클의 모든 구성 요소를 검토하는 데 어려움이 앞에서 설명되었습니다 [30, 31, 32]. CQI에 관련된 관료주의와 비용, 다른 품질 시스템과의 간섭 위험, 개방적 문화의 필요성, 관련된 동료의 공평성과 의존성과 관련된 잠재적인 문제가 중요한 발견이다. 분석에 사용된 감독 기준은 이러한 문제를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In surgical care it has resulted in reduced infection rates and shorter delays in the operating room [23]. Comparing these positive literature reports with the evaluation of CQI in our contexts suggests a publication bias of positive results. It is difficult to measure economic effects and other outcome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28,29,30]. The cost–benefit ratio in our contexts may not always be positive. The difficulty in going through all the components of the plan-do-study-act cycle has been described before [30,31,32]. The bureaucracy and costs involved in CQI, the risk of interference with other quality systems, the need for an open culture, and potential issues with impartiality and dependency of colleagues involved are important findings. The criteria for oversight used in our analysis were instrumental to the detection of these issues.

 

결론

Conclusion

 

우리는 CQI 사용에 대한 의사 결정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유틸리티 기반 평가를 수행했다. 결과는 찬성도 있고 반대도 있다. 

We performed a utility-based evaluation in the hope of reducing complexity in decision making about the use of CQI. The result is one of both pros and cons. 

 

 

 

 


BMC Med Educ. 2020 Sep 28;20(Suppl 1):308.

 doi: 10.1186/s12909-020-02124-2.

Evaluation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accreditation for medical education

Nesibe Akdemir 1 2Linda N Peterson 3Craig M Campbell 4Fedde Scheele 5 6 7 8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OLVG Teaching Hospital, Amsterdam, the Netherlands. n.c.akdemir@gmail.com.

  • 2Amsterdam UMC, Amsterdam, the Netherlands. n.c.akdemir@gmail.com.

  • 3Committee on Accreditation of Canadian Medical Schools, Ottawa, Canada.

  • 4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 5OLVG Teaching Hospital, Amsterdam, the Netherlands.

  • 6Amsterdam UMC, Amsterdam, the Netherlands.

  • 7Athena Institute for Transdisciplinary Research, Amsterdam, the Netherlands.

  • 8Dutch Royal Medical Council, Chair Legislative College for Accreditation of Residency Training 2016-2019, Utrecht, the Netherlands.

    • PMID: 32981518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Accreditation systems are based on a number of principles and purposes that vary across jurisdictions. Decision making about accreditation governance suffers from a paucity of evidence. This paper evaluates the pros and cons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accredited based on episodic evaluation by external reviewers.

Methods: A naturalistic utility-focused evaluation was performed. Seven criteria, each relevant to government oversight, were used to evaluate the pros and cons of the use of CQI in three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systems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all involved in the governance of accreditation, iteratively discussed CQI in their medical education contexts in light of the seven criteria until consensus was reached about general patterns.

Results: Because institutional CQI makes use of early warning systems, it may enhance the reflective function of accreditation. In the three medical accreditation systems examined, external accreditors lacked the ability to respond quickly to local events or societal developments. There is a potential role for CQI in safeguarding the public interest. Moreover, the central governance structure of accreditation may benefit from decentralized CQI. However, CQI has weaknesses with respect to impartiality, independence, and public accountability, as well as with the ability to balance expectations with capacity.

Conclusion: CQI, as evaluated with the seven criteria of oversight, has pros and cons. Its use still depends on the balance between the expected positive effects-especially increased reflection and faster response to important issues-versus the potential impediments. A toxic culture that affects impartiality and independence, as well as the need to invest in bureaucratic systems may make in impractical for some institutions to undertake CQI.

Keywords: Accountability; Accreditation;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ternal review; Medical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졸업후의학교육에서 효과적인 평가인증: 과정에서 성과로, 그리고 뒤로 (BMC Med Educ, 2020)

Effective accreditation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from process to outcomes and back
Glen Bandiera1*, Jason Frank2, Fedde Scheele3,4,5, Jolanta Karpinski2 and Ingrid Philibert6

 

 

 

 

배경

Background

 

의사 교육 프로그램의 인증은 [의료 커뮤니티와 대중]에게 [교육의 질과 의료 실천과의 관련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인증은 또한 의료 교육, 의사 관행 및 의료 시스템의 변화를 자극하는 수단이다[1]. 의사 교육에 대한 인증 표준의 수립은 환자 치료와 인구 건강을 개선하고, [2] 진료 비용을 절감하며, 학습자의 기대치를 충족하고, [3] 의료 교육의 형평성에 대한 우려에 대응해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었다[4, 5].

The accreditation of physician education programs is meant to assure the medical community and the public of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its relevance to medical practice. Accreditation is also a means of stimul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physician practice, and health care systems [1]. The formulation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physician education has been driven by the need toimprove patient care and population health, reduce the cost of care [2], address learner expectations [3], and respond to concerns about equity in medical education [4, 5]. 

 

인증 과정의 일부로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즉,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졸업 후 의사의 전문적 실습과 관련된 결과를 사용한다[6, 7]. 졸업생들의 역량과 관련된 교육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는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ollecting and using outcomes data as part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that is, using outcomes related to physicians’ professional practice after graduation as a metric fo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6, 7]. Frameworks for assessing educational outcomes related to the competencies of graduates include

  • the CanMeds 2015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 (Royal College of Physician and Surgeons of Canada) [8];
  • the Milestones Project (US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9];
  • Tomorrow’s Doctor (UK General Medical Council) [10], and
  • the Scottish Doctor (Scottish Deans’ Medical Education Group) [11].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에 걸쳐 있으며 다양한 국가의 의료 시스템 요구에 맞춰 조정되지만, 모두 [high-performing 의사의 특성을 식별]하는 데 관심을 공유합니다 [12, 13]. 동시에, 의사 교육 프로그램의 인가를 임상 결과와 연결하는 데 관심이 있으므로, [인증이 의료행위practice에 더 잘 준비된 의사를 생산함으로써 환자와 보건 시스템에 도움이 된다는 (소수의) 기존 증거]를 기반으로 한다[12,13,14].

Although these frameworks spa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are tailored to the needs of health care systems in various countries, all share an interest in identifying the attributes of high-performing physicians [12, 13]. Concurrently, there is an interest in linking the accreditation of physician education programs to clinical outcomes, thus building on the limited existing evidence that accreditation benefits patients and health systems by producing physicians who are better prepared for practice [12,13,14]. 

 

이는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으로의 이동을 둘러싼 몇 가지 의구심에 비추어 볼 때 중요한 목표이다. CBME가 의사 진료의 모든 차원을 포착하지 못할 수 있는 환원주의적 프레임워크를 고수한다는 오해가 있다 [3]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이 모든 학습자가 실습을 위해 준비되도록 하기보다는 가속 학습accelerating learning에 대한 선점을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15].

This is an important objective in light of some misgivings that have surrounded the movement towar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 which include the perception that CBME adheres to a reductionist framework that may not capture all dimensions of physician practice [3] and concerns that competency-based approaches may encourage a preoccupation with accelerating learning rather than ensuring that all learners are prepared for practice [15].

2013년 가을 캐나다 왕립의과대학은 국제 레지던시 교육회의와 연계하여 열린 정상회담에서 인증 전문가 및 교육자로 구성된 국제 그룹을 소집하여 대학원 프로그램 인증의 미래를 논의하였다. 작업 그룹은 상주 프로그램의 인증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데 책임이 있다. 본 논문은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인증과 관련하여 교육 과정과 결과를 다루는 실무 그룹의 심의를 제시한다. 이 그룹은 세 가지 질문을 고려했다. 

  • (1) 인증의 성과란 무엇인가? 
  • (2) 인증에서 프로세스와 성과 척도 각각의 역할은 무엇인가?
  • (3) PGME 프로그램 인증은 어떤 성과 척도를 사용할 수 있는가?

In the fall of 2013,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convened an international group of accreditation experts and educators at a summit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sidency Education to discuss the future of postgraduate program accreditation. Working groups were charged with carrying out in-depth analyses of topics relevant to the accreditation of residency programs. This paper presents the deliberations of a working group that addressed educational process and outcomes in relation to the accreditation of residency programs. The group considered three questions:

  • (1) What are accreditation outcomes?
  • (2) What are the respective roles of process and outcome measures in accreditation?
  • (3) What outcome measures can be used in the accreditation of postgraduate physician education programs?

 

 

메인 텍스트

Main text

 

자격 영역 및 인증의 교육 및 임상 결과
Competence domains and educational and clinical outcomes in accreditation

 

1998년 Donabedian은 "의료 품질에 대한 추론을 도출할 수 있는 정보를 '구조', '과정', '결과'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는 진료품질 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17]. 마찬가지로, 의료 교육의 인증 기준은 오랫동안

  • 구조 요구사항(예: 교수진, 임상 공간 및 기술과 관련된)과
  • 프로세스 요구사항(예: 절차적 볼륨, 길이 및 임상 및 교육 경험 유형과 관련된)을 통합했다[1]. 

In 1998 Donabedian proposed a model for th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care in which “the information from which inferences can be drawn about the quality of care can be classified under three categories: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s’” [17]. Similarly, accreditation criteria in medical education have long incorporated

  • structural requirements (e.g., as related to faculty, clinical space, and technology) and
  • process requirements (e.g., pertaining to procedural volume and length and type of clinical and didactic experiences) [1].

그러나 CBME로의 전환과 함께 의료 프로그램 인증의 품질 척도로서의 진료 성과practice outcome에 대한 강조가 최근에서야 나타났다. CBME는 의사 교육 프로그램의 졸업생들의 지식, 기술 및 속성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영역에서 학습자 개발에 대한 책임을 강화한다[1, 7, 13]. 이는 학습자와 미래의 인가된 프로그램 졸업자가 봉사할 사람을 포함하여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을 증가시킨다 [1, 13]. 역량 기반 프레임워크는 표 1에 제시된 비교 요약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별로 유사하다.

However, an emphasis on practice outcomes as a quality measure in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programs has emerged only recently, in tandem with the shift toward CBME. CBME focuses on the knowledge, skills, and attributes of graduates of physician education programs and enhances accountability for learner development in these domains [1, 7, 13]. This increases accountability to stakeholders, including learners and those who will be served by the future graduates of accredited programs [1, 13]. Competency-based frameworks are similar across nations, as shown by the comparative summaries given in Table 1.

 

표 1 네 가지 국가 프레임워크의 결과 중심 인증 차원
Table 1 Outcomes-focused accreditation dimensions in four national frameworks

 

학습, 환자 치료 및 의료 시스템 결과
Learning, patient care, and health systems outcomes

 

성과outcome는

  • 학습 성과,
  • 환자 및 인구 건강 성과,
  • 보건 시스템 성과...로 분류될 수 있다.

Outcomes can be categorized as

  • learning outcomes;
  • patient and population health outcomes; and
  • health system outcomes.

우리의 실무 그룹은 즉각적 학습 성과로 다음을 고려했다.

  • 트레이닝 기간 내의 내 필기 시험
  • 객관화 구조화 임상 시험[18],
  • 졸업률
  • 졸업생들이 치르는 표준화된 인증 시험
  • 실무에서 졸업생과 이들을 고용하는 기관에 대한 설문 조사,

Our working group considered immediate learning outcomes, including

  • performance on in-training written examinations,
  •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18],
  • graduation rates, and
  • standardized certification examinations taken by graduates,
  • along with surveys of graduates in practice and of the institutions that employ them.

현재로서는, 인증certification 시험에 대한 성과 이외에, 인증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교육 결과의 사용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 연습 패턴 및 환자 결과와 관련된 가용 데이터 부족,
  • 교육 프로그래밍으로 추적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조치에 대한 합의 부족
  • 이러한 활동을 엄격하게 추구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기관을 금지하는 자원 제약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많은 역사적 과제는 본 논문의 뒷부분에서 논의된 데이터 책임의 즉각적인 진화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At present, other than performance on certification examinations, the use of educational outcomes to assess the impact of accreditation is largely non-existent. This may be due to

  • the lack of availability of data related to practice patterns and patient outcomes,
  • lack of consensus on meaningful measures that can be traced to educational programming, or
  • resource constraints that prohibit programs and institutions for pursuing such activities with rigour.

Many of these historic challenges may be mitigated by imminent evolutions in data stewardship discussed later in this paper. 

 

포커스 그룹 참가자들은 또한 [환자와 의료 시스템의 수준에서 성과]를 식별했다. 또한, 관련 결과는 그들이 고려 중인 인구와 사회문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느꼈다. 표 2는 경제 개발 상태와 관련된 샘플 이분법적 척도에 걸쳐 표 1에 요약된 의사의 역량 기대치에 매핑될 수 있는 지표의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네 가지 프레임워크 모두에서 참조되며, 우수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환자 만족도 및 치료법 준수 강화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19]. 우리는 집합적으로 표 2에 나열된 결과 측정치를 프로그램 효과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표는 개발도상국의 PGME와 관련된 측정기준을 넘어 선진국의 [만성 및 생활습관 관련 조건에 더 큰 중점]을 두는 방식으로 의료 교육 시스템의 성과를 평가하는 성과는 두 경제 유형 간에 상대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The focus group participants also identified outcomes at level of the patient and the health care system. Furthermore, it was felt that relevant outcomes may vary depending on the population and sociocultural milieu for which they are contemplated. Table 2 shows a framework of metrics that can be mapped to the competency expectations for physicians outlined in Table 1, across a sample dichotomous scale related to state of economic development. For example, communication skills are referenced in all four frameworks,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have been associated with positive outcomes such as patient satisfaction and increased adherence to therapy [19]. We propose that, collectively, the outcome measures listed in Table 2 could be used as indicators of program effectiveness. The table shows that, beyond metrics that relate to the emerging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enterprise in developing economies, and a greater focus on chronic and lifestyle-related conditions in developed economies, outcome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medical education systems vary relatively little between the two types of economies.

 

표 2 환자 진료 및 보건 시스템 결과에 기초한 인증을 위한 샘플 작업 프레임워크

Table 2 A sample working framework for accreditation based on patient care and health system outcomes

 

실무에서 교육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교육 결과와 환자 결과 간에 많은 연결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 한 연구에서는 면허 시험의 의사소통 점수가 낮으면 규제 당국에 대한 환자 불만 발생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한 반면 [20]
  • 다른 연구에서는 면허 검사 점수 상승과 상담 속도 증가, 더 나은 처방 방법, 더 높은 유방 촬영 검사 스크리닝 비율, 노인 환자들에게 더 적절한 처방 사이의 연관성이 발견하였고, 이러한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했다 [21, 22].
  • 산부인과 환자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레지던시 프로그램에서의 임상 치료의 질과 졸업생들이 10년 반 동안 실천에 옮기는 치료의 질 사이의 지속적인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23].
  • 보건 시스템 수준에서 연구는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특성과 졸업생들의 보수적 실천 능력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24].
  • 다른 연구는 특정 지역의 레지던시 프로그램과 관련된 비용-보수적 실천 스타일이 교육 후 15년 동안 지속된다는 것을 발견했다[25].

Research on the impact of education on outcomes in practice has made a number of links between educational outcomes and patient outcomes. For example,

  • one study found that poor communication scores in licensure examination was predictive of a greater frequency of patient complaints to regulatory authorities [20],
  • while other studies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higher licensing examination scores and higher rates of consultation, better prescribing practices, higher mammography screening rates, and more appropriate prescribing for elderly patients, and also demonstrated the persistence of these effects [21, 22].
  • A large study of obstetrical patients showed an enduring association between the quality of clinical care in the residency program and the quality of care graduates deliver for a decade and a half into practice [23].
  • At the health system level, studies have shown an associ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cy programs and graduates’ ability to practice conservatively [24];
  • another study found that a cost-conservative style of practice associated with residency programs in certain regions persisted 15 years after training [25].

교육 프로그램의 잠재적인 성과 중 하나는 임상 실습 "발자국footprint"에 의해 결정되는 [졸업생들의 사회적 영향]이다. 전문성, 장소 및 실습 범위에 대한 논의에서,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이 통제가능한 성과에만 책임을 지고 평가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토론은 [보수, 의료자원 할당, 인센티브 패키지, 전문직 및 라이프스타일 고려사항 등] 다양한 요인들이 졸업생의 전공과 의료행위지역practice location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요인은 지역, 지역 또는 국가의 의료 요구에 가장 적합한 의사를 생산하는 개별 프로그램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로 인해

  • [개별 프로그램 수준]에서 의사 인력진 고려사항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적절한지, 또는
  • [기관이나 단체]가 이 책임을 지역적 또는 국가적 차원에서 갖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봐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One potential outcome of educational programs is the societal impact of the graduates, as determined by their clinical practice “footprint.” In the discussion of specialty, and location and scope of practice, participants agreed that programs should be held accountable for, and assessed against, only those outcomes within their control. The discussion emphasized that various factors influence graduates’ choice of specialty and practice location, including remuneration, health care resource allocation, incentive packages, and professional and lifestyle considerations. These factors may affect the ability of individual programs to produce physicians who represent the best fit for the health care needs of their area, region, or country. This raises the question as to

  •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place responsibility for physician workforce considerations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program, or
  • whether this responsibility should more appropriately be assumed by institutions or entities at the regional or national level.

참가자들은 최소한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은 건강 인적 자원 계획과 학습자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의무와 기회에 대해 교육하는 적극적인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증 기관은 이러한 사회적 의무를 다루기 위한 프로그램 시도의 설계와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

Participants emphasized that, at a minimum, postgraduat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active partners in health human resource planning and in educating learners about their obligations and opportunities to fulfill societal responsibilities. Accreditation bodies should assess the design and impact of programs’ attempts to address these societal obligations.

 

데이터 수집 및 사용 시 당면 과제
Challenges in data collection and use

 

앞의 절에서 인용한 연구는 전공의가 훈련하는 환경에서 가르치는 질과 환자 관리의 질이 향후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성과 척도로서 실무에서의 성과는 미래의 인가 시스템[26]의 핵심 혁신으로 제안되었지만, 현재까지 어떤 인증 프레임워크도 의료행위practice의 성과를 평가 프로세스에 통합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 (1) 데이터 수집 및 측정 과제, 
  • (2) 과거 교육은 고사하고 특정 개별 실무에 결과를 귀속시키는 고유의 어려움, 
  • (3) 교육 완료와 인가자에 대한 많은 관심 결과 사이의 시간차를 포함한다.

Collectively, the studies cited in the previous section show that the quality of teaching and patient care in settings where residents train has an impact on their future practice. Performance in practice as an outcome measure has been proposed as a key innovation in the accreditation systems of the future [26], but to date no accreditation frameworks have been able to incorporate practice outcomes into their assessment process. The reasons for this include

  • (1)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challenges;
  • (2) the inherent difficulty of attributing outcomes to specific individual practice let alone to their past education; and
  • (3) the time lag between the completion of training and many outcomes of interest to accreditors.

 

  • 첫 번째 과제는 데이터 수집에 대한 부담과 비용에 관한 것으로, 임상 환경이 실제로 졸업생들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에 대해 저울질해야 한다. 즉, 상관 관계나 수정 가능성이 낮다면 데이터 수집 비용을 들일 가치가 있는가? 종종 관심 결과에 대한 실현 가능하고 의미 있는 측정치를 식별하기가 어렵다. 기존 연구는 인증 기관과 면허 기관 사이의 동종 환자 모집단, 국가 청구 데이터 및 데이터 링크를 사용했지만, 모든 관련 환자 그룹 또는 모든 국가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 소유 및 사용에 대한 질문이 있으며, 이 영역에서는 개인 정보 보호 문제와 기타 법적 고려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The first challenge pertains to the burden and cost of data collection, which must be weighed against the strength of the impact of the clinical environment on graduates’ performance in practice. That is to say, is it worth the cost of data collection if the degree of correlation or potential for modification are poor? It is often difficult to identify feasible, meaningful measures for outcomes of interest. The existing studies used homogeneous patient populations, national billing data, and data links between certification and licensure authorities, but these do not exist for all relevant patient groups, or in all countries. In addition, there are questions about data ownership and use, and this area will require work to address privacy concerns and other legal considerations.

 

  • 두 번째 과제는 교육 결과를 관심의 단위인 프로그램에 공평하고 공정하게 귀속시키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교육적 성취와 실제 수행은 교육의 특성뿐만 아니라 개인의 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고도로 선정된 학습자 그룹은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나 인증에 관계없이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으며, 졸업자가 서비스하는 초급성 환자 그룹은 교육 또는 인증 시스템의 효과와 관계없이 더 안 좋은 성과가 발생할 수 있다.

The second challenge relates to the ability to unequivocally and fairly attribute educational outcomes to the unit of interest: the program. Educational attainment and performance in practice are influenced by individual abilities as well a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 highly selected group of learners may perform well regardless of the effectiveness of their education program or its accreditation, while a high-acuity group of patients served by graduates may experience poorer outcomes regardles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or accreditation system. 

 

  • 세 번째 과제는 많은 성과가 코호트가 훈련을 완료한 후 한참 후에야 명백해진다는 것이다.시간 지연을 고려할 때, 프로그램이 의미 있는 변경을 하기에는 피드백이 너무 늦을 수 있다. 이러한 지연은 결과 조치에 의해 프로세스 조치가 일괄적으로 대체될 경우 훈련생들로 하여금 수준 미달의 교육에 대한 위험에 처하게 할 수 있다.

The third challenge is that many outcomes do not become apparent until long after a cohort completes training; given this time lag, feedback may come too late for programs to make meaningful changes. This delay could put trainees at risk for substandard education if process measures were replaced en bloc by outcome measures.

 

결과 및 프로세스 측정의 각 역할
The respective roles of outcome and process measures

 

우리의 논의에서 나온 하나의 주제는 교육 과정과 성과 사이의 관계에 관한 것이었다.

  • 일부 참가자는 프로세스 요건 준수에 대한 강조를 줄이면 인증 프로세스가 교육 프로그램에 부과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기술 혁신을 위한 더 큰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교육 성과에 초점을 두는 것]을 옹호했다[1].
  • 그러나 대다수의 참가자는 명시적인 준수 의무가 없더라도 실무에서 이러한 요인들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한 여러 연구를 고려할 때, 프로그램은 [작업 및 학습 환경의 특성과 교육 방법을 포함한] [프로세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20, 21, 22, 23,].24,25].

One theme that emerged from our discussions pertain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rocesses and outcomes.

  • Some participants advocated a focus on educational outcomes, noting that reducing the emphasis on adherence to process requirements would reduce the burden that the accreditation process places on educational programs and would also allow them greater freedom to innovate [1].
  • However,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noted that, even in the absence of explicit compliance mandates, programs need to be attentive to process, including educational methods and attributes of the working and learning environment, given the multiple studies that have demonstrated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performance in practice [20,21,22,23,24,25].

 

이들 참가자는 인가자가 결과에 대한 배타적 집중이 전공의 교육의 모범 사례를 과소평가할 수 있다고 느꼈으며, [교육, 환자 치료 및 학습 환경 관점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프로세스 차원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확인했다. 그들은 또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입이 커리큘럼, 학습 경험, 평가, 안전하고 지지적이며 존중하는 학습 환경 보장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 차원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말하자면, 성과의 대리지표surrogate가 될 수 있는 일부 프로세스 요소는 프로그램 성공을 위한 보다 직접적인 척도로 대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례 수 및 작업 시간 등 오래되고 문제가 있는 지표는 객관적인 역량 평가를 대신 도입하여 폐기할 수 있다.

These participants felt that an exclusive focus on outcomes by accreditors could undervalue best practices in resident education, and affirmed their interest in retaining process dimensions that have been shown to be important from an educational, patient care, and learning-environment perspective. They also noted that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will occur in various process dimensions, such as curricula, learning experiences, assessment, and ensuring a safe, supportive, and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 That being said, some process elements that serve as surrogates for outcomes could be replaced by more direct measures of program success. Similarly, antiquated and problematic indicators such as case counts and time on task can be retired in lieu of objective competency assessments.

 

권고안

Recommendations

 

  • 역량평가가 훈련과 실무 모두에서 대학원 의학 교육의 질 평가에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 동시에, 참가자들은 성과를 측정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개선을 촉진하기 위한 시기적절하고 실행 가능한 피드백을 생성하는 것이 본질적으로 어려운 일임을 인정했다.
  • 그들은 또한 프로세스 척도가 고품질의 교육과 인증에 여전히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논의 결과, 인증에 프로세스와 결과 측정치를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권고안을 책임 있는 실체에 의해 조직되었다.

 

  • There was a consensus that the assessment of competency, both in training and in practice, provides useful data for the quality assessment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 At the same time, participants appreciated the inherent challenges in measuring outcomes and using this information to generate timely, actionable feedback to foster improvement.
  • They also agreed that process measures remain critical to high-quality education and accreditation.

The discussion resulted in a set of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process and outcome measures in accreditation, organized by responsible entity.

 

 

PGME를 위한 권고
Recommendations for postgraduate education programs

 

  • 권고안 1: 프로그램 수준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졸업 의사가 완전히 "실습 준비"되었는지, 즉 자신이 선택한 분야의 전체 실습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 권고안 2: 모든 전공의와 전임의 포트폴리오에는 경력 계획 요소가 있어야 하며, 이는 마지막 교육 기간이 잔여 격차를 해소하고 연습 준비에 대한 자신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 권고안  3: 자기성찰, 지도·멘토 지원, 프로그램 실장 검토를 통해 교육생은 주기적으로 강점이 있는 분야와 추가 개발이 필요한 분야를 파악해야 한다.
  • 권고안 4: 프로그램은 각 졸업생이 전문직 간 팀에서 효과적으로 일하는 데 필요한 특성과 행동을 표시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평가를 위한 데이터는 동료, 교수 및 간호사, 약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로부터 제공되어야 한다.
  • 권고안 5: 프로그램은 학습 또는 전문적 문제challenge를 가진 전공의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효과적인 교정조치 및 개발 전략에 대해 보고해야 한다.
  • 권고안 6: 프로그램은 졸업생들의 피드백과 같은 일부 결과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며, 이 정보를 사용하여 교육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혁신해야 한다.

 

  • Recommendation 1: Data collected at the program level should assess whether a graduating physician is fully “practice ready,” that is, competent in the full spectrum of practice in his or her chosen field.

  • Recommendation 2: All residents and fellow portfolios should have a career planning component, to help ensure that their final period of training addresses residual gaps and to enhance their own understanding of their readiness for practice.

  • Recommendation 3: Through self-reflection, preceptor and mentor support, and program director review, trainees should periodically identify areas of strength and areas in need of further development.

  • Recommendation 4: Programs should ensure that each graduate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urs necessary to work effectively in interprofessional teams. Data to inform assessment should come from peers, faculty, and health professionals such as nurses, pharmacists, and others.

  • Recommendation 5: Programs should report on their efforts to address residents with learning or professional challenges, and on remediat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they have found effective.

  • Recommendation 6: Programs should collect some outcomes data, such as feedback from graduates, and use this information to improve and innovate educational processes.

인증 조직 수준의 권장 사항
Recommendations at the accrediting organization level

 

  • 권고안 7: 인증 기관은 진행 중인 개선 활동에서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의미 있고, "실시간에 근접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결과 데이터를 식별해야 한다.
  • 권고안 8: 인증 기관은 학습 환경 문제에 대한 감독에 특화된 프로세스 지표를 식별하거나 개발해야 한다.
  • 권고안 9: 인증 기관은 프로그램 및 교육 품질 개선을 촉진하고, 인증에 가치를 창출하며,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프로세스 결과와 환자 관리 결과 모두에 관련된 적절한 표준을 개발 및 배치해야 한다.
  • Recommendation 7: Accrediting organizations should identify outcome data that offer meaningful, “near-real-time” feedback for use by programs in ongoing improvement activities.

  • Recommendation 8: Accrediting organizations should identify or develop process indicators that specifically allow oversight of learning environment issues.

  • Recommendation 9: Accrediting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nd deploy an appropriate mix of standards pertaining to both process outcomes and patient care outcomes, to promote program and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create value in accreditation, and meet societal needs.

결론

Conclusion

 

인증 기관들은 지속적인 교육 품질 개선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고 있으며, 실행 결과 조치의 사용을 중요한 진전이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의료 교육에 포함시키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개선으로 귀결될 것이다. 인가에서 성과의 사용은 발전이 유망한 분야이지만, 데이터 수집, 통합 및 해석의 과제를 제시하며, 더욱이 프로세스와 결과 측정치는 계속해서 집합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이 국제적인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그룹은 국가 보건 인력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서 인가를 통해 과제를 강조하고, 프로세스와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이중 집중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인가자는 이러한 속성을 의미 있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Accrediting bodies are beginning to focus on continuous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and view the use of practice outcome measures as an important step forward. These approaches may take time to embed themselves in medical education, yet will result in improvements that otherwise may not be feasible. The use of outcomes in accreditation is a promising development, but it also presents challenges in data collection, aggregation, and interpretation; moreover, process and outcome measures will continue to be used collectively. This international group of experts and stakeholders highlights challenges with accreditation as a means for national health workforce planning, and identified the need for a continued dual focus on process and outcomes. Accreditors will need to design a system that uses these attributes in a meaningful, effective, and efficient way.


멀지 않은 미래에 임상 결과, 치료 경험 및 보건 시스템 성능을 포착하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는 프로그램 품질의 다차원을 평가하고 유능한 의사를 양성하기 위한 사회적 계약이 유지되고 있음을 대중들에게 보증하기 위한 풍부한 정보의 별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매력적인 특징은 모범적인 프로그램을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이러한 예에서는 우수한 결과에 기여하는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출 것이 확실합니다.

In the not-to-distant future, large datasets that capture clinical outcomes, experience of care, and health system performance may provide a rich constellation of information to assess multiple dimensions of program quality and assure the public that the social contract to train competent physicians is being upheld. An attractive feature is the potential to identify exemplary programs. For such exemplars, the focus will assuredly be on the processes that contribute to their superior outcomes.

 

 

 

 

 

 

 


BMC Med Educ. 2020 Sep 28;20(Suppl 1):307.

 doi: 10.1186/s12909-020-02123-3.

Effective accreditation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from process to outcomes and back

Glen Bandiera 1Jason Frank 2Fedde Scheele 3 4 5Jolanta Karpinski 2Ingrid Philibert 6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BandieraG@smh.ca.

  • 2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 3OLVG Teaching Hospital, Amsterdam, The Netherlands.

  • 4VU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The Netherlands.

  • 5Athena Institute for Transdisciplinary Research, Amsterdam, The Netherlands.

  • 6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rank H. Netter MD School of Medicine at Quinnipiac University, North Haven, CT, USA.

    • PMID: 32981523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The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al programs is thought to be important in supporting program improvement, ensuring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and promoting diversity, equity, and population health.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accreditation systems will need to shift their focus from processes to outcome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the end goals of medical education: the creation of broadly competent, confident professionals and the improvement of health for individuals and populations. An international group of experts in accreditation convened in 2013 to discuss this shift.

Main text: Participants unequivocally supported the inclusion of more outcomes-based criteria i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pecifically those related to the societal accountability of the institutions in which the education occurs. Meaningful and feasible outcome metrics, however, are hard to identify. They are regionally variable, often temporally remote from the educational program, difficult to measure, and susceptible to confounding factors. The group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health outcomes of the clinical milieu in which education takes place in influencing outcomes of its graduates. The ability to link clinical data with individual practice over time is becoming feasible with large repositories of assessment data linked to patient outcomes. This was seen as a key opportunity to provide more continuous oversight and monitoring of program impact. The discussants identified several risks that might arise should outcomes measures completely replace process issues. Some outcomes can be measured only by proxy process elements, and some learner experience issues may best be measured by such process elements: in brief, the "how" still matters.

Conclusions: Accrediting bodies are beginning to view the use of practice outcome measures as an important step toward better continuous educational quality improvement. The use of outcomes will present challenges in data collection, aggregation, and interpretation. Large datasets that capture clinical outcomes, experience of care, and health system performance may enable the assessment of multiple dimensions of program quality, assure the public that the social contract is being upheld, and allow identification of exemplary programs such that all may improve. There remains a need to retain some focus on proces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the learner experience.

Keywords: Accreditation; Clinical outcomes; Competency frameworks; Outcome measures; Process measures; Societal accountability.

 

의학교육 평가인증 시스템 설계에서 "목적적합적" 프레임워크 (BMC Med Educ, 2020)

A “fit for purpose”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design
Sarah Taber1*, Nesibe Akdemir2,3, Lisa Gorman1, Marta van Zanten4 and Jason R. Frank1

 

 

 

 

 

배경

Background

 

인증은 의료 교육에서 품질 보증(QA)과 품질 개선(QI)의 강력한 레버입니다. 프로그램이 학습자를 해당 표준에 따라 가르치고 평가하며 최적의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도전적이고 빠르게 진화하는 의료 시스템에서 실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전문가를 배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의료 교육 시스템의 핵심 기능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의료 교육 인가 시스템은 유사한 프로세스 요소뿐만 아니라 유사한 표준 영역을 적용하고 관할권, 상황 또는 훈련 단계에 관계없이 유사한 도전과 토론에 직면한다. 
Accreditation is a powerful lever of quality assurance (QA) and quality improvement (QI) in medical education. It is a key feature of many medical education systems, helping to ensure that programs teach and assess learners according to applicable standards, provide 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and produce professionals who are competent to practise in challenging and rapidly evolving health care systems. In addition, most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apply similar standards domains as well as similar process elements and face similar challenges and debates, regardless of jurisdiction, context, or stage of training. 

이들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설계 및 구현 수준에서 인증 시스템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013년 결과 기반 인증에 관한 세계 정상회의의 토론 그룹은 보건 전문가 교육 인증 시스템의 모범 사례를 조사했으며 인증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의 효과를 검토하는 문헌이 부족함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 격차는 인증 시스템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내재된 어려움과 함께 문헌에서 강조되었다 [2, 3].
Despite their similarities, there can be substantial variation among accreditation systems at the level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A discussion group at the 2013 World Summit on Outcomes-Based Accreditation examined best practice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and identified that the literatur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approaches to accreditation systems is scant. This research gap, together with inherent difficulties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ccreditation systems, has itself been highlighted in the literature [2, 3].

지역 인가 시스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토론 그룹의 구성원들은 또한 국가, 교육 유형 및 훈련 단계에 걸쳐 인가 시스템에 존재하는 상당한 차이가 종종 식별 가능한 근거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세계 의료 교육 연맹(WFME) 의료 학교 인증 기관의 인정 기준[4, 5]과 아크데미르와 동료가 기술한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6]와 같은 일부 인가 설계를 위한 프레임워크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기존 프레임워크는 종종 의료 교육 연속체의 한 단계로 한정된다. 이 특수성은 의료 교육 연속체의 다른 단계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건강 전문 교육으로 일반화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Akdemir 및 동료[6]가 개발한 것과 같은 일부 프레임워크는 상세한 요구사항 및 설계 특성보다는 인증 시스템의 목적과 기타 매크로 레벨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Drawing on their own experience with local accreditation systems, the members of the discussion group also noted that the substantial variation that exists in accreditation systems across jurisdictions, type of education, and stage of training often has little or no identifiable rationale. Although some frameworks for accreditation design do exist, such as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Recognition Criteria for Agencies Accrediting Medical Schools [4, 5] and the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described by Akdemir and colleagues [6], these frameworks are often specific to one phase of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This specificity may limit generalizability to other types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s well as other stages of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In addition, some frameworks, such as that developed by Akdemir and colleagues [6], focus on the purpos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other macro-leve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detailed requirements and design characteristics. 

본 논문은 설계 옵션 및 이의 맥락적 의미를 명확히 하는 의료 교육 인가 운영 설계의 프레임워크를 정의하려고 시도한다.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인증 시스템 개발에서 "one size fits all" 접근법을 지지하기보다는, 단일 모범 사례 집합은 없으며, 오히려 [설계 결정]의 집합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결정은 신중하게 숙고한 인증 시스템이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교육 단계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관할권의 요구, 자원 및 상황적 고려사항과 적절하게 일치함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프레임워크는 로컬 컨텍스트에 "가장 적합한best fit" 시스템을 설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a framework for the operational design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that articulates design options as well as their contextual implications. Rather than espousing a “one size fits all” approach, our framework assumes that there is no single set of best practices in accreditation system development but, rather, an underlying set of design decisions. These decisions, when deliberated carefully, can ensure that an accreditation system is appropriately matched to the needs, resources, and contextual considerations of the local jurisdiction it serves as well as to the stage of education delivered by the program. Thus, our framework provides a means of designing systems that are a “best fit” for their local context.

 

주 텍스트

Main text

 

인증 시스템 설계를 위한 "목적 적합" 프레임워크
A “fit for purpose” framework for accreditation system design

 

"목적에 맞는" 접근 방식은 시스템, 정책 또는 프로그램이 현지 요구와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운영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접근법은 분권decentralization을 지지하는 교육 및 국제 개발을 위한 신흥 모델과 일치한다. 특히, 지역적이고 고유한 맥락[7]에 맞춘 접근법의 실험과 분석을 실제로 제한할 수 있는 단일 접근법 또는 모범 사례를 정의하려고 시도하기보다는, 목적 적합성에 대한 집중을 통해 다양한 인증 시스템이 "최적으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에 맞게 조정"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8]. 
A “fit for purpose” approach aims to ensure that a system, policy, or program is designed and operationalized in a manner best suited to local needs and contexts. This approach is aligned with emerging models for educ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that espouse decentralization. Specifically, rather than attempting to define a single approach or best practice, which may actually limit experimentation with and analysis of approaches tailored to a local, unique context [7], a focus on fitness for purpose or best fit can help ensure that different accreditation systems are “optimally adapted to [their]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 [8]. 

월드 서밋에서 그룹 토론을 하는 동안, 참가자들은 각 인증 요소에 대한 관행과 접근 방식의 변화를 강조하면서 현지 맥락에서 인증 프로세스와 그들의 경험을 공유했다. 각 인가 시스템 요소에 대해, 최적의 결정은 물론 실용적 결정은 (인증 시스템의 역할 또는 목적, 지역 규제 상황 및 가용 자원과 같은) [지역적 요인에 의존할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 다른 모델과 변형에 대한 함의를 고려한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관할 구역 내에서 의료 교육을 위한 새로운 또는 수정된 인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설계 결정을 안내하는 유연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를 바란다.

During the group discussion at the World Summit, participants shared their experiences with accreditation processes in their local contexts, highlighting variations in practices and approaches for each accreditation element. For each accreditation system element, the discussion then considers implications for different models and variations, acknowledging that what might be optimal, or even practical, will depend on local factors such as the role or purpos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the local regulatory context, and available resources.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provide those who wish to develop a new or revised accreditation system for medical education within their jurisdiction with a flexible framework to guide their design decisions.

 

Table 1 A “fit for purpose”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design

 

 

인증 시스템 설계 요소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 design

 

표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분류 체계와 서로 다른 인증 시스템에 걸친 변화를 사용하여, 이제 인증 시스템 설계의 다양한 요소의 실제적 의미를 탐구할 것이다.
Using the taxonomy as well the variations across different accreditation systems detailed in Table 1, we will now explor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 design.

 

인증 시스템의 의무화
Accreditation system mandate

 

의학교육 인증 시스템의 의무화 여부다음에 따라 결정된다. 

  • 조사 대상examine 교육의 유형 또는 단계,
  • 인증 기관 자체의 역할뿐만 아니라 교육 시스템에서의 역할,
  • QA 또는 QI에 대한 인증 시스템의 초점
  • 인증 시스템의 범위

The mandate of a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s determined by

  • the type or stage of education it examines;
  • its role in the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role of the accrediting body itself;
  • the focu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n QA or QI; and
  • the scop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이 변수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QA 또는 QI(또는 둘의 조합)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의 초점은 인증 시스템이 다루는 특정 유형의 교육 또는 단계 또는 시스템 전체에서의 인증 프로세스의 역할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 따라서, 학부 의학 교육을 위한 인증 시스템은 대학원 프로그램보다 더 체계적이거나 처방적prescriptive일 수 있다.
  • 마찬가지로, 대학원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은 전문적 개발을 계속하는 시스템보다 더 체계적이거나 규범적일 수 있다.
  • 더 주니어 학습자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춘 시스템은 더 상위 학습자, 특히 이미 감독되지 않은 학습자보다 더 많은 제한, 표준화 및 학습자 보호를 요구할 수 있다.

 

These variables are interconnected. For example, the focus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on QA or QI (or a combination of both) may be driven by the particular type or phase of education that the accreditation system addresses, or by the role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in the system as a whole. Thus, accreditation system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might be more structured or prescriptive than those for postgraduate programs; likewise, systems for postgraduate programs may be more structured or prescriptive than those for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focused on training programs for more junior learners may require more restrictions, standardization, and protections for learners than those for more senior learners, particularly those already in unsupervised practice.


또한, 인가가 학습자의 인증과 인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예: 인가된 프로그램의 졸업생만 인증 또는 면허를 받을 수 있거나 마찬가지로 인가된 과정만 인증 유지에 반영될 수 있는 경우), 인가는 종종 시스템의 의무적이거나 입법화된 요건이다. 반대로, 졸업생에 대한 자격증이나 면허 취득에 대한 함의가 없는 상황에서 인가는 선택적일 가능성이 더 높다.
Further, when accreditation has implications for the certification and licensure of learners (e.g., when only graduates of accredited programs can be certified or licensed, or similarly, only accredited courses can be counted towar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accreditation is often a mandatory or legislated requirement of the system. Conversely, accreditation is more likely to be optional in contexts where there is no implication for certification or licensure for graduates.

마지막으로, 인증이 선택적인 경우에는 QI에 초점을 맞춘 보다 aspirational한 접근 방식과 더 잘 어울릴 수 있는 반면, 인증이 의무인 경우에는 최소한의 표준과 QA에 더 큰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국가 또는 지역 규제에 초점을 맞춘 시스템은 QA 접근방식을 강조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으며, 이는 QA 또는 열망 철학에 더 잘 적합할 수 있다.

Finally, contexts in which accreditation is optional might be better aligned with a more aspirational approach focused on QI, whereas mandatory accreditation might be associated with a greater focus on minimum standards and QA. Likewise, systems that are focused on national or local regulation may be more likely to emphasize a QA approach, in contrast with systems that are international in nature, which may be better suited to a greater emphasis on QI or an aspirational philosophy.

 

인증 표준
Accreditation standards

 

표준 분류법
Standards taxonomies

 

표준은 그들이 포함하는 기준의 유형과 그들의 기대치가 설정된 수준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변화는 인가 시스템(예: QA 또는 QI)의 초점과 인가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맥락(예: 개발 중이거나 잘 확립되어 있음)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

Standards differ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criteria they include, as well as the level at which their expectations are set. These variations may be driven by the focu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e.g., QA or QI) and the context of the education programs being accredited (e.g., under development or well established). 

 

  • 예를 들어, 기본 또는 최소 표준과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춘 요구사항은 기본 인증 시스템, 즉 QA 또는 최소 표준에 초점을 맞춘 것뿐만 아니라 품질에 대한 초기 벤치마크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과 가장 잘 일치할 수 있다. 또한 [훈련 프로그램의 표준화]가 인증 시스템의 목표이거나, 지역적 맥락 또는 제공되는 교육 단계에 중요한 경우, [구조와 프로세스 척도를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하는 표준]이 가장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간 훈련의 상호성이 매우 중요한 시스템에서 인증 표준의 구조 및 프로세스 조치는 프로그램 간의 표준화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For instance, requirements that focus on basic or minimum standards and processes may be best aligned with foundational accreditation systems, that is, those aimed at establishing an initial benchmark of quality, as well as with those focused on QA or minimum standards. In addition, standards that feature structure and process measures most prominently may be most essential when the standardization of training programs is the goal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r is important for the local context or the stage of education provided. For example, in systems where reciprocity of training between jurisdictions is highly important, structure and process measures in accreditation standards will help ensure standardization between programs.

  • 반대로, 성과와 더불어 [본질적으로 열망적인aspirational 결과를 강조하는 표준]은 QI에 초점을 맞춘 표준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구조 및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유연성을 허용하는 인가 시스템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점점 더 많은 인증 시스템이 표준에서 구조, 프로세스 및 결과 측정의 균형을 찾고 있습니다 [9].

Conversely, standards that emphasize outcomes, as well as those that are aspirational in nature, may be better suited to accreditation systems that permit flexibility with respect to program structures and processes, as well as those focused on QI. Increasingly, many accreditation systems are seeking a balance of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measures in their standards [9].

  • [국제적으로 확립된 표준 프레임워크]는 국제 벤치마킹이나 비교에 초점을 맞춘 인가 시스템에 가장 적합할 수 있지만, 국가 전체의 시스템의 이질성과 표준의 특수성에 따라, [국소적 타당성 또는 적용성이 결여]될 수 있다.
  • 반대로, [국지적으로 개발된 표준]은 특히 그러한 맥락에서 상당한 변화가 품질 표준의 높은 수준의 특수성을 필요로 할 때 국지적 맥락과 요건과의 더 나은 조정을 보장할 수 있다. 
  • 반면에 [상황별 표준]은 다른 시스템과의 비교가능성의 이점이 없을 수 있다.

 

  • Internationally established standards frameworks may be best suited to accreditation systems with a focus on international benchmarking or comparison, but, depending on the heterogeneity of systems across jurisdictions and the specificity of the standards, they may lack local face validity or applicability.
  • Conversely, locally developed standards can ensure better alignment with local contexts and requirements, particularly when substantial variation in those contexts necessitates a high degree of specificity in quality standards.
  • On the other hand, context-specific standards may lack the benefit of comparability with other systems.

 

기준 개발 또는 갱신 프로세스
Process of standards development or renewal

 

[인증 기준의 개발 및 갱신]을 위한 프로세스는 특히 표준 개발에 사용되는 내용, 검토 및 갱신 프로세스, 표준 평가 및 갱신 주기와 관련하여 상당한 변화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 많은 인증 시스템은 합의 기반 접근방식뿐만 아니라 지역 전문가의 투입input에 기반하여 표준 개발 또는 갱신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표준에 대해 평가되는 프로그램의 측면에서 더 나은 타당성과 수용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반대로, 연구 증거에 기초한 표준 개발은 다른 시스템이나 부문으로부터 기술혁신을 식별하고 통합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 많은 인증 시스템은 기술혁신 영역을 통합하는 동시에 지역적 맥락에서 수용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면서 혼합된 접근법에 의존한다.

Processes for the development and renewal of accreditation standards show substantial variation,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content used for standards development, the process of review and renewal, and the cycle of standards evaluation and renewal. For example,

  • many accreditation systems base their standards development or renewal on input from local experts as well as on consensus-based approaches, and this can help to ensure better face validity and acceptance on the part of the programs being evaluated against the standards.
  • Conversely, standards development based on research evidence can have the benefit of identifying and incorporating innovations from other systems or sectors.
  • Many accreditation systems rely on a mix of approaches, incorporating areas of innovation while still taking steps to ensure acceptance in the local context.


또한 표준 평가 및 갱신 주기는 [표준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과 로컬 시스템이라는 컨텍스트에서 실용적인 것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적절하게, 이러한 주기는 또한 지역 환경에서 의료 교육 시스템이 얼마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한 커리큘럼 변경 기간 동안 더 빈번한 평가 및 갱신 주기가 필요할 수 있다.

Cycles of standards evaluation and renewal may also depend on the resources available for standards development, and on what is practical in the local system or context. Appropriately, these cycles may also be driven by how fast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s changing in the local environment; for example, more frequent cycles of evaluation and renewal may be needed during periods of significant curricular change.

 

 

인증 신청
Application for accreditation

 

신청 과정
Application process

 

신청 프로세스는 모든 인가 시스템에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일부 또는 모든 프로그램, 제공자 또는 기관이 신규 인증 또는 최초 인증 달성을 위한 프로세스를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볼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기관이 시작한 신청 프로세스에는 표준에 대한 외부 평가, 인가 보고서 및 인가 결정과 같은 정기적인 인가 주기의 전형적 측면이나 구성요소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수정되고 확립된 프로그램이나 제공자를 위한 인가 시스템의 정기적인 인가 과정과는 별개이다.

An application process is not universal to all accreditation systems; however, it is typically seen in systems where some or all programs, providers, or institutions require a process for achieving new or first-time accreditation. An application process initiated by a program or institution often involves aspects or components typical of regular accreditation cycles, such as external assessment against standards, an accreditation report, and an accreditation decision; however, these processes are typically modified and separate from the accreditation system’s regular accreditation process for established programs or providers.

신규 인증의 경우, 인가를 받기 전에 학습자 입력input이 필수적이라고 간주되는 경우, 신청 프로세스 또는 초기 인가를 첫 번째 학습자가 프로그램을 시작하거나 완료한 후까지 연기할 수 있다. 또한 두 부분으로 구성된 프로세스를 고려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단계에서, 인증은 프로그램 시작 전에 제출된 문서 및 기타 정보에 기초하여 조건부로("새로운" 또는 "임시" 인가) 부여된다. 
  • 학습자가 프로그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완료한 후 두 번째 애플리케이션 사이클이 뒤따릅니다.

For new accreditation, where learner input is deemed essential before accreditation can be granted, the application process or initial accreditation may be deferred until after the first learners have entered or completed the program. It may also be advantageous to consider a two-part process:

  • in the first stage, accreditation is granted contingently (“new” or “provisional” accreditation) on the basis of documentation and other information submitted before the program starts;
  • this would be followed by a second application cycle after learners have completed all or part of the program.

 

 

  • 인증받을 의료 교육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신설되거나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경우, [사전 인가 "준비성" 평가, 현장 또는 전화 기반 검토 또는 더 짧은 후속 조치 사이클과 같은 프로세스]가 프로그램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이점은 널리 다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시스템이나 국제 범위를 가진 인가 시스템처럼 표준 준수와 인가에 대한 준비가 매우 다양한 시스템에서 특히 명확할 수 있다.

In cases wher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or program being accredited is new or not yet established, processes such as a pre-accreditation “readiness” assessment, an on-site or telephone-based review, or a shorter cycle of follow-up may provide better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being accredited. The benefit of such processes may be especially clear in systems that contain widely differing programs, or where readiness for accreditation and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varies widely, such as in accreditation systems with an international scope.

  • 반대로, 인가되는 의료 교육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잘 확립되어 있거나 상황에 따라 덜 변하거나 적용 가능한 표준의 준수와 관련하여 덜 변한 경우, 종이 기반 검토와 초기 적용을 위한 더 긴 후속 조치 주기를 고려할 수 있다.

Conversely, wher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or program being accredited is well established or is less varied with respect to contexts or compliance with applicable standards, it may be possible to consider a paper-based review and a longer cycle of follow-up for the initial application.

 

 

신규 인증에 대한 요구사항 또는 벤치마크
Requirements or benchmarks for new accreditation

 

신규 또는 최초 인증 신청서의 경우, 인가서가 교부되기 위해서는 해당 표준의 필수 또는 예상 준수를 확립해야 한다.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신규 인증에 대해서) 인증 시스템은 사전 설정된 threshold나 benchmark가 다르다. 일부는 기존 프로그램과 동일한 수준의 적합성을 요구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최초 인가를 달성하기 위해 더 낮거나 더 높은 임계치를 허용한다. 일부 시스템은 코칭과 같은 전용 지원을 프로세스에 포함시켜 프로그램이 최초 인증을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For new or first-time accreditation applications, the required or expected compliance with applicable standards must be established for accreditation to be granted. As shown in Table 1, accreditation systems differ in their pre-established thresholds or benchmarks; some require the same level of compliance as for pre-existing programs, while others allow for either a lower or higher threshold to achieve first-time accreditation. Some systems embed dedicated supports, such as coaching, into the process to help programs achieve first-time accreditation.

  • 시스템 설계 관점에서, 인증을 받을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신규이거나 아직 확립되지 않은 경우, 성공적인 application을 목적으로 한 낮은 임계값이 정당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낮은 임계값과 코칭 및 교육 서비스의 가용성은 QA(Quality)에 초점을 맞춘 인증 시스템과 가장 잘 일치할 수 있습니다.

From a system design perspective, where the system or program seeking accreditation is new or not yet established, a lower threshold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may be justified. Likewise, a lower threshold for new applications as well as the availability of coaching and education services may be best aligned with accreditation systems focused on QI (vs. QA).

 

  • 반대로, (학습 환경에 관한 것 또는 환자 안전을 위한 졸업 인증에 관한 것)처럼, 새로운 인증을 부여하는 것과 더 큰 위험이 수반되는 경우, 동등하거나 더 높은 임계값을 보장해야할 수 있다. 이 접근 방식은 QA 또는 최소 품질 표준의 설정에 초점을 맞춘 인증 시스템과 더 잘 어울립니다.

Conversely, where greater risks are associated with granting new accreditation, whether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r the implications of graduate certification for patient safety, an equal or higher threshold to achieve new accreditation may be warranted. This approach is more aligned with accreditation systems focused on QA or the establishment of a minimum standard of quality.

 

 

 

자율학습(자체평가, 자기평가)
Self-study (self-assessment, self-evaluation)

 

자율학습 요구사항
Self-study requirement

 

인증 시스템에 따라 [공식적인 자체 (평가)연구 구성요소] 포함여부에 대해서 차이가 있다. 자율학습 과정은 성찰의 틀 제공, 프로그램의 인증기준에 대한 지식 구축, 준수성 자체 평가 및 개선 기회 고려를 위한 회의 및 토론을 통한 팀 구축과 관련하여 유익하다.
Accreditation systems differ with respect to their inclusion of a formal self-study component. The process of self-study is beneficial with respect to providing a framework for reflection, building a program’s knowledge of accreditation standards, and team building through meetings and discussions to self-evaluate compliance and consider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의학교육에서 대부분의 인증 프로세스에는 자율 학습 구성 요소가 포함되며, 이는 QA(대 QA)에 특히 초점을 맞춘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자율 학습 과정이 필요한지 또는 선택적인지는 의료 교육 시스템의 성숙도 또는 인가되는 프로그램, 지역적 맥락, 그리고 QI 문화가 잘 확립되어 있는지와 같은 요인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선택적인 자율 학습 프로세스의 경우, 프로그램 자체의 QI 프로세스의 마커로 그 사용을 평가할 수 있다.

Most accreditation processes for medical education include a self-study component, and this may be of particular importance in systems with a particular focus on QI (vs. QA). Whether the self-study process is required or optional may depend on factors, such as the maturity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or the programs being accredited; local context; and whether a QI culture is well established. In the case of an optional self-study process, its use may be evaluated as a marker of the program’s own QI processes.

 

 

자율 학습 프로세스 및 요구 사항
Self-study process and requirements

 

자율 학습 프로세스는 인증 시스템마다 상당히 다르다. 자율 학습 설계에 대한 고려사항에는 자율 학습의 초점, 도구 및 더 큰 인가 프로세스에 자체 학습이 적용되는 방법이 포함된다.
Self-study processes differ considerably among accreditation systems; considerations for self-study design include the focus of the self-study, the tools, and how the self-study is applied in the larger accreditation process.

자율 학습 프로세스의 설계는 주로 인증 시스템의 전체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QI를 강조하거나 추진하는 시스템자율 학습 프로세스의 구현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체 평가, 활동의 결과 및 결과 모니터링, 개선을 위한 자체 식별 영역을 다루기 위한 실행 계획을 필요로 하는 필수 표준을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 반대로 QA가 초점인 시스템에서는 자율 학습 프로세스가 여전히 유익할 수 있지만, 공식적인 외부 평가 전에 프로그램이 결함을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 다른 시스템에서도 자가 학습 프로세스는 필요한 문서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인증 프로세스 또는 검토의 필수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The design of the self-study process may depend largely on the overall purpos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 Systems that emphasize or drive QI may benefit from the implementation of a self-study process; they may also wish to consider including mandatory standards that require programs to self-evaluate, monitor the outputs and outcomes of their activities, and develop action plans to address self-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 Conversely, in systems where QA is the focus, self-study processes may still be beneficial but their use may be limited to helping programs identify and address deficiencies before the formal external evaluation.
  • In still other systems, the self-study process may be part of the required documentation and a mandatory component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or review.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의 자체 연구 결과는 표준 준수 평가에서 인증 기관에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QA에 특히 초점을 맞춘 의료 교육 연속체의 초기 단계(의과대학)와 시스템에서 인증 프로세스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표준 준수에 대한 [프로그램 또는 기관 자체의 견해를 포함한 자체 연구 정보]가 평가자의 평가를 편향시킬 수 있다.

The results of a system or program’s self-study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accrediting body in its evaluation of compliance with standards, and is often a required component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particularly for earlier stages of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i.e., undergraduate education) and in systems with a particular focus on QA. However, self-study information containing the program’s or institution’s own view of its compliance with standards can also bias the assessors’ evaluation. 


(정책, 문서, 학습자 및/또는 졸업생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 등) 평가자가 다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자율 학습의 특정 내용을 [프로그램 자체]로 제한하는 것도 실행 가능한 선택일 수 있다. 이 접근방식은 보다 진실하고 정직한 자가 학습을 장려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체 학습을 외부 인가자가 볼 것]임을 알고 있는 경우라면, 더 나은 QI를 장려하고 장려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고려사항은 QA보다 QI를 강조하는 시스템에서, 그리고 연속체의 이후 단계에 있는 시스템에서도 더 적용될 수 있다.

If other information is available to the assessors, e.g. policies, documentation, objective data about learners and/or graduates, etc., it may be a viable option to restrict certain content of the self-study to the program itself; this approach may encourage a more truthful or honest self-study, thereby promoting and encouraging better QI than would be the case if the program knows the self-study will be viewed by outside accreditors. This design consideration may be more applicable in systems that emphasize QI over QA, as well as those in later phases of the continuum.

 

마지막으로, 자율 학습을 위한 도구의 선택은 연구의 목적과 사용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 자체 학습이 프로그램 자체의 [QI를 위한 것]이라면, 사용하는 도구에 다양성 또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인가 시스템이 유리할 수 있다. 
  • 그러나 자체 연구가 [표준에 대한 준수 평가]에 inform하기 위한 목적으로, 외부 평가자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면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inally, the choice of tools for the self-study will depend on the study’s purpose and on how it will be used.

  • If the self-study is intended for the program’s own QI, an accreditation system that offers variety or flexibility in the tools used may be advantageous.
  • If, however, the self-study is intended to provide external assesso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to inform the evaluation of compliance against standards, the use of more objective data would likely be preferable.

 

 

외부표준평가
External assessment of standards

 

서면
Documentation

 

표준에 대한 외부 평가의 일부로 사용되는 문서는 인증 프로세스에서 [사용 가능한 문서의 유형]과 [그 문서가 사용가능한 시점]에 따라 시스템마다 다르다. 외부 평가에 정보를 주기 위한inform 문서 선택은 주로 사전 설정된 인가 표준에 설명된 요건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최적의 경우, 정보의 삼각 측량 및 표준 준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여러 유형의 문서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여러 유형의 문서의 장점은 외부 평가자가 검토에 통합하기에 [실용적인 것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The documentation used as part of an external assessment against standards varies from system to system according to the types of documentation available and the timing of their availability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The choice of documentation to inform the external assessment should be driven largely by the requirements outlined in the pre-established accreditation standards. Optimally, multiple types of documentation should be available to allow for the triangulation of information and the accurate evaluation of standards compliance; however, the advantage of multiple types of documentation should be balanced with what is practical for the external assessors to incorporate into their review.

문서의 이용 가능 시기는 전자 플랫폼과 같은 어떤 도구나 기반구조가 사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문서를 미리 제공하는 것이 시간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 작업을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도 외부 평가자의 검토를 위한 문서 제공 프로세스는 [학습자 정보가 기밀로 유지]되고 의도된 목적에만 사용되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The timing of the availability of documentation may depend on what tools or infrastructure, e.g., an electronic platform, is available to transmit information in advance. Although providing documentation in advance can help with time management,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ther this can be done easily and securely. In any case, the process for providing documentation for review by external assessors must ensure that learner information is kept confidential and is used only for its intended purpose.

 

외부평가과정
External assessment process

 

외부 평가 프로세스의 설계는 [표준에 설명된 요구사항]과 [표준 준수 평가에 필요한 정보의 범위]에 의해 추진되어야 한다. 그러나 검토의 일부로 포함되는 활동을 포함하여 검토의 방법뿐만 아니라 이러한 표준 평가 방법에 관한 시스템 간에 프로세스가 다를 수 있다.

The design of external assessment processes should be driven by the requirements outlined in the standards and by the scope of information needed to evaluate standards compliance; however, the processes can differ between systems with respect to how those standards are evaluated, as well as how the review is conducted, including which activities are included as part of the review.

이상적으로는, 의료 교육 시스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사람(학습자)의 투입input이 가능한 모든 곳에 포함되어야 한다. 학습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방법은 반드시 외부 평가 프로세스의 전체적인 설계에 따라 달라지지만, 가능한 경우 학습자와의 기밀 토론이나 기타 피드백을 포함해야 한다.
Optimally, input from those most affected by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 the learners – should be included wherever possible. Methods for receiving input from learners will necessarily depend on the overall design of the external assessment process, but should if possible include confidential discussions with or other feedback from learners.

종이 기반 검토는 자원을 많이 요구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 기준만으로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달성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외부 평가에는 정보의 삼각측정과 표준 준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여러 유형의 데이터, 증거 및 활동이 이상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Although paper-based review has the advantage of not putting heavy demands on resources, it might not be possible to achieve an accurate evaluation of a program on this basis alone. External assessment should ideally include multiple types of data, evidence, and activities to allow for the triangulation of information and the accurate evaluation of standards compliance.


반대로, 실질적으로 실현 가능한 경우 물리적 현장 검토는 프로그램의 표준 준수 여부를 가장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물리적 현장 검토는

  • (1) 의료 교육 및/또는 인가되는 프로그램이 새로운 경우 또는 커리큘럼 개혁과 같은 중대한 변화가 있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할 수 있다.
  • (2) 시설 또는 임상 학습 환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3)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접근이) 제한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Conversely, where practically feasible, a physical on-site review can offer the most accurate evaluation of a program’s compliance with standards. A physical site review may be most important in situations where

  • (1) the system of medical education and/or the program being accredited is new, or there has been a major change, such as curricular reform;
  • (2) there is a need to review a facility o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 (3)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to inform the evaluation of standards compliance.

 

표준 준수 현장 검토를 통해 임상 학습 환경과 교육 환경을 물리적으로 둘러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이해당사자들과의 토론과 인터뷰가 직접 이루어질 수 있게 해, 리뷰가 비언어적 단서와 바디랭귀지를 고려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현장 검토의 실용성은 자원 가용성 및 기타 고려사항(예: 지리적 거리 또는 이동을 제한하고 전화 또는 화상 회의를 선호할 수 있는 다른 요인)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현장 방문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시스템의 경우, 학습자 또는 다른 이해관계자의 기밀 보고서, 정기적인 조사 도구 관리 및 데이터 수집 등과 같은 다른 정보원이나 증거의 추가가 표준 준수 그림을 완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n on-site review allows for physical tour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as well as of teaching environments. It also allows for discussions and interviews with program stakeholders to occur face to face, which can allow reviews to take non-verbal cues and body language into account. However, the practicality of the site review must be balanced with resource availability and other considerations, such as geographic distance or other factors which may limit travel and make telephone or video conferencing preferable. In systems where a site vis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he addition of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or evidence, e.g. a confidential report from learners or other stakeholders, regular survey tool administration and data collection, etc., may be helpful in rounding out the picture of standards compliance.

 

 

 

인증 보고서
Accreditation reports

 

보고서 내용
Report content

 

인증 보고서는 표준 준수 평가에 사용되는 도구,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 유형 및 보고서 작성 방법에 따라 시스템마다 다릅니다. 무엇보다도, 도구의 선택은 [표준에 개략적으로 기술된 요건]과 [최종 인가 결정에 도달하기 위한 요건 및 프로세스]에 의해 추진되어야 한다.
Accreditation reports differs across systems according to the tools used to evaluate standards compliance, the type of content included in reporting, and how the reports are created. First and foremost, the choice of tools should be driven by the requirements outlined in the standards, as well as by the requirements and processes for reaching the final accreditation decision.

보고서 내용 및 규정 준수 평가에 사용되는 도구와 관련하여,

  • 객관적인 정량적 정보는 보다 쉽게 검토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으며 편집이 거의 또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서술적 서술에서 포착된 정보의 풍부함과 같은 질적 데이터와 관련된 이점을 놓칠 수 있다. 
  • 순수하게 정량적 보고서는 보고서 편집을 위한 리소스가 적고 QA와 최소 품질 표준 달성에 중점을 둔 상황에서 가장 적합할 수 있습니다.
  • 정량적 데이터와 정보만을 기반으로 하는 보고서는 또한 인가 기관 및 그 평가인에 대한 법적 또는 평판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이러한 경우,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효율성 및 정확성에 대한 잠재적 편익과 함께 인증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습니다.

 

With respect to the report content, as well as the tools used to evaluate compliance,

  • although objective, quantitative inform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easily reviewed and benchmarked, and of requiring little or no editing, it may also may miss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qualitative data, such as the richness of information captured in narrative descriptions.
  • Purely quantitative reports may be best in contexts with fewer resources for report editing and where the emphasis is on QA and the attainment of minimum standards of quality.
  • Reports based solely on quantitative data and information may also reduce legal or reputational risk to the accrediting organization and its assessors.
  • In these cases, and where the technology is available to do so, accreditation reports can be generated automatically, with potential benefits for efficiency and accuracy.


반대로, 보고서 편집을 위한 자원이 있는 시스템 또는 인가 시스템의 초점이 지속적인 QI에 맞춰져 있고, 인가 기관(또는 그러한 위험이 완화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법적 또는 평판적 위험이 제한된 시스템에서는 인증 보고서는 질적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그 풍부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관 또는 프로그램에 제공된 피드백을 참고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각 접근법의 장점과 단점의 균형을 맞추면서 정량적 보고와 정성적 보고의 혼합을 목표로 하는 것이 최선일 수 있다.
Conversely, in systems that have resources for report editing, or where the focus of the accreditation system is on ongoing QI, and where there is limited legal or reputational risk to the accreditation organization (or where such risk can be mitigated), including qualitative information in the accreditation report can enhance the richness of the review and the feedback provided to institutions or programs. Ultimately, it may be best to aim for a hybrid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porting, balanc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pproach.

보고서 작성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이 설계 결정은 주로 보고서에 포함된 내용의 유형에 따라 결정됩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 양적 정보만을 기초로 하는 보고서는 검토 중에 외부 평가자가 작성한 전자 점검표에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 반면, 상당한 양의 질적 정보가 포함된 보고서는 외부 평가자 본인 또는 인증 기관 직원이 방문 중 또는 방문 후에 작성 및 편집을 필요로 한다.

With respect to the process of report creation, this design decision will be driven largely by the type of content included in the report. As discussed above,

  • reports that are based solely on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utomatically from electronic checklists completed by the external assessors during the review.
  • On the other hand, reports with a significant amount of qualitative information require writing and editing, whether by the external assessors themselves or by accreditation organization staff, during or after the visit.

 

인증 결정
Accreditation decisions

 

인증 결정의 카테고리 또는 유형
Categories or types of accreditation decisions

 

다양한 유형의 인가 결정이 인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가 상태 결정 유형은 주로 주기 길이 또는 외부 평가 프로세스와 같은 다른 시스템 설계 고려사항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인증의 이진 범주binary category가 있는 시스템과 복수의 수준을 가진 시스템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항 결정은 달성되거나 달성되지 않은 최소 품질 표준 및 프로세스가 QI보다는 QA에 초점을 맞춘 시스템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Various types of accreditation decisions can be featured in an accreditation system. The types of accreditation status decisions are determined largely by other system design considerations, such as cycle length or the process of external assessment; however,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between systems with binary categories of accreditation and those with multiple levels. Binary decisions may be appropriate in systems based on minimum standards of quality, which are either achieved or not achieved, and where the process is focused on QA rather than QI.

반대로 [QI에 초점을 맞춘 시스템]에서는 달성해야 할 다양한 수준을 포함하여 인증 범주를 설계하는 것이 지속적인 개선과 열망적 표준의 달성을 장려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또한 인증 수준은 평가자가 표준 준수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달성한 프로그램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혁신과 모범 사례를 인식하고 공유하는 프로세스는 QI에 대한 인센티브와 인정을 장려하고 창출할 수 있습니다.

Conversely, in systems that focus on QI, designing categories of accreditation that include different levels to be achieved is an important way to encourage ongoing improvement and the attainment of aspirational standards. Levels of accreditation can also help assessors recognize those programs that have achieved the highest level of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Similarly, processes to recognize and share innovations and best practices can encourage and create incentives and recognition for QI.

 

인증 의사결정 프로세스
Process of accreditation decision-making

 

최종 인가 결정을 도출하는 과정은 의사결정이 기초가 되는 기준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합의 또는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사용되는 기준은 [표준에 설명된 요건]과 [프로세스가 제공하는 인가 결정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The process of rendering the final accreditation decision varies, as outlined in Table 1, according to the criteria upon which the decision is based, as well as by whether the decision is made by, for example, consensus, or by an automated process. The criteria used will depend on the requirements outlined in the standards as well as the types of accreditation decisions the process is intended to provide. 

 

  • 기 설정된 [준수 한계치compliacne threshold] 또는 [고위험 또는 최소 표준의 평가]에 기초한 접근방식은 인가 상태의 이진binary 범주가 있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상당한 양의 질적 정보가 아닌 각 표준의 준수를 평가하기 위해 도구 또는 체크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전자 시스템이나 플랫폼에 의해 촉진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컴퓨터 알고리듬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이것은 투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전체의 프로세스를 표준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pproaches based on established thresholds of compliance or the evaluation of high risk or minimum standards lend themselves well to systems with binary categories of accreditation status. These approaches can use a tool or checklist to evaluate compliance with each standard, rather than significant amounts of qualitative information; the process can also be facilitated by an electronic system or platform, potentially supported by a computer algorithm. This can help to standardize the process across programs as well as improve transparency.

  • 반대로, [전체적인 기준에 대한 전체적인 판단]결정이 복잡하거나 상당한 양의 질적 정보를 요구하는 시스템과 가장 잘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여러 전문가의 합의에 의해 의사결정에 도달하는 것은 견제와 균형을 도입할 수 있고 표준화 부족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접근법은 프로세스가 길어지고, 자원을 많이 소비할 수 있다.

Conversely, holistic judgments against overall criteria may be best aligned with systems for which the decision is complex or requires a significant volume of qualitative information. In these cases, arriving at a decision by the consensus of multiple experts can introduce checks and balances and reduce concerns about a lack of standardization; however, this approach can also lengthen the process and be resource-intensive.

궁극적으로, 많은 시스템이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계값 또는 가중 표준을 전문가 판단과 함께 사용하는 의사결정에 대한 혼합 접근법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Ultimately, it may be advantageous for many systems to consider a hybrid approach to decision-making, in which thresholds or weighted standards are used in conjunction with expert judgment to facilitate decision-making.

 

 

인증 결정과 관련된 영향 및 후속 조치
Impact and follow-up related to the accreditation decision

 

일반적으로 인가 결정에 도달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스는 명시적으로는 아니더라도 [도달한 결정이 최종적인 것이므로 어떠한 이의도 제한한다고] 암시적으로 규정한다. 단, 외부 평가 이후 이루어진 새로운 정보나 진행에 기초하여 인가 결정을 개선할 기회는 QI의 전체 문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보다 연속적인(일화적이지 않은) 인가 주기와 가장 잘 일치할 수 있다.
Typically, the process designed to reach an accreditation decision stipulates, implicitly if not explicitly, that the decision reached is final, barring any appeal. However, arguably, the opportunity to improve an accreditation decision on the basis of new information or progress made since the external assessment may promote an overall culture of QI and may be best aligned with more continuous (vs. episodic) accreditation cycles.

[이의신청 절차]는 프로세스와 의사결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모든 인가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이다. 이의신청 과정의 세부사항은 관할구역의 법적 프레임워크 및 기타 상황적 고려사항에 비추어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다.
An appeal process is a necessary element of all accreditation systems to increase confidence in the process and the decisions rendered. The details of the appeal process may vary from system to system in light of legal frameworks in the jurisdiction and other contextual considerations.

세부적인 인가 결과뿐만 아니라 인가 결정의 투명성은 전형적으로 인가 시스템의 의무와 의료 교육 시스템 내에서 그 역할과 관련이 있다.

  • 의무적 시스템 및 QA를 강조하는 시스템은 인증 결과의 투명성과 공개 보고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반대로 QI를 강조하는 시스템은 QI 철학과 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인증 결과 정보의 기밀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 상세한 조사 결과를 빼고 총괄적인 인증 결과를 공유하는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은 QI 접근법 내에서 책임성, 투명성 및 심지어 공공 보호의 균형을 맞추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transparency of accreditation decisions, as well as detailed accreditation findings, is typically linked to the mandat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its role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 Mandatory systems as well as those that emphasize QA may tend toward greater transparency and public reporting of accreditation outcomes;
  • conversely, systems that emphasize QI tend to emphasize the confidentiality of accreditation outcome information to promote a QI philosophy and culture.
  • Hybrid approaches that share global accreditation outcomes without detailed findings may be an effective way to balance accountability, transparency, and even public protection within a QI approach.

 

 

인증 주기
Accreditation cycle

 

인증 주기 유형
Types of accreditation cycles

 

모든 인증 프로세스에는 인증과 일회성 감사 또는 기타 QA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검토 주기의 정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표 1이 강조하듯이, 인가 주기는 모든 인가된 프로그램 또는 인가 상태에 따라 가변적인 모든 인가된 프로그램에 대해 표준화되었는지 여부와 인가 결정 후 후속 조치를 포함하여 주기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활동 유형에 대해 시스템 간에 유의하게 다르다.
All accreditation processes require a defined cycle of review, distinguishing accreditation from one-time audits or other QA processes. However, as Table 1 highlights, accreditation cycles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ystems with respect to length, whether they are standardized for all accredited programs or variable according to the accreditation status, and types of activities used throughout the cycle, including any follow-up after the accreditation decision.


선택한 인가 주기의 형식은 [인가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려져 있는지, 그리고 인가되는 프로그램과 의료 교육 시스템 내에 얼마나 많은 불확실성 또는 위험이 있는지에 관한] 상황적 고려사항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 예를 들어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기간이 아니라) 정적static 교육 커리큘럼이어서 위험이나 불확실성이 적은 경우, 더 긴 인가 주기가 정당화될 수 있다.
  • 반대로, 위험이나 불확실성이 더 많은 경우, 특히 정기적인 인가 방문 사이에 필요한 활동이 없는 순전히 에피소드적인 인증 주기에서 더 짧은 인증 주기가 보장될 수 있다.
  • 마찬가지로, 인증 주기 전체에 걸쳐 [정기적인 접촉점이나 또는 요건]이 있어서, 보다 연속적인 시스템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품질에 대한 신뢰를 높여주기에 전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The type of accreditation cycle chosen should depend on contextual considerations regarding how much is known about the programs being accredited and how much uncertainty or risk there is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and the programs being accredited.

  • Where there is less risk or uncertainty, e.g., in a static educational curriculum versus a period of major curricular change, a longer accreditation cycle may be justified.
  • Conversely, where there is more risk or uncertainty, a shorter accreditation cycle may be warranted, particularly in a purely episodic accreditation cycle with no required activities between regular accreditation visits.
  • Likewise, more continuous systems with regular touchpoints or requirements throughout the accreditation cycle may increase confidence about program quality and allow the overall cycle to be lengthened.

또한 QA보다 [QI를 강조하는 인증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의 표준 준수에 따라 인증 주기 길이를 조정하는 접근방식은 QI의 우수성 및/또는 마커를 위해 노력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accreditation system that emphasizes QI over QA, an approach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accreditation cycle length according to a program’s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may create incentives to strive for standards of excellence and/or markers of QI.

 

마지막으로, 인가 주기의 일반적인 길이도 실제적인 고려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매년 시스템에 의해 인증받는 프로그램 수,
  • 매년 타당성 있게 검토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
  • 인증 대상 교육 프로그램의 길이(프로그램 길이가 짧으면 인증 방문의 짧은 주기를 정당화할 수 있음) 
  • 기술 및 기타 리소스(예: 직원)가 인가에 대한 보다 지속적인 접근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Finally, the typical length of an accreditation cycle may also depend on practical considerations, such as

  • how many programs are accredited by the system and how many can feasibly be reviewed each year;
  • the length of the education programs being accredited (shorter programs may justify shorter cycles of accreditation visits); and
  • whether technology and other resources (such as staff) are available to support a more continuous approach to accreditation.

 

 

현장 검토 모델
The site-review model

 

검토자 및 팀 구성 유형
Types of reviewers and team composition

 

현장 검토 모델은 인증 팀의 규모와 구성에 따라 다릅니다. 

  • 전문직의 구성원이 자신의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에 대한 외부 평가자 역할을 하는 [동료 검토 모델]은 인가 과정의 표면적 타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이점은 검토 과정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엄격한 현장 검토자 훈련과 평가]뿐 아니라 [강력한 자원봉사자 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같은 특정 관련 과제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 반대로, [전문 평가관]을 사용하는 현장 검토 모델은 자원 봉사 관리, 교육 및 평가에 크게 투자하지 않고도 일관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으로 인가 프로세스에 대한 얼굴 유효성과 신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Site review models differ according to the size and composition of the accreditation team.

  • A peer review model wherein members of the profession serve as external assessors for programs other than their own (usually on a voluntary basis) may increase the fac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However, this advantage must be balanced against certain associated challenges, such as the need for a robust volunteer management program, as well as for rigorous site reviewer training and assessment to ensure consistency in the review process.
  • Conversely, a site review model that uses professional, full-time surveyors can improve consistency without significant investments in volunteer management, training, and assessment. They method may, however, reduce face validity and confidence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overall.


심사자 외에도, [인증기관의 직원]은 인가 기관이 사용하는 전체 현장 검토 모델에 따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 및 동료 검토에 기초한 현장 검토 모델의 경우 인증기관의 직원이 프로세스 전문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표준화를 견디는 데 도움이 된다. 반대로, 전문 평가관이나 직원 평가관에 의존하는 현장 검토 모델은 추가 직원 지원을 받거나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경우, 잠재적 이해충돌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위원회 행정 및 항소 프로세스 관리를 포함하여, [최종 인증 결정 과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가진 직원]이 인증 검토accreditation review 자체에 참여자에게 기여해서는 안 된다.
In addition to the reviewers themselves, the accrediting body’s staff can play an important role, depending on the overall site review model used by the accrediting body. In the case of site review models based on volunteers and peer review, staff of the accrediting body can serve an important role by providing process expertise, thus helping to endure standardization. Conversely, site review models that rely on professional or staff surveyors may not benefit from or require additional staff support. In all cases, to mitigate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staff who have a role in supporting the final accreditation decision-making process, including committee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appeal processes, should not be contributing participants in the accreditation review itself.

마지막으로, 조사팀의 규모는 매년 얼마나 많은 프로그램 검토를 수행하는지, 외부 평가의 유형은 무엇인지와 같은 실제적인 고려사항에 크게 좌우된다.

Finally, the size of the survey team depends largely on practical considerations such as how many program reviews are conducted each year and what type of external assessment is done.

 

현장 검토자 교육 및 평가
Site reviewer training and assessment

 

교육 및 평가 검토자에 대한 접근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현장 검토 모델에 의해 추진되어야 한다. 자원봉사자 동료 검토에 기초한 현장 검토 모델은 모든 검토자가 수용 가능한 수준의 역량을 충족하고 인가 과정의 일관성을 촉진하기 위한 훈련과 평가에 대한 보다 강력한 접근방식을 필요로 할 것이다.
The approach to training and assessing reviewers should be driven by the site review model as outlined above. Site review models based on volunteer peer review will require a more robust approach to training and assessment to ensure all reviewers meet an acceptable level of competence and to promote consistency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방문평가자에 대한) 교육 및 평가에 대한 접근 방식은 직원과 자원의 가용성과 같은 실제적인 고려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 학습 관리 소프트웨어나 인증 관리 시스템과 같은 전자 플랫폼을 통해 잠재적으로 강의식교육didactic에 의존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많은 수의 지원자를 교육하는 데, 효과적이며 쉽게 복제될 수 있다.
  • 그러나 더 많은 자원과 시간 집약적이기는 하지만 인가 과정의 실제 적용에 의존하는 훈련은 새로운 검토자들 사이에서 더 큰 준비성과 역량을 촉진할 것이다.

The approach to training and assessment may also depend on practical considerations, such as the availability of staff and resources.

  • Training programs that rely on didactic sessions, potentially by means of electronic platforms such as learning management software or accreditation management systems, are effective for training large numbers of volunteers and can be easily duplicated.
  • However, training that relies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although more resource and time intensive, will promote greater readiness and competence among new reviewers.

 

 

인증제도 관리
Accreditation system administration

 

기술 인프라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인증 시스템을 지원하는 데 있어 기술 및 기타 인프라의 역할은 주로 [인증 기관이 기술과 자동화에 투자할 수 있는 자원, [자동화]가 인증기관 및 대상 프로그램에 효율성/비용절감/표준화 등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 등 실질적인 고려사항에 의해 추진된다. 데이터나 정보의 정기적 제출에 의해 지원되는 보다 연속적인 인가 과정과 같은 일부 설계 옵션은 기술 플랫폼의 도입만으로 실현 가능할 수 있다.
The role of technology and other infrastructure in supporting the accreditation system is driven largely by practical considerations, such as the resources available to the accrediting body to invest in technology and automation, and whether automation can provide benefits to the accrediting body and those programs it accredits with respect to efficiencies, cost savings, and standardization. Some design options, such as more continuous accreditation processes supported by the regular submission of data or information, may be feasible only with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cal platforms.

[기술 인프라는 또한 자동화 및 첨단 기술 플랫폼이 (경쟁적 환경에 있는) 인증 기관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와 같은 전략적 고려사항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사용은 또한 인가 기관, 그 이해관계자 및 인가된 프로그램의 "기술적 준비"에 의해 guide되어야 한다. 인증이 새롭게 도입되는 상황이거나, 인증 프로그램이 테스트되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표준과 인증 과정이 의료 교육 시스템에 잘 포함될 때까지 [기술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단순화된 인증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may also be driven by strategic considerations, such as whether automation and an advanced technological platform can lend an advantage to accrediting bodies within a competitive environment. The use of such technology should also be guided by the “technological readiness” of the accrediting body, its stakeholders, and accredited programs. In systems where accreditation is new or the programs being accredited are untested, it may be preferable to introduce a simplified accreditation system that does not rely heavily on technology until such time as standards and accreditation processes are well embedded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인증제도 개선
Accreditation system improvement

 

인증 시스템의 개선 및 연구 및 학술적 접근 방식은 체계성에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스템 개선과 연구에 대한 접근법의 주기는 주로 검토와 개선에 이용 가능한 자원, 그리고 지역 시스템이나 맥락에서 실용적인 의미가 있는 것에 달려 있다. 표준 자체와 마찬가지로 전반적인 시스템 검토 및 갱신에 대한 접근법도 지역 환경에서 의료 교육 시스템이 얼마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따라 추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중요한 커리큘럼 변경 기간 동안 더 빈번한 평가 및 갱신 주기가 필요할 수 있다.
Approaches to the improvement of accreditation systems, as well as the approach to research and scholarship, vary from the ad hoc to the systematic. Cycles of system improvement and approaches to research depend largely on the resources available for review and improvement, and on what makes practical sense in the local system or context. As with standards themselves, the approach to overall system review and renewal should also be driven by how fast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s changing in the local environment; for example, more frequent cycles of evaluation and renewal may be needed during periods of significant curricular change.

 

감독 및 리스크 관리
Oversight and risk management

 

감독 및 위험 관리에 대한 인증 시스템의 접근 방식은 주로 그것이 작동하는 맥락과 그러한 감독 및 보호의 필요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인증 결정이 이진법일 가능성이 더 높으며, 교육이 면허와 같은 고위험 결과를 목적으로 계산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QA 접근방식은 위험 관리, 거버넌스 및 감독 형태의 추가 보호가 필요한 시스템과 관련될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QA 접근방식은 공공 및 전문직 종사자에게 책임을 입증하기 위해 기대되거나 요구될 가능성이 더 높다.
The accreditation system’s approach to oversight and risk management will depend largely on the context in which it works and on the need for such oversight and protection. However, a QA approach, in which accreditation decisions are more likely to be binary and to determine whether training can be counted for the purposes of high-stakes outcomes such as licensure, is more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systems that require additional protections in the form of risk management, governance, and oversight. A QA approach is also more likely to be expected or required to demonstrate accountability to the public and the profession.

 

비즈니스 모델
Business model

 

인증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은 지역 관할구역에서 인증의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이 의무화되거나 정부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비즈니스 모델은 정부 또는 다른 외부 자금후원에 의존하거나 비용 회수 모델을 통해 자금후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The business model of an accreditation system is likely to depend on the role of accreditation in the local jurisdiction. For example, where accreditation is mandated or required by government, business models may be more likely to depend on government or other external funding, or to be funded through cost-recovery models.


[국가 또는 지역 규제에 초점을 맞춘 인가 시스템]은 [비용 회수 또는 수익 창출 사업 모델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은 국제적인 의무와 범위를 가진 시스템]과는 달리 정부의 개입과 자금후원을 가질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다.

Accreditation systems focused on national or local regulation may be more likely to have government involvement and funding, as opposed to those with an international mandate and scope, which may be more likely to have cost-recovery or revenue-generation business models.

 

한계 및 향후 연구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새로운 또는 갱신된 의료 교육 인가 시스템의 개발을 안내하는 이 "목적에 맞는" 프레임워크는 설계 결정의 함의와 고려사항을 탐구하기 위한 실용적인 지침으로 의도된다. 우리는 프레임워크와 고려사항이 경험적 증거보다는 전문가의 의견과 경험에서 도출된다는 것을 인정한다.
This “fit for purpose” framework to guide the development of new or renewed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is intended as a practical guide to exploring the im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of design decisions. We acknowledge that the framework and the considerations it engenders derive from expert opinion and experience rather than empirical evidence.

교육 연속체의 다른 단계를 포함하여 다양한 관할권, 컨텍스트 및 유형의 보건 교육에서 이 프레임워크와 인증 시스템에 걸친 다양한 설계 고려사항의 적용을 탐구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이 작업은 다양한 시스템이 실제 고려사항에 비추어 내리는 설계 결정을 탐구할 수 있다. 이 작업은 프레임워크 자체의 추가적인 개선뿐만 아니라 전 세계 인증 시스템 간의 차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It would be useful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his framework and its various design considerations across accreditation systems in a variety of jurisdictions, contexts, and types of health education, including different phases of the education continuum. This work could explore the design decisions that different systems make in light of practical considerations. This work would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variations across accreditation systems worldwide, as well as to further refinements to the framework itself.

 

결론

Conclusion

 

이 "목적에 맞는" 의료교육 인가 시스템 설계는 프랭크와 동료가 개괄적으로 설명한 의료교육 인가 시스템의 공통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1]. 그리고 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인가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용할 때 고려해야 할 관련 고려사항 및 시사점과 함께 원칙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This “fit for purpose”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design builds on the common elements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outlined by Frank and colleagues [1] and provides a principle-based framework, along with associated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to take into account in developing and operationalizing any accreditation system for medical education programs.

이 프레임워크는 단일 모범 사례를 제공하기보다는, 인증 시스템 간의 variation이 [로컬 컨텍스트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기초하고 의도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즉, 형태form는 기능function을 따라야 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관리자, 정책 입안자 및 교육자에게 의료 교육 인증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현지 맥락에서 적용 가능성과 적합성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framework highlights that, rather than a single best practice, variation among accreditation systems is appropriate if it is based on and purposely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local contexts. In other words, form must follow function. This framework is intended to provide guidance to administrators, policy-makers, and educators regarding different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ir applicability and appropriateness in local contexts.

 

 


Review

 

BMC Med Educ. 2020 Sep 28;20(Suppl 1):306.

 doi: 10.1186/s12909-020-02122-4.

A "fit for purpose"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design

Sarah Taber 1Nesibe Akdemir 2 3Lisa Gorman 4Marta van Zanten 5Jason R Frank 4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staber@royalcollege.ca.

  • 2OLVG Teaching Hospital, Amsterdam, Netherlands.

  • 3VU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Netherlands.

  • 4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 5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hiladelphia, PA, USA.

    • PMID: 32981517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Accreditation is a key feature of many medical education systems, helping to ensure that programs teach and assess learners according to applicable standards, provide 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and produce professionals who are competent to practise in challenging and evolving health care systems. Although most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apply similar standards domains and process elements, there can be substantial variation among accreditation systems at the level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A discussion group at the 2013 World Summit on Outcomes-Based Accreditation examined best practice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s and identified that the literature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approaches to accreditation is scant. Although some frameworks for accreditation design do exist, they are often specific to one phase of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Main text: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a framework for the operational design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that articulates design options as well as their contex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t assumes there is no single set of best practices in accreditation system development but, rather, an underlying set of design decisions. A "fit for purpose" approach aims to ensure that a system, policy, or program is designed and operationalized in a manner best suited to local needs and contexts. This approach is aligned with emerging models for educ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that espouse decentralization.

Conclusion: The framework highlights that, rather than a single best practice, variation among accreditation systems is appropriate provided that is it tailored to the needs of local contexts. Our framework is intended to provide guidance to administrators, policy-makers, and educators regarding different approaches to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ir applicability and appropriateness in local contexts.

Keywords: Accreditation framework; Accreditation system design;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Medical education.

21세기 보건전문직교육(HPE)에서 평가인증의 역할: 국제합의그룹의 보고(BMC Med Educ, 2020)

The role of accreditation in 21st centur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port of an International Consensus Group
Jason R. Frank1,2*, Sarah Taber1, Marta van Zanten3, Fedde Scheele4,5,6, Danielle Blouin7 and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Outcomes Consortium

 

 

 

보건 전문가 교육의 현재 내용, 조직 및 전달이 [환자와 인구집단의 요구와 관심사에 도움이 되지 못한 강력한 사례]가 있다.
A strong case is made that the present content, organisation, and delivery of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have failed to serve the needs and interests of patients and populations.

-Richard Horton, Lancet 2010 [1]

 

배경

Background

 

효과적인 인증은 모든 보건직업 교육(HPE) 시스템에 필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2]. 현재 HPE 인증은 전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정밀 조사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일부 형태의 품질 모니터링 활동은 거의 틀림없이 현대 의과대학만큼 오래되었지만, HPE 개혁에 대한 [3, 4] 주요 보고서는 인가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 플렉스너 보고서(1910) [5]는 교육과정, 교육 철학, 감독에 대한 변화뿐만 아니라 수십 개의 북미 의과대학들의 폐쇄로 이어졌다. 
  • 1988년 에든버러 선언[6]은 HPE를 사회적 필요에 맞게 재정립하려고 노력했으며, 이는 교육 방법, 교수진 개발 및 훈련을 위한 설정의 개혁을 주도했다. 
  • 2010년 21세기 건강 전문가 교육에 관한 란셋 위원회[7]는 지역 인구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해 세계적으로 역량 기반 HPE로의 변경을 요구했다[8]. 
  • 2012년, 대학원 의학 교육을 위한 인증 위원회(ACGME)는 과정process 대신 졸업성과graduate outcome으로 미국 레지던트 교육의 이러한 변화를 구현했다[9]. 
  • 2013년, 캐나다 레지던시 인증 컨소시엄(CanRAC)은 인가에 대한 보다 현대적인 접근을 위해 철학과 활동, 인프라 및 표준을 근본적으로 정비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였다[10]. 

Effective accreditation is considered an essential ingredient for any system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2] 
At the present time, HPE accreditation is undergoing unprecedented scrutiny and change worldwide. While some form of quality monitoring activity is arguably as old as modern medical schools, [3, 4] seminal reports on HPE reform have driven the evolution of accreditation in an accelerating fashion. 

  • The Flexner Report (1910) [5] led to the shuttering of dozens of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s well as to changes to curriculum, philosophy of education, and oversight.  
  • The 1988 Edinburgh Declaration [6] sought to realign HPE to societal needs and it drove reforms in instructional methods, faculty development, and settings for training.  
  • The 2010 Lancet Commission on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7] demanded the worldwide change to competency-based HPE to better meet the needs of local populations [8].  
  • In 2012,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implemented these kinds of changes in American residency education by reorienting US accreditation with graduate outcomes instead of processes [9].  
  • In 2013, the Canadian Residency Accreditation Consortium (CanRAC) also moved to fundamentally overhaul its philosophy, activities, infrastructure, and standards for a more contemporary approach to accreditation [10].   

 

최근 몇 년 동안 인증의 개혁에 왜 이렇게 많은 관심이 있었는가? HPE의 결함을 강조하는 이들은 인증 시스템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지지해왔다. 예를 들어, 랜싯 위원회는 제대로 설계되지 않은 HPE 시스템[7]에서 준비되지 않은 졸업생에 대한 인식을 부각시켰다. David Ash와 다른 사람들의 결과 연구는 졸업역량의 측면에서, 현재 교육 프로그램이 생성한 것은 허용할 수 없는 variation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11,12,13,14]. 21세기의 중요한 개혁 중에는 양질의 교육을 통해 우수한 졸업생을 배출할 수 있도록 HPE 인증을 업데이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9, 15].
Why has there been all this attention on accreditation reform in recent years? Those highlighting the failings of HPE have advocated for greater attention for accreditation systems. The Lancet Commission, for example, has spotlighted perceptions of ill-prepared graduates in poorly designed HPE systems [7]. The outcomes work of David Asch and others has highlighted unacceptable variations in graduate competence produced by current programs [11,12,13,14]. Among the critical reforms of the twenty-first century is a growing call to update HPE accreditation to ensure quality training produces high-quality graduates [9, 15]. 

 

인증 시스템은 보건 전문가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감독 및 지침을 제공하며, 사회 보건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의료인을 배출하기 위한 품질 훈련 모델을 명확히 한다[2, 15]. 전문 교육 시스템에서 그러한 중요한 기능을 위해, HPE 인증의 역할, 요소, 영향 및 진화를 설명하는 데 거의 작성되지 않았다. 인증 관행을 교육 프로그램의 결과와 연계시키는 일은 훨씬 더 적었다.

Accreditation systems provide oversight and guidance to health professions training programs and articulate a model of quality training to produce practitioners to meet societal health needs [2, 15]. For such a critical function in a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little has been written to describe the role, elements, impact, and evolution of HPE accreditation. Even less has been done to link accreditation practices to the outcomes of training programs.

 

목적

Purpose

 

보건 분야에서 인가의 미래에 대한 21세기 대화를 시작하기 위해, 우리는 인가에 관한 기존 문헌을 검토하고, 전 세계의 시스템을 검토하며, 차세대 인가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합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필요성을 인식했다. 우리는 

  • 1) 보건 분야의 인증에 대한 글로벌, 현대적 정의를 식별하기 위한 국제 합의 컨소시엄의 노력을 설명하고, 
  • 2) 의료 결과에 대한 교육 인증의 관계를 설명하고, 
  • 3) 21세기 HPE 인증에서 중요한 질문과 반복 문제를 식별하고, 
  • 4) 오늘날의 HPE 인증에서 필수적인 요소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To begin a twenty-first century dialogue about the future of accredit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we recognized a need to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on accreditation, examine systems worldwide, and develop consensus frameworks on which to build the next generation of accreditation systems. We describe the efforts of an international consensus consortium to

  • 1) identify a global, contemporary definition of accredit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 2)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accreditation to health care outcomes,
  • 3) identify important questions and recurring issues in twenty-first century HPE accreditation, and
  • 4) propose a framework of essential ingredients in present-day HPE accreditation.

 

방법

Methods

 

이러한 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HPE 기관에 대한 문헌 검색 및 Google 검색을 통해 건강 직업 인증 리더를 식별했으며, 눈덩이 샘플링을 사용하여 다른 리더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했다[16]. 우리는 특히 한 보건 전문가의 경력의 연속체에서 관점을 가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여러 보건 분야의 인증 리더와 학자들을 찾아냈다. 이러한 리더들은 장학금을 증진하고 HPE 인증에 대해 생각하는 국제 합의 컨소시엄(IHPAOC, "epoch"로 불리는)에 참여하도록 초대되었다.
To address these goals, we identified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leaders via a literature search and Google search of HPE institutions, as well as by accessing the networks of other leaders using snowball sampling [16]. We specifically sought out accreditation leaders and scholars from multiple health professions, as well as those with perspectives from across the continuum of a health professional’s career. These leaders were invited to join an international consensus consortium to advance the scholarship and thinking about HPE accreditation—called the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Outcomes Consortium (IHPAOC, pronounced “epoch”).


그런 다음 일련의 이슈 식별 및 합의 활동을 조직했습니다. 2013년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레지던시교육 국제회의와 연계해 제1차 인증결과 세계정상회의, 2018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유럽의료교육협회 회의와 연계해 제2차 세계정상회의를 소집했다. 이 서밋에서 우리는 반복 그룹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HPE 인증의 현재 상태 및 향후 방향과 관련된 테마를 식별했다. 표 1은 정상 회담의 대표 범위를 보여줍니다. 그 후, 우리는 정상회의에서 식별된 문제를 더 자세히 탐구하기 위해 컨소시엄에 대한 정기적인 국제 통화(연간 약 6회)와 하위 그룹을 조직했다. 이 프로세스의 일부로, 우리는 식별된 하위 테마에 형성된 합의점을 포착하기 위해 일련의 논문을 개발했다. 각 논문은 컨소시엄의 모든 구성원에 의해 논의되고 검토되었다.

We then organized a series of issue identification and consensus activities. We convened the 1st World Summit on Accreditation Outcomes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sidency Education in Calgary, Canada in 2013, and a 2nd World Summit in conjunction with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conference in Basel, Switzerland in 2018. At these Summits, we used an iterative group process to identify themes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and future directions for, HPE accreditation. Table 1 lists the breadth of representation at the Summits. We subsequently organized regular (approximately six times per year) international calls and subgroups for the Consortium to further explore the issues identified at the Summit. As part of this process, we developed a series of papers to capture the consensuses formed on the subthemes identified. Each paper was discussed and reviewed by all members of the Consortium.

 

Table 1 Breadth of representation at 2013 and 2018 World Summits

 

 

 

본 논문에서는 IHPAOC를 대신하여 HPE 인증의 기본 문제와 요소에 대한 합의 논의의 개요를 제공한다.

In this paper, on behalf of the IHPAOC, we offer an overview of the consensus discussions on the fundamental issues and elements of HPE accreditation.

 

결과: HPE 인증의 현대적 문제
Results: contemporary issues in HPE accreditation

 

HPE의 인증이란 무엇인가?
What is accreditation in HPE?

 

인증은 효과적인 HPE와 효과적인 의료 모두를 위한 기초적인 사회적 기업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그 정의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는 없다. QA(Quality Assurance),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기업, 프로그램 평가의 형태 및 위의 다양한 조합으로 다양하게 기술되어 왔다
Accreditation can be considered a societal enterprise that is fundamental for both effective HPE and effective health care, but there is no universal agreement on its definition. It has variously been described as a form of quality assurance (QA), an enterprise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a form of program evaluation, and various combinations of the above. 

 

예를 들어 세계의료교육연맹(WFME)은 다음을 지지한다.
Th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for example, espouses the following:

 

인증은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의료 교육 제공에 있어 의과대학의 역량에 대한 인증[17]이다.
Accreditation is the certif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and of the competence of medical schools in the delivery of medical education [17].



마찬가지로 국제의료규제당국협회는 다음과 같은 문구를 사용한다.
Similarl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edical Regulatory Authorities uses this statement:


인증은 신뢰할 수 있는 독립 기관이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품질을 평가하여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는 과정이다. 교육 프로그램이 [인턴(또는 동등한 사람)의 감독 하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의료행위를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졸업생을 배출]하는지, [평생 학습 및 의학의 모든 분야에서 추가 훈련을 위한 적절한 토대를 제공했는지]를 확인한다
Accreditation is the process by which a credible, independent body assesses the quality of a medical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assurance that it produces graduates that are competent to practise safely and effectively under supervision as interns (or equivalent), and have been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and further training in any branch of medicine
 [18].



미국 국립 과학 기술 의학 아카데미는 다음과 같은 의료 인력 계획 측면에서 인증을 정의합니다.

The U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defines accreditation in terms of health workforce planning:

 

인증의 목적은 특정 기준을 충족한 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질을 보장함으로써 유능한 보건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 인증은 그러한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보장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15].
The purpose of accreditation is to build a competent health workforce by ensuring the quality of training taking place within those institutions that have met certain criteria. … Accreditation is a tool for monitoring and ensuring such quality
 [15].

 

 

이 논의에서 제기된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증이 [프로그램, 기관 또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한 종류의 평가라는 생각.
  • 인증은 [정의된 표준과의 비교]를 포함한다.
  • 인증은 일반적으로 [대상이 되는 기관]과 [어떤 종류의 제3자 기관] 사이의 파트너 관계이다.
  • 현대의 인증은 [품질 보증]과 [품질 개선]을 모두 수반한다는 견해.

Key features that arose in the discussions included the following:

  • the idea that accreditation is a special kind of evaluation targeting a program, an institution, or a system;
  • accreditation involves a comparison against defined standards;
  • accreditation is usually a partnership between the target of the process and some kind of third-party institution; and
  • the view that modern accreditation involves both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improvement.

IHPAOC 위원들은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HPE의 연속체에 적용되는 인증의 보다 정확한 정의를 추구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개발하고 채택했습니다.

The IHPAOC members sought a more precise definition of accreditation that both addressed all of these issues and applied to the continuum of HPE. To that end, we developed and adopted the following definition:

 

보건직업에서의 인증은 [품질 보증과 지속적인 개선]을 목적으로 [외부 기관]에 의해 [정의된 표준]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기관 또는 시스템]의 [공식적인 평가] 과정이다.
Accredit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is the process of formal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institution, or system against defined standards by an external body for the purposes of quality assurance and continuous enhancement.

 

IHPAOC는 또한 HPE 인증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목표 진술을 채택했다.
IHPAOC also adopted the following goal statement for HPE accreditation:

 

인증은 [사회적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준비된 유능한 인력에 대한 고품질 교육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Accreditation contributes to ensuring high quality training for a competent workforce prepared to serve societal needs effectively.

 

 

인가는 HPE의 프로그램 평가 또는 연구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How does accreditation relate to program evaluation or research in HPE?


[인증], [프로그램 평가], [의료 교육 연구]는 때때로 공유된 방법과 중복되는 노력이 될 수 있다. 표 2는 이 세 기업을 비교한다.

Accreditation, program evaluation, and medical education research can sometimes be overlapping endeavours, with shared methods. Table 2 compares these three enterprises.

 

Table 2 Accreditation, program evaluation, and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강제성

  • 인증은 정부 또는 다른 감독 기관에 의해 위임될 수 있고 직업의 자율 규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 한편, 프로그램 평가와 연구는 대개 선택적인 활동이다. 

Accreditation can be mandated by government or another oversight body or it can be part of a profession’s self-regulation. Meanwhile, program evaluation and research are usually elective activities. 

 

자금

  • 인증를 위한 기금은 정부 또는 규제 계획의 일부일 수도 있고, 직업 자체에서 조달할 수도 있다. 
  • 프로그램 평가 및 연구를 위한 자금은 보조금, 기부금 또는 기관 예산과 같은 광범위한 출처에서 나온다. 

Funding for accreditation can be part of a government or regulatory scheme, or it can be from the profession itself. Funding for program evaluation and research come from a wider array of sources, such as grants, endowments, or institutional budgets. 

 

목적

  • 인증은 때때로 프로그램/교육과정/기관이 심사 대상인 평가라는 점에서 프로그램 평가의 특별한 유형class으로 간주된다. 인증의 경우, [외부 기관의 정의한 표준]과의 정렬alignment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 대조적으로, 프로그램 평가와 연구는 각각 광범위한 맞춤형 질문, 방법, 데이터 및 목적을 사용한다.

In terms of its purpose, accreditation is sometimes seen as a special class of program evaluation, in that programs/curricula/institutions are the evaluands being examined. In the case of accreditation, the evaluation is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alignment with defined standards from an external body. By contrast, program evaluation and research each employ a vast array of tailored questions, methods, data, and purposes.

 

인증은 구체적이고 제한된 범위와 목적을 가진 특별한 기업입니다 [19, 20].

Accreditation is a special enterprise, with a specific, constrained scope and purpose [19, 20].

 

 

HPE에서 인증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role of accreditation in HPE?

 

QA와 CQI라는 인증의 [이중 기능dual function]은 향상된 교육 및 대학원 능력 향상을 통해 HPE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표 3은 이러한 QA와 CQI 관점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은 종종 많은 인증 시스템에 공존할 수 있다.

Accreditation’s dual functions of QA and CQI can improve HPE through enhanced training and improved graduate abilities. Table 3 illustrates the spectrum of these QA and CQI perspectives. These two perspectives can often co-exist in many accreditation systems.

 

Table 3 Accreditation as quality assurance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품질 보증으로서의 인증
Accreditation as quality assurance

 

인증은 종종 HPE 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로 언급된다: 그것은 높은 품질의 교육이 모집단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능한 졸업생을 생산하도록 보장하는 과정이다. 그림 1은 보건 분야의 "품질 사슬quality chain의 링크"에 인가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증은 프로그램 및 기관 및/또는 시스템을 사전 정의된 예상 특성에 대해 측정하는 QA의 한 형태이다. 프로그램/기관이 표준을 충족했는지에 대한 인가 검토 후 결정이 내려진다. 이러한 인증 모드는 고부담high stakes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커리어, 프로그램, 자금 지원, 평판, 서비스 및 학습자 진보는 모두 검토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인증의 [총괄적 관점]입니다: 최적이지 않은suboptimal 교육을 위한 품질 및 보안관의 방벽으로서의 인증 [2, 15, 17, 18, 21, 22, 23, 24, 25, 26, 27].
Accreditation is often cited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HPE systems: it is a process to ensure that high quality education produces competent graduates to serve a population’s needs. Figure 1 describes how accreditation connects to the “links in the quality chain” of the health professions. In this sense, accreditation is a form of QA in which programs and institutions and/or systems are measured against pre-defined expected characteristics. A decision is made after an accreditation review as to whether the program/institution has met the standard. This mode of accreditation can be high stakes: careers, programs, funding, reputations, services, and learner advancement can all depend on the review’s findings. This is a summative view of accreditation: accreditation as bulwark to quality and sheriff for suboptimal training [2, 15, 17, 18, 21,22,23,24,25,26,27].

 

Fig. 1

 

인증은 [규제적 QA 기능]에서 학습 환경이 학습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보장할 수 있다. 최소 표준 준수를 촉진함으로써, 인증은 부정적인 환경과 관행의 영속화를 방지하며, 학습자와 환자 모두에게 해를 끼치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QA는 또한 커리큘럼 품질, 교육 방법 및 평가 관행에 대한 [최소 임계값minimum threshold]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인증은 QA 모드에서 직업, 학습자 및 환자의 안전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인증은 일종의 전문적인 책임을 이행하며, 자율규제 직업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27].
In its regulatory QA function, accreditation can ensure learning environments are safe and effective for learners. By promoting adherence to minimum standards, accreditation can even prevent negative environments and practises from being perpetuated, preventing harm to learners and patients alike. QA can also focus on minimum thresholds for the quality of curriculum, instructional methods, and assessment practices. Accreditation, in its QA mode, contributes to keeping the profession, its learners, and its patients safe. Accreditation fulfills a kind of professional accountability and helps to ensure public confidence in self-regulated professions [27].

 

지속적인 품질 향상으로 인증
Accreditation as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다른 이들은 인증을 CQI의 진정한 [형성적 과정]으로 설명한다. 프로그램, 기관 또는 시스템은 강점과 개선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표준에 대해 측정된다 [28,29,30,31,32,33,34,35,36,37]. 프로그램 또는 기관 포트폴리오 또는 "보고서 카드"에서 인증 정보를 수집하면 교육의 주요 측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20, 36, 37]. [끊임없이 발전하는ever-evlolving 제3자 표준]은 지속적인 개선의 문화를 만들 목적으로, HPE 기관과 커리큘럼의 약점을 식별하고 개선하기 위해 도입deploy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증은 [커리큘럼의 "화석화"를 방지]할 수 있다[38]. 현장 평가관 및 동료 평가관을 사용하여 인증 프로세스도 혁신과 모범 사례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CQI 인증 모드에서 사회는 가능한 최고의 졸업생을 배출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커리큘럼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을 보장함으로써 봉사한다.
Others describe accreditation as truly a formative process of CQI: programs, institutions, or systems are measured against standards to provide feedback on areas of strength and areas that can be improved [28,29,30,31,32,33,34,35,36,37]. Collecting accreditation information in program or institutional portfolios or “report cards” can support ongoing monitoring and improvement of key aspects of education [20, 36, 37]. Ever-evolving third-party standards can be deployed to identify and ameliorate weaknesses in HPE institutions and curricula, with the intention of creating a culture of continuous enhancement. In this way, accreditation can prevent the “fossilization” of curriculum (something Abrahamson called “curriculum ossification”) [38]. Accreditation processes, using onsite surveyors and peer review, can also disseminate innovations and good practices. In the mode of accreditation as CQI, society is served by ensuring a continuous quest for the most effective curricula to produce the best possible graduates.

 

 

인증은 의료 결과에 어떻게 기여합니까?
How does accreditation contribute to health care outcomes?

 

교육 품질의 표준을 만들 때, 인증 프로세스는 전문직 또는 전문직 커뮤니티의 가치를 전달한다. 이러한 표준의 작성은 원하는 의료 결과와 일치시켜 의료 직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2]. HPE의 품질이 졸업성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명백한 증거가 있다. Asch [11], Tamblyn [39], Bordage [40] 등의 작업은 [교육 환경]이 [졸업생 능력graduate abilities]과 [의료행위 패턴]에 미치는 심오하고 영구적인 영향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증거는 또한 [조직적 요인 및 시스템적 요인]처럼 (임상 기술 및 지식 획득 외에도) 의사 성과 변동에 기여하는 요인이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학습 환경에서 이러한 요인을 검토하기 위한 전체론적holistic 인증 시스템의 사례가 된다[9, 14].
In creating standards of educational quality, the accreditation process communicates the values of a profession or professional community. The creation of these standards should consider societal needs for the health professions, aligning them with desired health care outcomes [2]. There is clear evidence that the quality of HPE has a powerful impact on graduate outcomes. Work by Asch [11],Tamblyn [39], Bordage [40], and others clearly demonstrates the profound and permanent impact of the educational setting on graduate abilities and practice patterns. Evidence also suggests that there are factors contributing to physician performance variation that occur outside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organizational and systemic factors, thereby making the case for a holistic accreditation system to examine these factor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9, 14].

Braithwaite 및 동료와 같은 저자들의 새로운 연구는 [인증 활동이 원하는 임상 및 기관 결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타당성 증거를 제공했다 [41,42,43]. HPE 시스템에서 인증은 교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가상의 "가치 사슬"에 기여합니다. 최소 요건이 충족되도록 보장함으로써 인가는 교육과 실무의 변동을 줄이고 승인된 기술혁신의 채택을 촉진할 수 있다. QA와 CQI를 통해 인증은 학습자 선발, 커리큘럼 내용, 교육 활동, 학습 환경, 평가 시스템, 그리고 궁극적으로 졸업생의 역량과 실습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료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러한 졸업생들의 의료행위practice이다. 따라서 인증은 효과적인 의료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2, 7, 9, 11].

The emerging work of authors such as Braithwaite and colleagues has provided validity evidence for the positive impact of accreditation activities on desired clinical and institutional outcomes [41,42,43]. In HPE systems, accreditation contributes to a virtual “value chain” through its impact on the quality of training. By ensuring that minimum requirements are met, accreditation can decrease variation in education and practice, and promote adoption of accepted innovations. Accreditation, through both QA and CQI, can influence the quality of learner selection, curriculum content, teaching activities, learning environments, assessment systems, and ultimately the competence and practice of graduates. It is the practice of these graduates that directly impact health care outcomes. Therefore, accreditation is an essential ingredient in an effective health care system [2, 7, 9, 11].

 

HPE에서 인증 시스템의 공통 핵심 요소는 무엇입니까?
What are the common core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s in HPE?

 

전 세계의 인증 시스템은 많고 다양합니다. 각각은 고유한 맥락에서 진화했으며 고유한 특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4]. IHPAOC는 인증 시스템의 핵심 요소에 대한 공통 유형론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10개의 핵심 요소는 표 4에 열거되어 있다. HPE의 연속체 전체에 걸친 인증 시스템은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와 관련된 설계 특성은 Taber 등이 다른 IHPAOC 논문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45].
Accreditation systems around the world are numerous and varied. Each has evolved in its unique context and is composed of unique features [44]. IHPAOC identified the need for a common typology of core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s, and so proposed a simple framework. The 10 core elements are listed in Table 4. Accreditation systems across the continuum of HPE typically have these components, although with great variation. Design features related to these various elements are elaborated in another IHPAOC paper by Taber et al. [45].

 

Table 4 10 core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s

 

 

이러한 각 요소에 대해, 인가가 품질 결과에 기여하는 데 필수적인 특징에 대한 명확한 증거나 합의가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 요소의 힘은 인증 시스템 설계와 비교를 위한 일종의 공통어lingua franca로서의 약속에 있다.
For each of these ele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clear evidence or consensus as to which features are essential for accreditation to contribute to quality outcomes. However, the power of these core elements is in their promise as a kind of lingua franca for accreditation system design and comparison.

 

 

동향과 긴장: HPE 인증의 새로운 발전?
Trends and tensions: emerging developments in HPE accreditation?

 

마지막 과제로, IHPOAC 참가자들은 HPE가 21세기의 고유한 맥락에서 진화함에 따라 몇 가지 동향과 긴장을 강조했다.

As a final task, IHPOAC participants highlighted several trends and tensions as HPE evolves in the unique context of the twenty-first century.

 

[총괄 대 형성? QA 대 CQI?]

첫 번째 주요 주제는 인증 시스템의 QA와 CQI 기능 사이의 긴장을 다룬다. 이것은 오늘날까지 계속되는 영원한 논쟁이다. 인증의 역할에 대한 두 가지 관점 모두 교육의 품질 데이터를 표준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CQI 관점은 확인된 차이를 바탕으로 종합적 판단을 내리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다. CQI 인증은 프로그램이나 기관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며, 심지어는 더 높은 수준의 품질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코칭도 시도한다. 이러한 이분법은 인증제도가 근본적으로

  • 형성적(대상 개선의 명시적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이어야 하는지, 아니면
  • 총괄적(대상의 성과나 상태에 대한 판단)이어야 하는지

...에 대한 또 다른 논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IHPAOC 위원들은 인증 설계자가 프로세스의 목표뿐만 아니라 QA 대 CQI와 관련된 방법을 명시적으로 식별하고 전달해야 한다고 확인했다. 
Summative vs. formative? QA vs. CQI? The first overarching theme deals with the tension between the QA and CQI functions of accreditation systems. This is a perennial debate; one that continues to this day. While both perspectives on the role of accreditation involve the comparison of educational quality data to a standard, the CQI view goes beyond making a summative judgment based on the identified gaps. CQI accreditation attempts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how to enhance a program or institution, perhaps even coaching on how to achieve a higher level of quality. This dichotomy is closely related to another debate as to whether accreditation systems should be fundamentally

  • formative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express purpose of improvement of the target) or
  • summative (judgment made on the merit or status of a target).

IHPAOC members identified that accreditation designers should explicitly identify and communicate the goals of the process, as well as how those goals relate to QA vs. CQI [45].

[연속적 대 일화적?]

서밋 참가자들은 프로그램/기관/시스템의 [일화적이고 가끔 발생하는 "생검"]보다는, 이러한 [목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다 지속적으로 샘플링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확인했다. IHPAOC 위원들은 다시 한번 이 문제가 [인증제도의 목적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 [일화적 샘플링]은 더 고부담 평가인 경향있고, 주기적 정보수집에 큰 비용을 수반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그것은 인증 활동들 사이의 긴 주기를 허용했다. 어떤 면에서는, 일화적 리뷰가 교육 업무에 덜 지장을 줄 수 있다.
  • 한편, [지속적 샘플링]에 대한 주장은 인가자가 시간 경과에 따른 HPE의 변화를 감시하고, 준수 또는 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조기에 개입하며, 품질과 모범 사례에 대한 대화가 프로그램, 기관 및 시스템에 항상 존재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 논의에 덧붙여, Akdemir 등이 작성한 IHPAOC 논문은 다음과 같다. 세 가지 의료 교육 시스템을 검사하기 위해 정부 감독 연구에서 제시한 7가지 핵심 가치를 사용한다 [46].
Continuous vs. episodic? Participants in the Summit identified a shift from episodic, occasional “biopsies” of programs/institutions/systems to more continuous sampling of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ose targets. Once again, the IHPAOC members felt that this issue should be tailored to the purpos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 Episodic sampling tended to be higher stakes and to involve expensive periodic information gathering; however, it allowed low periods between accreditation activities. In some ways, episodic reviews could be less disruptive to educational work.
  • On the other hand, the argument for continuous elements in accreditation processes is that they allow accreditors to monitor changes in HPE over time, intervene early to ensure adherence or improvement, and ensure that conversations about quality and good practices are always present in programs, institutions, and systems.

Adding to this discussion, the IHPAOC paper authored by Akdemir et al. uses the seven core values set out in a study of government oversight to examine three medical education systems [46].

[현장 방문 대 문서 검토?]

또 다른 문제(인증 관행의 변형과 관련된 문제)는 데이터 수집 방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 문서 검토는 교육 목표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으로, 기술된 것을 인가 표준에 비교한다.
  • 그러나 실제 교육 환경에서 표준을 준수한다는 증거를 찾는 전문가 동료 또는 채용된 검토자가 보다 비싸고 자원 집약적인 현장 검토(일명 "조사"라고 함)를 옹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현장 검토는 직접 정보 제공, 여러 참가자와의 연락, 풍부한 정보 출처의 접근 등의 분명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45].

Onsite visits vs. document reviews? Another issue—one related to variations in accreditation practices—relates to the methodology of data gathering.

  • Document reviews are efficient ways to gather information on an educational target, comparing what is described to accreditation standards.
  • However, others advocate for more expensive, and resource-intensive, onsite reviews (sometimes called “surveys”) by expert peer or hired reviewers who look for evidence of adherence to standards in the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 Onsite reviews have the obvious advantages of first-hand information, contact with multiple participants, and access to richer sources of information [45].


[동료 평가 대 인증 전문가 검토?]

누가 인증 심사를 수행해야 하는가? IHPAOC 위원은 전임으로 인가를 전담하는 고용된 전문가와 자신의 경험을 반영하는 진정한 관점을 제공하는 선별된 동료 검토자 사이의 토론을 식별했다. 선택을 안내할 증거가 없는 가운데, 정상회의 참석자들은 그 결정이 [철학과 실용성]에 기초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예를 들어:

  • 진정성이나 전문성이 더 중요합니까?
  • 전문가 대 동료의 가용성은 어느 정도입니까?
  • 이노베이션의 '교차 수정'이 중요합니까? [46, 47]?

Peer review vs. accreditation expert review? Who should conduct accreditation reviews? IHPAOC members identified a debate between hired experts who are dedicated to accreditation full time and selected peer reviewers who provide authentic perspectives reflective of their own experiences. With no evidence to guide the choice, Summit participants concluded that the decision should be based on philosophy and practicality. For example:

  • Is authenticity or expertise more important?
  • What is the availability of experts vs. peers?
  • Is cross-fertilization of innovation important [46, 47]?


[결과 대 과정 측정?]

전 세계 인증기구 사이의 논쟁에서 발생하는 최종적인 긴장감은 과정(예를 들어, 이 가르침이 발생하는가?) 또는 성과(예: 졸업생이 이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가?) 사이에 얼마나 가중치를 둘 것인지이다. 과정 척도는 일부 경우에 기대성과를 대신하는surrogate 특징이 있고, 성과 척도에 비해서 측정이 쉽다. 또한 성과 척도는 복잡할 수 있고, 시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교란될 수 있다. 정상회의 참석자들은 [더 많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증 표준에 대한 결과 척도를 (전적으로 배타적이진 않더라도) 더 많이 사용하는 쪽으로 옮겨는 뚜렷한 변화를 확인했습니다 [48].

 

Outcomes vs. process measures? The final tension occurring in debates among accreditors worldwide is related to how much to weight standards to process (e.g., Does this teaching occur?) vs. outcomes (e.g., Can graduates perform this surgery?). Process measures were characterized as surrogates for the desired outcome in some cases, and they are often easier to measure than outcome measures, which can be complex, temporally distant, and confounded. Summit participants identified a distinct shift to greater, but not exclusive, use of outcome measures for accreditation standards as more data become available [48].

 

 

고찰

Discussion

 

HPE는 종종 모든 국가의 의료 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로 언급된다. 그러나, HPE가 poor outcome와 수용하기 어려운 정도의 졸업성과의 variation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 또한 환자에게 해를 입혔다는 증거도 있다. 인증은 최소 표준 준수와 지속적인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보건 전문가들이 직면한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식별되었다. 이제 "품질 사슬의 연결"(그림 1)로 인증을 뒷받침하는 근거 자료가 있으며, 교육 활동 대 표준 측정으로 HPE 효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인증은 직업의 활력에 필수적이며 졸업생들이 현대적 실무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2,3,4,7,9,15,18,21,49].
HPE is often cit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health care system of any nation. However, there is evidence that HPE suffers from poor outcomes and unacceptable variation in graduate abilities. There is also evidence of patient harm. Accreditation has been identified as a solution to these challenges facing the health professions, one that can promote both adherence to minimum standards and continuous improvement. There is now an evidence base that supports accreditation as “links in a quality chain” (Fig. 1) and measuring educational activities versus standards has a powerful driving affect on HPE effectiveness. Accreditation is essential to the vitality of a profession and ensures graduates are safely and effectively prepared for contemporary practice [2,3,4, 7, 9, 15, 18, 21, 49].

IHPAOC의 설립과 제1차 및 제2차 세계 인증 결과 정상회의의 출범은 HPE 내의 기업으로서 인증에 대한 실무와 지식을 진전시킬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합의 네트워크는 HPE 시스템에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HPE 인증을 정의하기 위해 작동했다. 이를 통해 인증 기업의 설계 및 실무를 안내할 수 있는 초기 증거를 식별했습니다. 인증은 큰 근거의 부족으로 제한되며 핵심 요소의 공통 프레임워크의 부족뿐만 아니라 몇 가지 철학적이고 실용적인 토론과 논쟁에 의해 도전받는다. 이 글로벌 네트워크는 이러한 핵심 요소에 대한 방향과 HPE 인증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을 강화하고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HPE 인증을 평가하고 혁신하기 위해 이 작업을 기반으로 구축해야 한다.

The founding of the IHPAOC and the launch of the 1st and 2nd World Summits on Accreditation Outcomes provided a unique opportunity to advance practice and knowledge about accreditation as an enterprise within HPE. The consensus network worked to define HPE accreditation, as well as its role in HPE systems. In doing so, we identified early evidence to guide the design and practice of an accreditation enterprise. Accreditation is limited by lack of a large evidence base and challenged by several philosophical and practical debates and controversies, as well as the lack of a common framework of core elements. This global network has now proposed direction for these core elements and the issues facing HPE accreditation as it continues to evolve. There is an urgent need to build on this work to evaluate and innovate on HPE accreditation to enhance training and, thereby, enhance care.

 

결론

Conclusion

 

HPE 인증은 세계 각국의 보건 인력에 있어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 우리는 전 세계 교육자들이 HPE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축할 수 있는 HPE 인증에 관한 국제 컨소시엄의 결과를 보고한다. 공통 정의를 채택하고 반복되는 문제와 요소의 분류법을 식별함으로써, 우리는 전세계 HPE 인증 시스템의 다양성을 비교, 학습 및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다.

HPE accreditation plays a fundamental role in the health workforce for the nations of the world. We report the findings of an international consortium on HPE accreditation that educators around the world can build upon to advance the quality of HPE. By adopting a common definition and identifying recurring issues and the taxonomy of elements, we can begin to compare, learn from, and build upon the diversity of HPE accreditation systems worldwide.

 

 

 

 


BMC Med Educ. 2020 Sep 28;20(Suppl 1):305.

 doi: 10.1186/s12909-020-02121-5.

The role of accreditation in 21st centur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port of an International Consensus Group

Jason R Frank 1 2Sarah Taber 3Marta van Zanten 4Fedde Scheele 5 6 7Danielle Blouin 8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Outcomes Consortiu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Office of Specialty Educati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jfrank@royalcollege.ca.

  • 2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jfrank@royalcollege.ca.

  • 3Office of Specialty Educati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 4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hiladelphia, PA, USA.

  • 5OLVG Teaching Hospital, Amsterdam, The Netherlands.

  • 6VU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The Netherlands.

  • 7Athena Institute for Transdisciplinary Research, Amsterdam, The Netherlands.

  • 8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Queen's University, Kingston, Canada.

    • PMID: 32981519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Accreditation is considered an essential ingredient for an effective system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globally. While accreditation systems exist in various forms worldwide, there has been little written about the contemporary enterprise of accreditation and even less about its role in improving health care outcomes. We set out to 1) identify a global, contemporary definition of accredit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2)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accreditation to health care outcomes, 3) identify important questions and recurring issues in twenty-first century HPE accreditation, and 4) propose a framework of essential ingredients in present-day HPE accreditation.

Methods: We identified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leaders via a literature search and a Google search of HPE institutions, as well as by accessing the networks of other leaders. These leaders were invited to join an international consensus consortium to advance the scholarship and thinking about HPE accreditation. We describe the consensus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Outcomes Consortium (IHPAOC).

Results: We define accreditation as the process of formal evalu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institution, or system against defined standards by an external body for the purposes of quality assurance and enhancement. In the context of HPE, accreditation is distinct from other forms of program evaluation or research. Accreditation can enhance health care outcomes because of its ability to influence and standardize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continuously enhance curriculum to align with population needs, and improve learning environments. We describe ten fundamental and recurring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s commonly found in HPE and provide an overview of five emerging developments in accredit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based on the consensus findings.

Conclusions: Accreditation has taken on greater importance in contemporary HPE. These consensus findings provide frameworks of core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s and both recurring and emerging design issues. HPE scholars, educators, and leaders can build on these frameworks to advance research,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high-quality accreditation systems worldwide.

Keywords: Accreditation; Assessment; Curriculum; Learning environment; Outcomes; Quality improvement.

필수적인 일: 21세기에 평가인증의 중요한 역할(BMC Med Educ, 2020)

The essential enterprise: the critical role of accreditation in the 21st century
Jason R. Frank1,2*, Sarah Taber1, Marta van Zanten3, Fedde Scheele4,5,6, Danielle Blouin7 and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Outcomes Consortium

 

 

 

보건직업 교육(HPE)은 역량 기반 세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인증 변경은 이러한 이야기의 일부입니다 [1,2,3,4]. 100년 이상의 과학적, 교육적, 그리고 생물의학적인 혁신에도 불구하고, 건강 직업 교육은 계속해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HPE의 현재 설계에서는 대학원 역량, 환자 위해성 및 현대 의료에 대한 준비성의 결손과 변형이 주요 과제로 간주된다[5, 6]. 인증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까?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is undergoing rapid change to a competency-based world, and accreditation change is part of that story [1,2,3,4]. Despite over 100 years of scientific, instructional, and biomedical innovatio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inues to face criticism.

  • Deficits and variations in graduate competence,
  • patient harm, and
  • preparedness for modern health care

...are considered major challenges for current designs for HPE [5, 6]. Can accreditation help to address these issues?

인증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건강 전문가 교육(HPE) 시스템의 필수 요소로 간주되며, 이는 품질 보증과 지속적인 품질 개선을 위한 지렛대lever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필수적인 업무enterprise의 경우, HPE 인증에 관한 문헌의 본체는 작다. 인증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 우리는 모두 우리가 의미하는 "인증"에 동의하는가?
  • 인증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는 무엇입니까?
  • 주어진 상황에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입니까?
  • 현대 교육의 새로운 이슈는 무엇인가?
  • 모범 사례와 "다음" 사례는 무엇입니까?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알리기 위한 소수의 선구적인 학자들의 연구만 있을 뿐, 우리의 생각을 진전시킬 세계적 합의가 없다.

Accreditation is commonly view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an effectiv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system, valued both as a lever for quality assurance as well as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However, for such an essential enterprise, the body of literature on HPE accreditation is small. Accreditation systems exist worldwide in a wide variety of forms.

  • Do we all agree on what we mean by “accreditation”?
  • What are the essential components of an accreditation system?
  • What works best for a given context?
  • What are the emerging issues in contemporary education?
  • What are best and “next” practices?

We have only the work of a few pioneering scholars to inform these questions, and no global consensus on which to advance our thinking.

 

 

국제 보건 전문가 인증 결과 컨소시엄(IHPAOC)의 실무 인증 커뮤니티에 들어갑니다. 우리는 HPE 인증의 관행을 진전시키기 위해 2012년에 이 단체를 설립했습니다.
Enter an accreditation community of practice, the 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Outcomes Consortium (IHPAOC). We founded this organization in 2012 to advance the practice of HPE accreditation.


현재까지 이 단체는 2013년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국제 레지던시교육회의(ICRE)와 연계한 HPE 인증에 관한 세계 정상회의와 2018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유럽의료교육협회(AMEE) 회의와 연계한 세계 정상회의 2개를 마련했다. 두 정상 모두 HPE 인증의 현재 상태와 미래 방향과 관련된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반복적인 그룹 프로세스를 사용했다.
To date, this group has organized two world summits on HPE accreditation, one in 2013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sidency Education (ICRE) in Calgary, Canada, and the second in 2018 in conjunction with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conference in Basel, Switzerland. Both summits used an iterative group process to identify themes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and future directions for HPE accreditation.


2013년 첫 세계정상회의에서 캐나다, 미국, 호주, 유럽, 중국 등 전 세계 IHPAOC 위원들은 우선적인 주제를 파악하고 연구 의제를 구축하기 위한 토론과 공감대 형성의 협력 과정에 들어갔다. 확인된 주제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작업 그룹이 구성되었고 각 그룹은 논문을 작성했다. BMC Medical Education은 IHPOAC 연구 결과를 공개 액세스 형식으로 널리 보급하기 위한 차량으로 선택되었습니다. 이것은 결과적인 인가서 시리즈이다.

At its first world summit in 2013, IHPAOC members from around the world, including Canada, the United States, Australia, Europe and China, began a collaborative process of discussion and consensus-building to identify priority topics and build a research agenda. Working groups were formed to further elaborate on the identified topics and each group produced a paper. BMC Medical Education was chosen as vehicle to widely disseminate the IHPOAC findings in an open access format. This is the resulting accreditation paper series.

 

각 논문은 인가에 관한 문헌에 주된 기여를 한다. 

  • Frank 등이 이 시리즈의 첫 번째 논문은 인증의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고, 인가의 목적과 투자 수익률을 조사하며, HPE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10개의 기본적이고 반복적인 인가를 위한 요소를 정의한다.
  • Taber 등의 두 번째 논문은 인증 시스템에 대한 운영 설계 결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Bandiera 등이 작성한 세 번째 논문은 프로세스로부터 결과로 초점을 전환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의 필요성을 탐구한다.
  • Akdemir 등이 작성한 시리즈의 네 번째 논문은 지속적인 품질 개선의 역할을 검토하고 인증을 위한 핵심 가치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 Philibert 등이 쓴 마지막 논문은 HPE의 사회적 대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네 가지 우선 순위를 설명하고, 변화를 위한 지렛대로 인가를 사용하여 시스템, 기관, 프로그램 및 개별 수준에서 접근 방식을 식별한다.

Each paper makes a primary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accreditation.

  • The first paper in this series by Frank et al. presents a new definition of accreditation, examines its purpose and return on investment, and defines 10 fundamental and recurring elements of accreditation systems commonly found in HPE.
  • The second paper by Taber et al. provides a framework for operational design decisions for accreditation systems.
  • The third paper, by Bandiera et al., explores the need for accreditation systems to shift their focus from processes to outcomes.
  • The fourth paper in the series by Akdemir et al. examines the role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nd develops a core values framework for accreditation.
  • The last paper, written by Philibert et al., describes four priorities to enhance the societal responsiveness of HPE, and identifies approaches at the system, institution, program and individual levels using accreditation as a lever for change.

IHPOAC 커뮤니티의 모든 참가자들에게 많은 감사를 표합니다. 본 부록이 인증 기업에 귀중한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궁극적으로, 컨소시엄의 목표는 인가 및 보건 시스템과 보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범 사례를 연결하는 장학금 제도를 지속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Many thanks to all the participants in the IHPOAC community for all their contributions. It is our hope that this supplement provid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accreditation enterprise. Ultimately, the consortium’s goal is to continue to build a body of scholarship connecting good practice in accreditation and impact on health systems and health outcomes.

 

 


Editorial

 

BMC Med Educ. 2020 Sep 28;20(Suppl 1):304.

 doi: 10.1186/s12909-020-02120-6.

The essential enterprise: the critical role of accreditation in the 21st century

Jason R Frank 1 2Sarah Taber 3Marta van Zanten 4Fedde Scheele 5 6 7Danielle Blouin 8International Health Professions Accreditation Outcomes Consortiu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 1Office of Specialty Educati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jfrank@royalcollege.ca.

  • 2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Canada. jfrank@royalcollege.ca.

  • 3Office of Specialty Educati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Canada.

  • 4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hiladelphia, PA, USA.

  • 5OLVG Teaching Hospital, Amsterdam, The Netherlands.

  • 6VU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The Netherlands.

  • 7Athena Institute for Transdisciplinary Research, Amsterdam, The Netherlands.

  • 8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Queen's University, Kingston, Canada.

    • PMID: 32981522

 

 

변화는 쉽지 않다: 관리 이론이 의학교육의 변화에 적용(Med Educ, 2020)

Change is never easy: How management theories can help operationalise change in medical education

Lisi Gordon1 | Jennifer A. Cleland2




1 도입 

1 | INTRODUCTION


조직 변화와 개발에 대한 표준적인 사고방식은 [변화는 정책 입안자, 지도자 및 관리자가 조직의 비전, 구조 또는 절차를 변경한 후 다른 사람들이 새로운 전략을 실행하도록 설득할 때 발생함]을 시사한다.1,2 그러나 그러한 하향식(최고 경영자[경영자]가 주도) 변화 노력은 종종 의도한 목적을 충족하지 못하며, 그 대신 [혼란, 개인과 집단으로부터의 변화에 대한 저항,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3 이것은 의학 교육에서도 다르지 않다. 지난 몇 십 년 동안 의학 교육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Standard ways of thinking about organis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suggest that change happens when policymakers, leaders and managers change the vision, structure or procedures of an organisation and then persuade others to implement their new strategy.1,2 However, such top-down (driven by the top [management]) change efforts often fail to meet their intended purposes and instead result in disturbance, resistance to change from individuals and groups, and unintended consequences.3 This is no different in medical education. Major changes have occurred in medical education over the last few decades


이러한 주목할 만한 사례들에도 불구하고, 변화를 위한 다른 시도들은 덜 성공적이었다. 의료 교육에는 다양한 교육과정 구성의 변화, 선택 과정과 의과대학 공간, 그리고 새로운 학습 도구의 도입이 어떻게 계획대로 작동하지 않았는지를 보여주는 많은 예가 있다.10-12 변화의 실제 과정 또한 간단하지 않다: 의학 교육에서 커리큘럼을 개혁하려는 시도는 이전에 도전적이고 파괴적인 것으로 묘사되어 왔으며, 종종 프로세스의 실제적인 개혁은 없이 같은 것만 반복하는 형태의 exercise로 나타났다.

Despite these notable examples, other attempts at change have been less successful. There are plenty of examples in medical education that illustrate how the changing of different curricular ingredients, selection processes and medical school space, and the introduction of new learning tools, did not work as planned.10-12 Nor are the actual processes of change straightforward: attempts to reform curricula in medical education have been previously described as challenging13 and disruptive,14 and often manifest as an exercise that results in the repetition of sameness but no actual reform of the process.15,16


왜 이런가? 우리는 의학교육과 훈련이 매우 복잡하며, 사람, 상황 및 시스템 사이의 다중 관계와 연결에 의해 특징지어지기 때문이라고 믿는다.17 이러한 [상호연결은 그 자체가 광범위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시스템은 다시 개인과 그룹에 발생]시킨다.3 예를 들어, 맥락 또는 주변 환경prevailing environment은 변화가 구현되고 변화가 일어나고 결과가 나타나는 기본 프레임이다.21 이러한 요인에 대한 깊고 넓은 이해 없이, 복잡한 문제를 단순한 해답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취급하는 것은, 해결주의solutionism의 희생양이 될 위험을 무릅쓰는 것이다. 그러나 한 곳에서 작용하는 것은 다른 곳에서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개인과 팀은 중복되고 상호연결된 여러 컨텍스트에 걸쳐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컨텍스트의 영향을 받을 것이며, 따라서 의학교육의 결과나 목표는 정적인 것이 아니다. 의료의 글로벌 및 국가적 사회적 보건의료와 의학교육의 동인drivers에 기초하여 변화한다. 글로벌 COVID-19 대유행 사태에 대응하여 의료교육이 최근에 현저하게 변화한 것은 매우 적절한 예다.24

Why is this the case? We believe this is because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are highly complex and are characterised by multiple relationships and connections among people, contexts and systems.17 These interconnections generate their own impacts on the wider system(s) and the system(s) in turn impacts on individuals and groups.3 For example, the context, or prevailing environment,18-20 is the underlying frame within which change is implemented, change occurs, and outcomes emerge.21 Without a deep and broad understanding of these factors, we risk falling prey to solutionism, the theme of this special issue, by treating complex problems as if they have simple answers. However, what works in one place may not work in another. Individuals and teams may straddle multiple, overlapping and interconnected contexts and therefore will be influenced by, and will have influence on, these contexts.3,22 Moreover, the outcomes, or goals, of medical education are not static: they shift on the basis of global and national societal drivers of health care, and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23 a very pertinent example being the recent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livery of medica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global COVID-19 pandemic.24


의학 교육의 복잡성에 대한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보건의료 시스템에 대한 생각을 반영한다.

The notion of complexity in medical education is not new25-27 and mirrors thinking about health systems.28-32


의료 교육에는 [복잡성의 담론]이 존재하지만, 복잡성이 언제나 중요하게 여겨지지는 않는 듯 하다. 종종 복잡성을 인정하지 못하거나 이 복잡성이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지 않아서 [변화의 바람직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결과]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학교육이 단순하지도 않고 안정적이지도 않으며 고도로 맥락화되었기에, 변화와 관련된 우려와 질문을 기술, 이해 및 해결하고자 한다면 근본적으로 다중 연결과 복잡성을 인지해야 한다.

although the discourse of complexity is present in medical education, it does not seem privileged in the everyday sense: undesirable or unanticipated consequences of change are often attributable to failures to acknowledge complexity and the impact of this complexity.34-36 However, if medical education is neither simple nor stable, and is highly contextualised, ways of perceiving multiple connections and complexity are fundamental when seeking to describe, understand and address concerns and questions related to change.14


나아가 우리는 이론을 포용하는 것은 특별한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왜냐면, 이는 [서로 다른 수준의 분석을 교차 분석하여] 마이크로 레벨로 '줌인'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 수준(마이크로 수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더 넓은 [제도적, 심지어 국가적 또는 국제적 수준(매크로 수준)에서 일어나는 것]과 '줌 아웃'하여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Furthermore, we believe there is particular value in embracing theories that cross-cu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and allow us to ‘zoom in’ to micro levels, as well as to ‘zoom out’ and connect what is happen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e micro level) to what happens at a wider institutional and even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the macro level).39


이러한 다단계적 이해는 조직변화가 성공하거나 실패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변화와 관련된 사람들이 변화 프로세스와 관련된 불확실성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se multi-level understandings can help explain why organisational changes succeed, fail or have unintended consequences, and will help those involved in change to anticipate and manage uncertainty associated with a change process.


우리는 의료 교육에 복잡성complexity 렌즈를 적용하는 것이 우리가 처음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의학 교육 연구에서 조직 이론의 더 큰 사용을 고려하라는 문헌상의 이전의 요구에 대응하여, 우리는 조직 연구에서부터 의료 교육의 변화의 복잡성에 이르기까지 이론적 관점을 명시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분야의 지식을 더하고자 한다. 이 궁극적 목적은 사고와 탐구의 새로운 길을 열기 위해 다른 사고 방식을 장려하는 것이다.

We acknowledge that we are not the first to apply a complexity lens to medical education.31-33 However, in response to earlier calls in the literature to consider the greater use of organisational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40 we add to knowledge in the field by explicitly connecting theoretical perspectives from organisation studies to the complexity of change in medical education, with the ultimate aim of encouraging different ways of thinking in order to open new avenues for thought and exploration.


2 기관 로직

2 | INSTITUTIONAL LOGICS


제도적 로직[(국가 문화와 정치 등) 사회 차원의 제도적 질서와 사회 차원의 규범에 대한 관심이 조직적, 집단적,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이라고 주장한 프리들랜드와 알포드(41)에 의해 도입되었다. '로직logics'이란 사회적 '현실을 정리하는ordering 방법', 또는 [조직적, 전문적 또는 개인적 수준에서 목표, 행동 및 관행을 형성하는 기대, 규범, 신념 및 규칙]이다.39, 49 

Institutional logics was introduced by Friedland and Alford,41 who argued that attention to society-level institutional orders such as national culture and politics, and society-level norms was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organisational, group and individual behaviour. Logics are societal ‘ways of ordering reality’,41 or expectations, norms, beliefs and rules that shape goals, behaviours and practices at an organisational, professional or individual level.39, 49 


최근에 IL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추정, 가치, 신념을 포함하여 [사회적으로 구성된 문화적 상징과 물질적 실천의 역사적 패턴]으로서, 개인과 조직은 이것에 의하여 [그들의 일상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고, 시간과 공간을 조직하며, 그들의 삶과 경험을 재현]한다.

More recently, IL has been defined as ‘socially constructed historical patterns of cultural symbols and material practices, including assumptions, values and beliefs by which individuals and organisations provide meaning to their daily activity, organise time and space, and reproduce their lives and experiences’.49


이러한 로직이나 영향은 종종 당연하게 여겨지며, 확립된 규범을 통해 활동을 통제한다.49 예를 들어 서구 의료의 경우, 의료 전문직 로직 [전통적으로 전문가 지식과 자율적 실천에 내재]되어 있었고, 역사적으로 [의료 시스템을 어떻게 바라봐왔는지와 의사 결정이 어떻게 집행enact되어왔는지]를 지배해 왔다.39 그러나 의료 제공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정부의 의료비 지원 능력(또는 성향)의 감소는 [경영주의]와 [시장 및 기업 로직]의 영향 모두를 증가시켰다. 50, 51

These logics, or influences, are often taken for granted and control activity through established norms.49 For example, in Western health care, medical professional logics, traditionally embedded in expert knowledge and autonomous practice, has historically governed how health care systems have been viewed and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enacted.39 However, increasing demand for health care provision and reductions in the ability (or inclination) of governments to fund health care in its entirety have led to rises in both managerialism and the influence of market and corporate logics.50, 51


다수의 로직이 동일한 공간에 존재하며(예: 관리주의 대 프로페셔널리즘), 지배력 다툼을 한다.49, 54-56 서로 다른 로직 사이의 관계의 정확한 본질은 많이 논의되고 논쟁이 되어왔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서로 다른 로직의 영향력이 동일한 공간에 공존할 수 있다(로직 세그먼팅). 물론 로직이 미치는 영향은 actor에 따라서 다양할 것이며, actor마다 서로 차별적으로 제정되고 확대될 것이다.54

Multiple logics exist in the same space (eg, managerialism versus professionalism) and vie for dominance.49, 54-56 The precis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logics is much discussed and debated, but, generally speaking, different logics can coexist in the same space (logic segmenting), although the influence of these different logics on actors will vary, and they will be enacted and expanded on differentially by different actors.54


예를 들어, 의학교육은 일반적으로 [의료]와 [교육]에 내재된 로직의 영향을 모두 받는데, 이것은 서로를 보완하거나 보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로직과 각각의 영향력의 차이는 논리적인 의미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하나의 지배적인 논리에서 다른 논리로 변화할 수 있다.57-59

For example, medical education is typically influenced by the logics inherent in both health care and education, which may or may not complement one another. Differences between logics and their respective influences can lead to change in logic meanings and shifts from one dominant logic to another.57-59



3 IL을 의학교육 연구에 적용

3 | APPLYING IL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IL을 사용하는 의학교육 연구는 개인, 팀 및 조직이 [어떻게 practice에서 여러 로직들]로부터, 그리고 [여러 로직 사이의 상호 작용(그리고 잠재적 밀어내기-당기기 긴장)]으로부터 의미를 도출하고 제정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56 2010년에 발표된 한 논문은 의학교육에서 [과학]과 [돌봄]의 다원적 로직을 고려하고, 그리고 여러 맥락적 요인(예: 관리적 치료의 증가, 더 많은 수의 여성의 의학으로의 진입)이 어떻게 하나 또는 다른 논리와 연관되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하는지, 그리고 미래의 의사들을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한 역동적인 긴장을 조성했다.62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at uses IL should focus on how individuals, teams and organisations draw meaning from and enact different logics in practice, and the interplay (and potential push–pull tension) between different logics.56 One position paper published in 2010 considered the overarching plural logics of science and care in medical education, and how different contextual factors (eg, the rise of managed care, the entry to medicine of greater numbers of women) were associated with one or other logic, and how these fluctuated over time, and created dynamic tensions about how to educate future doctors.62


우리는 IL을 경험적 작업의 프레임워크로 사용하는 두 논문만 확인했는데, 이들은 모두 같은 팀에서 생산한 논문들로, 지역, 국가 및 국제적 맥락 차이에도 불구하고 보건 전문직 교육 장학단(HPESU)이 가치와 관행을 어떻게 공유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었다.63,64

We identified only two papers using IL as a framework in empirical work, both of which were produced by the same team, who were looking specifically at how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cholarship units (HPESUs) shared values and practices despite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ual differences.63,64


다음은 (a) 재정적 책임, (b) 응집력 있는 교육 연속성, 그리고 (c) 학문적 연구, 봉사, 교육의 논리였다. 이들은 모든 HPESU에 걸쳐 일반적인 로직이었지만, 저자들은 다양한 로직들이 [더 넓은 국가 시스템을 반영하여, 각 맥락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지배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각 논리의 상대적 힘은 활동의 성격(예: 봉사 또는 학술활동에 소비되는 시간의 균형)과 각 단위가 평가한 산출물에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이러한 로직의 이해는 왜 개별 단위가 특정한 방식으로 구조되고 기능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결론지었다.

These were the logics of: (a) financial accountability; (b) a cohesive educational continuum, and (c) academic research, service and teaching. Although these were common logics across all HPESUs, the authors identified that different logics held different degrees of dominance in each context, reflecting wider national systems. The relative power of each logic influenced the nature of the activities (eg, the balance of time spent on service or scholarship) and outputs valued by each unit. They concluded that understandings of these logics gave insight into why individual units are structured and function in particular ways.


더 넓은 문헌을 살펴보면, IL 관점을 이용한 연구는 [관리managerial 로직]과 [의료medical 로직] 사이에 내재된 투쟁을 보여 주었다.39, 58 의료 교육에서, 예를 들어 봉사와 교육 제공 사이에 유사한 긴장이 존재한다.65

Looking at the wider literature, research using an IL perspective has illustrated an inherent struggle between health care managerial logics and medical logics.39, 58 In medical education, similar tensions exist between, for example, service and education provision.65


세그먼팅segmenting의 예는 [전문직 표준]과 관련된 다중 로직과 관련이 있다. 영국의 General Medical Council 또는 Australian Health Practicer Regulation Agency와 같은 [전문 협회에 의해 설정된 교육 표준]은 [개별 의료 기관이 설정한 직장 표준]의 로직과 경쟁할 수 있고 경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의과대학을 관할하는 [규제기관이 정한 교육기준]은 평가 및 진행과 관련된 [지역 대학 규정]과 긴장관계에 있을 수 있다. 기관 로직은 이러한 로직들이 어떻게 공존하는지를 탐구하는 프레임워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문성과 전문적 행동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잠재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종단적 작업은 개인과 집단의 행위자성이 조직적 및 전문적 로직 양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드러낼 수 있다.

An example of segmenting in medical education relates to the multiple logic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standards. Education standards set by professional associations, such as the UK’s General Medical Council or the Australian Health Practitioner Regulation Agency, can and do compete with the logics of workplace standards that have been set by individual health care organisations. Similarly, education standards set by regulators whose remit covers medical schools can be in tension with local university regulations relating to assessment and progression. Institutional logics could be used as a framework to explore how these logics coexist, potentially providing new perspectives on, for instance, meaning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behaviours. Longitudinal work in this field might reveal the agency of individuals and groups to influence both organisational and professional logics.


4 패러독스 이론

4 | PARADOX THEORY


패러독스 이론은 [오랜 시간동안 공존하고 되어온, 조직 내에서 상충되지만, 상호 연관된 목표와 상충하는 요구]에 초점을 맞추는 이론의 그룹을 말한다.66,67 [이러한 동시적이고 일관성 없는 상태는 아주 흔하며, '혁신과 효율성, 협업과 경쟁, 또는 새로운 것과 낡은 것' 사이]에 있을 수 있다.68 

Paradox theory refers to a group of theories that focus on the conflicting but inter-related goals and competing demands within an organisation that coexist and persist over time.66,67 Considered ubiquitous, these simultaneous, inconsistent states may be between ‘innovation and efficiency,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or new and old’.68 


  • 예를 들어, 변화 계획 및 집행을 위한 프로젝트 팀 구성(예: 교육과정 개혁)과 관련된 조직적 변화는 역할 모호성을 야기할 수 있다(예: 개혁이 우선인가 평상시처럼 하는 것이 우선인가). 

  • 직원 대 조직 긴장의 다른 예로 상여금(일부 국가의 대학에서는 표준)과 같은 관행을 사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동료들 간의 경쟁과 갈등을 유발하고 웰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69 

이러한 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목표와 입장의 결과로) 어떻게 패러독스가 시스템에 내재되게 되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는지]를 보여준다.70

  • For example, organisational change involving the creation of project teams for planning and enacting change (eg, curriculum reform) can create role ambiguity (eg, is the reform or business-as-usual the priority?). 

  • A different example, that of an employee-versus-organisation tension, would be the use of practices such as bonuses (standard in universities in some countries), which can lead to rivalry and conflict among colleagues and have adverse effects on well-being.69 

These examples illustrate how paradoxes are both inherent in systems and socially constructed as a result of different stakeholders’ diverse goals and positions.70


패러독스 관점에서는 [조직 내의 긴장]이 [변화나 붕괴의 시기가 도래할 때까지는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70 패러독스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양가감정, 갈등, 혼란과 붕괴가 뒤따른다그러나 균형 잡힌 접근법을 찾는 것이 핵심이다: 패러독스의 긴장은 '이것 또는 저것' 방식의 접근법에 의해서는 해결될 수 없다. 한 긴장을 강조하면 다른 긴장감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이다이러한 방식은 단기적인 안도감을 제공하지만, 궁극적으로 방어적 자세를 유발하고 새로운 작업 방법의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

The paradox perspective views tensions within organisations as latent until times of change or disruption, at which point they become visible.70 If paradoxes are not attended to, ‘ambivalence, conflict, chaos and collapse ensue’.71 However, finding a balanced approach is key: paradoxical tensions are unresolvable by ‘either … or’ approaches because stressing one tension exacerbates the need for the other, perhaps providing short-term relief but ultimately raising defences and impeding the learning of new ways to work.72


클레랜드 외 연구진(Cleland et al40)은 [매니저와 외과의사, 레지던트 교육생들이 서로 갈등상황에 있는 여러 긴장을 발견했고, 그 이유는 서비스와 훈련의 균형을 맞추는 같은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긴장은 그룹과 그룹 내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들이 (공동의 목표가 아닌) 자신의 목표를 우선시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긴장감을 통해 일하려는 노력은 관계 개선과 의사소통으로 이어졌지만, 새로운 작업 방식을 찾아내지 못했고, 따라서 교육과 훈련 사이의 균형은 병원 구조 내에서 어떠한 실제적인 의미에서도 변화하지 않았다.

Cleland et al40 found many tensions apparent in the data, with managers, surgeons and resident trainees in conflict because they held differing perspectives on the same issue of balancing service and training. This adversely impacted on relationships across and within these groups and led to individuals prioritising their own goals. Efforts to work through these tensions led to improved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but no new ways of working were identified and hence the balance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did not shift in any real sense within the hospital structures.


패러독스 이론은 [조직의 사회적 맥락에서 반대되는 관점과 양립할 수 없는 입장]을 고려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며, [이들의 공존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즉, 잠재된 긴장을 가시화). 이렇게 함으로써 [서로 반대되는 긴장감tension]것이 모두 타당하며 건설적인 'both-and' 반응을 장려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66, 67, 73 패러독스 이론 사고방식으로 생각하면 사람들이 긴장과 맞서고, 내재된 모순을 면밀히 조사하며, 상호 경쟁적competing 요구에 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다.

Paradox theory provides a framework for considering opposing viewpoints and incompatible positions in the social context of an organisation and for raising awareness of their coexistence (ie, making latent tensions visible). The act of doing so affirms opposing tensions as equally valid and can be a means of encouraging constructive ‘both … and …’ responses.66, 67, 73 Put simply, thinking with a paradox theory mindset allows people to confront tensions, scrutinise inherent contradictions and find creative ways to meet competing demands.


특정 유형의 패러독스는 마이크로, 메소, 매크로 레벨에 걸쳐 작동하고 상호작용하며, 역설적 긴장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들은 공연, 조직, 소속, 학습을 하고 있는데, 각각 긴장 완화와 진보의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자세한 내용은 Cleland et al40의 허가를 받아 복제된 표 S1을 참조하십시오.)

Specific types of paradox operate and interact across micro, meso and macro levels, and different approaches to managing paradoxical tensions have been proposed.74 These are performing, organising, belonging and learning, each of which has different implications in terms of providing relief from a tension and potential for progress (for more detail, see Table S1,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Cleland et al40).


Paradox

Level

Explanation

Outcome

Performing

Where individuals are required to perform multiple, possibly competing, roles and tasks

Micro: individuals’ responses to conflicting demands in their own roles or arising from the roles of others with whom they share joint tasks

Contradictory actions as actors try to perform competing goals, or work towards different versions of success and failure

Organising

Where there are tensions between different possible ways of organising people and work

Macro: the structural conditions in which actors function and experience tensions

Tensions between different organisational tasks and functions, the interplay between structures that shape actions, and actions which shape structures

Belonging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 identity, and tensions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Meso: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their immediate group and the wider organisation

Actors struggle to reconcile the values and beliefs of their reference group with those of other groups and the wider organisation

Learning

Related closely to change, reflecting tensions that arise when new replaces old and people learn during the change

Multi: occurring within both actors and organisations

An underpinning tension contributing to the other paradoxes


5 패러독스 이론을 의학교육 연구에 적용하기

5 | APPLYING PARADOX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의대와 주립 대학 사이의 긴장을 고려해보라. 상위 조직에 대한 압력은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외부 규제의 대상이 되는 의과대학에 대한 압력과 다를 수 있다. 의과대학의 행위자와 구조물은 그들의 맥락에서 더 넓은 참조 그룹과 집단적 시스템(대학)의 일부가 되는 것의 균형이라는 관점에서, 권한 부여와 통제와 같은 긴장, 그리고 그 소속적 긴장 같은 조직화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consider the tensions between a medical school and its host university. The pressures on the overarching organisation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n the medical school, which is typically subject to additional external regulation. How do the actors and structures in the medical school respond to organising tensions like empowerment and control, and belonging tensions in terms of balancing being part of a collective system (the university) with the wider reference group of medical schools in their context?


대학은 정기적으로 내부 구조를 재검토하고, 효율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력을 재분배하고,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한다. 구조조정 중, 새로운 목표가 수립되고, 역할이 변경되며, 행위자 간의 관계가 재정립된다.80 이전 목표와 새로운 목표, 역할 및 관계 사이에 서로 다른 수준에서 긴장이 발생한다.

Universities regularly review internal structures and restructure to improve their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redistribute power and drive innovation. During restructuring, new goals are established, roles altered, and relationships between actors redefined.80 Tensions occur between the old and the new goals, roles and relationships at different levels.67, 70 


  • Performing의 역설은 개인이 자신의 역할과 공동의 과제를 공유하는 다른 사람의 역할 내에서 구현된 상반된 요구에 대응하려고 애쓰면서 미시적 수준에서 발생한다. 

  • Belonging의 역설은 서로 다른 집단이 다른 가치, 신념, 정체성을 구현하면서 집단의 구성원 자격과 충성심을 뒤흔들면서 메소 수준에서 발생한다.

  • Learning의 역설은 구조조정은 대개 새로운 절차와 새로운 frame of reference 프레임이 수반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 Paradoxes of performing arise at the micro level as individuals struggle to respond to the conflicting demands embodied within their own roles and within the roles of others with whom they share joint tasks.66 

  • Paradoxes of belonging occur at the meso level as different groups embody different values, beliefs and identities, shaking up group memberships and loyalties.80 

  • The final paradox is that of learning as restructuring is usually accompanied by new procedures and frames of reference.79, 81


조직관리 연구는 맥락이 조직에서 발생하는 패러독스의의 관리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감안하여 비교연구에서는 [의과대학]과 [의과대학에 소속된 개인]이 동일한 역설(예: 학습의 도제 모델에서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으로 전환)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응이 외부적(경제적, 사회문화적, 법적 등) 및 내부적(조직적, 프로세스, 가치 등) 요인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연구할 수 있다.

Management studies indicate that context is relevant to the management of organisational paradoxes. Given this, comparative studies could look at how medical schools and individuals working in medical schools respond to the same paradoxes (eg, shifting from the apprenticeship model of learning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nd how these responses are related to external (economic, sociocultural, legal, etc.) and internal (resources, process, values, etc.) factors.


6 복잡성 리더십 이론

6 |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복잡성 리더십 이론'리더십'을 [개인이나 개인의 역량에 할당된 개별적인 역할]보다는 개인, 집단 및 맥락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집합적 과정으로 간주하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법이다. CLT의 초점은 '조직 시스템 내부와 조직 시스템 사이에 존재하는 동적(변화하는, 상호작용하는, 임시적인) 비공식적 상호작용 패턴'이다. 이 때 CLT의 기초는 복잡성 이론의 상호연결성 개념에 있다.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is a relatively new approach which regards ‘leadership’ as a collective process that arises from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groups and contexts rather than from a discrete role allocated to an individual or an individual’s capacities.22,83,84 The focus of CLT is the ‘dynamic (changing, interactive and temporal) informal interactive patterns that exist in and among organisational systems’,43 a focus that illustrates CLT’s foundations in complexity theory’s notion of interconnectivity. 


이 틀에서 리더십은 근본적으로 [학습과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 내는 시스템적 현상]이며, 즉 [상호 작용과 긴장(인간과 비인간 둘 다 될 수 있음)의 산물]이다. 이와 같이, 리더십(그리고 이에 따르는 변화)은 개인이 적응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상호작용할 때 시스템 내의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framework, leadership is fundamentally a system phenomenon, or the product of interactions and tensions (which can be both human and non-human) that generate learning and new outcomes.22,43,85-87 As such, leadership (and, with it, change) can occur anywhere within a system when individuals interact over time to produce adaptive outcomes.


Uhl-Bien과 동료들은 CLT 관점에서 리더십의 3가지 광범위한 기능을 제안한다.22,43 

  • 첫째, 운영리더십조직 내부의 전통적인 위계 구조에 기초하며, 기능, 업무, 질서, 규제 및 규정된 조직적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 운영리더십의 중요한 역할은 조직의 구조 내에 아이디어를 translate하고 embed하는 것이다. 

  • 둘째는 기업가적 리더십은, 지역적 수준에서 작동하나, 그러나 동시에 조직과 시스템 내에서 그리고 상호연결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다. 기업가적 리더십은 ['긴장'과 새로운 도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적응, 혁신 및 학습(또는 출현)을 가리킨다.43,84 이 유형의 리더십은 [권력이나 권위의 행위]보다는 [비공식적이고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종종 보여진다.43,84 

  • 마지막으로 Enabling leadership[기업가적 리더십을 통해 발생하는 출현과 적응을 촉진]하고 [조직 내의 연결을 관리]한다. 즉, enabling leadership은 혁신과 적응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하는 것이며, 조직 구조 전반에 걸쳐 다른 시스템과 행정 구조로 [새로운 지식의 흐름을 보장]한다.

Uhl-Bien and colleagues propose three broad functions of leadership within a CLT perspective.22,43 

  • First, operational leadership is grounded in traditional hierarchies within an organisation, which focus on function, task, order, regulation and prescribed organisational outcomes.43,84 An important role of operational leadership is to translate and embed ideas and innovation in the structures of the organisation.43 

  • Second is entrepreneurial leadership, which tends to operate at a local level, but also at multiple levels within organisations and systems and in interconnected ways. Entrepreneurial leadership refers to the adaptation, innovation and learning (or emergence) that occur in response to ‘tensions’ and new challenges.43,84 It is often seen as informal and based on interactions rather than an act of power or authority.43,84 

  • Finally, enabling leadership works to both facilitate the emergence and adaptation that occur through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o manage the connections within the organisation.43,84 In other words, enabling leadership will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innovation and adaptation can occur whilst ensuring there is flow of new knowledge throughout an organisational structure to other systems and administrative structures.43,84


복잡성 리더십 이론은 마이크로, 메소, 매크로 수준에서 변화의 탐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84 CLT를 이용한 연구는 에이전트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예: operational과 enabling 리더십의 교차점) 왜냐하면 이를 통해 우리는 지역적 및 조직적 수준에서 변화가 발생하는 수단에 대한 이해를 연결하고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왜 변화가 성공할 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exploration of change at the micro, meso and macro levels.84 Research using CLT could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agents (eg, the intersection between operational and enabling leadership) because through this we can connect and develop understanding of the means by which change occurs at local and organisational levels.84 It also may help us explain why change may or may not be successful.


7 CLT를 의학교육연구에 적용

7 | APPLYING CL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CLT가 적용될 수 있는 문맥의 현대적인 예는 IPE(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구현에 관련된 과정을 탐구하고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interprofessional practice으로의 전환과 IPE 구현을 위해 교육 기관에 부과되는 그에 상응하는 의무는 글로벌 인력 과제, 고도로 복잡한 의료 요구 및 점점 더 제약되는 예산 충족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A contemporary example of a context in which CLT might be applied refers to exploring and explaining the processes involved in implemen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 shift to interprofessional practices and the corresponding obligation placed o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mplement IPE are seen as vital to the meeting of global workforce challenges, highly complex health care needs and increasingly constrained budgets.88-90 


학생, 교육자 및 서비스 사용자 관점을 탐구하는 최근의 메타합성 연구(IPE의 일부로서)는 학습 과정에 대한 제한된 이해와 관련된 문제를 발견했다. 즉, implementation은 개인에 의존하고 있었으며(따라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잠재적 문제가 생긴다), placement의 목적과 그 안에 있는 이들이 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게 된다.

A recent meta-synthesis exploring student, educator and service user perspectives on interprofessional placements (as part of IPE) found issues pertaining to limited 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that implementation relied on individuals (and therefore introduced potential issues with sustainability), and a lack of understanding around the purpose of placements and their roles within them.91


8 이론을 비판적으로 보기

8 | CONSIDERING THEORY CRITICALLY


각각의 이론, 즉 일련의 이론들은 진화의 다른 단계에 있다. 패러독스 이론과 관련 경험적 연구는 35년 전쯤 처음 제안된 이후 진보하고 다양화되었으며, IL은 30년 전 창간 이래 조직적 연구에서 잘 확립되었다.41 그러나 CLT에 대한 연구는 모든 분야에 걸쳐 매우 초기 단계에 있으며 리더십을 새로운 '조직적 현상'으로 보기 위한 중요한 설명 렌즈로서의 CLT의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92

Each theory, or group of theories, is at a different stage in its evolution. Paradox theory and related empirical work have progressed and diversified since the theory was first proposed some 35 years ago,42 and IL has become well established in organisational studies since its inception 30 years ago.41 However, research on CLT is in very early stages across all disciplines and more study is needed to establish the value of CLT as a critical explanatory lens for seeing leadership as an emergent ‘organisational phenomenon’.92


또한, IL은 [사물을 보는 한 가지 관점과 관련된] 서구화된 조직을 탐구하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민족 중심적ethnocentric 성격을 비판 받아왔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사용할 때 맥락(지역적 및 국가적)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93 기관 로직은 또한 본질적으로 선택적일selective 수 있다: 왜 (다른 로직이 아닌) 특정한 로직을 탐구하고 로직의 '이상형'에 초점을 맞추려고 하는가? 45 연구자 반사성은 여기서 탐구되는 것(그리고 탐구하지 않는 것)을 식별하고 설명하기 위해 필수적이다.94

Additionally, IL has been critiqued for its ethnocentric nature because it was developed to explore Westernised organisations, the focus of which pertains to one way of seeing things; it is therefore essential that contexts (local and national) are considered when using this perspective.93 Institutional logics can also be selective in nature: why choose to explore certain logics and not others and to focus on ‘ideal types’ of logics?45 Researcher reflexivity is essential here in order to identify and explain what is (and what is not) explored.94


  • 역설 이론의 강점은 대립되는 관점과 양립할 수 없는 입장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잠재된 긴장을 가시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역설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변화를 구현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에 대한 지침]을 위해 문헌의 다른 곳을 찾아봐야 한다. 요컨대 역설을 인식하는 것 자체가 변화를 이끌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The strength of paradox theory is that it provides a way for considering opposing viewpoints and incompatible positions, and so can be used to make latent tensions visible. However, it does not provide a framework to assist with addressing paradox; those interesting in implementing change must look elsewhere in the literature for guidance on ‘how to’. In short, recognising the paradox is not sufficient in itself to lead to change. 


  • 둘째로, 연구는 역설적 긴장 관리에 대해 주로 조직 차원의 접근방식을 조사하였다. 역설 이론을 진전시키기 위해 개인 및 팀 차원의 분석을 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97

Secondly, research has predominantly examined organisation-level approaches to the managing of paradoxical tensions: there is a need to look more closely at individual and team levels of analyses to advance paradox theory.97


  • 셋째, 역설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론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연구는 종종 조직 내의 한 가지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역설 이론을 이용한 미래 연구는 더 많은 연구 설계와 방법론적 접근법을 수용함으로써 유익할 수 있다. 

Thirdly, paradox research is dominated by case study methodology and studies often focus on one change within an organisation. Future research using paradox theory may benefit from embracing more study designs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 마지막으로, 새로운 증거에 따르면, 어떤 조건들은 역설적인 리더십과 사고방식에 적합한 반면, 다른 것들은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긴장에 대한 역설 이론 접근법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사례에 대한 연구 보고가 부족하다

Finally, there is also a paucity of research reporting on instances in which a paradox theory approach to tensions has negative consequences, although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at some conditions are appropriate for paradoxical leadership and mindsets, whereas others are not.100


일부는 CLT가 [분산된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이론처럼] 다른 리더십 이론과 유사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92 그러나, CLT가 [상호작용을 통한 출현과 건설emergence and construction의 한 층]에 의존하는 리더십에 대한 보다 비판적인 관점을 끌어낼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역할(예: 누가 리더이고 팔러워인지)은 리더십의 역할과 라인이 상당히 안정적이라는 가정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92 따라서 CLT는 리더십의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틀보다는 현재와 가능한 상태를 이해하고 변화가 왜 효과가 있을지 또는 없을지를 이해하는 잠재적인 도구가 된다. 비판론자들은 CLT가 [복잡성 리더십]보다는 복잡성을 관리하는 [리더 중심적 힘]의 개념에 계속 의존하고 있다고 말한다.92

Some may argue that CLT has similarities to other leadership theories, such as those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92 However, it is arguable that CLT brings opportunities to draw on more critical views of leadership which rely on a layer of emergence and construction through interaction. Thus roles (eg, who the leaders and followers are) shift away from the assumption of reasonably stable roles and lines of leadership.92 Therefore, CLT becomes a potential tool for understanding current and possible status and why change may or may not work, rather than a frame for setting up stable systems of leadership. Critics suggest that CLT continues to rely on notions of leader-centric power to manage complexity, rather than on complexity leadership.92


9 결론 

9 | CONCLUSIONS


핀켈슈타인이 말했듯이: '연구자로서 우리는 그것들을 주의 깊게 연구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하지만 우리가 어지러움, 뒤처짐, 현실을 제거하면 무엇이 남는가?' 108.

As Finkelstein put it: ‘I understand that as researchers we need to simplify very complex processes to study them carefully, but what are we left with when we remove the messiness, the back-and-forth, the reality?’108


32. Cristancho S, Field E, Lingard L. What is the state of complexity sci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d Educ. 2019;53(1):95-104.








. 2020 Jul 22.
 doi: 10.1111/medu.14297. Online ahead of print.

Change is never easy: How management theories can help operationalise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s

  • 1Centre for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Dundee, Dundee, UK.
  • 2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Scholarship Unit (MERSU), Lee Kong Chian School of Medicine,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ingapore, Singapore.

Abstract

Context: Medical education is neither simple nor stable, and is highly contextualised. Hence, ways of perceiving multiple connections and complexity are fundamental when seeking to describe, understand and address concerns and questions related to change.

Proposal: In response to calls in the literature, we introduce three examples of contemporary organisational theory which can be used to understand and operationalise change within medical education. These theories, institutional logics, paradox theory and complexity leadership theory, respectively, are relatively unknown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y provide a way of making sense of the complexity of change creatively. Specifically, they cross-cu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and allow us to 'zoom in' to micro levels, as well as to 'zoom out' and connect what is happening at the individual level (the micro level) to what happens at a wider institutional and even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the macro level), thereby providing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teams, organisations and systems. We highlight the potential value of these theories, provide a brief discussion of the few studies that have used them in medical education, and then briefly critique each theory.

Conclusions: We hope that by drawing the attention of readers to the potential of these management theories, we can unlock some of the complexity of change in medical education, support new ways of thinking and open new avenues for research.

의학교육에서 긍정탐구(AMEE Guide No. 113) (Med Teach, 2016)

Appreci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John Sandars and Deborah Murdoch-Eaton

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The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UK




도입

Introduction


어떤 상황에서 "무엇이 잘못되고 있는가"를 묻는 일련의 질문에 근거하여 진단을 내리는 문제해결 접근법이 대표적인 의학의 임상적 실천이다. 이와 유사한 접근법이 새로운 교과과정을 개발하는 것에서부터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을 지원하는 것까지 의학의 많은 측면에도 자주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접근방식은 상황에서의 "무엇이 잘 되어가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춘 긍정탐구(AI)이다. AI 접근방식은 질문을 하는 사람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현재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해 개인과 집단의 힘을 동원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AI 접근법의 본질적인 측면은 새로운 상황을 구상하는 협력적 논의를 통해 발생하는 생성 과정이다.

A problem-solving approach, in which making a diagnosis is based on a series of questions that ask about “what is going wrong” with a situation, is typical of the clinical practice of medicine. A similar approach is also frequently applied to many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from developing a new curriculum to supporting students in difficulty. However, an alternative approach is Appreciative Inquiry (AI), with a focus on “what is going well” with a situation. The AI approach requires an alteration in the mind-set of the person asking the questions, with the key aim of mobiliz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strengths to change the current situation. An essential aspect of the AI approach is the generative process, which occurs through collaborative discussion, of envisioning a new situation.


AI 접근법은 지난 수십 년간 조직개발(Watkins et al. 2011)을 위해 열성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리더쉽 개발(Hart et al. 2008)과 멘토링(Gordon 2008)을 포함한 개인의 발전을 위한 비즈니스 세계에서도 점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AI도 일반 교육에서 중요한 지도원리guiding principle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The AI approach has been enthusiastically used over the last few decade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Watkins et al. 2011), and is also increasingly being applied in the world of business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including leadership development (Hart et al. 2008) and mentoring (Gordon 2008). Over the last decade, AI has also begun to be applied as an important guiding principle within general education.


긍정탐구의 원칙

The principles of appreciative inquiry


AI의 핵심 원칙

The core principles of AI


AI의 관행을 뒷받침하는 5가지 핵심 원칙이 설명되었으며, 조직 개발의 폭넓은 실무 경험에 기초하고 있다(Cooperrider et al. 2003).

Five core principles that underpin the practice of AI have been described and are based on extensive practical experience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Cooperrider et al. 2003).


1. 구성주의 원칙: 이 원칙의 근본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토론의 적극적인 과정을 통해 그들 세계의 현실을 창조하거나 건설한다는 관점이다. 예를 들어, 결핍–관점은 유리잔이 반만 비었다고 생각하는 것이지만, 이것을 '컵이 반이나 찬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공동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1. The constructionist principle: Fundamental to this principle is the view that an individual creates, or constructs, the reality of their world through an active process of interaction and discussion with other people. For example, the deficit – view is that a glass is considered to be half-empty but this can be positively co-constructed to be regarded as half-full.


2. 동시성 원칙: 이 원칙은 탐구와 변화는 별도의 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고려한다. 어떤 주제에 대한 질문이 있을 때마다, 새로운 통찰력과 이해는 미래의 주제를 보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변화 과정의 동시 시작이 있다.

2. The simultaneity principle: This principle considers that inquiry and change are not separate processes. Whenever there is inquiry, and questions are asked about a topic, there is a simultaneous beginning of a change process since new insights and understandings will influence how the topic is viewed in the future.


3. 시적 원칙: 시를 읽을 때, 사람들은 단어로부터 의미를 만드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AI에서 부족한 점 위주의 단어들은 주제가 어떻게 이해되는지 뿐만 아니라 변화의 가능성에도 제약을 가할 수 있다. AI의 본질적인 측면은 현재 상황을 바라보는 관점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3. The poetic principle: In reading poetry, people focus on making meaning from the words. In AI, the deficit-focused words can constrain not only how the topic is understood but also the possibilities for change. An essential aspect of AI is the reframing of current views of a situation.


4. 기대 원칙: 미래의 잠재적 변화를 상상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에 대한 통제감을 만들고 상황을 변화시킬 동기를 강화한다.

4. The anticipatory principle: The envisioning of future potential changes creates a feeling of control over a difficult situation and enhances their motivation to change the situation.


5. 긍정성 원칙: 이 원칙은 다른 모든 AI 원칙과 AI 방법론의 모든 부분을 뒷받침한다. 이 원칙은 강점을 확인하려는 목적의 질문은 사람들을 긍정적인 변화에 끌어들이게 한다는 것이다.

5. The positive principle: This principle underpins all of the other AI principles and also all parts of the AI methodology. The concept is that questions that seek to identify strengths engage people in positive change.


긍정탐구 방법론

The methodology of appreciative inquiry


AI의 원래 방법론은 조직 개발을 위한 것이었으며 "4-D" 사이클을 사용했다(Cooperrider et al. 2003).

The original methodology of AI wa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used the “4-D” cycle (Cooperrider et al. 2003).


최근에 "5-D 모델"이 도입되었으며(Watkins et al. 2011), 4-D 사이클에서 발견되는 4상 앞에 추가적인 "Definition" 단계가 도입되었다. 이 추가 단계는 본질적으로 "이것이 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정의한다.

recently the “5-D model” has been introduced (Watkins et al. 2011), with an additional “Definition” phase that precedes the four phases that are found in the 4-D cycle. This additional phase essentially defines “is this worth doing”?


그림 1은 4-D 사이클의 주요 단계를 설명한다.

Figure 1 describes the main phases in the 4-D cycle,




교육에서 긍정탐구의 원칙 적용

The application of appreciative inquiry principles to education


긍정교육

Appreciative education


긍정교육은 "개인적으로나 조직적으로나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개인과 집단이 공동 창조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점과 잠재력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기업을 개선하기 위한 의도적이고 긍정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Bloom et al. 2013, 페이지 5 –6)

Appreciative Educ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framework for delivering high-quality education on both a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It provides an intentional and positive approach for bettering educational enterprises by focusing on the strengths and potential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o accomplish co-created goals” (Bloom et al. 2013, pp. 5–6).


긍정 페다고지

Appreciative pedagogy


긍정교육의 개념과 유사하게 AI 원칙이 각색되어 모든 교육 및 학습 활동을 알리는 것으로서, 이러한 활동이 단 2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짧은 수업시간, 1시간 동안의 워크숍이든 전체 프로그램(Yballe & O'Connor 2000)이든 모두 긍정 페다고지이다.

Similar to the concept of Appreciative Education is the concept of Appreciative Pedagogy, with the adaptation of AI principles to inform al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hether these activities are only a short 20minute one to one session, a one hour workshop or a whole program (Yballe & O’Connor 2000).


긍정 조언

Appreciative advising


AI의 원칙은 다양한 학문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감사 조언에 적용되어 왔다.

The principles of AI have been applied to Appreciative Advising, with a focus on supporting Colleg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 variety of academic difficulties.


의학교육에서 긍정탐구의 현실적 적용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ppreci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개인 수준

Working with individuals


Roarty와 Toogood(2014년)는 AI 원칙을 사용하여 모든 학습 대화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유용하고 실용적인 팁을 제공한다.

Roarty and Toogood (2014) offer some useful and practical tips on how AI principles can be used to structure all learning conversations:


1. 초점을 둘 성과를 식별하라. 명확한 결과 초점, 즉 목표는 자신의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자신의 장점을 동원하려는 내부 동기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커빙턴 2000).

1. Identify an outcome focus. A clear outcome focus, or goal,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internal motivation to mobilize their strengths to achieve their own desired outcome (Covington 2000).


2. 이미 잘 되고 있는 것에 집중하라. AI의 본질적인 측면은 의도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의 강점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2. Focus on what is already working well. An essential aspect of AI is to build on current strengths to achieve intended goals.


3. "약점"을 개발해야 할 강점으로 다시 표현한다재교육의 행위는 학습자에게 내부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개인의 자존심에 현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능력에 대한 부적절한 속성은 신속하게 부정적인 감정을 생성하여 동기와 수행을 감소시키는 소용돌이를 초래할 수 있다(와이너 1985).

3. Reframe any “weaknesses” into strengths to be developed. The act of reframing can produce a marked change in an individual’s self-esteem that internally motivates the learner. Inappropriate attributions about ability can quickly produce negative emotions that result in a spiral of decreas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Weiner 1985).


집단 수준

Working with groups


AI의 4-D 사이클은 경험적 학습 사이클과 문제 기반 학습에 적용되었다.

The 4-D cycle of AI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ential learning cycle and problem-based learning.


경험학습에 대한 적용

Application to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의 중요한 측면은 [탐구할 질문의 식별][탐구의 과정]이다. 전통적인 것은 문제 해결에 대한 Experiential Learning의 초점을 가지고 있다. 네빌(2008)은 AI를 솔루션에 초점을 맞춘 경험학습의 보완적 접근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예를 들어, 탐구를 위한 질문은 "환자 안전 향상에 있어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인가?"에서 "환자 안전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어떤 접근법이 사용되었는가?"로 재구성할 수 있다. 전문성을 가르치기 위한 경험적 학습에서 AI를 사용한 사례는 그림 2(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나와 있다.

An important aspect of Experiential Learning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question for inquiry and the process of inquiry, traditional having a with Experiential Learning focus on problem solving. Neville (2008) proposes that AI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approach to Experiential Learning, with a focus on solutions. For example, the question for inquiry can be reframed from “What is the biggest problem in improving patient safety?” to “What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effectively improve patient safety?” An illustrative of the use of AI in Experiential Learning to teach professionalism is shown in Figure 2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PBL에 적용

Application to Problem-Based Learning


전형적으로 PBL은 해결책을 생산하기 위한 문제의 식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로버츠(2010)는 직업 치료의 맥락에서 PBL의 한계를 논하고 있으며, 특히 무엇이 잘못되었거나 dysfunctional한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림 3(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은 AI가 어떻게 PBL에 통합되어 클라이언트 중심적이고 강도에 기반한 접근법을 개발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Typically, PBL has a focus on the identification of a problem to produce a solution and Roberts (2010)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PBL in the context of occupational therapy, especially the focus on what is wrong or dysfunctional. Figure 3 (available online on as Supplemental Material) describes how AI can be integrated into PBL in an attempt to a develop more client-centered and strengths-based approach.


긍정 조언

Appreciative advising


학업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접근방식은 종종 (성공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약점을 식별하고 교정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결핍 교정 교육 모델"이다(Kramer & Associates 2007).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어드바이저는 가능한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자기효율성 신념을 높이고 이전 과정 성공이 어떻게 달성되었는지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강점 기반 모델을 채택할 수 있다. 전체 AI 접근법(Bloom et al. 2008) 내에서 6단계 모델을 이용한 학술적 조언은 그림 4(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설명되어 있다.

The usual approach to help learner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academic studies is often a “deficit remedial education model” which has a focus on the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of their weaknesses instead of in their successes (Kramer & Associates 2007). However, contrast, the advisor could adopt a strengths based model that increases the learner’s self-efficacy beliefs about possible change and motivates the learner by helping to identify how previous coursework successes were achieved. Academic Advising using a model of six phases within an overall AI approach (Bloom et al. 2008) is illustrated in Figure 4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교육과정개발에 긍정탐구 적용

Appreciative inquiry for curriculum development


AI는 [현재 강점을 바탕으로 한 평가와 질 향상 등] 의과대학 커리큘럼 개발에 유용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차코 2009). 사회적 책무성을 위한 의과대학 교과과정의 개발에 대한 예시는 그림 5(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제시되어 있다.

AI can provide a useful method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evalu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that builds on current strengths (Chacko 2009). An illustrative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a socially accountable medical school curriculum is provided in Figure 5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AI 접근방식은 또한 교과과정의 변화를 위해 부정적인 문화를 다루는데 도움이 된다. 커리큘럼 개발의 중요한 측면은 과정 평가지만, 학생과 직원 모두가 커리큘럼의 장점 대신에 문제에 집중하는 간단한 설문지에 의해 종종 이루어진다. 그림 6(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은 커리큘럼 개발과 문화적 변화를 위한 AI 접근법의 성공적인 사용을 보여준다.

The AI approach also lends itself to tackling a negative culture to change in the curriculum. An important aspect of curriculum development is course evaluation, but often this is by a simple questionnaire, with both students and staff concentrating on problems instead of the strengths of the curriculum. Figure 6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illustrates successful use of an AI approach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교수개발을 위한 긍정탐구

Appreciative inquiry for faculty development


그림 7(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사용 가능)은 모든 의대 학생들이 학술 및 임상 교수진에서 높은 수준의 전문적 행동을 목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국 의대 교직원 및 레지던트 개발을 위한 주요 방법 중 하나로 AI 접근법을 사용한 방법을 설명한다(Fryer-Edwards et a).2007년).

Figure 7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illustrates how an AI approach was used as one of the main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faculty and residents in a US medical school were used to ensure that all medical students would witness a high level of professional behaviors in the academic and clinical teaching staff (Fryer-Edwards et al. 2007).


의학교육연구를 위한 긍정탐구

Appreciative inquiry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질문과 이슈를 다룰 목적으로 학생부터 교사 및 관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일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교육 연구에 참여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Cohen 등 2013). 이 연구 방법의 본질적인 측면은 이해관계자들이 연구 과정에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AI 접근법의 취지는 참여 연구방법의 초점과 유사하며, 일반 교육연구, 특히 구조면접에 AI가 적용됐다.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with a focus on collaboratively working with a range of stakeholders, from students to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th the intention of addressing questions and issues that are significant to these stakeholders (Cohen et al. 2013). An essential aspect of this research method is empowerment of the stakeholders so that they become activ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process. The intentions of the AI approach are similar to the focus of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and AI has been applied to general educational research, especially to structure interviews.


일반 교육연구에서 인터뷰를 구조화하기 위해 AI의 원리를 이용한 사례로는 마이클(2005)이 학교 교사로서의 경험에 대해 연구한 것이 있다. "여기서 일하면서 가장 좋아하는 기억은 무엇인가?" "직장에 대해 가장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 "조직 성공의 핵심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당신의 조직을 특별하게 만들거나 알고 있는 다른 조직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와 같은 AI 사이클의 디스커버리 단계와 관련된 질문들이 쏟아졌다. 그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열심이었고, 경험하고 싶은 긍정적인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해를 더 많이 하는 등 알려지지 않은 정보를 공개하는 데 더 개방적이라고 지적했다. 흥미로운 측면은 참가자들이 면접을 진행하는 동안 현재의 교육적 실천을 바꿀 수 있는 힘을 느끼기 시작했으며, 인터뷰가 진행됨에 따라 꿈의 단계를 향해 자발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An illustrative example of the use of the principles of AI to structure interviews in general educational research is the work of Michael (2005) on the experiences of being a school teacher. Questions were asked that were related to the Discovery phase of the AI cycle, such as “What’s your favorite memory of working here?”, “What do you like best about your job?”, “What do you think is at the heart of your organization’s success?” and “What makes your organization special, or different from other organizations that you know?”. He noted that participants were eager to tell their stories and were more open to disclose unrehearsed information, including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impacted on the positive experiences that they wanted to experience. An interesting aspect was that participants began to feel empowered during the interview to change their current teaching practice, with spontaneous movement towards the Dreaming phase as their interviews progressed.


의료 교육에서 소셜 미디어의 전문적인 사용을 이해하기 위한 AI 접근방식은 그림 8(온라인에서 보충 자료로 이용 가능)에 나타나 있다(Pereira et al. 2015).

the AI approach to understand professional use of social media in medical education is shown in Figure 8 (available online as Supplemental Material) (Pereira et al. 2015).


긍정탐구를 사용한 개인 발전

Personal development using appreciative inquiry


주된 변화는 개인의 강점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 마인드셋으로, 변화에 대한 동기부여와 정서적 에너지를 제공하면서도 탄력성, 만족도, 자존심도 향상시켰다(리브 2014). 이러한 접근방식은 [부정적인 함의와 그에 따른 정서적 에너지의 고갈과 동기의 감소]와 같은 "취약성" 식별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방식과는 대조적이다. 강점을 바탕으로 하고 감사하는 마음가짐은 "약점"을 무시하지 않고, 이 상황을 특정한 지식이나 기술을 증가시키는 등 발전이 필요한 강점으로 재구성한다. 또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동원되어야 할 기존의 강점에 대한 식별도 있다.

The main change is a mind-set that has a focus on identifying personal strengths, providing increased motivation and emotional energy to change but also enhanced resilie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Reeve 2014). This approach is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focus on identifying “weaknesses”, with its negative connotation and subsequent draining of emotional energy and reduced motivation. A strengths-based and appreciative mind-set does not ignore “weaknesses” but reframes this situation as being a strength that needs developing, such as to increase particular knowledge or skills. In addition, there is identification of existing strengths that will be required to be mobilized to achieve the desired outcome.


개인의 장점을 확인하는 실질적인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There are two practical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personal strengths:


1. 강의 시간이나 커리큘럼 개발 계획 회의 등 어떤 행사 후에라도 개인의 강점을 반영한다.

1. Reflect on personal strengths after any event, such as a teaching session or a curriculum development-planning meeting.


2. 이용된 강점에 대해 그들이 알아챈 것, 특히 이러한 강점이 다른 사람의 변화나 상황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구한다.

2. Seek feedback from others about what they notice about the strengths that have been used, and especially how these strengths have influenced change in others or a situation.


결론

Conclusions


AI 접근방식은 개인과 그들이 불가결한 구성원인 조직 모두에게 독특하고 혁신적인 발전 기회를 제공하여 개인과 집단적 강점을 식별하고 동원하여 개인과 조직의 잠재력을 달성한다. AI 접근법의 본질적인 측면은 [새로운 상황을 구상할 수 있고 희망하는 미래 상황을 달성하기 위해 동기부여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생성적 과정]이라는 점이다. 이 과정은 모든 개인적이고 조직적인 발전의 핵심이다.

The AI approach provides a unique and innovative developmental opportunity for both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in which they are an integral member, to identify and mobilize individual and collective strengths to achieve their individual potential and that of the organization. An essential aspect of the AI approach is the generative process, in which a new situation can be envisioned and motivational energy is created to achieve the desired future situation. This process is at the heart of all person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 39 (2), 123-127
 

Appreciative Inquiry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a 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 The Medical School, The University of Sheffield , Sheffield , UK.

Abstract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also medical education, typically adopts a problem-solving approach to identify "what is going wrong" with a situation. However, an alternative is Appreciative Inquiry (AI), which adopts a positive and strengths-based approach to identify "what is going well" with a situation. The AI approach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the potential of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n essential aspect of the AI approach is the generative process, in which a new situation is envisioned and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strengths are mobilized to make changes to achieve the valued future situation. The AI approach has been widely used in the world of business and general education, but is has an exciting potential for medical education, including curriculum development, faculty development, supporting learners through academic advising and mentoring, but also for enhanc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both individuals and groups. This AMEE Guide describes the core principles of AI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활동이론의 도구가 학부의학교육에서 조직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 (Adv in Health Sci Educ, 2014)

Can the tools of activity theory help us in advancing understanding and organisational chang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ne-Marie Reid • Alison Ledger • Sue Kilminster • Richard Fuller




개요와 맥락

Overview and context


의대생에서 주니어 의사로의 전환은 많은 관심의 초점이 되어 왔으며, 대부분의 경우 누구나 어려움을 겪는다고 언급하고 있다.

The transition from medical student to junior doctor has been the focus of much attention, with most accounts presenting this transition as problematic for all concerned.


영국의 전문 규제 기관인 종합의료위원회(GMC)는 주니어 의사들의 '준비성'에 대한 우려에 대해, 최종년도의 의대생이 주니어 의사를 보조하는 학생 '보조성assistantships'에 대한 요건을 도입하고, 학생이, 감독하에, 주니어 의사의 통상적인 의무(GMC 2009b)를 실시하는 것으로 대응해 왔다. 그러나 의료 학부 프로그램과 임상 배치의 복잡한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이러한 assistantships의 구조와 형식에 대한 지침은 거의 없다. 이와 관련된 요구사항은 중 하나는, 졸업반 의대생들이 4일 동안 그들이 맡게 될 주니어 의사와 함께 일하도록 요구받는 '섀도잉'이다(Keoh 2012). 이는 학기말 시험 후 그리고 새 직장에 취업하기 전에 발생한다. 주니어 의사(GMC 2012)의 역할과 책임, 그리고 그들이 감독해야 할 학생들의 활동에는 전국적으로 상당한 변화가 있다.

In the UK, the professional regulatory bod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has responded to concerns about junior doctors’ ‘preparedness’ by introducing a requirement for student ‘assistantships’ in which a final year medical student assists a junior doctor, and, under supervision, performs the usual duties of a junior doctor (GMC 2009b). However, there is little guidance about the structure and format of these assistantships which need to meet the complex needs of both the medical undergraduate programme and the clinical placement. A related requirement is for ‘shadowing’ when graduating medical students are required to spend 4 days working alongside the junior doctor whose post they will take over (Keogh 2012). This occurs after the final year exams and before employment in the new post commences. There is considerable variation nationally in both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junior doctors (GMC 2012), and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s they are required to supervise.


이 연구는 의대생들이 임상 실습으로 전환하기 위해 이동함에 따라 학습 문화, 특히 assistantships와 관련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연구는 이전 연구(Kilminster 등 2011)에서 개발되었으며, 이전 연구에서 전환transition은 의사들이 [환경의 특수성에 engage하고, 다른 동료들과 작업 관계를 설정하는] 극도로 집약적인 학습 기간(CILP)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ways of influencing changes in learning cultures, particularly around assistantships, as final year medical students move towards their transition to clinical practice. The study developed from our previous work (Kilminster et al. 2011) which suggested that transitions could be reframed as critically intensive learning periods (CILPs) in which doctors engage with the particularities of the setting and establish working relationships with other colleagues.


프로젝트의 프레임워크는 Engestro ̈m(1987년; 2001년; 2005년; 2007년)에 의해 개발된 활동 이론 구조에 기초한 개발 작업 연구(DWR)에서 도출되었다. 이러한 개입주의적 방법론은 실무자들이 실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요한 접근법을 취할 것을 권장한다. 참여자들은 함께 협력하여 기존 관행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만들고 그들의 특정한 사회역사적 맥락 안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질문하고 모델링함으로써 결과적인 변화를 개발한다. DWR에서, 연구원들은 실무자들과 협력하여 일하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이 방법론은 전문 지식과 전문지식이 조직 전체에 분포되어 있음을 인식한다. 이 연구에서 지식과 전문지식은 의대와 임상 환경 사이에 분포되었다.

The framework of the project drew from Developmental Work Research (DWR) which is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construct developed by Engestro¨m(1987; 2001; 2005; 2007). This interventionist methodology encourages practitioners to take a critical approach to solving problems of practice -participants work together to create new insights into existing practices and develop consequent changes by questioning and modelling new solutions within their specific socio-historical contexts. In DWR, researchers act as facilitators who work collaboratively with practitioners. This methodology recognises that specialist knowledge and expertise is distributed across organisations; in this study, knowledge and expertise was distributed between the medical school and clinical settings.


DWR와 조직변화

Developmental Work Research (DWR) and organisational change


DWR 접근법은 Engestro rom에 의해 조직변화를 위한 개입 전략으로서 개발되었다. DWR은 활동 이론 프레임워크에 기초한다(Engestro ̈m 1987; 2001; 2005; 2007). 문화역사활동이론(CHAT)은 본질적으로 사람과 요소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시스템 분석과 관련이 있다. 즉, 사물들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어떻게 그것들이 있는 그대로 이해되는지, 그리고 ...물질적 요소들 간의 관계, 그리고 노동, 문화적 규범, 규칙과 시스템에 얽힌 관점의 분열." (Fenwick et al. 2011 페이지 9). 

The DWR approach was developed by Engestro¨m as an interventionist strategy for organisational change; it is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framework (Engestro¨m 1987; 2001; 2005; 2007).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is essentially concerned with analysing systems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artefacts: how things have evolved as they are, how they are understood as they are and, ‘‘relations among …material artefacts, as well as divisions of labour, cultural norms, rules and perspectives enmeshed in the system’’ (Fenwick et al. 2011 p. 9). 


(CHAT에서) 학습은 특정 사회-문화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조직적 또는 시스템 수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모든 활동은, 모든 상황에서,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시스템의 실행의 '분업'과 '규칙' 내에서 일어난다(Engestro ̈m 2001; 2007; Roth and Lee 2007).

Learning is understood as occurring at an organisational or systems level within specific socio-cultural historical contexts; all activity, in every setting, occurs within the ‘divisions of labour’ and the ‘rules’ of practice of the system within which the activity is taking place (Engestro¨m 2001; 2007; Roth and Lee 2007).


CHAT에서, [확장적expansive 학습]은 활동 시스템(예: 병동, 외래 환자 클리닉, 병원 또는 규제 시스템일 수 있음)의 내재적 모순에 대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모순은 '실제 활동 시스템에서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는 역사적으로 진화하는 긴장'이다(Engestro ̈m과 Sannino 2010, p. 4). 이러한 모순은 시스템에 관계된 '다수의 목소리'로부터의 상충하는 요구, 조직변화의 도입, 동기의 차이, 그리고 기대의 차이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모순이 충분히 골치 아프게 되면 그들은 딜레마, 도전과 질문을 만들어낸다; DWR 개입을 통해 이것들을 해결하면 새로운 실천요강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In CHAT, expansive learning results from responding to the inherent contradictions in an activity system (which may be a ward, out-patient clinic, hospital or regulatory system for example). Contradictions are ‘historically evolving tensions that can be detected and dealt with in real activity systems’ (Engestro¨m and Sannino 2010, p. 4). These contradictions arise due to a number of factors such as competing demands from the ‘multiple voices’ involved in the system, the introduction of organisational change,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different expectations. When these contradictions become sufficiently troublesome they create dilemmas, challenges and questions; addressing these through a DWR intervention allows the possibility for new practices to emerge.


예를 들어, 한 DWR 연구는 노인들의 충족되지 않은 요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다양한 보건 및 사회 복지사들을 포함했다(Engestro ̈m 및 Sannino 2010). 이러한 충족되지 않은 요구는 시스템 내 활동의 '객체'의 모순으로 이해되었다. 즉, 가정 관리 근로자들은 특정 관리 업무를 신속하게 완료하는 데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노인들은 자신의 독립성을 유지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DWR 개입은 이러한 다른 대상들을 새로운 해결책(즉, 새로운 치료협적)의 개발을 통해 더 가깝게 모일 수 있게 하였다. 즉, 노인들의 요구와 관리팀의 과제를 보다 잘 조화시키는 매개 도구 역할을 하였다.

For example, one DWR study involved a range of health and social care practitioners working to resolve issues regarding the unmet needs of older people (Engestro¨m and Sannino 2010). The unmet needs were understood as contradictions in the ‘objects’ of activity in the system— home care workers tended to focus on completing specific care tasks quickly, whilst older people were focused on the need to maintain their independence. The DWR intervention enabled these different objects to be brought closer together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new solution—a new care agreement—which acted as a mediating tool to better align the older persons’ needs and the care teams’ tasks.


그러한 연구는 [활동 이론에서 모순의 역할]을 증명한다; 모순은 활동 시스템에서 근본적으로 경쟁하는 요구 안에 있고 해결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광범위한 학습 과정을 자극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Engestro ̈m은 모순은 타협에 도달함으로써가 아니라, 모순은 '질적으로 새로운 기능 방식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Such studies demonstrate the role of contradiction in activity theory; contradictions lie within the fundamentally competing demands in the activity system and have the potential to stimulate an expansive learning process which can lead to a solution. Engestro¨m emphasises that contradictions can only be addressed by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a qualitatively new way of functioning’ rather than by reaching a compromise (2007 p. 24).


CHAT는 의료 및 교육 연구를 포함한 조직변화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개발되었다. 좀 더 최근에는 의학 교육에 관심이 있었다. 예를 들어, 모리스(2012년)는 의과대학의 교육학 실습 연구에서 활동 이론을 그리고 페이터 외 연구진(2011년)은 대학원 훈련으로 전환하는 동안 환자 안전에 대한 학부생들의 인식을 탐구했다.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보조 배치의 개발을 위해 CHAT의 개념적 도구를 가져오려고 했다.

CHAT has been extensively developed in organisational change research, including healthcare, and educational research. More recently, there has been some interest specifically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Morris (2012) drew upon activity theory in researching pedagogic practice in a medical school and Feijter et al. (2011) explored undergraduate student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during the transition to postgraduate training. In our study we sought to bring the conceptual tools of CHAT to develop assistantship placements.


주요한 모순들 중 하나는 [교육에서 직장으로의 이행에 대한 이해]에 있다. 이 때 '학습'과 '일'을 이분법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어떻게 상충하는 요구를 만들어내고 어떻게 이러한 변화를 방해하는지에 있다.

One of the major contradictions lay in understandings of the transition from education to work and the ways in which treating ‘learning’ and ‘work’ as a dichotomy creates competing demands and hampers this transition.


두 번째 모순은 대학과 병원 활동 시스템 사이의 상충하는 시간표 작성 요건에 있었다. 병원 내에서 일주일에 24시간, 7일 근무 패턴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보통 평일 근무 시간에 임상 환경에 참석했다. 대학 시간표 작성이란 병원 배치 시간에 거의 참석하지 않았거나 병원 팀과 장기간 연락을 주고 받은 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A second contradiction lay in competing timetabling requirements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hospital activity systems; despite a 24 h, 7 days per week working pattern within hospitals, students typically attended clinical settings in office hours during weekdays. University timetabling meant that they rarely attended hospital placements’ out of hours’ or had prolonged contact with hospital teams.


방법론

Methodology


DWR 접근법의 기초는 진행 중인 대화와 토론에 이어 기존의 관행에 의문을 제기하는 과정이다. 전제는 이를 통해 광범위한 학습 주기를 통해 연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변화 실험실' 세션(예를 들어, Engestro mm 2001)에서, 참가자는 연구자와 협력하여, 조직의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그들을 질문함으로써 그들의 현재 관행을 분석한다(즉, 관행이 특정한 방식으로 어떻게 그리고 왜 발전해 왔는지 조사).

The basis of the DWR approach is a process of questioning existing practices followed by ongoing dialogue and debate; the premise is that this allows problems of practice to be addressed through expansive learning cycles. In ‘change laboratory’ sessions (for example, Engestro¨m 2001) participants, working with researchers, analyse their current practices by questioning them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ir organisation (in other words, examining how and why practices have evolved in certain ways).


연구결과

Findings


병원 A

Hospital A


이 병원은 새로 단장된 종합병원으로 큰 옛 공업도시를 서비스하고 있다. 워크숍 참가자들은 4주 중 3주 동안 일부 최종 학년 학생들이 이미 후배 의사에게 애착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이미 자리 개발에 진전을 이룬 열정적인 팀으로 자신을 내세웠다. 그들의 인식은 첫 번째 워크숍에서 '이 의대생들은 꽤 유용하고, 많은 일을 하고 있고, 그들은 여기서 재미있는 밤 시간에 지원한다!'라고 말했을 때 설명되었다.

This is a newly refurbished general hospital serving a large old industrial town. The workshop participants presented themselves as an enthusiastic team who had already made advances in developing placements because some final year students were already attached to a junior doctor for three out of four placement weeks. Their perceptions were illustrated early in the first workshop when the consultant said, ‘‘they’re pretty useful these medical students, they’re doing a lot of stuff, they’re here and supporting at funny times of the nightwow!’’


이 팀은 이미 조력자 설립을 위한 새로운 해결책을 모델링하는 과정에 있다고 판단했다(그림 1).

This team considered that they were already in the process of modelling a new solution to establishing assistantships (Fig. 1).



조직문화

Organisational culture


학생에 대한 이해와 직장에서의 학습

Understandings about students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요약

Summary


A병원에서는 환자를 돌보는 데 기여하는 '훈련자 의사'로 학생들을 설립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특히 유니폼을 입고 (감독을 받는) 필기와 처방전을 쓰는 것은 팀 멤버십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그 부서에 보조 모델을 배치할 준비가 확실히 되어 있었다. 마지막 학년 학생들은 비교적 협력적인 팀 구조에서 그 일에 귀중한 공헌을 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학생들에게 '훈련의 의사'로 인정되는 것은 책임에 대한 기대와 함께 팀원으로서의 일정한 권리를 부여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참가자들은 보조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학생뿐 아니라 팀 전체와 환자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들의 의도는 병원의 다른 부서에서 보조 업무를 수행하려는 것이다. 이 일은 현재 진행 중이다.

At Hospital A there were a number of attempts to establish students as ‘trainee doctors’ contributing to patient care. In particular, wearing uniforms and writing (under supervision) notes and prescriptions were symbolic of team membership. There was a definite readiness to embed an assistantship model in the department. Final year students were considered to be making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work in a relatively collaborative team structure. It was made clear to students that being acknowledged as ‘doctors in training’ gave them certain rights as a member of the team alongside expectations of responsibilities.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providing assistantship experience had benefits not only for students, but for the whole team and for patients. Their intention is to implement aspects of assistantship in other departments in the hospital; this work is currently in progress.


병원 B

Hospital B


이곳은 도시와 농촌 인구가 혼합된 넓은 지리적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은 지역 병원이다. 워크숍은 위에 설명된 구조를 따랐다. 병원 B의 팀은 그들이 광범위한 학습 주기의 맨 처음 단계(그림 1)에 있으며, 조수 모델을 향해 나아갈 준비가 되어 있고 열심이지만, 이것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정확히 고려하는 데 시간이 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첫 번째 워크숍 동안, 마지막 학년 학생들이 이미 저녁과 밤 동안 후배 의사들을 '그림자'로 그리고 '시간 외'에 참석하고 있었기 때문에, 병원 B의 기존 자리들이 보조의 일부 측면을 분명히 지원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This is a small regional hospital which serves a large geographical area with a mixed urban and rural population. The workshops followed the structure outlined above. The team in Hospital B considered that they were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expansive learning cycle (Fig. 1), ready and keen to move towards an assistantship model, but requiring some time to consider exactly what this would involve. During the first workshop it became apparent that existing placements at Hospital B clearly supported some aspects of assistantships as final year students were already ‘shadowing’ junior doctors and attending placements ‘out of hours’ during evenings and nights.


조직 문화

Organisational culture


근무지에서 학생과 학습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s about students and learning in the workplace


모순과 매개 심볼

Contradictions and mediating symbols


요약

Summary


병원 B의 지역 문화는 '하향식'과 '상향식'의 변화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여, local assistantship arrangements 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나타냈다. 워크숍에서의 논의를 통해 배치 팀은 학생 학습과 조교들을 연습 환경에서 활동적인 팀원으로 취급하는 것 사이의 긴장을 인식했지만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했다. 이 팀은, 최종 학년 학생들이 새로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배치 중인 직원들이 그들이 하급 의사 역할을 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assistantship 기간 동안 새로운 정체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했다.

The local culture in Hospital B appeared to support ‘bottom up’ as well as ‘top-down’ changes, thus indicating the potential for local assistantship arrangements to be made. Through discussions in the workshops placement teams recognised, but did not fully resolve, a tension between student learning, and treating assistants as active team members in the practice setting. The team recognised that final year students needed a new identity during the assistantship period to support them in taking on new activities and to encourage staff in the placement to expect them to act as junior doctors.


또한 워크숍은 일정표에 내재된 모순을 표면화했으며, 이는 활동의 대상으로서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경험을 가진 원활한 대학 시간표를 강조하였다. 대학 연구팀과 배치팀 사이의 상호 작용은 지원 보조 업무에서 활동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재구성을 통해 활동 시스템 간의 경계 교차에서 매개되었다.

The workshops also surfaced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imetabling which emphasised a smooth running university timetable with a breadth of experience in different placements as the object of activit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research team and placement team mediated in boundary crossing between activity systems with a re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to expand the object of activity in supporting assistantship.


고찰

Discussion


assistantship 모델의 개발은 [일에 대한 이해]와 [학습] 사이의 긴장을 강조하였다. 모리스(2012년)의 이전 연구에서는 이것이 명시되지 않는 한, 의대생들이 직장에서 배우는 것을 식별하는 데 있어서 종종 겪는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다. 어느 정도 우리는 직장에서 그들의 감독관들도 같은 말을 할 수 있다고 느꼈다. 이러한 긴장감은 이 수정된 DWR 접근방식으로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았다. 우리는 '베이컨 샌드위치'와 '유니폼'과 같은 몇 가지 주요 중재적 요소들, 그리고 병원 A의 '최종 학생'에서 '보조자'로 정체성의 발전을 나타내는 '스크럽'과 같은 상징들을 확인했다. 이러한 기호는 학습자의 신분 변화를 나타내며, 환자 치료에 기여하는 팀의 일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사람, 즉 '보조인'으로서의 자신의 신분을 가시화한다. '실제 일'을 수행함으로써 마지막 학년의 학생은 인정받고 가치 있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더 많은 유용한 기여를 장려한다.

The development of these assistantship models highlighted the tensions between understandings about work and learning. Previous work by Morris (2012) points out the difficulties medical students often have in identifying the learning in work unless this is made explicit. To some extent we felt that the same could be said of their supervisors in the workplace. These tensions were not entirely resolved by this modified DWR approach. We did identify some key mediating factors—symbols such as the ‘bacon sandwiches’ and the uniforms, the ‘scrubs’ which denoted the development of identity from ‘final year student’ to ‘assistant’ in Hospital A. Such symbols denote a change in identity for the learner, making visible their identity as an ‘assistant’, a person who is available to act as a member of the team contributing to patient care. By performing ‘real work’ the final year student becomes acknowledged and valued, which in turn encourages further useful contribution.


병원 B에서도 마찬가지로 신분증당직콜은 매우 중요했다. 처음에 병원 B팀은 A병원의 팀과 같이 조력을 개발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았다. 비록 병원 B의 직원들이 때때로 그들의 관행이 그들을 주변으로 유지시켜준다는 것을 인식하기 전에 도전을 받았지만, 마지막 학년 학생들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를 수용한 병원 B팀은 제약요인으로 인식된 현재의 [대학 시간표 작성] 관행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 연장된 시간은 관계를 발전시키고 팀에 assistantship를 포함시킬 기회를 제공했다.

Similarly in Hospital B identity badges and the night on call were critical. At first it seemed that the Hospital B team were not quite at the same point of readiness to develop assistantships as the team in Hospital A. Final year students were viewed positively, although staff in Hospital B were challenged before recognising that at times their practices kept them on the periphery. Having accepted this, the Hospital B team questioned current practice in university timetabling which was recognised as a constraining factor. The extended time made available presented opportunities for relationships to be developed and inclusion of assistants within teams.


우리는 수정된 DWR 접근방식이 지역 병원 상황에 적합한 이론 정보 보조 배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시작했다. 활동 이론의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병원 사이트와 대학 시스템 모두에서 몇몇 상충하는 활동 객체objects을 밝힐 수 있었다. 이것은 기존의 작업 방식의 모순을 해결하는 광범위한 학습의 기회를 보여주었다. 이 워크숍은 각 병원 현장의 보조원 배치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는 상징적이고 문화적 요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지표의 존재는 팀들이 기존 관행practice을 반성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수용하도록 재구성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의미한다.

We set out to explore whether a modified DWR approach c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theory-informed assistantship placements appropriate to local hospital contexts. Employing the tools of activity theory helped us to reveal some competing objects of activity in both hospital sites and in the university system. This revealed opportunities for expansive learning which addressed contradictions in existing ways of working. The workshops were helpful in revealing symbolic and cultural factors that seemed to influence the readiness for development of assistantship placements at each of the hospital sites. The presence of these positive indicators signifies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teams are open to reflecting on existing practices and reconfiguring these to accommodate new possibilities.


결론

Conclusion


본 논문은 효과적인 assistantship 모델을 개발함에 있어 조직변화에 대한 준비성을 탐구하는 데 있어 수정된 DWR 접근방식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활동 이론의 도구가 혁신적인 해결책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은 조직적 실천을 밝히고, assistantship 을 구현할 수 있는 임상작업장을 식별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졸업반을 assistantship 배치로 전환하기 위한 준비는 문화적, 물질적 상징을 포함하는 중재적 요소가 존재함에 따라 나타난다. 이러한 긍정적인 지표의 존재는 기존의 관행을 반성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수용하도록 재구성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의미한다. 그러한 기호는 '학생'에서 '보조'로 이행하는 과정을 중재하며, [학생 학습]이 [환자 치료 실천]에 내재된 것이 아니라 환자 치료와 별개의 것으로 이해되는 근본적인 모순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그림 2와 3에 도표로 표시되어 있다.

This paper set out to assess the value of a modified DWR approach in exploring organisational readiness for change in developing an effective assistantship model.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tools of activity theory are valuable in revealing organisational practices which are likely to support innovative solutions and in identifying clinical workplaces ‘ready’ to implement an assistantship model. Readiness for transforming the final year placement to an assistantship placement is indicated by the presence of mediating artefacts which include cultural and material symbols. The presence of these positive indicators signifies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teams are open to reflecting on existing practices and to reconfiguring these to accommodate new possibilities. Such symbols mediate in the transition from ‘student’ to ‘assistant’ and help address the underlying contradiction where student learning is understood as separate to patient care, rather than as inherent in the practice of patient care. This is shown diagrammatically in Fig. 2 and 3.





수정된 DWR 워크숍은 최종 학년 학생에서 주니어 의사로 전환에 대한 이해를 학생의 '준비성preparedness'에 초점을 맞추는 것 이상으로, [이 전환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연습의 준비 상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발견은 실제 학습의 내재적이고 국지적으로 맥락화된 성격을 부각시키고 '준비성'을 강조함에 내재된 가정을 밝힌 이전의 연구와 반향을 일으킨다(킬민스터 외 2011). 연구팀은 의료 파트너와 협력하여 '활동 대상을 재고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페다고그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활동 이론을 도출했다(Guile 2009 p. 770). 

The modified DWR workshops were intended to shift understandings of the transition from final year student to junior doctor beyond a focus on ‘preparedness’ of the student to a focus on the readiness of the practice to accommodate this effectively. These findings resonate with our previous work which highlighted the embedded and locally contextualised nature of learning in practice, and revealed assumptions inherent in the emphasis on ‘preparedness’ (Kilminster et al. 2011). The research team drew on activity theory in working with our healthcare partners to provide ‘pedagogic support that will enable them to re-think or expand the object of activity’ (Guile 2009 p. 770). 


본 논문은 정책 및 전문 규제 기관과 협력하여 조력자 및 기타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 규제 기관과 협력해야 할 명확한 필요성을 가진 실천요강에 대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이러한 개발을 계속 진행함에 따라, 수정된 DWR 접근방식은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평가하고 식별하는 데 배치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 방법론은 한계가 있지만, 우리는 우리의 연구 결과가 의료실무에서 적절히 활용될 때 조직의 변화를 이해하고 촉진하는 모델의 가치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has implications for policy as well as practice with a clear need to work with professional regulatory bodies in addressing issues of workplace organisation and culture in order to support assistantship and other transitions. As we continue working on these developments, the modified DWR approach will enable us to work with placements in assessing and identifying what, and how, to change. Although this methodology has limitations, we consider that our findings show the value of the model in advancing understanding and promoting organisational change in healthcare practice when utilised appropriately.















, 20 (3), 655-68
 

Can the Tools of Activity Theory Help Us in Advancing Understanding and Organisational Chang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Affiliation

  • 1Leeds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Leeds, Worsley Building, Clarendon Way, Leeds, LS2 9NL, UK, a.m.reid@leeds.ac.uk.

Abstract

Continued changes to healthcare delivery in the UK, and an increasing focu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require a radical rethink on how we enable graduates to begin work in challenging, complex environments. Professional regulatory bodies now require undergraduate medical schools to implement an 'assistantship' period in the final year of study, where senior medical students 'shadow' the work of junior doctors, with an expectation that they will be better 'prepared' for work. However, there is little guidance about what an 'assistantship' entails and the current emphasis on preparedness of students arguably underplays the importance of contextualised learning within the workplace environment. This paper will describe a modified Development Work Research (DWR) (Engeström in Developmental work research: activity theory in practice. Lehmanns Media, Berlin, 2005) approach to organisational change, enabling academic, clinical and administrative partners to develop assistantship placements in different hospitals. Our findings indicate that a modified DWR approach can reveal factors indicating organisational readiness to support change within a locally contextualised framework. The process has significant practical applications across a range of healthcare disciplines, as all professions seek to engage with the challenge of enabling successful transitions of graduates to the workplace.


미래의 의과대학 만들기(Acad Med, 2017)

Creating the Medical Schools of the Future

Susan E. Skochelak, MD, MPH, and Steven J. Stack, MD




미국의 의료 체계가 전례 없는 변화를 겪고 있다.

The U.S. health care system is experiencing unprecedented change.


(그러나 국가 전문 기관, 고용주, 재단 및 advocacy 단체들은) 현재 의사들의 훈련 방식과 미래의 의료 시스템의 요구 사이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데 광범위하게 동의한다.

Yet nation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employers, foundations, and advocacy groups widely agree that a gap exists and continues to widen between how physicians are trained and the future needs of our health care system.


21세기의 의대생, 의사, 의료 전문가, 그리고 환자들의 요구를 더 직접적으로 충족시키면서 우리 나라가 필요로 하는 자원의 관리 및 의료 제공의 개선을 촉진하는 의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모델과 접근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It is time for a new model and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one that will facilitate the improvements in care delivery and stewardship of resources that our nation requires while more directly meeting the needs of medical students, physicians, health professionals, and patients in the 21st century.


의과대학이 필요한 방향으로 진화하는 것을 혁신에 대한 중대한 장벽이 가로막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장벽에는 다음이 있다.

  • 혁신을 위한 가용 자원 부족, 

  • 실제 또는 인지된 인증 및 규제 제한, 

  • 기관의 경직성, 

  • 기관 내 및 기관 간 테크놀로지 저발달, 

  • 의료 시스템 리더와 학술 시스템 리더 간의 역사적 분단 

It is clear that significant barriers to innovation are prohibiting medical schools from evolving in needed directions. These barriers include 

  • lack of available resources for innovation, 

  • real or perceived accreditation and regulatory restrictions, 

  • institutional rigidity, 

  • underdeveloped technology support within and across institutions, and 

  • historical divides between health care system and academic system leaders.


의학교육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아이디어, 새로운 모델, 그리고 새로운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New ideas, new models, and new partnerships are needed to catalyze change in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변화의 가속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MA는 미래의 의대 설립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2013년에 1,100만 달러의 경쟁적 보조금 기회를 개시했다.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the AMA launched an $11 million competitive grant opportunity in 2013


AMA는 이니셔티브에 대한 다음 목표를 개괄적으로 설명하였다. 

  • (1) 모든 교육 수준에서 의사를 위한 핵심 역량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여 보다 유연하고 개별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 (2) 환자 안전, 성과 개선 및 환자 중심 팀 관리를 달성하기 위한 모범적 방법을 촉진한다. 

  • (3)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의료 훈련에서 자금 조달 향상

  • (4) 학습 환경을 최적화한다.

The AMA outlined the following goals for the initiative: 

  • (1) develop new methods for measuring and assessing key competencies for physicians at all training levels to create more flexible, individualized learning plans; 

  • (2) promote exemplary methods to achieve patient safety,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atient-centered team care; 

  • (3)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health care system and health care financing in medical training; and 

  • (4) optimize the learning environment.


2013년 6월, AMA는 최종 기금 상을 발표하고 11개의 일류 의과대학과 제휴하여 5년 동안 각 학교에 100만 달러를 지급하였다.

In June 2013, the AMA announced the final funding awards and partnered with 11 leading medical schools, awarding $1 million to each over a five-year period


의료 교육 컨소시엄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AMA

the AMA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Consortium.



미래의 의과대학을 위한 혁신

Innovations for the Medical Schools of the Future


미래의 의과대학은 [미래의 의사들이 지속적인 의료 개선에 필요한 시스템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을 필요로한다.

  • 학습 성과를 표준화하고 학습 프로세스를 개별화하기 위해 역량 기반 커리큘럼으로의 재설계와 완전한 구현 

  • 평생 학습자를 배출하기 위한 탐구 습관의 확립, 

  • 커리큘럼에 헬스케어 딜리버리 통합 

  • 의료 제공 시스템 속으로 새로운 몰입 경험의 개발 


The medical schools of the future require 

  • full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design to standardize learning outcomes and individualize learning processes, 

  • establishment of habits of inquiry to produce master lifelong learners, 

  • integration of health care delivery science into the curriculum, and 

  • development of new immersion experiences within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o ensure that our future physicians are fully prepared to lead the system innovations that are required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health care. 


의료 교육 컨소시엄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AMA의 의과대학들은 이러한 모든 분야에서 혁신하고 있다. 미시간대 의대, 오리건대 보건과학대, 밴더빌트대 의과대학,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 등에서 역량 기반 커리큘럼 재설계 및 시행이 진행 중이다.

The medical schools in the AMA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Consortium are innovating in all these areas.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design and implementation is under way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Oregon Health and Sciences University,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의과대학은 환자 중심 및 팀 관리 접근법을 통해 건강 관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건강관리 전달 시스템에 담그는 새로운 경험을 개발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주 허쉬 의과대학에서 1학년 학생들은 patient navigator가 될 수 있도록 훈련되어, 환자와 가족들이 치료 제공 시스템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환자에게는 소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생들에게는 케어 딜리버리의 잠재적 개선영역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

Medical schools are developing new experiences for students that immerse them in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o experience health care through patient- centered and team care approaches. At Penn State Hershey College of Medicine, first-year students are trained to be patient navigators, assisting patients and families in optimizing their experiences with the systems of care delivery, both providing a valued service and giving students a unique view of potential areas for improvement in care delivery.


Mayo Medical School,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Penn State Hershey College of Medicine, 그리고 Brody of Medical School of East Carolina University에서 종합적이고 통합된 새로운 커리큘럼이 개발되었다. 이 새로운 콘텐츠에는 의료 시스템 구성 및 재정, 환자 안전 및 품질 개선, 의료 정보 및 임상 의사 결정, 인구 건강 관리,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팀 기반 관리 및 만성 질병 관리 등이 포함된다.

New comprehensive, integrated curricula for health system science have been developed at Mayo Medical School, the Warren Alpert Medical School of Brown University, Penn State Hershey College of Medicine, and the Brody School of Medicine at East Carolina University. This new content includes 

  • health care system organization and financing, 

  •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 medical informatics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 team-based care, and 

  • chronic disease management, among other topics.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은 많은 학교에서 핵심 주제다. 뉴욕대 의대 학생들은 빅데이터를 분석해 건강관리 결과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 있다.

Enhancing learning through new uses of technology is a core theme at many schools. At the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udents are answering questions about health care outcomes by analyzing big-data


일반적으로 11개 설립 컨소시엄 학교는 이러한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 두 가지 경로를 따라왔다. 대부분은 주요 커리큘럼 개정 작업에 착수하여, 의료 제공 과학에 새로운 내용을 대폭 추가하고, 그들이 추정하는 새로운 자료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4년간의 모든 교육에서 필수 자료를 제거했다.

In general, the 11 founding consortium schools have followed two pathways in building these new models. Most have embarked on major curriculum revisions, 

  • making major additions of new content in the science of health care delivery and 

  • removing required material in all four years of training to make room for what they have estimated to be 25% to 30% new material.


컨서시엄 확장

Expanding the Consortium


2015년, 2013년 AMA 혁신 보조금을 적용했지만 선정되지 않은 의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속 조사에서는, 학교 사업에 대한 자금의 제공 여부에 관계없이 의과대학 컨소시엄에 가입하는 것에 강한 관심을 나타냈다.

In 2015, a follow-up survey conducted with medical schools that had applied, but not been selected for, the 2013 AMA innovation grants indicated strong interest in joining the medical school consortium without regard for whether funding was provided for school projects.


학교는 6개 주제 영역 중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를 선택하도록 요청받았다. 

Schools were asked to identify projects in one or more of six thematic areas: 


  • (1) 의학교육에서 유연하고 역량 기반 경로 개발 

  • (2) 보건의료시스템 과학의 새로운 내용을 가르치고 평가

  • (3) 새로운 방식으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과 협력

  • (4) 학습 및 평가를 지원하는 기술 제작

  • (5) 적응형 마스터 학습자 양성

  • (6) 미래 리더를 형성

(1) developing flexible, competency-based pathways in medical education; 

(2) teaching and assessing new content in health system science; 

(3) working with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in novel ways; 

(4) making technology work to support learning and assessment; 

(5) envisioning the master adaptive learner; and 

(6) shaping tomorrow’s leaders.



미래를 위한 비전

A Vision for the Future


5년간의 수상 주기가 끝나면, 우리는 졸업하는 의대생들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될 것으로 기대한다.

At the end of the five-year award cycle, we expect graduating medical students to be prepared in the following ways:


• 기초, 임상 및 의료 제공 과학 마스터 핵심 교육

• 학습 기반 기술을 통해 학습 경험을 맞춤화하고 차별화하며, 순위의 시간이 아닌 역량 성취에 기반하여 잠재적으로 고급 교육으로 이동한다.

• 급변하는 의료 시스템 이해

• 의료 시스템에서 의사의 새로운 역할을 수용한다.

• 책임 있는 방식으로 의료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 의료 서비스 제공에 있어 리더 및 팀원으로 효과적으로 참여

• 환자, 가족 및 커뮤니티의 건강 결과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의료 제공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리더십 제공


• Master core education in basic, clinical, and health care delivery sciences;

• Customize and differentiate their learning experience, through learning- based technology, potentially moving to advanced training on the basis of achievement of competencies rather than time in rank;

• Understand our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system;

• Embrace the physician’s new roles in the health care system;

• Steward health care costs in a responsible manner;

• Participate effectively as leaders and members of teams in health care delivery; and

• Provide leadership for ongoing improvements in delivery of health care to optimize health outcomes for patients, families, and communities.


AMA 가속화 의료 교육 이니셔티브를 위해 경쟁하는 의대의 엄청난 반응은 의과대학들이 진화하는 의료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변화된 변화를 구현하는 데 열심이라는 분명한 신호다.

The tremendous response of medical schools interested in competing for the AMA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initiative is a clear signal that medical schools are eager to implement the transformative changes needed to respond to the evolving health care environment.


미래의 의과대학은 [급격한 변화에 준비된, 적응능력이 있는 시스템]과 [의사가 평생 적응적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환경 제공]으로 특징지어질 것이다. 급격한 변화란 기술 변화, 정보와 데이터의 보급, 케어 딜리버리 등이다.

Medical schools of the future will be characterized by systems ready for and adaptable to rapid change—change in technology, in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data, in care delivery— and by providing environments that prepare physicians to be lifelong adaptive learners





 2017 Jan;92(1):16-19. doi: 10.1097/ACM.0000000000001160.

Creating the Medical Schools of the Future.

Author information

1
S.E. Skochelak is group vice president, Medical Education,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hicago, Illinois. S.J. Stack is an emergency physician residing in Lexington, Kentucky, and president,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hicago, Illinois.

Abstract

Despite wide consensus on needed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experts agree that the gap continues to widen between how physicians are trained and the future needs of our health care system. A new model for medical education is needed to create the medical school of the future.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is working to support innovative models through partnerships with medical schools, educators,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accreditors. In 2013, the AMA designed an initiative to support rapid innovation among medical schools and disseminate the ideas being tested to additional medical schools. Awards of $1 million were made to 11 medical schools to redesign curricula for flexible, individualized learning pathways, measure achievement of competencies, develop new assessment tools to test readiness for residency, and implement new models for clinical experiences within health care systems. The medical schools have partnered with the AMA to create the AMA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Consortium, working together to share prototypes and participate in a national evaluation plan. Most of the schools have embarked on major curriculum revisions, replacing as much as 25% of the curriculum with new content in health care delivery and health system science in all four years of training. Schools are developing new certification in quality and patient safety and population management. In 2015, the AMA invited 21 additional schools to join the 11 founding schools in testing and disseminating innovation through the consortium and beyond.

PMID:
 
27008357
 
DOI:
 
10.1097/ACM.0000000000001160


2029년의 의과대학 (Med Teach, 2018)

Medical school in 2029

Michael Wilkes

UC Davis Medical Center, Sacramento, CA, USA



<아래는 가상의 미래를 상정하고 쓰는 편지 형식의 글>


100년이 훨씬 넘는 기간 동안 의과대학들은 의미 있는 변화 없이 본질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학생들을 훈련시켰다. 교육은 여전히 강단에 기반을 두고 있었고, 신체 진찰은 학생들에게 임상적 가치가 거의 없는 named maneuver을 행하게 했고, 수년 전의 흔적일 뿐인 도구와 기구를 사용하도록 가르쳤다. 의대생은 배의 선장이 될 준비를 하라는 말을 들었다. 이 과제의 경우, 

  • 준비 과정은 암기한 사실, 객관식 시험에 크게 의존한 평가로 구성되어 있었고, 

  • 임상 훈련은 (기술과 지식 프로세스에 중점을 둔) 짧은 기간동안 다양한 임상 환경의 경험, 팀워크보다는 시험에 의한 평가, 문제해결 등으로 구성되었다.

For well over 100years, medical schools trained students in essentially the same manner without any meaningful change. Education was still heavily lecture based, physical exam taught students to conduct named maneuvers that had little clinical value and to use tools and instruments that were a vestige of years past. The medical student was told to be prepared to be the captain of the ship. For this task, preparation consisted of memorized facts, evaluations relied heavily on multiple choice exams, and clinical training entailed short periods spent in a variety of clinical settings with a heavy emphasis on skills and knowledge processes, acquisition assessed by exam rather than on teamwork, and problem-solving.


솔직히, 의학 교육은 중대한 혁신을 이룰 시기가 되었다. 과거에 의학교육은 너무 엘리트주의적이고, 또한 그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필요한 서비스에 너무 복잡했다. 수십 년 동안, 의과대학들은 예를 들어 문제 기반/사례 기반 학습, 시뮬레이션 사용 및 종적 사무직 구현과 같은 교육에서 작은 점진적 변화를 이루었다. 학교들은 이러한 변화들이 그들을 현대적이고 관련 있게 유지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 변화들 중 일부는 혁신적이었지만, 의학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것은 하나도 없었다(접근성, 퀄리티, 비용).

Frankly, medical education was ripe for a major disruptive innovation. Medical education was too elitist, too that was expensive, and too complex for the service needed. For decades, medical schools made small incremental changes in education – sustaining innovations – for example implementing problem based/case-based learning, using simulation, and implementing longitudinal clerkships. Schools were convinced these changes would keep them modern and relevant. Some of the changes were innovative, but none fundamentally changed the problems impacting medical education (access, quality and cost).


  • 졸업생들은 다양하지 않았고 그들이 가장 필요한 지역사회를 대표하는데 실패했다. 가난한 도시와 시골 지역사회는 종종 많은 개발도상국들보다 인구당 의사 수가 적었다.

  • 의료 교육비가 너무 높아져서 학생들은 더 높은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세부, 세부세부전문과목을 선택했으며, 1차 진료에 공백이 생기게 되었다.

  • Medical training은 병원에 오는 환자의 1%에 초점을 맞추고, 1차 진료, 만성 질환 관리, 재활, 완화의료, 웰빙, 예방 등을 대부분 무시했다.

  • 결국 많은 의학교육 비용을 지불하는 납세자들은 의사들이 지나치게 절차와 질병에 집중되어 있다고 느꼈다. 환자는 의사의 진료 시간에 건강해지기보다는, 진료와 진료 사이에 더 건강해졌다.

  • 기술은 다른 많은 분야의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의학교육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않았다.

  • 다른 직업군과 대조적으로, 의대생들은 불안, 우울, 그리고 탈진을 지배적인 감정으로 표현했다

  • Graduates were not diverse and failed to represent the communities where they were needed most. Poor urban and rural communities often had fewer doctors per population than many developing nations.

  • The cost of medical education had escalated so much that students were driven to sub, and sub-sub specialties where they could generate higher salaries leaving a void in primary care.

  • Medical training focused on the 1% of the patients seen in hospitals and largely ignored primary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habilitation, palliative care, wellness, and prevention.

  • Tax payers, who after all pay a large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felt doctors were overly focused on procedures and diseases. Health happened between doctor visits not during them.

  • Technology was having major impacts on education in many other disciplines, but was barely utilized in medical education.

  • Anxiety, depression, and burnout were the dominant feelings expressed by medical students in contrast to their peers in other careers.


천천히, 파괴적인 혁신들이 자리잡기 시작했는데, 그러한 혁신은 종종 큰 관심을 끌지 못하는 소규모 non-prestigious 의과대학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일탈에서는 추가 자원이 없이도 더 나은 교육적 결과로 이어지는 흔치 않은 전략을 확인했다.

Slowly, disruptive innovations began to take hold, often in small non-prestigious medical schools that did not attract much attention. These positive deviants identified uncommon strategies that lead to better educational outcomes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resources.


(긍정적 일탈을 통해) 이 의과대학들은 프로그램을 단축하고, 전통적에 따라 교육과정에는 있었지만 의료행위에는 필요하지 않았던 내용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제거해버렸다. 이로 인하여, 과거에는 돈이 부족하거나, 뛰어난 학업 성적이 없거나, 학업 여정을 따라 개인적인 좌절을 겪었을 지원자들에게 문을 열렸다.

In medicine, they shortened programs and eliminated the requirement to learn material that was traditionally taught but was not required for the practice medicine. They opened doors to applicants who historically would have been excluded because they lacked money, didn’t have a brilliant academic track record, or had experienced personal setbacks along their academic journey.


너도 알다시피, 훈련 프로그램은 10년 전에 비해 50% 더 적은 수의 의사들을 훈련시킨다. 이것은 사람들이 더 건강해져서가 아니다. 질병이 급성 질환에서 만성 질환으로 옮겨갔을 뿐, 오늘날에도 많은 질병이 있다. 의과대학 지원자의 수가 크게 줄어든 것은 의과대학 지원자가 너무 적어서 자격 있는 사람이 너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환자를 돌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7-10년 동안 교육에 투자하려고 하지 않았는데, 이는 PA와 간호사들이 2년 과정만 거친 뒤, 약간의 추가적인 훈련만 받아도, 의사와 거의 동등한 (개인적 행복, 소득, 환자 성과와 관련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 때문이다.

As you know, training programs now train 50% fewer physicians than we did a decade ago. The drop wasn’t the result of a healthier population – there is just as much disease today, although illness has shifted away from acute illness to chronic illness. It turns out the large drop in medical school applications was a result of too few applicants to medical school leaving us with too few qualified people. Those who wanted to care for patients were no longer willing to invest 7–10years in training when physician assistants and nurse practitioners spent only two years and with in school some additional subspecialty training had nearly as good results – with regard to their personal well-being, income, and patient outcomes.


너무 오랫동안 우리는 모든 의대생들에게 그들이 어떤 전공분야에 들어가는데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에 집중했다. 이것은 엄청난 양의 커리큘럼 시간이 걸렸고 자신들과 거의 관련이 없는 자료를 배우고 있다는 것을 아는 학생들에게 좌절감을 주었다. 기술은 이 게임을 천천히 변화시켰고 우리는 교육을 맞춤화 할 수 있었다.

For too long we focused on providing all medical students with the knowledge they needed to enter any specialty. This took huge amounts of curricular time and was frustrating to students who knew they were learning material that had little relevance to them. Slowly technology changed the game and we could customize education


평범한 의과대학은 학생의 지식을 변화시키지만(what you know), 위대한 의과대학은 학생의 정체성(who you are)과 행동방식(how you behave)을 변화시킨다.

We recognized that an adequate medical school changes what you know, but a great medical school changes who you are and how you behave.


그래도 우리가 망설이고 있는 의학적 교육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들이 있었다.

Still, there wer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medical education we were hesitant to ask:

  •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 우리의 고객은 누구인가? 인가자는 누구인가? 교직원? 학생? 지역사회?

  • 우리가 개발하고 있는 제품은 무엇인가? 80% 수준의 시험에 합격할 수 있는 학생을 양성하는 교직원의 일이란 말인가?

  • What is the job we are expected to get done?

  • Who is our customer? The accreditors? The faculty? The student? The community?

  • What is the product we are developing? Is the faculty’s job to develop students who can pass an exam at the 80% level or something greater?


당신이 2019년에 졸업했을 때 의사들은 엄청난 급여를 요구했고, 의사들은 종종 증거에 기반하지 않는 비싼 치료를 제공했다. 의사들은 종종 팀으로 일하는 것을 어려워했고, 그들의 사고방식에 있어서 환원론적이었고, solo provider였다. 그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 때문에, 많은 의사들은 화가났고, 소진되었고, entitled하다고 느꼈다.

When you graduated in 2019, physicians demanded ultra-high salaries and provided expensive care that was often not evidence-based. Physicians were often difficult to work with, reductionist in their thinking, and solo providers. Because of the way the system operated, many physicians were angry, burned out and felt entitled.


교수진 평가, 승진, 진급은 [발생 소득, 발주된 검사 횟수, 전자 진료기록의 차트 작성] 등의 대리 지표에 의존했다.

Faculty evaluations, promotions, and advancement depended on surrogate markers such as income generated, numbers of tests ordered, and charting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학생 성공의 가장 중요한 척도는 시험 점수였다. 학생의 성과, 지역사회 건강, 환자 만족도, 환자 또는 지역사회 건강에 대한 기여를 종단적으로 추적하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다.

The most highly valued metrics of student success were trainees’ exam scores – there was no attention to longitudinal tracking of trainees’ output, their contributions to community health, patient satisfaction, or of measuring patient or community health outcomes.


의과대학은 인증 권한을 빼앗겼다. 왜냐하면 인증기관이 혁신의 장벽으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의사의 역할에 관해서 현재 상태만을 지나치게 보호했기 때문이다.

accreditation of medical school was taken away from organized medicine because these accrediting bodies were seen as a barrier to innovation and were overly protective of the status quo particularly regarding the role of the physician.


의과대학에 대한 "직업 설명서"를 다시 쓰게 되었다. 의사의 업무는 local, regional, national, 심지어 international 수준에서 대중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도록 다시 정의되었다. 이것은 의사가 분명히 이 업무의 한 요소일 뿐, '유일한' 요소는 아니라는 것을 의미했다. 우리는 질병이 치료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사회적 불균형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there was a major re-write of the “job description” for a medical school. The job was re-defined to focus on improving the public’s health at the local, regional, national, and even international level. This meant that physicians were certainly an element of the job, but not the only element. We recognized that disease was important to treat, but that we also needed to address social disparities


의과대학의 새로운 이해당사자들이 등장하면서, 의과대학의 성공 여부는 그들이 봉사하는 지역사회의 건강을 바탕으로 측정되고 보고된다. 의대에서 연구를 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이제 연구자금은 이론적 지식을 발전시키기 보다는 건강을 증진시키기는 방향으로 유입된다.

With new stakeholders in medical education the success of medical schools is now measured and reported based on the health of the community they serve. Change also occurred in how research is done at medical schools. Research funds now flow to improve health rather than advance theoretical knowledge.


인증평가가 바뀌고, 의사가 더 이상 운전석에 있지 않게 됨에 따라, 의과대학은 (지역사회, 의료 및 기타 의료 직업, 의료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그룹에 참여하여 역량을 재 정의하고 의미 있는 환자 중심 결과를 측정할 것을 요구받았다. 커리큘럼은 기초과학에 대한 불필요한 집중에서 환자 중심의 관리, 사회/행동적 과학, 학제간 팀워크, 기술 사용 및 증거 기반 관행을 촉진하기 위한 빅데이터 사용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When the accreditation oversight changed, and the profession was no longer in the driver’s seat, schools were required to engage with various stakeholder groups from the community, the medical and other health professions, and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o re-define competencies and measure meaningful patient centered outcomes. Curriculum moved from an unnecessarily heavy focus on foundational science to a focus on patient centered care, social/behavioral science, interdisciplinary team work, use of technology and use of big data to drive evidencebased practice.


두 가지 주요한 변화가 의학교육을 변화시켰다. 

(1) 보건 과학 교육과 의료 전달을 결합하고 

(2) 과제의 전환task shifting을 크게 강조한다. 

two major changes altered medical education (1) combining health science education with health care delivery, and (2) a heavy emphasis on task shifting. 


이러한 것들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너무 오랫동안 대학의학과 헬스케어 제공은 서로 관련되면서도 별도의 예산과 임무를 가진 고립된 사일로에 존재했다. 이러한 고립된silo'd 접근방식은 주로 다음의 이유로 사라지게 되었다.

(1) 훈련 프로그램과 전달 시스템에 대한 통합적 목표를 필요로하는 건강 성과 측정을 강조

(2) 높은 의학교육 비용 

Taking these in order, for too long academic medicine and health care delivery were related but existed in different silos with separate budgets and missions. This silo’d approach ended primarily because of (a) the new emphasis on measuring health outcomes which required integrated goals for training programs and delivery systems, and (b) the high cost of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들도 일과 학문work and learning을 병행하기 시작했다.

Medical schools also began to combine work and learning.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가한 의대생들은 건강관리 전달 시스템에서 학업과 실제 훈련을 오가며 로테이션했다. 학생들은 그들의 일에 대한 보수를 받았기 때문에 의과대학은 결국 공짜free가 되었다.

Medical students in these programs rotated between academic studies and practical training in a health care delivery system. Students were paid for their work so school ended up being free.


그들은 (제한된 경험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선장"이 될 것이라고 여겨지지 않았다. 근무지에서는 학생에게 의료 서비스 제공 문제에 초점을 맞춘 발견(즉 "연구")를 하도록 요구했다.

they no longer would come in assuming they would be “captain of the ship” despite their limited experience. Work on the job required students to conduct discovery (aka “research”) that focused on health care delivery concerns


이러한 의학적 교육의 주요 변화 동안, 누군가는 꾸준히 의과대학이 의료 시스템에 속하느냐는 질문을 했다. 만약 우리가 Tom Aretz가 제공한 그림 1을 참조한다면, 우리는 전통적인 의과대학들이 졸업생들을 4개의 사분면에서 모두 일하도록 훈련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task shifting에 대한 데이터에 따르면 의사보다 훨씬 교육을 덜 받고서도, 협소하게 훈련된 사람들이 (패턴 인식 및 규칙/알고리즘 기반으로) 고도로 예측가능한 케어는 더 잘 수행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일반 백베인, 무릎 교체에 대한 일상적인 수술 관리, 의심스러운 병변에 대한 피부 생체 검사 또는 PAP 얼룩 판독).

During these key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one regularly asked the question where does a medical school belong in a health care system? If we refer to Figure 1, provided by Tom Aretz, we see that traditional medical schools trained graduates to work in all four quadrants. But, data on task shifting suggested that highly predictable care,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and rules/algorithm-based decisions (ambulatory care for common problems such as common backpain, routine surgical care for knees replacements, skin biopsies for suspicious lesions, or reading cytology smears from PAP smears) could be done well by narrowly trained people with far less education than physicians. 



심지어 어떤 업무들은 (명백한 abnormality를 잡아내는 것을 지겨워하거나 간과하는 인간들보다) 기계학습/인공지능을 할 수 있는 컴퓨터에 의해 더 잘 수행되었다는 증거도 있었다. 그 증거에 따르면, 의사들이 가장 잘 기능하는 곳은 예측가능성과 복잡성이 낮을 때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바로 새로운 의과대학 교과과정이 초점을 두어야 하는 지점이다. 

There was even evidence that some tasks were done better by computers capable of machine learning/artificial intelligence than by humans who got bored or overlooked obvious abnormalities. The evidence showed that where physicians functioned best is when there is low predictability and high complexity. This was what the new medical school curriculum focused on and where we are today.


의사들은 효과적인 팀워크를 익혀야 한다. 이로서 가정 의료 종사자와 방문 간호사와 함께 일할 필요가 있다. 새로 교육을 받은 제공자들은 병원보다는 지역사회에서 진료를 했다.

physicians needed to work with home health workers and visiting nurses in ways that required effective team work. Newly trained providers delivered care in the community rather than in hospitals.


만약 아카데미아의 진로를 고려한다면, 여전히 학문 의학의 전통적인 4대 축인 임상 치료, 교육, 연구/혁신, 사회적 사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여러분은 더 이상 네 가지 분야에서 모두 전문가가 될 필요가 없다.

So, as you consider a career in academics, you still need to consider the conventional four pillars of academic medicine – clinical care, education, research/innovation, and the social mission. However, no longer do you need to be an expert in each one.


훈련은 이제 3분의 1 정도 단축되었고, 팀 작업, 환자 중심의 관리, 좋은 결과와 높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의료 시스템의 역할, 그리고 지역사회 건강의 개선을 평가하는 지표에 대한 훈련이 더 많이 있다. "핵심 콘텐츠"를 2가지 방법으로 다시 정의했다. 첫째, 우리는 모든 분야의 모든 건강 전문가에게 필요한 핵심 내용을 정의했다(학문, 약국, 치과, 의료 등). 이 핵심은 주로 온라인 학습을 통해 모든 건강 전문가 학생들에게 전달되며, 그들은 그들만의 속도로 갈 수 있다. 일단 그들이 그 자료에 대한 숙달성을 증명하면, 학생들은 그들의 선택적인 건강 직업에 지원하게 된다. 의대에 진학하기 위해 선발된 사람들은 "의과대학 핵심 컨텐츠"(MSCC)을 수강한다.

Training is now about a third shorter, there is more training on team work, patient-centered care, the role of health care systems in maintaining good outcomes and high quality, and metrics that assess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health. We have re-defined “core content” in two ways. First, we defined core content necessary to all health professionals across disciplines (nursing, pharmacy, dentistry, medicine, etc.). This core is delivered, primarily through eLearning, to all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nd they can go at their own pace. Once they demonstrate mastery of the material, students apply to their choice health profession. Those who are selected to enter medical school take “medical school core content” (MSCC).


의과대학의 사명이 진실로 의학교육이라면, 더 이상 15-30개의 학과가 있는 대규모 전문학교가 필요하지 않다. 이것은 많은 돈을 절약했다.

Medical schools no longer need large faculties with 15–30 different departments if their mission was truly medical education. This saved huge amounts of money.


그런 다음 의대생들은 광범위한 임상 전문 분야(예: 수술, 1차 진료 등)에 대비할 트랙을 정한다. 그들의 길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교육에 대한 통제권을 훨씬 더 많이 가지며, 멘토들의 지도를 받으며, 그들이 무엇을 배우고 싶은지. 남은 경력 동안 우리가 한때 "평생 학습"이라고 부르던 것, 그들이 필요로 할 학습에 훨씬 더 잘 대비할 것이다.

Medical students then decide on a track that will prepare them for a broad area of clinical specialty (e.g. surgery, primary care or the like). In their track, students control far more of their education and decide, with guidance from mentors, what they need and want to learn. They are far better prepared for the type of learning they will need for the rest of their career – what we used to call “life-long learning”.






 2018 Oct 27:1-4. doi: 10.1080/0142159X.2018.1507253. [Epub ahead of print]

Medical school in 2029.

Author information

1
a UC Davis Medical Center , Sacramento , CA , USA.
PMID:
 
30370807
 
DOI:
 
10.1080/0142159X.2018.1507253


미래의 의과대학: 정보 기관에서 변혁 기관으로 (Med Teach, 2018)

Medical college of the future: From informative to transformative

Hossam Hamdy

Gulf Medical University, Ajman, United Arab Emirates




(의학교육과 의료시스템의 문제는) 단순히 우리가 일년 뒤조차도 확실히 "예측할 수 없는" 기술적 진보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커리큘럼 구조,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것보다 훨씬 더 큰 문제이다. 의학교육과 의료 시스템의 복잡성은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하는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하다. 이것은 "고약한 문제wicked problem"으로서, 답을 찾기 어렵고 해답에 저항성을 가지는 문제이다. 왜냐하면 이 문제의 사회적 복잡성이란 결정 가능한 정지점이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It is not about technological advances, which we definitely cannot “predict”, even within the next year. It is not about curriculum structure, what to teach and how. It is much more than that. The complexity of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ystems is much more than solving or addressing a few problems. It is a “wicked problem” which denotes the difficulty to solve or resistance to resolution of a problem whose social complexity means that it has no determinable stopping point (Cameron 2015).


그것(의학교육)은 계속적으로 변환될 것이다. 변화는 평가와 재평가evaluation and revaluation 사이의 연속적인 반복이 될 것이다. 보건전문직교육의 산출물을 개발, 운영, 사용하는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은 변화에 유연하고 적응적이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삶의 모든 측면에서 일어나는 빠른 변화를 막거나 그에 대한 대응을 지연시키게 될 것이다.

It will be continuously trans-forming. Change will be a continuous iteration between evaluation and revaluation. The “Educational and Healthcare” Systems involved in developing, running, and using the products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ould be flexible and adaptive to change, otherwise they will be obstructing and delayed in responding to the quick changes taking place in all aspects of life.


전 세계의 의과대학들은 변하고 있지만 너무 느리다. 여러 면에서, 그것은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Medical colleges all over the world are changing but the process is too slow. In many ways, it should consider the context.


란셋 커미션 비전에 의해 언급된 바와 같이, 

"모든 국가의 모든 건강 전문가들은 지식을 동원하고 비판적 추론과 윤리적 행위에 참여하여, [지역적으로 책임감있고 세계적으로 연결된 팀의 구성원]으로서 환자와 인구 중심의 건강 시스템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Frenck). et. 2010).

as stated by the Lancet Commissions vision, that 

“all health professionals in all countries should be educated to mobilize knowledge and to engage in critical reasoning and ethical conduct so that they are competent to participate in patient and population – centered health systems as members of locally responsive and globally connected teams” (Frenk et al. 2010).


여러 해 동안, 나는 교육 기관, 조직, 프로그램, 교육 및 학습과 물리적 시설을 이론적 틀 안에 두는situated 것이 중요하다는 확신을 발전시켜 왔다. "이론 없는 실천은 맹목적이고 실천 없는 이론은 무의미하다." 

– 칼 마르크스(1819–83).

Over the years, I have developed the conviction that it is important to situate educational institutes, organization, programs, teaching and learning and physical facilities within a theoretical framework, “Practice without theory is blind and theory without practice is sterile” – Karl Marx (1819–83).


의학은 사회과학이다. 그것은 사람, 사회, 그리고 인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관한 것이다.

Medicine is a social science. It is about people, societies and huma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1학년 첫 날부터 학생들은 근무환경에 embed되어야 한다. 전문성, 팀워크, 공감 등 역량 영역은 이해되기 시작하며 학습자가 볼 수 있을 것이다.

Students from year one, day one should be embedded in the work environment. The competency domains like professionalism, teamwork, empathy, and others will start to make sense and will be visible to the learner.


학생과 교직원은 다른 보건 전문가들과 함께 팀으로 일하게 될 것이다. 직업간 교육은 교육에서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이다. 전문적인 사일로가 사라지기 시작하 협력 관계와 효과적인 기능적 의료 제공자의 팀이 향상될 것이다.

Student and Faculty will be working in teams with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will take place naturally, emphasizing interdependence in education. Professional silos will start to disappear, enhanc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nd effective functional healthcare providers’ teams.


거시적이고 미시적인 수준에서, 인구의 건강에 대한 책임이 공유될 것이다. 의료 서비스와 건강 전문 교육 사이의 강력한 조직 분리는 바뀔 것이다. 학생들의 훈련은 지역사회의 각종 헬스케어 관련 시설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단순히 대형병원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수준의 헬스케어에 존재할 것이다. 경제가 주도하는 세계에서, 의과대학의 '영리 기관'과 '비영리 기관'의 분리는 사라질 것이다. 교육과 연구에서의 민관 제휴는 확산될 것이고 더욱 규제되고 장려될 것이다.

At a macro and micro level, the responsibility for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will be shared. The strong organizational separation between healthcare services and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will change. The training of students will be in all healthcare-related facilities in the community. It will not be mainly in hospitals but at all levels of healthcare. In an economy driven world, the separation between medical college “not for profit” and “for profit” will disappear.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education and research will spread and become more regulated and encouraged.


의료 시스템과 긴밀하게 협력할 의과대학은 주요 구조 변화를 겪을 것이다. 대학 내에서, 그것은 다른 건강 과학, 인문, 사업, 공학, 법 등의 대학들과 더 밀접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 혁신은 보통 학문과 과학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일어난다. 이것은 우리가 교수을 어떻게 임용하고 개발하고 어떻게 그들을 평가하느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교차 임용은 표준이 될 것이다.

The medical college which will be working closely with the healthcare systems will go through major structural changes. Within the university, it needs to work more closely with other colleges of health sciences, humanities, business, engineering, law, etc. Innovation usually takes place at the interface between disciplines and sciences. This will have implications on how we appoint and develop faculty and how we evaluate them; cross appointment will be the norm.


교수의 역할은 변화하고 있으며, "정보 제공자"에서 학습 촉진자, 역할 모델, 전문가, 혁신자로 바뀔 것이다. 교수 트랙 시스템이 표준이 될 것이다. 직원은 주로 교육, 연구 또는 임상 트랙에 임명될 것이다. 그 부서의 구조는 바뀔 것이다. 지난 20년 동안 department의 수는 줄어들고 있었다. 성과역량에 기초한 구조는 진화할 것이다. 모든 교수진은 학문기반 역량 뿐만 아니라 성과 역량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교수들의 전문 지식과 전문적 전문지식을 넘어서는 영역에서 까지 지속적인 교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role of faculty is changing and will continue to change from “information giver” to a facilitator of learning, a role model, an expert, and an innovator. Faculty Track Systems will be the norm. Staff will be appointed mainly to educational, research or clinical tracks. The department’s structure will change. This has been taking place over the last two decades of having fewer departments. A structure based on outcome competencies will evolve. All faculty should contribute to the outcome competencies not solely those that are discipline based. This will need continuing faculty development in domains beyond their expert knowledge and professional expertise.


다양한 Department가 생길 것이다. 우리는 환자 및 인구 관리 부서, 실무 지식 부서, 윤리 부서, 프로페셔널리즘, 연구 및 부서 혁신 부서, 전문 교육 간,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부서, 의료 시스템 부서, 경제 및 글로벌 보건 부서를 볼 것이다.

We will see 

  • Departments of Patient and Population Care, 

  • Department of Knowledge for Practice, 

  • Departments of Ethics, Professionalism, 

  • Departments of Research and Innovation,

  • Department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 Departments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 Departments of Healthcare systems, Economics and Global Health.


미래의 의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들은 고등학교에서의 성적에 기반한 현재와는 다르게 선택되어야 한다.

The students who want to be the future physicians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from the current systems which are extensively based on performance in high school.


모든 상황에 적용가능한 만능 해답은 없다. 우리는 전세계의 모든 의과대학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좋은 유형의 교과과정이 있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 커리큘럼 개발, 시행 및 평가는 상당히 맥락과 관련이 있다.

One size does not fit all. We cannot imagine that there is one best type of curriculum which can be applied to all medical colleges globally. Curriculum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re very much context related.


중요한 것은 졸업후교육과 위임가능성에 대한 명확한 비전과 명확한 결과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다.

What is important is to have a clear vision and clear outcome competencies of the graduate and entrustability.


지식 평가는 글로벌 협력과 국제 벤치마크를 통해 이뤄질 것이다. 지식과 기술에 대한 평가를 넘어서는 다른 평가 도구가 발생할 것이다. 사회는 학생들이 학습 성과를 충족시키고 졸업 후 안전한 방법으로 연습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확신을 요구할 것이다.

Assessment of knowledge will take place through global collaboration and international benchmarks. Other assessment instruments beyond the assessment of knowledge and skills will take place. Society will require assurance that the students are meeting the learning outcomes and they are ready to practice in a safe way after graduation.


연구와 혁신은 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필수적일 것이다. 학생들은 첫날부터 연구에 참여해야 한다. 그들은 연구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에 노출되어야 하며, 연구자의 "실천 공동체"에 embed되어야 한다.

Research and innovation will be integral to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Students should be introduced to research from day one. They should be exposed to how researchers think and behave and be embedded or close to the tribe of researchers’“Community of Practice”.


중요한 것은 연구를 하면서 배우고, 졸업 후에도 계속하는 것이다.

What is important is learning research by doing, and continuing to do it after graduation.


이러한 새로운 내용을 다루면서, 대학은 교육과정이 overload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리더십, 경영 및 기업가정신은 현재 매우 무시되고 있는 영역이다. 의사들은 점점 더 팀을 이끌거나 다른 의료 전문가가 이끄는 팀의 일원이 될 것이다.

While addressing these new contents the college should be careful not to overload the curriculum with more didactic teaching. Leadership,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 are areas that at present are very much neglected. Physicians increasingly will be asked to lead teams or be part of teams led by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임상 경험과 인구 건강 사이의 커리큘럼에서 수평적 및 수직적 통합이 증가할 것이다. 미래의 의과대학은 기존의 교육 모델을 변화시킬 첨단 기술을 사용할 것이다. 모든 커리큘럼 내용과 학습 자원은 모든 학생들이 항상 이용할 수 있고 접근가능해질 것이다. e-Learning 자료는 전 세계 의과대학의 협력 협회에 의해 공유될 것이다.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between clinical experience and population health will increase. The medical college of the future will be using advanced technology which will transform existing educational models. All curriculum content and learning resources will be available and accessible to all students at all times. E-Learning materials will be shared by consortia of collaborating medical colleges from all around the world.


20년 전, 하든 교수는 "가상 의과대학"과 가능한 첫 번째 온라인 의학 학위(Hamdy et al. 2017)를 옹호해 왔다.

For more than 20 years, Professor Harden has advocated for the “Virtual Medical College” and the possible first on line medical degree (Hamdy et al. 2017).


이러한 모든 변경은 퀄리티 보장을 위해 국가 및 국제 인증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어야 하지만, 인증 시스템이 혁신을 억제해서는 안 된다(Wilkinson 2012).

All these changes should be supported by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ystems to ensure quality, but should not stifle innovation (Wilkinson 2012).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인증 기관은 신용시간 시스템(CHS)이나 그 자손, 유럽 신용전송 및 축적 시스템(ECTS)을 이용하여 교육의 모든 측면을 정량화한다. 이러한 인증 시스템은 100년 이상 전에 개발되었으며, 과정, 과목에 기초하고 있으며, 주로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학습 모델과 연계되어 있다. 그것은 교육 품질 측정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은행 시스템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In many parts of the world, accreditation bodies quantify all aspects of education using the credit hours system (CHS) or its offspring, the 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s system (ECTS). These systems were developed more than 100 years ago they are based on courses, subjects and linked mainly to traditional didactic, teacher centered models of learning. It could, arguably, be described as more of a banking system than an educational quality measurement system (Nosair and Hamdy 2017).


인증 기관은 변화를 주도하고 결과의 퀄리티에 더 집중해야 한다.

Accreditation agencies need to drive the changes and focus more on the quality of the outcomes


미래의 의과대학의 물리적 시설과 학습 환경은 어떤가? 물리적 학습 공간은 "학습과 가르침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을 반영하고 표현해야 한다. 이것은 건물, 기반 시설, 기술, 가구 및 수업 외 학습 환경의 설계를 통해 반영되고 표현되어야 한다.

What about the physical facilities and learning environment of Medical College of the Future? Physical learning spaces should reflect and express the underlying assumptions about “what is learning and teaching?”. This should be reflected and expressed through the design of its buildings, infrastructure, technology, furniture and out of class learning environment.


컴퓨터나 휴대전화는 물리적 설비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여 비유될 수 있다. "건물"은 "하드웨어"로, "교육"은 "소프트웨어"가 된다. 우리가 2000년에 개발된 컴퓨터에서 2018년에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은 꽤 명백하다. 물리적 시설을 스마트 빌딩과 캠퍼스로 건설하거나 변경할 때도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The computer or the mobile phone can be considered as an analogy to reflect the 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facilities, “Buildings” as the “Hardware” and the programs and mode of delivery “Teaching” as the “Software”.Itis quite obvious that we cannot run software developed in 2018 on a computer developed in the year 2000. The same should be considered in constructing or changing the physical facilities into smart buildings and campuses.


학습을 위한 물리적 공간은 역량 기반 커리큘럼, 학생 중심, 경험적, 학제간 및 전문가간 학습과 일치해야 한다.

The physical space for learning should be in alignment with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udent-centered, experiential, interdisciplinary, and interprofessional learning.


"공식" 공간과 "비공식" 공간은 똑같이 중요하다. 가구는 감각과 같은 라운지를 제공하는 좀더 domestic해야 한다. 대부분의 학습은 폐쇄된 영역인 "교실"의 벽을 넘어 이루어질 것이다. 복도, 오픈 라운지, 카페테리아, 푸드 코트, 그리고 건물 풍경 밖의 건물들은 교실에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더 가치 있게 여겨지고 있다.

“Formal” and “informal” spaces are equally important. Furniture should be more domestic giving it a lounge like sense. Most of the learning will take place beyond the walls of a closed area “Classroom”. The corridor, open lounges, cafeterias, food courts, and outside the building landscape are becoming more valued as less time will be spent in the classroom.


많은 학생들이 다니는 "대량 강의실"을 가르치는 독백 스타일의 전형적인 교육 공간은 제한되고 활용도가 떨어질 것이다. 그 건물들은 소규모 그룹 학습을 위한 더 많은 작은 교실을 갖게 될 것이다.

The typical didactic spaces for monologue style teaching “Large Lecture Halls” which take large numbers of students will be limited and underutilized. The buildings will have more small classrooms for small group learning.


도서관은 더 이상 책을 위한 저장소가 아니라 "E-Learning Resource Center"이다. 그들은 전자책,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학습에 대한 전자적 접근의 새로운 구성을 통해 지식과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것이다.

Libraries are no longer repositories for books, they are “E-Learning resource centers”. They will provide access to knowledge and resources through new configurations of ebooks, databases and electronic access to learning.


도서관 영역의 근접성과 라운지와 열린 공간에 대한 그것의 연결성은 "삶 자체에서 배우기live and learn"의 개념을 뒷받침할 것이다. 소음 및 장애와 관련된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대학과 대학은 제2의 보금자리가 될 것이다.

Proximity of the library area and its connectivity to the lounges and open spaces will support the concept of “Live and Learn”. Issues related to noise and disturbance should be considered. Universities and Colleges will be as a second home.


"과학 플랫폼"의 개념은 설계의 지침 원칙 중 하나가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scientific platforms” will be one of the guiding principles of the design.


현대 학습의 플랫폼 모델은 학생들에게 경험적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기초한다. 그것은 학생들 사이에 연구와 탐구 문화를 주입할 것이다. 그것은 전문분야에 관계없이 현대 업무 환경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협업 및 팀 기반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Platform models of modern learning are based on providing th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experiential learning. It will inculcate a research and inquisitive culture among the students. It will allow collaborative and teambased learning which is absolutely essential for the modern work environment regardless of the specialty.


플랫폼과 다목적 실험실은 설계 개념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 그들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을 서로 연결하고 다중 전문 교육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글루"를 구성한다.

The platforms and multipurpose labs should be in the center of the design concept. They constitute the “glue” which connect the different programs together and maximize the value of multiprofessional education.


우리가 자신 있게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앞으로 수십년이 지나더라도, 환자도 인간이고 의사도 인간이고 의대생도 인간이라는 것뿐이다.

The only thing which we can predict with confidence is that, for the coming few decades, the patient is human, the doctor is human and the medical student is human.


변화할 것은 그들이 소통하고, 상호작용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그것은 모두 연결성에 관한 것이다.

What will change is how they communicate, interact with, and understand each other. It is all about connectedness.






 2018 Oct 9:1-4. doi: 10.1080/0142159X.2018.1498628. [Epub ahead of print]

Medical College of the Future: from Informative to Transformative.

Author information

1
a Gulf Medical University , Ajman , United Arab Emirates.

Abstract

The complexity of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ystems is a 'wicked problem'. Change will be a continuous iteration between evaluation and revaluation. Medicine is a social science. It is about people, societies and huma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Medical College of the future should be developed in the light of social constructivism theories. Students from year one, day one, should be embedded in the work environment. Academic Healthcare Systems will be the norm not the exceptional. The training of students will be in all healthcare related facilities in the community.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education and research will spread and become more regulated and encouraged. The students who want to be the future physicians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The curriculum will be more context relate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will be measured more frequently at different points of the students learning trajectory. Research and innovation will be integral to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hey should be exposed to how researchers think and behave and be embedded in a research environment. The medical college of the future will be using advanced technology which will be disruptive and transform existing educational models. E-Learning materials will be shared by consortia of collaborating medical colleges from all around the worl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will influence how students learn.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ystems should ensure quality, but not stifle innovation. Physical learning spaces should reflect and express the underlying assumptions about "what is learning and teaching?". This should be reflected and expressed through the design of its buildings, infrastructure, technology, furniture and out of class learning environment. Predicting the future is difficult in a rapidly changing world. Next generation physicians should be competent in treating the next generation of patients while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PMID:
 
30299185
 
DOI:
 
10.1080/0142159X.2018.1498628


미래의학교육: 준비, 우선순위, 가능성(Med Teach, 2018)

Future medical education: Preparing, priorities, possibilities

Hilliard Jasona,b

a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CO, USA; bEducation Administration, iMedtrust, London, England




미래는 이미 왔다, 그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다. 윌리엄 깁슨(1948-)

The future is already here, it’s just not evenly distributed. William Gibson (1948-)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과 관련하여, 세계의 많은 측면은 다음과 같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Many aspects of the world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are changing rapidly, including:


1. 질병 패턴의 변화

2. 자기자신과 조직의 변화를 촉진하는 방법에 대한 향상된 이해

3.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고 교육 프로그램을 디자인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발견

4. 신흥 교육 관련 테크놀로지의 잠재력과 위험.

1. Shifting illness patterns

2. Enhanced understandings of how to facilitate changes in ourselves and in our institutions

3. New findings about how people learn and ways to design educational programs

4. The potentials and risks of emerging, educationally relevant technologies.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을 바꾸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의 제도적 관행을 수정하는 것은 일부 친숙하고 편안한 신념을 바꾸거나 심지어 포기해야 할 수 있다.

changing what we think and do, as well as modifying our institutional practices can require altering, even abandoning, some familiar, comfortable convictions.


Table 1


미래를 위한 준비

Preparing for the future


우리는 

아직 발명되지 않은 기술을 사용하여... 

현재 아직 존재하지 않는 직업을 위해 학생들을 준비시키고 있으며,

그것의 목적은 아직 알지도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 안드레아스 슐리셔 OECD 교육기술국장

We are currently preparing students for jobs that don’t yet exist … 

using technologies that haven’t yet been invented … 

in order to solve problems we don’t even know are problems yet. 

- Andreas Schleicher, Director for Education and Skills, OECD


알 수 없는 미래를 대비할 수 있을까.

Can we prepare for a future that is unknowable?


교육 지도자들의 계속되는 의무는 "지평을 탐색하는 것horizon scanning"이다. 즉,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곧 필연적으로 도래할 일이라는 두 가지 질문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A continuing obligation of educational leaders is “horizon scanning”; that is, attending to two questions: what is happening now, and what is inevitably arriving soon? There are two main ways of anticipating the future:


1.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예측은, 현재의 추세를 인식하고 그러한 궤적의 연속성을 예측하는 것에 기초한다.

1. The most reliable forecasts are based on recognizing current trends and projecting a continuation of those trajectories.


2. 대안적 미래의 일부는 미래 그 자체를 발명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는데, 우리가 기존의 궤도를 바꾸거나 새로운 궤도를 만드는 데 필요한 의지와 이해를 가지고 있다면 일어날 수 있다.

2. Parts of an alternative future can be forecast by inventing them, which can happen if we have the will and understanding needed to alter existing trajectories or create new ones.


미래를 만들려면 대개 [무엇이 필요한지], [무엇이 가능한지]를 이해해야 하며, 변화로부터 [영향을 받을 사람들이 무엇에 준비되었는지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Shaping the future usually involves understanding both what is needed and what is possible, recognizing what those who will be affected are ready for.


변화를 이해하기

Understanding change


우리는 지금부터 30년 이상 뒤에 우리의 새로운 학생들이 무엇을 직면하게 될지 알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We must begin by acknowledging that we cannot know what our new students will be confronting 30 and more years from now


    • 미래를 대비하려면 변화의 프로세스와 결과를 이해해야 한다. 

    • 숙련되고 계몽된 기관 리더십이 필수적일 수 있다(Kotter 2012). 

    • 그리고 혁신의 성공과 확산에 대한 이해 역시 기초적으로 알아야 할 것이다(Rogers 2003).

    • Preparing for the future requires that we understand change processes and consequences. 

    • Skilled, enlightened institutional leadership can be vital (Kotter 2012). 

    • And understanding how innovations succeed and spread should be considered foundational (Rogers 2003).


의미 있고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우리는 변화를 시작할 수 있는 분별력을 가진 지도자들과 교육자들이 필요하다. 이들은 [동료들과 학생들의 준비도]라는 범주 내에 머물러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것 없이 지속가능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undertaking meaningful, lasting change can be difficult. We need leaders and educators who have the discernment to initiate changes while remaining roughly within the range of their colleagues’ and students’ levels of readiness, without which little lasting change happens.


변화의 리더들은 [가치 있고 지속적인 변화는 전형적으로 그 속도가 느리고, 일부로부터 끊임없이 반발이 나타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예상할 필요가 있다. 변화에 대한 저항은 기존의 관행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는 것을 불편해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현재 상태에서로부터 이익을 얻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다.

Leaders of change need to anticipate that the pace of worthy, lasting change is typically slow, and that there is an ever-present risk of backlash from some sources. Resistance to change tends to come from those who are routinely discomforted by any deviation from the familiar, as well as from those who now benefit from the status quo.


과거의 영향

The influence of the past


우리가 의학 교육에서 하는 일의 대부분은, 거의 모든 곳에서, [과거의 사고와 접근]으로부터 유래한다.

A large proportion of what we do in medical education, nearly everywhere, derives from thinking and approaches from the past.


우리의 관련 과학과 문화적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곳에서 우리의 교육 관행은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했다.

the pace of our relevant scientific and cultural changes is accelerating. Yet, our educational practices in many places have not adapted appropriately.


많은 사람들은 그들이 하고, 믿고, 생각하는 것에 중요한 변화를 주는 것을 꺼린다.

many people are disinclined to make significant changes in what they do, believe, or think.


의학 교육의 느린 변화 사례를 생각해 보자. 국제적으로, 점점 더 많은 프로그램이 대규모의 non-interactive 강의에서 소규모의 interactive 그룹으로 옮겨가고 있지만, 그러한 변화의 완성은 요원하다. 많은 학생들이 미래의 건강 전문가들의 필요와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세심하게 선택되지 않은 정보나 청중들 사이의 다양한 발달 단계에 대한 정보를 들으며 여전히 non-interactive 강의에 상당한 시간을 보낸다. 우리는 교육 전략으로서 대규모 그룹 프레젠테이션이 부적절한 전통이라는 상당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Freeman et al. 2014).

Consider this example of slow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a growing proportion of programs, internationally, are moving away from large, non-interactive lectures toward smaller, interactive groups, that transformation is far from complete. Many students still spend considerable time in non-interactive lectures, listening to information that was not carefully selected for its relevance to the needs of future health professionals, or to the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among those in the audience. We have considerable evidence that large-group presentations, as an instructional strategy, is an inappropriate tradition (Freeman et al. 2014).


많은 사람들은 처음에 왜 그것을 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확인하지 않고, 그저 오랫동안 해 온 관행에 신뢰를 두는 경향이 있다.

Many of us are inclined to put our trust in practices that have been done for a long time, seldom asking if there was a sound rationale for starting them in the first place.


표 2는 교육 변화를 시작하려고 노력할 때 우리들 중 일부가 경험한 일련의 사건들을 요약한다.

Table 2 summarizes a sequence of events some of us experienced when striving to initiate educational change.



이제는 의미있는, 지속적 변화가 가능한가?

Is meaningful, lasting change now possible?


현재의 지도자들, 직업적인 조건들, 그리고 문화적 태도들이 어떤 변화든지 지지할 것 같은가?

are current leaders, professional conditions, and cultural attitudes likely to support whatever alterations are needed?


필요한 개혁을 성취할 수 있는 우리의 전망에 대해 나는 지금만큼 낙관적이었던 적이 없었다. 많은 고위 지도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의학적 교육의 중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 같다(예: Cooke 등, 2010; Frenk 등, 2010; Jamison 등, 2013; Crisp와 Chen 2014; Eichbaum 등, 2014; OECD2014). 변화에 대한 준비가 증가하고 있는 대표적인 것이 선택된 미국 의과대학에서 혁신을 장려하기 위한 AMA의 실질적인 이니셔티브다(Skochelak and Stack 2017). 또한 의학교육연구가 확산되는 것도 과거로부터의 의미 있는 일탈에 대한 준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뒷받침한다.

I have never been as optimistic as I am now about our prospects for achieving needed reforms. Many senior leaders seem readier than ever to argue that significant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are needed(e.g. Cooke et al. 2010; Frenk et al. 2010; Jamison et al.2013; Crisp and Chen 2014; Eichbaum et al. 2014; OECD2014). Representative of the growing readiness for change is the AMA’s substantial initiative to encourage innovation in selected US medical schools (Skochelak and Stack 2017). Also supporting this growing readiness for meaningful departures from the past is our global expansion of scholarship in medical education


우선수위 정하기

Selecting priorities


우리는 어떤 개혁을 추진해야 할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We need to decide what reforms we should pursue.


미래를 위한 사전 준비의 초기 단계는 현재 주요 추세들 중 무엇을 고려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An initial step in preparing for the future is deciding what we consider the main current trends


주요 동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For primary trends, I suggest:


전 세계적으로 질병 패턴의 변화

– "생활형" 질환의 급속한 확산 (골루빅 2013)2

– 건강 및 질병의 유전적 요인에 대한 이해 증가(레비 및 블레이크 2018)

– 일부 질병 범주 생각을 수정해야 함(Miller 등, 2016)

Changes in illness patterns, globally

– The rapidly increasing prevalence of “lifestyle” illnesses (Golubic 2013)2

– Growing understandings of genetic factors in health and illness (Levy and Blake 2018)

– A need to revise some of our illness-category thinking (Miller et al. 2016)


학습에 대한 이해와 교육에 대한 함의

– 뇌과학의 통찰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됨

– 교육 연구의 양과 질 증가

Substantial gains in our understandings of learning and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 Dramatically increasing insights from brain sciences

– The growing quantity and quality of educational research


바뀐 보건의료계 학생들

– "디지털 원주민" (많은 교직원이 여전히 "디지털 이민자"임)

– 많은 사람들이 "크라우드소싱"에 경험이 풍부하고 편안함(협력적임)

– 계층적 조직보다 수평적 조직 선호

Changed health professions students

– They are “digital natives” (many faculty members are still “digital immigrants”)

– Many are experienced and comfortable with “crowdsourcing” (being collaborative)

– Many prefer horizontal to hierarchical organizations


기술 진화의 빠르고 빠른 속도

– 의료 및 교육 프로세스에는 혁신적 의미가 있음

– 상당한 비용 절감 가능성을 제공

The rapid and accelerating pace of technological evolution

– There are transformative implications for the processes of health care and education

– They offer the potential for considerable cost reductions


이러한 추세 중에서 선택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야 한다. 우리가 졸업생들에게 가장 원하는 학습 성과는 무엇인가?

Before selecting among these trends, we should ask:What learning outcomes do we most want in our graduates?


의학 교육을 통해 미래에 어떤 사람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주된 관심사는, [졸업생들이 (현재 알 수 없는 변화된 요구 사항들로 채워진) 미래에도 안전하고 기여적contributory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A dominant concern for future who medical education should be preparing graduates remain safe and contributory in careers filled with changing, currently unknowable requirements.


가능성

Possibilities


그러나 전문가나 과학자로서 우리는 사건의 방향을 정할 책임이 있다. 단지 일어나고 있는 일에 반응하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As professionals and scientists, however, we have a responsibility to also shape the directions of events, not just respond to what is happening.


인구 동향

Population trends


우리는 비감염성, 비외상적인 원인으로부터 오는 만성 질환의 증가하는 영향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we need to recognize the growing impact of chronic diseases deriving from noninfectious, non-traumatic sources:


소위 '생활방식'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서 비롯된다: 과도한 좌식생활, 부적절한 식습관, 만성 스트레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남용하는 non-nutritional substances.

These so-called lifestyle conditions derive from such factors as: being excessively sedentary, inappropriate dietary habits, chronic stress, and the non-nutritional substances many people abuse.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삶의 선택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 전문가들을 준비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Jason and Botelho 2000). 우리는 임상의사에게 다음의 역량을 더 요구해야 한다: 인구 건강 증진, 예측적 치료, 인간 기능의 사회적, 감정적 요소를 고려(Goleman 1996, 2007). 우리는 환자의 신뢰를 얻고 유지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We have a growing need to prepare health professionals who understand and can help guide other people’s life choices (Jason and Botelho 2000). We need a greater valuing of clinicians whose competencies include: population health, anticipatory care, as well as the social and emotional elements of human functioning (Goleman 1996, 2007). We need professionals who are capable of earning and sustaining the trust of patients.


학생과 교수 선발

Selecting students and faculty



선발의 결과는 매우 큰 영향력을 갖는다.

The selection process can be consequential.


선발이 종료되면, 프로그램은 선발에서 뽑힌 사람들의 장점과 한계를 관리할 책임이 남겨진다. 흔히 가까운 관찰자들에 따르면, 프로그램이 당면한 과제는 [그들의 미션에 최선의 이익]에 대한 것보다 [일부 학생이나 교직원들]로부터 유발된다.

After selection, programs are left to manage with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ose who arrived. Too often, close observers have concluded that their program is facing more of a challenge with some of their students or faculty than is in their mission’s best interests.


예를 들어, 어떤 기관이 주변 소외 인구의 건강 증진을 미션으로 삼은 후, 연구자가 수주한 대규모 실험실 연구비 때문에 일부 교수를 선발한 경우, 그들은 기관의 우선 순위 설정에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If, for example, a program began with a commitment to enhancing the health of their nearby underserved population, then selected some faculty primarily because of the large laboratory-research grants they attract, they may face grief in their institutional priority-setting.


또한 [기관의 우선 순위]와 [일부 선발된 학생들] 사이에서 non-fits가 발생할 수 있다. 한 예로, 지원자들의 이전 성적에 대해서만 과도하게 가중치를 두어 선발한 경우, 기대보다 환자에게 도움을 줄 만큼 숙달되지 못한 학생들로 귀결될 수 있다.

We can also face non-fits between institutional priorities and some selected students. As one example, a dominant or exclusive focus on applicants’ prior grades has left some programs with students who are far less adept in relating helpfully to patients than had been intended.


이것은 기관의 미션에 순응하라는 것이 아니다. 어떤 기관이 특정 분야에서, 높은 퀄리티로 조직의 목표를 가능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려면, 기관의 특정 지배적 문화적 가치들이 정의되고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코일 2018).

This is not a plea for conformity. It is an acknowledgment that a set of dominant cultural values need to be defined and protected if there is an institutional goal of achieving high quality in particular areas a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s possible (Coyle 2018).


기관에서 추구하는 문화를 서포트할 가능성이 높은 교수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졸업생으로서 기대되는 특성을 가장 근접하게 가진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지속적으로 '진단' 전략을 고안하고 다듬어야 한다. 

We need to devise and continuously refine “diagnostic” strategies for identifying faculty candidates who are most likely to support the culture wanted for the institution, and student candidates who are as close as possible to having the characteristics wanted in graduates.


모집 기대치를 신중하게 정의할수록 우리가 추구하는 기질, 헌신, 능력 등을 후보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지원자도 프로그램에 대한 자기자신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선택(선발)은 양방향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가까운 이상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는 최선의 선택 결과를 얻는 경향이 있다.

The more carefully we define our recruiting expectations, the more effectively we can communicate to candidates the temperaments, commitments, and capabilities we are seeking. They, in turn, can then make decisions about their likely appropriateness for the program. Selection can then move toward the ideal of approximating a two-way decision-making process, from which we tend to get the best selection outcomes.


교육자 준비시키기

Preparing educators


대부분의 현재 의학교육자들은 주로 연구자 및/또는 임상의사로서의 능력 때문에 선택되었다. 그러나 교육능력이나, 학습자의 신뢰를 얻기 위한 능력, 또는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습관 등의 여러 관련 요인들에 대한 이해와 태도는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Most current medical educators were selected primarily for their appeal as researchers and/or as clinicians. Their understandings of, and attitudes toward, education, their capacities for earning learners’ trust, or their habitual relationship styles, among other relevant factors, were rarely considered.


그러나 대부분의 의과대학은 이미 교직원이 가득 차있다. 따라서 현재의 지도자들이 일관된 고품질의 교육을 특징으로 하는 미래를 원한다면, 그들은 [현재의 교직원들이 지식있고 효과적인 교육자가 되는 것을 돕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great majority of programs, however, have already filled their faculty positions. If current leaders now want a future characterized by consistently high-quality education, they may need to consider what is needed to help their current faculty members grow toward becoming informed, effective educators.


전문 교육자가 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끔 벌어지는 짧은 워크숍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 연구자가 되고, 임상의가 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자가 되는 것은 평생의 헌신이다. 의료전문직학교는 무엇보다도 교육 기관이기 때문에 교육의 질이 그들의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Being and remaining a professional educator demands far more than an occasional, brief workshop. In parallel with the ways we become and remain researchers or clinicians, being an educator is a lifelong commitment. Since health professions schools are, first and foremost,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n’t education quality be their highest priority?


교육 프로세스

Educational processes


표 3은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우리 자신의 학습 동안 경험했던 교육 전통과 내가 제안하는 대안들 사이의 몇 가지 차이점을 요약한다. 참고: 일부 프로그램은 이미 이러한 "미래" 항목 중 많은 부분을 갖고있지만,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여전히 "과거"의 특성 대부분이 두드러진다.3

Table 3 summarizes some contrasts between the educational traditions many of us experienced during our own learning and alternatives I suggest should be widely adopted. Note: Many of these “future” items already exist, in part, in some programs, although many of the “past” characteristics are still prominent at some of the world’s medical schools.3


당신이 하고 있는 일을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할 수 없다면, 당신은 당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것이다.

If you can’t describe what you are doing as a process, you don’t know what you are doing.



프로세스에는 조금 더 관심을 기울일 가치가 있다.

Processes deserve more attention than they typically get


(예: Deming and Orsini 2012) 데밍이 강하게 시사했듯이, 품질 개선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보건전문직 교육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entrust하는 사람들은 [학습이 작동하는 방식]과 [이러한 과정을 실행할 때 필요한 것]에 대해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

As Deming strongly implied when shaping many of our current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e.g. Deming and Orsini 2012),those we entrust with planning and implement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need to have deep understandings of the ways that learning works, and what is needed when implementing these processes.


적응적 교육이 필요하다

Adaptive education is needed


이러한 일련의 관점과 관행은 미래의 의학 교육과 큰 관련이 있다. 요약하자면, 우리는 임상 치료에서 표준인 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을 채택해야 한다. 의료진은 모든 환자가 고유하며, 개인화된 권고사항을 공식화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철저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인으로서 마주칠 자격이 있음을 당연시한다. 임상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진단"을 하고 있다: 우리는 반복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우리의 의견과 계획을 수정하는 것에 대해 열린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This set of perspectives and practices has major relevance to future medical education. In briefest summary, we are overdue in adopting processes in our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standard in clinical care. Clinicians take for granted that every patient is unique, deserving to be encountered as an individual who needs to be understood as thoroughly as possible so that a personalized set of recommendations can be formulated. In clinical care, we are continuously “diagnostic”: we collect information repeatedly and remain open to revising our opinions and plans.


그러나 우리의 많은 교육 전통과 관행에서 임상과의 차이가 얼마나 극명하게 나타나는지 생각해 보라. 우리는 전형적으로 교육 계획을 수립하고 누가 우리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지원할 것인지 알기 전에 완성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명시한다! 우리는 [각 학습자의 고유성]과 [각 학습자가 작동하게 될 상황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고 다듬는 데 더 많은 노력을 쏟아야 한다. 이것들과 관련 업무들은 그들이 지금 받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가치가 있다. 이 주제에 대한 일부 생각과 작업이 시작되었다(Quirk 2018).4

Think about how stark the difference is in many of our educational traditions and practices. We typically formulate instructional plans and specify the time needed to reach completion before we even know who will apply to enter our programs! We should be working assiduously at developing and refining strategies for adapting to the uniqueness of each learner and to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each will be working. These and related tasks deserve far more attention than they now get. Some thinking and work on this topic have begun (Quirk 2018).4


진성 학습

Authentic learning


네 번째 주제인 기술에 대한 검토로 눈을 돌리기 전에, 이것은 표 3의 "미래" 항목 몇 가지를 요약한 관점을 간단히 추가한 것이다. 이 관찰은 토마스 리브스가 진성 학습에 관한 새롭고 자유로운 eBook에 대한 포어워드(Foreword)에서 한 것이다. 

"...학습이 수동적이기 보다는 능동적일 때, 협력적 학습은 일상이 될 것이고, 과제는 가능한 한 authentic해질 것이며, 평가는 두려운 것이기보다는 소중한 것이 될 것이다."(카토글루 2018).

Before turning to our fourth topic, an examination of technologies, this is a brief addition of a perspective that summarizes several of the “future” items in Table 3. This observation is by Thomas Reeves, in his Foreword to a new, free, eBook on authentic learning: 

“…when learning will be active rather than passive, collaborative learning will be commonplace, tasks will be as authentic as possible, and assessment will be cherished rather than dreaded.” (Kartoglu 2018).


교육적으로 관련있는 테크놀로지

Educationally relevant technologies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몇 가지 약속과 도전을 설명하기 위해, 급성장하고 있는 인공지능(AI) 하위 분야에 초점을 맞추자.

To illustrate some promises and challenges we face, let us focus on the burgeoning sub-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I의 도래와 급속한 진전은 (예: Jordan Mitchell 2015; Aoun 2017; West 2018) 잠재력과 위험을 모두 보여주는 사례이다. AI는 의료과 의학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존스턴 2018). 우리는 그 결과가 압도적으로 긍정적일지 부정적일지를 결정할 시점에 있다.

The arrival and rapid advancement of AI offers an (e.g. and example of both potentials and risks Jordan Mitchell 2015; Aoun 2017; West 2018). AI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Johnston 2018). We are at a branch point in which we will determine if the consequences will be dominantly positive or negative.


카스파로프(2017년)는 인간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과 기계가 함께 일하는 더 스마트한 일을 한다"는 중요한 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Kasparov (2017) offers a vital theme, “doing a smarter job of humans and machines working together” to improve human well-being.


현재로서는 스키너가 1950년대 말 전국 회의에서 "교육기계"를 도입했을 때 질문을 받은 것에 대해 다루기로 하자. 그는 교직기가 결국 교사를 대신할 수 있는지 물었다. 그의 대답은 여전히 적절하다.

For now, let us deal with a question Skinner was asked in the late 1950s at a national conference, when he introduced a “teaching machine”. He was asked if teaching machines may eventually replace teachers. His reply is still appropriate:


교육기계로 대체될 만한 교사라면 응당 그렇게 될 것이다. BF 스키너(1904-1990)

Any teacher who can be replaced by a teaching machine deserves to be. BF Skinner (1904–1990)


스키너의 주장은 흥미로운 도전을 소개한다. 우리는 테크놀로지에 의해서는 제공될 수 없는 것 중 인간 교육자들이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신중하게 규정해야 하지 않을까? 인간 교사들이 할 수 있는 긍정적인 기여를 고려하기 전에, 우리는 교사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학생들을 낙담시키고, 호기심을 가라앉히고, 너무 주눅이 들어 질문을 하지 못하게 하고, 그들이 잠재력보다 낮은 기능을 한다는 것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Skinner’s assertion introduces an interesting challenge. Shouldn’t we be carefully specifying what it is that human educators can offer learners that cannot be provided as well by technology? Before considering the positive contributions that human teachers can make, we need to be acknowledge that teachers can negative influences.  Some cause students to feel discouraged, to submerge their curiosity, to feel too intimidated to ask questions, to feel sufficiently stressed that they function below their potential, among other hurtful effects.


학습 중에 달성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숙고해 봅시다(표 4).

Let us ponder some tasks needing to be accomplished during learning (Table 4).





표시된 높은 수준을 달성하는 교사들도 있지만, 매우 드물다. 미래의 의학 교육이 이러한 잠재력에 광범위하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의 선발, 인정, 보상, 그리고 지속적인 발전 과정이 올바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광범위한 구현을 보장하는 데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한, 우리는 저비용 기술에 의해 쓸데없는 것으로 취급될 위험에 처해 있다. 그렇게 되면 미래의 의료 교육의 질은 심각하게 떨어질 것이고, 인구 건강의 결과는 끔찍해질 수 있다.

There are teachers who achieve the indicated high levels, but they are rather rare. For future medical education to reach these potentials widely, our processes of selection, recognition, reward,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educators need to be done right. Unless we give growing attention to ensuring the widespread implementation of these processes, we are at risk of being rendered irrelevant by lower-cost technologies. If that happens, the quality of future medical education will be seriously diminished, and the consequences for population health could be dire.


현재로서는 인간이 성능이나 비용 면에서 기계와 경쟁할 수 없다는 우려가 일부 의료 관련 영역(예: Lakhani 및 Sundaram 2017)을 비롯하여, 이미 [반복적인 수작업이나 일부 의사 결정] 영역에서 정당성이 입증되었다.

For now, the concern that humans will not be able to compete with machines, in performance or cost, has already proven justified in some areas, such as repetitive manual performance and some decision-making, including in some health care-related areas (e.g. Lakhani and Sundaram 2017).


교육자들을 위한 메시지는 분명해 보인다: 우리는 쓸모없는 존재로 만들어질 위험에 처해 있다. 우리는 우리만 독특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실행하는데 늦었으며, 우리가 대체불가능하다는 비용과 주장을 정당화하지 못했다. 정보를 전달하는 것 이상의 정체과 노력을 갖지 않는 교사들은 이미 테크놀로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The message for educators seems clear: we are at risk of being rendered obsolete. We are overdue in defining and implementing what we can uniquely offer, justifying our costs and claims that we are irreplaceable. Any teachers whose identity and efforts involve little more than conveying information are already doing less than technology can!


기계는 "인간"(감정적, 사회적,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와 역량에 숙달된 모든 교육자들에게는 비교가 되지 않을 것이다. (Goleman 1996, 2007). 우리는 다음과 같이 물어야 한다: 우리는 우리가 진정으로 유능한 교육자들을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할 것인가?

machines are and will be no match for any educators who are masterful in their understandings of, and competence in, the “human” (emotional, social, interpersonal) domains (Goleman 1996, 2007). We must ask: Will we do what it takes to ensure that we have enough truly competent educators?


표 4와 같이, 사람들은 잠재적으로 기술이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을 훨씬 넘어 수준에서 필요한 교육 지원 기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현직 교사들은 그렇게 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우리가 전문적 잠재력을 실현하려면, 누가 교육자로서의 높은 명예를 누릴 자격이 있는지 판단하는 데 있어 discriminating이 필요하다.

As in Table 4, people can potentially provide needed instructional-support contributions at levels well beyond what technology can offer. But many current teachers are not ready to do so. If we are going to fulfill our professional potential, we need to be discriminating in determining who deserves the high honor of serving as an educator,




결론

Conclusions


미래는 계속해서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그 중 일부는 의료 교육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건강 전문가들이 필요로 하는 능력을 재정의한다. 진화하는 인구 요구에 대응하는 것은 우리의 도전의 일부일 뿐이다.

The future continuously brings a variety of changes, some of which are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These changes redefine the capabilities needed by health professionals. Being responsive to evolving population needs is only part of our challenge.


See, also, http://imedtrust.org/adaptive-medical-education/. 4.


Jason H, Douglas A. 2015. Are the conditions right for a 21st-century medical school? Lancet. 385:672–673. XXX


Jason H, Westberg J. 2018. Preparing educators for adaptive education programs. Med Teacher. 40:828–833.


Skochelak SE, Stack SJ. 2017. Creating the medical schools of the future. Acad Med. 92:16–19.









 2018 Oct 15:1-8. doi: 10.1080/0142159X.2018.1503412. [Epub ahead of print]

Future medical educationPreparingprioritiespossibilities.

Author information

1
a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 University of Colorado , Denver , CO , USA.
2
Education Administration , iMedtrust , London , England.

Abstract

As educators who are guiding the preparation of future health professionals, we must do what we can to recognize and meet the needs of those our graduates will serve. Fulfilling that goal depends on our responding to relevant changes in society and to evolving understanding of learning processes. Preparing: To have educational programs that evolve appropriately when preparing learners for the future, we too must evolve. We need to prepare by recognizing shifts in population health and other societal trends that bring implications for the kinds of clinicians needed. External trends can require changes in our thinking and practices so that we reform any outdated educational traditions. Priorities: Societal change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are happening so rapidly that we need to select from existing trends those that are most pressing and impactful. As we set our priorities, we ne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acilitating lasting changes in people and institutions. Possibilities: In addition to responding to the changes that are arriving, we need to be initiating additional changes. Here, I suggest some reforms need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f our students are to become the clinicians that their future patients deserve.

PMID:
 
30322328
 
DOI:
 
10.1080/0142159X.2018.1503412


의학교육의 혁신(n engl j med, 2014)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David A. Asch, M.D., and Debra F. Weinstein, M.D.




2014년 7월 29일, IOM(Institute of Medical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의 거버넌스 및 자금조달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1 IOM 연구의 중요한 부수적인 발견은 GME의 실질, 조직, 자금조달의 향후 방향을 알리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근거의 기반이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것이었다. 근거가 제한적이라는 것은, 의료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투자 부족을 반영한다. 

On July 29, 2014, the Institute of Medicine (IOM) released its report on the governance and financing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1 An important incidental finding of the IOM’s study was that the evidence base available to inform future directions for the substanc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 GME is quite limited. The limited evidence reflects a systematic lack of research investment in an area of health care that we believe deserves better.


우리 나라의 의학교육에서의 연구 부족은 산업, 자선 단체, 그리고 대중이 후원하는 거대하고 필수적인 생명 의학 연구에 대한 헌신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Our nation’s lack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contrasts starkly with the large and essential commitment to biomedical research funded by industry, philanthropic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의학교육연구가 생의학의 발전을 전달하고 이끌 수 있는 인력을 창출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연구에 대한 펀딩은 심각하게 부족하다.

despite medical education’s central role in creating a workforce capable of delivering the resulting biomedical advances funding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conspicuously absent.


GME의 현재 지속시간, 설정 및 조직은 근거의 산물이라기 보다는 전통의 산물이며 환자와 치료 제공 시스템의 상당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거의 변하지 않았다.2

The current duration, settings, and organization of GME are more the product of tradition than of evidence and have changed little in the face of substantial changes in the health needs of patients and the systems for delivering care.2


학부 의대에서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하는가?

20년에서 30년 정도 실무에 임하는 의사들의 지속적인 역량을 어떻게 보장해야 하는가?

What should chang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how should we ensure the continued competence of physicians 20 to 30 years into practice?


어느 정도까지, 연방 GME 기금은 의료 사업자의 지리적 또는 전문적 분포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이거나 적절한 수단이다.

to what extent federal GME funding is an effective or appropriate tool for addressing imbalances in the geographic or specialty distribution of health care providers.


전반적으로 미국은 연간 약 3조 달러의 의료비를 지출하는데, 거의 모든 의료비 지출이 임상의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바로 이 의료진이 양성되는 방법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둔 조직화된 연구 투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Overall, the United States spends nearly $3 trillion a year on health care, nearly all of it delivered through clinicians, with no organized research investment directed at improving the way those clinicians are produced.


IOM 위원회는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전환 기금"을 제안했다.

The IOM committee has proposed a “Transformation Fund” to fill this void.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접근법을 제안한다.

We propose the following approach.


첫째, 수련training 성공의 타당하고 실현 가능한 조치들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의료 훈련의 기본 목표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환자와 모집단의 건강을 개선하는,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관리care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의 양성이다. 우리의 의학교육 시스템은 그러한 목표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3 그러나 현재의 의학교육은 프로세스 척도(전공의가 충분한 사례, 충분한 강의, 충분한 수면를 보장받았는가) 또는 시험성과 같은 중간 성과를 통해 평가되고 있다. 

First, valid and feasible measures of training success need to be defined. The fundamental goal of medical training is the production of a workforce capable of delivering economically sustainable care that will improve the health of patients and populations in a changing environment. Our system of medical education should be judged against those goals.3 Medical education is currently assessed through process measures (whether residents get enough cases, enough lectures, enough sleep) or intermediate outcomes such as exam performance. 


역량 평가가 점차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레지던트의 역량과 환자 결과 사이의 연관성은 입증된 것이 아니고, 그럴 것이라 가정하는 것일 뿐이다. 의학교육의 대안적 프로세스를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학교와 훈련 프로그램의 졸업생들이 제공하는 치료의 질, 분배, 비용 등 의미 있는 결과를 일상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결과 중심 접근방식은 혁신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추가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성공이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 대안적 프로세스가 그 결과를 달성하는 방법으로서 시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4

Although competency assessment is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the connections between resident competency and patient outcomes are assumed rather than demonstrated. In order to evaluate alternative processes of medical education, we need systems for routinely assessing meaningful outcomes: the quality, distribution, and cost of care delivered by the graduates of our schools and training programs. Outcomes-driven approaches have the additional advantage of fostering innovation, because when success is determined by outcomes, alternative processes can be tried as ways to get there.4


둘째, 의학교육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의료 훈련을 위한 최적의 접근방식은 현재의 관행과 극적으로 다를 수 있다. 의미 있는 결과 조치를 취하면 다음과 같은 보다 근본적인 질문을 검토할 수 있다. 

  • 의대를 졸업하거나 레지던트 교육을 받는 것이 시간 기반이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역량 기반이 되어야 하는지

  • 현재 전공과 세부전공의 구분방식delineation이 국가의 의료 요구와 일치하는지 여부 

  • diverse public의 넓고 변화하는 요구에 효율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졸업생을 배출하는 커리큘럼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교육 전략이 가장 좋은지

Second, we need to examine fundamental changes to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medical education. Optimal approaches for medical training may differ dramatically from current practice. With meaningful outcomes measures in hand, we can examine mor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 whether graduation from medical school or residency training should be time-based or competency-based, 

  • whether the current delineation of specialties and subspecialties aligns with the country’s health care needs, and 

  • which teaching strategies are best for delivering a curriculum that produces graduates who can efficiently serve the broad and changing needs of a diverse public. 

우리는 또한 임상 훈련장소가 어떻게 조합되었을 때 가장 유용한지, 헬스테크놀로지의 진화하는 능력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최선인지에 대한 결정에 도움이 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실제로 치료 지점point of care에서 의료 정보의 가용성이 증가하면, 새로운 의사를 만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기존 의사의 관행은 현재처럼 유지하는 방향으로 일부 자원을 전환할 수 있다.

We also need research that can inform decisions about the most useful mix of clinical training sites and the best ways to utilize the evolving capabilities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Indeed, the increasing availability of medical information at the point of care might allow us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creating new physicians and redirect some resources toward keeping the practices of established physicians current.


셋째, 의학교육 자금 지원을 위한 새로운 모델들이 시범 운영될 수 있다. GME가 그렇게 많은 관심을 받는 한 가지 이유는 많은 돈이 그것을 통해 흘러 들어가기 때문이다.

Third, new models for financing medical education could be piloted. One reason that GME gets so much attention is that a lot of money flows through it.


지원자가 적은 분야나 지역에 따라서는 더 큰 payment를 사용하거나 stipends를 없앨 수도 있을 것이다. 심지어 지나치게 subscribed되는 세부전공에 대해서는 tuition을 charge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Other experiments might assess the effect of using larger payments to direct trainees toward undersupplied specialties or geographic areas, or eliminating stipends — or even charging tuition — for subspecialties that are oversubscribed.5


오늘날 우리에게 증거가 부족하다고 해서 우리가 10년 또는 20년 후에 전달할 교육이나 해야 할 정책 변화에 대해서도 증거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The fact that we lack evidence today doesn’t mean that we can’t have evidence for the education we will deliver or the policy changes we will need to make in 10 or 20 years.


우리가 암환자에게 제공하는 치료는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각각의 치료법은 그 뒤에 증거기반이 있는데, 그것은 우리가 혁신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투자의 지원을 받는 것이다. 이러한 치료의 이면에는 임상의사가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개발/양성development 또한 혁신의 가치가 있다.

The care we deliver to patients with cancer may require chemotherapy, radiation therapy, or surgery, and each of those treatments has an evidence base behind it — one that’s supported by a research investment that allows us to innovate and improve. Behind each of these treatments are also clinicians, and their development is also worthy of innovation.




 2014 Aug 28;371(9):794-5. doi: 10.1056/NEJMp1407463. Epub 2014 Jul 30.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From the Center for Health Care Innovation,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nd the Wharton School,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the Center for Health Equity Research and Promotion, Philadelphia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 both in Philadelphia (D.A.A.); and the Department of Medicine,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Partners Health Care System, and Harvard Medical School - all in Boston (D.F.W.).
PMID:
 
25075620
 
DOI:
 
10.1056/NEJMp1407463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의학교육리더의 실천과 학습전략(Med Teach, 2012)

What do we do? Practices and learning strategies of medical education leaders

SUSAN LIEFF & MATHIEU ALBERT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도입

Introduction


의대 및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근본적으로 변화하여 교수진들이 새롭고 다양한 교육 개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Cooke et al. 2010; FMEC 2010).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mes are fundamentally changing requiring faculty members to take leading roles in new and varied educational developments (Cooke et al. 2010; FMEC 2010).


본 기사의 목적상, 우리는 medical education leader를 "의학교육 프로그램을 이끌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학교육에서 공식적인 권위자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자"로 정의한다.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e define medical education leaders as those who are occupy formal authority positions in medic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leading and managing a medical education programme.


대학의학 영역에서, 현재 또는 미래 리더들은 다음의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Taylor et al. 2008). 

In the academic medicine realm, practicing and aspiring leaders identified 

  • knowledge of academic role-related and health professional practice, 

  • interpersonal/social skills, 

  • vision and organizational orientation 

...as desired abilities of academic physicians (Taylor et al. 2008). 


리치 외 연구진(2008)은 의대 학장의 바람직한 자질에 대한 문헌 리뷰에서 다음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 다양한 경영 및 리더십 기술과 태도, 

  • 대학의학의 거버넌스, 의학교육 과정, 법적 문제, 교수진의 기대와 관련된 구체적인 지식

Rich et al.’s (2008) literature review of desirable qualities of medical school deans identified 

  • a variety of management and leadership skills and attitudes as well as 

  • specific knowledge regarding academic medical governance, processes of medical education, legal issues and challenges and expectations of faculty.


의학 교육에서 리더십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이다. 효과적인 의학교육 지도자의 행동에 대한 블랜드와 워샬의 문학 리뷰는 전적으로 커리큘럼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이러한 관점에서, 효과적인 행동에는 다음이 포함되었다.

  • 비전의 공유함에 있어서 유연성과 의사소통, 

  • 다중적 인식 프레임의 사용, 

  • 적극적 참여적 거버넌스, 

  • 목표 및 공동의 조직 문화와 가치 설정(Bland et al. 1999). 

The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literature is more limited. Bland and Wersal’s (2002) literature review of effective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behaviours was focused exclusively on curricular change. For that purpose, effective behaviours included 

  • flexibility and communication of a shared vision, 

  • use of multiple perceptual frames, 

  • assertive participative governance, 

  • goal setting and building a comm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value set (Bland et al. 1999). 


보건 전문 교육 프로그램의 고용주들은 미래의 교육 지도자들에게 다음을 원했다(Bordage 등). 2000).

  • 의사소통, 

  • 대인관계, 

  •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 팀워크, 

  • 교육 설계 

  • 재정 관리 기술

Employers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al programme directors desired skills of 

  • communication, 

  • interpersonal, 

  •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 team working, 

  • educational design and 

  • fiscal management skills in prospective education leaders (Bordage et al. 2000).


리더들은 어떻게 리더십을 배우는가? 유클(2010년)은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 기술은 공식적인 훈련 프로그램보다는 경험에서 배운다고 믿는다. 이 결과는 맥킴의 건강 전문 교육 지도자들과의 연구(2004년)와도 비슷하다. 리더들은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을 원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 Kouzes and Posner(2003)는 효과적인 리더가 주로 

  • 험(시행과 오류), 

  • 예시(타인을 관찰) 

  • 육(공식 훈련)

...에서 배운다는 것을 확인했다(Kouzes & Posner 2003).

What about how leaders learn to lead? Yukl (2010) believes that the most effective leadership skills are learnt from experience rather than formal training programmes. This finding was echoed in McKimm’s (2004) work with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leaders. Her sample also desired, but had not been able to access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mes. Kouzes and Posner (2003) identified that effective leaders learn primarily from 

  • experience (trial and error), 

  • example (observing others) and 

  • education (formal training) (Kouzes & Posner 2003).



방법

Methods


연구 설계

Study design


이 정성적 사례 연구는 참여자들의 'lived experience'의 본질에 초점을 맞춘 현상학적 접근법을 채택했다(Yin 2009). 우리들 중 한 사람(SusanLieff)은 토론토 대학의 의과대학에서 16명의 의과 교육 지도자들을 인터뷰했다.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dopt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focused on the essence of the ‘live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Yin 2009). One of us (SusanLieff) interviewed 16 medical education leaders in the Faculty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면접에 대한 반구조적 접근방식은 참가자와 면접자가 이미 서로를 알고 있다는 사실을 다루기 위해 사용되었다. 참가자의 맥락과 기술적 언어에 대한 이해와 친숙성이 더 크기 때문에 더 깊은 정보와 이해가 생성되기를 바랐다(Britton 1995). 인터뷰 동안, 참가자들은 그들의 일의 성격, 성공과 실패, 인지된 역할과 능력, 학습 전략과 커리큘럼 권고사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요청 받았다. 

A semi-structured approach to interviewing was used to address the fact that some of th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er already knew each other. We hoped that a greater depth of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might be generated because there would be greater familiarity with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nd technical language of participants (Britten 1995). During the interviews, participants were asked to elaborate on the nature of their work, successes and failures, perceived roles and abilities, learning strategies and curriculum recommendations. 


쇼 ̈n의 (1984년)처럼, 우리는 실무자들이 ['think on their feet'할 때 사용하는 은유와 개인적인 이론]뿐만 아니라, [나중에 성찰할 때 생기는 경험과 이해]를 묘사해주기를 바랐다. 각각의 인터뷰는 오디오로 녹음되었고, 인터뷰 진행자는 프로세스에 대한 현장 노트를 기록하였다(인터뷰 질문은 부록 참조).

Like Scho¨n’s (1984) work on reflective practice, we hoped that practitioners would be able to describe the metaphors and personal theories they use when they ‘think on their feet’ as well as the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s generated when they reflect afterwards. Each interview was audio recorded, and the interviewer recorded field notes on the process (See Appendix for interview questions).


분석

Analysis


우리는 인터뷰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석하여, 인터뷰 진행자의 현장 노트로 보완하여, emergent theme을 밝혔다. 참가자들의 리더십 관행과 학습 전략을 설명하는 발췌문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주제 분석을 이용하여, 우리는 이러한 인터뷰 기록들을 독립적으로 검토했고 코드를 개발하고 할당했다. 몇 번의 인터뷰를 검토한 후, 우리는 차이점을 조정하고 코드를 수정할 수 있을 때까지 우리의 코드 할당을 비교하고 토론했다. 코드 관련과 그룹화를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 저자들은 주요 주제와 요인으로 나눈 코드 구조를 결정했고, 그 후 수잔 리프가 나머지 녹취록에 적용했다.

We thematically analysed transcripts of the interviews, supplemented by the interviewers’ field notes, to reveal emergent themes. The focus was on identifying excerpts that described participants’ leadership practices and learning strategies. Using thematic analysis, we independently reviewed these interview transcripts and developed and assigned codes. After reviewing a few interviews, we compared and discussed our code assignments until we could reconcile the differences and revise the codes.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of relating and grouping of codes, the co-authors decided on a coding structure divided into major themes and factors which Susan Lieff then applied to the remaining transcripts.


결과

Results


참가자

Participants


리더십 실천: 무엇을 하고 어떻게 하는가

Leadership practices – what they do and how they do it 


4가지 주요 리더십 연습 주제: 내성, 대인 관계, 조직 및 체계적(표 1)

four key leadership practice themes: intraperson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systemic (Table 1).



내면적 실천

Intrapersonal practices.


내면적 실천은 지도자 자신들에게 초점을 맞춘 행동이다. 그들은 자신의 동기, 가치, 강점과 한계를 스스로 자각하고 있었다. 그들은 그들이 역할 모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행동이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모델링하는 것에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울였다. 특히, 그들은 진실성과 투명성이 성공을 위한 중요한 가치라고 믿었다. 

Intrapersonal practices focused on the leader themselves. They were self-aware of their motivation, values, strengths and limitations.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role models and deliberately attended to ensuring that their behaviour modelled what they cared about or was important. In particular, they believed that integrity and transparency were critical values for success. 


인간적이고, 배려심이 많고, 접근하기 쉬운 것도 그들의 일에 중요한 자질이었다.

Being human, caring and approachable were also important qualities for their work.


당신이 이끌어야 할 사람들에게 주어야 할 중요한 긍정적인 메시지라고 생각했다다...당신이 그들을 아끼고, 심지어 당신이 같은 방에 있지 않을 때에도 그들을 생각하고, 그들의 관심을 큰 그림 계획에 반영한다는 사실이다. (L14 – CEPDleader) 

I thought they were important positive messages to give to the people that you need to lead...that you care about them, are thinking about them even when you are not in the same room and you are factoring their interests into the big picture plan. (L14 – CEPDleader) 


그들은 신뢰성이 다른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동기부여를 받고, 그들을 존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생각했다. 이는 주제 전문지식을 개발하거나(자격증 또는 입증된 지식으로) 임상의사 및 교육자로서의 경험에 근거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y perceived that credibility enabled others to attend to,be motivated by and respect them. This could be constructed by either developing subject matter expertise (with a credential or demonstrated knowledge) or by being grounded in experience as a clinician and educator.


효과적이고 명확한 의사소통은 다른 사람들의 참여와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데 필수적이었다. 그들은 의사소통의 대상자가 누구냐에 따라 메시지를 다양하게 craft했고, 다양한 방식으로 engage했다. 

Effective and clear communication was essential to enabling engagement and understanding of others. They crafted different messages and engaged in different behaviours for different audiences. 


네가 조금만 더 카멜레온이 될 수 있다면 너는 더 성공적일 것이다. 특정 집단을 상대할 때 힘의 균형은 내가 다른 사람, 다른 목소리 톤, 다른 속도, 다른 바디랭귀지 같은 것이다. (L7 – PGME 리더) 

You will be more successful if you can be a bit of achameleon. When dealing with certain groups, thepower balance is such that I am a different person,different tone of voice, different speed, differentbody language. (L7 – PGME leader) 


대인관계적 실천

Interpersonal practices.


지도자의 개인 또는 단체에 대한 관여에 초점을 맞추었다.

Interpersonal practices focused on the leader’s involvement with individuals or groups.


개인

Individual.


이 지도자들은 사람들을 잘 알고, 그들로부터 최고의 것을 이끌어내는 것이 그들의 프로그램의 성공에 중요하다고 강하게 믿었다. 그들은 개인의 장점, 기술, 동기 부여, 흥미, 잠재력을 이해하는 데 투자했다.그들은 사람들이 그들의 일에 가져다 준 가치, 관점, 스타일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 지식은 그들의 과제, 의사소통, 영향력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었다.

These leaders strongly believed that getting to know and bringing out the best in people was critical for their programme’s success. They invested in understanding individual’s strengths, skills, motivations, interests and potential.They appreciated the values, perspectives and styles that people brought to their work. This knowledge informed their assignments, communication and influence strategies. 


그들은 사람들에게 개발 기회, 도전적인 일, 그리고 새로운 책임을 제공함으로써 배움과 직업적 성장을 장려했다. 멘토링은 그들의 역할의 필수적인 측면으로 생각했지만, 리더에 따라서는 충족시켜야 할 특정한 의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갈등을 느끼기도 했다.

They encouraged learning and career growth by providing people with development opportunities, challenging work and new responsibilities. While mentoring was seen as an essential aspect of their role, some felt a potential for conflict as they also had specific agendas that needed to be met. 


사람들을 동기부여시키고, 참여시키고, 영향을 주는 것을 늘 생각했다. 가치를 인정하고, 경청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의 중요성은 과소평가될 수 없다. 그들은 그들의 열정이나 카리스마가 사람들을 열정으로 감염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Motivating, engaging and influencing people were preoccupations for participants. The importance of explicit valuing,listening and empowering could not be underestimated. They recognized that their passion or charisma could infect people with enthusiasm. 


고립감과 외로움의 감정은 리더쉽 역할의 한 측면이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종종 지원, 정보, 조언 그리고 피드백을 위해 동료들을 찾았다. 

Because feelings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re an aspect of leadership roles, participants often sought out othe rcolleagues for support, information, advice and feedback. 


정상에는 약간의 고립과 외로움이 있다...사람들이 실제로 지금 오고 있는 사람은 바로 나야.(L6 – 교육 연구 개발 책임자) 

There is a little bit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t the top...I am the one, who people are actually coming to now. (L6 –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leader) 



그룹

Group.


분쟁 조정과 협상은 흔한 일이었기 때문에, 그들은 언제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을 했다. 문제를 공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명확하고 투명한 과정, 감정과 관점이 이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As mediating conflict and negotiating were frequent occurrences, they exercised judgment about when and how to get involved. Having clear and transparent processes to openly address the issues, feelings and perspectives enabled this work. 


이 일의 상당부분은 갈등에 대해 생각해고 어떤 갈등에 개입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L3 – UGME 리더) 

An enormous amount of this job is thinking about those conflicts and which ones to intervene in. (L3 – UGME leader) 


그들은 집단의 효과를 위해 올바른 구성의 집단을 만드는 것과 그들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생각했다.

They thought very carefully about creating the right composition of people for group effectiveness and how to manage them.


그들은 사회적 네트워크가 공통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발전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 비공식적인 연계를 조성했다. 이것은 또한 그들과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사회적 자본을 건설하는 것을 도왔다.

Because they wanted social networks to develop around common interests, they fostered informal linkages amongst people. This also helped them and others build their social capital.


내 일의 일부는 [주어진 아이디어나 프로젝트 주변에서 개인 또는 개인의 이익을 연결하기 위한 기회를 엿듣고 식별하는] 커넥터(...)가 되는 것이다. (L14 – CEPD 리더)

Part of the job is to be the connector (...) listening for and 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connecting individuals or interests of individuals around a given idea or project. (L14 – CEPD leader) 



조직

Organizational


조직 수준의 실천은 포트폴리오나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들은 그것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참가자들은 구성원들이 오너십을 느낄 수 있는 공유된 비전을 개발하기위해서 교수진의 의미 있는 참여와 기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Organizational practices focused on their portfolio or programme. What could they do to move it in a particular direction? Participan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meaningful faculty engagement in and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 shared vision that they could then feel ownership of. 


그들의 많은 관심은 변화를 촉진하는 [개인의 역할]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집중되었다.이것은 조직적 저항을 분산시키고, 태도와 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Much of their attention was given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individuals and the culture in the facilitation of change.This resulted in developing a diversity of efforts at diffusing organizational resistance as well as shifting attitudes and culture.


그들은 시작할 때 기획, 거버넌스, 또는 자원 관리를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They felt challenged by their limited understanding of planning, governance or resource management when they started. 


나는 정말로 누가 어떤 결정을 내리고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전혀 알지 못했다. 나는 그 모든 것을 알아내야 했다. 그 중 일부는 실수에 의한 것이었고 일부는 ____에 전화를 걸어 누구의 결정이냐고 말하는 것이었다. (L8 – PGME 리더) 

I really didn’t have a clue who made what decisions and what were my decisions to make. I had to figure all of that out. Some of it was by mistakes and some of it was by phoning up the ____ and saying whose decision is this? (L8 – PGME leader) 


시스템

Systemic.


시스템적 실천은 포트폴리오 밖의 세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 지도자는 의제를 진전시키는 과정에서 '큰 그림'과 동향을 이해하고, 평가하고, 그 의미를 성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외부와 교류했다. 학문적 맥락academic context에서의 개개인, 프로세스, 구조에 대한 정치적 탐색navigation은 성공에 필수적이었다. 그들은 정치, 권력, 문화, 이슈에 대해 배우기 위해 의도적으로 특정 그룹과 관여함으로써 방향을 잡았다. 그들은 '올바른 테이블'을 이기기 위해 노력했고, 누구와 접촉해야 하는지, 언제 그리고 그들의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영향을 예상해야 하는지에 대해 사려깊게 생각하도록 했다.

Systemic practices focused on the world outside of their portfolio. In the service of advancing their agendas, these leaders proactively got involved with the outsid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big picture’ and trends and reflect on the significance. Political navigation of individuals, processes and structures of their academic con-texts was essential for their success. They oriented themselves by deliberately engaging with certain groups in order to learn about the politics, power, culture and issues. They tried to beat the ‘right tables,’ be thoughtful about who to contact and when and anticipate the systemic impact of their actions.


나는 그 부서에 대해 많은 것을 알아내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어떻게 교육 사람들이 지원을 받고 있는지 그리고 그 부서 내에서 일어나는 몇몇 역학관계들을...그들이 일하는 방식 그것은 내가 사람들과 협상하려고 할 때 매우 도움이 되었다.예를 들어...을 고용할 때. 내가 이사장에게 접근하기 전에 그들의 학과장과 어떻게 대화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그리고 누가 교육 인프라로 돈을 벌어야 하는지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L6 – Education R 및 D Leader) 

I try to find out as much about the department and how the education people are supported and some of the dynamics that occur within the department ...the way they operate. That has been very helpful when I try to negotiate with people ...for example in hiring .... It was very important that I understood exactly how to speak with their department chair and how decisions are made and who to get the buy in from with the education infrastructure before I approached the chair.(L6 – Education R and D leader) 



학습전략

Learning strategies


참가자들은 경험, 성찰적 실천, 공식 또는 전략적 멘토링, 고급 훈련 또는 다른 리더를 관찰함으로써 배웠다(예). 경험을 통해 배우는 것은 그들이 그 때 발견한 기회를 얻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그들은 그들의 능력을 발전시켰다.

Participants learned from experience, reflective practice, formal or strategic mentoring, advanced training or watching other leaders (example). Learning from experience involved taking on opportunities that they then found developed their abilities.


성찰적 실천자로서, 이러한 리더들은 자기 평가에 참여했고, 그들의 능력을 측정하고, 그들의 성과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개발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피드백을 요청했다. 그들은 피드백을 받기 위한 보다 공식적인 메커니즘을 원했다.

As reflective practitioners, these leaders engaged in self-assessment, solicited feedback in order to gage their capabilities, make decisions about their performance and identify development needs. They desired more formal mechanisms to receive feedback.


나는 사실 성찰이 필요했고, 나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계속 물어보았다. 그게 까다로운 이유는 그들이 언제나 너에게 솔직하고 싶어하지는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신이 그들에게 강제적인 선택을 한다면...여기 5가지가 있는데 이것들 중 몇몇은 다른 것들보다 더 낫다는 것을 안다. 내가 특히 잘하는 게 무엇이고, 정말 네가 해야 할 말이 있다면 네 리스트에서 가장 낮은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L5 – CEPD 리더)

I actually asked for reflections and continue to ask from people who work with me. Now that is tricky because they may not always want to be honest with you...but if you give them a forced choice ...here are 5 things and I know some of these are better than others. Which ones do you think I am particularly good at and which if you really had to say would be the lowest on your list? (L5 – CEPD leader)


많은 사람들이 전략적 멘토링에 종사하고 있다; 경험, 지식 또는 조언에 대해 다른 사람들에게 윤리적으로 요청한다. 많은 사람들이 멘토 프로그램을 원했다.

Many engaged in strategic mentoring; episodically soliciting others for their experience, knowledge or advice. Many desired a mentorship programme.


어떤 사람들은 어떤 학술적 또는 교육적 정규 교육이 그들의 역할에 유용하다고 믿었다. 대부분은 참여경험은 없었지만 리더쉽 개발을 원했다. 다른 지도자들을 지켜보는 것 또한 그들의 학문을 위한 비옥한 토대였다.

Some believed that some type of formal education in scholarship or education was useful to their roles. Most had not participated in but desired leadership development. Watching other leaders was also fertile ground for their learning.



고찰

Discussion


개인적 영역은 부분적으로 리치 외 연구진(2008)의 문학 검토와 의과대학 학장의 바람직한 자질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에 잘 들어맞는다. 그는 효과적인 리더쉽을 위해서는 '자아를 아는 것'의 퀄리티(자신의 강점과 약점-자신이 누구이며 누가 아닌지에 대한 날카로운 감각)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The personal domain of practice resonates in part with Rich et al.’s (2008)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s of desirable qualities of medical school deans. He identifies the quality of ‘knowing self’ (an acute sense of their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 who they are and who they are not) as important for effective leadership. 


우리의 연구는 또한 의학 교육 지도자들이 의도적으로 모범을 보이고, 실제로 그들의 가치를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코우즈와 포스너(2002년)는 효과적인 지도자를 개인의 가치를 명확히 하고 그들의 행동을 공유 가치와 일치시키는 모범을 보이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지도자들의 청렴성과 투명성의 높은 가치는 또한 수바와 데이(2006)의 학술 보건 과학 센터 지도자들의 가장 본질적인 가치와 일치한다. 

Our study was also able to establish that medical education leaders deliberately role model and were aware, in fact, of their values. Similarly, Kouzes and Posner (2002) describe effective leaders as clarifying their personal values and setting the example of aligning their actions with shared values. The high value of integrity and transparency of these education leaders also aligns with Souba and Day’s (2006)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e leaders’ (Deans and CEO’s) most essential value. 


신뢰는 우리의 지도자들이 일하는 중요한 토대였다. 이것이 의료 교육 리더십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연구는 [의학교육에서의 역량이나 경험의 중요성을 포함시킴으로써] '당신이 하겠다고 말한 것을 실천하는 것'에 대한 정의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Kouzes and Posner 2004). 의과 대학 학장과 교육 프로그램 감독에서 원하는 속성에 대한 연구는 이전에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 기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Bordage 등). 2000; Rich 등 2008).

Credibility was a critical foundation to our leaders work. While this is not unique to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our study goes further in enriching the definition from ‘doing what you say you will do’ to include the importance of competence or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Kouzes and Posner 2004). Studies of desired attributes in medical school deans and education programme directors have previousl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skills (Bordage et al. 2000; Rich et al. 2008).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의학 교육 지도자들이 아닌, 학술 보건 과학 센터의 지도자들의 조사와 의견으로부터 그들의 정보를 얻었다. 우리의 연구는 실제로 의학교육 지도자들의 관점을 탐구함으로써 이러한 연구 결과를 더욱 풍부하게 한다.

These studies, however, derived their information from surveys and opinions of leaders of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es and not medical education leaders themselves. Our research enriches those findings by actually inductively exploring the perspectives of practicing medical education leaders.


대인관계 영역에서, 우리의 연구는 의학교육 지도자들이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에 투자했고, 그들과의 관계를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투자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학습, 성장, 발전을 장려하고 다른 사람들을 자극하고 참여시키는 데 힘썼다. 학문적 리더십 분야에서 볼만과 갈로스(2011년)는 이러한 실천이 인간의 창의성과 공헌을 촉발하는 업무 환경을 조성한다고 믿는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교육 리더십 문헌과도 일치한다.

In the interpersonal domain, our study demonstrates that medical education leaders invested in demonstrating caring behaviour and developing and valuing relationships with their people. They encouraged learning, growth and development and worked at motivating and engaging others. In the domain of academic leadership, Bolman and Gallos (2011) believe that such practices create a work environment that unleashes human creativity and contribution. Our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leadership literature.


초, 중등학교에서 풀란(2008)은 '직원을 사랑하는 것'을 교육 변화에 중요하다고 묘사했다. 그는 이것을 배려하고caring, 그들의 기술을 향상시키며, 그들이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의미와 개인적인 만족을 찾도록 돕는 것으로 묘사한다. 같은 분야에서 Leithwood 등(2009)은 교육 리더십의 모범 사례에 대한 국제적 검토에서 개별화된 지원, 정서적 이해 및 지적 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했다.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Fullan (2008) described ‘loving your employees’ as important for education change. He describes this as caring, increasing their skills and helping them to find mean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by goal fulfilment. In the same field, Leithwood et al. (2009) identified providing individualized support, emotional understanding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in their international review of best practices in education leadership.


의학에서 테일러 외 연구진(2008)의 요구분석은 이러한 의사 지도자의 역할을 맡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경청하고 주의를 기울이려는 의지]는 매우 바람직한 자질임을 지적했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이러한 행동들이 실제로 의학교육 지도자의 실천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우리의 지도자들이 다른 사람들을 지도하는 것 외에도, 그들은 분명히 멘토링을 필요로 했으며, 그들 자신에 대한 서포트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들은 정기적으로 지원, 조언, 피드백을 요청했다. 이는 리더쉽 행동에 관한 문헌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조지 등 이것이 진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을 위한 필수적인 실천이라고 하였다.

In medicine, Taylor et al.’s (2008) needs assessment indicated that a willingness to listen and pay attention was a highly desired quality by practicing and aspiring these physician leaders. Our findings build on opinions by ascertaining that these behaviours are actually occurring in the practices of physicians who are medical education leaders. Interestingly, in addition to our leaders mentoring others, they clearly felt a need for mentorship and support themselves. They regularly solicited support, advice and feedback. While this has not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on leadership behaviours, George et al. (2007) advocate for it as an essential practice for authentic leadership.


그룹 차원에서 보면 갈등을 중재하고 협상하거나 그룹을 관리하는 행동이 놀랍지 않다. 그러나 우리 지도자들이 집단을 만드는 데 투입한 숙고적 생각은 직관적으로 보이지만, 리더십 문헌에서 리더십 실천으로 묘사되지는 않았다. 흥미롭게도, Zimmerman과 Hayday(2009년), Weisbord와 Janoff(2008년)은 모두 복잡한 작업complex work에서는, 리더들은 그들이 generative and effective하기 위해서는 그룹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사려 깊을 필요가 있다고 권고한다. 

From a group perspective, the practice of mediating and negotiating conflict or managing groups is not surprising. However, the deliberate thought that our leaders put into creating groups, while it seems intuitive, has not been described as a leadership practice in the leadership literature. Interestingly, both Zimmerman and Hayday (2009) and Weisbord and Janoff (2008) recommend that for complex work, leaders need to be thoughtful about constructing groups in order for them to be generative and effective. 


이번 연구에서는 리더의 커뮤니티의 구성원 사이에서 발전할 수 있는 비공식 네트워크를 육성하는 것에 대한 것도 확인되었는데, 이 역시 이전에는 설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Westley 등(2006)은 복잡한complex 환경에서 사회적 변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시스템을 주도direct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 네트워킹 및 정보 교환을 지원할 필요성을 옹호한다.

Our identification of fostering informal networks to develop amongst people in the leader’s community has also not been previously described. Westley et al. (2006), however, advocate for the necessity of supporting interactions, networking and information exchange amongst those who have the potential to direct a system in order to enable social transformation in complex environments.


조직 영역 내에서, 우리의 지도자들은 성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체 프로그램 수준에 집중했다. 우리의 연구는 의학 교육 지도자들이 [개별 단위unit의 변화나 움직임]과 [그러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전략]에 몰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확실히, 이것은 리더쉽의 기초적인 관행이다. 

Within the organizational domain, our leaders focused at the level of their entire programme to enable success. Our study demonstrates that medical education leaders are preoccupied with change or movement in their unit and strategies to enable such change. Certainly, this is a foundational practice of leadership (Kotter 1990). 


리더들은 공유된 비전과 소유권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는데, 이것은 employer의 니즈 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즉 니즈 평가는 중요하며, Leithwood 등(2009)은 초등 학교 리더십의 핵심 관행을 이해하는 것과 일치한다(Bordage 등). 2000). 조직의 성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계획과 자원 관리 또한 의과 대학 학장과 교육 프로그램 감독들에게 필요한 기술로 확인되었다.

Our findings of participants’ efforts at creating a shared vision and ownership builds on needs assessments of their employers that highlight its importance and are consistent with Leithwood et al.’s (2009) understanding of core practices of primary school leadership (Bordage et al. 2000). Planning and resource management to enable organizational success have also been identified as necessary skills for medical school deans and education programme directors.


시스템 영역 내에서, 우리의 지도자들은 자신이 속한 환경에 대해 배우고 큰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기관이나 프로그램 밖의 세계world에 관심을 기울였다.

Within the systemic domain, our leaders attended to the world outside of their institution or programme in order to learn about their environment and get a sense of the big picture.


Stefl(2008)은 의료 환경에 대한 지식을 의료 리더에게 중요한 역량으로 식별했다. 민츠버그(2009년)는 다양한 분야의 매니저들이 그들 조직의 '신경 중추'가 될 수 있도록 스스로 정보를 모니터하고 수집하는 것을 관찰했다. 볼만과 딜(2003)은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정치 지형도 매핑하는 것과 같은 정치적 인식awareness이 지도자들에게 필수적인 기술로 필요하다고 옹호한다. 정보를 얻음과 동시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항해를 할 때 자신이 올바른 테이블에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Stefl (2008) have identified knowledge of the health care environment as an important competence for health care leaders. Mintzberg (2009) observed that managers in a variety of sectors monitor and collect information for its own sake to enable them to be ‘nerve centres’ of their organization. Bolman and Deal (2003) advocate that political awareness such as mapping the political terrain as an essential skill for leaders in order to influence. Strategic navigation involves ensuring that you are at the right tables in order to be informed as well as influence.


'테이블에 있지 않으면 메뉴에 오를 수도 있다(먹잇감이 될 수 있다)'는 출처 불명의 암시가 이 문제를 잘 조명한다. 우리의 리더들이 관여했던 네트워크 빌딩은 두 가지 이유로 가치가 있다. Kotter(1982)는 고위 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네트워킹이 리더십 효과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주요 구성 요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리더들이 그들이 필요로 할 때 도움을 받는 것을 더 쉽게 할 수 있게 했다. Kouzes와 Posner(2002)는 이러한 연결고리를 개발하는 것이 리더들의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며, 이는 다시 필요할 때 상호성, 정보 흐름 및 집단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The aphorism of unknown origin that ‘if you are not at the table, you may end up being on the menu’ well illuminates this issue. The network building that our leaders engaged in has value for two reasons. Kotter (1982) in his study of senior executives found that networking was a key determinant of leadership effectiveness. Building relationships with key constituents enabled leaders to have an easier time getting help when they needed it. Kouzes and Posner (2002) note that developing these connections builds the social capital of leaders which in turn enables reciprocity, information flow and collective action when needed.


비록 우리 의료 교육 지도자들은 공식적인 지도 교육을 원했지만, 그들은 주로 경험(시행과 실수)과 예(타인을 관찰)로부터 배웠다. 테일러 외 연구진(2009)의 내과의사 지도자에 대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우리와 참여자들은 역할 모델링을 중시했고 조언과 지원을 위해 다양한 개인과의 바람직한 '전략적' 멘토 상호 작용을 사용했다. 그들은 공식적인 멘토링을 원했지만, 대부분은 그것을 이용하지 않았다.

Although our medical education leaders desired formal leadership education, they had learned primarily from experience (trial and error) and example (observing others). Similar to Taylor et al.’s (2009) study of physician leaders, our and participants valued role modelling and made use of desired ‘strategic’ mentoring interactions with various individuals for advice and support. While they desired formal mentoring, most were not making use of it.


교수진 육성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특히, [개인의 리더십 능력, 가치, 역할 모델링에 대한 자기 인식 및 신뢰도의 구축과 유지]의 개발을 권장한다. 리더들은 리더들의 일반적인 대인 관계 관행을 넘어서, 다른 사람들 사이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의 개발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지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의학교육 리더십 프로그램은 시스템적 실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이 우리의 경험이다. 그들의 프로그램 밖의 세계와 협력하여 권력과 영향력의 원천을 알리고, 옹호하고, 감사하며, 지지와 동맹의 네트워크를 발전시키는 것은 리더십 개발에 있어 중요한 측면이어야 한다.

In particular, we encourage developing self-awareness of personal leadership capabilities, values, role modelling an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redibility. Leaders need to appreciate that beyond usual interpersonal practices of leaders, they need to seek out support for themselves as well as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formal networks amongst others. It is our experience that most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programmes do not attend to the elements of systemic practice. Engaging with the world outside of their programme in order to be informed, advocate, appreciate sources of power and influence and develop networks of support and alliances should be critical aspects of leadership development.


예를 들어, 시스템적 실천에 관한 모듈은 '큰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 지역,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더 큰 교육 및 의료 환경에 대한 인식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를 통해 [권력, 문화, 네트워크 개발 이슈에 관심을두고] 관련된 맥락와 선수를context and player 분석하는 법을 배울 것이다.

For example, a module on systemic practices would focus on developing awareness of the greater educational and health care environment at a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 in order to get the ‘big picture’. Participants would be navigation encouraged to learn analysis and of relevant contexts and players with attention to issues of power, culture and network development.


우리의 결과는 또한 실현 가능하고 선호하는 의료 교육 지도자들의 학습 방법을 조명한다. 민츠버그(2004)는 참가자들이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의 최대 이익을 얻기 위해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리더십 연습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는 연습 기반 학습으로 참가자들의 경험을 끌어 올릴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개념을 뒷받침한다. 리더쉽 연습은 또한 다른 이들의 바람직한 관찰과 피드백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프로그램은 이것을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고려해야 한다.

Our results also illuminate feasible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of medical education leaders. Mintzberg (2004) has argued that participants should be engaged in a formal or informal leadership practice in order to maximally benefit from a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me. This study supports this notion as it would maximize the opportunity to draw on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practice-based learning. Since a leadership practice can also provide an opportunity for desired observation and feedback by others, development programmes should consider this as an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한계

Limitations


개인들은 자기평가 능력이 떨어진다고 인식되기 때문에, 이들의 교수개발 권고는 실제의 필요성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뷰의 대다수가 그들의 실제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perceived needs를 말한 것이 아니었다.

it is recognized that individuals are poor self-assessors hence their faculty development recommendations may not reflect actual need in practice. This is mitigated, however, by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s focused on their practice and not perceived needs.


결론

Conclusions


학문적 건강 과학 센터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요구와 증가하는 교육 사명의 복잡성을 감안할 때, 현재보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설계하기에 적합한 시기는 없을 것이다.

Given the constantly changing demands and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educational mission in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es, there is no time like the present to be designing such programmes.




 2012;34(4):312-9. doi: 10.3109/0142159X.2012.643835.

What do we do? Practices and learning strategies of medical education leaders.

Author information

1
Faculty of Medicine, Department of Psychiatry, Baycrest,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s.lieff@utoronto.ca

Abstract

BACKGROUND:

Continuous changes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require faculty to assume a variety of new leadership roles. While numerous faculty development programmes have been developed, there is little evidence about the specific practicesof medical education leaders or their learning strategies to help inform their design.

AIM: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at medical education leaders' actually do, their learning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for faculty development.

METHOD:

A total of 16 medical education leaders from a variety of contexts within the faculty of medicine of a large North American medicalschool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ir work and the learning strategies they employ. Using thematic analysis, interview transcripts were coded inductively and then clustered into emergent themes.

RESULTS:

Findings clustered into four key themes of practice: (1) intrapersonal (e.g., self-awareness), (2) interpersonal (e.g., fostering informal networks), (3) organizational (e.g., creating a shared vision) and (4) systemic (e.g. strategic navigation). Learning strategiesemployed included learning from experience and example, reflective practice, strategic mentoring or advanced training.

CONCLUSIONS:

Our findings illuminate a four-domain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edical education leader practices and their learningpreferences. While some of these findings are not unknown in the general leadership literature, our understanding of their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is unique. These practices and preferences have a potential utility for conceptualizing a coherent and relevant approach to the design of faculty development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ion leadership.

PMID:
 
22455700
 
DOI:
 
10.3109/0142159X.2012.643835


의학교육과 의료시스템의 조화: 사회적 책무성 접근법의 힘(Med Educ, 2017)

Coordinating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systems: the power of the social accountability approach

Charles Boelen



도입

INTRODUCTION


1988년 에든버러 의학 교육 선언의 12가지 권고사항 중 하나는 '건강부, 교육부, 지역사회 보건 서비스 및 기타 관련 기관 간의 공동 정책 개발, 프로그램 계획, 구현 및 검토에 대한 협력을 장려하고 촉진하는 것'이었다.1

One of the 12 recommendations of the 1988 Edinburgh Declaration on Medical Education was to ‘Encourage and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the Ministries of Health, Ministries of Education, community health services and other relevant bodies in joint policy development, programm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review’.1


의료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을 조정하기 위한 합의는 사람들의 일차적인 건강 요구에 대한 최적의 대응 야망과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의료 시스템의 도전에 의해 길러진다. 

The agreement to coordinate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systems is nurtured by the ambition of providing an optimal response to people’s primary health needs and to challenges fora health care system in meeting those needs. 


한 쪽에는 의과대학, 그리고 다른 한 쪽에는 보건기관 사이에 강력한 협력적 연계를 구축함에 있어, 이제는 각각의 정부 기관(즉, 고등교육부 및 보건부) 사이에 연계를 구축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해 보였다. 이 관점 기사에서는 의학교육을 '미래 의사가 사회에서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학과 예술science and art로서, 이는 그들이 의료행위를 실천할 환경과 조건에 영향을 미칠 책임을 내포해야 한다"고 정의할 것을 제안한다.4

In establishing strong collaborative links between medical schools, on one side, and health organisations, on the other, it came to appear even more important to establish links between their respective governmental agencies (i.e., ministries of higher education and ministries of health). In this perspective article, it is proposed that medical education be defined as ‘the science and art of preparing future doctors to function properly in society, which should imply responsibility for influencing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under which they will practice’.4


암묵적인 것에서 명시적 조화로의 점진적 이동

PROGRESSIVE SHIFT FROM IMPLICIT TO EXPLICIT COORDINATION


몇몇 경우에 조화를 위한 헌신은 [모든 의사가 사회의 현재와 미래의 건강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보유해야 하는 능력]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대한 관심이 그 근거가 될 수 있다.

In several instances, a commitment to coordination can be evidenced by the concern to define competencies any medical doctor should possess to respond to the present and prospective health needs of society.


'내일 의사들'

세계보건기구와 '5성급 의사' 모델

캐나다에서, CanMEDS 프로젝트

미국과 유럽에서는 '의사 헌장'

...에서 전문성의 개념을 장려했다.7


The ‘Tomorrow’s doctors’

The WHO and the seminal model of the ‘5 star doctor’,

In Canada, the CanMEDS project

in the USA and Europe, promoted the notion of professionalism in the ‘Physician charter’.7


이들은 모두 미래의 의사를 생물의학 분야뿐 아니라 정신사회학 분야에서도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로 그리고 있으며, '의사들은 가난한 사람들의 자연적인 변호사들이며, 사회적 문제는 그들의 관할권 내에 있다.'는 19세기 중엽 독일의 유명한 병리학자인 루돌프 비르초(Rudolf Virchow)의 진술을 되풀이하고 있다.

They all envisioned future doctors as professionals with expertise not only in biomedical disciplines but also in psychosocial ones, and echoed the statement of Rudolf Virchow, the famous German pathologist in the mid-19th century, that ‘the physicians are the natural attorneys of the poor, and social problems fall to a large extent within their jurisdiction’.8


마찬가지로, 에든버러 선언의 권고안 1은 학교가 '그저 병원 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모든 건강 자원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범위를 확대'하도록 권장할 때 그러한 돌연변이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1 실제로 학습자가 다양한 건강 결정 요소가 작용하고 있는 상황에 노출될 때, 학생들은 건강이 다양하고 조화된 개입의 결과라는 것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사회, 교육 및 경제 시스템의 통제 하에 있다.

Likewise, recommendation 1 of the Edinburgh Declaration reckoned that such mutation is desirable when schools are encouraged to ‘enlarge the range of settings in which educational programmes are conducted to include all health resources of the community, not hospitals alone’.1 Indeed, when learners are exposed to situations wherein a range of health determinants are at work, they are more prone to grasp that health is the result of multiple and coordinated interventions, some of which are under the control of the social, educational and economic systems.


다양한 건강 환경에서 의료 교육을 실시함으로서, 졸업생들은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사회적 차원을 통합하고 사회 각 수준에서 부딪히는 건강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할 것으로 기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의료 행위자들과의 좋은 협력은 의료 교육이 사람들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개선시킨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의료 시스템 제공의 주요 가치, 즉 품질, 형평성, 관련성 및 효과와 비교할 경우 그 영향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다.

In conducting medical education in a variety of health settings, it is also assumed that graduates will integrate a social dimension into their interaction with patients and acquire an ability to cope with health issues encountered at different levels in society. It can be further assumed that good collaboration with a variety of health care actors improves the impact of medical education on people’s health status. The impact can be properly assessed if compared against the main values of health care system delivery, namely: quality, equity, relevance and effectiveness.


의과대학과 의학 교육 프로그램이 그러한 가치들을 암묵적으로 지켜낼 수도 있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그 함의를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9 그러한 가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Although medical schools and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may implicitly adhere to those values, a clear definition of each is required for a better grasp of the implications for everyone.9 Those values have been defined as follows: 


    • '퀄리티란 [환자나 시민의 종합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입이 relevant하고 coordinatede됨을 암시하는 개인-중심 관리다. 

    • 평등은 사회의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인 건강 서비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관련성은 대부분의 만연하고 긴급한 건강 문제와 사회의 가장 취약한 개인과 집단에 우선순위가 주어질 때 존재한다. 

    • 효율성은 개인과 일반 국민 모두의 이익을 위해 가용 자원으로 최선의 사용을 할 때 달성된다.'10

    • Quality in health care is a person-centred care implying that interventions are most relevant and coordinated to serve the comprehensive needs of a patient or a citizen. 

    • Equity implies that each person in a given society is given opportunities to benefit from essential health services. 

    • Relevance is present when priority is given to most prevalent and pressing health concerns and to most vulnerable individuals and groups in society. 

    • Effectiveness is achieved when the best use is made of available resources to the benefit of both individuals and the general population’.10


분명히, 굳건한 파트너십이 보건 시스템의 주요 건강 이해당사자 사이에 연계되어야 한다.

Obviously, solid partnerships must be interwoven with key health stakeholders in the health system.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임성은 1995년에 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정의되었다: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was defined in 1995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의과대학이 교육, 연구, 서비스 활동을 지역사회, 지역, 그들이 봉사할serve 의무가 있는 국가의 우선적인 건강 관심사를 다루도록toward 지향할direct 의무. 건강 문제의 우선순위는 정부, 의료 기관, 의료 전문가 및 대중이 공동으로 파악해야 한다.11

‘the obligation to direct thei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activities towards addressing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of the community, the region, or nation they have a mandate to serve. The priority health concerns are to be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 care organis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he public’.11



사회적 책무성 접근을 통한 연계성 강화

STRENGTHENING LINKS THROUGH THE SOCIAL ACCOUNTABILITY APPROACH


의과대학과 그 의과대학의 사회적 의무에 대한 주요 표현은 사람들의 일차적인 건강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졸업생을 배출하겠다는 명시적인 약속이다. 그러한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A major expression of the social obligation of a medical school and its medical education programme is the explicit commitment to produce graduates a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people’s primary health needs. There are different ways of fulfilling such a social obligation.


첫 번째 예는 가난과 건강의 불균형의 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춘 일련의 인류학, 역학 및 공중 보건 과정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의과대학이다.

A first example is a medical school offering students a series of courses in anthropology, epidemiology and public health with a focus on determinants of poverty and disparity in health.


두 번째 예로는 첫 해부터 교육 과정 전반에 걸쳐 학생들을 지역사회 기반 활동에 참여시키는 학교가 있다. 왜냐하면 학교의 제도적 목표 중 하나는 모든 학생들이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돌보기 위해 잘 정의된 능력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A second example is a school engaging students in community-based activities from the first year onwards and throughout the curriculum, because one of the school’s institutional objectives is to ensure all students acquire well-defined competencies to care for the most vulnerable people.


세 번째 예는 공공 부문 또는 민간 부문에서 잠재적 고용주들과 상호 작용하여, 위의 약속을 뛰어넘는 학교 중 하나로서, 빈곤한 지역에서 일자리 기회가 창출될 것이며, 매력적인 근무 환경이 제공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는 학교이다

A third example is the one of a school going beyond the above-mentioned commitments by interacting with potential employers of their graduates, in the public or private sector, with the expectation that job opportunities are created in deprived areas and attractive working conditions are offered.


그러한 예들은 사회적 의무의 다른 구도를 반영한다. 

  • 첫 번째 예에서 학교는 건강 불균형 문제를 암묵적으로 인식할 때 사회적 책임을 보이는 반면, 

  • 두 번째 예에서는 사회적 반응성의 특성인 문제에 대해 명시적이고 의도적으로 행동하려는 욕구를 보여준다. 

  • 세 번째 예는 학교 졸업생들에게 그들이 배운 것을 실제 세계에서 실천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주어지도록 하기 위해 일련의 조치를 취하기 때문에 학교의 사회적 책임성을 반영한다.

Those examples reflect the different gradients of social obligation. 

  • In the first example the school shows social responsibility as it implicitly recognises health disparity issues, whereas 

  • in the second example the school demonstrates a desire to act explicitly and purposefully on the issues, a trait of social responsiveness

  • The third example reflects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the school as it takes a set of actions to ensure its graduates are given the best chances to practise in a real world what they have been taught.


그림1

Figure 1



1. '사회적 책임' 하에서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선량한' 실무자를 배출하는 것이며, 주로 어떤 역량이 가장 적합한지를 규정하는 것을 학교에 맡기는 것이다.

Under ‘social responsibility’ the aim of the education programme is to produce a ‘good’ practitioner, leaving it mainly to the school to define which competencies are the most appropriate ones,


2. '사회적 반응성'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은 사람들의 건강 요구에 대한 객관적 분석에서 도출되고 일반적인 전문성 개념에 따라 분류된 명확한 능력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under ‘social responsiveness’, the education programme aims to attain clearly defined competencies derived from an objective analysis of people’s health needs and grouped under the generic concept of professionalism.


3. '사회적 책임' 하에서,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보건 시스템 성과와 궁극적으로 사람들의 건강 상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보건 시스템 '변화 요원'을 생산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주어진 환경에서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와 도전을 고려하여 '상황화'된다.

Under ‘social accountability’, the ambi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me is to produce health system ‘change agents’ with a greater impact on health system performance and ultimately on people’s health status. The programme is ‘contextualised’, taking into account essential factors and challenges to improve health in a given milieu.


공통의 목적: 영향력의 근거

A COMMON PURPOSE: THE QUEST FOR EVIDENCE OF IMPACT


사회적 의무 척도에 대한 점수가 높을수록 의료 교육과 의료 시스템의 협업이 강화된다는 점이 강조된다.

The point is made that the higher the mark on the social obligation scale, the stronger the collaboration of medical education and the health care system.


이 가정을 3가지 지표를 통해 검토해보자. 

  • 불리한 지역에 졸업생 유지, 

  • 1차 진료 전문가로서의 졸업생들의 직업 선택, 

  • 다직업 팀에서의 실습 기회 등

그러한 지표들은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영향력을 반영한다. 즉, 졸업생들의 밀도 및 공정한 지리적 분포, 보편적 커버리지를 향한 진전, 그리고 개인 중심의 관리를 위한 학제간 접근방식이다.

Let us examine this assumption through the lens of three indicators: the retention of graduates in disadvantaged areas, the career choice of graduates as primary care practitioners, and opportunities to practise in multiprofessional teams. Those indicators truly reflect an influence on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namely by increased density and fair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graduates, progress towards universal coverage, an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person-centred care.


노던 온타리오 의과대학은 바로 사회적 책임의 원칙에 따라 2006년에 설립되었다. 그것의 의료 교육 프로그램은 지역 보건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최선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역 당국 및 지역사회와 긴밀히 협의하여 개발되었다. 이것은 학생들의 세로적 공동체 몰입, 실생활 건강 문제에 대한 집단학습, 그리고 학교의 사명을 따르는 고도로 동기 부여된 교직원들의 개인교습으로 특징지어진다. 10년의 존속 후, 특히 가정의학 의사가 가장 필요한 분야에서 졸업생이 높은 수준으로 retention하고 있으며, 건강 커버리지가 높아졌고, 여러 서비스와 사업을 유치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12

The Northern Ontario School of Medicine was founded in 2006 on the very principles of social accountability. Its medical education programme is developed in close consultation with local authorities and communities to ensure best choices are made to meet local health needs. It is characterised by longitudinal community immersion of students, learning in groups about real-life health issues, and tutoring by highly motivated staff who follow the school’s mission. After 10 years of existence, the school claims a high level of retention of graduates, particularly family doctors, in areas where they are most needed, an increased health coverage and a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by attracting several services and businesses.12


잠보앙가에 의과대학을 설립하는 것은 지역사회 책임자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 및 종교 당국으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즉, 의과 교육 과정에서의 학생 모집과 지원에서, 졸업생이 보건시설이 드물고 건강지표가 좋지 않은 마을이나 소도시로 돌아갈 것이라는 기대를 받은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전적으로 지역의 긴급한 건강 요구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었다. 유역catchment 지역을 학습 기회의 주요 원천으로 사용하여, 건강의 결정요인을 다루고 매우 헌신적인 교직원과 효과적인 교육학적 접근법을 구현하였다. 20년 후, 이 학교는 유아 사망률을 90%까지 감소시키고, 졸업생의 80%를 지역 소외 지역에 유지하는 데 기여한 반면, 그렇지 않았다면 많은 수가 수도나 해외로 이주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3

The creation of the medical school in Zamboanga received strong support from various public and religious authorities as well as local community chiefs, namely in the recruitment of students and support during their medical education course, with the expectation that graduates would return to the villages or small towns where health facilities are rare and health indicators poor. The educational programme was entirely structured to respond to local pressing health needs, using the catchment area as a main source of learning opportunities, addressing determinants of health and implementing effective pedagogical approaches with very dedicated teaching staff. Two decades later, the school estimates that it contributed to decreasing infant mortality rates by 90% and to retaining 80% of their graduates in local underserved areas, whereas a great many would have migrated otherwise either to the capital city or abroad.13


2011년 '아랍 봄 혁명' 동안 튀니스의 의과대학은 보건 고등교육부와 긴밀히 협력하여 국가 대격변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해안 거주자와 내륙 거주자 사이의 행복의 불균형을 다루기로 결정했다. 이 학교는 2백만 명의 주민이 살고 있는 북부 지역의 1차 진료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지역 보건 당국과 협력하여 건강 보장의 폭을 넓히고, 가정의학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우선시하기로 특별한 약속을 했다. 이 계획이 기대되는 결과와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하기에는 너무 이르지만 약혼은 유망하다.

During the 2011 ‘Arab spring revolution’, the medical school in Tunis decided,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Ministries of Health and Higher Education, to address one of the main causes of the national upheaval, namely the flagrant disparity in well-being between people living on the coast and those living inland. The school made a special commitm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level of car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where two million inhabitants live, to work with local health authorities to enlarge health coverage and to prioritise the development of a family medicine education programme. It is too early to assess whether this plan produced the expected outcome and impact but the engagement is promising.



투르스 의과대학은 프랑스의 35개 의과대학 중 하나이다. 보건 당국에서 시민 협회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의 모든 주요 보건 기관(지역 듀 센터 등 3백만 명의 주민을 포함한 지역 보건 기관)의 대표자들은 정기적으로 학교에 초대되어 학교가 그들을 위해 더 나은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각 경우에, 모든 이해당사자를 참여시키는 권고안을 작성하고, 진행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임시 회의를 개최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이니셔티브가 커버리지를 개선하고, 전문 의료 센터를 만들고, 보건 분야의 더 큰 형평성과 효과에 기여할 것인지 예측하는 것은 너무 이르지만, 모든 요소들이 목적적purposeful 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 조립된다.

The medical school in Tours is one of the 35 medical schools in France. Representatives of all major health agencies in the region (Region du Centre et du Val de Loire, including 3 million inhabitants), from health authorities to citizens’ associations, are regularly invited by the school to the school premises and asked what the school should do better for them. On each occasion, recommendations are drafted that engage all stakeholders and interim meetings are held to monitor progress. Again, it is too early to predict whether this initiative will lead to improved coverage, create multiprofessional health centres and contribute to greater equity and effectiveness in the health sector, but all the ingredients are assembled to design a purposeful medical education programme.



현재 북아메리카의 LCME(Liaison Committee of Medical Education)와 WFME(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가 사용하는 기준은 성과에 대한 관심과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은 별로 없고, 그보다는 프로세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14,15 의료 교육과 의료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적 책임의 측정 도구가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다.

Currently, standards used by the LCME (Liaison Committee of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and the WFME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put the main emphasis on processes, with limited interest in outcomes and the impact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14,15 Measurement tools of social accountability are beginning to emerge that should help to close the gap between medical education and its impact on the health system




CPU 모델은 '개념화-생산-사용성'의 약어로서, 학교들의 다음에 대한 헌신을 포괄적으로 탐구하는 일련의 매개변수로 구성됨.

  • 획: (즉, 의사가 공정하고 효율적인 보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이상적인 역량 집합에 동의) 

  • 구현: (이러한 역량을 획득하기 위해 조직된 훈련 및 학습)

  • 보장: 이러한 조치가 사회에 예상되는 영향을 미치는 것(즉, 후속 졸업생 및 의료 시스템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되는 의료 환경을 advocate한다).

The CPU model is an example, an acronym for ‘Conceptualisation- Production-Usability’, made up of a sequence of parameters exploring more comprehensively the schools’ commitments to 

  • planning actions (i.e., agreeing on an ideal set of competencies needed for the medical doctor to serve an equitable and efficient health system), 

  • implementing those actions (training and learning organised to acquire those competencies) and 

  • ensuring the actions produce the anticipated effects on society (i.e., following-up graduates and advocating for a practice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improving health care system performance).16



미래의 조화를 개선하기 위한 관점

PERSPECTIVES FOR IMPROVING COORDINATION IN THE FUTURE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글로벌 컨센서스. 새로운 사고와 글로벌 수준의 의학적 교육의 우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촉진하기 위한 전례 없는 노력.19 그림 2는 글로벌 컨센서스 문서의 10가지 전략적 방향을 종합한 것이다.

the Global Consensus for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 Schools, which is an unprecedented effort to stimulate new thinking and efficient strategies to improve excellence in medical education at a global level.19 Figure 2 is a synthesis of the 10 strategic directions of the Global Consensus document,


그림 2 글로벌 컨센서스의 10가지 전략적 방향

Figure 2 Ten strategic directions of the Global Consensus


1: 사회의 건강 요구 예측

2: 보건 시스템 및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파트너십

3: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의 진화하는 역할에 적응

4: 성과 기반 교육 추진

5: 의과대학의 대응적이고 책임감 있는 거버넌스 조성

6: 교육, 연구 및 서비스 제공에 대한 표준의 범위 정립

7: 교육, 연구 및 서비스의 지속적인 품질 향상 지원

8: 인증에 대한 필수 메커니즘 설정

9: 상황별 특성과 글로벌 원칙의 균형 조정

10: 사회의 역할 정의


1: Anticipating society’s health needs

2: Partnership with the health system and other stakeholders

3: Adapting to the evolving roles of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4: Fostering outcome-based education

5: Creating responsive and responsible governance of the medical school

6: Refining the scope of standards for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delivery

7: Supporting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in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8: Establishing mandated mechanisms for accreditation

9: Balancing global principles with context specificity

10: Defining the role of society


이와 유사하게, 국가 차원에서, 의과대학들은 국가 정책의 지원을 받는다면 의료 시스템과 의료 교육을 조정하는 경향이 더 많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는 연방정부 보건기관인 캐나다 보건부가 캐나다의 의과대학 협회와 관련하여 발표한 백서에서 의과대학에 대한 핵심 비전으로 사회적 책임을 제시했다. 

Similarly, at the country level, medical schools are more prone to coordinate medical education with health care systems if supported by a national policy. In Canada, for instance, a white paper published by Health Canada, the federal government health agency, in conjunction with the Association of Faculties of Medicine in Canada suggested social accountability as a core vision for medical schools: 


'사회적 책임과 책임감은 캐나다 의사들과 의학 협회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핵심 가치들이다. 이러한 헌신은 개인 및 집합적으로 의사와 전문성이 캐나다 전역의 개인과 공동체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고 글로벌 커뮤니티에 대한 국제적 책임을 충족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0

‘Social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are core values underpinning the roles of Canadian doctors and Faculties of Medicine. This commitment means that,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doctors and faculties must respond to the diverse need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roughout Canada, as well as meet international responsibilities to the global community’.20


결론

CONCLUSION


의료 교육과 의료 시스템의 조정은 1988년 에든버러 선언 이후 극적으로 발전했다.

The coordination of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systems has evolved dramatically since the 1988 Declaration of Edinburgh.


지난 30년간 사회적으로 중요한 진화가 이뤄졌다.. 사람들은 환경 보호에 대한 더 큰 우려, 부족한 자원의 더 나은 사용, 공공 업무 수행의 투명성, 우선순위 설정에서 대중의 목소리에 대한 관심, 수직적 프로젝트에 대한 시너지 창출과 같은 그들의 복지에 대한 필수적인 요구들을 점점 더 많이 인식하게 되었다. 이 모든 것은 인간의 발전이 체계적이고 협력적인 접근에 의해 더 잘 제공된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인식이 자리잡는 데 기여했다.

The last three decades have been marked by important evolution in societies. People have increasingly become aware of essential requirements for their well-being, such as greater concer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better use of scarce resources, transparency in conducting public affairs, attention to the voice of the public in setting priorities, and creating synergies versus funding vertical projects. All this has contributed to a general state of mind acknowledging that human development is better served by a systematic and collaborative approach.







 2018 Jan;52(1):96-102. doi: 10.1111/medu.13394. Epub 2017 Sep 7.

Coordinating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systems: the power of the social accountability approach.

Author information

1
Programme of Human Resources for Health, Sciez-sur-Léman, France.

Abstract

CONTEXT:

As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is to produce graduates able to most effectively address people's health concerns,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coordination with the health care system is essential. For too long, coordination has been dealt with in a subjective manner with only few landmarks to ensure objective and measurable achievements. Over the last 30 years, since the Edinburgh Declaration on medical education, progress has been made, namely with the concept of social accountability.

METHODS:

The social accountability approach provides a way to plan, deliver and assess medical education with the explicit aim to contribute to effective, equitable and sustainable health system development. It is based on a system-wide scope exploring issues from identification of people's and society's health needs to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f medical education in meeting those needs. A wide international consultation among medical education leaders led to the adoption of the Global Consensus on Social Accountability of MedicalSchools.

EXPERIENCES:

Benchmarks of social accountability are in the process of being conceived and tested, enabling medical schools to steer medical education in a more purposeful way in relation to determinants of health. A sample of schools using the social accountabilityapproach claims to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care system performance and people's health status.

CONCLUSION:

Improved coordination of medical education and other key stakeholders in the health system is an important challenge for medical schools as well as for countries confronted with an urgent need for optimal use of their health workforce. There is growing interest worldwide in defining policies and strategies and supporting experiences in this regard.

PMID:
 
28884465
 
DOI:
 
10.1111/medu.13394


학습환경에는 무엇이 있는가? 역량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환경 형성에 필요한 교사의 역할 인식(Perspect Med Educ, 2015)

What’s in a learning environment? Recognizing teachers’ roles in shaping a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competency

Patricia S. O’Sullivan



저는 가르침을 통해 교수들이 학습 환경에 어떻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싶습니다.

I want to raise awareness about how, through teaching, faculty can have a major effect on the learning environment.


학습 환경이 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 이전에 고등 교육[2]과 의학교육에 나타났다[3]. 사실, 교육 환경은 인증 기관이 주목할 정도로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 

  • LCME[4]는 학교가 '학습 환경의 주기적 평가'를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 

  •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는 '환자 안전, 의료 품질, 의료 격차 감소를 포함한 보건 서비스 품질, 관리, 관리, 근무 시간 및 업무 전환'에 대한 기관의 노력과 관련된 학습 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 방문을 사용한다.

The finding that learning environment affects achievement has appeared previously in higher education [2] and medical education [3]. In fact, the learning environment has risen to such significance that accrediting bodies have taken note. 

  • The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 (LCME) [4] requires that schools conduct ‘periodic evalua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uses site visits to assess the learning environment related to the institution’s efforts to engage residents in ‘patient safety; health care quality, including reduction in health care disparities; transitions in care; supervision; duty hours and fatigue management and mitigation; and professionalism’ [5]. 


이와 같이 학습 환경이 강조되면서,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과 레지던트의 인식을 포착하고,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대한 리뷰로 이어졌다[8].

This emphasis on learning environment has led to reviews of assessments that capture student and resident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6, 7] and ongoing efforts to develop new measures [8].


Dijkstra와 동료[1]는 이 프레임에서 학습 환경을 평가하는 문구를 썼다. 가르침teaching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대다수의 statements은 분명 가르침이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대부분의 학습 환경 기구에 적용된다.

Dijkstra and colleagues [1] wrote statements assessing the learning environment from this framing. While teaching is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majority of statements used to evaluate the learning environment certainly related to teaching and to learner motivation. This is true for most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학습 환경 평가 도구의 많은 문항들은 자기 결정 이론(SDT)을 반영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Ryan과 Deci[9]가 제시하고 10Cate[10]가 요약한 바에 따르면, SDT는 동기는 세 가지 니즈에 기초한다고 제안한다: 숙달, 관계, 자율. 

  • 숙달은 학습자가 더 어려운 기회를 향해 나아가도록 독려합니다. 

  • 관계는 학습자가 환경에서 연결되고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 자율은 자신의 의사에 따라 행동을 개시하는 능력에 의해 표현된다. 

In my opinion, many items in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reflect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n brief, SDT, as put forth by Ryan and Deci [9] and summarized in medical education by Ten Cate [10], proposes that motivation is based on three needs: mastery, relatedness and autonomy. 

  • Mastery inspires learners to drive toward more challenging opportunities. 

  • Relatedness allows learners to feel connected and safe in an environment. 

  • Autonomy is expressed by an ability to initiate actions of one’s own volition. 


Dijkstra 문항들은 퍼포먼스와 성찰(숙달), 감독자 및 동료와의 관계 및 상호 작용(관계), 독립성(자율)을 확인하고자 질문했습니다. 교사들은 학습 환경 내에서의 그들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동기 부여 요소'를 서포트하고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The Dijkstra items asked about examining performance and reflection (mastery),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and peers (relatedness), and independence (autonomy). Teachers, in their rol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must teach to support and actively incorporate elements of motivation.


흥미롭게도, 렘리 등도 동일한 SDT 렌즈를 사용하여 21세기 학생의 학습 환경을 조사했다. Lemley는 밀레니얼 학생들이 내용관련성, 자율성, 선택권, 교수와 연결성을 중시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교수와의 연결성은 [양방향 대화, 존중, 관리, 학생에 대한 지식]을 강조할 때 높아졌다.

Interestingly, Lemley et al. [11] examined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21st century student using the same lens of SDT. Lemley found that millennial students valued relevance of content, autonomy, having choices, and having connection with their teachers as emphasized by two-way conversations, respect, care, and knowledge of the student.


동기를 부여하는 학습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교수들은 이러한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교수들은 교수법을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실현 가능하다.

Given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motivates, the faculty member must establish this learning environment; and this is feasible because faculty have the opportunity to control how they teach.


그러므로 교사로서 우리는 혁신적이고 재미있는 교육 전략을 사용할 때 학습자들이 더 잘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요소들을 포함시켜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Therefore, as teachers we must ensure that when using innovative and fun teaching strategies, we embed elements that motivate our learners to do better. So how might we do this?


숙달을 위하여, 우리는 강의와 임상실흡 모두에서 높은 빈도의 형성평가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퀴즈, one-minute paper, 간략한 구조화된 관찰, 환자 노트 검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평가는 개선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의미 있는 피드백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14]. 또한 강의 시간 내에 성찰할 시간을 제공하여서 학습자가 잠시 멈추고, 학습 방법을 생각하고, 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야 합니다 [15]. 이 시간을 별도로 확보하여 그것을 교육의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만드는 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일 것이다.

For mastery, we need frequent formative assessments in both didactic and clinical experiences. These can range from quizzes, to one-minute papers, to brief structured observations, or a patient note review. Assessments must lead to meaningful feedback that gives guidance on how to improve [14]. Additionally, time within teaching has to exist for reflection so that we allow learners to pause, think about how they are learning, and consider how they can engage in ways to improve their learning [15]. Setting aside this time and making it a natural part of teaching may be the most challenging of all.


관계를 위해서,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필요가 있다. 동료[16] 및 환자[17]로부터 및 동료와 함께 학습하는 데 큰 가치가 있습니다.

For relatedness we need to build in engagement with others. There is great value in learning from and with one’s peers [16] and patients [17].


자율을 위해서, 우리는 학습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다. 

For autonomy we need to include choices for learners, versus prescribing every way in which they will interact within a teaching method. This could be as small as where to sit. 


모든 교수진은 이 세 가지 요소를 포함시키기 위해 자신의 교수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수진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ll faculty members must re-examine their teaching strategies to include these three elements. We will need faculty development to facilitate these changes.


요약하자면, 학습 환경은 역량 기반 교육에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들이 가르치는 방식이 학습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교수진이 학습을 강화하려는 동기를 강화하는 요소를 통합하고 기관이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교육 전략을 재정의할 것을 주장한다.

In summary, the learning environment is critical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way teachers teach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We advocate that faculty redefine their teaching strategies to incorporate elements that reinforce motivation to enhance learning and that institutions provide them the support to do so.




7. Schönrock-Adema J, Bouwkamp-Timmer T, van Hell EA, CohenSchotanus J.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is the theor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2;17:727–42.




 2015 Dec;4(6):277-9. doi: 10.1007/s40037-015-0234-4.

What's in a learning environmentRecognizing teachers' roles in shaping a learning environmentto support competency.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533 Parnassus Avenue, Suite U80, Box 0710, 94143, San Francisco, CA, USA. Patricia.osullivan@ucsf.edu.
PMID:
 
26525366
 
PMCID:
 
PMC4673070
 
DOI:
 
10.1007/s40037-015-0234-4


순위가 아니라 미션을 위하여(Acad Med, 2013)

From Rankings to Mission

Darrell G. Kirch, MD, and John E. Prescott, MD



Malcolm Gladwell1은 "순위는 우리가 어떤 변수에 어떤 가중치를 부여 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as Malcolm Gladwell1 states, “Rankings depend on what weight we give to what variables.”


순위 시스템이 미국 의과 대학을 포함한 양한 교육 기관의 다양하고 복잡한 임무를 인정하고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한 합의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2 동시에, 다양성이 (순위에서 항상 측정되진 않지만) 더 강한 조직으로 이어진다는 근거도 쌓이고 있다.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ranking systems fail to acknowledge and appreciate the varied and complex missio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ose of U.S. medical schools.2 In parallel, there is a growing body of evidence that diversity—a factor not always measured in rankings—leads to stronger organizations.3


Gourman Report, Princeton Review의 Best 377 Colleges, Peterson 's Four-Year Colleges, US News & World 's Report (USN & WR 's) America 's Best Colleges와 같은 출판물은 수천 명의 학부 및 대학원생에 대한 순위와 일반 정보를 대중에게 제공했습니다. 전국 대학원 프로그램. 이러한 순위 시스템은 주관적 인상과 양적 데이터의 제한된 혼합에 기반을두고 있는데, "승자와 패자"를 암시하지만 (의과 대학을 포함하여) 그들이 순위를 매기는 여러 기관들의 복잡한 성격과 고유 한 공헌을 충분히 묘사하지 못합니다.

Over the years, publications such as the Gourman Report, the Princeton Review’s Best 377 Colleges, Peterson’s Four-Year Colleges, and U.S. News & World Report’s (USN&WR’s) America’s Best Colleges have provided the public with rankings and generalized information about thousand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cross the nation. Such ranking systems are based on a limited mix of subjective impressions and quantitative data, implying “winners and losers” but failing to sufficiently depict the complex nature and unique contributions of the institutions they rank, including medical schools.


각 의과 대학의 사명과 강점은 독특합니다. 따라서 비판적이지 못한 USN & WR의 소비자들은 순위가 객관적이고 편향되지 않은 데이터를 제공한다고 믿지만, 2 순위 자체로는 특정 미션과 건강에 대한 구체적인 공헌 측면에서 학교의 질과 발전progress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습니다.


The mission and strengths of each medical school are unique; thus, While uncritical consumers of USN&WR might believe that rankings provide objective and unbiased data,2 rankings are unable to holistically capture any school’s quality and progress in terms of its particular mission and its specific contributions to health.


순위 시스템: 타당도와 효용성 의문

Ranking Systems—Questioning Validity and Utility


10 년 전 McGaghie와 Thompson2는 의과 대학의 USN & WR 순위를 연구했습니다. 포괄적 인 비판의 근본적인 발견은 분명합니다. 순위는 인상에 기반한 마케팅 이상의 유용성이 없습니다.

Over 10 years ago, McGaghie and Thompson2 studied the USN&WR ranking of medical schools. The fundamental finding of their comprehensive critique is clear: Rankings lack utility beyond impressionistic marketing.


Tancredi 등은 순위가 교육의 질과 학교 사명 달성에 대해 제공하는 통찰력이 제한적임을 확인합니다. 학교의 사명, 학습 환경, 학생 신체의 다양성, 교과 과정의 혁신, 출석 비용, 재정적 원조의 유용성 및 위치는 의대생이 고려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들은 학교에 결석하고 있습니다 순위.

Tancredi and colleagues4 confirm that rankings provide limited insight to the quality of teaching and attainment of school mission. 

  • A school’s mission, 

  • its learning environment, 

  • the diversity of its student body, 

  • its curricular innovations, 

  • the cost of attendance, 

  • the availability of financial aid, and 

  • its location 

...are all important factors that medical school applicants consider,5 but these are absent from school rankings.



순위가 아니라 벤치마크가 우리를 발전시킬 것이다.

Benchmarks, Not Rankings, Will Move Us Forward


객관적인 벤치 마크는 조직의 계획 및 자원 배분을 알리는 데 사용하는 가장 좋은 도구입니다.

Objective benchmarks are the best tool to use to inform organizational planning and resource allocation.


의료 교육의 연속체와 우리 국민의 건강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벤치 마크를 검토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Examining the benchmarks that most directly influence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and the health of our nation is an important step in the right direction.


교육적 기준에 따라 학교를 평가할 때, 우리는 의학 교육을 강화하기 시작할 것이다.

When we as a community assess schools against accepted educational standards, we begin enhancing medical education.


AAMC 의학 학교 입학 요구 조건 (MSAR)과 선교 관리 도구 (MMT)는 벤치 마크를 제공하고 사명을 고려하여 각 의대 학교에 대한 포괄적 인 평가를 허용하는 도구의 두 가지 예입니다.

The AAMC Medical School Admissions Requirements (MSAR) and the Missions Management Tool (MMT) are two examples of instruments that provide benchmarks and allow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each medical school in light of its mission.



MSAR


2011 AAMC 분석에서 간략한 설명에 따르면, 의과대학 지원자는 의과대학에 대한 정보를 찾을 때 고도로 홍보 된 순위 시스템을 통해 다른 출처를 사용하고 가치를 부여합니다. 그들의 상위 5 개 출처는 의대 학교 웹 사이트, 친구 및 동료, 현재의 의대생 또는 최근 졸업생, MSAR 및 의사들입니다 .6 이들 중 MSAR을 지원 결정을 내리는 데 가장 높은 점수를주었습니다 .6

A 2011 AAMC Analysis in Brief demonstrated that aspiring applicants both use and value other sources over highly promoted ranking systems when seeking information about medical schools; their top five sources of information are 

    • medical school Web sites, 

    • friends and peers, 

    • current medical students or recent graduates, 

    • the MSAR, and 

    • physicians.6 

Of these, aspiring applicants rated the MSAR highest for helping them make application decisions.6


MSAR은 의학 교육 인증을받은 모든 의과 대학 (미국의 경우 141 개, 캐나다의 경우 17 개)과 BS / MD 프로그램 44 개 모두 158 개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최신 정보에 유용한 자료입니다 .7

The MSAR is a useful resource for trusted and current information on all 158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accredited medical schools (141 in the United States and 17 in Canada), as well as on the 44 BS/MD programs.7


이 프로필은 각 학교의 신청 프로세스 및 요구 사항에 관한 투명성을 촉진하며, 각 프로필에는 1 차 진료에 대한 헌신이라는 섹션이 있으며 1 차 진료에 관한 mission과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강조하여 표시합니다.

The profile fosters transparency regarding the application processes and requirements for each school, and each profile has a section called Commitment to Primary Care highlighting the components of the school’s mission and curriculum dedicated to primary care.


또한 웹 기반 MSAR 도구 사용자는 최대 5 개의 의과 대학을 비교하고 대조 할 수 있으며 MSAR의 세 가지 에디션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의과 대학은 필요에 따라 자신의 프로파일을 편집 할 수 있으며 동시에 MSAR 데이터의 관리자 인 AAMC는 동시에 교차 검사를 수행합니다.

Additionally, users of the Web-based MSAR tool are able to compare and contrast up to five medical schools side-by-side, and they have the ability to look at data across three editions of MSAR. Medical schools can edit their profiles as needed while the AAMC, the custodian of MSAR data, cross-checks simultaneously.


The MMT


2009 년부터 AAMC는 매년 봄에 의대 학장에게 MMT를 배포했습니다. 이 도구는 학교 임무와 목표와 관련하여 지도자들이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벤치 마크를 제공합니다.

Since 2009, the AAMC has distributed the MMT every spring to medical school deans. This tool gives leaders a benchmark to use for assessing their programs dir ectly as they relate to school missions and goals.


MMT는 고유 한 사명뿐만 아니라 국가의 필요와 우선 순위에 결정적인 6 개 영역에서의 활동 측면에서 학교의 입장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MMT 데이터에는 6 개 영역의 44 개 측정이 포함됩니다.

The MMT clearly illustrates a school’s position not only in terms of its unique missions but also in terms of its work in six domains crucial to national needs and priorities. The MMT data include 44 measures in six domains:


1. 국가의 우선 보건 수요를 해결할 인력을 키운다

2. 다양한 의사 인력 준비한다

3. 의학 발견의 발전을 촉진한다

4. 최근 졸업생에 기반하여 고품질의 의학 교육을 제공한다

5. 의사가 지역 사회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6. 관리가 가능한 부채 수준으로 의대생을 졸업시킨다


1. Graduate a workforce that will address the priority health needs of the nation

2. Prepare a diverse physician workforce

3. Foster the advancement of medical discovery

4. Provide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as judged by your recent graduates

5. Prepare physicians to fulfill the needs of the community

6. Graduate a medical school class with manageable debt


미션의 필수성

The Imperative of Mission


이제 우리는 인기 순위와 같은 임의적인 측정을 버려야 한다. 도전 과제는 분명합니다. 각 기관이 임무 수행시 명확하게 표현한 목표를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보다 정확히 반영하는 메트릭스를 채택하는 것입니다.

the times demand that we abandon the pursuit of arbitrary measures such as popular rankings. The challenge is clear: to embrace metrics that more accurately reflect how well each institution is delivering on the goals specifically articulated in its mission.


우리의 의과 대학 및 병원 교육 전반에 걸친 선교 강조와 자원의 엄청난 다양성은 이 시험을 치르기위한 가장 큰 희망의 원천입니다. 스캇 페이지 3 (Scott Page3)이 쓴 것처럼, 혁신은 "합산된 능력 만큼이나 다양성의 총합에 달려있다".

The tremendous variety in mission emphasis and resources across our medical schools and teaching hospitals is our source of greatest hope in meeting this test. As Scott Page3 has written, innovation depends “as much on collective difference as on aggregate ability.”




 2013 Aug;88(8):1064-6. doi: 10.1097/ACM.0b013e318299efd9.

From rankings to mission.

Abstract

Since the 1980s, school ranking systems have been a topic of discussion among leaders of higher education. Various ranking systems are based on inadequate data that fail to illustrate the complex nature and special contributions of the institutions they purport to rank, including U.S. medical schools, each of which contributes uniquely to meeting national health care needs. A study by Tancredi and colleagues in this issue of Academic Medicine illustrates the limitations of rankings specific to primary care training programs. This commentary discusses, first, how each school's mission and strengths, as well as the impact it has on the community it serves, are distinct, and, second, how these schools, which are each unique, are poorly represented by overly subjective ranking methodologies. Because academic leaders need data that are more objective to guide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has been developing tools to provide valid data that are applicable to each medical school. Specifically, the AAMC's Medical School Admissions Requirements and its Missions Management Tool each provide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medical schools that leaders are using to drive institutional capacity building. This commentary affirms the importance of mission while challenging the leaders of medical schools, teaching hospitals, and universities to use reliable data to continually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health of all.

PMID:
 
23807098
 
DOI:
 
10.1097/ACM.0b013e318299efd9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관점에서 본 의과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KMER, 2018)

Current Issues and Future Consideration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Medical Doctor Development System

한재진

Jae Jin Han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19세기 말에 시작된 우리나라의 서양의학 의사양성체제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의과대학에서 예과 2년과 본과 4년의 총 6년제 학부교육체제였다가 2004년부터 4년제의 의학전문대학원 체제가병행되었고 2018년 현재 총 40개의 의과대학 혹은 의학전문대학원이 한국의 의학 학부교육을 운영하며 매년 3,300명 전후의 의사면허시험 응시자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한국에서 의료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면허를 획득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의사국가시험은 1952년에 시작되었다. 

  • 학부의학교육과 관련된 주요 기관들의 역사를 살펴보면,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는 1960년 설립된 의대학장회의에서 기원하였으며 

  • 한국의학교육학회(Korean Society for Medical Education)는 1983년에 설립되었고 

  •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은 1992년에 설립된 한국의사국가시험원이 모태이다. 

  • 한국의학교육평가원(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은 1998년 설립된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Accreditation Board for Medical Education in Korea)를 모태로 2003년에 재단법인화되었는데 의과대학 인증평가는 2000년부터 시작되었다[1]. 

건국 후 70여 년이 지나는 동안 한국사회 각 분야의 발전과 변화는한국의 의료환경 및 의사양성체제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데, 가장 획기적인 계기는 1977년 직장의료보험으로 시작되어 1989년도에전 국민으로 확대된 국가의료보험제도이다. 이 제도의 초기 틀은한국의 각 급 병원, 의과대학, 의사 수의 가파른 증가를 가져왔지만국가 보건의료체계를 치료의학과 전문과목 진료에 치중하게 되는원인을 제공하여 현재에 이르렀는데, 이는 의학의 학부교육체계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즉 그간의 교육과정, 교육인프라, 교수개발,교육방법 등 의학교육의 여러 영역에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보건의료환경의 변화 추세에 능동적인 대처를 못하면서 미래한국 의학의 발전과 국가 보건의료체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저해하는 고질적인 문제점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2]. 이 글에서 본 저자는현재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의 관점에서 학부 의학교육의 문제점과개선방향을 ‘의학교육기관,’ ‘교육목표,’ ‘교육과정과 방법,’ ‘교육환경과 내용,’ ‘모니터링과 평가’ 등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이어서 ‘학생선발과 지도,’ ‘교육연한,’ ‘의사면허시험,’ ‘학생의 진료참여,’ ‘공중보건 전문인력 양성’ 등의 특정 주제별로 논점을 더하였다.


의학교육기관


현재 의과대학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법적 근거는 고등교육법및 대통령령 등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를 보면 다른 학문의 학부체계와 일률적으로 동일한 규정 하에 가둠으로써 의학의 특성이 반영되는 학교체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의학교육은 교육학적관점도 있지만 보건의료 관점에서도 접근하여야 하며 졸업-후-교육 및 의사의 평생교육체계와도 연계된 학부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국가보건의료환경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여 사회가 요구하는의사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국의 경직된 의학교육체계의 한 예로, 얼마 전에 공론화되어 많은 논의가 있다가 원점으로 돌아간 인턴제도를 들 수 있다. 1950년대에 도입된 인턴제도는 정작 원산지인 미국에서는 의료현실을 반영한 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과 틀이학부의 기본의학 교육과정과 졸업-후-교육체계로 다양하게 수렴되었으나 한국에서는 거의 변하지 않고 60년 이상 지속되다가 인턴의역할에 대한 논란과 수련기간의 단축 필요성 등의 이유로 인턴제폐지에 대한 공론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인턴제 폐지 때 예상되는수많은 파생문제들을 해결할 수가 없어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었는데, 이를 통해 얻은 교훈이라면 학부교육, 졸업-후-교육과 평생교육으로 이어지는 의사양성체제의 연속성에 대한 현실적인 중요성을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일 것이다. 


의학교육환경의 변화 중 고무적인것은 교육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의학교육전문가가 의과대학 교육현장에 투입되기 시작한 것인데, 아직은 그 양과 질에서 지속적인향상이 필요하다. 한편, 계속 지적되고 있는 고착화된 국가보건의료체계 문제뿐 아니라 최근 고령화와 의료비용을 둘러싼 진료환경의 변화와 함께 의생명산업의 급속한 부상 등도 의과대학의 교육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데, 이러한 도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의학 및 의료의 가치도출과 함께 의과대학의 역할을 재정립하는데 의학계와 사회가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이다.


교육목표


현재 의과대학 졸업생은 대부분 수련의 과정에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졸업예정자는 의사면허시험을 볼 수 있고 이 시험에 합격하여의사면허를 취득하면 현행 법체계에서는 독립진료를 할 수가 있으므로 의과대학 입장에서는 졸업생이 졸업 후 바로 진료가 가능한 ‘일차진료 의사’이어야 한다는 암묵적 인식의, 혹은 명시적인 교육목표로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여기서 ‘일차진료 의사’는 그 명칭이 국가보건의료체계에 따라 ‘general physician,’ ‘general practitioner,’‘primary care physician’ 등으로 불리면서 역할, 수준 및 규정 등이시대에 따라 국가에 따라 다양한데, 특정 분야의 진료를 하는 전문의(specialist)와 구별하여 어떤 증상의 환자이건 처음으로 진료하게되는 의사로 정의하는 점은 동일하다. 


하지만 ‘일차진료 의사’가우리나라 의료체계에서 개념이 정리되고 발전하기도 전에, 현재 한국에서 진료하는 의사의 85% 이상이 전문의가 되어버린 현실, 다가오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 세계 각국의 보건의료체계에서 ‘일차진료의’와 ‘전문의’ 비율의 의미 등을 함께 고려하면서 우리나라보건의료체계의 현실을 반영하고 동시에 미래 발전과 연결되는 의사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인 협의가 절실하다. 즉 이러한 작업을 공론화하고 미래지향적으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분명 난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매년 3,000명 이상의 의사가 배출되는 현실을 직시할때, 의과대학의 졸업생이 가져야 하는 의사로서의 역량수준과 명확한 역할을 교육목표 안에 시급하게 기술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과 방법


선진국을 중심으로 1980년대부터 성과바탕 교육이론이 주목을받으면서 국내 의학교육계에도 ‘성과바탕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행을 하는 것이 교육과정 분야의 주요 인증 평가항목으로 등장하였다.이는 과거 전통적인 ‘교수자 주도’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람직한 방향의 교육이론임에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온전히 운영하기 위해서는 

  • 학부 졸업 시갖추어야만 하는 성과(outcome) 혹은 역량(competency)의 규정,

  •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각 단계마다 연계된 복합적이고도 구체적인교육과정의 개발, 

  • 이를 달성할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고안과 실행,측정준거 및 평가도구 개발과 적용 등 

..많은 인력과 노력과 재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의학교육활동에 대한 투자와 환경이 현실적으로어려운 의과대학에서는 온전한 형태의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완성하고 실행하는 것이 난제가 되고 있다. 또한 많은 학교에서 전통적인과목 중심으로부터 통합과정체계로의 전환을 표방하였고, 교수학습방법에서는 과거의 대규모 강의 위주에서 탈피하여 문제바탕학습(problem-based learning)이나 팀바탕학습(team-based learning)등 소그룹 학습법을 도입하거나 “flipped class” 등 혁신적인 교육방법을 시도하는 학교도 있으나 아직도 대부분 의과대학의 주된 교수-학습법은 강의형태이다. 이러한 문제 외에도 진료환경 변화에 따른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임상실습, 타 직종과의 협력진료를 가능하게 하는 전문직군간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 전문직업성과 사회책무성에 연관된 인문사회의학 분야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아직 우리에게 부족한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을 위한 관심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환경과 내용


2013년도에 총 9,096명의 한국의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학교에서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Dunde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는 스리랑카, 나이지리아, 인도 등의 나라와비슷한 점수분포를 보이고 있다[3]. 한국의 의학교육체계는 20세기전반 Flexner 제안에 따른 의과대학 교육체계의 전범, 즉 기초의학과임상의학의 양대 구분 및 각 하부구조의 교과목에 따른 교실 전통과학술 및 의료 관련 과목으로서의 체계가 성립되면서 아직까지 주된교육 틀로 유지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통합과정, 인문사회학이나 타 학문 분야와의 융합 등이 시도되고 의과대학의 전통적인 역할이었던 진료의사 양성에서 최근 의생명산업 발전을 주도할 연구와 교육 등으로 의과대학의 정체성을 확대하고 심화하는 ‘academic medicine’을 강조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개념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이 국가 보건의료 발전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사회적인지지와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4].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교육내용 중에서 국가 보건의료체계를 건전하게 유지하고 발전하는데 매우 중요한 공중보건(public health) 분야가 그 동안의 치료 위주의료환경에 기인하여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하다고 할수 있는데, 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시급히 필요하다. 공중보건학내용을 의과교육과정에서 충실히 다룰 때 메르스 사태와 같은 국가재난에 적절히 대처하고 국제 보건안보 분야에서도 뒤떨어지지 않을수 있으며 또한 머지않아 도래할 한국의 초-고령사회 환경에서 치료위주의 고비용구조로부터 예방과 건강유지의 구조로 탈바꿈하는데일조하면서, 아울러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최저 수준인 공공성을 높이고 국가보건의료수준 향상을 위한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니터링과 평가


의과대학 교육에서 성취되는 학생의 지식, 술기 및 태도의 성과를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것은 학부교육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성과바탕 교육과정에서의 학생 평가방법은 과거의 일률적인 단순 지필시험의 형태로부터 탈피하여 수행평가 등 보다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하고 상대 평가적 요소뿐 아니라 각 수준별로 절대 평가적 요소를 반영하여 개별적인 진급판정을 지향하고 있다[5]. 하지만 전반적인 한국의 의과대학 형편은 측정평가 전문가 등 인적 투자가부족하여 학습성취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모니터링과 평가체계 수립및 운영수준이 아직 낮은 편이다. 


한편, 한국 의과대학의 교육에대한 발전과 성취에 대한 의학 및 의료전문직 사회 내부에서의 자율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노력들은 일찍이 의학교육평가원이나 의사국가시험원 등의 설립과 함께 자발적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다른전문 직종에 영향을 주는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관주도인 한국사회 풍토에서 전문직업성의 특징인 자율성을 반영하게 된 모범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료평가, 자율규제 등 전문직업성의 주요 요소들이 의학 학부교육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학습된다면 향후 의료 전문직업성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되어 궁극적으로국가 보건의료 복지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주제


1. 학생 선발과 지도


한국사회에서 의과대학으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은 어떤 특성을가지고 있는가? 혹시 다른 분야로 진학하는 학생들과 다른 특성이있다면 이는 의과대학의 학생 선발 목적과 방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의과대학 신입생들이 졸업 후 추구하는 직업관은 의과대학의교육목표나 교육과정과 어느 정도로 밀접한 상호 영향을 끼치며학부교육 중 계발이 가능한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은 의사 및 의과대학의 역할이 확장되고 국가보건의료체계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는시대가 될수록 중요한 탐구주제가 되어야 한다. 


중등교육에서의 성적 우수자가 대거 의과대학을 지원하는 사회에서 학습능력 이외의자질도 학생 선발의 주요 요소로 삼아야 한다는 요구는 의사라는직업의 본래적 특성에 대한 사회적인 공감에 기인하며, 이는 의과대학의 학생 선발에서 단순한 지적 역량의 측정만이 아닌 다양한 선발방법의 적용을 요구한다[6]. 한국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체제가 시작되면서 심층면접, 팀-활동 관찰 등 다양한 학생 선발방법을 통해응시생의 지적 역량뿐 아니라 인성, 사회성, 가치관 등을 측정한 바 있는데, 이러한 학생 선발의 경험을 일반대학 입시에서의 학생선발제도 변화에 따른 최근의 국가적 경험들과 함께 분석하고 ‘의과대학 지망생-의과대학 교육-현재와 미래의 의사상’의 연계성 속에다시 적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실제 학생 선발에 활용하지못하고 있다. 


한국의 의과대학생의 특성에 대한 2012년 연구결과에따르면 이전 세대에 비해 폐쇄성과 배타성에서 벗어나 보다 개방적이고 유연한 의사-환자 관계를 형성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나 도덕 판단력 및 사회추론능력, 전문성 교육의 자기 인식이 낮은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7]. 현재와가까운 미래의 의과대학 입학 대상자들은 소위 ‘Z세대’라 할 수있는데 이들은 1995년부터 2000년대 중반 태어나 그 선배 세대인1980–1995년 태어난 밀레니얼세대(Y세대)를 잇는 세대이다. 날 때부터 스마트 기기와 친한 Z세대는 스크린이나 동영상에 밀착된 세대이며, 소셜미디어 활용, 글로벌 공감, 집단보다 개인의 가치를 중시,실용주의적 사고, 경제적 안정 중시 등의 특징을 보인다고 한다[8]. 이와 같이 시대에 따른 의과대학 지망 세대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선발과 지도방법을 개발하고 나아가 학부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운영, 교수개발 등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2. 교육연한


한국의 의과대학 역사에서 초기 6년제의 의과대학 학제는 2004년부터 10여 년에 걸친 4년제 전문대학원체제 실험 후 2015년부터 다시 의과대학체제로 대부분 회기하게 되는데, 아이러니한 것은 ‘의예과 2년+본과 4년’이라는 과거 50년이 넘게 익숙한 체제로 고착화되어버리는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실제 전문대학원체제로 전환했던 한국의 많은 의과대학들은 당시 일률적인 학부교육 규제로부터잠시 벗어나 보다 자유로운 대학원제도를 활용하고 정부 보조까지받으면서 한결 자유로워진 교육예산 편성하에서 교육연한 4년을최대한 활용하는 교육과정 개발과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도입과실행 등을 주도한 바 있다. 만일 이러한 경험을 발전시켜 나가지못한다면, 세계적으로 6년제의 의학 학부체제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여러 국가에서 ‘통 6년’ 체제를 혁신적이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온것과 대비되어 한국은 오히려 전문대학원 실험기간이 ‘잃어버린 10년’이 되어버릴 수 있다. 학부체제로 완전히 전환되고 있는 앞으로수년의 기간은 이러한 우를 범하지 않도록 의과대학, 고등교육 당국,의료계, 학생 및 사회 등 의과대학 교육에의 이해당사자들의 관심과지원이 필요한 기간이다. 


의학의 학부교육에서의 교육연한과 관련하여 세계적으로 대두되는 이슈는 성과바탕교육과정의 특징인 개별성과 유연성이다. 즉 교육시기별로 성과의 내용과 수준을 정하고이를 평가하는 체계를 갖추어 학생들의 전체 교육연한을 각각의 학생들에게 달리할 수 있다는 개념이며, 이는 학부교육뿐 아니라졸업-후-교육체계와도 연계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역량의성취를 유도하는 것이다[9]. 한국의 의학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선진의학교육체계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조사 및 분석연구와 함께 미래 한국의 보건의료체계와 교육환경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한 불굴의 의지와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3. 의사면허시험


한국에서 독립진료를 허용하는 의사면허 획득을 위한 의사국가시험은 1952년에 필기시험형태로 처음 시작된 이래 1991년 내과,외과 등 15개의 시험과목을 출제하다가 1994년도에 내과, 외과,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정신건강의학과, 예방의학 및 보건의약관계법규 등 7과목으로 과목 축소를 단행하였고, 다시 2002년에 ‘의학총론,’ ‘의학각론’ 및 ‘보건의약관계법규’의 3과목으로 통합 개정하였으며, 2009년에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실기면허시험을 시작하는등의 변화를 거쳐 멀티미디어 문항 출제를 앞두고 있다. 


그 동안 의사면허시험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여러정책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졌는데, 앞으로 정책 결정이 필요한 사안들은 기초의학시험의 도입, 실기시험 상시 체계의 도입, 면허 후임상연수제도나 독립진료면허 등 의사양성체제 전반의 개선방안과연계된 단계별 면허시험체계 설계 등이다. 의사면허시험의 질-관리와 개선을 위해 제기되는 현안으로는 ‘60점 합격선’이라는 절대 이념화 되다시피 한 오래 관행을 아직도 고수하고 있는 필기시험 합격선결정방법과 수년 전에 돌발적으로 시작되어 아직 지속되고 있는필기문항 공개 사안이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서로 밀접한 관련이있는데, 출제문항의 공개 사안은 수험생 편의를 위한 정보 제공역할에 과도하게 의미를 부여하는 정책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시험출제 및 난이도 조절 등에 인적 및 비용적 부담을 점점 가중시키게될 뿐 아니라 문항반응이론 등 측정평가기법을 도입한 문제은행체계의 구축을 통해 고부담 시험의 타탕도와 신뢰도를 유지하고 시험의질을 향상시키는 선진국의 모범사례를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급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의사면허시험제도의 개선은 시험주관기관이나 시험 해당자의 문제라기보다는 국가 의사 양성체제와보건의료 발전이라는 보다 큰 틀에서 접근해야할 것이다.


4. 학생의 진료 참여


현재의 법체계상 의사면허를 취득하면 독립진료를 할 수 있고,의사면허는 의과대학 졸업과 더불어 대부분 취득을 하는 현실에서‘의과대학은 졸업생들의 실제 진료역량을 어디까지 교육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벅찬 이유는 의사사회에서 자율규제 등 전문직업성을 계발하는 노력이 늦어지는 가운데 의료상업주의와 법에 의한규제만능주의의 팽배, 일부 의사의 비윤리적 혹은 비전문가적 행태를 일반화하는 부정적인 여론 확산 등 의료인과 의료에 대한 불신풍조가 만연한 요즈음의 한국 의료환경에서 흡사 훈련이 충분히안된 학도병을 전쟁터로 내보내는 것 같기 때문이다. 


진료역량의 ‘최소한’과 ‘충분한’의 논란을 차지하고서라도 실제 환자의 진료에참여하는 경험이 진료역량에 필수조건임은 의학의 역사상 이론의여지가 없다. 이러한 당연한 명제가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모순은교육병원들에 가해지는 저수가-고비용 진료구조에 따른 경영 압박,환자소비자주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면서 초래된 학부생의 임상실습환경의 악화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임상실습은 교수중심, 일방향성, 기회의존의 도제식 교육방법 위주였으나 이제는 소정의 실습기간들과 연계된 필수적인 임상역량의 기준 이상을 달성할 수 있는 성과바탕의 구조화하고 표준화된 실습체계를 구현해야한다. 


또한 입원환자 위주의 병원실습과 지역 혹은 외래실습에서의 일차진료 실습이 균형을 맞추도록 하며 강의, 소그룹 실습, 일대일지도, 실습노트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기평가와 성찰, 객관화한임상수행평가시험(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 등), 진료현장에서의 다면평가등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을 적용하되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환자친화적인 실습이 되어야 하며 실습 지도의사들은 전문직업성의 역할모델이 되어야 한다. 특히 현대 의료의 많은 부분이팀-진료에 의해서 행해지므로 의사소통과 협력, 리더십, 관리능력등도 실습과정 중에 교육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10]. 


이러한 임상실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실습환경 및 체계를 구축해야하며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및 사회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여 학생의임상실습이 보장되는 문화를 확산하고, 학생의 진료 참여 시 밀착하여 긴밀히 지도할 임상실습 지도인력에 대한 교수개발 및 적절한보상 등이 필수적이다[11]. 더불어 전자의무기록이나 인터넷을 통한 환자정보공유체계 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서 임상실습교육을 위협하는 새로운 요소들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응해야 하는데,스크린 문서화된 환자 정보에만 의지하여 신체진찰 등을 소홀히할 때 오히려 진료의 질 저하와 의료과오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고등은 기본적인 임상술기 역량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하는 근거가될 수 있다[12].


5. 의과대학의 공중보건 전문인력 양성 책무성


‘보건’과 ‘의료’의 차이는 그 대상이 ‘집단’ 대 ‘개인,’ 그 역할이‘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대 ‘치료 중심’으로 구분하고 정의하는데, 한국의 보건의료체계가 처음부터 공중보건과의 균형 발전보다는개인의 질병 치료 중심의 민간의료체계로 치중되면서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의료’수준이 우수하다고 인정을 받는 반면,공중보건 전문인력의 부족과 국제보건안보 분야에서 뒤처지게 되면서 재정을 포함한 국가의 보건의료자원도 상대적으로 ‘보건’보다는 ‘의료’에 쏠리는 상황이 계속되다가 결국 한국의 민간의료가 국가전체 의료시스템의 90%를 점하게 된 것도 일견 당연한 결과이다.


보건활동의 주체가 반드시 의사일 필요는 없으나 2014년 현재 한국의 공중보건 대표기관인 전국 보건소장의 39.8%만이 의사이며 의과대학 졸업생 중에서 공중보건의 중요성과 전문성을 추구하면서 보건소장 등 공중보건이나 공공의료 분야에 지원하는 인력이 오히려줄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 전체 보건의료체계의 지속적 발전을저해하는 중요한 문제이다[13]. 200년 이상 공중보건학 역사를 가진선진국에서는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공중보건 전문인력이 양성되어왔으며 사회의료체계가 아닌 민간의료체계 주도의 미국에서도 유수한 의과대학이나 교육병원에서 공중보건 분야가 진료의학 분야와동등하거나 더 큰 규모인 점을 돌아볼 때, 한국의 의과대학 학부교육의 과거 모습과 현재의 상황은 우리가 매우 중요한 부분의 발전을소홀이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 현재 의과대학의 예방의학교실에서 다루고 있는 전통적인 예방의학 분야는 공중보건의 핵심 역량규정과역할이 점점 확대되는 국제 추세에 따라 하나의 교과목이나 교실단위보다 더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 이를 통하여 공중보건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하고 정부 당국도 ‘(가칭)공중보건전문의’제도를 마련하는 등 제도적 법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 의사 사회도 개별환자 진료 중심의 의료체계에 치우치지 않고 국민 보건체계의 선진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국가의 보건의료복지의 수준이 높아지게 되며, 

    • 또한 의사가 공중보건 전문인력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데필요한 교육이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 개발과 실행방안을 도출하고 협력해야 한다. 


미국의과대학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에서는 보건과 연관된 사회 및환경요소를 이해하고 국민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사를비롯한 의료인과 과학자들이 공중보건 관련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천명하고 있다. 또한 예비의과대학생, 의과대학생,레지던트 및 전문의 등이 국내・외 의과대학, 의료기관 및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각 수준별로 공중보건 분야 활동이나 학위에 지원할수 있도록 공중보건진로에 대한 안내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모델은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도 기존의 예방의학 교육내용과 실습체계에더하여, 보다 다양하고 심화된 공중보건 분야로 외연을 확장하는개선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14].


결 론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의 특징은 의사양성제도 수립 역사 초기부터 시작된 ‘의과대학 졸업-의사면허시험 합격-민간진료 중심의 보건의료체계하에서 독립진료 가능’이라는 고착화된 틀에서 크게 벗어난 적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착화된 체계가 국내・외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미래의 도전에 바람직한 해결책을 찾아나가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은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인데, 미래의료는 의료현장의 다양화,새로운 개념의 팀-진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계 활용 등의특성으로 다가오므로 이에 대비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인지역량,기계와 인공지능 운용 술기, 시뮬레이션 교육, 타 직종 간의 협업 등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15]. 


한국의 의사양성체제와 학부의 의학교육에서의 문제점 제기와 개선에 대한 제안을 보다 큰 틀로부터작은 사안 쪽으로 접근해 본다면, 

  • 국가적으로 초-고령사회 진입과맞물린 인구 피라미드의 변화에 대비한 민간의료와 공공의료의 조정과 적절한 투자 배분, 의료와 보건의 균형 발전, 4차 산업과 연계한의료 및 의학교육환경 조성, 선진국 수준에 맞는 자율규제를 포함하여 전문직업성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지원 등의 큰 틀에서부터 우선적으로 미래 한국의 보건의료 발전로드맵이 도출되어야 한다. 

  • 이러한 국가보건의료체계의 발전 로드맵에 따라 일차진료 의사와 전문분야 진료의사의 역할과 책무범위가점차로 가시화되도록 진료의사-수련 전공의-의과대학생의 교육과정의 목표들이 연계되어 정해지고, 각 교육목표에 맞는 교육과정,교육훈련방법, 그리고 모니터링과 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의사양성체제가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에는 전문인력, 재원 및전문직업성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조직 설립 등 자원과 많은노력이 들어가므로 보건의료 관련 민간 및 정부기관과 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며, 보건의료의 발전이 국가 복지의 핵심사안이라는 인식이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 이러한 개선방향이 세워지면 의과대학은 한국의 바람직한 의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구체적인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면서 기초연구의학,임상진료의학, 공중보건학뿐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보건의료모델과관련 산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융합 역량증진을 위한 ‘academic medicine’의 개념을 실현하는 장이 될 것이다. 한국의 의과대학은그동안 환자 진료에만 머무르는 교육에 치중하고 의사가 되어서도그 역할에만 과도하게 얽매이기 쉬운 사회구조와 환경에서 분투하여왔으나, 이제는 적어도 미래는 의사에게 전체 국민건강의 증진자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16]. 의과대학은 이러한 시대정신에 맞추어 미래의 한국사회가 요구하는 의사의 역할들을 감당할 인재를양성하는데 방향을 맞추고 학생 선발부터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내용, 교육과정 개발과 교수-학습방법, 모니터링과 평가의 모든 의학교육 분야에서 실제적인 개선과 혁신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할것이다[17].



Observation of the current Korean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shows that certain negative traits

of unchangeable solidification engraft themselves so deeply into the overarching system that they are now

hampering the state of the national health welfare. Focusing only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e can point out some glaring side-effects that should be of concern to any stakeholder. For instance,

a graduate can legally begin his career as an independent practitioner immediately after passing the licensing

exam and return to the old stuck school-year system of 2-year-premedical and 4-year-medical programs

where outcome-based and integrated curricula are incomplete and unsatisfactory. In terms of learning

opportunities, the balance between patient care and public health, as well as that between in-hospital

highly specialized practice and community-based general practice, has worsened. Every stakeholder should

be aware of these considerations in order to obtain the insight to forge a new direction. Moreover, our

medical schools must prepare our students to take on the global roles of patient care with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alth advocacy for the imminent super-aged society, and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bio-health industry, by building and applying the concept of academic medicine. We will need to

invest more resources, including educational specialists, into the current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produce proper outcomes, smart curriculum, innovativ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valid and reliable monitoring and evaluation. The improved quality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success of the national system for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as a whole,

and therefore its urgency and significance should be emphasized to the public. The medical society should

go beyond fixing what is broken and usher in a new era of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that invites

other health professionals, governmental partners, law-makers, opinion leaders, and the general public in

its steps toward the future.

Keywords: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s, Physicians


Corresponding author

Jae Jin Han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071 Anyangcheon-ro, Yangcheon-gu, Seoul 07985, Korea

Tel: +82-2-2650-5629

Fax: +82-2-2650-5836

E-mail: jjhan@ewha.ac.kr

https://orcid.org/0000-0002-6499-7642

Received: May 15, 2018

1st revised: June 14, 2018

Accepted: June 14, 2018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관점에서 본 의과대학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Current Issues and Future Consideration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Medical Doctor Development System
Jae Jin Han1 
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1)
의학교육논단 2018 6;20(2):72-77
DOI : https://doi.org/10.17496/kmer.2018.20.2.72
Keyword : Medical education, Medical schools, Physicians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와 미래(KMER, 2018)

History and Future of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안덕선, 한희진

Duck-Sun Ahn, Hee-Jin Han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서 론


‘의사양성체제’(medical education system)는 이 개념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뜻하듯이 의사를 만들어내기 위한 의학교육 및 이와관련된 제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은 의사를 전문직업인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지칭하고 의학교육에 포함되는 교육과정에는 

  • 의사가 되기 위한 첫 단계의 교육인 기본의학교육(basic medical education), 

  • 의사로서 갖추어야 할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역량을 배양하는 과정(intern, foundation years,transition years), 

  • 그 후 특정 전문과목 영역의 수련과정(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 이어서 이 전문과목 내에서세부 영역의 전공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 수련과정(subspecialty training), 

  • 그리고 이후 의사활동을 종료하는 시점까지 계속되는 평생전문직업성 과정(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이 있다. 이처럼 의사양성체제는 의학교육체제 또는 의학교육체계와 유사한의미로 사용되고 여러 단계에 걸쳐서 시행되지만 이 논문에서는 첫 단계의 의학교육인 기본의학교육에 국한하여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적 배경과 미래 의학교육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첫 단계의 의학교육은 5년제 또는 6년제 의과대학, 학사 후 교육인의학전문대학원 등 각 나라마다 서로 다른 체제와 제도를 통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세계의학교육연합회(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에서는 이 과정을 기본의학교육으로 통칭하고있다[1]. 그런데 의사양성체제를 기본의학교육의 수준에서 논한다고 하더라도 기본의학교육은 각 나라의 사회적 통념과 정부의 정책에 기초하여 수립되기 때문에 논의의 범위를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으로 제한할 수는 없다. 단순하게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학생을 선발하여 졸업을시키고 면허를 취득하게 하는 교육과정을 기본의학교육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 의사양성체제는 보다 더 근본적인 물음과 반성이 요구되는 개념이다. 특히 우리 사회가 어떻게 그리고 어떠한 의사를 양성하여 왔으며 앞으로 어떠한 의사를 양성할 것인가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의사양성의 배경이 되는 우리의 역사적, 철학적,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이 무엇이었는가를 반추하여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각 나라의 의료가 그것이 구현되는 특정한사회의 역사, 문화, 경제, 정치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결정되듯이 의사양성체제 역시 특정한 사회의 의학 외적 요인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규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거의 모든 나라의 기본의학교육의 내용은 표준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근대 이후 서양 문명의 과학주의 철학을 바탕으로서 양의학은 각각 생물학적 환원주의와 통계학적 결정론을 추구하는 생의학(bio-medicine)과 근거중심의학(evidence based medicine)을 추구하고 있어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의과학의 필수적인 교육내용으로 인정하고 있다. 최근 미국의 의학교육계는 기존의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넘어서 생명윤리, 의료윤리, 전문직업성 등이 포함된 인문사회의학을 의사양성을 위한 필수적인 교육내용이라고 규정하고 기본의학교육에서 ‘제3의 축’(the 3rd pillar, health system sciences)이라고 강조하고 있다[2]. 인문사회의학은 의사가 환자의고통과 사회의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보다 인본주의적인 의료를 실천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인문사회적 역량을배양하는 분야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여러 나라에서 이렇게 유사한 기본의학교육 과정을 이수한 의사들이 실제로 활동하며 보여주는 의료의 모습은 매우 상이한데, 이러한 차이는 그 의사가 속한 사회의 특정한 의료환경에 의하여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이제 의식주 이외에 의료가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정되고 있고 이러한 국민 기본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건, 의료, 사회정책들이 존재하며 이 정책들이 의료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의사양성을 위한 교육도 이와 유사한방식으로 의료환경으로부터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받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오늘날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실체와 그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 체제의 수립에 영향을준 다양한 인문사회적 요인을 역사적으로 조망하고 이어서 현재의문제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래 의학교육이 고려하여야 할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적 배경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이 소개된 정확한 연대에 대해서는 여전히논란이 있다. 조선말 지식인들은 이미 서양의학의 존재를 중국에서 수입된 서양의학 서적을 통하여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서적을 통한 간접경험이었기에 본격적인 서양의학의 도입으로 보기에는무리가 있다. 서양의학을 실제 경험하게 된 것은 개항과 함께 국내에들어온 외국 의사와 외국 문물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1885년 제중원이 개원하고 이듬해인 1886년 제중원 의학교가 개교하면서 해부학과 생리학 강의가 영어로 시작된 것이 우리나라에서근대서양의학교육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1894년 제중원은 미국의선교부로 이관되었고 조선정부는 1899년 의학교를 설립하였으며‘공립의원 규칙’에 비하여 상당히 진전된 ‘의학교 관제’를 반포하면서 이 관제에 따라서 동물, 식물, 화학, 물리 등의 기초학문과 해부,생리, 약물 및 위생 등의 기초의학을 교육하기 시작하였다[3]. 이와 같이 구한말부터 들어오기 시작한 선교의학을 바탕으로 비정규적인 의학교육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조선식민화를 위하여 일본식 서양의학이 도입되면서 당시에 전통의학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의학의 효과에 놀라 서양의학교육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가되는 상황에 이르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자력적인 조치로서 조선왕조는 의학교를 설립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미 기울어가는 조선왕조의 운명과 일본의 식민화 과정에서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교육에 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여력은 거의 없었다. 결국 비정규적인 의학교육과 사이비 의료업자들이 득세하는 시대를 거치게 되었고 관주도의 의학교는 19세기 말에서야 시작되었다. 당시에 우리 사회는 일본의사나 선교의료로 도입된 서양의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영어와 일본어 어학능력은 고사하고 서양기초과학에 대한 교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으로부터 서양의학 도입 초기에 서양의학교육에 자신을 헌신한 얼마 안 되는 교육자들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추측된다. 이렇게 기울어가는 조선의 암울한 사회정치적 상황에서 7년 이상의 수학기간을 거쳐 최초로 정식의사를 배출한 민간교육기관의 등장과 조선왕조에 의하여 시작된 공공의학교육의 시작은 우리나라 초기의학교육의 여명기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3].



1. 일제 강점기의 의사양성


1910년 한일합방으로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일제 강점기는 시작되었고 일본식 서양의학이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의학교육기관 내에 일본식 하부단위인 기초학을 위한 교실과 임상을 위한 의국제도가 도입되었고 교수진은 거의 일본인이었지만 극소수의 조선인 의학자가 가르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조선총독부의 조선교육령의 일환으로 의학전문학교로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1917), 대구의학전문학교(1933), 평양의학전문학교(1933),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1938), 광주의학전문학교(1944)가 설립되었고 경성제국대학은 차별적 지위를 갖고 있었다. 일제 강점기총독부의 조선인에 대한 교육목표는 황국신민화, 저급상인교육,차별화였고, 조선인을 계몽시킬 우려가 있는 인문학과 고등기술과같은 고급학문은 교육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4]. 이 당시에 우리나라가 전수 받은 서양학문은 주류 정통학문이 아니라 ‘변질된’(degenerated) 학문이라고 평가되기도 한다[5]. 이때부터 의학은 이과로 분류되었고 식민조선에서 의학교육은 태평양전쟁의 군의관 공급을 위한 방편이 되기도 하였으며 의학교육에서 조선인에 대한 부당한 대우는 이 시대 이후에도 위계적인 차별과 구조적인 폭력이 의학계의 규범으로 정착되는 단초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변적인 이론과 ‘폐쇄된 병리’(closed pathology)에 근거하였던 전통적인 조선의학과 비교하여 서양의학은 ‘열린 병리’(open pathology)를 바탕으로 상당한 효과를 보임으로써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서양의학을 배운 의사는 과학적 의학을 표방하며 경제적 자율권과 함께 사회적 지위도 획득하였다[5]. 이렇게 전문직으로서 서구식 의사의 등장은 전통적인 유교적관습에 기초한 양반의 우월적인 지위와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는 계급적 질서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제 출신계급과 무관하게 서양의학교육을 받고 의사가 되면 중산층 이상의 경제적 및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렇게 의사라는 전문직은 우리나라에계층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또 하나의 길을 열게 된 것이다.


2. 해방과 한국전쟁, 그리고 군사정권시대의 의사양성


우리나라는 해방이 되고 나서 의학교육체제의 수립과 실행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체가 일본에서 미국으로 전환되는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1946년 미군정청의 계획에 따라서 6년제교육으로 단일화되었다[6]. 상위학부인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폐지되었고 이를 대신하여 국립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설립되었다. 또한 기존의 의학전문학교은 모두 6년제 의과대학으로 개편되었으며 여성의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에 의과대학이 신설됨으로써 195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에는 6개의 의과대학이 있었다. 당시 미군정청은 우리나라 의사교육제도와 의사자격기준의 다양성 때문에 발생하였던 복잡한 의사자격요건의 혼란을 해결하고자 미국식 기준을 도입하여 표준화하여야 한다는 명분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명분의 이면에는 대학 내의 좌익을 소탕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이면의 목적은 경성제국대학 출신과 전문학교 출신 사이의 갈등, 사립대학출신과 관립대학 출신 사이의 갈등, 좌익과 우익의 갈등 등 복잡한내부갈등만을 표출하고 대학에서 좌익으로 간주되는 인사들이 추출되는 결과만을 초래하였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증가되는 의료수요에부응하기 위하여 의과대학 신설이 시작되었다. 1960년대에 5개교,1970년대에 6개교, 1980년대에 12개교, 1990년대에 10개교가 신설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오늘날에 이르러서 의과대학의 수는41개가 되었고 연간 입학정원은 3,300명에 달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의료계는 급속한 의료수요 증가에 대처해야 한다는 정부의 방침을 비판하며 의학교육과 의료의 질적 저하를 우려하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의과대학 신설을 저지하기 위하여 1971년에 의학교육협회(현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를 설립하였다. 아울러 의학협회(현 대한의사협회)의 주도로 의학교육의 평가인증을 위한 자발적인 연구모임이 형성되었고 그 결과로 1998년에 한국의과대학인정평가위원회가 신설되고 오늘날 한국의학교육평가원으로 정착됨으로써 외부의 도움과 간섭 없이 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도모할 수 있는 제도와 기관이 마련되었다.


1970년대 북한과 의료 분야에서 경쟁하면서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도입된 국민의료보험제도는 1989년 당시 정부의 정치적 치적이 되었던 국민개보험제도로 완성되었고 이때부터 의사전문직에 대한 사회의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일제강점기부터 인정받던 경제적 자율권은 제도적으로 제한되었다. 이렇게 군사정권 시절부터 도입된 규제적 성격의 여러 보건의료정책은 의사전문직으로 하여금 자율성을 상실하게 만들었고 이때 형성된 의사전문직의 수동적인 태도로 인하여 의사전문직업성의 추락이 시작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신설의과대학은 충분한 재정적, 교육적 역량이나 충분한 수의 교육자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학교육을 시작하면서 부실한 교육을 제공할 위험성이 클 수밖에 없었다. 또한 급속하게 신설된의과대학의 대부분이 사립대학이었고 따라서 이때부터 의사양성과 졸업 후 교육은 철저히 사적 투자의 영역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는 의사양성제제 수립의 여명기를 지나서 점차로 기본의학교육이 정규 고등교육화와 토착화로 전개되었다는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시기에 미국은 여러 공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의학교육의 현대화를 지원하였다. 미네소타대학과 서울대학교의 협약을 통하여 218명의 교수진이 1954년부터 1961년까지 미국에서 연수를 할 기회가주어졌다[7]. 또한 1980년대 중반에 옹골리(Patrick A. Ongley) 박사는 여러 아시아 국가를 방문하고 의학교육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기록으로 남겼다[8]. 이 기록에 따르면 

    •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홍콩과 말레이시아의 교수진은 교육과 진료에서 좋은 역량을 보이었던데 반하여 

    • 한국과 대만은 교육, 진료, 연구 모두에 있어서 역량이 충분하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사실 이러한 문제는 의사양성을 위한 의학교육만의 문제가 아니라 급속히 팽창하던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일반적인 문제였다. 이러한 의학교육의 질적 차이는 영국식 ‘계몽’ 식민지체제와 일본식 ‘착취’ 식민지체제의 차이로부터 유래한다고 볼 수있고 오늘날에도 잔존하는 의학교육과 의료계의 일부 그릇된 규범은일본식 의학교육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3. 의사양성을 위한 학제 논란


1990년대는 군사정권에서 문민정부로 이행하는 시대였다. 보수와 진보의 정권교체를 거치면서도 정부는 지속적으로 의사양성체제를 변화시켰고 노무현 정부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을 출범시켰다.이를 통하여 정부는 우리나라 대학원 교육과 관련된 고등교육의 기본방향을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및 전문대학원으로 구분하고의학, 법학, 경영학 등의 분야를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전문대학원체제로 개편하고자 하였고, 이는 과열된 입시경쟁을 해소하고 사교육비를 절감하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본래 미국식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 현재 의학전문대학원의 미래는 매우 불투명하다. 의학전문대학원은 2004년에 기존의 5개 의과대학이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을 결정하면서 도입되었고 2006년에는 27개교가 전면 혹은 부분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었다. 미국의 전문대학원제도에서는 전문대학원 입학에서 재수를 허용하지 않지만 이러한 취지가 정치적인 이유에서 우리나라 제도에는도입되지 않으면서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재수학원이 등장하였고 심지어 일부 전공의 대학교육은 의학전문대학원의 입학을 위한 사전 준비로 간주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의학교육 학제에 대한 논의는 새로운 양성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는 이전 정권이 추진한 여러 정책을 중단하고 그 이전으로의 환원을 시도하였고 의학교육도 그러한 정책적 변화의 대상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한국의학교육학회,한국의과대학장협의회,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 의학교육 전문가들이나 의학교육 현장의 실무자들은 의사양성체제의 이원화에 따른부작용에 대하여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역사적,철학적,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배경이 미국과 다르기 때문에 의학전문대학원제도의 도입이 적절하지 않음을 일관되게 지적하였다. 결국 의학전문대학원제도로 인하여 이공계 학생들의 두뇌유출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는 2010년 7월 의학교육 학제를 대학자율의 선택제도로 변경하였다. 이로 인하여 2015학년도부터 단계적으로 의학전문대학원제도가 폐지되었고 2018년 현재는 3개의 의학전문대학원만이 남게 되었다.


의사양성체제의 이원화가 실패한 이유는 교육과 의료가 문민정부 이후 모든 정권이 시도하였던 개혁의 대상이며 주제였고 이 때문에 충분한 논의와 준비 없이 급하게 추진되면서 장기적인 전망,일관성 및 통일성을 상실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현재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다는 우려가 상존하고있다. 

    • 1980년대에 대만이 우리와 같이 정부 주도로 강력하게 5개의과대학을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였으나 실패로 끝난 경험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입시에 대한 우리 국민의 정서를 극복하지못하였기에 오늘날 이 제도는 사실상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식 전문대학원이 양질의 의사를 배출한다는 일부 의학교육학자들의 주장도 확실한 근거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그 이전에 과연 우리사회에서 양질의 의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적 규정도 없는 상황에서 사실상 입시과열의 해결책으로 도입된 의학전문대학원제도는 출발점에서부터 실패가 예고된 제도라고 볼 수도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의학전문대학원으로의 전환을 독려하기 위하여지원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비는 각 의과대학의 의학교육에 대한연구와 개발에 투자될 수 있었고 선진 의학교육국가와의 교류도 가능하게 하였다. 이렇게 의학교육에 공적 자금이 투입됨에 따라서의과대학 평가인증제도도 발전할 수 있었고 서남대학교 의과대학의경우처럼 충분한 양과 질의 의학교육이 시행되지 못하는 교육기관의퇴출도 가능하게 되었다. 2019년부터는 국제적 기준을 근간으로하지만 우리 기본의학교육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정된 새로운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 즉 ‘ASK 2019’ (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가 시행됨으로써 우리나라 의학교육이 질적으로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주요한 역사적 사안을중심으로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기본의학교육의 역량과 수준이 상승되는 가시적인 성과를거두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미래 의사양성체제를 위한 제언


1. 의사양성체제에 대한 공적 투자의 확대


이상에서 역사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본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대비한 의학교육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고려해야 할 사항들은 무엇인가? 먼저 정치적 차원에서 정부가 더많은 공적 자금을 의학교육에 투자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보수와 진보의 정치적 이념을 넘어서 의료의 근본적인 특징 중에 하나는‘공공성’이다. 한 사회가 존속되려면 시민의 생명권이 보장되어야하고 이 생명권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의료이며 이 의료를 책임지는 전문직이 바로 의사이다. 정부는 의료의 공공성에 근거하여 의사전문직의 경제적 자유를 제한하고의료비 지출을 억제하여 의료의 보장성을 강화하여 나가는 정책을 정당화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사회에 공헌해야할 의사를 양성하는 체제가 대부분 민간자본에 의하여 운영되고있다는 것이다.


근대 시민혁명 이후 자유권과 관련하여 논리적인 일관성을 확보하려면 사적인 자본으로 양성된 의사전문직이 이윤을 추구하는 의료행위는 제한될 수 없다. 하지만 의료의 본질이 공공성에 있고 한사회의 존립을 위하여 의사의 전문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의사전문직의 양성은 국가가 공적인 자금으로 책임져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프랑스와 독일 등 유럽 국가에서는 기본의학교육뿐만 아니라그 이후의 교육과정도 공적 자금으로 운영되고 있고 이렇게 양성된 의사는 자신의 사적인 자금이 거의 투자되지 않았기 때문에 의료의 공공성을 위하여 정부의 엄격한 경제적 관리를 받으면서도 큰 불만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의료의 공공성을 인정하고 의료에 지출되는 사회적 비용을 엄격하게 관리하고자 한다면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더 많은 공적 자금을 의사양성체제에 투자하여야 할것이다. 오늘날 우리 의료계의 여러 현안뿐만 아니라 의학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도 의료의 공공성과 민간 의사양성체제의 괴리에서발생하기 때문에 정부가 의료의 공공성에 상응하는 의무를 인식하고 공적인 투자를 하도록 유도하는데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2. 미래 의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서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력 개발


공적 자금이 투자되어야 할 미래 의사양성체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래사회를 잠정적으로라도 예측하여야 한다.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국제연합(United Nations)은 ‘2030년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수립하고 의료분야에서는 보장성 확대를 목표로 제시하였다[9]. 이에 맞추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도 2017년에 국제적 전략 보고서를 출간하였다[10]. 또한 여러미래학자들은 미래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사건을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집약하여 표현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의 토대가 되는 기술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지만 소프트웨어의차원에서는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이 공통적으로 언급되고 하드웨어의 차원에서는 로봇이 중요한 기술로 간주된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적 가치는 단순히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의 등장과 발전이 아니라 다양한 신기술의 조합을통한 미지의 분야와 가치의 창출이다. Schwab [11]은 과학과 기술의 융합으로 인하여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학문 및 분야 간의 경계와구분이 더 이상 의미 없게 될 것이라고 세계경제포럼에서 전망하기도 하였다.


가까운 미래에는 지금까지 인류가 상상할 수 없는 양의 정보를생산, 축척 및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 정보를 인간보다 효율적으로검색, 종합,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시킬수 있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추론, 선택, 결정을 대신하며 인간보다 정밀하게 작동할 수 있는 로봇에 이러한 지적 능력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마디로 과거의 산업혁명 때 간단한 기계가 인간을단순한 육체적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켰다면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공지능 장착된 로봇이 인간을 모든 노동, 즉 복잡한 육체적노동과 심지어 지적 노동으로부터도 해방시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망에 따르면 인간 의사가 존립하기 위하여 경쟁하여야 할 대상은 다른 인간 의사가 아니라 로봇 의사일 것이다. 


그런데 인간 의사가 로봇 의사의 능력을 평가할 때 잊지 말아야할 것은 ‘최신이 항상 최고는 아니다’라는 캉귈렘(Georges Canguilhem)의 말이다[12]. 20세기 후반 프랑스를 대표하는 의사이며의철학자인 캉귈렘은 가장 최근에 개발되었다는 이유에서 주목받았던 여러 생명의료 신기술을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재평가하면서 상당히 많은 생명의료신기술이 결국에는 최고의 혁신적인 의료기술로 판명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따라서 인간 의사는 로봇 의사의 최신의료기술에 압도되어서는 안 되고 비판적인 분석력과 판단력을 활용하여 최신 의료기술의 활용 여부를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과 판단은 인본주의와 기본적인 생명의료윤리원칙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모든 전망은 어디까지나 예측에불과하고 너무나도 당연한 단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미래의 불확실성이고 이 불확실성 속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필요한 역량은 끊임없는 변화에 대한 ‘적응력’(adaptability)라는 것이다.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는 시대의 미래 의사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제5차 산업혁명을직면하게 될 수도 있고 현실성이 적고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이기는 하지만 의학의 궁극적인 목표인 모든 질병의 박멸에 성공하여더 이상 의사가 필요 없는 시대가 올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없다. 결국 다른 어떠한 분야보다 급변하고 있는 의료환경에 인간의사가 적응하려면 지속적인 학습이 필수적이다. 최근에 국내에서도 논의되고 있는 ‘변혁적 의학교육’(transformative medical education)은 이러한 미래 전망에 근거하여 미래 의사의 적응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라고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미래 기본의학교육의 목표는 기존의 지식이나 기술의 전수보다는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인 평생학습을 할 수 있는 동기를 스스로에게 부여하는 것이어야 할 수도 있다.


3. 미래 의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서 윤리의식 함양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역량 이외에 의료의본질이며 미래에도 여전히 그 중요성이 감소하지 않을 역량도 있다.바로 의사의 윤리의식이다. 물론 윤리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서는지난 수세기 동안 여러 윤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이어져 오고있지만 가장 상식적이고 간단한 의미는 타인에 대한 고려와 배려이다. 따라서 의사에게는 환자에 대한 최선의 고려와 최대한의 배려가곧 윤리인 것이고 이러한 고려와 배려를 의식적으로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윤리의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윤리의식은 이제는국내에도 잘 알려져 있는 생명의료윤리의 4대 원칙에 명확하게 반영되어 있다[13].


    • 윤리의식은 기원전 히포크라테스 선서에 이미 표명되어 있듯이의사의 의사됨을 규정하는 초석이며 시대가 변하더라도 의료의 근본으로서 유지되어야 할 가치이고 덕목이다. 

    • 18세기 유럽을 대표하는의사인 카바니스(Pierre-Jean-Georges Cabanis)는 ‘모든 임상적 행위가 윤리적 행위이다’라고 선언하면서 의사의 윤리의식을 강조하였다[14]. 이 선언은 의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임상적 행위일지라도 윤리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면 결코 올바른 임상적 행위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20세기에 들어서서 캉귈렘도‘의료는 근본적으로 가치론적 활동’이라고 규정하였다. 의료행위는 과학적 활동이면서 동시에 가치판단이라는 뜻이다.


이처럼 히포크라테스 이래로 줄곧 임상적 행위는 반드시 환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전제하여 왔다. 최근에 동물권이 인식되고 실험윤리가 강화되면서 불필요하게 동물에게 고통을 주거나 죽음을 초래하는 행위가 금지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오랫동안 동물은 윤리적 고려의 대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인간의 인간에 대한 모든 행위에 대해서는 서양과 동양의 인류 역사 전체에서 원칙적으로 윤리적고려가 배제되지 않았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협조하였던 의사들처럼 특정한 사회적 또는 정치적 이념에 근거하여 특정한민족, 젠더, 연령 등에 대하여 차별하는 모든 행위는 강력하게 비판받아 왔다.


가까운 미래에 빅데이터를 초인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탑재된 로봇 의사가 출현하더라도 로봇 의사와 인간 의사의결정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사실, 즉 인간 의사만이 윤리적 판단의주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윤리적추론과 선택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교한 알고리즘으로 인간의 윤리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로봇 의사는 근본적으로윤리적 책임을 질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 자율주행 자동차가발생시킨 교통사고의 법적 책임을 누가 지어야 하는가라는 문제에대하여 자동차, 운전자가 아닌 탑승자, 소유자, 개발자나 개발업체등의 관계에서 점차로 수렴된 의견에 접근하고 있지만 윤리적 책임의 문제는 법적 책임의 문제가 해소되거나 해결되더라도 여전히남는다. 그 이유는 적어도 아직까지는 윤리적 판단은 윤리적 책임을질 수 있는 주체인 인간만이 가능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올바른 임상적 판단, 즉 윤리적 판단은 인간과 사회에대한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이해, 곧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지식과지혜를 전제해야만 가능하다. 인간은 무의식적이고 직관적으로 일차적인 윤리적 판단을 내리지만 이러한 판단은 완전한 윤리적 판단이 아니다. 윤리적 판단은 의식적이고 체계적인 반성을 거쳐서만완성될 수 있기 때문이고 이를 위해서는 인문사회적 교양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들은 수학과 자연과학에만 치중된 왜곡되고 편협한 중등교육과정을 마친 후에 인문학적 및 사회과학적 기본교양을 검증하지 않는 입시제도를 통과하여 의과대학에입학한다. 따라서 중등교육과정의 근본적인 개혁이 실현되기 전까지는 이렇게 부족한 인문학과 사회과학에 대한 교육은 유럽과 북미의 기본의학교육보다 더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입시 현실을 고려하면 국제적으로 기본의학교육의 제3의 축으로인정되고 있는 인문사회의학의학이 해외에서보다 더 강조될 필요가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의과대학 졸업생의인문사회적 교양수준은 과학적 지식과 기술의 수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국제적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물론 한국형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남겨진 과제이다. 올바른 윤리적판단과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인문사회적 교양은 인터넷을 통하여쉽게 얻을 수 있는 단편적 정보와 지식의 총합이 아니다. 인문사회적교양은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이다. 적어도 의과대학의 기본의학교육은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부족한 언어능력(literacy,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학습하는 과정을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의사양성체제는 의사 이전에 로봇과 분명하게 차별화되는 인간을 양성하는 체제를지향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 론


19세기 말 선교사와 일본인을 통하여 도입된 서양의학은 그 역사적, 철학적,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가치가 누락된 채로 우리에게 전해졌고, 특히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에게는 주류 정통의학이 아니라 이념적으로 ‘변질된’(degenerated) 의학이 교육되었다. 그 영향으로 오늘날까지도 우리나라에서 의학은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중심으로 교육되고 있고 위계적인 차별과 구조적인 폭력이 의학계의 규범으로 정착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미국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의사양성체제가 미국화 되었지만 1980년대 이후에는 의학교육의 한국화가 점차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몇몇 의사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의료윤리문제를 야기하였고 이를 예방및 해결하고자 인문사회의학이 의학교육과정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중등교육과정에서 인문사회적 교양을 충분히 함양하지 못한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들에게는 인문사회의학교육이 더욱강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로봇 의사와 차별화되기 위해서 인간 의사에게 더 높은 윤리의식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인문사회의학교육을 강화하고 미래의 변화된 의료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데는 정부의 적극적인 공적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개선된 미래 의사양성체제는 유능한 의사 이전에 존경받을만한 인간을 양성할 수 있는 체제로 발전하여 나아가길 기대한다.



Western medicine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by Christian missionaries and then by the Japanese in

the late 19th century without its historical, philosophical, cultural,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values

being communicated. Specifical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nly ideologically ‘degenerated’ medicine

was taught to Koreans and the main orthodox stream of medicine was inaccessible. Hence, Korean medical

education not only focuses on basic and clinical medicine, but also inherited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nd structural violence.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war,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predominantly influenced by Americans and the Western medical education system was adopted

by Korea beginning in the 1980s. During this time, ethical problems arose in Korean medical society and

highlighted a need for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to address them. For Korean medical students who

are notably lacking humanistic and social culture,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physicians may only be distinguishable from

robot physicians by ethical consciousness; consequenti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invest more of

its public funds to develop and establish a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medical colleges. Such an improved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is expected to foster talented physicians who are also respectable people.

Keywords: Basic medical education, History, Korea, Medical ethics, Medical humanities


Corresponding author

Hee-Jin Han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3 Inchon-ro, Seongbuk-gu, Seoul

02841, Korea

Tel: +82-2-2286-1172

Fax: +82-2-928-1647

E-mail: heejinhan@korea.ac.kr

https://orcid.org/0000-0002-8404-1912

Received: June 22, 2018

1st revised: June 26, 2018

Accepted: June 26, 2018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와 미래
History and Future of the Korean Medical Education System
Duck-Sun Ahn1 Hee-Jin Han1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1)
의학교육논단 2018 6;20(2):65-71
DOI : https://doi.org/10.17496/kmer.2018.20.2.65
Keyword : Basic medical education, History, Korea, Medical ethics, Medical humanities
 


생각에서 길을 잃다 - 인간의 마음의 한계와 미래 의학(N Engl J Med, 2017)

Lost in Thought — The Limits of the Human Mind and the Future of Medicine

Ziad Obermeyer, M.D., and Thomas H. Lee, M.D.




좋은 옛날에, 임상의는 그룹으로 생각했습니다. 와드 또는 방사선과 판독실의 "라운딩"은 동료가 하나의 정신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함께 작업 할 수있는 기회였습니다.

In the good old days, clinicians thought in groups; “rounding,” whether on the wards or in the radiology reading room, was a chance for colleagues to work together on problems too difficult for any single mind to solve.


오늘날 생각은 매우 다르게 보입니다. 우리는 컴퓨터 화면의 푸른 빛을 쬐며 혼자서 그렇게합니다.

Today, thinking looks very different: we do it alone, bathed in the blue light of computer screens.


우리의 무릎반사는 컴퓨터를 비난하는 것이지만, 이 변화의 뿌리는 훨씬 더 깊어집니다.

Our knee-jerk reaction is to blame the computer, but the roots of this shift run far deeper.



컴퓨터는, 문제가되는 것이 아니라, 해결책입니다. 그러나 21 세기 의학의 복잡성을 관리하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생각하고 의학 교육과 연구의 구조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할 것입니다.

Computers, far from being the problem, are the solution. But using them to manage the complexity of 21st-century medicine will require fundamental changes in the way we think about thinking and in the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역설적이지만, 임상의가 일상적으로 생각을 할 시간이 없다고 느낄 때, 깊은 생각에 대한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합니다. 면역학, 유전학, 시스템 생물학의 진보에 힘 입어 의료 지식은 급속도로 확대되고있다. 환자는 나이가 들어 병이 풍부 해지고 약물이 많이 투여됩니다. 전문가는 더 많은 전문가를 만나고 더 많은 진단 테스트를 거쳐 전자 건강 기록 (EHR) 데이터를 기하 급수적으로 계산합니다. 모든 환자는 과거의 궤도와 현재 상태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로 "큰 데이터"문제에 직면 해 있습니다.

It’s ironic that just when clini-cians feel that there’s no time in their daily routines for thinking, the need for deep thinking is more urgent than ever. Medical knowledge is expanding rapidly, with a widening array of ther-apies and diagnostics fueled by advances in immunology, genet-ics, and systems biology. Patients are older, with more coexisting illnesses and more medications. They see more specialists and undergo more diagnostic testing, which leads to exponential accu-mula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data. Every patient is now a “big data” challenge, with vast amounts of information on past trajectories and current states.


이 모든 정보는 우리의 생각을 하는 집단적 능력을 제한시킨다. 의료 의사 결정이 복잡하게 복잡해졌습니다.

All this information strains our collective ability to think. Medical decision making has become maddeningly complex.


따라서 우리가 이러한 결정 중 많은 부분을 잘못 이해하게 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대부분의 검사는 음성으로 돌아 오지만 오진은 흔합니다 .1 응급 치료를받는 환자는 병원에 불필요하게 입원하는 경우가 많지만 집에 돌아간 후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전반적으로 우리는 환자에게 우리가 기대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실패는 의사들 사이에 심한 불만족과 번아웃을 초래하고, 의료 시스템의 재정적 지속 가능성을 위협합니다.

So, it’s not surprising that we get many of these decisions wrong. Most tests come back negative, yet misdiagnosis remains common.1 Patients seeking emergency care are often admitted to the hospital unnecessarily, yet many also die suddenly soon after being sent home.2 Overall, we provide far less benefit to our patients than we hope. These failures contribute to deep dis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doctors and threaten the health care system’s financial sustainability.



우리의 도전 과제의 근본 원인이 복잡성이라면, 그 해결책도 간단하지 않을 것입니다.

If a root cause of our challenges is complexity, the solutions are unlikely to be simple.


우리는 모두 어떤 보살핌이 필요한지 식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고 있습니다.

we all know how difficult it’s become to identify what care is necessary.


우리는 의사가 적은 치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보상 할 수 있지만, 아마도 그 결과는 더 나은 치료가 아니라 그저 더 적은 치료일 수 있습니다.

we can reward physicians for delivering less care, but the end result may simply be less care, not better care.


해결책을 향한 첫 번째 단계는 인간의 정신력과 의학의 복잡성 사이의 심오한 불일치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오래 전에, 우리는 우리의 선천성 감각기관 만으로는 신체의 내부 동작을 면밀히 조사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현미경, 청진기, 심전도 및 방사선 사진을 개발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선천적 인지 능력만으로 새로운 세기의 건강과 질병의 신비를 해결할 수 있습니까? 현재 우리 헬스케어 시스템은 이에 대해서 긍정적인 이유를 거의 주지 않는다.

The first step toward a solution is acknowledging the profound mismatch between the human mind’s abilities and medicine’s complexity. Long ago, we realized that our inborn sensorium was inadequate for scrutinizing the body’s inner workings — hence, we developed microscopes, stethoscopes, electrocardiograms, and radiographs. Will our inborn cognition alone solve the mysteries of health and disease in a new century? The state of our health care system offers little reason for optimism.



그러나 희망이 있습니다. 이미 데이터 과학이 중대한 문제로 우리를 도울 수 있다는 징후가 있습니다.

But there is hope. Already, there are indications that data science can help us with critical problems.



심전도 판독의 어려움을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Holter 모니터를 여러 날 동안 기록하는 것만 큼은 아니지만 10 초간의 추적에서 파형을 진정으로 "읽습니까"? 그러나, 반대로 알고리즘은 모든 심박동을 체계적으로 분석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새로 발견 된 예측 자의 메커니즘에 관한 기초 연구를 안내 할 수 있습니다.

Consider the challenge of reading electrocardiograms. can we ever truly “read” the waveforms in a 10-second tracing, let alone the multiple-day recording of a Holter monitor? Algorithms, by contrast, can systematically analyze every heartbeat. And they could guide basic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newly discovered predictors.


방대한 양의 EHR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도 배포되어, 2 형 당뇨병에는 3 가지 하위 유형이 있으며, 각각 자체 생물학적 특성 및 질병 궤적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Algorithms have also been deployed for an analysis of massive amounts of EHR data whose results suggest that type 2 diabetes has three subtypes, each with its own biologic signature and disease trajectory.4



알고리즘이 의학에 깔린 사고를 변형시킬 것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유일한 변화는 이 변환을 이끌 세력이 의학 내부에 있느냐 또는 외부에 있느냐 여부입니다. 의학이 자신의 미래를 통제하고자 한다면, 의사들은 알고리즘을 포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기계학습을 의료 영역으로 가져와야 한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algo-rithms will transform the think-ing underlying medicine. The onlyquestion is whether this transfor-mation will be driven by forces from within or outside the field. If medicine wishes to stay in con-trol of its own future, physicians will not only have to embrace algorithms, they will also have to excel at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m, bringing machine-learning methods into the medi-cal domain. 


기계 학습은 이미 천체 물리학에서 생태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켰습니다.

Machine learning has already spurred innovation in fields ranging from astrophysics to ecology.


천체 물리학 자나 생태 학자 인 현장의 전문가가 연구 의제를 설정하고 관련 데이터에 기계 학습을 적용하는 일상적인 비즈니스를 이끌고 있습니다.

experts in the field — astrophysicists or ecologists — set the research agenda and lead the day-to-day business of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relevant data.


대조적으로, 의학에서 임상 기록은 비 임상 분야의 연구자를위한 데이터의 보물로 간주됩니다.

In medicine, by contrast, clinical records are considered treasure troves of data for researchers from nonclinical disciplines.


의사는 이 work의 intellectual center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알고리즘 개발 방법이나 임상 적용시 발생할 수있는 상황에 대해 생각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Physicians are far from the intellectual center of the work and rarely engage meaningfully in thinking about how algorithms are developed or what would happen if they were applied clinically.


인간의 결정에서 배우는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인간의 실수도 배울 것이다.

  • 과다 테스트 및 과다 진단,

  • 돌봄에 대한 접근성이 없는 학생을 알아 차리지 못하고,

  • 지불 할 수없는 사람들에 대한 과소 검사고

  • 미러링 인종 또는 성별 편견.

이러한 사실을 무시한다면, 현재의 헬스케어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동화하고 심지어 확대하는 결과를 낳을 것입니다 .5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취소하려면 임상에서의 의사결정이나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한 깊이있는 지식이 필요합니다. 즉 알고리즘을 의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의 thinking partner로서 보는 관점이 중요하다.

Algorithms that learn from human decisions will also learn human mistakes, such as overtesting and overdiagnosis, failing to notice people who lack access to care, undertesting those who cannot pay, and mirroring race or gender biases. Ignoring these facts will result in automating and even magnifying problems in our current health system.5 Noticing and undoing these problems requires a deep familiarity with clinical decisions and the data they produce — a reality tha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viewing algorithms as thinking partners, rather than replacements, for doctors.


궁극적으로, medicine 그 자체가 그러하듯, medicine에서 기계학습은 팀 스포츠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팀은 새로운 선수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새로운 선수란 바로, 통계 및 컴퓨터 과학자로서 알고리즘 개발 및 평가에 의미있는 기여를하는 임상의입니다. 오늘날의 의학 교육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준비가되어 있지 않습니다. 학부 의예과에서 지금 요구하는 것들은 어리석을 정도로 구식입니다. 의학 교육은 임상 실습에서 알고리즘을 개발, 평가 및 적용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과학, 통계 또는 행동 과학에서 의사를 훈련시키는 데별로 도움이되지 않습니다.

Ultimately, machine learning in medicine will be a team sport, like medicine itself. But the team will need some new players: clinicians trained in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who can contribute meaningfully to algorithm development and evaluation. Today’s medical education system is ill prepared to meet these needs. Undergraduate premedical requirements are absurdly outdated. Medical education does little to train doctors in the data science, statistics, or behavioral science required to develop, evaluate, and apply algorithms in clinical practice.


데이터 과학 및 의학의 통합은 생각만큼 멀지 않습니다. 세포 생물학 및 유전학은 한 때 의학 연구에서 낯선 것이었지만, 지금은 의학 연구의 핵심이다. 의학교육은 모든 의사들이 이 분야의 informed consumer가 되게 만들었다. 비슷한 노력이 데이터 과학에서도 시급히 필요합니다.

The integration of data science and medicine is not as far away as it may seem: cell biology and genetics, once also foreign to medicine, are now at the core of medical research, and medical education has made all doctors into informed consumers of these fields. Similar efforts in data science are urgently needed.





 2017 Sep 28;377(13):1209-1211. doi: 10.1056/NEJMp1705348.

Lost in Thought - The Limits of the Human Mind and the Future of Medicine.

Author information

1
From Brigham and Women's Hospital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Z.O., T.H.L.), and Press Ganey, Wakefield (T.H.L.) - both in Massachusetts.
PMID:
 
28953443
 
PMCID:
 
PMC5754014
 
DOI:
 
10.1056/NEJMp1705348


의학교육의 글로벌 미션 포용하기(Acad Med, 2016)

Embracing Medical Education’s Global Mission

Paul E. Farmer, MD, PhD, and Joseph J. Rhatigan, MD




많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의 보건 시스템은 훈련 된 의료 종사자의 부족으로 만성적으로 불구가된다. 1) 의사의 훈련을 위해 필요한 대규모 투자 및 긴 교육기간 때문에 의사의 부족은 해결하기가 특히 어렵다.

Health systems in many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e chronically crippled by shortages of trained health workers,1 and physician shortages are particularly difficult to address because of the large investments and long timelines needed to train physicians.


한 대륙은 특히 training의 어려움을 겪는다. "31 개국에는 의대가 없으며 그 중 9 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있다. 44 개국에는 의대가 하나 뿐이며, 그 중 17 개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있다. "[2] 당연히이 모든 국가들은 의사 및 기타 보건 전문가의 부족에 직면 해있다.

One continent is especially burdened by training shortfalls: “31 countries have no medical school whatsoever, nine of which are in sub- Saharan Africa; 44 countries have only one medical school, 17 of which are in sub-Saharan Africa.”2 Not surprisingly, all of these countries face shortages of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만성적으로 부족한 의료 시스템에 직면하는 저소득 및 중소 득 국가의 경우, 의료 교육에 자원을 할당하는 능력이 심각하게 제한됩니다. 매년 미국은 1 인당 보건에 약 9,000 달러를 지출하지만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는 1 인당 1 인당 100 달러 미만을 지출한다.3

For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at face chronically underresourced health systems, the ability to allocate resources to medical education is severely constrained. each year the United States currently spends around $9,000 on health per capita while many nations in sub-Saharan Africa and several w.in southeast Asia spend less than $100 per capita.3 


중저 소득 국가에서 강화되어야 할 보건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많이 있지만 미국의 학술 의학이 인적 자원 : 의사, 간호사, allied health professional 등 독특한 기여를 할 수있는 분야에 집중하고자합니다 

While there are many important “building blocks” of health systems that need to be bolstered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we wish to focus on one where U.S. academic medicine can make unique contributions—namely, human resources: the physicians, nurs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의학 교육을 강화하는 것은 의료진의 양적 질과 질을 향상시켜 이들 의료 시스템을 관리하고 이끌어내는 데 중요합니다.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is critical to improv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hysicians to staff and lead these health systems.


미국의 의료계는 수요 증가와 자원 감소로 종종 압박감을 느끼지만, 사실 세계의 대다수와 비교하여 풍부하게 수영하고 있습니다.

Although the U.S. academic medical community often feels squeezed by increasing demands and decreasing resources, we are swimming in abundance compared with the vast majority of the world:


또한 우리는 국경의 경계를 넘어 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학교를 바라보아야 한다. 기술과 사회의 변화가 우리 직업을 급속히 변화시키고있는 세계에서 미국 의과 대학이 관련성이 있다면, 우리는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포용하고, 전 세계적으로 의학 교육의 발전을 우리의 전체 임무의 핵심 교리로 삼아야합니다. 세상이 점점 작아지면서 우리는 더 이상 출생이나 사고로 학교에 지원할 수있는 사람들만을 훈련하는 것으로 우리의 사명을 제한 할 수 없습니다.

We must also look beyond the walls of our schools and our borders to where the need for our expertise in education is the greatest. If U.S. medical schools are to remain relevant in a world where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s are rapidly transforming our profession, we need to embrace our roles as global citizens and make the advancement of medical education worldwide a core tenet of our overall missions. As our world grows smaller, we can no longer limit our mission as training only those who by an accident of birth or circumstance are able to apply to our schools.


U.S. Academic Medicine’s Global Engagements


다음은 몇 가지 혁신적 모델이다.

The following brief overview serves to highlight some innovative models.


학부교육에서의 혁신모델
  •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 partnership between the consortium of U.S. medical schools led by the University of Indiana Medical School and Kenya’s Mo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as not only seen a robust bidirectional exchange of faculty,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enya, it has also resulted in the creation of an important health care delivery organization, the Academic Partnership Providing Access to Healthcare (AMPATH). While this organization began as an AIDS treatment program, AMPATH now also provides primary health care and additional health services in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 of Kenya to a population of 3.5 million people in western Kenya.4

  • From 2010 to 2015, the Medical Education Partnership Initiative helped catalyze a network of African and U.S. medical school collaborations that was highly successful in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in Africa.5,6 Funded by the U.S. President’s Emergency Plan for AIDS Relief (PEPFAR) and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his initiative invested directly in African medical schools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graduates, retain physicians in the workforce, and increase research capacity. Despite its well-documented successes and uniform praise, the initiative’s funding is uncertain moving forward.

  • The successes of Weill Cornell Medicine’s campus in Qatar7 and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s in Singapore8 provide another model of how U.S. medical schools can partner with institutions abroad to create high-quality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at provide an essential source of physicians for their respective countries.


졸업후교육에서의 혁신모델

  •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EPFAR and the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 have supported the Rwanda Human Resources for Health Program, an innovative program that is a template for others currently proposed. This seven-year-long program, launched in 2012, focuses on the creation of new residency, nursing specialty, and health management programs in Rwanda. The program deploys approximately 100 U.S. medical faculty a year from a consortium of 23 U.S. academic medical centers and schools to Rwanda to serve as mentors to Rwandan faculty who are building new postgraduate residency programs.9 Over half the U.S. faculty spend more than six months a year in Rwanda, while the rest, often subspecialists, have shorter engagements. Faculty are given partial salary support and a stipend toward travel and living expenses through a grant from PEPFAR and USAID.

  • Other notable effort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re the Partnership for Health Advancement in Vietnam (HAIVN)10 and the Hôpital Universitaire de Mirebalais (HUM)11 in Haiti

    • HAIVN is a collaboration between Harvard Medical School and two affiliated Harvard teaching hospitals, and the Vietnam Ministry of Health (MOH) and two prominent Vietnamese medical schools. This collaboration is supported by grants from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AIVN began as an effort to improve HIV care in Vietnam and has now made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innovation and faculty development a priority focus. In addition to engagement with local medical schools, HAIVN works to support the Vietnam MOH to develop systems of accreditation and licensing in medical education. 

    • In Haiti, HUM was built by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Partners In Health (which both authors are affiliated with) and the Haitian MOH in response to the destruction of the national teaching hospital in the 2010 earthquake. HUM has engaged faculty members from Harvard Medical School to create a number of residency programs including internal medicine, general surgery, pediatrics, obstetrics–gynecology, and the only emergency medicine residency program in the country. All these programs are led by Haitian physicians, some of whom have returned to work in Haiti after career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의대생 공급을 늘리고 지역 내 의사를 보존하기

Increasing Medical Student Supply and Retaining Physicians


저소득 및 중산층 국가의 중등교육 개선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다양하지만, 의학교육 시스템의 개선이 단순히 부유층을 위한 것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이 병목 현상을 반드시 인식하고 해결해야합니다. 

The challenges of improving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e manifold, but this bottleneck must be acknowledged and addressed if efforts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systems will benefit more than those affluent enough to obtain a decent high school education.


국가 내에 의사와 교수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사들에게 그들이 배운 진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어 그 안에서 진료해볼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합니다. 의학 교육을 향상시키기위한 노력은 더 많은 자격을 갖춘 의사를 양성하고, 의사를 가르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렇게 교육에 참여하게 만듦으로써 의사 만족도를 높이고 최신의 practice를 disseminate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To retain physicians and faculty in these nations, these physicians need opportunities to practice within systems that allow them to provide the care they are taught to deliver. Efforts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have the synergistic effect of both training more and better-qualified physician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racticing physicians to engage in teaching. This engagement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physician satisfaction and to disseminate the most up-to-date practices.


또 다른 중요한 단계는, 우리가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는 의사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미국 내에서 충분한 의사를 우리 자신의 필요에 맞게 훈련시키는 것입니다. 미국으로 의사를 수출하는 많은 나라가 의사의 심각한 부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국제 의료 졸업생 (IMG)의 의학 교육은 본국에서 많은 보조를 받고 있습니다.

Another important step is to ensure that we in the United States train enough doctors for our own needs to reduce the number of physicians we import from other countries, many of which have critical physician shortages. Many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IMGs’) medical educations are heavily subsidized by their home countries.


미국의 의대생 숫자와 1년차 전공의 숫자 사이의 큰 gap으로 인해서, 외국에서 미국으로의 의사 유입이 발생하는데, 이는 IMG들의 고국에서 투자된 경재적 투자와 인적 투자를 빨아들이는 것이다.  지난 10 년 동안 AAMC와 다른 사람들의 지도력 덕분에 새로운 학교가 개교하면서 다른 학교의 학급 규모가 확대되면서 미국 의대 졸업생이 늘어났습니다. 이로써 미국 의료 시스템의 1년차 레지던트 필요성과 미국 의과 대학 졸업생 공급의 격차가 줄긴 하겠지만, 이러한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며 전문가의 예측에 기반을두고있을 것입니다.

Physici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made possible by the large gap between the number of U.S. medical graduates and the number of first-year residency positions, drains both financial investments and human resources from IMGs’ home countries. Thanks to leadership by the AAMC and others over the past 10 years, there has been an expansion in graduates of U.S. medical schools as new schools have opened while others have increased their class sizes. Although this has closed the gap between the U.S. health system’s need for first-year residents and the supply of U.S. medical school graduates, this gap still exists and will likely remain based on expert projections.15


의학교육에 대한 접근성

Universal Access to Medical Education


미국 의과 대학은 이 글로벌 교육 임무를 포용함으로써 얻을 이익이 많다.

U.S. medical schools have a great deal to gain in embracing this global educational mission.



미국 의과 대학에서의 교육 혁신은 느리며 커리큘럼 개혁의 긴 사이클을 통해 이루어 지므로 이러한 작업에서 얻을 수있는 교훈은 제한적입니다. 해외의 새로운 의과 대학의 창설과 기존의 학교의 강화는 학습에 관한 가장 최근의 증거를 실천하고 이러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완벽하게 완성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우리가 글로벌 교육 커뮤니티로서 가장 효과적인 커리큘럼 도구를 가르치고 개발할 수있는 최상의 방법을 배우게되면,이를 글로벌 공공재로 광범위하게 공유 할 수 있습니다.

Educational innovation in U.S. medical schools is slow and takes place over long cycles of curriculum reform, limiting the lessons that can be drawn from such work. The creation of new medical schools abroad and strengthening of existing ones provide opportunities to put the most up-to-date evidence about learning into practice and to iteratively perfect these methods rapidly. Once we as a global educational community learn the best ways to teach and develop the most effective curriculum tools, these can be shared broadly as global public goods.




 2016 Dec;91(12):1592-1594. doi: 10.1097/ACM.0000000000001433.

Embracing Medical Education's Global Mission.

Author information

1
P.E. Farmer is Kolokotrones University Professor of Global Health and Social Medicine, Harvard University, chair, Department of GlobalHealth and Social Medicine, Harvard Medical School, and chief, Division of Global Health Equit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Boston, Massachusetts. J.J. Rhatigan is associate professor, Harvard Medical School, and associate chief, Division of Global Health Equit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Boston, Massachusetts.

Abstract

Shortages of trained health care workers plague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around the world. When resources are scarce, the ability to support medical education is severely constrained. While there are many important "building blocks" of health systems that need to be bolstered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authors propose that U.S. academic medicine can make unique contributions in the realm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specifically, increasing the supply of physicians who directly provide health care to the populations they serve and who often manage and lead these health systems. Strengthening medical educa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is critical to improv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hysicians to staff and lead these health systems. The authors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how U.S. institutions are pursuing this global endeavor, including the Academic Partnership Providing Access to Healthcare in Kenya, the MedicalEducation Partnership Initiative throughout Africa, partnerships between U.S. medical schools and with institutions in Qatar and Singapor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efforts in Vietnam and Haiti. They urge that the U.S. academic medicine community embrace this challenge as part of its mission to ensure that all those who, wherever they may live, have the ability, the dedication, and the compassion to pursue a career in medicine be given the opportunity to do so.

PMID:
 
27749305
 
DOI:
 
10.1097/ACM.0000000000001433


기관 문화 평가의 방법으로서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Acad Med, 2009)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of Assessing Institutional Culture: Three Case Studies

Stephen J. Lurie, MD, PhD, Thomas T. Fogg, MS, and Ann M. Dozier, RN, PhD





보건 서비스 연구 및 의료 연구를 일차 진료에 통합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로서 여러 분야에 걸친 협력이 제안되었다. 

  • 유사하게, ACGME는 "역량있는 기관"이라는 아이디어를 강조했다. '역량있는 기관'은 의료 팀의 여러 전문 분야의 구성원이 각 환자에 대해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도록 조정align됩니다. 

  • 기관 외적으로는, 기관들은 점점 더 지리적으로 떨어진 기관 사이의 협력이 환자들에게도 유익하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고있다.

Collaboration across disciplines has also been proposed as a necessary component of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integration of medical research into primary care.2,3 Similarl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highlighted the idea of “the competent institution,”4 in which multidisciplinary members of health care teams are aligned to provide the best possible care for each patient. Extramurally, institutions are increasingly finding that collaboration across geographical distances is also beneficial to patients.5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 기반 치료를 장려하는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개별 조사자에게 그러한 협력을 보상하지 않는 문화뿐 아니라 공동 작업을 평가하는 척도의 부족이다

Nonetheless, one of the largest obstacles to encouraging team-based care is a culture that does not reward individual investigators for such collaboration,6 as well as a resulting lack of measures that assess collaboration.


일반적으로 개인이나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균하고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는 전통적인 평가 방법론과는 달리, 소셜 네트워크 분석 (SNA)은 개인이나 프로그램 간의 상호 관계의 고유 한 구조를 평가합니다 .8-10 팀 응집력에 대한 측정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흐름 및 계층 구조의 정도에 따라 SNA는 각 개인의 중심성 및 다른 구성원과의 연관성을 식별 할 수 있습니다.

Unlike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ologies, which typically assess program effects by averaging and comparing outcomes across individuals or programs,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ssesses the unique structure of inter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or programs.8–10 In addition to providing measures of team cohesion, information flow, and degree of hierarchical organization, SNA can also identify each individual’s degree of centrality and connectedness to other members.


SNA는 다음에서의 네트워크 다이나믹을 설명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밝혀졌습니다 .15 

SNA has been found to be an efficient method to describe dynamics of networks in settings ranging from 

  • medical offices,11 

  • interracial friendship choice among teenagers,12 

  • kinship patterns in Central America,13

  • diffusion of medical innovation,14 and 

  • labor negotiations.15 


최근 연구에 따르면 SNA 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비만 확산을 추적 할 수있을뿐만 아니라 주치의들 사이의 의사 소통 패턴도 추적 할 수있다 .17 SNA는 다른 방법으로는 알기 힘든 의사 소통 유형을 밝히기 위해 조직적인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어왔다.

Recent studies found that SNA could track the spread of obesity through social networks16 as well as patterns of communication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17 SNA has been widely used in organizational settings to reveal patterns of communication that would not otherwise have been evident.9


SNA의 기본 데이터 단위는 정의 된 네트워크의 가능한 모든 구성원 쌍 사이의 연결 강도에 대한 측정이다. 실제로 네트워크의 각 구성원은 다른 모든 구성원과의 관계에 대해 질의를받을 수 있습니다.

The basic data unit for SNA is a measure of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all possible pairs of members of a defined network. In practice, each member of the network may be queried about his or her relationship to all other members.


이러한 연결은 개인이 보고 한 서로의 접촉 빈도 또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지식 수준의 형태에 대한 자가보고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공유위원회 위원의 명단, 보조금 신청 핵심 인력, 공동 저자 또는 전자 메일 연락 빈도와 같은 아카이브 일 수도 있습니다.

These connections may be self-reported, in the form of individuals’ self-reported frequency of contact with one another or level of trust and knowledge about one another. Data may also be archival, such as rosters of shared committee memberships, key personnel on grant applications, coauthorship, or frequency of e-mail contact.


SNA는 시각적 기술로서, 그룹과 개인의 기능에 대한 다수의 양적 척도를 활용한다. 주요 결과물은 소시오그램이며, 네트워크 구성원 간의 연결 수와 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네트워크상의 각 구성원은 소시오그램에서 노드 또는 정점으로 표시됩니다. 노드의 최적의 배치와 배열을 결정하기위한 많은 알고리즘이 있지만 (궁극적으로 분석자가 해석을 가장 명확하게하기 위해) 이러한 데이터 포인트를 최적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분석가의 몫입니다.

SNA is a largely visual technique that is supported by a number of quantitative indices of both group and individual function. The main output is the sociogram,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and strength of connections between members of a network. Each member of a network is depicted by a node, or vertex, in the sociogram.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algorithms for determining optimal placement and arrangement of the nodes, ultimately it is up to the analyst to decide how best to arrange these data points to make the interpretation most clear.


또한 SNA는 네트워크의 각 노드 구성원을 특성화하는 추가 설명 통계뿐만 아니라 전체 네트워크의 노드 간 전반적인 상호 작용 패턴과 관련된 몇 가지 기본 설명 통계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이 숫자는 일반적으로 소시오그램 해석에 도움이됩니다.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네트워크상 개개인을 비교하거나 네트워크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SNA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추측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그룹을 특성을 밝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보고에서는 P 값이나 통계 테스트의 다른 측면을 제시하지 않고 SNA가 특정 그룹의 구조와 역 동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있는 방법을 보여주기위한 방법으로 결과를 제시합니다.

Furthermore, SNA can produce some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relating to the overall pattern of interactions among nodes in the network as a whole, as well as additional descriptive statistics that characterize each member of the network. These numbers generally serve as further aids to interpretation of the sociogram. Although it is possible to performstatistical tests to compare individuals in a network, or to compare networks with one another, the purpose of SNA is generally to characterize particular groups rather than to test inferential hypotheses. Thus, in the present report, we do not present P values or other aspects of statistical testing—rather, we present our results as a way of demonstrating how SNA can yield insights into structure and dynamics of specific groups.




Method and Results


ICU의 팀 기능

Team fun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시범 사업의 일환으로 SNA를 사용하여 의료 중환자 실 (MICU)의 간병인 팀 간의 관계를 설명했습니다. 우리는 라운드에서 팀을 관찰하고 지표 환자를 돌볼 책임이있는 모든 개인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런 다음 각 팀 구성원이 색인 환자에 대해 다른 모든 팀 구성원 (및 주요 가족 구성원)과 상호 작용 한 빈도를 묻는 팀 별 설문 조사를 작성했습니다. 가족 구성원은 조사를 위해 사본을 받았다. 응답 옵션은 "결코"에서 "하루에 세 번 이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분석의 중요한 결정은 "연결"을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 느슨한 정의 (예 : 하루에 한 번)로 인해 많은 수의 비교적 피상적 인 연결이되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관계의 패턴을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반면에 지나치게 엄격한 정의는 너무 적은 연결로 해석 할 수있는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조사관은 여러 연관성 정의에 의해 생성 된 네트워크를보고 최상의 균형을 이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의 목적을 위해 팀 구성원간에 하루에 적어도 두 번 이상 대화가 있었다고 말하면 연결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습니다.

As part of a pilot project, we used SNA to describe relationships among teams of caregivers in our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We began by observing the teams on rounds and then identifying all the individuals who were responsible for caring for an index patient. We then created a team-specific survey that asked how often each team member interacted with all the other team members (and key family member) about the index patient. The family member was also given a copy of the survey to complete. Response options ranged from“never” to “three or more times per day.” A critical decision for the analysis is how to define a “connection.” 

    • A loose definition (e.g., once a day) risks creating a network with large numbers of relatively superficial connections and, thus, may make it difficult to discern a pattern of important relationships in the network. 

    • On the other hand, an overly strict definition may yield a network with too few connections to interpret. 

In practice, the investigator may look at networks produced by several definitions of connectedness and select the one that strikes the best balance. For purposes of this analysis, we assumed that a connection existed between team members if they said that they spoke at least twice a day with one another.



우리는 설명을 목적으로 두 팀의 데이터를 제시합니다. Team1 (그림 1)은 최근 원인을 알 수없는 진행성 호흡 곤란에 대해 MICU에 입원 한 노인 여성을 돌보고있었습니다. Team2 (그림 2)는 MICU에 거의 2 주 동안 호흡 상태가 서서히 개선되고 누가 기계 환기에서 벗어나려고했는지 환자를 돌보고있었습니다. 두 네트워크 모두에서 하루에 적어도 두 번씩 서로 상호 작용한다고 말하면 개인 간의 연결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 두 그림에서 개인은 노드로 표시됩니다. 회색 음영 및 회색도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들과 한 가지 역할 (예 :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개인을 구별합니다. 각 개인 노드의 크기는 해당 개인이 매일 두 번 이상 연락하는 다른 팀 구성원의 수에 비례합니다. 약사를 제외하고 두 팀은 공통점이 없었습니다.

We present data from two teams for illustrative purposes. Team1 (Figure 1) was caring for an elderly woman who had been recently admitted to the MICU for progressive dyspnea of unknown etiology. Team2 (Figure 2) was caring for a patient who had been in the MICU for nearly two weeks with slowly improving respiratory status and who was about to be weaned from mechanical ventilation. In both networks, a connection was assumed to exist between individuals if they said that they interacted with one another at least twice per day. In these two figures, the individuals are represented by nodes. The gray shadings and degrees of gray distinguish individuals carrying out one role (e.g., the role of nurse) from those carrying out another role. The size of each individual’s nod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ther team members with whom that individual has at least twice-daily contact. With the exception of the pharmacist, the two teams had no individuals in common.


육안 검사에서 팀이 구조면에서 상당히 다른 것은 분명합니다. Team1은 서로 다른 역할을 가진 사람들간에 많은 수의 연결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치의는 다른 사람보다 팀 구성원의 상호 작용이 빈번합니다. 가족은 담당 의사, 거주자 및 약사를 포함하여 팀의 다른 여러 구성원과 연결되어있는 두 간호사와 자주 접촉합니다. 호흡 치료사를 제외하고 모든 팀 구성원은 다양한 역할을 통해 적어도 4 명의 다른 팀원과 연락합니다.

From a visual inspection, it is apparent that the teams are quite different in structure. Team1 has a large number of connections between individuals of different roles. The attending physician has frequent interactions with more members of the team than does anyone else. The family has frequent contact with both nurses, both of whom have connections with several other members of the team, including the attending physician, the residents, and the pharmacist. With the exception of the respiratory therapist, all team members have contact with at least four other team members across various roles.


대조적으로, Team2는 팀 구성원간에 비교적 적은 수의 일일 연결을 특징으로합니. 이 팀에서는 의료 직원이 아닌 간호 직원이 중심 인 것처럼 보입니다. 팀 1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가족은 간호 직원과 만 자주 접촉합니다. 그러나이 경우 환자의 가족은 다른 팀원과 상대적으로 격리 된 간호사와 만 연락한다고보고합니다. 따라서이 가족은 첫 번째 환자의 가족보다 다른 팀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By contrast, Team2 i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daily connections between team members. In this team, it is the nursing staff, rather than the medical staff, who seem to be central. As in Team1, the patient’s family has frequent contact only with the nursing staff. In this case, however, the patient’s family reports they have contact only with a nurse who is relatively isolated from the rest of the team. Thus, this family has a relatively greater distance from the rest of the team than does the first patient’s family.



다른 팀 구조가 다른 팀 구조보다 임상 상황에 더 적합한 지 여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Team2의 상대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간호사 중심 구조는 임상 상태의 일상적인 변화가 거의없는 안정적인 환자에게 더 적합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조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정보. 이러한 팀 구조의 차이는 또한 가족 구성원의 치료의 질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NA는 이후의 치료 품질에 대한 예측 변수로 사용될 수있는 팀 기능 지표를 제공합니다.

It is unclear whether different team structures are more appropriate to some clinical situations than others. Although the relatively unconnected, nurse- centered structure of Team2 might be more appropriate for stable patients with little day-to-day change in their clinical status, it remains unclear whether such a structure may nonetheless be more prone to errors in hand-offs of information. Such differences in team structure might also affect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care. SNA provides indices of team functioning that could be used as predictor variables in later studies of quality of care.







연구-멘토링 자문위원회의 교실 구조

Departmental structure of research- mentoring advisory committees


우리는 우리 기관에서 53 명의 연방 직업 능력 개발 프로그램 수혜자를위한 자문위원회 목록을 작성했습니다. 이것은 수상자가 2007 년 초에 계속해서 교수진에 봉사 한 기간 인 2004-2006 년 중 어느 시점에 우리 기관에서 활동 한 모든 수상자를 대표했습니다. 총 157 명의 교수가 위원으로 봉사했습니다. 그러한 회원 자격은 수령인이 다양한 전문성의 혜택을받을뿐만 아니라 교수진이 다른 부서와 학문 분야에서 만나고 상호 작용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수상자의 위원이 다른 여러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 수상자는 다른 수상자와 간접적으로 연락 할 수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습니다.

We assembled lists of the advisory committees for 53 federal career development awardees at our institution. This represented all such awardees who were active at our institution at some point during the period 2004 through 2006, where the awardee continued to serve on our faculty at the beginning of 2007. A total of 157 faculty served as committee members. Such membership not only allows the awardees to benefit froma greater diversity of expertise,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faculty fromdifferent departments and disciplines to meet and interact with one another. Furthermore, if an awardee’s committee members sit on multiple other committees, this provides the awardee with greater opportunity to indirectly network with other awardees.


이러한 아카이브 데이터에는 많은 양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53 개의 멘토십위원회 멤버 목록을 모두 검토함으로써 해석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SNA는 쉽게 해석하고 정량화 할 수있는 이러한 데이터의 묘사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런 종류의위원회 회원 데이터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네트워크를 검사 할 수있게합니다. 

    • 첫째, 공동위원회 멤버를 통해 수상자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 둘째, 공동위원회 멤버십을 통한 교수진 간의 네트워크. 

두 가지 유형의 네트워크는 부서별 소속별로 코딩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각기 다른 부서가 전체적으로 각자의위원회 작업을 통해 서로 연관되어있는 정도에 대한 추론을 허용합니다. 이 유형의 네트워크에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개개인이 개개인의 선택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식 소집 된 그룹의 공동 회원 자격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Such archival data contain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which would be challenging to interpret by simply examining all 53 mentorship-committee membership lists. SNA, however, can provide depictions of these data that are readily interpretable and quantifiable. In fact, this sort of committee-membership data permits examination of two different kinds of networks. 

    • First, the network of connections between awardees with one another via shared committee members, and 

    • second, the network of connections between faculty via shared committee membership. 

Both types of networks can be coded by departmental affiliation. This permits inferences about the degree to which different departments, as a whole, a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via their respective members’ committee work.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in this type of network is that the individuals are not connected directly to one another by individual choice but, rather, through their joint memberships in formally convened groups.


그림 3은 각 학과를 구별하기 위해 음영의 정도가 다르거 나 음영이없는 수상자 네트워크를 보여줍니다. 각 원은 수상자를 나타냅니다. 다이어그램의 각 라인은 수상자 쌍 사이의 공유 된위원회 멤버를 나타냅니다. 두꺼운 선은 둘 이상의 공유 멤버를 나타냅니다. 노드의 크기는 수상자가 다른 수상자와 공유하는위원회 구성원의 수에 비례합니다. 이 네트워크에는위원회 위원들의 부서별 소속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Figure 3 displays the network of awardees, with different degrees of shading or no shading to distinguish each academic department. Each circle represents an awardee. Each line in the diagram represents a shared committee member between pairs of awardees; thicker lines indicate more than one shared member. The size of the nodes is proportional to the total number of committee members that awardees share with other awardees. Note that this network does not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committee members’ departmental affiliations.


이 다이어그램에서 몇 가지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습니다. 

    • 첫째, 부서 4 및 19의 수상자는 수상자위원회 위원이 다른위원회의 구성원 및 일반적으로 더 큰 원 크기를 공유함으로써 입증 된 것처럼 위원회 구성원이 가장 다양합니다. 

    • 둘째,이 부서의 수상자는 종종 다른 부서의 수상자와위원회 위원을 공유합니다. 대조적으로, 부서 10은 정반대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여러 명의 수상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개인위원회 위원 중 다른위원회에서 봉사하지 않는 사람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이들 수상자 중 적어도 일부는 그 (것)들을 연결하는 두꺼운 선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위원회를 공유합니다. 따라서이 부서의 수혜자는 자신의 부서에서 주로 선발 된 개인으로 구성된위원회를 갖고 있으며이위원회 위원 중 상당수는이 시간 동안 다른위원회에서 근무한 경험이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더 많은위원회 멤버십을 보유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부서 내의 다른위원회에서 봉사하고있었습니다. 

    • 마지막으로, 부서 18은 이질적이며 일부 수상자위원회는 다른 부서의위원회에서 봉사하는 개인으로 구성되며, 다른 수상자는 다른위원회 경험이없는 개인으로 구성된위원회가 있습니다.

Several gen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diagram. 

    • First, awardees in departments 4 and 19 have the greatest diversity in their committee memberships, as evidenced by their awardees’ committee members’ frequently shared membership in other committees and generally larger circle sizes. 

    • Second, awardees in these departments frequently share committee members with awardees in other departments. By contrast, department 10 represents the opposite situation. Several awardees are not at all connected to the network, indicating that none of these individuals’ committee members serve on any other committees. Furthermore, at least a few of these awardees share more or less the exact same committee, as indicated by the thick line connecting them. Thus, it seems that awardees in this department have committees comprising individuals who are largely chosen from within their own departments, and that many of these committee members did not have the experiences of serving on other committees during this time. Those that do seemto have more committee memberships were largely serving on other committees within their own departments. 

    • Finally, department 18 is heterogeneous, with some awardees’ committees composed of individuals who serve on committees of several other departments, while other awardees have committees composed largely of individuals who do not have other committee experience.



그림 4는위원회 구성원의 제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림 3을 보완합니다. 157 명의 개인으로 구성된 네트워크가 해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다이어그램의 원으로 표시되는 부서 내에서위원회 구성원이 붕괴되었습니다. 부서 간 선의 굵기는 해당 부서에서 온 구성원을 공유하는위원회의 수에 비례합니다. 이보기는 각 부서의 구성원이 수상자위원회에서 공동으로 봉사 한 횟수에 대한 전반적인 요약을 제공합니다.

Figure 4 complements Figure 3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mmittee members’ affiliations with one another. Because a network of 157 separate individuals is difficult to interpret, committee members have been collapsed within departments, which are represented by circles in the diagram. The thickness of lines between departments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ommittees that shared members from that pair of departments. This view provides an overall summary of the number of times that members of each department jointly served on awardee committees.


이 결과는 수상자 네트워크의 결과와 동일합니다. 부서 4와 19 사이에는 많은 수의 교수 연결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서 19가 가장 잘 연결되어 있고 다른 여러 부서와 자주 연결됩니다. 또한 부서 13은 나머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거의 없지만 상대적으로 고립 된 부서 14와 22를 결합하여 큰 네트워크 내에 작은 서브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이 묘사는 모든위원회 구성원을 동시에 보는 경제적 인 방법을 제공 할뿐만 아니라 학제 간 개선을위한 노력을 추적하기위한 고유의 방법론을 제안합니다. 그러한 자료가 매년 수집되고 분석된다면 이는 제도적 변화가 측정 될 수있는 지표를 제공 할 것이다. 이 데이터는 또한 새로운 연구원에 대한 지원에서보다 학제 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몇 가지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수있는 부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These results mirror those of the awardee network. There are large numbers of faculty connections between departments 4 and 19. In general, department 19 seems to be the most well connected, with large numbers of frequent connections with several other departments. Furthermore, department 13, although having few connections with the rest of the network, brings together the relatively isolated departments 14 and 22, thus forming a small subnetwork within the larger network. This depiction not only provides an economical way of looking at all the committee memberships simultaneously but also suggests an inherent methodology for tracking efforts to improve interdisciplinarity; if such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yearly, this would provide an index by which institutional change could be measured. These data also help identify departments that may need some additional effort to become more interdisciplinary in their support of new researchers.




다학제간 연구기관의 리더십

Leadership of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stitute


CTSI (Clinical Translational Sciences Institute)를 설립 한 다년간의 NIH 어워드의 일환으로 우리 기관은 자체 이사 (1 ~ 4 명)가있는 일련의 11 가지 핵심 기능 (즉, CTSI의 주요 행정 부서) 및 직원. 이러한 핵심 기능의 공통된 목적은 연구자가 파일럿 연구 기회 제공 및 새로운 연구 방법론 개발과 같은 기관 차원의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중개 연구를 촉진하는 것입니다. 연구 설계 컨설팅, 정보학 지원 및 임상 연구 센터와 같은 연구 지원 서비스; 임상 및 번역 연구의 진화하는 분야에서의 교육 및 훈련.

As part of a multiyear NIH award to establish a Clinical Translational Sciences Institute (CTSI), our institution defined a series of 11 key functions (i.e., the major administrative units within the CTSI), each with its own directors (from one to four) and staff. The shared purpose of these key functions is to promote translational research by giving investigators access to institution-wide services such as funding opportunities for pilot studies and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research methodologies; research support services such as study design consulting, informatics support, and a clinical research center; and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evolving discipline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CTSI의 구조에 대한 초기 평가의 일환으로 우리는 모든 핵심 직무 감독에게 다른 핵심 기능과의 상호 작용 예상 빈도뿐만 아니라 다른 10 가지 핵심 기능의 역할에 대한 지식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요청했습니다 . 그런 다음 이러한 응답을 평균화하여 평균 수준의 지식과 예상되는 각 주요 기능 쌍의 예상되는 상호 작용을 창출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른 10 가지 주요 기능 각각과의 관계 강도를 설명하는 각 주요 기능에 대한 맞춤 보고서를 작성할 수있었습니다.

As part of an initial evalu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CTSI, we asked all the key function directors to rate their current state of knowledge of the role of the other 10 key functions, as well as their anticipated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the other key functions. We then averaged these responses, creating a mean level of knowledge and anticipated interaction of each possible pair of key functions. This allowed us to produce a customized report for each key function that described the strength of their relationships with each of the other ten key functions.


서로 다른 주요 기능에 대한 핵심 기능 감독자의 지식 수준 (그림 5)에 대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이전 단락에서 언급 한 방법에 대한 가능한 여러 가지 단서를 평가했습니다. 해당 쌍의 평균 응답이 컷오프보다 큰 경우 주요 기능간에 화살표가 그려집니다. 이러한 연결은 양방향입니다. 한 쌍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감독이 둘 다 높은 수준의 지식 또는 서로 예상되는 상호 작용을 나타내면 두 구성원 간의 연결은 양방향 화살표로 표시됩니다. 반면에 한 가지 주요 기능이 두 번째 기능에 대해 높은 응답을 주었지만 그 응답을 왕복하지 않으면 일방적 인 관계가됩니다.

To produce a network diagram of the key function directors’ levels of knowledge about one another’s key functions (Figure 5), we assessed a number of possible cutoffs for the means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An arrow was drawn between key functions if the mean response for that pair was greater than the cutoffs. Note that these connections are thus bidirectional; if directors of a pair of key functions both indicate a high level of knowledge or anticipated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m is represented by a two-headed arrow.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would be one-way if one key function gave a high response about the second, but if that response were not reciprocated.


그림에서 노드의 크기는 들어오는 화살표의 수에 비례합니다 (즉, 각 키 기능의 경우 다른 주요 기능 감독이 CTSI 내에서 해당 주요 기능의 역할에 대해 높은 수준으로보고 한 정도 ). 도 6은 동일한 데이터를 나타내지 만, 나가는 화살표의 수 (즉, 각 키 기능의 디렉터가 다른 키 기능의 역할을 이해한다고보고하는 정도)에 비례하는 노드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림 5와 6을 살펴보면 핵심 기능 2, 3, 4, 6 및 9가 다른 많은 주요 기능 책임자에 의해 잘 이해되지만, 자신의 이사는 다른 핵심 기능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습니. 대조적으로 주요 기능 1과 10은 이사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여러 가지 핵심 기능의 역할에 대한 이해 수준을보고하지만 상대적으로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또한 다이어그램은 주요 기능의 특정 쌍 간의 관계에서 잠재적 인 약점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표적 개입을 통해 일찍 처리 될 수있는 지식의 특정 격차를 드러낸다.

In the figure, the size of the nodes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incoming arrows (i.e., for the respective key function, the degree to which other key function directors report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at key function within the CTSI). Figure 6 represents the same data, but with the size of the node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utgoing arrows (i.e., the degree to which the directors of the respective key functions report that they understand the roles of the other key functions). From inspection of Figures 5 and 6, it is apparent that although key functions 2, 3, 4, 6, and 9 are well understood by many other key function directors, their own directors report relatively less understanding of the other key functions. By contrast, key functions 1 and 10 are relatively less well understood, although their directors report a relatively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many other key functions. Furthermore, the diagrams also illustrate potential weaknesses in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pairs of key functions. Thus, these results reveal specific gaps in knowledge that could be addressed early through targeted interventions.





그림 7은 주요 기능 감독이 예상 한 상호 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노드의 크기는 각 키 기능의 타당성에 비례하며, 이는 각 키 기능이 가능한 다른 모든 주요 기능 쌍 사이의 경로에있는 정도의 척도입니다. 따라서, 서로간에 접촉이 거의없는 다른 주요 기능을 연결하려면 중요도가 높은 값이 더 중요합니다. 주요 기능 9 및 12는 주요 기능 2, 3, 6 및 8을 포함하는 더 작은 서브 네트워크에 큰 네트워크를 연결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주요 기능 6은 주요 기능과의 독점적 인 연결로 인해 두드러집니다 마지막으로, 키 기능 11은 다수의 다른 주요 기능을 고유하게 연결하는데, 이는 노드들 사이의 화살표를 단순히 조사하는 것으로부터 즉시 명백하지는 않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의 결함 및 강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들간의 서로 다른 상호 관계를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면,이 다이어그램들은 제도적 변화를 평가할 기준선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Figure 7 presents data about key function directors’ anticipated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The size of the nodes is proportional to each key function’s betweenness, which is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each key function is on a pathway between all other possible pairs of key functions. Thus, those with high betweenness values are more critical to connecting other key functions that would otherwise have little contact with one another. Key functions 9 and 12 owe much of their high betweenness to the fact that they connect the larger network to the smaller subnetwork comprising key functions 2, 3, 6, and 8. Key function 6 is also prominent because of its exclusive connections with key functions 2 and 3. Finally, key function 11 also uniquely connects numerous other key functions, although this is not immediately apparent from simply inspecting the arrows between nodes. These analyses can thus be used to identify deficits and strengths in the network. If efforts are made to promote different interrelationships between key functions, these diagrams can serve as a baseline from which to assess institutional change.





Discussion and Conclusions


앞서 제시된 예는 SNA의 도구가 의료 센터의 조직 역학 범위를 밝힐 수있는 몇 가지 방법을 강조합니다. SNA는 이러한 순수한 시각적 데이터 표현 외에도 개인 및 네트워크에 대한 광범위한 numerical indices를 계산할 수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트워크 구조의 추세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됩니다.

The examples presented in the previous section highlight some ways that the tools of SNA can shed light on a range of a medical center’s organizational dynamics. In addition to these purely visual representations of data, SNA also permits computation of a range of numerical indices, both for individuals and for networks as a whole, and thus helps identify trends in network structure over time.



SNA의 결과는 일반적으로보다 질적이며 미묘하기 때문에, 조직 구조 및 기능에 대한 다른 정보원에 비추어 해석되어야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NA는 표준화 된 방법론 및 보고 형식을 통해 그러한 주관적 인상에 유용한 보완책을 제공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조직 구조의 변화를 평가하기위한 표준 메트릭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SNA 데이터는 수집 및 분석이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하므로 관찰자 또는 네트워크 구성원의 구조화 된 인터뷰를 포함하는 더 많은 노동 집약적 인 방법에 대한 매력적인 보완책을 제공합니다. SNA는 또한 관측자 편견이 상대적으로 없다. 따라서 SNA는 현재 조직 구조를 평가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도구에 유망한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The results of SNA must be interpreted in light of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function, which are typically more qualitative and nuanced. Nonetheless, with its standardized methodology and reporting formats, SNA provides a useful complement to such subjective impressions and provides standard metrics for assessment of change in organizational structure over time. Furthermore, SNA data are relatively simple and rapid to collect and analyze, thus offering an appealing complement to more labor intensive methods involving observers or structured interviews of network members. SNA is also relatively free of observer bias. Thus, SNA provides a promising addition to the set of tools currently used to assess and evaluate organizational structure.





 2009 Aug;84(8):1029-35. doi: 10.1097/ACM.0b013e3181ad16d3.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of assessing institutional culturethree case studies.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Curriculum and Assessment,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Rochester, New York 14642, USA. Stephen_Lurie@urmc.rochester.edu

Abstract

PURPOSE:

To describe the basic concept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hich assesses the unique structure of inter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nd programs, and introduce some applications of this technique in assessing aspects of institutional culture at a medical center.

METHOD:

The authors applied SNA to three settings at their institution: team fun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rdisciplinary composition of advisory committees for 53 federal career development awardees, and relationships between key function directors at an institution-wide Clinical Translational Sciences Institute (CTSI). (Key functions are the major administrative units of the CTSI.)

RESULTS:

In the ICU setting, SNA provides interpretable summaries of aspects of clinical team functioning. When applied to membership on mentorship committees, it allows for summary descriptions of the degree of interdisciplinarity of various clinical departments. Finally, when applied to relationships among leaders of an institution-wide research enterprise, it highlights potential problem areas in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departments. In all cases, data collection is relatively rapid and simple, thereby allowing for the possibility of frequent repeated analyses over time.

CONCLUSIONS:

SNA provides a useful and standardized set of tools for measuring important aspects of team function, interdisciplinar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may otherwise be difficult to measure in an objective way.

PMID:
 
19638768
 
PMCID:
 
PMC2719826
 
DOI:
 
10.1097/ACM.0b013e3181ad16d3


21세기 의사는 무엇인가? 의과대학 학위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기(Acad Med, 2014)

What Is a 21st-Century Doctor? 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Olle ten Cate, PhD




의사 학위의 짧은 역사

A Brief History of the Medical Degree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유는 인증된 전문가의 특권이 되었습니다. BC 2000 년 BC 바빌로니아 사회에서부터 의사의 권리와 의무를 문서화하였고, 이는 지식과 기술을 지닌 전문직과 시민집단 간의 사회적 계약을 의미하기 시작했습니다. Asclepius와 Hippocrates를 모델로 한 의사는 대학 교육을 받은 전문가가되었으며, 19 세기에는 견습생으로서의 현장 경험과 대학에서의 이론 공부가 합해져서 의사의 자격 요건이되었습니다.

Over time, healing became the prerogative of certified professionals. As early as in 2000 BC Babylonian society,8 documented rights and obligations began to signify the social contract between a medical professional community with distinct knowledge and skills and the society’s collective citizens. Medical doctors, initially modeled after Asclepius and Hippocrates, became university- educated professionals, and in the 19th century, theoretical university study combined with practical experience as an apprentice became a certification requirement for the medical doctor.7,9


의학 학위는 사회에 단단히 뿌리 내린 것 같습니다.

The medical degree seems solidly rooted in society.


아브라함 플렉스너가 한 세기 전 미국과 유럽의 의학 교육에 관해 발표 했을 때, 졸업 후 인턴십이나 병원 훈련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다. 이것은 당시 학부 의학교육만으로도 평생 의료행위를 위해 준비가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당시의 관행을 반영한다. 그 당시에 네덜란드 대학 의학 학위는 대학 당국뿐만 아니라, 시장city mayor도 수여하였으며, 이는 수년동안 지역 사회에서 의료행위가 가능함을 확인해주는certifying것이었다. 추가 대학원 전문 교육은 예외적인 것이었고, 나중에서야 표준이 되었습니다.

Abraham Flexner, reporting a century ago about the state of U.S. and European medical education,10 did not yet mention internships or any hospital training after graduation. This reflected the prevailing practice of relying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s sufficient preparation for lifelong medical practice.9 At that time, Dutch medical diplomas were signed not only by university authorities but also by the city mayor, certifying service to the local community for many years. Additional postgraduate specialty training was an exception, only later becoming the norm for medical graduates.



의학 학위의 지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기

Rethinking the Status of the Medical Degree


의사가 가져야 하는 필수지식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 core knowledge that medical doctors should possess?


의사가 무엇인지 정의 할 수있는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지식과 기술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필수 의료 지식, 즉 모든 의료 종사자가 가져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 보편적으로 관련이 있는, 표준적 지식은 이전보다 훨씬 분명하지 않게되었습니다.

If one thing should enable us to define what a doctor is, it may be his or her knowledge and skills. However, the core medical knowledge—that is, the universally relevant, canonical knowledge that all medical practitioners are expected to possess11—has become less clear than it used to be.


    • 학부 의학 교육의 내용은 학교, 국가 및 시간에 따라 다양합니다

    • 제한된 기간의 학위 프로그램은 의학 학위에 추가적 요건을 넣으려는 끊임없는 바람을 제한하고, 커리큘럼 개발자는 학위에 필수 내용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 의학 학위를 가진 의사들이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해봐야 이미 50년 전의 레퍼런스일 뿐이며, 이는 산업화된 세계에서 이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다. 

    • 대부분의 의학 커리큘럼의 내용을 결정하는 전문가들이 반드시 의학 학위의 breadth를 두루 살피는 전문가는 아니다. 

    •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의사 소통 기술, 연구 기술, 프로페셔널리즘, 기타 비 전문 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교육을 추가해야 할 압박이 높아짐으로 인해서 기초 및 임상 지식을 위한 공간은 지식의 양이 늘어났음에도 감소하였다. 

    • 임상의사와 기초 과학자들은 의학 과정에 무엇을 포함시켜야하는지에 대해서 의견 차이가 난다 .12,13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variable across schools, countries, and time. The confined length of degree programs limits the continuous wish to add to the medical degree requirements, and curriculum developers face increasing difficulty determining required content for the degree. The medical practitioners holding no more than a medical degree who us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curriculum planners half a century ago hardly exist anymore in the industrialized world. The contents of most medical curricula are determined by specialists who do not necessarily oversee the breadth of the medical degree. As justified pressures on medical curricula grow to add general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research skills, professionalism, and other nondisciplinary areas, the space for basic and clinical knowledge decreases while the body of knowledge increases. Clinicians and basic scientists also diverge in opinion about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medical course.12,13



21 세기의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정보에 대한 유비쿼터스한 접근성은 인식론, 즉 지식에 대한 우리의 철학을 변화 시켰습니다. 의사는 자신의 영역에서 지식의 독점성을 잃었습니다. 의과 대학은 정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과학 지식은 물론 개별 환자 기록에 대한 최신 의료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액세스 가능한 지식 클라우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의과대학생을 훈련시키게 될 것이다.

The ubiquitous access to information for everyone in the 21st century has also changed our epistemology—that is, our philosophy around knowledge. Doctors have lost the knowledge monopoly in their own domain. It has been predicted that medical schools will shift their effort from training students to memorize information to training them to efficiently deal with a ubiquitously accessible knowledge cloud containing up-to-date medical information, both from the scientific literature and from individual patient records.15




이것은 우리 모두가 의사가 지니고 있어야하는 표준적 지식의 본질을 다시 생각해 볼 것을 촉구합니다. 그러한 지식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This urges us to rethink the nature of the canonical knowledge every doctor should possess by heart. It is undisputed that there is such knowledge, but it is hard to say what that required knowledge is.



예를 들어, 네덜란드 국립 기본 프레임워크의 최신판은 기존에 세부 주제 목록을 일반적 설명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학부 교육의 국제 표준은 내용, 프로세스, 교육 환경 및 의학 교육의 결과에 대한 광범위한 범주만을 언급합니다. 이러한 국제 표준들은 프로그램 내용을 요구하기보다는, 의대 개혁을 위한 레버 역할을하는 경향이있다 .17 평가 권장 사항은 일반적으로 "정상 및 비정상적인 인간 행동", "분자, 세포, 생화학 및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생리 메커니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문화적 요인을 고려하여 건강 문제를 평가하고 환자에게 조언 " 등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세부 사항은 각 기관의 결정사항으로 남겨 둡니다.

For example, the most recent edition of the Dutch National Framework of undergraduate objectives16 shows only general descriptions, replacing previously detailed listings of topics. International standards of undergraduate education only mention broad categories of content, proces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outcomes of medical education. They tend to serve as a lever for medical school change and reform rather than a requirement for program content.17 Recommendations for assessment are typically limited to general categories, such as “Normal and abnormal human behavior,” “Molecular, cellular,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that maintain the body’s homeostasis,” and “Evaluate health problems and advise patients taking into account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18 details are left for local decision making.



고정된 표준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지만, 의학 학위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점차 사라지는 듯 보입니다. 국가 시험은 당분간 표준을 유지할 수 있지만, 국가시험의 내용은 합의된 내용에서 유도derive되어야지, 그것을 처방prescribe해서는 안 된다.

While a call for fixed standards is widely heard,19 clear benchmarks for the content of the medical degree program seem to disappear. National exams can uphold standards for a while, but should be derived from agreed- on content20 rather than prescribing it.



수련과정 연속체 내에서 의학 학위의 의미는 무엇인가?

What signifies the medical degree within the continuum of medical training?


산업화 된 세계에서 전문화 된 훈련을 받은 전문의 훈련을 받지 않은 의사는 구별되지 않았다. 우리는 이미 수십년 전 그 시대를 떠났는데, 그 이유는 이제는 거의 모든 의사들이 전문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의학 학위는 수련의 끝이 아니라 전공과목 수련 시작을 알리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In the industrialized world,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doctors with and without specialized training. We left that era behind decades ago, as virtually all doctors now specialize. Rather than an end point of training, the medical degree has become not much more than a ticket to start specialized training.


흥미롭게도 전문의 교육은 캐나다 CanMEDS 프레임 워크처럼, 전문 지식과 기술만 있는 것에서 일반적인 의학 역량을 포함하는 것으로 변화해갔다. 전문 교육이 일반 역량에 중점을두면 일반적인 의학 학위를 구분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이 분리가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Interestingly, specialty training has recently shifted its focus from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 only, to include general medical competencies , such as the Canadian CanMEDS framework21 . If specialized training focuses on general competencies, then what sets the general medical degree apart? Their separation seems to disappear.


실제로 학부 및 대학원 과정 전반에 걸친 의학 교육의 연속체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있다 .22-25 예를 들어, 영국의 의학 교육 시스템은 foundation year를 만들었으며, 네덜란드는 transition year를 만들어서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을 의료 종사자의 오랜 교육 비용을 낮추고자 하였다.

Indeed, the interest for developing a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across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hases increases.22–25 For example, the British medical education system has created foundation years,26 and the Dutch a transitional year,27 to bridg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training and to lower the costs of the lengthy training of medical practitioners.28


고도로 전문화된 수련의 기간이 지나치게 긴가?

Is the trajectory to highly specialized medical practice too long?



현재 의료 종사자의 훈련은 1 세기 전의 약 두 배입니다. 훈련을 마친 전문의는 너무 나이가 들었고, 너무 똑똑하고, 너무 비싸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현재 학부 과정의 단축이 논의되고있다 .31) 32) 의료 행위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질 기회가 없는 수련생은 그들의 육체적, 정신적 능력이 최상위에 있을 때 시간을 낭비해야만 한다.

The current training of medical practitioners is about twice as long as it was a century ago. Some have suggested that specialists are too old, too smart, and too expensive when they finish training,30 and shortening undergraduate training is now being discussed.31,32 By not having the opportunity to take full responsibility for medical practice, medical trainees may be wasting time at an age when they are supposedly at the top of their physical and mental abilities.


상당한 노력이 결국 의료행위에 사용되지 않거나 면허 취득 후 더 쉽게 습득 할 수있는 지식과 기술 습득에 투입되고 있다.33 교육의 궤적을 더욱 focused한다면, 일부 고도로 전문화된 의료 직종은 훨씬 적은 시간의 수련만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하루 종일 루틴한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학부 의학 교육, 내과학에서 첫 번째 대학원 레지던시, 그리고 심장학에서의 중재 및 이후 중재 적 심장학에서의 교제를 모두 거쳐야만 하나? 안과 의사를위한 교육이 치과 의사의 두 배 길이라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어떤 전문 지식이 전문적인 실습을 위한 배경지식으로서 정말 필요합니까?


It is difficult to say how much effort is spent in medical education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not used in later practice or that can be acquired more easily after licensing.33 Some highly specialized medical occupations might require considerably less education if the educational trajectory were more focused. Is it really necessary to have a long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ostgraduate residencies first in internal medicine and then in cardiology, and subsequently a fellowship in interventional cardiology, to predominantly do routine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all day? What is the reason that training for an ophthalmologist is twice the length of that for a dentist? What medical knowledge is really needed as a background for specialized practice?


의료행위가 언제까지나 의사의 특권일 것인가?

To what extent is medical practice still the prerogative of medical doctors?


과거 수십 년 동안 의료 제공자의 다양성이 증가했습니다. 입법 및 보험 급여로 의학적으로 행동 할 특권은 조산사, 간호사 종사자, 의사 보조원 등 MD 학위가없는 전문가와 점차 공유됩니다. 이것은 우리가 다른 숙련된 의료 종사자들과의 차별화 지점을 다시 생각해 보라고 촉구합니다.

The diversity of nonphysician health care providers has increased in the past decades. The privilege to act medically, granted by legislation and by insurance reimbursement, is gradually being shared with professionals without an MD degree, such as midwives, nurse practitioners, physician assistants, and many more. This urges us to rethink what sets the medical doctor apart from other skilled health care workers.


IMG학생들은 어떻게 인식되어야 하는가?

How must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be recognized?


경험이 풍부한 외국의 의료 전문가들이 MD 학위 수준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은 새로운 나라에서 면허증을 취득하는 데있어 한 가지 큰 걸림돌이며, 다른 하나는 언어와 문화 표준을 따르는 어려움이다.35 그렇다면 숙련 된 전문가에게 이러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 얼마나 중요한지 궁금해집니다.

Failure to meet MD diploma-level requirements by experienced foreign medical specialists is a major obstacle to licensure in a new country, second only to difficulties meeting language and cultural standards.35 This leaves one wondering how important these general requirements are for a skillful specialist.


의학 전문직이 '하나의 직업'이 될 것인가?

Is the medical profession becoming an occupation?


서구 국가의 사회적 변화는 의학 분야의 전문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 수련 훈련의 근무 시간 제약 (EU 국가에서는 주당 48시간, 미국에서는 80시간)은 환자의 안전과 레지던트 보호에 대한 논증에 의해 정당화 될 수있다. 이러한 문화적 변화를 설명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시민들의 근본적인 희망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단 하나의 풀타임 전문직 정체성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삶을 살아야 하며, 이는 여러 분야에서 탁월한 의사로서 파트 타임으로 일하고 싶은 욕구가 높아지는 것을 반영한다. 새로운 세대는 멀티 태스킹을 원합니다. 많은 의사들이 임상 연구와 연구, 교육 및 기타 의무를 결합하는 반면, 의사가 된다는 것도 풀타임이 아니라 점차 특정 시간에만 수행하는 직업처럼 되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Societal change in Western countries impacts professional identity in medicine. Duty hours restrictions in residency training (48 per week in EU countries, 80 in the United States) may be justified by arguments of patient safety and protection of residents.36 A more likely explanation of this culture change may be the fundamental wish of citizens to get more out of life beyond having just one full-time professional identity, which is reflected in increased desire to work part-time as a doctor37 while excelling in multiple domains. New generations want to multitask. While many physicians do combine clinical work with research, education, and other duties, being a doctor seems to become more and more an occupation conducted in specified hours, rather than a full-time identity.38




의학 학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아야 하는가?

Is It Time to Rethink the Medical Degree?


의과대학이 학생들을 받는 한, 그들이 정확히 무엇을 위해 훈련되어야 하는지를 재정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자율적 의료행위의 권한을 주는 그 마술과 같은 면허 부여의 순간은 과거의 성과에 대한 의식이지, 미래에 대한 실질적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없다.

While students will keep enrolling in medical schools, we might need to redefine what exactly they are trained for. That single magical moment of licensing that grants the autonomous privilege to practice medicine seems a ritual of the past rather than having much practical significance for the future.


제기 된 질문에 대한 쉬운 대답은 없지만 의학 학위를 재정의하는 한 가지 방법은 지식, 기술, 태도 및 역량을 열거하는 것이 아니라 졸업생들이해야 할 일을 실제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신중하게 공식화 될 때, 이들은 교육 궤적 내에서도 특정 치명적인 보건 책임을지기 시작하고 의료 종사자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을 돕기 위해 특권을 부여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의료 전문가가 의학 학위의 유무에 관계없이 역사를 통해 환자에게 항상 기대했던 것과 유사 할 수 있습니다.

There is no easy answer to the questions posed, but one way to redefine the medical degree is to not just list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competencies but to actually analyze what tasks we want graduates to be able to do. When carefully formulated, these may privilege learners, even within an educational trajectory, to start bearing specific critical health care responsibilities, and help build their identity as medical practitioners. This may be close to what medical professionals have always been expected to do for patients throughout history, with or without the medical degree.





1 Sklar DP. 2013 question of the year: What is a doctor? What is a nurse? Acad Med. 2013;88:3. XXX


2 Chapman SA. Learning together to practice together. Acad Med. 2013;88:1612. XXX


3 Leng S. Dr. nurse, nurse doctor: Blurring the lines of professional identity. Acad Med. 2013;88:1613. XXX


4 Turner LE. Medicine and nursing: Parallel avenues to patient care. Acad Med. 2013;88:1617. XXX


5 Sochalski J, Melendez-Torres GJ. What is a nurse? “A missioner of health.” Acad Med. 2013;88:1616. XXX


6 Watson NC, Isenberger JL. Working as a team to improve patient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Acad Med. 2013;88:1618. XXX


16 Laan RFJM, Leunissen RRM, Van Herwaarden CLA. The 2009 framework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GMS Z Med Ausbild. 2010;27:Doc35. http://www.nfu.nl/publicaties/zoekresultaat/search&keywords =framework+2009/. Accessed April 3, 2014.





 2014 Jul;89(7):966-9. doi: 10.1097/ACM.0000000000000280.

What is a 21st-century doctor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Author information

1
Dr.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Abstract

The undergraduate medical degree, leading to a license to practice, has traditionally been the defining professional milestone of the physician. Developments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have chang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in the continuum of education toward clinical practice. The author discusses six questions that should lead us to rethink the current status and significance of the medical degree and, consequently, that of the physician. These questions include the quest for core knowledge and competence of the doctor, the place of the degree in the education continuum, the increasing length of training, the sharing of health care tasks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th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a multitasking world. The author concludes by examining ways to redefine what it means to be a "medical doctor."

PMID:
 
24979164
 
DOI:
 
10.1097/ACM.0000000000000280


대학의학 문화 바꾸기: 임계 질량 또는 핵심 배우? (J Womens Health. 2017)

Changing the Culture of Academic Medicine: Critical Mass or Critical Actors?

Deborah L. Helitzer, ScD,1,2 Sharon L. Newbill, PhD,2 Gina Cardinali, MSW,2 Page S. Morahan, PhD,3–5 Shine Chang, PhD,6 and Diane Magrane, MD7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양을 가리키는 핵 물리학에서 차용한 용어인 "임계 질량" 이론은 정치 분야의 집단에 대한 행동 연구에까지 적용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입법부 대표의 30 %가 여성 인 경우 여성 친화적 인 정책이 더 많이 통과 될 것이라고 가정했다 .1-3 임계질량 이론을 학술 보건 센터 (AHCs)의 성 평등에 적용해본다면, 여성의 교수 비율이 전체 교수의 30-35 %의 문턱에 다다르면, 문화 변화에 대한 그들의 영향은 분명 할 것이다.

The theory of critical mass, a term borrowed from nuclear physics that refers to the quantity needed to initiate a chain reaction, has been applied to behavioral studies of groups in the field of politics. These studies hypothesized that when 30% of legislative representatives are women, more women-friendly policies are passed.1–3 Critical mass theory applied to gender equity in academic health centers (AHCs) predicts that once the proportion of faculty who are women rises above a threshold of 30%–35% of total faculty, their impact on culture change would be evident.4


40 년 전 Kanter가 공표 한 임계질량 이론의 근본적 가정은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 숫자와 이에 수반되는 tokenism 문제는 직장 내 여성의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주어 고립을 유발하고 직장에서 자신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한다는 것이다. " 1 그녀는 임계질량을 갖는 것이 여성의 위안을 향상시키고 소수 인 것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완화한다는 것을 제안했다. Etzkowitz et al. 조직 내 충분한 수의 여성 존재가 조건의 질적 개선을 가져오고 변화의 역 동성을 가속화하는 불연속 지점이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A fundamental assumption of the seminal theory of critical mass promulgated by Kanter over 40 years ago is that ‘‘low relative numbers and the accompanying problems of tokenism affected the social environment of women in the workplace, causing isolation and impeding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perform their jobs.’’1 She suggested that, having a critical mass increases women’s comfort level and eases some of the stress associated with being a minority. Etzkowitz et al.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a discrete point where the presence of a sufficient number of women in an organization would bring about a qualitative improvement in conditions and accelerate the dynamics of change.6


연구 배경

Background to this study


career development programs (CDPs)



우리의 결과는 3 개의 국가 직업 CDP 중 적어도 하나에 참석 한 여성들이,

(1) 승진과 리더십을 위해 더 잘 준비된 일련의 기술 습득을 지지했다

(2) 비 CDP 동료보다 (리더십에서 성 평등의 잠재력을 제공하는) AHC에서 유지 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이 글의 목적을 위해 성 평등을 '자원, 프로그램 및 의사 결정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9

Our results showed that women who attended at least one of three national career CDPs, 

(1) endorsed acquiring a set of skills, which better prepared them for advancement and leadership7; and 

(2) were more likely to be retained in AHCs than nonCDP peers providing a potential for gender equity in leadership.8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e define gender equity as ‘‘the process of allocating resources, programs, and decision-making fairly.’’9



Methods


연구대상, 자료수집, 분석

Population sample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질적 인터뷰

Qualitative interviews



포커스 그룹

Focus groups


To obtain the AHCs’ institutional perspective on these issues, national leaders in AHC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focus group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pool of institutional leaders attending national meetings of relevant professional groups. These groups included 

  • alumnae of the ELAM program and four groups convened under the auspices of the AAMC: 

  • the Group on Faculty Affairs (GFA) (www.aamc.org/members/gfa/); 

  • the Group on Diversity and In-clusion (GDI) (www.aamc.org/members/gdi/); 

  • the Group on Graduate Research, Education and Training (GREAT)(www.aamc.org/members/great/); and 

  • the Group on Re-search Advancement and Development (GRAND) (www.aamc.org/members/grand). 

Two sessions were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ELAM Alumna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in December 2011 and seven were held in collab-oration with the AAMC meetings (three during the GFA/GDI meeting in August 2012 and four during the GRAND/GREAT meeting in September 201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if they had senior academic rank and substantial leadership/authority and were a current faculty member at an AHC institution. The authors sent invitations to the ELAM alumnae list, while AAMC staff sent invitations to members of GFA, GDI, GREAT, and GRAND. The letter of invitation included information about the NIH grant, its purpose,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focus group was being held. Discussion groups were intentionally formed from those who accepted the invitations. In the aggregate, we sought diversity in terms of participants’ gender, race and ethnicity, institutions, and leadership roles.


Open-ended questions, such as, 

  • ‘‘What changes do you see in the status of women at your institution?’’ 

  • ‘‘Thinking about leadership, are you seeing women represented in leadership roles at your institution—specifically are they ‘at the table’?’’’ 

...were used to generate conversations about trends in AHCs, focusing particular attention on collaborative and translational research and faculty trends, institutional and national influences on these trends, and their impact on institutional policies and practice.


인터뷰 분석과 포커스 그룹 자료

Analysis of interview and focus group data


We utilized a systematic, theory-guided approach to text analysis using a category system. 

  • This approach allowed us to be open to new interpretations of the content, by using a strictly controlled step-by-step process for analyzing interview and focus group transcripts. 

  • This coding and analytical process, called pattern matching and explanation building, is described by Yin as a methodological way to move from a lower to higher conceptual level of data interpretation.13


The deidentified transcripts were imported into NVivo 10 and analyzed in two stages of content analysis. 

  • First, the interviewer coded the data to create coding structures (hierarchical or matrix displays) that conformed to the topics in the interview and/or focus group guides (S.L.N.). Other team members conducted independent review of transcripts (P.M., D.H., and G.C.). S.L.N. also reviewed the matrix displays with the focus group facilitators to gain consensus on the coding approach. 

  • Second, the entire research team verified and expanded the original (level 1) codes into higher levels of emergent themes and categories

  • The final coding display for the focus group data was a matrix organized by themes and categories, the original text and line number in which it appears in the transcript, and researcher comments.14 

  • For the interviews, a hierarchical display was developed and the research team used the display as a structure from which to interpret higher level data. 

  • Internal audits, frequent discussions, and member checking led to multiple edits of the initial coding structures.


We systematically compared the above datasets to determine whether they corroborated one another and discrepancies in the data through the triangulation process. Triangulation is a powerful technique that facilitates validation of data through cross verification from two or more sources. In particular, it refers to the application and combination of several research methodologies in the study of the same phenomenon. Triangulation gave us the opportunity to interrelate programs,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spheres, and data sets.15



결과

Results



Tables 1 and 2 show the pertinent demographics of the interview and focus group participants, respectively.





두 개 도메인: 개인과 기관

The analyses revealed two domains that are nested within AHCs: the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Domains (Fig. 1).



30%가 넘는 기관에서도 이들 경험은 젠더에 따라 제한되었으며, AHC 내외에서 규범적 기대를 부과했다.

Even with a critical mass of women faculty (‡30%), these experiences are circumscribed by their gender, imposing normative expectations both inside and outside AHCs.


개인 영역: AHC문화에서 여성됨의 경험

Individual domain: experience of being a woman within AHC culture


의미있는 일에 대한 보상과 개인적 만족. 많은 여성들이 AHC 기관을 떠날 것을 고려했지만 학계의 만족과 보상으로 인해 계속 머물 렀습니다.

Rewards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meaningful work. Many of the women had considered leaving AHC institutions, yet stayed due to the satisfaction and rewards of academia:


AHC 여성의 개인 대리인. 여성이 경력 개발 기회를 모색하는 이유는 학계에서 발전하기위한 야심과 동기를 밝혀주었습니다.

Personal agency of women in AHCs. The reasons women gave for seeking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revealed ambition and motivation to advance in academia.


전통 가정과 학문적 진보에 대한 상충되는 요구 / 기대. 여성들은 학술적 진로를 원했지만, 동시에 진로 개발 활동에 참여하거나, 리더십 역할을 맡을 기회가 지연되곤 했고, 이는 커리어 결정에서 가족을 중요한 우선순위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Conflicting demands/expectations of traditional family and academic advancement. While women desired to progress in their academic careers, they also delayed or deferre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and/or advance and assume leadership roles because they embraced their families as high priorities in making career choices.


성 평등을 위해 일하는 여성. CDP는 참가자들의 개인 기관을 강화시켜 CDP에 참석 한 여성 네트워크와 같은 비공식적 인 구조를 만들고 무언가 주장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되었습니다.

Women working for gender equity. The CDP experiences enhanced participants’ personal agency, which gave them confidence to assert themselves and create informal structures such as networks of women who had attended CDPs.


기관 영역: AHC의 문화

Institutional domain: culture of AHCs



사회 문화적 환경. 사회 문화적 성 평등에 대한 기관 차원의 순응. 교수진의 태도와 행동은 여전히 전통적인 성규범이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Sociocultural environment. Institutional adherence to sociocultural gender norms. The attitudes and actions of faculty demonstrate that traditional gender norms persist.


조직 이니셔티브에 여성을 참여시키는 기관 전략의 부족. 규범적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 기관 차원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여성을 참여시키는 기관의 전략이 없없었으며, 이는 여성 리더들이 CDP 참여 이후에 기여하겠다는 의도를 보여준 뒤에도 그러했다.

Lack of institutional strategies to engage women in organizational initiatives. In the normativ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strategies to engage women in building institutional capacity was evident, even after they demonstrated intent to contribute after their CDP participation.


무의식적 인 행동 및 정책의 성별 편향. 우리의 결과는 무의식적 인 성 차별이 지속되고 있으며, 의사 소통 패턴, 개인 행동, 기관 차원의 결정에서 남성과 여성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음이 명백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의도가 좋았더라도, 교수 생활을 지원하기위한 정책의 실행은 양성-평등하다고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Unconscious gender bias in behavior and policy. Our results revealed that unconscious sexism persists and is evident in communication patterns, individual behaviors, and institutional decisions to implement policies that differentially affect men and women. While well intentioned,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to support faculty life was not found to be gender equitable.


여성 진출에 대한 기관 차원의 영향. 개별 지도자가 여성의 경력 향상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별 지도자가 중요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의 가진 자율성은 조직의 임계질량을 구축하거나 해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합니다.

Institutional influences on women’s advancement.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leaders on women’s career advancement. Our results revealed that individual leader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and often autonomy, to contribute to the building or dismantling of critical mass in their organizations.


여성의 시야와 영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 및 비공식적 노력. 여성의 visibility과 영향력을 향상시키기위한 노력에는 개인과 기관의 헌신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여성들이 기관 내 여성들을 후원하기 위해 개인 및 집단으로 행동하는 여성들에 관해 들었습니다. 일부 지도자들은 여성의 역량을 키우거나, 비공식적 인 멘토링 그룹을 개발하려는 여성의 노력을 수동적으로만 받아 들였습니다. 왜냐하면 이 지도자들은 기관 역량 강화든 성-평등적 조직의 이미지를 얻는 것이든 그러한 이니셔티브의 이점을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데이터에는 조직의 책임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진술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 의무를 이행하기위한 체계적인 전략에 대한 예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Individual and informal efforts to improve women’s visibility and influence. Efforts to improve women’s visibility and influence require commitment by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We did hear about actions by women both as individuals and as a collective, for the sponsorship of women within institutions. Some leaders passively accepted women’s efforts to build women’s capacity or to develop informal mentoring groups because these leaders recognized the benefits of such initiatives, whether to build institutional capacity or to enhance their image of being a genderequitable organization. While our data include statements reflecting awareness of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no examples were provided of systematic strategies to meet this obligation.


지도자로서의 여성. 리더십 역할을하는 여성. 우리의 데이터는 여성을 중간 및 고위급 리더십 역할로 승진시키는 행위가 성 평등의 증거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더십 직책에 있는 여성들이 조금 증가하였을 뿐 리더십 직책에있는 여성들의 수가 '임계 질량'에 도달하지 못했음에도 일반적으로 "문제가 해결"된 것처럼 보입니다.

Women as leaders. Women in leadership roles. Our data revealed that the act of promoting women to midand senior-leadership roles was perceived to be evidence of gender equity. The increase in the small number of women in leadership positions appears to be commonly translated into ‘‘problemsolved,’’ even though the data demonstrated that a critical mass of women in leadership positions has not yet been achieved.


형식에 불과한 여성 리더. 이 자료를 통해 떠오르는 것은 여성에게 일반적으로 중간 수준 정도의 리더십 역할을 주는 것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인식입니다.

Token women leader. Emerging from the data was the perception that having a woman in a leadership role, which was typically a mid-level position, solves the ‘‘problem.’’



고찰

Discussion


인터뷰 나 포커스 그룹에서 임계 질량에 대한 질문을 한 번도하지는 않았지만 임계 질량 이론은 이 논문에서 제시 한 분석의 개념적 틀이되었습니다. 우리의 분석은 변화하는 조직 문화에서 효율성이나 비효율에 기여하는 중요한 대중 형성의 특징을 확인했습니다. 

Although we never specifically asked a question about critical mass in the interviews or focus groups, the theory of critical mass becam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analyses presented in this article. Our analysis identified features of critical mass formation that contribute to its effectiveness or ineffectiveness at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첫째, AHC 기관에서 여성이 된 경험은 다음이 있다.

  • 의미있는 일에 대한 보상과 개인적 만족,

  • 내재적 특성, 또는

  • Personal agency,

  • 오늘날의 여성과 남성은 잘 받아들이지 않는 가족과 학문적 역할에 대한 문화적 기대의 요구에 의해 만들어진 긴장감

 First, the experience of being a woman in AHC institutions includes 

  • the rewards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meaningful work, 

  • inherent characteristics, or 

  • personal agency, as well as 

  • the tensions created by the demands of cultural expectations of family and academic roles that are changing and may be less acceptable to women and men today.



우리는 개인과 기관의 영향 및 참여 간의 인터페이스가 임계 질량의 '약속'달성을 늦추는 긴장감을 조성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개인과 기관 간의 상호 작용이 문화 변화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한 한 리더의 (남성이든 여성이든) 행동이나 관점의 영향은 여성의 경력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에 참가자와 기관 대표자들은 조직의 미묘하지만 여전히 널리 퍼져있는 구식의 사회 문화적 성규범과 여성의 경험을 향상시키기위한 비효율적 노력에 집착하고 있음을 보고했다. 

  • 조직 활동에 여성 참여를 위한 기관적 전략의 부재,

  • 여성의 리더십 기회를 제한하는 기관적 성별 편향,

  • 성 평등 정책이 여성 진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 중간 수준의 리더십 역할을 하는 여성만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인식.

We found th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influence and engagement of the institution created a tension that slowed the attainment of the ‘‘promise’’ of critical mass. The themes sugges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had an important impact, both positive and negative, on cultural transformation. Also, the influence of one leader’s (male or female) action or perspective could catalyze women’s career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participants and institutional representatives reported myriad examples of organizational subtle, but pervasive adherence to outdated sociocultural gender norms and ineffectual efforts to improve women’ experience. These include 

  • absence of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engaging women in organizational work, 

  • institutional gender bias limiting women’s opportunities for leadership, 

  • negative impact of gender-equitable policies on women’s advancement, and 

  • the perception that having women in mid-level leadership roles ‘‘solves’’ the problem. 


이 모든 연구 결과는 우리 연구 결과에 대한 대답 ( "임계질량에 도달한 것이 조직 문화의 변화를 일으키기에 충분한가?")을 보여주며, 이는 불행히도 NO!이다.

All these findings led us to conclude that the answer to our research question (‘‘Is having attained a critical mass of women AHC institutions sufficient to catalyze organizational culture change in specific ways?’’) is unfortunately, NO!



임계질량 이론은 여성 교수진이 30 %가 되면 여성이 성별 다양성과 AHC의 사회 문화적 환경에 주목할만한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함을 가정한다.

Critical mass theory posits that having 30%of faculty who are women should be sufficient for women to have made an observable impact on gender diversity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AHCs.


이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여성들은 AHC 기관의 중급 및 / 또는 고위 지도자로 승진했다. 그들은 유지되어 임계 질량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데이터는 AHC 기관의 문화가 여성 교수진이 리더십으로 승진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 적극적으로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상층부 계급에서 과소 대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은 개인적인 보상과 의미있는 일로 묘사되는 것에 대한 만족 때문에 정체 된 계급 문화에 머물러 있습니다. 그러나 change agent로서의 영향은 종종 해당 조직의 문화에 대한 비타협적 인 태도에 의해 좌절됩니다. 유드 브라운 (Jude Browne)은 "(고위 지도자)의 바로 아래에 여성의 수가 과도하게 존재하는 상황과 여성의 natural progression이 기관이 상위 단계로 향하는 것은 실현해주지않는다"고 제안했다. 즉, 아눈 '좌절된 임계 질량'이다[22]. 따라서 여성의 임계질량이 [모든 커리어 단계에서 여성을위한 지지적 작업 환경을위한 촉매 역할을 할 수있는 잠재력]은 실현되지 않고있다 .23-26

Most of the wom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have advanced to be mid-level and/or senior leaders of AHC institutions; they have been retained and contribute to the critical mass. The interviews and focus group data reveal, however, that the cultures of AHC institutions do not actively/vigorously support the advancement of women faculty to leadership. Despite being underrepresented in the upper echelons, women stay within stagnant hierarchical cultures because of the personal rewards and satisfaction of what they describe as meaningful work. However, their impact as change agents often is foiled by the intransigence of that organization’s culture. Jude Browne proposed that ‘‘situations where a disproportionate number of women exist at the level beneath (senior leaders) and the natural progression of these women toward higher levels in the institution does not materialize (sic)—there is, in other words, a ‘thwarted critical mass’.’’22 Therefore, the potential for a critical mass of women to act as a catalyst for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for women at all career stages remains unrealized.23–26


AHC 기관 밖에서는 여성의 임계질량의 도달은 성공적인 직장 환경을 조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Dalrup은 여성 정치인들은 상충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 정치인은 남성과 똑같이 증명할 수 있어야하지만 '여성의 이익'만 대표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아야한다. '1

  • 그레이는 여성 정치에 관한 비판적 대중 이론은 여성이 일관된 집단이 아니라는 사실로 인해 더욱 복잡해 짐을 암시한다 .3 일반적으로 증거는 섞여있다. 일부 정치 연구는 이론을지지하고 다른 이론은 그렇지 않다.

  • 기술 분야에 관한 최근 보고서는 임계 질량이 변화의 촉매제가 되지 못함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감안할 때, 많은 연구자들은 "핵심 행위자critical actor"를 더 선호하면서, 임계 질량 개념을 포기할 것인지에 대해 고려하고있다. "2,29-31

Outside of AHC institutions, there is a consensus that attaining a critical mass of women is not sufficient for creating a successful working environment. 

  • For example, Dalrup noted that women politicians have conflicting challenges:they must prove they are just as able as men but avoid being seen as to represent only ‘‘women’s interests.’’1 

  • Grey sug-gests that the theory of critical mass about women in politics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women are by no means a coherent group.3 Generally, the evidence is mixed; some political studies support the theory and others do not.27 

  • Recent reports about the field of technology document the failure of critical mass to be a catalyst for change.28 

Given these inconsistent findings, many researchers have been re-considering whether to abandon the notion of critical mass altogether in favor of ‘‘critical actors.’’2,29–31 


차일 즈와 크룩은 임계질량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서 문화적 변혁을 이루기 위해 행동하는 특정한 남녀(critical actor)로 옮겨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문화적 변화를 시작하는 사람들이며, 여성이 소수일때조차 성 평등을 진전시키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후원하는 사람들이다. Unger 등은 여성 리더의 업적이 개별 여성의 임계질량보다 조직 전체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Childs and Krook argued for a shift from focus on a critical mass to what specific men and women (‘‘critical actors’’) do to achieve cultural transformation—those who initiate cultural transformation and sponsor others to advance gender equity, even when women form a small minority.3,32–36 Unger et al., found evidence that the achievements of women leaders are more influential than those of a critical mass of individual women throughout an organization.37


AHC에 critical actor의 개념을 적용하면, 우리는 nested spheres of influence를 가지고 어떻게 critical actor가 이러한 기관를 변형시킬 수 있는지를 묘사할 수 있다(그림 2). 이 문화권에서 

  • 기관 밖의 critical actor들은 재단, 기금 제공자 및 전문직 단체의 국가 지도자들입니다. 

  • 기관 내의 critical actor는 장관, 학장, 부서장 및 조직 변화를 주도하는 인물을 포함합니다. 

남녀의 사회적 기대는 여성에게보다 융통성을 부여하면서 성 평등하게되고 있습니다. AHC 기관 내에서 문화는 여성들의 선택에 보다 도움이되어 채용, 만족, 승진 및 유지력을 향상시킵니다. 이것은 여성 인 교수진의 비율이 더 높아질 것입니다.

Applying the concept of critical actors to AHCs, we revisualize the depiction of the nested spheres of influence to hypothesize how critical actors might transform these institutions (Fig. 2). In this culture, the extrainstitutional critical actors are national leaders of foundations, funder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Intrainstitutionial critical actors include chancellors, deans, department chairs, and others who drive organizational change. The societal expectations of men and women are becoming more gender equitable, creating more flexibility for women. Within AHC institutions, the culture becomes more conducive to choices for women leading to greater recruitment, satisfaction, promotion, and retention. This will lead to a greater proportion of faculty who are women.



AHC 커뮤니티는 비교적 작으며 서로서로 잘 알고 있습니다. 리는 식별 정보를 수정하는 것에 대해 양심적 이었지만 일부 참가자는 자신이 누군지 드러나게 만드는 이야기를 공유하는 것을 꺼려했습니다. 성적표와 포커스 그룹의 성격을 개별 참가자의 의견보다는 토론으로 밝히지 않으려 고 노력했기 때문에 연공 서열, 인종 / 민족, 성별 또는 제도적 대표성을 기반으로 의견을 분류 할 수 없었습니다.

The AHC community is relatively small and individuals are often well known to each other. We were conscientious about redacting any identifying information, but some participants were reluctant to share stories that would make them vulnerable to discovery. Because of our efforts to deidentify transcripts and the nature of focus groups as discussions rather than comments from individual participants, we were unable to disaggregate comments based on seniority, race/ethnicity, gender, or institutional representation.




Conclusions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AHC 기관 전체에서 여성의 임계질량을 성취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 그 약속을 보지 못했습니다. 아직 답을 얻지 못한 한 가지 질문은 35%라는 여성 비율이 AHC institutions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지 여부입니다.

Our study shows that despite achieving a critical mass of women throughout AHC institutions, we have yet to see its promise. One question yet to be answered is whether 35%of women coming through the system is sufficient to exert changes on the environment of AHC institutions in particular.


우리의 연구는 차이를 만드는 두 가지 특징을 제안한다.

  • 기존의 문화적 관습을 변화시키는 데 매우 수용적인 제도적 문화

  • 리더십 역할이 여성에게 적절한 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 .38-40

Our study suggests that two features make a difference: 

an institutional culture that is highly receptive to changing existing cultural practices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that leadership roles are appropriate for women.38–40


역사적으로 산업화 된 국가들은 성별에 따른 노동 분업의 분리 된 패턴을 따르고있으며 '남자가 하는 일'과 '여자가 하는 일'을 나누고 있다. 41-43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보다 남성이 리더가 될 가능성이 더 많았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남성적인 사람이 지도자로 등장 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43,44 사회는 남성의 공격적이고 경쟁적인 행동을 인정하면서, 이것을 여성보다 사회 경제적 힘과 권력의 우위로 해석한다.45) 'role congruity'이론은 시험대에 올랐으며, 연구에 따르면 리더십 스타일과성에 관한 신념이 여성 지도자, 특히 독재적인autocratic 스타일의 여성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47-52

Historically,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followed a segregated pattern in the division of labor by gender, with work that is defined as being either masculine or feminine.41–43 Research has shown that leaders are more likely to be men than women, or, more specifically, androgynous and masculine persons are most likely to emerge as leaders.43,44 Society sanctions men’s aggressive and competitive behavior, which translates into social and economic power and authority over women.45 The ‘‘role congruity’’ theory46 has been tested; findings demonstrate that beliefs about leadership style and gender result in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oward women leaders, especially those with an autocratic style.47–52


조직 내 리더이자 여성이라는 부적절 함을 부수기 위해서는 조직이 기관 전략의 개발과 실행을 위한 이니셔티브에 여성들을 참여시키고, critical leader들이 여성의 리더십을 키우도록 격려해야 한다.55-57 임계질량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더 많은 여성과 남성이 문화 변화를 촉진시키는 "critical actor"인 헌신적인 지지자와 지도자가 되어야한다. 더많은 informed leader와 담대한 소수들일지라도, 성평등에 대해서 "걷고, 말하고, 달리고 소리치는" 책임을 맡게 된다면 기관은 문화 변화에 더 기민하고 빠른 반응을 보일 것이다.

To erode the incongruities of being a leader and a woman in an organization, organizations must engage women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stitutional strategies to engage women in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encourage critical leaders to foster women’s ascent to leadership.55–57 Rather than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 critical mass of women in AHC institutions, we argue that more women and men must become committed champions and leaders who are ‘‘critical actors’’ to catalyze cultural transformation. With more informed leaders and a bolder few3,31,58 who are held accountable to ‘‘walk, talk, run, and shout’’59 gender equity, institutions may become more nimble and responsive to culture change.





 2017 May;26(5):540-548. doi: 10.1089/jwh.2016.6019. Epub 2017 Jan 16.

Changing the Culture of Academic MedicineCritical Mass or Critical Actors?

Author information

1
1 College of Population Health, Health Sciences Center, University of New Mexico , Albuquerque, New Mexico.
2
2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New Mexico , Albuquerque, New Mexico.
3
3 Department of Microbiology and Immunology,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Philadelphia, Pennsylvania.
4
4 Program for Women®,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Philadelphia, Pennsylvania.
5
5 Foundation for Advancement of International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FAIMER®) Institute , Philadelphia, Pennsylvania.
6
6 Cancer Prevention Research Training Program, Division of Cancer Prevention and Population Sciences, Department of Epidemiology,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 Houston, Texas.
7
7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ternational Center for Executive Leadership in Academics (ICELA at Drexel®),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Philadelphia, Pennsylvania.

Abstract

PURPOSE:

By 2006, women constituted 34% of academic medical faculty, reaching a critical mass. Theoretically, with critical masscultureand policy supportive of gender equity should be evident. We explore whether having a critical mass of women transforms institutional cultureand organizational change.

METHODS:

Career development program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to elucidate their experiences in academic health centers (AHCs).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held with institutional leaders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about contemporary challenges related to gender and leadership. Content analysis of both data sources revealed points of convergence. Findings were interpreted using the theory of criticalmass.

RESULTS:

Two nested domains emerged: the individual domain included the rewards and personal satisfaction of meaningful work, personal agency, tensions between cultural expectations of family and academic roles, and women's efforts to work for gender equity. The institutional domain depicte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AHCs that shaped women's experience, both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lack of institutional strategies to engage women in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the influence of one leader on women's ascent to leadership.

CONCLUSIONS:

The predominant evidence from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institutional barriers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continue to be formidable obstacles confronting women, stalling the transformational effects expected from achieving a critical mass of women faculty. We conclude that the promise of critical mass as a turning point for women should be abandoned in favor of "critical actor" leaders, both women and men, who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have the commitment and power to create gender-equitable cultures in AHCs.

KEYWORDS:

academic medicine; qualitative research; women faculty

PMID:
 
28092473
 
PMCID:
 
PMC5446603
 [Available on 2018-05-01]
 
DOI:
 
10.1089/jwh.2016.60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