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환경에는 무엇이 있는가? 역량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환경 형성에 필요한 교사의 역할 인식(Perspect Med Educ, 2015)

What’s in a learning environment? Recognizing teachers’ roles in shaping a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competency

Patricia S. O’Sullivan



저는 가르침을 통해 교수들이 학습 환경에 어떻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싶습니다.

I want to raise awareness about how, through teaching, faculty can have a major effect on the learning environment.


학습 환경이 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 이전에 고등 교육[2]과 의학교육에 나타났다[3]. 사실, 교육 환경은 인증 기관이 주목할 정도로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 

  • LCME[4]는 학교가 '학습 환경의 주기적 평가'를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 

  •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위원회는 '환자 안전, 의료 품질, 의료 격차 감소를 포함한 보건 서비스 품질, 관리, 관리, 근무 시간 및 업무 전환'에 대한 기관의 노력과 관련된 학습 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 방문을 사용한다.

The finding that learning environment affects achievement has appeared previously in higher education [2] and medical education [3]. In fact, the learning environment has risen to such significance that accrediting bodies have taken note. 

  • The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 (LCME) [4] requires that schools conduct ‘periodic evalua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uses site visits to assess the learning environment related to the institution’s efforts to engage residents in ‘patient safety; health care quality, including reduction in health care disparities; transitions in care; supervision; duty hours and fatigue management and mitigation; and professionalism’ [5]. 


이와 같이 학습 환경이 강조되면서,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과 레지던트의 인식을 포착하고,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대한 리뷰로 이어졌다[8].

This emphasis on learning environment has led to reviews of assessments that capture student and resident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6, 7] and ongoing efforts to develop new measures [8].


Dijkstra와 동료[1]는 이 프레임에서 학습 환경을 평가하는 문구를 썼다. 가르침teaching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대다수의 statements은 분명 가르침이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대부분의 학습 환경 기구에 적용된다.

Dijkstra and colleagues [1] wrote statements assessing the learning environment from this framing. While teaching is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majority of statements used to evaluate the learning environment certainly related to teaching and to learner motivation. This is true for most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학습 환경 평가 도구의 많은 문항들은 자기 결정 이론(SDT)을 반영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Ryan과 Deci[9]가 제시하고 10Cate[10]가 요약한 바에 따르면, SDT는 동기는 세 가지 니즈에 기초한다고 제안한다: 숙달, 관계, 자율. 

  • 숙달은 학습자가 더 어려운 기회를 향해 나아가도록 독려합니다. 

  • 관계는 학습자가 환경에서 연결되고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 자율은 자신의 의사에 따라 행동을 개시하는 능력에 의해 표현된다. 

In my opinion, many items in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s reflect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In brief, SDT, as put forth by Ryan and Deci [9] and summarized in medical education by Ten Cate [10], proposes that motivation is based on three needs: mastery, relatedness and autonomy. 

  • Mastery inspires learners to drive toward more challenging opportunities. 

  • Relatedness allows learners to feel connected and safe in an environment. 

  • Autonomy is expressed by an ability to initiate actions of one’s own volition. 


Dijkstra 문항들은 퍼포먼스와 성찰(숙달), 감독자 및 동료와의 관계 및 상호 작용(관계), 독립성(자율)을 확인하고자 질문했습니다. 교사들은 학습 환경 내에서의 그들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동기 부여 요소'를 서포트하고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The Dijkstra items asked about examining performance and reflection (mastery),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and peers (relatedness), and independence (autonomy). Teachers, in their rol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must teach to support and actively incorporate elements of motivation.


흥미롭게도, 렘리 등도 동일한 SDT 렌즈를 사용하여 21세기 학생의 학습 환경을 조사했다. Lemley는 밀레니얼 학생들이 내용관련성, 자율성, 선택권, 교수와 연결성을 중시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교수와의 연결성은 [양방향 대화, 존중, 관리, 학생에 대한 지식]을 강조할 때 높아졌다.

Interestingly, Lemley et al. [11] examined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21st century student using the same lens of SDT. Lemley found that millennial students valued relevance of content, autonomy, having choices, and having connection with their teachers as emphasized by two-way conversations, respect, care, and knowledge of the student.


동기를 부여하는 학습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교수들은 이러한 학습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교수들은 교수법을 통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실현 가능하다.

Given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motivates, the faculty member must establish this learning environment; and this is feasible because faculty have the opportunity to control how they teach.


그러므로 교사로서 우리는 혁신적이고 재미있는 교육 전략을 사용할 때 학습자들이 더 잘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요소들을 포함시켜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Therefore, as teachers we must ensure that when using innovative and fun teaching strategies, we embed elements that motivate our learners to do better. So how might we do this?


숙달을 위하여, 우리는 강의와 임상실흡 모두에서 높은 빈도의 형성평가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퀴즈, one-minute paper, 간략한 구조화된 관찰, 환자 노트 검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평가는 개선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의미 있는 피드백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14]. 또한 강의 시간 내에 성찰할 시간을 제공하여서 학습자가 잠시 멈추고, 학습 방법을 생각하고, 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야 합니다 [15]. 이 시간을 별도로 확보하여 그것을 교육의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만드는 것은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일 것이다.

For mastery, we need frequent formative assessments in both didactic and clinical experiences. These can range from quizzes, to one-minute papers, to brief structured observations, or a patient note review. Assessments must lead to meaningful feedback that gives guidance on how to improve [14]. Additionally, time within teaching has to exist for reflection so that we allow learners to pause, think about how they are learning, and consider how they can engage in ways to improve their learning [15]. Setting aside this time and making it a natural part of teaching may be the most challenging of all.


관계를 위해서,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필요가 있다. 동료[16] 및 환자[17]로부터 및 동료와 함께 학습하는 데 큰 가치가 있습니다.

For relatedness we need to build in engagement with others. There is great value in learning from and with one’s peers [16] and patients [17].


자율을 위해서, 우리는 학습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다. 

For autonomy we need to include choices for learners, versus prescribing every way in which they will interact within a teaching method. This could be as small as where to sit. 


모든 교수진은 이 세 가지 요소를 포함시키기 위해 자신의 교수 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수진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ll faculty members must re-examine their teaching strategies to include these three elements. We will need faculty development to facilitate these changes.


요약하자면, 학습 환경은 역량 기반 교육에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들이 가르치는 방식이 학습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교수진이 학습을 강화하려는 동기를 강화하는 요소를 통합하고 기관이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교육 전략을 재정의할 것을 주장한다.

In summary, the learning environment is critical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way teachers teach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We advocate that faculty redefine their teaching strategies to incorporate elements that reinforce motivation to enhance learning and that institutions provide them the support to do so.




7. Schönrock-Adema J, Bouwkamp-Timmer T, van Hell EA, CohenSchotanus J. Key elements in assess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is the theor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2;17:727–42.




 2015 Dec;4(6):277-9. doi: 10.1007/s40037-015-0234-4.

What's in a learning environmentRecognizing teachers' roles in shaping a learning environmentto support competency.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533 Parnassus Avenue, Suite U80, Box 0710, 94143, San Francisco, CA, USA. Patricia.osullivan@ucsf.edu.
PMID:
 
26525366
 
PMCID:
 
PMC4673070
 
DOI:
 
10.1007/s40037-015-0234-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