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훈련, 실천의 연속성 부족은 'Do No Harm' 원칙을 위배한다(Acad Med, 2018)

A Lack of Continuity in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Violates the “Do No Harm” Principle

Robert Englander, MD, MPH, and Carol Carraccio, MD, MA





1910년 Flexner 보고서는 의료 교육 시스템의 주요 개혁을 촉진했다.1 그 이후, 의료 교육, 훈련, 그리고 실천의 단계가 허겁지겁 짜여졌다. Flexner는 커리큘럼을 의학적 교육의 원동력으로 강조하였는데, 이는 2년짜리 연속된 세그먼트로 기초 과학과 임상 경험을 구획화하여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사일로를 구축하게 했다. Practice는 의과대학을 마치고 나서야 실습이 시작되었다.

The 1910 Flexner Report prompted major reform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1 Since then, the phases of medical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have been haphazardly pieced together. Flexner’s emphasis on curricula as the driving force for medical education led to compartmentalized basic science and clinical experiences in two-year sequential segments, building silos that persist today. Practice began when medical school was complete.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더 많은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서비스 요구사항과 함께 새로운 의학적 진전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1년인턴십이 늘어나게 되었다.2 의과대학에게는 인턴을 지원할 재원이 없었기 때문에 병원이 인턴십을 감독했고, 이는 "연속체"에 또 다른 seam을 추가했다. 1930년대에는 제3의 이해당사자인 전문 위원회specialty board에 의해 주도되어 레지던트가 늘어났고, 이는 practice를 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특정 시간 동안의 훈련을 요구하였다.2

However, after World War I, the growing need to learn about new medical advances, coupled with service requirements to meet the needs of greater volumes of patients, resulted in an increasing prevalence of one-year internships.2 Hospitals oversaw internships, as medical schools did not have the resources to support them, adding another seam in the “continuum.” Residencies flourished in the 1930s driven by yet a third stakeholder, specialty boards, that required specific time-based training as a prerequisite to practice.2


그 뿌리에서부터, practice continuum을 위한 학부 의학 교육(UME)과 대학원 의학 교육(GME)은 거의 연속성을 반영하지 못했다. 그것들은 연속적이었지만, 즉 시간과 순서에 있어서 중단되지 않았지만, 연속체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정연한 전체coherent whole"는 결여되어 있었다.3

From its roots, then,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o practice continuum reflected little continuity. They were continuous—that is, uninterrupted in time and sequence—but lacked the “coherent whole” that characterizes a continuum.3


지속성에 대한 중요 요구사항 실현: 왜 지금일까요?

Realizing the Critical Need for Continuity: Why Now?


21세기 초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원동력은 care quality에 대한 대중의 항의였다.4 CBME 시스템을 구현하려는 시도는 훈련과 연습의 단계 내 및 전체에서 연속성의 결여를 강조하였다. CBME는 Flexner에 의해 주창된 [시간-고정된 교육 및 훈련]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온 결과에 도전하였다. [시간 고정 훈련]에서 보장되는 유일한 결과는 [학생마다 다른 성과]일 뿐이었다.

A driving force for the paradigm shift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was the public outcry regarding care quality.4 Attempts to implement a CBME system underscored the lack of continuity within and across the phases of training and practice. CBME challenged the long-standing outcome of fixed time education and training advocated by Flexner, the only guaranteed result of which is variable outcomes.1


이 시스템의 커리큘럼은 인구집단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며, 의사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5 이러한 backward visioning process ("처음부터 최종 상태를 염두에 두고 시작")은 연속체에 걸친 공통적인 비전과 매끄러운 전환을 의미한다.6

Curriculum in this system, is driven by the needs of populations and the desired outcomes physicians must demonstrate to meet those needs.5 This backwards visioning process—“starting with the end in mind”—begs for a common vision and seamless transitions across the continuum.6


이는 학습자가 다음 레벨로 전환하기 전에 필수 역량에서 필요한 performance level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 가변성을 허용한다. 전국의 모든 의대생들이 [졸업을 하는 해 7월 1일에] 레지던트 훈련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모든 역량을 어느 정도 달성할리가 만무하다.

It allows for the time variability that is needed for learners to reach the necessary performance levels in the requisite competencies before transitioning to the next level. The notion that every medical student across the nation has somehow achieved all the competencies necessary to start residency training on July 1 of their graduation year is magical thinking.



연속성이 없는 "연속성"의 결과

Consequences of a “Continuum” Without Continuity


인구의 건강 요구를 충족시키는 practice의 바람직한 outcome과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커리큘럼을 reverse engineering하는 데 초점을 둔다면, transition에 따른 커리큘럼의 misalignment은 [역량의 추구]를 어렵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필요한 역량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영역은 커리큘럼이 연속체에 걸쳐 align될 것을 요구한다.

With a focus on the desired outcomes of practice that meet populations’ health needs and a reverse engineering of the curricula needed to achieve that end, the misalignment of curricula across transitions makes the pursuit of competence elusive, negatively impacting both patients and learners. The broad and diverse domains of required competencies necessitate that curricula be aligned across the continuum.


연속성의 부족은 우리의 학습자와 환자에게 많은 해를 끼쳤다.

The lack of continuity has resulted in a number of harms to our learners and patients.



위험 #1: 위상 내 연속성 부재

Harm #1: Absence of continuity within phases


UME에서, 커리큘럼의 수직적 및 수평적 통합은 역량 개발을 향상시키고 학습을 강화시키는 반면, 그러한 연속성의 부재는 반대로 학습 능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학습자를 harm 한다.7 예를 들어 의과대학에서 기초과학과 임상과학의 분리는 우리가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해 이치에 맞지 않는다. 기초과학 원리를 임상 의학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은 retention을 크게 향상시킨다.8

In UME,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integration of curricula enhance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and reinforce learning, while the absence of that continuity, by contrast, “harms” learners by impairing their capacity to learn.7 As an example, the separation of the foundational sciences from the clinical sciences in medical school makes no sense for how we learn. The ability to immediately apply basic science principles to clinical medicine significantly improves retention.8


예를 들어 심혈관 검사를 가르치는 동시에 심장의 해부학과 생리학을 가르치는 것이 더 이치에 맞으며, 학생들이 수직 통합이라는 교육적 원리에 따라 시뮬레이션 실험실에서 정상적이고 병리적 상태를 practice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이치에 맞다.9

for example, it makes more sense to teach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heart at the same time you teach the cardiovascular examination and allow students to practice with normal and pathological states in a simulation lab, an educational principle called vertical integration.9


또한 현재 우리의 임상실습의 편화(일반적으로 의과대학 3학년)도 우리가 배우는 방법과 잘못 정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각각의 임상실습(예: 내과, 소아과)에서 병력청취와 신체 검사를 "배울 것"을 기대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통합적 1차 치료 임상 경험에서 학습의 시너지 효과를 상상해 보십시오. 여기서는 학생이 유아, 아동, 청소년 및 노인 환자에 대한 병력청취와 신체 검사를 수행하고, 그 후 throughout the experience에 걸쳐 practice할 것이다 (수평적 통합).10

Additionally, the current fragmentation of our clinical clerkships (generally in the third year of medical school) is also misaligned with how we learn. We expect that students will “relearn” the history and physical exam, for example, in each subsequent clerkship (e.g.,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In contrast, imagine the synergy of learning in an integrated primary care clinical experience, where a student learns to perform a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on an infant, child, young adult, and geriatric patient and then practices throughout the experience (horizontal integration).10


유해 #2: 지속적이고 의미 있는 관계의 부재

Harm #2: Absence of sustained, meaningful relationships


편화된 연속체에서 학습자에게 발생하는 또 다른 해악은 관계 형성에 방해가 된다는 것이다.

Another harm that comes to learners in a fragmented continuum is the disruption to forming relationships—


학습자가 고기능 팀에서 활동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피드백을 제공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팀원들과의 관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11 그러나 여전히 UE와 GME에 만연하고 있는 블록 로테이션 모델은 이러한 필수적인 능력을 약화시킨다. 베르나베오 등은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실시한 정성적 연구에서, "빈번한 transition이 환자와 관계를 맺는 그들의 능력을 얼마나 떨어뜨렸는가"를 기술했다. 교수들의 "on service" 시간이 점점 짧아지면서, 학생 및 레지던트의 스케줄과 sync가 맞지 않았고, 이것도 관계 발전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

If we expect learners to work in high-functioning teams, they need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their team members to enable the provision and acceptance of feedback.11 The block rotation model that still pervades UME and GME, however, undermines this essential ability. In a qualitative study by Bernabeo et al,12 residents described how “frequent transitions detracted from their ability to relate to patients.” The increasingly short duration of faculty “on service” time, often out of sync with the schedules of students and residents, also contributes to the harmful effect on relationship development.


마지막으로, 2003년에 근무 시간 제한이 도입되어 레지던트와 펠로우 사이에 더 많은 환자 인계 작업이 필요하게 되면서 블록 로테이션으로 인해 발생한 환자들과의 일시적인 관계의 기존 문제가 악화되었다.13 은유적으로 말하면, 수많은 병동입구의 입구였던 이중 문이 회전문으로 교체된 것이다.

Finally, the introduction of duty hours restrictions in 2003, requiring more patient handovers among residents and fellows, exacerbated the existing problem of transient relationships with patients that occurred because of block rotations.13 Metaphorically speaking, the double doors marking the entrance to so many inpatient units have been replaced by revolving doors.


이러한 지속적이고 의미 있는 관계의 부재는 완화될 수 있다. UME의 임상 몰입 경험에 대한 혁신적인 지속적 접근방식에 따르면, 이것이 학습과 전문적인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14,15 LICs에서 Hirsh 등 16은 학생들이 [환자와의 관계가 환자의 웰빙에 실질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인지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과 preceptor와의 관계가 더 많은 피드백과 멘토링을 유도하는 것 같다. 학습자와 교사 모두 [타당성, 숙련도 평가 품질, 제공된 건설적 피드백]을 토대로, 블록형 임상실습보다 LIC에서 평가를 선호했다.17

This absence of sustained, meaningful relationships can be mitigated. Early experience, over three continents, with an innovative continuous approach to the clinical immersion experience in UME called the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 (LIC), has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14,15 In LICs, Hirsh et al16 demonstrated that students perceived thei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s having a real impact on their patients’ well- being and that their relationships with preceptors resulted in more feedback and mentoring than a comparison group. Both learners and preceptors favored evaluation in the LIC over the block clerkship based on validity, quality of skill assessment, and the constructive feedback provided.17



상처 #3: 공감의 감소

Harm #3: Decline in empathy


UME에서 학습자에게 발생하는 세 번째 해악은 공감의 감소다. 관계와 피드백에 대한 효과 외에도, LIC 학생들은 LIC가 완성될 때 공감 점수의 증가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점수의 감소를 보여준 전통적인 임상실습을 완료하는 학생들과 대조적이다. 더우기,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가 OSCE나 NLE에서 기존 수준 또는 기존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으면서 발생했다.

A third harm that comes to learners in UME is a decline in empathy. In addition to the effects on relationships and feedback, LIC students also demonstrated an increase in empathy scores at the completion of the LIC in contrast to students completing a traditional clerkship year, who demonstrated a decrease in scores.16 Moreover, these positive results occurred in the face of maintaining or surpassing scores on local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and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s.


유해 #4: 사망률 증가

Harm #4: Increase in mortality


가장 우려되는 것은 Denson 외 연구진(19)이 짧은 로테이션의 네 번째 위해harm로 지적하였다. 즉 인턴이 한 로테이션에서 다른 로테이션으로 전환할 때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23만 명 이상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그들의 연구는 레지던트 전용 전환과 대조군에 비해 인턴 전환 및 인턴+레지던트의 전환과 관련된 병원 내 사망률이 훨씬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Most concerning, Denson et al19 demonstrated a fourth harm of brief block rotations: an increase in mortality at times of intern transition from one rotation to another. Their study of over 230,000 adult patien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in-hospital mortality associated with intern transitions and intern-plus-resident transitions as compared with resident-only transitions and controls.




역량 기반 교육을 통한 지속성 구축

Building Continuity Thr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CBME의 완전한 구현은 연속체 전체에 걸쳐 연속성을 보장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우리는 이미 그러한 제도를 시행하는 데 많은 진전을 보았다; 우리는 [21세기에 의사의 필수적인 역량의 delineation]이라는 첫 단계를 마쳤다.

The full implementation of CBME provides a path to ensuring continuity across the continuum. We have already come a long way toward implementing such a system; we have completed the first step—the delineation of the requisite competencies of a doctor in the 21st century.5


역량은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를 통합하는 특정 활동과 관련된 보건 전문가의 관찰 가능한 능력"으로 정의된다.20 역량의 예는 "환자에 대한 필수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는다."가 있다.21

A competency is defined as “an observable ability of a health professional related to a specific activity that integrate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20 An example of a competency is “gather essential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21


CBME 시스템의 완전한 구현을 위한 두 번째 단계는 역량에 대한 퍼포먼스 수준의 개발이다.5 각 역량에 대한 마일스톤은 "발달 연속체를 따라 개인의 능력을 관찰할 수 있는 표식"으로 정의된다.20 이러한 서술적 설명은 [특정 성과 수준에서 관찰할 행동]의 공유된 정신적 모델을 제공한다. 

The second step toward full implementation of a CBME system is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levels for the competencies.5 Milestones for each of the competencies are defined as an “observable marker of an individual’s ability along a developmental continuum.”20 These narrative descriptions provide a shared mental model of the behaviors one would observe at a specific performance level.


세 번째 단계는 역량 및 평가 프레임워크를 가르치는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것이다.5 주요 장벽 중 하나는 역량의 평가였다.28 역량은 추상적이면서도 맥락에 의존적이지 않아야 하므로 평가하기 어렵다. 그들은 또한 우리가 주로 모든 수준에서 학습자들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방식과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이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평가와 커리큘럼 개발의 틀로서 위임 가능한 전문 활동(EPA)을 도입하는 것이었다.29

The third stage of implementation requires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to teach the competencies and a framework for assessment.5 One of the main barriers has been the challenge of assessing competence.28 Competencies are both abstract and context independent, making them difficult to assess. They also do not seamlessly align with the way that we predominantly teach and assess learners at all levels. One solution to this problem has been the introduction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s a framework for both assess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29


Core EPAs는 미국 의과대학 협회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많은 의과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다.30,31

The Core EPAs for Entering Residency (Core EPAs) were developed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nd are being implemented at many medical schools.30,31


직접적인 연계의 예로는 Core EPA에서 "전문간 팀의 일원으로 협력"과 소아 EPA에서 "전문직 간 팀을 이끈다"가 있다

An example of a direct link would be 

  • the Core EPA “collaborate as a member of an interprofessional team” and 

  • the pediatric EPA “lead an interprofessional team.” 

기본블록의 예로는 소아 EPA가 "우수한 어린이들을 위한 의료 가정 제공"에 기초하는 Core EPA "공통 진단 및 선별 테스트 권장 및 해석"이 있다.

An example of a foundational building block would be 

  • the Core EPA “recommend and interpret common diagnostic and screening tests” 

  • which is foundational to the pediatric EPA “provide a medical home for well children.”


EPA와 역량/마일스톤 프레임워크의 통합은 연속체에 걸쳐 평가 프로그램을 정렬해야 하는 과제에 대한 잠재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위탁을 유도하는 감독 척도 수준과 같이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의 유형을 UME 및 GME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실무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평가를 위한 교수개발을 단순화한다.33,40

The integration of the EPA and competency/milestone frameworks provides a potential solution to the challenge of aligning a program of assessment across the continuum. The types of tools developed to assess learners, such as level of supervision scales leading to entrustment, can be used in UME and GME and ultimately even practice, simplifying faculty development for assessment.33,40


위에서 설명한 실행 계획에서 가정으로 전달되는 한 가지 메시지는, 그것이 [평가의 developmental model]과 [longitudinal experience]의 이상적인 결합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LIC 또는 longitudinal ambulatory block과 같은 종방향 경험은 EPA, 역량, 이정표의 프레임워크에 구축된 역량 기반 평가 시스템에 이상적인 setting을 제공한다. 잉글랜더와 ten Cate는 LICs와 EPA를 "완벽한 조합"이라고 부르기까지 했다.

One take-home message from the implementation scheme outlined above is the extent to which it underscores the ideal marriage of longitudinal experiences with a developmental model of assessment. Longitudinal experiences, such as an LIC or a longitudinal ambulatory block, provide the ideal setting for a competency- based assessment system that is built on a framework of EPAs, competencies, and milestones. Englander and ten Cate43 have gone so far as to call LICs and EPAs “the perfect match.”


파이널 프런티어: 교육훈련의 시간변동향

The Final Frontier: Time Variability in Education and Training


시간 변동성은 우리의 의학교육 시스템이 가진 적응력에 대한 궁극적인 테스트가 될 것이지만, 결국 그것은 모든 학습자들이 그들의 직업 전반에 걸쳐 어떤 전환이나 어떤 새로운 과제에 대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것은 위압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다음의 관찰은 우리에게 큰 희망을 준다. 이전 모델("Flexner-type, 고정 시간")에서 역량 기반 교육이 채택된 프로그램에서 역량 달성에 필요한 평균 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44,45 

Time variability will be the ultimate test of the capacity of our medical education system to adapt, but in the end it is the only way to ensure that all learners are prepared for any transition or any new task throughout their careers. This may seem daunting, but the following observation gives us great hope. In programs where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adopted in a previous model (“Flexner-type,” fixed time), the average time to competence has tended to decline.44,45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학습자가 미리 정해진 정해진 시간보다 적은 시간에 필수 역량을 보여줄 것임을 의미한다. 만약 시스템상으로 아직 그 시점에서 easy transition이 가능하지 않다면, 우리는 적어도 그러한 학습자들이 전문지식을 향한 발달적 연속체를 따라 더 진보할 수 있는 advanced opportunities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중요한 측면은 발달을 위해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한 학습자들과, 이 학습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적응성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반드시 달성해야 할 것은 단순히 훈련 시간에 근거하여, transition에 필요한 요건을 입증하지 못한 학습자들을 transitioning하는 관행을 제거하는 것이다.

Ultimately, this means that most learners will demonstrate the requisite competencies in advance of the predetermined, fixed time. If the system has not yet adapted to allow easy transition at that point, we can at least provide advanced opportunities for those learners to progress along the developmental continuum toward expertise. The more important aspect will be for those few learners who need additional time to develop and the adaptability of the system to accommodate them. What we must accomplish, however, is eliminating the practice of transitioning learners who have not demonstrated the requirements for that transition simply based on their time in training.


CBME를 완전히 구현하기 위한 네 번째이자 마지막 단계인 프로그램 평가는 CBME의 궁극적인 성공에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알려진 harm을 완화시켰는지 영구화시켰는지 알 수 없는 것을 식별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실수로부터 배우고 우리가 한 일을 개선할 기회를 준다. 그래야만 우리는 "CBME이 더 나은 의사들을 만든다는 증거는 어디에 있는가?"라는 지난 17년의 메아리치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

Program evaluation, the fourth and final step to full implementation of CBME, will be critical to its ultimate success.5 This is the only way we will know whether we have mitigated or perpetuated the harms that are known and identify any that are unknown. This gives us the chance to learn from our mistakes and improve on what we have done. Only then can we answer the echoing question of the last 17 years: “Where’s the proof that CBME makes better doctors?”46


이 산을 옮기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What Will It Take to Move This Mountain?


우리는 교육, 훈련, 연습 연속체의 연속성이 결여된 결과에 대해 반성했다.

We have reflected on the consequences of the lack of continuity in the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continuum.


커리큘럼은 모든 단계에서 인구집단의 요구에 근거하기보다는 여전히 전문가의 의견에 의해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커리큘럼이 잘못 정렬되면 전환 과정 전반에서 학습을 강화할 기회가 낭비된다. 커리큘럼에 대한 블록 접근방식은 환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 그리고 교훈자와 학습자 사이의 관계 개발을 방해한다. 전자는 환자의 불만족으로 이어지고 후자는 수용자 피드백의 거부로 이어진다. 의료의 품질에 중요한, 고기능 팀 개발에 필요한 관계를 구축할 기회는 없다. 관계를 발전시킬 기회가 없는 학습자들은 공감의 침식을 보여준다. 그리고 최근의 문헌에 의하면 인턴 전환 기간 동안 더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19

The curriculum is often still driven by expert opinion rather than by the needs of populations at all phases. The resulting misalignment of the curriculum across phases wastes the opportunity to reinforce learning across transitions. A block approach to curriculum interferes with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s and learners and between preceptors and learners. The former leads to patient dissatisfaction and the latter to rejection of preceptor feedback. Although care quality depends on it, there is no opportunity to build the relationships that are necessary for developing high-functioning teams. Learners who do not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relationships demonstrate an erosion of empathy. And recent literature suggests a higher mortality during times of intern transitions.19


우리가 진정으로 학습자에게 고부가가치 교육을 제공하는 의료 교육 및 훈련 시스템을 만들어 환자에게 고부가가치 진료를 제공하기를 원한다면 연속성을 계속해야 한다.

We must put continuity into the continuum if we want to ever truly create a system of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that provides high- value education to learners so that they can deliver high-value care to patients.




 2018 Mar;93(3S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S12-S16. doi: 10.1097/ACM.0000000000002071.

Lack of Continuity in EducationTraining, and Practice Violates the "Do No HarmPrinciple.

Author information

1
R. Englander is associate dea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Minneapolis, Minnesota. C. Carraccio is vice president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orth Carolina.

Abstract

The paradigm shift to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under way, but incomplete implementation is blunting the potential impact on learning and patient outcomes.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BME call for standardizing outcomes addressing population health needs, then allowing time-variable progression to achieving them. Operationalizing CBME principles requires continuity within and across phases of the educationtraining, and practice continuum. However, the piecemeal origin of the phases of the "continuum" has resulted in a sequence of undergraduat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to practice that may be continuous temporally but bears none of the integration of a true continuum.With these timed interruptions during phase transitions, learning is not reinforced because of a failure to integrate experiences. Brief block rotations for learners and ever-shorter supervisory assignments for faculty preclude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Without these relationships, feedback falls on deaf ears. Block rotations also disrupt learners' relationships with patients. The harms resulting from such a system include decreases in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ir care and learner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Learners in this block system also demonstrate an erosion of empathy compared with those in innovative longitudinal training models. In addition, higher patient mortality during intern transitions has been demonstrated.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system is violating the first principle of medicine: "Do no harm." Full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and training, with fixed outcomes aligned with population health needs, continuity in learning and relationships, and support from a developmental program of assessment, holds great potential to stop this harm.

PMID:
 
29485481
 
DOI:
 
10.1097/ACM.0000000000002071


의학에서 역량바탕교육의 정의를 향하여: 체계적 문헌고찰(Med Teach, 2010)

Toward a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definitions

JASON R. FRANK1, RANI MUNGROO2, YASMINE AHMAD3, MIMI WANG4, STEFANIE DE ROSSI5 & TANYA HORSLEY6






도입

Introduction


역량 기반 프로그램의 의도된 산출물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지역적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정의된 숙련도 수준에서 의학을 실천할 수 있는 보건 전문가]이다....하나의 정의가 있다고 제안하는 것은 무의미할 것이다. (McGaghie 등, 1978년, 페이지 18년)

The intended output of a competency-based programme is a health professional who can practice medicine at a defined level of proficiency, in accord with local conditions, to meet local needs ...It would be pointless to suggest that there is a single definition. (McGaghie et al. 1978, p. 18)


그러나, 이 문헌은 또한 건강 직업에서 '역량 기반 교육'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을 설명한다(McGaggie et al. 1978; Leung 2002).

However, the literature also describes an ongoing debate about what exactly is meant by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McGaghie et al. 1978; Leung 2002).


한눈에 봐도, 지금까지의 문헌은 현저하게 다양하며, 모델과 논평에 크게 비중을 두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의학 교육의 증거 기반을 전반적으로 강화하자는 최근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아직 진전은 suboptimal하다(Chen et al. 2004).

At a glance, the scholarship to date appears remarkably diverse and heavily weighted to models and commentaries. Despite recent proposals to enhance the evidence base of medical education in general, progress is suboptimal (Chen et al. 2004).


방법

Methods


공통의 정의(Ainoda et al. 2005; Oh et al. 2005)를 만들기 위한 다른 체계적인 검토에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정의를 제공하는 CBE와 관련된 학술적 출처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실시했다.

Using methods similar to those used in other systematic reviews intended to create common definitions (Ainoda et al. 2005; Oh et al. 2005),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inquiry of the scholarly sources related to CBE that provided definitions in English or French.


Inclusion/exclusion criteria



Search strategy



Selection methods


Data extraction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검토에 포함된 문헌 개요

Overview of literature included in the review


정의의 길이는 13 단어에서 205 단어 사이였다. 출판 연도는 수십 년 동안 검색되었으며, 2000년과 2009년 사이에 출판된 간행물의 대다수는 (74.6퍼센트), 2005년 이후로는 44.5퍼센트였다(그림 2 참조).

Definitions ranged in length between 13 and 205 words. Year of publication spanned all decades searched, the majority (74.6%) being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9, and 44.5% since 2005 (see Figure 2).



반복 CBE 테마 식별

Identifying recurring CBE themes


173개 포함 정의에 대한 엄격하고 철저한 정성적 분석에 따라, 6개의 서술적 하위 테마(결과 정의, 역량 커리큘럼, 시연 가능, 평가, 학습자 중심 및 사회적 필요성)를 포함하는 4개의 주요 주제(조직 프레임워크, 이론적 근거, 시간과의 대비, CBE 구현)를 식별했다. 주제와 광범위한 분류의 요약은 빈도수와 함께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Following a rigorous and tho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173 included definitions, we identified 4 major themes (organizing framework, rationale, contrast with time, and implementing CBE), which included 6 descriptive sub-themes (outcomes defined, curriculum of competencies, demonstrable, assessment, learner-centred and societal needs). A summary of themes and broad categorizations, along with frequency counts, are presented in Table 2.


원본 정의를 포함하는 기록은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식별된 정의는 표 4의 테마에 의해 코드화된다. (표 3과 4는 온라인 www.medicalteacher.org.)에서 이용할 수 있다.

Records containing original definitions are presented in Table 3; these identified definitions are coded by theme in Table 4. (Tables 3 and 4 are available online at www.medicalteacher.org.)



고찰

Discussion


의학의 CBE 요소

The elements of CBE in medicine


의학 CBE 문헌에는 커다란 이질성이 있다.

There is great heterogeneity in the medical CBE literature,


거의 모든 출판물은 CBE가 [사전에 정의된 졸업성과에 대한 헌신을 조직원리](표 2의 주제 1)로 한다는 것이 CBE를 특징짓는 접근법이라는 기본 생각을 강조하였다(Harden et al.199a). 이 검토의 최종 선택에 포함된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식별하고 정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설명했다(Harden et al. 1999b). 저자들은 또한 '역량의 진전progression'라는 개념을 집단적으로 홍보했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일련의 정의된 이정표를 따라 훈련의 명확한 성과 목표(테마 1a)로 나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레인과 로스 1994b; 반디에라 & 렌드럼 2008). 이것은 Ben-David(1999년)은 이렇게 말한다. "성과 기반 프레임워크는 성과를 향해 나아가는 progression의 레벨에 대해서 사전에 정의된 scheme이 있어야 한다"

Nearly every publication emphasized the cardinal idea that CBE is a distinct approach because of its dedication to predefined graduate abilities as the organizing principle (theme 1 in Table 2) (Harden et al.1999a). The papers included in the final selection for this review described a variety of methods for identifying and defining these outcomes (Harden et al. 1999b). The authors also collectively promoted the concept of ‘‘progression of competence,’’ meaning that learners advance along a series of defined milestones on their way to the explicit outcome goals of training (theme 1a) (Lane and Ross 1994b; Bandiera & Lendrum 2008). This is articulated by Ben-David (1999): ‘‘Outcome-based frameworks require a defined scheme of levels of progression towards the outcome.’’


CBE에서, 교육과정 및 평가는 프로그램 성과와 마일스톤에 대해서 사전에 정의된 표준에 따라 구성되어야 한다(Craton & Mateson 1993; Lane & Ross 1994; Martin et al. 1998; Harden et al. 1999a). 확인된 정의 중 다수는 또한 보건 직업에 CBE를 채택하는 근거에 대한 주장rationale을 포함했다(테마 2)(Newble et al. 2005).

In CBE, it is suggested that curriculum and assessment are to be organized around the defined standards of the program outcome abilities and their milestones (Craton & Matheson 1993; Lane & Ross 1994; Martin et al. 1998; Harden et al. 1999a). Many of the identified definitions also included arguments as to the rationale for adopting CBE for the health professions (theme 2) (Newble et al. 2005).


CBE를 도입하는 것은 [그 노력이 사회적 또는 환자의 요구에 부합한다는 것]이 채택의 주요 근거였다(Long 2000; Davis & Harden 2003; Lee 2003). 저자들은 환자에게 가장 잘 봉사serve하는 데 필요한 역량에 따라 조직되는 CBE 프로그램이 대중에게 더 큰 책임이 있는 시대에 올바른 선택이라고 주장했다(Glasgow et al. 2006). 또한 여러 저자들은 학습자 중심성(테마 2a)을 강조했다: 

    • 커리큘럼 구성의 유연성, 

    • 표준, 목표, 절차의 투명성, 

    • 학습자의 참여 확대, 

    • 학습자가 자신의 페이스에 따라 진행 

That all of the efforts to employ CBE would be aligned with societal or patient needs was a major rationale for adoption (Long 2000; Davis & Harden 2003; Lee 2003). Authors argued that a CBE program, when organized around the competencies needed to best serve patients, is the right choice in an era of greater accountability to the public (Glasgow et al. 2006). Furthermore, several authors (e.g., Broski et al. 1977; Demczuk 2009 et al.; Levinson 2009) emphasized the attraction of learner-centredness (theme 2a): 

    • greater flexibility in organizing a curriculum, 

    • greater transparency of standards, goals and procedures, 

    • greater engagement of learners, and 

    • the ability of learners to progress at their own pace.


학습자 중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 번째 주요 주제인 시간과 프로세스 기반 훈련을 강조하지 않는다는 약속도 CBE의 정의에서 두드러졌다(예: 브라운 외, 1973년, 웨인슈타인 & 러셀 1976년, 보티첼리 & 앤더슨 1981년, 카라치오 외, 2002년).

Closely related to learner-centredness, the third major theme, the promise of de-emphasizing timeand process-based training, was also prominent in the definitions of CBE (e.g., Brown et al. 1973; Weinstein & Russell 1976; Botticelli & Anderson 1981; Carraccio et al. 2002).


마지막으로 CBE에 대해 확인된 여러 설명에서는 교수진 개발 및 참여, 새로운 평가 방법, 변화 관리, 자원 등과 같이 CBE접근방식을 성공적으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Finally, several of the identified descriptions of CBE emphasized elements (theme 4) needed to successfully implement this approach, such as faculty development and engagement, new assessment methods, change management, and resources (Broski et al. 1977; McGaghie et al. 1978).


의학의 CBE 정의에 대하여

Toward a definition of CBE in medicine


우리는 의료 교육을 위한 CBE에 대한 제안된 21세기 정의를 개발했다.

we have developed a proposed 21st century definition of CBE for medical education, namely:


CBE(Competency-based Education)는 의사를 practice에 준비시키는 접근방식으로서, 근본적으로 졸업성과능력을 지향하며, 사회 및 환자 니즈의 분석에서 역량을 중심으로 조직된다. CBE는 시간 기반 훈련을 탈강조하며, 유연성을 약속하며, 더 많은 책무성과 학습자 중심성을 강조한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is an approach to preparing physicians for practice that is fundamentally oriented to graduate outcome abilities and organized around competencies derived from an analysis of societal and patient needs. It deemphasizes time-based training and promises flexibility, and greater accountability, learner centredness.


Study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


우리는 10가지 핵심 테마를 식별하고 CBE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기 위해 교육자가 고려해야 할 CBE의 작업 정의를 제안한다.

We identified 10key themes and propose a working definition of CBE that should be considered by educators to advance the discourse on CBE in medicine.






 2010;32(8):631-7. doi: 10.3109/0142159X.2010.500898.

Toward a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definitions.

Author information

1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Canada. jfrank@royalcollege.ca

Abstract

BACKGROUND: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has emerged in the health professions to address criticisms of contemporary approaches to training. However, the literature has no clear, widely accepted definition of CBE that furthers innovation, debate, and scholarship in this area.

AIM:

To systematically review CBE-related literature in order to identify key terms and constructs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a useful working definition of CBE for medical education.

METHODS:

We searched electronic databases and supplemented searches by using authors' files, checking reference lists, contacting relevant organizations and conducting Internet searches. Screening was carried out by duplicate assessment, and disagreements were resolved by consensus. We included any English- or French-language sources that defined competency-based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summarized descriptively.

RESULTS:

We identified 15,956 records for initial relevancy screening by title and abstract. The full text of 1,826 records was then retrieved and assessed further for relevance. A total of 173 records were analyzed. We identified 4 major themes (organizing framework, rationale, contrast with time, and implementing CBE) and 6 sub-themes (outcomes defined, curriculum of competencies, demonstrable, assessment, learner-centred and societal needs). From these themes, a new definition of CBE was synthesized.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of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related to CBE definitions. The themes and definition identified should be considered by educators to advance the field.

PMID:
 
20662573
 
DOI:
 
10.3109/0142159X.2010.500898


의학의 시간-변동 훈련: 이론적 고려사항 (Acad Med, 2018)

Time-Variable Training in Medicin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lle ten Cate, PhD, Larry D. Gruppen, PhD, Jennifer R. Kogan, MD, Lorelei A. Lingard, PhD, and Pim W. Teunissen, MD, PhD




20세기 교육 이론이 대두된 이후, 연구자들은 시간, 노력, 그리고 학습의 관계를 연구해왔다.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훈련 프로그램의 선택된 길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잘 논의된 적이 없다. 예를 들어, 비슷한 신체 부위의 질병과 기능장애에 초점을 맞춘 치과 및 안과 전문의의 훈련 기간 차이(미국에서는 각각 8년과 12년, 유럽에서는 5년, 6년, 11년)는 근거기반의 결정이라기보다는 역사의 유산이다.

Since the rise of educational theory in the 20th century,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effort, an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rationale underpinning the chosen length of training programs has never been well argued.6 As an example, the difference in training length for specialists in dentistry and ophthalmology (in the United States, 8 vs 12 years after secondary school, respectively; in Europe, 5 or 6 vs 11 years)—both specialties that focus on disease and dysfunction in a similarly sized segment of the body—is a legacy of history more than an evidence- informed decision.


캐럴 모델: 배움의 공식에 시간을 넣는 것

The Carroll Model: Putting Time in the Equation of Learning


역량과 성과 기반 교육의 근원은 교육학자 Ralph Tyler.10 에 의해 시작된 2차 세계대전 후 교육목적에 관한 교육적 사고에서 발견될 수 있다. Tyler는 학교는 자신의 목적을 재고하고, 목적을 향해 학습자들의 경험을 조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Tyler의 작업은 의학교육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그가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와 의료 훈련 목표를 정의하기 위하여 밀접하게 함께 작업했기 때문이다. 타일러의 통찰력 뒤에 교육목표의 분류법을 확장하는 벤자민 블룸의 연구가 뒤따랐다.12,13

The roots of competency- and outcomes- based education may be found in the educational thinking that emerged in the post–World War II period around educational objectives, initiated by educational scientist Ralph Tyler.10 Tyler proposed that schools should rethink their purpose and organize learners’ experiences toward those purposes.11 His work affected medical education as he worked intimately with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to define objectives for medical training. Tyler’s insights were followed by Benjamin Bloom’s work expanding taxonomies of educational objectives.12,13


일단 교육의 목표가 받아들여지자, 교육심리학자 존 캐롤은 적성과 인내력을 포함하는 교육 모델을 제안했다. 캐롤은 [발생한 학습의 정도]는 [학습자가 투입한 시간]과 [학습자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함수라고 제안했다. 즉, 학습 효과 = f(투입한 시간/필요한 시간) 즉, 학습자는 주어진 과제를 배우는 데 필요한 시간 대비 얼마나 학습에 시간을 투입했느냐에 따라 학습하는데, 이 '필요한 시간'이 학습자마다 다르다. 오직 개별적인 요인에만 초점을 맞춘 이 일반적인 사고는 1960년대와 1970년대 행동주의 교육 이론에 널리 영향을 미쳤으며 당시 의학 훈련에도 적용되었다.17

Once objectives for education became accepted, John Carroll, an educational psychologist, proposed an educational model that included aptitude and perseverance. He proposed that the degree of learning that occurs is a function of the time spent by the learner and the time needed by the same learner to attain an educational objective— that is, learning effect = f (time spent/time needed). In other words, a learner succeeds in learning a given task to the extent that he or she spends the amount of time that he or she requires to learn the task, which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14–16 This general thinking, which focuses solely on individual factors, had pervasive influence on behaviorist educational theory in the 1960s and 1970s and was also applied to medical training at that time.17


숙달된 학습, 신중한 실습 및 학습 곡선

Mastery Learning, Deliberate Practice, and Learning Curves


캐럴 모델은 이후 블룸18에 영감을 주어고, 의학교육자들의 관심을 빠르게 사로잡은 개념인 숙달학습이라고 불리는 교육 모델을 개발하게 했다.19 마스터리 러닝은 행동주의 원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1980년대에 성공으로 자리매김했다. 학습 효과는 잘 문서화되어 있으며, 특히 인지 영역20.21 숙달 학습에서 학습자는 반복적인 실습에 참여하여 학습 경험 중 피드백을 받는 동시에 난이도가 증가하는 과제를 수행한다. 숙달 학습 프로그램에서 목표하는 학습 성과는 균일하다. 즉 학습자들 간에 차이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중요한 것은, 표준화된 결과를 얻기 위한 교육 시간은 학습자들 사이에서 다양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Carroll model subsequently inspired Bloom18 to develop a model of education called mastery learning, a concept that quickly caught the attention of medical educators.19 Mastery learning is rooted in behaviorist principles and established itself as successful in the 1980s. Its learning effects are well documented, particularly in the cognitive domain.20,21 In mastery learning, learners engage in repetitive practice, practicing tasks with increasing levels of difficulty while receiving feedback during the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outcomes from mastery learning programs were meant to be uniform—that is, with little or no variation among learners. Importantly, educational time to achieve standardized outcomes was expected to vary among learners.


시뮬레이션 기법의 확대로, 숙달된 학습은 의학 교육에서 부활을 누렸다.22–24 McGaghie 외 연구진 25,26은 이 맥락에서 숙달 학습의 7가지 특징을 설명했다(목록 1 참조). 숙달 학습에 구성요소로 중 [필요시간의 다양성]은 일곱 번째 특징에서 파악된다(목록 1 참조).

With the expansion of simulation techniques, mastery learning has enjoyed a revival in medical education.22–24 McGaghie et al25,26 described seven features of mastery learning in this context (see List 1). Time variation as a necessary component of mastery learning is captured in the seventh feature (see List 1):


McGagghie 외 연구 결과에 기초한 마스터 학습의 특징 목록 개요

List 1 Features of Mastery Learning, Based on the Work of McGaghie et al25


1. 숙달된 학습 코스는 기준선 또는 엔트리 레벨 진단 테스트로 시작해야 한다.

2. 본 코스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어려움에서 단위로 배열된 명확한 학습 목표를 명시해야 한다.

3. 목표 달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 활동(예: 계획적인 기술 연습, 계산, 데이터 해석, 읽기)에 참여해야 한다.

4. 각 교육 단위에 대해 최소 합격기준(예: 시험점수)을 정한다.

5. 형태별 시험은 반드시 학습자에게 단위 완료에 대해 알려야 한다.

6. 다음 교육단위로의 발전은 이전 단위가 숙달기준 이상에서 완료되는 것에 달려있다.

7. 숙달된 표준에 도달할 때까지 교육 단위에 대한 지속적인 연습이나 학습이 있어야 한다.


1. A mastery learning course should start with baseline or entry-level diagnostic testing.

2. The course must state clear learning objectives, sequenced as units usually in increasing difficulty.

3. There must be engagement in educational activities (e.g., deliberate skills practice, calculations, data interpretation, reading) focused on reaching the objectives.

4. For each educational unit, a minimum passing standard is set (e.g., test score).

5. Formative testing must inform the learner about unit completion.

6. Advancement to the next educational unit is contingent upon completion of the previous unit at or above the mastery standard.

7. There must be continued practice or study on an educational unit until the mastery standard is reached.



숙달 학습은 모든 학생을 위한 유사한 시험으로 측정해야 하는 표준화된 성과 목표를 설정하는 반면에, 의도적 연습에 기초한 에릭슨의 전문가 퍼포먼스 접근은 개개인에게 [재현 가능한 우수한 성과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Whereas mastery learning sets standardized performance goals to be measured with similar tests for all students, Ericsson’s expert 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is focused on developing reproducibly superior performance in an individual.


에릭슨은 타고난 재능보다는 의도적 연습이 전문가 수행의 핵심이라고 제안했고, 이는 합당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전문가 수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Ericsson proposed that, rather than innate talent, deliberate practice is the key to expert performance,28 which implies that anyone with reasonable capability can attain expert performance goals.


보다 최근에 Ericsson28은 의도적 연습을 동반하는 전문가 퍼포먼스 접근법을 의사의 훈련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 숙달학습은 단기적 목표(예: 중앙 정맥 카테터 삽입 마스터)를 제공하는 반면에, 

  • 전문가 성과 접근법은 학습자가 직업 경력 동안 통합된 스킬 획득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장기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ore recently, Ericsson28 described how the expert 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could be applied to physicians’ training. 

  • Whereas mastery learning provides short-term goals (such as mastering the insertion of a central venous catheter), 

  • the expert performance approach aims to attain long-term goals to help learners continue with integrated skill acquisition throughout their professional careers.


의도적 연습29에 대한 조건이 학습자에 의해 적용되고 교육적인 맥락에서 지원된다면, 그것들은 시간 효율적인 기술 습득으로 이어져야 한다. 의도적 연습의 필수요소는 다음과 같다. 

  • 확한 성과 목표, 

  •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연습, 

  • 엄격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 측정, 

  • 유익한 피드백(예: 시뮬레이터 또는 교사로부터), 

  • 감시와 오류 수정, 그리고 

  • 이후의 추가 연습이다.

If the conditions for deliberate practice29 are applied by the learner and supported by the educational context, they should lead to time-efficient skills acquisition. The essentials of deliberate practice are 

  • clear performance goals; 

  • focused, repetitive practice; 

  • rigorous, reliable measurements of results; 

  • informative feedback (e.g., from simulators or teachers); 

  • monitoring and error correction; and 

  • subsequent further practice.


의도적 연습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과 상황에 대해 약간의 논쟁이 있다.30 그러나, 시뮬레이션 센터와 같은 직장 밖에서는 의도적 연습이 설득력 있게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24,29

There is some debate about the domains and contexts in which deliberate practice can be applied.30 Outside the workplace, however, such as in simulation centers, deliberate practice has been convincingly shown to be effective.24,29


임상 의학의 일부 분야에서는 연습 노력, 시간, 숙련도의 관계가 잘 확립되어 있다. 한 가지 예는 대장내시경 수술이다. Chung et al31은 200회의 대장내시경 연습이 합당한 효율로 대장내시경들을 수행하는 숙련도를 얻기 위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그래프가 보여주듯이, 개인들은 다르다.

In some areas of clinical medic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effort, time, and proficiency has been well established. One example is in colonoscopy procedures. Chung et al31 concluded that, at their center, 200 colonoscopies are necessary to attain the proficiency to conduct colonoscopies with reasonable efficiency; however, as the graph shows, individuals differ.


전문가 수행에는 각기 다른 시간이 걸리지만, 내시경 능력을 달성하는 데는 적어도 일정량의 경험이 필요한 것 같다. 그러나 다른 직장 환경에서의 의료 관행은 대부분 목표의 복잡성, 엄격하고 시기 적절한 피드백의 부재, 피드백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재시도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의도적 연습을 위한 지정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Although expert performance takes different people different amounts of time, there seems to be at least a floor of experience required for anyone to achieve endoscopic competence. However, the practice of health care in other workplace settings may very often not meet the conditions specified for deliberate practice, in large part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goals, the absence of rigorous and timely feedback, and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reattempt the work in a manner that incorporates the feedback.


직장에서의 학습이 (대장내시경 훈련에서처럼) 언제나 [표준화된 환경에서 반복적이고 계획적인 연습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조직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개별 연수생들 간의 time variation을 보여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훈련의 숙련도와 길이에 관련된 또 다른 영역은 progress testing이다.

Learning in the workplace is not always organized to provide repetitive, deliberate practice opportunities in a more or less standardized setting as occurs in colonoscopy training. That does not mean that time variation between individual trainees cannot be shown. One other area that relates proficiency and length of training is progress testing,


대부분의 레지던트는 3년 후에 이 임계값을 통과하게 되지만, 일부 5년차 레지던트는 여전히 교육 종료 시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며 교정조치가 필요하다.

Most residents will have passed this threshold after three years, but some fifth-year residents still do not meet this criterion at the end of training and require remediation


이러한 예로부터, 학습자가 최소한의 능력 수준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다양하여 교육 이론으로부터의 일반 개념을 뒷받침하는 것이 명백해진다. 연습이 필요하고, 숙달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유용하며, 계획적인 연습은 학습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줄이고, 더 높은 수준의 숙달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Time-variable 훈련 모델이 훈련 시간을 특별히 단축하도록 설계되었다고 가정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더 느린 학습자는 높은 수준의 숙련도에 도달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 시간과 공간이 주어져야 한다.

From these examples, it becomes clear that the time learners need to attain a minimum level of competence varies, supporting the general notions from education theory. Practice is needed, setting mastery goals is useful, and deliberate practice may enhance learning, decrease time, and lead to higher levels of proficiency. Assuming that a time-variable training model is designed to specifically reduce training time, however, would be incorrect. Slower learners may need more time to reach high levels of proficiency and should have time and space to do so.


시간변화와 자기규제와 동기부여의 이론

Time Variability and the Theories of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학습자의 주도성은 행동 동기부여에 의존한다. 임상 작업장에서, 학습의 자기조절은 임상 전 교실 교육에서보다 훨씬 더 역량 개발에 중요하다.34 사전 사고 단계, 수행 단계 및 반성 단계, 35 주기적 경험 학습 과정과 호환되는 일련의 사고 및 계획 패턴이 필요하다.36 이 단계들은 "내가 어디로 향하는 중이었는가?" "내가 거기 어떻게 갔지?" "다음은 어디로 갈까?"37 와 같은 질문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Learners’ agency is dependent on their motivation to act. In clinical workplaces, self-regulation of learning is key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much more so than in preclinical classroom education.34 It requires a sequenced pattern of thinking and planning that includes a forethought phase, a performance phase, and a reflection phase,35 which is compatible with a cyclical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36 These phases may be concluded with questions like “Where was I going?” “How did I get there?” and “Where to next?”37


역량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의 개개인 간 차이는 부분적으로 동기부여와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비록 어느 정도 동기가 개별적인 특성이지만, 그것은 또한 맥락적 요소와 감정에 의해 영향을 받아 성취에 영향을 미친다.38–40

Individual variation in the time it takes to develop competence may in part be explained by motivation and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y. Although motivation to some extent i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it is also affected by contextual factors and emotions that in turn affect achievement.38–40


목표 지향 이론과 자기 결정 이론(SDT).

goal orientation theory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학습자는 목표 지향이 다를 수 있다. 

  • 진정한 학습(숙달 목표 지향이라 함)을 목표로 하는 사람은 성과에 덜 집중하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얻는 것에 더 관심을 갖는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성과목표(퍼포먼스 지향이라 함)를 가진 사람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을 피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41

Learners may have different goal orientations. 

  • Someone with a goal of true learning (called mastery goal orientation) is less focused on performance and more concerned with gaining new knowledge and skills. 

  • In contrast, someone with a goal of performance (calle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s focused on receiving positive and avoiding negative judgments of his or her competence.41


필요한 수준의 퍼포먼스 달성에 초점을 맞춘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학습자, 특히 의학의 경쟁적 학습 문화에서 퍼포먼스 목표 지향성을 우선적으로 강화할 위험이 있으며, (최소) 표준에 도달한 후에 동일한 맥락에서 보내는 추가적인 시간은 쓸데없는 시간이거나 경쟁적 세계에서 능력이 떨어지는 신호로 여겨질 수 있다.

Competency- based curricula that focus on attaining a required level of performance carry the risk of preferentially strengthening a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in learners, particularly in medicine’s competitive learning culture, with the possibility that additional time in the same context after reaching (minimum) standards could be considered wasted time or a sign of less capability in a competitive world.42


SDT는 또 다른 주요한 동기부여 이론이다. 그것은 본질적인 동기를 창출하고 유지하기 위해 충족되어야만 하는 인간의 선천적인 심리학적 욕구, 즉 능력감, 자율감, 그리고 친구나 가족이나 동료와 같은 집단이나 공동체와의 관련성 등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임상적 맥락은 내재적 동기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역량을 보상하고, 가능하다면 책임을 부여하며, 직장에서 자율성을 제공하는 것(예: 학습자를 의료 팀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받아들임)이 필요하다.


SDT is another major motivational theory. It describes three innate psychological needs of human beings that must be satisfied to generate and maintain intrinsic motivation: a feeling of competence, a feeling of autonomy, and a feeling of relatedness to a group or community, such as friends, family, or colleagues. A clinical context that satisfies these needs—by rewarding competence, granting responsibilities when possible, and providing autonomy at work (e.g., by accepting learners as important members of the health care team)—can be expected to foster intrinsic motivation.43


SDT는 외재적-내재적 동기의 스펙트럼에서 동기부여의 내재적 측면(자율적 동기부여라고 함)이 학문적 성취 및 웰빙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한다.44 그러나 불행하게도, 임상적 맥락은 점점 더 자율적인 조건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고, 그리고 연습생들의 웰빙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 Time-variable 훈련은 [동기부여를 유도하는 맥락]에 의존하기 때문에 의대와 병원은 학습 풍토learning climate를 알아야 한다.48

SDT posits that motivation weighted toward the intrinsic side of the extrinsic–intrinsic spectrum of motivation—often called autonomous motivation—correlates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well-being.44 Unfortunately, clinical contexts are increasingly not conducive to autonomy- supportive conditions,45 and trainee well-being is increasingly challenged.46,47 As time-variable training is dependent on a context that drives motivation, medical schools and hospitals should be aware of their learning climate.48


시간과 학습의 신경인식적 관점

Neurocognitive Perspectives of Time and Learning


성공적인 학습은 명시적overt 학습 활동만으로 전락할 수 없다. 신경인식의 관점에서 학습은 또한 학습에 명시적으로 헌신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 일어난다.49

Successful learning cannot be reduced to overt learning activities alone. From a neurocognitive perspective, learning also happens during periods that are not explicitly devoted to learning.49


수면은 기억력 통합을 촉진한다.50–53 광범위한 리허설이 필요한 학습 목표의 경우, 장기간의 간격 연습이 응축된 시간에 대량 연습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은 잘 확립되어 있다.54~57 분명히, non-practice기간에도 학습 효과에 기여하는 어떤 일이 일어나며, 이는 체력 단련 후 근육 발달과 비슷하다.

Sleep fosters memory consolidation.50–53 It is well established that, for learning goals requiring extensive rehearsal, spaced practice over a prolonged time is more effective than massed practice in a condensed time, despite similar investments of practice hours.54–57 Evidently, something happens in periods of nonpractice that contributes to a learning effect, akin to muscle development after physical training.


그러므로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 활동으로 채워지지 않은 시간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적어도 짧은 시간 내에 유사한 활동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또한 학문에 있어서 정신적 휴식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Educational programs should therefore consider the importance of time that is not filled with learning activities, at least not with repetition of similar activit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importance of mental rest for learning.


Time-variable 훈련과 관련된 또 다른 인지과학적 관점은 covert 또는 잠재적latent 학습이다. 이것은 명백한 강화나 눈에 띄는 행동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학습 58이며, 이는 임상 추론 기술을 개발하는 데 필요하다. 임상적 추론은 다음 두 가지 정신적 과정을 수반한다고 가정한다. 시스템 1 또는 고속, 자동 사고 및 시스템 2 또는 저속 분석 사고.59,60

Another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 relevant to time-variable training is covert or latent learning—the learning that occurs in the absence of any obvious reinforcement or noticeable behavioral change58—which is necessary to develop clinical reasoning skills. Clinical reasoning is assumed to involve two mental processes: System 1 or fast, automatic thinking and System 2 or slow, analytic thinking.59,60


대략 패턴 인식으로 개념화된 시스템 1 사고는 광범위한 임상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 중 상당수는 교육 과정에서는 가르칠 수 없다.61 패턴인식은 임상 실습 중에 발달하며, 이는 환자를 경험하고 환자에 대한 경험이 illness script의 형성에 추가될 때 일어난다. Illness script란 숙련된 임상의가 가지고 있는 mental repository로서, 과거에 마주친 환자들을 기준으로 특정 환자의 징후와 증상들의 패턴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Adequate System 1 thinking, roughly conceptualized as pattern recognition, requires extensive clinical experience. Much of that cannot be taught in educational courses.61 It develops during clinical practice, when patient encounters and their management add to the creation of illness scripts, a mental repository that an experienced clinician has and that allows for the rapid recognition of a pattern of signs and symptoms in a particular patient based on patients encountered in the past.62,63


이 mental illness script 저장소를 구축하는 데에는 쉽게 계획되지 않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하다. 경험한 환자의 다양성은 사후적으로 이해되고 평가될 수 있지만, 정해진 기간 동안 적절한 임상 배치를 통해 사전 계획을 수립하는 일차적인 접근방식은 환자 만남의 의도적인 혼합을 보장하지 않는다. 대신 현재의 로테이션 시스템은 "무작위 기회에 의한 커리큘럼"이라고 불렸다.64

Building this mental illness script repository takes time and experiences that are not easily planned. Patient encounters and their diversity may be understood and valued in hindsight, but a primary approach of preplanning through allocating suitable clinical placements for a designated duration does not guarantee a deliberate mix of patient encounters. The current rotational system has instead been called a “curriculum by random opportunity.”64


프로페셔널 아이덴티티 형성의 관점에서 본 시간적 변화

Time Vari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은 "의료전문직의 특성, 가치, 규범 등이 내실화되어 의사처럼 개인의 사고, 행동, 느낌을 초래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달성되는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되어 왔다."65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a physician has been defined as “a representation of self, achieved in stages over time during which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norm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internalized, resulting in an individual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physician.”65


숙달 학습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지식과 기술의 관점에서 시간변동적 훈련은 전문직 정체성 개발에는 (특정 스킬 습득과는 무관하게)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Hafferty66은 "모든 직업 훈련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것을 포함하지만, 사회화를 훈련과 차별화하는 것은 정체성의 변화altered sense of self를 동반한 지식과 기술의 융합이다."라고 언급했다.

Time-variable training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and skills, as exemplified in mastery learning,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at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may take time, independent of specific skill acquisition. As Hafferty66 noted, “While any occupational training involves learning new knowledge and skills, it is the melding of knowledge and skills with an altered sense of self that differentiates socialization from training.”


전문직 정체성은 훈련 후에도 계속 발달하게되며, 졸업시점까지 연습생들이 반드시 달성해야 할 정체성 형성 목표가 미리 정해져 있지 않다. 모든 수련자에게 공통적인 정체성 형성 과정도 있지만, 이 과정이 자신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는 물론, 정체성 형성에 걸리는 시간에서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이러한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67 WCC와 같은 의료훈련에서의 각종 의식이 그 예이다.

Professional identity continues to develop after training, and there is no predetermined identity formation goal that trainees must achieve before graduating. Although there are processes related to identity formation that are common to all trainees, it is likely that individuals differ not only in how this process affects their identity but also in the time identity formation takes. Educational programs can affect this process.67 For instance, rituals in medicaltraining


정체성 형성은 specific time frame에 쉽게 포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훈련이 크게 짧아진다면 방해 받을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준비되어 있다고 느끼지 않더라도, 전문직답게 행동해야 한다. 몇몇 이론들이 학습과 직업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일터의 특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준다. 연습과 인지적 도제, 성찰 연습, 사회적 인지 이론, 경험적 학습 등의 공동체. 이 이론들 중 어느 것도 정체성 형성의 관련 변수로서의 시간에 명백히 초점을 맞추지는 않지만, 대부분은 전문직이 되는 것은 일정량의 시간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암묵적으로 지지한다.

Identity formation is not easily captured in a specific time frame, but it may be hampered when training is substantially shortened and learners must act as professionals while not feeling ready for it. Several theories have adde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clinical) workplace that affect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uch as communities of practice and cognitive apprenticeship, reflective practice, social cognitive theory, and experiential learning.36,69–72 None of these theories explicitly focuses on time as a relevant variable, yet many or all implicitly support the idea that becoming a professional takes time and social interaction.


교육목표로서의 신뢰

Entrustment as an Objective of Training


비록 객관화된 지식과 기술은 대개 교육 프로그램 졸업의 궁극적인 표준으로 간주되지만, 전문적 업무를 수행하도록 위임한다는 개념이 보건 직업에서 더 적절한 접근법일 수 있다.

Although objectified knowledge and skills are usually regarded as the ultimate standard for graduation from an educational program, the concept of entrustment to perform professional tasks may be a more suitable approach in the health professions.


위임 결정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는 

(1) 연습자의 특징, 

(2) 감독자의 특징, 

(3) 컨텍스트의 특징, 

(4) 위임될 작업의 성격, 

(5) 연습자와 감독자의 관계 

...등 5가지 요소로 분류된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Whether an entrustment decision is made is determined by several factors, grouped into five sources: 

(1) features of the trainee, 

(2) features of the supervisors, 

(3)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4) the nature of the task that is being entrusted, and 

(5)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and supervisor.74–76


시간은 매우 중요하다. 신뢰는 시간에 따라 발전하고, 위임 프로세스는 종단적 attachment에서 가장 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77,78 신뢰에 대한 결정은 [위험의 평가]를 수반한다. 위험은 감당가능한 정도인가? 그리고 trainee는 EPA의 감독되지 않은 수행을 정당화 할 임계값을 통과했는가?79–81

Time is critical, as trust develops over time and entrustment processes may be best served by longitudinal attachments.77,78 Decisions to trust involve the valuation of risks: Are the risks acceptable? and Has the trainee passed a threshold that justifies her or his unsupervised execution of an EPA?79–81


EPA는 time variability를 의미한다.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훈련자는 점차 자격을 갖추어 한 번에 하나씩 EPA를 획득하는 동시에, 연습생에서 전문가로 변신할 수 있다.73

EPAs imply time variability. As training progresses, trainees may become gradually qualified and entrusted with EPAs one at a time, while transforming from a trainee into a professional.73


EPA를 숙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개별적인 차이를 반영하려면, 학습자가 감독되지 않은 과제를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을 때에만 수행하기 시작할 수 있도록 시간 가변성을 허용하는 개별화된 교육 경로가 필요할 것이다. 프로그램의 모든 필수 EPA에 걸쳐 학습자에 대한 신뢰가 조기에 확립되는 경우, 해당 개인에 대한 전체 프로그램 길이의 감소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학습자들은 총 (훈련) 시간이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타당하다. 

To account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time needed to master EPAs, individualized training pathways allowing for time variability will be necessary,82,83 so that learners only begin performing unsupervised tasks when they can perform them competently. If trust in a learner is established early across all essential EPAs of a program, a decrease in total program length for thatindividual can be considered. However, it is just as reasonable to expect that some learners will require an increased total time. 


결론

Conclusion


특정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학습자마다 다를 수 있다. 1963년 캐럴은 이러한 관찰을 학습효과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시간의 함수라는 방정식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현재의 지식과 통찰력에 따르면,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의 경우, 이 방정식은 전체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 모델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실 학습에서 영감을 받은 반면, 건강 직업 교육에서는 임상 작업장이라는 중요한 차원이 존재한다.

The time needed to attain specific educational objectives may vary among learners. Carroll made this observation in 1963, when he proposed an equation saying that the learning effect is a function of the time needed by the learner divided by the time spent on learning. With current knowledge and insights, we can conclude that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is equation is only part of the story. The model was inspired by classroom learn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whil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clinical workplace adds a significant dimension.


절차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과 훈련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예시되는 건강 직업 교육에서의 숙달된 학습과 계획적인 연습은 대략 Carroll의 모델을 따르지만, 임상 환경에서의 훈련은 이 방정식에 몇 가지 다른 요소들을 가져온다. 캐럴은 명백하고 시험 가능한 학습 목표에 초점을 맞추었다. 캐롤은 경험적 학습을 고려하지 않았고, 그것을 직업적 정체성 형성과 관련시키지 않았으며, 확실히 직업적 책임을 수행하도록 위임하는 것을 훈련의 목표로 생각하지 않았다. 고강도의 경험과 휴식 시간을 교대로 하는 것은 학습에 특히 도움이 될 수 있다.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기 조절 습관, 목표 지향, 그리고 동기 부여는 개인이 학습에 쏟는 시간과 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위임이 임상수련의 평가의 중심적 요소가 되려면, 시간도 하나의 요인이 되어야 한다.

Mastery learning and deliberate practi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ost prominently exemplified in simulation and training in the procedural domains, does roughly follow Carroll’s model, but training in the clinical environment brings several other factors to this equation. Carroll was focused on overt and testable learning objectives; he did not take experiential learning into account, did not relate it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certainly did not think of entrustment to perform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s the objective of training. Alternating high- intensity experiences and rest time may be particularly conducive to learn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requires time; and self-regulation habits, goal orientation, and motivation influence the time and effort an individual puts into learning. Finally, time is a factor if trust and entrustment become central components of the assessment of clinical trainees.


이러한 기본 개념의 풍부함을 검토하면서, 우리는 접근 시간 변동성에 있어 캐럴의 방정식은 의료 훈련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단순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Reviewing the richness of these underlying concepts, we can conclude that, in approaching time variability, the Carroll equation is somewhat simplistic in its application to the breadth of medical training.




 2018 Mar;93(3S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S6-S11. doi: 10.1097/ACM.0000000000002065.

Time-Variable Training in MedicineTheoretical Considerations.

Author information

1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L.D. Gruppen is professor, 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J.R. Kogan is professor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Pennsylvania. L.A. Lingard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Education Research & Innovation, Schulich School of Medicine & Dentistry, Western University, London, Ontario, Canada. P.W. Teunissen is professor,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nd maternal fetal medicine specialist, VU University Medical Center, Ams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has shifted thinking from a fixed-time model to one stressing attained competencies, independent of the time needed to arrive at those competencie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explore theoretical and conceptual issues related to time variability in medical training, starting with the Carroll model from the 1960s that put time in the equation of learning. They discuss mastery learning, deliberate practice, and learning curves.While such behaviorist theories apply well to structured courses and highly structured training settings, learning in the clinical workplace is not well captured in such theories or in the model that Carroll proposed. Important in clinical training are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neurocognitive perspectives of time and learn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entrustment as an objective of training-all of which may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ime needed to complete training. The authors conclude that, in approaching time variability, the Carroll equation is too simplistic in its application to the breadth of medical training. The equation may be expanded to include variables that determine effective workplace learning, but future work will ne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se additional factors.

PMID:
 
29485480
 
DOI:
 
10.1097/ACM.0000000000002065


CBME에서 교육-훈련-실천의 진정한 연속체를 그리기(Acad Med, 2019)

Envisioning a True Continuum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Olle ten Cate, PhD, and Carol Carraccio, MD, MA




의학 교육, 훈련 및 실습 단계는 지난 수백 년 동안 단편적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기회주의적 발전은 의사가 인구 건강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달성해야 하는 역량이 아니라, [임의로 발생하는 고립된 커리큘럼]으로 이어졌다.1 일단 훈련을 마친 후에도, 어떤 사람들은, 의사들이 그들의 경력 내내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전문적 능력의 자기 정의 영역으로 그들의 관행을 제한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The stages of medical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have developed piecemeal over the last few hundred years. This opportunistic development has led to siloed curricula, which have arisen arbitrarily rather than from the competencies that physicians must attain to meet population health needs.1 Once out of training, some members of the profession assume that physicians remain up-to-date throughout their careers and limit their practice to self-defined areas of professional competence.


1세기 전에, 이 모델은 정당화되었을지도 모른다. 의학 학위는 평생 동안 연습을 가능하게 하는 데 필요한 많은 지식과 기술을 포함했고, 소수의 졸업생만이 전문 교육에 진출했다. 오늘은 그렇지 않다. 현재까지 많은 국가에서 의료면허는 여전히 면허를 받은 의사의 능력을 넘어서는 일련의 의료행위까지도 허용하고 있다.

A century ago, this model may have been justified. The medical degree covered much of the knowledge and skills physicians needed to enable practice for a lifetime, and only a minority of graduates advanced to specialized training. This is not the case today. To date, however, a medical license in many jurisdictions still permits a scope of practice beyond a given physician’s capabilities.


생물 의학적 지식이 증가하고 의료 시스템이 더 정교해짐에 따라, 교육에서 확인된 지배적인 반응은 교육 시간을 더 연장하는 것이었. 교육기간을 더 전문화된 영역을 다루도록 확장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접근법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믿는다; 더 이상의 훈련 연장은 단순히 지속 가능하지 않다.3 훈련 프로그램은 너무 길어질 것이다. 교육 기간이 길어지면, 

  • 의사가 감독되지 않은 의료행위를 시작하는 나이가 늦어지고4; 

  • 교육을 완료하고, 인증을 받고, 인증을 계속해야 하는 요건이 너무 복잡해지고5; 그리고 

  • 비용이 너무 많이 들 것이다.

As biomedical knowledge has increased and health care systems have become more sophisticated, the dominant reaction in education has been to extend training for longer periods of time,2 with each extension representing a more subspecialized domain. We believe that medical education has now arrived at a point where this approach is no longer functional; further lengthening of training is simply unsustainable.3 Training programs will become too long; the age at which physicians begin unsupervised clinical practice too high4; the requirements to complete training, become certified, and continue certification too complex5; and the costs too prohibitive.


학습-실제적 차이 고려

Reconsidering the Learning–Practice Divide


우리는 작금의 학습과 실천의 지배적인 교육학적 모델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재 모델에서는, 졸업장이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보장하고, no practice에서 full practice로의 표시mark가 된다. 높은 수준의 진료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의료연수생들은 입학부터 의과대학까지 교육, 훈련, 실습의 연속을 통해 필요한 역량을 습득하고, 실천하며, 유지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따라서 교육자는 교육, 훈련 및 실습이 [별도의 순차적 단계가 아니라], 서로 보완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쌓여져나가는 지속적인 병렬 프로세스로 바라보는 연속적인 관점을 개발해야 한다. 실천은 학부 의과 교육(UME)에서부터 지속적인 전문적 개발에 이르기까지 모든 직업 단계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야 한다.

We argue that the dominant pedagogical model of learning and then practice is outdated. It suggests that a diploma guarantees sufficient knowledge and skills and marks the transition from no practice to full practice. To deliver high-value care, medical trainees must learn to acquire, practice, and maintain the requisite competencies from entry to medical school through the continuum of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to retirement. Educators must therefore develop a continuum view of medicine, in which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are not separate, sequential stages but, rather, ongoing parallel processes that supplement each other simultaneously and build over time. Practice should be an essential component in all career stages, fro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through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지속적 자격 증명 가치

The Value of Ongoing Credentialing


전문성의 성취은 다년간의 경험과 의도적 실천DP이 필요하다.6 어떤 사람들은 느린 속도로 전문 지식을 개발하고, 어떤 사람들은 빠르게 발전해나가는데, 이는 개인 능력, 태도, 주체성, 제공된 커리큘럼과 학습 및 직장 환경에서 제공되는 기회에 달려있다.7

The attainment of expertise requires many years of experience and deliberate practice.6 Some develop expertise slowly and others rapidly,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attitudes, and agency, and on the curricula offered and the opportunities in their learning and workplace environments.7


일반 의료 면허와 전문 인증은, 인증을 받는 그 순간에 일반 지식과 기술을 갖추었음을 성공적으로 입증하였다는 것을 인정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인증을 받을 때 갖춘 지식과 스킬이, 그 이후에 이어지는 의사의 커리어동안 [practice 영역 내에서 갖춰나가야 할 구체적 역량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진화해나간다는 보장은 없다. 전통적인 면허 과정은 [광범위한 관행과 제한적인 특수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끊임없이 전문화되어가는 의사의 practice에 잘 align하지 않는다. 

A general medical license and a specialty certification recognize the physician’s ability to successfully demonstrate the requisite general knowledge and skills at that moment in time. They do not necessarily evolve along with the physician’s career to mirror the specific competencies that individuals build within their defined scope of practice. The traditional licensing process, which is based on a broad scope of practice andlimited specificity, is no longer aligned with the ever-increasing specialization of physicians’ practices. 


따라서 결정적 질문은,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적, 테크닉적 기술을 [감독 없이 환자를 돌보는 데] 적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그리고 의사가 지난 시간 동안 지식과 기술을 꾸준히 유지했는지 여부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광범위한 차원에서 졸업장과 자격증은 증가된 책임을 assuming하기 위해 필요한 문턱이 될 수는 있겠으나, 졸업장과 자격증만으로 의사의 장기적 역량이나, 시간에 따른 새로운 능력의 획득을 입증하기에는 부족하다. 의사가 역량을 개발하고, 달성하고, 유지하며, 전문지식을 발전시키려면 지속적인 계획적 실천DP이 의사의 경력 전반에 걸쳐 지속되어야 한다.

The critical questions are how to know whether learners are ready to be trusted to apply their cognitive, technical, and other skills to care for patients without supervision and whether physicians have maintained their knowledge and skills over time. Broad diplomas and certificates can be necessary thresholds for assuming increased responsibilities,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attest to physicians’ longerterm competence or their acquisition of new competencies over time. Ongoing deliberate practice must continue throughout physicians’ careers for them to develop, achieve, and maintain competence and advance toward expertise.


실무의 범위에 맞춘 역량 개발

Competence Development Targeted at Scope of Practice


CBME 프레임워크에서 필요한 훈련 능력과 결과는 제공된 환자 모집단의 요구에 따라 정의된다.9 CBME의 도입으로, 교육, 훈련 및 실무를 일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은 현실화되었지만, 완전한 잠재력까지는 실현되지 못했다. EPA는 이러한 단계를 통합 연속체로 통합하기 위한 개발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10,11

In the CBME framework, the required abilities and outcomes of training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tient populations served.9 With the introduction of CBME, the potential to align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has become real but has not been realized to its full potential. EPAs can provide a developmental model to unite these stages into an integrated continuum.10,11


CBME에 EPA를 도입함으로써 의료계는 교육, 훈련 및 실천의 진정한 연속체를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갖게 되었다.10,11 교육자들은 EPA를 브리지로 사용하여 직업 단계에 걸쳐 링크를 만들 수 있다. 한 걸음 물러서서 Core EFAs(Core Eversi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g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를 사용함으로써, 교육자들은 [필요한 역량을 갖춘 상태로 GME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UME의 커리큘럼을 만들 수 있다. 의사 훈련의 더 앞 단계일수록 EPA의 구체성은 낮을 것이다.

The introduction of EPAs into CBME has presented the medical community with the potential to create a true continuum of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10,11 Using EPAs as the bridge, educators can create a link across career stages. Taking a step back and using the Cor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for Entering Residency (Core EPAs),14 educators can create a curriculum for UME that will enable learners to enter GME with the requisite competencies; the earlier in training a physician is, the less specific the EPAs will be.


본질적으로, EPA는 빌딩 블록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많은 집의 기초는 비슷하다. 그것들은 모두 벽돌이거나 돌이다. 일단 기초가 세워진 뒤에, 어떤 집이든 그 집을 짓는 재료의 수는 제한될 것이지만, 궁극적으로는 [GME의 EPA나 개별 의사의 practice처럼] 각각의 집의 크기와 스타일은 서로 다를 것이다.

In essence, EPAs act as building blocks. For example, the foundations of many houses are similar— they all may be brick or stone. Once the foundations are laid, the houses will be built with a limited number of materials, but they ultimately will become different sizes and styles, like the EPAs in GME and practice for individual physicians.


전체적으로 EPA는 교육 프로그램의 practice outcome를 반영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개 훈련 프로그램이 끝날 때까지 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EPA 모델을 사용하면 학습자가 초기 단계부터 환자 치료에 안전하게 기여하기 시작할 수 있다.15 그들은 점차적으로 감독이 줄어들면서 의료 실천의 공동체로 성장하며, 궁극적으로 감독 없이 자신에게 맡겨지는 전문 활동을 완료하는 것이 점점 더 허용된다.16–18

In aggregate, EPAs reflect the practice outcomes of an educational program. These outcomes are usually not achieved until the very end of the training program. Rather, with an EPA model, learners can safely start contributing to patient care from an early stage.15 They gradually grow into a community of medical practice as supervision lessens, and they become increasingly permitted to complete professional activities that are ultimately entrusted to them without supervision.16–18


개인화된 시간 가변 훈련은 CBME에서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현상이(어야 한)다. 훈련 성과가 고정된 표준이라면, 당연히 각 결과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학습자마다 다를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가변성에 대한 허용은 쉽지도 않고 아직 흔하지도 않다19 그러나 학습자가 그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소 시간이 필요할 때 원하는 결과의 달성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Individualized, time-variable training is a direct consequence of CBME. If training outcomes are the fixed standard, the time needed to attain each outcome will vary among learners. Allowing for such variability is not easy and not yet common,19 but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achievement of desired outcomes when learners need more or less time to achieve those outcomes.


개인화는 시간적 변화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기초적인 핵심 커리큘럼을 넘어서면 내용적 변화에도 관련된다. 여기에 EPA의 구조가 CBME 프레임워크에 추가 값을 제공하는 것이다. 

  • 전체 연습 영역과 관련을 갖는 핵심 EPA에서는 모든 학습자가 역량을 갖추어야 하지만, 

  • 선택 EPA는 학습자가 스스로 예상하는 미래의 practice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 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Individualization does not only pertain to time variation but also to content variation once a learner gets beyond the foundational core curriculum. Here is where the construct of EPAs provides additional value to the CBME framework. Although all learners must become competent in all Core EPAs relevant to their entire practice domain, elective EPAs may be offered to allow them to focus their attention on areas they feel to be of critical importance in their anticipated future practic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ir training time.


경력개발 및 역량투명성

Career Development and Transparency of Competence


Mastered EPA는 전문적인 작업의 기본 블록이다. 이러한 EPA의 역동적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려면 다음이 필요하다

  • (1) 포괄적 위탁 결정이 내려진 EPA의 지속적인 실천 

  • (2) 기술과 통찰력이 발전한 경우, 최신 능력을 반영하여 향상된 practice 표준에 대한 적응 

  • (3) 실무 분야에서 추가 EPA를 위임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 (4) practice하지 않는 EPA가 있다면, 의도적으로 그러한 EPA는 leave behind함

Mastered EPAs constitute the building blocks of professional work. Building a dynamic portfolio of these EPAs requires 

  • (1) continued practice of those EPAs for which summative entrustment decisions have been made; 

  • (2) adaptation to enhanced standards of practice, reflecting up-to-date abilities if techniques and insights have evolved; 

  • (3)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and skills leading to entrustment for additional EPAs in one’s field of practice; and 

  • (4) deliberately leaving behind those EPAs, beyond the requirements of the appropriate certifying bodies, that one is not practicing.


의료행위는 달라질 것이며, 따라서 의사의 practice를 정의하는 EPA도 바뀔 것이다. 의료 분야의 기술 혁신(예: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은 의사가 자신의 실습을 적응시켜야 할 것이다.

Practice, and thus the EPAs that define a physician’s practice, will change.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health care (e.g., rapid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22) will require physicians to adapt their practice.


중요한 것은, EPA가 역량을 통합하고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만, 개입 전후에 의사의 실습 데이터를 검토했을 때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 PBLI(연습 기반 학습 및 개선)와 같은 역량도 있다.

Importantly, although EPAs provide a framework for integrating and assessing competencies, there are some competencies, such as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that are best assessed by a review of the physician’s practice data before and after an intervention.


교육, 교육 및 실습 연속체 시각화

Visualizing the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Continuum


전통적인 Flexner 의과대학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임상 경험을 시작하기 전에 건전한 지식 기반을 갖도록 요구하였다(그림 1 패널 A 참조).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대 UME 프로그램은 의과대학 초기 기초과학과 임상경험을 통합하여 UME.25 교육과정 초기부터 점차적으로 구축되는 학습과 실천의 이 통합적 접근방식은 H에서 Z로의 전환으로 지정되었다. 

  • 전통적으로 교육과 실습(문자 H; 그림 1, 패널 A 참조) 사이에 급격한 수평적 분할이 있었지만, 

  • 보다 현대적이고 통합된 커리큘럼에서는 임상 경험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문자 Z와 유사하다; 그림 1 패널 B 참조).26

The traditional Flexnerian medical school curriculum required learners to have a sound knowledge foundation before they began their clinical experience (see Figure 1, Panel A). In contrast, modern UME programs integrate the basic sciences and clinical experiences in the early years of medical school, thus smoothing the transitions within UME.25 This integrated approach of learning and practice, which gradually builds from the beginning of the curriculum, has been designated as an H to Z transition. Traditionally, there was a sharp horizontal divide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which looked like the letter H; see Figure 1, Panel A), yet in more modern, integrated curricula, there is a gradual increase of clinical experience (which looks like the letter Z; see Figure 1, Panel B).26


학습과 실천의 통합이 확립된 접근법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7 그것은 교육, 훈련, 실천의 연속에 걸쳐 적용되지 않았다. 그림 1의 패널 C는 환자 치료에 대한 책임이 광범위하고 깊이 있게 증가하면서, supervision이 감소하는 동시에, 학습자가 점차 실무자가 되는 미래를 반영한다.

Although the integration of learning and practice has become an established approach,27 it has not been applied across the continuum of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Panel C in Figure 1 reflects a future in which learners not only gradually become practitioners, with supervision decreasing while responsibilities in patient care increase in breadth and depth, but learning also remains an integral part of practice.





그림 2는 학습자가 의과대학, 레지던트 및 실습을 통해 발전하는 EPA 포트폴리오를 나타낸다.

Figure 2 depicts the EPA portfolio of a learner as she advances through medical school, residency, and practice.


  • 일부 EPA는, 그것을 꾸준히 수행하지 않거나 실력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타당성validity을 상실할 수 있다. 

  • 반대로, [생의학 기술의 진보하거나] [의사가 새로운 의료 분야를 선택할 때]에는 새로운 EPA가 나타날 수 있다. 

  • Entrustment for some EPAs may lose validity if they are not practiced or maintained, 

  • while the need for entrustment for new EPAs may emerge as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 or when a physician chooses new practice areas. 



멘토링 및/또는 동료 관찰 및 평가 시스템은 기존 규제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A system of mentoring and/or peer observation and assessment could be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regulatory system.



자격 증명의 특정성 문제 해결

Addressing the Specificity of Credentials


다수의 개업 의사 협회는 자격증 있는 기관들이 practice의 niche 영역을 인식할 것을 요청했다. EPA의 동적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면 그러한 요청을 충족할 수 있다. 2017년 미국 의료 전문 위원회(ABMS)는 성인 병원 의학에서 최초로 중점 진료 관행을 지정하였다. 그렇게 하는 것은 기회를 나타냈고 규제 기관이 인증을 통해 추가 전문지식의 영역에 대한 표준을 수립, 평가 및 인식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공식화했다.

Multiple communities of practicing physicians have asked for credentialing organizations to recognize niche areas of practice. Building dynamic portfolios of EPAs may fulfill such requests. In 2017,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ABMS) put into effect the first focused practice designation in adult hospital medicine. Doing so represented an opportunity and formalized a process for regulators to set standards for, assess, and recognize areas of additional expertise through certification.28,29


niche practices마다, 그에 해당하는 소수의 의사를 대상으로 심리측정적으로 견고한 검사를 만드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보안 시험 센터에서 제공되는 지속적인 인증을 위한 정기적인 closed-book 시험이, 종방향 온라인 시험으로 대체되고 있다.30 포트폴리오 문서화된 작업장 개입은 또한 의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의 기술을 입증, 관찰, 평가 및 개선할 수 있는 지역 품질 개선 노력에 종방향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31

creating psychometrically sound examinations for small numbers of physicians in niche practices can be costly. Increasingly, periodic closed-book examinations for continuing certification, offered in secure testing centers, are being replaced with longitudinal online tests.30 Portfolio-documented workplace interventions are also being used to engage physicians longitudinally in local quality improvement efforts during which their skills can be demonstrated, observed, assessed, and improved over time.31


리뷰를 받는 임상의는 그 다음에는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타인을 검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상적으로는 표준을 준수하는 성숙한 전문 커뮤니티를 형성할 것이며, 여기서 모든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피드백과 지침을 받고, 다른 사람에게 피드백과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clinicians being reviewed would in turn review others in areas of their own expertise, ideally creating a mature professional community that upholds standards and in which everyone receives and provides feedback and guidance from and to others.


역량 결정은 규제 당국에 제출하거나, 충분히 구체적인 결과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자동 또는 중앙 집중식 판단을 내릴 수 있다.

Determinations of competence could be submitted to a regulatory authority, or, if a sufficiently specific outcome is available, automated or centralized adjudications could be made.


기타 고려사항

Other Considerations


현재의 의료 교육 구조는 지속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통합 프로그램보다는 순차적이고 분리된 프로그램. 

  • 일률적이고 고정된 훈련 기간 

  • 세부전공에 규정된 기간과 순서의 추가 교육 

  • 개인, 직업 및 대중에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비용

The current structure of medical education appears unsustainable. 

  • with sequential and separated rather than integrated programs; 

  • one-size-fits-all, fixed lengths of training; 

  • additional training sequences of prescribed duration for subspecialties; and 

  • ever-increasing costs to the individual,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그러나, 교육자들은 지금 할 수 있다. 

  • 매우 다양한 실습 유형에서 의사에게 필요한 EPA를 정의한다. 

  • 이들을 위탁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역량에 매핑한다. 

  • 진보적인 자율성으로 학습 경험을 육성하는 커리큘럼과 평가를 구축한다.

However, educators now can 

  • define the EPAs needed for physicians within highly diverse practice types, 

  • map them to the competencies that are critical to making an entrustment decision, and 

  • build curricula and assessments that foster learning experiences with progressive autonomy. 


학습자는 특정 책임을 준수하고 준비된 것으로 간주되는 즉시 감독을 통해 환자 치료에 기여하기 시작해야 한다. 학습자는 레지던트와 펠로우십 훈련을 마친 후 곧바로 전문가가 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그 시점에서 unsupervised practice의 문턱을 넘었을 것이다. 수련을 마친 전공의도 꾸준한 시간동안 계획적인 연습을 해야만 전문가가 될 것이다. 학위를 이수하고 전문 자격증을 받는 주요pivotal 순간들은 덜 중요해 진다.

Learners should start contributing to patient care with supervision as soon as they have been observed and deemed ready for those specific responsibilities. Learners will not be experts after they complete residency and fellowship training, but they will have passed a threshold for unsupervised practice at that point. They will become expert only with time and deliberate practice. the pivotal moments of completing a degree and receiving a specialty certification become less significant.


의사의 경력에 대한 역량 관리에 대한 중앙 집중식 접근방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핵심은 [전문적 삶의 과정 중 주어진 순간에 지속적으로 유효한 EPA에 의해 정의되는 의사의 실천 범위를 보여주는] 포트폴리오일 것이다.

A centralized approach to competency management over the career of a physician will be necessary. Key to such a system would be a portfolio that showed physicians’ scopes of practice, defined by continuously valid EPAs at any given moment in the course of their professional life.


이 비전은 먼 미래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더 나은 치료, 더 나은 건강, 억제 가능한 비용, 회복력이 있는 의사라는 네 가지 목표가 달성된다면, 그것은 우리가 의학계에 가장 잘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 방향이다.

This vision may seem like a distant future, but it is the direction that we believe will best serve the medical profession if the quadruple aim of better care, better health, containable costs, and resilient physicians is to be attained.


마지막으로, 의사들의 생각도 바뀌어야 할 것이다. 가장 중요한 원칙은 professional practice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학습과 참여가 필요하며, 이것은 입학에서부터 의과대학, 그리고 은퇴할때까지 연속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자들이 전문직의 새로운 구성원들이 배움을 중요시하기를 원한다면 평생학습과 professional development의 중요성을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Finally, physicians’ mindsets will need to change. Their guiding principle should be that professional practice requires ongoing learning and engagement, which must be conveyed throughout the continuum, from admission to medical school until retirement. Making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explicit in teaching about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is key if educators want new members of the profession to value learning.








 2019 Sep;94(9):1283-1288. doi: 10.1097/ACM.0000000000002687.

Envisioning a True Continuum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Training, and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senior scientist,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2-6379-8780. C. Carraccio is vice president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orth Carolina; ORCID: https://orcid.org/0000-0001-5473-8914.

Abstract

The existing structure of physician education has developed in siloed stages, with consecutive degrees and certifications and progressively longer training programs. As further fragmentation of health care and training systems will not improve the quality of care and education, the authors argue that a new vision of educationtraining, and practice as a continuum is needed.They advocate for a model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at merges with competency-based medical practice. In this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will result in individual, dynamic portfolios of vali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for which physicians are certified. Physicians can maintain and renew that entrustment as long as the EPAs remain within their scope of practice. Entrustment occurs initially during training but is then granted for new activities as physicians' careers evolve.This model accounts for the need to keep pace with changes in population health needs and expectations of competence over time. It de-emphasizes the divides between the stages of training and views the continuum fro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ntil retirement as a whole. Key obligations of self-regulating medical professionals include both the reception and the provision of supervision from and for others, respectively. Learning must be embedded in practice to address expectations regarding new knowledge and skills as they evolve wit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Entrusting physicians to deliver effective and safe care, based on their performance of the requisite EPAs without supervision, should ensure that they provide high-value, quality care to patients.

PMID:
 
31460916
 
DOI:
 
10.1097/ACM.0000000000002687


보건전문직에서 역량 기반 시간 변동 교육: 갈림길(Acad Med, 2018)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Crossroads

Catherine R. Lucey, MD, George E. Thibault, MD, and Olle ten Cate, PhD




의학교육기관은 신뢰성 있는 안전성, 시기적절성, 효과적, 효율적, 공평하고 환자 중심적인 관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의사인력을 준비할 책임이 있다. 전세계의 교육자들은 건강 전문가들이 고부담 객관식 시험으로 시험할 수 있는 영역보다 훨씬 더 확장된 영역에서 역량을 습득할 필요성을 받아들였다.1–3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are entrusted with preparing a physician workforce that is capable of and committed to providing reliably safe, timely, effective, efficient, equitable, and patient-centered care. Educators around the world have accepted the need for health professionals to master competencies in domains that extend well beyond those that can be tested with a high-stakes multiple-choice exam.1–3


필요한 모든 것을 숙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제대로 정해진 적이 없다.

The amount of time it takes to master all that is needed has never been adequately established.


의사가 21세기 환자에게 봉사하기 위해 숙달해야 하는 광범위한 역량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역량 기반, 시간 가변 교육의 토대를 제공했다. 교육자들과 규제자들은 그 개념을 열렬히 지지한다.

This recognition of the need to teach and assess the broad set of competencies that physicians must master to serve 21st-century patients ha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Educators and regulators enthusiastically support the concept.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의학교육 프로그램에는 역량에 기초한 시간 가변 교육의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만, 역량 기반 교육의 철학을 완전히 수용한 기관은 거의 없다.1213 심지어 이 프레임워크의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조직 재설계에 참여한 기관은 더 적다.6,11,14 교육을 위한 목표를 정의하는 것은 일부에 불과하며, 모든 학생과 레지던트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보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아직 실행되지 않은 단계다.

Unfortunately, although the building blocks of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exist in most medical education programs, few institutions have fully embraced the philosoph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12,13 Even fewer have engaged in the organizational redesign required to fully realize the potential of this framework.6,11,14 Defining the objectives for education is one thing, but creating programs that ensure that every individual student and resident meet these objectives is a step that has not been taken.


의료 교육에 대한 오늘날의 접근 방식과 관련한 당면 과제

Challenges With Today’s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오늘날의 의료 교육 환경에서 시간은 우리의 적이다. 교육구조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 학습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별도의 교육 단계에 거주하며, 시간 제한 과정을 거쳐 다음 단계의 훈련 단계로 전환하고, 주로 사실에 입각한 지식을 숙지하는 시험에 만족스러운 성과를 보여 준다.

In today’s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time is our nemesis. Educational structures are time bound. Learners dwell in discrete phases of education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 and they transition to the nextphase of training after passing time- bound courses and demonstrating satisfactory performance on exams that focus primarily on their mastery of factual knowledge


학습자와 교직원은 시간에 쫓긴다. 임상실습이나 레지던트 로테이션에 대한 교수진의 감독 업무는 효과적이고 비판적인 평가에 필요한 신뢰 관계를 발전시키기에는 짧고 불충분하다.15 그러한 짧은 순환 속에서 교수진은 역량 기반 교육이 요구하는 직접적인 관찰에 참여할 시간이 거의 없다.16 코칭 대화에서 학습자와 대화를 나눌 기술과 시간이 모두 부족하여, 이것 대신 전자 양식을 통해 이러한 평가 판단을 소통한다.17,18

Learners and faculty are time challenged. Faculty supervisory assignments on clerkships or residency rotations are brief and insufficient to develop the trusting relationships needed for effective, critical assessment.15 Within those short rotations, faculty have little time to engage in the direct observation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demands.16 They lack both skills and time to engage in coaching dialogues with their learners and instead communicate these assessment judgments through electronic forms.17,18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진 짧은 시간 내에 가고자 하는 전공과의 교수진에게 깊은 인상을 줘야 한다는 것을 깨닫기에, 평가를 포용해야하는 기회로 보기보다는, 피해야 할 위협으로 본다.18–21 그들은 직장에서 환자 치료 능력을 최적화하기 보다는 고부담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공부하는 데 시간을 사용한다. 역량을 충족하기 위해 추가 시간이 필요하거나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학습자는 실패로 간주된다.

Students, realizing the short time they have to impress a faculty member and earn the grades they need to pursue their desired residency, view assessment as a threat to be avoided rather than as an opportunity to be embraced.18–21 They use time to study to earn higher scores on episodic high-stakes examinations rather than to optimize patient care competencies in the workplace. Learners identified as needing or desiring additional time to meet competencies are viewed as failures.


정규 교육에서 더 빠른 속도로 학습가능한 학습자는 현행 제도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다.

Learners who are capable of accelerating their progress through formal education are unable to do so in the current system


프로그램 책임자들은 졸업하는 의대생이나 레지던트가 인턴이나 펠로우로서 그들이 떠맡아야 할 역할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우려를 제기한다.22~26

Program directors raise concerns that the graduating medical students or residents are not prepared for the roles they need to assume as interns or fellows.22–26



혁신을 위한 기회로서 경쟁력 기반, 시간적 가치 있는 교육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as an Opportunity for Transformation


역량 기반, 시간 변동 교육은 관찰 가능하고 평가 가능한 능력의 프레임워크에 기초하는 커리큘럼, 교육 방법, 학습 전략, 평가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다.29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urriculum, instructional methods, learning strategies, assessment programs, and program evaluation that is based on a framework of observable and assessable abilities.29


역량 기반 교육은 [의료, 간호, 약국, 치과 등 모든 분야에서] 의료 개선을 위한 현대 사회의 요구를 보건 전문가가 숙달해야 하는 역량으로 translating하는 uncompromising focus에서 시작한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begins with an uncompromising focus on translating the needs of contemporary society for improved health care into competencies that must be mastered by health professionals across all disciplines, from medicine to nursing, pharmacy, dentistry, and beyond.4


역량 기반 시간 변동 교육은 보건전문직 교육을 연속적인 과정으로 본다. 학생이 전문직 학교에 입학할 때 시작되고 그 개인이 그 직업에서 은퇴할 때 끝나는 것이다. 시간 변동성은 중요한 역량을 숙달했을 때에만 교육 단계를 거쳐 개인의 진보가 바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훈련의 속도, 강도 또는 기간을 조정할 필요성을 제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말한다. 정규 교육의 단계를 넘어 실천practice으로 나아가는 것은 시간의 경과가 아니라 신뢰성의 입증에 기초한다. 비록 시간 제약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들은 부차적인 것이다.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views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s a continuous process, beginning when a student enters a health professions school and ending when that individual retires from the profession. Time variability refers to the institutional acceptance of the need to adapt the pace, intensity, or duration of training to ensure that the progress of an individual through and across the phases of education occurs as soon as and only when she or he has mastered essential competencies. Advancement through the stages of formal education and into practice is based not on the passing of time but on the demonstration of trustworthiness. Although time constraints are not totally absent, they are secondary.


역량에 기반한 시간 가변 시스템에서 평가는, 순환이 끝날 때 이루어지는, 무시무시한, 주기적, 지식중심의, 고부담 시험 후에 전문가로부터 받는 등급이 아니다. 평가는 개인의 학습과 향상(즉, 학습에 대한 평가)을 지도하기 위해 열성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진행 중인 다방식multi-modal 측정과 코칭의 과정이다.

In a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system, assessment is not a grade that one receives from an expert at the end of a rotation or after fearfully taking a periodic, knowledge-focused, high-stakes exam. Instead, it is a process of ongoing, multimodal measurement and coaching that one enthusiastically engages in to guide pers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i.e., assessment for learning).


일단 [충분한 증거가 이 개인이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환자에게 안전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면 훈련 사이의 transition 또는 out of training 사이의 고부담 결정이 내려진다. 이 증거는 다양한 맥락에 걸쳐 여러 역량 영역에서 개인의 능력에 대한 다양한 관점(교수, 환자, 동료, 기타 전문적 동료)에서 취합하여 미래의 성공에 대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평가를 제공한다.30

High-stakes decisions about transitions between and out of training are made once sufficient evidence supports the assertion that this individual can be trusted to provide safe care for a variety of patients in a diversity of contexts. This evidence is aggregated from diverse viewpoints (faculty, patients, peers, other professional colleagues) of the individual’s abilities in multiple competency domains across different contexts to provide the most reliable assessment of future success.30


역량기반 시간가변 교육에서 시간은 위협이라기 보다는 학습자를 위한 자원이다. 주어진 교육 단계가 끝나기 전에 일련의 역량을 숙달할 수 있는 학습자는 남은 시간을 사용하여 더 진보된 수준 또는 추가된 역량을 지향하는 작업을 추구할 수 있다.

In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time is a resource for the learner, rather than a threat. Learners who are able to master a set of competencies before the end of a given stage of education can use the remaining time to pursue work on a more advanced level or toward an added competency,


CBTV교육의 미덕은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훈련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높고 넓은 수준의 전문성 추구에 있다.

The virtue lies not in training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but at the highest professional level and breadth.


동시에 역량 기반 교육은 한 역량 영역(예: 의료 지식)에서의 수월성이 다른 역량 영역(예: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한계 성과를 보상하는 방식을 허용하지 않는다. 일련의 역량을 숙달하기 위해 추가 시간이 필요한 학습자는 교정조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훌륭하다" 평가를 받고 넘어가거나, "실패자"로 낙인찍히지 않는다. 이들에게는 효과적인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추가 기회가 제공된다.

At the same time, competency- based education does not allow excellence in one competency domain (e.g., medical knowledge) to compensate for marginal performance in another (e.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Learners needing additional time to master a set of competencies are not passed along as “good enough” or branded as “failures” in need of remediation; they are provided with additional opportunities to master the skills they need to be effective professionals


역량 기반 평가를 위해서는 교수진과 학습자가 새로운 역할과 기술을 익혀야 한다. 

  • 교수진은 [학습자가 어떤 성적을 받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미래 상태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현재 능력을 관찰하고 기술하고 학습자가 진행하도록 구체적인 제안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17 

  • 학습자는 다음 단계로 전환하기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역량 목표를 알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학습 경험과 중요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탐색한다..20 

  • 특별히 교육을 받은 교직원 및 위원회는 학습자의 성과를 분석하고, 학습자가 다음 교육 수준으로 전환할 준비가 되었을 때 확인하기 위한 형태별 평가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할 책임이 있다.31 

Competency-based assessment is supported by new roles and skills for faculty and learners. 

  • Faculty focus on observing and describing learners’ current abilities in relation to the desired future state and providing concrete suggestions for learners to progress, rather than on deciding what grade the learners receive.17 

  • Learners know the competency goals they must achieve to transition to the next phase of their career and actively seek out both learning experiences and critical feedback to help them achieve those goals.20 

  • Committees of specially trained faculty and staff analyze learners’ performance and are responsible for assembling and analyzing formative assessment data to identify when learners are ready to transition to the next level of education.31 


테크놀로지는 이러한 과정과 관계를 서포트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준비가 되는 즉시 수업에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 학습 도구에 접근할 수 있다. 행정 기술은 피드백과 평가의 여러 인스턴스를 수집하여 종합적인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성과 및 성취 데이터는 학습자가 정규 교육 프로그램을 거쳐 실습으로 이동함에 따라, 의료 교육의 연속적인 학습과 역량 향상을 촉진한다.

Technology supports this process and these relationships. Learners have ready access to digital learning tools so that they can access lessons as soon as they are ready. Administrative technology collects multiple instances of feedback and assessment to provide the data needed to make summative decisions.6,30 Performance and achievement data follow the learner as she or he moves through formal educational programs and into practice, facilitating continuous learning and competency enhancement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and into practice.


역량에 따른 시간가변 훈련의 이론적 기초와 새로운 사례

The Theoretic Basis for and Emerging Examples of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Training


이 보충 자료에서, 케이트와 동료는 훈련 기간이 단순히 다른 능력을 숙달하고 입증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합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건강 직업 프로그램에 몰두하는 개인이 학습을 통합하고 전문가로서 성숙하기 위해서는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

In this supplement, ten Cate and colleagues32 note that the duration of training cannot simply be described as the sum of the time required to master and demonstrate different competencies; additional time is needed for individuals immersed in a health professions program to consolidate their learning and mature as professionals.


의료 및 기타 의료 직업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역량 기반 시간 가변 프로그램 설계의 여러 예가 있다. 예를 들어, Hoff와 동료들34는 네덜란드의 개인화된, 역량 기반, 시간 가변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레지던트들이 파트타임 훈련을 받고, 가족을 위한 시간을 제공받으며, 추가적 임상업무와 연구경험을 제공받는다. 진정한 역량 기반 형태의 프로그램에서는, 어느 단계의 훈련에서 전문성을 획득하였다고 입증되면, 후속 단계에서 훈련을 단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There are a number of examples of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program designs from medical and other health professions programs. For example, Hoff and colleagues34 describe individualized,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residency programs in the Netherlands that allow residents to pursue training part-time, affording them time for family building, additional clinical work, and research experiences. In true competency-based fashion, demonstrated expertise gained in one stage of training may be used to shorten training in a subsequent stage.


경쟁력 있는 시간적 가변적 교육 구현 전략 및 과제

Strategies and Challenges to Implementing Competency- Based, Time-Variable Education


많은 의료전문직 교육 프로그램에서 역량 기반 평가 요소(예: 마일스톤 및 위탁 가능한 전문 활동)를 채택했지만, 역량 기반 시간 가변 교육 접근방식에 필수적인 것으로 기술된 강력한 "평가 프로그램"은 드물다. Englander와 Carraccio41은 역량 기반 교육이 기반을 둔 평가와 코칭 전략의 유형을 구현하고 싶다면, 현재와 같은 불연속적인 의학 교육 시스템을 뒤집고, 교수들과 학습자들 사이의 새로운 역할과 관계를 지원해야 하는 필요성을 주장한다.

Man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s have adopted elements of competency- based assessment (such as milestones and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but the robust programs of assessment described by as essential to the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training approach are rare. Englander and Carraccio41 describe the imperative of reversing our current system of discontinuity in medical education and supporting new ro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faculty and learners if we wish to implement the types of assessment and coaching strategies on which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based.


마지막으로, Custers와 Cate는 현재와 같은 time-bound practice는 시간과 숙련도 개념이 역사적으로 진화한 것에 기초하고 있으며, 진정한 emperic basis는 없음을 상기시킨다.

Finally, Custers and ten Cate46 remind us that current time-bound practices are based i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concepts of time and proficiency and have no true empiric basis.


결론

Conclusion


우리는 갈림길에 서 있다. 역량에 기반한 교육이 의미 있는 움직임이 되었으며, 돌아갈 길은 없다. 환자 안전을 위한다면, [의료전문직 교육 연속체의 단절된 분획속에서 표준화된 훈련 시간]은 미래의 모습이 될 수 없다. 그보다는 개인화된 교육 경로는 우리의 모습을 조차장marshalling yard로 변화시킬 것이며, 그래야만이 개개인이 자신의 요구와 의료 환경의 요구 모두에 대하여 융통성 있고 맞춤화된 역동적인 개인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인증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의료 전문가의 일생 동안 역량 기반, 안전, 고품질 의료 관행이 보장된다.

We are at a crossroads. Competency- based education has become a significant movement, and there is no way back. For the sake of patient safety, a standardized duration of training, in unconnected compartments of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tinuum, is likely not the landscape of the future. Rather, individualized educational pathways, could transform the landscape into a marshalling yard, in which individuals develop a dynamic personal portfolio of certified qualifications that are flexible and tailored to both their individual needs and the needs of the health care environment. Doing so will ensure competency-based, safe, high-quality medical practice throughout a health care professional’s life.



12 Eva KW, Bordage G, Campbell C, et al. Towards a program of assess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From training into practic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6;21:897–913.


13 Schuwirth L, Ash J. Assessing tomorrow’s learner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only a radically different holistic method of assessment will work. Six things we could forget. Med Teach. 2013;35:555–559.


14 Holmboe ES, Batalden P. Achieving the desired transformation: Thoughts on next steps for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5;90:1215–1223.


41 Englander R, Carraccio C. A lack of continuity in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violates the “do no harm” principle. Acad Med. 2018;93:S12–S16.


32 ten Cate O, Gruppen LD, Kogan JR, Lingard LA, Teunissen PW. Time-variable training in medicin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cad Med. 2018;93:S6–S11.


33 Teunissen PW, Kogan JR, ten Cate O, Gruppen LD, Lingard LA. Learning in practice: A valuation of context in time-variable medical training. Acad Med. 2018;93:S22–S26.


46 Custers EJFM, ten Cate O. The history of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ith respect to time and proficiency. Acad Med. 2018;93:S49–S54.





 2018 Mar;93(3S Competency-Based, 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S1-S5. doi: 10.1097/ACM.0000000000002080.

Competency-Based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Crossroads.

Author information

1
C.R. Lucey is executive vice dean, vice dean for education, and professor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G.E. Thibault is president, Josiah Macy Jr. Foundation, New York, New York.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Abstract

Health care systems around the world are transforming to align with the needs of 21st-century patients and populations. Transformation must also occur in the educational systems that prepare the health professionals who deliver care, advance discovery, and educate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in these evolving systems. Competency-basedtime-variable education, a comprehensive educational strategy guided b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at health professionals must assume to meet the needs of contemporary patients and communities, has the potential to catalyze optimization of educational and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By designing educational and assessment programs that require learners to meet specific competencies before transitioning between the stages of formal education and into practice, this framework assures the public that every physician is capable of providing high-quality care. By engaging learners as partners in assessment, competency-basedtime-variable education prepares graduates for careers as lifelong learners. While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as embraced the notion of competencies as a guiding framework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structure and conduct of formal educational programs remain more aligned with a time-based, competency-variable paradigm.The authors outline the rationale behind this recommended shift to a competency-basedtime-variable education system. They then introduce the other articles included in this supplement to Academic Medicine, which summarize the history of, theories behind, examples demonstrating,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competency-basedtime-variable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PMID:
 
29485479
 
DOI:
 
10.1097/ACM.0000000000002080


의학교육의 결정적 시기: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의 위험(Adv in Health Sci Educ, 2012)

A critical time for medical education: the perils of competence-based reform of the curriculum

Karen Malone • Salinder Supri




미국, 캐나다, 영국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의 의료 교육자들은 의료 커리큘럼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의 채택을 옹호하고 있다. 이것은 커리큘럼의 방향을 [규정된 강좌의 가르침에 중점을 두지 않고], [의학의 실천에 필요한 특정한 과학, 사회 및 행동 역량]에 초점을 맞춘다. (캐나다 의과대학 2000, 종합 의과대학 2002, 2009, 스코틀랜드 의과대학 교육과정 그룹 2002, 미국 의과대학 협회 2009).

Medical educators across major industrialis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the United Kingdom, are advocating the adoption of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the medical curriculum. This seeks to steer the curriculum away from an emphasis on the teaching of prescribed courses, towards a focus on the specific scientific, social and behavioural competencies that students need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2000; General Medical Council 2002, 2009; Scottish Medical Deans CurriculumGroup 2002;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2009).


그러나 의료 커리큘럼에 대한 역량 기반 접근방식이 이러한 의도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거의 40년 동안,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전 세계에 걸쳐 국가 직업 교육과 훈련의 기초를 형성해 왔는데, 특히 영국, 호주, 뉴질랜드,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및 본토 유럽(아르구 ̈elles and Gonczi 2000)에서 두드러진다.

However, it is debatable whether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the medical curriculum will fulfill these intended aims. For nearly 40 years, competence-based curricula have formed the basis of nat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cross the world, most notably in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New Zealand, Asia, Latin America and mainland Europe (Argu¨elles and Gonczi 2000).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주로 교육 성과와 employer의 요구 스킬 사이에 더 큰 일관성을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직무 관련성을 높이기 위해 수동 거래manual trades에 처음 도입되었다(West 2004). 즉, 역량 기반 접근법은 본질적으로 수동 거래에서의 훈련을 평가하도록 설계된 평가 시스템이었다. 그것은 교육 및 학습 프로세스 전체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교육학적 접근방식으로 개발되지 않았다(West 2004).

Competence-based curricula were first introduced for the manual trades, primarily to increase the vocational relevance of courses by providing greater coherence between training outcomes and the skill needs of employers (West 2004). The competence-based approach was thus essentially a system of assessment designed to evaluate training in the manual trades; it was not developed as a comprehensive pedagogical approach encompassing the whol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est 2004).


능력은 복잡하며, 전체는 부품의 합보다 크기 때문에 분리된 요소로 축소할 수 없다.

Competence is complex and cannot be reduced into isolated elements, since the whole is more than the sum of the parts


의문은, 특정 영역의 전체적인 역량이 더 좁고 분리된 역량의 집합을 숙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현실 세계의 역량은 일련의 단순한 측정 가능한 과제나 단계로 축소할 수 없는 복잡하고 다면적인 현상이라고 주장되고 있다(Hyland 1993; Halsall 1995; West 2004). 다른 방법으로, 개별 역량 요소의 숙달력이 특정 직무나 기술과 관련된 전반적인 역량을 생산하기 위해 반드시 추가되는 것은 아니다(Ashworth and Saxton 1990; Erridge and Perry 1994).

At issue is the question of whether overall competence in a particular area can be attained by mastering a set of narrower, discrete competencies. It is argued that real world competence is a complex, multi-faceted phenomenon which cannot be reduced to a series of simpler measurable tasks or steps (Hyland 1993; Halsall 1995; West 2004). Put another way, mastery of individual elements of competence do not necessarily add up to produce overall competence in relation to a particular task or skill (Ashworth and Saxton 1990; Erridge and Perry 1994).


임상 성과를 절차적 지식과 기술의 분리된 요소로 원자화한 것을 다시 합한다고 해서 임상 맥락에서의 역량으로 다시 합산되는 것은 아니다(Hudding and Heudebert 2007). 따라서 복잡한 학습 과정에 적용되는 역량의 개념의 타당성은 철학적으로 의문시된다.

Atomising clinical performance into isolated elements of procedural knowledge and skill cannot be added back together to create competence in the clinical context (Huddle and Heudebert 2007). Hence,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as applied to the complex process of learning is philosophically questionable.


역량 기반 접근법은 고도로 숙련된 직업에 적합하지 않다.

Competence-based approaches are not suitable for highly skilled professions


역량 기반 교육은 비교적 일상적인 업무와 간단한 시험 가능한 기술을 포함하는 하위 수준의 직업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 오랫동안 주장되어 왔다(Erridge and Perry 1994; Hodkinson and Issitt 1995). 따라서 일상적인 업무와 표준화된 업무의 만족스러운 완료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의료와 같은 상위 수준의 직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신 의학은 임상 문제를 이해하고 감별진단을 실시하기 위해, [분석, 판단, 이전 경험에 대한 성찰과 '상황 읽기 능력'을 포함한] 보다 높은 수준의 인지 능력을 필요로한다(허들 및 휴드버트 2007). 이러한 상위 순위의 기술은 역량 기반 접근법에 쉽게 내어주지 않는다(Cave and McKeown 1993; Winter 1995; Grundy 2001; Cox 2007).

It has long been argued that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better suited to lower-level occupations that involve relatively routine tasks and simple testable skills (Erridge and Perry 1994; Hodkinson and Issitt 1995). It is therefore not appropriate to higher-level professions, such as medicine, which require far more than the satisfactory completion of routine and standardised tasks. Instead medicine necessitates higher-order cognitive skills, including analysis, judgment, reflection on previous experience, and ‘‘reading the sit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a clinical problem and undertake differential diagnosis (Huddle and Heudebert 2007). Such higher-order skills do not easily lend themselves to a competence-based approach (Cave and McKeown 1993; Winter 1995; Grundy 2001; Cox 2007).


의료 분야의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하위 수준 및 특정 목표 업무 또는 위생 절차 및 이력 취사와 같은 프로토콜이 존재하는 분야의 훈련에 적합할 수 있지만, 의학과 같이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상위 수준의 역량 개발은 여전히 어렵(Leung 2002).

While competence-based curricula in medicine may be suited for training in areas involving lower-level and specific objective tasks, or where protocols exist, such as hygiene procedures and history taking, the development of robust and reliable higher-order competencies in medicine has remained elusive (Leung 2002).


역량 기반 접근방식이 커리큘럼의 내용을 제한

Competence-based approaches limit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 첫째, 그것은 특정한 상황의 집합에서 특정한 범위의 과제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로 초점을 좁힘으로써 전통적인 광범위한 커리큘럼을 reduce시킨다.

  • 둘째, 커리큘럼을 (역량의) 정의에 들어맞는 것, 즉 구체적이고 직접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제한한다(1995년 겨울).

First, it reduces traditional broad curricula, by narrowing their focus towards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o complete a specific range of tasks in a particular set of contexts. Second, it limits the curriculum to what is amenable to definition, that is, to what is concrete and directly measurable (Winter 1995).


예를 들어, 환자들은 종종 심장마비와 같은 복잡한 다면적인 건강 문제를 겪는다. 이러한 의학적 조건을 다루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은 역량 기반 접근법을 사용하여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역량기반 접근법에서는 학생들에게 그러한 의학적 필요의 복잡성을 실제로 다룰 수 있는 데 필요한 깊이의 이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Patients often present with complex multi-faceted health problems, such as heart failure for example. Teaching how to treat such medical conditions is problematic using a competence-based approach, because it does not provide students with the depth of understanding needed to be able to deal with the complexity of such medical needs in practice.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은 "테스트에 대한 교육"으로 귀결된다.

Competence-based approaches result in ‘‘teaching to the test’’


실제로 적용하다보면, 역량 기반 접근방식은 "시험을 잘 보기 위한 교육"이라고 불려온 접근방식으로 귀결된다(Grundy 2001). 즉,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시험을 보는 측면에 불과한] 역량 목록에 명시된 것만으로 교육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결국 그들의 학업을 평가되는 것에 크게 제한한다. 그러므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좁고 피상적일 수 있다.

When applied in practice, competence-based approaches result in what has been termed ‘‘teaching to the test’’ (Grundy 2001). In other words, educators tend to limit teaching to what is specified in the list of competencies, because it is only those aspects of the curriculum that are tested. Students in turn largely restrict their studies to what is assessed. Thus, teaching and learning can become narrow and superficial,


역량 기반 접근 방식은 관료적이고 부담스럽다.

Competence-based approaches are bureaucratic and burdensome


(CBA에서) 시스템의 작동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문서화된 지침이 작성되어야 한다(Grundy 2001). 따라서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교육의 내용과 질보다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할 수 있다.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각종 형식과 체크박스의 완성으로, 궁극적으로 교육을 문서업무로 축소시키고, 교육자들의 역할을 형식을 채우는 관료들의 역할로 평가절하하는 필요성에 의해 지배될 수 있다(West 2004). 실제로, 이 접근방식의 평가 연구에서 발표된 결과 데이터는 유익한 교육 효과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이, 행정 부담의 증가를 보여주었다(Bates 1999).

A significant quantity of written guidance needs to be produced to ensure the operation and reliability of the system (Grundy 2001). Educationalists thus may spend more time in administering the systemthan on the content and quality of students’ education.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can become dominated by the need to complete forms and check-boxes, ultimately reducing education to a paper chase, and devaluing the role of educators into that of form-filling bureaucrats (West 2004). Indeed, published outcome data from evaluative studies of this approach has revealed an increase in administrative burden, coupled with no clear evidence of beneficial educational effects (Bates 1999).


역량 기반 의료 교육에 대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접근의 필요성

The need for a critical and creative approach to competence-based medical education


그 증거는 이 접근법을 의료 커리큘럼에 무비판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것임을 시사한다.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this approach to the medical curriculum will not achieve its intended aims.


실제로 역량 기반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역량 기반 커리큘럼은 역량 개발, 교육 및 평가 방법에 있어 새로운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요구되는 학문적 및 전문적 수준에서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에 대한 강력한 기반을 제공하도록 한다. 더욱이, 역량기반 접근법을 시행할 경우, 현재의 커리큘럼의 상당한 강점을 간과하지 않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다. "목욕물을 버리면서 아기도 버리면 안 된다"고 했다. 역량 기반 교육으로 완전히 전환wholesale swing하는 대신, 전통적인 최고의 것을 역량기반 접근법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It should be recognised that adopting a competence-based approach in practice is not easy. The competence-based curriculum presents new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terms of how best to develop, teach and assess competencies, so that students are provided with strong foundations in th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to perform at the required academic and professional levels. Moreover, educators also need to ensure that, if implementing a competence-based approach, they do not lose sight of the considerable strengths of the current curriculum. They must not ‘‘throw out the baby with the bathwater.’’ Instead of a wholesale swing to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y should consider how to blend the best of traditional with competence-based approaches.



 2012 May;17(2):241-6. doi: 10.1007/s10459-010-9247-2. Epub 2010 Sep 14.

critical time for medical education: the perils of competence-based reform of the curriculum.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of Medicine and Dentistry of New Jersey, Newark, 07107-1709, USA. karen_m_malone@yahoo.com

Abstract

Rapid expansion in scientific knowledge, changes in medical practice, and greater demands from patients and society necessitate reform of the medical curriculum. In recognition of this, medical educators across the world have recommended the adoption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This is intended to increase the rigour and relevance of the curriculum, move students beyond a focus on the memorisation and regurgitation of scientific facts, and better enable them to understand scientific principles and apply them to the practice of medicine. Experience from 40 years' use of competence-based curricula across the world suggests that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this approach to the medical curriculum may not achieve its intended aims. There are valuable lessons to be learnt from the histor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By taking on board these lessons, confronting the pitfalls of this approach, and devising new and creativ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herent in this methodology, medical educators can better achieve their aim of providing a strong foundation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 is only through such a strategy-rather than the uncritical adoption of this educational approach-that we will have real movement and progress both in competence-based education in general, and in its applications to medicine in particular.

PMID:
 
20838880
 
DOI:
 
10.1007/s10459-010-9247-2


의학교육에서 문턱개념(MedEdPublish, 2018)

Threshold Concepts in Medical Education

Virginia Randall[1], Robert Brooks[1], Agnes Montgomery[1], Lauren McNally[1]




도입

Introduction


고등교육에서 문턱개념(TC)은 어떤 전문직에 특유한 사고와 추론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문턱개념을 통해 학습자는 전문직처럼 생각하고, 전문직이 될 수 있다. TC 프레임워크는 2003년에 처음 출판된 마이어와 랜드 (Meyer and Land, 2003; Land, Meyer and Smith, 2008; Meyer, Land and Baille, 2010; Land, Meyer and Flanagan, 2016)에 의해 개발되었다. 첫 번째 TC는 경제와 공학, 마이어와 랜드의 학문에 적용되었다. 그 이후 그들은 건축, 문학, 사회학, 회계학 등 다양한 직업에서 유럽, 호주, 뉴질랜드에서 연구되었다. 의료 교육에서 TC를 식별하는 소수의 연구가 최근 영국의 저자들로부터 나타났다(Neve, Wearn and Collett, 2016a; Barradeell and Peseta, 2017; Collett, Neve, Lloyd and Collett, 2017; Neve, Lloyd and Collett, 2017a).


Threshold concepts (TC) is a theoretical framework in higher education to describe ways of thinking and reasoning that are unique to a profession and enable the learner to "think like" and become a professional. The TC framework was developed by Meyer and Land (Meyer and Land, 2003; Land, Meyer and Smith, 2008; Meyer, Land and Baille, 2010; Land, Meyer and Flanagan, 2016) who first published in 2003. The first TCs applied to economics and engineering, the disciplines of Meyer and Land. Since then, they have been studied in Europe,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such diverse professions as architecture, literature, social studies, and accounting. A handful of studies identifying TCs in medical education have appeared recently from authors in the United Kingdom (Neve, Wearn and Collett, 2016a; Barradell and Peseta, 2017; Collett, Neve and Stephen, 2017; Neve, Lloyd and Collett, 2017b; Neve, Lloyd and Collett, 2017a).


TC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핵심 구성 요소가 있다.

There are four key components of a TC:




1. TC는 변혁적이다. 그것은 학습자가 자신을 개인/전문가로 보는 방식에 일대 변화를 일으킨다. (Mezirow, Taylor and associates, 2009). 학습자는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을 식별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그들의 새로운 직업에 대한 그들의 역할을 인식하게 된다.

1. A TC is transformational; it causes an ontological shift in the way the learner views himself or herself as a person/professional (Mezirow, Taylor and associates, 2009). The learner comes to identify themselves in a new way, and appreciate their role in their new profession in a new way.


2. TC는 통합적이다; 그것은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지식과 태도들의 조각들을 전체적으로 만들어낸다; 학습자가 깨달았을 때, "오, 그것이 그들이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모든 것이 말이 된다!" 교직원으로서, 우리는 "전구가 켜졌다!"

2. A TC is integrative; it brings pieces of seemingly un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into a whole, when the learner realizes, "Oh that is what they are talking about" "Now it all makes sense!" As faculty, we say "The light bulb went on!"


3. 변혁성, 통합성과 얽혀있는 것이 비가역성이다. 일단 TC를 수용하면, 그/그녀는 그것을 배우기 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그것은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이 되었다.

3. Intertwined with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is irreversibility; once the learner embraces the TC, he/she cannot unlearn it. It has becom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4. 네 번째 요소는 '성가심'이다. TC는 학습자가 자신과 자신의 역할을 경험하는 새로운 방법에 접근할 때 느끼는 불안감과 더불어 새로운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이기도 하다. 우리는 환자에 대한 더 많은 관여와 책임을 원하지만 동시에 그들의 지식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실수를 할까봐 두려워하는 의대생을 본다. 의대생은 서로 상반되는 이 두 가지 존재 방식 사이에서 동요하며 화해하려고 애쓴다. 그들은 의학의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 이 골치 아픈 단계에서 학생들은 불안해지고, 우울해지고, 냉소적이 될 수 있으며, 의대를 중퇴할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4. A fourth component is troublesomeness; a TC involves the angst that learners feel as they approach a new way of experiencing themselves and their role, coupled with their fear of this new unknown. We see medical students who want more involvement and responsibility for their patients, but who are simultaneously aware that their knowledge is not complete and are fearful of making a mistake. They oscillate between these two opposing ways of being and struggle to reconcile them. They are facing the uncertainty of medicine. During this troublesome phase, students may become anxious, depressed, cynical, and may contemplate dropping out of medical school.


TC의 또 다른 특징은 "한계성boundedness"이다. 즉, 얻은 지식은 해당 분야(연구에서, 의료에)에 특정된다. "담론적Discursive"이라는 말은, 어떤 분야의 언어를 사용하는 학생을 말하며, 실천공동체에 적응하는 것을 말한다. 종종 이것은 그들이 "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있고 아직 이 새로운 언어의 자연스러운 사용으로 전환되지 않았다는 것을 학생이 알고 있을 때 모방하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Other descriptors of TCs are "boundedness": the knowledge gained is specific to that discipline (in our study, to medical care). "Discursive" refers to the student using the language of the discipline, and fitting into the community of practice. Often times this may involve a period of mimicry, when the student is aware that they are using a "script" and has not yet transitioned to a natural use of this new language.


[자신의 TC 경험을 기억해내는 것은 숙련된 교수들에게 어렵지만], 이러한 개념이 우리 자신의 전문적 및 개인 식별에 눈에 보이지 않게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교수들에게도 중요하다(Meyer and Land, 2006). 교직원으로서, 우리는 TC의 juncture에서 막혀 있는 학생들을 찾아서, 그들의 우려에 귀를 기울이고, 비판단적인 토론을 제공하며, 무엇보다도 학생에 대한 경험이 일반적인 것임을 알려줌으로써 도울 수 있다. 의과대학 학생들이 겪는 고통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며, 우리 모두는 우울증에 빠져 그들의 임상 시간에 의대를 떠나기로 결정하는 학생들을 보아왔다. 의대생의 고통을 다루는 방법에는 소규모 그룹 세션, 보호 환기 기회 및 반성의 지침이 포함된다(Egnew et al., 2018).

TCs are important for faculty to appreciate, although remembering one’s own TC experiences is difficult for experienced faculty, since these concepts have become invisibly integrated into our own professional and personal identify(Meyer and Land, 2006). As faculty, we can help students who may be stuck at a juncture with a TC by listening to their concerns, providing non-judgmental discussions, and most, of all, normalizing the experience for the student. That medical students suffer is undeniable, and we have all seen students who become depressed and decide to leave medical school in their clinical years. Ways of dealing with medical student suffering include: small group sessions, opportunities for protected venting, and guidance for reflection (Egnew et al., 2018).


방법

Methods


우리는 질적 분석의 기초 이론과 지속적인 비교 접근법을 사용하여 3학년 소아과 임상실습생의 성찰 에세이를 주제분석하였다. 성찰 에세이는 우리 의과대학의 커리큘럼 요건의 일상적인 부분이다. 그리고 학생들은 4년 동안 많은 것을 쓴다.

We used the grounded theory and constant comparison approaches of qualitative analysis to generate a thematic analysis of reflective essays from our 3rd year pediatric clerks. Reflective essays are a routine part of the curricular requirements at our medical school, and students write many during the course of the four years.


서면 반사에 대한 프롬프트:

Prompts for the written reflection are:


1. 임상실습 후 어떻게 변하셨습니까?

2. 의사처럼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의과대학 설립 이후 가장 중요한 개념은 무엇인가?

3. 당신이 경험한,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개념은 무엇인가?

4. 당신이 올해 개발한 생명, 의학, 또는 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설명하라.

1. How have you changed since beginning your clerkship year?

2. What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you have understood since beginning medical school that enables you to think like a physician?

3. What is the most difficult concept about being a physician you have encountered?

4. Describe any new approaches to life, medicine, or learning that you have developed this year.


에세이는 4학년 의대생 3명과 교직원 1명에게 할당되었다. 각 연구자 쌍은 동일한 과정을 따랐다. 독립적인 라인별 코딩, 해결될 때까지의 차이점 쌍 간의 논의. 연구자 3세트에 걸쳐 개발된 코드는 75개였다. 그 후 쌍 내에서 독립적인 주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코드를 테마로 분류하고 주제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에는 11개의 주제가 있었다. 4학년 의대생들은 TC 이론에 대해 대단한 통찰력을 보였으며, 많은 학생 투쟁으로 쉽게 자기 정체성을 드러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들은 교직원들에게 3학년 의대생의 관점을 설명할 수 있었고, 그래서 그룹들 사이에 이해를 만들어냈다.

The essays were divided among three 4th year medical students and a faculty member. Each pair of researchers followed the same process: independent line-by-line coding, then discussion between the pair of differences until resolution. There were 75 codes developed across the three sets of researchers. There followed independent thematic analysis within the pair, sorting the codes into themes and discussing the themes until there was complete agreement. At the end, there were 11 theme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4th year medical students showed great insight into the theory of TCs, and readily self-identified with many student struggles. They were able to explain the point of view of the 3rd year clerks to the faculty member, and so created an understanding among the group.


결과/분석

Results/Analysis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1-2페이지를 썼다. 많은 사람들이 TC와의 격렬한 감정적 만남을 묘사했다.

Students generally wrote 1-2 pages. Many were descriptive of intensely emotional encounters with TCs.


"똑똑해지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 "지식이 전제조건이지만, 그 자체가 아니다."

  • "환자를 돌보는 것은 관련 지식을 아는 것뿐만 아니라 환자와의 인간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Being smart isn’t enough"

  • "The knowledge is the prerequisite, but it isn’t the thing itself."

  • "Caring for patients requires not only knowing the relevant knowledge, but also developing a human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환자에 관한 거야."

  • "처음부터 가끔, 그리고 언제, 내가 더 이상 내 자신을 당황하게 하거나 어떻게 일을 했는지에 대해 신경쓰지 않고, 오히려 환자를 치료하고 최선을 다하는 데 신경을 쓰기 시작하는 시점이 왔다."

  • "배고픔, 갈증, 수면, 깨끗한 집, 교육 등 내 욕구가 항상 환자의 요구에 뒤쳐질 것이라는 것"

"It’s about the patient"

  • "Sometime since the first day, and I am not sure when, there came a point where I no longer cared about embarrassing myself or how I did things, but rather I started caring abut treating the patient and doing the best I could."

  • "that my needs, whether it be hunger, thirst, sleep, a clean house or education, are always going to come second to my patient’s needs."

"인생은 공평하지 않아"

  • 그는 "젊은 시절이 있는 모든 것이 행복한 결말을 맺는 것은 아니다"라며 "삶이 항상 공평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 "이 경험은 나에게 어려웠다...이 여자애는 그날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인생을 시작하기로 되어 있었다. 나는 솔직히 다시 의학에 흥분하지 않는 데 시간이 좀 걸렸다."

"Life isn’t fair"

  • "It taught me that not everything with youth has a happy ending – life isn’t always fair."

  • "This experience was difficult for me…This girl was supposed to begin her life, not have it end that day. It honestly took me a little while t get excited about medicine again."

"때로는 정답이 없을 때도 있다."

  • "처음(혹은 아예) 정답이 없는 것은 매우 답답하다."

  • "치료 기준과 환자의 자율성 사이의 어려운 균형"

"Sometimes there isn’t a right answer"

  • "Not having the right answer the first time (or even at all) is very frustrating."

  • "The difficult balance between the standard of care and the patient’s autonomy."

"모든 사람을 구할 수는 없어."

  • "나는 네가 모든 사람을 구할 수 없고, 구원할 수 없다는 것을 배워야 했다. 심지어 가장 그럴 자격이 있는 사람일지라도... 이 경험은 때때로 나쁜 결과가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을 때도 일어난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You can’t save everyone"

  • "I had to learn that you can’t and won’t save everyone, even those who deserve it the most…this experience taught me that sometimes bad outcomes occur even when you do the best you can."

"학습은 평생하는 것이다"

  • "나는 내가 배운 모든 것을 새로운 시각으로 다시 배우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지금은 공부를 할 때, 꼭 해야 해서가 아니라 하고 싶어서 그러는 거야."

"Learning is lifelong"

  • "I find I am relearning everything I was taught with a new perspective."

  • "Now when I study, it’s because I want to, not because I have to."

"의학은 흑백은 아니고, 거의 항상 회색이다(모호하다)"

  • "의학적으로 '의학적으로' 있는 것은 많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 "처음(또는 전혀) 정답이 없다는 개념은 여전히 매우 어렵다."

"Medicine isn’t black and white, but almost always grey"

  • "I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not many things in medicine are ‘by the book.’"

  • "The concept of not having the right answer the first time (or at all), is still very difficult."



문턱 개념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내가 의학이라고 생각했던 것과 현실 사이에 단절이 있다"는 것이다. 이 문턱개념은 이것과 이후의 모든 데이터 세트에서, 그리고 각 의대생 공동 투자자에 의해, 그들이 임상실습동안 마주친 것의 핵심으로 확인되었다.

The overarching theme of the threshold concepts is that "There is a disconnect between what I thought medicine was going to be and the reality." This threshold concept was identified in this and every subsequent data set, and by each medical student co-investigator as the core of what they encountered during their clerkship year.



고찰

Discussion


영국의 의대생들은 USUHS의 학생들과 확연히 다르다: 그들은 더 어리고, 의료 분야에서 경험이 적으며, 군대에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연구에서 드러난 TC들 사이에는 현저한 유사성이 있었다; 사실, 4개는 거의 동일하다. 표 1은 영국 연구와 우리의 연구에 기술된 TC 사이의 정합성을 보여준다.

The UK medical students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students at USUHS: they are younger, have less experience in the health care sector, and are not in the military (as are the USUHS students.) Nonetheless, there was a striking similarity between the TCs that emerged from these studies; in fact, four are nearly identical. Table 1 demonstrates the convergence between the TCs described in the UK study and in our study.


두 연구 모두 불치의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는데, 아마도 이러한 연구가 한 시점에 일어났기 때문일 것이다.

Neither study found evidence of irreversibility, probably because these studies occurred at a single time point.




결론

Conclusion


우리의 연구와 Collett와 Neve의 연구는 Barradell이 발견한 합성 주제, 특히 건강 과학("똑똑해지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과 실천 공동체로의 유입("Medicine is not black and white")을 설명한다. 이러한 TC는 환자를 돌보는 책임을 준비하는 데 보편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TC들은 우리 사회와 매우 다른 의과대학 환경에서 다양할 수 있다.

Our work and that of Collett and Neve illustrate the synthetic themes found by Barradell, especially that of working anew with knowledge in the health sciences ("Being smart isn’t enough") and induction into the community of practice ("Medicine isn’t black and white"). These TCs may be universal to preparation for the responsibility of caring for patients. Alternately, these TCs may vary in medical school settings in societies very different from our own.





Threshold Concepts in Medical Education

Virginia Randall[1], Robert Brooks[1], Agnes Montgomery[1], Lauren McNally[1]

Institution: 1.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Corresponding Author: Dr Virginia Randall (virginia.randall@usuhs.edu)
Categories: Educational Theory, Students/Trainees,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ural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ublished Date: 21/08/2018

Abstract

Background - The theory of Threshold Concepts (TC) proposes that there are ideas necessary for a student to learn which enable them to think like a professional. Studies of TC in higher education have appeared since 2003.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are more recent.

Method - We studied TC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approach (grounded theory and constant comparison) to produce a thematic analysis of 135 de-identified reflective practice essays from students in the pediatric clerkship at our medical school.

Summary of results - Seven themes met our criteria for a threshold concept; transformative (ontological shift) and troublesome (causes angst). 2 TC in our students’ work were identical with those found by authors from the UK (“Medicine isn’t black and white,” and “Sometimes there isn’t a right answer,”) 4 TC were similar and 2 were distinct.

Discus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some TC inherent (maybe essential) in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fy formation for a student moving from layperson to physician-hood, regardless of the setting of the medical school.

Keywords: Threshold Concepts; Medical student education; reflective practice


CBME 프로그램의 도입평가를 위한 핵심요소 프레임워크(Acad Med, 2019)

A Core Components Framework for Evaluating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rograms

Elaine Van Melle, PhD, Jason R. Frank, MD, MA(Ed), Eric S. Holmboe, MD, Damon Dagnone, MD, MSc, MMEd, Denise Stockley, PhD, and Jonathan Sherbino, MD, MEd, on behalf of the International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ollaborators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채택되고 있음.1 결과적으로, 교육자와 프로그램 리더들은 혁신적인 커리큘럼의 구현을 연구하고 결과를 평가해야 하는 전례 없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CBME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공통적인 설명이 부족하여 방해받고 있다. 이와 유사한 상황은 30년 전 PBL이 직면한 것과 비슷하다. 표준 설명이 부재하여 이것이 일관되지 않고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일련의 논쟁으로 이어졌다.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rapidly being adopted across the globe.1 Consequently, educators and program leaders are in an unprecedented position to study implementation and evaluate outcomes of innovative curricula. However, these studies are hampered by the lack of a common description of what constitutes a CBME program. A similar situation faced problem-based learning (PBL) three decades ago when the absence of a standard description contributed to a series of inconsistent and inconclusive arguments regarding the impact of PBL.2–4


CBME 프로그램 구현 평가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CBME Program Implementation


실행평가는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운영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검토하는 프로그램 평가의 구체적인 형태이다.6 연구자가 프로그램 작동의 "블랙박스"를 열 수 있도록 한다.7 이러한 정보가 없다면, 제3형 오류의 위험에 빠진다. 제3형 오류란 부정적인 결과가 있을 때, 실제로는 프로그램 구현의 문제인데, 이것을 프로그램 이론의 실패로 귀속시키는 것이다. 

Implementation evaluation is a specific form of program evaluation that examines the question “Is the program operating as intended?”6 It allows researchers to open the “black box” of program functioning.7 Without this information, the risk is present of producing a Type III error—that is, attributing negative findings to a failure in program theory when negative findings may actually reflect an error in program implementation.8


예를 들어, 2013년 한 연구에서는 역량 기반 커리큘럼이 의학 실습을 위해 더 잘 준비된 졸업생을 배출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9 따라서 CBME의 기초가 되는 핵심 가정에 도전한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구현된 CBME는 커리큘럼 시간의 15%를 교수학습의 별다른 변화 없이 역량 개발에 할애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지식 이와는 대조적으로, CBME의 획기적인 설명에 따르면, "이러한 시스템(CBME)의 구현은 교직원 및 학생 역할과 책임 관계의 실질적인 재정립을 요구한다."10(p55)

For example, a 2013 study concluded that competency-based curricula do not produce graduates who are better prepared for medical practice,9 thereby challenging a key assumption underlying CBME. The implementation of CBME that was studied, however, was described as devoting 15% of curriculum time to competency development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s to teaching or learning. In contrast, the landmark description of CBME states, “Implementation of such a system demands substantial redefinition of faculty and stud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10(p55)


제3형 오류의 회피는 실행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인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다. 다른 이유로는 

  • 구현의 차이 및 차이 문서화 

  • 개입에 대해서 보다 의미 있는 비교를 허용한다. 

  • 적절한 이행 지침을 제공하여 외부 타당성을 촉진

Avoiding a Type III error is the most common reason cited for undertak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Other reasons include 

  • documenting deviations from, and differences in, implementation; 

  • allowing for more meaningful comparisons of interventions; and 

  • promoting external validity by providing adequate guidelines for implementation.11


공통 프레임워크의 필요성

The Need for a Common Framework


그러나 CBME에서 설계 요소의 충실도를 평가하는 것을 방해한 것은 CBME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공통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었다..14 예를 들어 역량 기반 교육을 기술할 때 Spady15는 역량 기반 교육을 규정짓는 네 가지 최소한의 특성으로 성과, 시간, 교육 및 측정을 나열한다. 역량 기반 교육을 의료 분야로 translate함에 있어서, 프랭크와 동료 16은 커리큘럼 성과, 능력에 대한 강조, 시간 기반 교육에 대해서 탈-강조, 학습자 중심성의 촉진을 핵심 요소로 설명한다.

Evaluating the fidelity of design elements in CBME, however, has been hampered by the lack of a shared understanding of what constitutes a CBME program.14 For example, in describing competency- based education, Spady15 lists outcomes, time, instruction, and measurement as the four absolute minimum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ranslating competency- based education to the medical field, Frank and colleagues16 describe a focus on curricular outcomes, an emphasis on abilities, a de-emphasis on time- based training, and the promotion of learner centeredness as key elements.


보다 최근에, Carraccio와 Englander1은 CBME프로그램의 필수적 실천요소로서 다음의 특징을 포함했다.

  • 기대 성과의 표준화. 

  • 의사 전문직이 되기 위한 궤적의 명확한 모델 

  • 증거 기반 학습 전략 

  • 케어 제공에 기초한 평가 도구 

  • 형성 평가에 대한 강조 

  • 학습자 직접 관찰 

  • 환자, 멘토 및 의료 팀원과의 학습자 간 양질의quality 관계 존재

More recently, Carraccio and Englander1 expanded the qualities of CBME to include 

  • the standardization of desired outcomes; 

  • a clear model of the trajectory for becoming an expert physician; 

  •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 assessment tools based on care delivery; 

  • an emphasis on formative assessment; 

  • direct observation of learners; and 

  • the existence of quality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with patients, mentors, and health care team members 

...as essential practices in a CBME program.


공통 CBME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데 있어서의 과제

Challenges in Creating a Common CBME Framework


전통적으로 프로그램 구현을 평가하는 연구에 "이행 충실도"(FOI)라는 용어를 적용한다. FOI는 "실제로 실행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비율"로 정의되며, 따라서 "실제, 원래 개발된 프로토콜을 따랐느냐adherence"를 나타낸다.17(p316) 간단히 말해서 충실도는 매번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18

Traditionally, the term “fidelity of implementation” (FOI) is applied to studies that evaluate program implementation. FOI i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rogram components that were implemented” and so represents “the adherence of actual, treatment delivery to the protocol originally developed.”17(p316) Simply stated, ensuring fidelity means implementing a program as designed exactly the same way every time.18


일반적으로 충실도 연구는 특정 프로그램에서 기대되는 필수적 practice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는 데 의존한다.19,20 일반적인 중요 범주는 기준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최종 결과는 FOI를 측정하고 등급을 매기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활동의 체크리스트가 된다.17,21,22

Typically, fidelity studies rely on creating consensus regarding the essential practices one would expect to see in a particular program.19,20 Although generic overarching categories can be used to organize the criteria , the end result tendsto be a checklist of specific activities used to measure and rate FOI.17,21,22


이러한 체크리스트와 관련된 한 가지 문제는 "프로그램의 역동적 특성을 포함하는" 접근이다. 왜냐하면 어떤 프로그램 활동이 필수적인지에 대한 판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CBME 프로그램 구현에서 임상 역량 위원회(CCC)의 설립은 최근에야 필수적인 실행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One issue with a checklist approach “involves the dynamic nature of programs”17(p330) because judgments about which program activities are essential evolve over time. For example, in CBME program implementation, the establishment of a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CCC) seems to only recently be emerging as an essential practice.23,24


더욱이, 필수적인 practice에 대한 합의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체크리스트와 같은 것의 목적은 이분법적인 예-아니오 판단으로 만드는 것이다.19,20 이 때 구현의 퀄리티는 고려되지 않는다. 그러나 구현 품질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최근의 연구는 모든 CCC가 공통적인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25

Furthermore, even assuming that there could be consensus regarding the essential practices, the intent of such lists is to create a dichotomous yes-or-no judgment.19,20 The quality of the implementation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Quality of implementation, however, make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example, recent research reveals that all CCCs do not operate in a common fashion.25


또 다른 과제는 CBME와 같은 교육 혁신은 종종 복잡하다는 것이다. 그들은 다양한 결과에 기여할 수 있는 많은 다른 운영 부분을 가지고 있다.27 그러한 혁신은 맥락에 매우 민감하며,28 따라서 프로그램은 모든 상황에서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것이라는 FOI의 기대는 그저 비현실적이다. Pérez 등 29는 그러한 조건의 적응, 즉 기술혁신의 무결성이 훼손되지 않는 한 원래 설계의 변경을 허용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크리스트나 레시피 같은 접근방식을 피하고, 오히려 "맥락적으로 해석하고 적용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를 식별해야 한다."18(p254)

Another challenge is that educational innovations such as CBME are often complex26; they have many different operating parts that can contribute to a variety of outcomes.27 Such innovations, therefore, are highly sensitive to context,28 and so the expectation of FOI—that a program will be implemented exactly the same way, using exactly the same practices in every circumstance—is simply unrealistic. Pérez et al argue29 that under such conditions adaptation—that is, allowing for changes to the original design as long as the integrity of the innovation is not compromised—should be the primary concern. Meeting this challenge requires avoiding a checklist or recipe-like approach and, rather, identifying components that “provide guidance that must be interpreted and applied contextually.”18(p254)


방법

Metho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Cousins et al19는 실무적 체크리스트보다는 혁신의 중요한 요소들에 초점을 맞춘다고 설명한다. "개입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정의되는 이 핵심 요소들은 중요한 조직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혁신과 구체적으로 연관되지만, 다양한 실무적 실행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견고하다. 다시 말해서, 그것들은 다양한 프로그램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핵심 구성요소는 변화를 프레임하는 기본 관점을 명시하고 관점에 맞는 핵심 구성요소를 식별함으로써 식별된다.

To meet these challenges, Cousins et al19 describe focusing on important components of the innovation rather than on a checklist of practices. Defined as “an essential and indispensable element of an intervention,”31(p3) these core components provide an overarching organizer. The components are specific to the innovation yet robust enough to embrace different practices; in other words, they can be applied to a range of program contexts. Such core components are identified by making explicit the underlying perspective framing the change and identifying the key components that align with the viewpoint.


Cousins et al은 유효성 및 사용을 강화하기 위해 공동작업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고 기술한다.19 따라서 이것은 CCF(CBME Core Components Framework)를 개발할 때 취해진 접근방식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CBME CCF에 대한 국제 의료 교육 전문가 그룹 간의 합의를 달성하기 위해 2단계 방법을 사용했다.

Cousins et al describe the development as taking place in a collaborative fashion in order to strengthen validity and use.19 Accordingly, this was the approach taken in developing the CBME Core Components Framework (CCF). More specifically, we used a two- step method to develop a framework and then to achieve consensus among an international group of medical education experts on a CBME CCF.



1단계: 초안 CCF 개발

Step 1: Developing a draft CCF


따라서, CBME CCF는 세 개의 연속적인 레이어를 사용하여 설계되었다.32

    • 토대 레이어는 각 핵심 구성요소를 CBME.33에 대한 이론, 모델 또는 모범 사례에 연결한다. 

    • 원칙 레이어는 "부유한 고차원의 자문"34(p195)를 제공하여 구현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 실행 레이어는 실행의 세부사항을 포착한다

Accordingly, the CBME CCF was designed using three successive layers.32 

    • The foundational layer links each core component to theories, models, or best practices informing CBME.33 

    • A principles layer offers “a form of rich high-level counsel”34(p195) that can be used to guide implementation, and 

    • a practice layer capture the details of implementation.


2단계: 합의점 결정

Step 2: Determining consensus


우리는 CBME CCF.35,36 두 개의 층을 검증하기 위해 델파이 접근방식을 채택했다. 델파이 접근방식은 의견의 일치 기법으로 익명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대면 회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제거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37 우리는 프레임워크의 두 계층, 핵심 요소 및 원칙에 초점을 맞추었다. 설명, 왜냐하면 델파이 접근방식은 주제에 대한 심층 탐사와는 달리 상위 수준의 개념으로 가장 잘 작동하기 때문이다.38

We adopted a Delphi approach to validate two layers of the CBME CCF.35,36 The Delphi approach was selected because, as a consensus technique, it allows for views to be expressed anonymously, thereby eliminating the influence that can occur through face-to-face meetings.37 We focused on two layers of the framework, the core components and principle statements, because the Delphi approach works best with higher-level concepts as opposed to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topic.38


델파이 연구에서 합의점을 정의하는 표준 방법이 없기 때문에, 결정 지점의 선택에 대해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42 우리의 경우, 연구팀은 응답자의 70% 이상이 합의를 나타내기 위한 합리적인 사전 정의된 표준이라는 데 동의했다.  70%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동의"와 "수정후 동의"이라는 응답이 함께 추가되었다.

Because there is no standard method for defining consensus in a Delphi study, it is important to be explicit about the choice of decision point.42 In our case, the research team agreed that ≥ 70% of the respondents was a reasonable predefined standard for indicating consensus. The responses “agree” and “agree with rewording” were added together to determine whether we had reached the ≥ 70% level.


결과

Results


CCF 초안 개발

Developing a draft CCF


CBME를 통해 의도된 커리큘럼 변화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노력하면서, 우리는 생산개혁이라는 두 가지 다른 관점을 발견했다. (표 1).43,44 

    • 생산 관점은 "공장 같은 의대, 사용자의 요구와 요구에 맞춘 매우 바람직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43(pS41) 

    • 개혁 관점은 "유연한 개별 맞춤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역량 달성율에 적응할 수 있다."43(pS4)

As we worked to make explicit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nded curricular change through CBME, we found two different perspectives used to frame the change to an outcomes-based approach in medical education: production and reform (Table 1).43,44 

    • The production viewpoint draws from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ere “medical schools, like factories, can produce highly desirable products adapted to user needs and desires.”43(pS41) 

    • Alternatively, the reform position focuses on “flexible, individually tailored programs that can adapt to variable rates of competence attainment.”43(pS4)



CBME에 대한 두 가지 다른 관점은 어떤 커리큘럼 요소를 강조하는지에도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 생산 관점에서, 문제 학습자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평가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 개혁 관점에서 모든 학습자가 필요한 역량을 개발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정렬된 모든 커리큘럼 요소에 대해 동등한 중요성을 부여한다.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f CBME can lead to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different curricular elements. 

    • For example, in the production perspective, emphasis is placed primarily on assessment for the purposes of identifying problem learners. 

    • In the reform scenario, however, equal importance is placed on all curricular elements, aligned in such a way so that all learners hav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 required competencies.44,45


CBME CCF를 만드는 과정을 이끌 하는 관점을 결정함에 있어서, 우리는 CBME의 채택이 종종 변화로 설명된다는 점에 주목했다.1,46,47 즉 (학습자) 행동의 상당한 변화를 필요로 한다.48 결과적으로, 우리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때 개혁 관점을 채택했다.

In deciding which perspective should guide the creation of the CBME CCF, we noted that the adoption of CBME is often described as a transformative change,1,46,47 requiring a significant shift in behaviors.48 Consequently, we adopted a reform characterization in developing the framework.


구체적인 핵심요소를 파악하고, 개혁적 관점에 맞추는 과정에서, 균형 잡힌 생태계에서 서로 지탱하고 존재하는 모든 커리큘럼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건설적 정렬"의 교육적 개념에서 도출했다.44 좀 더 구체적으로, 결과 기반 커리큘럼에서 건설적 정렬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 평가 관행이 학습 성과를 지향해야 한다.

To identify specific core components, and in keeping with the reform perspective, we drew from the educational concept of “constructive alignment,”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ll curricular elements supporting each other and existing in a balanced ecosystem.44 More specifically, in an outcomes-based curriculum, constructive alignment requires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practices to be oriented toward learning outcomes.44,45


그런 다음 우리는 CBME를 알리는 대표적 문헌을 통해 이러한 커리큘럼 요소를 탐구했다. CBME를 결과 기반 커리큘럼으로 기술함으로써 생태계 조성이 지원되었다. "역량은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나타내며 커리큘럼은 역량을 획득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10(p51) 따라서, 명시적 성과 역량의 표현은 교육, 학습 및 평가 개발을 이끄는 중심 핵심 요소로 식별되었다. 또한, CBME 커리큘럼의 교수, 학습, 평가에 관한 문헌은 CBME 커리큘럼의 포함을 강화하는 뚜렷한 이론적 토대를 별도의 핵심 요소로 기술하였다.

We then explored these curricular elements in light of our search for seminal literature informing CBME. Creating an ecosystem was supported by the description of CBME as an outcomes-based curriculum where “competence represents the goal of an educational programme, and a curriculum provides the mechanism through which competence is to be acquired.”10(p51) Accordingly, the articulation of explicit outcome competencies was identified as a central core component guid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Furthermore, the literature o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in a CBME curriculum described distinct theoretical foundations reinforcing their inclusion as separate core components.


그러나 우리는 CBME의 기본 개념인 숙달 학습이 아직 프레임워크 개발단계에서 표현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개별 학습자의 진행에 있어 상당한 유연성을 허용하면서도, "프로그램을 통한 순차적 경로"로서 역량을 정비할 필요성을 의미했다. 완전 학습은 어떻게 CBME가 작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토대 개념 프레임워크였다.

We noted, however, that mastery learning, a concept fundamental to CBME, was not yet represented in the evolving framework. Described as the need to arrange competencies as a “sequential path through the programme” while still allowing for considerable flexibility in individual learner progression, mastery learning is a fundamental conceptual framework illuminating how CBME is supposed to work.33,49


따라서 개혁적 관점에서 CBME를 개념화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5가지 핵심요소를 식별하게 되었다.

Accordingly, Conceptualizing CBME from a reform perspective therefore resulted in identification of the following five core components:


• 성과 역량

• 순차적 진행 

• 맞춤 학습 경험 

• 역량 초점 교육 

• 평가 프로그램

• Outcome competencies 

• Sequenced progression 

• Tailored learning experiences 

• Competency-focused instruction 

• Programmatic assessment


생태계 내에서 발생하는 건설적 정렬의 특성화에 대응하여, 우리는 결과적 역량과 순차적 진행을 학습, 교육 및 평가 관행의 개발을 이끄는 중심 핵심 요소로서 상상하였다(그림 1).

Responding to the characterization of constructive alignment as occurring within an ecosystem, we envisioned the outcome competencies and sequenced progression as central core components guiding the development of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Figure 1).



또한, 이 생태계는 프로그램의 크기, 학습 경험을 포함한 자원의 가용성, 학습 환경의 퀄리티과 같은 국지적 맥락의 고유한 특징에 의해 매개moderate된다.

In turn, this ecosystem is moderated by features unique to the local context such as the size of the program, availability of resources including learning experiences, and qualitie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그런 다음 이 다섯 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전체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채웠으며, 각 계층은 다음 계층을 알려 CBME 프로그램에 맞게 특별히 맞춤화된 핵심 구성요소 프레임워크를 허용했다(그림 2). 우리는 또한 links.lww.com/ACADMED/A670).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각 핵심 구성 요소(보조 디지털 부록 1)를 알리는 데 중요한 작업에서 나온 신학 기사 목록을 만들었다.

These five core components were then used to organize and populate the full framework, with each layer informing the next, allowing for a core components framework specifically customized for a CBME program (Figure 2). We also created a list of seminal articles emerging from our work critical to informing each of the core components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vailable at http:// links.lww.com/ACADMED/A670).




5가지 핵심 구성 요소에 대한 의견 수렴

Reaching consensus on the five core components


국제 CBME 협력단 59명 중 25명이 참여하기로 합의했다. 패널 크기는 참가자가 10명에서 30명 사이여야 한다고 제안되었기 때문에 이상적인 크기가 10,37명 이상인 50명은 이 패널 크기가 적절하다고 간주되었다.

Of the 59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BME collaborators group, 25 agreed to participate. Because it is suggested that a panel size should range from 10 to 30 participants,50 with an ideal size being no less than 10,37 this panel size was considered to be adequate.


1라운드 동안 핵심 요소 5개 모두에 대해 70% 이상의 합의에 도달했다(그림 3).

During Round 1, over 70% agreement was reached for all five of the core components (Figure 3).


원칙적 진술은 2라운드의 구체적인 초점이었다. 다시 한 번, 합의는 모든 원칙 진술에 대해 70%의 사전 정의된 합의 수준에 도달했다(그림 3).

The principle statements were the specific focus of Round 2. Once again, agreement reached the predefined consensus level of 70% for all of the principle statements (Figure 3).





고찰

Discussion


우리는 CBME의 채택에 포괄적인 커리큘럼 개혁이 필요하다는 우리의 견해를 분명히 함으로써 CBME 프로그램 구현의 평가를 안내하기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의 개발을 시작했다(표 1).

We began development of a common framework to guide evaluation of CBME program implementation by making explicit our perspective that the adoption of CBME requires comprehensive curricular reform (Table 1).


실천의 체크리스트가 아니라, 핵심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춘다면, 이 프레임워크가 모든 맥락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ocus on core components, rather than a checklist of practices, ensures that the framework can be applied equally across all contexts.


맥락의 영향을 수용하는 것은 역동적 조건 하에서는 "one size does not fit all"이라고 인식되는 [프로그램 평가의 최근 양상]과 일치한다. 따라서 [엄격한 규칙에 대한 의존]은 [가이딩 원칙guiding principle]으로 대체되고 있다.51 따라서 FOI는 프로그램이 특정 관행보다는 핵심 개념에 대한 integrity를 예시하는 정도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방식으로 핵심 요소의 사용은 충실도가 유지되는 동안 국지적 혁신의 촉진을 가능하게 한다.

Embracing the influence of context is consistent with recent developments in program evaluation where it is recognized that under dynamic conditions, “one size does not fit all,” and so the reliance on rigid rules is being replaced by guiding principles.51 FOI accordingly focuses on the extent to which the program exemplifies integrity to key concepts rather than specific practices.18 In this fashion, the use of core components allows for the promotion of local innovation while fidelity is maintained.


국지적 혁신의 가능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CBME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ossibility for local innovation suggests that various configurations of CBME may emerge over time.


또한, CBME는 여러 활동과 결과로 구성된 복잡한 서비스 개입이다. 따라서 구현이 진행될 때 활동과 성과 사이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 가지 핵심 구성 요소는 구현 평가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접근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모든 (프로그램) 평가에서 중요시되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식별할 수도 있는 접근방식'을 말한다.

As well, CBME is a complex service intervention consisting of multiple activities and outcomes. Therefore, creat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and outcomes as implementation unfolds is critical.27 The five core components can support a more systematic and organized approach toward implementation evaluation—an approach that also allows for the identification of unanticipated outcomes, which is an important aspect of any evaluation effort.


연구 한계

Limitations of the study


그러나 우리는 의료 교육 혁신으로서 CBME가 아직 시행 초기 단계에 있다는 것을 완전히 인식하고 있다. 구현 경험을 쌓으면서 다른 관점들이 계속해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We fully recognize, however, that as a medical education innovation, CBME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implementation. It is very possible that other perspectives will continue to emerge as we gain more experience with implementation,


또한 CCF는 주로 CBME의 설계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교육 모델을 뒷받침하는 학습 조건]도 충실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하다고 제안되었다.47 CBME를 구현할 때 서로 다른 두 가지 방향을 식별함으로써 서로 다른 학습 조건이 존재할 수 있다. 문제 접근법과 개발 접근법.25 실제로, 결핍에 초점을 맞춘 환경에서 배우는 경험은 성장 사고방식에 의해 움직이는 것과 매우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55

As well, the CCF is primarily focused on the design elements of CBME. It has been recently proposed, however, that the learning conditions underpinning the educational model are also important in influencing fidelity.47 That different learning conditions may exist is supported by our identification of two different orientations when implementing CBME: a problem approach and a developmental approach.25 Indeed,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learning in an environment that focuses on deficiencie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driven by a growth mindset.55



결론

In conclusion


PBL과 유사하게, CBME의 광범위한 채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BME는 빠르게 실용화되고 있는 혁신이다. CBME 프로그램의 초기 평가는 구현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PBL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통해 배운 이 글은 이 권고안을 진전시키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법을 제공한다. CBME CCF는, 모든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된 [변혁적 혁신으로서의 CBME]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프로그램 구현 평가의 명확성과 일관성을 촉진한다.


Similar to PBL,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the widespread uptake of CBME.59 Nonetheless, CBME is an innovation that is rapidly being adopted into practice. Initial evaluation of CBME programs points to the need for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implementation. Learning from our experience with PBL, this article provides a standardized approach to moving this recommendation forward. With a focus on CBME as a transformative innovation, designed to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ll learners, the CBME CCF promotes clarity and consistency in evaluating program implementation.


이러한 연구가 이론에 기초해야 한다는 필요성 또한 PBL에 대한 우리의 경험에서 비롯된 권고사항이다. 이 교훈은 프로그램 평가 분야에서 더 많은 이론 중심적인 노력에 대한 요구와 유사하다.62

The need for these studies to be theory based is also a recommendation stemming from our experience with PBL.60,61 This lesson learned parallels the call for more theory-driven efforts in the field of program evaluation.62



10 McGaghie WC, Miller GE, Sajid AW, Tedler TV.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An Introduction.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1978.


16 Frank JR, Mungroo R, Ahmad Y, Wang M, De Rossi S, Horsley T. Toward a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medicine: A Canad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definitions. Med Teach. 2010;32:631–637.



32 Varpio L, Bell R, Hollingworth G, et al. Is transferring an educational innovation actually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2;17: 357–367.


61 Norman GR, Schmidt HG. Revisiting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Theory, practice and paper darts.” Med Educ. 2016;50:793–797.









 2019 Jul;94(7):1002-1009. doi: 10.1097/ACM.0000000000002743.

Core Components Framework for Evaluating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rograms.

Author information

1
E. Van Melle is senior education scientist,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J.R. Frank is director of specialty education, strategy and standards, Office of Specialty Education,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Ottawa, Ontario, Canada. E.S.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for mileston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D. Dagnone i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aculty lead and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Faculty of Health Sciences,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D. Stockley is professor and scholar in higher education, Office of the Vice-Provost (Teaching and Learning),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J. Sherbino is assistant dean, Program fo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Faculty of Health Sciences,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Abstract

PURPOSE:

The rapid adop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provides an unprecedented opportunity to study implementation. Examining "fidelity of implementation"-that is, whether CBME is being implemented as intended-is hampered, however, by the lack of a common framework. This article details the development of such a framework.

METHOD:

A two-step method was used. First, a perspective indicating how CBME is intended to bring about change was described. Accordingly, core components were identified. Drawing from the literature, the core components were organized into a draft framework. Using a modified Delphi approach, the second step examined consensus amongst an international group of experts in CBME.

RESULTS:

Two different viewpoints describing how a CBME program can bring about change were found: production and reform. Because the reform model was most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zation of CBME as a transformative innovation, this perspective was used to create a draft framework. Following the Delphi process, five core components of CBME curricula were identified: outcome competencies, sequenced progression, tailored learning experiences, competency-focused instruction, and programmatic assessment. With some modification in wording, consensus emerged amongst the panel of international experts.

CONCLUSIONS:

Typically, implementation evaluation relies on the creation of a specific checklist of practices. Given the ongoing evolution and complexity of CBME, this work, however, focused on identifying core components. Consistent with recent developments in program evaluation, where implementation is described as a developmental trajectory toward fidelity, identifying core components is presented as a fundamental first step toward gaining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implementation.

PMID:
 
30973365
 
DOI:
 
10.1097/ACM.0000000000002743


세대적 타자화: 밀레니얼 학습자에 대한 오해(Med Educ, 2019)

Generational ‘othering’: the myth of the Millennial learner

Joshua Jauregui,1 Bjorn Watsjold,1 Laura Welsh,2 Jonathan S Ilgen1 & Lynne Robins3





도입

INTRODUCTION


건강 직업 교육(HPE) 문헌에는 교육자가 수 세대에 걸친 학습자의 요구에 어떻게 실천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권고사항이 풍부하다. HPE 내에서 이러한 '세대'를 다룬 문헌의 확산은 비교적 최근에 일어났으며, X,1세대를 언급하였고, 더 최근에는 'Net Generation',2세대 'Generation Me',3,4세대 및 'Millenials'을 다루고 있다.1.5 특정 세대 코호트에 대한 교육적 권고사항을 제공하는 것은 [개인의 가치, 동기 및 행동이 그 개인의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추정될 수 있다는 생각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믿음]세대 이론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literature abounds with recommendations for how educators should adapt practices to the needs of generations of learners. This proliferation of generational literature within HPE has occurred relatively recently, with early references to Generation X,1 and, more recently, the ‘Net Generation’,2 ‘Generation Me’,3,4 and ‘Millennials’.1,5 Providing instructional recommendations for particular generational cohorts implies the application of generation theory, a set of beliefs centred around the idea that an individual’s values, motivations and behaviours can be surmised based upon that individual’s date of birth.


세대 이론이 만약 사실이라면, 이 이론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대해서, 나이가 유사한 집단에 대해 도움이 될 만한 일반화를 제공한다따라서, 교수자와 서로 세대가 다른 학습자에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권고안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세대적 속성을 추정하고, 문제화한다. 예를 들면, 밀레니얼의 특성화(권한, 나르시시즘적, 기술에 끌리는)와 같은 것이다. 이렇게 문제화된 특성에 대해서 다른 세대의 구성원들이 특정 출생 코호트의 학습자들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If true, this theory provides generalisations about groups of individuals who are similarly aged in ways that might inform learner-centred instruction.1,3,4,6,7 Accordingly, recommendations to attend to different generations of learners generally problematise their supposed generational attributes – such as in the characterisation of Millennials as entitled, narcissistic and drawn to technology1,3,4,8 – and then provide guidance for how members of another generation can understand and effectively reach learners of a particular birth cohort.


세대이론의 기원

Origins of generation theory


세대의 개념은 가장 오래된 문헌에도 나온다: 그것은 부모에서 자녀로 지식의 소통을 포착하는 맥락에서 Ptahhotep(c. 2400 BCE)의 글에 나타나며, 사회의 원로들 사이에서 지혜가 성취되는 것이다.9 근대적 세대사상generational thinking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산업화와 민주화가 가족, 사회 계층 및 지리적 위치와의 전통적 유대관계를 약화시킴에 따라 일어난 사회변화의 유형에 대한 설명모델로 등장하였다.7,10 

The notion of generations can be traced to one of the oldest written texts: it appears in the writings of Ptahhotep (c. 2400 BCE) in the context of capturing the communication of knowledge from parent to child, and the achieving of wisdom amongst the elder members of a society.9 Modern generational thinking emerged in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as an explanatory model for the types of social changes that took place as industrialisation and democratisation diminished traditional ties to family, social class and geographic location.7,10 


1928년 칼 만하임은 '세대의 문제'를 썼는데, 이 에세이는 '세대 이론'이라고 총칭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기초적 에세이로 남아 있다. 이 작품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세대에 대한 현대적 사상을 공유한 경험이 그들의 세계관을 형성하고 그 행동들이 차례로 사회적 변화와 진보를 이끌어낸 비슷한 연령대의 개인들의 집단으로 검토했다.

In 1928, Karl Mannheim wrote ‘The Problem of Generations’, which remains a foundational essay for what can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generation theory.11 This work examined contemporary ideas of social, cultural or historical generations as groups of similarly aged individuals whose shared experiences shaped their world views and whose actions, in turn, drove social change and progress.7,11 


현대 세대 이론의 많은 적용은 미국 역사에 근거하여 느슨하게 세대 스키마를 개발한 대중 사회학자 닐 하우와 윌리엄 스트라우스 덕분이다. 그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세대 라벨의 틀에는 'GI 세대', '침묵 세대', '베이비 부머', 그리고 더 최근에는 '밀레니얼'이 포함된다. 다른 사람들에 의해 'X세대'와 'Cuspars'와 같은 추가적인 세대 라벨이 적용되었다.

Much of the modern application of generation theory can be attributed to Neil Howe and William Strauss, pop sociologists who developed a generational schema based loosely upon US history.7,12 Their easily recognisable framework of generational labels includes the ‘GI Generation’, the ‘Silent Generation’, ‘Baby Boomers’ and, more recently, ‘Millennials’.13,14 Additional generational labels, such as ‘Generation X’15 and ‘Cuspars’,5 have been applied by others.


세대이론은 '공유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집단적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전기와 역사의 격차를 메워라'는 찰스 라이트 밀스의 요구에 부응한다.16 한 세대 내의 멤버쉽은 더 넓은 사회문화적 틀에 사적인 경험, 인생 사건 및 기억을 앉힐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HPE의 학습자와 교육자 사이에 존재하는 나이 집단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력적이다.

Generation theory, for those with whom a generational identity resonates, answers Charles Wright Mills’ call to ‘fill[ing] the gap between biography and history’ by emphasising a collective identity based on shared experiences.16 Membership within a generation provides a means to situate private experiences, life events and memories in a wider sociocultural frame and is appealing because it offer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such as those that exist between learners and educators in HPE.




방법

METHODS


이 검색은 반드시 비체계적이고 포괄적이지 않다. 그 대신, 그 목적은 세대간 코호트 간에 왜 알려진 차이가 존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을 자극하고, 우리의 교육과 연구 관행을 알리기 위해 세대 이론을 사용하는 잠재적인 결과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건 직업 외부의 문맹으로부터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this search is necessarily non-systematic and non-comprehensive. Instead, the intent is to stimulate new ways of thinking about why purported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al cohorts might exist, and to draw from literatures outside the health professions as a means to understand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using generation theory to inform our instruction and research practices.


결과

RESULTS


건강 직업 문학에서 세대 이론이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가.

How generation theory has been used within the health professions literature


세대차이에 대한 언급은 20세기 후반부터 HPE 문학에서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초기 연구에서는 X세대의 학습자들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고, 밀레니얼 학습자들을 다루는 더 최근의 연구가 이뤄졌다.6 우리가 찾은 연구의 대부분은 밀레니얼 학습자들을 다루고 있다. 

References to generational differences began to proliferate in the HPE literature in the late 20th century, with earlier work discussing how to teach learners from Generation X20 and more recent scholarship addressing Millennial learners.6 the vast majority of articles we found addressed Millennial learners,


'밀레니얼을 가르치는 방법'에 관한 HPE 문헌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밀레니얼 학습자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entitled하며, 빈번한 피드백과 칭찬이 필요하며, 테크놀로지-강화 학습에 적합하며, 멀티테스킹 학습에 적합한 짧은 집중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14 밀레니얼 학습자의 믿음과 동기를 다루기 위해, 이들 연구에서는 강의시간을 줄이고,21 더 많은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통합하고,22 실습 학습 및 시뮬레이션 참여와 같은 핸즈온 교육 접근법 사용을 권고한다..1 교육자들은 또한 멘토링과 피드백을 할 때, 위계에 대한 이 세대의 반감을 고려하고, 더 비공식적인 업무 관계를 포용할 것을 권장한다.4,23 밀레니얼을 겨냥한 교수 채용 및 보유 전략도 이러한 개인들이 더 focused하고 기관의 목표보다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한다는 개념과 일치시킬 것이 권장된다.

Much of the HPE literature concerning ‘how to teach Millennials’ generally characterise Millennial learners as entitled, in need of frequent feedback and praise, drawn towards technology-enhanced learning, and as having short attention spans suited to multi- tasking.1,4 To address the beliefs and motivations of Millennial learners, these articles suggest instructional approaches, such as shortening lectures,21 incorporating more online learning platforms,22 and engaging in more hands-on learning and simulations.1 Educators are also encouraged to tailor their mentoring and feedback so that they fit with this generation’s antipathy towards hierarchy and its embrace of more informal working relationships.4,23 Faculty recruitment and retention strategies targeting Millennials are recommended to align with the notion that these individuals are more focused on their work–life balance than on the goals of their institution.24


밀레니얼 학습자의 알려진 속성을 비판적으로 조사하는 문헌은 매우 적었다.31 예를 들어, 몇몇 그룹들은 밀레니얼 학습자가 선천적으로 기술에 능숙한 '디지털 원주민'이라는 개념에 이의를 제기했다.32 

We found a smaller body of HPE literature that critically examines the purported attributes of Millennial learners in the health professions.31 For example, several groups have disputed the notion that Millennial learners are ‘digital natives’ who are naturally facile with technology.32 


이 저자들은 대신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기술에 대한 조기 노출과 편안함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요인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고,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강조가 오히려 점점 더 advantaged 학습자와 less advantaged 학습자 사이의 격차를 더 벌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다른 이들은 이 젊은 세대의 강점으로 추정되는 멀티태스킹이 실제로 시험 점수를 낮춘다고 강조하였다. 이 적은 문헌들은 일반적으로 맥락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학습자의 행동은 개인의 인구 통계학으로 미리 결정되는 것보다 환경에 의해 더 많이 결정된다고 경고한다.

These authors suggest instead that early exposure to and comfort with technology are likely to reflect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and warn that continued emphasis on technology may widen the divide between more and less advantaged learners.33 Others have highlighted that multi-tasking, a supposed strength of this younger generation, actually lowers its test scores.33 This smaller body of literature generally cautions that context matters, and that learner behaviour is determined more by the environment than it is predetermined by the demographic of individuals.32,33


건강전문 문헌을 벗어난 세대이론의 비판

Critiques of generation theory outside the health professions literature


세대이론은 사회학문헌 7,10,16,17,34,35에서 널리 비판되어 왔으며, 이러한 비판들은 교육에 세대차이 구인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제기한다.

Generation theory has been widely criticised in the sociology literature7,10,16,17,34,35 and these critiques raise important concern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construct in education.


세대적 고정관념을 만드는 것은 제한적이고 일반적이지 않은 데이터에 바탕을 두고 있다. 데이터와 무관하게, 전체 세대에 맞는 독특한 고정관념의 구축은 [많은 사람들 속에 내재된 내부 차이와 다양성을 무시]하며, 세대적 고정관념은 실제 차이나 행동가능한 차이보다 협소하고 특권적인 관점만을 반영할 수 있다.

the creation of generational stereotypes is based on limited, non-generalisable data; regardless of the data, the construction of a singular stereotype to fit an entire generation ignores the internal differences and diversity inherent in a large group of people, and the creation of generational stereotypes may reflect narrow or privileged perspectives more than real or actionable differences.


비즈니스 언론 34,36과 교육문학 17에서 최근 세대이론에 대한 검토가 있었지만, 1960년대와 1970년대 사회문학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 끝에, 10,35,37–39 세대이론은 이후 2000년대까지 학술 연구에서 사라졌다. 현재 세대론의 부활은 '사회과학'이라기 보다는 '대중문화'로 보인다.34

There have been recent reviews of generation theory in the business press34,36 and education literature,17 but after extensive debate in the sociology literature in the 1960s and 1970s,10,35,37–39 generation theory disappeared from academic study until the 2000s. The current resurgence of generation theory appears to be ‘more popular culture than social science’.34


Strauss와 Howe가 밀레니얼에 대한 고정관념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세트는 결과의 한계가 있다. 조사가 익명이 아니라 교사에 의해 관리되었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분석에는 응답의 45%를 차지하는 모든 '확실/모른' 답변이 포함되었다.17,40 리뷰어들은 또한 Strauss와 Howe의 주장이 종종 그들 자신의 데이터, 더 큰 데이터 세트의 주장 또는 다른 연구자들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3,17,40

The dataset used by Strauss and Howe to create the stereotype of Millennials are subject to the limitations of survey results and are potentially biased as the surveys were administered by teachers and not necessarily anonymous, and the analysis included the removal of all ‘not sure/don’t know’ answers, which comprised 45% of the responses.17,40 Reviewers have also noted that Strauss and Howe’s assertions often do not match their own data, those of larger datasets, or those of other researchers.3,17,40


세대 이론의 시작부터, 만하임은 각 연령 코호트에는 다수의 세대적 단위unit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 단위들 자체로는 전체를 대표하지 못하며, 어떤 단위에 대해서는 일부 사람들만 접근권한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구분(세대를 시대정신이자, 결정론적이자, 메타피지컬 함의로 보는 것과 세대를 출생년도에 의해 정의되는 연령 코호트, 계보적 후예, 역사적으로 비슷한 삶의 단계와 경험을 공유하는 집단으로 보는 구분)이 세대이론을 사회학 연구로부터 분리시켰다.

Fromthe outset of generation theory, Mannheim conceded that each age cohort might contain several generational units, which themselves may not be representative of the whole, and membership of which may have been accessible to only a segment of society.11,16 This distinction, between 

    • generation as ‘zeitgeist’, with deterministic, ‘metaphysical’ connotations, and 

    • generation as ‘age cohort’, defined by birth year, genealogical descent, life stage or a shared experience of history, 

has separated generation theory fromsociological research.10,35,37


집단 간의 경계를 긋기 위한 시도를 하였으나, 인구통계학자 및 사회학자들은 [성별, 인종, 사회-경제적 지위 및 지리적 이유로 집단 내 차이가 집단 간 차이보다 더 큰 경우]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In attempting to draw boundaries between groups, demographers and sociologists have noted that within-group differences are often larger than between-group differences because of gender,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geography,


세대 간 구별을 뚜렷하게 만들기 위해서, 이러한 집단 내 차이를 뭉뚱그리는 것은 ageism의 초기 고찰에 있었고, 후에 다시 설명할 본질주의essentialism의 한 예이다.

Collapsing these within-group differences in favour of demonstrating clearer divides between age group has been acknowledged during these early discussions as a formof ageism41 and is an example of essentialism, to which we will return.


지식인들은 만하임 시대의 세대 집단의 중심에 자신들을 두었지만, 1960년대 이후, 세대는 주로 외부 당사자들에 의해 분류되어 왔다.10,11,16 

Intellectuals placed themselves at the centre of generational groups in Mannheim’s era, but since the 1960s, generations have largely been classified by outside parties.10,11,16 


로버트 월은 이 사실을 확인했다. '세대적 현상'은 그 자체가 역사의 특정 순간에 특정 사회의 특정 종류의 사회 집단의 반영일지도 모른다' 또한 한 세대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 세대를 정의하는 집단은 실재주의자substantialist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는 '지식인들로 하여금 종종 자신의 미시적 특성을 전 세계로 확장하는 논리'를 말한다. 푸로넨은 부르디유의 사회 분류 이론을 세대 이론에 적용하여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을 정의할 수 있을 때 생성된 권력의 차등, 그리고 우리가 다른 집단의 개념과 관련되는 그 정의에 편견을 가질 수 있는 동기를 식별하였다.16

Robert Wohl identified that ‘the generational phenomenon ... might itself be the reflection of a certain kind of social group in a certain kind of society at a certain moment in history’,10 and in defining a generation, the defining group may commit the substantialist fallacy, ‘the logic which often makes intellectuals extend to the whole worl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microcosm’.16 Purhonen applied Bourdieu’s theories of social classification to generation theory to identify the power differential created when one group is allowed to define another group, and the motivations that may bias that definition, which we relate to the concept of othering.16


고찰

DISCUSSION


우리는 세대간 차이점이 진정한 교육적 현상이라는 개념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거의 찾지 못했다. 대신에 세대 집단을 특징짓는 행위, 즉 'entitled', ' 나르시시즘', '소시오패스', '기술지식', '팀워크 지향' 또는 '다양성 포용'으로 분류하는 행위들은, [라벨이 붙여진 집단]에 대한 것보다 이러한 [라벨을 적용할 힘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말할 수 있다.

We found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e notion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as a true educational phenomenon. Instead, the act of characterising a generational group, whether as ‘entitled’, ‘narcissistic’, ‘sociopathic’, ‘tech savvy’, ‘teamwork-oriented’ or as ‘embracing diversity’, may say more about those who have the power to apply these labels than it does about the group that is being labelled. 


세대별 학습자, 그리고 더 최근에는 밀레니얼 학습자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신화이다. 그리고 이 신화가 영속화되면서 권력의 차이와 고정관념은 둘 다 강화된다. 그 결과 개개인의 고유한 특성과 신념은 정당한 지위를 잃게 된다.

The generational learner, and more recently the Millennial learner, is a socially constructed myth, and it is the perpetuation of this myth that reinforces both power differentials and stereotypes, thereby delegitimising the unique attributes and beliefs of individuals.


따라서, 우리는 세대주의를 명확히 하기 위한 렌즈로서 본질주의타자화의 개념을 소개한다.

Thus, we introduce the concepts of essentialism and othering as a lens through which to clarify generationalism


우리는 HPE 문헌에서 이미 문화적 역량에서 문화적 겸손으로의 변화를 관찰했다. 세대주의도 마찬가지라면, 세대적 겸손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채택을 주장한다. 우리는 [학습자의 배경과 무관하게, 모든 학습자들을 위한 실천 수단]으로 비판적 의식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문화적 겸손의 권고를 반복한다.

We have observed the shift from cultural competency to cultural humility already in the HPE literature,42–44 and we view generationalism as a parallel construct and argue for the adoption of a novel concept of generational humility. We reiterate the recommendations of cultural humility towards developing critical consciousness as a means to practice for all learners, regardless of background.


본질주의는 겉으로 드러나는apparent 차이점에 근거하여 집단을 분류할 수 있다는 개념이며, 차이를 확인identify할 수 있는 한, 그 차이는 규정된 집단의 특성이 된다. 의학에서 본질주의는 범주화의 확장에서 발생한다. 범주화는 적절한 범주화(질병의 특징)부터 부적절한 범주화(외무나 출신지에 따른 사람의 범주화)까지 다양하다. 인종적 고정관념과 유사하게, 일단 연령 코호트에 대한 일련의 가정이 확립되면, 그 가정이 그 집단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형성하며, '생물학적이든 아니든, 특정 집단과 연관되어 발견되는 온갖 특징들이 그 집단에게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된다.'

Essentialism is the concept that groups can be categorised based upon apparent differences and, to the extent that differences are identifiable, that those differences are characteristic of the defined groups.45,46 In medicine, essentialism arises from the extension of categorisation from areas in which it may be appropriate, such as in characterising disease,46 to areas in which it may be inappropriate, such as in creating different categories of persons based on appearance or geographic origin, as in the social construct of race.45,47 Similar to racial stereotypes, once a set of assumptions about an age cohort is established, it can shape our perceptions of that group and ‘all manner of traits found in association with a particular group, whether biologic or not, are considered to be natural to that group’.45,48


특정 연령 코호트를 가장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본질주의적인 가정]은 학습자의 개인적 강점과 도전에 대한 교사들의 호기심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레니얼 학습자가 테크놀로지에 능숙하다는 흔한 고정관념은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학습자들이 정교한 소셜 미디어 문해력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일 수도 있고, 각종 테크놀로지에 대한 접근성이 낮았던 disadvantaged 배경을 가진 학생에 대해서 낙인을 찍는 결론일 수도 있다.

 Essentialist assumptions about how to most effectively teach specific age cohorts may limit teachers’ curiosity about their learners’ individual strengths and challenges. For example, the commonstereotype that Millennial learners are technically savvy can lead to erroneous conclusions, such as that these learners also possess nuanced social media literacy, or stigmatisations, such as of students from disadvantaged backgrounds who may have had less access to emerging technologies. 


[세대 이론의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결함이 있다는 점]과 [학습자의 세대에 기초하여 교육방식을 수정하는 것에 대한 근거 부족]을 고려한다면, 교육 방법 및 평가는 교육주제와 학습의 맥락을 목표로 해야 한다. 즉, 연령에 따라 학습자를 구분하여 여기서부터 추정한 요구나 욕구를 기반으로 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테크놀로지 관련한 것을 선호할 것이라는 인식에 근거해서 무성찰적으로 새로운 교육 테크놀로지를 채택하는 대신, 우리는 그 테크놀로지가 의도한 학습 목표와 이러한 목표들이 달성되어야 하는 맥락과 일치하는지 평가해야 한다.

Given the flaws 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generation theory and the paucity of empirical evidence for the modifying of teaching practices based on a learner’s generational label, educational methods and assessments should target the subject matter being taught and the context of learning, not the presumed needs or desires of learners in an age-based cohort. For example, instead of unreflectively adopting new educational technologies based on the perceived technology-related preferences of our learners, we ought to assess their alignment with intended learning objectives and the contexts in which these are to be achieved.


타자화는 본질주의와 상호작용하는 프로세스이다. 원래 de Beauvoir에 의해 '지배적인 남성 기준에 따라 여성을 차별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타자화라는 용어는, 이제는 '어떻게 개인 간 구별짓기가 사회적 배제와 종속성의 뚜렷한 형태를 만들어내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50 지배적인 에이전트agent 그룹은 다른 대상target 그룹의 표상을 형성한다. 이 때의 기준은 에이전트 그룹의 규범적 기준과의 차이로 인한 대상 그룹의 특징이다. 이를 통해서 [사회적 공간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반영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서 [에이전트 그룹과 대상 그룹의 대표적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치적, 권력적 차이]를 강화하고자 한다.

Othering is a process that interacts with essentialism. Originally formulated by de Beauvoir to describe the process of ‘differentiating women according to a dominant male standard’,50 othering is now more broadly applied to describe how ‘interpersonal differentiation generates a distinct form of social exclusion and subordination’.50 The dominant agent group creates a representation of the other target group characterised by the latter’s differences from the agent group’s normative standard, to reflect different positions in social space and to reinforce political and power differentials between representative members of the agent and target groups.16,51–53


교수자와 학습자처럼, 만약 두 개의 그룹이 이미 분리된 사회적 공간에 존재하는 경우, 연령을 바탕으로 한 분리는 사회적 분리와 중첩되어서, 더 손쉽게 개별 학생의 정체성을 원초적인archetypal 정체성으로 응축하고, 교육와의 상대적인 지위를 더 쉽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54 교육자들은 연습생에 대한 관찰과 이들과의 상호작용을 해석할 때 [무의식적으로 세대적 가정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일정 변경을 요청하거나 특정 개인 경력 기회를 옹호하는 경우, 이 요구를 세대적 고정관념을 사용하여 해석한다면, 그 자체의 장점이나 가치로 고려되기 보다는 밀레니얼 학습자의 'entitled된' 요구로 여겨져서 거부될 수 있다.

If two groups already exist in separate social spaces (e.g. HPE educators and their learners), this social separation, which overlaps a separation between age groups, readily allows for the students’ individual identities to be condensed into archetypal identities and diminishes their standing relative to that of the educators.54 Educators may be unconsciously biased by generational assumptions when they interpret their observations and interactions with trainees. For example, if learners request schedule changes or advocate for specific individual career opportunities, and those requests are interpreted using generational stereotypes, they may be denied as the ‘entitled’ demands of a Millennial learner rather than considered for their own merit or value.


최근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문헌은 HPE 공동체가 문화적 겸손의 틀을 향해 나아갈 것을 권고했다.42,43 이 저자들은 우리는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최상의 퀄리티 케어를 제공하기 위해 권력, 특권, 불평등의 사회적 역학을 이해하려고 하는 비판적 의식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Recent literature on cultural competence challenged the HPE community to move towards a framework of cultural humility.42,43 These authors argue that we must develop a critical consciousness that seeks to understand the social dynamics of power, privilege and inequities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quality care for all members of society.


최근의 문헌 검토는 HPE 전체적으로 비판적 의식을 함양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헬스케어 문화의 구성원들은 억압을 조장하는 검증되지 않은 가정과 싸울 수 있도록'해야 한다는 것이다.55 이를 위해서는 초점의 전환이 필요하다. 초점은 ['비인간적 고정관념'으로 저하될 수 있는 인식된 문화적 속성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가르치는 것]으로부터, [왜 이런 차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게 하는 것]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Arecent literature review substantiat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ritical consciousness within HPEas a whole so that ‘members of a healthcare culture can contend with unexamined assumptions that foster oppression’.55 This requires a shift in focus fromthe teaching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garding perceived cultural attributes, which candegrade into ‘dehumanising stereotypes’, towards questioning why these differences may exist and howthey influence care.42,43,55


세대별 코호트에 기초한 HPE 학습자들의 고정관념을 피하기 위해, 우리는 [비판적 인식과 겸손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고유한 요구, 가치 및 동기를 탐구하는 접근방식]인 세대적 겸손을 채택할 것을 제안한다. 세대차이의 렌즈를 통해 교육적 권고를 하게 되면, 이러한 차이를 자연스럽고 불변의 것으로 강화할 뿐이다. 대신 세대적 겸손은 교육자들이 그들의 교육적 관계에 내재된 권력의 차이에 대해 성찰을 유지하게 하고, 우리 학습자들의 인지, 감정적, 행동적 '재인간화'를 보다 깊이 생각하도록 요구할 것이다.43

To avoid stereotyping HPE learners based upontheir generational cohorts, we propose the adoption of generational humility, an approach in which critical consciousness and humility are used to explore the unique needs, values and motivations of learners. Formulating educational recommendations through the lens of generational differences reinforces these differences as natural and immutable. Generational humility would instead require educators to remain reflexive about the power differential inherent in their instructional relationships and to more deliberately consider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ural ‘rehumanisation’ of our learners.43



결론

CONCLUSIONS


밀레니얼 학습자를 포함하여, 세대적 원형generational archetype은 연령 코호트 내의 다양성을 무시하고, 연령층 간의 힘의 차이를 강화하는 신화다. 우리는 문화적 인식이 문화적 겸손에서 더 나아가 세대적 겸손을 포함하도록 확장할 것을 권고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HPE 공동체가 새로운 학습자 세대 내에 포함된 개개인을 형성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써 모든 학습자들을 위한 최선의 실천을 끊임없이 추구해야 한다. 세대차이에 기초한 교육적 권고안은 (그 차이가 긍정적이고 매력적인 속성이든, 부정적이고 낙인찍는 속성이든)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영향과 개인의 요구를 무시하기 때문이다.

Generational archetypes, including the Millennial learner, are myths that minimise the diversity within age cohorts and reinforce power differentials between age groups. We recommend extending the cultural consciousness argument for cultural humility to include generational humility, in which we as an HPE community continue to seek best practices for all our learners through understanding the complex and dynamic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interactions that shape the individuals in each new generation of learners. Educational recommendations based on generational differences, whether these are positive exoticised attributes or negative stigmatising ones, ignore these influences and individual needs.


REFERENCES






 2019 Sep 13. doi: 10.1111/medu.13795. [Epub ahead of print]

Generational 'othering': The myth of the Millennial learner.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2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Boston University, Boston, Massachusetts.
3
Department of Biomedical Informatics and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Abstract

CONTEXT: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literature is replete with recommendations for how educators should adapt practices to the needs of generations of learners using generation theory to bridge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and educators. Yet the evidence supporting the application of generation theory in HPE has not been critically examined. If unsubstantiated, these applications may perpetuate biases towards learners they are intended to support.

METHOD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generation theory in the HPE literature, with particular focus on recent recommendations regarding "Millennial" learners. We used Google Scholar, MEDLINE, EBSCO, JSTOR and PsycINFO to search for articles pertaining to the origins and uses of generation theory within and outside HPE. This synthesis is presented as a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how ideas of generation theory arose and permeated the HPE literature, and explores the effects of generation theory on education practices.

RESULTS:

In the HPE literature, the translation of generation theory into practice recommendations generally follows a pattern consistent with translations advanced in other literatures: broad generalisations drawn from limited data are used as evidence to support instructional approaches specifically designed for generational cohorts. Outside HPE, this application of generation theory has been criticised as a form of stereotyping that ignores the internal differences and diversity inherent in any large group of people. Accordingly, problematising the needs of generations such as "Millennial" learners in the HPE literature may perpetuate narrow or privileged assumptions by educators.

CONCLUSIONS:

Generational archetypes such as that of the "Millennial learner" are myths that perpetuate unfounded generalisations about cohorts, reinforce power differentials between age groups, and minimise the unique needs of individuals. To individualise and strengthen teaching practices in HPE, we recommend adopting "generational humility" as a means to more purposefully address the dynamic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influences that shape individuals within each generation of learners.


질적연구를 실천의 변화에 쓰기 (Clin Teach, 2019)

How to … use qualitative research to change practice

Anu Kajamaa1 , Anne de la Croix2,3 and Karen Mattick4



도입

INTRODUCTION 


의료 연구자, 교육자 또는 실무자로서, 우리는 (임상 및 교육 모두) 연구와 실제 사이의 간극에 좌절할 수 있다. 실천적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정성적 연구는 연구 참여자와의 파트너십에 따라 공동 설계 및 공동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종사자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연구자의 임상실무 관찰을 통해 지역적 맥락에서 대화와 상호작용을 포함한 학습환경과 임상실무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을 통해 연구자와 의료실무 사이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연구 질문은 실습 사이트의 연구 파트너와 협력하여 공식화할 수 있다.1 

As health care researchers, educators or practitioners, we may become frustrated by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both clinical and educational). To help facilitate practice change, qualitative research can be co-designed and co-delivered in partnership with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case health care practitioners.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health care practice can be reduced by the immersion of the researcher in the practice environment, for example, through researchers’ observations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including conversations and interactions, in its local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s may be formulated collaboratively with the research partners from the practice site.1 


본 논문에서 기술한 질적 연구에 대한 접근방식에서, 연구자는 참가자들에게 서로의 생각과 믿음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참가자들에게 목소리를 주는give voice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녀 또는 그는 미팅과 대화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다른 당사자들이 복잡한 프로세스와 관행, 팀, 제도적 비전 등을 통해 그들의 일상적 만남의 경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연구자는 사전에 정의내린 변화의 구현을 강요하기보다는 참가자들이 공동 대화를 구현하고, 기존의 규범, 노동 분업 및 역할과 같은 문제를 논의할 수 있도록 서포트한다. 연구자가 제안한 '왜'와 '어떻게' 문제는 참가자들이 그들의 사고 과정과 그들이 마주치는 문제들을 표현articulation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 the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described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ims to give voice to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into each other’s thoughts and beliefs. For this purpose, she or he may hold meetings and conversations, which can help different parties to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of their daily encounters with complex processes and practices, their teams, their institutional vision and so forth. Moreover, the researcher does not seek to implement predefined change mandates but supports the participants to establish a joint dialogue,2 and to discuss issues such as their existing norms, division of labour and roles. The ‘why’ and ‘how’ questions proposed by the researcher can aid participants in their thought process and articulation of problems they encounter. 


그러한 참여적 방법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에도 불구하고, 환자 진료 개선을 위한 의료 관행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여전히 자주 어렵다. 연구와 실무 사이의 차이는 여러 수준에서 감지될 수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의료는 종종 고품질 진료와 병행하여 비용 효율적인 제공과 같은 상반된 요구를 수반한다.3,4 이것은 의료 관리자가 변화 이니셔티브를 도입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도록 유도하며, 그것들을 원래의 상황과 의도된 결과와 비교한다. 변화 노력은 일반적으로 합리화, 시장화 및 비용 효과성을 강조하는 [정량적 측정 시스템과 관리 모델]에 기초하지, 변화의 노력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하향식 변경 노력은 의료 기관의 요구와 복잡성을 수용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Despite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such participatory methods, and despite the involvement of several stakeholders, it is still frequently difficult to bring about change in health care practices for improved patient care.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may be detected at multiple levels. According to existing studies, health care often involves opposing demands, such as cost-effective delivery in tandem with high-quality care.3,4 This leads health care managers to introduce change initiatives and evaluate their effects, comparing them to the original situation and the intended outcomes. These efforts are typically based on quantitative measuring systems and management models that emphasise rationalisation, marketisation and cost-effectiveness5 and are not always effective6 because top-down change efforts can easily fail to accommodate the needs of the practitioners and the complexity of health care organisations. 


따라서 질적 데이터와 참여적 방법론을 도출하고 지역적 맥락에서 문제에 대한 미묘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간섭 기법이 점점 더 필요하다.7 여기에는 진료과정에 관여하는 다른 건강전문가들 사이의 전문적 경계와 같은 이슈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포함되는데, 이는 진료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오래 동안 형성되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환경 내에서 자주 어려움을 겪는 의료 학생 및 연습생들의 작업과 학습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8 복잡한 프로세스와 관행을 변경하려고 할 때 예기치 않은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을 인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래에, 우리는 연구자와 실무자가 복잡한 직장 문제와 변화에 대한 필요를 해결할 때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두 가지 접근법을 제시한다. 

Intervention techniques that draw on qualitative data and participatory methodologies, and that may provide a nuanced understanding of problems in local contexts, are thus increasingly needed.7 This involves paying attention to issues such as the professional boundaries between the different health professionals involved in care processes, which may have formed over a long time, since they may influence the process of delivering care. Increased attention also needs to be directed to the work and learning of health care students and trainees who often experience challenges within these complex environments.8 Acknowledging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consequences when attempting to change complex processes and practices also becomes important. Below, we present two approaches that provide way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collaborate flexibly and effectively when addressing complex workplace problems and needs for change. 


실천기반 연구를 하는 두 가지 방법

TWO WAYS OF DOING PRACTICE-BASED RESEARCH 


액션리서치변경 실험실 방법은 하향 지시된 변경 명령의 구현을 추구하지 않고 작업 프로세스와 관행 연구에 적용되며, 따라서 작업 생활working life의 민주화와 연계된다. 이들은 전체 조직 시스템 내에서 실천요강의 질적 변환에 초점을 맞추고, 여러 사이클의 변화를 포함하며, 다양하고 종종 덜 대표되는 관점을 가진 참여자들을 참여시킨다. 그들은 실천력 향상을 목표로, [의사소통의 어려움, 병동에서 수술실로의 환자 이동 지연 등 진료 관행의 병목 현상, 병든 잎으로 인한 직원 부재, 대체물 부족 등의 기타 문제 등], 지역 개발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연구한다.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method are applied in the study of work processes and practices without seeking to implement top-down directed change mandates, and are thus linked to the democratisation of working life. They focus on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practice within entire organisational systems, include multiple cycles of change, and involve participants with diverse and often under-represented views. Aiming to facilitate practice improvement, they study 

  • local development needs and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challenges, 

  • bottlenecks in care practices, such as a delay in moving a patient from a ward to the operating room, and 

  • other problems, such as absence of staff due to sick leaves and lack of substitutes. 


그들은 새로운 지식과 관행을 창출하기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관행, 사회적 변화, 새로운 형태의 협력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연구 맥락과 매우 관련성이 높고 고품질 관리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19 

They focus on social interaction, social practices, social changes and new forms of collaboration to generate new knowledge and practices. These are typically impactful since they are highly relevant to the research context and can promote high-quality care.1,9 


액션리서치 프로젝트 및 변경 실험실 방법은 사건 및 프로세스의 공유 메모리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중 관점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직장 공동체의 identity and integrity에 필수적이다. 조치 연구와 변경 실험실 방법은 모두 현지 솔루션과 이전 가능한 지식 사이의 긴장을 수용하고 연구 결과를 더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10–12 두 가지 접근법 모두 (예를 들어 위기 상황에 대한 개입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어) 연구자의 깊은 인지 및 정서적 관여를 요구한다. 

Action research projects and The Change Laboratory method allow multiple viewpoints to be presented that can help build a shared memory of events and processes, which is essential to the identity and integrity of a workplace community. Both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method embrace a tension between local solutions and transferable knowledge and aim to make the results of research more generally applicable. 1,1012 Both approaches also call for deep cognitive and emotional engagement from the researcher, for example, in facilitating interventions in near crisis contexts. 


액션 리서치 

Action research 


행동 연구는 독일계 미국인 심리학자 커트 르윈(1947년)의 연구에서 비롯되었으며, '연구자와 실무자가 상호 수용 가능한 윤리적 틀 안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발견하고 영향을 주기 위해 확인된 문제의 맥락에서 함께 행동하는 반복적인 과정'으로 정의되었다. 주로 사회 관행과 그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작업은 항상 참가자들과 협력하여 수행된다. 작용 연구 내의 테오라이징은 이론과 실천이 통합되고 무한한 자기 갱신의 가능성이 있는 생성적 변화 주기로서 실제의 한 형태로 이해된다. 13 작용 연구는 보건의료 및 의료 교육 연구 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15 예를 들어, 박스 1을 참조한다. 

Action research originates from the work of German-American psychologist Kurt Lewin (1947) and has been defined as ‘an iterative process in whic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ct together in the context of an identified problem to discover and effect positive change within a mutually acceptable ethical framework’.1 The focus is usually on societal practices and their improvement, and work is always undertaken in collaboration with the participants. Theorising within action research is understood as a form of practice, with theory and practice seen as integrated and as a generative transformational cycle that has the potential for infinite self-renewal. 13 Action research has been used widely within health care14 and medical education research.15 For an example, see Box 1. 


The Change Laboratory 

The Change Laboratory 


실천적 변화를 촉진하는 또 다른 방법은 The Change Laboratory라고 불리는 연구 지원 방법인데, 이는 활동 이론에서 유래한 것으로, 작업장 학습을 연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의료 교육에서도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8 1990년대 후반부터 변화 연구소는 현재의 상황과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10,16 보건의료 연구 개발에 성공적으로 활용되었다. 이 접근방식은 무엇이 활동을 방해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방해'와 '불일치'를 활용한다.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집단적 통찰력이 발전하여 실천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 방법은 집단 학습을 향상시키는 모델의 개발을 지원한다. 즉, '아직 없는 것'에 대한 학습을 지원한다.10–12 활동 이론은 실행 연구 프로젝트의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다.9,17 변경 연구소의 예는 상자 1을 참조한다.

Another way to facilitate practice change is the research-assisted method called The Change Laboratory, which stems from activity theory, which has been used extensively to study workplace learning11 and increasingly also in medical education.8 Since the late 1990s, The Change Laboratory has been utilised successfully in health care research and development,10,16 to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need for change. This approach harnesses the ‘disturbances’ and ‘contradictions’ in other words, things in the workplace that aren’t happening as intended in order to understand what is hampering the activity. Through this process, new collective insights can develop, leading to practice change. This method supports the development of models enhancing collective learning, in other words, learning of ‘something that is not yet there’.1012 Activity theory can also be used in the analysis of action research projects.9,17 For an example of a Change Laboratory, see Box 1. 



액션리서치, 변화연구소 방법의 장점과 어려움

BENEFITS AND CHALLENGES OF USING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연구자들이 우리가 여기서 설명하는 종류의 일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전략과 도구들이 있다. 호기심, 흥미, 경청 및 신뢰 구축에 따라 요구되는 많은 자질들이 이미 당신의 기술에 들어 있을 것이다. 자체 조치 연구 또는 변경 연구소를 시작하려면 상자 2와 그림 1에서 초보 연구자를 지원하는 몇 가지 조언을 참조하십시오. 

There are many strategies and tools that researchers can use when doing the type of work we describe here. Many of the required qualities might already be in your skill-set, as they draw on curiosity, interest, listening and building trust. Should you want to start your own action research or The Change Laboratory, see Box 2 and Figure 1 for some advice to support novice researchers. 


상자 2. 실행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초보 연구자를 지원하기 위한 조언

Box 2. Advice to support novice researchers wishing to undertake practice-based research



•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귀사와 협력하고 지원할 멘토 또는 팀을 찾으십시오.

• Find a mentor or team to collaborate with and to support you in undertaking the work


• 선택한 방법론적 접근방식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참조를 읽는 데 시간을 투자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십시오.

• Invest time in reading some key references about your chosen methodological approach and seek advice from experts


• 문제 파악에서 결과 전파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연구 참가자를 관찰, 깊이 참여, 교육 및 역량 강화에 시간을 할애

• Spend time in the field to observe, deeply involve, educate and empower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out the project, from identifying the problem to disseminating results


• 참여자와의 신뢰 구축, 연구자의 역할, 참여자의 익명성, 조사 결과의 '소유'와 같은 윤리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려

• Build trust with participants and consider ethical issues critically, such as role of the researcher, anonymity of participants, and ‘ownership’ of findings


• 인터뷰, 회의 및 관찰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수집 관련 문서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 Collect various types of data, through interviews, meetings and observations. Relevant documents may also be gathered and analysed 


• 방문 중 현장 메모를 작성하여 자기 성찰에 중요한 자극제 역할을 할 수 있음

• Write field notes during the visits, which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stimulus for self-reflection


• 데이터 안전 유지 – 사진, 오디오 코딩 또는 비디오 녹화, 설문 조사 또는 작업장 데이터와 같은 정량적 데이터 형태를 취할 수 있음

• Keep data safely – these may take the form of photographs, audiorecordings or video-recordings, quantitative data such as surveys or workplace data


• 연구 참여자 참여 실행 연구와 변경 연구소에서 모두, 연구 참가자들은 데이터 수집에도 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뷰에 참여할 수 있다.

• Involve research participants. Both in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the research participants may also be involved in data collection, for example, in undertaking interviews


• 장애물 수집 일상적인 관행에서 접하는 장애의 일기를 보관하십시오. 변경 연구소에서 '미러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참가자들이 투쟁을 야기하는 일상적인 문제를 '다시 보고' 집단 활동을 재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방법은 '변경 정보'로 정의되었다(그림 1 참조).

• Collect disturbances. Keep diaries of disturbances encountered in everyday practice, which may be used as ‘mirror material’ in The Change Laboratory, helping participants to ‘look again’ at everyday issues that cause struggles and to redesign their collective activity. This way of collecting data has been defined as ‘ethnography of change’ (see Figure 1)


• 이야기를 들어 보십시오!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에는 종종 '실제로부터의 이야기'를 묘사하는 서술적 방법이 포함되며, 조직 내에서의 행동과 상호연결을 탐구할 수 있게 한다.

• Listen to stories! The data analysis process often involves narrative methods, which depict ‘stories from practice’ and enable actions and interconnections within organisations to be explored



조치 연구와 변경 실험실 방법은 방법론적 기회와 과제를 모두 제공한다. Change Laboratory는 연구 참여자와 함께 조치 연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9 또한 의료의 관행을 살펴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때 모순을 통해서 서로 다른 전문 그룹 내부와 사이의 도전을 검토할 기회를 제공한다.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method offer both methodologic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e Change Laboratory can be used to analyse data collected through action research, together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9 It also provides a new way to look at the practice of health care in which contradictions offer the opportunity to examine challenges within and between different professional groups. 


중요한 것은, 행동 연구와 변화 연구소는 둘 다 미리 정해진 결과를 두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세스를 촉진하며, 참가자들의 집단 학습과 변화하는 상황적 요구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결과는 참여자가 자신의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해결책을 도출할 때 설계된다. 10 그러나 관리 프로세스의 복잡성과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8은 참여자들 사이에 좌절, 모호성 및 추가적인 긴장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연구자가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두 가지 접근방식은 잠재적 보상을 고려할 때 가치가 있다. 

Importantly,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both facilitate a process without predetermined results, and aim to aid the participants’ collective learning and sense-making of the changing contextual demands. Thus, the outcomes are designed by participants as they work out expansive solutions to the problems within their workplaces. 10 However, the complexity of care processes and the uncertainty about outcomes8 can create frustration, ambiguities and further tensions amongst participants, which can also be challenging for the researcher to manage. In addition, both approaches described here uncertainty of outcomes are worthwhile given the potential rewards. 


결론

CONCLUSIONS 


우수한 정성적 연구 프로젝트는 독창적이고 엄격하며 목적적합하다18 - 여기에서 기술된 접근법의 특정 강점인 실천요강 변경에 대한 타당성이다. 조치 연구와 변경 연구소는 의료 및 의료 교육 관련 실천요강의 전달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는 일상적인 이슈에 '다시 보기' 방법을 제공한다. 그들은 복잡한 조직에서 까다로운 '왜'와 '어떻게' 질문에 답하고 참여와 지역사회 발전을 장려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작업 관행의 문제와 긴장감은 중요한 '동력자'로 보여지며, 임상 작업의 변화와 정련에 유용한 자극을 제공한다.

A good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is original, rigorous and relevant18 and it is the relevance for practice change that is the particular strength of the approaches described here.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provide ways of ‘looking again’ at everyday issues that may cause struggles in delivering health care and health care education-related practices. They help to answer tricky ‘why’ and ‘how’ questions in complex organisations and encourage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Problems and tensions in work practices are seen as important ‘drivers’, providing a useful stimulus for change and refinement of clinical work. 










 2019 Oct;16(5):437-441. doi: 10.1111/tct.13085. Epub 2019 Sep 5.

How to … use qualitative research to change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Faculty of Educational Sciences,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2
LEARN! Academy,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the Netherlands.
3
Amsterdam UMC,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Research in Education, the Netherlands.
4
Centre for Research in Professional Learning, University of Exeter, UK.

Abstract

The 'How to …' series focuses on how to do qualitative research. But how can qualitative research enhance patient care? This paper aims to support health care practitioners, educators and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bridg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both clinical and educational), to guide improvements that can ultimately benefit patients. We present action research and The Change Laboratory method as two approaches that typically involve qualitative research and have potential to change practice, blending scientific inquiry with social action. These approaches establish close research-practice partnerships and help answer tricky 'why' and 'how' questions that may unlock deep insights to enhance learning and patient care. … how can qualitative research enhance patient care?

PMID:
 
31486285
 
DOI:
 
10.1111/tct.13085


질적연구: 질적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기(Clin Teach, 2018)

How to…analyse qualitative data in different ways

Dierdre Bennett1, Aileen Barrett2 and Esther Helmich3




도입

INTRODUCTION 


넓게 말하면, 질적 연구에서 분석적 접근법은 [말해진 것(내용)]이나 [그것이 어떻게 말하는지(사용되는 언어)]를 검토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각 범주는 연구자에게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우리는 3,4,11–15 아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옵션의 개요를 설명하고 표 1의 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해 논의하기 전에, 우리는 먼저 '방법'과 '방법론'의 차이라는 분석에 대한 접근법을 이야기할 때 발생하는 중요한 구별을 고려해야 한다. 

  • 법이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취한 일련의 절차적 단계를 말한다. 

  • 면에 방법론은 데이터 분석에 사용되는 방법을 포함하여 전체 연구를 뒷받침하는 가정, 가치 및 이론의 프레임워크를 말한다.1.2 

Broadly speaking, we can think of analytical approaches in qualitative research as examining either what is said (the content) or how it is said (the language used). Each category offers interesting possibilities for the researcher. We outline some commonly used options below,3,4,1115 and provide examples in Table 1. But before we discuss these, we must first consider an important distinction that arises when talking about approaches to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method’ and ‘methodology’. 

  • Method refers to a set of procedural steps taken to collect and analyse data. 

  • Methodology, on the other hand, refers to a framework of assumptions, values and theories that underpin the whole study, including the method used to analyse the data.1,2 


연구자가 특정 '방법론' 내에서 연구를 수행하기로 선택했는지, 또는 보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는 연구 질문이나 이론적 입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분석적 접근방식의 선택은 대개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지만, 이론적 입장, 연구 질문 및 분석 사이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한 계획된 접근방식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다. 

Whether the researcher chooses to conduct the study within a particular methodology, or to select a method that can be used more flexibly will depend on the research question and his or her theoretical stance.3,4 The choice of analytical approach is usually made at the outset of the study, but there is flexibility to change the planned approach as long as consistency between theoretical stance, research question and analysis is maintained. 



질적 분석의 공통 특징

COMMON FEATURES OF QUALITATIVE ANALYSIS 


질적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데, 인터뷰나 포커스 그룹과 같은 오디오 형식의 오디오, 쓰기 및 시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분석에 앞서 서면 데이터로 '변환'된다. '전사'는 디테일의 수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면밀한 전사, 예를 들어 담화 분석의 형태, 4는 정지, 말더듬기, 웃음 등을 포함한다. 

  • 다른 대부분의 방법에는 덜 상세한 전사가 충분하지만, 대화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참조를 위해 라인 번호를 사용해야 한다(박스 1). 

Qualitative data come in a variety of forms: audio, written and visual Data in audio format, such as interviews and focus groups, is typically transcribed, in other words ‘converted’ into written data, prior to analysis. Transcription varies in terms of detail: 

  • close transcription, which is required for some analytical approaches, e.g. forms of discourse analysis,4 includes pauses, stutters, laughter, etc. 

  • Less detailed transcription is sufficient for most other methods, but dialogue must be accurately represented and line numbers used for reference (Box 1). 


전체 데이터 세트의 전형이 비실용적인 경우, 연구자들은 반사적으로 분석을 위해 가장 관련 있는 섹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언급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이용하여 전사 없이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할 수도 있다. 정성적 분석에 대한 대부분의 접근방식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첫 번째는 연구자가 데이터를 숙지하기 위한 요구 사항으로, 때로는 몰입immersion이라고 한다. 이것은 연구 질문을 염두에 두고, 초기 인상을 형성하고, 메모를 하면서,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듣거나, 읽거나, 보는 것을 포함한다. 듣기는, 녹취록을 읽을 때, 또한 전사의 질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인터뷰 내용을 직접 기록한 연구자들은, 비록 이 작업이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하지만 데이터에 익숙해지는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If transcription of the full data set is impractical, researchers may reflexively select the most relevant sections for analysis. It is also possible to analyse audio data without transcription, using the software packages mentioned below. Most approaches to qualitative analysis share common features. The first is a requirement for the researcher to familiarise themselves with the data, sometimes referred to as immersion. This involves repeatedly listening to, reading or looking at the data, with the research question in mind, forming initial impressions and making notes. Listening, when reading transcripts,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check the quality of the transcription. Researchers transcribing their own interviews will find that, although time consuming, it is a great way to become familiar with the data. 


두 번째 공통적인 특징은 데이터를 '코딩'하는 반복적인 과정이다. 코딩은 데이터 덩어리를 선택하고 연구 질문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요약 용어 또는 코드, 서술적 또는 해석적 할당을 의미한다.2,5 코드들은 더 높은 수준의 이해를 얻기 위해 후속 분석 라운드에서 그룹으로 분류된다. 사용되는 코드와 범주의 특성과 이러한 범주의 결합방식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 중인 특정 접근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실용성 측면에서, 코딩은 형광펜, 가위, 데이터의 하드 카피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컬러 강조 표시 또는 '주석 추가' 기능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Corp, Redmond, WA, USA)에서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성적 분석을 위해 설계된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있다. 예를 들어, NVivo(QSR International Pty Ltd., Victoria, Victoria), ATLAS.ti(ATLAS.ti Scientific Software Development GmbH, 독일 베를린) 등이 있다. 개인 선호도, 데이터 양 및 선택한 분석 접근방식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A second common feature is the iterative process of ‘coding’ the data. Coding means selecting a chunk of data and assigning a summary term or code, descriptive or interpretative, that is meaningful in terms of your research question.2,5 Codes are categorised into groups in subsequent rounds of analysis to gain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codes and categories used, and the manner in which they are combined, depends on the particular approach in use, as outlined below. In terms of practicalities, coding can be performed manually, using highlighter pens, scissors and hard copies of the data. It can also be performed in Microsoft¢ç Word (Microsoft Corp., Redmond, WA, USA), using coloured highlighting, or the ‘add comment’ function. Finally, there are software packages designed for qualitative analysis, e.g. NVivo (QSR International Pty Ltd., Victoria, Australia) and ATLAS.ti (ATLAS.ti Scientific Software Development GmbH, Berlin, Germany). Your choice will depend on personal preference, the volume of data and your chosen analytical approach. 


결과의 타당성 또는 신뢰성은 분석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감사 추적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메모나 메모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분석의 다른 지점에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와 특정 결정이 내려진 이유를 상기시킨다. 연구자들은 종종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성찰적 일기를 쓰는데, 연구 질문의 선택에서부터 연구 결과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 밖의 연구 과정과 관련된 모든 것에 대한 영향을 반영한다. 질적 연구는 이상적으로는 서로의 성찰성을 지지하고, 서로의 가정에 도전하며, 데이터의 설명이나 해석을 공동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두 사람에 의해 수행된다. 

The validity, or trustworthiness, of your findings depends upon being able to describe the analytical process clearly. Making notes or memos throughout is important to create an audit trail: a reminder of what you were thinking at different points in the analysis and why particular decisions were made. Researchers often keep a reflexive diary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to reflect on the impact that they are having on the research, from the choice of research question through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and anything else pertinent to the research process. Qualitative research is ideally undertaken by a minimum of two people who can support each other’s reflexivity, challenge each other’s assumptions and co-construct a description or interpretation of the data.5 


내용에 촛점: '말해진' '무엇을' 말했는지를 분석

FOCUS ON CONTENT: ANALYSING WHAT IS SAID 


주제 분석(TA)은 참가자의 진술 내용에 초점을 맞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성적 방법이다: '데이터 내의 패턴(테마) 식별, 분석 및 보고'.2 주제 분석은 특정 방법론에 구속되지 않으며 분석 프로세스의 명확한 단계가 설명되었다. 이것은 초보 연구자들에게 편안한 출발점이 된다. TA의 스타일은 다양하지만, 세 가지 단계를 따르는 기본적인 시스템이 있다. 

  • 서술적 코딩, 

  • 해석적 코딩, 

  • 중요한 테마를 식별 

Thematic analysis (TA) is a commonly used qualitative method that focuses on the content of participants’ statements: ‘identifying, analysing and reporting patterns (themes) within data’.2 Thematic analysis is not bound to a specific methodology and clear steps in the analytical process have been described. This makes it a comfortable starting point for novice researchers. Although there are various styles of TA, there is a basic system following three steps: 

  • descriptive coding; 

  • interpretive coding; and 

  • identifying overarching themes. 


연역적 분석은 미리 결정된 카테고리를 사용할 때, 귀납적 분석은 개방형 코딩 프로세스의 데이터에서 코드가 발생할 때 이다. 귀납적 분석의 경우, 맞지 않는 데이터도 코드화되거나, 프레임워크 외부에 분류되어 예상치 못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제 분석은 다른 컨텐츠 중심 방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분석,6은 데이터에 코드와 테마의 숫자 빈도를 기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워크 분석은 7은 데이터가 정렬되는 매트릭스의 개발을 수반한다. 

Analysis may be inductive, when codes arise from the data in an open coding process, or deductive, when predetermined categories are used. In the latter case, it is important that data that do not fit are also coded or categorised, outside the framework, thus allowing for unexpected findings. Thematic 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other content-focused methods: for example, content analysis,6 which may include recording the numerical frequency of codes and themes in the data, and framework analysis,7 which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matrix into which data are sorted. 


그라운드드 이론(GT)은 TA와 마찬가지로 참가자의 진술 내용에 초점을 맞추지만, TA와 달리 방법론이기 때문에 연구는 전체적으로 GT의 가정과 가치와 일치해야 한다. GT에서 연구자는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이론을 생성한다. Charmaz가 제안한 접근방식은 의학 교육에서 자주 사용된다.5 GT에서 연구 질문은 어떻게 또는 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묻는다. 

Grounded theory (GT), like TA, focuses on the content of participants’ statements, but unlike TA it is a methodology, and therefore requires that the study is consistent with the assumptions and values of GT throughout. In GT the researcher generates a new theory from the data. The approach proposed by Charmaz is frequently used in medical education.5 A GT research question asks how or why something happens. 


GT가 TA와 같는 주요 차이점은, GT에서는 분석 과정 전반에 걸쳐 [(단순히) 범주를 기술하기 보다는] 범주 간 설명적 연계를 만들려고 한다는 것이다. 결과 이론의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의된 단계를 따라야 한다. 끊임없는 비교와 메모 쓰기는 이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다.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보통 병렬로 진행되며, 연구 문제는 분석이 진행됨에 따라 진화할 수 있다. GT 분석 결과는 관심 프로세스에 대한 이론적 모델에 대한 설명이다. 일부 연구원들은 분석에 대한 접근법을 '수정된 근거 이론'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것은 대개 그들이 지속적인 비교와 이론적 코딩과 같은 GT의 요소를 사용했지만 GT에서 요구되는 모든 단계를 엄격히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 key difference between TA and GT is that throughout the analytical process the grounded theorist is trying to make explanatory links between categories, rather than describing the categories. Defined steps must be follow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resulting theory. Constant comparison and writing memos are important parts of this proces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usually run in parallel, and the research question may evolve as the analysis progresses. The outcome of a GT analysis is a description of a theoretical model for the process of interest. Some researchers describe their approach to analysis as ‘modified grounded theory’. This usually means that they have used elements of GT, such as constant comparison and theoretical coding, but have not strictly adhered to all of the steps required in GT. 


언어에 초점: '어떻게' 말해졌는지를 분석

FOCUS ON LANGUAGE: ANALYSING HOW  THINGS ARE SAID 


비판적 담론 분석(CDA)은 사회 구조, 권력 관계 및 정체성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관심 주제에 대해 사물이 말하는 방식을 콘텐츠 이상으로 살펴보는 질적 방법론의 집단을 말한다. 이러한 접근법을 뒷받침하는 핵심 아이디어는 언어가 콘텐츠 정보를 전달하는 것 이상을 한다는 것이다. 푸코울드 담론 분석은 의학 교육 주제에 적용되었던 그러한 접근법 중 하나이다.8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이론을 바탕으로 담론을 특정 주제가 사회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반영하는 생각의 집합으로 본다. Fouculdian 연구의 초점은 담론의 발달을 위한 역사적 맥락, 일부 담론의 다른 담론에 대한 지배, 담론이 사회적 구조를 형성하거나 사회적 구조가 담론을 형성하는 것 등이다. 어떤 주제에 대한 '사실' 또는 '진실'의 진술(의심하지 않는 것으로 제시된 진술)을 검토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되었고, 누구의 이익에 기여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단계들이 광범위하게 설명되어 왔다.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refers to a group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that look beyond content at the way things are said about the topic of interest, in order to answer questions about social structures, power relationships and identity. A key idea underpinning these approaches is that language does more than communicate content information.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 is one such approach that has been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topics.8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it views discourse as a collection of ideas that reflect how a particular topic has been constructed in society. The focus of Foucauldian studies is on the historical context for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the dominance of some such discourses over others, and the way in which discourses shape social structures and vice versa. Steps have been broadly described that include examining statements of ‘fact’ or ‘truth’ about a topic (statements presented as not being open to doubt), and questioning how they came to be and in whose interests they serve. 


Gee의 담론 분석은 푸카울드식 접근법보다 언어의 구조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CDA의 또 다른 형태지만,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의미도 다룬다.9 Gee는 연구자들이 그들 자신의 연구 질문에 적응할 수 있는 27개의 도구(연구자가 데이터에 대해 요구하는 질문)를 정의한다. 컨텐츠 기반 접근법과 마찬가지로 데이터는 사용 중인 도구에 따라 반복적으로 읽고 주석을 달았다. 예를 들어, '아이덴티티 빌딩' 도구는 화자가 enact하려고 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사회적으로 인식 가능한 신분은 무엇이며, 말하는 것에서 화자가 다른 사람을 어떻게 배치하고 있는지를 묻는다. 

Gee’s discourse analysis is another form of CDA that pays closer attention to the structure of language than the Foucauldian approach, but also deals with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9 Gee defines 27 tools (questions the researcher asks of the data) that researchers can adapt for their own research questions. Similar to content-based approaches, data are read and annotated in an iterative manner depending on the tool in use. For example, the ‘Identities Building’ tool asks what socially recognisable identities the speaker is trying to enact or to get others to recognise, and how the speaker is positioning others in what is said. 


대화 분석(CA)은 예를 들어 의사-환자 상담이나 소규모 그룹 학습 세션(표 1)에서 언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법이다.10 대화 분석은 억양, 침묵, 시선과 같은 비언어적 단서들과 어떻게 말을 할 것인가와 같은 상호작용의 구조를 조사한다. 대화 분석에는 식별된 상호작용 패턴을 설명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귀납 및 반복 분석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Conversation analysis (CA) is a linguistic approach to how language is used during natural (unscripted) social interactions: for example in a doctorpatient consultation or in a small group learning session (Table 1).10 Conversation analysis examines non-verbal cues such as intonation, silences and gaze, and the structure of the interaction, such as how turns to speak are taken. Conversation analysis involves an inductive and iterative analytical process that aims to produce a model to describe the patterns of interaction identified. 



시각 자료 분석

ANALYSING VISUAL DATA 


시각 자료는 그림, 그래픽 소설, 만화 또는 참가자들이 만든 사진을 포함한다(예: 그림 1 참조). 자료는 다르지만, 시각 자료는 내용이나 언어에 초점을 맞추어 면담 녹취록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콘텐츠를 찾을 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 그림이나 사진에 묘사된 것은? 

  • 사진 속의 요소(사람, 동물, 생각의 거품)는 무엇인가? 

  • 그들은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가? 

Visual data include drawings, graphic novels, comics or photographs made by participants (for examples, see Figure 1). Although the materials are different, visual data can be approached in the same way described for interview transcripts, focusing on content or on language. When looking for content we ask: What is depicted in the drawing or photo? What are the elements (people, animals, thought bubbles) within the picture? and How are they interrelated? 


언어에 초점을 맞출 때, 우리는 형태, 색상, 아이콘, 은유 등의 사용을 묘사하면서 사용되는 시각적 언어visual language에 관심이 있다. 시각적 분석에서, 우리는 전형적으로 내용과 시각적 언어에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그림에 있는 것에 대한 공개적인 설명(즉, 개방 코딩)으로 시작하고, 같은 연구 내에서 다른 그림들을 비교하면서 패턴이나 반복적인 모티브(즉, 집중적인 코딩과 분류)를 찾는 것으로 진행한다. 

When focusing on language, we are interested in the visual language used, describing, for instance, the use of shape, colour, icons and metaphors. In visual analysis, we typically combine a focus on content and visual language. We start with an open description of what is in the picture (i.e. open coding), and then proceed with comparing different pictures within the same study, looking for patterns or recurrent motifs (i.e. focused coding and categorising). 



결론

CONCLUSION 


우리는 질적 분석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와 다른 접근법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예를 제공했다. 당신이 이용할 수 있는 옵션들을 중심으로 읽고,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당신의 연구에 더 넓은 방법론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이 논문이 그 과정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경험적인 학습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 질적 분석 방법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좀 더 숙련된 연구자의 도움을 받아 그것을 하는 것이다.

We have provided a framework to think about qualitative analysis, and examples of how different approaches have been undertaken. It is important to read around the options available to you, to see how others have used them, and to understand whether they have broader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your research.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help with that process; however, nothing beats experiential learning. The best way to learn how to do qualitative analysis is to enlist the help of a more experienced researcher and just do it.





 2019 Feb;16(1):7-12. doi: 10.1111/tct.12973. Epub 2018 Nov 25.

How to…analyse qualitative data in different ways.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Ireland.
2
Irish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Dublin, Ireland.
3
University of Groningen Medical Centre, Groningen, the Netherlands.

Abstract

In this paper, the fifth in a series on qualitative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we discuss approaches to analysing qualitative data. We focus primarily on analysing transcribed interview and focus group data. We also touch on the analysis of visual data, a potentially fruitful alternative approach.

PMID:
 
30474356
 
DOI:
 
10.1111/tct.12973


질적연구: 여러 방법으로 연구 면담하는 법(Clin Teach, 2018)

How to…do research interviews in different ways

Anne de la Croix 1,2 , Aileen Barrett 3 and Terese Stenfors 4




도입

INTRODUCTION 


개인이나 사람들의 그룹을 인터뷰한다는 생각은 어떤 사람들에게는 벅찬 것일 수도 있지만, 임상 교사들은 인터뷰에 관한 한 결코 아마추어들이 아니다. 대부분의 임상 교사들은 병력청취에서 인터뷰하는 기술을 숙달할 것이다. 동시에 당신은 교육 환경에서 질문을 하는 것과 학생들의 딜레마와 사고 과정을 알아내려고 노력teasing out하는 것에 매우 익숙할 것이다. 그러나, 연구면담은 이런 것과는 목표부터 다른 작업이다. 1,2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우리의 시리즈의 다음 단계로, 우리는 이제 당신의 연구면접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몇 가지 고려사항, 힌트 및 팁을 제시한다. 

The idea of interviewing individuals or groups of people might be daunting for some, but clinical teachers are by no means amateurs when it comes to interviewing. Most clinical teachers will master the skill of interviewing in the context of medical history taking. At the same time you might be very familiar with asking questions in educational settings, and teasing out students’ dilemmas and thought processes. Conducting a research interview, however, is a different task with a different goal. 1,2 As a next step in our series o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we now present some considerations, hints and tips that will help you to develop your research interviewing skills. 


리서치 인터뷰 

THE RESEARCH INTERVIEW 


인터뷰는 질적 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며, 사람들과 말하고 듣는talking and listening 체계적인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터뷰는 또한 조사와 결합된 혼합 방법 연구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인터뷰는 설문조사를 구성하는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으며, 조사 결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설명 설계). 3 

Conducting interviews is a common way to gather data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can be defined as a systematic way of talking and listening to people. Interviews are also commonly used in mixed- method studies, combined with surveys: interviews may be conducted to identify themes around which to build the survey (exploratory design), or may be used to provide a more in- depth understanding of survey findings (explanatory design). 3 


그렇다면, '좋은' 인터뷰란 무엇인가? 

  • 분명한 대답은: 좋은 인터뷰는 당신에게 당신의 연구 질문에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4 그것은 철저한 분석이나 설명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연구 목표와 이론적 틀에 맞춰져 있다. 5 

  • 덜 명백하지만 더 두드러진 대답은 좋은 인터뷰가 사람들의 경험, 의견, 생각, 감정에 대한 통찰력을 풀어준다는 것이다. 면접자가 환자든, 동료든, 학생이든 간에, 여러분의 면접자의 목소리를 진정으로 듣는 것은 건강 직업 교육이나 실습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면접 데이터를 수집할 때 매우 중요하다. 참가자들의 내면세계에 접근하는 것은 풍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진정한 수단이다. 

So, what is a ‘good’ interview? 

  • The obvious response is: a good interview gives you data to help answer your research question. 4 It generates data that allow for thorough analysis or description, and are aligned with the research goal and theoretical framework. 5 

  • The less obvious, but more salient, answer is that a good interview unlocks insights into people ’ s experiences, viewpoints, opinions, thoughts and feelings. Truly hearing your interviewees’ voices, whether they be patients, colleagues or students, is very important when collecting interview data with an aim to improv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or practice. Getting access to participants’ inner worlds is the real trick to acquiring rich data. 


우리의 경험상 면접의 질은 피면담자가 얼마나 편안하게 느끼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좋은 연구 면접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관계 구축은 중요한데, 이것은 연구자의 최적의 의사소통 능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피면담자에게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내용을 확인하고, 그들의 의견을 분명히 감사하며, 존중하며, 호기심을 갖고, 아마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connect하라. 

In our experience, the quality of an interview is heavily dependent on how comfortable the interviewee feels. Building rapport is of key importance in creating the circumstances for a good research interview: this requires optimal communication skills from the researcher. So, connect with your interviewee by finding out what they deem to be important, explicitly appreciate their input, show respect, be curious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listen. 


흔한 인터뷰 형식

COMMON TYPES OF INTERVIEWS 


일대일 인터뷰 

One- to- one interviews 


가장 흔한 인터뷰는 1 대 1 면접이며, 몇 가지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 

    • 인터뷰는 체계적으로 구조화될 수 있으며, 이는 질문들이 정확히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각 면접관에게 동일한 순서로 자세를 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개방형 인터뷰는 질문으로 시작하지만, 인터뷰 과정은 피면담자의 답변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 반구조화된 인터뷰는 이러한 두 가지 접근법 사이의 어딘가에 있으며, 미리 결정된 주제를 다루기 위해 몇 가지 질문을 사용하지만, 인터뷰 진행자 자신의 생각 및 가능한 후속 질문을 따를 수 있는 여지를 더 많이 남겨둔다. 6 

The most common interview is the one- to- one interview, in a few variations. 

    • An interview can be structured, meaning that the questions are exactly the same, and posed in the same order, for each interviewee. 

    • An open interview starts with a question, but the course of the interview is very dependent upon the answers of the interviewee. 

    • A semi- structured interview lies somewhere between these two approaches, using a few questions to address predetermined themes, but leaving more room to follow the interviewee ’ s own line of thought and for possible follow- up questions. 6 


반구조적 인터뷰는 건강전문교육연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들은 인터뷰 때마다 동일한 주제를 다루도록 보장하지만, 면접관으로부터 개인적 해석과 연관성을 위한 여지를 남겨둔다. 내러티브 인터뷰는 각 참가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을 돕는 것이 목적이며, 인터뷰 진행자가 인터뷰 내용을 끌어내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특정한 기술이다. 7 

Semistructured interviews are comm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they guarantee that the same topic is dealt with in each interview, but leave open space for personal interpretations and associations from the interviewee. Narrative interviewing, in which the aim is to help each participant to tell his or her story, is also a specific skill requiring the interviewer to focus the interview on drawing out those stories. 7 


그룹 인터뷰 

Group interviews 


당신의 연구 질문에 따라, 당신은 집단으로 사람들을 인터뷰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 한 가지 접근법은 그룹 내의 각 개인에게 각각의 질문에 개별적으로 응답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그룹 인터뷰라고도 함)

    • 또 다른 옵션은 그룹의 구성원들이 서로 반응하는 포커스 그룹을 수행하는 것이다. 포커스 그룹은 복수의 사람(최대 12명, 가장 일반적으로 7명 포함)으로부터 입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사람들이 서로의 관점을 상세히 설명하거나 서로 의견이 다를 때 흥미로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8 그러나, 당신의 연구 질문에 따라, 어떤 이슈들은 그룹 내에서 논의하기에는 너무 민감하다고 여겨질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인 면접에 더 적합하다. 또한 개인의 차이나 의견이 그룹 설정에서 발언되지 않을 위험도 있다. 

Depending on your research question, you could choose to interview people in groups. 

    • One approach is to ask each person in the group to respond individually to each question (sometimes called a group interview). 

    • Another option is to conduct a focus group, in which members of the group respond to one another. A focus group has the advantage of getting the input from multiple people (with a maximum of 12, but most commonly including seven people), and might provide interesting data when these people elaborate on each other ’ s viewpoints, or when they disagree. 8 Depending on your research questions, however, some issues may be considered too sensitive to discuss in a group, and are therefore better suited for individual interviews. There is also a risk that individual differences or opinions are not voiced in a group setting. 


그룹 인터뷰는 더 많은 목소리 출연자나 더 높은 위치에 있는 참가자들이 토론을 지배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그룹 내 다른 참가자들이 목소리를 높이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일련의 기술들을 관리해야 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사람들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것은 그룹에게 있어 도전이다; 참여자들은 연구원으로서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참가자들을 신뢰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룹을 만들 때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단체 인터뷰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읽기, 요약 및 반복하기, 교대로 주기, 동의와 의견 불일치 요구 등 그룹 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Group interviews require a whole new set of skills to manage, as there is the danger of the more vocal participants, or participants in a more senior position, dominating the discussion, with the others in the group not speaking up. Again, making people feel safe and comfortabl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is is a challenge for a group, as the participants need to trust not only you as a researcher but also need to trust all of the other participants. Careful consideration is therefore needed when creating the group. Facilitating a group interview requires group management skills such as reading non- verbal communication, summarising and rephrasing, giving turns, and asking for agreement and disagreement. 


새롭게 등장하는 면담 방법

New and emerging interview methods 


질적인 연구가 인기를 얻으면서, 인터뷰를 하는 새로운 방법들도 인기를 얻고 있다. 예를 들어, Stimulated recall interview는 [관찰된 행동]과 [그들이 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했는가에 대한 인터뷰 대상자들의 생각]을 결합시킨다 9 인터뷰 대상자들에게 경험, 생각 또는 감정을 그려내거나 시각화하는 것은 인터뷰로부터 더 풍부한 데이터를 얻는 방법이다. 10 의미 있는 대화를 위해, 그것은 또한 사람들을 인터뷰하기 위한 장소로서 사무실 공간을 넘어서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왜 걷기와 대화를 동시에 하지 않는가? 11 딜레마에 대해 정말로 긍정적이고 유용한 해결책을 장려하는 특별한 인터뷰 스타일도 있다. 12 마지막으로, 인터뷰는 (NGT과 같은) 중요한 이슈의 정량적 순위를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의 일부가 될 수 있다. 13 표 1에서는 인터뷰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러한 다양한 도구와 기법에 대한 개요(절대 철저하지 않음!)를 제시한다. 

As qualitative research gains popularity, so do newer ways of conducting interviews.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for example, combine observed behaviour with the interviewees’ ideas of why they behaved in a certain way. 9 Asking interviewees to draw or visualise experiences, thoughts or feelings is a way to get richer data from interviews, resulting in a combination of visual and interview data. 10 For meaningful conversations, it can also help to think beyond office spaces as locations to interview people: why not walk and talk at the same time? 11 There is also a special style of interviewing that really encourages positive and useful solutions for dilemmas (‘appreciative interviewing’). 12 Finally, interviews can be part of studies aiming to find out a quantitative ranking of important issues (such as in the nominal group technique). 13 In Table 1 we give an overview (by no means exhaustive!) of these different tools and techniques that might help get more informative data from an interview. 




선택, 선택, 선택 

CHOICES, CHOICES, CHOICES 


연구 연구를 수립하려면 많은 선택을 해야 한다. 이전의 논문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당신의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실용적이고 이론적인 고려사항과 질문을 공유할 것이다. 언제나 그렇듯이, 이런 종류의 연구를 위해서는 윤리적인 승인이 필요하며, 당신은 특별히 인터뷰 기록을 위한 동의를 얻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의 방법과 샘플링의 선택은 당신의 질문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Setting up a research study requires making many choices. As with our previous papers, we will share a few pract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questions for your study. As always, ethical approval is necessary for any study of this kind, and you will specifically need to obtain consent to record interviews. And your choice of methods and sampling will be determined by your question. 


면접은 언제가 적당할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면접은 개인적인 경험, 관점, 느낌, 생각을 찾고 있다면 특히 적절하고 유용하다. 즉, 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다른 방법(행정 시스템의 질문, 관찰 또는 데이터)에서 수집하기 어려운 측면이다. 

When is interviewing suitable? As mentioned above, interviewing is particularly appropriate and useful if you are seeking personal experiences, viewpoints, feelings and thoughts. In other words: aspects that are hard to gather in any of the other methods frequently used in research (questionnaire, observations or data in administrative systems). 


면접관 모집 방법? 균질한 응답자 그룹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아니면 표본의 variation을 원하십니까? 질적 연구에서는 power calculation이 적용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aturation'의 개념이 항상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14 'information power'라는 개념은 필요한 응답자 수가 연구의 목표, 표본특성, 확립된 이론의 사용, 데이터의 품질 및 분석의 기초가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15 

How to recruit your interviewees? Do you choose a homogenous group of respondents, or do you want variation in your sample? In qualitative research, power calculations do not apply, and the commonly used concept of ‘saturation’ is not always applicable. 14 The idea of ‘information power’ suggests that the number of respondents needed is based on: the aim of the study, the sample specificity, the use of established theory, the quality of the data and the analysis strategy that will be used


전략적 또는 목적적 샘플은 당신이 당신의 연구 질문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변수들(예: 연륜, 성별 또는 직업적 배경)에 근거하여 응답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다른 선택사항으로는 편의성 샘플(반 모든 사람과 같이 접근 가능한 그룹 초대) 또는 눈덩이 샘플(fi rst 응답자에게 추가 응답자를 제안하도록 요청)이 있다. 또한 전자우편이나 직접 참여자에게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고려해보십시오. 

15 A strategic or purposive sample is one in which you choose respondents based on the parameters that you deem relevant for your research question: for example, years of experience, gender or professional background. Other options are a convenience sample (invite an accessible group of people, such as everybody in your class) or a snowball sample (ask the first respondents to suggest further respondents, etc.). Also consider how you might approach the potential participants: by e-mail or in person? 


누가 면접관이어야 하는가? 내부자가 되는 것(예: 다른 임상 교사들을 인터뷰하는 임상 교사)이 유익할 때와 그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때를 모두 고려해 보십시오. 인터뷰를 진행하기 전에 항상 (명확하든 덜 명확하든) 권력 역학을 고려하십시오. 만약 당신이 당신의 학생들이 새로운 교육 이니셔티브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인터뷰하는 임상 교사라면, 당신은 그들로부터 솔직한 대답을 들을 수 있는가? 16 반면에 문맥을 이해하는 것은 최상의 질문을 하는 데 적절할 수 있다. [당신이 당신의 연구와 그 참여자들에게 이 위치와 그것의 잠재적인 영향을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말하는 reflexivity는 이러한 선택을 보고할 때 중요하다. 면접에서, 지식은 면담자와 피면담자 사이에 형성된다: 해석 행위는 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때뿐만 아니라 데이터 수집 중에도 발생한다. 

Who should be the interviewer? Consider when being an insider (e.g. a clinical teacher interviewing other clinical teachers) is of benefit, and also when it may hinder the process. Always consider any power dynamics – both obvious and less obvious – prior to conducting the interviews. If you are a clinical teacher interviewing your own students about their perceptions of a new educational initiative, are you likely to get honest answers from them? 16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the context may be pertinent for asking the best questions. Reflexivity, or how you articulate this position and its potential influence on your study and its participants, 7 is important when reporting these choices. In an interview, knowledge is coconstructed between interviewer and interviewee: the act of interpretation does not only occur when conducting the data analysis but also during the data collection. 


면접을 당신의 연구 설계의 다른 측면과 어떻게 일치시킬 것인가? 여러분의 연구 질문뿐만 아니라 계획된 분석 방법에 따라 인터뷰 유형을 선택하도록 하십시오: 어떤 접근방식의 경우, 면접이 매우 개방적이고 많은 내레이션과 함께 필요할 수 있으며, 다른 접근방식의 경우, 반 구조화된 개별 면접이 가장 좋다. 또한 모든 인터뷰가 분석을 시작하기 전에 실시되어야 하는지, 인터뷰와 분석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고려한다. 정해진 수의 응답자를 사용해야 하는가, 아니면 이 숫자가 도중에 결정되어야 하는가? 그러므로 면접 연구를 개발할 때 당신의 연구 질문과 분석 방법을 모두 고려해보라. 

How to align the interview with other aspects of your research design? Make sure to choose the type of interview depending not only on your research question but also on the planned method of analysis: for some approaches, you may need the interview to be very open, with lots of narration; for others, a semi- 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 is best. Also consider whether all interviews should be conducted before the start of the analysis, or whether interviews and analysis happen in an iterative process. Should a set number of respondents be used or should this number be decided along the way? So, consider both your research question and your method of analysis in developing your interview study. 


면접 공부를 시작할 때, 당신은 더 어려운 질문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인터뷰 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요령과 요령을 포함하여 표 2에 그 중 몇 가지를 요약했다. 

When starting with your interview study, you might have more difficult questions. We have summarized a few of them in Table 2 , including tips and tricks on how to resolve issues that might arise in an interview study. 


결론

CONCLUSION 


인터뷰를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할 때 많은 선택들이 있다. 그것은 약간의 철저한 사고와 준비가 필요하지만, 우리는 그것이 연구를 하는 매우 개인적인 풍요로운 방법이라는 것을 발견한다. 인터뷰를 함으로써 여러분은 놀라고 충격을 받고 감동할 수 있다. 인터뷰 연구는 마침내 시간을 내어 특정 주제에 대해 사람들과 심도 있게 대화할 수 있는 완벽한 이유가 될 수 있다. 인생의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연습은 완벽을 만든다. 그러니 그 호기심 많은 자세를 취하고, 시작, 배우고, 좋은 인터뷰가 얼마나 강력한지 스스로 놀라도록 하라.

There are a lot of choices when deciding to use interviews as a way to gather research data. It requires some thorough thinking and preparation, yet we find it a very personally enriching way to do research. By holding interviews, you can be surprised, shocked and moved. An interview study could be the perfect reason to finally take the time to talk to people in depth about a certain topic. As with all things in life, practice makes perfect. So take on that curious stance, start, learn and let yourself be surprised by how powerful a good interview can be.


표 2. 연구 면접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잠재적인 질문 및 일치하는 팁과 요령

Table 2 . Potential questions, and matching tips and tricks, to help you execute a research interview


어떻게 하면 면접 가이드가 잘 될 수 있을까?

How do I make a good interview guide?


• 자신의 호기심으로 시작하라: 당신이 정말로 알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 관심 영역을 구성하는 주제/주제의 마인드 맵 작성

• 이론 사용: 문헌의 개념을 보고 설문지를 통해 영감을 얻으십시오.

• 질문 순서를 신중하게 고려하십시오. '여기서 일한 지 얼마나 되었는가'와 같은 몇 가지 '따뜻한' 질문으로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질문을 주의 깊게 테스트하십시오(아래 참조).

• Start with your own curiosity: what do you really want to know?

• Make a mind map of topics/themes that form your area of interest

• Use theory: look at concepts in the literature, let questionnaires inspire you

• Consider the order of questions carefully, it may be helpful to start with some ‘warm up’ questions, such as ‘how long have you worked here’

• Test the questions carefully (see below)



나는 리서치 인터뷰를 한 적이 없다. – 어떻게 연습해야 하는가?

I have never held a research interview – how do I practice?


• 인터뷰 질문을 스스로에게 사용해 보십시오: 자신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가?

• 사람들은 질문을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동료, 친구 또는 학생이 질문을 보고 토론하게 한다. 그들은 질문이 어떤 대답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 최소한 한 번의 파일럿 인터뷰를 수행하고, 이를 기록하고, 이를 기록한다. 면접 능력을 평가하라. 받은 답변의 유형을 고려하십시오. 원하는 답변이 바로 이것인가? 응답자가 말하는 내용을 반영하십시오. 이해하시겠습니까? 돌아가서 후속 질문을 하고 싶으십니까?

• 위의 조치의 결과로 질문을 조정하고 단서를 추가/제거하라

• Try the interview schedule with yourself: can you answer your own questions?

• People tend to interpret questions in different ways: let a colleague, friend or student look at your questions and discuss them, what kinds of answers do they think the questions will provide?

• Do at least one pilot interview, record it and transcribe it. Evaluate your interview skills. Consider the type of answers that you received – is this what you hoped to get? Reflect on what the respondent is saying – do you understand it? Do you feel that you would like to go back and ask follow-up questions?

• As a result of the actions above, adapt your questions, and add/remove cues, etc


각 인터뷰 대상자를 동일하게 취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면 다음을 위한 체크박스를 사용하여 가능한 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How do I make sure that I treat each interviewee the same?

Using a checklist will help you to be as consistent as possible, with tick boxes for the following

items


• 인터뷰에 응할 사항(동의서 양식, 녹음 장치, 펜, 용지 등)

• 인터뷰 시작 시 할 말(연구 목적, 데이터 취급 및 프라이버시, 사람들에게 정직함을 장려하고 인터뷰 기간 등)

• 인터뷰 종료 후 할 말 (참여, 문의, 탈퇴 등)

• Things to take to the interview (consent form, recording device, pen, paper, etc.)

• Things to say at the start of the interview (purpose of the study, data handling and privacy, encourage people to be honest, length of interview, etc.)

• Things to say after the interview is over (thanks for participating, contact person for questions or withdrawal, etc.)


나는 내 연구 질문에 대한 분석과 답변을 위해 유용하고 흥미로운 자료로 이어지지 않는 매우 짧은 답을 얻었다.

I got very short answers that don’t lead to useful and interesting data to analyse and answer my research question


• 질문을 보십시오: 좀 더 개방적일 수 있는가?

• 첫 번째 한두 번의 인터뷰 후 동료 또는 다른 작성자와 질문 스타일 검토

• 인터뷰 가이드에 후속 질문 및 조사 예제 추가

• 응답자에게 연락하여 필요한 경우 후속 질문을 할 수 있는지 질문

• 공감적 경청, 응답자의 말, 요약 및 해석과 같은 교육적 또는 임상적 커뮤니케이션 기술 사용

• 만약 당신의 연구 질문에 부합한다면, 극단적인 의견을 표현하도록 사람들을 초대하는 질문을 사용하라: 꿈('이상적인 세계에서, 당신은 무엇을 할 것인가?')과 악몽('어떤 것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것인가?')

• 시각 보조 장치 또는 vignette 사용

•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사례 요청

• Look at your questions: could they be more open?

• Review your questioning style with a peer or another author after the first one or two interviews

• Add examples of follow-up questions and probes to your interview guide

• Ask the respondents if you can contact them for follow-up questions if need be

• Use educational or clinical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empathic listening, paraphrasing the respondent ’ s words, summation and interpretation

• If it suits your research question, use questions in which you invite people to express extreme opinions: invite them to elaborate on dreams (‘in an ideal world, what would you do?’) and nightmares (‘what ’ s the worst that could happen?’)

• Use visual aids or vignettes

• Ask for examples from their own experiences


내가 인터뷰하는 사람은 그들의 대답에 '부탁해'를 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

The person I am interviewing seems to want to ‘please me’ in their responses


• 연구 질문 및 응답자와의 관계를 주의 깊게 고려하십시오. 이러한 인터뷰를 수행하는 데 가장 적합한 사람인가?

• 정보 편지와 직접 원하는 것을 명확히 하십시오. 솔직한 대답을 원한다면 그렇게 명시적으로 말해라.

• 임상 의사 또는 교사 역할과 같은 다른 역할도 수행하는 경우 인터뷰 수행 능력에 대해 명확히 설명

• 친분을 쌓을 때, 면접관이 생각하는 바를 알고 싶다고 느끼도록 하십시오.

• 반론 또는 비판을 명시적으로 초대

• 토론을 위한 보조 도구 고려: 인터뷰 대상자가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 vignette 또는 극단적인 진술

• Consider your research question carefully and your relationship with the respondents: are you the most suitable person to conduct these interviews?

• Be clear about what you want, both in the information letter and in person. If you want honest answers, say so explicitly

• Be clear regarding the capacity in which you are conducting the interview if you also hold other roles, such as being a clinician or a teacher

• In establishing rapport, make them feel that you want to know what the interviewee thinks

• Explicitly invite counter-arguments or criticisms

• Consider aids for discussion: vignettes, or extreme statements in which interviewees can agree or disagree


어떻게 하면 인터뷰 내용을 잘 녹화할 수 있을까?

How do I make sure to get good recordings of the interview?


• 기록 장치의 배터리 점검

• 예비 녹음 장치 가져오기

• 잠재적 면접관과의 약속을 할 때, 스트레스와 서두르지 않도록 면접 전후에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하십시오. 또한 완전히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즉, 호출되지 않음).

• 전화 및 기타 가능한 장애 끄기 요청

•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익명화하고 안전하게 저장하기 전에 관련 정보를 불러올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데이터 레이블 지정

• Check the batteries on the recording device

• Bring a spare recording device

• When making an appointment with a potential interviewee, make sure that they do have enough time before and after the interview to avoid stress and rush. Also make sure they are fully available (i.e. they will not be called away)

• Ask for telephones and other possible disturbances to be switched off

• If necessary, systematically label the data to be able to recall relevant information, before anonymising and storing the data safely


NB: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고려하고 동의를 구하십시오!

NB: please consider privacy policies for storing data and ask for consent!





 2018 Dec;15(6):451-456. doi: 10.1111/tct.12953. Epub 2018 Oct 21.

How to…do research interviews in different ways.

Author information

1
Amsterdam UMC,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 Research in Education, the Netherlands.
2
LEARN! Academy,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the Netherlands.
3
Irish College of General Practicioners, Dublin, Ireland.
4
Karolinska Institutet, Stockholm, Sweden.

Abstract

This article is the next instalment in our 'How to…' series about qualitative research, and focuses on interviews. In many ways, conducting research interviews can be compared with talking to a patient or a student, yet there are specific elements to consider if you want the interview data to be useful for a research study. In this article, we will reflect on what a 'good' research interview is. We will provide an overview of different types of interviews, both much used and more adventurous. Finally, we present a list of dilemmas and frequently asked questions, with tips, tricks and suggestions. This practical and concise article will be helpful when starting a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using interviews. Getting access to participants' inner worlds is the real trick to acquiring rich data.

PMID:
 
30345639
 
DOI:
 
10.1111/tct.12953


질적연구: 여러 유형의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기 (Clin Teach, 2018)

How to…choose between different types of data

Esther Helmich 1,2 , Terese Stenfors 3 and Aileen Barrett 4




도입

INTRODUCTION


질적 연구의 세계로 진입하는 임상의들의 경우, 면담이야말로 어떤 현상의 경험이나 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가장 명백한 자료의 원천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덜 알려져 있지만 잠재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데이터들이 있고, 이것이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실, 질적 연구에서는, 실제 세계의 거의 모든 것이 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다(거리에서 듣거나 말하는 것, 학교에서 보는 것, 진료소에서 토론하는 것, 인터넷에서 찾은 것 등). 데이터는 참가자가 자신의 경험에 대해 말하는 서면 또는 구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구원들은 참가자들에게 그림이나 그림 등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는지 보여주도록 초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원들은 그들의 연구 주제나 정책 문서나 소셜 미디어 포스트와 같은 그들의 사실들을 관찰할 수 있다. 

For clinicians entering the world of qualitative research, it can seem that interviews are the most obvious source of data that can be collected and analysed to understand experiences or perceptions of a phenomenon; however, some lesser known, but potentially extremely valuable, data can also be use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In fact, in qualitative research, almost everything in the real world can serve as data: what you hear or talk about on the streets, what you see in schools, what you discuss in the clinic and what you find on the Internet. Data may include written or spoken text, in which participants tell about their experiences. Researchers may also invite participants to show how they perceive and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through, for example, pictures or drawings. And researchers can observe their research subjects, or their artefacts, such as policy documents or social media posts. 


이 글에서는 질적 교육 연구를 시작하는 방법에 관한 유럽 질적 조사 및 교육 연구 센터(EXQUISITE) 시리즈의 세 번째 시리즈인 1 우리는 인터뷰에 대한 몇 가지 대안들을 데이터 소스로 설명하고, 그들이 특정 연구 질문에 답하는데 어떻게 가치가 있을 수 있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데이터 분석이 향후 논문에서 논의되겠지만, 우리는 이러한 데이터 유형이 어디에서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그들이 조명하고 도해한 질문들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에 사용될 데이터 유형의 선택은 핵심 고려사항이며, 연구 질문 2와 질문에 적합한 이론적 및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의해 명확하게 안내된다. 3 또한 데이터 분석 방법과 프로세스를 결정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third in our European Centre of Excellence in Qualitative Inquiry and Study in Training and Education (EXQUISITE) series on how to get started in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1 we will describe some alternatives to interviews as data sources and how they can be of value in answering certain research questions. Although the analysis of data will be discussed in a future paper, we will provide some examples of where these data types have been used and the questions they have illuminated and illustrated. The choice of data types to be used in your study is a key consideration, guided clearly by your research question, 2 and by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s appropriate to your question. 3 This will also determine your data analysis methods and processes. 


말하기, 보여주기, 관찰하기

TELLING, SHOWING, OBSERVING 


참가자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요청 

Asking participants to tell their stories 


이야기를 하는 것은 사람들 사이에 경험을 공유하는 가장 오래된 방법 중 하나이다; 그것은 언어, 시간 경과에 따른 발전, 구조, 등장인물, 줄거리 선에 의존한다. 이야기를 하는 것은 어떤 경험을 해명하고,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의학 교육에서 이야기 또는 내러티브를 수집하는 가장 흔한 방법은 인터뷰 진행자가 미리 정해진 질문의 집합을 질문함으로써 대화를 지시하는 개인 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일 수 있다; 4 그러나, 몇 가지 흥미로운 대안이 있다. 

Telling stories is one of the oldest ways of sharing experiences between people; it relies on language, development over time, structure, characters and plot lines. Telling stories can help to elucidate a certain experience, to give meaning to it and to explain it to others. The most common way of collecting stories, or narratives, in medical education may be the individual or focus group interview, in which the interviewer directs the conversation by asking a set of more or less predetermined questions; 4 however, there are some interesting alternatives. 


오디오 다이어리서면 로그는 참가자들에게 인터뷰 진행자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전 질문에 조금 더 오래 매달리고 싶을 때 다음 질문에 응답할 필요 없이 중단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일지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일반적으로 '지난 날이나 일주일 중 가장 형태적인 경험을 되돌아볼 수 있는가?'와 같은 몇 가지 질문을 받는다. 그들은 그들의 기여에 대한 어떠한 직접적인 반응도 받지 않고, 그들의 성찰을 기록하거나 오디오 코딩을 하고 연구자에게 이것을 보내도록 초대 받는다. 따라서 비록 연구자가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서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지만, 이 참여자는 데이터 수집에 대한 접근법을 주도하여 보다 자발적이고 참가자의 고유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크게 도울 수 있다. 

Audio diaries and written logs provide participants with the opportunity to tell their stories without interruption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verbal or non- verbal cues of the interviewer, and without having to respond to a next question when they would prefer to linger a bit longer with the previous one. In diary studies, participants are generally provided with just a few prompts, such as: ‘Could you reflect on the most formative experience of the past day or week?’ They are invited to write down their reflections or to make an audiorecording and to send this to the researcher, without receiving any direct responses to their contributions. The researcher thus has limited control over the data collected, but this participant led approach to data collection can greatly help to get the story across more spontaneously and in the participant ’ s unique way. 


예를 들어, 우리는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에 대한 교차 문화적 연구의 일환으로 대만과 네덜란드의 의대생들로부터 오디오 일기를 수집했다.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우리는 참가자들 사이에 감정적인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라는 초대에 응한 방법과 이것이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상당한 차이점을 발견했다. 

    • 대만 학생들은 많은 다양한 인물들로 채워진 의학의 세계를 매우 활기차게 스케치했다.엘리트들, 환경, 음식, 음료수, 스포츠,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먼저 '좋은 사람들'이 되려고 했는지를 반성했다. 그들은 이것이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 같은 프롬프트에 대해 네덜란드 학생들은 전형적으로 자기 자신, 감독자 한 명, 환자 한 명, 당면한 특정 과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면서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기술이나 역량의 발달에 대해 매우 집중적인 이야기를 했다. 

To demonstrate an example, we collected audio diaries from medical students in Taiwan and in the Netherlands as part of a cross- cultur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nducting the study, we found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in how they responded to the invitation to talk about an emotional experience, and how this impacted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5 Taiwanese students sketched very lively pictures of the world of medicine, populated with a large variety of figures, relationships, environments, food, drinks and sports, and reflected upon how they intended to become ‘good people’ first, as they considered this a prerequisite for becoming good doctors. In response to the same prompt, Dutch students typically told very focused stories about the development of skills or competencie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doctor, referring specifically to themselves, one supervisor and one patient, and to the specific task at hand. 


인터뷰나 포커스 그룹이 두 그룹을 위해 더 직접적인 데이터를 제공했을 수도 있지만, 오디오 일기는 상당히 다른 맥락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것처럼 착색된 세계를 볼 수 있는 풍부한 정보를 제공했다.

Whereas interviews or focus groups might have provided more straightforward data for the two groups, the audio diaries offered a colourful glimpse into the figured worlds as experienced by students in fairly different contexts.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보여주도록 요청한다. 

Asking participants to show their experiences 


살아 있는 경험을 서술하는 또 다른 접근법은 반드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시각적 방법이나 구체화된 방법을 사용하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건강관리 내에서, 그리고 보건전문가들의 교육에서, 연구자들은 점점 더 사진 도출이나 광채화, 그리고 그림, 그림 또는 콜라주 같은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접근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또한 음악, 춤, 연극 또는 비디오 공연을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6 언어를 넘어서 창의적인 표현과 반성의 기회를 만드는 것은 단어만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감정이나 우려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nother approach to narrating lived experiences is showing what is going on, using visual or embodied ways of expressing oneself that do not necessarily use language. Within health care, and in the education of health professionals, researchers are increasingly making use of these creative, arts- based approaches, such as photo elicitation or photovoice, and drawings, pictures or collages, but one could also think of using music, dance, theatre or video performances as a research method. 6 Going beyond the verbal and creating other opportunities for creative expression and reflection may help to assist in identifying feelings or concerns that are not accessible through words alone. 


우리가 복잡한 상황에 대응하여 의학 수련생들의 감정을 탐구하기 위해 도면을 사용한 최근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말 그대로 좌절, 불확실성, 분노와 두려움을 보여주었고, 자신을 타인에 비해 매우 작거나 말초적인 존재로 묘사하거나 심지어 논문에서 도망치는 것까지도 묘사했다. 7 

In a recent study in which we used drawings to explore medical trainees’ emotions in response to complex situations, participants literally showed their frustrations, uncertainties, anger and fears, depicting themselves as very small or peripheral relative to others, or even running away from the paper, and thus from the situation. 7 


실제의 세계를 실제로 관찰하는 것 

Observing the real world in action 


위에 설명한 대로 말하고 보여주는 것은 모두 사람들이 어떻게 그들의 경험을 인지하는지에 대한 반성을 제공하지만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하지 않는다. 이것은 사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움직이고, 옷을 입고, 공간을 사용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더 잘 포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현실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의 매우 많은 부분이기 때문이다. 관찰은 다른 유형의 연구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민족지학(Ethnography)과 연관된다. 8 관찰에 의해 탐구될 수 있는 상황으로는 예를 들어 임상 실습, 회진, 시뮬레이션 이벤트 및 세미나가 포함된다

Both telling and showing, as described above, provide reflections of how people perceive their experiences, but do not study what actually happens . This can be better captured by observing how people interact, move, dress and use space, as these are very much part of how reality is constructed. Although observations can be used in different types of research, this method is typically associated with ethnography. 8 Settings that may be explored by observation include, for instance, clinical practice, rounds, simulated events and seminars.


관찰은 학생과 교사 또는 환자 또는 다른 직업의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람들이 하는 행동에 대한 추가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특정 과정을 포착하거나 학습이 이루어지는 더 큰 맥락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컨텍스트에는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소리, 냄새, 눈 접촉 또는 그러한 신체적 접촉 부족,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목소리의 톤 및 사람이 움직이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관찰은 시간적으로 상당히 제한적일 수 있지만(예: 2시간 모의 세션의 세 가지 관찰), 학생이나 감독자의 일상 생활 동안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그림자처럼 관찰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Observations may provide an additional perspective on what people say they do, to provide insight into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or patients, or between students from different professions. This can help to capture a certain process or provide further information on the larger context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Context can include the physical space as well as sound, smell, eye contact, or lack of such, physical contact, the tone of voice used in an interaction and how people move. Observations may be fairly limited in time (e.g. three observations of a 2- hour simulated session), but they can also be conducted by shadowing a student or a supervisor throughout their daily practice for several days or weeks. 


한 연구에서, 우리는 64명의 환자와 건강관리 전문가들(전문가가 다른 의사, 간호사, 영양사, 사회복지사)과 건강관리 전문가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다원적 만성 신장 질환 클리닉에서 일일 회진하는 것을 관찰했다. 이러한 보편적인 형태의 치료 기능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 9 우리의 연구결과는 진료소 내에서 협력적으로 일할 것으로 기대되는 건강전문가들 사이의 경계 문제, 복잡한 환자의 관리에 있어서의 의료전문, 그리고 간병인과 환자 사이의 경계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의료 전문가들을 관찰함으로써, 우리는 그들이 분명히 알지 못하는 그들의 상호작용의 측면을 포착했고, 따라서 그들이 그들에 대해 우리에게 보여주거나 말하도록 요구하는 방식으로는 포착할 수 없었을 것을 포착했다.

In one study, we observed 64 consultations between patient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physicians with different specialties, nurses, dieticians and social workers) and end- of- day rounds at a multidisciplinary chronic kidney disease clinic, to explore how health care professionals interact with one another, patients, families and caregivers in order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how this increasingly common form of care functions. 9 Our findings revolved around the question of boundaries between the health professionals who were expected to work cooperatively within the clinic, between medical specialties in the management of complex patients, and between caregivers and patients. Through observing the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action, we captured aspects of their interactions that they were not explicitly aware of, and hence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capture by asking them to show or tell us about them. 


결론

CONCLUSIONS 


이 짧은 소개에서 우리는 가능한 많은 유형의 데이터 중 몇 가지만 설명하였다. 종종, 그러나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민족학 연구에서는 몇 가지 유형의 질적 데이터가 단일 연구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을 인터뷰한 다음 관찰하거나, 연습생들에게 그들의 경험을 담아낸 시나 단편 소설을 쓰라고 요청하고, 그 후 인터뷰에 응할 수 있다. 

In this short introduction we have described only a few of many possible types of data. Often, but not exclusively, in ethnographic studies, several types of qualitative data are combined in a single study: one may, for example, interview students and then observe them, or ask trainees to write a poem or short story capturing their experiences, and then follow up with interviews. 


질적 연구의 세계로 진입하는 임상의들의 경우 데이터 수집 기회 수와 범위가 압도적으로 보일 수 있다. 연구에 적합한 데이터 유형을 선택할 때 세 가지 질문을 고려하십시오. 

For clinicians entering the worl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number and range of opportunities to collect data may seem overwhelming. In choosing the types of data appropriate to your study, we suggest you consider three questions. 


1. 당신이 대답하고 싶은 연구 질문은 무엇이며, 어떤 종류의 자료가 당신에게 답을 줄 것이며, 당신은 연구 윤리 위원회에 제출할 때 이것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 

1 . What is the research question you want to answer, what kind(s) of data will give you the answers and can you justify this in your submission to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 


2 . 그 질문을 탐구하고자 하는 특정 이론이나 프레임워크를 확인하셨습니까? 그리고 데이터의 특정 유형(또는 유형)이 다른 것들보다 이론적 가정에 더 잘 맞으시겠습니까? 

2 . Have you identified a certain theory or framework within which you want to explore that question, and would a certain type (or types) of data better fit its theoretical presumptions than others? 


3.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의 특정 이점 또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3 . What are the specific benefits or challenges of these different types of data? 10 


마지막으로, 여러분이 연구자로서 여러분 자신에게 묻고 싶은 궁극적인 질문은 개인적으로 어떤 유형의 데이터에 대해 흥분하고 있는지이다. 질적 연구의 풍부한 분야에서, 우리는 연구자들이 그들의 호기심과 흥미 그리고 자신의 창의성을 따르도록 영감을 받기를 바란다!

Finally, the ultimate question you may want to ask yourself concerns what types of data you personally feel excited about as a researcher. In the rich field of qualitative research, we hope that researchers will feel inspired to follow their curiosity, interest and own creativity!





 2018 Oct;15(5):366-369. doi: 10.1111/tct.12925. Epub 2018 Jul 23.

How to…choose between different types of data.

Author information

1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Groningen, the Netherlands.
2
Rehabilitation and Care Center Vreugdehof, Amstelring, Amsterdam, the Netherlands.
3
Department of Learning, Informatics, Management and Ethics, Karolinska Institute, Stockholm, Sweden.
4
Irish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Dublin, Ireland.

Abstract

This article, on how to choose the types of data that are most appropriate to your study, is the third in a series that aims to support researchers within clinical education who are new to qualitative research. Although individual or focus group interviews may seem to be the most obvious source of data in qualitative research, we describe some alternative data sources and how they can be of value in answering certain research questions. We provide examples of how research participants may tell you about their experiences through audio diaries, how they may show you what is going on by drawing a picture, and how you can study what actually happens in practice by observing how people interact, move, dress and use space. By doing so, we hope to catch your interest and inspire you to think of all the different possibilities when setting up a qualitative study. In qualitative research, almost everything in the real world can serve as data.

PMID:

 

30033586

 

DOI:

 

10.1111/tct.12925




질적연구: 이론으로부터 시작하기 (Clin Teach, 2018)

How to… get started with theory in education

Jenny Johnston 1 , Deirdre Bennett 2 and Anu Kajamaa 3



도입

INTRODUCTION 


교육 연구를 수행하는 임상의들은 익숙하지 않은 영역에 있을 수 있다. 오래 지속된 믿음은 연구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에 의해 도전받을 수 있다. 여러 분야에 의해 알려진 이 새로운 지적 지형에서, 이론은 크게 나타나고 불쾌해 보일 수도 있고, 심지어 압도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론의 복잡성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어떤 신비성에 도전하고, 그것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론에 정통한 연구가 건강 전문 교육 주제를 어떻게 조명할 수 있는지, 초보자도 쉽게 접할 수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Clinicians who undertake education research may find themselves in unfamiliar territory. Long- held beliefs may be challenged by new ways of thinking and talking about research. In this new intellectual landscape, informed by multiple disciplines, theory looms large and can seem offputting, or even overwhelming. In this paper, we aim to unravel some of the complexity of theory, to challenge any mystique and to make it more accessible. We will show how theory-informed research can shed light o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topics, and can be accessible even to beginners. 


Mouly는 이론을 '편리함 - 꼭 필요한 것 - 여러 가지 사실, 법, 개념, 구성, 원리들로 이루어진 모든 것을 의미 있고 다루기 쉬운 형태로 조직하는 것'이라고 묘사했다. 1 이론은 단순히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침이나 도구로 생각할 수 있다. 학문과 심리학 등 이론을 활용한 연구 분야가 다양하다. 이러한 학문들, 그리고 다른 것들로부터 파생된 이론들은 의학 교육 연구에 사용하기 위해 repurpose될 수 있다. 2 이론들은 세계를 볼 수 있는 렌즈와 같은 것으로, 흐릿한 물체를 명확한 초점으로 가져오고 연구자들이 가까이 또는 멀리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른 렌즈들이 연구자에게 각기 다른 것을 보여 주므로, 연구 질문에 이치에 맞는 이론을 고르는 것이 합리적이다. 연구자는 기존의 이론적 관점(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거나 심지어 이론(귀납적 접근법)을 세우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선택에 대해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할 것이다. 

Mouly described theory as ‘a convenience a necessity really organising a whole slough of assorted facts, laws, concepts, constructs, principles, into a meaningful and manageable form’. 1 Theory can be thought of simply as a guide or a tool that provides an explanation of something, helping us to make sense of the world. There are lots of different fields of research that use theory, such as education and psychology. Theory derived from these disciplines, and others, may be repurposed for us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2 Theories are like lenses through which to see the world, bringing fuzzy objects into clear focus and helping researchers to see up close or into the distance. Different lenses show up different things to the researcher, so it is sensible to pick a theory that makes sense for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er can choose to use an existing theoretical perspective (a deductive approach), or even choose to build a theory (an inductive approach). We will discuss both of these choices in greater detail below. 


이론의 다양한 레벨

DIFFERENT LEVELS OF THEORY 


이론을 대, 중, 하의 세 계층으로 나누면 연구에서의 각 계층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을 만들 수 있다. 3 이 세 계층은 각각 다른 연구 프로젝트와 일치하지만 뭔가 다른 기여를 하는 하나의 연구 프로젝트에 존재할 수 있다. 

Dividing theory into three tiers – grand, mid- range and low level – creates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ole of each in research. 3 All three may be present in one research project, each aligning with the others but contributing something different. 


가장 중요한 것은 그랜드 이론이다. 이것들은 모든 것을 설명하려고 노력하면서, 세상에 대해 광범위하고 중요한 진술을 한다. 4 때때로 그랜드 이론들은 너무 흔해서 거의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학적 방법과 증거에 기초한 의학은 '실증주의'라고 불리는 대이론에서 파생되었다. 실증주의의 주요 전제는 객관적인 연구 증거가 인간을 우리 주변의 세계에 대한 완전한 이해로 이끌 것이라는 것이다. 5 많은 의료 전문가들이 이러한 사고방식을 인식하고 지지하겠지만, 이론으로 인식되는 경우는 적다. 주요 의학 저널을 한 번 보면 전형적인 RCT를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떠한 이론적 관점도 언급하지 않는다. 6 

At the most overarching level are grand theories. These try to explain everything, making broad, overarching statements about the world. 4 Sometimes, grand theories can be so commonplace that they become all but invisible. For example, the scientific method and evidencebased medicine are derived from a grand theory, termed positivism . The main premise of positivism is that objective research evidence will lead humankind to a full understanding of the world around us. 5 Although many health care professionals will recognise and espouse this way of thinking, it is less often recognised as a theory; a glance at any major medical journal will show that the typica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makes no mention of any theoretical perspective. 6 


또한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인간의 관행과 과정을 다른 방식으로 묘사하고 관찰과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다른 그랜드 이론들이 사용된다. 해석주의지식을 쌓는 데 있어 연구자의 역할에 더 중점을 두는 것이며, 개개인이 세상을 다르게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7 해석학은 사회적 세계에서 다양한 세계관과 구성의 공존을 수용하기 때문에 의학 교육 연구 8에서 꽤 일반적인 관점이다., 그리고 현재 여러 저자들은 이것을 연구에 사용한다. 

There are also other grand theories used in social science disciplines, which describe human practices and processes in different ways, and stress the significance of observations and interpretations. Interpretivism is one that focuses more on the role of the researcher in constructing knowledge, and accepts that individuals may each experience the world differently. 7 Interpretivism is quite a common perspectiv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8 because it accommodates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worldviews and constructions of the social world, and is used by the present authors in their work. 


Low-level theory은 스펙트럼의 다른 끝에 있으며, 사물에 대한 우리 자신의 상투적인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일 그랜드 이론이 모든 것을 설명하려고 한다면, low-level 이론은 그 설명력에서 구체적이다. 우리 모두는 일상 생활의 사건들을 설명하기 위해 우리 자신의 비공식적인 작업 이론을 만든다. 아마도, 예를 들어, 당신은 당신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당신이 상담하는 것을 보는 것보다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더 잘 배운다"는 이론을 세울지도 모른다. 일반화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유형의 이론은 연구들에서 정식으로formally 검증, 탐구, 설명될 수 있는 작업 가설을 제공하는 데 정말 유용하다. 

Low- level theory is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and consists of our own mooted explanations of things. If grand theory tries to explain everything, low- level theory is specific in its explanatory power. We all make our own informal working theories to explain the events of everyday life. Perhaps, for example, you might theorise that, in your experience, students learn better from interacting with patients rather than from watching you consult. Although not generalisable, this type of theory is really useful in providing a working hypothesis that can then be tested, explored or explicated formally in research. 


이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설명을 연결하는 것은 중범위 이론으로, 종합적 설명과 경험적 관찰 사이의 차이를 메운다. 3 그들은 사물에 대한 추상적인 설명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연구 데이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중간 범위 이론은 그랜드 이론처럼 넓은 진술을 하려 하지 않고, 특정한 맥락 안에서 심도 있는 설명을 허용한다. 중간 범위 이론은 대개 그랜드 이론과 일치align하며, 같은 근본적인 가정들을 공유하여, 이 둘은 서로 make sense한다. 중간 범위 이론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논문에서 인용되며 의학 교육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으로 유용한 유형의 이론이다. 중간 범위 이론의 예로는 계획된 행동 이론(공공 보건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실증 이론)과 실천 이론 공동체(의학 교육에서 인기 있는 사회적 학습 이론)가 있다.

Connecting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explanation are mid- range theories, which bridge the gap between overarching explanations and empirical observations. 3 They provide abstracted explanations of things, yet explanations that are still grounded in research data. Mid- range theories do not try to make broad statements like grand theories, but they allow for in- depth explanations within particular contexts. A mid- range theory is usually aligned with a grand theory, sharing the same fundamental assumptions, so that they make sense together. There are lots of different mid- range theories, so these are commonly cited in papers and are practically useful types of theory for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er. Examples of mid- range theories are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positivist theory, commonly used in public health research) and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a social learning theory popular in medical education). 9,10 


근거이론

GROUNDED THEORY 


또는 연구자가 직접 이론가가 되는 것이 있는데, 근거 이론을 이용하여 당신 자신의 중간 범위 이론을 구축하는 것이다. 11,12 이것은 실증주의와 해석주의적 연구와는 약간 다른 방법을 제공하여, well-published steps가 있다. 12 이 경우, 당신의 연구는 다른 이론에 의해 지시되지 않는다. 대신에, 그 이론은 자료로부터 만들어진다. 연구자로서, 당신은 여러 차례의 동시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참여한다. 모든 단계에서, 설명은 여러분이 특정한 맥락 안에서 특정한 현상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다른 유사한 맥락(즉, 중간 범위 이론)으로 잠재적으로 이전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점점 더 정교해지고 추상화된다. 그렌드 이론은 의학 교육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13,14 

An alternative option is to become a theorist yourself, building your own mid- range theory using grounded theory . 11,12 This offers well- published steps, with slightly different methods for positivist and interpretivist research. 12 In this case, your research is not directed by any other theory. Instead, the theory is built from the data. As the researcher, you engage in several rounds of concurre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t every step, the explanations become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abstract until you have developed a model that offers an explanation of a particular phenomenon within a particular context, and that is potentially transferrable to other similar contexts (in other words, a mid- range theory). Grounded theory has been successfully used in medical education. 13,14 


이론 선택 및 사용 방법 

HOW TO CHOOSE AND USE A THEORY 


아마도 가장 큰 도전은 당신의 연구를 위한 올바른 종류의 이론을 얻는 것이다. 바쁜 임상의에게 이것은 처음부터 엄청난 장애물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론의 사용에 대한 '규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주요 건강 직업 교육 저널에 대한 약간의 친숙함은 다른 연구자들이 한 일을 해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거기서부터, 그 연구자는 이론으로부터 출발한 연구를 향한 자신만의 길을 개척할 수 있다. 

Perhaps the biggest challenge lies in getting the right sort of theory for your research. For the busy clinician, this may seem like an enormous hurdle to begin with. Yet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rules’ of theory use, along with some familiarity with maj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journals, will go a long way towards elucidating what other researchers have done. From there, the researcher can make his or her own forays into theory- driven research. 


EBM과 마찬가지로, 선택된 이론과 방법이 연구 문제와 함께 잘 작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질문이 가능한 질문들은 무엇보다도 연구자가 지지하는 그랜드 이론에 달려있다. 

  • 실증주의 연구는 그 자체를 측정, 관찰, 그리고 '무엇' 질문에 잘 기여하는 반면, 

  • 해석주의 연구는 맥락, 과정, 그리고 '어떻게' 또는 '왜' 질문의 분석에 의존한다. 15 

As with evidence- based medicine, it is essential that the chosen theory and methods work well together with the research question. The questions that can be asked will depend first of all on which grand theory the researcher espouses: positivist research lends itself well to measuring, observing and ‘what’ questions, whereas interpretivist research lends itself to analysis of context, process and ‘how’ or ‘why’ questions. 15 


(그랜드 이론이) 결국 가장 유용할 이론과 방법들을 지시할 것이다. 

  • 객관적 구조화된 임상시험(OSCE)에서 인지적 성과를 보고 있는가? 그렇다면 아마도 심리학과 통계 분석이 당신의 친구일 것이다. 

  • 당신은 전문적인 문화와 정체성을 연구하고 있는가? 그런 다음 사회문화 학습 이론과 반구조적 인터뷰를 고려해보자. 

This in turn will dictate the sort of theory and methods that might be most useful. 

  • Are you looking at cognitive performance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Then perhaps psychometrics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your friends. 

  • Are you researching professional culture and identity? Then consider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and semi- structured interviews. 


서로 다른 기저 이론들 사이의 결합, 연구 질문, 방법론 그리고 방법은 엄격한 논문을 설계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다. 8 당신의 전공에서 흔히 사용되는 이론의 종류에 대한 개요를 개발하면 이론을 선택하고 적용하는 능력과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그것을 사용했는지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교육연구에 대한 이론적 사용은 실증적 연구에 대한 통계와 비판적 평가를 이해하는 것과 다소 유사하다. 

Congruence between the different underpinning theories, the research question, methodology and methods is an essential part of designing a rigorous piece of work. 8 Developing an overview of the sorts of theory that are commonly used in your fi eld will enhance your ability to choose and apply a theory, and to understand how others have used it. In that sense, theory use for education research is somewhat analogous to understanding statistics and critical appraisal for positivist research. 


일단 당신이 이론과 적절한 연구 질문을 선택했으면, 당신이 선택한 관점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고려하라. 당신은 이론적 개념이 단순히 당신의 분석을 민감하게 하는sensitize '가벼운 접촉light touch' 접근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적 데이터의 경우 귀납적 주제 분석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귀납적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주요 개념 중 일부는 예전에 읽었던 것 중 기억하고 있는 개념일 수 있다. 또는 앞서 확인한 데이터 내의 특정 측면에 대해 코드화하는 프레임워크 분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17 어떤 식으로든, 의도는 특정 렌즈를 사용하여 특정 사물을 보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연구에서 이론을 사용한 다른 방법의 세 가지 예를 제시한다(표 1). 

Once you have chosen a theory and appropriate research question, consider how you would like to use the perspective you have chosen. You may choose a ‘light touch’ approach, where theoretical concepts simply sensitise your analysis. For example, for qualitative data you might use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16 but keep some of the main concepts that you have read about in mind as you do so. Or you might choose a heavily theory-driven approach, using a framework analysis to code for particular aspects within the data that you have identified a priori, for example. 17 Either way, the intention is to use a particular lens to see particular things. We give three examples of different ways in which we have used theory in our own research (Table 1 ). 


언제 자료로부터 나름의 이론을 유도해야 할 것인가? 어느 정도 이것은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지만, 근거 이론은 특히 과정을 보고 사물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 유용하다.12 근거 이론은 이론에 대한 어떤 사전 지식도 가정하지 않기 때문에 초보 연구자가 다소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당신이 사용하고 있는 근거이론의 branch를 고수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세 가지가 있다: 

When might you choose to induce your own theory from data? To an extent, this is a matter of personal choice, but grounded theory is especially useful for looking at processes and for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things. 12 Because grounded theory does not presume any prior knowledge of theory, it may seem somewhat more accessible to the novice researcher. It is essential, however, to stick with the branch of grounded theory that you are using. There are three: 

  • 상대적으로 실증주의적인 것 the original, taking a relatively positivist view; 18 

  • 해석주의적 관점 the third, taking an interpretivist view, 12 and 

  • 그 중간 the second, occupying a middle ground. 19 


널리 발표된 세 가지 각각에 대한 적절한 절차를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근거 이론 방법론과 주제 분석을 구별하는 것이 바로 절차이다. 따라서 근거이론 접근방식은 주의 깊게 수행되어야 하며, 반드시 쉬운 선택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vital to adhere to the proper procedures for each of the three, which are widely published it is these that distinguish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rom thematic analysis. Grounded theory approaches must thus be undertaken with care, and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an easy choice. 


결론

CONCLUSIONS 


결론적으로, 우리는 그 이론이 어떤 수준에서든 우리가 세상을 조금 다르게 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반복한다. 우리는 이론의 의미와 사용을 둘러싸고 있을지도 모르는 두려움과 미스터리의 일부를 제거하려고 노력해 왔다. 건강 전문 교육 연구 질문은 서로 다른 이론 렌즈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빛을 발할 수도 있고, 스스로 이론을 세우는 연구원들에 의해 대답될 수도 있다. 비록 더 많은 경험을 가진 멘토에게 항상 도움이 되지만, 모든 사람이 이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미루지 말라: 읽고 쓰고, 동료들로부터 배우고, 실험한다.

To conclude, we reiterate that theory, at whatever level it is pitched, is simply there to help us to see the world a little differently. We have tried to remove some of the fear and mystery that may surround the meaning and use of theory.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can be illuminated by looking at them through different theoretical lenses, or answered by researchers building theories of their own. Although it is always helpful to fi nd a mentor with more experience, not everyone will have access to this resource. Do not be put off: read; write; learn from peers, and experiment. 


모든 의학 교육 컨퍼런스에서, 당신은 당신이 어떻게 특정한 이론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언하는 열성팬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원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들을 위해 소셜 미디어에는 활발한 이론 커뮤니티가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테오리앱, @이론 학교, 심지어 @노예적 크리스마스도 모두 트위터에서 시도해 보라. 이론에 관여하는 것이 위압적일 필요는 없다. 대신에, 그것은 완전히 새로운 연구 가능성의 세계를 열 수 있다.

At every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you are likely to find enthusiasts happy to advise about how you could use certain theories. For those undertaking postgraduate research, there is also a vibrant theory community on social media: for example, try @socialtheoryapp, @theoryschool and even @averytheoryxmas, all on Twitter. Engaging with theory need not be daunting. Instead, it can open up a whole new world of research possibilities.





 2018 Aug;15(4):294-297. doi: 10.1111/tct.12918.

How to… get started with theory in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Queen's University, Belfast, UK.
2
Medical Education Unit, University College Cork, Cork, Ireland.
3
Faculty of Educational Sciences, University of Helsinki, Helsinki, Finland.






좋은 연구질문을 쓰는 법(Clin Teach, 2018)

How to…write a good research question

Karen Mattick 1 , Jenny Johnston 2 and Anne de la Croix 3,4




도입

INTRODUCTION 


대부분의 임상 교사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그들의 교육 관행을 평가하거나, 직업의 어느 시점에 회의 포스터를 준비할 것이다. 대부분의 임상 교사들은 또한 자신의 실습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출판된 문헌(예: 교수 혁신, 평가 전략 또는 학생 지원 접근법)을 탐구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여러분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지 명확히 생각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작성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임상 선생님들이 좋은 연구 질문을 쓰는 방법에 대한 훈련을 받은 것은 아니며, 이것은 보이는 것만큼 간단하지 않다. 특히 질적 연구를 위한 질문을 쓰는 것은 많은 건강 전문가들에게 새로운 것일지도 모른다. 본 논문은 저자들(대부분적으로 출판한 의학 교육 연구원)이 유용하다고 판단한 몇 가지 요령과 틀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우리는 교육 영역에서 초보 연구자인 임상 교사들을 지원하고, 아마도 더 경험이 많은 연구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리프레셔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Most clinical teachers will undertake a research project, evaluate their education practice or prepare a conference poster at some point in their careers. Most clinical teachers will also explore the published literature on a topic relevant to their practice: for example, a teaching innovation, assessment strategy or student support approach. These activities can be enhanced by writing a research question in order to think clearly about what you are doing and why; however, not all clinical teachers have had training in how to write a good research question, and this is not as straightforward as it may seem. Writing ques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might be new for many health professionals. This article aims to share some tips and frameworks that the authors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who have published quite extensively) have found useful, which we hope will support clinical teachers who are novice researchers in the education sphere, and perhaps provide a helpful refresher for more experienced researchers. 


좋은 연구 질문이란? 

WHAT IS A GOOD RESEARCH QUESTION? 


좋은 질문은 사람들로 하여금 잠시 멈추고 다른 방식으로 사물을 보게 하거나 토론, 인터넷 검색 또는 문학 리뷰를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우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아이가 부모에게 바다가 왜 파랗냐고 물으면, 부모들은 정보에 정통한 대답을 하기 전에 정보 자원과 상의해야 할 수도 있다! 새로운 잠재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관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이는 '문제화'라고 불리는 과정이다), 일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가정이나 실천적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연구 질문을 생성하는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좋은 연구 질문은 분석되고 해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식별하거나 수집하여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퀘스트로 연구자를 보낼 것이다. 

A good question can make people pause and see things in a different way, or can motivate them to learn more through discussion, an internet search or literature review. When a child asks their parents why the sea is blue, the parents may need to consult an information resource before providing a well- informed answer! Thinking critically about everyday taken- for- granted assumptions or practice problems, to enable new potentially transformative viewpoints to be articulated (a process called ‘problematising’), is one of the most useful ways of generating research questions. A good research question will send the researcher on a quest to identify or collect data that can be analysed and interpreted, such that it provides new insights. 


그렇다면 좋은 질문의 특징은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그 문제는 중요한 주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 연구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될 것인지 자문해 보십시오. 이것이 정말 중요한가? 누가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인가? 

So what are the features of a good question? First and foremost, the question should focus on an important topic. Ask yourself what will happen if this research is not done – does it really matter? Who will benefit from it? 


좋은 질문들은 종종 그 발견을 사용하거나 그 결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진다. 다른 사람들이 중요한 질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알고 싶다면, 저널, 기금 기관, 임상 교육 분야의 우선순위 설정 등에서 도출된 우선순위를 보라. 1 때때로 새로운 데이터는 연구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조사의 결과로부터 출발할 수도 있다. 다른 연구 문제들은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것에 대한 이론이나 가설에 의해 추진된다. 연구 질문들이 가까운 교육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상당히 '지역적이고 특정한' 것으로 시작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지만, 그것들은 종종 더 광범위한 관련성을 지닌 질문으로 발전될 수 있다.

Good questions are often co- created with those who may use or benefit from the findings. Look at the priorities identified by journals, funding bodies or priority- setting exercises in the clinical education field to see what others think are important questions. 1 Sometimes new data might prompt a research question: from the findings of a national survey, for example. Other research questions are driven by a theory or hypothesis about what is happening in practice. It is not uncommon for research questions to start out by being quite ‘local and particular’, focused on the immediate educational context, but they can often be developed into questions with broader relevance. 


좋은 연구 질문은 대개 상당히 좁거나 구체적이지만, 종종 그렇게 시작하지 않는다. 당신은 연구에 대한 일반적인 주제나 아이디어(예: 학습 동기)로 시작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구체적인 질문으로 발전한다(예: 의대 졸업생들은 근무 시간 외에 전자 학습 자원과 어떻게 관여하는가?). 초보자들은 종종 매우 광범위한 질문을 던지지만, 이러한 질문들은 짧은 시간 내에 답변될 것 같지 않고 방향과 영향이 부족할 수 있다. 2 

Good research questions are usually quite narrow or specific, but often do not start out that way. You might start with a general theme or idea for research (e.g. motivation for learning), which develops into a more specific question over time (e.g. how do medical school graduates engage with e- learning resources outside their working hours?). Novices often ask very broad questions, but these are unlikely to be answered in a short time frame and can lack direction and impact. 2 


연구 문제를 개발한 후에는 기존의 출판된 문헌을 통해 답변할 수 있는지, 새로운 자료를 반드시 수집해야 하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문제에 명확한 경계가 있을 경우에만 문헌을 검토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우리는 종종 거대한 도약보다는 기존의 지식에 작은 한 걸음 기여하고 있다. 작은 기여가 전혀 변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 그래서 짧고 모호한 질문보다는 길고 구체적인 질문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After developing a research question, you will need to consider whether it can be answered through the existing published literature or whether new data must be collected. Reviewing the literature is only manageable if the question has clear boundaries. In research, we are often contributing a tiny step to the existing knowledge, rather than making huge leaps. Small contributions are better than no changes at all. So a long, specific question is likely to be preferable to a short vague question. 


이러한 점을 설명하기 위해 표 1은 몇 가지 특정 예를 제공하며, 다음 절에서는 몇 가지 주요 고려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To illustrate these points Table 1 provides some specifi c examples, and in the next section we discuss some key considerations. 



고려사항: 관련성, 오리지널리티, 엄격성

CONSIDERATIONS: RELEVANCE, ORIGINALITY AND RIGOUR 


여기서, 우리는 위에서 제기된 요점을 바탕으로 연구 질문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은 특정 순서에 따라 수행되지 않는다. 고려사항은 세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된다(그림 1 ). 이 범주는 연구 질문의 관련성, 독창성 및 엄격성에 대해 광범위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상호 관련성이 있고 부분적으로 영국 연구 우수 프레임워크에서 영감을 받았다. 3 카테고리 중 하나로 시작해서 각 카테고리를 여러 번 다시 방문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당신은 당신의 연구 질문을 약간 또는 완전히 바꿀 수 있다. 많은 반복을 겪더라도 낙담하지 마라. 이 과정에 소비되는 시간은 항상 좋은 투자이다.

Here, we highlight some things to think about as you develop your research question, building on the points raised above. These analyses are not intended to be undertaken in any specific order. The considerations fall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gure 1 ), which can be thought of as broadly concerning the relevance, originality and rigour of the research question, and which are interrelated and partly inspired by the UK Research Excellence Framework. 3 You may start with any one of the categories and revisit each one multiple times. In doing so, you may change your research question slightly or completely. Don ’ t be disheartened if you go through many iterations; time spent on this process is always well invested. 



관련성

Relevance 


당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중요한 사회 문제나 실천적 문제를 파악하고 설명함으로써 시작하라. 다양한 대상들에게 이 연구가 갖는 중요성을 알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설명하도록 시도해보라. 아마도 이를 위해 임상 교육 기관의 다른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작업할 수 있을 것이다(Box 1). 당신의 프로젝트 아이디어에 대해 일반 용어로 이야기하고 열린 마음으로 사람들의 반응을 관찰하라. 그 과정은 당신이 분명하게 그리고 다른 관점에서 생각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Begin by identifying and articulating the important societal or practice problem that you wish to research.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question for different audiences, try articulating the problem in multiple ways, perhaps working with different stakeholders from the clinical education field to do this (Box 1 ). Talk about your project idea in lay terms and observe people ’ s reactions with an open mind. The process will require you to think clearly an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독창성

Originality 


또 다른 중요한 고려사항은 연구 문제가 새로운 통찰력을 창출하고 이전의 연구를 복제하지 않는 독창적인 작업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문헌 검토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문헌검토에는 여러 가지 접근방법이 있는데, 4 이것을 목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정의하고자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또는 부분적 답변)을 제공하는 기존의 연구 조사 또는 관심 주제에 대한 검토 기사를 찾을 수 있다면, 처음 예상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것은 좋은 소식이다. 왜냐하면 당신의 시간이 이미 알려진 것을 의도치 않게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을 확장하고 지식에 기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문제를 확인하고 이미 수행된 연구가 무엇인지 알게 되면, 당신은 당신이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차이를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문제를 명확히 하고, 중요한 지식 격차를 부각시키며, 청중들에게 이 격차가 문제라는 것을 설득하는 것을 제안하는 '문제, 갭, 후크'에 대한 링가드의 논문은 이것에 대해 생각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5

Another key consideration is to ensure that the research question will lead to original work that generates new insights and does not duplicate previous research, which can be deter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re are many different approaches to literature reviewing, 4 so you can tailor this to the purpose. If you can find an existing research study or review article on your topic of interest that answers (or partially answers) the question you are trying to define, then you may not need to do the study you had first envisaged. This is good news, as your time can now be spent extending that work and contributing to knowledge, rather than unintentionally duplicating what is already known. Once you have identified the problem that you wish to research and know what research has already been undertaken, you will be able to articulate the gap in the literature that you wish to address. Lingard’ s paper on ‘Problem, Gap, Hook’, which suggests articulating a current problem, highlighting an important knowledge gap and convincing the audience that this gap is problematic, is a useful way of thinking about this. 5 


엄격성

Rigour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분석의 연구 질문 및 방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엄격함의 핵심 요소다. 연구 질문들은 특정한 유형의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질문들은 예 또는 아니오 대답을 요구하고, 어떤 질문들은 답으로서 숫자나 순위를 요구하고, 어떤 질문들은 단어의 형태로 데이터를 가지고 더 잘 대답할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이 특정한 유형의 질문, 즉 어떤 사람들은 '무엇'을 선호하고, 어떤 사람들은 '왜' 또는 '어떻게'를 선호하며, 이러한 선호들은 그들의 지식과 이전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경험, 관점, 그룹 프로세스 및 개인 개발에 초점을 맞춘 질문은 질적인 연구에 더 잘 맞는 경향이 있다. 6 

Ensuring that the research question and methods of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are aligned is a key element of rigour. Research questions may suggest a particular type of answer. For example, some questions demand a yes or no answer, some require a number or a ranking as an answer, and some may be better answered with data in the form of words . It is worth noting that different people may be drawn to particular types of question: some favour ‘What’, and some favour ‘Why’ or ‘How’, and these preferences are shaped by their knowledge and prior experiences. Generally, questions focusing on experiences, viewpoints, group processes and personal development tend to lend themselves better to qualitative research. 


질문은 또한 연구자들이 선호하는 방법론적 도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그들이 세상을 보는 방식과 연계된다: 7 예를 들어, 그들이 질적 지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양적 지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하는 것이다. 동료 연구원들과 대화하십시오. 그들은 이 질문에서 어떤 종류의 연구 디자인을 예상할 수 있을까? 어떤 이론과 방법론이 이 질문에 답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까? 당신의 연구 프로젝트가 끝날 무렵에도 결론을 도출할 때는 연구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다시 참고하라. 

Questions may also be shaped by researchers’ preferred methodological tools, which are inevitably interlinked with the way that they see the world: 7 for example, whether they have a qualitative or quantitative orientation. Talk to fellow researchers. What kind of study design would they anticipate from this question? What kinds of theories and methodologies might be useful in answering this question? Even towards the end of your research project, when drawing conclusions, refer back to the research question to ensure the coherence of the study. 


연구질문 쓰기 팁

TIPS FOR WRITING YOUR RESEARCH QUESTION 


연구 질문의 초안을 작성할 때, 당신이 하고 있는 것과 당신의 연구 질문의 구성요소에 대해 명확하게 생각하는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유용한 프레임워크가 있다. 독자들은 학습을 평가하는 커크패트릭의 모델과 탐구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교육 결과를 고려하는 Bar et al.에 의해 설명된 확장된 버전에 익숙할 수 있다 8,9 

When drafting your research question, there are some useful frameworks that you can use to help you think clearly about what you are doing and about the components of your research question. Readers might be familiar with Kirkpatrick ’ s model for evaluating learning and the expanded version described by Barr et al., which considers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outcome that may be explored. 8,9 


지금까지 많은 임상 교육 연구는 학습자의 만족도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지식 이득, 행동 변화 또는 환자 결과를 고려한 연구를 설계하는 것은 가능하다. 블룸의 분류법은 교육적 결과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서술자에 대해 생각하는 데 유용하다. 10 독자들은 또한 PICO(환자, 중재자, 대조군/비교, 결과) 프레임워크, 11 SPIDER (샘플, 관심 현상, 설계, 평가, 연구 유형)에 질적인 대안을 제공하는 것에 익숙할 수 있다. 12 SPIDER 프레임워크는 질적인 작업에 대한 질문의 핵심 요소들을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Much clinical education research to date has focused on learner satisfaction, but it is possible to design research that considers knowledge gain, behaviour change or patient outcomes. Bloom ’ s taxonomy is useful for thinking about the descriptors used in relation to educational outcomes. 10 Readers might also be familiar with 

  • the PICO (patient, intervention, control/ comparison, outcome) framework, 11 

  • with SPIDER (sample, phenomenon of interest, design, evaluation, research type) providing a qualitative alternative. 12 

The SPIDER framework can help to spell out the key elements of a question for qualitative work. 


일단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면, 정기적으로 연구 질문을 다시 방문하라revisit. 일부 프로젝트는 연구 중에 진화하고 표류하며, 궁극적으로 연구 질문에 답하지 않는다. 모든 것을 흡수하는 연구 과정 속에서 질문을 놓치기 쉽다. 연구의 다른 요소들은 서로 일정한 재배치를 필요로 하며 에이지 교수는 이것이 연구 연구, 특히 질적 연구의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13 그 과정동안 연구문제를 최우선적으로 기억하라. 

Once you have started your research project, revisit the research question regularly. Some projects evolve and drift during the study, and ultimately do not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It is easy to lose sight of the question in the midst of the all- absorbing research process. Different elements of research need constant realignment with each other and Agee reminds us that this is critical to the shaping of research studies, particularly qualitative studies. 13 Keep the research question foremost in your mind throughout the process. 


결론

CONCLUSION 


좋은 연구 질문은 만드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이 과정에 투자하는 시간은 언제나 가치가 있다.

A good research question takes time to create, but time invested in this process is always worthwhile.









 2018 Apr;15(2):104-108. doi: 10.1111/tct.12776.

How to…write a good research question.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Research in Professional Learning, University of Exeter, Exeter, UK.
2
School of Medicine, Dentistry and Biomedical Sciences, Queen's University Belfast, Belfast, Northern Ireland, UK.
3
LEARN! Academy,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Amsterdam, the Netherlands.
4
VUmc School of Medical Sciences, Amsterdam, the Netherlands.

Abstract

This paper, on writing research questions, is the first in a series that aims to support novice researchers within clinical education, particularly those undertaking their first qualitative study. Put simply, a research question is a question that a research project sets out to answer. Most research questions will lead to a project that aims to generate new insights, but the target audience and the methodology will vary widely. The term 'evaluation question' is used less commonly, but the same principles apply. The key difference is that evaluation questions are typically more focused on the immediate context: for example,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in a particular setting. Whether your ambition is for research or evaluation, we hope that you will find this paper helpful for designing your own educational projects. A research question is a question that a research project sets out to answer.


질적연구의 수준 올리기(Clin Teach, 2018)

Taking qualitative research to the next level

Esther Helmich  Karen Mattick




일부 임상의들은 질적 연구를 비과학적이고, 일화적이며, 직설적이고, 쉽거나, 적어도 실질적인 가치가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2 우리는 '왜'와 '어떻게'의 질문에 답하는 것이 건강 직업 교육의 영역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타이와 아자위는 2016년 질적 연구에 관한 임상 교사 도구상자 기사에서 특히 질적 연구가 교육 현상에 대한 미묘한 이해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복잡한 사회 및 체계적 상호작용, 그리고 실제 임상 환경에서 교사와 수련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또는 사회문화적 힘을 탐구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3 

Although some clinicians may still think of qualitative research as unscientific and anecdotal, straightforward and easy,1 or at least as lacking practical value,2 we contend that answering questions of ‘why’ and ‘how’ has much to offer to the domain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 their 2016 The Clinical Teacher's Toolbox article on qualitative research, Tai and Ajjawi argued that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can be helpful for arriving at a nuance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a. It can achieve this by exploring complex social and systemic interactions, and contextual or sociocultural forces that influenc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trainees in the real‐world clinical environment.3 


이 시리즈에 나올 논문들은 유럽 질적 조사 및 연수 및 교육 분야의 우수 연구 센터(EXQUISITE)의 회원들이 작성하게 되는데, 이들은 서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온 질적 연구와 다양한 배경과 전문지식을 가진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하나의 공통된 미션을 가지고 있다. 질적연구를 다음 단계로 나아가게 하는 것.

Those papers will be written by members of the European Center of Excellence in Qualitative Inquiry and Study In Training and Education (EXQUISITE), which is a group of researchers with interests in qualitative research and different backgrounds and expertise, from different countries in north‐west Europe, but with one single mission: taking qualitative research to the next level.


3Tai J, Ajjawi R. Undertaking and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lin Teach 2016; 13( 3): 175– 182.


4Varpio L, Artino AR Jr. Answering the Mail: Replying to Common Questions About Qualitative Inquiry. J Grad Med Educ 2015; 7( 4): 667– 668. XXX


5Varpio L, Paradis E, Watling C. Introducing a qualitative space. Perspect Med Educ 2017; 6( 2): 63– 64. XXX







 2018 Apr;15(2):91-92. doi: 10.1111/tct.12777.

Taking qualitative research to the next level.

Author information

1
Center for Education Development and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University of Groningen, University Medical Center Groningen, the Netherlands.
2
Centre for Research in Professional Learning, University of Exeter, Exeter, UK.







학생과 교수의 근거기반의 학습전략에 대한 인식과 사용(Med Teach, 2019)

Awareness and usage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nd faculty

Felipe Pizaa,b , Jennifer Cohn Kesselheimb,c, Juliette Perzhinskyd, Joanna Drowose, Roni Gillisf, Khen Moscovicif, Theodora E. Danciug, Agnieszka Kosowskah and Holly Goodingb,i





도입

Introduction


효과적인 학습 기법에 관한 상당한 증거가 존재하지만(Ambrose et al. 2010; Gooding et al. 2017), 학생들은 비효과적인 학습 습관에 계속 의존한다(Brown et al. 2014). 수십 년 동안 인지 및 교육 심리학 분야에서 연구한 결과, 학습이 고달플 때 더 깊고 오래 지속된다는 것이 밝혀졌다(Dunlosky et al. 2013). 

While a significant body of evidence exists regarding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Ambrose et al. 2010; Gooding et al. 2017), students continue to rely on ineffective study habits (Brown et al. 2014). Decades of research in the fields of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have found that learning is deeper and longer lasting when it is arduous (Dunlosky et al. 2013). 

  • 상연습(기억에서 사실을 불러오기), 

  • 간격두기(주기적 실행), 

  • 생성하기(해결법을 교육받기 전에 문제를 만들고 해결) 및 

  • 터리빙(공부하면서 여러 과목이나 주제를 섞는 것)

...은 각각 증거 기반 학습 전략으로서, 지식의 강하고 내구성이 높은 보유로 이어진다(Dunlosky et al. 2).013). 그러나 반복읽기, 강조표시 및 매스작업(크램밍)은 학부생들 사이에서 선호하는 학습전략이 되는 경우가 많다(Amlund et al. 1986).

  • Retrieval practice (recalling facts from memory), 

  • spacing (periodic practice), 

  • generation (creating and solving problems before being taught the solution), and 

  • interleaving (mixing multiple subjects or topics while studying) 

...are each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that lead to stronger and more durable retention of knowledge (Dunlosky et al. 2013). However, rereading, highlighting and massed practice (cramming) are often the preferred study strategie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mlund et al. 1986).


이러한 인지과학 기반 학습 습관이 광범위한 학습자에게 가장 잘 작용한다는 강력한 증거에도 불구하고(Dunlosky et al. 2013), 많은 사람들은 개인이 시각, 글, 청각 또는 운동 감각과 같은 뚜렷한 학습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고 계속 믿고 있다. 교수진이 학생들의 뚜렷한 학습 스타일에 맞춰야 한다는 생각은 교육 분야에서 더욱 집요한 신화 중 하나인데, 이는 교육 방식이 학생들이 선호하는 스타일과 일치할 때 더 잘 배운다는 과학적 증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Riener and Willingham 2010).

Despite strong evidence that these cognitive sciencebased study habits work best for a broad range of learners (Dunlosky et al. 2013), many people also continue to believe that individuals have distinct learning styles such as visual, written, auditory or kinesthetic. The idea that faculty should match their teaching to students’ distinct learning styles is one of the more persistent myths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there is little scientific evidence that students learn better when the manner of instruction matches their preferred style (Riener and Willingham 2010).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자신의 학습에 대한 능동적인 모니터링을 수반하는 고차원적 의식 과정을 말한다(Flavell 1979). 메타인지는 학생들이 사용중인 학습 전략의 효과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높은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Hartman 2001; Okoza et al. 2013; Jones and Idol2013). 이와는 대조적으로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대한 인식 부족은 고등학교(Maqsud 1997)와 대학생들(Hartwig와 Dunlosky 2012)의 학업성취도 저하와 관련이 있다. 증거 기반 학습 전략의 이해와 사용은 건강 직업 학생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학생들이 독립적인 practice으로 전환되면 스스로 조절regulate하는 평생 학습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이다(Cutreet al. 2017). 

Metacognition refers to a process of a higher-order consciousness that involves active monitoring of one’s own learning (Flavell 1979). Metacognition enables students to reflect up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strategies they use and is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Hartman 2001; Okoza et al. 2013; Jones and Idol2013). In contrast, a lack of awareness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is associated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among both high school (Maqsud 1997) and college students (Hartwig and Dunlosky 2012). Understanding awareness and use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re especially important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s they will need to engage in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once they transition to independent practice (Cutreret al. 2017).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대한 인식을 평가한 대부분의 발표된 연구는 모든 학습 기술, 지식 및 학습 조절를 포괄하는 Metacognition Awareness Inventory를 사용해 왔다. 

Most of the published studies that have assessed awareness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have used the Metacognition Awareness Inventory, which encompasses all learning skills, knowledge and regulation of learning. 


Methods


Study design


Ethical approvals


Instrument


우리는 인지 심리학자들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학생들 사이의 증거 기반 연구 전략의 준수를 평가하였다(Kornell andBjork 2007; McCabe 2011; Hartwig and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 하버드 의대 의대생 10명과 교직원 10명을 대상으로 도구의 명확성, 흐름, 완료 시간 등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범 실시하였다. 우리는 우리 인구에 대한 사례 시나리오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 의학 용어를 포함시키기 위해 사소한 언어 조정을 했다. 최종 평가 도구는 보충 부록 3(학생)과 보충 부록 4(교수)에 포함되어 있다. 설문 조사의 마지막에, 참가자들은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관한 유튜브 비디오를 보는 초대를 받았다. 설문 데이터는 Qualtrics Copyright (Provo, UT, USA, 2017)의 # 버전인 Qualtric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We us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ognitive psychologists to assess adherence to evidence-based study strategies among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Kornell andBjork 2007; McCabe 2011; Hartwig and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 We conducted pilot testing of the survey among 10 medical students and 10 faculty at Harvard Medical School to assess the instrument’s clarity,flow, and time for completion. We made minor language adjustments to include medical terminology to improve authenticity of case scenarios for our population. The final survey instruments are included in Supplementary Appendix 3 (students) and Supplementary Appendix 4 (faculty). At the end of the survey, participants received an invitation to view a YouTube video on effective study strategies. Survey data was collected using Qualtrics software,# Version [01/2018] of Qualtrics Copyright (Provo, UT,USA, 2017). 



Study population


Statistical analysis


근거 기반 학습 전략의 인식은 학습 스타일에 대한 한 가지 질문과 아래에 설명된 네 가지 사례 시나리오에 대한 가상의 응답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우리는 표준 편차와 함께 비율과 수단을 이용한 서술적 통계를 제시한다.

Awareness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was measured using one question about learning styles and hypothetical responses to four case scenarios, described below. We present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proportions and means with standard deviations.


설문지에는 생성, 검색, 인터리빙 및 간격과 같은 근거 기반 학습 전략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을 평가하기 위한 4가지 사례 시나리오가 포함되었다(보조 부록 3 및 4). 참가자들은 각 사례 시나리오에 대해 1점의 비효과적인 것부터 7점의 효과적인 것까지 7 포인트 리커트 척도로 두 가지 가능한 연구 옵션을 평가했다. 각 시나리오에 대한 증거 기반 및 비증명 기반 반응에 주어진 평균 등급을 코헨의 d와 비교하기 위해 t-테스트를 사용했다. 그런 다음 각 사례 시나리오에 대해, 근거 기반 옵션이 비증거 기반 옵션보다 더 높은 등급이 부여된 경우 참가자의 반응을 0으로, 비증거 기반 옵션이 증거 기반 옵션보다 더 높은 등급이 부여된 경우 1로 코드화했다. 그런 다음, 우리는 키 제곱 테스트를 사용하여 증거 기반 옵션에 더 높은 점수를 주는 학생과 교직원의 비율을 정확하게 비교했다.

The questionnaire included 4 case scenarios to assess participants’ awareness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generation, retrieval, interleaving and spacing (Supplementary Appendices 3 and 4). Participants rated two possible study options for each case scenario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¼very ineffective to 7¼very effective. We used t-tests to compare the mean rating given to the evidence-based and non-evidence based responses for each scenario and report effect sizes with Cohen’s d. For each case scenario, we then coded participants’ responses as 0 if the evidence-based option was given a higher rating than the non-evidence-based option and 1 if the non-evidence-based option was given a higher rating than the evidence-based option. We then compared the proportion of students and faculty correctly giving a higher rating to the evidence-based option using a chi squared test.


결과

Results


참가자 특징

Participant characteristics


그림 1과 같이 전체 조사 응답률은 205/학생(679/2636, 26%)이 교수 1042, 20%보다 높았다.

As shown in Figure 1, the overall survey response rate was higher among (205/ students (679/2636, 26%) than faculty 1042, 20%).


학생 및 교직원 참가자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and faculty participants are shown in Table 1.





증거 기반 학습 기법에 대한 학생 및 교직원 인식

Student and faculty awareness of evidence-based study techniques


학생들은 증거 기반 연구 기법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지 않는다(표 2).

Students infrequently reported using evidence-based study techniques (Table 2).


대부분의 학생(558/679, 82%)이 자신의 학습 습관이 선생님에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보고했지만(표 2) 대다수의 교직원들은 수업시간에 학습 기법을 논의하거나(125/205, 52%)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권고했다고 말했다(125/157, 80%)

Although most students (558/679, 82%) reported their study habits were not influenced by their teachers (Table 2), the majority of faculty said they discussed study techniques in class (106/205, 52%) or recommended effective study strategies for their students (125/157, 80%).


마지막으로, 교수진의 142/156명(91%)은 학생들이 서로 다른 학습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을 지지했고, 112/141명(79%)은 이러한 차이점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이 가르치는 것을 보고하였다(표 3).

Finally, 142/156 (91%) of faculty endorsed the belief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112/141 (79%) reported they teach to accommodate those differences (Table 3).


표 2와 3에서 보듯이, 학생들이 교사들의 학습 조언을 따랐다고 보고한 비율, 이전 자료로 돌아온 비율(공부할 때, 학생이 있을 때 또는 교수할 때, 교수할 때), 그리고 학습 스타일을 믿었던 비율과 관련하여 학생과 교직원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다. 

As shown in Tables 2 and 3,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regarding 

    • following the proportion who reported students followed teachers’ study advice, 

    • the proportion who returned to earlier material (either when studying, if a student or when teaching, if faculty), and 

    • who believed in learning styles

이러한 차이는 교수진이 보고하는 것과 학생들이 하는 것과 각 그룹이 학습 스타일에 대해 인식하는 것 사이의 불일치를 나타낸다.

These differences depict a mismatch between what faculty are reporting and what students are doing and what each group perceives regarding learning styles.





증거 및 비증거 기반 사례 시나리오의 학생 및 교수들의 평가

Student and faculty ratings of evidence and non-evidence based case scenarios


교수진과 학생 모두 평균적으로 그러한 사례 시나리오의 경우 비증거 기반 옵션보다 생성, 검색 관행 및 간격의 증거 기반 옵션을 더 높게 평가했다(표 4). 그러나 인터리빙 시나리오의 경우 교직원 및 학생 모두 증거 기반 시나리오 옵션을 비증거 기반 옵션보다 낮게 평가했다.

Both faculty and students on average ranked the evidence-based options of generation, retrieval practice, and spacing higher than the non-evidence-based option for those case scenarios (Table 4). However, for the interleaving scenario, both faculty and students ranked the evidence-based scenario option lower than the non-evidence-based option.


대부분의 교직원과 학생들은 교직원과 교직원의 통계적 차이(v2 1⁄4 0.19, V 1⁄4 0.01) 없이 인터리빙 시나리오에서 비증명 기반 옵션에 더 높은 등급을 잘못 할당하였다.

The majority of both faculty and students incorrectly assigned a higher rating to the non-evidence-based option in the interleaving scenario,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v2 ¼ 0.19, V ¼ 0.01) (Table 5).





고찰

Discussion


전반적으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동일한 조사(Kornell and Bjork 2007; Hartwig 및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를 사용하여 이전에 다른 학부에서의 교육에 나타난 패턴을 따르고 있으며,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차이점도 있다. 비록 우리 표본의 43%의 학생들이 여전히 시험을 위해 벼락치기를 하고 있다고 보고했지만, 건강 직업 학생들은 타 전공의 대학 모집단에 비해 spacing 기술을 더 많이 사용하고 벼락치기의 사용은 더 낮다고 보고했다. 이것은 우리의 연구가 직접적으로 이것을 탐구하지는 않았지만, 건강관리 학생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공부하고 있는 정보를 유지하려는 의욕이 더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대학생들에 비해 건강 직업 학생들 사이에서) 도표, 그림, 차트를 만드는 것은 더 인기가 있는 반면, 플래쉬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덜 인기가 있다.

Overall our findings follow patterns previously shown in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using the same survey (Kornell and Bjork 2007; Hartwig and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 with a few notable difference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reported greater use of the spacing technique and lower use of cramming compared to the college populations, although 43% of students in our sample still reported cramming for tests. This may be because healthcare students are more motivated to retain the information they are studying over time, although our study did not explore this directly. Making diagrams, pictures or charts is more popular, while using flashcards is less popular,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대학생들이 인지과학 조사의 원천인 경우가 많은 반면, 건강 직업 학생들은 이 영역에서 덜 연구되어 왔다. 학부 모집단을 위해 개발된 조사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증거 기반 학습 기법의 인식과 사용이 전문 학교에의 진출과 함께 자연스럽게 개선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것은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갖도록 교사들에게 공식적인 훈련을 요구]하기 보다는 [교사들을 콘텐츠 전문가로 보는 교육 시스템]의 더 큰 문제를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교수진들은 학생들에 비해 증거 기반 교육 기법을 더 잘 사용한다고 보고한 반면, 그들은 계속해서 스스로 배우는 방식에 있어 spacing을 덜 활용하고, 반복읽기, 밑줄 긋기, 강조하기 등을 사용하며, 이는 증거 기반 교수에 대한 훈련이 부족하다는 점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조사에 참여한 교직원의 절반 가량이 수업 시간에 학습 기법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고 보고했지만, (학부생들의 설문조사에서와 비슷하게) 대다수의 학생들은 학습 방법에 관한 교직원의 지시에 따랐다고 보고하지 않았다.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서 교수진의 전문지식이 부족한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은 불합리하지 않을 수 있다.

While college students are often the source population in cognitive science investigation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have been less frequently studied in this domain. By using a survey developed for undergraduate populations, we are able to demonstrate that awareness and use of evidence-based learning techniques do not naturally improve with advancement to professional school. This may signal a larger problem of an educational system that views teachers as content experts, rather than requiring teachers to have formal training in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While the faculty in our study reported better use of evidence-based educational techniques compared to the students, they continued to underutilize spacing in their own teaching and to endorse rereading, underlining, and highlighting, likely reflecting their lack of training in evidence-based teaching. While about half of the faculty in our survey reported discussing study techniques in clas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did not report following faculty instruction regarding how to study, a similar pattern as seen in the surveys of undergraduate populations. This may not be unreasonable given the lack of faculty expertise in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마지막으로, 우리는 대학 교수진과 유사한 건강 직업 교수진에서 학습 스타일 이론에 대한 주목할 만한 지지를 발견했다(Morehead et al. 2016). 이러한 이론들은 1970년대에 널리 보급되었고, 종종 학생들이 선호하는 시각, 청각 또는 운동 기술과 같은 콘텐츠 표현 방식에 대한 교육을 주장했는데, 우리 조사와 대학 조사의 교수들도 이를 지지했다. 이것은 이 분야에서 교수개발에 대한 큰 필요성을 제시한다.

Finally, we found a notable endorsement of learning styles theory in health professions faculty, which is similar to college faculty (Morehead et al. 2016). These theories became popular and widespread in the 1970s and often advocated teaching to students’ preferred mode of content presentation such as visual, auditory or kinesthetic, which the faculty in our survey and the college surveys also endorsed. This presents a major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in this area.


듀얼코딩이론은, 학습 스타일 이론보다 근거에 기반을 둔, 교육자를 위한 옵션이다(Sadoski 및 Pivio 2012). 이 이론에 따르면, 언어와 비언어적 내용은 각 채널의 정보에 대한 뚜렷한 표현을 만들어 내는 서로 다른 신경학적 경로를 사용하여 처리된다. 시각적 및 청각적 방법으로 정보를 제시하면 피질 영역에서 정보를 장기간 보존하고 코딩 및 통합할 수 있어 학생들이 단어 또는 이미지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Bruny e et al. 2008). 그런 다음, 교수진은 이중 코딩을 간격, 시험, 인터리빙을 포함한 다른 증거 기반 전략과 결합하여 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

Dual-coding theory is an option for reframing learning styles theories within a more evidencebased approach for educators (Sadoski and Paivio 2012). According to this theory, verbal and non-verbal contents are processed using different neurological pathways creating distinct representations for information in each channel. Presenting information in both visual and auditory ways enables coding and consolidation of information to long-term retention in cortex areas, permitting students to retrieve the information either from words or images individually or both simultaneously (Bruny e et al. 2008). Faculty can then combine dual-coding with other evidence-based strategies including spacing, testing, and interleaving to enhance learning.


학생 개개인의 선호와는 반대로, kinesthetic teaching은 교육내용(즉, 절차)에 적절하게 매칭될 수 있다. 

Kinesthetic teaching can be appropriately matched to the content to be taught (i.e.procedures) as opposed to individual student preferences. 


학생들의 결과를 교수 결과와 비교하는 것은 두 가지 목적에 도움이 된다. 첫째, 교수진은 자신이 모르는 것을 성공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Dhaliwal 2013). 교수들이 갖고 있는 교육기술의 맹점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추가적인 훈련을 추구할 수 있다. 둘째로, 교수진과 학습자 관점 모두에서 잘못된 인식을 확인하면 효과적인 해결책을 만들기 위해 지식 격차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Comparing student results with faculty results serves two purposes. First, faculty cannot successfully teach what they do not know themselves (Dhaliwal 2013). Identifying blind spots in teaching skills allows faculty to pursue additional training in this arena. Second, identifying misconceptions from both the faculty and learner perspectives paints a more accurate picture of the extent of the know-ledge gap in order to create effective solutions. 


이 연구는 인지과학의 이러한 핵심 교육 개념을 다루는 교직원 및 학생들을 위한 공식적인 커리큘럼의 개발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to develop formal curricula for faculty teachers and students addressing these key educational concepts from the cognitive sciences. 


잠재적 및 실제적 영향

Potential and practical impact


우리는 증거 기반 학습 기법에 관한 높은 수준의 오해로 인해 메타인지 (인식)의 함양이 학생과 교직원 개발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메타인지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가 존재하며, 이는 인지와 다르고, 이것이 학업성취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학습자들 사이에서 인식하게 하는 것에서 시작된다(Maqsud 1997; Hartman 2001, 2013; Hong et al. 2015). 교육 과정을 계획하는 동안,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내용 외에 더 높은 수준의 사고 절차를 배우고 촉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런 다음, 교수진은 학생들이 인지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 전문지식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Hartman 2001, 2013).

We posit that fostering metacognitive awareness will be a key component in student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due to high levels of misconception regarding evidence-based learning techniques. Promoting metacognition begins with building awareness among learners that metacognition exists, differs from cognition, and increases academic success (Maqsud 1997; Hartman 2001, 2013; Hong et al. 2015). While planning a curriculum,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should focus on teaching students how to learn and facilitating higher-order thinking procedures in addition to content. Faculty can then foster the development of medical expertise by enabling their students to develop metacognitive capabilities (Hartman 2001, 2013).


예를 들어, 펜 주 의과대학은 학생들 사이에서 메타인지를 장려하는 동시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배우기 위한 학습 전략을 제공하는 인지 능력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https://students.med.psu.edu/academics/cognitive-skills-program).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for example, developed a cognitive skills program that promotes metacognition among their students while equipping them with study strategies to lear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https://students.med.psu.edu/academics/cognitive-skills-program).


효과적인 교육에 기여하는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의료전문직 교육에서 다양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방법의 활용]과 [메타인지 원칙을 실용적인 프레임워크와 통합하는 것]이다(Steinert et al. 2016).

Among the key features that contribute to effective teaching are the integration of metacognition principles with practical frameworks and use of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to achieve diverse goals in health profession education (Steinert et al. 2016).


의료 전문가로서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들의 관리와 안전을 개선하는 것이다. 메타인지 기술은 비판적 사고와 환자 문제 해결(Medina et al. 2017), 자기조절 평생 학습(Cutrer et al. 2017)에 중요하므로 이 과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Zang 2002; Medina et al. 2017). 메타인지적 마인드를 갖는 것은 비판적 사고 인식을 높이고 보다 정확한 자기 평가를 촉진함으로써 의료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Medina et al. 2017).

Our ultimate goal as healthcare professionals is to improve care and safety for our patients. Metacognition may help this task as metacognitive skills are important for critical thinking and patient problem solving (Medina et al. 2017), as well as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Cutrer et al. 2017), have argued that medical errors are partially a cognitive issue (Zhang 2002; Medina et al. 2017). Being metacognitively mindful can minimize medical errors by increasing critical thinking awareness and promoting more accurate self-assessment (Medina et al. 2017).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지금껏 과학이 효과적인 교육과 학습에 대해 밝힌 것]과 [우리의 보건전문직 학생들과 교수들이 보고하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There is a wide gap between what science has learned abou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nd what ou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nd faculty participants report doing.


우리의 연구결과는 교수진과 학생들이 교육과 학습에 대한 그들의 가정을 재검토하고 바람직한 어려움을 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건강전문 커리큘럼에서 인지과학을 활용해 의학 교육을 새로운 시대로 끌어올려야 할 때다.

Our findings present an opportunity for health professions faculty and students to reexamine their assum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nd embrace desirable difficulties. It is time to bring medical education to a new era by using cognitive science in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 메타인지: 자신의 인지 과정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다. 학습에 관해서, 메타인지란 자신이 배운 것과 배우지 않은 것에 대해서 개개인이 얼마나 인식하는가로 해석될 수 있다. 자기 조절과 학습 지도에 있어 학습자에게 인식은 필수적이다(Seel 2012a).

  • 증거 기반 학습: 학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경험적으로 입증된 접근법, 프로세스 및 전략의 종류를 설명한다(Seel 2012b).


  • Metacognition: Is an individual’s awareness of his or her own cognitive processes. With respect to learning,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vidual’s awareness of what they have and have not learned. Metacognition is essential for learners in order to self-regulate and guide learning (Seel 2012a).

  • Evidence-based learning: Describes a class of approaches, processes, and strategies that have been empirically demonstrated to produce learning outcomes (Seel 2012b).













 2019 Aug 13:1-8. doi: 10.1080/0142159X.2019.1645950. [Epub ahead of print]

Awareness and usage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nd faculty.

Author information

1
a Critical Care Department, Hospital Israelita Albert Einstein , São Paulo , Brazil.
2
b Harvard Medical School, Harvard University , Boston , MA , USA.
3
c Dana-Farber/Boston Children's Cancer and Blood Disorders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Harvard University , Boston , MA , USA.
4
d College of Medicine, Central Michigan University , Mount Pleasant , MI , USA.
5
e Charles E. Schmidt College of Medicine, Florida Atlantic University , Boca Raton , FL , USA.
6
f Moshe Prywes Center for Medical Education and Goldman School of Medicine, Faculty of Health Sciences,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 Israel.
7
g School of Dentistry,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 MI , USA.
8
h School of Medicine in Katowice, Medical University of Silesia , Katowice , Poland.
9
i Division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Medicine, Boston Children's Hospital , Boston , MA , USA.

Abstract

Introduction: Learning is essential and life-long for faculty and students. Often students and teachers use in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are not aware of evidence-based strategiesMethods: A multicenter, international, cross-sectional, online survey-based assessment of awareness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n = 679) and faculty (n = 205). Results: Students endorsed many study habits which violate evidence-based principles, including studying whatever is due soonest (389/679, 57%), failing to return to course material once a course has ended (465/679, 68%), and re-reading underlined or highlighted notes (298.679, 44%). While the majority of faculty surveyed (125/157, 80%) reported recommending effective study strategies for their students, most students (558/679, 82%) said they did not study the way they do because of instruction from faculty. The majority of faculty (142/156, 91%) and students (347/661, 53%) believe students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ontinue to use many ineffective study strategies, and both students and faculty hold misconceptions about evidence-based learning. While planning a curriculum, medical educators should focus on teaching students how to learn and use higher order thinking procedures in addition to teaching content.

PMID:
 
31407930
 
DOI:
 
10.1080/0142159X.2019.1645950


위험한 사업: 심리적 안전과 의학 학습의 위험(J Grad Med Educ, 2016)

Risky Business: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Risks of Learning Medicine

William E. Bynum, MD

Taha M. Haque, DO






일요일 밤이고, A의사는 1년차 레지던트로서 두려움에 떨며 다가오는 한 주를 병동에서 보내고 있다. 그는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해야 할 것이다. 그는 동료들과 감독관들, 그리고 다른 부서와 현재의 직원들 앞에 서서 그가 모은 것을 고도로 방법론적 방식으로 할 것이다. 그는 그의 지식을 조사하고 지식 격차를 확인하기 위해 질문을 받을 것이다. 그는 실수를 할 수도 있고, 중요한 정보를 놓칠 수도 있고, 질문에 잘못 대답할 수도 있다. 그는 자신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게 될 것이며, 이런 가운데서도 자신의 자기 가치와 직업적 정체성에 대해 반성하게 될 것이다. Edmondson1이 학습 행동이라고 칭한 이러한 모든 사건들은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성장, 지식의 획득, 회복력의 발달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It is Sunday night, and Dr A is a first-year resident contemplating, with a twinge of dread, his upcoming week on the wards. He will be required to accurately gather information about his patients. He will stand up in front of his peers, supervisors, and staff from other departments and present, in a highly methodological fashion, what he has gathered. He will be asked questions to probe his knowledge and identify knowledge gaps. He may make mistakes, miss vital information, and incorrectly answer questions. He will receive feedback about his performance, and, in the midst of all these things, he will reflect on his self-worth and professional identity. All of these occurrences, which Edmondson1 has termed learning behaviors,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development of resilience.


그러나, 의사A는 또한 그가 끊임없는 평가의 '현미경 아래' 있는 것처럼 느끼고, 그가 비틀거리거나 실패할 경우 판단, 보복, 굴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낀다. 임상 학습 환경에 존재하는 모호성과 불확실성은 그의 학습 경험과 관련된 위험을 증가시킨다. 지속적인 평가에 동반하여, 본질적으로 학습 가치가 있지는 않지만, 매우 강력한 일련의 내면적 위험에 취약하다. 여기에는 무능하거나, 가치가 없거나, 부족하다고 느끼는 위험, 팀 내의 소외감과 손상된 소속감을 경험하는 것, 신뢰할 수 있는 조언자들로부터 수치심을 받는 것, 학문적 투쟁에 직면했을 때 remediate해야 하는 것, 의료 오류에 따른 비난이나 법적 책임이 포함된다. 

However, Dr A also feels like he is ‘‘under a microscope’’ of constant evaluation and fears that engaging in these normal learning behaviors might lead to judgment, reprisal, and humiliation should he stumble or fail. The ambiguity and uncertainty that exist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crease the risk associated with his learning experience. Coupled with the presence of constant evaluation, he is susceptible to a set of intrapersonal risks that do not possess inherent learning value but are exceptionally powerful. These include the risks of feeling incompetent, unworthy, or deficient; experiencing marginalization and impaired belonging within a team; being humiliated by trusted advisors; having to remediate in the face of academic struggle; and being blamed or held legally responsible following a medical error. 


의사A의 인턴이 진행되며, 이러한 '마이크로' 위험이 누적됨에 따라, '메타' 위험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는 탈진, 우울, 사회적 철수, 공감 부족, 그리고 의학을 완전히 끊을 준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포함된다.

As Dr A’s intern year progresses and these ‘‘micro’’ risks accumulate, ‘‘meta’’ risks may emerge, including the potential to feel burned out, depressed, socially withdrawn, less empathetic, and ready to quit medicine altogether.


심리적 안전의 구인은 학습자가 작업 환경에 대해서 ["내재된 내적 위험"을 동반하는 행동을 얼마나 할 만 한가]에 대해 인식하는 정도이다.2 의학교육 분야에서, 심리적인 안전은 학습 환경이 어떻게 학습자들이 [의학을 배우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하는 위험]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지를 설명한다.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deals with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such as Dr A perceive their work environment as conducive to engaging in behaviors that have inherent intrapersonal risk.2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psychological safety describes how a learning environment mitigates or exacerbates the risks learners must take to learn medicine. 


만약 그의 환경이 심리적으로 안전하다면, A박사는 목소리를 높여 도움을 요청하고, 그의 성격을 드러내고, 다소 불편하더라도, 필요한 학습 행동에 완전히 관여하는 것을 안정감을 느낄 것이다. 그의 환경이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다면 그 반대일 것이다.

If his learning environment is psychologically safe, Dr A will feel secure speaking up, asking for help, revealing his personality, and fully engaging with uncomfortable but necessary learning behaviors. The converse will be true if his environment is psychologically unsafe.


학습 환경 자체가 학습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안전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내면적 위험intrapersonal risk은 심리적 안전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 그리고 위험의 수준과 심리적 안전에 따르는 결과의 성질은 학습 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환경의 핵심 요소는 교수진과 동료들이 질문에 대한 답을 모르거나 실수를 하는 것과 같은 [정상적인 학습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하는 것이다. 

An important next step will be to determine how the learning environment itself affects the psychological safety that medical learners experience. Intrapersonal risk is closely linked with psychological safety,1 and the level of the risk and nature of its outcomes may be heavily influenced by the learning environment. A key component of this environment is how faculty and colleagues respond to normal learning behaviors, such as making a mistake or not knowing the answer to a question. 


타인의 반응의 특성은 학습의 내재적 위험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지만, 배움하고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위험을 야기할 수도 있는데, 여기에는 학습자에 대한 학대, 굴욕, 가혹한 처벌, 부당한 교정의 가능성도 포함된다.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전은 의학을 학습하는데 수반되는 baseline risk가 이러한 외부적, 불필요한 risk에 의해서 악화될 때 나타난다. 실제로 학습자가 학대를 당하거나, 오류에 대한 징벌적 대응, 팀 내 조롱, 계층적 억압이 의료 학습 환경에서 일어날 때, 이는 이미 'risky endeavor'인 의학의 배움을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상황으로 변화시킨다.

The nature of their responses may mitigate or exacerbate the inherent risks of learning, but may also give rise to risks that are not inherent to learning, which include the possibility that learners will be mistreated, humiliated, harshly punished, unfairly remediated, or unjustly marginalized. Low levels of psychological safety are likely to be found in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the baseline risk of learning medicine is exacerbated by such extrinsic, unnecessary risks. Indeed, when learner mistreatment, punitive responses to error, derision within teams, and hierarchical oppression occur in a medical learning environment, this transforms what is already a risky endeavor (ie, learning medicine) into a psychologically unsafe situation.


Edmondson에 따르면, 어떤 환경에서든 학습자는 자연적으로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위해의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하며, 종종 자기 이미지에 대한 영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회피 행동을 선택한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끊임없는 평가, 큰 힘의 차이, 그리고 만연한 계층구조로 특징지어지는 환경에서 주로 만연한다고 주장한다.1 이 모든 것이 임상 학습 환경에 널려 있다. 

According to Edmondson,1 learners in any environment naturally seek to minimize the risk of harm to their self-image, and often adopt avoidance behaviors in situations where effects on self-image are uncertain. This tendency, she argues, is especially prevalent in environments marked by constant evaluation, large power differentials, and pervasive hierarchies,1 all of which abound in many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예를 들어, 전형적인 회피 행위인, 불리한adverse 사건들을 보고하지 않는 것을 예로 들어보자. 아펠바움 외 연구진은 최근 인지된 권력거리와 지도자의 inclusiveness가 심리적 안전을 예측하며, 심리적 안전성이 레지던트가 부작용을 보고하는 경향을 예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결과에 따르면 레지던트들은 지도자의 포용성이 떨어지고 권력 거리가 큰,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학습 환경에서 불리한 사건들을 보고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그러한 회피 행위는 과대처방, 굴욕, 실수에 대한 징벌적 대응으로 힘의 차이와 위계가 악화되는 학습 환경에 훨씬 더 널리 퍼질 수 있다.

Take, for instance, failure to report adverse events, a classic avoidance behavior. Appelbaum et al4 recently showed that perceived power distance and leader inclusiveness predicted psychological safety, and that psychological safety predicted the tendency for report residents to adverse events. Their results suggest that residents are discouraged from reporting adverse events in psychologically unsafe learning environments with poor leader inclusiveness and large power differentials. Such avoidance behaviors may be even more pervasive in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power differentials and hierarchies are exacerbated by mistreatment, humiliation, and punitive responses to mistakes.


예를 들어, "pimping"의 사용도 있다. 굴욕감과 편견을 느낄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 있고, 이것은 레지던트의 심리적 안전과 학습에 관여하려는 의지에 해로운 영향을 미침으로써 인지된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5

For example, the use of ‘‘pimping,’’ The potential of feeling humiliated and debased enhances the perceived risk significantly, with a detrimental effect on resident psychological safety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learning.5


자신의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해 위험한 상황에서 회피하려는 학습자들의 성향은 내부의 수치심을 피하거나 최소화하려는 욕구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수치심은 자기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서 비롯되는 자의식적인 감정이며, 스스로를 내면적으로 결함이 있거나, 부족하거나, 무가치하게 느끼는 감정이라는 특징이 있다.6,7 자기 이미지와 수치심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치심이 은닉hiding과 회피avoidance를 촉진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8 그것은 학습 환경의 약화되지 않는unmitigated 위험(즉, 낮은 심리적 안전)과 학습자의 회피 행동 사이의 중재적 감정 역할을 할 수 있다. 

Learners’ propensity to shy away from risky situations in order to protect their self-image may be driven by a desire to avoid or minimize internal shame. Shame is a self-conscious emotion that results from a negative evaluation of the self and is characterized by feelings of being internally flawed, deficient, or unworthy.6,7 Self-image and shame are intimately linked. Given that shame has been shown to promote hiding and avoidance,8 it may serve as the mediating emotion between unmitigated risk in the learning environment (ie, low psychological safety) and avoidance behaviors in learners. 


의학 학습자가 느끼는 수치심의 결과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정서 장애, 우울증, 어려우나 필요한 학습 과정에서의 탈퇴 등이 포함될 수 있다.9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수치심을 숨기는 경향은 정상적인 학습 행동의 위험을 악화시키고, 사회적 고립소외감을 야기하며, 학습자들이 말을 꺼내거나speaking up 보이는 것being seen을 단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능한 연관성에 비추어 볼 때, 정상적인 학습 상황에 수치심으로 반응하는 학습자들은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전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것은 학습과 웰빙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게다가, [학습자들에 대한 굴욕적이고 징벌적인 대우가 특징인] 비이상적 학습 환경에서는, 수치심에 대한 취약성은 더 높고 심리적 안전성은 더 낮을 가능성이 있다. 즉, '심리적으로 안전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는 학습 환경은 많은 학습자들에게 수치심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The outcomes of shame in medical learners are largely unknown, but may include impaired empathy, depression, and withdrawal from difficult but necessary learning processes.9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hide their shame from others may exacerbate the risk of normal learning behaviors, cause social isolation and perceived marginalization, and discourage learners from speaking up or being seen. In light of these possible associations, learners who respond to normal learning situations with shame are likely to experience low levels of psychological safety, with subsequent negative effects on learning and well-being. Furthermore, shame susceptibility is likely higher and psychological safety lower in sub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marked by humiliating and punitive treatment toward learners. In other words, a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zed as ‘‘psychologically unsafe’’ is likely to produce feelings of shame in many learners.


우리가 의학 교육에서 최적인 학습 환경을 다루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심리적인 안전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들이 우리의 개혁 노력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의학 교육에서 심리적인 안전의 구축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As we strive to address suboptimal learning environments in medical education, psychological safety—and th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it—must become the foundation of our reform efforts. Despite its importance, relatively little is currently known about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medical education,


우리의 학습 환경에서 의학 학습의 위험을 완화하고, 회피 행동을 줄이고, 심리적 안전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즉시 시작될 수 있고 반드시 시작되어야 한다. 

  • 교수진 개발과 교사로서의 레지던트 훈련은 관리자들이 어려운 피드백을 제공하고, 오류에 대응하며, 비해킹 방식으로 결함을 시정하며, 그것이 발생했을 때 내적 고통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은 학습 환경에서의 성원들 간의 대인 의사소통을 최적화하고 의사소통에 대한 지위 기반의 장애를 해소해야 한다.10 

  • 프로그램 리더는 학습자가 교직원 유무에 관계없이 서로 연결을 구축하고 위험을 논의, 표준화 및 공유할 수 있는 지원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12 

  • 마지막으로, 기관은 대학원 의학 교육의 문화를 개혁하고, 학습자가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고, 포괄적이고, 양육적이며, 심리적으로 안전한 학습 환경의 테두리 안에서 도전을 견디는 과정으로 그 경험을 재정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efforts to mitigate the risks of learning medicine, decrease avoidance behaviors, and create psychological safety in our learning environments can and must begin immediately. 

  • Faculty development and resident-as-teacher training can enable supervisors to provide difficult feedback, respond to errors, correct deficiencies in a nonshaming manner, and recognize intrapersonal distress when it occurs. 

  • Programs should optimiz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address status-based barriers to communication.10 

  • Program leader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build connections with one another and generate support networks within which risk can be discussed, normalized, and shared, with or without the presence of faculty.12 

  • Finally, institutions must actively work to reform the culture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remodel the experience from a hierarchical, stressful rite of passage to a process in which learners willingly take risks and endure challenges within the confines of an inclusive, nurturing, and psychologically safe learning environment.


이러한 이니셔티브와 함께 학대, 굴욕, 거친 비하, 미개한 행동, 수치심, 과장된 권력 차등, 세대간 혐오 등과 같은, 의학을 배우는데 수반되는 기본 위험을 고의적이고 불필요하게 악화시키는 행동의 완전한 제거가 되어야 한다.

Coupled with these initiatives should be the complete elimination of behaviors that intentionally and unnecessarily exacerbate the baseline risks of learning medicine, which include mistreatment, humiliation, harsh pimping, uncivil behavior, shaming, exaggerated power differentials, and intergenerational derogation.





 2016 Dec;8(5):780-782. doi: 10.4300/JGME-D-16-00549.1.

Risky BusinessPsychological Safety and the Risks of Learning Medicine.

PMID:
 
28018550
 
PMCID:
 
PMC5180540
 
DOI:
 
10.4300/JGME-D-16-00549.1


배고픈 학습자에게 메뉴판만 주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은 학습의 시뮬레이션이 된다면? (Med Teach, 2006)

Distributing menus to hungry learners: can learning by simulation become simulation of learning?

JOHN BLIGH & ALAN BLEAKLEY



도입

Introduction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정직해야 하며, 상황이 어떤지 가르쳐 줄 의과대학이 필요하다. 우리는 의대생들에게 가장 강력하고 위험한 생명력, 즉 '현실'을 제공해야 한다. (Guthrie, 2002)

To make a good doctor we need medical schools to be honest with students and teach them about how things really are. We need to provide medical students with that most powerful and dangerous of life forces—reality. (Guthrie, 2002)


용어의 명확화

Clarification of terms


사전 정의(Sorter OED) 시뮬레이션과 디시뮬레이션을 정렬한다. '디시뮬레이션: '척하는 것...감추거나 위장하는 것, 흉내를 내라. ' 그러나 일반적인 용법에서 

    • 시뮬레이션은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을 가진 척 하는 것이고, 

    • 디시뮬레이션은 자신이 가진 것을 가지지 않은 것처럼 가장하는 것이다(Bogard, 1996). 

    • 시뮬라크럼은 사본(Durham, 1999) 또는 원본이 '상실된' 또는 '존재하지 않은' 사본이다(Baudrillard, 1994).

The dictionary definitions (Shorter OED) align simulation and dissimulation: ‘‘Dissimulate: ‘to pretend...to conceal or disguise’; simulate: ‘to pretend or feign’ ’’. In common usage, however, 

    • simulation is feigning what one does not have, where 

    • dissimulation is pretending not to have what one has (Bogard, 1996). 

    • A simulacrum is a copy of a copy (Durham, 1999), or a copy where the original has been ‘lost’ or ‘never existed’ (Baudrillard, 1994).


시뮬레이션 이론: 고전과 포스트모던

Theory of simulation: classical to postmodern


시뮬레이션을 통한 학습은 배고픈 학습자에게 음식을 주기보다는, 메뉴를 배포하는 것과 같은 위험을 수반한다.

Learning by simulation carries the danger of being like distributing menus to hungry learners, rather than preparing food with them.


플라톤(2003년), 공화국(북7년)에서는 동굴 속에 묶여 있는 사람들을 묘사한다. 이들은 벽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만 있다. 그들의 뒤로 불이 타오르고, 동굴 밖에는 동굴 벽에 그림자를 드리운 물체를 운반하는 사람들의 행렬이 있어서, '이 상황에서는 artefact의 그림자가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유일한 현실을 구성하게 될 것이다.' 동굴을 떠날 때, 사람들은 처음에는 태양의 빛에 현혹되고, 지금 그들이 보는 현실을 믿지 않지만, 그들은 실제 세계에 적응하면서 동굴을 시뮬레이션으로 인식한다.

Plato (2003), in Republic (Book VII), describes people bound in a cave so that they can only gaze directly ahead at the wall. A fire burns behind them, and outside the cave is a procession of people carrying objects whose shadows are cast on to the wall of the cave, so that ‘‘the shadows of artefacts would constitute the only reality people in this situation would recognise’’. In leaving the cave, the people are at first dazzled by the light of the sun and do not trust the reality they now see but as they adapt to the real world they recognize the cave as a simulation.


이상주의자로서 플라톤은 지상에 존재하는 '현실' 세계를 관념의 초월적 영역에 무지하게, 우리가 갇혀 있을 수 있는 동굴의 황혼의 세계와 동일시한다. 그는 이렇게 질문한다. 왜 굳이 일단 이 초월적인 영역을 맛본 후에, 우리는 (플라톤이 mortal world와 동일시한) 동굴의 환상과 그림자로 돌아가려 할 이유가 무엇이 있는가?

As an idealist, Plato equates the ‘real’ world of earthly existence with that of the twilight world of the cave, where we can remain imprisoned, ignorant of the transcendental realm of Ideas. He asks why, once we have tasted this transcendental realm, we would ever want to return to the illusions and shadows of the cave, which he equates with the mortal world.


플라톤의 동굴과 시뮬레이션의 세계는 '인공물의 그림자'가 '실재'를 구성하는 곳에서 동일시 될 수 있다. 장 프랑크 ̧리스  Ly리스 료타드(1984)가 '포스트 모던 상태'라고 부르는 것은 플라톤의 동굴로 돌아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엄마가 어린 아이를 유모차에 태우고 있다. 그녀는 아기를 본 적이 없는 지인을 만난다. 그 여자는 유모차를 보고서는 말한다. "정말 아름다운 아이구나!." 어머니는 이렇게 말한다. "그래, 하지만 사진을 볼 때까지 기다려!"  이제 그 복사본이 실제보다 우선시된다. 시뮬레이션은 시뮬라크룸이 되었다(Baudrillard, 1983, 1990, 1994, 2005).

The world of simulation with Plato’s cave, can be equated where ‘the shadows of artefacts’ constitute ‘reality’. What Jean-Franc¸ois Lyotard (1984) terms ‘the postmodern condition’ can be seen as a return to Plato’s cave. A mother is pushing her young child in the pram. She meets an acquaintance who has not seen the baby before. The woman peers into the pram. ‘What a beautiful child!’, she exclaims. ‘Yes, but wait till you see the photos!’ exclaims the mother. The copy now takes precedence over the real—the simulation has become a simulacrum (Baudrillard, 1983, 1990, 1994, 2005).


만약 어떤 사람이 그 경험을 은유, 또는 가상성 이상의 것을 얻을 수 없다면, 학습은 시뮬라크럼의 수준에 머물러 있고 이 상태는 쉽게 임상현실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If one cannot get the experience as anything other than metaphor, or as virtuality, then learning remains at the level of the simulacrum and this condition may not readily bridge back to clinical reality.



시뮬레이션에 의한 학습의 장단점

Strengths and weaknesses of learning by simulation


'소설적인' 공간은 의학 교육을 위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가?

Are ‘fictional’ spaces valid and reliable sites for medical education?


임상기술 유닛이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설정과는 별도로, 가상 학습 환경이나 온라인 커뮤니티와 같은 가상 공간은 이제 의학 학습에 익숙한 영역이 되었다. 의학을 배우기 위한 가상 자원은 '바이블 휴먼 프로젝트'(Waldby, 2000년)의 유명한 '디지털 카데바'(van Dijck, 2005년)를 포함한다.

Apart from the simulation settings provided by clinical skills units, virtual spaces, such as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nd online communities, are now familiar territory for learning medicine. Virtual resources for learning medicine include the (in)famous ‘digital cadavers’ (van Dijck, 2005) of the ‘Visible Human Project’ (Waldby, 2000),


가상이 중복되어 실물을 대체하게 되는 이 translation에서, 주체subject는 완전히 휴대가능한 학습 객체object로 번역된다.

In this translation, where the virtual comes to overlap and replace the real, the subject is entirely translated into a portable learning object.


이러한 새로운 교육 및 학습 환경은 매혹적이고 복잡한 교육적 질문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공간에서 배우는 것이 어떻게 실제로 옮겨지는가, 그리고 그러한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체성은 어떻게 구성, 관리 및 저항되는가?

These emerg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are fascinating and present complex educational questions, such as: how does learning in such a space transfer to the real; and how are identities of learners constructed, managed and resisted in such settings?


시뮬레이션에 관한 일부 문헌은 이론적 접근법을 요구하고 있다(Bradley & Postlethwaite, 2003; Kneebone, 2005). 예를 들어, 로저 니본(2005)은 유혹과 기술적 매력에 대해 경고하는데, 여기서 '시뮬레이션된 환경이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경고음도 함께 들릴 수 있다'와 '기술적 정교함을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이론-기반 설계는 그 댓가로 희생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기서 '이론'은 학습이론을 말하며, 시뮬레이션의 문화적 이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문화적 이론을 정체성 구성에 영향을 주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학습'과 '학습의 시뮬레이션' 간 차이를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라고 한다면, 문화적 이론은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서 무시되고 있다.

Some literature on simulation has called for a theorybased approach (Bradley & Postlethwaite, 2003; Kneebone, 2005). For example, Roger Kneebone (2005) warns against both seduction and technological fascination, where ‘‘Simulated environments are becoming widespread, and siren voices can be heard when approaching them’’; and ‘‘simulations are often accepted uncritically, with undue emphasis being placed on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at the expense of theory-based design’’. However, by ‘theory’ these authors mean learning theory, not cultural theory of simulation. Consideration of the latter, for example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by simulation and simulation of learning as this affects identity construction, is neglected by the simulation community.


학습 이론가들은 최근에 학습을 '문화적 실천'으로 묘사하고 있다(Crook, 2002). 그리고 배움 그 자체가 문화적 틀을 통해 이론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문화적 공백에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행위] 학습을 바라보는 전통적인 '퇴적sedimentation' 모델은, [더 넓은 역사적, 문화적 환경에 내재된 실천의 공동체에 대한 정당한 사회적 참여]를 강조하는 최근의 모델들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 이러한 강조의 변화는 학습을 공간에서의 수동적 수용이 아니라, 시간에 걸쳐 이뤄지는 활동으로서 또는 메타학습(학습과 반사성)을 수반하는 역동적 과정으로서 학습을 구성한다. 후자의 접근방식은 인지적 도제의 중심으로서 정체성 구성과 관리를 강조한다. 즉, 일을 '생각'하는 방법뿐 아니라 '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Learning theorists have recently come to describe learning as a ‘cultural practice’ (Crook, 2002), and recognize that learning itself can be theorized through cultural frameworks (Paechter et al., 2001a, 2001b; Lea & Nicoll, 2002). The traditional ‘sedimentation’ model of learning, as an act of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in a cultural vacuum (the mind-in-a-vat), is challenged by recent models of learning as legitimate social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embedded in a wider historical and cultural setting (Lave & Wenger, 1991; Wenger, 1998; Bleakley, 2006). This shift in emphasis frames learning not as passive reception of content in space but as an activity through time, or a dynamic process that involves metalearning (learning to learn, and reflexivity). The latter approach places emphasis on ident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s central to cognitive apprenticeship—learning how to ‘think’ the job, as well as how to ‘do’ it.


시뮬레이션 커뮤니티가 새로운 기술에 현혹되면서 관심의 초점은 기술로 전환되고 [실제 환자]나 [학습자의 정체성]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SimMan은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이유로) 환자가 상호 작용에서 반응의 측면에서 가져올 수 있는 것을 제거하여 실제 환자인 대상을 대체하는 대상이 된다. Actor patient를 사용하는 것은, 그렇게 함으로써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나름의 자체의 어려움을 가져온다.

As the simulation community is seduced by new technologies, the focus of interest switches to those technologies and away from real patients and identities of learners. SimMan becomes, for entirely understandable reasons, an object substitute for the subject that is the real patient, stripped of what that patient may bring in terms of response in interaction. The use of actor patients brings its own difficulties, as the context for response is stripped of its complexity and uncertainty.


이러한 환경에서, 의대생과 같은 학습자의 전문적인 정체성 구축은 중요한 이슈가 된다.

In such settings,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of learners, such as medical students, becomes an important issue,


최고 증거 의학 교육(BEME)은 고 충실도 의료 시뮬레이션의 특징과 용도에 대한 체계적인 리뷰를 통해 '출판된 연구 결과의 약 80%는 기껏해야 모호하며, 우리가 검토한 연구 간행물의 20%만이 명확하고 아마도 사실일 것이다'라고 결론짓는다.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of the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concludes that ‘‘approximately 80% of the published research findings are equivocal at best and only 20% of the research publications we reviewed report outcomes that are clear and probably true’’.


또한 검토는 그러한 시뮬레이션 접근법이 '적절한 조건 하에서'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결론지었다. 그러나, 핵심적 형성적 조건은, 예상한 바와 같이, [정신 운동 기술 또는 숙달 학습의 반복적 실천 기회(이러한 이점 목록의 시뮬레이션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이점으로 언급됨)] 또는 [학습자가 부정적인 결과 없이 실수를 할 수 있는 통제된 환경 또는 안전에 민감한 실천요강(제7의 최선의 이익으로 언급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시뮬레이션에 의한 학습의 주된 이점은 '교육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였다그러나, 이 자체가 시뮬레이션 접근법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피드백을 주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을 주는 환경이 학습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피드백은 교실이나 클리닉에서도 쉽게 주어질 수 있다. 이 검토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실제 환자가 실제 환경에 참여하는 교육을 보완하지만 복제duplicate하지는 못한다'고 조심스럽게 결론짓는다.

The review also cautiously concluded that such simulation approaches can facilitate learning ‘under the right conditions’. However, the key, formative condition noted was not, as one might expect, the opportunity for repetitive practice of psychomotor skills, or mastery learning (which is cited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benefit of simulation on a list of 10 such benefits), or for offering a controlled environment where learners can make mistakes without adverse consequences, or safety-sensitive practices (cited as the seventh best benefit). Rather, the main benefit of learning by simulation was the opportunity for providing ‘educational feedback’. However, this does not in itself justify a simulation approach, for it is giving the feedback, and not the that environment in which feedback is given, promotes learning. Feedback can also readily be given in classroom or clinic. The review cautiously concludes that ‘‘simulationbased education complements, but does not duplicate, education involving real patients in genuine settings’’.


보가드(1996)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테크놀로지는 통제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혹적이다: '오늘날 시뮬레이션 기술을 판매하는 것은 어떤 이미지도 관찰할 수 있고, 어떤 사건도 프로그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의미에서 예측 가능한 것이라는 유혹적인 주장이다.'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서 자기 비판의 부재는 문화적, 역사적 현상으로서의 시뮬레이션의 이론에 대한 무관심에서 비롯될 수 있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프로젝트의 핵심에서 몇 가지 실제적인 모순을 해결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이론과 거리를 두는 것은 시뮬레이션 학습 자체의 고유한 측면일 수 있는데, 이론적으로 공백인 상태에서 기술 습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내가 하는 일]은 [내가 아는 것]과 현저하게 분리된다.

As Bogard (1996) suggests, technologies are seductive where they offer control: ‘‘What sells simulation technology today is the seductive claim that any image is observable, that any event is programmable, and thus, in a sense, foreseeable.’’ The absence of self-critique in the simulation community may arise from an absence of concern with theory of simulation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phenomenon, leading in turn to an inability to address several practical contradictions at the heart of the simulation project. This distancing from theory may be an inherent aspect of simulation learning itself, where skills acquisition may occur in a theoretical vacuum, so that what I do is significantly divorced from what I know.


시뮬레이션의 역사적 형태

Historical forms of simulation


장 보드리야드(1983, 1990, 1994)는 역사적으로 나타난 네 가지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설명한다. 

    • 첫째는 원작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사본이다(중세/르네상스 시대의 아이콘)

    • 두 번째는 원본과 구별이 안 되고 심지어 소비의 세계(현대주의와 산업주의)에서 '디자이너' 물체의 다중 복제와 같이 원본을 왜곡시킬 수도 있는 사본이다.

Jean Baudrillard (1983, 1990, 1994) describes four levels of simulation that have emerged historically. First is the copy that is readily 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 (the icon of the medieval/Renaissance period). Second is the copy that is in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 and may even come to pervert the original, such as multiple reproductions of a‘designer’ object in a world of consumption (modernism and industrialism).


세 번째는 이 사본의 복사본인데, 이제는 현실과 거의 유사점이 없게 되어, 초현실, 가상 현실 또는 시뮬라크럼을 제공한다. 이 경우 사본은 앞에서 설명한 대로 '리얼리티'( 포스트모던 조건의 중심적 측면)을 선행하고 결정한다. 

Third is the copy of the copy, which now bears little resemblance to the real world, offering a hyper-reality, virtual reality or a simulacrum. In this case, the copy comes to precede and determine ‘reality’ (a central aspect of the postmodern condition) as described earlier. 


시뮬레이션이 실물을 대체하면서 우리는 실물이 어땠는지, 혹은 그것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잊어버리고 새로운 대응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것은 디즈니 월드나 테마 파크를 선택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레이크 존에서 걷는 것보다 더 친숙할 것이다. 패키지 휴일은 자발적인 모험을 대체하기 위해 오고, 컴퓨터 게임은 놀이를 대신하고, 인터넷 포르노는 친밀감을 대신한다. 

As simulation replaces the real, we forget what the real was like, or how to interact with it, and have to learn new ways of responding. This will be familiar to anyone who chooses a Disney world, or a theme park, holiday over walking in the Lake District. Package holidays come to replace spontaneous adventure, computer games replace play and Internet pornography replaces intimacy. 


보드리야드의 네 번째 시나리오는 미래의 환상이다. 만약 시뮬레이션이 시뮬라크럼처럼 현실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자유롭게 떠다닌다면? 이것은 더 이상 '실제'의 세계로 연결되지 않는 자기 참조 조건을 만들어낸다. 여기서 보드리야드의 주장은 두 단계를 따른다. 첫째, 디즈니월드, 테마파크, 컴퓨터 게임, 기타 가상현실 등 자유롭게 떠다닌 분리되고 절연된 세계는 '실제' 세계의 대안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보드리야드의 (2005) 2단계 논쟁은 훨씬 급진적이다. 예를 들어 디즈니월드가 시뮬레이션이 아닌 시뮬라크럼으로 간주되는 곳에서, 디즈니월드는 더 이상 '실제' 세계의 기괴한 버전이 아니라 일상 생활이 디즈니랜드처럼 보이고 느끼기 시작하는 '실제' 세계를 선행하고 형성하게 된다. 디즈니월드를 '환상적인' 것으로 취급하는 것을 계속하는 것은, 현재 초현실화 되어 있는 일상 세계의 만연한 '디즈니피케이션'에서 눈을 떼게 한다. 텔레비전은 이러한 과정을 반영한다: 한때 현실을 반영했던 곳에서, 그것은 이제 세심한 편집과 시각 효과, 그리고 '현실' 게임 쇼를 통해 초현실적인 '자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우리는 의학의 모델로 'ER'로 돌아왔다.


Baudrillard’s fourth scenario is a future fantasy—what if simulation, as the simulacrum, becomes entirely detached from reality and floats free? This creates a self-referential condition that no longer bridges to a ‘real’ world. Baudrillard’s argument here follows two stages. First, the detached and insulated world that has floated free, such as Disneyworld, a theme park, computer games and other virtual realities, can b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a ‘real’ world. Baudrillard’s (2005) second stage of argument is far more radical. Where Disneyworld, for example, is considered as a simulacrum rather than a simulation, then Disneyworld is no longer a bizarre version of the ‘real’ world but comes to precede and form the ‘real’ world, where everyday life begins to look and feel like Disneyland. Continuing to treat Disneyworld as a ‘fantasy’ takes our eye off the pervading ‘Disneyfication’ of the everyday world that is now a hyper-reality. Television reflects this process: where it once reflected reality, it now offers hyper-real ‘nature’ programmes through careful editing and visual effects, and ‘reality’ game shows. We are back to ‘ER’ as the model for medicine.


시뮬레이션 프로젝트: 시뮬레이션과 작업 기반 학습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질 것인가? 

The simulation project: will a dialogue emerge between simulation and work-based learning? 


시뮬레이션 프로젝트

The project of simulation


의학교육에서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의 목표는 강의실과 직장 경험을 연결하는 것이다(그림 1-3의 시나리오 1-3으로 아래 제시). 

The goal for the simulation community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to bridge the classroom and the workplace experiences  (illustrated below as scenarios 1–3, in Figures 1–3). 






초기 시뮬레이션 모델(시나리오 3)을 시작으로, 초기 시뮬레이션 학습은 보드리야드 모델의 1단계와 일치한다. 사본은 원본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의 핵심 목표는 항상 시뮬레이션과 현실을 거의 구별할 수 없는 바우드리야드 모델의 2단계를 달성하는 것이었다('전체 몰입'으로 대체되는 '인터랙티브' 시뮬레이션). 높은 충실도의 접근방식에 초점을 맞추면서, 시뮬레이션된 환경은 실제와 일치하게 된다. 

Starting with the initial simulation model (scenario 3),early simulation learning conforms to stage 1 of Baudrillard’s model—the copy i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 original.However, a key aim of the simulation community was always to achieve stage 2 of Baudrillard’s model, where simulation and reality are almost indistinguishable (‘interactive’ simulation replaced by ‘total immersion’). Through focus upon high-fidelity approaches, the simulated environment comes to match the real. 


이론적으로 이것은 칭찬받을 만한 목표로 보이며, 현실과 밀접하게 일치하는 안전하고 뒷받침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의 역사적 3단계와 4단계를 통해 지도화할mapped through 수 있는 시뮬레이션의 '현실' 프로젝트에는 숨겨진 문제가 있다. 보드리야드의 3단계에서 시뮬레이션은 이제 진짜를 대체할 정도로 효과적이 된다. 시뮬라크룸이 등장함에 따라, 우리는 더 이상 사본이 파생된 원본을 인식할 수 없다. 즉 원본이 없는 사본이다. 시뮬레이션은 현재 자체적인 내부 규칙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In theory this appears to be a laudable goal, offering a safe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closely matches reality. However, as described earlier, there are hidden problems in the project of the ‘reality’ of simulation that can be mapped through Baudrillard’s stages 3 and 4 of the history of simulation. In Baudrillard’s stage 3, simulation now becomes so effective that it comes to replace the real. We can no longer recognize the original from which the copy derived, as the simulacrum emerges—a copy without an original. Simulation is now governed by its own internal rules. 


시뮬레이션 커뮤니티는 기술 주도 학습 환경(단순한 마네킹에서 심맨에 이르기까지)의 가능성에 매료되어, 이러한 시뮬레이션 설정이 복사된 실제 환경과의 접촉을 잃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의 증상은 대인관계 기술과 같은 실제 사건의 귀속appropriation으로,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서는 임상 팀워크와 같은 심리적 요소가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가장 잘 학습된다고 주장한다. 역설적으로 그러한 환경에서 정신운동 기술을 배우는 것이 좌절스러운 이유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리얼타임 세팅으로 학습이 전이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며, 수작업 능력의 학습은 일반적으로 학습 사회적 기술이나 의사결정 학습에 비해 그러한 설정에서 덜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Blum 등, 2004).

The simulation community becomes fascinated by the possibilities of technology-driven learning environments (from simpler manikins to SimMan), losing touch with the real environments these simulated settings once copied. A symptom of this movement is the appropriation of real-life events such as interpersonal skills, where the simulation community claims that psychological elements such as clinical teamwork are best learned in simulated settings. Paradoxically, learning of psychomotor skills in such settings is frustrated by difficulties in guaranteeing transfer of learning from the simulated environment to a real-time setting, and in the fact that the learning of manual dexterity skills learning is commonly rated as less effective in such settings in comparison with learning social skills and decision making (Blum et al., 2004).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시뮬라크럼이 출현하는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이제 '좋은' 의사소통 같은 효과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배울 수도 있다. 또한 학생들은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어려움을 디시뮬레이션하는 것도 배운다 (실험된 환경을 연막으로 사용하여 그러한 어려움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가장한다.). 의사소통 기술을 배우는 것은 자기 패러디가 될 수 있는데, 학생들은 현재 '실용'되고 부자연스러운 눈맞춤과 전방 지향적인 신체 자세를 명시적으로 이용한다.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이 일반적으로 적절한 사회적 반응을 형성하는 복잡한 단서들과 사회적 맥락의 현실로부터 분리되는 감정적 진공 속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러한 학습의 잠재적 복잡성은 피드백을 통한 학습 지원보다는 [감시 도구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환경의 평가]에 의해 복합될 수 있다.

As discussed earlier, at this stage of the emergence of the simulacrum students may now also learn to simulate effects such as ‘good’ communication, and to dissimulate actual difficulties in real-time communication (using the simulated environment as a smokescreen to pretend that such difficulties do not exist).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can become self-parodying, with students expressly over-using eye contact and forward-leaning body posture that is now ‘practised’ and unnatural. More importantly, this may be carried out in an affective vacuum, where it is detached from the realities of a social context and complex cues that normally come to shape an appropriate social response. Such potential complications in learning may be compounded by assessments in simulated environments, which may come to resemble surveillance instruments rather than support of learning through feedback. 


미셸 푸코(1979)는 제레미 벤담의 '판옵티콘'이나 '만능 시선'을 감옥과 같은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궁극적인 부재 감시 도구로서 잘 묘사하고 있다. 만약 감방들이 중앙 감시탑으로 통하는 복도에 놓여진다면, 죄수들은 그들이 감시탑으로부터 지속적인 감시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일정 시간 후에 결국 경비원은 제거될 수 있고, 그러나 경비가 없어진 후에도 죄수들은 지금도 계속 감시를 받고 있는 것처럼 똑같은 방식으로 행동할 것이다.

Michel Foucault (1979) famously describes Jeremy Bentham’s idea of the ‘panopticon’ or ‘all-seeing eye’ as the ultimate absent surveillance instrument for use in an institution such as a prison. If the cells are sited in corridors leading off a central watchtower, then prisoners will learn that they are under constant surveillance from that watchtower.Eventually, the guard can be removed and prisoners will still behave in the same way, now as if under constant surveillance.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그렇게 '시뮬레이션 감시'(Bogard, 1996년)가 내면화됨에 따라, 학생들은 engineered context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반응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임상 상황에 대해 그들이 개발해야 하는 종류의 자연주의적이고 상황에 민감한 반응을 왜곡한다. 다시 말하지만,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행동에서 시뮬레이션하고 디시뮬레이션하며, 시뮬레이션에 통해 학습하기 보다는, 학습을 시뮬레이션하게 될 수 있다. 

Under such internalized ‘simulation of surveillance’ (Bogard, 1996), as suggested earlier, students may shape their responses in ways that they think are desired by the engineered context. This distorts naturalistic and context-sensitive response of the kind they need to develop for real clinical situations. Again, students may be led to simulate and dissimulate in their own behaviours, or to simulate learning rather than learning by simulation. 


시나리오 4와 5는 보드리야드의 단계 2와 3 사이의 전환을 나타낸다. 현실(효과적인 시뮬레이션)에 가까운 사본이 이제 그 현실(시뮬라크럼의 단계)에 선행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컨텍스트 주도 커뮤니케이션, 팀워크, 의사결정 등 주로 실시간 환경에서 학습되는 심리 및 대인관계 능력은 시뮬레이션에 흡수되어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에 의해 자본으로 주장된다. 

Scenarios 4 and 5 represent the transition between Baudrillard’s stages 2 and 3. The copy that is close to the reality (effective simulation) now comes to precede and form that reality (the stage of the simulacrum). Here,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capabilities usually learned in real-time settings, such as context-driven communication, teamwork and decision-making, are absorbed into simulations and claimed by the simulation community as capital. 


교실을 넘어서는 가장 안전한 형태의 학습에서, 학생들은 직장에서의 지저분한 현실로부터 격리된다. 이것은 학부 교실 수준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며, 학습의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학부 환경에서, 업무 기반 경험은 모의 임상 기술 학습과 종종 분리된다. 교육자들은 이 두 가지가 학생들의 마음에 통합되기를 바란다. 

In this, the safest form of learning beyond the classroom,students are insulated from the messy realities of the workplace. This is the commonest arrangement at under-graduate classroom level and has many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In the undergraduate context, work-based experiences are often divorced from simulated clinical skills learning. Educators hope the two will be integrated in the student’s mind.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학습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learning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안전상의 이유로, 특정 임상 절차는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의료 오류의 약 70-80%는 '손재주'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의사소통 문제 및 의사 결정 문제에서 인지 및 대인관계 때문이다(Helmreich & Merritt, 1998). 의사소통, 팀워크, 의사결정을 배우는 것은 이제 더 이상 심리운동 기술 습득에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시뮬레이션에 의한 학습의 이점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간주된다. 

For safety reasons, certain clinical procedures can only be learned through simulation. However, an estimated 70–80%of medical errors do not occur because of problems with manual dexterity but are grounded in the cognitive and interpersonal—in systemic communication issues and decision-making issues (Helmreich & Merritt, 1998). Learning communication, teamwork and decision-making are now no longer considered to be a value-added factor to psychomotor skills acquisition but a central part of the benefit of learning by simulation. 


플라나간 외 (2004)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사용의 전체 스펙트럼이 가치가 있지만, 시뮬레이션 교육의 가장 큰 영향은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스트레스 관리, 의사 결정 및 업무 우선 순위 설정의 일부 측면을 포함하여 다른 어떤 방법으로도 가르칠 수 없는 것들을 가르치기 위해 시뮬레이터를 사용하는 데서 올 것이다'라고 주장한다. 시뮬레이션된 맥락이 반드시 의학의 심리적, 대인관계적 차원을 배우는데 가장 좋은 것인가?

Flanagan et al. (2004) claim that ‘‘Although the entire spectrum of uses for simulation is valuable, the greatest impact will come from using simulators to teach things that cannot be taught in any other way, including some aspects of teamwork, communication, stress management, decision-making and task prioritization’’ (emphasis added). is a simulated context necessarily the best for learning the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dimensions of medicine?


블럼 외 (2004) 시뮬레이션 맥락의 '현실주의'는 사실상 과목 퀄리티의 가장 약한 측면이며, '소통'은...시뮬레이션 훈련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라고 말한다. 다시, (시뮬레이션에서) 테크니컬 스킬의 학습이 충분히 성공적으로 실현되지는 않지만, 팀워크 등 비-테크니컬 스킬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가치를 갖는다.

Blum et al. (2004) conclude that ‘realism’ of the simulation contexts was actually the weakest aspect of the course’s quality and that ‘communi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simulation training.’ Again, success in learning technical skills is not fully realized but the value-added component of learning non-technical skills such as teamwork is realized and then promoted as a major benefit of simulation


그러나 다시, 이러한 경험이 [합법적인 참여, 피드백 및 반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면] 팀워크는 직장에서 더 잘 배울 수 있지 않을까? 그러한 기능은 통제된 시뮬레이션 컨텍스트에서 복잡한 작업 환경으로 쉽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Again, however,could teamwork have been better learned in the workplace, as long as these experiences are structured to include legitimate participation, feedback and reflection? Such capabilities may not readily transfer from a controlled simulation context to the complex work environment.


그러나, 보드리야드의 시뮬라크럼 출현 3단계가 발생하는 경우, 부모 맥락에서의 그러한 근거는 버려질 수 있다. 시뮬레이션 커뮤니티는 성장하여 자체 문화를 형성하지만, 지금은 높은 충실도와 기술에 대한 매력으로 단열된 시뮬레이션 컨텍스트 학습 경험을 대체하기 위해 교실 및 직장 학습과의 관계를 끊을 위험이 있다. 역설적으로, 문화는 더 이상 교실이나 진료소를 복사하지 않고 더 정교한 형태로 재현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충실성fidelity'은 진공상태에서 증가(완전한 immersion 시나리오)된다. '현실real'이 아니라, 시뮬라크럼이 그 자신의 미래 사본copies을 지시하게 된다.

However, where Baudrillard’s stage 3 of the emergence of the simulacrum occurs, such grounding in parent contexts may be abandoned. The simulation community grows up and shapes its own culture, but now this is in danger of cutting ties with both classroom and workplace learning to substitute an insulated simulated context learning experience with a focus on high fidelity and a fascination with technology. Paradoxically, ‘fidelity’ is increased (total ‘immersion’ scenarios) in a vacuum because the culture no longer copies either classroom or clinic but begins to reproduce itself in more elaborate forms. The simulacrum, not the real, comes to dictate its own future copies.


이제 보드리야드의 4단계 시뮬레이션 직전까지 왔는데, 이 시뮬레이션에서 이제 시뮬라크룸은 완전히 자기 참조가 되어 insulate된다. (통신 기술 훈련과 같은) 그 효능에 대해 실제 증거, 상황 요구 또는 기술 이전 어려움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커뮤니티의 매개변수 내에서만 클레임을 제기한다. 우리는 무심코 플라톤의 동굴로 돌아왔다.

It is now a short step to Baudrillard’s fourth stage of simulation, in which the simulacrum now becomes entirely self-referential and insulated. Claims are made for its efficacy (such as 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only within the parameters of the simulation community and not with reference to real-life evidence, the demands of context or the difficulties in transfer of skills. We have inadvertently returned to Plato’s cave.


이 최종 시나리오에서 시뮬레이션의 가치는 인정되지만, 그 주장은 도전을 받는다. 동적 실시간 컨텍스트에서 작업 기반 학습의 가치는 더 큰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강의실 학습은 자원으로 작용한다. 시뮬레이션 영역은 점차적으로 실시간 학생-운영 병동과 같은 맥락에서 교실 및 작업 설정과의 완전한 통합으로 흡수되고, 스웨덴의 Linkoping 의학 학교에서 완전히 개발되며(Wahlstrom et al., 1997), 변형된 버전으로 영국에서 트라이밍된다(Freeth et al., 2001; Reeves & Freeth, 2002).

In this final scenario, the value of simulation is recognized but its claims are challenged. The value of work-based learning in dynamic, real-time contexts is given greater profile and classroom learning acts as a resource. The simulation arena is gradually absorbed back into full integration with classroom and work settings in contexts such as the real-time student-run ward, developed fully at Linkoping medical school in Sweden (Wahlstrom et al., 1997), and trialled in the UK in a modified version (Freeth et al., 2001; Reeves & Freeth, 2002).




결론

Conclusions


플라톤의 동굴을 벗어나 현실 세계로 돌아가려면 현재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정기적으로 배치되는 일부 임상적 능력(의사소통 기술)은 workplace으로 돌아와야 할 수 있다. 교육자가 성찰, 피드백, 기존 경험의 활용 등과 같은 학습에 효과적인 컨텍스트를 고안할 수 있도록 노력할 책임이 있다.

To get out of Plato’s cave and back to the real world, some clinical capabilities now regularly sited in simulation setting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may be returned to the workplace, with the onus on medical educators to devise effective contexts for learning such as reflection, feedback and utilization of previous experience.


이는 다음을 방지해줄 것이다. 

  • 학습이 전이되지 않는 어려움 

  • 시뮬라크라와 초현실주의로의 잠재적 이동 

  • 시뮬레이션과 분리에 대한 유혹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체성 구축의 어려움 

  • 학생들이 적절한 자율성과 협업을 개발하고 실행하도록 허용되기보다는, 끊임없이 부모처럼 행동하는 '감시 시뮬레이션' 효과에 굴복하는 것

This would guard against 

  • the difficulties of non-transfer of learning; 

  • the potential drift into simulacra and hyper-realism; 

  • the difficulties in identity construction compounded by the temptation for simulation and dissimulation; and 

  • students succumbing to the ‘simulation of surveillance’ effect in which they act as if constantly parented rather than allowed to develop and exercise appropriate autonomy and collaboration. 


시뮬레이션은 나름의 가치가 있고, 의학교육에서 매우 가치가 있지만, 그것이 있어야 할 자리를 식별하고, 교육적으로 중복된 공간을 새로 만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시뮬레이션은 구조화된 교실 학습과 복잡한 임상 학습 환경의 긴급한 문제 사이의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너무 많은 좋은 것good thing은 위험할 수 있으며, 의학의 핵심은 환자와 그 의사의 관계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무리 연습해도 현실을 대신할 수는 없다. 침대 머리맡, 진료소, 가정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의료 교육의 핵심으로 남아야 한다.

Simulation has its place and is very valuable in medical education but identifying that place and taking care not to create new educationally redundant spaces is important. Simulation can act as a crucial bridge between structured classroom learning and the emergent issues of the complex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oo much of a good thing can be dangerous and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core of medicin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ient and his or her doctor. No amount of practice can replace the real thing.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bedside, in the clinic and in the home must remain the very heart of medical education.




 2006 Nov;28(7):606-13.

Distributing menus to hungry learners: can learning by simulation become simulation of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Peninsula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xeter, UK. john.bligh@pms.ac.uk

Abstract

Simulation offers an important context for clinical education, providing a structured, safe and supportive environment bridging the classroom and the clinic. Two trends in the simulation community appear to be developing uncritically and without adequate evaluation. First, there is a fascination with seductive high-fidelity simulation realized through sophisticated technology. Second, simulation has increasingly appropriated learning in the psychological domain,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under the rationale of 'integration'. Developments in simulation activities have largely been made in a theoretical vacuum and where theory is invoked it is learning theory rather than theory of simul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ories of simulation from cultural studies as a critical balance to the claims of the simulation community. Work-based and simulation-based learning could engage in a new dialogue for an effective clinical education.

PMID:
 
17594551
 
DOI:
 
10.1080/01421590601042335


일개 기관에서 교육과정 변화 도입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관점(Acad Med, 2017)

Medical Students’ Perspectives on Implementing Curriculum Change at One Institution

Aaron M. Yengo-Kahn, MD, Courtney E. Baker, and Kimberly D. Lomis, MD



다른 이들은 이전에 교육 변화 관리 과정을 그들 자신의 기관의 경험의 렌즈를 통해 기술했다.4–6 이러한 연구들은 행정관과 교수진이 효율적인 전환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직원 및 행정관의 저항에 부딪힐 수 있는 커리큘럼 개편 가능성은 충분히 문서화되었다.4,7 그러나 그러한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학생들은 또 다른 잠재적 저항의 지점이다. 커리큘럼 정비가 성인 학습자를 위한 학습 환경을 긍정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지만, 관리자는 종종 학생들이 그러한 혁신적이고 익숙하지 않은 교육 개념에 어떻게 인식하고 반응할지에 대해 가정한다. 이것은 학생들과 그들의 커리큘럼 사이에 단절을 만들 수 있다. 

Others have previously described the education change-management process through the lens of their own institution’s experience.4–6 these works primarily focus on what administrators and faculty can do to secure efficient transition; the potential for curricular overhaul to encounter resistance from faculty and administrators has been well documented.4,7 However, the students, who are directly affected by such change, are another potential point of resistance. Although curricular overhaul can positively restructure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adult learner, administrators often make assumptions about how students will perceive and respond to such innovative and unfamiliar educational concepts. This can create a disconnect between students and their curriculum. 


그러나 대규모 커리큘럼 정비에서 학생의 역할은 주로 교직원과 관리자로 구성된 소수의 실무그룹 구성원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으며,4 또는 학생위원회는 커리큘럼의 하위 집합을 검토하는 것으로 엄격하게 제한된다.12

However, the student role in larger curriculum overhaul is often restricted to minority membership of working groups primarily comprising faculty and administrators,4 or the student committee is strictly tasked with reviewing a subset of the curriculum.12


밴더빌트 대학 의과대학의 커리큘럼 개혁

Curricular Reform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배경

Background


VUSM(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은 오랫동안 의학 교육 혁신의 리더였다.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VUSM) has long been a leader in medical education innovation.


2006년 커리큘럼 변경 이전에, 학생 커리큘럼 위원회(SCC)는 주로 과정 완료 시 공식적인 학생 피드백을 수집하고 전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학생 선출 기관으로 활동했다. 2006년 개정과 함께, 그들의 역할은 학생 지도자와 교수들 사이의 격주 7:30 회의를 통해 커리큘럼에 대한 비공식적인 급속 주기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확대되었다.

Prior to the 2006 curricular changes, the Student Curriculum Committee (SCC) had primarily served as a student-elected organization tasked with gathering and relaying formal student feedback upon the completion of courses. With the 2006 revision, their role was expanded to provide informal rapid-cycle feedback on the curriculum via biweekly 7:30 am meetings between student leaders and faculty.


2011년, VUSM이 2013년에 시행될 또 다른 주요 커리큘럼 개편을 계획함에 따라, 행정가들은 "Curriculum 2.0"의 설계에 학생들을 포함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했다. 특히, 그들은 커리큘럼 2.0의 특정 측면을 설계하고 실행한 혐의로 기소된 각 실무그룹에 학생과 최근 동문들을 배치했다. 또한, 그들은 학생들에게 임박한 변경pending transition에 대해 교육하기 위해 기존 수업들과 함께 타운홀 미팅을 주최했다. 행정부는 사전경험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면에서 의도적으로 학생들을 참여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학생 중심의 커리큘럼 2.0으로의 전환은 예상하기 어려운 독특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커리큘럼 2.0을 시행하는 동안, SCC 구성원들은 행정부, 교직원 및 동료 학생들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비판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광범위한 전환 과제를 해결했다.

In 2011, as VUSM embarked on planning another major curricular overhaul to be implemented in 2013, administrators took specific measures to include students in the design of “Curriculum 2.0.” Specifically, they placed students and recent alumni on each of the working groups charged with designing and implementing specific aspects of Curriculum 2.0. Additionally, they hosted town hall meetings with existing classes to educate students about the pending transition. Administrators engaged students deliberately and in all ways that previous experience deemed important; nevertheless, the recent transition to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2.0 presented unique challenges that were difficult to anticipate.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2.0, SCC members worked closely with administrators, faculty, and fellow students to provide critical feedback and to tackle a wide range of transitional challenges.


커리큘럼 2.0으로의 전환 과정 중 일부는 2012년 가을부터 "혼성 커리큘럼"을 시행하고 2016년 봄에 졸업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브리드 커리큘럼은 VUSM(VUSM 2006~2011년 입학하는 학생)의 기존 커리큘럼에서 커리큘럼 2.0(2013년 이후 입학하는 학생)으로 전환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Part of the transition to Curriculum 2.0 involved implementing a “Hybrid Curriculum” for a single class starting in fall 2012 with anticipated graduation in spring 2016. The Hybrid Curriculum was specifically designed to bridge the transition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at VUSM (students entering 2006 through 2011) to Curriculum 2.0 (students entering 2013 and thereafter).



커리큘럼 개정 및 초기 학생 반응의 핵심 요소

Key elements of the curricular revision and initial student reactions


커리큘럼 2.0의 한 가지 특징은 핵심실습이 3학년에서 2학년으로 옮겨졌다는 것이다. 과도기적 하이브리드 커리큘럼은 핵심실습의 의도된 전환에 시차를 두도록 설계되어, 그로 인해 발생할 임상적 배치에서 학생들의 과도한 부담을 완화시켰다. 또한, 과도기 하이브리드 커리큘럼은 본격적인 구현 전에 새로운 학습 형식을 시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커리큘럼 전환의 주요 측면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각 개입에 대한 행정부의 의도와 초기 학생 반응 사이의 단절은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One feature of Curriculum 2.0 was that core clerkships were shifted from year 3 to year 2. The transitional Hybrid Curriculum was designed to stagger the intended shift of core clerkships, mitigating the excess load of students in clinical placements that would result. Additionally, the transitional Hybrid Curriculum offered an opportunity to pilot novel learning formats before full-scale implementation. Major aspects of the curricular transition are summarized in Table 1. Disconnects between the administration’s intent for each intervention and initial student reac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2.


주 1회 진료 의무.

Preclerkship weekly clinical duties.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수업은 weekly 임상 업무를 포함하여, 가장 먼저 전임상 시기에서 임상 배치를 경험했다. 모든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임상 환경에 걸쳐 개별적인 배치를 했다. 이 경험의 주된 목적은 임상적 맥락을 제공하고 의료 시스템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지만, 학생들(그리고 많은 교사들)은 자연스럽게 임상적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결국 학생들 사이에서 이러한 무수한 환경 전반에 걸친 임상 기회의 variation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임상 의무의 증가는 또한 1학년 학생들의 주간 일정에서 flexibility를 감소시켰다.

The Hybrid Curriculum class was the first to experience clinical placements in the preclerkship phase, with weekly clinical duties. To accommodate all students, individual placements were made across a variety of clinical settings. Although the primary intent of this experience was to provide clinical context and to raise awareness of health care systems issues, the students (and many preceptors) naturally focused on clinical skills development. This, in turn, led to concerns among students about variation in clinical opportunities across these myriad settings. The addition of clinical duties also created less flexibility in the weekly schedule of first-year students.




보다 능동적이고 팀 기반의 학습 양식 통합.

Incorporation of more active and team-based learning modalities.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클래스는 커리큘럼 2.0 전임상 경험의 주요 초점인 능동적 학습 형식과 팀 기반 활동의 파일럿을 경험했다. 교수진들은 사례와 기술을 개발하고 있었고, 이 새로운 도구들을 현재의 학생들과 공유하게 되어 흥분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학생들은 새로운 기술을 배워야 하는 부담을 완전히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반복적인 연습이 없었다. 일부 학생들은 이것이 만들어낸 비효율성에 좌절했다. 또한,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학생들은 이질적이면서 그룹 환경에서 개인의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교육접근방식과 관련된 상당한 불편함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The Hybrid Curriculum class experienced pilots of the active learning formats and team-based activities that are a primary focus of the Curriculum 2.0 preclerkship experience. Faculty were developing cases and techniques and were excited to share these new tools with current students. The Hybrid Curriculum students, however, did not have sufficient repeated practice with these formats to fully overcome the burden of learning a new technique. Some students became frustrated by the sense of inefficiency that this created. Additionally, Hybrid Curriculum students served an important role in voicing to faculty the significant discomforts associated with approaches that feel foreign and that raise individual vulnerability in a group setting.


예체능 과목의 단축.

Reduction of preclerkship course work.


2년에서 1.5년까지의 전임상단계의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수업 단축은 기존의 필수 연구 경험을 임상후단계로 옮기고 방학 기간을 변경함으로써 크게 달성되었다. 교수진의 노력이 후속 교육과정 2.0에 대해 계획된 중요한 개정안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기초 과학 블록의 내용과 길이를 최소한으로 변경해야 했다. 그러나, 어떤 변화도 미국 의료 면허 시험(USMLE) 1단계 준비와 관련하여 학생들 사이에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수업은 핵심실습을 2학년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큰 타격을 입었고, 이는 대부분의 로테이션에서 다른 학년의 추가 학생이 있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The Hybrid Curriculum class reduction of the preclerkship phase from 2 to 1.5 years was largely accomplished by moving an existing required research experience to the postclerkship phase, and altering break periods. Only minimal changes in content and length of the foundational science blocks were required, such that faculty efforts could focus on the significant revision planned for the subsequent Curriculum 2.0. However, any change can generate anxiety among students regarding preparation for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Step 1. Additionally, the Hybrid Curriculum class bore the brunt of the transition to moving core clerkships to year 2, with most of their rotations involving the presence of extra students from other classes.


종단 코스는 임상 로테이션과 병행하여 작용한다.

Longitudinal course work in parallel with clinical rotations.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클래스와 함께 몇 가지 종단 커리큘럼 요소가 도입되었다. 보건 시스템 과학, 연구와 탐구, 그리고 의학 인문학과 윤리학은 교과과정의 모든 단계에 걸쳐 운영되도록 설계되었다.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학생들은 주제가 재방문됨에 따라 재빨리 중복성을 지적했다. 또한, 임상실습 단계와 이후 단계에서, 이러한 종단적 활동과 임상적 로테이션에 대한 학생 역할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 사이에 상당한 sense of competition이 있었다. 

Several longitudinal curricular elements were introduced with the Hybrid Curriculum class. Courses in health systems science; research and inquiry; and medical humanities and ethics were designed to run throughout all phases of the curriculum. The Hybrid Curriculum students quickly noted redundancy as topics were revisited. Additionally, in the clerkship phase and beyond, there was a significant sense of competition between these longitudinal activities anda traditional view of student roles on clinical rotations. 


당면 과제 해결.

Addressing the challenges.


학생들이 하이브리드 커리큘럼을 경험하면서 제기한 대부분의 우려는 실제로 개발팀(학생 포함)에 의해 설계 단계에서 잠재적인 이슈로 확인되었다. 진행 결정은 그러한 변화에 대한 교육적 근거에 기초하여, 숙고하여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생들의 실제lived 경험은 이러한 모든 개입에 걸쳐 누적되었다. 이는 행정부가 충분히 예상하지 못한 불안감이 만연하는 결과를 낳았다. VUSM의 학생들 사이에서 칭찬할 만한 전통은 거의 개인 멘토링의 과정이다;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학생들 사이에서 어떤 불안감이 있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클래스는 부담의 상당 부분을 인식했지만, 진정한 커리큘럼 2.0 코호트가 궁극적으로 경험하게 될 누적적 이득에 대해서는 잘 인식하지 못했다.

The majority of concerns that students raised during their Hybrid Curriculum experiences had actually been identified as potential issues during the design phase by development teams (which included students). Decisions to proceed were deliberate and based on the educational rationale for such changes. The lived experience of students, however, was cumulative across all of these interventions. This led to a pervasive sense of instability that was not adequately anticipated by the administration. A laudable tradition among students at VUSM is a process of near-peer mentoring; it became apparent that some anxiety among the Hybrid Curriculum students was on behalf of subsequent classes. The Hybrid Curriculum class perceived much of the burden, but less of the cumulative benefit, that the true Curriculum 2.0 cohort would ultimately experience.


커리큘럼 전환에서 학생 중심 5가지 고려사항

Five Student-Centric Considerations in Curricular Transition



우리는 학생 중심의 커리큘럼 변경을 실행할 때 관리할 5개의 넓은 영역을 제안한다.

we propose five broad areas to manage when implementing student-centered curriculum change.


1. Rationale를 소통하라

1. Communicate rationale


SCC가 설계한 설문 조사, 비공식 피드백 및 시청 회의를 통해, 우리는 하이브리드 커리큘럼 학생들이 파일럿 커리큘럼 2.0 요소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주로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충분한 배경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물론, 새로운 수업의 진입은 제안된 변화가 그들의 경력에서 학생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될 것인지 "왜"와 "어떻게" 전달함으로써 모든 후속 학습의 장을 마련할 분명한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새로 입학하는 학생들은 커리큘럼의 차이와 유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었다.

Through SCC-designed surveys, informal feedback, and town hall meetings, we found that the Hybrid Curriculum students’ lack of engagement with piloted Curriculum 2.0 elements largely stemmed from having insufficient background information for why these changes were taking place. Of course, the entry of a new class provides an obvious opportunity to set the stage for all subsequent learning by communicating “why” and “how” the proposed changes will benefit students in their careers. Notably, entering students had received detailed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cross curricula.


변화의 근거를 조기에 그리고 자주 다루지 않는다면, 교육자들은 커리큘럼의 시행이 성공하기 전에 학생 상당수를 "잃어버릴" 수 있다. VUSM의 관리자들은 이것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타운홀 회의를 기존 학생들에게 다가올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장소로 이용했다. 그러나 그것은 아마도 관리자들에게 힘든 싸움이 될 것이다.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의 커리큘럼이 바뀌었을 때, 루저와 동료5는 "우리는 우리가 아무리 많은 의사소통을 해도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쓰고 있다.

If the rationale for change is not addressed early and often, educators may “lose” a key student populatio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has the chance to succeed. Administrators at VUSM correctly recognized this and used town hall meetings as venues to proactively educate existing students about upcoming changes. However, it was and will probably always be an uphill battle  for administrators. When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s curriculum changed, Loeser and colleagues5 write, “we found that no matter how much communicating we did, it was not enough.”


이 결함을 확인한 후, 행정부는 후속 학년을 위한 표적형 입학전 온라인 오리엔테이션 모듈을 개발했다. 이 모듈들은 신입생을 대상으로 변화 배후의 근거를 소개하고, 첫 해에 특화된 혁신적인 학습 방식을 설명하며, 각 학생들에게 커리큘럼 2.0이 제기하는 과제와 학생들이 이러한 과제를 극복하는 데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After identifying this deficiency, administrators developed targeted online prematriculation orientation modules for subsequent incoming classes. These modules introduced incoming students to the rationale behind changes, explained innovative learning modalities featured in their first year, and prompted each student to consider the challenges that Curriculum 2.0 posed and how the student might be successful in overcoming these challenges.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78%가 이 모듈들이 기대되는 바expectation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중요한 것은, 신입생의 42%가 이 모듈들이 교육에 대한 그들의 관점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했는데, 이것은 이 간단한 개입의 범위를 보여준다. 온라인 preorientation 모듈의 사용은 커리큘럼 변경의 근거를 전달하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이다.

Surveys of students indicated that 78% found the modules helpful in understanding expectations. Importantly, 42% of incoming students reported that the modules influenced their perspectives on education, indicating the reach of this simple intervention. The use of an online preorientation module is a simple but effective method to communicate the rationale of a curriculum change.


2. 불안의 다요소성 인식

2. Acknowledge the multifactorial nature of anxiety


우리 기관의 커리큘럼 진화가 시작된 이래, 학생 피드백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변화에 수반되는 불안]이었다. 관리자가 실시한 연례 설문지는 커리큘럼 변경 전 수업과 비교하여 1학년 학생들이 스스로 보고한 "건강"의 양이 처음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Since the beginning of curricular evolution at our institution, a common theme in student feedback was the anxiety that accompanies the changes. Annual questionnaires conducted by administrators showed an initial decrease in the self-reported amount of “wellness” by first-year students compared with classes before the curricular change.


학생들과 행정가들이 도출한 결론은 변화가 불확실성을 가져오고, 이것이 불편과 불안을 유발하여 "웰니스"을 감소시킨다는 것이었다. SCC는 그 때 행정부가 다룰 수 있는 불안의 근원을 신속하게 설명하고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The conclusion drawn by students and administrators alike was that change brings uncertainty, which is uncomfortable and provokes anxiety leading to decreased perceived “wellness.” The SCC was able to quickly elucidate and articulate sources of anxiety that the administration could then address.


첫째, 학생들의 불안의 한 측면은 새로운 학습양식을 숙달하고 새로운 일work과 공부습관을 개발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양식에서 성공하는 것을 배우는 것은 시간이 걸리고, 학생에게 처음에는 당연하게도 비효율적일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의대를 시작하기 전에 이러한 새로운 교육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처음부터 학생들이 이러한 도전들에 대처하도록 더 잘 준비시킨다. 또한, 행정부는 이 적응 기간이 정상이라는 것을 학생들에게 자신 있게 안심시킬 수 있다.

First, one aspect of the students’ anxiety was related to mastering new learning moda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work and study habits. Learning to succeed in these new modalities takes time, and students will be understandably inefficient at first. As mentioned previously, introducing these novel educational concepts before starting medical school better prepares students to tackle these challenges from the start. Also, administrators can confidently reassure students that this period of adjustment is normal.


둘째, 학생들의 불안은 완성해야 할 과제의 복잡함에서 비롯되었다. 현대의학 커리큘럼의 한 가지 목표는 학생들을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자주 임상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교육자는 학습 경험을 임상 환경 내에 통합하고 계층화하려고 한다. 그러나, 커리큘럼 2.0의 과정은 의도하지 않게 임상 환경을 미세하게 관리하였다.

Second, student anxiety stemmed from the complexity of assignments needing completion. One goal of modern medical curricula is to expose students to the clinical environment as soon and as often as possible. Educators attempt to integrate and layer learning experiences within the clinical setting. However, the course in Curriculum 2.0 tasked with organizing this initial clinical experience inadvertently micromanaged the clinical environment.


예를 들어, 학생들은 자신의 임상 의무를 상황에 맞는 질문을 가지고 고도로 구조화된 온라인 형태로 기술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 받았다. 학생들이 임무와 관련된 임상 의무를 추상화하고 자유형 방식으로 반영하도록 하는 대신에 말이다. 이 엄격한 과제 설계는 학생들이 임상 진료에 참여하고 성찰하는 것보다, 학생들이 과제를 완료하는 것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했다. 게다가 이러한 책임이 누적되면 낯선 환경에서 신입 의대에 대한 인지 부하를 증가시키고, 임상 경험을 보완해주기 보다는 임상 경험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For example, students were given assignments that required describing their clinical duties in highly structured online forms with situation-specific questions, rather than allowing students to abstract their clinical duties pertinent to the assignment and reflect in a freeform manner. This regimented assignment design caused students to think more about completing the assignment than participating in and reflecting on clinical care. Moreover, this stacking of responsibilities increases the cognitive load for new medical students in an unfamiliar setting and causes the assignment to detract from, rather than supplement, the clinical experience.


셋째, USMLE 단계 시험에서 커리큘럼 변화가 학생 성적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한 우려는, 이러한 점수가 경쟁이 심한 전공의 선발에 사용될 때 가정한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해할 수 있다. 비록 궁극적으로 USMLE 1단계에서 학생들의 성적이 실제로 향상되었지만, 특히 저조한 수행자들 사이에서 그러한 위험 인식은 상당한 스트레스 요인이 되었다.

Third, anxiety about potential impacts of curricular change on student performance in the USMLE Step exams is understandable, given the significant influence these scores have assumed upon placement in competitive residencies. Although ultimately student performance on USMLE Step 1 did indeed improve, particularly among lower performers, that perceived risk was a significant stressor.


넷째, 새로운 커리큘럼은 피어멘토링의 역할을 바꾸고 전통적인 조언 채널을 교란시켰다. 이전에, 1학년 학생들은 [시간을 할당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효과적으로 공부하고, 추구할 과외와 과외 기회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2학년 학생들의 비공식적인 조언에 크게 의존했다. 새로운 커리큘럼에 대해 선제적으로 교육을 받고 가능한 한 후배들에게 조언을 구했지만, 상급생들은 커리큘럼 2.0의 구체적인 요구와 모범 사례에 대해 신뢰할만한 조언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새로운 커리큘럼의 2학년 학생들은 그들의 첫 번째 임상적 로테이션에 참여했고 광범위한 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는 스케줄의 유연성이 부족했다. 효과적인 동료의 조언이 없었기에, 후배들은 새로운 커리큘럼을 통해 고립되고 "자신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느끼면서 불안감을 조성했다.

Fourth, the novel curriculum altered peer-mentoring roles and disrupted the traditional advising channels. Previously, first-year students relied heavily on the informal advising from second-year students as to how to allot their time, maintain work–life balance, study effectively, and choose extra-and intracurricular opportunities to pursue. Although more senior students were preemptively educated about the new curriculum and sought to advise junior students as much as possible, the senior students found that they were not able to speak reliably about the specific demands and best practices of Curriculum 2.0. Additionally, second-year students in the new curriculum were engaged in their first clinical rotations and lacked the flexibility in scheduling to offer extensive mentoring. Without effective peer advising, junior students felt isolated and forced to “find their way” through a new curriculum, provoking anxiety.


많은 학생리더들의 도움으로, 또래 멘토링 감소와 관련된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해결책이 마련되었다. 한 가지 측면은 금요일 오후의 "소셜 라운지"의 개발로, 네 학급 모두가 학생 라운지에서 만나 휴식을 취하고 따라잡을 수 있었다. 또한, 주요 행정 인사들(예: 학생 학장, 보건과학 교육 수석 부학장)은 학생들이 겪고 있는 불안과 좌절에 대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추가 배출구(예: 사무실 시간, "학장과의 베이글")를 설립하였다.

With the help of the many student leaders, a multifaceted solution was organized to mitigate the anxiety associated with reduced peer-to-peer mentoring. One aspect was the development of Friday afternoon “Social Rounds” where all four classes could meet in the student lounge, relax, and catch up. Additionally, key administrative figures (e.g., dean of students, senior associate dean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established additional outlets (e.g., office hours, “Bagels with the Dean”) for students to communicate with them directly about the anxieties and frustrations they were experiencing.


3. 과외 리더십 역할 조정 및 참여 독려

3. Adjust extracurricular leadership roles and encourage participation


과외활동은 의과대학 시절 생활과 교육의 균형을 이루는 수단이다. 게다가, 레지던트 자리가 더 경쟁적이 되면서, 과외 경험은 이력서를 더 강력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되는 요소들이다. 직접 출석해야 하는 소그룹과 팀 기반 학습 방식이 커리큘럼 2.0 일정을 지배하면서 학생들은 요구되는 학업 부하에 맞춰 과외 활동을 할 수 있는 유연성이 떨어졌다. 스케줄 유연성의 감소는 중학생들에게 인식된 학업 부하의 증가로 해석된다. 이것은 학생들이 과외활동을 배제하기 위해 학업에만 집중하거나 선택하도록 강요당함에 따라 후배들의 과외활동 참여가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a means of achieving balance in life and education during medical school. Furthermore, as residency positions become more competitive, extracurricular experiences are an expected component of a strong resume. As small-group and team-based-learning modalities requiring in-person attendance dominated the Curriculum 2.0 schedule, students had less flexibility to fi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ound their required academic load. A decrease in schedule flexibility translated into a perceived increase in academic load for junior students. Together, this resulted in decreased engagement of junior student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students either chose or were compelled to focus on academic studies to the exclusion of extracurricular pursuits. 


VUSM의 학생이 운영하는 클리닉에서 한 가지 주요 사례가 발생했다. 이 클리닉은 학생들에게 형태 형성적 경험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보험이 없거나 보험이 부족한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건강 관리도 제공한다.

One major example occurred at VUSM’s student-run clinic. The clinic provides not only a formative experience for students but also essential health care for uninsured or underinsured patients in our community.


커리큘럼 2.0의 첫 해(2013~2014년) 동안, 학생들이 이 클리닉에 참여할 시간이 부족하다고 인식함에 따라, 중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수가 줄어들었다. 그 후, 2학년 때의 병동에서는, 학생들이 임상 의무 때문에 중요한 과외 활동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다. 3학년이 되었을 때, 그 클리닉에서 중요한 경험을 한 학생은 거의 없었고, 리더쉽 역할에 지원한 학생은 거의 없었다.

During the first year of Curriculum 2.0 (AY 2013–2014), the number of junior student volunteers waned as students perceived inadequate time to participate in the clinic. Then, on the wards in their second year, students were not expected to hold significant extracurricular roles because of clinical obligations. When third year came, few students had significant experience at the clinic, and few applied for leadership roles.


우리는 과외(동아리) 조직의 리더쉽이 주로 2학년이나 3학년 학생들에게 할당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그 중 어느 누구도 주로 그들의 기관에서 병동에 있는 그들의 초기 핵심 사무소에 종사하지 않는다. 이 학생들은 학교 문화에서 충분히 경험이 있으면서, 초기 임상 경험에 부담이 아직 없는 상태고, oncoming residency의 요구에 사로잡혀 있거나 정신이 팔리지 않는다. 행정적인 측면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과외 활동에 노출될 수 있도록 의과대학 초기에 과외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We recommend that leadership of extracurricular organizations be predominantly allocated to second-or third-year students—whichever is not primarily occupied with their initial core clerkships on the wards at their respective institution. Those students are sufficiently experienced in the school’s culture, are not burdened with their initial clinical experience, and are not occupied or distracted by the demands of an oncoming residency. On the administrative sid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and have the flexibility built into their schedules to participat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early in medical school to gain exposure to a variety of extracurricular pursuits.


4. "The Bulge" 관리

4. Manage “The Bulge”


새로운 커리큘럼에서 전임상 단계가 짧아짐에 따라, 더 많은 비율의 학생들이 [다양한 목표, 능력 및 경험을 가진 학습자들이 함께 배치받는] 임상 환경에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적절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임상 팀에 부담이 된다면 학습자의 유입이 해로울 수 있다. 비록 이 커리큘럼 변화의 측면이 사전에 인식되었지만, 학생들은 [병동에 학습자가 갑자기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구어체 "The Bulge"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와 해결책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이었다.

As new curricula move to a shorter preclerkship phase, a greater portion of the student body will be in the clinical environment, which places learners with varying objectives, abilities, and experience together. Furthermore, the influx of learners can be detrimental if providing adequate learning opportunities is a strain on the clinical team. Although this facet of the curricular change was recognized beforehand, students were essential in providing feedback on specific issues and solutions for “The Bulge,” the colloquial term for a sudden increase in learners on the wards.


"The Bulge"에 대한 해결책은 두 가지 형태를 띤다. 한 가지 해결책은 학생들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다시 생각해보고 활용도가 낮은 임상 팀을 고용하는 것이다. 행정부는 이전에 미개척된 임상 팀과 학생들을 유치할 수 있는 자원을 사전에 파악했다. 학생들은 학과장이 학생들을 가장 잘 배포할 수 있도록 임상 팀에 대한 자신의 경험에 기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노력을 보충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우리의 외과 이식 서비스가 학습 기회를 희생하지 않고 더 많은 학생 부담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했고, 반면에 우리의 "위장관(GI)-라파로스코픽" 수술 서비스는 더 적은 수의 학생으로 더 나은 경험을 제공했다.

Solutions to “The Bulge” take two forms. One solution is to rethink where students are placed and employ underused clinical teams. The administration proactively identified previously untapped clinical teams and resources that could host students. Students supplemented this effort by providing feedback based on their personal experience on clinical teams such that course directors could best distribute students. For example, students identified our surgical transplant service as being able to accommodate a greater student load without sacrificing learning opportunities, while our “GI (gastrointestinal)–laparoscopic” surgical service afforded a better experience with fewer students.


두 번째 해결책은 피어멘토십을 위한 기회를 수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코스 책임자들은 학년별로 분리하는 것보다 다른 학년 학생을 함께 배치하는 것에 대해 심사숙고한다. 교수와 레지던트에게 있어서, 수십 년 동안 3학년과 4학년 학생들이 함께 임상 공간을 공유해 왔기 때문에, 한 번의 서비스에 대해 서로 다른 수준의 학습자들을 가지는 것에 익숙하다. 커리큘럼 2.0은 특정 학생 중심 주제를 대상으로 하는 보다 다양하고 미묘한 과정 카탈로그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임상 팀과 학습 우선순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A second solution is to embrace the opportunity for peer mentorship such that course directors are deliberate about placing senior and junior students together rather than segregating the class years. Faculty and residents are familiar with having learners of different levels on a single service, since third-and fourth-year students have shared the clinical space for decades. Curriculum 2.0 involves a more diverse and nuanced course catalog that targets specific student-driven topics; this necessitates faculty development and empowerment of students to clarify learning priorities with their clinical teams


5. 학생과 관리자 간의 지속적인 협업 촉진

5. Foster ongoing collaboration between students and administrators


새로운 커리큘럼으로의 전환은 초기 큰 변화 이후 많은 작은 조정이 있는 긴 과정이며, 각각의 후속 조정은 학생들에게 중요하다. 반드시 작은 변화가 필요하겠지만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학생들의 자신감을 잠식할 수 있다. SCC 또는 유사한 학생 리더 그룹에 의존하여 향후의 변경 사항과 이를 학생 단체에 제시하는 방법에 대해 토론하는 것은 커리큘럼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모든 수준의 커리큘럼 검토에 학생 대표가 참여하는 것은 커리큘럼 구현의 학생 소유권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transition to a new curriculum is a lengthy process with many small adjustments following the initial major change, and each subsequent adjustment is significant to students. Invariably, small changes will be necessary but can erode student confidence if not communicated well. Relying on an SCC or similar group of student leaders to discuss upcoming changes and how to present them to the student body is imperative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Furthermore, the involvement of student representatives at all levels of curricular review allows for increased student ownership of the curricular implementation.


우리 기관에서, 관리자는 학생 대표가 교직원들과 만나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학습자의 경험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항목을 토론하는 "급속 주기" 피드백 세션(매 2~3주)의 필요성을 기대했다.

At our institution, administrators anticipated the need for “rapid-cycle” feedback sessions (every two to three weeks) where student representatives meet with faculty leaders to discuss any issues with which students were struggling or actionable items that could rapidly improve the learner experience.


또한 이러한 급속한 회의를 통해 교직원들은 다가올 변화를 알릴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사항을 학생들에게 전달한 것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급속 주기 피드백 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학생들이 로테이션 동안 과제가 학생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할 수 있게 했다. 우리는 학생들의 임상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그 가치와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 공개 전에 과제assignment를 조정할 수 있었다. 학생과 교직원 사이에 정기적인 스탠딩 급속 주기 피드백 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신뢰와 협업의식을 가져오고, 이는 원활한 커리큘럼 전환의 중요한 요소다.

These rapid-cycle meetings also allow faculty to present upcoming changes and receive feedback from the students on messaging these changes. Standing rapid-cycle feedback meetings allowed for students to voice concerns regarding the impact of the assignment on the student experience during the rotation. We were able to make adjustments to the assignment before its release to maintain its value and objectives without negatively impacting the students’ clinical experience. Holding regular standing rapid-cycle feedback meeting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leads to a sense of trust and collaboration—an important component of smooth curricular transition.


고찰

Discussion


버니어와 동료들이 발표한 8개의 "두 개의 의과대학에서 과목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애요인과 과정"에 대한 6개의 리스트에는 새로운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에 의해 만들어진 도전은 하나도 포함되지 않았다.

Bernier and colleagues’6 list of eight “Barriers Encountered and Processes Used to Overcome Them at Two Medical Schools” does not include a single challenge created by student receptiveness to the new curriculum,


버니어와 동료의 장벽 목록과 우리 자신의 장벽 목록의 차이는 Kotter가 원래 제시한 변경 관리 이론의 최근 진화를 반영한다.13 대표업적의 2014년 업데이트에서 kotter는 다음을 강조했다.

(1) 변화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 

(2) 폭넓은 참가자 기반에서 "buy-in"을 모집한다. 

(3) 전통적인 위계의 내부 및 외부에서의 유연한 기능 

(4) 끊임없이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활용한다.13

The difference between Bernier and colleagues’ list of barriers and our own reflects recent evolutions in change-management theory originally put forth by Kotter.13 In the 2014 update to his seminal work, Kotter emphasizes 

(1) continuous feedback to the change-management process, 

(2) recruiting “buy-in” from a broad participant base, 

(3) functioning flexibly within and outside of a traditional hierarchy, and 

(4) constantly seeking out and capitalizing on new opportunities.13


kotter에 따르면, 21세기에 학생 중심의 커리큘럼을 바꾸는 것에 관심이 있는 행정부는 [현재의 학생들로부터 퍼진 정보와 같은] 실시간 정보와 기회를 반복적이고 창의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보다 포괄적인 변화 관리팀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우리는 학생 중심의 커리큘럼 변경을 고려하는 모든 행정부에 대해 학생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challenge가 발생한다면 역동적으로 대응하도록 조언한다.

According to Kotter, an administration interested in making student-centered curriculum changes in the 21st century would benefit from a more inclusive change-management team looking to iteratively and creatively capitalize on real-time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such as those that percolate up from current students. Therefore, we are emboldened to advise any administrations considering student-centered curriculum change to utilize their student body’s full potential and dynamically respond to challenges as they arise.


결론

Conclusion


대규모의 학생 중심의 커리큘럼 변경에 대한 우리의 경험은 학생들 스스로가 이러한 전환을 돕는 생산적인 자원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Our experience of large-scale, student-centered curriculum change demonstrated that students themselves were a productive resource for aiding this transition.








 2017 Apr;92(4):455-461. doi: 10.1097/ACM.0000000000001569.

Medical Students' Perspectives on Implementing Curriculum Change at One Institution.

Author information

1
A.M. Yengo-Kahn is a first-year resident physician,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 Nashville, Tennessee. C.E. Baker is a fourth-year medical studen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ennessee. K.D. Lomis is associate dean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ashville, Tennessee.

Abstract

Training physicians to be effective practitioners throughout their careers begin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ith particular focus on self-directed inquiry, professional and inter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mpetency-based assessment. A select number of medical schools are restructuring their curricula by placing the student at the center of content delivery to enhance the learning experience. While this restructuring may benefit the adult learner, administrators often make assumptions about how students will perceive and respond to such innovative and unfamiliar educational concepts. This can create a disconnect between students and their curriculum. Administrative mindfulness of student experiences is needed to ensur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urricular change, facilitate the transition from old to new modalities, and train competent physician graduates.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VUSM) recently completed a curriculum update, and student representatives have been essential participants in the transition, from the earliest stages in preplanning to rapid-cycle feedback as the curriculum runs. Two of the authors are members of VUSM's Student Curriculum Committee, which facilitates gathering and relaying student feedback to the administration. Drawing from their experiences, five specific considerations to address and manage when implementing student-centered curricular change are presented: (1) Communicate the rationale, (2) acknowledge anxiety, (3) adjust extracurricular leadership roles, (4) manage "The Bulge" of learner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nd (5) foster ongoing collaboration of students and administrators. For each consideration, examples and proposed solutions are provided.

PMID:
 
28099177
 
DOI:
 
10.1097/ACM.0000000000001569


학부의학교육에서 교육시간 감소는 학습성과와 과목평가에 영향이 미미하다(Med Teach, 2019)

Minimal effects of reduced teaching hours o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course evaluations

Derek L. Choi-Lundberga , Hayder A. Al-Aubaidya,b , John R. Burgessa, Christine A. Clifforda , William A. Cuellara , Judi A. Erreya, Amanda J. Harperc , Roslyn C. Malleya , Renee M. Rossa , Anne-Marie M. Williamsa,d and Richard Haysa



도입

Introduction


많은 의과대학들은 여러 방향에서 오는 경쟁적인 압박과 함께 그들의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Many medical schools are striving to improve their programs, with competing pressures from several directions. 


첫째, 학생과 대학은 학습, 과외, 직장, 가족, 사회 및 여가 활동(Brint and Cantwell 2010, Hall 2010, Burston 2017, Ask and Abidin 2018)의 균형을 더 잘 맞추고, 자기 관리를 통해 건강과 웰빙를 돌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기 위해 학습의 유연성을 높이고 싶어한다(Warnecke et al. 2011; Slavin et). al. 2014; Ask and Abidin 2018). 

First, students and universities are seeking greater flexibility in learning to allow a better balance of study, extra-curricular, work, family,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Brint and Cantwell 2010; Hall 2010; Burston 2017; Ask and Abidin 2018) and to provide time for self-care to look after health and well-being (Warnecke et al. 2011; Slavin et al. 2014; Ask and Abidin 2018). 


둘째, 온라인 리소스 가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 자원과 활동에 대한 학생 선호도는 달라진다(Wanner and Palmer 2015, ChoiLundberg et al. 2016, Rickes 2016, Henderson et al. 2017). 

Second, student preferences for learning resources and activities vary as online resource availability increases (Wanner and Palmer 2015; ChoiLundberg et al. 2016; Rickes 2016; Henderson et al. 2017). 


셋째, 대학들은 더 강력한 연구 성과(파커 2013)를 통해 평판을 높이는 한편, 학생 수를 늘리고(소득을 증가), 직원 수를 줄임으로써(비용 절감) 운영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Third, universities are seeking operating efficiencies by increasing student numbers (raising income) and decreasing staff (lowering costs), while enhancing reputations through stronger research outcomes (Parker 2013).



넷째, 규제 기관과 고용주들은 전문적 역할, 고용 가능성 및 작업 준비 상태에 대한 현대의 관점을 바탕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Frenk 등, 2010; 호주의료위원회 2012; 머독-이튼과 휘틀 2012; 잭슨 2016; Merga 2016; Rowe and Zegwaard 2017). 

Fourth, regulators and employers are seeking changes based on contemporary views on professional roles, employability and work readiness (Frenk et al. 2010; Australian Medical Council 2012; Murdoch-Eaton and Whittle 2012; Jackson 2016; Merga 2016; Rowe and Zegwaard 2017). 


다섯째, 최근 제안된 학부 의료 커리큘럼 변화는 다음이 있다.

  • 상 전 커리큘럼 단축, 

  • 기초, 임상 및 사회 과학과 임상 경험을 통합하고, 

  • 기반의 환자 중심 양질의 헬스케어, 인구 건강, 전문직 정체성 형성, 협업 및 자기주도적 학습과 탐구에 보다 중점을 두는 것. (윌커슨 등 2009; Irby 등, 2010; Fischel 외, 2018). 

Fifth, recent and proposed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ar changes include 

  • shortening the preclinical curriculum; 

  • integrating basic, clinical and social sciences with clinical experience; and 

  • placing a greater focus on team-based patient-centered quality health care, population health,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collabor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inquiry (Wilkerson et al. 2009; Irby et al. 2010; Fischel et al. 2018). 


여섯째, 과학지식의 기하급수적인 성장(Bornmann과 Mutz 2015)은 모든 것을 가르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학생들은 정보를 찾고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 평생 학습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Murdoch-Eaton and Whittle 2012).

Sixth, the exponential growth of scientific knowledge (Bornmann and Mutz 2015) means it is impossible to teach everything, so students must develop lifelong learning skills including finding and critically evaluating information (Murdoch-Eaton and Whittle 2012).


한편, 교직원들은 상충하는 커리큘럼 요구에 반사적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 강의와 워크숍을 추가하는 것은 지식, 기술 또는 태도 등 새로운 콘텐츠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삭제하는 것보다 쉽다(Densen 2011, Lomis et al. 2017, Doukas and Volpe 2018, Gonzalo et al. 2018). 이것은 학생들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시간을 줄이고 교직 업무량을 증가시키는 과밀 프로그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면 강의 시간을 줄이면 연구 및 기타 학술 활동을 위한 직원 시간을 자유롭게 하는 동시에, 학생들의 수업 시간 단축과 자기 주도 학습 기회 증대를 위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보이어 1990). 따라서, 학업과 학생 모두를 관리하는 업무량은 교육과정 개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Meanwhile, teaching staff often respond to competing curricular demands in a reflexive way. Adding lectures and workshops is easier than removing them to make space for new content, whether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 (Densen 2011; Lomis et al. 2017; Doukas and Volpe 2018; Gonzalo et al. 2018). This may result in overcrowded programs with less time for self-directed learning for students and increased teaching workloads for staff. In contrast, reducing face-to-face teaching hours can liberate staff time for research and other academic activities (Boyer 1990) while satisfying student demands for less classroom time and more opportunity for self-directed learning. Hence, workloads managing both academic and student is an essential part of curriculum revision.


교육의 핵심 입력사항인 교육 시간이 증가하면 학습이 증가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는 초등 및 중등 교육에서 나타나며, 학교 수업 시간과 작업 시간의 증가는 학생들의 성취도를 향상시킨다(Carroll 1989). 마찬가지로, 여러 다른 대학 과정(예: 교사 교육, 생물학 및 공학)에 걸쳐 예정된 강의 수와 실습은 더 많은 연구 단위를 통과하는 학생들과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강의와 실습의 출석은 점수 평균 및 학급 성적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Cred e et al. 20).10; Torenbeek 등 2013). 

It may seem reasonable to assume that increased instructional time, a key input in education (Duncheon and Tierney 2013), would increase learning. This appears tru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ing, where increasing schooling time and time-on-task improves student achievement (Carroll 1989). Similarly, across several different university courses (e.g. teacher education, biology and engineering), the number of scheduled lectures and practical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s passing more units of study, and attendance at lectures and practicals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grade point average and class grades (Cred e et al. 2010; Torenbeek et al. 2013). 


그러나, 정규 교육의 양과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에 몰두하는 시간 사이에는, 시간을 희소하고 고정된 자원으로 보는 시간 사이에 tradeoff가 있을 수 있다(둔천과 티어니 2013). 의료, 엔지니어링 및 기타 까다로운 프로그램의 보고에 따르면, 교육 시간이 증가하면 처음에는 자율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과도한 교육 시간(때로는 주당 20시간 이상으로 정의됨)은 자율 학습에 쓰일 시간을 감소시킨다 (Gizelaers 및 Schmidt 1995에서 논의됨; Kember). 등. 1996; Torenbeek 등 2013). 

However, there may be a tradeoff between the quantity of formal teaching and the time students devote to self-directed learning, viewing time as a scarce, fixed resource (Duncheon and Tierney 2013). Reports from medical, engineering and other demanding programs show that although increasing instruction time leads initially to more time spent on selfstudy, excessive instruction time (sometimes defined as more than 20 hours per week) reduces time spent on selfstudy (studies by Vos and colleagues, discussed in Gijselaers and Schmidt 1995; Kember et al. 1996; Torenbeek et al. 2013). 


네덜란드의 8개 의과대학을 모두 비교했을 때, 주당 더 많은 강의가 있는 프로그램은 자기 학습 시간을 줄이고, 졸업률을 낮추며, 졸업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슈미트 외 2010). 또한 높은 수업 시간이 학생들이 과중한 업무량을 인식하게 하여 심층 학습을 저해하고 표면 학습 접근법을 장려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Kember 2004). 

Comparing all eight medical schools in the Netherlands, programs with more lectures per week were associated with less self-study time, lower graduation rates, and more years taken to graduate (Schmidt et al. 2010). There are also concerns that high teaching hours cause students to perceive a heavy workload, which may discourage deep learning and encourage surface learning approaches (Kember 2004). 


따라서, 학습자가 새로운 지식을 반영하고 통합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전달된 내용을 줄이자는 요구가 최근 수십 년 동안 되풀이되었다(Newble and Entwistle 1986; Kember and Leung 1998; Baeten et al. 2010). 예를 들어, 불필요한 세부사항을 제거하여 교수 시간을 10% 단축하되, 동시에 선택적 프로그램, 학습 공동체 및 주의력 경험을 도입하면, 국가면허시험에서 학문적 학습 성과를 유지하면서 임상 전 의대생들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을 완화한다(Slavin 등).. 2014).

Hence, calls have echoed through recent decades to reduce delivered content to allow more time for learners to reflect and integrate new knowledge (Newble and Entwistle 1986; Kember and Leung 1998; Baeten et al. 2010). For example, reducing teaching hours by 10% through eliminating unnecessary detail, but simultaneously introducing elective programs, learning communities and mindfulness experiences, lowere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preclinical medical students while maintaining academic learning outcomes at a national licensure examination (Slavin et al. 2014).


방법

Methods


연구 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교수 학습 맥락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UTAS의 5년제 대학생 MBBS 프로그램은 코호트당 약 120명의 학생이 있으며, 그들 대부분은 12년제에 직접 입학한 후 다른 학부 과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마친 후에 입학한다.

The 5-year undergraduate MBBS program at UTAS has approximately 120 students per cohort, most of whom after some enter directly completing year 12, although enter after completing part or all of another undergraduate university course.


커리큘럼의 추가 세부사항은 보충 부록 1에 수록되어 있다.

Further details of the curriculum are provided in Supplementary Appendix 1.


교육시간을 줄이기 전 시간

Teaching hours before and after reductions


교육과정에 적용된 축소의 특징

Characterization of reductions made to curriculum


총괄평가로 측정한 학습성과

Students’ learning outcomes as measured on summative assessments


평가 과제에 대한 설명은 unit outlines에서 얻었으며, 수업 시간 단축 전후에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요약은 보충 부록 2에 수록되어 있다.

Descriptions of assessment tasks were obtained from unit outlines and remained the same before and after teaching hour reductions; a summary is provided in Supplementary Appendix 2.


MBBS 코스에서 학생 피드백

Student feedback on units of the MBBS course


학생 피드백은 UTAS의 교육과정 및 품질, 학부의 평가 팀이 유닛 코디네이터에게 제공한 eVALUate 유닛 보고서에서 얻어졌다.

Student feedback was obtained from eVALUate unit reports provided to unit coordinators by the Survey Team from Curriculum & Quality, Academic Division at UTAS.


eVALUate 기구(Oliver et al. 2008)는 4점 리커트 척도의 11개 선택된 응답 항목(표 4)을 통해 학습 환경의 다양한 측면과 학습 단위 참여 및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구한다. 11⁄4ly discons(SD), 21⁄4disagree (D), 31⁄4agree (A) 및 41⁄4강력하게 동의; '판단할 수 없음'(UJ)도 대응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Oliver et al. 2008). eVALUate 기기에는 '이 기기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측면은 무엇인가?'와 '이 단위가 어떻게 개선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두 가지 개방형 응답 질문도 있다(Oliver et al. 2008).

The eVALUate instrument (Oliver et al. 2008) seeks students’ opinions on the extent to which various asp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contribute to achieving learning outcomes, their engagement in the unit of study and overall satisfaction through 11 selected-response items (Table 4) with four-point Likert scales: 1¼strongly disagree(SD), 2¼disagree (D), 3¼agree (A) and 4¼strongly agree(SA); ‘Unable to judge’ (UJ) is also available as a response option (Oliver et al. 2008). The eVALUate instrument also has two open-response questions: ‘What are the most helpful aspects of this unit?’ and ‘How do you think this unit might be improved?’ (Oliver et al. 2008).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es


문헌 분석

Document analysis


eVALUate에 대한 개방형 응답 항목의 학생 피드백 정성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feedback from open-response items on eVALUate


결과

Results


교육시간 축소

Reductions in teaching hours


Y1(89시간), Y2(63시간), Y3(46시간)에 걸쳐 14%(198시간)의 수업시간을 단축했다(그림 1과 표 1). 강의 시간이 19%(153시간) 감소했으며 Y1(81시간)과 Y2(60시간)가 Y3(13시간)에 비해 크게 줄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학습 활동은 7%(45시간) 감소했고, Y1(8시간)과 Y2(4시간) 감소는 적었지만, 상대적으로 Y3(33시간) 감소는 컸다. 본문에 표시된 숫자는 반올림으로 인해 표 1에 제시된 데이터와 1시간 차이가 날 수 있다. 표 2는 커리큘럼의 각 주요 영역에 대한 수업 시간 단축을 요약한 것이다. 보충 부록 3은 추가적인 서술적 세부사항을 제공한다. 

A reduction in teaching hours of 14% (198hours) was achieved (Figure 1 and Table 1) across Y1 (89hours), Y2 (63 hours), and Y3 (46hours). Lecture hours were reduced by 19% (153hours), with greater reductions in Y1 (81 hours) and Y2 (60hours) compared with Y3 (13 hours). In contrast, other learning activities were reduced by 7% (45 hours), with small reductions in Y1 (8 hours) and Y2 (4hours), but comparatively large reductions in Y3 (33hours). Numbers presented in the text may differ by one hour from data presented in Table 1 due to rounding. Table 2 summarizes teaching-hour reductions in each major area of the curriculum. Supplementary Appendix 3 provides additional descriptive details. 





총괄평가 점수와 Progression 속도

Summative assessment scores and progression rates


학년을 이수하지 못한 학생 비율(drew, 또는 최종 시험을 치르지 않은 학생 비율)은 물론, 한 해를 이수했지만 실패한 학생의 비율도 수업 시간 단축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 한 해를 수료한 학생(합격 또는 불합격) 중 전체 종합평가 점수는 수업시간 단축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표 3). 

The percentage of students not completing the academic year (withdrew or did not sit final examinations), as well as the percentage of students that completed the year but failed, did not differ before and after teaching-hour reductions. Of those students who completed the year (whether pass or fail), the overall summative assessment scores did not differ before and after teaching-hour reductions(Table 3). 



학생 의견: eVALUate 설문지 리커트 규모 질문 

Student opinions: eVALUate questionnaire Likert-scale questions 


eVALUate의 11개 리커트 척도 항목은 신뢰성이 좋았고, 크론바흐의 알파값은 0.86(N = 909 사용 가능 응답; N1⁄4184 응답은 적어도 하나의 '판단 불가' 또는 누락된 응답으로 인해 제외되었다. 각 항목은 다른 항목과 지나치게 유사하지 않았으며, 항목 간 상관관계는 r = 0.142 ~ 0.683 사이, 평균 0.375이다. 각 항목은 r = 0.408 - 0.711 범위의 설문지의 나머지 부분(다른 10개 항목의 합계)과 중간에서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평균 0.566. 

The eleven Likert-scale items of eVALUate had good reliability, with Cronbach’s alpha of 0.86 (N = 909 usable responses; N¼184 responses were excluded due to at least one ‘unable to judge’ or missing response). Each item was not overly similar to other items, with weak to strong inter-item correlations ranging from r = 0.142 to 0.683, mean 0.375. Each item had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 with the remainder of the questionnaire (sum of the other 10 items), ranging from r = 0.408 to 0.711, mean 0.566. 


eVALUate 11개 항목과 개별 항목 11개 항목 중 9개 항목의 평균은 수업 시간 단축 후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표 4). 

The average across all 11 eVALUate items and 9 of the 11 individual item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fore vs after teaching-hour reductions (Table 4). 




본 코스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eVALUate 설문지 공개 응답 항목의 정성적 분석

Students’ evaluation of the course: Qualitative analysis of eVALUate questionnaire open response items


감소 전과 감소 후 '가장 도움이 되는' 질문과 '개선하는 방법' 질문에 대한 응답 비율에 변화가 없었다(v21⁄40.06, p1⁄40.81): 6개 단위에 걸친 수업시간 단축에 앞서 2년 동안 총 702건의 코멘트가 있었는데, 이는 각각 342건(48.7%), 360건(51.3%)이었다.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percentages of responses to the ‘most helpful’ and ‘how to improve’ questions before vs after the reductions (v2¼0.06, p¼0.81): In the two years prior to teaching-hour reductions across six units, there were a total of 702 comments, 342 (48.7%) and 360 (51.3%) to the two questions, respectively.


너무 많은 내용 또는 과도한 수업 시간을 나타내는 코멘트 수가 40개(5.7%)에서 이후 23개(3.9%)로 크게 감소했다.

There was a non-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comments indicating too much content or excessive teaching hours, from 40 (5.7%) comments before reductions to 23 (3.9%) comments afterwards


감원 후, 

    • 일부 학생들은 'contact hour 시간을 줄이면 지식을 통합하고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아진다'(Y1S2 이후), 더 많은 교육 시간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느끼는 반면, 

    • 다른 학생들은 'contact hour 시간을 늘리면 더 많은 자료의 양이 더 많은 것이 연결성을 더 좋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더 나은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재료 시멘트가 더 좋다.' (Y1S2 후)

Some students, after the reductions, appreciated having less teaching time: ‘Less contact hours … meant we had more time to consolidate knowledge and write up notes’ (Y1S2 after), while others felt more teaching time would assist learning: ‘More contact hours, while increasing the amount of material, may help give better connections and hence make material cement better’ (Y1S2 after).


추가 자습서 및/또는 실습실을 요청하는 의견이 이전 47개(6.7%)에서 감소 후 72개(12.3%)로 크게 증가했다(v21⁄411.98, p1⁄40.001). 예를 들어, '나는 개인 학습 시간을 갖는 것에 대해 기꺼이 튜토리얼에 참석하고 싶다. 그들이 각 강의의 방대한 양을 보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Y1S1 이후) 단 4개의 의견(<1%>)만이 감소 전후에 더 적은 수의 자습서 및/또는 실제 실험실을 요청했다.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ments requesting more tutorials and/or practical laboratories, from 47 (6.7%) before to 72 (12.3%) after the reductions (v2¼11.98, p¼0.001). For example, ‘I would happily attend tutorials over having private study time as they provide more guided teaching/learning, which I think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vast quantity delivered each lecture’ (Y1S1 after). Only 4 comments (<1%) requested fewer tutorials and/or practical laboratories both before and after the reductions. 


강의 추가 요청 건수가 13건(1.9%)에서 감소 전후 21건(3.6%)으로 증가하였지만 유의미하지는 않았다(v21⁄43.75, p1⁄40.053). 강의 수를 줄여달라는 코멘트는 전과 후에 비슷해서, 강의가 줄어든 후 27개(v21⁄41.24, p1⁄40.27)는 줄어들기 전에는 30개(5.1%)를 요구하였다. 예를 들어 '이번 학기에 너무 많은 강의가 예정되어 있다'(Y3S2 이전).

There was a non-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ments requesting more lectures, from 13 (1.9%) to 21 (3.6%) comments before and after the reductions, respectively (v2¼3.75, p¼0.053), e.g. ‘I would have liked more lectures … to cover content completely’ (Y1S2 after). A similar number of comments requested fewer lectures, 27 (3.8%) before and 30 (5.1%) after the reductions (v2¼1.24, p¼0.27), e.g. ‘There are WAY too many lectures scheduled this semester’ (Y3S2 before).


8개의 논평은 특히 수업 시간의 감소를 높이 평가했는데, 주로 자기 주도적인 연구를 위한 더 많은 시간을 가능하게 한 것에 대해: 'contact hour 시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독립적인 학습에서 더 많이 배울 수 있었다' (Y2S1 이후). 이와는 대조적으로, 6개의 논평은 '시간은 현저하게 줄어들었지만 그 시간 내에 때로는 동일한(또는 매우 유사한) 양의 콘텐츠를 전달하려고 시도한 것처럼 느꼈다'(이후 Y1S2).

Eight comments specifically praised the reduction in teaching hours, mostly for enabling more time for selfdirected study: ‘It has been great since the contact hours have been reduced, learn much more when doing independent study’ (Y2S1 after). In contrast, six comments criticized the reduction, for example, ‘At times I felt as though the same (or very similar) amount of content was attempted to be delivered in a significantly reduced amount of time’ (Y1S2 after).



고찰

Discussion


이 사례 연구는 학부 의과정의 사전임상 커리큘럼에서 비핵심 및 반복적인 내용을 제거함으로써 교육 시간을 약 200시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커리큘럼 적용범위, 향상 속도, 평가 결과 및 교육 환경과 그들의 참여의 많은 측면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들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게다가, 수업 시간의 감소, 특히 강의 시간의 19% 감소는 일반적으로 학생들에게 부담을 줄여주는 것으로 보였으며, 더 많은 학생들이 학습 성과를 달성하는 데 업무량이 적절하다는 데 동의하였다

This case study 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instructional time by approximately 200hours (14%) through eliminating non-core and repetitious content in the preclinical curriculum of an undergraduate medical course without significantly impacting on curriculum coverage, progression rates, assessment outcomes, and student opinions of many aspec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ir engagement. Furthermore, teaching-hour reductions, particularly the 19% reduction in lecture hours, were generally seen as less burdensome by students, with more students agreeing that the workload was appropriate to achieving learning outcomes. 


이 연구결과는 세인트루이스 의과대학의 보고서와 일치하는데, 이 보고서에서는 불필요한 세부사항이 커리큘럼에서 삭제되어 대략 10%의 시간 단축이 가능했다. 이 때 학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이니셔티브의 도입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학생의 웰빙이 개선되고, USMLE 결과로 볼 때 학습 성과는 유지되었다(Slavin et al. 2014).

These findings align with a report from Saint Lou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which unnecessary detail was eliminated from the curriculum, enabling an approximately 10% contact-hour reduction, along with introduction of other initiatives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resulting in improved student wellness and maintenance of academic learning outcomes assessed through the pre-clinical step of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lavin et al. 2014). 


이러한 결과는 모든 참가자들에게 reassuring하여야 한다. 교직원의 경우, 학생 학습이나 학습 경험의 인지된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교직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학생들의 경우, 만약 그들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나 동료들과 함께 공부하는데 시간을 소비한다면, 추가 강의는 거의 추가되지 않는다. 시간 단축은 (단기적으로 강의를 줄이기 위한 설계와 도입에 필요한 추가작업이 종료되면) 궁극적으로는 교수들이 연구, 관리, 서비스 및 지역사회 참여 활동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감축을 준비하는 해와 감축한 첫 해에는 학사 직원의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커리큘럼 변경에 대한 토론 및 결정, 의사 결정 문서화, 시간표 작성, 평가 청사진 작성, 실험실 실습 및 자습서에 대한 강의 및 학생 노트 재작성 등을 포함한 변경사항 이행 등이 과제였다.

These results should be reassuring for all participants. For staff, teaching loads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student learning or perceived quality of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additional lectures add little if they consume time that may otherwise be invested in self-directed learning or studying with peers. Teaching-hour reductions eventually allowed for increased time for staff to invest in research, administration, service, and community engagement activities after the additional workload associated with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reductions was completed.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orkload for academic staff in the year leading up to the reductions and the year of the reductions. Tasks included 

  • meeting to debate and decide on curriculum changes, 

  • documenting decisions, and 

  • implementing the changes including timetabling, assessment blueprinting, and 

  • rewriting lectures and student notes for laboratory practicals and tutorials.


이 프로젝트의 성공은 커리큘럼 변경에 대한 종합적이고 팀 전체의 접근방식에 덕분이었을 수 있으며, 이는 모든 교직원의 변경 과정 전반에 걸친 참여를 장려한다(Genn 2001a). 교육 변화 문헌에서 학자academics나 교사 참여가 강조된다(Hopkins et al. 2015). 처음에 검토와 학생 피드백에 대응하여 프로그램 리더에 의해 제안되었지만, 변화에 대한 rationale(예: 인증기준 및 학생과 교직원 시간 증가)이 설명되고 논의되었을 때, 대다수의 직원은 과제를 수용하고 목표를 향해 협력적이고 엄격하며 체계적으로 일했다 (블랜드 외 2000). 각 과목별 담당 교수는 무엇을 제거할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 시간은 커리큘럼의 모든 영역에서 균등하게 감소해야 했기 때문에(표 2), 직원들은 커리큘럼에서 자신이 맡은 과목의 가치나 중요성이 감소했다고 인식하지 않았고,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변화에 대한 참여가 줄어들었을 수 있다(Venance et al. 2014).

The success of this project may lie in the comprehensive and whole-team approach to changing the curriculum, encouraging participation throughout the change process by all teaching staff (Genn 2001a). Engaging academics or teachers is emphasized in educational change literature (Hopkins et al. 2015). Although initially suggested by program leadership in response to reviews and student feedback, when the rationales for change (e.g. accreditation drivers and increased time for students and staff) were explained and discussed, the vast majority of staff embraced the task and worked collaboratively, rigorously and systematically towards the goal (Bland et al. 2000). Staff responsible for each subject area were empowered to decide what to remove. Because teaching hours were to be decreased equally in all areas of the curriculum (although there was variability in implementation, Table 2), staff did not perceive diminished value or emphasis of their subject in the curriculum, which otherwise may have decreased engagement in change (Venance et al. 2014).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


의학 프로그램은 다른 많은 대학 프로그램들보다 더 붐비는 커리큘럼과 더 적은 자유 시간으로 학문적으로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학생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 없이 수업 시간을 14%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다른 학문적 활동을 위한 직원 시간을 자유화하고 학생 자기 주도적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을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 달성은 커리큘럼 변경에 대한 팀 전체의 접근방식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Medical programs are reputed to be academically intense, with more crowded curricula and less free time than in many other university programs. This project 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eaching hours by 14% (including lectures by 19%) without negative impacts on student learning. This offers the advantages of freeing staff time for other academic activities and providing more time for student self-directed learning. Achieving these positive outcomes may be enhanced through a whole-team approach to curriculum change.


Doukas DJ, Volpe RL. 2018. Why pull the arrow when you cannot see the target? Framing professionalism goals in medical education. Acad Med. 93(11):1610–1612.












 2019 Aug 22:1-8. doi: 10.1080/0142159X.2019.1652258. [Epub ahead of print]

Minimal effects of reduced teaching hours o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course evaluations.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Medicine, School of Medicine, College of Health and Medicine, University of Tasmania , Hobart , Australia.
2
School of Life Sciences, La Trobe University , Melbourne , Australia.
3
Student Learning, Retention and Success, Academic Division, University of Tasmania , Hobart , Australia.
4
Division of Paramedicine, School of Medicine, College of Health and Medicine, University of Tasmania , Hobart , Australia.

Abstract

Introduction: Various pressures exist for curricular change, including economic forces, burgeoning knowledge, broadening learning outcomes, and improving quality and outcomes of learning experiences. In an Australian 5-year undergraduate medical course, staff were asked to reduce teaching hours by 20% to alleviate perceived overcrowded preclinical curriculum, achieve operating efficiencies and liberate time for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Methods: A case study design with mixed methods was used to evaluate outcomesResults: Teaching hours were reduced by 198 hours (14%) overall, lectures by 153 hours (19%) and other learning activities by 45 hours (7%). Summative assessment scor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the reductions: 0.4% increase, 1.5% decrease and 1.7% increase in Years 1, 2 and 3,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students successfully completing their academic yea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94.4% before and 93.3% after the reductions. Student evaluations from eVALUate surveys changed little, except workload was perceived to be more reasonable. Conclusions: Teaching hours, particularly lectures, can be moderately reduced with little impact on student learning outcomes or satisfaction with an undergraduate medical course.

PMID:
 
31437065
 
DOI:
 
10.1080/0142159X.2019.1652258


새로운 의무를 충족하기: 의학교육 연속체에서 지속가능한 헬스케어 교육(Med Teach, 2019)

Fulfilling a new obligation: Teaching and learning of sustainable healthcare in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May Sanyu Tun (SanYuMay Tun)

Centre for Environmental Policy, Imperial College London, London, UK





도입

Introduction


의학교육 분야의 새로운 의무

A new mandate for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의료 전문가들이 지속가능성을 수용하기 위한 국제적인 추진이 탄력을 받자 영국이 앞장서고 있다. 종합의료위원회의 2018년 졸업생을 위한 성과(이하 "성과Outcome"라 한다) 문서에서, 의료 규제 기관은 의료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의무를 부과했다(일반 의료 위원회 2018). 영국에서 자격을 얻거나 등록하는 의사들은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 원칙을 이해하고 의료 관행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것을 가르치는 것은 의과대학과 의학 교육에 관련된 의사들의 책임이다.

As the international driv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to embrace sustainability gains momentum, the UK has taken the lead. In the General Medical Council’s document Outcomes for graduates 2018 (“Outcomes”), the medical regulator has placed a new obligation on medical education (General Medical Council 2018). Doctors qualifying or registering in the UK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and apply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healthcare to medical practice. Teaching this is the responsibility of medical schools and of doctors who are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지속가능한 헬스케어

Sustainable healthcare


국가적으로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의료는 경제 활동의 1/10를 책임지고 있으며, 이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지속가능 개발 단위 2018; 쉬 외, 2018). 그러나 치료는 항상 환자에게 이익이 되는 것은 아니며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점점 기술 기반의 비용이 증가하며 의료 예산의 대부분은 라이프스타일과 환경 요인에 의존하는 장기적 조건에 소비된다(Crisp 2017; 몽고메리 등. 2017). 따라서 환자 결과를 개선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압력을 줄이려면 예방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Naylor and Appleby 2012; Hensher et al. 2017; 경제 협력 개발 기구 2017). 의료 제공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해결해야 한다(Roberts 2009).

Healthcare nationally and globally is responsible for one tenth of economic activity and this proportion is growing (Sustainable Development Unit 2018; Xu et al. 2018). However, treatments do not always benefit the patients and can cause harm, and are increasingly technology-based and expensive, while the majority of healthcare budgets are spent on long-term conditions which are dependent on lifestyle and environmental factors (Crisp 2017; Montgomery et al. 2017). More emphasis on prevention is therefore necessary for better patient outcomes and to reduce pressure on services to improve their quality (Naylor and Appleby 2012; Hensher et al. 2017;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7). The adverse impact of healthcare delivery on the environment also needs to be addressed (Roberts 2009).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는 질병의 늦은 개입보다는 건강의 향상과 의료의 더 나은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환자와 인간의 건강이 의존하는 환경에 대한 공동 수혜를 가져온다. 따라서 그것은 미래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현재 고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Sustainable healthcare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better delivery of healthcare, rather than late intervention in disease, with resulting co-benefits to patients and to the environment on which human health depends. It would thus serve to provide high-quality healthcare now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to provide healthcare in the future.



근거의 필요성

A need for evidence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 교육은 지금까지 문헌이 요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구현을 연구하기 보다는 이를 가르치는 사례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Mortimer 2010; G omez et al. 2013; Walpole et al. 2016).

As sustainable healthcare education has not literature has been a requirement to date, the understandably focused on making the case for teaching it rather than researching its implementation (Mortimer 2010; G omez et al. 2013; Walpole et al. 2016).


훌륭한 자원은 의학 교육에 관한 챕터가 포함된 지속 가능한 건강 관리 책이다(Schroeder et al. 2013). 문헌 검토 결과, 의학 커리큘럼에 새로운 주제를 포함시키기 위한 모범 사례에 대한 증거가 부족했으며, 그랜트는 커리큘럼 설계의 원칙으로서 목적과 맥락의 역할을 강조한다(Bland et al. 2000; Grant 2014; Thomas 등 2016).

An excellent resource is the book Sustainable Healthcare, which has a chapter on medical education (Schroeder et al. 2013). The literature review found a scarcity of evidence for best practice for embedding a new topic into the medical curriculum, and Grant emphasizes the role of purpose and context as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Bland et al. 2000; Grant 2014; Thomas et al. 2016).


목적

Aim and obj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의료 교육 커리큘럼에서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의 교육 및 학습을 구현하기 위한 모범 사례에 대한 증거 기반 권장사항을 작성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make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on best practice for implemen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ustainable healthcare in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방법론

Methodology


질적 탐구 접근법을 사용하여 복수의 데이터 소스의 삼각 측량 및 분석을 통해 주제를 생성했다(Kennedy and Lingard 2006; Gibbs 2008; Bryman 2016). 표 1은 사용된 연구 방법과 그것들이 충족하도록 설계된 구체적인 목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A qualitative exploratory approach was used, employing grounded theory to generate themes through the triangulation and analysis of multiple sources of data (Kennedy and Lingard 2006; Gibbs 2008; Bryman 2016). Table 1 gives an overview of the research methods used and the specific objectives they were designed to meet.



맥락적 데이터 소스 선택

Selection of contextual data sources


반구조화 면담을 위한 의학교육자 선발

Selection of medical educators for semi-structured interviews


데이터 분석의 타당도

Validity of data analysis


연구윤리

Ethical approval



결과와 분석 - 문헌자료 분석과 핵심 이해관계자 면담

Results and analysis – document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key stakeholders


Outcome 분석

Document analysis of “Outcomes for graduates”


"지속 가능한 의료"는 결과의 26개 섹션 중 하나의 섹션에 대한 헤드라인 요구사항으로 나타난다. 본 섹션 25: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은 2015년 개정판이 강조된 이후 추가 사항과 차이점을 포함하여 그림 1에 재현되어 있다.

“Sustainable healthcare” appears as the headline requirement for one entire section of the 26 sections in Outcomes. This section, 25: Health promotion and illness prevention, is reproduced in Figure 1 with the additions and differences since the 2015 version highlighted.



지속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센터

Centre for Sustainable Healthcare


2015년부터 GMC는 CSH의 SHE 네트워크(Thompson et al. 2014; 지속 가능한 의료 센터 2015; Walpole et al. 2015)에서 생산한 지속 가능한 의료 교육을 위한 우선순위 학습 결과(PLO)를 인정하였다.

Since 2015, the GMC has recognized the Priority Learning Outcomes (PLO) for educating for sustainable healthcare, produced by the SHE network of CSH (Thompson et al. 2014; Centre for Sustainable Healthcare 2015; Walpole et al. 2015).


SDU

NHS trust sustainability department/Sustainable Development Unit


고등교육 맥락

The higher education context


이 컨퍼런스에서 반복되는 두 가지 주제는 다음과 같다.

  • 교육의 리더 혹은 파트너로서 학생

  • 고용과 지속가능성의 관계의 강점.

Two recurring themes in the conference were:

  •   Students as leaders or partners of teaching

  •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sustainability.


대학들 사이에는 "지속 가능한 것으로 인정받아야 한다"는 경쟁이 있다. 그러므로 지속가능성이 우선이라는 최고 수준의 기관으로부터 일관된 메시지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There is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to be seen as sustainable.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have consistent messaging from the highest levels of institutions that sustainability is a priority.


결과와 분석 - 의학교육자와 면담

Results and analysis – interviews with medical educators


의료 교육자와의 반구조적 인터뷰 분석에서 확인된 주요 주제는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The key themes identified from analysis of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medical educators are summarized in Table 2.



지속가능한 헬스케어 교육을 도입하는데 장애물

Barriers to implementing sustainable healthcare education


1. 지속 가능한 의료 분야의 지식이 풍부한 교사 부족: 인터뷰에서 나온 가장 난해한 문제는 의료 지속가능성을 가르치는 박식한 교육자들의 부족이었다. 이것은 이 새로운 개념에 대한 기존 의료 직업의 인식된 저항에 의해 복합되었다.

1. Lack of knowledgeable teachers of sustainable healthcare: The most intractable problem emerging from the interviews was to the lack of knowledgeable educators teach healthcare sustainability. This was compounded by a perceived resistance from the established medical profession to this new concept.


정보원들은 Engaged and Involved 가능한 동료들을 많이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교수진 개발이나 "교사를 가르치는" 것이 필요했다.

Informants stressed the need to find a number of colleagues who would be engaged and involved, and faculty development or “teaching the teacher” was needed.


2. 교육과정의 공간 부족: 교과과정은 이미 꽉 찼거나 과밀하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고, 강렬하게 변호된 수업 시간은 추가 주제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과 씨름하고 있었다.

2. Lack of space in the curriculum: There was consensus that the curriculum was already full or overcrowded, with staunchly defended teaching time contending with continual pressure to fit additional topics.


3. 커리큘럼에서의 위치 불확실성: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는 토픽topic이 아니라 핵심 교과과정의 모든 세월을 거치며 나아가야 하는 윤리, 전문성 또는 리더십과 유사한 주제theme라는 강한 느낌이 들었다. 향후 몇 년 동안 낭비 및 임상 환경의 주제는 관리 품질 및 환자 안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Uncertainty of location in the curriculum: There was strong feeling that sustainable healthcare is not a topic but a theme akin to ethics, professionalism, or leadership that should spiral through all the years in the core curriculum. For later years, the topics of wastefulness and the clinical environment could be related to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4. 학습 리소스 필요: 정보 제공자들은 지속 가능한 의료 책임자가 아마도 최신 토론 주제를 사용하여 일관성 있는 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참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4. Need for learning resources: Informants suggested that a sustainable healthcare lead could be engaged to offer a coherent course, perhaps using current topics of debate:


많은 사람들은 녹음된 강의, 독서, 전자 학습 자료와 슬라이드와 같은 학습 자원을 모아서 의대 간에 널리 보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비록 도움이 되지 않는 자금 지원 모델과 지적 재산에 대한 우려는 있지만, 이러한 접근법은 각 의과대학이 자체 자원을 생산하는 것보다, 특히 지식이 있는 교사가 거의 없는 과목에서 지속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

Many proposed that learning resources such as recorded lectures, reading and e-learning material and slides should be pooled and widely disseminated between medical schools. Although there are unhelpful funding models and possible concerns about intellectual property, this approach was seen as more sustainable than for each medical school to produce its own resources, especially in a subject with few knowledgeable teachers.


5. 학습 평가의 어려움: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는 examine하기 어려운 것으로 여겨졌다. 많은 정보제공자와 저자의 견해에서, 성공의 척도는 학생의 태도 변화와 임파워먼트, 그리고 그들의 미래 의료행위의 변화일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자들은 모든 시험 문제가 환경적, 생활 양식적 요인이 문제의 병을 일으키는 정도에 대해 질문하는 것으로 시작되기를 원했다. 이것은 인지도를 높이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평가 방식은 학습자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데 완전히 도움이 되지 않는다. 프라이도(2007년)가 관찰한 바와 같이, "의료 교육의 새로운 내용과 새로운 상징은 새로운 평가 방법을 필요로 한다."

5. Difficulty in assessing learning: Sustainable healthcare was seen as challenging to examine. In many informants’ and the author’s view, the metric of success would be attitudinal change and empowerment in the student and change in their future clinical practice. To achieve this, educators wanted every exam question to begin by asking about the extent to which environmental and lifestyle factors cause the disease in question. This may go some way to increasing awareness; however, current modalities of assessment do not fully lend themselves to detecting whether the learners have achieved the desired outcomes. As observed by Prideaux (2007), “new content and new emphases in medical education require new methods of assessment.”


6. 회복력이 필요한 감정적 영향: 지속가능성은 감정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주제로서, 이 문제가 요구하는 대규모 사고와 함께 회복탄력성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 주제는 압도적일 수 있기 때문에 교사들과 학습자들 모두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6. Emotional impact needing resilience: Sustainability is a challenging subject to handle emotionally, and there is a need to teach resilience alongside the large-scale thinking that the issue requires. It is important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keep a positive outlook, as the topic can be overwhelming: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긴박감, 사명감 및 책임감이 생겨난다.

With growing understanding comes a sense of urgency, mission, and responsibility:


여긴 내 행성이 아니야 우리 행성이야, 하나밖에 없어. 없어지면 없어진다. 우리는 의료 서비스 내에서 재정적인 제약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이것이 진짜인지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교육자 2)

This is not my planet. It’s our planet, and there’s only one of them. When it’s gone, it’s gone. We’re burdened with financial constraints within the health service. This gave [the student] the opportunity to see this is real. (educator 2)


교육자와 학생 모두를 위한 학습은 정서적 회복탄력성을 보장하기 위해 뒷받침될 필요가 있으며, 변화를 초래하는 실용적인 프로젝트를 사용하면 사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Learning for both educators and students needs to be supported to ensure emotional resilience, and the use of practical projects that result in change could improve morale.


지속가능한 헬스케어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지원자 및 동인

Enablers and drivers for implementing sustainable healthcare education


1. 학생으로부터의 요구: 학생들은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 교육의 원동력으로 여겨졌으며,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가장 관심 있는 것들 중 하나이다.

1. Demand from students: Students were seen as a driver for sustainable healthcare education, with high achievers being some of the most interested:


의과대학들은 [현존하는 구조에 대한 환멸을 통해 잃을 수도 있는 신규 의사들의 손실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기대를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최고 수준의 후보들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시스템이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에 대한 성찰을 중시했고, 그 피드백은 압도적으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한 사람은 약 300명의 학생들이 그들의 강의를 얼마나 잘 듣는지 묘사했다.

Retaining the highest quality candidates is important as medical schools face an expectation to act to help stem the loss of recently qualified doctors, who may leave through disillusionment with existing structures. Educators said that students valued reflecting on how the system could be different, and that feedback was overwhelmingly positive. One described how well their lectures are received by a cohort of approximately 300 students:


사전 인식의 변동성이 있었다. 그러나, 교육자들은 실습 시간을 크게 즐기고 학생들은 매우 빠르게 지속가능성을 가르치는 데 열중했다고 보고했다.

There was variability in prior awareness: However, educators reported greatly enjoying practical sessions and students warmed to sustainability teaching quite rapidly:


2.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려는 고등교육의 움직임: 대학 전반의 지원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혁신적인 교육을 장려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에게 어필과 진로 기회를 모두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2. The move in higher education to include sustainability: University-wide support can encourage innovative teaching of sustainability, which is seen to enhance both appeal to students and care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교육자들은 커리큘럼 개편 기간을 핵심 교육에 지속가능성을 도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았다. 그리고 기관적 리더십과 윤리가 중요하다.

Educators saw a time of curriculum review as a to good opportunity introduce sustainability into core teaching, and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ethos are important.


3. GMC 권한을 통한 새로운 합법성: 많은 이들은 헤드라인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하위 범주에 중대한 변화를 나타낸다는 점에 주목했다.

3. A new legitimacy through GMC mandate: Many noted that prioritization in the headline signaled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categories.


그러나 이 문구의 한 측면은 많은 교육자들 사이에서 개인의 행동에 대한 행동과 더 넓은 건강의 결정요인에 대한 구별에 대한 견해를 강하게 제기하였다.

One aspect of the wording however brought out strongly held views among many educators, on the distinction between action on individual behaviors and on the wider determinants of health:


나는 이것이 싫다 – '생활 방식의 변화' – 우리는 몇몇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제한된 선택들에 대한 증거의 무게를 무시하고 있다. 그것은 구 [결과]에 비해 근본적으로 개인주의적 개념화다. (교육자 5)

I hate this –‘lifestyle changes’–we are ignoring the weight of evidence around the constrained choices that some people have. That is fundamentally an individualistic conceptualisation compared with the old [Outcomes]. (educator 5)


우리는 위험 그룹을 목표로 하는 것이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안다. 여러분이 해야 할 일은 모집단의 평균을 바꾸고, 정상분포를 아래로 이동한 다음 엄청난 규모의 변화를 얻는 것이다. (교육자 3)

We know targeting risk groups doesn’t work. What you need to do is shift the population mean, move the normal distribution down and then you get a huge change of scale. (educator 3)


이런 문제들의 결과에 대해 계속 사람들을 대할 수 있는 여력이 없다, 더 나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교육자 8).

We can’t afford to keep treating people for the consequences of these problems, we have to find a better way. (educator 8)



4. 다른 이해관계자의 리더십: 졸업생을 배출할 때 의과대학은 의학의 실천에 있어서 다른 이해관계자의 정책과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의학교육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대학원 의료훈련에서도 지속가능성을 가르치는 데 있어 다른 교육보다 뒤떨어져 있다. 대학원 교육을 받는 의사들은 이제 QI 프로젝트를 설계 및 시행하고, 자원 관리 방법과 폐기물 회피의 중요성을 이해할 것으로 예상된다(General Medical Council 2017). 지속가능성은 왕립의사대학이 품질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하는 7가지 영역 중 하나이며, "다른 영역을 통과하여 운영해야 한다. 의료는 오늘날 개인에게 전달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일반 인구와 미래의 환자에게도 고려해야 한다."(Atkinson et al. 2010). 한 교육자는 다음과 같이 명확히 표현했다.

4. Leadership from other stakeholders: In producing graduates, medical schools must consider the policy and strategy of other stakeholders in the practice of medicine. Medical education lags behind its counterparts in teaching sustainability not only in higher education generally but also in postgraduate medical training. Doctors in postgraduate training are now expected to design and implement QI projects, and understand how resources are managed and the importance of avoiding waste (General Medical Council 2017). Sustainability is one of the seven domains used b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to define quality, and “must run through and moderate other domains. Healthcare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in terms of what can be delivered to an individual today, but also to the population in general and the patient of the future” (Atkinson et al. 2010). One educator expressed this with clarity:


5. 지원 및 리소스 출처: 교육자들은 CSH, 의료 왕립 대학 웹사이트, NHS 트러스트 에스테이트 및 시설 부서의 지속가능성 팀을 통해 학생들이 저축과 동시에 QI에 대한 중요한 길을 식별할 수 있는 많은 지원 및 학습 자원의 출처를 지적했다. 다음과 같은 많은 교육 과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강의, 강연 또는 세미나 

    • SSC 또는 일련의 반나절에서 완전한 2주에서 6주 블록에 이르는 실제 프로젝트 

    • SSC에 기초한 에세이 

    • 소규모 그룹 논의를 촉진하는 워크샵 및 사례 기반 시나리오 

    • 미니 QI 프로젝트. 

    • 일반 의료 또는 병원 트러스트 내의 임상 배치의 일부로, 그리고 공중 보건 및 글로벌 보건 교육에 통합.

5. Sources of support and resources: Educators indicated many sources of support and learning resources, such as through the CSH, the websites of the medical Royal Colleges, and NHS trust Estates and Facilities departments’ sustainability teams where students may identify significant avenues for QI at the same time as savings. Many pedagogies were found to be suitable including: 

    • lectures, talks, or seminars; 

    • SSCs or practical projects ranging from a series of half days to a complete two-week to six-week block; 

    • essays based on an SSC; 

    • workshops and case-based scenarios with facilitated small group discussions; 

    • mini QI projects; 

    • as part of clinical placements within general practice or hospital trusts; and incorporation into public health and global health teaching.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다음과 같은 교육을 받을 때 특히 긍정적이라고 보고했다. 

    • 임상적으로 환자 치료와 관련이 있는 경우 

    • 에너지 사용 또는 폐기물 관리와 같은 지역적 맥락에서 실제 문제와 관련된 경우, 

    • 탄소 발자국과 같은 사용된 콘크리트 예제 

    • 소규모 그룹 교육 또는 지속 가능한 의료에 대해 생각하는 것으로 보이는 임상의에 의한 강의에 실용적인 요소를 포함시켰다.

Educators reported that students were particularly positive when the teaching was clinically relevant to patient care, concerned with real issues in a local context such as energy use or waste management, used concrete examples such as carbon footprinting, involved a practical element in small group teaching or when a lecture was by a clinician seen to be thinking about sustainable healthcare.


고찰

Discussion


관측에서 이론을 개발하기

Developing theory from observation


그림 2는 장벽, 지원자, 솔루션 및 이점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Figure 2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arriers, enablers, solutions, and benefits



가장 중요한 문제는 교육자들, 특히 가르치는 임상의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고, 가장 바람직한 가르침은 바로 이 사람들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교사들이 지속가능성에 대해 배우는 것과 동시에 학생들에게 그것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배우는 것이 해결책이다. 이는 지속 가능한 의료 서비스(Schroeder et al. 2013, 페이지 224)에서 제안되었다.

Given that the foremost problem is lack of knowledge of sustainability in educators, especially the clinicians who teach, and that the most desirable teaching is by these very people, a solution is that the teachers learn about sustainability at the same time that they are teaching it to students. This has been suggested in Sustainable Healthcare (Schroeder et al. 2013, p. 224):


...학생들은 종종 아이디어와 계획들로 가득 차 있고, 기회만 주어진다면 표현할 것이다. 지속가능성 교육이라는 새로운 분야로 인해 일반적인 학문의 계층구조가 어떻게 해체되는가를 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 students often teem with ideas and initiatives, once given the freedom to express them. It is a pleasure to see how sustainability teaching often dissolves the usual academic students hierarchies, where, due to this being a new field, frequently teach as much as they learn.


지속가능성을 받아들일 만큼 개방적인 교수진들은 그들이 가르치기로 되어 있는 학생들과 함께 공공연하게 배우는 개념을 가치 있게 여길 것이다. 이것은 GP 강사들이 학생들의 학습과 학생들이 그들의 실습에 가져다 준 신선한 관점을 중요시했던 건강 증진 교육에 기록되었다(Wylie and Leedham-Green 2017). 실제로 EAUC 컨퍼런스의 첫 기조연설자는 웨일스인들이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에 대해 "dysgu"라는 단어만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나는 당신을 가르친다. 나는 당신으로부터 배운다. 누가 전문가이고, 교수자이고, 학습자인가?"

Teaching faculty who are open enough to embrace sustainability may well value the concept of openly learning alongside the students they are meant to be teaching. This has been documented in health promotion education where GP tutors valued learning from the students and the fresh perspective that students brought to their practice (Wylie and Leedham-Green 2017). Indeed the first keynote speaker at the EAUC conference pointed out that the Welsh have only one word “dysgu” for both teaching and learning, and so: “I teach you, I’m learning from you. Who is expert, teacher, learner?” (Fazey 2018)


따라서 교육과정의 공간과 위치에 대한 문제는 Royal College of Physics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헬스케어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이 핵심 주제임을 이해함으로써 함께 해결할 수 있다(Atkinson et al. 2010).

The questions of space and place in the curriculum can thus be addressed together by understanding that sustainability in healthcare is a core theme, as identified b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tkinson et al. 2010).


따라서 기초 이론을 통해 발전된 이론적 관계는 다음과 같다. 지속가능성을 모든 의학 교육을 통해 흐르는 테마로 포함시킴으로써, 교육자와 학생들은 전공에 관계 없이 지속 가능한 의료에 대해 배우는 것과 동시에 서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다.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developed through groundedtheory is therefore as follows: By embedding sustainability as a theme running through all of medical education, educators and students can teach and learn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as learning about sustainable healthcare, irrespective of specialization.


강점과 약점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결론과 권고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후속 연구 우선순위

Priorities for future work


지속가능한 헬스케어 교육 구현을 위한 권고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healthcare education


  •   주제가 아닌 테마로서의 지속가능성을 시간표상에 배치하기. 이것은 모든 의학적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교수진들에게 알려질 필요가 있고 많은 교육자들이 참여해야 한다.

  •   학습자들과 함께 교사들을 훈련시킨다. 학생들이 기후 변화에 대해 더 잘 알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받아들여지는 세션에서 역량을 가르치는 직원을 양성한다.

  •   가능한 한 임상의사를 참여시킨다. 강의와 환자의 의료실무와 임상치료를 연관시키는 것은 학생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   중복 방지를 위한 교육 리소스 풀. 지속 가능한 의료에 정통한 교육자는 거의 없기 때문에 지속 가능성의 정신으로 강의,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비디오 필름, 온라인 모듈과 같은 기록된 자료를 다른 의과대학과 공유한다.

  •   다른 지원 소스를 사용하십시오. 학습 자원은 CSH, 대학원 의학 왕립 대학, 조직, World Health가 국제적으로 개발한 MOO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병원 트러스트 지속가능성 관리자들은 프로젝트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확인된 잠재적 개선사항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   Timetable sustainability as a theme not a topic. This runs through all of medical education, so most faculty need to be informed and many educators should be involved.

  •   Train the teachers alongside the learners. Build up staff teaching capacity in sessions where it is accepted that students may well be more knowledgeable, e.g. on climate change.

  •   Involve clinicians as much as possible. Relating teaching to medical practice and clinical care of patients has the greatest impact on students.

  •   Pool teaching resources to avoid duplication. As few educators are well versed in sustainable healthcare, share with other medical schools recorded material such as lectures, presentation slides, video film, online modules – in the spirit of sustainability.

  •   Use other sources of support. Learning resources are available from CSH, the postgraduate medical Royal Colleges, Organization, World Health internationally developed Massive Open Online Courses. Hospital Trust sustainability managers can help with projects and benefit from the potential improvements that are identified.

  •   여러 교육 방법을 활용하십시오. 기본 토대를 마련한 후, 커리큘럼의 상황에 따라 더 지속 가능한 옵션을 고려하고, 필수 및 선택적 프로젝트, 사례 기반 시나리오를 갖는 실용적인 세션을 포함시키십시오.

  •   평가에 반영한다. 평가 방법에는 사실에 입각한 지식을 위한 MCQ, 임상 실습과의 통합을 보장하기 위한 OSCE의 일부, 질병의 예방 가능한 원인 식별을 강조하기 위한 서면 질문에 통합이 포함된다.

  •   기관적 지원을 요구하다. 지속가능성 교육과 대학의 기풍 및 전략과 관련된 최고 수준의 일관성 있는 메시징은 교육 도입의 진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   정서적 회복탄력성 뒷받침할 계획. 지속가능성 문제에 대처하는 것은 직원이나 학생들에게 강력하거나 overwhelming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관련 지원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지시되어야 한다.

  •   혁신을 평가한다. 전체 코호트 대상의 핵심내용 교육 필요성에 더하여 추가적 선택프로젝트를 제공할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일반적인 new teaching과 마찬가지로 계획, 파일럿 및 평가한다.

  •   Employ multiple pedagogies. After a basic grounding, include practical sessions to think about more sustainable options, have compulsory and optional projects, case-based scenarios – depending on the context in the curriculum.

  •   Embed in assessment. Assessment modalities include: multiple choice questions for factual knowledge; as part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s to ensure integration into clinical practice; incorporation into written questions to emphasize the identification of preventable causes of disease.

  •   Demand institutional backing. Consistent messaging from the highest levels which relates sustainability teaching to the university’s ethos and strategy can smooth progress in embedding teaching.

  •   Plan to support emotional resilience. Addressing sustainability issues can cause strong or overwhelming reactions in staff or students, which need to be recognized and directed to relevant sources of support.

  •   Evaluate the innovation. Plan, pilot, and evaluate as with any new teaching, bearing in mind the need for core teaching of the whole cohort, and the desirability of offering further optional projects.


지속 가능한 의료 서비스: 질병의 늦은 개입보다는 건강의 향상과 의료의 더 나은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결과적으로 환자와 인간의 건강이 의존하는 환경에 대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미래의 건강 요구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고 지금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Sustainable healthcare: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better delivery of healthcare, rather than late intervention in disease, with resulting benefits to patients and to the environment on which human health depends, thus serving to provide high-quality healthcare now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to meet the health needs of the future.










 2019 Jun 25:1-10. doi: 10.1080/0142159X.2019.1623870. [Epub ahead of print]

Fulfilling a new obligationTeaching and learning of sustainable healthcare in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Environmental Policy, Imperial College London, London, UK.

Abstract

Aims: Leading the grow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ustainability in healthcare delivery, the UK medical regulator has mandated that newly qualified doctors must be able to apply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healthcare to medical practice. This original research investigates how best to incorporate this new learning into the medical curriculumMethods: Data from multiple sources were triangulated to generate themes through grounded theory. Meetings were held with representatives of key stakeholder organizations, relevant documents were review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verse medical educators who teach sustainable healthcareResults: There is continual pressure on space in the curriculum, and faculty lack the knowledge to teach this emerging subject, which is also difficult to examine. Students increasingly demand that sustainability be addressed in their education and future careers. Many sources of support and learning resources are available. Conclusions: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ation in any medical school include: teaching sustainability as a cross-cutting theme rather than a topic, clinicians and students learning from each other in this developing field, and embedding into assessment the wider determinants of disease. Sustainable healthcare emphasizes prevention rather than late intervention, with benefits to the environment on which health depends, healthcare systems and patients.

PMID:
 
31237167
 
DOI:
 
10.1080/0142159X.2019.1623870


헤지혹 개념을 학부의학교육 변혁에 적용하기(Acad Med, 2019)

Applying the Hedgehog Concept to Transfor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amara B. Ginzburg, MD, Joanne M. Willey, PhD, Carole Bates, MPH, MBA,

Sally A. Santen, MD, PhD, David Battinelli, MD, and Lawrence Smith, MD





새로운 의대를 만드는 것은 혁신을 위한 풍부한 기회를 제공한다. 2000년 이후 개교한 의과대학들은 정치적, 지리적, 재정적 제약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접근법을 고안하면서 분배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도입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미래의 의료 인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학부 및 대학원 의료 교육(UME, GME) 설계의 선구적인 변경에는 미치지 못했다.1

Creating a new medical school offers rich opportunities for innovation. Medical schools that have opened since 2000, sometimes called “millennial” medical schools, have devised original approaches to navigate political, geographic, and financial constraints while introducing fresh approaches for distributed learning. However, these efforts have fallen short of pioneering change in the design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GME) to meet future health care workforce needs.1


전통적인 의사의 책임은 바뀌고 있으며, 의료전문직은 의사가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이전에 가지고 있던 개념을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Traditional physician responsibilities are shifting, and the medical profession needs to reevaluate previously held notions of what a physician does and does not do.


고슴도치 개념을 UME 변혁에 적용하기

Applying the Hedgehog Concept to Transforming UME


비즈니스 텍스트 "Good to Great"에서: 왜 어떤 회사는 이윤을 남기는가 ... 그리고 다른 회사는 그렇지 않은가, 짐 콜린스2는 "헤지호그 컨셉"을 소개한다. 콜린스는 "여우는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 고슴도치는 한 가지 큰 것을 알고 있다"고 쓴 그리스 시인 아르킬로쿠스를 인용한다. 콜린스는 고슴도치처럼, 특이한 초점을 가진 회사들이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따라서 "좋은 기업"에서 "훌륭한 기업"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콜린스는 (1) 조직의 정열, (2) 조직이 생각하는 최고의 기회, (3) 조직의 경제 및 자원 엔진의 원동력 등 세 가지 고슴도치 원칙을 정의하고 있다. 이 세 가지 원칙의 교차점은 조직의 고슴도치 개념을 식별하는데, 이 개념은 조직의 주요 의사결정을 안내하고 전체적인 성공을 이끄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단일 미션이다(그림 1).

In the business text Good to Great: Why Some Companies Make the Leap … And Others Don’t, Jim Collins2 introduces the “hedgehog concept.” Collins draws upon the Greek poet Archilochus, who wrote that “the fox knows many things, but the hedgehog knows one big thing.” Like the hedgehog, Collins argues, companies with a singular focus are more likely to succeed, thereby transforming from “good to great.” Collins defines three hedgehog principles: (1) the organization’s passion, (2) what the organization sees the opportunity to be the best at, and (3) the drivers of the organization’s economic and resource engine. The intersection of these three principles identifies the organization’s hedgehog concept, which is the single mission that can be used to guide the organization’s key decisions and drive its overall success (Figure 1).


Figure 1



본 초청 논평에서는 노스웰과 호프스트라 대학의 제휴로 설립된 밀레니얼 의대, 호프스트라/노스웰(Zucker SOM)의 도날드·바바라 의과대학(UME)의 UME 프로그램과 의료 전달 목표를 통합하기 위해 이 고슴도치 개념을 어떻게 적용했는지 설명한다.  ZuckerSOM은 2015년에 첫 졸업생이 나왔으며, 연간 100명이 입학하고 있다.

In this Invited Commentary, we describe how we applied this hedgehog concept to unite UME program and health care delivery goals at a millennial medical school, the 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Zucker SOM), which was founded as a partnership between Northwell Health and Hofstra University. Zucker SOM graduated its first class in 2015 and has a full complement of 100 students per year.


고슴도치 원칙 1: 열정

Hedgehog principle 1: Passion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열정을 발견해야 한다. 콜린스2는 조직은 "행해지고 있는 일에 대한 열정"을 일으키려 하기보다는, "구성원이 (원래) 열정을 갖고 있는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선"에서 "위대한"으로 나아간다고 주장한다. UME에서, 미래의 의료 인력 및 의료 시스템을 위하여 학습자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혁신적인 커리큘럼 경험을 만드는 것은 [혁신에 대한 열정이 있기 때문에, 현상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게 만드는 비전 있는 교육자]들을 요구한다.

To succeed, an organization must discover its passion. Collins2 posits that an organization goes from “good to great” by pursuing goals about which its workforce is passionate, rather than trying to create passion for what is being done. In UME, creating innovative curricular experiences to prepare learners for future health care workforce and delivery system needs demands visionary educators whose passion to innovate makes them unafraid to challenge the status quo.


가장 중요한 것은 석벽stonewall 커리큘럼이 바뀌는 사일로와 영토성의 제거였다. 우리의 해결책은 커리큘럼을 함께 설계하고 전달하는 기초과학자와 임상의가 포함된 학제간 과학교육부(DSE)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기초과학교실이든 개인이든 모두 강좌나 커리큘럼 시간을 '소유'하지 않는다. 대신, 우리 교육과정은 처음 2년은 한 번에 한 개씩 완전히 통합된 7개의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5 교수진은 패러다임적인 질병paradigmatic illnesses만을 포함시키는 명령 하에 운영되며, 모든 것을 다루려고 애쓰는 부담을 덜어주고, 배움에 대한 개념적인 접근을 촉진한다.

Of paramount importance was the elimination of silos and territoriality that stonewall curricular change. Our solution was to create an interdisciplinary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DSE) that includes basic scientists and clinicians who design and deliver curricula together. Neither basic science departments nor individuals “own” courses or curricular time. Instead, the first two years of our curriculum consist of seven fully integrated courses that are taken one at a time.5 Faculty operate under a mandate to include only paradigmatic illnesses, relieving them of the burden of trying to cover everything and promoting a conceptual approach to learning.


학습자와의 접촉 시간은 제한되어 있어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시간을 보호한다. 새로운 커리큘럼 콘텐츠는 기존 세션에 통합되거나 가치가 낮은 세션을 대체한다. 학생들은 [교직원 주도의 대화형 수업]을 위해 수업시간 밖에서outside of class정보를 적용해야 할 책임을 진다. 예를 들어, 우리는 과목으로서 해부학을 없애고 대신 학생들에게 2년간의 종적 경험을 제공했다. 매주 학생들은 환자 중심의 스테이션을 통해 해부학, 배아학, 역사학, 병리학, 의료 이미지의 해석, 기술 기반 POST(Point-of-care) 초음파 검사, 신체 진단 등의 신체 시스템을 탐구한다. 이것은 문제 탐구의 조력자 역할을 하는 교수진들과 함께 작은 그룹으로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수업 전에 미리 학습 목표를 연구하고 이러한 응용 연습을 통해 이해도를 평가한다.

Contact time with learners is limited, protecting time for self-directed learning. New curricular content is integrated into existing sessions or replaces less valuable sessions. Students prepare outside of class for faculty-led, interactive sessions in which they are held accountable for applying information. For example, we have eliminated anatomy as a course and instead provide our students with a two-year longitudinal experience. Every week, students explore a body system through patient-centered stations, examining components of anatomy, embryology, histology, pathology, interpretation of medical imaging, skills-based point-of-care ultrasonography, and physical diagnosis. This is done in small groups with faculty serving as facilitators of problem exploration. Students research learning objectives in advance of class and assess their understanding through these application exercises.


고슴도치 원칙 2: 가장 잘 하는 것을 하라

Hedgehog principle 2: Be the best at


조직은 또한 자신의 전문지식 분야를 검토하고 이해해야 한다.2,3 UME의 경우, 이 원칙은 보건 시스템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졸업생들이 [시스템 기반 진료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데 최고가 되도록 요구한다고 제출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UME 모델은 학습자가 고가치, 팀 기반, 비용에 민감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준비하지 않는데, 이러한 교육은 ambulatory setting에서 주로 가능하며, 텔레헬스 및 인구 기반 예측 데이터의 사용 증가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육 경험이 필요하다.

An organization must also examine and understand its area of expertise.2,3 For UME, we submit that this principle requires leveraging health system resources to be the best at training graduates to excel in systems-based care. However, traditional UME models do not adequately prepare learners to deliver high-value, team-based, and cost-conscious care, most of which will occur in ambulatory settings and will include growing use of telehealth and population-based predictive data.1 New training experiences based in care models designed to deliver this type of health care are needed.


처음 2년 동안 계속하여, 우리 학생들은 5개 분야의 수용자들과 함께 종단적 일대일 임상 경험에 참여한다. 학생들은 쉐도잉하기보다는, 응급의료기술자(EMT) 인증을 받았기 때문에, 매주 authentic ambulatory 임상 활동에 참여하도록 위임받는다.7 우리는 학습자가 특정 병리학을 이해하기 전에 환자와 대화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개념을 거부하며, 의료 인터뷰 동안 학습자가 3가지 기능 모델을 조기에 적용하는 것을 수용한다.8

continuing throughout the first two years, our students participate in longitudinal, one-on-one clinical experiences with preceptors in five disciplines. Rather than shadowing, students are entrusted, as a result of thei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certification, to engage in weekly, authentic ambulatory clinical activities.7 We reject the notion that learners should not be allowed to talk with patients prior to understanding their specific pathology and embrace learners’ early application of the three-function model during medical interviews.8


이를 위해 7주간의 집중적인 커뮤니케이션 커리큘럼이 의과대학의 첫 주에 시작하여 4년동안 thread로 이어진다. 이 종단적 커리큘럼은 환자들이 점점 더 자신의 의료팀과 동일한 온라인 의료 정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대인관계 기술과 교육자와 코치의 의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환자와 일대일로 상호작용하도록 위임받는 것은 임상적 추론과 기술의 의도적인 실천에 대한 기회를 제공한다9. 또한, 우리의 하이브리드 사례/문제 기반 학습 프로그램은 의료 변화의 원동력 내에서 생물 의학의 맥락화 이상의 범위로 확장하며, 리더십, 프로세스 개선 및 팀워크 교육을 포함한다.10

To that end, an intensive seven-week communications curriculum begins the first week of medical school and launches a four-year curricular thread. This longitudinal curriculum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physician’s role of educator and coach, as patients can increasingly access the same online medical information as their health care team. Being entrusted to interact with patients one-on-one then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e deliberate practice9 of clinical reasoning and skills. In addition, our hybrid case/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extends beyond contextualizing biomedical sciences within the drivers of changes to health care and includes training in leadership, process improvement, and teamwork.10


우리의 임상실습은 교육편의성보다는 고부가가치 진료의 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임상실습이 ambulatory 상황에서의 시간과 보완적인 서비스에서의 시간을 더 많이 포함하는 결과를 낳는다. 예를 들어, 우리의 신경과 실습은 신경외과, 물리 의학 및 재활을 포함한다. 학습자는 책임 있는 치료 부서에 대한 학제간 팀으로 일함으로써 관리 비용과 환자 만족도를 정기적으로 고려한다.

Our clerkships are designed for students to develop understanding of the high-value continuum of care, rather than for convenience for teaching. This results in clerkships that include more time in ambulatory settings as well as time in complementary services; for example, our neurology clerkship includes neurosurgery and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Learners regularly consider costs of care and patient satisfaction by working in interdisciplinary teams on accountable care units.


고슴도치 원칙 3: 경제와 자원 엔진

Hedgehog principle 3: The economic and resource engine


조직의 경제 및 자원 엔진의 driver는 조직이 자신의 임무를 서포트 할 수 있도록 한다. UME의 경우 GME와 실무에서 뛰어난 학습자를 배출하는 건강 관리 제공 기반 교육 환경을 확립한다. 콜린스3는 사회분야에서 자원엔진은 시간, 돈, 브랜드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경제 및 자원 엔진을 재개념화하면 UME 프로그램이 미래의 의료 인력 수요에 맞게 학습자를 교육할 수 있다. UME 임무와 의료 제공 요구를 더 잘 일치시키기 위해, 의학교육 기관은 어떻게 조직 기반 구조를 프레임하는지 재고해야 한다. Zucker SOM에서는 [교수 시간, 두 후원 기관의 재정 및 인프라 지원, 평판 구축 측면]에서 경제 및 자원 엔진을 구성한다.

The drivers of an organization’s economic and resource engine2,3 enable the organization to support its mission—in the case of UME, establishing a health-care-delivery-based training environment that produces learners ready to excel in GME and practice. Collins3 argues that in the social sector, the resource engine is composed of time, money, and brand. Reconceptualizing the economic and resource engine can enable UME programs to train learners for future health care workforce needs. To better align the UME mission with health care delivery needs,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must reconsider how they frame their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t Zucker SOM, we frame our economic and resource engine in terms of faculty time, financial and infrastructure support from our two sponsoring institutions, and reputation building.


교수 시간

Faculty time.


임상적 추론과 기술의 의도적인 실행은 전문가들에 의한 빈번한 직접 관찰과 코칭이 필요하며,9 이것은 경쟁적인 교수진의 요구 때문에 종종 적절하게 달성하기가 어렵다. 노스웰헬스는 수백 명의 잠재 교직원이 있는 대형 건강관리 시스템이기 때문에, 우리는 Zucker SOM의 교육 임무에 맞춘 교수 임용 및 승진 지침을 작성했다. 교수진 임명은 이러한 노력에 특정한 보상 없이 UME 및/또는 GME에 연간 100시간까지 기여하도록 모든 교직원에게 요청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The deliberate practice of clinical reasoning and skills requires frequent direct observation and coaching by experts,9 which is often difficult to adequately achieve because of competing faculty demands. As Northwell Health is a large health care system with hundreds of potential faculty members, we wrote faculty appointment and promotion guidelines tailored to Zucker SOM’s educational mission. Faculty appointments are made with the stipulation that any faculty member can be called on to contribute up to 100 hours per year to UME and/or GME without compensation specific to these efforts.


재정과 시설 지원

Financial and infrastructure support.


의과대학의 성공은 [헬스케어와 대학의] 상충하는 이해관계를 탐색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우리는 Northwell Health와 Hofstra University 둘 다에게 혜택을 주는 UME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우리의 재정, 인적, 인프라 자원을 제공한다. GME 프로그램의 대규모 스폰서인 Northwell Health는 SOM 설립 이후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자들의 질이 향상되었다. 호프스트라 대학이  Zucker SOM을 지원한 것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교육 지형에서 그 존재를 확대하려는 대학의 교육 사명을 반영한다. 호프스트라는 또한 매우 뛰어난 STEM 학부생들의 입학이 증가하는 것을 보았다.

The success of any medical school rests on its ability to navigate the competing interests of its health care and academic homes. We created a UME program that benefits both Northwell Health and Hofstra University, which provide our financial, human, and infrastructure resources. Northwell Health, a large sponsor of GME programs, has seen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applicants to its residency programs since the founding of Zucker SOM. Hofstra University’s support of Zucker SOM reflects the university’s educational mission to expand its presence in th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 (STEM) educational landscape. Hofstra has likewise seen increased enrollment of highly accomplished STEM undergraduates.


명성 확보

Reputation building.


우리는 뛰어난 레지던트가 될 졸업생들을 배출하기 위해 헬스케어-전달-기반의 학습 환경을 배양하는 열망적인 자질을 인정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고 명성을 쌓는 데 있어 우리의 진보를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미국 의학 면허 시험 단계와 미국 의과대학 졸업 설문지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포함한 일련의 성과를 고려한다(표 1 참조).

We recognize the aspirational quality of cultivating a health-care-delivery-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produce graduates who become outstanding residents. To evaluate our progress in meeting this goal and building our reputation, we consider an array of outcomes, including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exam scores and our students’ responses to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Medical School Graduation Questionnaire (see Table 1).


각 데이터 소스의 결과 분석을 강점을 식별하고 지속적인 개선 프로세스를 위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로 본다. 성공의 최종 척도는 실제로 환자 중심의 건강 개선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졸업 의사여야 한다.

We view the analysis of results from each data source as an opportunity to identify strengths and develop strategies for our ongoing process of improvement. The final metric of success must be graduating physicians who are effective in achieving patient-centered improvements in health in practice.




Conclusion








 2019 Apr;94(4):477-481. doi: 10.1097/ACM.0000000000002564.

Applying the Hedgehog Concept to Transfor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S.B. Ginzburg is associate dean for case-based learning, 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Hempstead, New York; ORCID: https://orcid.org/0000-0003-0466-0316. J.M. Willey is Leo A. Guthart Professor of Biomedical Sciences and chair,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Hempstead, New York; ORCID: https://orcid.org/0000-0003-4544-4417. C. Bates is assistant dean for curricular affairs and special projects, 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Hempstead, New York. S.A. Santen is senior associate dean for evaluation, assessment, and scholarship of learning,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Richmond, Virginia; ORCID: https://orcid.org/0000-0002-8327-8002. D. Battinelli is senior vice president and chief medical officer, Northwell Heath, and dean for medical education and Betsy Cushing Whitney Professor of Medicine, 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Hempstead, New York. L. Smith is executive vice president and physician-in-chief, Northwell Health, and dean, 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Hempstead, New York.

Abstract

As the U.S. health care system changes and physician responsibilities shift, medical educators must reconsider how best to prepare medical school graduates for the future practice of medicine. Thoughtful reexamination of the goal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nd the roles of educators,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is warranted to ensure that they align with evolving health care environments and delivery systems. In this Invited Commentary, the authors apply Jim Collins's "hedgehog concept" from Good to Great-a business-world framework designed to transform companies-to UME. The hedgehog concept is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an organization's passion, area of expertise, and economic and resource engines. Focusing on this single concept can guide key decisions, reject what does not align conceptually, and drive overall organizational success. The authors use the hedgehog concept to frame the programmatic development of the Donald and Barbara Zucker School of Medicine at Hofstra/Northwell (Zucker SOM), a millennial medical school, as an organization with the passion to develop innovative UME curricula by challenging the status quo; the drive to be the best at leveraging health system resources to train graduates to excel in systems-based care; and the economic and resource engine of faculty time, financial and infrastructure support, and reputation building. The success of this approach is assessed at Zucker SOM through student and graduate outcomes data. The authors suggest that this hedgehog concept is generalizable to other UME programs whose leaders seek to transform medical education to meet 21st-century workforce and health care delivery needs.

PMID:
 
30570497
 
DOI:
 
10.1097/ACM.0000000000002564


"추진"을 넘어: 평가, 퍼포먼스, 학습의 관계(Med Educ, 2019)

Beyond ‘dr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performance and learning

Ian M. Scott





1 도입

1 | INTRODUCTION


커리큘럼 테이블에 앉아 있는 의학 교육자로서, 나는 학생들이 '배우게 하려면' 시험을 봐야 한다는 요구를 종종 듣는다. 결국, 모든 사람들은 평가가 학습을 촉진한다는 것을 안다.

As a medical educator who sits at curriculum tables, I often hear calls for testing to ensure that students ‘learn it’; after all, everyone knows that assessment drives learning.


스완슨과 케이스1은 우리에게 '시험으로 학생들을 쥐어잡으면, 그들의 마음과 마음이 따라올 것이다'라고 충고했다. 그러나, 우리가 평가의 역할을 개념화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평가가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기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해 왔다. 

  • 오래 전인 1961년 밀러2는 단순히 시험의 주된 목적이 학생들이 공부하도록 자극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1996년에 Van der Vleuten3은 평가를 구성할 때 트레이드오프가 있으며 평가의 내용, 형식, 시기 및 피드백은 (평가가) 모두 학습에 사용될 수 있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다. 

  • 2011년, Norcini et al4는 능력과 학습에 대한 양쪽의 판단을 지원하기support 위한 평가를 요청했다. 

  • 가장 최근에 와틀링과 긴즈버그5는 교육자로서 우리는 "퍼포먼스"를 "전문가로서의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학습과 일의 "improvement model"을 추구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Swanson and Case1 have advised us to ‘Grab students by the tests and their hearts and minds will follow’. However, there are recognised challenges in the ways we conceptualise the role of assessments, and expectations regarding how assessments affect learning have evolved over time. As long ago as 1961, Miller2 stated simply that the central purpose of a test was to stimulate students to study. In 1996, van der Vleuten3 noted that there are tradeoffs when constructing assessments and that the content, format, timing and feedback of assessments all affect the degree to which they can be used for learning. In 2011, Norcini et al4 called for assessments to support both judgements of ability and learning. Most recently, Watling and Ginsburg5 suggest that as educators, we must embrace an improvement model of learning and working so that performance is replaced by striving for improvement as a professional.


평가에 대해 점점 더 미묘한 생각을 하고 있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평가가 항상 학습자들을 학습으로 몰아가고drive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James는 사실 평가 관행은 학습과 미약한 관계가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6 그러나 평가가 결코 우리의 학습자들을 학습으로 유도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어리석은 것이다. 평가와 학습의 불일치를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평가가 학습을 촉진한다'는 것이 보편적인 진리로 언급되었을 때 왜 신화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Given this increasingly nuanced thinking about assessments, it would be folly to argue that our assessments always drive our learners towards learning. James argues, in fact, that assessment practices have only a tenuous or partial relationship to learning.6 It would be equal folly, however, to assume our assessments never drive our learners towards learning. By examining the mismatch between assessment and learning we may com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why ‘assessment drives learning’ should be regarded as a myth when stated as a universal truth.



2 퍼포먼스와 학습

2 | PERFORMANCE AND LEARNING


학습은 실천이나 다른 형태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지식이나 행동의 안정된 변화다.7 강사는 평가를 만들고 학생들은 이러한 평가에 조치 또는 성과로 응답한다. 평가에 대한 이러한 response은 종종 학습의 표시로 표시되지만, 교육자가 관찰하는 응답은 완전히 다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 response들이 지식이나 행동의 안정적인 변화를 창출하는 것과 일치할 때, 평가는 학습을 촉진한다. 

  • response들이 지식이나 행동의 안정된 변화를 창출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을 때, 우리는 그것들을 배움보다는 특정한 능력을 증명하거나 암시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학습learning과 연계된 것인지, 시험응시행위(점수)performance와 연계된 것인지는 학생들이 평가에 대비하여 취하는 조치와 평가 도중 및 평가 후에 학생들이 선택한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

Learning is a stable change in knowledge or behaviour that results from practice or other forms of experience.7 Instructors create assessments and students respond to these assessments with an action or performance. Although these responses to assessments are often labelled indications of learning, the responses educators observe may represent something else entirely. 

  • When responses are aligned with generating stable changes in knowledge or behaviour, then assessment drives learning. 

  • When responses are not aligned with generating stable changes in knowledge or behaviour, we must consider them to be performance put on for the sake of demonstrating or implying a particular capability rather than learning. 

Alignment with learning or performance is determined by the actions students take in preparation for the assessment and the ways students choose to act during and after the assessments.


1928년 듀이는 학생들이 "정신적 노예"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학습에서 목적의식을 느껴야 한다고 언급했다.8 정신적 노예는 단순히 높은 점수나 긍정적인 피드백을 추구하는 것일 수 있으며 긍정적인 평판을 만들기 위해 행동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의도적으로 학습에 대한 보상을 추구한다는 것은, 학생들이 학습에 해로움에도 불구하고 높은 시험응시행위를 보여주려고 할 때 나타나는, 평가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물이다.

In 1928 Dewey noted that students must feel a sense of purpose in their learning to avoid mental slavery.8 Mental slavery may be the pursuit of high marks or positive feedback and can include learners acting to create positive reputations. This purposeful seeking of reward over learning is the undesired consequence of assessment, when students seek to demonstrate high performance to the detriment of learning.


장기 리콜은 공부가 시간에 따라 분산될 때(즉, 분산 실습) 하나의 연속 기간에 이루어지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9 '벼락치기'는 Learning보다 Performance에 보답을 준다. 학습을 평가하기 위해 빈번하지 않은 고부담 시험을 사용할 경우, 벼락치기는 performance를 우선시하게 되며, 장기적 관점의 학습을 위해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잠재적으로 처벌punish할 수 있다.9 그러므로 마치 배움이 일어난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벼락치기 공부를 하는 학생들에게 performance에 대한 보상을 하는 것은 [장기적인 보존]과 [미래의 환경에 학습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할 수 있고, 따라서 배움을 촉진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것이다.

Long-term recall is more effective when studying is spread out over time (ie distributed practice) than when it takes place in one continuous period.9 Student ‘cramming’ (ie massed practice or intensive study just before an examination) rewards performance over learning. When infrequent highstakes examinations are used to assess learning, cramming can prioritise performance and potentially punish students who seek to learn material for longterm retention.9 Thus, although it may appear that learning has occurred, rewarding performance in students who cram can impede longterm retention and the capacity to apply the material in future settings, thereby promoting the very opposite of learning.


소규모 집단 상호작용에서, 학생들의 인상 관리는 [학습]을 희생하면서 비슷하게 [점수]를 보상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교직원은 대개 학생들을 평가하는 책임을 진다. 이러한 평가에 대응하여, 학생들은 교수들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자신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튜토리얼 초기에 일부 지식을 시연할 수 있는 'tutorial air time'을 추구한다.

In small group interactions, students’ impression management can similarly reward performance at the expense of learning. In such settings, a faculty member is usually responsible for assessing students. In response to this assessment, students seek ‘tutorial air time’ by demonstrating some knowledge early in the tutorial to ensure that the faculty member notices them in an effort to influence their assessment.10,11


그러나 우리가 위의 학습 활동에서 [학생 참여의 양]을 proxy로서 평가한다면, 우리는 performance에 보상함으로써 이러한 원래 의도를 훼손할 수 있다. 즉, 이 튜토리얼을 통해서 유도하려고 했던 종류의 학습을 저해하게 된다.

If we assess the amounts of student participation as proxies for these above learning activities, however, we may undermine these intentions by rewarding performance, thus impeding the very learning the tutorials were developed to enable.


학생들의 인상 관리는 임상 환경에서도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 여기서 학생은 [환자를 돌보기]보다는 [감독자나 동료들을 위해 수행하는performing 것]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고, 이것은 임상 의사 결정, 자신의 건강, 그리고 심지어 환자 안전까지 손상시킬 수 있다.

Students’ impression management can also impair learning in clinical settings. Here, students who focus on performing for their supervisors or their peers rather than caring for their patients can impair their clinical decision making, their own wellness and even patient safety.12,13


이처럼 학생이 '측정measuring up'에 맞추려는 경향은 [교육자와 학습세팅이 학생들에게 주는 단서들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결정]된다.12 이러한 환경이 performance에 대한 보상을 위해 구성되면, 학생들이 연기perform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임상 교육 세팅을 관리하고, 자신의 지도자와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정교한 전략을 사용하여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지한다.14,15 Performance 접근법을 채택한 학생들은 [환자의 병에 대해 배우고 환자를 돌보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감독자가 듣고 싶은 것을 말함으로써 그들이 '겉으로 보이는' 능력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14,15

This student focus on ‘measuring up’ is socially constructed and determined by the cues that instructors and the learning setting give to students.12 When these environments are constructed to reward performance, students will perform. In such situations, students actively work to manage the clinical teaching setting and use sophisticated strategies to manage their preceptors and the situation to maintain a positive image.14,15 Students who adopt a performance approach can be rewarded for their apparent competence by telling the supervisor what they want to hear rather than focusing on learning about their patient's illness and dedicating themselves to caring for their patients.14,15


마지막으로, 평가에 대응하여 학생들이 보여주는 performance는 환자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질시킬 수 있다. 학생들은 환자를 [돌봄을 통해 배움을 얻는 방법]으로 여기기보다는, 성공의 장애물로 여기게 된다. Gormley et al17 참고사항처럼 객관적 구조화된 임상시험(OSCEs) '...가 학습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고 있을 수 있다. 그들은 OSCE와 같은 평가들이 학생들에게 주는 사회적, 문화적 메시지를 고려하라고 요구한다. OSCE 체크리스트를 만족하면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지만, 환자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OSCE는 학생들에게 [임상에서 마주칠 때 좋은 모습을 보이는 것]이 [잘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

Lastly, performances in response to assessments can pervert the way students think about patients by shifting patients from a means to learn through caring to a barrier to success. As Gormley et al17 note,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OSCEs) ‘… may be driving learning in the wrong direction’. They ask us to consider the social and cultural messages that assessments such as OSCEs give students. Satisfying the OSCE checklist can result in a high score on the assessment but may represent poor patient care. The OSCE can give students the message that in a clinical encounter it is more important to appear good than do well.


3 나아갈 방향

3 | MOVING FORWARD


우리는 평가가 모든 경우에 학습을 지원support한다고 가정할 수 없다. 이러한 평가 문제에 직면하여, 학생, 기관, 커리큘럼, 평가 및 피드백이 학습을 더 잘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들이 있다.

we cannot assume assessments support learning in all cases. In the face of this assessment problem, there are actions we can take to support how our students, institutions, curriculum, assessments and feedback can better support learning.


3.1. 학생

3.1 | Students


엘리엇과 Dweck는 개인이 성취 상황에서 성장 및 숙달, 성과와 고정 방향의 두 가지 유형의 목표 방향을 채택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8,19 

    • 학생들은 목표가 개인적 개발에 초점을 맞춰져 있을 때(학습해야 할 자료나 과제의 숙달) growth 지향을 보여준다. 

    • 대조적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찾는 데 초점을 맞추고 부정적인 판단을 피하려고 할 때 performance 지향성을 보여준다. 

Elliot and Dweck propose that individuals can adopt two types of goal orientations in achievement situations: growth and mastery, and performance and fixed orientations.18,19 

    • Students demonstrate a growth orientation when their goals focus on personal development (ie mastery of the material or task to be learned). 

    • By contrast, students demonstrate a performance orientation when their goals focus on seeking positive assessments of their competence and they look to avoid negative judgements. 


특정한 시점에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생각 중 하나를 보유하는 것은 평가에 대응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학습자는 상황에 따라 고정형 마인드와 성장형 마인드를 둘 다 가질 수 있으며, 어떤 사고방식이 발동되는지는 학습과 평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성장 마인드를 갖는 것은 학생들이 [답을 모르거나, 실수를 하거나, 실패를 경험하거나, 불안해할 때] 학습을 서포트해주고 저항감을 낮춰준다.18,19

Holding one of these two opposing mindsets at any given time has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how students will behave in response to assessment challenges. Learners can have both fixed and growth mindsets at different points in time, and which mindset is invoked depends on the learning and assessment context. Having a growth mindset supports learning and avoids resistance when students do not know an answer, make an error, experience failure or are anxious.18,19


학생들에게 성장형 마인드를 촉진하려면, [단순히 우리 자신의 성공적인 성과를 모델링]해서는 안된다. 학생들에게 성장형 마음가짐을 길려주기 위해서는, 성장형 마음가짐은 도전을 수반하는 평생에 걸친 활동이며, 어떤 도전이 주어졌을 때, 그것을 물고늘어져서sticking to 역량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학습하는 것임을 설명하고 모델링해야 한다.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우리가 지금 가르치는 자료를 배울 때 우리가 겪었던 어려움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갖는 것]은, [단순히 열린 마음을 가지거나 좋은 사람이 됨으로써 성장 마인드가 표현된다는 신화]를 제거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20

We can help foster a growth mindset in our students by explaining and modelling that a growth mindset is a lifelong activity that entails taking on challenges, sticking to those challenges and learning from them in the pursuit of competence, rather than simply modelling our own successful performance. Focusing on process rather than outcome and being open about struggles we had when learning material that we are now trying to teach can also help students by dispelling the myth that a growth mindset is represented simply by having an open mind or being a nice person.20


3.2. 기관

3.2 | Institutions


성찰적 실천을 드러내놓고 하는 기관은 해당 기관에서 일하고 배우는 개인들을 위한 learning orientation을 촉진할 수 있다.23,24 Klein 등은 비록 학교가 학생들에게 성장 마인드를 갖도록 가르칠 수 있지만 임상 환경의 문화가 경쟁적이고, 개개인이 주로 자신들의 performance를 더 가치있게 여긴다면, learning perspective를 서포트하는데서 올 수 있는 이득을 잃게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Organisations that make reflective practice overt can promote a learning orientation for the individuals who work and learn in those institutions.23,24 Klein et al25 suggest that although schools can teach students to have a growth mindset orientation, if the culture of the clinical setting is competitive, with individuals primarily valued for their performances, any gains in supporting a learning perspective will be lost.


또한 주로 performance에 초점을 맞춘 설정은 학습 및 성과 지향성을 모두 갖춘 학생들 사이에서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26 학습 환경에서의 학생 발전은 일부 학습 환경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명확하게 입증된 명시적 가치에 기초해야 한다고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27, 28 기관 문화는 기관 내에서 '무엇이 행해지고, 어떻게 행해지고, 누가 그것을 하고 있는가'로 표현되는 가정, 신념, 가치의 총합이다.29

In addition, settings that are primarily focused on performance lead to poorer outcomes amongst those with both learning and performance orientations.26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student development in learning settings needs to be based on explicit values that are clearly demonstrated in all, not some, learning environments.27, 28 Institutional culture is the sum total of the assumptions, beliefs and values as expressed by ‘what is done, how it is done, and who is doing it’ within an institution.29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기관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고려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와 관련하여 Kotter의 1996년 모델은 지속적인 사용과 증거 축적을 입증하였다.32,33 변경에 대한 8단계 개요...

To influence culture it is helpful to consider how institutional change takes place. In this regard, Kotter's 1996 model has demonstrated sustained use and accumulation of evidence.32,33 The eight steps Kotter outlines for change are: 

    1. establish a sense of urgency, 

    2. form coalitions, 

    3. create a vision for change, 

    4. communicate that vision, 

    5. empower others to enact the vision, 

    6. plan for and create short-term wins, 

    7. consolidate improvements and 

    8. institutionalise new approaches.34 

비록 기관의 문화를 바꾸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우리 기관이 학생들에게 주는 명시적이고 암묵적인 메시지를 탐구하는 것은 우리가 평가 앞에서 학습을 지원하는 변화 과정을 목적에 따라 만들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5

Although it can be challenging to change the culture of an institution, exploring the explicit and tacit messages that our institution gives students may help us begin to purposefully create and manage a change process that supports learning in the face of our assessments.35


3.3. 교육과정

3.3 | Curriculum


future practice를 명시적으로 지원하는 커리큘럼이 현재의 학습을 지원한다.36 어떤 학교도 학생들에게 미래실습을 지원하지 않는 자료를 가르치고 있다고 주장하지는 않겠지만, 학생들은 현재의 학습과 미래의 과제 사이의 연관성을 깨달을 때 더 많은 학습 동기를 얻을 수 있다. 많은 동기적 이론들은 수행과제가 미래에 가지는 가치의 중요성을 지지한다.37 

A curriculum that explicitly supports future practice supports current learning.36 Although no school would claim they are teaching students material that does not support future practice, students can be further motivated to learn when they see the connection between current learning and future tasks. Many motivational theories support the importance of this future task value.37 


예를 들어 주관적 기대 가치 이론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주요 독립적 요소가 있다고 말한다: 즉 [성공의 기대치]와 [과제를 수행할 때 본질적인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과제 가치)].37 [현재 평가되고 있는 것이 미래의 practice을 지원할 것이라는 것을 학생들에게 증명하는 것]은 [단순히 현재의 성과를 우선시 하는 것]보다 [미래의 practice를 더 잘하기 위해서는 학습 과제에 더 참여해야 한다는 것]에 동기를 부여해줄 것이다.

For example, subjective expectancy-value theories identify two key independent factors that influence behaviour: the expectancy of success and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perceive there to be intrinsic value in doing the task (task value).37 Demonstrating to students that what they are being assessed on now will support future practice may motivate students to more fully engage in learning those tasks to enable better future practice, rather than simply prioritising current performance.24


또한 assessment practice가 커리큘럼 계획을 보다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면 [효과적인 학습 전략]과 [평가 관행] 사이의 juxtaposition에 대해 생각해 볼 가치가 있다. 던로스키 외 연구진은 최근 효과적인 교육 및 학습 기법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기법은 interleaved and non-massed 학습에서부터 시험 연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바람직한 학습전략이 어떻게 assessment practice에 반영되어 그 전략이 가져오는 leaning affordance로부터 이득을 볼 수 있는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교육 및 연구 기법은 배치 방법에 따라 성과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It is also worth thinking about the juxtaposition between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assessment practices to determine how the latter can more directly support curriculum planning. Dunlosky et al9 have recently outlined how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with effective instructional and studying techniques. These techniques range from interleaved and nonmassed learning to practice testing. It is valuable to consider how these strategies could be embedded in assessment practices to take advantage of their learning affordanc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se instructional and study techniques could support either performance or learning depending on how they are deployed.


3.4. 평가

3.4 | Assessment


테스트 강화 학습을 통해 더 나은 메모리를 지원하는 요인으로는 

    • 절한 간격의 반복적인 테스트, 

    • 생산 테스트 사용(단답, 빈칸 채우기, 에세이 등), 

    • 절한 타이밍에 맞는 피드백 제공 등이 있다.

Factors that support better memory through test-enhanced learning include 

    • repeated testing with appropriate spacing intervals, 

    • use of production tests (short-answer, fill-in-the-blank, essay, etc.) and 

    • the provision of feedback that is appropriately timed.40-42


이러한 특징을 이해하려면 이 분야가 [시험 강화 학습]이라는 용어가 아니라 이제는 보다 포괄적인 용어인 [리콜 강화 학습]으로 이동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리콜에는 학생들이 (그들이 환자의 병을 진단하려고 할 때 또는 주치의가 제기하는 구두 질문이나 절차를 수행하라는 요청을 받은 경우43) 소그룹 문제 기반 환경에서 정보를 발표하는 시나리오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이것들은 학습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공식 시험을 완료하는 행위는 아니다. 이것은 학습을 유도하는 니모닉 효과를 뒷받침하는 회상 행위이다.

To understand these featur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field has moved away from using the term test-enhanced learning to the more encompassing term recall-enhanced learning. Recall can include scenarios in which students present information in a small group problem-based setting, when they seek to diagnose a patient's illness or when they are asked to perform a procedure or answer an oral question posed by an attending physician.43 In other words, it is not the act of completing a formal test that directly supports learning but the act of recall that supports the mnemonic effects driving this phenomenon.


리콜 강화 학습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리콜이 교육과정에 필수적인 다른 맥락도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비공식 평가 상황이 학생들이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다만, Watling과 Ginsburg에 의해 식별된 한 가지 주의사항은 public assessment가 단순히 데이터 수집을 수반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는 복잡한 사회적 환경에 내재되어 있다. 내재된 사회적 요인이 요구하는 것은, 교육과정이 [다른 형태의 학습이나 학생 개발에 쏟는 시간은 없는, 그저 'recall mills'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다.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recall-enhanced learning effect, we should also consider the other contexts in which recall is integral to our curriculum and recognise that these non-formal assessment settings provide importa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testing’. One caveat, as identified by Watling and Ginsburg,5 is that public assessments do not just entail the collection of data; rather, these assessments are embedded in a complex social setting. Embedded social factors demand that we be careful that our programmes do not become ‘recall mills’ with little time spent on other forms of learning or attention to student development.


3.5. 피드백

3.5 | Feedback


블랙과 윌리엄스는 평가가 학습에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성적과 형성적 피드백을 명확히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44 이러한 구별을 넘어서 교육학과 심리학의 문제를 모두 고려한 형성적 평가 이론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44,45 최근 W.atling과 Ginsburg는 우리가 '성과performance의 문화보다는 개선improvement의 문화'를 육성하기를 원한다면 평가 목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5

Black and Williams have argued that ensuring assessments are focused on learning requires a clearer distinction between grading students and providing formative feedback.44 Beyond this distinction, there have been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formative assessment theory that takes into account issues of both pedagogy and psychology.44,45 Recently Watling and Ginsburg have noted the need for a clarity of assessment purpose if we wish to foster a ‘culture of improvement rather than a culture of performance’.5


개선 문화를 채택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피드백의 몇 가지 특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46-50 학습을 지원하는 피드백 실습은 매우 많으며, 여기에는 

    • 학습자를 압도하지 않기 위해 관리 가능한 단위로 정교한 피드백을 제시하고, 

    • 학습 과정 중 초보자나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며('힌트'는 명시적이고 지시적인 피드백만큼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음), 

    • 그리고 타이밍 대한 관심이 포함된다. (어려운 작업에 대한 보다 즉각적인 피드백과 상대적으로 단순한 작업에 대한 지연된 피드백 포함).

To adopt a culture of improvement it will be important to utilise some features of effective feedback.46-50 Feedback practices that support learning are numerous, including: 

    • the presentation of elaborated feedback in manageable units in order not to overwhelm the learner; 

    • offering explicit guidance to novices or struggling stude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hints may not be as helpful as more explicit, directive feedback); and 

    • attention to timing (with more immediate feedback for difficult tasks and delayed feedback for relatively simple tasks).


또한 임상 환경에는 효과의 강력한 증거와 관련된 피드백 연습이 있다.48 

    • 절차(방법)의 측면에서, 피드백은 상품으로서가 아니라 대화로서 취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내용의 측면에서, 피드백은 개별 연습생에게 맞춤화되고, 잘 된 핵심 사항을 강화하고, 업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협력적으로 만들며, 자기 인식의 증가를 지원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 피드백은 연습자가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actionable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작업이 어떻게 수행되었으며, 이상적으로는 어떻게 수행되어야하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In addition, there are feedback practices in the clinical setting that are associated with strong evidence of effectiveness.48 

    • As a process, this literature suggests the need to treat feedback as a conversation rather than as a commodity. 

    • As content, feedback works best when tailored to the individual trainee, includes reinforcement of key points done well, involves collaborative generation of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 and supports increased selfawareness. 

    • Feedback should ideally focus on how the task was carried out and how that type of task should or might be carried out, as well as being actionable, enabling the trainee to construct strategies for improvement.


학생들이 학습 계획 수립에 적극 참여한다는 개념을 고려하여, Boud51은 평가 활동이 학생들이 그들의 미래 실습에서 자기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시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일단 학습자들이 교육기관을 떠나게 되면, 학습자는 (바라건대) 자신이 유능한지, 전문적으로 행동하는지, 충분히 배려하는지, 동정심이 많은지를 궁금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피드백 전략을 생각함에 있어서, 피드백을 학생들이 자신이 (1)커뮤니티를 serve할만큼 충분한 지식/술기/태도를 갖췄는지, (2)부족한 점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접근법을 익히는 수단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Elaborating on the notion of students being active participants in the coconstruction of learning plans, Boud51 suggests that assessment activities should be directed in such a way as to enable students to undertake selfassessment in their future practice. Once our learners leave our institutions , they will (hopefully) be wondering if they are competent, if they are acting professionally, are caring enough and are being compassionate. In other words, we should think of our feedback strategies as a means through which to give stu-dents in our programmes the approaches to determine if they hav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serve the communities they are working in and to address any deficiencies they identify.52 



4 결론

4 | CONCLUSIONS


우리가 평가의 취지에 대해 더욱 명백해짐에 따라, 우리는 평가를 교육 과정의 통합된 부분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단지 교육의 다른 측면과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평가를 통해 학습을 지원하려면 평가를 지원하고 커리큘럼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

As we become more explicit about the intent of our assessments, we need to think of our assessments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curriculum and not just something we do after or separately from other aspects of instruction. Assessment needs to support and be supported by the curriculum if we wish assessment to support learning.


우리는 우리의 평가, 피드백 그리고 심지어 코칭까지 [학생의 발전, 제도적 문화와 커리큘럼 디자인에 맞추어] 디자인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우리는 학습자의 궁극적인 practice도 고려해야 한다.

We, therefore, need to start thinking about designing our assessments, feedback and even coaching in tandem with student development, institutional culture and curriculum design, as well as looking forward to our learners’ ultimate practices.


McGaghie는 묻고 대답한다. '... 모든 수련생들 사이에서 최대의 학습 성과를 내는 교육 환경을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정답은... [모든 학습자들 사이에서 숙달 수준의 성취를 촉진하는] 커리큘럼과 평가 계획을 만드는 것이다. .57 이러한 고려사항들은 우리가 우리의 평가를 계획하고, 개발하고, 적용하고 해석하는 방법에 복잡성을 가중시키지만 그러한 고려사항들은 우리 학생들과 더 중요한 우리 환자들의 미래에 필수적이다. 

McGaghie asks and answers, ‘… how shall we desig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duces maximum learning outcomes among all trainees? The answer is to create … a curriculum and assessment plan—that promotes mastery level achievement among all learners’.57 These considerations add complexity to the ways we plan, develop, apply and interpret our assessments but such considerations are vital to the future of our students and more importantly our patients.


평가가 학습을 촉진하는가? 그래, 할 수 있지만, 오직 우리의 학습자들, 우리의 기관, 교육과정과 적절한 평가와 피드백 사용을 통해서만 그러하다. 이러한 적극적이고 의도적인 참여를 통해, 우리는 학생들을 성과performance보다는 학습learning을 향해 drive할 것이다.

Does assessment drive learning? Yes, it can, but only through active and purposeful engagement with our learners, our institutions, our curriculum and the appropriate use of assessments and feed-back. Through this active and purposeful engagement, we will be more likely to ride with our students towards learning rather than drive our students towards performance. 


57. McGaghie WC. Mastery learning: it is time for medical education to join the 21st century. Acad Med 2015;90(11):1438-1441.





 2019 Aug 26. doi: 10.1111/medu.13935. [Epub ahead of print]

Beyond 'dr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performance and learning.

Author information

1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bstract

OBJECTIVE:

Is the statement 'assessment drives learning' a myth?

BACKGROUND:

Instructors create assessments and students respond to these assessments. Although such responses are often labelled indications of learning, the responses educators observe can also be considered a performance. When responses are aligned with generating stable changes, then assessment drives learning. When responses are not aligned with stable changes, we must consider them to be something else: a performance put on partially or fully for the sake of implying capability rather than actual learning. The alignment between the assessments educators create and the way students respond to these assessments is determined by the actions students take in our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our assessments and after engaging with our assessments.

CONCLUSIONS:

Not all assessments need to or should support learning, but when we assume all assessments 'drive learning', we endorse the myth that assessment is necessarily a formative aspect of our curricula. When we create assessments that encourage performance activities such as cramming, competing for tutorial airtime and impression management in the clinical setting we drive students to a performance. By thinking about how our students, institutions, curricula and assessments support learning and how well they support performance, we can modify and more fully align our curricular and assessment efforts to support learners in achieving their (and our) desired outcome. So, is the phrase 'assessment drives learning' a myth? This paper will conclude that it often is but we as educators must, through our leadership, move this myth towards a reality.


직접 관찰과 평가를 정렬하기(Med Educ, 2019)

Aligning direct observation and assessment

Stephen Gauthier




평가는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에서 학습과 평가를 추진하는 엔진이다. 직접 관찰은 그 엔진에 동력을 주는 연료. 직접 관찰에 기반한 강력한 평가 프로그램 작성에 대한 책임은 결국 바쁜 최전방 임상의들의 어깨에 있다. 그 결과, 임상 실습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감독자의 관찰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Assessment is the engine that drives learning and evaluation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Direct observation is the fuel that powers that engine. Responsibility for the creation of a strong programme of assessment based on direct observation ultimately falls on the shoulders of busy frontline clinicians.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capitalise on supervisors’ observations that occur naturally in clinical practice.


의료 훈련의 구조에 짜여들어가있는woven into 그러한 기회 중 하나는 감독자에게 임상 사례를 발표하는 관행이다. 구두사례 발표는 연습생과 감독자가 환자 진료를 안내하는 정보를 검토하는 귀중한 순간을 나타낸다. 그것들은 모든 분야의 일일 작업흐름에 포함된다. 그러나 구두사례 프리젠테이션이 널리 보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 툴로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평가에 활용도가 낮다.12 이 점에서 중요한 단계는 구두사례 프리젠테이션을 사용하여 어떤 기술을 평가해야 하고 평가해서는 안 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One such opportunity woven into the fabric of medical training is the practice of presenting a clinical case to a supervisor. Oral case presentations represent valuable moments in which the trainee and supervisor review information that guides patient care. They are embedded in the daily workflow of all disciplines. Despite their prevalence, however, oral case presentations are underutilised for assessment because it is unclear how they can be used effectively as assessment tools.1,2 A critical step forward in this regard is to understand which skills should and should not be assessed using oral case presentations.


스켈리 외 연구진.3은 레지던트 환자가 마주치는 동안의 의사소통을 후속 구두사례 설명과 비교하여 이러한 이해에 기여한다.

Skelly et al.3 contribute to this understanding by comparing communication during resident– patient encounters with subsequent oral case presentations.


환자의 만남과 사례 제시 사이에 의료 콘텐츠의 상당 부분이 일치했지만, 의사소통에서는 해당되지 않았다(일치도가 낮았다). 스켈리 외 연구진은 레지던트가 환자의 만남 동안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지 못했으며 구두사례 발표 중 감독자들에게 의사소통의 질에 대해서는 전달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 게다가, 감독관들은 기본적인 의사소통 문제를 제안하는 'cues'에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좀 더 직접적인 관찰을 요구한다.

Whereas much of the medical content was congruent between the patient encounter and case presentation, this was not true for communication. Skelly et al. found that residents consistently failed to demonstrate important communication skills during the patient encounter and that communication quality was not conveyed to supervisors during oral case presentations.3 Furthermore, supervisors rarely responded to ‘cues’, which suggested underlying communication issues. The authors call for more direct observation to address these issues.


스켈리 외 연구진의 연구결과3 CBME의 확립된 평가 이론과 일치한다. 어떤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대리proxy지표(이 경우 구술 사례 발표)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레지던트-환자 상호 작용을 관찰하는 것은 밀러의 피라미드 최고 수준에 있는 의사소통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평가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른 전략을 사용하려는 유혹이 많겠지만, 다른 방식으로 'doing'에 대한 평가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Skelly et al.’s findings3 align with established theories of assessment in CBME. Using a proxy (in this case the oral case presentation) to assess any given competency is problematic. Observing resident– patient interaction directly provides an assessment of communication at the highest level of Miller’s pyramid – assessing a trainee ‘doing’4 – that cannot be achieved in other ways despite the temptation to use other strategie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어떤 형태의 평가도 평가 프로그램으로 우리가 달성해야 할 모든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기술이 어떤 순간에 관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직접 관찰'이라는 개념을 좁게 구상해서는 안 된다. 직접 관찰에는 단순히 [수련자가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상황을 관찰하는 상황]을 넘어서, [감독자가 연습자가 임상 과제를 완료하는 것을 지켜보는 상황]도 포함될 수 있다.

no one form of assessment can achieve every goal we need to fulfil with our assessment programme, a conclusion that necessitates the careful consideration of which skills can be observed at which moments. To this end, the notion of ‘direct observation’ should not be conceived narrowly. Direct observation can include any situation in which a supervisor watches a trainee complete a clinical task rather than simply a situation in which a trainee is watched while interacting with a patient.


본질적으로, [연습생-환자 조우에 대한 '직접 관찰']이 [구술 사례 발표]와 비교하여 연습생의 능력에 대해 반드시 더 나은 평가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 둘은 서로 다른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각 도구는 서로 다른 기술을 관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In essence, it is not that ‘direct observation’ of a trainee–patient encounter necessarily offers a better assessment of the trainee’s competence relative to the oral case presentation. Rather, it offers a different assessment and each tool has the potential to enable the observation of different skills.


즉, 스켈리 외 연구진이 구두사례 프리젠테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간접적인 수단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할 수 없다는 사실을 경고하지만, 직접 관찰의 정의를 확대한다면, [임상 추론]은 구두사례 발표에서 (밀러의 피라미드 최고 수준인) '직접 관찰'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환자와의 상호 작용과 달리, 구두사례 발표는 감독자가 자신의 임상 추론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평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탐색 질문을 하고 연습생과 체계적인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5

In other words, although Skelly et al.3 alert us to the fact that communication skills may not be assessable through the indirect means provided by oral case presentations, broadening the definition of direct observation may make it such that clinical reasoning is more ‘directly observed’ at the highest level of Miller’s pyramid in the oral case presentation. Unlike an interaction with a patient, an oral case presentation allows the supervisor to ask probing questions and to engage in structured dialogue with the trainee to facilitate a more extensive assessment of his or her clinical reasoning.5


구두사례발표가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정확히 보여주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레지던트가 작성한 퇴원 요약서를 읽는 것]은 퇴원 과정에서 bedside에서 발생한 상호작용의 퀄리티에 대해서 정확히 보여주지 못하는 proxy method일 수 있다그러나, 퇴원 요약서를 검토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는 귀중한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퇴원 요약서는 

  • 의료 제공자와 의사소통하는 능력, 

  • 퇴원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 

  • 안전한 transitions of care를 구현할 수 있는 능력

...에 대해 더 '직접 관찰'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Reading a discharge summary written by a resident offers a proxy method of assessing the discharge process that may not be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quality of the discharge interaction that takes place at the bedside, much as oral case presentations do not accurately convey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re are valuable skills to be demonstrated, insight into which might be gleaned by reviewing discharge summaries. Discharge summaries, for example, are likely to provide more ‘direct observation’ of a trainee’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health care providers, formulate discharge plans and implement safe transitions of care.


평가해야 할 기술에 따라서는, 아래의 것들이 직접 관찰의 기회 또는 proxy라고 볼 수 있다.

  • 소생 후의 보고, 

  • 컨설턴트에게 제공받은 정보의 전달 

  • 프로시져 노트 문서화

...가 포함된다. 

Other activities that can be viewed as either proxies or opportunities for direct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skill that needs to be assessed include 

  • debriefing following a resuscitation, 

  • relaying information provided by a consultant and 

  • documenting procedure notes. 

위 활동 중 수련생-환자 조우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수반하는 것은 없지만, 그것들은 가치 있는 역량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 entrustment decision에 도움이 된다.2,7 감독관은 주어진 활동을 관찰할 때 평가해야 할 것을 의도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이러한 구별을 이해해야 한다.

None of these activities involve direct observation of a trainee– patient encounter, but they can inform entrustment decisions through more direct observation of valued competencies.2,7 Supervisors must understand this distinction in order to deliberately choose what to assess when observing any given activity.


요컨대, 스켈리 외 연구진은 우리에게 구두 사례 발표가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데 부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focused and deliberate하게 사용한다면 충분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두사례발표가 쓸모 없거나 형편없는 평가 수단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정 기술을 직접 관찰하기 위한 도구로 구술 사례 프레젠테이션을 수용하면 '우리가 하고 있는 것do과 측정하는 것measure을 정렬'할 수 있다.8 감독자가 무엇을 관찰는지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관찰하는 동안 무엇을 평가하는지이다.

In sum, Skelly et al.3 show us that oral case presentations are inadequate for assessing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is does not imply that they are useless or poor means of assessment given that they can provide value when used in focused and deliberate ways. Perceiving oral case presentations as tools to directly observe specific skills allows for an opportunity to ‘[align] what we measure with what we do’.8 What supervisors observe matters, but what they assess while observing matters more.






 2019 Jul;53(7):642-644. doi: 10.1111/medu.13903. Epub 2019 May 20.

Aligning direct observation and assessment.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School of Medicine, Queen's University, Kingston, Ontario, Canada.
PMID:
 
31106882
 
DOI:
 
10.1111/medu.13903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에서 체크리스트와 전반적평가(GRS)의 타당도근거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15)

A systematic review of validity evidence for checklists versus global rating scales in simulation-based assessment

Jonathan S Ilgen,1 Irene W Y Ma,2 Rose Hatala3 & David A Cook4,5




도입

INTRODUCTION


건강 전문가 교육에서 평가 시 체크리스트와 글로벌 등급 척도(GRS)가 자주 사용되며, 이 두 종류의 도구의 상대적 장단점이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1–4 

  • 체크리스트는 평가자에게 직접 관찰 가능한 조치의 수행이나 누락에 대해 입증하도록 유도하는 반면, 

  • GRS는 일반적으로 평가자에게 참가자의 전체적인 성과를 판단하거나 하위 작업에서 수행에 대한 세계적인 인상을 제공하도록 요구한다. 

  • 크리스트는 사용하기에 비교적 직관적이며, 특히 당면한 임상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의 경우 관찰 가능한 행동에 대한 단계별 개요와 형태적 피드백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5

Checklists and global rating scales (GRSs) are frequently used in assessment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rela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se two types of tool have long been debated.1–4 Checklists prompt raters to attest to the performance or omission of directly observable actions, whereas GRSs typically asks raters to judge participants’ overall performance or to provide global impressions of performance on sub-tasks. Checklists are relatively intuitive to use and – especially for raters who are less familiar with the clinical task at hand – provide step-by-step outlines for observable behaviours and guidance for formative feedback.5


체크리스트가 더 '객관적인' 측정 프레임의 매력을 제공하지만, 증거는 이 형식이 반드시 더 높은 타당성이나 신뢰성을 부여하지는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6,7 평가자에게 등급을 이분화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체크리스트는 정보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1,8 체크리스트 형식은 임상 역량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는 행동action을 댓가로 그 철저함을 보상받을 수도 있다.

Although checklists offer the allure of a more ‘objective’ frame of measurement, evidence suggests that this format may not necessarily confer greater validity or reliability.6,7 By requiring raters to dichotomise ratings, checklists may result in a loss of information,1,8 and this format may reward thoroughness at the expense of actions that more accurately reflect clinical competence.6,9,10


이와는 대조적으로, 비록 GRS를 정확히 사용하려면 주관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지만, GRS는 체크리스트와는 전문성의 수준 차이를 더 민감하게 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12 이러한 주관성이 가치를 가질 가능성이 있지만, 평가의 신뢰성과 정확성은 평가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평가자의 특성에는 척도에 대한 익숙도, 임상 전문지식, 개인적 특이성, 과제의 복잡성과 같은 것이 있으며, 일부는 고부담 평가 환경에서 GRS의 defensibility에 의문을 제기한다.15–17

By contrast, GRSs have been shown to detect differing levels of expertise more sensitively than the checklist,11 although the rendering of accurate global impressions requires subjective rater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12 While this subjectivity is likely to have value,13,14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assessments may be dependent upon rater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iarity with the scale, clinical expertise, training and personal idiosyncrasies, and on the complexity of the task, which leads some to question the defensibility of expert global impressions in high-stakes assessment settings.15–17



연구질문

Research questions


  • 1 체크리스트 점수와 비교하여 전지구적 등급의 계층간, 항목간 및 계간 신뢰도는 무엇인가?

1 What are the inter-rater, inter-item and inter-station reliabilities of global ratings in comparison with checklist scores?

  • 2 글로벌 등급과 체크리스트 점수는 얼마나 잘 연관되어 있는가?

2 How well do global ratings and checklist scores correlate?

  • 3 글로벌 등급 및 체크리스트 점수에 대해 보고된 유효성 증거는 무엇인가?

3 What validity evidence has been reported for global ratings and checklist scores?


방법

METHODS


본 검토는 체계적인 검토를 위한 품질의 PRISMA(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 시 선호되는 보고 항목) 표준을 준수하여 계획 및 수행하였다.23

We planned and conducted this review in adherence to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standards of quality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23


Study eligibility


우리는 테크놀로지-향상 시뮬레이션을 '학습자가 교육이나 평가를 목적으로 임상 치료의 한 측면을 모방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교육 도구 또는 장치'로 정의했다. 여기에는 고충실성 및 저충실성 마니킨, 파트타스크 트레이너, 가상현실(비표준 컴퓨터 장비가 필요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포함), 동물 모델 및 교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간 사체모형이 포함된다.'24

we defined technology-enhanced simulation as an: ‘educational tool or device with which the learner physically interacts to mimic an aspect of clinical care for the purpose of teaching or assessment. This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highfidelity and low-fidelity manikins, part-task trainers, virtual reality (including any computer simulation that requires non-standard computer equipment), animal models, and human cadaveric models used for teaching purposes.’24


    • 체크리스트를 이분법적 대응 형식과 두 개 이상의 항목을 가진 계측기로 정의하고, 단일 체크리스트 항목(즉, 전체 패스/실패에 한함)으로 연구를 제외했다. 

    • GRS를 항목당 2개 이상의 응답 옵션을 가진 계측기로 정의했다. 이러한 척도는 전반적판단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단일 항목 종합 GRS(즉, '글로벌 인상에 대한 요구 사항')를 포함시켰다.

We defined checklists as instruments with a dichotomous response format and more than one item; we excluded studies with only a single checklist item (i.e. an overall pass/fail only). We defined GRSs as instruments with more than two response options per item. Because these scales have been designed to allow global judgements, we included single-item summative GRSs (i.e. those that ask for a ‘global impression’).



Study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Data extraction


Data analysis



결과

RESULTS


시험 흐름은 부록 S2 (온라인)에 나타나 있다.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11628개의 논문에서, 우리는 1819명의 훈련생들의 데이터를 반영하여 GRS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동일한 구조를 측정했던 45개를 식별했다(중간: 연구당 27명의 훈련생들, [IQR]: 20–55). 표 1은 포함된 연구의 주요 특징을 요약한다.

Trial flow is shown in Appendix S2 (online). From 11 628 potentially relevant articles, we identified 45 that used a GRS and a checklist to measure the same construct, reflecting data from 1819 trainees (median: 27 trainees per study; interquartile range [IQR]: 20–55). Table 1 summarises the key features of the included studies.


척도 특징

Scale characteristics


평가의 임상 영역에는 개방수술(n = 18) 및 최소침습수술(n = 5) , 내시경(n = 8), 소생(n = 7), 항체생리학(n = 4) 및 소생과 수술에 대한 비기술적 기술(n = 3)이 포함되었다(표 1). 보고서의 약 2/3(GRS, n = 27, 체크리스트, n = 29)는 척도의 예를 포함하거나 복제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설명을 제공했다. 항목 번호가 보고된 연구 중 GRS(n = 43)는 평균 6개 항목(중간: 7개, 범위: 1–13)을 포함했으며, 체크리스트(n = 35개)는 평균 19개 항목(중간: 17; 범위: 3–49)을 포함했다.

The clinical areas of assessment included open (n = 18) and minimally invasive (n = 5) surgery, endoscopy (n = 8), resuscitation (n = 7), anaesthesiology (n = 4), and non-technical skills for both resuscitation and surgery (n = 3) (Table 1). About two-thirds of the reports (GRS, n = 27; checklist, n = 29) included examples of their scales or provided sufficient description to allow their replication. Among studies in which item numbers were reported, GRSs (n = 43) contained an average of six items (median: seven; range: 1–13), and checklists (n = 35) contained an average of 19 items (median: 17; range: 3–49).


40개의 연구는 가장 보편적으로 GRS 앵커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다. 가장 흔한 것은 행동적(즉, 직접 관측 가능한 조치, n = 23)인 것이었고, 다른 것으로는 숙련도(즉, 특정 행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높음'에서 '낮음'까지), 리커트 규모 기반 앵커(즉, '부동의'에서 '동의'까지), 전문가/중간/초보자(n = 1), 시각 아날로그 척도(n = 3)(일부 연구에서는 여러 앵커 유형을 사용하기도 함)등이 있었다. 13개의 연구에서는 OSATS GRS29 또는 매우 약간 수정하는 것을 사용하였고, 또 다른 14개의 연구에서는 OSATS를 새로운 계측기의 출발점으로 사용하였다.

Forty studies provided descriptions of GRS anchors, which were most commonly behavioural (i.e. directly observable actions, n = 23); other anchors included proficiency (i.e. ranging from ‘high’ to ‘low’ performance without outlining specific behaviours, n = 10), Likert scale-based anchors (i.e. ranging from ‘disagree’ to ‘agree’, n = 5), expert/intermediate/novice performance (n = 1), and visual analogue scales (n = 3) (some studies used multiple anchor types). Thirteen studies used the OSATS GRS29 or very slight modifications of it, and another 14 studies used the OSATS as the starting point for a new instrument.



평가자 특징

Rater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포함된 연구의 평가자는 일반적으로 의사였다(n = 34). 다른 의료전문가(간호사, 응급의료기술자, 호흡기 치료사 등)를 채용한 5개 연구와 11개 연구에서는 래더의 배경을 명확하게 기술하지 않았다. 작가들은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임상 영역에서 이러한 개인의 전문지식을 설명함으로써 자신의 연구자 선택을 정당화했다.

Raters in the included studies were typically physicians (n = 34). Five studies employed other medical professionals (such as nurse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respiratory therapists), and 11 studies did not clearly describe the backgrounds of raters. Authors typically justified their rater selection by describing these individuals’ expertise in the clinical area being assessed.


포함된 연구의 절반 미만이 연구 대상 척도에 대한 평가자 훈련을 기술했으며(GRS, n = 21, 체크리스트, n = 22), 래터 훈련 결과의 증거를 제공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GRS, n = 2, 체크리스트, n = 1). 다섯 가지 연구는 GRS에 체크리스트와 다른 수준의 교육을 제공했다. 연구 대상 도구의 특정 훈련이 보고되지 않은 연구(GRS, n = 24, 체크리스트, n = 23) 중 일부는 자신의 래더가 훈련 경험에 대한 추가 설명 없이 '경험'(GRS, n = 4; 체크리스트, n = 3)이라고 보고했다.

Fewer than half of the included studies described rater training for the scale under study (GRS, n = 21; checklist, n = 22), and few provided evidence of rater training outcomes (GRS, n = 2; checklist, n = 1). Five studies provided different degrees of rater training for GRSs than for checklists. Among the studies in which no specific training in the tool under study was reported (GRS, n = 24; checklist, n = 23), a few reported that their raters were ‘experienced’ (GRS, n = 4; checklist, n = 3) without further explanation of training experience.


45개 연구 중 39개에서 GRS와 체크리스트는 동일한 평가자에 의해 완료되었다. 평가의 약 절반은 실제 수행상황(GRS, n = 22, 체크리스트, n = 22)에서 이루어졌고, 나머지 평가는 비디오(GRS, n = 24, 체크리스트, n = 24)를 사용하여 소급 수행되었다. 한 연구는 라이브 리뷰와 비디오 리뷰를 모두 사용했다.37

The GRS and checklist were completed by the same rater in 39 of the 45 studies. About half of the ratings were performed live (GRS, n = 22; checklist, n = 22), and the remaining ratings were performed retrospectively using video (GRS, n = 24; checklist, n = 24); one study used both live and video reviews.37


도구 간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s


그림 S1(온라인)은 이러한 분석을 이용할 수 있었던 16개 연구에서 GRS와 체크리스트 사이의 상관 계수의 메타 분석을 요약한다. 풀링된 상관관계는 중간 수준(r = 0.76, 95% 신뢰 구간[CI] 0.69–0.81)이었으며, 연구 간 불일치가 컸다(I2 = 71%)

Figure S1 (online) summarises the meta-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GRSs and checklistsin the 16 studies in which these analyses were available. The pooled correlation was moderate  (r = 0.76, 95% confidence interval [CI] 0.69–0.81), with large inconsistency between studies (I2 = 71%).


신뢰도 근거

Reliability evidence


대부분의 연구(표 1)는 어떤 형태로든 신뢰성(GRS, n = 33, 체크리스트, n = 33)을 제공했지만,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사용한 연구는 8개뿐이었다. 27개 GRS 및 27개 체크리스트 연구에서 평가자간신뢰성이 보고되었다. 몇 가지 연구(GRS, n = 6; 체크리스트, n = 5)는 IRR을 계산하기 위해 크론바흐의 알파(Alpha)를 사용했다. 우리는 분석 전에 그것들을 단일 계수로 조정했다. 풀링된 분석(그림 S2, 온라인)은 두 GRS(풀링된 IRR 0.78, 95% CI 0.71–0.83, I2 = 78%)와 체크리스트(풀링된 IRR 0.81, 95% CI 0.75–0.85; I2 = 74%)에 대해 상당한 평균 신뢰성과 높은 불일치를 보여주었다.

Most studies (Table 1) provided some form of reliability (GRS, n = 33; checklist, n = 33), but only eight studies used generalisability analyses to evaluate reproduci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was reported in 27 GRS and 27 checklist studies. Several studies (GRS, n = 6; checklist, n = 5) used Cronbach’s alpha to calculate IRR; we adjusted these to a single rater before analysis. Pooled analyses (Fig. S2, online) demonstrated substantial mean inter-rater reliabilities and high inconsistency for both GRSs (pooled IRR 0.78, 95% CI 0.71–0.83; I2 = 78%) and checklists (pooled IRR 0.81, 95% CI 0.75–0.85; I2 = 74%).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es


우리는 특정한 척도나 연구 특성이 우리의 연구 결과에 편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몇 가지 환경에서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다. 

    • 첫째, OSATS GRS(연구의 거의 3분의 1에 사용)가 우리의 결과를 지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13개의 OSATS 연구를 제외한 후 민감도 분석을 실시했다. 

    • 둘째, 다중 항목과 단일 항목 GRS가 유사한 성능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단일 항목 GRS를 사용한 연구를 제외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다. 

    • 세 번째로, 더 많은 스테이션과 각 스테이션에서 새로운 점검표를 사용한 연구가 체크리스트에 대한 신뢰성 데이터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3개 이상의 스테이션을 가진 연구에 국한된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다. 

    • 마지막으로, 여러 보고서에서 저자들은 분석이 항목 간 또는 계통간 신뢰도를 반영하는지 여부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GRS, n = 3; 체크리스트, n = 4). 상황적 단서는 위에서 설명한 메타 분석에 충분한 잠정적 분류를 지원했지만 모호한 연구를 제외한 민감도 분석도 수행했다. 

모든 민감도 분석의 경우, 결과는 주요 분석과 유사했다(데이터가 표시되지 않음).

We conducted sensitivity analyses in several settings in which we felt that particular scale or study characteristics might bias our findings.

    • Firstly, to ensure that the OSATS GRS (which was used in nearly a third of the studies) did not dominate our results, we conducted post hoc sensitivity analyses excluding the 13 OSATS studies. 

    • Secondly, to ensure that multi-item and single-item GRSs had simila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e performed sensitivity analyses excluding studies with a single-item GRS. 

    • Thirdly, to address the concern that studies with more stations and with novel checklists for each station would reduce the reliability data for checklists, we conducted sensitivity analyses limited to studies with three or more stations. 

    • Lastly, in several reports, authors did not clearly state whether analyses reflected inter-item or inter-station reliability (GRS, n = 3; checklist, n = 4). Contextual clues supported provisional classifications sufficient for the meta-analysis described above, but we also conducted sensitivity analyses excluding the ambiguous studies. 

For all sensitivity analyses,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main analyses (data not shown).


기타 타당도 근거

Other validity evidence


표 1은 포함된 연구에 대한 나머지 타당성 증거를 요약한다. 대부분의 기사는 내용 타당도 증거(GRS, n = 38, 체크리스트, n = 41)를 제공했다.

    • GRS의 경우 이전에 보고된 도구(n = 18), 이전에 발표된 도구의 수정(n = 15) 또는 전문가 합의(n = 8)의 형태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 체크리스트의 경우 전문가들 간의 합의(n = 26) 및 기존 도구를 수정해서 사용했다는 것(n = 16)이 가장 일반적으로 인용되었다.

Table 1 summarises the remaining validity evidence for the included studies. Most articles provided evidence of content validity (GRS, n = 38; checklist, n = 41); for GRSs, this most commonly appeared in the form of previously reported instruments (n = 18), modifications of previously published instruments (n = 15), or expert consensus (n = 8), whereas for checklists, consensus among experts (n = 26) and modifications of prior instruments (n = 16) were most commonly cited.


고찰

DISCUSSION


우리는 GRS와 체크리스트 점수 사이의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발견했고, 평균적으로 58%의 차이variance를 설명했다. 두 척도 유형에 대한 평가자간 신뢰도는 유사하게 높았지만, 항목간 및 스테이션간 신뢰도는 GRS를 선호했다. 

내용 타당도 증거는 일반적으로 보고되었지만 GRS는 이전 연구를 언급했고 체크리스트는 전문가 의견을 언급했다는 점에 차이가 있었다.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증거는 대개 두 척도 모두에서 유사했으며, GRS를 덜 선호했으며, 거의 선호하지 않았다. 대응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증거는 두 가지 척도에 모두 부족했다. 소수의 연구에서는 평가자훈련이 보고되었고, 훈련결과를 제공하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We found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GRS and checklist scores, explaining on average 58% of the variance. Inter-rater reliabilities for both scale types were similarly high, whereas inter-item and inter-station reliabilities favoured the GRS. Content validity evidence was reported commonly but differed between the two scales, with GRSs referencing prior studies and checklists invoking expert opinion. Evidence for relations to other variables was usually similar for both scales, less often favoured GRSs, and rarely favoured checklists. Evidence for response process or consequences was lacking for both scales. A minority of studies reported rater training and very few provided training outcomes.


기존 연구와 통합

Integration with prior work


체크리스트에 대한 평가자간 신뢰도는 과거 조사에서 발견된 것보다 더 높았고, 체크리스트가 '매우 낮은 신뢰도에도 불구하고 객관성의 환상'을 제공한다는 기존의 일반적 결과와 반대되는 것이다. .7 우리의 체계적인 접근방식과 큰 표본 크기가 이전에 가능했던 것보다 더 강력한 분석을 허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평가자간 신뢰성에 대한 대안적 설명은 다음과 같다. 

    • (i) 테크니컬 스킬은 의사소통 역량과 같이 정의가 덜 명확한 역량보다 더 재현 가능한 측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38 

    • (ii) 의사 평가자가 퍼포먼스 목표에 대한 공통의 관점을 공유했을 수 있음, 

    • (iii) 다양한 수련 단계를 대표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선택된 결과 연구참여자의 이질성이 높았고, 그 결과 수행능력의 범위가 더 넓어져서wider range, 평가자가 수행능력 변동variation을 찾아내기 더 쉬워지고, 이것이 더 높은 신뢰도를 가져왔을 수 있다. 

The inter-rater reliabilities for checklists were higher than those found in past investigations38 and challenge past generalisations that checklists offer ‘the illusion of objectivity...with very little reliability’.7 It is conceivable that our systematic approach and large sample size permitted analyses more robust than those previously possible.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these high inter-rater reliabilities include: 

    • (i) technical skills may lend themselves to more reproducible measurements than less well-defined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38 

    • (ii) physician raters may have shared a common view of performance targets, and 

    • (iii) heterogeneity among study participants who were deliberately selected to represent different training levels may lead to artefactually high overall reliability attributable to a wider range of performance variation that was easier for raters to identify.39


물론, 도구 특이적 평가자 훈련이 명백히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두 척도 유형 모두에 대해 이러한 높은 평가자간 신뢰도를 발견했으며, 이는 평가자 교육의 중요성을 옹호하는 문헌과 모순된다.

Of note, we found these high inter-rater reliabilities for both scale types despite an apparent paucity of instrument-specific rater training, contradicting, in part, literature advocating the importance of rater training.16,40–42


문항간 신뢰성에 대한 우리의 연구 결과는 OSCE의 최근 검토 결과와 유사하지만, 스테이션간 신뢰성은 체크리스트의 경우 유사하지만 GRS의 경우에는 더 낮았다.18 이러한 차이점은 추가 탐사에 도움이 된다. 우리는 많은 체크리스트가 여러 영역의 역량을 평가하여 항목 간 신뢰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우리는 우리 연구에서 체크리스트가 스테이션 간 신뢰도가 낮게 나온 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각 스테이션에서 고유한 과제-특이적 도구를 사용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Our findings for inter-item reliability parallel those of a recent review of OSCEs, whereas inter-station reliability in that review was similar for checklists but lower for GRSs.18 This divergence merits further exploration. We noted in our study that many checklists assessed multiple domains of competence, which may contribute to lower inter-item reliability. We suspect the low inter-station checklist reliability in our study results, at least in part, from the use of unique task-specific instruments at each station.


OSAT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기술력 평가를 조사한 초기 연구 결과에서 GRS에서 초심자와 전문자의 구별이 더 잘 이루어지며, 이는 전문성에 대한 판단은 체크리스트가 잡아낼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nuance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7 우리의 데이터는 두 척도가 대부분의 경우 유사한 discrimination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 해석에 추가적인 세분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만약 둘 중에 더 우월한 것을 꼽으라면, 일반적으로는 GRS일 가능성이 높다. 다른 결과 척도와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분석은 유사한 패턴을 보여준다.

Early studies examining simulation-based technical skill assessment using the OSATS found better expert–novice discrimination for the GRS,29 suggesting that judgements of expertise require more nuance than can be captured by a checklist.1,7 Our data provide additional granularity to this interpretation, in that the two scales show similar discrimination by trainee level most of the time, yet, if one rating scale is superior, it is typically the GRS. Analyses exploring associations with other outcome measures show a similar pattern.



한계와 강점

Limitations and strengths


우리의 연구결과는 원래 연구와 검토 방법론의 한계로 인해 완화되었다. 

    • 이들 연구에서의 평가는 다양한 임상 주제를 나타내며, 과제-특이적 체크리스트는 스테이션이나 연구에 따라 다양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거의 모든 다중 스테이션 연구는 각 스테이션에서 동일한 GRS를 사용했으며, 특정 규모에 대한 친숙성이 증가하면 내부 일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일한 평가자들이 대부분의 연구에서 두 척도를 모두 완료했고, 도구의 순서가 일관성 있게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는 한 척도 등급이 다른 척도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나 크기를 추정할 수 없었다. 거의 모든 연구가 기술적인 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인지적 및 비기술적 과제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Our findings are tempered by limitations in both the original studies and our review methodology. The assessments in these studies represent diverse clinical topics, and task-specific checklists varied across stations and among studies. By contrast, nearly all multi-station studies used the same GRS at each station, and increased familiarity with a particular scale might favourably influence its internal consistency. As the same raters completed both scales in most studies, and the order of instrument was not consistently reported, we were unable to estimate either the direction or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one scale rating over another. Because nearly all studies focused on technical tasks, our findings may not apply to cognitive and nontechnical tasks.



연구 함의

Implications for research


우리는 (스테이션 간 신뢰도, 항목 간 신뢰도 사이의 불확실성 등) 또는 비표준 방법을 사용하는 (평가자간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해 크론바흐의 알파 사용과 같은) 것과 같이 여러 연구에서 모호한 많은 사례를 발견했다. 유용한 해석과 교차 연구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리는 저자들이 변화의 측면(평가자, 항목, 스테이션, 시간)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각 측면에 적합한 신뢰성 분석을 사용한 다음 이러한 결과를 명시적으로 보고할 것을 권장한다. 일반화가능도 연구는 이 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43

We found numerous instances in which authors were vague in their reporting (such as uncertainty between inter-station versus inter-item reliability) or used non-standard methods (such as in the use of Cronbach’s alpha to calculate inter-rater reliability). To facilitate useful interpretations and cross-study comparisons, we encourage authors to clearly define the facet(s) of variation (raters, items, stations, time), use reliability analyses appropriate to each facet, and then explicitly report these findings. Generalisability studies may be helpful in this regard.43


실무 함의

Implications for practice


우리의 자료에서는, 이전 작업에서 제시된 것보다 체크리스트에 대한 판단이 더 긍정적이다.6 평균적 평가자간 신뢰성은 GRS보다 체크리스트에서 높고 약간 더 좋았으며, 다른 척도와의 분별discrimination이나 상관관계는 대개 비슷했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면 평가자 훈련 필요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피드백의 퀄리티를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체크리스트의 경우 각 과제마다 체크리스트가 필요하며, 각각의 체크리스트는 테크니컬 스킬의 평가라는 맥락에서 독립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타당성 근거의 견고성이라는 측면에서, 체크리스트는 일반적으로 GRS에 뒤처질lag behind 것이다. 또한 체크리스트가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한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체크리스트를 만드는 것 자체는 종종 주관적인 판단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Our data support a more favourable view of checklists than has been suggested in earlier work.6 Average inter-rater reliability was high and slightly better for checklists than for GRSs, and discrimination and correlation with other measures were usually similar. The use of checklists may also diminish rater training requirem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feedback,41,44 although these issues require further study. However, each task requires a separate checklist and each task-specific checklist requires independent valida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assessing technical skills. As such, checklists will typically lag behind GRSs in the robustness of validity evidence. It is also important to highlight that, despite the perception that checklists offer more objective assessment, the construction of these tools often requires subjective judgements.


글로벌 등급 척도는 중요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체크리스트와 비교하여, GRS는 항목 간 및 스테이션 간 평균 신뢰성이 더 높다. 또한 GRS는 여러 작업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별 척도 개발의 필요성이 없어지며, 적용되는 상황에 따른 타당성 검사를 단순화할 수 있다. GRS는 전문지식의 미묘한 요소 또는 원하는 실무에서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보완적 관점을 반영할 수 있지만, 더 많은 평가자 훈련을 요구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와 GRS 모두 인간의 전문성과 판단의 필요성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다.

Global rating scales have important advantages. Compared with checklists, GRSs have higher average inter-item and inter-station reliability. Moreover, GRSs can be used across multiple tasks, obviating the need for task-specific instrument development and simplifying application-specific validation. Global rating scales may require more rater training, although subjective responses can capture nuanced elements of expertise7 or potentially dangerous deviations from desired practice,45 and reflect multiple complementary perspectives.14 Finally, we note the inseparable interaction between the person using the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itself: neither the checklist nor the GRS will supplant the need for human expertise and judgement.








 2015 Feb;49(2):161-73. doi: 10.1111/medu.12621.

systematic review of validity evidence for checklists versus global rating scales in simulation-based assessment.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USA.

Abstract

CONTEXT:

The rela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hecklists and global rating scales (GRSs) have long been debated. To compare the merits of these scale type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validity evidence for checklists and GRSs in the context of simulation-based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als.

METHOD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multiple databases including MEDLINE, EMBASE and Scopus to February 2013. We selected studies that used both a GRS and checklist in the simulation-based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als. Reviewers working in duplicate evaluated five domains of validity evidence, including correlation between scales and reliability. We collected information about raters, instrument characteristics, assessment context, and task. We pooled reliabil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random-effects meta-analysis.

RESULTS:

We found 45 studies that used a checklist and GRS in simulation-based assessment. All studies included physicians or physicians in training; one study also included nurse anaesthetists. Topics of assessment included open and laparoscopic surgery (n = 22), endoscopy (n = 8), resuscitation (n = 7) and anaesthesiology (n = 4). The pooled GRS-checklist correlation was 0.76 (95% confidence interval [CI] 0.69-0.81, n = 16 studies). Inter-rater reliability was similar between scales (GRS 0.78, 95% CI 0.71-0.83, n = 23; checklist 0.81, 95% CI 0.75-0.85, n = 21), whereas GRS inter-item reliabilities (0.92, 95% CI 0.84-0.95, n = 6) and inter-station reliabilities (0.80, 95% CI 0.73-0.85, n = 10) were higher than those for checklists (0.66, 95% CI 0-0.84, n = 4 and 0.69, 95% CI 0.56-0.77, n = 10, respectively). Content evidence for GRSs usually referenced previously reported instruments (n = 33), whereas content evidence for checklists usually described expert consensus (n = 26). Checklists and GRSs usually had similar evidence for relations to other variables.

CONCLUSIONS:

Checklist inter-rater reliability and trainee discrimination were more favourable than suggested in earlier work, but each task requires a separate checklist. Compared with the checklist, the GRS has higher average inter-item and inter-station reliability, can be used across multiple tasks, and may better capture nuanced elements of expertise.

PMID:
 
25626747
 
DOI:
 
10.1111/medu.12621


GME의 설계와 시행에서 이론과 실천(Acad Med, 2012)

Theory and Practice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Brian David Hodges, MD, PhD, and Ayelet Kuper, MD, DPhil



이론은 사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조직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왜 사람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복잡하고 포괄적인 개념적 이해를 제공한다. —Reeves 등1

Theories provide complex and comprehensive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things that cannot be pinned down: how societies work, how organizations operate, why people interact in certain ways. —Reeves et al1


의학교육 관행은 [쉽게 표현되는 이론적 또는 개념적 틀]보다 전통, 의식, 문화, 역사의 결과인 경우가 더 많다.

Medical education practice is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express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이론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ory?


이론은 중력과 같다: 우리의 삶의 경험과 깊이 연관되어 있지만, 물질보다 더 개념적이어서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중력은 인간의 존재 전반에 걸쳐 존재해 왔지만 뉴턴이 중력 이론을 기술하고 나서야 인간은 그 성격과 용도를 논할 개념적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물론, 중력이 이론적인 용어로 공식화되기 훨씬 전에 실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 이론이 출현한 후에야 중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연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었다.

Theory is like gravity: profoundly linked to our experience of life, but also more conceptual than material and therefore not directly visible. Gravity has been present throughout human existence, but it was not until Newton described gravitational theory that humans had a conceptual language to discuss its nature and use. Gravity was, of course, used in practice long before it was formulated in theoretical terms. However, only with the advent of scientific theory coul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gravity be harness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많은 종류의 이론들이 의학 교육과 실천에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뉴턴 이전의 중력과 마찬가지로 의학 교육에서의 연습은 쉽게 표현된 이론적 또는 개념적 틀보다는 전통, 의식, 문화, 역사의 결과인 경우가 더 많다.

Theories of many kinds play a role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Yet, as with gravity prior to Newton,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is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articulat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보르디지2는 의학 교육의 모든 연구개발은 이론적 틀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이론과 실제 사이에 인위적인 분열split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즉, 전자는 상아탑의 이론가로, 후자는 in-the-trenches 의사로 강등시킨다. 

Bordage2 has argued that al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However, there is a risk of developing an artificial split between theory and practice—relegating the former to ivory tower theoreticians and the latter to in-the-trenches practitioners.


스토크는, 파스퇴르의 사분면에서 연구가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론의 발전]과 [새로운 지식의 사용]을 모두 강조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Stokes,4 in Pasteur’s Quadrant, suggests that research should emphasize both the development of theory and the use of new knowledge to improve practice.


실천과 프락시스라는 단어와 같이, 이론, 개념적 틀, 인식론, 패러다임과 같은 용어는 서로 다르지만 관련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용어들의 미묘한 의미에 대한 논의는 제쳐두고 비전문가 독자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것들을 한데 모았다

  • 우리는 "이론"이라는 용어를 리브스와 동료1가 사물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복잡하고 포괄적인 개념적 이해"라고 부르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 마찬가지로, 우리는 가르침/배움/창조/상호작용/리딩/거버닝 등등 집합적으로 교육을 구성하는 모든 활동들을 대표하는 용어로 Practice를 사용하였다.

Terms such as theory, conceptual framework, epistemology, and paradigm have different but related meanings, as do the words practice and praxis. However, we have left aside discussion of these terms’ nuanced meanings and deliberately lumped themtogether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e nonspecialist reader. 

  • We have used theory to represent what Reeves and colleagues1 have called a “complex and comprehensiv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ow things work. 

  • Similarly, we use have used practice to represent doing—teaching, learning, creating, interacting, leading, governing, and all the other activities that collectively make up education.


GME에 어떤 종류의 이론이 유용한가?

What Kinds of Theories Are Useful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론이란 것은) "실제" 임상 및 교육 환경으로부터 동떨어져 안락의자 이론가들이 토론하는 상아탑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이론은 의과대학의 성격과 그 안에서 사람들이 하는 역할을 분석하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이는 사소한 변화에서 급진적인 개혁에 이르기까지 어떤 것을 상상하고 입안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쿠퍼 및 호지6

Far from being ivory tower concepts debated by armchair theorists at great remove from “real” clinical and educational settings …theories are very useful ways to analyse the nature of medical schools and the roles people play within them, in the service of imagining and enacting anything froma minor change to a radical reform. —Kuper and Hodges6


수백 가지 이론이 있다. 그들은 작은 규모에서 큰 규모에 이르기까지 지역마다 다르다. 원대한 이론과 제한된 이론, 학문(경제학, 사회학, 생물학, 물리학), 접근법(비판이론), 학파나 운동(심리학, 마르크스주의)과 관련된 이론들이 있다.

There are hundreds of theories. They range fromlocal to global, fromsmall scale to large. There are grand theories and circumscribed theories, theories tied to disciplines (economics, sociology, biology, physics), to approaches (critical theory), and to schools or movements (psychoanalysis, Marxism).


표 1은 이론 유형별로 집적된 이론 목록을 제시한다.

Table 1 presents a list of theories, clustered by theory type,


생물과학이론의 클러스터에서, 이론은 인간의 뇌가 어떻게 배우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그 스펙트럼의 다른 쪽 끝에는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및 기타 분야의 사회문화 이론이 존재해서, 왜 의대를 가지고 있으며, 더 큰 사회와 함께 의대가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In the bioscience cluster, theories focus on how the human brain learns. At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sociocultural theories fromsociology, anthropology, economics, and other disciplines provide useful perspectives on why we have medical schools at all and how they function vis-a`-vis the larger societies




생명과학이론과 의학교육

Bioscience Theories and Medical Education


생물과학에서 발생하는 이론은 의학 자체가 오랫동안 생물 의학의 실습과 연구 모델에 우선순위를 부여해 왔기 때문에 의학 교육자들에게 가장 친숙하다.

Theories arising from bioscience are the most familiar to medical educators because medicine itself has long given priority to biomedical models of practice and research.


  • 생물과학 접근법은 의학에서 매우 dominant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이론으로 표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생물과학 이론"의 만연하기 때문에 특별한 이론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의사들과 의학교육자들은 때때로 이론 자체의 성격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7 

Because bioscience approaches are so dominant in medicine, they are not often articulated as theories per se. The pervasiveness of such “theories” can lead to the impression that no particular theory is being used. Thus, physicians and medical educators sometimes have difficulty identifying the nature of theory itself.7 


  • (반면)사회과학은 이론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밝히고, 어떤 이론이 어떤 맥락이나 질문과 관련이 있는지를 토론하며, 이론 자체의 역사와 진화를 연구하는 전통을 더 뚜렷하게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과학자들은 서로 다른 이론의 역할과 효용성에 대해 생각해 본 경험이 더 많다.

The social sciences have a stronger tradition of explicitly articulating what theory is, debating which theories are relevant to which contexts and questions, and studying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theory itself. Social scientists therefore have more experience in thinking about the role and utility of different theories.


생명과학이론: 강력한, 종종 당연하게 여겨지는

Bioscience Theories: Powerful, Often Taken for Granted


생물분자 의학과 유전학과 같은 영역에서 발생하는 기본적인 생물과학 이론은 처음에는 의학 교육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유전적 결정론의 개념이 의과대학이나 레지던트 입학에 대한 논의에 얼마나 자주 적용되는지를 알면 놀랄 것이다. 이 토론에서는 의학과 실습에 적합한 속성에 대한 끝없는 논쟁이 벌어진다.

Fundamental bioscience theories arising fromdomains such as biomolecular medicine and genetics may initially seem to offer little to medical education. However, it is striking how often the concept of genetic determinismis applied to discussions about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admissions, wherein endless debates occur about attributes appropriate for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성격과 이후의 행동 사이의 연관성은 많은 영역에서 보여질 수 있고, 인간의 행동에 대한 유전적 결정 요인은 의심할 여지 없이 존재하지만, 환경의 맥락이 분명히 행동 형성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유전적, 그리고 다른 결정론적 이론들이 복잡한 행동과 관련이 있지만, 입학선발 과정에서 이 이론들의 암묵적 사용은 맥락의 중요성을 경시한다.

Whereas links between personality and later behavior can be shown in many domains, and although genetic determinants of human behaviors undoubtedly exist, environmental contexts shape behaviors to such an extent that genetic contributions alone cannot be isolated. Thus, although biological, genetic, and other deterministic theories have relevance to complex behaviors, their tacit use in the admission process belies the importance of context;


이와는 대조적으로 신경과학은 교육에 유용한 이론적 개념을 제공한다. 학습의 신경생물학에 대한 최근의 검토는 신경과학이 의학 교육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10 예를 들어, 르블랑,11은 시뮬레이션 학습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동안 HPA 축의 활성화가 약물 복용량 계산에서부터 의사 결정 및 협력자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Neuroscience, by contrast, offers useful theoretical notions for education. A recent review of the neurobiology of learning provides glimpses of how neuroscience might influence medical education.10 LeBlanc,11 for example, looks at howactivation of the hypothalamic– pituitary axis during stress in simulated learning environments significantly affects everything from drug dose calculations to decision making and collaboration.


생명과학 이론이 의학 교육에 적용된 제3의 영역은 kinesiology 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월시와 동료 15, 브라이지스와 동료 16에 의한 연구는 기술력에서 모터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 모터 제어 이론에 의존한다. 기초 운동 학습에 관한 이론들은 테크니컬 스킬을 습득하기 위한 regimen의 설계에 활용되어 왔다.

A third area in which bioscience theory has been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arises fromkinesiology. Research by Walsh and colleagues15 and Brydges and colleagues,16 for example, draws on theories of motor control to understand motor learning in technical skills. Theories from basic motor learning have been used to inform the design of regimens for acquiring technical skills.


1950년대부터 많은 심리학자들과 심리측정학자들도 의과대학의 대열에 합류했다. 이러한 연구자들은 일찍부터 의학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중요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상당한 옹호 활동을 했다.20 이것은 심리학적 이론이 의학 교육에서 모든 생명과학 이론 중 가장 지배적인 존재가 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예를 들어, 지식이 학습을 위해 어떻게 구성되고, 나중에 회상되고, 실제로 employ되는지를 포함하여 인지적 의사결정을 연구한 오랜 역사가 있다.

Since the 1950s, many psychologists and psychometricians have joined the ranks of medical schools. Fromearly on, these researchers engaged in significant advocacy to legitimize their expertise and their importance to medical education.20 This may be one of the reason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have arguably had the most dominant presence of all bioscientific theories in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there is a long history of studying cognitive decision making, including how knowledge is structured for learning, recalled later, and employed in practice.


멀티미디어 기술의 출현으로 인해 학습의 개념적 모델을 연구하는 인지 심리학의 한 분야에서의 새로운 이론적 연구가 성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학습의 인지 이론은 사람들이 이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입력을 처리하는 별도의 채널이 있기 때문에 그림과 단어는 서로 다르게 배운다고 가정한다. 작업 메모리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은 제한되기 때문에 의미 있는 학습은 텍스트와 시각적 이미지를 모두 포함하는 적절한 인지 처리가 필요하다.

The emergence of multimedia technologies has led to the growth of new theoretical research in a branch of cognitive psychology that studies conceptual models of learning. For example, the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posits that people learn differently from words than from  pictures because there are separate channels for processing these two different kinds of inputs. Because the capac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is limited, meaningful learning requires appropriate cognitive processing that includes both textual and visual images.


다양한 학습 방식의 효과에 대한 논쟁은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거의 제기되지 않지만, 다양한 종류의 매체(소셜 미디어 포함), 교실 접근, 시험 방법론의 효과는 뇌가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면서 생물과학의 렌즈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Although debat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modes of learning are rarely couched in biological terms,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kinds of media (including social media), classroom approaches, and testing methodologies can be approached through the lens of bioscience, building on theories about how the brain functions.


학습이론: 흔한, 유용한, 근거기반은 일관되지 않은

Learning Theories: Common, Useful, Variable Evidence Base


환자 이익을 위한 의학의 임상적 효과와 효율성은 의학교육의 질에 기초해야 한다. 그리고 의학 교육의 질은 높은 설명력, 탐구력, 예측력을 제공하는 현대 학습 이론에 근거해야 한다. —Bleakley34

Clinic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medicine for patient benefit should be grounded in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In turn,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should be informed by contemporary learning theory that offers high explanatory, exploratory and predictive power. —Bleakley34


학습 이론은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 및 특히 GME에 유용하고 인기가 있다. 그러한 이론들은 주로 심리학과 교육학이라는 다양한 학문적 전통에서 기원한다. Mann35는 최근 의학 교육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학습 이론에 대한 유용한 개요를 발표했다. 그녀의 리뷰는 행동주의자, 인지주의자, 휴머니스트, 사회주의자, 그리고 구성주의자다섯 가지 범주에서 이론을 배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리는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Mann의 분류를 추천한다.

Learning theories are popular and useful for medical education generally and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Such theories emerge froma range of different disciplinary traditions, primarily psychology and education. Mann35 has recently published a helpful overview of learning theories commonly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Her review focuses on learning theories in five categories: behaviorist, cognitivist, humanist, social, and constructivist. We recommend Mann’s classification to those interested in this area.


비록 학습 이론이 널리 쓰이지만, 그들의 근거 기반은 똑같이 견고하지 않다. 어떤 이론은 진정한 이론이라기보다 학문에 대한 은유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Norman36은 가장 흔히 인용되는 학습 이론 중 하나인 성인 학습 이론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Although learning theories are widely employed, their evidence bases are not equally robust. Some seem to operate more as metaphors about learning than as true theories. Norman36 has sharply critiqued one of the most commonly cited learning theories: adult learning theory.


1970년대 초 말콤노울스에 의해 처음 기술된 성인 학습 이론은 성인들이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한 분명해 보이는 공리에 기초하고 있다. 근본가정은 대부분 검증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비판적인 분석에 따르면 근본가정도 성인과 어린이 사이의 선천적인 차이보다는 성인들이 속해있는 환경의 산물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인 학습의 원칙에 대한 무비판적 의존은 특히 역량 유지의 영역에서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dult learning theory, first described by MalcolmKnowles in the early 1970s, is based on a number of apparently self- evident axioms about how adults learn. The fundamental assumptions remain largely untested, and a critical analysis suggests that they may be largely a product of the environment in which adults find themselves rather than of any innate difference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Uncritical reliance on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may have detrimental consequences, particularly in the domain of maintenance of competence.


그 중에서도 에바와 레게르(37)는 많은 연구에서 (성인학습이론의 핵심 구인인) 자기 평가와 자기 주도성이 문제가 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른 이론을 비교한다. 간단히 말해서, 자기 평가와 자기 주도성은 증거 기반 구인이 아닌 것 같다고 말한다. 이보다, 자기 모니터링38와 지시된자기유도학습39와 같은 개념은 더 강한 이론적 기초 위에 놓여 있다.

Eva and Regehr,37 among others, compare several different theories in an effort to understand why self-assessment and self- direction—the central constructs at the heart of adult learning theory—are problematic in many studies. Simply put, self-assessment and self-direction seem not to be evidence-based constructs. By contrast, notions such as self-monitoring38 and directed, self-guided learning39 rest on a stronger theoretical base


그녀의 리뷰에서, Mann35는 가장 강력한 학습 접근방식은 학습을 "맥락과 밀접하게 연계되고 공동체 활동에 참여와 적극적인 관여를 통해 발생하는 것"이라고 보는 이론에 기초하고 있음에도, 너무 많은 관심이 학습자에게 개인으로서 집중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의학 교육을 설계하기 위한 강력한 기반으로서 사회적 인지 이론상황 학습 이론을 강조한다.

In her review, Mann35 argues that too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learners as individuals, noting that the most robust learning approaches are based on theories that view learning as “intimately tied to context and occurring through participation and active engagement in the activities of a community.” She highlights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ituated learning theory as strong bases on which to design medical education.


이러한 이론적 관점은 탈맥락화된 개인 특성의 평가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행동과 연습 환경 참여에 대한 분석을 지향한다. 집단이나 팀뿐만 아니라 기관 전체의 집단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다.

These theoretical perspectives direct attention away from the assessment of decontextualized individual traits and toward analyzing learner behaviors and participation in practice settings. The emphasis is on collective learning, not only in groups or teams but also by whole institutions.


사회문화이론: 덜 사용된, 복잡한, 가치있는

Sociocultural Theories: Underused, Complex, Valuable


사회과학 이론은 

의학 교육의 특정한 방식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탐구하고, 

그 성격과 기능에 대한 탐구되지 않은 가정들을 조사하며, 

발생한 함의와 부작용을 가시적으로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쿠퍼 및 호지6

Social science theories can be used to 

explore how particular modes of medical education are constructed, 

examine unexplored assumptions about their nature and function, and 

make visible implications and adverse effects of the way they have come to be. —Kuper and Hodges6


오늘날 많은 의학 교육자들은 연구를 위한 맥락을 제공하고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추천하기 위해 학습 이론을 잘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의학 교육에 이론의 사용을 검토하는 또 다른 기사에서, 만44는 다음과 같은 도전적인 질문을 던진다. 교육 이론이 우리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가? 그녀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이 mixed 되어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경우에는 이론이 실제로 교육적 실무에 도움이 되었다. 동시에, 많은 이론적 작업이 적용되기 어려웠거나 (성인 학습 이론과 마찬가지로)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녀는 "Practitioner들에게 큰 기회를 줄 수 있는 이론의 새로운 영역은 인류학, 사회학 그리고 사회문화학 연구로부터 온다."44

Many medical educators today are making good use of learning theories to provide context for their research and to recommend educational programdesign. However, in another article reviewing the use of theory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Mann44 asks a challenging question: How much has educational theory helped us? She argues that the answer is mixed; in some instances, theory has indeed been helpful to inform educational practice. At the same time, a great deal of theoretical work has been difficult to apply or has proved to be of questionable validity (as with adult learning theory). She notes that “an emerging area of theory that may hold great opportunity for practitioners … comes from anthropology and sociology and the study of sociocultural learning.”44


이와 유사하게, Bleakley45는 [더 넓은 교육 문헌에서 제공되는 광범위한 이론]과 [의학 교육에서 특권을 누려온 비교적 좁은 범위의 이론]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Mann과 마찬가지로, 현재 지배적인 학습이론은 개인이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국한되어 있으며, "유동적인 임상 팀과 같은 역동적이고 복잡하고 불안정한 시스템"에서 학습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지 못한다"고 제안한다.45

Similarly, Bleakley45 argues that a mismatch exists between the broad range of theories offered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and the relatively narrow range of theories that have been privileged in medical education. He suggests, like Mann, that currently dominant learning theories are limited in that they address how individuals learn, yet fail to explain how learning occurs in “dynamic, complex and unstable systems such as fluid clinical teams.”45


사회문화 이론은 최근까지 의학 교육자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의학 밖의 연구자들은 때때로 그러한 이론을 이용하여 의학교육을 연구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베커와 동료 46(백인의 소년), 머튼과 동료 47(학생-)과 같은 저명한 사회학자들이 의과대학의 교양에 관한 고전적인 의학사회학 문헌을 만들었다.의사)는 의료 교육에 종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의학 교육자 자신들은 그러한 이론들이 의학 교육의 발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사회 문화 이론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했다. 사회학자, 인류학자, 정치경제학자, 사회과학과 인문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다른 사람들이 의학교육 연구 분야에 진출하면서, 그들의 home discipline에서 나온 다양한 관점, 접근법, 이론들을 가지고 오면서, 이것은 지금 변화하고 있다.

Sociocultural theories have been, until recently, largely unknown to medical educators. Researchers outside medicine have sometimes studied medical education using such theories, which produced, for example, classic medical sociology texts about acculturation in medical school by eminent sociologists like Becker and colleagues46 (Boys in White) and Merton and colleagues47 (The Student–Physician), who were not themselves engaged in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ors themselves, however, have rarely known enough about sociocultural theories to enable such theories’ ap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This is now changing as sociologists, anthropologists, political economists, and others with expertise i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re entering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bringing with them a wide variety of perspectives, approaches, and theories from their home disciplines.


언뜻 보면 대규모의 사회 문제를 다루는 그런 이론과 관점은 임상 교사들의 실제적인 관심과는 거리가 멀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사회문화 이론은 매우 실용적일 수 있다. 그들은 의료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선택적으로 부각시키는 렌즈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렌즈는 차례대로 다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 어떤 이론들은 구조적인 문제에 주의를 환기시켜, 입법이나 정책적 맥락과 의학교육에 대한 제약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가능하게 한다. 

  • 또 다른 이론은 집단과 집단 내의 사회적 관계에 다루면서, 의료 교육의 문화적, 사회적 또는 대인 관계에 대한 조사를 한다. 여기에 속하는 많은 이론들이 비판적이다. 즉, 권력의 영향을 강조함으로써, 그렇지 않으면 알아차리지 못할지도 모르는 불평등에 주의를 환기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At first glance, such theories and perspectives, which often address large- scale societal questions, may seemvague and distant fromthe practical concerns of clinical teachers. However, sociocultural theories can be intensely practical. They can provide lenses that selectively highlight different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allowing each to be addressed in turn. For example, 

  • some theories call attention to structural issues, enabling a close examina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legislative or policy contexts and constraints on medical education. 

  • Others hone in on social relations between and within groups, exposing to scrutiny the cultural, social, or interpersonal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Many such theories are critical, which means that they highlight the effects of power, bringing attention to inequities that might otherwise go unnoticed. 


사회문화 이론은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어떤 것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나서 새롭게 보이는 문제들을 연구할 수 있고, 새롭게 보이는 해결책들을 실행할 수 있다.

Sociocultural theories make certain previously invisible things visible; newly visible problems can then be studied, and newly visible solutions can be implemented.


이런 식으로 사회문화 이론은 결국 의학 교육의 전면적인 reimagining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래를 위한 의학 교육: 예를 들어, 정체성, 힘, 그리고 위치에서, 블리클리 교수와 동료는 의료 교육이 환자 중심의 민주적인 미래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몇 가지 비판적인 이론을 사용한다. 그들은 개인주의적인 영웅-의사가 더 이상 전문직업적 이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오히려 의학교육의 목적은 명확하게 정의된 의료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form and reform하는 분산된 사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의료전문직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어떻게 모더니즘, 무균, 격리된 교실을 실제 건강 관리의 복잡한 지저분함에 내재된 유연한 인간 규모의 공간으로 대체해야 하는지 설명한다. 또한, 그들은 교실과 클리닉의 인위적인 분리와 시뮬레이션과 실제 경험의 분리를 해체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Sociocultural theories can, in this way, eventually lead to a wholesale reimagining of medical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for the Future: Identity, Power, and Location, for example, Bleakley and colleagues48 use several critical theories to argue that medical education as a practice must be reoriented toward a patient- focused, democratic future. They contend that the staunchly individualistic hero– doctor is no longer the professional ideal; rather,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is to develop medical professionals who can participate in dispersed social networks that form and reform to accomplish clearly defined health care tasks. They describe how modernist, sterile, and sequestered classrooms should be replaced by flexible, human- scale spaces embedded in the complex messiness of real-world health care. Further, they suggest that the artificial separations of classroom and clinic and of simulated and real experiences should be dissolved.


GME에 대한 함의는 크다. 미국과 캐나다의 새로운 역량 프레임워크가 의료 전문지식을 넘어서는 역할을 강조하지만, 블리클리 및 동료들의 분석은 협력, 커뮤니케이션, 옹호, 시스템 기반 관행과 같은 역량 육성은 실제 작업장workplace에 포함되어야 하며, academic half-days나 classroom learning에 격리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안한다. 더욱이, 이러한 역량의 차원에 대해 배우는 것은 사회적 네트워크, 팀 역학, 그리고 변화하는 의사 및 기타 사회 건강 전문가의 역할과 같은 실체들을 눈에 띄게 만든다. 블리클리 외 연구진은 배우 네트워크 이론문화-역사적 활동 이론과 같은 이론의 특별한 유용성과 이러한 접근법이 의학 교육의 목표를 재인식하는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

The implications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re significant. Although new competency framework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mphasize roles beyond medical expertise, Bleakley and colleagues’48 analysis suggests that fostering such competencies as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dvocacy, and systems-based practice should be embedded in real workplaces and not sequestered in academic half-days and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s. Furthermore, learning about these dimensions of competence makes visible such entities as social networks, team dynamics, and the changing role of doctor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 society. Bleakley et al highlight the particular utility of such theories as actor network theory and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how these approaches can be used to reconceptualize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사회문화 이론은 또한 의학 교육에 관한 매우 실용적인 질문들을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별, 종교, 인종 및/또는 성적 성향으로 인한 불평등을 눈에 띄게 만드는 페미니스트와 반인종주의 이론은 GME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숨겨진 커리큘럼을 이해하고 다루기 위해 많은 것을 제공한다.49–51 비록 학생은 수년간의 공식적인 훈련을 통해 뛰어난 의사소통, 협업, 공감, 환자 중심적 태도에 대비할 수 있지만, 이러한 행동을 모델링하지 않는 작업 환경에서 단 몇 분만 있으면 학생의 행동에서 빠르게 사라질 것이다. 우리는 레지던트들에게 단순하게 다른 건강 전문가를 존중하도록 가르칠 수도 있지만, 그들이 직업professions들 사이에 존재하는 힘의 불균형, 계층구조, 경계 투쟁에 대해 생각하는 것에 전혀 노출되지 않는다면, 레지던트가 직장에서의 이러한 역학들을 해석하는 것은 물론, 그것을 다루거나 개선시키지 못할 것이다.52 그러므로 toxic한 학습 환경(인정 과정에서 종종 발굴되는 것)을 해독하기 위한 사회문화적 이론은 부적절한 관행과 숨겨진 커리큘럼을 밝혀줄 수 있다.

Sociocultural theory can also be used to ask very pragmatic questions about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feminist and antiracist theories, which make visible the inequities due to gender, religion, race, and/or sexual orientation, have a great deal to offer for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one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s biggest problems: the hidden curriculum.49–51 Although a student can be prepared for excellent communication, collaboration, empathy, and patient- centered attitudes through years of formal training, just a few minutes in a work environment that does not model these behaviors will rapidly lead to their extinction in the student’s behaviors. We may teach residents to respect other health professionals in a simplistic way, but if they are never exposed to thinking about the power disparities, hierarchy, and boundary struggles that exist between professions, they will have no way of interpreting, much less coping with or ameliorating, these dynamics in the workplace.52 Thus, using sociocultural theories to decode toxic learning environments (something often unearthed during accreditation processes) can illuminate maladaptive practices and the hidden curriculum.


특정 사회문화 이론가들의 관점은 또한 GME에서 직면하고 있는 특정한 문제들을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예를 들어 부르디유의 사회자본이은 지원자에 대한 매력, 평판, 입학률의 관점에서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차이와 경쟁력을 더 잘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53 

  • 자본과 계급구조에 초점을 맞춘 신마르크스주의 이론은 보수-진료패턴-커리어 선택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Foucault의 담론 이론과 그의 정상화 개념은 교육 및 보건 기관의 학생 또는 교사가 말하고, 생각하고,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제약을 (따라서 해결할 수 있도록) 밝혀준다. 예를 들어, Fouculadian 관점은 가짜 공감이 나타날 수 있는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시험에서 권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평가자로서 표준화된 환자 대신 의사를 사용하는 것의 의미를 고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56

The perspectives of certain iconic sociocultural theorists also make it possible to untangle specific problems faced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 Bourdieu’s social capital theory could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competitiveness of medical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in terms of attractiveness to applicants, reputation, and admission rates.53 

  • Neo-Marxist theories, which focus on capital and class structures, could be used to understand connections among remuneration, practice patterns, and—of great concern to postgraduate education— career choice.54 

  •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and his notion of normalization bring to light (and thus allowto be addressed) the constraints on what it is possible for a student or teacher in educational and health care institutions to say, think, and be. For example, a Foucauldian perspective has been used to study how power operates i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s, where pseudoempathy can emerge,55 and to grapple with the implications of using physicians as opposed to standardized patients as examiners.56


사회관계 수준에서, 바흐틴의 언어 이론과 그의 notion of utterance, 그리고 스미스의 의미 창조 이론은 환자-의학자 및/또는 연습생-합동적인 dyad 내의 의사소통을 포함하여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와 가르침에 대한 접근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사회문화 이론은, 예를 들어, 전문가들 간의 의사소통과 팀 기반의 협업에 대한 훈련이 자주 실패하는 이유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용주의적인 의사소통 기술이나 협업 기술은 배울 수 있지만, 전문적 계층, 권력 차등, 정체성의 힘이 무시된다면 그 기술은 결코 적용employ되지 않을 수도 있고, 더 나쁘게는 의도된 교육의 정반대의 것이 숨겨진 커리큘럼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At the level of social relations, Bakhtin’s57 theories of language and his notion of utterance, and Smith’s58 theorizing of the intersubjective creation of meaning, offer approaches to understanding and teach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within patient–physician and/or trainee–consultant dyads. These sociocultural theories can help us understand why training in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eam-based collaboration, for example, frequently fails. Although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or collaboration skills may be learned, if the forces of professional hierarchy, power differentials, and identity are ignored the skills may never be employed, or, worse, the very opposite of the intended pedagogy may be conveyed as a hidden curriculum.


GME에서 이론을 work에 활용하기

Putting Theory to Work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학문적/이론적 지식과 응용/실용적 작업의 이분법은 인위적이다. 지식과 연습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the dichotomy between academic/theoretical knowledge and applied/practical work is artificial. Knowledge and practice are not separate.


심리치료에서, 그들의 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가진 치료사들에 의해 치료된 환자들은 더 나은 회복률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치료사가 [어떤 이론적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는 [이론적 모델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보다 덜 중요할 수 있다.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갖는 것은 자신에게 정당화될 수 있는 합리적인 행동의 선택을 허용하고 오타케와 토론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다.r Rees와 Monrouxe61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말을 인용한다. "이론 없이 연습을 좋아하는 사람은 방향타와 나침반 없이 배에 탑승하고 그가 어디에 캐스팅될지 모르는 선원과 같다."

It is said that in psychotherapy, patients treated by therapists with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have better recovery rates. Interestingly, it may be less important which theoretical model the therapist holds than that she or he does hold one.60 It seems probable that simply holding a theoretical framework is helpful for educators as well because having a theoretical framework allows for a reasoned choice of action that can be justified to oneself and discussed with others. Rees and Monrouxe61 quote Leonardo da Vinci as saying, “He who loves practice without theory is like the sailor who boards ship without a rudder and compass and never knows where he may cast.”


의료 교육자들이 의료 훈련생들에게 그들의 행동과 그 이유에 대해 성찰하도록 장려하는 것처럼, 우리는 의료 교육자들이 그들의 교육 관행을 안내하는 이론에 대해 좀더 성찰할 것을 권장한다. 학습과 교육에 대한 특정 접근방식에 대해 강하게 느끼는 의료 교육자는 특정한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그러한 믿음과 행동을 더 잘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자신의 신념과 행동의 기초가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Just as medical educators encourage medical trainees to be reflective about their actions and the reasons for them, we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be more reflective about the theories that guide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 medical educator who feels strongly about a particular approach to learning and teaching should think aboutwhat theoretical notions underlie his or her beliefs and behaviors, whether a particular theoretical framework could beused to better articulate those beliefs and behaviors


때때로 여러 이론적 관점이 서로 긴장 상태에 있을 수 있다.62 그러나 의학 교육자들의 목표는 다른 무엇보다도 가장 좋은 이론을 선택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의 신념은 의료 교육자들이 패러다임 전쟁과 전공저격disciplinary sniping을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론적 조화의 성공적인 예는 이미 의학 교육 문헌에 존재한다.

Sometimes, theoretical perspectives can be in tension.62 However, the goal of medical educators should not be to choose one best theory above all others. Our belief is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avoid paradigm wars and disciplinary sniping. Successful examples of theoretical harmony already exist in the literature of medical education.


개인 수준에서 전문성을 다루는 것은 성격이나 인지적 속성과 관련된 이론들을 요구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은 전문성의 대인 관계 차원과 관련된 교수 및 역할 모델링의 구조를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 이론은 제도적 행동과 문화의 정치적, 경제적 동인과 숨겨진 커리큘럼에 의해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 Addressing professionalism at the individual level calls on theories related to personality or cognitive attributes. 

  • Social interactionist theories inform the structure of teaching and role modeling related to the interpersonal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 Finally, sociocultural theories can expla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drivers of institutional behavior and culture and how behaviors are shaped by hidden curricula.


사회문화 이론은 특히 직장 환경에 깊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대학원 의학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Eliot Freidson64는 수십 년 전 그의 저서 "의학 전문가"에서 의사들의 행동은 의사가 학생 때 배우는 어떤 것보다도 직장 본연의 영향을 훨씬 많이 받는다고 주장했다.

Sociocultural theory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because it is deeply embedded in workplace settings. In his book Profession of Medicine, Eliot Freidson64 argued decades ago that physician behavior is far more influenced by the nature of the workplace than by anything doctors learn as students.


최근 의학 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들, 모든 사람들은 학습 상황, 직장, 그리고 그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 사회에서 의사들의 역할에 더 많은 관심을 요구한다. 따라서, 의학교육 연구와 실천에서 생물과학과 학습이론은 계속해서 매우 중요할 것이지만, 아직 덜 사용되고 있는 사회문화적 이론들은, 의학을 배우고 실천하는 환경의 수준에서 설명적인 힘을 가지기에, 특히 PGME의 개혁과 재설계에 대한 이러한 요구에 대응함에 있어서 informative할 수 있다.

Recent calls for medical education reform, all demand greater attention to learning contexts, workplaces, and the roles of physicians in the societies to which they are accountable. Thus, while bioscience and learning theories will continue to be very importan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underused sociocultural theories, with explanatory power at the level of the environments in which medicine is learned and practiced, may be particularly informative in responding to these calls for reformand redesign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표2

Table 2.



이러한 요소를 제공하는 우리의 목표는 두 가지다. 즉, 실용적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생물과학 이론, 학습 이론, 사회문화적 이론의 범위를 설명하고, 다른 저자들은 어떻게 이론을 사용하여 유사한 관행을 이해하거나 평가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Our goal in providing these elements is twofold: to illustrate the range of bioscience theories, learning theories, and sociocultural theories that can be brought to bear on practical problems, and to illustrate how authors have used theory to understand or evaluate similar, if not precisely the same, practices.


어떻게 의학교육자들은 활용할 이론을 배울 수 있을까?

How Does a Medical Educator Learn to Use Theories?


한때 혁신적인 교육학적 방법이나 단순한 정량적 연구의 설명을 게재하는 것에 만족했던 의학 교육 저널은 이제 건강 전문 교육의 본질에 대한 온톨로지적, 인식론적 연구를 포함한 더 깊은 이론적 질문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Hodges62

Medical education journals, once content to publish descriptions of innovative pedagogical methods or simple quantitative studies, are now turning to deeper theoretical questions including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inquiries into the nature of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Hodges62


이론들은 본질적으로 개념적이고 설명적이며, 따라서 학술작업, 연구, 저술, 논쟁이 한겹 한겹 쌓아지며 발전한다. 이론은 역동적이고 진화하고 있으며, 항상 반증될 위험이 있다.

Theories, by nature, are conceptual and explanatory and therefore built on layers and layers of scholarly work, research, writing, and debate. Theories are dynamic, evolving, and always at risk of being disproven.


이론에 참여하고, 이론의 개념적 차원을 이해하고, 그들의 기본 개념의 지적 기초를 숙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에 정통한 접근법을 숙달하기 위해 발을 들여놓은 사람은 그러한 숙달에는 어느 정도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광범위한 독서가 필요하다. 이론을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교육에 대해 믿는 것]과 [그러한 의견들을 뒷받침하는 증거의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들과의 토론과 논쟁을 인식하고 포용할 수 있는 것이다.

Engaging with theories, understanding their conceptual dimensions, and mastering the intellectual basis of their fundamental concepts are not easy tasks. Nevertheless, anyone setting out to master a theory-informed approach should understand that such mastery is going to take some work. Extensive reading is required. To use a theory in practice is to be able to articulate what one believes about education and the nature of the evidence that supports those contentions, as well as to recognize and embrace discussion and debate with others who hold different, but no less theoretically informed, points of view.


블레이클리 교수와 동료는 20세기 초의 의료교육의 구조개혁이 과학적 명령scientific imperative을 중심으로 전개된 반면, 오늘날 의학교육을 사회문화적 축을 중심으로 새롭게 방향을 잡으려면 이론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것이 잘 개발된 교육과 연구 기술에 의해서 지속되어야 한다. 미래의 의학교육자들이 읽어야 할 자료들은 단순히 교육, 평가, 연구의 방법에 대한 것 뿐만 아니라, 의학교육자들이 더 개념적 방식으로 사고를 심화시키고 변혁시킬 수 있도록 돕는 자료여야 한다. 이 과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교수진 개발의 필요성이 명백하다.

Bleakley and colleagues48 have argued that, whereas early 20th-century structural reforms in medical education revolved around a scientific imperative, today’s reorientation of medical education around sociocultural axe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corps of medical educators and clinical teachers with a strong grasp of theory, sustained by well-developed pedagogical and research skills. The source materials that medical educators of the future will need to read, they argue, are not simply those that describe methods for teaching, assessment, or research but, rather, those that help medical educators to deepen and transformtheir thinking in conceptual ways.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this process is evident.









 2012 Jan;87(1):25-33. doi: 10.1097/ACM.0b013e318238e069.

Theory and practice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iatry, Faculty of Medicin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brian.hodges@utoronto.ca

Abstract

Medical education practice is more often the result of tradition, ritual, culture, and history than of any easily expressed theoretical or conceptual framework. The authors explain the importance and nature of the role of theory in the design and conduct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y outline three groups of theories relevant 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bioscience theories, learning theories, and sociocultural theories. Bioscience theories are familiar to many medical educators but are often misperceived as truths rather than theories. Theories from such disciplines as neuroscience, kinesiology, and cognitive psychology offer insights into areas such as memory formation, motor skills acquisition, diagnostic decision making, and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theories, primarily emerging from psychology and education, are also popular with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widely employed, not all learning theories have robust evidence bases. Nonetheless, many important notions within medical education are derived from learning theories, including self-monitor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and simulation design enabling sustained deliberate practice. Sociocultural theories, which are common in the wider education literature but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within medical education, are inherently concerned with contexts and systems and provide lenses that selectively highlight different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They challenge educators to reconceptualize the goals of medical education, to illuminate maladaptive processes, and to untangle problems such as career choice,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he hidden curriculum.Theories make visible existing problems and enable educators to ask new and important questions. The authors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gain greater understanding of theories that guide their educational practices.

PMID:
 
22042213
 
DOI:
 
10.1097/ACM.0b013e318238e069


실천공동체로서 Medicine: 의학교육에대한 함의(Acad Med, 2018)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Richard L. Cruess, MD, Sylvia R. Cruess, MD, and Yvonne Steinert, PhD





반세기 전에 머튼1은 의사가 될 사람들에게 [의학의 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면서 [전문직 정체성을 통해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도록"]하는 것을 표로 하는 의학의 이중적 특성을 지적했다.

Over half a century ago, Merton1 pointed out the dual nature of medical education, whose aims are to provide those wishing to become physicians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medicine and a professional identity so that they come to “think, act, and feel like physicians.”


보완적이기보다는 종종 경쟁하는 많은 이론의 존재는 커리큘럼 설계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접근방식에 그것들을 통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의학 교육자들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용 가능한 많은 이론들을 식별하고 반영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즉, "그 이론들을 [일관성 있는 증거의 조직체]를 구축할 수 있는 개념적 틀 안에 두어서, 결국 학습 자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하게 된다."4

The presence of many theories that are often competing rather than complementary can pose problems for medical educators, as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them into a coherent approach to curricular design. Because of th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action should be taken to identify and reflect on the many available theories, placing “them within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an build a coherent body of evidence and, eventually, a better understanding of learning itself.”4


[정의된 특정 교육 활동]에 적용되는 대부분의 학습 이론과 달리, 실천공동체는 의학의 지식기반의 다면성을 포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강력하고 광범위한 사회학습이론이다. 이 이론은 [생의학의 기초, 의사 정체성의 특성, 그리고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의 혼합]을 포함한다.

Unlike most learning theories that apply to defined specific educational activities, communities of practice is a robust and broad social learning theory that has the capacity to encompass the multifaceted nature of medicine’s knowledge base, including its foundations in biomedical science, the nature of the identity of a physician, and its rich mix of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실천공동체

Communities of Practice


이론

The theory


20세기 후반에 발전된 이론인 구성주의개인이 경험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구축하고 그 경험을 성찰할 것을 제안한다.2,4 이 운동의 일부로서, [학습은 사회적 활동으로서, 공동체에서 이루어지며, 역사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제안하는 사회학습 이론이 출현하였다.

Constructivism, a theory develope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proposes that individuals construct new knowledge from experience and reflect on that experience.2,4 As a part of this movement, social learning theories emerged that propose that learning is a social activity that takes place in communities and is heavily influenced by history and culture.5–7


이 운동의 일환으로, 10 Lave와 Wenger는 1991년에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 그들은 그 개념이 새로운 것이었지만, 후에 나온 글에서, Wenger는 그러한 공동체가 "인간이 동굴에 살던 시절부터" 존재했다고 말했다. Lave와 Wenger는 실습 공동체를 상황학습이론situated learning과 연계하여 학습의 사회적 특성을 강조하는 이론을 제안했다.

As a part of this movement,10 Lave and Wenger introduced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in 1991.5 They emphasized that while the concept was new, Wenger, in a later article,10 stated that such communities had existed “since man lived in caves.” Linking communities of practice to the theory of situated learning, Lave and Wenger proposed a theory that emphasizes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관심의 대상인 벵거10은 의료전문직이 실천공동체를 이루고 있음을 분명히 지칭했지만, 그 개념을 의학과 의학과 교육으로 연결하는 첫 번째 레퍼런스는 2002년에 나타났다.

Of interest, while Wenger10 clearly indicates that the professions constitute a community of practice, the first reference linking the concept to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ppeared in 2002.11


이 용어는 학부, 대학원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 수준에서의 의학교육과 관련하여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2,4,12

It is worth noting that the term is used in reference to medical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s.2,4,12


정의가 중요하며, Barab et al13이 제안한 정의는 의학에 적합하다. 실천의 공동체는

Definitions are important, and the one proposed by Barab et al13 seems appropriate for medicine: A community of practice is


공통의 실천 및 공동사업Mutual enterprise에 초점을 맞춘 

중첩되는 지식 기반, 믿음, 가치, 역사 및 경험을 공유하고 개발하는 개인들의 

지속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네트워크.

a persistent, sustaining social network of individuals who share and develop an overlapping knowledge base, set of beliefs, values, history and experiences focused on a common practice and/or mutual enterprise.


의학을 보는 관점을 기존에 유지되어온 [동료애와 도덕으로 특징지어진 공동체]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실천공동체]로 전환하는 것은 내재적인 논리성을 가지고 있다. 동료애적 전문직의 문화적, 구조적, 행동적 측면과 그 도덕적 기반은 실천 규범의 일부가 된다.16

The transition from viewing medicine as a community that has long been characterized by collegiality14 and morality15 to the concept of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has inherent logic. The cultural, structural, and behavioral aspects of a collegial profession as well as its moral base become part of the norms of practice.16


개념은 명확하다.4–6,10–12,17–21 개인은 [그룹이 관여된 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공동 활동에 종사하는 집단에 참여하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개인은 합법적인 주변부 참여에서 그 집단의 완전한 멤버십으로 이동함으로써 집단의 일원이 된다. 초창기의 멤버십도 공동체의 신입회원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이동move는 [그룹 구성원이 공유하는 정체성과 더불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점진적으로 습득하는 것]이 내재되어 있다.5,16–18,20 

The concept is clear.4–6,10–12,17–21 An individual wishes to join a group engaged in a common activity— by learning how to carry out the activities in which the group is engaged. In doing so, the individual becomes a member of the group by moving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membership in the group. The individual’s early membership is viewed as legitimate because he or she has been accepted as a novice member of the community. Inherent in the move is the gradual acquisition of the required knowledge and skills, along with the identity shared by members of the group.5,16–18,20 


핵심이 아닌 항목item은 일부 협상이 가능하지만, 핵심 규범과 가치를 수용하지 못할 경우, aspiring member의 소외나 실제적 배제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0,16 표준은 공동체에 의해 결정되며, 도메인 내에서 역량 달성이 필수적이다.20

While some negotiation of noncore items is possible, failure to accept core norms and values can result in marginalization or actual exclusion of an aspiring member.10,16 Achieving competence within the domain is essential, with the standards being determined by the community.20


이 이론에 따르면 학습은 개인의 활동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이며, 그 대부분이 무의식적인 수준에서 발생하여, 암묵적 지식의 large body를 획득하게 된다.4,6,17,18 학습은 공동체에서 "위치situated"하며, 학습내용은 authenticity가 있는데, 왜냐하면 그 내용이 실제로 적용되는 맥락과 동일한 맥락에서 습득되기 때문이다.5,17,18,21 학습자 참여는 필수적인데, 왜냐하면 참여를 통해서만 각 개인은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을 [개인적이고 독특한 것]으로 변형시키면서 의미를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e theory, learning is a social rather than an individual activity, and much of it occurs at the unconscious level, resulting in the acquisition of a large body of tacit knowledge.4,6,17,18 The learning is “situated” in the community, and the content is given authenticity because it is acquired in the same context in which it is applied.5,17,18,21 Learner participation is essential, as it allows each individual to recreate meaning, transforming knowledge from the abstract and theoretical into something personal and unique.


세가지 필수 요소가 있다.

There are three essential elements


영역

Domain.


스나이더와 벵거18은 명확한 경계를 가진 도메인이 있어서, "공통적인 지반과 공통의 정체성"을 창조해야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것은 공동체의 목적과 가치를 구성원들과 사회 모두에게 보증affirm한다. 의학의 도메인이란 [인간 질병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공익을 증진시키는 것]이다.15

Snyder and Wenger18 state that there must be a domain with clear boundaries that creates “common ground and a sense of common identity.” This affirms the purpose and value of the community to both members and society. The domain of medicine is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disease and the promotion of the public good.15


공동체

Community.


공동체의 존재는 배움이 일어나는 사회 구조를 만들어내고, 공동체 내의 구성원 자격 획득이 desirable한 목표로 여겨져야 한다. 공동체가 번영하기 위해서는 리더쉽이 요구되고, 공동체의 목적과 성취에 대한 자부심과, 상호 신뢰와 존중이 필수 요소다.

The presence of a community creates the social fabric within which learning occurs, and membership in the community must be seen as a desirable objective. For the community to flourish, leadership is required and mutual trust and respect are essential elements, as is pride in the purpose and accomplishments of the community.18,20


의학은 많은 실천의 공동체로 구성되며, 의사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동체에 속한다. 명백히, 의사는 글로벌 의료 공동체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의사가 소속하고 충성을 부여하는 국가 및 지역 단체와 조직이 있다. 한 의사의 전공 역시 그 구성원들의 정체성에 특히 강한 영향을 주는 실천공동체이다. 

Medicine consists of many communities of practice, and physicians generally belong to more than one.20,21 Clearly, a physician is a part of a global medical community,22 but there are national and regional groupings and organizations to which physicians belong and give allegiance.18,20 A physician’s specialty is a community of practice that exerts a particularly strong influence on the identity of its members.23


실천

Practice.


실천공동체가 공유하고 발전시키는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을 말하며,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틀, 아이디어, 도구, 정보, 스타일, 언어, 이야기,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10 벵거에 따르면, medicine에서 실천은 임상 치료, 교육 관행, 그리고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실천이라는 단어는 [일과 배움이 동시에 일어나는 사회적 환경]을 포괄한다.

Practice refers to the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that the community shares and develops, consisting of a set of “frameworks, ideas, tools, information, styles, language, stories, and documents that the community members share.”10 According to Wenger,10 in medicine, practice consists of clinical care,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earch. The word practice encompasses a social environment in which both work and learning take place.


지식기반은 [실천공동체에 가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습득하는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다.4,6 공동체는 (끊임없이 revise되는) 지식기반의 생성과 유지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지식기반의 생성과 유지는 부분적으로는 새로운 구성원이 "온전한 참여"를 성취해나가는 동안 이루어지는 협상 과정에서 이뤄진다.5,10,12 [공동체 내에서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은 [개별 학습자에 의한 재창조 과정에서 갱싱됨으로써] [지식기반의 목적적합성과 생명력에 영향을 미친다].10

The knowledge base consists of a mixture of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that is acquired by those wishing to join the community of practice.4,6 The community is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the knowledge base, which is constantly being revised, in part through the process of negotiation that takes place as new members achieve full participation.5,10,12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within the community has an impact on the relevance and the vitality of the knowledge base by renewing it as it is recreated by individual learners.10


이론에 대한 비판

Criticisms of the theory


이것들은 사회 구조가 기존의 계층 구조, 권력 구조, 불평등을 영구화하면서 스스로 재생산하는 경향이 있다는 부르디유의 관찰을 지지한다. 한 관찰자는 실천 공동체 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자기-기만적이고 자기-강화적인 사회 행동"을 언급하였다.29

these support Bourdieu’s28 observation that social structures tend to reproduce themselves, perpetuating existing hierarchies, power structures, and inequities. One observer has referred to “self-deluding and self- reinforcing social behavior” that can take place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29


의문의 여지 없이, 이것은 의료계의 행동에 대한 유효한 논평이다.

Without question, these are valid comments on the behavior of the medical profession


역사적으로, 이 직업은 배재적이어서, 여성과 사실상 모든 범주의 소수민족이 커뮤니티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30–32 의학은 여태껏 공동체 주위에 명확한 경계를 확립해왔으며, 지금도 지속적으로 경계를 확립하여 포함과 배제를 모두 결정한다. 또한 내부적으로 잘 확립된 위계 구조와 권력 관계를 가지고 있다.

Historically, the profession has been exclusionary, with women and virtually all categories of minorities having difficulty accessing the community.30–32 Medicine has established and continues to establish clear boundaries around the community that determine both inclusion and exclusion31,33 and has a well-established internal hierarchical structure and power relationships.31,33


위에서 언급된 행동 패턴은 의료전문직 비롯하여 대부분의 사회적 구조의 특징이며, 그리고 이것은 Lave와 Wenger가 실천공동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훨씬 전에 존재했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behavior patterns mentioned above are characteristic of most social structures,9,28 including the medical profession,31 and that they existed long before Lave and Wenger invoked the term communities of practice.


그러나 의료전문직처럼 복잡한 enterprise가 경계/위계/권력구조가 없다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6 비판하고 관심을 가져야 할 가치가 있는 것은 [이러한 본질적인 요소들의 성격과 영향]이지 [그들의 존재 그 자체]가 아니다.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envisage any enterprise as complex as the medical profession without boundaries, hierarchies, or power structures.6 It is the nature and impact of these essential elements that sometimes deserve criticism and attention, not their existence.


이러한 한계들 중 일부는 직접적으로 다뤄지기 시작했다. 이제 의료전문직에는 여성과 소수민족이 더 많이 포함되었다. 또한 의학의 위계 및 내부 권력구조의 존재는 인정됨고 동시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30–32,35

Some of these limitations have been addressed directly. the medical profession is now more inclusive of women and minorities15,30 The presence of medicine’s hierarchies and internal power structures has been both recognized and questioned.30–32,35


추가적인 비판은 [공동체의 규범과 표준을 강요해야 하는 의무]와 [완전한 참여를 향해 나아가면서 자신의 정체성의 중요한 측면을 유지하려는 개인의 욕망]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에서 비롯된다.33,35 긴장은 정체성의 주요한 변화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오랫동안 인식해 왔다. 에릭슨36은 개인이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실제로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를 억제해야 한다고 믿었고, 다른 이들은 "정체성 불협화음"이 초래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33 

An additional criticism stems from the tension that arises between the imperative to impose the norms and standards of the community and the desire of individuals to maintain important aspects of their own identities as they move toward full participation.33,35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tension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major changes in identity. Erikson36 believed that an individual must actually suppress a portion of his or her identity to achieve change, while others suggest that “identity dissonance” can result.33 


의학의 권력 관계와 계층 구조는 개인이 "내가 누구인가"의 중요한 측면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15,33,37 인정되어온 것처럼, [전문직 종사자가 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을 보존하고 더 발전시킬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광범위한 합의로 나타났다.

Medicine’s power relationships and hierarchical structure can make it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maintain important aspects of “who they are.”15,33,37 As this has been recognized, widespread agreement has emerged that learners must be permitted to preserve and further develop their personal identities as they become professionals.15,33,35


실천공동체와 다른 학습이론

Communities of Practice and Other Learning Theories


실천공동체가 이론적 토대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다른 학습이론이 실천공동체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교육활동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것이 우리의 믿음이다.

It is our belief that communities of practice can serve as the foundational theory and that other learning theories provide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multipl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ake place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우리는 그들의 접근방식이 정확하다고 믿지만, situated learning은 실천공동체 내에서 일어나야지, 그 반대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organizing theory"가 되어야 하는 것은 실천공동체라고 생각한다.

We believe their approach to be correct but that, as situated learning takes place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rather than the reverse,5,20,29 it is communities of practice that should be the organizing theory.


실천공동체에 통합될 수 있는 이론의 예로는 직장학습이 있다. (직장학습에서) 학습과 작업work은 학습자가 교육적 연속체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강의실에서 의사의 근무지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융합된다. 

An example of a theory that can be integrated into communities of practice is workplace learning. Learning and work converge as learners in medicine proceed through the educational continuum, moving from the classroom to the workplace of the practicing physician—


빌렛은 근무지학습 이론을 실천공동체 내에 place하였으며, 이 이론이 실천공동체의 이론적 힘에 기여하고 힘을 더 강화한다.

Billett’s19,38 theory of workplace learning, which he places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contributes to and strengthens the theoretical power of communities of practice.


멘토와 역할 모델은 오랫동안 일반 대중에서 숙련된 전문가로 개인을 변화시키는데 근본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6,39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 이론은 이러한 복잡한 활동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개선을 목표로 하는 교육적 이니셔티브를 인도할 수 있다.

Mentors and role models have long been understood to be fundamental to the transformation of an individual from a member of the lay public to a skilled professional.6,39 Bandura’s7 social cognitive theory helps to explain this complex activity and can guide educational initiatives aimed at improvement.


경험적 학습도 의학 교육의 근본이 되어,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을 동시에 습득하도록 이끈다. Kolb의 경험적 학습 이론은 Eraut의 암묵적 학습 분석과 함께 실천 공동체 내에서 일어나는 교육 활동의 중심 부분을 이해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Experiential learning is also fundamental to medical education,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Kolb’s40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long with Eraut’s41 analysis of tacit learning,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a central part of the educational activity that takes place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Curricular Design


Medicine에서 실천공동체는 항상 존재해왔다,5

Communities of practice in medicine have always existed,5


실천공동체 이론에 기초한 현대 의학 교육을 채택하는 것이 반드시 과격한 커리큘럼 변화를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주요한 장점은 학습의 사회적 특성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Adapting modern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will not necessarily result in radical curricular change. However, a major advantage of such a shift is that it would emphasize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또한, 실천공동체를 중심으로 관련 활동의 reorient하는 것은, 명확한 교육 목표를 수립하고 목표와 전략을 더 잘 일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Moreover, reorienting relevant activities around communities of practice has the potential to establish clearer educational objectives and better align strategies with objectives.


의학에서의 학습은 [의료행위의 현장을 중심으로, [공식적인 구성 요소와 경험]을 포함하는 교육과정]에서 발생한다. 경험적 학습 또는 비공식적 학습은 학습자가 일반인에서 전문가로, 그리고 주변부에서 공동체의 중심으로 발전함에 따라 predominate한다. 

Learning in medicine occurs in a curriculum that includes formal components and experiences centered in the medical workplace. Experiential, or informal, learning2–4,6,38,41 predominates as learners progress from laypersons to professionals and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of the community.


"근무지 경험은 '비공식적'이거나 "ad hoc"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it must be stressed that “workplace experiences are not ‘informal’”38 or “ad hoc,”41


근무지 경험은 medical practice의 본질에 확고히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practice가 일과 학습 행위 모두를 형성한다.20 공식적인 지식은 전달되지만, 학습의 사회적 특성 때문에, 많은 지식 전달이 비공식적이어서,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 모두를 획득하게 된다.

Workplace experiences are solidly grounded in the nature of medical practices, and these practices shape the conduct of both the work and the learning that take place.20 Formal knowledge is transmitted, but because of the social nature of the learning, much knowledge transfer is informal,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19,41


커리큘럼을 실천공동체에 기반한 이론적 토대를 갖도록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또 다른 개입이 수반될 수 있다. 여기에는 의학이 실천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 개념을 인지적 토대의 명시적인 부분으로 만드는 것이 포함된다. 전통적으로 공동체의 가치와 규범의 통합을 장려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활동은 이론과 일치하도록 reoriented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커리큘럼 갱신에 필요한 새로운 활동들이 개발될 수 있다.

Reorienting a curriculum so that it has a theoretical base grounded in communities of practice can involve different interventions. These include recognizing that medicine constitute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making the concept an explicit part of the cognitive base that is taught. Activitie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to encourage the incorporation of the values and norms of the community can be reoriented to become congruent with the theory. Finally, new activities necessary for curricular renewal can be developed.


실천공동체로서 Medicine을 바라보기

Acknowledge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Lave와 Wenger의 직업적 정체성의 획득을 포함한 실천공동체에 관한 연구와 빌레트의 직장학습의 개념을 정교하게 기술한 것은 커리큘럼 설계의 기초요소로서의 의의성, 정렬, 연속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6,48,50 이 모든 것들은 의학이 약이라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도록 요구한다. 실천의 공동체

Lave and Wenger’s work on communities of practice, including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and Billett’s elaboration of the concept of workplace learning, stress the importance of intentionality, alignment, and continuity as foundational elements in curricular design.6,48,50 All of these require formal acknowledgment that medicine is a community of practice.


의도성과 정렬은 분명히 연결되어 있다. 의도성은 커리큘럼 설계가 이론과 일치하는 목표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정렬에 따르면, 교육 전략은 학습자가 실습 커뮤니티에 완전히 참여하고 직업적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 연속성은 의학의 "도메인"20내에서의 "실무"의 성격과 초보자부터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레벨의 개인의 공동체내에서의 존재에 의해 제공된다.

Intentionality and alignment are clearly linked. Intentionality dictates that curricular design should be based on objectives that are congruent with the theory. Alignment suggests that educational strategies should be aimed at assisting learners as they move to ful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and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Continuity is provided by the nature of the “practice” within medicine’s “domain”20 and by the presence within the community of individuals at all levels from novice to expert.



실천공동체를 교육과정의 명시적 부분으로 만들기

Make communities of practice an explicit part of the curriculum


무언가를 가르치고 배우고 평가하려면 교육목표가 분명해야 하고 주제를 정의해야 한다.40 이것은 [의도성]과 [정렬]이라는 guiding principle과도 관련이 있다. 여러 연구자들이 [개개인이 전문직 정체성을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에서의 서포트]가 커리큘럼에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의학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권고가 함축하는 것은, [전문직 정체성의 본질과 사회화 과정에 대한 설명을 공식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것이고,  우리는 이것을 "인지적 토대"라고 불렀다.44

If something is to be taught, learned, and assessed, the educational objectives must be clear and the subject must be defined.40 This is also related to the guiding principles of intentionality and alignment. We and others have recommended16,45,46 that the support of individuals as they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become an objective of medical education addressed explicitly in the curriculum. Inherent in this recommendation is the necessity to formally teach th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an explication of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We have termed this the “cognitive base.”44


이 기초에 우리는 이제 [의학은 실천공동체]라는 개념과 [전문직 정체성이 이런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개념을 추가한다. 진정으로 집단적 학습의 과정에 참여하려면, 학습자는 주변부 참여에서 완전한 참여에 이르는 여정의 성격을 이해해야 한다.

To this base we now add the concept that medicine is a community of practice a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occurs in this context. Learners should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journey from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participation if they are to be truly engaged in a process of collective learning.



주변환경에서 완전한 참여로 이어지는 여정에 학생 참여

Engage students in the journey from peripheral to full participation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서포트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공동체에 합류하도록 참여시키고, 학생들을 자신의 정체성의 발달에 참여시켜서, 그들이 [일반인들로부터 전문가에 이르는 개인적인 여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지금까지의 참여가 늘 암묵적이었다면, 이제는 참여를 공식화하여, 학습자 입장에서의 의식적 행동을 요구해야 한다.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engaging students in joining the community and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identities helps them to better understand their personal journeys from laypersons to professionals.12,15,33,44,46 Participation, which has always been implicit, becomes formalized, requiring conscious action on the part of the learner.40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바탕이 되는 규범]은 지속적인 사회적 협상의 과정을 거쳐서, 실천공동체 의해서, 그리고 사회에 의해서 결정된다.51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에서 완전한 참여로 이동하면 "아웃사이더"에서 "인사이더"로 이동move하며, 이를 이해하면 학생과 학생의 mentor가 학습자의 진보를 따라가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norms on which a professional identity is constructed are determined by the community of practice5,19 and by society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social negotiation.51 Moving from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o full participation describes the move from “outsider” to “insider,”31 and understanding this can assist students and their mentors in following the learners’ progress.


관여와 참여는 또한 실천공동체와 직장 학습의 기초적인 요소들이다.48 참여는 "정체성 경험의 구성적 질감을 제공한다."19 배움을 사회적 활동으로 인식한다면, 공동체에 참여하지 않고는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19,49 [주변부 참여자가 되는 자발적 행동]은 참여에 필요한 첫 번째 단계다.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re also foundational elements of communities of practice6,17 and workplace learning.47,48 Participation “provides the constitutive texture of the experience of identity.”19 If learning is perceived to be a social activity, it does not occur without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19,49 The voluntary act of becoming a peripheral participant is a necessary first step in engagement. Participation, or coparticipation,19


참여 촉진을 위해 설계된 교육 활동은 [실천 공동체의 성격에 대한 명시적 지식을 전달]하고 [학습된 지식을 진정한 맥락에서 사용하는 활동] 사이에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Educational activities designed to promote engagement should create a balance between transmitting explicit knowledge about the nature of communities of practice and activities in which the knowledge learned is used in authentic contexts.29,52


Welcoming 커뮤니티 만들기 및 유지

Create and maintain a welcoming community


의학이라는 실천공동체는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론에 따르면, 그것은 공동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이다.53 공동체에서의 학습과 직장에서의 학습은 "대상 공동체와 실천에 대한 구성원 자격을 촉진하고, 접근을 촉진함으로써" 장려될 수 있다.53 의도성의 원칙의 연장으로서, 이 목표는 교수와 학생 모두에게 명시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has not been created intentionally. According to theory, it emerged as a result of the activities taking place within the community.53 Learning in communities,6 as well as workplace learning,48 is encouraged by “fostering access to and membership in the target community and of practice.”53 As a further extension of the principle of intentionality, this goal should be pursued explicitly with both faculty and students.


Lave와 Wenger5는 원래 기사에서 [실천공동체의 구성]과 [개인과 집단의 관계]의 역동성을 지적했다.

In their original article, Lave and Wenger5 pointed out the dynamic nature of the composition of a community of practic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공동체의 구성은 새로운 개인이 합류하고, 다른 사람들은 주니어에서 시니어 지위로 이동하고, "old timer"가 떠나면서 계속 유동적이게 된다. 가르침은 전통적인 dyadic 관계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 의료 시스템과 그 학습 환경을 채우는 변화무쌍한 "필수 행위자들의 풍부하고 다양한 분야"에 기초한다. 학습자 측의 개별적인 노력이 필요하지만, 동료 학습자와 기성 구성원을 포함한 공동체는 학습과 정체성 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33 공동체는 끊임없이 자신을 재창조하며, 공동체의 미래는 후속 세대에 전달되는 지식 기반에 의존한다.

The composition of a community is in constant flux as new individuals join it, others move from junior to senior status, and “old timers” leave. Teaching is not based on traditional dyadic relationships but instead on an ever-changing “richly diverse field of essential actors” who populate the health care system and its learning environments.5 While individual effort on the part of the learner is required, the community, including fellow learners and established members, has a powerful impact on learning and identity formation.33 The community constantly recreates itself, and its future is dependent on its knowledge base being transferred to another generation.


공동체는 enterprise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포함해야 하며, 그 enterprise의 미래를 대표하는 주변 사람들을 환영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성별, 성적 성향, 사회경제적 지위 또는 다른 요인 때문에 의학계에서 제외된 사람들에게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30–33 또한 학습자는 자신의 "자기 자신"이라는 개인적 감각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의 개발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33,35

The community must be inclusive of all involved in the enterprise and be welcoming to those at the periphery, who represent its future.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ose who have traditionally been excluded from medicine’s community because of gender, sexual orientation, socioeconomic status, or other factors.30–33 In addition, learners must be permitted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ies while maintaining their own personal sense of “self.”33,35


학습자의 관여와 참여는 교육 경험 전반에 걸쳐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이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학습 환경은 참여의 근간이며, 존중적이고, 환영적이고, 지지적이어야 한다. Hafferty와 Hafler42가 정의한 비공식 커리큘럼의 부정적인 측면을 다루는 것이 두 배로 중요해진다. 왜냐하면 결함이 있는 학습 환경은 학습을 억제하고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소속감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33 학습자가 자신의 수준에 적합한 활동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하며, 학습이 이루어지는 상황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전문가"39의 지침도 함께 제공해야 한다.

Learners’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throughou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his can be accomplished in several ways. The learning environment is fundamental and should be respectful, welcoming, and supportive.6,33 Addressing the negative aspects of the informal curriculum as defined by Hafferty and Hafler42 becomes doubly important, as a flawed learning environment inhibits learning and diminishes the sense of belonging of all involved.33 Access for all learners to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ir level must be assured, along with guidance from “experts”39 who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contextual framework with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마지막으로 학습을 사회적 활동으로 간주하는 경우, 성찰은 고립된 활동이라기 보다는 소그룹 55,61 내에서 가장 잘 이루어진다. 12 집단적 문제 해결을 강조하면서 협력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29,53 Shared reflection은 학습자에게 복수의 관점 및 정보의 출처를 제공할 기회를 제공한다.55

Finally, if learning is regarded as a social activity, reflection is best done within small groups55,61 rather than as a solitary activity. 12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situations where collaborative learning can take place, stressing collective problem solving.29,53 Shared reflection offers the learner the opportunity for multiple perspectives and sources of information.55


프로페셔널 아이덴티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명시적으로 해결

Explicitly address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롤모델링과 경험적 학습이 가장 강력한 것이라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으며, 둘 다 최대의 효과를 위해 성찰을 필요로 한다, .2,4,5,7,15,41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role model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both of which require reflection for their maximum impact, are the most powerful.2,4,5,7,15,41


명확한 목표가 설정될 때, 그리고 경험에 대한 guided relfection을 동반할 때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강화된다.55–57

The impact on learners is enhanced when explicit objectives are established55,57 and when they are accompanied by guided reflection on their experiences.55–57


롤모델과 멘토

Role models and mentors.


역할 모델과 멘토는 명시적 지식과 암묵적 지식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4,6,7,39,49,42,5556 이러한 이유로, authentic 상황에서 formal한 가르침과 경험 사이의 적절한 균형이 확립되도록 의식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29 롤모델과 멘토는, formal fashion으로, 실천공동체의 성격과 그 규범에 대한 지식에 대해 인식하고 그것을 전달해야 한다. 또한 롤모델과 멘토는 공동체 내에서 전문직정체성 획득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15,58

Role models and mentors have a central role in transferring both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to learners.4,6,7,39,42,55,56 For this reason, conscious action should be taken so that a proper balance between formal instruction and experience in authentic situations is established.29 Role models and mentors must be aware of and transmit, in a formal fashion, knowledge about the nature of communities of practice and their norms, and should actively support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within the community.15,58


암묵적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공동 활동을 필요로 하며, 이들 사이의 물리적 근접성을 포함하는 경험 또는 그룹 내에서 기능하는 학습자 간 경험을 요구한다.5,19,20,49,50 사회화의 과정은 이러한 work activities에 의존하며, workplace에서의 학습도 그러하다,33 

The sharing of tacit knowledge requires experiences that include joint activities and physical proximity between teacher and learner or between learners functioning within the group.5,19,20,49,50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s dependent on these work activities,33 as is learning in the workplace.19 


암묵적 지식은 transfer되기 전에 명시적 지식으로 전환(또는 구체화reified)될 수 있다. 다시, 어떤 내용을 암묵적으로 남겨둘지, 또는 어떤 내용을 다른 사람들에게 명백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지에 대한 의식적인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Tacit knowledge can be converted to explicit knowledge—or reified—prior to its transfer. Again, conscious decisions must be made as to which curricular material will remain tacit and which will be made explicit and comprehensible to others.18,41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경험적 학습, 또는 실천을 통한 학습은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개념이다.59 성찰과 불가분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그것은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뿐만 아니라 지식과 기술을 모두 획득하는데 필수적이다.5,133

Experiential learning, or learning by doing, is a concept that can be traced to Aristotle.59 Inextricably linked to reflection,4,55,56 it is essential to the acquisition of both the knowledge and skills as well as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a physician.5,15,33


커리큘럼은 이러한 학습 주기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진정한authentic 경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19,38 과거에 암묵적이었던 많은 것들이 명시적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할 수 있는 암묵적 지식의 양(41,60)에는 한계가 있고 암묵적 지식의 영향은 상당하다.12

The curriculum must ensure that learners have access to authentic experiences so that this cycle of learning can occur.19,38 Through reflection, much that has been tacit in the past will be made explici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tacit knowledge that can be made explicit,41,60 and the impact of tacit knowledge is substantial.12


성찰

Reflection.


성찰은 개인이 외부 관찰자의 관점을 가정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성찰을 함으로써 공동체에 참여를 향한 그들 자기자신의 발전과정을 examine한다. 성찰 과정에서 학습자는 실천공동체와 정체성 형성의 많은 측면을 명확히 할 기회를 갖는다.61 개인 경험에서 배우는 것 외에, 개인은 자신의 실천공동체에 완전한 참여를 향한 여정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19

Reflection requires individuals to assume the perspective of an external observer,61 examining their own progress towar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they have an opportunity to make explicit many aspects of both communities of practice and identity formation.61 In addition to learning from their own personal experiences, individuals can become aware of their own “location” in the journey toward full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y of practice.19


마지막으로, 직장 내외에서 의도적으로 구조화된 사회 행사는 오랫동안 의료계와 연관되어 있던 의식이 할 수 있듯이 소속감을 키울 수 있다.15,33,49,54 그러한 활동이 초보부터 상급자에 이르기까지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Finally, purposely structured social events,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workplace, can foster a sense of belonging, as can the rituals that have long been associated with the medical profession.15,33,49,54 It is noteworthy that such activities have an influence on all members of the community from novice to senior.15,33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레벨에 적합한 책임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authentic 활동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19 중요한 것은 롤모델링 및 workplace 경험 후 성찰을 위한 정해진 시간과 비공식적 기회 모두가 커리큘럼에 정기적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55,56

Access for all learners to a range of authentic activities should be made available, including the allocation of responsibility appropriate to their level.19 Importantly, both scheduled time and informal opportunities to reflect after role modeling and workplace experiences must be presen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urriculum.55,56


교수개발 제공

Provide faculty development


주요 커리큘럼 변화의 성공은 교수개발에 좌우된다는 것은 잘 받아들여지고 있다. 62 그리고 실천공동체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특별한 관심을 필요로 한다.

It is now well understood that major curricular change is dependent for its success on faculty development,62 and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 requires particular attention.


이 주제를 교수진을 위해 명시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정의되어야 한다.63,64 교수진은 개념을 알고, 어휘에 익숙해야 하며, 주요 커리큘럼 중재 계획 수립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It has been found that the subject must be addressed explicitly for faculty and defined in easily understandable terms.63,64 Faculty should know the concepts, be familiar with the vocabulary, and be given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lanning major curricular interventions.


정체성 형성 및 실천 공동체를 소통하는 데 있어 전문지식의 발달에 특히 중요한 것은 교수진이 공동체 내의 자신의 정체성과 위치를 검토하고 반성할 기회를 갖게 됨으로써, 자신의 personal sense of self and community를 강화한다는 것이다.64

Of particular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communicating identity formation and communities of practice is that faculty have an opportunity to examine and reflect on their own identities and places within the community, reinforcing their personal sense of self and community.64


온전한 구성원 자격을 향한 진전을 기록하기

Chart progress toward full membership


실천공동체에 관한 문헌은 명확하다. 공동체 내에서 표준의 확립과 역량평가가 수행되고, 초보자 및 전체 구성원이 medical community에 책임을 진다.21 공동체 참여를 희망하는 학습자들은 일부 표준에 대해서는 그것을 얼마나 준수할 것인가에 대해서 어느 정도 자유도latitude가 지만, 공동체의 존재에 기반이 되는 어떤 표준(정직, 성실, 돌봄, 열정, 존중)에 대해서는 협상의 여지가 없다.6,15,54

The literature on communities of practice is clea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and the assessment of competence are carried out within the community,19 and novices and full members are accountable to the medical community.21 While learners wishing to join the community have some latitude in negotiating their compliance with some standards, other standards, such as honesty, integrity, caring, compassion, and respect for others, are so fundamental to the existence of the community that they are nonnegotiable.6,15,54


따라서, 의학교육에서 실천공동체의 구성원 자격 획득이 교육의 목표가 되었을 때, 이 목표를 향한 진보를 charting할 어떤 방법이 필요하다. 의학의 실천공동체에 가입하는 것은 전문직 정체성의 획득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의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하고, 느끼는 것"을 향한 진척도를 측정함으로써 커뮤니티의 가입에 대한 진보를 가늠할 수 있다. 1 개개인마다 서로 다른 속도로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이동한다는 사실 때문에 평가가 복잡하다.

Therefore, when membership in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becomes an educational goal, some method of charting progress toward this goal is necessary. Because joining medicine’s community of practice is indivisibly linked to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progress toward membership in the community can be gauged by measuring progress toward “thinking, acting, and feeling like a doc t or.” 1 Assessment is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individuals move from peripheral to ful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t different rates.7,20,21,54


Presentation of self가 직업적 정체성에 매우 중심적이기 때문에, 자기평가는 중요하다. 멘토와 협력하여 수행되는 "의사처럼 느끼는 것"을 향한 개인의 진행상황에 대한 평가는 성찰의 중요한 자극이며, 몇 가지 실행 가능한 방법들이 수 있다.68 Progress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은 전문적 정체성의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서, 자신감과 소속감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주변으로부터 실천공동체의 중심으로의 이동이 늦어지는 개인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은 guide와 및 지원이 필요함.68,69

Because the presentation of self is so central to professional identity,33 self- assessment has been determined to be important.66–68 An individual’s assessment of his or her progress toward “feeling like a doctor,”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a mentor, is an important stimulus for reflection, and feasible methods of doing so are available.68 Positive feedback about progr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engendering a feeling of confidence and a sense of belonging.12,15,33,53,54 Of equal importance is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whose move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of the community of practice is impeded. They require guidance and support.68,69



실천공동체의 약속

The Promise of Communities of Practice


실용주의적인 관점에서 보면, 다른 학습 이론에 의해 뒷받침된 실천공동체 이론은 의학 교육의 포괄적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현재 우리가 믿지 않는 것이다.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supported by other learning theories, has the capacity to provide a comprehensive theoretical basis for medical education, something that we do not believe exists at the present time.


Dornan et al70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인용문을 마무리한다.

We close with a quote from Dornan et al70 that we believe to be appropriate:


전문성은 단순히 교수자에서 학습자에게 전달되는 특성property이 아니라, 실천공동체 내에 존재하는 동적상품이다. 이론에 따르면 학습은 그러한 공동체의 문화에 흡수되고 흡수되는 과정이다.

Expertise is not simply a property that passes from teacher to learner, but a dynamic commodity that resides within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according to the theory, is a process of absorbing and being absorbed into the culture of such a community.



3 Steinert Y. Educational theory and strate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fessionalism. In: Cruess RL, Cruess SR, Steinert Y, eds.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Identity. 2nd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68–84.



44 Cruess SR, Cruess RL. General principles for establishing programs to support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t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levels. In: Cruess RL, Cruess SR, Steinert Y, eds. Teaching Medical Professionalism in Suppor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113–124.





 2018 Feb;93(2):185-191. doi: 10.1097/ACM.0000000000001826.

Medicine as a Community of Practice: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R.L. Cruess is professor of surgery and a core faculty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S.R. Cruess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a core faculty membe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Y. Steinert is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and director, Centre for Medical Education of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Abstract

The presence of a variety of independent learning theories makes it difficult for medical educators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theoretical framework for medical education, resulting in numerous and often unrelated curricular,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practices. Linked with an understanding of identity formation, the concept of communities of practice could provide such a framework, emphasizing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Individuals wish to join the community, moving from legitimate peripheral to full participation, acquiring the identity of community members and accepting the community's norms.Having communities of practice as the theoretical basis of medical education does not diminish the value of other learning theories. Communities of practice can serve as the foundational theory, and other theories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multipl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take place within the community, thus helping create an integrated theoretical approach.Communities of practice can guide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make medical education more effective and can help both learners and educators better cope with medical education's complexity. An initial step is to acknowledge the potential of communities of practice as the foundational theory.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could result from this approach include adding communities of practice to the cognitive base; actively engaging students in joining the community; creating a welcoming community; expanding the emphasis on explicitly addressing role modeling, mentoring, experiential learning, and reflection; providing faculty development to support the program; and recognizing the necessity to chart progress toward membership in the community.

Comment in

PMID:
 
28746073
 
DOI:
 
10.1097/ACM.0000000000001826


의학교육 평가에서 주관성의 힘(Acad Med, 2019)

The Power of Subjectivity in the Assessment of Medical Trainees

Olle ten Cate, PhD, and Glenn Regehr, PhD



적어도 지난 50년 동안 "객관성"은 의학 교육자를 포함한 시험을 설계하는 데 있어 거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추구였다. 1961년 De Groot2(p172)는 객관성을 "개인 의견, 선호도, 관찰 방식, 견해, 흥미 또는 정서의 간섭은 물론 잠재적 간섭조차 없는" 판단으로 정의했다. 시험의 객관성에 대한 탐구는, 학교와 대학의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자동적인 채점 제도의 필요성을 자극했기 때문에, 서면 평가에 다중 선택 질문(MCQ)이 도입됨으로써 효과적으로 가능해졌다. MCQ는 학생지식을 평가할 때 심사위원들의 개인적인 의견을 배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고, 따라서 공정성과 기준에 대한 논쟁에 대해 매우 필요한 응답을 제공했다.

For at least the last 50 years, “objectivity” has been an almost undisputed pursuit for those designing tests, including medical educators.1 In 1961, De Groot2(p172) defined objectivity as judgment “without interference or even potential interference of personal opinions, preferences, modes of observation, views, interests or sentiments.” The search for objectivity in testing was effectively enabled with the introduction of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in written assessments, as the growing numbers of students in schools and universities stimulated the need for more automatic scoring systems. MCQs offered opportunities to exclude the personal opinions of examiners when assessing student knowledge and, therefore, offered a much-needed response to disputes about fairness and standards.


의학교육에서 객관적 시험을 향한 노력은 곧 사실적 지식을 넘어 더 정교한 훈련 목표에 대한 평가로까지 확대되었다. 환자 관리 문제3 및 트리플 점프 연습4와 같은 테스트는 사례특이성과 맥락특이성 문제로 인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평가방법은) 임상적 추론과 문제 해결 기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도록 개발되었고, 그 결과 적절한 수준의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In medical education, efforts toward objective testing soon extended to the assessment of more sophisticated training goals beyond factual knowledge. Tests such as the patient management problem3 and the triple jump exercise4 were developed to “objectively” assess clinical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lthough these were plagued with issues of case and context specificity and, therefore, required many hours of testing to achieve appropriate levels of reliability.5


보다 성공적으로, 임상 기술에 대한 성과 기반 시험들,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 시험에 의해 예시된, 4는 많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 및 국가 시험으로 통합되었다.6,7 미니 임상 평가 연습, 임상 조우 카드, 임상 작업 샘플링, 절차적 기술의 직접 관찰 및 기타 도구에 이르기까지, 객관성에 대한 열망search는 작업장에 기초한 평가로 확대되었다.8

More successfully, performance-based tests of clinical skills, exemplified by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4 were integrated into many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s and national examinations.6,7 With the introduction of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clinical encounter cards, clinical work sampling, direct observation of procedural skills, and other tools, the search for objectivity also extended to workplace-based assessment.8


보다 최근에는 CBME(세기를 전후해 시작된 널리 퍼진 운동)의 도입으로 임상 작업장에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탐구가 촉진되었고, 시간기반의 도제모델에서 임상 능력의 불명확하고 국부적인 표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경고가 내려졌다. 여기에서 벗어나, 투명하고 구조화된 결과 중심의 임상 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모델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More recently, the search for objective assessment in the clinical workplace was given impetu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 pervasive movement that started roughly around the turn of the century), with its injunction to move away from unclear and local standards of clinical competence in time-based apprenticeship models toward transparent, structured, outcomes-oriented clinical performance assessment.9


우리는 우선 객관성이, 사실 현재의 노력이 달성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제안할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객관성"을 향한 노력들은 단일의, 그러나 여전히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관점에 대한 융합인 "공유 주체성"을 협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e will first suggest that objectivity may not, in fact, represent what current efforts are achieving. Rather, these purported efforts toward “objectivity” might better be understood as negotiating a “shared subjectivity,” a convergence on a single, but still socially constructed, perspective.



객관성의 신화

The Myth of Objectivity


실증주의적 관점 또는, 고전적인 시험 이론의 관점에서 ,객관성은 각 원하는 학습자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진정한 점수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기존의 평가 도구에서 파생된 점수는 이 실제 점수("측정 오류")에서 벗어난다. 그러나 의학과 같은 영역에서는, 학생들이 논쟁의 여지가 없는 답을 만들어 내기 보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워야 하는 영역에서는, 종종 진정한 점수나 표준의 객관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Objectivity, from a positivist, classical test theory perspective, suggests that for each desired learner quality to be measured, a true score exists. With any existing assessment tool, the derived score will deviate from this true score (the “measurement error”). However, in domains such as medicine, in which students must learn to solve problems rather than produce undisputed answers, very often the objectivity of true scores or standards can be questioned.


예를 들어, "객관적"을 "평가자의 개인적 편견을 배제한다"라고 정의하는 경우, 대규모 MCQ 시험도 객관적이지 않다고 주장할 수 있다. 실제로, 모든 시험 질문은 개인, 종종 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지며, 어떤 내용이 시험에 포함될 가치가 있는지, 때로는 최선의 답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치 판단을 나타낸다. 일부 시험 형식에서 인정되는 바와 같이, 전문가들마다 이 점에서 그들의 의견이 다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10,11 시험 청사진에 도달하기 위한 대화들, 포함할 주제 및/또는 포함된 주제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은 거의 간단하지 않다.

For example, if “objective” is defined as “precluding personal bias of the assessor,” then it could be argued that even large-scale MCQ tests are not objective. Indeed, every test question is created by an individual, often an expert, and represents a value judgment regarding what material is worth testing and sometimes even what the best answer is. Different experts are very likely to differ in their opinions in this regard, as is acknowledged in some test formats.10,11 Conversations to arrive at a test blueprint, determining the topics to be included and/or the weighting of topics that are included, are seldom straightforward.


마찬가지로, 표준 설정은 종종 전문가들 사이에서 매우 복잡한 협상을 필요로 하는데, 최소의 자격을 갖춘 지원자가 어느 정도 알아야 하는지 뿐만 아니라, 시험이 부적절하게 높은 비율의 지원자를 불합격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말이다.  (예를 들어, 국가 면허 시험에 대한 전문가가 결정한 기준이 지원자의 절반에 실패하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불합격률을 예상과 일치하도록 기준을 조정하는 경향이 분명히 강할 것이다.)

Similarly, standard setting often requires a highly complex negotiation among experts, not only regarding how much a minimally competent candidate should know but also how to ensure that a test does not fail an inappropriately high proportion of candidates (e.g., if the expert-determined standard on a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were found to fail half the candidates, there would undoubtedly be a strong tendency to adjust standards to bring the failure rate in line with expectations).


질문에 대한 답변(예: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도 협상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일부 최근의 시험 모델은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점수 채점 루브릭에 반영하려고 시도했다.10

Even the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the most likely diagnosis) may be subject to negotiation, and consequently some recent test models have tried to incorporate a variety of expert opinions in the scoring rubric.10


그러므로 가장 순수한 형태의 지식 시험에서도 객관성에 대한 최선의 근사치는 종종 단순히 [다수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어쩔 수 없이) 이뤄진 합의]일 뿐이며, 이것은 객관성이라기보다는 (협상되고) 공유된 주관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us, even in the purest tests of knowledge, the best approximation of objectivity is often simply a (grudging) consensus among a numerical majority of experts, resulting in what might, therefore, be considered a (negotiated) shared subjectivity rather than objectivity.


이러한 공유된 주체성의 협상은 평가자-기반 평가에서 더욱 명백해진다. 이러한 평가에서 일관되게 드러난 심리측정적 약점은, 심지어 교사들이 같은 성과를 평가했을 때에도 발생하며, 평가자 훈련에 많은 노력을 이끌어냈다.


This negotiation of shared subjectivity becomes even more obvious in rater-based assessments. The consistent demonstration of psychometric weaknesses,12–15 even when preceptors rate the same performance,16–19 has led to numerous efforts at rater training,


흥미롭게도, 그러한 훈련 노력의 성공이 상대적으로 결여되면서, 일부에서는 단지 "본래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평가자들을 배제하여 나머지 평가자들 사이에 공통의 관점과 인식된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했다.16 이 접근방식이 주관성을 배제한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 기껏해야 구성된 합의 뒤에 주관성을 숨기고 있다.

Interestingly, the relative lack of success for such training efforts has led some to simply exclude “inherently inconsistent” raters to ensure a common perspective and a perceived reliability among the remaining raters.16 It is hard to argue that this approach excludes subjectivity—at best, it masks subjectivity behind a constructed consensus.


평가자만 객관성의 개념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맥락도 그러하다. 맥락특이성(즉, 특정 문제 또는 특정 상황에서 개인의 수행이 다른 문제 또는 다른 상황에서 동일한 개인의 수행에 대해 약하게 예측될 뿐이라는 관찰2)은 성과를 평가하려는 정신분석학자들의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골치거리다. 실제로, 노르치니는 맥락특이성이야말로 "의료 교육의 유일한 사실"이라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2(p1220)

Not only do raters cause problems for the notion of objectivity, so does the context. Context specificity (i.e., the observation that an individual’s performance on a particular problem or in a particular situation is only weakly predictive of the same individual’s performance on a different problem or in a different situation21) is a commonly recognized thorn in the side of psychometricians trying to assess performance. Indeed, Norcini has been credited with suggesting that context specificity is “the one fact of medical education.”22(p1220)


이것이 "팩트"로서 널리 퍼져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아마도 역량이란 개인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가변적인 맥락과 개인의 상호작용에 있다고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23,24 더 나아가, 진저리치25는 임상적 능력의 판단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활동이며, 그러한 사회적 판단은 필연적으로 수행능력에 대한 해석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개인의 성과에 대한 인식자의 (평가자) 해석은 맥락의 일부분이며, 다수의 인식자는 다수의 컨텍스트를 의미한다.

Given the widespread prevalence of this “fact,” perhaps it is time to suggest that competence does not reside in the individual but, rather, in the individual’s interaction with a highly variable context.23,24 Further, Gingerich25 has suggested that the judgment of clinical competence is an inherently social activity and that social judgments are necessarily interpretations of the performance. If so, then a perceiver’s (rater’s) interpretation of an individual’s performance is a part of the context, and multiple perceivers means multiple contexts.


예를 들어, 어떤 perceiver는 수행능력을 안심(신뢰하고 박식함)으로 경험할 수 있고, 또 다른 지각자는 그것을 오프퍼팅(제어하고 거만함)으로 볼 수 있지만, 각각의 지각자에게 있어서 관찰한 수행의 각 경험은 "진실"이다. 따라서 주어진 성과에 대한 평가의 변화에서 도출해야 할 가장 적절한 [결론은 평가에 잡음이 있고 문제적인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아니라, [그 성과가 중대하게 서로다른 방식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성과(더 적게는 '수행자')에 대한 "객관적" 진리는 단 한 가지도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오직 하나의 진실만이 있음을 시사하는) 실증주의적인 견해라기보다는 구성주의적인 견해이다.

For example, one perceiver may experience a performance as reassuring (confident and knowledgeable), and another may see it as off-putting (controlling and arrogant), but each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is “true” for that perceiver. Thus, the most appropriate conclusion to draw from variations in assessment for a given performance is not that there is noise in the ratings and a problematic lack of objectivity but, rather, that the performance can be perceived in importantly different ways, so there is no single “objective” truth about the performance (much less, the performer). This is a constructivist view, rather than a positivist one, which, as mentioned above, would suggest that there is only one truth.


임상 환경에서의 평가는 "객관성"의 개념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임상적 맥락에서, 훈련생에 대한 평가는 환자관리를 위임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26 따라서, 학습자의 평가와 환자 치료에 관한 의사결정은 분리할 수 없다.27–29 의료 훈련생들이 실무자의 감독 하에 작업할 때, 환자 치료에 참여할 수 있는 준비성의 평가는 [학습자와 환자 모두의 유익성과 위해성]의 지속적인 균형을 포함한다.30,31

Assessment in the clinical setting complicates the notion of “objectivity” still further. In the clinical context, assessment of trainees implies an evaluation of their readiness to be entrusted with care,26 and therefore, the assessment of learners and decisions around patient care are inextricable.27–29 As medical trainees work under the supervision of a practitioner, the evaluation of their readiness to engage in patient care involves a continuous balancing of the benefits and risks for both the learner and patient.30,31


이러한 순간순간의 임시 위임 결정은 그 정의상 주관적이고 상황특이적이어야 한다. 임상 평가에 "객관성"이라는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판단을 항상 문서로 표현될 수있으며, 맥락과 무관하게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가정을 수반한다.

These moment-by-moment, ad hoc entrustment decisions must, by definition, be subjective and situation specific. Applying a criterion of “objectivity” to clinical assessment also carries with it the assumption that judgments can always be expressed as documentation that can be shared and understood acontextually.


환자에 대한 전문가의 판단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직관은 유사한 경험을 가진 다른 전문가들과 의미 있게 공유될 수 있지만, 문서화된 단어나 숫자로 공식화한다면, 그 본질의 일부를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34,35 따라서 추가 훈련을 guide하거나 인증을 위한 준비상태를 결정을 위해 특정 개인에 대한 종합적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의료 역량 위원회와 같은 팀이 복잡한 데이터 패턴에 비추어 일정 기간 동안 이러한 주관적 평가의 범위를 검토하고, 팀이 (객관적이 아니라) 일관된 집단적 결정coherent collective determination을 하는 데 편안함을 느낄 때까지 협상할 필요가 있다.37,38

Similar to expert judgments about patients, these intuitions might be shared meaningfully among other experts with similar experiences but are likely to lose some of their essence when formalized in documented words or numbers.34,35 Thus, to arrive at a summative decision about a given individual, either to guide further training or to determine readiness for certification,36 it is necessary for a team, such as a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 to examine the breadth of these subjective assessments over some time period and to negotiate, in light of the complex patterns of data and informed by their own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until the team feels comfortable in making a coherent collective (rather than “objective”) determination.37,38


주관성을 수용하는 힘

The Power of Embracing Subjectivity


이 절에서는 주관성을 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포용해야 한다고 제안할 것이다. 우리는 이전에 단일 성과에 대해 복수의 합법적인 관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관점은 개별 인식자의 경험에서 "진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만약 그렇다면, "소음 속의 신호"를 찾거나 인식자들 사이에서 하나의 공통된 관점을 협상하기 위해 그러한 관점을 평균화하려는 노력은 개인의 대표성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미래 수행능력을 위한 개인의 준비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In this section, we will suggest, not merely that subjectivity cannot be avoided but that, in fact, it should be embraced. We previously pointed out that there might be multiple legitimate perspectives on a single performance and that each of these perspectives might be “true” in th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perceiver. If so, the effort to average those perspectives to find the “signal in the noise” or to try to negotiate a single common perspective among perceivers is problematic not only in its representation of the individual but also in its preparation of the individual for effective future performance.


Trainee에 대한 유효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합법적인 접근방식으로 다중 소스 피드백(MSF)을 널리 수용하는 것이 우리의 초점의 대표적 예이다.41,42 MSF가 그렇게 유용한 것은 "평가자 사이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지, "평가자 사이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다.

The popularity and widespread acceptance of multisource feedback (MSF) as a legitimate approach to building a valid image of a trainee exemplifies our point.41,42 It is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assessors, not despite them, that MSF is so useful.


컨텍스트에 대한 적응성은 숙련된 실무자의 특히 중요한 특징이며, 평가자는 그 컨텍스트의 일부분이다. 커뮤니티(환자, 의료 전문가, 병원 등)가 실력있는 의사에게 보고 싶은 것은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자신이 받은 피드백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행동을 수정할 수 있는 능력(및 성향)이다.

Adaptability to the context is a particularly important feature of a skillful practitioner, and assessors are part of that context. What the community (patients, health professionals, hospitals, etc.) would like to see in a high-quality practitioner is the ability (and propensity) to monitor his or her impact on other individuals in an interaction and, when needed, to modify his or her behaviors in ways that accommodate the feedback received


이러한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수용하기 위해서는, 배우들이 자신의 스타일을 오프풋(혹은 자신의 행동을 오만한 것으로 보거나 접근)하여 이러한 종류의 반응이 감지되고 있을 때, 적응adapt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특정 상황에서의 가장 좋은 행동 방법이 하나뿐임을 시사하는 평가 과정과는 대조적으로, 연습자에게 전달해야 할 보다 적절한 메시지는 이러한 종류의 [(다양한) 해석에 경각심을 갖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그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자신의 행동을 해석하는 방법]일 수 있다.

To effectively monitor and accommodate in this way, it is critical for the actor to know that some people find his or her style off-putting (or see his or her actions or approach as arrogant) so that he or she can be alert to this concern and adapt if and when this sort of reaction is being perceived. Thus, in contrast with an assessment process that suggests that there is just one best way to act in a particular situation, a more appropriate message to relay to the trainee might be the various ways in which his or her behavior was interpreted so that he or she can be alert to these sorts of interpretations and respond accordingly, in a situationally appropriate way.


따라서 학습자들이 만약 "일관되지 않은" 피드백에 종종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은 그들이 객관적으로 올바른 행동 방법이 하나 있다고 믿는 중요한 신호일 수도 있다. 이러한 좌절감은 이러한 학습자들이 현재 임상 실습에서 직면하게 될 행동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에 대해 잘 준비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The fact that learners often react to “inconsistent” feedback with frustration, therefore, might be an important signal that they believe there is a single objectively correct way to act. This frustration suggests that these learners are currently not well prepared for the variability in interpretations of their behavior that they will face in clinical practice.


주관성을 포용함으로써, 또한 특별위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교관들에 의해 행해지는 순간순간의 판단의 가치와 불가능성에 대해 더 잘 생각할 수 있게 한다.

embracing subjectivity also enables better thinking about the value and defensibility of the moment-by-moment judgments being made by preceptors to enable ad hoc entrustment.


평가는 [평가 대상 개인에 대한 진술]에서 벗어나 대신 [특정 순간에 특정 학습자에게 무언가를 허락하는 것을 preceptor가 편안하게 느끼는 참여 수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44–46 임상 업무에 대해 학습자를 신뢰한다는 것은, '인식된 위험'에 대한 평가를 함의하며, 이는 학습자가 그 업무를 수행할 능력을 그 상황에 달려있는 환자 안전과 대비해서 경중을 따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assessment is shifting away from statements about the individual being assessed and focusing instead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at the preceptor feels comfortable allowing for a certain learner at a certain moment.44–46 Entrusting learners with clinical tasks implies an assessment of perceived risk, as the anticipated level to which the learner will be able to perform the task is weighed against the patient’s safety in that particular context.29–31,47


중요한 것은, 이러한 초점의 변화는 학습자에 대한 맥락이 결여된 추론을 '객관성'으로 가장하여 문서화하도록 강요하기 보다는, 주관적인 경험을 조사 및 문서화하도록 preceptor에게 힘을 준다. 따라서 역설적이게도, 직장에서 평가의 틀이 주관성으로 이동한다면,  평가자는 자신이 남긴 문서와 관련하여 훨씬 더 방어하기 유리한 입장이 된다. 

  • 만약 "평균 이하" 또는 "기대 충족"과 같은 진술이 있다면, "객관적 진실"이 아니라고 의문을 갖거나, 다른 학습자와 비교했을 때 자신에게 주어진 "객관적 점수"의 차이의 공정성에 이의를 제기할지도 모른다. 

  • 그러나 평가자 입장에서 학습자가 "이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불편하다"거나, "아직 혼자서 그 환자 대화를 이끌게 두지 않겠다" 또는 "이 부분을 완료하는 동안 수술실을 떠나는 것이 편안하다"와 같은 진술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어렵다."46

Importantly, this shift in focus empowers the preceptor to probe and document his or her subjective experience rather than forcing him or her to document a context-free inference about the learner in the guise of objectivity. Ironically, therefore, the move to subjectivity as a framing of assessment in the workplace places the preceptor in a substantially more defensible position with regard to his or her documentation. A learner might legitimately question the “objective truth” in statements such as “below average” or “meets expectations” or challenge the fairness of differences in “objective scores” given to him or her as compared with different leaner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a learner to challenge a statement such as “I am just not comfortable with you performing this procedure,” “I’ll not have you lead that patient conversation on your own yet,” or “I’m now comfortable leaving the operating room while you complete this part of the procedure.”46


즉, 단일 수행에 대한 개별적인 평가 수준에서, 수용자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문서화는 진정으로 방어할 수 있는 유일한 명제다. "객관적인 진실" 진술은 항상 의심을 받을 여지가 있다. 서로 다른 발달 단계에서 기대되는 행동에 대한 설명은 기껏해야 평가자에게 참고일 뿐이다. 이것이 결코 "객관적인"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없다.50

In other words, at the level of an individual assessment of a single performance, documentation of the preceptor’s subjective experience is the only truly defensible proposition. “Objective truth” statements are always open to being questioned. Even descriptions of expected behavior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48,49 can, at best, be a suggested reference for raters; they can never serve as “objective” milestones.50


시사점 및 미래 방향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평가에서 주체성이 다시 나타난 것을 인정하고 축하하면서, Hodges40은 건강 직업 교육을 "정신분석 후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고 묘사했다.

Acknowledging and celebrating the reemergence of subjectivity in assessment, Hodges40 has describe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s moving into a “post-psychometric era.”


그러나, 우리는 이것이 자료와 평가에 관한 "전-심리학적" 사고방식의 복귀로 이어지지 말아야 한다고 강력히 제안하기를 바란다. 객관성에 대한 심리측정적 추구는, 평가의 공정성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포함되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의 교훈에 따르면, 제한되지 않은 주관성은 쉽게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체계적인 약탈disadvantaging을 초래할 수 있고, 심지어 다른 사회 집단에서 개인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However, we wish to strongly suggest that this should not lead to the return of a “pre-psychometric” mind-set about data and assessmen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psychometric pursuit of objectivity included, an effort to achieve fairness in assessment. Lessons from the past repeatedly demonstrate that unfettered subjectivity can easily lead to the (implicit or explicit) systematic disadvantaging and even outright exclusion of individuals from different social groups.


과거의 교훈은 또한 "객관적" 척도의 개발이 기대했던 결과를 낳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음을 시사한다. 평가에서 공정성을 찾는 것은 중요한 목표로 남아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공정성이 능력(관찰된 행동)과 컨텍스트(전문가 평가자와 상황을 포함)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됨으로써, 학습자 간 평가는 쉽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덜 투명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lessons from the past also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objective” measures has not infrequently produced similar results. Seeking fairness in assessment remains an important goal. But learners should realize that fairness results from the interaction of ability (observed behavior) with context (including the expert rater and the circumstances), making comparisons among learners challenging and inherently less transparent 

"쉬운 케이스로 [A]가 아주 잘하고 있는 것을 보았어."  대 "어려운 케이스에 고전하는 [B]를 봤다"고 하고서도 비슷한 등급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 A는 자신이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다.

(“I saw you [learner A] doing very well with an easy case” versus “I saw you [learner B] struggling with a difficult case” could lead to a similar rating, but could make learner A feel that he or she was being treated unfairly).


한 가지 유망한 방향은 무엇이 전문가들로 하여금 [무엇이 그들의 동료들을 실무자로서 신뢰하게 하는가]를 깊이 탐구하는 것이다.53 전문가의 판단은, 주관성에서 벗어날 수 없지만, 불가피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질은 경험에 따라 증가한다. Hodges40(p37)이 주장했듯이, 훈련생에 대한 임상 평가는 임상적 판단에 가장 잘 비유될 수 있다. "경험을 통해 전문 임상의사는 패턴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게 된다. 이 과정이 교육에서도 작동하지 않는다고 믿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과정을 '블랙박스'로 취급해서는 안될 것이다.

one promising direction is to deeply explore what makes professionals trust their colleagues as practitioners.53 Expert judgment, although fraught with subjectivity, is unavoidable, but its quality increases with experience. As Hodges40(p37) has argued, clinical assessment of trainees might best be likened to clinical judgment: “With experience, expert clinicians become more rapid and more accurate in their recognition of patterns.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is process does not also operate in education.” Yet, this process need not be treated as a “black box.”


점점 더, 개별 의사들 사이에의 독특함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환자 안전 모델은 다음을 제안한다. "매일매일 수행능력의 변동성은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적응력을 제공한다. 이렇기 때문에 일이 제대로 되는 것이다. 인간은 결과적으로 시스템 유연성과 탄력성에 필요한 자원으로 간주된다."

Increasingly, it is being recognized that uniqueness among individual practitioners is not something to be avoided. In fact, recent models of patient safety have suggested that “everyday performance variability provides the adaptations that are needed to respond to varying conditions, and hence is the reason why things go right. Humans are consequently seen as a resource necessary for system flexibility and resilience.”54(p4)


교육자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위해 여러 사람 또는 일부 표준과 비교하기 위해 주관적인 데이터를 컴파일하는 방법을 탐구해야 한다. 이것은 패턴을 분별하고 맥락에서 개별 데이터 포인트를 해석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개인의 종합적 표현에서 다양한 의견이 손실되도록 특이치를 폐기하거나 평균화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중심적 경향" 통계 사용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오히려 각 데이터 포인트의 상황에 따라 데이터의 변동성을 해석하고 일관성이 아니라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Educators must explore how to compile subjective data to compare across people or against some standard for the purposes of high-stakes decision making. This will require enough data to be able to discern patterns and interpret individual data points in context.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discarding outliers or averaging such that varying opinions are lost in the summative representation of the individual (as happens with the use of “central tendency” statistics) but, rather, interpreting the variability of data according to each data point’s context and giving the data their weight based on their importance rather than on their consistency.




5 Van der Vleuten CPM.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e: Development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1996;1: 41–67.


52 Kuper A. Literature and medicine: A problem of assessment. Acad Med. 2006;81:128–137.




 2019 Mar;94(3):333-337. doi: 10.1097/ACM.0000000000002495.

The Power of Subjectivity in the Assessment of Medical Trainees.

Author information

1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senior scientist,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ORCID: https://orcid.org/0000-0002-6379-8780. G. Regehr is professor, Department of Surgery, and associate director of research, 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ORCID: http://orcid.org/0000-0002-3144-331X.

Abstract

Objectivity in the assessment of students and trainees has been a hallmark of quality since the introduction of multiple-choice items in the 1960s. In medical education, this has extended to the structured examination of clinical skills and workplace-based assessment.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 pervasive movement that started roughly around the turn of the century, similarly calls for rigorous, objective assessment to ensure that all medical trainees meet standards to assure quality of health care. At the same time, measures of objectivity, such as reliability, have consistently shown disappointing results. This raises questions about the extent to which objectivity in such assessments can be ensured.In fact, the legitimacy of "objective" assessment of individual trainees, particularly in the clinical workplace, may be questioned. Workplaces are highly dynamic and ratings by observers are inherently subjective, as they are based on expert judgment, and experts do not always agree-for good, idiosyncratic, reasons. Thus, efforts to "objectify" these assessments may be problematically distorting the assessment process itself. In addition, "competence" must meet standards, but it is also context dependent.Educators are now arriving at the insight that subjective expert judgments by medical professionals are not only unavoidable but actually should be embraced as the core of assessment of medical trainees. This paper elaborates on the case for subjectivity in assessment.

PMID:
 
30334840
 
DOI:
 
10.1097/ACM.0000000000002495


업데이트: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어제의 이론을 오늘의 맥락에 연결짓기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2013)

Article Update: Behaviorism, Cognitivism, and Constructivism: Connecting “Yesterday’s” Theories to Today’s Contexts

Peggy A. Ertmer, PhD, and Timothy J. Newby, PhD





기술의 변화

Changes in Technology


이론 기사가 쓰여진 이후, 테크놀로지 도구에 대한 접근은 문자 그대로 폭발했다.

Since the theory article was written, access to technology tools has literally exploded.


그러나, 인터넷 접속이 용이해지고 콘텐츠가 더 많이 보급됨에 따라, "참여형 웹"은 이제 다수의 작은 기여에서 비롯하는 지식 구축 및 지식 공유 시스템을 가능하게 했다.

However, as the Internet has become more accessible and the creation of content more distributed, the “participatory web” has enabled a knowledge-building and knowledge-sharing system whose value now stems from many small contributions.


웹 1.0과 비교하여, 사용자들은 이제 게시되는 콘텐츠의 특성과 범위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에 대해 실시간 통제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그 결과, 비공식적인 학습은 우리의 일상 학습 경험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Siemens, 2004). 게다가, 우리는 더 이상 개인에 대한 지식을 기대하거나 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지멘스(2004)가 설명한 대로, "우리는 친구들에게 지식을 저장한다"(제4절).

Compared to Web 1.0, users now have many and varied opportunities to affect both the nature and scope of the content being published and, in some cases, exert real-time control over it. As a consequence, informal learning has become a significant component of our daily learning experiences (Siemens, 2004). Furthermore, we no longer expect or require knowledge to reside within the individual. Rather, as Siemens (2004) described, we “store our knowledge in our friends” (Section 4).


이것은 우리에게 다른 사람들과의 쉬운 접근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실제로 학습 과정을 변화시켰는지 고민하도록 자극한다. 적어도 한 세트의 저자에 따르면, 학습이란 이제 "외부 세계와 그 인공물artefacts[sic], 그리고 다른 학습자 및 교사와의 연속적인 대화"로 재구성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데, 이는 실제로 그러하다(Sharples et al., 2005. p. 7).

this prompts us to consider whether this easy access to, and constant interaction with, others has actually transformed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at least one set of authors, this is indeed the case, noting that learning is now being reconceptualized as a “continual conversation with the external world and its artefacts [sic], with oneself, and also with other learners and teachers” (Sharples et al., 2005, p. 7).


지멘스(2004)는 "사람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은 사람들이 배우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know-how와 know-what은 know-where로 보완되어야 한다"(4절). 브라운(2002년)에 따르면, 웹은 정보 및 사회적 자원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학습이 지원되고 촉진되는 학습 매체로 구성되는 변형 기술로서 기능해왔다.

Siemens (2004) agreed, stating, “the ability to access people and information has changed the way people learn. . . . Know-how and know-what is being supplemented with know-where (the understanding of where to find knowledge needed)” (Section 4). According to Brown (2002), the web has functioned as a transformative technology, comprising not only an informational and social resource, but a learning medium as well, where learning with and from each other is both supported and facilitated.


학습자의 변화

Changes in Learners


이러한 기술 접근 및 도구의 변화와 관련된 것은 학습자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프렌스키(2010년)에 따르면, "이제 점점 더 많은 젊은이들이 깊고 영구적으로 기술적으로 향상되어, 그 어느 세대도 없었던 방식으로 동료들과 세상과 연결되고 있다." (p. 2) 오늘날의 학생들은 다르게 배우고 싶어할 뿐만 아니라, 그들은 그 누구보다도 실제 그렇게 할 수 있다.

Related to these changes in technology access and tools are changes attributed to the learners themselves. According to Prensky (2010), “More and more young people are now deeply and permanently technologically enhanced, connected to their peers and the world in ways no generation has ever been before” (p. 2). Not only do today’s students want and prefer to learn differently, they seem exceptionally capable of doing so.


지멘스(2004)는 기술이 실제로 학습자의 뇌를 rewired 시켰다고 제안했다. 비록 우리는 디지털 원주민의 두뇌가 디지털 이민자들의 두뇌와 구조적으로 다르다는 물리적인 증거를 아직 가지고 있지 않지만, 그들의 사고 패턴에서 매우 실제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증거가 축적되고 있다(Barone, 2003; Brown, 2002). 윈(Winn, 2001년 프렌스키에서 인용)에 따르면, "컴퓨터를 가지고 자란 아이들은 우리와 다르게 생각한다. 그들은 하이퍼텍스트 마인드를 발달시킨다. 그들은 뛰어다닌다. 마치 그들의 인지 구조가 순차적이 아닌 평행한 것과 같다"(p. 3).

Siemens (2004) suggested that technology has actually rewired learners’ brains. Although we do not yet have physical proof that the brains of digital natives are structurally different than those of digital immigrants, evidence is accumulating that signifies very rea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patterns (Barone, 2003; Brown, 2002). According to Winn (cited in Prensky, 2001), “Children raised with the computer think differently from the rest of us. they develop hypertext minds. they leap around. It’s as though their cognitive structures were parallel, not sequential” (p. 3).


지멘스(2004)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도구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이 아이디어는 사회심리학자들(cf)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니스벳, 펑, 최 & 노렌자얀(2001년)은 우리가 자라온 문화를 포함하여 우리의 경험에 따라 사고 패턴이 변화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디지털 토착민들이 성장해 온 것을 보면, "그들의 비디오 게임, MTV, 인터넷의 경련 속도, 멀티태스킹, 랜덤액세스, 그래픽 우선, 액티브, 커넥티드, 재미, 판타지, 신속 결제 세계에 익숙해져 있다"(Prensky, 2001, 페이지 5). 이러한 경험들이 학습자들의 사고 패턴을 변화시켰다는 제안은 그다지 비약이 아니다.

Siemens (2004) argues that these changes have occurred because of the tools students use. this idea is supported by research from social psychologists (cf. Nisbett, Peng, Choi, & Norenzayan, 2001), which suggests that thinking patterns change depending on our experiences, including the culture in which we grew up. Given that digital natives have grown up “accustomed to the twitch-speed, multitasking, random-access, graphics-first, active, connected, fun, fantasy, quick-payoff world of their video games, MTV, and the Internet” (Prensky, 2001, p. 5), the suggestion that these experiences have changed learners’ thinking patterns does not require a huge leap.


바론(2003년)에 따르면, 오늘날의 학생들은 시각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모두 배울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가진 "정보화 시대 사고방식"(p. 42)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학생들은 실행doing을 통해 배우는learn 것을 선호한다. 새로운 도구를 제공받은 경우, 이들은 사용자 매뉴얼을 참조하기보다는, 바로 실행시켜서 "이것저것을 해보는 편"이다 (Prensky, 2010). 사실, 이러한 학습자들에게는, doing이 knowing보다 훨씬 중요하고, 그 이유는 doing을 통해 당면한 과제에 대한 보다 깊고 진실한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기 때이다.

According to Barone (2003), today’s students possess an “information age mindset” (p. 42) that comprises a unique ability to learn both visually and socially. As such, digital students prefer to learn by doing—if given a new tool to use, they are much more likely to get in and “muck around” than refer to an owner’s manual (Prensky, 2010). In fact, for these learners, doing is more important than knowing, as this enables the development of a deeper and more authentic understanding of the task at hand.


그리고 나서, 그들의 새로운 지식을 시험하고 처리하는 것이 중요할 때, 디지털 원주민들은 종종 그들의 공식적인 교육 공동체formal educational communities로부터 상대적으로 단절된 채로 있는 그들 자신의 학습 공동체own learning communities로 눈을 돌린다. 이러한 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고려할 때 샤플스와 동료(2005)는 대화(단어, 이미지, 비디오,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가 학습의 현재 동인이 되었다고 제안한다.

then, when it is important to test and process their new knowledge, digital natives turn to their own learning communities, which oftentimes remain relatively disconnected from their formal educational communities. Given these new approaches to learning, Sharples and colleagues (2005) propose that conversation (including words, images, videos, multimedia, and more) has become the current driver of learning.


교수법의 변화

Changes in Teaching Methods


1993년, 구성주의는 새롭게 등장한 분야였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 맞는 가르치는 방법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현재 구성주의는 지배적인 교육 이론으로 간주되고 있다.

In 1993, constructivism was the new kid on the block; as such, there were very few, if any, teaching methods that aligned with this perspective. Currently, however, constructivism is considered the dominant educational theory;


그 결과, 사회적 구성주의, 상황학습, 연결주의(Sharples et al., 2005) 등 다양한 구성주의 이론이 최근 몇 년 동안 유지된 대다수의 교수 방법(예: 문제 기반 학습, authentic 교육, 컴퓨터 지원 협업 학습)의 토대가 되었다.

As a result, various constructivist theories, such as social constructivism, situated learning, and connectivism (Sharples et al., 2005), have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majority of teaching methods that have taken hold in recent years (for example, problem-based learning, authentic instructio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구성주의를 우리의 교수법의 기초로서 일반적으로 수용하는 것 외에도, 개인적, 사회적 과정으로서 학습을 개념화하는 것은 다음의 세 가지 결정적 변화의 융합으로부터 강화되었다(Sharples et al., 2005)

  • (1) 정보에 대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개발

  • (2)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과 활동을 촉진하는 학습 경험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 학습자의 동기, 

  • (3) 현재 학습자가 직업을 갖기 전에 고용주가 요구할 21세기 기술(예: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창의력)의 습득(Kay, 2010).

In addition to the general acceptance of constructivism as the basis for our teaching methods, the conceptualization of learning as both a personal and social process (Sharples et al., 2005) has been enhanced by the convergence of three critical changes: 

  • (1)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hat allow for immediate and effective access to information; 

  • (2) the motivation of learners who desire and need learning experiences that promote high levels of interaction and activity; and 

  • (3) the demands of employers who now expect learners to acquire relevant 21st-century skills (for exampl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creativity) before entering the workforce (Kay, 2010).


예를 들어, 문제 해결은 21세기의 핵심 기술이다(Barell, 2010). 

  • 전통적으로, 문제 해결 방법은 문제 해결 과정의 단계를 기술하고 그 후에 학생들이 다양한 난이도 문제에 그러한 단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폴리야, 1945)

Problem solving, for example, is a key 21st-century skill (Barell, 2010). Traditionally,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s focused on delineating the steps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subsequently allowing students to apply those steps to problems of varying difficulty (Polya, 1945).


  • 대조적으로, 례 기반 학습이나 문제 기반 학습과 같은 더 구성주의적인 교육 방법은 실제로 학생들을 관련 실제 문제에 참여시키도록 설계된다(Barrows, 1986). 이러한 방법에서 학생들은 진정한 문제 상황을 제시한 후 관련 해결책을 제안해야 한다(Mayer, 2009).

In contrast, more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such as case- or problem-based learning, are designed to actually engage students in relevant, real-world problems (Barrows, 1986). In these methods, students are presented with authentic problem situations and then challenged to propose relevant solutions (Mayer, 2009).


또한, 기술 도구가 발전함에 따라, 학생들은 이제 다음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했다.

  • (1) 관련 사례/문제 배경 정보, 

  • (2) 부분적 또는 완전한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는 추가적인 사례 또는 사례 저장소, 

  • (3) 비계, 피드백 및 기타 형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사례/문제 전문가

Furthermore, given the advancements in technology tools, students now enjoy increased access to 

  • (1) relevant case/problem background information; 

  • (2) additional cases or case repositories that may uncover partial or full solutions; and 

  • (3) individuals, including case/problem experts who can provide scaffolding, feedback, and other support for formulating solutions.


두 번째, 21세기에는 협업 능력이 필요하다(Kay, 2010). 전통적인 학교 학습 환경은 전형적으로 독립적인 학습 전략을 장려했지만, 오늘날의 복잡한 문제들은 사람들이 자유로운 아이디어 교환, 작업부하의 분배, 다른 솔루션 경로 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에서 팀을 이루어 일해야 한다.

A second, related 21st-century skill is the ability to work collaboratively (Kay, 2010). While tradition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s have typically promoted independent learning strategies, today’s complex problems necessitate that people work in teams in environments that enable the free exchange of ideas, distribution of workload, and comparisons among different solution paths.


실천 공동체의 사용을 통합하는 교수법은 매우 효과적이었으며(Brown, 1992) situated cognition(Bereiter, 1997)과 구성주의(Constructivism)와 같은 학습 이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테크놀로지 발달이 장소와 시간의 제한을 극복함에 따라 이들 공동체의 개념은 상당히 진화해 왔다.

Teaching methods that incorporate the use of communities of practice have been very effective (Brown, 1992) and are closely tied to learning theories such as situated cognition (Bereiter, 1997) and constructivism. However, the concept of these communities has evolved considerably as technology has overcome the restrictions of both place and time.


Schwartz, Lin, Brophy, Bransford(1999)에 의해 입증된 것처럼, "대중에게 나아가는" 능력은 학생들이 서로에게서 배우고, 생각이 표현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보는 방법을 배우고, 그러한 출판이 만들어내는 동기 부여적 가치를 배우고 경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As demonstrated by Schwartz, Lin, Brophy, and Bransford (1999), the ability to “go public” has helped students learn from each other, learn how to view the different ways that ideas can be expressed, and learn and experience the motivational value such publication produces.


리처드슨(2010년)은 고교생의 80% 이상이 온라인 출판에 종사했다고 보고했다. Facebook이 교육방법은 아니지만, 독창적인 유물(이상의, 제품, 이야기 등)이 만들어지고, 게시되고, 타인에 의해 검토됨에 따라, 동종 관계자와 관심있는 타인의 협업을 촉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Richardson (2010) reported that more than 80%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engaged in online publishing. Although Facebook is not a teaching method, aspects of this technology can be utilized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mong peers and interested others as original artifacts (ideas, products, stories, and the like) are created, posted, and reviewed by others.


함의와 결론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난 20년 동안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엄청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오래된" 이론의 근본적인 원칙은 여전히 유효하다. 사람들은 여전히 

  • 자극-반응 연관성(예: 게임 기반 학습), 

  • 연습 및 피드백 기회(예: 컴퓨터 시뮬레이션),

  • 협력과 사회적 협상 과정(예: 협력 위키 작성)

...을 통해 배운다. 

As noted above, there have been tremendous changes over the last 20 years . Yet, despite these tremendous changes, the underlying principles of our “old” theories still remain relevant. People still learn 

  • through stimulus–response associations (for example, game-based learning) and 

  • through practice and feedback opportunities (for example, computer simulations), as well as 

  • through the processes of collaboration and social negotiation (for example, collaborative wiki writing). 


그리고 지식 구축을 촉진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개별, 아날로그 도구에서 사회적, 디지털 도구까지)와 같이 학습 컨텍스트(고정된, 공식 설정에서 모바일, 비공식적 설정으로)가 변경되었지만, 이해understanding는 여전히 과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단지 이러한 구성의 기회가 연중무휴로 증가할 뿐이다.

And although learning contexts have changed (from fixed, formal settings to mobile, informal ones), as have the tools used to facilitate knowledge construction (from individual, analog tools to social, digital ones), understanding is very likely still being constructed in ways similar to the past, only with increasing opportunities to construct that knowledge 24/7.


마찬가지로 (교육)설계자의 역할은 다양한 맥락에서 학생 학습을 지원하는 전략을 최적으로 선택하고 구현하기 위해 각 학습 이론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역할로 남아 있다. 학습자가 in-transit으로 학습하든, 친구에게 지식을 저장하든 간에, "일상적인 활동에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한" 학습의 필요성은 여전히 나타난다(그들이 늘 그래왔듯이).  (Vavoula, Sharples et al., 2005. p. 5에서 인용)

Similarly, the role of designers remains that of understand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learning theory in order to optimally select and implement strategies that support student learning in a variety of contexts. Whether learners are learning in-transit or storing their knowledge in their friends, learning needs still emerge (as they have always) “when a person strives to overcome a problem . . . in everyday activity” (Vavoula, cited in Sharples et al., 2005, p. 5).


그러나 달라진 것은 교육자와 교육 설계자들이 설계한 학습 경험위 유형은 [학습자들의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방법으로 참여시키도록], 현재의 도구들의 affordances의 장점을 활용하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아주 간단히 말해서, 오늘날의 학생들을 위한 학습 설계는 매우 맥락화되어야 하며, 개인적어야 하고, 협력적이어야 한다(Herrington & Herrington, 2007). 설계자는 이러한 변경사항을 인정하고 수용하여 오늘날의 학습자의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ID 작업에서 관련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존경받는 파트너(Barone, 2003년)로 남아야 한다.

What has changed, however, is the type of learning experiences educato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need to create in order to ensure that our learning designs take advantage of the affordances of current tools to engage learners in ways that best meet their needs. Quite simply, learning designs for today’s students must be highly contextualized, personal, and collaborative (Herrington & Herrington, 2007). Designers must acknowledge and embrace these changes so that they remain not only relevant, but respected partners (Barone, 2003) in the ID work required to meet the expectations and needs of today’s learners.


헤링턴과 헤링턴이 지적한 바와 같이, ". 교사의 [와 디자이너]에게 훌륭한 기회를 창출하는 것은 [이론의 진보]와 [테크놀로지의 어포던스]가 결합된 것이다.

As noted by Herrington and Herrington, “. . . it is the confluence of the advances in theory and the affordances of technology that create excellent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designers]” (2007, p. 1).


만약 우리가 이러한 기회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실망할 것이다. 사실, 우리 학생들은 기대를 할 것이다. 아니, 그들은 그것을 요구할 것이다.

We would be remiss if we did not take advantage of these opportunities. Indeed, our students will expect—no, they will demand it.





It has been 20 years since “Behaviorism, Cognitivism, Constructivism: Comparing Critical Features From an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was first published in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Vol. 6, Issue 4). Although the bases of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presented in “the theory article” have not changed (that is, the answers to the seven organizing questions remain largely the same), much of the world outside of these theories, including where and with whom we learn, as well as how that knowledge is stored and accessed, has changed. In this brief update, we explore three major forces affecting the learning process today, all of which were much less prevalent in 1993. These include (1)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including the use of Web 2.0 tools; (2) the emergence of a new “kind” of student (for example, the digital native) who thinks and learns diff erently than previous generations; and (3) the adoption of a variety of new teaching methods, which build, almost exclusively, on the tenets of constructivism. We discuss each of these in more detai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