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며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가? 자의식적 정서이론 적용(Acad Med, 2018)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 Education

William E. Bynum IV, MD, and Anthony R. Artino Jr, PhD



여러분이 병원 복도를 걷고 있고, 곰 한 마리가 복도를 따라 내려와 바로 눈을 쳐다보고, 여러분을 향해 달려간다고 상상해보라. 여러분은 의심할 여지 없이 공포, 불안, 그리고/또는 흥분 같은 감정들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감정은 반사적이고, 자율신경계를 활성화시키고, 생존을 위한 행동을 (희망적으로) 취해서 도망가도록 한다.

Imagine you are walking down a corridor in the hospital and a bear emerges down the hall, looks you directly in the eye, and runs toward you. You are undoubtedly going to experience a rush of emotion: fear, anxiety, and/or exhilaration. These basic emotions are reflexive, activate your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prompt you to (hopefully) take survival actions and run away.


이제 네가 같은 복도를 걷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리고 간호사가 너의 도움을 청한다. 당신이 C line을 잡은 환자는 호흡곤란 상태에 있고, 당신은 그 환자가 기흉을 가지고 있음을 재빨리 평가한다. 당신은 이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또 다시 두려움과 불안감의 즉각적인 쇄도를 경험한다. 그러나, 이 일련의 감정들은 [당신이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에 관한 것이다.

Now imagine you are walking down the same corridor and a nurse yells for your help. The patient in whom you placed a central line is in respiratory distress, and you quickly assess that she has a pneumothorax from the procedure. You again experience an immediate rush of fear and anxiety in response to this event; however, a separate set of emotions may follow that relates to how you feel about yourself.


자신의 자아와 관련된 감정적 반응은 "자기의식적 감정"이라고 불리는 뚜렷한 종류의 감정을 구성한다. 자기의식적 감정은 자기 평가를 형성하는 일련의 감정과 속성에 반응하여 발생한다.2 자기의식적 감정은 어떤 사건이 개인에게 자신의 내면에 대한 집중과 평가를 하게 할 때 발생한다.2 그들은 자기인식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감정basic emotions(즉, 행복, 두려움, 불안)과는 다르다. 기본적인 감정은 그렇지 않다. 비록 어떤 감정이 정확히 자의식이라고 분류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을 이 분류에 포함시킨다.

The emotional responses relating to one’s self compose a distinct class of emotions called “self-conscious emotions.” Self-conscious emotions arise in response to a series of appraisals and attributions that form a self-evaluation.2 Self-conscious emotions occur when an event causes an individual to direct attention and evaluation to his inner self.2 They differ from basic emotions (i.e., happiness, fear, anxiety) in that they require self-awareness; basic emotions do not.3 Although there is some debate about exactly which emotions are classified as self-conscious, most psychologists include shame, guilt, and pride.



Tracy and Robins의 자기의식적 감정 모델

Tracy and Robins’s Model of Self-Conscious Emotions


Tracy and Robins의 모델이 있다.

Tracy and Robins’s2 model of self-conscious emotions


자기의식은 개인이 일련의 다섯 가지의 뚜렷한 평가와 속성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때 발생한다(그림 1 참조).

self-conscious emotions arise when an individual critically analyzes his inner self through a series of five distinct appraisals and attributions (see Figure 1).


첫 번째 평가는 생존가능성과 정체성에 대한 것이다.

The first appraisal deals with survivability and identity:



감정을 유발한 사건이 정체성 목표(예: 훈련 중인 의사가 환자에게 해를 입히는 경우)와 관련이 있다면, 자기의식이 발생할 수 있다. 실수로 기흉을 유발한 의사는 정체성 목표와 관련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나 때문에 이런 일이 생겼나?" 또는 "기흉을 일으키는 것이 내 정체성과 일치하는가?"

If the eliciting event is relevant to identity goals (e.g., a physician-in-training causing harm to a patient), then self-conscious emotions may occur. A physician who inadvertently causes a pneumothorax may ask questions relevant to identity goals, such as “Did something about me cause this event?” or “Does causing a pneumothorax align with my identity goals?”


정체성 평가에 뒤이어, 평가의 초점은 자신의 내적 자아에 대한 것이 되고, 이것은 자기표현을 활성화한다. 자기 표현은 과거, 현재 및 미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자신의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차원을 포함할 수 있다.2 트레이시와 로빈스에 따르면, 개인의 자기 표현은 다음을 포함한다. 

  • 재의 자기 표현(예: 스스로가 보는 현재의 모습: "나는 매우 결점이 많다.") 

  • 상적인 자기 표현(예: 스스로가 되길 바라는 모습: 나는 완벽해지기 위해 노력한다) 

Following identity appraisals, the individual directs evaluative focus toward his inner self and activates self-representations. Self-representations may relate to past, current, and future selves and may include personal, relati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self.2 According to Tracy and Robins, an individual’s self-representations include 

  • current self-representations (e.g., how he sees himself right now: “I am highly flawed”) and 

  • ideal self-representations (e.g., how he wants to see himself: “I strive to be perfect”). 

자기의식적 감정이 발생하려면 이러한 자기표현들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어떤 사람이 수치심, 죄책감, 혹은 자부심을 느낀다면, 그는 자신의 현재와 이상적 자아를 적극적으로 심사숙고하여 고려(비교)하고 있는 것이다.

These self-representations must be activated, ei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for self-conscious emotions to occur. In other words, when a person experiences shame, guilt, or pride, he is actively contemplating his current and ideal selves.


세 번째 단계에서, 개인은 현재의 자기 표현과 이상적인 자기 표현 사이의 일치성을 평가한다. 만약 그가 자신의 현재와 이상적인 자기 표현이 일치한다고 믿는다면, 그는 자부심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것들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그는 수치심이나 죄책감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In the third step, the individual appraises the congruence between his current self-representations and his ideal self-representations. If he believes that his current and ideal self-representations align, then he feels the positive emotion of pride; if they do not align, he experiences the negative emotion of either shame or guilt.


네 번째 단계에서, 개인은 그 사건의 원인이 그의 내부에 있는지 혹은 외부의 어떤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는 "기흉은 내 잘못이었나, 아니면 환경, 환자, 또는 내 외부의 어떤 것 때문이었나?"라는 질문을 할 수도 있다. 

  • 원인이 순수하게 외부적인 경우(예: 간호사가 시술 중에 의사의 손을 부딪혔을 경우) 그는 분노나 적개심과 같은 기본적인 감정을 경험했을 것이다. 

  • 원인이 내부적인 것으로 판단되면(예: 의사의 능력 또는 준비 수준과 관련된) 자기인식적 감정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fourth step, the individual determines whether the event was the result of something internal or external to him. He may ask the question “Was the pneumothorax my fault or was it due to something about the environment, the patient, or something else external to me?” 

  • If the cause were purely external (e.g., the nurse bumped the physician’s hand during the procedure), he would experience basic emotions, such as anger or hostility. 

  • If the cause were deemed to be internal (e.g., related to the physician’s competence or level of preparation), then self-conscious emotions would occur.


다섯 번째와 마지막 단계에서, 개인은 자기 내면의 어떤 차원이 문제를 일으킨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귀인attribution을 판단한다. 그 사건은 

  • 자신에 대한 어떤 전체적이고, 안정적이며, 변하지 않는 무언가에 의해 야기되었는가 아니면 

  • 특정한, 불안정하고, 가변적인 무엇인가에 의해 야기 되었는가? 

  • 다시 말하면, 그 사건은 그의 내적, 전체적 자아(예: 그의 지적 능력 또는 전반적 능력)에 의해 야기된 것인가? 

  • 아니면 그것은 특정한 행동과 행동으로 인해 생긴 것인가(예: 그의 직무에 대한 노력)에 기인한 것인가?

In the fifth and final step, the individual makes attributions to specific dimensions of his inner self that he believes led to the event in question. Was the event caused by something global, stable, and unchanging about himself or something specific, unstable, and variable? In other words, was the event caused by something about his inner, whole self (e.g., his intellect or global competence) or was it due to something specific and action based (e.g., his effort on a task)?


트레이시와 로빈스2는 이러한 감정과 속성에서 비롯되는 네 가지 자기의식적 감정을 간결하게 요약한다.

Tracy and Robins2 succinctly summarize the four self-conscious emotions that result from these appraisals and attributions:


수치심과 죄책감 둘 다, 개인은 

자신의 일부 측면에 주의를 집중해야 하고, 공적인 또는 사적인 자기표상을 활성화해야 하며, 

사건을 자신의 정체성 목표와 관련이 있거나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고, 

사건의 원인을 어떤 내부 요인에 귀속시켜야 하며, 상황에 대해 자신을 탓해야 한다. 

For both shame and guilt, an individual must 

focus attention on some aspect of the self, activating public and/or private self-representations; 

appraise the event as relevant to and incongruent with identity goals; and 

attribute the cause of the event to some internal factor, blaming the self for the situation. 


이 두 가지 감정을 구분하는 것은 그 속성의 안정성과 전반성이다. 수치심은 안정적이고 전반적인 자아를 부정적으로 보는 감정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죄책감은 특정한 행동이나 자신이 취한 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포함한다.

What distinguishes … the two emotions, however, are stability and globality attributions: Shame involves negative feelings about the stable, global self, whereas guilt involves negative feelings about a specific behavior or action taken by the self.


사람들은 다음의 경우에 자부심을 느낀다.

자신의 관심이 자신에게 집중되어 있고, 공적 또는 사적 자아표상이 활성화될 때, 

그들이 사건을 정체성 목표와 관련이 있고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할 때, 

사건의 원인을 어떤 내부 요인에 귀속시킬 때, 그 상황에 대한 공로를 인정할 때

People feel pride 

when their attention is focused on themselves, activating public and/or private self-representations; 

when they appraise events as relevant to and congruent with identity goals; and 

when they attribute the cause of events to some internal factor, taking credit for the situation. 


수치와 죄책감과 마찬가지로, 안정성 및 전반성의 속성은 두 가지 형태의 자부심을 구별한다. 

자기 자신에 대한 전반적 자부심(자만적 자부심)은 내부적이고 안정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성과에 기반한 자부심(진정한 자부심)은 내부적이고 불안정한 원인에 귀속되는 결과일 수 있다.

Paralleling shame and guilt, stability and globality attributions differentiate between two forms of pride. 

Global pride in the self [so-called hubristic pride] may result from attributions to internal, stable causes. 

Conversely, a feeling of pride based on specific achievements [so-called authentic pride] may result from attributions to internal, unstable causes.


Tables 1 and 2,




다른 이들은 공공과 사적 선line을 따라 수치와 죄책감을 구별하기 위해 노력했다. 즉, 

  • 공적 수준에서의 범행은 수치심을 야기하고, 

  • 사적 수준에서의 범행은 죄책감을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5–7

others have sought to differentiate shame and guilt along public and private lines (as opposed to global self vs. specific behavior lines), suggesting that public transgressions lead to shame while transgressions committed in private lead to guilt.5–7


비록 경험적 연구가 자기 행동의 구별을 선호하지만, 최근의 연구는 공공-사적 구별이 자기 행동의 구별과 경쟁하기보다는 오히려 자기 행동의 구별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10

Although empiric studies favor the self-behavior distinction,8,9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public– private distinction is compatible with— rather than competing against—the self-behavior distinction.10



자기의식적 정서와 완벽주의

Self-Conscious Emotion and Perfectionism


의학적인 학습자들은 예외적으로 높은 수준의 성취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완벽을 달성하는 것은 (보편적이지는 않더라도) 흔한 일이며, 완벽주의는 학습자와 의사 모두에게 뚜렷한 성격 특성이다.12,13

Medical learners are apt to hold themselves—and be held by others—to exceptionally high standards of performance. Achieving perfection is a common—if not pervasive—goal, and perfectionism is a distinguishing character trait of learners and practicing physicians alike.12,13


트레이시와 로빈스의 모델을 통해 볼 때, 완벽주의는 비현실적인 기준과 기대치를 만들어내며, 이것은 도달할 수 없는 이상적인 자아표현을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완벽주의는 의학 학습자를 거의 지속적으로 정서적 고통의 위험에 처하게 하는 접근 불가능한 기준을 추구함으로써 의료 학습자가 수치와 죄책감을 느끼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As viewed through Tracy and Robins’s model, perfectionism engenders a set of unrealistic standards and expectations that may drive unattainable ideal self-representations. Therefore, perfectionism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the frequency that medical learners experience shame and/or guilt, with the pursuit of unreachable standards putting medical learners at risk of emotional distress on a near-constant basis.


그러나 트레이시와 로빈스의 모델에 따르면 완벽주의는 본질적으로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며, 그 결과가 언제나 파괴적인 것은 아니다. 완벽주의가 수치심을 일으키거나 죄책감을 주는 경향은 학습자가 완벽을 달성하지 못한 실패를 

  • 자신의 전반적, 내면의 자아(모욕)으로 돌리는지 

  • 아니면 특정하고 행동에 기초한 것(죄책)의 탓으로 돌리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However, according to Tracy and Robins’s model, perfectionism is not inherently shame or guilt inducing, and its outcomes are not uniformly destructive. The tendency for perfectionism to result in shame or guilt depends on whether the learner attributes the failure 

  • to achieve perfection to her global, inner self (shame) or 

  • to something specific and action based (guilt).


  • 예를 들어, 종종 그녀의 높은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단점들을 시정 가능한 행동들, 그리고 그것들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죄책의 반응)으로 돌리는 완벽주의자 학습자는 배우고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 또는 반대로 그녀가 자기 자신의 전반적 결점을 강조함으로써 불완전함에 반응하고, 수치를 느끼는 반응의 함수로서, 그 후에 학습에서 숨거나 포기하거나 손을 뗄 수 있다.

  • For example, a perfectionist learner who frequently falls short of her lofty expectations but attributes the shortcomings to correctable actions—and works to fix them (a guilt response)—is likely to learn and grow. 

  • The converse is true if she responds to imperfection by highlighting deficiencies in her global self and—as a function of a shame reaction—subsequently hides, withdraws, and/or disengages in learning.


심리학 문헌은 두 가지 유형의 완벽주의를 묘사하고 있다.15 

  • 정상적(또는 적응적) 완벽주의를 가진 사람은 높은 목표를 위해 노력하지만,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때, 자신의 가치를 감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되는, 건전한 자존심을 유지한다. 

  • 반면에, 신경증적인(또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자들은 높은 기준을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고 목표가 달성되지 않을 때 자신을 실패로 본다.15

The psychology literature delineates two distinct types of perfectionism.15 

  • A person with normal (or adaptive) perfectionism strives for lofty goals but maintains intact self-esteem (defined as a person’s emotional evaluation of his own worth) when the goals are not achieved. 

  • On the other hand, neurotic (or maladaptive) perfectionists excessively strive for high standards and view themselves as failures when the goals are not achieved.15

  • 적응적 완벽주는 더 높은 자부심과 특정 업무에 대한 자신감과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에, 

  •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부정적인 감정, 우울증, 스트레스, 그리고 기능장애적인 대처와 관련이 있다.16

  • Whereas adaptive perfectionism correlates with higher self-esteem and task-specific self-confidence, 

  • maladaptive perfectionism correlates with negative emotion, depression, stress, and dysfunctional coping.16


목록 1은 우리의 노력을 이끌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질문들을 설명한다.

List 1 describ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hat might guide our efforts.


학습자가 현실적인 개인 및 전문직업적 표준을 정립하도록 돕는 것은 예상할 수 있는 정상범위의 과실에 의해 발생하는 수치심에 대한 민감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Helping learners establish realistic person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may decrease their susceptibility to shame in response to normal, expected lapses


의학 교육에서 완벽주의를 완전히 없애는 것은 실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며(설령 필요하더라도 경우), 불완전함이 발생할 경우 학습자가 죄책감에 기초한 반응을 채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병행적 이니셔티브가 필요하다.

completely eliminating perfectionism in medical education is likely not feasible (nor should it necessarily be), and parallel initiatives are needed to assist learners in adopting guilt-based responses when imperfections do occur.



자기의식적 감정과 전문직 정체성 형성

Self-Conscious Emo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자기인식적인 감정은 개인적 정체성의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을 느끼는 의학 학습자들은 "내가 누구인가?" "나는 내가 알던 나인가, 아니면 내가 바라는 나인가?"와 같은 질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개인의 핵심 정체성을 탐구할 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과 그에 수반되는 감정은 고통스럽고 거슬릴 수 있다.

Self-conscious emotions are intimately linked with matters of personal identity.2 Medical learners who experience shame, guilt, and pride must actively reckon with questions such as “Who am I?” and “Am I the person I thought I was, or that I strive to be?”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nd the emotions that accompany them—can be painful and jarring, as they delve into dimensions of an individual’s core identity.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의사의 지식, 기술, 가치 및 행동이 학습자의 정체성과 통합되는 역동적 과정이다.20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는 일련의 내부 표준, 열망 및 전문가 작업을 규제하는 지속적인 자기 성찰의 개발이 포함된다.  또한 이 과정은 "전문직의 가치와 성향에 대한 그 사람의 헌신을 더 깊게 만들어준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 dynamic process by which the knowledge, skills, values, and behaviors of a physician are integrated with a learner’s personal identity.20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cludes the development of a set of internal standards, aspirations, and ongoing self-reflections that regulate a professional’s work20 and “deepen one’s commitment to the values and dispositions of the profession.”21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인식적 감정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서 떼어놓을 수 없다.

personal identity and self-conscious emotions are part-and-parcel to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예를 들어, 도달할 수 없는 기준을 고수하고 지나치게 자기 비판적으로 자신을 평가한다면, 그 결과로 생기는 수치심은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는 수치심이 고립, 소속감 저하, 낮은 자존감으로 이어지는 경향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4,22

For example, If she holds herself to unattainable standards and self-evaluates in an overly self-critical manner, her resulting shame may interfere with h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is may occur through the tendency for shame to lead to isolation, an impaired sense of belonging, and low self-esteem.4,22


  • 반대로, 수치심 보다는 죄책감을 가지고 역경에 반응하는 학습자들은 의사가 되는 과정에 더 참여하고, 회복탄력적이며, 상호연결된 접근법으로 인해 더 부드럽게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경험할 수 있다. 수치심과 달리, 죄책감은 보통 보상적인 행동, 감정이입, 그리고 도전적인 상황에서 성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시도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Conversely, learners who tend to respond to adversity with guilt rather than shame may experience a smooth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due to a more engaged, resilient, and connected approach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physician. This is because guilt, unlike shame, usually results in reparative action, enhanced empathy, and active attempts to grow from a challenging situation.9,23,24


자기인식적 감정과 동기부여

Self-Conscious Emotions and Motivation


확실히, 우리가 어떻게 느끼느냐가 우리가 무엇을 하려고 노력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하려고 하는 것은 우리가 그때 어떻게 느끼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케논 셸던26


Surely, how we feel influences what we try to do, and what we try to do influences how we then feel. 

—Kennon Sheldon26


쿡과 아르티노27은 네 가지 반복되는 주제, 즉 역량에 대한 믿음, 학습 과제의 인식 가치, 믿음과 미래의 행동을 형성하는데 있어 속성의 중요성, 그리고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 과정의 개입(예: 인지)을 식별했다.

Cook and Artino27 identified four recurrent themes: 

  • beliefs about competence, 

  • the perceived value of the learning task, 

  • the importance of attributions in shaping beliefs and future actions, and 

  • the involvement of mental processes that are not directly observable (i.e., cognition).


실수로 기흉을 초래한 여파로, 

  • 수치심을 경험하는 학습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강한 부정적 믿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변하지 않을 것이다), 

  • 죄책감을 느끼는 학습자는 자신의 전반적이거나 고정된 측면에 대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지양한다. 

우세한predominating 감정이 무엇인지가 중요한데,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믿음을 가진 학습자들은 알려지지 않은 성과와 관련된 과제에 더 많이 참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In the aftermath of accidentally causing a pneumothorax, 

  • a learner experiencing shame possesses a strong negative belief about his competence (which he may believe is fixed), 

  • while A learner experiencing guilt avoids drawing conclusions about his global, stable self. 

The predominating emotion is important because, in general, learners who possess positive beliefs about their competence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tasks with unknown outcomes.28,29


자기 결정 이론과 기대 가치 이론은, 역량에 대한 낮은 믿음이 과제를 시도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한다. 

  • 수치심은 (역량 신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작업을 시작하려는 학습자의 의지와 동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 

  • 반면에 죄책감은 더 동기부여가 되고 효과를 촉진시킨다.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expectancy value theories posit that lower competence beliefs are likely to preclude attempting a task at all.31 

  • Thus, by negatively affecting competence beliefs, shame may impair a learner’s willingness to initiate a task or his ability to progress toward self-motivated behavior, 

  • whereas guilt may have a more motivating, facilitating effect.


학습 과제의 인식된 가치는 "이 과제에 참여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좋은가 나쁜가)?"이다.

The perceived value of a learning task deals with the basic question “What will happen (good or bad) if I engage in this task?”27


성과목표론

Achievement goal theories


  • 성과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은 그들의 동료를 능가하고, 성과기준을 초과하기를 바라고, "바보처럼 보이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33

  • 숙달목표를 지향하는 학습자들은 능력을 향상시키고, 내용을 이해하고, 능력을 개발하려는 욕구에 의해 추진된다.33

  • Learners oriented toward performance goals are motivated by a desire to outperform their peers, exceed performance standards, or avoid “looking dumb.”27 

  • On the other hand, learners oriented toward mastery goals are driven by a desire to improve their abilities, understand the material, and develop competence.33


트레이시와 로빈스는 특정한 업적과 관련된 자부심(진정한 자존심)과 전반적 자존심(오만한 자존심)을 구분한다. 

  • 진정한 자부심이 숙달된 목표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는 반면, 

  • 오만한 자존심은 성취 목표와 관련이 있고, 이것은 나르시시즘의 심리학에서 보이는 연관성이다.

Tracy and Robins differentiate pride associated with specific achievements (authentic pride) from pride in one’s global self (hubristic pride). They postulate that 

  • authentic pride is linked to mastery goals, 

  • whereas hubristic pride i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goals— associations seen in the psychology of narcissism.2,3 

나르시시스트는 높은 수준의 자존심을 보고하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부정적인 자기표현(즉, 수치심)을 가지고 있다.34,35 그들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자기표현을 숨김으로써 수치심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자극하여 자만심을 극대화한다.22 결과적으로, 나르시시스트의 자존심은 성과결과, 빈번한 외부 타당성 확인 및 수치심의 억압에 좌우된다.22,36,37

Narcissists report high degrees of self-esteem but actually possess abundant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i.e., shame).34,35 They generally minimize shame by keeping negative self-representations implicit and maximize hubristic pride by continually inflating positive self-representations.22 As a result, self-esteem in narcissists is contingent on performance outcomes, frequent external validation, and suppression of shame.22,36,37


성과목표를 지향하는 모든 학습자들이 나르시시스트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부끄러워하거나" 또는 "취약한" 나르시시스트 학습자들과 마찬가지로(더 공격적이고 "과장형" 유형과는 반대됨)performance goal을 지향하는 이 학습자들도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지 못하거나 자신의 자부심이 의존하는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치심에 노출될 수 있다.

We are not arguing that all learners oriented toward performance goals are narcissists. However, Consistent with “shy” or “vulnerable” narcissists (as opposed to the more aggressive, “grandiose” types),38 these learners may be predisposed to shame if they do not receive the approval of others or meet the unrealistically high standards on which their self-esteem depends.


대안적으로, 학습 목표 달성에 따른 진정한 자부심의 표시는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성과 온전한 자기가치의 존재를 반영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display of authentic pride following achievement of a learning goal may reflect the presence of shame resilience and intact self-worth.


자기인식적 감정과 정서적 회복탄력성

Using Self-Conscious Emotions to Build Emotional Resilience


"감정적 회복탄력성 훈련"의 성과는 학습자와 교사가 

  • 해로운 자의식적 감정(예: 수치심)이 발생할 경우 그것을 인식할 수 있고

  • 진실하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그들과 engage할 수 있으며,

  • 그러한 감정을 의식적으로 더 건설적인 감정 반응(예: 죄책감)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The outcome of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would be learners and teachers who 

  • are able to recognize damaging self-conscious emotions (e.g., shame) when they occur, 

  • engage with them in an authentic and open way, and 

  • mindfully transform them to more constructive emotional responses (e.g., guilt).


이 훈련은 다음을 다룰 수 있다.

The training might specifically address 

  • 자기인식적 감정의 기원, 차이 및 결과2 
  • 심한 수치심 반응이나 지나친 자만심 때문에 고군분투하는 학습자를 식별하는 방법 
  • 피드백, 교정조치 및 소크라테스 질문을 무해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18,39,40; 
  • 학습자가 오류를 범하는 수치심-복습적 접근방식과 성공을 위한 진정한 접근방식으로 안내하는 방법41 
  •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감정을 공유하고 도움을 얻기 위해 필요한 환경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43
  • the origins, differences, and outcomes of the self-conscious emotions2; 

  • how to identify learners struggling with severe shame reactions or excessive hubristic pride; 

  • how to provide feedback, remediation, and Socratic questioning in a nonshaming manner18,39,40; 

  • how to guide learners to shame-resilient approaches to making an error and authentic approaches to succeeding41; and 

  • how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learners to willingly share emotions and reach out for help.42,43


정서적 회복력 훈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개인적인 감정에 대해 개방적이고 정직하게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학습 환경에서의 심리적 안정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로 할 것이다.43

The success of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which would require open, honest engagement with highly personal emotions, would be heavi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requiring concomitant efforts to instill and maintain its presence.43


Concluding Remarks


우리가 우리 자신을 보고 평가하는 방법을 추진하는 감정에 대해 "커튼을 젖힘"으로써, 우리는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 오늘날의 학습 환경에서 의료 훈련자가 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그 경험을 어떻게 양육하고 최적화하는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By “pulling back the curtain” on the emotions that drive how we view and evaluate ourselves, we believe that learners and educators alike will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 medical trainee in today’s learning environment and how best to nurture and optimize the experience.




27 Cook DA, Artino AR Jr. Motivation to learn: An overview of contemporary theories. Med Educ. 2016;50:997–1014.







 2018 Jun;93(6):874-880. doi: 10.1097/ACM.0000000000001970.

Who Am I, and Who Do I Strive to Be? Applying a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o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W.E. Bynum IV was attending faculty, National Capital Consortium Family Medicine Residency, Fort Belvoir Community Hospital, Fort Belvoir, Virginia, at the time this article was written. He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and Family Medicine, Duk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urham, North Carolina, now; ORCID: http://orcid.org/000-0003-3796-9301. A.R. Artino Jr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ORCID: http://orcid.org/0000-0003-2661-7853.

Abstract

The self-conscious emotions of shame, guilt, and pride are a distinct set of cognitively complex, powerful, and ubiquitous emotions that arise when an individual engages in self-evaluation. Currently, little is known about the influence or outcomes of self-conscious emotions in medicallearner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present a leading theory of self-conscious emotions that outlines the appraisals and attributions that give rise to and differentiate shame, guilt, and two forms of pride. The authors then apply the theory to three relevant topics in medical education: perfectionism,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motivation. In doing so, the authors present novel ways of viewing these topics through the lens of self-conscious emotion, suggest areas of future research, and outline a framework for emotional resilience training. Ultimately,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the fundamental nature of shame, guilt, and pride, which the authors believe are underappreciated and understudied in medical education, and to inform future empirical study on the role that these emotions might play in medical education. Additionally,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is article aims to encourage educators and learners to recognize self-conscious emotions in themselves and their colleagues, and to begin developing more resilient approaches to learning-approaches that acknowledge and confront shame, guilt, and pride in medical education.

PMID:
 
29068821
 
DOI:
 
10.1097/ACM.0000000000001970


시스템과 맥락적 변화의 생태학적 이론(Med Educ, 2017)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nd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Rachel H Ellaway,1 Joanna Bates2 & Pim W Teunissen3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흔히 의학교육 관행을 표준화하고 정상화하는 것을 고려한다(일반적으로 효율과 품질 보장을 위해).

대조적으로, 우리는 (편견과 불평등에 대항하는 방식으로) 다양성을 장려하고 추구한다.

We often look to standardise and normalise medical education practices(typically in the interests of efficiency and quality assurance)2,3; by contrast, we encourage and pursue diversity (often as a way of challenging bias and inequality).4,5 


실험의 전통은 맥락의 영향을 '통제된 변수'로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더 많은 사회-구성주의적 접근법에서는 사회 현상이 발생하는 '맥락'을 명시적으로 검토한다. 6 이와 유사하게, 효능efficacy 연구는 통제된 조건에서 특정한 개입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하는 반면, 반면에 효과effectiveness 연구는 맥락이 개입의 효과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The experimental tradition tends to minimise the effects of context as ‘controlled variables’, whereas more social constructive approaches explicitly examine the contexts within which social phenomena occur.6 Similarly, efficacy research explores how a particular intervention work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whereas effectiveness research focuses on how context changes the erstwhile efficacy of an intervention.7


학습자가 여러가지 맥락(예: 임상적 로테이션 및 배치) 사이를 이동할 때, 의학교육에서 맥락의 역할은 특히 중요해진다. 또는 주어진 맥락이 변경되는 경우(예: 두 개의 교육 병원 통합)에도 그러하다. 문제는 맥락의 변화가 학계에서 무시되어 온 것이 아니라, 공통된 개념과 일관성이 없는 상태로 다루어져왔다는 것이다.13

The rol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become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learners move between contexts (e.g. clinical rotations and placements)11 or when a given context is changing (e.g. merging two teaching hospitals).12 The problem is not that contextual change has been ignored in scholarship, but rather that it has been addressed inconsistently and with a lack of common concepts.13



배경BACKGROUND


임상 훈련 환경은 '환자, 장소, 의료행위의 문화와 보건 시스템, 의학교육, 사회, 그리고 이러한 패턴 사이의 예측할 수 없는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역동적이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시스템'이다.13

A clinical training context is ‘a dynamic and ever- changing system that emerges from underlying patterns of patients, locations, practice culture and health systems, medical education, and society, and from the unpredictabl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atterns’.13


예를 들어, 경험론적 입장의 기본은 상황적 '개입'을 통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complex adaptive system(CAS)의 관점에서 의학교육에서 '맥락적 변화'의 역할에 대한 탐구가 있었다. 임상의학교육은 교육과 헬스케어 사이의 교차점에서 이루어지며, 이 또한 CAS로 묘사되어 왔다.

For instance, although the default empirical stance has focused on controlling for contextual ‘interference’, there has been some exploration of the role of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from a complex adaptive systems (CAS) perspective.18,19 Clinical medical education happens at the intersection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care, which has also been described as a complex adaptive system.20,21


임상의학교육은 임상의학 세팅을 둘러싼 의료기관을 둘러싼 의료시스템을 둘러싼 사회를 둘러싼 것들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기서 사회는 헬스케어에 지원되는 자금의 방향을 결정하고 환자를 공급한다. 실제 임상현장의 상류에서, 심지어 훨씬 더 상류에서의 변화조차 의학 교육의 맥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댐이 훨씬 아래쪽에 있는 강의 하류 생태계를 변화시키는 것처럼, 사회의 변화는 교사와 학습자들이 위치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Clinical medical education is also nested within a clinical health care setting, within a health care institution, within a health system, within a society that directs the funding to health care and supplies its patients. A shift upstream, even far upstream, can affect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Just as the damming of a river changes the ecology far downstream, so a change in society, can greatly impact the contexts that teachers and learners have to work in. 


대안적 접근법은 시스템의 생태학적 이론에서 개념을 끌어내는 것이다. ETS는 생태계를 고려하여, 왜, 그리고 어떻게 생태계가 변화에 대응하고 반응하는지 설명한다.

An alternative approach is to draw on concepts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ETS). ETS consider ecological systems and why and how they change or respond to change.


ETS 개념은 의학교육 맥락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리고 그 안에 있는 개인이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조명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다음과 같은 공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ETS concepts can illuminate how medical education contexts change, and how the individuals within them respond to change. In doing so we base our work on the following axioms:


  • 역량은 개인의 본질적인 특성이 아니다. 역량은 특정 맥락에서 그리고 특정한 맥락에서 표현되는 최적의(또는 거의 최선의) 성과를 제정한 것이다.26

  • 퍼포먼스는 개인의 변화에 의해 불안정하거나 약화될 수 있다.

  • 퍼포먼스는 맥락이 변화하거나 또는 한 개인이 새로운 컨텍스트로의 전환될 경우에 불안정하거나 약화될 수 있다.

  • Competence is not an intrinsic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it is an enactment of optimal (or near-optimal) performance expressed in and for a particular context.26

  • Performance can be destabilised or eroded by changes in the individual.
  • Performance can also be destabilised or eroded by changes in context or by the individual transitioning to a new context.


상황 변화가 개인의 수행에 지장을 주고 회복 또는 수용의 형태로 이어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그림 1 참조).

We can represent the effect of a contextual change disrupting an individual’s performance followed by some form of recovery or accommodation (see Fig. 1).



ETS 개념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ETS) CONCEPTS


핵심 ETS개념은 다음과 같다.

We can consider a number of core ETS concepts (see also Table 1).



생태계

Ecological system


  • '생태계'라는 용어는 디콘텍스트화 된 생물체에서 특정 환경 내에서 상호의존적인 물리적, 생물학적 요소들로 바뀌는 학문적 초점을 반영하기 위해 1930년대에 처음 만들어졌다. '시스템 생태학'은 생태계의 역학을 고려하는 방법으로서 개발되었다. 홀링과 동료들은 [시스템 변화의 방식과 이유], [시스템 내의 엔티티가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초점을 두었고, '위계와 및 적응적 주기가 여러 scale에 걸쳐 생태계 및 사회-생태학적 시스템의 기초를 구성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 the term ‘ecosystem’ was first coined in the 1930s to reflect a shifting scholarly focus from decontextualised biological entities to interdependent physical and biological elements within a particular environment.30 ‘Systems ecology’ was developed as a way of considering the dynamics of ecosystems.31 The work of Holling and colleagues focused on how and why systems change, and how entities within systems respond to change, noting that ‘hierarchies and adaptive cycles comprise the basis of ecosystems and social-ecological systems across scales’.32 

  • 생태계의 생물 구성 요소(식물 및 동물)는 '생물학적 요인'이며, 살아있지 않은 것(기후, 지리, 물리적 환경)은 '무생물학적 요인'이다. 생태계는 전형적으로 상호의존적인 생물적, 무생물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생태계는 또한 '사회-문화적 요인'을 포함한다..

  • An ecological system’s living components (plants and animals) are its ‘biotic factors’ and the non- living components (climate, geography and physical environment) are its ‘abiotic factors’. Ecological systems typically consist of multiple interdependent biotic and abiotic components. Socio-ecological systems also involve ‘socio- cultural factors’.


적응 주기

Adaptive cycles:

  • 생태계는 역동적이고, 짧은 disruption and change 사건을 거치는 주기를 겪으며, 변화 이후에는 안정과 통합의 긴 기간이 뒤따른다. 홀링은 적응형 사이클의 4가지 단계를 설명했다: 방출, 재편성, 착취, 보존. 

  • ecological systems are dynamic and cycle through short episodes of disruption and change followed by longer episodes of stability and consolidation. Holling described four stages in adaptive cycles: 

    • release, 

    • reorganisation, 

    • exploitation and 

    • conservation. 

  • 생태계가 붕괴되면 새로운 환경에 맞게 재편성될 필요가 생긴다. 생태계는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특정한 configuration으로 합쳐지며(exploitation), 이것은 다른 configuration을 가로막는다(conservation). '패나키'라는 개념은 종종 크고 작은 적응 주기의 nesting을 말하는데, 이 때 [더 크고 느린 적응 사이클]이 [더 작고 더 빠른 적응 사이클]을 구속한다는 개념이다.

  • When an ecosystem is disrupted it needs to reorganise to suit the new conditions. The ecosystem gradually coalesces around a particular configuration (exploitation) that over time precludes any other configuration (conservation).33 The related concept of ‘panarchy’ reflects the nesting of larger and smaller adaptive cycles within an ecological system where larger and often slower adaptive cycles constrain the smaller and faster ones.33,34


어트랙터와 리펠러

Attractors and repellers:

  • 적응형 순환은 다양한 힘과 영향에 의해 추진되며, 그 중 일부는 '어트랙터'가 될 수 있다.35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태계에서 하나의 지배적인 어트랙터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지만, 생태계는 실제로는 일반적으로 소형 및 대형 적응형 사이클 모두를 구동하는 다수의 변화하는 어트랙터를 가질 것이다. 

  • adaptive cycles are driven by a range of different forces and influences, some of which can be ‘attractors’ and others ‘repellers’.35 Although we typically tend to focus on a single dominant attractor in an ecosystem, in practice ecological systems will usually have multiple changing attractors that drive both small and large adaptive cycles. 

  • 어트랙터와 리펠러는 기능적으로 유사하다(어댑티브 사이클을 구동한다는 점에서). 이 둘은 그것들이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요인 또는 인자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 측면에서만 다르다. 하나의 적응형 주기 내의 어트랙터와 리피터가 다른 적응형 주기에서는 다르게 기능할 수 있으며, 한 경우에 어트랙터로 기능하는 것이 다른 상황에서는 중립적이거나 심지어 리펠러일 수 있다. 생태계에서 'Basin of attraction'이라는 누적적 개념은 생태계가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설정을 수립하는 어트랙터와 리펠러 사이의 균형을 의미한다.

  • Attractors and repellers are functionally similar (in that they drive adaptive cycles); they only differ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influence relative to the factor or factors in a system they are influencing. An attractor or repeller within one adaptive cycle may function differently within another, and what functions as an attractor for one group may be neutral or a repeller for another. A cumulative concept of an ecosystem’s ‘basin of attraction’ refers to the equilibrium between the attractors and repellers around which an ecosystem establishes a relatively stable configuration.


시스템 관리

Systems management:

  • 생태계의 안정성은 변화에 적응함으로써 역동적으로 유지된다. 일상의 동요perturbation는 그것을 일시적으로 그리고 약간 불안정하게 할 수 있지만, 그것이 homeostasis로 돌아가지 않는(못하는) 정도까지 불안정하게 만들 수 없다. 어떤 변화는 시스템을 정상 상태로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불안정하게 만들 수도 있으며, 이 때 시스템은 새로운 homeostatic 상태를 수립할 수도 있고, 혹은 완전히 붕괴할 수도 있다.36 

  • an ecosystem’s stability is maintained dynamically by adjusting to change; everyday perturbations may temporarily and modestly destabilise it but not to the point at which it does not (or cannot) return to homeostasis. Other changes may destabilise a system to the point that it cannot regain homeostatic state, at which point it either establishes a new homeostatic state or it fails altogether.36 

  • 사회적, 생물학적 생태계 모두 어느 정도 관리될 수 있다. Hilborn은 반응형, 수동형 또는 능동형 시스템 관리를 구별했다. 

    • 반응적 관리는 명확한 모니터링이나 평가를 포함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시스템 내의 사람들은 그 영향이 명백해질 때에만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 수동적 관리는 명확한 모니터링과 평가를 포함하며, 시스템에 대한 영향이 명백해지기 전에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 능동적 관리는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것을 포함하며, 선도적으로 시스템을 방해하는 변화를 덜 발생시키는 것이다.37

  • Both social and biological ecosystems can be (to some extent) managed. Hilborn differentiated between reactive, passive or active systems management. 

    • Reactive management involves no explicit monitoring or evaluation and, as a result, those within the system can only respond to change once its effects become apparent. 

    • Passive management involves explicit monitoring and evaluation so that the system can anticipate changes before their effects are apparent. 

    • Active management involves modelling the system and pre-emptively making it less prone to disruptive change.37




변화에 대한 대응

Responses to change: 


대부분의 시스템은 일정한 유동적 상태에 있다. 그러나, 어떤 변화는 시스템 지속 가능성에 필수적이지만, 다른 변화는 파괴적일 수 있다. 시스템의 생태학적 이론은 시스템이 [파괴적인 변화에 반응하는 방식]을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현상을 모델링한다.

most systems are in a constant state of flux. However, although some change is essential to system sustainability, other change can be disruptive.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model different phenomena in the way that systems respond to disruptive change.


회복탄력성

Resilience: 

    • 홀링은 생태계의 '회복탄력성'이란 변화에 직면한 생태계의 관계와 기능의 지속성이라고 정의했다.32 최근에 워커는 회복탄력성이란 'disturbance를 흡수하고, 근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변화를 겪는 동안 재조직화하는 시스템의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38 

    • Holling defined an ecological system’s ‘resilience’ as the persistence of its relationships and functions in the face of change.32 More recently, Walker defined resilience as ‘the capacity of a system to absorb disturbance and reorganise while undergoing change so as to retain essentially the same function’.38 

    • Gunderson은 다음을 구분하였다

      • '공학적 회복탄력성': 방해된 시스템이 교란 전과 정확히 동일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

      • '생태학적 회복탄력성': 스템은 다수의 stable state를 가지고 있으며, 교란되었을 때 이 여러 상태 중 하나를 오갈 수 있는 것

    • Gunderson differentiated between 
      • ‘engineering resilience’ where a system that has been disturbed returns to exactly the same state it was in before the disturbance, and 
      • ‘ecological resilience’ where a system has multiple stable states that it may move between when disturbed.39


적응력

Adaptability: 

    • 시스템의 핵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나 붕괴에 대응하는 생태계의 능력이다. 인간 시스템의 관점에서, 적응성은 변화를 관리하는 시스템 내 개인의 집합적 능력이다.38 생태학적 시스템 관점에서, 회복탄력성은 전체 시스템이 갖는 퍼포먼스의 퀄리티인 반면, 적응성은 시스템 참여자들이 시스템의 복원력에 기여하는 수단이다.

    • is the ability of an ecological system to respond to change or disruption so as to maintain the core functions of the system. From a human systems perspective, adaptability is the collective capacity of individuals in a system to manage change.38 From the ecological systems perspective, resilience is a performative quality of a system as a whole, whereas adaptability is the means by which participants in a system contribute to its resilience.


변형가능성

Transformability:

    • 생태학적, 경제적, 사회적 또는 정치적 조건들이 기존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들 때 근본적으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다.38 적응력은 모달modal 시스템 상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라면, 변형가능성은 새로운 안정 상태를 구축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상태가 유지불가능할 때 다른 기능을 갖추는 것이다.

    • is the capacity to create a fundamentally new system when ecological, economic, social or political conditions make the existing system untenable.38 Although adaptability is about retaining a modal system state and function, transformability is about establishing a new stable state but with a different function once the old state becomes untenable.



히스테레시스

Hysteresis: 

  • 파괴적 영향에 대해 생태계가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붕괴의 시작과 그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 사이에는 지연이 있고, 그 다음, 붕괴의 원인이 사라진 후에, 약간의 지연이 있고, 그 이후에 시스템의 반응이 종결된다. 이러한 행동을 '히스테리시스'라고 하는데, 이것은 개인, 학급, 학교 또는 전체 교육 시스템의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 ecological systems rarely respond instantly to disruptive influence; there is typically a delay between the start of the disruption and the system’s response to it, and then, after the source of disruption has gone, there is a delay before the system’s response ends. This behaviour is called ‘hysteresis’, which may occur at the level of an individual, class, school or whole educational system. 

  • 더욱이, 변화에 대한 반응은 시스템이 최근에 겪은 적응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히스테리시스는 변화의 속도와 반응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변화는 느리지만(예: 의대 수업에서 남자 대 여자 비율을 바꾸는 것), 다른 변화는 더 빠르다(예: 자금 삭감이나 사회 불안). 변화의 속도와 시스템이 반응할 수 있는 속도는 일반적으로 서로 거울이 될 것이다. 시스템의 반응이 필요한 변화 뒤에 있을수록 이력 효과가 더 커진다.

  • Moreover, the response to change may be influenced by recent adaptations a system had to make. Hysteresis depends both on the speed of change and the speed of response. Some change is slow (such as the shifting male to female ratio in medical school classes), whereas other change is more rapid (such as funding cuts or social unrest). The speed of change and the speed at which a system is able to respond will generally mirror each other; the more a system’s response falls behind the changes that require it, the greater the hysteresis effect.


고찰

DISCUSSION


시스템에 대한 생태학적 이론의 개념을 사용하면 복잡한 적응 시스템 이론의 설명적 능력을 넘어 다른 환경에서 동일한 상황 변화가 왜 서로 다른 시스템과 개별적 반응을 다르게 만드는 방법과 이유가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Using concepts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llows us to go beyond the descriptive capabilities of complex adaptive systems theory18 to understand how and why the same contextual change in different settings can lead to different system and individual responses.


또한 ETS 개념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상황 변화에 대해 서로 다른 반응을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다. 

  • 맥락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의학 교육의 연속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반영됨) 

  • 시스템을 disrupt하는데 필요한 변화를 증가시킴(예: 품질 개선 프로젝트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40 

  • 시스템이 중단되면 복구하는 데 필요한 노력 및 시간 절감(예: 학습자가 의료 오류를 처리하도록 준비)41 

  • disruptive한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시스템 적응성 향상(예: 핵심 교수진 또는 리소스 손실)

ETS concepts can also allow us to compare and contrast different responses to contextual change, such as: 

  • avoiding or minimising the impact of contextual change (reflected in the pursuit of continuity in medical education)9; 

  • increasing how much change it takes to disrupt a system (such as engaging students in quality improvement projects)40; 

  • reducing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for systems to recover following disruption (such as preparing learners to deal with medical errors)41;or 

  • increasing system adaptability in response to disruptive change (such as the loss of key faculty members or resources).


또한 변화에 대한 

  • 전 대응적 반응(일반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을 개발함으로써 학습자를 변화에 대비시킴)과 

  • 후 대응적 반응(변화가 발생하는 중 또는 그 이후에 학습자의 특정 변화에 대한 대응을 도움)

...을 보다 쉽게 비교할 수 있다.

We can also more easily compare 

  • proactive responses to change (preparing learners by developing their skills in responding to change in general) with 

  • reactive responses (helping learners to respond to specific changes as they are happening or in their aftermath).


다음을 추구해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e might seek to:
  • 교육 프로그램의 변경을 덜 자주 또는 덜 갑작스럽게 하거나, 혼란을 덜 일으키는 교육 환경을 설계하여 상황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노출을 줄이십시오.

  • Reduce learner exposure to contextual change by making changes in a training programme less frequent or less abrupt, or by designing training contexts to be less prone to disruptive change.


  • Disruption 발생 시 다음을 활용하여 의료 교육 시스템의 복원력 향상시킨다.
    • 생물학적 요인(예: 교수진들이 교수법에 더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 
    • 무생물학적 요인(예: 다른 목적을 위해 교실을 더 구성하도록 만드는 것) 또는 

    • 사회 문화적 요소(예: 커리큘럼을 변화를 더 쉽게 만드는 것) 또는 

    • 이러한 요소의 다양한 조합

  • Increase or enhance medical education system resilience in the face of disruption through 

    • its biotic factors (such as helping faculty members to be more adaptable in their approaches to teaching), 

    • its abiotic factors (such as making classrooms more configurable for different purposes) or 

    • its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making it easier to make changes to the curriculum), or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factors.

  • 학습자를 지원하여 개인 및 집단 안정성 향상 또는 향상 
    •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성능을 유지하게 하는 것(예: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어트랙터와 리펠러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 증가) 
    • 성능이 저하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복구하는 것(학습에 대한 보다 신중한 접근 방식을 개발하거나 언제 도움을 요청할지 아는 것)
  • Increase or enhance individual and collective stability by helping learners 

    • to sustain their performance in the face of disruptive change (such as increasing individual awareness of the attractors and repellers impacting their performance) or 

    • to recover more efficiently as and when their performance is disrupted (such as developing a more deliberate approach to learning, or knowing when to ask for help).


  • 변화에 대한 히스테리시스를 줄이는 것(예: 커리큘럼 구조를 덜 rigid하게 만드는 것)과 적절한 시간에 변화에 대한 응답 종료(예: 교정조치에 지속적인 평가 및 피드백 루프 사용)

  • Reduce hysteresis both in responding to change (such as making curricular structures less rigid) and in ending responses to changes at the right time (such as using continuous evaluation and feedback loops in remediation).



그러나 특히 변화와 붕괴의 패너키적panarchic 성격을 감안할 때 변화를 완화할 수 있거나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의학교육은 각 대학이 통제권을 거의 갖지 못하는 더 상위 구조인 대학, 보건 시스템 및 사회의 시스템 안에 nesting되어있다. 이와 같은 더 상위 구조에서 발생하는 파괴적 변화는 의학교육 생태계에서 혼란스러운 상황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성별과 장애에 대한 사회적 태도를 바꾸는 것은 최근 수십 년 동안 의학 교육의 입학과 숙식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are limits to which change can or should be mitigated, particularly given the panarchic nature of change and disruption. After all, medical education is nested in larger systems of universities, health systems and societies, over which it has little or no control; disruptive change in any of these broader systems is likely to lead to disruptive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ecologies. For instance, changing societal attitudes towards gender and disability have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admissions and accommodations in medical education in recent decades. 


회복탄력성(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원래 기능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변형가능성(기능을 변화시킴으로서 변화에 대응)의 개념이 이 점에 핵심적이다. 비록 의학 교육이 거시적 수준에서 회복탄력적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계속 생산되고 있다.), 의학교육은 [사회적 임무, 분산된 의학 교육, 교육 기술과 교육적 방법, 그리고 졸업생들의 기대 역량 같은 분야에서] 상당한 수준의 변형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concept of transformability (respond to change by changing functions) rather than resilience (retaining original functions despite contextual change) is central to this point. Although it could be said that medical education is resilient at the macro level (it has continued to produce doctors despite changing circumstances), it has shown a significant degree of transformability in areas such as social missions, distributed medical education,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pedagogical methods, and the expected competencies of a graduating doctor.


ETS 개념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또 다른 핵심 질문은, transition 기간에 회복탄력성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맥락적 변화에 대해 학습자를 보호하는 것보다, 맥락적 변화에 대한 학습자의 대응능력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한가 하는 것이다.42 궁극적으로, 맥락적 변화를 세심하게 모니터하여, 학습자들이 나중에 임상현장에 들어섰을 때 당면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만 한다면, 맥락적 변화에 노출되는 것은 도움이 된다. 

Another key question that arises from the use of ETS concepts is whether, in developing learner resilience during transitions, it is more important to focus on improving learner responses to contextual change than it is to seek to protect them from contextual change.42 After all, learners may benefit from being exposed to contextual change that is carefully monitored so as to not be overwhelming if it helps them to develop skills in adapting to change once they are in practice. 


만약 [기존의 관행을 disrupt하고 새로운 학습을 받아들이기 위한 목적으로 그 관행을 재발명하는 것]이 전문직업적 발전의 중심이라면, 우리는 학습 성과의 일시적 저하dips를 더 긍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비슷하게, 우리는 교수진을 안락한 지역comfort zone에 두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그들이 전문직업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disrupt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수도 있다.

If disrupting existing practice and reinventing it to accommodate new learning is centr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then we might need to look at dips in learner performance more positively. Similarly, we might seek to build on opportunities to disrupt our faculty members in the interest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trying to keep them in their comfort zones.



의학 교육의 맥락적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관점을 탐구할 때, 우리는 참가자들의 행동이 그들의 근본적인 동기, 정체성, 문화 그리고 다른 개인적,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알려지는 '사회적 생태학'과 함께 일하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사회적 생태계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의도적이든 의도하지 않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38

In explor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we should be clear that we work with ‘social ecologies’ where participants’ actions are informed by their underlying motives, identities, cultures and other personal and social factors. Participants in social ecologies ‘influence resilience, either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38


더욱이, 변화에 대한 반응이 언제나 내면화는 아닐 수 있다. 발생가능한 반응에는 

  • 항(관련된 변화나 그 영향을 거부하거나 무시하거나 역행하려 함) 또는 

  • 응(겉으로는 변화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반대함)도 포함될 수 있다.43 

또한 반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다른 종류와 변화 정도에 따라 이러한 상태 사이를 오갈 수 있다.

Moreover, responses may not be an internalisation of the changing circumstances; responses may involve 

  • resistance (rejecting, ignoring or trying to reverse contextual change or its impacts) or 

  • compliance (adapting to change externally but dissenting internally).43 

Responses may move between these states over time or in response to different kinds and degrees of change.



첫째, ETS는 단일 프레임워크나 일관된 이론의 조직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우세한 모델이나 프레임워크가 없는 교차하는 이론의 움직이는 변화된 몸이다. 실제로, 많은 시스템 이론(소프트, 하드, 인간, 기술 등)이 있다.

Firstly, ETS isn’t a single framework or coherent body of theory; it is a moving, changing body of intersecting theories with no single dominant model or framework. Indeed, there are many systems theories (soft, hard, human, technical, etc.)44



결론

CONCLUSIONS


의료 교육에서 맥락의 본질적으로 유동적인 특성과 상황 변화로 인한 성과에 대한 잠재적인 차질을 고려할 때, 11,45는 우리가 의료 교육 및 직장 시스템의 전체적인 방법과 그들 내부의 개인이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모델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Given the intrinsically fluid nature of context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potential disruptions to performance from contextual change,11,45 it is important that we model how medical education and workplace systems as a whole and how the individuals within them respond to these changes.








29 Pusic MV, Boutis K, Hatala R, Cook DA. Learning curv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cad Med 2015; 90 (8):1034–42.


 2017 Dec;51(12):1250-1259. doi: 10.1111/medu.13406. Epub 2017 Aug 30.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and contextual change in medical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2
Faculty of Medicine,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3
Faculty of Health,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E), Medicine and Life Sciences (FHML),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Abstract

INTRODUCTION: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 is subject to many kinds of change, to which both individuals and systems have to respond and adapt. Many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have their learners rotating through different training contexts, which means that they too must learn to adapt to contextual changeContextual change presents many challenges to medical education scholars and practitioners, not least because of a somewhat fractured and contested theoretical basis for responding to these challenges. There is a need for robust concepts to articulate and connect the various debates on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encompass a range of concepts of how and why systems change and how and why they respond to change. The use of these concepts has the potential to help medical education scholars explore the nature of change and understand the role it plays in affording as well as limi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paper, aimed at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scholars and policy makers, explores a number of key concepts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to present a comprehensive model of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to inform theory and practice in all areas of medical education.

RESULTS:

The paper considers a range of concepts drawn from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including biotic and abiotic factors, panarchy, attractors and repellers, basins of attraction, homeostasis, resilience, adaptability, transformability and hysteresis. Each concept is grounded in practical examples from medicaleducation.

CONCLUSION:

Ecological theories of systems consider change and response in terms of adaptive cycles functioning at different scales and speeds. This can afford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consideration of responses to contextual change in medical education, which in turn can inform the design of educationprogrammes, activities, evaluations, assessments and research that accommodates the dynamics and consequences of contextual change.

PMID:
 
28857233
 
DOI:
 
10.1111/medu.13406


학업적 자기효능감: 이론에서 실천까지(Perspect Med Educ, 2012)

Academic self-efficacy: from educational theory to instructional practice

Anthony R. Artino Jr.





알버트 밴두라의 '자기효능: 단일 행동 변화 이론'이라는 제목의 독창적인 기사의 출판 이후, 사회와 행동 과학의 수많은 연구원들은 광범위한 인간 기능을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자기 효능을 사용해 왔다.

Since the publication of Albert Bandura’s seminal article entitled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1] countless researchers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have used self-efficacy to predict and explain a wide range of human functioning.


이 글의 목적은 사회적 인지 이론의 핵심 요소인자기효능감의의 성격과 구조를 설명하고 의학교육에 대한 몇 가지 잠재적인 교육적 함의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elf-efficacy, a key component of social-cognitive theory, and to provide a brief overview of several potential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자기효능의 특성과 구조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elf-efficacy


알버트 밴두라의 "사회적-인식 이론"에서 "자기 효능" 요소는 학문적 성취, 동기 및 학습 연구에 대단히 중요한 이론적 공헌으로 여겨진다[2, 3, 8].

The self-efficacy component of Albert Bandura’s social-cognitive theory is believed to be a critically important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2, 3, 8].


밴두라[9]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요약했다.

Bandura [9] summariz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the following way:


'사람들은 스스로 인식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자신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대한 인과관계적 기여도를 판단한다. 그 메커니즘에서, 개인의 효능감에 대한 믿음보다 더 중심적이거나 중요한 것은 없다. 사람은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의해 바람직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면, 행동할 동기가 거의 없다. 그러므로, 능률적인 믿음은 행동의 주요한 기본이다. 사람들은 개인적인 효능에 대한 믿음으로 삶을 이끌어간다.'

‘People make causal contributions to their own psychosocial functioning through mechanisms of personal agency. Among the mechanisms of agency, none is more central or pervasive than beliefs of personal efficacy. Unless people believe they can produce desired effects by their actions, they have little incentive to act. Efficacy belief, therefore, is a major basis of action. People guide their lives by their beliefs of personal efficacy.’


밴두라[1, 9, 10]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에 대한 신념은 인간의 기능의 핵심이다. 개인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그들은 전형적이고 중요한 어려운 상황에서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져야 한다.

According to Bandura [1, 9, 10], self-efficacy beliefs lie at the core of human functioning. It is not enough for individuals to possess the requisite knowledge and skills to performa task; they also must have the conviction that they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required behavior(s) under typical and, importantly, under challenging circumstances.


따라서 효과적인 기능을 위해서는 '기술'과 '효능감'이 적절히 갖춰져야 한다. 즉, 개인이 성장하고 학습함에 따라 공동으로 발전하는 두 가지 요소가 그것이다. 게다가 성공적인 인간의 기능을 하는 이 두 가지 요소는 서로 호혜적인 방식으로 작용한다. Bandura[9]는 한 요소의 기능이 부분적으로 다른 요소의 기능에 의존하는 '호혜적 인과'라고 불렀다.

Effective functioning, then, requires skills and efficacy beliefs to execute them appropriately—two components that develop jointly as individuals grow and learn. Moreover, these two components of successful human functioning act upon one another in reciprocal fashion, what Bandura [9] has called ‘reciprocal causation,’ where the functioning of one component depends, in part, upon the functioning of the other.



자기효능감의 정의

Self-efficacy defined


밴두라[10]는 자기효능감을 '특정 퍼포먼스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행동과정을 조직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판단'이라고 정의했다.

Bandura [10] defined self-efficacy as: ‘People’s judgments of their capabilities to organize and execute courses of action required to attain designated types of performances.’


첫째, 자기효과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며, 따라서 특정 영역에서 개인의 실제 능력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연구 결과는 대부분의 개인이 실제로 자신의 학업 능력을 과대평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2, 9] 밴두라[10]는 그러나, 가장 유용한 효능감은 자신의 실제 능력을 약간 초과하는 판단이라고 주장했으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노력과 지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First, self-efficacy is a belief about one’s capability, and as such, does not necessarily match one’s actual capability in a specific domain. In fact, research findings have suggested that most individuals actually overestimate their academic capabilities [2, 9]. Bandura [10] argued, however, that the most useful efficacy judgments are those that slightly exceed one’s actual capabilities, as this modest overestimation can actually increase effort and persistence during difficult times.


밴두라의 자기 효용성 정의에서 두 번째 중요한 측면은 개인이 어떤 목표('지정된 유형의 성과' 포함)를 기준으로 효능감을 판단한다는 이용한다는 생각이다. 즉, 자기효능감은 과제특이적이고 상황특이적이다.

A second important aspect of Bandura’s definition of self-efficacy is the idea that individuals make use of their efficacy judgments in reference to some goal (‘attain designated types of performances’), which reflects both the task- and situation-specific nature of efficacy beliefs.


이러한 자기효과의 측면은 능력에 대한 자기개념과 자기인식과 같은 보다 일반적인general 기대치 측정과는 대조적이다. 자기개념이나 자기인식은 domain-specific 할지라도 좀 더 global한 자기인식인 경향이 있다[2].

This aspect of self-efficacy stands in contrast to more general measures of expectancy, such as self-concept and self-perceptions of competence which, although they may be domain specific, tend to be more global self-perceptions [2].


인간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influences on human functioning


밴두라[1]는 자기 효능이 개인의 활동, 노력 및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했다.

Bandura [1] hypothesized that self-efficacy affects an individual’s choice of activities, effort, and persistence.


개인의 대부분의 성공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사람들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더 오래 지속한다'는 경향은 특히 중요하다. 그래서 낮은 자기효능감은 self-limiting process가 된다. 그렇다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삶의 피할 수 없는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한 회복탄력성과 연계하여, 인간은 특정 업무에 대해서 자기효능에 대한 강한 감각이 필요하다[9].

The tendency for efficacious people to ‘expend more effort and persist longer’ is of particular importance because most personal success requires persistent effort. As such, low self-efficacy becomes a self-limiting process. In order to succeed, then, individuals need a strong sense of task-specific self-efficacy, tied together with resilience to meet the unavoidable obstacles of life [9].


자기효능감의 근원

Sources of self-efficacy


자기 효능 이론은 사람들이 네 가지 주요 출처에서 효능 믿음을 평가하기 위해 정보를 얻는다고 가정한다. 

    • (a) 능동적인 숙련 경험(실제 성과) 

    • (b) 타인에 대한 관찰(다양한 경험) 

    • (c) 구두 또는 기타의 설득의 형태 

    • (d) '사람들이 부분적으로 그들의 변덕성, 힘, 기능장애에 대한 취약성을 판단하는 생리적 및 정서적 상태' [9].

Self-efficacy theory postulates that people acquire information to evaluate efficacy beliefs from four primary sources: 

    • (a) enactive mastery experiences (actual performances); 

    • (b) observation of others (vicarious experiences); 

    • (c) forms of persuasion, both verbal and otherwise; and 

    • (d) ‘physiological and affective states from which people partly judge their capableness, strength, and vulnerability to dysfunction’ [9].

이 네 가지 정보 출처 중, 연구에 따르면, enactive mastery 경험은 개인이 성공에 필요한 자원을 모을 수 있다는 가장 직접적이고 진정한 증거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기효능감에 대한 정보를 주는 가장 영향력 있는 원천이라고 한다[1, 9].

Of these four information sources, research has shown that enactive mastery experiences are the most influential source of efficacy information because they provide the most direct, authentic evidence that an individual can gather the personal resources necessary to succeed [1, 9].


실패가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효능감에 대한 강도]와 [수행 경험을 전체로 보았을 때 실패의 시기]에 달려있다. 다시 말하면, 초반의 실패에 비해서 후반의 실패는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the effects of failure on personal efficacy really depend on the strength of individuals’ existing efficacy beliefs, as well as the timing of failures with respect to the totality of their performance experiences. In other words, later failures may not negatively impact efficacy beliefs to the same extent as earlier failures might.


개인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의 성공과 실패를 관찰함으로써 배울 수 있다. 밴두라[1, 9]에 따르면, 소위 대리 경험이라 불리는 것은 관찰자들에게 [자신도 끈기와 노력을 통해 마찬가지로 성공을 이룰 수 있다]는 효과적 믿음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의 관찰과 모델링에 의해서만 유도되는 효능 믿음은 더 약한 편이며, 변화에 더 취약해지는 경향이 있다[1].

individuals can also learn by observing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others. According to Bandura [1, 9], so-called vicarious experiences can generate efficacy beliefs in observers that they too can attain success through persistence and effort. However, efficacy beliefs induced solely by observation and modeling of others tend to be weaker and more susceptible to change [1].


세 번째 출처: 밴두라의 말로 하자면: [9] '효능감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데 '언어적 설득'의 힘만으로는 제한될 수 있지만, 긍정적인 평가가 현실적인 범위 내에 있다면 그것은 자기 변화를 강화할 수 있다.' 반면에 지나치게 낙관적인 설득적 언어는 효과적이지 못한 경향이 있다. 특히 설득을 받는 사람이 결국 실패할 경우, 설득자의 신용을 떨어뜨리고 수혜자의 효능 믿음을 약화시키는 결과다[9].

A third source: In the words of Bandura: [9] ‘verbal persuasion alone may be limited in its power to create enduring increases in perceived efficacy, but it can bolster self-change if the positive appraisal is within realistic bounds.’ On the other hand, overly optimistic persuasive comments tend to be ineffective, particularly if the individual being persuaded ultimately fails—a result that acts to discredit the persuader and undermine the recipient’s efficacy beliefs [9].


네 번째와 마지막 출처: 인간은 생리적 반응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인지적으로 평가하며, 자극의 수준과 개인의 인지 평가에 따라 효과적 믿음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The fourth and final source: information conveyed by physiological reactions is cognitively assessed by individuals and can positively or negatively influence efficacy beliefs, depending on the level of arousal and a person’s cognitive appraisal [9].


자기효능감 측정: 영역 특이성

Measuring self-efficacy: domain specificity


자기효과의 중요한 측면은 그 영역특이성이다. 즉, 사람들은 "특정 기능 영역에 대해서" 자신의 능력을 판단한다[11]. 따라서 한 영역에서 높은 자기효능감이 반드시 다른 영역에서 높은 효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An important aspect of self-efficacy is its domain specificity. That is, people judge their capability depending on the particular domain of functioning [11]. As such, high self-efficacy in one domain does not necessarily mean high efficacy in another.


교육적 연구에서 인지된 자기효능감은 흔히 참가자들에게 필요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믿음의 강도를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자체 보고서 조사를 사용하여 측정된다[11]. 그러나 많은 경우에 연구자들은 대부분 construct에 대한 오해로 인해 자기 효능을 잘못 판단했다[2, 9, 11]. Pajares [2]가 지적한 바와 같이, '자기효능에 대한 판단은 과업이고, 영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global하게 또는 부적절하게 정의된 자기효능감은 그 효과를 약화시킨다.'

In educational research, perceived self-efficacy is often measured using self-report surveys that ask participants to rate the strength of their belief in their ability to execute the requisite activities [11]. In many cases, however,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mis-measured self-efficacy due, in a large part, to their mis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2, 9, 11]. As Pajares [2] pointed out: ‘Because judgments of self-efficacy are task and domain specific, global or inappropriately defined self-efficacy assessments weaken effects.’


효능감 척도는 두 가지 이론적 지침을 따라야 한다. 

  • (a) 과제의 특정 측면을 평가해야 한다. 

  • (b) 특수성은 평가되는 과제의 특성과 분석되는 기능functioning 영역에 해당되어야 한다.

the efficacy scale follows two theoretical guidelines: 

  • (a) it assesses specific aspects of the task and 

  • (b) the specificity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being assessed and the domain of functioning being analyzed.


따라서 일반적인, 맥락이 제거된 disposition의 '옴니버스식 측정'은 상대적으로 약한 예측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반면에 효능감을 특정 영역과 연계하여 측정한 것은 경험적으로 수많은 결과의 좋은 예측 변수임을 보여주었다.

Thus ‘omnibus measures’ of general, contextless dispositions have relatively weak predictive power, whereas domain- linked measures of perceived efficacy have been shown empirically to be good predictors of numerous outcomes.


밴두라[9]는 자기효능감이 '특정 상황의 특정한 행동'에만 관계된다고 믿는 것은 옳지 않다고 경고했다.

Bandura [9] warned that it is incorrect to believe that self-efficacy is concerned solely with ‘specific behaviors in specific situations.’


사실 Bandura는 세 가지 평가 단계를 구별했다. 

  • 가장 구체적인 수준은 좁은 범위의 조건 하에서 특정한 성취에 대한 자기효율을 측정한다. 

  • 다음 단계는 동일한 영역 내에서 그리고 유사한 조건에서 퍼포먼스 등급에 대해 인지된 효능감을 측정한다. 

  • 마지막으로, 가장 일반적인 수준의 '공통 속성을 공유하는 활동이나 조건을 명시하지 않고 개인의 효율성에 대한 믿음을 측정한다' [9].

In fact, Bandura distinguished among three levels of generality of assessment. 

  • The most specific level measures self-efficacy for a particular accomplishment under a narrowly defined set of conditions. 

  • The next level measures perceived efficacy for a class of performances within the same domain and under similar conditions. 

  • Finally, the most general level ‘measures belief in personal efficacy without specifying the activities or the conditions sharing common properties’ [9].


의학교육에서 자기효능감: 교육적 함의

Self-efficacy in medical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다양한 학문적 영역에서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학생들은,

  • 해당 분야에서 지식, 기술 및 능력의 개발을 촉진하는 과제에 적극적이며

  • 도전에 직면하여 노력하며,

  • 더 끈기있게 도전 과제를 붙잡는다[7, 8]. 

게다가, 자기효율이 노력의 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이외에도, 학업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더 깊은 인지 및 메타인지적 처리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에, 노력의 질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the evidence has shown that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in various academic domains choose to engage in tasks that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ir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in those areas; exert effort in the face of difficulty; and persist longer at challenging tasks [7, 8]. Furthermore, besides the positive influence that self-efficacy appears to have on the quantity of effort, there is evidence that students high in academic efficacy differ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ir effort, using more deep cognitive and metacognitive processing strategies


단순히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다고 해서 학습자가 이를 적용하기 위한 동기가 부여되지는 않는다[8]. 대신에 학생들은 다양한 영역 내에서 그리고 다양한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의지' 두 가지가 필요하다[13].

simply possessing knowledge and skills does not ensure that learners will be motivated to apply them [8]. Instead, students need both ‘the skill and the will’ to successfully function within different domains and under a variety of circumstances [13].


분명히, 학생들에게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 교육 전략은 가장 영향력 있는 자기능감 정보의 원천으로서 enactive attainment에 대한 밴두라의 [1, 9, 10] 강조와 잘 맞는다.

Clearly, instructional strategies focused on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success align well with Bandura’s [1, 9, 10] emphasis on enactive attainment as the most influential source of self-efficacy information.


1. 학생들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을 돕는다.

1. Help students set clear and specific goals.


연구는 또한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이 더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개인보다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5]. 더욱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들은 또한 '지정된 목표에 더 적합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나은 태스크 전략을 찾아서 사용하며,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사람들보다 부정적인 피드백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15]. 그러므로 목표 설정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는 상호적이다. 즉, 목표 설정은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고, 증가된 자기효능감은 이후 설정하는 목표의 질을 향상시킨다.

Research has also shown that individuals with high self-efficacy tend to set loftier goals than do individuals with lower self-efficacy [15]. What is more, those with higher self-efficacy also tend to be more ‘committed to assigned goals, find and use better task strategies to attain the goals, and respond more positively to negative feedback than do people with low self-efficacy’ [15].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is reciprocal: goal setting helps to grow self-efficacy, while increased self-efficacy improves the quality of later goals.


물론, 의학 교육에서, 학생들이 항상 자신의 목표를 선택할 자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사들은 학생들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임상실습에 대한 잘 짜여진 목표의 예를 제공하고,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개발하도록 요청하며, 그리고 나서 임상실습을 거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이러한 목표를 검토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16].

Of course, in medical education, students are not always free to choose their own goals. Nonetheless, instructors can help students carefully construct clear and specific goals. This might involve, for instance, providing students with examples of well- articulated goals for a clerkship, asking them to develop their own clear and specific goals, and then reviewing these goals with students throughout the clerkship [16].



2. 도전적이고 근접한 목표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2. Encourage the use of challenging and proximal goals.


목표는 도전적이어야 하지만 학생들의 능력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 된다[15]. 어렵지만 달성 가능한 목표는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함에 따라 노력을 기울이고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학생들의 지식이나 기술 수준을 넘어선 목표들은 좌절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로 효능에 대한 믿음을 저하시킬 수 있다[7].

Goals should be challenging but not outside the range of students’ capabilities [15]. Difficult but achievable goals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put forth effort and obtain feedback as they make progress toward goal completion. Goals that are too far beyond students’ knowledge or skill level will likely lead to frustration and may actually degrade efficacy beliefs [7].


3. 학생들의 효능에 대한 믿음을 높이기 위해 정직하고 분명한 피드백을 제공하라.

3. Provide honest, explicit feedback to increase students’ efficacy beliefs.


과제를 수행한 것에 대해 무차별적으로 칭찬하는 것은, 그들이 얼마나 잘 수행하느냐에 상관없이, 학생들이 그들이 실제로 그 일을 잘 하지 못할 때 그들이 그 일을 잘 한다고 오해하게 할 수 있다[7].

praising students indiscriminately for performing a task, regardless of how well they perform, can lead students to think they are good at a task when really they are not [7].


4. 자기효능감을 정확히 보정하게 한다

4. Facilitate accurate calibration of self-efficacy.


보정은 특정 활동의 성과에 대한 신뢰도(즉, 자기효능)와 실제 수행 사이의 차이에 대한 척도다[19]. 사실, 이 기사에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20].

Calibration is a measure of the difference between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specific activities (i.e., self-efficacy) and actual performance [19]. In fact, as described earlier in this article, most individuals tend to overestimate their capabilities [20].


임상 환경에서 과대평가된 자기 효능 믿음은 환자에게 위험한 환경을 초래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in the clinical setting it is clear that overestimated self-efficacy beliefs could result in an unsafe environment for patients.


학생들이 자기 효험적 믿음을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몇 가지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미 논의된 바 있다: 피드백.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suggested for helping students accurately calibrate their self-efficacy beliefs. The most important of these has already been discussed: feedback.


이러한 소위 교정 피드백과 관련된 것은, 학생들에게 자기 시험 및 자기 모니터링와 같은 지각적 학습 전략을 사용하여 아는 것에 대한 판단을 개선하는 방법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다[19]. 왕과 동료들은 학생들이 메타인지적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학교 학습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Related to this so-called calibration feedback is the notion of explicitly teaching students how to use metacognitive study strategies, such as self-testing and self-monitoring, to improve their judgments of knowing [19]. Wang and colleagues [21] found that students’ use of metacognitive study strategies was the singl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school learning.


5. 동료 모델링을 사용하여 자기 효능을 구축하십시오.

5. Use peer modeling to build self-efficacy.


스컹크[8]는 '다른 사람들의 성공을 관찰함으로서 '자신도 능력을 갖췄으며, 그 일을 시도해볼 수 있다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chunk [8] described: ‘observing others succeed can convey to observers that they too are capable and can motivate them to attempt the task.’


하지만 교사들은 모든 모델이 똑같이 효과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델은 유능하고 유사하며 신뢰할 수 있고 열정적인 것으로 인식될 때 관찰자의 자기 효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10]. 이러한 특성들을 염두에 두고, 선생님들은 학습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 (a) 동료 모델이 올바른 기술(경쟁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 (b) 관찰자보다 같거나 약간 더 큰 역량의 동료 모델 사용(인식된 유사성) 

  • (c) 동료 모델이 모델링하는 행동을 일관되게 실천하는지(신뢰성)

  • (d) 관심과 열정을 보이는 동료 모델을 선택하는 것, 이는 스스로 informative한 모델이 될 수 있는 교사에게도 적용된다.

However, teachers need to be aware that not all models are equally effective. In general, models have a greater influence on observers’ self-efficacy when they are perceived as competent, similar, credible, and enthusiastic [10]. With these characteristics in mind, teachers can better enhance learner efficacy by 

  • (a) having peer models display skills correctly (competence); 

  • (b) using peer models of equal or slightly greater competence than observers (perceived similarity); 

  • (c) ensuring that peer models act consistently with the behaviors they model (credibility); and 

  • (d) choosing peer models who show interest and enthusiasm, which also holds true for teachers who, themselves, can be informative models.


결론

Conclusions


반두라[9]는 '공식 교육의 주요 목표는 학생들에게 평생 다양한 직업으로 자신을 교육하는 데 필요한 지적 도구, 효과적 믿음, 내재적 이익을 갖추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Bandura [9] stated: ‘the major goal of formal education should be to equip students with the intellectual tools, efficacy beliefs, and intrinsic interests needed to educate themselves in a variety of pursuits throughout their lifetime.’


요약

Essentials


자기효능감은 지정된 유형의 성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행동과정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믿음이다.

자기효능감은 광범위한 인간 기능에 걸쳐서 개인의 활동, 노력, 지속성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 자기효능감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일반적인 신뢰와 동일하지 않다. 대신에 그것은 과제특이적, 상황특이적이다. 개인은 환자의 심장 소리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특정 목표와 관련하여 자기 효험적 믿음을 개발한다.

의학교육자는 필요한 자기효능감의 개발과 함께 지식과 기술을 모두 육성하도록 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

• 학생들의 자기효능적 신념을 개발하고 학습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교육 관행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학생들이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도전적인 대용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장려하고, 

    • 학생들에게 정직하고 명시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 자기효능감의 정확한 보정을 용이하게 하고, 

    • 또래 모델링을 사용한다.


• Self-efficacy is a personal belief in one’s capability to organize and execute courses of action required to attain designated types of performances.

• Self-efficacy is hypothesized to affect an individual’s choice of activities, effort, and persistence across a wide range of human functioning.

• Self-efficacy does not equate to a general confidence in one’s competence; instead, it is more task and situation specific. Individuals develop self-efficacy beliefs in relation to specific goals, such as the ability to accurately assess heart sounds in a patient.

• Medical educators can implement instructional practices that foster both knowledge and skill attainmen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cessary accompanying self-efficacy.

• Instructional practices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self-efficacy beliefs and improve learning include the following: encourage students to set clear, specific, and challenging proximal goals; provide students with honest and explicit feedback; facilitate accurate calibration of self-efficacy; and use peer modeling.




 2012 May;1(2):76-85. doi: 10.1007/s40037-012-0012-5. Epub 2012 Apr 11.

Academic self-efficacy: from educational theory to instructional practice.

Author information

1
Preventive Medicine & Biometrics,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4301 Jones Bridge Road, Bethesda, MD 20814 USA.

Abstract

Self-efficacy is a personal belief in one's capability to organize and execute courses of action required to attain designated types of performances. Often described as task-specific self-confidence, self-efficacy has been a key component in theories of motivation and learning in varied contexts. Furthermore, over the last 34 years, educational researchers from diverse fields of inquiry have used the notion of self-efficacy to predict and explain a wide range of human functioning, from athletic skill to academic achievement. This article is not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research on self-efficacy; instead, its purpose is to describe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elf-efficacy and provide a brief overview of several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In doing so, this article is meant to encourage medical educators to consider and explicitly address their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beliefs in an effort to provide more engaging and effective instruction.

KEYWORDS:

Academic achievement; Calibration;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Medical educ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PMID:
 
23316462
 
PMCID:
 
PMC3540350
 
DOI:
 
10.1007/s40037-012-0012-5


예측가능한 혼돈: 집중, 기억, 의사결정에 대한 감정의 영향(Adv in Health Sci Educ, 2014)

Predictable chaos: a review of the effects of emotions on attention, memory and decision making

Vicki R. LeBlanc • Meghan M. McConnell • Sandra D. Monteiro





Introduction


의료는 감정노동이다. 의료전문가들과 훈련생들은 지속적으로 감정적인 사건들에 직면한다.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s an emotional endeavor. Health professionals and trainees are constantly confronted with emotional events.


감정을 자극하는 무수한 상황에서 보건 전문가와 훈련생은 정보를 얻고 해석하고, 유익성과 위해성이 다른 치료 선택사항에 대해 판단하며, 중요한 임상적, 환자 관련 정보를 기억해야 한다.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에 대한 현재의 연구는 감정이 인식, 기억, 주의, 추론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 과정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many of these emotion-evoking situations, health professionals and trainees must obtain and interpret information, make judgments regarding treatment options that have different benefits and risks, and remember important clinical and patient related information. Current research in neuroscience and cognitive sciences indicates that emotions modulate a variety of cognitive processes, including perception, memory, attention, and reasoning (Clore and Palmer 2009; Damasio 1994; Kensinger 2009; Lerner and Keltner 2000).


따라서, 극심한 스트레스 하에서 보건 전문가들은 의료 관련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휴리스틱스에 의존하는 것과 같은) 시간 및 에너지 절약 전략에 의존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환자가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을 때 adaptive하다. 그러나 좌절이나 즐거움과 같은 감정 상태가 주의력, 기억력, 임상적 추론 전략에 얼마나 덜 영향을 미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As such, under extreme stress, health professionals may resort to time- and energy-saving strategies, such as reliance on heuristics, to make medically relevant decisions. Such strategies can be adaptive when time is limited and the patient is under extreme distress. It is unclear, however, how less intense emotional states, such as frustration or enjoyment, influence attention, memory, and clinical reasoning strategies.


(성과와 학습에 대한 주관적이고 생리적인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임상적 사고와 임상 추론에 대한 감정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희소하다.

With a few notable exceptions (Estrada et al. 1994, 1997; Isen et al. 1991; McConnell and Eva 2012), including growing work on the effects of subjective and physiological stress on performance and learning (Arora et al. 2010a, b; Cheung and Au 2011; Harvey et al. 2010, 2012; LeBlanc 2009), the roles of emotions on clinical thinking and reasoning are rarely broached.


감정의 정의: 신경과학적 관점과 인지적 관점

Definition of emotions: neurosciences and cognitive perspectives


(see Table 1).


신경과학 접근법은 감정의 생리학적 발현에 초점을 맞추어 왔는데, 이 경우 감정은 생리적 또는 신경적 반응 또는 "감각"으로 정의되어 유기체에 바람직하거나 그렇지 않은 상황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다. 감정에 대한 선도적인 신경과학의 설명인 [체외 지표 가설]에 따르면 감정-관련 신호는 사람의 신체적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예: 심박수, 혈압, 선체적 분비물). 그러한 상황에서 고려되는 모든 대응 옵션에 대해 somatic state가 만들어지며, 이는 목표 달성의 관점에서 desirable한 반응인지 아니면 aversive한 반응인지에 대한 신호를 유기체에 제공한다(Beagara and aversive).

The neuroscience approach has focused on the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of emotions, whereby emotions are defined as physiological or neuronal responses, or ‘‘sensations’’, that inform the organism about desired or undesired situations (Damasio 1994). A leading neuroscience account of emotions, the somatic marker hypothesis, posits that emotion-related signals represent changes in a person’s visceral state (e.g., heart rate, blood pressure, glandular secretions) that serve as somatic markers to indicate a person’s emotional reaction to a situation. For every response option that is considered in that situation, a somatic state is generated, and this provides a signal to the organism as to whether the response is desirable or aversive in terms of attaining one’s goal (Bechara and Damasio 2005).


이 접근법에 따르면, 감정 반응은 감정의 주관적인 경험 없이 일어날 수 있. 즉, 특정한 상황에 대한 느낌이나 의식적인 생각이 감정과 연관될 수 있지만 의식은 감정적 경험의 필요조건은 아니다. 감정의 의식적 표현과 무의식적인 생리적 표현을 구별하려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를 고려하라. 스트레스 반응은 불안감을 의식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그들은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을 방출하는 뇌의 시상하부-정수체-아드레날 축의 생리적인 활성화에서 그들 자신을 드러낼 수 있다. 불안과 코티솔 반응은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주관적인 불안감을 느끼지 않더라도, 생리학적으로 코티솔 반응을 보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pproach, emotional reactions can occur without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feelings (Naqvi et al. 2006); that is, feelings or conscious thoughts about specific situations may be associated with emotions, but consciousness is not a requirement of emotional experiences. To distinguish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physiological manifestations of emotions, consider research on stress. Stress responses can manifest themselves with conscious feelings of anxiety. They can also manifest themselves in physiological activation of the brain’s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which releases the stress hormone cortisol. While anxiety and cortisol responses often occur together, individuals can have physiological cortisol responses in the absence of subjective feelings of anxiety (Regehr et al. 2008).


인지적 관점에서, 감정은 감정이나 기분의 더 익숙한 주관적인 경험으로 이해되며, 불안감, 행복함 또는 좌절감을 느끼게 하며, 인지 기능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합니다. 또한 인지 기능은 감정의 도출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감정모델은 이러한 관점을 지지하며, 이들 모델에 따르면 감정은 반사적이거나 습관적인 방식으로 단순히 물체와 상황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 아니라(Gendron과 Barrett 2009)감정은 개체 및 상황에 대한 개인의 해석에서 발생합니다. 사람의 [내부 상태]가 어떤 식으로든 상황과 관련되거나 상황에 의해 야기될 때 감정이 발생한다.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emotions are understood as the more familiar subjective experience of feelings or moods—feeling anxious, happy, or frustrated—and they form an integral part of cognitive function (Izard 2009). As well, cognitive functions can contribute to the elicitation of emotions. Many models of emotion support this perspective, suggesting that emotions are not merely triggered by objects and situations in reflexive or habitual ways (Gendron and Barrett 2009), but arise from an individual’s interpretation of objects and situations: an emotion emerges when a person’s internal state is understood in some way as related to or caused by the situation (Lazarus 1991).


예를 들어, 정서-정보 모델에 따르면 [긍정적, 부정적, 자극적인 반응이 생리적이고 경험적 정보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리고 이 정보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안내한다. 즉, 특정한 판단, 물체 또는 사건에 직면했을 때 사람들은 종종 스스로에게 '내가 그것을 얼마나 강하게 느끼는가?'라고 묻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서적 반응은 주어진 판단/객체/사건에 대해서 전체적overall 가치(예: 감정적 valence- 기분 좋은 것 대 불쾌한 것, 바람직한 것 대 바람직하지 않은 것등)또는 전체적 중요도(예: 감정적 흥분- 긴급한 것 대 긴급하지 않은 것, 중요한 것 대 중요하지 않은 것)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응급 구조원이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아이를 치료한다고 상상해 보면, 이런 경우, 불안감은 위험이 높고, 아이의 행복에 중대한 위협이 있으며, 그 시간은 매우 중요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the affect-as-information model (Clore and Storbeck 2006; Schwarz and Clore 2007; Storbeck and Clore 2008) posits that positive, negative, and arousing responses provide physiological and experiential information, and this information guides individuals’ responses to various situations. In other words, when confronted with a particular judgment, object, or event, people often ask themselves ‘How strongly do I feel about it?’ In this way, affective reactions serve to signal the overall value (e.g., emotional valence: pleasant vs. unpleasant; desirable vs. undesirable, etc.) and importance (e.g., emotional arousal: urgent vs. not urgent; important vs. unimportant) of a given judgment, object, or event. For example, imagine a paramedic treating a critically injured child. In such a case, feelings of anxiety can indicate that the stakes are high, that there are significant threats to the child’s well-being, and that time is of essence.


감정과 인식: 집중, 기억, 추론

Emotions and cognition: attention, memory and reasoning


오래 전부터 인간 행동의 감정적 근본은 (더 합리적이고 우월한) 사고의 근본과 분리되어 있다고 추정되어 왔다. 초기 관점은 감정을 변연계 시스템의 일부로 보았다. 이것은 신피질(인식과 학습 능력의 좌석)과 뇌간(기본적으로 호흡하는 것) 사이에 위치한 덜 진화된 구조의 뇌의 분리적 네트워크였다. 뇌의 더 진화한 부분인 신피질은 인간을 비인간 동물과 구별하는 인지적 기능, 즉 추리, 의사결정, 기대, 계획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감정을 뇌의 더 오래되고 파충류적인 부분에 localize되는 것으로 개념화하면서 감정은 원시적인 것으로 평가절하되었고, 이성이나 더 높은 수준의 인식과는 상반되는 것이며, 또한 감정이 인지 과정과 분리되는 것으로 촉진되었다. 감정은 다른 이성적인 개인들에게 논리를 흐리게 하고 혼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졌다.

It has long been assumed that the emotional groundings of human behavior are separate from the more rational and superior groundings of thought (Gros 2010). Early perspectives viewed emotions as part of the limbic system, a discrete network of primitive, less evolved structures in the brain located between the neo-cortex (the seat of the cognitive and learning capacities) and the brain stem (responsible for basics life maintenance such as breathing and blood pressure). The more evolved part of the brain, the neo-cortex, was seen as responsible for the cognitive functions that distinguish humans from non-human animals: reasoning, decision-making, anticipation and planning. This conceptualization of emotions as being localized in the older, more reptilian part of the brain led to the devaluation of emotions as primitive and antithetical to reason and higher order cognition, and also promoted the perception of emotions as being separate from cognitive processes. Emotions were viewed as derailing logic and creating chaos in otherwise rational individuals.


최근 몇 가지 신경과학의 발전은 감정과 인지 기능이 뇌에서 별도로 처리된다는 개념에 의문을 제기했다. 

  • 첫째, 연구에 따르면 뇌의 '새로운' 부분'과 '파충류적' 부분은 원래 믿었던 것만큼 다르지 않다. 

  • 둘째, 피질적 감정 시스템에서 인지적 시스템으로의 입력은, 인지적 시스템에서 감정적 시스템으로의 입력보다 더 강력하며, 이는 인지적 처리보다 감정적 처리에 대한 우선성을 시사한다(Damasio 1994). 

  • 마지막으로, "감정적" 변연계(예: 해마)의 일부로 여겨지는 구조들은 인지적 과정에 능동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예를 들어 기억), 인지적 기능(예: 전두엽 피질)을 담당한다고 여겨지는 구조들이 감정적 정보 처리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amasio 1994).

Several recent advances in neuroscience have challenged the notion that emotions and cognitive functions are processed separately in the brain. 

  • First,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newer’’ and ‘‘reptilian’’ parts of the brain do not differ from each other as much as originally believed (Damasio 1994). 

  • Second, the input from the subcortical emotional systems into the cognitive systems are stronger than input from the cognitive systems to the emotional ones, which suggests a primacy for emotional processing over cognitive processing (Damasio 1994). 

  • Finally, structures believed to be part of the ‘‘emotional’’ limbic system (e.g., the hippocampus) have been shown to have an active involvement in cognitive processes (e.g., memory), while structure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cognitive functions (e.g., prefrontal cortex) have been shown to play an active role in processing emotional information (Damasio 1994).


감정이 인간의 인지 과정에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감정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일부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은 주의력, 기억력, 추론 능력이 멀쩡에도 불구하고 학습과 의사결정이 손상된 것을 보여준다. (Pessoa 2008) 그러므로, 감정이 없다면, 인간은 기능할 수 없다. 감정과 인식은 뇌에서 상호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종종 그들이 행동에 공동으로 기여하도록 통합된다. 다마시오(1994년)에 의해 증명되었듯이 "추론에서 감정이 전적으로 배제될 때, 우리의 결정에 감정이 나쁜 장난을 하는 것보다, 이성은 훨씬 더 큰 결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감정은 개인의 생각과 행동을 조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반응은 생리학적, 행동적, 동기적 반응의 집합으로, 사람이 마주친 상황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Clore and Palmer 2009; Damasio et al. 1996; Dolan 2002).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emotions have a function that is indispensable to human cognitive processes (Bechara et al. 2000). Individuals with damage to parts of the brain that process emotional information show impaired learning and decision making despite having intact attention, memory and reasoning capabilities (Pessoa 2008). Thus, without emotions, humans are incapable of functioning. Emotion and cognition not only interact in the brain, but are often integrated such that they jointly contribute to behavior (Damasio 1997). As demonstrated by Damasio (1994), ‘‘when emotion is entirely left out of the reasoning picture …reason turns out to be even more flawed than when emotion plays bad tricks on our decisions’’. Emotions thus appear to coordinate the thoughts and actions of the individual. They trigger sets of responses physiological, behavioural, motivational that enable a person to deal with the situation encountered (Clore and Palmer 2009; Damasio et al. 1996; Dolan 2002).


인지과학의 연구는 또한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과 감정이 주의력, 지각력, 기억력 같은 인지 과정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의와 인식은 정보 처리의 첫 번째 단계이며,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기억과 추론을 포함하여 처리의 후속 단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감정적으로 중요한 정보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얼굴 표정과 같은 감정적으로 일치된 정보를 더 빨리 감지하고 더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Research from cognitive sciences also shows that individuals’ subjective emotions and feeling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cognitive processes, such as attention, perception and memory. Attention and perception are the first stages i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s such,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will also influence subsequent stages of processing, including memory and reasoning. Research has shown that people exhibit enhanced perception for emotionally significant information; for example, people show a more rapid detection of, and a preference towards, emotionally congruent information such as facial expressions (Blanchette and Richards 2003; Nabi 2003; Niedenthal and Setterlund 1994; Richards et al. 2002).


게다가, 사건들의 해석은 개인의 현재 감정 상태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불안은 (설령 높지 않더라도) 모호한 자극(얼굴 표현, 사회적 상황, 동음이의어{'dye' 대 'die'})을 위협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사실, 자극의 감정적인 특성, 특히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들로부터 관심을 떼어내는 것은 어렵다. 이 아이디어를 임상적 환경으로 확장하면, 불안감을 느끼는 간호사는 경계선상의 실험실 수치(예: 108의 헤모글로빈)를 중립적이거나 기분 좋은 간호사보다 더 문제가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interpretation of events tends to reflect individuals’ current emotional states. For example, anxiety, even when mil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likelihood of interpreting ambiguous stimuli (facial expressions, social situations, heard homophones {‘‘dye’’ vs. ‘‘die’’}) as threatening (Blanchette and Richards 2003; Nabi 2003). In fact, it is difficult to disengage attention from the emotional qualities of a stimulus, particularly negatively valenced ones (Richards et al. 2002). Extending this idea to a clinical setting, a nurse who is feeling anxious would be more likely to interpret marginal laboratory readings (e.g., hemoglobin of 108) as being more problematic than would a nurse in a neutral or happy mood.


감정은 또한 기억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독자들은 너무 감정적으로 충전되어 기억에 지워지지 않는 사건들을 만나는 경험에 익숙할 것이다. 기존 연구도 이러한 현상을 지지하며, 사건과 관련된 감정들이 경험에 대한 일부 세부사항을 위한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en-Singer 2009) 기억의 향상은 enhanced cosolidation에 의해서 나타나는데, 이것은 메모리가 안정적이고 지속적 표현으로 변환되는 프로세스로 인해 발생합니다(Kensinger 2009). 어떤 이벤트와 관련된 감정은 더 강한 인코딩을 통해 더 기억에 남도록 도울 수 있지만, 감정적인 사건에서 유발된 감정은 파라메딕의 약물 복용량 계산 공식과 같은 이전에 학습된 정보의 리콜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Emotio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mory function. Most readers will be familiar with the experience of encountering events that were so emotionally charged, they became indelibly marked in memory . The literature supports this phenomenon, demonstrating that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an event can enhance memory for some details of an experience (Ken-singer 2009). Improved memory also occurs due to enhanced consolidation, the process by which memories are turned into stable and lasting representations (Kensinger 2009). While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an event can help make it more memorable through stronger encoding, emotions during an emotional event have been shown to impair the recall of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such as formulas for drug dosage calculations by para-medics (LeBlanc 2009).


요약하자면, 경우에 감정의 신호가 두뇌에서 빠르고 자동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밝혀낸다. 또한, 감정은 어떤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기억에서 불러올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Bower and Forgas 2001; Lerner and Keltner 2000; Mather 2007; McConnell and Shore 2011; Pelps 2006; Pelps 2006). 사람들은 선별적으로 기억으로부터 mood에 부합하는 정보를 찾아내고 그 정보를 사용하여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감정은 정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사람들은 자기 주변세상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해 감정을 휴리스틱 방식으로 의존한다.

Together, the body of research reveals that in many cases, signals of emotion are processed rapidly and automatically in the brain. In addition, emotions can influence which information is attended to or retrieved from memory (Bower and Forgas 2001; Lerner and Keltner 2000; Mather 2007; McConnell and Shore 2011; Phelps 2006). People selectively retrieve mood-congruent information from memory and then use that information to make judgments. Finally, emotions can also serve as information. People rely on their emotions in a heuristic fashion to make judgments about the world around them (Lerner and Keltner 2000).


분노, 불안, 행복, 슬픔과 같은 다른 감정들이 인식, 기억, 판단 그리고 추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들이 남아있다.

Questions remain as to how different emotions, such as anger, anxiety, happiness or sadness, influence perception, memory, judgments and reasoning.


See Table 2 for a summary of dimensional and discrete models of emotions.



감정의 여러 차원들

Dimension models of emotions


차원적 접근법은 valence, 흥분, 목표 관련성이 가장 일반적인 차원이며 서로 다른 감정 상태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설명하는 핵심 차원을 식별하려고 한다.

Dimensional approaches attempt to identify core dimensions that account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ross different emotional states, with the most common dimensions being valence, arousal and goal relevance.


흥분 모델: 낮은 흥분 vs 높은 흥분

Arousal models: low versus high arousal emotions


인식에 미치는 감정의 영향을 설명하려는 초기 모델들 중 일부는 감정적 흥분arousal을 핵심 차원으로 제안하였다.

Some of the earliest models seeking to explain the effects of emotions on cognition proposed emotional arousal as the key dimension.


이스터브룩(1959)의 큐 이용 이론감정적 흥분arousal의 효과가 주의를 기울이는 cue의 범위를 체계적으로 줄여 관심의 범위를 좁히고 집중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집중력 증대를 위하여 [주변 정보나 덜 목적적합한 정보]에 대한 주의가 줄어들고, 즉각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중심적인 단서로 주의를 이동시킨다. 정서적 arousal은 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뇌의 특정 부분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편도체와 해마(Cahill and McGaugh 1998; Hamann)가 가장 두드러진다. 

the cue utilization theory by Easterbrook (1959) states that the effect of emotional arousal is to narrow and focus attention by systematically reducing the range of cues attended to. Attention is thus moved away from peripheral or less relevant information in favor of augmented focus to cues that are central or immediately relevant to the individual (Bacon 1974; Easterbrook 1959). Emotional arousal, regardless of whe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is thought to activate specific parts of the brain, most notably the amygdala and the hippocampus (Cahill and McGaugh 1998; Hamann 2001). T


Valence 모델: 긍정적 vs 부정적 감정

Valence models: positive versus negative emotions


감정의 차원적 모델에 대한 추가적인 서포트는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이 다양한 인지 능력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를 통해 얻어진다. 확장과 구축의 이론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은 강도에 관계없이 사람의 관심 범위와 인지 기능을 확장시킨다(프레드릭슨 2001, 2004; 프레드릭슨과 브래니건 2005). 잠재적으로 위험이 높은 상황(예: 도박 및 복권 작업)에서 긍정적인 기분은 위험 회피 행동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지만, 성공의 가능성이 높은 저위험 과제에서는 긍정적인 감정은 위험을 감당하고자 하는 의지의 증가(예: 2002년)와 관련이 있다. Gasper와 Clore(2002)는 긍정적인 분위기의 개인들이 더 global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큰 그림(또는 숲)을 보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슬픈 기분을 가진 사람은 나무를 자세히 보는 경향이 있다.

Further support for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s is drawn from studies showing tha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ave different effects on various cognitive skills. According to the broaden-and-build theory, positive emotions, regardless of their intensity, broaden a person’s scope of attention and other cognitive functions (Fredrickson 2001, 2004; Fredrickson and Branigan 2005). in potentially high-risk situations (e.g., gambling and lottery tasks), positive moods tend to produce risk adverse behavior; however, in low risk tasks, where the likelihood of success is greater, positive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willingness to take risks (Clore and Palmer 2009; Gasper and Clore 2002; Hockey et al. 2000). Gasper and Clore (2002) found that individuals in a positive mood tended to think more globally—that is to have a big picture view or see the forest—whereas individuals in sad moods tend to think more locally, that is to see the detailed view or the trees.


감정적 valence는 또한 감정적인 사건으로부터 기억되는 세부사항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다.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이벤트는 터널 기억으로 이어지며, 주변 세부 정보를 희생하여 이벤트의 중앙 세부 사항에 대한 향상된 리콜을 제공합니다(Bernsten 2002; Kensinger and Corkin 2003; Pelps 2006; Reisberg). 대조적으로, 긍정적인 사건들은 주변적 세부사항과 감각적 디테일의 증가된 리콜과 관련이 있었다. (Bernsten 2002; Libkumann et al. 2004)

Emotional valence has also been shown to influence the details that are remembered from emotional events. Events that engender negative emotions lead to tunnel memory, with enhanced recall for central details of an event at the expense of peripheral details (Bernsten 2002; Kensinger and Corkin 2003; Phelps 2006; Reisberg and Heuer 2004). In contrast, positive events have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ecall of peripheral details and sensory details (Bernsten 2002; Libkumann et al. 2004).


목표 관련성 모델: 목표달성전 감정과 목표달성후 감정

Goal relevance models: pre-goal versus post-goal emotions


감정이 분류된 세 번째 측면은 목표 달성이다. 목적적합성 모델에서 개인은 자신의 능동적 목표와 관련된 정보의 우선순위를 정한다. 개인은 목표의 상태 변화를 느낄 때 감정을 경험하고, 이러한 변화는 그들의 신념이나 계획을 수정하도록 요구한다. (Kaplan et al. 2012) 

    • 목표달성 전감정(예: 욕망, 흥분, 두려움, 분노)은 목표의 달성이나 실패가 미래에 일어날 수 있고 목표 지향적인 노력이 계속될 때 경험하게 된다. 

    • 목표달성후 감정(예: 행복, 만족, 슬픔, 슬픔)은 목표의 달성이나 실패가 일어났을 때 일어난다. 

동기부여에는 목표달성전 감정이 더 강력하며, 이러한 동기는 목표의 달성 또는 실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의 특정 자극에 접근하거나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A third dimension along which emotions have been classified is goal attainment. The goal relevance model posits that individuals prioritize information that is relevant to their active goals. Individuals experience emotions when they perceive a change in the status of their goals, and this change requires them to modify their beliefs or plans (Kaplan et al. 2012). Pre-goal emotions (e.g., desire, excitement, fear, anger) are experienced when the attainment or failure of a goal may occur in the future, and goal-directed efforts are ongoing. Post-goal emotions (e.g., happiness, contentment, sadness, grief) occur when the attainment or failure of a goal has occurred. Pre-goal emotions are thought to have higher motivational intensity, which is the drive to approach or avoid specific stimuli in the environment due to the anticipated attainment or failure of their goal.


Circumplex model: arousal and valence


앞에서 설명한 차원 모델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일부 있지만, 1차원 감정 모델이 모든 연구 결과를 설명할 수 없다는 중요한 연구 결과가 있다(Kensinger 2004). 결과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감정 모델은 영향의 circumplex 모델이며, 이 모델은 감정이 두 가지 차원에 기반하여 정의된다고 가정한다: valence(긍정적, 부정적), 생리학적 활성화(고흥분 vs 저흥분)실제로, 유사한 valence를 가진 감정들은 유사한 신경 구조의 신호와 연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높은 활성화를 유발하는 감정은 신경 구조상 서로 연결되어있는데, 이는 valence에 관계된 신경 구조와는 구분된다.

Although there is some research showing support for the dimensional models described previously, there is significant research suggesting that one-dimensional models of emotions cannot account for all of the research findings (Kensinger 2004). As a result, a widely accepted model of emotions is the circumplex model of affect, which postulates that emotions are defined based on two dimensions; their valence (positive vs. negative) and their level of physiological arousal or activation (high arousal vs. low arousal) (Friedman 2010; Posner et al. 2005; Russell 1980). Indeed, emotions with similar valence have been associated with signals from similar neural structures (Colibazzi et al. 2010). Similarly, highly arousing emo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neural structures that are distinct from the ones associated with valence (Colibazzi et al. 2010).


감정의 discrete 모델: 각각의 감정이 구체적인 선조와 기전을 가진다.

Discrete models of emotions: each emotion has specific antecedents and mechanisms


감정의 차원 모형에 대한 서포트도 있지만, 그것들은 또한 너무 단순하다는 비판도 받아왔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연구자들은 감정의 discrete 모델을 제시했는데, 이 모델은 각각의 감정들이 행동과 생리를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구구성하며, 이로 인해 개인이 감정-유발적 사건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While there is support for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s, they have also been criticized as being too simplistic. In response to such criticisms, researchers have put forward discrete models of emotion, which postulate that distinct emotions organize behavior and physiology in a predictable fashion to allow the individual to deal with emotion-evoking events (Barrett 2006).


감정에 대한 평가appraisal 모델에 따르면, 특정 감정을 자극하는 것은 한 개인의 상황 또는 생리적 감각에 대한 인지적 해석이다. 이러한 해석 또는 평가는 그 사람의 특정한 요구, 목표, 자원 및 능력과 관련하여 그 상황이 개인의 웰빙에 대해 무엇을 시사하는지 평가하는 것을 반영한다.

According to appraisal models of emotion, it is a person’s cognitive interpretation of a situation or physiological sensations along several dimensions that evokes a particular emotion (Roseman and Evdokas 2004; Smith and Ellsworth 1985; Siemer et al. 2007). This interpretation, or appraisal, reflects an evaluation of what the situation implies for a person’ well-being in relation to that person’s specific needs, goals, resources and abilities.


따라서 차원 모델과 반대로, discrete 접근법은 동일한 valence와 자극을 가지는 감정이라도 판단과 인식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두려움과 분노는 둘 다 높은 자극적 감정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확실성과 권력 평가 면에서 다르다. 

  • 두려움은 낮은 확실성과 상황에 대한 약한 힘과 관련이 있는 반면에 

  • 분노는 높은 확실성과 강력한 힘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평가에 따르면, 분노는 (두려움보다) 미래에 대한 더 낙관적인 평가와 더 낮은 위험 인식과 연관되어 있다.

In contradiction to dimensional models then, discrete approaches argue that emotions of the same valence and arousal can have different effects on judgment and cognition. For example, fear and anger, while both being negatively valenced high arousal emotions, differ in terms of certainty and power appraisals. Fear is associated with appraisals of low certainty and power over a situation, whereas anger is associated with high certainty and power. In keeping with these appraisals, anger is associated with more optimistic assessments of the future and lower risk perceptions than is fear (Lerner and Keltner 2000; Lerner et al. 2003; Raghunathan and Pham 1999).


감정적 사건들의 기억력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차원 모형이 감정의 영향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탈라리코 외 연구진(2009)은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사건보다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주변 세부 사항의 리콜 비율이 높지만, 같은 용기와 자극의 다른 감정들은 서로 다르다고 관찰했다.

Recent research on memory of emotional events also supports arguments that dimensional models are not 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effects of emotions. Talarico et al. (2009) observed that although there is generally a higher proportion of recall of peripheral details for positive events than negative events, different emotions of the same valence and arousal differ from each other.


이 논쟁에 덧붙여, 감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감정의 차원과 별개의 모델로 설명할 수 있는 패턴을 보여준다.

To add to the debate, research on the effects of emotions on memory reveals patterns that can be explained by both dimensional and discrete models of emotions.


HPE에 대한 함의

Implication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의료와 교육이 감정노동이라는 사실은 잘 받아들여지고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의료 전문가와 의사들의 정신 건강 증진과 웰니스 향상을 향한 움직임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훈련생이나 건강 전문가의 감정 상태가 그들이 임상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고 생각하는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은 거의 인식되지 않았다.

The fact that healthcare practice and education are emotional endeavors is well accepted and recognized. This recognition has extended to movements towards improving mental health and enhancing the wellness of health professionals and clinician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rainees’ or health professionals’ emotional state can have an important effect on how they perceive, interpret and think about their clinical world.


위에서 언급한 제한된 수의 연구 외에도, 우리는 의료 전문가들이 어떻게 의료 실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습득하는지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감정의 역할을 대부분 무시해 왔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이유는 보건 직업 교육 연구(Monteiro 및 Norman 2013)에 대한 default-interventionist 모델의 강력한 영향 때문일 수 있다. 이 듀얼 프로세스는 감정 기반 및 직관적 반응을 신속한, 무의식적, 분석적인 것으로 특징짓습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시스템 1이라고도 하는 기본default 처리 모드는 직관적이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우며, 시스템 2로 알려진 중재자는interventionist 논리적이며 추론을 선호하는 의식적인 모드 형태입니다(Kahneman 2011; Redme 2011).

Beyond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mentioned above, we have largely ignored the role of emotions in striving to understand how health professionals develop and acquire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clinical practice. One reason for this oversight may be attributed to the strong influence of the default-interventionist model of reaso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Monteiro and Norman 2013). This dual processes model characterizes emotion driven and intuitive responses as rapid, unconscious and non-analytic. According to this model, the default mode of processing, also know as System 1, is intuitive and quite error prone, while the interventionist logical and conscious mode, also known as System 2, is the preferred form of reasoning (Kahneman 2011; De Neys 2010; Redelmeier 2005).


그러나, 감정과 인식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의식/실리적 생각 및 무의식/오류성의 인위적 이분법은 의사가 자신의 결정을 인식하는 방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지어 정확한 진단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직관을 이해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문제에 대한 무의식적인 해결책이거나 암묵적인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임상적 추론에 대한 30년 이상의 연구에서 전문 의사의 직관을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직관이 감정이 아니지만, 감정이 암시적 해결책을 평가하는 능력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However, given that emotions and cognition are intimately linked, this artificial dichotomy of conscious/rational thought and unconscious/ error prone intuitions can have a harmful effect on how physicians perceive their own decisions, even calling accurate diagnoses into question (Woolley and Kostopoulou 2013). Intuition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o understand since they are unconscious or implicit solutions to a problem. In over 30 years of research on clinical reasoning, the mechanisms that support the intuition of the expert physician remain a mystery. Although an intuition is not an emotion, it is possible that emotions are linked to our ability to assess implicit solutions (Bolte et al. 2003; Stolper et al. 2011).


예를 들어, 분석적 또는 비-분석적 형태의 추론을 유발하는 특정한 감정 상태가 있는가?

For example, are there particular emotional states that engender either analytical or non-analytical forms of reasoning?


감정이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은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교육 활동에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감정의 역할은 경험적 학습의 일부 모델에서 논의되는데, 이 때 배움은 경험을 가지고 그것을 성찰하며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변화적transformative 학습은 근본적인 믿음이 도전 받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개인의 관점의 주요한 변화라고 설명된다. (Mezirow 2000; Sandars 2009) 경험적 학습 이론가들은 그 도전에 대한 개인의 감정적 반응은 관점의 변화, 즉 학습에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the notion that emotions can affect learning is being increasingly accepted and integrated into education activities. For example, the role of emotions is discussed in some models of experiential learning, where learning occurs through having an experience and reflecting around it. For example, transformative learning is described as a major shift in a person’s perspective that can occur when fundamental beliefs are challenged (Mezirow 2000; Sandars 2009). Experiential learning theorists argue that an individual’s emotional reaction to that challenge is instrumental in the shift in perspective, and thus in the learning (Mezirow 2000).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정서적 요소, 특히 부정적 자극적인 요소를 활동에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Bath and Lawrence 2012; DeMaria and Levine 2013; MacDougall et al). 이를 지지하는 일부 의견은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을 경험한 다음에 기억 통합 또는 학습이 향상됨을 다룬 문헌에서 나온다. (DeMaria et al. 2010; Kromann et al. 2011; LeBlanc 2009) 하지만, 기억력은 배움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지만, 그것은 많은 요소들 중 하나일 뿐임을 간과하면 안 된다.

there is growing discuss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emotional elements, particularly negative high arousal ones, into the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Bath and Lawrence 2012; DeMaria and Levine 2013; MacDougall et al. 2013). Some support for this comes from literature on enhanced memory consolidation and learning following stressful events (DeMaria et al. 2010; Kromann et al. 2011; LeBlanc 2009).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hile memory forms an important part of learning, it is one of many components.


학습이란 이전에 학습한 정보 또는 해결책을 현재 상황이나 문제에 적용하는 것이고, 따라서 학습은 지식의 전이, 인지적 유연성, 연관 학습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의료 교육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육학적 기법인 "pimping"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기법에서는 선임 임상의들은 후배들에게 public format으로 일련의 어려운 질문을 합니다. 이러한 자극적인 경험은 굴욕, 당혹감, 흥분, 불안감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을 유발하며, 교육자들은 이러한 감정 상태들이 자극적인 경험 동안 학습을 촉진한다고 이론화했다. (Brancati 1989; Wear et al. 2005). 하지만, 우리는 아직, 왜 혹은 언제 pimping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Learning, the application of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or solution to a current situation or problem, also requires transfer of knowledge, cognitive flexibility and associative learning. For example, consider ‘‘pimping’’, a pedagogical technique common in healthcare education settings, whereby senior clinicians ask their junior colleagues a series of challenging questions in a public format. These pimping experiences induce a variety of emotions including humiliation, embarrassment, excitement, and anxiety, and educators have theorized that these emotional states promote learning during the pimping experience (Brancati 1989; Wear et al. 2005). However, we do not yet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if, why or when pimping works.


감정의 역할에 대해 더 잘 이해하지 못한다면, 학습의 목적을 위해 의도적으로 감정을 조작하는 것은 중요한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 이 작품의 유일한 분명한 의미는 감정의 유비쿼터스 성격을 더 잘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이다.

With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emotions, deliberately manipulating emotions for the purposes of learning could have important ethical implications. At the current moment, the only clear implication of this work is for a greater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ubiquitous nature of emotions.


마지막으로, 감정과 정신 건강에 대한 연구로부터 감정 지능감정 조절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 이러한 개념들이 의료 관행과 교육 분야에서 잠재적으로 중요한 개념이지만,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감정적 지능과 감정적 규제의 개념은 각각의 다양한 정의와 그것들이 측정되는 다양한 형태 때문에 비난 받아 왔다. 

Finally, growing from the work on emotions and mental health are discussions aroun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 While these are potentially important concepts for the field of health care practice and education, caution is warranted. Both the concep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have been critiqued because of the various definitions of each and the various forms in which they have been measured. 


감정 지능은 정보를 인지하고, 정보를 해석하고, 감정적인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되는 반면,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모호하다(AAa et al. 2010a, b; Cherry et al. 2014; Humphrey-Murto et al. 2014). 감정 지능이 높은 개인이 감정이 인지능력에 갖는 영향이 다른지에 대한 여부, 그들이 감정적 상황에서 더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는지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While emotional intelligence is argued as essential for perceiving, interpreting information, and interacting with others in emotional situations, the evidence supporting this is equivocal (Arora et al. 2010a, b; Cherry et al. 2014; Humphrey-Murto et al. 2014).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individuals who are high in emotional intelligence show different effects of emotions on their cognitive abilities, and whether they demonstrate a greater ability to perform in emotional situations.


감정 조절은 감정 억제와 인지 재평가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 정 억제는 일단 감정이 경험되면 감정적 반응을 의식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 지적 재평가란 의미나 관련성을 변경하여 상황에 대한 감정적 연관성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것이다(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

인지적 재평가는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보다 적응적인adaptive 전략으로 밝혀졌는데, 그 이유는 인지적 재평가가 감정 억제보다 원치 않는 감정의 감소와 더 나은 기억 성능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감정을 능동적으로 억제하면 기억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얼굴 표정을 억제하라거나, 혹은 얼굴을 똑바로 펴라는 요구를 받는 것은 수술용 비디오에서 보여지는 사건들의 손상된 기억으로 이어진다. (리차드와 그로스 2006) 

Furthermore, emotional regulation can refer to both emotional suppression and cognitive reappraisal. Suppression refers to the conscious inhibition of an emotional reaction once an emotion is being experienced. Cognitive reappraisal, in contrast, is the decrease or increase of emotional associations of a situation by changing its meaning or relevance (Hayes et al. 2010; Richards and Gross 2000).Cognitive reappraisal has been found to be a more adaptive strategy for regulating emotions, in that it leads to greater reduction in undesired emotions and better memory performance than does suppression (Goldin et al. 2008). There is some evidence that active suppression of emotions can degrade memory (Richards and Gross 2006, 2000; Bonanno et al. 2004). Being being asked to suppress facial expressions, or keep a straight face, leads to impaired recall of events seen on a surgical video (Richards and Gross 2006). 


정서 지능과 정서 조절의 개념은 어떤 감정들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가정을 가져왔고, 이는 affect의 ubiquitous한 특성을 고려하면 합당하지 못한 가정이다.

The concep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lso bring with them the assumption that some emotions are undesirable, which seems unlikely given the ubiquitous nature of affect.


또 다른 예로, 긍정적인 기분은 일반적으로 더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무관한 정보에 더 많이 주의를 기울일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보면(Biss and Hasher 2011; McConnell and Shore 2011), 임상의와 연수생들이 집중을 방해하는 상황에 더 취약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positive moods are generally viewed as being more desirable. However, given research that shows that people in a positive emotion are more likely to attend to irrelevant information (Biss and Hasher 2011; McConnell and Shore 2011), it is possible that clinicians and trainees may be more susceptible to distractions in situations that require focused attention.


Conclusion


건강 전문가들과 훈련생들은, 언제든지, 정서적인 상태에 있다. 의료 관행과 교육이 감정적 노력이라는 사실은 잘 받아들여지고 인정받고 있다.

Health professionals and trainees, at any given time, are in an emotional state. The fact that healthcare practice and education are emotional endeavors is well accepted and recognized.


McConnell, M. M., & Eva, K. W. (2012). The role of emotion in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clinical skills and knowledge. Academic Medicine, 87(10), 1316–1322. ==


McNaughton, N. (2013). Discourse (s) of emotion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ever-present absence. Medical Education, 47(1), 71–79. ==








 2015 Mar;20(1):265-82. doi: 10.1007/s10459-014-9516-6. Epub 2014 Jun 6.

Predictable chaos: a review of the effects of emotions on attentionmemory and decision making.

Author information

1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200 Elizabeth St, 1ES-565, Toronto, ON, M5G 2C4, Canada, vicki.leblanc@utoronto.ca.

Abstract

Healthcare practice and education are highly emotional endeavors. While this is recognized by educators and researchers seeking to develop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wellness in health professionals and at providing them with skills to deal with emotional interpersonal situations,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s largely ignored the role that emotions play on cognitive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broader field of emotions, with the goal of better understanding the integ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cognitive processes. Individuals, at any given time, are in an emotional state. This emotional state influences how they perceive the world around them, what they recall from it, as well as the decisions they make. Rather than treating emotions as undesirable forces that wreak havoc on the rational being, the field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uld be enriched by a greater understanding of how these emotions can shape cognitive processes in increasingly predictable ways.

PMID:
 
24903583
 
DOI:
 
10.1007/s10459-014-9516-6


효과적인 학습기법을 통한 학생의 학습 증진: 인지심리학과 교육심리학으로부터 (Psychol Sci Public Interest. 2013)

Improving Students’ Learning With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Promising Directions From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John Dunlosky1, Katherine A. Rawson1, Elizabeth J. Marsh2, Mitchell J. Nathan3, and Daniel T. Willingham4

1Department of Psychology, Kent State University; 2Department of Psychology and Neuroscience, Duke University;

3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of Curriculum & Instruction, and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and 4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Virginia




도입

Introduction


우리는 학생들이 다양한 콘텐츠 영역에서 자신의 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10가지 학습 기법의 효능을 탐구했다.1

we explored the efficacy of 10 learning techniques (listed in Table 1) that students could use to improve their success across a wide variety of content domains.1


우리는 학생들에게 도움없이 실행될 수 있는 기술들로 우리의 선택을 제한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준비해야 하는 첨단 기술이나 광범위한 자료가 필요하지 않은 것)

we limited our choices to techniques that could be implemented by students without assistance (e.g., without requiring advanced technologies or extensive materials that would have to be prepared by a teacher).


표 2. 자료는 학생들이 배우고, 기억하고, 이해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 내용과 관련이 있다. 학습 조건은 학생들이 학습된 자료와 상호작용하는 맥락과 관련이 있다.

Table 2. Materials pertain to the specific content that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remember, or comprehend. Learning conditions pertain to aspects of the context in which students are interacting with the to-belearned materials.


어떤 학생 특성이든 주어진 학습 기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Any number of student characteristics could also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a given learning technique.


각 학습 기법의 유효성이 긴 보유 간격에 걸쳐 획득되고 서로 다른 기준 과제에 걸쳐 일반화하는 정도는 매우 중요하다.

The degree to which the efficacy of each learning technique obtains across long retention intervals and generalizes across different criterion tasks is of critical importance.






학습 기술 리뷰

Reviewing the Learning Techniques


1 열심히 설명해보기

1 Elaborative interrogation


1.1 일반기술

1.1 General description of elaborative interrogation and why it should work.


정교한 질문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적인 설명은 정교한 질문이 기존의 사전 지식과의 새로운 정보의 통합을 지원함으로써 학습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정교한 질문에서 학습자들은 아마도 "스키마타 활성화..."를 할 것이다. 이 스키마는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정보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윌비 & 우드, 1994년 140년). 새로운 사실을 이전 지식과 통합하면 해당 정보의 조직(헌트, 2006년)이 쉬워질 수 있지만, 조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2006년에 배운 정보를 식별하거나 사용할 때 정확히 관련 사실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Hunt). 이 설명과 일관되게, 가장 정교한 질문들은 관련 entity들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예: 한 지방 대 다른 지방에 대한 사실인 이유)의 처리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초대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The prevailing theoretical account of elaborative-interrogation effects is that elaborative interrogation enhances learning by supporting the integration of new information with existing prior knowledge. During elaborative interrogation, learners presumably “activate schemata . . . These schemata, in turn, help to organize new information which facilitates retrieval” (Willoughby & Wood, 1994, p. 140). Although the integration of new facts with prior knowledge may facilitate the organization (Hunt, 2006) of that information, organization alone is not sufficient—students must also be able to discriminate among related facts to be accurate when identifying or using the learned information (Hunt, 2006). Consistent with this account, note that most elaborative-interrogation prompts explicitly or implicitly invite processing of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related entities (e.g., why a fact would be true of one province versus other provinces). 


아래에서 강조하는 바와 같이, 익힐 수 있는 사실들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 처리 또한 발견을 설명한다. 정교하고 정확한 해석은..

    • 부정확하기 보다는 정확할 때 더 효과적이다. 

    • 사전 지식이 높은 경우(기존 지식이 독특한 처리를 촉진하여 기억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예: Rawson & Van Overschelde, 2008)에 효과적이고, 

    • elaboration이 자가 생성되었을 때(특징 효과가 자가 생성 항목별 단서, 헌트 & 스미스, 1996년) 효과적이다.

As we highlight below, processing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o-be-learned facts also accounts for findings that elaborative-interrogation effects are often larger when elaborations are precise rather than imprecise, when prior knowledge is higher rather than lower (consistent with research showing that preexisting knowledge enhances memory by facilitating distinctive processing; e.g., Rawson & Van Overschelde, 2008), and when elaborations are self-generated rather than provided (a finding consistent with research showing that distinctiveness effects depend on self-generating item-specific cues; Hunt & Smith, 1996).


정교한 질문의 초기 체계적 연구들 중 하나인 프레스리, 맥다니엘, 턴ure, 우드, 그리고 아마드는 대학생들에게 특정한 남자의 행동을 묘사한 문장들의 목록을 제공했습니다. 정교한 대화 집단에서, 각 문장에 대해, 참가자들은 "왜 그 특정한 남자가 그런 짓을 했을까?"라고 설명하라는 질문을 받았다. 대신 다른 참가자들에게 각 문장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고(예: "배고픈 남자가 식당으로 가기 위해 차 안으로 들어갔음") 세 번째 그룹은 각 문장을 단순히 읽는다. 참가자들에게 각 행동을 수행한 각 사람을 상기하도록 지시한 최종 시험에서(예: "누가 차에 탑승했습니까?"), 정교 대화 그룹은 다른 두 그룹의 정확도 그룹(콜랩)보다 약 72% 더 뛰어났다. 이와 유사한 연구를 통해 세이퍼트(1993)는 0.85 - 2.57의 평균 효과 크기를 보고했다.

In one of the earliest systematic studies of elaborative interrogation, Pressley, McDaniel, Turnure, Wood, and Ahmad (1987) presented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list of sentences, each describing the action of a particular man (e.g., “The hungry man got into the car”). In the elaborative-interrogation group, for each sentence, participants were prompted to explain “Why did that particular man do that?” Another group of participants was instead provided with an explanation for each sentence (e.g., “The hungry man got into the car to go to the restaurant”), and a third group simply read each sentence. On a final test in which participants were cued to recall which man performed each action (e.g., “Who got in the car?”), the elaborative-interrogation group substantially outperformed the other two groups (collapsing across experiments, accuracy in this group was approximately 72%, compared with approximately 37% in each of the other two groups). From this and similar studies, Seifert (1993) reported average effect sizes ranging from 0.85 to 2.57.



위에 설명된 것처럼, 정교한 질문의 핵심은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언급한 사실에 대한 설명을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설명 프롬프트의 특정 형식은 연구마다 다소 다르다. 예에는 "왜 말이 되는가?"왜 이것이 사실입니까?" 그리고 간단히 "왜?"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이 사실은 다른 [X]가 아닌 이 [X]에 왜 해당될까요?"라는 일반적인 형식에 따른 프롬프트를 사용해 왔습니다.

As illustrated above, the key to elaborative interrogation involves prompting learners to generate an explanation for an explicitly stated fact. The particular form of the explanatory prompt has differed somewhat across studies—examples include “Why does it make sense that…?”, “Why is this true?”, and simply “Why?” However, the majority of studies have used prompts following the general format, “Why would this fact be true of this [X] and not some other [X]?”



1.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elaborative interrogation?


1.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1.4 Issues for implementation.


정교한 질문의 한 가지 장점은 분명히 최소한의 훈련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정교한 질문 효과를 보고한 대다수의 연구에서 학습자는 간단한 지시를 받은 후 3-4개의 연습 사실(때로는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주요 과제의 품질에 대한 피드백 포함)을 만들기 위해 연습했다. 일부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주요 과제 이전에 어떠한 연습이나 실례를 제공받지 못했다. 게다가, 정교한 질문은 시간 요구에 관해서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것처럼 보인다. 거의 모든 연구들이 사실을 읽고 정교함을 생성하는 데 할당된 시간(예: 각 사실에 대해 할당된 15초)을 합리적으로 제한한다. 자기 페이스 학습을 허용하는 몇 가지 연구 중 하나에서, 정교한 질문 및 읽기 전용 그룹 간의 작업 시간 차이는 상대적으로 최소화되었다. (32분 대 2010년, B. L Smith 등) 마지막으로,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는 프롬프트의 일관성을 통해 학생들에게 연구 중 사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때 사용해야 하는 질문의 특성에 대한 비교적 간단한 권고를 할 수 있다.

One possible merit of elaborative interrogation is that it apparently requires minimal training. In the majority of studies reporting elaborative-interrogation effects, learners were given brief instructions and then practiced generating elaborations for 3 or 4 practice facts (sometimes, but not always, with feedback about the quality of the elaborations) before beginning the main task. In some studies, learners were not provided with any practice or illustrative examples prior to the main task. Additionally, elaborative interrogation appears to be relatively reasonable with respect to time demands. Almost all studies set reasonable limits o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for reading a fact and for generating an elaboration (e.g., 15 seconds allotted for each fact). In one of the few studies permitting self-paced learning, the time-on-task difference between the elaborative-interrogation and reading-only groups was relatively minimal (32 minutes vs. 28 minutes; B. L. Smith et al., 2010). Finally, the consistency of the prompts used across studies allows for relatively straightforward recommendations to students about the nature of the questions they should use to elaborate on facts during study.


위에서 언급한 한 가지 한계는 별도의 사실성 진술에 대한 정교한 질문의 적용 가능성을 좁게 하는 것이다. 해밀턴(1997)이 지적했듯이 사실적인 문장 목록에 초점을 맞출 때 협력적인 질문은 상당히 규정돼 있다. 그러나 더 복잡한 결과에 초점을 맞출 때, '왜' 질문을 지시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p.308) 예를 들어, 복잡한 인과 과정이나 시스템에 대해 배울 때(예: 소화 시스템) 정교한 조사를 위한 적절한 곡물 크기는 공개 질문입니다(예: 전체 시스템에 신속하게 초점을 맞춰야 하는가, 아니면 단지 작은 부분에 집중해야 하는가? 더욱이, 사실 목록을 다룰 때, 구체화되어야 할 사실들은 명확하지만, 더 긴 텍스트에 포함된 사실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목표 사실을 식별하도록 요구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정교한 조사가 성과 있게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의 종류에 대한 약간의 교육이 필요할 수 있다. dosage는 또한 보다 긴 텍스트에 대한 우려사항이기도 하다. 일부 증거는 정교한 질문 효과가 (Callender & McDaniel, 2007) 매우 희석되거나 심지어 역방향(Ramsay, Sper)이라는 일부 증거를 제시한다.

With that said, one limitation noted above concerns the potentially narrow applicability of elaborative interrogation to discrete factual statements. As Hamilton (1997) noted, “elaborative interrogation is fairly prescribed when focusing on a list of factual sentences. However, when focusing on more complex outcomes, it is not as clear to what one should direct the ‘why’ questions” (p. 308). For example, when learning about a complex causal process or system (e.g., the digestive system), the appropriate grain size for elaborative interrogation is an open question (e.g., should a prompt focus on an entire system or just a smaller part of it?). Furthermore, whereas the facts to be elaborated are clear when dealing with fact lists, elaborating on facts embedded in lengthier texts will require students to identify their own target facts. Thus, students may need some instruction about the kinds of content to which elaborative interrogation may be fruitfully applied. Dosage is also of concern with lengthier text, with some evidence suggesting that elaborative-interrogation effects are substantially diluted (Callender & McDaniel, 2007) or even reversed (Ramsay, Sperling, & Dornisch, 2010) when elaborative-interrogation prompts are administered infrequently (e.g., one prompt every 1 or 2 pages).



1.5 Elaborative interrogation: Overall assessment.




2 자기 설명

2 Self-explanation


2.1 General description of self-explanation and why it should work.


자가 설명에 대한 정수의 연구에서 베리(1983)는 Wason card selection 작업을 사용하여 논리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이 과제에서 학생은 "A", "4", "D" 및 "3"이라는 라벨이 붙은 네 개의 카드를 보고 "한 쪽에 A가 있을 경우" 규칙을 테스트하기 위해 어떤 카드를 뒤집어야 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먼저 규칙의 구체적인 인스턴스화(예: 항아리의 한쪽은 잼 맛, 다른 쪽에서는 판매가격)를 풀도록 했다. 정확도는 0에 가까웠다. 그런 다음 "if P, 그 다음 Q" 규칙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최소한의 설명을 제공받았고, 이 규칙 및 기타 논리 규칙(예: "if P, then Q"가 아닌)의 사용과 관련된 일련의 구체적인 문제를 제공받았다. 이러한 일련의 구체적인 연습 문제 때문에, 한 그룹의 학생들이 각각의 카드를 선택하느냐의 이유를 말함으로써 각각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스스로 설명하도록 유도되었다. 또 다른 그룹의 학생들은 세트의 모든 문제를 해결했고, 그 후에야 그들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설명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대조군 그룹의 학생들은 어떤 시점에서든 자기 설명을 하도록 요청받지 않았다. 연습 문제의 정확도는 세 그룹 모두에서 90% 이상이었다. 그러나 논리적 규칙이 후속 전송 테스트에서 제시된 일련의 추상적 문제에서 인스턴스화되었을 때, 두 자기 설명 그룹은 대조군 그룹보다 실질적으로 우세했다(그림 2 참조). 두 번째 실험에서, 또 다른 대조군은 그들이 방금 해결했던 구체적인 실행 문제와 다가올 추상적인 문제 사이의 논리적 연결에 대해 명확하게 말했지만, 그들은 더 나은 결과를 얻지 못했다.

In the seminal study on self-explanation, Berry (1983) explored its effects on logical reasoning using the Wason card-selection task. In this task, a student might see four cards labeled “A,” “4,” “D,” and “3" and be asked to indicate which cards must be turned over to test the rule “if a card has A on one side, it has 3 on the other side” (an instantiation of the more general “if P, then Q” rule). Students were first asked to solve a concrete instantiation of the rule (e.g., flavor of jam on one side of a jar and the sale price on the other); accuracy was near zero. They then were provided with a minimal explanation about how to solve the “if P, then Q” rule and were given a set of concrete problems involving the use of this and other logical rules (e.g., “if P, then not Q”). For this set of concrete practice problems, one group of students was prompted to self-explain while solving each problem by stating the reasons for choosing or not choosing each card. Another group of students solved all problems in the set and only then were asked to explain how they had gone about solving the problems. Students in a control group were not prompted to self-explain at any point. Accuracy on the practice problems was 90% or better in all three groups. However, when the logical rules were instantiated in a set of abstract problems presented during a subsequent transfer test, the two self-explanation groups substantially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see Fig. 2). In a second experiment, another control group was explicitly told about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crete practice problems they had just solved and the forthcoming abstract problems, but they fared no better (28%).


위에 설명된 것처럼, 자기 설명의 핵심 구성 요소는 학생들이 학습 중 처리 과정의 몇 가지 측면을 설명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정교한 질문의 관련 기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적 가정과 일관되게, 자기 설명은 기존의 사전 지식과의 새로운 정보의 통합을 지원함으로써 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정교한 대화 문헌에 사용된 일관된 프롬프트와 비교하여, 자기 설명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프롬프트는 연구마다 훨씬 더 다양했다. 사용되는 프롬프트의 변화에 따라 자기 설명 효과의 기초가 되는 특정 메커니즘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자가 설명이 나타나는 주요 연속성은 내용 없음과 내용별 등급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많은 연구에서 익힐 자료에서 특정 내용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프롬프트를 사용했다(예: "문장이 여러분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 즉, 그 문장은 당신에게 어떤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가? 그리고 여러분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연속체의 다른 쪽 끝에서, 많은 연구들은 다른 항목에 대해 서로 다른 프롬프트가 사용되는 것과 같이 훨씬 더 콘텐츠에 특정한 프롬프트를 사용했다. "이 단계에서 왜 숫자 14와 분모 7이 되는가?" 현재, 우리는 상대적으로 내용이 없는 프롬프트를 사용한 연구로 우리의 검토를 제한한다. 비록 많은 내용별 프롬프트가 설명을 이끌어내지만, 상대적으로 구조화된 이러한 프롬프트의 특성으로 인해 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사용할 수 있는 보다 일반적인 기법을 포착하기 보다는 실천하기 위해 특정 프롬프트 세트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자기 설명 문헌에 위치했던 일부 연구에서, 프롬프트의 특성은 연습 시험의 성격과 더 밀접하게 기능한다.

As illustrated above, the core component of self-explanation involves having students explain some aspect of their processing during learning. Consistent with basic theoretical assumptions about the related technique of elaborative interrogation, self-explanation may enhance learning by supporting the integration of new information with existing prior knowledge. However, compared with the consistent prompts used in the elaborative-interrogation literature, the prompts used to elicit self-explanations have been much more variable across studies. Depending on the variation of the prompt used, the particular mechanisms underlying self-explanation effects may differ somewhat. The key continuum along which selfexplanation prompts differ concern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content-free versus content-specific. For example, many studies have used prompts that include no explicit mention of particular content from the to-be-learned materials (e.g., “Explain what the sentence means to you. That is, what new information does the sentence provide for you? And how does it relate to what you already know?”). On the other end of the continuum, many studies have used prompts that are much more content-specific, such that different prompts are used for different items (e.g., “Why do you calculate the total acceptable outcomes by multiplying?” “Why is the numerator 14 and the denominator 7 in this step?”). For present purposes, we limit our review to studies that have used prompts that are relatively content-free. Although many of the content-specific prompts do elicit explanations, the relatively structured nature of these prompts would require teachers to construct sets of specific prompts to put into practice, rather than capturing a more general technique that students could be taught to use on their own. Furthermore, in some studies that have been situated in the self-explanation literature, the nature of the prompts is functionally more closely aligned with that of practice testing.


여기서 검토를 위해 선택된 일련의 연구들에서도, 상당한 변동성은 사용된 자가 설명 프롬프트에 남아 있다. 더욱이, 자기 설명을 탐구하는 데 사용된 작업과 조치의 범위는 상당히 크다. 이 범위를 문헌의 강점으로 보더라도, 자가 설명 프롬프트, 작업 및 조치의 다양성은 자기 설명 효과를 뒷받침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요약 설명을 쉽게 뒷받침하지 않는다.

Even within the set of studies selected for review here, considerable variability remains in the self-explanation prompts that have been used. Furthermore, the range of tasks and measures that have been used to explore self-explanation is quite large. Although we view this range as a strength of the literature, the variability in self-explanation prompts, tasks, and measures does not easily support a general summative statement about the mechanisms that underlie self-explanation effects.


2.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self-explanation?


2.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2.4 Issues for implementation.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기 설명 전략의 특별한 강점은 광범위한 태스크 및 콘텐츠 영역에 걸친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이다. 또한, 자기 설명의 상당한 효과를 보고하는 거의 모든 연구에서, 실험 과제를 완료하기 전에 참가자들에게 최소한의 지시와 자기 설명으로 거의 또는 전혀 연습하지 않는 최소한의 지시가 제공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최소한의 훈련으로 자기 설명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As noted above, a particular strength of the self-explanation strategy is its broad applicability across a range of tasks and content domains. Furthermore, in almost all of the studies reporting significant effects of selfexplanation,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minimal instructions and little to no practice with self-explanation prior to completing the experimental task. Thus, most students apparently can profit from self-explanation with minimal training.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성공적인 자기 설명을 구현하기 위해 더 많은 교육이 필요할 수 있다. Didierjean과 Cauzinille-Marméche의 연구에서, 대수학이 좋지 않은 9학년생들은 대수학 문제를 해결하면서 자기 설명을 하기 전에 최소한의 훈련을 받았다. 여러 연구에서 최종 테스트 성과와 학습 중 학생들이 생성하는 설명의 양과 질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보고되었으며, 더 나아가 자가 설명의 이점은 효과적으로 자신을 설명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방법을 통해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ng methods, Ainsworth & Burcham, 2007; R. M. F. Wong 등, 2002을 참조한다. 그러나, 적어도 이러한 연구들 중 일부에서, 더 많거나 더 나은 품질의 자기 설명을 만든 학생들은 더 많은 도메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을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이 기술을 이용한 추가 훈련이 더 형편없는 성적을 낸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았을 것이다. 자기 설명의 유효성에 대한 이러한 요인의 기여도를 조사하는 것은 이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과 시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owever, some students may require more instruction to successfully implement self-explanation. In a study by Didierjean and Cauzinille-Marmèche (1997), ninth graders with poor algebra skills received minimal training prior to engaging in self-explanation while solving algebra problems; analysis of think-aloud protocols revealed that students produced many more paraphrases than explanation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inal-test performance and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xplanations generated by students during learning, further suggesting that the benefit of self-explanation might be enhanced by teaching students how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self-explanation technique (for examples of training methods, see Ainsworth & Burcham, 2007; R. M. F. Wong et al., 2002). However, in at least some of these studies, students who produced more or better-quality self-explanations may have had greater domain knowledge; if so, then further training with the technique may not have benefited the more poorly performing students. Investigating the contribution of these factors (skill at self-explanation vs. domain knowledge) to the efficacy of self-explanation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and when to use this technique.


미결 문제는 자가 설명과 관련된 시간 요구 사항과 작업 시간 증가로 인한 자기 설명 효과의 범위에 관한 것입니다. 불행하게도, 자기 설명 조건을 다른 전략이나 활동과 관련된 조건을 통제하기 위해 비교할 때 과제에 대한 시간을 일치시키는 연구는 거의 없었고, 자기 중심적 실무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참가자의 직무 시간을 보고하지 않았다. 직무에 대한 보고 시간에서, 자기 중심적인 행정은 보통 다른 조건에 비해 자기 설명 조건에 대해 학습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서 불필요한 증가(30–100%)를 초래했는데, 이는 아마도 높은 수준의 결과일 것이다. 예를 들어, Chi 외 연구진(1994)은 설명문 각각의 문장을 읽은 후 학습자가 스스로 설명하도록 유도했다. 이는 그룹이 대조군(125분, 66분)과 비교하여 텍스트를 연구한 시간을 각각 두 배로 증가시켰다. 그와 함께, 슈worm과 렌클(2006)은 직무 시간이 그룹 간 성과와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보고했고, 아인스워스와 버팀목(2007)은 연구 시간에 대한 통제가 자기 설명의 영향을 제거하지는 않았다고 보고했다.

An outstanding issue concerns the time demands associated with self-explanation and the extent to which self-explanation effects may have been due to increased time on task. Unfortunately, few studies equated time on task when comparing selfexplanation conditions to control conditions involving other strategies or activities, and most studies involving self-paced practice did not report participants’ time on task. In the few studies reporting time on task, self-paced administration usually yielded nontrivial increases (30–100%) in the amount of time spent learning in the self-explanation condition relative to other conditions, a result that is perhaps not surprising, given the high dosage levels at which self-explanation was implemented. For example, Chi et al. (1994) prompted learners to self-explain after reading each sentence of an expository text, which doubled the amount of time the group spent studying the text relative to a rereading control group (125 vs. 66 minutes, respectively). With that said, Schworm and Renkl (2006) reported that time on task was not correlated with performance across groups, and Ainsworth and Burcham (2007) reported that controlling for study time did not eliminate effects of self-explanation.


과제 시간이 동일한 소수의 연구들 내에서, 결과는 다소 엇갈렸다. 과제에 대한 시간을 동일시하는 세 가지 연구(d Bruin et al., 2007; de Koning, Tabbers, Rikers & Paas, 2011; O'Lilly, Symons. 이와는 대조적으로 매튜와 리틀 존슨(2009)은 3학년에서 5학년 사이의 그룹에게 자기 설명으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을 시키고 대조군은 자가 설명 없이 두 배의 연습 문제를 해결했다. 분명히, 강력한 규범적 결론을 내리기 전에 자기 설명으로 제공된 책임에 대한 책임을 확립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Within the small number of studies in which time on task was equated, results were somewhat mixed. Three studies equating time on task reported significant effects of selfexplanation (de Bruin et al., 2007; de Koning, Tabbers, Rikers, & Paas, 2011; O’Reilly, Symons, & MacLatchy-Gaudet, 1998). In contrast, Matthews and Rittle-Johnson (2009) had one group of third through fifth graders practice solving math problems with self-explanation and a control group solve twice as many practice problems without self-explanation; the two groups performed similarly on a final test. Clear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the bang for the buck provided by self-explanation before strong prescriptive conclusions can be made.



2.5 Self-explanation: Overall assessment.



3 요약

3 Summarization


3.1 General description of summarization and why it should work.


요약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소개로서, 시제품 실험의 설명부터 시작합니다. 브레칭과 쿨하비(1979)는 고교 3학년생들에게 가상의 부족에 대한 2,000단어짜리 글을 공부하도록 했다. 학생들은 5가지 학습 조건 중 하나에 배정되었고 본문을 공부하기 위해 최대 30분을 할애했다. 각 페이지를 읽은 후, 요약 그룹의 학생들은 그 페이지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세 줄의 텍스트를 쓰라는 지시를 받았다. 노트 필기를 하는 그룹의 학생들은, 그들이 읽는 동안 각 페이지의 노트를 3줄까지 읽도록 지시 받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지시를 받았다. 언어 복사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각 페이지에서 가장 중요한 세 줄을 찾아 복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문자 검색 그룹의 학생들은 본문의 대문자를 모두 베꼈고, 또한 세 줄을 채웠다. 마지막으로, 대조군 그룹의 학생들은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고 단순히 텍스트를 읽는다. (글쓰기와 관련된 네 가지 조건의 학생 중 일부는 자신이 쓴 내용을 복습할 수 있었지만, 현재 목적상 우리는 최종 시험 전에 복습할 기회를 얻지 못한 학생들에게 초점을 맞출 것이다.) 학생들은 1주일 후에 학습하거나 시험을 치렀다.원문을 가로질러서 즉시 및 지연된 테스트 모두에서, 요약 및 노트 작성 그룹의 학생들이 가장 잘 수행했고, 서신 검색 그룹에서 가장 나쁜 수행으로 언어 복사 및 제어 그룹의 학생들이 그 뒤를 이었다(그림 3 참조).

As an introduction to the issues relevant to summarization, we begin with a description of a prototypical experiment. Bretzing and Kulhavy (1979) had high school juniors and seniors study a 2,000-word text about a fictitious tribe of people. Students were assigned to one of five learning conditions and given up to 30 minutes to study the text. After reading each page, students in a summarization group were instructed to write three lines of text that summarized the main points from that page. Students in a note-taking group received similar instructions, except that they were told to take up to three lines of notes on each page of text while reading. Students in a verbatim-copying group were instructed to locate and copy the three most important lines on each page. Students in a letter-search group copied all the capitalized words in the text, also filling up three lines. Finally, students in a control group simply read the text without recording anything. (A subset of students from the four conditions involving writing were allowed to review what they had written, but for present purposes we will focus on the students who did not get a chance to review before the final test.) Students were tested either shortly after learning or 1 week later, answering 25 questions that required them to connect information from across the text. On both the immediate and delayed tests, students in the summarization and note-taking groups performed best, followed by the students in the verbatim-copying and control groups, with the worst performance in the letter-search group (see Fig. 3).


브레칭 및 Kulhavy(1979)의 결과는 요약이 자료의 상위 수준의 의미와 요지를 연구하고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학습과 유지를 강화한다는 주장에 잘 맞습니다. 실험의 조건은 학습자가 의미를 추출할 필요가 없는 텍스트의 얄팍한 처리와 관련된 문자 검색 조건(Craik & Lockhart, 1972)과 함께 학생들이 얼마나 의미에 대해 처리하는지를 조작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요약본은 저 얕은 과제보다 더 유익했으며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또 다른 과제인 노트 채닝과 유사한 이익을 낳았다(예: 브레칭 앤 쿨하비, 1981; 1925a). 단, 텍스트의 요점을 추출하는 것은 단순히 개별 구성 요소를 평가하는 것(동일한 방식으로)이 아니라, 학습자가 텍스트의 서로 다른 부분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요약은 조직적 처리를 촉진해야 한다.싱; 아인슈타인, 모리스, 스미스. 

Bretzing and Kulhavy’s (1979) results fit nicely with the claim that summarization boosts learning and retention because it involves attending to and extracting the higher-level meaning and gist of the material. The conditions in the experiment were specifically designed to manipulate how much students processed the texts for meaning, with the letter-search condition involving shallow processing of the text that did not require learners to extract its meaning (Craik & Lockhart, 1972). Summarization was more beneficial than that shallow task and yielded benefits similar to those of note-taking, another task known to boost learning (e.g., Bretzing & Kulhavy, 1981; Crawford, 1925a, 1925b; Di Vesta & Gray, 1972). More than just facilitating the extraction of meaning, however, summarization should also boost organizational processing, given that extracting the gist of a text requires learners to connect disparate pieces of the text, as opposed to simply evaluating its individual components (similar to the way in which note-taking affords organizational processing; Einstein, Morris, & Smith, 1985). 


마지막으로 브레칭과 쿨하비(1979)의 결과에 대해 언급해야 한다. 즉, 요약과 메모는 모두 구두 복사보다 더 유익했다. 언어 복사 그룹의 학생들은 여전히 텍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를 찾아야 했지만, 그들은 그것을 요약으로 통합하거나 그들의 노트에 다시 써넣지 않았다. 따라서, 자신의 말로 중요한 요점을 쓰는 것은 중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보다 더 많은 이점을 낳았다; 학생들은 요약과 고지에 관련된 보다 적극적인 과정으로부터 이익을 얻었다(Wittrock, 1990, Chi, 2009년, Wittgenerative 리뷰 참조). 이 모든 설명은 요약이 학생들이 본문의 주요 아이디어를 식별하고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One last point should be made about the results from Bretzing and Kulhavy (1979)—namely, that summarization and note-taking were both more beneficial than was verbatim copying. Students in the verbatim-copying group still had to locate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text, but they did not synthesize it into a summary or rephrase it in their notes. Thus, writing about the important points in one’s own words produced a benefit over and above that of selecting important information; students benefited from the more active processing involved in summarization and notetaking (see Wittrock, 1990, and Chi, 2009, for reviews of active/generative learning). These explanations all suggest that summarization helps students identify and organize the main ideas within a text.


그렇다면 요약이 유익한 학습 전략이라는 증거는 얼마나 강력한가? 이 질문에 답하기 어려운 한 가지 이유는 요약 전략이 여러 가지 연구 방식에서 구현되었기 때문에 그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기가 어렵다. 프레스리와 동료들은 "요약은 하나의 전략이 아니라 일군의 전략"이라고 언급했을 때 상황을 잘 설명했다. 주어진 특정 지침에 따라, 학생들의 요약은 단일 단어, 문장 또는 더 긴 단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길이로 제한되거나, 전체 텍스트 또는 일부만 캡처하거나, 기억으로 소리내어 작성할 수 있다.

So how strong is the evidence that summarization is a beneficial learning strategy? One reason this question is difficult to answer is that the summarization strategy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ways across studies, making it difficult to draw general conclusions about its efficacy. Pressley and colleagues described the situation well when they noted that “summarization is not one strategy but a family of strategies” (Pressley, Johnson, Symons, McGoldrick, & Kurita, 1989, p. 5). Depending on the particular instructions given, students’ summaries might consist of single words, sentences, or longer paragraphs; be limited in length or not; capture an entire text or only a portion of it; be written or spoken aloud; or be produced from memory or with the text present.


실제로 많은 연구가 어떤 형태로든 요약에 포함되었지만, 일부 증거는 요약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예: L. W. Brooks, Dansereau, Holly, Holly, 1983). 670)은 오래되지 않습니다. 연구원들은 요약이 언제 어떻게 작동하는지 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대신, 그 자체와 훈련 없이 학생들이 더 나은 요약(예: 친구, 2001; Hare & Borchardt)을 쓰도록 훈련시키는 방법을 탐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단순히 이것을 더 큰 개입의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요약이 효과가 있다고 가정했다. (예: Carr, Bigler, 2009; Lee, Lim, and Grabowski, 2010; Pals). 모든 형태의 요약과 관련된 조사 결과에 대해 결론이 내려질 때 요약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략의 한 순간화에 대한 증거는 덜 설득력이 있다.

A lot of research has involved summarization in some form, yet whereas some evidence demonstrates that summarization works (e.g., L. W. Brooks, Dansereau, Holley, & Spurlin, 1983; Doctorow, Wittrock, & Marks, 1978), T. H. Anderson and Armbruster’s (1984) conclusion that “research in support of summarizing as a studying activity is sparse indeed” (p. 670) is not outmoded. Instead of focusing on discovering when (and how) summarization works, by itself and without training, researchers have tended to explore how to train students to write better summaries (e.g., Friend, 2001; Hare & Borchardt, 1984) or to examine other benefits of training the skill of summarization. Still others have simply assumed that summarization works, including it as a component in larger interventions (e.g., Carr, Bigler, & Morningstar, 1991; Lee, Lim, & Grabowski, 2010; Palincsar & Brown, 1984; Spörer, Brunstein, & Kieschke, 2009). When collapsing across findings pertaining to all forms of summarization, summarization appears to benefit students, but the evidence for any one instantiation of the strategy is less compelling.


학생들이 요약하도록 훈련하는 것에 대한 초점은 요약의 질이 중요하다는 믿음을 반영한다. 요약이 텍스트의 주요 요점을 강조하지 않거나 잘못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학습과 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Bednall과 Kehoe(2011, 실험 2)의 연구에 따르면, 학부생들은 서로 다른 논리적인 오류를 설명하고 각각의 예를 제공하는 여섯 개의 웹 단위를 연구했다. 현재 목적에서 관심 있는 것은 두 개의 그룹, 즉 단순히 단위를 읽는 그룹과 학생들이 마치 그것을 친구에게 설명하듯이 내용을 요약하도록 요청 받은 그룹이다. 두 그룹 모두 다음과 같은 시험을 받았다. 웹 단위에 직접 언급된 정보를 테스트한 복수 선택 퀴즈; 제시된 각 진술 목록에 대해 최종적으로 "하나의 특정 오류"를 기재하지 않은 단답형 시험. 학생들이 논리적인 오류에 대한 설명을 연구한 예(근접 전송)와 새로운 예(근접 전송)의 오류에 대한 설명을 쓰도록 요구했는지 테스트합니다. 요약본은 전반적인 성과에 도움이 되지 않았지만 연구원들은 요약본이 내용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챘다. 한 번의 연구된 오류에 대해서, 단지 64%만이 정확한 정의를 포함하고 있었다. 표 3은 요약 콘텐츠와 이후 성능 사이의 관계를 보여 줍니다.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이전 지식과 연결된 고품질 요약은 더 나은 성능과 관련이 있었다.

The focus on training students to summarize reflects the belief that the quality of summaries matters. If a summary does not emphasize the main points of a text, or if it includes incorrect information, why would it be expected to benefit learning and retention? Consider a study by Bednall and Kehoe (2011, Experiment 2), in which undergraduates studied six Web units that explained different logical fallacies and provided examples of each. Of interest for present purposes are two groups: a control group who simply read the units and a group in which students were asked to summarize the material as if they were explaining it to a friend. Both groups received the following tests: a multiple-choice quiz that tested information directly stated in the Web unit; a short-answer test in which, for each of a list of presented statements, students were required to name the specific fallacy that had been committed or write “not a fallacy” if one had not occurred; and, finally, an application test that required students to write explanations of logical fallacies in examples that had been studied (near transfer) as well as explanations of fallacies in novel examples (far transfer). Summarization did not benefit overall performance, but the researchers noticed that the summaries varied a lot in content; for one studied fallacy, only 64% of the summaries included the correct definition. Table 3 shows the relationships between summary content and later performance. Higher-quality summaries that contained more information and that were linked to prior knowledge were associated with better performance.



3.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summarization?


3.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3.4 Issues for implementation.


요약은 이미 요약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학부생이나 다른 학습자에게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요약은 완성하거나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 쉬운 실행 기법이 될 것이다. 유일한 우려는 이 학생들이 어떤 다른 전략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일 것이다. 그러나 분명히, 요약은 학생들이 전형적으로 선호하는 학습 전략(예: 강조 표시 및 재독서)보다 나을 것이다. 더 까다로운 문제는 전문 요약자가 아닌 학생들에게 전략을 적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중학생이나 학습장애가 있는 학습자가 요약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집중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훈련 절차는 실질적인 문제를 제기하지만(예: 1991년 중등교육 및 중등교육의 경우 Maljria & Salvia, 1992년: 6.5–11시간의 훈련)학습장애를 가진 학생; Rinehart 등, 1986년: 6학년 학생들에게 5일 동안 매일 45-50분씩 교육을 실시함). 물론, 강사들은 요약 자체가 목표이기 때문이 아니라 요약 자체를 연구 기법으로 사용할 계획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료를 요약하기를 원할 수 있고, 그 목표는 훈련의 노력을 할 가치가 있을 수 있다.

Summarization would be feasible for undergraduates or other learners who already know how to summarize. For these students, summarization would constitute an easy-to-implement technique that would not take a lot of time to complete or understand. The only concern would be whether these students might be better served by some other strategy, but certainly summarization would be better than the study strategies students typically favor, such as highlighting and rereading (as we discuss in the sections on those strategies below). A trickier issue would concern implementing the strategy with students who are not skilled summarizers. Relatively intensive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or learn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benefit from summarization. Such efforts are not misplaced; training has been shown to benefit performance on a range of measures, although the training procedures do raise practical issues (e.g., Gajria & Salvia, 1992: 6.5–11 hours of training used for sixth through ninth grad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Malone & Mastropieri, 1991: 2 days of training us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Rinehart et al., 1986: 45–50 minutes of instruction per day for 5 days used for sixth graders). Of course, instructors may want students to summarize material because summarization itself is a goal, not because they plan to use summarization as a study technique, and that goal may merit the efforts of training.


그러나 요약본을 학습 기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목표라면, 우리의 질문은 교사의 시간 및 학생들의 다른 활동에 필요한 시간 측면에서 모두 교육 시간이 어느 정도 소요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효과 면에서, 요약은 다른 기법과 비교했을 때 집합 중간에 있는 경향이 있다. 직접적인 비교에서, 그것은 때때로 재독하는 것보다 더 유용했고, 노트적기만큼 유용했으며, 설명생성 또는 자기질문보다는 덜유용했다.

However, if the goal is to use summarization as a study technique, our question is whether training students would be worth the amount of time it would take, both in terms of the time required on the part of the instructor and in terms of the time taken away from students’ other activities. For instance, in terms of efficacy, summarization tends to fall in the middle of the pack when compared to other techniques. In direct comparisons, it was sometimes more useful than rereading (Rewey, Dansereau, & Peel, 1991) and was as useful as notetaking (e.g., Bretzing & Kulhavy, 1979) but was less powerful than generating explanations (e.g., Bednall & Kehoe, 2011) or self-questioning (A. King, 1992).




3.5 Summarization: Overall assessment.




4 강조와 밑줄긋기

4 Highlighting and underlining


4.1 General description of highlighting and underlining and why they should work.


관련 문제에 대한 소개로서, 시제품 실험의 설명부터 시작합니다. Fowler와 Barker는 학부생들에게 Scientific American and Science의 권태와 도시 생활에 대한 기사를 읽게 했다. 학생들은 세 가지 그룹 중 하나에 배정되었는데, 그들은 기사를 읽기만 하는 대조군 그룹, 그들이 원하는 만큼 텍스트를 강조할 수 있는 능동 강조 그룹, 또는 수동 강조 표시 그룹이다.p. 모든 학생들이 본문을 연구하기 위해 1시간을 받았다. 모든 피험자는 1주일 후에 실험실로 돌아와 54개 항목 객관식 시험을 치르기 전에 10분간 원본을 검토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강조표시 그룹은 최종 테스트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는데, 이 결과는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문헌에서 반영되었다(예: 훈, 1974; Idstein & Jenkins, 1972년).

As an introduction to the relevant issues, we begin with a description of a prototypical experiment. Fowler and Barker (1974, Exp. 1) had undergraduates read articles (totaling about 8,000 words) about boredom and city life from Scientific American and Science. Stud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in which they only read the articles; an active-highlighting group, in which they were free to highlight as much of the texts as they wanted; or a passive-highlighting group, in which they read marked texts that had been highlighted by yoked participants in the active-highlighting group. Everyone received 1 hour to study the texts (time on task was equated across groups); students in the active-highlighting condition were told to mark particularly important material. All subjects returned to the lab 1 week later and were allowed to review their original materials for 10 minutes before taking a 54-item multiple-choice test. Overall, the highlighting groups did not outperform the control group on the final test, a result that has unfortunately been echoed in much of the literature (e.g., Hoon, 1974; Idstein & Jenkins, 1972; Stordahl & Christensen, 1956).


그러나 두 개의 강조표시 그룹에서 성능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으로 얻은 결과는 강조표시가 인지 처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첫째, 액티브 하이라이트 그룹에서 관련 텍스트가 강조된 테스트 항목에서는 성능이 더 우수했습니다( 비슷한 결과에 대해서는 Blanchard & Mikkelson, 1987; L. L. Johnson, 1988 참조). 

    • 둘째, 강조 표시된 정보에 대한 이 이점은 활성화된 고경사(강조할 항목을 선택한 사람)가 패시브 고경사(동일한 정보가 강조 표시되지만 선택하지 않은 사람)보다 더 큽니다. 

    • 셋째로, 강조하지 않은 정보를 조사하는 시험 문제에는 작은 비용이 수반되었다.

However, results from more detailed analyses of performance in the two highlighting groups are informative about what effects highlighting might have on cognitive processing. First, within the active-highlighting group, performance was better on test items for which the relevant text had been highlighted (see Blanchard & Mikkelson, 1987; L. L. Johnson, 1988 for similar results). Second, this benefit to highlighted information was greater for the active highlighters (who selected what to highlight) than for passive highlighters (who saw the same information highlighted, but did not select it). Third, this benefit to highlighted information was accompanied by a small cost on test questions probing information that had not been highlighted.


이러한 발견을 설명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종종 목록의 의미론적 또는 음성학적으로 독특한 항목이 덜 독특한 것에 비해 훨씬 더 잘 기억되는 분리 효과로 알려진 기본적인 인지 현상을 지적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범주별로 관련된 단어 목록(예: "desk", "bed", "table", "table")을 공부하고 있을 경우, 다른 범주의 단어(예: "cow")가 제시된다.강조하기 위해 "cow"라는 단어가 가구 유형의 단어 목록에서 분리되었을 때와 같은 방식으로 강조되거나 밑줄이 그어진 문장 또는 대문자로 된 문장이 텍스트의 "pop out"가 된다. 이러한 기대와 일관되게, 표시된 텍스트를 읽으면 표시된 자료의 기억력이 향상된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생들은 실험자가 본문에서 강조하거나 밑줄 친 것들을 기억할 가능성이 더 높다.

To explain such findings, researchers often point to a basic cognitive phenomenon known as the isolation effect, whereby a semantically or phonologically unique item in a list is much better remembered than its less distinctive counterparts (see Hunt, 1995, for a description of this work). For instance, if students are studying a list of categorically related words (e.g., “desk,” “bed,” “chair,” “table”) and a word from a different category (e.g., “cow”) is presented, the students will later be more likely to recall it than they would if it had been studied in a list of categorically related words (e.g., “goat,” “pig,” “horse,” “chicken”). The analogy to highlighting is that a highlighted, underlined, or capitalized sentence will “pop out” of the text in the same way that the word “cow” would if it were isolated in a list of words for types of furniture. Consistent with this expectation,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reading marked text promotes later memory for the marked materia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member things that the experimenter highlighted or underlined in the text (e.g., Cashen & Leicht, 1970; Crouse & Idstein, 1972; Hartley, Bartlett, & Branthwaite, 1980; Klare, Mabry, & Gustafson, 1955; see Lorch, 1989 for a review).


정보를 능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단순히 표시된 텍스트를 읽는 것보다 기억력에 더 도움이 되어야 한다(전자가 생성, 슬라메카 & 그라프, 1978년 및 보다 일반적으로 능동적인 처리의 이점을 이용할 것으로 가정). 표시된 텍스트는 독자의 주의를 끌지만, 독자가 어떤 재료가 가장 중요한지 결정해야 할 경우 추가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한 결정은 독자가 본문의 의미와 본문의 다른 부분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도록 요구한다(즉, 조직적인 처리, 헌트 & 워튼, 2006). Fowler 및 Barker(1974) 실험에서 이 이점은 강조 표시된 동일한 텍스트의 수동 수신자보다 능동 고경사 중에서 강조된 정보에 대한 더 큰 장점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실험자가 이미 강조한 자료(예: Nist & Hogrebe, 1987년)보다 능동적인 강조표시가 항상 더 나은 것은 아니다. 실험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는 학생들보다 더 나을 수 있기 때문이다.

Actively selecting information should benefit memory more than simply reading marked text (given that the former would capitalize on the benefits of generation, Slamecka & Graf, 1978, and active processing more generally, Faw & Waller, 1976). Marked text draws the reader’s attention, but additional processing should be required if the reader has to decide which material is most important. Such decisions require the reader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text and how its different pieces relate to one another (i.e., organizational processing; Hunt & Worthen, 2006). In the Fowler and Barker (1974) experiment, this benefit was reflected in the greater advantage for highlighted information among active highlighters than among passive recipients of the same highlighted text. However, active highlighting is not always better than receiving material that has already been highlighted by an experimenter (e.g., Nist & Hogrebe, 1987), probably because experimenters will usually be better than students at highlighting the most important parts of a text.


보다 일반적으로, 강조표시의 질은 학생들이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마크된 텍스트의 양을 조사한 연구들은 학생들이 실제로 표시하는 것에 큰 차이를 발견했고, 어떤 학생들은 거의 아무 것도 강조하지 않았고 다른 학생들은 거의 모든 것을 강조했다. (예: Idstein & Jenkins, 1972) 몇 가지 흥미로운 데이터는 파울러와 바커(1974년)의 활동적인 하이라이트 그룹에서 나왔다. 작은 표본 크기(n = 19)를 고려할 때 유의하지 않았지만 테스트 성능은 액티브 하이라이트 그룹에서 강조된 텍스트 양과 부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습니다(r = –.29)

More generally, the quality of the highlighting is likely crucial to whether it helps students to learn (e.g., Wollen, Cone, Britcher, & Mindemann, 1985), but unfortunately, many studies have not contained any measure of the amount or the appropriateness of students’ highlighting. Those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amount of marked text have found great variability in what students actually mark, with some students marking almost nothing and others marking almost everything (e.g., Idstein & Jenkins, 1972). Some intriguing data came from the active-highlighting group in Fowler and Barker (1974). Test performa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r = –.29) with the amount of text that had been highlighted in the activehighlighting group, although this result was not significant given the small sample size (n = 19).


텍스트를 너무 많이 표시하면 여러 가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째, 과도하게 표시하면 표시된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와 구별되는 정도가 줄어들고, 눈에 띄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표시된 텍스트를 기억할 가능성이 더 적다. (로치, 로치, & 클레슈비츠, 1995) 둘째, 가장 중요한 세부 사항들을 정리하는 것보다 많은 텍스트를 강조하는 데 더 적은 프로세싱이 필요할 수 있다. 이 후자의 아이디어와 일관되게, 실험자들이 학생들이 표시할 수 있는 텍스트의 양에 명백한 제한을 가할 때 텍스트 표시의 이점이 더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카드와 8월(1975년)은 한 문단당 한 문장의 밑줄만 긋는 학생들이 나들이 대조군보다 더 많은 과학 교재를 기억해냈다는 것을 발견했다. 비슷하게, L. L. L. Johnson (1988)은 한 단락당 하나의 문장을 표시하는 것이 전반적인 혜택으로 번역되지는 않았지만, 읽기 수업에서 대학생들이 밑줄이 그어진 정보를 기억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Marking too much text is likely to have multiple consequences. First, overmarking reduces the degree to which marked tex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ext, and people are less likely to remember marked text if it is not distinctive (Lorch, Lorch, & Klusewitz, 1995). Second, it likely takes less processing to mark a lot of text than to single out the most important details. Consistent with this latter idea, benefits of marking text may be more likely to be observed when experimenters impose explicit limits on the amount of text students are allowed to mark. For example, Rickards and August (1975) found that students limited to underlining a single sentence per paragraph later recalled more of a science text than did a nounderlining control group. Similarly, L. L. Johnson (1988) found that marking one sentence per paragraph helped college students in a reading class to remember the underlined information, although it did not translate into an overall benefit.



4.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highlighting and underlining?


4.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4.4 Issues for implementation.


학생들은 이미 강조표시 기술에 익숙하고 자발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문제는 이 기법을 구현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은 일반적으로 학습에 해로운 것은 아니지만(가능한 예외는 Peterson, 1992 참조), 학생들이 다른 보다 생산적인 전략에 관여하지 못하게 할 정도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Students already are familiar with and spontaneously adopt the technique of highlighting; the problem is that the way the technique is typically implemented is not effective. Whereas the technique as it is typically used is not normally detrimental to learning (but see Peterson, 1992, for a possible exception), it may be problematic to the extent that it prevents students from engaging in other, more productive strategies.


탐구되어야 할 한 가지 가능성은 학생들이 더 효과적으로 강조할 수 있도록 훈련 받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우리는 학생들이 강조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춘 세 가지 연구를 찾아냈다. 이 중 두 가지 경우에서 훈련은 학생들이 텍스트를 표시하기 전에 주요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 텍스트를 읽는 것을 연습하는 하나 이상의 수업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목표 텍스트를 표시(그리고 시험을 받기)하기 전에 연습 본문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고 향상된 성과를 훈련했다(예: Amer, 1994; Hayati & Shaciifar, 2009). 세 번째 경우, 학생들은 본문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을 밑줄 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한 가지 조건에서, 학생들은 심지어 관련 없는 물질들의 밑줄로 점수를 잃었다. 이 세 가지 사례의 교육 절차는 모두 피드백이 포함되었으며, 모두 기술의 남용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학생들이 강조하거나 밑줄을 긋는 것에 대한 열정을 고려할 때(또는 학생들이 이 기법을 항상 올바르게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실패할 염려가 없는 방법을 발견하는 것이 다른 학생들에게 완전히 그것을 포기하도록 설득하는 것보다 쉬울 수 있다.

One possibility that should be explored is whether students could be trained to highlight more effectively. We located three studies focused on training students to highlight. In two of these cases, training involved one or more sessions in which students practiced reading texts to look for main ideas before marking any text. Students received feedback about practice texts before marking (and being tested on) the target text, and training improved performance (e.g., Amer, 1994; Hayati & Shariatifar, 2009). In the third case, students received feedback on their ability to underline the most important content in a text; critically, students were instructed to underline as little as possible. In one condition, students even lost points for underlining extraneous material (Glover, Zimmer, Filbeck, & Plake, 1980). The training procedures in all three cases involved feedback, and they all had some safeguard against overuse of the technique. Given students’ enthusiasm for highlighting and underlining (or perhaps overenthusiasm, given that students do not always use the technique correctly), discovering fail-proof ways to ensure that this technique is used effectively might be easier than convincing students to abandon it entirely in favor of other techniques.


4.5 Highlighting and underlining: Overall assessment.



5 키워드 연상법

5 The keyword mnemonic


5.1 General description of the keyword mnemonic and why it works.


한 학생이 라 덴트, 라 클레프, 복수도, 애도자(죽기)와 같은 프랑스 어휘를 배우려고 애쓰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학생들은 앳킨슨과 and(1975년)이 개발한 쌍방향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기술인 키워드 니모닉을 사용한다. 이 니모닉을 사용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먼저 "라 덴트"의 치과의사나 "라 클리프"의 절벽과 같은 외국 단어와 비슷한 영어 단어를 찾을 것이다. 그 학생은 영어 번역과 상호작용하는 영어 키워드의 정신적인 이미지를 발달시킬 것이다. 그래서, 라 덴트-투스를 위해, 그 학생은 한 쌍의 쟁기로 큰 어금니를 들고 있는 치과의사를 상상할 수 있다. Raugh와 Atkinson (1975년)은 대학생들에게 스페인어-영어 어휘(예: Gusano-worm)를 배우기 위해 키워드를 사용하게 했고, 학생들은 최초로 각 실험자가 제공한 키워드를 연관시켰다. 영어 번역이 포함된 키워드 이후 테스트에서 학생들은 스페인어로 된 큐(예: "구산"-?)를 제시했을 때 영어 번역을 생성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니모닉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한 학생들은 키워드 없이 번역에 상당하는 것을 연구한 대조군 학생들보다 훨씬 더 잘 수행했다.

Imagine a student struggling to learn French vocabulary, including words such as la dent (tooth), la clef (key), revenir (to come back), and mourir (to die). To facilitate learning, the student uses the keyword mnemonic, which is a technique based on interactive imagery that was developed by Atkinson and Raugh (1975). To use this mnemonic, the student would first find an English word that sounds similar to the foreign cue word, such as dentist for “la dent” or cliff for “la clef.” The student would then develop a mental image of the English keyword interacting with the English translation. So, for la dent–tooth, the student might imagine a dentist holding a large molar with a pair of pliers. Raugh and Atkinson (1975) had college students use the keyword mnemonic to learn Spanish-English vocabulary (e.g., gusano–worm): the students first learned to associate each experimenter-provided keyword with the appropriate Spanish cue (e.g., “gusano” is associated with the keyword “goose”), and then they developed interactive images to associate the keywords with their English translations. In a later test, the students were asked to generate the English translation when presented with the Spanish cue (e.g., “gusano”–?). Students who used the keyword mnemonic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test than did a control group of students who studied the translation equivalents without keywords.


첫 번째 시연 외에, 키워드 니모닉의 잠재적 이점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 그 힘은 부분적으로 인터랙티브 이미지 사용에 있다. 특히 대화형 이미지는 단어를 의미 있게 통합하는 세부 사항을 포함하며, 이미지 자체는 원하는 번역과 다른 후보자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큰 어금니"의 이미지는 치과의사(예: 잇몸, 드릴, 솜)와 관련된 다른 후보(예: 잇몸)와 "이두부"를 구별합니다. 다음에 토론할 때, 키워드 니모닉은 다양한 자료에 대한 다양한 나이와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헌에 대한 우리의 분석은 또한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그것의 유용성을 제약할 수 있는 키워드 니모닉의 한계를 발견했다. 이러한 한계를 감안하여, 우리는 문헌 검토를 각 변수 범주(표 2)와 관련된 별도의 섹션으로 구분하지 않고 대신 이 기법의 일반성과 관련된 가장 관련성이 높은 근거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한다.

Beyond this first demonstration, the potential benefits of the keyword mnemonic have been extensively explored, and its power partly resides in the use of interactive images. In particular, the interactive image involves elaboration that integrates the words meaningfully, and the images themselves should help to distinguish the sought-after translation from other candidates. For instance, in the example above, the image of the “large molar” distinguishes “tooth” (the target) from other candidates relevant to dentists (e.g., gums, drills, floss). As we discuss next, the keyword mnemonic can be effectively used by students of different ages and abilities for a variety of materials. Nevertheless, our analysis of this literature also uncovered limitations of the keyword mnemonic that may constrain its utility for teachers and students. Given these limitations, we did not separate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into separate sections that pertain to each variable category (Table 2) but instead provide a brief overview of the most relevant evidence concerning the generalizability of this technique.


5.2 a–d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the keyword mnemonic?


5.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5.4 Issues for implementation.


키워드 니모닉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는 학생들이 대화형 이미지를 개발하고 나중에 대상을 검색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적어도 일부(종종 광범위한) 훈련을 포함한다. 교육 외에도, 시행은 학생, 교사, 교과서 설계자에 의한 키워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부 키워드를 생성하는 데 수반되는 노력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사용하기 쉬운 키워드(즉, 검색 연습, 2007년, Voitz, Morris, Acton)가 다음과 같은 경우 학생(또는 교사)에게는 시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The majority of research on the keyword mnemonic has involved at least some (and occasionally extensive) training, largely aimed at helping students develop interactive images and use them to subsequently retrieve targets. Beyond training, implementation also requires the development of keywords, whether by students, teachers, or textbook designers. The effort involved in generating some keywords may not be the most efficient use of time for students (or teachers), particularly given that at least one easy-to-use technique (i.e., retrieval practice, Fritz, Morris, Acton, Voelkel, & Etkind, 2007) benefits retention as much as the keyword mnemonic does.


5.5 The keyword mnemonic: Overall assessment.


6 텍스트 학습에 이미지 활용

6 Imagery use for text learning


6.1 General description of imagery use and why it should work.


텍스트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미지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한 실험에서, Leutner, Leopold, Sumfleth(2009)는 10학년 학생들에게 물 분자의 쌍극 특성에 관한 장황한 과학 텍스트를 읽도록 35분을 주었다. 학생들은 이해(제어 그룹)를 위해 텍스트를 읽도록 지시받거나 간단하고 명확한 심상을 사용하여 각 단락의 내용을 정신적으로 상상하라는 말을 들었다. 상상력 설명서와 그림이 교차되었다. 일부 학생들은 각 단락의 내용을 나타내는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받았고, 다른 학생들은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 읽은 직후, 학생들은 본문에서 직접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없지만 그것으로부터 추론할 필요가 있는 질문들을 포함한 객관식 시험을 치렀다. 그림 5에서 표시한 대로, 각 단락의 내용을 정신적으로 상상하는 지침은 대조군(Cohen's d =72)의 학생들에 비해 정신 영상 그룹에서 학생들의 이해력 테스트 성과를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a)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b) 복잡한 과학 콘텐츠와 관련된 텍스트, (c) 학습자에게 콘텐츠에 대한 추론을 하도록 요구하는 기준 시험을 고려할 때, 이러한 효과는 인상적이다. 마지막으로, 그림은 이해를 향상시키지 못했고, 실제로 이미지 지침의 장점을 부정했다. 다른 활동이 이미지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잠재성은 아래의 학습 조건(6.2a)에 대한 하위섹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In one demonstration of the potential of imagery for enhancing text learning, Leutner, Leopold, and Sumfleth (2009) gave tenth graders 35 minutes to read a lengthy science text on the dipole character of water molecules. Students either were told to read the text for comprehension (control group) or were told to read the text and to mentally imagine the content of each paragraph using simple and clear mental images. Imagery instructions were also crossed with drawing: Som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draw pictures that represented the content of each paragraph, and others did not draw. Soon after reading, the students took a multiple-choice test that included questions for which the correct answer was not directly available from the text but needed to be inferred from it. As shown in Figure 5, the instructions to mentally imagine the content of each paragraph significantly boosted the comprehension-test performance of students in the mental-imagery group, in comparison to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Cohen’s d = 0.72). This effect is impressive, especially given that (a) training was not required, (b) the text involved complex science content, and (c) the criterion test required learners to make inferences about the content. Finally, drawing did not improve comprehension, and it actually negated the benefits of imagery instructions. The potential for another activity to interfere with the potency of imagery is discussed further in the subsection on learning conditions (6.2a) below.


다양한 메커니즘이 나중에 시험 수행 시 영상 텍스트 자료의 이점에 기여할 수 있다. 이미지를 개발하면 정신 조직이 향상되거나 텍스트에 정보가 통합될 수 있으며, 텍스트에 특정 참조의 특이한 이미지가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cf. 구별되는 처리; Hunt, 2006). 더욱이, 서술의 일관된 표현을 위해 이전의 지식을 사용하는 것은 학생들의 텍스트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과 리트너 외 연구진(2009)이 보여준 이미지의 극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문헌에 대한 우리의 리뷰는 텍스트로부터 배우기 위해 정신적 이미지를 사용하는 효과가 다소 제한적일 수 있고 강력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A variety of mechanisms may contribute to the benefits of imaging text material on later test performance. Developing images can enhance one’s mental organization or integration of information in the text, and idiosyncratic images of particular referents in the text could enhance learning as well (cf. distinctive processing; Hunt, 2006). Moreover, using one’s prior knowledge to generate a coherent representation of a narrative may enhance a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text; if so, the influence of imagery use may be robust across criterion tasks that tap memory and comprehension. Despite these possibilities and the dramatic effect of imagery demonstrated by Leutner et al. (2009),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using mental imagery to learn from text may be rather limited and not robust.


6.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imagery use for text learning?


6.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6.4 Issues for implementation.


대부분의 연구는 학생들이 공부하는 동안 텍스트 콘텐츠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격려한 비교적 간단한 지침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영향을 조사해왔다. 이미지가 학습을 저해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일부 조건에서 성능이 향상됨)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상상의 묘사에 쉽게 도움이 되는 글을 읽을 때 이미지를 사용하라고 가르칠 수 있다. 학생들이 적절한 조건에서 이미지를 일관성 있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교육이 필요할지는 알 수 없다..

The majority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imagery by using relatively brief instructions that encouraged students to generate images of text content while studying. Given that imagery does not appear to undermine learning (and that it does boost performance in some conditions), teachers may consider instructing students (third grade and above) to attempt to use imagery when they are reading texts that easily lend themselves to imaginal representations. How much training would be required to ensure that students consistently and effectively use imagery under the appropriate conditions is unknown.


6.5 Imagery use for learning text: Overall assessment.



7 반복해서 읽기

7 Rereading


7.1 General description of rereading and why it should work.


로스코프(1968년)의 초기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설명문(가죽을 만드는 것에 관한 1500단어 또는 호주 역사에 대한 750단어짜리 복도 중 하나)을 0회, 1, 2, 4회 읽었다. 독서는 스스로 진행되었고, 다시 읽혔다. 10분 정도 지연된 후, 내용 단어의 10%가 텍스트에서 삭제되고 학생들은 누락된 단어를 채우도록 하는 클로즈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그림 6과 같이 reading 횟수 함수로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In an early study by Rothkopf (1968), undergraduates read an expository text (either a 1,500-word passage about making leather or a 750-word passage about Australian history) zero, one, two, or four times. Reading was self-paced, and rereading was massed (i.e., each presentation of a text occurred immediately after the previous presentation). After a 10-minute delay, a cloze test was administered in which 10% of the content words were deleted from the text and students were to fill in the missing words. As shown in Figure 6, performance improved as a function of number of readings.


리딩이 학습을 개선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메이어(1983년; 브로마이지 & 메이어, 1986)는 반복읽기 효과에 대한 두 가지 기본 설명을 요약했다. 양적 가설에 따르면, 재독서는 텍스트 내의 정보의 종류나 수준에 관계없이 인코딩된 총 정보의 양을 증가시킨다. 대조적으로, 질적 가설은 재독서가 특히 재독서 중 개념적 구성과 주요 아이디어 처리에 중점을 두고 텍스트 내에서 상위 레벨과 하위 레벨의 정보의 처리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설을 평가하기 위해, 텍스트 정보의 종류 또는 수준의 함수로 무료 리콜을 검토했다. 결과는 다소 엇갈렸지만, 그 증거는 질적 가설을 지지하는 듯 하다. 비록 몇몇 연구에서 재독이 주요 아이디어의 리콜과 세부사항(양적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에서 유사한 향상을 가져왔지만, 몇몇 연구는 세부 사항의 리콜에서보다 주요 아이디어의 리콜에서 더 큰 향상을 보고했습니다(예:Ch, 1991; Rawson & Kintch, 2005.

Why does rereading improve learning? Mayer (1983; Bromage & Mayer, 1986) outlined two basic accounts of rereading effects.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hypothesis, rereading simply increases the total amount of information encoded, regardless of the kind or level of information within the text. In contrast, the qualitative hypothesis assumes that rereading differentially affects the processing of higher-level and lower-level information within a text, with particular emphasis placed on the conceptual organization and processing of main ideas during rereading. To evaluate these hypothese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free recall as a function of the kind or level of text information. The results have been somewhat mixed, but the evidence appears to favor the qualitative hypothesis. Although a few studies found that rereading produced similar improvements in the recall of main ideas and of details (a finding consistent with the quantitative hypothesi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greater improvement in the recall of main ideas than in the recall of details (e.g., Bromage & Mayer, 1986; Kiewra, Mayer, Christensen, Kim, & Risch, 1991; Rawson & Kintsch, 2005).



7.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rereading?


7.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7.4 Issues for implementation.


재독서의 한 가지 장점은 학생들이 그것을 사용하기 위해 교육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단, 재독서는 초기 독서 직후가 아니라 중간 지연 후 완료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이라는 지시를 받았을 뿐이다. 또한, 일부 다른 학습 기법에 비해서 재독서는 시간 요구에 관해서 상대적으로 경제적입니다(예: 자기 페이스 학습을 허용하는 연구에서 재독서에 소요된 시간은 일반적으로 초기 시간보다 짧습니다). 그러나, 학습 기법의 일대일 비교에서, 재독서는 여기서 논의되는 좀 더 효과적인 기법에 비해서는 덜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재독서를 정교한 질문, 자기 설명 및 연습 테스트(아래의 실습 테스트 섹션에서 설명함)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는 재독서가 학습 촉진을 위한 열등한 기술임을 일관되게 보여주었다.

One advantage of rereading is that students require no training to use it, other than perhaps being instructed that rereading is generally most effective when completed after a moderate delay rather than immediately after an initial reading. Additionally, relative to some other learning techniques, rereading is relatively economical with respect to time demands (e.g., in those studies permitting self-paced study, the amount of time spent rereading has typically been less than the amount of time spent during initial reading). However, in head-to-head comparisons of learning techniques, rereading has not fared well against some of the more effective techniques discussed here. For example, direct comparisons of rereading to elaborative interrogation, selfexplanation, and practice testing (described in the Practice Testing section below) have consistently shown rereading to be an inferior technique for promoting learning.


7.5 Rereading: Overall assessment.




8 연습문제 풀이

8 Practice testing


8.1 General description of practice testing and why it should work.


테스트 효과를 보여주는 예로서, Runquist(1983)는 학부생들에게 초기 연구를 위한 단어 쌍 목록을 제공했다. 참가자가 충전기 작업을 완료한 짧은 간격 후, 절반의 쌍은 큐드 리콜을 통해 테스트되었으며 나머지 절반은 테스트되지 않았습니다. 참가자들은 10분 또는 1주일 후에 모든 페어에 대해 최종 재호출 테스트를 완료했다. 최종 시험 수행은 연습 시험을 거치지 않은 쌍(10분 후 36%, 1주일 후 4%)보다 더 우수했다. 본 연구는 실무 시험을 수반하고 포함하지 않는 조건 간의 성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반면에, 많은 다른 연구들은 실무 시험 조건과 습득해야 할 정보의 추가 표시를 포함하는 좀 더 엄격한 조건을 비교했다. 

As an illustrative example of the power of testing, Runquist (1983) presented undergraduates with a list of word pairs for initial study. After a brief interval during which participants completed filler tasks, half of the pairs were tested via cued recall and half were not. Participants completed a final cued-recall test for all pairs either 10 minutes or 1 week later. Final-test performance was better for pairs that were practice tested than pairs that were not (53% versus 36% after 10 minutes, 35% versus 4% after 1 week). Whereas this study illustrates the method of comparing performance between conditions that do and do not involve a practice test, many other studies have compared a practice-testing condition with more stringent conditions involving additional presentations of the to-be-learned information. 


예를 들어, Roediger와 Karpicke(2006b)는 학부생에게 초기 연구를 위한 짧은 설명문 텍스트와 두 번째 연구 시험 또는 실습 프리-레콜 테스트를 차례로 제시하였다. 1주일 후, 무료 리콜은 재입원한 그룹보다 연습 시험을 치른 그룹 중 상당히 더 좋았다. 재학습과 비교할 때 Karpicke와 Roediger(2008)는 한 번 항목이 정확히 기억될 때까지 스와힐리-영어 번역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하고 연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능력을 보여 주었다. 첫 번째 정확한 리콜 후 추가 시험 없이 후속 연구 사이클에서만 또는 추가 연구 없이 후속 시험 사이클에서만 항목이 제시되었다. 1주일 후에 실시된 최종 테스트에서의 성과는 지속적인 테스트 후(80%)가 지속적인 연구 후(36%)보다 훨씬 높았다.

For example, Roediger and Karpicke (2006b) presented undergraduates with a short expository text for initial study followed either by a second study trial or by a practice free-recall test. One week later, free recall was considerably better among the group that had taken the practice test than among the group that had restudied (56% versus 42%). As another particularly compelling demonstration of the potency of testing as compared with restudy, Karpicke and Roediger (2008) presented undergraduates with Swahili-English translations for cycles of study and practice cued recall until items were correctly recalled once. After the first correct recall, items were presented only in subsequent study cycles with no further testing, or only in subsequent test cycles with no further study. Performance on a final test 1 week later was substantially greater after continued testing (80%) than after continued study (36%).


연습 테스트가 학습을 개선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많은 연구가 시험 효과의 일반성을 확립한 반면, 왜 그것이 학습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이론은 뒤쳐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인 설명은 시험의 직접 효과와 매개 효과로 불리는 두 가지 종류의 시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점점 더 떠오르고 있다. 

    • 접 효과는 시험 자체의 수행에서 발생하는 학습의 변화를 의미하며, 

    • 개 효과는 시험 후에 발생하는 기회의 양이나 종류의 인코딩에 영향을 주는 학습의 변화를 의미한다(예: 재학습 기회).

Why does practice testing improve learning? Whereas a wealth of studies have established the generality of testing effects, theories about why it improves learning have lagged behind. Nonetheless, theoretical accounts are increasingly emerging to explain two different kinds of testing effects, which are referred to as direct effects and mediated effects of testing (Roediger & Karpicke, 2006a). Direct effects refer to changes in learning that arise from the act of taking a test itself, whereas mediated effects refer to changes in learning that arise from an influence of testing on the amount or kind of encoding that takes place after the test (e.g., during a subsequent restudy opportunity).


최근 Carpenter(2009)는 연습 시험의 직접 효과에 대해 정교한 검색 프로세스를 촉발하여 보존을 강화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표적 정보를 검색하려고 하면 관련 정보를 활성화하는 장기 기억의 검색이 수반되며, 이 활성화된 정보는 검색 대상과 함께 인코딩될 수 있으며, 이 정보에 대한 다중 경로를 제공하는 정교한 추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계정을 지원하기 위해 Carpenter(2011)는 학습자에게 약한 관련 단어 쌍(예: "엄마")을 학습하도록 했습니다.–"하위") 뒤에 추가 스터디 또는 연습 재호출 테스트가 뒤따릅니다. 이후 최종 시험에서 대상 단어에 대한 리콜은 이전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강하게 연관된 단어(예: "아버지")를 통해 요청되었다. 연습 테스트 후 수행은 재학습 후보다 더 큰 것으로, 아마도 연습 테스트가 학습 중에 관련 정보가 활성화되고 암호화될 가능성을 증가시켰기 때문일 것이다.

Concerning direct effects of practice testing, Carpenter (2009) recently proposed that testing can enhance retention by triggering elaborative retrieval processes. Attempting to retrieve target information involves a search of long-term memory that activates related information, and this activated information may then be encoded along with the retrieved target, forming an elaborated trace that affords multiple pathways to facilitate later access to that information. In support of this account, Carpenter (2011) had learners study weakly related word pairs (e.g., “mother”–“child”) followed either by additional study or a practice cued-recall test. On a later final test, recall of the target word was prompted via a previously unpresented but strongly related word (e.g., “father”). Performance was greater following a practice test than following restudy, presumably because the practice test increased the likelihood that the related information was activated and encoded along with the target during learning.


연습 시험의 매개 효과와 관련하여, 연습 시험의 조정 효과와 관련하여 Pic와 Rawson은 유사한 설명을 제안했다. 연습 시험이 후속 재학습 기회에서 더 효과적인 중재자의 인코딩을 용이하게 한다고 지적했다(즉, 단서 및 목표를 연결하는 정교한 정보). Pic와 Rawson(2010)은 학습자에게 초기 스터디 블록에서 스와힐리-영어 변환을 제시했으며, 이어서 세 블록을 재학습하고, 참가자의 절반에게는 연습 복습 시험을 선행했습니다. 모든 학습자는 재학습 시마다 키워드 중재자를 생성하고 보고하라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1주일 후에 시험했을 때 재시험을 치른 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재시험을 치른 학생들은 큐 단어와 함께 프롬프트되었을 때 중재자를 더 잘 기억해냈고 그들의 중재자를 더 잘 기억해낼 수 있었다.

Concerning mediated effects of practice testing, Pyc and Rawson (2010, 2012b) proposed a similar account, according to which practice testing facilitates the encoding of more effective mediators (i.e., elaborative information connecting cues and targets) during subsequent restudy opportunities. Pyc and Rawson (2010) presented learners with Swahili-English translations in an initial study block, which was followed by three blocks of restudy trials; for half of the participants, each restudy trial was preceded by practice cued recall. All learners were prompted to generate and report a keyword mediator during each restudy trial. When tested 1 week later, compared with students who had only restudied, students who had engaged in practice cued recall were more likely to recall their mediators when prompted with the cue word and were more likely to recall the target when prompted with their mediator.


최근의 증거는 또한 연습 시험이 학생들이 정신적으로 정보를 얼마나 잘 구성하고 그들이 개별 항목의 특이한 면을 얼마나 잘 처리하는지, 더 나은 유지와 시험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Zaromb 및 Roediger(2010년)는 학습자에게 8개의 스터디 테스트 블록 또는 4개의 무료 테스트 블록에 대해 서로 다른 분류 범주(예: 야채, 의복)의 단어로 구성된 목록을 제공했습니다. 기본 테스트 효과를 재현한 결과, 이틀 후 최종 무료 리콜은 조사 대상(17%)보다 연습 테스트(39%)를 받았을 때 더 컸다. 중요한 것은, 연습 시험 조건 또한 주로 조직화 처리와 특이적 처리를 두드리는 2차 측정에서 연구 조건을 능가했다는 것이다.

Recent evidence also suggests that practice testing may enhance how well students mentally organize information and how well they process idiosyncratic aspects of individual items, which together can support better retention and test performance (Hunt, 1995, 2006). Zaromb and Roediger (2010) presented learners with lists consisting of words from different taxonomic categories (e.g., vegetables, clothing) either for eight blocks of study trials or for four blocks of study trials with each trial followed by a practice free-recall test. Replicating basic testing effects, final free recall 2 days later was greater when items had received practice tests (39%) than when they had only been studied (17%). Importantly, the practice test condition also outperformed the study condition on secondary measures primarily tapping organizational processing and idiosyncratic processing.



8.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practice testing?


8.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8.4 Issues for implementation.


연습 테스트는 시간 수요에 대해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연구는 연습 시험에 할당된 시간이 보통이고 재처리를 위해 할당된 시간과 같을 때 연습 시험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연습 시험의 또 다른 장점은 최소한의 훈련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리콜 기반의 자가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cued 리콜을 통해 자가 테스트를 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는

    • 플래시 카드 생성(무료 및 저비용 플래시 카드 소프트웨어도 손쉽게 사용 가능) 

    • 코넬 노트 채점 시스템 사용 (클래스에서 메모를 할 때 빈 칸을 남기고 나중에 노트를 검토할 때 자가 테스트에 사용할 수 있는 참고 사항을 작성한 후 바로 여기에 주요 용어나 질문을 입력하는 것 포함)

Practice testing appears to be relatively reasonable with respect to time demands. Most research has shown effects of practice testing whe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for practice testing is modest and is equated with the time allotted for restudying. Another merit of practice testing is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minimal training. Students can engage in recall-based self-testing in a relatively straightforward fashion. For example, students can self-test via cued recall 

    • by creating flashcards (free and low-cost flashcard software is also readily available) or 

    • by using the Cornell note-taking system (which involves leaving a blank column when taking notes in class and entering key terms or questions in it shortly after taking notes to use for self-testing when reviewing notes at a later time; for more details, see Pauk & Ross, 2010). 


더 체계적인 형태의 연습 테스트(예: 객관식, 단답식, 빈칸 채움 테스트)는 전자 교과서 장 끝부분에 수록된 연습 문제나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은 시험의 이점이 시험, 용량, 타이밍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연습 시험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기본적인 교육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습 시험은 검색retrieval과 관련된 경우, 연습 세션 내에서 또는 연습 세션 간에 항목이 한 번 이상 정확하게 답변될 때까지 지속될 경우, 시험이나 세션 사이의 간격이 길어지는 경우 더 효과적이다.

More structured forms of practice testing (e.g., multiple-choice, short-answer, and fill-in-the-blank tests) are often readily available to students via practice problems or questions included at the end of textbook chapters or in the electronic supplemental materials that accompany many textbooks. With that said, students would likely benefit from some basic instruction on how to most effectively use practice tests, given that the benefits of testing depend on the kind of test, dosage, and timing. As described above, practice testing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it involves retrieval and is continued until items are answered correctly more than once within and across practice sessions, and with longer as opposed to shorter intervals between trials or sessions.


다른 학습 기법과 관련된 연습 시험의 효과와 관련하여, 몇몇 연구는 개념 매핑, 메모 기록 및 이미지 사용에 대한 연습 시험의 장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가장 빈번한 비교는 지침되지 않은unguided 재학습에 대한 연습 시험이다. 일반적인 결과는 연습 테스트가 restudy를 능가한다는 것이다이러한 효과는 연습 테스트가 정확한 답의 제시와 관련된 피드백과 함께 수반되는 정도에 따라 다소 달라진다. 비록 많은 연구들이 자기시험이 재학습보다 뛰어나다고 보여주었지만, 일부 연구는 이러한 장점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대부분의 경우 연습 테스트에서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대조적으로, 재학습에 대한 피드백이 포함된 연습 시험의 장점은 매우 강하다. 또한 피드백을 이용한 연습 테스트는 지속적으로 연습 테스트만 한 것을 능가한다.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practice testing relative to other learning techniques, a few studies have shown benefits of practice testing over concept mapping, note-taking, and imagery use (Fritz et al., 2007; Karpicke & Blunt, 2011; McDaniel et al., 2009; Neuschatz, Preston, Toglia, & Neuschatz, 2005), but the most frequent comparisons have involved pitting practice testing against unguided restudy. The modal outcome is that practice testing outperforms restudying, although this effect depends somewhat on the extent to which practice tests are accompanied by feedback involving presentation of the correct answer.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esting alone outperforms restudy, some studies have failed to find this advantage (in most of these cases, accuracy on the practice test has been relatively low). In contrast, the advantage of practice testing with feedback over restudy is extremely robust. Practice testing with feedback also consistently outperforms practice testing alone.


연습 시험을 통한 피드백의 구현을 권장하는 또 다른 이유는 연습 시험에서 학생들이 부정확하게 반응할 때 perservation error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Butler와 Roediger(2008)는 복수 선택 연습 시험이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을 때 최종 재호출 시험에서 거짓 대안의 침입을 증가시켰지만, 피드백이 주어졌을 때는 그러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다행히도 피드백의 수정 효과는 연습 테스트 직후에 제시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Metcalfe et al. (2009)은 피드백이 Immm-diate보다 지연되었을 때 초기 잘못된 반응에 대한 최종 시험이 실제로 더 낫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고무적인 것은 피드백이 높은 신뢰도 오류를 시정하는데 특히 효과적이라는 증거이다(예: 버터필드 & 메트칼프, 2001). 

Another reason to recommend the implementation of feedback with practice testing is that it protects against perseveration errors when students respond incorrectly on a practice test. For example, Butler and Roediger (2008) found that a multiple-choice practice test increased intrusions of false alternatives on a final cued-recall test when no feedback was provided, whereas no such increase was observed when feedback was given. Fortunately, the corrective effect of feedback does not require that it be presented immediately after the practice test. Metcalfe et al. (2009) found that final-test perfor-mance for initially incorrect responses was actually better when feedback had been delayed than when it had been imme-diate. Also encouraging is evidence suggesting that feedback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correcting high-confidence errors (e.g., Butterfield & Metcalfe, 2001).


마지막으로, 연습 테스트 오류가 후속 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점에 주목한다. 종종 영향이 없기도 하며, 연습시험으로 인한 긍정적 효과가 훨씬 더 크다. 따라서 오류에 대한 잠재적 우려는 특히 피드백을 제공할 때 심각한 구현 문제를 구성하지 않는다. 

Finally, we note that the effects of practice-test errors on subsequent performance tend to be relatively small, often do not obtain, and are heavily out-weighed by the positive benefits of testing (e.g., Fazio et al., 2010; Kang, Pashler, et al., 2011; Roediger & Marsh, 2005). Thus, potential concerns about errors do not constitute a serious issue for implementation, particularly when feedback is provided.


마지막으로, 비록 우리가 이 단면의 목적에 맞게 학생들의 연습 테스트 사용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우리는 강사들이 또한 교실에서의 연습 사용을 늘림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에 간단하게 주목한다. 또한 여러 연구는 가끔 보는 긴 시험보다 더 빈번한 종합 평가 관리(예: 학기당 시험 두세 번이 아닌 일주일에 한 번 시험)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했으며, 그러한 긍정적 효과는 학습 성과뿐만 아니라, 과정 만족도와 보다 빈번한 시험에 대한 선호도와 같은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rating에 대해서도 나타났다.

Finally, although we have focused on students’ use of practice testing, in keeping with the purpose of this monograph, we briefly note that instructors can also support student learning by increasing the use of low-stakes or no-stakes practice testing in the classroom. Several studies have also reported positive outcomes from administering summative assessments that are shorter and more frequent rather than longer and less frequent (e.g., one exam per week rather than only two or three exams per semester), not only for learning outcomes but also on students’ ratings of factors such as cours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more frequent testing (e.g., Keys, 1934; Kika, McLaughlin, & Dixon, 1992; Leeming, 2002; for a review, see Bangert-Drowns, Kulik, & Kulik, 1991).


8.5 Practice testing: Overall assessment.






9 분산된 연습

9 Distributed practice


9.1 General description of distributed practice and why it should work.


관련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학생들이 원래의 세션에서 기준으로 스페인어 단어의 번역본을 학습한 분산 연습에 대한 고전적인 실험의 설명으로 시작한다. (Bahrick, 1979) 그 후 학생들은 6개의 추가 세션에 참여하여 번역을 검색하고 다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피드백 제공). 그림 10은 이 연구의 결과를 나타낸다. 제로 스페이싱 조건(그림 10에서 원으로 표현됨)에서 학습 세션은 연속이었고 학습은 6개의 매스 세션에서 빠르게 진행되었다. 1일 조건(그림 10의 제곱으로 표현됨)에서 학습 세션은 1일 간격으로 이루어졌고, 전체 세션에서 거의 모든 것을 망각하게 됩니다(즉, 각 세션에서 첫 번째 테스트에서 수행은 여전히 낮음). 대조적으로, 학습 세션이 30일로 분리되었을 때, 잊어버리는 것은 전체 세션에서 훨씬 더 컸으며, 초기 시험 수행은 심지어 6개의 세션 후에도 다른 두 조건에서 관찰된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그림 10의 삼각형 참조) 현재 목적에서 중요한 점은 30일 후 최종 테스트에서 패턴이 역전되어, 30일 후 리러닝 세션이 30일로 분리된 조건에서 변환의 최적 보존이 관찰된다는 것이다. 즉, 가장 많은 중단 시간을 잊어버린 상태로 인해 가장 많은 장기 보존이 이루어졌다. 간격 연습(1일 또는 30일)은 대량 실행(0일)보다 우수했고 지연 시간(30일)이 짧은 기간(1일)보다 길수록 이점이 더 컸다.

To illustrate the issues involved, we begin with a description of a classic experiment on distributed practice, in which students learned translations of Spanish words to criterion in an original session (Bahrick, 1979). Students then participated in six additional sessions in which they had the chance to retrieve and relearn the translations (feedback was provided). Figure 10 presents results from this study. In the zero-spacing condition (represented by the circles in Fig. 10), the learning sessions were back-to-back, and learning was rapid across the six massed sessions. In the 1-day condition (represented by the squares in Fig. 10), learning sessions were spaced 1 day apart, resulting in slightly more forgetting across sessions (i.e., lower performance on the initial test in each session) than in the zero-spacing condition, but students in the 1-day condition still obtained almost perfect accuracy by the sixth session. In contrast, when learning sessions were separated by 30 days, forgetting was much greater across sessions, and initial test performance did not reach the level observed in the other two conditions, even after six sessions (see triangles in Fig. 10). The key point for our present purposes is that the pattern reversed on the final test 30 days later, such that the best retention of the translations was observed in the condition in which relearning sessions had been separated by 30 days. That is, the condition with the most intersession forgetting yielded the greatest long-term retention. Spaced practice (1 day or 30 days) was superior to massed practice (0 days), and the benefit was greater following a longer lag (30 days) than a shorter lag (1 day).


간격을 둔 연습 효과에 대한 많은 이론들이 제안되고 시험되었다. 현재 논의 중인 일부 고객을 고려한다(자세한 검토는 벤자민 & 툴리스, 2010; 세페다 외, 2006 참조). 한 이론은 deficient processing에 대한 생각을 불러 일으켜서, 두 번째 학습 기회 동안의 자료 처리가 원래 학습 일자와 가까운 시기에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기본적으로, 학생들은 이 같은 활동을 막 끝냈을 때 노트를 다시 읽거나 기억으로부터 무언가를 되찾기 위해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되며, 게다가 그들은 두 번째에 과제의 용이함에 의해 오도되고 그들이 그 자료를 더 잘 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Many theories of distributed-practice effects have been proposed and tested. Consider some of the accounts currently under debate (for in-depth reviews, see Benjamin & Tullis, 2010; Cepeda et al., 2006). One theory invokes the idea of deficient processing, arguing that the processing of material during a second learning opportunity suffers when it is close in time to the original learning episode. Basically, students do not have to work very hard to reread notes or retrieve something from memory when they have just completed this same activity, and furthermore, they may be misled by the ease of this second task and think they know the material better than they really do (e.g., Bahrick & Hall, 2005). 


다른 이론은 reminding을 포함한다. 즉, 학습할 자료의 두 번째 프레젠테이션은 학습자에게 첫 번째 학습 기회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은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진 프로세스로 그것을 retrived하도록 한다(위의 연습 테스트 섹션 참조). 몇몇 연구자들은 통합consolidation에 대해 연구한다. 두 번째 학습 에피소드가 이미 발생한 첫 번째 추적의 통합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분산된 연습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면 여기에는 복수의 메커니즘이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이론들은 종종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메커니즘의 다른 조합을 호출한다.

Another theory involves reminding; namely, the second presentation of to-be-learned material serves to remind the learner of the first learning opportunity, leading it to be retrieved, a process well known to enhance memory (see the Practice Testing section above). Some researchers also draw on consolidation in their explanations, positing that the second learning episode benefits from any consolidation of the first trace that has already happened. Given the relatively large magnitude of distributed-practice effects, it is plausible that multiple mechanisms may contribute to them; hence, particular theories often invoke different combinations of mechanisms to explain the effects.


9.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distributed practice?


9.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9.4 Issues for implementation.


수업에서 분산 연습을 시행할 때 몇 가지 장애물이 발생할 수 있다. 뎀스터와 패리스(1990년)는 많은 교과서가 관련 자료를 함께 묶고 후속 단위에 포함된 자료를 검토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분산 학습을 권장하지 않는다는 흥미로운 점을 지적했다. 실제 교과서(특히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스티글러, 푸슨, 햄 & 김)에 대한 공식적인 내용 분석은 미국 교과서가 작업중인 문제 전반에 걸쳐 함께 분류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이 주장을 뒷받침했다. 이 교과서들은 또한 구 소련의 비교 가능한 교과서보다 일련의 문제점들을 덜 담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직면하고 있는 한 가지 문제는 학생들이 분산 연습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공부 자료가 되어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Several obstacles may arise when implementing distributed practice in the classroom. Dempster and Farris (1990) made the interesting point that many textbooks do not encourage distributed learning, in that they lump related material together and do not review previously covered material in subsequent units. At least one formal content analysis of actual textbooks (specifically,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tigler, Fuson, Ham, & Kim, 1986) supported this claim, showing that American textbooks grouped to-be-worked problems together (presumably at the end of chapters) as opposed to distributing them throughout the pages. These textbooks also contained less variability in sets of problems than did comparable textbook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Thus, one issue students face is that their study materials may not be set up in a way that encourages distributed practice.


두 번째 문제는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공부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Michael(1991)은 지연procrastination scallop이라는 용어를 전형적인 연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했다. 즉, 시험이 다가옴에 따라 공부에 소모되는 시간이 늘어난다. 모힌니, 보스토우, 법, 블러멘필드, 홉킨스(1971)는 관찰실에서 공부하는 데 동의한 자원 봉사자들을 이용하여 이 패턴을 기록하여 연구 시간을 기록하도록 했다. 매일의 시험으로, 학생들은 수업 시간 내내 일정한 시간 동안 공부했다. 그러나 시험이 3주에 한 번 실시되었을 때, 시험 바로 직전에 공부하면서 그 간격 동안 공부하는데 드는 시간이 증가했다. (Mawhinney et al., 1971) 다시 말해, 빈번하지 않은 시험은 시험 바로 전에 대량학습을 야기한 반면, 매일의 시험은 효과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분포된 학습으로 이어졌다. 그 의미는 상황이 학생들에게 그렇게 하라고 강요하지 않는 한 학생들이 반드시 분산 연습(학습)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실용적인 제약 때문인지 혹은 학생들이 분산관행의 기념비적인 이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인지 불분명하다.

A second issue involves how students naturally study. Michael (1991) used the term procrastination scallop to describe the typical study pattern—namely, that time spent studying increases as an exam approaches. Mawhinney, Bostow, Laws, Blumenfield, and Hopkins (1971) documented this pattern using volunteers who agreed to study in an observation room that allowed their time spent studying to be recorded. With daily testing, students studied for a consistent amount of time across sessions. But when testing occurred only once every 3 weeks, time spent studying increased across the interval, peaking right before the exam (Mawhinney et al., 1971). In other words, less frequent testing led to massed study immediately before the test, whereas daily testing effectively led to study that was distributed over time. The implication is that students will not necessarily engage in distributed study unless the situation forces them to do so; it is unclear whether this is because of practical constraints or because students do not understand the memorial benefits of distributed practice.


학생들이 분산관행의 이점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 그 자료는 완전히 명확한 것은 아니다. 몇몇 실험실 연구는 짝을 이룬 동료의 반복된 연구를 질량 또는 공간적으로 수행할지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을 조사해왔다. 이러한 연구에서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학습(massing) 후 거의 즉시 항목을 다시 편집하거나 같은 세션(spacing)에서 해당 항목을 다시 검토하는 것 중에서 선택합니다. 학생들은 어떤 조건(예: 벤자민 & 버드, 2006; 손, 2004)에 따라 연구를 실시하기로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 항목(Pyc, Molosky, 2010; Topposky)을 선택한다. 

With regard to the issue of whether students understand the benefits of distributed practice, the data are not entirely definitive. Several laboratory studies have investigated students’ choices about whether to mass or space repeated studying of paired associates (e.g., GRE vocabulary words paired with their definitions). In such studies, students typically choose between restudying an item almost immediately after learning (massing) or restudying the item later in the same session (spacing). Although students do choose to mass their study under some conditions (e.g., Benjamin & Bird, 2006; Son, 2004), they typically choose to space their study of items (Pyc & Dunlosky, 2010; Toppino, Cohen, Davis, & Moors, 2009). 


이러한 spacing에 대한 편견이 반드시 학생들이 분산 연습의 이점을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예: 즉시 다시 보고 싶지 않기 때문에 한 쌍의 재학습을 연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 연구는 학생들이 (심지어 학생들이 간격의 이점을 경험했을 때조차) 그들의 전반적인 학습 수준을 대량 학습한 후에 시간 간격 학습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른 최근의 연구들은 학생들이 짧은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연습하는 것의 이점을 알지 못한다는 증거를 제공했다.

This bias toward spacing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benefits of distributed practice per se (e.g., they may put off restudying a pair because they do not want to see it again immediately), and one study has shown that students rate their overall level of learning as higher after massed study than after spaced study, even when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the benefits of spacing (e.g., Kornell & Bjork, 2008). Other recent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that students are unaware of the benefits of practicing with longer, as opposed to shorter, lags (Pyc & Rawson, 2012b; Wissman et al., 2012).


요컨대, 실제적 제약과 이 기술의 이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약간의 교육이 필요할 수 있고, 일부는 분산 연습이 정보를 배우고 유지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확신하게 된다. 단순히 분산형 연습 효과를 경험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지만, 효과에 대한 지침과 결합된 데모가 학생들에게 더 설득력이 있을 수 있다(예: Balch, 2006).

In sum, because of practical constraints and students’ potential lack of awareness of the benefits of this technique, students may need some training and some convincing that distributed practice is a good way to learn and retain information. Simply experiencing the distributed-practice effect may not always be sufficient, but a demonstration paired with instruction about the effect may be more convincing to students (e.g., Balch, 2006).



9.5 Distributed practice: Overall assessment.




10 교차 연습

10 Interleaved practice


10.1 General description of interleaved practice and why it should work.


인터리브 연습은, 블록 연습과는 반대로, 대학생들에게 다른 기하학적 고체의 볼륨을 계산하도록 가르치는 것을 수반한, Rohrer와 Taylor(2007)가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함으로써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학생들은 1주일간 두 번의 연습 시간을 가졌다. 각 연습 시간 동안 학생들은 4가지 종류의 기하학적 고체의 체적을 찾는 방법에 대한 튜토리얼을 제공받았고 16가지 연습 문제(각 고체에 대해 4가지)를 완성했다. 각 연습 문제의 완료 후, 올바른 해결 방법이 10초간 제시되었다. 연습 차단 상태에 있는 학생들은 처음에 주어진 실드의 볼륨을 찾는 것에 관한 자습서를 읽었고, 그 후에 바로 그러한 종류의 실체에 대한 네 가지 연습 문제가 뒤따랐다. 그리고 나서 주어진 고체의 볼륨 문제를 연습한 다음 다음, 고체의 다음 종류에 대한 자습서 및 연습 문제 등을 수행했습니다. 인터리브 연습 그룹에 속한 학생들은 처음에 4개의 자습서를 모두 읽은 다음 모든 연습 문제를 완료했으며, 4개의 연속된 문제 세트마다 각각의 4가지 솔리드 유형에 대해 하나의 문제가 포함되었다는 제약이 있었다. 두 번째 연습이 끝난 일주일 후, 모든 학생들은 네 가지 고체 각각에 대해 두 가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한 기준 시험을 치렀다. 연습 세션 중 및 기준 테스트 동안 올바른 응답의 학생들의 백분율은 그림 13에 제시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인 인터리빙 효과를 나타낸다. 연습 중에는, 인터리브 연습보다 블록 연습에서 더 낫지만, 이러한 이점은 테스트 간에 급격하게 역전되었다. 인터리브 연습은 정확도를 43% 향상시켰다.

Interleaved practice, as opposed to blocked practice, is easily understood by considering a method used by Rohrer and Taylor (2007), which involved teaching college students to compute the volumes of different geometric solids. Students had two practice sessions, which were separated by 1 week. During each practice session, students were given tutorials on how to find the volume for four different kinds of geometric solids and completed 16 practice problems (4 for each solid). After the completion of each practice problem, the correct solution was shown for 10 seconds. Students in a blockedpractice condition first read a tutorial on finding the volume of a given solid, which was immediately followed by the four practice problems for that kind of solid. Practice solving volumes for a given solid was then followed by the tutorial and practice problems for the next kind of solid, and so on. Students in an interleaved-practice group first read all four tutorials and then completed all the practice problems, with the constraint that every set of four consecutive problems included one problem for each of the four kinds of solids. One week after the second practice session, all students took a criterion test in which they solved two novel problems for each of the four kinds of solids. Students’ percentages of correct responses during the practice sessions and during the criterion test are presented in Figure 13, which illustrates a typical interleaving effect: During practice, performance was better with blocked practice than interleaved practice, but this advantage dramatically reversed on the criterion test, such that interleaved practice boosted accuracy by 43%.


이러한 인상적인 효과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인터리빙이 학생들에게 어떤 솔루션 방법(즉, 여러 가지 다른 공식 중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을 식별하는 연습을 제공했다는 것이다(Mayfield & Chase, 2002 참조). 다르게 말하면, 상호간의 연습은 학생들이 각각의 문제에 대해 올바른 해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른 종류의 문제들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One explanation for this impressive effect is that interleaving gave students practice at identifying which solution method (i.e., which of several different formulas) should be used for a given solid (see also, Mayfield & Chase, 2002). Put differently, interleaved practice helps students to discriminate between the different kinds of problems so that they will be more likely to use the correct solution method for each one.


연습 중 정확도는 블록 학습을 한 학생이 부분적인 문제(각각 68% 대비 99%)와 전체 문제(98% 대 79%)에 대해 더 컸다. 반면, 1일 후 정확도는 인터리브(Interleaved Practice)를 받은 학생(38%)이 훨씬 높았다. Rohrer와 Taylor(2006)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패턴에 대한 타당한 설명은 학생들이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구별하고 각각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공식을 배우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 설명은 4학년 학생들이 기준 과제 동안 전체 문제를 해결할 때 범한 오류에 대한 자세한 분석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제작 오류에는 학생들이 원래 훈련되지 않은 공식(예: b × 8)을 사용한 사례가 포함된 반면, 차별 오류에는 학생들이 연습했지만 문제에 적합하지 않은 네 가지 공식 중 하나를 사용한 사례가 포함된다. 그림 14에서 보듯이, 그 두 그룹은 fabrication 오류에서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discrimination error는 인터리브보다 블록연습에서 더 흔했다. 인터리브 연습을 한 학생들은 분명히 문제의 종류를 더 잘 구별할 수 있었고, 각각의 문제에 정확한 공식을 일관되게 적용했다.

Accuracy during practice was greater for students who had received blocked practice than for students who had received interleaved practice, both for partial problems (99% vs. 68%, respectively) and for full problems (98% vs. 79%). By contrast, accuracy 1 day later was substantially higher for students who had received interleaved practice (77%) than for students who had received blocked practice (38%). As with Rohrer and Taylor (2006),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pattern is that interleaved practice helped students to discriminate between various kinds of problems and to learn the appropriate formula to apply for each one. This explanation was supported by a detailed analysis of errors the fourth graders made when solving the full problems during the criterion task. Fabrication errors involved cases in which students used a formula that was not originally trained (e.g., b × 8), whereas discrimination errors involved cases in which students used one of the four formulas that had been practiced but was not appropriate for a given problem. As shown in Figure 14,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fabrication errors, but discrimination errors were more common after blocked practice than after interleaved practiced. Students who received interleaved practice apparently were better at discriminating among the kinds of problems and consistently applied the correct formula to each one.


인터리빙이 어떻게 이러한 이점을 얻을 수 있을까요? 한 가지 설명은 인터리브 연습은 학생들이 다양한 종류의 문제를 더 쉽게 비교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조직 처리와 항목별 처리를 촉진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Rohrer와 Taylor(2007년)에서는 학생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고체(예: 쐐기)의 볼륨을 비교하기 위해 노력했을 때, 바로 이전의 문제와 관련된 해결책 방법이 여전히 사용되었을 수 있다. 두 문제와 다른 공식 또 다른 가능한 설명은 인터리브 관행에 의해 제공되는 장기 기억으로부터의 분산적 검색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차단된 실행의 경우, 작업 완료와 관련된 정보(관련 항목 집합에 대한 문제 해결이든 기억이든)가 작동 메모리에 있어야 하므로 참가자는 해결책을 검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학생이 많은 양의 웨지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 블록을 완성하면, 각각의 새로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작업 기억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인터리브 연습의 경우 다음 유형의 문제가 제시될 때 해결 방법을 장기 메모리에서 검색해야 한다. 그래서 만약 학생이 단지 쐐기풀의 부피로 문제를 풀고 나서 척추뼈의 볼륨을 풀어야 한다면, 그 혹은 그녀는 기억에서 척추동물의 공식을 찾아내야 한다. 이렇게 지연된 연습 테스트는 검색된 정보에 대한 메모리를 높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위의 연습 테스트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이러한 검색-연습 가설과 구분-대조 가설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다른 메커니즘도 인터리브 실행의 이익에 기여할 수 있다.

How does interleaving produce these benefits? One explanation is that interleaved practice promotes organizational processing and item-specific processing because it allows students to more readily compare different kinds of problems. For instance, in Rohrer and Taylor (2007), it is possible that when students were solving for the volume of one kind of solid (e.g., a wedge) during interleaved practice, the solution method used for the immediately prior problem involving a different kind of solid (e.g., a spheroid) was still in working memory and hence encouraged a comparison of the two problems and their different formulas. Another possible explanation is based on the distributed retrieval from long-term memory that is afforded by interleaved practice. In particular, for blocked practice, the information relevant to completing a task (whether it be a solution to a problem or memory for a set of related items) should reside in working memory; hence, participants should not have to retrieve the solution. So, if a student completes a block of problems solving for volumes of wedges, the solution to each new problem will be readily available from working memory. By contrast, for interleaved practice, when the next type of problem is presented, the solution method for it must be retrieved from long-term memory. So, if a student has just solved for the volume of a wedge and then must solve for the volume of a spheroid, he or she must retrieve the formula for spheroids from memory. Such delayed practice testing would boost memory for the retrieved information (for details, see the Practice Testing section above). This retrieval-practice hypothesis and the discriminative-contrast hypothesis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other mechanisms may also contribute to the benefits of interleaved practice.


10.2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interleaved practice?


10.3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10.4 Issues for implementation.


메이필드와 체이스(2002년)의 결과가 유망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절차는 교실에서의 교사들과 (2009년 시행에 대한 자세한 논의를 위해) 학업을 관리하는 학생들에 의한 인터리브 방식의 실행을 위한 전략을 제공한다. 특히, 주어진 종류의 문제(또는 주제)가 도입된 후, 연습은은 우선 특정 문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Not only is the result from Mayfield and Chase (2002) promising, their procedure offers a tactic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rleaved practice, both by teachers in the classroom and by students regulating their study (for a detailed discussion of implementation, see Rohrer, 2009). In particular, after a given kind of problem (or topic) has been introduced, practice should first focus on that particular problem. 


다음 종류의 문제가 소개된 후(예: 다른 강의나 학습 시간에), 그 문제가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이전 세션에서 소개된 다른 사람들과 현 유형의 문제를 연계시키는 추가 연습이 뒤따라야 한다. 각각의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도입될 때, 연습은 학생들이 서로 구별할 것으로 기대되는 다른 세션의 문제들에 대한 연습과 섞여야 한다. (예: 기준 테스트가 여러 유형의 문제를 혼합한 경우, 수업 시간 또는 스터디 세션 동안 이러한 문제를 인터리빙 방식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After the next kind of problem is introduced (e.g., during another lecture or study session), that problem should first be practiced, but it should be followed by extra practice that involves interleaving the current type of problem with others introduced during previous sessions. As each new type of problem is introduced, practice should be interleaved with practice for problems from other sessions that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discriminate between (e.g., if the criterion test will involve a mixture of several types of problems, then these should be practiced in an interleaved manner during class or study sessions). 


인터리브 연습은 블록 연습보다 사용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해결 시간이 종종 인터리브 연습 동안 느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연은 discriminative contrast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의 채용이 성능을 높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사들과 학생들은 너무 많은 수정 없이 그들의 일정에 인터리브된 연습들을 통합할 수 있다

Interleaved practice may take a bit more time to use than blocked practice, because solution times often slow during interleaved practice; even so, such slowing likely indicates the recruitment of other processes—such as discriminative contrast—that boost performance. Thus, teachers and students could integrate interleaved practice into their schedules without too much modification.


10.5 Interleaved practice: Overall recommendations.





Closing Remarks


Relative utility of the learning techniques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learning techniques


Implications for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 achievement


Pressley와 동료들은 우수한 전략 사용자 모델을 개발했으며, 다음의 정교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다 "중요한 삶의 목표(즉, 전략)를 달성하는 기술을 알고 있는 것, 언제 그리고 어떻게 그런 방법들을 사용하는지 아는 것... 세상에 대해 갖고 있는 풍부한 비전략적 지식과 함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 그러나 Pressley, Goodchild 등(1989)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많은 학생들이 비효율적인 전략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문헌에서 추천되는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가 충분하지 않은데, 이런 전략들이 지지자들에 의해 과다하게 판매되고 있다" 우리는 여기에 동의하며 현재의 검토가 기술에 대한 추가적인 과학적 평가 촉진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바란다.

Pressley and colleagues (Pressley, 1986; Pressley, Goodchild, et al., 1989) developed a good-strategy-user model, according to which being a sophisticated strategy user involves “knowing the techniques that accomplish important life goals (i.e., strategies), knowing when and how to use those methods . . . and using those methods in combination with a rich network of nonstrategic knowledge that one possesses about the world” (p. 302). However, Pressley, Goodchild, et al. (1989) also noted that “many students are committed to ineffective strategies . . . moreover, there is not enough professional evaluation of techniques that are recommended in the literature, with many strategies oversold by proponents” (p. 301). We agree and hope that the current review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with respect to fostering further scientific evaluation of the techniques.


비효율적인 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헌신과 관련하여, 최근의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우리가 비교적 실용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진 두 가지 전략인 반복읽기와 밑줄긋기의 사용을 가장 자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학생들은 연습 시험을 이용하여 보고하고, 이 학생들은 그것의 사용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구룽(2005)은 대학생들에게 입문심리학 강좌에서 강의실 시험 준비에 사용한 전략을 설명하도록 했다. 학생들이 연습 시험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된 빈도는 최종 시험에서 그들의 성적과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Hartwig & Dunlosky, 2012 참조) 연습 테스트가 상대적으로 사용하기 쉽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이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은 그것을 그들의 학습 루틴에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Concerning students’ commitment to ineffective strategies, recent surveys have indicated that students most often endorse the use of rereading and highlighting, two strategies that we found to have relatively low utility. Nevertheless, some students do report using practice testing, and these students appear to benefit from its use. For instance, Gurung (2005) had college students describe the strategies they used in preparing for classroom examinations in an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 The frequency of students’ reported use of practice test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performance on a final exam (see also Hartwig & Dunlosky, 2012). Given that practice testing is relatively easy to use, students who do not currently use this technique should be able to incorporate it into their study routine.


왜 많은 학생들이 효과적인 기술을 일관되게 사용하지 않는가? 한 가지 가능성은 학생들이 어떤 기술이 효과적인지 또는 정규 학교 수업 중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대해 교육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문제의 일부는 교사들 스스로가 다양한 학습 기술의 효과에 대해 듣지 못하고 있다는 것일 수 있다. 교사들이 교육 심리학 수업에서 이러한 기술에 대해 배울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법이 교육-심리학 교과서에 충분히 다뤄지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우리는 서론에서 6권의 교과서를 조사했다. 그리고 이미지(예: 키워드 니모닉)를 바탕으로 한 니모닉을 제외하고, 어떤 기술도 모든 책에서 다뤄지지 않았다. 더욱이, 이러한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기술한 교과서의 하위집단에서, 대부분의 경우, 적용 범위는 비교적 미미했고, 특정 기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그것의 사용, 효과 및 제한에 대한 지침은 비교적 적었다. 따라서, 많은 교사들은 어떤 기술이 가장 잘 작동하고 학생들이 그것들을 사용하도록 훈련시키는 방법에 대한 충분한 소개를 받을 것 같지 않다.

Why don’t many students consistently use effective techniques? One possibility is that students are not instructed about which techniques are effective or how to use them effectively during formal schooling. Part of the problem may be that teachers themselves are not told about the efficacy of various learning techniques. Given that teachers would most likely learn about these techniques in classes on educational psychology, it is revealing that most of the techniques do not receive sufficient coverage in educational-psychology textbooks. We surveyed six textbooks (cited in the Introduction), and, except for mnemonics based on imagery (e.g., the keyword mnemonic), none of the techniques was covered by all of the books. Moreover, in the subset of textbooks that did describe one or more of these techniques, the coverage in most cases was relatively minimal, with a brief description of a given technique and relatively little guidance on its us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Thus, many teachers are unlikely getting a sufficient introduction to which techniques work best and how to train students to use them.


두 번째 문제는 학생들에게 콘텐츠와 비판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데 프리미엄이 주어지는 반면 효과적인 기술과 학습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드는 시간은 더 적다는 것이다. 맥나마라(2010년)가 지적한 바와 같이, "우리 교육 시스템에는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컨텐츠 교육]이라는 압도적인 가정이 있다." (원래 341장, 이탤릭체). 여기서 한 가지 우려되는 점은 대부분 감독받는 상태에서 학습한 이전 학년에 잘 하는 학생들이, 나중에 고등학교나 대학처럼 스스로 학습의 많은 부분을 규제할 것으로 기대될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콘텐츠 교습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며, 학생들이 학습과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경험할 수 있도록 여러 콘텐츠 영역에 걸쳐 기술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가르쳐진다면 가장 유익할 것이다. 

A second problem may be that a premium is placed on teaching students content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whereas less time is spent teaching students to develop effective techniques and strategies to guide learning. As noted by McNamara (2010), “there is an overwhelming assumption in our educational system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eliver to students is content” (p. 341, italics in original). One concern here is that students who do well in earlier grades, in which learning is largely supervised, may struggle later, when they are expected to regulate much of their own learning, such as in high school or college. Teaching students to use these techniques would not take much time away from teaching content and would likely be most beneficial if the use of the techniques was consistently taught across multiple content areas, so that students could broadly experience their effects on learning and class grades. 


하지만 이곳에서도 학생들이 가장 효과적인 기술을 사용하도록 훈련시키는 방법에 대한 권고사항은 추가 연구로부터 혜택을 받을 것이다. 한 가지 중요한 이슈는 주어진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또는 배워야 하는) 가장 이른 나이에 관한 것이다. 교사들은 상위 초등학생들이 많은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기대할 수 있지만, 이 학생들조차 그것들을 가장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 필요할 수도 있다. 확실히,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자기 규제 능력을 가진 나이(그리고 그들이 그렇게 해야 할 훈련의 양)를 파악하는 것은 미래 연구의 중요한 목표이다. 또 다른 문제는 얼마나 자주 학생들이 재교육을 받거나 이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이다. 일부 학습 기법의 가능성을 감안할 때, 학생들이 이 기법을 사용하도록 교사를 교육시키는 것과 관련된 전문적 발전에 대한 연구는 가치 있을 것이다.

Even here, however, recommendations on how to train students to us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would benefit from further research. One key issue concerns the earliest age at which a given technique could (or should) be taught. Teachers can expect that upper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capable of using many of the techniques, yet even these students may need some guidance on how to most effectively implement them. Certainly, identifying the age at which students have the self-regulatory capabilities to effectively use a technique (and how much training they would need to do so) is an important objective for future research. Another issue is how often students will need to be retrained or reminded to use the techniques to ensure that students will continue to use them when they are not instructed to do so. Given the promise of some of the learning techniques, research on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involves training teachers to help students use the techniques would be valuable.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도록 학생들을 훈련시키는 것 외에도, 교사들은 그들 중 일부를 그들의 수업 계획에 통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 새로운 단원을 시작할 때 교사는 이전 단원의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에 대한 연습 테스트( 피드백 포함)로 시작할 수 있다. 

  • 학생들이 수학에 관한 한 단원에서 문제를 연습할 때, 최근에 공부한 문제들은 이전 단원의 관련 문제들과 섞일 수 있다. 

  • 교사들은 또한 몇 개의 수업 과정 동안 가장 중요한 개념과 활동을 다시 제시함으로써 분산 관행을 이용할 수 있다. 

  • 수업에서 핵심 개념이나 사실을 소개할 때,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정보가 그들에게 어떻게 새로운 것인지, 그것이 그들이 이미 알고 있는 것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사실인지 생각해 보게 함으로써 설명적인 질문에 참여하게 할 수 있다. 

  • 숙제도 이런 많은 기술들을 활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및 시행 하위 절에서 제공된 다른 예)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특정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을 시행할 수 있다.

Beyond training students to use these techniques, teachers could also incorporate some of them into their lesson plans. For instance, 

  • when beginning a new section of a unit, a teacher could begin with a practice test (with feedback) on the most important ideas from the previous section. 

  • When students are practicing problems from a unit on mathematics, recently studied problems could be interleaved with related problems from previous units. 

  • Teachers could also harness distributed practice by re-presenting the most important concepts and activities over the course of several classes. 

  • When introducing key concepts or facts in class, teachers could engage students in explanatory questioning by prompting them to consider how the information is new to them, how it relates to what they already know, or why it might be true. 

  • Even homework assignments could be designed to take advantage of many of these techniques. In these examples (and in others provided in the Issues for Implementation subsections), teachers could implement a technique to help students learn, regardless of whether students are themselves aware that a particular technique is being used.







 2013 Jan;14(1):4-58. doi: 10.1177/1529100612453266.

Improving Students' Learning With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Promising Directions From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ology, Kent State University jdunlosk@kent.edu.
2
Department of Psychology, Kent State University.
3
Department of Psychology and Neuroscience, Duke University.
4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Department of Curriculum & Instruction, and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5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Virginia.

Abstract

Many students are being left behind by an educational system that some people believe is in crisis. Improving educational outcomes will require efforts on many fronts, but a central premise of this monograph is that one part of a solution involves helping students to better regulate their learning through the use of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Fortunately,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ists have been developing and evaluating easy-to-use learning techniques that could help students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In this monograph, we discuss 10 learning techniques in detail and offer recommendations about their relative utility. We selected techniques that were expected to be relatively easy to use and hence could be adopted by many students. Also, some techniques (e.g., highlighting and rereading) were selected because students report relying heavily on them, which makes it especially important to examine how well they work. The techniques include elaborative interrogation, self-explanation, summarization, highlighting (or underlining), the keyword mnemonic, imagery use for text learning, rereading, practice testing, distributed practice, and interleaved practice. To offer recommendations about the relative utility of these techniques, we evaluated whether their benefits generalize across four categories of variables: learning conditions, student characteristics, materials, and criterion tasks. Learning conditions include asp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the technique is implemented, such as whether a student studies alone or with a group. Student characteristics include variables such as age, ability, and level of prior knowledge. Materials vary from simple concepts to mathematical problems to complicated science texts. Criterion tasks include different outcome measures that are relevant to student achievement, such as those tapping memory, problem solving, and comprehension. We attempted to provide thorough reviews for each technique, so this monograph is rather lengthy. However, we also wrote the monograph in a modular fashion, so it is easy to use. In particular, each review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ections: General description of the technique and why it should work How general are the effects of this technique?  2a. Learning conditions  2b. Student characteristics  2c. Materials  2d. Criterion tasks Effects in representative educational contexts Issues for implementation Overall assessment The review for each technique can be read independently of the others, and particular variables of interest can be easily compared across techniques. To foreshadow our final recommendations, the techniques vary widely with respect to their generalizability and promise for improving student learning. Practice testing and distributed practice received high utility assessments because they benefit learners of different ages and abilities and have been shown to boost students' performance across many criterion tasks and even in educational contexts. Elaborative interrogation, self-explanation, and interleaved practice received moderate utility assessments. The benefits of these techniques do generalize across some variables, yet despite their promise, they fell short of a high utility assessment because the evidence for their efficacy is limited. For instance, elaborative interrogation and self-explanation have not been adequately evaluated in educational contexts, and the benefits of interleaving have just begun to be systematically explored, so the ultimate effectiveness of these techniques is currently unknown. Nevertheless, the techniques that received moderate-utility ratings show enough promise for us to recommend their use in appropriate situations, which we describe in detail within the review of each technique. Five techniques received a low utility assessment: summarization, highlighting, the keyword mnemonic, imagery use for text learning, and rereading. These techniques were rated as low utility for numerous reasons. Summarization and imagery use for text learning have been shown to help some students on some criterion tasks, yet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se techniques produce benefits are limited, and much research is still needed to fully explore their overall effectiveness. The keyword mnemonic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some contexts, and it appears to benefit students for a limited number of materials and for short retention intervals. Most students report rereading and highlighting, yet these techniques do not consistently boost students' performance, so other techniques should be used in their place (e.g., practice testing instead of rereading). Our hope is that this monograph will foster improvements in student learning, not only by showcasing which learning techniques are likely to have the most generalizable effects but also by encouraging researchers to continue investigating the most promising techniques. Accordingly, in our closing remarks, we discuss some issues for how these techniques could be implemented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we highligh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MID:
 
26173288
 
DOI:
 
10.1177/1529100612453266


보건전문직 교육에 학습의 과학 적용(Med Teach, 2016)

Twelve tips for applying the science of learning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 C. Goodinga, K. Mannb and E. Armstronga

aHarvard Macy Institute, Boston, MA, USA; b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도입

Introduction


주제1: 정보 처리

Theme 1 Processing information


인지 부하 이론 (CLT)은 인간 두뇌가 한 번에 특정 양의 정보 만 처리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Sweller 외. 1998). 개인은 지속적으로 감각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것은 일시적으로만 작업기억에 남깁니다.

Cognitive Load Theory (CLT) suggests the human brain can only process a certain amount of information at one time (Sweller et al. 1998). Individuals constantly take in information through their senses and hold this temporarily in working memory.


CLT는 학습할 정보의 내재적 부하와 그것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외부적 부하로 나눕니다. 

  • 적 부하는 정보 자체의 복잡성을 반영합니다. 

  • 외적 부하는 다시

    • 새로운 정보를 스키마로 조직화하는 인지 작업을 나타내는 본유적 부하

    • 정보가 제되는 방식으로 인해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의미하는 외부 부하로 나뉜다.

CLT divides learning further into the intrinsic load of the information to be learned and the extrinsic load required to process it. Intrinsic load reflects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itself. Extrinsic load is further subdivided into germane load, which refers to the cognitive work of organizing new information into schemas, and extraneous load, which refers to the effort required to process new information due to the way in which it is presented.


팁1 가능하다면 외부부하를 줄여라

Tip 1 Reduce extraneous load whenever possible


3 가지 유형의 인지부하 중 외부부하는 교사가 가장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가능할 때마다 줄임으로써 복잡한 정보를 처리할 공간을 확보해주어야 한다. 교실 환경에서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 외부extraneous 자료 감소,

    • 필수 자료 강조 표시,

    • 해당 단어와 그래픽을 함께 표시합니다.

Of the three types of cognitive load, extraneous load is most easily controlled by the teacher and should be reduced whenever possible to free up space for processing complex information. In the classroom setting, these include 

    • reducing extraneous material, 

    • highlighting essential material, and 

    • presenting corresponding words and graphics together. 

근무지 환경에서는 외부부하는 특히 심한데, 병실이나 클리닉에서는 청각 및 시각적 자극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교사는 가능할 때마다 이러한 산만 함을 최소화해야합니다 (즉, 불필요한 알람을 끄고, 회진 동안 disruption을 억제). 또한 학습자에게는 이러한 산만함이 사고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는 방법을 가르쳐야합니다.

In the workplace setting, extraneous load can be particularly high due to the complexity of auditory and visual stimuli in a hospital ward or clinic. Teachers should minimize these distractions (i.e. silencing unnecessary alarms, discouraging disruptions to rounds) whenever possible and teach learners how to recognize the impact of these distractions on their thought process. 



팁2 학습자들이 내부부하를 관리할 수 있게 하고, 본유부하와 관련된 지원을 제공하라

Tip 2 Help learners manage intrinsic load and assist learners with germane load


내부부하는 여러 요소가 상호작용하는(예 : 기계 환기에 대한 환자 관리) 복잡한 작업에서 가장 높습니다.

    • 내부부하는 초보 학습자에게 가장 영향을 주는데, 이들은 복잡한 프로세스에 대한 스키마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 교사는 요소가 적은 간단한 예제로 시작하거나, 많은 요소를보다 관리하기 쉬운 부분으로 묶음으로써 내부부하를 줄이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학습자에게 부분적으로 완료된 예제를 제공하여, 누락된 부분만 처리하면 되도록 만드는 것도 방법이다 (Van Merrienboer & Sweller 2010, Leppink & Duvivier 2016).

    • 교수법 시퀀스는 학습자가 복잡성이 증가하는 스키마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되도록 구성되어야합니다.


Intrinsic load is highest for complex tasks with interacting elements (e.g. managing a patient on mechanical ventilation). 

    • It is also highest for novice learners, who have not yet created schemas for these complex processes.

    • Teachers can help by starting with simpler examples with fewer elements or by chunking many elements into more manageable parts. 

    • Learners can only be have provided partially worked examples so they to supply a few missing parts (Van Merrienboer & Sweller 2010; Leppink& Duvivier 2016). 

    • Teaching sequences should be structured to assist learners with the creation of schemas of increasing complexity.



주제2 노력학습 촉진

Theme 2 Promote effortful learning


초기에 "학습한 것"의 대부분은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잊혀집니다 (Murre & Dros 2015). 자료를 다시 읽거나, 텍스트 섹션을 강조 표시하거나, 니모닉을 작성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학습 전략은 기억의 쇠퇴를 뒤집는 것에 별로 효과적이지 않다(Dunlosky et al., 2013). 인지 과학자 인 Elizabeth와 Robert Bjork는 더 어려운 학습 절차가 보다 내구성있는 학습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바람직한 어려움"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 (Bjork & Bjork 2009).


most of what is initially “learned” is forgotten if not routinely used (Murre& Dros 2015). Common study strategies such as rereading material, highlighting sections of text, and creating mnemonics do little to reverse the natural decay of memory(Dunlosky et al. 2013). Cognitive scientists Elizabeth and Robert Bjork coined the term “desirable difficulties” to describe the finding that more difficult study procedures lead to more durable learning (Bjork & Bjork 2009). 



팁3 학습한 내용을 인출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라

Tip 3 Create opportunities for retrieval practice appropriate for the content to be learned


테스트 강화 학습 (test-enhanced learning)이라고도 하는 인출 연습은 가장 강력한 증거 기반을 가진인지 전략 중 하나입니다 (Dunlosky 외. 2013). 그러나 모든 인출 연습이 동등한 것은 아닙니다. 생성자가 테스트 시나리오에 대한 자체 응답을 생성해야하는 생성 검색 (Generative retrieval)은 (보기 중에서 선택하는 것보다) 내구성이 뛰어난 학습으로 이어집니다(Rowland 2014).

Retrieval practice, also known as test-enhanced learning, is one of the cognitive strategies with the strongest evidence base (Dunlosky et al. 2013). However, not all retrieval practice is created equal. Generative retrieval,where learners must generate their own answers to a test scenario, answers leads from to more durable learning than choosing a menu of options (Rowland 2014). 


인출 연습의 유형은 기억해야 할 정보나 작업의 복잡성과 일치해야한다 (Larsen et al.) 

    • 만약 학습자가 사실을 기억하기를 원한다면 단순한 사실적 리콜로 충분할 것입니다. 

    • 그러나 학습자가 복잡한 정신운동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기억하게하려면 시뮬레이션 실험실과 같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전체 과제를 수행해야합니다 (Barsuk 외 .2010). 

인출 연습이나 시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Butler 외. 2008).

The type of retrieval practice should match the complexity of the information or task to be remembered (Larsen et al.2013). If we want learners to remember facts, simple factual recall should suffice. However, if we want learners to remember how to perform a complex psychomotor task,we should have them practice that whole task at regular intervals, such as in a simulation laboratory (Barsuk et al.2010). Providing feedback on the retrieval or test exercise will enhance learning further (Butler et al. 2008). 



팁4 인출연습에 간격을 두거나 내용을 교차하여 연습하라

Tip 4 Space retrieval practice over time and interleave content 


간격 효과는 분배 연습distributed practice로 알려져 있으며, 반복적으로 material에 노출됨으로써 시간이 지나도 학습이 더 오래 지속된다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Dunlosky 외. 2013). 최적의 간격 간격은 정보를 보유해야하는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개개인이 이전에 습득 한 정보를 테스트하기에 너무 많은 시간이 경과하면, 노력한 검색은 너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지만 일부 데이터는 간격이 정보가 유지되는 기간의 5-10 % (즉 목표가 1 년에 정보를 기억하는 경우 매달) 여야한다고 제안합니다 (Cepeda et al. 2008).

The spacing effect, also known as distributed practice, refers to the fact that learning is more durable if repeated exposure to the material occurs over time (Dunlosky et al. 2013). The optimal spacing interval depends on how long the information needs to be retained. If too much time has elapsed before an individual is tested on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effortful retrieval may simply be too difficult. Empiric studies in this area are few, but some data suggest the spacing interval should be 5–10% of the duration the information is to be retained (i.e. monthly if the goal is to remember the information at one year) (Cepeda et al. 2008).


교과 과정 디자인에서 간격과 인터리빙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교사는 학습자가 오랜 시간에 걸쳐서 학습을 distribute하면서 벼락치기를 피하도록 권장해야합니다.

In addition to employing spacing and interleaving in curricular design, teachers should encourage learners to distribute their study overtime and avoid cramming. 


주제3 새롭고 변화된 맥락에서 학습의 적용

Theme 3 Application of learning to new and varied contexts


한 세팅(예 : 강의실)에서 학습한 정보를 다른 설정 (예 : 병원)에서 적용하는 상황은 매우 흔하다. 새롭고 다른 맥락에서 학습을 적용하는 능력은 [전이]로 알려져 있으며 개발하기가 어렵습니다.

Information is frequently learned in one setting (i.e. the classroom) and applied in another (i.e. the hospital). The ability to apply learning to a new and different context is known as transfer and is quite difficult to develop.


이것은 여러 가지 다양한 예제를 가진 교수법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자가 본유적 부하의 중요한 작업, 즉 스키마 생성을 수행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This suggests that teaching with multiple varied examples allows learners to perform a critical task of germane load, the creation of schemas.



팁5 학습자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지식을 전이하도록 명확히 도와주라

Tip 5 Explicitly prepare learners to transfer knowledge to new settings


스키마 생성 및 전이는 임상추론의 핵심입니다. 

    • 교실에서 했던 것처럼 정확하게 나타나는 임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그러나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전이) 학습자는 문제의 근원 인 더 깊은 원리를 검토하면서보다 발전된 추론을 사용해야합니다. 

    • 교사는 학습자가 여러 가지 다양한 예제를 사용하여 비교하고 대비하는 방법으로 interleaved 방식으로 제시함으로써 문제의 심층 구조에 도달하는 복잡한 스키마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Schema creation and transfer are at the heart of clinical reasoning. It is relatively simple to solve clinical problems that present exactly as they did in the classroom . In order to solve clinical problems they have not encountered before (i.e. transfer), learners need to employ more advanced reasoning, examining the deeper principles underlying the problem. Teachers can help learners develop complex schemas which get at the deeper structure of problems by presenting them with multiple varied examples to compare and contrast (a technique promoted by interleaving, as noted in the Tip Four). 


교사는 학습자가 점점 더 현실적인 환경에서 전체 과제를 연습하도록 함으로써 임상 환경의 외부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Teachers can help reduce the extraneous load of the clinical setting by having learners practice whole-tasks in increasingly realistic settings



주제4 전문성 개발 촉진

Theme 4 Promote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초심자와 전문가를 구별하는 것에 관해서 많은 것이 쓰여졌다. 

  • 전문가는 초보자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특히 더 복잡한 문제의 경우 더욱 정확합니다 (Chi 2006). 

  • 전문가들은 패턴을 더 쉽게 발견하고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보다 융통성있게 수행합니다 (Bransford 외 2000). 

  • 전문가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양적, 질적으로 우수한 스키마를 가지고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를 통해 일반 문제 (시스템 1 사고라고도 함)에 대한 신속하고 자동화 된 접근 방식과 느리고 분석적인 추론 (종종 시스템 2 사고라고도 함)을 적용 할 수있는 기능을 인식 할 수 있습니다 (Moulton 외 2007 Kahneman 2013).


Much has been written about what distinguishes a novice from an expert. Experts solve problems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an novices and are more accurate, especially for more complex problems (Chi 2006). Experts notice patterns more readily and are more flexible in their approach to problems (Bransford et al. 2000). They are thought to have quantitatively more and qualitatively superior schemas in their area of expertise. This allows them to have rapid, automated approaches to common problems (often referred to as System 1 thinking) as well as the ability to recognize when to apply slower, analytic reasoning (often referred to as System 2 thinking) (Moulton et al. 2007; Kahneman 2013).


팁6 학습자들을 DP에 관여하게 하라

Tip 6 Engage learners in deliberate practice


에릭슨은 "신중한 연습"이란 용어를 만들었다.

DP에는 3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 (1) 명확한 학습 목표 설정,

    • (2)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코치나 교사 의해 설계되고 감독받는 개별화 된 교육 활동

    • (3) 코치나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refine되는 반복적 연습 활동.

보건 전문 교육에서 역량 기반 숙달 학습에 대한 현재 추세는 고의적 관행 접근법과 일치합니다 (McGaghie 2015).


Ericsson coined the term “deliberate practice”


Deliberate practice has three key components: 

(1) the setting of clear learning goals, 

(2) individualized training activities designed and supervised by a coach or teacher to achieve those goals, and 

(3) repeated practice activities which are refined by feedback from the coach or teacher. 

Current trends toward competency-based mastery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re consistent with the deliberate practice approach (McGaghie 2015).


팁7 학습자들이 학습-지향적 목표를 만들게 하라

Tip 7 Help learners to create learning-oriented goals


불행히도, 건강 전문 학생들은 종종 성과performance 목표 지향적이며 경쟁이 심한 의과대학에 입학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성과를 달성해야합니다 (Perrot 외 2001, Madjar 외. 2012). 교사는 평가를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을 증명할 수 있는 기회]가 아니라 [자신의 상대적 약점을 배우고 개선 할 수있는 기회]로 사용함으로써 학습learning goal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Unfortunately,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are often performance-goal oriented, having had to achieve a certain level of performance to obtain admission to competitive programs (Perrot et al. 2001; Madjar et al. 2012). Teachers can help promote learning goals by framing assessments as opportunities to learn and improve on one’s relative weaknesses as opposed to opportunities to prove one’s abilities.


드물게 고부담 평가를 제공하는 대신 빈번하게 저부담 평가를 제공하여 학습 목표 개발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ffering frequent low-stakes assessment instead of infrequent high-stakes assessment can also help promote the development of learning goals.


주제5 학습에 관한 감정의 힘을 활용하라

Theme 5 Harness the power of emotions for learning


지루하거나 흥분하거나, 행복하거나, 슬프거나, 인간의 감정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LeBlanc et al. (2015)는 감정을 우리의 상황에 대한 생리적 반응 (예 : 스트레스 또는 각성 반응)과 무드로서 그 반응의 주관적인 경험 (예 : 흥분, 행복, 슬픔)으로 정의합니다.

Human emotion is ever-present, whether we are bored or excited, happy, or sad. LeBlanc et al. (2015) define emotions as both the physiologic response to our situation (e.g. the stress or arousal response) and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hat response as a mood (e.g. excited, happy, sad).


Circumplex Model에 따르면 정서는 valence(긍정적이거나 부정적)와, 각성정도(강하거나 약함)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이 두 가지가 모여 주변 환경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Posner 외 2005). 감정은 우리가 정보에 관심을 가질 가능성은 물론, 나중에 이 정보가 기억에 저장되고 검색되는 방법에더 영향을 미친다. 정서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가르치게 되면  학습자가 정보를 유지할 수있는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Kensinger 2004). 의료환경은 강한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상황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교육자들이 학습자의 감정 상태가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eBlanc 외 2015).

According to the Circumplex Model, emotions have both a valence (positive or negative) and a degree of arousal (strong or weak) that together give u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our surroundings (Posner et al. 2005). Emotions affect the likelihood of our attending to information as well as how memory is stored and later retrieved; teaching with emotional content enhances the likelihood that information is retained by learners (Kensinger 2004). As the healthcare environment is full of situations that evoke strong emotions, it is critical for educators to consider how the emotional state of their learners is impacting learning (LeBlanc et al. 2015).


팁8 학습자들이 자신의 정서적 상태와 학습에서 그것의 역할을 알게 하라

Tip 8 Teach learners to recognize their emotional state and its role in their learning


학습자의 감정적 인 상태는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영향을줍니다. 일반적으로 

    • 긍정적인 분위기의 사람들은보다 많은 정보를 통합하여 더 큰 그림에 초점을 맞추고 

    • 부정적인 분위기의 사람들은 세부 사항에 집중하여 초점을 제한합니다 (Gasper & Clore 2002). 

긍정적 인 정서적 상태는보다 많은 "인지 유연성"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복잡한 진단 추론이 필요할 때 더 유용 할 수 있습니다 (McConnell & Eva 2012, p.1318). 그들의 더 많은 세계 초점 때문에, 긍정적 인 분위기의 학습자는 문제의 근원적인 총괄적global 원리를 더 잘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습 된 정보를 새로운 환경으로보다 쉽게 ​​transfer할 수 있습니다 (Brand 외. 2007).


A learner’s emotional state impacts how they process new information. In general, people in positive moods focus on the bigger picture, incorporating more disparate pieces of information, while people in negative moods focus on details, restricting their focus (Gasper & Clore 2002). Positive emotional states have been associated with more “cognitive flexibility” and thus may be more beneficial when complex diagnostic reasoning is needed (McConnell & Eva 2012, p. 1318). Due to their more global focus, learners in positive moods may better see the global principles underlying a problem and therefore more easily transfer information learned to a new setting (Brand et al. 2007).


팁9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학습공간을 만들라

Tip 9 Create learning spaces that are psychologically safe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 감정 상태가 사건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위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 문제 해결을 방해 할 수도 있습니다 (Buchanan 2007).

Although high-arousal, negative-emotion states such as fear can enhance memory for events they can also impede problem-solving, as noted above (Buchanan 2007).


위계의 오랜 역사를 가진 의료계에서는 공포와 협박을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해온 역사가 있지만, 이 교수 전략이 실제로 지식을 새로운 환경으로 transfer하는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합니다 (Brancati 1989; Musselman et al. 2005).

While there is a long history in the hierarchical medical profession of purposefully using fear and intimidation to motivate learning, we know little about whether this teaching strategy actually leads to transfer of knowledge to new settings (Brancati 1989; Musselman et al. 2005).


대조적으로, (특히 팀 학습에서는) 학습 환경에서 안전하게 느끼는 것이 더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더 많은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들이 있다 (Ashauer & Macan 2013). 교사는 다음을 통해 학습자의 감정 및 심리적 안전감을 조성 할 수 있습니다 (Haidet & Stein 2006) .

    • 습 및 개선에 중점을 두고,

    • 학습자가 경험한 감정의 범위를 인식하고 검증하며, 

    • 습자들과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관계를 발전시킴으로써 (Haidet & Stein 2006).

In contrast, there is evidence that feeling safe in a learning environment leads to more creative problem-solving and greater learning, particularly in team learning (Ashauer & Macan 2013). Teachers can help to create this sens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afety in learners 

by promoting an emphasis on learning and improvement, 

by recognizing and validating the range of emotions experienced by learners, and 

by developing positive and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learners (Haidet & Stein 2006).


주제6 관계와 맥락 속에서의 학습

Theme 6 Learning in relationship and context


학습은 개별적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은 개인이 다른 사람들을 관찰함으로써 배우는 것을 가정한다; [관찰한 행동을 자신의 행동에 다시금 편입시키는 정도]는 [학습 된 행동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는 것에 대한 환경의 반응]에 달려있다 (Bandura 1986).


Learning does not occur in an individual vacuum.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posits that individuals learn by observing others; the degree to which they incorporate observed behaviors into their own practice depends on both their self-efficacy for the behavior to be learned and the environmental response to their attempts at the new behavior (Bandura 1986).


직장 학습은인지 학습과 사회 문화적 접근에 중점을 두며 특히 situated learning에 중점을 둔다 (Yardley et al., 2012).

workplace learning draws on both cognitive and sociocultural approache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situated learning (Yardley et al. 2012).



팁10 학습의 사회적 특성에 관심을 기울이라

Tip 10 Attend to the social nature of learning


교사는 

    • [교사로서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명확히 하고], 

    • [학습자를 동료로서 대화에 초대하고], 

    • [자신이 롤 모델의 역할을 함을 인식하고], 

    • [바람직한 행동을 모델링함으로써] 

사회적 학습의 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Teachers can harness the power of social learning by 

    • being explicit about how they are thinking about a problem, 

    • inviting learners to the conversation as peers, 

    • being conscious of themselves as role models, and 

    • role modeling desired behaviors. 

교사는 또한 학생들이 경험하는 잠재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 성찰적 연습을 활용하여 사회적학습을 투명하게하고, 

    • 학생들이 사회적 환경에서 배우고있는 것을 토론하는 것에 열린 태도를 가져야 한다(Hafferty 1998; Gaufberg 외. 2010).

Teachers should also attend to the hidden curriculum experienced by students, 

    • using reflective exercises to make the social learning transparent and 

    • being open to discussing what students are learning from the social environment (Hafferty 1998; Gaufberg et al. 2010).


팁11 근무지학습을 위한 authentic 경험을 생성하라

Tip 11 Create authentic experiences for workplace learning


근무지 학습은 지식의 보존과 검색에 도움이된다 (Yardley 외. 2012). 지식과 기술은 [그것이 관련된 실천적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결하는 사용되는지의 맥락]에서 자리 잡게됩니다.

Situated workplace learning helps with both the retention and retrieval of knowledge (Yardley et al. 2012). Knowledge and skills become situated in the context of how they are used to understand and solve relevant problems of practice.


팁12학습자와 우리 스스로의 메타인지를 촉진하라

Tip 12 Promote metacognition in our learners and ourselves


메타인지 또는 생각에 대한 생각은 학습자가 학습 방법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학습을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하도록 돕는 데 중요합니다 (Quirk 2006). 

    • 능동 학습 기술은 새로운 학습의 조직화와 새로운 지식을 이전 지식에 연결하는 것과 같은 메타인지 전략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van Vliet 등, 2015). 

    • 시험과 작문 과제에 대한 피어 리뷰는 (자신을 제외한 사람들이 문제를 어떻게 생각 하는지를 학습자에게 노출시킴으로써) 또한 메타인지와 학습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Mynlieff 외 2014). 

    • 증거에 기반한 학습의 원칙을 적용하여 교수자와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은 메타인지를 높이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Metacognition, or thinking about thinking, is critical for to helping learners to understand how they learn and develop techniques for managing ongoing learning (Quirk 2006). 

    • Active-learning technique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metacognitive strategies such as organization of new learning and linking new learning to previous knowledge (van Vliet et al. 2015). 

    • Peer review of exams and writing assignments can also increase metacognition and learning, presumably by exposing learners to how people other than themselves think through problems (Mynlieff et al. 2014). 

    • Teaching faculty and students evidenced-based principles of learning from the tips above is another way to increase metacognition.


한 의과대학에서는 메타인지의 전체 과정을 사용하여 인지적 편견, 학습에서의 감정의 역할, 의료 실천에 내재 된 불확실성을 용인해야하는 필요성과 같은 개념을 학습자가 이해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Eichbaum 2014). 

One medical school has taken the approach of using an entire course in metacognition to help learners grasp concepts such as cognitive bias, the role of emotion in learning, and the need to tolerate the uncertainty inherent in medical practice (Eichbaum 2014). 


특히 직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메타인지를 촉진하는 간단한 기술은 문제를 해결할 때 모두가 think aloud 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한 사람의 생각과 반응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은 새로운 지식의 통합을 촉진한다 (Mamede & Schmidt 2004).

A simple technique for promoting metacognition, especially useful in the workplace, is to have everyone think aloud when solving problems. Critical reflection of one thoughts and reactions also promotes the integration of new knowledge (Mamede & Schmidt 2004).


Conclusions


Dunlosky J, Rawson KA, Marsh EJ, Nathan MJ, Willingham DT. 2013. Improving students' learning with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promising directions from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Psychol Sci Public Interest. 14:4–58.


Eichbaum QG. 2014. Thinking about thinking and emotion: the metacognitive approach to the medical humanities that integrates the humaniti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Perm J. 18:64–75.


Ericsson KA. 2015.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medical expertise: a perspective from the expert-performance approach with deliberate practice. Acad Med. 90:1471–1486.


McGaghie WC, Fisichella PM. 2014. The science of learning and medical education. Med Educ. 48:106–108.


LeBlanc VR, McConnell MM, Monteiro SD. 2015. Predictable chaos: a review of the effects of emotions on attention, memory and sion making.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65–282.





 2017 Jan;39(1):26-31. doi: 10.1080/0142159X.2016.1231913. Epub 2016 Sep 25.

Twelve tips for applying the science of learning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a Harvard Macy Institute , Boston , MA , USA.
2
b Dalhousie University , Halifax , Nova Scotia , Canada.

Abstract

Findings from the science of learning have clear implications for those responsible for teaching and curricular design. However, this data has been historically siloed from educators in practice, including thos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 this article, we aim to bring practical tipsfrom the science of learning to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We have chosen to organize the tips into six themes, highlighting strategies for 1) improving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2) promoting effortful learning for greater retention of knowledge over time, 3) applying learned information to new and varied contexts, 4)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5) harnessing the power of emotion for learning, and 6) teaching and learning in social contexts. We conclude with the importance of attending to metacognition in our learners and ourselves. Healthprofessions education can be strengthened by incorporating these evidence-based techniques.

PMID:
 
27665669
 
DOI:
 
10.1080/0142159X.2016.1231913


의학교육에서 그룹 프로세스: 사회적 정체성 이론의 교훈(Med Educ, 2012)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 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Bryan Burford




도입

INTRODUCTION


이러한 이론적 입력은 연구가 현상에 대한 설명을하고 개발할 수있게하며, 단순히 개입을 기술하거나 정당화하기보다는 명확하게 설명한다 .6) Regehr은 최근에 다음과 같이 썼다. "교육과학은 일반적인 문제에 대한보다 보편적 인 해결책을 만들고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직면 한 문제에 대해 더 나은 사고 방식을 만들고 공유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7, p37

Such theoretical input can allow studies to explain and develop understanding of phenomena, and to clarify rather than simply describe or justify interventions.6 As Regehr recently wrote: ‘…the science of education is not about creating and sharing better generalisable solutions to common problems, but about creating and sharing better ways of thinking about the problems we face.’7, p37



사회적 정체성 접근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사회적 정체성'은 일반적으로 사회 집단의 회원 자격과 관련한 개인의 자기 개념을 지칭한다. 그러나 사회 정체성 이론은 1970 년대에 개발 된 집단화 과정group process에 대한 특별한 접근법이다 .10 그 이후의 확장된 것으로, 자기 범주 이론이 있으며, 이것은 [사회 집단의 형성에서 그들 사이에 생겨나는 편견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의 집단 행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Social identity’ generically refers to an individual’s selfconcept in relation to his or her membership of social groups and has been used in many ways in the social sciences.9 Social identity theory, however, is a particular approach to group processes developed in the 1970s .10 With its later extension, self-categorisation theory,11,12 it provides an account of group behaviour at all levels, from the formation of social groups to the biases and prejudices that emerge between them.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의 특징은 사회적 및 개인적 수준의 분석을 통합 할 수있는 능력이다.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은 [그룹 프로세스]를 [대인 관계 상호 작용]과는 다른 것으로 간주하지만, 철저하게 개인의 인식individual cognition에 토대를 두고 있다: '사회적 정체성은 개인과 집단 차원에서 동시에 존재하고, 그 간극을 이어준다.'17) (p2)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is its ability to integrate social and individual levels of analysis.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considers group processes as something distinct from interpersonal interactions, but grounded firmly in individual cognition: ‘Social identity exists at both individual and group level simultaneously and bridges the gap.’17(p2)


사회적 정체성은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자극에 대한 능동적 범주화 과정을 통해 나타난다. '... 그룹은 특정한 심리적 과정, 자기 분류, '자기 집단화 '과정이 있다는 점에서 심리적 실재를 가진다. 집단 행동의 고유 한 특징에 상응하고 그 기초가된다. '11, p267 [원래 이탤릭체].

Social identity emerges through an active process of categorisation, operating on socially meaningful stimuli, whereby: ‘…the group has psychological reality in the sense that there is a specific psychological process, a self-categorisation or ‘‘self-grouping’’ process which corresponds to and underli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group behaviour’11, p267 [original italics].


그것은 또한 동기 부여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완전히 수동적이지 않습니다. 자기-분류는 다른 그룹 (out-group)에 비해 자신의 그룹 (in-group)이 '긍정적 차별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it is not completely passive because it also contains a motivational component; self-categorisation aims to maintain ‘positive distinctiveness’ on a valued dimension for one’s own group (the ‘in-group’), compared with other groups (‘out-groups’).


카테고리화는 본질적으로 비교이다. 왜냐하면 한 그룹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다른 그룹과의 차별화를 필요로하기 때문이다.  '... 집단 표현group representation은 집단 간 비교intergroup comparison에서 벗어날 수 없다.'20, p10 결과적으로 자기-분류는 '나는 누구인가' 만큼이나 '나는 누가 아닌가'로부터 출발한다.

Categorisation is essentially comparative, because categorisation into one group requires differentiation from another: ‘…group representations are inextricable from intergroup comparisons.’20, p10 Consequently, self-categorisation derives as much from a sense of who one is not as from a sense of who one is.


여기에 집단 간 갈등의 가능성이 함축되어 있다. 문헌은 이 갈등이 나타날 수있는 여러 가지 복잡한 방법을 밝히고 있지만 그룹 구성원은 그룹 구성원에 대한 긍정적 태도(내그룹 편애in-group favouritism)와 그룹 외부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외 그룹 비하out-group derogation) . 이러한 편향과 함께 '외부 집단 동질화 효과 (out-group homogeneity effect)'가있어 외부 집단 구성원이 종종 균질하다고 여겨지는 반면, 내부 집단의 다양성은 더 높이 평가하곤 한다.21 이것은 오히려 정형화 현상stereotyping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정형화 관념은 일부 인간 사회 집단에 대한 인식, 신념, 기대를 포함하는 '인지 구조'로 간주 될 수있다. 이러한 구조는 비하적이 될 수 있지만 출발점은 중립적이다. 이것은 부정적인 정형화 관념이 형성되고 전달되는 방법을 다룰 때 중요해진다.

The potential for intergroup conflict is implicit here. The literature identifies many and complex ways in which this conflict may emerge, but the consistent basic finding is that group membership is associated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in-group members (ingroup favouritism)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out-groups (out-group derogation). Alongside these biases is the ‘out-group homogeneity effect’, whereby out-group members will often be seen as homogeneous, whereas variability in the in-group may be more appreciated.21 This is linked closely to the phenomenon of stereotyping, although rather than being inherently derogatory, stereotypes may be seen as ‘cognitive structure[s] containing the perceiver’s knowledge, beliefs and expectancies about some human social group’.22, p42 These structures may become derogatory, but their starting point is neutral. This is important when considering how negative stereotypes form and are transmitted.


사람들은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어떤 상황이 주어지더라도, 그 상황마다 자신을 범주화 할 수 있는 그룹이 존재한다. 다른 그룹이 서로 교차할 수 있는데, 다른 말로 하면 다수의 정체성이 서로 관련될 수 있다 (예 : 성별, 민족, 국적, 가족, 취미).

People have multiple identities available to them; in any given situation there are different groups into which they may be categorised.23 Other groups may be cross-cutting, meaning that multiple identities can relate, respectively, to different areas of an individual’s life (e.g. gender, ethnicity, nationality, family, hobbies).


어떤 시점에서 가장 두드러진 정체성 - '자기 인식의 내용을 결정하고, 그 결과 사회적 행동의 형태를 결정하는 정체성'- 은 가변적이며 맥락에 달려있다. 사회적 정체성 문헌에는 카테고리의 두 가지 결정 요인이 기술되어있다 : 접근성카테고리의 적합성 .18) 

  • 접근성이란 현재 목표, 과제의 방향, 사용가능한 맥락적 단서에 의해 결정되는 개인에 대한 집단 정체성의 가용성을 말한다 (예컨대 의사라는 카테고리는 임상현장에서 더 접근가능하다)

  • 적합성이란 접근 가능한 범주에 대해 개인이 얼마나 매칭되느냐에 관련되며, 내-집단 차이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외-집단 차이를 극대화하는 으로 정의됩니다 (이것은 자기 분류 이론에서 '메타 콘트라스트의 원리'라고 부릅니다 '25).

The identity that is most salient at any point – that which ‘determines the content of self-perception, which, in turn, determines the form of social behaviour’18, p117 – is variable and depends on the context. Two determinants of category salience are described in the social identity literature: the ‘accessibility’ and the ‘fit’ of a category.18,24 

  • Accessibility refers to the availability of the group identity to an individual as determined by his or her current goals, task orientation and available contextual cues (e.g. the professional category of ‘doctor’ will be more accessible in a clinical workplace than elsewhere). 

  • Fit relates to the matching of an individual to an accessible category and is defined in the minimisation of in-group differences, alongside the maximisation of differences from out-groups (this is referred to in self-categorisation theory as the principle of ‘meta contrast’25).



적합성은 두 가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습니다 .18

Fit may be determined in two ways.18 


규범적 적합성은 개인을 기존 그룹과 비교할 때 발생합니다. 카테고리화는 개인이 다른 그룹보다 한 그룹의 기존 스테레오타입과 더 유사하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의사자격을 취득한 후에도 의대생은 ['의과대학생'보다] '의사'그룹을 대표하는 자질 (예 : 지식, 기술, 성숙도)을 소유하고 있다고 느낄 때까지 자신을 의사로 분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Normative fit arises from the comparison of an individual with existing groups: categorisation occurs if an individual is more similar to an existing stereotype of one group than another. For example, even after qualification an individual may not categorise herself as a doctor until she feels she possesses qualities (such as knowledge, skills, maturity) that she holds to be more representative of the group of ‘doctors’ than of ‘medical students’.


대조적 적합성은 그룹의 스테레오타입이 관념이 불확실 할 때 두드러지며, 예를 들어 ad hoc 또는 새로운 사회적 그룹의 출현 등의 상황이 있다.(특정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특정 다-전공 팀)

Comparative fit, by contrast, will determine salience when a group stereotype is uncertain, such as in the emergence of ad hoc or novel social groups (such as specific multidisciplinary teams that develop around particular activities).


서로 다른 cue나 contextual demands가 동시에 하나 이상의 정체성을 제안한다면 서로 다른 정체성 사이에는 긴장이있을 수있다. 26,27

There may be tensions between different identities if different cues and contextual demands suggest the salience of more than one identity at the same time.26,27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의학교육에 적용하기

APPLYING SOCIAL IDENTITY THEORY TO MEDICAL EDUCATION


사회적 정체성으로서의 전문직 정체성

Professional identity as social identity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이 적용될 수 있는 의학 교육의 첫 번째 영역은 '의사'로서의 전문직 정체성의 성취입니다. 전문직 정체성은 사회적 정체성의 사례입니다. 의대생이 의사로 전환하는 것은 단순히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가 '됨'으로써, '의사'의 정체성을 내면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first area of medical education that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may inform is the achievement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 professional identity is an instance of social identity. The transition from medical student to doctor does not simply involve qualifying, but refers to ‘becoming’ a doctor and internalising the ‘doctor’ identity.28


이러한 전환과 관련된 주요 쟁점은 전문직 정체성의 salience를 결정하는 요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언제 그러한 접근성이 '접근가능' 해지고, 다른 정체성보다 언제 더 '적합'해 질까요? 전문직 정체성의 성취는 지식, 실제 경험, 자격을 갖춘 직원에 의한 강화 등 여러 요소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The main issue around these transitions relates to the factors determining the salience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when does it become accessible and when will it have better fit than alternative identitie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achieve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s related to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knowledge, practical experience and reinforcement by qualified staff.


학생들이 만드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비교는 적합성 탐구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기자신들이 내러티브가 나타내는 규범에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The explicit and tacit comparisons made by students may be seen as illustrations of the exploration of fit: the students are considering how well they fit the norms represented by the narratives.


이 연구는 '의사의 일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의사'의 스테레오타입과 더 유사하다는 점에서 정체성에 대한 performance element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These studies emphasise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tive elements of identity to fit: someone who is ‘doing what a doctor does’ is more similar to the stereotype of ‘doctor’ than someone who isn’t.


'의사'로서의 적합성을 극대화하고 전문직 정체성을 더 빠르게 받아들이기 위해서 일부 행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It is possible that the performance of some behaviours is felt to maximise the fit of ‘doctor’ and accelerate the adop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계급, 성별, 인종의 요소가 '의사'의 스테레오타입에 통합되면, 적합성의 개념은 의료 인력의 다양성 및 의료 이용 기회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들은 그룹 정체성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attributes가 될 수도 있다).

The notion of fit may also have consequences for the diversity of the medical workforce, and access to, medical careers if elements of class, gender or ethnicity are incorporated into a stereotype of ‘doctor’ (these are themselves group identities, but can also be attributes).


서로 다른 전문직에 입학하는 학생들 사이의 차이가, 전문직 집단 자체의 차이를 반영할 수도 있다. 의사의 스테레오타입이 보여주는 속성 중 일부만을 가지고 있거나, 꼭 있어야 하는 속성이 없다고 스스로 느낀다면,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충분히 갖출 것으로 기대하지 못해서, 심지어 의대에 지원조차 하지 않을 수도 있다.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of different professions at entry can mirror those between qualified professionals.33 It may be that people who feel they lack the necessary attributes or have only a partial stereotype of the doctor do not even apply to enter medicine because they are insufficiently able to anticipate the identity of doctor.


경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때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상 전문과들에 대한 일반적인 스테레오타입이 있지만, 그들의 존재를 확인하는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다 .34,35 그러한 스테레오타입이 종종 유머로써 언급 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고정 관념의 일화적인 보급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인식이 그 전공과목에 대한 '적합성'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직업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imilar problems may emerge once a medical career has begun. Different clinical specialties have commonly invoked stereotypes, but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work to confirm their existence.34,35 Although they are often referred to humorously, there is a serious point in the anecdotal pervasiveness of these stereotypes in the extent to which doctors’ perceptions may influence their perceived fit for a specialty and thus their career choices.


'기대적 사회화'는 의대생과 주니어 의사로 하여금, 어떤 특성이 out-group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더라도, 자신이 지망하는 전공과목 in-group의 특성에 맞춰서 그 집단의 스테레오타입을 체득하도록 만들 수 있다. 전공과목에 존재하는 부정적인 하위문화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회적 정체성의 유지를 통해 영속 될 수 있습니다.

anticipatory socialisation may lead medical students and junior doctors to adopt stereotypical traits to match the specialty ingroups to which they aspire, even if those traits are not considered desirable outside the specialty. Negative specialty subcultures may thus be perpetuated through the maintenance of social identity.


사회적 정체성은 향후 커리어에서의 성과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clinical error가 환자 안전은 물론 전문직 정체성도 위협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간호사들 사이의 강한 직업적 정체성은 예방 접종을 최신 상태로 계속 유지하는 데 더 큰 관심을 갖게 만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ocial identity is also linked to performance later in careers: one study found that clinical errors were identified as a threat to professional identity as well as patient safety,36 and another found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mong nurses was linked to greater attention to keeping their vaccinations up to date.37


임상가에서 관리자로의 전환을 연구한 결과, 의사가 임상 역할과 관리 역할 사이의 갈등을 인식하고 있으며, 후자를 약화시켜 임상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시도 할 수 있다고합니다.

Studies looking at the transition from clinician to manager have found that doctors perceive a conflict between clinical and managerial roles38,39 and may attempt to maintain their clinical identity by undermining the latter.40


전문적 정체성은 professionalism의 문제로 이어진다. 문헌에 두 가지 지배적 인 접근법이있다. 하나는 추상적인 것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을 '전문직'의 사회적 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간주하고, 다른 하나는 프로페셔널리즘을 주로 평가의 대상으로 여긴다.


Professional identity leads to the question of professionalism .There have been two dominant approaches in the literature, of which one is abstract and considers professionalism as a reflec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a profession’,41,42 and the other focuses on the operationalisation of professionalism as something to be assessed.43,44


'사회적 정체성 접근법'은 규범norm을 역동적이며 특정 맥락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보게 함으로써 프로페셔널리즘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있다 .20 이것은 프로페셔널리즘 교육의 도덕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왜 '프로페셔널하지 못한' 행동과 태도가 학습되고 유지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있다.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may ai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by allowing norms to be viewed as dynamic and constructed in specific contexts.20 This may help us to understand why ‘unprofessional’ behaviours and attitudes are learned or maintained, despite the virtuous intentions of professionalism teaching.




팀워킹: 근무지에서의 그룹-프로세스

Team-working: group processes in the workplace


사회적 정체성이 조명할 수 있는 두 번째 영역은 interprofessional 그리고 multidisciplinary 팀워킹이다. 여러 문헌은 그룹 멤버십은 구성원이 타 그룹에 대한 편파적 태도를 유지하는 것과 관계되며, 특히 그룹 내 구성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그룹 외 구성원에 대해서는 폄하적으로 대하는 것과 관련됨을 보여줍니다 .47

The second area that may be illuminated by considering social identity is that of interprofessional and multidisciplinary team-working. An extensive literature demonstrates that group membership is associated with the holding of biased attitudes towards others and, in particular,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s in-group members and the denigration of out-group members.47


편견은 언어와 다른 자동적 행동으로부터 식별 할 수 있다.

biases may be identified in language49 and other automatic behaviours.50


따라서 임상 팀은 자주 여러 무의식적 편견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

The clinical team, composed as it is of many groups, is therefore at risk from many, often unconscious, biases.


직업 간 교육 (IPE)은 다른 직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부정적인 고정 관념을 약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그룹 간의 접촉이 편견을 줄여 줄 수 있다고 가정하는 '접촉 가설'에서 묵시적으로, 때로는 명시적으로 생각한다.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im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other professions and to reduce negative stereotypes, thinking which is implicitly, and sometimes explicitly, derived from the ‘contact hypothesis’ which assumes that contactbetween groups has the potential to reduce prejudice.58,59 


IPE가 다른 직업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그 효과가 직접적이지는 않다는 연구 결과가있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생 및 치과대학생과의 IPE에 관한 한 연구에서, 치과 학생은 같은 장소에서 근무하고 있음에도 의대생과 교수진에 의해 여전히 소외받았으며,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받았다 .62 한 가지 설명은 그룹 간 편향이 '틀린' 고정 관념 그 자체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범주화에서 비롯된다는 것일 수 있다. 즉, 편향이 발생하는 것은 카테고리화에 대한 신념이 아니며, 오히려 신념이 범주화의 결과입니다.

Although IPE has been found to have benefits in terms of improving awareness and expectations of other professions,60 there are findings that its effects are not straightforward.61 For example, one study of IPE with medical and dental students found that despite working together in the same location, dental students still felt marginalised and negatively stereotyped by medical students and faculty staff.62 One explanation may be that intergroup biases do not arise from ‘wrong’ stereotypes per se, but simply from categorisation. That is, biases do not stem from beliefs about categorisation; rather, beliefs are a consequence of categorisation.


상위 정체성 (예 : 보건 전문가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거나, 공통의 특성에 대한 '교차crossed' 정체성에 초점을 두는 접근법이 더 효과적 일 수 있습니다 .65,66 IPE의 성공은 단순히 개입의 형태와 내용보다는 이러한 요인의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Approaches that focus on a superordinate identity (such as that of health care professional)63,64 or ‘crossed’ identities that share characteristics may be more effective.65,66 It may be that the success of IPE is influenced by these factors, rather than simply by the form and content of interventions.


또 다른 위험은 교육초반의 IPE 개입이 적절한 그룹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의과대학) 학생은 '학생'과 '전문가'라는 두 가지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너무 일찍 개입하면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보다는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이 더 강할 수 있습니다. 서로 전공이 다르더라도 학생들은 학생이라는 '공통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암묵적으로 공통의 pre-professional 정체성이 된다. 또한 학생의 전공마다 학생들은 전문직 집단에 대해서 알고identify있는 바가 모두 다를 수 있다. 학습이 주관적으로 전문성을 갖추고 실천에 확장 할 수있는 정도는 가정 한 것만 큼 단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nother risk is that IPE interventions early in trainingmay not engage with the appropriate group identities. A student professional has two identities, of ‘student’ and ‘professional’, and too early an intervention may relate to the student rather than the professional identity. Students of different professions may be aware of ‘common ground’ as students,68 implicitly a common, pre-professional identity. Additionally, students of different professions may identify with their professional groups to different extents.69 The extent to which learning is subjectively interprofessional and extendable to practice may not be as straightforward as is assumed.


커뮤니케이션의 위험

Risks for communication


사회적 정체성은 집단 내 응집력이나 집단 간 갈등의 형태로 정서적 결과를 낳을뿐 아니라 집단 간 의사 소통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 커뮤니케이션은 언어 사용을 통해 그룹의 경계를 만들고 강화하는 수단이며, 71,72 사회적 정체성은 또한 정보가 전송되고 수신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룹 내 구성원에서 그룹 외 구성원으로 전달 된 정보는 당초 의도와는 다르게 인코딩 (저장) 될 수 있으며, 그룹 내 구성원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더 정확하게 기억하고, 그룹 내 자료의에 더 가치를 둘 수 있다 74

Social identity does not just have affective consequences in the form of in-group cohesion or intergroup conflict, but also has distinct effects on intergroup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s a means of creating and reinforcing group boundaries through language use,71,72 and social identity also affects how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formation passed from in-group to out-group members may be encoded (stored) differently,73 which can lead to the more accurate recall of information derived from in-group members and the greater valuing of in-group sources.74


전문가 그룹 간의 의사 소통 문제는 임상에서 실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오류는 정보가 처리되는 방식과 관련이있을 수 있습니다.

It is known that communication problems, often between professional groups, can lead to human error in clinical settings75,76 and it may be that such errors are related to the ways in which information is processed.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다분야 팀의 팀원은 자신과 동일한 직업군의 팀원보다 다른 직업군의 팀원으로부터 정보를 거의받지 못한다고 생각했습니다.

Another study found that members of a multidisciplinary team felt they received less information from members of a different occupational group than from their own.78


추가 연구에 따르면 의사와 간호사는 동일 직업군이 작성한 노트만 읽을 뿐이며, 다른 직업군의 견해를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79

A further study found that doctors and nurses read only their own profession’s notes and fail to take account of other views.79


평가 타당도의 위험

Risks for assessment validity


집단 간 편향은 또한 평가와 관련하여 우려를 나타낼 수있다. 훈련중인 의사에 대한 평가는 이제 직장에서 많이 이루어집니다. 훈련중 의사에 대한 평가는 모두 동료의 의사의 관찰과 평가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에는 그룹 간 차원intergroup dimension이 매우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INTER-professional일 수도 있고, INTRA-professional일 수도 있습니다. 다른 연차가 다르거나 전공이 다르면 out-group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Intergroup biases may also present concerns in relation to assessment. Much assessment of doctors in training now takes place in the workplace. These all involve the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a doctor’s work by colleagues. There is therefore a highly visible intergroup dimension to these assessments. This may be interprofessional, but also intra-professional, as doctors of different grades and specialties may be seen as out-group members.


그러한 평가는 세 가지 측면에서 집단 간intergroup 편향에 취약 할 수있다. 

Such assessments may be vulnerable to intergroup biases at three points. 


첫째, 의사는 여러 전문 그룹의 평가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하도록 권장됩니다). 그룹 내 선호In-group favouritism는 의사들이 그룹 내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을 선택하도록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선택의 행위는 그룹 내 구성원 자격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Firstly, doctors can select raters from different professional groups (and are encouraged to do so). In-group favouritism may lead doctors to select people they perceive as in-group members (and in fact the act of selection may become a marker of in-group membership).


둘째, 의사에게 주어진 실제 등급은 평가시에 평가자가 피평가자인 의사를 in-group 또는 out-group 구성원으로 인식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룹 간 편향의 영향을받을 수 있습니다. in-group 이라면 그는 좀 더 관대 할 수 있지만 의사가 out-group으로 인식하면 평가자가 더욱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in-group인지의 여부가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에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Secondly, the actual rating given to a doctor may be influenced by intergroup biases, depending on whether the rater perceives an individual doctor as anin-group or out-group member at the time he completesthe assessment: if a rater perceives the doctor as an in-group member, he may be more lenient, whereas if he perceives the doctor as belonging to an out-group,the rater may be more severe. Importantly, the doctor’s and her raters’ perceptions of in-group status do not have to agree. 


그룹 외 동질성 효과out-group homogeneity effect는 개인에 대해 덜 주의를 기울이게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평가자가 피평가자를 out-group으로 인식한다면 실제 성과보다 낮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집단 간 편향Intergroup bias은 암묵적이며 의식적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집단 간 과정Intergroup process을 고려하지 않으면 평가자의 훈련이 반드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

The out-group homogeneity effect34 may reduce attention to the individual. Consequently, a rater perceiving a trainee as an out-group member may rate that trainee as a stereotypical trainee rather than according to that actual individual’s performance. Intergroup bias may be implicit, and not a conscious process, and thus the training of raters may not necessarily be a solution if intergroup processes are not considered.


셋째, 그룹 간 편향은 피드백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수신자는 out-group 구성원의 관점을 잠재적으로 의해 폄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피드백을 요청할 때는 그 사람을 in-group으로 보지만, 피드백을 받을 때에는 out-group으로 볼 수있다. ). 의견의 신뢰성은 평가자와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증거가있다. 그러나 이것은 집단 간 용어보다는 대인 관계로 구성되어있다.

Thirdly, intergroup biases may influence responses to feedback, with out-group views potentially denigrated by the recipient (again, an individual may be seen as an in-group member when asked to give feedback, but as an out-group member when feedback is receive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the credibility of feedback is influenced by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the rater,84 but this has been framed in interpersonal, rather than intergroup, terms.



결론

CONCLUSIONS


정체성 문제에 대한 인식은 그 자체로 교육 도구일 수 있습니다. 그것은 학생과 연수생의 성찰을 지원하는 구조를 제공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스로를 '의사'라고 생각하고 있는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고정 관념과 그것은 왜 그런지, 그리고 그것이 의사소통과 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의 논의는 다른 전문직과 관련하여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집중되었지만 의사 - 환자 관계는 집단 간 관계이기 때문에 그 맥락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고 유용 할 수 있습니다 전문 직업인 상호 작용에서. 마지막으로 '교육자'와 '학습자'도 사회적 정체성의 사례이며, 이러한 경우 집단 간 프로세스의 역할도 고려해야한다.

Awareness of identity issues may be an educational tool in its own right. It may provide a structure to support student and trainee reflection, through which participants can consider whether they are thinking ‘as a doctor’, the stereotypes they may be invoking and why, and the effects of these on communication and attentio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has concentrated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doctor’ as it relates to other professions, but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also an intergroup relationship and consideration of social identity in that context may be as important and useful as it is in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s. Finally, ‘educator’ and ‘learner’ are also instances of social identity and the role of intergroup processes in these instan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또한 사회적 정체성 프로세스의 긍정적 효과가 있습니다. 그룹 식별은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병원을 기반으로 한 한 연구에 따르면 Restructuring과정에서 사람들은 조직 내 그룹이나 작업 그룹보다 더 많은 professional group을 identify하였고, 이는 조직에서 professional 그룹과 더 많은 관계를 맺음으로써 보다 안전한 정체성에 대한 더 큰 지지를 받았다고합니다.

There are also positive effects of social identity processes that may be developed. Group identification is associated with lowered stress.89 One hospital-based study found that staff identified more with their professional groups during a restructuring than they did with organisation-based groups or workgroups,90 suggesting that they felt more supported by the more secure identity of the professional group.




 2012 Feb;46(2):143-52. doi: 10.1111/j.1365-2923.2011.04099.x.

Group processes in medical educationlearning from social identity theory.

Author information

1
Medical Education Research Group, Durham University, Durham, UK. b.c.burford@durham.ac.uk

Abstract

CONTEXT:

The clinical workplace in which doctors learn involves many social groups, including representatives of different professions, clinical specialties and workplace teams. This paper suggests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does not currently take full account of the effects of group membership, and describes a theoretical approach from social psychology,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which allows those effects to be explored.

METHODS: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has a long history in social psychology and provides an integrated account of group processes, from the adoption of group identity through a process of self-categorisation, to the biases and conflicts between groups. This paper outlines key elements of this theoretical approach and illustrates their relevance to medical education.

RESULTS:

The relevance of the social identity approach is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areas of medical education. The paper shows how research questions in medical education may be usefully reframed in terms of social identity in ways that allow a deeper exploration of the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may be viewed in terms of self-categorisation rather than simply attainment; the salience of different identities may be considered as influences on teamwork and interprofessional learning, and issues in communication and assessment may be considered in terms of intergroup biases.

CONCLUSIONS:

Social identity theory provides a powerful framework with which to consider many areas of medical education. It allows disparate influences on, and consequences of, group membership to be considered as part of an integrated system, and allows assumptions, such as about the natur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interprofessional tensions, to be made explicit in the design of research studies. This power to question assumptions and develop deeper and more meaningful research questions may be increasingly relevant as the nature and role of the medical profession change.

PMID:
 
22239328
 
DOI:
 
10.1111/j.1365-2923.2011.04099.x


의학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인지이론(BMC Med Educ, 2014)

Using cognitive theory to facilitate medical education

Yu Qi Qiao1,4, Jun Shen1,4, Xiao Liang1,4, Song Ding2,4, Fang Yuan Chen3,4, Li Shao4,5, Qing Zheng1,4

and Zhi Hua Ran1,4*





배경

Background


1940 년대부터, 학문-기반 모델의 핵심 원칙과 관행은 교육자들에 의해 의문을 제기 받았다. 1944 년에, Goodenough는 "학생의 마음을 어지럽히고 흥미를 없애는 것"으로 보였던 기초 과학 세부 사항을 줄여야 한다고 주창했습니다.

From the 1940s, key principles and practices of the discipline-based model were questioned by educators. In 1944, Goodenough advocated for a reduction in basic science detail which seemed to “clutter up the student’s mind and deaden interest” [1].



교육자들은 계속해서 의학 교육을위한 더 나은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Papa et al. [3]는 여러 개혁을 관통하는 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의료 전문가와 초보자를 특징 짓고 구별하는 지식 기반 구조와 인지 과정에 대한 관심 증가, 주의 집중, 이해. 이 주제에는 3 가지 주요 측면이 있습니다 : 

  • (1) 더 매력적인 과정; 

  • (2) 조직화 된 지식; 

  • (3) 다른 학생들을위한 적절한 안내. 

각각의 측면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것이지만, 우리는 종종 이 셋을 혼동합니다. 매력적인 과정이 반드시 효과적 일 수는 없으며 효과적인 교육이 항상 흥미로운 것은 아닙니다. 단일 유형의 교육을 통해 이러한 모든 측면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Educators continue to search for better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ion. Papa et al. [3] detail the unifying theme of reforms: increasing interest in, attention to, and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base structures and cognitive processes that characterize and distinguish medical experts and novices. There are three main aspects to this theme: (1) more attractive courses; (2) well organized knowledge; and (3) proper guidance for different students. Although these aspects are relatively independent, they are often confused by educators. Attractive courses are not necessarily effective, and effective training is not always interesting. It is difficult to achieve all these aspects via a single type of instruction.




방법

Methods



결과 및 고찰
Results and discussion

암기: 학습의 기본 단계
Memorizing: a basic step in learning

의학 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인 단계는 무엇입니까? 학생들을 "memorizer"가 아니라 "thinker"로 만드는 것은 19 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가는 학문-기반 교육과정 운동의 특징이었습니다. 스턴 버그 (Sternberg)는 1898 년 미국 의학 협회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의 대통령 연설 [3]에서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로부터 100 년 동안 교육자들은 이 견해를 지지하며, 지속적으로 memorizing보다 thinking의 중요성을 지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thinker가 되려면 먼저 memorizer가 되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What is the most basic step in medical learning? To make students “thinkers” rather than “memorizers” was the hallmark of the discipline-based curricular movement, which dates back to the late 19th century. In 1898, Sternberg echoed the importance of thinking in hi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presidential address [3]. Over the next hundred years, educators continually made efforts to support this view and the importance of thinking over memorizing. However, we contend that to be a thinker, one first needs to be a memorizer.

Sweller'swords에서, 학습자의 지식이 더 정교하고 많을수록 다룰 수 있는 요소는 더욱 복잡해질 것입니다 [10]. 여기서 요소는 학습 할 자료로 정의됩니다.

In Sweller’swords, the more sophisticated and knowledgeable the learner, the more complex will be the elements he or she is dealing with [10]. An element is defined here as material to be learned.


작업 메모리 (WM)는 작업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인지 작업의 범위에서 처리중인 정보의 임시 저장"[11,12]을 포함합니다. 임시 저장소 때문에 WM은 한때 STM의 기능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은 실제로 STM는 WM의 구성 요소라고 생각하며, LTM에 저장된 것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에 기반한 또 다른 메커니즘들이 있습니다. Ericsson과 Delaney는 안정된 형태로 저장된 정보를 지칭하기 위해 "장기 작업 메모리 (LTWM)"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STM의 신호를 통해 일시적으로 검색 할 수있었습니다 [13]. Baddeley는 이것을 새로운 유형의 WM 그 자체라기 보다는 LTM과 WM 사이의 대화 모드로 간주했습니다 [14].

Working memory (WM) stores task-relevant information and involves “the temporary storage of information that is being processed in any of a range of cognitive tasks” [11,12]. Because of temporary storage, WM was once considered as a function of STM. Now, many researchers believe STM is in fact a component of WM, and there are other mechanisms based on skilled use of storage in LTM. Ericsson and Delaney used the term “long-term working memory (LTWM)” to refer to information that is stored in stable form, but could be retrieved temporarily by means of cues in STM [13]. Baddeley considered this as an interactive mode between LTM and WM rather than a new type of WMper se [14].


LTM은 WM의 중요한 원천으로 입증되었으므로 LTM에 대한 지식은 무시되어서는 안됩니다. 의학 교육에서 선언적 지식의 습득은 기억, 특히 LTM에 의존하며, LTM은 또한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있다. 절차 적 또는 기술 기반의 지식은 필요한 경우 LTM에서 검색되어야한다 [15].

As LTM has been demonstrated as an important source of WM, knowledge in LTM should not be neglected. In medical education, acquisition of declarative knowledge depends on memory, especially LTM, and LTM can also directly affect actions [14]. Procedural or skills based knowledge should be retrieved from LTM when needed[15]. 


Clark et al. [16] 초보자는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하면서 동시에 거의 배우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암기는 학습의 첫 번째 기본 단계로 간주되어야 하며, 더 많은 학습과 실습을 위한 확고한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암기를 촉진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As Clark et al. [16] described, novices can attend the problem-solving process, but they may learn almost nothing. Memorizing should be regarded as a first basic step in learning as it gives a firm foundation for further learning and practice. However, promoting memorizing remains a challenging task.



인지부하이론: 적절한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Cognitive load theory: a framework for proper instruction


WM 용량 (WMC)은 정보 처리시 약 7 개의 요소 (또는 청크)를 보유하는 것으로 제한됩니다 [17]. 연구에 따르면 WMC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제한합니다 [18-20]. 마찬가지로, 인지부하이론은 WM이 개인이 처리 할 수있는 정보의 양을 제한한다는 개념을지지한다 [5,21]. 이 이론은 인지부하에는, 내재적 부하와 외재적 부하라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음을 제시합니다. Germane load는 보충적 유형으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WM capacity (WMC) is limited to holding approximately seven (plus or minus two) elements (or chunks) when processing information [17]. Studies have indicated that WMC limits students’ performance in science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18-20]. Similarly, cognitive load theory supports the idea that WM limits the amount of information an individual can process [5,21]. The theory suggests that there are two main types of cognitive load, intrinsic and extraneous load. Germane load can further be considered as a supplementary type.


내재적 부하는 학습 자료에서 요소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기반으로합니다

    • 학습 자료의 특성을 지칭하기 때문에 주어진 영역에서 일정합니다. 일부 과목에서, 많은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이 학습되어야하고, 내재적인지 부하가 ​​높을 것이다 [5,21,22]. 

    • 내적인지 부하는 학습자의 사전 지식에 의존한다 [23]. 많은 새로운 요소가 학습 자료에 함께 나타나면 초보자는 요소의 상호 작용이 낮더라도 학습의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학습 과정은 개별 요소를 청크로 결합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덩어리는 인지 스키마로 정의되며 LTM [24]에 저장 될 수 있습니다. 인지 스키마를 보는 또 다른 방법은 그것들을 고도로 조직화 된 정보 또는 지식으로 보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전 지식이 스키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문 지식이 증가하고 내재적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Intrinsic load is based on the interactivity of elements in learning materials. 

    • As it refers to the nature of learning materials, it is constant for a given area. In some subjects, interactions between many elements must be learned, and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will be high [5,21,22]. 

    • Intrinsic cognitive load depends on a learner’s prior knowledge [23]. When many new elements appear together in learning materials, novices may experience learning difficulties even if the interactivity of elements is low. 

    • The learning process may involve combining single elements into chunks. These chunks are defined as cognitive schemata and can be stored in LTM [24]. Another way of viewing cognitive schemata is to see them as highly organized information or knowledge. Over time, as prior knowledge forms into schemata, expertise increases, and the intrinsic load can be reduced.


교수법이 학습을 촉진하지 못하는 경우, 이것은 외재적 인지부하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외래적 인지부하는 인지 스키마의 구성에 기여할 수없는 부적절한 가이드로부터 발생한다 [24].

When teaching methods do not promote learning, they can be defined as extraneous cognitive load. Extraneous cognitive load arises from inappropriate guidance that cannot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cognitive schemata [24].


외래적 인지부하와는 대조적으로, 본유적 인지부하는 인지 스키마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Germane 하중은 supplement로서 인지부하 구조에 추가되었다 [4]. 이론에 대한 최근의 설명에서, 본유적 인지부하는 본유적 자원으로 불리고, 내재적 인지부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5,6].

In contrast with extraneous cognitive load, germane load arises from the process of forming cognitive schemata. Germane load was added to the cognitive load framework as a supplement [4]. In recent explanations of the theory, germane load was termed as germane resources and closely related to intrinsic load [5,6].



의학교육에서 오로지 학습 양이 많다는 것만 고려하면 학습과 관련된 어려움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임상 추론 교육의 경우 요소의 인지부하를 높이는 주 원인은 요소간 상호 작용이 높기 때문이다. 많은 양의 정보와 높은 내적인지 부하는 ​​왜 의학 학습이 가장 어려운 문제인지 설명 할 수 있습니다. 학습은 인지부하가 WMC의 한계를 초과 할 때 영향을받을 수있다.

In medical learning, considering only the large volume of information,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learning can be very high. For clinical reasoning education, the cognitive load becomes higher because of the high interactivity of elements.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can explain why medical learning is most often a challenge. Learning processes could be affected when the cognitive load exceeds the limit of WMC [26].



두 번째 질문으로 이동 : 왜 일부 커리큘럼은 매력적이지만 효과적이지 않습니까? 많은 양의 정보는 높은 내재적인지 부하를 유발하여 학습을 어렵게 만든다.

Moving to our second question: Why do some curricula seem attractive, but not effective?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causes difficulties when studying medicine because of the large volume of information.



인지 부하 이론이 항상 명시 적으로 고려 된 것은 아니지만 그 효과에 대한 증거가 있습니다. 1950 년대에 웨스턴 리저브 스쿨은 최초의 "장기 시스템 커리큘럼"을 시작했습니다 [27].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체계적인 기능과 malfunction에 대한 지식을 통합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이 개혁은 기초 과학을 임상 지식과 통합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학습자는 이러한 통합을 달성하기 어려워했기 때문에 실패했습니다. 정보의 양이 줄어들지 않고 상호 작용 요소가 커리큘럼에 추가되면서, 특히 주니어 의대생에게 외래 인지부하가 특히 높아졌다. 초기 학위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의학에 대한 배경 지식이 부족하며 많은 수의 요소를 효과적으로 스키마로 분류 할 수 없습니다. 장기 시스템 교육과정에서 부과되는 인지 부하는 학생들의 WMC를 능가 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요구는 초보자 외국어 학습자가 문법을 쉽게 습득 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Although cognitive load theory has not always been explicitly considered, there is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In the 1950s, the Western Reserve School of Medicine initiated the first organ-system curriculum [27]. Educators aimed to help students integrate knowledge of systemoriented functions and malfunctions. This reform failed because while it appeared to integrate basic science with clinical knowledge, learners struggled to achieve this integration.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was not reduced and interacting elements were added to the curriculum, extraneous cognitive load became untenably high, especially for junior medical students. Students in the early years of their degree programs have limited background knowledge of medicine, and are not able to effectively chunk the large number of elements into schemata. The cognitive load of the organ-system framework most likely exceeded the students’ WMC. The demands of that process may be viewed as analogous to expecting novice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readily master grammar.



임상 사례에 초점을 둔 PBL은 의학 교육에 널리 사용됩니다. PBL에 관한 상당한 논란이있었습니다. Albanese et al. PBL과 그 효과성에 초점을 둔 메타 분석에서 

    • PBL 학생들이 학습 시간이 더 길었지만 기초과학 시험 점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훈련받는 학생들보다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 PBL 학생들이 임상 성적에 대해 더 나은 점수를 얻었지만, 환자에게 불필요한 검사를 훨씬 많이 주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비용-효과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Berkson의 메타 분석에서 유사한 결론에 도달했다 [30]. Colliver는 PBL 문헌을 검토 한 결과, PBL이 학생들의 지식 기반과 임상 수행 능력을 향상 시킨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고 지적했다. 

Kirschner가 PBL의 효과에 대해 논한 반면, Sanson-Fisher et al.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PBL의 우월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부족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PBL focuses on clinical cases and is widely used in medical education. There has been considerable debate about PBL . Albanese et al. carried out a meta-analysis focusing on PBL and its effectiveness [29].They found that PBL students spent more time studying,but that their basic science exam scores were lower than students who were being trained using other methods. Although PBL students achieved better scores for their clinical performance, they were found to order significantly more unnecessary tests for their patient, which means a higher cost with less benefit. 

In Berkson’s meta-analysis,similar conclusions were reached [30]. Colliver reviewed PBL literature and noted no convincing evidence that PBL improves students’ knowledge base and clinical performance [31]. 

While Kirschner debates the effect of PBL [9],Sanson-Fisher et al. highlight a lack of evidence supporting the superiority of PBL over traditional methods [32]. 



Sweller et al. PBL이 학생들에게 정보를 찾는 방법을 가르쳐 줄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동화되어야 하는 관련 정보의 숫자를 줄여주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보다 최근의 메타 분석은 unassisted discovery는 학습자에게 도움이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34]. 반대로, 피드백, worked example, 스캐폴딩, guided explanation이 효과가있을 수 있습니다.

Sweller et al. emphasize that PBL may teach students how to find information, but it does not reduce the relevant information that is ultimately required to be assimilated [33]. A more recent meta-analysis suggests that unassisted discovery does not benefit learners [34]. Conversely, feedback, worked examples, scaffolding, and elicited explanations might work.


PBL은 학생의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HDR)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그러나 HDR은 상당히 높은 인지 부하를 가지고 있으며, 어느 정도의 사전 지식과 기본 기술을 필요로합니다.

PBL aims to improve the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HDR) of students. However, HDR brings with it a high cognitive load, which needs some degree of prior background knowledge and some basic skills.


기본 지식이 부족하다면, 인지부하는 ​​높고 자료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것이 왜 PBL 학생들이 더 많은 시간을 학습하고도 더 많은 개념적 오류를 만들어 내는지 설명 할 수 있습니다. Haeri et al. HDR의 보급을 권장하지 않았다. PBL의 완전한 사용은 의료 커리큘럼을 위해 옹호되지는 않지만 이것이 PBL이 완전히 구식이거나 부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Before acquiring basic knowledge, the cognitive load is high and materials might be har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is can explain why PBL students spend more study hours and make more conceptual errors. Haeri et al. did not recommend widespread use of HDR [35]. Although the full use of PBL is not advocated for medical curricula,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does not mean that PBL is totally outdated or inappropriate.


스키마: 전문가와 초보자의 차이

Schemata: distinguishing experts from novices


부적절한 교육은 특히 초보자의 학습을 촉진 할 수 없습니다. 올바른 지시를하기 전에 초보자와 전문가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셰익스피어의 드라마를 암기 할 수있는 능력이 있더라도 셰익스피어의 작문 기술을 습득 할 수있는 것은 아닙니다. 더 많이 외울 때 더 배울 수 있습니까? 이것은 논리적으로 보일지라도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nappropriate instruction cannot promote learning, especially in novices. Before giving proper instruction, we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novices and experts. While a person may have the capability to memorize Shakespeare’s dramas, it does not mean that s/he would then have the writing skills of Shakespeare! Could one learn more when memorizing more? Although this seems logical, it may not be accurate.



LTM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학습의 기본 단계이지만, Paas et al. 다른 두 가지 중요한 메커니즘, 즉 스키마 획득제어된 프로세스에서 자동 처리로의 학습된 프로시져의 전이[37]를 제안했다. 학습과 문제 해결 스킬에서 전문가를 초보자와 구별하는 주요 요인은 [스키마의 형태를 갖춘 도메인 특이적 지식]이다 [21].

While storing information in LTM is the basic step of learning, Paas et al. suggested two other critical mechanisms: schemata acquisition and the transfer of learned procedures from controlled to automatic processing [37]. Evidence showed that domain specific knowledge in the form of schemata is the primary factor distinguishing experts from novices in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 [21].



스키마는 고도로 조직 된 지식과 정보로 구성됩니다. 엘 스타 인 (Elstein)에 따르면, 지식 조직과 스키마 획득은 전문성 개발 과정에서 중요하다 [38]. 예를 들어, chessexperts는 50,000 개의 게임 위치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Cooke et al. 숙련 된 체스 선수들은 자신의 구조에 대한 높은 수준의 묘사 측면에서 체스 입장을 표현한다고 주장했다.

Schemata consist of highly organiz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Elstein, knowledge organizationand schemata acquisition are important in developing ex-pertise [38]. For example, experiments suggest that chessexperts can remember 50,000 game positions. Cooke et al. contended that skilled chess players encode chess positions in terms of high-level descriptions of their structure [40].



체스 플레이어에 관한 연구는 LTM에서 조직 된 지식의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합니다 : 

(1) 조직화 된 지식을 사용하면 LTM으로부터 검색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2) 교육 기간이 후 LTM에 저장할 수 있는 특정 영역과 관련된 조직화 된 지식의 양이 많아진다.

The research on chess players suggests two aspects of organized knowledge in LTM: (1) Using organized knowledge can increase the speed of retrieval from LTM; (2) After a training period, a large amount of organized knowledge relating to a specific area can be stored in LTM.



특정 분야의 전문가는 새로운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조직화할 수 있습니다. 스키마는 어떤 정보가 어떻게 처리 될 것인가에 따라 그것을 조직화하는 인지 구조이다 [21]. Sweller's 인지부하이론에서 스키마는 요소의 상호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내재적인지 부하를 감소시킬 수있다. Ericsson et al.에 따르면, LTM으로부터 검색을 할 때 생기는 병목 현상은 LTM에 저장된 원하는 항목과 관련된 retrieval cue의 부족이다 [13]. Schemata는 단순히 [하위 레벨 구성 요소의 집합]이 아니라 [상위 레벨의 조직화 된 지식]을 나타냅니다 [41]. 조직화 된 지식은 검색 큐를 증가시킬 수는 없지만, 그러한 큐에 대한 필요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자동화 된 절차적 지식을 포함하는 스키마는 통째로 처리되어 한 번에 불러올 수 있다.


New information can be organized more quickly by experts in a specific field. A schema is a cognitive construct that organizes the element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how they will be processed [21]. In Sweller’s cognitive load theory, schemata could reduce elements’ interactivity, and thereby reduce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According to Ericsson et al., the bottleneck for retrieval from LTM is the lack of retrieval cues that relate to the desired item stored in LTM [13]. Schemata represent a higher level of organized knowledge than a simple collection of lower-level components [41]. Although organized knowledge cannot increase the retrieval cues, it can reduce the need for such cues. Schemata that contain automated procedural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s a whole to be retrieved together.



이제 우리는 경험이 많은 의사가 초보자보다 임상 적 추론에 더 나은 이유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의사는 언제나 광범위한 관점의 조직화 된 지식이 필요할 것이다. 슈미트 (Schmidt)는 전문가들이 광범위한 사례 지식에 어떻게 접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 지식은 필요할 때까지 '캡슐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Rikers et al. 캡슐화 된 지식은 전문가의 임상 추론 [43]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하며, 이는 의대생의 임상 적 추론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시니어 의과대학생들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기초과학 지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전문가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를 넘어서는 분야에서도 더 정확한 진단을 내렸습니다.

Now we can also explain why senior doctors are better at clinical reasoning than novices. Doctors will always require a broad perspective of organized knowledge for their reasoning. Schmidt describes how experts may have access to extensive case knowledge, but this knowledge re-mains ‘encapsulated’ until needed [42]. Rikers et al. showed that encapsulated knowledg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pecialists’ clinical reasoning [43] and that this is very different from the clinical reasoning of senior medical students. While senior medical students could use basic scientific knowledge to explain a phenomenon, specialists made more accurate diagnoses even in areas beyond their own specialty. 


Norman은 임상 추론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검토했다. 전문성이란 다음의 습득으로 구분지어진다.

    • 질병 스크립트, 

    • 의사 결정 나무, 

    • 증상, 

    • 질병 확률, 

    • 의미론적 한정자 

    • 기초 과학의 획득

임상의는 

    • 질병의 기본 메커니즘에서부터 

    • 질병 스크립트, 

    • 경험에 기반한 대표사례

...에 이르기는 세 가지 종류의 정신 표현을 통해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45].

Norman reviewed research focusing on clinical reasoning [44]. Evidence suggests that expertise is distinguished by acquisition of 

    • illness scripts, 

    • decision trees, 

    • symptoms, 

    • disease probabilities, 

    • semantic qualifiers and 

    • more (or less) basic science. 

Clinicians appear to move through three different kinds of mental representations, 

    • from basic mechanisms of disease 

    • to illness scripts 

    • to exemplars derived from experience [45].



경험은 초보자와 전문가 간의 가장 중요한 차이 일 수 있습니다. Norman의 연구는 임상 전문가에게 집중하는 것이 임상 추론을 촉진하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임상 전문가에게 배우는 것은 그들의 경험을 배우는 것입니다.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더 많은 스키마가 형성됩니다. Merriënboer et al. 학습을 스키마의 구성과 자동화라고 묘사하였다[8].

Experience might b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vices and experts. Norman’s work suggested to us that focusing on clinical experts might be a useful way to promote clinical reasoning. To study from clinical experts is to study their experiences. The increasing store of experiences results in more schemata formation. Merriënboer et al. described learning as the construction and automation of such schemata [8].



적절한 교육이 초보자를 전문가로 만든다.

Proper instruction helps novices become experts


교육자는 언제나 암기의 부담을 줄이고, 학생이 배우기 쉽도록 정보를 논리적 순서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한다. worked example는 초보자에게 좋은 방법 일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실제 작업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작업 과정을 표현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Worked example을 제공하면, 거기에는 경험이 포함되어있다. 모방은 가장 낮은인지 부하로 학습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예제를 먼저 주고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합리적인 방법이다.

Educators are always looking for ways to lower the burden of remembering and trying to integrate information into a logical order that is easy for students to learn. Worked examples may be a good method for novices. This involves presentation of a real task process rather than just explaining how it works. When giving worked examples, the experience is contained. Imitation is a good way of learning with the lowest cognitive load. It is reasonable to give an example first and then explain why.


의학 교육에서 임상 추론 전략 훈련을 통해 조직화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캘거리 대학 (University of Calgary)의 의학부 (UCFM)의 교육자들은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worked example이라는 아이디어를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developed scheme을 사용하여 의대생과 함께 전문가의 경험을 공유했다 [3,50]. 1991 년까지 임상 표현 커리큘럼 (CPC)을 사용할 준비가되었으며 120 건의 임상 표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50].

In medical education, it is not easy to form organized knowledge through clinical reasoning strategy training [44]. However, educators at the University of Calgary’s Faculty of Medicine (UCFM) used the idea of worked examples to achieve this. They shared the experience of experts using developed schemes with medical students [3,50]. By 1991, the clinical presentation curriculum (CPC) was ready for use and consisted of 120 clinical presentations [50].


1998 년 UCFM 교육 담당자는 CPC 사용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그들은 동일한 작업량에도 불구하고 다른 교육 과정보다 스트레스가 적다는 것을 발견했다.

In 1998, educators from UCFM carried out an analysis of the use of CPC. They found that it generated less stress than other curricula, despite an equivalent workload [51].


Worked example은 진단 지식을 길러줄 수 있다 [54]. 반 덴 버지 (van den Berge) 외. ECG (electrocardiograms)의 예를 연구 한 초보자가 유지 테스트에서 더 잘 수행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55].

Worked examples can foster diagnostic knowledge [54]. van den Berge et al. showed that novices who studied worked examples of electrocardiograms (ECG) performed better on a retention test [55].


PBL로 돌아가서, 우리는 이 접근법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주목합니다. 의학 교육에서 PBL은 HDR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방법으로 간주되며 많은 교과 과정에서 구현되었습니다 [58]. PBL은 exploration을 장려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학자들은 의학 교육에서의 재사용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Returning to PBL, we note that this approach has been used in a range of different areas. In medical education, PBL is considered an appropriate way to promote HDR abilities and it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curricula [58]. PBL has been widely used as a way to encourage exploration, but many scholars argue that its use in medical education needs reconsideration [9].


오늘날 전 세계 의과 대학에서 사용되는 PBL 커리큘럼이 많이 있습니다. PBL 커리큘럼은 일반적으로 사전에 제공되는 가이드는 최소화된 상태에서, 실제 임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한 시나리오를 제공합니다. PBL은 학생 중심의 능동적 학습 활동으로서, 자율적 학습을 촉진하려는 의도가 있다[3]. 그러나 PBL이 전통적인 커리큘럼보다 학생들의 퍼포먼스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이것은 PBL의 부적절한 구현 때문일 수 있습니다.

Today there are still many PBL curricula used in medical schools around the world. A PBL curriculum will typically give simulated scenarios of real clinical work, with minimal guidance given beforehand. It is a student centered active learning activity which strives to promote self-study [3].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o show that PBL students perform better than students following a traditional curriculum. This may be because of the in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PBL.


초심자는 지식을 아직 습득하지 못했다. 그들은 프로세스를 완수하기에는 지식이 부족합니다. 의학 교육의 초기 단계에서 기초 과학 및 전임상 코스가 학습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그 단계에서 지식을 암기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해부학, 병리학, 생리학 및 생화학 분야에는 많은 양의 새로운 정보가 있습니다. 정보량이 크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습니다 [10]. 이 단계(기초의학)에서 PBL을 사용하는 것은 내재적 부하를 줄일 수 없습니다. 오히려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이 높은 HDR이 외래적 인지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것은 PBL 학생들이 기초 과학에서 낮은 점수를 얻는 이유를 설명 할 수 있습니다 [29].

Novices have yet to acquire this knowledge. They lack the knowledge to complete the process. In early stages of medical education, basic science and preclinical courses are the main components of learning. Memorizing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at that stage. There is a large amount of new information in anatomy, pathology, physiology and biochemistry. The task is difficult because of the high volume of information [10]. Using PBL at that stage cannot reduce the intrinsic load. HDR with high interactivity of elements might even increase the extraneous cognitive load. This could explain why PBL students achieve lower scores in basic science [29].


시니어 의대생의 경우, 상황이 상당히 다릅니다. 특히 인턴십을 시작할 때 특히 그렇습니다. 고학년 학생들은 초보자들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주니어 학생들보다 임상 문제에 더 많이 노출 될 것입니다. 시니어 학생들에게 스키마의 형성 (전문 지식의 증가)은 내적인지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 또는 최소한의 guided instruction은 시니어 의대생 또는 레지던트에게 효과적 일 수있다.

For senior medical students, the situation is quite different, especially when they begin their internships. Senior students have more relative knowledge than novices, and they will be exposed to more clinical problems than their junior peers. As formation of schemata (increasing expertise) can reduce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partially or minimally guided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for senior students and residents under supervision [16].


Conclusion


인지 부하 이론에 따르면, 해부학이나 병리학과 같은 과목의 내재적 인지 부하는 주로 많은 양의 새로운 정보에 기인합니다. 외부적 인지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이러한 경우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LTM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유일한 실현 가능한 해결책 일 수 있습니다. 인지 부하가 ​​높을 때 학습이 어려워진다. 부적절한 교육 방법의 사용은 또한 외부적 인지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인지 부하가 ​​WMC를 초과하면 학습 프로세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논문에서 설명한 장기 시스템 커리큘럼의 실패는 이러한 음성 과부하 효과의 예를 제공합니다.

According to cognitive load theory,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of subjects like anatomy or pathology originates mainly from the large volume of new in-formation. Methods to decrease extraneous cognitive load might not be effective in the case of these subjects. To store more information in LTM might be the only feasible solution. Learning challenges will increase when cognitive load is high. Inappropriate use of educational methods can also increase the extraneous cognitive load. When cognitive load exceeds WMC, it will negatively affect the learning processes. The failure of the organ-system curriculum described in this paper gives an example of this negative overloading effect. 


마찬가지로, PBL의 부적절한 사용은 동일한 결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매력적이고 혁신적이지만 효과적이지는 않습니다. 임상 추론은 내재적 인지부하가 ​​높은 복잡한 과정입니다. 전문가는 초보자와 비교할 때 임상 적 추론에 능숙합니다. 우리는 이것이 그들의 경험으로 인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는 전문가들이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학생들을 위해 worked example를 개발한 스키마의 적용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Similarly, the inappropriate use of PBL will lead to the same outcome. These curricula seem attractive and innovative, but are not effective. Clinical reasoning is a complex process with a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Experts are skilled at clinical reasoning when compared with novices. We have emphasized that this is because of their experiences. We described the application of such schemata where experts have developed worked examples for students to facilitate their study.


완전히 PBL만 사용하는 것은 의학 교육에서는 권장되지 않지만, 시니어 학생들이 탐구와 자율 학습을 용이하게하기위한 보완적인 접근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Although the full use of PBL is not recommended in medical education, it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a supplementary approach with senior students to facilitate their exploration and self-study.


47. Blissett S, Cavalcanti RB, Sibbald M: Should we teach using schemas? Evidence from a randomised trial. Med Educ 2012, 46(8):815–822.




 2014 Apr 14;14:79. doi: 10.1186/1472-6920-14-79.

Using cognitive theory to facilitate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Ren Ji Hospital, School of Medicine,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Shanghai Institute of Digestive Disease, 160# Pu Jian Road, Shanghai, China 200127. zhihuaran@vip.163.com.

Abstract

BACKGROUND:

Educators continue to search for better strategies for medical education. Although the unifying theme of reforms was "increasing interest in, attention to, and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base structures", it is difficult to achieve all these aspects via a single type of instruction.

METHODS:

We used related key words to search in Google Scholar and Pubmed. Related search results on this topic were selected for discussion.

RESULTS:

Despite the range of different methods used in medical education, students are still required to memorize much of what they are taught, especially for the basic sciences. Subjects like anatomy and pathology carry a high intrinsic cognitive load mainly because of the large volume of information that must be retained. For these subjects, decreasing cognitive load is not feasible and memorizing appears to be the only strategy, yet the cognitive load makes learning a challenge for many students. Cognitive load is further increased when inappropriate use of educational methods occurs, e.g., in problem based learning which demands clinical reasoning, a high level and complex cognitiveskill. It is widely known that experts are more skilled at clinical reasoning than novices because of their accumulated experiences. These experiences are based on the formation of cognitive schemata.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use of cognitive schemata, developed by experts as worked examples to facilitate medical students' learning and to promote their clinical reasoning.

CONCLUSION:

We suggest that cognitive load theory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and successes associated with education of medical professionals.

PMID:
 
24731433
 
PMCID:
 
PMC3989791
 
DOI:
 
10.1186/1472-6920-14-79


인지부하이론의 진화와 의학교육에의 적용(Perspect Med Educ, 2015)

The evolu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Jimmie Leppink · Angelique van den Heuvel




도입

Introduction 


의료 영역은 복잡한 지식 영역입니다. 진단을 내리는 것은 의료 종사자가 환자 자신, 이전에 환자를 본 동료 종사자, 환자의 의료 기록 및 이와 유사한 환자의 경우와 같이 여러 출처에서 검색 한 정보를 처리하고 통합 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것은 인지부하이론 (CLT)이 정확히 무엇인지에 대한 것입니다. 학습이라는 프로세스는 새로운 정보가 소화되어 이미 저장된 기억에 관련되고, 장기 기억 내에 조직화되는 것이며, 그 결과 더 정교하고 광범위한 지식 기반을 갖추게 된다.

The medical domain is a complex knowledge domain. The making of a diagnosis requires medical practitioners to process and integrate information that is retriev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the patient him or herself, fellow practitioners who have seen the patient before,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and similar patient cases. This is precisely what Cognitive Load Theory (CLT) is about: the process called learning whereby new information is digested and related to knowledge already stored and organized in longterm memory, the result of which is a more elaborate and extensive knowledge base [1].




그러나 역사는 학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처리해야 할 새로운 정보의 복잡성 정도그 정보가 제시되는 방식에 크게 의존하고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연결을 더 잘 이해하려면 이 리뷰를 통해 작업 메모리와 장기 기억의 앙상블로 간주되는 메모리의 광범위한 작동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작업기억은 새로운 정보 요소가 처음 수신되는 곳이며, 

  • 장기기억은 처리 된 정보가 저장되고 인지 체계로 조직화되는 보관소이다.

History has taught, however, that learning does not just come about naturally. More specifically, it appears to be heavily reliant on two factors, that is, the degree of complexity of the new information to be processed, and the way in which that information is presented. To better apprehend these connections,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broad workings of memory, which, throughout this review, are regarded as the ensemble of working memory and long-term memory, the former being the place where new information elements are initially received and processed, the latter being the depository where processed information is stored and organized into cognitive schemas.


CLT의 존재 이유는 작업 기억이 용량과 지속 시간 모두에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지적 할 때 의미가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적 연구에서 공통된 발견은: 작업기억은 한 번에 몇 가지 새로운 정보 요소 만 처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실적인 상황에서 작업 기억에 남을 수 있는 시간은 20초 이내이다. 이론의 핵심은,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메모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 프레임 워크의 핵심은 총 작업 메모리 부하와 같은 개념으로, 정신적 노력이나 인지 부하와 동등하며 동시에 처리되어야하는 정보 요소의 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을 다루는 데 추가적 작업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으며, 이를 외재적 인지 부하라고 한다. 

  • 이로 인해서 정보의 본질적 내용을 다루는 데 필요한 작업 메모리 용량이 줄어드는데, 이것을 내재적 인지부하라고 하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CLT’s raison d’être will start to make sense when pointing out that working memory is limited both in capacity and duration, a finding that has found resonance in various empirical studies: only a few new information elements can be processed at a time, which elements, moreover, can— under realistic circumstances—be held in working memory for less than 20 s [2, 3]. The theory’s key remit, then, is to explain our memory processes in such a way that the available resources can be wielded as effectively as possible. Central stage in this framework are concepts such as total working memory load, which is tantamount to mental effort or  cognitive  load [4,  5] and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that need to be processed simultaneously [1].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re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quired for dealing with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presented—a concept coined extraneous cognitive load [6]—the less working memory capacity remains for dealing with the intrinsic content of inform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rinsic cognitive load [7, 8]—and vice versa. 



어떻게 CLT가 진화하였는가

How CLT has evolved


CTL는 작업기억의 용량과 지속기간이 제한된다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As was pointed out in the foregoing, CLT revolves around the notion of a working memory that is limited in capacity and duration [1–3].


CLT원칙의 경험적 근거

Empirical evidence for CLT principles



CLT 원칙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발견은 네 가지 유형의 측정에서 비롯됩니다. 

  • (1) 작업 수행 정확도 [9-11] 또는 작업 수행에 필요한 시간 [12,13]을 통한인지 부하의 간접 측정. 

  • (2) 이중 작업 성과 측정 [14, 15]; 

  • (3)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fMRI) [16] 또는 특정 뇌 심전도 (EEG) [17,18] 또는 안구 추적 변수 [19]와 같은 생체 측정. 

  • (4) 주관적 평가 척도 [4, 20, 21].

Empirical findings supporting CLT principles come from four types of measures: 

  • (1) indirect measures of cognitive load through task performance accuracy [9–11] or time needed for task performance [12, 13]; 

  • (2) dual-task performance measures [14, 15]; 

  • (3) bio-measures such as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16] or specific electroencephalographic (EEG) [17, 18] or eye-tracking variables [19]; and 

  • (4) subjective rating scales [4, 20, 21].


간접적 측정은 외재적 또는 내재적 인지 부하에 의해 더 많은 용량이 사용되는 경우 작업 메모리 용량이 줄어든다는 이전 주장을 서포트한다

Indirect measures have provided support for the previous assertion that less working memory capacity remains if more capacity is taken up by either extraneous or intrinsic cognitive load.


특히 초보자들 사이에서는 문제 해결 검색에 참여하는 것은 외래인지 부하에 영향을 미치므로 내적인지 부하를 처리 할 여지가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덜 정확한 작업 수행 또는 작업 수행에 필요한 시간 증가로 이어집니다.

Especially among novice learners, engaging in problem-solving search contributes to extraneous cognitive load, leaving less room for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resulting, in turn, in less accurate task performance or an increase in time needed for task performance.


외래인지 부하가 최소화되어도 내재 인지 부하를 과도하게 필요로 하게 되는 상황에서는 - 논리적으로 그러하듯 - 오류율이 증가하면서 전반적 인지 부하가 증가하고, 아마도 인지적 과부하가 발생합니다.

Excessive administration of intrinsic cognitive load, even with extraneous cognitive load being kept to a minimum, resulted in a very high overall cognitive load—and perhaps cognitive overload—with an increase in error rates as a logical consequence.


이중 작업 연구에서 참가자는 기본 작업과 일반적으로 기본 작업과 관련없는 보조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지시받습니다.

dual-task studies, participants are instructed to simultaneously perform a primary task and a secondary task that is typically unrelated to the primary task.


생체 측정을 ​​사용하는 연구는 늘 가능한 것은 아니며, 이것이 왜 지금까지 이 방법이 잘 사용되지 않아왔는지에 대한 논리적 인 설명을 제공한다.

Researchers using bio-measures is not always feasible, which provides a logical explanation for their infrequent use so far.


학습자가 경험하는 인지 부하을 측정하는 주관적인 평가 척도는 사용하기가 훨씬 쉬우 며 문헌에서 자주 접하게됩니다. 첫 번째 규모는 1990 년대 초반에 9 점 1 차원 정신적 노력 평가 등급으로 나타났습니다 [4]. 이 척도의보다 포괄적 인 변형은 NASA 작업 부하 지수 (TLX) [27]에 의해 나타낼 수 있는데, 정신적, 육체적, 시간적 요구, 자신의 성과, 노력과 좌절의 다섯 가지 측면을 포착하려고 합니다.

Subjective rating scales that measure cognitive load experienced by the learner are much easier to use and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literature. The first scale made its appearance in the early 1990s in the form of a 9-point one-dimensional mental effort rating scale [4]. A more inclusive variation of this scale may be represented by the NASA task load index (TLX) [27], which seeks to capture five dimensions: mental, physical and temporal demands, own performance, and effort and frustration.



지금까지 의존해온 2-요인 프레임 워크는 인지부하의 증가가 학습을 뒷받침 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세 번째 유형의 인지 적 부하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그럴듯하게 보였습니다. 어떤 종류의 방법은 학습에 유익했습니다. 이 개념은 본유적 인지 부하로 알려져왔다 [28].

The two-factor framework one had relied on so far, did not appear to hold when considering that in some cases an increase in cognitive load could bolster learning. It therefore appeared plausible that a third type of cognitive load was involved, which in some sort of way was beneficial to learning. This concept came to be known as germane cognitive load [28].


지금까지 각각의 인지부하의 존재는 대체로 이론적이었습니다. 인지 부하를 측정하려는 시도는 많았지 만 이들 중 어느 것도 각 인지 부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려고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the existence of distinct types of cognitive load had been largely theoretical; although attempts to measure cognitive load had been plentiful, none of these had sought to measure each cognitive load separately.



서로 다른 유형의 인지부하를 측정하려는 노력

Attempts to measure the distinct types of cognitive load


이 시점에서 CLT는 다음의 두 가지 가정에 기반한다

(1) 외래인지 부하는 최소한으로 유지되어야한다.

(2) 내재적 인지 부하가 ​​특정한 수준에 이르렀을 때에만 본유적 인지 부하가 ​​발생할 수있다 [28]. 

이러한 믿음에 비추어 볼 때, 세 번째 유형의인지 부하가 ​​어떻게 제한된 작업 기억으로 흡수 될 수 있는지,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특정 인지 부하가 ​​어떻게 정량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At this point, CLT rested on the assumptions that 

(1)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be kept to a minimum; and 

(2) germane cognitive load could arise only if intrinsic cognitive load had reached a specific level [28]. In view of these beliefs, the question arose as to how a third type of cognitive load could be assimilated into a limited working memory, and more importantly, how each of the specified cognitive loads could be quantified.



어떤 연구도 소위 효과를 expertise reversal effect 설명해주지 못했다 [34,35]. 간결하게 말하자면, 초보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학습 과제에 대한 교육 지원은, 학습자가 더 능숙해지면 효율성을 잃어 버리거나 심지어는 해가 될 수 있습니다.

none of the studies could address the so-called expertise reversal effect [34, 35]. Succinctly put, instructional support in a learning task that is beneficial for novice learners loses its effectiveness or even becomes detrimental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in that type of task.


불행하게도, 이러한 개념적이고 방법론적 인 문제는 대부분 인식 할 수 없게되었고 대신에 이전의 원칙으로 돌아가는 것이 임박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36-38]. 본유적 인지 부하는 내재적 인지 부하의 하위 유형으로 재 개념화되어 2-요인 (내재적 / 외재적 인지 부하) 체계로 되돌아가는 탄원을 가져왔다.

Unfortunately, thes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were left largely unrecognized and, instead, a return to former principles was deemed imminent [36–38]. Germane cognitive load was reconceptualised as a subtype of intrinsic cognitive load, resulting in a plea for a move back to a two-factor intrinsic/extraneous cognitive load framework.


2 개의 추적 연구 [21]는 본유적 인지 부하 요인에 대한 더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도구의 3 가지 요소는 내적인지 부하, 외래인지 부하 학습에 대한 주관적 판단으로 해석되어야한다고 제안되었다. 표 1은 내재적인지 부하 (항목 1-4)와 외부의인지 부하 (항목 5-8)를 각각 반영하는 8 가지 항목의 설문지를 나타낸다. 설문지는 항목 4와 8 없이도 사용될 수있다 [20-22].

two follow-up studies [21] failed to provide further evidence for the germane cognitive load factor. It was therefore suggested that the three factors in the instrument be interpreted to represent intrinsic cognitive load,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a subjective judgment of learning [21, 22]. Table 1 presents the eight items of the questionnaire that reflect intrinsic cognitive load (items 1–4)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items 5–8)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 can also be used without items 4 and 8 [20–22].


표1



2-요인 내재적/외재적 부하이론 프레임워크

A case for a two-factor intrinsic/extraneous cognitive load framework


CLT의 요지를 다시 말하자면 사실상 학습은 내재적 인지 부하를 다루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22, 39]. 과제의 정보 요소의 수를 감안할 때, 학습에 익숙한 학습자는 초보자보다 더 낮은 내재적 인지 부하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과제의 정보 요소 중 일부는 이미 숙달 된 학습자의 인지 스키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할 새로운 요소의 수가 줄어든다. 학습자의 스키마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더 많은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제를 제공하면 더 높은 내재적인지 부하가 ​​부여됩니다.

To rephrase the gist of CLT, learning in fact revolves around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22, 39]. Given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in a task, a more proficient learner will experience a lower intrinsic cognitive load than a novice learner, because some of the information elements in the task are already part of the cognitive schema of the more proficient learner, leaving fewer new elements needing to be processed. Providing learners with a task that comprises more information elements that are not yet part of their schemas will impose a higher intrinsic cognitive load on their minds.



  • 우리가 전에 보았 듯이, 내재적 인지 부하가 심해지면 이익보다 더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하게는 내재적 인지 부하와 외재적 인지 부하의 합계가 작업 기억 용량을 넘어서버리면, 새로운 지식 요소를 기존 지식에 통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없다. 

  • 내재적 인지 부하가 너무 적은 경우에도 똑같은 사실이 드러난다. 이미 가지고있는 지식에 비추어 학습자가 작업을 매우 쉽게 수행 할 때 학습보다는 지루함을 느낀다.

이것을 확장하면, 우리는 제한된 작업 메모리에 대해 추가적으로 본유적 인지 부하를 동화시키는 방식을 상상해보기가 그리 쉽지 않다. 이전에 언급 된 모든 조건을 충족하는 2-요인 프레임 워크는 훨씬 더 그럴듯 해 보입니다. 특히 본유적 인지 부하의 개념이 실제로 경험적 연구에서 지원을 찾지 못했다고 생각하면 특히 그렇습니다. 따라서 두 요소 프레임 워크는 논리적 출발점입니다. 지금까지 얻은 통찰력이 어떻게 의학 교육 설계 및 연구에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지이 논문의 나머지 주제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 As we have seen before, excessive administration of intrinsic cognitive load can do more harm than good. More precisely, when the sum of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exhausts working memory capacity, it cannot reasonably be expected that any integration of new information elements into existing knowledge will occur. 

  • The same holds true for trivial administration of intrinsic cognitive load: when tasks are made very easy for learners in the light of the knowledge they already possess, boredom may prevail over learning [42]. 

By extension, we have seen that the assimilation of an additional germane cognitive load into a limited working memory was not so easy to envisage. A two-factor framework that meets all the conditions previously addressed seems much more plausible, especially so if one considers that the concept of germane cognitive load has never really found support in empirical research. The two-factor framework is therefore a logical starting point from which to proceed. How insights yielded so far can inform medical education design and research is the topic of the remainder of this paper.


어떻게 의학교육 디자인에 CLT가 도움이 되는가?

How CLT can inform medical education design



첫째, 외부 인지 부하을 최소화해야합니다.

둘째, 내적 및 외적인지 부하의 합은 작업 기억 용량을 넘어서서는 안된다.

셋째, 의학 교육은 학습자가 가용 작업 기억 자원을 내적 인지 부하에 할당하도록 자극하도록 설계되어야한다.

Firstly,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be kept to a minimum. 

Secondly, the sum of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not exhaust working memory capacity. 

Thirdly, medic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such that it stimulates learners to allocate their available working memory resources to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외래인지 부하를 줄이기위한 6 가지 전략

Six strategies for reducing extraneous cognitive load


1. 풀이 과정이 제시된 예제의 사용.

1. Use worked examples.


학습자가 예제를 공부하라는 지시와 함께 문제 해결의 상세한 사례를 제공하면 학습자가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하려고 시도 할 때 문제 해결 검색을 줄여줍니다. 이것은 또한 그룹 활동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가 서로 보완 할 수있어 지식 기반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44].

Providing learners with a detailed example of a problem that has been solved with the instruction to study the example carefully reduces the problem-solving search learners would have to engage in when attempting to solve that problem autonomously. This can also take the form of a group activity, so that learners can complement each other, maximizing their knowledge base in a less demanding fashion [44].


2. 빈칸 채우기 과제 사용

2. Use completion tasks.


worked example에서 자율적 문제 해결로 전환하는 과정은 [학습자가 해결 된 솔루션 단계를 연구]하고 [나머지 단계를 독립적으로 완료해야하는 부분적으로 수행 된 예제], 즉 빈칸 채우기 작업을 사용하여 촉진 할 수 있습니다 [45]. 이러한 작업은 수술 도중에도 의대생이 외과 수술을 관찰하고 특정 부분 만 수행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행 될 수 있습니다 [43].

The transition from worked examples to autonomous problem solving can be facilitated through the use of either partially worked examples or completion tasks that require the learner to study the solution steps worked out and independently complete the remaining steps [45]. Such a task could also be effected during surgery, having medical students observe a surgical operation and perform only a specific part of it [43].


3. 구체적이지 않은 목표로 시작하세요

3. Start with non-specific goals.


초보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problem-solving search를 수행해야 하며, 이것은 비-구체적 목표를 가진 학습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증상에 대한 가장 가능성있는 인과 관계 설명을 찾도록 요청하는 것' 대신, '이러한 증상에 대한 많은 병인학적인 설명을 가능한 한 많이 찾아 보도록'[43]함으로써, 그들은 힘든 과제나 명확한 해결책을 찾는 과제에서 오는 어려움을 겪는 대신, 지식기반을 확장하는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Having to find a definite solution to a problem requires novice learners to engage in a problem-solving search that can be reduced by first confronting learners with learning tasks that have a non-specific goal. For instance, by asking learners to ‘find as many aetiological explanations for these symptoms as you can’ instead of asking them to ‘find the most probable aetiological explanations for these symptoms’ [43], they are encouraged to extend their knowledge base without being encumbered with the more strenuous task of finding a definite solution.


4. 주의 분산을 지양하라

4. Avoid split attention.



공간이나 시간으로 나누어 진 여러 출처 사이에주의를 나누면 학습자는 작업 메모리에 정보를 보유하면서 정보를 처리하려고합니다. 예를 들어, 

    • 온라인 학습 환경의 출현으로 학습자가 웹 페이지의 일부를 앞뒤로 스크롤하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면서 페이지의 다른 부분에서 정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공간적 주의 분산을 피해야합니다 또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로 우리는 의대생에게 실제로 어떤 장비를 사용하는 때가 아니라, 그보다 이전에 장비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시간적 주의 분산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6].

Having to divide attention between multiple sources that are divided in either space or time forces learners to attempt to process information while holding information in their working memory. 

    • For instance, with the advent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we should avoid spatial split attention from learners having to scroll back and forth between parts of a webpage, attempting to process new information while holding information from another part of the page that is needed to understand or solve a problem. 

    • Likewise, we should avoid temporal split attention by providing medical students with instructions on how to use a piece of equipment right when they it instead of sometime before that [46].



5. 형식 경계를 유의하라

5. Respect modality boundaries.


시각적으로 가장 잘 표현할 수있는 정보는 구두로 전달되어서는 안됩니다. 또한, 어떤 상황에서는 학습자가 시각 정보만 받는 것 보다는, 청각 / 시각 프레젠테이션의 듀얼 모드가 더 최적일 수 있습니다 [47, 48]. 예를 들어, 특정 해부학 적 구조에 직면 한 학습자는 이러한 구조의 시각적 이미지와 함께 구두 설명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말로만 설명하면 유익한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Information that could best be presented visually should not be transmitted verbally. Moreover, in some situations, learners may be served optimally by dual-mode auditory/visual presentations rather than visual-only presentations [47, 48]. For example, learners who are first confronted with specific anatomic structures may benefit from having a verbal explanation along with visual images of these structures, while verbal-only explanations may not have any beneficial effect.


6.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라

6. Avoid redundancy.


단일 정보 소스만으로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 외의 추가 정보는 불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장, 폐 및 신체를 통한 혈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은 그 자체로 내용을 잘 설명해준다. 그러나 구두 설명이 수반되는 경우,이 프리젠 테이션 모드는 중복 효과 (redundancy effect)를 만들어 낸 것일 수있다.

If a single source of information suffices to get the message across, any further information may be redundant. For instance, a diagram of the flow of blood through the heart, lungs, and body may speak for itself; if, however, it is accompanied by verbal descriptions, this presentation mode may just bring about what has been coined a redundancy effect [43].



중복을 피하라는 전략을 제외하고, 이들 전략은 초보 학습자에게만 효과가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 한 전문 역전 효과 [34, 35]는 능숙한 학습자에게는 INSTRUCTIONAL SUPPORT가 불필요할 수 있고, 외래적 인지 부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높인다고 지적한다.

With exception of the strategy aimed at avoiding redundancy, these strategies tend to be effective only for novice learners. The aforementioned expertise reversal effect [34, 35] indicates that instructional support may be redundant for more proficient learners and as such increase rather than decrease extraneous cognitive load.


따라서 외래적 인지적 부하를 최소로 줄이는 것 뿐만 아니라, 내재적 인지 부하를 가장 적정한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외래적인 부담이 완화 될수록 내재적인지 부하를 처리할 공간이 더 커진다.

This is necessary not only to keep extraneous cognitive load to a minimum, but also to raise intrinsic cognitive load to the most favourable level: the more the extraneous burden is eased, the more scope remains for intrinsic cognitive load to be processed.



내재적 인지부하를 최적화하기 위한 세 가지 전략

Three strategies for optimizing intrinsic cognitive load


어던 학습 과제가 복잡한 것으로 간주되는지 여부는 과제에 대한 개별 학습자의 인지적 스키마에 달려 있습니다. 학습자가 의지할 지식이 적을수록 학습 과제는 더 복잡해질 것이고, 결과적으로 경험하게 될 고유의인지 적로드의 양은 더 커질 것입니다.

Whether a learning task is regarded as complex depends on the individual learner’s cognitive schema of this type of task. The less knowledge learners can fall back on, the more complex a task will be, and, consequently the greater the amount of intrinsic cognitive load they will experience.


1. 점차적으로 작업 복잡성을 증가시킵니다.

1. Gradually increase task complexity.


학습자가 발전하고인지 체계가 더욱 발전되면서 점점 더 복잡한 정보에 대처할 수있게되었습니다. 사실 그렇게 한다면 복잡한 작업도 점점 덜 복잡한 것으로 인식됩니다. 따라서 작업 복잡성을 점차적으로 높여갈 수 있습니다.

As learners progress and their cognitive schemas become more developed, they are increasingly able to cope with more complex information; in fact, complex tasks are then gradually perceived as less and less complex. Hence, task complexity can be gradually upgraded.


2. 점차적으로 작업 충실도를 높입니다.

2. Gradually increase task fidelity.


진단을 내리는 복잡한 작업을 염두에두고, 이것은 학습자가 텍스트 설명을 먼저 검토하고,이어서 컴퓨터로 구현 된 환자 또는 동료가 담당하는 환자와 작업 한 다음 더 전문적인 배우가 연주 한 시뮬레이션 환자로 이동하여 연습 할 수 있습니다. 인턴쉽에서 실제 환자들과 끝납니다 [43].

To call to mind the complex task of making a diagnosis, this could be practised by having learners first review textual descriptions, subsequently work with computersimulated patients or patients role-played by peers, then move on to simulated patients played by more professional actors, to end with real patients in an internship [43].


3. 학습과 평가는 동전의 양면입니다.

3. Learning and assessment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Lafleur와 동료 [40]는, 학습과 평가가 우리의 인지 시스템의 경계를 존중하는 한, 더 도전적인 평가 기준이 학습에 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더욱이, 적절한 평가 프로그램은 특정 과정에서 학습자를 자극 할뿐만 아니라 교과 과정을 넘어 학습을 촉진 할 수있다.

The experiment by Lafleur and colleagues [40] illustrates that more challenging assessment criteria can influence learning for the better as long as instruction and assessment respect the boundaries of our cognitive system. Moreover, a proper assessment programme may not only stimulate learners in a particular course, but also facilitate further learning, throughout a curriculum and beyond [49].





능숙한 학습자, 초보 학습자, 희망없는 학습자를 위한 모델

A model for the proficient, the neophyte, and the hapless


앞서 언급 한 전략은 의학 교육 설계에 대한 일관된 접근 방식으로 결합됩니다.이 접근법은 그림 1에서와 같이 입방체로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

The aforementioned strategies come together in one coherent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design: This approach can be visualized in a cube as in Fig. 1.




이 모델은 작업 충실도 (문헌에서 실제 환자까지), 작업 복잡성 (작업의 정보 요소 수) 및 교육 지원 (작업 예제에서 자율적 인 문제 해결까지)의 세 가지 차원을 구별합니다.

This model distinguishes three dimensions: 

    • task fidelity (all the way from literature to real patients), 

    • task complexity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in a task), and 

    • instructional support (all the way from worked examples to autonomous problem solving).




이 세 가지 차원은 함께 숙달 된 학습에 대한 세 가지 단계를 구성합니다. 

    • (1) 저 충실도의 복잡하지 않은 작업에 대한 높은 지원으로, 시작하고 학습자가 더욱 능숙 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지원을 줄여나간다. 

    • (II) 충실도는 낮지만 복잡성이 높은 작업은 I를 반복합니다. 

    • (III) 다음 단계의 충실도에서 이 순서로 I 및 II를 반복한다.

These three dimensions together constitute three steps to proficient learning: 

    • (I) start with high support on low-fidelity low-complexity tasks and gradually fade that support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 (II) repeat I for low-fidelity but higher-complexity tasks; and 

    • (III) repeat I and II in that order at subsequent levels of fidelity.




이것은 언어를 배우는 것과 같습니다. 간단한 단어 완성 작업으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It is like with learning a language. If one is still struggling with simple word completion tasks in a textbook, one cannot expect 

    • a more solid understanding of sentence patterns (low-fidelity task) that is needed to have 

    • a somewhat meaningful communication in that language with a teacher in class (medium-fidelity task) let alone 

    • for some meaningful communication in an everyday environment of native speakers (high-fidelity task).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프레임워크 확장하기: 세 가지 고려할 요인

Expanding the framework: three factors to be considered


CLT는 3 가지 요인을 감안하면 더 확장 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요인은 감정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감정이 다양한 상황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우리의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대답 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CLT could be extended further if three factors were taken into account, the first factor being emotion. More specifically, the question as to how emotions can influence our ability to process information in a variety of circumstances is one worthy of answering.


또 다른 요소는 평가입니다. CLT의 강조는 본질적으로 학습과 교육 이었지만, 최종 목적과 평가 기준이 우리가 실제로 학습에 참여하는 정도에 영향을 줄 수있는 방법을 다루는 데 덜 신경을 썼습니다.

Another factor the impact of which has been equally under-researched is assessment. While CLT’s emphasis has been essentially on learning and instruction, it has been less concerned with addressing how end terms and assessment criteria can affect the extent to which we actually engage in learning.


마지막으로, (의학 교육 디자인에 중요한) 내재적 및 외적인지 적 부하의 구분이다. 이는 단일 항목 측정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으며 NASA TLX가 이러한 구분을하도록 어느 정도까지 도움이되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NASA TLX는 예를 들어 학습 절차 및 기술과 관련하여 표 1의 도구를 구축 할 때 고려할 때 연구자에게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Finally, the distinction between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which is crucial for medical education design—cannot be made by a single-item measure, and it is unclear to what extent the NASA TLX could help us to make that distinction. However, the NASA TLX could provide inspiration to researchers when considering for instance to build forth on the instrument in Table 1,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learning procedures and skills.




Essentials


● 내적 및 외적인지 부하의 합이 작업 기억의 한계를 존중하고 학습이 내적인지 하중을 다루는 것을 감안할 때, 

외재적 인지 부하는 최소화하고, 내재적 인지 부화는 최적화되어야 한다.

● Given that the sum of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respect the limits of working memory and learning is about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extraneous cognitive load should be minimized while intrinsic cognitive load should be optimized.


● 학습 지원은 초보 학습자에게는 외재적 인지 부하를 줄이지만, 능숙한 학습자들 사이의 외재적 인지 부하에 늘릴 수있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더 능숙 해짐에 따라 이러한 교육적 서포트는 점차 사라져야합니다.

● Instructional support that reduces extraneous cognitive load among novice learners may contribute to extraneous cognitive load among more proficient learners; this instructional support should therefore fade gradually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능숙한 학습자는 일종의 학습 과제에 대해보다 정교한인지 스키마를 가지므로 그 유형의 과제를 다룰 때 실력이 떨어지는 동료보다 낮은 내재적인지 부하를 경험합니다. 학습 과제의 복잡성은 학습자가보다 능숙 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 More proficient learners have more elaborate cognitive schemas of a type of learning task and therefore experience a lower intrinsic cognitive load than their less proficient peers when dealing with a task of that type; learning task complexity should gradually increase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 실제 환자를 다루는 것과 같은 충실도가 높은 작업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환자 또는 진단의 텍스트 설명과 같은 충실도가 낮은 작업보다 어렵습니다. 학습 과제 충실도는 학습자가보다 능숙 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 High-fidelity tasks such as dealing with real patients are generally more challenging than lower-fidelity tasks such as computer-simulated patients or textual descriptions of diagnoses; learning task fidelity should gradually increase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2015 Jun;4(3):119-27. doi: 10.1007/s40037-015-0192-x.

The evolution of cognitive load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PO Box 616, 6200 MD, Maastricht, The Netherlands, jimmie.leppink@maastrichtuniversity.nl.

Abstract

Cognitive Load Theory (CLT) has started to find more application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Unfortunately, misconceptions such as lower cognitive load always being beneficial to learning and the continued use of dated concepts and methods can result in improper applications of CLT principles in medical education design and research. This review outlines how CLT has evolved and presents a synthesis of current-day CLT principles in a holistic model for medical education design. This model distinguishes three dimensions: task fidelity: from literature (lowest) through simulated patients to real patients (highest); task complexity: the number of information elements; and instructional support: from worked examples (highest) through completion tasks to autonomous task performance (lowest). These three dimensions together constitute three steps to proficient learning: (I) start with high support on low-fidelity low-complexity tasks and gradually fade that support as learners become more proficient; (II) repeat I for low-fidelity but higher-complexity tasks; and (III) repeat I and II in that order at subsequent levels of fidelity. The numbers of fidelity levels and complexity levels within fidelity levels needed depend on the aims of the course, curriculum or individual learning trajectory. This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model.


마스터 학습자 만들기: 학습이론의 적용(Acad Med, 2013)

Developing the Master Learner: Applying Learning Theory to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Daniel J. Schumacher, MD, MEd, Robert Englander, MD, MPH,

and Carol Carraccio, MD, MA



역량 기반 프레임 워크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교육 프로세스를 주도해야하며, 학습자와 교사는 공동으로 학습 내용 및 경로에 대한 책임을 공유해야 하고, 학습자, 교사, 학습 환경은 의사 교육의 필요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 작용한다.

In a competency­-based framework, learners must drive their own educational process,4 learners and teachers jointly must share responsibility for the content and path of learning,4 and learners, teachers, and learning environments must interact to achieve the necessary outcomes of physician education.4–11


이 학습자 중심의 초점을 감안할 때, 평생 학습 기술은 역량 기반 교육의 성공을 위한 기초가됩니다. 평생 학습 기술을 습득하기위한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이 학습을 유도하거나 방해하는지 이해하는 것입니다. 문헌들은 이 이해를 알려주는 이론으로 가득 차 있는데, 그 중 많은 부분은 다음을 포함하여 "자기"에 중점을 둡니다.

  • 자기 결정 이론,

  • 자기 주도 학습 (SDL),

  • 자기 평가,

  • 자기 개념,

  • 자기 효능감,

  • 자체 모니터링,

  • 자기 주도적 평가 추구.

Given this learner-­centered focus, lifelong learning skills are foundational to the succ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12 The first step toward acquiring lifelong learning skills is understanding what drives and impedes learning. The literature is replete with theories that inform this understanding, many of which focus on the “self,” including self-­determination theory, self-­directed learning (SDL), self­-assessment, self­ concept, self­-efficacy, self­monitoring, and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13–24


이러한 이론들을 종합하고 적용하면 "최고의 평생 학습 기술 수준을 입증하는 학습자"로 정의되는 마스터 학습자가되는 궁극적 인 목표를 향해 학습을 향상시키고 의사의 성장을 촉진 할 수 있습니다.

Synthesizing and applying these theories may improve learning and facilitate physician growth toward the ultimate goal of becoming a master learner, which we define as “a learner who demonstrates the most advanced level of lifelong learning skills.”


맥락에 따라 의대생과 의사는 그 level과 관계없이 모두 학습자이면서 동시에 교사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의도적으로 피훈련자trainee가 아닌 학습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이 때 학습자란 physician in training만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독자에게 상기시켜줍니다.

We wish to underscore that medical students and physicians at all levels are both learners and teachers depending on the context. Therefore, our use of the term learner rather than trainee is intentional, reminding the reader that a learner does not narrowly represent only a physician­ in­training.



부록 1은 각 학습 이론을 요약 한 것이다.

Appendix 1 summarizes each of the learning theories


그림 1은 이러한 이론의 상호 작용을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Figure 1 provides a graphic representation of the interplay of these theories




학습에 대한 욕망: 자기결정이론

Elucidating the Desire to Learn: Self-Determination Theory


동기 부여는 학습을 최적화하기위한 강력한 consideration입니다. 자기 결정 이론 (self-determination theory, SDT)은 개인의 자연적 학습 동기는 타고난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유도된다고 가정한다.

Motivation is a powerful consideration for optimizing learning;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posits that individuals’ natural motivation to learn is driven by fulfilling three innate psychological needs:


SDT에 따르면, 지역 사회와 직업의 구성원으로 느끼는 관계성sense of relatedness은 학습에 중요합니다. 관계성의 필요성은 학습자, 교사 및 학습 환경에 영향을 미칩니다. 

  • 예를 들어, 학습자는 자신을 소개하고 팀의 모든 구성원에게 자신의 역할을 설명해야하며, 

  • 교사는 연수생을 단지 부하 직원이 아닌 동료로 대우해야합니다. 

  • 학습 환경은 전문직 내에서의 관계와 전문직 간 관계를 육성하는 활동을 촉진해야한다. 그러한 활동에는 직군 간 교수 간담회, 1차 환자에 관한 모든 의사 결정에 주니어 학습자를 포함시키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According to SDT, a sense of related­ness—that is, feeling like a member of a community and of a profession—is important in learning. The need for relatedness has implications for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 For example, learners should introduce themselves and explain their role to all members of the team, 

  • and the teacher should treat trainees as colleagues and not merely subordinates. 

  • Th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promote activities that foster intra­ and interprofessional relation­ ships; such activities include holding interprofessional monthly staff meet­ings and engaging junior learners in all decision making for their primary patients. 


중요하게, 기존 문헌에서 장기간의 관계를 지원하는 상황 (예 : 학습자, 환자, 교사 및 다른 팀원들 사이)이 관계성을 용이하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따라서 단기, 한 달 동안의 학습 블록에 학습자를 할당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이러한 선천적 인 욕구의 충족을 위협 할 수 있습니다.

Importantly, research has shown that a context supporting longi­tudinal relationships (e.g., among learners, patients, teachers, and other team members) facilitates a sense of relatedness27,28; thus, the typical assign­ments of learners to short, month-long learning blocks could threaten the fulfillment of this innate need.



SDT에 따르면 두 번째 심리적 요구는 '자율성'으로서, 이는 개인이 자신의 의도대로 행동하는 것처럼 느끼도록 만드는 것의 중요성을 말해줍니다. 자율성의 정의는 다른 사람들과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것과는 구별됩니다. 건강 관리 팀의 다른 구성원의 도움을 구하지만(독립적으로 행동하지 않음), 이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을 내리고 행동을 취함으로써 자율적으로 행동합니다. 이러한 상호 연관성interconnectedness을 인정하면서, "관계적 자율성relational autonomy"의 개념은 선택의 기회는 개인이 능력과 신뢰성을 입증 할 때 부여되는 것으로 본다.

The next psychological need according to SDT—autonomy—speaks to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feeling as if they are acting of their own volition.13 This definition of autonomy is distinct from that of working independently of others. learners who seek help from another member of the health care team (not acting independently) and use this information to make choices and take actions of their own volition are, acting autonomously. Acknowledging this interconnectedness, the concept of “relational autonomy” supports granting opportunities for making choices when individuals demonstrate competence and trustworthiness.30,31 


따라서 이 정의에 따르면, 자율성은 감독이 부재한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계적 자율성은 (비록 교사의 판다는 학습자와 다르더라도) 명확하고 합리적이며 well-supported한 이론적 근거만 있다면, 학습자의 계획이나 아이디어가 우선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Thus, autonomy, by this definition, is not trainees performing in the absence of supervision. Rather, relational autonomy occurs when teachers allow learners’ plans or ideas to prevail when accompanied by clear, reasonable, and well­supported rationales—even if they differ from what the teacher would otherwise do. 


마지막으로 학습 환경은 학습자가 자신의 의지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자신의 업무 일정을 일부 통제하거나 선택 과목 선택을 보장함으로써 이러한 선택 과목이 서비스 요구를 충족시키기보다는 진로 목표를 지원할 수 있도록합니다.

Finally, th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maximize the ability of learners to act of their own volition. for example, by allowing learners to have some control over their work schedules or ensuring that they have choices in elective options so that these electives support career goals rather than meet service needs.



SDT에서 세 번째 심리적 필요성은 역량감각sense of competence로, 개인이 뭔가를 알고 있거나 뭔가를 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역량 감각은 자연스럽게 경험에서 비롯 될 수 있지만, 초기 단계의 학습자조차도 느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합니다.

The third psychological need, as posited by SDT, is a sense of competence, which is defined as individuals feeling they know something or are able to do something.13 Although a sense of competence likely naturally arises from experienc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even learners early in development can feel a sense of competence. 


교사와 학습 환경에 대한 한 가지 함의는 학습자의 책임과 능력을 조화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함의는 자주, 긍정적 피드백을 주는 것인데, 이 피드백은 학습자가 잘 수행 한 것 뿐만 아니라, 상위 단계 학습자의 수행능력과의 명시적인 비교를 통해서 향후 학습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해주어야 한다.

One implication for the teacher and learning environment is to align learners’ responsibilities with their abilities. Another is to present frequent, affirmative feedback that both targets what the learner has done well and explicitly compares the learner’s performance with that of more advanced learners, thereby defining a road map for future learning.


자율성과 역량감각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습자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이 필요합니다. 

  • 학습자의 역량수준을 과소평가하는 것이 역량감각과 자율성 두 가지 모두에 위협이 되지만, 

  • 반대로 학습자가 능력을 과대 평가하는 것도 문제가 되는데, 왜냐하면 학습자를 성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두게 되어, 결국 자율적으로 행동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량의 수준과 일치하는 감독과 자율성의 수준은 배우려는 열망을 일으키는 데 중요합니다.

Fulfilling both a learner’s need for a sense of autonomy and a sense of competence involves an intricate interplay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lthough underestimating learners’ level of competence threatens both their sense of competence and autonomy, overestimating competence also threatens these needs by placing learners in situations where they cannot be successful and subsequently feel they are incompetent and unable to act autonomously. Thus, matching levels of supervision and autonomy with levels of competence is critical to driving the desire to learn.



학습 능력 최적화: 인지 부하 이론

Optimizing Ability to Learn: Cognitive Load Theory




인지 부하는 개인이 필요로하는 정신적 에너지입니다.

  • 뭔가에 대해 생각하기위한 프레임 워크를 개발하는 것 (본유적 부하)

  • 어떤 것에 내재된 어려움과 복잡성의 결과로 무언가를 이해하고(내재적 부하),

  • 어떤 것이 제시되는 방식 때문에 의미를 파악하는 것 (외래적 부하) .34

Cognitive load is the mental energy individuals need 

  • to develop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something (germane load), 

  • to understand something as a result of its inherent difficulty and complexity (intrinsic load), 

  • and to grasp meaning from something because of the way it is presented (extraneous load).34 


인지 부하가 증가하면 작업 메모리가 소모되어, 학습에 가용한 작업기억이 감소합니다.

  • 너무 많은 복잡한 환자 (내재적 부하 증가),

  • 사용자 친화적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지나치게 복잡한 EMR (외래적 증가)

  • 한 번에 너무 많은 새로운 정보를 주는 것 (본유적 부하 증가)

인지 과부하로 인해 학습을 위협 할 수 있습니다.


Increasing cognitive load consumes working memory, leading to a decrease in its availability for learning. 

  • Thus, factors such as too many complex patients (which increases intrinsic load), 

  • overly complex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at do not present information in a user­friendly format (which increases extraneous load), 

  • and too much new information at once (which increases germane load) 

can threaten learning by resulting in cognitive overload. 


제한된 경험을 가진 초기 학습자에게는 germane load의 영향이 특히 중요합니다.

For early learners with limited experience, the impact of germane load is especially significant.35

학습자에 대한 인지부하는 overwhelmed한 느낌이 들 때 도움을 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교사와 학습 환경 모두에 대한 시사점은 학습자에게 발달 적으로 적절한 작업을 최적으로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 춥니 다. 

  • 작업은 학습자에게 도전적이어야 하지만, capacity를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 교사는 작업이 해당 용량을 초과 할 때 도움을 제공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그러나 현재의 임상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자신의 약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문화를 바꿔야 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The implications of cognitive load for learne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eking help when feeling overwhelmed. Implications for both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focus on giving learners an optimal amount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ork . 

  • The work should challenge learners, but not exceedtheir capacity—and 

  • teachers should be available and amenable to providing help if and when the work does exceed that capacity. 

These implications suggest the need for a culture shift, as learners often perceive help­seeking as a sign of weakness in the current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36



학습을 위한 최적의 맥락: 상황인지Situated Cognition의 관점에서의 환경

Defining the Optimal Context for Learning: The Environment from the View of Situated Cognition


상황인지는 모든 학습은 개인이 놓여진 환경, 상황, 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 환경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학습은 실제 환경에서의 사고뿐만 아니라 감동, 감정까지 포괄하는 본능적visceral 경험입니다. 학습자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은 학습자에게 영향을줍니다.

Situated cognition theorizes that all learning builds from, and inextricably links to, the environment, the situations, and the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find themselves.37–39 Learning is thus a visceral experience that involves not only thinking but also touching, feeling, and doing in the actual environment; the learner impacts the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 impacts the learner.


상황인지가 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공하는 기반을 제공하기 때문에, 명시적 교육과정과 암시적(잠재) 교육과정을 최적화하고 정렬하는 것은 바람직한 교육 결과를 달성하는 데 결정적이다. 혼합 된Mixed 메시지는 학습을 훼손 할 수 있으므로 교사는 학습자가 내면화하고 모방하기를 바라는 역할 모델을 고민해야합니다.

Given the foundation that situated cognition provides for viewing the environment, working i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optimizes and aligns explicit and implicit (hidden) curricula is critical to achieving the desired outcomes of training.40 Because mixed messages may undermine learning, teachers must be deliberate in role modeling what they want learners to internalize and emulate.


또한 학습 환경은 바람직한 학습성과의 획득을 support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근거중신진료를 하는 것이 학습자에게 기대된다면, 학습 환경은 근거를 찾고 해석하고 적용하는 역할 모델과 교사를 제공해야합니다.

In addition, the learning environment must support the acquisition of desired learner outcomes. For example, if becoming evidence­ based practitioners is an expectation for learners, th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provide learners with role models and teachers who will both help with and model finding, interpreting, and applying evidence.


물리적 환경에 대한 상황인식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 피드백 전달을위한 안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명시 적 및 암시 적 커리큘럼을 조정하는 데 중요 함)

  • 진료현장과 비교적 근접한 곳에서 교사와의 토론에 참여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이는 "add-on"이 아니라, 환자 치료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evidence seeking이 중요함을 심어줍니다)

  • 최상의 증거 검색 및 검색을 지원하는 최신 기술을 보장해야 한다(근거기반의료를 개발하는 데 중요)

Practical implications of situated cognition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include 

  • ensuring safe spaces for delivering feedback (which is important for aligning explicit and implicit curricula), 

  • providing places for learners to engage in discussions with peers and teachers in relative proximity to point of care (which instills the importance of evidence seeking as an integral part of patient care rather than as an “add­on”), 

  • and guaranteeing up­-to-date technology to support the search for and retrieval of best evidence (which is important for developing evidence-­based practitioners).


상황인지는 일부 사람들로 하여금 인지적 도제 모델을 옹호하도록 유도했다. "인지적"이란 단어는 이 유형의 도제가 직업의 기술(전통 도제와 같음)뿐만 아니라, 주인의 직업에 대한 사고 과정을 학습하는 것을 강조한다

Situated cognition has led some to advocate a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37 The word “cognitive” emphasizes that this type of apprenticeship involves learning not only the skills of the profession (as in a traditional apprenticeship) but also the thought processes of the profession from a master


인지적 도제의 개념은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강조한다. 

  • 첫째, 학습은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authentic activity에 situated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 둘째, 의료전문직의 인지적, 운동감각적, 정신사회적 측면의 전문가이자 마스터인 교사는, 롤모델링의 중심적 역할을 해야 하며, 암묵적인 것(예 : 추론 또는 의사 결정 과정)을 명시적으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 셋째, 교사들과의 상호 작용은 학습자가 적절한 시간을 가질 수 있고, 교과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연속성을 허용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두가지는 모두 전문직의 행동패턴과 여러 가지 역할을 볼 수있는 기회를 갖게한다. 따라서, 인지적 도제 과정을 위한 최적의 학습 환경은 환경, 교사, 기타 건강 관리 팀원의 종단적 연속성을 강조하는 환경이다. 이렇게 하면, 학습자는 선생님들과 편안하게되어 탐구하고 자유롭게 질문 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 마지막으로,인지적 도제 모델은 교사에게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대한 심층적 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감독 및 지원과 더불어 균형 잡힌 도전 과제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를 더 큰 역량으로 이끌 수 있다.

The concept of a cognitive apprenticeship emphasizes a few important points.37 

  • First, because learning is context­ dependent, situating it in the authentic activity of the profession is best . 

  • Second, teachers who are experts and masters in the cognitive, kinesthetic, and psychosocial aspects of the medical profession are central to role modeling and making explicit what is tacit (e.g., reasoning or decision­making processes). 

  • Third, interactions with these teachers have the greatest impact when the learner has adequate time and when the curriculum permits continuity, both of which give learners the opportunity to see the patterns of behavior and multiple roles germane to these professionals.37 Thus, the optimal learning environment for a cognitive apprenticeship is one that emphasizes longitudinal continuity of setting, teacher, and other health care team members.27,29 In turn, learners become comfortable with their teachers,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they will explore and ask questions freely. 

  • Finally,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model provides teachers the in­-depth knowledge of learners’ developmental levels that will enable them to push learners to greater capa­bility through sequenced challenges balanced with appropriate supervision and support.42,43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나가는 학습자의 능력: 좋은 것, 나쁜 것, 이상한 것

Learners’ Ability to Guide Their Learning: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SDL에 대한 토론은, 종종 개인이 스스로 학습 요구를 식별하고 다루는 것에 초점을 둡니다. 그러나 Knowles의 원래 구상에서 SDL은 명백하게 다른 사람들을 끌어 들이기를 요구하는 활동이다. 이는 "교사, 교사, 남성, 자원 봉사자 및 동료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도우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외부에서 오는 피드백 및 정보가 없다면, SDL은 학습자의 자기평가 능력에 의존할 뿐이며, 이것은 제약이 많다(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외부의 투입 없이 과연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자가 될 수 있는가에 의문을 제기한다). 따라서 우리는 SDL에 관한 Knowles의 원래 정의를 지향하며, 이는 학습자가 교사와 학습 환경을 필수적인 외부의 정보원으로 활용할 때만 가능하다.

Discussions about SDL often focus on individuals identifying and addressing learning needs on their own. However, Knowles’ original conception clearly identifies SDL as an activity that requires engaging others,14,44 which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various kinds of helpers, such as teachers, tutors, men­ tors, resource people and peers.”14 Absent external sources of feedback and information, SDL relies on a learner’s ability to self­assess, with all of its limi­ tations (some question whether anyone is, absent external input, truly capable of being an effective self­directed learner).45 Thus, we embrace Knowles’ original definition: SDL is possible only insofar as the learner engages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necessary external sources of infor­ mation.


자기평가의 안 좋고 이상한 모습

The “bad and the ugly” in self-assessment


자체 평가의 첫 번째 단계는 자신이 인식한 표준과 자신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19 그러나 자체 평가에 대한 문헌들은 이 프로세스의 결과가 부정확함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The first step of self-­assessment is to compare information about oneself with perceived standards.19 However, the literature on self­-assessment suggests the outcomes of this process are fraught with inaccuracies.15,21 We will address this challenge



자기개념

Self-concept.


자기개념은 특정 맥락이나 과제와 무관하다. 이러한 자기개념의 global nature를 고려했을 때, 학습자의 성공 능력을 저해하는 poor한 자아 개념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교사-학습자 관계나 학습 환경을 넘어 심리적 상담과 같은 영역으로 나아갈 것을 요구합니다.

it is free from specific contexts and tasks. Given its global nature, strategies to mitigate a poor self­-concept that is interfering with the learner’s ability to succeed generally require going beyond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or the learning environment into realms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자기 효능감은 자기와 "마스터"레벨을 비교 한 것입니다. 자기 개념과는 달리, 이는 특정 업무와 관련된 것이(학습자는 그녀가 예시 한 기관 내 삽관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사소한 것부터(삽관 전에 선생님으로부터 받은 칭찬) 중대한 것까지(과거에 빠른 삽관법으로 환자의 생명을 구한 것)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자기 효능감과 성공 사이에는 호혜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삽관에 대한 높은 자기 효능감은 시술 성공의 기회를 증가시키고, 마찬가지로 성공적인 시도는 삽관을위한 자기 효능감을 강화시킨다.

Self-­efficacy is the comparison of self with the “master” level.18 Unlike self­-concept, it is task­ specific (the learner believes she possesses exemplary endotracheal intubation skills) and is affected by many factors, ranging from the seemingly trivial (a compliment from a teacher prior to an intubation) to the profound (the learner has previously saved a patient’s life with a rapid fiberoptic intubation). There is also reciprocity between self-­efficacy and success; to illustrate, high self­-efficacy for intubation increases the chance of success at the procedure, and likewise, a successful attempt reinforces self­-efficacy for intubation.


    •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이 확실하지 않을 때 도움을 요청해야 하며, 도전적인 기술 요소를 사용하기 위해 deliberate practice를 해야합니다. 

    • 교사는 성공에 도움이되는 정보로 긍정적 강화와 프라이밍을 통해 자기 효능감을 높여 주어야합니다. 프라이밍은 학습자가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을 넘어, 발달 수준의 한계까지 확장시켜준다.

    • Thus, learners must set themselves up for success by asking for help when they are unsure and engaging in the deliberate practice of challenging component skills .42 

    • The teacher must boost self­-efficacy through positive reinforcement and priming with information helpful to success. Priming pushes learners beyond what they can do alone, extending them to the limits of their current developmental level.43,46


자기 효능감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습 전략을 원하는 결과 (성공적인 기관 내 삽관) 뿐만 아니라 과정(예 : 환자 배치, 후두경 조작, 기관 내 튜브 크기 선택)에도 집중해야 한다. 그래야만 결과outcome이 실패(삽관 실패)하더라도, 과정의 일부에서는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사실, 과정-지향적인 교육으로 시작하여 결과-지향적인 교육으로 진행해나갈 때, 과정 또는 결과 변수에만 집중하는 것보다 학습이 최적화됩니다. 학습자가 절차적 기술의 self-guided practice에 참여하는 경우, 결과 목표보다는 과정 목표에 집중할 때 skill retention이 더 높다.


To further enhance self­-efficacy, the teacher should focus learning strategies on processes (e.g., positioning the patient, manipulating the laryngoscope, choosing endotracheal tube size) as well as on the desired outcome (successful endotracheal intubation) so as to allow opportunities for success with parts of the process even in the event of an outcome failure (unsuccessful intubation).42 In fact, starting with a process orientation and later moving to an outcome orientation optimizes learning when compared with focusing on process or outcome variables alone.47 Furthermore, learners who engage in self­-guided practice of procedural skills increase their skill retention when they focus on process goals, rather than on outcome goals.48


수월성에 대한 환상

Illusory superiority.


상대적 수월성에 대한 환상(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을 평균 이상으로 바라보는 경향)은 자체 평가의 또 다른 잠재적 함정입니다. 더 큰 문제는, 심지어 최악의 학습자조차 자신이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하여 가장 부정확한 자기평가를 하게 만듭니다. 이들(최악의 학습자)은 자신의 노력을 관찰하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의 노력과 비교함으로써 통찰력을 얻는 메타인지 능력이 부족합니다. 따라서, 그들은 "비숙련"이자 "비인식" 상태이기 때문에 자신의 오인을 바로 잡을 수 없게됩니다. 이 그룹의 학습자는 통찰력이 부족하여 멘토링하기가 어렵지만, 크루거 (Kruger)와 더닝 (Dunning)은 이러한 학습자도 주어진 작업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면 자체 평가를 보다 정확하게 교정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사와 학습 환경은 다음을 통해 비숙련&비인지 학습자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기술을 습득 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 단계별 코칭의 형태로 격려를함으로써

    • 학습자의 이해를 보장하는 대화를 통해 피드백을 자주 제공함으로써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view themselves as above average compared with others, or illusory superiority, is another potential pitfall of self­-assessment.49 Complicating this, even those who perform the worst often believe they are above average, rendering these learners the most inaccurate in self-­assessment.17 These individuals lack the meta-cognitive skills necessary to gain insight from observing and comparing their own efforts with the superior efforts of others. Thus, they are both “unskilled and unaware,” making them unable to correct their misperceptions on their own.17 Although this group of learners is difficult to mentor because of their lack of insight, Kruger and Dunning17 have demonstrated that even these learners are capable of more accurately calibrating their self­-assessments if they receive training for the task at hand. Thus, teacher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addressing an unskilled and unaware learner 

    •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practice the skill, 

    • by providing encouragement in the form of step­-by-­step coaching, and 

    • by providing frequent feedback through dialogue that ensures learner understanding.



스스로 충족시키는 지식 격차

Self-filling of knowledge gaps.


대부분의 학습자는 자신의 지식 격차를 식별 할 수있는 능력이 제한적이다. 심지어 gap을 식별하더라도, 학습자는 어려움이나 흥미가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영역에서는 부족한 부분을 채울 동기나 에너지가 없어서 그것을 시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상적으로 학습자와 교사는 gap filling의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학습자는 교사에게 피드백을 요청해야 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능력을 직접 관찰하여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합니다.

Most learners possess a limited ability to identify their knowledge gaps.15,21 Even when identifying gaps, learners may be unlikely to redress them because of the motivation and energy necessary to fill gaps in areas they perceive to be difficult or uninteresting.21 Thus, optimally, learners and teachers would share the responsibility of gap filling: Learners should seek feedback from their teachers, and teachers in turn should provide specific feedback based on direct observation of their learners’ abilities.


학습 환경의 경우, gap filling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질문하는 것, 모르는 것, 한계를 인식하는 것의 가치가 인정되고 받아들여지는 안전한 문화를 만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교사가 이러한 행동을 모델링해야만, 학습자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두려움 없이 쉽고 개방적으로 gap을 인정 채움으로써, 적절한 help-seeking 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gap filling is perhaps best accomplished by creating a culture of safety in which there is value and acceptance for questioning, not knowing, and acknowledging limits. Teachers modeling this behavior can ensure that learners readily and openly acknowledge and fill gaps without fear of untoward consequences, which, in turn, facilitates appropriate help-­seeking behaviors.



자료를 다시 읽는 것은 일반적인 학습 전략이지만, 정보와 친숙하다는 것을 종종 아는 것 또는 이해한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따라서 개인은 그들이 지각이 잘못되었다고하더라도, 그들이 스스로 알고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공부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다 효과적인 학습 전략은 읽기, 짧은 대답 질문 개발, 그리고 약간의 지연delay후에 그 질문에 대한 대답 시도하는 것입니다. 또한 사람은 학습 속도가 가장 높다고 판단 할 때 자료를 가장 오래 학습하는 경향이 있.50이 현실이 [학습자가 가장 익숙하지 않은 자료를 학습하는 것이 가장 어렵고 시간 소모적인 것으로 인식한다]는 사실과 결합함으로써 gap을 채우기 위해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소아 마취를 잘 알고 있지만 심장 마취에서 가장 큰 지식 gap를 가진 학습자는 심장 마취가 아닌 소아 마취의 새로운 영역을 공부하려는 유혹을받을 수 있습니다. 심장 마취의 gap을 채우지 못합니다.

Re­reading material is a common learning strategy, but familiarity with information is often mistaken with knowing and understanding; thus, individuals tend not to study what they perceive they already know, even if that perception is incorrect.50 A more effective learning strategy is reading, then developing short-­answer questions, and after some time delay attempting to answer those questions.51 Individuals also tend to study material the longest when they judge their rate of learning to be the highest.50 This reality, coupled with the fact that learners perceive the least familiar material as the most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learn, compounds the difficulty of learning new information to fill gaps. a learner who is knowledgeable in pediatric anesthesia but has the greatest knowledge gap in cardiac anesthesia may be tempted to study new areas of pediatric anesthesia rather than cardiac anesthesia, it fails to fill the gaps in cardiac anesthesia.




자기평가에서 '좋은 것' 만들어내기

Creating “good” in self-assessment



성찰과 자기모니터링

Refection and self-monitoring.


Eva와 Regehr16은 concurrent self-assessment는 매우 정확한 반면, summative or predictive self-assessment는 부정확하다는 것을 대조함으로써 자기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보다 낙관적 인 견해를 제시합니다.

Eva and Regehr16 provides a more optimistic view of the utility of self-­assessment by distinguishing the higher accuracy of concurrent self­-assessment from the inaccurate outcomes of summative or predictive self-­assessment.



Concurrent self-­assessment 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예 : 소생술 중에 교사에게 어려운 삽관을 넘기는 학습자) overwhelmed되거나 성공적으로 작업을 수행 할 수 없는 시점이 언제인지를 아는 것이다. 동시 자기 평가는 Schön's이 성찰에 관해 했던 연구에 기반하고 있다. R On action, R For action, R in action은 각각 Summative, Predictive, Concurrent 자기평가에 대응된다

    • R On action은 무엇이 잘되었는지, 그리고 과제를 완료 한 후에 무엇이 더 잘되었을지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 R for action은 미래의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예상하는 것이다

    • R in action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과 그것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순간순간의 내재적intrinsic피드백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세 가지 유형의 성찰은 모두 자기 개선과 환자 안전에 중요합니다. 그러나 R in action은 가장 정확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 할 수 있습니다.


Concurrent self­assessment is knowing when one is overwhelmed and/or unable to successfully accomplish a task during or in the act of working on the task (e.g., a learner handing over a difficult intubation to her teacher during a resuscitation). Concurrent self­ assessment builds on Schön’s52 work on reflection. Reflection on action, reflection for action, and reflection in action parallel, respectively, the summative, predictive, and concurrent functions of self­assessment. 

    • Reflection on action is thinking through what went well and what could have gone better after completing a task. 

    • Reflection for action is anticipating how to execute a future task successfully. 

    • Reflection in action entails both thinking about how to execute a task successfully while performing it and processing the moment­ to­ moment intrinsic feedback necessary to continue carrying it out. 

All three types of reflection are important to self­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however, reflection in action is likely most critical as it is the most accurate.16



학습자는 자신의 과거 실적이 모범적이라고 잘못 인식하거나(총괄 자기 평가), 미래의 실적이 성공적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예측 자기 평가). 그러나 이와 같은 부정확한 자기 평가는, in the moment, 그녀의 노력이 잘 진행되지 않음을 교사에게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 중요하지 않습니다.

A learner may inaccurately believe that her past performance is exemplary (summative self­-assessment), or may believe that her future performance will be successful (predictive self­-assessment); however, these inaccurate self­assessments are less important if, in the moment, she notes her efforts are not going well and asks a teacher for help.


다시 말해, 자신의 성과를 부정확하게 판단하고 예측하는 학습자조차 현재 자신이 역량의 한계에 도달하여서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다.20 이러한 학습자는 그 순간 self-monitoring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자기 모니터링은 매우 맥락 의존적이다.

In other words, learners who may inaccurately summarize and predict their performance can, nonetheless, accurately judge a situation in which they are at the edges of their current level of competence and need help to proceed.20 Such learners show promise for self-­monitoring in the moment. Self-­monitoring, however, is highly context-­specific,


외부 정보와 자기주도적 평가 추구

External information and self- directed assessment seeking.


환자의 안전과 품질 향상에는 순간 순간의 자체 모니터링이 중요하지만, 순간순간의 교정이 전체적으로 정확한 자기 평가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15 따라서 외부 정보와 피드백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Eva와 Regehr15는 마스터 학습자가 저절로 수행하는 이러한 활동을 "자기 주도적 평가 추구"라고 명명하였다.

Although self­-monitoring in the moment is important f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this moment-­to­-moment correction of performance is unlikely to lead to more accurate self­-assessment as a whole.15 Thus, seeking external information and feedback becomes a critical component of learning and filling gaps in knowledge in the broader sense.15,16 Eva and Regehr15 aptly name this activity, which master learners perform unbidden,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 자기 주도적 평가 추구를 위해서 학습자는 자기 자신에게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외부 피드백의 출처가 무엇인지를 알아야합니다. 

    • 교사의 입장에서, 학습자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피드백의 내용과 전달 방법은 학습자가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이러한 피드백을 내면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학습 환경은 학습자와 교사 간의 양방향 피드백을 포용하고 촉진하는 문화와 맥락을 조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수술실은 타인과의 관계성sense of relatedness을 키우고, 외부인으로서의 "방어 모드"보다는 동료로서의 개방적인 "학습 모드"를 취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야합니다.

    •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 requires learners to know what sources of external feedback are most effective both generally as well as for themselves personally. 

    • For the teacher, the content and method of feedback delive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learner, are essential determinants of whether learners will internalize this feedback in a manner that changes their behavior.4,13 

    • the learning environment must engender a culture and context that embraces and promotes bidirectional feedback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To illustrate, the operating room must provide a setting that cultivates sense of relatedness with the other individuals and that allows her to be open and in “learning mode” as a colleague rather than in “defensive mode” as an outsider.13


외부 피드백을 찾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주목할만한 문제에 직면 해 있습니다. 세 가지 특별한 도전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학습자는 자신이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정보를 받을 것을 두려워하고, 이러한 불안감은 학습 및 행동 변화를 방해하거나, 교사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완전히 평가절하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2) 교사는 학습자와의 관계를 손상시키는 것에 대해 걱정할 수도 있고, 학습자의 특성보다는 극도로 자신의 주관이나 특성에 크게 의존하는(편향된) 평가를 제공 할 수도 있습니다

    • (3) 학습자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학습 환경이 아니거나, 피드백의 가치를 입증하는 역할 모델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Although the task of seeking external feedback is necessary, it faces notable challenges. Three particular challenges are as follows: 

    • (1) learners may fear receiving disconfirming information and either allow these emotions to thwart learning and behavioral change or even outright discount the feedback they receive from teachers19,23,24,53; 

    • (2) teachers may worry about damaging their relationship with a learner, and/or they may provide an assessment that is subjective or highly dependent on their own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ose of the learner23,24,54; and 

    • (3) the learning environment may not be one in which the learner feels safe, or it may lack role models who demonstrate the value of feedback.23,24 


교사는 신뢰 구축의 전제 조건인 관계 구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블록 로테이션보다는) 종단적인 경험을 지원하기 위해 학습 환경을 재구성하면 피드백으로 인한 행동 변화를 촉진시키는 관계 구축이 촉진 될 것입니다.

The implication for teachers is that they should focus on relationship building, which is a prerequisite for credibility. Likewise, restructuring the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longitudinal experiences (rather than block rotations) will likely facilitate the relationship building that promotes behavior change resulting from feedback.27–29



다 합해서 마스터 학습자 만들기

Putting It All Together: Developing Master Learners



여러 학습 이론을 통한 우리의 여정은 역량 기반 교육 접근 방식의 맥락에서 마스터 학습자를 만들기위한 다음과 같은 광범위한 원칙을 제시합니다.

Our journey through multiple learning theories suggests the following broad principles for creating master learners in the context of a competency­ based education approach:


(1) 학습자는 학습에 대한 책임을 져야하며, 자신의 노력을 guide하고 자기 평가를 교정하기 위해 외부 정보를 찾아야합니다.

(1) While learners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they must also seek external information to guide their efforts and calibrate their self­assessments;


(2) 교사는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허용해야하며, 학습 및 평가를 안내하는 데 필요한 역할 모델링, 지원 및 피드백을 제공해야합니다. 

(2) While teachers must allow learners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they must provide the role modeling, support, and feedback necessary to guide learning and assessment; and


(3) 학습 환경은 전문성 형성이 이루어지는 문화와 맥락을 정의함으로써 학습자와 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와 교사는 학습 환경에 미치는 상호 영향에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다른 사람들을 위한 의미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3) While the learning environment impacts learners and teachers through defining the culture and context in which professional formation occurs, learners and teachers must attend to the reciprocal impact they hav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so as to ensure they are also creating a meaningful learning environment for others.





24 Sargeant J, Armson H, Chesluk B, et al. The processes and dimensions of informed self­ assessment: A conceptual model. Acad Med. 2010;85:1212–1220.


26 Kusurkar RA, Croiset G, Mann KV, Custers E, Ten Cate O. Have motivation theories guided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medical education curricula?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ad Med. 2012;87:735–743.


35 Schumacher DJ, Slovin SR, Riebschleger MP, Englander R, Hicks PJ, Carraccio C. Perspective: Beyond counting hours: The importance of supervision, professionalism, transitions of care, and workload in residency training. Acad Med. 2012;87:883–888.


44 Bennett EE, Blanchard RD, Hinchey KT. AM last page. Applying Knowles’ andragogy to resident teaching. Acad Med. 2012;87:129.


54 Kogan JR, Conforti L, Bernabeo E, Iobst W, Holmboe E. Opening the black box of clinical skills assessment via observation: A conceptual model. Med Educ. 2011;45:1048–1060.


55 Carraccio C, Englander R. From Flexner to competencies: Reflections on a decade and the journey ahead. Acad Med. 2013;88: 1067–1073.




 2013 Nov;88(11):1635-45. doi: 10.1097/ACM.0b013e3182a6e8f8.

Developing the master learnerapplying learning theory to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uthor information

1
Dr. Schumacher is associate program director, Boston Combined Residency Program in Pediatrics, Boston Children's Hospital/Boston Medical Center, and assistant professor of pediatrics, Division of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Bos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oston, Massachusetts. Dr. Englander is senior director,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Dr. Carraccio is vice president, Competency-Based Assessment Programs,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Chapel Hill, North Carolina.

Abstract

As a result of the paradigm shift to a competency-based framework, both self-directed lifelong learning and learner-centeredness have become essential tenets of medical education. In the competency-based framework, learners drive their own educational process, and both learners and teachers share the responsibility for the path and content of learning. This learner-centered emphasis requires each physician to develop and maintain lifelong learning skills, which the authors propose culminate in becoming a "master leaner."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se skills and the attainment of that goal, the authors explore how learning theories inform the development of masterlearners and how to translate these theories into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so as to optimize this development.The authors begin by exploring self-determination theory, which lays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the motivation to learn. They next consider the theories of cognitive load and situated cognition, which inform the optimal context and environment for learning. Building from this foundation, the authors consider key educational theories that affect learners' abilities to serve as primary drivers of their learning,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SDL); the self-assessment skills necessary for SDL; factors affecting self-assessment (self-concept, self-efficacy, illusory superiority, gap filling); and ways to mitigate the inaccuracies of self-assessment (reflection, self-monitoring, external information seeking, and self-directed assessment seeking).For each theory, they suggest practical action steps for the learner, the teacher,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in an effort to provide a road map for developing master learners.

Comment in

PMID:
 
24072107
 
DOI:
 
10.1097/ACM.0b013e3182a6e8f8


의학교육에서 Challenge Point Framework (CPF)의 적용(Med Educ, 2012)

The application of the challenge point framework in medical education

Mark Guadagnoli,1 Marie-Paule Morin2–4 & Adam Dubrowski2,5–7




도입

INTRODUCTION


'힘, 성취, 개인적 발전의 최고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역경과 좌절과 외상을 필요로합니다.'이 인용문은 존 하이트 (Jon Haidt)의 저서 '행복 가설 (Happiness Hypothesis)'에서 인용 한 것입니다. 역경에서 성공을 이끌어내는 이 개념은 도전 포인트 프레임 워크 (CPF)로 알려진 학습 모델의 기초입니다. 간단히 말해,이 모델은 인지 및 물리적 시스템이 최적의 학습이 이루어 지려면 적절한 도전이 필요하다고 규정합니다. 이 모델에서 중요한 것은 단기 퍼포먼스(short-term practice performance)에서 장기 학습(long-term learning)으로 초점을 이동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운동과 인지 학습에서 흥미로운 연구 결과 중 하나는depressed practice performance가 test performance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CPF는 학습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제 시험 상황에서 이 프레임워크로 학습 한 사람들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훈련받은 사람들보다 꾸준히 뛰어난 결과를 보여주는 것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수술, 골프, 복잡한 타이밍 작업 및 운전과 같은 기술을 통해 검증되었습니다.


‘People need adversity, setbacks, and perhaps even trauma to reach the highest level of strength, fulfil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This quotation is from Jon Haidt’s book, Happiness Hypothesis.1 this notion of producing success out of adversity is the very foundation of a learning model known as the challenge point framework (CPF).2 In short, this model states that the cognitive and⁄ or physical systems must be appropriately challenged for optimal learning to take place. Critical in this model is the shift in focus from short-term practice performance to long-term learning. In fact, one of the interesting research findings in motor and cognitive learning is that depressed practice performance can lead to enhanced test performance. More to the point, the CPF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learning such that, in test situations, individuals who learned with the framework consistently outperform those trained under traditional methods. These findings have been validated with skills such as surgery, golf, complex timing tasks and driving.3,4


배경과 정의

BACKGROUND AND DEFINITIONS


전통적으로 학습이란 연습이나 경험으로 인한 상대적으로 영구적인 성능 변화로 정의됩니다. 의료계에서 특히 중요 점은,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서도 학습의 상대적인 내구성 또는 강도가 일관된 방식으로 시연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이러한 상황이 실제로 무엇을 충분히 배우고 배우지 않았는지를 진정으로 시험하는 상황입니다.

Classically, learning is defined as a relatively permanent change in performance resulting from practice or experience. One aspect of this definition,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medical community, is that the relative permanence, or strength, of the learning should be demonstrated on a consistent basis including during situations of high stress. Indeed, these are the situations that truly test what has and has not been sufficiently learned.


사실, 모든 학습 환경에서 지속적이고 혼란스러운 문제 중 하나는 학습 - 수행 역설( learning–performance paradox)입니다. 이 역설은 간단히 말하면, 누군가가 단순히 연습 수행을보고 얼마나 많이 배우고 있는지를 판단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학생이 교실에서 수행하는 방식이 시험 상황에서 학생의 수행 능력을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어떤 연습 방법은 연습 수행(practice performance)을 인위적으로 부풀리고 기억 유지 (학습)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반복적으로 증명되었습니다.

In fact, one of the persistent and perplexing issues in any learning environment is the learning–performance paradox. This paradox, simply stated, is that you cannot determine how much or how well someone is learning simply by viewing practice performance. This translates to the idea that the way a student performs in the classroom does not predict how well the student will perform during test situations. In fact, it has been repeatedly demonstrated that certain practice methods artificially inflate practice performance and retard retention performance (learning).4


본질적으로, practice와 retention performance 사이에는 역설적인 관계가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직접적인 방식(하나가 좋은 것도 좋다)으로, 어떤 상황에서는 반대 방식(하나가 좋으면 다른 것이 나쁘다)으로 서로 관련되어있다. 그러므로,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서는 연습과 학습 사이의 다소 복잡한 공식이 필요하다고 가정 할 것이다.

In essence, there appears to be a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retention performance.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ey relate to one another in a direct manner (if one is good, the other is good) and in other circumstances they relate to one another in a reciprocal manner (if one is good, the other is bad). Therefore, one would presume that a rather complex formula between practice and learning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운동 학습을 위한 CPF

THE CPF FOR MOTOR LEARNING


챌린지 포인트 모델은 연습 성과와 과제 난이도 간의 간단한 그래픽으로 시작됩니다 (그림 1). 현재의 논문에서 작업 난이도는 운동 문제로 인한 신체적 또는 인지적 도전으로 정의됩니다. 그림 1의 실선은 작업 난이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습 수행이 감소 함을 보여줍니다.

The challenge point model starts with a simple graphic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performance and task difficulty (Fig. 1). For the current paper, task difficulty is defined as the physical or cognitive challenge posed by a motor problem. The solid line in Fig. 1 shows that as task difficulty increases, practice performance decreases;


실습 수행의 감소는 과제 난이도 상승의 결과이며, 우리는 바로 이러한 도전 과제가 장기적인 성과를 개선한다고 주장 할 것입니다. 이 논문에서 여러 차례 되풀이 될 주제는 적절한 수준의 도전에는 반드시 어느 정도의 실패가 수반된다는 것입니다. 연습 중 적절한 실패를 겪음으로서 나중에 진짜로 중요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성공을 높여줄 것이다.

The decrease in practice performance is the result of the task becoming more challenging and, we will argue, it is precisely this challenge that leads to improved long-term performance. A theme that will recur several times in this paper is that an appropriate degree of challenge will create some degree of failure. This appropriate failure during practice will yield success when it really counts during times of stress.



그림 1의 점선은 학습 (즉, 보유 된 기술)을 포함하여 수행과 작업 난이 간의 관계를 확장시킨다. 학습 곡선의 전반부를 보면, 작업 난이도가 커짐에 따라 학습도 함께 향상됨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증가 된 학습은 최적의 도전 포인트에 도달 할 때까지 계속됩니다. 이 시점에서 학습자는 최적의 도전을 받고 있으며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과제 난이도가 최적의 과제 지점으로 증가함에 따라 practice performance는 감소하고, 그와 동시에 학습은 향상된다. 즉, 도전이 증가함에 따라 즉각적인 수행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 수행능력은 향상됩니다.

The dotted line in Fig. 1 extend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task difficulty to include learning (i.e. retained skill). The learning curve demonstrates that as task difficulty increases, so does learning, at least for the first half of the curve. This increased learning continues until the optimal challenge point is reached. At this point, the learner is being optimally challenged and efficient learning can occur. Therefore, as task difficulty increases to the optimal challenge point, practice performance decreases. At the same time, learning is enhanced: that is, as challenge is increased, immediate performance is negatively affected, but long-term performance is enhanced.


어려운 상황에 노출되는 동안 관찰되는 스트레스의 가장 초기 신호 중 하나는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 인자 (CRF)의 존재입니다. CRF는 performance information을 기억하는 우리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되어 왔습니다. 특히 중등도 스트레스를받는 학습 상황에서 CRF가 증가하면 스킬 학습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uring exposure to challenging situations, one of the earliest signals of stress is the presence of the hormo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CRF). It has been hypothesised that CRF impacts our ability to remember performance information.9,10 Specifically, under moderately stressful learning situations, increased levels of CRF have been found to increase skill learning.11





적당한 스트레스가 어느 정도인지는 기술을 수행하는 사람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예를 들어 피드백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일련의 실험에서 Guadagnoli 등은 학습자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피드백이 즉시 주어지기보다는 지연 될 때  최적의 학습이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피험자가 향상됨에 따라 즉각적인 피드백은 비록 practice performance는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더라도 retention performance은 떨어졌습니다. 반대로, 피드백 지연은 경험이 많은 학습자에게는 좋은 방법이었지만 초보자에게는 안좋은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중등도의 적절한 도전과제를 구성하는 요인에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performer expertise와 task complexity이다.

What is or is not moderately stressful is largely dependent on the individual performing the skill. For example, in a series of experiments using a feedback paradigm, Guadagnoli et al.12 found that as a learner improves, optimal learning occurs when feedback is delayed rather than given immediately. As subjects improved, the more immediate feedback continued to producebetter performance during practice, but produced poorer retention performance; that is, longer delays in feedback yielded superior learning for the experienced individual, but inferior learning for the novic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wo factors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determining what constitutes medium or appropriate challenge: performer expertise, and task complexity.


최적의 도전 분량은 학습자마다 다르므로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 학습자가 학습의 초기 단계에있을 때,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정보가 더 작은 단위로 제시되어야합니다. 

  • 학습자가 학습의 후반 단계에있을 때, 정보를 그룹화하는인지 시스템의 능력이 향상되므로 학습자는보다 까다로운 연습 프로토콜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있습니다.

Because the optimal amount of challenge is learner-specific, it is not static. When an individual is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smaller units to allow efficient processing. However, when a performer is in a later stage of learning, the cognitive system’s ability to group information improves and thus the learner can more efficiently handle a more demanding practice protocol.13


그림 2를 고려하십시오. 곡선의 모양은 비슷하지만 최적의 도전 지점은 전문 지식에 따라 다릅니다.

Consider Fig. 2. The shapes of the curves are similar, but the optimal challenge point varies depending on expertise.


다시 말하면, 학습자가 달라지면 연습 프로토콜도 변경되어야합니다.

Again, as the learner changes, so should the practice protocol.





피드백만이 작업 난이도를 조작 할 수있는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교수자는 실제 상황의 맥락 간섭contextual interference을 조작 할 수 있습니다. 맥락 간섭은 단일 실습 상황의 맥락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간섭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14 

  • 낮은 수준의 맥락 간섭은 수행자가 단일 시험 블록 내에서 단 하나의 작업 만 수행하도록함으로써 설정 될 수 있습니다 (즉, 차단 된 연습blocked practice). 예를 들어, 시간이 경과 한 후에 동일한 수술 봉합 시간을 시도하는 것은 낮은 정도의 맥락 간섭이다. 

  • 높은 수준의 맥락 간섭은 학습자가 여러 작업을 무작위 순서 (즉, 무작위 연습)로 연습하게 할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절개, 봉합 및 클램프를 무작위 순서로 수행하려고하면 반복적으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비교할 때 문맥 간섭이 커집니다. 

Feedback is not the only method by which task difficulty can be manipulated. Instructors might also manipulate the contextual interference of practice. Contextual interference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interference that results from practising a variety of tasks within the context of a single practice situation.14 

  • A low degree of contextual interference can be established by having the performer practise only one task within a block of trials (i.e. blocked practice). For example, attempting the same surgical suture time after time would constitute a low degree of contextual interference. 

  • A high degree of contextual interference can be established by having the learner practise several tasks in a random order (i.e. random practice). For example, attempting to perform incisions, sutures and clamps in random order would constitute high contextual interference relative to practising the same task on a repetitive basis. 



  • Blocked 대 Random 조작을 사용한 일련의 연구는 Blocked 프로토콜 하에서 연습 한 초보자들은 무작위 프로토콜 하에서 연습 한 초보자들보다 잘 수행함을 보여주었습니다 .4 

  • 그러나 경험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은 것과 반대입니다. 무작위 프로토콜 하에서 실행 한 경험 많은 피험자는 블록 프로토콜 하에서 연습 한 경험이 풍부한 피실험자보다 잘 수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학습 초기 단계에서는 외부의 도전extraneous challenge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 지었다. 그러나 학습자가 더욱 능숙 해짐에 따라 더 많은 도전이 도움이 된다.

  • A series of studies using a blocked versus random manipulation demonstrated that novice subjects who practised under a blocked protocol performed better than novice subjects who practised under a random protocol.4 

  • However, the opposite was true for experienced subjects. Experienced subjects who practised under a random protocol performed better than experienced subjects who practised under a blocked protocol.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desirable to decrease extraneous challenge for performers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However, as the performer becomes more proficient, more challenge is beneficial.



전문가 수행자는 운동 피질을 리모델링하여 기술의 성능이 발휘되는 안정된 신경 회로를 형성한다.17 무작위 실행 상황에서 성능 회로의 안정성은 간섭을 받으며, 전문가의 주의를 task performance로 재설정한다. 이러한 주의는 다시 말하자면 연기자가 기술의 리모델링skill remodelling을 위해 기술 획득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 된 뇌 영역을 사용하게 만든다.18 본질적으로 무작위 연습은 전문가 수준의 스트레스 반응을 최적 수준으로 증가시키는데, 이것은 뇌의 기억 영역에 CRF를 적절하게 방출하게 만들고, 초기 작업 학습과 관련된 영역을 다시 활성화 하게 해준다.

In the expert performer, remodelling of the motor cortex has created a stable neural circuit in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skill takes place.17 In the random practice situation, the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circuit is believed to be interfered with, essentially redirecting the expert performer’s attention to task performance. This attention, in turn, enables the performer to recruit the areas of the brain used in initial skill acquisition for skill remodelling.18 In essence, random practice both increases the stress response in the expert performer to optimal levels by creating an appropriate release of CRF in the memory areas in the brain, and enables re-activation of the areas involved in initial task learning.


고려해야 할 마지막 요소 (결과)는 (물리적 측면과는 반대로) 작업의 심리적 측면이다. 이 경우 결과consequence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또는 성공적으로 완료하지 못한 경우의 비용 또는 이득으로 정의됩니다. 

  • 수술장에서는 실패의 결과가 심각합니다. 그런 유형의 과제에 1일차 의대생을 두는 것은 부적절 할 것입니다. 

  • 하지만, 마찬가지로, 4 학년 학생을 그러한 훈련에 중대한 결과와 연결된 상황에 두지 않는 것도 무책임한 것이다.

One final factor to consider (consequence) is the psychological, as opposed to the physical, aspect of the task. In this case, consequence is defined as the cost or benefit of successfully or unsuccessfully completing the task. 

  • In the operating theatre, the consequence of failure is grave.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put a day 1 medical student under that type of challenge. 

  • However, it would be equally irresponsible not to put a Year 4 student under significant consequence in his training.


일반적인 요점은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적절한 수준에서 도전을 받아야한다는 것입니다. 

  • Under-challenged 학습자는 좋은 연습 성과와 '실전'에서의 열악한 성과를 만들 것이다. 

  • Over-challenging은 연습 상황은 물론 실전에서도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을 것이다.

표 1은 장기간의 성공을위한 훈련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과제 난이도를 증가시킬 수있는 방법을 요약 한 것입니다.

The general point is that the learner needs to be challenged at an appropriate level for learning to occur. Under-challenging the learner will create a situation of good practice performance and poor ‘game time’ performance. Over-challenging will result in poor practice and poor ‘game time’ performance. Table 1 summarises ways in which task difficulty can be increased to facilitate training for long-term success.




CPF의 활용

APPLICATIONS OF THE CPF


Guadagnoli와 Lee2는 연습 효율성과 도전 포인트와 관련하여 몇 가지 매우 구체적인 예측을 내 렸습니다.

Guadagnoli and Lee2 made several very specific predictions related to practice efficiencies and challenge point.


첫 번째 예측은 맥락 간섭을 기반으로 합니다. 

  • Guadagnoli와 Lee2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작업의 경우 실습을 블록화하면 연습 성능에 도움이되지만, 실제로 실습을 배우려면 무작위 연습이 가장 좋을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The first set of predictions is based on contextual interference. Guadagnoli and Lee2 predicted that for relatively simple tasks, blocked practice would be beneficial for practice performance, but random practice would be best for actually learning the skill.


  • 맥락 간섭과 관련된 두 번째 예측은, 경험이 거의없는 개인의 경우 블록화 연습이 연습 수행 및 기술 습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문맥상의 간섭이 높으면 학습자가 자동으로 기술을 응고시키는 데 가장 도움이됩니다.

A second prediction related to contextual interference stated that for relatively inexperienced individuals, blocked practice would be beneficial for practice performance and learning the skill. The high contextual interference would serve the learner best in solidifying the skills in an automatic fashion.


두 번째 예측은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피드백의 양에 기초한다. 

  • Guadagnoli와 Lee2는 상대적으로 업무가 단순하거나 학습자가 고도로 숙련된 경우 피드백의 빈도가 높으면 실습 수행에 도움이되지만 실제로 장기 retention을 지연시킬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20

Another prediction derived from the CPF is based on the amount of feedback given to the learner. Guadagnoli and Lee2 predicted that for relatively simple tasks, or for highly skilled individuals, a high frequency of feedback would be beneficial for practice performance, but would in fact retard longterm retention.20


  • 피드백과 관련된 두 번째 예측은 상대적으로 학습자의 경험이 부족하거나 과제의 복잡성이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피드백 빈도 (2 회 또는 3 회 시험)가 실습 성과와 기술 습득에 모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A second prediction related to feedback stated that for relatively inexperienced individuals, or for tasks of high complexity, a relatively high frequency of feedback (every two or three trials) would be beneficial for both practice performance and the learning of the skill.




연습 환경

ENVIRONMENT OF PRACTICE


개별 기술 수준에서 CPF는 학습자가 변경 될 때 연습 및 피드백 일정을 변경하는 것 외에도, 절차적 업무의 인지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의 학습을 위해 교육 환경 (예 : 외과 기술 실험실, 시뮬레이터, 표준화 된 환자)을 조작해야한다고 제안합니다

  • 예를 들어 초기 학습 환경은 통제 된 연습 영역으로 구성되어야하므로 외부로 인한 주의 분산을 최소화 할 수있다 .23,24 이것은 학습자가 과제의 두드러진 특징에 집중할 수있게 해준다. 

  • 학습자가 숙련도가 높아짐에 따라 환경은 결국 현실 세계의 의료 환경을 시뮬레이션 하는 단계에 이를 만큼 더욱 역동적이어야합니다.


At the level of individual skills, the CPF would suggest that in addition to changing the practice and feedback schedule as the learner changes, the environment of training (e.g. surgical skills laboratories, simulators, standardised patients) should be manipulated for the learning of the cognitive and technical aspects of procedural tasks.21,22 

  • For example, the initial learning environment should consist of a controlled practice area, thus minimising outside distractions.23,24 This allows the learner to focus on the salient features of the task. 

  • As the learner progresses in skill, the environment should become more dynamic until it eventually simulates a realworld medical setting.


연습 결과

CONSEQUENCE OF PRACTICE


연습 조건과 환경이 조작되는 것처럼, 학습자의 전문 지식이 변함에 따라 개인이 학습하는 스트레스 수준도 변해야합니다. 

  • 복잡한 작업이나 비 숙련자의 경우 외부 스트레스와 결과는 최소한으로 유지되어야합니다. 

  • 그러나 학습자가 숙련도가 높아짐에 따라 스트레스 수준과 실제 행동의 결과는 실제 의료 환경의 결과를 시뮬레이션 할 때까지 증가해야합니다 25).


Just as the practice conditions and environment are manipulated, the level of stress under which an individual learns should change as the learner’s expertise changes. 

  • For complex tasks or unskilled individuals, outside stress and consequence should be kept to a minimum. 

  • However, as the learner progresses in skill, the level of stress imposed and the consequence of his or her actions should increase until they eventually simulate those of a real-world medical setting.25


CONCLUSIONS










 2012 May;46(5):447-53. doi: 10.1111/j.1365-2923.2011.04210.x.

The application of the challenge point framework in medical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Motor Behaviour Laboratory, Department of Kinesiology and Nutrition,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Nevada 89154-3034, USA. mark@triadconsultinginc.com

Abstract

OBJECTIVES:

The current paper describes a model of learning that has been used to produce efficient learning, thus yielding greater retention of information and superior performance under stress. In this paper, the model is applied to the learning of technical skills.

STRUCTURE:

After a brief review of the learning-performance paradox and other relevant literature from the field of movement science, the benefits of challenge and adversity for learning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a framework for learning known as the challenge pointframework (CPF). The framework is based on laboratory and field studies of methods that have been shown to consistently enhance learning, and is used to model and generate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practice protocols and the learning that results from them.

APPLICA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PF to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and training is described. Firstly, a simple conceptual model that utilises three key elements to adjust the functional difficulty of the tasks to be learned is outlined. Secondly, a number of assessment strategies that may be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trainee remains in the optimal learning zone are proposed. Thirdly, a practical example is used to demonstrate how to utilise this conceptual model to design simulation environments suitable for teaching an endotracheal intubation task to beginners and more advanced trainees.

PMID:
 
22515752
 
DOI:
 
10.1111/j.1365-2923.2011.04210.x


학생과 교수 참여시키기: 대학의학에서 자기결정이론의 함의(BME Med Educ, 2013)

Engaging students and faculty: implicatio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teachers and leaders in academic medicine

Jeffrey M Lyness1*, Stephen J Lurie2, Denham S Ward3, Christopher J Mooney2 and David R Lambert2



배경

Background


의학 교육자들은 학습자가 교육 목표를 달성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어려움에 자주 직면합니다. 관심사가 출석이든, 참여든 소진이든, 관계없이 질문이 제기됩니다. 즉, 학생이나 레지던트가 그저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뿐만 아니라 학습 흥분에 완전히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마찬가지로 다른 Academic Health System 지도자들은 종종 성과 목표를 달성하거나, 규제 기준을 준수하거나, 조직 임무에 성공적으로 종사하도록 요구받은 교수진의 저항에 직면하게됩니다.

Medical educators frequently face difficulties motivating learners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Whether the specific concern is attendance, participation, or burnout, the question is raised: how do we motivate our students or residents not only to meet requirements, but to become fully engaged with the excitement of learning? Similarly, other academic health system leaders often encounter resistance from faculty asked to meet performance targets, comply with regulatory standards, or otherwise engage successfully with organizational missions.


자기 결정 이론은 물론 인간의 동기 부여에 대한 많은 과학적 접근 방법 중 하나 일 뿐이다.

Self-determination theory is of course only one of many scientific approaches to human motivation,


우리는 많은 연구 그룹에서 수천 가지의 실험 및 관찰 연구에 의해지지되고 확장된 자기 결정 이론에 초점을 맞추었다.

We have focu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because it has been supported and extended by more than a thousand experimental and observational studies from many research groups [2-4];



고찰

Discussion


왜 그냥 원하는 행동에 보상을 하면 안되는가?

Why not just reward the behaviors we want?


아마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일반적인 접근법은 외부에서 부과 된 보상이나 처벌 (당근과 막대기)과 같은 직접 유형의 인센티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유형의 보상 시스템에는 최소한 다음 세 가지 중요한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Perhaps the most common approach to influencing behavior is the use of direct tangible incentives, e.g., externally imposed rewards or punishments (‘carrots and sticks’). However, such tangible reward systems have at least three important limitations:


의도하지 않은 결과

Unintended consequences.


인센티브를 얻으려는 노력하기에, 사람들은 종종 인센티브가없는 행동을 피합니다. 또는 일부 비 윤리적 방법을 포함하여 지름길을 취함으로써 인센티브 목표를 달성 할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인센티브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얻는 댓가로만 바람직한 결과를 산출 할 수 있습니다.

In their efforts to earn incentives, people often avoid non-incentivized behaviors . Or they may achieve incentivized goals by taking short-cuts including, for some, unethical methods. In other words, incentives may produce the desired outcomes atthe cost of a range of other undesirable outcomes [13].



보상이 없어지면 행동도 없어진다

No pay, no play.


일단 행동이 직접적인 유형의 보상으로 인센티브를 받으면, 인센티브가 제거 된 후에 사람들은 실제로 그 행동을 수행 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이것은 초기에 즐거움이나 즐거움으로 인식되는 활동조차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현상은 오랜 취미를 유료 직업으로 바꾸는 개인에 의해 예증됩니다.

Once a behavior has been incentivized by a direct tangible reward, people are actually less likely to perform that behavior after the incentive is removed. This is so even for activities initially perceived as fun or pleasurable [13,17,18]. This phenomenon is exemplified by individuals turning a longstanding hobby into a paid vocation;


또한 기본 기준을 초과 한 수입은 행복 증가로 이어지지 않으며, 금전적 선물이나 구매의 축적도 마찬가지이다.

Furthermore, income above a basic threshold does not lead to increased happiness, a finding also true of monetary gifts or accumulation of purchases [19,20].



창의적 문제 해결 억제

Inhibition of creative problem solving.


인센티브는 작업이 간단 할 경우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 시키지만, 인센티브는 유연하고 창조적인 문제 해결이나 기타 높은 수준의 인지 프로세스가 필요한 작업에서는 오히려 퍼포먼스를 떨어뜨린다. 이 발견은 많은 실험 조건 하에서 반복되었습니다.

While incentives do increase desired behaviors if the tasks are straightforward, incentives actually produce poorer performance on tasks that require flexible, creative problem-solving or other high-level cognitive processes. This finding has been replicated under many experimental conditions [3,13,21-23].



인센티브가 왜 그렇게 중요한 한계와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까? 자기 결정 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인센티브 문제는 외재적 동기 부여의 결과로 이해된다.

Why do incentives have such important limitations and liab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problems with incentives are understood as the consequences of extrinsic motivation.




자기결정이론 개괄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자기 결정 이론은 "효과적이고 건강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우리의 자연적 또는 본질적인 경향"을 뒷받침하는 포괄적 인 인간 행동 이론입니다. 이론적으로 경험적으로 입증 된 핵심은, 세 가지 기본적인 심리적 요구를 지원하는 것이 내면에서의 동기 부여를 통해 학습, 행동 및 복지에 바람직한 이익을 창출한다는 것입니다.

Self-determination theory is a comprehensive theory of human behavior supporting “our natural or intrinsic tendencies to behave in effective and healthy ways” [4]. A key, empirically validated cornerstone of the theory is that supporting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3,26,29] engages one’s motivation from within, producing desirable benefits for learning, behavior, and well-being.


자율

Autonomy. 


사람들은 선택권을 갖고 싶어하며, 자유 의지를 행사하고 있다고 믿고 싶어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자율은 반드시 일을 혼자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일을 선택합니다. 그것은 sense of choice이며, feeling volition입니다. 그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People want to have a sense of choice, to believe that they are exercising free will.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in this context, autonomy does not necessarily mean doing things alone. People often choose to do things in concert with others; it is the sense of choice, of feeling volitional, that is paramount.


능력 (숙달).

Competence (mastery). 


간단히 말하면, 사람들은 그들이하는 일에 능숙하다고 느끼고 싶어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개념을 '숙달'이라고 불렀는데, 이 용어는 숙달martery의 최상위 레벨에 도달할 필요성을 암시하지 않는 한 합리적이다. 전문 지식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까다로운 성찰적 실천을 주도하여, 내부에서 동기를 부여하는 작업에 대한 sense of mastery이 커지고 있습니다.

Put simply, people like to feel that they are good at what they do. Some have referred to this concept as ‘mastery’ [30-32], a reasonable term as long as it does not imply the necessity of reaching the highest possible level of proficiency. It is the growing sense of mastery at a task that engages motivation from within, driving the arduous reflective practice required to develop expertise [25,33].


관련성 (목적).

Relatedness (purpose). 


인본주의자나 과학자들이 수천 년 동안 지적했듯이,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어있다는 느낌을 필요로한다. 이러한 연관성은 직접적인 대인 관계 수준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그룹 수준과 관련되어있을 수도 있는데, 그룹 (사회 또는 문화 포함)이 보유한 이상이나 목표에 의해 촉진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성은 또한 '목적 의식'으로 묘사되어왔다.

People need to feel connected to other people, as noted for millennia by humanists as well as scientists [34-36]. This sense of connectedness may be felt on a direct interpersonal level. It also may be fostered by relating to a group, or to ideals or goals held by a group (including a society or culture); thus, relatedness also has been described as ‘sense of purpose’ [28].




이러한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를 충족 시키면 자율적인 동기 부여가 촉진됩니다. (분명히 이것은 all or none 현상이 아니며, 외적인 동기 부여가 일부 내면화 될 수 있으므로 자율성에는 degree가 있다). 자율적인 동기 부여를 지원하는 것은 기능과 웰빙을 극대화합니다. 이것은 여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특히 잘 입증되었다.

Fulfilling these basic human needs fosters what is known as autonomous motivation. (To be clear, this is not an all-or-none phenomenon; rather, there are degrees of relative autonomy, as extrinsic motivation may become internalized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3]). Supporting autonomous motivation maximizes functioning and well-being [22,37,38]; this has been particularly well-demonstrated among a range of students,


다시 말하자면, 이 세 가지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 시키면 사람들은 더 행복하고 생산적이며, 연수생과 교수 모두에게 분명히 바람직한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 임상의들 사이에서 자율적 인 동기 부여를 촉진하는 것은 임상에서 환자의 자율적 동기에 대한 지지를 높여주며, 환자의 건강 행태를 수정함에있어 잠재적인 이익을 가진다.

Put more colloquially, meeting these three basic needs leads to people being both happier and more productive, goals that are obviously desirable among trainees and faculty alike. Fostering autonomous motivation among clinicians also may increase their support of patients’ autonomous motivation in clinical practice [5,41], with potential benefits in modifying patient health behaviors [42-45].




어떻게 자율적 동기부여를 높일 것인가

How to support autonomous motivation



이 접근법들은 매우 상보적이며, 하나의 니즈를 충족시키면 다른 것도 support된다.

Table 1. These approaches are highly complementary, as satisfying one need often supports the others [25].


Kusurkar에 따르면, 동기부여는 DV이자 IV이다.

using the framework of Kusurkar et al. [46], motivation is by turn both a dependent variable, i.e., a desired outcome of our recommendations, and an independent variable, i.e., producing the ultimate desired outcomes of engagement, morale, and productivity [47].



자율성 높이기

Supporting autonomy


(학생의) 관점 수용하기

Take their perspective


사람들에게 그들의 시각을 묻는 것은 자율성을 뒷받침합니다. 그러한 input을 구하는 것은 공감을 전달하고 'authorities'에 대한 관계성을 촉진 할 수있다. 관점을 수용하는 예로 학생들을 교과 과정 평가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과 교원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 교수진 개발 이니셔티브를 형성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Asking people for their perspective supports their sense of autonomy [48]. Seeking such input also may usefully convey empathy and foster their sense of relatedness to the ‘authorities’. Examples of taking perspective are the inclusion of students in curricular evaluation processes, and using faculty surveys to shape faculty development initiatives.


선택권 주기

Give choices


선택할 수있는 옵션이 여러 개 있으면 자연스럽게 선택의 여지가 있습니다. 선택 사항을 제공하려면 추가 옵션을 작성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교육 프로그램은 단일 필수 과목 대신 '선택'을 제공 할 수도 있고, 교수진이 여러 직업 경로 ( '트랙') 중 하나를 따라 승진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문제 기반 학습 (PBL)의 교육 방식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고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부여합니다.

Having more than one option to choose from naturally fosters a sense of choice. Providing choices may involve creating additional options. For example, an educational program may offer ‘selectives’ in place of single required courses, or faculty may have the choice of promotion along any of several career paths (‘tracks’). The educational modality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emphasizes self-directed learning [50] and gives students choices [51]


대안이 불가능할때는 타당한 이유 제공하기

When alternative choices are not possible, provide a meaningful rationale


대안의 부재에 대한 이유를 이해함으로써, 사람들은 유일한 '선택'을 자신의 선택으로 채택 할 수 있으며, 외적 동기로 받아 들여질 수있는 것을 내면화 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내가 그렇게 선택한 것은 합당하다").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면 지도자의 의도가 자기 자신의 것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지도자와의 관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By understanding the reasons for a lack of alternatives, people may adopt the sole ‘option’ as their own choice, they may internalize what might otherwise be taken as an extrinsic motivation [54] (“given the circumstances, it makes sense so I choose to go along with it”). Providing rationale also fosters a sense of relatedness with the leaders, recognizing that the leaders’ intentions align with one’s own.


통제적 표현 최소화

Minimize controlling words


당연한 말인데, "해야한다", "해야한다", "해야한다"와 같은 단어와 의도는 자율성 의식을 떨어 뜨린다. 일부 상황에서의 사용은 피할 수없는 것이지만, 필요할 때만 가볍게 사용하여 인식 된 자율성을 약화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Not surprisingly, words and intentions such as “ought”, “must”,and“should” decrease a sense of autonomy [39]. While their use in some contexts is unavoidable, it is important to use them sparingly and only when necessary, to minimize undermining perceived autonomy.



숙달 높이기

Supporting competence


적정 수준의 과제 부여

Set an optimal level of challenge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대가 역량 감각을 약화시키는 반면, 너무 낮은 기대는 숙달의 감각을 발전시키는 데서 발생하는 만족을 생산하지 못합니다. ( 'just-right'정도의 어려움의 개념은 나중에 Atkinson의 대표적 연구를 포함하여 동기 이론의 다른 이론과 일관성이있다. 나중에 기대-가치 이론에 포함되었다) 최적의 수준의 도전 과제를 설정하기 위해서, 교육자는 교육 목표를 결정하는 동안 학습자의 기술을 깊이 이해해야합니다.

While unrealistically high expectations undermine a sense of competence, expectations that are too low fail to produce the satisfaction that occurs with developing a sense of mastery. (The concept of a ‘just-right’ degree of difficulty also is consistent with other theories of motivation, including the seminal work of Atkinson [55] later incorporated into expectancy-value theory). Educators setting an optimal level of challenge must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skill set while determining the educational goals (‘know your audience’).


주어진 과제 수행에 필요한 기술발달 지원

Support the skills development necessary to meet the posed challenge


학습자 또는 교수자 능력에 대한 이해로 무장 한 지도자는 적절한 경험, 조건 및 도구를 제공하여 동기 부여를 늘려 직면 한 과제를 숙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Armed with an understanding of learner or faculty abilities, leaders can increase motivation by providing the right combination of experiences, conditions, and tools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the skills required to master the task at hand.


역량 성취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피드백 제공

Give meaningful feedback framed positively toward the achievement of competence


부정적인 피드백은 역량 감각을 약화시키고, 따라서 demotivating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단지 칭찬에 불과한 긍정적 피드백도 자발적인 동기 부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역설적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사실상 피드백이 외재적(Controlling) 동기가 되어버리는 결과로 이해 될 수 있다. 긍정적 피드백은 그것이 통제적인 방식으로 관리되지 않고 의미가 있는 경우에만 자발적인 동기 부여를 조장 할 수 있습니다.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negative feedback undermines a sense of competence and thus may be experienced as demotivating [13,56]. However, positive feedback that is merely praise also can reduce autonomous motivation [57], a seemingly paradoxical finding that can be understood as the consequences of the feedback in effect becoming an extrinsic (i.e., controlling) motivator. Positive feedback can foster autonomous motivation if it is not administered in a controlling fashion, and if it is meaningful,


교수진 리더는 교육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스 중간 또는 끝부분에 학생 피드백에 대한 구조화 된 가이드 또는 각 교수진의 부서별 연례 검토 실시 템플릿 등이다.

Faculty leaders may provide frameworks for giving such feedback to those involved in teaching, e.g., structured guides for student feedback both ‘mid-way’ and at the end of a course, or templates for conducting departmental annual reviews of each faculty member,





관계성 높이기

Supporting relatedness


감정 인정하기

Acknowledge feelings


오랫동안 의학교육에서 의사 소통 기술 훈련에서 인정받아왔듯, 다른 사람의 감정 상태에 대한 관찰은 감정 이입을 전달하고 신뢰와 호혜 의식을 형성합니다. 예를 들어 "슬퍼 보입니다", "이것은 실망스러운 상황임이 분명합니다"또는 " 깨달음을 얻었군요!"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을 전달하는 것은 관계성의 필요를 해결함으로써 자율성을 support합니다.


As long recognized by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60,61], observations about another’s emotional state convey empathy and build a sense of trust and reciprocity, e.g., “you look sad”, “it’s clear this is a frustrating situation”,or“you look like the ‘light bulb’ really came on!” Therefore, acknowledging feelings and conveying empathy support autonomy [39] by addressing the need for relatedness.



개별적 연결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 형성

Create structures to foster individual connections


학문적 지도자는 기관 문화의 대표자들과 대인 관계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관계성을 육성합니다. 

      • 의대생에게는, faculty advisor가 있거나, PBL과 같은 소규모 그룹 환경에서 교수에게 자주 노출되는 것 등이 (전체 수업 강의 설정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개인화 된 연결을 촉진합니다. 

      • 교수들에게는, 공식화 된 멘토링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대인 관계가 형성 될 수있는 하나의 구조를 제공합니다. 

      • 또 다른 예로서, 새로운 교수진을 위한 환영 / 오리엔테이션 세션에는 개별적 connection을 촉발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설계된 활동을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이 일련의 일대일 만남에 임의로 배치 된) '스피드 미팅'세션에서 다른 사람에게 일과 외부의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



Academic leaders foster relatedness by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representatives of the institutional culture. 

      • For medical students, availability of faculty advisors, or frequent exposure to faculty members in small group settings such as PBL, foster more personalized connections than typically occur in whole class lecture settings. 

      • For faculty, formalized mentoring programs provide one structure within which las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n form. 

      • As another faculty example, a welcome/orientation session for new faculty members may incorporate activities explicitly designed to initiate individual connections, such as a ‘speedmeeting’ session in which participants are arbitrarily placed in a series of dyadic encounters, each telling the other something about both work and outside interests.



그룹/공동체 연결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 형성

Create structures to foster group/community connections


High-functioning 조직 단위는 일반적으로 회원들에게 cohesive whole의 느낌을줍니다. 기관 지도자는 기존 회원을 위해 이 그룹의 문화가 이러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새로운 회원을 환영하고 그룹의 구성원이되기 위한 문화적 적응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학생들에게 이것은 전체 수업 수준 (교과 수업 및 과외 활동을 사용하여 학생의 응집력있는 수업으로서의 감각을 키우는 것)과 교실, 실험실 또는 임상 환경의 소규모 그룹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학생들은 PBL 그룹 작업에서 가장 큰 동기로 그룹 내 관계를보고했습니다. 

      • 마찬가지로 교수진의 경우 접근법에는 순수한 전문 활동 (예 : 부서별 교수 회의, 학장과의 타운 홀) 및 사교 행사와 소규모 집단 (예 : 실험실, 부서)의 활동을 포함한 대규모 그룹 행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모든 구성원을 알고있는 그룹에 속하는 감각을 창출하십시오.


High-functioning organizational units typically feel like a cohesive whole to their members. Institutional leaders can help ensure that the culture of their groups function this way for existing members, while also welcoming new members and supporting their acculturation in becoming part of the group. 

      • For students this may occur both at the level of their entire class — using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foster the students’ sense of themselves as a cohesive class — and in small groups in classroom, laboratory, or clinical settings. As an example, in one study students reported intra-group relationships as the biggest motivators in their PBL group work [62]. 

      • Similarly, for faculty the approaches may include large-group events, including purely professional activities (e.g., departmental faculty meetings, ‘Town Halls’ with the Dean) and social events, together with activities in smaller collectives (e.g., laboratories, divisions) to create a sense of belonging to groups in which one knows all of the members.


사례

Examples


학생

Example 1: medical students


A 2nd-year medical student course enjoys strong student engagement. The large amount of required course material (neurosciences, pathology, pharmacology) does not allow students many choices of what to learn. However, student autonomy and competence are intended to be fostered by ‘planned redundancy’ of course content across lectures, PBL small groups, and small group laboratories, allowing individuals to emphasize learning via whichever modality they wish. As well, the PBL method gives the students considerable choice regarding topics to cover in their discussions and individually researched minipresentations to their group, and student perspectives are regularly elicited and acknowledged. Course teachers explicitly tell the students how the course content in each session relates to prior and upcoming material, and how it applies to clinical practice, thus providing a meaningful rationale for the topics covered. Relatedness among the students and with course faculty is built by small group interactions in PBL and labs. Lectures are intended in part to foster a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course leaders and among the class as a whole, using personal stories and humor to create a sense of a community of learners with a common mission. Thus the course appears to foster the students’ sens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resulting in them being more productive (learning the material, participating actively in class) and happier (class morale and student feedback about the course).


교수

Example 2: faculty


Responding to faculty concerns about School promotion processes seeming unclear and inequitably applied, leaders from the Dean’s Office extensively revise the promotions guidelines. Faculty sense of autonomy is supported by leaders noting that the revisions were undertaken in response to faculty concerns and feedback (i.e., taking their perspective), and by detailed explication of the goals of the revisions (i.e., providing rationale). Competence is supported by the greater specificity of the revised guidelines, providing faculty with better tools to help them achieve successful promotions outcomes. Relatedness is fostered by engaging with faculty about the revisions, collectively as a School community (e.g., using a web-based faculty newsletter), and on more personal bases by joining departmental faculty meetings and seeking individual dialogues as faculty members provide input and ask questions. While it is too early to know the longer-term impact of these activities, thus far faculty feedback about the process and the new guidelines has been very positive.



한계

Limitations


우리는 외부 인센티브가 완전히 폐지 될 수 있다고 믿지 않습니다. 실제로 졸업, 면허, 승진 및 기타 품질 및 업적 측면에 대한 기준을 달성하는 것이 의학 및 과학적 관행에 관한 우리의 공적 의무를 이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더욱이, 개인의 소원 성취가 완전히 자유로워진 경우, 기관은 조정되고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으로 정의 된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없습니다. 지도자는 non-negotiable goals(규제 요구 사항, 포괄적 기관적 우선 순위)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인센티브를 신중하게 사용하여 자율적 동기 부여와 균형을 잡아야 한다.

we do not believe that extrinsic incentives can be entirely abolished. Indeed, ensuring the attainment of standards for graduation, licensure, promotion, and other aspects of quality and achievement are essential to fulfilling our public obligations regarding medical and scientific practice. Moreover, an institution cannot move toward defined goals in a coordinated, efficient, and effective manner if the actions of its constituents are left entirely free to the fulfillment of individual wishes. Leaders must keep sight of non-negotiable goals, such as those related to regulatory mandates as well as larger institutional priorities, thus requiring a balance of supporting autonomous motivation with using incentives judiciously.


Summary



8. Kusurkar RA, Ten Cate O: Education is not filling a bucket, but lighting a fir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motivation in medical students. Acad Med 2013, 88(6):904.


46. Kusurkar RA, Ten Cate TJ, van Asperen M, Croiset G: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and a dependent variable in medical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 Teach 2011, 33(5):e242–e262.






 2013 Nov 11;13:151. doi: 10.1186/1472-6920-13-151.

Engaging students and facultyimplicatio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teachers and leadersin academic medicine.

Author information

1
Office of Academic Affairs,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601 Elmwood Avenue, Box 706, Rochester, NY 14642, USA. Jeffrey_Lyness@urmc.rochester.edu.

Abstract

BACKGROUND:

Much of the work of teachers and leaders at academic health centers involves engaging learners and faculty members in shared goals. Strategies to do so, however, are seldom informed by empirically-supported theories of human motivation.

DISCUSSION:

This article summarizes a substantial body of motivational research that yields insights and approaches of importance to academic faculty leaders. After identification of key limitations of traditional rewards-based (i.e., incentives, or 'carrots and sticks') approaches, key findings are summarized from the science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utonomous motivation by supporting the fundamental human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urn, these considerations lead to specific recommendations about approaches to engaging autonomous motivation, using examples in academic health centers.

SUMMARY:

Since supporting autonomous motivation maximizes both functioning and well-being (i.e., people are both happier and more productive), the approaches recommended will help academic health centers recruit, retain, and foster the success of learners and facultymembers. Such goal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o address the multiple challenges confronting these institutions.

PMID:
 
24215369
 
PMCID:
 
PMC4225759
 
DOI:
 
10.1186/1472-6920-13-151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Deliberate Practice와 전문적 수행능력의 획득: 일반적 관점(Acad Emerg Med. 2008)

Deliberate Practice and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A General Overview

K. Anders Ericsson, PhD




교육과 훈련은 매우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 문명 이래로, 높은 수준의 기술을 습득해야하는 일반 교육과 직업 훈련 간에는 중요한 구별이 있었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교육은 전문화를 지양했고, 사고력과 일반적인 지식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아테네의 노예가 주로 수행한 숙련된 수작업과 관련하여, 플라톤은 초기 훈련을 시작하고 단일 기술에 대한 참여로 제한 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Education and training have a very long history. Ever since Greek civilization, there has been an important distinction made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which requires the acquisition of a high level of skill. Education, as proposed by Plato and Aristotle, discouraged specialization and focused on developing thinking skills and general knowledge. With respect to skilled manual work, primarily performed by slaves in Athens,1 Plato proposed an early start of training and restricted engagement to a single craft.2,3 


의학 전문 지식을 논의 할 때, 플라톤은 전문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와 설명에 대해 사려 깊은 진단과 추론과 노예 의사가 일상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대조했다. 따라서 의사 간의 역량은 우수한 지식과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는 능력을 검토함으로써 가장 잘 평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역량을 획득하기 위한 주요 요소는 축적 된 경험으로 여겨졌으며, 따라서 나이는 지혜와 관련이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플라톤은 이상적인 의사는 많은 경험을 가진 사람이라고 보았다- 더 이상적으로는 많은 질병에서 회복하는 개인적인 경험을 가진 사람이었다고 주장했다.


When discussing medical expertise, Plato contrasted the routine application of medical procedures by a slave doctor to the thoughtful diagnosis and reasoning about treatment and explanation to the patient by an expert doctor.4 Competency among doctors was thus thought to be best assessed by examining their superior knowledge5 and ability to teach others.6 The primary additional factor to achieve competence was believed to be due to accumulated experience, and thus age was expected to be correlated with wisdom. Plato argued that the ideal doctor was one with significant experience—ideally, personal experiences of recovering from many diseases.7  


아리스토텔레스 이후로 전문 지식을 평가하고 증명하는 방법과 이론적 이해와 실제 기술 사이의 긴장이 남아 있습니다. 실무자의 전문성 수준은 길드에 의해 감시되고 최근에는 전문 기관에 의해 인증받게 되었습니다 .8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전문 학교에서 공부하기 전에 대학 교육과 같은 일반 교육을 요구합니다. 전문 학교에서 주로 이론 교육을받은 후, 졸업생은 독립적으로 연습 할 수있는 자격 증명을 얻을 때까지 숙련 된 실무자에게 견습생으로 훈련됩니다.

Since Aristotle, the issues of how to evaluate and certify expertise and the tension between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skill have remained. The level of expertise of practitioners has been monitored and credentialed by guilds and more recently by professional organizations.8 In the United States, students typically require a general education, such as a college education, before they can be admitted to study at professional schools. Following primarily theoretical training at professional schools, graduates are trained as apprentices to experienced practitioners until they earn the credentials to practice independently.


일반적인 이론 지식전문 기술의 구분에 따라, 초기의 전통적인 기술 및 전문 기술 모델은 개발 단계를 구분합니다. 첫 번째 단계 (초보자)는 교사의 지시에 따라 규칙과 절차를 단계적으로 적용합니다. 경험이 늘어남에 따라 학생은 동일한 결과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생성 할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경험을 통해 개인은 전문가가 되어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Consistent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general theoretical knowledge and professional skill, early traditional models of skill and expertise9–13 distinguish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The first stage (novice) involves following the teachers’ instruction and applying rules and procedures step by step. With increasing experience, the student becomes more able to generate the same outcomes faster and more efficiently.  After extensive experience, individuals become experts and are able to respond rapidly and intuitively. 


차를 운전하는 것과 같은 일부 영역은 간단하며 거의 모든 초보자 [초보자]는 결국 우리가 전문가라고 부르는 수준에 도달 할 수 있습니다. 체스와 같은 좀 더 복잡한 영역에서는 최고 수준에 도달하는데 수십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전문가의 행동과 성과가 경험이 적은 개인보다 (모든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우월해야한다는 생각을 분명히 거부합니다.

Some domains, such as driving a car, are simple and ‘‘almost all novices [beginners] can eventually reach the level we call expert.’’11 In other more complex domains, such as telegraphy and chess, it may take decades to reach the highest levels.13,14 Some researchers even explicitly reject the idea that expert behavior and performance needs to be uniformly superior to less experienced individuals.11


1980 년대에 이르러, 축적된 지식, 광범위한 전문적 경험 및 동료 지명을 기반으로 한 expertise의 정의에 대한 비판이 늘어났다. 광범위한 경험과 연장 된 교육을 갖춘 '전문가'가 덜 숙련 된 동료보다, 심지어 때로는 비서들보다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없는 수많은 경험적 사례가보고되었습니다 .17 초기 연구에서 보통의 의사들에 비해서 peer-nominate 된 최고 수준 의사들의 정확성이 더 높다는 것을 확립하지 못했습니다. 탁월한 수행 능력을 보이는 개인의 행동을 중재하는 인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경험의 누적으로 설명 될 수없는 복잡한 구조를 드러냈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에릭슨과 스미스 (Smith, 19)는 사회적으로 인정된 전문가의 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벗어나, 특정 영역에서 재현 가능한 우수한 성능을 연구하는 방향으로 연구 방향을 바꿀 것을 제안했다.

In the 1980s the definition of expertise based on accumulated knowledge, extensive professional experience, and peer nominations was becoming increasingly criticized. Numerous empirical examples were reported where ‘‘experts’’ with extensive experience and extended education were unable to make better decisions than their less skilled peers or even sometimes than their secretaries.17 Early studies were unable to establish superior accuracy of the peer-nominated best general physicians, when compared to a group of undistinguished physicians.15,16 In addition, examinations of the cognitive mechanisms that mediated the actions of individuals exhibiting consistently superior performance revealed a complex structure that could not be accounted for by a mere accumulation of experience and knowledge.19 In response to these criticisms, Ericsson and Smith19 proposed the redirection of research from studying the behavior of socially recognized experts toward the study of reproducibly superior performance in a given domain. 






전문성의 획득에 대한 과학적 연구

THE SCIENTIFIC STUDY OF EXPERT PERFORMANCE AND ITS ACQUISITION


우수한 수행능력에 관한 과학을 수립하는 것은 재현 가능한 경험적 현상의 축적으로 시작됩니다 .20 표준화 된 실험 조건 하에서 우수한 성능을 재현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Establishing a science of superior performance starts with the accumulation of a body of reproducible empirical phenomena.20 Methods for reproducing the superior performance under standardized and experimental conditions are thus needed.


전문가들은 매일 뛰어난 결정을 내리고 축구 선수는 결정적인 목표를 세우며 과학자들은 놀라운 발견을합니다. 그러나 어떤 행동이 독특한 상황이나 행운 때문인지, 아니면 안정된 우수한 능력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그리스인들은 특히 누가 가장 강한 지 또는 가장 빠른 지와 같은 군인의 행동 측면을 결정하는 데 관심이 있었으며 창 던지기 또는 원반 던지기를 가장 길게 던질 수 있습니다. 그리스인들은 표준화 된 행사로 운동 대회를 개발했습니다. 예를 들어, 달리기 선수는 자연 지형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달리는 대신 모든 주자와 구별 할 수없는 직선의 평평한 트랙을 만들었고 주자가 정확히 같은 시간에 출발하고 동일한 마무리 선을 통과하도록하는 고안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엘리트 수상자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있는 음악, 댄스 체스에서 경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 모든 영역에서 어떤 개인은 성취도가 낮은 개인보다 안정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보입니다. 일상적으로 유사한 작업을 수행하는 많은 전문가 그룹이 있습니다.

Every day, professionals make superior decisions;soccer players make the deciding goal, and scientists make amazing discoverie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know if a singular action was due to unique circumstances , luck, or a handle to stable superior ability such situations. The Greeks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determining aspects of soldiers’ performance, such as who is the strongest or the fastest and can throw a javelin or discus the longest. The Greeks developed athletic competitions with standardized events. For example, rather than having athletes run from one point to another in natural terrain, they built straight, flat tracks that were indistinguishable for all runners and devised methods to force runners to start at the exact same time and cross the same finishing line. More recently, there have emerged competitions in music, dance, and chess that have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s to identify the traditional elite winners. In all of these domains, individuals reliably outperform less accomplished individuals. There are many groups of professionals who, on a daily basis, perform similar tasks.



전문가, 음악가, 체스 마스터, 간호사 또는 의사는 새로운 작업 요구에 대응할 수 있어야합니다

  • 전문 연주자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준비로도 거의 언제든지 연주할 수 있어야 한다. 

  • 엘리트 선수는 경기가 악천후로 인해 몇 시간 또는 하루라도 지연 되더라도 경쟁 할 준비가되어 있어야합니다. 

  • 마찬가지로, 응급 의사 (EP)는 병원이나 고령자에게 고통받는 환자를 만날 수 있고 도움을 줄 수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An expert athlete, musician, chess master, nurse, or medical doctor is expected to be able respond to emerging task demands. 

  • It is part of the definition of an expert performer that they are able to perform at virtually any time with relatively limited preparation. 

  • Elite athletes must be ready to compete, even if the competition is delayed for a few hours, or even a day, because of bad weather. 

  • Similarly, an emergency physician (EP) is expected to be able and ready to help when they encounter a distressed patient in the clinic or even in public.


에릭슨 (Ericsson)과 스미스 (Smith)는 주어진 영역에서 전문 지식의 본질을 포착하기 위해 자연 발생적 사건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제안했다. 예를 들어 주치의의 의사 결정 및 의사 결정 과정에서 시나리오를 촬영하여 실제 임상 상황을 재현 할 수 있습니다.

Ericsson and Smith19 proposed how naturally occurring events can be used to capture the essence of expertise in a given domain. For example, it would be possible to re-create an actual clinical situation by filming a scenario from the responsible doctor’s perspective and decision-making process.


환자에게 해가되지 않는 하나 또는 몇 가지 적절한 조치가 있는 시나리오를 골라서, 의사의 행동과 의사 결정 및 시간 제한적 상황에서 필수 요소를 평가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사건를 고르는 선구자적인 작업은 Groot21이 체스 영역에서 도입했습니다. 드 그 루트 (De Groot)는 체스 마스터들 사이의 게임에서 결정적 상황을 추출한 다음 체스 플레이어가 관련 위치를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통제된 실험실 상황을 설정했습니다 (그림 1 참조).

By selecting scenarios where there is only one or a couple of appropriate actions that are not detrimental to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doctor’s actions and decisions and their ability to assess the essential factors in the time-constrained situation. The pioneering work of selecting critical events was introduced by de Groot21 in the domain of chess. De Groot extracted critical situations in games between chess masters and then set up a controlled laboratory situation where chess players were sequentially presented with the associated positions (see Figure 1).



또 다른 예로, 타이핑에 대한 전문 기술이 어떤 자료에서도 일반화되어야하기 때문에 모든 타이피스트는 동일한 텍스트를 제공하여 가능한 한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해야합니다. 그림 1의 마지막 예는 악보를 읽는 기술을 보여 주며, 반주자는 음악을 제공 받고 미리 준비 할 기회없이 가수와 동행하도록 요청합니다. 음악 악보에서 가능한 한 많은 음을 정확하게 연주 할 수 있는지가 숙련된 반주자와 다른 피아니스트를 구별해주는 능력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체스, 골프 및 스크래블 (Scrabble)의 토너먼트 성과와 같이 실제 상황에서의 수행능력과 높은 상관 관계를 갖는 능력을 한 시간 내에 평가할 수있는 표준화된 테스트 상황이 다수 개발되었습니다. 음악 경연 대회에서의 공연; 의료 진단 등등.

In another example, since expertise in typing should generalize to any material, all typists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text to type as fast and accurately as possible. The final example given in Figure 1 illustrates the skill of sight reading, where an accompanist is presented with a sheet of music and asked to accompany a singer without having a chance to prepare in advance. The ability of accurately playing as many notes as possible from the music score is what differentiates skilled accompanists from other pianists. Over the past few decades, standardized test situations, where performance can be assessed within an hour, have been developed that are highly correlated to real-world performance, such as tournament performance in chess, golf, and Scrabble; performance in music competitions; and medical diagnosis.23–25


이러한 발견은 어떤 영역에서의 전문성에는 근본적인 요인이 존재한다는 가설과 일치하며, 대부분의 과제는 난이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26 전문 분야의 많은 분야에서 난이도에 따른 순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이브는 난이도 점수가 주어지며 음악은 숙달 전에 요구되는 학습 년수로 평가됩니다.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n underlying factor of attained expertise in a domain, where the majority of the tasks can be ordered on a continuum of difficulty.26 In many domains of expertise, there is a rank ordering of difficulty for mastery of different tasks. For example, dives are given a difficulty score, and music pieces are rated in the number of years of study required before mastery.



요약하면, 주어진 영역에서 전문 기술의 핵심을 포착하는 대표 작업을 식별한다면, 이것을 가지고 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통제되고 표준화된 조건하에 모든 참가자에게 시행될 수 ​​있다.

In sum, a collection of representative tasks that capture the essence of expertise in a given domain may be identified and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under controlled and standardized conditions to objectively measure performance.




우월하고 반복적으로 생산가능한 전문 능력의 습득

THE ACQUISITION OF SUPERIOR REPRODUCIBLE (EXPERT) PERFORMANCE


개별 성과를 측정 할 수 있게 되면, 시간에 따른 발달 경과를 측정하고 전문 지식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일반화되는 몇 가지 특성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23,24,27 일부 영역에서는 훈련을 마친 후 수년간의 전문적인 경험을 쌓는다고 해서 성능에 있어 눈에 띄는 개선이 없기도 하다. 예를 들어, 심장 소리 진단의 정확성과 간호사 및 일반 의사의 다양한 유형의 측정 가능한 활동은 전문적인 경험의 함수로서 향상되지 않으며 때로는 졸업 후 성능이 점차적으로 감소합니다 .28-30 반면에 많은 전통적인 도메인 예술 및 과학, 게임 및 스포츠와 같은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수십 년 동안 계속 된 개선을 보여줍니다.

Once we are able to measure individual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time course of improvement and identify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generalize across different domains of expertise.23,24,27 In some domains there is no demonstrable improvement in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after completed training. For example, the accuracy of diagnosis of heart sounds and many types of measurable activities of nurses and general physicians do not improve as a function of professional experience, and sometimes the performance even gradually decreases after graduation.28–30 In contrast, many traditional domains of expertise, such as arts and sciences, games, and sports, demonstrate improvements that continue for decades.


다양한 도메인의 분석을 기반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일관된 성능 수준 패턴 (그림 2)이 관찰되었습니다. 27 성인에게 동일한 균일한 표준을 사용하면 성능이 갑자기 향상되지 않고 시간에 따른 변화가 점차적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전문가가 일반적으로 최대 성과에 도달하는 연령은 예술과 과학 분야에서 30대~40대이며, 스포츠에서는 다소 앞당겨집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재능있는 사람은, 심지어 "가장" 재능있는 사람이라하더라도 확립 된 스포츠, 과학, 예술 분야에서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약 10 년의 intense involvement이 필요합니다 .13,31 대부분의 엘리트 개인은 그 수준에 도달하는 데 상당히 오래 걸립니다. 어떤 활동을 수년 또는 수십 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은, 높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경험의 중요한 역할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입니다.

Based on an analysis of many different domains, consistent patterns of performance level over time (Figure 2) have been observed.27 When the same uniform adult performance standards are used, abrupt improvements in performance do not occur, and changes over time are gradual. In addition, the age at which experts typically reach their peak performance is in the third and fourth decades for the arts and sciences and somewhat earlier for vigorous sports. Finally, all performers, even the most ‘‘talented,’’ need around 10 years of intense involvement before they reach an international level in established sports, sciences, and arts.13,31 Most elite individuals take considerably longer to reach that level. The necessity for years and even decades of required engagement in domain-related activities is the most compelling evidence for the crucial role of experience required to attain high levels of performance.


개선 된 훈련 방법과 실습 기간의 필요성에 대한 가장 좋은 증거는 역사적인 비교에서 나온다 .24) 역사적인 시간에 달성 된 성과 수준의 가장 극적인 증가는 스포츠에서 발견된다. 마라톤이나 수영 경기와 같은 대회에서는 오늘날의 많은 심각한 아마추어들이 과거의 금메달 수상자를 쉽게 이길 수있었습니다.

Some of the best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improved training methods and expanded practice durations comes from historical comparisons.24,27 The most dramatic increases in the level of attained performance over historical time are found in sports. In competitions such as the marathon and swimming events, a large number of today’s serious amateurs could easily beat the gold medal winners of the past.




단순 경험 vs 숙고하는 연습

MERE EXPERIENCE VERSUS DELIBERATE PRACTICE


한편으로는 많은 전문 분야에서 경험과 객관적인 성과 사이의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높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년간 혹은 수십 년 간의 풀 타임 참여의 필요성을 조정하기 위해, 제 동료와 나는 성과 개선에 필요한 도메인 관련 활동을 파악하고 이를 의도적인 실행 (DP)으로 분류했다.

To reconcile the virtual absence of a relation between amount of experience and objective performance in many professional domains on the one hand, and the necessity of many years or even decades of full-time engagement in training for reaching high levels of performance, my colleagues and I31 tried to identify those domain-related activities necessary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classified them as deliberate practice (DP).


기술 습득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우리는 연습이 성과 개선과 일정하게 관련되어있는 일련의 조건을 확인했습니다. 개인이 

  • 1) 잘 정의 된 목표를 가진 과제를 부여 받았을 때, 

  • 2) 개선 동기가 있을 때, 

  • 3) 피드백이 제공될 때, 

  • 4) 반복적인 성과 및 점진적 개선을위한 충분한 기회가 제공되었을 때 

...성과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현재 수준을 넘어선 성과를 향상시키려는 의도적인 노력은 집중을 요구하며, 종종 문제 해결과 더 나은 업무 수행 방법을 필요로합니다.

Based on a review of research on skill acquisition, we31 identified a set of conditions where practice had been uniformly associated with improved performanc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erformance were realized when individuals were 1) given a task with a well-defined goal, 2) motivated to improve, 3) provided with feedback, and 4) provided with ample opportunities for repetition and gradual refinements of their performance. Deliberate efforts to improve one’s performance beyond its current level demands full concentration and often requires problem-solving and better methods of performing the tasks.31


  • 사람들이 새로운 직업, 스포츠 또는 게임과 같은 익숙하지 않은 활동을 하게 되면, 그들은 충분히 빨리 반응하지 못하거나 기능적 조치를 취할 수없는 상황에 자주 접하게되고 명백한 실패가 발생합니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은 연습, 문제 해결, 시행 착오 또는 감독자, 교사 또는 동료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대응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경험이 더 많아지면 그림 3의 하단에 나와있는 것처럼 (전문 기술 및 기술 습득의 전통적인 이론과 같이) 작고 적은 노력으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있게됩니다.

  • When people are introduced to an unfamiliar domain of activity, such as a new job, sport, or game, they frequently encounter situations where they cannot react fast enough or where they are unable to produce functional actions, resulting in obvious failures. 

  • Over time, they are able to figure out adequate responses by practice, problem-solving, and trial-and-error or with help from supervisors, teachers, or colleagues. 

  • With further experience they become increasingly able to generate rapid adequate actions with less and less effort—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theories of expertise and skill acquisition11,12 as is illustrated at the lower arm in Figure 3.


일부 제한된 훈련과 경험(레크리에이션 활동, 스키, 테니스, 자동차 운전과 같은 대부분 경우에는 50 시간 미만이 필요함)을 통해 개인의 성과는 일반적인 상황의 요구에 맞춰지고, 점점 더 자동화되고, 행동의 양상에 대한 의식적인 통제를 잃고, 더 이상 구체적인 의도적 인 조정을 할 수 없습니다예를 들어, 사람들은 신발 끈을 묶는 방법이나 의자에 서서 일어서는 방식이 automated 되어있다. 수행능력이 automate되어 손쉬운 실행 수준에 이르면, 추가적인 경험은 행동의 정확성을 향상시키지 않으며, 조정 메커니즘의 구조를 다듬지 않는다. 그 결과, 결과적으로 경험이 더 누적되더라도 더 높은 수준의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다.


After some limited training and most experience—frequently less than 50 hours for and such as recreational activities, skiing, tennis, driving a car—an individual’s performance is adapted to the typical situational demands and is increasingly automated, and they lose conscious control over their aspects of behavior and are no longer able to make specific intentional adjustments. For example, people have automated how they tie their shoelaces or how they stand up from sitting in a chair. When performance has reached this level of automaticity and effortless execution, additional experience will not improve the accuracy of behavior nor refine the structure of the mediating mechanisms, and consequently, the amount of accumulated experience will not be related to higher levels of performance.



이와 대조적으로 aspiring한 전문가는 DP를 활용하여, 더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킵니다. 더 높은 수행능력을 목표로 하는 전문가의 핵심 과제는 자동 성과 관련된 arrested development 을 피하는 것입니다. 이 개인들은 의도적으로 새로운 목표와 높은 성과 기준을 적극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자동화 성향을 중화해야 한다. 그림 3의 상단 부분에 표시된 것처럼 속도, 정확성 및 행동 제어를 향상시켜야합니다. 현재의 안정적인 성과 수준을 초과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는 의식적으로 훈련 상황을 구성하고 찾아내야 한다.

In direct contrast, aspiring experts continue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more experience because it is coupled with DP. The key challenge for aspiring expert performers is to avoid the arrested development associated with automaticity. These individuals purposefully counteract tendencies toward automaticity by actively setting new goals and higher performance standards, which require them to increase speed, accuracy, and control over their actions, as is shown in the upper arm of Figure 3. The experts deliberately construct and seek out training situations to attain desired goals that exceed their current level of reliable performance.


DP가 가장 명확한 경우는 어린이 또는 청소년이 최근 스포츠, 노래 또는 음악 악기 연주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발견됩니다. 많은 "재능있는"학생들은 부모님이나 코치들에 의해 전문 교사를 만나고 현재의 수행 수준을 평가할 수있는 기회를 갖기 시작하고, 성과의 특정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활동을 설계하도록 권장받을 것입니다. 이 경우 학생들이 이전에 실적 능력 범위를 벗어난 보다 높은 목표 실적에 도달 할 수 있다면, 성과가 매주 매주 향상될 것이 분명합니다.

The clearest cases of DP are found when children or adolescents have recently gotten involved in active participation in sports, singing, or playing a music instrument. Many of the more ‘‘talented’’ will be encouraged by their parents or coaches to start seeing a professional teacher, who can assess their current performance level and design training activities to improve certain aspects of performance. In these cases, it will be obvious that performance has improved from one week to the next if the students are able to reach a higher target performance, which had previously been outside the range of their performance ability.


수년간의 일상적인 실천 끝에, aspiring 전문가들은 자신의 수행 능력을 모니터 할 수있게 되며, 이로서 교사와 코치의 평가 활동을 자신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것들은 대표적인 상황에서 성과를 모니터 할 수있는 통제력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을 획득하고 개선하여 개선 가능한 측면뿐만 아니라 오류를 식별한다. 전문가 적 연구에서 이러한 복잡한인지 메커니즘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있다. 예를 들어, 체스 마스터는 체스 위치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체스 말이 제거되어도 체스 보드에있는 모든 조각의 위치를 ​​사실상 완벽하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가 적절한 도전 과제를 수행 할 때, 그들의 행동이 인지적으로 중재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습니다 .23

After years of daily practice, the aspiring expert performers become able to monitor their performance so they can start taking over the evaluative activity of the teacher and coach. They acquire and refine mechanisms that permit increased control, which allow them to to monitor performance in representative situations identify errors as well as improvable aspects.23,24 There is compelling evidence for these complex cognitive mechanisms from studies in expert performance. For example, chess masters can select the best move for a chess position. When the chess position is removed, they are able to report their thoughts and also recall the locations of all the pieces on the chess board virtually perfectly. When expert performers are working on appropriately challenging tasks, there is compelling evidence that their actions are cognitively mediated.23


전문가가 acceptable한 기술 수준에 도달하면, 그 때부터는 더 많은 경험만으로 향상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테니스 선수는 더 많은 게임을하면서 테니스의 백핸드 발리슛을 향상시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테니스 코치는 DP에 기회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코치가 상대적으로 쉬운 발리를 놓을 수 있고, 다음으로 예측할 수없는 어려운 발리를 놓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나중에 백핸드 발리와의 시합을 정규 게임 컨텍스트에 통합 할 수 있습니다.

Once a professional reaches an acceptable skill level, more experience does not, by itself, lead to improvements. For example, tennis players will not improve their backhand volley in tennis by playing more games. However, a tennis coach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DP. Initially, the coach can place relatively easy volleys, followed by increasingly unpredictable and difficult ones, and then later, integrate rallies with backhand volleys into regular game contexts.


어떻게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행동을 계획하고 선택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까? 체스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세계 최고의 선수들 간의 체스 토너먼트에서 공개 된 게임을 연구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How is it possible to improve one’s ability to plan and select the best action in a given situation? Chess players typically solve this problem by studying published games from chess tournaments between the very best players in the world.


마찬가지로 외과의, 일반 의사 및 EP가 만나는 의료 사건에 대한 authentic information를 수집 할 수 있어야합니다. Hindsight의 도움을 얻어서, original 환자의 만남을 재현하고, 시간의 제약이 있는 상황에서 치료 결정을 내리고, 이 결정을 전문가 의사의 의사 결정과 비교함으로써 즉각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어야합니다.

Similarly, it should be possible to collect authentic information about medical cases encountered by surgeons, general physicians and EPs. With the benefit of hindsight, it should be possible to recreate the original patient encounter in a time-constrained context and have the aspiring expert doctor make treatment decisions and get immediate feedback by comparing their decisions with those of expert physicians.


타이핑을 통해 DP를 통해 수행 속도가 얼마나 빨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35 대학생의 일일 타이핑 양은 테스트 중 현재 타이핑 속도와 본질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중요한 발견은 타이핑 속도를 높이기위한 특수 교육 및 노력이 달성 된 타이핑 속도를 예측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개인은 집중력을 유지할 수있는 한 자신을 밀어서 타이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Extensive research on how speed of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through DP has been conducted on typing.35 The amount of daily typing by college students is essentially unrelated to current typing speed during a test. The key findings are that special training and efforts to increase typing speed are predictive of the typing speed attained. More generally, individuals can improve typing speed by pushing themselves, as long as they can maintain full concentration.


여러 연구와 리뷰 23,24는 DP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독방 활동의 양과 질 사이의 일관된 관계와 광범위한 전문 분야의 성과를보고합니다. 국제 대회에서 우승 할 수있는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영역에서 10,000 시간 이상의 DP를 수행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Several studies and reviews23,24 report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and quality of solitary activities meeting the criteria of DP and performance in a wide range of domains of expertise. To reach a level where one can w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it is estimated that over 10,000 hours of DP have been generated for several domains.




직관에 의존 vs 도전적 과제에서의 DP

PROFESSIONAL EXPERTS’ RELIANCE ON INTUITION VERSUS DP WITH CHALLENGING CASES



전문가는 자신의 사고 프로세스 및 발생 상황의 중요한 측면을보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문가가 직감을 사용한다는 주장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일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때 전문가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그들은 단지 하던대로 할 뿐이다.'

Expert performers are able to report their thought processes and critical aspects of the encountered situations.23,24 This seems to be inconsistent with the claims for experts’ use of intuition: ‘‘When things proceed normally, experts don’t solve problems and don’t make decisions, they do what normally works.’’11 


감기 나 독감에 걸린 성인을 치료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상황은 거의 모든 사람이 성공적으로 처리 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수행자가 다른 의료 서비스 제공 업체보다 더 큰 치료 성공률을 보이지 않습니다.

Common situations, such as treating an otherwise healthy adult for a cold or flu, can be handled successfully by virtually anyone, and expert performers would not be expected to demonstrate greater treatment success than other medical service providers.


전문가의 성과 접근법에 따르면, 우리는 성과에있어 신뢰할 수있는 개인차를 가지고 어려운 과제 상황을 연구해야합니다. Challenging한 환자에 대해서는, 어떤 의사보다 우수한 치료 결과를 제공하는 전문가가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가의 성과 중 일부는 (전문의 자격증과 같은) 표준을 높이기 위해 동기 부여되는 특수 교육 및 실무와 연계 될 수 있습니다 .30

According to the expert performance approach, we need to study challenging task situations with reliable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formance. For these types of challenging patients, there are professionals who provide treatments with superior outcomes than their colleagues. Some of these professionals’ performance can be linked to special training and practice motivated by increased standards, such as certification in specialties.30


사람들이 전문적인 활동, 공연, 경쟁에 관여 할 때, 우선순위는 높은 수준의 수행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습이나 훈련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연주자가 어떤 단계에서 실수를 하더라도, 대중 음악 공연 중에 연주를 중지 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전문가는 우선 하던 것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조정을 함으로써, 실수의 인식 가능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위한 기회를 최대화해야 합니다. 

When people are engaged in professional activities, public performances, and competitions, it is difficult to engage in learning and training because the priority is on performing consistently at a high level. Even if an individual is aware of a mistake or a failed step, it is not possible to stop the ongoing activity during a public music performance. Instead, the professionals need to proceed and make any necessary adjustments to minimize the perceptible effects of the disruption and maximize the chances are for a successful overall outcome. 


수술과 같은 의학 영역에서는 실수로 인해 즉각적인 해결이 필요한 관찰 가능한 결과가 발생합니다. 흥미롭게도, 수술에서는 수행 능력의 향상이 특정 수술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는 증거가있다 .29,38

There some medical domains, such as surgery, where mistakes lead to observable consequences that need to be immediately addressed. Interestingly, in surgery there is evidence for improvements in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surgeries of a given type.29,38



실시간 요구가 있는 전문적인 환경에서는, 실수가 어떻게 발생했는지, 비슷한 미래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반성해보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진행중인 활동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다른 경우, 전문가들은 수술 중 수술 중 내 출혈과 같은 문제를 알 수 있습니다.

In a professional environment with real-time demands,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wait until the end of ongoing activity before one is able to reflect on how the mistake happened and what could be changed to avoid a similar, future problem. In other cases, the professionals may notice the problem, such as internal bleeding in surgery, during the activity.


시뮬레이션과 재창조 된 오래된 사례를 기반으로 한 이상적인 학습 환경에서, 수행자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기 전에 완전히 휴식을 취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습니다. 성과 측정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학생들과 advanced performers는 현재의 능력 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의 케이스를 제공받아야 한다.

In an ideal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simulations and re-created old cases, performers can wait until they are fully rested before confronting challenging situations. Based on our discussions of measurement of performance, students and advanced performers should be presented with cases just above their current level of ability.



최상의 교육 상황은 즉각적인 피드백, 성찰, 수정 기회가 제공되는 short duration의 활동에 집중한다. 각 연습을 마치고 나면, 그 뒤에 이어서 비슷한 유형의 작업을 일관되게 성공할 때까지 피드백이 있는 유사한 간단한 연습이 뒤따라야합니다. 이 숙달의 시점에서, 활동은 더 복잡한 문맥에 포함되어야하고 기술이 수행자의 레퍼토리에 통합 될 때까지 다른 유형의 경우와 번갈아 가야합니다.

The best training situations focus on activities of short duration with opportunities for immediate feedback, reflection, and corrections. Each completed trial should be followed by another similar brief task with feedback, until this type of task is completed with consistent success. At this point of mastery, the activity should be embedded in more complex contexts and alternated with other types of cases until the skill has been integrated in the performer’s repertoire.



CONCLUSION


재현 가능한 우수한 (전문가) 성능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최근 발전을 기반으로, 우리는 광범위한 경험, 일반 교육 및 도메인 관련 지식으로 인해 우수한 성능이 자동으로 개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탁월한 성능을 위해서는 성능의 실행, 모니터링, 계획 및 분석을위한 복잡한 통합 시스템 표현을 수집해야합니다. 그러므로 교육자는 기술 발전 단계에서 주어진 개인에게 적합한 DP를위한 훈련 기회를 창출해야한다. 그런 다음 달성 된 변경 사항이 대표 성과에 성공적으로 통합 될 수 있도록 성능의 특정 측면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Based on recent advances in the scientific analysis of reproducibly superior (expert) performance, we know that superior performance does not automatically develop from extensive experience, general education,and domain-related knowledge. Superior performance requires the acquisition of complex integrated systems of representations for the execution, monitoring, planning, and analyses of performance. Educators should therefore create training opportunities for DP, appropriate for a given individual at given level of skill development. Performers may then make the necessary adjustments to improve specific aspects of performance to assure that attained changes will be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representative performance. 














 2008 Nov;15(11):988-94. doi: 10.1111/j.1553-2712.2008.00227.x. Epub 2008 Sep 5.

Deliberate practice and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a general overview.

Author information

1
Department of Psychology Florida State University, Florida, Tallahassee, FL, USA. ericsson@psy.fsu.edu

Abstract

Traditionally, professional expertise has been judged by length of experience, reputation, and perceived mastery of knowledge and skill. Unfortunately, recent research demonstrates only a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icators of expertise and actual, observed performance. In fact, observed performance does not necessarily correlate with greater professional experience. Expert performance can, however, be traced to active engagement in deliberate practice (DP), where training (often designed and arranged by their teachers and coaches) is focused on improving particular tasks. DP also involves the provision of immediate feedback, time for problem-solving and evaluation, and opportunities for repeated performance to refine behavior. In this article, we draw upon the principles of DP established in other domains, such as chess, music, typing, and sports to provide insight into developing expert performance in medicine.

PMID:
 
18778378
 
DOI:
 
10.1111/j.1553-2712.2008.00227.x
[Indexed for MEDLINE] 
Free full text


보건인력교육(HPE)에서 학습커브(Acad Med, 2015)

Learning Curv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rtin V. Pusic, MD, PhD, Kathy Boutis, MD, MSc, Rose Hatala, MD, MSc, and David A. Cook, MD, MHPE





학습 곡선은 학습 노력 (예 : 반복 또는 소요 시간, 아래 "X 축의 유효성 : 노력, 경험 또는 실제 측정"참조)과 결과 학습 결과 간의 관계를 그래픽으로 보여줍니다. 이 개념은 워낙 널리 활용되어서, 교육자들조차 구체적인 그림을 언급하지 않고서도 학습 프로세스를 묘사할 때 사용한다(예: 가파른 학습커브). 학습 곡선과 텍스트 설명자에 깔려 있는 것은 기본적인 심리학적 진리로서 여기에는 중대한 교육적 함의가 있다.

  • 연습은 성과를 향상시키고, 우수 실행은 성과를 더욱 향상시킵니다.

  • 충분한 연습은 높은 수준의 성취로 이어집니다.

  • 가장 극적인 학습은 학습 과정 초기에 발생한다.

Learning curves graphical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ffort (e.g., repetitions or time spent; see also “Validity of the x-axis: Measurement of effort, experience, or practice” below) and the resultant learning outcomes.1–3 The concept has become so ubiquitous that educators often use the term when describing learning processes (e.g., “a steep learning curve”) without necessarily referring to a specific figure. Underlying the learning curve and its text descriptors are fundamental psychological truths that have important educational implications: 

  • Practice improves performance, and good practice improves performance even more; 

  • sufficient practice leads to high levels of achievement; and 

  • the most dramatic learning occurs early in the learning process.2,4


학습 곡선의 개념은 좁은 심리적 적용을 넘어서는 잠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많은 이유들로 인해, 교육자들이 보건 전문가들의 학습 곡선을 새로이 살펴볼 때가 있습니다.

  • 첫째, 그리고 아마도 가장 강력한 이유는, 발달 이정표와 역량 평가를 결합하는 ACGME의 최근 강조는 자연스럽게 학습 곡선을 포함하여 개별 역량 기반 측정법을 선호한다는 것입니다.

  • 둘째, 학습 곡선은 Deliberate Practice (DP)를 통해 습득 한 학습을 ​​적절히 나타내며, DP는 효과적인 학습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셋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자 별 정보가 점진적으로 수집되면 학습자의 성장을 추적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학습 곡선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학습 곡선의 정량적 분석을 가능하게하는 분석 기법인 다단계 데이터 모델링이 전문적인 연구 기법에서 교육자들도 이용할 수 있는 기법이 되었다.

The concept of the learning curve holds potential value far beyond a narrow psychological application. For a number of reasons, the time is right for educators to take a fresh look at the use of learning curves in the health professions. 

  • First, and perhaps most compelling, the recent emphasis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on pairing competency assessments with developmental milestones naturally favors individualized competency-based metrics,5 potentially including learning curves. 

  • Second, learning curves aptly represent the learning acquired through deliberate practice, which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6 

  • Third, the longitudinal collection of increasingly granular, learner-specific information in computer databases facilitates tracking learner growth over time, a process that is naturally represented as a learning curve.7 

  • Finally, multilevel data modeling, an analysis technique that enables quantitative analysis of learning curves, has graduated from a specialized research technique to one accessible to educators.8


이 논문의 목적은 건강 전문가 교육자가 학습 곡선을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교육, 평가 및 연구 활동을 향상시킬 수있게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학습 곡선의 해부학과 교육자에게 유용한 특성을 설명합니다. 그런 다음 모든 평가에 대한 중요한 고려 사항 인 유효성과 학습 곡선에 대한 보완책을 논의합니다. 또한 그래프 곡선을 사용하는 방법과 그 정량적 및 정 성적 평가 또는 분석 방법에 대한 개요를 설명합니다. 우리는 학습 곡선에 대한 가능한 건강 전문 직업을 논의하고, 교육 및 교육 연구에서의 유용성을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잠재적 함정에 대해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nable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to enhance their teaching, assessment, and research activities by using learning curves more effectively. We first describe the anatomy of a learning curve and its useful properties for educators. We then discuss validity, which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all assessments but is especially complicated for learning curves as they entail three separate components, each of which requires separate consideration. We subsequently describe how to graph learning curves, followed by an outline of an approach to thei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r analysis. We discuss possible health professions applications for learning curves, highlighting their usefulness in instruction and education research. Finally, we end with a brief review of potential pitfalls.






학습 곡선의 해부학

Anatomy of a Learning Curve



일반적으로 학습 (또는 퍼포먼스)과 노력 (그림 1에서 DP) 간의 관계는 선형 적이 지 않습니다. 전통적으로, 학습 곡선은 학습 과정 중에 피험자 (이하 "학습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학습 속도 (또는 기울기)가 변함을 나타내는 과도한 또는 S 자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1,3,9 

예를 들어 소아 발목 방사선 사진을 해석하여 배란이 가능한지 알아 보는 경우를 보자.1 일반인이라도 일부 방사선 사진을 올바르게 해석 할 수 있으므로 기준 성능 (일반적으로 y- 절편으로 표시)은 일반적으로 0에서 시작하지 않습니다. 실습을 통해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사례의 성능이 향상되는 동안 학습자가 도메인의 요소에 익숙해지는 동안 "잠재 된"단계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 "이 연조직 종창이 발생합니까?" "성장판 또는 골절?").

We show a generic learning curve in Figure 1.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 performance) and effort (or, in Figure 1, deliberate practice) is not linear. Classically, the learning curve can take the form of an ogive or S-shape indicating that the learning rate (or slope) varies as the location of the subject (hereafter “learner”) chang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1,3,9 

As an example, consider learning to interpret a pediatric ankle radiograph wherein the task is to look for a possible fracture.1 Because even a layperson can interpret some radiographs correctly, baseline performance (indicated by the y-intercept) will usually not start at zero. With practice, the learner might typically show a “latent” phase during which performance on cases hardly improves while the learner becomes familiar with the elements of the domain (“Does this soft-tissue swelling count?” “Is that a growth plate or a fracture?”). 


학습 곡선의 급격한 상승 경사에 의해 입증되듯, 학습자가 기본 사항을 배웠으면 성능이 대폭 향상됩니다. 이 성장 단계에서 학습 효율성은 극대화됩니다. 즉, 학습자는 반복 할 때마다 학습에서 상당한 이득을 보입니다. 그러나 학습의 속도는 결국 속도가 느려지고 굴곡이 발생합니다. 학습 된 모든면에서 성능이 동등하게 향상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즉, 일부 작업은 배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4 

발목 방사선 사진의 예에서 일부 골절은 더 드물고, 지각하기가 어렵거나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어렵 기 때문에 더 많은 반복이 필요합니다 그들을 배우기. 곡선은 주어진 학습 환경에서 달성 할 수있는 최대 성능을 나타내는 점근선에 점차적으로 접근합니다.

Once the learner has learned the basics, his or her performance usually improves rapidly as evidenced by an acute upward slope in the learning curve. During this growth phase, learning efficiency is maximal; that is, the learner shows significant gains in learning with each repetition. However, the rate of learning eventually slows, causing an inflection, because not all to-be-learned aspects of a task improve performance equally. In other words, some of the tasks are not as easy (or hard) to learn.4 

In the ankle radiograph example, some fractures are more rare, are harder to perceive, or are inherently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so it takes more repetitions to learn them. The curve gradually approaches an asymptote that represents the maximal performance achievable in the given learning context.10


학습 곡선은 개별 학습자를 위해 만들거나 함께 평균하여 학습자 그룹 간의 학습 성과의 주요 특징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1 우리는 그룹 곡선과 달리 개별 곡선의 해석에는 별도의 고려 사항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학습 곡선 그래프 및 학습 곡선 분석 섹션을 참조하십시오.

Learning curves can be created for an individual learner or averaged together to estimate key features of learning performances among a group of learners.1 We emphasize that separate considerations apply to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curves as opposed to group curves, as we discuss below in the sections entitled Graphing Learning Curves and Analysis of Learning Curves.




Figure 1

Figure 1



학습곡선의 타당도 근거

Evidence Supporting the Validity of a Learning Curve



학습 곡선이 유용한 평가 도구가되기 위해서는 교육자가 특정 평가 또는 학습 환경에서 학습 곡선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유효성 주장을 구성 할 수 있어야합니다 .11-13 그러나 학습 곡선에 대한 타당도 주장을하는 것은 척도에 대한 각각 하나의 세 가지 유효 인수가 만들어 져야한다는 사실 때문에 조금 복잡해진다

  • (1) 학습 척도 (y 축), 

  • (2) 노력 척도 (x 축), 

  • (3) y축과 x축이 어떻게 관련되느냐에 대한 척도 

. 이 절에서는 이들 각각을 차례로 살펴 보겠습니다.

For learning curves to be useful assessment tools, educators must be able to construct a validity argument to support the use of a learning curve in a particular assessment or learning context.11–13 However, making a validity argument for a learning curve is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in essence, three separate validity arguments must be made: one each for 

  • (1) the measure of learning (y-axis), 

  • (2) the measure of effort (x-axis), and 

  • (3) the measure of how they are related (linking function). 

In this section, we will consider each of these in turn.




Y축의 타당도: 학습의 척도

Validity of the y-axis: Measurement of learning


학습과 노력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학습 곡선을 위해서는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반응이 빠른 학습 측정이 필요합니다 .13 예를 들어, 그림 2는 Maastricht 대학의 네덜란드 의과 대학 학생에게 매년 2 회 진행되는 시험의 결과를 보여줍니다. 6 년 동안 의과 대학에서 학생들은 첫해에 약 10 %의 낮은 점수에서 졸업하고 평균 70 %의 졸업률을 기록 할 때까지 매년 약 10 %의 점수를 얻었습니다. 전체 의대 학교 커리큘럼에서 학습을 모델링하기 위해 교육자는 6 년 동안의 교육에서 볼 수있는 지식 향상을 균등하게 증대하는 결과 측정이 필요했습니다.

For a learning curve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effort, a valid, reliable, and responsive measure of learning is necessary.13 For example,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progress tests given twice annually to Dutch medical students at Maastricht University.14 We can see that over the six years of medical school, students progressed from a low score of approximately 10% in their first year and gained approximately 10% each year in their scores until at graduation they averaged 70%. To model the learning across the entir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e educators needed an outcome measure that, in equal increments, spanned the knowledge gain seen in six years of instruction.


평가 척도의 타당성에 대한 현재의 사고는 타당성이 가설로 여겨지는 패러다임을 촉발시킨다. 연구자는 그 척도가 원하는 학습의 올바른 반영이라는 가설 (문제의 소위 "construct")을 지지하거나 반박 할 증거를 수집합니다 .11-13 증거는 여러 출처에서 파생 될 수 있습니다 .11-13

  • 내용타당도는 일반적으로 엄격한 테스트 개발 단계를 보여주는 데이터로 구성됩니다 .12,15

  • 다른 변수와의 관계 타당도는 다른 독립적 인 점수들과 같은 다른 사실들과 수치들과 데이터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 응답 프로세스 타당도는 "실제로 수행 된 성과의 세부적인 성격(그리고 사고 프로세스)과 구조물 사이의 적합성"12,15을 말한다. 다시 말해, 방사선과 학습자는 모든 방사선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체계적으로 검사 했습니까? 아니면 실제로 임상 연습에서 용인되지 않는 방식으로 이미지 나 지역을 건너 뛰었습니까?


Current thinking on the validity of assessment measures invokes a paradigm in which validity is viewed as a hypothesis. Investigators collect evidence to support or refute the hypothesis that the measure is a valid reflection of desired learning (the so-called “construct” in question).11–13 The evidence can derive from multiple sources.11–13 

  • Content evidence typically comprises data showing rigorous test development steps.12,15 

  • Evidence of 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shows how data relate to other facts and figures, such as other independently generated scores.12 

  • Response process evidence explores the “fit between the construct and the detailed nature of performance [and thought processes] … actually engaged in”12,15; in other words, did the radiology learner systematically examine all of the radiograph images in their entirety, or did she skip images or regions in a way that would not be tolerated in actual clinical practice?


Figure 2

Figure 2



이전의 세 가지 유형의 증거는 학습 곡선의 y 축에 대해 다른 평가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마지막 두 가지 유형은 학습 곡선에 대한 특별한 고려 사항이 있습니다.

  • 내부 구조 타당도는 신뢰성, 요인 분석 및 항목 분석과 같은 "고전적인"정신 측정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학습 효과 곡선은 바닥 효과 (즉, 낮은 영역의 점수는 변동성이 감소 함) 또는 천장 효과 (즉, 높은 점수의 변동성이 감소)로 인해 왜곡되어 예상보다 Y 축을 따라 학습 곡선이 수직 압축(more shallow)되어 나타납니다.

  • 결과 타당도는 평가 행위의 의도되거나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평가하며, 여기에는 치료 또는 학생 배치에 대한 결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교육자들이 학습 곡선을 사용하여 어느 학생들이 off-track인지를 효과적으로 발견 할 수 있다면, 이는 유익한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Although these previous three types of evidence are not considerably different for the y-axis of a learning curve than for other assessments, the final two have particular considerations for learning curves. 

  • Evidence of internal structure comprises “classic” psychometric data, such a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Learning curves can become distorted in the presence of floor effects (i.e., scores at the low end of a performance scale have decreased variability) or ceiling effects (i.e., high scores have decreased variability), resulting in a learning curve that appears vertically compressed along the y-axis (more shallow) than would be expected. 

  • Consequences evidence evaluates the intended or unintended effects of the act of assessment, such as effectively guiding decisions about remediation or student placements. If educators can use learning curves to effectively detect earlier which students are off-track, then this would constitute evidence of (beneficial) consequences.



X축의 타당도: 노력, 경험, 연습의 척도

Validity of the x-axis: Measurement of effort, experience, or practice


많은 측정이 학습 ​​곡선의 x 축을 구성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척도는 반복 가능한 또는 시간 측정 또는 원하는 학습 결과와 관련이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타 활동입니다. 그러나 모델링 된 컨텍스트에 따라 "경험"또는 "연습"과 같은보다 일반적인 개념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림 2에서, 의대에서의 시간은 네덜란드 의대생을위한 척도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시간 만 사용하면, 임상 환경과 같이 모든 시간 "단위"가 같지 않은 경우 문제가 발생하거나 결과가 잘못 될 수 있습니다.

A number of measures can constitute the x-axis of a learning curve. Typically, the measure is a countable repetition or time measure or other activity that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desired learning outcome; however, more general concepts such as “experience” or “practice” are also 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being modeled. For example, in Figure 2, the amount of time in medical school is used as the measure for the Dutch medical students. Using time alone, especially in a clinical setting where not all time “units” are equal, can result in problems or invalid results. 


심전도 심전도 (ECG) 해석에서 특정 거주자는 일부 순환 (예 : 심장학) 중에 심전도 해석 (예 : 피부과)보다 심전도 해석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습득하게되며, 곡선은 혼란스러운 변화를 보여줄 것입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경과 시간을 구조를보다 정확하게 반영하는 조치 즉 모델링되는 학습 활동에 실제로 소요 된 시간 (내용 증거)으로 대체해야합니다. ECG의 경우, 측정 값은 학생이 본 ECG의 수가 되어야 한다.

In learning electrocardiogram (ECG) interpretation, a given resident will likely learn more about ECG interpretation during some rotations (e.g., cardiology) than in others (e.g., dermatology), and if months-in-training is used as the measure, the learning curve will show confounded changes in performance. Therefore, whenever possible, elapsed time should be replaced with measures that more accurately reflect the construct—namely, time actually spent in the learning activity being modeled (content evidence). For ECGs, this measure might be counts of the number of ECGs viewed.


학습 곡선은 종종 숙련이나 연습의 연습이나 반복이 항상 피드백을 포함하는 DP과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즉, 각 노출에는 고급 강사 또는 가이드의 의견이나 반응이 있습니다 .2 이러한 유형의 연습은 효과적이며, 전문가 수준의 의견을 반영하며,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Deliberate practice에서 타당한 척도는 반복 횟수를 정확하게 정의하고 포착할 수 있어야 하며, 학습자에게 피드백이 제공된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방법을 필요로합니다.

Learning curves are frequently used to represent the process of deliberate practice, wherein the practice or repetition of a skill or maneuver always includes feedback; that is, each exposure comes with comments or reactions from an advanced instructor or guide.2 This type of practice is effortful, incorporates expert-level feedback, and is available over an extended time period.2 For deliberate practice, a valid measure will require both a means to accurately define and capture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a way to ensure that feedback is available to the learner.


이 기사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x 축을 학습 노력learning effort의 척도로 언급 할 것입니다. 우리는 경험, 연습, 시간 또는 반복에 우선하여 일반적으로 이 용어를 선택했다. 왜냐하면 이러한보다 구체적인 용어는 맥락따라 달라질 수 있고, 적극적 참여의 개념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학생이 어떤 활동을 끝없이 반복 할 수도 있지만, 배우려고 노력하지 않는 한, 이것은 학습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학습 곡선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Throughout the rest of this article, we will refer to the x-axis as the measure of learning effort. We have chosen this admittedly general term in preference to experience, practice, time, or repetition because these other more specific terms can be context-bound and do not necessarily include the notion of active engagement (i.e., one might repeat an activity endlessly, but unless an effort is made to learn, this will not lead to learning or, therefore, a learning curve).







관련성의 척도

Measurement of association


학습과 노력의 유효한 척도 외에 세 번째 요소는 의미있는 학습 곡선을 만드는 데 필요합니다 : linking function. 이것은 x 변수 (노력)와 y 변수 (학습 또는 성능)를 연결하는 수학 방정식으로 정의됩니다. 연결 기능의 타당성은 학습과 노력 사이의 심리 측정 적 관계의 적합성과 잠재적 인 교란 요인을 고려할 수있는 정도에 달려 있습니다 .3 링크 기능은 학습 곡선 분석 섹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Besides valid measures of learning and effort, a third element is required to create a meaningful learning curve: the linking function. This is defined as the mathematical equation that links the x-variable (effort) to the y-variable (learning or performance). The validity of the linking function depends on the fit of the psych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and effort and the extent to which potential confounders can be taken into account.3 Linking func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the section entitled Analysis of Learning Curves.



학습곡선 그래프 그리기

Graphing Learning Curves



학습 곡선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의 타당도를 고려한 후에 학습 곡선의 시각적 표현을 생성하는 작업을 살펴 ​​보겠습니다. 주요 고려 사항에는 집단 평균과 개인차를 나타내는 방법과 학습 과제의 여러 차원을 표현하는 방법이 포함됩니다.

Having considered the validity of the data necessary to generate a learning curve, let us now turn to the task of generat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learning curves. Key considerations include how to represent group means and individual variation, and how to represent multiple dimensions of a learning task.


첫째, 그룹 학습 곡선은 그룹 평균과 변동성 지수를 모두 나타내야합니다. 분산 측정 (예 : 표준 편차)이 없다면, 단순히 그룹의 평균 점수가 불완전한 것처럼, 그룹의 실적을 반영하기위한 학습 곡선은 이상적으로 평균 곡선과 분산의 일부 표현을 모두 포함합니다. 그림 3은 234 건의 사례를 순차적으로 해석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받음으로써 발목 방사선 사진을 해석하는 것을 배우는 18 명의 대학원생 연수생의 이전에 발표 된 결과를 보여줍니다.

  • 패널 A는 18 가지 개별 학습 곡선을 보여 주며,

  • 패널 B는 18 명의 학습자 모두에 대한 평균 학습 곡선을 제공하고,

  • 패널 C는 95 % 신뢰 구간 (CI)과 함께 그룹의 평균 곡선을 보여준다.

First, group learning curves should represent both a group mean and some index of variability. Just as a simple group average score on a test is incomplete without a measure of variance (e.g., the standard deviation), a learning curve intended to reflect the performance of a group would ideally include both an average curve and some representation of variance. Figure 3 shows the previously published results of 18 postgraduate trainees learning to interpret ankle radiographs by serially interpreting 234 cases and receiving immediate feedback.1 Specifically, 

  • Panel A shows the 18 individual learning curves, 

  • Panel B provides the average learning curve across all 18 learners, and 

  • Panel C illustrates the mean curve for the group, along with the 95% confidence intervals (CIs).1 


그러나 CI는 집단 수준 곡선의 범위에만 적용됩니다 (즉, 연구를 반복 할 경우 집단 수준 평균 곡선의 95 %가이 범위에 속할 것으로 예상 됨). 즉, 이것은 그룹 평균을 구성하는 개인 곡선의 변동성이 아닙니다.

Note, however, that the CIs speak only to the range of group-level curves (i.e., if we repeated the study, 95% of the group-level average curves would be expected to fall within this range) and not the variability in individual curves that comprise those group averages. 


마지막으로, 그림 3, 패널 D는 중첩 된 18 개의 학습 곡선을 모두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전반적인 곡선이 학습 곡선 패턴을 잘 따르는 것을 볼 수 있지만 개별 학습자의 경로는 상당히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CI가 그룹 내 개인의 변동성이 아니라 가능한 평균 평균 그룹 수준 곡선의 범위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95 % CI로 경계 지어진 전체 곡선은이 변동성을 완전히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학습 곡선의 분산을 표현하기 위해 그림 3의 Panel D에서와 같이 중첩 된 개별 학습 곡선을 플로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Finally, Figure 3, Panel D presents all 18 learning curves, superimposed. This representation shows that, although the overall curve can be seen to nicely follow a learning curve pattern, the paths of individual learners vary considerably. Note that an overall curve bounded by a 95% CI would not completely represent this variability because the CI speaks only to the range of possible average group-level curves and not the variability of the individuals within the group. Thus, to represent the learning curve variance, we recommend plotting overlaid individual learning curves, as in Figure 3, Panel D.





Figure 3

Figure 3



학습 과제의 여러 차원 (예 : 정확도, 속도 및 신뢰도와 같은 다양한 지식 또는 기술 영역)에 대한 타당한 학습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면, 학습 곡선을 스태킹하여 고유 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16 그림 4는 다차원 학습 곡선. 이 예에서 x 축과 학습자 코호트는 세 개의 모든 누적 커브에 대해 동일하지만 각 y 축은 학습 태스크의 다른 차원을 나타냅니다.이 디스플레이는 학습 곡선에서 각 발달 단계의 비교를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 4는 그룹의 학생들이 정확도가 향상되는 속도가 느려지더라도 속도는 계속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반면 자신감은 시간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For situations in which valid learning curves are available for several dimensions of a learning task (e.g., different domains of knowledge or skill, such as accuracy, speed, and confidence), stacking the learning curves can yield unique insights.16 Figure 4 shows such a multidimensional learning curve. In this example, the x-axis and learner cohort are the same for all three stacked curves, but each y-axis represents a different dimension of the learning task.17 This display allows a comparison of the respective developmental stages in the learning curve. For example, Figure 4 shows that speed continues to improve even after students in the group have slowed in their improvements in accuracy, whereas confidence varies considerably over time.



학습 커브 분석

Analysis of Learning Curves

Figure 4

Figure 4


학습 곡선은 한 개인에 대해 계산되거나 많은 사람들에 대해 계산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술 분석은 개별 수준에서 사용되지만 일부 정량 분석이 가능합니다. 집단 수준에서, 집단이 충분한 수의 학습자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linking mathematical function를 사용하는 통계적 모델링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다단계 모델링 기술은 그룹 수준의 데이터가 개별 학습자에 대한 추정치를 알려주도록 보장합니다.

Learning curves can be computed for one individual or aggregated across many. In general, a descriptive analysis is used at the individual level, although some quantitative analyses are possible. At the group level, statistical modeling using a linking mathematical function is possible, assuming the group comprises a sufficient number of learners. Finally, multilevel modeling techniques hold promise in allowing group-level data to inform estimates for individual learners.



개인 수준 분석

Individual-level analyses


개인 수준 학습 곡선의 특징은 눈에 띄는 변화입니다. 그림 3.1의 패널 A의 학습 곡선을 다시 고려하십시오. 연수생이 취한 학습 경로의 넓은 이질성은 즉시 명백합니다. 각 연수생은 서로 다른 수준에서 시작하여 234 가지 사례를 통해 서로 다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차이가 줄어들었지만 서로 다른 능력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The hallmark of individual-level learning curves is their marked variability. Consider again the learning curves in Panel A of Figure 3.1 The wide heterogeneity of the learning paths taken by the trainees is immediately apparent. Each trainee started at different levels, progressed at different rates through the 234 cases, and finished with different abilities, albeit with decreased variance.


개별 곡선의 모양은 학습자의 경로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합니다.

    • 그들은 빨리 시작한 다음 퇴색 했습니까 (FL006)

    • 또는 stall 하고나서 발전에 실패했습니까 (RS006, RS001)?

    • 자격을 갖추지 못했거나 처음부터 자료를 배울 준비가되어 있었습니까 (FL009, RS002)?

    • 실제로 몇몇 학습자들은 곡선의 일부에 음의 기울기를 보였습니다 (FL004, FL006). 이는 학습 경험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 처음부터 능숙한 학습자는 학습 곡선이 평평하거나 심지어 감소 할 수도 있습니다 (FL004).

The shape of the individual curves provides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s’ paths through the material—

    • did they start off quickly and then fade (FL006) 

    • or stall and then fail to progress (RS006, RS001)? 

    • Were they not qualified or sufficiently ready to learn the material from the beginning (FL009, RS002)? 

    • Indeed, several learners had negative slopes to parts of their curves (FL004, FL006), which suggests that something was wrong with their learning experience. 

    • Learners who are proficient from the start might have flat or even decreasing learning curves (FL004). 

각 학습 곡선은 하나의 수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기반으로 한 학습 곡선보다 더 풍부한 학습자와의 대화를위한 기초가 될 수 있습니다.

Each learning curve could be the basis for a conversation with the learner that would be richer than one based on a single numerica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그룹 수준 분석

Group-level analyses


학습자 그룹 전반에 걸쳐 결과를 평균하면 그룹 수준의 학습 곡선이됩니다 (그림 3, 패널 B). 그러나 집단 평균 학습 곡선 관계는 개별 학습자 중 상대적으로 적은 수에 대해 유지됩니다. 그룹 학습 곡선의 유용성은 교육자가 개입이나 평가를 설계하는 데 제공하는 정보를 준다는 것에 있습니다. 그림 3, 패널 D는 그룹 레벨 학습 곡선과 함께 18 명의 방사선과 학습자 모두의 학습 곡선을 보여줍니다. 집단 수준의 학습 곡선은 고의적 인 연습의 이론에 근거하여 기대할 수있는 음의 지수 관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기울기)의 유형을 보여줍니다.

Averaging results across a group of learners results in a group-level learning curve (Figure 3, Panel B); however, the group average learning curve relationship holds for relatively few of the individual learners. The utility of the group learning curve lies in the information that it provides to the educator designing the intervention or assessment. Figure 3, Panel D shows the learning curves of all 18 radiology learners superimposed, along with the group-level learning curve. The group-level learning curve shows the type of negative exponential relationship (progressively decreasing slope) that we would expect on the basis of theories of deliberate practice.10 


비선형 회귀 기법을 사용하여 모델링 한 경우, 학습자 그룹의 학습을 최적화 할 책임이있는 교육자에게 유용한 매개 변수 추정치를 도출 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학습자는 50 %의 정확도로 시작합니다. 슬로프에서 우리는 학습이 처음 100 번 반복되는 동안 최대로 배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학습 개입에 대한 점근선 (온라인 사례 은행)은 누적 정확도가 72 %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

If modeled using nonlinear regression techniques, we can derive estimates of parameters that would be useful to an educator who has been charged with optimizing the learning of a group of learners. On average, the learners start with an accuracy of 50%. From the slope, we see that they learn maximally over the first 100 repetitions, after which learning becomes less rapid. The asymptote for this learning intervention (an online case bank) appears to be at a cumulative accuracy of 72%.1




연결 공식

Linking equations


보건 전문가 교육자가 학습 곡선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그룹 및 개인 수준의 raw 학습 곡선으로 학습을 유도하는 데 충분할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 잠재적 인 수학적 관계를 사용하여 개인 및 / 또는 그룹 학습 곡선에서 노력과 학습 간의 연결을 정량적으로 설명 할 수 있습니다 .3 연결 기능 또는 모델을 선택하는 것은 생물 의학 연구에서 수행 된 데이터 모델링과 유사한 프로세스입니다. 연구자들은 모델 "적합성 (goodness of fit)"에 대한 이론이나 측정 방법에 따라 반복적 인 과정에서 후보 모델을 시도합니다.

For the majority of situations in which a health professions educator would use a learning curve, the raw learning curves at the group and individual levels will suffice to guide learning as we have suggested; however, a number of potential mathematical relationships can be used to quantitatively describe the link between effort and learning in individual and/or group learning curves.3 Choosing a linking function or model is a process akin to data modeling performed in biomedical research, in which researchers try candidate models in an iterative process guided by theory or measures of model “goodness of fit.”18 


비록 학습이 소비 된 노력의 직접적인 선형 함수는 아니지만, 선형 모델 (y = a + bX 및 y는 성능의 측정 값이고, a는 시간 0에서의 초기 성능 수준이며, b는 학습 속도이며, X는 노력의 척도 임)는 효율적인 첫 번째 근사입니다. 그러나 선형 모델은 전문 지식 규모의 최상위 수준에서 제대로 유지되지 못합니다 (그림 5).

Although learning is rarely a direct linear function of the effort expended, the linear model (in which y = a + bX and y is the measure of performance, a is the initial level of performance at time 0, b is the rate of learning, and X is the measure of effort) is an efficient first approximation. However, the linear model holds poorly at the higher end of the expertise scale (Figure 5).


 대신에, power law (y = a + bX-c 및 c가 진행됨에 따라 학습에서 감속의 척도 임)에 기초한 모델은 전문가의 결론에서 "diminishing returns"현상을 더 잘 나타낼 수있다. 학습 곡선 (접근 점에 접근)에 따라, 투자 된 각 노력 단위는 성과 개선 측면에서 더 적은 이익을 반환합니다 2 (그림 5).

 Instead, models based on the power law (in which y = a + bX−c and c is a measure of deceleration in learning as it progresses) are better able to represent the phenomenon of “diminishing returns” in which, at the expert end of a learning curve (approaching the asymptote), each invested unit of effort returns a smaller benefit in terms of performance improvement2 (Figure 5).


다 계층 선형 모델링은 연구자와 교육자가 그룹의 행동을 기반으로 개인 수준의 추정치를 세분화 할 수있게함으로써 약속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학습 곡선의  y - 절편과 슬로프를 통해 드러나듯) 의과대학생의 학습이 레지던트의 학습과 다르다는 것을 알면, 각기 다른 학습자 그룹에 대해 주어진 수준의 역량을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숙련도가 필요한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Multilevel linear modeling holds promise as it allows researchers and educators to refine individual-level estimates based on the behavior of the group.3,8,10 For example, knowing that medical students’ learning differs from that of residents, as illustrated by the y-intercepts and slopes of their respective learning curves, allows us to refine predictions of how much deliberate practice is required to achieve a given level of competency for the different learner groups.10 


이러한 유형의 양적 "학습 분석"의 가장 큰 이점은, 재현 가능하고 타당한 학습 곡선의 생성에 적합한 문맥 내에서 학습을 개별화하기 위해 양적 예측을 사용할 수있는 능력에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방사선과의 예에서, 학습 곡선에서 학습자의 위치는 다음 사례의 난이도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The greatest benefit of these types of quantitative “learning analytics” may lie in their capacity to use quantitative predictions to adapt and individualize learning within contexts that are suited to the generation of reproducible and valid learning curves.19 To illustrate, in our radiology example, the position of the learner on the learning curve could be used to select the difficulty of the next case to be presented.


Figure 5

Figure 5


경계 조건: 커트라인 점수 또는 역량 수준 보여주기

Boundary conditions: Illustrating cut scores or competency levels



학습 곡선을 그래프로 나타 내기위한 마지막 고려 사항은 "경계 조건"또는 중요한 교육적 사건을 나타내는 학습 임계 값에 대한 아이디어입니다. 이들은 학습 곡선이 경계선을 넘어서는 경우, 중요한 교육 결과가 전달되도록 학습 시스템의 기준을 나타내는 별도의 수평선입니다.

A final consideration for graphing learning curves is the idea of the “boundary condition” or a threshold of learning that represents an important educational event. These are separate horizontal lines that represent criteria for the learning system such that, if the learning curve crosses the boundary line, an important educational result is signaled. 


이러한 경계 조건의 예로는 교육자의 합의에 따라 정해진 threshold (그림 3, 패널 A에 표시)또는, 고부담 학습에서 학습속도가 충분하지 못해서 허용 할 수 정도로 실패가 발생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교육 시간 동안. Grigg와 동료 20 및 Holzhey와 동료 21)는 궁극적으로 사전 정의 된 경계를 초과하는 합병증 발생률을 보여준 심장 외과의 학습 곡선의 예를보고 치료 결과를 얻었습니다.

Examples of these boundary conditions include a threshold of competency agreed upon by a consensus of educators (as shown in Figure 3, Panel A) or, in high-stakes learning, a level at which an insufficient learning rate results in an unacceptable number of failures over the time available for training. See Grigg and colleagues20 and Holzhey and colleagues21 for examples of cardiac surgeons’ learning curves showing complication rates that eventually exceeded a predefined boundary, resulting in remediation.




보건교육에 활용

Applications in Health Education


평가 매트릭으로서 학습곡선

Learning curves as an assessment metric


많은 측면에서, 학습 곡선은 이상적인 평가 척도이다. 왜냐하면 어떤면에서는 학습 평가 원칙을 입증하거나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2 학습자가 학습 곡선을 실시간으로 받으면 (즉,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초보자에서 능숙하게가는 길을 보여주기에 충분히 세분화 될 수 있습니다 (그림 6 참조) .23

In many respects, learning curves are an ideal assessment metric because, in a sense, they can demonstrate or make manifest the principle of assessment for learning.22 If the learner receives the learning curve in real time (i.e., as he or she engages in the task), it can be sufficiently granular to demonstrate his or her path from novice to proficient (see Figure 6).23 


언급 한 바와 같이,이 정보는 그룹 및 개인 레벨 모두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룹 정보는 주어진 과제에 대한 노력과 성과 간의 관계의 전반적인 본질에 대해 교육자를 안내 할 수 있습니다. 교사는 그룹 수준의 질문 (예 :

  • 능력을 얻기 위해 학습자가 얼마나 많은 반복을 완료해야합니까?

  • 잠복기가 있습니까?

  • 달성 가능한 최대 학습은 무엇입니까?

  • 한 가지 학습 방법이 다른 학습 방법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유도합니까?

  • 가능한 한 민감하게 학습 문제를 어떻게 화면에 나타낼 수 있습니까?

As mentioned, this information can be helpful at both the group and individual levels. The group information can guide the educator in terms of the overall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 and performance for the given task. It allows educators to answer group-level questions such as, 

  • How many repetitions must learners complete to achieve competence? 

  • Is there a latent phase? 

  • What is the maximum learning achievable? 

  • Does one instructional method lead to more efficient learning than another? 

  • How can I screen for learning problems as sensitively as possible?


평가와 학습의 긴밀한 연계시키는 것은 학습 곡선을 형성 평가에 이상적으로 만들어주며, 트랙에있는 사람들에게 안심하고 어려움을 겪고있는 사람들을 조기 발견하는 역할을합니다. 학습 곡선이 부정적으로 기울어 진 학습자 (FL004, FL006)는 그림 3의 학습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경계선의 사용, 실습 수준 향상을위한 역량 판단을 통한 총괄 평가가 가능하도록 학습 곡선을 사용하는 것은 잘 이해되지 못하며 향후 연구를위한 영역을 구성합니다.

The tight coupling of assessment with learning makes the learning curve ideal for formative assessment, providing reassurance for those who are on track and serving as an early detection system for those who are having difficulty. A ready example would be those learners in Figure 3 who have negatively sloped learning curves (FL004, FL006). However, the use of learning curves for summative assessment—enabling, for example, through the use of boundary lines, judgments of competence to advance to higher levels of practice—is less well understood and constitutes an area for future research.


Figure 6

Figure 6



학습곡선과 역량 프레임워크

Learning curves and competency frameworks


기술 습득의 드레퓌스 (Dreyfus)와 드레퓌푸스 (Dreyfus) 모델은 환자를 연습 할 수없는 초보자부터 최고 수준의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 전문가에게 몇 단계의 단계를 거쳐 전문성 개발이 진행되는 것을 설명합니다 .Dreyfus와 Dreyfus model24는 Ericsson에 의해 확장되었는데, 개선을위한 고의적 인 노력을하지 않는다면, 연속적인 반복이 성능 향상을 가져 오지 않는 자동 레벨 ( "자동 전문가")의 전문가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The Dreyfus and Dreyfus model of skill acquisition describes expertise development as a progression through several stages from a novice who is not allowed to practice on patients to a reflective expert who functions at the highest levels and continues to improve.24 The Dreyfus and Dreyfus model24 has been extended by Ericsson,25 who points out that some experts “plateau” at an automatic level at which, absent deliberate effort to improve, successive repetitions do not lead to improvement in performance (the “automatic expert”).


Dreyfus 및 Dreyfus 및 Ericsson 전문 기술 개발 모델은 역량 개발 평가를위한 학습 곡선을 요약하는 데 유용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CGME는 "역량 개발의 마일스톤을 명확히하는 데 의학 교육 공동체를 참여 시켰습니다."5 이정표는 순차적 진행에서 관찰 가능한 행동이며, 본질적으로 학습 곡선과 같다.

The Dreyfus and Dreyfus and the Ericsson models of expertise development can be useful in summarizing learning curves for assessing competency development. For example, the ACGME has “engaged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n articulating milestones of competency development”5 wherein the milestones are observable behaviors in a sequential progression26—in essence, a learning curve. 


그림 7은 모든 연수생이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시간을 보내지만, 다른 수준의 역량을 지닌 채 졸업하는 시간 중심 교과 과정과, 최종 역량 수준이 표준화되고 학습자에 따라 학습에 필요한 시간이 달라지는 역량 기반 또는 숙달 기반 커리큘럼의 차이를 비교해준다. 우리는 학습 곡선과 그 잠재적 인 용도에 대한 깊은 이해가 이러한 중요한 "능력에 관한 담론"을 개발하고 확장하는 작업을 알릴 수 있다고 믿는다.

Figure 7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a time-based curriculum, through which all trainees spend the same amount of time in a program but graduate with different levels of competence; and a competency- or mastery-based curriculum, through which the final level of competence is standardized and the time needed to learn is allowed to vary. We believe that a deeper understanding of learning curves and their potential uses can inform the work of developing and extending these important “discourses on competence.”27





학습곡선과 자기조절학습 지원

Learning curves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Figure 7

Figure 7



자기 조절 학습 이론은 학습자가 학습에 대해 전략적으로 생각하고, 학습 과제에 참여하고, 스스로 모니터하고, 그에 따라 학습을 조정하는 반복 학습주기에 초점을 맞 춥니 다. 학습 곡선은 자기 조절 학습, 특히 학습의 시각적 표현이 학습 과정에 대한 더 많은 반영을 촉진 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모니터링과 조정에 관해서는 더욱 그렇다. 9,29,30

Theor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focus on an iterative learning cycle, wherein learners think strategically about their learning, engage in the learning task, self-monitor, and then adjust their learning accordingly.28 Learning curves may be helpful for self-regulated learning, especially in regard to self-monitoring and adjusting, a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learning may encourage further reflection on the learning process.9,29,30 


더욱이 학습 곡선은 학습자에게 이전의 수행과 예상되는 미래의 궤적을 보여줌으로써 자기 조절을 촉진 할 수있다 .9 학습 속도의 명시적인 표현의 영향과 학습자의 학습 지각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한 관심 영역이다. , 31

Moreover, learning curves can facilitate self-regulation by showing learners their prior performance and anticipated future trajectory.9 The effect of the explicit representation of the rate of learning and how that influences the learners’ perception of challenge is an area of considerable interest.9,31


마지막으로 교육이 끝난 후에도 성능을 계속 추적할 수 있다. 교육이 끝나면 지식 또는 기술이 저하 될 수 있고, 이는 "forgetting curve"로 표현할 수있는 프로세스입니다. learning curve와 forgetting curve를 합해서 역량 개발 및 감퇴의 전체주기를 그려볼 수 있다 (그림 8), 따라서 학습자는 추가 학습이나 재교육이 필요할 때이를 인식 할 수 있습니다.

Finally, if performance continues to be tracked even after training ends, knowledge or skill may decay, a process that can be represented with a “forgetting curve.” Experience curves join learning curves with forgetting curves to plot the full cycle of competency development and decay (Figure 8), thus aiding learners in recognizing when they require additional learning or refresher training.32






문제점과 한계

Potential Pitfalls and Limitations

Figure 8

Figure 8


학습 곡선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잠재적 함정이 있습니다. 첫째, 학습 곡선 모델은 모든 통계 모델과 마찬가지로 오류 및 혼란에 취약한 근사치입니다. 비록 적합성을 테스트하면 잘못된 공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줄어들지만, 상황에 대해 잘못된 학습 곡선 공식을 선택하면 모델 지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There are several potential pitfalls to consider when using learning curves. First, learning curve models, like all statistical models, are approximations susceptible to errors and confounding. Model specification error will arise when the incorrect learning curve formula is chosen for a given situation, although testing for goodness of fit can mitigate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the wrong formula.33 


변수 생략 바이어스는 학습 곡선에 의해 표현되지 않은 "노력"의 구성 요소로 표현되는 중요한 측면이있을 때 발생합니다. 잠재적으로 누락 된 변수의 중요한 예는 학습자 동기 수준, 과제의 인식 된 가치, 자기 통제의 정도, 감정적 인 상태 등이 있다. 또한 상황 별 충실도, 스케줄링 및 보상 시스템과 같은 학습 환경 요인도 학습에 영향을 미칩니다 .35 교육자는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이를 다 변수 학습 곡선 모델에 통합하여 정확성과 유효성을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Another bias, omitted-variable bias, occurs when important aspects represented in the construct of “effort” are not represented by the learning curve. Important examples of potentially omitted variables include level of learner motivation, perceived value of the task, degree of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state.34  Further,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such as situational fidelity, scheduling, and rewards systems, also influence learning.35 Educators can optimize accuracy and validity by collecting as much information as is practical and incorporating it into multivariable learning curve models. 


여러 변수를 검사하는 것은 교육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소위 "빅 데이터 (big data)"접근법에 의해 크게 촉진된다. 그러나 학습 곡선은 여전히 교란변수에 취약하다. 왜냐하면, 논의 된 바와 같이 노력의 척도, 수행의 척도 또는 연결 기능의 수준에서 교란변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Examining multiple variables is greatly facilitated by so-called “big data” approaches to collecting and analyzing educational data.36 However, learning curves still remain especially susceptible to confounding because confounding can occur, as discussed, at the level of the measure of effort, the measure of performance, or with the linking function.


또 다른 유형의 교란변수는 교육 방법이 노력 척도와 상호 작용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반복 될 때마다 피로나  지루함이 증가 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환경에서 학습 곡선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과 비교할 때 명백하게 평평해질 수 있습니다. 평가 질문이 각각 너무나 쉽거나 너무 어려운 경우, 바닥 효과 및 천정 효과는 인위적으로 평평한 학습 곡선을 만듭니다.

Another type of confounding occurs if the instructional method interacts with the measure of effort. For example, fatigue or boredom can increase with each repetition, which can result in an apparent flattening of the learning curve compared with what it would look like under optimal circumstances. Floor and ceiling effects in which assessment questions are either, respectively, too easy or too hard result in learning curves that are artificially flat.


우리가 의미있는 학습 곡선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타당도 프레임 워크를 사용했지만, 주어진 교육 환경 내에서 유효한 학습 곡선을 적용하는 유틸리티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별도의 질문입니다. 지금까지, 주어진 학습 곡선의 특정 모양이 문제 학습자를 식별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되는지 조사한 연구자는 거의 없습니다.

Although we have used a validity framework to suggest how to generate a meaningful learning curve, the utility of applying valid learning curves within a given educational setting is a separate question that requires further research. Thus far, few researchers have examined how the specific shape of any given learning curve can serve to identify problem learners. 


주어진 학습 과제를 수백 번 반복하여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학습 곡선을 생성해야하는 경우, 이미 교육과정이 터지기 일보 직전인 교육자는 학습 곡선 모델을 사용해야하는 시점에 대해 선택적이어야합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교란에 대한 감수성의 관점에서, 복잡한 학습 상황에 대한 학습 곡선의 적용 가능성은 더 어려울 것이다.

If hundreds of repetitions of a given learning task are required to generate a reliable and valid learning curve, then educators whose curricular programs are already filled to bursting will have to be selective as to when they should use learning curve models. Also, in view of the susceptibility to confounding described above,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curves to complex learning situations will likely be more difficult. 


우리가 사용한 예가 유용한 이유는... 

  • 각각의 경우는 정의 된 노력 단위를 나타내며,

  • 많은 경우가 가능하며,

  • 각각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이분법적인 답을 주며.

  • 피드백은 전달 및 측정이 쉽고,

  • 성능을 신뢰성있게 측정 할 수 있으며

  • 시간 경과에 따른 case administration이 학습자간에 일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Our example learning intervention, radiograph interpretation, is useful because 

  • each case represents a defined unit of effort, 

  • a large number of cases are available, 

  • each case results in a relatively dichotomous answer, 

  • feedback is easy to deliver and measure, 

  • the performance can be reliably measured, and 

  • the administration of cases over time can be consistent across learners.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상황은 대부분의 임상역량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우리의 논란은 데이터 수집의 효율성이 높아져서 의미있는 학습 곡선을 생성하는 일부 물류에 큰 데이터 접근을 허용 할 수있는시기에 이러한 한계를 탐구해야한다는 것입니다.

These ideal circumstances will not apply to a majority of the to-be-learned clinical competencies. Our contention is that these limits need to be explored, especially now, in a time when better efficiency of data collection may allow big data approaches to some of the logistics of generating meaningful learning curves.36



마지막...

Final Thoughts: Learning Curves as a Metaphor


학습 곡선은 교육용 장치 또는 평가 척도처럼 유용 할뿐만 아니라 학습 곡선은 지식 및 기술 습득을위한 체계적인 은유로서 일반적 수준에서 작동합니다.

  • 첫째, 커브는 표준화 된 교수 설계를 통해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있어서 개별적인 가변성을 드러낸다. 같은 교육을받는 학생들은 분명히 그 가르침을 다르게 경험하고 자신의 독특한 경험과 세상을 보는 방법에 따라 지식을 구성합니다.

  • 둘째, 목표 달성에 필연적으로 이르는 노력의 학습 곡선 표현은 많은 보건 교육 환경에 적용됩니다.

  • 또한 명시적으로 '노력'을 포함하는 평가 패러다임은 회복탄력성과 궁극적인 성취와 관련된 '성장형 마음가짐'에 부합하는 긍정적 인 교육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비록 출발점과 경사가 다를지라도 학습 곡선의 메시지는 궁극적으로 희망적인 것입니다. 즉, 이전에 왔던 사람들의 경로가 현재 학습자에게 알릴 수 있고 각 경로가 독특하기는하지만 열심히 노력하면 뛰어난 수준의 개인적 업적. 학습 곡선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이 메시지를 강화함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교육 문화를 이러한 가치관에 맞추는 부가적인 이점을 알 수 있습니다.


As useful as they might be as instructional devices or assessment metrics, learning curves also operate at a general level as an organizing metaphor for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 First, the curves lay bare individual variability in learners’ attainment of an educational goal through standardized instructional designs. Different students who receive the same instruction clearly experience the instruction differently and construct their knowledge according to their own unique set of experiences and ways of seeing the world.37 

  • Second, the learning curve representation of effort leading inexorably to goal achievement applies to many health education settings. 

  • Additionally, an assessment paradigm that explicitly includes effort sends a positive educational message that is consistent with the growth of mind-sets correlated with resilience and ultimate achievement.38 

Although the starting point and slope might vary, a learning curve’s message is ultimately a hopeful one: namely, the paths of those who came before can inform present learners and attest that, though each path is unique, hard work can reliably enable outstanding levels of individual achievement. By reinforcing this message with concrete examples of learning curves, we can see the added benefit of aligning our educational culture with these values.












2. Ericsson KA. Deliberate practice and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A general overview. Acad Emerg Med. 2008;15:988–994


31. Guadagnoli M, Morin MP, Dubrowski A. The application of the challenge point framework in medical education. Med Educ. 2012;46:447–453



 2015 Aug;90(8):1034-42. doi: 10.1097/ACM.0000000000000681.

Learning curve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uthor information

1
M.V. Pusic is assistant professor, Emergency Medicine, and director, Division of Education Quality and Analytics, New York University Langone School of Medicine, New York, New York. K. Boutis is associate professor and pediatric emergency physician, Department of Pediatrics, Hospital for Sick Childre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R. Hatala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D.A. Cook is professor,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director, Online Learning Development and Analysis, Center for Online Learning,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and consultant,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Abstract

Learning curves, which graphical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ffort and achievement, are common in published educationresearch but are not often used in day-to-day educational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generation and analysis of learning curves and their applicability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authors argue that the time is right for a closer look at using learning curves-given their desirable properties-to inform both self-directed instruction by individuals and education management by instructors.A typical learning curve is made up of a measure of learning (y-axis), a measure of effort (x-axis), and a mathematical linking fun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learning curves make manifest a single person's progress towards competence including his/her rate of learning, the inflection point where learning becomes more effortful, and the remaining distance to mastery attainment. At the group level, overlaid learning curves show the full variation of a group of learners' paths through a given learning domain. Specifically, they make overt the difference between time-based and competency-based approaches to instruction. Additionally, instructors can use learning curve information to more accurately target educational resources to those who most require them.The learning curve approach requires a fine-grained collection of data that will not be possible in all educational settings; however, the increased use of an assessment paradigm that explicitly includes effort and its link to individual achievement could result in increased learner engagement and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PMID:

 

25806621

 

DOI:

 

10.1097/ACM.0000000000000681


보건의료인교육에서 인지부하이론: 설계원칙과 전략(Med Educ, 2010)

Cognitive load theor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Jeroen J G van Merrie¨nboer1,2 & John Sweller3






도입

INTRODUCTION


인지부하이론은 1980년대에 처음 개발되었다.

Cognitive load theory (CLT) was initially developed in the 1980s.1


처음부터 CLT는 많은 사람들에게 반-직관적인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는데, 예컨대 novice학습자들에게 풀어야 할 문제들보다 다수의 worked example을 주라는 것은 '문제풀이가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우는 최선의 방식이다'라는 당대의 다수 견해를 반박하는 것이었다.

Right from the start, CLT provide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that were seen as counterintuitive by many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example, the recom- mendation to provide novice learners with many worked examples rather than problems to solve contradicted the prevailing opinion of the time that solving problems was the best way to learn to solve problems.


의학교육에서도 CLT가 적용되기 시작했다. real-life를 기반으로 한 authentic learning task는 답이 여러가지였고 ecologically valid 하였으며, 보통 한 세션 내에 완수하기 어려웠다. CLT가 단순한 task를 가르치는데는 별 관련이 없지만, 학습자의 인지시스템에 높은 부하를 거는 complex learning task에 대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Applications of CLT in medical education are beginning to appear.4,5 Authentic learning tasks designed on the basis of real-life tasks have many different solutions, are ecologically valid and usually cannot be mastered in a single session. Whereas CLT may not be relevant to teaching simple tasks, it is critical when complex learning tasks are used because they impose a high load on the learner’s cognitive system.7,8



인지구조

COGNITIVE ARCHITECTURE


기억시스템

Memory systems


 

CLT에서는 사람의 인지시스템이 제한된 작업기억만을 가지고 있어서 5개~9개 이상의 information element를 hold하지 못한다고 가정하며, 동시에 2개~4개 이상의 element를 actively process하지 못한다고 가정한다. 정보를 다루는deal with시간은 수 초 미만으로만 가능할 뿐이며, 거의 대부분의 정보는 (재반복으로 refresh 되지 않으면) 20초 이내에 사라진다.

Cognitive load theory assumes that the human cognitive system has a limited working memory that can hold no more than five to nine information elements (the famous ‘seven plus or minus two’)10 and actively process no more than two to four elements simultaneously. It is able to deal with information for no more than a few seconds and almost all information is lost after about 20 seconds unless it is refreshed by rehearsal.


작업기억은 장기기억에서 retrieve된 정보를 다루는데에는 한계가 없다. 실제로, 장기기억은 작업기억의 characteristics를 바꾼다.

Working memory has no known limitations when dealing with infor- mation retrieved from long-term memory. In effect, long-term memory alters the characteristics of work- ing memory.


전문성이란 schema로 조직화된 정보에서 오는 것이며, 장기기억에 조직화되지 않은 다수의 element를 가지고 추론하는 능력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Human expertise comes from knowl- edge organised by these schemas, not from an ability to engage in reasoning with many elements that have not been organised in long-term memory.


학습자는 mindfully 단순한 아이디어를 더 복잡한 아이디어로 combine해가면서 전문가가 된다. 예컨대 illness script라는 것은 유사한 질병을 구분할 때 의사들이 사용하는 특정 유형의 schema를 말하는데, 이 schema는 지식을 조직화하는데 사용되어서 작업기억의 부하를 크게 줄여주는데, 가장 복잡한 형태의 schema조차 작업기억에서는 하나의 element로 다뤄질 수 있다.

Expertise develops as learners mindfully combine simple ideas into more complex ones. so-called ‘illness scripts’, a term that describes a particular type of schema which allows the user to distinguish between alike diseases. These schemas organise knowledge but also heavily reduce working memory load because even a highly complex schema can be dealt with as one element in working memory.


완전히 자동화된 schema는 extensive한 연습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고, central executive로서 역할을 함으로써 작업기억에서 처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정보와 지식을 조직화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작업기억에 한계가 없다. 반면, 새로운 정보, 즉 schema-base가 없는 경우에는 작업기억에 limitation이 생긴다.

Fully automated schemas are developed as a function of extensive practice and can act as a central executive, organising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needs to be processed in working memor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re are no limits to working memory. By contrast, when dealing with novel information for which no schema-based central executive is available, working memory has limitations.


 

학습 프로세스

Learning processes


 

작업기억은 완전히 새로운, 비-조직화된 정보를 다룰 때는 그 capacity가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다뤄야 하는 element의 숫자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더라도, 문제해결과정에서 필요한 그 element들 사이의 조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하급수적 증가의 문제는 동시에 처리될 수 있는 정보의 숫자를 극심하게 제한함으로써 순응accomodate될 수 밖에 없다.

Working memory must inevitably be limited in capacity when dealing with completely novel, unor- ganised information because, as the number of elements that need to be organised increases linearly, the number of possible combinations of elements that must be tested for effectiveness during problem solving increases exponentially. This problem of exponential growth can only be accommodated by severely limiting the number of information units that are processed simultaneously.


Schema는 문제해결 프로세스동안에 구성될 수도 있다.

Schemas can be constructed dur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 Chunking을 통해서 by bringing elements together (i.e. chunking),

  • 이미 장기기억에 있는 schema에 통합시켜서 by incorporating new elements in schemas already available in long- term memory or, more commonly,

  • 이미 schema화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by obtaining already schematised information from other people.

 

Schema는 작업기억에서 single element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인지부하를 크게 줄여준다.

Schemas can then be treated as a single element in working memory and thus heavily decrease cognitive load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later tasks.


Schema가 구성되어 반복적으로 적용되어 의도한 결과를 얻을 경우 자동화될 수 있다. schema 구성에 있어서 '자동화'는 작업기억의 capacity를 자유롭게 해준다.

Constructed schemas may become automated if they are repeatedly applied and yield desired results. As is the case for schema construction, automation can free working memory capacity for other activities


 

자동화는 많은 양의 연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automated schema는 다양한 task situation에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퍼포먼스에 대해서만 개발된다 따라서 instructional design의 관점에서, 잘 설계된 instruction은 단순히 schema construction을 유도할 뿐 아니라, (다양한 task에 걸쳐 일관된 측면에 있어서는) schema automation을 일으켜야 한다.

Because automation requires a great deal of practice, automated schemas only develop for those aspects of performance that are consistent across task situations, such as routines for operating medical equipment and standard pro- cedures for using software applications. Thus, from an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well-designed instruction should not only encourage schema construction, but should also support schema automation for those aspects that are consistent across tasks.6,11


 

인지부하의 유형

Types of cognitive load


 

작업기억의 부하는 세 가지에 영향을 받는다. 

Working memory load may be affected

  • 내재적 부하: 학습과제 그 자체의 부하
    by the intrinsic nature of the learning tasks (intrinsic load),
  • 외재적 부하: 학습과제가 제시되는 방식에서 오는 부하
    by the manner in which the tasks are presented (extraneous load), and
  • 본유적 부하: 내재적 부하를 다룰 때 생기는 부하
    by the learning that actually occurs (germane load) when dealing with intrinsic load.


내재적 부하는 instructional intervention을 통해서 달라지지 않으며, task자체를 바꾸거나 학습 그 자체를 통해서만 달라질 수 있다. 작업기억에서 동시에 몇 개의 element가 처리되어야 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이는 즉 학습 자료나 학습과제에서 element들의 상호작용수준interactivity가 어느 정도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Element interativity란 학습해야 할 element들이 고립적in isolation으로 학습될 수 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 그 정도에 대한 것이다.

Intrinsic load cannot be altered by instructional interventions without altering the task to be learned (e.g. simplification) or by the act of learning itself. It depends on the number of elements that must be processed simultaneously in working memory, a number which, in turn, depends on the extent of element interactivity of the materials or tasks that must be learned. Element interactivity is the degree to which the elements of something to be learned can, or cannot, be understood in isolation.

 

단어와 문법의 예

For example,

  • 단어는 element-interactivity가 낮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모든 단어와 무관하게 특정 단어를 익힐 수 있다.
    vocabulary
    is an example of low element-interactive material in the field of language learning. Although there are thousands of words to be learned, most people can quickly learn some simple words because words may be learned in isolation from all other words.

  • 문법은 element-interactivity가 높다. 문장 내의 모든 단어가 옳을 때조차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게 어렵기도 하다. 이는 다양한 element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Grammar
    , by contrast, is an example of high element-interactive material. Most people have diffi- culty in generating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even when all the words to be used in the sentence are known. This is because many elements must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hat is, to build sentences that are grammatically correct, one must attend to all the words within the sentence at once while also considering syntax, tense and verb endings.


element interactivity 가 높은 학습과제는 이해가 어렵고 인지부하가 높다.

Tasks with high element interactivity a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yield a high cognitive load


1.

내재적 부하를 줄이는 방법은 interacting element를 포괄할 수 있는 schema를 개발하는 것이다.

The only way to foster understanding and to reduce intrinsic cognitive load is to develop schemas that incorporate the interacting elements.


따라서 element interactivity 는 한 사람이 특정 전문성의 수준에서 다룰 수 있는 interacting element의 숫자를 count해야만 추정될 수 있다.

Thus, ele- ment interactivity can be estimated only by counting the number of interacting elements dealt with by people at a particular level of expertise.


 

2.

내재적 부하와 달리, 외재적 부하는 instructional procedure에 의해서 생긴다. 외재적 부하가 생기는 사례 중 하나는, 학습자가 전혀 적절한 가이드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무엇이든 시도해서 시행착오를 거쳐 문제해결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생긴다.

By contrast with intrinsic load, extraneous load is imposed by instructional procedures. Extraneous load may be imposed, for example, when learners must use trial and error or other weak problem- solving methods that require them to arbitrarily try out things without being given proper guidance,12


작업기억을 구성하는 처리장치processor에 과부하를 일으킴으로서 외재적 부하를 늘릴 수도 있다. 시각&청각 작업기억은 서로 부분적으로 독립적이다. 이해에 필요한 다양한 출처의 정보가 모두 '시각적 형태'로만 들어올 경우, (대신 written material이 청각적 형태(spoken form)으로 제시될 경우보다) 시각처리 프로세서를 과부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부의 인지부하가 auditory processor로 shift될 수 있게 해준다.

Overloading one of the processors that constitute working memory may also increase it. Visual and auditory working memory are partially independent. If 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required for understanding are all presented in visual form (e.g. a written text and a diagram), they are more likely to overload the visual processor than if the written material is presented in spoken form, thus enabling some of the cognitive load to be shifted to the auditory processor.13


 

3.

본유적 부하는 내재적 부하를 deal with할 때 사용되는 작업기억이다.

Germane load, finally, refers to the working memory resources used to deal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which lead to learning.


내재적 부하를 처리하는 프로세스가 포함하는 것으로는 'previous task와 관련이 된 element' 또는 '이미 장기기억에서 available한 지식' 등이 있으며, 따라서 (어떤 과제를 하는데) 필요한 작업기억자원이 (학습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본유적 부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These processes of dealing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include elements related to previous tasks or to knowledge already available in long-term memory and thus require working memory resources that correspond to a germane cognitive load that is directly relevant for learning.


CLT는 내재적 부하와 외재적 부하를 서로 additive하다고 본다. 만약 내재적 부하가 낮으면, 높은 외재적 부하가 걸리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Cognitive load theory assumes that intrinsic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s are additive. If intrinsic load is low, a high extraneous load resulting from an inadequate instructional design may not be harmful


실제로 여러 연구를 살펴보면, 단순한 과제에 있어서는 외재적 부하를 줄이는 것의 효과가 별로 없다. 

Indeed, research has shown that instruction designed to decrease extraneous load has negligible effects on learning simple tasks (i.e. involving low element-interactive materials14).


그러나 복잡한 과제를 수행할 때, 내재적 부하+외재적 부하는 작업기억의 capacity를 초과하여 과부하를 일으킨다. 이 때  외재적 부하를 충분히 줄여주지 못한다면 내재적 부하를 낮춰줌으로써 학습에 필요한 프로세싱 자원을 만들어줘야 한다. 외재적 부하가 줄어들면, 더 많은 작업기억자원이 내재적 부하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학습을 위한 본유적 부하를 유도하는데 사용되기도 쉽다.

However, for teaching complex tasks (i.e. involving high element-interactive materials), the sum of the intrinsic and extraneous loads may easily surpass working memory capacity and yield overload (Fig. 1a). Then, extraneous load and, if the reduction of extraneous load is still insufficient, intrinsic load must be lowered to free up processing resources necessary for learning (Fig. 1b). The more extrane- ous cognitive load is reduced, the more working memory resources can be devoted to intrinsic cogni- tive load and so the easier it becomes to induce a germane cognitive load for learning (Fig. 1c).




 


DESIGN GUIDELINES



외재적 부하를 줄이고, 내재적 부하를 관리하고, 본유적 부화를 최적화하는 주요 전략(Table 1). 또한 Expertise reveral effect (ERE)가 있는데, novice학습자에게는 잘 작동하는 원칙이 더 경험이 많은 학습자에게는 잘 통하지 않거나 심지어 역효과가 나는 것이다.

The main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decreasing extraneous load, managing intrinsic load and optimising germane load are summarised and illustrated in Table 1. Moreover, they are related to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which indicates that principles that work well for novice learners may not work well or may even have negative effects for more experienced learners.



외재적 부하 줄이기

Decreasing extraneous load


 

goal-free principle. 전통적인 과제는 goal-free한 과제로 대체하는 것. 학습자에게 비-특이적 목표가 부여된다. 만약 학습자에게 구체적인 목표가 주어진다면, 학습자는 이 목표로부터 추론을 시작하여, 목표 상태와 주어진 상태goal state adn given state사이의 차이를 줄이는 접근법을 사용할 것이다. 이러한 backward 방식의 탐색과정은 높은 외재적 부하를 야기하므로, backward접근이 불가능하도록 specific goal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회피할 수 있다.

Firstly, the goal-free principle suggests replacing conventional tasks with goal-free tasks, which provide learners with a non-specific goal

  • e.g. replace ‘find the most probable aetiological explanation for these symp- toms’ with ‘find as many aetiological explanations for these symptoms as you can’

If learners are given a specific goal, they start reasoning from this goal and try to find operators that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oal state and the given state. This backward search process yields a high extraneous load that can be avoided by eliminating a specific goal that renders working backward from the goal impossible.



worked example principle. 전통적인 과제를 worked example로 대체하는 것. 학습자가 '해답을 생성'하기보다는 '공부'하기 때문에 weak problem-solving methods에서 오는 높은 외재적 부하를 줄일 수 있다.

Secondly, the worked example principle suggests replac- ing conventional tasks with worked examples that must be carefully studied by the learners. Because learners study rather than generate solutions, this reduces the high extraneous load caused by weak problem-solving methods.


completion principle. 전통적인 과제를 completion task로 바꾸는 것으로, 정답의 일부를 알려주고 학습자가 나머지를 완수하게 하는 것이다. worked examples와 유사하게 completion task는 외재적 부하를 줄여준다.

Thirdly, the completion principle suggests replacing conventional tasks with completion tasks, which provide a partial solution that must be completed by the learners. Like worked examples, completion tasks reduce extraneous load caused by weak problem-solving methods because giving part of the solution reduces the size of the problem space.


split attention principle. 다양한 시간과 공간에 나눠져서 제공되는 여러 출처의 정보를 하나의 통합된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이다(그림 2). 통합된 정보는 다양한 source의 정보를 의식해서mentally 통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재적 부하를 줄여준다.

Fourthly, the split attention principle recommends replacing 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distributed in space or time, such as pictures and accompanying text or a piece of equipment and instructions for operating it, with a single, integrated source of information (Fig. 2 ). The integrated information source reduces extraneous load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the learners to mentally integrate the information from different sources.



modality principle. (문자로)기술된 설명문+시각적 정보(다이어그램)(unimodal)(말로 기술된) 설명문+시각적 정보로 대체하는 것이다(multimodal). multimodal한 정보는 작업기억의 시각적 처리와 청각적 처리를 모두 활용하기 때문에 가용작업기억용량을 증가시켜서 외재적 부하를 줄여준다.

Fifthly, the modality principle recommends replacing a written explanatory text and another source of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diagram (unimodal) with a spoken explanatory text and the visual source of information (multimodal). Multimodal information presentation reduces extraneous load because it uses both the visual and the auditory processor of working memory and thus, in effect, increases available working memory capacity.



redundancy principle. self-contained한 다수의 정보출처를 하나의 정보출처로 대체하는 것이다. single source는 외재적 부하를 줄여준다.

Sixthly, the redundancy principle suggests replacing 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 that are self-con- tained (i.e. they can be understood on their own) with only one source of information. The single source reduces extraneous load that is caused by unnecessarily processing redundant information.

 

 


 

내재적 부하 관리하기

Managing intrinsic load


그러나 내재적 부하는 학습자료의 특성과 학습자의 전문성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이해수준을 변화시키지 않고서는 내재적 부하가 줄지 않는다. 학습자가 학습자료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학습자료는 full complexity로 제공되어야 한다. 학습자료를 낮은 element interactivity에서 점차 높은 element interactivity 로 제시하는 다단계전략이 필요하다

However, because intrinsic load is determined by the interac- tion between the nature of the materials being learned and the expertise of the learner, it cannot be altered without reducing learners’ level of under- standing. For learners to fully understand the material, it must ultimately be presented in its full complexity. Multiple-step strategies rather than single-step principles are needed for sequencing materials from low to high element interactivity, so that tasks are presented in their full complexity only in a later learning phase.


 

Manipulating the fide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학습환경의 fidelity 조절도 한 가지 방법이다. 왜냐하면 high-fidelity 환경은 일반적으로 interacting element의 숫자가 더 많기 때문이다. low-fidelity에서 시작해서 medium-, high-,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real environment로 가야 한다.

Manipulating the fidelity of the learning environment is another way to gradually increase the number of interacting elements because high-fidelity environ- ments will typically contain more interacting ele- ments than low-fidelity environments.6 It may be better to

  • start with low-fidelity simulations (e.g. textual problems or case descrip- tions of prospective patients), then

  • continue with medium-fidelity simulations (e.g. computer-simulated patients or simulated patients [SPs] played by peer students),

  • continue with high-fidelity simulations (e.g. SPs played by actors), and

  • end with the real environment (e.g. real patients during an internship in hospital; see example16).


 

내재적 부하를 늘려서 본유적 부하 최적화하기

Optimising germane load by increasing intrinsic load


Variability of task situations. 인지부하를 줄이는 것은 과부하를 예방하면서 처리리소스를 확보하여 진정한 학습에 투입될 수 있게 한다. Paas and van Merrie¨nb- oer는 처음으로 learning task의 variability를 germane load에 연결지었다. 학습과제의 variability는 비슷한 상황에 발생할 가능성을 높임으로서 학습자로 하여금 cognitive schemas 를 만들게 해준다.

The reduction of cognitive load prevents overload and frees up processing resources that can be devoted to genuine learning. Paas and van Merrie¨nb- oer17 were the first to relate variability of learning tasks to germane load. Variability of task situations encourages learners to construct cognitive schemas because it increases the probability that similar features can be identified


예를 들면 산-염기 균형을 학습할 때, 다양한 학습과제는 이 개념을 과호흡, 과소호흡, 아스피린 과용량 등등으로 연결짓게 한다. Variability가 높아지면 내재적 부하가 높아진다. 학생들은 어떤 문제가 같거나 다른 카테고리에 들어가는지를 배우게 되고, low variability에서는 무시될 수 있는 중요한 특성을 배우게 된다.

For example, when students learn about acid-base bal- ance, different learning tasks should relate this concept to hyper- and hypoventilation, aspirin over- dosing, loss of fixed acid through excessive vomiting, and so forth. Increasing variability increases intrinsic cognitive load. Students must learn which problems belong to the same or different categories, an important aspect of the task which is ignored under conditions of low variability.


Contextual interference. Contextual interference 도 variability와 관련이 있다. 인접한 학습과제가 정확히 동일한 skill을 요구한다면 variability가 낮은 것이다. Contextual interference 가 높은 경우 본유적 부하를 높임으로써 내재적 부하를 높이게 된다.

Contextual interference is related to variability. It is low if adjacent tasks in a practice schedule rely on exactly the same skills and it is high if adjacent tasks rely on different skills. As expected, high contextual interference increased intrinsic load by increasing germane load (i.e. including elements related to adjacent tasks) during practice and improved learning outcomes.


self-explanation effect. 내재적 부하(그리고 이에 따른 본유적 부하)는 자기자신에게 개념을 설명할 때 훨씬 더 높아지는데, 왜냐하면 장기기억으로부터 prior-knowledge를 불러와서 사용함으로써 고려해야 하는 interacting element가 훨씬 많아지기 때문이다.

A third design principle is related to the so-called self-explanation effect. The intrinsic load and hence the germane load associated with explaining a concept to oneself are far higher than when simply processing the information because the number of interacting elements considered is deliberately in- creased by including prior-knowledge elements from long-term memory.


전문가-역설 효과

Expertise reversal effect


ERE는 일종의 interaction effect로서, 장기간에 걸쳐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설계에 CLT가 적용될 때 고려해야 한다. 이 효과는 전문성의 수준과 인지부하의 영향의 상호작용이다. 따라서 instructional method는 학습자의 전문성이 향상됨에 따라 이를 고려한 multi-step strategies가 필요하다.

An interaction effect that is particularly relevant when CLT is applied to the design of programmes with longer duration is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see overview20). This effect is an interaction between several basic cognitive load effects and level of expertise. Thus, multiple-step strate- gies are needed to sequence instructional methods in such a way that they take the growing level of expertise of learners into account.


Kalyuga 는 전문성이 높아지면 worked example effect는 처음에는 사라지고, 나중에는 역효과가 난다. 지식이 많은 학습자에게 worked example은 redundant하며, 외재적 부하만 가할 뿐이다. 즉, 훈련프로그램은 처음에는 worked example로 시작해서 나중에는 conventional task로 끝나야 한다.

Kalyuga et al.21 demonstrated that, with increasing expertise, the worked example effect first disappears and then reverses. Worked examples become redun- dant for more knowledgeable learners and so impose an extraneous loa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training programme should ideally start with worked examples and smoothly work up to conventional tasks.



completion strategy 를 비롯한 여러 fading guidance strategies가 스킬 습득의 여러 phase에 걸쳐서 효과적임을 보여주었으며, example-problem pairs를 사용한 전통적 방식보다 학습성과가 높았다.

Renkl and Atkinson24 and Atkinson et al.25 concluded that both the completion strategy and other fading guidance strategies are effective to manage cognitive load throughout the various phases of skill acquisition and yield higher learning outcomes than the traditional use of example-problem pairs.


Kalyuga 는 전문성 수준이 올라갈수록 integrated condition의 장점은 처음에는 사라지고 점차 역효과가 나서 나중에는 separate condision이 integrated condition보다 낫다.

Kalyuga et al.26 demonstrated As levels of expertise increased, the advantage of the integrated conditions first disappeared and eventually reversed with the separate condition being superior to the integrated condition.


경험이 많은 학습자에게 text는 불필요하다. novice에게는 dual mode가 시각정보만 제공된 것보다 낫지만, 경험이 많아지면 청각적 요소는 불필요해지고 없는 것이 낫다.

The text had become redun- dant for experienced learners. Kalyuga et al.27 found that among novices, dual mode, auditory and visual presentations were superior to visual-only presenta- tions, demonstrating the modality effect. With more experience, the auditory component became redundant and was best eliminated.



CONCLUSIONS


 

 





 2010 Jan;44(1):85-93. doi: 10.1111/j.1365-2923.2009.03498.x.

Cognitive load theory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Author information

  • 1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FHML,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j.vanmerrienboer@educ.unimaas.nl

Abstract

CONTEXT:

Cognitive load theory aims to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guidelines based on a model of human cognitive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assumes a limited working memory and an unlimited long-term memory holding cognitive schemas; expertise exclusively comes from knowledge stored as schemas in long-term memory. Learning is described as the construction and automation of such schemas. Three types of cognitive load are distinguished: intrinsic load is a direct function of the complexity of the performed task and the expertise of the learner; extraneous load is a result of superfluous processes that do not directly contribute to learning, and germane load is caused by learning processes that deal with intrinsic cognitive load.

OBJECTIVES:

This paper discusses design guidelines that will decrease extraneous load, manage intrinsic load and optimise germane load.

DISCUSSION:

Fifteen design guidelines are discussed. Extraneous load can be reduced by the use of goal-free tasks, worked examples and completion tasks, by integrating different sources of information, using multiple modalities, and by reducing redundancy. Intrinsic load can be managed by simple-to-complex ordering of learning tasks and working from low- to high-fidelity environments. Germane load can be optimised by increasing variability over tasks, applying contextual interference, and evoking self-explanation. The guidelines are also related to the expertise reversal effect, indicating that design guidelines for novice learners are different from guidelines for more experienced learners. Thus, well-designed instruction for novice learners is different from instruction for more experienced learners. Applications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nd current research lines are discussed.

Comment in

PMID:
 
20078759
 
DOI:
 
10.1111/j.1365-2923.2009.03498.x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이론 프레임워크 리뷰하기: 이론 적용의 퀄리티 판단과 어려움(Med Teach, 2016)

Reviews of theoretical frameworks: Challenges and judging the quality of theory application

Sarah Hean, Liz Anderson, Chris Green, Carol John, Richard Pitt & Cath

O’Halloran





BEME리뷰의 목적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e BEME review


방법론적으로 강건한 리뷰를 수행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보건의료인교육, 의학교육의 이슈에 대한 근거를 수집하고, 평가하고, 통합synthesis할 수 있게 하는 것.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Professions (BEME) Collaboration supports this decision-making through guiding the conduct of methodologically rigorous reviews that collect, appraise and synthesise the available information and evi- dence associated with a stated issue in health professional and medical education (http://www.bemecollaboration.org/).



인터벤션 이론intervention theory의 개발

Developing an intervention theory in medical and health education practice


메커니즘, 컨텍스트, 성과 이 세가지가 theory of the intervention을 형성한다. 다르게말하자면, theory of the intervention은 논리적 주장argument를 통해 여러 개념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제안의 집합(set of propositions)이다. 이 statement는 특정 현상을 예측/기술/설명/처방/조직화한다.     

The connection between mechanisms, context and outcomes together form the theory of the intervention (Pawson & Tilley 1997). Put another way, the theory of the intervention is a set of propositions that link concepts together through a rational argument. These statements predict, describe, explain, prescribe or organise a particular phenomenon (Fawcett & Downs 1992; Jary & Jary 1995; Walker & Avant 2005).


모든 교육자들은 자신의 intervention theory를 가지고 있다. 이 이론들은 명시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그 intervention이 영향을 미칠 대상이 누구이며, 어떻게 그리고 왜 그 intervention이 그러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며, 어떤 조건에서 intervention이 특성 성과를 낼 것인지를 예측하게 해준다.

All educators will hold an intervention theory: These theories, whe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expressed, predict for whom the intervention will have an influence, how and why the intervention is expected to have this effect and in what conditions the intervention will lead to particular outcomes.



intervention theory를 가지고 있는 것은 어떤 교수-학습에 대해서든 근거기반이 되는 핵심이 된다. 이것은 교육자들이 자신의 교육적 접근을 정의하고/예측하고/조직화하고/설명하고/검증하는데 필수적인 도구이다. 이론과 실천은 상호의존적이며, 이론이 성찰적 교육적행위를 할 수 있는 구조와 강건함rigour을 준다면, 실천은 효과적인 교육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이론을 검증하고 정제할 수 있게 해준다.

Having an intervention theory, as described above, is centrally important to the evidence base supporting any teaching and learning. It is an essential tool with which educators can define, predict, organise, explain and test their pedagogical approaches. Theory and practice are interdepend- ent, with theory providing the structure and rigour to guide reflective educational practices and in turn, for practice to testout/validate and refine the theories they hold about what constitutes effective education.




IPE를 한 사례로.

A theoretical review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s an illustration



A team of reviewers, members of the In-2-theory (inter- professional theory, scholarship and collaboration) network (Hean et al. 2013) responded to this need for a synthesis of theories in IPE and are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a BEME review (Hean et al. 2012a,b) aiming to provide medical educators guidance on how to select and apply theories to IPE that are fit for purpose and enable educators to reflect on the why, rather than just the how, of designing, delivering and the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professional curriculum.


 

이론의 의의: 공통의 이해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

The meaning of theory: Reaching a common understanding



'이론'이라는 용어에 대한 공통의 이해가 필요하다. 이 공통의 이해에 도달하는 것은 리뷰프로토콜의 모든 단계에서 평가자간 신뢰도에 핵심이다.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term theory. Reaching this common understanding is key to the inter-rater reliability at all phases of the review protocol.


이론적으로, 공통의 이해에 도달하는 두 가지 전략이 있다. 첫 번째는 boundary crossing이고, 두 번째는 different ways of knowing이다. 모든 리뷰팀은 서로 경험이 다양하고 이론적 역량이 다양한 구성원을 보유하게 된다.

Theoretically, strategies to reach shared understanding rest on two concepts. First, boundary crossing (Carlile 2004) and second,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articulated by Heron & Reason (2008). Any review team will have members with a range of experiences and varied levels of theoretical compe- tence.


한 개별 이론에 대한 지식과 "이론의 이론"은 리뷰팀 구성원간 서로 transfer되어야 한다.

Knowledge about any one individual theory and the ‘‘theory of theory’’ needs to transfer between members of the review team.


이 boundary를 넘나들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은 Heron & Reason’s 의 ways of knowing에 기반하며, 이것은 지식을 습득하는 네 가지 방법에 대해서 다룬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이론'의 정의는 propositional(제안) form of knowing이며, 특정 개념에 대한 언어와 기술된 description에 기반한다. 그러나 조만간 이러한 형태의 knowing은 이론을 reliable하게 적용할 때 필요한 공동의 이해에 도달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이 드러난다.

The strategies used to transcend these boundaries, within the IPE theory review, are rooted in Heron & Reason’s (2008) ways of knowing where four ways of acquiring knowledge are represented. The definition of theory written above is a propositional form of knowing, that is based on language and written description of the concept. However, it was soon evident that this form of knowing was not enough to reach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ory that could be reliably applied.



이에 우리는 또 다른 ways of knowing을 사용했는데, 이는 experiential and practical ways of knowing이다. 리뷰팀 구성원들은 과제를 함께 수행하며 합의에 도달했는데(practical knowing) 예컨대 다음의 것들을 함.

We turned therefore to other ways of knowing for assistance: namely experiential and practical ways of knowing. Review members reached a consensus by doing tasks together (practical knowing); by holding regular workshops using exemplar pilot papers to work through together as a team during paper selection, quality assessment and extraction phases of the review.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은 특정 이론에 더 경험이 많은 리뷰팀 구성원들이 경험이 적은 구성원과 짝을 이뤄서 일을 하면서 특정 문헌에 대해서 설명articulate해주고, 그럼으로써 경험이 적은 구성원이 experientially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시각화전략을 사용하여서 경험이 많은 reviewer가 그 문헌에서 theory로서 발견한 것을 highlight하여 경험이 적은 파트너는 어떻게 자기의 파트너가 이론을 받아들이고conceiving있는지 알 수 있었다.

Experiential learning also took place when review members, more experienced in theory or a particular theory, worked together in pairs with less experienced members, articulating the review of any one particular paper, so that the less experienced member was able to learn experientially. Visualisation strategies were used at these times whereby the experienced reviewer highlighted what they had identified as theory in this article, so less experienced partners could see how their partner was conceiving theory, rather than relying on their verbal description thereof (Figure 1).




 

튼튼한 공동의 이해를 위한 또 다른 전략은 practical and experiential knowledge를 propositional knowledge로 다시 translate back하는 것이다. 이 때 팀원들은 (이론에 대한 자신의 이전 지식에 experiential and practical한 이해를 합해서) 이론의 의미가 무엇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성찰하여 써 보았다(propositional knowledge).

Another strategy to cement shared understanding of theory involved the translation of practical and experiential know- ledge back into propositional knowledge. Hereby, members of the teamwere asked to write their reflections on what they felt the meaning of theory to be (propositional knowledge) drawing on their own previous knowledge of theory but also their understanding developed in their working experientially and practically with other members of the team in pairs and in workshops (Figure 2 for an example of one reviewer’s reflection).



지식을 미적aesthetic인, 표현적인 방법(춤 등)으로 공유하는 것은 Heron and Reasons 이 제시한 마지막 ways of knowing으로 presentational knowing이다. '이론'에 대해서 이것은 아마 어려운 요구이겠지만, 공동의 이해에 도달하는데 있어서 rule out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haring knowledge through aesthetic, expressive methods such as art or dance, the final of Heron and Reasons (2008) ways of knowing (presentational knowing) is perhaps a tall order for a concept such as theory but should not be ruled out as means of reaching common understanding between participants.


 


 

 

이론의 적용의 퀄리티 평가

Assessing the quality of application of theory


 

특정 교육적 intervention을 지지하는 근거에 대한 전통적인 리뷰에서, 방법론적인 퀄리티를 평가하는 것은 sufficient rigour를 갖춘 문헌을 선택하는 핵심이었다. review of theory는 이러한 측면에서 조금 다르다. 이 때 초점은 방법론적 퀄리티가 아니라 특정 커리큘럼이나 커리큘럼의 평가를 뒷받침하는데 사용된 이론의 퀄리티를 보는 것이다.

In a conventional review of the evidence supporting a particular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quality is key to the review team selecting papers of sufficient rigour so as to constitute good evidence in the field. A review of theory is distinct in this regard as the review is essentially exploring the effective use of theory in educational interventions. The focus is no longer on methodological quality but the quality with which theory has been used to underpin the curriculum or its evaluation 


이론 그 자체의 퀄리티가 아니라, 그것이 적용된 방식의 퀄리티이다.

It is important to note here that it is not the quality of the theory itself that is in question but the quality of its application.



방법론적 퀄리티를 평가하는 프레임워크는 흔하지만, 이론적 퀄리티에 대한 척도는 드물다.

While frameworks for assessing methodological quality are common place (BEME Collaboration 2012; CASP 2012) measures of theoretical quality are absent in systematic review methods.


이러한 이유로 이론적 퀄리티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다.

For this reason, the IPE review team developed own framework to measure theoretical quality. The dimensions of this framework originate from those developed by Fawcett and Downes when assessing the links between theory and research (Fawcett & Downs 1992; Fawcett 2005), namely,

  • the dimensions of parsimony,

  • prag- matic adequacy,

  • testability,

  • operational and

  • empirical ade- quacy.

 

The meanings of each of these are discussed below.




 

실용적 적합성 (실천에 대한 이론의 유용성이 명확한가?)

Pragmatic adequacy (is the utility of the theory for practice made clear?)


practitioner를 위한 확실한 유용성이 있어야 한다. 논문에서는 그 이론이 누구에게 유용하며, 어떻게 그 이론을 working practice에 도움이 되게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Pragmatic adequacy means that the theory has clear utility for practitioners: when reading the report of the curriculum or its evaluation, practitioners should be able to see clearly how the theory can inform their working lives. By practice, we mean the theory must have been used to underpin an interprofessional curriculum, the way it is delivered and/or the approach taken to its evaluation (Coles & Grant 1985). Papers need to explicitly address the questions of who is the theory useful for and how can they use this theory to inform their working practice.



실용적 적합성은 논문을 고르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매우 흥미로우면서 학문적으로도 이론을 탐구하거나 개발하는 sophisticated한 논문들이 많으나, 만약 고찰이 추상적인 수준에서 머물러서 교육/연구 practice에 대한 link가 없으면 더 이상 review되지 않는다.

Pragmatic adequacy is a key selection criterion for papers. There are many highly interesting and academically sophisticated papers exploring and developing theory but if the discussion remains at an abstract level with no clearly articulated link to education or research practice, then the paper should not be reviewed further.



 

절약(이론은 간결하고 명확히 기술되었는가?)

Parsimony (is the theory concisely and clearly described?)


이론이 잘 기술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론적 기반이 없거나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거나.

Parsimony means that theories are clearly but concisely described in reporting. In many reports on IPE curricula, for example, the theory underpinning the curriculum is not described. It is uncertain then if the curriculum has no theoretical foundation , or whether this theory was simply not made explicit.


그러나 과도한 단순화를 경계해야 한다.

Authors on the other hand must guard against an over simplification of the phenomenon being addressed (Fawcett & Downs 1992; Fawcett 2005).


 

시험가능성(이론으로부터 유도된 명확한 제안propositions이 명확하게 제시되었는가?)

Testability (are clear propositions, derived from the theory, clearly presented?)


이론의 각 요소들을 형성하는 주요 개념과, 그 개념들 사이에 대해 제안되는 관계가 명확히 기술되어야 한다.

Key concepts that form the components of the theory and the proposed relationships between them should be clearly articulated.

  • 예시: Therefore, for example in Table 1, the three main principles of complexity theory are spelt out (i.e. that in these systems, knowledge is emergent, that the system is self- organising,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and nested) in addition to the five conditions required for collective learning to take place within this complex system (e.g. decentralised control, internal diversity).



운영상의 적합성(그 제안propositions들과 test에 사용된 연구방법 혹은 이론을 사용하는 방식 사이에 명확한 link가 있는가?)

Operational adequacy (is there a clear link between the propositions and the research method used to test or use the theory?)



이 criterion은 어떤 제안/가설이 이론으로부터 만들어지면, 검증되고 적절한 연구디자인과 방법으로 apply된다.

This criterion is fulfilled if the proposition/hypothesis created from the theory is then tested or applied with an appropriate research design and method.

  • 예시: Weaver et al. (2011) (Table 1) for example, clearly demonstrate how the dimensions of com- plexity theory and learning conditions have developed an analytical framework for a content analysis of the transcripts.



경험적 적합성

Empirical adequacy


 

실제 수집한 empirical data가 그 연구를 지탱하는 이론과 부합하는지

This means that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is congruent with the theory that underpins the study.



 

현실에서는 위의 dimension들은 서로 매우 강력한 상호의존성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pragmatic adequacy가 높은 경우 나머지도 좋다.

In reality, the above dimensions of theoretical quality described here are strongly interdependent, i.e. papers that have the most pragmatic adequacy are those that

  • are clearly and simply articulated (parsimony),

  • lay out clear propositions (testability),

  • use appropriate methods to derive or test these propositions (operational adequacy)

  • then report data that is congruent with the theoretical approach being utilised (empir- ical adequacy).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the theory quality assessment tool (Table 1) be applied to future theory reviews. It should also be included as an extra quality dimension in the protocols of rigorous literature reviews more widely.


BEME reviews are practi- tioner-focussed endeavours, and hence the focus on pragmatic value as a key inclusion criterion. We acknowledge this means the loss of many papers that still have high academic value and that make a contribution to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e field. Pragmatic value is the only exclusion criterion and tool deliberately does not excluded non-empirical papers. Although these papers will score low on operational and empirical adequacy, an articulation of the intervention theory and howthese apply to education practice, still have pragmatic value for the reader.



 

 





 2016 Jun;38(6):613-20. doi: 10.3109/0142159X.2015.1075648. Epub 2015 Oct 16.

Reviews of theoretical frameworksChallenges and judging the quality of theory application.

Author information

  • 1a Bournemouth University , UK .
  • 2b University of Stavanger , Norway .
  • 3c University of Leicester , UK .
  • 4d University of Essex , UK .
  • 5e The Anglo-European Chiropractic College , UK .
  • 6f University of Nottingham , UK .
  • 7g University of Huddersfield , UK.

Abstract

BACKGROUND:

Rigorous reviews of available information, from a range of resources, are required to support medical and health educators in their decision making.

AIM: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 review of theoretical frameworks specifically as a supplement to reviewsthat focus on a synthesis of the empirical evidence alone. Establish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ory as a concept is highlighted as a challenge and some practical strategies to achieving this are presented. This article also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oreticalquality, arguing that a critique of how theory is applied should complement the methodological appraisal of the literature in a review.

METHOD:

We illustrate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a shared meaning of theory through reference to experiences of an on-going review of this kind conducted in the field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nd use a high scoring paper selected in this review to illustrate how theoretical quality can be assessed.

FINDINGS:

In reach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ory as a concept, practical strategies that promote experiential and practical ways of knowing are required in addition to more propositional ways of sharing knowledge. Concepts of parsimony, testability, operational adequacy and empirical adequacy are explored as concepts that establish theoretical quality.

CONCLUSIONS:

Reviews of theoretical frameworks used in medical education are required to inform educational practice. Review teams should make time and effort to reach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term theoryTheory reviews, and reviews more widely, should add an assessment of theory application to the protocol of their review method.

PMID:
 
26473273
 
DOI:
 
10.3109/0142159X.2015.1075648
[PubMed - in process]


Consequential validity의 부정적 결과 (Adv in Health Sci Educ, 2015)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onsequential validity

Geoff Norman1




몇 차례의 미팅과 몇 개의 글을 읽고 새로운 언어를 배우기로 했다. 그것은 바로 Messish–Messick의 타당도이다.

As a result of a few meetings I’ve attended recently and a few things I’ve read, I’ve decided to learn a new language. It’s called (by me) Messish–Messick’s (1989) description of validity.


첫번째는 언어이다. 내가 보기에 Messick은 모호한 용어를 바꾸기로 한 듯 보였다. "convergent contruct validity"가 진짜로 의미하는 것을 나는 이해한 적이 없었지만, "nomological relatedness"보다 "평가자간 신뢰도"가 그 자체로 훨씬 더 자명했다.

The first is language. It really appears to me that Messick has gone out of his way to devise obscure terminology. While I agree that I never did understand what ‘‘convergent construct validity’’ really meant, terms like ‘‘inter-rater reliability’’ are much more self- evident than ‘‘nomological relatedness’’, at least to me.


그러나 모든 것들을 construct validity라는 깃발 아래 통합시키는 것의 비용은 훨씬 더 심각했는데, 다른 많은 대단한 통합이론들처럼 '더 많은 것을 포함시키지만 명확성을 더 떨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신뢰도/타당도/실현가능도/수용가능도의 구분은 상당히 묘사적이었다. 새로운 것은 그렇지 못하다. 이 오래된 아이디어는 적어도 일정 부분은 ‘content validity’’, ‘‘response process validity’’, ‘‘Internal structure validity’’,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 라는 제목들 아래 포착된다. 그러나 더 깊이 파고들수록...다음같이 대응됨을 알게 된다.

However, a more serious cost of this unification of all things psychometric under the banner of construct validity is that, like many grand unified theories, it captures much but clarifies little. The old division of test development into reliability, validity,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was quite descriptive. The new is not. Some of the old ideas are, to some degree, captured in the new taxonomy under the headings of ‘‘content validity’’, ‘‘response process validity’’, ‘‘Internal structure validity’’,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 (Downing 2003). But as we delve deeper, we find that

  • ‘‘response process’’ appears to relate primarily to issues of test administration, with headings like quality control, understandability to students,

  • ‘‘Internal structure’’ looks quite a lot like reliability,

  • ‘‘relationship to other variables’’ introduces some old terms like divergent and convergent, and

  • ‘‘consequential’’ looks at issues like consequences for student learning, unintended negative consequences, as well as false positives and false negatives.


이 복잡성은 예전에 Borsboom이 언급한 바 있다.

This complexity was elegantly noted some time ago by Borsboom et al. (2004), who noted:


타당도에 대한 질문은 아래와 같이 진화해왔다.

…in the past century, the question of validity has evolved

  •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one measures what one intends to measure (Cattell 1946; Kelley 1927),

  •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empirical relations between test scores match theoretical relations in a nomological network (Cronbach and Meehl 1955), and

  • finally, to the question of whether interpretations and actions based on test scores are justified—not only in the light of scientific evidence but with respect to social and ethical consequences of test use (Messick 1989).

 

따라서, 타당도 이론은 시험과 관련된 모든 중요한 문제를 validity와 관련된 것으로 대하기 시작했으며, 이 모든 것들을 하나의 제목 아래 통합시켰다. 그러나 그럼으로써 이론-지향적 심리학자와 실용성을 기대하는 Tester를 만족시키는데 모두 실패했다.

Thus, validity theory has gradually come to treat every important test-related issue as relevant to the validity concept and aims to integrate all these issues under a single header. In doing so, however, the theory fails to serve either the theo- retically oriented psychologist or the practically inclined tester. 


이론-지향적인 사람들은 타당도 이론의 intricate subtleties에서 길을 잃을 것이며, 실용-지향적인 사람들은 작업시 필요한 개념을 유도한다거나 실용적 함의를 찾는데 실패할 것이다 타당도 이론은 psychological testing에 대한 모든 우려를 관련되고, 중요하고, 해소되어야 할 것같은 느낌만을 남기며, 실제로 작업을 하는 연구자에게 방향감각을 제공해주지는 않는다.

The theoretically oriented are likely to get lost in the intricate subtleties of validity theory, whereas the practically oriented are unlikely to derive a workable conceptual scheme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rom it. A theory of validity that leaves one with the feeling that every single concern about psychological testing is relevant, important, and should be addressed in psychological testing cannot offer a sense of direction to the working researcher.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연구 설계와의 연결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것이다. 연구자가 위와 같은 타당도 개념을 blueprint로 삼아서 연구를 한다고 할 때, "response process"를 보고 싶은 경우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걱정을 하게 된다.

One immediate down side of this interpretation is that there is a less than obvious link to possible study designs. If a researcher intends to use this as a blueprint for conduct of psychometric studies, as she looks at ‘‘response process’’, she finds herself worrying about everything from subscore analysis and accuracy in combining scores to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test result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for learning to false positives and negatives under ‘‘consequences.’’

 

연구전략과의 연결성은 예전 taxonomy보다 훨씬 불명확하다. 예전에는 '신뢰도'를 알고 싶으면 '신뢰도 연구'를 하였고, '실현가능성'을 알고싶으면 '비용-효과성 연구' 또는 '피험자 또는 출제관리자로부터 설문'을 하면 되었다.

The link to study strategies is far less obvious that it was under the old taxonomy where, somewhat simplistically, if you wanted to look at reliability, you did a reliability study. If you wanted to look at feasibility, you did some kind of cost effectiveness study as well as surveys of users and test administrators.


더 나아가서 이 새로운 formulation이 "평가점수 그 자체는 그로부터 제기된 해석을 지지하는 근거를 더(혹은 덜)가지고 있다"라고 주장하는 것이 명백해졌으며, 왜 우리가 "어떤 검사를 타당화한다"라고 말하지 "어떤 검사의 타당도"라고 말하지 않는지가 명확해졌다. 각각의 제목에는 generalizable finding와 local quality control data가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 formulation에 따르자면 어떤 검사를 타당화하고자 하는 시도는 다양한 장소와 시간에 걸쳐 일반화가능한 근거와 전적으로 국지적인purely local한 정보의 혼합일 수 밖에 없다.

Further, it now becomes evident why the new formulation insists that ‘‘assessment scores have more (or less) validity to support the proposed interpretations’’ (Downing, 2003) and why we speak of validating a test, not validity of a test. Each heading contains a mixture of generalizable findings (e.g. representativeness of test items, examination blueprint, generalizability) and local quality control data (quality control and accuracy of final scores, understandable descriptions of scores for students, unintended consequences). So every attempt to validate a test, according to this formulation, is inevitably a combi- nation of evidence that may well be generalizable across sites and times, and other information that is purely local.


실제로 만약 누군가가 이 axiom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어떠한 결과든 과연 출판하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것이 궁금해질 터인데, 왜냐하면 대부분의 assembled evidence는 국지적으로만 적용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우리 모두가 이 레토릭을 믿는다면, 새로운 formulation의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효과는 엄청날 것인데, 왜냐하면 이러한 결과는 그 검사를 시행한 세팅에서만 적용가능한 것이고, 국가단위 시험기관을 제외하면 누구도 psychometric 연구는 하지 않으려 할 것이며, 어떤 편집장도 그러한 연구는 출판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나는 이 결과를 전문가 집단에게 보여주고 설문지를 승인받아 내용타당도를 확보했다. 나는 내적일관성을 계산하여 0.85가 넘는다는 것을 확인했고, 따라서 신뢰성이 있다. 경험이 풍부한 의사는 1학년 학생보다 더 낫기 때문에 이는 타당하다"라는 것과 같은 그럴듯한 명제를 머리가 여러개인 괴물로 대체하였으며, 이 괴물은 psychometric road를 걸어가려는 모든 사람을 좌절시킬 것이다.

Indeed, if one takes these axioms seriously, one wonders how anyone could publish any results, since much of the assembled evidence would only apply locally. If we all truly believed this rhetoric, the unintended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new formulation could be serious indeed, since, because the results are only applicable to this setting an this administration of this test, no one except national testing agencies would bother to conduct any psychometric studies, and no editor would publish any such studies. We have replaced the glib statements like ‘‘I sent this to a group of experts to approve the questionnaire so it has content validity. I compute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it’s 0.85 so it’s reliable. Experienced clinicians do better than first year students so it’s valid’’ (Cook 2014) with a multi-headed beast that would discourage anyone from embarking down the psychometric road.


다행스럽게도, 이 학계는 새로운 종교를 약간 unitarian과 같이 바라보는 듯 하며, 우리가 원하는 것은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나머지는 무시하려는 듯 하다. 우리는 Apostle's Creed를 중얼거린다. "나는 그 누구도 검사의 타당도에 대해서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다음 우리는 검사의 타당도에 대해서 말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래야만 한다. 한 상황에서 획득한 일반화에 대한 근거를 비슷하거나 조금 덜 비슷한 다른 상황에서 수용하는 데 있어서, 우리는 과학에 내재된inherent in most of science것과 같은 타당화의 프로세스를 따른다. 의사로서, 교육자로서, 우리가 어떤 연구논문을 읽을 때 우리는 어떤 순간에는 그 연구의 결과가 다른 상황에 일반화될 수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실제로 이러한 일반화에 대한 어려움이 EBM movement에 반대하는 여러 사람들의 근거이기도 하다.

Fortunately, it seems that the community approaches the new religion a bit like Uni- tarians, taking what we want and ignoring the rest. In one breath we mutter the Apostle’s Creed, ‘‘I believe that one cannot speak about the validity of a test’’, and in the next, we talk about the validity of the test. And so we should. In accepting the value of generalizing evidence obtained from one situation to other more or less similar situations, we are engaging in a process of validation that is inherent in most of science. As clinicians, as educators, every time we read a study we must engage at some point in a judgment about the extent to which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generalized to a different situation. When a cardiologist does a study of a new anti-arrhythmia drug, others reading the results must consciously ask the extent to which the findings (frequently based on highly selected subsets of patients with arrhythmias) apply to her patients. Indeed, it is precisely the difficulty in making this generalization that underlies many of the objections to the Evi- dence Based Medicine movement (Tonelli 1998).


통계학과 p-value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모든 추론통계는 내가 선택한 표본이 가상의 모집단에서 추출한 무작위 표본이라는 거짓된 가설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렇게 하려면 그 모집단의 모든 사람을 열거한 후에 거기서 무작위로 샘플을 선정해야 한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라고 할 때 여기에는 과거/현재/미래의 사람을 모두 포괄하기에, 어떤 연구가 출판되어 나올 때는 이미 모집단이 변화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Statistics and p values don’t help. In fact, all of inferential statistics is founded on the false assumption that the sample I chose to study is a random sample drawn from a hypothetical population. But to do that, I would of course have to assemble a list of everyone in that population, then randomly sample fromit. And by everyone, I would have to include everyone past, present and future, since by the time the study gets into print, there will be a different population.


Cornfield and Tukey 는 이 주장의 오류를 수년 전에 인지하였다. 그들의 "교각"이 되는 주장은 강의 양쪽을 연결하는 다리를 가진 하나의 섬을 상상하게끔 한다. 한 쪽에 연결된 다리는 하나의 샘플에서 연구된 결과가 다른 가설적으로 동일한 집단에 일반화가능하다는 것이며(내적 타당도), 반대쪽 다리는 더 넓은 집단에 일반화가능하다는 것(외적 타당도)이다. 본질적으로 이 다리는 움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내적타당도는 높아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모집단이 더 균질해지거나, 관찰자에 대한 훈련이 늘어나거나, 외적타당도가 감소했을 경우에 그러하다. 이러한 관측에는 EBM에 대한 우려가 깔려있고, 초반의, 연구에서 사용되는 전형적 샘플이 매우 비전형적일 때, 외적타당도를 희생하여 내적타당도를 높일 수 있다.

Cornfield and Tukey (1956) recognized the fallacy of the argument many years ago. Their ‘‘bridge’’ argument imagines an island, the study, in a river, with bridges to the two banks. The bridge to one bank is the extent to which the results from the sample studied can be generalized to other hypothetical identical populations—the internal validity of the study. The bridge to the other is the extent to which the results can generalize to broader populations—external validity. And essentially the island can move, so that as internal validity increases, by, for example, making the sample more homogeneous, or increasing the training of observers, the external validity drops. That observation underlies the con- cerns about EBM alluded to earlier, where the typical samples studied are very atypical, so sacrifice external validity for internal validity.


Psychometric 관점에서 이것이 타당도에 갖는 함의는 무엇인가? 우리는 특정 도구의 가치에 대한 의견을 일상적으로 형성한다. 예컨대..

What does this have to do with validity on a psychometric sense? While we may not put it in print, I think we routinely form opinions about the value of specific instruments, usually based on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 Some examples:


1. There is good evidence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licensing and certification examinations, looking at predicting practice performance measured by peer review (Ramsey et al. 1989; Wenghofer et al. 2009), malpractice (Tamblyn et al. 2007) and cardiac mortality rates (Norcini et al. 2002) 


2. There is good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e multiple mini interview predicting a variety of outcomes (Eva et al. 2009) 


3. There is good evidence of the lack of validity of learning style as a construct, based on multiple studies showing no advantage for matching teaching to learning style (Pashler et al. 2008) 


4. There is good evidence of the lack of validity of self-report measu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Lewis et al. 2005) against a variety of performance measures 


5. There is good evidence of the lack of validity of self assessment (Eva and Regehr 2005)


 

여기서 내가 사용한 트릭은 내 주장에 대한 근거를 다른 사람의 주장에 기반하여 찾아낸 것이다. 위의 주장들은 systematic review에 근거한 것이 아니며, 이것이 '근거'가 될 수 있는 상황은 드물다. 그러나 반대로 신뢰도 계수와 같이, 타당도 값이 0.80입니다, 0.40입니다 라고 할 수 있는 무엇이 있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이것은 근거의 주관적 요약에 불과하며, 사람에 따라서 관점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Higgs boson에서 나온 과학적 이슈에 대해서 과학자들이 어떻게 의견을 형성해나가는지와 매우 크게 다르지는 않다. 무엇보다, 이러한 연구는 가능한 근거들의 informed and subjective aggregation이다.

The trick is to try to identify the basis for my assertions (which of course are usually based on others’ assertions). They are not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nly infrequently could this evidence, drawn from a disparate range of studies and very different kinds of information end up as an effect size. Nor is there any coefficient like a reliability coeffi- cient, saying this has a validity of 0.80 and that has a validity of 0.40. Rather it is inevitably a subjective summary of the evidence, which of course means that others may have a different view. In that respect, it is not very different from how we as scientists form our opinions about any scientific issue from the Higgs boson to the role of dietary fat in heart disease. More often than not, it represents an informed and subjective aggregation of the available evidence.


아마도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게 만드는 프로세스는 그 이후의 탐색 전략일 것이다. SYSTEMATIC REVIEW의 쉬운 결론은 아닐 것이다.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이 교육분야에서 systematic review의 역할에 대해 부정적이다. 이 분야는 너무나 다양해서 어떤 질문도 "NN연구가 이걸 했고 YY/NN은 효과적이었다와 같이 효과크기를 계산하거나 "콩의 갯수를 세는"것으로 끝날 수 없다. 따라서 우리가 결과적으로는 계산된 effect size로 끝을 보게 될 가능성은 낮다. 아마도 우리는 Consumer Reports와 유사한 현태의 전략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전문가들의 합의에 기반하여 도출된다. 내게는 이것이 현재의 접근법보다 더 나아 보인다.

Maybe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se conclusions should be a strategy to exploit further. It is unlikely to be an easy conclusion of a systematic review. Many people, myself included, have despaired about the role of systematic reviews in education. The field is so diverse that almost any question is not amenable to counting effect sizes and the review ends up ‘‘bean counting’’ of the form ‘‘NN studies did this and YY/NN were positive.’’ So the idea that we could eventually wind up with a calculated average effect size seems to me highly unlikely. Perhaps we should instead devise some strategy analogous to the Con- sumer Reports ratings based on a consensus of experts.1 Somehow this seems to me more progressive than the current approaches.


Cook, D. A. (2014). Much ado about differences: Why expert-novice comparisons add little to the validity argument.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doi:10.1007/s10459-014-9551-3.





 2015 Aug;20(3):575-9. doi: 10.1007/s10459-015-9615-z.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onsequential validity.

Author information

  • 1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 Canada, norman@mcmaster.ca.
[PubMed - in process]


의학의 교수-학습에 관한 논란을 바라보며(Med Teach, 2007)

Looking forward – looking back: aspects of the contemporary debate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dicine

ALAN BLEAKLEY & JOHN BLIGH

Institute of Clinical Education, Peninsula Medical School, Plymouth, UK






가장 강한 종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변화에 가장 잘 반응하는 종이 살아남는다

‘It is not the strongest of the species that survives, but the one most responsive to change.’

Charles Darwin


Burns의 논문은 습관적 학습 패턴의 집합, 또는 되풀이되는 '신드롬'을 묘사하고 있다. Burns는 학생이 반복적으로 해부학을 assessment-driven 전략으로 공부하면서, 그 댓가로 생산적인 학습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모든 것을 외우지만 이해하는 것은 거의 없는' 학습을 한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특정 주제에 관한 풍부한 컨텐츠에 국한하는 짧은, 집중적 학습시기를 교육에 포함시키는 전략을 활용하고자 했다.

Burns’ article describes a set of habitual learning patterns, or recurrent ‘syndromes’, Burns describes recurrent assessment-driven strategies in learning anatomy that students employ at the expense of more productive learning, such as ‘memorize everything – under- stand little’. He involve short, intense periods of learning of circum- scribed ‘rich’ content around specified themes, such as mitochondrial structure and function, under general narrative themes such as ‘Cell Biology’.


 

그러나 Burns의 접근법은 학습자에게 얼마나 도움이 supportive 되었든지간에, 일차원적이고 보수적이며, 협상불가능한 교육과정에 기반한 내용-중심, 교수자-중심 전략이다content-driven, teacher-centred strategy based on a non- negotiable curriculum

Burns’ approach, however supportive to learners, is educationally uni-dimensional and conservative, privileging a content-driven, teacher-centred strategy based on a non- negotiable curriculum.


D’Eon 등은 Burns가 지적한 여러 신드롬과 컨디션들은 사실 (의대생들은 단순히 반응하고 있는 것일 뿐인) 시스템적 문제의 증상이라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Teaching Syndromes"이라고 지적하였으며, 이 용어는 Burns의 Learning syndromes에 대한 교묘한 중의적 표현이다.

D’Eon (a medical educationalist) and his colleagues Caroline Kosmas and Jamie MacMillan (both physicians) point out that ‘many of the syndromes and conditions’ listed by Burns ‘are in fact symptomatic of systemic problems to which the medical students are merely reacting’ (D’Eon et al. in press). Hence their title ‘Teaching Syndromes’ – a sly double-meaning dig in response to Burns’ ‘learning syndromes’, the latter read as having an iatrogenic effect.



D’Eon 은 학부의학교육과정이 factual science content로 과포하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것들 중 일부는 미래 의사에게 관련되어 있지 않으며 도태시켜도 되는 내용이다. 이 지적에 대해서 Burns의 반응은 그다지 설득력있지 못한데, 그는 단순히 교육과정의 내용이 '지속적으로 감시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말했을 뿐이다. D'Eon은 '테크니션'이 아니라 '의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학생을 수동적 역할로서 사회화시키는 것은 자기주도성과 '이해를 위한 학습'을 길러주지 못한다고 했다. D'Eon 등은 Burns의 교수- 혹은 실라버스- 에 대한 antithesis로  학생- 혹은 학습자- 중심 관점을 제시했다.

D’Eon also points out that where the undergraduate medicine curriculum is overloaded with factual science content, some of it is not relevant to future practice as a doctor and could be culled. Burns’ response to this point is not convincing, where he merely says that curriculum content is ‘under constant investigation’ (Burns in press). D’Eon calls for an education of the ‘physician’ not the ‘technician’, pointing also to the paradox that socialising students into passive roles is not going to foster self-direction and ‘learning for under- standing’ (D’Eon et al. in press). D’Eon and colleagues thus describe a student- or learner-centred perspective that is the antithesis to Burns’ teacher- and syllabus-centred centred approach.


우리의 관점에서 두 가지 관점 모두 의학교육의 가장 중요한 요소를 빼놓고 있다. 그것은 바로 환자이다. 당연히, 하나의 연구질문으로 답을 내기에는 불가능하며, 왜냐하면 의학교육 인터벤션은 환자outcome과 연결시키기는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다.

In our opinion, both views igno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medical education – the patient (Bleakley & Bligh 2006). Of course, as a research question,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unanswerable, because medical education interventions, are too complex to readily link to patient outcomes.


 

Donald Schon의 잘 알려진 구분을 적용해보자면, 의학교육은 기술-합리 전략technical- rational strategy이 아니라 기술-합리적 요소를 활용한 술적 기교의 실천practice artistry employing technical-rational elements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의학교육이 근거-기반의 실천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우리가 '근거'라는 용어로 무엇을 말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근거'라는 것은 환자를 가장 중심에 둔 연구 의제agenda 없이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Medical education, to draw on Donald Schon’s well-known distinction, is not a technical- rational strategy, but primarily a practice artistry employing technical-rational elements. This does not mean that medical education cannot be an ‘evidence-based’ practice. Rather, we need to consider what we mean by ‘evidence’. Neither does it mean that we cannot move forward with a research agenda at the heart of which is the patient.


첫째, 우리는 현재 우리가 교육과정의 설계/도입/평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것보다 환자를 더 많이 참여시킬involve 수 있다.

First, we can involve patients (and we are all patients at some time in our lives) much more than we currently do in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curricula, including assessment of learning and appraisal of practice.

 

둘째, 우리는 학생을 임상교육bedside learning에 더 일찍, 그리고 지속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교실-기반 과학이 아니라 실제 우리의 행동과 관련된 과학science-in-action을 더 강조해야 한다.

Second, we can place more emphasis upon science-in-action, rather than classroom-based science, through early and sustained intro- duction of students to bedside learning.



학생들은 환자와 능동적인 대화를 통해서 (겉으로 드러난 증상에) '존재하는 것present' 뿐만 아니라 '비어있는 것absent'에 도달함으로써 진단을 내리고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자신감을 기를 수 있는 지원을 필요로 한다. 무엇이 말로서 드러나지 않고, 무엇이 숨겨져 있는가What remains unsaid or unseen? 의과대학생은 반드시 사물thing을 관찰함에 있어서 keen하면서 suspended해야 한다. 환자가 indicator로 가득한 이야기를 펼쳐놓음으로서 알게 되는 서사적 이야기narrative의 흐름 속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겉으로 드러난 증상...??

Students need to be supported in gaining confidence in diagnosing and formulating a treatment plan through active dialogue with patients to get at the ‘absent’ as well as the ‘present’ or surface symptom. What remains unsaid or unseen? But the medical student must balance both keen and suspended observation of the ‘thing’, the presenting symptom with deep engagement in the running flow of narrative as the patient unfolds a story ripe with indicators.



이것은 단순히 환자-주도의 의학교육이 아니라 학습에 대한 프로세스-중심 접근법이다. 여기서, 교육자들은 반드시 (내용 성과 뿐 아니라) 프로세스 학습성과process learning outcomes 를 작성하고 이를 교육하는데 익숙해져야 한다. 예를 들면, 학생들은 '잘 모르는 것'의 모호함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학생들은 이해를 위하여seeking understanding 어떤 전략을 사용하였는가?

This is not just a patient-led medical education but a process-led approach to learning. Here, educators must become adept in writing and working with process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content outcomes: for example, how did the students deal with the ambiguity of not knowing; what strategies did they employ in seeking understanding, such as collaborative engagement, seeking out a second opinion, and asking for clarification?


(의학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협력을 추구함에 있어서 마지막 포인트에 있어서, 우리가 Burns–D’Eon dialogue 에서 관찰한 것은 둘 모두 학습을 개인차원의individual, 영웅적heroic 노력의 프레임으로 본다는 것이다. 학습을 반드시 투쟁과 생존의 프레임에서 봐야만 하는가? 과학교육자들은 다윈주의 메타포를 인용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Social learning theories는 (지금까지) 지배적 지위에 있던dominance 개인주의적 '성인학습adult learning' 접근법에 도전장을 던지기에 이르렀다. 그 이유는 주로 Social learning theories가 팀 세팅에서 진행되는 현재의 의료행위의 규범norm을 더 잘 설명해주는 이론적 프레임임을 타당화validate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기 때문이다.

On this last point of seeking collaboration for greater understanding, our second observation on the Burns–D’Eon dialogue is that they both frame learning as an individual, indeed heroic, endeavour. Does learning have to be framed in terms of struggle or survival? Perhaps science educators cannot help but employ Darwinian metaphors. Social learning theories have come to challenge the dominance of individua- listic ‘adult learning’ approaches primarily because they have established a research base to validate theoretical frames that better explain the current norm of clinical practice in team settings (Bleakley 2006).

 

 

Social learning theories 는 학습을 지식과 스킬의 퇴적작용으로 보지 않으며,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고 실천공동체에 정당한 참여legitimate entry를 제공해주는 사회화 과정으로 본다. 학습이란 문화적, 역사적 현상에 달려 있는 것이며, 자기-지시적self-referential 사건으로서 거품처럼 발생하지 않는다. Social learning theories 는 학습을 자신과 문화와 역사적 가공품(언어나 컴퓨터)과 실천공동체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반을 둔 역동적이고, 복잡하고, 불확실한 과정으로 묘사한다. 지식은 이제 주로 컴퓨터와 팀(또는 더 넓은 실천공동체)의 역사적 전통 속에 저장되어 있으다. 학습은 대체로 (맥락과 관련된) situated and distributed knowing에 대한 정당한 접근legitimate access에서 일어나는 메타-프로세스이다. 이는 개개인이 지식을 (머리속에) 저장해놓는 것의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지식의 저장'을 지식을 어떻게 배우고, 지식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를 학습하는 더 광범위하고 긴급한pressing 맥락에 놓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우리를 '협력collaboration'으로 이끌어주는데, 이 협력이란 (단순히 정보를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어떻게 협력적으로 생산할지를 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Social learning theories do not explore learning as sedimentation of knowledge and skills, but as a socialisation process constructing a professional identity and providing legitimate entry into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is a contingent cultural and historical phenomenon – it does not occur in a bubble as a self- referential accident. Social learning theories describe learning as a dynamic, complex and uncertain proces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self, cultural and historical artefacts (such as languages and computers), and communities of practice. Knowledge is now mainly stored in computers and in the historical traditions of teams or wider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is largely a meta-process concerning legitimate access to situated (context-linked) and distributed knowing. This is not to deny the value of one’s own store of knowledge, but to place this in the wider and more pressing context of learning how to learn or how to access knowledge. This brings us back to collaboration, knowing how to jointly produce knowledge, rather than simply reproduce information, whether this is with a patient, a clinical teacher, an anatomist, or a healthcare professional in a clinical team to which the student has legitimate access on study placement.


Burns는 '평생학습'에 대해서 이야기했지만, 독자들은 그의 논문에서 '평생학습'을 느낄 수 없는데, 왜냐하면 Burns가 말한 것은 개개인으로서 right technical way를 익히는 것 이상이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평생학습'을 '종신형'으로 만드는 것과 같This is to turn lifelong learning into a life sentence. D’Eon 등은 Burns의 접근법의 한계를 짚어내는 데 까지는 성공했지만, 이것을 contemporary learning theory까지 끌고오는데는 실패했다. 우리는 교수자-중심과 학습자-중심이라는 이분법으로부터 벗어나서 authentic work-based, patient-centred 접근법을 'new apprenticeship'으로서 중시하기를value 제안한다. 그러한 접근법을 알리기 위해서 의과대학은 social learning에 대한 연구를 더 하고, activity theory와 같은 모델을 적용하고 시험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Burns talks of ‘lifelong learning’, the reader does not get a sense from his article that this consists of anything beyond picking up the right technical ways of gaining knowledge as an individual. This is to turn lifelong learning into a life sentence (Bleakley 2001). D’Eon and colleagues are right to point to the limitations of Burns’ approach, but they miss the opportunity to progress their argument to dialogue with contemporary learning theory. We suggest transcending the teacher-centred/learner-centred dichotomy to consider the value of an authentic work-based, patient-centred approach as a ‘new apprenticeship’. To inform such an approach, medical schools might consider the value of furthering research into social learning, applying and testing models such as activity theory (Bleakley 2006).


Burns and D’Eon 에 대한 우리의 세 번째의 핵심 관찰은 '더 큰 그림'에 대한 것이다. 즉, 미래 의학교육 그 자체에 대한 것이다. 의과대학생 교육이 과학적이고 근거-기반의 접근을 따라야 하는 것은 맞으나, 의과대학생들은 환자 진료에 대한 narrative-based approach도 배워야 한다. Burns and D’Eon 중 누구도 어떻게 cultural theory와 literary approach가 의학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inform 것을 지적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의사와 환자 사이의 대화의 특성을 이해하거나 이 대화 이후에 따라오는 텍스트(사례 노트, 리퍼 레터)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Our third and central observation on Burns and D’Eon concerns the bigger picture – the future of medical education itself. We are aware that while a proper focus must be placed upon medical students learning a scientific, evidence-based approach, they must also learn a narrative-based approach to patient care. Neither Burns nor D’Eon touch on how cultural theory and literary approaches can inform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in helping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alk that happens between doctor and patient and the nature of texts that follow from this talk, such as case notes and referral letters.


따라서 Burns의 설명은 학생이 교사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관념적인 입장을 설명하고 있으며, D'Eon은 그 반대를 설명할 뿐이다. ideological networks와 같이 '관계'에 대한 설명을 풍부하게 하는 것은 이데올로기의 특성을 드러내주는 gaps, omissions, silences and contradictions 를 드러내는데 활용주된 방법이다. Burns’ and D’Eon’s 모두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를 설명하지만, 둘 다 환자와의 관계는 설명해주지 않고 있다. 우리는 이것을 의학교육의 '환자 결여patient absent' 접근법으로 보며, where the power structures in the apparatus the ideological paradoxically serve to exclude patient이다. 그러한 텍스트가 설명해주는 것은 있지만, 반쪽짜리only partial일 뿐이며, 현실을 묘사한다고는 하지만, 권력구조 내에 사람을 새겨넣은 것일 뿐이다. 그러나 이 power struggle은 죽음에 맞서 싸우는 공룡과 같고, 의학교육에서는 교사와 학생이 학습의 주도권을 놓고 벌이는 전투에 갖혀 있는 것이다

Thus, Burns’ account ideologically positions students as subordinate to teachers and D’Eon’s account reverses this. Rich accounts of relationships as ideological networks, such as ethnographies or literature, are primary methods used to expose the gaps, omissions, silences and contradictions that reveal the nature of ideology. Where Burns’ and D’Eon’s accounts position students and teachers in relation to each other, again neither positions these in relation to patients. We can think of this as a ‘patient absent’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where the power structures in the apparatus the ideological paradoxically serve to exclude patient. Such texts claim to be explanatory but are only partial in their accounts, and claim to describe reality, but can be seen to inscribe persons in a power structure. But this power struggle describes dinosaurs fighting to the death – looking back to a traditional, but tired, medical education where teachers and students are locked in a battle for ownership of learning, or in literary terms, authorship of their texts.


텍스트는 '생산'되는 것이며 '저술'되는 것이 아니다. 환자는 그 저술물의 첫 번째 '독자'이며 환자나 의사는 '두 번째 독자'면서, 동시에 공-저자co-author가 된다. 텍스트는 지속적으로 생산된다.

Pierre Macherey (Macherey 1978) and Michel Foucault (Foucault 1977a) amongst others, challenge such a notion of authorship, suggesting that texts are ‘produced’ not ‘authored’. We can think of a patient’s notes or a doctor’s case notes as text, but these are produced after the first speaking of text that is the patient’s presenting narrative account. Importantly, production of text involves ongoing collaboration between author and reader. The patient her symptoms and ‘authors’ an account of his or is the first ‘reader’ of this account. The medical student or doctor then acts as second reader but also becomes a co-author. The text is in continuous production. We claim that such textual productions offer the primary resource for medical education (Bleakley & Bligh 2006).


네 번째이자, 마지막 관찰은  D’Eon’가 Burns’ ‘learning syndromes’ 에 대해서 비판한 것은 보수적이고 노골적으로 징벌적인 평가 시스템의 결과물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Our fourth and final observation concerns D’Eon’s critique that Burns’ ‘learning syndromes’ may be a product of a conservative and frankly punitive assessment system,


 

어떻게 한 사람이 질문을 저항적 독립적 권력시스템으로...하여 새로운 정체성을 구성하는가. 

A more adventurous interpretation can be gleaned from the work of Michel Peˆcheux (Peˆcheux 1982) and Michel Foucault (Foucault 1977b) who describe how persons can created identities through interpellation into a resist sovereign power system (or a surveillance regime such as formal assessment), to construct a new identity. Here, where power is capillary (running through a system), it is not simply exerted as reproductive sovereign power but is productive, generating potentially thoughtful, critical resistance to a norma- tive approach.

 

만약 Burns가 말한 것과 달리, 학생들이 sovereign system 내에서 전략적으로 오발misfiring하는 것이 아니라면? 학생들은 어쩌면 빈약한 평가시스템에 대하여 정당한 집단적 저항적 움직임을 하고 있는 것일수도 있으며,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일 수도 있다. Burns는 (비록 암묵적이지만) 권력이 reproductive하다고 묘사하였으며, 여기서 학생들은 교사가 학생에게 바라는 것을 정직하게 스스로에게 적용시키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우리는 power can be productive of active and positive resistance that comes to shape new identities 라고 제안하고 싶다.

Returning to Burns’ students, what if they are not tactically misfiring within a sovereign system, as Burns suggests? They may instead be offering a legitimate collective resistance movement to poor assessment practices and explicit surveil- lance, and in the process creating new identities. Burns, albeit tacitly, then describes power as reproductive, where students must honestly apply themselves to learn what teachers want them to learn. We have suggested, following Foucault, that power can be productive of active and positive resistance that comes to shape new identities. There is a third, emerging context in assessment of learning, where power can also be seductive. Here, as in simulation contexts such as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students may cleverly play the game, out-witting their teachers in smooth but simulated performance. These emerging contexts are not readily explained by current theories of learning, and are better illuminated by cultural theory of simulation (Bligh & Bleakley 2006).


 



Bligh J, Bleakley, A. 2006. Distributing menus to hungry learners: Can learning by simulation become simulation of learning? Med Teach (in press).


Bleakley A. 2006. Broadening conceptions of learning: the message from teamworking. Med Educ 40:150–157.




 2007 Mar;29(2-3):79-82.

Looking forward-looking backaspects of the contemporary debate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dicine.

Author information

  • 1Royal Cornwall Hospital, Institute of Clinical Education, Peninsula Medical School, Plymouth, UK. alan.bleakley@pms.ac.uk

Abstract

Does the tired oppositional debate between student-centredness and teacher-centredness leave the patient stranded, where the patient is surely the focus of a medical education? How might an authentic patient-centred practice be shaped, informed and nourished theoretically? We describe an intellectual landscape of critical, interdisciplinary inquiry that, so far, many medical educators have not inhabited. For example, texts written to inform medical education rarely examine intellectual premises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We offer a number of theoretical frameworks that can inform critical practice, asking 'why do we do it this way?'; 'what are the alternatives?'; and 'how do we justify our approaches intellectually?' We conclude that medical education needs to take stock of its intellectual resources.

PMID:
 
17701613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학교육에서의 교수학습: 이론과 실천(Understanding Medical Education ch2)

Teaching and learning in m edical education: how theory can inform practice

David M Kaufman and Karen V Mann






Introduction


(의료에서) 일부 연구자들이 이론과 실천사이의 gap을 지적했으며, 교육 역시 예외는 아니다.

Several writers have described a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Educators are no exception. (1)


'이론'이란 용어를 일반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가정 혹은 이념idea의 집합이다. Knowles는 25년 전 이를 좀더 간결하게 표현한 바 있는데, 이론이란 'a com- prehensive, coherent, and internally consistent system of ideas about a set of phenomena'라고 했다.

We use the term ‘ theory ’ in a general sense, that is, as a set of assumptions and ideas that help to explain some phenomenon. Knowles (2) put this succinctly more than 25 years ago, defining a theory as: ‘ a com- prehensive, coherent, and internally consistent system of ideas about a set of phenomena ’ .


  •   adult learning principles (3) 
  •   social cognitive theory (4) 
  •   reflective practice (5) 
  •   transformative learning (6) 
  •   self - directed learning (7) 
  •   experiential learning (8) 
  •   situated learning (9) 
  •   learning in communities of practice. (10)


성인학습이론

Adult Learning Principles


성인교육의 목적은 여러 유형론typology의 대상이 되어왔다. 일반적으로, Darkenwald and Merriam이 열거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다.

The purpose of adult educ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a number of typologies. (11 – 15) Generally, these accord with a list proposed by Darkenwald and Merriam, (15) namely:


  • 지식의 개발  cultivation of the intellect
  • 자기실현  individual self - actualisation
  • 개인 및 사회의 발전  personal and social improvement 
  • 사회적 변혁   social transformation 
  • 조직 효과성   organisational effectiveness.


이러한 기능을 둘러싸고 여러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으며 Merriam은 이를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A number of theoretical frameworks have developed around these functions, which Merriam (16)  has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 첫 번째는, 성인학습의 특성에 대한 것으로 'andragogy'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프레임워크이다. 이 그룹에는 Cross가 ‘ Characteristics of Adults as Learners’ 이라는 모델로 제안한 것도 들어가는데, 이는 개인적/상황적 특성에 따른 성인과 아이의 차이를 다루었다.
    The first category is based on adult learning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best - known framework is  ‘ andragogy ’ . (3) Also in this group is Cross ’  (17) ‘ Characteristics of Adults as Learners’ model,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adults and children across person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 두 번째는, 성인의 삶의 상황adult's life situation을 강조하는 카테고리이다. 두 가지 이론이 여기에 들어가는데 Knox ’ s Proficiency Theory (18)  and McClusky’s Theory of Margin. (19)  가 있다.
    The second category emphasises the adult ’ s life situ-ation . Two theories have been proposed in this cate-gory, Knox ’ s Proficiency Theory (18)  and McClusky’s Theory of Margin. (19)  
  • 세 번째는, 의식consciousness의 변화에 초점을 둔다. 이 분류에 속하는 모델들은 경험과 환경에 대한 성찰을 강조하는데, Mezirow ’ s  Perspective  Transformation (20)  and Freire ’ s Theory of Conscientization (21) 등이 대표적이다.
    The third category focuses on  changes in consciousness . Several models in this cate-gory emphasise reflection upon experience and envi-ronment.  Mezirow ’ s  Perspective  Transformation (20)  (discussed later) and Freire ’ s Theory of Conscientization (21)  are the best - developed models in this category. 


성인교육

Andragogy 


Malcolm Knowles 는 최초로 andragogy라는 용어를 도입했으며, 이를 '성인의 학습을 도와주는 예술과 과학'‘ the art and science of helping adults learn ’ 이라 정의하였다. Knowles는 성인교육을 경험기반의 이론으로 제시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네 개의 가정 (후에 다섯 번째 가정이 추가됨) 으로서 언급하였다.

Malcolm Knowles (3) first introduced the term ‘ andra- gogy ’ to North America, defining it as ‘ the art and science of helping adults learn ’ Knowles did not present andragogy as an empirically based theory, but simply as a set of four assumptions, (3) to which a fi fth was later added ( see Box 2.1 ).( 23)

 

 



Andragogy의 핵심적 기초는 성인성adult-hood를 획득한다는 것은 한 성인이 스스로를 자기-주도적 개인으로 바라보게 된다는 것이다. Knowles의 '가정'들은 성인교육에 '신분을 나타내는 배지'를 수여한 것과 같으며, 이로서 이 분야를 교육의 다른 분야, 예컨대 아동교육childhood schooling과 구분지을 수 있게 되었다. Bard는 andragogy가 '아마도 다른 어떤 힘force보다도 성인교육에서, 그리고 인적자원개발에서 학습자의 역할을 변화시켰다' 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이는 상당한 논란을 불러왔다. 초기의 비판은 훗날 Knowles로 하여금 그의 모델을 andragogy와 pedagogy를 하나의 연속체로 보는 관점으로 수정하게끔 했으며, 학습자의 연령에 무관하게 상황과 시기에 따라 두 가지의 교수법을 모두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core basis of andragogy is that the attainment of adult- hood is marked by adults coming to view themselves as self - directed individuals. Knowles ’ ‘ model of assumptions ’ has given adult education a ‘ badge of identity ’ that distinguishes the fi eld from other areas of education, for example, childhood schooling. (26) Bard (27) has asserted that andragogy ‘ probably more than any other force, has changed the role of the learner in adult education and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 (p. xi). However, it has also caused enor- mous controversy, debate and criticism. The early criticism led Knowles to later modify his model by describing andragogy and pedagogy as a continuum,and suggesting that the use of both teaching methods is appropriate at different times in different situations, regardless of the learner ’ s age. (23)  


Andragogy는 어떻게 성인이 학습하는가에 대한 이론이라기보다는 성인학습자를 묘사하기 위한 가정assumption에 불과하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andragogy is not really a theory of how adults learn, the assumptions being merely descriptions of the adult learner. (28)


어떤 사람들은 andragogy가 언젠가는 이론이 될지도 모르지만, 그 assumption에 대한 empirical study가 필요할 것으로 말한다.

Others argue that andragogy may in time become a theory, but through empirical studies of the assumptions. 

 


 

교육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성인의 생활상황life situation은 아동의 그것과 상당히 다르다.

an adult ’ s life situa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a child.


맥락

Context


어린아이들은 자신의 웰-빙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게 되나, 성인은 스스로의 삶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전형적으로 학습자는 성인으로서 동시에 해야 하는 여러 가지 역할 중 하나일 뿐이다. 추가적으로, 어린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은 학교 상황에서의 일반화된 학습generalised learning에 초점을 두는 것이며, 반대로, 성인은 일반적으로 상황-특이적 스킬situation-specific skill을 습득하여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Children are dependent on others for their well - being, while adults have assumed responsibility for manag- ing their own lives. Typically, being a learner is only one of several roles played concurrently by adults. Additionally, teaching children, have focused on gener- alised learning in the school setting. (30) In contrast, adults generally learn where situation - specifi c skills are required to resolve relevant problems.


학습자

Learner


이 부분에서 성인은 '자기주도적'이 되어야 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폭넓은 경험, 학습에 대한 준비와 사회적 역할의 관계, 지식에 대한 갈망 등이 즉각적으로 현재와 관련된 문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학습을 위한 내적 동기에 적용될 수 있다.

These include the need of adults to be self - directing, their large reservoir of experience, the relationship of their readiness to learn to their social role, their desire for knowledge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current relevant problems and their internal motivation to learn.


학습 프로세스

Learning process


세 가지 비인지적 요인이 성인의 학습에 영향을 준다.

Three non - cognitive factors have been shown to affect adult learning:

    • 속도  pacing (e.g. through deadlines for assignments or adhering to a schedule) 
    • 의미  meaningfulness 
    • 동기부여  motivation. (22)

 


 


사회인지이론

Social Cognitive Theory


이는 행동주의자적 접근으로서, 환경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또한 인지적 접근으로서, 우리의 학습과 기능functioning을 중재함에 있어서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ese are the behaviourist approach, which emphasises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n our actions, and the cognitive approach, which empha- sises the importance of cognition in mediating our learning and functioning.


 

세 가지 결정인자의 상호작용이 있다. 개인적/상황(환경)적/행동적

interaction among three sets of determinants: personal, environmental (situational) and behavioural.

 

  • 개인요인: 태도/인식/가치관/목표/지식/사전경험
    Personal factors include the individ- ual ’ s attitudes, perceptions, values, goals, knowledge and all previous experience.
  • 환경요인: 어떤 행동 또는 목표의 달성을 보상(강화)하거나 가로막는 환경
    Environmental factors encompass all those infl uences that may reward or hinder actions and the achievement of goals.
  • Bandura는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지 않으며, 서로가 서로를 규정한다. 인간은 환경을 생성/변경/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미래의 삶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라고 했다.
    Bandura notes explicitly that ‘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o not function as independent determinants; rather, they determine each other. People create, alter and destroy environments. The changes they produce i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urn, affect their behaviour and the nature of future life ’ (p. 23). (4)
  • Bandura는 또한 행동은 개인과 상황에서 분리되어 존재하는 부산물이 아니라, 그 자체가 상호작용하는 결정인자라고 했다. Bandura는 이 세 가지 요인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은 것은 활동/개인/상황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했다.
    Bandura further states that behaviour, rather than being a ‘ detached by - product ’ of persons and situa- tions, is itself an interacting determinant in the process. Bandura asserts that the relative influences exerted by each of the three sets of factors will vary for different activities, different individuals and different circumstances.

 


인간의 기본적 능력

Basic human capabilities




상징화 능력

Symbolising capability


상징symbol을 활용하여 우리의 경험을 내면화될 수 있는 형태로 바꾸고, 이후의 행동의 가이드로 삼는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은 새로운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모든 대안을 시도해보기보다는 가능한 해결책을 상징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해준다.

ability to use symbols to transform our experience into a form that can be internalised and serve as a guide to future actions. This ability enables us, when confronted with a new problem, to test pos- sible solutions symbolically, rather than laboriously trying out each alternative.


사전숙고 능력

Forethought capability


우리는 행동에 따라 발생할 결과를 예측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그 목표달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미래의 바람직한 모습에 관한 이미지가 현재 행동의 동기부여요인motivator가 될 수 있다.

We anticipate the likely outcomes of our actions and plan goals for ourselves and courses of action to maximise the likelihood of obtaining them. Also, as noted, images of desirable future events can become motiva- tors of our current behaviour.


간접 능력

Vicarious capability


만약 학습이 행동과 경험을 통해서만 일어난다면, 학습과 발달은 매우 느릴 것이다. 다행히도 학습의 많은 부분은 직접적 경험을 통해서 일어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 결과를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것 만으로도 학습이 일어난다.

If learning occurred only through performing actions and experiencing their effects, learning and develop- ment would be slow, Fortunately, much learning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direct experience can also be acquired or facil- itated vicariously through observation of other peo- ple ’ s actions and their consequences.


자기-조절 능력

Self - regulatory capability


사회인지이론에서 자기조절능력은 핵심적이다. 우리 행동의 대부분은 내적 기준과 스스로의 행동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서 일어난다. 자기-평가는 행동에 관한 개인적 guidance system이다.

In social cognitive theory, the capability for self - regu- lation is central. Much of our behaviour is regulated primarily by our internal standards and our evaluative reactions to our own actions. Self - evaluation is our personal guidance system for action.


자기-성찰 능력

Self - reflective capability


아마도 가장 구분되는 능력은 자기-성찰일 것이며, 이는 우리의 경험을 분석하고, 사고 프로세스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이다. 인지이론가들은 이를 메타인지능력이라고 부른다.

Perhaps the most distinctive is the capability for self - refl ection, whereby we can analyse our experiences and think about our thought processes. Cognitive theorists refer to this as metacognitive capability.


사회인지이론의 핵심적 개념은 자기-효능감으로, 이는 특정 과업이나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스스로의 판단을 의미한다.

A central concept in social cognitive theory is self - effi cacy the individual ’ s judgement about his or her ability to carry out a specifi c task or activity ( see Box 2.3 ).


 


 

교육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기본 능력을 토대로 한) 다섯 개의 학습 프로세스가 의학교육에 적용 가능하다.

five learning proc-esses (that build on the basic capabilities) that can be brought to bear in medical education:

  • 모델링, 시범보이기   modelling or demonstration
  • 명확한 목표와 기대성과   a clear objective, goal or desired outcome
  • 과업-관련 지식 제공   provision of task - relevant knowledge
  • 가이드가 있는 실천과 피드백   guided practice and feedback
  • 스스로의 학습을 성찰할 기회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refl ect on their learning.

 

바람직한 프로세스나 스킬을 시범보여주거나 모델링 해줌으로서 관찰을 통한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 이는 학습 프로세스를 단축시켜 줄 뿐만 아니라, 종종 새로운 스킬을 습득하는데 필수적이다. 시범보이기는 학생들이 바람직한 스킬/행동의 이미지를 형성하게끔 해주며, 이것을 행동의 가이드, 기준으로 삼아서 자신이 얼마나 발전하고 있는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다른 사람이 성공적으로 무언가를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함으로써 높아질 수 있다.

Modelling or demonstration of the desired process or skill facilitates vicarious learning through observation. This opportunity not only shortens the learning process, it is often essential when new skills are being acquired. Demonstration can help students to form an image of the desired skill/behaviour, which can be used as a guide for action and as a standard of per- formance against which to monitor their personal progress. Finally, learner perceptions of effi cacy are increased by observing someone else perform successfully.


 

명확한 목표 역시 학습을 강화한다. 이는 사전숙고능력에 기반한 것이며, 적절히 발전progress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그 방향을 제시해주는 이정표가 된다. 목표를 인지하는 것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개발을 자극하고, 그만큼의 노력을 쏟게 해준다.

A clear objective goal or image of the desired outcome enhances learning. It builds on our capability for fore- thought, providing a guidepost for monitoring and directing our progress appropriately. Awareness of the goal also increases expenditure of energy and effort and stimulates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reach the goal.


학습자는 과업-관련 지식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지식과 스킬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기초적 building block을 기초로 해야 한다. 과업-관련 지식은 내용이나 프로세스와 관련된 지식일 수 있으나, 반드시 학습자의 이전 지식 및 스킬과 관련되어야 하고, 현재의 목표와 관련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학습자는 이전 지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이나 지원

Learners require task - relevant knowledge They must have the basic building blocks to use as a foundation for newly acquired knowledge and skills. It maybe knowledge related to content or process, but it must be relevant to the individual ’ s prior knowledge and skills, and to the current goal. Further, learners may need stimulation and assistance to activate prior knowledge, to relate it to the new learning. This knowledge promotes students ’ views of themselves as capable of the task. Otherwise, their perceptions of their effi cacy are likely to be low, which will affect both developing effi cacy perceptions and their future performance.

 

 

새로운 스킬에 대해서 Guided practice를 하면 긍정적인 효능감을 인식하게 해주고, 초기의 결정적 학습시기에 실패보다는 성공을 경험하게 해준다. 경험을 통해서 (개인)기준을 내면화할 수 있고, 이를 가지고 자기조절과 자기평가를 할 수 있다. 교정적 피드백corrective feedback은 효과적 학습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피드백이 없이는 성취수준이 낮아지며, 비슷하게 피드백이 성취수준과 관련이 없을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

Guided practice of a new skill with feedback allows learners to develop positive efficacy perceptions about the task, and to experience successes rather than fail- ures in that crucial early learning period. Practice pro- motes the internalisation of personal standards, which can then be used in self - regulation and self - evaluation. Corrective feedback is integral to effective learning. Without feedback, the level of performance achieved is lower. Similarly, feedback is less effective in improv- ing performance when it is not related to a goal or desired level of achievement. (33)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는 스스로의 학습에 대해 성찰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스스로의 전략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한가를 결정해야 한다. 성찰은 새로운 경험을 기존의 경험과 지식에 통합시켜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경험을 기반으로 (자기)효능감에 정확하고 긍정적인 인식을 할 수 있다.

Finally, and arguably most critically, learners require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learning, to consider their strategies, to determine whether new approaches are required to achieve their goal and to draw lessons for future learning. Reflection also allows the integra- tion of new experiences into existing experience and knowledge. Finally, it allows the learner to build accu- rate and positive perceptions of effi cacy, based on their experience.



성찰과 성찰적 실천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


성찰과 성찰적 실천이라는 개념은 전문직 practice의 인식론적 차원에서 중심에 있다. 이것은 잘 정립된 세 가지 인식론과 연관된다. (실증주의 / 해석적 이론 / 결정적 이론)(positivism, interpre- tive theory and critical theory)

The concepts of reflection an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are at the centre of the epistemology of professional practice. They borrow from and link three previously well - established epistemologies: positivism, interpre- tive theory and critical theory. (5,34)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이론은 학문적인 차원에서 추구하는 것이며 실제(실천)과는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 이론이 실제적 가치를 가지는 부분은 오직 예측적 가치 뿐이다. 성찰적 프로세스는, 이론과 실천의 관계를 이어준다.

The positivistic view of science assumes that theory is a scholarly pursuit that may be unrelated to practice. It is only the predictive value of theory that is of practical value. The reflective process, as such, serves as a bridge in the theory – practice relationship.


이는 성찰을 interpretive model과 연결시켜준다. 해석적 인식론에서 이론은 개인의 현재 및 과거 경험적 측면에서 해석된다.

It ties the reflection to the interpretive model. The interpretive epistemology proposes that theory is interpreted in light of personal current and past expe- riences.


마지막으로, 성찰적 실천의 개념은 critical theory와 관련되는데, 여기서 비판적사고와 평가를 통해서 관측observation이 실천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 프로세스는 전문직으로 하여금 기존의 패러다임을 깨고 나와서 실천/문제/문제해결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게끔 해준다. 이러한 reframing은 학습과 변화의 한 부분이며, 이로써 실천이 이론을 조직화하게 해준다(It is how practice helps organise  theory. )

Lastly,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 shares with critical theory the observation that theory is intimately linked to practice through a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and examination. This process permits professionals to break free from established paradigms and reformulate the ways in which practice,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are viewed. This reframing is part of learning and change. It is how practice helps organise  theory. (5,35) 




성찰적 실천의 원칙

Principles of reflective practice


전문직은 area of competence 주변으로 zone of mastery를 발달시킨다. 그들은 이 영역 내에서 자동적으로 실천을 한다.

Professionals develop zones of mastery around areas of competence. They practise within these areas as if automatic


RIA는 세 가지 활동을 포함한다

Refl ection - in - action involves the three activities of


    •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reframing and reworking하기
         reframing and reworking the problem from differ- ent perspectives
    • 문제가 학습한 스키마에 어떻게 맞는지 설정establish하기
         establishing where the problem fi ts into learned schema (i.e. already existing knowledge and expertise)
    • 문제에 존재하는 요소와 함의, 그 해결책과 결과를 이해하기
         understanding the elements and implications present in the problem, its solution and consequences.


ROA는 이후에 일어나는 것이며, 뒤돌아보는 것이다.

Refl ection - on - action which occurs later, is a process of thinking back


Boud  등은 세 가지 주요 phase로 이뤄진 반복적 프로세스를 제시했다.

Boud  et al.  (43)  also outline an iterative process comprising three main phases,

  • 경험으로부터 시작해서..
    beginning with the  experience .  
  • 경험으로 돌아와서 성찰적 프로세스를 통해서,
    The second phase involves returning to the experience and, through refl ective processes,
  • 마지막으로 성과Outcome 에 도달한다
    The last aspect of the process Boud et al. labelled ‘ out- comes ’


Moon은 성찰을 표면학습에서 심층학습으로 가게 하는 촉매라고 보았다.

Moon (36) views reflection as the catalyst that moves surface learning to deep learning.


다수의 성찰적 모델에 걸쳐서 비슷한 특성이 발견된다.

Similar characteristics are found across a number of refl ective models.


    • 여러 모델에서 성찰은 일련의 반복적 단계로 본다.
         They describe reflection as a series of iterative steps or levels.
    • 여러 모델에서 성찰의 수준을 구분하는데, 표면적superficial/기술적descriptive/심층적deeper로 구분된다.
         They generally define levels of reflection, from superficial, descriptive levels to deeper levels.
    • 일반적으로, 임층적 수준의 성찰은 그것이 비록 학습과 성장에 더 도움이 되더라도 달성하기 더 어렵다.
         Generally, the deeper reflective levels are regarded as more difficult to achieve, although they hold greater potential for learning and growth.


또한 여러 이론에서 성찰적 실천과 자기평가의 역동적 관계를 설명한다.

There also appears to be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refl ective practice and self - assessment, both explicitly and implicitly.


근무지에서, 진정한 전문직이란 현장에서 실험experimentation을 할 수 있고, 즉흥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improvisation 능력으로 인정받게 되며, 끊임없는 실천(경험)-기반 학습과 자기주도적 성찰적 학습 스킬에 대한 헌신을 보여준다.

In the workplace, true professionals are known for their ability for on - the - spot experimentation and improvisation, their commitment to ongoing practice - based learning and their self - directed refl ective learn- ing skills.


성찰은 종종 개인 수준의 활동으로 여겨지곤 했다. 일부 경우에 스스로의 수행능력에 대해서 부정확한 성찰을 할 경우, circular한 'single-loop' learning에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그 결과 현재 행동에 더 확신을 갖게 되고, 더 질문을 하거나 학습이 필요한 영역을 발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성찰은 점점 더 '집단적 수준의 활동'으로서 권고되며, 개개인이 각자의 통찰과 성찰을 공유함으로써, 집단적 학습과 개인적 학습을 모두 달성하는 것이다.

Reflection has frequently been viewed as an indi- vidual professional activity. In some cases, reflecting inadequately or inaccurately on one ’ s performance can lead to circular, ‘ single - loop ’ learning, which can often lead to confirmation of current behaviours rather than to questioning and identifying areas for learning. (45) For this reason, reflection is increasingly suggested as a collective activity whereby individuals can share individual insights and refl ections, and increase their collective and individual learning. (46) The evidence surrounding reflective practice is sum- marised in Box 2.4

 

 



교육 실천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초반에, 멘토나 교사모델에서 스킬을 공유하거나 시범보여준다. 교수자는 학습자가 다양한 옵션과 대안을 인식하고 문제를 frame and reframe하는 능력을 가지게 촉진시켜준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선택한 행동이나 옵션에 대해서 성찰해보고, 어떤 지식 혹은 가치가 스스로의 선택에 영향을 주었는지 성찰해보게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스스로 배운 것을 비판적으로 생각해보고, 그것을 기존의 지식에 통합할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Initially, the mentor or teacher models, shares and demonstrates the skills. He or she facilitates the learners ’ abilities to perceive options and alternatives, to frame and reframe prob- lems. He or she also assists the learners to reflect on the actions and options they chose, and on what knowledge and values may have influenced their choice. Finally, teachers assist students to consider critically what they have learned and integrate it into their existing knowledge.


성찰적 실천을 교육프로그램에 넣으려고 할 때 어려운 것은 능동적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 그리고 실천practice와 관련있는 활동을 선택하는 것 등이다.

A dilemma in incorporating refl ective practices into our educational programmes is to select those strate- gies that will facilitate its active development, and to select activities that are relevant to practice.


Slotnick 은 Schon이 말한 '어떻게 의사가 실천을 통해 학습하는가'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중간의 사고, 그리고 문제를 해결한 이후의 사고가 중요하다고 했다.

Slotnick (41) linked Sch ö n ’ s work to how physicians learn in practice. He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thinking while solving problems (refl ection - in - action) and thinking after problem solving (refl ection - on - action).


Crandall 은 모든 의학교육연속체의 수준에서 Schon의 모델의 가치를 인정하였다. 구체적인 근거들이 아래의 다섯 단계에 대해서 언급되었다.

Crandall (42) notes the value of using Sch ö n ’ s model for all levels of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Specifi c evidence is provided for all fi ve stages that Sch ö n recommends: 

    • 1 knowing-in-action 
    • 2 surprise 
    • 3 reflection-in-action 
    • 4 experimentation 
    • 5 reflection-on-action.


전환학습

Transformative Learning


전환학습에서는 학습을 개인의 경험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개정된 해석을 구성construct하고 내면화internalize하여 이것을 자신의 행동의 지침guide로 삼게 하는 사회적 프로세스라고 본다. 또 다른 말로 하면, 전환학습은 성인이 학습할 때 가지고 있던 전제premise, 학습해온 프로세스, 학습한 내용을 성찰하게끔 함으로서, 성인이 자신의 의미스키마meaning schemes(신념/감정/해석/결정)을 다듬고, 생성하고, 전환하게 도와주는 것이다.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defi nes learning as the social process of con- structing and internalising a new or revised interpreta- tion of the meaning of one ’ s experience as a guide to action. In other words, transformative learning involves helping adults to elaborate, create and transform their meaning schemes (beliefs, feelings, interpretations, decisions) through refl ection on their content, the process by which they were learned and their premises (social context, history and consequences). (51)


전환학습은 학습자의 패러다임을 과격하게 바꿈으로서 비록 기존의 관점을 유지할 수도 있지만, 사실상 새로운 관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비판적 성찰과 이성적 담화rational discourse는 학습에 가장 기본적으로 활용되는 프로세스이다. Mezirow의 관점에서 전환학습의 핵심은 학습에 관한 잘못된 가정과 오류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Transformative learn- ing changes the learner ’ s paradigm so radically that, although it may retain the old perspective, it is actually a new creation. Critical refl ection and rational dis- course are the primary processes used in learning. The core of transformative learning in Mezirow ’ s (51) view is the uncovering of distorted assumptions or errors in learning.


학습자의 Empowerment는 전환학습의 목표이자 조건이다. 권환화된empowered 학습자는 비판적 담화와 뒤따르는 행동에 온전히, 그리고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이는 자유와 평등equality를 필요로 하며, 또한 근거를 평가하고, 비판적 성찰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성찰은 전환학습이론에서 핵심적 개념으로서, Mezirow는 성찰을 내용Contents/프로세스Process/우리가 경험을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전제Premise 평가하는 프로세스라고 보았으며, 성찰을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Empowerment of learners is both a goal and a condi- tion for transformative learning. An empowered learner is able to participate fully and freely in critical discourse and the resulting action. This requires freedom and equality, as well as the ability to assess evidence and engage in critical reflection. (48) Reflection is a key concept in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Mezirow (51) defi nes it as the process of critically assessing the content, process or premises of our efforts to interpret and give meaning to an experience. He distinguishes among three types of refl ection:


  • 내용 성찰   content reflection – an examination of the content or description of a problem
  • 과정 성찰   process reflection – examination of the problem - solv- ing strategies being used
  • 전제 성찰    premise reflection – questioning the problem itself, which may lead to a transformation of belief systems.

가장 유의미한 학습은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전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요구된다.

The most significant learning involves critical reflection around premises about oneself.


Mezirow 는 담화discourse는 매우 중요한 프로세스라고 하였으며, 특정한 유형의 대화를 지칭하였다. 이 대화에서의 이유를 제시해가면서, 그리고 서로 상충하는 관점에 대한 찬/반의 근거를 조사해가면서 신념을 정당화하려는 시도에 초점을 둔다.

Mezirow (6) explains that discourse is a crucial process, and refers to a special kind of dialogue in which the focus is on content and attempting to justify beliefs by giving and defending reasons, and by exam- ining the evidence for and against competing viewpoints.



전환학습은 복잡한 감정적emotional 프로세스로서,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지식과 스킬이 필요하다. 학습자가 기존의 패러다임이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기에 상당히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였을 때에만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기 전까지 명확한 패러다임이 존재하지 않는, period of disorientation의 시기가 존재한다. 이는 기존의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못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을 저항하는 학습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것이다. 이 때 교수-학습자의 관계가 매우 격렬해지는데, 왜냐하면 학습자는 교수자에 대해서 분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종종 학습자는 의도적으로 자신의 패러다임을 붕괴시키고자 하는 교수자에 대해서 복합적인 애증을 겪을 수도 있다.

Transformative learning is a complicated, emotional process requiring signifi cant knowledge and skill to implement effectively. (53) A paradigm shift will occur only if the learner perceives the existing para- digm to be signifi cantly inadequate in explaining his or her experience. However, the new paradigm appears only after a period of disorientation during which no clear paradigm remains. It is typical for the learner to resist letting go of the old paradigm and beginning the transition to the new one. During this process, the teacher – learner relationship may intensify enormously because the learner may begin to resent the teacher or feel anger towards him or her. Often learners feel a complex love – hate for the teacher who intentionally assisted in the collapse of their existing paradigm.




교육 실천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첫째, 교육자는 과목- 혹은 소비자- 중심의 관점보다는 개혁자적 관점을 가져야 한다.

First, educators need to take a reformist perspective, rather than a subject - centred or consumer - oriented perspective. (57)

  • 과목-중심적 관점에서 교육자는 권위있는 전문가이고 교육의 설계자이다
    In a subject - centred perspec- tive, the educator is the expert authority fi gure and designer of instruction.
  • 소비자-지향적 관점에서 교수자는 촉진자이자 자원제공자이다.
    In a consumer - oriented per- spective, the educator is a facilitator and resource person.
  • 전환학습에 필수적. 교수자는 공동학습자이자 선동가이다. 도전하고, 자극하고, 비판적 사고를 유발한다. 
    In a reformist perspective, essential to trans- formative learning, the educator is a co - learner and provocateur; they challenge, stimulate and provoke critical thinking. (53)


Cranton 은 전환교육자에게 다음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Cranton (53) provides the following guidelines for transformative educators.



    • 합리적 대화를 촉진하라. 합리적 대화는 전환학습의 근간이며, 학습자를 empowering하는 프로세스의 일부이다.
         Promote rational discourse. Remember that rational discourse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trans- formative learning and part of the process of empowering learners.
    • 대화에 동등한 참여를 촉진하라. 이는 도발적인 사건이나 논쟁적인 서술을 통해서 토론을 촉진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Promote equal participation in discourse. This can be done by stimulating discussion through a pro- vocative incident or controversial statement.
    • 대화의 절차를 개발하고(주제에 집중하기, 요약하기), 멸시하는 말을 하지 말라
         Develop discourse procedures (e.g. stay on topic, summarise) and avoid using own position to make dismissive statements.
    • 그룹 촉진 스킬을 익히라
        Develop group facilitation skills (e.g. dominant par- ticipant, silent participant).
    • 학습자에 의한 의사결정을 장려하라. 이는 프로세스를 개방적으로, 명쾌하게explicit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Encourage decision making by learners. This can be done by making the process open and explicit.
    • 비판적 자기성찰을 촉진하라. 이는 학습자에게 도전하고challenge, 비판적 질문을 던지고, 학습자의 기존 경험과 새로운 또는 상출하는 정보와의 불일치를 제시하여 이룰 수 있다. 이것이 성공적이 되려면, 개방적이고 지지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Encourage critical self - refl ection. This can be accom- plished by challenging learners, asking critical ques- tions and proposing discrepancies between learners ’ experiences and new or confl icting information. To be successful here, a climate of openness and sup- portiveness needs to be established
    • 학습자간 개인 차이를 고려하라. 학습자는 스스로의 학습 스타일과 선호를 더 잘 인식할 수 있게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사고하고, 행동하고, 느끼고, 가능성을 바라보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인식해야 한다.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learners. Learners should be assisted in becoming more aware of their own learning styles and preferences. The educator needs to develop a strong awareness of how learners vary in the way they think, act, feel and see possibilities.
    •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도입하라. 많은 전략이 효과적인데, 예컨대..
         Employ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Many strategies are effective, for example:
      • role playing (with skilful debriefi ng),
      • simulations and games,
      • life histories or biographies,
      • exposure to new knowl- edge,
      • journal writing (with self or others ’ feedback) and
      • critical incidents arising in the practice setting.

 

 


자기주도학습

Self-directed Learning


자기주도학습은 점점 더 필수적이 되어가고 있으며 best practice의 특징이다. 

(SDL) is increasingly essential and is a hallmark of best practice.


SDL에 관한 문헌을 보면 두 가지 중복되는 pathway가 있다.  

The literature on SDL has developed along two overlapping pathways.

 

첫번째는 SDL을 개개인이 노력하여 달성해야 하는 목표로서 보는 관점이며, Maslow (58) and Brockett and Hiemstra. (59) 등이 말한 인본주의적 지향이다. 이러한 모델에서는 자기-실현, 학습에 대한 개인의 책임 수용, 개인의 자율성과 선택 등에 대한 성취를 imply한다.

The fi rst has framed self - direction as a goal towards which individuals strive, refl ecting a humanistic orientation such as that described by Maslow (58) and Brockett and Hiemstra. (59) These models imply achievement of a level of self - actualisation,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personal responsibility for learning, personal auton- omy and individual choice.


두 번째는 SDL을 교수, 학습을 구조화하는 방법으로서 보는 것이며, 과제는 주로 학습자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된다. 초기에는 선형적 모델이 개발되어, 학습자는 일련의 단계를 밟아나감으로서 학습 목표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에 나온 모델은 SDL을 보다 상호작용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환경에 존재하는 기회, 학습자 개인의 특성, 인지 프로세스, 협력적 SDL을 위한 학습의 맥락과 기회 등을 포함한다. 이 분야의 예시로는 Merriam and Caffarella. (61)가 있고, Grow (62) and Hammond and Collins, (63) 가 제시한 것과 같이 SDL을 공식 교육 세팅에 통합시키기 위한 프레임워크 등도 포함한다.

The second line of development has framed SDL as a method of organising learning and instruction, with the tasks of learning left primarily in the learners ’ control. Early development included linear models, where learners moved through a series of steps to reach their learning goals (e.g. Knowles (60) ). Later models have described the self - directed learning process as more interactive, involving opportunities in the environmen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learn- ers, cognitive processes, the context of learning and opportunities to validate and confi rm self - directed learning collaboratively. Examples of this are seen in several models clearly described by Merriam and Caffarella. (61) This line of development also includes models of instruction such as those of Grow (62) and Hammond and Collins, (63) which present frameworks for integrating self - directed learning into formal edu- cational settings.


Candy 는 SDL을 하는 학습자를 발견/개발/평가하기 위한 구체적 특징에 대한 이해에 한발 더 다가서게 해주었다. Candy는 거의 100개 이상의 특성을 확인하였고, 네 가지 차원으로 묶었다.

Candy (7) has clarifi ed the fi eld of SDL signifi cantly, bringing educators closer to understanding the spe- cifi c characteristics to identify, develop and evaluate in the self - directed learner. Candy (7) identifi ed approximately 100 traits associated with self - direction, clustered around four dimensions:


  • 자율성을 포함한 자기주도성   self - directedness, including personal autonomy 
  • 학습의 자기관리   self - management in learning
  • 지침instruction에 대한 학습자 통제    learner control of instruction
  • 학습에 대한 독립적 추구   the independent pursuit of learning.

 

SDL은 여러 이론적 접근의 통합적 관점으로서, 인지적, 사회적, 인본적humanist, 구성주의적 접근 등이 포함된다.

Self - directed learning is an integral aspect of several theoretical approaches, including the cognitive, social learning, humanist and constructivist.

  • 사회적 학습: 개개인은 본질적으로 자기조절을 하며, 자기주도성은 자연적 활동natural activity이다
    As noted earlier, the social learning approach views individuals as inherently self - regulating, with self - direction as a natural activity.
  • 인본적 관점: 자기주도성은 개인의 보다 고차원적 발달을 보여주는 근거
    The humanist approach views self - direction as evidence of higher levels of individual development.
  • 인지적 관점: 기존의 지식을 바탕으로 풍부하고 상호연결된 지식구조를 갖추어 지속적으로 새로운 학습을 할 수 있게 함
    The cognitive perspective recognises the need to build rich, interconnecting knowledge structures, based on existing knowledge, which allow continuing incorporation of new learning.
  • 구성주의적 관점: 학습자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지식의 독특한 개인적/사회적 구성
    The constructivist per- spective recognises the unique personal and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that occurs in different learners.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A number of factors in the learner and in the environment will affect the learner ’ s ability to be self - directing.


  • 학습자가 스스로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스스로를 역량있는 사람으로 바라보는 학습자는 보다 자기주도적이고 독립적이기 쉽다.
      The learners ’ view of themselves as learners is also an infl uencing factor. Learners who view them- selves as competent, with the skills to learn in a variety of situations, are more likely to be self - directed and independent.
  • 학습환경의 요구. 학습환경에서 특정 지식과 스킬을 습득하는 것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거나, 정확하게 가르친 것을 재생산해내는 것을 강조하면, 자기주도성을 위한 능력은 사라질 것
      Sometimes the demands of the learning situation infl uence the capacity for self - direction. Where the situation demands that certain (particular) knowl- edge and skills are non - negotiable, or where the situation requires the learner to reproduce exactly what has been taught, the capacity for self - direction may be obscured.
  • 자기주도성은, 일정 부분은, 그 과목에 대해 얼마나 마스터했느냐subject matter mastery의 함수이다. 학습자가 관련 지식과 스킬의 토대를 갖추었을 경우 자기주도성 능력이 강화된다. 어떤 사람은 기초적 지식이 효과적인 SDL을 위해서 필수적이라고 한다. 혹은 기존 지식의 활성화를 바탕으로 학습이 촉진된다고 하는 사람은 학습자가 학습과제를 하기 위해서 필요한 관련 지식이 부족한 상황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Self - direction is, to some degree, a function of subject matter mastery. As the learner builds a base of relevant knowledge and skills, the capacity to be self - directed is enhanced. This basic knowl- edge is held by some to be essential for effective SDL. For others who promote learning based on activation of prior knowledge, there are few learn- ing situations where the learner is completely lacking relevant knowledge to engage a learning task.
  • 많은 부분의 전문직의 학습이 상황적학습situated leraning이다. 즉, 학습은 그 지식이 활용되는 상황과 분리될 수 없다. 유사하게, 전문직의 지식과 감각은 실천practice에 embed되어있으며, 전문직의 knowing-in-action의 부분이다. 학습자는 그가 참여하는 Community of Practice, 그리고 COP에 embed된 지식에 대한 인지적 가이드(지침)와 기회가 필요할 수 있다.
      Much of professional learning is situated learning; that is, the learning is inseparable from the situation in which the knowledge is used. Similarly, profes- sional knowledge and acumen become embedded in practice, and part of the professional ’ s ‘ knowing - in - action ’ (38) Learners may require a cognitive guide 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ir com- munity of practice and the knowledge embedded in it. (60,61)
  • 지식 역시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이는, 지식이 상호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인식과 가정에 기반하여 구성된다는 것이다. 토론과 참여를 통해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지식에 학습자가 참여하는 것은 자기주도성을 위한 문화적 토대가 된다.
      Knowledge is also socially constructed, in that it is built from mutually understood perceptions and assumptions. Learners ’ participation in the social construction of knowledge through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provides a cultural basis for their self - direction.
  • 지식의 의미는 맥락, 구조, 활용가능성에 좌우된다. 과목discipline과 관련된 맥락에서 다양한 영역에 걸친 이해와 경험을 쌓는 것이 지식을 적절한 맥락에 자기주도적으로 전이transfer할 수 있게 해준다.
      Knowledge is dependent on context for its meaning, its structure in memory and its availability.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a broad range of discipline - relevant contexts encourage self - direction in transferring knowledge to other appropriate contexts.


자기주도성에 대한 포괄적인 척도는 별로 없다.

Comprehensive measures of self - directedness are few. Two scales have been used suffi ciently to have achieved validation. (64,65)

  • The Self - 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DLRS) was developed by Gugliemino (64) as a tool to assess the degree to which people perceive themselves as possessing the skills and attitudes conventionally associated with SDL.
  • The Oddi (65) Continuing Learning Inventory is a 26 - item scale that purports to identify cluster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at relate to initiative and persistence in learning over time, through a variety of learning modes.



교육 실천에의 함의

Implications for e ducational practice


지속적인 SDL을 위해서는 심화학습 스킬, 즉 원칙과 개념을 이해하고, 그들 간 관계를 정교화할 수 있는 것이 자기주도성을 서포트 할 수 있다. 자기주도성의 근본적 스킬은 스스로의 학습과 경험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에서 목표와 평가법의 일치는 explicit and implicit 한 목표의 달성에 필수적이다.

For ongoing SDL, however, deep learn- ing skills, (67) which involve understanding principles and concepts, and elabor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most likely to support self - direction. A fundamental skill in self - direction is that of critical refl ection on one ’ s own learning and experience. Critical to the achievement of both explicit and implicit curriculum goals is congruence between the goals and the assessment methods. (19)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Kolb 의 경험학습이론은 사회심리학, 그룹역학, action research 등의 영역에서 Kurt Lewin, (69) John Dewey (70) and Jean Piaget. (71) Lewin ’ s (69) 등이 한 연구를 바탕으로 유도되었으며, 학습은 구체적 경험과 개념적 모델을 모두 고려하는 환경에서 가장 잘 일어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Kolb ’ 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8) is derived from the work of Kurt Lewin, (69) John Dewey (70) and Jean Piaget. (71) Lewin ’ s (69) work in social psychology, group dynamics and action research concluded that learning is best achieved in an environment that considers both concrete experiences and conceptual models.


Dewey 는 고등교육에서 경험학습 프로그램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다. 그는 실제적 경험의 프로세스와 학습에 있어서의 교육을 통합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인지발달과정에 대한 Piaget의  연구는 어떻게 경험이 지능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가를 다루고 있다. 기호symbol의 사용과 같은 추상적 사고는 학습자의 환경에 대한 적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Dewey (70) constructed guidelines for programmes of experient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e note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the processes of actual experience and education in learning. Piaget ’ s (71) research regarding cognitive development processes constituted the theory of how experience is used to model intelligence. Abstract thinking, including the use of symbols, is closely linked to learners ’ adaptation to their environment.



Kolb의 이론은 개개 학습자를 해석하고 진단내리는데 사용될 수 있는 framework이며, 학습환경 설계에도 사용될 수 있다. Kolb가 제시한 네 가지 학습환경은.. 

Kolb ’ s theory can be used as a framework in inter- preting and diagnosing individual learners, as well as designing learning environments. (72) Kolb ’ s four learning environments are

  • 감정 지향적(느끼기)  affectively oriented (feeling) 
  • 상징 지향적(사고하기)  symbolically oriented (thinking) 
  • 인식 지향적(보기)  perceptually oriented (watching) 
  • 행동 지향적(하기)  behaviourally oriented (doing). (73)

이 환경 내에서 경험을 잡아내고 변화시키는 것은 학습 과제를 구성하는 두 가지 활동이다.  

Within these environments, grasping and transform- ing experiences are the two constituent activities of learning tasks. (74)

  • 현상을 잡아내는grasping하는 것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구체적 경험(감각을 통해서 직접 들어오는 것)과 추상적 개념화(간잡적이고 상징적인)가 있다.
    There are two components of the grasping phenomena: concrete experience, which fi lters directly through the senses, and abstract concep- tualisation, which is indirect and symbolic.
  • 변화 경험 역시 두 가지 프로세스로 구성되는데, 성찰과 행동이다. 학습은 학생이 네 가지 요소를 모두 활용할 때 향상된다.
    The trans- forming experience also consists of two processes: refl ection and action. Learning is enhanced if students are encouraged to use all four components ( see Figure 2.2 ).

 

 

교육 실천에 적용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프로그램 계획자

Programme planners

경험학습활동의 방향을 잡아주는 세 가지 주요 이정표가 있다.

There are three major guideposts for directing experi- ential instructional activities. (75)

  • 첫째, 경험학습 방법과 절차는 학습자의 기존 이해수준과 철학, 정서적 특성, 경험을 새로운 지식, 능력, 신념, 가치와 연결시켜준다.
    First,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and procedures are bridges connect- ing a learner ’ s existing level of understanding, phi- losophies,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with a new set of knowledge, abilities, beliefs and values.
  • 둘째, 경험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스스로의 학습에 대해 책임을 갖게 한다. 이는 힘의 구조가 전통적인 관계와 달라짐을 뜻한다.
    Second, in experiential learning the learner adopts a more assertive role in assuming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own learning. This leads to a shift in the power structure from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learner.
  • 마지막으로, 경험학습은 학습을 academic mode에서 practical content로 바꿔준다.
    Last, experiential learn- ing involves the transfer of learning from an academic mode to one that involves more practical content.


  • 감정지향 환경에서 학습자들은 스스로가 전문직 practitioner인 것처럼 느끼는 경험을 한다. 학습자의 현재 가치와 경험이 정보를 생성한다.
  • 상징지향 환경에서 학습자는 경험을 통해서 스킬과 개념을 발달시켜서 문제의 최적의 답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정부는 기본적으로 개념적conceptual이다.
  • 인식지향 환경에서 학습자는 개념과 관계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 행동지향 환경에서 학습활동은 학습자가 그들의 역량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문제와 실천에 초점을 맞춘다.

More specifi cally, in the affectively oriented envi- ronment, learners experience activities as though they were professional practitioners. (8,74) The learner ’ s present values and experience generate information. In the symbolically oriented environment, the learner uses experiences to develop skills or concepts that can provide the right answer or the best solution to a problem. (8,74) The source of information is primarily conceptual. In the perceptually oriented environment, the learner views concepts and relationships from dif- ferent perspectives. (8,9) Behaviourally oriented activities focus on specifi c problems or practices to which learners apply their competencies. (8,76)




Teachers


교사의 역할과 행동은 구체적인 학습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The roles and actions of teachers depend on the par- ticular learning context. (8,76)

 

감정지향 환경에서 교사는 롤모델로서 행동하게 되며, 학습자와 친근한 조언자로서의 관계를 맺는다.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개별 학습자의 니즈와 목표에 따라 맞춰준다. 교사는 지속적인 토론과 비판을 통해서 학습자의 발전상황을 모니터하고 학생을 억제하는 제약적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지 않는다.

In the affectively ori- ented environment they act as role models and relate to the learner as friendly advisors. They deliver infor- mation quickly and tailor it to the needs and objectives of individual learners. Teachers monitor progress by encouraging ongoing discussion and critique without constricting guidelines to inhibit students.


상징지향 환경에서 교사는 지식의 실체로서 받아들여지며, 학습자가 해답이나 목표에 도달하게끔 하는 timekeeper, taskmaster, 사건의 enforcer가 된다. 성공여부는 객관적 준거와 비교하여 옳은 혹은 최선의 답을 내었느냐로 판단함, 교사는 용어와 규칙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In the symbolically oriented environment: ‘ The teacher is accepted as a body of knowledge, as well as a timekeeper, taskmaster, and enforcer of events ’ (8) in order for the learner to reach a solution or a goal. (8,76) Success is compared against the correct or best solu- tion by objective criteria. The teacher provides guide- lines regarding terminology and rules.


인식지향환경에서 교사는 프로세스 촉진자의 역할을 하며, 정답보다는 프로세스를 강조한다. 또한 여러 토론 간 연결성을 제시해주고 토론을 이끌어준다. 학습자는 답을 평가하고 개인적으로 개념을 정의한다. 수행능력은 엄격한 준거에 따라서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기존에 정해진 professional criteria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로 측정한다.

In the perceptually oriented environment, teachers act as process facilitators, emphasising process rather than solution. They also direct and outline connections between discussions. Learners evaluate answers and define concepts individually. Performance is not meas- ured against rigid criteria but by how well learners use predetermined professional criteria.


환경지향환경에서 교사는 멘토의 역할을 하며, 조언을 줄 때 자신의 background를 성찰하여 조언하게 된다. 가이드라인이 몇 가지 있다. 학습자는 스스로의 시간을 관리해야 하고, 'doing'에 초점을 둬야 한다. 학습자가 professional standard를 활용하여 과제를 완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In the behaviourally oriented environment, teachers act as mentors and refl ect on their background when giving counsel. There are a few guidelines. Learners manage their own time and focus on ‘ doing ’ (8,76) It is essential that the learner complete the task using professional standards.


 

Learners


감정지향환경에서 학습자는 반드시 사람들과 함께 작업work해야 하며, 여러가지 가치와 감정을 수용적으로 받아들여야 하고, 구체적 경험 속에서 학습그룹에 참여해야 한다

In the affectively oriented environment the learner must work with people, be perceptive to encompass- ing values and feelings, and become engaged in a learning group in a concrete experience.


상징지향환경에서 학습자는 정량적 자료를 학습하며, 자신의 이론과 가설을 검증한다. 독특한 아이디어와 행동계획을 활용하고, 학습자는 스스로의 경험과 모델을 개발하고 개념화해야한다. 이는 추상적개념화의 경험과도 연결된다.

In the symbolically oriented environment learners study quantitative data to test their theories and pos- tulations. (74,76) Using unique ideas and action plans, learners develop and conceptualise their experiences and models. This relates to the experience of abstract conceptualisation.


인식지향환경에서 학습자는 개방적인 자세로 자료를 분석하고 관리해야 한다. 학습자는 폭넓은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고 배워야 하며, 완벽한 행동계획을 세우며, 모호한 상황에 대해서는 추측해야 한다. 학습자는 학습활동애 개방적인 자세로 접근함으로써 성찰적 관점의 전환적 경험transformative experience을 하게 된다.

The perceptually oriented environment encourages the learner to analyse and manage data with an open mind. (74,76) The learner must learn to see things with a broad point of view, compose complete plans of action and conjecture about the implications of ambig- uous circumstances. The learner undergoes the trans- formative experience of refl ective observation by openly approaching the learning activity.


행동지향환경에서 학습자는 잠재적 기회를 찾아내고, 사전에 정의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반드시 스스로 결정을 내려야 한다. 학습자는 불확실성과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하며 다른 사람을 이끌어/가이드해주어야 한다. 이는 active experimentation의 전환적경험과 관련된다.

In the behaviourally oriented environment learners must make their own choices in order to locate and exploit potential opportunities, committing them- selves to meet predetermined goals and objectives. They are encouraged to adapt to uncertainty and shifting circumstances, and to guide others. This relates to the transforming experience of active experimentation.

 



상황학습

Situated Learning


상황학습은 사회-문화적 기반을 둔 학습이론과 관련되며, 학습과 발달이 community activities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하는 transformation을 통해 발생한다고 본다. 학습자는 (커뮤니티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이해/역할/책임을 변환transform해 가게 된다.

Situated learning belongs to those theories of learning that have a socio - cultural basis, which view learning and development as occurring via transforma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Learners transform their understand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they participate. (9,76,77)


 

학습이 교수 또는 학생에게 책임이 있는 one-sided process라고 보는 이미 논의된 일부 이론적 모델과 달리, 상황학습은 참여에 관한 것이다. community of practice (CoP)에 들어오는 새로운 학습자들은 CoP에서 덜 필수적인 과제인 '정당한 주변부 참여'를 통해서 학습하게 된다. 더 책임이 늘어날수록 학습자는 주변부에서 중심으로 들어온다.

In contrast to some of the theoretical models already discussed, where learning is a one - sided process in which either the teacher or the learner is responsible, situated learning is about participation New learners enter the community of practice and learn through a process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 tion in which they perform the less vital tasks of the community. As they take on more responsibility learners move towards the centre.



상황학습이론의 중심 교리는 학습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난다는 것이다. 학습자는 지식을 커뮤니티의 대화를 통해서 습득한다. 또한 어떻게 대화를 해야하고 어떻게 참여해야하는가를 배운다. 커뮤니티는 다양한 관계를 제공하고 누구에게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예시를 보여준다. 학습자는 어떻게 대가master가 걷고, 말하고, 행하는지를 배운다. 다른 사람이 무엇을 하는지를 관찰하는 것과 커뮤니티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를 본다. Lave and Wenger에게 다른 견습생과의 관계를 둘러싼 학습의 기회와 대가의 행동을 관찰할 기회가 가장 폭넓은 관점에서의 교육과정을 만들어준다. Objective가 아니라 Practice에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의 조건이다.

A central tenet of situated learning is then that learn- ing occurs through social interaction. Learners acquire knowledge from talk of the community. They also learn to talk to and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The community offers a variety of relationships and exem- plars from whom to learn, including masters, more advanced apprentices and fi nished products. Learners learn how masters walk, talk and conduct their lives; observe what other learners are doing and what is needed to become part of the community. For Lave and Wenger, the opportunity to learn around relationships with other apprentices and to observe the masters ’ (senior practitioners) practice creates the curriculum in the broadest sense. ‘ Engaging in practice, rather than its object, may be a condition for the effec- tiveness of learning ’ (78)


 

다른 학습이론과의 관계는?

What is the relationship of situated learning to other learning theories ? 


상황학습은 학습이 사회적 영향과 분리할 수 없다고 말한다. 

Situated learning suggests that learning is not separate from social influences.


Brown 등은 situated cognition을 말하면서, 인지적 견습cognitive apprenticeship이라는 개념을 강조했다. cognitive apprenticeship에서는 학습자가 실제활동영역authentic domain activity에서 인지적 도구를 습득하고,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서포트한다.

Brown et al. (80) described situated cognition and emphasised the idea of cognitive apprenticeship. Cognitive apprenticeship supports learning in a domain by enabling students to acquire, develop and use cognitive tools in authentic domain activity.


Lave and Wenger 의 관점에서의 상황학습에 있어서, 커뮤니티와 학습기회는 학습자원을 구조화하는 방식이다. 교육활동(pedagogical activity)는 여러 학습자원 중 하나일 뿐이다.

Situated learning as described by Lave and Wenger (9) views the community and learning opportunities as a way of structuring learning resources, with pedagogi- cal activity (teaching) as only one resource among many.


상황학습이론은 원래 견습을 통해서 일어나는 학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상황학습은 견습생이 대가처럼 되기 위해서 그를 따라하고 여러가지를 시도하며 지식과 스킬을 습득하는 프로세스를  이해하게 해주었다. 상황학습모델에서 견습은 전체 커뮤니티에 대한 것이며, 대부분의 학습은 한 사람의 머리 속이 아니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발생한다.

Situated learning theory was originally a means for studying the learning that occurs through apprentice- ship. (9) Situated learning pro- vides a way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whereby apprentices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fol- lowing and attempting to be like the master. In the situated learning model, the apprenticeship is actually to the whole community, and much of the learning occu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rather than inside the individual learner ’ s head.


상황학습은 비공식학습informal learning과도 관계된다. Eraut에 따르면, 비공식학습은  일을 하는 과정에course of our work에서 발생하는 유의미한 차원이다. 그는 비공식학습은 implicit, unintended, opportunistic and unstructured하며, 종종 선생이 없는 가운데 일어난다고 했다.

Situated learning also relates closely to notions of informal learning. According to Eraut, (81) informal learning is a significant dimension of the learning that occurs in the course of our work. He suggests that it is implicit, unintended, opportunistic and unstructured, and often occurs in the absence of a teacher.


근무지workplace에서 비공식학습과 '타인에게서 배움'의 근거는 확실하다. 이는 공식적 의학교육의 대부분에 있어서 독립적학습자의 이미지를 가지는 것과 반대된다.

the evidence that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from others in the workplace occurs is convincing. This is in contrast to the image of inde- pendent learners that is embedded in much of formal medical education.


비공식학습은 implicit learning으로 당연히 귀결, tacit knowledge와도 마찬가지이다.

Informal learning with its corollaries of

  • 함축 학습: 학습한 내용에 대한 explicit knowledge가 없는 상황에서 학습을 위한 의식적 시도와 무관하게 얻어지는 지식
    implicit learning – ‘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dependent of conscious attempts to learn and in the absence of explicit knowledge about what was learned ’ (82) – and
  • 암묵지: 알긴 하나 말로 표현이 안되는 것
    tacit knowledge – ‘ that which we know but cannot tell ’ (83) –

상황학습은 경험학습, learning by doing과 관련된다. 이는 경험학습의 개념을 개인 학습자를 넘어서까지 확장시키며, 왜냐하면 상황학습에서 학습자는 커뮤니티의 공유하는 경험에 기여하고 참여하기 때문이다.

Situated learning also relates to experiential learn- ing, or learning by doing. It also extends the notion of experiential learn- ing beyond the individual learner, as it views the learner as contributing to, and participating in, the shared experience of the community.


상황학습은 구성주위와도 연결된다. 구성주의는 학습이 문제해결과 비판적 사고의 능동적 참여를 통해 이뤄진다고 본다 

situated learning is entirely in keeping with construc-tivism. Constructivism views learning as a process of active participation in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포스트모던 구성주의는 지식의 중심지locus가 개개인이라고 보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학습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프로세스라고 본다. 학습과 이해는 사회적인 것이며, 문화적 활동과 도구는 커뮤니티에서 가치를 인정받은 기술과 스탠다드를 학습자가 개발하게 해주는 개념적 발달에 필수적이다.   

Postmodern constructivist approaches do not view the locus of knowledge as in the individual. Rather they view learning as a social constructivist process. Learning and understanding are social; cultural activi- ties and tools are essential to conceptual development that will allow learners to develop the skills and stand- ards that are valued by the community. (79)



교육 실천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Hafferty and Franks 는 세 단계의 교육과정을 formal / informal / hidden으로 나누었다. 명백히 이 세 가지 교육과정은 의학에서의 상황학습에 모두 존재하고 있다. 잠재교육과정의 모든 메시지가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이 메시지는 전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커뮤니티 구성원의 행동/토론/관계를 통해서 전달된다. 상황학습이 롤모델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있다는 인식은 tacitly든 explicitly든 행동을 통해 나타난다.

Hafferty and Franks (84) articulated the notion of three levels of curriculum as including formal, informal and hidden. Clearly, these curricula all exist and are enacted in the context of situated learning in medicine. Not all messages of the hidden curriculum are nega- tive. Often these are unintentionally imparted through actions, discussions and relationships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is relates the notion of situated learning closely to role modelling, as the senior members of the community enact through their behaviours, both tacitly and explicitly, how problems of the discipline are approached, how colleagues are regarded and how knowledge is built.


명확하게 커뮤니티에 더 오래 참여할수록 의미있는 참여의 기회도 늘어난다. 커뮤니티에 참여가 단기적이면, 학습자는 주변부에 머물면서 커뮤니티에 참여한다는 느낌을 거의 못 받을 것이다. 

Clearly, the longer the engagement in a commu- nity, the greate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meaningfully. Where attachments are short, learners may remain at the periphery and feel little participa- tion in the community.


교수는 여러 역할을 동시에 한다. 

Faculty (teachers) enact several roles concurrently.

  • modelling skills,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 demonstrat- ing how knowledge is built, understood and how practices evolve.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대화를 듣는 학습자는 맥락적 방식contextualized way로 학습할 수 있다. 그러나 대화의 특성과 내용이 중요하다. 교사로서 우리는 우리가 하는 말에 신경써야 하며, 학습자와 그 말에 대해서 성찰해보아야 한다. 관찰을 통한 학습 역시 오해의 여지가 있으며, 왜냐하면 학습자는 자신이 본 것을 현재의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기회를 발견하고 토론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 그리고 학습자와 함께 경험을 성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Learners who participate in and listen to the talk of the community are able to learn in a contextualised way. However, the nature and content of the talk become important considerations. As teachers, we need to be mindful of our talk, and open to refl ecting on it with learners. Learning through observation is also vulnerable to misunderstanding, as learners will interpret what they observe in light of their current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85) It is important to fi nd opportunities and demonstrate willingness to discuss and reflect on experience with learners.



실천공동체

Communities of Practice


Lave and Wenger 는 처음으로 실천공동체CoP라는 용어를 제안했으며, 개개인의 공동체에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고, 공동체는 개개인의 실천을 정당화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했다.

Lave and Wenger (9) fi rst proposed the term community of practice (CoP) to capture the importance of activity in integrating individuals within a community, and of a community in legitimising individual practices.


Barab 등은 CoP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Barab et al. (86) defi ned a CoP as

‘ a persistent, sustaining social network of individuals who share and develop an overlapping knowledge base, set of beliefs, values, history and experiences focused on a common practice and/or mutual enterprise ’



Wenger 는 CoP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를 제안했다.

Wenger (10) proposed three constituent parts of a CoP: mutual engagement, joint enterprise and a shared repertoire

  • 상호 참여: 근무와 관계된 것, 사회-문화적 활동과 관계된 것 모두 포함함.
    Mutual engagement involves both work - related and socio - cultural activities, achieved by inter- action, shared tasks and opportunities for peripheral participation.
  • 공동 사업: 외적인 명령이 아니라 스스로 명령하는 것
    Joint enterprise refers to the need for the group to respond to a mandate for itself, and not simply an external mandate.
  • 공유 레파토리: 단어, 도구, 행동방식, 스토리, 제스쳐, 상징, 장르 등
    Finally, a shared reper- toire involves the ‘ routines, words, tools, ways of doing things, stories, gestures, symbols, genres, actions or concepts that the community has adopted in the course of its existence ’ (10)

 

Wenger 는 학습의 사회적 이론에 대한 개념 프레임워크를 요약하여 네 가지 요소를 밝혔으며, 이들이 '깊이 연결되어있고 상호적으로 정의되는' 것이라 했다. 진정한 CoP에는 이 세 가지 모두가 존재한다.

Wenger (10) summarised his con- ceptual framework for a social theory of learning com- prising four components that are ‘ deeply interconnected and mutually defi ning ’ All of these should be present in a true CoP. The components include the following:



  • 의미: '경험으로서의 학습'. 구성원들은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공동의 의미를 창출한다.
      Meaning – learning as experience. Members talk about their experience and create shared meaning. 
  • 실천: '하는 것으로서의 학습'. 구성원들은 행동을 지속시키는 공유 아이디어와 자원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Practice – learning as doing. Members talk about the shared ideas and resources that can sustain action. 
  • 커뮤니티: '소속감'. 구성원들은 커뮤니티의 절차와 어떻게 역량을 학습/발달시켰는지 이야기한다.
      Community – learning as belonging. Members talk about the community process and how they are learning and developing competence. 
  • 정체성: '무엇이 되어감'. 구성원들은 학습을 통해서 그들이 어떻게 변했는가를 이야기한다.
      Identity – learning as becoming. Members talk about how learning changes who they are.

CoP의 주된 목적은 지식을 translation하는 것이다. Knowledge translati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 바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CoPs is knowledge transla- tion. Knowledge translation has been defi ned as

‘ the exchange, synthesis and ethically sound application of knowledge – within a complex system of interactions among researchers and users – to accelerate the capture of the benefits of research … through improved health, more effective services and products, and a strength- ened health care system ’ (87) .


더 최근, 다른 용어가 거의 동일하지만 더 포괄적 개념으로 제시된 바 있다.

More recently, other terms have been proposed for essentially the same broad concept. These terms include

  • knowledge mobilisation, (88)
  • knowledge utili-sation, (89)
  • knowledge exchange, (90)
  • knowledge man- agement (91) and
  • knowledge brokering, (92)

파트너십은 모든 지식전환Knowledge translation활동의 핵심이다. 효과적인 지식전환은 가장 적절한 시기에, 그리고 가장 적절한 근거-기반, 경험-기반 의사결정을 위하여, 네트워크 구성원간 얼마나 유의미한 교환을 하느냐에 달려있다.

Partnerships are at the heart of all knowledge translation activity, (87) and effective knowledge translation is dependent on meaningful exchanges among network members for the purpose of using the most timely and relevant evidence - based, or experience - based, information for practice or deci- sion making.


CME에서 전통적인 워크숍 모델의 한계가 점점 명백해지고 있다. Knowledge translation 은 근거가 실천에 적용되는 path를 단축시켜주며, 실천공동체는 임상맥락에서 학습을 embed할 기회를 준다.

In the fi eld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workshop/presentation models are becoming apparent. (93) Knowledge translation is essential to shortening the path from evidence to application of that evidence in practice, and CoPs provide an oppor- tunity to embed learning within a clinical context.


실천공동체의 개발/기능/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있다.

There are a number of key factors that infl uence the development, functioning and maintenance of CoPs. (94)

  • 초기 멤버십의 정당성 The legitimacy of the initial membership is important.
  • 실천공동체의 목표에 대한 헌신 Commitment to the desired goals of the CoP,
  • 구성원에 대한 관련성 relevance to members and
  • 실천공동체의 영향에 대한 잠재력에 관한 열정 enthusiasm about the potential of the CoP to have an impact on practice

 

 

are also key.

 

실질적 측면에서는..

On the practical side,

  • 인프라와 자원 a strong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such as good information technology,
  • 도서관 자원 useful library resources,
  • 데이터베이스 databases and
  • 인적 지원 human support,

 

are essential attributes.


 

전문직 학습이 번창하기 위해서는 비난하지 않는 문화가 필수적이고, 그래야 긍정적/부정적 경험 모두로부터 배울 수 있다.

If professional learning is to fl ourish, it is critical that a blame - free culture is established in which community members can learn from positive and neg- ative experiences. (95)


실천공동체를 설립하기 위한 핵심 질문들

Some writers have outlined some key questions to address in establishing a CoP. (96) 

  •   How will the community be formed and evolve? 
  •   How and when will members join? 
  •   What do members do and how will they interact? 
  •   How will the CoP be supported by the members ’ organisation(s)?
  •    What value will members and their organisations receive?

실천공동체를 배양하기 위한 원칙이 제시된 바 있다. 실천공동체란 적응과 큰 성장을 위해 설계된 역동적 존재이다.

Others have suggested principles for cultivating CoPs. (97) CoPs are dynamic entities and need to be designed for adaptability and large growth.

  • 배부자와 외부자의 시선을 통합해야 함. 모든 참여자가 가치롭게 존중받아야 함.
    They should combine the perspectives of both insider members and outsider participants, and all members should be valued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participa- tion.
  •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 필요하고, 서로 관련되어야 함
    Both public and private spaces are necessary and need to be related.
  • 구성원들에게 가치를 제공해줘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참여가 없을 것
    A critical principle is that the CoP must provide value to its members, otherwise partici- pation will be minimal or absent.
  • 친숙성이 중요하긴 하나, 도전과 흥미가 제공되어야 함
    Although familiarity is important, challenge and excitement need to be pro- vided to keep the energy high.
  • 리듬이 있어야 함
    Finally, CoPs have a rhythm they need to settle into, one that works for its members ( see Box 2.6 ).

 

 


가상 실천공동체

Virtual communities of practice


가상 공동체의 활동에 있어서 사회적 맥락과 관련된 세 가지 구성요소를 통해서 네 가지 유형을 구분함. 실천공동체는 고도로 응집력이 있어야 하고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함.

Henri and Pudelko (98) have proposed three components of the social context of activity in virtual communities –

  • 공동체의 목표 the goal of the community,
  • 공동체의 초기 생성 방식 the methods of initial group creation, and
  • 목표와 방식의 시간에 따른 진화 the temporal evolution of both the goals and the methods of the group

 

–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four different types of community. Figure 2.3 illustrates that a CoP requires a highly cohe- sive group with a clear goal.

 


네 가지 공동체의 특성. 여러 종류의 가상 공동체가 존재할 수 있지만 진정한 실천공동체는 아니다.

Box 2.7 diss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our types of community further. It demonstrates that although many types of virtual community can exist, they may not be true CoPs.


 

일부는 'soft'지식과 'hard'지식을 구분하기도 했다.

Some writers have distinguished ‘ soft ’ from ‘ hard ’ knowledge. (99)

  • Soft knowledge can be gathered in a domain through sharing solutions to a particularly dif- fi cult problem, describing idiosyncrasies of particular tools, equipment or processes, and recounting and refl ecting on challenging events (i.e. recounting war stories). This refers to the implicit or tacit knowledge in a domain. CoPs are central to the creation and main- tenance of soft knowledge.
  • Hard knowledge, in con- trast, is stored in databases and documents. It is highly explicit and codifi ed.

 

 

 

 

 


교육 실천에 대한 함의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완화의료에서의 실천공동체. 다양한 참여자들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적용하기 때문에, 학습자를 참여 시뮬레이션에서부터 상호작용의 공동결정자까지 진화시키면서 scaffolding하는 것이 효과적인 교수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한 scaffolding 프로세스는 단계적 접근법으로서, 학습자로서의 정체성을 참여자로서의 정체성으로 연결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구성주의적 관점과 잘 맞는다.
The application outlined in this section is a CoP for palliative care practitioners and students. Since many participants are acquiring and applying new knowledge in this fi eld, scaffolding learners through an evolving con- tinuum from simulation to participation to codeter- mined interactions is an effective instructional approach. (101) The scaffolding process proposed here uses a staged approach for bridging from a learner (knowledge) identity to a participant (practitioner) identity. This approach is consistent with the constructivist (102) view of learning that espouses the learner as central in the educational process.


커뮤니티-기반 학습환경에서의 실천공동체는 스페셜리스트와 비-스페셜리스트를 포함한다. 다양한 서로 다른 목료를 추구하고 있을 수 있다.

A CoP implemented in a community - based learning environment could include specialist and non - special- ist practitioners in palliative care, as well as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clerks). It would aspire to achieve a number of different aims, based on the chal- lenges by Richardson and Cooper. (103)


  •    Engage all trainees in a research culture (i.e. encour- age evidence - based practice).
  •    Provide an opportunity for participants to identify with their peers and supervisors
  •    Encourage cross - site discussion to explore shared theory,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    Provide a forum for discussion and a recognised channel fo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    Facilitate high - quality supervision to ensure ade- quate access to teaching and learning for all practitioners. 
  •    Foster scholarly interaction and good supervisory practice to stimulate dialogue among students and supervisors across sites.


연결

Connections



모든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학습자를 능동적 기여자로 본다. 각각의 이론적 접근법에서 학습자는 변화하는 복합한 환경과 상호작용한다. 교육과정은 단순히 전달되는 어떤 것 또는 학생에게 가해지는 것act upon이 아니다. Human agency라는 중요한 요소가 있으며, 실천적 측면에서 보자면 의사-학습자는 진료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학습을 자극받는다.

All theoretical frameworks view the learner as an active contributor in the learning process. In each of the theoreti- cal approaches discussed here the learner actively interacts with a changing, complex environment. The curriculum can no longer be viewed as something that is transmitted to, or acts upon, the students, be they undergraduate, postgraduate or practising physicians. There is an important element of human agency. Moreover, in practice, the physician - learner is stimu- lated to learn through interactions in the practice environment.



학습의 전체 맥락이 개개 변인보다 중요하다. 학습환경은 복잡하다. 학습자/교수/환자/동료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학습자가 어떤 수준에 있든 이들간의 독립적 효과가 학습환경에 영향을 준다. 학습은 직접적 경험과 대리 경험, 그리고 이 복잡한 시스템에서의 무수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뤄진다. 따라서 우리는 이 많은 요소들을 가능한 분석하여 교육과정을 계획, 도입, 평가해야 한다. practice를 통한 학습에 있어서 의사들은 환자/가족/의사/커뮤니티의 환경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 모든 것이 학습의 효과성과 특성/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The entire context of learn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 one variable alone. The learning environment is complex. It includes learners, faculty, patients, colleagues, resources and other workers. It is both the interacting and the independent effect of all these variables that resul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hatever the level of learner. Learning is accomplished both through direct experience and vicariously, and from many interactions in this complex system. Consequently, we must analyse as many factors in the environment as possible when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our educational programmes. In learning from prac- tice, physicians solve complex problems that occur in the environment of the patient, family, physician and community. All of these infl uence the effectiveness, nature and outcomes of learning.



학습은 현실에서의 문제를 이해하고 답안을 찾는 것과 온전히 연결되어 있다. 성인학습자에게 있어서, 학습은 현실에서의 요구와 문제를 해결해줄 때 가장 동기부여가 되고 가장 효과적이다. 이는 성찰적 실천에서의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자명한데, 이 때 새로운 학습은 실제로 맞닥뜨린 문제가 surprise 했을 때 일어난다. 현실에서의 문제를 통한 경험학습은 지속적인 mastery와 competence에 이르게 한다. 유사하게, 임상문제를 중심으로 한 학습 역시 authentic task를 해결하는 것이다.

Learning is integrally related to the solution and under- standing of real - life problems. For adult learners, learning is most effective and motivating when it is relevant to the solution of real - life needs or problems. This is obvious in the learning that occurs in refl ective prac- tice, where the new learning is triggered by the sur- prise encountered in a problem in practice. Experiential learning in real - life problems leads to ongoing mastery and competence. Similarly, learning around clinical problems, both in the clinic and in the classroom, rep- resents learning to solve the authentic tasks of the pro- fession and of future professional practice.


 

개개인의 기존 경험과 지식이 결정적이다. 모든 수준에 있어서 학습은 반드시 관련된 경험과 연결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기존 지식과 compatible해야 한다. 기존 경험과 지식은 자기효능감 인식에 영향을 주고, 결국 새로운 경험과 목표에 영향을 줄 것이다. 학습자의 기존 경험은 지식 습득의 프레임워크가 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실제적으로는, 새로운 학습 기회는 학습자의 기존 경험이나 지식이 얼마나 상당substantial한지에 달려 있다.

Individuals ’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are critical in learning, in actions and in acquiring new knowledge. At all levels, learning must be connected to relevant experi- ence, or compatible with the learner ’ s existing knowl- edge. Past experience and knowledge will affect perceptions of self - effi cacy, which will, in turn, affect the choice of new experiences and goals. Learners ’ past experience is important in providing a framework for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In practice, the new learning opportunities identifi ed will depend substan- tially on the individual ’ s existing experience and knowledge.



학습자의 가치/태도/신념이 학습과 행동에 영향을 주며, 학습자의 자이인식을 형성하고, 이것이 발달에 중요하다. 이러한 가치/태도/신념은 학습자가 새로운 행동을 시도할 의지가 있느냐에 중요하다. 이것은 학습자가 생각하는 사실상의 모든 것에 영향을 준다. 다양한 프로세스가 이것을 변경하기 위하여 존재하며, 그 예로는 성찰적 관찰, 인식전환, 롤모델, 행동에 대한 피드백 드잉 있다.

Learners ’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infl uence their learning and actions, and building learners ’ self - awareness in this area is important for their development. These values, attitudes and beliefs are central to learners ’ willingness to attempt new actions. They affect virtu- ally everything that learners think, as well as their interactions with mentors, peers and patients. Various processes exist to modify these, such as refl ective observati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role model- ling and feedback on action.


 

학습자로서의 개인은 자기조절능력이 있으며, 이는 목표를 설정하고, 전략을 세우고 발달과정을 평가하는 것을 뜻한다. 성인학습자는 자기-동기부여가 되어있고, 자기-조절을 하며, 개인의 목표와 관련된 학습목표를 추구하다. 그들은 본질적으로 자기-조절적이며, 성찰의 프로세스는 경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학습을 의미한다. 학습경험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이것을 학생에게 가르쳐야 하는 스킬이 아니라, 개발되고 향상되어야하는 스킬과 능력으로서 대해야 한다.

Individuals as learners are capable of self - regulation, that is, of setting goals, planning strategies and evaluating their progress. Adult learners are viewed as self - motivated and directed, pursuing those learning objectives rele- vant to personal goals. They are inherently self - regu- lating, and the process of refl ection implies a learning that arises directly out of experience. In planning learning experiences we must regard these not as skills we have to teach students, but as skills and abilities that need to be developed and enhanced.


 

스스로의 수행을 성찰하는 능력은 평생학습, 자기주도학습에 필수적이다. 모든 이들 이론적 접근법에 있어서, 우리는 우리의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있고, 이것을 기존의 지식과 스킬에 통합시킬 수 있다고 전제한다. 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systematic approach를 조기에 도입하여 성찰의 기회를 줄 수 있다. 성찰은 단순히 경험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며, 이것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적이거나 직관적인 능력이 아니며, 연습을 통해 발달시켜야 한다. 효과적인 평생학습자가 되는 것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학습자가 스스로의 수행능력에 대한 기준을 개발하고 적용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무엇을 더 학습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게 해준다.

The ability to reflect on one ’ s practice (performance) is critical to lifelong, self - directed learning. At the heart of all these theoretical approaches is the belief that we can learn from our experience, incorporating it into our existing knowledge and skills. This opportunity for refl ection requires an early introduction to a sys- tematic approach to facilitate refl ection. Refl ection is not merely description of experience, but analysis of it. It is not a natural and intuitive ability, and it must be developed through practice. It is critical to becom- ing an effective lifelong learner, as it also enables learn- ers to develop and apply standards to their performance, decide what further learning needs to occur, and con- tinue their learning over a professional lifetime.


 






2.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How Theory Can Inform Practice

  1. Tim Swanwick
  1. David M Kaufman1 and
  2. Karen V Mann2

Published Online: 1 NOV 2013

DOI: 10.1002/9781118472361.ch2

Understanding Medical Education: Evidence, Theory and Practice

Understanding Medical Education: Evidence, Theory and Practice


학습스타일 활용하기[Teaching Anatomy: A Practical Guide, 2015, Chapter 13]

Applying Learning Styles to Engage a Diversity of Learners and Behavioral Problems in Anatomy Education

Mark Terrell




Introduction


학습스타일이란..

A learning style is a set of biologically based and sociologically developed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how learners perceive, interact with, and respond to a learning environment or task [ 2 , 3 ]. 


학습스타일에 대한 두 가지 모델

The study of learning styles can be organized into two models.

  • Cognitive models emphasize differences between how learners process, encode, and retrieve information in the brain.
  • Psychosocial models are based on personality preferences and the natur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educator and learner.



Cognitive Models of Learning Styles


다중지능이론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고등교육은 언어지능과 수학지능을 선호하는 단일한 교육 설계를 선호한다.

Higher education has a preponderance of singular instructional designs that favor linguistic and mathematical intelligences [ 7 ].

 

 


 

콜브의 경험학습이론

Kolb’s Experiential Learning Styles


초창기의 연구는 많은 학생들이 그들의 학습스타일이 그들의 전공과 맞지 않아 생기는 스트레스를 관찰한 것으로부터 시작했다.

Initial research wa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dis-tress encountered by many students whose learning styles seemed mismatched to their dis-ciplinary majors [ 9 ]. 


네 개의 학습 스타일

The per- ceiving and processing dimensions combine to form quadrants representing four different learning styles (Fig. 13.1 ):


Diverging learners perceive new information through concrete experience and process through refl ective observation. They observe thing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gather infor- mation, and are sensitive and imaginative. These learners prefer to work in groups, listen with an open mind, and value personal feedback.


Assimilating learners perceive new information through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pro- cess using refl ective observation. They have a preference for a concise, logical approach focused on ideas and concepts. These learners require a good clear explanation rather than practical opportunity. They excel at under- standing wide-ranging information and orga- nizing in a clear logical format.


 Converging learners perceive new information through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pro- cess using active experimentation. They have a preference for solving problems to practical issues. They prefer technical tasks, experi- ment with new ideas, simulate, and work with practical applications.

 

 Accommodating learners perceive new infor- mation through concrete experience and pro- cess using active experimentation. They have a preference for “hands-on” activities and rely on intuition or “gut instinct” rather than logic. They use other people’s analysis and are attracted to new challenges and experiences.






Psychosocial Personality-Preference Models of Learning Styles


VARK


VARK설문지

The VARK questionnaire ( http://www.vark- learn.com ) is a free, easy-to-use, online instru- ment that gives users a quick profi le of their VARK preferences.



Grasha’s Learning Styles


Anthony Grasha 의 학습스타일. 여섯개의 학습스타일과 그에 따른 교육스타일

Anthony Grasha [ 13 ] observed interactions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 to develop six learning styles with corresponding teaching styles (Table 13.3 ).

 

 


 

"문제적" 학습행동

“Problematic or Diffi cult” Learning Behaviors


문제학생을 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patient centeredness의 원칙에 따라 생동하는 것이다. patient centeredness란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The best approach to dealing with the problem or diffi cult learner is to relate the behav- ior to the principle of patient centeredness [ 14 ].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func- tion using the principle of patient centeredness exhibit behaviors consistent with

  • (1) what is good for the patient (versus what is not good for the patient),
  • (2) the primacy of patient needs (versus the primacy of self-needs), and
  • (3) the integrity of the profession (versus the disintegration of the profession) [ 14 ].


많은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전문직답지 못항 행실에 대해 토론하는걸 꺼리거나 눈감아버리곤 하는데, 왜냐하면 "나쁜 사람이 되기 싫어가" 학생들이 "다시는 안 그러겠지"라고 생각하거나 "그냥 갈등이 싫어서" 등의 이유를 댄다. 사실, 언프로페셔널한 행실을 찾아내지 않고 이를 다루지 않는 것 자체가 언프로페셔널한 것인데, 왜냐하면 이는 교육자 자신의 니즈를 환자나 전문직으로서의 니즈보다 우선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Many educa- tors avoid confl icts and discussions of or have a blind eye for unprofessional behaviors because “they don’t want to be the bad guy” or the student “won’t do it again” or they “just don’t like con- fl ict.” In fact, the issue of not identifying and deal- ing with an observed unprofessional behavior is in itself unprofessional because it puts needs of the educator over that of the patient or the profes- sion. Clarity and constructive feedback coupled with descriptions of service to patients (patient centeredness) is crucial [ 14 ].

 

 


 

학습스타일 원칙에 관한 여섯 가지 토론

Discussion of Six Learning Style Principles for Anatomy Educators


1. Learning styles and teaching styles should be refl ected upon and identifi ed. Knowing one’s learning style can be benefi cial if learners take the next step and consider how and when they learn, as part of a refl ective, metacognitive process, with action to follow. 

 

2. Learning styles are preferences and are not the only way a learner can learn. Learners should initially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through their preferred style and then be advanced toward other, less developed styles. Strengthening students’ less preferred learning styles helps them become more ver- satile learners and amendable to the requi- sites of real world of the health professions [ 15 ]. 

 

3. Learning styles should drive the selection of teaching styles.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educator to match their teaching style with their learners than learners to adjust their learning style to the teaching style. 

 

4. Learning styles are equal; one is not superior to the other. Educators should develop specifi c educational activities that support each learn- ing style. Using only one strategy selectively excludes many learners. Educators that teach in a multi-style fashion reach the greatest diversity of students and challenge all stu- dents to grow [ 16 ]. 

 

5. Learning styles should drive multimodal assessment. This allows students to demon- strate competency in alignment with their pre- ferred style of learning. 

 

6. Problematic learning behaviors impede devel- opment toward competency. Applying the principle of patient centeredness to the prob- lematic learning behavior is powerful approach to discuss the behavior’s impact on patient care.


Conclusion




 


 


 


 


 






Chapter

Teaching Anatomy

pp 107-114

Date: 

Applying Learning Styles to Engage a Diversity of Learners and Behavioral Problems in Anatomy Education

Mark Terrell 


Abstract

The integration of learning styles helps anatomy educators meet the diverse needs of healthcare students who can later apply these learning styles to learn about and teach to diverse patients they encounter in the clinic. A learning style is a set of cognitive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how learners perceive, interact with, and respond to a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of learning styles uses two models of thought. The cognitive model examines how learners process information in the brain and extrapolates educational strategies to the classroom and includes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 an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styles. The psychosocial model uses classroom observations of interactions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to derive learning styles, including the VARK learning styles and the work of Grasha. Some learners exhibit problematic behaviors that prevent learning, requiring the educator to apply the principle of patient centeredness to address the behavioral deficiencies. Finally, six learning style principles specific for anatomy education are synthesized from the analysis of the aforementioned learning styles.

성공적인 성인학습의 요소[Teaching Anatomy: A Practical Guide, 2015, Chapter 1]

Elements of Successful Adult Learning

Lap Ki Chan and Miriam Uhlmann






노울즈는 성인학습과 아동학습을 비교하면서 아동학습을 "아이들을 가르치는 예술과 과학"이라고 부르며, 학습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배울지에 대해서 선생님에게 의존하며, 학습절차에 대한 개인적 경험이 거의 없고, 학습요구를 다른 사람이 대체로 결정해주며, 대상-중심적subject centered 라고 했다. 그러나 성인학습과 아동학습은, 서로 다른 상황에 놓였을 때, 동일한 학습자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가정assumption으로 보아야 한다.

Knowles [ 1 ] contrasted andragogy with peda- gogy, which he defi ned as “the art and science of teaching children” (note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usage of the term nowadays) wherein the learners are assumed to be more dependent on the teachers in determining what and how they learn,have little personal experience to bring to the learn-ing process, have learning needs largely deter-mined by someone other than themselves, and are more subject centered. However, andragogy and pedagogy should be considered as two separate sets of assumptions that can sometimes be applied to learners of any age under different situations [ 1 ]. 


요구에 기반함

Based on Needs


Abraham Maslow 의 욕구 피라미드

A theory of motivation based on human needs was described by Abraham Maslow and is known by many as Maslow’s pyramid/hierarchy of human needs [ 2 ].


노울즈가 묘사한 것과 연관지어보자면..

The relation to edu- cation was described by Knowles in 1980 [ 1 ]:

 

“These basic needs have relevance to education in that they provide the deep motivating springs for learning, and in that they prescribe certain conditions that the educators must take into account if they are to help people learn…. An educational need, therefore, is the discrepancy between what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or society) want themselves to be and what they are; the distance between an aspiration and a reality.”

 


 

동기

Motivation



동기는 교육적 요구가 있을 때 생긴다. 그리고 동기에는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식은 "왜 의료전문직들이 유사한 주제와 프로그램에 대해서 서로 다른 요구를 갖는지를 이해하는 핵심"이다.

Motivation to learn arises from an educational need. Perception plays a major role in motivation and “…is the cornerstone of understanding why health professionals may have different levels of motivation related to similar topics and pro-grams…” [ 4 ].


 


 

Table 1.1 Advantages/disadvantages of several need assessment methods (adapted from Kern et al. [ 3 ])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동기부여를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For practical application,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following two points to motivate your learners:


1. 학습자들이 지식과 수행능력의 gap을 인식하게 하라
Help your learners to realize their gaps in knowledge and performance
by, for example: 

  • Online self-assessments: Based on your defi ned outcomes, ask your learners about their perceived present level and their desired level. This can easily be done with an online survey tool. It is important that learners can see their results to recognize their gaps. 
  • On-site small group discussions: During small group discussions, you can fi nd out about the present level of knowledge, and you can help learners to understand where they are and where they should be. This is important in situations where learners think they already know a lot (although they in fact do not) and would therefore not be highly motivated to learn. 
  • Reflection (see also section on “Refl ection”): Refl ective practice helps learners to identify their gaps.


2. 다양한 교육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동기부여된 상태로 유지되게끔 하라

Help your learners to stay motivated by using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 Use interactive methods for teaching such as interactive lectures and small group discussions. 
  • Use new technologies to allow for self- directed learning, e.g., provide online resources such as readings or recorded lec- tures/webinars. 
  • Provide learners with clear goals and outcomes
  • Provide time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 Blend traditional strategies with technology, e.g., self-assessment tests can be completed online and linked to discussion forums.




성과

Outcome Driven


한 가지는 SOLO(Structure of Observed Learning Outcomes) taxonomy가 있다.

One is the SOLO (Structure of Observed Learning Outcomes) tax- onomy [ 5 ], which describes several levels of complexity in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a subject:

  • 전-구조 prestructural (learners have unconnected information),
  • 단일-구조 unistructural (learners are able to make simple and obvious connections between facts),
  • 다(층)-구조 multistructural (learners see more connec- tions but miss the signifi cance to the whole),
  • 관계적 relational (learners appreciate the signifi cance of the parts to the whole), and
  • 확장된 추상 extended abstract (learners make connections beyond the subject and are able to generalize).

 

또 다른 것으로 Bloom’s taxonomy가 있다.

Another model is the revised Bloom’s taxonomy [ 6 ], which identifi es six sub- categories in the cognitive domain of learning activities:

  • knowledge,
  • comprehension,
  • applica- tion,
  • analysis,
  • synthesis, and
  • evaluation. 


밀러의 피라미드도 있다.

Miller’s pyramid can also help teachers to formulate learning outcomes for their learners(Fig. 1.3 ) [ 7 ].


평가방법은 의도한 성과를 염두에 두고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의 alignment를 constructive alignment라 한다.

They also need to decide on the assessment meth-ods and standards with the intended outcomes in mind. Such an align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 with the outcomes is called constructive alignment [ 8 ] 

 

 


 

'이해한다'는 적절한 동사가 아니며, 관찰가능하지 않고, 간접적으로만 평가가능하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under- stand” will not be an appropriate verb, because it is not observable and can only be indirectly assessed.

 

 


능동 학습

Active Learning


능동학습에서 성인학습이 더 잘 배운다는 근거가 있으며, 능동학습이란 일반적으로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그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mindful한 학습 프로세스'로 정의할 수 있다.

There is evidence that adults learn better with active learning, which can generally be defi ned as a learning process in which the learners are engaged in meaningful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nd are mindful of what they are doing [ 12 13 ].


전통적 강의는 일방향적으로 이뤄지며 상호작용어 없어서 '능동학습이 빠져있을 때 학습이 어떠한가'를 보여주는 예시로 쓰인다.

A traditional lecture, which is delivered in a unidirectional manner without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s, is often used to illustrate what learning is like when active learning is absent.


성찰

Reflection



성찰이 먼저 정의되어야 한다.

Before a meaningful discussion can proceed, “refl ection” must fi rst be defi ned because this term is used in everyday life and has different meanings in specifi c circumstances.

  • Moon [ 17 ] defi ned it as “a form of mental processing with a purpose and/or anticipated outcome that is applied to relatively complex or unstructured ideas for which there is no obvious solution,” while
  • Boud et al. [ 18 ] defi ned it as “a generic term for those intellectual and affective activities in which indi- viduals engage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in order to lead to a new understanding and appre- ciation.” A more inclusive defi nition is given by
  • Sanders [ 19 ]: “Refl ection is a metacognitive pro- cess that occurs before, during and after situations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greater under- 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future encounters with the situation are informed from previous encounters.”


따라서 이 과정은 '생각에 대한 생각'이며(메타인지), 이것은 새로운 지식과 스킬의 습득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자신과 상황에 대한 이해도 포함되며, 학습자가 미래에 닥칠 (지금과 다른)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thus considered a process of thinking about thinking (metacogni- tion) that involves not only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or skills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so that the learner will respond differently in future encounters.


학습에 있어서 성찰이 중요함을 고려하면, 성찰이라는 것이 필요한 만큼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적극적으로 장려(촉진)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사실은 놀랍다. Moon 은 과제가 challenging하고 ill-structured 되어 있을 때, ordering of thougths를 필요로 할때, 평가가 동반될 때, 이전 학습에 새로운 것을 통합해야 할 때 성찰이 더 잘 일어난다.

Given the important role of refl ection in learn- ing, it is surprising that it does not spontaneously occur as often as desired and needs to be actively promoted. Moon [ 23 ] pointed out that learner refl ection can be promoted when the tasks are challenging and ill structured (e.g., real-life examples), demand ordering of thoughts (e.g., following exposure to disorganized data), involve evaluation, and require integration of the new into previous learning.

 

 


피드백

Feedback


피드백의 목적은 수행능력과 성찰의 향상이며, 비판이나 판단이 아니다. 

Therefore, the purpose of feedback is to improve performance [ 26 ] and refl ection [ 25 ], not to criticize or judge.


흔한 피드백의 모델은 Pendleton 모델

A common model for giving feedback in clini- cal education settings was developed by Pendleton [ 27 ]. Pendleton’s rules consist of the following steps:


Elements of Effective Feedback


  • 1. Check if the learner wants and is ready for feedback. 
  • 2. Allow the learner to give comments/back- ground to the material that is being assessed.
  • 3. The learner states what was done well.
  • 4. The observer states what was done well.
  • 5. The observer states what could be improved.
  • 6. The teacher states how it could be improved.
  • 7. An action plan for improvement is made together.

샌드위치 모델

One of these is the “sandwich” model, which

  • starts with identi- fying the learner’s strength, is
  • followed by identi- fying the learner’s areas in need of development, and
  • concludes by reinforcing the strengths again.




 


 


 


 


 


 





Chapter

Teaching Anatomy

pp 3-10

Date: 

Elements of Successful Adult Learning

  • Lap Ki Chan 
  • Miriam Uhlmann


Abstract

Most adult learners are self-directed, attach high value to learning through experience, prefer learning that helps them to deal with real-life situations or problems, are more interested in immediate, problem-centered approaches, and are more motivated to learn by internal drivers than by external drivers. To promote successful adult learning, faculty needs to understand the needs of learners and to motivate them by enabling them to perceive any gaps that exist between their present level of ability (what is) and their desired level (what ought to be). Motivation and learning can be improved by informing learners about the intended outcom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how achieving these outcomes will help them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ir present and desired levels of abilit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 methods and standards should all be designed to help learners to achieve these outcomes. Learners should be actively engaged in the learning process, instead of passively receiving information. They should be given frequent, accurate, and specific feedback at the appropriate time and should be given time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성인학습이론: 의학교육의 교수 학습에 대한 함의 (AMEE Guide No.83)

Adult learning theories: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83

DAVID C. M. TAYLOR1 & HOSSAM HAMDY2

1University of Liverpool, UK, 2University of Sharjah, United Arab Emirates




Introduction


Vygotsky와 같은 구성주의자

The more we read, the more we realise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of explaining how adults learn (Merriam et al. 2007). None of the individual theories fully explain what is happening when an aspiring health professional is engaged in learning. In this Guide, it will become clear that the authors hold a broadly constructivist view. Constructivists, like Vygotsky (1997), consider that learning i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new knowledge on the foundations of what you already know. We will explain a constructivist schema, which we feel has an evidence base and forms a theoretical basis to help curriculum development,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student assessment and programme evaluation.


Malcom Knowles의 Andragogy

Malcolm Knowles (1988) considered that adults learn in different ways from children. He introduced the term “andragogy” to differentiate adult learning from pedagogy; this differentiation now seems to be artificial. Many of the principles of andragogy can be applied equally to children's learning. It is probably more appropriate to think in terms of a learning continuum, which stretches throughout life, with different emphases, problems and strategies at different times.



Categories of adult learning theories

아래와 같이 구분지어질 수 있다.

Our task is complicated by the observation that the theories of learning flow partly from psychological theories of learning and partly from pragmatic observ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remember that “learning” includes the acquisition of three domain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ny theories should ideally account for learning in each of these three domains.


In broad terms, theories of adult learning can be grouped into, or related to, several categories. There is quite a lot of overlap between the theories and the categories of theories, and here we give a simplified overview:


  • 도구적 학습이론 Instrumental learning theories: 개인의 경험에 초점을 두며, 행동주의와 인지학습이론이 있다.
    These focus on individual experience, and include the behaviourist and cognitive learning theories.
    • 행동주의 이론 Behavioural theories are the basis of many competency based curricula and training programmes (Thorndike 1911; Skinner 1954). A stimulus in the environment leads to a change in behaviour. Applying these theories usually results in learning that promotes standardisation of the outcome. This leads to the main issue with behavioural theories – namely who determines the outcomes and how they are measured?
    • 인지학습 이론 Cognitive learning theories focus learning in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processes of the mind, not on behaviour. They are concerned with perception and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Piaget 1952; Bruner 1966; Ausubel 1968; Gagne et al. 1992).
    • 경험학습 Experiential learning has influenced adult education by making educators responsible for creating, facilitating access to and organising experiences in order to facilitate learning; both Bruner's (1966) discovery learning and Piaget's (1952)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support this approach. Experiential learning has been criticised for focusing essentially on developing individual knowledge and limiting the social context (Hart 1992). Its application in medical education is relevant because it focuses on developing competences and practising skills in specific context (behaviour in practice: Yardley et al. 2012).

  • 인본주의적 이론 Humanistic theories: 개개인의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며, 보다 학습자 중심적이다. 자기실현을 위한, 자기주도적이고 내적으로 동기화된 개인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These theories promote individual development and are more learner-centred. The goal is to produce individuals who have the potential for self-actualisation, and who are self-directed and internally motivated.
    • Knowles (1988) supported this theory by popularising the concept of “andragogy”. Although it explains the motivation to learn, its main limitation is the exclusion of context and the social mechanism of constructing meaning and knowledge. We now know that context and social factors are crucial in professional education (Durning & Artino 2011). 의미와 지식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맥락적, 사회적 기전을 배제했다는 지적을 받음
    • Self-directed learning suggests that adults can plan, conduct, and evaluate their own learning. It has often been described as the goal of adult education emphasising autonomy and individual freedom in learning. Although it is axiomatic to adult learning, there are doubts about the extent to which self-directed learning, rather than directed self-learning is truly achievable (Norman 1999;Hoban et al. 2005). A limitation of the concept is failur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ocial context of learning. It has also implicitly underestimated the value of other forms of learning such as collaborative learning. ((타인에 의해)지시된 자기학습이 아닌 진정한 자기주도 학습이 어느 정도나 가능하겠느냐에 대한 의구심이 있음, 학습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점, 협동적 학습과 같은 다른 형태의 학습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점 등이 지적받고 있음)

  • 전환학습이론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학습자의 신념과 가정에 대한 도전으로서 비판적 성찰을 활용하는 방법.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친다.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explores the way in which critical reflection can be used to challenge the learner's beliefs and assumptions (Mezirow 1978, 1990, 1995) The process of perspective transformation includes 
    • A disorienting dilemma which is the catalyst/trigger to review own views/perspectives – “knowing that you don’t know” '무엇을 모르는지 안다'
    • The context, which includes personal, professional and social factors
    • Critical reflection. Mezirow (1990) identifies different forms of reflection in transformation of meanings, structures, context, process and premise. Premise reflection involves the critical re-examination of long held presuppositions (Brookfield 2000). 의미/구조/맥락/절차/전제에 대한 전환이 일어난다.

  • 학습의 사회적 이론 Social theories of learning: The two elements that are crucial to social theories of learning are context and community (Choi & Hannafin 1995; Durning & Artino 2011). These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by Etienne Wenger (Lave & Wenger 1991; Wenger 1998), who emphasises the importance of “communities of practice” in guiding and encouraging the learner. Land and colleagues consider the way that learners enter the community of practice (Land et al. 2008). 학습자의 경험은 맥락과 공동체에 의해서 구성된다. The way in which a learner's experience is shaped by their context and community is developed by situativity theory and is discussed by Durning & Artino (2011). 상황인지이론의 주요 가정 세 가지 Situated cognition theories are based on three main assumptions:
    • 학습과 사고는 사회적 활동이다. Learning and thinking are social activities
    • 사고와 학습은 특정 상황에서 가능한 도구가 무엇인지에 의해서 구성된다. Thinking and learning are structured by the tools available in specific situations
    • 사고는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Thinking is influenced by the setting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Wilson 1993).

  • 동기 모델 Motivational models: 성인학습을 교육이론과 연결시켜서 설명하고자 하는 모든 이론적 모델이든 반드시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동기'와 '성찰'이다. Any theoretical model that attempts to explain and relates adult learning to an educational theory must have two critical elements – motivation and reflection. 그러한 이론 중 하나가 자기결정이론이며, 여기서는 내적 동기를 중요시하는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기본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 자율성/역량/소속감(관계성)이다.  One such theory is self-determination theory (Ryan & Deci 2000; ten Cate et al. 2011; Kusurkar & ten Cate 2013). The theory recognises the importanc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considers that three basic needs must be fulfilled to sustain it: Autonomy, Competence, and a feeling of belonging – or “Relatedness”.
    • 학습에 대한 한 가지 이슈는, 성공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으면 학습동기가 낮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One of the issues about learning is that a low expectation of success will result in poor motivation to learn, unless the perceived value of success is overwhelming. This is partly explained by Maslow's theory of needs (Maslow 1954; Peters 1966), but it probably does not capture the balance between the different competing drives of hopes and expectation of learning as opposed to the time and effort needed to engage with the process. 기대가이론은 성공에 얼만큼의 '가치'를 두는가와 성공을 얼마나 기대하고 있느냐를 포함시켰다. The expectancy valence theory (Weiner 1992) incorporates the “value” of success and expectancy of success.
    • The Chain of Response model 반응체인모델은 학습프로젝트에 대한 참여를 중요하게 본다. 세 가지 내적동기요인이 서로 연관되는데, 이는 자기평가/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목표와 기대치의 중요도이다. concerns participation by adults in learning projects (Cross 1981). In this model three internal motivating factors are inter-related: self-evaluation, attitude of the learner about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goals and expectations. The main external barriers to motivation are life events and transitions, opportunities, and barriers to learning or obtaining information.

  • 성찰모델 Reflective models: 성찰변화모델은 성찰이 행동을 하게 하고, 그리고 이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The reflection-change models consider that reflection leads to action and then change. Reflective learning (Schön 1983, 1987) has important relevance to medical education, and more widely in society (Archer 2012).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Duvivier et al. 2011), using reflection and feedback as tools to develop both knowledge and skills is starting to provide very valuable insights for educators helping students develop autonomous learning.

Even this brief consideration of types of theory applicable to adult learning will lead one to realise that they each have their strengths, and are each incomplete without the others. Before addressing a model that attempts to draw the theories together, we need to consider how we arrived at where we are.


성인학습이론의 역사적 맥락

Historical aspects of adult learning theories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pervading view was that all knowledge derives from experience. Although he personally did not use the term, John Locke (Locke 1690)(비어있는 칠판) considered that the mind was a tabula rasa or “blank slate” at birth and that all acquired knowledge was derived from experience of the senses. These ideas were reworked and developed until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Edward Thorndike (효과의 법칙, 연습의 법칙)derived his laws (Thorndike 1911), principally the law of effect – which stated that learning occurred if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and the law of exercise – which meant that repetition strengthened the learning.


This was further developed by behaviourists, such as Skinner (1954) 빈도/인접성/우연성이 중요함. who demonstrated that some forms of learning could be demonstrated by a simple stimulus-response paradigm, so that a reward could be used to ensure an appropriate response to a stimulus. Skinner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elements that strengthened learning, namely frequency (the number of times a stimulus was presented), contiguity (the time delay between the response and the reward) and contingency (the continued link between the stimulus and the reward). 


Chomsky (1975) 언어와 같은 고차원적 기술에는 행동주의적 관점이 적용되지 않는다. considers that the type of experiments favoured by behaviourists do not explain the acquisition of higher order skills, such as the learning of language. Chomsky argued that our brains are programmed to acquire higher order skills, which we develop and modify by experience. While some were looking at the potential neural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acquisition of learning, others were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can make it more effective.


Piaget, a cognitive constructivist, 인지적 구성주의자, 서로 다른 종류의 지식이 서로 다른 단계에서 습득된다. considered th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that could be acquired at different stages in a young person's life (Piaget, 1952). This stream of thought continues to the present day in the work of people like William Perry (1999) 대학생들이 이원론에서 다원론으로 발달해간다. who studied the way in which college students change from dualism (ideas are either true or false; teacher is always right) to multiplicity (truth depends on context; teacher is not necessarily the arbiter).


Social constructivists, like Vygotsky (1978), 사회적 구성주의자, 학습공동체가 학습을 만든다.  focus on the way that the learning community supports learning. A key idea in social constructivism is that of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whereby a learner can only acquire new knowledge if they can link it in with existing knowledge. Conversations between learners/teachers articulating what is already known can exten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by putting new ideas in the context of current understanding. This strand of thought has been taken forward in social learning theories by Bandura (1977),사회학습이론 and in a remarkable way by Wenger 학습공동체, in the concept of learning communities or “Communities of Practice” (Wenger 1998).



성인학습자와 교육학 

Andragogy and pedagogy: Knowles views and related learning models

Towards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there was a body of research that suggested that adults learn differently from children and that “andragogy” was a better term for this process than “pedagogy”. The key difference between adults and children is said to be that adults are differently motivated to learn. Although the arguments no longer seem quite so clear, the line described by Knowles (Knowles et al. 2005) was that adult learners differ from child learners in six respects: 아동과 어른의 핵심적 차이는 어른은 학습에 대한 동기가 다르다는 것이다. 다음의 여섯 가지 차이가 있다.


  • 내가 이것을 왜 알아야 하지? The need to know (Why do I need to know this?)
  • 나는 나의 선택에 대한 책임이 있다. The learners’ self-concept (I am responsible for my own decisions)
  •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대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당신은 그것을 존중해야 한다. The role of the learners’ experiences (I have experiences which I value, and you should respect)
  • 나를 둘러싼 환경이 바뀌고 있으므로 나는 배워야 할 필요가 있다. Readiness to learn (I need to learn because my circumstances are changing)
  • 내가 맞닥뜨릴 상황을 대처하는데 도움이 되는 학습을 한다. Orientation to learning (Learning will help me deal with the situation in which I find myself)
  • 나는 내가 학습하고 싶기에 학습한다. Motivation (I learn because I want to)


These observations, in association with David Kolb's experiential learning model ((Kolb 1984), see Figure 1) have allowed the consideration of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appropriate for adult learners.






In Kolb's scheme, 

  • the learner has a concrete experience
  • upon which they reflect. Through their reflection 
  • they are able to formulate abstract concepts, 
  • and make appropriate generalisations. 
  • They then consolidate their understanding by testing the implications of their knowledge in new situations. 
  • This then provides them with a concrete experience, and the cycle continues. 


Learners with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will have strengths in different quadrants of the (Kolb) cycle. In Kolb's terminology

  •  “Activists” feel and do,
  •  “Reflectors” feel and watch,
  •  “Theorists” watch and think and
  •  “Pragmatists” think and do. 


흔하게 인용되고 있고, 쉽게 이해가 되는 개념이긴 하나, Kolb cycle로부터 개발된 학습유형 인벤토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From the educator's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o design learning activities that allow the cycle to be followed, engaging each of the quadrants. Although it is often quoted, and easily understood, the learning style inventory developed from the Kolb cycle has poor reliability and validity (Coffield et al. 2004).


큰 틀에서 구성주의적 관점을 따르자면 중요한 것은 이전의 경험, 그리고 이 이전의 경험과 새로운 경험 사이의 불협화음이다. 이러한 차이에 대해서 성찰해 보는 것이 RIA이며, 추상적 개념을 형성하게 해주고, 새로운 자료를 이해하게 해준다. 또한 직접 실험을 하거나 토론/토의를 통해서 기존 지식에 대한 검증을 하게 만든다. 그러나 여기에 빠진 것은 ROA이다. 학습자가 그들이 사용한 절차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그것이 어느 정도로 적절하고 좋은 방법이었는가를 생각해보는 것이며, 이는 학습에 필수적이다. 

Of particular importance to those who follow a broadly constructivist line (but lacking in the original model), will be the prior experience/knowledge of the individual, and the dissonance between this and the concrete experience that is provided as the learning opportunity. When we see something new, attend a lecture, or talk with a patient, we compare what we are seeing with what we already know, and reflect upon the difference (reflection in action, (Schön 1983)). This enables us to formulate abstract concepts that make sense of the new data. In turn this will lead us to propose tests of our knowledge, through direct experimentation or through debate and discussion. This is a familiar process to all acquainted with the scientific/clinical method; however at least one key element is missing, and this is reflection on action. It is crucial that the learner thinks about the processes they have used,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were rigorous or appropriate in the use of the material; this is fundamental to learning.


기존의 정보와 새로운 정보 사이에 연결이 만들어지는 과정: elaboration, refinement, restructuring

The next issue is the way in which new knowledge becomes integrated into the existing knowledge base. Proponents of the transformative learning approach consider that meaningful learning occurs when connections are made between new and existing information (Regan-Smith et al. 1994). Norman & Schmidt (1992) suggest that there are three main elements to this process: elaboration, refinement and finally restructuring

  • Elaboration is linking in new knowledge with what we already know. It is important, however, that the linkages are precise rather than general (Stein et al. 1984). 
  • Refinement is the act of sifting and sorting through the information to retain those elements that make sense. 
  • Finally, restructuring is the development of new knowledge maps (schemata) which arguably allow one to become an expert or demonstrate expertise (Norman et al. 2006).


Bloom's taxonomy와 Miller's pyramid에서 학습성과와 스캐폴드 만들기

Learning outcomes and scaffolding from Bloom's taxonomy to Miller's pyramid

교육자는 advance organiser를 제공함으로서 학습자를 도울 수 있다. 두 종류가 있는데 model과 metaphor 그리고 scaffolding이다.

The processes of acquiring new knowledge, relating it to what is already known and developing new understanding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but educators can help the learners by providing advance organisers (Ausubel 1968). There are two types of advance organisers: models and metaphors, which we will consider later, and scaffolding.


Scaffolding이란 교수자가 교수학습자료를 이용해서 학습자를 인도하는 것이다. 복잡하고 방대한 양의 자료만 넘겨주게 되면 학습자는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며, 이 상태를 state of liminality(경계선상태) 라고 한다.

Scaffolding refers to the structural things that teachers do to guide learners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hey are necessary because the sheer volume and complexity of knowledge to be acquired often leaves the learner standing on the threshold (in a state of liminality), rather than stepping into the world of learning.


경계선상태(liminality)의 문제는 과소평가하기 쉽다. 우리는 한계점 너머로 우리를 넘겨줄 누군가가 필요하다. 우리가 지식과 이해를 막 쌓기 시작한 단계에서 우리는 이것들이 어디에 해당하는 것이고, 서로 어떻게 연결되며, 개별 파트가 전체의 어디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Scaffolding"은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programme level organiser가 주로 Scaffolding이 되는데, 여기에는 Syllabus, lecture, planned experiential learning, reading list 등이 포함된다. 흔하게는 요즘에는 학습성과의 목록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It is easy to underestimate the problem of liminality. It is described well by Ray Land (Land et al. 2008; Meyer et al. 2010), but it refers to the sense of discomfort we feel when we do not quite understand the rules or the context of a new situation. We need someone to lead us over the threshold, introduce us to the new ideas, and probably explain some of the language (Bernstein 2000). As we start to build ou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e need to have some idea of where things fit, how they fit together, and some idea of how the individual pieces are part of a greater whole. “Scaffolding” provides that perspective. Scaffolding includes programme level organisers, which are dependent on both the content and the context in which it is being learned. Programme organisers include the syllabus, lectures, planned experiential learning and reading lists. Most commonly, these days scaffolding includes providing learners with a list of intended learning outcome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t also includes the induction that students receive when they enter the programme or a new clinical environment.



Learning outcomes can be further refined using Bloom's taxonomy (Bloom et al. 1956), which has been revised by several authors, including Anderson (Anderson & Kratwohl 2001). In Figure 2, Bloom's taxonomy is shown in the pyramid itself, and Anderson's development of it in the side panels.





Anderson은 Creating을 Evaluating보다 높이 두었는데, 둘 다 학습자가 지식을 활용해서 무언가 하게 한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학습성과는 따라서 '동사'와 관련되어야 하며 학습해야 하는 '목록'이 되어서는 안된다.

Anderson's modifications indicate a belief that “creating” is a higher attribute than “evaluating”, but they are also important in emphasising that the learner does things with knowledge. Learning outcomes, therefore, should be associated with verbs, rather than lists of things to learn. The difficulty with the model is highlight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Bloom and Anderson's model. In reality, the elements of the pyramid are arranged in a cycle. Evaluation leads to developing a new idea which is then applied, analysed, evaluated and so on.


Bloom's taxonomy는 다양한 변형이 있다. Miller의 피라미드는 그 하나다. 그러나 지식은 피라미드의 기초일뿐 피라미드 그 자체는 아니다.

Bloom's original work led to several variants. In medical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is Miller's pyramid (Miller, 1990; Figure 3), which can be used as a guide for planning and assessing within a curriculum. The pyramid is important, because in training students for the healthcare professions it is essential to remember that the outcome of training is intended to be a graduate who can take their place in the workforce (Action). Knowledge is the foundation of the pyramid – but not the pyramid itself.







안내적 발견학습과 학생의 학습전략 

Guided discovery learning and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조하리의 창 In a structured learning environment new knowledge is sufficiently similar to the existing knowledge to allow its relevance to be perceived. A more challenging condition applies in real life, when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is often far from apparent. The variants of this situation are described by the Johari Window (Figure 4), named after its originators Joseph Luft and Harry Ingram in the 1950s (Luft & Ingham 1955).






여기서 두 가지가 명백해지는데 개개인간 토론이 실용적 지식을 늘려준다는 점과, 일부는 여전히 잘 모르는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다라는 것이다. 

Two things are immediately apparent from this construction – namely that (1) discussion between individuals will increase the amount of practical knowledge, and that (2) some things remain a mystery until we talk to someone else with a different range of knowledge or understanding. It follows that the more diverse a learning group's membership is, the more likely the individuals within the group are to learn. There will always be “unknown unknowns”, but teachers can help students move into those areas through a careful choice of task, resources and, of course, patients. Before we look at the ways in which we can assist learning, there are two other considerations; both of which relate to the way that the learner thinks about knowledge.


다양한 학습스타일이 있을 수 있다.

Newble, Entwistle and their colleagues, in a number of studies (Newble & Clarke 1986; Newble & Entwistle 1986), have shown tha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that learners have different learning preferences. There is a real and active debate about whether learning styles are fixed or flexible,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are determined by the context (Coffield et al. 2004). It does seem clear that some learners prefer to work towards a deep understanding of what they are learning; others prefer to acquire the facts, a term known as surface learning. A moment's reflection will show that each can be an appropriate strategy. Sometimes deep understanding is needed, and sometimes it is enough to know “the facts” – the surface. It is important to know normal blood gas values or electrolyte levels and this surface learning triggers appropriate clinical action. However, to sort out a patient with acidosis requir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 various physiological systems interact. The ability to be strategic about the sort of learning we engage in is important. But it can be affected by the assessment system. So, if an assessment system tests for recall of facts, then the successful learner will employ surface learning. If the system rewards deep thought, understanding and reasoning, then the successful learner will aim for that. Strategic learning이 세 번째 스타일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There is a difference of opinion about whether “strategic” is a third learning style or not (Newble & Entwistle 1986; Biggs et al. 2001). 


서로 다른 스타일에 대해서 아는 것은 중요한데, 왜냐하면 강의는 대체로 surface learner에, 확장된 프로젝트는 deep learner에 어필할 것이기 때문이다.

Recognising the different styles is important, as (most) lectures will appeal more to surface learners and extended project work will appeal more to deep learners. Some subject material actually needs to be known and rapidly recalled (blood gas values, electrolyte levels), while other material needs to be deeply understood to allow appropriate interventions (coping with acid base disturbances, or circulatory shock).


이원주의에서 다원주의로의 발전해나간다.

In a series of studies on American students in their college years, Perry (1999) noted that students change in their approach to learning as they progress through their college years. Typically students develop from an approach based on duality”, with a clear view that the teacher will tell them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wrong, towards multiplicity”, where they recognise that context is important, and that they, their colleagues and the environment are valuable source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Together with this change in focus comes a greater confidence with coping with uncertainty. This work was based on a relatively able, affluent and homogenous population of undergraduates and was subsequently extended by Perry's colleagues to a wider cross section of society. They (Belenky et al., 1997) uncovered a group of “silent” learners, who did not recognise their own rights to question or construct knowledge. Belenky and colleagues also extended the scale beyond receiving and understanding knowledge, to being co-constructors of knowledge (Belenky et al. 1997).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꼭 이러한 방향으로 발전해나가는 것은 아니라고 하기도 한다.

Some recent work by Maudsley (2005) shows that medical students develop in the way they learn, but that the progression is not always from duality to multiplicity. There are two explanations for this paradox, one is that the learners tend towards more strategic learning styles in order to cope with the demands of the assessment system; the alternative explanation is rather more complex and relates to the business of becoming a new member of the profession.


학습이란 단순히 지식을 얻는 것 만이 아니라, 그것을 이해해서 활용하는 것 까지를 일컫는다.

The process of learning new things is not just about acquiring knowledge (surface learning), it includes being able to make sense of it, and hopefully making use of it. But being able to do these things means that you have to acquire an understanding of where things fit. A novice stands at the threshold, not quite knowing what to expect, and sometimes not even knowing what they are supposed to be looking at. This is a state of liminality, and the learner needs to have some threshold concepts so that they can move further (Land et al. 2008; Meyer et al. 2010). Frequently the difficulty is in the vocabulary or the way that language is used (Bernstein 2000), but it can also be troublesome concepts (Meyer & Land 2006), or just becoming part of the “team” and assuming a new identity (Wenger 1998). The role of the teacher is to help the learner over the threshold, and, as discussed above, help them until it starts to make sense. If we follow Wenger's arguments (Wenger 1998) then we will see that the whole community has a role in leading the novice over the threshold, and helping them to take their place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that is, in this case, the healthcare profession



성인은 어떻게 학습하는가?

How adults learn: a multi-theories model

다섯 단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It will be clear by now tha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theories about, and approaches to, learning. In the section that follows we introduce a model that encapsulates them and can be used to structure, plan and deliver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s. We propose that there are five stages in the learning experience, which the learner needs to go through. The learner and the teacher will have particular responsibilities at each stage. We shall outline the model first, describe the responsibilities and then discuss each element in greater detail.


Outline

All learning starts with the learner's existing knowledge, which will be more or less sophisticated in any given domain (Figure 5).






  • 학습자의 지식이 도전받고, 그것이 완전하지 않음을 알게 되는 과정
    The dissonance phase exists when the learner's existing knowledge is challenged and found to be incomplete. The challenge can be internal, when a learner is thinking things through, or it can be external, provided by a teacher or patient.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influence whether the learner will engage with the dissonance phase. These include the nature of the task, the available resources, the motivation of the learner, and the learner's stage of development and their preferred learning style. It ends with the learner reflecting and determining their personal learning outcomes.
  • 학습자는 dissonance에 대한 가능한 설명과 해답을 찾아보게 되고, 과제수행/연구/성찰/토론 등을 통해서 새로운 정보를 정제(refine)하게 된다.
    During the
    refinement phase, the learner seeks out a number of possible explanations or solutions to a problem (elaboration), and through completing tasks, research, reflection and discussion refines the new information into a series of concepts which are, for the learner, new.
  • 학습자가 새롭게 얻어 증가한 지식을 처리하기 위해서 자신의 생각을 더욱 발전시키거나 재구조화하는 단계이다.
    The
    organisation phase is where the learner develops or restructures their ideas to account for the increased information they have acquired. There are at least two elements to this: reflection in action, where the learner tests and re-tests hypotheses to makes sense of the information and the organisation of the information into schemata which (for the learner, at least) make sense.
  • 이 단계는 가장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여기서 학습자들은 새롭게 얻은 지식을 분명하게 표현하고, 동료나 선생님의 신념에 맞서게 되기 때문이다. 피드백은 기존의 스키마를 강화시킬 수도 있고, 또는 새로운 정보를 다시 고려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를 굴복시킬 수도 있다.
    The
    feedback phase is arguably the most crucial, as it is where the learner articulates their newly acquired knowledge and tests it against what their peers and teachers believe. The feedback will either reinforce their schema, or oblige the learner to reconsider it in the light of new information.
  •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그들이 수행한 단계를 다시 생각해보면서 지나간 학습 사이클을 되돌아보고 거기서 무엇을 배웠는지(지식 측면의 향상)와 더불어 학습절차(RoA)까지 성찰해보게 된다.
    During the
    consolidation phase the learner reflects upon the process they have undergone, looking back over the learning cycle and identifying what they have learned from it, both in terms of increasing their knowledge base, but also in terms of the learning process itself (reflection on action).




Adult learning model in action

각각의 다섯 시기에 학습자와 교수자가 해야 할 구체적 역할들이 있다.

During each of these phases, we propose that there are specific roles for teachers and learners.





The model that we have given here shows that there are a number of ways in which applying the model can help in the design of learning activities, whether in one-to-one discussions, small group work, seminars or large lectures. The same principles apply to planning curricula, at short course, module or programme level. Whether working with an individual learner, or planning a major programme, the educator needs to recognise that the learner needs to move through a cycle, in order to truly understand and learn. We also need to be explicit that educator and learner have specific responsibilities at each stage of the learning process.


확장형 성인학습모형 

Adult learning model “expanded”:


The dissonance phase

The key to success as an educator is probably providing the advance organisers. We need to know what we want the learner to learn, and how it fits into the greater scheme. That means that we must have clearly defined outcomes, at the appropriate levels of one of the modifications of Bloom's taxonomy (Figure 2). We may need a student to gain new knowledge, apply their knowledge or create a new hypothesis, for instance. Once we know our intended outcome we are in a position to start thinking about the best way of helping the learner to acquire, and demonstrate that they have acquired, the learning outcomes.


학생이 무엇을 하게 만들까를 먼저 고민하지만, 그보다 가장 적절한 과제를 위해 고려해야 할 다음의 다섯 가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When we plan an educational intervention, we usually start with an idea of the task we want the students to be involved in (attend a lecture, take a history from a patient, write an essay, or whatever). There are, however, five considerations that define the most appropriate task, and they should come first.


(1) 어떻게 학습자를 격려하고, 사전 지식을 활용하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라
Consider how the learner can be encouraged to articulate their prior knowledge

The entire learning process starts with what a learner already knows. In any intervention, we need to make sure that the learner has the possibility to articulate what they already know about something. There are many possible techniques, for instance “buzz groups” in lectures (Jaques 2003), the early phases of the PBL process where learners discuss what they already know (Taylor & Miflin 2008), or discussing something on the ward before performing an examination or obtaining a history from the patient. This stage helps the learner anchor the new knowledge in what they already understand, and places them on the first stage of the learning cycle. It also highlights to the learner where the gaps or uncertainties are in their knowledge.


(2) 학습스타일과 그것이 갖는 함의를 생각하라.
Consider learning styles and their implications

If the aim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s simply to present the learner with new knowledge, then surface learning is the most appropriate learning style. It is not the most appropriate learning style, though, if the learner is required to understand, or later elaborate on the knowledge (Newble & Entwistle 1986; Biggs et al. 2001). Elaboration, and the later stages of Bloom's taxonomy require an increasing depth of understanding. There are complicating factors, since many learners are strategic in choosing surface learning styles before they enter University courses, so they may appear to show a preference for surface learning. Even at graduate level, if students know that they will be tested on their acquisition of facts, rather than their understanding, they will naturally choose a surface learning style. If the educator is aiming for a deeper level of understanding, then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sure that the assessment process does not derail it.


It is possible, but challenging, to use lectures to provide more than surface knowledge. Deep learning comes through discussion, research and weighing up the evidence. Curricula that use PBL (Taylor & Miflin 2008), Team based learning (TBL: Michaelsen et al. 2002) and Case-based learning (Ferguson & Kreiter 2007) are designed with this in mind, but more traditional programmes can introduce elements of the more discursive styles, or require learners to complete particular tasks, such as research, small group work or preparing papers.


(3) 학습자의 발달단계를 생각하라
Consider the stage of development of the learner

In the same way that surface learning has attractions for many learners, Perry's stage of duality has attractions for both the learner and the educator (Perry 1999). Lectures can reinforce a state of duality in which the learner accepts what the lecturer says. But learners need to be comfortable with uncertainty, dealing with a partial picture and recognising when they need to know more. It is not enough for a doctor just to know the right answers in a perfect situation; we rightly expect them to understand why they are the right answers, and how they are determined by circumstances. A senior clinician will have sufficient experience to recognise this, and it should come across in traditional bedside teaching. Learners can als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systems through well-facilitated PBL or case-based learning, where the facilitator encourages learners to think about the value they attribute to “facts”, and the way in which they think about them. Helping the learner shift from duality to early multiplicity, and look beyond the obvious first impressions, is crucial to bedside teaching, for instance, where test results or images have to be related to the patient's account of their problem.


(4) 학습자의 동기를 생각하라
Consider the learner's motivation

Sobral's (2004) work has shown that student's motivation can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ir frame of mind towards learning. This is also central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en Cate et al. 2011; Kusurkar & ten Cate 2013). If that is the case, then early clinical contact that is both stimulating and relevant to the desired learning outcomes will be beneficial.


Although adult learners are expected to be self-motivated, they will also have a host of competing concerns. Balancing two or more imperatives is a normal state of affairs for both learner and educator.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educator to ensure that the task will engage the learner for long enough to allow the learner's enthusiasm to be captured. It is equally important not to squander the learner's energy and enthusiasm with poorly thought out tasks, or issues that are either trivial or too difficult.


There is more to consider here, particularly the dimensions of self-directed learning (Garrison 1997), which include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Zimmerman 2002). There is some evidence that problem-based learning students are better at self-regulation (Sungur & Tekkaya 2006), which includes the ability to construct meaning. The goal, however is self-directed learning which transcends self-regulated learning to include motivation and, crucially, the ability to determine what should be learned (Loyens et al. 2008). Again, this is fostered by problem-based learning, but is easily destroyed by publishing or giving the students detailed intended learning outcomes.


(5) 자원을 고려하라
Consider the resources

가장 중요한 자원은 뭐니뭐니해도 시간이다.

Naturally, we need to consider physical resources such as space, books, journals, and access to electronic resources. The most precious resource, for all of us, is time. Whenever an educational activity is planned there must be sufficient time devoted to preparation and planning, including planning the way in which the activity will be evaluated and assessed. Clearly there will need to be sufficient time made clear for the educator/s involved in the delivery, but also in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processes.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re is sufficient time for the learners to engage with the learning activity and complete any necessary additional work, such as reading, and of course reflecting upon the material and the way in which they have learned.


위의 다섯가지를 고민하고 나서 과제를 고민하라.

Finally consider the task

The task the learners are set has to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preceding considerations.


It needs to have learning outcomes which are aligned with the curriculum as a whole and which are specific enough to be reasonably achievable within the allocated time. No one could learn 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nervous system in a couple of days, but they might be able to master the anatomy and physiology that underlie the crossed extensor reflex.


Opinions are divided about whether every task should be assessed, but it is widely asserted that “assessment drives learning” (Miller 1990), so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assessment opportunities, and the material covered should be included in the assessment blueprint (Hamdy 2006).



The elaborate and refine phase

Dissonance에서는 가능한 많은 대안을 찾는게 우선이다. 

The dissonance provided by the task has been sufficient to introduce new possibilities, facts and concepts to the learner. They must now start to make sense of them. The first stage in this process is to consider as many of th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new information as possible. This is equivalent to the brainstorming phase in problem-based learning and has two main advantages. 

    • The first is that it helps ensure that connections are made between the new information and previous knowledge, ensuring that everything is learnt in the context of what is already known. 
    • The second is that it reinforces our natural tendency to be appropriately inventive and to think widely. This skill will be crucial for the future healthcare professional, where the obvious explanation for a patient's symptoms may be wrong. Shortness of breath, for instance, may have a respiratory or a cardiovascular origin.


Refinement를 하지 않고 Elaboration만 하면 혼란만 가중된다. 따라서 가능한 설명이 모이면, 그것들을 '가장 가능성 있는' 답안으로 정교화해야한다.

Elaboration without refinement will just lead to confusion, so once a number of possible explanations for a scenario have been determined,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m into the most plausible solutions. This will be after some research, reflection and discussion or in the clinical environment after reading the patients notes or seeing the results of appropriate tests. In this phase we are mirroring the scientific and clinical method, which is a valuable exercise in and of itself. The outcome of this phase is the generation of a working hypothesis.


Elaboration과 Refinement 시기에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은 학습자 내부에서 진행되지만, 그 모험이 성공할지 여부는 어떤 과제를 주었는지, 그리고 적절한 자원을 제공하였는지에 달려있다.

Most of what happens in the elaboration and refinement phase is internal to the learner, but the success of the venture will stem from the nature of the task they were set, and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resources. The task must be such that it requires some thought and engagement to complete it, and the resources need to be appropriate to the task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 This phase is the key part of problem-based learning, but can also arise out of clinical and bedside teaching when the educator is aware of the possibilities and careful to exploit them.



The organisation phase

이 시기에 학습자는 문제를 모든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그들이 이미 아는 것에 대응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재검증해본다. 이는 복잡한 과제이며, 이 때 학습자는 RiA를 통해 스스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된다.

During this phase the learner looks at a problem from all angles, testing and retesting the hypothesis against what they already know. Part of this phase is fitting the information into what the learner already knows, and part of it is in constructing the new information into a story that makes sense to the learner. This is a complex task and involves the learner reflecting in action, challenging him- or herself to reflect critically.


교육자는 두 가지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educator has two roles in supporting the learner. 

  • The first role is to provide them with scaffolding, a skeleton to support their ideas and give them coherence and structure. This may be the framework of the programme, with a series of themes, or it might be a lecture or lecture series, or it could even be a syllabus. The danger with scaffolding is that if it is too detailed it removes any freedom or responsibility from at the learner. It then become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rue understanding (rather than simple recall) has been achieved. It also means that the learner will not know, until too late, whether they truly understand the subject.
  • The second role for the educator is to encourage critical reflection. At its best the educator will model this in tutorials or the supervising clinician in bedside teaching, but it is perfectly possible to model one's way of thinking about a problem in a lecture or seminar. Given that so much of our knowledge base changes, critical thinking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skill we can give our students.

학생들로하여금 그들의 성찰적 기술을 검증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호토론, 비공식적인 방법, 소그룹, 교육자와 함께, 친구들과 함께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It is essential that we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test their reflective skills. There are many possible ways but they include discussion with each other, informally, or in small groups, with the educator, or with critical friends. Although the idea of critical friends (Baskerville & Goldblatt 2009) is usually associated with teachers/researchers, there is no reason why it would not work between students, although they would need training and support in the first instance.



피드백 Feedback

피드백의 두 가지 요소

There are two elements to feedback.

  • 하나는 무엇을 배웠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The first is articulating what has been learned. All educators know that the real test of understanding something is explaining it to other learners. So the newly acquired material needs to be explained, or used in some way.
  • 학습자와 교육자가 도출된 결과에 만족할 때까지 주장의 강점과 약점을 짚어주고, 추가 질문을 하는 것이다. The educator's role, together with other learners, is the second element of feedback, which is to point ou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ny argument, and to ask further questions, until learner and educator are satisfied that the outcome has been met. In any facilitated small group session or bedside teaching session, this is part of the role of the facilitator – it is perfectly possible and acceptable to challenge constructively without handing out the correct answer or humiliating the student. In a group that is working well (whether a formal, structured group or a self-formed study group) other group members will pose questions and seek clarification. This is a combination of feedback and discussion, and can lead to co-construction of knowledge (Belenky et al. 1997). It is also relatively simple to provide feedback in a lecture theatre – either through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or through instant feedback devices such as “clickers”, or, dare one say, the raising of hands!


가장 적절한 시점이 있다. 가장 확실한 예는 '평가를 하는 바로 그 시점'이다.

Although feedback is best given in frequent, small, doses, there are clearly times when it is crucial. The most obvious example is when the learner is being assessed. This is when learners realise the extent to which they have acquired and can demonstrate new knowledge. Any effective assessment system will provide learners with an indication of where they are going wrong, and which areas they should focus on for clarification of their understanding.


종종 놓치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

There are two further elements of the feedback phase that are often ignored. 

  • 교육자가 스스로의 피드백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것 
    The first is
    the duty of the educator to seek and reflect upon the feedback they obtain about their own performance. In this way we can develop and hone our skills to become better at what we do. 
  • 학습자와 교육자가 그들이 학습한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한다.
    The second relates to epistemology. Educator and learner also need to reflect upon the way that they have been learning, and the relative highs and lows of the experience. This is to ensure that we can work smarter (rather than harder) next time.



The consolidation phase

두 가지 도전에 맞닥뜨리게 된다.

The learner faces two challenges in this phase. 

  • 하나는 지금까지 해온 것에 비추어봤을 때 이번에 배운 것이 무엇인지를 성찰해보는 것이다.

The first is to reflect on what has been learned in the light of what was known before.

Does it all make some sort of sense, or is there a logical inconsistency that needs to be thought through? 

How does the new knowledge help to explain the bigger picture and increase our understanding?


If the exercise has been subject to assessment, this is where the learner should ideally think about their assessment results, and their areas of relative strength and weakness, so as to ascribe confidence levels to what they think they know.


  • 학습자는 이미 자신의 학습과정이 작동한 방식에 대해 느끼고 설명한 바가 있을 것이다. 이 시기에서는 학습에 대한 스스로의 책임이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고려를 해봐야 한다.

The learner will already have articulated (in the previous phase) how they felt the learning process worked. In this consolidation phase they need to consider the extent to which they took personal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How far are they along the continuum towards co-constructing knowledge? 

To what extent were they personally responsible for any breakdown in the process? 

What should they do differently next time?


교육자의 역할

The role of the educator in this phase is to provide encouragement for reflection on action. This might be through the provision of written feedback about examinations, highlighting areas of relative strength and weakness, or it could be through an appraisal or portfolio process. The key is to move from a right/wrong type of feedback to one where the possibilities for future development are made explicit. The educator's role, after all, is to lead the learner towards a deeper understanding.



의학교육 기관 차원의 함의

Institu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adult learning theory in medical education

At an institutional level connecting adult learning theory with practice is challenging. Some theories or aspects of a theory will be more relevant and helpful than others in a particular context. In exactly the same way that clinicians are expected to adopt practices on the basis of the best available evidence, educators should make use of the best available evidence to guide their educational decisions.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rationalise and be explicit about their mission, vision, programme and curricula development, learning strategies, students’ assessment and programme evaluation guided by adult education theories and their particular socio-cultural context.


Institutional mission, vision and curriculum outcome

Many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mes will have mission or vision statements describing graduates who hav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at allow them to respond to the health needs of the population with a high degree of moral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outcome-based education one can expect a variety of strategies, each relying on one or more different educational theories. Understanding how people learn is important, and both learners and educators need to remember that learning is a process through which they weigh their knowledge against a critical examination of alternative possibilities (Ahlquist 1992). This understanding is basic to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 majority of clinical practice.


Although knowledge is the easiest, and most public domain, more than half of the outcome domains of medical education are related to attitude e.g. lifelong learning, empathy, utilitarianism, communication with patient and colleagues, ethics and professionalism. Transformative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ories constitute an important theoretical frame for 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these outcomes. The institution should be ready to embark on educa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 changes in order to operationalise these concepts.


Learning and teaching

Applying adult learning principles in medical education will probably necessitate changing educator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their roles. Adult educators may consider adopting a view of themselves as both learners and educators. The learner's role is not only to receive knowledge but also to search, challenge, construct knowledge and change their own perception, views and beliefs.


Applications of these strategies necessitate significant institutional culture changes, active faculty development and increased learner autonomy and self-direction. To develop these skills all learners (including faculty members) should be trained to ask questions, critically appraise new information, identify their learning needs and gaps in their knowledge and most importantly to reflect and express their views on their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The clinical environment is challenging for the learner and the educator. Clinical educators, students and patients interact together within the context of a hospital, clinics and community at large not just in a classroom. Time is at a premium, and the stakes for the patient are often high. Because of this it is important to make the best use of learning theories when helping people to learn.


Self-directed and experiential learning are key strategies, but feedback is crucial to help the learner make the best use of their contact time. Clinical reasoning, hypothesis generation and testing are essential skills for good clinical practice. The model of adult learning we have illustrated (Figure 5) shows that perception, insight, meaning-making and mental networking are interlinked and essential for good reasoning abilities. The clinical teachers should explain how they come up with a diagnosis or take a management decision by exploring with the learner the mental processes in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minds by which “the implicit becomes explicit”.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ent goal-setting should always be encouraged and supported but they should also be discussed, monitored and recorded. Portfolios, logbooks and reflective journal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ools for this. The ke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is for them to be more than “tick box” exercises, and we have found that using them as a basis for discussion makes them more effective.


Ethics and professional behaviours can be, and often are, taught but understanding them is demonstrated and consolidated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Asking students to observe, record and discuss incidents that have ethical and professional implications is crucial to this development (Maudsley & Taylor 2009). Perspective transformation theory (Mezirow 1978) is most appropriate for acquiring these competencies. It supports reflection, and examination of the learner and teachers’ assumptions and beliefs, hoping it may lead to individual and social change. An off-shoot of adult learning theories is situated cognition (Wilson 1993) developed by Wenger (1998) into the theories of communities of practice. Its application to the clinical environment is relevant. Learning and thinking are social activities structured and influenced by the setting and tools available in a specific situation (Lave & Wenger 1991). Learning and teaching approaches at the bedside are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room, emergency department or in the community (Durning & Artino 2011; Yardley et al. 2012). Each context has its educational power and value. Observing the performance and behaviour of a trainer as role model, reflection in and on action and feedback on performance are important education principles to be considered in teaching and learning in clinical settings.


Student assessment and programme evaluation

Awareness of adult learning theories is needed to develop and select evaluation systems and instruments that can measure the expected competencies and outcomes. What to measure, how, when, by whom are important key questions and their answers are not always easy. The assessment should be tied to specific learning outcomes, and the learner should be given whatever feedback will help them develop or consolidate their knowledge, skills or attitudes. Time constraints mean that some elements of the feedback will need to be the learner's self- and peer-evaluation, but this should not be seen as a problem. Encouraging discussion, debate and reflection will increase learning opportunities. It is important to allow time, and provide a structure, for these activities if they are to be properly integrated into the learning/assessment system.


As mentioned above, a well thought through portfolio/log book with elements of reflection will allow for the learner's progress to be documented for themselves, and, importantly, for the educator/assessor.


By applying adult learning theories consistently and carefully, the educator can be sure of helping learners become part of the healthcare profession, and lay the foundations for a career of life-long development.



Summary

성인학습이론은 다양한 교육적, 사회적, 철학적, 심리학적 이론과 연관되어 있다.

Adult learning theories are related to several educational, social,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theories. Most accessibly these were clustered by Knowles and called “andragogy” clarifying how adults learn best and their attitude towards learning.


단순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싸이클이지만 어느 사이클의 포인트에서든지 들어갈 수 있다.

A simple model is proposed which has considered different aspects of adult learning theories and their implication to the learner's role and teacher's role. Although the model is presented as a cycle actually the learner and teacher can enter the cycle at any point.


성인학습이론은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준다.

Adult learning theories should influence all aspects of health profession education, from mission and vision statements, outcome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임상교육과 학습환경은 성인학습이론을 적용하기에 매우 이상적인 환경이며, 그 유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clinical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s an ideal field for using adult learning theories and demonstrating their utility. Reinforcing clear thinking in both teacher and learner and considering them should improve clinical learning, and even clinical outcomes.












 2013 Nov;35(11):e1561-72. doi: 10.3109/0142159X.2013.828153. Epub 2013 Sep 4.

Adult learning theories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AMEE Guide No. 83.

Author information

  • 1University of Liverpool , UK.

Abstract

There are many theories that explain how adults learn and each has its own merits. This Guide explains and explores the more commonly used ones and how they can be used to enhance student and faculty learning. The Guide presents a model that combines many of the theories into a flow diagram which can be followed by anyone planning learning. The schema can be used at curriculum planning level, or at the level of individuallearning. At each stage of the model, the Guide identifies the responsibilities of both learner and educator. The role of the institution is to ensure that the time and resources are available to allow effective learning to happen. The Guide is designed for those new to education, in the hope that it can unravel th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ommon learning theories, whilst also creating opportunities for debate as to the best way they should be used.

PMID:
 
2400402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의학교육의 이론적 측면: 과거의 경험, 미래의 가능성 (Medical Education, 2011)

Theoretical perspectives in medical education: past experience and future possibilities

Karen V Mann






우리가 '학습'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점이 교육에 대한 접근법을 바꾼다.

We have perspectives on learning which determine the choices we make among pedagogic approaches in medical education.



'앎'에 대한 관점 변화 Changes in our ways of knowing

플렉스너 이후에 가장 큰 변화는 '구성주의'의 등장이다. 구성주의자는 외부의 객관적 사실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학습자에 의해서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자는 이전의 경험, 인식, 지식을 바탕으로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사람이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shifts since Flexner relates to the emergence of constructivism. In the constructivist view, the focus is not on an objective external reality, but, rather, on how it is constructed by the knower. This perspective views the learner as an active constructor of knowledge based on previous experience, perceptions and knowledge.



의학교육 담론의 변화 Changes in the discourse of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 담론 역시 큰 변화가 있었는데, '학습'과 '학습자'의 측면에서 학습자는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해나가는 사람이며, '촉진적 학습'의 측면에서 학습자에 좀더 중심을 두고 교수자-학습자 관계를 강조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과 조직 차원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었다.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discourse of medical education that suggest major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shifts. Describing the processes associated with learners and learning conveys that learners are not passive recipients of information; rather, they are active knowledge builders. Speaking of facilitating learning as an important purpose of teaching shifts the balance of agency towards the learner and highlights the teacher– learner relationship. Lastly, at the curricular and institutional levels, espousing activities and curricula that are learner-centred implies that education is driven by learner needs.



의학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 Changes in our view of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의 근본적 차원에서 효과적인 학습은 무엇이며, 의사에게 필요한 전문직으로서의 특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변화가 있었다. 첫 번째로, 교육자들에게 오늘날의 의학교육은 '지식/기술/태도'를 습득하는 것 이상이며, 그 본질은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이다. '보통 사람'으로 입학하여 '전문직'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이며, 주로 학부 의학교육과 졸업 후 수련과정에서 크게 변화하지만 거기서 멈추는 것은 아니다. 이는 평생에 걸친 과정이다.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our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of what constitutes effective learning and of the professional attributes required of doctors. Firstly, to educators, medical education today is understood as more tha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t is, at heart, the construc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the transformation of the entering individual from lay person to professional, a transformation which may be more intense at the level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but which does not stop there. Transformation and learning are lifelong.


두 번째로 '생각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내리고', '문제를 규정하고 해결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했을 때 배운 그대로의 지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배운 지식을 통합하고 융화시키는 것이 강조되었다.문가는 새로운 문제에 대해서 새로운 해답을 찾을 수 있어야 하며, 학습의 효과적 통합을 해내는 습관이 필요하다.

Secondly, an understanding that learning to think, make decisions and frame and solve problems involves the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of developing knowledge, rather than a straightforward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to the problems encountered, has also developed.7 Expertise involves the capacity to develop new solutions for new problems.8 Habits of mind that enable effective integration of learning are required.


마지막으로, 전문직으로서 지녀야 할 특성이 크게 진화하였으며, 이는 의학교육의 목표와 기대를 변화시켰다. 그리고 그 결과 학습자들에게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외에도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에 관한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Thirdly,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the desired attributes of the professional have evolved significantly, bringing concomitant change in the goals and expectations of the medical education enterprise.


Acceptance of these goals has focused our gaze on helping learners develop competency in ‘how to learn’, as well as in ‘what to learn’.



이론적 관점 THEORETICAL PERSPECTIVES TO DATE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Several important theoretical perspectives have influenced the pedagogy of medical education significantly over its history. These have been broadly characterised by their general orientation as behaviourist, cognitivist, humanist, social and constructivist theories of learning.13 Perhaps best known are the behaviourist theories, which view the environment as the major influence on learning and behaviour. 


긍정적/부정적 강화를 통해서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은 의학교육에서 흔한 일이었으며, 당연하게 여겨졌었다.

Shaping behaviour through reward an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inforcement is common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and has become part of its taken-for-granted culture.


인지심리학은 의학교육의 이론적 토대에 큰 기여를 하였는데, 어떻게 지식이 조직되고 저장되는지, 기억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떻게 경험에서 의미를 이끌어내는지를 설명해주었다. 인지심리학은 전문성의 개발/임상추론/의사결정에 관해서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PBL의 이론적 토대는 인지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Cognitive psychology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medical education. It has explained processes such as how knowledge is organised and stored, how memory functions, and how individuals make meaning of their experience.13 Cognitive psychology has also illuminated the development of expertise8 and the processes of clinical reasoning16 and decision making.17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curricula are congruent with the cognitive orientation.18


인본주의적 관점은 학습을 '자기실현'의 수단으로 보는 것이며,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통해서 개개인이 최고의 기능에 도달하는 수단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기규제와 자기주도펴생학습이 등장하였다.

The humanist orientation views learning as a means to self-actualisation and ongoing personal development so that individuals may achieve their maximal level of function. Within this orientation are theories of motivation,19 self-regulation and self-directed lifelong learning.20

자기주도성과 자기규제라는 관점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그것의 의미에 대해서 공통된 이해가 부족하여 이것을 교육적으로 도입하고 평가하는데 해소하기 어려운 큰 차이가 생긴다는 것이다.

Their importance notwithstanding, self-direction and self-regulation remain problematic concepts. The lack of shared understanding of meanings and wide variances in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approaches have been difficult to resolve.21


사회인지이론은, 행동주의적, 인지주의적, 인본주의적 관점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학습자는 학습의 능동적 주체이며 학습자의 목표/태도/가치/지식/경험에 따라서 학습이 영향을 받는다. 학습자들은 'agency'를 가지고 있으며,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따라 발전정도를 살필 수 있다.

Social cognitive theory (SCT),23 within the social learning theory orientation, incorporates the behavioural, cognitivist and humanist perspectives. It views the learner as an active agent in learning, and considers learning as influenced by the learner’s goals, attitudes, values, knowledge and experience. Learners are seen to have agency24 and as able to set goals and monitor their progress towards them


관찰을 통한 학습은 SCT의 근본이며, 의학교육에서 롤모델의 영향력을 강조한다.

Learning through observation is fundamental to SCT, which illuminates the influence of role models in medical education.25


이러한 다야한 이론들은 학습의 초점을 개개인의 활동 중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특징지어진다.

The theories described above are characterised by their focus on learning as an individual activity.


이러한 이론적 관점들이 왜 의학교육에서 우세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작업이다. 이론과 그 이론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활용되는지가 '가치'를 반영한다. 개개인의 학습을 강조하는 이론은 '의학'의 가치와 상통하며, 전통적으로 의사를 자주적이고 독립적으로 보는 관점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 이들 이론은 기존의 구조를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의학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직업군간 상대적 파워이기도 하다. 또한 의학교육의 담화가 변화하였으나 현장은 잘 변하지 않는다. 교육현장은 교수-학습의 '실질적 이론'을 반영한다. 

It is interesting to consider why these theoretical perspectives have been dominant in medical education. Theories, and their enactment in medical curricula, also reflect values. Theories that emphasise individual learning are congruent with the values of medicine, which has traditionally viewed the doctor as autonomous and self-reliant. Moreover, as Bleakley6 notes, these theories tend to reinforce existing structures, including the relative power of each of the professions, among which medicine has long been dominant. In addition, although the discourse of medical education has changed, it seems that practice is more resistant to change. Teaching practice reflects practical theories of teaching and learning.26




SHIFTS IN PERSPECTIVE: SOME FUTURE POSSIBILITIES


Carnegie Found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에서는 다음의 네 가지 권고안을 제시하였다.

One such impetus may be the publication of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s call f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7 Four major recommendations for the reform of medical education are proposed:

    • 1 teaching and learning to promote integration;
    • 2 promoting habits of inquiry and improvement;
    • 3 individualising learning, yet standardising assessments, and
    • 4 supporting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학습에 관한 비유가 새로운 관점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fard는 '습득'과 '참여'라는 두 가지 은유를 제시하였다. '습득'에서 학습은 지식/태도/가치/역량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습득'이라는 관점에서 학습은 각 개인이 밟아나가는 과정으로, Sfard는 이러한 개념이 우리의 머리속에 너무도 깊이 박혀있어서 다른 은유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우리가 그렇게 생각하고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두 번째 은유는 '참여'이며, '참여'에서 학습은 무언가를 얻거나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무엇인가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학습이다. '습득'적 관점에서 지식은 상황을 막론하여 다양하게 통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참여'적 관점에서 학습이란 학습이 일어나는 맥락(환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그 환경에서 진행되는 사회적 관계에 박혀있는 것이다.

Metaphors for learning may be helpful in reframing. Sfard29 describes two metaphors: ‘acquisi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acquisition’ metaphor, learning is seen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ttributes, values and competencies, in the sense that one acquires ‘goods’. Acquisition reinforces learning as an individual process. As Sfard notes, this metaphor is so deeply embedded in our thinking that we scarcely noticed it until other metaphors began to emerge. The second metaphor is that of ‘participation’. It views learning not as something to be acquired or achieved. Instead, participation is learning and, as participation is ongoing, learning is viewed as a continuous process. Whereas acquisition implies that knowledge can be transferred across situations, participation sees learning as inextricably tied to its context and embedded in the social processes there.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Situated learning belongs to those socio-cultural learning perspectives that assert that learning is always inextricably tied to its context and to the social relations and practices there; it is a transformative process that occur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of a community.



They describe the role of the newcomer to the community as on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is process, newcomers or novices begin at the periphery of a community by observing and performing basic tasks. As they become more skilled, they move more centrally in the community.



The profession of medicine is a culture into which medical learners are being socialised as they learnThis socialisation is a transformative process, that of lay person to professional, and is a transformation that continues to evolve through the individual’s life.



Situated learning extends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education process beyond the traditional view of apprenticeship,11 which focused on observation and imitation as the means through which learners acquired the knowledge and skills of the profession.



Lave and Wenger37 also helpfully distinguish between a teaching curriculum and a learning curriculum. A learning curriculum consists of situated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whereby the community becomes the learning resource and learning occurs in many waysA teaching curriculum, by contrast, is constructed for the instruction of newcomers and thereby structures, and may limit,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what is recognised as learning.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s both a personal and social process and is not separable from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acquired. It emerg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talk of the community’and through both learning to talk and learning from talk.39




Social cognitive theory


Situated learning emphasises collective learning in communities; however, as Sfard29 notes, individual learners must acquire th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In SCT, the individual learner brings his or her personal knowledge, skills, attributes and previous experience, and learns and interacts dynamically with all others in the setting, including teachers, patients, peers and colleagues, and with other contextual influences.




Workplace-based learning theories


Workplace-based learning theories broaden understanding of how and where learning occurs. They illuminate the workplace as a community of practiceTheories and models of learning at work also include constructs of participation and learning at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Billett30,31 describes learning and participation as inseparable. He sees learning at work as a co-construction, arising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learning opportunities afforded by the workplace and how individuals actively choose to engage with those opportunities.



Eraut’s32,33 model of learning at work also includes both social and individual aspects. He describes informal learning at work that occurs through experience and interaction with colleagues. Eraut32 also describes implicit or tacit learning which may occur in the absence of overt teaching and in which the individual has no awareness of having learned. He describes tacit knowledge as knowledge of contexts and organisations, acquired through a process of socialisation, observation, induction and participation.



Eraut’s concept of tacit knowledge and tacit learning has particular salience for medical education. It may occur when learners observe or encounter situations that challenge their values.


Informal learning may also occur through the ‘hidden curriculum’, a set of influences that operate systemically at the level of the institution and communicate the institution’s values. Learning in the hidden curriculum is complex and may both support and undermine the intended curriculum.45



Experiential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The notion of learning through experience46 has been widely accepted in medical education. Experiential learning, as described by Boud et al.,34 involves reflection on experience with the goal of transforming experience into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emphasises individual learning; reflection is intended to deepen understanding and to explore the broader context of experience.


Reflective learning and reflective practice are integral to all learning perspectives. Reflection allows learning to be actively assimilated.47 Reflection and reflective practice48 are themselves complex concepts.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How might teaching and learning look different when viewed from these perspectives? Potentially, three facets of increasing the social dimensions of learning can be seen, involving approaches that maximise participation, that maximise learning from others and that build on natural community processes to ensure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learning.






 2011 Jan;45(1):60-8. doi: 10.1111/j.1365-2923.2010.03757.x.

Theoretical perspectives in medical educationpast experience and future possibilities.

Author information

  • 1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karen.mann@dal.ca

Abstract

CONTEXT:

Pedagogical practices reflect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beliefs that people hold about learning. Perspectives on learning are important because they influence almost all decisions about curriculum, teaching and assessment. Since Flexner's 1910 report on medical education, significant changes in perspective have been evident. Yet calls for major reform of medical education may require a broader conceptualis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PAST AND CURRENT PERSPECTIVES:

Medical education has emerged as a complex transformative process of socialisation into the culture and profession of medicine. Theory and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and other fields, have contributed important understanding. Learning theories arising from behaviourist, cognitivist, humanist and social learning traditions have guided improvements in curriculum design and instruction, understanding of memory, expertise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pproaches. Although these remain useful, additionalperspectives which recognise the complexity of education that effectively fosters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professional identity are needed.

FUTURE PERSPECTIVES:

Socio-cultural learning theories, particularly situated learning, and communities of practice offer a useful theoreticalperspective. They view learning as intimately tied to context and occurring through participation and active engagement in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describes learners' entry into the community. As learners gain skill, they assume more responsibility and move more centrally. The community, and the people and artefacts within it, are all resources for learning. Learning is both collective and individual. Social cognitive theory offers a complementary perspective on individual learning. Situated learning allows the incorporation of other learning perspectives and includes workplace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Viewing medical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situated learning suggests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that maximise participation and build on community processes to enhance both collective and individual learning.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0.

PMID:
 
21155869
 
[PubMed - indexed for MEDLINE]


교육에서의 소진에 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Review on Burnout Symptoms in Education

이상민1ㆍ안성희2

1고려대학교 교육학과, 2한양사이버대학교 미술치료학과

Sang Min Lee1ㆍSunghee An2

1Department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2Department of Art Therapy, Hanyang Cyber University, Seoul, Korea




서 론


초등학교에서 대학원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학생들이 호소하는각종 스트레스 중 학업에 관한 스트레스가 가장 두드러지게 보고되고 있다(Lee, 2012). Statistics Korea (2008)에 따르면 한국 고등학생들이 고민하는 주된 문제는 전체 응답의 62.3%를 차지하는 학업문제였다. 통계청에서 실시한 설문결과들을 종단적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학생들이 학업으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는 점차 증가하고있으며, 심지어 초등학교 재학생마저도 40% 이상이 학업으로 인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02,2007). 이는 한국의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 스트레스가 해가 지날수록 더욱 심각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인의경우 학업보다는 대인관계 때문에(Hong et al., 1994), 미국인의경우는 학업보다는 애정, 금전과 관련된 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것(Unger et al., 2001)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생활스트레스는 적절한 긴장감을 유발함으로써 개인의 적응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스트레스가 과도하게 지속될 경우에는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Selye, 1956).


지속된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응적 행동, 신체화 증상, 불안, 우울,그리고 학업소진 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불안, 우울,학업소진 등 정신건강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심각하면 자살까지 이르기 때문에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Moon, 2006). 2009년도에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실시된 한 조사에 따르면우리나라의 아동․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점수는 71.6점으로 비교대상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20개 국가 중 최하위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청소년들의 낮은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을 학업스트레스에서 찾고 있다(Mo& Kim, 2009).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2013)의 연구에서도 대상국가들 중 한국의 아동․청소년들의 학업관련 성취능력은 상위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지각한 학업관련 유능감 수준은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증가시키고학업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를 가져오게 하여 결과적으로 학생들의내적, 외적인 문제 행동, 심리적 부적응, 삶의 질 저하 등을 야기하게된다(Kasen et al., 1990). 대부분의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 자체가심리적 부적응을 직접적으로 양산한다기보다는 학업으로 인한 소진(이후부터는 학업소진이라고 명명함)이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chaufeli et al, 2002). 즉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을 양산해내고이러한 학업소진이 증가하면 우울 또는 불안과 같은 심리적 부적응이 생겨난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보고되면서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을 매개하는 학업소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ee, 2012).


소진(burnout)이란 과도한 업무 요구에 의해 에너지나 힘 또는자원을 만드는 데 실패하여 지치고 고갈된 상태를 말한다(Freudenberger, 1974). 초기에 이루어진 소진에 대한 연구에서 밝혀진 바로는 주로 정서노동을 하는 서비스계통의 전문직인 사회복지사, 간호사 등과 같은 직종의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점차 모든 종류의 직무와 관련한 것으로 확장되었다(Chambel& Curral, 2005).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업을 주요 직무로 하고있는 학생들의 학업소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Lee, 2012). 학업소진은 만성적인 학업스트레스나 과도한 학업으로 인해 나타나는심리적 증상, 즉 학생의 탈진, 학업 과제에 대한 냉소적 태도, 그리고무능감을 말한다(Shin et al., 2011). 소진의 결과로서 높은 결석률,학업에 대한 낮은 동기, 학업중단 등이 야기됨에도 불구하고(Meier& Schmeck, 1985; Ramist, 1981), 학업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한국사회에서 학생들의 학업소진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진한상태에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학업소진이 진행되는 과정을 면밀하게 고찰하여 이론적 토대를구축하는 일은 학업소진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학업상태에 놓여있는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 개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업소진에 대한 그간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학업소진의 개념을소개한 후 학업소진현상을 어떻게 측정해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학업소진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요구-통제모형과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을 소개한 후, 그 모형을 중심으로 학업소진현상이 왜 발생하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학업소진의진행단계를 보여줌으로 한국의 학생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학업소진을 경험하게 되는지 그 경로를 보여주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학업소진 예방 및 개입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학업소진의 개념과 측정도구


소진이라는 개념은 에너지, 힘 또는 자원에 대해 과도한 요구를갖게 됨으로써 기력이 소모되고 지치며 고갈되는 상태를 의미한다(Freudenberger, 1974). Maslach와 Jackson (1981)이 최초로 소진현상을 측정하는 척도인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를 개발하여 소진을 측정 가능한 개념으로 구체화함으로써 소진의 개념이보다 대중화될 수 있었다(Jacobs & Dodd, 2003). Maslach와Jackson (1981)는 소진의 증후를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성취감저하로 나누어서 정의를 내렸다. 

    • 정서적 고갈은 업무에 대한 과도한심리․ 정서적 요구로 인해 에너지의 손실과 함께 좌절과 긴장감을느끼게 되는 상태를 말하며, 
    • 비인간화는 관계로부터 분리되고 정서적으로 무감각해지며 자신이 대하는 동료나 사람들에 대해 둔하고냉소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는 것을 말한다. 
    • 마지막으로 성취감의저하란 개인이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으로서 업무에대한 자신감이 결여되고 무능감이 증가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Yang, 2004).


초기의 소진에 대한 연구는 주로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이 업무의주를 이루는 대인서비스계통에 종사하는 사람들(예: 사회복지사)에한정되어 있었으나, MBI-일반형(Schaufeli et al., 1996)이 개발된이후 사람을 상대로 하지 않는 여타의 업무들을 포괄하여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 까지 확장되었다(Schaufeli et al., 2002). 그 결과 사업가(Gryskiewicz & Buttner, 1992), 군인(Leiter et al., 1994), 경찰(Loo, 2004) 등의 다양한 직업군과, 운동이나 가족생활 등의 비직업적인 영역에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1980년의 스트레스 연구들(Meier & Schmeck, 1985; Ramist, 1981)을 살펴보면 학생들의학업소진증상이 대인서비스 종사자들의 소진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고 하였다. Pines et al. (1981) 역시 학생들의 학업소진이 교사,상담자 그리고 교육자의 직무소진과 비교했을 때 상위 수준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몇몇 연구자(Schaufeli et al., 2002; Yang, 2004)를 중심으로학업을 자신의 주 업(業)으로 삼고 있는 학생들 역시 직장인과 동일한 소진현상을 보인다고 보고하기 시작했다. 나아가 최근 한국과중국과 같이 동양권에서 수행된 학생들 대상 소진연구들(Gan etal., 2007; Park et al., 2010)에서는 학업소진이 아주 심각한 상태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학생들이 강도 높은 소진을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지지해주는 결과이다. 이처럼 학업소진이 학생들에게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많은 연구자들이 학업소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학업소진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은 대부분학업소진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Schaufeli et al. (2002)은 학생의 학업소진에 대한 정의를 학업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만성적인 학업스트레스와 과도한 학업량, 그리고 여타 심리적 요인들에 의해 학업에 대한 심리적 피로와 정서적고갈 및 냉소를 보일 뿐 아니라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나 개인적성취감이 결여되는 상태라고 하였다. 이러한 정의와 함께, Schaufeliet al. (2002)은 기존 MBI-General Survey를 학생용 버전(MBIStudentSurvey, MBI-SS)으로 개발하여 독일, 스페인, 중국 등 다양한 문화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척도에 대한 교차타당도 연구를수행하였다. 이외에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와 같은 유럽의 국가들에서도 탈진, 냉담 그리고 무능감의 MBI-SS척도 3요인구조가지지되었다. 아시아대륙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인 중국의학생을 대상으로 한 타당화 연구결과에서도 3요인구조가 적절한것으로 나타났다(Hu & Scahufeli, 2009; Zhang et al., 2005). 한국에서도 학업소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chaufeli et al.(2002)이개발한 MBI-SS척도를 Shin et al. (2011)이 확인적 요인분석을사용하여 한국형 학업소진척도의 잠재구인을 확인하며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고, Schaufeli et al. (2002)이 사용했던 소진 관련변인들(예: 학업요구) 등을 사용하여 공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이 연구는 947명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과 학년 간 척도의 측정동일성을 점검하여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모든한국 중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구체적으로는 Schaufeli et al. (2002)의 연구와 동일하게 한국형 학업소진척도를 구성하는 탈진(exhaustion), 냉담(cynicism), 그리고 무능감(inefficacy)의 3요인구조가 한국 학생의 소진을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Lee (2012)는 기존의 MBI-SS 학업소진척도의 문항 및 구성의 개념이 언어나 문화 등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한국의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기존의MBI-SS와 같은 외국의 학업소진척도를 한국의 언어로 타당화하여사용하지 않고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업소진이 나타날 때의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는지를 묻고 이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여우리나라의 특수성을 반영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기존 학업소진척도(MBI-SS)가 탈진, 냉담 그리고 무능감으로 구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에는 3요인 외의 학업소진의 또다른 현상으로서 반감이 추가되었다. 학업소진의 주요 증상으로 반감이 나타난 것은 서양의 학생에 비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업에대해 부정적인 태도가 강하다는 기존의 연구결과(Lee & Larson,2000)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기존에 개발된 학업소진 측정척도는 과소 또는 과대 측정의 우려가 있는 자기보고식 설문에 의존하고 있기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최근의 학업소진 관련 연구자들(Grossi et al., 2005)은 자기보고식 학업소진척도들과 함께 생리적 지표로서 코티졸과 같은 생리지표 등을 함께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코티졸은스트레스증상으로 인하여 변화된 생리학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지표로 스트레스척도와 코티졸의 상관계수가 유의하여 코티졸 수치가 스트레스 수준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코티졸과 소진 간의 관계를 살펴본 다수의 선행연구(Grossi et al.,2005; Pruessner et al., 1999)에서 소진된 피검자는 기상 후 코티졸수준이 현저히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다양화된 측정방식은학업소진을 보다 다면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학업소진증상에 대한 타당한 개입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준거로서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학업소진모형


Freudenberger (1974)가 처음 소진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로소진은 주로 요구-통제모형(demand-control model)과 노력-보상불균형모형(effort-reward imbalance model)의 두 가지 이론적 모형으로 설명되어 왔다. 요구-통제모형은 직무수행과정에서 직무에대한 요구수준이 과다한 반면, 개인이 직무를 통제할 수 없다고지각될 때 소진이 일어난다는 것이다(Karasek, 1979; Park & Han,2006; Park & Yoo, 2007; Van der Doef & Maes, 1999). 즉요구-통제모형에 따르면, 많은 양의 직무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적절한 통제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과도한 소진이 야기되는 반면,적절한 통제력은 소진을 완충시킴으로써 적극적으로 직무에 임할수 있게 된다(Park et al., 2006). 요구-통제모형과 함께 최근 주목받는 모형은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으로서, 많은 노력을 투입한 것에비해 보상이 적을 때 소진과 같은 심리적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사회보상이론에 근거하여 기울였던 노력에 비해 자기존중이나 인정또는 좋은 성적 등을 받지 못했다고 지각할 때 소진이 나타난다는것이다(Jo, 2005; Li, 2005; Siegrist, 1998; Siegrist, 2002).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소진을 설명하는 두 가지 주요 모델인 요구-통제모형과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이 학업소진현상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학업소진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1. 요구-통제모형


Karasek의 요구-통제모형은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여러 가지모형 중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직무통제력(jobdecision latitude, control)과 직무요구(job demand)라는 핵심개념으로 이루어져 있다. 직무통제력은 노동자가 일에 대한 결정권(decision authority)을 갖고, 직무에 대한 기술개발과 창의력을 요구, 촉진하는지를 측정하는 기술재량권(skill discretion)으로 이루어져 있다(Karasek & Theorell, 1990). 또한 직무요구는 정신적인직무의 요구를 측정하는 것으로 업무와 관련된 요구와 함께, 시간에따라 달성해야 하는 업무의 양을 의미한다(Kang et al., 2005). Figure1에서 보듯이 직무요구-통제모형에 따라 4가지 범주로 직무그룹이분류된다. 

      • 먼저 ‘적극적 직무(active job)’로 이는 직무요구가 높고통제 수준 또한 높은 수준인 것을 의미한다. 적극적 직무에 있는사람들은 높은 직무요구와 낮은 통제감(high strain)을 지닌 사람들보다 상황에 더 잘 대처할 뿐 아니라 직무요구와 통제감이 둘 다높기 때문에 문제 중심적 대처를 하므로 네 그룹 중 긴장과 스트레스를 가장 덜 받는다. 즉 이 상황에서는 개인들이 직무요구가 높음에도불구하고, 자기 스스로 조절하면서 주체적으로 일하기 때문에 웰빙(well-being) 및 개인 성장이 촉진된다(Karasek & Theorell, 1990).
      • 그 다음으로 ‘직무요구 수준은 높은 데 비해 통제감이 낮은 그룹(highstrain)’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의 긴장과 스트레스, 그리고 소진이야기된다. 즉 이 그룹의 사람들은 직무에 대한 요구를 개인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만큼 크다고 보기 때문에, 자신의 스트레스나소진 등을 조절하기 어렵게 된다.
      • 낮은 수준의 요구와 낮은 수준의통제감을 의미하는 ‘수동적 직무(passive job)'는 요구가 높지 않기때문에 통제감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요구가 높고 통제감이 낮은집단(high strain)에 비해 스트레스나 소진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마지막 그룹인 요구가 낮고 통제감이 높은 집단(lowstrain) 역시 요구가 낮기 때문에 스트레스나 소진이 크지 않다. 이를종합하여 살펴보면 직무요구가 낮은 경우엔 통제감의 유무와 상관없이 소진이 일어나지 않으나, 직무요구가 높은 경우엔 통제감의 유무에 따라 소진의 정도가 달라진다는 가정이다. 즉, 직무요구가 높으면서 통제감이 낮을 때는 높은 스트레스가 동반되는 직무로 구분되어지며, 이러한 경우 소진이 유발되고 직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다고보고하고 있다(Karasek, 1979; Lee, 2008; Park & Han, 2006;Park & Yoo, 2007; Paterniti et al., 2002; Schmitz et al., 2000).


Karasek의 요구-통제모형의 이론적 개념을 학업소진의 경우에적용해 보면, 학생이 과다한 학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직무요구가높다고 할 수 있으며, 직무통제는 학업분량이나 공부시간을 조절하는 능력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통제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Leeet al. (2013)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학업요구가높고 통제감이 높은 조건보다 학업요구가 높고 통제감이 낮은 조건에서 학업소진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학업요구가 높고 통제감이 낮았을 때 학업소진의 위험률이 큰 것을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직무요구가 높고 통제감이 낮은 상황(highjob strain)이 소진과 같은 부적응적인 증상을 증가시킨다는 기존의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요구-통제모형에서 가정하고있는 조절효과(상호작용) 가설은 학업소진연구에서는 지지되지 않았다. 상호작용가설에 따르면 학업요구가 높고 통제감이 높은 조건에 있는 학생들이 힘든 학업직무에 잘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응력이 높은 결과를 보여야 한다(De Jonge et al., 2000). 그러나 우리나라학생들은 학업요구가 높고 통제감이 높은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학업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2012). 이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높은 통제감을 갖고 있을 때조차도 학업소진을 피할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요구-통제모형을바탕으로 경로분석을 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Kim etal. (2010)이 수행한 연구결과를 보면 학업요구가 증가할수록(학업과다) 학업소진 수준도 증가하였으나 동시에 직무에 대한 양(학업량)이나 기술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함께 증가하였으며, 이러한통제력의 증가는 역으로 소진을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Kim et al.(2010)은 학업요구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통제능력이 억제하고있다고 보고하면서 우리나라 학생의 경우 통제감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학업의 요구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개인의 성장보다는 소진을야기한다고 보고하였다.










2. 노력-보상 불균형모형


Siegrist et al. (1990)은 요구-통제모형이 개인이 가지고 있는대응방식에 따른 차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직무통제력의 변화를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그동안 관심을갖지 않았던 노력과 보상, 그리고 과도위임에 근거한 노력-보상불균형모형을 제시하였다.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은 1990년대 초부터 개발되기 시작해서 최근에 와서야 표준화된 도구가 완성되었다(Kang et al., 2005).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은 상호성(reciprocity)라는 개념에서 비롯된다. 즉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여러 가지 역할을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역할을 통해 다른 존재들과의 상호작용에의해 이루어지는 물질적, 정신적 교환관계에 참여한다는 것이다.즉 개인은 자신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자존감(self-esteem)과 자신감(self-efficacy)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경험은좋은 감정을 일으키는 긍정적인 피드백으로 작용을 해서 자신의역할 수행을 지속적으로 잘 유지해나갈 수 있도록 지지해준다. 반면사회관계의 상호성이 깨져 자신의 역할 수행에 따른 결과가 기대를충족시키지 못하면, 나쁜 감정이 생기면서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기대했던 결과와 실제 결과의 차이로 인해 정서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생물학적 기전은 사회적인 동물로서 진화되어 왔던 인류의뇌 깊은 부분에 각인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Ostry et al.,2003). 소진에 있어 이러한 상호성은 노력과 보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Figure 2와 같이 직무에 있어서의 세 가지의 주된 보상 즉 돈, 존중, 그리고 지위통제력이 투입된 노력에 비해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을 때, 즉 상호성이 결여되었을 때 스트레스가 심해지고 소진과같은 부적응적 증상이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자신이 노력한 만큼에상응하는 적절한 보상이 있으면 보람과 즐거운 감정을 갖게 되지만,적절한 보상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소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것이다(Bellingrath et al., 2008).


이처럼 요구-통제모형과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이 각기 다른 입장에서 소진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몇몇 학자들은 요구-통제모형과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을 비교 또는 통합함으로써 해당 직무에더 적합한 모델을 찾거나 소진을 더 잘 설명하고자 하였다(Draganoet al., 2008). 학생의 소진에 대한 연구에서는 Jacobs와 Dodd (2003)가 학업량이 과다하다고 지각하는 것이 높은 소진을 야기하는 반면,긍정적인 기질, 특별활동에의 참여, 사회적 지지 특히 친구의 지지는소진을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 소진에 있어 요구-통제모형을지지하였다. 최근 한국학생들의 학업소진에 있어 요구-통제모형과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을 비교한 Lee et al. (2012)의 연구에 의하면,노력보상비율이 높은 조건과 요구통제비율이 높은 조건을 비교했을때 우리나라 학생의 학업소진을 더 악화시키는 것은 노력-보상 불균형이 일어날 때임을 증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ee et al.(2012)는 다변량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이 요구-통제모형에 비해 10배 이상 학업소진을 더 잘 설명하는것으로 보고하였다. Lee et al. (2012)은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소진에 대해 예방 및 개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 이들은 최근 자기주도적 학습이 최고의 교육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학업소진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의 핵심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통제감의 향상보다 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학업소진을 예방하는 데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안하였다.






학업소진 진행과정


소진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현상이기에 학업소진이 더 이상 손을 쓰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해지기 전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학업소진의 진행과정을 파악해야 한다(Lee, 2012). Edelwich와 Brodsky(1980)는 소진의 진행과정을 Figure 3과 같이 4단계로 설명하였다.

    • 이들은 한 개인이 처음에는 자신의 직무(학생의 경우 학업)에 대해열정을 가지고 임하지만(열성단계), 
    • 시간이 흐르면서 더 이상 직무에 흥미가 없어지게 되면서(침체단계), 
    • 직무에 있어 좌절을 경험하게 되고(좌절단계) 
    • 결국에는 자신의 직무에 냉소적 태도를 가지게된다(무관심 단계)고 설명하였다.



Edelwich와 Brodsky (1980)가 소진의 단계이론을 제시한 이후소진의 진행과정을 경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한 모델들이 연구되었다.이들 모델들은 크게 세 가지의 가설로 분류될 수 있다. 

    • 첫 번째가설은 Golembiewski et al. (1986)가 제시한 것으로서 소진의 과정이 비인격화-자아성취감 저하-정서적 고갈 순으로 진행된다고 보았다. 
    • 두 번째 가설은 Leiter & Maslach (1988)가 환경적 요인을강조하면서 소진의 진행과정이 환경적 요인-정서적 고갈-비인격화-자기성취감 저하의 순으로 진행된다고 말한 모델이다. 
    • 세 번째가설은 Lee & Ashforth (1993)가 제시한 모델로서 정서적 고갈이개인의 성취감 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이 세모델 중에 가장 대표적인 모델은 MBI를 사용하여 소진의 진행과정을 설명한 Leiter & Maslach (1988)의 모델이다. 이들은 MBI척도의3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비인격화-성취감저하의 순서대로소진이 진행된다고 하였다. 즉 직무 요구가 증가하면, 개인들은 정서적으로 지치게 되고(emotional exhaustion), 그 결과 개인들은 자신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 주변 사람들을 냉소적으로 대하며, 심리적으로 자기 자신을 주변 사람들로부터 철수시킨다(depersonalization). 이러한 비인간화는 자신의 일과 관련된개인의 죄책감과 좌절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간주되며(Cherniss,1980), 결과적으로 이러한 비인간화가 자기 자신의 효능감이나 일에서의 성취감을 얻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lack of personalaccomplishment).


Leiter & Maslach (1988)의 모델은 장기 종단연구가 아니었고소진의 과정을 벗어나거나 급진적으로 진행되는 소진현상을 설명하지 못하였기에 이후 이에 대한 다양한 대안들이 제시되었다(Golembiewski et al, 1986; Lee & Ashforth, 1993). 종단연구들(Bakker et al., 2000; Savicki & Cooley, 1994; Toppinen-Tanneret al., 2002)의 결과에서는 오히려 정서적 고갈이 낮은 비인간화를불러일으키며, 높은 개인적 성취감이 낮은 정서적 고갈과 관련되어있고, 높은 개인적 성취감이 낮은 비인간화와 연관되며, 높은 개인적성취감이 높은 정서적 고갈과 연관되는 등 기존에 소개되었던 소진의 과정 모델과는 상반된 결과들이 나타났다(Lee & Ashforth, 1993;Leiter, 1990; Leiter & Durup, 1996).


한국에서 진행된 소진과정에 대한 연구는 Noh et al. (2013)가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했던 종단연구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학업소진의 3요인인 정서적 고갈, 냉담, 자기효능감에서 정서적고갈 후에 냉담이 일어나는지 혹은 냉담 후에 정서적 고갈이 일어나고 그 후에 자기효능감의 저하가 일어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요인 간 인과관계를 종단연구방법론인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사용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이전 시점에서의 정서적 고갈이 이후시점의 냉담으로 가는 교차지연계수(time 1 to time 2: b=0.11,p<0.01; time 2 to time 3: b=0.10,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하였으며, 이전 시점에서의 학업 무능감이 이후 시점에서의냉담으로 가는 교차지연계수(time 1 to time 2: b=0.17, p<0.001;time 2 to time 3: b=0.17, p<0.001)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보고하였다. 즉 한국의 중고등학생들의 경우 정서적 고갈에서 냉담으로 가는 인과적 관계가 있었고 학업 무능감이 냉담으로 가는 인과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학교장면에서는 정서적인탈진과 학업 또는 자신의 일에 대한 효능감을 갖지 못한다는 것이소진의 초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학교현장의 상담자나전문가들은 소진의 초기 증상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신속히 개입이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연구결과는 학업소진진행과정에 따라 차별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고 할수 있다.


학업소진 개입프로그램


기존의 학업소진 개입프로그램을 살펴보면 크게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Yoon, 2007), REBT (Ki, 2011), 예술치료(Lee,2010), 마음챙김 명상(Yoon, 2010) 등의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고있다. 프로그램의 회기 수를 살펴보면 8-42회기로 그 폭이 넓다.프로그램의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인지행동훈련, 학습기술 향상훈련, 이완훈련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인지적 재구조화란 고통의주원인인 비합리적이고 역기능적인 인지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자신의 자동적 사고를 파악하고 인지왜곡을 탐색하여 더 합리적이고적응적인 구조로 재구조화하는 것이다. 학습기술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성취해 가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기술을 의미하는데,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학습기술훈련은 학생의 학업성취에 효과적이라 기존의 학업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부교감 신경계의 활동반응을유도하는 이완기법에는 명상, 자율훈련, 호흡훈련, 근육이완, 요가등이 있는데, 이 기법들은 교감신경의 스트레스반응으로 인해 일어나는 소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생리적 변화들을 유도함으로써 소진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의 학업소진 개입프로그램들을 보면 프로그램 대상자의 발달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을 뿐 아니라 학업소진이 진행되는 과정 즉, 어떤 경로를 통해서 소진이 유발되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떤프로그램은 개개인의 학업소진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동일한프로그램을 학급단위로 실시하기도 하고(Lee, 2001), 실제로 학업소진의 문제가 어떤 연유에서 생겼는지 분명하게 확인하는 절차가없이 자발적으로 지원한 학생들을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대개의 개입프로그램은 특정 이론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기 때문에 학업소진의 이론적 모형에서 밝히고있는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대규모의 표본을수집하여 과학적 표준화 절차를 통해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까지는 아직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업소진 개입프로그램은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risk factor)과 학업소진증상을 완충시키는 보호요인(protectivefactor)을 고려해서 프로그램 요소가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예를들어, 대표적인 위험요인으로 기존연구들에서는 공격성의 문제를제기하고 있다. Orpinas와 Frankowski (2001)은 공격성에 대해의도적으로 상대방을 해치거나 상해를 입히기 위한 목적을 가진모든 형태의 행동이라 정의하며, 신체적․언어적 공격뿐 아니라 이러한 행동을 유발하는 분노와 같은 정서 상태 역시 공격성의 범주에포함시켰다. 학생들은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주변 환경의 여건을 변화시키거나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데 실패할 수 있는데 이럴경우 공격성이 발현될 수 있다. 공격성은 스트레스로부터 파생된결과일 뿐만 아니라 자신 및 타인을 해치려는 생각 등의 부정적결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요소이기에 이에 대한 대처방법 또한개입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 요구-통제모형에 따르면, 학업요구가 높은 상황일지라도 모든학생이 그로 인해 부정적 증상에 시달리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그러한 상황에서도 학생들을 보호하는 요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Garmezy (1985)는 위기환경 속에서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하게 하는 요인을 보호요인이라 정의하고, 보호요인의 특성으로 아동의 성격특성, 가족특성, 주변환경(가족 外) 내 지지체계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예를들어,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요인 중 성격특성이라 할 수 있는개인적 자원으로 자아통제감과 감정조절능력을 들 수 있다(Yoon,2010). 학생들은 학업스트레스 상황으로부터 소진이 되지 않으면서그에 대한 긍정적인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기통제와 감정조절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자아 존중감을 높여 자기 자신을가치 있고 긍정적인 존재로 평가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충격으로부터 견뎌낼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보호요인들을 고려하여 개입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이 결정되어야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의 개념과 측정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학업소진모형과 학업소진의 과정 및 경로모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이 과정에서 몇몇 중요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직무소진이 어떻게 학생들의 학업소진으로까지확장되었는지를 설명하면서 학업소진의 대표적인 측정도구인MBI-SS를 소개하였다. 기존에 Schaufeli et al. (2002)이 개발한학업소진척도(MBI-SS)를 한국에서 Shin et al. (2011)이 한국학생들에게 맞게 타당화한 점은 높게 평가할 수 있으나, 이 자기보고식척도의 경우 과대 또는 과소 추정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학업소진에대한 다면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전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향후자기보고식 척도와 코티졸 측정과 같은 생리적 지표와의 관계를밝혀서 MBI-SS와 같은 간편 학업소진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추가로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스트레스가 지속될 때에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축이 자극을 받아 부신피질에서 코티졸 호르몬을 분비시켜 면역기능을 떨어뜨리게되고 나중에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킬 위험성을 높이게 된다(Ahnet al., 2007). 기존의 학업소진척도와의 관계에서 이러한 생리적지표의 측정과 다면적 평가가 유효한지 파악함으로써 학업소진의증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얻을 수 있을것이다. 객관적으로 표준화된 평가체제는 학업소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학업소진증상에 대한 타당한 개입전략을마련할 수 있는 준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을 설명하는 심리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으로 요구-통제모형과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을 소개하였다. 요구-통제 모형의 경우 직무에 대한 요구가 많을수록그리고 개인이 통제를 하지 못할수록 학업소진이 발생한다고 하였으며,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의 경우 노력은 많이 하는데 그에 따른보상이 적을수록 소진이 증가한다고 주장한다. 기존에 일반 직장인(De Lange et al., 2003), 경찰공무원(Lee, 2008), 교사(Peeters &Rutte, 2005), 간호사나 건강관리전문가(Park & Han, 2006) 등직장인들의 소진을 설명해온 것으로 알려졌던 요구-통제모형과 노력-보상 불균형모형이 직장인뿐만 아니라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소진(Lee et al., 2012)도 역시 설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나아가 우리나라와 같이 성취중심의 경쟁력을 강조하는사회에서는 학업소진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해서 자기주도적 학습의핵심인 통제감보다 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시스템을 마련하는것이 학업소진을 예방하는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요구-통제모형과 노력-보상 불균형 외에도,다른 많은 연구자들(Shiroma et al., 2008)이 요구-통제모형을 확장시킨 요구-통제-지지모형(demand-control-support model)이나자원보존모형(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Hobfoll, 1988,1989)의 중요성 역시 강조하였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요구, 통제감, 노력, 보상 외에 사회적지지, 외향성 등이 소진을 줄일 수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Eastburg et al., 1994; Huebner & Mills, 1994;Jacobs & Dodd 2003; Mills & Huebner, 1998). 따라서 추후 학업소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요구-통제모형과 노력-보상불균형모형에서 기초로 한 변인들 외에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요인들 즉, 자녀의 학업에 대한 부모의기대, 사회적 지지, 성격 등 개인적인 변인들을 함께 고려한 학업소진모형을 만들고 이를 검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많은 학자들이 소진의 과정에 대해 가설을 제기하였지만 횡단적설계로 연구가 이루어졌거나 방법론적인 한계로 인해 이에 대한명확한 결론은 내리지 못하였다. 횡단적 연구는 소진과정모델에 대한 인과관계를 진술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한 시점에서의 소진양상을밝히는 데 그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소진의 발달과정을이해하는 데 미진한 부분이 있다. 근 들어, 우리나라의 몇몇 연구자(Noh et al., 2013)들에 의해 연속적 개념인 소진에 대해 개인 내적인변화량을 측정하여 학업소진의 3요인인 탈진, 냉소, 무능감의 변인간 종단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결과, 정서적 탈진과 무능감의 결과가 직무와 학생에 대한 냉소로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진의 초기 증상이 정서적 탈진과무능감이고, 소진이 계속해서 진행되면 결국 직무에 대해서 냉소적인 태도를 지니게 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학업소진과정연구는 학생에게는 스스로의 소진상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준거가 될 뿐만 아니라, 소진단계가 더 이상 심각하게 발전하지않도록 해당 단계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개입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나아가 이러한 종단연구는 학생들의학업소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임으로써 그동안 국내외에서미흡하였던 학업소진과 관련된 종단연구를 촉진시키고 차후의 관련연구들을 촉발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년간에 걸친종단연구를 통해 학생소진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고, 학업소진연구에 있어 타당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연구들은 주목할 만하다. 그동안 배경연구로 삼을 만한 타당한 종단연구가 없었던 것을 미루어볼 때, 소진과정모델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학업소진의 발달과정과 그 양상을 구체화시킨다는 점에서 이분야의 연구의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같은 학업소진 관련 연구결과들은 궁극적으로 학업스트레스의 개입 및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예를 들어, 종래의 학업상담 및 지도프로그램은 주로 공부방법, 집중력, 성취도 등에 초점을 두었었다(Kiim & Lee, 2003; Korea Youth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 & Psychological Consulting,2007).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학업소진 관련 연구들에서, 적절한보상체계는 학업소진을 감소시키는 데 큰 효과가 있으며, 통제감역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 간의 매개변인으로 기능함으로써 과다한학업요구와 학업소진의 관계를 다소 약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주면서 학업관련 통제감을 증진시키는 활동들이 학업소진 관련된 개입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학업관련 통제감이 자신의 학업에 대한결정권(자율권)이라는 측면에서 학습동기나 학업성취도 또한 증가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적절한 보상에 대한 구체적인지침이나 통제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 등이 포함된 학업상담개입프로그램 이 추후 연구를 통해 개발된다면 학업소진을 예방및 개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업소진을 예방하고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소진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학업소진의발전단계에 알맞은 개입을 할 수 있는 전문요원들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그들로 하여금 학업소진에 대해 합당한 전문지식을 갖추도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업소진의 개념, 측정도구,소진모형, 소진의 과정과 경로 등을 논의함으로써 학업소진 관련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중요한 정보와 지침들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향후 이러한 지식들이 점점 쌓여져서 보다전문적으로 소진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가 되어 소진예방 및 개입프로그램의 효과를 향상시킬 것이라 예상된다. 본 연구논문이 이들 소진 관련 실무자와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전문지식을높여줌으로써 차후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개입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해 나갈 인력을 양성하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해본다.










Burnout research has mostly been performed in human service fields. However, it has recently been expanded

to cover diverse settings and even non-occupational samples, such as students.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construct of academic burnout, which is the burnout experienced by students. Next, we described

the concept of academic burnout by introducing measurements for assessing academic burnout. On the

basis of the demand-control model (DCM) and effort-reward imbalance model (ERIM), which are the most

predominant theoretical burnout models, we described the causal factors and the pathway to experiencing

academic burnout symptoms. The ERIM was a more influential model than the DCM when explaining the

academic burnout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longitudinal studies on academic

burnout, we recognized emotional exhaustion and academic inefficacy as the initial symptoms of academic

burnout. Finally, we discussed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with specific compon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ose programs.

Keywords: Burnout, Stress, Demand-control model, Effort-reward imbalance model


(출처 : http://www.partnersforeffectiveteaching.com/links-overview/)




의과대학 교수들에게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교수자, 성공적인 연구자, 그리고 생산성이 높은 임상가 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Increasing demands are being placed upon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to be creative and effective teachers, successful investigators, and productive clinicians.


이러한 압박은 교과과정의 개혁, 의료시장의 경쟁 심화 등등에 기인한다.

These pressures derive from curriculum reform from competition in the health care marketplace, and from increasing competition for scarcer resources to support research. 


이러한 변화로 의대교수들은 새로운 지식,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입장에 놓였는데, 특히 교육적 상황에서 더욱 그러하다. 

Such changes require faculty members to acquire new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especially in the instructional arena. 

In their teaching roles, faculty members are being asked to develop more time-efficient ambulatory care clinic instruction, more small-group teaching, more problem-based tutorials, new types of case-based discussions, and new computer-based instructional programs. 


어떠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까? 교수 개발을 위해서 취해야 할 전략은 무엇일까?

In order to promote academic excellence, what investments should be made to help faculty members master these new skills? Which faculty development strategies actually produce changes in faculty members' instruction?


20세기의 첫 절반동안, 잘 가르친다는 것은 내용을 잘 안다는 것의 한 부분과 같았다. 교수가 특정 학문에 대한 지식을 안다면, 그것을 가르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교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된 방법은 안식년, 연구비, 학회 참석 등등이었다.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century, teaching expertise was assumed to be part of content expertise. If a faculty member acquired the knowledge of the discipline, she or he could teach. Thus, the primary mechanisms for enhancing teaching were academic leaves, sabbaticals, research funding, and travel to professional meetings.1


시간이 지나며, 가르친다는 것은 내용을 잘 아는 것과 연관은 있지만, 한편으로는 분리되어 있는 개념으로 변해갔다. 대부분의 교수들은 가르치는 법을 자신을 가르쳐준 선생님이 어떻게 가르치는가를 봄으로써 배웠다.

Over time, teaching has come to be recognized as a skill associated with, but separate from, content expertise.Most faculty members learn to teach not from learning their content but from observing it being taught.


이러한 관찰을 통한 도제식 교육으로 인하여 교수들은 점차 '통하는' 방법은 계속 사용하고, 잘 통하지 않는 방법은 버리는 식의 교육을 하게 되었다.

This apprenticeship of observation resulted in their emulating teaching practices that were helpful while rejecting ones that were not


경험을 통해서 가르치는 법을 배우는 것은 느리고 고통스러운 과정이다.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이러한 데에 들어가는 시간을 줄이고 교수 능력 향상을 위한 지침을 주기 위한 목적이 있다.

Learning to teach from experience alone can be a slow and painful process.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were begun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learn to teach and to provide guidance for teaching improvement


다양한 접근법이 등장했고, 이러한 접근법은 주로 학습에 관한 이론의 발전과 그 궤를 같이한다.

A variety of approaches to teaching improvement have emerged, generally in association with changing theories of learning.9



THE 1970s: BEHAVIORAL THEORIES AND TEACHING IMPROVEMENT

1970년대 : 행동주의 이론과 교수 향상


1970년대의 교수 향상 전략은 교수-학습과 관련된 행동주의적 접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학습은 '행동의 변화'라 정의되었고, 반복, 연습, 피드백, 행동교정강화를 거치는 작고 선형적인 과정을 통해서 이뤄지는 것이라 여겨졌다.

Teaching-improvement strategies created in the 1970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behavioral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10 Learning was defined as a change in behavior and was believed to be facilitated by providing instruction in small, linear steps through drill, practice, and feedback, and by reinforcing correct responses


교수들에게 '잘 가르친다는 것'은 어떤 특정한 기술을 연마하는 것과 같았다.

Faculty were taught that good teaching involved clearly defined skills such as...

creating an instructional set with objectives, 

providing learners with practice opportunities and feedback, 

increasing wait time after asking questions, 

and using various techniques for enhancing enthusiasm and motivation


기관에서의 학생들의 강의평가는 가르침(instruction)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었고, 문서로 된 피드백을 제공하면 자동적으로 향상될 것이라 기대했다.

Students' ratings of teaching were instituted nationally to increase feedback to faculty member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nstruction. By providing written feedback to instructors, we assumed that they would automatically know how to improve


그러나 1970년대 초반의 일부 연구는 학생들의 강의평가로 제공되는 피드백만으로는 '가르치는 행동'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교수자들은 평가에 대한 해석을 곁들여 개개인에 대한 조언을 해줄 때 향상이 이뤄졌다.

Studies in the early 1970s by Centra12 •13 in higher education suggested that feedback from students' ratings alone was ineffective in modifying instructional behaviors.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change when provided with individual consultation on the interpretation of rating result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메사추세츠 대학에서는 가르치는 기술에 대한 문제에 대해 진단과 치료의 개념을 접목한 자문 모델을 만들엇다. Skeff도 비슷한 자문 모델을 만들었는데, 그의 방법을 사용하면 집중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교수법에 대한 다양한 자문을 할 수 있었다.

At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The Clinic to Improve University Teaching developed a consultation model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based on a medical model with a variety of tool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aching problems.14 Skeff developed a similar consultation model in medical education.15 In his intensive feedback method, a facilitator...

helps the clinical teacher review feedback on teaching performance, 

offers a framework for analyzing teaching using clearly defined criteria, 

and plans for improvements that are then assessed through subsequent videotaping and students' ratings.


이러한 교수개발의 행동주의적 모델은 워크숍과 자문을 통해서 주로 이뤄졌고, 1970년대에 보편화되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1977년, 72개의 의과대학이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의학교육 부서(unit)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 시기에 의대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보면 그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는 거의 없고, 교육에 대한 공식 과정을 밟은 숫자는 더 적었다.

These behavioral models of faculty development, conducted mainly through workshops and consultation, were the norm in the 1970s and continue today. By 1977, 72 medical schools had established medical education units with some capacity to provide faculty development. 1r' However, a survey of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during that period indicated that few faculty members had participated in programs on teaching offered by these offices and fewer still had taken formal courses on education. 2


THE 1980s: COGNITIVE THEORIES AND TEACHING IMPROVEMENT

1980년대 : 인지이론과 교수 향상


학습에 대한 인지이론은 1970년대에 행동주의 이론과 경합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들어서 교실에서 다룰 만한 주제가 되었다. 이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하면, 학습은 자발적으로 의미를 재구성하는 것(active construction of meaning)이라고 할 수 있었다.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보다는 정신적인 과정과 개념적인 구조에 더 관심을 두었다. 

Cognitive theories of learning began to compete with behavioral theories in psychology during the 1970s and entered the classroom in the 1980s. In this new paradigm, learning involved the active construction of meaning. 17 Mental processes and conceptual constructs rather than overt behaviors became the focus of interest. 


이 이론에 기반한 필수적인 교수법 전략은...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개념(전개념, preconception)을 파악하고

=> 기존의 지식 위에 새로운 지식을 지어서

=> 새로운 지식에 대한 더 발전된 개념 틀을 만들어주고

=> 그 맥락(환경, context)와 관련된 내용을 넣어주고, 

=> 학습자가 그 내용과 활발히 작용할 수 있도록 자극하며

=> 학습자가 어떻게 학습할 수 있는가(learning how to learn, metacognition, 메타인지)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Essential instructional strategies included identifying learners' preconceptions, building new knowledge upon prior knowledge, providing advanced organizers and conceptual scaffolding for new content, embedding content in relevant context, promoting active learner engagement with content, and teaching learners how to, learn (i.e., the executive monitoring and control functions of metacognition).


1980년대에 인지학습이론은 영향력이 점점 강해져서 교수들의 실용적 지식(practical knowledge)과 논리적 사고를 하는 기술은 교수향상 프로그램의 주된 타겟이 되었다. 1980년대 중반에 나온 교수자의 변화에 관련한 연구 프로젝트를 보면, Richardson은 "가르치는 것을 배우는데 있어서 교실에서의 활동(classroom action)은 실용적 지식에 비해서 덜 중요하다. 실용적 지식이 있어야 교수자들은 자신의 과거 경험과 비교하여 상황과 맥락을 판단하고, 지식에 근거한 행동을 할 수 있다."라고 했다.

In the 1980s, as cognitive learning theories grew in influ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reasoning skills became the focus of teaching-improvement programs. In a report on a teacher-change research project in the mid-1980s, Richardson concluded that the literature on learning to teach "suggests that classroom actions are of less importance as a focus of change than the practical knowledge that drives or is a part of those classroom actions. Practical knowledge allows a teacher to quickly judge a situation or context and take action on the basis of knowledge gained from similar situations in the past."18· 


더 나은 교수자가 되는 것은 단순히 특정한 교수법이나 교수 기술을 가르치는 것 이상이 되었다. 더 나은 교수자가 되는 것은 가르치는데에 필요한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함으로서, 알고 있는 지식을 학생에게 의미가 있는 용어(term)이나 활동(activities)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했다. Shuhnan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라는 용어를 도입했고 Irby는 같은 것을 의사에 대해 표현하면 "case-based teaching scripts"라고 했다.

Becoming a better teacher was viewed as more than mastering a set of specific teaching behaviors. Better teaching involved learning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for teaching and knowing how to translate content expertise into terms and activities that were meaningful to specific students. Shuhnan 19 termed thi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lrby 1 named the same special form of teacher knowledge of clinicians "case-based teaching scripts." 


'가르치는 것'에는 어떻게 학생들이 학습하는지를 이해하고, 교실(또는 clinic, 외래)에서 교육에 필요한 활동을 조직하고, 학습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등이 요구된다. 학습에 대한 교수자의 생각을 바꾸는 것은 새로운 교수 기술을 학습하는 것에 있어 필수적인 것이다. 교수 향상을 위한 주된 방법으로 등장한 워크숍이나 자문은 기술적인 훈련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원리를 같이 가르치는 쪽으로 가고 있다.

Teaching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how students learn and the ability to craft instructional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nd the clinic to maximize learning.2° Changing teachers' beliefs about learning was viewed as an essential precursor to the acquisition of new teaching skills.21 Workshops and consultations, the emerging mainstays of teaching-improvement programs, began to couple skill training activities with discussions meant to assist faculty members in developing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principles underlying various teaching behaviors.


THE 1990s: SOCIAL LEARNING THEORIES AND TEACHING IMPROVEMENT

1990년대 : 사회학습이론과 교수 향상


고등교육에서의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1990년대도 이어졌다. Academic institution에서 교육과 교육자들의 지위 향상과 더불어 scholarship에 대한 개념도 확장되었다. 이러한 접근법은 의미에 대한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등장했다.

Efforts to improv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have continued into the 1990s with a growing emphasis upon improving the status of teaching and teachers in academic institutions, broadening the definition of scholarship to include teaching, promoting reflective teaching practices, and developing collegial arrangements for learning from the experience of teaching. These approaches grew out of a changing view of learning as the social construction of meaning.21


사회적 구성주의자의 시각에서 학습은 새로운 지식 커뮤니티에 속하여 사회화되는 과정과 같았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이 커뮤니티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그 사회에서 구성(constructed)된 의미를 내재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했다.

In the social cnnstructivist view, learning is defined as socialization into a new knowledge community. This process occurs through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the internalization of socially constructed meaning.


워크숍이나 자문에 대한 접근도가 높아졌음에도, 대부분의 대학과 의과대학 교수들은 대부분의 교수법을 직접 해보면서(on the job) 배웠다. 가르치는 중간에 가끔은 문제점이, 가끔은 가능성이 교수의 관심을 끌었다.

In spite of increasing access to workshops and consultations on teaching, the majority of university and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continue to learn the most about teaching from their "on the job" experiences. In the midst of teaching, a problem or possibility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teacher.


예를 들어, 교수들은 왜 학생들이 헷갈려하는지 궁금해했고, 그 혼동을 줄여주기 위해서 실험을 하기도 했다.

For example, a faculty member might wonder why students appear to be confused and might begin to experiment with various ways of reducing that confusion. 


각기 능력이 다른 교수들은 Shoen이 말한 "reflection on action(행동 후 반성)"을 교수 향상의 기초로 삶았다.

Teachers differ in their ability to use what Shoen24 terms "reflection on action" as the basis for the ongoing examination of professional improvement.


Killen은 자신에 대한 성찰과정에서 성찰을 같이 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묘사했다.

Killen25 describes the use of reflective partnerships for purposes of improving teaching.


교수 향상에 대한 피어 코칭(Peer coaching)은 교수들이 연구를 하면서 논문을 쓰고 토론을 하는 것과 같이, 서로 교육에 대한 생산적인(formative) 토론을 하는 것과 같다.

Peer coaching for teaching improvement27-29 involves faculty members in collaborative arrangements with one another in the formative discussion of teaching, just as one might take a research paper or grant to a colleague for purposes of garnering new insights.




 1998 Apr;73(4):387-96.

Strategies for improving teaching practic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faculty development.

Sourc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90095-1722, USA. lwilk@deans.medsch.ucla.edu

Abstract

Medical school faculty members are being asked to assume new academic duties for which they have received no formal training. These include time-efficient ambulatory care teaching, case-based tutorials, and new computer-based instructional programs. In order to succeed at these new teachingtasks, faculty development is essential. It is a tool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vitality of academic institutions through attention to the competencies needed by individual teachers, and to the institutional policies required to promote academic excellence.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trategies to improve teaching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revailing theories of learning and research on instruction, which are described. Research on thesestrategies suggests that workshops and students' ratings of instruction, coupled with consultation and intensive fellowships, are effective strategies for changing teachers' actions. A comprehensiv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built upon (1) professional development (new faculty members should be oriented to the university and to their various faculty roles); (2) instructional development (all faculty members should have access toteaching-improvement workshops, peer coaching, mentoring, and/or consultations); (3) leadership development (academic programs depend upon effective leaders and well-designed curricula; these leaders should develop the skills of scholarship to effectively evaluate and advance medicaleducation); (4) organizational development (empowering faculty members to excel in their roles as educators requires organizational policies and procedures that encourage and reward teaching and continual learning). Comprehensive faculty development, which is more important today than ever before, empowers faculty members to excel as educators and to create vibrant academic communities that value teaching and learning.

Comment in

















이론에서 실천으로 (From Theory to Practice)



(1) Adult Learning Theory


성인학습 - 다섯 가지 가정 (Andragogy — five assumptions about adult learning)

 - 성인은 독립적이고 스스로 결정을 내린다

Adults are independent and self directing

 - 성인에게는 축적된 많은 경험이 있고, 학습에 있어 이것은 풍부한 자원이 된다.

They have accumulated a great deal of experience, which is a rich resource for learning

 - 학습의 가치는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상황과 통합되는 것에 있다.

They value learning that integrates with the demands of their everyday life

 - 과목 중심적인 접근보다는, 즉각적이고 문제 중심적인 접근에 관심을 갖는다.

They are more interested in immediate, problem centred approaches than in subject centred ones

 - 외부적 동력보다 내적 동기에 의해서 학습한다.

They are more motivated to learn by internal drives than by external ones


(2)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

 - 학습자가 가르침과 배움을 구성하는 것의 통제권을 갖는다.

Organising teaching and learning so that learning is within the learners’ control 

 - Philip Candy 

- 100 traits associated with self direction

- ability to be...

methodical and disciplined; 

logical and analytical;

collaborative and interdependent; 

urious, open, creative, and motivated; 

persistent and responsible; confident and competent at learning; 

reflective and self aware.


(3) 자기효능감(Self-Efficacy)

Albert Bandura : 자기 자신의 대처능력에 대한 판단에 따라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가 달라진다.

people’s judgments of their own ability to deal with different situations is central to their actions

- 자기효능감이라고 불리는 이와 같은 판단은 정확할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지만 다음의 네 가지 정보에 의해 달라진다. 

중요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성과, 성취 : performance attainments, 

(2) 다른 사람 관찰 : observations of other people, 

(3) 언어적 설득 : verbal persuasion, 믿을 만한 사람으로부터 칭찬을 들으면 도움이 된다.

(4) 생리적 상태 : physiological state, 스스로의 불안감이나 초조함을 자신의 약점이 아닌 기대와 흥분으로 재해석 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효능감 - 교수의 역할 (Self efficacy—roles for the teacher)

 - Modelling or demonstration

 - Setting a clear goal or image of the desired outcome

 - Providing basic knowledge and skills needed as the foundation for the task

 - Providing guided practice with corrective feedback

 - Giv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learning


(4) 구성주의(Constructivism)

 - 구성주의

 - 구성주의의 기본 아이디어는, 학습자들은 그들이 원래 알고 있던 지식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구성"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학습자를 "수동적" 대상보다 "능동적" 주체로 본다. 


(5)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

 - 반성적 실천에 대한 이론의 발전에는 주로 Donald Schön가 기여(attributed to)하였다.

 - 그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동안 얻은 이론적 지식이 실세 상황의 "지저분하고 불확실한(messy, indeterminate) 상황에는 잘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고 하였다. 

 - Schön 은 전문가들이 '자동적으로 수행(행위, 실천, 진료)를 하는 것을 professional “zones of mastery” 라 불렀다. 이것은 areas of competence 라고 할 수 있다.

 - 기대하지 못했던 상황이나 사건이 벌어지면 두 종류의 반성(Reflection)이 일어난다. 

하나는 "reflection in action"이다. (행동 중 반성). 이는 즉각적으로 일어나며 현재와 과거의 경험을 계속적으로, 창의적으로 적용시킴으로서 학습해나가고 발전해나가는 과정이다. 익숙하지 않은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에 이뤄지는 논리적 추론 과정이다. 


두 번째는 "reflection on action"이다. (행동 후 반성). 이는 조금의 시간이 지난 후 일어나며, 지난 상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고(what happened), 그러한 의도치 않은 상황이 일어나게 된 이유는 무엇이고(what may have contributed to the unexpected event), 내가 취한 행동은 적절했는가(whether the actions taken were appropriate), 그리고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how this situation may affect future practice)에 대한  사고 과정이다. 




Reflection in action





ABC of Learning and Teaching in Medicine


 2003 Jan 25;326(7382):213-6.

Applying educational theory in practice.

Source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Centre at Simon Fraser University, Burnaby, British Columbia, Canada. dkaufman@sfu.c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