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L 교육과정의 효과성: 이론, 실천, 논문다트'의 리비지팅(Med Educ, 2016)
Revisiting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theory, practice and paper darts’
Geoffrey R Norman1 & Henk G Schmidt2
우리는 모두 문제 기반 학습(PBL)이 그것의 옹호자들에 의해 약속된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했다. 우리가 말했듯이, 우리는 콜리버와 그 증거에 대해 크게 동의하지 않는다. 효과 크기가 중간 정도인지 중간 정도인지, 그리고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또는 할인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를 수 있지만, 우리는 PBL이 인지적 성과 측면에서 극적인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에 동의한다.'2
We all agre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not the panacea promised by its advocates. As we said: ‘...we are not in substantial disagreement with Colliver about the evidence. While we may disagree as to whether an effect size is moderate or medium, and should be attended to or discounted, we do agree that PBL does not result in dramatic differences in cognitive outcomes.’2
두 논문 모두 몇 개의 고립된 사례와 체리선택된 사례에 근거하여 다음에 대해서 각자 허황된 주장을 사용했다:
(i) 인지심리는 형편없는 과학이다,
(ii) 인지심리는 훌륭한 과학이다.
콜리버는 다음과 같이 썼다. '문제는 내가 보기에 이론이 약하다는 것이다. 이론적 개념은 부정확하며, 그들의 상호 관계와 중재와 결과와 같은 관찰 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기초 연구는 이론과 관계없이 예상된 결과를 보장하는 것처럼 보이는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어쨌든 관측 가능한 것들에 실질적인 제약을 가하기에는 너무 비한정적이다. 간단히 말해서 이론과 연구의 관계는 기껏해야 느슨하다.'1
Both papers1,2 used flimsy arguments based on a couple of isolated and cherry-picked examples to illustrate that: (i) cognitive psychology is poor science, and (ii) cognitive psychology is wonderful science. Colliver wrote: ‘The problemis, as I see it, that the theory is weak; its theoretical concepts are imprecise, lacking explicit descriptions of their interrelationships and of their relationships with observables, such as interventions and outcomes. In addition, the basic research is contrived and ad hoc, using manipulations that seem to ensure the expected results regardless of the theory, which is too indefinite to place any real constraints on the observables anyway. In brief, the ties between theory and research are loose at best.’1
콜리버1은 모든 이론에 기초한 연구를 포기하고, 실용적인 커리큘럼 개입의 무작위화된 실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주장했다.
우리는 문제 기반이든 그렇지 않든 학습의 근간을 이루는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론에 기초한 환원주의적 연구를 옹호했다.
Colliver1 advocated abandoning all theory-based research and focusing on randomised experiments of practical curriculum interventions. We advocated (and continue to advocate) the opposite: more theory-based reductionist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learning, whether problem-based or otherwise.
첫째, 이제 우리는 PBL의 효과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PBL이 학생들에게 하는 행동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다른 경로를 따랐다. 즉, 보다 인기 있는 커리큘럼 비교, 2000년 논문, 1에서 비판받았고 인지적 관점에서 접근방식의 기본 요소에 대한 연구. 이러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초기에 문제에 직면하는 것이 후속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3
Firstly, what do we now know about the effectiveness of PBL? Research into what PBL does to students has followed two separate paths:
the more popular curriculum comparisons, criticised in our 2000 paper,1 and
studies into the basic elements of the approach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se studies, have generally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of the initial confrontation with problems on subsequent learning.3
둘째로, 우리는 통제된 시험과 실질적인 개입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촉진된 교육 전략을 어느 정도까지 채택했는가? 어디로 이어졌는가?
Secondly, to what extent have we adopted the educational strategies promoted through controlled trials and systematic reviews of practical interventions? Where has this led?
이러한 체계적인 검토가 그 분야에 얼마나 기여했는가? David Cook은 e-러닝과 같은 교육 개입의 무작위화된 시험의 최우선적 결론은 그런 교육개입의 이득이 minimal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교육을 하는 것은 교육을 하지 않는 것보다 낫지만, 어떤 유형의 교육도 다른 어떤 교육보다 무조건 낫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How much have these systematic reviews contributed to the field? David Cook, points out that the overriding conclusions of randomised trials of education interventions like e-learning indicate minimal advantage; they show that education is better than no education and that no one type of education is robustly better than any other,7
시뮬레이션은 다른 대안적인 접근법보다는 약간 더 나은 것 같지만, 6 고충실도의 시뮬레이션은 고충실도의 시뮬레이션보다 장점이 없다.8 우리는 또한 무작위적인 실험을 통해 피드백이 학습을 향상시킨다는 것과 더불어 꽤 자명한 몇 가지 진리들을 배웠다.
Simulations seem to be a bit better than alternative approaches,6 but high-fidelity simulations have no advantage over those of low fidelity.8 We have also learned, from randomised trials, for example, that feedback enhances learning, along with a few other fairly self-evident truths.
셋째, 인지심리학 이론에 근거한 연구를 어느 정도까지 채택하였는가? 이게 어디서부터 시작됐지?
Thirdly, to what extent have we adopted research grounded in theories of cognitive psychology? Where has this led?
2000년 이전에 이미 학문으로서의 인지심리학이 의학 교육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반면에, 연구가 사용되고 있던 인지심리학자들은 최근에야 이 분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Whereas cognitive psychology as a discipline already had considerable influence within medical education prior to 2000, cognitive psychologists whose research was being used have themselves only recently begun to migrate nto the field.
콜리버의 요약과 대조적으로, 이 개인들이 행한 연구의 공통적인 특징은 인지심리의 기원 이후 50년 이상 동안 진화해 온 마음에 대한 모델이다.
By contrast with Colliver’s1 summary of the field, the common feature of the investigations these individuals have conducted is a model of the mind that has evolved over the 50-plus years since the origin of cognitive psychology
하나의 요소를 예로 들자면, 작업기억의 용량 제한이 개입 연구의 두 영역으로 이어져 상당한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To choose one element as an example, the limited capacity of working memory has led to two domains of intervention research with considerable practical consequences.
첫째, 메이어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수행되는 멀티미디어 학습에 대한 연구10,11은 큰 효과를 가져오는 교육 자료의 발표를 위한 겉보기에는 작은 전략을 탐구한다. 이러한 개입의 공통분모는 인지 부하에 초점을 맞춘다. 모든 개입은 생성 부하를 최대화하고 관련 없는 부하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된다.
First, research into multimedia learning conducted by Mayer and his associates10,11 explores seemingly small strategies for the present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that result in large effects.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se interventions is the focus on cognitive load: all the interventions are designed to maximise generative load and minimise extraneous load.
둘째, 특히 시뮬레이션 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인지 부하를 조작하였고,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 결과 이론은 시뮬레이션, 가상 환자 프레젠테이션 및 기타 학습 영역에 대한 연구의 표준 관점이 되었다.12
Second, many studies, particularly in the simulation domain, have manipulated cognitive load and shown direct effects on learning. The resulting theory has become a standard perspective in research on simulation, virtual patient presentations and other areas of learning.12
이와 유사하게 장기기억의 연관적 특성associative nature은 학습과 실천 전략에 관한 실질적인 함의를 보여 주었다. 이 견해에 따르면, 모든 학습은 [서로 다른 기억 흔적memory traces 사이의 연관성을 강화하는 것]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점의 채택은 다양한 유형의 예시를 '혼합하는 것'의 가치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지는데, 이 예시는 추가적인 기사에서 설명한 것처럼 학습자가 문제의 개념적 기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3
Similarly, the associative nature of long-term memory has demonstrated practic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strategies for learning and practice. In this view, all learning amounts to strengthening the associations between different memory traces. The adoption of this perspective leads to questions about the value of ‘mixing’ examples of different types to facilitate practice that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ceptual basis of problems, as described in a further article.13
마찬가지로 '시험 강화 학습'에 관한 연구14,15는 기억력 회복을 촉진하는 반복적인 작은 시험에 시간을 바치는 것이 공부하는데 같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는 것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심오한 영향을 끼쳤다.
Similarly, studies on ‘test-enhanced learning’14,15 have had a profound impact by showing repeatedly that devoting time to repeated small tests, which encourages memory retrieval, is far more effective than spending an equivalent amount of time studying.
11 Issa N, Mayer RE, Schuller M, Wang E, Shapiro MB, DaRosa DA. Teaching for understanding in medical classrooms using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Med (4):388–96. Educ 2013; 47
Med Educ. 2016 Aug;50(8):793-7. doi: 10.1111/medu.12800.
Revisiting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a: theory, practice and paper darts'.
Author information
- 1
- Hamilton, Ontario, Canada.
- 2
- Rotterdam, the Netherlands.
- PMID:
- 27402036
- DOI:
- 10.1111/medu.12800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육과정 개발&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재교육과정, 윤리, 프로페셔널리즘: 임상학습환경을 의사의 Becoming과 Being에 초점두기(Ann Intern Med, 2018) (0) | 2019.10.31 |
---|---|
학부의학교육에서 지속적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교수 파트너십 촉진(Acad Med, 2019) (0) | 2019.10.16 |
상황에 맞는 재교육: 의학교육시스템에서 성공과 실패에 부응하기(Acad Med, 2018) (0) | 2019.10.02 |
교육, 훈련, 실천의 연속성 부족은 'Do No Harm' 원칙을 위배한다(Acad Med, 2018) (0) | 2019.09.30 |
의학에서 역량바탕교육의 정의를 향하여: 체계적 문헌고찰(Med Teach, 2010) (0) | 2019.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