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발표의 오류와 실패: 심리적 분석(Front Psychol, 2012)
PowerPoint® presentation flaws and failures: a psychological analysis
Stephen M. Kosslyn1*, Rogier A. Kievit 2, Alexandra G. Russell 3 and Jennifer M. Shephard4
도입
INTRODUCTION
파워포인트, 키노트, 그리고 그들의 전자 슬라이드쇼 형제들은 널리 퍼진 의사소통 수단이 되었다. 실제로 2001년에 마이크로소프트는 하루 평균 3천만 건의 파워포인트 프리젠테이션이 제공된다고 추정했고, 우리는 오늘날 그 숫자가 얼마인지 상상할 수 밖에 없다. Presentations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학계, 사업, 정부, 군부, 심지어 유치원에서 고등 학교까지 학교에서 컴퓨터는 아주 흔하다. PowerPoint® 과목은 어떻게 고환을 연출하기 위한 후두암(후 주석(알., 2009년), 인공 신체 부위와 장구학(웡(알., 2004년)의 3차원 구조와 같은 다양한 주제를 가르치는 데 사용되고 있다.시험(테일러(알., 2004년), 발달 심리학(서스킨드, 2008년), andphysics(Gunel(알., 2006년).
PowerPoint®, Keynote®, and their electronic slideshow siblings have become pervasive means of communication. Indeed, in 2001, Microsoft estimated that an average of 30 million PowerPoint® presentations were given each day – and we can only imagine what that number is today (Parker, 2001). Presentations using such computer programs are commonplace in academia, business, government, the military, and even K-12 schools. PowerPoint® has been used to teach subjects as varied as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larynx (Hu et al., 2009), prosthetics and orthotics (Wong et al., 2004), how to perform a testicular exam (Taylor et al., 2004), developmental psychology (Susskind, 2008), andphysics (Gunel et al., 2006).
관찰자들은 파워포인트®와 이를 활용하는 프리젠테이션의 가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으며, 매체의 사용에 대해 상당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한 세트는 이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학습이나 이해를 향상시키는지를 연구했다. 예를 들어, 구넬 외. (2006)은 학생들이 챕터 요약보다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더 많은 물리학을 배웠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다른 연구원들은 학생들이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이후에 다른 미디어를 따라 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양의 자료를 기억한다고 보고했다. 실제로, 몇몇 연구들은 PowerPoint®가 실제로 학습을 방해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예를 들어, 사보이 외 (2009)은 학생들이 전통적인 강의에서 파워포인트® 기반의 강의 중에 그 정보가 구두로 제시되었을 때보다 더 많은 언어 정보를 상기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Observers have offered varied opinions about PowerPoint®and the value of presentations that utilize it (e.g., for overviews, see Farkas, 2006; Stoner, 2007), and considerab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the medium (e.g., for reviews, see Susskind, 2005, 2008; Levasseur and Sawyer, 2006; Savoy et al., 2009). One set of this research has examined whether using this medium improves learning or comprehension. For example, Gunel et al. (2006) found that students learned more physics from PowerPoint® presentations than from chapter summaries, whereas other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students remember about the same amount of material following PowerPoint® presentations as they do following other media (such as overheads and use of the blackboard; e.g., Szabo and Hastings, 2000; Beets and Lobingier, 2001; Campbell et al., 2004; Apperson et al., 2006; Experiments 1 and 3; Susskind, 2005, 2008). Indeed, some studies find that PowerPoint® actually impairs learning. For example, Savoy et al. (2009) showed that students recalled more verbal information from a traditional lecture than they did when that information was presented verbally during a PowerPoint®-based lecture.
또한 연구원들은 학생들이 다른 유형의 프레젠테이션보다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을 선호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을 좋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Suskind, 2008; Savoy 등, 2009). 애퍼슨 외 (2008) 심리학 학생들에게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특별히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었더니, 한 번에 하나의 항목으로 구성된 목록을 보는 것을 좋아하며, 주요 문구, 그래픽, 관련 소리 및 색상의 배경의 개요도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마하르 외 에 주목할 만하다. (2009) 목록의 각 항목이 개별적으로 제시되었을 때 전체 목록이 동시에 제시된 후의 메모리 보존을 비교했고, 동시 조건에서 더 나은 메모리(그러나 테스트에 있는 9개 항목 중 2개 항목만 해당)를 발견했다.
Researchers have also examined whether students prefer PowerPoint®presentations toother types of presentations. The results of such studies generally indicate that students do like PowerPoint® presentations (Susskind, 2008; Savoy et al., 2009). Apperson et al. (2008) asked psychology students what in particular they liked about PowerPoint® presentations, and found that they like to see lists built up one item at a time and that they also like outlines of key phrases, graphics, relevant sounds, and colored backgrounds.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Mahar et al. (2009) compared memory retention after an entire list had been presented simultaneously to retention when each item on the list had been presented individually, and found better memory (but only for two of the nine items on their test) in the simultaneous condition.
이 문헌의 간략한 개요에도 결과가 엇갈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결과의 한 가지 이유는 프레젠테이션의 품질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매체가 메시지의 전부가 아니다. 매체를 효과적으로 또는 비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우리가 볼 때, 핵심은 PowerPoint®의 사용 여부가 아니라 어떻게 사용하느냐이다. 제대로 설계되지 않은 슬라이드를 활용하는 PowerPoint® 강의나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연사가 제공하는 강의가 효과적이지 않다면 아무도 놀라지 말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심리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쇼 설계, 슬라이드 준비 및 프리젠테이션 실행에 대한 객관적인 지침을 개발하고, 이 지침을 사용하여 PowerPoint® 슬라이드 및 프레젠테이션의 결함을 평가한다.
Even this brief overview of the literature reveals that the results are mixed. One reason for the varied results may lie in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he presentations: the medium is not the entire message; any medium can be used effectively or ineffectively. In our view, the key is not whether or not PowerPoint® is used, but rather how it is used. Nobody should be surprised if a PowerPoint® lecture utilizing poorly designed slides or presented by an inadequately prepared speaker is not effective. In this article, we use psychological principles to develop objective guidelines for slideshow design, slide preparation, and presentation execution, and use these guidelines to assess flaws in PowerPoint® slides and presentations.
여기서 보고된 세 가지 연구에서 우리는 Kosslyn에 제시된 아이디어를 경험적으로 확장하고 PowerPoint® 슬라이드쇼,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이 인간의 인식, 기억 및 이해의 원리를 얼마나 잘 존중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다음가 같은 가설을 세웠다.
다음 절에 제시된 심리적 원칙이 다른 분야의 PowerPoint® 슬라이드쇼에서 위반됨(Study 1)
특정 유형의 프레젠테이션 결함이 청중에게 눈에 띄고 좌절감을 줄 수 있다는 것(Study 2)과
관찰자는 개별 슬라이드의 그래픽 표시에서 위반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Study 3).
In the three studies reported here, we empirically extend ideas presented in Kosslyn (2007, 2010) and analyze how well PowerPoint® slideshows, slides, and presentations respect principles of human perception, memory, and comprehension. Specifically, we hypothesize
that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presented in the following section are violated in PowerPoint® slideshows across different fields (Study 1),
that some types of presentation flaws will be noticeable and frustrating to audience members (Study 2), and
that observers will hav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violations in the case of graphical displays in individual slides (Study 3).
여덟 개의 인지적 의사소통 원칙
EIGHT COGNITIVE COMMUNICATION PRINCIPLES
Levasseur와 Sawyer(2006)는 광범위한 리뷰에서 발표 설계에 대한 직접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 주목한다(Sucoff, 2006 참조). 그러나, 그러한 지침을 제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심리 과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관찰은 효과적인 디스플레이는 [인간 정보 처리의 강점에 따라 작동해야 하며, 인간 정보처리의 약점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는 근본적인 점을 이해한 많은 연구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되었다.
Levasseur and Sawyer (2006) note in their extensive review that remarkably little research provides direct guidelines for designing presentations (see also Suchoff, 2006). However, much research on basic psychological processes has been conducted that can be used to formulate such guidelines. This observation has been appreciated by many researchers, who have understood the fundamental point that effective displays must play to the strength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ust avoid relying on the weaknesses of such processing (e.g., Aspillaga, 1996; Helander et al., 1997; Mejdal et al., 2001; Vekiri, 2002; Watzman, 2003; Stanney et al., 2004).
우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화가 인간 정보처리의 전통적인 관점 안에서 이러한 지침들을 조직하기 위한 몇 가지 가능한 방법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이 방법(Kosslyn, 2007년)은 연구자들 사이의 주요 합의점을 포착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이 일련의 원칙들은 우리가 조사한 구체적인 규칙들을 정리하는 편리한 방법이며, 우리가 조사한 심리처리의 구체적인 측면을 확인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규칙들이다. 따라서, 원칙에 따라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것 외에도, 우리는 각각의 개별 규칙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 또한 독자들이 특정한 관심 규칙에 대한 결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We acknowledge that the following formulation is but one of several possible ways to organize these guidelines within the conventional view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but this one (fromKosslyn, 2007) appears to capture the major points of agreement among researchers. Moreover, this set of principles is a convenient way to organize the specific rules we examined, and it is these rules that identify the specific aspects of psychological processing we investigated. Thus, in addition to group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principles, we provide the data for each individual rule – which also allows readers to consider the results for those rules of particular interest.
8가지 인지적 의사소통 원칙을 공식화하면서, 우리는 과제 분석을 시작했다. 즉, 우리는 청중이 프레젠테이션을 이해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고려했다. 이 분석은 인식과 이해가 정보 처리 작업의 뚜렷한 클라스class(예: Reisberg, 2006; Smith and Kosslyn, 2006)으로 분해될 수 있다는 현재의 표준 관점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 관점은 인코딩, 작업 메모리, 장기 메모리에 액세스이다. 여기서는 슬라이드 설계의 시각적 측면이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의 주요 요인이기 때문에 시각적 형식에 주로 초점을 맞춘다(연구 2에서 다루듯이 발표자의 말하기 스타일과 프레젠테이션 구조도 중요하다).
In formulating our eight Cognitive Communication Principles, we began with a task analysis; that is, we considered what the viewer must do to understand a presentation. This analysis rests on the now-standard view that perception and comprehension can be decomposed into distinct classes of information processing operations (e.g., see Reisberg, 2006; Smith and Kosslyn, 2006), which underlie encoding, working memory, and accessing long-term memory. We focus here primarily on the visual modality because the visual aspects of the slide design are a major factor of PowerPoint® presentations (although the presenter’s speaking style and structuring of the presentationare alsoimportant, as we address in Study 2).
인코딩 프로세스
ENCODING PROCESSES
일련의 슬라이드를 볼 때, 청중들은 먼저 그들이 보는 것을 인코딩해야 한다; 만약 그들이 자료를 인코딩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낫다. 우리는 인코딩에 관한 본질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세 가지 원칙을 공식화했다.
When viewing a sequence of slides, audience members first must encode what they see; if they fail to encode material, it may as well not exist. We formulated three principles based on essential facts about encoding.
식별성
Discriminability
인코딩의 초기 단계는 인코딩할 재료를 인식해야 하는데, 이것은 패턴이 배경이나 다른 패턴과 명확하게 달라져야 한다. 이것은 우리에게 차별성의 원칙을 공식화하게 한다: 두 가지 특성(두 가지 색상, 회색도, 크기 등)이 쉽게 구별할 수 있을 만큼 큰 비율이 다르지 않으면 다른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Woodson et al., 1992). 이 원칙은 두 속성이 너무 비슷하여 구별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위장술의 기초가 된다.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에서는 위장을 할 곳이 없다. 게다가, 우리 인간은 영역의 크기 차이들 사이에서 차별을 잘 하지 못한다: 우리는 면적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영역이 증가하면 이러한 경향이 더 강해진다(Stevens, 1975) 차별성의 원칙에는 다음과 같은 구분이 있다.
The initial step of encoding requires noticing the to-be-encoded material, which requires patterns to be clearly different from the background and from other patterns. This leads us to formulate the Principle of Discriminability: two properties (such as two colors, degrees of gray, or sizes) cannot convey different information unless they differ by a large enough proportion to be easily distinguished (Woodson et al., 1992). This principle underlies camouflage, which occurs when two properties are so similar that they are not distinguishable – and there’s no place for camouflage in a presentation. In addition, we humans are not very good at discriminating among differences in the sizes of areas: we tend to underestimate areas, and do so to an increasingly large degree as the area increases (Stevens, 1975). The Principle of Discriminability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활자체가 충분히 크지 않으면 문자는 쉽게 구별할 수 없다.
(1) Unless typefaces are large enough, letters cannot easil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2) 텍스트나 그래픽의 색이 나타나는 배경의 색과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으면 쉽게 구별할 수 없다.
(2) If the color of text or graphics is not clearly distinct from the color of the background on which they appear, they cannot be readily distinguished.
(3) 글자가 비슷한 활자체(시각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모든 대문자, 모든 기울임꼴 또는 굵기)는 쉽게 읽을 수 없다.
(3) Typefaces in which letters are similar (because they are visually complex, all upper case, all italics, or all bold) cannot be easily read.
(4) 별도 "공간 주파수 채널"에 의해 등록되는 패턴이 쉽게 구분되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점들을 연결하는 선들 보다 두 배 정도 두꺼운 점들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질감 패턴은 요소(예: 줄무늬)가 적어도 2:1로 달라지는 경우(또한 "시각적 박자"의 산만함을 피할 수 있다)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4) Because patterns that are registered by separate “spatial frequency channels” are easily distinguished (Stromeyer and Klein, 1974; De Valois and De Valois, 1990), viewers can easily distinguish points that are about twice as thick as the lines that connect them and can easily distinguish texture patterns in which elements (e.g., stripes) vary by at least 2:1 (which will also avoid distracting “visual beats”).
(5) 마찬가지로 최소 30 ̊씩 다른 "방향 채널"(토마스·길레·1979년; 드 발루아·데 발루아·1990년)에 의해 처리되기 때문에, 시청자는 적어도 30 ̊씩 차이가 날 때 다른 지역에서 선의 방향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5) Similarly, because orientations that differ by at least 30˚ are processed by different “orientation channels” (Thomas and Gille, 1979; De Valois and De Valois, 1990), viewers can easily distinguish orientations of the lines in different regions when they vary by at least 30˚.
(6) 마지막으로 빛의 파장이 망막에 집중하는 방식 때문에, 우리는 코발트 블루(빨간색과 파란색이 혼합된 것임)에 초점을 집중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빨강과 파랑에 동시에 초점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이러한 색상의 조합은 "shimmer"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텍스트나 다른 미세한 선이 만약 깊은 파랑색으로 표현되어있다면 구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정의된 경계가 인접한 경우도 distracting하다.
(6) Finally, because of the way that different wavelengths of light focus on the retina, we have difficulty bringing cobalt blue (which is a mixture of red and blue) into focus, and we have difficulty focusing on red and blue at the same time (combinations of these colors tend to“shimmer”); thus text or other fine line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if they are rendered in deep blues, and boundaries defined by adjacent red and blue regions are distracting.
지각적 조직화
Perceptual organization
일단 재료가 눈에 띄면, 그림/지상 분리의 기초가 되는 프로세스는 종종 물체에 대응되는 지각 단위(단어 및 그래픽 포함)로 입력을 구성한다). 이러한 관찰은 지각적 조직의 원리를 공식화하도록 이끈다. 즉, 사람들은 자동으로 요소를 그룹으로 구성하여 집중하고 기억한다(LarkinandSimon, 1987; Gropper, 1991; Aspilaga, 1996; Helander et al., 1997; Vekiri, 2002). 그러한 집단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난다(Palmer, 1992). 고전적인 그룹화 "로즈"는 시청자가 요소를 단일 그룹으로 보도록 하는 지각 조건을 명시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근처에 있는 요소("근접의 법칙"이라고 함)를 함께 묶는 경향이 있다. 즉, "xxx xxx"를 6개의 별도 x가 아닌 3개의 그룹으로 각각 2개의 그룹으로 본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유사한 것으로 보이는 요소("유사성 법칙"이라고 함)를 함께 묶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를 6개의 별도 선이 아닌 2개의 그룹으로 본다.
Once material is noticed, processes that underlie figure/ground segregation organize the input into perceptual units that often correspond to objects (including words and graphics). This observation leads us to formulate the Principle of Perceptual Organization: people automatically organize elements into groups, which they then attend to and remember (LarkinandSimon, 1987; Gropper, 1991; Aspillaga, 1996; Helander et al., 1997; Vekiri, 2002). Such groups emerge in numerous ways (Palmer, 1992). Classical grouping “Laws” specify the perceptual conditions that lead viewers to see elements as a single group. For example, we tend to group together elements that are nearby (the so-called “Law of Proximity”). That is, we see “xxx xxx” as two groups of three each, not six separate x’s. Similarly, we tend to group together elements that appear similar (the so-called“Lawof Similarity”). For instance, we see “///\\\” as two groups, not six separate lines.
그룹화는 또한 특정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복잡한 표에서 사용되는 선에 의해 부과될 수 있으며, 이것은 표를 읽기 쉽게 한다. 또한 일부 시각적 차원은 자동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차원은 "통합적"이며, 독립적으로 쉽게 고려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높이와 너비는 쉽게 구별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오히려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며, 시청자들은 두 개의 차원이 아닌 전체 영역을 별도로 등록register한다(Macmillan과 Ornstein, 1998). 다른 필수 차원으로는 색, 명도, 채도가 있는데, 이들 역시 독립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 오히려 우리의 시각 시스템은 색상을 단일 색상으로 그룹화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른 색상의 치수는 별도의 측정치를 전달하는 데 쉽게 사용할 수 없다. 지각조직의 원리는 다음으로 귀결된다.
Grouping also can be imposed by lines, such as those used in complex tables to define specific regions, which makes the tables easier to read. In addition, some visual dimensions are automatically grouped; these dimensions are “integral,” and cannot easily be considered independently. For example, height and width are not easily seen as distinct, but rather are organized into a single shape – and viewers register the overall area, not the two dimensions separately (Macmillan and Ornstein, 1998). Other integral dimensions are hue, lightness, and saturation, which cannot easily be attended to independently; rather, our visual systems tend to group them into a single color – and thus these different dimensions of color cannot easily be used to convey separate measurements. The Principle of Perceptual Organization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라벨은 초기에 가장 가까운 그래픽 요소에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1) Labels initially are seen as applying to the closest graphic element.
(2) 공통 색상은 [공간 내에서 분리하더라도]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을 그룹으로 조직화한다.
(2) Common color organizes parts of a display into a group, even if they are separated in space.
(3) 일반적인 패턴이나 순서는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공간 내에서 분리되어 있더라도 그룹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키의 요소(예: 각각 다른 색의 작은 사각형, 라벨과 연관된 작은 사각형)를 표시장치의 해당 부분(예: 막대 그래프의 막대)과 같은 방식으로 정렬할 때 키의 요소는 표시장치의 해당 부분과 적절히 그룹화된다.
(3) Common patterns or orderings organize parts of a display into a group, even if they are separated in space. For example, when the elements in a key (e.g., small squares of different colors, each associated with a label) are ordered the same way as the corresponding parts of the display (e.g., bars in a bar graph), the elements in the key will be grouped appropriately with the corresponding parts of the display.
(4) 형상과 위치는 시각 시스템(Ungerleider and Mishkin, 1982)에서 대부분 별도로 처리되기 때문에, 한 위치의 원소가 항상 다른 위치의 원소와 쉽게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분리되어있지만 관련된 요소"가 명시적으로 그룹화되도록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어, 특정 점 값을 읽어야 할 경우 그래프 왼쪽의 Y 축을 따라 위치가 있는 막대 그래프의 막대 상단을 그룹화).
(4) Because shape and location largely are processed separately in the visual system (Ungerleider and Mishkin, 1982), an element in one location will not always be easily grouped with elements in other locations. Hence, it is useful to construct a display so that separated-but-related elements are explicitly grouped (e.g., by using inner grid lines to group the tops of bars in a bar graph with locations along the Y axis at the left of the graph, if specific point values are to be read).
(5) 그룹화 법칙 때문에 우연히 형성되는 가짜 그룹에 의해 이해력이 손상된다.(예: 두 개 이상의 범주에 대한 측정 쌍이 동일한 산포도에 표시되거나, 근접성 또는 유사성으로 인해 특정 객체가 있는 슬라이드 그룹 상단에 배너가 표시될 때 형성될 수 있는 그룹)
(5) Comprehension is impaired by spurious groups, which form accidentally because of the grouping laws (e.g., such as those that can form when pairs of measurements for two or more categories are plotted in the same scatter plot, or when a banner at the top of a slide groups with specific objects in the display because of proximity or similarity).
두드러짐
Salience
모든 지각 단위가 동시에 처리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고 눈의 시각적 예민성이 중심와fovea에서 가장 크기 때문이다(따라서 사람들이 그들의 시선gaze을 고치는 것은 높은 해상도로 인코딩될 것이다). 따라서 어떤 단위는 다른 단위에 앞서 상세하게 인코딩되어 있다. 주의attention는 어떤 패턴이 자세히 처리될 것인지를 선택하고, 무엇이 다른지 자동적으로 주목하게 된다. 우리는 바닥판 위에 붙어 있는 못이나 녹색 불빛 그룹에서 하나의 빨간 빛을 즉각적으로 발견한다. Salience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인식 가능한 큰 차이에 주의를 기울인다. 실제로 뇌의 한 부분(상위 콜리큘러스)은 주의력 반사로 작용하여 자극 사이의 차이가 큰 경우에 우리의 시각적 주의를 자동으로 끌어당긴다(Posner, 1980; Glimcher and Sparks, 1992; Krauzlis et al., 2004). '생리학의 원리'에는 다음과 같은 각질이 있다.
Not all perceptual units can be processed simultaneously, if only because they are in different locations and the visual acuity of the eye is greatest at the fovea (and hence whatever people fixate their gazes on will be encoded with higher resolution). Thus, some units are encoded in detail before others. Attention selects which patterns will be processed in detail, and attention is automatically drawn to what is different; we immediately notice the nail that sticks above the floorboards or the one red light in a group of green lights. The Principle of Salience states: attention is drawn to large perceptible differences. In fact, a part of the brain (the superior colliculus) operates as anattentional reflex, automatically drawing our visual attention to large differences among stimuli (Posner, 1980; Glimcher and Sparks, 1992; Krauzlis et al., 2004). The Principle of Salience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움직임이 특히 두드러지는 신호(Buchel et al., 1998)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은 주의를 사로잡고 지시한다.
(1) Because movement is a particularly salient cue (Buchel et al., 1998), animation captures and directs attention.
(2) 형식이 뚜렷한 텍스트(색상, 크기 또는 활자체)가 눈길을 끈다.
(2) Text with a distinct format (color, size, or typeface) draws attention.
(3) 시각적 불균형이 눈길을 끈다. 예를 들어, 우리는 파이 차트에서 쐐기가 폭발한 것을 알아채게 된다. 왜냐하면 경계선이 붕괴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두 개 이상의 쐐기가 폭발하면, 그 경계가 붕괴되어 분리된 조각들이 더 이상 두드러지지 않게 된다.
(3) Visual disparities draw attention. For example, we notice a wedge exploded from a pie chart because the boundary has been disrupted; however, if more than one or two wedges are exploded, the boundary becomes so disrupted that the separated pieces are no longer salient.
(4) 중요도와 일치하는 경우(Helander et al., 1997), 슬라이드(예: 제목 또는 주제 문장) 또는 그림(그래프, 다이어그램, 데모)에서 더 중요한 측면이 관객의 주의를 더 끌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 대한 나중의 기억력을 향상시킨다(Schmidt, 1991).
(4) If salience is aligned with importance (Helander et al., 1997), the more important aspects of the slide (e.g., the title or topic sentence) or of an illustration (graph, diagram, demo) draw the audience members’ attention – which will also enhance later memory for those aspects (Schmidt, 1991).
(5) 특수한 두드러짐의 사례는 색상에서 발생한다: 각막이 빛을 분산시켜 망막에 투사하는 방법에 대한 기이한 점 때문에, "따뜻한" 색(빨간색 등 비교적 파장이 긴 색)은 "차가운" 색(파란색 등 비교적 짧은 색)보다 시청자에게 더 가깝게 보인다; Held, 1980; Allen, Rubi 참조n, 1981; 트라비스, 1991). 따라서 다른 라인 아래를 지나는 라인에 따뜻한 색상을 사용한다면, 시청자들은 뒤에 있는 소재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처럼 보이는 짜증나는 착각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5) A special case of salience arises with colors: because of a quirk in how the corneas diffuse light and project it onto the retinas, “warm” colors (i.e., those with relatively long wavelengths, such as red) seem closer to the viewer than do “cool” colors (i.e., those with relatively short wavelengths, such as blue; see Held, 1980; Allen and Rubin, 1981; Travis, 1991). Thus, if warmer colors are used for lines that pass beneath other lines, viewers will experience an annoying illusion in which material at the back appears to be struggling to move forward.
작업기억
WORKING MEMORY
시각 패턴이 인코딩된 후에는 반드시 통합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프레젠테이션에서 재료는 여러 슬라이드의 과정에서 작동 메모리에 통합되어야 하며, 각각의 슬라이드에는 여러 개의 눈 고정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완전히 각각의 디스플레이와 전체 프레젠테이션을 제대로 이해하는 통합 과정은 서곡입니다. 다음 두개의 특정 원칙에 작업 기억에 대한 높은 수요 유발할 수 있다.
After visual patterns are encoded, they must be integrated. Ina typical presentation, material must be integrated in working memory over the course of multiple slides, each of which may require multiple eye fixations. This integrating process is a prelude to fully comprehending both individual displays and the entire presentation. The high demands on working memory lead to the following two specific principles.
제한된 용량
Limited capacity
작업 기억에 대한 핵심 사실 중 하나는 그 카파시티가 매우 제한되어있다는 것(예:Baddeley, 2007년)이다. 제한된 용량의 원칙은 사람들이 정보를 보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제한된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너무 많은 정보를 보유하거나 처리해야 하는 경우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제한된 용량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One of the key facts about working memory is that it has a very limited capacity (e.g., Baddeley, 2007). The Principle of Limited Capacity states that people have a limited capacity to retain and to process information and will not understand a message if too much information must be retained or processed (Smith and Mosier, 1986; Shneiderman, 1992; Helander et al., 1997; Lund, 1997; Sweller et al., 1998). The Principle of Limited Capacity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작업 기억에서 사람들이 유지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심리적 단위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고전적인 지각 그룹화 법에 의해 생성된 지각 그룹. 우리는 그러한 유닛 4개만 작업 기억에 저장할 수 있다(Cowan, 2001). 단, 이들 각 단위는 차례로 4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계적 조직화는 정보를 기억하는 우리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people can retain in working memory is defined in terms of psychological units, such as the perceptual groups produced by the classical perceptual grouping laws. We can hold in working memory only about four such units (Cowan, 2001). However, each of these units in turn can comprise four units – and thus hierarchical organization can enhance our ability to hold information in mind.
(2) 일반적으로 인간은 동시에 약 4단위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Intriligator and Cavanagh, 2001 – 특별한 상황에서는 더 많은 것을 추적할 수 있다; Alvarez와 Franconeri, 2007).
(2) In general, humans can track the movement of only about four units at the same time (Intriligator and Cavanagh, 2001 – although under special circumstances, more can be tracked; Alvarez and Franconeri, 2007).
(3) 라벨 검색의 필요성 제거는 작업부하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키를 사용하는 대신 디스플레이에 직접 항목을 표시하는 것이다.
(3) Eliminating the need to search for labels – for instance by directly labeling items in a display rather than using a key – reduces processing load (c.f. Sweller, 1999).
(4) 청중들은 제시된 정보를 처리할 시간이 필요하다.
(4) Audience members need time to process the information that is presented.
(5) 단, 반대로 슬라이드가 매우 느리게 페이드인되거나 페이드 아웃될 경우, 청중들은 이들을 잘못 구성한 다음 초기 조직을 해체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노력이 필요하다(Potter, 1966)
(5) However, conversely, if slides fade-in or fade-out very slowly, the audience members may organize them incorrectly and then have to break their initial organization – which also requires effort (Potter, 1966).
정보적 변화
Informative change
작업기억은 용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외재적extraneous 정보는 관련relevant 정보를 희생시키면서 그것을 쉽게 압도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토큰으로 시각적 또는 청각적 단서를 사용하여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정보 변화의 원리에 따르면, 사람들은 지각 속성의 변화가 정보를 전달하기를 기대하며, 그러한 지각 변동에 의해 필요한 모든 정보가 전달되기를 기대한다. 실제로, "정보"라는 바로 그 개념은 변화라는 관점에서 정의되어 왔다: 변화가 있을 때만 정보가 전달된다(Shannon, 1948). 정보 변화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 구분을 가지고 있다.
Because working memory has limited capacity, extraneous information can easily overwhelm it at the expense of relevant information. But, by the same token, visual or auditory cues can be used to help organize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formative Change, people expect changes in perceptual properties to carry information, and expect every necessary piece of information to be conveyed by such a perceptible change. Indeed, the very concept of “information”has been defined in terms of change: only when there is a change is information conveyed (Shannon, 1948). The Principle of Informative Change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관객 구성원은 단어, 그래픽 또는 기타 외관의 변화가 새로운 정보를 전달한다고 가정한다(Smith and Mosier, 1986; Shneiderman, 1992; Aspilaga, 1996; Helander 등, 1997; Lund, 1997). 예를 들어, 청중의 구성원들은 새로운 정보가 텍스트의 배경, 글머리 기호 또는 색상의 변화에 의해 전달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관appearance나 슬라이드 간 전환이나 용어("fowl" 대 "bird")에서 변화가 무작위 또는 임의로 발생하면 청중을 오도할 수 있다.
(1) Audience members assume that words, graphics, or other changes in appearance convey new information (Smith and Mosier, 1986; Shneiderman, 1992; Aspillaga, 1996; Helander et al., 1997; Lund, 1997). For example, audience members assume that newinformation is being conveyed by changes in the appearance of the background, bullet points, or color or typeface of text. Random or arbitrary changes in appearance, in transitions between slides, or in terminology (“fowl”versus “bird”) can lead the audience astray.
(2) 프리젠테이션의 시작과 끝 부분을 명확히 표시한다(예를 들어, 다른 형식, 서체 또는 배경과 함께 제목을 제시하거나 슬라이드를 마무리하여)는 관객이 프리젠테이션을 따르도록 돕는다.
(2) Clearly marking the beginnings and ends of sections of a presentation (for instance by presenting a title or concluding slide with a distinct format, typeface, or background) helps audience members follow the presentation.
장기기억에 접근
ACCESSING LONG-TERM MEMORY
우리의 업무 분석은 우리에게 제3의 등급의 관련 과정을 제시하도록 이끈다. 자료의 의미를 추출하지 않으면 정보를 인코딩하고 적절하게 통합하는 것은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자극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것들을 장기 기억 속에 기존에 저장되어있던 자료와 비교해야 한다; 우리가 보는 것의 수입을 이해하는 것은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것에 의해서만이다. 다음 원칙은 장기 메모리에 접근하고 관련 저장된 정보를 활성화하는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룬다.
Our task analysis leads us to posit a third class of relevant processes. Encoding information and integrating it appropriately would be useless if the meaning of the material were not extracted. In order to ascribe meaning to stimuli, one must compare them with material previously stored in long-term memory; it is only by retrieving associated information that we comprehend the import of what we see. The following principles address factors that affect the ease of accessing long-term memory and activating the relevant stored information.
적절한 지식
Appropriate knowledge
의미는 [그 사람이 이미 장기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필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패턴으로 설명ascribe될 수 있다. 청중에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발표자는 관객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접촉해야 한다(Osman, Hannafin, 1992; Shneidman, 1992; Fleming and Levie, 1993; Lund, 1997; Schwartz 등). 적절한 지식의 원칙: 의사소통은 관련된 개념, 전문용어 및 기호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 발표자가 새로운 개념이나 전문용어, 상징에 의존한다면 관객들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적절한 지식의 원리에는 다음과 같은 구분이 있다.
Meaning can be ascribed to a pattern only if the person has the requisite information already stored in long-term memory; to reach an audience, the presenter must make contact with what the audience members already know (Osman and Hannafin, 1992; Shneiderman, 1992; Fleming and Levie, 1993; Lund, 1997; Schwartz et al., 1998). The Principle of Appropriate Knowledge states: communication requires prior knowledge of relevant concepts, jargon, and symbols. If the presenter relies on novel concepts, jargon, or symbols, the audience members will fail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Appropriate Knowledge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익숙하지 않은 개념, 관습, 형식, 용어 및 기호는 이해할 수 없다. 더욱이, 그들이 이해될 때, 그들은 노력한 처리가 필요할 것이다.
(1) Unfamiliar (for that audience) concepts, conventions, formats, terminology, and symbols may not be understood. Moreover, when they are understood, they will likely require effortful processing (which will be accomplished only if the audience is highly motivated).
(2)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익숙하지 않은 (그 청중에게) 개념, 관습, 형식, 용어 및 기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 명시적으로 소개하고 설명해야 하며, 이러한 설명은 청중이 친숙한 정보를 도출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2) If unfamiliar (for that audience) concepts, conventions, formats, terminology, and symbols are absolutely necessary to convey the message, they must be explicitly introduced and explained – and such explanations are more effective if they draw on information that is familiar to the audience.
호환성
Compatibility
자극의 의미는 그 표면 특성(크기 또는 색상 등)의 해석이 그 상징적 의미와 일치하지 않으면 추출하기 어려울 것이다. 호환성 원칙은 [메시지가 그 의미와 호환되는 경우에] 이해하기 가장 쉽다는 것이다(Vessey, 1991; Woodson 등, 1992; Vekiri, 2002; Speier, 2006). 이 원리는 고전적인 "스트룹 효과"(MacLeod, 1991년)에 의해 증명되었듯이, 위반되었을 때 아마도 가장 명백하다. 스트룹 효과에서, 사람들은 단어들이 잉크와 다른 색깔의 이름을 붙일 때(예: "파란색"이라는 단어를 인쇄할 때 사용하는 파란색 잉크)보다 단어들을 인쇄하는 데 사용되는 잉크의 색 이름을 붙이는 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우리는 표면 특성(예: 잉크의 색)과 의미를 모두 등록register한다. 이 원칙은 지각 양식에 걸쳐 적용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오디오와 시각 콘텐츠가 텍스트와 전달되는 전체적인 메시지와 조화를 이룰 때 가장 좋으며, 부적절한 소리와 시각은 이해에 방해가 된다. 호환성 원칙에는 다음과 같은 코럴라인이 있다.
The meaning of a stimulus will be difficult to extract if the interpretation of its surface properties (such as the size or color) is inconsistent with its symbolic meaning. The Principle of Compatibility states that a message is easiest to understand if its form is compatible with its meaning (Vessey, 1991; Woodson et al., 1992; Vekiri, 2002; Speier, 2006). This principle is perhaps most evident when it is breached, as demonstrated by the classic “Stroop effect” (MacLeod, 1991). In the Stroop effect, people have more difficulty naming the color of the ink used to print words when the words name a different color from the ink (e.g., blue ink used to print the word “red”) than when words name the same color (e.g., blue ink used to print the word “blue”). We register both the surface properties (e.g., the color of the ink) and the meaning. This principle applies across perceptual modalities, and thus comprehension generally is best when audio and visual contents coordinate with text and the overall message that is being conveyed; inappropriate sounds and visuals will interfere with comprehension. The Principle of Compatibility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색은 metathetic(metathetic 차원에 대한 값은 정성적으로 배열됨) 변수이기 때문에 색상의 변화는 수량의 다른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동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채도와 강도(또는 밝기)는 양적 변수(양적 치수에 대한 값이 정량적으로 배열됨)이기 때문에, 이러한 치수를 따르는 변화는 양적 변동에 따라 정렬된다(Stevens, 1975).
(1) Because hue is a metathetic (values on metathetic dimensions are arranged qualitatively) variable, variations in hue are not seen automatically as signaling different amounts of a quantity; in contrast, because saturation and intensity (or brightness) are prothetic variables (values on prothetic dimensions are arranged quantitatively), variations along these dimensions do line up with variations in quantities (Stevens, 1975).
(2) 애니메이션은 물체의 자연적인 움직임(예: 자동차의 그림이 위에서 내려오면 안 된다)에 맞지 않으면 이해를 방해하고, 사운드와 슬라이드 배경은 주제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방해가 된다. (꽃무늬 배경, 또는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는 바다의 탄소 저수지 발표와 호환되지 않는다.)
(2) Animation interferes with comprehension if it does not fit the natural movements of the object (e.g., a picture of a car should not drop down from the top), and sounds and slide backgrounds will interfere if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the topic (a floral background, or the sounds of birds chirping, are not compatible with a presentation about carbon reservoirs in the ocean).
(3) 시청자는 대표되는 항목의 대표적인 예를 가장 쉽게 묘사하는 아이콘을 해석한다. 예를 들어, 오리의 그림은 카나리아 그림의 경우 "물새"가 아니라 "펫새"를 효과적으로 묘사하고, 반대로도 묘사한다(Rosch et al., 1976).
(3) Viewers most easily interpret icons that depict the typical examples of represented items. For example, a picture of a duck effectively illustrates “water fowl” but not “pet bird,” and vice versa for a picture of a canary (Rosch et al., 1976).
(4) 구식 외관 활자체는 첨단장치의 서면 설명에 사용하면 상반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4) Old-fashioned looking typeface would send a conflicting message if used in a written description of a high-tech device.
(5) 서로 다른 종류의 그래픽은 [정보의 종류가 다르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서로 다른 포인트를 지적하는 데 적합하다(Tersky et al., 2002). 선 그래프(바 또는 혼합 그래프 대신)는 그래프에서 선 높이의 연속적인 변동이 측정의 연속적인 변동을 직접 나타내기 때문에 추세를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그래프에서 선을 교차하는 것은 막대 세트보다 더 효과적으로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막대 그래프는 철근의 이산 높이가 특정 측정을 직접 나타내기 때문에 (트렌드가 아닌) 특정 값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지도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복잡한 정보를 보여주거나 목적지로 가는 대체 경로를 보여준다. 차트는 시간 경과에 따른 조직 구조, 일련의 단계 또는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설명한다("흐름 차트")
(5) Because they make different sorts of information explicit, different sorts of graphics are appropriate for making different points (Tversky et al., 2002). Line graphs (rather than bar or mixed graphs) illustrate trends effectively because the continuous variation in the height of a line in a graph directly indicates the continuous variations of a measurement. Similarly, crossing lines in a graph indicate interactions more effectively than sets of bars. Bar graphs illustrate specific values (not trends) effectively because the discrete heights of the bars directly indicate specific measurements. Maps illustrate complex information about geographic territories or show alternate routes to a destination. Charts effectively illustrate organizational structure, a sequence of steps, or processes over time (“flow charts”).
관련성
Relevance
마지막으로, 메시지는 특정 청중에게 너무 많은 정보나 너무 적은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보정되어야 한다(Grice, 1975) (참고: Informative Change의 원칙은 특정 메시지를 제공하면 필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관련성 원칙의 요점은 우선 적절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아마도 너무 많은 정보(예: 외부 그래픽, 텍스트 또는 오디오)를 제공하는 것도 문제라는 것은 덜 명백하다. 너무 많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문제가 되는데, 이는 시청자들이 노력이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검색하도록 하기 때문이다(예: Wolfe, 1998). 관련성의 원칙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은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정보가 제시되지 않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Smithand Mosier, 1986; Woodsonet al, 1992; Vekiri, 2002; Bartsch and Cobertn, 2003). 이 원리는 다음과 같은 코롤라리를 가지고 있다.
Finally, the message must be calibrated so that neither too much nor too little information is presented for a specific audience (Grice, 1975). (Note: the Principle of Informative Change states that, given a specific message, the requisite information must be provided – the present point is about providing an appropriate message in the first place.) It is clear that not providing enough information is a problem, but perhaps it is less immediately evident that providing too much information (such as extraneous graphics, text, or audio) is also a problem. Presenting too much information is a problem in part because this forces viewers to search for the relevant information, which requires effort (e.g., Wolfe, 1998). The Principle of Relevance states that communication is most effective when neither too much nor too little information is presented (Smithand Mosier, 1986; Woodsonet al., 1992; Vekiri, 2002; Bartsch and Cobern, 2003). This principle has the following corollaries:
(1) 지나치게 많거나 적은 것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메시지의 성격에 대해 알아야 한다: 의도된 포인트가 무엇인지에 따라 특정 정보가 필요하거나 관련이 없을 수 있다.
(1) To decide what is too much or too little, one must knowabout the nature of the message: depending on what the intended point is, specific information can be necessary or extraneous.
(2) 정보를 이해하려고 할 때, 사람들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그것을 서사narrative로 정리한다(c.f. Wagoner, 2008; Karns et al., 2009). 주제를 정의하고 처음부터 로드맵을 제시하면(개요 또는 기타 개요에서) 이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2)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information, people (largely unconsciously) organize it into a narrative (c.f. Wagoner, 2008; Karns et al., 2009). Defining the topic and presenting a roadmap at the outset (in an outline or other overview) facilitates this process.
(3) 그래픽(사진, 도면, 그래프, 다이어그램), 오디오 및 비디오는 관련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세부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사진은 종종 모호하다(비트겐슈타인, 1953/2001년).
(3) Graphics (photos, drawings, graphs, diagrams), audio, and video can provide detail to illustrate the relevant concepts clearly. However, pictures are often ambiguous (Wittgenstein, 1953/2001), and when they are ambiguous labels can clarify them.
연구 1
STUDY 1
Levasseur와 Sawyer(2006)는 슬라이드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현저하게 적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부족에 대한 가능한 한 가지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좋은 디자인"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직관적으로 명확하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연구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측과 일관되게, 일부 사람들은 방금 논의된 종류의 심리 원칙은 명백하며, 발표에서 위반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이 가정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PowerPoint® 슬라이드쇼의 샘플을 조사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계층화된 샘플링 절차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범주의 슬라이드쇼를 검토했다. 연구(학문), 교육, 정부, 기업, 기타. 우리는 방금 요약한 8가지 원칙을 위반할 수 있는 137가지 방법(각각 규칙에 명시됨)을 공식화했다(표 1 참조).
Levasseur and Sawyer (2006) noted that there is remarkably little research on how slides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y function effectively. One possible reason for this dearth is that many may feel that “good design” is intuitively clear to most people, and hence there is no reason to study it. Consistent with this conjecture, some have claimed that the sorts of psychological principles just discussed are obvious, and rarely if ever would be violated in a presentation. To evaluate this supposition, we examined a sample of PowerPoint® slideshows. Specifically, we used a stratified sampling procedure to examine a selection of slideshows in five categories: Research (academic), Education, Government, Business, and Miscellaneous. We formulated 137 ways (each specified in a rule) in which the eight principles just summarized could be violated (see Table 1).
MATERIALS AND METHODS
우리는 처음에 웹에서 무작위로 계층화된 PowerPoint® 슬라이드쇼 샘플을 획득했다. 이에 따라, 우리는 효과적인 PowerPoint® 통신의 특정 규칙 위반을 검색하기 위해 체크리스트(표 1 참조)를 사용하여 두 명의 심판에게 각각의 PowerPoint®slideshow를 독립적으로 채점하도록 요청하였다. 이러한 규칙은 소개에서 논의된 8가지 일반 원칙의 특별한 경우였다. 아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명의 추가 심판이 약간 다른 기준을 사용하여 슬라이드쇼를 평가했다.
We first acquired a random, stratified sample of PowerPoint® slideshows from the web. Following this, we asked two judges to score each PowerPoint®slideshow independently, using a checklist (see Table 1) to search for violations of specific rules of effective PowerPoint® communication; these rules were special cases of the eight general principles discussed in the Introduction. As noted below, two additional judges evaluated the slideshows using slightly different criteria.
RESULTS
종속 변수는 슬라이드쇼가 원칙을 위반했는지 여부였다. 우리는 "배드-애플-스포일-더-바렐" 접근법을 취했는데, 단 하나의 슬라이드에도 규칙을 위반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면, 슬라이드쇼는 규칙을 위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슬라이드쇼가 특정 원리 내에서 하나 이상의 규칙을 위반했다면, 그 원리에 대한 점수는 "1;"이 될 것이다. 어떤 원칙에 대해 어떤 규칙도 위반되지 않았다면, 그 원리에 대한 점수는 "0"이 될 것이다. 우리는 먼저 엄격한 초기 점수에서 나온 결과를 제시하고, 그 후에 더 자유로운 점수에서 나온 결과를 제시한다.
The dependent variable was whether or not a slideshow violated a principle. We took a “bad-apple-spoils-the-barrel” approach: if even a single slide contained material that violated a rule, the slideshow was scored as having violated the rule. And if a slideshow violated one or more rules within a specific principle, the score for that principle would be “1;” if none of the rules were violated for a principle, the score for it would be “0.” We present first the results from the strict, initial scoring, and after this the results from the more liberal scoring.
셋째, 우리는 어떤 규칙이 가장 자주 위반되는지 조사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규칙이 가장 자주 위반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rd, we examined which rules were violated most often.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following five rules were violated most often:
(1) 불릿 기호가 붙은 것을 개별적으로 표시하지 않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목록을 증가시킨다(슬라이드쇼의 96%).
(2) 불릿 기호 당 2개 이상의 행을 사용한다(91%).
(3) 4개 이상의 불릿 기호 항목들이 단일 목록(91%)에 표시됨
(4) 목록의 계층적 구성은 사용하지 않으며, 각 수준(86%)에서 항목 수가 4개 미만이다.
(5) 모든 대문자, 모든 기울임꼴 또는 굵은 글꼴을 사용한다(81%)
(1) Bulleteditems are not presented individually, growing the list from the top to the bottom (96% of the slideshows);
(2) More than two lines are used per bulleted sentence (91%);
(3) More than four bulleted items appear in a single list (91%);
(4)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lists is not used, with no more than four items at each level (86%);
(5) All uppercase, all italics, or all bold typefaces are used (81%).
표 2는 자유형 및 엄격한 채점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원칙당 범주의 위반 사항을 요약한 것이다.
Table 2 provides a summary of the violations per category per principle, using both the liberal and the strict scoring method.
결론
CONCLUSION
분명한 것은, 엄격한 채점 기준이나 자유주의적인 채점 기준에 의해, 많은 슬라이드쇼가 결함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두 기준 중 어느 하나라도 결함이 없다는 이유로 점수를 매긴 슬라이드쇼는 없었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각 슬라이드쇼는 9개 등급의 원칙 중 평균 6.23을 위반하였는데, 이는 자유주의 기준을 사용하여 5.88로 약간 축소되었다. "과다 결정"된 규칙 그룹을 제외한 8개의 개별 원칙만 고려했을 때, 엄격한 코딩은 6.17이었고 자유주의 코딩은 5.86이었다. 가장 폭력적인 세 가지 원칙은 차별성(자료가 너무 비슷하여 쉽게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제한된 용량(너무 많은 정보가 제시되었기 때문에), 정보화적 변화(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의 변화는 실제로 전달되는 정보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이다.
As is clear, by either the strict or liberal scoring criteria, many slideshows are flawed. Indeed, not a single slideshow was scored – according to either set of criteria – as having no flaws. Using the strict criteria, each slideshow violated on average 6.23 of the nine classes of principles, which shrank slightly to 5.88 using the liberal criteria. Considering just the eight individual principles, excluding the“over-determined”group of rules, the overall violation was 6.17 for the strict coding and 5.86 for the liberal coding. The three most-violated principles were Discriminability (because material was too similar to be easily distinguished), Limited Capacity (because too much information was presented), and Informative Change (because changes in how information was presented did not actually reflect changes in the information being conveyed).
가장 자주 위반되는 원칙인 호환성조차도 최소한 1/4의 슬라이드쇼에서 여전히 위반되었다.
Even the least-frequently violated principle, Compatibility, was still violated in at least a quarter of the slideshows.
또한, 위반이 여러 범주에 걸쳐 비교될 수 있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우리는 다른 주제들의 가능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다른 범주를 부분적으로 검토했다. 다른 주제(또는 영역)의 슬라이드쇼는 평균 복잡성이 다를 수 있지만, 결과는 특정 원칙의 위반이 일반적으로 주제에 따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긴 하지만, 우리는 어떤 특정 규칙이 다른 범주에 비해 더 자주 위반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것은 주제의 복잡성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ct that violations were comparable across the different categories is of interest. We examined the different categories partly in an effort to consider the possible influence of different topics. Although slideshows of different topics (or areas) may differ in their average complexity, the results do not suggest that violations of specific principles generally vary for different topics. That said, we did find that some specific rules were violated more frequently in some categories than others, which could reflect differences in the complexities of the topics.
연구 2
STUDY 2
Study 1의 PowerPoint® 슬라이드쇼를 분석한 결과, 슬라이드쇼 자체는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면에서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시청자들이 보다 일반적으로 프레젠테이션 결함에 민감한지 알고 싶었고, 따라서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지난 해에 얼마나 많은 전자 슬라이드쇼 프리젠테이션을 보았는지 대략적으로 보고하고, 그 다음에 그 프레젠테이션의 다양한 측면을 그들의 품질로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The analysis of PowerPoint® slideshows in Study 1 revealed that slideshows themselves typically are flawed in multiple ways. We wanted to know whether viewers are sensitive to presentation flaws more generally, and thus we conducted a survey asking participants to report approximately how many electronic slideshow presentations they had seen in the past year, and then to rate various aspects of those presentations in terms of their quality.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CONCLUSION
이러한 결과는 연구 1의 결과와 수렴된다. 즉, 우리가 질문한 7가지 원칙(첫 번째 연구에서 고려된 8가지 원칙 중)은 모두 정기적으로 위반된다. 그러한 위반은 청중을 어느 정도 괴롭힌다. 그리고 Study 1과 마찬가지로 호환성 원칙의 위반은 가장 흔하지 않은 반면, 가장 성가시고 일반적인 위반 중 하나는 Limited Capacity(슬라이드에는 다음 슬라이드가 제시되기 전에 흡수해야 할 물질이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의 원칙 하에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tudy 1과 같이 프리젠테이션이 많은 룸프나 개선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청중들이 프리젠테이션을 괴롭히는 일반적인 종류의 문제에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se results converge with those from the Study 1, namely that all seven principles we asked about (out of eight considered in the first study) are violated on a regular basis. Such violations bother audience members to some extent. And as with Study 1, violations of the Principle of Compatibility were least common, whereas one of the most annoying and prevalent violations fell under the principle of Limited Capacity (slides contained too much material to absorb before the next slide was presented). These results show that presentations not only have much room for improvement, as shown in Study 1, but also that audience members are sensitive to the general sorts of problems that plague presentations.
따라서 Study 1과 Study 2의 연구 결과는 흥미로운 의문을 제기한다: 왜 적어도 어떤 사람들은 심리적 원칙이 너무 명백해서 아무도 그것을 위반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프리젠테이션이 지루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것과 같은 전반적인 문제를 인식하지만, 그렇게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결점을 만드는 특정 슬라이드의 정확한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 가능한가? 우리는 다음 연구에서 이 가능성을 조사한다.
The findings from Study 1 and Study 2 thus raise an interesting question: why do at least some people feel that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are so obvious that nobody would violate them? Is it possible that although people recognize overall problems – such as that a presentation is boring or unclear – they fail to recognize the precise problems with specific slides that produce such easily noticed flaws? We investigate this possibility in the following study.
연구 3
STUDY 3
이 연구는 두 가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첫째, 우리는 사람들이 다른 원칙들을 위반한 개별 슬라이드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식별할 수 있는지 알고 싶었다.
둘째로, 만일 그들이 그러한 결함이 있는 표시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면, 우리는 참가자들이 표시장치에 결함이 있는 이유를 알고 있는지 알고 싶어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nswer two questions: first, we wanted to know whether people can identify graphical displays in individual slides in which the different principles have been violated. Second, if they can identify such defective displays, we wanted to know whether participants are aware of why a display is defective.
이전의 두 연구는 조사였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세계"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타파하는 장점이 있지만, 관련 변수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3번 연구는 실험에 의존한다. Study 1에서 시각적 표시장치 설계 규칙의 하위 집합을 선택하고 각 그림에 대해 두 가지 그림을 준비했다. 한 그림은 규칙 위반을 포함했고 한 그림은 그렇지 않았다(이 그림들 중 다수는 Kosslyn, 2007에 표시된 "Do/Don't" 그림에서 직접 가져갔다). 각 슬라이드를 제시하기 전에 참가자들이 슬라이드의 특정 측면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을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한 슬라이드 쌍의 경우, "어느 슬라이드가 두 변수가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더 나은 작업인가?"라고 물었다. 참가자들에게 특정 기준에 따라 어떤 슬라이드가 더 나은지 표시한 다음, 자신이 선택한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였다.
The previous two studies were surveys. Such studies have the advantage of tapping into phenomena that occur in the “real world,” but the disadvantage of not having rigorous control over the relevant variables. Study 3 relies on an experiment. We selected a subset of the visual display design rules from Study 1, and prepared two illustrations for each one: one illustration included a violation of the rule and one did not (many of these pairs were taken directly from the“Do/Don’t” illustrations shown in Kosslyn, 2007). Prior to presenting each pair of slides, we presented a question that guided participants to focus on a specific aspect of the slide. For example, for one slide pair we asked, “Which slide does a better job showing how closely two variables are related?”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which slide was better, according to that specific criterion, and then to explain why they made their choice.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CONCLUSION
요컨대, 미끄럼틀의 구체적인 특징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안내된 경우에도 관찰자들은 심리적 원리가 언제 위반되었는지, 그리고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에도 이 문제의 본질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뇌에서 정보처리가 작동하는 방식을 고려할 때 시청자가 위반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하더라도 여전히 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는 이것이 사실이라고 예상할 것이고, 이 가설을 향후 연구에서 조사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In short, even when guided to pay attention to specific features of slides, observers do not always understand when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have been violated, and even when they do realize that there is a problem, they often are not aware of the nature of this problem. Given the way information processing works in the brain, however, one could argue that even if viewers do not notice a violation, they could still be affected by it. Indeed, we would predict this to be the case, and it is well worth investigating this hypothesis in future research.
고찰
DISCUSSION
여기에서 보고된 세 가지 연구에서는 PowerPoint® 슬라이드쇼,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이 인간의 인식, 기억 및 이해의 원리를 얼마나 잘 존중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설을 세우고 발견하였다.
심리적 원칙이 종종 여러 분야의 PowerPoint® 슬라이드쇼에서 위반된다는 것(Study 1)
어떤 유형의 프레젠테이션 결함은 청중에게 눈에 띄고 짜증나게 한다(Study 2).
관찰자는 개별 슬라이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 많은 위반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Study 3).
In the three studies reported here, we analyzed how well PowerPoint® slideshows, slides, and presentations respect principles of human perception, memory, and comprehension.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and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are often violated in PowerPoint® slideshows across different fields (Study 1),
that some types of presentation flaws are noticeable and annoying to audience members (Study 2), and
that observers have difficulty identifying many violations in graphical displays in individual slides (Study 3).
이러한 연구는 다음 그림을 그리는 데 수렴된다.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은 일반적으로 결함이 있으며, 어떤 유형의 결함은 다른 결함보다 더 흔하며, 결함은 한 도메인이나 맥락에 국한되지 않으며, 어떤 유형의 결함은 청중들을 짜증나게 하지만, 슬라이드 설계 수준의 결함은 숙련되지 않은 관찰자에게 항상 명백하지는 않다(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결함이 정보 처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se studies converge in painting the following picture: PowerPoint® presentations are commonly flawed; some types of flaws are more common than others; flaws are not isolated to one domain or context; and, although some types of flaws annoy the audience, flaws at the level of slide design are not always obvious to an untrained observer (but, we would argue, such flaws may negatively impact information processing).
특히, Study 1에서 우리는 PowerPoint® 슬라이드쇼가 평균적으로 우리가 고려한 8가지 원칙 중 약 6가지를 위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더욱이, 이것은 여러 분야에서 생산된 슬라이드쇼에 해당된다. 차별성, 제한된 용량 및 정보 변경의 원칙이 가장 빈번하게 위반되었다.
Study 2에서 우리는 응답자들이 일반적으로 프레젠테이션의 문제에 대해 알아차리고 짜증을 냈다고 보고했으며, 이러한 문제는 우리가 고려한 대부분의 원칙을 위반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마지막으로, Study 3에서 관찰자는 특정 규칙이 특정 슬라이드에서 위반되는 경우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위반 없이 슬라이드를 선택한 경우에도 종종 자신의 선택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Specifically, in Study 1 we found that PowerPoint® slideshows on average violate approximately six of the eight principles we considered. Moreover, this is true for slideshows produced in different fields. The principles of Discriminability, Limited Capacity, and Informative Change were most frequently violated.
In Study 2 we found that respondents commonly reported having noticed and been annoyed by problems in presentations in general, and these problems arose from violations of most of the principles we considered.
Finally, in Study 3 we showed that observers often did not recognize when a specific rule was violated in a given slide, and that even when they did select the slide without the violation, they often could not explain their choice.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원칙의 위반이 정말로 프레젠테이션에서 "flaws"을 구성한다고 확신할 수 있을까?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우리의 원칙은 간단한 과제 분석에서 비롯되며, 그 결과 우리는 인간의 인식, 기억, 이해에 관한 과학 문헌의 기본적인 발견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연관성 때문에, 그 원칙들은 표면적인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만약 프레젠테이션이 원칙을 위반하면, 그것은 인간의 정보 처리를 저하시킨다(taxes).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이 정보 처리에 세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청중들은 정보 처리를 인지하고, 기억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따라서 그것이 결점이라고 합리적으로 말할 수 있다.
But can we be confident that violations of our principles really constitute “flaws” in a presentation? As noted in the Introduction, our principles grow out of a straightforward task analysis, which in turn led us to consider basic findings in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human perception, memory, and comprehension. Because of this connection, the principles have face validity: if a presentation violates a principle, it taxes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because the presentation taxes information processing, the audience members will have difficulty perceiving, remembering, or comprehending it – and hence, it can reasonably be said to be flawed.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 연구는 이해와 후속 기억력에 대한 특정 원칙을 위반하는 영향을 명시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Nevertheless, future studies should explicitly examine the effects of violating specific principles on comprehension and subsequent memory.
우리가 설명한 원칙과 규칙을 존중하는 것은 "최적"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신, 원칙과 규칙을 존중하는 것은 이러한 특정 방법에 결함이 없음을 보증할 것이다. 단순히 우리가 문서화하는 결함을 피하는 것은 프레젠테이션이 좋은지 확실히 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결함을 포함하는 것은 프레젠테이션을 나쁘게 만들 것이다(또는 적어도 좋지는 않을 것이다). 원칙과 규칙이 경험적 문헌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를 위반하는 것을 피하면 프레젠테이션이 개선될 것이다. (단, 우리는 또한 이 주장이 얼굴 유효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후속 작업에서 명시적으로 시험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It is worth noting that respecting the principles and rules we have described will not produce “optimal” presentations. Instead, respecting the principles and rules will ensure that presentations are not flawed in these specific ways. Simply avoiding the glitches that we document will not ensure that the presentation is good, but including such glitches will make a presentation bad (or at least not as good as it could be). Given that the principles and rules are rooted in the empirical literature, avoiding violating them will improve a presentation. (However, we also must note that this claim is based on face validity, and must be explicitly tested in subsequent work).
우리는 또한 여기서 보고된 세 가지 연구 중 두 가지에서 발표자와는 독립적으로 슬라이드를 다루었다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어떤 사람은 숙련된 발표자가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발표할 때 잠재적 "flaws" 중 적어도 일부는 심각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능 있는 발표자는 특정한 결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예: 청중들에게 눈에 잘 띄지 않을 정도로 작은 텍스트를 소리내어 읽음으로써). 그러나 다른 모든 것이 같다면 결함이 있는 슬라이드를 보여주는 데 이점과 단점이 없다. 비록 재능 있는 발표자들이 어떤 결점을 보완할 수는 있겠지만, 애초에 보상하지 않아도 된다면 더 좋을 것이다.
We also must point out that in two of the three studies reported here, we treated the slides independently of the presenter. One could argue that at least some of the potential “flaws” may not be as severe when the slides are discussed by a skilled presenter. For instance, a talented presenter may be able to compensate for a particular flaw (e.g., by reading aloud text that is so small as to be all-but-invisible for the audience members). However, all else being equal, there is no advantage – and considerable disadvantage – to showing flawed slides. Although some flaws may be compensated for by talented presenters, it would be better if they did not have to compensate in the first place.
요컨대, 우리는 전자 슬라이드쇼 프리젠테이션의 디자인을 개선할 여지가 많다는 것을 문서화했다. 심리학적 원칙이 완전히 명백하지는 않으며, 사람들이 항상 본능적으로 그것을 존중하는 것도 아니다. 아마도 그러한 결함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슬라이드쇼 초안을 준비하고, 여기서 설명하는 심리적 원칙과 규칙에 따라 각 슬라이드를 검토한 다음, 결함이 발견되는 대로 수정하는 것이다. 또한 발표자들은 일반적인 발표 실수, 특히 청중이 매우 짜증스럽게 보고하는 실수를 피하기 위해 부록에 대한 검토를 원할 수 있다. 잘 설계되지 않은 슬라이드를 보완하도록 설계된 프레젠테이션 기법(예: 작은 글자로 큰 소리로 슬라이드를 읽는 것)이 때때로 역효과를 일으켜 청중이 흥미를 잃고 튜닝을 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청중들에게 불필요한 일을 하게 하는 것은 성공적인 발표를 위한 비법이 아니다.
In short, we have documented that there is plenty of room for improvement in the design of electronic slideshow presentations.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apparently are not entirely obvious, nor do people always respect them instinctively. Perhaps the best way to avoid such flaws is to prepare a slideshow draft, review each slide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and rules we describe here, and then correct flaws as they are detected. Presenters may also want to review the Appendix in order to avoid common presentation mistakes, particularly those that the audience reports as highly annoying. It is worth noting that presentation techniques designed to compensate for poorly designed slides (such as reading aloud slides with miniscule text), may sometimes backfire – causing the audience to lose interest and tune out. Making your audience do unnecessary work is not a recipe for a successful presentation.
Front Psychol. 2012 Jul 17;3:230. doi: 10.3389/fpsyg.2012.00230. eCollection 2012.
PowerPoint(®) Presentation Flaws and Failures: A Psychological Analysis.
- 1
- Center for Advanced Study in the Behavioral Sciences,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USA.
Abstract
Electronic slideshow presentations are often faulted anecdotally, but little empirical work has documented their faults. In Study 1 we found that eight psychological principles are often violated in PowerPoint(®) slideshows, and are violated to similar extents across different fields - for example, academic research slideshows generally were no better or worse than business slideshows. In Study 2 we found that respondents reported having noticed, and having been annoyed by, specific problems in presentations arising from violations of particular psychological principles. Finally, in Study 3 we showed that observers are not highly accurate in recognizing when particular slides violated a specific psychological rule. Furthermore, even when they correctly identified the violation, they often could not explain the nature of the problem. In sum,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for effective slideshow presentation design are neither obvious nor necessarily intuitive, and presentation designers in all fields, from education to business to government, could benefit from explicit instruction in relevant aspects of psychology.
KEYWORDS:
PowerPoint®; clear communication; conveying information; educational media; electronic slide show; presentation graphics; visual display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