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E에서 데이터 사이언스와 머신러닝의 역할: 실용적 적용, 이론적 기여, 인식론적 신념(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The role of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beliefs 
Martin G. Tolsgaard1,2 · Christy K. Boscardin3 · Yoon Soo Park4,5 · Monica M. Cuddy6 · Stefanie S. Sebok‑Syer7

 

 

서론
Introduction

거의 10년 전, 제프 노먼은 왓슨의 상업적 성공을 사설화한 "의학자가 기계를 만난다"라는 제목의 글을 썼고, 왓슨은 인공지능(AI)이 미래에 의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노먼 2011). 그 이후로 건강 전문 교육(HPE) 분야의 학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 과학 분야에 뿌리를 둔 AI가 교육, 학습 및 평가에 혁명을 일으킬 가능성을 선전하고 있다. 미국 통계 협회(van Dyk et al. 2015)에 따르면, [데이터 과학의 학제간 분야]는 다음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1) 데이터에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한 통계,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등. 
  • (2) 데이터 구성, 관리 및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 (3) 복잡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계산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엔지니어링. 

Almost a decade ago, Geoff Norman wrote a piece entitled, “Medicine man meets machine” where he editorialized the commercial success of Watson, arguing that Watson was a demonstration of how Artificial Intelligence (AI) may influence medicine in the future (Norman 2011). Since then, a growing body of scholarship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touted the potential for AI, rooted in the field of data science, to revolutioniz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Masters 2019; Chahine et al. 2018; Murdoch and Detsky 2013; Gruppen 2012). According to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an Dyk et al. 2015), the interdisciplinary field of data science aims to utilize:

  • (1) statistic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achine learning (ML) to extract knowledge from data,
  • (2) database management to organize, manage, and store data, and
  • (3) systems engineering to provide the computational infrastructure needed to conduct complex data analyses.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알고리즘과 수학적 모델이 HPE의 맥락에서 데이터와 그 응용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형성했는지 강조하기 위해 데이터 과학의 ML 측면(그림 1 참조)에 초점을 맞춘다. 우리가 HPE 연구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존재 증가를 예상함에 따라, 건강 과학 교육의 발전은 데이터 과학과 HPE의 교차 분야 내에서 지식 확산을 촉진하고 중요한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ML aspect of data science (see Fig. 1) to highlight how computer algorithms and mathematical models have shaped our understanding of data and its applications in the context of HPE. As we anticipate an increasing presence of data science and ML within HPE research,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acilitating knowledge dissemination and enabling critical conversations within the intersecting fields of data science and HPE.

용어가 익숙하지 않을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해, ML은 통계를 사용하여 기계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지 않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적응적 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AI의 하위 집합이다(Thakur 2020). 많은 ML 접근 방식의 기본 원칙은 [기계의 데이터 해석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반복적이고 적응적인 알고리듬을 통해, 데이터 내의 패턴을 자동으로 찾는 것]이다. 딥 러닝(DL)은 신경망 또는 노드(뇌에서 뉴런이 작동하는 방식과 유사)를 사용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ML 기술의 새로운 하위 집합이다(MIT 2020). 자연어 처리(NLP)는 많은 양의 언어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DL 접근법이다.
For those who may be unfamiliar with the terms, ML is a subset of AI that uses statistics to enable machines to learn and make adaptive predictions based on data without being programmed to perform specific actions (Thakur 2020).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many ML approaches is to automatically find patterns within data through iterative and adaptive algorithms that continuously refine the machine’s ability to interpret data. Deep learning (DL) is a newer subset of ML techniques that uses neural networks or nodes (similar to the way neurons work in the human brain) to leverage big data to understand and solve complex problems (MIT 2020).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is a common DL approach used to process and analyze large amounts of language or text data.

최근의 연구는 ML이 HPE를 개선하고 환자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현재 검토 기사에서 Topol(2019)은 방사선사와 병리학자가 ML을 사용하여 의료 영상(예: 흉부 X선, 심전도, 피부 병변, 망막 영상)을 진단하는 전문가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는 방법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Haensle et al.(2018)은 알려진 결과를 가진 24,000개의 피부 병변 이미지에 대해 훈련된 신경망이 흑색종 진단 시 민감도와 특이성 측면에서 대부분의 인간 피부과 의사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한, 의학에서 NLP의 적용에는 전자 건강 기록 및 임상 기록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요약하는 음성 인식 및 감정 분석이 포함된다.

Recent research showcased the potential for ML to enhance HPE and improve patient care. In a current review article, Topol (2019) highlighted how radiologists and pathologists use ML to display expert-level performance in diagnosing medical images (e.g., chest X-rays, electrocardiograms, skin lesions, retinal images). For instance, Haenssle et al. (2018) demonstrated that a neural network trained on 24,000 skin lesion images with known outcomes outperformed most human dermatologists in term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hen diagnosing melanomas. Furthermore, applications of NLP in medicine include speech recognition and sentiment analyses that use data from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clinical notes to efficiently classify and summarize patient information (Koleck et al. 2019).

이러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의료 분야의 ML은 주로 분류 및 예측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그것을 [서포트]하기보다는, 의사들이 하는 일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ML 기술은 의사 성과를 대체하는 대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HPE에 상당한 가치를 추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ML은 보건 전문가의 교육, 학습 및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대량의 임상 및 교육 데이터를 자동화, 관리 및 결합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Chan 및 Zary 2019).

As these examples suggest, ML in healthcare has been used primarily for classification and/or prediction purposes. Some argue that it tends to mimic the work being done by physicians rather than support it (Masters 2019). With a focus on improving physician performances as opposed to replacing them, ML techniques have the potential to add substantial value in HPE. In general, ML may be well-suited for automating, managing, and combining large amounts of clinical and educational data to support th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als (Chan and Zary 2019).

그러나 이 약속은 데이터 과학과 ML이 보건 분야의 연구와 실무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완화될 수 있다. 교육 과학자들은 ML 기술이 HPE의 맥락적 뉘앙스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해결책"으로 홍보하는 것을 경계했다. 일반 교육 문헌에서 제기된 한 가지 구체적인 우려는, 데이터 과학과 ML의 초기 적용은, 주로 [특정한 과학적 사고 방식에 뿌리를 둔 학문]인, [인지 심리학과 신경 과학]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얼리 어답터로서, 이러한 특정 분야는 일반적으로 교육 및 특히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현재 사용을 알리는 이론적 입장과 인식론적 믿음에 과도하게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영역 영향은 HPE 연구에서 이러한 새로운 분석 접근법의 범위와 유용성을 제한할 수 있다.
This promise, however, may be tempered by growing concerns about the long-term impact of data science and ML o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health professions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Imran and Jawaid 2020; Wartman and Combs 2019). Education scientists have cautioned against promoting ML technology as an “all-encompassing answer to complex problems” as it might fail to recognize the contextual nuances of HPE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One specific concern raised in the general education literature is that early applications of data science and ML stemmed primarily from cogn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disciplines rooted in certain scientific ways of thinking (Williamson 2017). As early adopters, these specific disciplines may have unduly affected the theoretical positions and epistemic beliefs that inform the current use of data science and ML within education in general and HPE specifically. This type of domain influence has the potential to limit the scope and utility of these new analytic approaches in HPE research.

지난 10년간 데이터 과학과 ML의 발전은 교육 연구에서 [가설 검증에서 이론의 관련성과 사용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일부 학자들은 데이터 과학과 ML의 출현을 인간의 주관성과 편견의 영향 없이 데이터가 "스스로를 대변"할 수 있게 했다고 칭찬한다(Kitch 2014).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교육에서 확립된 많은 전통적인 연구 관행에서 벗어난다. 전통적 연구 관행에서는 [이론의 사용]이 지식 생성을 위한 [가설 생성과 검증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교육 및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하는 이론 중심 접근법이 아직 충분히 구체화되지 않았지만(Kitch in 2014), [데이터 과학]은 [경험적 증거], [과학 이론], [계산 과학]에 합류하여 과학에서 네 번째 패러다임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데이터 과학이 개념적으로나 운영적으로 과학적 패러다임으로서 어떻게 작동할지는 불분명하다. 이는 HPE에서 ML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논의를 고려하여, 우리는 HPE 문헌 내에서 ML과 관련된 연구의 실제 적용, 이론적 기여 및 인식론적 믿음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Advances in data science and ML over the past decade have led to discussions regarding the relevance and use of theory in hypothesis testing in educational research (Williamson 2017; Kitchin 2014). Some scholars praise the emergence of data science and ML for allowing data to “speak for itself” without the influence of human subjectivity and bias (Kitchin 2014). Such a framework strays from many traditional research practices established in education, where the use of theory takes a central role in hypothesis generation and testing for the purpose of knowledge generation (Laksov et al., 2017). Although a theory-driven approach to using data science and ML in education and HPE has not been sufficiently articulated yet (Kitchin 2014), data science has been referred to as the fourth paradigm in science, joining empirical evidence, scientific theory, and computational science (Hey et al. 2009). Yet, it is unclear how data science might operate as a scientific paradigm both conceptually and operationally. This is also true for the use of ML in HPE. In light of these discussions, we critically evaluated the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beliefs of studies involving ML within the HPE literature.

방법들
Methods

연구설계
Study design

우리는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 연구를 분류하기 위해 비판적 검토 방법론(Grant and Booth 2009)을 사용했다. 우리는 실제 적용, 이론적 기여 및 인식론적 기반과 관련하여 선택된 연구의 속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비판적 검토]는 체계적인 검토를 위해 설계된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목적과 잘 일치하는 문헌의 개념적 기여에 대한 평가를 지원하는 과정을 제공한다. 우리의 목적은 [HPE에서 데이터 과학 및 ML의 사용에 inform하는 핵심 또는 영향력 있는 작업의 개요를 제공하는 것]이다.

We employed critical review methodology (Grant and Booth 2009) to classify data science and ML research within HPE. We critically appraised attributes of selected studies with respect to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underpinnings. Although a critical review is not designed to systematically review a body of work, it offers a process that supports an evaluation of the conceptual contributions of the literature (Grant and Booth 2009), which aligns nicely with our purpose: to provide an overview of key or influential work that informs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분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해 Stokes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각 연구 논문을 분류했다(Stokes 1997). [Stokes의 프레임워크]를 채택한 것은 연구자들이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분류를 기반으로 하는 공통 언어를 제공했다. 또한, 이 프레임워크는 비평적 렌즈를 사용하여 문헌을 탐구할 수 있게 해주었는데, 이는 일부 연구가 이론이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참조하는 방법과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다른 연구들은 그렇지 않았다.

To help guide our classification process, we used Stokes’ framework to categorize each research article (Stokes 1997). Employing Stokes’ framework provided a common language upon which to base our classifications of the ways that researchers utilized data science and ML in HPE. Furthermore, this framework allowed us to explore the literature with a critical lens, which helped explain how and why some studies referenced a theory or conceptual framework, while others did not.

Stokes의 프레임워크(Stokes 1997)는 [두 가지 차원]에 따라 연구를 검토한다. 

  • (1) 근원적 이해
  • (2) 실제 사용을 고려

그것은 네 가지 유형의 연구 결과를 낳는다. 

  • [이론적 이해]에 정보를 주기 위해서만 이루어지며, [실제적인 함의를 고려하지 않는 연구]를 '순수 기초 연구'라고 한다. 
  • [이론적 이해]뿐만 아니라 그러한 [작업의 활용을 고려]하는 연구를 "사용에 영감을 받은 기초 연구"라고 한다. 
  • 특정 과학 분야의 이론적 지식을 발전시키려 하지 않고, [오로지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해지는 연구를 '순수 응용 연구'라고 한다. 
  • 마지막으로 [이론적 이해를 알리거나 실용화를 고려하지 않는 연구]는 '예측적, 탐색적, 평가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Stokes’ framework (Stokes 1997) examines research along two dimensions:

  • (1) quest for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2) consideration of practical use. 

It results in four types of research.

  • First, research that is done solely to inform theoretical understandings, but does not consider any practical implications, is labelled “Pure Basic Research.”
  • Research that seeks to further not only theoretical understanding, but also considers the applications of such work is called “Use-inspired Basic Research” and
  • research that is done solely to solve practical problems or achieve specific goals without attempting to advance theoretical knowledge in a particular scientific area is called “Pure Applied Research.”
  • Finally, research that does not seek to inform theoretical understandings or consider practical use can be classified as “Predictive, Exploratory, or Evaluative.”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우리는 주요 용어에 대해 Medline, Scopus, Eric,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를 검색했습니다. 이 용어는 데이터 과학(데이터 과학, "인공지능", "딥 러닝", "빅 데이터 분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신경 네트워크"), HPE(보건 전문 교육", "의학 교육", "시뮬레이션 기반 의료 교육", "학습 평가", "성과 평가", "컴포지트")와 관련이 있다.의학적 교육("Etentency-based medical dev 또한, 우리는 스노우볼 기법을 사용하여 주요 논문의 참조 목록을 검색했습니다. 주요 포함 기준은 본 논문에서 HPE 맥락에서 일부 데이터 과학 기술을 활용했다는 것이다. 우리는 다양한 실제 적용, 이론적 관점 및 인식론적 믿음을 강조하기 위해 독창적인 연구, 입장 논문, 사설 및 주석을 포함했다.
We searched Medline, Scopus, Eric,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for key terms. These terms related to data science (“data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big data analytics”, “machine learn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eural networks”) and HP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edical education”,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assessment of learning”, “assessment of performanc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 addition, we searched reference lists of key papers using a snowball technique. The main inclusion criterion was that the paper utilized some data science technique in an HPE context. We included original research, position papers, editorials, and commentaries to highlight a diversity of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pistemic beliefs.

검토 프로세스
Review process

모든 저자들은 선별된 논문들을 검토하고 토론하는데 기여했다. Stokes의 프레임워크에 따라 논문을 분류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의 명시된 목표, 결과의 프레임 및 토론의 초점을 기반으로 지식을 발전시키거나 실제 문제를 해결하거나 둘 다로 코딩했다. 우리는 2020년 4월 16일부터 2020년 7월 29일까지 매주 만나 새로운 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All authors contributed to reviewing and discussing selected papers. To categorize the papers according to Stokes’ framework, we coded them as either advancing knowledge, solving practical problems, or both based on the stated goals of the study, framing of the results, and focus of the discussion. We met weekly from April 16, 2020 to July 29, 2020 to discuss emerging themes.

결과.
Results

HPE 연구에서 데이터 과학 및 ML의 실용적 적용
Practical application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한 연구의 대부분은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론적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몇 가지 연구만 명시적으로 시작했다. 확인된 다수의 논문은 기술적 효율성을 입증한 "정당화" 연구 또는 [개념 증명]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순수 응용 연구" 범주와 일치한다. 이것은 어떤 것이 어떻게, 누구를 위해, 왜 작동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명확화 연구]와 구별된다.

The majority of research using data science and ML in HPE aimed to solve practical problems, with only a few studies explicitly setting out to advance theoretical understanding. A large number of papers identified (Dias et al. 2019; Masters 2019;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Chan and Zary 2019; Topol 2019) could be classified as “justification” studies that demonstrated technological efficiency or a proof-of-concept (Cook et al. 2008), which coincides with the “Pure Applied Research” category. This is distinct from clarification research (Cook et al. 2008), which asks questions about how, for whom and why something works.

시뮬레이션 및 의료 영상과 같은 영역은 주로 성능 평가 자동화, 피드백 제공 및 환자 결과 예측을 위해 ML의 실용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했다(표 1 참조). 많은 경우, 저자는 ML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로 기존 한계(예: 전문가 인간 평가자의 직접 관찰과 피드백에 의존하는 간헐적이고 무작위적인 작업장 기반 평가)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인용했다(Oquendo et al. 2018). 실제로, 여러 연구는 [평가자 기반 점수]를 [ML 기반 예측]으로 대체하여, 수술 기술 평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ML 알고리듬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예를 들어, 한 연구는 외과의사의 경험 수준을 사용하여 ML 알고리즘을 훈련시켜 서로 다른 수준의 수술 기술을 구별했습니다.

Areas such as simulation and medical imaging predominantly used practical applications of ML for automating performance assessment, providing feedback, and predicting patient outcomes (see Table 1). In many cases, authors cited the ability to address existing limitations (e.g., infrequent and haphazard workplace-based assessments that rely on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by expert human raters) as the rationale for using a ML approach (Oquendo et al. 2018). Indeed, several studies described how ML algorithms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ssessing surgical skills by replacing rater-based scores with ML-based predictions (Winkler-Schwartz et al. 2019; Alonso-Silverio et al. 2018; Oquendo et al. 2018; Ismail Fawaz et al. 2019; Wang and Fey  2018; Uemura et al. 2018; Bissonnette et al. 2019; Khalid et al. 2020; Andrew et al. 2018). For example, one study used surgeons’ experience levels to train a ML algorithm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levels of operative skills (Uemura et al. 2018).

 

 

전통적인 교육 방법을 보강하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TS)은 HPE 내에서 ML의 실용적인 유용성을 입증한 문헌의 또 다른 영역을 대표했다. 한 연구에서는 복통 임상사례 208건을 바탕으로 임상추리력을 높이는 이러닝 툴을 개발하기 위해 ML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학생들은 가상 환자와 상호작용하고 학습자가 요청한 특정 환자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피드백을 받았다(Khumrin et al. 2017). 또 다른 연구에서는 ML 기술을 사용하여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제 임상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마취에서 몰입적이고 대화형 가상 훈련 플랫폼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ML 기반 평가의 타당성을 탐구하는 대다수의 연구는 교육적 프레임워크가 없거나 시대에 뒤떨어진 타당성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Dias et al. 일반적으로, 이 연구의 하위 집합은 평가와 교육 내에서 실질적인 교육 문제를 다루었지만, 교육 이론이나 인식론에 대한 제한된 고려나 참고를 제공했다.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ITS) augmenting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s represented another area in the literature that demonstrated the practical utility of ML within HPE. In one study, ML techniques were used to develop an e-learning tool that increased clinical reasoning skills based on 208 clinical cases of abdominal pain. Using this tool, students interacted with a virtual patient and received personalized feedback based on the specific patien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learner (Khumrin et al. 2017). In another study, ML techniques were employed to collect clinical data and create an immersive and interactive virtual training platform in anesthesia that simulated an authentic clinical environment (Cao et al. 2015). Lastly, the majority of studies exploring the validity of ML-based assessments, either used no educational framework or outdated validity frameworks (Dias et al. 2019). In general, this subset of studies addressed practical educational problems within assessment and instruction, but offered limited consideration or reference to educational theory or epistemology.

HPE 연구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이론적 기여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이번 심사를 위해 선정된 논문의 대다수가 '순수응용연구' 범주에 속하지만 모두 이론적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통계이론, 계산이론, 방법론적 고려사항 측면에서 데이터 과학이론을 충분히 활용한 연구가 몇 개 있었는데, 이는 ML 모델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안내하였다. 예를 들어, [설명 가능한 AI]의 개념은 모델이 특정 결과에 도달하는 방법이 불분명한 ML 연구에서 '블랙박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으로 도입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사용에 영감을 받은 기초 연구" 범주에 속합니다.
Although the majority of papers selected for this review fall into the “Pure Applied Research” category, not all of them were atheoretical. There were a few studies with sufficient use of data science theory, in terms of statistical theory, computational theory,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which guided how ML models were selected and utilized (Bisonette et al. 2019; Uemura et al. 2018; Wang and Fey 2018). For example, the concept of Explainable AI was introduced as a theory (Winkler-Schwartz et al. 2019) to address the ‘black box’ problem in ML research, where it is unclear how a model arrives at a certain result. These studies fell into the “Use-inspired Basic Research” category.

또한 역량 또는 성과 평가를 다루는 몇 개의 논문은 [이론이 데이터 분석 및 해석을 가이드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주었다.

  • 특별수술팀 구성원 간의 사회적 유대가 환자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기 위한 연구에서, 앤더슨 외 연구진(2020)은 ML 분석을 사용하여 기존의 통계로는 불가능했을 몇 가지 이론 기반 가설을 탐구했다. 소셜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저자들은 수술팀의 서로 다른 하위 그룹을 대표하는 노드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환자 만족도의 예측 변수로서 하위 팀 간의 정서적, 전문적, 개인적 유대를 해부했다.
  • 또 다른 연구에서, 기븐스 외 연구진(2017)은 가설 유도 코딩을 사용하고 의사의 성과에 대한 핵심 지표로 다중 소스 피드백을 기반으로 실행 가능한 통찰력을 수집하는 ML 알고리듬을 훈련시켰다. 이 두 연구에서, 저자들은 크고 복잡한 데이터 세트를 탐구하기 위해 이론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 마지막으로, ITS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이러한 시스템이 도메인 모델에 그러한 통찰력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학습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Crowley와 Medbedeva(2003)는 병리학 슬라이드의 분류를 평가하는 연구에서 자신의 도메인 모델의 설계를 알리기 위해 시각적 전문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이론적 프레임워크인 통합 문제 해결 방법을 사용했다.

Additionally, a few papers dealing with assessment of competence or performance demonstrated how theory was used to guid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In a study aimed at exploring how social ties between members of ad hoc surgical teams influenced patient satisfaction, Andersen et al. (2020) used ML analytics to explore several theory-based hypotheses, which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using traditional statistics. Building on social network theory, the authors dissected affective, professional, and personal ties between sub-teams as predictors of patient satisfaction using a network consisting of nodes representing different sub-groups of the surgical team.
  • In another study, Gibbons et al. (2017) used hypotheses-guided coding and trained a ML algorithm that gleaned actionable insights based on multi-source feedback as key indicators of physicians’ performance. In both of these studies, the authors used theory-based approaches to explore large and complex datasets.
  • Lastly, studies that focused on ITS stress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ory, as these systems were engineered to include such insights in their domain model. For example, Crowley and Medvedeva (2003) used a theoretical framework, the unified problem-solving method, for developing visual expertise to inform the design of their domain model in a study evaluating the classification of pathology slides.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우리가 확인한 대부분의 연구는 "순수 응용 연구" 범주에 속하며, 몇 가지 예외는 "사용에 영감을 받은 기초 연구"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는 오로지 이론적 연구의 부족과 패턴 이해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의 부족을 반영하여 "순수 기초 연구" 또는 "예측, 탐색적 또는 평가" 범주에서 0개의 연구를 분류했다.
As exemplified above, most of the studies we identified fell into the “Pure Applied Research” category, with a few exceptions classified as belonging in the “Use-inspired Basic Research” group. We classified zero studies in either the “Pure Basic Research” or “Predictive, Exploratory, or Evaluative” categories, reflecting a dearth of solely theoretical work and a lack of studies focused exclusively on understanding patterns.

데이터 과학 및 ML 기반 HPE 연구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Epistemic beliefs in data science and ML driven HPE research

HPE 문헌에서 교육 이론의 일반적인 부재는 데이터 과학과 ML이 역사적으로 등장한 분야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이론 구축과 테스트]보다는 [실제 적용과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컴퓨터 과학, 통계 및 공학이 포함된다(Pea 2014). 같은 이유로, [교육 데이터 과학]기술자, 도구자, 기능주의자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생각은 "과학적인 관점에서 학습을 정량화, 측정, 실행이 가능하고, 따라서 최적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과학적 사고방식"라는 표현에서 잘 드러난다.

To some degree, the general absence of educational theory in HPE literature may reflect the disciplines from which data science and ML emerged historically (Pea 2014). These include computer science, statistics, and engineering which tend to focus on practical applications and problem solving rather than theory building and testing (Pea 2014). For the same reasons, educational data science has been perceived as technicist, instrumentalist, and functionalist (Kitchin 2014) as it reflects “a scientific style of thinking that views learning in scientific terms as quantifiable, measurable, actionable, and therefore optimizable” (Williamson 2017).

이러한 프레임으로, 일부 일반 교육 학자들은 데이터 과학과 ML에서 비롯된 새로운 [경험주의 인식론]의 출현은, [이론을 불필요하게 만들고, 지식 생산을 인간 편향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으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앤더슨(2008)은 "과학은 모델, 통일된 이론, 또는 정말로 어떠한 기계론적 설명 없이도 진보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론의 종말"을 선언했다. HPE 연구에 대한 우리의 검토에서, 일부 학자들은 교육, 학습 및 평가를 진전시키기 위한 데이터 과학과 ML의 잠재적인 사용에 대해 논의할 때 유사한 인식론적 신념의 목소리를 냈다.

  • 예를 들어 쇼텐 외 연구진(2018)은 의사의 기술력 향상을 위한 ML의 잠재적 사용을 요약하고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 환자 수준의 관찰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가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 또는 낮은 품질의 성능(효율 및 오류 회피)과 임상 결과를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 Uemura et al(2018)의 또 다른 연구는 외과의사의 전문성 수준 분류를 위한 신경망의 사용을 조사했고 "분류 중 인간의 개입은 없었으며, 이는 이 결과가 객관적이고 양적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 비슷한 맥락에서 솔트 외 연구진(2019)은 USMLE 2단계 임상 기술 점수를 평가하기 위해 NLP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고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잘 설계된 컴퓨터 기반 채점 시스템은 피로나 인간의 편견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일관성, 객관성 및 효율성에 있어 인간의 판단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일부 연구자의 경우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사용을 지원하는 가치 제안에서 [객관성에 대한 강조]와 [인간 편향이 없는 것]이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으로 보였다.

With this framing, some general education scholars suggested that the emergence of a new empiricist epistemology stemming from data science and ML may render theory unnecessary and situate knowledge production as free from the influence of human bias (Kitchin 2014). For instance, Anderson (2008) proclaimed the “end of theory” arguing that “science can advance even without models, unified theories, or really any mechanistic explanation at all.” In our review of HPE research, some scholars voiced similar epistemic beliefs when discussing the potential uses of data science and ML for advancing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 Shorten et al. (2018), for example, summarized potential uses of ML for improving physicians’ technical skills and argued that “by letting the data speak for themselves through a machine-learning algorithm, [...] patient level observations offer a means to predict and assess high- or low-quality performance (efficiency and error avoidance) and clinical outcome.”
  • Another study by Uemura et al. (2018) examined the use of neural networks for classification of surgeons’ expertise levels and highlighted that “there were no human interventions during classification, meaning that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objective and quantitative.”
  • On a similar note, Salt et al. (2019) explored how NLP can be used to assess USMLE Step 2 Clinical Skills scores and stated that a “well-designed computer-based scoring system is superior to human judgment with respect to consistency, objectivity, and efficiency because it is not susceptible to the effects of fatigue or human biases.”

Hence, for some researchers, the emphasis on objectivity and perceived lack of human bias seemed to have high priority in the value proposition supporting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인간 편향의 감소를 통한 객관성 달성에 관한 이러한 인식론적 믿음]에 대해서나, [맥락의 역할]에 대해서 반대 의견이 없는 것은 아니다.

  • Salt et al(2019)에 대한 답변에서, Spadafore와 Monrad(2019)는 ML의 알고리듬이 본질적으로 훈련하기 위해 선택한 데이터 유형에 따라 편향되기 때문에 [점수 매김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동일시하는 개념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 솔트 외 연구진(2019)도 이것을 인정했지만, 그들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자동 채점 시스템은 이상적인 인간 평가자보다 우수할 수 없겠지만, 실제 일반적인 인간 평가자보다 사전 정의된 채점 기준을 따를 수는 있다." 
  • 여기에 더하여 지얼 외 연구진(2014)은 NLP 기반 점수가 신뢰성 측면에서 인간 평가자가 산출한 것과 같거나 그 이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점수가 매겨지는 구조에 의미를 부여하고 시험의 비인간화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전문가의 판단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엘라웨이(2014)는 "의학과 의학 교육의 기술은 [인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보여서는 안 된다. [인간이 되는 것]은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Bijker(1997)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하나는] 기술 아티팩트 또는 기술 시스템의 의미가 [기술 자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됩니다. 대신,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연구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의 이질성 속에서 그 의미를 획득해야 한다."

These emerging epistemic beliefs around achievement of objectivity through reduction of human bias, and the role of context are not unopposed.

  • In a reply to Salt et al. (2019), Spadafore and Monrad (2019) raised concerns about the notion of equating consistency in scoring with objectivity, as algorithms in ML are inherently biased based on the type of data we choose to train them with.
    • Although this was acknowledged in a reply by Salt et al. (2019), they noted that “while an automated scoring system cannot be superior to the ideal human rater, it can be more adherent to predefined scoring rubrics than the typical human rater in practice”.
  • Adding to this, Gierl et al. (2014) emphasized that NLP-based scorings were equal to (or better than) those produced by human raters in terms of their reliability; however, they also stressed the need for incorporating expert judgments to provide meaning to the constructs being scored as well as a way to avoid dehumanization of examinations.
  • Another view offered by Ellaway (2014) argued that “technology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should not be seen as a distraction or deviation from being human; to be human is to use technology”.
  • Finally, Bijker (1997) stated that, “[one] should never take the meaning of a technical artifact or technical system as residing in the technology itself. Instead, one must study how the technologies are shaped and acquire their meaning in the heterogeneity of social interactions.”

논의
Discussion

데이터 과학과 ML은 HPE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미래에 교육, 학습 및 평가에 혁명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검토한 연구에서, 우리는 주로 [이론을 생성하거나 테스트하기]보다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프로시져 기술을 평가]하거나 [한정된 속성을 가진 임상 시나리오를 가르치는 것]은 데이터 과학 및 ML 기술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잘 정의된 문제]의 일부 예이다. 이러한 유형의 성공적인 응용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HPE의 비판자들은 기술자 및 도구주의 방식으로 데이터 과학과 ML을 사용하면 콘텐츠 전문가가 개발 및 실행 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한 효과적인 교육, 학습 및 평가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데이터 과학은 특히 ML 영역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HPE에서도 몇 가지 고유한 과제를 안고 있다. 예를 들어, HPE는 사회과학에 의해 많이 알려진 분야인 반면, 데이터 과학과 ML은 기초과학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과학을 조사하는 이러한 뚜렷한 사고 패턴과 철학은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 연구를 가이드하는 근원적 인식론적 믿음뿐만 아니라 연구를 설계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데 이론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Data science and ML are increasingly used within the field of HPE and this likely will revolutioniz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future (Rowe 2019; Wartman and Combs 2018). In the studies reviewed, we primarily found a focus on using data science and ML to solve practical problems, rather than generating or testing theories. Assessing procedural skills and teaching clinical scenarios with finite attributes are some examples of well-defined problems that can be addressed using data science and ML techniques. With these types of successful applications in mind, criticisms in HPE argue that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a technicist and instrumentalist way may disrupt effective instruction, learning, and assessment unless content experts are included in development and execution activities (van der Niet and Bleakley 2020). While data science offers new possibilities, especially in the area of ML, it also bears some inherent challenges in HPE. For example, HPE is a field that is heavily informed by the social sciences, whereas data science and ML are rooted in basic science traditions. These distinct thought patterns and philosophies of examining science have implications for not only the underlying epistemic beliefs guiding data science and ML studies within HPE, but also the use of theory in designing studies and interpreting results.

HPE 연구는 종종 [학습]이란,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 또는 의료 기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맥락과는 동떨어진], [배타적인 인지 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한다. 학습과 평가를 이유나 작동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작동하는 무언가에 대한 간단한 시연으로 줄이는 것은 기술적 해결책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의미 있는 방법으로 지식을 발전시키지 못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PE의 많은 데이터 과학과 ML 연구는 '데이터가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그들의 요구에서 이러한 유형의 [이론적 불가지론theoretical agnosticism]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였다. 이 접근법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 첫째, [모델]에는 인간이 해야 할 선택과 판단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결코 가치가 없거나 인식론적 믿음에서 자유롭지 않다. 
  • 둘째, [기존의 어떤 신념과 이론적 렌즈]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자료에서 절대적인 진실이나 지식이 나타날 것이라는 견해는 오류이다. 

HPE research often acknowledges that learning is not exclusively a cognitive process, separate from the social interactions and context of learning or healthcare organizations where learning takes place (e.g., Berkhout et al. 2018). Reducing learning and assessments to simple demonstrations of something working, without consideration of why or how it works, can lead to technical solutions, but may not advance knowledge in meaningful ways. Nonetheless, a number of data science and ML studies in HPE appeared to exhibit this type of theoretical agnosticism in their calls for letting ‘data speak for themselves’. There are two problems with this approach.

  • First, models are never value-free or free from epistemic beliefs as there are always choices and judgments that need to be made by humans (Spadafore and Monrad 2019; Kitchin 2014; Diekmann and Peterson 2013; Norman 2011).
  • Second, the view that an absolute truth or knowledge will emerge from data without being influenced by any pre-existing beliefs and theoretical lenses is a fallacy.

명백히, 데이터를 해석하는 렌즈는 언제나 있다(Bordage 2009). 문제는 렌즈가 어느 정도까지 식별되고 인식되는가 하는 것이다.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사용은 HPE의 연구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체계화한 Albert et al(2007)에 의해 강조된 연구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동료 과학자를 위한 [지식과 이론을 생성하려는 의도]인지, 아니면 [교육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인지에 따라 생산자를 위한 생산(PP)과 사용자를 위한 생산(PU)이 달라진다. 이전의 사고방식은 사회과학자들이, 후자는 임상의들이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데이터 과학 문헌은 본 검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U 관점(또는 "순수 적용 연구")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인다.

Certainly, there is always a lens, through which data are interpreted (Bordage 2009); the question is to what extent is the lens identified and acknowledged. The use of conceptual frameworks seems to depend on the scope of studies as highlighted by Albert et al. (2007), who framed two perspectives on research in HPE: Production for Producers (PP) and Production for Users (PU) as depending on whether the authors intended to generate knowledge and theory for fellow scientists or to solve practical problems in education. The former way of thinking is thought to be dominated by social scientists and the latter by clinicians (Albert et al. 2007). The current data science literature seems oriented towards the PU perspective (or “Pure Applied Research”) as illustrated in this review.

[무이론적이면서, 응용에 초점을 둔 작업]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것의 한 가지 특별한 문제는 '블랙박스' 문제이다. ML 알고리듬은 알고리듬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크고 지저분한 데이터 세트의 새로운 솔루션과 정밀한 분류를 제공한다(Topol 2019). 이에 대한 이유 중 일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ML 기법을 지원하는 통계 모델을 구성하는 노드 계층의 복잡성 때문이다. 모델이 [특정 결론에 도달한 이유 또는 방법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은 데이터 과학과 ML 접근법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하려는 노력]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이 문제를 기술적 차원에서 다루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개념적, 이론적 차원에서 ML 모델에서 통찰력을 얻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야 할 일이 많다

One particular problem of a potential overemphasis on atheoretical, applied work is the ‘black box’ issue: ML algorithms provide novel solutions and precise classifications of large and messy data sets without providing any information about how the algorithm solved the problem (Topol 2019). Part of the reason for this i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layers of nodes that make up the statistical model supporting many ML techniques commonly used. The inability to explain why or how a model arrived at a certain conclusion further complicates any efforts to use theory to interpret the results of data science and ML approaches. Efforts are being made to handle this problem on a technical level, but there is still much work to do to learn how to gain insights from ML models on a conceptual and theoretical level.

ML 결과를 학습자를 위한 실행 가능한 통찰력으로 변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적 솔루션의 유망한 예는 의료 이미지에서 '히트맵'을 사용하는 것이다. 히트 맵은 의료 이미지 분류에서 신경망에 특히 중요한 픽셀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지가 원래대로 분류된 이유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과 학습 목적에 유용한 것 외에도, 이러한 방법과 기술은 HPE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과학자들은 방법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보다 지시, 학습 및 평가를 위해 작동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주로 관심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계 또는 계산 전문지식을 갖춘 HPE 학자들은 HPE 연구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미래 사용자들에게 맥락과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번역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

A promising example of technical solutions that can help translate ML findings to actionable insights for learners is the use of ‘heat maps’ in medical images (Miller and Brown 2019). Heat maps can be used to highlight the pixels that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a neural network in the classification of medical images, which can provide insights into why images were classified as they were. Besides being useful for feedback and learning purposes, these methods and techniques may impact HPE research, where scientists are primarily concerned with explaining why methods work for instruction, learning, and/or assessment rather than merely demonstrating that they work. In this regard, HPE scholars with statistical or computational expertise are in unique positions to act as translators by providing context and explanation for future user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Miller et al. 2017).

HPE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학제적 협력([데이터 과학자, 정량적 연구자 및 교육 과학자]들 사이)이 HPE에서 이론의 지속적인 발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NLP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연구는 학제간 접근법이 교육 이론, 질적 연구 방법, ML, 통계 및 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분야를 발전시키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제공한다. 그러나 교육 과학자와 데이터 과학자의 긴밀한 파트너십은 (다른 전통, 가치, 그리고 다른 것들 사이에서 연구를 할 수 있는 동기 부여로 인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HPE에서의 데이터 과학 연구가 이론과 실제의 발전에 모두 관련될 수 있다면 협업이 중요할 것이다. 
With an increased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a mor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mong data scientists, quantitative researchers, and education scientists may be necessary to broaden the potential applications and ensure the continued advancement of theory in HPE. Studies demonstrating the utility of NLP (Burstein et al. 2014; Gierl et al. 2014; Baker 2010) offer some examples of how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can bring together educational theor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ML, statistics, and data analytics to advance the field.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close partnerships between education scientists and data scientists may be difficult due to different traditions, values, and incentives to do research among other things. Nonetheless, collaboration will be crucial if data science research in HPE in the future is going to be relevant to the advancement of both theory and practice.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HPE 연구의 다른 영역에서 개발된 성공적인 [기존 학제간 파트너십] 중 일부에 주의를 돌릴 수 있다. 협력 관계의 유일한 유형은 아니지만, 데이터 엔지니어, 사회 과학자 및 임상 연구자가 함께 작업하여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이론에 기반을 둔 사용자 영감을 받은 연구를 생성하는 [학술-산업 협력]에서 한 가지 형태의 협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산업계]가 [재정 및 기술 자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도메인 지식과 전문성]은 교육 과학자와 학자들이 가지고 있으며, 이는 파트너십과 협업을 개발하는 것이 향후 HPE 연구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을 성공적으로 통합하는 가장 중요한 예측 변수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regard, we may turn our attention to some of the successful existing interdisciplinary partnerships developed in other areas of HPE research. Although not the only type of partnership arrangement, one form of collaboration can be found within academic–industry partnerships, where data engineers, social scientists and clinician researchers, for example, work together to produce user-inspired research that solves a practical problem and is grounded in theory. Although industry may have the financial and technological resources, domain knowledge and expertise reside with education scientists and scholars, which means developing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successfully integrating data science and ML within HPE research in the years to come.

이 저널의 25주년은 데이터 과학과 ML이 어떻게 HPE 분야에서 우리의 실천을 발전시키고 우리의 생각을 인도해 왔는지를 되돌아볼 수 있는 완벽한 시기인 것 같다. Norman과 Ellaway(2020)에 따르면, 건강 과학 교육의 진보는 여러 직업에 걸쳐 존재하는 시급한 교육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열망에서 태어났다. 우리는 데이터가 가치 있는 상품인 HPE의 중추적인 지점에 있으며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그것의 통화를 파악하고 있다. 혁신에 직면하여 과학적 탐구의 엄격함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과학 및 ML 접근 방식은 다른 접근 방식과 마찬가지로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 가정의 맥락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다른 분야의 가치를 활용하고 보건 분야에서 이론과 실습을 계속 홍보하고 싶다면, 우리는 과학적 접근 방식을 확장하고 HPE 내에서 데이터 과학과 ML의 실용, 이론적, 인식론적 기여에 대한 담론을 계속해야 한다.

The 25th anniversary of this journal seems like a perfect time to reflect upon how data science and ML has evolved within the field of HPE to advance our practice and guide our thinking. According to Norman and Ellaway (2020),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was born out of a desire to address pressing educational issues that exist across multiple professions. We are at a pivotal point in HPE where data is a valued commodity and many of us are still figuring out its currency. To retain rigor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face of innovations, data science and ML approaches need to be reviewed in the context of their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just like any other approach. If we want to capitalize on the value of other disciplines, and continue to promote both theory and practice in the health professions, we need to expand our scientific approach and continue the discourse around the practical, theoretical, and epistemological contributions of data science and ML within HP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0 Dec;25(5):1057-1086. doi: 10.1007/s10459-020-10009-8. Epub 2020 Nov 3.

The role of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actical application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epistemic belief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openhagen Academy for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CAMES),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martintolsgaard@gmail.com.

2Department of Obstetrics, Centre for Fetal Medicine,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martintolsgaard@gmail.com.

3Department of Medicine, Department of Anesthesia,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an Francisco, CA, USA.

4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Boston, MA, USA.

5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 USA.

6National Board of Medical Examiners, Philadelphia, PA, USA.

7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Palo Alto, CA, USA.

PMID: 33141345

DOI: 10.1007/s10459-020-10009-8

Abstract

Data science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uses computer-based algorithms and methods to gain insights from large and often complex datasets. Data science, which includ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such as Machine Learning (ML), has been credited with the promise to transform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by offering approaches to handle big (and often messy) data. To examine this promise, we conducted a critical review to explore: (1) published applications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literature and (2) the potential role of data science and ML in shifting theoretical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in HPE research and practice. Existing data science studies in HPE are often not informed by theory, but rather oriented towards developing applications for specific problems, uses, and contexts. The most common areas currently being studied are procedural (e.g., computer-based tutoring or adaptive systems an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We found that epistemic beliefs informing the use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poses a challenge for existing views on what constitutes objective knowledge and the role of human subjectivity for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a result, criticisms have emerged that the integration of data science in the field of HPE is in danger of becoming technically driven and narrowly focused in its approach to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Our findings suggest that researchers tend to formalize around the epistemological stance driven largely by traditions of a research paradigm. Future data science studies in HPE need to involve both education scientists and data scientists to ensure mutual advancement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This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the integration of data science and ML in HPE research in the years to come.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Research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ata science.

 

심리학에서 이론의 위기: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Perspect Psychol Sci, 2021)
The Theory Crisis in Psychology: How to Move Forward
Markus I. Eronen1 and Laura F. Bringmann2

 

최근 몇 년 사이 심리학의 이론적 토대가 흔들리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하는 저자들이 늘고 있다. 심리학 이론은 일반적으로 질이 나쁘고 심리학은 통계 기술과 관행을 개선하고 더 많은 복제 연구를 수행하는 대신 더 나은 이론을 개발하는 쪽으로 더 많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훨씬 많은 관심을 받았던 복제 위기보다 더 근본적인 '이론 위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authors have calle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sychology are shaky. The claim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are in general of poor quality and that the focus in psychology should shift more toward developing better theories instead of (just) improv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practices and performing more replication studies. In other words, we are facing a “theory crisis” that is more fundamental than the replication crisis that has received far more attention.

이 점은 물론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폴 미엘이 그의 경력을 통해 강조하기도 했다(예: 미엘, 1967, 1978, 1990). 멜은 심리학자들은 새로운 이론들을 개발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이러한 이론들은 누적된 이론적 진보를 낳는 대신 그냥 왔다가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론은 결정적으로 반박되거나 확립된 지식의 일부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들은 버려지거나 잊혀질 때까지 그저 빈둥거린다. 그는 1930년대와 1960년대에 각각 많은 열정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지금은 대부분 잊혀진 '열망의 수준'과 '위험한 변화'의 이론을 예로 든다.

This point is of course not new but notably was also emphasized by Paul Meehl throughout his career (e.g., Meehl, 1967, 1978, 1990). Meehl pointed out that psychological scientists are fond of developing new theories, but instead of resulting in cumulative theoretical progress, these theories tend to just come and go: Theories are neither decisively refuted nor accepted as part of established knowledge; they simply hang around until they are abandoned or forgotten. He mentions as examples theories of “level of aspiration” and “risky shift,” which were received with much enthusiasm in the 1930s and 1960s, respectively, but are now largely forgotten.

미엘(1978)의 고전적 글 이후 40년이 지난 지금까지 심리학에서 이론의 역할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행동 변화 이론의 ABC라는 책에는 자기 조절 이론과 자기 효능감 이론에서부터 생태 모델에 이르기까지 [행동 변화 분야에만 83개의 이론]이 나열되어 있다(Michie et al., 2014). 이러한 이론들 중 어느 것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거나 결정적으로 반박되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무방하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 [자아 고갈 이론]을 떠올려보라. 이 이론은 대단한 열정을 가진 기간 후에, 최근 몇 년 동안 심하게 비판되어 왔으며, 현재 그것에 대한 찬반 양측의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In the 40 years that have passed since Meehl’s (1978) classic article, the role of theories in psychology has not changed much. For example, the book ABC of Behavior Change Theories lists 83 theories in the field of behavior change alone, ranging from self-regulation and self-efficacy theories to ecological models (Michie et al., 2014).1 It is safe to assume that none of these theories is universally accepted or decisively refuted. As a more specific example, consider ego-depletion theory (Baumeister et al., 1998, 2000). After a period of great enthusiasm, this theory has been heavily criticized in recent years, and currently there is no conclusive evidence either for or against it (Friese et al., 2019).

심리학에서 이론적 진보가 부족한 이유는 심리학 이론이 너무 모호하거나 추상적으로 공식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조하거나 시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Meehl, 1978, 1990). 더욱이, 이론이 부족하고 일부 현상을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에도, 심리학자들은 종종 그것의 과거의 성공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을 계속 사용한다(예: 고전적 조건화의 레스콜라-바그너 모델; 밀러 외, 1995).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결정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닌 공존하고 중복되는 심리학 이론]이 많이 발생한다(Meehl, 1990). 따라서 최근 이론위기에 관한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주제는 심리이론을 보다 형식적이고 정밀하게 만들거나 심리학자들에게 더 나은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An explanation for the lack of theoretical progress in psychology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tend to be formulated so vaguely or abstractly that it is difficult to falsify or test them (Meehl, 1978, 1990). Moreover, even when a theory is found to be deficient and unable to explain some phenomena, psychological scientists often continue to use it, focusing on its past successes (e.g., the Rescorla-Wagner model of classical conditioning; Miller et al., 1995). These factors result in a plethora of coexisting and overlapping psychological theories that are known to be deficient but have not been decisively falsified (Meehl, 1990). Therefore, a common theme in the recent literature on the theory crisis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should be improved by making them more formal and precise or by teaching psychologists how to build better theories (e.g., Gigerenzer, 2010; Muthukrishna & Henrich, 2019; Oberauer & Lewandowsky, 2019; van Rooij & Baggio, 2021).

우리는 이러한 노력이 중요하고 칭찬받을 만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기사에서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우리는 좋은 심리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극히 어렵고, 그것이 어려운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이론위기의 진전을 이루는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주장한다. 즉, 심리학자들이 이론 개발에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거나 이론을 세울 줄 모르는 것이 아니라, 주제의 특성상 좋은 심리학 이론을 구축하는 데 큰 장애가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장애물을 설명하고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최근의 과학 철학에서 도출한다.
We find these efforts important and laudable. However, in this article, we take a different approach. We argue that the core of the problem is that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extremely difficult and that understanding the reasons why it is so difficult is a crucial first step in making progress in the theory crisis. In other words, the problem is not (just) that psychological scientists do not put enough effort into developing theories or do not know how to build theories but that there are great obstacles to build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subject matter. To explain and analyze these obstacles, we draw from recent philosophy of science.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우리는 미엘의 발자취를 따라갑니다. 이 특별호(Meehl, 1978)의 초점인 글에서 그는 인간의 심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어렵게 만드는 어려움의 목록을 제공했다. 그러나 미엘은 자연히 당대 과학철학에 의존하고 있었고, 그 이후로 특히 자료, 이론,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이론의 위기와 매우 관련성이 높은 많은 발전이 있었다. 우리는 과학철학의 이러한 발전으로부터 출발하여, 좋은 심리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왜 그렇게 어려운지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이유를 논의한다:

  • 강력한 현상에 의한 이론에 대한 제약의 부족,
  • 심리구조의 타당성의 문제, 
  • 심리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발견하는 것의 장애물

With this approach, we follow in Meehl’s footsteps: In the article that is the focal point of this special issue (https://doi.org/10.1037/0022-006X.46.4.806"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745691620970586#">Meehl, 1978), he provided a list of difficulties that make human psychology hard to study scientifically. However, Meehl was naturally relying on the philosophy of science of the day, and since then there have been many developments that are highly relevant for the theory crisis, especially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data, theories, and causality. We draw from these developments in philosophy of science and discuss three key reasons for why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so hard:

  • the lack of constraints on theories by robust phenomena,
  • problems of validity of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 obstacles to discover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이론의 제약으로서의 현상
Phenomena as Constraints for Theories

이 절에서 우리는 현상이 과학에서 이론 발전을 제약한다고 주장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충분한 제약을 가할 만큼 강력한 현상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다. 우선 과학철학에서는 [데이터, 현상, 이론]을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이터]는 실험 또는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하는 원시 관측치입니다. 심리학의 경우, 예를 들어 설문지나 행동의 관찰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데이터]는 세계의 비교적 안정적인 특징인 현상에 대한 증거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Stroop 작업 실험의 데이터는 Stroop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만약 우리가 그 현상들을 설명하고 싶다면, 우리는 그것들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는 이론이 필요하다.
In this section, we argue that phenomena constrain theory development in science, but that in psychological science, there is not enough knowledge of robust phenomena to impose sufficient constraints. To start with, in philosophy of science, it is common to distinguish among data, phenomena, and theories (Bogen & Woodward, 1988; Haig, 2013; Woodward, 1989). Data are the raw observations based on experiments or data collection: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science, they can be, for example, responses to questionnaires or observations of behavior. Data serve as evidence for phenomena, which are relatively stable features of the world: For example, the data from different Stroop task experiments provide evidence for the Stroop effect. If we then want to explain the phenomena, we need theories that describe how they come about.2

이 프레임워크는 잘 확립되었고 심리학에 적용되었다(Borsboom et al., 2021; Haig, 2013). 그러나 [이론과 현상] 사이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일방향 트래픽"으로만 논의된다. [이론]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공식화formulated]되며, 따라서 [이론]으로부터 관련 [현상]을 [도출derive]하거나 [예측predict]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심리학 이론 논쟁에서 심리학 이론이 너무 모호하게 공식화되어 현상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논쟁에서 훨씬 덜 주목받은 것은 이 관계가 양방향이라는 것이다. 현상들은 또한 가능한 이론들에 제약을 가한다. 즉, 이론은 가능한 이론의 공간을 좁히는 현장의 모든 관련 현상과 일치해야 한다.
This framework is well established and has been applied to psychological science (Borsboom et al., 2021; Haig, 2013).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ories and phenomena are usually discussed only as “one-way traffic”: A theory is formulated to explain phenomena, and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derive or predict the relevant phenomena from the theory. For example, a central (and, in our view, valid) argument in the theory debate in psychological science is that psychological theories are so vaguely formulated that they do not make precise predictions regarding phenomena (e.g., Oberauer & Lewandowsky, 2019). What has received far less attention in this debate is that this relationship is bidirectional: Phenomena also impose constraints on the possible theories (Bechtel & Richardson, 1993; Craver & Darden, 2013). In other words, a theory has to be consistent with all the relevant phenomena of the field, which narrows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이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진화론을 도입하기 전에 찰스 다윈은 엄청난 양의 설명적 증거를 수집했다. 그는 H.M.S. 비글호를 타고 유명한 항해를 하는 동안 (거의 5년 동안 지속되었다) 수많은 관찰을 하고 노트에 기록했는데, 위에서 설명한 프레임워크는 데이터와 일치한다. 이 자료로부터 그는 갈라파고스 섬에 서로 다르지만 매우 유사한 새 종의 분포와 같은 흥미로운 패턴을 도출했다. 다윈은 돌아온 후 몇 년 동안 선택적 번식, 화석 기록, 항해 중에 수집한 표본을 포함한 광범위한 주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 모든 영역에서 그는 종들이 공통의 조상을 가지고 있고 선택적인 번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자연에 의해 선택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다양한 증거의 상세한 설명으로 구성된 종의 기원을 썼다(브라운, 2006; 다윈, 1859).
Let us illustrate this with an example. Before introducing the theory of evolution, Charles Darwin had gathered an immense amount of descriptive evidence (Browne, 2006; Darwin, 1859; Rozin, 2001). During his famous voyage on the H.M.S. Beagle (lasting nearly 5 years), he made numerous observations and wrote them down in his notebooks, which in the framework described above correspond to data. From these data he derived interesting patterns, such as the distribution of different but very similar bird species on the islands of the Galapagos. Over the years after his return, Darwin intensively studied a broad range of topics, including selective breeding, the fossil record, and the samples he had collected during the voyage. In all of these areas, he found phenomena suggesting that species have common ancestors and are selected by nature in a manner analogous to selective breeding. He wrote the Origin of Species, a large part of which consists of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various lines of evidenc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Browne, 2006; Darwin, 1859).

중요한 것은 이 증거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매우 강력하다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몇 가지 독립적인 방법으로 검증 및 탐지 가능하며 특정 이론적 틀이나 관찰 방법에 의존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비둘기, 소, 개의 선택적 사육에서 형질의 진화의 패턴을 관찰할 수 있었고, 다른 연구자는 원칙적으로 이러한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들은 과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동의되었고 [가능한 이론possible theories]의 공간에 [매우 강한 제약]을 가했다. 진화론은 이러한 강력한 패턴들 중 한두 개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과 일치해야 했습니다.
Importantly, this evidence was not only diverse but also highly robust: The phenomena were verifiable and detectable in several independent ways and not dependent on a specific theoretical framework or observation method (Eronen, 2015, 2019; Kuorikoski & Marchionni, 2016; Munafò & Smith, 2018; Wimsatt, 2007). For example, the patterns of the evolution of traits could be observed in the selective breeding of pigeons, cattle, and dogs, and any other researcher could in principle confirm these patterns. These phenomena were therefore generally agreed on i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imposed very strong constraints on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A theory of evolution had to fit with not just one or two of these robust patterns but with all of them.

천문학의 역사는 [현상이 이론에 강요하는 제약]의 훨씬 더 놀라운 예를 제공한다. 이 경우 관련 [현상]은 천체(가장 중요한 것은 달과 행성)의 운동 패턴이었다. 이러한 패턴은 수세기에 걸친 관찰에 기초했으며 매우 강력했다. 문제는 현상에 의해 부과된 엄격한 제약을 만족시키는 이론을 생각해내고 있었다(호스킨, 1997). 행성들이 복잡한 에피사이클 기반 궤적을 따른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적 모델은 부분적으로 현상에 더 적합하거나 동등하게 잘 맞을 이론을 내놓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수세기 동안 살아남았다. 그러므로,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가 그들의 태양 중심 이론을 발전시켰을 때, 가능한 이론의 공간은 현상에 의해 매우 강하게 제약을 받았다. 현대의 [이론 물리학에 대한 제약]은 훨씬 더 극단적이다. 입자 물리학에서 천문학에 이르는 강력하고 논쟁의 여지가 없는 패턴의 방대한 본체가 있으며, 물리학에 대한 새로운 이론은 이 [모든 패턴]과 일치할 필요가 있다.
The history of astronomy provides an even more striking example of the constraints that phenomena impose on theories. In this case, the relevant phenomena were the patterns in the movement of celestial objects (most importantly the moon and the planets). These patterns were based on centuries of observations and highly robust; the problem was coming up with a theory that satisfied the stringent constraint imposed by the phenomena (Hoskin, 1997). Ptolemy’s geocentric model, according to which planets followed complex epicycle-based trajectories, survived for centuries partly because it was extremely difficult to come up with a theory that would have fit the phenomena better or equally well (Hoskin, 1997). Thus, when Copernicus and Galileo developed their heliocentric theories,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was very strongly constrained by the phenomena. The constraints on contemporary theoretical physics are even more extreme: There is a vast body of robust and undisputed patterns ranging from particle physics to astronomy, and any new theory of physics needs to be consistent with all of these patterns.

심리학에서의 상황은 매우 다르다. 이를 보기 위해 데이터와 현상의 구분을 상기해 보자. 심리학에서는 설문지, 웨어러블 기기, 인터넷 행동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는 종종 의심스러운 품질(다음 절 참조)이며, 심리 과학의 많은 분야는 여전히 생물학이나 물리학에 필적할 만한 강력한 현상의 큰 본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

The situation in psychological science is very different. To see this, let us recall the distinction between data and phenomena. In psychological science, there is an increasing amount of data available from questionnaires, wearable devices, Internet behavior, and so on. However, these data are often of questionable quality (see the next section), and many areas of psychological science still have no large body of robust phenomena comparable to that of biology or physics.

예를 들어, [자아 고갈 효과]를 고려해보자. 이전에 자제력이 필요한 작업에 참여한 후(예: 쿠키를 먹고 싶은 유혹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자제력이 필요한 작업(예: 어려운 퍼즐 풀기)에서 더 나쁜 성과를 거두는 현상. 이 현상을 설명하는 독창적이고 매우 영향력 있는 이론은 자기 통제의 힘(또는 근육 또는 자원) 모델이며, 이에 따르면 [자기 통제]는 자기 통제가 필요하고 고갈될 수 있는 모든 작업에 사용되는 제한적이고 도메인-일반적인 자원이다.

As an example, consider the ego-depletion effect (Baumeister et al., 1998, 2000): the phenomenon that people perform worse on a task requiring self-control (e.g., solving a difficult puzzle) after having previously engaged in a task requiring self-control (e.g., resisting the temptation to eat cookies). The original and highly influential theory explaining this phenomenon is the strength (or muscle, or resource) model of self-control, according to which self-control is a limited and domain-general resource that is used by any tasks that require self-control and can be depleted (Baumeister et al., 1998, 2000).

이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는 수백 개의 연구가 발표되었다(Inzlicht & Friese, 2019).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자아 고갈 효과 자체와 그 이면에 있는 이론 모두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멀티랩 사전 등록 복제 연구에서 자아 고갈에 대한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효과 크기는 작았고(d = 0.04) 대부분의 참여 실험실의 경우 효과 크기의 95% 신뢰 구간이 0을 포함했다. 저자들은 "만약 어떤 효과가 있다면, 그것은 0에 가깝다" 더욱이 효과가 실제적이라 하더라도, 이용 가능한 근거는 자기통제의 강도모델 외에 다른 이론과도 양립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Inzlicht & Friese, 2019). 예를 들어, Inzlicht와 Schmeichel(2012)이 제안한 프로세스 모델에서는 고갈된 일반적인 자원 대신 동기부여 감소와 관심의 이동에 의해 자아 고갈 효과가 설명된다.

Hundreds of studies that seem to support this theory have been published (Inzlicht & Friese, 2019). However, in recent years, both the ego-depletion effect itself and the theory behind it have been called into question (Friese et al., 2019). In a multilab preregistered replication study (Hagger et al., 2016), little evidence for ego depletion was found: The overall effect size was small (d = 0.04), and for most of the participating laboratories, the 95% confidence intervals of the effect size included zero. The authors concluded that “if there is any effect, it is close to zero” (p. 558). Moreo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even if the effect is real, the available evidence is compatible with other theories in addition to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Inzlicht & Friese, 2019). For example, in the process model proposed by Inzlicht and Schmeichel (2012), the ego-depletion effect is explained by reduced motivation and shifts in attention instead of a generic resource that is depleted.

중요한 것은 이것이 유일한 예가 아니라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발견의 수많은 복제 실패는 [심지어 잘 확립되었다고 생각되었던 현상]들(예: 고정관념 위협, 신생아 모방, 다양한 프라이밍 효과)도 심리학의 다른 영역에서도 상황은 비슷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심리학 분야에서는 이론에 강한 제약을 가하는 광범위한 강력한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가능한 이론들이 증거에 의해 [과소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 가능한 증거(즉, 관련 현상)는 우리가 어떤 이론을 진실이라고 믿어야 하는지 결정하기에 충분하지 않다(Stanford, 2017). 이런 점에서 [비교적 강력한 현상]이 거의 확립되지 않은 심리학 분야에서 [이론적인 진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Importantly, this is not an isolated example. The numerous replication failures of findings in psychology, even phenomena that were thought to be well established (e.g., stereotype threat, neonatal imitation, various priming effects; Bird, 2018), suggest that the situation is similar in other areas of psychology (Inzlicht & Friese, 2019). In other words, in many areas of psychology, there is no broad range of robust phenomena that would impose strong constraints on theories. This means that the possible theories are underdetermined by evidence: The available evidence (i.e., the relevant phenomena) is not sufficient to determine which theory we should believe to be true (Stanford, 2017).3 In this light, it is not surprising that little theoretical progress has been made in areas of psychology in which relatively few robust phenomena have been established.

심리적 구조와 인식론적 반복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Epistemic Iteration

심리학에서 좋은 이론이 왜 그렇게 적은지를 설명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심리 구조를 개선하고 검증하는 데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심리학 문헌에서 우리는 점점 더 많은 수의 심리학 구조를 발견한다. 새로운 구조와 그에 상응하는 척도가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오래된 구조처럼 보이는 것에 대해 새로운 용어가 발명되며, 명백히 다른 구조에 대해 동일한 용어가 사용된다(Hagger, 2014). 예를 들어, 엘렌 스키너(1996)는 통제 심리학 문헌의 구조에 대한 리뷰에서 [인식된 통제]와 관련된 구조만 30개 이상 발견했으며, 그 이후로 더 많은 구조물이 소개되었다(Hagger, 2014).
Another important factor explaining why there are so few good theories in psychology is the lack of attention on improving and validating psychological constructs.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we find a large and increasing number of psychological constructs. New constructs and corresponding scales are constantly introduced, new terms are invented for what seem to be old constructs, the same term is used for apparently different constructs, and so on (Hagger, 2014). For example, in her review of constructs in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control, Ellen Skinner (1996) found more than 30 constructs related to perceived control alone, and since then many more have been introduced (Hagger, 2014).


원칙적으로, 수용 가능한 과학적 구조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심리적 구조가 타당성을 가져야 한다. 구인 타당성의 개념은 Cronbach와 Meehl(1955)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그 의미는 그 후 수십 년 동안 크게 진화 및 영향을 받았다. 핵심 아이디어 중 일부는 구조가 [이론적 프레임워크](또는 Cronbach & Meehl의 처음 표현에 따르자면 "노몰로지 네트워크")에 포함되어야 하며, [구인의 측정]은 [측정하려는 것을 측정한다]는 의미에서 타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principle, to be acceptable scientific constructs, all of these psychological constructs should have construct validity. The notion of construct validity was introduced by Cronbach and Meehl (1955), and its meaning has greatly evolved and ramified in the decades that followed (Newton & Shaw, 2013). Some of the core ideas are that the construct should be embedded in a theoretical framework (or a “nomological network” as originally phrased by Cronbach & Meehl, 1955) and that measurements of the construct should be valid in the sense that they measure what they are intended to measure (Borsboom et al., 2004).

문제는 구인 타당성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데 널리 동의하지만, 실제로 심리학자들은 신뢰성과 같은 척도에 비교하자면, 구인 타당도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Flake et al(2017)은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게재된 논문의 무작위 샘플을 검토한 결과, 검토한 논문의 대부분이 사용된 구조에 대한 타당성 증거를 전혀 보고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증거가 보고되었을 때, 그것은 일반적으로 다른 기사에 대한 인용만으로 구성되었다. 마찬가지로 Zumbo와 Chan(2014)에 수집된 논문은 심리학자들이 상대적으로 타당성 증거를 적게 보고하고 다른 심리측정학적 특성, (가장 주요하게는) [신뢰성에 훨씬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가장 간단한 설명은 신뢰성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 비교적 쉬운 반면, 타당성 증거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크론바흐의 α와 같이 잘 확립되고 정량화된 측정값이 있다. 후자의 경우 단순한 정량적 측정이 없으며, 구성 타당성이 무엇인지 또는 타당성 증거가 어느 정도여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Newton & Shaw, 2013). 구성 타당성이 교과서 및 지침서에 자주 등장하는 "시험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해야 한다"는 문구로 이해된다면, 타당성을 확립하려면 관심 속성의 변동이 실제로 시험 점수의 변동을 야기하고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이런 종류의 구조 검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 심리학은 타당성을 알 수 없는 수많은 심리 구조들에 의해 스며들고 있다.

The problem is that although it is widely agreed that construct validity is crucially important, in practice psychological scientists give it very little attention compared with measures such as reliability. For example, Flake et al. (2017) reviewed a random sample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nd found that most of the articles reviewed reported no validity evidence whatsoever for the constructs used. When evidence was reported, it typically consisted only of a citation to another article. Likewise, the articles collected in Zumbo and Chan (2014) show that psychological scientists tend to report relatively little validity evidence and focus much more on other psychometric properties, most importantly reliability. The simplest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providing reliability evidence is relatively easy, whereas providing validity evidence is very hard. For the former, there are well-established and quantified measures, such as Cronbach’s α. For the latter, there is no simple quantitative measure, and there is not even agreement on what construct validity is or what validity evidence should amount to (Newton & Shaw, 2013). If construct validity is understood in terms of the phrase “the test should measure what it is intended to measure,” which often appears in textbooks and guidelines, then establishing validity requires showing that variation in the attribute of interest is actually causing the variation in the test scores (Bringmann & Eronen, 2016; Borsboom et al., 2004). As construct validation of this kind is hardly ever done, the result is that psychological science is permeated by numerous psychological constructs of unknown validity (Flake et al., 2017; Fried & Flake, 2018).

자아 고갈 연구는 이것의 대표적인 예이다. 루르퀸과 미야케(2017)가 지적하듯이 핵심 개념인 '자기통제'가 명확하게 정의되거나 운용된 적은 없다. 종종 이 통제의 성격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생각, 감정 또는 행동에 대한 모든 종류의 (억제적) 통제를 지칭하기 위해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Lurquin & Miyake, 2017). 또한 자아 고갈 연구에서 자기 통제를 측정하거나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은 검증되지 않았다. 최근 연구에서 윔머 외 연구진(2019)은 자아 고갈을 유도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작업 중 하나인 [편지 취소 작업]을 체계적으로 테스트했는데, 참가자들은 복잡한 규칙에 따라 문자를 지워야 한다. 그들은 이 작업이 자기 통제나 억제 통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어떤 증거도 발견하지 못했다.

Ego-depletion research is a prime example of this. As Lurquin and Miyake (2017) point out, the key concept “self-control” has never been clearly defined or operationalized. It is often used very broadly to refer to any kind of (inhibitory) control over thoughts, emotions, or actions without further specifying the nature of this control (Lurquin & Miyake, 2017). Moreover, the setups that are used to measure or manipulate self-control in ego-depletion studies have never been validated (Inzlicht & Friese, 2019). In a recent study, Wimmer et al. (2019) systematically tested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asks to induce ego depletion, the letter-cancellation task, in which participants have to cross off letters following complex rules. They did not find any evidence that this task would affect self-control or inhibitory control (Wimmer et al. 2019).

임상심리학에서 예로 주요 우울증(MDD)을 들 수 있다. MDD의 정의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았다. 예를 들어, MDD의 다른 경우에 큰 이질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단일 증상을 공유하지 않고 MDD를 가질 수 있다.) MDD 자체가 잘 정의된 카테고리인지 의심스럽다. 또한, MDD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수많은 척도는 내용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하나의 동일한 구조를 측정하는 것인지 불분명하다.

As an example from clinical psychology, consi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he definition of MDD stems from the 1970s and has not essentially changed since then, although it is increasingly clear that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is problematic (De Jonge et al., 2015; Fried, 2017). For example, because there is great heterogeneity in different cases of MDD (e.g., two individuals can have MDD without sharing a single symptom), it is doubtful that MDD in itself is a well-defined category (Fried, 2017). In addition, the numerous scales that are used to measure MDD often have little content overlap, making it unclear whether they are really measuring one and the same construct (Fried, 2017; Fried & Flake, 2018).

이러한 예들을 자연과학과 대조하는 것은 명확하다. 자연과학의 개념이나 분류는 추가 실험과 관찰을 통해 그리고 그것들이 내재된 이론적 틀을 개선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정제된다. 초기에 거칠고 잘못 정의된 개념(예: 상식적인 개념 "물고기fish")은 정제되고 재개념화된다. (예를 들어, 린네의 전통적인 종 분류법에서 물고기Pisces라는 개념으로, 대략 물 속에서 영원히 사는 지느러미 동물로 정의된다.) 그리고 새로운 버전은 새로운 이론과 증거에 기초하여 다시 테스트되고 조정된다. (예를 들어, 물고기는 더 이상 과학적 범주로 간주되지 않고 진화적 관계에 기초하여 몇 개의 다른 부류로 나뉘었다.)
It is illuminating to contrast these examples with the natural sciences. Concepts or classifications in the natural sciences are constantly refined through further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and by improv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they are embedded. A concept that is initially rough and poorly defined (e.g., the commonsense notion “fish”) is refined and reconceptualized (e.g., into the concept “Pisces” in the traditional Linnaean taxonomy of species, defined roughly as finned animals perpetually living in water), and then the new version is again tested and adjusted on the basis of new theories and evidence (e.g., “Pisces” is no longer considered a scientific category but has been divided into several distinct classes on the basis of evolutionary relationships).

이것의 예는 과학에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라는 개념은 1890년대에 물리학에 도입되었고, 처음에는 전하의 기본 단위를 의미했지만, 그 이후 양자 이론과 같은 실험과 이론적 발전을 통해 그 의미가 진화했고, 현재 "전자"는 페르미온이고, 전하가 -1인 소립자를 가리킨다. 1/2 등등.  Chang(2004, 2016)은 이 과정을 "인식적 반복"이라고 부르며, "특정 인식론적 목표의 달성을 강화하기 위해, 각각에 선행한 것 위에 구축되는, 지식의 연속적인 단계가 만들어지는 과정"이라고 특징짓는다(Chang, 2004, p.224).

Examples of this are abundant in the sciences: For example, the concept “electron” was introduced to physics in the 1890s, and it initially meant an elementary unit of electric charge, but since then its meaning has evolved through experiments and theoretical advances such as the quantum theory, and now “electron” refers to an elementary particle that is a fermion, has a charge of −1, spin of 1/2, and so on. Chang (2004, 2016) calls this process “epistemic iteration” and characterizes it as “a process in which successive stages of knowledge, each building on the preceding one, are created in order to enhance the achievement of certain epistemic goals” (Chang, 2004, p. 224)

이와는 대조적으로 심리학에서는 공식 지침이 검증의 중요성과 진행 중인 프로세스로 어떻게 봐야 하는지를 강조하지만, 이러한 반복은 표준이 아니다(Flake et al., 2017). 그러나 몇 가지 긍정적인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에빙하우스가 1880년대에 기억의 과학적 연구를 개척했을 때, 그는 "기억"을 하나의 상식적인 개념으로 취급하고 있었고, 다른 종류의 기억들을 구별하지 않았다. 이후 연구, 특히 1950년대부터 시작된 [비선언적 기억]과 [선언적 기억]과 같은 많은 종류의 기억들이 도입되었으며, 그 중 [후자(선언적 기억)]는 [에피소드적 기억]과 [의미적 기억]으로 더 나눌 수 있다. 기억의 다른 범주와 종류는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새로운 증거와 주장에 비추어 여전히 정제되고 논의되고 있다(Tulving, 2007).
In contrast, in psychology, this kind of iteration is not the norm, although official guidelin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validation and how it should be seen as an ongoing process (Flake et al., 2017). There are, however, some positive exceptions (see also Kendler, 2012). For example, when Ebbinghaus pioneered the scientific study of memory in the 1880s, he was treating “memory” as a monolithic commonsense notion and did not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kinds of memory (Tulving, 2007). In subsequent research, especially starting from the 1950s, many different kinds of memory have been introduced, such as nondeclarative and declarative memory, the latter of which can be further divided into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Michaelian & Sutton, 2017). The different categories and kinds of memory are not fixed but are still refined and debated in light of new evidence and arguments (Tulving, 2007).

심리학적 구조가 종종 변화에 그렇게 저항하는 실용적인 이유 중 하나는, 윌리엄 윔샛에 의해 만들어지고 개발된 개념인 , "생성적 고착(알박기)"이다. 일단 어떤 개념이 그것에 따라 다른 많은 개념, 이론, 또는 실천을 가지면, 그것은 "고착"이 되고, 그것이 부족하거나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도 바꾸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개념을 바꾸면 그에 따라 구조가 무너져 재앙이나 혁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심리학적 구조(특히 임상심리학)는 다른 이론과 모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도 적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깊이 자리 잡게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MDD와 같은 구조는 환자를 진단하거나 건강보험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One practical reason why psychological constructs are often so resistant to change is “generative entrenchment,” a concept coined and developed by William Wimsatt (1986, 2007). Once a concept has many other concepts, theories, or practices depending on it, it becomes “entrenched” and will be very difficult to change, even if it is known to be deficient or problematic. This is because changing the concept could collapse the structures depending on it, leading either to a disaster or a revolution (Wimsatt, 2007, p. 140). Psychological constructs (especially in clinical psychology) often become deeply entrenched over time, as they have applications not only in other theories and models but also in society at large. For example, constructs such as MDD play an important role in diagnosing patients or in making decisions about health insurance.

그러나 인식론적 반복과 심리적 구조의 검증은 이론의 위기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찾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앞 절에서 주장했듯이 [좋은 이론의 근거]는 [강력한 현상]이다. 결국, 현상은 데이터에서 추론되며, 데이터가 대부분 잘 이해되거나 검증되지 않은 구성과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면, 추론된 현상은 강력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심리학에서 강력한 현상이 없는 한 가지 원천은 구성 검증 과정에 대한 강조의 부족이다.
However, epistemic iteration and validation of psychological constructs is crucially important for finding a way out of the theory crisis. As we argued in the previous section, the basis for good theories is robust phenomena. Phenomena, in turn, are inferred from data, and if the data are based on constructs and measurements that for the most part have not been well understood or validated, the phenomena that are inferred are unlikely to be robust. In other words, one source for the lack of robust phenomena in psychology is the lack of emphasis on the process of construct validation.

심리학적 이론과 원인 규명의 문제
Psychological Theories and the Problem of Finding Causes

심리학에서 좋은 이론이 그렇게 적은 세 번째 이유는 심리적 원인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좋은 이론의 주요 특징은 어떤 식으로든 인과관계를 추적해야 한다는 데 널리 동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윈의 진화론은 진화의 원인(자연선택)을 기술했고, DNA 이론은 유전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기술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심리학적 이론들이 정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한, 정신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또한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은 타당하다. 즉, 심리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포착해야 한다.
The third reason why there are so few good theories in psychology is that finding psychological causes is extremely challenging. It is widely agreed that a key feature of good theories is that they should, in one way or another, track causal relationships (e.g., Craver, 2007; Pearl, 2000; Woodward, 2003). For example, Darwin’s theory of evolution described the causes of evolution (natural selection), and the DNA theory describes the causal mechanism of inheritance. In this light, it is reasonable to require that psychological theories, insofar as they aim to explain how the mind works, should also reflect the causal mechanisms of the mind (Bechtel, 2008; Thomas & Sharp, 2019). In other words, they should captur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그러나 문제는 Eronen(2020)에서 광범위하게 주장되었듯이 심리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발견하는 것이 종종 극도로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인과관계를 명확하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추론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는 개입주의적 인과관계의 틀에 의존한다. 
The problem, however, is that discover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is often extremely difficult or impossible, as extensively argued in Eronen (2020). To explain why, we rely on the framework of the interventionist theory of causation (Woodward, 2003, 2015; see also Pearl, 2000, 2009), which lays out the conditions for inferring causal relationships in a clear and general way.

[인과관계]의 특징은 (상관관계와 달리) 조작과 통제에 이용될 수 있는 관계라는 것이다. [원인에 개입]하는 것은 [효과의 변화]를 가져오는 방법이다. 개입주의 이론은 이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다음과 같이 인과관계를 정의한다. 다른 변수가 해당 값에 고정되어 있을 때 X에 개입하여 Y를 변경할 수 있는 경우에만 X가 Y의 원인입니다. [개입]은 [Y에 대한 X의 교란 없는unconfounded 조작]이어야 한다: 즉, 'X를 조작'했을 때, [X를 거치지 않는 다른 경로]를 통해 Y를 변화시켜서는 안 된다. (더 정확한 정의는 Eronen, 2020; Woodward, 2003 참조). 실제로 개입을 수행할 필요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닙니다. 
때때로 예를 들어 관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간접적으로 개입의 효과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루빈의 인과관계 모델(예: 루빈, 2005)이나 캠벨의 인과관계 모델(예: 샤디쉬 외, 2002)과 같이 심리과학자들에게 더 친숙한 인과관계에 대한 다른 접근법에서도 동일한 생각이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causal relationships is that (unlike correlations) they are relationships that are exploitable for manipulation and control: Intervening on the cause is a way of bringing about a change in the effect. The interventionist theory takes this as the starting point and defines causation (roughly) as follows: X is a cause of Y if (and only if) it is possible to intervene on X to change Y when other variables are held fixed to their values. The intervention should be an unconfounded manipulation of X with respect to Y: The manipulation of X should not change Y via any other route that does not go through X (for more precise definitions, see Eronen, 2020; Woodward, 2003).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actually perform an intervention; sometimes it is possible to gain knowledge about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indirectly, for example, on the basis of observational data. The same ideas also appear in different forms in other approaches to causation that are more familiar to psychological scientists, such as Rubin’s causal model (e.g., Rubin, 2005) or Campbell’s causal model (e.g., Shadish et al., 2002).

무작위 대조 시험은 일반적으로 인과 추론을 위한 "금본위제"로 간주되며 위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예를 들어, 약물 실험에서 참가자는 무작위로 치료 및 대조군에 할당되며, 이 무작위화는 원인(약물)과 효과(회복)가 아닌 다른 변수를 "고정"하는 효과를 생성한다. 치료 그룹의 참가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개입은 근거가 없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알약에는 약물 자체를 순환하는 원인 경로를 통해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성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usually taken to be the “gold standard” for causal inference and for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For example, in a drug trial, participants are randomly assigned to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nd this randomization generates the effect of “holding fixed” other variables than the cause (the drug) and the effect (recovery). The intervention of administering the drug to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uld be unconfounded: For example, there should not be other ingredients in the pill that would affect recovery through a causal route that goes around the drug itself.

많은 [심리 실험]은 약물, 교육 자료 또는 시각 및 청각 자극과 같은 비심리적 원인의 조작을 포함한다(Eronen, 2020). 이러한 경우, 올바른 종류의 개입을 수행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다른 분야보다 어렵지 않다. 따라서 다음의 주장은 외적 독립 변수를 조작하고 심리적 영향을 추적하는 빌헬름 분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실험 전통과 관련이 없다. 그러나 정신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기술하는 [실체적인 심리학 이론substantive psychological theory]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외부 독립 변수]와 [심리적 변수] 사이의 인과 관계를 확립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는 또한 [심리적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배울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것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개입이 심리적 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배울 필요가 있다.

Many psychological experiments involve the manipulation of nonpsychological causes, such as drugs, educational materials, or visual and auditory stimuli (Eronen, 2020). In such cases, performing the right kinds of interventions is in principle not more difficult than in other fields. Therefore, the following arguments do not concern the venerable experimental tradition, going all the way back to Wilhelm Wundt, of manipulating external independent variables and tracking their psychological effects. However, if the aim is to develop substantive psychological theories that describe causal mechanisms of the mind, establish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 independent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s not enough: We also need to learn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o do this, we need to learn about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심리적 변수]에 대한 개입의 문제는 일반적으로 "뚱뚱한 손"이라는 것이다. 이 variable는 대상 variable 하나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다른 variable도 바꿔놓습니다. 생각이나 영향 등 심리적 변수를 직접 조작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대신, 그들은 구두 지시나 다른 외부 자극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작되어야 하며, 그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변수만 변경할 정도로 정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적어도 현재) 동기, 주의 또는 불안감과 같은 다른 심리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통제력 상실의 감정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심리적 변수는 예를 들어 자기 보고서나 행동 대용물을 기반으로 간접적으로만 측정할 수 있다(De Houwer, 2011). 따라서 개입이 정확히 어떤 변수를 변경했는지, 따라서 어느 정도까지 뚱뚱했는지 검증하거나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The problem with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is that they are typically “fat-handed” (Eronen, 2020)4: They do not change just the one variable that is targeted but several other variables as well. This is because there is no direct way of manipulating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thoughts or affects (Chiesa, 1992; Hughes et al., 2016). Instead, they have to be manipulated indirectly via verbal instruction or other external stimuli, and such techniques are typically not precise enough to change just one variable. For example, it is (at least currently) impossible to manipulate feelings of loss of control without changing any other psychological states, such as motivation, attention, or feelings of anxiety. Moreover, psychological variables can be measured only indirectly, for example, on the basis of self-reports or behavioral proxies (De Houwer, 2011).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verify or check what variables the intervention precisely changed and therefore to what extent it was fat-handed.

이것은 심리적인 원인을 찾는 데 문제를 일으키는데, 왜냐하면 개입이 뚱뚱할 때, 우리는 그것들이 [인과적 추론]을 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교란 없는unconfounded 조작manipulation]이라고 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그것들이 추정 원인 X를 통과하는 경로를 통해서만 추정 효과 Y를 변화시킨다고 가정할 수 없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다시 한번 자아 고갈 연구에 초점을 맞추자. 자아 고갈 실험에서, 자기 통제는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된다(예: 참가자가 복잡하거나 좌절하는 작업이나 게임에 참여하게 하거나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은 유혹을 뿌리치게 함으로써). Friese et al., 2019. 두 번째 작업에서 자기 통제가 성능 저하의 원인이라는 결론을 보증하기 위해, 이러한 개입은 추정 효과(즉, 두 번째 작업에서 성능 저하)와 관련하여 근거 없는 자기 통제의 조작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 그들은 효과의 다른 가능한 원인(예: 동기, 주의, 분노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자기 통제를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개입의 다소 일반적인 성격과 자기 통제 및 관련 구성(동기, 주의 등)의 인과 구조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현실적으로 이것이 사실이라고 가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쿠키를 먹고 싶은 유혹에 저항하는 것은 또한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거나 분노와 좌절의 감정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는 자아 고갈 실험이 감소된 자기 통제 자원이 두 번째 작업에서 성능 저하에 대한 원인이라는 충분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실제로 최근 연구 상태에 대한 검토에서 도달한 결론과 일치한다.

This creates a problem for finding psychological causes because when interventions are fat-handed, we cannot assume that they are unconfounded manipulations that license causal inferences. More specifically, we cannot assume that they change putative effect Y only via a route that goes through the putative cause X. To illustrate this, let us again focus on ego-depletion research. In ego-depletion experiments, self-control is manipulated in very diverse ways (e.g., by letting participants engage in a complex or frustrating task or game or by letting them resist the temptation to eat delicious food; Friese et al., 2019). To warrant the conclusion that self-control is the cause of impaired performance in the second task, these interventions should be unconfounded manipulations of self-control with respect to the putative effect (i.e., impaired performance in the second task). In other words, they should change self-control in such a way that other possible causes of the effect are not affected (e.g., motivation, attention, feelings of anger). However, given the rather general nature of the interventions and our lack of knowledge of the causal structure of self-control and related constructs (motivation, attention, etc.), we cannot realistically assume that this is the case (Friese et al., 2019). For example, resisting the temptation to eat cookies might also affect motivation or induce feelings of anger and frustration. This means that ego-depletion experiments do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hat a diminished self-control resource is the cause for the impaired performance in the second task which is indeed in line with the conclusion reached in recent reviews of the state of the research (Friese et al., 2019; Inzlicht & Friese, 2019).

요약하면, [심리 변수에 대한 개입]은 [뚱뚱한 손]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러한 개입은 인과 추론의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지 못한다]. 심리변수에 대한 개입은 종류가 완전히 다르고 외부변수에 대한 개입보다 훨씬 어렵기 때문에 외부요인을 조작하고 그 심리적 영향을 추적하는 실험적 전통은 단순히 심리변수를 조작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없다(Chiesa, 1992; De Houwer, 2011 참조). 심리학 이론이 인과관계를 추적해야 하는 한, 이는 심리학에서 좋은 이론이 왜 그렇게 적은지, 그리고 왜 그렇게 발전하기 어려운지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In sum,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are likely to be fat-handed, and such interventions do not provide a reliable basis for causal inference. The experimental tradition of manipulating external factors and tracking their psychological effects cannot simply be extended to manipulate psychological variables, as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variables are entirely different in kind and far more difficult than interventions on external variables (see also Chiesa, 1992; De Houwer, 2011). Insofar as psychological theories should track causal relationships, this is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why there are so few good theories in psychology and why they are so difficult to develop.

논의
Discussion

이 글에서는 좋은 심리이론을 개발하는 데 있어 세 가지 근본적인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였다. 

  • (충분한) 강력한 현상의 부족,
  • 심리적 구조에 대한 타당성과 인식론적 반복의 부족,
  • 심리적 원인 정립의 문제 등

이러한 문제들은 이론 위기 해결에 진전을 이루기 위해 다루어지고 논의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문제에 기초하여 심리 연구에 대한 몇 가지 권장 사항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In this article, we have discussed three fundamental difficulties in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 the lack of (sufficient) robust phenomena,
  • the lack of validity and epistemic iteration for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 the problem of establishing psychological causes.

These issues should be addressed and discussed to make progress in resolving the theory crisis. We now outline several recommendations for psychological research on the basis of these issues.

첫째, 우리의 논의는 심리학에서 최근 더 많은 "현상 감지" 또는 "현상 주도 연구"에 대한 요구를 지지한다.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고, 이미 발견된 것에 대한 보다 강력한 증거를 수집함으로써 가능한 이론의 공간은 제한될 것이다. 

First, our discussion supports the recent calls for more “phenomena detection” or “phenomenon-driven research” in psychology (Borsboom et al., 2021; De Houwer, 2011; Haig, 2013; see also Trafimow & Earp, 2016). By discovering new phenomena and gathering more robust evidence for those already discovered, the space of possible theories will be constrained.

[현상 주도 연구]를 지지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현상이 과학과 사회에 매우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Eronen, 2020). 
예를 들어 확증편향과 같이 심리학자들이 발견한 광범위한 인지편향은 대부분 매우 강력한 현상이다(길로비치 외, 2002).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이 제안되었는데, 예를 들어, 사람들이 간단한 휴리스틱으로 어려운 계산을 대체한다고 보는 [속성-대체 이론]이나, 이것보다 훨씬 일반적인 [이중 시스템 이론](Kaneman & Frederick, 2002)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들은 현상 자체보다 훨씬 더 논란이 많다. 더욱이, 이러한 [현상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은 비록 우리가 그 이면의 이론이나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더라도 과학과 사회에 매우 중요하다. 심리학에서 발견된 광범위한 다른 강력한 현상, 예를 들어, 사람들이 [익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익숙한 자극]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현상도 마찬가지다(즉, 단순한 노출 효과; Bornstein, 1989). 이러한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 그리고 그것을 기술하는 것]은 그것들을 설명할 수 있는 받아들여진 이론이 없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Another important reason to support phenomenon-driven research is that phenomena can also be extremely important for science and society as such (https://doi.org/10.1016/j.newideapsych.2020.100785"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745691620970586#">Eronen, 2020): Consider, for example, the broad range of cognitive biases that psychologists have discovered, such as confirmation bias, most of which are very robust phenomena (Gilovich et al., 2002). Various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ese phenomena, such as the attribute-substitution theory, according to which people substitute difficult computations with simple heuristics, or the more general dual-system theory (Kahneman & Frederick, 2002). However, these theories are far more controversial than the phenomena themselves. Moreover, knowing that these phenomena exist is extremely important for science and society, even if we do not know the theory or mechanism behind them. The same holds for a broad range of other robust phenomena discovered in psychology, for example, the phenomenon that people tend to prefer familiar stimuli to unfamiliar ones (i.e., the mere-exposure effect; Bornstein, 1989). Simply knowing that these phenomena exist and describing them is useful, even in the absence of an accepted theory that would explain them.

발견되고 기술되는 것 외에도, [서로 다른 현상들에서 공유된 추상적 구조]를 찾아냄으로써 현상을 더욱 분석할 수 있다(Hughes et al., 2016). 예를 들어, 추상적 수준에서, [끊임없이 전화기를 확인]하고 [사탕으로 아이들의 좋은 행동을 보상하는 것]이라는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현상들은 둘 다 (긍정적) 강화의 사례로 볼 수 있다(Hughes et al., 2016). 이러한 모든 이유로, [현상 탐지]는 그 자체로 중요한 목표이자 심리 연구의 중심적인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Fiedler, 2017; Haig, 2013; Rozin, 2001 참조).
In addition to being discovered and being described, phenomena can also be further analyzed by looking for shared abstract structures in different phenomena (Hughes et al., 2016). For example, at an abstract level, phenomena as different as constantly checking your phone and rewarding the good behavior of children with candy can both be seen as instances of (positive) reinforcement (Hughes et al., 2016). For all of these reasons, phenomena detection should be seen as an important goal in itself and as a central part of psychological research (see also Fiedler, 2017; Haig, 2013; Rozin, 2001).

그러나 우리는 결코 심리학에서의 이론화가 절망적이거나 자원의 낭비이거나 정신적 과정에 대한 이론이 비과학적이라고 거부되는 일종의 행동주의로 돌아가야 한다고 제안할 생각은 없다. 우리가 제기한 문제는 극복할 수 없는 장애물이 아니라 주어진 영역에서 좋은 심리학 이론이 개발되기 전에 충족되어야 할 도전으로 보아야 한다.
However, we by no means intend to suggest that theorizing in psychology is hopeless or a waste of resources or that we should return to a kind of behaviorism in which theories about mental processes are rejected as unscientific. The issues we have raised should not be seen as insurmountable obstacles but rather as challenges that need to be met before good psychological theories can be developed in a given domain.

이제 다음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문헌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는 주제인 [심리이론을 좀 더 수학적으로, 형식적으로 만드는 것]이 과학으로서 심리학의 상당한 발전으로 이어질지 의문이다.5 우리가 논의한 문제들 중 어떤 것도 심리학 이론을 공식화하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심리 이론을 formalize하더라도) 여전히 [이론을 제약할 강력한 현상]은 많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며, 따라서 [사용된 구인]이 더 유효해지지도 않을 것이며, 공식적인 처치formal treatment만으로는 [인과관계와 뚱뚱한 개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생명과학에서 많은 성공적이고 매우 중요한 이론들은 형식화되거나 수학적인 이론이 아니다. (예: 발효 이론 또는 시냅스 전달 이론; Bechtel & Richardson, 1993; Machamer, Darden & Craver, 2000) Rozin(2001; Morey et al., 2018 참조)이 지적한 바와 같이, 복잡한 통계 및 계산 모델을 사용한다고 해서 심리학이 더 과학적이지는 않으며, [개념 및 경험적 기초(예: 강력한 현상)]가 아직 견고하지 않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This brings us to our next point: It is doubtful whether making psychological theories more mathematical or formal, which is a common theme in the recent literature (e.g., Borsboom et al., 2021; Muthukrishna & Henrich, 2019; Oberauer & Lewandowsky, 2019; van Rooij & Baggio, 2021), will lead to significant advances in psychology as a science.5 None of the problems we have discussed is solved by formalizing psychological theories: There will still be no large body of robust phenomena to constrain the theories, the constructs used do not become more valid, and a formal treatment alone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causality and fat-handed interventions. Moreover, many successful and extremely important theories in the life sciences are not formalized or mathematical theories (e.g., the fermentation theory or the theory of synaptic transmission; Bechtel & Richardson, 1993; Machamer, Darden & Craver, 2000). As pointed out by Rozin (2001; see also Morey et al., 2018), using complex statistical and computational models does not make psychology more scientific and can be even counterproductive if the conceptual and empirical basis (e.g., robust phenomena) is not yet solid.

마지막으로, [이론의 기초]로서 [명확하고 투명하게 정의된 개념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는 이론의 공식화와는 다르다. 개념은 [정성적으로 공식화된 이론]에서도 잘 정의될 수 있으며(예: 다윈의 진화론), 형식 이론은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개념을 요소로 가질 수 있다(예: 명확한 수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중심 개념 "밈"이 잘 정의되지 않은 밈학 모델; Kronfeldner, 2011). [개념적 명확화]와 [구인 타당화construct validation]은 연구의 중요하고 가치 있는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validation은 단지 넘어야 할 장애물이 아닌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과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우리가 볼 때, 심리학 이론의 개념적 기초를 강화하는 것은 적어도 심리학 연구에서 통계적 기법과 관행을 향상시키는 것만큼 중요하다.

Finally, it is hard to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having clearly and transparently defined concepts as the basis for theories. Note that this is not the same as formalization of theories: Concepts can be well defined in qualitatively formulated theories as well (e.g.,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formal theories can have poorly defined concepts as their elements (e.g., models in memetics that have a clear mathematical structure but for which the central concept “meme” is not well defined; Kronfeldner, 2011).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construct validation should be seen as an important and valuable parts of research, and validation should be taken to be an iterative and ongoing process instead of just a hurdle that needs be crossed. In our view, strengthening the conceptual basis of psychological theories is at least as important as improv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practices in psychological research.

장기적으로, 이것은 [명확하게 정의되고, 명확하게 측정 가능한 구인]을 가지게 해줌으로써, [표적 개입]을 수행하고 그 영향을 추적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어주고, 궁극적으로 [인과 추론] 문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충분히 [잘 정의된 구조]와 [타당한 측정]으로, 순수한 [관측 데이터로부터 인과 관계를 추론]할 수도 있다(예: Eronen, 2020; Roher, 2018 참조). 심리학적 원인을 찾는 문제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반응은, 예를 들어, 현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상적 기능 원리의 형태로 [비인과 이론noncausal theory]을 개발하는 것이지만, [비인과 이론]이 진정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는 현재 진행 중인 논쟁의 문제이다.

In the long run, this will also help with the problem of causal inference, as having clearly defined and clearly measurable constructs makes it easier to perform targeted interventions and to track their effects. With sufficiently well-defined constructs and valid measurements, it may also be possible to eventually infer causal relationships from purely observational data (for more, see, e.g., Eronen, 2020; Rohrer, 2018). Another possible reaction to the problem of finding psychological causes is to develop noncausal theorie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bstract functional principles extracted from phenomena (De Houwer, 2011; Hughes et al., 2016), although whether noncausal theories can be truly explanatory is a matter of ongoing debate (see, e.g., Reutlinger & Saatsi, 2018).

다행히도, 우리가 위에서 설명한 좋은 관행을 예시하는 심리학의 지속적인 연구 프로그램들이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자아 고갈 연구]에서 실망한 이후, [자기 통제 및 관련 개념]과 같은 핵심 구조를 더 잘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검증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더 넓은 예는 먼저 [환경-행동 관계(강력한 현상)]를 확립한 후 [매개자 역할]을 하는 명확하게 정의된 정신적 구조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설명을 공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능-인지 패러다임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Robinaugh 외 연구진(2020)은 이러한 특정 장애에 맞춤화되어 현상에 의해 제약을 받는 공황 장애에 대한 이론을 제안하고, 저자들은 또한 핵심 개념을 정의하는 데 명시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Fortunately, there are ongoing research programs in psychology that exemplify the good practices we have describe above. For example, after the recent disappointments in ego-depletion research, there are now increasing efforts to better define the key constructs, such as self-control and related concepts, and to validate different ways of measuring them (Friese et al., 2019; Inzlicht & Friese, 2019; Lurquin & Miyake, 2017). A broader example is the functional-cognitive paradigm (De Houwer, 2011; Hughes et al., 2016) that aims at first establishing environment-behavior relations (robust phenomena) and then formulating explanations for them in terms of clearly defined mental constructs that act as mediators. Finally, as a more concrete example, Robinaugh et al. (2020) propose a theory for panic disorder that is tailored to this specific disorder and thereby constrained by phenomena (there is robust evidence for many central phenomena related to panic attacks), and the authors also explicitly focus on defining the key concepts.


결론적으로, 우리는 이론 위기의 근저에 있는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주제 그 자체인 심리학이 좋은 이론을 개발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라고 믿는다(Meehl, 1978). 현대 과학 철학을 바탕으로, 우리는 심리학적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한 세 가지 핵심 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론을 제약할 만큼 [강력한 현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구인를 정의하고 검증]하는 데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며, 심리적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우리는 이 기사가 이러한 중요한 문제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옴으로써 심리학의 이론적 토대를 위한 보다 견고한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o conclude, we believe that the most fundamental factor underlying the theory crisis is that the subject matter itself, psychology, makes it very hard to develop good theories (https://doi.org/10.1037/0022-006X.46.4.806"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745691620970586#">Meehl, 1978). Drawing on contemporary philosophy of science, we have discussed three central challenges to developing psychological theories: There are often not enough robust phenomena to constrain theories, not enough attention is paid to defining and validating constructs, and establishing psychological causes is very hard. We hope that this article brings more attention to these crucial issues and thereby helps to provide more solid building blocks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sychology.

 

 


Perspect Psychol Sci. 2021 Jul;16(4):779-788. doi: 10.1177/1745691620970586. Epub 2021 Jan 29.

The Theory Crisis in Psychology: How to Move Forward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Theoretical Philosophy.

2Department of Psychometr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Groningen.

PMID: 33513314

PMCID: PMC8273366

DOI: 10.1177/1745691620970586

Free PMC article

Abstract

Meehl argued in 1978 that theories in psychology come and go, with little cumulative progress. We believe that this assessment still holds, as also evidenced by increasingly common claims that psychology is facing a "theory crisis" and that psychologists should invest more in theory building.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the root cause of the theory crisis is that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extremely difficult and that understanding the reasons why it is so difficult is crucial for moving forward in the theory crisis. We discuss three key reasons based on philosophy of science for why developing good psychological theories is so hard: the relative lack of robust phenomena that impose constraints on possible theories, problems of validity of psychological constructs, and obstacles to discover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We conclude with recommendations on how to move past the theory crisis.

Keywords: causation; phenomena; robustness; theory; validity.

 

이론, 잃어버린 인물? GP교육 연구논문에서 제시되는 방식에 따라 (Med Educ, 2019)
Theory, a lost character? As presented in general practice education research papers
James Brown,1,2 Margaret Bearman,3 Catherine Kirby,2,4 Elizabeth Molloy,5 Deborah Colville6 & Debra Nestel1,7

 

 

서론
Introduction

  • 앨리스: '도대체 내가 누구야? 아, 정말 멋진 퍼즐이군요! … 제가 여기서 어느 쪽으로 가야 하는지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Alice: ‘Who in the world am I? Ah, that's the great puzzle! … Would you tell me, please, which way I ought to go from here?’
  • 체셔 고양이: '그것은 당신이 어디로 가고 싶은지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The Cheshire Cat: ‘That depends a good deal on where you want to get to.’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롤)1
(Alice in Wonderland, Lewis Carroll)1

소드는 [연구논문]을 ['드라마 속 인물'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가진 이야기]로 봐야 한다는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녀는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광범위한 리뷰를 기반으로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의학 교육 연구 논문의 이야기에서 [이론]은 종종 [잃어버린 캐릭터]이다. 학자들은 이론의 역할에 있어서 종종 부재, 저개발, 어색함 또는 사소한 것으로 파악한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있는 체셔 고양이는 길을 잃은 사람들을 위한 현명한 조언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누구이고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 아는 것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은지에 달려 있다. 본 논문은 일반실천(GP) 교육연구의 스토리텔링에서 이론의 역할을 어디서 도출하고 싶은지에 대한 이야기다.

Sword makes a compelling argument for research papers to be viewed as stories with abstract concepts as ‘characters in a drama’.2 She bases this on an extensive review of academic writing. From this perspective, theory is often a lost character in the storie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Scholars identify theory as frequently absent,3 underdeveloped4, 5 and awkward or trivial in its role.6, 7 The Cheshire Cat, in Alice in Wonderland ,1 has sage advice for the lost: knowing who we are and which way to go depends on where we want to get to. This research paper is a story about where we might want to get to in casting a role for theory in the storytelling of general practice (GP) education research.

이 논문을 이야기로 만들면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비극 이론]을 이야기의 가장 고귀한 형태로, 그리고 캠벨의 '단일 신화'에 대한 보다 현대적인 이론을 이용한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캠벨은 모두 도전으로 시작하여 미지의 세계로 들어가는 여정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서술한다. 아리스토텔레스 8은 알려진 주인공과 청중에게 의미 있는 설정을 규정한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의학 교육 연구의 광범위한 서술과 GP 교육 연구의 주인공인 이론을 소개한다.
In crafting this paper as a story, we draw on Aristotle's ancient theory of tragedy as the most noble form of story8 and Campbell's more modern theory of the ‘monomyth’.9 Both Aristotle8 and Campbell9 describe story in terms of a journey that starts with a challenge followed by an entry into the unknown that results in a discovery and concludes in a change for both the story's protagonist and the audience or reader. Aristotle8 prescribes a protagonist that is known and a setting that is meaningful to the audience. We therefore first introduce our protagonist, theory, in the narrating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broadly, and GP education research specifically.

호지스와 쿠퍼는 이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의미 있는 전체로서 전달되는 일련의 이슈에 대한 조직적이고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표현'. 이론의 성격은 세 가지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다.

  • 첫 번째 관점, [범위scope]대통합 이론으로 시작하여, 시스템과 관련된 거시 이론, 특정 개입과 관련된 미시적 또는 프로그램 이론에 이르는 범위를 포함한다.
  • 두 번째 관점은 [연구 패러다임]과 관련된 이론의 위치에 관한 것이다.
    • 예를 들어, 후기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이론은 외부 불변의 진리의 표현으로 위치할 수 있다. 성인 학습 이론과 인본주의와의 정렬과 같이 문화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념과 일치하는 이론은 이러한 방식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대조적으로, 구성주의 패러다임에서 이론은 관심 있는 현상에 대한 임의의 수의 유용한 렌즈 중 하나로 위치할 수 있다. 이 관점은 이론이 목적에 부합하기 때문에 역할을 하는 이론에 대한 보다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다. 
  • 세 번째 관점은 [인간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취한 렌즈]를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Bladley 등은 의학 교육에서 널리 사용되는 세 가지 렌즈를 식별한다. 여기에는
    • 사고, 감정, 행동의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인지-행동 기계론적 렌즈],
    •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는 개인에 초점을 맞춘 [휴머니즘적 렌즈],
    • 학습의 사회적 맥락에 초점을 맞춘 [사회문화적 렌즈]가 포함된다.

Hodges and Kuper define theory as: ‘an organised, coherent, and systematic articulation of a set of issues that are communicated as a meaningful whole.’10 The character of theory can be viewed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 The first perspective, scope, embraces a range that extends from grand unifying theories to macro theories pertaining to a system, and to micro or programme theories pertaining to particular interventions.3, 11 

> The second perspective concerns the position of the theory with respect to a research paradigm. For example, from a post-positivist paradigm, theory can be positioned as an expression of an external immutable truth.4 Theories that align with culturally accepted beliefs, such as adult learning theory and its alignment with humanism,12 lend themselves to being positioned in this way. By contrast, from a constructivist paradigm, theory can be positioned as one of any number of useful lenses on a phenomenon of interest.13 This view has a more utilitarian approach to theory in which a theory is cast a role because it fits a purpose.11, 14 

> The third perspective refers to the lens taken on what it is to be a human. From this perspective, Bleakley et al. identify three prevalent lenses in medical education.6 These include a cognitive–behavioural mechanistic lens focusing on processes of thinking, emotion and behaviour,15, 16 a humanistic lens focusing on an individual realising his or her potential,17, 18 and a sociocultural lens focusing on the social context of learning.19

이론을 연구 이야기로 쓰는 것은 의학 교육 연구에서 [이론의 역할]에 대한 개념과 반드시 연관되어 있다.

  • 리스와 몽루스는 이론을 [선험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의미를 만들기 위한 프레임]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 하나의 틀로서, 이론은 여러 연구 프로그램에 걸쳐 교육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일관성coherence을 제공할 수 있다.
  • 비에스타 외 연구진은 [의미를 만드는 역할]에 이론을 캐스팅했다. 이 역할에서 그들은 이론에 대해 세 가지 가능한 과제를 식별한다: 인과관계 설명; 타당성에 대한 해석, 그리고 숨겨진 것을 가시화함으로써 해방.
  • Malterud 등은 [신뢰성credibility]에 대한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네스텔과 베어맨은 이론이 '사람들이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가르침이 집행되는지에 대한 이해'로서 조명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론은 연구 스토리에 기여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 자체의 대상이 되는 만큼 변화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The writing of theory into a research story is necessarily entwined with conceptions of the role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 Rees and Monrouxe recommend using theory as a frame to provide a priori orientation and for making meaning.3 As a frame, theory can provide coherence in advancing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a across multiple programmes of research.20 

> Biesta et al. cast theory in a role in making meaning.21 In this role they identify three possible tasks for theory: causal explanation; interpretation for plausibility, and emancipation by making the hidden visible.21 

> Malterud et al.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ory for credibility.22 

> Nestel and Bearman suggest that theories provide illumination as ‘understandings of how people learn and how teaching is enacted’.11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research story, theory should be an object of change as it is subjected to the research itself.7, 23

학자들은 교육 연구자들이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이론과 그들이 창작하는 문헌에 등록할 것을 요구한다. 주요 의학전문지들은 연구논문이 이론에 대한 의미 있는 역할을 포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07년 주요 의학 교육 저널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을 조사한 결과, 논문의 절반 가까이가 이론이나 개념적 틀을 명시적으로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cholars call for education researchers to enrol theory in their work and in the literature they generate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quality.5, 10, 20 Key medical education journals expect research papers to include a meaningful role for theory.24, 25 A 2007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leading medical education journals indicated that close to half of papers did not explicitly include either a theory or a conceptual framework.26

연구 출판물에 이론의 더 나은 참여에 대한 요구는 이론의 본질과 사용 방법에 대한 연구자들 사이의 더 큰 이해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비스타 등은 [이론의 숙련된 사용]을 [이론적 감식안]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어진 맥락에서 어떤 이론이 연구 목적에 도움이 될 수 있고 그 이론이 어떻게 그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인식하는 능력이다. Biesta 등은 [이론적 감식안]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이론이 현재 교육 연구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가 이론이 연구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 중 하나는 그것이 연구 내러티브에 쓰여지는 방식을 통해서이다.

The call for better engagement of theory in research publications suggests a need for greater understanding amongst researchers of the nature of theory and how to use it.10 Biesta et al. identify the skilled use of theory as theoretical connoisseurship.21 This is the capacity to recognise which theory might serve the research purpose in a given context and how that theory might be used for that purpose. Biesta et al. suggest that to progress theoretical connoisseurship, we need first to know what and how theory is currently being used in education research.21 One of the only ways we can know how theory is used in research is through the way it is written into research narratives.

저희 연구팀은 교육이론, 연구이야기 작성, 가정의학 직업교육 연구 등에 관심이 있습니다. GP는 GP의 일이 개인과 공동체 내러티브에 의해 정의되는, 일상 생활의 평범한 세계에 위치한다. GP에 관한 직업교육은 주로 업무 중심이다. 의학교육 연구 문헌에 이론을 폭넓게 포함시켜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웹스터 등은 '가족의학 교육 연구에 더 많은 이론적 틀을 통합할 필요성'을 파악한다. 본 문헌 검토에서 우리의 전반적인 목표는 이론이 연구 내러티브에 어떻게 쓰여질 수 있는지 탐구함으로써 GP 직업 교육 연구에서 이론적 감각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리는 또한 GP 직업교육 연구의 문헌에서 이론의 사용을 이해하는 것이 의학 교육과 더 광범위하게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Our research team has an interest in education theory, the writing of research stories and GP, family medicine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General practice is situated in the ordinary world of day-to-day living in which the work is defined by personal and community narratives.27, 28 General practice vocational education is principally work-based.29 In line with the call for the greater inclusion of theory in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literature broadly, Webster et al. identify ‘the need to incorporate more theoretical frameworks into family medicine education research’.30 Our overall aim in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develop theoretical connoisseurship in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through exploring how theory can be written into its research narratives. We also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 use of theory in the literature of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is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more broadly.

우리의 조사 여정을 안내하기 위해, 우리는 과제를 구성하는 세 가지 관련 질문을 한다. GP 직업 연구 사례:

  • 어떤 이론들이 명확한 역할을 부여받고 있는가?
  • 이론에는 어떤 임무와 역할이 할당되어 있는가?
  •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이 제시되는 방식은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To guide our investigative journey, we ask three related questions which frame the challenge. In GP vocational research stories:

  1. What theories are being given an explicit role?
  2. What tasks and roles are being assigned to theory?
  3. What impact does the way theory is presented in the research story have on the reader?

방법들
Methods

연구설계
Study design

GP 직업 연구에서 이론이 무엇과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조사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체계적인 범위 문헌 검토를 선택했다.31 우리는 선택된 논문이 (연구팀의 선호에 부합하는 논문이 아니라) 현장에 의한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의 사용을 포함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논문 선택에 대한 헤르메네틱 접근 방식보다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우리는 논문 샘플에 세 가지 분석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 (i) 기술된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 분석 
  • (ii) 이론에 할당된 역할과 이것이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주제 분석, 그리고 
  • (iii) 이론 표현이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휴리스틱 분석. 

휴리스틱 분석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 기사와의 참여, 
  • 독자로서의 경험에 대한 개별적 성찰, 그리고 
  • 이 경험에 대한 설명, 그리고 다른 연구원과의 대화. 

In order to address the challenge of investigating what and how theory is represented in GP vocational research, we chose a systematic scoping literature review.31 We took a systematic rather than a hermeneutical approach32 to paper selection to ensure that our selected papers covered the uses of theory in research stories by those in the field rather than by those that aligned with the preferences of the research team. We used three analytic approaches to our sample of papers:

  • (i) content analysis for the descriptive component;
  • (ii) thematic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roles assigned to theory and how this was done,33 and
  • (iii) heuristic analysis for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representation of theory on the reader.34 

The heuristic analysis involved the following:

  • engagement with an article;
  • individual reflection on our experience as a reader, and
  • explication of this experience independently and then in conversation with another researcher.

우리의 주제 분석 및 휴리스틱 분석은 접근 방식에서 해석적이고 구성적이었으며, 데이터와 상호 작용할 때 우리 연구팀이 생성한 통찰력과 경험을 활용했다. 따라서 반사적으로 각 저자의 관련 관점을 제시한다.

Our thematic and heuristic analyses were interpretative and constructivist in approach and drew on the insights and experiences generated by our research team as they interacted with the data. We therefore reflexively35 present the relevant perspectives of each author.

JB는 일반 실무자이며 GP 직업교육 전달 및 연구에 관여합니다. 그는 GP 직업교육의 연구역량 구축에 관여하고 있다. JB는 현재 GP에서 해석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업무 기반 학습에 중점을 둔 박사 후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이론 사용과 이론 구축에 관심이 있다.
JB is a general practitioner and involved in GP vocational education delivery and research. He is involved in building research capacity in GP vocational education. JB is currently a PhD candidate with a focus on work-based learning in GP using an interpretative approach. In this context, he is interested in theory use and theory building.

MB는 건강 전문 교육, 특히 질적 연구 분야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교육학자이자 교육 연구원이다. 그녀는 이론, 가장 최근에 실용 이론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또한 문학평론 방법론에 매료되었다.
MB is an educationalist and education researcher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nd, particularly, in qualitative research. She has a keen interest in theory, most recently in practice theory. She is also fascinated by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CK는 GP, 심리학, 교육 분야에서 양적, 질적 연구 경험을 가진 학제간 연구원이다. CK는 GP 교육 연구와 전문적 개발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 아이디어 및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자 합니다.

CK i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er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in GP, psychology and education. CK has a strong interest in GP education researc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eeks to draw on knowledge, ideas and expertise from across disciplines.

EM은 물리치료사이며 15년 이상 보건 전문 교육 분야에서 일해 왔다. EM은 직장 학습, 직업 전환 및 학습을 촉진하는 피드백과 평가의 역할에 대한 연구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교육에서 사회적으로 내재된 현상을 조명하는 이론의 역할에 관심이 있다.
EM is a physiotherapist and has work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or over 15 years. EM has research interests in workplace learning, professional transitions and the role of feedback and assessment in promoting learning. She is interested in the role of theory in illuminating socially embedded phenomena in education.

DC는 경험이 풍부한 임상의, 임상 교육자 및 학자이며, 페미니즘(들)을 포함한 많은 사회 문화 이론을 안과 수술 주제에 대한 GP 교육을 포함하여 자신의 교육 관행에 더 잘 통합하고자 합니다.
DC is an experienced practising clinician, clinical educator and scholar who seeks to better integrate many sociocultural theories, including feminism(s), into her own teaching practices, including GP education in the topic of ophthalmic surgery.

DN은 3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보건 전문 교육자이자 연구원이다. 그녀는 교육 이론과 교수진 개발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주로 연구에서 해석적 입장을 채택하고 훈련생과 감독관의 정체성 개발에 초점을 맞춘 GP 교육 연구 프로그램에 기여했다.
DN is a health professions educationalist and researcher with over 30 years of experience. She has a particular interest in education theory and faculty development. She mainly adopts an interpretative stance in research and has contributed to a programme of research in GP education with a focus on identity development in trainees and supervisors.

논문 선택
Paper selection

우리는 논문을 선정하기 위해 PRISMA(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위한 선호 보고 항목) 지침을 따랐다(그림 1). 표 1에 자세히 나와 있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Ovid MEDLINE, Ovid PsychINFO, ERIC(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를 검색하였다. 이 용어들은 GP 대학원 직업교육에서 이론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발표된 연구 논문을 캡처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우리는 2013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발표된 논문으로 검색을 제한했다. 검색어를 식별하기 위해 의학교육에서 이론 사용에 관한 최근 출판물에서 사용된 '이론' 용어를 살펴보았다. 우리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알려진 논문들이 검색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었다. 팀(JB, MB, CK, EM, DC 및 DN)은 의도된 문헌에서 논문을 수집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포함 및 제외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논문의 선택을 읽었다. 제외 기준은 그림 1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우리는 이론이 [교육 개입의 내용]만을 프레임하고, [개입의 교육적 과정]을 프레임하지 않기 위해 사용된 경우 그 논문을 제외했다. PRISMA 지침에 따라 두 명의 연구원(JB와 CK)은 제목별로, 추상별로, 그리고 나서 전체 논문을 읽음으로써 논문을 선별했다. 논문 포함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구팀(MB)의 제3의 멤버를 투입해 최종 결정을 가능하게 했다.

We followed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s36 to select our papers (Fig. 1). We searched Ovid MEDLINE, Ovid PsychINFO and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re) using the search terms detailed in Table 1. These terms were designed to capture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GP postgraduate vocational education that explicitly referred to theory. We limited our search to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3 to June 2017 as this represented recency. We examined the ‘theory’ terms used in recent publications on theory use in medical education to identify search terms. Known papers that fulfilled our criteria were used to judge the adequacy of the search. The team (JB, MB, CK, EM, DC and DN) read a selection of papers to develop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at would achieve our purpose of collecting papers from our intended literature. The exclusion criteria are detailed in Fig. 1. We excluded papers when theory was used to frame only the conten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not to frame the educational process of the intervention. Adhering to the PRISMA guidelines, two researchers (JB and CK) screened papers by title, by abstract and then by a reading of the full paper. Where consensus could not be reached on the inclusion of a paper, a third member of the research team (MB) was engaged to enable a final decision.

 

분석.
Analysis

우리의 분석은 해석주의자구성주의자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우리는 데이터와 상호 작용하면서 반복적으로 분석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개념화를 개발했다. 우리의 범주는 연역적 및 귀납적 질문의 합성을 사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우리의 [범주의 개발]은 우리의 질문에 의해 프레임이 잡혔고, 교육 연구에서 이론의 역할에 대한 최근의 문헌을 읽음으로써 그리고 우리의 선택된 논문에서 이론이 표현되는 방법에 의해 알려졌습니다. 우리는 먼저 6개의 논문을 읽고 팀으로서 분석 범주의 초기 목록을 작성했다. 이러한 범주는 설명적, 해석적, 발견적이었으며 데이터에 대한 점진적 분석과 각자가 가져온 전문 분야별로 알려진 일련의 9개 회의에 걸쳐 다듬어졌다. 최종 분석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는 표 2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각 논문은 팀의 적어도 두 명이 분석했으며, JB는 자신이 작성한 두 개의 논문을 제외한 모든 논문을 분석했습니다.

Our analysis was undertaken from interpretivist and constructivist perspectives.35 We built an analytic framework iteratively as we interacted with the data and developed our conceptualisation. Our categories were developed using a synthesis of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inquiry:37 our development of categories was framed by our questions, and informed by our reading of recent literature on the role of theory in education research and by the way theory was represented in our selected papers. We first read six papers and, as a team, developed an initial list of analytic categories. These categories were descriptive, interpretative and heuristic and were refined over a series of nine meetings informed by our progressive analysis of the data and by the areas of expertise we each brought. The component parts of our final analytic framework are detailed in Table 2. Each paper was analysed by at least two of the team; JB analysed all papers except two that he had authored.

사용된 이론을 확인한 후, 우리는 이것을 의학 교육에서 취해진 세 가지 이론적 관점에 대한 Bleakley 외 연구진의 유형론으로 분류했다. 

  • 인지-행동주의적;
  • 인본주의적
  • 사회문화적. 

비록 우리는 이론들을 그들의 지배적인 관점으로 묶었지만, 우리는 이론들이 하나 이상의 관점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Having identified the theories used, we grouped these to Bleakley et al.'s6 typology of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taken in medical education: cognitive–behavioural; humanistic, and sociocultural. Although we grouped theories to their dominant perspective, we recognised that theories may take more than one perspective.20, 38

우리는 저자들이 [이론이 무엇을 하도록 할당하고 있는지] 또는 [이론이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각 논문에서 이론에 할당된 작업을 결정했습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논문에서 이론에 할당된 과제]와 [캠벨의 '단신론monomyth' 이론에서 나온 전형적인 인물들의 과제] 사이의 유사점을 찾아냄으로써 [연구 이야기 내에서 역할을 가진 캐릭터로서의 이론의 개념화]를 발전시켰다. 캠벨은 위대한 이야기에는 각각 역할과 일련의 과제가 있는 전형적인 인물들이 있다고 이론화한다. 우리가 알아낸 과제와 유사한 역할을 가진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도전을 하고 변화와 깨달음의 여정을 시작하는 '영웅' 또는 주인공. 
  • 도전을 밝히는 '선구(선발)자'
  • 여정에서 영웅을 응원하는 '동맹자'
  • 여정을 위한 안내와 도구를 제공하는 '멘토자'

We determined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in each paper either according to what the authors said they were assigning theory to do or, more often, by identifying what theory was actually doing. Then we developed our conceptualisation of theory as a character with a role within a research story by looking for parallels between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in our papers and the tasks of Campbell's archetypal characters from his theory of the ‘monomyth’.9 Campbell theorises that great stories have archetypal characters, each with a role and a set of tasks.9 The characters that held roles with parallels to the tasks we identified were:

  • the ‘Hero’ or protagonist, who takes up a challenge and embarks on a journey of change and enlightenment;
  • the ‘Harbinger’, who brings the challenge to light;
  • the ‘Ally’, who supports the Hero on his or her journey, and
  • the ‘Mentor’, who provides guidance and tools for the journey.

마지막으로, 이야기의 척도가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따라, 8 우리는 독자인 우리가 논문의 이야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 각 논문에서 이론이 사용되는 방식의 영향을 휴리스틱하게 고려하였다.

Finally, following Aristotle's view that the measure of a story is its impact on its audience,8 we heuristically considered the impact of the way theory was used in each paper on how we, as readers, reacted to the story of the paper.34

결과.
Results

이론은 23편의 논문에 분명히 제시되었다. 선정 과정의 각 단계에서 확보한 논문이 그림 1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이론이 발견된 논문은 표 3에 우리의 발견 요소들과 함께 저자별로 나열되어 있다. 총 13편의 논문이 정성적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6편의 논문이 정량적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4편의 논문이 혼합 방법을 사용하였다.

Theory was explicitly present in 23 papers. The papers secured at each stage of our selection process are detailed in Fig. 1. The papers in which theory was found are listed by author in Table 3 with elements of our findings. A total of 13 papers used a qualitative methodology, six used a quantitative methodology and four used mixed methods.

 

어떤 이론과 어떤 유형의 이론이 사용되었는가?
What theory and what type of theory were used?

이론은 우리가 선택한 논문에서 벵거의 '실천 공동체' 이론과 같은 단독 이론'반성적 실천에 대한 이론화'와 같은 이론영역으로 모두 사용되었다. 어떤 논문들은 하나의 이론에 관여한 반면, 다른 논문들은 주로 하나의 이론에 관여하고 다른 이론들을 부차적인 목적으로 사용했다. 두 논문은 하나의 이론을 강조하지 않고, 여러 이론에서 도출된 구조와 아이디어를 사용했다. 총 18개의 [단독 이론discrete theory]과 3개의 [이론 영역areas of theorising]이 사용되었다. 표 4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각 이론은 이론의 주요 관점(인지적-행동적, 인본주의적 또는 사회문화적)의 유형론으로 분류된다. 가장 자주 취하는 관점은 휴머니즘적인 관점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론은 '성찰적 학습', '실천 공동체', '성인 학습'이었다.

Theory was used in our selected papers both as a discrete theory, such as Wenger's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39 and as areas of theorising such as ‘theorising on reflective practice’. Some papers engaged a single theory, whereas others primarily engaged one theory and used other theories for secondary purposes. Two papers used constructs and ideas drawn from multiple theories without emphasising any one theory.40, 41 A total of 18 discrete theories and three areas of theorising were used. These are detailed in Table 4, in which each theory is categorised to Bleakley et al.'s typology of a theory's primary perspective (cognitive–behavioural, humanistic or sociocultural).6 Perspectives, and then theories, are listed in order of their frequency of use as the primary perspective or primary theory. The most frequently taken perspective was a humanistic one. The most commonly used theories were those of ‘reflective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and ‘adult learning’.

 

theory에 할당된 과제
Tasks assigned to theory

우리는 선택한 논문의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에 할당된 [여섯 가지 다른 작업]을 확인했다. 이 발견은 대체로 우리가 논문에서 이론이 하는 것을 본 것에 의해 도출된 해석적 것이었다. 이론에 과제를 부여하는 데 있어서 명확한 논문은 거의 없었다. 6가지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저자가 취한 위치와 얼라인하기. 
  • (ii)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 (iii)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
  • (iv) 방법론적 도구 제공
  • (v) 결과 해석
  • (vi) 이론을 검토 대상으로 제시

We identified six different tasks assigned to theory in the research stories of our selected papers. This finding was largely an interpretative one derived by what we saw theory doing in the paper; few papers were explicit in assigning a task to theory. The six tasks were:

  • (i) to align with a position taken by the author;
  • (ii)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 (iii) to serve as a vehicle for an idea;
  • (iv) to provide a methodological tool;
  • (v) to interpret the findings, and
  • (vi) to represent an object of examination.

하나의 논문에서, 이론은(때때로 하나 이상의 이론이) 여러 업무에 할당될 수 있었을 것이다. 작업 이론에 할당된 내용에서, 우리는 우리의 집합 안에 형식은 이론적의 일은 일의 모범을 보이는 기사를 참조합니다.

Within a given paper, theory might have been assigned multiple tasks, sometimes by using more than one theory. In detailing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we reference articles within our set that provide examples of theory undertaking that task.

정렬을 이론
Theory for alignment

이론에 할당된 가장 빈번한 작업은 논문에서 취한 관점과 이론을 정렬하는 것이었다. 이론적 정렬은 다음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연구의 맥락; 연구 방법론의 선택 또는 만들어진 결론. 독자로서, 우리는 [정렬]을 [저자의 관점에 독자를 민감하게 하거나 입장에 대한 신뢰를 주기 위해 수행되는 포지셔닝 방법positioning manoeuvre]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언어는 이론이 '수용된 정통' 또는 '이상'의 지위를 부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gham 등은 다음과 같이 논문을 발표했다.

The most frequent task assigned to theory was to align theory with a perspective taken in the paper. Theoretical alignment might be performed for: the context of the research;42 the choice of research methodology,43 or conclusions made.41 As readers, we experienced alignment as a positioning manoeuvre performed either to sensitise the reader to the author's perspective44 or to give credibility to a stance.45 In this positioning, language could be used to give the theory the status of an ‘accepted orthodoxy’ or an ‘ideal’.46 Ingham et al. opened their paper with:


성인 학습 이론의 적용은, 학습자 중심의 접근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의학 교육에서 수십 년 동안 더 깊은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The application of adult learning theory, with its emphasis on a learner-centred approach, has for some decades in medical education been considered essential to facilitate deeper learning.47

 

이 오프닝으로, Ingham 등은 그들의 [논문의 목표]를 [성인 학습 이론]의 교리와 일치시키고, 이것을 [민감화하는 전략sensitising manoeuvre]으로 사용했다. 형용사 '본질적'을 사용하여 성인 학습 이론을 [노력하여 달성해야 할 이상]으로 위치시킨다. 논문의 뒷부분에서, 그들은 성인 학습 이론과 일치시킴으로써 그들의 결론을 정당화한다.
With this opening, Ingham et al.47 align the aim of their paper with the tenets of adult learning theory as a sensitising manoeuvre and, in using the adjective ‘essential’, position adult learning theory as an ideal to strive for. Later in the paper, they justify their conclusions by aligning them with adult learning theory:


이러한 행동은 학습자 중심의 성인 교육 접근법과 일치한다.
This behaviour is consistent with a learner-centred adult education approach.47

연구문제 파악을 위한 이론
Theory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일부 논문은 [연구 문제를 식별]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했다. Brumpton 등은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 스타일 이론]을 활용하여 수직적으로 통합된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 스타일과 학습 스타일 간의 불일치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표시함으로써 경험적 학습 이론을 사용했다. Van Roermund 등은 [성인 학습 이론의 원리]를 사용하여 동료 디브리핑 워크숍에서 [교육자의 기대와 믿음]을 [피교육자의 기대와 신념]과 일치시키는 문제를 표시했다.

Some papers used theory to identify a research problem. Brumpton et al. used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in this way by drawing on theories of learning styles to flag the possibility that there may be a problem with a mismatch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in their vertically integrated education programme.45 Van Roermund et al. used the tenets of adult learning theory to flag the problem of matching the expectations and beliefs of educators with those of trainees in their peer debriefing workshops.48

아이디어의 매개체로서의 이론
Theory as a vehicle for an idea

단독 이론은 때때로 [아이디어나 개념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다. 이러한 유형의 과제에 할당된 이론은 광범위한 통화currency를 가진 이론이었다.

  • [성인학습이론]은 [학습자 중심주의 사상]의 매개체로 활용되었다.
  • [경험학습]은 [실천의 맥락]에서 학습의 수단으로 이용되었고,
  • [실천공동체 이론]은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Discrete theories were sometimes tasked with serving as vehicles for ideas or concepts. Theories assigned this type of task were theories with broad currency. 
Adult learning theory was used as a vehicle for the idea of learner-centredness.47, 48 
Experiential learning was used as a vehicle for learning in the context of doing,40, 49 and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was used as a vehicle for the idea of people working together with a common purpose.50-53

방법론적 도구를 제공하는 이론
Theory providing a methodological tool

어떤 저자들은 이론에게 [방법론적 도구]를 도입하거나 만드는 과제를 주었다. 여기에는 데이터 수집 도구, 유형학 도구 및 분석 도구가 포함됩니다.

  • Grierson 등은 [계획 행동 이론]을 사용하여 GP 등록자의 향후 임상 실습을 위한 의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지를 설계]했다.
  • Keister 외 [드레퓌스의 기술 습득 모델]을 전공의 [발전과정progress을 채점]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Some authors gave theory the task of introducing or crafting methodological tools. These included tools for collecting data, tools for typology and tools for analysis. Grierson et al. us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design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on intentions for future clinical practice by GP registrars.54 Keister et al. used Dreyfus's model of skills acquisition for grading registrar progress.44

해석론
Theory for interpretation

비에스타 등은 이론이 '왜 사람들이 있는 그대로 말하고 행동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교육 연구에서 해석적 과제를 부여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해석 기능]의 예는 스톤이 의사들과 감독자들이 설명할 수 없는 의학적 증상을 다루는 방식을 이해하는 수단으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를 사용한 것이다.
Biesta et al. suggest that theory is given interpretative tasks in education research as a way of providing an answer to ‘why people are saying and acting in the way that they are’.21 An example of this interpretative function was Stone's55 use of symbolic interactionism a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way that doctors and supervisors dealt with unexplained medical symptoms:

이 연구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전통을 바탕으로 현실과 자아가 상호작용을 통해 알려지고 의사소통과 언어를 통해 표현된다는 기본적 가정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is grounded in the symbolic interactionism tradition with its fundamental assumption that reality and the self are known through interaction and expressed through communication and language.55

검토 대상으로서의 이론
Theory as an object of examination

우리는 이론이 검토 대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을 확인했다.

  • 첫 번째는 연구를 위한 이론의 전반적인 유용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global한 것이었고,
  • 두 번째는 이론적인 명제를 테스트하고 이론을 구축하고 확장하는 데 있어 particular한 것이었다.

Van den Eerweg 등은 의사소통 기술 학습에 대한 그들의 [연구 결과가 '변환적 학습 이론'과 일치한다고 판단]하며, 그 이론이 의사소통 기술 영역에서 추가 연구의 틀을 짜는 데 유용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론적 명제에 대한 시험은 [성찰이 행동의 변화를 이끈다는 '성찰의 이론']으로부터 명제를 검토했던 펠그림(Pelgrim) 등에 의해 수행되었다.

듀건 외 연구진은 의사-환자 의사소통에 대한 훈련생 성찰의 조사를 사용하여 이론 구축을 시도했다. 그들은 명시적과 암묵적 사이의 접점에 반성이 어떻게 자리 잡는지에 대한 표현으로서 [낚시꾼의 부유angler's float]에 대한 은유를 발전시키고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장을 강조하기 위해 그들의 연구를 사용했다.

We identified two ways in which theory was used as an object of examination.

  • The first was global in assessing the overall utility of a theory for a research purpose and
  • the second was particular in testing a theoretical proposition, and building and extending a theory.

Van den Eerwegh et al. determined that their findings on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were consistent with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nd hence concluded that the theory had utility for framing further research in the communication skills domain.56 

Testing of a theoretical proposition was undertaken by Pelgrim et al., who examined the proposition from ‘theories of reflection’ that reflection leads to change in action.46 

Duggan et al. endeavoured to theory build using an examination of trainee reflections on doctor–patient communication.57 They used their research to advance a metaphor of an angler's float as a representation of how reflection sit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explicit and the tacit and to highlight the tensions that can occur in this context.

이론의 역할 특성 분석
Characterisation of the role of theory

이론이 캐릭터인 스토리로서의 연구 논문의 개념에서, 우리는 샘플에서 이론에 할당된 과제와 캠벨의 '단설 이론'에서 원형 캐릭터에 할당된 과제와 역할 사이의 유사점을 찾았다. 우리는 캠벨의 8개의 원형 캐릭터 중 4개와 의미 있는 유사점을 발견했다. 이러한 내용은 표 5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In our conception of a research paper as a story in which theory is a character, we looked for parallels between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in our sample and the tasks and roles assigned to Campbell's archetypal characters in his ‘monomyth theory’.9 We found meaningful parallels with four of Campbell's eight archetypal characters. These are detailed in Table 5.

때때로 이론은 하나의 논문에서 두 개의 인물의 역할을 차지했습니다. 클레멘스 등은 실천이론 공동체를 '주역자'와 '멘토'로 분류했다. '주인공'으로서, 그 이론은 데이터에 의해 시험되었다. 이 이론은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것은 [이론이 연구에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가 이론에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과 일치했다.

Sometimes theory occupied two character roles in a single paper. Clement et al.43 placed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as both the ‘protagonist’ and the ‘mentor’. As the ‘protagonist’, the theory was tested by the data; as the ‘mentor’, the theory was used to interpret the data. This accorded with the imperatives for theory to inform research and for research to inform theory.

이론에 주어진 역할의 중요성
Prominence of the role given to theory

이론이 취하는 역할을 검토하면서, 우리는 중요한 주제로 이론에 부여된 '역할의 탁월성prominence of the role'을 확인했다. 우리는 역할의 중요도를 '카메오 캐릭터'에서 '주요 캐릭터'로 등급을 매겼다. 한 논문에서 하나 이상의 이론이 사용될 때, 각각의 이론은 다른 정도의 두드러짐을 줄 수 있다.

  • [카메오 캐릭터]로서의 이론은 전형적으로 서론이나 토론에서 한 두 문장으로 나타났다.
  • [주요 캐릭터]로서의 이론은 논문 전반에 걸쳐 중요한 존재였다.

중요성은 이론에 할당된 역할과 임무와 관련이 있었다. [카메오 역할]은 대부분 ('신뢰를 위한 정렬'이나 '아이디어의 매개체'라는 업무를 수행하며) '동맹' 역할을 했다. 월터스(Walters) 등은 변혁 이론의 카메오 역할을 맡았으며, 이 이론에 대한 간략한 언급을 통해 발견에 신뢰성을 더했다. 
In examining the role taken by theory, we identified the ‘prominence of the role’ assigned to a theory as an important theme. We graded role prominence from ‘cameo character’ through to ‘major character’. When more than one theory is used in a paper, each theory may be given a different degree of prominence.

  • A theory as a cameo character typically appeared in one or two sentences in either the introduction or the discussion.
  • A theory as a major character was a significant presence throughout the paper.

Prominence was related to the role and tasks assigned to theory. Cameo roles were mostly as an ‘ally’ in the tasks of ‘alignment for credibility’ or as ‘a vehicle for an idea’. Walters et al. gave transformative theory a cameo role by making a brief mention of this theory to add credibility to a finding:58

이 연구는 또한 개인들이 주요 긴장을 관리하는 데 있어 그들의 편안함의 한계를 확장하기 위해 감독관에 의해 스트레칭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발견은 사람들을 그들의 "지식의 가장자리"로 데려가는 것이 성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메지로의 변형적 학습 이론과 일치한다.58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can be stretched by supervisors to expand their limits of comfort at managing the key tension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hich recognises that taking people to their “edge of knowing” can result in growth.58

 

[방법론적 도구의 원천]으로서의 이론의 사용, 또는 [검토의 대상]으로의 이론의 사용은 이론의 prominence를 더 높인다.

Use of theory as a source for a methodological tool or use of theory as an object of examination matched with greater prominence.

관객의 입장
Audience stance

이론 사용의 영향을 고려함에 있어 '관객 입장'이라는 주제를 유의미하게 파악하였다. 우리는 교육자-실천가, 교수진, 정책 입안자, 연구자 및 이론가의 5가지 청중 입장을 각각 확인했다. 몇몇 논문들은 그들의 의도된 청중들에 대해 분명히 말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았다.

  • 논문의 대상 독자에 대해 명시되지 않은 경우, 논문의 관심 대상인 포커스 또는 주요 영역을 대상 독자의 지표로 사용했다(표 3).
  • Nothnagle 등의 촉진 토론 그룹 검토와 같이, 초점이 이산 개입인 경우, 우리는 청중을 [교육자-의사]로 식별했다.
  • 관심 영역이 Walter 등의 회복력 검사와 같이 [실용적인 관점에서 조사된 현상]이라면, 우리는 청중을 [교수진] 또는 [정책 입안자]로 파악했다.
  • 관심 영역이 [방법론적인 문제]라면, 우리는 청중을 [연구자]로 식별했다. 예를 들어, Grierson 등은 '포괄적 실무에 참여하려는 의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 이론을 사용했다.
  • 펠그림 등의 성찰 이론 검토와 같이 관심 영역이 [이론 개발]이었다면, 우리는 청중을 [이론가]로 받아들였다. 일부 신문들은 하나 이상의 초점을 맞추거나 둘 이상의 청중에게 말한다고 주장했다.

We identified the theme of ‘audience stance’ as significant in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use of theory. We identified five audience stances of, respectively, the educator–practitioner, the faculty member, the policymaker, the researcher and the theorist. Some papers were explicit about their intended audience; most were not. 

  • When the paper was not explicit about its intended audience, we used the focus or main domain of interest of the paper (Table 3) as an indicator of the intended audience.
  • If the focus was a discrete intervention, such as in Nothnagle et al.'s examination of a facilitated discussion group,53 we identified the audience as educators–practitioners.
  • If the domain of interest was a phenomenon investigate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such as in Walter et al.'s examination of resilience,58 we identified the audience as faculty members or policymakers.
  • If the domain of interest was a methodological issue, we identified the audience as researchers. For example, Grierson et al. us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intention to engage in comprehensive practice’.54 
  • If the domain of interest was theory development, such as in Pelgrim et al.'s examination of theories of reflection,46 we took the audience to be theorists. Some papers took more than one focus or claimed to speak to more than one audience.

이론에 할당된 역할이 독자인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What was the impact of the role assigned to theory on us as readers?

[이야기의 척도]란 [그것의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무에 따라, 우리는 각 논문에서 이론이 사용되는 방식이 청중으로서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우리가 경험한 영향은 이론의 역할과 그 역할이 할당된 방식, 역할의 중요성, 그리고 우리가 청중으로서 취한 자세의 융합이었습니다.
In line with Aristotle's imperative that the measure of a story is its impact on its audience,8 we examined the impact of the way theory was used in each paper on us, as an audience. The impact we experienced was a confluence of the role of theory and the way that role was assigned, the prominence of the role, and the stance we took as the audience.

이론에 할당된 역할의 명확성과 관련된 영향
Impact in relation to the clarity of the role assigned to theory

우리는 이론의 역할이 명확해졌을 때 이론과 더 쉽게 관계를 맺었다. 우리가 어떤 역할이 할당되고 있는지 추측하도록 남겨졌을 때 더 어려웠는데, 이는 대부분의 검토된 논문에서 그랬다. Govaerts 등의 논문은 이론이 논문에서 취할 역할을 명확히 한 연구의 좋은 예였다. 이 논문은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서론에서 한 부분을 할애했다. 이론의 선택 뒤에 있는 철학적 가정을 명확히 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되는 방향 설정 기법이었다. 클레멘스 등은 사회문화 이론으로서 벵거의 실천공동체이론을 탐구하면서 이렇게 했다.

We engaged more easily with theory when its role was articulated. It was more difficult when we were left to guess what role was being assigned, which was the case in most of the reviewed papers. Govaerts et al.'s paper42 was a good example of a work that articulated the roles that theory would take in the paper. This paper dedicated a section within the introduction to the ‘conceptual framework’.42 Articulation of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behind the choice of theory was also a helpful orientating manoeuvre.4 Clement et al.43 did this in their exploration of Wenger's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39 as a sociocultural theory.

이론에 주어진 역할의 중요성과 관련된 영향
Impact in relation to the prominence of the role given to theory

이론에 기인하는 역할의 중요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독자로서 [이론이 논문의 이야기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경우]는 (반 로어문드 등의 논문에서처럼) [이론이 일찍 소개되었으면서, 논문의 고찰에서도 여전히 활발한 캐릭터였을 때]이었다. 이론이 [카메오 캐릭터]였던 논문에서 우리는 이야기를 산만하게 하는, 이론의 덧없는 존재감만을 경험했다. 일부 논문은 서론에서 이론의 역할을 강하게 주었지만, 나머지 논문에서는 계속되지 않았다. 우리는 이것을 이야기의 잠재적인 동반자로서 이론을 제시하는 것으로 경험했고, 그 후 그들은 설명할 수 없이 사라진다.
The prominence of the role ascribed to theory had an important impact. As readers, the impact of theory on the story of the paper was most meaningful when theory was introduced early and was still an active character in the paper's concluding discussion, as in van Roermund et al.'s paper.48 In papers in which theory was a cameo character, we experienced the fleeting presence of theory as a distracting diversion from the story. Some papers gave theory a strong role in the introduction, which was not continued in the rest of the paper. We experienced this as presenting theory as a prospective companion for the story, who then inexplicably vanishes.

청중의 입장에 대한 영향
Impact in relation to the stance of the audience

청중입장은 연구이야기에서 이론의 성격 전개 깊이가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였습니다. [초점이 이론에 있으면서, 이론가 청중에게 초점을 맞출 때], 이론의 캐릭터 개발이 복잡한 것은 가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교육 개입]에 대한 초점이나 [교육 실무자로서의 청중]이라는 맥락에서는 소외될alienating 수 있다. 빈과 드 라 크룩스의 논문은 이러한 긴장감의 한 예이다. 본 논문은 촉진된 동료 보고 그룹에서 사례 제시와 그룹 반영 사이의 전환을 검토했다. 이를 통해 저자들은 '지식의 인식론' 이론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성찰에 대한 이론]의 구축에도 관여했다. 이 두 번째 시도는 이론의 복잡한 탐구를 포함했다. 이 논문은 교육자를 청중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했지만, 우리는 교육자-실천자의 관점에서 그것이 어려운 읽을거리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그것은 이론가의 관점에서 읽는 것이 매력적이었다.

Audience stance determined the impact of the depth of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of theory in the research story. Complex character development of a theory was valuable when the focus was theory and the audience theorists; however, this could be alienating in the context of a focus on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an audience of education practitioners. The paper by Veen and de la Croix was an example of this tension.49 This paper examined the transition between case presentation and group reflection in facilitated peer debriefing groups. In doing so, the authors49 tested the theory of ‘epistemics of knowledge’ for its utility and also engaged in building theory on reflection. This second endeavour involved complex exploration of theory. Although the paper49 explicitly claimed to address educators as an audience, we found it a challenging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an educator–practitioner. It was, however, engaging to read from the perspective of a theorist.

논의
Discussion

우리는 GP 직업교육 연구논문에서 어떤 이론이 역할을 부여받는지, 이러한 역할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 이루어지는 방식이 독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했다. 총 21개의 다른 이론 또는 이론 영역이 선택된 23개의 논문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이들 중 두드러진 것은 '성인학습이론', '실천공동체', '반성학습'으로, 모두 거시적 또는 중간적 이론이다. 인본주의적 관점을 가진 이론들이 지배적이었다. 이는 이러한 이론과 이 관점이 GP 교육 연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론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위해 제출되었다.

  • 민감화 하거나 신뢰도를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적 정렬을 달성
  • 아이디어의 매개체 역할
  • 방법론적 도구 제공 
  • 해석 제시
  • 검사 대상으로서 이론 제시

We sought to uncover which theories are assigned roles in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papers, what these roles are and how the ways in which this is done impact on the reader. A total of 21 different theories or areas of theorising were used in our 23 selected papers. Prominent amongst these were ‘adult learning theory’, ‘communities of practice’ and ‘reflective learning’, all of which are macro or middle-range theories.3, 11 Theories with a humanistic perspective were dominant. This suggests that these theories and this perspective have particular currency in GP education research. Theories were enlisted for the roles of:

  • achieving theoretical alignment for sensitising or justifying credibility;
  • serving as vehicles for ideas;
  • providing methodological tools;
  • giving interpretation, and
  • representing objects of examination.

이러한 역할들은 다른 사람들이 제안한 역할과 일치한다. 예를 들면 특히 신뢰성에 대한 조정을 달성하기 위함이라든가, 해석 도구의 역할을 한다던가, 검토의 대상이 됨을 나타낸다. 우리는 할당된 역할에서 이론의 영향이 그 역할에 대한 명확성,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이 얼마나 두드러졌는지, 독자의 입장에 달려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These roles aligned with those suggested by others, particularly for achieving alignment for credibility,22 serving as an interpretative tool23 and representing an object of examination.7, 23 We established that the impact of theory in its allocated role depended on clarity about its role, how prominent theory was in the research story and the stance of the reader.

우리는 이론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식별함으로써 이론적 감지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야기에서 역할에 대한 캠벨의 전형적인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역할이 이론에 어떻게 할당될 수 있고 이 역할이 연구 논문의 이야기에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넓은 의미에서, 이야기 속의 인물들은 등장, 전개, 그리고 출구를 필요로 한다. [카메오 출연]은 무의미하거나 산만해질 위험이 있다.

  • 이론이 연구의 대상일 때, 그것은 [주인공]이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캠벨은 주인공이 여행이 시작되기 전에 관객들에게 친숙해지도록 권한다. 우리는 [서론]이 이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이라고 제안한다. 그 여정은 변화 또는 새로운 통찰력을 가져와야 하며, 이는 [고찰]에서 분명해져야 한다.
  • 이론이 credibility를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아이디어의 전달 수단으로 사용될 때, 그것은 '동맹'으로서 기능한다. 동맹으로서 이론은 연구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동반자이다. 따라서 도입부 또는 방법 섹션의 장면 설정에 나타나야 하며, 결론conclusion에 나타나야 한다.
  • 이론이 [도전이나 문제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때, 그것은 '항해자' 역할을 한다. 전조(항해자)들은 도입부에 강한 존재감을, 결론부에 강한 존재감을 필요로 한다.
  • 이론이 [해석적 또는 방법론적 도구]로 사용될 때, 그것은 '멘토'로서 기능한다. 멘토 캐릭터는 신뢰받을 이유가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 이야기에 처음 도입부에서 개발이 필요하다.

We aimed to progress theoretical connoisseurship by identifying the ways in which theory could be used. By applying Campbell's9 archetypal characterisation of roles in a story, we offer a framework for how a role might be assigned to theory and how this role might be integrated into the story of a research paper. In broad terms, characters in a story require an entry, development and an exit. Cameo appearances risk being meaningless or distracting.

  • When theory is the object of the research, it is the protagonist. Both Aristotle8 and Campbell9 recommend that the protagonist be made familiar to the audience before the journey commences. We suggest that the introduction is the section in which this is done. The journey should bring a change or new insight, which should become clear in the discussion.
  • When theory is used for credibility or as a vehicle for an idea, it functions as an ‘ally’. As an ally, theory is a companion for the protagonist in the research story. Therefore, it should appear in the scene setting of either the introduction or the methods sections and be present in the conclusion.
  • When theory is used in identifying the challenge or problem, it functions as the ‘harbinger’. Harbingers need a strong presence in the introduction and a presence in the conclusion.
  • When theory is used as either an interpretative or a methodological tool, it functions as a ‘mentor’. A mentor character needs reason to be trusted and therefore needs development when it is first introduced to the research story.

특정 역할에 대한 이론의 선택과 사용 방법은 분야와 관객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론이 신뢰성을 위해 또는 아이디어의 수단으로 사용되려면, 그 이론은 대상 독자와의 교류currency가 필요하다. 사용된 이론의 영향은 이론 뒤에 있는 철학적 가정을 명료화함으로써 뒷받침된다. 이는 이론이 인지-행동적 관점, 인문학적 관점 또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나오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론적 개념화의 깊이]는 또한 [이론적으로 밀도 높은 탐색]에 대해서 [교육 실무자는 이론가와 같은 방식으로 참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의도된 청중에 따라 달라야 한다.
The choice of theory for a particular role and how to use it depends on the field and the audience. If theory is to be used for credibility or as a vehicle for an idea, the theory requires currency with the target audience. The impact of the theory used is supported by articulation of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behind the theory.4 These will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theory comes from a cognitive–behavioural perspective, a humanistic perspective or a sociocultural perspective.6 The depth of theoretical conceptualising should also be dictated by the intended audience in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an education practitioner may not be engaged in the same way as a theorist by a theoretically dense exploration.

우리의 논문은, 그 자체로,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의 특성을 보여주는 예이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의 '주인공']은 [일반적인 구성generic constrcut으로서의 이론]이었다. 우리는 서론에서 그녀의 성격을 깊이 있게 했다. 탐사와 토론의 여정을 통해, 우리는 그녀가 다른 연구 이야기에서 어떻게 등장인물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견해를 얻으려고 노력했다.

[우리의 '동맹']은 우리의 접근과 결론에 신뢰성을 주기 위해 사용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었다. 이 이론은 서론에서 도입되었고, 그 후 이야기의 후속 부분에 존재하기 위해 친숙해졌다.

[우리의 '멘토']는 캠벨의 '단일 신화' 이론이었, 해석과 지도, 틀을 제공했다. 이 이론은 서론에서 소개되었고, 방법론 부분에서 친숙해졌으며, 발견과 논의에서 중요한 인물로 나타났다.

[우리의 '전조']은 의학 교육에서 이론의 사용에 관한 문헌이었다. 이것은 우리의 소개에서 두드러졌고 우리의 토론에서 잠깐 나타났다.

우리의 분야는 GP 교육 연구였고, [우리의 청중]들은 그들의 연구에 이론을 사용할 사람들, 특히 GP 교육 연구였다. General practice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넓은 관점의 미각을 이용하는 절충적인 훈련이다. 환자의 이야기가 무엇보다 중요한 훈육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야기의 은유를 선택했고 우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이론에 의존했다.
Our paper, in itself, is an example of the characterisation of theory in a research story. 

Theory as a generic construct was our ‘protagonist’. We gave depth to her character in our introduction. Through our journey of exploration and discussion, we endeavoured to gain a view on how she might be a character in other research stories.

We recruited Aristotle's poetics8 as an ‘ally’ to give credibility to our approach and our conclusions. This theory was introduced and made familiar in the introduction to then be a presence in the subsequent sections of the story.

Campbell's theory of the ‘monomyth’9 was our ‘mentor’, providing interpretation, guidance and a framework.3 This theory was introduced in the introduction, made familiar in the section on methodology and appeared as a significant character i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Our ‘harbinger’ was the literature on use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This had prominence in our introduction and appeared briefly in our discussion.

Our field was GP education research and our audience those who would use theory in their research, particularly GP education research. General practice is an eclectic discipline that draws on a broad palate of perspectives to serve its ends. It is also a discipline in which the narrative of the patient is paramount.27 We therefore chose the story metaphor and drew on more than one theory to meet our ends.

이번 연구 여정의 장점이 곧 한계다. 우리는 GP 교육 연구를 우리의 설정으로 선택했고 우리의 시험을 과거 5년으로 제한했다. 이것은 우리가 분석적인 깊이를 추구할 수 있도록 샘플을 제한했다. GP 연구는 필연적으로 의학교육의 다른 분야와 관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그 자체의 맥락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GP 교육 연구가 그 자체로 중요한 분야이며, 또한 이 분야의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보다 광범위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단 5년의 기간 내에 출판된 작품을 검토하기로 한 우리의 결정은 변화하는 환경의 변화에 대해 언급할 수 없게 만든다. 이론의 사용에 대한 보다 장기적인 관점은 이론의 사용의 미래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우리의 검색어는 논문이 포함되기 위해 이론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할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암묵적인 이론적 지향이 검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는 이론적 기반이 가정될 가능성이 더 높은 실증주의 패러다임에서 정량적 논문에서 벗어난 샘플의 가중치를 초래했을 가능성이 높다.3 정성적인 논문이 우리의 선택을 지배했다. 우리는 이론의 사용을 검토하면서 해석적 접근법을 취했고, 이것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논문을 읽는 우리의 반응을 끌어낼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사람들의 해석과 반응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이 문학에서 이론의 사용에 대한 그들 자신의 경험과 비교하여 우리 해석의 진실성과 유용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는 권고안은 그 결과에 대한 우리의 해석으로부터 도출된다. 우리의 구성주의적 접근 방식에 따라, 우리는 우리의 결론이 많은 정당한 관점 중 하나에서 나온다는 것을 인식한다. 우리의 관심은 이론이 연구 글쓰기에서 표현되는 방식이었다. 우리는 그 이론이 연구 자체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나 그것이 사용된 엄격함을 조사하지 않았다. 이것들은 추가 연구에 유용한 분야일 것이다.
The strengths of this research journey are also its limitations. We chose GP education research as our setting and confined our examination to the past 5 years. This limited our sample to enable us to pursue analytical depth. General practice education research inevitably has its own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at may or may not pertain to other areas of medical education. We believe that GP education research is an important field in itself and also that conclusions drawn from research in this area have relevance more broadly. Our decision to examine works published within a period of only 5 years makes us unable to comment on changes in what is likely to be a changing environment. A more longitudinal view on the use of theory may offer insights to future directions of the use of theory. Our search terms required that a paper make explicit mention of a theory in order to be included. This meant that implicit theoretical orientations were not examined. This is likely to have resulted in the weighting of our sample away from quantitative papers in a positivist paradigm in which theoretical underpinnings are more likely to be assumed.3 Qualitative papers dominated our selection. We took an interpretative approach in examining the use of theory and this enabled us to draw on the perspectives we held and on our reactions to reading the papers. However, this may not align with the interpretations and reactions of others. It is for others to judge the veracity and usefulness of our interpretation against their own experiences of the use of theory in the literature. The recommendations we make are drawn from our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In line with our constructivist approach, we recognise that our conclusions come from one of many justifiable perspectives. Our interest was the way in which theory was represented in research writing. We did not examine the way that theory was used in the research itself or the rigour with which it was used. These would be useful areas for further research.

결론들
Conclusions

왕은 매우 진지하게 "처음부터 시작해서 끝까지 계속하세요. 그리고 나서 멈추세요."라고 말했다.
“Begin at the beginning,” the King said, very gravely, “and go on till you come to the end: then stop.” (Alice in Wonderland, Lewis Carroll)1


우리의 집중적인 검토는, 우리의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이 잃어버린 캐릭터가 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론을 의미 있게 캐스팅하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이론이 연구 이야기에 영향을 미치려면 우리가 선택한 역할에 대해 숙고하고 이론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며, 우리의 연구 이야기에서 이론의 특성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원에 걸쳐 명시함으로써, 교육 연구자들은 그들의 연구 글쓰기의 응집력 있는 품질을 더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연구 이야기에 이론을 쓰는 것을 도울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론적 감식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Our focused review suggests that theory does not need to be a lost character in our research stories. Casting theory meaningfully enables it to take a significant role. For theory to have impact on the research story, we need to be deliberate about the role we choose to give theory and explicit about the reasons for our choice of theory, and to attend to the characterisation of theory in our research story. By being explicit across these dimensions, education researchers can both add to the cohesive quality of their research writing and provide insights to help others in writing theory into their research stories. Through this, theoretical connoisseurship may be progressed.

 

 


 

Med Educ. 2019 May;53(5):443-457. doi: 10.1111/medu.13793. Epub 2019 Feb 5.

 

Theory, a lost character? As presented in general practice education research paper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Monash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Nursing &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layton, Victoria, Australia.

2Eastern Victoria GP Training, Churchill, Victoria, Australia.

3Centre for Research in Assessment and Digital Learning, Office of the Deputy Vice Chancellor (Education), Deakin University, Geelong, Victoria, Australia.

4School of Rural Health, Faculty of Medicin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Monash University, Churchill, Victoria, Australia.

5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Dentistry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6University Department of Medicine, Royal Melbourne Hospital, Faculty of Medicine, Dentistry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7Department of Surgery, Faculty of Medicine, Dentistry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elbourne,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PMID: 30723929

DOI: 10.1111/medu.13793

Abstract

Objectives: The use of theory in research is reflected in its presence in research writing. Theory is often an ineffective presenc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papers. To progress the effective use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we need to understand how theory is presented in research papers. This study aims to elicit how theory is being written into general practice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papers in order to elucidate how theory might be more effectively used. This has relevance for the field of GP and for medical education more broadly.

Methods: This is a scoping review of the presentation of theory in GP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17. An interpretive approach is taken. We frame research papers as a form of narrative and draw on the theories of Aristotle's poetics and Campbell's monomyth. We seek parallels between the roles of theory in a research story and theories of characterisation.

Results: A total of 23 papers were selected. Theories of 'reflective learning', 'communities of practice' and 'adult learning' were most used. Six tasks were assigned to theory: to align with a position; to identify a research problem; to serve as a vehicle for an idea; to provide a methodological tool; to interpret findings, and to represent an object of examination. The prominence of theory in the papers ranged from cameo to major roles. Depending on the way theory was used and the audience, theory had different impacts. There were parallels between the tasks assigned to theory and the roles of four of Campbell's archetypal characters. Campbell's typology offers guidance on how theory can be used in research paper 'stories'.

Conclusions: Theory can be meaningfully present in the story of a research paper if it is assigned a role in a deliberate way and this is articulated. Attention to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theory and its positioning in the research story is important.

의대생들에게 가르치는 것 가르치기: 내러티브 리뷰와 문헌에 기반한 권고(Acad Med, 2022)
Teaching Medical Students to Teach: A Narrative Review and Literature-Informed Recommendations for Student-as-Teacher Curricula
Alexandra Cohen, MDCM, Yvonne Steinert, PhD, and Elisa Ruano Cea, MDCM, MHPE

 

 

의료 훈련생은 훈련의 초기 단계에서 동료와 학습자를 가르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르치는 역량]이 선천적인 것이 아닌 만큼 교육생들이 효과적인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수 능력을 습득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교육생들의 교직역할을 위한 준비의 중요성은 PGME(Postgradian Medical Education)에서 잘 확립되어 있으며, 여기서 전공의-교사 교육과정이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시행되고 있다. 대조적으로, 대부분의 학부 의학 교육(UME)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교수 기술 훈련은 드물게 제공된다. 놀랄 것도 없이, 의대생들은 교사로서의 현재와 미래의 역할 모두에 대해 준비가 덜 되어 있다고 느끼고 있다고 한다. 

Medical trainees play a crucial role in teaching peers and learners at earlier stages in their training. 1,2 As the capacity to teach is not innate, trainees must have the opportunity to acquire and develop their teaching skills to become effective teachers. 3 The importance of preparing trainees for their teaching roles is well established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GME), where resident-as-teacher curricula have commonly been described and implemented. 4 In contrast, despite most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programs engaging students in teaching roles,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is infrequently provided. 5–7 Not surprisingly, medical students have reported feeling ill-prepared for both their current and future roles as teachers. 1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역량 기반 의료 교육(CBME)으로의 전환은 또한 의과대학이 UME에서 교수 기술 훈련을 강화할 필요성을 지지한다. 특히, CBME는 학습자가 훈련 연속체를 따라 점진적으로 배열된 다양한 기술을 수행하는 데 역량을 보여줄 것을 요구한다.  의대생들이 교육을 진행하면서 맡게 되는 다양한 교육 책임과 PGME 초기에 전공의들이 종종 떠맡는 주요 교육 역할을 고려할 때, 학부 수준에서 공식적인 교육 기술 교육을 도입하는 것이 교육생들의 미래 책임에 더 적절하게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worldwide shift toward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also supports the need for medical schools to enhance teaching skills training in UME. Specifically, CBME calls for learners to demonstrate competence in performing a variety of skills sequenced progressively along the training continuum. 8 Given the various teaching responsibilities assumed by medical students as they progress in their training and the key teaching roles that residents often assume early in PGME, 1,2 introducing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would more adequately prepare trainees for their future responsibilities.

우리가 아는 한, Dandavino 등이 10년 전에 작성한 검토 기사 하나를 제외하고, CBME의 맥락에서 의대 학생들에게 이 주제를 가르치거나 검토하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권고를 하지 않았다. 더욱이, 학생 교사(SaT) 교육과정을 검토한 다른 두 출판물은 특히 UME에서 공식적인 교육 기술 교육에 집중하지 않았다. 그들은 또한 학생들이 어떠한 공식적인 준비도 받지 않고 교사 역할을 맡는 커리큘럼을 포함했기 때문이다.

To our knowledge, with the exception of one review article written over a decade ago by Dandavino et al, 3 no publications have made comprehensive recommendations for how to teach medical students to teach or examined this topic in the context of CBME. Moreover, the 2 other publications that have reviewed student-as-teacher (SaT) curricula 9,10 did not focus specifically on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in UME, as they also included curricula wherein students assumed a teaching role without receiving any prior formal preparation.

문헌의 현재 상태에 비추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했다. 의학 교육자들은 어떻게 하면 UME에서 PGME까지 연속체를 따라 교육자 역할을 위해 훈련생들을 가장 잘 준비할 수 있을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BME의 맥락에서 SaT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문헌 정보 권장 사항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공식적인 교수 기술 교육을 통합한 SaT 문헌을 종합적으로 합성하기 위한 서술적 검토를 실시했다.
In light of the current state of the literature, we posed the following question: How can medical educators best prepare trainees for their teaching roles along the UME to PGME continuum? To address this question, we conducted a narrative review 11–13 to comprehensively synthesize the SaT literature that incorporates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with the goal of proposing literature-informed recommendations for SaT curriculum development within the context of CBME.

방법
Method

이 섹션에서는 이 내러티브 리뷰를 위한 검색 전략 및 선택 과정, 포함 및 제외 기준, 데이터 추상화 및 합성에 대해 설명한다. 
In this section, we describe the search strategy and selection process,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data abstraction and synthesis for this narrative review. 11–13

검색 전략 및 선택 과정
Search strategy and selection process

2020년 1월, 우리는 "학생을 선생님으로", "근접 동료 교육",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및 "가르치기 위한 교육"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Medline 및 Embase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다. 또한 (의대생* 또는 연수생* 또는 학부생*) adj (교사 또는 교수), (학생* 또는 의대* 또는 학부* 또는 연수생*) adj (학습*) (교육, 의학, 학부) [MeSH] 또는 "학생, 의학] (MeSH) 및 ("교사 교육" [MeSH])을 사용했습니다.또한 검색을 통해 발견된 주요 기사를 사용하여 스코푸스에서 전방 인용 검색을 수행했다. 우리는 2020년 8월에 검색을 반복하여 그 사이에 발표된 관련 기사를 포함시켰다.
In January 2020, we searched the Medline and Embase databases using the phrases: “student(s) as teacher(s),” “near-peer teaching,” “teaching to teach,” and “teaching how to teach.” We also used the following search strings: (medical student* or trainee* or undergraduate*) adj (teacher or teach or teaching), (student* or medical student* or undergraduate* or trainee*) adj (learn* to teach*), and (“education, medical, undergraduate”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or “students, medical” [MeSH]) and (“teacher training” [MeSH]). In addition, we conducted a forward citation search in Scopus using key articles found through our search. We repeated our search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ssl.access.hanyang.ac.kr/ACADMED/B229) in August 2020 to include any relevant articles published in the intervening months.


두 명의 저자(A.C.와 E.R.C.)는 독립적으로 모든 기사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고 필요할 때 전면적으로 검토했다. 그들은 관련 기사를 선정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된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하였고, 토론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고, 필요할 경우 다른 저자(Y.S.)와 협의를 통해 해결하였다.
Two authors (A.C. and E.R.C.) independently reviewed the titles and abstracts of all articles and reviewed them in full when necessary. They applie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escribed below to select relevant articles, resolving disputes through discussion, and when necessary,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other author (Y.S.).

포함 및 제외 기준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우리는 1985년에서 2020년 사이에 출판된 동료 검토 저널에서 의대 학생들을 위한 공식적인 교수 기술 훈련 주제를 다루는 영어 논문은 1985년에서 2020년 사이에 출판되었다. 우리는 SaT 문헌을 가능한 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지난 35년 동안 이 분야의 성장을 포착하기 위해 이 기간을 선택했습니다. 우리는 논평과 의견 기사를 배제했고, 학생들이 의료 교육생들을 가르치는 것과 무관한 기술을 가르치고 있는 연구는 제외했다. 우리는 또한 공식적인 교수 기술 교육이 없는 상태에서 근접 피어 교육이 이루어졌거나 제공된 교육이 설명되지 않은 연구를 제외했다. 선별된 기사를 모두 읽었으며, 참조 목록에서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 추가 논문이 식별되었다.
We selected for review English-language papers in peer-reviewed journals published between 1985 and 2020 that addressed the topic of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for medical students. We chose this time frame to review the SaT literature as comprehensively as possible and to capture the growth in this area over the past 35 years. We excluded commentaries and opinion pieces, as well as studies in which students were being taught skills unrelated to teaching medical trainees. We also excluded studies in which near-peer teaching took place in the absence of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or in which the training provided was not described. Selected articles were read in full and additional papers meeting inclusion criteria were identified from their reference lists.

데이터 추상화 및 합성
Data abstraction and synthesis

두 명의 저자(A.C.와 E.R.C.)는 개입의 대상 독자, 기간, 커리큘럼 내용, 교수 및 평가 방법, 주요 보고 결과 등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기사를 독립적으로 읽었다. 저자들은 또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업데이트된 Kirkpatrick 모델을 사용하여 개별 SaT 개입의 결과를 분류했다. 그런 다음 모든 저자는 모든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CBME 문헌과 기타 결과 기반 교육 프레임워크를 통합하여 UME의 SaT 커리큘럼에 대한 구현 전략을 알렸다.

Two authors (A.C. and E.R.C.) independently read all articl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to extract relevant data, such as the intervention’s target audience, duration, curriculum content,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and key reported findings. The authors also categorized the outcomes of individual SaT interventions using the updated Kirkpatrick model for program evaluation. 14 All authors then synthesized all findings and integrated the CBME literature and other outcome-based educational frameworks to inform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SaT curricula in UME.

결과.
Results

중복을 제거한 후, 총 1,473개의 글이 우리의 문헌검색전략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이 중 43개의 글은 제목과 요약에 대한 철저한 검토와 함께 선정된 기사의 참조목록에 대한 검토를 거쳐 검토기준을 충족하였다(그림 1 참조). 이 중 33개는 다양한 의과대학에서 시행되는 특정 SaT 커리큘럼을 설명하고 평가하였다(부록 1 참조). 나머지 글에는 문헌 검토 3건, 의과대학 교수진 지도부 또는 의대생 설문조사 6건, 델파이 연구 1건 등이 포함됐다.
After duplicates were removed, a total of 1,473 articles were identified using our literature search strategy, of which 43 articles met the review criteria following a thorough examination of titles and abstracts, as well as a review of the selected articles’ reference lists (see Figure 1). Of these, 33 described and evaluated specific SaT curricula implemented at various medical schools (see Appendix 1). 15–47 The remaining articles included 3 literature reviews, 3,9,10 6 surveys of medical school faculty leadership or medical students, 5–7,48–50 and 1 Delphi study. 51

본 서사 검토 결과를 (1) UME의 SaT 커리큘럼 개요와 (2) SaT 커리큘럼 내용, 교수 양식 및 평가 방법의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We divided the findings of this narrative review into 2 sections:

  • (1) overview of SaT curricula in UME and
  • (2) SaT curriculum content, teaching modalities, and assessment methods.

UME의 SaT 커리큘럼 개요
Overview of SaT curricula in UME


UME에서 SaT 커리큘럼의 보급률과 특성은 의과대학 교수 리더십에 대한 3개의 전국 설문조사에서 설명되었다. 대부분의 의과대학(89%–100%)은 학생들을 교사로 고용하지만(예: 동료 교사 또는 소규모 그룹 촉진자) 정규 교수 기술 교육은 덜 자주 제공된다(44%–82%). 더욱이, 그러한 훈련은 일반적으로 [본질적으로 선택적]이며, 대부분 상급생(즉, 의과대학 3학년 이상의 학생)에게 제공된다. 또한, 3개 국가 설문 조사 모두 시간 제약, 인력 제한, 주요 이해 관계자들에게 프로그램의 가치를 납득시키는 어려움, 학생 관심 부족 인식 등 [교육과정 구현에 대한 장벽]을 확인했다.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aT curricula in UME have been described in 3 national surveys of medical schools’ faculty leadership. 5–7 While most medical schools (89%–100%) engage their students as teachers (e.g., as peer tutors or small-group facilitators),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is less frequently provided (44%–82%). Moreover, such training is usually optional in nature and is mostly offered to senior students (i.e., students in their third or higher year of medical school training). In addition, all 3 national surveys identified barrier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including time constraints, staffing limitations, difficulty in convincing key stakeholders of the program’s value, and perceived lack of student interest.

교수 기술 훈련은 6개 대륙의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 설문 조사에서도 탐구되었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의 67%가 교사 역할(가장 일반적으로 P2P 상호 작용에서)에 참여한다고 답한 반면, 32%만이 교수 기술 교육을 받았다고 답했습니다. 교육 기술 교육은 고소득 국가(61%)에 비해 특히 중저소득 국가(82%)에서 가장 자주 강제적이지 않았다. 학생들이 교사 역할에 대해 스스로 보고한 준비는 사전 교육을 받은 것과도 관련이 있었다.
Teaching skills training was also explored in an international survey of medical students across 6 continents. 48 In this survey, while 67% of respondents reported engaging in the teacher role (most commonly in peer-to-peer interactions), only 32% reported having received teaching skills training. When offered, teaching skills training was most often noncompulsory, particularly in low- to middle-income countries (82%) as compared with high-income countries (61%). Students’ self-reported preparedness for the teacher role was also associated with having received prior training.


부록 1에 요약된 바와 같이 공식 교수 기술 교육을 제공한 33개의 발표된 SaT 커리큘럼을 검토할 때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커리큘럼의 대부분은 상급 의대생(25/33)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본질적으로 선택 사항(27/33)이었다. 대부분의 커리큘럼은 [짧은 과정]으로 설명되었지만, 7개의 커리큘럼은 종단적인 경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종적 교육과정 중 2개는 의과대학 4년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나머지 5개는 3개월에서 2년까지 다양한 기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저자들은 종단적인 과정 전달을 학생들이 과정 내용을 더 잘 동화시키고, 교수 기술을 연습하며, 교사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유용한 전략으로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모든 저자들이 의대 학생들의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준비를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것이다. 

Similar findings were identified when reviewing the 33 published SaT curricula that provided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as summarized in Appendix 1. 15–47 The majority of these curricula were developed for senior medical students (25/33) 16,19–21,23–29,32,34–44,46,47 and were optional (27/33) 15,18,20–27,29–37,39–46 in nature. Most curricula were described as short courses, though 7 were developed as longitudinal experiences. 17,25,33,37,40,43,45 Of these longitudinal curricula, 2 spanned all 4 years of medical school, 17,33 and the remaining 5 were delivered over various periods of time, ranging from 3 months to 2 years. 25,37,40,43,45 The authors described longitudinal course delivery as a useful strategy for students to better assimilate the course content, practice their teaching skills, and develop their competence as teachers. 25,45 Importantly, all authors highlighted the need to enhance medical students’ preparation for their roles as teachers. 15–47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업데이트된 Kirkpatrick 모델의 4개 수준을 사용하여 발표된 33개 SaT 커리큘럼의 결과를 요약했다(그림 2 참조). 가장 일반적으로 측정된 결과는 학생 학습(레벨 2)이었다.

  • 리액션(레벨 1)과 관련하여 교육생들은 자신의 학습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보고했으며, 교수기술교육과정 참여를 높게 평가했다. 
  • 학생 학습(레벨 2)과 관련된 조사 결과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교육 원리에 대한 지식 증가
    • 미래의 교사 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준비성의 향상 
    • 학문적 의학에서의 직업에 대한 이해나 관심을 증가
  • 행동의 변화(수준 3)는 자기보고가 가장 흔했다.
    • 7개의 연구에서, 학생들은 교수 기술의 향상을 보고했고,
    • 3개의 연구에서, 그들은 수업 자료를 그들의 교수실습에 적용했다고 보고했다.  
    • 8개 연구에서는 후배 학습자 및 교직원 감독관이 학생들의 교수능력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 1개 연구에서는 객관적 구조화 교수접촉(OSTe)에서 향상된 성과를 보였다.
  • 결과(레벨 4)는 2개 연구에서 탐색하였고,
    • 1개만이 학생의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어떤 연구도 교수 기술 훈련이 학생 교사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지 않았다.


Using the 4 levels of the updated Kirkpatrick model for program evaluation, 14 we summarized the outcomes of the 33 published SaT curricula (see Figure 2). The most commonly measured outcome was student learning (level 2). 15,17,20–22,24–29,33,36,37,40–43,45,46 

  • With regard to reaction (level 1), trainees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highly valued participating in a teaching skills training course. 16,17,19,21–23,25,26,28,32,35,37,39,41,44,45,47 
  • Findings pertaining to student learning (level 2) included
    • increased knowledge about teaching principles 15,17,42,45,46;
    • enhanced self-perceptions of confidence and preparedness for future teaching roles 15,20–22,24–29,33,37,40,42,45; and
    • increased understanding of, or interest in, careers in academic medicine. 20,22,24,36,41,43 
  • Changes in behavior (level 3) were most frequently self-reported. 15,18,20,22,24,33,39,45,46 
    • In 7 studies, students reported improvements in their teaching skills, 18,20,24,33,39,45,46 and
    • in 3, they reported having applied the course material to their teaching practices. 15,22,46 
    • In 8 studies, students’ teaching skills were rated highly by junior learners and/or faculty supervisors, 27,30,31,34,41,42,44,47 and
    • in 1 study, students demonstrated improved performance on an objective structured teaching encounter (OSTE). 22 
  • Results (level 4) were explored in 2 studies, 25,30 with only 1 documenting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learners. 30 No studies examined the impact of teaching skills training on the student teachers’ abilities to learn.

 

이러한 결과는 이 서술적 검토에서 확인된 세 가지 검토 기사의 결과와 일치하며, 가장 흔히 보고된 결과는 [높은 학생 만족도]와 [과정 이수 후 스스로 생각하는 교수 기술 향상]이었다. 이러한 검토는 또한 학생들의 교수 기술 평가를 포함하여 커리큘럼 결과를 더 잘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These findings align with those of the 3 review articles identified in this narrative review, 3,9,10 whose most commonly reported outcomes included high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perceived improvement in teaching skills following course completion. These reviews also highlighted the need to better evaluate curricular outcomes, including assessing students’ teaching skills.

SaT 커리큘럼 내용, 교수 양식 및 평가 방법
SaT curriculum content, teaching modalities, and assessment methods

커리큘럼 내용.
Curriculum content.

문헌에 대한 우리의 검토는 SaT 커리큘럼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많은 기사를 확인했다. 캐나다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수련자들은 다음의 교육 기술을 배우는데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침대 머리맡 교육, 신체 검사 기술 가르치기, 소그룹 편의화, 멘토링 등

미국의 4학년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또 다른 설문조사는 3가지 주제를 우선순위로 꼽았다.  

  • 피드백 제공, 문제해결 가르치기, 토론 리드하기 등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identified a number of articles that provide insights from different stakeholders regarding SaT curriculum content. 3,6,7,49–51 A survey conducted among Canadian medical students identified trainees’ interest in being taught the following teaching skills:

  • bedside teaching, teaching physical examination skills, small-group facilitation, and mentorship. 50 

Another survey, conducted among senior medica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identified the following 3 topics as priorities:

  • providing feedback, teaching problem-solving, and leading discussions. 49

국가 델파이 연구에서, 미국의 의료 교육자 패널은 SaT 커리큘럼에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5가지 콘텐츠 영역을 식별했습니다:

  • 침대 옆 교수와 임상 지도, 소그룹 교육, 사례 기반 교육, 피드백 제공, 의료 교육자로서의 전문직업성

In a national Delphi study, a panel of medical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identified 5 content areas believed to be essential for SaT curricula:

  • bedside teaching and clinical precepting, small-group teaching, case-based teaching, providing feedback, and professionalism as a medical educator. 51 

문헌 검토에서, Dandavino et al. SaT 커리큘럼의 3가지 권장 목표: 

  • (1) 학생들에게 교육의 기본 원칙과 효과적인 가르침에 대한 지식을 제공
  • (2) 학생들의 교육 기술과 교육 전략 사용(예: 프레젠테이션, 선도적인 소규모 그룹, 임상 교육)을 향상
  • (3)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육성한다(예: 교사 역할의 중요성 인식).

In their review of the literature, Dandavino et al 3 recommended 3 key SaT curricular objectives:

  • (1) to provide students with knowledge about the basic principles of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 (2) to improve students’ education skills and their use of teaching strategies (e.g., giving presentations, leading small groups, clinical teaching), and
  • (3) to foster positive attitudes toward teaching (e.g.,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role).

교직원 리더십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된 가장 일반적인 교육과정 내용 영역은 소그룹 촉진, 성인학습의 원칙,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이었다. 마찬가지로, 발표된 SaT 커리큘럼에 일반적으로 통합된 주제에는 소그룹 촉진, 임상 교수, 성인 학습 이론, 피드백 및 평가가 포함되었다. 

The most common curriculum content areas identified through faculty leadership surveys were small-group facilitation,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and providing effective feedback. 6,7 Similarly, topics commonly incorporated into the published SaT curricula included small-group facilitation, clinical teaching, adult learning theory, and feedback and evaluation. 15–47

교육 방식.
Teaching modalities.

이 검토의 제한된 수의 기사들은 SaT 커리큘럼에 가장 적합한 교육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권고안을 제시했습니다. 단다비노 등은 강의, 소그룹 토론, 온라인 모듈, 역할극 활동을 잠재적 교수양식으로 제시했다.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in this review made specific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teaching modalities that are best suited for SaT curricula. 3,5–7 Dandavino et al 3 suggested lectures, small-group discussions, online modules, and role play activities as potential teaching modalities.

3개의 교수진 리더십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적인 교수 방식은 소그룹 업무, 강의, 역할극을 포함했다. 5-7 발표된 SaT 커리큘럼 중 교육 방식은 상당히 다양했으며,

> 특히 소규모 그룹 토론(14/33)과 강의 세션(14/33)이 일반적이었다. 이들 연구 중 3개 연구에서 학생들은 일방향 강의에 비해 대화형 학습(예: 소그룹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일부 커리큘럼은 역할극 활동(11/33), 성찰 연습(8/33), 워크숍(6/33), 온라인 모듈 및 자원(5/33), 학술 또는 교육 프로젝트(4/33) 및 교직원 관찰을 통한 학습(4/33)을 포함했다.

> 주니어 교육생들을 가르치는 실제 경험은 출판된 커리큘럼의 약 82%(27/33)의 구성 요소였다.  학생 교사들은 이러한 경험적 학습에 특별한 감사를 표시했으며, 많은 경우 교직원, 동료 및/또는 학생들의 학습자의 피드백과 결합되었다. 

According to 3 faculty leadership surveys, common teaching modalities included small-group work, lectures, and role play. 5–7 Of the published SaT curricula, teaching modalities varied significantly,

In 3 of these studies, students expressed a preference for interactive learning (e.g., small-group activities) as compared with didactic lectures. 20,29,45 In addition, some curricula involved

Practical experience in teaching junior trainees was a component of approximately 82% of the published curricula (27/33). 15,17–20,23–27,29–34,36–39,41–47 Student teachers indicated a particular appreciation for this experiential learning, 22,33,37–39,45,47 which in a number of cases was coupled with feedback from faculty members, peers, and/or the students’ learners. 15,17,19,20,23–25,27,29,31–33,36,38,39,43–45,47

평가 방법.
Assessment methods.

많은 평가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이 검토의 단 2개의 논문만이 의대생들의 교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명시적으로 논의하였다.

  • Dandavino 등은 [자기평가 도구, 필기시험 문제, 학생들의 학습자의 피드백, 그리고 학생 교사의 관찰(예: OSTE)의 조합]을 통해 학습을 평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마찬가지로, Marton 외 9는 검토에서 [교육 기술을 OEST를 통해 평가하고, 숙련된 교수진의 관찰, 설문조사를 통한 학생 학습자의 피드백]을 통해 평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러한 방법의 한계도 강조되었는데, 여기에는 OEST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 학생들을 관찰하는 데 시간을 기꺼이 바치려는 교수진의 모집, 열악한 설문 응답률 등이 포함된다. 
Although many assessment methods have been used, only 2 articles in this review explicitly discussed the best methods for assessing the teaching skills of medical students. 3,9 

  • Dandavino et al 3 suggested that learning be assessed through a combination of self-assessment instruments, written examination questions, feedback from the students’ learners, and observation of the student teachers (e.g., OSTEs).
  • Similarly, in their review, Marton et al 9 recommended that teaching skills be assessed through OSTEs, observation by experienced faculty staff, and feedback from the students’ learners through the use of surveys.

Limitations of these methods were also highlighted, including the cost and time-consuming nature of OSTEs, the recruitment of faculty members willing to dedicate time to observing students, and poor survey response rates. 9

교수진 리더십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의 교수 능력에 대한 평가는 매우 다양하다. 5-7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교육 기술 교육 커리큘럼(95%)이 학생들의 교육 기술 평가를 포함하지만, 호주 프로그램의 36%에 대해서만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또한 다양하며, 학생들의 학습자의 피드백, 가르침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 성찰 작업, 그리고 자기 평가 설문지를 포함한다. 또한 발표된 SaT 커리큘럼 중 직접 관찰(실시간, 비디오 테이프 교육 세션을 통한 또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이 학생들의 교육 기술 평가 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직접적인 관찰에 수반되는 피드백은 학생 교사들에 의해 가치 있는 과정 구성 요소라고 추가로 설명되었다. 

According to surveys of faculty leadership, the assessment of students’ teaching skills is highly variable. 5–7 While in the United States, most teaching skills training curricula (95%) include the assessment of students’ teaching skills, the same can be said for only 36% of Australian programs. 5,7 Methods of assessment also vary and include feedback from the students’ learners, direct observation of teaching, reflective work, and self-assessment questionnaires. 6,7 Moreover, of the published SaT curricula, direct observation (in real-time, through video-taped teaching sessions, or in a simulated environment) was the most commonly reported assessment method of students’ teaching skills. 15,17,19,20,22–27,29–33,35,36,38,39,43–45,47 The feedback accompanying this direct observation was additionally described by student teachers to be a valued course component. 29,33,38,44

논의
Discussion

본 서사 검토의 목적은 현재 UME에서 [공식적 교수teaching 기술 교육]에 대해 알려진 내용을 탐색하여 SaT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들이 종종 교수 역할에 참여하지만, [공식적 교수 기술 교육]은 덜 자주 제공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교사 역할을 위한 준비를 제공하는 SaT 커리큘럼 중 대부분은 의대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선택 과목이다. 또한, 이러한 커리큘럼의 약 5분의 1만이 종단적으로 전달되지만, 저자는 교육생들이 교재를 흡수하고, 교수 기술을 연습하고, 교사로서 역량을 키우는데 확장된 형식이 유용하다고 제안한다.

  • SaT 커리큘럼의 다양한 이점이 보고되었으며, 성과로는 긍정적인 학생 반응, 미래의 교사 역할에 대한 자신감 및 준비성 강화, 학술academic 진로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이 있다.
  • 커리큘럼 구현에 대한 잠재적 장벽에는 시간 제약, 인력 제한, 프로그램의 가치에 대한 이해 관계자의 설득의 어려움, 학생 관심 부족이 포함된다.

또한, 기존 SaT 문헌은 SaT 커리큘럼 내용에 대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의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교수 양식 및 평가 방법과 관련된 모범 사례에 대한 출판은 적다.
The goal of this narrative review was to explore what is currently known about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in UME to inform SaT curriculum development. Our findings confirm that while medical students often engage in teaching roles,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is less frequently provided. Of the SaT curricula that provide preparation for the teacher role, most target senior medical students and are elective courses. Moreover, although only about one-fifth of these curricula are delivered longitudinally, authors suggest that an extended format is useful for trainees to assimilate the material, practice their teaching skills, and develop competence as teachers.

  • Various benefits of SaT curricula have been reported, and findings include positive student reaction, enhanced self-reported confidence and preparedness for future teaching roles, and increased interest in pursuing an academic career15–47 
  • Potential barrier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include time constraints, staffing limitations, difficulty in convincing stakeholders of the program’s value, and perceived lack of student interest. 5–7 

In addition, although the existing SaT literature provides insights from various stakeholders regarding SaT curriculum content, less has been published regarding best practices with respect to teaching modalities and assessment methods.


우리의 연구는 저자들이 포괄적인 SaT 커리큘럼 권장사항의 예비 세트를 제공하는 Dandavino 등의 2007년 문헌 검토를 기반으로 한다. 우리는 그 사이에 발표된 SaT 커리큘럼뿐만 아니라 델파이 연구 및 이해관계자 조사와 같은 커리큘럼 권장 사항을 풍부하게 하는 다른 UME 중심 기사를 포함함으로써 그들의 문헌 검색을 확장했다. 우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CBME의 원칙에 부합하고 결과 기반 교육 프레임워크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SaT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SaT 커리큘럼 채택에 관심이 있는 이해관계자 그룹이 고려할 수 있는 커리큘럼 내용, 교육 양식 및 평가 방법에 대한 권고사항뿐만 아니라 SaT 커리큘럼에 대한 4가지 가이드 원칙을 제안한다.

Our work builds on Dandavino et al’s 3 2007 review of the literature, in which the authors provide a preliminary set of comprehensive SaT curricular recommendations. We have expanded on their literature search by including SaT curricula published in the intervening years, as well as other UME-focused articles that enrich our curricular recommendations, such as a Delphi study and stakeholder surveys. 5–7,48–51 Based on our findings, we propose strategies for SaT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are aligned with the principles of CBME and informed by outcome-based educational frameworks. 8,52–54 More specifically, we propose 4 guiding principles for SaT curricula, as well as recommendations regarding curriculum content, teaching modalities, and assessment methods, which may be considered by stakeholder groups interested in adopting SaT curricula.

SaT 커리큘럼을 위한 가이드 원칙
Guiding principles for SaT curricula

SaT 커리큘럼에 대해 제안하는 4가지 지침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4 guiding principles we propose for SaT curricula are:

  1. 교수 기술 훈련은 UME 수준에서 공식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가능할 때마다 필수 커리큘럼 구성 요소가 되어야 한다. UME 프로그램이 일상적으로 학생들을 교사 역할에 참여시킨다는 증거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종종 공식적으로 교육적 책임teaching responsibilities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우리의 문헌 검토에서 확인된 대부분의 SaT 커리큘럼은 선택 과목으로 제공되었다. 일부 UME 인증 기관이 교육을 훈련 기대치로 확인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교육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사전 교육 없이 학생들을 교사 역할에 참여시키는 것은 미래의 교사 역할에 대한 광범위한 준비를 보장하지 않는다. 또한, 교수직은 의무교육생이 대학원 연수 초기에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의무적 책무]라는 점에서 학부 수준에서 이 분야에 대한 기초적 기술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CBME의 원칙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교육생들이 그들이 맡을 다양한 역할에 적절하게 준비되도록 보장할 책임이 있으며, 따라서 교수 기술 훈련은 이상적으로 UME 커리큘럼의 필수 구성 요소가 되어야 한다.
  2. Teaching skills training should be formally implemented at the UME level and should, whenever possible, be a compulsory curricular component. Despite evidence that UME programs routinely engage students in teaching roles, students are often not formally prepared for their teaching responsibilities. 5–7,48 Most SaT curricula identified in our literature review were offered as elective courses. Given that some UME accrediting bodies have identified teaching as a training expectation, 52–54 providing this training optionally or engaging students in teaching roles without prior training does not ensure widespread preparedness for future teaching roles. 3,5,7,16,28,47 Moreover, imparting foundational skills in this area at the undergraduate level is relevant given that teaching is a mandatory responsibility that medical trainees must undertake early in postgraduate training. 3,4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BME, programs have the responsibility of ensuring that trainees are adequately prepared for the various roles that they will assume, 8 and as such, teaching skills training should ideally be a mandatory component of UME curricula.
  3. 교수 기술은 UME에서 PGME까지 연속체를 따라 종단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문헌에 기술된 대부분의 SaT 커리큘럼은 상급생에게만 제공되고 짧은 과정으로 제공되었지만, 그러한 커리큘럼은 이상적으로 의과대학의 모든 해에 걸쳐 있어야 한다. CBME 원칙에 따라, SaT 커리큘럼은 종단 연속체를 따라 점진적으로 배열된 다양한 교육 기술을 포함해야 하며, 따라서 trainee가 훈련을 진행하면서 겪을 것이라 가정하는 다양한 교육 역할을 반영해야 한다. 종단적 접근은 또한 교육 개념의 동화를 촉진하고 교육자가 교육 기술을 연마함에 따라 자신감을 형성할 수 있다. 25,45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가르치는 것은 효과적인 피드백의 이론과 원리에 대한 소개로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세션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다루어 교육생들이 레지던시를 시작할 때 이 책임을 더 잘 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undergraduate teaching skill 훈련 목표를 postgraduate teaching의 기대와 일치시키는 것 또한 3개의 발표된 SaT 커리큘럼의 저자들에 의해 목표로 강조되었다. 이러한 이상은 ACGME (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후원 기관 2025 태스크 포스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PGME에 대한 미래 비전은 의과대학과 레지던트 간의 정렬을 강화하고 원활한 전환을 장려한다. 이 비전 내에서 UME 커리큘럼에 공식적으로 교수 기술 교육을 통합하면 대학원 교육이 보다 고급스럽고 전문화된 교수 역량을 목표로 삼을 수 있습니다.  
  4. Teaching skills should be taught longitudinally and progressively along the UME to PGME continuum. While most of the SaT curricula described in the literature were only delivered to senior students and were offered as short courses, such curricula should ideally span all years of medical school. 3,33,45 In line with CBME principles, SaT curricula should include a variety of teaching skills sequenced progressively along a longitudinal continuum, thus reflecting the different teaching roles that trainees assume as they progress in their training. 55 A longitudinal approach can also foster the assimilation of teaching concepts and build trainees’ confidence as they hone their teaching skills. 25,45 For example, teaching students to provide feedback could begin with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and principles of effective feedback. A later session could address various strategies for providing feedback in different settings such that trainees would be better prepared for this responsibility upon beginning residency. Aligning undergraduate teaching skills training objectives with postgraduate teaching expectations was also highlighted as a goal by the authors of 3 published SaT curricula. 19,28,37 This ideal is supported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Sponsoring Institution 2025 Task Force, whose future vision for PGME encourages increased alignment and a smoother transition betwee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56 Within this vision, formally integrating teaching skills training in UME curricula could allow postgraduate training to target more advanced, specialty-specific teaching competencies. 7
  5. SaT 커리큘럼 내용은 학교의 기존 커리큘럼 및 지역 맥락과 일치해야 한다. 내용은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구조와 시간적으로 관련이 있어야 한다. 적절하고 상황에 맞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교육생들이 훈련에서 특정 시간에 수행해야 할 교육 역할에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학교의 의대생들이 소그룹 리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 그들이 이러한 역할에 참여하기 전에 소그룹을 이끄는 것과 관련된 SaT 커리큘럼 내용을 가르쳐야 한다. 마찬가지로, 임상 교습과 관련된 전략은 임상 로테이션과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학교의 기존 커리큘럼 내에서 SaT 이니셔티브를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식별하면 시간 제약과 교직원 및 교육생 매수 등 구현에 대한 알려진 장벽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6. SaT curriculum content should be aligned with a school’s preexisting curriculum and local context. Content should be temporally relevant to the structure of a medical school’s curriculum. Teaching pertinent and context-appropriate skills will help prepare trainees for the teaching roles they are expected to fulfill at specific times in their training. 3,28,57 For example, if medical students at a particular school are expected to be small-group leaders, then the SaT curriculum content relevant to leading small groups should be taught prior to them engaging in these roles. Similarly, strategies related to clinical teaching would be best placed proximal to clinical rotations. Furthermore, identifying opportunities to integrate SaT initiatives within a school’s existing curriculum could help address known barriers to implementation, namely, time constraints and faculty and trainee buy-in. 5–7
  7. 학생들이 교사 역할에 참여할 수 있는 [진정한 기회]가 SaT 커리큘럼에 통합되어야 한다. 경험 및 업무 기반 학습에 관한 문헌 57,58은 의대 학생들이 미래에 이러한 기술을 수행할 자연 환경을 밀접하게 반영하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이상적으로 학습 성과를 달성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용적인 교수 경험은 많은 SaT 커리큘럼에 통합되었고 의대생들에게 가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험적 학습을 촉진하는 진정한 교수 기회는 교육생들이 새롭게 습득한 기술에 대해 연습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SaT 커리큘럼에 통합되어야 한다.
  8. Authentic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teaching role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aT curricula. The literature on experience- and work-based learning 57,58 suggests that medical student learning outcomes are ideally attained through participation in activities that closely reflect th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they will be performing these skills in the future.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s have been integrated into many SaT curricula 15,17–20,23–27,29–34,36–39,41–47 and are known to be valued by medical students. 22,33,37–39,45,47 These authentic teaching opportunities, which promote experiential learning, should be routinely incorporated into SaT curricula so trainees can practice and receive feedback on their newly acquired skills.

커리큘럼 내용, 교육 양식 및 평가 방법에 대한 권장 사항
Recommendations for curriculum content, teaching modalities, and assessment methods

커리큘럼 내용.
Curriculum content.

SaT 커리큘럼 내용은 여러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문헌에서 탐구되었다. 교수 기술 훈련에 대한 기대도 다양한 수준으로 UME 및 PGME 결과 기반 프레임워크에 통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UME 수준에서 스코틀랜드 의사 프레임워크(스코틀랜드)와 내일 의사 프레임워크(영국)는 교육 결과에 교사 역할을 포함하지만 커리큘럼 내용에 대한 특정 권장 사항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미국의학교육연락위원회와 캐나다의학대학원 인가위원회는 모두 standards를 통해 의학생을 감독하거나 가르치는 사람(예: 전공의, 대학원생, 박사후 펠로우)이 "교습 및 평가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준비되어야" 하며, 의과대학은 이러한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은 의대생을 명시적으로 교사로 지칭하지 않으며 [특정 커리큘럼 권장사항]을 알릴 수 있는 지침을 포함하지 않는다.
SaT curriculum content has been explored in the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multiple stakeholders. 3,5,7,15–47,49,50 Expectations for teaching skills training have also been incorporated, to various degrees, into UME and PGME outcome-based frameworks. For example, at the UME level, the Scottish Doctor framework (Scotland) 54 and the Tomorrow’s Doctors framework (United Kingdom) 53 include the teacher role in their training outcomes, though they do not provide specific recommendations regarding curriculum content. Both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mmittee on Accreditation of Canadian Medical Schools in Canada indicate in their standards that individuals who supervise or teach medical students (e.g., residents, graduate students, postdoctoral fellows) should be “prepared for their roles in teaching and assessment” and that the medical school should provide resources to enhance these skills. 59,60 These standards, however, do not explicitly refer to medical students as teachers and do not include guidelines that could inform specific curricular recommendations.

PGME 수준에서 미국의 ACGME는 Outcome Project 내에 [전공의의 교수자 역할]과 관련된 훈련 기대치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기대치는 여러 역량에 포함되므로 교수 기술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제한된 input만을 제공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캐나다 왕립 의과대학(Royal College of Canada)의 CanMEDs 프레임워크는 전 세계의 많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프로그램에 채택되어 왔으며, 교육생들이 Scholar role에서 졸업 전에 달성해야 하는 명확한 교수 역량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CanMEDs scholar role의 역량에는 다음이 있다.

  • 학습 활동 계획 및 전달,
  • 피드백 제공,
  • 학습자와 교사 평가 및 프로그램 평가,
  • 환자와 학습자를 위한 안전한 환경 촉진,
  • 역할 모델링 

At the PGME level, while the ACGME in the United States includes training expectations related to the resident’s teacher role within their Outcome Project, these are embedded within several of their competencies and therefore provide limited input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s curricula. 61 In contrast, the CanMEDS framework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which has been adopted by many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programs worldwide, 52,62 outlines clear teaching competencies that trainees must attain before graduation under the scholar role. Specifically, the competencies of the CanMEDS scholar role include

  • planning and delivering a learning activity,
  • providing feedback,
  • assessing learners and teachers and evaluating programs,
  • promoting a safe environment for patients and learners, and
  • role modeling. 52

도표 1에서는 주요 이해관계자가 제안한 SaT 커리큘럼 내용을 요약한다. 특히 의학교육자 및 의대생들이 제안하는 SaT 커리큘럼 내용은 대부분 CanMEDs 장학사 역할역량인 피드백 제공 및 학습활동 계획 및 전달에 포함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CanMEDs 프레임워크는 학습자와 교사를 평가하고 환자와 학습자를 위한 안전한 환경을 촉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UME 훈련 목표를 기존 PGME 역량과 일치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우리는 이러한 주제에 대한 소개를 SaT 커리큘럼에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In Chart 1, we summarize the SaT curriculum content that has been proposed by key stakeholders. Notably, most of the SaT curriculum content suggested by medical educators and medical students is encompassed within the CanMEDS scholar role competencies of providing feedback and planning and delivering a learning activity. Additionally, as noted above, the CanMEDS framework includes assessing learners and teachers and promoting a safe environment for patients and learners; with the goal of aligning UME training objectives with existing PGME competencies, we suggest that an introduction to these topics be included in SaT curricula.

[역할 모델링]은 CanMEDs 학자 역할에서 제안된 또 다른 콘텐츠 영역이다. UME에서 교육 역할 모델링에 대한 문헌은 희박하지만, 전공의 롤모델은 초기 교육 단계에서 학습자 훈련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공의에게 능동적 롤모델링을 가르치는 것도 그들의 임상 교수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따라서, UME 수준에서 이 기술을 가르치는 것은 학생들이 동료 역할 모델로서의 현재 위치와 [전공의 롤모델]로서의 미래 위치에 대비하는 데 적절할 것이다. 
Role modeling is another content area proposed in the CanMEDS scholar role. 52 While the literature about teaching role modeling in UME is sparse, resident role models have been found to play a key role in the training of learners at earlier educational stages. 63 Teaching active role modeling to residents has also been suggested as a way to improve their clinical teaching skills. 64 As such, teaching this skill set at the UME level would be pertinent to prepare students for their current positions as peer role models and their future positions as resident role models. 25,65

의학교육자와 의대생 50명이 추가로 제안한 주제로는 의학교육자로서의 전문직업성, 멘토링 등이 포함됐다. 이 두 가지 개념은 미래 교육자로서 교육생의 정체성 형성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각되었으며, 따라서 SaT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데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의대생들이 멘토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필요성은 내일의 의사 프레임워크에서도 뒷받침된다. 
Additional topics proposed by medical educators 51 and medical students 50 included professionalism as a medical educator and mentorship. These 2 concepts were highlighted as playing a role in trainees’ identity formation as future educators, and as such, would be worthwhile for inclusion in SaT curricula. 46 The need to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heir roles as mentors is also supported by the Tomorrow’s Doctors framework. 53

따라서 SaT 커리큘럼에 포함시킬 수 있는 다음 5가지 콘텐츠 영역을 권장합니다. 

  • (1) 학습 활동 계획 및 제공 
  • (2) 피드백 제공
  • (3) 교사와 학습자 평가
  • (4) 안전한 학습 환경 촉진 
  • (5) 의료 교육자로서 역할 모델링, 멘토링 및 전문직업성.

We therefore recommend the following 5 content areas for inclusion in SaT curricula:

  • (1) planning and delivering a learning activity;
  • (2) providing feedback;
  • (3) assessing teachers and learners;
  • (4) promoting a safe learning environment; and
  • (5) role modeling, mentorship, and professionalism as a medical educator.

교육 방식.
Teaching modalities.

이 검토의 연구는 의대 학생들이 SaT 과정에 대해 대화형 교수 전략(예: 소그룹 활동)을 선호한다고 보고했지만, 추가적인 증거는 학생들이 일방향 강의식 세션이 아닌 소그룹에서 자료를 가르칠 때 자기주도적 학습자가 되고 시험에서 더 나은 성과를 낸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리뷰에서 학생들은 또한 SaT 과정에 통합된 실질적인 교수 기회에 감사를 표했다. 이 전략은 경험 및 업무 기반 학습 문헌에 의해 더욱 뒷받침되는데, 이는 학생들에게 교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그들이 그들의 교수 기술을 적용하고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실습경험과 의미있는 피드백 및 성찰을 결합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While the studies in this review have reported that medical students prefer interactive teaching strategies (e.g., small-group activities) for their SaT courses, 20,29,45 additional evidence indicates that students become self-directed learners and perform better on examinations when material is taught in small groups rather than didactic sessions. 66,67 In this review, students also expressed appreciation for the practical teaching opportunities that were integrated into their SaT courses 22,33,37–39,45,47; this strategy is further supported by the experience- and work-based learning literature, which indicates that providing students with teaching experience helps them apply and consolidate their teaching skills. 57,58 Furthermore, coupling practical experience with meaningful feedback and reflection has been shown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17,19,24,25,45–47,57,68


따라서 우리는 [피드백과 성찰 기회가 내장된 진정한authentic 실습 교육 경험]뿐만 아니라, [소규모 그룹 토론, 대화형 강의 및 역할극 활동]과 같은 [다양한 상호작용형 교육 방식]을 통해 SaT 커리큘럼 콘텐츠를 학습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러한 권고안은 온라인 교육 및 학습을 향한 중요한 피벗이 있던 시기인 글로벌 팬데믹 동안 작성되었으므로 69 우리는 또한 과정 전달을 위해 웹 기반 모듈과 온라인 플랫폼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We therefore recommend that SaT curriculum content be learned through a variety of interactive teaching modalities, such as small-group discussions, interactive lectures, and role play activities, as well as authentic hands-on teaching experiences with built-in opportunities for feedback and reflection. As these recommendations were written during a global pandemic, a time in which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pivot toward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69 we also suggest that web-based modules and online platforms be considered for course delivery.

평가 방법.
Assessment methods.

우리가 아는 한, 발표된 SaT 커리큘럼에 다양한 평가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의대 학생들의 교수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모범 사례를 명시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없다. 그러나 이전 검토에서는 OSTE, 학생 교사의 직접 관찰, 학생의 학습자가 제공하는 피드백 및 자체 평가 도구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PGME 수준에서 커버데일 등은 많은 자가 관리 설문지가 전공의의 교육 기술을 평가하는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설문지는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착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저자들은 최종적으로 OSTE가 가장 엄격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OSTE의 재정적 비용과 관리 부담은 고려해야 할 한계이다. 대안적 접근법은 교육생의 교육 기술을 직접 관찰하여 평가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시기적절하고 효과적인 피드백과 결합되어 CBME 문헌에서 유용한 평가 방법으로 강조되었다.
To our knowledge, although a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have been used in the published SaT curricula, no study has explicitly evaluated best practices for assessing medical students’ teaching skills. However, previous reviews have suggested using OSTEs, direct observation of student teachers, feedback provided by the students’ learners, and self-assessment instruments. 3,9 At the PGME level, Coverdale et al 70 argued that while man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may be valid and reliable means of assessing residents’ teaching skills, these questionnaires do not captur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The authors ultimately concluded that the OSTE was the most rigorous and reliable assessment method. The financial costs and administrative burdens of OSTEs are, however, limitations which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9 An alternative approach could be to assess trainees’ teaching skills by direct observation, which coupled with timely and effective feedback, has been highlighted as a useful assessment method in the CBME literature. 8

따라서 우리는 OSTE 또는 다른 형태의 직접 관찰을 학생들의 교육 기술 평가에 포함할 것을 권고한다. 이러한 평가 전략을 교직원과 학생들의 학습자 모두의 피드백으로 보완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We therefore recommend that OSTEs or other forms of direct observation be included in the assessment of students’ teaching skills. Supplementing these assessment strategies with feedback from both faculty members and the students’ learners would also be beneficial.

제한 사항
Limitations

이러한 검토는 비교적 적은 수의 관련 연구로 제한되는데, 이는 공식적인 교수 기술 훈련을 포함하는 SaT 커리큘럼을 가진 모든 의과대학이 자신의 경험을 설명하는 기사를 출판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 다른 제한 사항으로는 영어로 제공되지 않는 기사를 제외하는 것과 검색 전략이 학술지 출판물로 제한되었다는 사실이 있다. 우리는 교사 역할을 명시적으로 통합하는 3가지 결과 기반 교육 프레임워크를 식별했지만, 회색 문헌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검토는 우리의 발견과 권고 사항을 알릴 수 있었던 추가 프레임워크를 드러냈을 수 있다.
This review is limited by a relatively low number of pertinent studies,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not all medical schools with SaT curricula incorporating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publish articles describing their experiences. Other limitations include our exclusion of articles not available in English, and the fact that our search strategy was limited to academic journal publications. While we identified 3 outcome-based educational frameworks that explicitly incorporate the teacher role, 52–54 a mor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gray literature may have revealed additional frameworks that could have informed our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향후 방향
Future directions

앞으로, 공식적인 교수 기술 훈련을 포함하는 세로형 SaT 커리큘럼의 구현을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업데이트된 Kirkpatrick 모델의 수준 3(행동)과 4(결과)를 목표로 하는 SaT 커리큘럼의 보다 강력한 프로그램 평가가 가치 있을 것이다. 행동 수준에서 프로그램 평가를 포함하는 많은 연구를 발견했지만, 그들의 연구 결과는 자기보고가 가장 흔했다. 단기 및 장기(예: 대학원 및 참석 직원 수준) 모두에서 학생 교사의 교육 능력과 커리큘럼 기여도에 대한 SaT 커리큘럼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또한 SaT 커리큘럼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스스로 더 나은 학습자가 되는지를 조사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교수 기술 훈련이 학생들의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조사하는 것은 또 다른 귀중한 탐구 영역이 될 수 있다. 지속가능성과 커리큘럼 구현에 대한 알려진 장벽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뿐만 아니라 SaT 교수 양식 및 평가 방법에 대한 모범 사례에 대한 추가 연구는 커리큘럼 권장 사항을 추가로 제공할 것이다.

Moving forward, studies evaluating the implementation of longitudinal SaT curricula incorporating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are needed. More robust program evaluations of SaT curricula targeting levels 3 (behavior) and 4 (results) of the updated Kirkpatrick model 14 would be worthwhile. Although we found many studies that included program evaluations at the level of behavior, their findings were most commonly self-reported 15,18,20,22,24,33,39,45,46; it would be beneficial to objectively evaluate the impact of SaT curricula on student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curricular contributions, both in the short- and long-term (e.g., at the postgraduate and attending staff levels). It would also be interesting to investigate whether students participating in SaT curricula become better learners themselves. Further examining the impact of teaching skills training on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students’ learners could be another valuable area of inquiry. Additional research on best practices for SaT teaching modalities and assessment methods, as well as on strategies to address sustainability and known barrier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would further inform curricular recommendations.

결론들
Conclusions

이 서술적 검토의 결과는 의과대학이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의 교수 역할에 대해 더 잘 대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우리는 SaT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문헌 정보 및 CBME 정렬 권장 사항을 제안한다. 우리는 교수 기술 훈련이 UME에서 PGME까지 연속체를 따라 종단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공식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며, 가능할 때마다 이 훈련이 의무화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는 또한 SaT 커리큘럼이 의대의 기존 커리큘럼과 일치해야 하며 학생들이 교수 역할에 참여할 수 있는 진정한 기회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findings of this narrative review suggest that medical schools should better prepare students for both their current and future teaching roles. We therefore propose literature-informed and CBME-aligned recommendations for SaT curriculum development. We suggest that teaching skills training should be formally implemented at the UME level in a longitudinal and progressive manner along the UME to PGME continuum and that, whenever possible, this training should be compulsory. We also argue that SaT curricula should be aligned with a medical school’s preexisting curriculum and include authentic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teaching roles.

많은 면에서, 이제는 더 이상 [의대 학생들이 교수 기술 훈련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의학 교육자들이 [어떻게 학생들이 teaching 역할에 가장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을까]의 문제이다. "가르치는 것이 두 번 배우는 것"이라면, 내일의 교사와 학습자 형성에 있어 교육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은 핵심이다.

In many ways, it appears that it is no longer a question of whether medical students would benefit from teaching skills training, but rather how medical educators can enable them to engage in their teaching roles most successfully. If “to teach is to learn twice,” 71 then teaching trainees how to teach is key in the formation of the teachers and learners of tomorrow.

 


Acad Med. 2022 Jun 1;97(6):909-922. doi: 10.1097/ACM.0000000000004608. Epub 2022 May 19.

Teaching Medical Students to Teach: A Narrative Review and Literature-Informed Recommendations for Student-as-Teacher Curricula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 Cohen was a fourth-year medical student,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when conducting this review. She is now a first-year resident in pediatrics,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Ottawa, Ottawa,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1-9593-9093.

2Y. Steinert is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education, Richard and Sylvia Cruess Chair in Medical Education,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3E. Ruano Cea is assistant professor of pediatric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aculty lead, and assistant program director, McGill General Pediatrics Program, and associate member,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PMID: 35108235

DOI: 10.1097/ACM.0000000000004608

Abstract

Purpose: Medical students play an important role as teachers. This narrative review synthesizes the student-as-teacher (SaT) literature that incorporates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with the goal of proposing literature-informed recommendations for SaT curriculum development with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Method: In January and August 2020, the authors searched Medline and Embase and conducted forward citation searches in Scopus to identify articles from 1985 to 2020 related to teaching medical students to teach. Search terms included "student(s) as teacher(s)," "near-peer teaching," and "teaching to teach." The findings from selected articles were summarized and synthesized.

Results: Forty-three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33 papers describing specific SaT curricula, 3 literature reviews, 6 stakeholder surveys, and 1 Delphi study. While students often engage in teaching roles, formal teaching skills training is not always provided. Existing curricula are usually optional, delivered as short courses, and offered to senior students. Course content commonly includes topics related to planning and delivering learning activities and providing feedback. Of the numerous teaching modalities employed, students indicate a preference for interactive and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used to assess students' teaching skills vary; however, direct observation and feedback are valued assessment methods. Program evaluations have shown positive outcomes, including high student satisfaction and enhanced self-confidence as teachers.

Conclusions: Informed by these findings and outcome-based educational frameworks, the authors suggest 4 guiding principles for SaT curricula: (1) teaching skills training should be formally implement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should, whenever possible, be compulsory; (2) teaching skills should be taught longitudinally and progressively along the undergraduate to postgraduate continuum; (3) curriculum content should be aligned with a school's preexisting curriculum and local context; and (4) authentic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teaching roles should be included. They also propose recommendations for curriculum content, teaching modalities, and assessment methods.

의대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지를 가르치기: 스코핑 리뷰(Teach Learn Med. 2022)
Teaching Medical Students How to Teach: A Scoping Review
Holly S. Meyera , Kelsey Larsenb, Anita Samuela , Holly Berkleyc, Morgan Harveyd , Candace Nortone and Lauren A. Maggioa 

 

 

현상
Phenomenon

의사로서의 숙련도는 환자를 가르치고, 훈련생을 가르치고, 동료들을 가르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의과대학들은 의대생들의 교사 자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MSAT 프로그램은 의과대학에서 니어피어neer-peer 튜터링과 가르침을 통해 그들이 임상 실습에 도달했을 때 이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는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의대 학생들이 준비하도록 돕는다. 소수의 리뷰 또는 여러 기관 연구는 교육자들이 그러한 프로그램을 알릴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하는 이러한 이니셔티브에 대한 문헌을 종합했다. 그러나 이러한 원고는 가치가 있지만 특정 국가 또는 출판 유형(예: 개입을 특징으로 하는 기사)에 초점을 맞춘 범위가 좁다. 우리가 아는 한, MSAT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경험적 연구, 논평 및 서술적 연구를 포함하는 풍부하고 성장하는 문학 본체의 전체적인 합성은 없다. 이것은 이 주제에 대해 널리 알려진 것을 실천으로 옮기려는 교육자들에게 불리할 수 있는 격차를 나타낸다. MSAT 프로그램을 시작하거나 운영하는 교육자는 이 검토 없이 시대에 뒤떨어지고 대조되지 않은 증거를 구현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본 범위 검토는 모든 출판 유형을 고려하여 현재 문헌을 매핑하여 교육자, 연구자 및 의료 전문가에게 문헌의 전체적 합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roficiency as a physician requires teaching: teaching patients, teaching trainees, and teaching colleagues.1 To meet this need, many medical schools offer medical students’ as teachers (MSAT) programs. MSAT programs help prepare medical students with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take on this critical role through near-peer tutoring and teaching in medical school and when they reach clinical practice. A small number of reviews or multi-institutional studies have synthesized the literature on these initiatives providing educators with evidence to inform such programs.2–4 However, while valuable, these manuscripts are narrow in scope focusing on a specific country2 or publication type (e.g., articles featuring interventions).3 To our knowledge, there is no holistic synthesis of the rich and growing body of literature that includes systematic reviews, empirical research, commentaries, and descriptive studies on MSAT programs. This indicates a gap that may disadvantage educators seeking to translate what is broadly known about this topic into practice. Educators starting or running an MSAT program risk implementing outdated and uncollated evidence without this review. Thus, this scoping review aims to map the current litera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all publication types, to provide educators, researchers, and medical professionals with a holistic synthesis of the literature.

많은 의과대학들이 MSAT 프로그램을 교과과정에 통합했다. 이 프로그램들은 전달 방식이 다양하지만 [의대생들의 교육 역량을 향상시킨다]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전달은 피어 또는 니어피어 튜터링 프로그램, 워크샵 또는 종방향 교육 과정, 그리고 지역사회 서비스 교육(예: 고등학생에게 보건 교육을 가르치거나 개발도상국의 지역사회 구성원을 가르치는 것)과 같은 다른 다양한 접근 방식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한다. 프로그램은 다양한 교수법 활용, 평가 개발, 프로그램 평가 참여, 커리큘럼 작성, 목표 제작 등 의대 학생들의 능력 개발을 돕기 위해 다양한 교수 지식과 기술을 우선시합니다.
Many medical schools have integrated an MSAT program into their curriculum.5 These programs vary in delivery but share a common goal: to improve the medical students’ teaching competency. Delivery takes several forms including

  • peer or near-peer tutoring programs,6–11 
  • workshops or longitudinal teaching courses,12–19 
  • other varied approaches such as community service teaching (e.g., teaching health education to high school students or teaching community members of a developing country).20,21 

Programs prioritize a variety of teaching knowledge and skills to help develop medical students’ abilities including utilizing varied teaching methods, developing assessments, engaging in program evaluation, creating curriculum, and crafting objectives.

새로운 프로그램의 성장을 촉진하고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실습에 대한 공유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의대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문헌 검토가 필요하다. MSAT 또는 니어피어 튜터링 프로그램은 [교수 역량 향상]과 [가르침teaching이 의사의 중심 업무임을 인식하게 함]을 포함한 다양한 혜택과 관련이 있다. 그 프로그램들은 가르치는 법을 배우는 사람들과 의대생-선생님이 가르치는 사람들- 의대생들에게 모두 혜택을 준다. 의료계 종사자들에게, 교육에 대한 노출은 평생의 교육 문화, 강화된 의사소통 기술을 통한 환자 치료 개선, 그리고 교육자 역할에 더 잘 준비된 노동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관은 교직원이 채우지 못하는 교육과정 내 격차를 해소하는 등 교직원의 교육부담 완화를 도모할 수 있다1. 의대생들의 경우, 교수 기술 훈련을 받는 사람들은 

  • (1) 더 자립적이고 지략이 풍부하고 
  • (2)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성장하고 성숙하다. 
  • (3) 교육 전략을 습득한다.
  • (4) 지속적인 노출과 자료 참여를 통해 학문적으로 이익을 얻는다. 
  • (5) GMC에서 정한 교육자 요건을 충족시키다.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eaching medical students how to teach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growth of new programs and to provide a shared knowledge of practices for existing programs. MSAT or near-peer tutoring programs have been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benefits including improved teaching competency and identification of teaching as a central task of physicians.22 The programs benefit the medical profession, institutions, and medical students - both those learning to teach and those taught by the medical student-teacher. For the medical profession, exposure to teaching could lead to a lifelong culture of teaching,23 improved patient care through enhanced communication skills,3 and a workforce better prepared for educator roles.3 Institutions may benefit from alleviating the teaching burden of faculty members1 including closing gaps within the curriculum that faculty members are unable to fill.24 For medical students, those who receive training in teaching skills are

  • (1) more self-reliant and resourceful,1 
  • (2) grow and mature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25 
  • (3) acquire teaching strategies,3 
  • (4) benefit academically through continual exposure and engagement with material,2 and
  • (5) fulfill educator requirements establish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26–28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 [의료 면허 규정에 따른 요구 사항],
  • ["온더잡" 훈련 이상의 교육 기술에 대한 추가 지원],
  •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터를 양성해야 하는 확인된 필요성]

..등 여러 가지 출처에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의대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의 이점은 의대생들에게 가르치는 기술을 구축하는 것 이상으로 확장된다.

The need for teaching programs stems from several sources, including

  •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medical licensure regulations,29 
  • additional support of teaching skills beyond “on the job” training,30 
  • and the identified need to train tutors in peer tutoring programs.2 

Benefits of teaching medical students to teach, therefore, extend beyond building medical student teaching skills.

MSAT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적한 바와 같이, 이전의 검토들은 이 주제에 다소 좁게 접근했다. 예를 들어, Marton 등은 동료 교수, 교수 워크숍 및 아웃리치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춘 20개의 연구를 기술한 리뷰를 발표했다. Marton 등은 보다 객관적인 이니셔티브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유의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의대생들의 교육능력이 주관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가치가 있지만 2013년까지의 연구를 포함한 이 연구는 대규모 조사 연구, 문헌 검토, 델파이 연구와 같은 더 최근의 문헌 및 비간섭 연구를 제외했다. 델파이 연구는 MSAT 프로그램이 다룰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주제를 우선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설명한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가 무엇보다도 의학 교육자들에게 이 주제에 대한 문헌에 대한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The literature on MSAT programs is growing rapidly. However, as noted, previous reviews have somewhat narrowly approached the topic. For example, Marton et al.4 published a review that described 20 studies focused on peer teaching, teaching workshops, and outreach programs. Marton et al. found that medical student’s teaching skills subjectively improved through a variety of programs with the caveat that more objective measures of the initiatives are needed. While valuable, this work which included studies until 2013 excluded more recent literature and nonintervention studies such as a large survey study,2 literature reviews,3,4 and a Delphi study.5 The Delphi study describes a helpful framework for prioritizing the large variety of topics that MSAT programs can cover.5 We contend that these studies, among others, are critical in providing medical educators with a comprehensive and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on this topic.

본 연구는 MSAT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이유, 이점과 장벽, 누가 가르치고 어떤 내용을 가르치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개입을 넘어 개입, 검토 및 주석과 같은 보다 포괄적인 범위의 출판물을 포함하도록 확장함으로써 MSAT 프로그램의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이전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는 또한 Marton 등의 작업을 구축하고 교수 개입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필수적인 실질적인 수업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why MSAT programs are started, the benefits and barriers, who teaches them, and what content is taught. To this end, we intend to broaden the scope of coverage of MSAT programs by extending beyond interventions to include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publications: interventions, reviews, and commentaries. As an extension of earlier works, we also focused on building off of Marton et al.’s work and creating practical lessons that are essential for programs to ensure teaching interventions maximize effectiveness.

접근
Approach

우리는 Arcsey와 O'Malley의 5단계 프레임워크에 따라 스코핑 리뷰를 수행했다. 우리는 연구의 격차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와 적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 방법론을 선택했다. 우리의 설계에서, 우리는 다른 지식 합성 유형(예: 체계적인 검토)을 고려했다. 그러나, 문헌의 이질성과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 메커니즘과 관련된 Marton et al.4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우리는 스코핑 리뷰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이 범위 검토는 Marton 등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990년부터 2013년까지 출판물을 검토했으며 2014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사를 포함했다. 이 범위조사의 두 번째 목적은 향후 체계적 검토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guided by Arksey and O’Malley’s five-stage framework.31 We selected this methodology to identify gaps in the research and make suggestions to inform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31 In our design, we considered other knowledge synthesis types (e.g., a systematic review). However, due to the heterogeneity and rapid growth of the literature, and to answer the call from Marton et al.4 regarding program evaluation mechanisms, we determined that a scoping review was most appropriate. This scoping review was built on Marton et al. (which reviewed publications from 1990 to 2013) and included articles from 2014 to 2020. A secondary aim of this scoping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a future systematic review.

1단계: 연구 질문 식별
Stage 1: Identifying the research question

저자팀에는 의학교육(AS, HM, KL), 지식합성(LM), 정보과학(CN)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회원들이 포함됐다.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통합하기 위해, 우리는 MSAT 프로그램 개발과 구현을 도운 의대 졸업생인 MH와 HB를 모집했다. 집합적으로, 우리는 "의학 학생들이 가르칠 수 있도록 훈련하기 위해 고안된 의과대학 이니셔티브에 대한 문헌의 현재 스코프는 무엇인가?"라는 광범위한 연구 질문을 개발했다.

The author team included members with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AS, HM, and KL), knowledge syntheses (LM), and information science (CN). To incorporate stakeholder views, we recruited MH and HB, both recent medical school graduates who helped develop and implement an MSAT program. Collectively, we developed a broad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current scope of the literature on medical school initiatives designed to train medical students to teach?”

2단계: 관련 기사 식별
Stage 2: Identifying relevant articles

HM과 CN은 공동으로 검색 전략을 개발했다. 원래 2019년 9월 17일에 검색한 후 2021년 2월 1일에 재방송하여 새로운 문헌을 식별하였다. 우리는 PubMed, Embase, ERIC, Web of Science, PsycINFO를 검색했습니다. 전체 검색 전략은 부록 1(온라인 부록 참조)을 참조하십시오. 우리는 또한 당과 마조가 제안한 바와 같이 관련 커리큘럼 자료의 캡처를 보장하기 위해 MedEdPORTAL 웹사이트를 직접 검색했다.32 검색어에는 다음과 같은 키워드와 각 데이터베이스에 최적화된 제어된 어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학생, 의대생, 의대생, 의대생, 의대교사, 교수역할, 미시교습, 교사교습, 동료교습, 근친교습. 모든 출판 유형(예: 편지, 주석, 리뷰)을 포함시켜 문헌을 완전히 탐색하고 이전 리뷰를 넘어 적용 범위를 확장했다. 포함된 모든 기사의 인용문은 추가 관련 기사를 위해 손으로 검색되었다. 인용은 중복 제거를 포함하여 EndNote에서 관리되었습니다.
HM and CN collaboratively developed the search strategy. A search was originally conducted on September 17, 2019 and then rerun on February 1, 2021 to identify new literature. We searched PubMed, Embase, ERIC, Web of Science, and PsycINFO. See Appendix 1 (see online supplement) for complete search strategies. We also hand-searched the MedEdPORTAL website to ensure the capture of relevant curricular materials, as suggested by Dang and Maggio.32 Search terms included a combination of keywords and controlled vocabulary terms optimized for each databa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tudents-as-teachers,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medical teachers, teaching role, microteaching, teaching the teacher, peer teaching, and near peer teaching. We included all publication types (e.g., letters, commentaries, reviews) to fully explore the literature and expand our coverage beyond earlier reviews.32 Citations of all included articles were hand-searched for additional relevant articles. Citations were managed in EndNote, including duplicate removal.

1990년에서 2013년 사이에 발표된 기사를 포함한 Marton 등의 4개 리뷰를 연장하고자 했기 때문에 의대생을 포함하지 않았거나, 영어로 작성되지 않은 논문는 제외했다. 검색은 2014년 이후에 출판된 기사로 제한되었다. 또한 튜터를 위한 교육학적 훈련이 없는 동료 튜터링에 초점을 맞춘 기사 및 가르침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전문 기술(예: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피드백)에 초점을 맞춘 기사는 제외했다. 마지막으로, 여러 출판물에 대한 개입을 위해, 우리는 더 최근의 출판물에 의해 대체된 결과가 있는 연구를 제외했다.

As we intended to extend Marton et al.’s4 review, which included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3, we excluded articles, not including medical students and not written in English. Retrieval was limited to articles published in or after 2014. Additionally, we excluded articles focused on peer tutoring without pedagogical training for tutors and those that focused on professional skills (e.g., communication, leadership, feedback) without a direct connection to teaching. Lastly, for interventions with multiple publications, we excluded studies with results that were superseded by those of a more recent publication.

3단계: 연구 선택
Stage 3: Study selection

우리는 검색된 인용문과 연구 질문 사이의 정렬을 결정하기 위해 2단계 프로세스를 사용했다. 이 반복 프로세스는 체계적인 검토 프로그램인 코비던스에서 관리되었다. HM과 KL은 독립적으로 처음 20개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했다. 우리는 우리의 결과를 규범화하고 우리의 포함 및 제외 기준을 개선했다. 초기 정렬에 도달한 후, 우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나머지 모든 기록을 검토했다. 우리는 모든 인용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불일치(모든 제목 요약의 약 5%)를 검토했다.

We used a two-phase process to determine the alignment between the retrieved citations and the research question. This iterative process was managed in Covidence, a systematic review program. HM and KL independently reviewed the first 20 titles and abstracts. We normed on our results and refined ou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fter initial alignment was reached, we each independently reviewed all remaining records. We reviewed any discrepancies (approximately 5% of all title abstracts) until we reached a consensus on all citations.

4단계: 데이터 차트 작성
Stage 4: Data charting

저자 팀은 데이터 차트 작성 도구를 공동으로 개발했다. 먼저 HM은 구글 형태로 데이터 차트 작성 도구를 개발했다. 모든 저자는 식별된 세 가지 유형의 출판물 그룹(예: 개입), 합성 및 주석)을 나타내는 동일한 세 가지 기사를 사용하여 데이터 차트 작성 도구를 독립적으로 시험했다. 그 후 우리는 결과를 검토하고 차트 작성 도구를 다듬기 위해 만났다. 나머지 기사들은 독립 검토를 위해 (KL, AS, CN, HB, MH) 간에 균등하게 나누어 모든 기사들은 최소 두 명의 저자에 의해 검토되었다. HM은 모든 기사를 검토했다. HM은 불일치를 검토하기 위해 각 공동 저자를 만났고, 모든 것은 합의로 해결되었다. 필요에 따라 LM은 타이브레이커 역할을 했다. 데이터 차트에는 교육 전략, 방법, 이점 및 장벽을 포함한 다양한 추출 범주가 포함되었다(전체 데이터 차트 작성 툴은 부록 2(온라인 부록 참조).

The author team collaboratively developed a data charting tool. First, HM developed the data charting tool in Google forms. All authors independently piloted the data charting tool using the same three articles that represented the three groups of publication types identified: original research (e.g., interventions), syntheses, and commentaries. We subsequently met to review the results and refine the charting tool. The remaining articles were divided equally between (KL, AS, CN, HB, and MH) for independent review such that all articles were reviewed by at least two authors. HM reviewed all the articles. HM met with each coauthor to review discrepancies; all were resolved by consensus. As needed, LM served as a tiebreaker. The data charting included a variety of extraction categories, including teaching strategies, methods, benefits, and barriers (See Appendix 2 (see online supplement) for the complete data charting tool).

5단계: 결과 분석, 요약 및 보고
Stage 5: Collating, summarizing, and reporting results

프로그램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미래 연구에 대한 Marton 등의 요구를 기반으로, 우리의 분석은 [프로그램 평가]와 [교육 방법]이라는 두 가지 영역에서 확립된 프레임워크와 개입 프로그램 결과를 정렬했다. HM은 추출된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커리큘럼 평가에 맞춘 Kirkpatrick의 프로그램 평가 모델의 수정 버전을 사용하여 분류하였다8(박스 1 참조). 프로그래밍 평가에 전문성을 가진 의학 교육자인 AS가 독립적으로 분류를 검토했고 LM은 필요에 따라 타이브레이커 역할을 했다.
Based on Marton’s et al. call for future studies to report program outcomes, our analysis aligned the intervention program outcomes with established frameworks in two areas: program evaluation and teaching methods. HM classified the extracted program evaluation methods using a modified version of Kirkpatrick’s program evaluation model33 that is tailored to curriculum evaluation8 (see Box 1). AS, a medical educator with expertise in programmatic evaluation, independently reviewed the categorization and LM served as a tiebreaker as necessary.

====

상자 1. 에를리히의 수정판 커크패트릭 커리큘럼 평가 피라미드.8

"레벨 4 결과. 교육 커리큘럼이 1학년 학생들의 성적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가?

레벨 3 행동. 교육과정이 끝날 때 학생-교사가 더 유능했는가?

레벨 2 학습. 참가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교육의 기본 원리에 대한 학습을 입증했으며, 이러한 목표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확신했습니까?

레벨 1 반응. 학생-교사는 그 경험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아니면 그 경험을 즐겼는가?

Box 1. Erlich’s modified version of Kirkpatrick pyramid of curriculum evaluation.8

“Level 4 Results. In what ways did the teaching curriculum impact the outcomes of the first-year students?

Level 3 Behavior. Were student-teachers more competent at the curriculum’s end?

Level 2 Learning. In what ways did participants demonstrate learning of the basic principles of teaching, and in what ways were they confident in these objectives?

Level 1 Reaction. How did student-teachers react to or enjoy the experience?”

====

교수법은 라나 등의 최근 델파이 연구에 기초하여 추출되고 우선 순위가 매겨졌다. 라나 등은 이 기간 동안 28명의 전문가가 MSAT 프로그램에서 의대생에게 가르치는 주제에 가치를 부여하고 틀을 만드는 델파이 연구를 진행했다. 데이터 도표에서, 우리는 Rana 등의 프레임워크를 우리의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배운 내용을 범주 및 주제에 맞출 수 있는 이점을 보았다(표 4 참조). HM은 추출된 데이터에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고 두 명의 상주 의사인 HB와 MH에게 그녀의 노력을 제시했다. 그들은 그들의 관련 임상 경험에 비추어 프레임워크의 적용을 검토했다.
Teaching methods were extracted and prioritized based on a recent Delphi study by Rana et al.5 Rana et al. conducted a Delphi study during which 28 experts assigned value to the topics taught to medical students in MSAT programs and created a framework. In our data charting, we saw the benefits of applying Rana et al.’s5 framework to our study, which allowed us to align the content taught to the categories and topics (see Table 4). HM applied the framework to the extracted data and presented her efforts to HB and MH, two resident physicians. They reviewed the application of the framework in light of their related clinical experiences.

소견
Findings

우리의 검색 전략은 1,644개의 결과를 반환했고, 1,587개의 기사가 무관한 것으로 표시되었고, 57개의 기사가 전문 검토 대상으로 남았고, 27개의 기사가 포함되었습니다.1-19,34-40 포함된 기사를 시각화하기 위해 두 개의 그림이 포함되었습니다. 1) PRISMA 흐름도 그림 1 및 2) 포함된 기사의 특성 요약 그림 2. 2014년과 2020년 사이에 출판되었으며, 미국에서 가장 많이 출판된 9개국의 기관(n = 10, 39.1%), 5,6,8,9,13,15,17,19,36,38 영국(n = 5,34,39,40,42), 호주(n = 4,17.4%)를 대표한다.s 모래 동료 과외 프로그램, n = 20, 74.1%), 1,6-19, 35–39 리뷰/세션 합성(n = 3, 11.1%), 3,4,30 의견 조각(n = 3, 11.1%), 34,40,42 및 하나의 서술적 연구. (3.7%)5 표 1은 연구에 포함된 모든 논문의 개요를 제공한다.
Our search strategy returned 1,644 results, with 1,587 articles marked as irrelevant, leaving 57 articles for full-text review, and resulting in 27 included articles.1–19,34–40 Two figures have been included to visualize the articles included: 1) Figure 1 for a PRISMA flow diagram41 and 2) Figure 2 for a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s of included articles. Articles were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0 and represent institutions from nine countries with most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n = 10, 39.1%),5,6,8,9,13,15,17,19,36,38 United Kingdom (n = 5, 13%),10,34,39,40,42 and Australia (n = 4, 17.4%).2,3,12,35 We identified four general publication types: intervention studies (e.g., teaching workshops and peer tutoring programs, n = 20, 74.1%),1,6–19,35–39 reviews/knowledge syntheses (n = 3, 11.1%),3,4,30 opinion pieces (n = 3, 11.1%),34,40,42 and one descriptive study. (3.7%)5 Table 1 provides an overview of all articles included in the study.

개입은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과 [강의실/과정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균등하게 나뉘었다. 개입의 과반수(n = 18, 90%)가 [선택 사항]으로 제공되었다. 두 표는 개입 전반에 걸친 일반적인 특성(표 2)과 특정 개입의 특성(표 3)을 구분한다.

  • 표 2는 개입을 시작해야 하는 이유, 개입을 가르치는 개인, 가르치는 내용 등을 포함한 [개입의 특성]을 설명한다.
  • 표 3은 각 [개입의 데이터를 분류]하여 특정 개입이 선택적 또는 의무적이었는지, 누구를 가르쳤는지(예: 1학년 대 3학년 의대 학생),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소비한 시간, 개입 유형(예: 동료 교수 대 강의실/과정) 등을 보여준다.

이 표들은 함께 각 개입에 대한 자세한 보기와 여러 개입에 걸친 일반적인 특성을 제공한다.
The interventions were evenly split between those designed to serve as peer tutoring programs and teaching workshops/courses. A majority (n = 18, 90%) of the interventions were offered as electives. Two tables breakdown general characteristics across interventions (Table 2) and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nterventions (Table 3). 

  • Table 2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including reasons to start an intervention, individuals teaching an intervention, content taught, etc. 
  • Table 3 breaks down the data from each intervention to show if the specific intervention was elective or mandatory, who they taught (e.g., 1st year vs 3rd-year medical students), time spent teaching students how to teach, type of intervention (e.g., peer teaching vs teaching workshop/course), etc.

Together, these tables provide a detailed view of each intervention an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cross multiple interventions.

 

 

의대생에게 가르치는 것의 이점과 과제
Benefits and challenges of teaching medical students to teach

이 기사에서는 튜터, 튜티, 기관 및 직업에 대한 수많은 혜택을 설명합니다. 몇몇 연구들은 의대생들이 교육의 기초를 배우는 것 이상의 이점을 보고했습니다. 이러한 편익은 종종 자가 진단 또는 일화로 관찰되었으며,

  • 교수 기술(n = 17, 85%),
  • 의대 학생의 자신감(n = 13, 65%),
  • 조직 기술(n = 8, 40%),
  • 의대 학생의 학습 능력(n = 6, 30%),
  • 임상 기술 강화(n = 6, 30%) 및
  • 교수진 지원(n = 3, 15%),
  • 전문적 정체성 발달(n = 2, 10%),
  • 학술적 저작물 보급 참여(n = 1, 5%).

The articles describe numerous benefits for the tutor, tutee, institution, and profession. Several studies reported benefits beyond medical students learning the fundamentals of teaching. These benefits were often self-reported or anecdotally observed and included

  • enhanced teaching skills (n = 17, 85%),
  • increased confidence of medical student (n = 13, 65%),
  • increased organizational skills (n = 8, 40%),
  • enhanced learning abilities of the medical student (n = 6, 30%),
  • strengthened clinical skills (n = 6, 30%),
  • assistance to faculty (n = 3, 15%),
  •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n = 2, 10%), and
  • participation in the dissemination of scholarly work (n = 1, 5%).

예를 들어, Erlich et al.8은 실제 교수 경험 내에서 교훈적인 교수 커리큘럼을 개발했고 조직 능력, 향상된 학습 능력 및 향상된 임상 기술을 포함한 교수 기술을 능가하는 일련의 향상된 기술과 태도를 보고했다. 또한 개입은 미래의 의사-교육자(n = 16, 80%)를 개발하고, 의대생에게 레지던스 교육 의무를 준비하도록 하며(n = 13, 65%), 의대생 자신의 학습능력 향상(n = 8, 40%)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표 2에는 코드화된 이유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자들은 MSAT 개입을 구현하기 위한 두 가지 과제에 주목했다:

  • 다른 교육 수요와의 경쟁(n = 6, 30%)과
  • 교수진 모집 및 유지의 어려움(n = 5, 25%).

For example, Erlich et al.8 developed a didactic teaching curriculum within a practical teaching experience and reported an assortment of enhanced skills and attitudes that transcend teaching skills including organizational abilities, enhanced learning abilities, and enhanced clinical skills. Additionally, interventions acknowledged the need to develop future physician-educators (n = 16, 80%), to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eaching obligations in residency (n = 13, 65%), and to enhance a medical student’s own learning ability (n = 8, 40%). Table 2 includes all coded reasons. The authors noted two challenges to implementing an MSAT intervention:

  • competition with other educational demands (n = 6, 30%) and
  • difficulty in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faculty (n = 5, 25%).

강사 배경
Instructor backgrounds

개입에는 의사(n = 8, 40%), 기타 의대생(n = 5, 25%), 보건 관련 교육자(n = 5, 25), 박사/에디(PhD/EdD) 경력을 가진 강사(n = 2, 10%)가 포함되었다. 의대생 참여는 프로그램 구상, 교재 개발, 직접 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이뤄졌다. 예를 들어 Blanco et al.36은 온라인 교육 모듈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설계 개발에 참여하는 의대생들을 기술했다.
The interventions included instructors from a variety of backgrounds including physicians (n = 8, 40%), other medical students (n = 5, 25%), health-related educators (n = 5, 25), and instructors with PhD/EdD backgrounds (n = 2, 10%). Medical student participation took numerous forms including program conception, developing materials, and directly teaching the content. For instance, Blanco et al.36 described medical students engag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design as well as constructing online teaching modules.

가르칠 내용
Content to teach

라나 등은 학생-교사 프로그램이 다룰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주제를 우선시하기 위한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했다.5 우리의 리뷰는 의대생-교사들에게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10가지 주제를 확인했다. 라나 등의 분류를 사용하여 각 주제(예: 소규모 그룹을 촉진하는 방법)를 필수, 중요, 중요하지 않거나 합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했다(표 4 참조). 이 틀을 적용하면 10개 주제 중 5개가 필수, 2개가 중요, 3개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가르치는 콘텐츠의 [상위 세 영역]에는 다음이 포함되어 있었다

  • 소규모 그룹을 촉진하는 방법(n = 16, 80%),
  • 피드백을 주는 방법(n = 15, 75%)
  • 세션 설계/교육 자료 작성 방법(n = 10, 50%).

Rana et al. provided a helpful framework for prioritizing the large variety of topics that students-as-teachers programs can cover.5 Our review identified 10 topics commonly taught to medical student-teachers about teaching. Using Rana’s et al. classifications, each topic (e.g., how to facilitate small groups) was categorized as either essential, important, not important or did not reach consensus (see Table 4). Applying this framework, five of the ten topics were essential, two were important, and three did not reach consensus. According to our study, the top three areas of content taught included

  • how to facilitate small groups (n = 16, 80%),
  • how to give feedback (n = 15, 75%), and
  • how to design sessions/create instructional materials (n = 10, 50%).

이 세 가지 콘텐츠 영역은 Rana 등이 각각 필수, 필수, 중요로 분류하였다. 네 번째로 널리 보급된 주제는 성인 학습 이론/교육 이론(n = 8, 40%)이었다. 라나 등의 연구에서 [경험적 학습 이론의 가치]를 두고는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아무도 그것을 필수적이고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지 않았다.
These three content areas were categorized by Rana et al. as essential, essential, and important, respectively. The fourth most prevalent topic was adult learning theory/educational theory (n = 8, 40%). Rana et al.’s study did not reach a consensus on the value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with no one identifying it as essential and a split between important and not important.

니아즈와 미스트리(Mistry)는 [동료 및 니어피어 교수 프로그램]을 촉진하는 데 특히 도움이 되는 작품을 제공했다. 이들은 주요 교육 분야를 파악했습니다. 

  • 명확한 목표 보유, 
  • 학생에게 맞춤
  • 프레임워크 사용, 
  • 수많은 자원 활용, 
  • 임상 관련성 및 개인적 경험 기반 구축, 
  • 건설적인 피드백 제공, 
  • 학생 실습 장려, 
  • 현장 최신 정보 제공, 
  • 명확한 기대치 설정, 
  • 동료 관찰 참여, 
  • 자기 성찰 참여.

Niaz and Mistry40 provided a particularly helpful piece to facilitate peer and near-peer teaching programs. They identified the key areas of instruction:

  • having clear objectives,
  • adapting to students,
  • using a framework,
  • utilizing numerous resources,
  • building on clinical relevance and personal experience,
  • offering constructive feedback,
  • encouraging student practice,
  • keeping up to date with the field,
  • setting clear expectations,
  • participating in peer observation, and
  • engaging in self-reflection.

의대생 교사들을 가르치기 위한 방식
Modalities for teaching medical student teachers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넘어,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은 개입에 따라 다양했다.

  • 소그룹 지침 사용(n = 12, 60%),
  • 의대생들이 관찰을 통해 배우게 함(n = 12, 60%) 및
  • 대규모 그룹 지시(n = 7, 35%) 
    둘 다 의대생들에게 가르쳤으며 교수법으로 사용되었다.
    의대생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다른 교육 방식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n = 6, 30%),
  • 역할극(n = 5, 25%),
  • 읽기자료 분석(n = 4, 20%),
  • 온라인 모듈(n = 3, 15%),
  • 자기반성(n = 2, 10%) 및
  • 전문가 인터뷰(n = 2, 10%).

Beyond what to teach, how to teach the content varied across interventions. Teaching approaches included

  • using small group instruction (n = 12, 60%),
  • having medical students learn through observation (n = 12, 60%) and
  • large group instruction (n = 7, 35%) were both taught to medical students and used as a teaching modality.
    Other teaching modalities used to teach the medical students included
  • teaching others (n = 6, 30%),
  • role-play (n = 5, 25%),
  • analyzing readings (n = 4, 20%),
  • online modules (n = 3, 15%),
  • self-reflection (n = 2, 10%) and
  • interviewing experts (n = 2, 10%).

개입의 80%(n = 16)가 의대생에게 최소한 한 번 이상 피드백을 제공했다고 보고했다. 12개의 개입(60%)은 의대생-교사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동료 및/또는 학습자를 묘사했다. 이러한 초점 영역은 교육 개입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필수적인 실질적인 수업을 만듭니다.

We found that 80% (n = 16) of interventions reported providing medical student-teachers with feedback at least once. Twelve interventions (60%) described peers and/or learners in the program providing feedback to the medical student-teachers. These areas of focus create practical lessons that are essential for programs to ensure teaching interventions maximize effectiveness.

프로그램 평가 방법
Methods of program evaluation

개입은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설문 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성찰 에세이를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표 5는 중재에 의해 사용되는 13가지 평가 방법의 보급률을 보여준다.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커크패트릭의 프로그램 평가 수준에 대한 에를리히의 수정된 버전으로 도표화한 후, 도달한 최고 수준을 기준으로 20개 개입을 4가지 수준의 프로그램 평가로 분류했다: 수준 1(n = 3, 15%), 수준 2(n = 9, 45%), 수준 3(n = 5, 25%), 수준 4(n = 3, 15%), 미지(n = 2, 11.8%)

The interventions used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surveys, focus groups, interviews, and reflective essays to conduct their evaluation. Table 5 shows the prevalence of thirteen methods of evaluation used by interventions. After charting program evaluation methods to Erlich’s modified version of Kirkpatrick’s program evaluation levels we classified the 20 interventions into four levels of programmatic evaluation based on the highest level reached: level 1 (n = 3, 15%), level 2 (n = 9, 45%), level 3 (n = 5, 25%), level 4 (n = 3, 15%) and unknown (n = 2, 11.8%) (See Table 4).

예를 들어,

  • Karthik 등은 미시적 가르침에 대한 참가자들의 태도를 보여주기 위해 설문조사를 사용하였고(레벨 1)
  • Tcheckmedyian 등은 의학-학생 가르침에 대한 블라인드 리뷰를 사용하여 교수 기술(레벨 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 Sammarie et al.은 주로 강의 기반의 정식 사전임상교육과정이 시니어 학생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전달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level 3)
  • Erlich et al.은 1학년 학습자의 OSCE 점수의대생-교사의 평가를 프로그램적 가치 측정 수단(level 4)의 하나로 상관시켰다. 

For example,

  • Karthik et al. used a survey to show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microteaching (level 1),18 while
  • Tchekmedyian et al.15 used blinded reviews of medical-student teaching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aching skills (level 3).
  • Sammaraiee et al.10 showed that a mostly lecture-based formal preclinical curriculum can be improved by senior medical students designing and delivering a program (level 3), and
  • Erlich et al.8 correlated first-year learners’ OSCE scores and evaluations of their medical student-teacher as one means of measuring programmatic value (level 4).

 

통찰력
Insights

교수법을 배우는 의대생들에 대한 국제적인 대화는 독창적인 연구, 논평, 그리고 지식 종합의 출판과 함께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선행 연구의 중요한 기여를 바탕으로 7년 동안 27개의 논문을 확인함으로써 사용된 교수법, 평가 관행 및 의대생 편익에 대한 현재 추세를 설명할 수 있었다. Marton 등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사를 검토했으며, 이 23년 동안 20개의 기사, 즉 연간 평균 0.87개의 기사를 발견했다. 우리의 연구는 Marton 등의 연구를 6년 연장하고 27개의 추가 기사를 분석했는데, 이 중 20개가 포함 기준을 충족하여 연간 평균 4.6개(440% 증가)의 기사를 낳았다.
The international conversation around medical students learning to teach has continued to grow with the publication of original research, commentaries, and knowledge syntheses. Building on the important contributions of this prior research, our study identified 27 articles over a 7-year period enabling us to describe current trends in teaching methods used, evaluative practices, and benefits for medical students. Marton et al.4 reviewed articles from 1990 to 2013, and over this 23-year period found 20 articles, an average of 0.87 articles per year. Our study extended Marton et al.’s4 study by six years and analyzed an additional 27 articles, with 20 of these articles meeting their inclusion criteria, resulting in an average of 4.6 articles per year (a 440% increase).

마틴 등이 객관적인 프로그램 평가를 요구한 것에 대한 후속 조치
Following up on Marton et al.’s call for objective program evaluation

Marton 외 연구진과 Chu와 Salooja는 모두 [공식적인 MSA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강화된 평가 노력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우리의 데이터에서, 우리는 평가 특성을 Kirkpatrick Model과 정렬하여 주목한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 평가 방법(표 5)과 더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 평가로 향하는 추세를 관찰했다. 이러한 추세는 프로그램 가치에 대한 증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더 높은 수준의 평가 결과에 대한 요구에 답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한 프로그램은 심지어 참가자들에게 학술적 연구를 전파하도록 장려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출판물이 교수 숙련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미래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는 에를리히, 쇼네시, 삼마리 등의 선례를 따를 것을 권고한다. 두 이니셔티브 모두 영향을 측정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보장하기 위해 포괄적인 교육 커리큘럼과 효과적인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Marton et al.4 and Chu and Salooja42 both acknowledged the need for enhanced evaluation efforts for formal MSAT teaching programs. In our data, we observed a trend toward more diverse programmatic evaluation methods (Table 5) and higher levels of program evaluation noted by aligning the evaluation characteristics with the Kirkpatrick Model.33 This trend highlights an increasing demand for evidence of a program’s value and begins to answer the call for higher-level evaluation outcomes.4,42 For example, one program13 even started encouraging their participants to disseminate scholarly work; however,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if publications correlate with teaching proficiency. We recommend following the lead of Erlich and Shaughnessy8 and Sammaraiee et al.10; both initiatives developed a comprehensive didactic teaching curriculum and effective programmatic evaluation methods to measure impact and assure continual improvement.

MSAT 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사항
Considerations when designing an MSAT program

내용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일치해야 한다(예: 해부학 과외, 소규모 그룹 토론 주도, 강의, 임상 교육 제공 - 현재 필요성 대 미래 능력). 자원으로서, MSAT 프로그램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의 요구를 가장 잘 맞추는 방법에 대한 제안들을 위해 표 4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SAT 프로그램이 [소규모 그룹을 촉진하는 의대 학생의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경우 강사는 [소규모 그룹 촉진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Content must be aligned with the purpose of the program (e.g., anatomy tutoring, leading small group discussions, giving lectures, providing clinical teaching - present need versus future ability). As a resource, MSAT programs can use Table 4 for suggestions on how to best align the needs of their program. For example, when an MSAT program is designed to improve a medical student’s ability to facilitate small groups instructors should ensure that content related to small group facilitation is included.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개입 기간이 일부는 3시간 정도로 짧고 다른 일부는 몇 주에 걸쳐서 다양하다는 것을 관찰했다. 간단한 개입(약 3~6시간)을 제공하는 경우, 강사가 주요 학습 목표에 적절하게 집중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교육 대상을 지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러한 강사들은 이러한 짧은 개입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즉각적인 교육 과제를 위해 참가자들을 준비하는 것 이상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를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보다 장기적인 변화를 창출하고 임상의-교육자로서 정체성 형성을 촉진하고자 하는 장기 이니셔티브(예: 30시간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단기 과정보다 커리큘럼 개발, 학습 이론, 평가, 리더십 및 교육 장학금에 대한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강사들은 포함할 콘텐츠 요소를 결정할 때 그들의 이니셔티브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In our study, we observed that the duration of interventions varied with some running as short as three hours and others spanning several weeks. For those offering brief interventions (approximately 3–6 hours in length), it is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effectively target their instruction to ensure they adequately focus on their main learning objectives.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hat these instructors temper their expectations that such a brief intervention will produce outcomes beyond preparing participants for the immediate teaching task provided to learners. For example, for those engaging in longer initiatives (e.g., a 30-hour course)8 who aspire to produce more long-term change and facilitate identity formation as a clinician-educator they might consider including more content on curriculum development, learning theory, assessment, leadership, and educational scholarship than a short course. Thus, when developing such programs instructor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duration of their initiative when determining which content elements to include.

가르치는 것을 배우는 것 이상의 의대생들을 위한 혜택
Benefits for medical students beyond learning to teach

MSAT 프로그램은 의대 학생들의 교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메커니즘으로 나타났다. [MSAT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이유]는 의대생에게 미래의 노력(예: 미래의 의사-교육자 개발 또는 거주지에서의 교육 의무 준비)을 준비하거나 인증 요건을 충족하는 등 다양하다.

  • 그러나 이 문헌은 의대생들의 다음과 같은 향상과 같은 MSAT 프로그램 구현에 대한 추가적인 이점도 지원하였다. 자신감, 학습 능력, 조직 기술(예: 시간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 기술.
  • 프로그램들은 또한 의대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교수진을 위한 지원과 역량 강화의 역할]을 했다고 보도했다.
  • 마지막으로 의대생의 직업적 정체성 발달이 인정되었다.
  • 의대생들의 숙련도와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조기에 구축하는 것은 의대생들의 실천을 구체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의대생들에게 의대 교육 커뮤니티에 대한 추가적인 목적과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 정체성 형성과 공동체 형성은 의사들 사이의 지속적인 도전인 탈진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조직 및 효율성이 향상되었으며 빠른 속도의 클리닉 환경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

MSAT program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mechanisms for improving medical students’ teaching skills.4 Programs have a variety of reasons for choosing to start an MSAT program including preparing medical students for future endeavors (e.g., development of future physician-educators or preparing for teaching obligations in residency) or meeting accreditation requirements.

  • However, the literature also supported additional benefits to implementing MSAT programs including the enhancement of medical student’s: confidence, learning ability, organizational skills (e.g., time-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 Programs also reported that teaching medical students served as support and capacity building for faculty.
  • Finally, the development of a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was acknowledged.
  • Building medical students’ proficiency and identity as educators early may help shape their practice, giving it additional purpose and connection to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13 
  • Identity formation and community-building could help ward off burnout,44 a persistent challenge among physicians.
  • Improved organization and efficiency and may prove beneficial in the fast-paced clinic environment.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위해 윤곽이 드러나는 수많은 이점들이 있지만, 다른 교육적 요구와의 경쟁은 상당한 장벽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것을 고려하는 의학 교육자들은 시간 제약을 고려하고 그들의 지역 맥락에 가장 잘 맞는 콘텐츠와 경험의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표 2에는 개입이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이유, 프로그램 시작에 대한 관찰된 이점과 장벽, 개입의 추가 특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관찰된 편익을 공식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미래 연구가 필요하다.

While there are numerous advantages outlined for starting a program, competition with other educational demands can be a significant barrier. Medical educators considering starting a program will need to consider time constraints and prioritize content and experiences to best match their local context. Table 2 details reasons interventions start programs, observed benefits and barriers to starting a program, and addi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Additional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formally evaluate these observed benefits.

의대생들에게 중재에 대한 계획과 교육을 하도록 유도한다.
Engaging medical students to plan and teach in the intervention


Marton 등의 검토에서 [동료 교습]은 큰 역할을 했으며 MSAT 관행을 계속해서 형성하고 있다. 이 개념을 확장하면서, 우리는 많은 개입에서 [개입을 가르치거나, 설계하는 데 의대생들을 참여하게 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사회적, 인지적 일치에 대한 ten Cate와 Durning의 개념과 일치한다.

  • [사회적 일치성]은 "공유된 사회적 맥락, 경험, 나이 및 기타 세대적 자질"이다. 
  • [인지적 일치성]은 "튜터들이 기성 학구적 직원들보다 튜터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Peer teaching played a major role in Marton et al.’s review and continues to shape MSAT practices. Expanding on this concept, we found that many interventions engaged medical students in teaching and/or designing the intervention. This aligns with ten Cate and Durning’s24 concepts of social and cognitive congruence.

  • Social congruence being the “shared social context, experience, age and other generational qualities”8(p.2) and
  • cognitive congruence is “the idea that tuto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tutees better than established academic staff”10(p.297).

의대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은 [가르치는 것이 곧 가르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라는 개념을 지지한다. MSAT 프로그램에서 의대생들의 역할은 [교수 개입을 설계하고, 튜터로 일하고, 일선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선 수업은 의대생들이 "처음으로 개인에게 입문 학습 목표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또래 튜터에게 교육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니아즈와 미스트리에게 다루어야 할 주요 영역에 대한 지침으로 삼아야 한다.

Engaging medical students supports the concept that a way to learn how to teach is to teach. Medical students’ roles in MSAT programs include designing teaching interventions, serving as tutors, and delivering front-line teaching. Frontline teaching is when medical students “communicate introductory learning objective/s to individual/s for the very first time.” 45(p.237) Additionally, programs providing peer tutors with training on teaching should look to Niaz and Mistry40 as a guide for key areas to cover.

제한 사항
Limitations

포괄적인 검색(예: 손 검색 포함, 여러 데이터베이스 쿼리)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실수로 관련 기사를 놓쳤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저널 기사에 기술되지 않았고 우리의 노력으로 포착되지 않은 MSAT 프로그램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우리는 향후 연구가 이러한 전략에 대해 계속 복제되고 확장될 수 있도록 검색 전략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출판물의 상승이 증거 기반 개입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그러나 저널의 확산과 학계의 "출판 또는 소멸" 필요성과 같은 요소도 영향력자일 수 있다.

Despite best efforts to conduct a comprehensive search (e.g., the inclusion of hand searching, querying multiple databases) it is possible that we may have inadvertently missed a relevant article.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hat MSAT programs may exist that have not been described in journal articles and would not have been captured in our efforts. However, we have made our search strategies freely available such that future studies may continue to replicate and expand upon these strategies. Finally, we recognize that the uptick in publications may be ongoing efforts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s; however, factors such as the proliferation of journals and the need to “publish-or-perish” in academia may also be influencers.

향후 방향
Future directions

본 연구는 교육과정 목표화 및 프로그램 평가 방법을 포함하여 MSAT 프로그램을 시행하고자 하는 의과대학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여러 프로그램이 성장함에 따라, 이러한 프로그램의 이점을 엄격하게 연구할 시기가 무르익었다. 특히, 필수적인 첫 번째 단계는 의과대학 재학 중과 실습 모두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을 위한 교수 개입의 이점을 더 정확하게 명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교수기술을 배운 학생들]이 [교수기술이 없는 또래]와 비교했을 때 학업 수행이 어떠한지, 그리고 이러한 개입의 졸업생들이 실무자로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ffers several implications for medical schools looking to implement an MSAT program including targeting of curriculum and of methods for programmatic evaluation. With the growth of multiple programs, the time is ripe to rigorously study the benefits of these programs. In particular, an essential first step is more precisely specifying the benefits of teaching interventions for medical students both while in medical school and into practice. Such studies might explore how students who learn teaching skills perform academically when compared to their peers without teaching skills, as well as how graduates of these interventions perform as practitioners.

기존 MSAT 문헌을 매핑하려는 이러한 시도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자들이 MSAT 개입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강사들은 MSAT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옹호하기 위해 증거 정보에 근거한 접근법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발견한 결과에는 다양한 수준의 품질(예: 교육에 사용되는 방법, 개입 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식적인 체계적인 검토는 증거의 품질을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Based on this attempt to map the existing MSAT literature, we propose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for future researchers to consider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of MSAT interventions. Such an effort would enable instructors to take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design and advocate for MSAT programs. There appeared to be varying levels of quality in the findings (e.g., methods used for teaching, how long interventions should last, ways to provide feedback, etc.) we discovered. A formal systematic review would provide a means for determining the quality of the evidence.

결론
Conclusion

의과대학은 의대 학생들, 특히 더 많은 상급생들에게 교사가 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교사로서의 학생 프로그램은 종종 근거리 교육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되지만, 또한 학생들이 상주 교사, 환자 교육자 및 임상의-교육자로서의 역할을 준비하도록 설계된 보다 집중적인 과정을 포함한다. 이 범위 검토는 문헌이 [객관적인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요구에 답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Marton 등이 2014년에 발표한 이전 검토에 기초한다. 그러나 증거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향후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함께, 이러한 연구는 의대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교수 기술과 기회를 확대할 것이다.

Medical schools have increased efforts to provide medical students, especially more senior students,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to become teachers. These student-as-teacher programs are often provided in the form of near-peer teaching programs but also include more intensive courses designed to prepare students for their roles as resident teachers, patient educators, and clinician-educators. This scoping review builds on a prior review published in 2014 by Marton et al. by demonstrating the literature has begun to answer the call for objective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s; however, a future systematic review is neede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vidence. Together, these studies will expand the teaching skills and opportunities afforded to medical students.

 


Teach Learn Med. 2022 Aug-Sep;34(4):379-391. doi: 10.1080/10401334.2021.1979006. Epub 2021 Oct 7.

Teaching Medical Students How to Teach: A Scoping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er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2School of Politics, Security, and International Affairs,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Orlando, Florida, USA.

3Obstetrics & Gynecology Resident, Naval Medical Center San Diego, San Diego, California, USA.

4Expeditionary Medical Facility, Camp Lemonnier, Djibouti.

5Library Learning Resource Center,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PMID: 34618654

DOI: 10.1080/10401334.2021.1979006

Abstract

Phenomenon: Teaching medical students how to teach is a growing and essential focus of medical education, which has given rise to student teaching programs. Educating medical students on how to teach can improve their own learning and lay the foundation for a professional identity rooted in teaching. Still, medical student-as-teacher (MSAT) programs face numerous obstacles including time constraints, prioritizing curriculum, and determining effective evaluation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coping review is to map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literature on medical school initiatives designed to train students to teach to describe why medical student teaching programs are started; the benefits and barriers; who teaches them; what content is taught; and how content is delivered. With this new map, the authors aimed to facilitate the growth of new programs and provide a shared knowledge of practices derived from existing programs.

Approach: The authors conducted a scoping review, guided by Arksey and O'Malley's framework, to map the literature of MSAT training programs. Six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combinations of keywords and controlled vocabulary terms. Data were charted in duplicate using a collaboratively designed data charting tool. This review builds on the Marton et al. review and includes articles published from 2014 to 2020.

Findings: Of the 1,644 manuscripts identified, the full-text of 57 were reviewed, and ultimately 27 were included. Articles included empirical research, synthetic reviews, opinion pieces, and a descriptive study. Analysis focused on modalities for teaching medical students how to teach; content to teach medical students about teaching; benefits and barriers to starting teaching programs; and the value of teaching programs for medical students.

Insights: The rapid growth of MSAT programs suggests that this curricular offering is of great interest to the field. Literature shows an increase in evaluative efforts among programs, benefits for students beyond learning to teach, and evidence of effective engagement in medical students'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불만족한 포화: 질적연구에서 포화된 샘플 크기에 대한 비판적 탐색(Qualitative Research, 2012)
‘Unsatisfactory Saturation’: a critical exploration of the notion of saturated sample sizes in qualitative research
Michelle O’Reilly University of Leicester, UK
Nicola Parker Birmingham and Solihull Mental Health Foundation Trust, UK

 

 

서론
Introduction

우리의 논문은 최근에 출판을 위해 동료 검토를 받았고 피드백의 많은 부분이 건설적이고 공정했지만, 그것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우리가 [샘플의 포화]를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자세히 살펴본 결과, 그러한 세부 사항에 대한 요청은 저널 자체의 품질 기준에 포함되었습니다. 검토 중인 논문은 대화 분석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질적 조사에 대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에 동요했다. 이에 대한 우리의 설명은 [서로 다른 질적 관점이 품질 보증을 위한 서로 다른 지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일부 질적 접근 방식]은 [표본 크기 적정성을 위한 지표]로서 [포화]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포화] 개념은 원래 구체적이고 이론 중심적인 의미를 가진 [근거 이론]과 결부되어 있었으며, 이것이 다른 질적 접근에 유용하게 번역되었지만, 모든 경우에 그것을 부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론적/주제적/데이터 포화에 대한 가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우리는 이 개념을 둘러싼 논쟁을 분리하고 토론을 더 개방하고 복잡성의 일부를 해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비판적인 평가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 paper of ours was recently peer reviewed for publication and while much of the feedback was constructive and fair, one of the criticisms of it was that we had failed to mention saturation of the sample. On closer inspection the request for such detail was embedded in the journal’s own quality criteria. The paper under review had utilised the conversation analytic method and we were thus perturbed by this generic requirement for all qualitative inquiry. Our reasoning for this is that different qualitative perspectives have different indices for quality assurance and in this respect some qualitative approaches do not rely on saturation as a marker for sample size adequacy. Furthermore, the notion of saturation was originally tied to grounded theory with a specific and theory driven meaning, and while this has been helpfully translated for other qualitative approaches it is not appropriate to impose it in all instances. Because of the increasing value being placed on theoretical/thematic/data saturation we believe this issue requires closer examination. In this article, therefore, we aim to disentangle the debates surrounding this notion and provide a critical evaluation that will hopefully lead to opening up the debate further and to help demystify some of the complexities.

질적 연구의 품질 기준
Quality criteria in qualitative research

만약 우리가 '모든 것에 맞는 하나의 크기' 해결책의 유혹에 굴복한다면, 우리는 꼬리(체크리스트)가 개(질적 연구)를 흔들고 있는 상황에 빠질 위험이 있다. (바버, 2001: 1115)

If we succumb to the lure of ‘one size fits all’ solutions we risk being in a situation where the tail (the checklist) is wagging the dog (the qualitative research). (Barbour, 2001: 1115)

정성적 방법론적 논의에서, 문헌은 모든 정성적 연구에 일반적 품질 기준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가득 차 있다(Caeelli et al., 2003; Mays and Pope, 2000; Tracy, 2010). 품질기준 체크리스트가 질적 조사의 타당성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질적 방법을 일반적으로 더 폭넓게 수용하는 데 기여했다는 것은 인정되지만, 이를 규범처럼 따를 경우 역효과를 낼 수 있다(Barbour, 2001). 바버는 다양한 기준을 무비판적으로 채택하는 것 자체가 엄격함과 동일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또한 질적 연구의 질적 수준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측정할 수 있는 단일한 방법이 없다(Guba and Lincoln, 2005; Mays and Pope, 2000). 따라서 [모든 정성적 접근법에 적용할 수 있는 품질 기준을 개발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정성적 작업의 영향을 받는 광범위한 방법론을 존중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각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품질 지표에 대해 특이적으로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이것이 질적 연구의 인식론적 기원과도 부합한다(Caeelli et al., 2003).

Within qualitative methodological discussions, the literature is littered with debates about whether there should be generic quality criteria for all qualitative research (Caelli et al., 2003; Mays and Pope, 2000; Tracy, 2010). While it is accepted that quality criteria checklists have contributed to increased confidence in the validity of qualitative inquiry and the wider acceptance of qualitative methods generally, these can be counterproductive if followed prescriptively (Barbour, 2001). Barbour argues that an uncritical adoption of a range of criteria does not in itself equate with rigour. Furthermore, there is no singular way to measur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because it is so diverse (Guba and Lincoln, 2005; Mays and Pope, 2000). It is argued, therefore, that it is problematic to attempt to develop quality criteria applicable to all qualitative approaches as this would not respectfully value the wide range of methodologies that fall under the rubric of qualitative work and because of this each approach should be idiosyncratically evaluated against quality markers that are congruent with their epistemological origins (Caelli et al., 2003).

모든 정성적 접근법과 잠재적으로 관련이 있는 품질 영역이 있으며, 트레이시(2010)는 그러한 8개의 보편적 품질 마커를 주장하지만, 다른 마커는 포괄적 접근법에 적합하지 않다. 문헌에서 혼란스러워진 것으로 보이는 그러한 문제 중 하나는 표본 추출, 특히 포화 개념과 관련이 있다. [포화]는 샘플의 다양성이 결정되는 금본위제가 된 것 같다(Guest et al., 2006). 그러나 포화는 여러 가지 의미와 제한된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질적 연구의 [질적 방어가능성]은 상당 부분 조사 결과의 [전달가능성을 위한 깊이와 최대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표본 추출 적정성]과 관련이 있다(Spencer 등, 2003).

While there are areas of quality that potentially relate to all qualitative approaches, and Tracy (2010) argues for eight such universal quality markers, other markers are less suitable for a blanket approach. One such issue that seems to have become confused in the literature relates to sampling, particularly the notion of saturation. Saturation seems to have become the gold standard against which the diversity of samples is determined (Guest et al., 2006) and yet saturation has multiple meanings and limited transparency. Defensibility of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to a considerable extent, relates to sampling adequacy that should provide depth and maximum opportunity for transferability of findings (Spencer et al., 2003).

샘플링 및 포화 개념
Sampling and the concept of saturation

[표본 추출]은 연구자들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기 위한 핵심 관심사이며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Tucket, 2004). 질적 연구에서 [응답자 선정]은 의견이나 사람을 세는 것이 아니라, [의견의 범위와 이슈의 다른 표현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정량적 표본 추출 절차를 따를 수 없다(Gaskell, 2000). 따라서 질적 연구에서의 표본 추출은 [정보의 풍부성]과 관련이 있으며(Kuzel, 1992), 따라서 필요한 참가자 수는 주제의 성격과 이용 가능한 자원에 따라 달라진다(Gaskell, 2000). 정성적 연구에서 표본 추출 방법을 안내하는 두 가지 주요 고려사항이 있는데, 적합성appropriateness과 적절성adequecy이다(Morse and Field, 1995). 따라서 연구자는 표본 추출에 대한 접근 방식에 있어 실용적이고 유연해야 하며 적절한 표본 크기는 연구 질문에 충분히 답할 수 있는 크기여야 한다고 주장한다(Marshall, 1996).
Sampling is a core concern for researchers to determine the success of a project and continual examination is required (Tucket, 2004). In qualitative research the selection of respondents cannot follow the procedures of quantitative sampling because the purpose is not to count opinions or people but explore the range of opinions and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an issue (Gaskell, 2000). Thus,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richness of information (Kuzel, 1992)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required, therefore, depends on the nature of the topic and the resources available (Gaskell, 2000). There are two key considerations that guide the sampling methods in qualitative research, appropriateness and adequacy (Morse and Field, 1995). It is argued, therefore, that the researcher should be pragmatic and flexible in their approach to sampling and that an adequate sample size is one that sufficiently answers the research question (Marshall, 1996).

이러한 의미에서 (질적연구의) 연구자는 [일반화 가능성]을 추구하지 않으며, 표본 크기가 아니라 [표본 적합성sample adequecy]에 더 중점을 둔다(Bowen, 2008). Bowen은 표본 추출의 적절성adequecy은 포화에 도달했다는 증명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정보의 깊이]는 물론 [정보의 폭]이 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적 연구자들은 종종 포화 개념을 기반으로 표본의 적절성과 관련된 결정을 내린다. 그러나, 연구자들에 의해 포화도가 이해되고 활용되는 방법의 발전이 있었다. 그 결과, 포화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포화도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언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혼란이 생겼다.
In this sense then generalizability is not sought by the researcher and the focus is less on sample size and more on sample adequacy (Bowen, 2008). Bowen argues that adequacy of sampling relates to the demonstration that saturation has been reached, which means that depth as well as breadth of information is achieved. Qualitative researchers often make decisions related to the adequacy of their sample based on the notion of saturation. There has been, however, a development of the ways in which saturation is understood and utilised by researchers. The consequence of this has been that there is now some confusion in terms of what saturation means, how it should be used and when it is applicable.

포화의 역사
History of saturation

[포화]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원본은 근거 이론의 접근 방식으로 개발된 [이론적 포화]이다(Guest et al., 2006). 다른 정성적 방법에 대한 개념의 다른 변형으로는 데이터 포화(Francis et al., 2010; Guest et al., 2006), 주제 포화(Guest et al., 2006) 및 일부 경우에는 단순 포화(Starks and Trinidian, 2007)가 있다. 이러한 용어(Guest et al., 2006)를 둘러싼 약간의 확산과 모호함이 있지만, 그것들은 뚜렷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든 정성적 방법에 적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주제/데이터 포화]는 [새로운 정보가 생성되지 않을 때까지 데이터가 계속 수집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간주된다(Green and Thorogood, 2004). 즉, 데이터에 놀라움이 적고 더 이상 새로운 패턴이 나타나지 않는 시점(Gaskell, 2000). 이것은 근거 이론가들이 사용하는 포화 형태인 [이론적 포화]와는 상당히 다르다.
There are various forms of saturation, with the original being theoretical saturation developed in the approach of grounded theory (Guest et al., 2006). Other variations of the concept for other qualitative methods include, data saturation (Francis et al., 2010; Guest et al., 2006), thematic saturation (Guest et al., 2006) and in some cases simply saturation (Starks and Trinidad, 2007). While there is some diffusion and vagueness surrounding these terms (Guest et al., 2006) they do have distinct meanings and are typically applied to all qualitative methods. Generally, however, thematic/data saturation are normatively taken to mean that data should continue to be collected until nothing new is generated (Green and Thorogood, 2004); the point at which there are fewer surprises and there are no more emergent patterns in the data (Gaskell, 2000). This is quite different to theoretical saturation, the form of saturation used by grounded theorists.

[이론적 포화]라는 근거 이론 내에서 개척된 포화라는 원래 의미는 현재 연구에서 여전히 이 접근법 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심적 중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근거이론에서 포화 개념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 시점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 범주가 완전히 설명되고,
  • 범주의 variability이 설명되며,
  • 범주의 관계가 검증되고, 따라서
  • 이론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Green and Thorogood, 2004).

이는 그들이 [(사회적 과정이) 발생한 환경에서 연구되는 사회적 과정에 대한 설명 이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식론적 입장과 근거이론의 목표와 일치한다(Glaser and Strauss, 1967; Starks and Trinidate, 2007).
The original meaning of saturation pioneered within grounded theory, of theoretical saturation, is still used within this approach in current work and has retained its central importance. In grounded theory the notion of saturation does not refer to the point at which no new ideas emerge, but rather means that

  • categories are fully accounted for,
  • the variability between them are explained and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re tested and validated and
  • thus a theory can emerge (Green and Thorogood, 2004).

This is congruent with the underpinning epistemological position and the goals of grounded theory, which are to develop an explanatory theory of the social processes that are studied in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have taken place (Glaser and Strauss, 1967; Starks and Trinidad, 2007).

포화에 적용된 다른 의미들, 시간에 따른 의미들의 변화들, 그리고 새로운 의미들의 일반적인 수용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실질적인 적용과 보급의 투명성 측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어느 정도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우리는 [한 가지 형태의 포화만을 품질 지표로 사용하는 균일한 수용]이 [상당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 사용을 보장하는 접근 방식에 대해 [투명한 실천]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에 주목하고, 따라서 포화에 대한 문제 있는 기대치에 대한 논의에 앞서 이러한 중요한 논쟁을 먼저 탐구한다.

Despite the different meanings that have been applied to saturation, the changes of those meanings over time and the general acceptance of the new meaning, it has significant influence and has attracted some debate in terms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and transparency in dissemination. While we recognize that uniform acceptance of using one form of saturation as a quality marker has considerable drawbacks, we note that for those approaches that warrant its use, there is an onus on transparent practice and, thus, prior to discussions regarding problematic expectations of saturation we explore these important debates first.

품질 및 투명성
Quality and transparency

질적 연구에서 [투명성]은 품질의 인정된 마커이다(Spencer 등, 2003). 즉,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한 충분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Meyrick, 2006). 정성적 연구에서 [표본 크기의 충분성]은 [빈도]보다는 [데이터 깊이]에 의해 측정되므로 표본은 [연구 주제를 가장 잘 대표하는 참여자]로 구성되어야 한다(Morse et al., 2002). 일부 정성적 작업의 목적은 일반화 가능성 또는 전달 가능성을 갖는 것이므로 표본 크기가 중요하다(Onwuegbuzie, 2003). Corpus는 다양한 경험을 포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하지만 반복적일 정도로 커서는 안 되며, 일반적인 지침 원리는 포화이다(Mason, 2010). 특히 문헌 내에서 포화 샘플의 개념은 품질의 지표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지만(Guest et al., 2006), 샘플 크기의 적절성과 관련하여 [투명성]만으로는 일반적으로 보급에 불충분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Bowen, 2008). 보웬은 연구자들이 포화가 어떻게 결정되었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얼버무리는 경향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In qualitative research transparency is a recognized marker of quality (Spencer et al., 2003), which means that sufficient detail should be included about how the data were collected (Meyrick, 2006). Within qualitative research, sufficiency of sample size is measured by depth of data rather than frequencies and, therefore, samples should consist of participants who best represent the research topic (Morse et al., 2002). The aim of some qualitative work is to have generalizability or transferability and, thus, sample size is important (Onwuegbuzie, 2003). The corpus needs to be large enough to capture a range of experiences but not so large as to be repetitious, and the common guiding principle is saturation (Mason, 2010). Notably, within the literature the notion of saturated samples tends to be used as an indication of quality (Guest et al., 2006), and yet it has been argued that transparency, with regards to adequacy of sample sizes, is generally inadequate in dissemination (Bowen, 2008). Bowen argues that researchers have tended to gloss over the details about how saturation was determined.

그러나 연구 커뮤니티가 활용할 수 있는 제한된 가이드라인(Francis et al., 2010; Ziebland and McPherson, 2006)과 용어의 의미가 다르다는 점에서 투명성 달성은 연구자들에게 복잡한 요구 사항이다. 포화상태에 대한 지침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두 가지 영역이 있다.

  • 첫째, 설계 단계에서 제안된 표본 크기를 미리 명시하는 것이 계획, 자금 조달 및 윤리적 검토를 위한 점점 더 일반적인 요구 사항이 되고 있다. 연구자들이 표본 크기 충분성에 대한 제안을 꺼리고(Mason, 2010) 일부 접근 방식에서 선행 추정은 부적절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Morse, 1995).
  • 둘째, 포화상태에 이르렀을 때를 보여주기 위한 실질적인 지침이 제한적이다(Bowen, 2008; Guest et al., 2006). 이는 연구자와 검토자가 언제 포화 상태에 도달했는지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원칙]에 대해 연구 커뮤니티가 어떻게 합의할 수 있는지, 그리고 독자에게 투명한 방식으로 판단을 가장 잘 방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질문을 유발한다(Francis et al., 2010). 이는 실제로 연구자들이 [표본 적정성]보다는 [자원이 제한되고 시간과 돈에 의해 주도될 때 모집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히 중요하다(Green and Thorogood, 2004).

Achieving transparency is, however, a complex requirement for researchers given that there are limited guidelines for the research community to utilise (Francis et al., 2010; Ziebland and McPherson, 2006) and differing meanings of the term. There are two areas of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 need for guidance about saturation.

  • First, it is becoming an increasingly common requirement at the design stage, for planning, funding and ethical review, to state in advance the proposed size of the sample. This is potentially problematic given that researchers shy away from making suggestions about sample size sufficiency (Mason, 2010) and in some approaches a priori estimations are inappropriate (Morse, 1995).
  • Second, there is limited practical guidance or help to show researchers when saturation has been reached (Bowen, 2008Guest et al., 2006). This prompts questions about how the research community might agree on principles that researchers and reviewers can use to determine when saturation has been reached and how to best defend judgements in a way that is transparent to readers (Francis et al., 2010).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given that in reality, researchers often stop recruitment when resources become limited and are driven by time and money, rather than sample adequacy (Green and Thorogood, 2004).

흥미롭게도, 질적 작업에서는 종종 [어떻게 또는 왜 포화를 달성하였는지]에 대해서 [독자]가 [투명성이 거의 없는 방법론이나 증거]를 생성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풀어내야 한다(Caeelli 등, 2003). 이는 16개월 동안 18개의 기사가 포화에 대해 언급했지만, 그 중 어느 것도 그것이 어떻게 달성되었는지에 대해 투명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한 선도 저널의 리뷰를 통해 입증된다(Francis et al., 2010). 이는 연구자들이 보급 중 포화의 과정을 명시하는 것이 기대치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Bowen, 2008). 실제로는 예상치 못한 참가자 감소(Tuckett, 2004)와 시간과 자원(Green and Thorogood, 2004) 측면에서 연구자에게 실질적인 제약이 있다. 이는 각 인터뷰 내에서 포화도와 품질에 관한 논쟁이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며, 따라서 연구자들은 인터뷰의 길이와 인터뷰 횟수에 모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Onwuegbuzie and Leech, 2005). 포화 도달에 대한 이러한 제한에 대한 투명성이 반드시 결과를 무효화하지는 않는다. 포화에 도달하지 못하면 이는 [발견이 유효하지 않다]는 의미라기보다는, [현상이 아직 완전히 조사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Morse, 1995). 따라서 표본 추출 적정성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투명하게 보고되는 것은 허용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포화에 도달했는지, 포화에 도달했는지, 어떻게 도달했는지, 채용 중에 어떤 문제에 직면했는지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Interestingly, in qualitative work it is often left to the reader to unpack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generate clues as to the methodology with little transparency or evidence to how or why saturation was achieved (Caelli et al., 2003). This is evidenced by a review of a leading journal that found that during a 16-month period, 18 articles mentioned saturation and yet none of them were transparent about how it was achieved (Francis et al., 2010). This is problematic given that it is an expectation that researchers make explicit the process of saturation during dissemination (Bowen, 2008). In reality there are practical constraints on the researcher in terms of unforeseen participant attrition (Tuckett, 2004) and in terms of time and resources (Green and Thorogood, 2004).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there are arguments relating to saturation and quality within each interview and, therefore,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both the length of interviews as well as the number of interviews (Onwuegbuzie and Leech, 2005). Transparency about these limitations on reaching saturation does not necessarily invalidate the findings. If saturation is not reached this simply means that the phenomenon has not yet been fully explored rather than that the findings are invalid (Morse, 1995). It is acceptable, therefore, that any limitations of sampling adequacy are transparently reported. Researchers thus need to be clear in dissemination if they reached saturation, how they reached it and what issues they faced during recruitment.

포화는 설득력 있는 개념이지만, 특히 어떤 경우에는 [새로운 테마의 수가 잠재적으로 무한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실질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Green and Thorogood, 2004). 이는 각 삶이 독특하고, 이러한 의미에서 [데이터는 항상 새로운 발견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결코 진정으로 포화되지 않기 때문이다(Ray et al., 2007). 질적 탐구에서 연구자들은 귀납적 접근이나 연역적 접근을 취할 수 있다. [귀납적 추론]을 사용하는 사람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연역적 추론]을 사용하는 사람은 아이디어에서 시작하여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를 확인한다(Thorne, 2000). 따라서 이론적으로,

  • 초점이 명확한 생각focused idea을 가진 사람들은 관련 연구 의제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것은 데이터 수집의 방향을 안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개변수가 생성되고 포화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특정 관심 영역이 추구됩니다.
  • 반면에 [연역적 접근]은 훨씬 더 광범위하고 연구원은 데이터 수집에서 나올 수 있는 범주의 유형에 대해 알지 못한다. 이런 의미에서 포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은 비현실적인 목표가 된다.

Saturation is a convincing concept but has a number of practical weaknesses, especially as in some cases the number of emergent themes are potentially limitless (Green and Thorogood, 2004). This is because each life is unique and in this sense data are never truly saturated as there will always be new things to discover (Wray et al., 2007). In qualitative inquiry researchers can take an inductive approach or deductive approach. Those who use inductive reasoning use the data to generate ideas and those who use deductive reasoning begin with an idea and then use the data to confirm it (Thorne, 2000). In theory, therefore,

  • those who have a focused idea have a related research agenda, and, thus, this guides the direction of the data collection. In this way parameters are created and particular areas of interest pursued within which saturation can be achieved.
  • On the other hand a deductive approach is much broader and the researcher is unaware of the types of categories that may emerge from data collection. In this sense, the potential for achieving saturation becomes an unrealistic target.


이 절에서 강조한 것은 질적 연구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배포 중에 [프로세스의 투명성]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품질을 달성하는 것]은 (저자가 전체 접근 방식의 장점을 입증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포화도의 투명성]을 초월한다. 카엘리 등은 나아가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이론적 입장을 밝히고, 방법론과 방법 사이의 일치성을 입증하며, 엄격함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을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포화 개념이 모든 질적 접근법에 걸쳐 품질을 확립하는 데 [항상 적절한 기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론적 위치와 방법 간의 일치성을 확립하는 것]은 서로 다른 데이터 수집 방법이 선호되고 서로 다른 품질 마커가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뷰]가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데이터 수집 방법이고 일부 접근법에 적합하다고 간주되지만(Gaskell, 2000), 모든 사람이 보편적으로 선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포화 상태에 대한 토론과 토론의 대부분이 거의 전적으로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연구에 집중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특히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 일지 입력diary entries 또는 관찰과 같은 수집 방법에 적용할 때 그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누락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What this section has highlighted is that transparency of process is essential during dissemination to ensure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Achieving quality, however, transcends transparency of saturation as authors have a responsibility for evidencing the merits of the overall approach (Caelli et al., 2003). Caelli et al. further argue that researchers must address their theoretical position, evidence the congruence between methodology and methods, and highlight the strategies they used to establish rigour. What this means is that the concept of saturation is not always an appropriate criterion for establishing quality across all qualitative approaches. Theoretical position and establishing congruence between methods means that differing data collection methods are favoured and different quality markers are utilised. For example, although interviews are a common and popular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deemed suitable for some approaches (Gaskell, 2000), they are not universally favoured by all. This is particularly noteworthy given that the majority of debate and discussion around saturation almost exclusively focuses on interview and focus group studies. Thus, there seems to be an omission of critical thinking about its versatility when applied to collection methods such as naturally occurring data, diary entries or observations.

포화에 대한 부적절한 기대의 문제
The problem of inappropriate expectations about saturation

지금까지의 주장으로 볼 때 포화를 고려하는 것이 문헌이 제시한 것보다 더 복잡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서로 다른 데이터 수집 방법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 양의 충분성을 프레임화하며, 이로 인해 모든 경우에 포화도를 적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양적 과학의 유산은 더 많은 수의 문화적 잔재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가 많을수록 반드시 정보가 많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질적 작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Mason, 2010). [연구에 추가 참여자를 모집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지 않는 것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비윤리적]이기 때문에 이것은 특히 중요한 문제이다(Francis et al., 2010). 질적 조사에서 목표는 고정된 수의 참가자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중인 현상을 완전히 설명하는 방법으로 충분한 깊이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Fossey 등, 2002). 이와 같이 다양한 접근 방식이 풍부한 분석과 심층 분석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질문을 프레임화하고, 참가자를 표본화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Starks and Trinidian, 2007).

It is clear from the argument thus far that considering saturation is more complex than the literature has suggested. Differing data collection methods frame the sufficiency of data quantity in different ways and because of this it is questionable whether saturation can be applied in all cases. The legacy of quantitative science appears to have left a cultural residue of larger numbers having greater impact. This is not applicable to qualitative work as more data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more information (http://www.qualitative-research.net/index.php/fqs/article/view/1428/3027" data-mce-href="https://journals-sagepub-com-ssl.access.hanyang.ac.kr/doi/10.1177/1468794112446106#">Mason, 2010). This is a particularly important issue as it is not just unnecessary but also potentially unethical to recruit further participants to a study and not make full use of the data they provide (Francis et al., 2010). In qualitative inquiry, the aim is not to acquire a fixed number of participants rather it aims to gather sufficient depth of information as a way of fully describing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Fossey et al., 2002). As such,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various approaches frame research questions, sample participants and collect data (Starks and Trinidad, 2007) in order to achieve richness and depth of analysis.

연구의 중심 목표는 지식을 확장하고 발전시키는 것이지만(Caeelli et al., 2003), 그러나 획득의 본질과 메커니즘에 대한 근본적인 주장은 다양하다. 따라서 [지식에 대한 다른 가정]은 [연구의 인식론적 출발점]을 알려주며, 따라서 주어진 [프로젝트의 목적과 목표]를 결정한다. 이러한 목적과 목표가 전체 연구 과정의 궤적을 안내할 것이다. 우리는 이것이 표본 추출 적정성에 포화 개념을 적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표본의 적절성adequecy]은 [참가자 수]만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적절성appropriateness]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대화 분석가는 고유한 조사 방식에 더 적합한 자연 발생 데이터의 작은 데이터 세트를 선호합니다(Potter, 2002). 이는 품질 지표로서의 포화도가 불필요해지는redundant 한 가지 접근법이다. 대화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 과정에서 의사 결정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정교한 문헌이 있으며, 그 안에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강력한 메커니즘이 있다(Hutchby and Woffit, 2008; ten Have, 2007).

The central aim of research is to extend and advance knowledge (Caelli et al., 2003) and yet fundamental arguments about the nature of and mechanisms for its acquisition are diverse. Different assumptions about knowledge thus inform the epistemological starting point of research and, therefore, also determine the aims and objectives of any given project. It is these aims and objectives that will guide the trajectory of the whole research process. We argue that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otion of saturation to sampling adequacy. The adequacy of the sample is, therefore, not determin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participants b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data. For example, conversation analysts have a preference for small data sets of naturally occurring data as more appropriate for their unique mode of inquiry (Potter, 2002). This is one approach where saturation as a marker for quality becomes redundant. There is a sophisticated literature about how to manage decisions in the research process using conversation analysis and there are robust mechanisms for ensuring quality within it (Hutchby and Wooffitt, 2008; ten Have, 2007).

그러나 포화의 무관성은 대화 분석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식론적 및 방법론적 프레임워크]는 연구자가 품질 기준을 결정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지침을 제공해야 한다. 문제는 모든 경우에 포화와 같은 마커를 엄격하게 적용할 때 발생한다. 포화와 같은 개념을 [의심의 여지 없이 수용]하면, 결과적으로 [최적의 표본 추출 적절성]에 대한 [도움이 되지 않는 신화]를 영구화하는, [품질에 대한 제도적 담론]의 일부가 되고, 동시에 이러한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연구의 가치를 훼손한다. 이는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커뮤니티와 관련된 언어와 개념을 사용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Caeelli et al.,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전통에 대한 존중은 중요하고 쓰기, 복습, 교수와 같은 학문적인 활동에서는 성찰적 태도가 필수적이다. 특정 전통 내에서 [방법론적 무결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다른 정성적 방법을 자체 품질 측정과 비교하여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포화의 측면에서 [이론적 일치성]은 그 유용성을 희석시키지 않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카엘리 외. (2003:9) 제안:
The irrelevance of saturation is not limited to conversation analysis, however, and th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should guide researchers in their decision making and application of quality criteria. The problem arises when markers such as saturation are rigidly applied in all cases. The unquestioned acceptance of concepts like saturation consequently become part of an institutional discourse of quality that perpetuate unhelpful myths about optimum sampling adequacy and simultaneously undermine the value of research not conforming to these expectations. This is understandable as researchers are accustomed to using language and concepts that are relevant for their own research community (Caelli et al., 2003). Nonetheless, respect for other traditions is important and in academic activities such as writing, reviewing and teaching, a reflexive attitude is essenti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methodological integrity within a particular tradition, while fairly assessing other qualitative methods against their own measures of quality. In terms of saturation, therefore, theoretical congruence should be maintained so as to not dilute its usefulness. As Caelli et al. (2003: 9) propose:

포화도는 근거 이론에 뚜렷한 이론적으로 내재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유비쿼터스하고 비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질적 연구 커뮤니티에 이 용어를 무의미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While saturation has a distinct theoretically embedded meaning in grounded theory, its ubiquitous and non-selective use risks rendering the term meaningless to the qualitative research community.

마무리 멘트
Concluding remarks

이 논의에서 분명한 것은 [근거 이론의 기원을 넘어선 포화의 적용]에 관한 논쟁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근거이론]은 이론적 포화도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것을 적용하는 방법과 언제 사용할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질적 접근법]과 관련된 새로운 의미는 덜 발달되어 있다. 이 기사에서 우리의 잠정적인 주장은 개념의 전환 이후 나타난 핵심 쟁점 중 일부를 분리하고 토론을 열기 위해 고안되었다. 포화가 의심받지 않고 기대되기 때문에 이것이 실제로 연구실습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성찰하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학술지가 검토 과정에서 포화에 대한 질문을 통합하기 시작한 만큼 연구계가 현실에 안주하기 전에 문제 제기가 절실하다. 서로 다른 전통의 학자들이 이 문제에 대해 흥미롭고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 글이 토론을 자극하여 학계와 질적 연구가 진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hat is evident from this discussion is that the debates around the application of saturation beyond its origins in grounded theory, have received limited attention. While grounded theory has clear guidance about what constitutes theoretical saturation, how to apply it and when to use it, the new meanings in relation to other qualitative approaches are less developed. Our tentative arguments in this article are designed to disentangle some of the key issue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and to open up debates. As saturation becomes unquestioned and expected, it is necessary to take time to reflect on what this actually means for research practice. As journals are starting to incorporate questions about saturation in the process of review, it is imperative that questions are raised before the research community becomes complacent. We note that different academics from different traditions hold interesting and diverse opinions on this issue and we hope that this article will stimulate debate so that academia and qualitative research can progress.

 

 


Abstract

Measuring quality in qualitative research is a contentious issue with diverse opinions and various frameworks available within the evidence base. One important and somewhat neglected argument within this field relates to the increasingly ubiquitous discourse of data saturation. While originally developed within grounded theory, theoretical saturation, and later termed data/thematic saturation for other qualitative methods, the meaning has evolved and become transformed. Problematically this temporal drift has been treated as unproblematic and saturation as a marker for sampling adequacy is becoming increasingly accepted and expected. In this article we challenge the unquestioned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saturation and consider its plausibility and transferability across all qualitative approaches. By considering issues of transparency and epistemology we argue that adopting saturation as a generic quality marker is inappropriat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the pertinent issues and encourage the research community to engage with and contribute to this important area. (PsycINFO Database Record (c) 2019 APA, all rights reserved)

편집자에게 '오케이'를 얻어내기 위한 저자 답변서 쓰기(J Grad Med Educ, 2019)
Writing Author Response Letters That Get Editors to ‘‘Yes’’
Gail M. Sullivan, MD, MPH Deborah Simpson, PhD Lalena M. Yarris, MD, MCR Anthony R. Artino Jr, PhD

 

최근 걸작을 제출한 저널에서 흥미로운 의료 교육 혁신을 설명하는 원고인 이메일이 뜬다. 당신이 이 서사시 작품을 출품한 지 꽤 된 것 같아요. 두려움으로 당신은 이메일을 엽니다. 그것은 광범위하다: 수정이 요청된다. 당신은 그 논문이 거절당하지 않아서 기쁘지만, 이메일이 길다는 것은 여전히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 많은 데이터, 분석, 토론, 제한 및 참조에 대한 많은 의견과 요청을 읽으면 기분이 가라앉습니다. 당신은 걱정한다: 검토자들이 당신의 논문을 이해했나요? 모든 댓글에 응답해 주실 수 있나요? 응답할 시간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
An e-mail pops up from the journal to which you submitted your recent masterpiece, a manuscript describing an exciting medical education innovation. It feels like a long time since you submitted this epic work. With trepidation you open the e-mail. It is extensive: a revision is requested. You are elated that the paper has not been rejected, but the length of the e-mail indicates that considerable efforts are still required. As you read the many comments and requests for more data, analyses, discussion, limitations, and references, your spirits sink. You worry: Did the reviewers understand your paper? Can you respond to all of the comments? Where will you find the time to respond?

절망하지 마세요. JGME(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편집자들이 여러분의 논문에 대해 편집자들이 "네"라고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되는 훌륭한 작가 응답 편지를 만드는 것을 돕기 위해 여기에 있습니다.
Do not despair. The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JGME) editors are here to help you craft a stellar author response letter, one that will help editors say “yes” to your paper.

첫 번째 일
First Things First

앉아서 맥을 짚고 나서 코멘트를을 주의 깊게 읽을 시간을 가지세요. 검토자 및 편집자(전부는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자원봉사자임)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논문을 최대한 좋은 것으로 만들기 위해. 동료 검토의 기본 원칙은 개정안이 항상 더 나은 논문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저자들은 그들의 논문이 검토 과정을 통해 개선된다는 것에 동의한다. 
Sit down, take your pulse, and then find some time to read the comments carefully. Keep in mind that the reviewers and editors—many, if not all, are volunteers—have the same goal as you: to make your paper the best it can be. A fundamental principle of peer review is that revision always produces a better paper. Most authors agree that their papers are improved through the review process.1 

좋은 소식은 수정 및 재제출 결정이 첫 번째 제출이 이 장소에 적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범위를 벗어나거나 저널에서 이미 많은 보도를 받은 주제에 관한 기사는 첫 번째 검토에서 거부될 것이다. 따라서, 당신의 논문은 유망합니다. 당신의 목표는 당신의 수정된 원고에 첨부할 강력한 저자 응답서를 만드는 것이다.

The good news is that a revise and resubmit decision indicates that your first submission is potentially a good “fit” for this venue. Articles that are outside the scope or on topics that have already received heavy coverage by a journal will be rejected on first review. Thus, your paper has promise. Your goal is to craft a strong author response letter to accompany your revised manuscript.

"주요 개정" 결정을 내리는 일반적인 이유
Common Reasons for Getting A “Major Revision” Decision

원고가 주요 수정 결정을 받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주제가 저널의 독자들에게 흥미롭고 관련성이 있지만, 편집자들은 기존 버전의 논문에서 품질이 배포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론은 정보 또는 분석 누락, 논문 정리 불량 또는 불분명한 글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검토자와 편집자의 의견은 논문이 "주요" 대 "소" 개정 결정을 받는 이유에 대한 안내문을 제공한다. JGME를 포함한 일부 저널의 경우 메이저 대 마이너는 코멘트 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저널의 출판 약속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요청된 모든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minor decision은 개정된 원고를 출판하겠다는 저널의 약속을 나타낸다.

The most common reason for a manuscript to receive a major revision decision is that, while the topic is of interest and relevant to readers of the journal, the editors are unable to determine, from the existing version of the paper, whether the quality is sufficient for dissemination. This conclusion can be due to missing information or analyses, poor paper organization, or unclear writing. The reviewers' and editors' comments provide guideposts as to why a paper receives a “major” versus “minor” revision decision. For some journals, including JGME, major versus minor is not determined by the number of comments, but by the journal's commitment to publish. In this situation, if all requested changes are made, a minor decision indicates a journal's commitment to publish the revised manuscript.

대응 계획 수립
Planning Your Response

코멘트를 다음으로 나눕니다. 

  • (1) 쉽고 빠른 수정사항(예: 잘못된 인용, 잘못된 방법 순서) 
  • (2) 더 많은 시간과 공동 작성자의 입력이 필요한 항목(예: 새로운 데이터 분석, 섹션 변경) 
  • (3) 이해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은 요청입니다. 

대부분의 의견 또는 주요 "꼭 해야 할" 의견(아마도 요청한 추가 데이터를 더 이상 얻을 수 없을 것)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 문서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당신은 그 지역의 보급이나 추가 작업을 위한 다른 장소를 고려할 수 있다.

Start by dividing the comments into

  • (1) revisions that are easy, quick fixes (eg, incorrect citation, wrong order of methods);
  • (2) items that need more time and coauthors' input (eg, new data analyses, rewriting sections); and
  • (3) requests that you are not sure you understand or can address.

If you cannot respond to most of the comments or to key “must do” comments (perhaps the additional data requested can no longer be obtained), you will not be able to revise the paper. You may consider a different venue for dissemination or further work in the area.

그러나 대부분의 수정 요청이 가능해 보이면, 공저자를 모아 수정에 접근하는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저널은 대개 개정 마감일이 확정되기 때문에 속도가 중요하다. 그러나 다시 제출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한 경우 마감일 전에 항상 저널에 이것이 가능한지 물어 보십시오. 많은 저널들은 일상적으로 1~2주 또는 심지어 더 긴 연장을 준다.
However, if most of the revision requests seem possible, you should gather your coauthors, virtually or in person, to decide how to approach the revision. Speed is important, as journals usually have firm deadlines for revisions. However, if you need more time to resubmit, always ask the journal if this is possible, before the due date. Many journals routinely give 1 to 2 weeks or even longer extensions.

주저자는 전체 수정본과 작성자 응답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작업량을 분산하기 위해 그룹 간에 주석과 섹션이 분할될 수도 있습니다. 계획 수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저자는 모든 편집자 및 검토자 주석을 포함하는 주석 및 응답 표(표 1 참조)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공동 작성자에게는 완료 기한과 함께 특정 응답/수정 작업이 할당될 수 있습니다. 수정할 때 Track changes과 함께 변경 내용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팀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요 작성자가 최종 제품을 주의 깊게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Often the lead author writes the entire revision and author response letter, but comments and sections may also be divided among the group, to distribute the workload. To facilitate planning, the lead author can create a comment and response table (see table 1), which includes every editor and reviewer comment. Coauthors may be assigned a specific response/revision task, along with a deadline for completion. When revising, changes can be tracked with track changes. If a team approach is used, it is essential that the lead author read the final product carefully, to ensure consistency and accuracy.

이익 가정
Assume Beneficence

일부 편집자와 검토자의 요청이 부적절하거나 심지어 가혹해 보일 수 있지만, 종종 더 깊이 읽으면 이러한 논평이 불분명한 글이나 저자의 형편없는 조직력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드러낼 것이다. 편집자와 검토자는 일반 독자보다 귀하의 논문을 더 주의 깊게 읽습니다. 따라서, 만약 그들이 당신의 작품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독자들도 혼란스러울 것이다. 이러한 언급이 업무 또는 자신에 대한 공격이라고 가정하지 마십시오. 이 반응은 설득력 있고 설득력 있는 답변서를 만들 것 같지 않다. 검토자 의견의 톤에 관계없이, 여러분의 이익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명확하지 않은 의견이나 질의에 대해서는 저널에 설명을 요청하십시오. 이것은 검토자가 반대되는 답변을 요구할 때 특히 적절하다. 편집자들은 작가들에게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명확하지 않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요청을 포착하려고 노력한다. 종이의 양을 고려할 때, 엇갈린 메시지가 발생한다. 이 경우 수정본을 제출하기 전에 설명을 요청하거나,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답변을 선택하여 작성자 답변서에서 근거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Although some editor and reviewer requests may appear inappropriate or even harsh, often a deeper read will reveal that these comments stem from unclear writing or poor organization on the authors' part. Editors and reviewers read your paper more carefully than the typical reader; thus, if they do not understand your work, it is likely that readers will also be confused. Do not assume that these comments are an attack on your work or yourself. This reaction is unlikely to produce a compelling and persuasive response letter. No matter the tone of reviewer comments, it is best to assume they are provided for your benefit. For comments or queries that are not clear, ask the journal for clarification. This is particularly apt if reviewers ask for opposite responses. Editors try to catch unclear or misleading requests in order to provide guidance to authors. Given the volume of papers, mixed messages do happen. When this occurs, you can ask for clarification before submitting your revision, or choose the response you believe is most suitable and explain your rationale in the author response letter.

심사숙고 끝에 검토자의 의견이 적절하지 않은 어조로 나타날 경우 작성자 답변서와 별도로 편집자에게 문의하십시오. 대부분의 편집자와 평론가들은 작가들을 돕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지만, 우리는 틀리기 쉽다. 그러나 편집자와 평론가의 의도가 긍정적이라는 비방어적 입장과 사고방식을 채택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If, after careful consideration, a reviewer's comments appear inappropriate in tone, contact the editor, separately from your author response letter. Most editors and reviewers try hard to help authors, but we are fallible. However, adopting a non-defensive stance and mindset that the editors' and reviewers' intentions are positive will serve you well.2 

작성자 응답 편지 구성
Organizing the Author Response Letter

매년 편집자들은 수천 개의 논문과 심지어 더 많은 개정판들을 읽는다. 작성자 답변서를 가능한 한 명확하면서도 간략하게 작성하십시오. 주석, 주석에 대한 응답 및 원고 변경(표 2)과 구별하기 위해 표 접근법(표 1) 또는 다른 글꼴 또는 색상을 사용하여 원고의 주석, 주석에 대한 응답 및 변경 위치를 쉽게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문서철에서 작성자 응답 서신에 대한 작성자 지시사항에 템플리트를 제공하는 경우, 템플리트를 자세히 따르십시오.

Each year editors read thousands of papers and even more revisions. Make your author response letter crystal clear—as clear yet as brief as possible. Make the comments, response to comments, and location of changes in the manuscript easy to visualize by using a table approach (table 1) or different fonts or colors, to differentiate comments from responses and manuscript changes (table 2). If the journal provides a template in the author instructions for the author response letter, follow the template closely.

대부분의 편집자는 검토자가 작성자를 돕기 위해 각 주석 또는 질의에 번호를 매길 것을 요청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호가 매겨지지 않았거나 한 단락에 여러 개의 주석이 포함된 검토자 및 편집자 주석과 함께 의사 결정 편지를 받게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이러한 의견을 단일 항목으로 나누고 번호를 매긴 후 의사 결정 서신에 나타나는 순서대로 답변하는 것입니다. 번호가 매겨진 주석이나 긴 단락에 여러 개의 쿼리가 함께 있는 경우에도 각 쿼리에 명시적으로 응답합니다.
Most editors request that reviewers number each comment or query, to assist authors. Nonetheless, you will receive decision letters with reviewer—and even editor—comments that are not numbered, or that have several comments buried in a single paragraph. The best approach is to divide these comments into single topics, number them, and answer in the order in which they occur in your decision letter. Explicitly answer each query, even when several are located together in a numbered comment or long paragraph.

때때로 검토자들은 논문이 단어 수나 그래픽 한계를 넘도록 하는 추가 정보나 표를 요청한다. 단어를 다듬을 다른 영역이 없다면, 원고가 아닌 작성자 답변서에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분개장에 따라 온라인 전용 부록에 추가 정보를 넣을 수 있습니다. 또는, 작성자는 응답서에 요청된 답변을 제공하고 편집자가 원할 경우 이 정보를 논문에 추가할 수 있다고 진술할 수 있다. "용지가 단어 수 제한을 초과할 것이기 때문에 응답할 수 없습니다"를 응답하지 않는 이유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까다로운 검토자 및 편집자 의견과 작성자를 위한 잠재적인 해결책은 표 3을 참조하십시오.

Sometimes reviewers request additional information or tables that will make the paper go over word count or graphics limits. If there are no other areas in which to trim words, it is best to provide the requested information in the author response letter rather than in the manuscript. Depending on the journal,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placed in online-only appendices. Alternatively, authors can provide the requested answers in the response letter and state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paper, if the editors prefer. Do not use “we cannot respond as it will put the paper over the word count limit” as a reason for nonresponse. See table 3 for tricky reviewer and editor comments and potential solutions for authors.

 

간결함은 미덕이지만, 당신의 반응은 완벽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논평은 응답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예: "저자들이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었다"). 어떤 작가들은 모든 논평에 "이 매우 가치 있고 통찰력 있는 논평에 감사한다"라고 대답한다. 우리의 의견으로는 칭찬은 불필요하고, 우리 쪽에서 더 많은 읽기를 요구하며, 특히 30번째 논평 이후 지나치게 비굴해 보인다. 간단한 답변("감사" 또는 "동의")만 있으면 충분합니다.
Brevity is a virtue, yet your responses must be complete. However, some comments may not require a response (eg, “the authors have tackled an interesting subject”). Some authors respond to every comment with “Thank you for this extremely valuable and insightful comment.” In our opinion, compliments are unnecessary, require more reading on our part, and seem overly obsequious, especially after the 30th comment. A simple response (“Thank you” or “Agree”) is sufficient.

거부 또는 다른 수정 요청 방지
Avoiding a Rejection or Another Revision Request

가장 어려운 편집자 작업 중 하나는 검토자 제안과 작성자 응답을 교차 확인하는 것입니다. 모든 의견과 질문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개정안이 논문의 품질을 충분히 개선하였는가? 작성자 응답이 불완전한 경우, "거부" 또는 다른 "주요 수정" 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응답이 완료된 경우에도 새로운 정보가 저널에 대한 논문의 품질, 유용성 또는 적합성에 도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editor tasks is cross-checking reviewer suggestions with author responses. Are all comments and queries addressed and have the revisions sufficiently improved the quality of the paper? If the author responses appear incomplete, you are likely to receive a “reject” or another “major revision” decision. (Even when responses are complete, you may receive these decisions because the new information now challenges the quality, usefulness, or fit of your paper for the journal.)

Reject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모든 의견에 완전히 답하고 이 카테고리의 논문을 쓰기 위한 특정 저널 형식을 따르는 것입니다. JGME는 결정서에 올바른 형식을 명시적으로 기술하는 자료를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형식을 따르지 않은 두 번째 버전의 원고를 계속 받는다. 경고 작성자는 원고를 제출하기 전에, 그리고 수정본을 제출할 때 이러한 자료를 다시 읽습니다. 요구되는 형식을 따르지 않는 것은 최소한 사소한 개정 결정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많은 저널에 대해 작가 지시가 얼마나 길고 지나치게 복잡한지 이해한다. 저자를 돕기 위해 JGME는 각 원고 섹션의 내용과 순서를 더 자세히 설명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Your best approach to avoiding a rejection is to answer all comments completely and follow the specific journal format for writing papers in this category. JGME continues to receive second versions of manuscripts that have not followed the required format, despite pointing the authors to resources that explicitly describe the correct format in the decision letter. Alert authors read these resources before submitting the original manuscript, and again when submitting their revision. Not following the required format is likely to garner at least a minor revision decision. We understand how long and overly complex author instructions are for many journals. To assist authors, JGME provides resources that further describe the content and order of each manuscript section.3 

수정본과 저자 답변서를 제출하기 전에, 우리는 당신의 직속 작업 그룹 밖의 누군가가 문법과 오타뿐만 아니라 명확성을 위해 그 논문과 편지를 읽을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편집자는 당신의 수정본을 읽는 첫 번째 외부인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성공적인 전략을 보려면 상자 1을, 유용한 리소스를 보려면 상자 2를 참조하십시오.

Before submitting your revision and author response letter, we strongly recommend that someone outside your immediate working group read the paper and letter for clarity, as well as grammar and typos. An editor should not be the first outside person to read your revision. See box 1 for successful strategies and box 2 for helpful resources.

BOX 1 저자답변서 성공전략

  • 그룹으로 작업합니다.
  • 답변서를 시각적으로 매우 선명하게 만드십시오.
  • 모든 요청이나 질문에 답하되, 필요 이상의 단어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 예의 바르고, 외교적이고, 방어적이지 마세요: "우리는 모두 같은 편입니다"라는 철학을 사용하세요.
  • 다시 제출하기 전에 작성자 답변서와 논문을 검토할 동료 또는 멘토를 찾으십시오.
  • 편집자와 평론가는 (거의) 언제나 옳다

BOX 1 Strategies for Success for Author Response Letters

  • Work within a group.
  • Make your response letter visually very clear.
  • Answer every request or question, but use no more words than necessary.
  • Be polite, diplomatic, and not defensive: use the “we're all on the same side” philosophy.
  • Find peers or a mentor to review your author response letter—as well as your paper—before resubmission.
  • The editors and reviewers are (nearly) always right.

 

BOX 2 Resources

 

요약
In Summary

원고를 수정해 달라는 요청은 반쯤 찬 유리잔("거절되지 않음") 또는 반쯤 찬 유리잔("더 많은 작업")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추가 노력은 궁극적으로 당신에게 도움이 됩니다. 수정하고 다시 제출하는 결정은 저널이 당신의 작품에 투자하는 두 번째 기회이자 증거입니다. 편집자와 검토자의 코멘트에 주의를 기울이면 주제에 대한 이해, 연구 방법, 작문 실력이 향상된다. "의료"는 작은 세계라는 것을 명심하십시오. 만약 당신이 당신의 작품을 다른 저널에 다시 제출한다면, 당신의 논문은 같은 리뷰어들에 의해 검토될 것이다. 따라서 원고를 새 저널에 제출할 때에도 원본 리뷰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A request to revise your manuscript can be seen as a glass half full (“not rejected”) or a glass half empty (“more work”), yet this additional effort is ultimately to your benefit. A revise and resubmit decision is a second chance and evidence of a journal's investment in your work. Paying attention to editor and reviewer comments will sharpen your understanding of the topic, research methods, and writing skills. Keep in mind that “med ed” is a small world: if you resubmit your work to another journal, your paper may be examined by the same reviewers. Thus, paying attention to the original reviews, even when submitting your manuscript to a new journal, is suggested.

동료들 사이에서 일을 나누고,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의견을 보고, 완전하면서도 간결하게 하고, 시각적으로 명확한 답변서를 만드는 것은 당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당신의 목표는 당신의 편집자가 "예"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ividing the work among your colleagues, viewing comments in a positive rather than negative light, being complete yet concise, and crafting a visually clear response letter will improve your chance of success. Your goal is to make it easy for your editor to get to “yes.”

 

 


J Grad Med Educ. 2019 Apr;11(2):119-123. doi: 10.4300/JGME-D-19-00161.1.

Writing Author Response Letters That Get Editors to "Yes"

PMID: 31024639

PMCID: PMC6476088

DOI: 10.4300/JGME-D-19-00161.1

의학교육 출판에서 저자 순서: 실용적 가이드를 찾아서(Teach Learn Med, 2019)
Authorship Order in Medical Education Publications: In Search of Practical Guidance for the Community
Brian Mavisa, Steven J. Durningb, and Sebastian Uijtdehaagec

 

 

현상
Phenomenon

협업 연구 프로젝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authorship의 순서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저자 순서는 연구팀 리더십, 연구 참여 수준, 협업 능력, 학술 생산성, 연공서열, 연구 분야의 전문성을 위한 대용물로 일상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중요한 주제이다. 따라서, 저자 순서는 고용, 급여, 자원 할당, 승진 및 재직권과 관련된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종종 사용된다. 작가 순서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는 항상 투명하거나 직관적인 것은 아니다. authorship은 누가 저자로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과 그에 따라 저자가 나열되어야 하는 순서에 대한 결정이 필요하다. 여러 공동작업자가 참여한 연구의 경우, 이전 연구는 저자 순서를 정하는 방법에 대한 학문분야별 관행의 일관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 rise in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s brings with it questions about the order of authorship.1 This is an important topic because author order routinely is used as a proxy for research team leadership, level of involvement in a study, collaboration skills, scholarly productivity, seniority, and expertise in a field of investigation. Thus, author order is often used when making important decisions related to hiring, salary, resource allocation, promotion, and tenure.1–9 How author order is decided is not always transparent or intuitive. Authorship requires decisions about who should be included as an author followed by decisions about the order in which authors should be listed. For studies with multiple collaborators, prior work has found that there is little consistency in practices across disciplines on how to order authors.3,10

우리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누구를 저자로 포함시켜야 하는지, 작가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과 관련된 후배들의 빈번한 저자 질문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증거에 기초한 접근은 신중해 보였지만, 문헌을 검토한 결과, 자신의 학문적 전통에 따라 authorship에 대한 의견과 관행이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우리는 구체적인 지침의 부족과 이러한 명확성의 부족과 함께 나타나는 긴장과 우려를 모두 인정한 그 분야의 몇몇 선도적인 학자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Our research came about as a result of frequent authorship questions from junior colleagues, typically related to who to include as an author and how to decide on the order of authors. Although tak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seemed prud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suggested that depending on one’s academic tradition, there were widely divergent opinions and practices on the subject of authorship. We subsequently spoke with several leading scholars in the field who acknowledged both the lack of specific guidance and tensions and concerns that emerged with this lack of clarity.

의학 교육계는 대체로 학자들과 교육자들의 "이민자들"의 공동체이다. 역사적으로, 의학 교육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기초 과학, 사회 과학 또는 임상 분야에서 왔다. 우리는 이러한 풍부하고 다양한 배경을 의료 교육 공동체를 강화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학술활동에 관한 한, 우리는 종종 저자와 저자의 순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 우리 자신의 분야에서의 관행을 연구에 도입한다. 최근 30개 이상의 학술지를 발간할 수 있는 의학 교육 연구의 성장과 보건 전문 교육(HPE) 분야의 대학원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학 교육 연구자에 대한 저작자 지령에 관한 인정된 커뮤니티 표준이나 지침은 없다. 실제로, 저자 결정은 지역 제도 표준 및 우리 자신의 학문적 전통의 관행에 의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다른 학술 출판계와 다를 바 없다.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s largely an “immigrant” community of scholars and educators.11 Historically, most scholars in medical education have come from the basic sciences, social sciences, or clinical disciplines; we view these rich and diverse backgrounds as strengthening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However, when it comes to scholarship, we often bring our own disciplinary practices to our research, including how we think about authorship and author order. Despite the recent growth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with now more than 30 journals available for publishing our work and increasing numbers of graduate program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12 there are no accepted community standards or guidelines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regarding authorship order. In practice, authorship decisions likely are shaped by local institutional standards and/or the practices of our own academic tradition. In this respect, we are no different from other scholarly publishing communities.3

우리는 저자 순서라는 주제에 대한 문헌 검색을 수행했고 연구자들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을 찾았지만 의학 교육 연구라는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찾지 못했다. 리에센베르크와 룬드베르크는 작가 질서에 대해 작가에게 주어지는 "상식" 기준의 전형이다. 

  • (a) 누가 작가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 (b) 저자의 지위는 기여에 기초하며, 첫 번째 저자가 가장 많이 기여하고 나머지는 기여의 내림차순으로 나열된다. 
  • (c) 프로젝트 내내 필요에 따라 작성자 주문에 대해 조기에 합의에 도달하고 재고합니다.

We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on the topic of authorship order and found general guidance for researchers but nothing specifically on the topic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Riesenberg and Lundberg13 is typical of the “commonsense” criteria given to authors about the author order:

  • (a) decide who is and is not an author;
  • (b) authorship is based on contribution, with the first author contributing the most and the rest listed in descending order of contribution; and
  • (c) reach agreement early about authorship order and reconsider as needed throughout the project.

234개 생물의학 저널의 저자 가이드라인을 검토한 결과 41%가 저자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고, 29%가 국제 의학 저널 편집자 위원회가 제공한 기준에서 도출된 저자 기준을 지지했으며, 28%가 자체 기준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은 일반적으로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췄는지 다루지만 저자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루지 않는다. 다저자 논문의 경우, 작성자 순서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한 사람의 기여의 크기를 기준선에서 추론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A review of the authorship guidelines of 234 biomedical journals found that 41% did not provide any criteria for authorship, 29% endorsed authorship criteria derived from those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and 28% provided their own criteria.10 However, these criteria generally address who qualifies as an author but not how to determine the order of authors.14 On multiauthored papers, it is common practice to infer the magnitude of a person’s contribution from their place in the byline, despite the lack of specific guidance on authorship order.3

광범위한 분야의 저자들은 저자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알고리즘이나 기여 등급 체계를 제안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여러 측면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정량화]하려고 시도하며, 이 기여도를 종합하여 전체 상대적 기여도를 결정한다. 이 방법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한 알고리즘만 일상적으로 사용되었고 다른 알고리즘은 전문 기관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Authors from a wide range of disciplines have proposed algorithms or contribution rating schemes to determine author order.6,15–22 They generally attempt to quantify individual contributions to multiple aspects of a project, which are then aggregated to determine overall relative contribution. There is little evidence of any widespread use of these methods. Only one algorithm appears to have be used routinely8 and another has been endorsed by a professional organization.23

authorship은 연구 과정 초기에 최적으로 발생하는 2단계 결정 과정을 포함한다. 첫 번째이자 근본적인 결정은 연구팀에서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는지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저자들이 출판물에 등재되는 순서에 동의한다. 저자 자격 기준은 일반적으로 저널에 열거되며 일반적으로 국제 의학 저널 편집자 위원회의 권고에 기초한다. 이러한 기준은 연구자들의 연구 전통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사실,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을 포함한 많은 저널들은 저자들이 이러한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증명하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저자가 저자권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의견의 문제라기보다는, 윤리적인 문제이며 조사자들의 연구 배경 때문에 달라져서는 안 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 우리는 저자 결정에 대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진 가장 고위 HPE 학자와 사상 지도자조차도 연구에 기여한 사람들에게 적절한 크레딧을 주면서(그러나 기술적으로 저자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저자 기준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Authorship involves a two-stage decision process that optimally occurs early on in a research process. The first and fundamental decision involves who in a research team qualifies for authorship. Next, the research team agrees on the order in which the authors are listed on a publication. Authorship criteria are typically enumerated in journals and commonly based on recommendations by 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these criteria must be consistently applied regardless of the research tradition of the investigators. In fact many journals, in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require authors attest that they meet these criteria. Therefore, attesting that authors meet authorship criteria is an ethical issue rather than a matter of opinion and should not vary because of the research backgrounds of the investigators. However, in a recent study,24 we found that even the most senior HPE scholars and thought leaders who had extensive experience with authorship decisions can struggle with applying authorship criteria while giving adequate credit to those who contributed to the research (but technically fail to meet author criteria).

저자 순서와 관련된 두 번째 결정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여기에 대해서는 현재 연구는 공식적인 지침이 거의 제공되지 않고 있다.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는지에 대한 결정과 달리, [저자가 나열되는 순서]와 관련된 의학 교육 외의 선행 연구는 [저자의 순서]가 학문분야마다 다르며 전통의 적용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논문이라는 맥락 안에서 저자순서 결정에 적용되는 원칙과 관행을 기술하는 데 있다. 우리는 또한 의견 수렴이 있는 영역과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영역을 염두에 두고 저자 질서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자들의 의견을 기술하고자 했다. HPE 연구자들 사이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우리는 다양한 관행과 의견을 기대했고, 따라서 다양한 배경, 학위 및 국적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샘플을 포함했다.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the second decision point regarding the author order, for which little formal guidance is available. In contrast with the decision of who qualifies as author, prior work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related to the order in which authors are listed has found that author order varies among disciplines and is subject to traditio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scribe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applied to authorship order decisions with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We also sought to describe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 order, with an eye to areas where there is a convergence of opinion and to areas where a degree of uncertainty remains. Given the diversity among HPE researchers, we expected a range of practices and opinions, and therefore involved a broad sample to include variety of backgrounds, degrees, and nationalities.

접근
Approach

설문지 개발
Questionnaire development

[저자 자격]과 [저자 순서]와 관련된 관행에 초점을 맞춘 설문지가 개발되었습니다. 문헌 검색을 통해 확인된 출판물은 특정 저자의 원칙이나 관행에 대한 언급을 위해 검토되었으며, 이는 설문지 항목의 줄기로 사용되었다. 연구논문을 소설이 아닌 영화처럼 취급하는 아이디어, 영화 끝부분의 크레딧과 같은 기고자 목록을 독자들이 볼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 등이 대표적이다.14 또는 공동연구팀의 리더를 마지막 저자로 나열하는 것.25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at focused on practices related to qualifying for authorship and order of authorship. Publications identified by a literature search were reviewed for mention of specific authorship principles or practices, and these were used as the stem for questionnaire items. Examples include

  • the idea of treating a research paper like a film instead of a novel, with a list of contributors like the credits at the end of a movie so that readers can see who did what,14 or
  • listing the leader of a collaborative research team as the last author.25 

기타 질문은 저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됐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저자가 원고의 무결성과 내용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지고, 연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된 프로젝트의 경우, 여러 출판물이 계획될 때 첫 번째 저자의 역할이 팀원들 사이에서 순환한다. 항목의 초기 브레인스토밍 후, 한 팀원은 질문 초안을 작성했고 다른 팀원은 명확성과 연구 목표와의 일치를 위해 독립적으로 검토했습니다.

Other questions were draft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authors. Examples include that the first author has final responsibility for the integrity and content of the manuscript and, for projects organized around a program of research, the role of the first author rotates among the team members when multiple publications are planned. After initial brainstorming of items, one team member drafted questions and the other team members independently reviewed them for clarity and for alignment with the research goals.

설문 질문은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를 반영하기 위해 그룹화되었습니다. 1절에서는 '저자가 3명 이상인 논문의 경우 기여도가 감소하는 순으로 저자를 나열하고, 첫 번째 저자가 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등 16개 항목이 저자의 순서 결정에 대한 현행 원칙과 관행을 설명했다. 응답자들은 다음 두 가지 등급을 제시하도록 요청받았다. 그들의 경험상, 얼마나 자주 항목이 저자 명령에 대한 결정에 적용되어왔는지, 그리고 그들의 관점에서, 얼마나 자주 항목이 저자 명령에 대한 결정에 적용되어야 하는지. 등급은 4점 척도를 기준으로 했다. 1(절대 안 함), 2(때때로), 3(자주), 4(항상)입니다. 분석에서, 우리는 빈도와 만족도 측면에서 관행을 더 잘 강조하기 위해 "자주, 그리고 항상"을 결합한 이진 변수에 정보를 기록했습니다.

The survey questions were grouped to reflect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In the first section, 16 items described current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determining order of authorship, such as “For papers with three or more authors, the authors are listed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with the first author representing the largest contribution.” Respondents were asked to provide two ratings: how often, in their experience, the item had been applied to decisions about authorship order and how often, in their view, the item should be applied to decisions about authorship order. Ratings were based on a 4-point scale: 1 (never), 2 (sometimes), 3 (often), and 4 (always). In our analyses, we recoded the information in a binary variable combining “often, and always” to better highlight the practices in terms of frequency and desirability.

두 번째 항목에서는 [저자 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제출자들의 의견을 탐구하였다. 기여도에 따른 순서, 알파벳순 목록, 마지막 저자 등재 의의 등 첫 번째 저자 이후 저자 순서를 결정하는 공통 전략에 초점을 맞춘 문항이 3개였다. 추가적인 질문들은 응답자들에게 저자 순으로 특정 입장을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질문했다(예: "최초의 두 저자가 대부분의 출판된 연구에서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응답자들은 1(강력히 동의하지 않음)에서 3(불확실함)에서 5(강력히 동의함)의 범위에서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의견을 표시했습니다.
The second set of items explored respondent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 order. Three questions focused on common strategies for determining the ordering of authors after the first author, inclu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alphabetical listing, and the significance of being listed as last author. Additional questions asked respondents about the possible interpretation of specific positions in the order of authorship (e.g., “The first two author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he work in most published studies”). Respondents used a 5-point scale to indicate their opinions, ranging 1 (strongly disagree) to 3 (uncertain) to 5 (strongly agree).

세 번째 섹션은 응답자들의 개인 및 경력 특성에 초점을 맞춰 우리 표본에 대한 설명적인 프로필을 제공했다. 질문에는 성별, 의학교육에 대한 경험, 동료평가 출판물 수, 학력, 학위 및 전문 분야, 거주 국가 등이 포함되었다.
The third section focused on respondents’ personal and career characteristics to provide a descriptive profile of our sample. The questions included gender, years of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number of peer-reviewed publications, academic rank, degree and specialty/discipline, and country of residence.

설문지는 초기에 45명의 기성 의료교육학자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작성자 기준과 관련된 일련의 질문에 대한 응답 옵션을 변경하였다. 저자로 포함되기 위한 기준에 대한 질문에서 도출된 결과는 이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다른 곳에서 발표되었습니다. 
The questionnaire initially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5 established medical education scholars, and based on their responses, changes were made to the response options for a set of questions related to authorship criteria.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questions about criteria for inclusion as an author were not included in this report and have been published elsewhere.24

응답자
Respondents

본 연구는 저작자순서에 대한 질문에서 얻은 결과를 보고한다. 다양한 의료 교육계로부터 광범위한 의견을 얻기 위해 DR-ED listserv가입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원 표본을 만들었다. DR-ED는 의학 교육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이 가상 토론 그룹은 1996년에 시작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2,800명 이상의 구독자로 성장했다. 우리는 식별 가능한 미국 전자 메일 주소(n = 216)를 가진 응답자로부터 10% 무작위 표본을 추출했고 식별 가능한 미국 이외의 전자 메일 주소(n = 175)를 가진 모든 가입자를 포함시켜 총 391명의 가입자를 표본으로 삼았다.
This study reports the findings from the questions about authorship order. To achieve a broad range of opinions from the divers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 sample of members from the DR-ED listserv26 subscriber database was created. DR-ED is a virtual community of medical educators. This virtual discussion group was started in 1996; it has grown to more than 2,800 subscribers worldwide. We drew a 10% random sample from respondents with an identifiable U.S. e-mail address (n = 216) and included all subscribers with an identifiable non-U.S. e-mail address (n = 175), for a total sample of 391 subscribers.

설문 조사 실시
Survey implementation

설문지는 익명으로 Qualtrics에서 온라인으로 관리되었으며, Qualtrics는 이메일로 참여 초대를 보냅니다. 첫 번째 메일 발송 후 두 개의 후속 이메일 알림이 발송되었습니다. DR-ED 코호트는 2016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조사되었다. 유효하지 않거나 배달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된 모든 전자 메일 주소는 코호트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미시간 주립 대학교 기관 검토 위원회(IRB# x15-581e)에 의해 인간 주제 연구에 대해 면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The questionnaire was anonymous and administered online with Qualtrics (https://www.qualtrics.com/), which sends invitations to participate via e-mail. Two follow-up e-mail reminders were sent after the initial mailing; the DR-ED cohort was surveyed from January 2016 to April 2016. Any e-mail addresses that were identified as invalid or undeliverable were excluded from the cohort. This project was determined exempt by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 for human subjects research (IRB# x15-581e).

분석.
Analysis

데이터는 SPSS Version 23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기술 통계량은 반응 패턴을 요약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범주형 변수에 대한 그룹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카이-제곱이 계산되었습니다.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summarize the response patterns. Chi-square was calculated to test for group differences for categorical variables.

무응답 편향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파동 분석을 사용하여 조사 분포의 첫 번째 물결부터 응답의 마지막 물결까지의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파동 분석에서 후발 응답자는 비응답자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간주되며 비응답자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1차 및 3차 반응자를 비교하기 위해 범주형 변수에 대해 카이-제곱을 계산하고 연속형 변수를 비교하기 위해 t 검정을 사용했습니다.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nonresponse bias, wave analysis27 was used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from the first wave of survey distribution to the final wave of respondents. In wave analysis, late responders are considered most like nonresponders and are used to represent nonresponders. To compare first- and third-wave responders, chi-square was calculated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t tests were used to compare continuous variables.

소견
Findings

응답자
Respondents

391개의 이메일 주소의 초기 샘플에서 54개의 이메일 연락처가 배달 불가능으로 반환되어 337개의 유효한 이메일 주소가 생성되었습니다. 퀄트릭스 플랫폼에 따르면 141명의 응답자가 설문을 열었고 109명의 응답자가 설문을 완료해 전체 응답률 32.3%(109/337명)를 나타냈다. 이 조사 결과들의 오차범위는 ±9%이다.28
From the initial sample of 391 e-mail addresses, 54 e-mail contacts were returned as undeliverable, yielding 337 valid e-mail addresses. According to the Qualtrics platform, 141 respondents opened the survey and 109 respondents completed it, representing an overall response rate of 32.3% (109/337). The margin of error for these survey results is ±9%.28


응답자들은 평균 19년(SD = 11.1년) 의학교육 경험(Mdn = 16.5년)을 보고하였다. 그들은 지난 2년 동안 의료 교육에서 4.5개의 동료 평가 출판물(Mdn = 3, 모드 = 2)을 보고했다. 응답자 특성 요약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연구 분야별로는 임상(38%, n=41), 사회과학(24%, n=26), 기초과학(10%, n=11), 인문(3%, n=3), '기타'(25%, n=27) 순이었다. 연구 분야가 교육인 일부 응답자들은 자신을 사회과학 분야로 분류한 반면, 다른 응답자들은 "기타"라고 말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7%, n=62)이 미국 출신이어서 본 연구의 표본 추출과 일치한다. 1차 조사 응답자와 3차 조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수년 간의 의료 교육 경험, 지난 2년 동안의 동료 검토 간행물 또는 표 1에 나열된 속성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 > 0.05).

The respondents reported an average of 19 years (SD = 11.1) of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Mdn = 16.5 years). They reported a mean of 4.5 peer-reviewed publications in medical education (Mdn = 3, mode =2) in the prior 2 years. A summary of the respondent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in Table 1. In terms of fields of study, the breakdown was clinical sciences (38%, n = 41), social sciences (24%, n = 26), basic sciences (10%, n = 11), humanities (3%, n = 3), and “other” (25%, n = 27), which included business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Some respondents whose field of study was education classified themselves within social sciences, whereas others indicated “other.” Just over half of the respondents (57%, n = 62) were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sampling for this study. A comparison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first-wave and third-wave survey respondent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 > .05) with regards to years of experience in medical education, peer-reviewed publications in the past 2 years or any of the attributes listed in Table 1.

저작권과 관련된 현재 관행 및 바람직한 관행
Current practices and desirable practices related to authorship

응답자의 현재 경험을 이상적이거나 바람직한 관행이라고 믿는 것과 비교한 결과, 항목의 세 가지 그룹이 나왔다.

  • 흔하고 바람직한 것으로 높은 지지율을 가진 항목(표 2: 파트 A),
  • 드물고 바람직하지 않은 관행을 시사하는 낮은 지지율을 가진 항목(표 2: 파트 B),
  • 현재 관행과 바람직한 관행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표 2: 파트 C).

Comparing respondents’ current experiences with what they believed to be ideal or desirable practice resulted in three groups of items:

  • those with a high rate of endorsement as both common and desirable (Table 2: Part A),
  • items with a low endorsement rate suggesting practices that were both infrequent and undesirable (Table 2: Part B), and
  • the items with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ratings of current practice and desirable practice (Table 2: Part C).

흔하고 바람직한 것으로 인정된 네 가지 항목이 있었다(표 2: 파트 A).

  • 기여 감소 순서대로 작성자 나열(A1),
  • 학생 프로젝트(A2)에서 파생된 논문의 제1저자로 작성자로 학생을 등록합니다.
  • 제1저자가 원고의 무결성에 대한 최종 보증할 책임을 갖고(A3) 교신저자(A4) 역할을 수행합니다.

There were four items endorsed as both common and desirable (Table 2: Part A). Respondents support

  •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A1),
  • listing a student as first author for papers derived from a student project (A2), and
  • the responsibility of the first author for final assurance of the integrity of the manuscript (A3) and
  • serving as the corresponding author (A4).


공동 연구팀의 리더를 논문(A5)에 마지막 저자로 등재하는 것에 대한 응답자들의 지지도는 현재와 이상적인 관행 모두에서 50%에 가까웠다. 이는 실무에 대한 양면성이나 불확실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실무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spondents’ endorsement of listing the leader of a collaborative research team as last author on a paper (A5) was close to 50% for both current and ideal practice. This could reflect ambivalence or uncertainty about the practice, or that the practice is context dependent.

표 2의 파트 B는 낮은 지지율을 가진 네 가지 항목을 나열하여 이러한 관행이 드물고 바람직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항목들은 다음의 것들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강화한다.

  • 알파벳 순서대로 저자 정하기(B2)
  • 프로젝트에 대한 기여(B3) 또는 협업 팀 간의 논의(B4)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 저자 순서 결정
  • 마지막 저자가 원고의 무결성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을 지는 것(B1)에 대한 지지가 낮은 것은 이것이 첫 번째 저자의 책임이라는 높은 지지율(A3)과 일치한다.

Part B of Table 2 lists four items with a low endorsement rate indicating that these practices were both infrequent and undesirable. These items reinforce the undesirability of

  • alphabetical listings of authors (B2), as well as
  • author ordering strategies not based on contribution to the project (B3) or discussions among the collaborating team (B4).
  • The low endorsement rate for the last author having final responsibility for the integrity of the manuscript (B1) is consistent with the high endorsement rate for this be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first author (A3).

7개 항목의 경우 현행 실무와 바람직한 실무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표 2: 파트 C). 처음 5개 항목은 [동일한 기여도를 가진 여러 공동저자]를 식별하기 위해 기준선에 각주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현재 실행이 이상적인 실행으로 생각되었던 것에 미치지 못한 전략을 나타낸다(C1). 다른 바람직하지만 덜 빈번한 관행은

  • 모든 기여자들이 저자 순서에 대해 사전에 동의하나, 협업 중에 이 결정을 재검토하는 것(C2).
  • 여러 출판물이 계획될 때 팀 구성원 사이에서 첫 번째 저자의 역할을 돌아가면서 맡는 것(C3).
  • 다중 사이트 연구의 저자 자격은 부록(C4)에 제공된 개별 기여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연구 그룹에 귀속되는 것.
  • 작가와 마지막에 크레딧에 등재된 그들의 기여가 있는 영화처럼 연구 논문을 검토해야 한다는 베거의 새로운 제안(C5)은 대체로 불확실하게 여겨졌다.

For seven item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current practice and desirable practice (Table 2: Part C). The first five items represent strategies where current practice fell short of what was thought to be ideal practice, such as the use of a footnote in the byline to identify multiple coauthors with equal contributions (C1). Other desirable but less frequent practices were

  • all contributors agreeing about the order of authorship in advance and revisiting this decision during the collaboration (C2),
  • rotating the role of the first author rotates among the team members when multiple publications are planned (C3),
  • authorship for multisite studies is attributed to a study group with mor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contributions provided in an appendix (C4).

The novel suggestion (C5) by Wager14 that we should consider research papers like a film with authors and their contributions listed in the credits at the end was largely regarded with uncertainty.

나머지 두 항목의 경우, 현재 관행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보다 더 빈번했다. (즉, 아래 행위를 덜 해야한다)

  • M.D./D.O.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진 저자가 항상 다른 기여자보다 먼저 나열되는 것(C6)
  • 첫 번째 저자는 원고의 무결성과 내용에 대한 단독 책임이 있는 것(C7).

For the remaining two items, current practice was more frequent than thought desirable:

  • authors with M.D./D.O. or Ph.D. degrees should always be listed before other contributors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C6), and
  • the first author has the sole responsibility for the integrity and content of the manuscript (C7).

저자순서와 관련된 태도
Attitudes related to authorship order

설문에는 첫 번째 저자 이후 저자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세 가지 질문이 포함되었다. '의학교육장학에서 저자순서가 상대적 기여도에 따른 것일 때 [첫 번째 저자 다음으로 좋은 순위]는 …'라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선호 순위로 마지막 저자(47%)와 두 번째 저자(46%)로 나뉘었다. 다른 선택지를 선택한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 알파벳을 순서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1%), 첫 번째 작성자 이후에는 상관없다(6%) 등.

The survey included three questions about strategies for determining the ordering of authors after the first author. When presented with the question,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when authorship order is based on relative contribution, after the first author the next best place in authorship order is …” respondents split between last author (47%) and second author (46%) as the preferred order. Few respondents selected the other options: alphabetized by last name (1%) and after first author, it does not matter (6%).

후속 질문인 "의학 교육 장학금에서, 첫 번째 저자에 이어, 저자의 질서에 대한 최선의 접근은 …"에 대한 것이다. 
많은 응답자들은 모든 저자를 기여도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하되 시니어 저자를 마지막에 뒀고(43%), 알파벳 순서(2%), 또는 가장 고위 저자에 대한 내림차순(2%)에 따라 내림차순을 나열하는 것에 비해, 마지막에 나열된 상위 저자에 대한 내림차순(51%)을 선호했다. 비록 두 개의 상위 승인 전략이 기여도에 따른 내림차순의 사용을 지지하지만, [마지막 저자 지위]의 중요성은 다시 의학교육계를 분열시켰다. 

In response to the follow-up question,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after the first author the best approach to author order is …” many respondents preferred the strategy of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with the senior author listed last (51%), compared to listing all authors in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43%), alphabetical order (2%), or ascending order based on seniority with the most senior author listed last (2%).

이 현상을 더 탐구하기 위해 마지막 저자로 등재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세 번째 질문이 나왔다. "교육 장학금에서 마지막 저자로 등재되는 것은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응답자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그것이 모든 의학 교육자들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58%). 응답자의 중요성에 대한 지지도는 상급 교육자(36%), 의료 교육에 참여하는 기초 과학자(18%), 의료 교육에 참여하는 임상의(8%)에 비해 감소했다.

Although the two top endorsed strategies support the use of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the importance of the last author position again split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o further explore this phenomenon, a third question asked about the importance of being listed as last author: “Being listed as last author in educational scholarship is considered important.” Respondents could choose multiple options: Most respondents thought it important for all medical educators (58%). Respondents’ endorsements of importance decreased in reference to senior educators (36%), basic scientists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18%), and clinicians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8%).

표 3은 작성자 순서의 중요성과 관련된 여러 진술을 보여줍니다. 응답 범주는 비교를 용이하게 하고 각 진술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거나 불확실한 응답자 간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결합되었다. 지지율이 높은 성명서, 지지율이 낮은 성명서, 공감대가 부족한 성명서 등 3개 섹션으로 나눠 표를 구성한다. 많은 의견제출자들은 저자(A1)의 알파벳 순서의 불공정성에 대한 진술에 동의하였다. 또한, 많은 항목들은 첫 번째 저자의 위치(A2, A3)의 중요성과 많은 교육자들이 후속 저자에 대한 귀속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상대적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또한 하위 교수진이 제1저자 자격을 얻을 수 있는 더 낮은 기준을 갖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지지도 부족했다.

Table 3 presents multiple statements related to the significance of author order. The response categories were combined to facilitate comparisons and highlight the differences among respondents who generally agreed, disagreed, or were uncertain about each statement. The table is arranged in three sections: statements with high endorsement rates, statements with low endorsements rates, and statements where there was a lack of consensus. Many respondents agreed with statements about the unfairness of alphabetical listing of authors (A1). In addition, many of the items reflect the importance of the position of first author (A2, A3) and the relative uncertainty many educators have about attributions to subsequent authors. There also was general lack of support for having lower standards for junior faculty to qualify as first author (B3).

의견제출자들은 많은 저널의 실무관행을 지지하여 [저자들이 기여사항을 공시하도록 요구]하였으며, 이는 [승진 및 재직권 위원회(A4)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의견제출자들은 [공시된 기여사항이 작성자(C8)의 순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시가 작성자 질서를 목적적합하게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B1)].
Respondents supported the practice of many journals to require authors to disclose their contributions, agreeing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A4). However, respondents did not believe that these disclosures make author order irrelevant (B1), as there is uncertainty about how disclosed contributions are reflected in the order of authors (C8).

[저자 순서의 의미]에 대한 진술의 절반은 응답자들 사이에 명확한 합의(표 3, 파트 C)가 없었으며, 이는 의학 교육에 대한 학문적 노력을 둘러싼 불확실성의 정도를 보여준다. 다시 말하지만, [첫 번째 저자의 중요성은 논란의 여지가 없어] 보이지만, 의견제출자들은 [후속 저자들(C1과 C2) 또는 교신저자로 지정된 사람(C3)의 기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 명확하지 않았다]. 리더십 측면에서 [마지막 저자의 기여(C7)]와 [이 관행이 선물 저자(연구에서 거의 역할을 하지 않았지만 저자로 포함되는 것)을 장려하는 정도(C6)]를 둘러싼 많은 불확실성이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의견제출자들은 [바꿔야 할 실천] 중에서 [마지막 작성자가 최소기여를 나타내는지(C9)]에 대해 대체로 불확실해하였다..

For half of the statements about the meaning of author order, there was no clear consensus among respondents (Table 3, Part C), revealing the extent of uncertainty surrounding scholarly endeavors in medical education. Again, although the importance of first authorship seems noncontroversial, respondents were unclear how to interpret the contributions of subsequent authors (C1 and C2), or the person designated as corresponding author (C3). Many uncertainties surround the contributions of the last author in terms of leadership (C7) and the extent to which this practice encourages gift authorships (C6), that is, individuals added as authors and who had little or no role in the research.29 Similarly, respondents were largely uncertain about suggested changes in practice so that the last author represents the least contribution (C9).

나머지 두 항목은 [선배 저자가 경력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후배 교수진에게 1차 저작권을 부여하는 관행(C5)][저자로 포함할 가치가 있는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저자를 포함하는 논문 발표 빈도(C4)]로 불확실성을 드러낸다.
The remaining two items reveal uncertainty with the practice of senior authors giving first authorship to junior faculty to facilitate their career advancement (C5), and the frequency with which papers are published that include authors who do not meet criteria to merit inclusion as an author (C4).

통찰력
Insights

[저자 순서]는 학문적 경력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일상적으로 고려되는 많은 학문적 측면 중 하나이다. 승진 및 재직권 결정을 둘러싼 프로세스는 그 자체가 복잡하고 기관마다 다릅니다. [저자 순서]를 고려하는 방법에 대한 의학 교육자의 명시적 지침이 부족하면 이 과정이 더욱 복잡해진다. 이 연구는 이 과정의 한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의학교육연구에서 저자 순서 결정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법과 이러한 일반적인 관행의 바람직함에 대한 교육자의 의견을 설명한다. 우리의 부차적인 목표는 일반적인 합의 영역과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노력으로 저자 순서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자들의 의견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Author order is one of many dimensions of scholarship that is routinely factored into decisions that impact an academic career. Processes surrounding promotion and tenure decisions are themselves complex and vary among institutions. The lack of explicit guidance for medical educators about how to consider authorship order further complicates this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one dimension of this process: to describe common approaches to author order decisions in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as well as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desirability of these common practices. Our secondary goal was to describe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ship order in an effort to identify areas of general agreement and areas where uncertainty remains.

우리의 연구는 저자 결정에 대해 HPE 학자들 사이에 많은 혼란과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전 연구에서, 고위 HPE 연구진에게 [누가 저자의 자격을 갖췄는지]에 대한 경험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저작권에 관한 첫 번째이자 근본적인 결정점 우리는 모범적인 역할 모델로 간주하는 이 지도자 그룹조차도 [바람직하지 않은 authorship 관행]과 마주쳤을 뿐만 아니라, 때때로 authorship 기준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다. 누가 authorship 자격을 갖는지에 대한 결정이 간단하지 않다면, 적절한 순서에 author들을 배치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워지고 연구 분야들이 작가 질서에 맞지 않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복잡해진다. 실제로, 현재 연구는 응답자들 사이에서 [많은 불확실성 영역]을 시사한다. 이 작업의 결과를 고려할 때, 우리는 우리의 데이터가 현재의 저자 관행이 처음에 인식된 것보다 더 복잡하고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저자 결정에 대한 이해와 명확성을 높이고 조사자가 모범 사례를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특히 저자의 기여와 역할, 책임을 적절하고 공정하게 반영하는 순서로 저자를 배치하는 것은 해명이 필요한 분야로 보인다.

Our work suggests that a great deal of confusion and uncertainty exists among HPE scholars around authorship decisions. In a previous study,24 we asked a group of senior HPE researcher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determining who qualifies for authorship—the first and fundamental decision point regarding authorship. We were surprised to learn that even this group of leaders, who we consider exemplary role models, had not only encountered undesirable authorship practices but also struggled at times with applying authorship criteria themselves. If the decision of who qualifies as author is not straightforward, then placing authors in the appropriate order becomes even more challenging and is compounded by the fact that research disciplines have incongruous traditions for author order. Indeed, the current study suggests many areas of uncertainty among the respondents. Given the results of this work, we believe that additional investigation is needed as our data suggest that current authorship practices are more complex and nuanced than initially appreciated. Enhancing understanding and clarity surrounding authorship decisions and assisting investigators with establishing best practices is needed. In particular, placing authors in an order that appropriately and fairly reflects their contributions, roles, and responsibilities appears to be an area in need of clarification.

응답자들은 기여도가 줄어드는 순서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하게 지지했다. 그들은 이 전략이 상대적인 기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알파벳 순서로 나열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중요한 논문들은 종종 첫 번째 저자의 이름으로 비공식적으로 언급된다. 많은 저널은 인용문에 포함된 저자의 수를 제한한다. 국립 의학 도서관은 [처음 여섯 명]의 저자를 나열하고 그 뒤에 "기타"를 붙일 것을 제안한다. 이 관행은 마지막 저자로 나열된 선임 연구자뿐만 아니라 알파벳 뒤쪽에 시작하는 성을 가진 공동 저자에게 불리하며, 특정 연구에 기여하고 일반적으로 학자로서 그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심지어 알파벳 목록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학문에서도, 이 전략은 알파벳의 초기 이름을 가진 작가들의 학문적 성공을 유리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Respondents strongly endorsed the importance of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They found alphabetical author listings to be problematic because this strategy provides no information about relative contribution. Important papers are often informally referred to by the name of the first and sometimes second author. Many journals limit the number of authors included in a reference citation;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uggests listing the first six authors followed by “et al.”30 This practice disadvantages senior investigators listed as last author, as well as coauthors with last names that fall later in the alphabet, potentially affecting their recognition as contributors to a specific study and as scholars in general.31 Even in disciplines that routinely use alphabetical listings, this strategy has been found to advantage the academic success of authors with names earlier in the alphabet.32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발견은 두 번째 저자와 마지막 저자의 '차선의 지위'에 대한 의학교육계의 분명한 분열일 것이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1등 작가와 최종 저자 모두 '1등'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많은 분야의 전통은 선임 과학자, 연구소장 또는 부서장에게 [마지막 저자]의 지위를 수여하며, 이는 [명예 저자]의 수상을 장려해 왔다. 이러한 관행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은 느렸고, 많은 응답자들은 이러한 관행의 변화에 대해 불확실했다. 점점 더 [마지막 저자] 자리는 기여도가 가장 낮거나 선임 저자가 마지막으로 나열되고, 다른 저자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각주에 의해 역할이 지정된다. 
Perhaps the most interesting finding is the clear division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bout the significance of second author versus last author as the “next best position.” Within the basic sciences, both first and last author are often valued as “first prize.”33 The tradition in many fields awards the position of last author to the senior scientist, lab director or division director, which has encouraged the award of honorary authorships.34 Movement away from this practice has been slow, and a large proportion of respondents were uncertain about this change in practice. Increasingly the last author position is reserved for the person who has contributed least34 or the senior author is listed last and their role is specifically designated by a footnote providing they meet other authorship criteria.35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기여 이상의 authorship 순서를 둘러싼 결정의 복잡성을 말해준다. [학술적 기여 이외의 요소들]이 종종 작가 질서가 결정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결정들 중 일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의 응답자들은 저자 기여에 대한 기준 기반 기대를 지지했다. [authorship의 기대]는 주니어 교수진과 시니어 교수진에 대해 동일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상급 교직원]이 [더 하급 교직원에게 그들의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주도적인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때가 있다고 느꼈다.
Our findings speak to the complexity of decisions around authorship order beyond contribution. Factors other than scholarly contribution often play a role in how author order is determined, and some of these decisions are context dependent. Our respondents supported criterion-based expectations for author contributions4; the authorship expectations are the same for junior and senior faculty. However, many felt there were times when a senior faculty member could give lead authorship to a more junior faculty member to advance his or her career.

응답자들은 많은 저널이 [각 저자의 기여도를 명시적으로 공개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승진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의과대학 진흥 및 테뉴어 위원회 의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제1저자 등재 중요성]은 [전체 저자 수]에 달려 있으며, [마지막 저자]를 제외한 [나머지 저자의 credit]는 열거되는 이름 순서일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또한 [저자 기여 진술]의 사용을 지지했다. 우리 표본의 경우, 이러한 명시적 기여 공개는 저자 순서의 중요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많은 응답자들에게 [공개된 기여]가 어떻게 [실제 저자 순서]로 변환되는지는 불분명했다. 프로젝트 CRediT(기여자 역할 분류법)의 연구는 발표된 연구를 위해 기여자 역할의 분류법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접근 방식은 각 저자의 작업에 대한 보다 명시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실제 authorship practice에는 아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requirement of many journals to provide explicit disclosure of each author’s contribution was valued by respondents as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for promotion decisions. A study9 of medical school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 chair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being listed as first author depended on the total number of authors and that except for last authors, author credit decreased the later in the byline their name appeared. They also supported the use of author contribution statements. For our sample, these explicit contribution disclosures did not obviate the importance of author order; it was unclear to many respondents how the disclosed contributions translated to actual authorship order. Work by Project CRediT (contributor roles taxonomy) has focused on creating a taxonomy of contributor roles for published research.36 This approach provides more explicit information about the work of each author but has not yet had an impact on actual authorship practices.

우리의 연구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응답률이 차선의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141명이 설문을 열었지만 109명만이 설문을 완성했다. 낮은 응답률은 자동으로 응답 편향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응답하지 않은 이유가 설문 조사 내용과 구체적으로 관련이 있는 경우 편향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 응답자와 마지막 응답자 코호트의 파동 분석에서는 주요 인구통계 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의 응답자들은 많은 국가와 학문을 대표하지만, 응답자들이 의학 교육계를 대표하는 정도는 알 수 없다. 또 다른 한계는 응답자들이 기관 홍보 및 테뉴어 위원회의 기대를 알고 있었다는 가정이다. 응답자들은 [승진 위원회가 어떻게 저자순서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았지만, [승진 expectation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나 [승진 심사 위원회에서의 최근 경험]에 대해서는 질문을 받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최근 출판물에 대한 질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초저자, 선임저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저자가 얼마나 자주 있었는지를 묻지 않았다. 또한 표본 크기를 고려할 때 부분군 분석을 수행할 수 없었고, 그러한 부분군을 탐색하는 것이 향후 연구의 주제가 될 수 있다.

Our study has a number of limitations. Most important, the response rate is suboptimal. Although 141 individuals opened the questionnaire, only 109 completed it. A low response rate does not automatically imply response bias; bias is present if the reason for nonresponse i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survey content.27 A wave analysis of first and last respondent cohorts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ey demographic indicators. Our respondents represent many countries and academic disciplines, but the extent to which the respondents are representative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s unknown. Another limitation is the assumption that respondents knew the expectations of their institutional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how they thought promotion committees might use authorship order but were not asked about their specific knowledge of promotion expectations or recent experience with promotion review committees. Similarly, although they were asked about recent publications, they were not asked how often they had been a first author, senior author, or corresponding author. We were also unable to perform a subgroup analysis given our sample size, and exploring such subgroups could be the topic of future investigations.

의료교육공동체를 위한 모범사례 또는 예비지도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의학교육학술활동을 서포트하기 위한 best practice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의료교육 외부의 최근 모델을 하나 찾았다. 연방 연구소를 위해 작성된 이 문서는 모든 협력자 간의 공통된 기대를 촉진하기 위한 서면 지침을 제공하는 잠재적 협력자 간의 배포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문서는 [저자 순서의 주요 요소]로서 [기여도]를 지지하며, 일부 분야에서는 [종종 마지막 저자로 나열된 "선배" 저자를 인정하는 전략]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문서는 [작성자 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 이유]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공유된 최초 작성자, 선임 작성자, 그룹 작성자 등과 같은 공동 작성 문제를 논의하였다.
In an effort to identify best practices or even preliminary guidance for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we found one recent model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that coul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outlining best practices to support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35 Created for a federal research laboratory, the document is intended for distribution among potential collaborators, providing written guidance to facilitate common expectations among all collaborators. The document endorses contribution as a primary factor in ordering authors and outlines a strategy for recognizing “senior” authors often listed as last author in some disciplines. The document makes plain possible reasons for changing author order and discussed coauthorship issues such as shared first authorship, senior authorship, and group authorship.

[35]

CSE-v39n1-04_Authorship_Guidance_print.pdf
0.76MB

 

우리의 연구 결과가 의견과 실천의 수렴을 보여주는 한, 우리는 우리 공동체를 위한 접근법을 공식화할 수 있는 출발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저자와 마지막 저자의 중요성]은 여전히 분열의 영역으로 남아 있기에, 개인의 기관 및 학문적 학문의 지역적 기대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지만, [기여도를 감소시키는 순서대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합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알파벳 순으로 저자를 나열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적지근하다. 지속적인 조사, 토론 및 토론에 적합한 수많은 난제와 불확실성의 영역이 남아 있습니다. Flotemersch와 Rhodus가 설명한 지침에서 알 수 있듯이, 첫 번째 단계는 이러한 합의 영역을 명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지금까지는 우리 커뮤니티 내에서 대체로 비공식적이고 일관성이 없었다.

To the extent that our findings show convergences of opinion and practice, we have a starting point to formalize an approach for our community. There seems to be agreement about the importance of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although the importance of second author versus last author remains an area of division and is likely subject to local expectations of an individual’s institution and/or academic discipline. There also is a clear lack of enthusiasm for listing authors alphabetically. There remain numerous sticking points and areas of uncertainty that are well suited to continued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debate. As the guidance described by Flotemersch and Rhodus35 suggests, the first step might be to make these areas of consensus explicit, in what has largely been informal and inconsistent approaches to authorship within our community.

 


 

Teach Learn Med. 2019 Jun-Jul;31(3):288-297. doi: 10.1080/10401334.2018.1533836. Epub 2018 Dec 15.

Authorship Order in Medical Education Publications: In Search of Practical Guidance for the Communit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 Offic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 Michigan State University College of Human Medicine , East Lansing , Michigan , USA.

2b Medicine and Pathology ,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 Bethesda , Maryland , USA.

3c Department of Medicine ,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 Bethesda , Maryland , USA.

PMID: 30556420

DOI: 10.1080/10401334.2018.1533836

Abstract

Phenomenon: With scholarly collaborations come questions about the order of authorship. Authorship order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because it often used as an indicator of seniority, expertise, leadership, and scholarly productivity. As a result, authorship order factors into decisions about hiring, salary, resource allocation,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This study describes principles commonly applied to authorship order decisions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nd educators' opin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authorship order. Approa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certain current practices related to authorship decisions. Sixteen items were rated in terms of frequency of actual use and the desirability of the practice using a 4-point rating scale: 1 (never), 2 (sometimes), 3 (often), and 4 (always). Additional questions addressed the perceived significance of authorship order. The last set of questions provided information about respondents' personal and career characteristics. The survey was delivered via e-mail to a random sample of 391 subscribers from the DR-ED listserv. Findings: Fifty-four e-mail addresses were returned as undeliverable; of the remaining 337 mailed surveys, 109 responses (32.3%) were received. Five of the current practices for determining authorship order were rated as both frequent and desirable; 4 items had low ratings suggesting that these practices were both infrequent and undesirable. For 7 item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ratings of practice frequency and desirability. When asked about preferred authorship order strategies, most respondents (94%) endorsed listing authors by descending order based on contribution but were split in identifying the last author (47%) or second author (46%) as the next best placement after first author. Respondents supported the practice of many journals requiring authors to disclose their contributions, agreeing (69%) that i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s; however, 43% were uncertain about how disclosed contributions were reflected in authorship order. Insights: Respondents strongly endorsed the importance of listing authors in order of decreasing contribution, although the meaning of second versus last author lacks consensus. This finding, together the other strategies that received strong endorsement and those that were not strongly endorsed, provides a starting point to develop guidance for medical educators about how to determine authorship order. Clear guidance for authors would promote fairness and accountability with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as well as provide more consistent interpretation for those who consider authorship order for career- and resource-related decisions.

Keywords: Authorship; research ethics; research practice; survey research.

 

학회 참석 잘 하기(Perspect Med Educ, 2022)
Conferencing well
Glenn Regehr · Lara Varpio

 

인사이더에게, 저는 이제 막 임상 교육자로서 제 경력을 시작하는 중입니다. 나는 우리 분야의 학회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들었다. 컨퍼런스 경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팁이 있습니까?
Dear Insider, I am just starting my career as a clinician educator. I am told that participating in our field’s academic conferences is important. Any tips for how I can get the most out of my conference experience?

 

학회는 학자들이 그들의 연구를 발표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연구를 발표하는 것을 듣는 장소 그 이상이다. 학술회의는 특별한 행사이다. 학계의 많은 구성원들과 거리를 두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참석자들이 오랜 협력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새로운 협력자들을 만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믹서기에 참석하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몇 년 동안 글을 읽고 있는 사람들과 직접 대화를 나누거나 글을 읽고 있는 사람들이 다가가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당신의 질문에서 알 수 있듯이, 요령은 이러한 특별한 상황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Conferences are more than just a place where scholars present their research and listen to others present theirs. Academic conferences are extraordinary events. It is not ordinary to be within an arm’s length of so many members of your academic community. It is not ordinary to attend mixers where attendees aim to greet long-standing collaborators and to meet new ones. It is not ordinary to engage in direct conversations with those whose work you have been reading for years or to be approached by those who have been reading your work. As your question suggests, the trick is to figure out how to take advantage of thes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우리는 "학회 참석 잘 하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안내하는 몇 가지 전제를 제공한다. 첫째, 회의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대부분 우리 자신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 일상생활의 많은 측면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범유행은 지역사회의 회의 모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이것이 영구적인 변화인지 아니면 단순히 직접 만나는 전통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잠깐의 혼란인지는 두고 봐야 한다. 하지만 사실, 우리는 여전히 웹 기반 회의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 공유하는 "회의 잘하기"에 대한 접근 방식은 직접 회의 경험에서 도출되며, 회의 형식이 변화함에 따라 관행도 진화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한다.
Before we dive in, we offer a few premises that guide our thinking about what it means to “conference well”. First, our approach to conferencing has largely been shaped by our own experiences. As it has with so many aspects of daily life, the Covid-19 pandemic has radically altered the community’s model of conferencing. Whether this is a permanent change or merely a brief disruption to the traditional approach of in-person conferencing remains to be seen. But, in truth, we are still learning how to effectively engage in web-based conferences. Thus, the approaches for “conferencing well” that we share here are derived from in-person conference experiences, recognizing that as conference formats change, practices will also have to evolve.

둘째, 컨퍼런스의 공식 프로그램은 컨퍼런스 경험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듣고 싶은 세션과 사람을 파악하는 것은 좋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규모가 크고 복잡하며 탐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그램 설명에서 어떤 세션이 특별히 계몽적이라고 생각하는지, 어떤 세션이 "꼭 봐야"하는지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는 몇 가지 유망한 세션을 찾고 그들이 특히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보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체크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컨퍼런스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이 몇 개의 훌륭한 공식 세션이었다면, 컨퍼런스의 상황이 제공하는 것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Second, we believe that the conference’s formal program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conference experience, and reviewing the program to identify the sessions and people that you want to hear is time well spent. However, these programs are often large,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navigate. It isn’t easy to tell from the program descriptions which sessions you will find particularly enlightening nor which will be “must see” sessions. We suggest looking for a few promising sessions and checking in with others to see what they think is particularly promising. However, if all you get out of the conference are a few great formal sessions, then you will not have taken full advantage of what the conferencing situation affords.

그렇다면, (대면) 학회는 무엇을 제공할 수 있을까요? 과학은 사회적 기업이고, 회의는 사회적 활동이다. 콘퍼런스는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매우 느리게 하는 것들을 빠르게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멋진 아이디어에서 저널 출판까지의 여정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여러분이 최신 정보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저널을 읽고 있다면, 여러분은 사람들이 진정으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적어도 2~3년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입니다. 회의는 사람들이 그들이 현재 고려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곳이다. 그러나 그 회의에서 공식적인 회담을 듣는 것조차 당신이 적어도 1년은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지금 사람들이 진화하고 있는 아이디어는 복도나 카페에서 비공식적인 대화를 통해 개별적으로 참여해야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상적인 회의 대화는 해당 분야의 최신 아이디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So, then, what do (in-person) conferences afford? Science is a social enterprise, and a conference is a social activity. Conferences enable you to do quickly the things that academia generally does very slowly. For example, the journey from cool idea to journal publication can take a long time. So, if you are reading the journals as your way of staying current, then you are at least two to three years out of date regarding what people are really thinking about. Conferences are where people are talking about what they are presently considering. But even listening to the formal talks at the conference likely means you are at least a year out of date. The ideas that people are evolving right now can only be discovered if you engage with them individually through informal conversations in hallways or cafés. So, these casual conference conversations are a key mechanism to stay current with the cutting-edge ideas in the field.

또한 이러한 비공식적인 컨퍼런스 대화를 통해 자신만의 최신 아이디어를 보다 신속하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학문적 검토 과정은 느리고 얼룩질 수 있다. 제출된 논문의 리뷰를 3~6개월 동안 기다린 후 말이 안 되는 것 같거나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막연한 우려를 나타내는 리뷰만 받는 것은 답답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회의에서 동료들과 비공식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은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여러분의 최근 생각과 일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대한 즉각적인 통찰력을 얻는 좋은 방법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당신의 설명을 어떻게 해석할까요? 그들이 당신의 프레임에 어떻게 반응할까요? 또 누가 비슷한 일에 관심을 갖거나 할 수 있을까요? 컨퍼런스의 비공식 대화는 동료들로부터 이러한 종류의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는 곳입니다.
Such informal conference conversations also allow you to develop and disseminate your own cutting-edge ideas more rapidly. The academic review process is slow and can be spotty. It can be frustrating to wait 3–6 months on the review of your submitted paper only to receive reviews expressing vague concerns that don’t seem to make sense or that require further clarification to make actionable. Thus, having informal conversations with colleagues at conferences is a great way to quickly and effectively share your ideas and get immediate insight into others’ reactions to your latest thinking and work. How will others interpret your explanations? How will they react to your framings? Who else might be interested in or doing similar work? The informal conversations at a conference are where you can get immediate answers to these kinds of questions from your peers.

게다가, 사려 깊은 학자로서의 명성을 발전시키는 것은 글만으로는 성취하기 어렵다. 단순히 좋은 과학을 하고 좋은 논문을 쓰는 것만으로는 주목을 받고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당신이 사람들이 당신의 작품을 집어 들기를 원한다면, 그들에게 그것을 찾을 이유를 주고 그것이 그들의 아이디어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것은 활발한 대화에서 직접 대면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컨퍼런스는 여러분이 학문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참여하기를 원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대화를 할 수 있는 좋은 장소입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다른 사람의 초기 아이디어에 대한 사려 깊은 참여를 통해, 당신은 다른 사람들의 일을 지원하고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명성을 키울 수 있다. (그나저나, 그것은 당신이 사람들의 현재 사고에 대해 들을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 협력의 문을 열 수 있다.) 
그래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여러분의 우정 그룹을 확장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여러분의 네트워크와 영향 범위를 확장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Further, developing your reputation as a thoughtful scholar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rough the written word alone. Simply doing good science and writing good papers may not be sufficient to get noticed and influence the community. If you want people to pick up your work, it is helpful to give them a reason to look for it and to help them understand how it is relevant to their ideas. This is best done face-to-face in active discourse, and conferences are a great place to have these conversations with people you want to influence and engage with academically. And, as a corollary, through thoughtful engagement with people about their early ideas, you can develop a reputation for supporting and enhancing others’ work (which, by the way, may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you will hear about people’s current thinking, as well as open the door for research collaborations). So going out of your way to meet new people is not only about extending your friendship group, but it is also about extending your network and sphere of influence.

마지막으로, 회의는 재미있고 신선한 장소여야 하지만, 또한 여러분이 전문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학계라는 왕국의 동전은 당신의 이름, 당신의 명성입니다. 자신의 이미지를 지키고 의도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 그러므로 반드시 개인적인 시간을 내서 관광을 하고 그 장소를 즐기세요 (한 동료가 말했듯이, "더 잘 쉬고 옷을 더 잘 입어야 한다"). 그리고 물론, 친구들과 동료들과 함께 저녁이나 술을 마시러 회의에 나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컨퍼런스는 당신이 당신 자신, 당신의 일, 그리고 당신의 기관을 대표하는 전문적인 행사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Finally, conferences should be fun and refreshing places, but they are also where you are constructing your professional image. In academia, the coin of the realm is your name, your reputation. It is fundamentally important to guard your image and to nurture it intentionally. So absolutely take some personal time to see the sights and enjoy the location (as one colleague says, “one should return from a conference better rested and better dressed”). And, of course, go out for social dinners and drinks with friends and colleagues at the conference. But it is also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conference is a professional event where you represent yourself, your work, and your institution.

그렇다면 이러한 아이디어들은 실제 회의 준비와 활동에서 어떻게 발휘될까요? 컨퍼런스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So how do these ideas play out in actual conference preparations and activities? What can you do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your conference activities?

좋은 시작은 특정한 사람들을 만날 계획을 갖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직접 연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적극적으로 함께 일하고 있는 공동 작업자이거나 우리가 한동안 보지 못했던 친구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소개하고 싶은 사람들이다. 컨퍼런스에서 만나고 싶은 사람들의 목록을 가지는 것은 이러한 관계를 맺기 위한 훌륭한 첫 단계이다. 이벤트 전에 이러한 사용자에게 연락하여 특정 미팅 시간을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의 일정이 나온 후 비교적 빨리 연락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프로그램 의무(즉, 그들이 참석해야 하는 세션)를 아는 기간이다. 하지만 아직 의무가 아닌 컨퍼런스 시간은 비어 있을 것이다.
A good start is having a plan to meet specific people. We all have people we want to connect with in person—some are collaborators we are actively working with or friends we haven’t seen for a while. Others are people we’d like to introduce ourselves to. Having a list of the people you want to meet at the conference is a great first step to making these connections. You might wish to contact some of these individuals ahead of the event and plan a specific meeting time. Ideally, this works best if you contact them relatively soon after the conference schedule has come out. This is the window during which they know their program obligations (i.e., sessions they must attend), but their non-obligatory conference time will not have filled up yet.

친구들과 기성 동료들을 위해, 당신은 함께 식사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지인들을 위해, 당신은 회의를 더 짧게 하기 위해 식사 사이의 시간을 정할 수 있다. 처음 만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간단한 미팅을 위한 일정에서 약간의 자유 시간을 가질 수 있는지 물어보는 등 요청을 좀 더 열어둘 수 있습니다. 특히, 만약 당신이 특정 사람들을 처음으로 만나기를 원한다면, 이러한 회의에 대한 구체적인 의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리적인 의제는 단순히 상대방에게 당신의 일을 알리고 그들의 반응을 묻는 것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어젠다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내가 누군지 알아줬으면 해"

For friends and established colleagues, you might arrange meals together. For acquaintances, you might arrange times between meals to keep the meetings shorter. For those you are hoping to meet for the first time, you might leave the request more open, simply asking if they might have a bit of free time in their schedule for a brief meeting. Notably, if you are hoping to meet people for the first time, it is advisable to have a specific agenda for these meetings. A reasonable agenda can be simply to make the other person aware of your work and to ask for their reaction. An agenda that tends to fall flat is: “I just want you to know who I am.”

다른 사람들을 위해, 당신은 컨퍼런스에서 그들과 마주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서 좀 더 비공식적으로 연결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비록 여러분이 세션이 끝날 때 또는 복도의 세션 사이에 그들에게 접근할 수 있지만, 그러한 임시 회의는 일상적인 소셜 네트워킹을 위해 특별히 계획된 회의 활동에서 가장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리셉션, 뷔페식 아침식사, 비정형 포스터 세션 및 기타 만남 행사는 종종 여러분이 자신을 소개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자발적인 연결을 특별히 기대하는 경우입니다. 만약 이런 식으로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것이 위협적으로 느껴진다면, 한 가지 방법은 당신을 대신해서 서로 아는 사람이 소개하도록 주선하는 것이다. 

For other people, you may wish to make the connection more informally, finding a way to bump into them at the conference. Although you might approach them at the end of a session or between sessions in the hallways, such ad hoc meetings can happen most easily at the conference activities specifically planned for casual social networking. The receptions, buffet breakfasts, unstructured poster sessions, and other meet-and-greet events are often when those you are hoping to introduce yourself to are specifically expecting these spontaneous connections. If it feels intimidating to walk up to people in this way, then one option is to arrange for a mutual acquaintance to make introductions on your behalf.

그리고 이것은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점을 제기한다: 여러분이 그 분야에 처음 발을 들여놓았을 때, 회의에서 여러분을 후원하고 여러분이 다른 지역 사회 구성원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줄 선배가 있는 것은 진정한 이점입니다. 이를 위해, (컨퍼런스에 앞서) 특정 Mixer 행사에서 선배 동료나 멘토와 함께 시간을 보내도록 주선하고 주요 인사들을 소개해 달라고 부탁하는 것은 여러분이 "만날" 계획에 있는 사람들과 그리고 여러분이 중요한 인맥으로 인식하지 못했던 다른 사람들과 연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분야의 더 많은 선배들에게 주는 부기 사항으로서, 우리가 컨퍼런스에서 느끼는 가장 가치 있는 일 중 하나는 한두 명의 초기 직장 동료들을 후원하고 승진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회의를 계획하면서, 우리는 만남과 환영 행사에서 우리를 따라올 사람이 누구인지 자문한다.

And this raises another noteworthy point: When you’re new to the field, having someone senior to sponsor you at the conference and help you make connections with other community members is a real advantage. To that end, arranging (in advance of the conference) to spend time beside a senior colleague or mentor at a particular mixer event and asking them to introduce you to key individuals can help you connect with people on your “to meet” plan and with others you hadn’t recognized as important connections. As a side note to more senior members of the field: one of the most valuable things we feel we do at a conference is sponsor and promote one or two early-career colleagues. So, as we plan for our conference, we ask ourselves who will be shadowing us at the meet-and-greet events.

이러한 비공식 미ㅣㅇ를 유리하게 활용하려면 준비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피할 수 없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려고 합니다. "너에 대해 말해줄 수 있니? "무슨 일을 하세요?" 종종 엘리베이터 피치라고 불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매우 짧은(30초)와 조금 긴(2분) 대답을 연습하고 전달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 엄청나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콘퍼런스의 바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여러분은 현장에 자신을 배치하고 청중에게 여러분의 작품이 독특하고 흥미로운 것에 대한 감각을 줄 수 있는 작은 시간의 창을 갖게 될 것입니다. "복잡하다"는 식의 애매한 답변으로 비틀거리거나 시작할 때가 아니다. 컨퍼런스에 도착하기 전에 이러한 답을 연습하는 것은 여러분이 만나고 싶었던 누군가를 소개받을 때 망설이지 않도록 보장할 것입니다. 기억하라, 학회는 일이 빨리 일어나는 곳이다. 당신은 짧은 비공식 대화에서 당신의 사회적 자본을 만들 것이다. 몇 분 안에, 청자는 여러분과 여러분의 작품에 대한 그들의 인상을 형성할 것입니다. 회의 참석을 위해 떠나기 전에 신뢰할 수 있는 동료들과 함께 답변을 연습하고, 이 짧은 시간을 의미있게 만드십시오. 제가 한 말에서 당신이 이해한 것을 요약할 수 있나요? 재미있게 봤어요? 제가 이 일이 왜 중요한지 잘 전달했나요?

Harnessing these more informal meetings to your advantage requires preparation. For example, you will want to have answers prepared for the inevitable questions: “Can you tell me about yourself? What do you do?” Often called the elevator pitch, having a very short (30 second) and a little longer (2 minute) answer for these questions practiced and ready for delivery can be incredibly helpful. In the busy social context of conferences, you will have a small window of time to situate yourself in the field and give the listener a sense of what is unique and interesting about your work. This is not the time to stumble or start with a vague reply like, “it’s complicated.” Practicing these answers before you get to the conference will ensure you don’t stumble when you are introduced to someone you’ve wanted to meet. Remember, conferences are where things happen quickly. You will be crafting your social capital in those short informal conversations. In a matter of minutes, the listener will form their impressions of you and your work. Make those minutes count by practicing your answers with trusted colleagues before you leave for the conference and ask for feedback: Can you summarize what you understood from what I said? Was it interesting? Did I manage to convey why this work is important?

하지만 자신을 소개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 외에도, 다른 사람들에게도 유용한 것을 잊지 마세요. 다른 사람들이 테스트하려고 하는 아이디어에 대해 도움이 되는 청중이 되십시오. 그들의 작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이론, 관점 또는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그들이 아직 접하지 못했을 수도 있는 다른 문헌들을 공유하세요. 관련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것을 알고 있는 다른 사람과 연결합니다(예: 소개 제안). 이러한 상호작용이 누군가와의 비공식적인 만남의 맥락에서 일어나든, 그들의 포스터의 맥락에서 짧은 대화를 통해 일어나든, 또는 그들의 공식 발표 후 연단에서 1분간의 짧은 교환으로든, 흥미로운 단서를 제공하고 관련 아이디어를 주는 것은 관대하고 관대하다는 평판을 만들 수 있다. 그것은 발전을 시작하기에는 결코 이르지 않은 종류의 평판이다.
In addition to this focus on introducing yourself and sharing your ideas, however, don’t forget to be useful to others as well. Be a helpful audience for the ideas that others are trying to test. Offer theories, perspectives, or ideas that might be relevant to their work. Share other literature they might not have come across yet. Connect them with (e.g., offer to introduce them to) others you know exploring related ideas. Whether these interactions happen in the context of an informal meeting with someone, through a brief conversation in the context of their poster, or as a quick one-minute exchange following their formal presentation on the podium, offering interesting leads and giving away related ideas can create a reputation for being generous and generative, which is the sort of reputation that is never too early to start developing.

마지막으로, 학회 후(또는 학회 중에)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떤 형태의 전자적 연결을 통해 후속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고객이 읽고 싶어할 만한 기사나 조사하고자 하는 저자를 언급했다면 논문의 전자 버전(또는 관련 저자의 특정 참조)을 보내십시오. 만약 당신이 누군가와 관계를 맺기로 약속했다면, 가능한 한 빨리 전자 소개를 보내라. 만약 당신이 당신의 작업의 일부를 그들과 공유하고 있다면, 그들에게 당신의 기사의 전자 버전을 보내거나, 당신(그리고 당신의 감독관이나 멘토)이 그것이 외부의 눈이 볼 수 있을 만큼 가깝다고 느낀다면 초안도 보내라. 만약 그들이 당신에게 무언가를 제안했다면, 그들에게 상기시키는 방법으로 그 제안에 대해 감사하기 위해 이메일을 보내세요. 아니면 그냥 좋은 대화였다면, 그들을 만난 것이 얼마나 반가웠는지 짧은 메모로 따라오세요. 

Finally, remember to follow up after (or during) the conference with some form of electronic connection to keep the relationship alive. If you mentioned an article they might wish to read or an author whose work they might wish to explore, send them an electronic version of the paper (or a few specific references of the relevant author). If you promised to make a connection with someone, send the e‑introduction as soon as you can. If you were sharing some of your work with them, send them an electronic version of your article, or even a draft if you (and your supervisor or mentor) feel it is close enough for external eyes to see. If they offered you something, email them to thank them for the offer as a way of reminding them. Or if it was just a nice conversation, just follow up with a quick note to say how nice it was to meet them.

이 때 트릭은 어떤 사람과 어떤 이야기를 나눴는지, 어떤 제안을 했는지에 대해 사람을 만난 후 바로 메모해두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학회에서 약속을 하는데, 많은 약속들은 그것이 만들어진 후 거의 즉시 잊혀진다. 따라서 이러한 소중한 대화를 기억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이러한 연결을 유지하려면 필수적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대화를 그 사람의 명함 뒷면에 메모하곤 했다. 요즘, 우리는 휴대폰으로 메모와 알림을 만든다. 당신이 어떻게 후속 조치를 취하느냐는 당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단지 당신이 그것을 하도록 확실히 하세요.

A quick trick in this regard, by the way, is to make a note to yourself immediately after meeting with a person regarding what you discussed and what you offered. We all make conference promises, many of which get forgotten almost immediately after they were made. So having a strategy to ensure you remember and follow up on these valuable conversations is essential if you wish to maintain that connection. We used to make notes of these conversations on the back of the person’s business card; nowadays, we make notes and reminders in our phones. How you follow up is up to you; just make sure you do it.

"학회 잘하기"에는 많은 긍정적인 결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에 대한 생각을 다듬고 수정했습니다.
  • 이전에 고려하지 않았던 새로운 아이디어와 탐구해야 할 새로운 작가들이 있습니다.
  • 다른 사람들이 당신보다 후속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더 높은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 옛 동료들과 다시 연락하고 새로운 인맥을 만들었다.
  • 방문한 장소의 휴대폰에 새로운 사진이 몇 장 있습니다.
  • 당신이 도착했을 때보다 더 잘 쉬었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 기념품이나 다른 물건들과 함께 조금 더 무거운 짐을 가지고 있다.

회의를 잘 하는 것은 연마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는 예술이지만, 이러한 특별한 사건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충분히 노력할 가치가 있다.

There are many potential positive outcomes of “conferencing well”:

  • having refined and revised your thinking about a project;
  • having new ideas that you hadn’t previously considered and new authors to explore;
  • having given away a few ideas that others are more likely to follow up on than you;
  • having reconnected with old colleagues and made some new connections; as well as
  • having some new pictures in your phone from places visited;
  • having more energy because you are better rested than when you arrived; and
  • having luggage that is a little heavier with souvenirs and other purchases.

Conferencing well is an art that can take some time to hone, but it is well worth the effort to ensure tha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se extraordinary events.

 

 


Perspect Med Educ. 2022 Mar;11(2):101-103. doi: 10.1007/s40037-022-00704-0. Epub 2022 Mar 3.

Conferencing well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glenn.regehr@ubc.ca.

2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D, USA.

PMID: 35239163

PMCID: PMC8892396

DOI: 10.1007/s40037-022-00704-0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 윌리엄 할스테드의 중독과 그것이 북미 의학교육에 미친 영향(Can J Surg, 2020)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William Stewart Halsted’s addi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

James R. Wright Jr., MD, PhD
Norman S. Schachar, MD

 

외과교육자들이 대학원 외과 레지던시 교육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전적인 외과 레지던시 프로그램 원형을 형성하게 된 요인과 영향을 되돌아보는 것이 흥미롭고 중요하다. 현대 북미 전공의 프로그램의 구조는 19세기 마지막 10년 동안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 비롯되었다. 이 논문은 윌리엄 스튜어트 할스테드(1852–1922)의 지원 하에 개발된 최초의 현대 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At a time when surgical educators are considering changes to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postgraduate surgical residency education,13 it is interesting and important to reflect on the factors and influences that formed the classical surgical residency program prototype. The structure of modern residency programs in North America originated at Johns Hopkins Hospital during the last decade of the 19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s the first modern surgical residency program that developed under the aegis and influence of William Stewart Halsted (1852–1922).

Halsted는 20세기에 외과적 실습surgical practice을 크게 형성한 외과적 혁신가였다. 그는 일반적으로 급진적인 유방절제술을 완성하고 전파한 것으로 기억되지만, 그의 직업 내에서는 그의 업적이 무수히 많았다. 아마도 수술 분야에 대한 그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교육적이었을 것이다. Halsted는 존스 홉킨스 병원에 있는 동안 새로운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약간의 수정으로 북미에서 외과 및 의학 레지던트 훈련의 모델이 되었다. 그러나, Halsted의 전공의 프로그램이 미국에서 처음은 아니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사실, 그것은 심지어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는 처음도 아니었다. 루드메러는 레지던트 훈련의 역사에 관한 그의 책에서 윌리엄 오슬러(1849-1919)가 최초의 현대적 북아메리카 레지던시를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할스테드의 외과 레지던트는 두 번째였고, 곧 산부인과와 병리학 레지던스가 뒤를 이었다. 존스 홉킨스 병원은 분명히 북미의 현대 레지던트 훈련 개념의 원천이었다.

Halsted was a surgical innovator who greatly shaped surgical practice in the 20th century.47 While he is generally remembered for perfecting and disseminating the radical mastectomy,8 within his profession his accomplishments were legion. Perhaps his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surgery was educational. Halsted developed a novel residency training program while at Johns Hopkins Hospital that, with some modifications, became the model for surgical and medical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9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Halsted’s residency was not the first in America; in fact, it was not even the first at Johns Hopkins Hospital. Ludmerer, in his book on the history of residency training, considers William Osler (1849–1919) to have started the first modern North American residency. Halsted’s surgical residency was second, and this was soon followed by residencies in gynecology and pathology. Johns Hopkins Hospital was clearly the source of the modern residency training concept in North America.10

할스테드의 외과 경력은 보통 뉴욕에서 보낸 초기와 볼티모어에서 보낸 말년으로 나뉜다. 뉴욕에서 젊은 외과의사로서 할스테드는 카리스마와 사교성을 지녔고 의대생들을 가르치는 데 뛰어났던 매우 숙련되고 대담하며, 빠르고 대담한 외과의사였다. 볼티모어에서 그는 느리고 꼼꼼한 외과의사였고 은둔자였고 가능하면 의대생들을 가르치는 것을 피했다. 이 두 시기 사이에, 할스테드와 몇몇 동료들은 우연히 코카인에 중독되었고, 1884년 말에 그들은 코카인이 국소 마취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새로운 보고서를 알고 스스로 실험을 했다. 뉴욕에서 할스테드의 경력은 급격히 악화되었고, 그는 중독 치료 시설을 들락날락했다. 할스테드는 곧 코카인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한 모르핀에 중독되었다.
Halsted’s surgical career is usually divided into his early years in New York and his later years in Baltimore. As a young surgeon in New York, Halsted was a highly skilled, bold, fast and daring surgeon who was charismatic and sociable and excelled at teaching medical students. In Baltimore, he was a slow and meticulous surgeon who was a recluse and who avoided teaching medical students when possible. Between these 2 periods, Halsted and some colleagues accidentally became addicted to cocaine, when in late 1884 they, being aware of a new report that cocaine could be used as local anesthesia, experimented upon themselves. Halsted’s career in New York rapidly deteriorated, and he was in and out of addiction treatment facilities. Halsted soon became addicted to morphine, which he used to treat his cocaine addiction.

Halsted는 볼티모어로 이주하여 홉킨스에 있는 William Welch의 실험실에서 개에 대한 외과적 연구를 시작했다. 장내 문합에 대한 뛰어난 동물 연구의 결과로, 할스테드는 외래 환자 부서의 책임자로 임명되었고, 존스 홉킨스 병원의 외과 의사 대행과 외과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지속적인 성공은 1890년 오슬러와 윌리엄 웰치(1850–1934)가 할스테드를 외과 의사로 추천하고 1892년 홉킨스의 첫 외과 교수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비록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유망한 시기에 할스테드의 중독이 치료되었다고 믿었지만, 나중에 그것은 사실이 아니며 그가 괴팍함의 베일과 거주민들의 피라미드 아래서 그의 중독을 숨길 수 있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Halsted moved to Baltimore and began surgical research on dogs in William Welch’s laboratory at Hopkins. In the wake of some brilliant animal research on intestinal anastomoses, Halsted was appointed head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acting surgeon to Johns Hopkins Hospital, and associate professor of surgery. Continued success resulted in Osler and William Welch (1850–1934) recommending Halsted to be surgeon-in-chief in 1890 and Hopkins’ first professor of surgery in 1892.6,7 Though everyone believed that Halsted’s addiction was cured at the time of these appointments, it later became clear that wasn’t the case and that he was able to hide his addiction under a veil of eccentricity and a pyramid of residents.

이 논문은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 그의 외과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화에 있어, 그의 중독을 숨기려는 Halsted의 시도의 가능한 역할을 탐구한다. 우리는 또한 그의 훈련생들에 의한 Halsted 학교의 보급과 북미 거주를 위한 표준 모델로 후속 진화를 다룬다. 우리의 에세이는 알려진 사실 및 (Halsted, 그의 이전 훈련생 및 Halsted에 대해 쓴 다른 외과 학자들의) 출판된 인용문 대한 "미묘한 재해석"에 광범위하게 의존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le role of Halsted’s attempts to hide his addiction in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his surgical residency training program at Johns Hopkins Hospital. We also address the dissemination of the Halsted School by his trainees, and its subsequent evolution into the standard model for residency in North America. Our essay relies extensively upon “nuanced reinterpretation” of known facts and published quotes from Halsted, his former trainees, and other surgical scholars who have written about Halsted.

할스테드 학교
The Halsted School

할스테드가 뉴욕에서 볼티모어 시대로 수술 스타일을 극적으로 바꾼 것은 그의 중독과 동물 연구를 통해 얻은 보수적이고 생리적인 수술의 중요성에 대한 그의 증가하는 인식의 결과였을 것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대담하고 뛰어난 외과의가 될 수 없는 그의 신체적, 정신적 무능]은 그가 조직과 피를 보존하는 것이 속도보다 더 중요한 더 사색적이고 생리적인 스타일이 더 나은 결과를 얻도록 도왔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곳에서는 초기 단계에 있었지만, Halsted의 허약함이 Halsted의 새로운 운영 방식으로의 전환을 더욱 강화시킨 Halsted School, 11, 12에서 완전히 발전했다. 다니엘 B. Nunn은 "Halsted Society의 역사가는 "Halsted는 정확하고 안전하며 철저한 수행에 영특함과 실행 속도가 종속된 학교인 '수술 안전 학교의 아버지'로 적절히 인정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Halsted’s dramatic change in surgical style from his New York to his Baltimore days was likely a consequence of both his addiction and his increasing appreciation of the importance of conservative, physiologic surgery gained through his animal studies. Ironically, his physical and mental inability to continue to be a bold and brilliant surgeon helped him realize that a more contemplative, physiologic style, in which conserving tissue and blood was more important than speed, achieved better results. This trend was in its infancy elsewhere, but fully developed within the Halsted School at Hopkins,11,12 where Halsted’s frailty further reinforced his transition to this new operative style. Daniel B. Nunn, while Historian of The Halsted Society, noted that “Halsted is properly credited as the ‘father of a school of safety in surgery,’ a school in which brilliance and speed of execution were subordinated to accurate, safe, and thorough performance ...”13

그러나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알고 있는 그는, 자신의 반사신경, 속도, 정밀도가 악화됨에 따라 정확성, 안전성 및 철저한 수행을 강조하면서 레지던트에게 일을 위임함으로써 이를 커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새로운 스타일의 수술을 가르치는 데 앞장서는 것은 아마도 자기 잇속을 차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것은 또한 그가 수술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줄이고 사적인 생각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해주었다. 할스테드가 방문 외과 의사들 앞에서 수술을 했을 때, 그는 너무 느려서 관객들이 보기에 고통스러웠다. 윌리엄 메이요(1861–1931)는 할스테드가 자신의 특징적인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하는 것을 불안하게 지켜보면서 "나는 바닥이 이미 치유된 동안 위에서 수술된 상처를 본 적이 없다"고 농담을 한 적이 있다.

However, knowing what we know now, it was possibly self-serving to be at the forefront of teaching this new style of surgery because, as his own reflexes, speed, and precision deteriorated, he could cover this by delegating work to his resident while stressing accuracy, safety and thorough performance. It also allowed him to spend less time at the operating table and more time in private contemplation. When Halsted operated in front of visiting surgeons, he was so slow that it was painful for the audience to watch. William Mayo (1861–1931), while restlessly watching Halsted perform his signature radical mastectomy, once quipped “I have never seen a wound operated at the top while the bottom was already healed.”7

Halsted School은 또한 대부분의 임상 교수들이 FFS 요금을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음에도 불구하고, Hopkins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리적 풀타임(GFT) 지불 모델을 수용했습니다. 전 거주자 사무엘 J. 크로우는 보수에 대한 할스테드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The Halsted School also embraced the geographic full time (GFT) payment model that was being implemented at Hopkins, even though most clinical faculty preferred to remain fee-for-service.8 Former resident Samuel J. Crowe provides Halsted’s thoughts on remuneration:

[금전적 보상]은 의사가 가족을 돌보고, 새로운 생각을 습득하기 위해 여행을 할 수 있고, 그의 일생 동안 생각하고, 읽고, 의학에 지속적인 가치를 더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여가와 마음의 평화를 가질 수 있는 범위에서만 필요하거나 바람직했다. 이것은 1905년의 일입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Halsted]는 1913년에 풀타임 계획이 나왔을 때 열정적으로 환영했다.
Monetary rewards were necessary or advisable only to the extent of allowing the doctor to care for his family, to travel in order to acquire new ideas, and to have the leisure and peace of mind to think and read and try to add something during his lifetime of lasting value to medicine. This was in 1905. No doubt it was for these reasons that [Halsted] enthusiastically welcomed the Full Time Plan when it came along in 1913.14

 

홉킨스의 GFT 시스템 구현에 대한 완전한 역사적 분석은 다른 곳에서 제공된다. GFT 모델에 의해 촉진된 연구는 할스테드 학파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였다.
A complete historical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GFT system at Hopkins is provided elsewhere.15 Research, which was facilitated by the GFT model, was another important element of the Halsted School.

중단된 레지던스의 구조
Structure of the halsted residency

할스테드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외과 수련자들에게 [형식적이고 구조적인 형태의 교육]을 제공했고, 이전에 존재했던 견습 훈련 모델을 대체했다. 할스테드는 독일에서 관찰한 외과적 훈련의 요소들을 바탕으로 훈련 모델을 만들었다. Halsted 모델의 기본 요소 중 하나는 티어가 있다는 것이었다. 단, 초급 및 중간급 직위는 여러 개가 있지만, 시니어 직위는 1개뿐이라는 것이었다. 후배 연수생들은 교수보다는 선배 레지던트들의 지도 아래 실전 환자 관리와 수술 기술을 배웠다. 전공의들이 경험이 많아지면서 책임감과 독립성이 높아졌다. 또한, 전공의들은 외과적 질병의 [과학적 근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훈련 기간은 무기한이었고, 다음 단계로 진출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피라미드 구조가 존재했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진출하는 것은 불확실했다. 인턴십이나 레지던트 보조 역할만 마치고 떠나는 연수생이 많았다. Halsted의 훈련 프로그램인 레지던트 포지션에서 정상에 오른 사람들에게 그것은 특별한 학문적, 임상적 훈련이었다. 레지던트는 임상 서비스를 운영했을 뿐만 아니라 훈련 프로그램 전체를 감독하여 현재의 레지던트 프로그램 감독PD처럼 기능했다.
Halsted’s residency program provided a formal and structured form of education for surgical trainees, replacing the apprenticeship training model that had existed before it. Halsted based his training model on elements of surgical training he had observed in Germany. One fundamental element to Halsted’s model was that there were tiers, including multiple entry- and midlevel positions, but only 1 senior position. Junior trainees learned hands-on patient management and operative skills under the supervision of a more senior resident rather than the professor. As residents became more experienced, they were given increased responsibility and independence. Furthermore, residents were expected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basis of surgical disease and to perform research. The duration of training was indefinite, and advancement to the next level was uncertain, as there was a pyramidal structure with intense competition for advancement to the next level. Many trainees left after completing only an internship or an assistant resident role. For those making it to the top of Halsted’s training program, the resident position, it was exceptional academic and clinical training. The resident not only ran the clinical services, but also oversaw the entire training program, functioning like a current day residency program director.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할스테드가 요구하는 우수한 수술 결과를 얻기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중독을 숨기는 외과의사에게는 자기 잇속만 차린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피라미드적 성격]은 할스테드가 훈련생, 의료 및 외과 동료, 환자들과 매일 상호작용할 필요성을 최소화하여 그의 장애를 숨길 수 있게 하였다. 활기찬 외과 수련생들 집단은 할스테드에게 그를 기쁘게 하고 싶어했고, [그가 임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는 동기부여된 노동력을 제공]했다. 그러한 모델은 대부분의 북미 훈련병원에서 작동할 수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렇게 많은 house staff을 두는 것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저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이것은 오로지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만 가능했을 것이다. 존스 홉킨스 병원은 기부금과 무엇보다 GFT 지불 모델 덕분에 주머니가 두둑했기 때문이다.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is structure was self-serving for a surgeon hiding his addiction, as the clinical service did not depend on Halsted always being at his best in order to achieve the excellent surgical results he demanded. The pyramidal nature of the program also minimized Halsted’s need for day-to-day interaction with trainees, medical and surgical colleagues and patients, thus allowing him to hide his impairment. The energetic cadre of surgical trainees provided Halsted a motivated workforce that was anxious to please him and that he did not need to pay. Such a model could not have worked in most North American training hospitals, as it would have been far too costly to have so many house staff. As noted by other authors,16,17 this was likely only possible in one place — the Johns Hopkins Hospital — which, because of its endowments and eventually its GFT payment model, had deep pockets.

다행히 단단한 피라미드 구조는 다른 곳에서는 구현에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조지 J 호이어(1882년 ~ 1950년)는 신시내티에서 이것을 증명하였다.
Fortunately, a rigid pyramidal structure proved not to be critical for its implementation elsewhere. George J. Heuer (1882–1950) proved this in Cincinnati.

조지 J 휴에와 제자들
George J. Heuer and the disciples

호이어는 할스테드에 의해 훈련받은 13번째 전공의였다. 그는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이 역할을 맡았다. 그 후 그는 존스 홉킨스의 외과 부교수와 외과 부교수로 임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복무한 후, 호이어는 홉킨스로 돌아와 할스테드가 자신의 뒤를 따라 훈련했던 전공의 월터 댄디 (1886년-1946년)를 신경외과 서비스 책임자로 임명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호이어는 다른 할스테드 레지던트였던 하비 쿠싱(1869–1939)이 1912년 보스턴의 피터 벤트 브리검 병원으로 영입된 이후 이 직책에 관심이 있었다. 호이어는 크리스천 R의 첫 수혜자로서 신시내티로 영입되었다. 홈즈는 1922년 외과 의장을 맡았고, 그곳에서 그는 외과 레지던트를 설립했다. 이때 다른 할스테디안 프로그램은 하비 쿠싱이 보스턴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유일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호이어는 몽 리드 (1889년–1943년)와 버 놀랜드 (닉) 카터 (1894년–1980년)를 포함한 몇몇의 저명한 홉킨스 훈련 외과 의사들을 데리고 왔다. 호이어는 "일반 환자의 병실을 호이어 교수를 위한 개인 병실로 전환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부도덕한 일"이라며 해당지역 외과의들의 즉각적인 저항을 맞았고, 이를 '수수료 분할' 문제로 바꾸려 했다. 이는 미국외과의사대학의 정책에 위배되는 행동이었다. 이 문제는 홈즈 병원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개인 전시관을 지음으로써 결국 해결되었다.

Heuer was the 13th resident trained by Halsted. He served in this role from 1911 to 1914. He was then appointed associate professor of surgery and associate surgeon at Johns Hopkins. After serving in the First World War, Heuer returned to Hopkins only to find that Halsted had appointed Walter Dandy (1886–1946), a resident who had trained after him, to the position of chief of the neurosurgical service. Heuer had been interested in this position since Harvey Cushing (1869–1939), another former Halsted resident, had been recruited to the Peter Bent Brigham Hospital in Boston in 1912. Heuer was recruited to Cincinnati as the first recipient of the Christian R. Holmes Chair in Surgery in 1922, where he established a surgical residency.16,18,19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nly other Halstedian program was the one in Boston run by Harvey Cushing. Heuer brought several prominent Hopkins-trained surgeons with him, including Mont Reid (1889–1943) and Burr Noland (Nick) Carter (1894–1980). Heuer met immediate resistance from the local surgeons, who stated that “the conversion of a ward of the general patients into private rooms for Professor Heuer was an immorality to the tax payer” and tried to turn it into an issue about “dividing fees,” which was against the policies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16 This problem was eventually resolved by building a new private pavilion named Holmes Hospital.

데이비드 W. 맥패든에 따르면, 호이어의 "Halstedian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의 채택은 오늘날 모든 좋은 훈련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기초로 묘사되었다." 전공의보다 피라미드의 아래에 있는 여러 층의 house staff을 위해 지불할 충분한 돈이 없었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홉킨스 모델을 복제하는 것은 불가능했기 때문에 이것은 확실히 사실이다. 호이어가 1932년 뉴욕 병원과 코넬로 채용되었을 때, 그는 신시내티에서와 비슷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최근의 논문은 193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 할스테디안 외과 레지던트 모델이 "엘리트 의사들을 위한 흔치 않은 독특한 경험에서 모든 미국 외과 의사들을 위한 표준화된 의무 교육"으로 어떻게 진화했는지 설명한다.
According to David W. MacFadden, Heuer’s “adaption of the Halstedian residency training program has been described as the basis on which all good training programs exist today.”16 This is certainly true, because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duplicate the Hopkins model elsewhere as there would have been insufficient money to pay for multiple tiers of house staff at the base of the pyramid below the resident. When Heuer was recruited to New York Hospital and Cornell in 1932, he encountered difficulties similar to those at Cincinnati.19 A recent paper describes how the Halstedian surgical residency model further evolved “from an uncommon, idiosyncratic experience for elite practitioners to a standardized mandatory education for all American surgeons” between the 1930s and the 1950s.20

호이어에 의해 모집되었고 신시내티에서 그의 레지던트를 마친 또다른 홉킨스 출신의 보조 외과의사 닉 카터는 1952년 할스테드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놀라운 조사를 발표했다. 할스테드는 33년 동안 외과 레지던트를 맡았고 17명의 레지던트들과 55명의 보조 레지던트들을 임명했다. 카터는 이 훈련생들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최고의 학문적 외과의가 되었고 다음 세대의 학문적 외과의들을 훈련시켰는지를 요약한다.  이들은 할스테드의 광범위한 외과 제자들의 간부가 되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 카터는 또한 신시내티에서 25년 동안 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운영된 후 높은 수준의 학업 성공을 발견했다. 교육생 중 약 3분의 2가 교수직을 맡아서 더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할스테드의 많은 제자들의 자손들은 북아메리카의 거의 모든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Another Hopkins-trained assistant surgeon who had been recruited by Heuer and who completed his residency in Cincinnati, Nick Carter, published a remarkable survey in 1952 on the centenary of Halsted’s birth. Halsted had directed his surgical residency for 33 years and appointed 17 residents and 55 assistant residents. Carter summarizes how many of these trainees became top academic surgeons and trained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 surgeons. 21 These became Halsted’s extensive cadre of surgical disciples. In a second study, Carter also found a high level of academic success in Cincinnati after its surgery residency program had been in operation there for 25 years.22 Approximately two-thirds of its trainees held faculty positions, thus generating more disciples. Likely, the offspring of Halsted’s many disciples and their disciples have influenced almost all residency training programs in North America.

할스테드 중독의 결과
Consequences of Halsted’s addiction

할스테드의 중독이 그의 경력에 끼친 가장 분명한 영향은 "그는 과학 조사, 외과 레지던트 조직, 개선된 수술 기술의 개발, 그리고 외과적 문제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에 그의 삶을 바친 느리고 고된 외과의사가 되었다. 본질적으로, 그는 많은 수술의 수행보다는 사색과 성찰에 집중했습니다." 

The most obvious effect of Halsted’s addiction on his career was that “he became a slow, painstaking surgeon who devoted his life to scientific investigation, organization of a surgical residency, development of improved operative techniques, and intense study of surgical problems; in essence, he concentrated on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rather than the performance of many operations.”23

하워드 마켈은 부정적인 결과에 주목한다.
Howard Markel notes negative consequences:

수술실에서 할스테드의 변덕스러운 행동 외에도, 그의 행방이 묘연할 때 자주 병원에 가지 않는 것에서부터, 병실을 걸을 때 가까운 동료들을 피하는 것까지 (아마도 그가 영향을 받고 있었고, 그가 인지할 수 있는 사람들에 의해 정밀하게 조사 받기를 원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그는 매일 오후 4시 30분에 집에 가서 저녁 식사 전에 90분 동안 서재에 틀어박혀, 더러운 린넨을 파리의 전용 세탁소에 보내는 그의 이상한 습관(깨끗한 셔츠보다 더 많은 것을 돌려보냈을지도 모른다)이 있었다. 그리고 가장 골치 아픈 것은 수술실에서 사용된 모르핀과 코카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엔도르핀과 코카인을 목숨이 다할 때까지 계속 남용한 것 같다.
…in addition to Halsted’s erratic behaviour in the operating room, circumstantial evidence — ranging from his frequent absences from the hospital when his whereabouts were unknown to his avoidance of close colleagues when he was walking the wards (perhaps because he was under the influence and did not wish to be scrutinized by those who might recognize this), his going home daily at 4:30 p.m. and locking himself in his study for 90 minutes before dinner, his curious habit of sending his soiled linen to an exclusive laundry in Paris (which may have sent back more than clean shirts), and, most troubling, his easy access to morphine and to the cocaine that was used in the operating room... — suggests that he continued to abuse morphine and, I suspect, cocaine until the end of his life.24

실제로 할스테드는 1895년 ~ 6월에 5 ~ 6개월의 결석을 포함하여 다수의 설명되지 않은 결석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가 그를 돌아오게 하려는 신탁 위원회의 반복적인 시도를 무시하고 규율을 위하여 의료 위원회에 회부되었다. 1893년 이후 할스테드의 세 번째 전공의인 조지프 콜트 블러드굿(1867-1935)은 하비 쿠싱과 함께 보조 전공의로 지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그의 부재를 커버하는 올스타 팀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블러드굿은 할스테드의 첫 조수로 일하면서 외과 의사로 승진했고, 하비 쿠싱은 레지던트로 승진했다. 폴 프리드먼이 정확하게 지적한 바와 같이: "만약 할스테드가 오늘날 의사를 하고 있었다면, 그는 아마도 그의 자리에서 즉결 해고되고 의사 개업 면허를 잃게 될 것입니다." 사실, 이 행동이 잘 알려졌더라면, 그때도 받아들여질 것 같지는 않다. 의심했을 법한 사람들은 그들의 의심을 추구하지 않았다. 오슬러와 웰치도 일단 알게 되더라도 그를 신고하지 않았다. 의심할 여지 없이, 그들은 이것을 정당화할 수 있었다. 당시에 중독에 대한 이해는 불완전했고, 할스테드는 안전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외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권력 차이를 고려할 때 엽기적인 행동을 관찰한 그의 훈련생들은 그를 자수할 처지가 아니었다. 게다가, 대부분은 그에게 신세를 졌다. Halsted의 중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anjsurg.ca/003319-a1의 부록 1을 참조하십시오.

In fact, Halsted had multiple unexplained absences, including a 5–6 month absence in 1895–6, when he ignored the Board of Trustees’ repeated attempts to get him to return and was referred to the medical board for discipline.23 Conveniently, Joseph Colt Bloodgood (1867–1935), Halsted’s third resident (since 1893),8 simply stayed on with Harvey Cushing as an assistant resident. This was essentially an all-star team covering his absence. Shortly after this, Bloodgood was promoted to associate in surgery, serving as Halsted’s first assistant, and Harvey Cushing was promoted to resident.8 As Paul Friedman correctly notes: “If Halsted were practising today, he would probably be summarily fired from his position and lose his license to practise medicine.”25 In fact, it is unlikely that this behaviour would have been accepted even then, had it been well known. Those who might have suspected did not pursue their suspicions. Even Osler and Welch did not turn him in once they knew; undoubtedly they could justify this, as addiction was poorly understood and Halsted was running a safe, world-class surgical service. Certainly, considering the power differential, his trainees who observed bizarre behaviours were not in a position to turn him in; furthermore, most were beholden to him. For additional details on Halsted’s addiction, see Appendix 1 at canjsurg.ca/003319-a1.

듀크 대학 외과 레지던트였던 전 할스테드 레지던트인 데릴 하트에 따르면, 할스테드 박사의 레지던트 시스템 개발에 그 어떤 사건보다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 두 사건은 그의 유럽 경험이었는데, 특히 [처음 2년간의 연구 경험]과 [코카인에 대한 우연한 중독]이었다. 하트의 논평은 우리의 전제를 지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는 이 진술의 후반부에 대해 확장하기로 선택하지 않았다.

According to Deryl Hart, a former Halsted resident who went on to start the Duke University surgical residency, “The two events that seem to have influenced Dr. Halsted more than any others in the development of his residency system were his European experiences, particularly the first two years of study, and his accidental addiction to cocaine.”26 While it appears that Hart’s comment supports our premise, he did not choose to expand on the latter part of this statement.

독일의 체제와 그것이 할스테드에 미치는 영향.
The German system and its influence on Halsted

유럽, 특히 독일은 19세기 후반 추가 의학 및 외과 수련의 메카였고, 유학 수단을 갖춘 새로운 의학 졸업생들이 몰려들었다. 의대를 졸업한 후, 할스테드는 1878년부터 1880년까지 유럽으로 가서 기초 과학, 주로 해부학과 외과학을 공부하였다. 뉴욕의 부유한 사업가의 아들로서, 그는 적어도 19명의 다른 유럽의 의학/외과 학자들과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러트코우가 지적했듯이, 이것은 그가 "나중의 삶에 매우 중요한 지적, 문화적 절충주의"를 획득할 수 있게 해주었다. 외과 교육과 훈련에 대한 할스테드의 생각은 이 여행에 의해 깊은 영향을 받았다. 루트코프는 "할스테드는 많은 자료로부터 이끌어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1878년부터 1880년까지 유럽을 처음 방문했을 때의 집단적 교육 경험이었다"고 결론짓는다. 

Europe, particularly Germany, was the Mecca for additional medical and surgical train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new medical graduates with the means to study abroad flocked there. After graduating from medical school, Halsted went to Europe from 1878 to 1880 to study both basic sciences, primarily anatomy, and surgery. As the son of a well-to-do businessman in New York, he had the means to study with at least 19 different European medical/surgical scholars. As noted by Rutkow, this allowed him to acquire “an intellectual and cultural eclecticism so important to his work of later life.”27 Halsted’s ideas about 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profoundly influenced by this trip. Rutkow concludes that “Halsted drew from many sources, but the most important was the collective educational experience of his first visit to Europe in 1878–1880.”27

Halsted가 홉킨스에서 만든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은 독일 시스템을 명확하게 모델링했습니다. 특히 기초과학과 실기임상훈련의 통합, 전임교원의 존재감, 그리고 최고의 실력자만이 정상에 오를 수 있었던 선진화 경쟁력에 감탄했다. 러트코프에 따르면
Halsted clearly modelled his residency training program at Hopkins on the German system. In particular, he admired its integration of basic sciences and practical clinical training, the presence of full-time faculty, and the competitiveness for advancement, which allowed only the very best to rise to the top. According to Rutkow,

그러나 그의 외과 레지던스 시스템은 독일인의 접근 방식을 정확히 모방한 것이 아니라 근접한 절충안이었다. 그는 보다 명확하게 정의된 조직과 직무 분담을 주장했다. 전공의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수술 재료가 더 많았고, 실제 임상문제와의 친밀한 접촉이 많았으며, 순수 기초과학에 대한 집착이 적었으며, 교수자보다는 전공의에게 책임과 권위가 집중되어 있었다. 
His surgical residency system, though, was not an exact duplicate of the German approach, but instead a close compromise. He insisted on a more clearly defined pattern of organization and division of duties. There was a larger volume of operative material at the disposal of the residents, a more intimate contact with practical clinical problems, less preoccupation with pure basic sciences and a concentration of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in the resident rather than the teacher.27

이 모든 차이는 그의 주위에 높은 수준의 질서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고기능 중독자에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그가 중독된 동안 기능했던 방법 중 하나는 직장에서나 집에서나 고도로 질서 있는 생활방식을 유지하는 것이었다고 언급했다. 고도로 숙련되고 동기부여가 된 전공의들에게 많은 수술과 임상 문제의 해결을 맡기고, 그의 전공의들에게 더 많은 책임을 부여한 것은 분명히 전공의 교육을 촉진시켰지만, 이러한 경향은 또한 Halsted가 낮은 일일 업무량을 유지하여 많은 시간을 사색에 보낼 수 있도록 해주었기 때문에 이기적인 것이었다. 심지어 그의 전체 작전의 성공에 결정적인 주민 선발과 승진은 때때로 할스테드보다 할스테드의 노동력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낸 상급 전공의에게 위임되었고, 따라서 이러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에 더 좋은 위치에 있었다.

All of these differences might be predictable for a high-functioning addict striving to maintain a high degree of order around him. Others have noted that one of the ways he functioned while addicted was by maintaining a highly ordered lifestyle, both at work and at home.6,24 Leaving much of the operative work and resolution of clinical problems to his highly skilled and motivated cadre of residents and giving his residents increased responsibility clearly promoted resident education, but these tendencies were also self-serving as delegation of these responsibilities allowed Halsted to maintain a lower day-to-day profile and spend much of his time in contemplation. Even selection and promotion of residents, which was critical to the success of his whole operation, was sometimes delegated to the senior resident, who spent more time with Halsted’s workforce than Halsted did and, thus, was in a better position to make these important decisions.

Halsted의 레지던트 프로그램 프로그램은 Hopkins의 다른 프로그램들과 어떻게 비교되었습니까?
How did Halsted’s residency progrgam compare with others at Hopkins?


3개의 다른 현대 홉킨스 레지던트 프로그램과 직접 비교함으로써 할스테드의 외과 레지던트 프로그램 설계에 그의 중독을 숨길 필요가 있었다는 설득력 있는 사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오슬러는 최초의 현대적 전공의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직후에, Halsted, Howard A. 켈리(1958-1943)와 웰치는 각각 외과, 산부인과, 병리학과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10 초기 홉킨스의 모든 전공의 프로그램은 적어도 독일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홉킨스 의과대학의 전반적인 교육 프로그램도 마찬가지였다. 모든 임상 분야가 인턴십을 했지만, 이 다른 3명의 홉킨스 창립 교수들 중 누구도 엄격한 피라미드 레지던트 모델을 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그들이 제공한 교육은 더 개인적이고 실제적이었다. 오슬러는 홉킨스에서 15년 동안 5명의 전공의를 훈련시켰다. 몇몇 보조 전공의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오슬러의 5명의 레지던트들은 병원에서 "house officers"로 생활하면서 오슬러의 생활 욕구를 충족시켜주었고, 오슬러가 여행을 할 수 있게 해주었다. 오슬러의 전공의들은 그의 집에 자주 손님이었고, 그들 중 몇 명은 그가 없을 때 그의 도서관에 있는 책을 접할 수 있도록 그의 집 열쇠를 가지고 있었다.28 이것은 할스테드가 전공의들과의 먼 관계를 유지하고, 비밀스러운 생활 방식을 영유한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다. 켈리는 현대 부인과 레지던트 훈련의 아버지로 여겨지지만, 그 구조에 대해서는 거의 기록되어 있지 않다. 컬렌(1868-1953)은 1896년에 레지던트를 시작했고 1897년에 하급 직원으로 고용되었다. 웰치의 병리학 레지던시는 피라미드가 아니었다.31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각 멘토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설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지만, Halsted의 프로그램의 높은 수준의 중복성을 가지고 있거나 매일의 조사로부터 교수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은 없었다.

A direct comparison with the 3 other contemporary Hopkins residency programs helps build a compelling case that a need to hide his addiction played a role in the design of Halsted’s surgical residency program. As noted earlier, Osler developed the first modern residency training program; shortly after this, Halsted, Howard A. Kelly (1958–1943) and Welch developed programs in surgery, gynecology and pathology, respectively. 10 All early Hopkins’ residencies are thought to be at least loosely based on German models; in fact, the overall educational program at Hopkins Medical School was as well. While all clinical disciplines had internships, none of these other 3 founding Hopkins professors appear to have developed a rigidly pyramidal residency model and, therefore, the training they offered was more personal and hands-on. Osler trained 5 residents during his 15 years at Hopkins; their tenures ranged from 15 months to 7 years. While there were likely some assistant residents, little is known about them. The lengthy tenure of Osler’s 5 residents, who as “house officers” lived in the hospital, met Osler’s lifestyle needs and allowed him to travel. Osler’s residents were frequently guests at his house, and several of them had keys to his house so that they could access books in his library when he was away.28 This was in stark contrast with Halsted’s distant relationship with his residents and his secretive lifestyle. While Kelly is considered to be the father of modern gynecology residency training,29 little has been written about its structure; however, it was clearly not a rigid pyramid, since it is known that Thomas S. Cullen (1868–1953) began his residency in 1896 and was hired into a junior staff position in 1897.30 Welch’s pathology residency was not a pyramid.31 While each of these programs was likely designed in part to meet the needs of each mentor, none had the high level of redundancy of Halsted’s program or were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protect its professor from day-to-day scrutiny.


특히 임상적 수입을 얻을 수 있는 다른 두 명의 임상의인 오슬러와 켈리는 GFT 보수 제도에 강하게 반대했다. 사실 켈리는 이 문제로 홉킨스를 사임하고 볼티모어 병원으로 진료소를 옮겼으며 개인 진료도 허용했다. 오슬러는 거의 10년 전에 옥스포드로 이사했지만, 그는 GFT 시스템이 발표되었을 때 홉킨스의 구현에 반대했다. 반면에 할스테드는 GFT를 받아들였고, 그는 독립적으로 부유했고, 그것은 그의 residency을 보조했다. 오슬러와 켈리 둘 다 trainee들은 참여시키지 않으며 운영한, 수익성 높는 개인 진료실이 있었다.

Notably, the 2 other clinicians capable of earning clinical incomes, Osler and Kelly, were strongly opposed to the GFT remuneration system. In fact, Kelly resigned from Hopkins over this issue, moving his practice to Baltimore hospitals allowing fee-for-service private practice.29 Although Osler had moved to Oxford almost 10 years earlier, he vocally opposed the implementation of the GFT system at Hopkins when it was announced.32,33 Halsted, on the other hand, embraced it, as he was independently wealthy and it subsidized his residency. Both Osler and Kelly had lucrative private practices that they managed without involving trainees.

결론
Conclusion

외과 레지던트 모델은 19세기에 Halsted와 함께 시작되었다. 그것은 부분적으로 독일 모델을 기반으로 했지만, Halsted의 프로그램의 많은 측면들은 그가 그의 중독을 숨기는 것을 돕고, 동시에 그의 환자들을 위한 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해 신중하게 설계되었다. 중요한 요소는 Halsted에게 충분한 사색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현대 홉킨스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요소였다.

The surgical residency model originated with Halsted in the 19th century; it was partially based on a German model, but many aspects of Halsted’s program were carefully designed to help him hide his addiction and simultaneously optimize care for his patients. A critical element was providing Halsted with ample time for contemplation, which was possible only because of the extreme delegation of clinical and educational work to his trainees, which as noted above, was a unique element not seen in the other contemporary Hopkins residency programs.

Halsted의 모델은 Hoeer에 의해 홉킨스 환경 밖에서 작동하도록 수정되었으며, 이 모델은 본질적으로 북미 표준이 되었다. 현재의 북미 시스템에서 전공의의 진급은 예측 가능하고 "사각형"인 반면, 일부 [피라미드형] 프로그램은 20세기 전반의 4분의 3 동안 지속되었다. 마지막으로, Halsted의 레지던트 개념의 탁월함은 20세기 전반의 외과적 리더십이 되었을 때 그의 초기 레지던트들에 의해 처음부터 인정받았다는affirmed 점에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그의 가장 큰 업적은 그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이라는 것에 동의함으로써, 그의 초기 전공의들은 각각 12-14년 동안 훈련(대부분 무료로 일함)에 투자했고, 동시에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라는 지위를 스스로에게 주었다. 이것은 어떤 면에서는 이기적이지만, 여러 면에서는 정말로 그랬다.
Halsted’s model was modified by Heuer to work outside of the Hopkins environment, and this model essentially became the North American standard. While resident advancement in the current North American system is predictable and “square-shaped,” some pyramidal programs persisted for the first three-quarters of the 20th century.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rilliance of Halsted’s residency concept was initially affirmed by his former residents, when they became the surgical leadership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17 Furthermore, by agreeing that his greatest accomplishment was his residency program, his former residents, who had each invested 12–14 years in training (much of it working for free),34 simultaneously conferred upon themselves the status being one of his greatest accomplishments. While in some ways this is self-serving, in many ways, they really were.5

외과 레지던스가 급진적이고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지금, 우리는 외과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역사와 이러한 프로그램을 형성한 영향을 반성해야 한다. 우리의 분석은 Halsted의 중독을 중요한 요소로 식별하고 강조합니다. 우리는 할스테드를 비난하지는 않지만, 할스테드 외과 레지던트의 구조에 대한 동기를 면밀히 분석하고 비판한다면 그의 중독이 주요 영향요인이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At a time when surgical residencies are undergoing radical and dramatic changes, we should reflect on the history of surgical residency program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shaped these programs. Our analysis identifies and highlights Halsted’s addiction as an important factor. While we are not condemning Halsted, we are suggesting that if one carefully analyzes and critiques the motivation for the structure of the Halsted surgical residency, his addiction w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Can J Surg. 2020 Jan 16;63(1):E13-E19. doi: 10.1503/cjs.003319.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William Stewart Halsted’s addic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From the Department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Paediatrics, and Surgery, University of Calgary Cumming School of Medicine, Calgary, Alta. (Wright, Schachar).

PMID: 31944636

PMCID: PMC7828946

DOI: 10.1503/cjs.003319

Free PMC article

Abstract

William Stewart Halsted developed a novel residency training program at Johns Hopkins Hospital that, with some modifications, became the model for surgical and medical residency training in North America. While performing anesthesia research early in his career, Halsted became addicted to cocaine and morphine. This paper dissects how his innovative multi-tier residency program helped him hide his addiction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outstanding patient care and academic training.

교육적 평가의 타당화: 시뮬레이션 등을 위한 프라이머(Adv Simul (Lond). 2016)
Valida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s: a primer for simulation and beyond
David A. Cook1,2,3* and Rose Hatala4

 

 

 

좋은 평가가 중요하며 시뮬레이션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Good assessment is important; simulation can help

교육자, 관리자, 연구원, 정책 입안자, 심지어 일반 대중들도 건강 전문가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역량 기반 교육, 이정표 및 숙달 학습과 같은 트렌드 주제는 성과에 대한 필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정확하고 시기 적절하며 의미 있는 평가에 달려 있습니다. 전문 역량 평가는 교육을 넘어 임상 실습으로 점차 확대되며, 초기 및 지속적인 전문 면허 및 인증 요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진다. 일선 교육자와 교육 연구자는 임상 및 비임상 환경에서 의료 전문가의 방어 가능한 평가를 요구합니다. 실제로, 좋은 평가에 대한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컸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Educators, administrators,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even the lay public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ssessing health professionals. Trending topics such as competency-based education, milestones, and mastery learning hinge on accurate, timely, and meaningful assessment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creasingly extends beyond training into clinical practice, with ongoing debates regarding the requirements for initial and ongoing professional licensure and certification. Front-line educators and education researchers require defensible assessments of health professionals in clinical and nonclinical settings. Indeed, the need for good assessments has never been greater and will most likely continue to grow.

직장 기반 평가가 필수적이지만 [1–3] 시뮬레이션은 안전한 환경에서 특정 주제와 기술을 목표로 삼을 수 있기 때문에 보건 전문직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4–6]. 시뮬레이션에서 평가 조건은 학습자 간에 표준화될 수 있으며 질병, 임상 상황 및 합병증의 스펙트럼을 조작하여, 예를 들어 [흔하지만 중요한 작업, 자주 보이지 않는 조건, 환자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활동 또는 특정 감정 반응을 유발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7, 8]. 따라서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가 점점 일반화되고 있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2013년에 발표된 리뷰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를 평가하는 400개 이상의 연구가 확인되었으며[9] 그 수는 확실히 증가했다. 그러나 동일한 검토에서는 이러한 평가를 뒷받침하는 증거와 그러한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즉, 검증 연구)에서 심각하고 빈번한 결함을 확인했다. 좋은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의 필요성과 현재 검증 노력의 과정과 산물의 결함 사이의 차이는 검증 과학의 현재 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lthough workplace-based assessment is essential [13], simulation does and will continue to play a vital role in health professions assessment, inasmuch as it permits the targeting of specific topics and skills in a safe environment [46]. The conditions of assessment can be standardized across learners, and the spectrum of disease, clinical contexts, and comorbidities can be manipulated to focus on, for example, common yet critical tasks, infrequently seen conditions, activities that might put patients at risk, or situations that provoke specific emotional responses [7, 8]. Thus, it comes as no surprise that simulation-based assessment is increasingly common. A review published in 2013 identified over 400 studies evaluating simulation-based assessments [9], and that number has surely grown. However, that same review identified serious and frequent shortcomings in the evidence supporting these assessments, and in the research studies designed to collect such evidence (i.e., validation studies). The gap between the need for good simulation-based assessment and the deficiencies in the process and product of current validation efforts suggests the need for increased awarenes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science of validation.

이 기사의 목적은 교육자와 교육 연구자를 위한 평가 검증에 대한 입문서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건강 전문가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의 맥락에 중점을 두지만, 이 원칙은 다른 평가 접근법과 주제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된다고 믿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primer on assessment validation for educators and education researchers. We focus on the context of simulation-based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als but believe the principles apply broadly to other assessment approaches and topics.

타당화는 프로세스입니다.
Validation is a process

[타당화]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해석, 사용 및 결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타당성 증거를 수집하는 과정]을 의미한다[10]. 이 정의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강조합니다.
Valid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collecting validity evidence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pretations, uses, and decisions based on assessment results [10]. This definition highlights several important points. 

첫째, 검증은 엔드포인트가 아닌 프로세스입니다. 평가에 "타당화됨"이라는 라벨을 붙이는 것은 타당화 검사 프로세스가 적용되었다는 것, 즉 증거가 수집되었다는 것만을 의미하며, 다음의 것들은 알려주지 않는다. 

  •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되었는가,
  • 증거의 방향 또는 크기는 어떠한가(즉, 유리한가, 불리한가, 어느 정도까지 사용되었는가?), 
  • 어떤 gap이 남아 있는가, 또는 
  • 어떤 맥락(집단, 학습 목표, 교육적 설정)에 대한 증거.

First, validation is a process not an endpoint. Labeling an assessment as “validated” means only that the validation process has been applied—i.e., that evidence has been collected. It does not tell us

  • what process was used,
  • the direction or magnitude of the evidence (i.e., was it favorable or unfavorable and to what degree?),
  • what gaps remain, or
  • for what context (learner group, learning objectives, educational setting) the evidence is relevant.

둘째, 타당화는 다음 절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타당성 증거 수집을 포함한다.
Second, validation involves the collection of validity evidence, as we discuss in a following section.

셋째, 타당화와 타당성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수치 점수 또는 서술적 의견[11]과 같은) 평가 데이터의 특정 해석 또는 사용을 의미하며, 이 해석에 근거한 결정을 의미한다. 우리는 임상 의학에서의 진단 테스트와 유추를 통해 이 점을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12]. 임상시험은 (a) 시험이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b) 이러한 결정이 조치 또는 환자 결과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오는 정도까지만 유용하다. 따라서, 의사들은 종종 "만약 그것이 환자 관리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면 검사를 지시하지 말라"고 가르친다. 예를 들어,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는 신뢰성이 높고 전립선암과 강하게 연관돼 있다. 그러나 전립선암 검진은 암이 없을 때 상승하는 경우가 많고, 검사가 불필요한 전립선 생체검사와 환자의 불안감을 유발하며, 종종 발견되는 암을 치료해도 임상 결과가 개선되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널리 권장되지 않는다. (즉, 치료가 필요하지 않음). 즉, 많은 환자에서 부정적인/유해한 결과가 시험(검진)의 유익한 결과보다 크다[13–15].

Third, validation and validity ultimately refer to a specific interpretation or use of assessment data, be these numeric scores or narrative comments [11], and to the decisions grounded in this interpretation. We find it helpful to illustrate this point through analogy with diagnostic tests in clinical medicine [12]. A clinical test is only useful to the degree that (a) the test influences decisions, and (b) these decisions lead to meaningful changes in action or patient outcomes. Hence, physicians are often taught, “Don’t order the test if it won’t change patient management.” For example, the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test has high reliability and is strongly associated with prostate cancer. However, this test is no longer widely recommended in screening for prostate cancer because it is frequently elevated when no cancer is present, because testing leads to unnecessary prostate biopsies and patient anxiety, and because treating cancers that are found often does not improve clinical outcomes (i.e., treatment is not needed). In other words, the negative/harmful consequences outweigh the beneficial consequences of testing (screening) in many patients [1315]. 

그러나 PSA 검사는 전립선암을 진단하고 치료한 후에도 여전히 질병의 지표로 유용하다. 이 예를 교육 테스트(평가)와 의사 결정의 중요성에 반영하면 이러하다.

  • (1) 만약 그것이 관리management를 바꾸지 않는다면, 시험을 하지 말아야 한다. 
  • (2) 하나의 목표 또는 설정에 유용한 시험은 다른 맥락에서 덜 유용할 수 있다. 
  • (3) 시험의 전반적인 유용성을 결정할 때 시험의 장기적인 결과와 다운스트림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

However, PSA testing is still useful as a marker of disease once prostate cancer has been diagnosed and treated. Reflecting this example back to educational tests (assessments) and the importance of decisions:

  • (1) if it will not change management the test should not be done,
  • (2) a test that is useful for one objective or setting may be less useful in another context, and
  • (3) the long-term and downstream consequences of testing must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overall usefulness of the test.

평가 타당화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Why is assessment validation important?

교육적 평가에 대한 엄격한 타당화는 최소한 두 가지 이유로 매우 중요하다.
Rigorous valida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s is critically important for at least two reasons. 

첫째, 평가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결과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유효성 확인은 신뢰도(유효성)에 관한 간단한 예스/노 답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신뢰도나 타당성의 판단은 의도된 적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정도의 문제이다. 타당화는 그러한 [판단]과 [남아있는 격차gaps]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할 수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First, those using an assessment must be able to trust the results. Validation does not give a simple yes/no answer regarding trustworthiness (validity); rather, a judgment of trustworthiness or validity depends on the intended application and context and is typically a matter of degree. Validation provides the evidence to make such judgments and a critical appraisal of remaining gaps.

둘째, 새로운 객관식 문제, 척도 항목 또는 시험장이 사실상의 새로운 도구를 만들기 때문에 평가 도구, 도구 및 활동의 수는 본질적으로 [무한]하다. 그러나 주어진 교육자에게 평가가 필요한 관련 과제와 구성은 [유한]하다. 따라서 각 교육자는 자신의 즉각적인 요구에 가장 잘 맞는 평가 솔루션을 식별하기 위해 무수한 가능성을 분류하고 선별할 수 있는 정보가 필요합니다. 잠재적 해결책으로는 기존 평가도구 선택, 기존 평가도구 적응, 여러 평가도구의 요소 결합 또는 새로운 평가도구를 새로 생성 등이 있습니다 [16]. 교육자는 점수의 신뢰도뿐만 아니라 시험 시행과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수용성, 타당성 등 물류 및 실무적 이슈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Second, the number of assessment instruments, tools, and activities is essentially infinite, since each new multiple-choice question, scale item, or exam station creates a de facto new instrument. Yet, for a given educator, the relevant tasks and constructs in need of assessment are finite. Each educator thus needs information to sort and sift among the myriad possibilities to identify the assessment solution that best meets his or her immediate needs. Potential solutions include selecting an existing instrument, adapting an existing instrument, combining elements of several instruments, or creating a novel instrument from scratch [16]. Educators need information regarding not only the trustworthiness of scores, but also the logistics and practical issues such as cost, acceptability, and feasibility that arise during test implementation and administration.

또한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는 그 정의상 "의미 있는meaningful" 임상 또는 교육적 결과의 대체물surrogate로 사용된다[17]. 우리는 [학습자들이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를 알고 싶은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들이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 알고 싶다. 타당화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법에는 평가 결과가 다른 설정과 결과에 추정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포함된다[18, 19].
In addition, simulation-based assessments are almost by definition used as surrogates for a more “meaningful” clinical or educational outcome [17]. Rarely do we actually want to know how well learners perform in a simulated environment; usually, we want to know how they would perform in real lif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validation will include evaluating the degree to which assessment results extrapolate to different settings and outcomes [18, 19].

타당성 증거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What do we mean by validity evidence?

[고전적인 타당화 프레임워크]는 적어도 세 가지 다른 "유형"의 타당성을 식별했다: 내용, 구성, 준거. 표 1을 참조하십시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보다 미묘하면서도 통일된 실용적 타당성 관점으로 대체되었다[10, 12, 20]. 현대의 틀은 타당성을 [가설]로 보고, 연구자가 [연구 가설]을 지지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증거를 수집하는 것처럼, 타당성 증거는 [타당성 가설]을 지지하거나 반박하기 위해 수집된다. 가설을 절대 증명할 수 없듯이, 타당성은 절대 증명할 수 없다. 그러나 증거가 축적됨에 따라 [타당성 주장을 지지하거나 반박]할 수 있다.

Classical validation frameworks identified at least three different “types” of validity: contentconstruct, and criterion; see Table 1. However, this perspective has been replaced by more nuanced yet unified and practical views of validity [10, 12, 20]. Contemporary frameworks view validity as a hypothesis, and just as a researcher would collect evidence to support or refute a research hypothesis, validity evidence is collected to support or refute the validity hypothesis (more commonly referred to as the validity argument). Just as one can never prove a hypothesis, validity can never be proven; but evidence can, as it accumulates, support or refute the validity argument.

최초의 현대적 타당성 프레임워크는 1989년 Messick에 의해 제안되었고 [21] 1999년 [22] 그리고 2014년 [23]에 이 분야의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이 프레임워크는 고전적 프레임워크와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다섯 가지 타당성 증거의 출처를 제안한다[24–26]. (표 2 참조)

  • 콘텐츠 증거(콘텐츠 유효성의 개념과 본질적으로 동일)는 평가 항목(시나리오, 질문 및 응답 옵션 포함)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을 반영하도록 하기 위해 취한 단계를 말한다.
  • 내부 구조 증거는 신뢰성, 도메인 또는 요인 구조, 항목 난이도 등 개별 평가 항목과 주요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평가한다.
  • 다른 변수와의 관계 증거는 평가 결과와 다른 측정 또는 학습자 특성 사이의 연관성을 긍정 또는 부정, 강 또는 약하게 평가한다. 이것은 준거criterion 타당성과 구성construct 타당성에 대한 고전적인 개념과 밀접하게 일치한다.
  • 반응 프로세스 증거는 문서화된 레코드(응답, 등급 또는 자유 텍스트 서술)가 관찰된 성능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 평가합니다. 응답 품질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에는 제대로 훈련되지 않은 평가자, 저품질 비디오 녹화, 부정행위 등이 포함된다.
  • 결과 증거는 유익하거나 유해한 평가 자체와 그 결과로 발생하는 결정과 조치의 영향을 살펴봅니다 [27–29].

The first contemporary validity framework was proposed by Messick in 1989 [21] and adopted as a standard for the field in 1999 [22] and again in 2014 [23]. This framework proposes fiv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2426] that overlap in part with the classical framework (see Table 2). 

  • Content evidence, which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old concept of content validity, refers to the steps taken to ensure that assessment items (including scenarios, questions, and response options) reflect the construct they are intended to measure. 
  • Internal structure evidence evaluates the relationships of individual assessment items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overarching construct(s), e.g., reliability, domain or factor structure, and item difficulty. 
  •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evidence evaluates the associations, positive or negative and strong or weak, between assessment results and other measures or learner characteristics. This corresponds closely with classical notions of criterion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 Response process evidence evaluates how well the documented record (answer, rating, or free-text narrative) reflects the observed performance. Issues that might interfere with the quality of responses include poorly trained raters, low-quality video recordings, and cheating. 
  • Consequences evidence looks at the impact, beneficial or harmful, of the assessment itself and the decisions and actions that result [2729].

교육자와 연구자는 평가 및 해당 결정과 가장 관련이 있는 증거를 확인한 후 이 증거를 수집하고 평가하여 타당성 주장을 공식화해야 한다. 불행하게도, 이 "5가지 근거 소스" 프레임워크는 증거 사이의 우선 순위를 정하거나, 증거를 선택하는 데 있어 불완전한 지침만을 제공한다.
Educators and researchers must identify the evidence most relevant to their assessment and corresponding decision, then collect and appraise this evidence to formulate a validity argument. Unfortunately, the “five sources of evidence” framework provides incomplete guidance in such prioritization or selection of evidence.

Kane의 최신 유효성 프레임워크는 평가 활동에서 4가지 주요 추론을 식별함으로써 우선순위 부여 문제를 다룬다(표 3). 고전적 또는 5가지 증거 소스 프레임워크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케인의 프레임워크는 용어와 개념이 완전히 새로워 처음에는 종종 도전적이다. 사실, 이 프레임워크를 학습할 때, 우리는 이전 프레임워크의 개념과 일치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오히려, 우리는 모든 평가 활동에 관련된 단계들을 개념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혁신을 시작한다.
The most recent validity framework, from Kane [10, 12, 30], addresses the issue of prioritization by identifying four key inferences in an assessment activity (Table 3). For those accustomed to the classical or five-evidence-sources framework, Kane’s framework is often challenging at first because the terminology and concepts are entirely new. In fact, when learning this framework, we have found that it helps to not attempt to match concepts with those of earlier frameworks. Rather, we begin de novo by considering conceptually the stages involved in any assessment activity.

평가는 객관식 시험 항목에 대한 답변, 실제 또는 표준화된 환자 인터뷰 또는 절차적 작업 수행과 같은 일종의 [수행performance]으로 시작한다.

  • 이 관찰에 기초하여, 우리가 성능 수준을 반영한다고 가정하는 점수 또는 서면 서술이 문서화됩니다. 
  • 여러 점수 또는 서술이 결합되어 시험 환경에서 수행능력을 반영한다고 가정하는 전체 점수 또는 해석을 생성합니다. 
  • 시험 환경에서의 수행능력은 실제 환경에서 원하는 성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그리고 그 성과는 의미 있는 결정을 내리기 위한 합리적인 근거를 구성한다고 가정한다(그림 1 참조).

An assessment starts with a performance of some kind, such as answering a multiple-choice test item, interviewing a real or standardized patient, or performing a procedural task.

  • Based on this observation, a score or written narrative is documented that we assume reflects the level of performance;
  • several scores or narratives are combined to generate an overall score or interpretation that we assume reflects the desired performance in a test setting;
  • the performance in a test setting is assumed to reflect the desired performance in a real-life setting; and
  • that performance is further assumed to constitute a rational basis for making a meaningful decision (see Fig. 1).

이러한 가정들 각각은 실제로 정당화될 수 없는 추론을 나타낸다.

  • 성과의 문서화가 부정확할 수 있다. (점수 추론)
  • 개별 점수의 합성은 원하는 시험 영역에 걸쳐 수행능력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일반화 추론). 
  • 합성 점수는 또한 실제 수행능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외삽 추론). 
  • 이 성능(시험 설정 또는 실제)은 원하는 결정을 위한 적절한 기반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함의 또는 결정 추론)

Each of these assumptions represents an inference that might not actually be justifiable.

  • The documentation of performance (scoring inference) could be inaccurate;
  • the synthesis of individual scores might not accurately reflect performance across the desired test domains (generalization inference);
  • the synthesized score also might not reflect real-life performance (extrapolation inference); and
  • this performance (in a test setting or real life) might not form a proper foundation for the desired decision (implications or decision inference).

케인의 타당성 프레임워크는 이 네 가지 추론에 대한 정당성을 명시적으로 평가한다. 우리는 케인의 프레임워크에 대해 더 알고 싶은 사람들을 그의 설명[10, 30]과 그의 최근 작품 개요[12]에 언급한다.

Kane’s validity framework explicitly evaluates the justifications for each of these four inferences. We refer those wishing to learn more about Kane’s framework to his description [10, 30] and to our recent synopsis of his work [12].

교육자들과 연구원들은 종종 얼마나 많은 타당성 증거가 필요한지 그리고 새로운 맥락에서 도구를 사용할 때 이전 검증의 증거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묻는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잘못된 결정의 위험성(즉, 평가의 "부담stakes"), 의도된 사용 및 상황적 차이의 크기와 중요성을 포함한 몇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모든 평가가 중요해야 하지만, 일부 평가 결정은 다른 평가보다 학습자의 삶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는 평가를 포함하여 더 큰 영향력 또는 더 큰 위험성을 가진 평가는 증거의 양, 품질 및 범위에 대해 더 높은 기준을 가질 가치가 있다. 엄밀히 말하면, 타당성 증거는 그것이 수집된 목적, 맥락 및 학습자 그룹에만 적용된다. 기존 증거는 평가 접근법의 선택을 안내할 수 있지만 향후 해석과 사용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Educators and researchers often ask how much validity evidence is needed and how the evidence from a previous validation applies when an instrument is used in a new context. Unfortunately,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depend on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risk of making a wrong decision (i.e., the “stakes” of the assessment), the intended use, and the magnitude and salience of contextual differences. While all assessments should be important, some assessment decisions have more impact on a learner’s life than others. Assessments with higher impact or higher risk, including those used for research purposes, merit higher standards for the quantity, quality, and breadth of evidence. Strictly speaking, validity evidence applies only to the purpose, context, and learner group in which it was collected; existing evidence might guide our choice of assessment approach but does not support our future interpretations and use.

물론, 현실에서, 우리는 타당성 주장을 구성할 때 기존 증거를 일상적으로 고려한다. 오래된 증거가 새로운 상황에 적용되는지 여부는 상황 차이가 증거의 관련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 체크리스트의 일부 항목은 서로 다른 직무에 걸쳐 관련될 수 있는 반면, 다른 항목은 직무에 특정적일 수 있다.
  • 신뢰성은 그룹마다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동질적인 학습자 사이에서 더 낮은 값을 갖는다. 
  • [맥락의 차이(입원 환자 대 외래 환자), 학습자 수준(의대학생 대 시니어 전공의), 목적]의 차이가 내용, 다른 변수와의 관계 또는 결과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f course, in practice, we routinely consider existing evidence in constructing a validity argument. Whether old evidence applies to a new situation requires a critical appraisal of how situational differences might influence the relevance of the evidence. For example,

  • some items on a checklist might be relevant across different tasks while others might be task-specific;
  • reliability can vary substantially from one group to another, with typically lower values among more homogeneous learners; and
  • differences in context (inpatient vs outpatient), learner level (junior medical student vs senior resident), and purpose might affect our interpretation of evidence of content, 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or consequences.

우리의 것과 유사한 맥락에서 수집된 증거와 다양한 맥락에서 일관된 발견은 우리의 타당성 주장을 구성하는 데 기존 증거를 포함하려는 우리의 선택을 뒷받침할 것이다.
Evidence collected in contexts similar to ours and consistent findings across a variety of contexts will support our choice to include existing evidence in constructing our validity argument.

타당성 논쟁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What do we mean by validity argument?

케인은 네 가지 핵심 추론을 명확히 하는 것 외에도 사전 "해석-사용 주장argument" 또는 "IUA"와 최종 "타당성 주장"이라는 두 가지 뚜렷한 논쟁 단계를 강조함으로써 검증 과정에서 "주장"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진전시켰다.

In addition to clarifying the four key inferences, Kane has advanced our understanding of “argument” in the validation process by emphasizing two distinct stages of argument: an up-front “interpretation-use argument” or “IUA,” and a final “validity argument.”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해석과 사용(즉, 결정)은 다수의 가정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평가의 점수를 해석할 때 시각적 표현, 시뮬레이터 제어 및 작업 자체를 포함한 시뮬레이션 작업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작업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 채점 알고리즘이 해당 작업의 중요한 요소를 설명하는지 여부 
  • 교육자 성과를 신뢰성 있게 측정하기에 충분한 과제와 과제 간 다양성이 있는지 여부 
  • 훈련생들이 목표 점수를 달성할 때까지 계속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 유익한지 여부

As noted above, all interpretations and uses—i.e., decisions—incur a number of assumptions. For example, in interpreting the scores from a virtual reality assessment, we might assume that the simulation task—includ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the simulator controls, and the task itself—has relevance to tasks of clinical significance;

  • that the scoring algorithm accounts for important elements of that task;
  • that there are enough tasks, and enough variety among tasks, to reliably gauge trainee performance; and
  • that it is beneficial to require trainees to continue practicing until they achieve a target score.

이러한 가정들은 테스트할 수 있고 테스트해야 합니다! 많은 가정이 암묵적이며 증거를 수집하거나 조사하기 전에 이를 인식하고 명시적으로 진술하는 것이 필수적인 단계이다. 의도된 용도를 지정했으면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 (a) 가능한 한 많은 [가정을 확인]한다. 
  • (b) 가장 우려되거나 의심스러운 [가정에 우선 순위]를 매긴다. 
  • (c) 각 가정의 정확성을 확인하거나 반박할 [증거를 수집하는 계획]을 세우다 

그 결과 우선 순위화된 가정과 원하는 증거 목록이 [해석-사용 주장]을 구성한다. 해석-사용 주장을 명시하는 것은 연구 가설을 진술하고 그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필요한 증거를 명확히 하는 것과 개념적으로나 중요하다.

These and other assumptions can and must be tested! Many assumptions are implicit, and recognizing and explicitly stating them before collecting or examining the evidence is an essential step. Once we have specified the intended use, we need to

  • (a) identify as many assumptions as possible,
  • (b) prioritize the most worrisome or questionable assumptions, and
  • (c) come up with a plan to collect evidence that will confirm or refute the correctness of each assumption.

The resulting prioritized list of assumptions and desired evidence constitute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Specifying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is analogous both conceptually and in importance to stating a research hypothesis and articulating the evidence required to empirically test that hypothesis.

일단 평가 계획이 구현되고 증거가 수집되면, 우리는 증거를 합성하고, 이러한 발견을 원래의 해석-사용 논쟁에서 예상한 것과 대조하고, 강점과 약점을 식별하고, 이것을 [최종 타당성 주장]으로 증류한다. 타당성 주장은 해석과 용도가 실제로 방어할 수 있다는 것(또는 중요한 갭이 남아 있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하려고 시도하지만, [잠재적 사용자들]은 [근거의 충분성]과 [bottom-line 평가]의 정확성에 관한 자신의 결론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의 일은 변호사가 배심원 앞에서 사건을 주장하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는 전략적으로 증거를 찾고 정리하고 해석하며 정직하고 완전하며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제시하지만, 궁극적으로 의도된 사용과 맥락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것은 [잠재적 사용자]라는 "배심원jury"이다. [31]

Once the evaluation plan has been implemented and evidence has been collected, we synthesize the evidence, contrast these findings with what we anticipated in the original interpretation-use argument, identify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distill this into a final validity argument. Although the validity argument attempts to persuade others that the interpretations and uses are indeed defensible—or that important gaps remain—potential users should be able to arrive at their own conclusions regarding the sufficiency of the evidence and the accuracy of the bottom-line appraisal. Our work is similar to that of an attorney arguing a case before a jury: we strategically seek, organize, and interpret the evidence and present an honest, complete, and compelling argument, yet it is the “jury” of potential users that ultimately passes judgment on validity for their intended use and context. [31]

단일 연구가 특정 결정을 뒷받침하는 데 필요한 모든 타당성 증거를 수집할 가능성은 낮다. 오히려, 다른 연구는 일반적으로 논쟁의 다른 측면을 다룰 것이며, 교육자들은 그들의 맥락과 필요에 대한 평가 도구를 선택할 때 [증거의 전체성totality]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It is unlikely that any single study will gather all the validity evidence required to support a specific decision. Rather, different studies will usually address different aspects of the argument, and educators need to consider the totality of the evidence when choosing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their context and needs.

물론, 연구원들이 단순히 증거를 수집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증거의 양뿐만 아니라 관련성, 품질 및 폭이다. 점수 신뢰성에 대한 풍부한 증거를 수집한다고 해서 내용, 관계 또는 결과에 대한 증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기존의 증거가 견고하고 엄격한 항목 개발 과정과 같이 우리의 맥락에 논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면, 그러한 노력을 복제하는 것이 최우선 순위가 아닐 수 있다. 불행하게도, 연구자들은, 종종 가정의 중요성을 의도적으로 우선시하지 못하거나 [해석-사용 주장]을 완전히 건너뛰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가정보다는 시험하기 쉬운 가정에 대한 증거를 보고할 수 있다.
Of course, it is not enough for researchers to simply collect any evidence. It is not just the quantity of evidence that matters, but also the relevance, quality, and breadth. Collecting abundant evidence of score reliability does not obviate the need for evidence about content, relationships, or consequences. Conversely, if existing evidence is robust and logically applicable to our context, such as a rigorous item development process, then replicating such efforts may not be top priority. Unfortunately, researchers often inadvertently fail to deliberately prioritize the importance of the assumptions or skip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altogether, which can result in reporting evidence for assumptions that are easy to test rather than those that are most critical.

검증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
A practical approach to validation

위의 개념들은 검증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이 과정을 실용적인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 표 4에는 위에서 설명한 타당성 프레임워크(클래식, 메식 또는 케인)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검증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접근법이 요약되어 있다. 이 섹션에서는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 예를 사용하여 이 접근 방식을 설명합니다.
Although the above concepts are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valid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be able to apply this process in practical ways. Table 4 outlines one possible approach to validation that would work with any of the validity frameworks described above (classical, Messick, or Kane). In this section, we will illustrate this approach using a hypothetical simulation-based example.

 

파트 태스크 트레이너를 사용하여 1학년 내과 레지던트에게 요추 천자(LP)를 가르치고 있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교육 세션이 끝나면 학습자가 실제 환자와 함께 안전하게 LP를 시도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평가하고자 합니다.
Imagine that we are teaching first year internal medicine residents lumbar puncture (LP) using a part-task trainer. At the end of the training session, we wish to assess whether the learners are ready to safely attempt an LP with a real patient under supervision.

 

1. 구성 및 제안된 해석을 정의합니다.
1.Define the construct and proposed interpretation

타당화는 관심 구인을 고려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LP 표시와 위험에 대한 학습자의 지식, LP 수행 능력 또는 LP를 시도할 때 비기술적 기술에 관심이 있는가? 이들은 각각 다른 평가 도구를 선택해야 하는 서로 다른 구인이다. 지식을 평가하기 위해 객관식 질문(MCQ)을 선택할 수도 있고, 부분 작업 트레이너를 사용하여 절차적 스킬을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스킬 스테이션(OSATS) [32] 또는 소생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충실도가 높은 마네킹과 비기술적 기술(NOTECHS) 척도로 비기술적 기술을 평가하기 위한 공급자 팀[33].
Validation begins by considering the construct of interest. For example, are we interested in the learners’ knowledge of LP indications and risks, their ability to perform LP, or their non-technical skills when attempting an LP? Each of these is a different construct requiring selection of a different assessment tool: we might choose multiple-choice questions (MCQs) to assess knowledge, a series of skill stations using a part-task trainer to asses procedural skill with an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Technical Skills (OSATS) [
32], or a resuscitation scenario using a high-fidelity manikin and a team of providers to assess non-technical skills with the Non-Technical Skills (NOTECHS) scale [33]


우리의 예에서, [구인]은 "LP 기술"이고 [해석]은 "학습자는 실제 환자에게 감독된 LP를 시도하기에 충분한 기본적인 LP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In our example, the construct is “LP skill” and the interpretation is that “learners have fundamental LP skills sufficient to attempt a supervised LP on a real patient.”

2. 의도된 결정을 명시합니다.
2.Make explicit the intended decision(s)

그러한 해석에 기초하여 [우리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결정]에 대한 명확한 생각이 없다면, 우리는 일관성 있는 타당성 주장을 만들 수 없을 것이다.
Without a clear idea of the decisions we anticipate making based on those interpretations, we will be unable to craft a coherent validity argument.

우리의 예에서, 우리의 [최우선 결정]은 [학습자가 실제 환자에게 감독된 LP를 시도할 수 있는 충분한 절차적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이다. 대안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다른 결정에는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성과 지점을 식별]하거나, 학습자가 [다음 교육 단계로 승진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학습자에게 [라이센스를 인증]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In our example, our foremost decision is whether the learner has sufficient procedural competence to attempt a supervised LP on a real patient. Other decisions we might alternatively consider include identifying performance points on which to offer feedback to the learner, deciding if the learner can be promoted to the next stage of training, or certifying the learner for licensure.

3. 해석-사용 주장을 정의하고, 필요한 타당성 증거의 우선 순위를 정합니다.
3.Define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and prioritize needed validity evidence

우리는 해석과 결정을 내릴 때, 많은 가정을 실행하며, 이것들은 검증되어야 한다. 주요 가정을 식별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고 우리가 찾기를 원하는 증거를 예상하면 해석-사용 논쟁의 개요를 설명할 수 있다[30].
In making our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we will invoke a number of assumptions, and these must be tested.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key assumptions and anticipating the evidence we hope to find allows us to outline an interpretation-use argument [30].

우리의 시나리오에서, 우리는 "합격"이 실제 환자에게 감독된 LP를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평가 도구를 찾고 있다. 우리는 이것이 기술 스테이션에서 학생들의 성과를 평가하는 의사를 포함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맥락에 포함된 가정은 다음과 같다.

  • 스테이션은 LP 성능에 필수적인 기술(무균 기술 또는 기구 취급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 대)을 테스트하도록 설정되었고,
  • 평가자가 적절하게 훈련되었으며,
  • 서로 다른 평가자도 유사한 점수를 줄 것이며,
  •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학습자가 첫 번째 환자 대상 시도에서 더 안전하게 수행하게 될 것이다.

In our scenario, we are looking for an assessment instrument in which a “pass” indicates competence to attempt a supervised LP on a real patient. We anticipate that this will involve a physician rating student performance on a skills station. Assumptions in this context include

  • that the station is set up to test techniques essential for LP performance (vs generic skills in sterile technique or instrument handling),
  • that the rater is properly trained,
  • that a different rater would give similar scores, and
  • that learners who score higher on the test will perform more safely on their first patient attempt.

이러한 [가정을 지지하거나 반박해야 할 수 있는 증거]를 고려하고 케인의 프레임워크를 지침으로 삼아 다음과 같은 해석-사용 주장을 제안한다. 증거가 이미 수집됐는지, 직접 수집해야 할지는 현 단계에서 알 수 없지만 최소한 무엇을 찾아야 할지는 파악했다.

  • (a)점수 매기기: 성능에 대한 관찰이 일관된 숫자 점수로 올바르게 변환됩니다. 증거는 기기 내의 항목이 LP 성능과 관련이 있고 평가자가 기기 사용 방법을 이해했으며 비디오 녹화 성능이 직접적인 관찰과 유사한 점수를 산출한다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여준다.
  • (b)일반화: 단일 성능의 점수는 테스트 설정의 전체 점수와 일치합니다. 증거는 우리가 성능을 적절하게 샘플링했다는 것(충분한 시뮬레이션 LP 수와 시뮬레이션된 환자 습관 변경과 같은 충분한 다양한 조건)과 성과 간 및 평가자 간(스테이션 간 및 평가자 간 신뢰성)을 이상적으로 보여줄 것이다.
  • (c)외삽: 평가 점수는 실제 성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증거는 기기의 점수가 절차 로그, 환자 부작용 사건 또는 감독자 등급과 같은 실제 상황에서 다른 LP 성능 측정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여준다.
  • (d)함의: 평가는 학습자, 훈련 프로그램 또는 환자에게 중요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인 영향은 미미합니다. 증거는 이상적으로 학생들이 평가 후에 더 준비가 되었다고 느끼고, 교정조치가 필요한 학생들은 이 시간이 충분히 소비되었다고 느끼고, 실제 환자의 LP 합병증은 시행 후 1년 동안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Considering the evidence we might need to support or refute these assumptions, and using Kane’s framework as a guide, we propose an interpretation-use argument as follows. We do not know at this stage whether evidence has already been collected or if we will need to collect it ourselves, but we have at least identified what to look for.

  1. (a)Scoring: the observation of performance is correctly transformed into a consistent numeric score. Evidence will ideally show that the items within the instrument are relevant to LP performance, that raters understood how to use the instrument, and that video-recording performance yields similar scores as direct observation.
  2. (b)Generalization: scores on a single performance align with overall scores in the test setting. Evidence will ideally show that we have adequately sampled performance (sufficient number of simulated LPs, and sufficient variety of conditions such as varying the simulated patient habitus) and that scores are reproducible between performances and between raters (inter-station and inter-rater reliability).
  3. (c)Extrapolation: assessment scores relate to real-world performance. Evidence will ideally show that scores from the instrument correlate with other LP performance measures in real practice, such as procedural logs, patient adverse events, or supervisor ratings.
  4. (d)Implications: the assessment has important and favorable effects on learners, training programs, or patients, and negative effects are minimal. Evidence will ideally show that students feel more prepared following the assessment, that those requiring remediation feel this time was well spent, and that LP complications in real patients decline in the year following implementation.

우리는 타당화에서 이 처음 세 단계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제안된 해석, 의도된 결정(들) 및 가정과 그에 상응하는 증거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은 그 이후의 모든 것을 위한 단계를 집합적으로 설정한다.
We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se first three steps in validation. Clearly articulating the proposed interpretations, intended decision(s), and assumptions and corresponding evidence collectively set the stage for everything that follows.

4. 후보 평가도구 식별 및/또는 새 평가도구 생성/어댑트
4.Identify candidate instruments and/or create/adapt a new instrument

우리는 목표 구인과 개념적으로 일치하는 측정 형식을 식별한 다음, 우리의 요구에 부합하거나 적응할 수 있는 기존 도구를 검색해야 한다. 엄격한 검색은 최종 평가를 뒷받침할 내용 증거를 제공합니다. 적절한 기존 평가도구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만 평가도구 개발을 해야 한다.
We should identify a measurement format that aligns conceptually with our target construct and then search for existing instruments that meet or could be adapted to our needs. A rigorous search provides content evidence to support our final assessment. Only if we cannot find an appropriate existing instrument would we develop an instrument de novo.

우리는 LP[34]에서 PGY-1의 절차적 역량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에 대한 설명을 찾는다. 체크리스트는 유사한 교육적 맥락에서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의 목적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도구를 변경하지 않고 증거를 평가하는 작업을 계속합니다.

We find a description of a checklist for assessing PGY-1’s procedural competence in LP [34]. The checklist appears well suited for our purpose, as we will be using it in a similar educational context; we thus proceed to appraising the evidence without changing the instrument.

5.기존 증거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증거를 수집합니다.
5.Appraise existing evidence and collect new evidence as needed

기존 증거는 그렇지 않지만, 엄밀히 말하면, 실제적인 목적을 위해 우리는 이 도구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 기존 증거에 크게 의존할 것이다. 물론, 우리는 우리 자신의 증거도 수집하기를 원하겠지만, 우리는 현재 이용 가능한 것에 기초해야 한다.
Although existing evidence does not, strictly speaking apply to our situation, for practical purposes we will rely heavily on existing evidence as we decide whether to use this instrument. Of course, we will want to collect our own evidence as well, but we must base our initial adoption on what is now available.

우리는 기존의 증거를 찾는 것에서부터 타당성 주장에 대한 평가를 시작한다.

  • 원본 설명[34]은 공식적인 LP 과제 분석과 전문가 합의를 통해 체크리스트 항목의 개발을 기술함으로써 채점 증거를 제공한다.
  • 평가자 간 신뢰성이 우수하여 일반화 증거를 제공하고, 경험이 많은 거주자가 체크리스트 점수가 더 높았음을 확인함으로써 제한된 외삽 증거를 추가한다.
  • 동일하거나 약간 수정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한 다른 연구는 좋은 평가자 간 신뢰성으로 추가 일반화 증거를 제공하며 [35, 36] 훈련 후 점수가 더 높고 [35, 37] 계측기가 실제 환자 LP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때 중요한 학습자 오류를 식별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외삽 증거를 제공한다[38].
  • 또한 한 연구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역량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연습 시도 횟수를 계산하여 제한적인 함의 증거를 제공했다[37]. 

We begin our appraisal of the validity argument by searching for existing evidence.

  • The original description [34] offers scoring evidence by describing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items through formal LP task analysis and expert consensus.
  • It provides generalization evidence by showing good inter-rater reliability, and adds limited extrapolation evidence by confirming that residents with more experience had higher checklist scores.
  • Other studies using the same or a slightly modified checklist provide further evidence for generalization with good inter-rater reliabilities [3536], and contribute extrapolation evidence by showing that scores are higher after training [3537] and that the instrument identified important learner errors when used to rate real patient LPs [38].
  • One study also provided limited implications evidence by counting the number of practice attempts required to attain competence in the simulation setting [37].

이러한 기존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이 도구를 처음 채택하기 전에 더 많은 증거를 수집할 계획을 세우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행하는 동안, 특히 우리가 중요한 gap을 식별한다면, 우리 자신의 증거를 수집할 것이다. 즉, 유효성 검사 프로세스의 후반 단계에서 수집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In light of these existing studies, we will not plan to collect more evidence before our initial adoption of this instrument. However, we will collect our own evidence during implementation, especially if we identify important gaps, i.e., at later stages in the validation process; see below.

6. 비용을 포함한 실질적인 문제를 추적합니다.
6.Keep track of practical issues including cost

중요하지만 종종 제대로 평가되지 않고 연구되지 않은 검증의 측면은 개발, 구현 및 점수의 해석을 둘러싼 실제 문제와 관련이 있다. 평가 절차는 뛰어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지만,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들거나, 필요한 물류나 전문성이 현지의 가용 자원을 초과하는 경우 구현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An important yet often poorly appreciated and under-studied aspect of validation concerns the practical issues surround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scores. An assessment procedure might yield outstanding data, but if it is prohibitively expensive or if logistical or expertise requirements exceed local resources, it may be impossible to implement.

LP 계측기의 경우, 한 연구[37]는 시뮬레이션 기반 LP 교육 및 평가 세션의 운영 비용을 추적했다. 저자들은 훈련된 비의사 평가자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우리가 그 기구를 시행하면서, 특히 새로운 타당성 증거를 수집한다면, 우리는 마찬가지로 돈, 인적 및 비인적 자원, 그리고 다른 실질적인 문제와 같은 비용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For the LP instrument, one study [37] tracked the costs of running a simulation-based LP training and assessment session; the authors suggested that costs could be reduced by using trained non-physician raters. As we implement the instrument, and especially if we collect fresh validity evidence, we should likewise monitor costs such as money, human and non-human resources, and other practical issues.

7.해석-사용 주장와 관련하여 타당성 인수를 공식화/합성합니다.
7.Formulate/synthesize the validity argument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이제 우리는 원하는 해석과 결정(해석-사용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사전에 식별한 증거와 사용할 수 있는 증거(유효성 주장)를 비교한다.
We now compare the evidence available (the validity argument) against the evidence we identified up-front as necessary to support the desired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우리는 합리적인 점수 매기기 및 일반화 증거, 외삽 증거의 차이(시뮬레이션과 실제 성능 간의 직접적인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음) 및 제한된 함의 증거를 찾는다. 거의 항상 그렇듯이 해석-사용 주장과 사용 가능한 증거 사이의 일치는 완벽하지 않다. 일부 갭은 남아 있고, 일부 증거는 우리가 원하는 만큼 유리하지 않다.
We find reasonable scoring and generalization evidence, a gap in the extrapolation evidence (direct comparisons between simulation and real-world performance have not been done), and limited implications evidence. As is nearly always the case, the match between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and the available evidence is not perfect; some gaps remain, and some of the evidence is not as favorable as we might wish.

8.판단을 내리십시오. 그 증거가 의도된 사용을 뒷받침합니까?
8.Make a judgment: does the evidence support the intended use?

검증의 마지막 단계는 증거의 충분성과 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즉, 타당성 주장과 관련 증거가 제안된 해석-사용 주장의 요구를 충족하는지 여부.
The final step in validation is to judge the sufficiency and suitability of evidence, i.e., whether the validity argument and the associated evidence meet the demands of the proposed interpretation-use argument.

위에서 요약한 증거를 바탕으로, 우리는 타당성 주장이 그러한 해석을 뒷받침하고 합리적으로 잘 사용하고 있으며, 체크리스트는 우리의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한다. 게다가, 비용은 지출된 노력에 비해 합리적인 것 같고, 우리는 평가자로서 훈련을 받기를 열망하는 시뮬레이션 실험실의 조수를 만날 수 있다.
Based on the evidence summarized above, we judge that the validity argument supports those interpretations and uses reasonably well, and the checklist appears suitable for our purposes. Moreover, the costs seem reasonable for the effort expended, and we have access to an assistant in the simulation laboratory who is keen to be trained as a rater.

우리는 또한 우리 기관에서 도구를 구현하면서 연구 연구를 수행하여 위에 언급된 증거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입니다. 외삽 추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평가의 점수를 진행 중인 작업 공간 기반 LP 평가와 상관시킬 계획이다. 또한 성과가 부진한 전공의에 대한 추가 훈련의 효과를 추적하여 시사점 추론을 다룰 것이다. 즉, 평가의 다운스트림 결과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학습자 모집단의 평가자 간, 사례 간 및 내부 일관성 신뢰성을 측정하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용과 실제 문제를 모니터링할 것이다.
We also plan to help resolve the evidence gaps noted above by conducting a research study as we implement the instrument at our institution. To buttress the extrapolation inference we plan to correlate scores from the simulation assessment with ongoing workplace-based LP assessments. We will also address the implications inference by tracking the effects of additional training for poor performing residents, i.e., the downstream consequences of assessment. Finally, we will measure the inter-rater, inter-case,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in our learner population, and will monitor costs and practical issues as noted above.

 

동일한 평가도구를 다른 설정에 적용
Application of the same instrument to a different setting

사고 실험으로서, 만약 우리가 [같은 기구를 다른 목적과 결정에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예를 들어, 신경과 수련생들이 [레지던시를 마칠 때 인증하는 고부담 시험의 일부]로서 위의 것들이 어떻게 전개될지 생각해 보자. 우리의 결정이 바뀌면, 우리의 해석-사용 주장도 바뀐다. 우리는 이제 [체크리스트의 "합격" 점수]가 [다양한 실제 환자에게 독립적으로 LP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난대는 증거를 찾고 있을 것이다. 우리는 다른 또는 추가적인 타당성 증거를 요구할 것이다.

  • 일반화 (연령, 신체 습관 및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시뮬레이션된 환자에 대한 분석) 
  • 외삽 (시뮬레이션과 실제 성능 사이의 더 강력한 상관 관계 찾기) 및 
  • 함의 (예: 학습자를 독립적 실천을 위한 유능 또는 무능으로 정확하게 분류하고 있었다는 증거) 

As a thought exercise, let us consider how the above would unfold if we wanted to use the same instrument for a different purpose and decision, for example as part of a high-stakes exam to certify postgraduate neurologist trainees as they finish residency. As our decision changes, so does our interpretation-use argument; we would now be searching for evidence that a “pass” score on the checklist indicates competence to independently perform LPs on a variety of real patients. We would require different or additional validity evidence, with increased emphasis on

  • generalization (sampling across simulated patients that vary in age, body habitus, and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difficulty),
  • extrapolation (looking for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simulation and real-life performance), and
  • implications evidence (e.g., evidence that we were accurately classifying learners as competent or incompetent for independent practice).

우리는 현재의 증거들이 이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으며 다음 중 하나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어야 할 것이다. 

  • (a) 우리의 요구에 부합하는 증거를 가진 새로운 도구를 찾아라. 
  • (b) 새 도구를 만들고 처음부터 증거를 수집하기 시작합니다. 
  • (c) 공백을 메우기 위해 추가 타당성 증거를 수집합니다.

We would have to conclude that the current body of evidence does not support this argument and would need to either

  • (a) find a new instrument with evidence that meets our demands,
  • (b) create a new instrument and start collecting evidence from scratch, or
  • (c) collect additional validity evidence to fill in the gaps.

이 사고 연습은 두 가지 중요한 점을 강조한다. 첫째, 의사 결정이 변경될 때 해석-사용 주장이 변경될 수 있다. 둘째, 기구 자체는 "유효"하지 않다. 오히려, 검증되는 것은 해석이나 결정이다. 동일한 증거에 기초한 타당성의 최종 판단은 제안된 결정마다 다를 수 있다.

This thought exercise highlights two important points. First,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might change when the decision changes. Second, an instrument is not “valid” in and of itself; rather, it is the interpretations or decisions that are validated. A final judgment of validity based on the same evidence may differ for different proposed decisions.

타당화에서 피해가야 할 일반적인 실수
Common mistakes to avoid in validation

당사 자체의 타당화 노력[39–41]과 타인의 작업[9, 25, 42]을 검토하면서 최종 사용자의 결과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저해하는 몇 가지 일반적인 실수를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동료 검토자에게 경고하고, 독자를 좌절시키고, 도구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보장된 10개의 실수를 제시한다.
In our own validation efforts [3941] and in reviewing the work of others [9, 25, 42], we have identified several common mistakes that undermine the end-us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the results. We present these as ten mistakes guaranteed to alarm peer reviewers, frustrate readers, and limit the uptake of an instrument.

1번 실수. 바퀴 재창조(매번 새로운 평가 작성)
Mistake 1. Reinvent the wheel (create a new assessment every time)

우리의 검토[9]는 대부분의 타당성 연구가 기존 도구를 사용하거나 채택하기보다는 새로 만들어진 도구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조를 평가하는 도구가 이미 어떤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학습자 평가를 시작할 때 완전히 처음부터 시작할 필요는 거의 없다. 기존 도구를 사용하거나 기존 도구를 사용하여 구축하면 도구를 새로 개발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우리의 결과를 다른 사람의 이전 작업과 비교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이 우리의 작업과 비교할 수 있으며, 해당 도구, 작업 또는 평가 양식에 대한 전체 증거 기반에 우리의 증거를 포함할 수 있다. OSATS [42], 복강경 수술의 기초 (FLS) [43] 및 기타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에 대한 근거 검토[9]는 모두 근거 기반에 중요한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서는 동일한 평가에서 도출된 점수, 추론 및 결정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여러 조사관의 협업 노력이 필요하다.

Our review [9] found that the vast majority of validity studies focused on a newly created instrument rather than using or adapting an existing instrument. Yet, there is rarely a need to start completely from scratch when initiating learner assessment, as instruments to assess most constructs already exist in some form. Using or building from an existing instrument

  • saves the trouble of developing an instrument de novo,
  • allows us to compare our results with prior work, and
  • permits others to compare their work with ours and
  • include our evidence in the overall evidence base for that instrument, task, or assessment modality.

Reviews of evidence for the OSATS [42], Fundamentals of Laparoscopic Surgery (FLS) [43], and other simulation-based assessments [9] all show important gaps in the evidence base. Filling these gaps will requir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multiple investigators all focused on collecting evidence for the scores, inferences, and decisions derived from the same assessment.

실수 2. 타당화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 않음
Mistake 2. Fail to use a validation framework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검증 프레임워크는 증거의 선택과 수집에 엄격함을 더하고 그렇지 않으면 놓칠 수 있는 격차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떤 프레임워크를 선택했느냐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검증 노력에 프레임워크가 적용되는 시기(이상적으로 초기)와 방식(엄정하고 완전하게)이다.
As noted above, validation frameworks add rigor to the selection and collection of evidence and help identify gaps that might otherwise be missed. More important than the framework chosen is the timing (ideally early) and manner (rigorously and completely) in which the framework is applied in the validation effort.

3번 실수. 전문가와 초보자의 비교를 타당성 논쟁의 핵심으로 삼는다.
Mistake 3. Make expert-novice comparisons the crux of the validity argument

[경험이 적은 그룹의 점수]를 [경험이 많은 그룹의 점수]와 비교하는 것(예: 의대생 대 시니어 전공의)은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는 일반적인 접근법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 연구의 73%에서 보고되었다[9]. 그러나 이 접근법은 점수 차이가 의도된 구성과 무관한 무수한 요인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약한 증거만을 제공한다[44]. 예를 들어, [봉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에서 실제로 [멸균 기술을 측정]하고 [봉합 능력 측정은 완전히 무시되었다]고 가정합니다. 만약 조사관이 3학년 의대생과 재학 중인 의사들 사이에서 실제로 이것을 시험한다면, 그는 아마도 주치의에게 유리한 상당한 차이를 발견할 것이고, 이 증거가 제안된 해석의 타당성(즉, 봉합 기술)을 뒷받침한다고 잘못 결론지을 수 있다.

Comparing the scores from a less experienced group against those from a more experienced group (e.g., medical students vs senior residents) is a common approach to collecting evidence of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reported in 73% of studies of simulation-based assessment [9]. Yet this approach provides only weak evidence because the difference in scores may arise from a myriad of factors unrelated to the intended construct [44]. To take an extreme example for illustration, suppose an assessment intended to measure suturing ability actually measured sterile technique and completely ignored suturing. If an investigator trialed this in practice among third-year medical students and attending physicians, he would most likely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favoring the attendings and might erroneously conclude that this evidence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interpretation (i.e., suturing skill).

물론, 이 가상의 예에서, 우리는 어텐딩이 봉합과 멸균 기술 모두에서 의대생보다 낫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삶에서, 우리는 [실제로 평가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전지적 지식이 부족하다. 우리가 아는 것은 오로지 시험 점수이고, 동일한 점수는 어떤 수의 기본 구조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교란confounding"의 문제(복수의 가능한 해석)는 그룹 간의 차이가 실제로 의도된 구조와 연결된다고 말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반면에 예상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면 점수 무효의 강력한 증거가 될 수 있다.

Of course, in this hypothetical example, we know that attendings are better than medical students in both suturing and sterile technique. Yet, in real life, we lack the omniscient knowledge of what is actually being assessed; we only know the test scores—and the same score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any number of underlying constructs. This problem of “confounding” (multiple possible interpretations) makes it impossible to say that any differences between groups are actually linked to the intended construct. On the other hand, failure to confirm expected differences would constitute powerful evidence of score invalidity.

쿡은 이 문제에 대한 확장된 토론과 설명을 제공했고,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연구자들이 한계를 이해한다면, 그러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 이러한 분석은 [달라야 할 집단을 구별하지 못하거나] [차이가 없어야 할 곳에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면] 가장 흥미로울 것이다. 가설상의 차이 또는 유사성의 확인은 타당성 주장에 거의 추가되지 않는다." [44]
Cook provided an extended discussion and illustration of this problem, concluding that “It is not wrong to perform such analyses, … provided researchers understand the limitations. … These analyses will be most interesting if they fail to discriminate groups that should be different, or find differences where none should exist. Confirmation of hypothesized differences or similarities adds little to the validity argument.” [44]

4번 실수. [가장 중요한 증거]보다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타당성 증거]에 초점을 맞춘다.
Mistake 4. Focus on the easily accessible validity evidence rather than the most important

검증 연구자들은 종종 쉽게 이용할 수 있거나 쉽게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에 초점을 맞춘다. 이 접근법은 이해할 수 있지만, 종종 한 소스에 대해 풍부한 유효성 증거가 보고되는 반면 동등하거나 더 중요할 수 있는 다른 소스에 대해서는 큰 증거 격차가 남아 있다. 그 예로는

  • [내부 구조]를 무시하면서 [내용 증거]를 강조하거나,
  • [평가자 간 신뢰성]이 더 중요할 때 [문항 간 신뢰도]를 보고하거나,
  •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대해 [독립적인 측정과의 상관관계]보다는 [전문가-초심자 비교를 보고하는 것]이 있다.

우리의 검토에서, 우리는 306/417(73%)의 연구가 전문가와 초보자의 비교를 보고했고, 이 중 138(45%)은 추가 증거를 보고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비해 별도의 측정으로 관계를 보고한 경우는 128명(31%), 내용증거 보고는 142명(34%), 점수 신뢰성 보고는 163명(39%)에 불과했다. 이러한 보고 패턴의 모든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부 요소(예: 전문가-노바이스 비교 데이터)를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한다.
Validation researchers often focus on data they have readily available or can easily collect. While this approach is understandable, it often results in abundant validity evidence being reported for one source while large evidence gaps remain for other sources that might be equally or more important. Examples include

  • emphasizing content evidence while neglecting internal structure,
  • reporting inter-item reliability when inter-rater reliability is more important, or
  • reporting expert-novice comparisons rather than correlations with an independent measure to support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In our review, we found that 306/417 (73%) of studies reported expert-novice comparisons, and 138 of these (45%) reported no additional evidence. By contrast, only 128 (31%) reported relationships with a separate measure, 142 (34%) reported content evidence, and 163 (39%) reported score reliability. While we do not know all the reasons for these reporting patterns, we suspect they are due at least in part to the ease with which some elements (e.g., expert-novice comparison data) can be obtained.

이것은 해석-사용 주장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진술하고, 기존의 증거와 격차를 식별하고, 가장 중요한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증거 수집을 조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learly and completely stating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identifying existing evidence and gaps, and tailoring the collection of evidence to address the most important gaps.

5번 실수. 점수 해석 및 사용보다는 평가도구에 집중
Mistake 5. Focus on the instrument rather than score interpretations and uses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타당성은 평가도구의 속성이 아니라 점수, 해석 및 용도의 속성이다. [동일한 도구]를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PSA는 임상 검사 도구로 유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전립선암 재발을 모니터링하는 데 계속 가치가 있다), 많은 타당성 증거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 점수 신뢰성은 서로 다른 모집단에 걸쳐 크게 변할 수 있으며 [44],
  • 외래 진료와 같은 한 학습 상황에 대해 설계된 평가는 병원이나 급성 치료 의료와 같은 다른 맥락과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을 수 있으며,
  • OSATS 글로벌 등급 척도와 같은 일부 도구는 새로운 작업에 대한 평가에 쉽게 적용할 수 있지만, OSATS 체크리스트와 같은 것은 그렇지 않다 [42]

물론 의과대학과 같이 한 맥락에서 수집된 증거는 레지던트 훈련과 같은 다른 맥락과 적어도 부분적인 관련성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증거가 언제 어느 정도 새로운 환경으로 전이가능한지transfer에 대한 결정은 판단의 문제이며, 이러한 판단은 잠재적으로 잘못될 수 있다.

As noted above, validity is a property of scores, interpretations, and uses, not of instruments. The same instrument can be applied to different uses (the PSA may not be useful as a clinical screening tool, but continues to have value for monitoring prostate cancer recurrence), and much validity evidence is context-dependent. For example,

  • score reliability can change substantially across different populations [44],
  • an assessment designed for one learning context such as ambulatory practice may or may not be relevant in another context such as hospital or acute care medicine, and
  • some instruments such as the OSATS global rating scale lend themselves readily to application to a new task while others such as the OSATS checklist do not [42].

Of course, evidence collected in one context, such as medical school, often has at least partial relevance to another context, such as residency training; but determinations of when and to what degree evidence transfers to a new setting are a matter of judgment, and these judgments are potentially fallible.

[해석-사용 주장]은 엄밀히 말하면 [의도된 적용의 맥락]을 명확히 하지 않고서는 적절하게 만들어질 수 없다. 연구자의 문맥과 최종 사용자의 문맥은 거의 항상 다르기 때문에 해석-사용 논쟁도 반드시 다르다. 연구자들은 [데이터 수집의 맥락]을 명확하게 명시함으로써 후속 작업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 그룹, 과제 및 의도된 사용/사용 범위, 그리고 자신의 연구 결과가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믿는 범위를 제안함으로써.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cannot, strictly speaking, be appropriately made without articulating the context of intended application. Since the researcher’s context and the end-user’s context almost always differ,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necessarily differs as well. Researchers can facilitate subsequent uptake of their work by clearly specifying the context of data collection—for example, the learner group, task, and intended use/decision—and also by proposing the scope to which they believe their findings might plausibly apply.

점수의 타당성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위에 명시된 이유로, 그러한 점수의 의도된 해석과 사용, 즉 의도된 결정을 명시하는 것이 더 낫다. 우리는 연구자와 최종 사용자(교육자) 모두가 모든 검증 단계에서 해석과 사용을 명확히 할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It is acceptable to talk about the validity of scores, but for reasons articulated above, it is better to specify the intended interpretation and use of those scores, i.e., the intended decision. We strongly encourage both researchers and end-users (educators) to articulate the interpretations and uses at every stage of validation.

6번 실수. 타당성 증거를 종합하거나 비평하지 못함
Mistake 6. Fail to synthesize or critique the validity evidence

우리는 종종 연구자들이 [증거를 합성하거나 평가하려는 시도 없이, 그저 보고하기만 하는 것]을 관찰했다. 교육자와 미래 연구자 모두 제안된 [해석-사용 주장]에 비추어 연구자가 [자신의 발견을 해석]하고, 이를 [이전 작업과 통합]하여 [현재 및 포괄적인 타당성 주장]을 만들고, [한계 및 지속적인 gap 또는 불일치를 식별]할 때 큰 이익을 얻는다. 교육자와 다른 최종 사용자도 증거에 익숙해져야 하며, 연구자의 주장을 확인하고 특정 상황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자체 판단을 공식화해야 한다.
We have often observed researchers merely report the evidence without any attempt at synthesis and appraisal. Both educators and future investigators greatly benefit when researchers interpret their findings in light of the proposed interpretation-use argument, integrate it with prior work to create a current and comprehensive validity argument, and identify shortcomings and persistent gaps or inconsistencies. Educators and other end-users must become familiar with the evidence as well, to confirm the claims of researchers and to formulate their own judgments of validity for their specific context.

7번 실수. 평가 개발을 위한 모범 사례 무시
Mistake 7. Ignore best practices for assessment development

평가 과제, 도구 및 절차의 개발, 개선 및 구현에 대한 책이 작성되었습니다 [23, 45–48]. 이러한 모범 사례를 고려하지 않고 평가를 개발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경솔한 일일 것이다. 우리는 이것들을 요약할 수 없었지만, 우리는 건강 전문 교육자들에게 특별한 인상에 대한 두 가지 권고를 강조한다. 두 가지 모두 콘텐츠 증거(클래식 또는 5가지 소스 프레임워크 기준)와 일반화 추론(케인 기준)과 관련이 있다.
Volumes have been written on the development, refinement, and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tasks, instruments, and procedures [23, 4548]. Developing or modifying an assessment without considering these best practices would be imprudent. We could not begin to summarize these, but we highlight two recommendations of particular salience to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both of which relate to content evidence (per the classic or five sources frameworks) and the generalization inference (per Kane).

첫째, [작업 또는 토픽의 표본]은 원하는 수행능력 영역을 나타내야 한다. 보건 전문가 평가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일반화 가능한 기술]이란 것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 과제에 대한 성과는 다른 과제에 대한 성과를 예측하지 못한다[49, 50]. 따라서 평가는 시나리오, 사례, 과제, 스테이션 등의 충분히 많고 광범위한 샘플을 제공해야 한다.

First, the sample of tasks or topics should represent the desired performance domain. A recurrent finding in health professions assessment is that there are few, if any, generalizable skills; performance on one task does not predict performance on another task [49, 50]. Thus, the assessment must provide a sufficiently numerous and broad sample of scenarios, cases, tasks, stations, etc.

둘째, 평가 응답 형식은 [객관화]와 [판단 또는 주관성]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51]. 체크리스트와 글로벌 등급의 장점과 단점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며, 둘 다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52]. 체크리스트는 원하는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형성적 피드백을 위한 지침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므로 평가 과제에 익숙하지 않은 평가자가 종종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체크리스트의 "객관성"은 대체로 착각이다. [53] [관찰된 행동에 대한 정확한 해석]은 여전히 [과제와 관련된 전문지식]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평가자에게 등급을 이분화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정보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각 특정 작업에 대해 새로운 점검표를 작성해야 하며, 해당 항목은 종종 임상 역량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조치를 희생하여 철저성을 보상한다. 대조적으로, 글로벌 등급은 사용하기 위해 더 큰 전문지식이 필요하지만 성능의 더 미묘한 뉘앙스를 측정하고 여러 보완적 관점을 반영할 수 있다. 글로벌 등급은 또한 OSATS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 작업에 걸쳐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최근의 체계적 검토에서, 우리는 여러 연구에서 평균을 낼 때 글로벌 등급보다 체크리스트에 대한 등급 간 신뢰성이 약간 더 높았지만, 글로벌 등급은 항목 간 및 스테이션 간 신뢰성이 더 높았다[52]. 정성적 평가는 일부 학습자의 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또 다른 옵션을 제공한다[11, 54, 55].
Second, the assessment response format should balance objectification and judgment or subjectivity [51].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hecklists and global ratings have long been debated, and it turns out that both have strengths and weaknesses [52]. Checklists outline specific criteria for desired behaviors and guidance for formative feedback, and as such can often be used by raters less familiar with the assessment task. However, the “objectivity” of checklists is largely an illusion; [53] correct interpretation of an observed behavior may yet require task-relevant expertise, and forcing raters to dichotomize ratings may result in a loss of information. Moreover, a new checklist must be created for each specific task, and the items often reward thoroughness at the expense of actions that might more accurately reflect clinical competence. By contrast, global ratings require greater expertise to use but can measure more subtle nuances of performance and reflect multiple complementary perspectives. Global ratings can also be designed for use across multiple tasks, as is the case for the OSATS. In a recent systematic review, we found slightly higher inter-rater reliability for checklists than for global ratings when averaged across studies, while global ratings had higher average inter-item and inter-station reliability [52]. Qualitative assessment offers another option for assessing some learner attributes [11, 54, 55].

8번 실수. 평가도구에 대한 세부 정보 생략
Mistake 8. Omit details about the instrument

의도된 용도를 뒷받침하는 타당성 증거와 지역 요구와 관련된 평가를 식별하는 것은 실망스러운 일이지만, 평가가 적용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세부 사항을 명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좌절스러운 일이다. 주로 누락되는 중요한 사항에는 다음이 있다.

  • 평가도구 문항의 정확한 워딩,
  • 채점 기준(rubric)
  • 학습자 또는 평가자에게 제공되는 지침,
  • 스테이션 배치에 대한 설명(예: 절차적 작업에 필요한 자료, 표준화된 환자 접견에서 참가자 교육) 
  • 사건의 순서.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창작물을 사용하고 그들의 출판물을 인용하기를 원한다. 
필요한 세부 정보가 보고될 경우 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온라인 부록은 기사 길이가 문제인 경우 인쇄 출판에 대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It is frustrating to identify an assessment with relevance to local needs and validity evidence supporting intended uses, only to find that the assessment is not specified with sufficient detail to permit application. Important omissions include

  • the precise wording of instrument items,
  • the scoring rubric,
  • instructions provided to either learners or raters, and
  • a description of station arrangements (e.g., materials required in a procedural task, participant training in a standardized patient encounter) and
  • the sequence of events.

Most researchers want others to use their creations and cite their publications; this is far more likely to occur if needed details are reported. Online appendices provide an alternative to print publication if article length is a problem.

9번 실수. 시뮬레이터/평가 기구의 가용성이 평가를 주도하도록 합니다.
Mistake 9. Let the availability of the simulator/assessment instrument drive the assessment

교육자로서, 우리는 너무 자주 [수행능력 기반 평가]가 임상실습의 목표와 더 잘 일치함에도 불구하고, [임상실습 말 평가를 위해 기성 MCQ 시험을 보는 것]과 같처럼 [평가 도구의 가용성]이 평가 프로세스를 끌어나가게 방치한다. 이 문제는 시뮬레이터의 가용성이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교육 요구에 맞는 최적의 시뮬레이션을 선택하는 것과 반대로 교육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와 더욱 복잡하다[56]. 우리는 [우리가 가르치고 있는 구조]를 [그 구조를 가장 잘 평가하는 시뮬레이터 및 평가 도구]와 일치시켜야 한다.
Too often as educators, we allow the availability of an assessment tool to drive the assessment process, such as taking an off-the-shelf MCQ exam for an end-of-clerkship assessment when a performance-based assessment might better align with clerkship objectives. This issue is further complicated with simulation-based assessments, where the availability of a simulator may drive the educational program as opposed to designing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n choosing the best simulation to fit the educational needs [56]. We should align the construct we are teaching with the simulator and assessment tool that best assess that construct.

10번 실수. 평가도구를 '타당화된'이라고 명명
Mistake 10. Label an instrument as validated

계측기를 유효하다고 레이블링하는 데는 세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 첫째, 타당성은 도구가 아니라 점수, 해석, 결정의 속성이다.
  • 둘째, 타당성은 정도의 문제이다. 예스냐 아니냐의 결정이 아니다.
  • 셋째, 타당화는 엔드포인트가 아닌 프로세스입니다.

Validated라는 단어는 [프로세스가 적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경험적 소견의 크기나 방향(지지 또는 반대)을 나타내지 않는다.
There are three problems with labeling an instrument as validated.

  • First, validity is a property of scores,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not instruments.
  • Second, validity is a matter of degree—not a yes or no decision.
  • Third, validation is a process, not an endpoint. 

The word validated means only that a process has been applied; it does not provide any details about that process nor indicate the magnitude or direction (supportive or opposing) of the empiric findings.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의 미래
The future of simulation-based assessment

우리는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의 미래를 아는 척하지 않지만, 실현되기를 바라는 여섯 가지 야심찬 개발로 결론을 내린다
Although we do not pretend to know the future of simulation-based assessment, we conclude with six aspirational developments we hope come to pass.

1.우리는 일련의 학습자 평가의 일환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는 그 자체로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지만 일반적으로 더 빈번한 평가를 예상하고 시뮬레이션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 양식 선택은 먼저 주어진 상황, 즉 학습 목표, 학습자 수준 또는 교육적 맥락에서 최선의 평가 접근법이 무엇인지 고려해야 한다. 특히 조건과 내용의 표준화가 필요한 기술 평가에서 다양한 형태의 시뮬레이션이 해답이 될 수 있다.

1.We hope to see greater use of simulation-based assessment as part of a suite of learner assessments. Simulation-based assessment should not be a goal in and of itself, but we anticipate more frequent assessment in general and believe that simulation will play a vital role. The choice of modality should first consider what is the best assessment approach in a given situation, i.e., learning objective, learner level, or educational context. Simulation in its various forms will often be the answer, especially in skill assessments requiring standardization of conditions and content.

2.우리는 시뮬레이션 기반 평가가 [테크놀로지보다는 교육적 필요성에 더 명확하게 초점]을 맞추기를 바란다. 값비싼 마네킹과 가상현실 작업 트레이너가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족발, 펜로즈 배수구, 나무 말뚝, 판지 마네킹은 더 많은 빈도와 더 적은 제약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더 실용적인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저가 모델은 전용 시뮬레이션 센터보다는 가정이나 병동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고부가가치, 비용 의식이 높은 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함에 따라[57] 혁신적인 교육자들이 저기술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을 권장한다.
2.
We hope that simulation-based assessment will focus more clearly on educational needs and less on technology. Expensive manikins and virtual reality task trainers may play a role, but pigs feet, Penrose drains, wooden pegs, and cardboard manikins may actually offer more practical utility because they can be used with greater frequency and with fewer constraints. For example, such low-cost models can be used at home or on the wards rather than in a dedicated simulation center. As we consider the need for high-value, cost-conscious education [57], we encourage innovative educators to actively seek low-tech solutions.


3. 처음 두 가지를 바탕으로, 우리는 비용이 적게 들고 덜 정교하며 덜 거슬리고 덜 거슬리는 저부담 평가가 시뮬레이션과 작업장에서 모두 더 다양한 맥락에서 더 자주 수행되기를 바란다. 슈워츠와 반 데르 블류텐이 제안했듯이, 이 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무리 잘 설계되었더라도 어떤 단일 평가보다 학습자의 완전한 그림을 그릴 것이다.
3.Building off the first two points, we hope to see less expensive, less sophisticated, less intrusive, lower-stakes assessments take place more often in a greater variety of contexts, both simulated and in the workplace. As Schuwirth and van der Vleuten have proposed [58], this model would—over time—paint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learner than any single assessment, no matter how well-designed, could likely achieve.

4.새로운 평가 도구가 더 적게 생성되고 기존 도구를 지원하고 적용하기 위해 더 많은 증거를 수집하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새로운 도구의 창조를 장려할 수 있는 힘을 높이 평가하지만, 연구자들이 [더 작은 집합의 유망한 도구]에 대해 타당성 증거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을 모으고, [다른 맥락에서 그러한 도구를 평가]하여 [증거 공백을 연속적으로 메워간다면], 이 분야가 점점 더 빠르게 발전할 것이라고 믿는다. 
4.
We hope to see fewer new assessment instruments created and more evidence collected to support and adapt existing instruments. While we appreciate the forces that might incentivize the creation of novel instruments, we believe that the field will advance farther and faster if researchers pool their efforts to extend the validity evidence for a smaller subset of promising instruments, evaluating such instruments in different contexts, and successively filling in evidence gaps.

5.우리는 평가의 결과 및 시사점을 알려주는 더 많은 증거를 보기를 바란다. 이것은 아마도 가장 중요한 증거 자료일 것이지만, 가장 자주 연구되지 않는 것 중 하나이다. 평가의 결과에 대한 연구를 위한 제안이 최근에 발표되었다[27].
5.
We hope to see more evidence informing the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of assessment. This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evidence source, yet it is among the least often studied. Suggestions for the study of the consequences of assessment have recently been published [27].

6.마지막으로, 우리는 해석-사용 주장의 더 빈번하고 명시적인 사용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초기 단계는 어렵지만 의미 있는 검증에 매우 중요하다.
6.
Finally, we hope to see more frequent and more explicit use of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As noted above, this initial step is difficult but vitally important to meaningful validation.

 

 


Adv Simul (Lond). 2016 Dec 7;1:31. doi: 10.1186/s41077-016-0033-y. eCollection 2016.

Valida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s: a primer for simulation and beyond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1Mayo Clinic Online Learning,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MN USA.

22Office of Applied Scholarship and Education Science,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Rochester, MN USA.

33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Mayo Clinic College of Medicine, Mayo 17-W, 200 First Street SW, Rochester, MN 55905 USA.

44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PMID: 29450000

PMCID: PMC5806296

DOI: 10.1186/s41077-016-0033-y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Simulation plays a vital role in health professions assessment. This review provides a primer on assessment validation for educators and education researchers. We focus on simulation-based assessment of health professionals, but the principles apply broadly to other assessment approaches and topics.

Key principles: Valid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collecting validity evidence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pretations, uses, and decisions based on assessment results. Contemporary frameworks view validity as a hypothesis, and validity evidence is collected to support or refute the validity hypothesis (i.e., that the proposed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are defensible). In validation, the educator or researcher defines the proposed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identifies and prioritizes the most questionable assumptions in making these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empirically tests those assumptions using existing or newly-collected evidence, and then summarizes the evidence as a coherent "validity argument." A framework proposed by Messick identifies potential evidence sources: content, response process, internal structure,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 Another framework proposed by Kane identifies key inferences in generating useful interpretations: scoring, generalization, extrapolation, and implications/decision. We propose an eight-step approach to validation that applies to either framework: Define the construct and proposed interpretation, make explicit the intended decision(s), define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and prioritize needed validity evidence, identify candidate instruments and/or create/adapt a new instrument, appraise existing evidence and collect new evidence as needed, keep track of practical issues, formulate the validity argument, and make a judgment: does the evidence support the intended use?

Conclusions: Rigorous validation first prioritizes and then empirically evaluates key assumptions in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assessment scores. Validation science would be improved by more explicit articulation and prioritization of the interpretation-use argument, greater use of formal validation frameworks, and more evidence informing the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of assessment.

Keywords: Content Evidence; Lumbar Puncture; Validation Framework; Validity Argument; Validity Evidence.

테크놀로지-강화 평가: 오타와 합의문과 권고(Med Teach, 2022)
Technology enhanced assessment: Ottawa consensus statement and recommendations
Richard Fullera, Viktoria C. T. Goddardb, Vishna D. Nadarajahc , Tamsin Treasure-Jonesd, Peter Yeatese , Karen Scottf , Alexandra Webbg, Krisztina Valterh and Eeva Pyoralai 

 

 

배경
Background

2011년 이전의 오타와 기술 강화 평가(TEA) 합의 성명 이후, 기술 향상은 평가 관행을 혁신할 수 있는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가능성을 실현했습니다(Amin et al. 2011). 테크놀로지와 교육의 인터페이스가 직원, 학습자 및 기관을 연결하는 학습, 교육 및 평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함에 따라 흥미로운 새로운 지평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Alexander et al. 2019). 이러한 연결성은 점점 더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빅 데이터'와 결합되어 개인화된 평가와 시기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Since the previous Ottawa Technology Enhanced Assessment (TEA) consensus statement of 2011, technology enhancements have realised previously unimagined possibilities to innovate assessment practices (Amin et al. 2011). Exciting new horizons continue to be revealed as the interface of technology and education develops new approaches to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connecting staff, learners, and institutions (Alexander et al. 2019). This connectivity, coupled with increasingly accessible ‘big data,’ presents real opportunities to deliver personalised assessment and timely feedback.

그러나 평가에서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무비판적으로 채택하는 것은 (평가 보안 및 시스템 장애에 걸친 우려에서 학문적 무결성을 포함하여 학습자와 교수진에 미치는 영향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위험을 초래한다(Andreou et al. 2021). 혁신의 기회 또는 테크놀로지의 오용 및 잘못된 적용 가능성(예: 의사 결정을 촉진하기 위한 분석 사용)은 교육이 제공되는 환경에서 학습자, 교수진 및 조직에 복잡한 [학문적 및 윤리적 딜레마]를 가져옵니다.
However, uncritical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in assessment brings substantial risk, from concerns spanning assessment security and systems failure through to their impact on learners and faculty, including academic integrity (Andreou et al. 2021). Opportunities for innovation, or the potential for misuse and misapplication of technology (for example, the use of analytics to drive decision making), bring complex academic and ethical dilemmas for learners, faculty, and organisations in settings where education is delivered.

우리는 테크놀로지를 비교적 '새로운' 구인construct으로 인식할 수도 있지만, 역사적으로 [사용 및 경험을 통해 테크놀로지를 적용할 수 있는 '규칙'을 생성하는 동시에, 테크놀로지 업그레이드 및 혁신의 역동적이고 가속화하는 지형과 씨름하면서] 혁신은 교육에 도전해 왔습니다. 테크놀로지 변화의 속도는 교육 개혁보다 훨씬 더 빠르며, 영원한 '따라잡기catch up' 감각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지속적인 도전은 이러한 변화와 함께 교육자들이 평가 관행을 혁신하고자 할 때 '정치, 교육학, 실천'의 3원적 인터페이스에 반영된다(Shum and Luck in 2019).
Whilst we might recognize technology as a relatively ‘new’ construct, innovations throughout history have challenged education as we generate ‘rules’ for its application through use and experience, whilst grappling with an increasingly dynamic, accelerating landscape of technology upgrades and innovation. The pace of change in technology continues to be much quicker than educational reform, creating a perpetual sense of ‘catch up.’ This continual challenge is reflected in the triadic interface of ‘politics, pedagogy, and practices’ as educators seek to innovate assessment practices alongside these changes (Shum and Luckin 2019).

2020년 오타와 회의 이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글로벌 혼란이 사회 모든 부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은 학습자의 세대 간 집단(학전부터 지속적인 전문적 발달까지)에 영향을 미쳐 기관이 원격/온라인 교육을 신속하게 채택하고 적응해야 한다(아리스토브니크 외 2020; 클렐란드 외 2020; 고든 외 2020; 라힘 2020; 파로키 외 2021; 그래프톤-클라케 외 2021). 평가는 특별한 과제를 보았지만 보건 전문 교육(HPE)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테크놀로지를 채택했다(Fuller et al. 2020; Hegazy et al. 2021). 예를 들어, TEA에서 '온라인 OSCE'(객관적 구조 임상 검사)(Hytönen et al. 2021; Roman et al. 2022)와 같은 새로운 담론이 등장했지만, 이는 우수한 평가 관행과 OSCE의 목적에 대한 정의나 정렬이 부족할 수 있다(Boursicot et al. 2020, 2021). 학습 분석과 같은 다른 제안된 기술 솔루션은 상당한 잠재력을 보여주지만, 현재 중요한 증거 기반이 부족하다(Sonderlund et al. 2019; Archer and Prinslo 2020). 결과적으로, 교육을 혁신하기 위한 테크놀로지 사용을 뒷받침하기 위해 더 큰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Ellaway et al. 2020), 이것은 이 새로워진 TEA 합의문을 탐구하는 데 유용한 배경을 제공한다.
Since the Ottawa conference of 2020, global disrup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continues to impact every sector of society. Education has affected a cross-generational cohort of learners (from pre-school to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necessitating institutions to rapidly adopt and adapt to remote/online education (Aristovnik et al. 2020; Cleland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Rahim 2020; Farrokhi et al. 2021; Grafton-Clarke et al. 2021). Assessment has seen particular challenges but has embraced technology to deliver creative, innovative solution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Fuller et al. 2020; Hegazy et al. 2021). Whilst new discourses have emerged in TEA, for example, the ‘online OS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Hytönen et al. 2021; Roman et al. 2022), these may lack definition or alignment to good assessment practice and the purpose of the OSCE (Boursicot et al. 2020, 2021). Other proposed technology solutions, such as learning analytics show significant potential, but currently lack a critical evidence base (Sonderlund et al. 2019; Archer and Prinsloo 2020). Consequently, calls have emerged for a greater scholarship to underpin the use of technology to innovate education (Ellaway et al. 2020), and this provides a helpful backdrop to explore this refreshed TEA consensus statement.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볼 수 있을까? 2011년 컨센서스와 새로운 10년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로부터의 교훈
Looking back to the future? Lessons from the 2011 consensus and a refreshed framework for a new decade

이전의 Ottawa TEA 컨센서스에 의해 예측된 많은 [테크놀로지 혁신]은 이제 평가의 게이미피케이션에서 증가하는 추세와 함께 일상적인 교육 관행(가상 학습 환경, 컴퓨터 기반 평가, 시뮬레이션 및 마네킹 포함)으로 인식될 수 있다(Wang et al. 2016; Prochazkova et al. 2019; Tsoy et al. 2019; Tu.tie et al. 2020; Roman et al. 2022). 또한 지난 10년간 [모바일 기술]의 급속한 확산은 학습자가 임상 작업장에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지만 학생, 임상 교사, 의료 전문가, 환자와 보호자 사이에 긴장을 조성했다(Scott et al. 2017; Harrison et al. 2019; Folger et al. 2021).
Many of the technology innovations forecasted by the previous Ottawa TEA consensus may now be perceived as everyday education practice (including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computer-based assessment, simulation, and mannequins) with growing trends in the gamification of assessment (Wang et al. 2016; Prochazkova et al. 2019; Tsoy et al. 2019; Tuti et al. 2020; Roman et al. 2022). Furthermore, the rapid spread of mobile technology over the past decade has provided learners opportunities to retrieve information in the clinical workplace but has also created tensions between students, clinical teachers,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and carers (Scott et al. 2017; Harrison et al. 2019; Folger et al. 2021).

그러나 [자원과 테크놀로지의 한계]는 [일부 기관이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필요로 하는 교수, 학습 및 평가 관행을 구현할 수 없음을 의미함]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가, 모든 학생들이 최신 테크놀로지에 접근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테크놀로지 강화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매개로 이미 고착화된 [저자원 환경과 고자원 환경] 간의 격차를 확대한다(Aristovnik et al. 2020). 이전의 합의 이후, 더 넓은 사회에서 등장한 많은 광범위한 '하드웨어' 솔루션은 학습을 평가하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예를 들면 OSCE(Judd 등 2017; Daniels 등)에서의 태블릿 기반 표시와 직장에서의 스마트폰 지원 평가(Mooney 등 2014; Joynes 및 Fuller 2016)와 같은 것이 있다.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se that resource and technology limitations mean that some institutions have been unable to implement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practices that require new technology. In addition, not all students have access to the latest technology. These factors widen an already established disparity between lower and higher-resourced environments through access to technology-enhanced learning (Aristovnik et al. 2020). Since the previous consensus, many of the broader ‘hardware’ solutions that have emerged in wider society have radically changed how we can assess learning, e.g. tablet-based marking in OSCEs (Judd et al. 2017; Daniels et al. 2019) and smartphone assisted assessment in the workplace (Mooney et al. 2014; Joynes and Fuller 2016).

[테크놀로지 '도구tools']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유혹적이지만,이전 오타와 프레임워크의 핵심 개념 중 일부는 구현과 연구 질문의 최전선에 남아 있으며, 특히 다음과 관련된다.

  • 온라인 환경에서 [기존 평가 과제와 관행을 복제]하기 위한 기술 적용('변환transmediation') 또는
  • 시험 및 채점 [속도를 높이는 테크놀로지-지원 평가 도구 사용]의 효율성 향상('보조기구prosthesis'). 

Whilst it is tempting to explore a focus on technology ‘tools,’ some of the key concepts from the previous Ottawa framework remain at the forefront of implementation and research questions, particularly relating

  • to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to replicate the existing assessment assignments and practices in an online environment (‘transmediation’) or
  • to the efficiency in the use of technology-assisted assessment tools that speed up examinations and grading (‘prosthesis’).

TEA는 실생활에서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행동의 조합 또는 학생의 역량에 대한 진정한authentic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되었다(Gulikers et al. 2004). 그러나 [의도하지 않은 구조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평가] 또는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참여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 관행으로부터의 deviation]으로 인해서, [TEA를 통한 진정한 평가]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높다. 2011년 프레임워크는 또한 고비용 및 충실도 평가 기술 관행의 일부 과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특히 학습자와 기관 간의 디지털 불평등의 출현과 이해로 인해 현재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UNESCO 2018). 10년간의 혁신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평가의 진실성과 학습의 영향을 둘러싼 몇 가지 핵심 질문이 우리의 생각의 최전선에 남아 있다.
TEA has been suggested to provide authentic assessments (Gulikers et al. 2004) of students' competencies or combinations of knowledge, skills, and behaviours required in real life. However, the risks to authentic assessment through TEA remain high, either through unintentional assessment of unintended constructs, or deviation from real-life practices that consequently affect learner engagement and behaviours. The 2011 framework also focused on some of the challenges of high cost and high-fidelity assessment technology practices—now particularly challenged by the emergence, and understanding, of digital inequity amongst learners and institutions (UNESCO 2018). Despite ten years of innovation and scholarship, some of the key questions posed, surrounding the authenticity of assessment and the impact of learning remain at the forefront of our thinking.

이러한 교훈을 바탕으로, 이 새로워진 프레임워크는 평가가 이루어지는 더 넓은 환경에서 평가, 기술 및 교육 관행에 걸친 광범위한 범위에서 도출된다. 2010-2020년(Auxier et al. 2019)을 형성한 확립된 (교육) 테크놀로지과 능동적 학습의 실천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 및 이론을 모두 반영한다.
Drawing on these lessons, this refreshed framework draws from broad scoping across assessment, technology, and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wider environment in which assessment takes place. It draws on a reflection of both the established (educational) technology that shaped the 2010–2020 decade (Auxier et al. 2019), emergent technologies, and theories that underpin the practice of active learning.

2020년 오타와 컨퍼런스 및 후속 공개 컨설팅 및 워크숍의 직접 워크숍 피드백에 민감한 합의 프레임워크는 다음의 세 가지 핵심 단계로 나뉜다.

  • (1) 기술 채택 준비,
  • (2) 평가 라이프사이클에 적용(대표적 사례 연구 포함)
  • (3) TEA의 평가와 확산을 위한 프로세스 

Sensitised by feedback from in-person workshops in the 2020 Ottawa Conference and subsequent open consultation and workshops, the consensus framework is divided into three key stages, spanning

  • (1) readiness for technology adoption,
  • (2) its application to the assessment lifecycle (supported by illustrative case studies), and
  • (3) processes for evaluation and dissemination of TEA.

1단계: 평가 개선을 위한 기술 채택 준비 상태 평가
STAGE 1: Assessing readiness to adopt technology to enhance assessment

기술은 최근 HPE의 학습 및 평가에 대한 많은 COVID 관련 과제에 대한 공통적인 해결책으로, 학회 및 저널 플랫폼에 걸쳐 개별 기관 반응을 보여주는 전체 범위의 학술 커뮤니케이션(예: Khalaf et al. 2020; Jaap et al. 2021)이 있다. 그러나 다른 저자들은 코로나 이전에 존재했던 교육 관행에 대한 많은 우려가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해결될 가능성이 낮다고 강조했다(Ellaway et al. 2020). 게다가, 테크놀로지는 형편없는 평가 관행의 영향과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자동화된 프로세스는 '버튼을 누르면' 상당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예: 부정확한 점수 보고를 통해) 평가 프로세스 주변의 학습자와 교직원의 신뢰에 장기적인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Technology has been a common solution to many of the recent COVID-related challenges to learning and assessment in HPE, with a whole range of scholarly communications illustrating individual institutional responses across conference and journal platforms (e.g. Khalaf et al. 2020; Jaap et al. 2021). However, other authors have highlighted that many of the concerns around educational practice that existed pre-COVID are unlikely to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se approaches (Ellaway et al. 2020). Moreover, technology may increase the impact and risk of poor assessment practises. Automated processes may ‘at the push of a button’ generate a substantial error (e.g. through inaccurate score reporting), causing long-lasting damage to learner and faculty trust around assessment processes.

이전 섹션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평가에서 테크놀로지를 무비판적으로 도입한다는 것은 [잠재적 편익]이 다양한 [잠재적 단점(학업적, 재정적, 제도적)]으로 상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테크놀로지 도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평가'를 통해 차선의 평가 관행을 파악하고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As identified in the previous section, non-critical adoption of technology in assessment means potential benefits could be offset by a range of potential disadvantages (academic, financial, and institutional). Critical to the adoption of technology is the need to ‘assess assessment,’ to ensure that any sub-optimal assessment practices are identified and resolved.

이 오타와 합의의 핵심 권고 사항 중 하나는 '기술은 제쳐두고' TEA와 관련된 네 가지 중요한 영역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 기존 평가 관행의 품질
  • TEA 도입의 목적
  • 디지털 형평성에 관한 당면 과제 
  • 테크놀로지를 채택할 수 있는 제도적 역량

One of the key recommendations of this Ottawa consensus is to ‘put aside the technology’ and investigate four critical areas associated with TEA:

  • The quality of existing assessment practice
  • The purpose of introducing TEA
  • Engagement with digital equity challenges
  • Institutional capacity to adopt technology

목적에 맞는 평가?
Assessment fit for purpose?

[기존 평가 프로세스에 대한 검토는 TEA 채택 준비의 핵심]이며, 다음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 단순히 평가 '도구'뿐만 아니라,
  • 보다 광범위한 평가 프로그램과 그것의 이론적 기반
  • 평가 제공에 사용된 기존 테크놀로지(예: 강의실 데스크톱 또는 개인용 노트북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 를 포함하여
  •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캠퍼스/임상 실습/학습자의 개인 공간)

A review of existing assessment processes is central to readiness for adoption of TEA, and should focus

  • not just on assessment ‘tools,’
  • but the wider programme of assessment, its theoretical underpinning and
  • environments in which assessment may be undertaken (campus/clinical practice/learners’ personal space)
  • including any existing technology used to deliver assessment (e.g. classroom desktop or personal laptop computers, or mobile devices).

광범위한 전문가, 목적 적합 규격 및 지침이 이 평가 검토를 지원해야 한다(Norcini et al. 2018; Boursicot et al. 2021; Heeneman et al. 2021; Torre et al. 2021). 시작시에 '평가를 평가하는 것assessing assessment'는 평가가 기존 형식에서 목적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테크놀로지 채택 전에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함정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평가 관행의 개선을 탐구할 기회를 마련하거나 이 검토의 다음 권고사항에 중심이 될 새로운 개발을 식별한다.

A broad range of expert, fit-for-purpose specifications and guidance should support this assessment review (Norcini et al. 2018; Boursicot et al. 2021; Heeneman et al. 2021; Torre et al. 2021). ‘Assessing assessment’ at the outset helps not just ensure that assessment is fit for purpose in its existing format but identifies potential pitfalls that can be resolved in advance of technology adoption. It also establishes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enhancement of assessment practices or identifies new developments that will be central to the next recommendation of this review.

TEA를 채택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purpose of adopting TEA?

TEA 도입에 앞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모든 교육 테크놀로지와 마찬가지로, 이 테크놀로지가 학생들의 학습과 이를 지원하는 교수진의 능력을 어느 정도까지 향상시킬 것인가이다(Fuller and Joynes 2015). TEA의 목적이 단지 동일한 평가의 종이 버전을 '대체'하는 것이라면, 평가가 기술에 의해 '향상'될 것이라는 주장은 이미 잃어버린 것과 마찬가지다. 또한 비용이 많이 드는 실수이거나, 더 나쁜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허영 프로젝트'로 인식될 경우 평판 훼손이 더 오래 지속된다. 대신, 교육자로서, 우리는 과정 내용, 학습 활동, 제안된 평가 및 원하는 과정 결과 간의 정렬을 살펴봄으로써 모든 잘 이론화된 교육 발전을 안내하는 원칙으로 돌아가야 한다(Biggs and Tang 2011; Villaroel et al. 2019). 학습자들은 그들이 배우기 위해 하는 일에 의미를 부여한다. 따라서 교수진은 특정 평가 방법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학습 성과 달성을 촉진하는 학습 활동과 평가 과제를 의도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The overriding question ahead of the introduction of TEA should be, as with all educational technology, to what extent will the technology enhance students’ learning and faculty’s ability to support this? (Fuller and Joynes 2015). If the purpose of TEA is only to ‘replace’ a paper version of the same assessment, the argument that the assessment would be ‘enhanced’ by technology is already lost, and could likely be an expensive mistake or worse, have longer lasting reputational damage if perceived as a ‘vanity project.’ Instead, as educators, we need to return to the principles that guide all well-theorised educational developments, looking at alignment between course content, learning activities, the proposed assessment, and the desired outcomes of the course (Biggs and Tang 2011; Villarroel et al. 2019). Learners build meaning on what they do to learn. Thus, faculty should intentionally design 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 tasks that foster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utcomes, rather than focussing on implementing specific assessment methods.

[교육학에서 informed된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팀은 테크놀로지 투자가 (일회성 맞춤형 요소든 프로그램적 접근 방식이든) 자신의 코스에 가장 유의미한 부분이 어딜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편적인 투자는 거의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학습자와 교수진이 커리큘럼의 단일 영역에서 여러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요청받을 위험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부담 평가를 수반하는 경우, 학습자에게 상당한 인지 부하로 이어질 수 있다(Davies et al. 2010). 새롭고 유망한 테크놀로지가 등장할 때, 평가를 강화하기 위해 이를 도입하려는 결정은 거의 즉시 이루어지지 않으며, 잠재적으로 혁신을 지연시킨다. 그러나 동일한 우려 사항은, (테크놀로지가) 단순히 평가 측면에서 수행되고 있는 것을 '대체'하는 것을 넘어 practice를 발전시키는 데 실패했다는 것입니다.
Using an approach informed by pedagogy will enable teams to look at where investment in technology will be the most meaningful to their courses, either as a one-off bespoke element or as a programmatic approach. Nevertheless, it is worth noting that piecemeal investment is rarely sustainable and risks learners and faculty being asked to learn how to use multiple tools in a single area of a curriculum. If they involve high-stakes assessments, this can lead to a significant cognitive load on learners (Davies et al. 2010). When new and promising technology emerges, decisions to introduce it to enhance assessment are rarely immediate, potentially delaying innovation. However, of equal concern is a failure to evolve practices beyond merely ‘replacing’ what is, and has always been, done in terms of assessment.

주어진 기관에서 TEA의 목적을 고려할 때, 주목할 만한 교육적 설계를 위한 더 넓은 기회가 있다. 소규모 또는 대규모 평가 변경을 가져올 때, 예를 들어, [몰입형 설계의 도입]과 심지어 [평가의 공동 제작]을 통한 과정의 광범위한 전환 측면에서 이점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가 그 결과에 투자하고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평가가 자신들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행해지는 것이라고 느끼게 만드는] 것을 줄여준다. 평가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함으로써, 평가 프로세스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떤 학습과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회]도 강화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TEA 도입의 긍정적인 부산물이지 도입의 동력이라고 보아서는 안 된다.
Within considerations of the purpose of TEA in any given institution, there are wider opportunities for an educational design that are worth noting. When bringing in either small or large-scale assessment change, it is possible to leverage benefits from the process in terms of wider course transformation through, for example, the introduction of immersive design and even co-production of assessment so that both educators and learners are invested and engaged with the result (Holmboe 2017; Cumbo and Selwyn 2022). This moves away from the perennial challenge of learners feeling that assessment is something that is done ‘to’ them, rather than done ‘with’ the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n assessment, there are also enhanced opportunities to use the data which are gathered through the assessment processes to explore what learning and feedback is taking place. Nevertheless, this should be seen as a positive by-product of the introduction of TEA and not the driving force for its introduction.

TEA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데 존재하는 광범위한 기회 내에서, 우리는 또한 그러한 도입이 가져오는 도전을 인식해야 한다. 차세대 학습자가 개인 생활에서 모바일 기기를 유창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 및 평가에서 새로운 기술을 쉽게 수용하는 이른바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신념을 수용하는 것을 피해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Tapscott 1998; Prensky 2001; Bennett et. 2008; Jones 2010; Jones et. 2010). 학습자와 교수진의 테크놀로지 몰입도는 높아졌지만, 이는 주로 [사회적/개인적 공간]에 존재한다.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학습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 사이의 격차는 이전 연구에서 보고되었다(Selwyn 2010; Pyörä et al. 2019). 따라서 HPE는 여전히 모든 학습자와 교육자가 필요로 하는 지원에 초점을 맞춰 TEA를 효과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Within the broader opportunities that exist in developing TEA processes, we must also be cognisant of the challenges such introduction brings. There is a continued need to avoid embracing the myth that the next generation of learners are so-called ‘digital natives’ who easily embrace the use of new technology in learning and assessment because they use mobile devices fluently in their personal lives (Tapscott 1998; Prensky 2001; Bennett et al. 2008; Jones 2010; Jones et al. 2010). Whilst learners and faculty have increased technology immersion, this primarily exists in their social/personal spaces; gaps between their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their daily life and in learning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Selwyn 2010; Pyörälä et al. 2019). HPE therefore still needs to focus on the support that all learners and educators will need, to make TEA effective.

또한 TEA의 도입은 이미 큰 성취 격차를 더 벌릴 위험도 있다. 한 기관의 다른 [학습자 그룹 간] 또는 [기관 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Rahim 2020; Hegazy et al. 2021). (이전 교육을 통해 또는 HPE 내에서) 더 나은 IT 시스템, 지원 및 연결성에 [이미 접근하고 있는 사람들]은 [기본적 인프라에서 불안정을 겪거나 박탈에 직면한 사람들]보다 TEA를 도입/채택하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Aristovnik et al. 2020). 기관들과 교육자들은 필연적으로 그들 자신의 지역적 과제에 집중하게 될 것이지만, TEA의 도입으로 제기되는 더 큰 질문 중 하나는 [디지털 형평성]을 촉진하는 기술 변화를 어떻게 바꿔나가고 주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There is also a risk that the introduction of TEA will widen the already large attainment gaps, between different groups of learners in an institution or between/across institutions (Rahim 2020; Hegazy et al. 2021). Those already with access to better IT systems, support, and connectivity (either through their previous education or within HPE) will find TEA easier to introduce/adopt than those who face instability or deprivation in the basic infrastructure (Aristovnik et al. 2020). While institutions and educators will inevitably be focused on their own local challenges, one of the larger questions posed by the introduction of TEA is how we could steer and drive technology change that promotes digital equity.

TEA에서 디지털 형평성의 중요성은?
The importance of digital equity within TEA?


개별 프로그램 수준에서 TEA는 모든 학습자가 필요한 테크놀로지와 온라인 테크놀로지에 대한 [동등한 접근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모든 학습자의 [디지털 형평성]을 보장해야 한다(Alexander et al. 2019). 따라서 온라인 평가를 구현할 때 학습자(및 교수진) 간의 기술적 차이를 제한하기 위해 디지털 형평성을 보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전략은 학습에 사용되는 장치의 카파시티, 학습(즉, 장치 생성), 운영 체제(예: iOS, Android) 및 필요한 액세서리(예: 카메라, 마이크)를 고려해야 한다. 이 전략은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이 특정 업무와 기술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각 [온라인 평가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포함해야 한다(Bennett et al. 2008). TEA에 대한 디지털 형평성 보장은 한 기관의 프로그램 내에서 학습자 또는 전국적으로 기관 면허/전문 평가를 받기 위해 앉아 있는 피평가자에게 [평가 동등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단계이다(Wilkinson and Nadarajah 2021).
At an individual programme level, TEA needs to ensure the digital equity of all learners to ensure they have the required skills and comparable access to online technology (Alexander et al. 2019). When implementing online assessments, a strategy that ensures digital equity is therefore needed to limit the technological differences between learners (and faculty). Strategies need to consider the capacity of devices used for learning (i.e. the generation of devices), operating systems (e.g. iOS, Android), and accessories required (e.g. camera, microphone). The strategy ought to include the digital capabilities students need for each online assessment, given that students’ digital capabilities relate to specific tasks and technologies (Bennett et al. 2008). Ensuring digital equity for TEA is a crucial step to ensuring assessment equivalence for learners within a programme in one institution or for candidates sitting for licencing/professional assessments across institutions nationally (Wilkinson and Nadarajah 2021).

[디지털 형평성]은 학생들의 기존 기기와 디지털 역량 내에서 작동하는 온라인 평가와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구매해야 하는 학생들을 위한 능력과 비용에 이르는 기기를 나열하는 기기 사양을 통해 강화될 수 있다. BYOD(Bring Your Own Device) 평가의 성공적인 성장은 공동 생성 및 학습자 연결을 촉진하는 학습자가 보유한 커뮤니티 기반 기술의 신중한 사용에 의존했습니다(Sundgren 2017). 가정 내 온라인 평가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고속 인터넷 연결의 용량과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Digital equity can be enhanced through online assessments that operate on students’ existing devices and within their digital capabilities, and a device specification that lists devices ranging in capability and cost for students who need to purchase new technology. The successful growth of BYOD (Bring Your Own Device) assessments relied on the deliberate use of community-based technologies, held by learners, that facilitate co-creation and learner connectivity (Sundgren 2017). A programme involving in-home online assessments needs to consider the capacity and stability of learners’ high-speed internet connectivity.

그러나, 세계 다른 지역에 위치한 기관들 간의 형평성을 보장하는 TEA의 능력에 대한 더 광범위한 질문이 있으며, 이는 여기서 만들어진 권고안이 [저자원 기관]을 뒤처지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명시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유네스코는 디지털 접근성에는 두 가지 차원이 있다고 언급했다.

  • 기술적(장치의 연결과 용량을 위한 인프라) 차원
  • 사회경제적(저렴성과 학생의 디지털 능력) 차원

[테크놀로지에 대한 불평등한 접근]과 그에 따른 TEA는 [지역사회 간 및 지역사회 내의 기존 소득 및 자원 불평등]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악화시킬 수 있다(UNESCO 2018). 인터넷 사용률이 높은 지역 내에서도 소외된 지역사회는 기회를 놓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욕에서는 25%의 가정이 인터넷 접속이 없다(Mozilla 2017). 개별 기관만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 같지만, TEA에서 기술 사용이 잘 될 때,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다른 프로그램이 비용이 많이 드는 실수를 하지 않도록 돕기 위해 다양한 기술 솔루션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사람들이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owever, there are broader questions around the ability of TEA to ensure equity between institutions situated in different parts of the globe, and these need explicit discussion to ensure that recommendations made here do not leave lower resourced institutions behind. UNESCO noted that there are two dimensions to digital accessibility:

  • technical (infrastructure for connectivity and capacity of devices) and
  • socio-economic (affordability and students’ digital capabilities).

Unequal access to technologies and subsequently to TEA is linked to and can exacerbate, existing inequalities of income and resources between and within communities (UNESCO 2018). Even within areas of high internet use, marginalised communities may be missing out on opportunities; for example, in New York, 25% of homes have no internet access (Mozilla 2017). While individual institutions are unlikely to be able to solve these issues alone, it is vital that those who are able to trial different technological solutions share their results when the use of technology in TEA goes well—and even more importantly, when it goes less well, to help other programmes avoid making costly mistakes.

프로그램, 인력, 제품 및 프로세스?
Programmes, people, products, and processes?

성명서 작성자 및 워크숍 참석자 중 많은 사람의 경험에 비추어 보았을 때, 테크놀로지 채택을 준비할 때 [의도된 결과]보다는 [테크놀로지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 이 접근 방식이 위험한 이유는 테크놀로지는 활성화자enabler가 아니라 [그 자체가 평가 향상의 초점이자 동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또한 개인적인 선호와 이전의 경험에 기초하여 특정 기술 제공자, 제품 또는 솔루션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추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권고안은 TEA를 채택할 때 포괄적인 팀 기반 접근법으로 '4P' 접근법(프로그램, 인력, 프로세스 및 제품)을 제안한다.
Based on the experiences of many of the statement’s authors and workshop attendees, considerations regarding readiness to adopt technology are often focused on the technology itself rather than the intended outcome. The risk of this approach is that the technology becomes the focus and driver of assessment enhancement rather than the enabler. This approach may also result in an over-focus on a particular technology provider, product, or solution based on personal preferences and previous experiences. To avoid this, this recommendation proposes a ‘4P’ approach (Programmes, People, Processes, and Products) as a comprehensive team-based approach when adopting TEA.

프로그램
Programmes

첫 번째로 [맥락과 교육적 요구]의 프레임에 넣어야 한다. 평가 Blueprint는 현재 구현 격차, 기술 솔루션(있는 경우), 리스크 평가 및 필요한 리소스를 포함하도록 더욱 확장될 수 있습니다. 위험 평가에는 규제 준수에 대한

  • 로컬(새로운 형식/승인 일정을 변경/도입하는 과제)과
  • 외부(해당되는 경우 국가 및/또는 규제 요건에 대한 지속적인 준수) 및
  • 자원(기반시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이 포함되어야 한다.

the first area of consideration should frame the context and educational need. Assessment blueprints can be further expanded to include

  • current implementation gaps,
  • technological solutions (if any),
  • risk assessment, and
  • resources needed.

Risk assessments should include

  • the impact on regulatory compliance locally (challenges of switching/introducing new formats/approval timelines) and
  • (compliance) externally (where appropriate, continued compliance with national and/or regulatory requirements), and
  • resources (upgrading infrastructure, hardware, or software).

사람
People

성공적인 구현을 이루려면, 변화 관리의 우선 순위는 항상 사람에게 집중됩니다(Er et al. 2019). 평가 강화와 관련하여 참여해야 할 인력은 [교수진, 전문 지원 인력(예: 시험장, IT) 및 학생] 등 세 그룹으로 구성됩니다. 이 계약에는 개선과 관련된 새로운 스킬과 관련된 교육 및 파일럿 개발 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학습자와 전문 지원 인력의 참여는 끝이 아니라 [프로젝트의 시작]에 참여해야 합니다. 학생들은 평가 향상과 협력하거나 공동 개발을 위해 성공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Er. et al. 2019, 2020).
Priorities for change management always focus on people, as their buy-in, participation, and feedback are crucial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Er et al. 2019). In the context of enhancing assessments, there are three groups of people to engage with: faculty, professional support staff (e.g. exam office, IT), and students. It is critical that this engagement includes training related to any new skill sets related to the enhancement and opportunities to give feedback after pilot developments. Similarly, the engagement of learners and professional support staff should be genuine, with their involvement at the start of the project rather than the end. Students can be successfully co-opted to partner with or co-develop the assessment enhancements (Er et al. 2019, 2020).

과정
Processes

평가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관련 이해 관계자들 간에 공유해야 하는 [내부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그러나 평가를 위해 테크놀로지가 사용되거나 추가될 때, 종종 파편적이거나 직접적인 '잘라서 붙여넣기 접근법'(전환)을 하는 함정에 빠질 수 있다. [평가 데이터 관리]는 특히 이러한 프로세스의 변화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레벨에서 [평가 데이터 거버넌스, 보안, 전송 및 보고]에 대한 테크놀로지 향상의 영향을 검토하면 데이터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고, 테크놀로지 평가의 실패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To implement assessments efficiently, there are internal processes that should be shared across relevant stakeholders. However, when technology is used or added for assessments, process change pitfalls often include piecemeal or direct ‘cut and paste approaches’ (transmediation). Assessment data management can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changes in such processes. A review of the impact of the technology enhancement on assessment data governance, security, transfer, and reporting at different levels can help enable data interoperability and reduce risks of technology assessment failure.

상품들
Products

기술 제품의 선택은 [업무 범위, 접근성, 기관의 지불가능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자에 기반한 평가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외부 조직과 구매, 구축 또는 파트너 관계를 결정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모든 제품을 선택할 때, 기존의 제도적 기술(예: MS Office와 같은 일상적 제품의 모든 능력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기회)과 이미 개인 및 전문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테크놀로지를 갖춘 '현대 전문 학습 도구 키트'의 개념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Hart 2021).
The selection of the technology product depends on its alignment to the scope of work, accessibility, and affordability to the institution. An evaluation based on the former can lead to the decision to buy, build or partner with an external organisation to develop the product. In the selection of any product, careful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the utilisation of existing institutional technology (e.g. opportunities to better leverage the full abilities of everyday products, such as MS Office) and the concept of the ‘modern professional learner’s toolkit’ with an extensive range of technology already available to support personal and professional learning (Hart 2021). 

https://www.toptools4learning.com/

2단계: '평가 라이프사이클' 내 기술 적용
STAGE 2: Applying technology within the ‘assessment lifecycle’

이 논문은 다른 최근의 오타와 합의 진술과 함께 기술을 통한 평가 향상을 안내하는 핵심 원칙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보다 광범위한 고등교육 평가 라이프사이클 모델을 지원으로 채택하는 것은 의도적인 것으로, 이 합의의 다중 교육 맥락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극대화한다. 라이프사이클은 평가의 이해관계와 목적에 관계없이 평가에 관련된 모든 핵심 프로세스에 대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헬리콥터 뷰'를 제공합니다. 라이프사이클 프로세스는 반복적이며, 평가 설계, 스케줄링 및 전달을 무결성 및 행동, 조정 및 학생 진행 추적(JISC 2016)을 둘러싼 주요 학문적 프로세스까지 포괄하는 품질 개선 접근 방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림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In keeping with other recent Ottawa consensus statements, this paper provides a framework of core principles to guide the enhancement of assessment with technology. Adopting a broader Higher Education assessment lifecycle model as support is intentional, maximising the applicability of this consensus to multiple educational contexts. The lifecycle provides a readily identifiable ‘helicopter view’ of all key processes involved in assessment, whatever the stakes and purpose of the assessment. The lifecycle process is iterative, enabling a quality improvement approach that spans assessment design, scheduling, and delivery through to key academic processes surrounding integrity and conduct, moderation, and student progress tracking (JISC 2016). As demonstrated in Figure 1:

 

이 라이프사이클 접근 방식은 [평가 '도구']에서 [우수한 평가의 시스템과 프로그램], 특히 프로그램 평가에서 볼 수 있는 [전체론적 접근 방식]으로 HPE의 초점 변화를 반영한다(Heeneman et al. 2021). 의료 교육에서 라이프사이클은 OSCE와 같은 복잡한 평가 개입의 설계 및 전달에도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TEA의 컨텍스트에 적용되는 라이프사이클은 [5가지 핵심 초점]과 적용 대상을 제공합니다.

  • 평가의 Authenticity 향상(대원칙)
  • 학습자를 평가에 참여시킵니다.
  • 설계 및 스케줄링을 강화한다.
  • 평가 전달 및 학습자 성과 기록을 최적화한다.
  • 학습자 진행 과정 및 교수진 활동을 트래킹한다 —종방향 학습 및 지속적인 평가 지원.


This lifecycle approach reflects the changing focus in HPE from assessment ‘tools’ to systems and programmes of good assessment, particularly the holistic approach seen in programmatic assessment (Heeneman et al. 2021). Within medical education, the lifecycle has also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sign, and delivery, of complex assessment interventions, such as the OSCE. Applied to the context of TEA, the lifecycle provides five key foci, and targets for application:

  1. Advancing authenticity of assessment (an overarching principle)
  2. Engaging learners with the assessment
  3. Enhancing design and scheduling
  4. Optimising assessment delivery and recording of learner achievement
  5. Tracking and learner progress and faculty activity—supporting longitudinal learning and continuous assessment.

합의된 직접 워크숍의 피드백과 이론 정보를 바탕으로 한 실천 혁신 보고서의 가치에 따라, 이러한 원칙은 합의된 저작자로부터 도출된 일련의 모범 사례로 보완된다. 언제든지 교육 혁신을 도입하는 것이 도전이라는 것을 인식하면서(그리고 이러한 예들은 전염병 시대/대유행 시대에는 더욱 그렇다), 영감을 주는 동시에 잠재적 템플릿으로 기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위에서 설명한 기준에 따라 정의된 TEA의 기존 우수 관리 사례에 대한 [사례 연구]를 제공한다. 모든 예가 모든 맥락에서 작동하는 것은 아니지만, 독자들이 자신의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모든 사례 연구와 지원 문헌의 요소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형평성에 관한 합의의 모범 사례 조언에 따라, 사례 연구는 의도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한 하나의 '최고의' 기술을 의미하지 않는다. 각 위치에서 작동하는 실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기존 기관 인프라와 투자에 의존하며, 이는 맥락에 관계없이 교육자가 전 세계적으로 작업하는 범위를 제한합니다.
Following feedback from consensus in-person workshops, and the value of theory-informed, practice innovation reports, these principles are supplemented by a series of good practice exemplars are drawn from the consensus authorship. Recognising that introducing educational innovation at any time is a challenge (and arguably more so in peri/post-pandemic times), these exemplars aim to serve both as inspiration and a potential template, providing case studies of existing good practice in TEA as defined by the criteria outlined above. Not all the examples will work in all contexts, nevertheless, it is hoped that readers will be able to find elements of all the case studies and supporting literature that could be adapted to work in their own environments. Following the consensus’ best practice advice in relation to equity, case studies deliberately do not imply one ‘best’ technology for this purpose. The actual hardware and software that works in each location depend upon existing institutional infrastructures and investment, confines under which educators work globally, regardless of context.

원칙 1: 평가의 진정성 제고
Principle 1: Advancing assessment authenticity

커리큘럼의 적절한 단계 및 관련 역량과 일치하는 ['진짜Authentic' 평가] 과제의 설계는 학습자 참여 및 품질 평가의 초석입니다. 기술이 이러한 과제를 추가로 개발하기 위해 사용될 때(예: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의 도입) 학습자 참여 및 기술 혁신의 잠재적 이점은 [의도하지 않은 다른 구조(테크놀로지 친숙성/네비게이션 요구 포함)]의 도입으로 상쇄될 수 있다. 교육 연구는 'Authentic' 과제에 대한 참여와 평가가 진정으로 고립 상태에서 과제를 숙달하는지, 아니면 실천과 진정한 학습자 개발에 더 통합적으로 적용하는지 여부를 계속 조사한다(Wiliam 2021). 따라서 HPE에서의 TEA 개발은 [교육적, 기술적, 임상적]으로  '진정성 인터페이스authenticity interface'를 어떻게 연결하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design of ‘authentic’ assessment tasks, aligned with the appropriate stage of a curriculum and relevant competencies, is a cornerstone of learner engagement and quality assessment. When technology is used to develop these tasks further (e.g. introduction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the potential benefits of enhanced learner engagement and innovation may be offset by the unintentional introduction of different constructs (including familiarity/navigation requirements of the technology). Educational research continues to examine whether engagement in, and assessment of, ‘authentic’ tasks truly leads to mastery of the task in isolation, or more integrative application to practice and true learner development (Wiliam 2021). The development of TEA in HPE, therefore, needs to critically examine how it bridges the ‘authenticity interface’ of pedagogy, technology, and clinical practice.

[교육학적]으로, 평가의 초점은 [학습의 평가]만을 유일한 초점으로 가지고 있다가 [학습을 위한 평가]라는 더 큰 표현으로, 더 나아가 '지속 가능한 평가sustainable assessment'로 계속 전환되고 있다(Boud 2000). 목표는 학생들의 [오늘날 성적]에 대한 점수를 주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의 [미래 학습과 자기 조절 학습 기술]의 성장을 지원하는 것, 그들이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들의 지식, 기술 및 행동을 모니터하는 능력]이다. [지속가능한 평가]는 학생이 교육 환경뿐만 아니라 미래의 직장 생활 전반에 걸쳐 자신의 성과를 평가하는 능력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한다(Boud 2000; Boud and Soler 2016).

Pedagogically, the focus of assessment continues to shift from a sole focus of the assessment of learning to a greater represent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and thus to ‘sustainable assessment’ (Boud 2000). The goal is not only to give grades on the students’ performance today but to support their future learning and growth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e ability to set goals for their learning, and monitor their knowledge, skills, and behaviour. Sustainable assessment emphasises that the student should learn the ability to assess their own performance not only in their educational settings but throughout their future working lives (Boud 2000; Boud and Soler 2016).

TEA에서, 이것은 우리가 평가 도구의 측정과 테크니컬한 개발에 초점을 덜 맞추고, 진정한 학습/직장 맥락에서 학생 학습을 촉진하는 질적이고 인격화된personified 평가에 더 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 도구와 더불어서, [평가의 결과]로 [메타인지 기능과 학생 참여를 고려하는 대안적alternative 학습 분류법]을 사용하면 Authentic tools의 선택과 설계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Higher and Continuous Education의 광범위한 경험과 평가에 대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대안적인 평가 형식을 위한 추가적인 유용한 리소스입니다.

  • 오픈 북 및 테이크아웃 평가(예: Sambell 및 Brown 2021),
  • 교사가 학생의 진도를 추적하는 동시에 학습자가 학습 진도와 계획 개선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가 도구(말레카 및 Boud 2021).

In TEA, this means that we should ensure less focus on the measurement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and a greater focus on the qualitative and personified assessment fostering student learning in authentic learning/workplace contexts. The use of alternative learning taxonomies that consider metacognitive function and student engagement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alongside assessment tools, can inform the selection and design of authentic tools (Marzano and Kendall 2007; Villarroel et al. 2018). The wider experiences of, and approaches to, assessment in Higher and Continuing Education are an additional useful resource for alternative assessment formats including

  • open book and takeaway assessments (e.g. Sambell and Brown 2021), and
  • assessment tools that help teachers track their students' progress whilst allowing learners to develop their own capacity to make a judgement about their learning progress and plan improvement (Malecka and Boud 2021).

[테크니컬하게], TEA는 교육 테크놀로지 개발에 inform하는 핵심 원칙을 활용하여, '네비게이션' 문제는 최소화하고, 학습자와 교직원을 설계의 중심에 두어야 합니다(Divami 2021). 평가가 다음의 특징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기회적 (예: 광범위한 환경에서 WBA를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폰 사용)
  • 몰입적 (예: 학습자가 자체 및 그룹 평가 기회를 만들 수 있음)
  • 연결적 (학습 조직 내 개인화 및 연결성 향상—예: 전공의의 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스마트폰 앱/코칭 그룹)

Technically, TEA should leverage key principles that inform educational technology development, minimising ‘navigation’ issues and place learners and faculty at the heart of design (Divami 2021). Design should allow the assessment to be

  • opportunistic (e.g. the use of smartphones to support WBA in a wide range of settings),
  • immersive (e.g. allowing learners to create their own self- and group assessment opportunities), and
  • connected (allowing personalisation and connectivity within learning organisations—e.g. smartphone apps/coaching groups to promote reflection by residents) (Konings et al. 2016).

[임상적]으로 TEA가 기술 지원 의료에 대한 현재 및 새로운 접근 방식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상당한 기회가 있습니다. HPE 평가에서 현재 교육 테크놀로지는 많은 경우에 ([개인, 그룹 및 인구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테크놀로지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맞추는 기회보다는]) 전달delivery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평가 기회를 안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간단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합니다.
Clinically, there are significant opportunities for TEA to interface effectively with current and emerging approaches to technology-enabled healthcare. Much of the current focu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PE assessment focuses on delivery, rather than an opportunity to align to how technology is used to enhance the care of individuals, groups, and populations. For example, we suggest the following simple framework to guide assessment opportunities:

장치 증강 치료
Device augmented care

많은 의료 시스템에서 [종이 없는 의료 시스템]과 클라우드 기반 '공유 진료shared care'의 출현은 온라인 상담, 커뮤니케이션 및 의사 결정에 필요한 빠른 [업스킬링]을 강조한다(Greenhalgh et al. 2016; Darnton et al. 2021). 학부생과 전문가 모두를 위한 침상 진단 및 치료 절차로서의 침상 초음파의 출현과 성장은 TEA 개발의 목표를 제공한다(McMenamin et al. 2021).
In many health systems, the advent of paperless healthcare systems and cloud-based ‘shared care’ (e.g. Philips 2021) spotlight the rapid upskilling needed for online consultation,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Greenhalgh et al. 2016; Darnton et al. 2021). The advent and growth of bedside ultrasound as a bedside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ocedure for undergraduates and professionals alike provides targets for TEA development (McMenamin et al. 2021).

환자 및 전문가에 대한 기대 및 보건 기술 사용능력
Expectations, and health technology literacy, of patients and professionals

빠르게 변화하는 치료 속도는 HPE 학습자와 전문가의 글로벌 커뮤니티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가이드라인, 프로시저 및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온라인 리소스에 대한 적시 액세스]와 [지속적인 전문 개발CPD]이 필수적이다. 환자 치료의 일환으로 [그러한 자원에 '언제, 왜,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입증하는 것]이 평가의 중요한 대상이 되어야 한다.
A rapidly changing pace of care means the global community of HPE learners and professionals will deliver care using constantly changing guidelines, procedures, and drugs, where timely access to online resources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essential. Demonstrating ‘when, why, and how’ such resources are accessed as part of patient care should be a critical target for assessment.

상태 분석 및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Health analytics and risk communication

[빅 데이터와 딥 머신 러닝]의 사용은 건강에 점점 더 기여하고 알고리즘과 의사 결정을 안내하며 진단에 기여한다(Rajpurkar et al. 2022). [공유된 환자-전문가 상담 모델] 내에서 [위험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사용능력 및 의사 결정]을 통합하는 평가를 설계하면 AI의 기회와 한계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를 수용하면서 매우 정통한 평가 작업에 대한 기회를 제공한다(원칙 5).
The use of big data and deep machine learning increasingly contribute to health, guiding algorithms and decision making, and contributing to diagnosis (Rajpurkar et al. 2022). Designing assessments that integrate risk communication, digital literacy, and decision making within shared patient-professional consultation models provide opportunities for highly authentic assessment tasks, accepting the ongoing debate about the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of AI (Principle 5).

 

원칙 2: 학습자를 평가에 참여시킵니다.
Principle 2: Engaging learners with assessment

이상적인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는 (중요하다고 인식할 때뿐만 아니라) [언제나] 학습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평가에 완전히 참여합니다. 합의 전반에 걸쳐 제시된 각 모범 사례 연구의 헤드라인 원칙은 비동기성과 연결의 기회가 주어지면 학습자 참여를 TEA를 통해 더 잘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강화한다. [능동적인 학습자 참여]는 [심층 학습]과 [성취 및 활동 측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 사용(예: 가상 학습 환경을 통한)]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평가 성과에서 [초기 및 지속적인 학습자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Korhonen 2021). 이 첫 번째 사례 연구에서 Webb와 Valter는 평가에 대한 참여와 창의성을 개선하고 재사용 가능한 학습 리소스를 개발하며 학습자 그룹을 연결하는 단순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힘을 입증합니다.

In an ideal educational programme, learners would always be fully engaged with assessment throughout their programmes of study (not just when they perceive it matters). The headline principle for each of the good practice case studies presented throughout the consensus reinforces that learner engagement can be facilitated better through TEA given the opportunities for asynchronicity and connectivity. Active learner engagement is strongly associated with deeper learning (Villarroel et al. 2019) and achievement and the use of technology (e.g. through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to measure and monitor activit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both early, and sustained learner engagement in assessment outcomes (Korhonen 2021). In this first case study, Webb and Valter demonstrate the power of simple, readily available technology to improve participation and creativity in assessment, develop reusable learning resources, and connect groups of learners:


사례 연구 1
Case Study 1

유튜브 세대를 위한 평가: [학생이 만든 해부학 비디오]에 대한 사례 연구(Alex Webb & Chrisztina Valter, 호주 국립 대학교)
Assessment for the You-Tube generation: a case study on student-created anatomy videos (Alex Webb & Krisztina Valter,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맥락
Context

우리는 선생님이 제공한 5가지 옵션 목록에서 선택한 [해부학 주제에 대한 2000단어 개별 에세이 평가]를 현대화하려고 했다.
We sought to modernise a 2000-word individual essay assessment on anatomy topics chosen from a list of five options provided by the teacher.

우리가 달성하려고 했던 게 뭐죠?
What were we trying to achieve?

우리는 주제에 대한 학생 질문을 자극하고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을 사용하는 자체 지식 표현의 구성을 촉진하기 위해 평가 과제를 다시 설계했다. 또한 이 과제가 학생들의 선택권을 부여하고, 학습을 재미있게 하며,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이 동료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결과물을 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했다. 게다가, 우리는 더 적은 시간 안에 더 즐겁게 채점를 할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We re-designed the assessment task to stimulate student interrogation of the topic and construction of their own knowledge representations utilising commonly available technology. It was also important that the task empowered student choice, made learning fun, allowed students to be creative,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produce outputs that could easily be shared with peers. In addition, we hoped to make marking more enjoyable in less time!

우리가 한 일
What we did

학생들은 5명으로 구성된 스스로 선택한 그룹의 해부학적 주제에 대한 5-7분짜리 재미있는 교육 비디오를 만들어야 했다. 각각의 비디오는 선생님들에 의해 채점되었다. 비디오는 평가와 수정을 위해 전체 코호트에 제공되었다.
Students were tasked to create a 5–7-min entertaining educational video on an anatomy topic of their choice in self-selected groups of five. Each video was graded by the teachers. The videos were provided for the whole cohort for evaluation, and for their revision.

영향의 지속적인 평가
Ongoing evaluation of impact

대다수의 학생들이 이 활동을 즐겼으며(93%) 이 활동을 통해 주제에 대한 이해도(90%)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를 연구하고 지식을 통합할 수 있는 기회가 학습에 도움이 되는 핵심 요소였습니다. 하지만, 시간과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은 그들의 학습에 방해가 되었다. 교사들에게는, 채점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즐거웠습니다.
The majority of students enjoyed the activity (93%) and found that it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topic (90%). The opportunity to research the topic and consolidate their knowledge were key factors aiding their learning. However, time and learning a new technology detracted from their learning. For teachers, marking and providing feedback were more efficient and enjoyable.

테이크홈 메시지
Take home message

비디오를 만드는 과정은 학생들이 동료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그들 자신의 학습을 돕기 위해 해부학적 개념에 대한 그들 자신의 표현을 구성하기 위해 팀으로 일할 수 있는 재미있고 자극적인 기회를 제공했다.The process of creating videos provided students with a fun and stimulating opportunity to work as a team to construct their own representations of anatomical concepts to aid their own learning, which can be easily shared with peers.


이 사례는 학습자가 평가 과정에 참여하는 강력한 사례로, '하면서 배우는 것을 선호하는' 세대를 위한 평가 적응에 있어 최상의 원칙(Marzano와 Kendall 2007)과 학습자가 학습하기 위해 하는 일에 의미를 구성한다는 원칙(Biggs와 Tang 2011)을 보여준다. 이러한 작업(평가 지분 범위에 적응할 수 있음)은 [공동 제작 콘텐츠 생성]의 추가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 다음 코호트에 대한 교육 및 평가 참여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리소스 뱅크]가 생성된다. 건강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과제들은 또한 학생들이 평가를 통해 창의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The case study is a powerful example of learner engagement with the assessment process, demonstrating the best principles in adapting assessment for a generation who ‘prefer to learn by doing’ (Marzano and Kendall
 2007) and the principle that learners construct meaning on what they do to learn (Biggs and Tang 2011). Such tasks (which can be adapted to a range of assessment stakes) have the additional benefit of co-produced content creation, resulting in a bank of resources that can then be used to enhance teaching and assessment engagement for the following cohort. From a health humanities perspective, such tasks also enable students to demonstrate their creative capacities through assessment.


[디지털 및 지리적 형평성 관점]에서 TEA는 국경을 넘어 교육자와 학습자 간에 낮은 [저부담 평가 포맷]을 공유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단순하고 확립된 기술의 사용은 종종 학습자가 (컴퓨터나 노트북이 아닌) 비교적 [기본적인 스마트폰 장치]만을 접근/보유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인구와 관련된 장치의 보급을 고려할 때 2014년에 전세계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현재 테크놀로지는 모든 모바일 장치에서 현재 보편화된 필기, 오디오 또는 'STT' 기능을 통해 [무엇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 무엇을 개선할 수 있는지, 어떻게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을 순간적으로 요청하고 기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Tuti et al. 2020). 이러한 기회는 실제로 학습자 주도적이고 실행 가능한 피드백의 확립된 이론적 원칙을 기반으로 평가와 학습 행동을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의 힘을 열어줍니다(Sadler 2010; Boud and Molloy 2013).
From a digital and geographical equity perspective, TEA presents endless possibilities to share low-stakes assessment formats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across borders. The use of simple, established technology often requires learners only to access/hold a relatively basic smartphone device (rather than a computer or laptop); something which was considered to be feasible worldwide in 2014, given the prevalence of devices in relation to the population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4 in Fuller and Joynes 2015). Technology can present opportunities to engage learners differently with feedback; offering quicker ways to request and record in the moment thoughts on what is going well, what can be improved, and how to progress to the next level, through written, audio, or ‘speech to text’ functions now common in all mobile devices (Tuti et al. 2020). Such opportunity really opens up the power of technology to positively shape both assessment and learning behaviours, building on established theoretical principles of learner-driven, actionable feedback (Sadler 2010; Boud and Molloy 2013).

원칙 3: 평가 설계 및 스케줄링 개선
Principle 3: Enhancing design and scheduling of assessment

지난 10년간의 많은 기술 발전은 특히 품질 또는 유효성 렌즈를 통해 볼 때 HPE 평가에 대한 접근 방식의 상당한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St-Onge et al. 2017). 소프트웨어는 이제 개인, 기관, 컨소시엄 및 국가 수준에서 [지식 시험 문제은행(예: 단일 모범 답안 형식)]의 창설을 지원하기 위해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평가 문항을 설계하고 공유하기 위해 평가 컨소시엄 내에서 [원격 작업]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제공하며, 항목의 정교한 [태깅]은 테스트 생성과 해당 구성 정렬에서 틀림없이 더 나은 품질을 가능하게 한다(Kickert et al. 2022). 문항의 개발, 수정 및 은행 업무와 관련된 상당한 비용은 현재 [자동 문항 생성]의 잠재력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Lai et al. 2016).
Many of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of the last decade have enabled considerable development of approaches to HPE assessment, particularly when viewed through a quality, or validity lens (St-Onge et al. 2017). Software is now used routinely to support the creation of knowledge test item banks (e.g. for single best answer formats) at the individual, institutional, consortia, and national levels. Working remotely within assessment consortia to design and share assessment items presents substantial cost savings and efficiencies, and sophisticated tagging of items allows arguably better quality in the creation of tests and their constructive alignment (Kickert et al. 2022). The substantial cost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emendation, and banking of items are now being challenged by the potential of automatic item generation (Lai et al. 2016).

성과 평가에서 TEA의 사용은 임상 실습에서 보다 학습자 중심의 기회주의적 성과 평가 문화를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WBA(Work Based Assessment) 형식을 사용하는 데 특히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수준 [WBA의 기관 및 국가 모델]은 [테크놀로지 기반 플랫폼과 테크놀로지 기반 포트폴리오]를 사용하여 환자 치료 시에 평가(기회)를 잡아낸다. 이러한 발전의 대부분은 'BYOD(Bring Your Own Device)' 모델(Sundgren 2017)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지만, 기회의 불평등을 방지하고 섹션 배경에서 강조했듯이 이러한 접근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인프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The use of TEA within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particularly impactful using Work Based Assessment (WBA) formats, presenting opportunities to develop more learner-centred, opportunistic cultur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al and national models of programme level WBA operate using technology-based platforms and technology-based portfolios (van der Schaaf et al. 2017; NHS eportfolios 2021), with the use of mobile devices to capture assessment at the point of patient care (Joynes and Fuller 2016; Harrison et al. 2019; Maudsley et al. 2019). Much of this advancement has been facilitated using ‘Bring Your Own Device’ (BYOD) models (Sundgren 2017) but care needs to be taken to avoid inequity of opportunity and to ensure sufficient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se approaches as highlighted in Section Background.

학습자의 개인과 코호트 수준 [진전을 일상적으로 포착하는 평가 관리 시스템]의 성장은 평가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설계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의미 있게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평가 프로그램(Pell et al. 2012)에서 [보더라인과 저성과자의 결과를 종단적으로 추적하는 작업]은 평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점점 더 입증하는 [데이터 중심 순차적 테스트sequential testing 형식]의 구현을 지원했다. [적응형 지식 시험 시스템]을 지원하는 작업은 잠재적으로 고도로 개인화된 응용 지식 테스트 및 피드백의 출현을 보여준다(Collares and Cecilio-Fernandes 2019).
The growth in assessment management systems that routinely capture individual, and cohort level progress of learners has enabled meaningful use of large data sets to design newer approaches to assessment. Work to track the longitudinal consequences of borderline and underperformance in programmes of assessment (Pell et al. 2012) has supported the implementation of data-driven Sequential Testing formats (Pell et al. 2013; Homer et al 2018), which are increasingly demonstrating impact on assessment quality. Work supporting adaptive knowledge testing systems demonstrates the emergence of potentially highly personalised applied knowledge testing and feedback (Collares and Cecilio-Fernandes 2019).

[온라인 테스트에 대한 대규모 글로벌 경험](그리고 단일 모범 답안 형식의 전통적인 사용을 통한 '클로즈드 북' 형식 테스트의 과제)은 오픈 북 테스트 형식과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기회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전에는 HPE 내에서 지배적인 평가 형식은 아니었지만, 의학 교육 및 특히 더 광범위한 교육에서 Open Book 또는 'Take home/take away' 테스트 형식의 사용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가 있다. 이런 시험이 '클로즈드 북' 형식을 대체하는 것에 대한 방대한 실무 경험이 쌓이기 시작한 것이다. 주장하건대, 이것은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으로 연구와 합성이 필요한 복잡한 문제(예: 많은 보건 문화, 특히 복잡한 임상 결정을 위해 일하는 다학제 팀의 사용에 맞춰 조정)를 설계하고 학습자가 해결해야 하는 매우 정통한 평가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테크놀로지는 '책'(예: 모바일 기기)을 재정의할 수 있는 실질적인 레버리지를 제공합니다. 사례 연구 2에서 입증되었듯이, [학습자가 어떻게 검색 전략을 개발 및 운영하고, 다른 사람과 협업/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해할 수 있는 잠재력은 '저부담' 평가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Large scale, global experience of online testing (and the challenges of ‘closed book’ format testing, e.g. through traditional use of Single Best Answer formats) have renewed interest in Open Book test formats and the opportunities that technology may bring (Zagury-Orly and Durning 2021). Whilst previously not a dominant assessment format within HPE,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about the use of Open Book or ‘take home/take away’ test formats within both medical education (Westerkamp et al. 2013; Durning et al. 2016; Johanns et al. 2017), and particularly within wider education (Bengtsson 2019; Spiegel and Nivette 2021), with extensive practical experience on replacement of closed book formats (Sambell and Brown 2021). Arguably, this presents a highly authentic approach to assessment which challenges faculty to design, and learners to solve, complex problems that require research and synthesis, either individually or in groups (e.g. aligning to the use of multi-disciplinary teams working in many health cultures, particularly for complex clinical decisions). Technology presents a real lever to redefine the ‘Book’ (e.g. a mobile device). The potential to monitor and understand how learners develop and operate search strategies and collaborate/connect with others to solve problems provides new opportunities for ‘lower stakes’ assessments, as demonstrated in Case Study 2.


사례 연구 2
Case Study 2

오픈 북 온라인 평가: 보건 전문 프로그램에 걸친 제도적 구현 사례 연구(국제 의학 대학, 말레이시아)
Open Book Online Assessments: A case study of institutional implementation across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International Medical University, Malaysia)

맥락
Context

그 대학은 2018년에 건강 전문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평가 시스템(OAS)을 시행했다. OAS는 문제 개발, 시험 후 분석을 통한 지식 기반 및 OSCE 평가 전달, 학습 결과에 기반한 개별 학생 보고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포괄적이었다. COVID-19 팬데믹의 초기 단계에서 OAS는 학생과 교직원을 위한 오프사이트 온라인 시험 플랫폼으로 수정되었다.
The university implemented an online assessment system (OAS) for its health professions programmes in 2018. The OAS was comprehensive in that it allowed for question development, delivery of knowledge-based and OSCE assessments with post-exam analysis, and individual student reports based on learning outcomes. During the early phas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OAS was modified to be an offsite online test-taking platform for students and staff, as the physical campus space was unable to be used for assessments due to national lockdown restrictions.

우리가 이루려고 했던 것은
What we were trying to achieve

OAS에 프록토링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오프사이트 온라인 평가를 활성화할 수 없었고, 이러한 적응에서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코로나 19로 인한 교수 및 학습 활동의 변경과 비-프록토링 평가가 학생 진행에 미치는 위험을 고려하여, 우리는 저부담 시험에 대한 기존 평가 형식을 사용하여 온라인 비-프록토링non-proctored 시간 기반 오픈 북 평가를 구현했다. 오픈북 시험은 학습 결과에 대해 청사진으로 작성된 지식 응용 항목 형식을 사용했다.
A new challenge emerged from this adaptation as we were unable to invigilate the offsite, online assessment as no proctoring feature existed in the OAS. Given the modifications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due to Covid-19 and the risks of non-proctored assessment on student progression, we implemented an online, non-proctored time-based open book assessment using existing assessment formats for low stakes exams. Open book assessments used knowledge application item formats which were blueprinted against learning outcomes.

영향의 지속적인 평가
Ongoing evaluation of Impact

오프사이트 온라인 테스트를 실시한 1차 구현에서는 학생의 데이터 용량 및 기기 제한, 기술 지원 능력, 교직원과 학생 간의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에 대한 주요 우려가 강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기기 또는 데이터 카파시티]가 있는 학생을 위한 추가 조항과 (외부 보호 소프트웨어 대신) 사내 온라인 활성화의 도입을 포함한 추가 개선이 이루어졌다. 후속 분석 결과, 이러한 개선으로 개별 학생과 코호트 평가 성과는 적응 전 평가와 강하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r et al 2020).
The first round of implementation with offsite online test taking highlighted major concerns around data capacity and device limitation of students, ability to provide technical support, and concerns of cheating amongst faculty and students. This led to further improvements including additional provisions for students with device or data capacity and the introduction of in-house online invigilation (instead of external proctoring software). Subsequent analysis showed that, with these improvements, individual student and cohort assessment performance correlates strongly with pre-adaption assessments (Er et al 2020).

테이크홈 메시지
Take home message

오프사이트 온라인 오픈북 평가로 전환할 때, 교수진은 처음에는 오픈북 평가의 사용과 진행에 따른 학생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우려했다. 대신, 발생된 문제는 현장검사에서 외부검사로의 테크놀로지 변화와 관련이 있었다. 위기 상황에서 적응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은 것도 유익했지만, 첫 시행 후 평가를 적응시켜 더 개선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When shifting to offsite online open book assessments, faculty were initially more concerned about the use of open book assessments and their impact on student competencies as they progressed. Instead, issues that arose were related to technological shifts from an onsite to an offsite examination. It was beneficial to take the opportunity to adapt during a crisis, but it is also equally important to adapt the assessment after its first implementation to improve it further.



지속적인 코로나 팬데믹에 대응하여, 온라인 테스트를 하는 것이 거의 wholesale로 전환된 덕분에 테스트에 필요한 리소스(공간, 인력)와 테스트 타이밍 및 배치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도 새롭게 볼 수 있었다. 저부담 시험 및 특히 학습 형식에 대한 평가의 경우, 웹과 발터는 비물리적 환경에서 평가와 함께 학습자 참여의 기회를 보여준다. [대규모 시험장을 예약하고 여러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제약]은 테크놀로지를 [지능으로 사용]함으로써 통해 해방되었지만, 동시에 학습자 불안과 감정에 대한 물리적 평가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증거가 새롭게 등장했다(Harley et al. 2021). 이러한 평가의 설계, 준비 및 전달에 있어 학습자와 교직원에 대한 지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Tweed et al. 2021), 여기에 더 넓은 교육 자원을 게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Wood 2020a, 2020b).

The near wholesale switch to online test delivery in response to the ongoing Covid pandemic has also allowed a fresh look at resources needed for testing (space, staffing) and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timing and deployment of testing. For lower stakes tests, and particularly assessment for learning formats, Webb and Valter demonstrate the opportunities for learner engagement with assessment in non-physical settings. The constraints of booking large exam halls and scheduling multiple assessments within, and across, programmes are liberated through the intelligent use of technology, with emerging evidence about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assessment environment on learner anxiety and emotion (Harley et al. 2021). The importance of support for learners and faculty in the design, preparation, and delivery of such assessments cannot be overstated (Tweed et al. 2021), with the opportunity to signpost wider education resources there (Wood 2020a, 2020b).

 

원칙 4: 평가 전달 및 학습자 성과 기록 최적화
Principle 4: Optimising assessment delivery and recording of learner achievement

이 합의의 향후 반복에서 2020-2021년을 돌아보고 평가에 대한 COVID-19의 가장 큰 영향을 검토하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TEA의 가장 가시적인 영향은 [평가 전달delivery]에 있었다. 온라인 지식 테스트의 성장은 효과적인 대량 온라인 테스트의 출현을 목격했다. 여기서 테크놀로지는 시험과 자동 채점의 전달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 정교한 평가 관리 시스템(문제은행도 제함공)은 공인된 합격선 설정 방법(예: Ebel, Angoff)의 자동 적용을 지원합니다. 또한 테크놀로지VSA(Very Short Answer) 질문을 포함한 대체 지식 테스트 형식의 전달 및 자동 채점을 가능하게 하여, 응시자가 자유 텍스트를 사용하여 답변할 수 있도록 하고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채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Sam et al. 2018).
It would be interesting to look back at 2020–2021 in future iterations of this consensus and review the biggest impact Covid-19 had on assessments—but at this stage, the most visible impacts of TEA have been on assessment delivery. The growth of online knowledge testing has seen the emergence of effective mass, online testing where technology is used to support the delivery of testing and automated marking. Sophisticated assessment management systems (which also provide item banking) support the automated application of recognised standard setting methods, e.g. Ebel, Angoff. Technology has also enabled the delivery and automated marking of alternative knowledge testing formats including VSA (Very Short answer) questions, allowing candidates to answer using free text, and the use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undertake most of the marking (Sam et al. 2018).

또한 [평가 관리 시스템Assessment Management System]수행능력 평가에서 채점 및 자동화된 합격선 설정(예: 경계선 방법 사용)을 제공하며, 특히 OSCE는 모바일 장치를 사용한 채점 등을 통해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포착할 수 있다. ['버추얼' OSCE]의 부상은 [고품질의 방어 가능한 평가]를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복잡한 로지스틱스]를 포함하여, 무엇것을 완전히 가상 형식을 사용하여 진정한 평가를 할 수 있는지(또는 할 수 없는지)를 재개념화할 수 있는 기회를 보여주었다(Boursicot et al. 2020). 이러한 경험의 대부분은 TEA를 테크놀로지 강화 의료(예: 온라인/가상 환자-전문가 상담의 일상적인 사용)와 연계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되었다. 원칙 3에서 강조했듯이, WBA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의 사용은 점진적으로 증가했지만, [프로페셔널리즘 평가에 대한 테크놀로지의 영향]은 덜 확산되었다. 예를 들면 여기에는, [360/멀티 소스 피드백의 완전한 온라인 시스템]에서부터, [피드백을 즉시 제공하거나 학습자의 웰빙 또는 행동에 대한 우려를 즉시 제기]하는 테크놀로지 연결의 힘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등이 있다(JISC 2020).
Assessment Management Systems also supports the delivery of marking and automated standard setting (e.g. using Borderline Methods) in performance assessment, notably OSCEs, e.g. through scoring using mobile devices, which can also capture feedback to learners. The rise of ‘virtual’ OSCEs has demonstrated opportunities to further reconceptualise what can (and cannot) be authentically assessed using a fully virtual format, including the complicated logistics needed to return a high-quality, defensible assessment (Boursicot et al. 2020). Arguably, much of this experience has helped focus on a need to align TEA with technology-enhanced healthcare (e.g. the routine use of online/virtual patient-professional consultations). As highlighted in Principle 3, the use of mobile devices to facilitate the delivery of WBA has grown progressively, but less well-disseminated has been the impact of technology on delivering professionalism assessment, e.g. from fully online systems of 360/multi-source feedback, through to active research into the power of technology connectivity to instantly provide feedback or immediately raise concerns about a learner’s well-being or behaviour (JISC 2020).

평가에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것은 평가 품질 분석, 사후 측정 기준 및 점수 보고에도 강력한 이점을 제공했다(Boursicot et al. 2021). [테크놀로지 기반 포트폴리오]는 [연계된 다양한 'artefacts'(즉, 성과 자체, '점수', 평가자 피드백 및 후보 반영)]을 통해 [누적적이고 종단적인 학습 성과를 기록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고, 이는 진정으로 지속 가능한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저장소를 제공합니다. 평가 및 피드백 증거의 포괄적인 저장소는 평가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평가 접근법에서 학습자 진행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 결정의 중심이다. [TEA의 결과로 포착된 광범위한 데이터]는 OSCE 내의 검사자 행동과 의사 결정에 대한 강력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사례 연구 3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테크놀로지가 OSCE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비디오와 같은 간단한 기술을 사용)를 생성합니다.

The use of technology within assessment has also provided powerful benefits to the analysis of assessment quality, post-hoc metrics, and score reporting (Boursicot et al. 2021). The opportunities to record cumulative and longitudinal learner achievement through a range of linked ‘artefacts’ (i.e. the performance itself, the ‘score,’ assessor feedback, and candidate reflection) within a technology-based portfolio presents a powerful repository to influence truly sustainable assessment. A comprehensive repository of assessment and feedback evidence is central to effective decision-making about learner progression in programmes of assessment and programmatic assessment approaches. The extensive data captured as a result of TEA provides powerful insights into examiner behaviour and decision making within the OSCE, generating further research (using simple technology, such as video) into how technology might further augment OSCE quality, as demonstrated in Case Study 3.


사례 연구 3
Case study 3

[분산형 OSCE의 품질보증]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비디오 기반 Examiner Score 비교 및 조정(VECA) (Peter Yeates, Keele Medical School, UK)
Video-based Examiner Score Comparison and Adjustment (VESCA) as a method to enhance quality assurance of distributed OSCEs (Peter Yeates, Keele Medical School, UK)

맥락
Context

응시자의 숫자 때문에 대부분의 기관은 각각 다른 검사 그룹을 가진 여러 개의 OSCE(객관 구조 임상 검사) 병렬 회로를 운영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시험관-단체'들이 모두 같은 기준으로 학생들을 판단하는 것은 타당성 사슬에 매우 중요하다. 기존 문헌은 검사자-코호트 효과가 응시자의 점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하지만, 이러한 효과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다른 검사자-코호트가 판단하는 후보 간 교차점이 없기 때문에 어렵다(즉, 완전히 네스팅된 설계).

Owing to candidate numbers, most institutions run multiple parallel circuits of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s (OSCEs), with different groups of examiners in each. It is critical to the chain of validity that these different ‘examiner-cohorts’ all judge students to the same standard. Whilst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examiner-cohort effects may importantly influence candidates’ scores, measurement of these effects is challenging as there is usually no crossover between the candidates which different examiner-cohorts judge (i.e. fully nested designs).

우리가 달성하려고 했던 것은 무엇인가?
What were we trying to achieve

우리는 OSCE에서 완전히 네스팅된 평가자 코호트의 일반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술 지원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We aimed to develop a technology-enabled method to overcome the common problem of fully nested examiner-cohorts in OSCEs.

우리가 한 일
What we did

우리는 '비디오 기반 시험자 점수 비교 및 조정(VESCA)'이라는 3단계 절차를 개발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1) OSCE의 모든 스테이션에서 학생들의 자원봉사 샘플을 비디오로 촬영한다.
  • (2) 또한 모든 검사관examiner에게 스테이션-특이적 비교군comparator 비디오 점수를 매기도록 요청합니다(모든 검사관-코호르트가 동일한 비디오 점수를 매김).
  • (3) 비디오 기반 점수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을 사용하여 많은 면 래쉬 모델링을 사용하여 검사자-코호트 효과를 비교하고 조정한다.

We developed a three-stage procedure called ‘Video-based Examiner Score Comparison and Adjustment (VESCA).’ This involved

  • (1) videoing a volunteer sample of students on all stations in the OSCE;
  • (2) asking all examiners, in addition, to live examining, to score station-specific comparator videos (collectively all examiner-cohorts scored the same videos);
  • (3) using the linkage provided by video-based scores to compare and adjust for examiner-cohort effects using Many Facet Rasch Modelling.

영향의 지속적인 평가
Ongoing evaluation of impact

카메라를 배치하려면 학생의 성과를 방해받지 않고 볼 수 있도록 세심한 최적화가 필요했고 침입을 완화했습니다. 비디오 스코어링은 OSCE에 추가적인 시간 요구 사항을 부과했지만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한 지연 스코어링의 동등성을 지원하여 실현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표준화를 강화하기 위한 절차를 환영했다. 점수 조정은 링크 비디오 수 또는 심사관 참여율의 변동에 대해 허용될 정도로 강력했다. 시험관-코호트 효과는 학생 점수의 표준 편차 이상을 설명하면서 때때로 상당했다. 그에 따라 점수를 조정하면 상당한 소수 학생들의 합격/불합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거나 그들의 순위를 크게 바꿀 수 있다.

Camera placement required careful optimisation to provide unobstructed views of students’ performances whilst mitigating intrusion. Scoring videos imposed additional time demands on the OSCE but data supported equivalence of delayed scoring via the internet thereby enhancing feasibility. Students generally welcomed procedures to enhance standardisation. Score adjustments were acceptably robust to variations in the number of linking videos or examiner participation rates. Examiner-cohort effects were sometimes substantial, accounting for more than a standard deviation of student scores. Adjusting scores accordingly could influence the pass/fail decisions of a substantial minority of students or substantially alter their rank position.

테이크홈 메시지
Take home message

VESCA는 개별 기관, 평가 파트너십 또는 국가 시험 기관이 다중 회로 또는 분산/국가 OSCE 시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망한 기술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Yeates et al. 2020, 2021a, 2021b, 2022).VESCA offers a promising technology-enabled method to assist individual institutions, assessment partnerships, or national testing organisations to enhance the quality and ensure fairness of multi-circuit or distributed/national OSCE exams (Yeates et al. 2020, 2021a, 2021b, 2022).


전달, 분석 및 점수 보고 외에도, 테크롤로지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다보면, [테스트 보안, 부정행위 및 후보 추궁에 대한 상당한 의견]을 유발한다. 이 논평은 5가지 핵심의 신중한 균형을 강조합니다.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신뢰: 평가를 제공하는 기관, 교직원 및 후보자 자신(그리고 향후 평가에 대한 후속 신뢰와 신뢰)
  • 프로페셔널리즘: 그리고 평가 제공 내부 및 주변에서 후보자와 교수진의 기대
  • 적극적 프록토링: 문맥과 무관한 분산이나 후보 또는 교수진에게 추가적인 인지 부하를 주지 않으며 디지털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복잡한 브라우저 시스템/장치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는 온정적이고 비례적인 응답
  • 탐지 및 보안: 평가 내 학업 오류, 보안 테스트 뱅크 위반 또는 타사 또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에 의해 저장될 수 있는 후보 특성/성능 데이터의 우발적 손실.
  • 결과: 학문적 과실이 발견되었을 때 제재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학습자, 전문가 및 환자의 신뢰를 강화하는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Beyond delivery, analysis, and score reporting, the extensive use of technology has generated substantial comments about test security, cheating, and candidate proctoring (Roberts et al. 2020; Bali 2021; Selwyn et al. 2021). The commentary highlights the careful balance of 5 key, overlapping issues which can be best summarised as:

  • Trust: In the institution delivering the assessment, within and amongst Faculty and candidates themselves (and the subsequent confidence and trust in future assessments)
  • Professionalism: and the expectations of candidates and faculty within, and around, the delivery of assessments
  • Active proctoring: compassionate and proportionate responses that do not introduce context irrelevant variance, or additional cognitive load on candidates or Faculty, nor require access to complex browser systems/devices that widen digital inequity
  • Detection and security: of both academic malpractice within an assessment, the breach of e.g. a secure test bank, or inadvertent loss of candidate characteristics/performance data that may be stored by a third party or cloud-based systems.
  • Consequences: both in terms of sanctions when academic malpractice is detected, but also to reinforce the trust of learners, professionals, and patients

현재까지 데이터에 따르면 일부 대규모 국가 평가는 온라인/오프라인 테스트 전달과 비교하여 후보 성과에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는 등 보안과 관련하여 테스트 기관 전반에 걸쳐 매우 혼합된 경험을 제시한다. 보다 광범위하게, 테크롤로지는 '부정행위 계약contract cheating'의 성장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했다. 이는 [아웃소싱된 학습자 평가]와 [아웃소싱 평가를 완료한 사람(개인 및 기업)] 간의 결과 균형을 요구한다. 또한 제도적 관행과 입법 모두에 문제를 남긴다.
Data to date suggests very mixed experiences across testing institutions in relation to security, with some larger scale national assessments reporting no differences in candidate performance comparing online/offline test delivery (Andreou et al. 2021; Hope, Davids, et al. 2021; Tweed et al. 2021). More widely, technology has substantially enabled the growth of ‘contract cheating,’ requiring a balance of consequences across learners ‘outsourcing’ assessment and those completing the outsourcing (individuals and companies) and challenges both institutional practices and legislation (Ahsan et al. 2021; Awdry et al. 2021).

원칙 5: 학습자 진행 상황 및 교수 활동 추적—종방향 학습 및 지속적인 평가 지원
Principle 5: Tracking learner progress and faculty activity—supporting longitudinal learning and continuous assessment

테크놀로지 사용은 평가 프로세스와 실무에서 잠재적으로 혁신적이었지만, 학습자 진급에 대한 테크놀로지 주도 '결정'의 출현은 상당한 도전과 우려를 제기합니다. 의료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보다 광범위한 사용은 질병의 조기 발견 또는 보다 정확한 진단에 잠재적인 이점을 제공한다(예: 류 외 2019; Yan 외 2020). 그러나 브루사드는 [모든 데이터가 궁극적으로 인간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잘못된 의사 결정, 코딩 및 출력 사용에 대한 책임은 인간에게 있다]고 강조한다(Broussard 2018).
Whilst the use of technology has been potentially transformational in assessment processes and practice, the advent of technology-driven ‘decisions’ on learner progress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and concern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re widely in healthcare presents potential benefits in the early detection of disease or more accurate diagnosis (e.g. Liu et al. 2019; Yan et al. 2020). However, Broussard highlights that all data is ultimately generated by humans, so the challenge for ‘AI’ of poor decision making, the responsibility for coding and use of any outputs remains with humans (Broussard 2018).

교육에서 AI 기반 기술은 학습 또는 웰빙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성공을 예측]하거나, [특정 지원이 필요한 사람]을 탐지할 수 있는 기회를 예고했다(JISC 2020). 그러나 학습자와 교수진에 대한 이러한 테크놀로지의 성과를 살펴보는 고품질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다(Sonderlund et. 2019). 평가 내에서 논평은 개별 평가 내에서 또는 종단적 데이터 세트의 분석을 통해 기계 기반 의사 결정에 초점을 맞췄다(Hope, Dewar, et al. 2021).
In education, AI-based technologies have heralded opportunities to predict learner success or detect those in need of targeted support, whether relating to learning or well-being (JISC 2020). However, there is little high-quality, empirical research that looks at the outcomes of such technology on learners and faculty (Sonderlund et. 2019). Within the assessment, commentaries have focused on either machine-based decision-making within individual assessments (Hodges 2021) or through the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sets (Hope, Dewar, et al. 2021).

광범위한 교육에서 데이터 처리 및 학습자 분석이 TEA의 일부로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접근법이 있었다. 시스템의 설계, 데이터 처리 또는 결과의 이해/적용 불량으로 인해 '프로파일과 예측'이 실패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에게 불명확한 결과,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강화함) 또는 '게임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교수진과 기관에 의한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적용은 동등하게 중요하다(Lawson et al. 2016). 이와는 대조적으로, 사례 연구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능형 시스템 설계와 데이터의 목적적 사용은 미래의 실패 위험에 있는 학습자를 식별하고 의미 있게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하거나(Foster and Siddle 2020), 자율 규제와 더 나은 학습자 선택(Broos et al. 2020)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의 과제는 이 원칙이 학습에 대한 의미 있는 영향의 측면에서 교육에 대한 혼합 결과를 강조하는 제한된 공개된 증거 기반 내에 있다는 것이다(2019년 슘과 행운).
Within wider education, there have been several approaches to how data processing and learner analytics have been used as part of TEA. Poor design of systems, data processing, or understanding/application of outcomes can lead to failure in ‘profile and predict,’ resulting in either unclear outcomes for learners (Foster and Francis 2020), negative impact on learners (through reinforcing the fear of failure) or development of ‘gaming behaviours’ (Archer and Prinsloo 2020). Of equal consequence is poo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uch systems by faculty and institutions (Lawson et al. 2016). In contrast, intelligent systems design and purposeful use of data can be used to ‘gather and guide,’ using data to identify and meaningfully support learners at risk of future failure (Foster and Siddle 2020) or support self-regulation and better learner choices (Broos et al. 2020), as shown in Case Study 4. A current challenge is that this principle is situated within a limited published evidence base which highlights mixed outcomes for education in terms of meaningful impact on learning (Shum and Luckin 2019).


사례 연구 4
Case study 4

지속적인 학습 및 평가 준비를 위한 온라인 형태 형성 평가, 학생 피드백 및 학습 분석 안내(호주 시드니 대학 Karen Scott)
Online formative assessment for continuous learning and assessment preparation, guided by student feedback and learning analytics (Karen Scott, 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

맥락
Context

4년제 시드니 메디컬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8주간의 소아과 블록에 참여한다. 대부분의 70~80명의 학생들은 시드니 웨스트메드에 있는 아동병원에 1일차 오리엔테이션, 5주차 수업, 8주차 시험을 위해 있으며, 8~12명의 학생들은 시골 병원에 있다. 나머지 블록에서 학생들은 어린이 병원, 광역 및 농촌 병원, 지역사회 보건 센터에서 임상 배치를 받는다.
Students in the four-year Sydney Medical Program undertake an 8-week paediatric block. Most of the 70–80 students are at The Children’s Hospital at Westmead, Sydney for the Day 1 orientation, Week 5 teaching, and Week 8 examinations; 8–12 students are at rural hospitals. For the remaining block, students undertake clinical placements at the Children’s Hospital, metropolitan and rural hospitals, and community health centres.

우리가 달성하려고 했던 게 뭐죠?
What were we trying to achieve?

소아과는 일반 소아과, 소아외과, 그리고 30개 이상의 하위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광범위한 교육과정에 걸쳐 학생들은 다양한 대면 및 가상 소규모 및 대규모 그룹 교육 세션을 준비하고, 학습을 통합, 검토 및 확장해야 합니다. 학생들은 블록 말기 필기시험과 임상시험도 준비해야 하며, 기말고사는 필기시험이 있다. 
Paediatrics comprises general paediatrics, paediatric surgery, and over 30 sub-specialties. Across this broad curriculum, students need to prepare for a range of face-to-face and virtual small- and large-group teaching sessions, and consolidate, review and extend their learning. Students also need to prepare for end-of-block written and clinical examinations, and final-year has written examinations.

우리가 한 일
What we did

실질적인 온라인 자기 주도형 형성 평가가 개발되었다. 대부분은 전개, 사례 기반 학습으로 구성되어 핵심 지식을 임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일부는 핵심 지식을 학습의 통합 및 확장을 위한 실습 활동과 통합한다. 모든 기능에는 광범위한 자동 피드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는 보조 웹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핵심지식개발(주로 짧은 포맷으로 녹음된 강의)에 초점을 맞춘 온라인 자료에는 자가테스트를 위한 형성 평가와 이를 통한 장기지식 보유가 포함된다.
Substantial online self-directed formative assessment has been developed: most comprise unfolding, case-based learning, enabling the application of core knowledge to clinical cases; some integrate core knowledge with practice activities for consolidation and extension of learning. All include extensive automated feedback, some with supplementary web links. Online materials focusing on core knowledge development (primarily short format recorded lectures) include formative assessment for self-testing and through this, long-term knowledge retention.

영향 평가
Evaluation of impact

학습 분석 및 학생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대부분의 형태별 평가를 수행하며 더 많은 것을 원합니다! 최근 학습 분석과 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학생들의 평가 결과는 일반적으로 형성적 평가를 사용하는 범위와 일치한다.
Learning analytics and student surveys show most students do most formative assessments—and want more! A recent comparison of learning analytics and assessment results highlights that students’ assessment results generally correspond with the extent to which they use formative assessment.

테이크홈 메시지
Take-home message

이 연구 결과는 모든 학생(특히 미니멀리스트 접근법을 취하는 학생)이 온라인 형성 평가를 잘 활용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의료 프로그램 전체에 전달되고 있다.

This finding is being communicated throughout the Medical Program to encourage all students (especially those taking a minimalist approach) to make good use of online formative assessment.


 

[교육학적 원칙과 좋은 테크놀로지 설계]에 부합하면 TEA는 '올바른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인간의 인지 부하를 해방시켜 데이터를 더 잘 이해하고 따라서 교수진의 시간을 학습자 지원에 집중할 수 있다. 여기에는 데이터 기반 신속한 교정조치(리케츠 및 블라이 2011), 코칭 및 멘토링 접근법(말레카 및 바우드 2021), 행동 넛지(담가드 및 닐슨 2018), 예방적 개입으로 (잠재적) 연말 실패 시점을 앞두고 적용되는 전문가 사례 관리가 포함될 수 있다(윈스턴 외 2012). 그러나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은 [학습의 관리를 책임지는 사람들]과 [독립적인 행위자agents으로서 학습자 자신] 사이에 긴장을 야기할 수 있다(Tsai et al. 2020). [데이터 소유권에 대한 문제]는 문헌에 의해 대부분 해결되지 않았지만 가장 중요하다.
When aligned to pedagogic principles and good technology design, TEA can provide substantial benefits in collecting the ‘right data,’ freeing up the cognitive load of humans to better understand the data and therefore focus faculty time on learner support. This can include data-driven rapid remediation (Ricketts and Bligh 2011), coaching and mentoring approaches (Malecka and Boud 2021), considered use of behavioural nudges (Damgaard and Nielsen 2018) and specialist case management to be applied ahead of a (potential) end of year point of failure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Winston et al. 2012). However, extensive data collection may cause tensions between thos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studies and learners themselves as independent agents (Tsai et al. 2020). This question of data ownership remains largely unanswered by the literature but is of paramount importance.

그러나 [평가 설계에 대한 테크놀로지의 지능적 적용]은 특히 포트폴리오 도구의 개발을 통해 학습자 자신의 종단적 참여를 변화시킬 수 있다. Driessen(2017) [포트폴리오]가 [관료적 도구로 보이는지] 또는 [학습 및 평가의 진정한 가능자enabler로 보이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포트폴리오의 함정을 강조한다. Silveira(2013)는 음악과 예술 교육의 교훈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는 [학습과 피드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이며, [학습자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더 나은 자기 조절, 오너십/큐레이션, 종적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강력한 기회]를 제시한다고 본다. 그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에서 성찰의 요건(평가 구성요소)과 '고해성사로서의 성찰'의 심리적 해악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Hodges 2015). 포트폴리오 평가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학습자, 감독자 및 역량 위원회를 지원하는 것은 필수적이다(Oudkerk Pool et al. 2020; Pack et al. 2020).

However, the intelligent application of technology to assessment design can transform the longitudinal engagement of learners themselves, particular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ortfolio tools. Driessen (2017) highlights the pitfalls of portfolio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seen as bureaucratic tools or true enablers of learning and assessment. Drawing on the lessons from music and arts education, seeing portfolios as communication tools for learning and feedback, Silveira (2013) presents powerful opportunities to actively engage learners and promote better self-regulation, ownership/curation, and longitudinal development (Clarke and Boud 2018). Caution however needs to be exercised about the requirement of reflection (as a component of assessment) in an easily accessible portfolio, and the psychological harm of ‘reflection as confession’ (Hodges 2015). Supporting learners, supervisors, and competence committees in the effective use of portfolio assessment is essential (Oudkerk Pool et al. 2020; Pack et al. 2020).

테크놀로지는 [학습자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으므로, 기본적으로 평가자(직장 및 시뮬레이션 평가 모두)와 평가 품질 개선에 대한 기관의 반응에 강력한 렌즈를 제공합니다.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한 패러랠 메커니즘으로서, 이 데이터는 목표 지원targeted support나(예: 집중 OSCE 검사자 교육(Gormley et al. 2012) 더 나은 평가자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TEA(예: 웹 양식, 앱)의 재설계를 추진할 수 있다. 
With the ability to collect and understand extensive data about learners, technology, by default, provides a powerful lens into assessors (both in the workplace and simulated assessment) and the responses of the institution to driving assessment quality. In a parallel mechanism to supporting learners, this data can drive targeted support, e.g. focused OSCE examiner training (Gormley et al. 2012), or redesign of TEA (e.g. webforms, apps) to facilitate better assessor engagement.

4차 산업 혁명(McKinsey 2022)은 교육자가 직면한 미래를 강조하며, 더 많은 양의 (평가) 데이터와 알고리즘 기반 결과를 기록하는 장치와 공존하여 교수진이 학습자 진행 및 의사 결정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교육 평가educational assessment의 주요 과제는 이러한 [상호 연결을 시각화, 연결, 영향 및 연구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개발자, 기술자 및 교육자 간의 증강 및 인공지능의 함정과 잠재력을 더 잘 이해하려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Selwyn 2021).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cKinsey 2022) highlights the future that educators face, coexisting with devices recording larger volumes of (assessment) data and algorithm-based outcomes helping faculty coordinate learner progression and decision making. Key challenges of educational assessment focus on how we visualise, connect, influence, and research this interconnectivity.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itfalls and potential of augmente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etween developers, technologists, and educationalists needs to interface with the ethical challenges that continue to arise (Selwyn 2021).

3단계: TEA 사용의 영향 보건 전문직 교육 내 평가, 보급 및 가속화
STAGE 3: The impact of TEA usage needs evaluating, disseminating, and accelerating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글로벌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2020년에는 평가에 대한 기술 솔루션을 포함하여 교육에서의 기술 사용에 있어 혁신 보고서의 급속한 성장으로 돌아왔다(Fuller et al. 2020). 이 생산성 기간 동안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이러한 위기가 창의적 대응으로 이어지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지만, 테크놀로지 기반 창의성에 상당한 자원이 필요하다는 요구는 '소박한 혁신'의 가치를 간과하고 있습니다(Tran and Ravaud 2016). 그러나 이러한 창의성으로부터 배우는 모든 것의 중심은 '설명description'을 넘어, [보급과 의미 있는 학술활동]을 통해 그 영향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요구이다(Ellaway et al. 2020).
Despite (and indeed because of) the global pandemic, 2020 saw a return to the rapid growth of innovation reports in technology use in education, including technological solutions to assessment (Fuller et al. 2020). What can we learn from this period of productivity? That crisis leads to creative responses is unsurprising, but a requirement that technology-based creativity requires substantial resources overlooks the value of ‘frugal innovation’ (Tran and Ravaud 2016). However, central to any learning from this creativity is a requirement to move beyond ‘description’ and maximise its impact through dissemination and meaningful scholarship (Ellaway et al. 2020).

HPE를 통한 TEA의 학술적 연구 보급은 북미, 유럽, 오스트랄라시아에 걸쳐 개인 및 소규모 그룹의 출판물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출판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TEA가 전 세계적으로 HPE에 진정한 혜택을 주기 위해서는 기술 지원 평가의 설계, 구현 및 평가의 내러티브도 다양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HPE(예: 주제별 통화, 혁신 보고서)에 반영되며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설계 및 소셜 미디어 영역의 단서로부터의 학술활동 채택으로 인해 반영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TEA에 초점을 맞춘 학술 출판물이 실무자의 의견을 통해 협력적이고 점진적으로 구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Dissemination of scholarly work in TEA across HPE has largely been dominated by publications from individuals and small groups across North America, Europe, and Australasia. While there is a growing trend of output from the Asia Pacific region, publications from Africa and South America remain few. For TEA to truly benefit HPE globally, the narratives of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echnology-enabled assessments need diversity too. This diversity is reflected within HPE (e.g. thematic calls, innovation reports) and from the adoption of scholarship from cues in the fast-changing realm of instructional design and social media. Such approaches mean that scholarly publications focused on TEA can be built collaboratively and progressively with input from practitioners.

교육 내에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채택]하는 실험적인 특성은 [장단기 의도된 결과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의 프레임워크에 적합하다. 이를 위한 '최선의' 방법에 대해서는 HPE 전체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서로 다른 프레임워크는 과정 또는 프로그램 수준 평가(Cook 및 Ellaway 2015) 또는 단일 자원 평가(Pickering and Joynes 2016)에 대한 제안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의 핵심은 [어떤 형태로든 영향의 evaluation와 assessment가 이루어져야 하며], [TEA 혁신이 학습 경험, 행동 또는 프로세스에 진정한 차이를 가져왔는지] 또는 [기존의 평가에서 일부 긍정적인 요소가 손실되었는지]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William 2021).).
The experimental nature of continually adopting new technologies within education lends itself well to frameworks of short- and long-term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There is no agreement across HPE on the ‘best’ way to do this, but different frameworks offer suggestions for course or programme level evaluations (Cook and Ellaway 2015) or for evaluation of a single resource (Pickering and Joynes 2016). The key point of these frameworks remains that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impact need to occur in some form and that consideration is given to whether a TEA innovation has truly made a difference to learning experiences, behaviours, or processes, or whether some positive elements have been lost from the assessment which came before (William 2021).

마무리 멘트
Concluding remarks

팬데믹으로 인해 더 넓은 교육이 계속해서 형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는 무엇을 유지할 것인가? 국제 고등 교육 정보 기술 그룹 Educause는 디지털 기술이 교육 및 평가를 지속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탐구하기 위해 '복원', '진화', '변환'의 세 가지 모델을 제안합니다(EDUCHAUSE 2021). 저자들은 일련의 대안, 전염병 이후의 미래를 지적하지만, [어포더빌리티, 디지털 보안, 디지털 형평성 및 교육에 대한 평등한 접근 문제]가 TEA에 대한 우리의 전략적 접근 방식을 형성해야 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With wider education continuing to be shaped by the pandemic, what does the future hold? The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group Educause proposes three models—‘restore,’ ‘evolve,’ and ‘transform’—to explore how digital technologies may continue to shape education, and assessment (EDUCAUSE 2021). The authors point to a series of alternative, post-pandemic futures, but where issues of affordability, digital security, digital equity, and equitable access to education will be the driving forces that must shape our strategic approaches to TEA.

향후 10년간의 기술 동향에 대한 예측은 일, 건강 및 사회(Gartner 2015)에 대한 광범위한 변화를 강조할 수 있지만, HPE의 보다 근본적인 것은 학습 테크노롤지가 어떻게 사람에 초점을 맞추도록(예: 창의성과 혁신, 학습자 행위자성 및 웰빙) 축을 전환할 것이냐이다. 이러한 것들은 학습자의 자기 조절, 개발, 기여 및 자기 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이러한 기술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생각하는 TEA에게 흥미로운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테크놀로지 미래학자들은 '인간만의 특성'(예: 동정심, 창의성)을 우리가 배우는 것만큼 점점 더 가치가 있다고 지적하고, 더 많은 자동화를 사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Leonhard 2021). 테크놀로지와의 공존을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 관행 기반 윤리 및 의사 결정(및 자동화된 시스템으로부터의 포기)을 어떻게 '평가'하는지가 HPE의 평가에 대한 주요 과제일 것이다.
Whilst predictions around technology trends of the next 10 years may highlight broader changes to work, (health), and society (Gartner 2015), more fundamental to HPE is how learning technologies will shift their axes to focus on people—transformative competencies (e.g. creativity and innovation), learner agency and well-being (OECD 2015). These present interesting potential for TEA, thinking about how we ‘assess’ learners' ability to engage with these technologies to support their self-regulation, development, contribution, and self-care. Technology futurists point to ‘human only traits’ (e.g. compassion, creativity) as increasingly valuable as we learn, and provide healthcare, using more automation (Leonhard 2021). How we ‘assess’ these traits, practice-based ethics, and decision making (and abdication from automated systems) in our co-existence with technology will prove major challenges for assessment in HPE.

모든 기여자들이 이러한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핵심 주제는 '더 나은 평가 미래'를 진정으로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필요성을 지적합니다. HPE에서, 이것은 이것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학습과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진정으로 혁신적인 TEA가 기술을 사용한 진정한 평가를 추구하기 위해 평가 라이프사이클뿐만 아니라 학습자, 교수진 및 환자의 요구를 고려하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A key theme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his consensus from all contributors points to the need for technology to truly enable ‘better assessment futures.’ In HPE, this translates to focus on the learning and skills needed to deliver this and to ensure that truly transformative TEA considers not just the assessment lifecycle, but the needs of learners, faculty, and patients in the pursuit of authentic assessment using technology.

 


Med Teach. 2022 Jun 30;1-15. doi: 10.1080/0142159X.2022.2083489. Online ahead of print.

Technology enhanced assessment: Ottawa consensus statement and recommendation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hristie Education, The Christie NHS Foundation Trust, Manchester, UK.

2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K.

3International Medical University, Kuala Lumpur, Malaysia.

4Kubify, Leeds, UK.

5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Keele, Keele, UK.

6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University of Sydney, Sydney, Australia.

7College of Health and Medicin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Australia.

8John Curtin School of Medical Research,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Australia.

9Center for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Helsinki, Helsinki, Finland.

PMID: 35771684

DOI: 10.1080/0142159X.2022.2083489

Abstract

Introduction: In 2011, a consensus report was produced on technology-enhanced assessment (TEA), its good practices, and future perspectives. Since then, technological advances have enabled innovative practices and tools that have revolutionised how learners are assessed. In this updated consensus, we bring together the potential of technology and the ultimate goals of assessment on learner attainment, faculty development, and improved healthcare practices.

Methods: As a material for the report, we used the scholarly publications on TEA in both HPE and general higher education, feedback from 2020 Ottawa Conference workshops, and scholarly publications on assessment technology practi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sults and conclusion: The group identified areas of consensus that remained to be resolved and issues that arose in the evolution of TEA. We adopted a three-stage approach (readiness to adopt technology, application of assessment technology, and evaluation/dissemination). The application stage adopted an assessment 'lifecycle' approach and targeted five key foci: (1) Advancing authenticity of assessment, (2) Engaging learners with assessment, (3) Enhancing design and scheduling, (4) Optimising assessment delivery and recording learner achievement, and (5) Tracking learner progress and faculty activity and thereby supporting longitudinal learning and continuous assessment.

Keywords: Assessment; curriculum; medical education research.

 

초기 임상실습에서 전문직정체성형성 이해하기: 새로운 프레임워크(Acad Med, 2019)
Understand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Early Clerkship: A Novel Framework
Sandra Jarvis-Selinger, PhD, Kimberley A. MacNeil, MA, Gregory R.L. Costello, MD, CCFP, Kenneth Lee, MD, and Cheryl L. Holmes, MD, FRCPC, MHPE 

 

 

의학 교육자들은 개인들이 그들의 책임 뒤에 있는 이상과 원칙을 내면화했을 때 그들의 직업의 가치에 따라 행동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학생들의 전문직업적 태도를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에 널리 동의한다. 따라서, 훈련 중인 의사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전문적 정체성을 지원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에 초점을 맞춘 교육 접근법을 보완하고 이러한 신흥 전문가의 개발 요구를 보다 포괄적으로 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PIF(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 혁신, 특히 학생들의 성찰 참여를 강조하는 혁신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이 언제 그리고 왜 그들의 새로운 직업적 정체성을 조사하고 협상할 기회를 잡는지에 대해 여전히 배울 것이 많다.
Medical educators widely agree that they should foster students’ professional attitudes because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act in accordance with the values of their profession if they have internalized the ideals and principles behind their responsibilities.1–3 Therefore, supporting a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among physicians-in-training serves to complement knowledge- and skill-focused educational approaches and to more comprehensively address the developmental needs of these emerging professionals.4–6 In response, there has been an upsurge in educational innovations intended to fost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especially innovations that emphasize engaging students in reflection.7–11 However, there is still much to be learned about when and why students take up opportunities to examine and negotiate their emerging professional identities.

역사적으로 [정체성 이론]은 개인이 자아성장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일련의 단계를 통해 진보한다는 개념에 바탕을 둔 발달적 관점에 기초한다. 이러한 이론들이 각 [개인 내부의 인지 구조]의 역할을 뒷받침하는 반면, 점점 더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적 토대를 둔 과정]으로서 정체성 발달의 상호 작용을 주장하는 [사회적 인지 이론]을 채택하고 있다. 의학 교육의 맥락에서, PIF는 다음으로 묘사되어 왔다. 

"두 가지 수준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적응적이고 발달적인 과정으로서,
(1) 개인의 심리적 발달을 수반하는 개인의 수준에서, 그리고 
(2) 공동체의 업무에서 개인의 적절한 역할과 형태로 사회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집단적 수준에서." 

Historically, identity theories are based on developmental perspectives grounded in the notion that individuals progress through a series of stages marked by ego growth.12 While such theories foreground the role of each individual’s internal cognitive structures, more and more researchers are adopting social-cognitive theories that assert the interactional nature of identity development as a socially grounded process.13,14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PIF has been described as an

“adaptive, developmental process that happens simultaneously at two levels:
(1)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which involves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person, and
(2) at the collective level, which involves socialization of the person into appropriate roles and forms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s work.”4 

PIF의 개인 및 사회적 차원을 모두 인정하는 [사회적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의대생들의 서술적 성찰을 연구해 왔는데, 이러한 성찰은 학생들이 임상 경험과 내부 정체성 구성 사이에 맺고 있는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서술적 성찰은 학생들의 PIF 경험을 조명할 뿐만 아니라 일부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이 전문성과 정체성을 함양하면서 학습기제 역할을 한다. 서술적 성찰 문헌은 특히 학생들이 자신의 진화하는 자신을 죽음과 질병의 경험, 해부학 실험실 연습, 그리고 그들의 첫 환자 상호작용과 같은 극적인 순간들의 영향과 어떻게 연관시키는지 강조한다. 비록 이것이 그들의 새로운emerging 직업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학생들의 일상적인 교육 및 임상 경험의 더 일상적인 측면을 성찰하는 보고는 덜 널리 퍼져 있다.

Building from social-cognitive theories—that acknowledge both the individual and social dimensions of PIF—researchers have studied medical students’ narrative reflections because these reflections have the potential to illustrate the links students are making between clinical experiences and internal identity construction.8 Narrative reflections not only illuminate students’ experiences of PIF but also, according to some research, act as a learning mechanism that supports students as they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and identity.15,16 Narrative reflection literature particularly emphasizes how students relate their evolving selves to the impact of dramatic moments, such as their experiences of death and illness,17 anatomy lab exercises,10 and their first patient interactions.18 Less prevalent are reports of students reflecting on the more routine aspects of their day-to-day educational and clinical experiences, even though these may significantly affect their emerging professional identity.

또한, 성찰의 기회와 PIF를 연계하기 위한 커리큘럼 노력을 inform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성찰의 순간(크든 작든)이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해석을 용이하게 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의대생들에게 중요한 전환기인 임상서기 3년차 동안 학생들이 새롭게 부상하고 변화하는 전문적 정체성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UBC)의 GRAPIC(Guided Reflection and Professionalization/Hidden Curriculum) 과정의 파일럿 연도의 맥락에서 진화하는 의대생 전문 정체성에 대해 조사했다.  
In addition, few conceptual frameworks exist to facilitate interpretation of how reflective moments—either great or small—affect students’ evolving sens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ways that can inform curricular efforts to link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and PIF. In this study, we aimed to understand how students reflected on their emerging and changing professional identities throughout their third-year clinical clerkship, which is a critical transition period for medical students. We examined evolving medical student professional identity within the context of the pilot year of the Guided Reflection and Professionalization/Hidden Curriculum (GRAPHiC) course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19,20

방법
Method

본 연구의 초기 목적은 의과대학 3학년 학생들이 임상실습 기간 중 PIF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여 의과대학 중 학생들의 전문성장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의학교육계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있었다. 우리는 우리의 해석론적 관점에 의존하여 근거 이론 접근법에 의해 알려진 분석에 참여했다. 이 연구는 UBC의 GRAPiC 과정의 시범 연도에 수행되었다. GRAPiC 프로그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대생 및 신흥 전문가로서의 발전과 관련하여 숨겨진 교육과정의 영향을 '드러내기unhide' 위해 노력함에 따라 의대생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GraphiC 세션(n = 10)은 토론을 안내하고 모든 참가자를 능동적인 성찰에 참여시키기 위해 준비, 주의, 처리, 선택의 4단계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구성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진행자들은 먼저 학생들이 숨겨진 커리큘럼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차리게 하고, 그들이 알아차린 것을 처리하는 동안 학생들을 지원했고, 마지막으로, 그들이 발전하는 직업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행동을 선택하도록 도왔다.
The initia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ird-year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PIF during their clinical clerkships to advance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s understanding of how to support students’ professional growth during medical school. We relied on our interpretivist perspectives21 to engage in an analysis informed by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pilot year of the GRAPHiC course at UBC.19,20,22 As previously described, the GRAPHiC program was designed to support medical students as they worked to “unhide” the influences of the hidden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ir development as medical students and emerging professionals. GRAPHiC sessions (n = 10) were structured using a 4-step approach—priming, noticing, processing, and choosing—to guide the discussion and to engage all participants in active reflection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vailable at https://links.lww.com/ACADMED/A699).20 For example, facilitators first primed students to notice how the hidden curriculum was influencing them, then supported students as they processed what they were noticing, and, finally, helped them choose behaviors that might positively support their developing professional identity.

acadmed_2019_06_07_jarvisselinger_acadmed-d-18-00785_sdc1.pdf
1.34MB

참가자
Participants

우리는 UBC에 등록된 모든 3학년 학생들을 이메일로 연구에 참여하도록 초대했습니다. 참여하기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GraphiC 파일럿 과정에 등록했다. 의과 3학년 자원봉사자들은 1학년에 걸쳐 교직원 3명(C.L.H. 포함),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1명, 의과 4학년(G.R.L.C.) 1명과 9차례의 공동토론을 진행했다. 학생들은 주요 진행자(C.L.H.)와 함께 그룹 토론, 온라인 저널링 및 이메일 서신에 참여했습니다. UBC 행동연구윤리위원회 과정은 이 연구에 대한 윤리적 승인을 제공했다.
We invited all third-year students registered at UBC to participate in the study via email. To participate, students voluntarily enrolled in the GRAPHiC pilot course. Over the course of 1 academic year, volunteer third-year medical students engaged in 9 collaborative discussions with 3 faculty members (including C.L.H.), 1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nd 1 fourth-year medical student (G.R.L.C.). Students participated in group discussions, online journaling, and email correspondence with the lead facilitator (C.L.H.). The UBC Behavioural Research Ethics Board process provided ethical approval for this study.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본 연구를 위해 의대 3학년(2015년 6월~2016년 6월) 과정과 4학년(2017년 2월) 1회 후속 세션에 걸쳐 진행된 9개 그룹 토론(GraphiC 또는 G 세션)의 녹음 및 녹취록을 분석하였다. 각 세션에 참석한 한 조사관(C.L.H.)은 각 오디오 녹음을 듣고 참가자를 인코딩하여 녹취록을 비식별화했다. 각 참가자는 남학생(MS) 또는 여학생(FS)으로 인코딩되어 번호가 할당되었다. 순차적으로 인코딩된 세션(G1–G10)은 2시간이었다. 우리는 준비, 주의, 처리 및 선택 단계를 통해 학생들의 진전을 지원하기 위해 전략적이고 계획된 프롬프트와 비정형 토론으로 구성된 이 세션을 설계했습니다. 
For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audio recordings and transcripts of the 9 group discussions (i.e., GRAPHiC or G sessions) that took place over the course of the students’ third year of medical school (June 2015–June 2016) and of 1 follow-up session in their fourth year (February 2017). One investigator (C.L.H.) who was present at each session listened to each audio recording and encoded the participants, deidentifying them in the transcripts. Each participant was encoded as either a male student (MS) or a female student (FS) and assigned a number. The sessions, encoded sequentially (G1–G10), were 2 hours in length. We designed these sessions, which consisted of strategic, planned prompts as well as unstructured discussions, to support students’ progress through the phases of priming, noticing, processing, and choosing.20

GraphiC 커리큘럼 설명
GRAPHiC curricular description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초기 그룹 미팅에서는 의대생들에게 준법 및 순응의 구성뿐만 아니라 숨겨진 커리큘럼의 개념을 소개하는 1시간의 교훈 세션(2015년 6월)이 포함되었다. 

  • 또한, 이 첫 번째 세션 동안 진행자들은 개인 영역과 임상 작업장의 숨겨진 커리큘럼의 예를 제공하고 토론을 초대하여 학생들이 또래 압력에 접근한 자신의 경험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했다. 
  • 학생들은 그들의 일상 활동을 기록하기 위해 교과 과정 사이에 현장 메모를 하도록 요청 받았다. 이메일 알림과 구두 프롬프트를 통해, 우리는 참가 학생들이 특히 그들 자신의 문화 과정을 기록하고 기록하도록 지도했습니다. 
  • 우리는 그들에게 그들이 불협화음을 경험했을 때, 즉 그들이 그들의 최고 또는 이상적인 직업적 자신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행동에 순응하거나 순응해야 한다는 압박을 느꼈을 때를 주목하고 기록하도록 요청했습니다.

As previously described,19,20 the initial group meeting included a 1-hour didactic session (June 2015)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hidden curriculum, as well as the constructs of compliance and conformity, to medical students.

  • In addition, during this first session, the facilitators provided examples of the hidden curriculum from the personal realm and clinical workplace and invited discussion to sensitize students to their own experiences of acceding to peer pressure.19,20 
  • The students were asked to take field notes between curricular sessions to record their daily activities. Through email reminders and verbal prompts, we coached the participating students to note and journal, specifically, their own process of enculturation.
  • We asked them to notice and record moments when they experienced dissonance, that is, when they felt pressure to comply or conform to behaviors that moved them away from their best or ideal professional self.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우리는 10개의 GRAPiC 세션에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근거 이론 접근법을 사용했다. 근거 이론은 시간에 따른 프로세스 또는 변화와 관련된 질문을 적절하게 다루고 "사회 환경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개념적 추상적 설명을 쉽게 개발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분석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을 사용하여 지원되었다. 분석에는 4학년 의대생 2명(G.R.L.C.와 K.L.)이 성적서를 읽고, 분석 메모에 참여하고, 우리의 연구 질문과 관련된 새로운 주제를 생성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근거 이론 방법론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의 근본적인 문제]는 [범주 및 코드의 귀납적 생성과 데이터 중심 분석과 개념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자들 자신의 이론적 민감성의 잠재성] 사이의 긴장 관계에 있기 때문에 대학원생 연구 조교(K.A.M.)가 이 차에 합류했다. K.A.M.은 외부인(의학부가 아닌 교육학부 출신)으로서 데이터 분석에 종사하였는데, 이는 주요 연구자들의 이론적 민감성이 개념적 범주의 부과를 야기했을 수 있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관점을 주었다. 우리는 코딩의 목적을 위해 초기 주석을 더 작은 의미 단위로 구문 분석parsed하였다. 범주는 가장 중요한 발견물(아래 참조)로 나타났으며, 각 범주 내 및 범주의 패턴과 관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행동 모델 역할을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 중 2명(K.A.M.과 S.J.-S.)은 지속적인 비교 접근법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축 코딩에 참여했고, 개발 코드뿐만 아니라 범주의 특성과 차원을 논의하고 정의하며 질문하기 위해 격주로 만났다.26
We used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analyze the data resulting from the 10 GRAPHiC sessions because grounded theory suitably addresses inquiries related to process or change over time16,23 and facilitates developing a conceptually abstract explanation of “what is happening in a social setting.”24 Data analyses were supported by the use of Microsoft Excel (version 16.16.1, Redmond, Washington). Analyses involved 2 fourth-year medical students (G.R.L.C. and K.L.) reading transcripts, engaging in the act of analytic memoing,25,26 and generating emergent themes related to our research questions. Because a foundational issue for researchers employing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lies in the tension between the inductive creation of categories and codes and the potential for the researchers’ own theoretical sensitivities to influence data-driven analyses and conceptual thinking,21,27 a graduate student research assistant (K.A.M.) joined the team. K.A.M. engaged in data analysis as an outsider (from the Faculty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Faculty of Medicine), which gave her the perspective to check the degree to which the lead researchers’ theoretical sensitivities may have caused an imposition of conceptual categories. We parsed the initial comments into smaller units of meaning for the purposes of coding. Categories emerged as overarching findings (see below) and served as the model of action,28 which we used to discern patterns and relationships within and across each category. Throughout this process, 2 of us (K.A.M. and S.J.-S.) engaged individually in axial coding,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28 and met biweekly to discuss, define, and interrogate not only the developing codes but also the categories’ properties and dimensions.26

결과.
Results

12명의 학생이 등록했고, 10개의 GraphiC 세션에서 12명 전원이 의견을 표명했다. 10개 세션의 모든 대화록은 1,137줄에서 1,976줄의 텍스트 범위였으며, 우리는 처음에 114개의 개별 의견을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두 가지 실질적인 결과가 나왔다. 

  • (1)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개발 및 
  • (2) 뚜렷한 PIF 테마.

Twelve students enrolled, and all 12 vocalized opinions across the 10 GRAPHiC sessions. The transcripts from all 10 sessions ranged from 1,137 to 1,976 lines of text, and we initially analyzed 114 individual comments. The analysis resulted in 2 substantive findings:

  • (1)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and
  • (2) distinct PIF themes.

개념적 틀의 출현은 의도하지 않았지만 중요한 발견이었다. 학생들의 PIF 경험 분석을 통해, 우리는 그들의 전문적인 이야기를 구성하는 4가지 식별 가능한 구성 요소를 발견했다(그림 1 참조). 사후, 우리는 이것들을 다음과 같은 프레임워크로 구성했다. 

  • (1) 학생 참가자들이 말했던 맥락, 
  • (2) 그들의 이야기의 초점
  • (3) 학생들이 자기성찰을 하도록 자극하는 것처럼 보이는 촉매제
  • (4) 학생들이 그들의 정체성 신념을 처리하는 방법

The emergence of a conceptual framework was an unintended but important finding. Through analyzing students’ experiences of PIF, we found 4 identifiable components that together constituted their professional stories (see Figure 1). Post hoc, we organized these into a framework that comprises

  • (1) the contexts that student participants spoke about,
  • (2) the focus of their stories,
  • (3) the catalysts that seemed to spur students to introspect, and
  • (4) how students process their identity beliefs.

우리는 학생들이 어떻게 처리하고 전문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지에 대한 학생들의 설명에서 두 가지 중요한 주제인 존재와 존재가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우리는 학생들의 (1) 개인과 (2) 사회적으로 참조되는 성찰을 통해 존재의 두 가지 차원을 확인했다. 학생들이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 있는지 설명하면서, 그들은 그들이 관찰하고 임상 환경에서 함께 일하고 있는 의사들과 관련하여 미래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We identified 2 overarching themes—being and becoming—in students’ descriptions of how they process and form a professional identity. We identified 2 dimensions of being through students’ (1) individual and (2) socially referenced reflections. As students described who they were becoming, they were thinking forward to their future identities in relation to the physicians they were observing and working with in clinical settings.

학생들의 PIF 스토리를 구성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A conceptual framework for organizing students’ PIF stories

학생들은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한 경험을 특정한 [맥락], 즉 그들이 일하고 있는 임상 환경의 시간적, 물리적, 관계적 요소 안에서 찾았다. 학생들은 특히 응급실에서, 첫 번째 임상 순환에서, 또는 진료 교대 후 지도교사의 피드백을 받았을 때 자신의 경험을 되새겼다.
Students located the experiences that shap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within a specific context, that is, the temporal, physical, and/or relational components of the clinical environment in which they were working. Students reflected on their experience, 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on a first clinical rotation, or upon getting feedback from a preceptor after a clinic shift.

학생들은 또한 그들의 이야기를 특정한 [초점]에 집중했고, 우리는 그것을 특정한 맥락에서 "그들의 관심을 끄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수술실(OR)에서 처음 수술한 경우, 학생의 초점은 팀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또는 이러한 상호작용의 톤과 내용에 맞춰질 수 있다. 각 컨텍스트(예: OR)가 잠재적으로 수백, 심지어 수천 개의 잠재적 초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학생들이 기록한 특정 정보 조각, 즉 초점을 강조했다.
Students also centered their stories on a specific focus, which we defined as “what held their attention” in that particular context. For example, if the student described the context as a surgical rotation and his or her first time in the operating room (OR), the student’s focus might be on the team’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or on the tone and content of those interactions. Given that each context (e.g., the OR) could provide potentially hundreds, even thousands, of potential foci, we highlighted the specific pieces of information students noted: their focus.

학생들은 종종 특정한 [촉매]가 어떻게 그들이 특정한 맥락과 집중 안에서 그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반성하고 자기성찰하도록 자극하는지 묘사했다. 예를 들어, 학생은 수업 시간에 전문성에 대한 강의를 들을 수 있었고, 그것은 임상 학습 렌즈가 아닌 PIF 렌즈로 OR 팀의 대화를 볼 수 있는 촉매제가 되었을 수 있다. 즉, 학생은 어떤 관련 환자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지가 아니라 "이 상황에서 나는 누구인가?" 또는 "나는 미래에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라고 생각한다.
Students often described how a specific catalyst stimulated them to reflect on and be introspective about their own identity within a particular context and focus. For example, a student could have just heard a lecture in class about professionalism, and that may have become the catalyst to view the OR team’s conversations not with a clinical learning lens but instead with a PIF lens; that is, the student considers not what relevant patient information is being presented but instead ponders, “Who am I in this situation?” or “What am I learning about how to be in the future?”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초기 목적은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 신념을 [처리]하거나 협상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쌓는 과정]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더 광범위하게 설명함으로써, 우리는 또한 학생들의 PIF 경험을 패턴화하고 이해하기 위한 우리의 개념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입증했다. 우리는 과정을 학생들의 현재 또는 미래의 직업적 자아에 대한 인식과 탐색으로 정의했다. 학생들은 현재의 정체성(즉, 내가 누구인지)을 가지고 있거나 미래에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지(즉, 내가 누구일지)에 대한 감각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했다. Being와 Becoming에 대한 각각의 상위 주제 내에서, 우리는 학생 참가자들에 따르면, 그들의 정체성에 대해 내성introspect하거나 처리process하는 [촉매] 역할을 하는 순간의 유형에서 패턴을 확인했다. 아래에서, 우리는 학생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처리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식별된 지배적인 주제와 예시적인 인용문을 결합했고, 우리는 각 인용문의 G 세션, 대본 라인 번호, 그리고 참가자 번호를 기록했다.
Finally, the last component, process—specifically building knowledge about how students process or negotiate their identity beliefs—was the initial aim of this study. Therefore, by elaborating more extensively on how students process their identity, we have also demonstrated the utility of our conceptual framework for patterning and understanding students’ experiences of PIF. We defined process as students’ awareness and navigation of their current or future professional selves. Students described having a sense of their current identity (i.e., who I am) in the present moment or a sense of who they might become in the future (i.e., who I will be). Within each superordinate theme of being and becoming, we identified patterns in the types of moments that, according to our student participants, served as catalysts for introspecting about or processing their identity. Below, we have paired illustrative quotations with the dominant themes identified through our analysis of how students processed their identities, and we have noted the G session, the transcript line numbers, and participant number of each quotation.

존재
Being

학생들이 미래에 어떤 사람이 될 것이 아니라, 그 당시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개념을 설명할 때, 그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개인적으로 (나에게) 또는 사회적으로 (나에게) 어떻게 자신을 위치시키는지 구별했다.
When students described their conceptions of who they were in the then-present moment, rather than who they might become in the future, they made distinctions between how they personally (me-to-me) or socially (me-to-them) positioned themselves in relation to their identity.

나 대 나(개인적)의 성찰.
Me-to-me (personal) reflections.

(첫째,) 학생들은 그들이 과거에 누구였는지, 그들의 교육/경력에서 이 시점에서 누가 될 것으로 예상했는지, 그리고 그들이 의사 특유의 방식을 취하기 시작했는지와 관련하여 그들의 진화하는 정체성에 대해 설명했다.
Students described their evolving sense of identity in relation to who they had been in the past, who they expected to be at this point in their education/career, and how they were beginning to take on physician-specific ways of being.

첫 번째 사례에서, 학생들은 현재 자신의 개념화가 이전에 자신이 누구였는지에 대한 개념과 어떻게 대조되는지를 관찰했다. 학생들은 그들의 과거에서 현재의 자신으로 어느 정도 변모하는지를 확인했다. 예를 들어, FS6는 그녀의 첫 제왕절개수술에서 어떻게 "소름끼쳤다"고 언급할 때 새로운 정상 상태를 설명했지만, 이제는 어떻게 "이렇게 빨리 정상화되는지"에 충격을 받았다(G5, 260–287).
In the first case, students observed how conceptualizations of themselves at present contrasted to notions about who they had been previously. Students identified a degree of transformation from their past to present selves. For example, FS6 described a new normal when recounting how she was “horrified” at her first cesarean section but is now shocked at how “things normalize so quickly . . . within a couple of days” (G5, 260–287).

둘째, 학생들은 그들의 변화하는 [자아 의식]이 교육 궤적에서 어떻게 [그들이 누구였는지]와 [그들이 지금쯤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사이에 긴장을 불러일으켰는지를 묘사했다. 어떤 경우에, 학생들은 임상적 맥락의 현실이 그들이 의도하는 의료 제공자의 유형을 훼손한다고 느꼈다. 예를 들어, FS4는 한 환자에게서 좌절을 경험했고 그녀가 "그 인터뷰에 그녀 자신이 아니었다"고 인식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Second, students described how their shifting sense of self evoked a tension between who they were and who they thought they would be by this point in their educational trajectory. In some cases, students felt the realities of the clinical context undermined the type of health care provider they intended to be. For example, FS4 experienced frustration with a patient and recognized how she “was not [her]self in that interview.” She described:

저는 여전히 예의 바르게 행동했지만, 다른 환자들과 같은 관계를 유지하지는 못했어요. 그리고 5분간의 인터뷰를 마치고 나왔죠. 그리고 저는 그 사건에 대해 정말 부끄러웠습니다. 그날 저는 누군가와 정말 좋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갔을 때, "오, 그녀는 놀라운 의사가 될 거야."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래, 이것이 지금의 나"라고 생각했던 것을 기억한다. (G7, 675–700)
I was still polite, but just—I didn’t really have the same rapport that I have with other patients. And I walked out of that, like, you know, a little 5-minute interview . . . and I was really ashamed of that incident . . . that same day I had a really good interaction with someone. And I had heard them when I went away, say, “Oh, she’s going to be, like, an amazing doctor.” And I remember thinking, “Yeah, like, this is who I am now.” (G7, 675–700)

이 사례와 다른 사례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누구여야 한다고 느끼는 열망과 자신이 누구인지를 보여주는 실제 사례를 대조했다.
In this, and other instances, students contrasted a real-life example of who they were with aspirations of who they felt they should be.

셋째, 학생들은 [일하는 방식, 사고 방식, 기여 방식]에서 의사(즉, 학생이 아닌) 정체성을 채택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들은 의사들과 동등한 입장에서 결정을 내리던 경험을 되새겼다. 예를 들어, MS5는 "내가 말한 것이 실제로 환자의 치료에서 일어난 일로 번역되었다는 것이 다소 놀랍다"(G7, 38-97)고 언급하였다. 일부 학생들은 의사처럼 생각하거나 더 많은 인내심을 갖고 책임을 지는 경우를 의사처럼 느끼는 것과 연결시켰다. 다른 이들은 환자나 학습에 대한 주인의식의 변화를 묘사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은 그의 정신의학적인 순환이 그가 부분적으로 주인의식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을 강조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보았기 때문입니다.
Third, students described how they were adopting physician (i.e., not student) identities in their ways of working, thinking, and/or contributing. They reflected on experiences in which they were making decisions on equal footing with physicians. For example, MS5 stated that “it was kind of amazing that what I was saying actually translated to what happened with the patient’s care” (G7, 38–97). Some students linked instances of thinking like a physician or taking on more patient responsibility to feeling more like a physician. Others described a shift in their sense of ownership over patients or their learning. For example, 1 student emphasized the ways in which his psychiatry rotation allowed him to feel a sense of ownership, in part, because he saw

제가 인정한 환자들—그래서 저는 큰 주인의식과 그들이 저의 환자라고 느꼈습니다. 나는 그들을 [나의 스승]보다 더 잘 안다고 느꼈다. 그래서 나는 정신과 의사처럼 느꼈다. (G8, 430–489)
patients that I admitted and—so I felt like a huge sense of ownership and that they were my patients. I felt like I knew them better than [my preceptor] did . . . so I did feel like a doctor in psych. (G8, 430–489)

그는 그 경험을 자신의 피부과 로테이션과 대조했는데, 그 기간 동안 그는 스스로 환자를 보지 않았기 때문에 의사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이 예시와 다른 예는 학생들이 자신을 의사로 보기 시작하면서 어떻게 자신의 PIF를 탐색했는지 보여준다.
He went on to contrast that experience to his dermatology rotation, during which he did not feel like a physician because he was not seeing patients on his own. This and other examples illustrate how students navigated their own PIF as they began to see themselves as physicians.

나 대 그들(사회적)의 성찰.
Me-to-them (social) reflections.


학생들은 자신을 일반인, 주어진 상황/사건이 정상적인 건강 전문가, 그리고 개업 의사들과 구별함으로써 타인과 관련된 이동 또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았다.

Students located their shifting, or new, identity in relation to others b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laypeople, from health professionals for whom a given context/occurrence is normal, and from practicing physicians.

학생들은 임상적 맥락이나 개인 생활에서 그들의 새로운 정체성이 [일반인]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명히 했다. 그들은 자신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이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떻게 귀속될 수 있는지 개략적으로 설명했고, 그들은 이러한 새로운 경험과 관점이 어떻게 그들이 자신을 다른 것으로 인식하거나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를 묘사했다. 예를 들어, FS6는 그녀가 더 이상 "우리가 하는 것 중 일부에 놀라지 않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녀는 "마치, 요전 날 한 남자의 코를 다시 꿰매고 있었던 것 같다…. 평범해지는 것은 일종의 야생이다…. 나는, 내 가족이 지금 나를 볼 수 있다면, 이것은 미친 짓일 것이다."라고 자세히 설명한다. (G7, 195–245). 또 다른 예로, MS7은 신경질적인 의대 2학년 학생과의 대화가 어떻게 그가 더 후배인 누군가와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생각하도록 자극했는지를 인식했다.
Students articulated how their new identities differed from those of laypeople either in the clinical context or in their personal lives. They outlined how new ways of thinking about themselves could be attributed to interactions with others, and they described how these new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helped them appreciate or perceive themselves as different. For example, FS6 described how she is no longer “amazed by some of the things we do.” She elaborates, “Like, I was sewing a guy’s nose back together the other day . . . it’s just kind of wild what becomes the norm . . . I’m like, if my family could see me right now, this would be crazy” (G7, 195–245). In another instance, MS7 recognized how a conversation with a nervous second-year medical student spurred him to think about where he was in relation to someone more junior:

나는 산부인과에 들어간 지 2주가 지났고 방금 산부인과 수술을 마쳤다. 그리고 우리는 분만 중이었고 2년차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주치의의 뒤를 따라다녔기 때문입니다. 2학년 학생이 제게 와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는 수술실에서 X박사를 따라다니며, 그것에 대해 매우 긴장할 것입니다. 수술실에 들어가 봤어요? 그것에 대해 조금 말해줄 수 있니?" 그래서 산부인과 병동 뒤쪽에 있는 수술실로 데려가서 스크럽 방법이나 모든 것을 보여줬고 규칙이나 무균 밭이나 모든 것을 지켰습니다. 그리고 10분에서 15분 정도 있으면 그녀는 "와,와,와, 이건 너무 심해요. "어떻게 이런 걸 배웠어요?" 그리고 나는, 와, 사실 이런 것들을 배웠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지금처럼 그것은 제2의 자연과 같다. (G7, 346–371)
I’d been 2 weeks into obstetrics and just finished the surgery portion of obstetrics. And we were in labor delivery and a second year was in as well because they were shadowing a family doctor. The second year came to me and said, like, “I’m going to be shadowing Dr. X in OR, super nervous about it. Have you been in OR? Can you tell me a bit about it?” And so then I actually just took her to, like the OR that’s in the back of the obstetrics ward and showed her, like, how to scrub and everything and, like, stick to rules and sterile fields and everything. And, like, maybe 10, 15 minutes in she was like, “Whoa, whoa, whoa, this is way too much. How did you learn this stuff?” And I didn’t realize, like, wow, I actually have learned this stuff . . . like now it’s just like second nature. (G7, 346–371)

이 학생들은 그들이 공식적으로 맡은 [일반인 위치 또는 주니어 학습자 역할]에서 벗어났다는 느낌을 보여주었다.
These students demonstrated a sense that they had moved on from the layperson positions and/or junior learner roles they formally occupied.

학생들이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하는 두 번째 방법은 [어떤 일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평범했지만 그들에게는 놀라웠다]는 감각이었다. 예를 들어, FS8은 그녀가 처음으로 제왕절개를 목격했을 때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어느 순간 산부인과 의사가 복부에서 자궁을 꺼내 마사지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수축하는 것을 돕는 것은... 나팔관과 모든 것"—그녀가 "수술실에 있는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는 정상이지만" "처음 수술실에 있을 때는 특별하다"라고 묘사한 사건이다. 그녀는 "어떻게 이것이 정상인가?"라고 생각했던 것을 기억한다. (G5, 202–228) 이러한 성찰은 초보자로서의 정체성 때문에 학생 스스로가 임상적 맥락에서 타인을 느끼는 방식을 보여준다.
A second way in which students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others was in their sense that remarkable occurrences were not as normal to them as they were to others. For example, FS8 described the first time she was in the OR witnessing a cesarean section—“At one point, the obstetrician . . . pulls [the uterus?] out of the abdomen and starts kind of massaging it. And helping it contract . . . fallopian tubes and all”—an occurrence, which she framed as “normal for everybody else in the OR but” extraordinary “when you’re in the OR for the first time.” She recalls thinking, “How is this normal?” (G5, 202–228). This reflection illustrates the ways in which students themselves felt othered in the clinical context because of their identity as novices.

학생들이 그들의 진화하는 정체성에 대해 설명하는 세 번째 방법은 [그들이 의사와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있었다. 어떤 경우에는 학생들이 의사처럼 느끼는 것을 묘사하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그들은 자신을 개업 의사들과 구별되는 존재로 묘사했다. 한 예로, FS6는 환자의 이야기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의사보다 의대생으로서 더 쉽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만약 내가 응급 상담이나 뭐 그런 것에 20분을 할애한다면, 아무도 나에게 화를 내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의사라면 그럴 시간이 그리 많지 않을 것 같다."(G7, 1103–1155) GraphiC 세션 동안, 한 의사가 환자에게 말기 암에 대한 진단을 어떻게 전달했는지 동료로부터 들은 후, 여러 학생들은 그들 자신을 [의사와 학생 역할에 걸쳐 있다]고 묘사했다. 한 학생(MS2)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A third way in which students described their evolving sense of identity was in how they related to physicians. While in some cases students described feeling like a physician, in others, they described themselves as distinct from practicing physicians. In one example, FS6 described how trying to understand patients’ stories is “easier as a medical student than a doctor.” She notes: “If I take 20 minutes for an emergency consult or whatever, no one’s going to be mad at me. But when you’re an actual doctor, I think you don’t have quite as much time to do that” (G7, 1103–1155). During a GRAPHiC session, after hearing from a peer about how a physician communicated a diagnosis of terminal cancer to a patient, multiple students described themselves as straddling the doctor and student roles. One student (MS2) commented:

학생으로서 우리는 뒤로 물러서서 지켜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매우 명확하게 봅니다. 그리고 저는 어떤 상황들이 있다고 확신합니다. 우리가 얼마나 지겨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저는 우리가 그것을 갖는 것에 대해 매우 독특한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찰하기 위해 뒤로 물러서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In being a student . . . we get to stand back and just watch . . . and we see it so clearly. And I’m sure that there are situations—if we, despite how jaded we become, I think there’s something so unique about having that—sort of step back to just observe.
FS8은 "글쎄요, 저는 우리가 거의 다리에 도달한 것처럼 느껴져요. 마치, 우리는 한 발을 넣고, 한 발을 빼는 것 같습니다." MS2는 이에 동의했다: "당신이 옳습니다. 두 세계 모두 기본적으로" (G5, 655-682)이다.
FS8 responded by noting: “Well, I kind of feel like we’re almost the bridge. Like, we kind of have one foot in, one foot out.” MS2 agreed: “You’re right. Both worlds basically” (G5, 655–682).

되는 것
Becoming

주요 발견은 미래 정체성에 대한 학생들의 압도적 다수가 [임상적 맥락에서 의사들에 대한 관찰에 대한 반응]이었다는 것이다. 한 학생(MS7)은 학생들에게 전문성의 모범이 되는 "어마어마한incredible" 내과의사에 대해 언급하며,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높은 기준을 갖도록 도왔다. 그 학생은 내과의사의 모델을 기반으로 자신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했습니다.
A major finding was that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students’ conceptualizations about their future identities were responses to observations about physicians in clinical contexts. One student (MS7) spoke of an “incredible” internist who was an exemplar of professionalism for students, helping them to have high standards for themselves. The student described setting his own standards based on the internist’s model:

이게 닥터 X가 할 일인가요? 그녀가 할 수 있는 방법인가요? 아니면, 그녀가 어떻게 했을까요?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더 많은 질문을 하고 더 오래 듣겠죠 닥터 X가 그랬을 겁니다. 이것이 공식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냥 제 자신에게 상기시킵니다. 아니, 그게 공식이야. 그냥 시간을 좀 더 쓰세요. 좀 더 들어보세요. 더 많은 질문을 하는군요. 좀 더 생각해 보세요. (G2, 936–998)
Is this something Dr. X would—is this the way she would do it? Or, how would she do this? And I know she would just spend more time and she’d ask more questions, and she’d listen a lot longer. Dr. X would—is this [what] the formula would be, and I just remind myself. No, that’s the formula. You just spend more time. You listen a bit more. You ask more questions. You think about it a bit longer. (G2, 936–998)

학생들은 의사들이 환자에 대해 둔감하다는 것을 인식했을 때 실망감을 표시했다. 설명하자면, MS1은 환자에게 공감을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무신경한 지도자의 접근 방식을 흉내낼 때 느끼는 긴장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Students expressed dismay when they perceived physicians to be insensitive toward patients. To illustrate, MS1 described the tension he felt when he mimicked an insensitive preceptor’s approach—even though he felt empathy toward the patient:

그리고 나는 그것에 대해 기분이 나빴다. 마치, 제가 느꼈던 것처럼요. 사실 제가 환자를 정말 불쌍히 여겼거든요. 하지만 동시에, 나는, 마치, 내가 뭘 알고 있는 것 같았어. 이 사람의 [preceptor]는 오랫동안 이 환자를 다뤄왔고, 그들에 대해 몇 가지 이야기를 해줘서 그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고 있는 것 같고 나는…. 하지만 그는 환자에 대한 공감이 별로 없어 보였고…. 만성적인 고통에 대한 공감이 큰 부분을 차지할 것 같은 곳 중 하나였습니다.저기서 일어나고 있어요. 하지만, 네, 그것은 저에게 그저 흥미로운 경험이었어요. 나는 그것이 다시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나는 항상 나 자신에게 그런 사람이 되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G1, 466–516) 
And I felt bad about it. Like, I felt—’cause I actually kind of really did feel for the patient. But at the same time, I was, like, what do I know? This person’s [preceptor] been dealing with this patient for a long time and tells me a few stories about them so I guess they know what they’re talking about and I don’t. . . . But he didn’t seem to have a lot of empathy for the patients. . . . It was for chronic pain so it’s one of those places where you’d think empathy would be a big part of what’s going on there. But yeah, it was just an interesting experience for me. I know it’s going to happen again and I always tell myself I don’t want to be that person. (G1, 466–516)


퍼실리테이터가 학생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되고 싶지 않은 의사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도록 자극했을 때, 학생들은 거의 잠재적인 해결책을 공유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들은 [MS1]의 논평에서 예시되었듯이, 대부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연적으로 둔감해짐을 암시했다.
When the facilitator prompted the student participants to consider how they might avoid becoming the physicians they did not want to become, the students rarely shared potential solutions. Instead, they mostly alluded to the inevitability of becoming insensitive over time, as exemplified by [MS1]’s comment:

내가 항상 이런 걸 보는 지경에 이르긴 싫다. 암에 걸린 사람을 하루에 50명씩 본다. '당신은 하루에 한 번 암에 걸린다'는 말이군요. 오늘처럼요. 우리는 모두 그곳에 도착할 것이고, 어쩌면 모두 그럴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나는 원하지 않는다. (G5, 632-654)
I don’t want to get to the point where I’m, like, well, I see this all the time. People have cancer 50 times a day for me. It’s ‘you have cancer 1 time a day’ for you, like, today. . . . We’ll all just get there and maybe we all will. But I don’t want to. (G5, 632–654)

요약하자면, 학생들은 [더 경험이 많은 의사들로부터 본 것에 대한 반응]을 통해서 [미래에 그들이 될 수 있는 사람]에 대해 생각했다.

In sum, students reflected on the person they might become in the future in response to what they saw from more experienced physicians.

논의
Discussion

[비판적 성찰]은 [사회적 영역(예: 의대생, 레지던트, 의사) 내의 역할 지정role designation]이 [어떻게 전문적 정체성으로 내재화되고 자아의 개념을 형성하는지]를 이해하는 강력한 도구이다.11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의대생들이 어떻게 [변화하는 정체성에 대해 의식적으로 성찰]하기 시작하는지를 밝혀내려고 했다. 또한 어떤 종류의 경험이 그러한 성찰을 끌어냈는지도 알아보고자 했다.
Critical reflection is a powerful tool for understanding how role designations within the social realm (e.g., medical student, resident, physician) are internalized into a professional identity and shape the conception of self.11 In this study, we sought to uncover not only how medical students begin to consciously reflect on their changing identities but also what kinds of experiences they drew on to do so.

학생들에게 깊은 [자각의 감정feelings of awareness]을 불러일으키는 것처럼 보이는 순간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이 (심지어 사후에도) 주목할 만한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순간들]이다. PIF 연구는 종종 나중에 강력하다고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큰 사건(예: 학생들이 시신과 함께 작업하거나 환자의 죽음을 처음 경험하는 경우)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순간들이 종종 다른 사람들에게는 [일상적 순간]이라는 것을 관찰했다(예: 친구나 가족과 대화하는 것, 일상적 수술 작업). 학생들은 그들의 초기 임상실습에서의 일상적인 경험에 대한 반응으로 그들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협상하는 거의 지속적인 행동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순간들이 언제 일어날지 아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의학 교육자들이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협상하면서 학생들이 성찰할 수 있는 일부 경험이 다른 경험보다 더 생산적이라고 가정한다면, 이번과 같은 연구는 - 학생들이 집중하는 종류의 순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 긍정적인 PIF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려는 노력을 안내할 것이다.
The moments that seem to generate profound feelings of awareness in students are often moments that others would not recognize (even post hoc) as remarkable. While PIF research often focuses on the big events that are easily recognizable as powerful afterward (e.g., the first time students work with a cadaver or experience the death of a patient), in our research, we observed that significant moments for students were often mundane for others (e.g., talking to lay friends and family members, a routine operative task). Because students are engaged in the near-constant act of (re)defining and (re)negotiating their identities as a response to their day-to-day experiences in early clerkship, knowing when these moments will occur is difficult. However, if medical educators assume that some experiences are more fruitful than others for students to reflect on as they negotiate their professional identity,29 then studies like ours—that provide insight into the kinds of moments students focus on—will guide efforts to actively support positive PIF.

여기에 기록한 성찰이 촉구되었지만, 정체성에 대한 성찰은 종종 (항상 그렇지는 않더라도) 참여/타자화participating/othering의 과정이다. 개인들은 적절한 임상적 자율성과 환자의 치료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때 의사로서의 강한 의식을 느꼈다. 이러한 관찰은 학생들이 [의미 있는 관계에 참여]하고, [실질적인 책임(즉, 종적 통합 임상실습)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전문적 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발견과 일치한다. 학생들의 정체성에 대한 개념화는 [적응적adaptive]이었다. 그들은 정체성에 대한 그들의 개념이 일반인(예: 환자, 가족), 다른 학생 및 의료 전문가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기초했다. 그들은 임상적 맥락과 대인관계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그것들이 어떻게 포함/배제되었는지를 묘사했다.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건강 전문가 관점을 형성했다는 이 발견은 PIF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강조한다.

While the reflections we have recorded here were prompted, reflection on identity is often (if not always) a relational process of participating/othering. Individuals felt a stronger sense of being a physician when they had appropriate clinical autonomy and a sense of ownership over patients’ care. This observation aligns with the findings of others who observed that contexts in which students are allowed to engage in meaningful relationships and to carry real responsibilities (i.e.,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influence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30,31 Students’ conceptualizations of identity were adaptive; they based their notions of identity on how they were relating to laypeople (e.g., patients, family members), other student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They drew on experiences from clinical contexts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s to describe how they were included/excluded. This finding—that students used their experiences to form a normalized health professional perspective—underscores the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on PIF.32–34

학생들은 현재 또는 미래의 정체성을 묘사하는 방식으로 증명된 [임시적 정체성 개발]을 경험했으며, 때로는 이 시점에서 [자신이 누구여야 한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한 믿음]과 관련하여 경험했다. [그룹 토론과 비판적이고 서사적인 성찰]은 다음의 것들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면서 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1) 존재에 대한 감각(예: 나는 학생이다); 
  • (2) Becoming, "전문지식의 도착 및 최종점 달성 개념을 회피하는 반복iterative 개념"이 된다. 
  • (3) 정체성 불협화음의 경험 

이러한 토론과 성찰은 또한 학생들이 [직업적 헌신과 가치]를 재정의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을 재정립하고 협상할 수 있는 그들의 능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직업적 행위자 의식sense of professional agency]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학생들은 [의사가 되는becoming a physician] 측면을 예측할 때 [학생으로서의 존재being a student]으로서의 감각을 쉽게 긍정하고affirmed, 더 모호함을 표현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그들은 자신의 경험을 비전문가와 연관시킬 때 의사로서의 의식을 표현했다. 비슷하게, Becoming이라는 것은 [4학년 학생이 되는 것]이나 [1년차 레지던트가 되는 것] 또한 포함되었고, [의사가 되는 것]이라는 최종 목표만을 포함하지는 않았다. 학생들이 PIF 과정에 참여할 때 ["학습자" 정체성의 정당성]에 대한 의도적인 인식을 촉진하는 것은 [현재 정체성과 미래 정체성 사이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tudents experienced identity development temporally as evidenced in the ways they described their current or future identities, sometimes in relation to beliefs about who they thought they would/should be by this point. Group discussions and critical, narrative reflection have the potential to support students as they consider the interplay among

  • (1) their sense of being (e.g., I am a student);
  • (2) becoming, which is “an iterative concept that eschews notions of arrival and end-point achievement of expertise”35; and
  • (3) experiences of identity dissonance.5,6,36,37 

Such discussions and reflection also have the potential to help students not only redefine and strengthen professional commitments and values38 but also build a sense of professional agency,39 which can, in turn, support their capacity to reshape and negotiate professional identity.4,40 Notably, students readily affirmed their current sense of being a student and expressed more ambiguity when forecasting aspects of becoming a physician. They did, however, express an awareness of being a physician when, for example, they related their experiences to laypersons. Similarly, becoming also included becoming a fourth-year student or a first-year resident and did not include just the end goal of becoming a physician. Fostering students’ intentional awareness of the legitimacy of their “learner” identity as they engage in the process of PIF might help mitigate tensions between students’ current and future identities.41

GraphiC와 같은 맥락은 학생들에게 "내가 누구냐"를 협상하면서 그들 스스로와 다른 사람들의 독특한 관점을 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맥락은 학생들이 (집단적 "우리"의 일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되고 있는 동안 존재의 상호 작용을 협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실제로, 전문적 정체성의 개발 과정에 초점을 맞춘 향후 연구는 [PIF에 식별 가능하고 바람직한 종점이 있다]는 개념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과 위치가 그들이 존재의 순간과 존재의 순간에 관여할 때 그들의 개별 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도표화하고 조사해야 한다. 
Contexts such as GRAPHiC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draw on their own and others’ unique perspectives while negotiating “who I am.”42,43 Additionally, such contexts not only allow students to actively construct their unique identities (rather than becoming part of a collective “us”) but also help them negotiate the interplay of being while they are becoming.44 Indeed, future research focused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rofessional identity will help combat the notion that there is a discernible and desirable end point to PIF. Such research should chart and examine how students’ diverse perspectives and positionalities influence their individual trajectories as they engage in moments of being and in moments of becoming.42

우리의 데이터는 자기 성찰에 협력적으로 참여하려는 열망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는, 소수의 자발적 참여자 의대생들의 토론을 기반으로 한다. 참여자의 수가 적다는 것은 개념적 프레임워크가 독특한 학생 경험에 기초하고 있으며 일반화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여한 개인의 수는 적을 수 있지만, 10개의 포커스 그룹 만남을 갖는 것은 [중요한 이행의 시기에 걸쳐 포괄적이고 종단적인 데이터 세트를 산출하여 학생들이 여행을 탐색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한다. 향후 연구는 집단 성찰에 참여하는 여러 학생 집단의 연구 결과를 비교하거나 참여자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표본 크기와 참여자 개방성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우리의 개념 프레임워크는 단지 12명의 참가자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향후 연구는 개념 프레임워크가 PIF의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한 강력하고 적용 가능하며 일반화 가능한 접근 방식인지 여부를 조사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다.
Our data are based on the discussions of a small number of volunteer medical students who, as volunteers, might be assumed to possess an eagerness to engage collaboratively in self-reflection.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lso potentially means that the conceptual framework is based on a unique student experience and may not be generalizable.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may be small, having 10 focus group encounters yielded a comprehensive, longitudinal set of data over a critical transition time, allowing an in-depth analysis of students navigating their journeys. Future research might address these issues of sample size and participant openness either by comparing findings across multiple cohorts of students engaging in group reflection or by increasing participant numbers. Since our conceptual framework is based on just 12 participants, future research might focus on examining whether the conceptual framework is a robust, applicable, and generalizabl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PIF.

본 연구의 또 다른 잠재적 한계는 퍼실리테이터가 학생들의 서술과 성찰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이다. GRAPiC 과정은 학생들이 의대 경험을 고려했을 때 학생들을 지원하는 것을 제외하고 촉진자의 간섭을 거의 받지 않고 4단계 접근(위에서 설명)을 통해 숨겨진 커리큘럼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PIF에 대한 사후 분석을 수행하였으므로 촉진자의 반응이 정체성 형성에 대한 GraphiC 논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강사 존재는 의심할 여지 없이 그룹의 논의를 형성했으며, 향후 연구는 또래 주도의 그룹이 교육자 주도의 그룹과 어떻게 다르게 성찰에 참여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Another potential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fluence the group facilitators may have had on student narratives and reflections. The GRAPHiC course was designed to empower students to engage in the hidden curriculum through a 4-step approach (described above) with little interference from facilitators—except to support students as they considered their medical school experiences.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a post hoc analysis of students’ PIF; therefore, we assumed that facilitators’ responses did not influence the GRAPHiC discussions of identity formation. However, instructor presence undoubtedly shaped the groups’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 might examine how peer-led groups engage in reflection differently from educator-led groups.

우리의 연구 접근 방식은 학생들이 언제, 어떻게, 왜 그들의 새로운 직업 정체성을 반성하고 협상할 기회를 잡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뒷받침했다. 우리의 분석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생성했다. 여기서 보는 바와 같이,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연구자들이 학생들의 여정에 대한 성찰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할 수 있게 함으로써 PIF의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구체적으로, [촉매]의 개념은 학생들이 경험, 대화, 성찰 등을 사용하여 정체성 변환의 과정과 성찰에 불을 붙이는 새로운 방법이다. 의학교육자들은 또한 [촉매]의 개념을 적용하여 무엇이 학생들이 그들이 누구이고 누가 되고 있는지 성찰하도록 자극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커리큘럼 및 학습 환경의 측면을 능동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더 넓게 말하면,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통해 학생들이 다음의 것을 어떻게 하는지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 어떻게 학습 환경(즉, 맥락)에서 제공하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 어떻게 실천 공동체를 통해 자신의 여정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특정 측면(즉, 포커스)의 핵심을 잡는지

Our research approach supported our understanding of when, how, and why students took up opportunities to reflect on, and negotiate, their emerging professional identities. Our analysis produce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ould be used in several ways. As shown here, the conceptual framework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concept of PIF by allowing researchers to explore different aspects of students’ reflections about their journeys. Specifically, the concept of catalyst is a novel way of looking at how students use experiences, conversations, reflections, etc., to spark their own process of, and reflection on, identity transformation. Medical educators could also apply the notion of catalyst to proactively examine aspects of the curriculum and/or learning environment to understand what is sparking students to reflect on who they are and who they are becoming. More broadly, the conceptual framework allows medical educators to look critically at how students are

  • taking the overwhelming amount of information being presented to them across learning environments (i.e., contexts) and
  • keying in on certain aspects (i.e., focus) that help them navigate their journey into and through a community of practice.

우리는 학생들이 문맥, 초점 및 촉매와 정체성 처리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조사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 근거 이론 접근법과 우리의 새로운 개념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계획이다. 또한, 우리의 새로운 개념 프레임워크는 의학교육 및 기타 건강 분야 내에서 학습자 및 다른 사람들의 정체성 개발에서 맥락, 초점, 촉매 및 과정이 발현되는 방식을 질문하고자 하는 다른 연구자들에게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의학 교육 연속체에 걸쳐 [겉보기에 작은 순간들]의 잠재적인 영향과 PIF의 [개인과 사회적 측면 사이의 성찰적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학생들이 의사가 되는 것을 배우는 것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We plan to use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our novel conceptual framework in future studies to examine how students relate context, focus, and catalyst to processing identity. Further, our novel conceptual framework might serve as a resource for other researchers who wish to interrogate the ways in which context, focus, catalyst, and process manifest in learners’ and others’ developing identities within medical education and other health disciplines. Understanding the potential influence of seemingly small moment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and the reflective interplay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of PIF will help medical educators support students learning to become physicians.

 

 

 


Acad Med. 2019 Oct;94(10):1574-1580. doi: 10.1097/ACM.0000000000002835.

Understand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Early Clerkship: A Novel Framework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 Jarvis-Selinger is professor and associate dean, Faculty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former director of curriculum,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1-9926-2569. K.A. MacNeil is a PhD candidate, Department of Educational Counselling, Psychology, and Special Education, Faculty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2-8050-0819. G.R.L. Costello is clinical instructor, Department of Family Practice, Faculty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K. Lee is a fourth-year pediatrics resident, BC Children's Hospital,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1-5164-105X. C.L. Holmes is clinical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Division of Critical Care, and associate dea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1-5857-2704.

PMID: 31192797

DOI: 10.1097/ACM.0000000000002835

Abstract

Purpose: Medical educators should foster students' professional attitudes because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act in accordance with medicine's professional values if these values have been internalized. Still, there is much to be learned about how students examine and negotiate their emerging identities. This study examined third-year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during clinical clerkship.

Method: The authors relied on an interpretivist perspective, informed by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analyze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a pilot course designed to support medical students' efforts to "unhide" the hidden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ir development as medical students and emerging professionals.

Results: Twelve third-year medical students engaged in 10 collaborative discussions with 3 faculty members, a resident, and a fourth-year student (2015-2016). Discussions facilitated students' reflection on their professional journeys. Analysis of transcribed discussions resulted in a conceptual framework useful for exploring and understanding students' reflections on their PIF. Through analyzing students' experiences, the authors identified 4 components that constituted PIF stories: context, focus, catalyst, process.

Conclusions: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framework and distinct identity formation themes. Discrete reflections focused on either students' current identity (being) or their sense of future self (becoming). The study identified catalysts that sparked participants' introspection about, or their processing of, identity. The moments that generate profound feelings of awareness in students are often moments that would not be recognizable (even post hoc) as remarkable by others.

 

교육: 표현의 자유? (Med Educ, 2022)
Teaching: The expression of freedom?
Zareen Zaidi

 

필자는 Freire의 영향을 받은 학자로서, 이전에 식민지화된 국가에서 교육을 받고, 전 세계 북부에서 의료 교육 도구와 관행의 구현에 대해 교육을 받았으며, 그 후 전 세계 남부에서 이러한 접근 방식을 활용했다. Du et al의 문제 기반 학습(PBL) 촉진자 역할을 협상하는 보건 교육자의 전문 기관에 대한 기사는 나의 관심을 끌었다. 파울로 프레이레는 교육학을 매우 정치적인 관행이기도 한 자유의 실천으로 보았다. 이러한 비판적이고 탈식민지적인 관점에서, 나는 외부 신자유주의/서구적 모델이 카타르에 있는 Du et al의 PBL 촉진자들의 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궁금해하고 이 논평에서 몇 가지 관점을 논의하였다.
As a Freirean-inspired scholar who has been educated in a previously colonised country, trained in implementation of medical education tools and practices in the global North, and has then utilised these approaches in the global South, Du et al.'s1 article on health educators' professional agency in negotiating their Problem-Based Learning (PBL) facilitator roles captured my attention. Paulo Freire viewed pedagogy as a practice of freedom that is also an eminently political practice. From this critical and decolonial point of view,2-4 I wondered about the impact of external neoliberal/western models on the agency of Du et al.'s PBL facilitators in Qatar and discuss some perspectives in this commentary.

세계적으로 의학교육의 기초는 '신자유주의'라는 이념에 점점 더 기반을 두고 있다. 신자유주의란 모든 경제활동에서 [민간부문의 역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면서, [국가의 간섭을 제한함]으로써 자본주의를 통한 진보를 이룰 수 있다는 이념이다.5 교육 기관은 시장 주도형이며, 경쟁력을 강조한다. 신자유주의는 교육이 더 많은 표준화와 교수진의 더 많은 관리 통제와 함께 비즈니스 세계를 모델로 삼을 것을 요구한다. 신자유주의적 관점에서 교직원은 (Freire에 따라) 부차적인 계급으로 간주되거나, 학생들이 고객으로 보는 관점과 별합하여 army of labour로 간주된다. 
Globally, the foundations of the pedagogical system in medical education are increasingly based upon the ideology of ‘neoliberalism’. This is the ideology that progress can be achieved through capitalism and by limiting state interference while working to increase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all economic activities.5 Education institutions are market driven, placing emphasis on competitiveness. Neoliberalism calls for education to be modelled after the business world with more standardisation and more managerial control of faculty. From a neoliberal perspective, faculty are viewed as a subaltern class (per Freire) or as an army of labour with students viewed as customers.6-8

[의학 교육에서 신자유주의의 증거]는, 주로 경제적 측면과 실습 확대에 초점을 맞춘 제도적 목표를 위해 교수들에게 [서비스 수익 창출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는 학문적 비즈니스 모델에서 찾을 수 있다. 교육 및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임상 생산성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짐에 따라 환자 치료, 교육 및 연구 등 학술적 의료academic medicine의 임무가 위협받고 있습니다.
Evidence of neoliberalism in medical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academic business models putting increased pressure on faculty to generate revenue in service to institutional goals that primarily focus on economics and practice expansion. The increased focus on clinical productivity with little compensation for engagement in education and research threatens the very mission of academic medicine—patient care, education and research.9

신자유주의는 개인과 기관이 '컨설턴트'나 파트너로 급여를 받는 등 역량기반 의료교육(CBME), 위탁가능 전문활동(EPA), PBL 등 하향식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춰 교육을 감염시킨다. MCQ와 OSCE를 포함한 평가도 관행을 표준화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 도구이다. 이러한 평가의 문제 중 하나는 '학습이 일련의 측정 가능한 기술과 행동으로 축소될 위험성'이지만, 이 관행은 또한 의료 교육을 영리 공급업체가 시험 준비 서적 및 인증을 판매하는 시장으로 변화시킨다(MCAT, Step 1-2, NBME).  
Neoliberalism infects education through a focus on top-down curricula such as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and PBL, with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being paid as ‘consultants’ or partners. Assessments including MCQ's and OSCEs are also key tools used to standardise practice. Although one of the problems with such assessments is the ‘risk of reducing learning to a series of measurable skills and behaviours’,10 the practice also turns medical education into a marketplace where for-profit vendors sell test prep and certification (MCAT, Step 1–2, NBME).11

신자유주의는 표준화된 무언가가 이익과 축적을 위해 거래되는 모델로 나타난다. 이와 관련하여 도그라 등은 많은 교육적 접근법이 '소수자에 대한 백인 지배의 역사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겉보기에는 온화해 보이지만, 전문성 문화의 지배는 궁극적으로 파트너 기관의 전통 문화를 압도한다. 요점은, 이러한 교류가 반드시 양방향일 필요는 없고, 한 문화가 다른 문화에 대해 비대칭적인 문화적 강요가 된다는 것이다.
Neoliberalism, that is, manifests as models that become standardised and traded for profit and accumulation.12, 13 In this regard, Dogra et al. note that many educational approaches are ‘root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white domination of disadvantaged minorities’.14 The dominance of the culture of expertise, although seemingly benign, ultimately overwhelms the traditional cultures of partnering institutions.15 The point being, these exchanges are not necessarily bidirectional, but are asymmetric cultural impositions of one culture upon another.

PBL은 고전적인 신자유주의 교육학적 사례로 작용한다. PBL은 또한 인적 자원에 대한 비용과 수요로 인해 비판받았지만,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널리 채택되어 왔으며, 이 분야의 서양 전문가들이 비서구적, 종종 비민주적, 맥락적, 또는 지역 교수진이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하기 위해 개발도상국 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PBL은 위계에 도전하지 않으며, 전문가(주로 서구 출신의 부유한 전문가)가 비서구민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전문화된 권위의 기존 구조를 유지한다. 또한, 교육자들은 교육의 목표를 더 폭넓게 성찰할 필요가 있다. 만약 목표가 [해방과 형평성]을 포함한다면, 교육자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의 전문성을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교육학의 필요성이 있다. PBL의 일부 지지자들은 PBL이 비판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Freire는 비판적 사고가 시험으로 확인할 목표나 성과가 아니라고 설명함으로써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할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비판적 사고는 자기 결정과 시민 참여를 위한 도구이다.

PBL serves as a classic neoliberal pedagogical example. Although PBL has also been critiqued for its cost and demand on human resources, there has still been broad adoption worldwide, with western experts in the field being invited to implement PBL in non-western, often non-democratic, contexts or local faculty being supported by institu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to enrol in training programmes.13, 16 In this sense, PBL does not challenge hierarchy but sustains the existing structure of professionalised authority wherein experts (primarily wealthy professionals from the west) are afforded power over non-westerners.17, 18 Additionally, educators need to reflect on the goals of education more broadly. If the goals include emancipation and equity, then there is a need for pedagogies that recognise the expertise of educators and empower them to use their expertise to meet the needs of the learners in the context they are situated. Some proponents of PBL contend that PBL can promote critical thinking; Freire would likely contest this claim by explaining that critical thinking is not an objective or outcome to be tested. Rather, it is a tool for self-determination and civic engagement.8

점점 더 [비서구권 맥락에 초대받는 서양 교육자들]과 [비서구권 기관] 간의 양방향 협업 교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고려할 때, 나는 [국제적으로 협력하도록 초청된 의학 교육 학자들과 서양 훈련 맥락의 연구자들]이 프로젝트의 실행 과정 동안 그들의 reflexivity(즉, 그들의 판단, 관행 및 신념)을 설명할 것을 권고한이다. 그래서 그들의 가정과 관점이 독자들에게 명확하게 드러나야 한다. [반사성의 과정]은 권력 역학에 대한 논의와 그러한 우려를 잠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creasingly, there have been several calls for bidirectional collaborative exchanges between western educators and their institutions, who are invited to non-western contexts.4, 19-21 Given these calls, I would encourage medical education scholars and researchers from western training contexts who are invited to collaborate internationally to describe their reflexivity (i.e. their judgements, practices and beliefs) throughout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a project so their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are evident to readers. The process of reflexivity would help demonstrate discussions about power dynamics and how efforts were made to potentially address such concerns.

카타르 보건 전문 교육 프로그램에서 PBL 촉진자 역할을 협상하는 촉진자의 professional agency에 초점을 맞춘 Du 등의 논문은 이러한 인식론적 관점과 맥락으로 읽을 수 있다. 카타르는 주로 이슬람교도이며, 1868년부터 군주제에 의해 통치되어 1971년 영국의 지배로부터 독립했습니다. 세계 자본주의 시장에서 상당한 자원과 부를 가진 지역 강국으로 부상했다.
It is with this epistemological lens22 and context that I read Du et al.'s1 article, which focuses on the professional agency of facilitators in negotiating their PBL facilitator roles in a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programme in Qatar. Qatar is predominantly Muslim and has been ruled by a monarchy since 1868, gaining independence from British rule in 1971. It has emerged in the global capitalistic market as a regional powerhouse with significant resources and wealth.

Du et al.의 연구는 카타르 의과대학의 교수진의 agency를 조사한다. 간단한 말로 설명하면, 대리인은 그들의 일을 구체화하는데 있어 교사들의 적극적인 기여이다(즉, 개인과 직업 생활에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정도). 저자들은 Q-방법론을 사용하여 촉진자의 전문 기관의 출처에 대한 5가지 다른 '관점'을 확인했는데, 그 중 4개는 긍정적이고 1개는 부정적이었다. 부정적인 시각(PBL 퍼실리테이터 agency의 출처로서의 정책지침)을 표명한 참가자들은 PBL 역할에 대한 agency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퍼실리테이션 업무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고,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이것이 [교수와 학습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거나, [PBL 및 학생 중심 학습과 일치하지 않는 교육학적 신념]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개인 내 특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Du et al.'s study examines the agency of faculty at Qatar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scribed in simple words, agency is the active contribution of teachers in shaping their work (i.e. the extent to which they are able to exert control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23 Using Q-methodology, the authors identified five different ‘viewpoints’ on the sources of facilitators' professional agency, four of which were positive and one of which was negative. Participants expressing the negative viewpoint (policy guidelines as a source of PBL facilitator agency) appeared to be less agentic regarding their PBL roles and reported poor perceptions and lack of interest in facilitation work. The authors postulate that this may be connected to their intrapersonal traits such as lacking interest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holding pedagogical beliefs that were not aligned with PBL and student-centred learning.

신자유주의 교육 모델의 역사를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흥미롭지만 확실히 놀랍지는 않다. 하나의 교육 모델을 외국의 맥락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한, [가치 불일치]에 직면한다는 점에서 [촉진 과정에 대한 관심 부족]은 타당하다. 경험이 적거나 대학에 처음 온 교수진이 가치 불협화음을 더 많이 경험했다는 사실은 더 많은 탐구를 할 만하다. 비록 이 기관의 교수진이 일반적으로 PBL을 지지했지만, 그 결과는 기관/지역에 더 유기적일 수 있는 대안적인 교육학적 모델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신자유주의적 관점에서, 교수진의 agency는 (서부로부터) PBL 전문가들이 규정한 교육학을 집행enact할 수 있는 능력에 기초한다. 그러나 프리어의 해방적 관점에서는 다른 의미를 가질 것이다. 교수진은, 저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교육에 대한 agency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이 설계의 이해당사자가 아닌 커리큘럼에 환멸을 느꼈을 수도 있다. 이 틀을 통해, 교수진은 [설계의 행위자성design agency]가 부족했고, 서구 교육학적 틀을 전달하는 [수동적인 군대passive army]가 되었다.
Given the history of neoliberal education models, these results are interesting but certainly not surprising. Insofar as education is premised upon the imposition of one model onto a foreign context, the lack of interest in facilitation processes makes sense in the face of value dissonance. The fact that faculty with less experience or who are new to the university experienced more value dissonance warrants more exploration. Although faculty at this institution were generally supportive of PBL, the results beg the question of alternative pedagogical models that may be more organic to the institution/region. From a neoliberal perspective, the faculty's agency is based on their ability to enact the pedagogy as prescribed by the experts in PBL (from the west). But from a Freirean emancipatory perspective agency would have a different meaning. The faculty may not have less agency about teaching, as the authors claim, but may rather have been disillusioned by a curriculum they were not stakeholders in designing. Through this frame, the faculty lacked design agency and became a passive army for the delivery of western pedagogical frameworks.

비록 저자들은 촉진자들 사이에 agency의 차이가 있었다고 결론지었고, 일부는 그들의 역할에 대해 더 'agentic'하였다. 하지만 그런 높은 agency는 외부 신자유주의/서구적 모델에 의해 어떻게 중재되었는가? 기관이 행동한다는 것은 PBL 채택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가? PBL 모델은 의견 공유를 허용하고 교수진이 오프스크립트(즉, 진행자 가이드에서 드리프트)로 갈 수 있도록 허용합니까? [agency]와 [위계질서] 사이의 역설은 비서구적 기관에만 내재된 것이 아니라 서양의 맥락에서도 존재하며, 교수진의 기관은 종종 기관과 통치 기관의 위계질서와 권력 역학에 의해 억압된다. 
Although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re was a variation of agency amongst the facilitators, with some being more ‘agentic’ about their role, how was that agency mediated by external neoliberal/western models? Does agency to act imply the capacity to voice disagreement with adopting PBL? Does the model of PBL permit sharing of opinions and allow faculty to go off-script (i.e. drift from the facilitator guide)? The paradox between agency and hierarchy is not intrinsic to only non-western institutions, rather is present in the western context as well, where the agency of faculty is often suppressed by hierarchy and power dynamics of the institution and governing bodies.24

따라서 신자유주의는 [단순한 행동 능력이 아니라, 의사소통 교환의 표준화된 모델에 저항하는 능력]으로 정의되는, pure agency의 표현을 억제하는 위계구조의 접지선grounding wire 역할을 한다. 의학교육이 측정과 기준 설정을 통해 지속된 교육의 상품화라는 족쇄를 없앨 수 있을 때까지, 이 시스템은 교직원들을 계속 억압할 것이다. 그 결과 평등주의를 악용한 교육모델을 양성하고, 그 과정에 관여한 교사를 무시할 것이다. [유기적 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은 [특정한 방식으로 전달되는 특정한 종류의 스크립트 콘텐츠]를 학생들의 의식 속에 '기탁deposit'하려는 기계적인 욕구에 의해 억제된다. 그렇다면 교육은 [agency of teachers]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자유의 대척점이 된다.

Neoliberalism thus serves as a grounding wire for a hierarchy that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pure agency, defined not simply as the ability to act, but also as the capacity to resist standardised models of communicative exchange. Until medical education can get rid of the shackles of commodification of education perpetuated through measurement and standard setting, the system will continue to suppress faculty. The result is the cultivation of educational models under the ruse of egalitarianism with a disregard for the teachers involved in the process. The role of teacher as an organic facilitator becomes sub-tended by a mechanistic desire to ‘deposit’25 a particular kind of scripted content delivered in a particular way into the consciousness of students. Education, then, becomes the antithesis of freedom despite an insistence on the supposed agency of teachers.

Du 등은 'agentic action의 시행을 강조하는 대안적 접근법' 개발, 공유된 'PBL 촉진 작업에 대한 이해', 나아가 PBL 촉진에 대한 전문적인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을 개발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나는 다음과 같은 질문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싶다. 우리는 정말로 교수진에게 권한을 주고 싶은가, 아니면 순응을 원하는가? 우리는 그들이 PBL 진행자 가이드를 고수하기를 원합니까, 아니면 그들이 그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주제를 벗어나도록 장려하기를 원합니까? 우리가 교육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를 열망할 때에도 우리는 단순히 사람들에게 '최고의 답'을 주고 '대본'을 따르는 방법을 훈련시키는 순환을 영속시키고 있는가?
Du et al. recommend working on developing ‘alternate approaches highlighting enforcement of agentic actions’, a shared ‘understanding of PBL facilitation work’ and further ‘institutional efforts’ to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for PBL facilitation. However, I would contend that the following questions need to be asked: Do we really want to give faculty agency or do we want conformity? Would we like them to stick to PBL facilitator guides or encourage them to go off topic sharing their experiences? Even when we aspire for critical thinking in the curriculum are we simply perpetuating a cycle of training people how to give the ‘best answer’ and follow a ‘script’?

국제적으로 일할 기회를 가졌고 기관이 지역의 필요와 맥락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서구 교육 도구를 채택하는 방법을 목격한 의학 교육자이자 학자로서, 나는 이 경험을 서구 환경에서 그러한 도구의 활용과 비교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공통점 중 하나는 커리큘럼 설계 및 구현에 관한 faculty agency의 부재로, 이들의 역할이 숙련된 기술 조교skilled technical assistants로 축소되었다는 것이다. Paulo Freire는 가르치는 것이 자유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나는 우리 독자들이 이 질문에 수사적으로 대답하도록 남겨둔다: 현재의 신자유주의 시대에, 가르치는 것은 정말로 자유의 표현인가?

As a medical educator and scholar who has had the opportunity to work internationally and has witnessed how institutions adopt western pedagogical tools with little attention to local needs and contexts, I am able to compare this experience with utilisation of such tools in western settings. One of the commonalities to be noted is the lack of faculty agency regarding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with their role being reduced to that of skilled technical assistants. Paulo Freire said teaching is the expression of freedom. I leave our readers to rhetorically answer this as a question: In the current neoliberal times, is teaching truly an expression of freedom?

 


Med Educ. 2022 Aug;56(8):787-790. doi: 10.1111/medu.14849. Epub 2022 Jun 14.

Teaching: The expression of freedo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George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 Health Sciences, Washington, District of Columbia, USA.

PMID: 35670766

DOI: 10.1111/medu.14849

CME와 CPD의 이해와 개선을 위한 새로운 원천으로서의 학습과학(Med Teach, 2018)
Learning science as a potential new source of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omas J. Van Hoofa,b,c and Terrence J. Doyled,e

 

 

서론
Introduction

적어도 200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커풋 외. 2009), CE/CPD 문헌에서, 학습이 일어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일과 관련된 "학습 과학"으로 알려진 새로운 학제간 분야와 관련된 전략에 대한 기사가 계속적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일부 저자들은 "학습 과학"이라는 다른 총체적인 용어를 선호하며, 이를 교수와 학습에 관한 연구 분야로 정의한다(Sawyer 2016). 학습과학이 인지심리학, 신경과학 등 전통적인 분야의 중첩을 반영하는 인위적인 구성인지, 그리고 어떤 용어가 학습과학을 가리키는지 여부는 CE/CPD 리더와 중요한 관련성을 갖는다. 최근 몇 년 동안 적지만 상당히 잘 설계된 연구에도 불구하고, CE/CPD 문헌은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예외를 제외하고 학습 과학과 관련 전략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Weidman과 Baker(2015)는 "학습의 인지과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의학 교육에 적용되는 학습과학의 일부 개념, 이론적 원리 및 실제 적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 논문은 CE/CPD에 대한 보완책으로, 과학 학습에서 나오는 몇 가지 핵심 전략 및 습관을 설명하고 증거 기반 CE/CPD 속성과 어떻게 일치하는지 설명한다.

At least as far back as 2009 (Kerfoot et al. 2009), articles have begun to appear in the continuing education/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E/CPD) literature about strategies associated with an emerging interdisciplinary field known as “learning science,” which concerns itself with what happens in the brain when learning occurs. Some authors prefer a different, collective term, that is, “the learning sciences,” and define it as a field of study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awyer 2016). Whether learning science is a distinct field or an artificial construct reflecting an overlap of such traditional fields as cogn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and whether one refers to learning science by one term or another, the field has significant relevance to CE/CPD leaders. Despite a modest but significant number of well-designed studies in recent years (Larsen et al. 2015; Kerfoot and Baker 2012; Kerfoot et al. 2014; Boespflug et al. 2015; Mallon et al. 2016), the CE/CPD literature appears to lack an explicit description of learning science and its attendant strategies with one noteworthy exception. Using the term “cognitive science of learning,” Weidman and Baker (2015) provide a description of some concepts, theoretical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learning science as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in general. As a complement to that article but more specific to CE/CPD, this article describes some key strategies and/or habits that emanate from learning science and explains how they align with evidence-based CE/CPD attributes.

배움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What is learning and how does it happen?

네 가지 핵심 학습 과학 전략을 설명하기 전에 학습 자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적절해 보인다. 많은 학습 과학 자원이 훨씬 더 깊고 광범위한 설명을 제공하지만(Doyle and Zakrajsek 2013; Brown et al. 2014; Carey 2014; Oakley 2014), "학습"은 뇌의 뉴런 간 연결, 즉 신경망을 개발하는 산물이다(Doyle and Zakrajsek 2013). 학습에는 지식, 기술, 행동 및 태도와 같은 정보가 신경망을 통해 물리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포함된다(Doyle and Zakrajsek 2013).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접근할 가능성이 있는 학습은 단순히 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뇌를 변화시켜야 한다. 린슨(1999)의 학습 정의는 이러한 변화와 일치한다(이탤릭체는 생략한다.) "학습은… 반복적인 사용을 통해 뇌의 특정 적절하고 바람직한 시냅스를 안정화시키는 것이다."(5페이지) 

Before describing four key learning science strategies, a brief explanation of learning itself seems appropriate. While many learning science resources provide a far deeper and broader explanation (Doyle and Zakrajsek 2013; Brown et al. 2014; Carey 2014; Oakley 2014), “learning” is the product of establishing connections between neurons in the brain, that is, developing neural networks (Doyle and Zakrajsek 2013). Learning involves information, such as knowledge, skills, behaviors and attitudes, becoming physically represented through neural networks (Doyle and Zakrajsek 2013). Learning that has the prospect of being accessed for later use must literally change the brain, not merely use it (Leamnson 1999; Doyle and Zakrajsek 2013; Brown et al. 2014). Leamnson’s (1999) definition of learning is consistent with such change (italics omitted): Learning is … stabilizing, through repeated use, certain appropriate and desirable synapses in the brain” (p. 5).

필연적으로, 배우는 것은 힘든 일이다. 노력적 학습effortful learning의 좋은 예는 비지배적 손으로 글을 쓰는 연습이다(Leamnson 1999). 전문성을 유지하고 확장하고자 하지만 간단하고 쉬운 CE/CPD 활동을 찾고 있는 임상의는 학습 프로세스에 대한 Doyle(2008)의 기본 진술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일을 하는 사람이 배움을 한다"(p. 63). 의미 있는 학습에는 빠르고 쉬운 것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860억 개의 뉴런(허큘라노-호젤과 2005년 사순절)이 150조 개의 연결 또는 시냅스를 만들고, 100만 기가바이트의 디지털 저장 용량을 가진,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평균적인 인간 두뇌의 학습 능력은 정말로 놀랍다. 수천 시간의 연구와 연습을 반영하듯, 학문적이든 아니든 한 분야의 진정한 전문 지식을 구성하는 방대한 신경망은 종종 "청크"(Oakley 2014) 또는 "정신 모델"(Brown et al. 2014)로 설명된다. 정신 모델은 사람이 더 효과적으로 추론하고, 해결하고, 창조할 수 있게 해준다(Brown et al. 2014). 학습자가 전문지식을 개발하는 초보자인지 또는 전문지식을 확장하는 전문가인지에 관계없이 학습은 뇌의 많은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세 가지 기본 단계를 따릅니다(표 1).

Necessarily, learning is hard work. A good example of effortful learning is practicing to write with one’s non-dominant hand (Leamnson 1999). Clinicians who want to maintain and extend their expertise but who are looking for simple and easy CE/CPD activities should carefully consider Doyle’s (2008) foundational statement about the learning process: “… the one who does the work does the learning” (p. 63). There is nothing quick and easy about meaningful learning. Having said this, with roughly 86 billion neurons (Herculano-Houzel and Lent 2005) making 150 trillion connections or synapses (Doyle and Zakrajsek 2013), and with a digital storage capacity of one million gigabytes (Carey 2014), the capacity of the average human brain for learning is truly remarkable, if used appropriately. Reflecting thousands of hours of study and practice, the vast neural networks that constitute true expertise in a field – academic or otherwise - are often described as a “chunk” (Oakley 2014) or a “mental model” (Brown et al. 2014). Mental models allow a person to reason, solve and create more effectively (Brown et al. 2014). Whether a learner is a novice developing expertise or an expert expanding her/his expertise, learning follows three basic steps that involve many different parts of the brain (Table 1).

인코딩
Encoding

학습 과정의 첫 단계인 [인코딩]하나 이상의 감각에 의해 인식되는 정보를 뇌로 가져오는 것을 수반하며, 이는 [단기 기억]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 흔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화학적, 전기적 신호를 사용한다(Brown et al. 2014). 새로운 것을 배울 때 형성되는 신경 연결은 뇌가 그 정보에 대한 영구적인 기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것과 같은 세트이다. 이와 같이 초기 노출 시점에 새로운 정보(즉, 상세하고 다면적이며 감정적으로 만드는 것)를 더 정교하게 인코딩할수록 나중에 회상할 가능성이 더 높다(Squire 및 Kandel 2000). 인코딩에 관여하는 뇌의 부분은 다음을 포함한다.

  • 신피질(학습 프로세스를 시작), 
  • 전전두피질(과제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보장) 
  • 해마(운동 기술과 관련된 것 이외의 의식적인 단기 기억의 위치 및 처리)

 

The first step in the learning process – encoding – entails bringing information perceived by one or more senses into the brain, which uses chemical and electrical signals to represent the information temporarily in short-term memory as a memory trace (Brown et al. 2014). The neural connections that form when one learns something new are the same set that the brain will use to form a permanent memory for that information. As such, the more elaborately one encodes new information (i.e. making it detailed, multifaceted, and emotional) at the time of initial exposure, the better the chance of later recall (Squire and Kandel 2000). Parts of the brain that are involved in encoding include

  • the neocortex (initiates the process of learning) (Hahn et al. 2012; Doyle and Zakrajsek 2013),
  • the pre-frontal cortex (ensuring that sufficient attention is available for the task) (Oakley 2014), and
  • the hippocampus (location and processing of conscious short term memories other than those involving motor skills) (Brown et al. 2014; Oakley 2014).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기억 흔적은 본질적으로 유연하지만(Brown et al. 2014), 초기 인코딩 이벤트의 품질은 장기적인 숙달에 중요하다(Benjamin and Tullis 2010). 인코딩은 한 저자가 '집중 모드 사고'(Oakley 2014)라고 지칭하고 다른 저자가 '노력적 관심'(Brown et al. 2014)이라고 부르는 특별한 유형의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이름과는 상관없이, 새롭고/또는 도전적인 것에 집중하는 데 더 많은 집중력을 쏟을 수 있는 정신적인 에너지가 더 많을수록, 정보는 단기 기억에서 정확하고 완전히 표현될 가능성이 더 높다.

Even though memory traces, as the name implies, are inherently labile (Brown et al. 2014), the quality of the initial encoding event is critical to long-term mastery (Benjamin and Tullis 2010). Encoding requires a special type of attention that one author refers to as ‘focused-mode thinking’ (Oakley 2014) and that others call ‘effortful attention’ (Brown et al. 2014). Regardless of its name, the more undistracted mental energy that one can devote to focusing on something new and/or challenging,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information will find itself accurately and completely represented in short-term memory.

통합
Consolidation

[통합]으로 알려진 학습의 다음 단계 동안 뇌는 중요한 것으로 플래그가 지정된 기억 흔적을 "빠르지만 용량이 적은 단기 기억 저장소"인 [해마]에서 가져와서 "학습은 가능하지만 용량은 더 큰 장기 기억 저장"인 신피질의 적절한 영역(예: 시각 처리 센터)으로 옮긴다. 이 단계에는 경막피질(해마와 신피질 사이의 주요 상호 작용을 조정하는)이 관여한다(Hahn et al. 2012). 신피질이 적절한 조건(예: 양질의 수면)에 있다면, 기억 흔적은 [신중한 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그 동안 "뇌는 학습을 재생하거나 리허설을 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빈 곳을 채우며 과거의 경험과 이미 장기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지식과 연결시킨다." 이것이 한 과목에 대한 상당한 양의 사전 지식을 가진 사람이 그 과목에 대한 새로운 학습이 더 쉽다고 느끼는 이유이다. 뇌는 연결을 만드는 경험을 많이 가지고 있다.

During the next step of learning known as consolidation, the brain takes memory traces flagged as important (Carey 2014) – based on significant effort or relevance – from the hippocampus, which is the “fast-learning but low-capacity short-term memory store” (Doyle and Zakrajsek 2013, p. 73) and transfers them to the appropriate area (e.g. visual processing center) of the neocortex, which is the “slower-learning but higher-capacity long-term memory store” (Doyle and Zakrajsek 2013, p. 73). The entorhinal cortex (coordinating key interactions between the hippocampus and the neocortex) is involved in this step (Hahn et al. 2012). Under the right conditions (e.g. quality sleep) in the neocortex, the memory traces undergo careful processing, during which time “… the brain replays or rehearses the learning, giving it meaning, filling in blank spots, and making connections to past experiences and to other knowledge already stored in long-term memory” (Brown et al. 2014, p. 73). This is why a person with significant amounts of prior knowledge in a subject finds new learning in that subject to be easier; the brain has many experiences with which to make connections.

수면은 [통합]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수면의 주요 목적이 될 수 있다(Carey 2014). 낮잠이나 다른 인지적 '휴식' 동안 정보를 통합할 수 있지만, 야간 수면은 통합에 가장 좋습니다(Doyle and Zakrajsek 2013). 수면 단계가 다르면 학습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수면 단계를 포함하는 숙면 휴식이 필요하다(Carey 2014). 예를 들어, 빠른 안구 운동(REM) 수면은 패턴 인식 및 창의적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다(Carey 2014). 새로 학습된 정보는 통합 중에 기존 신경망의 일부가 되거나(동조화) 새로운 신경망(수용)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수면은 단기 기억의 공간을 비움으로써 다음날 새로운 학습을 위해 뇌를 준비시키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Oakley(2014)는 인코딩에 대한 [집중 모드 사고]와 달리 통합과 관련된 사고의 유형을 '확산 모드 사고'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이 과정은 우리의 의식적인 노력 없이 일어나고, 종종 신피질의 다른 영역을 포함한 뇌의 많은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Not only is sleep critical to consolidation, it may be the primary purpose of sleep (Carey 2014). While one can consolidate information during a nap or other cognitive ‘break,’ nocturnal sleep is best for consolidation (Doyle and Zakrajsek 2013). A good night’s rest that includes all sleep phases is necessary, as different sleep phase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arey 2014). For example,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is associated with pattern recogni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mong other things (Carey 2014). During consolidation, newly learned information becomes part of an existing neural network (assimilation) or begins to form a new one (accommodation) (Doyle and Zakrajsek 2013). Sleep offers the additional benefit of preparing the brain for new learning the next day by clearing space in short-term memory (Doyle and Zakrajsek 2013). In contrast to the focused-mode thinking of encoding, Oakley (2014) refers to the type of thinking associated with consolidation as ‘diffuse-mode thinking,’ given that it happens without our conscious effort and involves many parts of the brain, often including different areas of the neocortex.

인출
Retrieval


학습과학 전문가들은 종종 "필요할 때 인출할 수 있을 때 무언가를 배웠다고 한다"(도일 2017). 인출이라는 이름은 이전에 학습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 그 자체가 신경망에 관여하는 세포의 시냅스를 안정화시켜 더 강하고 빠르게 만든다(Brown et al. 2014). LTP(Long-term potentiation)라고 알려진 프로세스는 미래에 정보를 리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중요한 정보를 검색할 때마다 LTP가 증가합니다. 검색은 또한 뇌가 정보를 다시 사용한 후에 정보를 다시 통합함으로써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Brown et al. 2014). 학습에 대한 다음 정의에 따르면, [인코딩과 통합]은 "지식과 기술 습득" 부분을 설명하지만, [인출]은 나머지 부분을 설명합니다. 

  • "[학습이란]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기억에서 쉽게 얻을 수 있게 하여 미래의 문제와 기회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earning science experts often say, “You are said to have learned something when you can retrieve it when you need it” (Doyle 2017). While retrieval’s name implies accessing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the process of retrieving information from memory makes it stronger and faster by stabilizing the synapses of cells involved in the neural network (Brown et al. 2014). A process known as long-term potentiation (LTP) refers to the potential to recall information in the future; LTP increases each time one retrieves important information (Hebb 1949; Paradiso et al. 2007). Retrieval can also improve understanding by reconsolidating the information after the brain uses it again (Brown et al. 2014). As per the following definition of learning, encoding and consolidation account for the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part, but retrieval accounts for the remainder of the definition:

  • “[Learning means]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and having them readily available from memory so you can make sense of future problems and opportunities” (Brown et al. 2014, p. 2).

검색은 [장기 기억(신피질)]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하여 정보를 [단기 기억(히포캠퍼스)]으로 불러오는 것을 포함한다. 뇌가 학습된 정보에 접근할 때마다 기억력이 변하며, 최신 맥락을 반영하는 새로운 신호 세트와 연관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Carey 2014) 더 나아진다(Brown et al. 2014) 응답할 수 있는 신호가 많을수록 정보를 떠올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학습된 정보와 관련된 맥락적 단서가 더 다양할수록 (추가적이고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에 대한 뇌의 이해와 접근성이 향상된다(Brown et al. 2014). 또한 검색은 학습된 정보와 관련된 청크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상황으로의 전송 가능성을 향상시킨다(Oakley 2014).

Retrieval involves accessing information stored as a long-term memory (neocortex) and bringing the information back to short-term memory (hippocampus). Each time the brain accesses learned information, the memory changes (Doyle and Zakrajsek 2013; Carey 2014), and for the better (Carey 2014), given that it becomes associated with a new set of cues reflecting the latest context (Brown et al. 2014). The more cues to which one can respond, the better the chance of recalling th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ore diverse the contextual cues associated with learned information, the better the brain’s understanding of (through additional and different applications), and access to, the information (Brown et al. 2014). Retrieval also increases the size of the chunk associated with learned information and improves its transferability to new situations (Oakley 2014).

어떤 전략이 학습에 중요합니까?
What strategies are important to learning?

네 가지 보완적 학습 과학 전략은 학습에 대한 간략한 개요(표 2)와 일치하며, 저자들의 의견으로는 CE/CPD에 가장 중요하다. 뚜렷한 전략으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4대 접근법의 기초가 되는 것은 학습은 학습 의미에서 많은 "실습practice"을 필요로 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전문가가 되고 전문가로 남으려면 말 그대로 수천 시간의 공부와 훈련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습이 중요하다는 것을 학문과 전문지식을 갖춘 임상의에게 설명할 필요는 거의 없다(Brown et al. 2014). 전문가들 사이에서 우수한 성과를 설명하면서 에릭슨과 풀(2016)은 성과 약점에 초점을 맞추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개선을 촉진할 줄 아는 교사나 코치가 지도하는 몇 년간의 공부 또는 연습(일반적으로)을 지칭하기 위해 "의도적 연습"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Four complementary learning science strategies are consistent with this brief overview of learning (Table 2), and, in the authors’ opinion, most important to CE/CPD. Though not described as a distinct strategy, what underlies the four major approaches is that learning is a process that requires lots of “practice,” in the learning sense. Practice requires little explanation for any clinician with discipline and specialty-specific expertise, as becoming and remaining an expert requires literally thousands of hours of study and training (Brown et al. 2014). Describing superior performance among experts, Ericsson and Pool (2016) use the term “deliberate practice” to refer to the years (typically) of study or practice focused on performance weaknesses and guided by teachers or coaches who know how to provide feedback and to facilitate improvement.

일반적으로 (태도, 역량, 행동 및 수행은 말할 것도 없고) 지식과 기술의 집합이 더 생소하거나 복잡할수록, 그것을 마스터하고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정보를 가진 공부나 연습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쇼 외 연구진(2011)은 CE 회의에 이어 온라인 보충물(정답과 설명이 포함된 객관식 질문)에 참여한 임상의(대부분 의사와 간호사)가 임상 실무 행동의 개선을 자체 보고하였다. 평가를 완료하기 전에만 회의에 참석한 임상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임상 실습의 특성을 고려할 때, CE/CPD는 이전 교육 및 훈련과 마찬가지로 피드백을 통한 학습에 전념해야 합니다. 그 연습 시간 동안 다양한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처럼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상당한 양의 연습이 필요하다. 많은 경쟁적인 관심사와 요구에 직면한 바쁜 임상의는 틀림없이 과학 전략을 학습함으로써 가장 많은 이익을 얻을 것이며, 이는 또한 교육, 공식(학생, 훈련생 및 동료 교사) 및 비공식(환자 상담)에서의 역할을 모두 지원할 것이다.

In general, the more unfamiliar or complex some set of knowledge and skills is (not to mention attitude, competence, behavior and performance), the more informed study or practice will be necessary to master and maintain it. For example,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haw et al. (2011) demonstrated that clinicians (mostly physicians and nurse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supplement (multiple choice questions with correct answers and explanations) following a CE conference self-reported enhanced improvement in clinical practice behaviors compared to clinicians who only attended the conference prior to completing the assessment. Given the ever-changing nature of clinical practice, CE/CPD requires the same devotion to learning with feedback as did prior education and training. A significant amount of practice with important information is necessary, as is using a variety of approaches during that practice time. Busy clinicians, facing many competing interests and demands, would arguably benefit most from learning science strategies, which would also support their roles in education, formal (teaching students, trainees, and colleagues) and informal (counseling patients) alike.

분산 학습
Distributed learning

"공간 효과"라고 하는 이점을 가진 "분산 실습"이라고도 하는 분산 학습은 효과적인 학습 과학 전략입니다(Carey 2014). 분산형(Distributed)은 장기간에 걸쳐 여러 스터디 또는 연습 세션에서 간격을 두는 것을 의미합니다(Benjamin 및 Tullis 2010). Oakley(2014)는 최초 노출 후 24시간 이내에 새로 학습한 정보로 돌아갈 것을 권고한다. 정보가 이해되면, 연구 세션 사이의 간격을 일, 주, 그리고 몇 개월로 점차 늘려 장기간에 걸쳐 확실하게 기억해야 한다(Doyle and Zakrajsek 2013; Oakley 2014). 한 세션 동안 주제를 공부하거나 기술을 연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는 것은 효율적으로 보일지도 모른다. 이를 "대집합 연습" 또는 보다 구어체로 "벼락치기"라고 한다. 하지만 단일 세션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그 시간은 덜 효과적이게 된다. 

Distributed learning, also known as “distributed practice” with benefits referred to as the “spacing effect,” is an effective learning science strategy (Carey 2014). “Distributed” refers to the spacing out of multiple study or practice sessions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Benjamin and Tullis 2010). Oakley (2014) recommends that one should return to newly learned information within 24 hours of initial exposure. Once the information is understood, one should gradually increase the spacing between study sessions from days, to weeks, and then to months in order to reliably remember it for extended periods (Doyle and Zakrajsek 2013; Oakley 2014). As efficient as it may seem to spend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studying a topic or practicing a skill during a single session – what is known as “massed practice” or more colloquially as “cramming” – the more time that participants spend in a single session, the less effective that time becomes.

과도한 반복은 뇌를 지루하게 만든다(Carey 2014). 대규모 연습massed practice을 통해 단기 기억에서 정보를 반복적으로 작업하지만, 학습에 결정적인 것은 장기 기억으로 작업하는 것이다(Carey 2014). 숙달을 위해 뇌는 자신이 연습한 것을 처리하고, 수면 시간으로 분리된 다른 시간에 다시 돌아올 시간이 필요하다(도일과 Zakrajsek 2013). CE/CPD에 특유하고 분산된 관행만 있는 예가 결여된 상태에서, 미세혈관 문합법을 배우는 외과 레지던트들의 무작위 대조 실험은 프로시저를 [4주 동안] 배운 레지던트들이 [단일 집중 세션]에서 배운 레지던트들보다 훨씬 더 나은 성과를 보였으나, 후자의 방식이 CE/CPD에서 흔하다(Moulton et al. 2006). 시험과 같이 알려진 종착점이 주어졌을 때 언제 공부해야 하는지, 간격을 고정 또는 확장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것이 쓰여져 있지만(Carpenter et al. 2012), 가장 중요한 것은 오랜 기간에 걸쳐 학습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The brain becomes bored with excessive repetition (Carey 2014). With massed practice, one is working with the information repeatedly in short-term memory, but working with long-term memory is what is critical to learning (Carey 2014). For mastery, the brain needs time to process what one has practiced and to come back to it at different times separated by periods of sleep (Doyle and Zakrajsek 2013). Lacking an example that is CE/CPD-specific and distributed practice onl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surgical residents learning microvascular anastomosis revealed that residents who learned the procedure over four weekly session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who learned it during a single intensive session, the latter being common in CE/CPD (Moulton et al. 2006). While much has been written about when to study given a known end point, such as an exam, and whether the spacing should be fixed or expanding (Carpenter et al. 2012), what is most important is that one distributes her/his learning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인출 연습
Retrieval practice

"언제"(분산 학습)와 대조적으로, 학습하는 동안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가는 검색 실습 또는 "리콜"로 알려진 학습 과학 전략과 관련이 있으며, 그 이점은 "테스트 효과" 또는 "생성 효과"로 알려져 있다(Oakley 2014). 검색 연습은 재독과 같은 수동적인 학습 수단에 비해 중요한 정보에 대한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Carey 2014). 장기 기억에서 정보를 검색하려면 단순히 정보를 다시 리뷰하는 것보다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정보를 복원하면 다시 편집되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연결 또는 다른 연결(Carey 2014)이 발생합니다. 린슨(1999)이 설명하듯이, "강도의 집중은, 약간의 압박 하에서, 언어와 씨름하는 동안, 뇌에 무언가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중요한 정보를 이해하기 위해 초기 학습 세션 동안 집중 모드 사고(Oakley 2014)를 사용한 후, 검색 연습은 학습자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장기 기억을 검색하도록 강요하며, 이상적으로는 완전한 문장으로, 자신만의 단어로, 말하기 또는 쓰기를 하게 된다(Leamnson 1999). 

In contrast to “when” (distributed learning), “how” one spends time while learning is relevant to the learning science strategy known as retrieval practice or “recall,” the benefits of which are known as the “testing effect” or the “generation effect” (Oakley 2014). Retrieval practice can improve memory for important information compared to passive means of study, such as rereading (Carey 2014). Retrieving information from long-term memory requires more effort than simply reviewing the information again, and restoring the information results in new or different connections (Carey 2014) given that it has been re-edited (Doyle and Zakrajsek 2013). As Leamnson (1999) explains, “Intense concentration, under a little pressure, while wrestling with language, cannot but do something to the brain (p. 111).” After using focused-mode thinking (Oakley 2014) during an initial learning session or two to understand important information, retrieval practice forces the learner to search her or his long-term memory to explain the information, ideally using her or his own spoken or written words in complete sentences (Leamnson 1999).

이 시도가 아무리 성공적이더라도, 학습자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비교함으로써, 이해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점검]해야 하며, 후속 학습 세션에서 초점을 맞출 개선 기회를 노려야 한다(Brown et al. 2014). 따라서 검색 시도는 정보에 대한 일부 어려움을 겪은 후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Oakley 2014). 게다가, 검색 연습은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 사이에서 정보의 이동을 강요하며, 매번 이해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Larsen 외 연구진(2015)은 연례 회의 참석에 따른 반복 퀴즈를 통해 반복 학습에 비해 습득한 지식의 장기 보존이 향상(거의 두 배)되었음을 입증했다. 인출 연습이 이해를 테스트하는 것으로서도 잘 작동하지만, 리콜은 효과적인 사전 테스트pretest이기도 합니다(Carey 2014). 사전 테스트는 학습자가 종종 자신의 필요를 잘 판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식과 이해에서 [학습자의 격차를 명시함]으로써, 뇌가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Brown et al. 2014). 일단 이렇게 작동하면, 뇌는 잠재의식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시작할 것이고, 이 상태는 Carey (2014)가 '사냥하는 뇌'라고 부르는 상태입니다 (p.213).

Following the attempt, however successful, the learner should check the accuracy and completeness of her/his understanding against a credible source, noting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on which to focus in subsequent study sessions (Brown et al. 2014). Retrieval attempts thus provide feedback to the learner following some struggle with the information (Oakley 2014). Moreover, retrieval practice forces the movement of information between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each time improving comprehension and memory. For example, Larsen et al. (2015) demonstrated that repeating quizzing following attendance at an annual conference improved (nearly doubled) long-term retention of knowledge acquired compared to repeat studying. While retrieval practice works well as a test of understanding, recall is also an effective pretest (Carey 2014). Pre-testing prepares the brain to learn by making explicit for the learner gaps 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for learners are often a poor judge of their own needs (Brown et al. 2014). Once realized, the brain will subconsciously begin to look for needed information, a state that Carey (2014) calls the ‘foraging brain’ (p. 213).

인터리빙
Interleaving

인터리빙은 공부나 연습 시간을 보내는 방법과 관련된 또 다른 학습 과학 전략이다. 인터리빙(Interleaving)은 "학습 중에 관련되지만 구분되는 자료를 혼합하는 것"을 의미하며(Carey 2014, p. 163) 학습자가 원칙, 개념 및 절차와 같이 이전에 학습한 정보를 동일한 학습 활동에서 더 최근의 정보와 심지어 향후의 정보와 조화시키도록 강제한다. 학습자는 특정 학습 시간 동안 단일 영역에 비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다가오는 교육 회의에서 논의될 어려운 사례를 고려하는데 30분을 할애할 수 있지만, 사례에만 시간을 할애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는 비교적 먼 세션에서 논의된 최근 가이드라인 업데이트에 대해 10분 동안 질문을 하고, 20분 동안 가장 최근 세션에서 해결되지 않은 질문에 대한 가능한 답을 조사합니다. 뇌는 새로운 학습과 이전 학습 사이의 연관성을 찾는 패턴 탐색 장치이기 때문에(Ratey 2001), 학습자의 뇌는 과정이나 활동에서 오래된 자료, 현재 자료, 미래 자료를 동시에 연구함으로써 주제나 주제에 대한 확실한 이해에 따라 발전 및/또는 확장될 가능성이 더 높다(Oakley 2014). 
Interleaving is another learning science strategy that relates to how one spends study or practice time. Interleaving means “… mixing related but distinct material during study” (Carey 2014, p. 163), forcing the learner to reconcile previously learned information, such as principles, concepts, and procedures, with more recent and even upcoming information in the same learning activity (Brown et al. 2014; Oakley 2014). While a learner may spend proportionately more time on a single area during a particular study session, for example, spending 30 minutes considering a challenging case to be discussed at an upcoming educational meeting, s/he would not spend time exclusively on the case. The learner might also spend 10 minutes quizzing her/himself on recent guideline updates discussed at a relatively distant session and 20 minutes researching possible answers to unresolved questions from the most recent session. Because the brain is a pattern-seeking device that looks for connections between new and previous learning (Ratey 2001), by studying old, present, and future material in a course or activity at the same time, the brain of the learner will more likely develop and/or expand upon a solid grasp of a topic or subject (Oakley 2014).

정보를 "청킹" 하는 것(앞서 설명한 명사 "청킹"을 동사로 사용함)은 학습자가 관련 부분들 사이에 더 많은 연결고리를 만들기 때문에 주어가 더 응집력 있고 기억에 남도록 만든다(Oakley 2014). 인터리빙의 이점 중 하나는 학습을 분산시킨다는 것이다(Brown et al. 2014). 그러나, 특히 문제 해결이나 사례 전개에 적용할 때, 인터리빙은 학습자가 다양하고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언제"와 "어떻게"를 이해하도록 강요한다는 점이며, 이는 임상 실무에서 매우 일반적인 것이다(Carpenter et al. 2012; Oakley 2014). 즉, 학습자는 정보를 다른 맥락으로 '전이transfer'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Carey 2014). 저자들은 CE/CPD 문헌에서 인터리빙의 예를 찾을 수 없었지만, Birnbaum et al. (2013)은 생물학 수업에서 서로 다른 범주를 병치(즉, 인터리빙)하는 것이 이러한 동일한 범주의 차단된(대량) 연습에 비해 우수한 학습 방법임을 입증했다. 인터리빙은 종종 학습자에게 느리거나 비효율적으로 느껴지지만, 연구는 인터리빙을 통해 학습된 정보에 대한 이해와 기억이 대규모 연습을 통해 학습하는 것보다 낫다는 것을 보여준다(Brown et al. 2014).

“Chunking” information (using the previously described noun – “chunk” – as a verb) makes a subject more cohesive and memorable, as the learner is creating more connections between related parts (Oakley 2014). One of the benefits of interleaving is that it distributes learning (Brown et al. 2014); however, a distinct benefit – especially when applied to solving problems or unfolding cases – is that interleaving forces the learner to understand “when” and “how” to use knowledge and skill in varying and unexpected circumstances (Carpenter et al. 2012; Oakley 2014), which are quite common in clinical practice. In other words, the learner will be more likely to be able to ‘transfer’ information to other contexts (Carey 2014). While the authors were unable to find any examples of interleaving in the CE/CPD literature, Birnbaum et al. (2013) demonstrated that juxtaposing (i.e. interleaving) different categories in a biology lesson was a superior method of learning compared to blocked (massed) practice of these same categories. While interleaving often feels slower or inefficient to the learner, research demonstrates that understanding and memory for information learned through interleaving is better than through massed practice (Brown et al. 2014).

정교화
Elaboration

정교화는 검색 연습과 인터리빙과 마찬가지로 학습자가 어떻게how 공부나 연습 시간을 보내는지에 관한 것이다. Doyle과 Zakrajsek(2013)에 따르면, 간단히 말해 정교화는 "정보에 대한 여러 경로를 만드는 과정"이다(52페이지). 기억을 논하면서, Schacter(2001)는 기억 형성에 정교화가 얼마나 필수적인지를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그리고 매번 같은 방식으로 공부하는 것에 비해, 정교함은 학습과 기억에서 훨씬 더 효과적인 전략이다. 정교화는 학습자가 다양한 감각을 포함하는 다양한 상황적 단서와 정보를 점진적으로 연관시킬 수 있도록 학습자가 가능한 한 어떻게, 어디서, 그리고 언제 공부하거나 연습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CE/CPD의 맥락에서, Shaw et al. (2011)은 3일간의 대면 컨퍼런스의 중요한 내용을 반영하는 간격 검색 관행(즉, 이메일을 통해 설명이 포함된 MCQ에 반복적으로 노출)이 자체 보고 임상 행동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메커니즘임을 입증했다. Doyle과 Zakrajsek (2013)에 따르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복습 또는 자료나 기술에 대해 생각하는 것 등등) 학습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뇌의 연결이 더 강해지고 새로운 학습이 더 영구적인 기억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p.7) 그림이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은 "이미지 큐 메모리"와 같이 학습하는 데 특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정보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분 자신의 단어와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것 – 바꿔말하기 – 또한 효과적인 정교함의 한 형태이다.

Elaboration (Doyle and Zakrajsek 2013; Brown et al. 2014), like retrieval practice and interleaving, concerns how a learner spends her/his study or practice time. According to Doyle and Zakrajsek (2013), elaboration is simply “[the] process of creating multiple paths to information” (p. 52). In discussing memory, Schacter (2001) emphasizes how essential elaboration is to memory formation. Compared to generally studying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place, and in the same way each time, elaboration is a much more effective strategy for learning and memory. Elaboration encourages a learner to vary, as much as possible, how, where, and when s/he studies or practices so that the learner gradually associates information with a wide variety of contextual cues involving multiple senses (Doyle and Zakrajsek 2013; Carey 2014). In the context of CE/CPD, Shaw et al. (2011) demonstrated that the spaced retrieval practice (i.e. repeated exposure to emailed multiple-choice questions with explanations) reflecting important content from a three-day, face-to-face conference was an effective mechanism to improve self-reported clinical behaviors. According to Doyle and Zakrajsek (2013), “[the] more you engage with something that you are learning – such as listening, talking, reading, writing, reviewing, or thinking about the material or skill – the stronger the connections in your brain become and the more likely the new learning will become a more permanent memory” (p. 7). Creating pictures or images is an especially powerful way to learn (Doyle and Zakrajsek 2013), as “[images] cue memories” (Brown et al. 2014, p. 187). Using your own words and ideas to explain information – paraphrasing - is also an effective form of elaboration (Leamnson 1999; Brown et al. 2014).

과학 학습이 지속적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리뷰의 최신 통합과 어떻게 일치합니까?
How does learning science align with the latest synthesis of systematic reviews about continuing education?

체계적 검토의 최신 종합(Cervero and Gaines 2015)은 주로 임상의와 CE/CPD보다는 의사와 지속적인 의료 교육(CME)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그 연구 결과는 적어도 이 논의의 목적을 위해 모든 임상의와 일반적으로 CE/CPD에 합리적인 대리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합성은 연습을 위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 "CME가 더 상호작용적이고, 더 많은 방법을 사용하고, 여러 노출을 수반하며, 더 길고, 의사가 중요하게 여기는 결과에 초점을 맞춘다면, 의사 성과와 환자 결과에서 더 큰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While the latest synthesis of systematic reviews (Cervero and Gaines 2015) focuses primarily on physicians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rather than (more broadly) on clinicians and CE/CPD, its findings may serve as a reasonable proxy for all clinicians and for CE/CPD in general, at least for the purposes of this discussion. The synthesis offers the following important lesson for practice:

  • “CME leads to greater improvement in physician performance and patient outcomes if it is more interactive, uses more methods, involves multiple exposures, is longer, and is focused on outcome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by physicians” (Cervero and Gaines 2015, p. 136).

이러한 일반적인 발견은 이 글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학습에 대한 학습 과학 설명과 일치한다. 인터랙티브 세션은 상호 작용의 중요성으로 시작하여, 특히 참가자가 세션 중에 주요 정보를 여러 번 고려하는 경우 단기 메모리에 견고하게 인코딩되는 정보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더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더 많은 방법을 사용하는 CME 활동은 더 많은 감각을 참여시키고, 따라서 단기 기억에서 정보를 더 잘 인코딩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더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종단적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번 노출되면 뇌가 여러 번 정보를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번 노출되고 더 긴 CME 활동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 통합 및 검색의 반복적 사이클]이 발생하며, 세션 간에 통합(초기 노출 후) 및 재통합(후기 노출 후)을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수면 시간이 제공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성과에 초점을 맞춘 활동]이 참가자를 더 잘 참여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동이 참가자에게 인식된 중요성을 고려할 때 정보를 견고하게 인코딩하고 후속적으로 처리(연결)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These general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learning science explanation of learning briefly described in this article. Starting with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an interactive session is more likely to be effective given that it promotes information being encoded solidly in short-term memory, especially if participants are considering key information many times during a session. CME activities that use more methods are more likely to be effective given that they engage more senses, and, as such, will result in better encoding of information in short-term memory. CME activities that involve multiple exposures and are longer are more likely to be effective given that multiple exposures throughout a longitudinal program will require the brain to retrieve the information multiple times, resulting in iterative cycles of encoding, consolidation, and retrieval, with adequate sleep between sessions to support consolidation (after the initial exposure) and reconsolidation (after each of subsequent exposures). Finally, the synthesis’ finding that activities focused on outcome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are more likely to be effective given that the activities will better engage participants, resulting in information being solidly encoded and more likely to be subsequently processed (consolidated) given its perceived importance to participants.

최근 체계적 검토의 종합에 대한 일반적인 결과는 네 가지 학습 과학 전략과도 일치한다. 

  • 대화형 CME 활동은 참가자들이 자신이 알고 있거나 믿는 것을 반성하고 (이상적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것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상호작용은 중요한 교육 성과에서 개선의 기회를 밝힐 수 있는 인출 연습 전략과 매우 일치한다.
  • 더 많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정교화 전략에 내재된 한 가지 유형의 변형이다. 다른 변형으로는 활동의 위치와 시간을 바꾸는 것이 있다.
  • 더 긴 기간에 걸쳐 여러 번 노출을 수반하는 활동은 분산 학습의 주요 원칙을 충족한다.
  • 활동에 특정 전문분야의 구별되지만 관련된 정보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다중 노출은 인터리빙과도 일치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이 중요한 결과에 주의를 집중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인출 연습을 통해 상대적인 약점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충분한 숙달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된 참가자는 추가 공부나 연습의 높은 우선순위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다.

The general findings of the latest synthesis of systematic reviews (Cervero and Gaines 2015) are also consistent with the four learning science strategies.

  • Interactive CME activities require participants to reflect on what they know or believe and (ideally) to receive feedback on what they can do. Interaction of this type is very consistent with the strategy of retrieval practice, which can reveal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 important educational outcomes.
  • Using more (different) methods is one type of variation inherent to the strategy of elaboration; other variation may involve the location and time of activities.
  • Activities that involve multiple exposures over a longer duration satisfy the major tenets of distributed learning.
  • Multiple exposures over time may be consistent with interleaving too, if the activities involve a mix of distinct but related information of a specialty.
  • Finally, one way to focus participants’ attention on important outcomes would be to make them aware of relative weaknesses through retrieval practice. A participant who becomes aware that s/he lacks sufficient mastery will likely consider it a high-priority for additional study or practice.

결론들
Conclusions

학습과학은 CE/CPD에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교육자가 자신의 작업을 더 잘 이해하고 교육자가 제공하는 활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흥 분야입니다. 인간의 뇌에서 학습하는 것이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지만, 인코딩, 통합, 검색과 같은 기본적인 단계들은 개념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마, 회음부, 신피질 등과 같은 특정 뇌 구조와 점점 더 연관되어 있다. 또한, 실무에 기반을 둔 학습 과학은 분산 학습, 검색 실습, 인터리빙 및 정교화를 포함한 몇 가지 실용적인 전략을 제공하며, 이는 교육자가 가장 중요한 결과, 즉 임상의 성과 및 환자 결과를 달성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특정 CE/CPD 형식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와 전략에 대한 학습 과학 설명은 가장 최근의 체계적인 검토 합성에 반영된 증거 기반 CE/CPD 속성과 일치한다.

Learning science is an emerging field that stands to offer CE/CPD important insights that may allow educators to understand better their work an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vities that educators offer. While learning within the human brain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some basic steps, such as encoding, consolidation and retrieval are known to be conceptually important and are increasingly linked to specific brain structures, such as the hippocampus, cingulate gyrus, and neocortex. Additionally, grounded in practice, learning science offers some practical strategies, including distributed learning, retrieval practice, interleaving and elaboration, which may help educators to adjust specific CE/CPD formats in support of achieving the most important outcomes, that is, clinician performance and patient outcomes. Finally, learning-science explanations about steps and strategies align with evidence-based CE/CPD attributes reflected in the most recent synthesis of systematic reviews.

 

 


Med Teach2018 Sep;40(9):880-885. doi: 10.1080/0142159X.2018.1425546. Epub 2018 Jan 15.

Learninㅁg science as a potential new source of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for continuing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a University of Connecticut School of Nursing , Storrs , CT , USA.

2b Department of Community Medicine and Health Care , University of Connecticut School of Medicine , Farmington , CT , USA.

3c Faculty Development , Center for Excell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Connecticut , Storrs , CT , USA.

4d Ferris State University , Big Rapids , MI , USA.

5e Learner Centered Teaching Consultants , Big Rapids , MI , USA.

PMID: 29334306

DOI: 10.1080/0142159X.2018.1425546

Abstract

Learning science is an emerging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offers educators key insights about what happens in the brain when learning occurs. In addition to explanations about the learning process, which includes memory and involves different parts of the brain, learning science offers effective strategies to inform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and programs in continuing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article provides a brief description of learning, including the three key steps of encoding, consolidation and retrieval. The article also introduces four major learning-science strategies, known as distributed learning, retrieval practice, interleaving, and elaboration, which share the importance of considerable practice. Finally, the article describes how learning science aligns with the general findings from the most recent synthesis of systematic reviews about the effectiveness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보건의료전문직 교육에서 근거의 사용: 태도, 실천, 장애, 지원 (Med Teach, 2019)
Use of eviden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ttitudes, practices, barriers and supports
Aliki Thomasa , Larry D. Gruppenb , Cees van der Vleutenc, Gevorg Chilingaryand, Fatima Amarie and Yvonne Steinertf

 

서론
Introduction

지난 20년 동안 보건 전문가(HP) 교육자(예: 임상 교사, 커리큘럼 기획자)와 정책 입안자(학장, 프로그램 책임자)가 교육 및 평가 관행과 정책에 증거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접근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학습자와 사회에 대한 책임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근거 활용 건강 전문 교육(EIHPE)을 향한 추진력은 체계적인 검토 및 기타 지식 합성을 통해 HP 교육자들에게 교육 연구의 최신 결과를 제공하는 BME(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협업과 같은 이니셔티브의 성장에도 반영됩니다(Harden et al. 2000). 

In the last two decades, there has been a resounding call for health professions (HP) educators (e.g. clinical teachers, curriculum planners) and policy-makers (deans, program directors) to apply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and policies. Such an approach could help ensure accountability to learners and society in providing meaningful and effective education (van der Vleuten et al. 2000; Durning et al. 2012). The drive toward evidence-informe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IHPE) is also reflected in the growth of initiatives such as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Collaboration, which makes available the latest findings from education research to HP educators via systematic reviews and other knowledge syntheses (Harden et al. 2000).

EIHPE에 대한 추진은 교육자들이 증거 정보에 근거한 교육 및 평가 결정을 내리기 위해 BEME 검토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여러 국제 이니셔티브를 창출하는 것으로 이어졌다(BEME 웹사이트; Maggio et al. 2018). 예를 들어, BME Collaboration의 구성원들은 의뢰된 많은 체계적인 검토가 종종 교육자들에게 전달되지 않는다고 제안합니다. 42개의 BEME 가이드의 품질, 접근성 및 관련성에 대한 최근 메타 합성은 결과의 접근성과 관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당한 여지를 발견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와 HP 교육자들이 모범 사례를 수용하고 채택해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HPE 실천이 현장의 기존 증거 기반을 반영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다. 
The drive for EIHPE has led to the creation of several international initiatives aiming to explore how BEME reviews are used by educators to make evidence-informed teaching and assessment decisions (BEME website; Maggio et al. 2018). For example, members of the BEME Collaboration suggest that many commissioned systematic reviews often do not reach educators. A recent meta-synthesis of the quality, accessibility, and relevance of 42 BEME guides (Maggio et al. 2018) found substantial room for enhancing accessibility and relevance of findings. Despite these initiatives, and the growing push for HP educators to embrace and adopt best practices, there is scant empirical research on whether current HPE practices reflect the existing evidence base in the field.

의료 분야에서 증거 정보에 근거한 접근 방식은 오랫동안 실무에서 결정을 내릴 때 "현재의 최상의 증거를 양심적이고, 명시적이며,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해왔다(Sackett et al. 2000). 연구실습 "갭"을 인정하면서 지식번역(KT)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KT는 다음의 것을 목표로 하는 성장중인 분야 이다.

  • 연구-실천 격차의 성격과 규모를 파악
  • 실무자가 실무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개별적 및 조직적 요인을 조사
  • 임상의의 연구 결과 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 중심 전략의 영향을 평가

In healthcare, evidence-informed approaches have long aimed for the “conscientious, explicit, and judicious use of current best evidence” in making decisions in practice (Sackett et al. 2000). Recognition of a research-practice “gap” has led to a burgeoning interest in knowledge translation (KT), a growing field that aims to

  • identify the nature and magnitude of research-practice gaps;
  • examine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inhibit practitioners from using research to inform practice; and
  • assess the impact of theory-driven strategies to support clinicians’ use of research findings (Graham 2012;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2016).

HPE의 KT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학문 분야를 대표하기 때문에, 우리는 KT가 연구자, 교육자, 학습자, 교수진 및 기타 이해관계자(예: 의사 결정자, 프로그램 책임자)의 노력을 통해 교육 연구의 생성, 보급 및 활용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Thomas 및 Steinert 2014; Thomas and Bussi 2016a, 2016b). 그러나 EIHPE를 촉진하기 위해 KT 개입의 설계, 구현 및 영향을 평가하는 데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려면, 우리 커뮤니티는 HPE 이해관계자들이 교육적 의사 결정에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As KT in HPE represents a relatively new area of scholarship, we anticipate that KT will involve efforts by researchers, educators, learners, faculty developers, and other stakeholders (e.g. decision-makers, program directors) to support the creatio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research (Thomas and Steinert 2014; Thomas and Bussieres 2016a, 2016b). However, if concerted efforts are to be dedicated toward designing, implementing, and assessing the impact of KT interventions to promote evidence-informed HPE, it is vital that our community investigates if, and how, HPE stakeholders utilize this approach for educational decision-making.

HP 교육자의 HPE 증거에 대한 태도, HP 교육자가 교육 연구를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는지, 교육자가 연구 결과를 사용하여 교수 및 평가 관행을 알 수 있는지 등을 탐구하는 경험적 연구는 제한적이다. Onyura et al(2015)은 연구 결과 사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의학 교육자 환경의 특징을 연구했으며, 여러 억제 요인(예: 사용 가능한 증거의 품질 저하, 시간 제약)과 촉진 요인(예: 교수진 개발)을 발견했다. 이 소규모 정성적 연구는 연구 사용에 대한 지지와 장벽을 식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규모 조사와 같은 대체 방법론과 HP 교육자의 더 큰 표본을 사용하여 새로운 가설을 테스트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There is limited empirical research exploring HP educators’ attitudes toward HPE evidence, whether HP educators are aware of, and can access, educational research, and whether educators use research findings to inform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Onyura et al. (2015) studied features of medical educators’ environments that facilitated or impeded the use of research findings and found a number of inhibiting (e.g. poor quality of available evidence, time constraints) and facilitating (e.g. faculty development) factors. This small-scale qualitative stud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supports and barriers to research use as well as the need to test emerging hypotheses using larger samples of HP educators and alternative methodologies such as large-scale surveys.

본 연구는 HPE 내에서 연구 활용과 연구 활용의 결정 요인(태도, 장벽 및 지원)에 관한 현재의 관행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고자 했다.

  • 교육 연구 증거를 사용하여 교육 및 평가 행위에 inform하는 것에 대하여 HP 교육자들의 태도는 어떠한가?
  • HP 교육자들은 그들의 실습에서 교육적 연구 증거를 어느 정도까지 사용하고 있는가?
  • HP 교육자의 관점에서 본 증거 정보 교육의 개인 및 조직 지원 및 장벽은 무엇인가?

The present study seeks to identify current practices regarding research utilization and the determinants (attitudes, barriers and supports) of research utilization within HPE. Specifically, we sought to answer:

  1. What are HP educators’ attitudes toward using educational research evidence to inform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2. To what extent do HP educators use educational research evidence in their practice?
  3. What are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supports and barriers of evidence-informed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P educators?

방법론
Methodology

연구설계
Study design

이 연구는 유럽 의학 교육 협회(AMEE)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HPE의 연속체에 걸쳐 작업하는 횡단적인 설문 조사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는 맥길 대학의 기관 검토 위원회로부터 윤리적인 승인을 받았다.
The study consisted of a cross-sectional survey of members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working across the continuum of HPE. The study was granted ethics approval from McGill University’s Institutional Review Board.

참가자
Participants

적격 참가자에는 AME 회원 및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린 2015 AME 컨퍼런스 참석자가 포함되었으며 HP 교육자였습니다. 우리는 'HP 교육자'를 교육 계획, 운영 및 연구에 관련된 사람뿐만 아니라, 학술 및 임상 환경에서 가르치는 개인으로 정의했다. AMEE 회원은 다양한 자격 증명(임상 학위 및/또는 대학원 학위)과 역할을 가진 다양한 국가, 보건 전문직(예: 의학, 간호 및 재활) 및 학문 분야(예: 교육, 심리학 및 정신계량학)를 대표한다. 글래스고에서 열린 2015년 AME 회의 참석자(~n = 1200명) 및/또는 모든 AME 회원(~n = 3200명(AMEE 회원 포함)이 모집되었으며, 표본이 추출된 보수적인 추정 모집단으로 1200명에서 3200명까지의 총 참가자를 대상으로 연구에 참여할 자격이 주어졌다.
Eligible participants included AMEE members and/or attendees of the 2015 AMEE conference in Glasgow, Scotland who were HP educators. We defined ‘HP educators’ as individuals who teach in academic and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those involved in educational planning, administration and/or research. AMEE members represent a wide range of countries, health professions (e.g. medicine, nursing, and rehabilitation), and academic disciplines (e.g. education, psychology, and psychometrics), with different credentials (clinical degrees and/or graduate degrees) and roles. All AMEE members (∼n = 1200) and/or attendees of the 2015 AMEE conference in Glasgow (∼n = 3200—including AMEE members) were recruited and eligibl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for a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ranging from 1200 to 3200 as the conservative estimated population from which our sample was drawn.

연구 절차 및 데이터 수집
Study procedure and data collection

AMEE 담당자가 채용 이메일과 온라인 설문 조사 링크를 모든 적격 참가자에게 전달했습니다. 그들은 첫 번째 초대장으로부터 2주 후에 하나의 리마인더 이메일을 보냈다.
An AMEE representative forwarded a recruitment email and a link to the online survey to all eligible participants. They sent one reminder email 2 weeks after the initial invitation.

측량기
Survey instrument

문헌을 검토한 결과 우리의 관심 구조를 측정하는 기존 설문지가 없었다. [3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EIHPE에 대한 HP 교육자의 태도를 측정하고, 증거 정보 접근법과 관련된 현재 관행을 조사하며, 교육 관행을 알리기 위해 증거를 사용하는 데 대한 지지와 장벽을 식별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했다. 우리는 "증거"를 과학 교육 연구에서 얻은 결과로 정의했다.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ealed no existing questionnaires measuring our constructs of interest. Through a three-phase proces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HP educators’ attitudes toward evidence-informed HPE, examine current practices associated with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HPE, and identify the supports and barriers to using evidence to inform educational practices. We defined “evidence” as results obtained from scientific educational research.

1단계: 문헌 검토
Phase 1: review of the literature

우리는 (1) EIHPE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여 HPE(Onyura et al. 2015; Thomas and Law 2014)의 베스트 프랙티스를 둘러싼 담론의 최전선에서 구조를 식별하고, (2) 임상 분야에서 임상의사의 증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요인을 식별했다.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1) EIHPE to identify constructs at the forefront of discourses surrounding best practices in HPE (Onyura et al. 2015; Thomas and Law 2014) and (2) the rich body of literature on EBP and KT in the clinical realm in order to identify the major factors known to influence clinicians’ use of evidence in clinical practice.

2단계: 아이템 개발
Phase 2: item development

딜먼의 맞춤형 설계 방법(Dillman et al. 2009) 및 문헌 검토에서 태도, 관행, 지지 및 장벽을 탐구하는 항목의 첫 번째 버전을 개발했습니다. 내용, 방법론 및 측정 전문지식(n = 8)을 가진 HPE 임상의와 연구자(심리측정학자를 포함)의 국제 전문 그룹을 초청하여 내용 타당성에 대한 설문지를 검토하였다. 피드백은 설문지 작성에 필요한 항목 수와 시간, 항목 명확성, 문화적 특수성, 사회적 선호도의 위험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는 이 피드백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수정했습니다.
Using the principles outlined in Dillman’s Tailored Design Method (Dillman et al. 2009) and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we developed the first version of items exploring attitudes, practices, and supports and barriers. An interprofessional, international group of HPE clinician-educators and researchers (including a psychometrician) with content, methodological and measurement expertise (n = 8) were invited to review the questionnaire for content validity. Feedback centered on the number of items and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item clarity, cultural specificity, and the risk of social desirability. We revised the survey based on this feedback.

3단계: 설문조사 항목의 파일럿 테스트
Phase 3: pilot testing of survey items

수정된 설문지는 목표 모집단을 대표하지만 표본 추출 프레임에는 포함되지 않은 교육자 부분 집합(n = 10)으로 시범 테스트되었다. 피드백을 바탕으로 명확성을 높이고 설문조사를 단축하기 위해 추가 개정이 이뤄졌다. 최종 조사는 4개 섹션(부록 A)으로 나눠진 49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섹션 1-3의 항목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했다. 섹션 4는 참가자의 인구통계학적 세부 정보를 캡처했다. 이 조사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배포되었다.

The revised questionnaire was pilot tested with a subset of educators (n = 10), representative of our target population but not included in our sampling frame. Based on the feedback, additional revisions were made to improve clarity and shorten the survey. The final survey consisted of 49 items divided across four sections (Supplementary Appendix A). Items in Sections 1–3 used a 5-point Likert scale. Section 4 captured participants’ demographic details. The survey was distributed via the online platform “Fluid Surveys.”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데이터는 SAS® 소프트웨어 9.4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전체 표본에 대한 태도, 관행 및 보고된 장벽과 지지대에 해당하는 각 조사 항목에 대한 응답뿐만 아니라 인구통계학적 특성 모두를 기술하기 위해 기술 통계(빈도와 백분율)가 수행되었다. 섹션 1과 섹션 2에 대한 5개의 응답 앵커가 세 가지 범주로 축소되었다. 섹션 1(태도)의 경우, 반대(D)와 반대(SD)를 조합하여 '반대'를 형성하고, 동의(A)를 동의(SA)와 결합하여 '동의'를 구성하였다. 섹션 2(실천)의 경우, 자주(O)와 자주(VO)가 '자주'로, 자주(F)와 자주(VF)가 합쳐져 '자주'로 형성되었다.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software 9.4.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rried out to describe bo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sponses for each survey item corresponding to attitudes, practices, and reported barriers and supports for the whole sample. The five response anchors for Sections 1 and 2 were collapsed into three categories.

  • For Section 1 (attitudes), Disagree (D) and Strongly disagree (SD) were combined to form “Disagree,” and Agreed (A) was combined with Strongly Agreed (SA) to form “Agree.”
  • For Section 2 (practices), Often (O) and Very Often (VO) formed ‘often’ and Frequent (F) and Very frequent (VF) were combined to form “frequent.”

표 1에 요약된 바와 같이,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업무 관련 변수는 범주를 축소하고 새로운 범주를 생성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재구성되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질문인 "당신의 전문적인 자격은 무엇입니까?"는 처음에는 9개의 응답 범주(치과의사, 간호사, 직업치료사(OT), 약사, 의사, 물리치료사(PT), 음성언어병리학자(SLP), 나는 임상의가 아닙니다, 기타(구체적으로 지정하십시오)를 포함했습니다. 의료 전문가가 아닌 참가자(예: 의사가 아닌, 물리치료사가 아닌)는 "기타" 또는 "나는 임상의가 아니다"를 선택했다. 우리는 소수의 관측치(예: OT, PT, SLP)가 포함된 원래 응답 코드 중 몇 개를 접어서 참가자의 응답을 기록하고 "동맹 건강"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만들었다. 또한 '치과의사', '약사' 등 관측치가 거의 없는 응답 카테고리는 '의사' 카테고리로, '기타'는 '나는 임상의가 아니다'로 무너졌다. 그 결과 "동맹 건강", "의사/약사/치과의사" 및 "나는 임상의/기타 의사가 아니다"라는 세 가지 응답 범주가 나왔다.
The demographic and work-related variables were regrouped using an iterative process of collapsing categories and creating new ones, as outlined in Table 1. For instance, the first question What are your professional qualifications initially included nine response categories (Dentist, Nurse, Occupational Therapist (OT), Pharmacist, Physician, Physiotherapist (PT), Speech Language Pathologist (SLP), I am not a clinician, Other (please specify)). Participants who were not health care professionals (e.g. not a doctor, not a physical therapist), selected “Other” or “I am not a clinician.” We recoded participants’ responses by collapsing several of the original response codes containing few observations (e.g. OT, PT, SLP) and created a new variable called, “Allied health.” In addition, response categories with few observations, such as “Dentist” and “Pharmacist” were collapsed with the “Physician” category and “Other” with “I am not a clinician.” This resulted in three response categories: “allied health,” “physician/pharmacist/dentist,” and “I am not a clinician/other.”

몬테카를로 추정치가 5 미만인 카이-제곱 통계는 세 가지 조사 섹션의 항목 부분 집합에 대한 인구 통계 변수 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hi-square statistics with Monte Carlo estimates for the presence of expected counts less than five were carried out to examine differences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n a subset of items in each of the three survey sections.

결과.
Results

표 1은 참가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실천적 특성을 보여준다. 318명의 참가자가 완성된 설문지를 제출했으며, 추정 샘플 3200을 기준으로 10%의 응답률을 산출했다(3200은 빈도 계산에서 가장 보수적인 기준이다). 응답자의 거의 3분의 2가 의사/약사/치과의사였고 22.6%는 임상의가 아니라고 보고했다. 31%는 박사 학위를 최고 학위로, 10.5%는 연구원으로 확인되었으며, 56%는 대학 관련 환경에서 근무했으며, 10.9%(n = 32)는 주로 병원 기반이었다. HPE 교육자로서의 평균 경력 연수는 10년 미만 37.5%, 11~20년 30.6%, 20년 이상 31.9%로 상당히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Table 1 presents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and practice characteristics. Three hundred eighteen participants submitted completed questionnaires, yielding a response rate of 10% based on an estimated sample of 3200 (3200 is the most conservative basis for our frequency calculations). Almost two-thirds of respondents were physicians/pharmacists/dentists and 22.6% reported that they were not clinicians. Thirty-one percent reported having a doctorate as their highest degree, 10.5% identified as researchers, and 56% worked within a university-affiliated setting compared to 10.9% (n = 32) that were primarily hospital-based.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as an HPE educator was distributed fairly equally with 37.5% having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30.6% having 11–20 years of experience, and 31.9% having over 20 years of experience.

표 2-4는 (1) 참가자가 일하는 환경 유형, (2) 주요 업무 역할, (3) 전문 자격, (4) HP 교육자로서의 경험, (5) 최고 학위를 바탕으로 세 섹션 각각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카이-제곱 값을 나타낸다.
Tables 2–4 conta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i-square values for items within each of the three sections based on (1) type of setting at which participants work; (2) primary work role; (3) professional qualifications; (4) years of experience as a HP educator; and (5) highest degree obtained.

 
 
 

섹션 1: 증거 정보에 근거한 HPE에 대한 태도
Section 1: attitudes toward evidence-informed HPE

표 5는 EIHPE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결과를 요약한다. 응답자의 83%는 교육 관행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연구 결과를 이용한다고 말했다. 교육적 의사결정을 지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서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이 고르게 확산되었다(32%가 동의하지 않았고, 34.3%가 중립, 33.6%가 동의했다). 96.7%가 이 분야의 최신 증거를 바탕으로 관행을 바꾸는 데 열려 있었지만, 거의 60%가 교육자가 HPE 연구 결과를 덜 활용한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증거 정보에 입각한 HP 교육자가 되는 것이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데 동의한 비율은 매우 적었습니다. 90%는 HPE에 대한 증거 정보에 근거한 접근 방식을 통해 교육 관행이 개선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한 비율의 응답자들이 HPE 실무에 대한 결정이 내려질 때 증거 사용이 거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에 동의(37.9%)하고 동의하지 않았다(40.3%)고 말했다.
Table 5 summarizes the results in relation to attitudes toward EIHPE. Eighty-three percent of respondents indicated using research findings when making decisions about educational practices. When asked about experience a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in guiding educational decisions, the responses were evenly spread (32% disagreed; 34.3% were neutral, 33.6% agreed). Although 96.7% were open to changing their practices based on the latest evidence in the field, almost 60% agreed that educators make less use of HPE research findings. A very small proportion (17.5%) agreed that being an evidence-informed HP educator is too time-consuming. Ninety percent agreed that educational practices could be improved through a more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HPE. Despite this, however, an almost equal proportion of respondents agreed (37.9%) and disagreed (40.3%) that the use of evidence almost never plays a role when decisions about HPE practices are made.


근무환경의 유형, 주요 업무 역할, 보건 전문 교육자로서의 기간 및 최고 학위는 EIHPE에 대한 태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대학 기반 환경]에서 일하는 참가자들은 HPE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았으며, HPE에 대한 증거 정보에 근거한 접근 방식이 지역사회 기반 및 병원 기반 환경에 비해 교육 관행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믿었다. 주로 임상의나 교사로 확인된 응답자들은 [과정 평가course evaluations]가 [연구 증거]보다 교육적 결정을 안내하는 데 더 중요하다고 보고했다. 11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사람들은 HPE에 대한 증거 정보에 근거한 접근법이 경험이 적은 사람들(<10년)에 비해 HPE의 품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에 동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년 간의 경험은 태도와도 관련이 있었다. 
[10년 이하 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증거의 사용은 HPE 관행에 대한 결정이 내려질 때 거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Type of work setting, primary work role, years as a health professions educator and highest degre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EIHPE. Participants working in a university-based setting were more likely to make decisions based on HPE and believe that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HPE improves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actices compared to those in community-based and hospital-based settings. Respondents who primarily identified as a clinician or teacher reported that course evaluations are more important in guiding educational decisions than research evidence. Years of experience were also related to attitudes, as those with 11 or more years of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agree that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HPE improves the quality of HPE compared to those with less experience (<10 years); for this latter group, the use of evidence almost never plays a role when decisions about HPE practices are being made.

획득한 최고 학위의 경우, DVM(Doctors in Vetrician Medicine)을 가진 참가자들은 대학원 수료증/석사, 박사학위 소지자, 박사학위 소지자에 비해 과학 문헌보다는 동료로부터 교육 실무에 대해 배우는 것을 선호했다. EIHPE에 대한 태도는 다른 직업을 대표하는 응답자들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In terms of highest degree obtained, participants with a Doctorate in Veterinary Medicine (DVM) preferred to learn about educational practices from colleagues rather than from the scientific literature, compared to those with a graduate certificate/masters, MDs, MDs with a graduate degree, and those with a Ph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EIHPE among respondents representing different professions.

섹션 2: 관행
Section 2: practices

표 6은 응답자가 EIHPE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빈도를 나타낸다. 참가자의 절반은 정기적으로 회의에 참석했고 거의 3분의 2는 교수진 개발 활동에 참석했습니다. 70%는 강의실이나 임상 환경에서 가르쳤고, 3분의 2는 정기적으로 커리큘럼 설계에 종사했다. 절반이 조금 넘는 사람들이 연구 활동에 자주 참여했고 75% 이상이 논문을 검색했다. 56%는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을 알리기 위해 HPE 연구 결과를 이용했고, 43.6%는 임상 환경에서, 54.3%는 학습자를 평가하기 위해 이용했다.

Table 6 presents the frequency with which respondents engaged in EIHPE-related activities. Half of participants regularly attended conferences and almost two-thirds attended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Seventy percent taught in the classroom or clinical setting and two-thirds regularly engaged in curriculum design. A little over half frequently took part in research activities and more than 75% searched for scientific articles. Fifty-six percent used HPE research findings to inform teaching in the classroom, 43.6% in the clinical setting, and 54.3% to assess learners.

교육teaching에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HPE 연구의 사용과 관련하여, [혼합 환경(즉, 주로 대학 및 병원/지역 기반)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대학 또는 지역사회 환경 또는 정책 수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비해 HPE 연구 결과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대학 기반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병원 기반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보다 HPE 연구 결과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대학에 기반을 둔 개인들]은 다른 모든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비해 학습자의 평가를 위해 HPE 연구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한 가지 예외는 [병원 기반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정책 수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비해 연구 결과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것이다. 지역사회 기반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다른 모든 그룹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고 보고했다.
Regarding use of HPE research to inform teaching, those working in a mixed (i.e. primarily university and hospital/community-based) setting were more likely to use HPE research findings compared to those working in a university or community setting or at the policy level, and those working in a university-based setting were more likely to use HPE research findings than those working in a hospital-based setting. University-based individuals were more likely to use HPE research for assessment of learners compared to those working in all other areas; one exception is that those working in a hospital-based setting were more likely to use research findings compared to those working at the policy level. Those working in community-based settings reported having significantly more demands on their time compared to all other groups.

교사 및 임상의, 연구를 포함하지 않는 여러 역할을 가진 사람들, 그리고 주로 연구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교수와 커리큘럼 설계를 알리기 위해 HPE 연구 결과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 유무에 관계없이 여러 역할을 가진 사람들은 임상의나 연구원들에 비해 HPE 연구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비임상사(예: 전임 연구자, 정책 직책에 있는 사람)와 관련 보건 전문가들은 MD보다 과학적 증거를 더 자주 찾지만, 교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로 보고된 HPE 연구 결과를 사용하는 경우 그 반대의 경우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HPE 커리큘럼 설계에 더 자주 참여했고 HPE 연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교수 행동에 inform하였다.
Teachers and clinicians, those with multiple roles not including research, and those working primarily in research were more likely to use HPE findings to inform teaching and curriculum design. Those with multiple roles with and without research were more likely to use HPE research compared to clinicians and researchers. Though non-clinicians (e.g. full-time researchers, those in policy position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search for scientific evidence more often than MDs, the reverse was found for actual reported use of HPE research findings to inform teaching. Finally, those with the greatest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more frequently engaged in HPE curriculum design and used HPE research to inform their teaching practices.

섹션 3: 지지대 및 장벽
Section 3: supports and barriers

표 7은 참가자의 HPE 연구 이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인을 요약한 것이다. 참가자의 4분의 3은 HP 교육자가 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보였다. 87%는 문헌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보고했으며, 3분의 1 미만이 문헌을 읽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있었으며, 42%는 HPE 연구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는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었다. 문학에 대한 비판적 평가는 15% 미만으로 어려웠다. 거의 50%가 동료들이 HPE 연구 결과를 교육 관행에 적용하도록 장려한다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이 교육 기관 내의 교사와 지도자들이 교육 관행을 바꾸는 것을 꺼린다고 보고했다.
Table 7 summarizes the factors that facilitate or hinder participants’ ability to use HPE research. Three-quarters of participants were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be an evidence informed HP educator. Eighty-seven percent reported having access to the literature, less than one third had sufficient time to read the literature and 42% had other priorities limiting their ability to apply HPE research in their practices. Critical appraisal of the literature was difficult for less than 15%. Almost 50% indicated that their colleagues encourage them to apply HPE research findings to educational practices and just over half reported that teachers and leaders within their institutions are reluctant to change educational practices.

직무역할과 전문자격만을 기준으로 업무환경 내에서 자신감, 경쟁우선순위, 비판적 평가능력, HPE 연구의 유용성 등의 요소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의는 증거에 정통한 교육자가 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가장 자신감이 없었고, 다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연구가 주된 책임인 참여자에 비해 더 자신감이 있었다. 임상의는 여러 역할을 가진 사람(연구가 있거나 없거나)보다 시간 제약이 많다고 보고했다. 연구, 행정 및 교육을 포함하는 책임이 있는 개인(즉, 다중 역할)도 교사 및 연구자에 비해 시간 제약이 더 많다고 보고했다. 의학박사와 비임상사는 HPE 연구 결과를 교육 관행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휴 의료 전문가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제한하는 다른 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MD들은 일반적으로 (AHP나 비임상인에 비해) 자신이 소속된 조직의 교사들이 교육 관행을 바꾸는 것을 꺼린다는 데 동의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factors such as confidence, competing priorities, critical appraisal skills, and availability of HPE research within the work setting based on work role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only. Clinicians were the least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be an evidence-informed educator, and those in multiple roles were more confident compared to participants whose primary responsibility is research. Clinicians reported having more time constraints than those with multiple roles (with and without research). Individuals whose responsibilities include research, administration, and teaching (i.e. multiple roles) also reported having more time constraints compared to teachers and researchers. MDs and non-clinicians reported having other priorities that significantly limit their ability to apply HPE research findings to educational practices compared to allied health professionals. MDs were generally more likely to agree that teachers in their organization are reluctant to change educational practices compared to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nd non-clinicians.

논의
Discussion

AME 회원과 컨퍼런스 참석자의 이 부분 집합에서 EIHPE에 대한 태도는 대체로 긍정적이며, 참가자들은 대부분 HPE 증거를 기반으로 교수 및 평가 관행을 변경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육자들이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연구 증거를 사용한다면 HPE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반적인 합의가 있다. 응답자들이 보건 분야에서 양질의 연구를 수행하고 보급하는 것을 촉진하는 국제 HPE 협회의 회원이기 때문에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참가자들은 [경험]이 HPE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교수와 평가 관행에 inform하기 위해 [연구]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이것은 교사들이 궁극적으로 증거를 해석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준비성을 평가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한 고려 사항인 교육 의사 결정에서 증거가 사용되는 방식을 항상 경험이 안내할 것이라는 개념을 강조한다.
In this subset of AMEE members and conference attendees, attitudes toward EIHPE are largely positive and for the most part, participants appear ready to change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based on HPE evidence. There is overall agreement that HPE would be improved if educators used the available research evidence in the field. This is unsurprising as respondents are members of an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PE that promotes the conduct and dissemination of quality research in the health professions. Participants reported using research to inform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even though there was consensus that exper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HPE. This highlights the notion that experience will likely always guide the manner in which evidence is used in educational decision-making, an important consideration as teachers must ultimately interpret the evidence and assess its readiness for use in a given situation.

EIHPE에 대한 태도는 일차적 소속, 대학원 교육, HPE 역할 및 HPE 경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학술기관에 (일차적으로) 소속된 것은 증거 사용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태도와 관련이 있다. 이 발견은 미래의 의료 전문가에 대한 연구와 훈련을 지원하라는 학술 기관의 의무와 일치한다. 우리의 데이터는 EIHPE에 대한 태도가 연구 학위를 가진 사람들(예: 연구 석사, 박사 학위를 가진 MD) 사이에서 더 긍정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것이 전문적인 문화, 시간 제약 또는 임상 치료에서 증거 기반 접근법과 HPE에 대한 증거 기반 접근법의 본질적인 경쟁 우선 순위 때문이든 간에 추가 탐구가 필요하다.
Attitudes toward EIHPE appear to depend on primary affiliation, graduate education, HPE roles, and the level of HPE experience. Affiliation (primary) with an academic institution is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attitudes about using evidence.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academic institutions’ mandates to support research and training of future health care professionals. Our data suggest that attitudes toward EIHPE are more positive amongst those with research degrees (e.g. MDs with research master’s, PhDs). Whether this is due to professional culture, time constraints, or the inherent competing priorities of an evidence-based approach in clinical care, and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HPE requires further exploration.

임상 환경에서 교수와 평가를 주로 책임지는 사람(clinician teacher)은 [학생 평가에서 수집된 정보]를 course review and revisions을 위한 주요 근거 자료로 간주한다. 비록 학생 피드백이 개인의 교수와 평가 전략에 변화를 가져오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정보는 그러한 변화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증거" 출처 중 하나만을 나타낸다(다른 출처에는 학생 성과와 인증 결과에 대한 종단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Uijtdehaage 및 O'Neal 2015) 학생이 누구를 평가하고 있는지, 교직원이 실제로 어떻게 수행하는지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무분별하게 과정 평가를 완료하는 경우가 많다는 증거를 고려할 때 학생 데이터는 어느 정도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이것이 왜 그런지는 불확실하지만, 학생 피드백이 특정 교사와 특정 교육 및 학습 경험에 대해 제공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의미 있고 맥락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후속 교육 결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증거"의 형태를 제공한다고 추측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정책 결정 직책(예: 인가, 면허)에 있는 사람들은 높은 수준의 책임이 요구되는 높은 결정을 내린다. 그러한 개인들은 HPE에 대한 증거 정보에 근거한 접근법을 채택하고 교육 정책 결정을 정당화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ose who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eaching and assessment in the clinical setting (i.e. clinician teachers) consider information gleaned from student evaluations as the primary source of evidence for course review and revisions. Although student feedback can be used to bring about change to one’s teaching and assessment strategies, this information represents only one of several sources of “evidence” that may be utilized to justify such changes (other sources may include longitudinal data on student performance and accreditation results) (Uijtdehaage and O'Neal 2015). Student data should be used with some degree of caution given the evidence that students often complete course evaluations in a mindless manner without due attention to whom they are evaluating and how a faculty member is actually performing. Although it is uncertain why this may be the case, we could speculate that given that student feedback is provided for a specific teacher and for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 it provides a form of “evidence” that is meaningful and contextually relevant and therefore likely to influence subsequent instructional decisions. Interestingly, those in policy-making positions (e.g. accreditation, licensure) make high-stakes decisions for which a high level of accountability is required. Such individuals may embrace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HPE and perceive it as critical for justifying educational policy decisions.

경험이 많은 교사들은 EIHPE를 더 긍정적으로 보고 경험이 적은 동료들보다 훨씬 더 많은 증거를 사용했다고 보고했다. HPE 연구와 교육 관행에서의 사용에 기인하는 가치는 교육자들이 경험을 쌓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발견은 [임상의]가 실무에 오래 종사할수록 연구 평가 수행에 숙련도가 떨어지고(McCluskey 2003), 임상적 결정을 내릴 때 발표된 연구에 의존할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EBP에 대한 연구]와 대조된다.
Seasoned teachers viewed EIHPE more positively and reported using the evidence significantly more than less experienced colleagues. The value attributed to HPE research and its use in educational practices may increase as educators gain experience. This finding, however, contrasts with the research on EBP in that the longer clinicians were in practice, the less skilled they were in conducting appraisals of research (McCluskey 2003) and the less likely they were to rely on published research to make clinical decisions (Cameron et al. 2005; McCluskey and Lovarini 2005; Copley and Allen 2009; Copley et al. 2010).

샘플 큐레이션에 사용된 방법을 바탕으로 많은 참가자들이 정기적으로 교육 회의에 참석하고 KT의 한 형태인 교수 개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Thomas and Steinert 2014).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교육 관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체계적인 검토와 독창적인 연구 결과를 사용했다고 보고했으며, 3분의 1만이 교육 행정 결정의 목적을 위해 그렇게 했다. 이는 부분적으로 HPE 연구에 대한 많은 리뷰의 품질 때문일 수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HPE 문헌을 정기적으로 검색하고(75% 이상), HPE 연구에 관여하고(50% 이상) 보고하는 참여자 비율(EBP 문헌에 보고된 비율보다 더 큰 비율)이다. 이러한 유망한 발견은 HPE 연구의 역량을 높이고 임상의와 연구원 간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실무에 대한 보다 학술적인 접근 방식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Based on the method used to curate our sample, many participants reported regularly attending educational conferences and participating in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a form of KT (Thomas and Steinert 2014).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reported using systematic reviews and results from original research to support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nd only one third did so for the purpos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ecisions. This may be due in part to the quality of many reviews of HPE research (Maggio et al. 2018). Most remarkable is the large proportions of participants (larger proportions than those reported in the literature on EBP; Thomas and Law 2014) that regularly search the HPE literature (more than 75%) and who report being involved in HPE research (more than 50%). These promising findings may be leveraged to increase capacity in HPE research and build partnerships between clinicians and researchers as such partnerships are recognized as having the potential to promote more scholarly approaches to practice (Jagosh et al. 2012; Jull et al. 2017; Witteman et al. 2018).

우리의 연구 결과는 [경험 연수years]와 [작업 환경 유형]이 HPE 관행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경험이 많은 교육자]들은 그들의 젊은 교육자들보다 그들의 교육 관행을 알리기 위해 연구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EIHPE에 대한 태도가 그렇듯이, 이는 경험이 임상적 맥락에서 과학적 증거의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EBP에 대한 연구와 대조된다. 우리는 교육자들이 그들의 경력을 발전시키면서 증가하는 증거에 대해 배우고 있을 수 있지만, 또한 학술 회의(예: AMEE)에 참석함으로써 연구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는 고무적인 발견이며, 적절한 교수진 개발, 자원 및 지원(시간, 과학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회의 참석 지원)을 통해 이러한 교육자들은 증거 정보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학술 교육자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and type of work setting are associated with HPE practices. Experienced educators are more likely to use research to inform their educational practices than their younger counterparts. As is the case with attitudes toward EIHPE, this contrasts with the research on EBP having shown that experience negatively influences the use of scientific evidence in clinical contexts (McCluskey 2003; Cameron et al. 2005; Thomas and Law 2013). We posit that educators may be learning about the rising body of evidence as they progress in their careers, but they may also be more exposed to the research by attending scholarly conferences (e.g. AMEE). This is an encouraging finding, and with the appropriate faculty development (Thomas and Steinert 2014), resources, and supports (time, access to scientific databases, support to attend conferences) these educators can effectively model the behaviors of the scholarly educator that embraces and applies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HPE.

[대학에 소속된 개인]과 [교육 정책 직책에 있는 사람들]은 그들의 교수와 평가 관행을 알리기 위해 HPE 연구를 사용하여 더 많은 HPE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여러 환경에 걸쳐 다양한 유형의 HPE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행정 및 커리큘럼 설계 측면에서 연구 및 지원과 같은 다양한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주로 [지역사회 환경에 기반을 둔 교육자들]에게는 기회와 가용 시간이 더 적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연구에 참여하기 위해 더 많은 지원과 지원을 필요로 하고 그들의 교육 관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HPE 증거를 사용한다. HPE의 모든 영역에서 HPE 연구의 성공적인 활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예: 커리큘럼 설계, 교수 관행)은 그러한 다양한 맥락의 필요성을 고려하고 그러한 맥락 내에서 개인의 필요에 맞춘 KT 개입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Individuals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and those in educational policy positions conduct more HPE research and report using HPE research to inform their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Those involved in numerous types of HPE activities across several settings may be afforded various opportunities such as research and support in terms of 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design. In contrast, there may be fewer opportunities and less available time for educators based primarily in community settings; as a result, they require more support and outreach to engage in research and use HPE evidence to support their teaching practices. Efforts to increase successful uptake of HPE research in all areas of HPE (e.g. curriculum design, teaching practices) will need to consider the mandates of those various contexts and design KT interventions that are tailored to individuals’ needs within those contexts.

우리의 결과는 [EIHPE에 대한 서포트]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세 가지 주요 요소가 있음을 시사한다:

  • 스스로 증거 정보를 가진 교육자가 될 수 있는 능력과 HPE 과학 문헌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확신하고,
  • HPE 문헌에 접근할 수 있으며(직장이나 다른 곳에서 접근이 허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았지만)
  • 동료들은 증거를 사용하려는 그들의 노력을 지지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EIHPE를 추구하는 데 있어 승리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that appear to act as supports for EIHPE:

  • participants are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be evidence-informed educators and to appraise the HPE scientific literature,
  • they have access to the HPE literature (although it was not clear if access was granted at the workplace or elsewhere) and
  • their colleagues are supportive of their efforts to use the evidence.

These factors may serve as winning conditions in the pursuit of EIHPE.

예상대로 EIHPE에는 경쟁 우선 순위, HPE 문헌의 양, 직장에서의 연구 가용성 등 여러 장벽이 있었다. 흥미롭게도, 거의 절반이 동료들이 그들의 교육 관행에 증거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고 보고했지만, 동등한 비율의 동료들과 관리자들이 현상을 바꾸는 것을 꺼린다고 보고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증거의 낮은 품질과 가용성, 부적절한 지식 전달 접근 방식, 업무와 역할 과부하, 변화에 대한 교수진과 학생 저항]이라는 네 가지 주요 장애물을 발견한 Onyura et al.(2015)이 보고한 것과 유사하다. 우리의 공동 연구 결과는 HPE 연구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맞춤형 KT 개입의 설계, 구현 및 평가를 안내할 수 있다. 
As expected, there were a number of barriers to EIHPE including competing priorities, the volume of HPE literature and the availability of research at the work place. Interestingly, although almost half reported that colleagues encouraged them to use evidence in their educational practices, an equal proportion reported that their peers and managers were reluctant to change the status quo. Our findings mirror those reported by Onyura et al. (2015) who found four main barriers to research use:

  • poor quality and availability of evidence,
  • inadequate knowledge delivery approaches,
  • work and role overload, and
  • faculty and student resistance to change.

Together, our joint findings can guide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ailored KT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uptake of HPE research (Thomas and Bussieres 2016a).

우리는 EIHPE의 장벽에 대한 결과에 대해 두 가지 가능한 설명을 제공한다. 

  • 첫째, 태도와 마찬가지로, 그 집단들은 꽤 이질적이다. 한 그룹(또는 문맥)에서 장애요인으로 간주되는 것이 다른 그룹(또는 문맥)에서 활성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자들이 유사한 장벽에 직면할 수 있는 보다 동질적인 집단에서 이러한 유형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의 중요성은 크다. 
  • 두 번째 가능한 설명은 "증거 정보 HPE 관행"의 특이성 개념에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EIHPE에 대한  일반적인 지지와 장벽에 대한 질문을 했다. 우리는 특정한 평가나 모범 사례를 가르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참가자의 혼란 및/또는 불확실성이 초래되었을 수 있다. 임상 연구에서, KT 조사원들은 특정 증거 정보에 근거한 관행에 대한 지지와 장벽을 연구한다.(예: 특정 조건을 가진 환자 그룹에 대한 특정 평가 또는 치료 개입의 사용). 따라서 응답자들은 그 특정 실무에 대한 답을 고정할 수 있다. 특정 교육 관행에 대한 질문이 없는 상황에서, 우리의 참가자들은 중립적인 범위 어딘가에 놓여 있는 실제로 그들의 연구 사용을 도울 수 있거나 방해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일반적인 답변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We offer two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findings on the barriers to EIHPE.

  • First, as with attitudes, the groups are quite heterogeneous. What is viewed as a barrier in one group (or context) may be an enabling factor in another. Hence,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this type of research in more homogenous groups where educators may face similar barriers.
  • The second possible explanation lies with the notion of specificity of “evidence-informed HPE practices”; in this study, we asked questions about supports and barriers to EIHPE in general. We did not refer to a particular assessment or teaching best practice. This may have led to some confusion and/or uncertainty on the part of participants. In clinical research, KT investigators study the supports and barriers to a specific evidence-informed practice (e.g. the use of a specific assessment or treatment intervention for a patient group with a specific condition). Respondents can, therefore, anchor their answers to that particular practice. In the absence of questions asking about a specific educational practice, it is possible that our participants could only provide a very general response on what would help or impede their use of research in practice, lying somewhere in the neutral range.

제한 사항
Limitations

약 320명의 AME 회원 및/또는 회의 참석자들로부터 답변을 받았습니다. 이 두 그룹 간의 중복 정도를 규명할 수는 없지만, 이는 10%의 응답률을 나타내며, 이 연구에서와 같은 이종 샘플에 대해 허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Cook et al. 2000) 및 탐색적 성격의 연구를 위해. 두 번째 한계는 모집단의 이질성과 더 나아가 표본이다. AME 데이터는 여러 다른 인구통계학적 범주를 사용하여 요청되며, 이들 중 많은 범주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 의사(예: 의사)와 대학원 학위 소지자 둘 다로 자신을 식별하는 구성원은 둘 이상의 범주로 분류된다. 이것은 분석에 관련된 인구통계학적 범주를 결정하고 통계 모델링을 위한 독립 변수로 사용할 때 복잡성의 계층을 추가한다. 세 번째 한계는 태도와 관련된 항목들을 포함한다. 조사 설계에 모범 사례를 사용하고 조사 도구에 대한 타당성 증거를 구축하는 엄격한 프로세스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이 구조는 측정하기가 여전히 어렵다.
We received responses from close to 320 AMEE members and/or conference attendees. While it is not possible to establish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these two groups, this represents a 10% response rate, which is deemed acceptable for a heterogenous sample such as the one in this study (Cook et al. 2000) and for a study of an exploratory nature. The second limitation is the heterogeneity of the population and by extension, the sample. AMEE data are solicited using a number of different demographic categories, many of which may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a member that self-identifies as both a clinician (e.g. physician) and a holder of a graduate degree is classified in more than one category. This adds a layer of complexity when determining the demographic categories involved in the analyses and using these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statistical modeling. The third limitation involves items related to attitudes. Despite using best practices in survey design and a rigorous process of building validity evidence for the survey instrument, this construct remains challenging to measure.

결론 및 향후 방향
Conclusions and future directions


HPE 커뮤니티로서, 우리는 졸업생들이 노동력으로 전환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환자와 그들의 가족에게 최첨단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 환경이 학습자에게 임상 실습에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제공해야 한다. 우리의 많은 교육 결정은 입학, 평가, 승진, 그리고 교과 개혁과 같은 중요한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교육적 우수성]과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무를 추구]하려면 엄격한 교육 연구에 의해 알려지고 기반을 둔 교육 관행을 포함해야 한다.

As an HPE community, we must ensure that our graduates are ready to transition to the workforce and provide state of the art care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s requires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provide learners with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eded for clinical practice. Many of our educational decisions impact high stakes matters such as admissions, assessment, promotion, and curricular reform. Our pursuit of educational excellence and accountability to our stakeholders should include educational practices informed by, and grounded in, rigorous educational research.

여기에 보고된 연구는 HPE에서의 KT의 장학금에서 중요한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다. 증거 정보 관행에 대한 문헌은 주로 생물 의학에서 유래하지만, HPE 임상의, 교육자, 의사 결정자 및 연구자로 구성된 이질적인 그룹에 대한 이 대규모 탐색 연구는 HPE에서 연구 사용의 결정 요인에 대한 태도와 인식된 결정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생성했다.

The research reported here represents an important first step in the scholarship of KT in HPE. Although the literature on evidence-informed practices stems primarily from biomedicine, this first large-scale exploratory study of a heterogeneous group of HPE clinicians, educators, decision-makers, and researchers has generated empirical evidence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erceived determinants of research use in HPE.

우리는 임상적 맥락과 교육적 맥락이 여러 면에서 다르다는 것을 인식한다. 

  • 각각은 자체적인 "actors" 집합이 있고(학습자 대 환자, 교사 대 임상의)과
  • 고유한 구조 집합(환자 모집단 및 건강 상태에 걸친 보건 서비스 조직 대 연속체에 걸친 교육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We recognize that the clinical and educational contexts differ in many ways;

  • each has its own set of “actors” (learners vs. patients, teachers vs. clinicians) and
  • its unique set of structures (organization of health services across patient populations and health conditions vs. educational programs across the continuum).

따라서, 각 그룹의 이해관계자들은 역사적으로 "증거 정보에 근거한 관행EIP"을 다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을 수 있다. 임상 실습 대 HPE 실습에서 ["증거"라는 단어의 서로 다른 개념화와 해석]은 복잡성을 더한다. 증거 기반의 특성, 가용성 및 품질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Stakeholders in each group may have historically interpreted “evidence-informed practice” to mean different things (Sackett et al. 2000; Wolf 2000; Levinson 2010; Thistlethwaite et al. 2012). Adding to the complexities surrounding different conceptualiz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word “evidence” in clinical practice vs. HPE practice is the recognition that the nature, availability, and quality of the evidentiary base are likely different (van der Vleuten et al. 2000; Norman 2007; van der Vleuten and Driessen 2014; Yardley 2014).

우리는 또한 각 맥락에서 의사 결정 과정 간의 직접적인 비교를 이끌어내는 것이 현명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러한 중요한 고려 사항에도 불구하고, 임상 과학에서 EBP와 KT에 대한 강력한 문헌은 본 논문에서 보고된 탐색적 연구뿐만 아니라 EIHPE의 행동 결정 요인을 탐구하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했다.

We also acknowledge that it is unwise to draw direct comparisons between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in each context. These important considerations notwithstanding, the robust body of literature on EBP and KT in the clinical sciences provided a strong foundation upon which to explore the behavioral determinants of EIHPE as well as for conducting the exploratory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EIHPE가 학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얻음에 따라, 에 대한 논의도 증가하고 있다. 

  • (1) HPE에서 "증거"를 구성하는 것(야들리 외 2010; 시슬스웨이트 외 2012); 
  • (2) "실제 세계"에서의 교육 연구의 관련성 (Broekkamp and Van Hout-Wolters 2007; Regehr 2010; Yardley 2014) 
  • (3) 사용 가능한 증거의 품질 및 강도(Norman 2007; Cook and Beckman 2010; Cook 2012) 
  • (4) 교육 환경에서 구현을 위한 증거 준비 상태(Wolf 2000; Cook 2012) 
  • (5) 교육 연구의 맥락 특이성이 다양한 교육 환경 및 학습자 수준에서의 적용을 잠재적으로 제한하는 것

이러한 질문은 지속적인 경험적 조사의 초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As EIHPE gains increasing attention amongst scholars, so are discussions on

  • (1) what constitutes “evidence” in HPE (Yardley et al. 2010; Thistlethwaite et al. 2012);
  • (2) the relevance of educational research in the “real world” (Broekkamp and Van Hout-Wolters 2007; Regehr 2010; Yardley 2014);
  • (3) the quality and strength of available evidence (Norman 2007; Cook and Beckman 2010; Cook 2012);
  • (4) the readiness of evidence for implement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Wolf 2000; Cook 2012); and last but not least,
  • (5) the context-specificity of the educational research, potentially restricting its application in different educational settings and with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These questions will need to be the focus of continued empirical investigation.

이 연구는 향후 연구를 위한 몇 가지 방법을 강조했다. 

  • 첫째, 이 연구는 탐색적이며, 태도에 대한 데이터에서 도출된 결론은 기껏해야 추측일 뿐이다. 태도와 행동 의도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이는 결국 임상 의사 결정에 대한 문헌에서 입증되는 모범 사례의 채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강력한 심리 측정 개발 및 다차원적 개념일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HPE 맥락에서 이러한 관계를 추가로 탐구하는 것이 가치가 있을 것이다.
  • 둘째, 특정 맥락에서 보다 동질적인 교육자 그룹과 연구를 반복하고 특정 모범 사례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평가 또는 선택 모범 사례의 수용에서 결정 요인이 무엇인지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 태도와 HPE 실천요강에 대한 최신 데이터도 제공할 수 있다. 
  • 셋째, Thomas and Bussieres(2016a)가 지적한 바와 같이, HPE 분야는 구현 연구implementation research의 과학에 의해 뒷받침된 KT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법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1) 이용 가능한 연구와 모범 사례 사이에 gap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현재 사례를 확인한다. 
    • (2) 이러한 격차gap의 크기를 평가한다. 
    • (3) 현재 관행의 결정 요인을 식별하고 이해한다. 
    • (4) 격차 해소를 목표로 이론 중심의 맞춤형 KT 전략을 개발한다. 
  • 마지막으로, AME와 BEME의 협업은 학습자에게 증거 기반 교육과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교육자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그룹이 HPE에 대한 보다 증거 정보에 근거한 접근 방식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 연구원 및 정책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포함한 모든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 협력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highlighted sever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 First, this research is exploratory, and conclusions drawn from the data on attitudes are speculative at best. Given the link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which, in turn, may lead to the adoption of best practices (Ajzen 1991; Bonetti et al. 2006; Godin et al. 2008) as substantiated in the literature on clinical decision-making, it would be worthwhile to further explore this relationship in the HPE context via robust psychometric development and testing of what is likely a multidimensional concept.
  • Second, we could replicate the study with more homogenous groups of educators in specific contexts and target specific best practices. This would allow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what the determinants may be, for example, in the uptake of an assessment or a selection best practice and it would also provide recent data on actual attitudes and HPE practices.
  • Third, as indicated by Thomas and Bussieres (2016a), the HPE field could benefit from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KT underpinned by the science of implementation research. This would allow us to
    • (1) identify current practices in order to ascertain whether gaps between available research and best practices actually exist;
    • (2) assess the magnitude of those gaps;
    • (3) identify and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current practices; and
    • (4) develop theory-driven tailored KT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the gaps.
  • Lastly, both AMEE and the BEME collaboration are developing initiatives to support educators in their efforts to provide learners with evidence-based teaching and assessment. We propose that these groups collaborate with all major stakeholders including teachers, researchers, and those in policy positions to achieve a more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HPE.

 

 


 

Med Teach. 2019 Sep;41(9):1012-1022. doi: 10.1080/0142159X.2019.1605161. Epub 2019 May 3.

Use of evidence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ttitudes, practices, barriers and supports
Aliki Thomas 1Larry D Gruppen 2Cees van der Vleuten 3Gevorg Chilingaryan 4Fatima Amari 5Yvonne Steinert 6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School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Centre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Rehabilitation of Greater Montreal,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2Medical School,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 MI , USA.

3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and Research, Maastricht University , Maastricht , the Netherlands.

4Feil and Oberfeld Research Centre, Jewish Rehabilitation Hospital, Centre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Rehabilitation of Greater Montreal , Laval , Canada.

5School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McGill University , Montreal , Canada.

6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McGill University , Montréal , Canada.

PMID: 31050311

DOI: 10.1080/0142159X.2019.1605161

Erratum in

Correction.
[No authors listed]Med Teach. 2019 Sep 24:1. doi: 10.1080/0142159X.2019.1664035. Online ahead of print.PMID: 31550187 No abstract available.

Abstract

Introduction: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are increasingly called upon to apply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to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There is scant empirical research exploring educators' attitudes, practices, and perceived barriers and supports to using research evidence in educational practice. Methods: We conducted a survey of AMEE members to explore three domains related to evidence-informe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1) attitudes; (2) practices; and (3) supports and barriers. Analyses involved descriptive statistics to characterize participants' responses per doma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ree hundred ninety-six (∼10%) participants representing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HPEs) and non HPEs (e.g. PhDs) and different roles (e.g. teacher, administrator) completed the survey. Attitudes toward evidence-informed HPE were generally favorable. Several barriers preclude participants from engaging in evidence-informed approaches 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Discussion: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erceived barriers and supports of research use in HPE from different groups of HP educators, clinicians, and administrators. The findings for each of the three domains require additional exploration using qualitative methodologies. Conclusion: Targeted interventions designed to increase the uptake of research in HPE should consider different stakeholder groups' perceptions regarding these approaches, current vs. best practices, and factors that may impede evidence-informed approaches.

 

학부의학교육에서 장애 학생의 경험(Med Teach, 2022)
Experiences of disabled student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Elda de Oliveiraa, Rafaela Gonc¸alves Dantasb, Giovanna Araujo Amaralb , Renata Rocha Barreto Giaxac and Aecio Flavio Teixeira de Goisd  

 

서론
Introduction

신체, 시각,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학 의학 교육에 포함시키는 것은 동시에 논란이 되는 문제이지만 아직 거의 논의되지 않은 문제이다. 미국에서 1990년 미국 장애인법(Americanese Disability Act, ADA)은 모든 교육 기관이 장애인을 위한 합리적인 편의시설accomodation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Eickmeyer et al. 2012).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법적 보호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PwD는 여전히 의학에 포함되기 위해 애쓰고 있다. 2019년 87개의 미국 의대에서 수행된 유병률 연구(Meeks et al. 2019)는 2016년에 비해 69% 증가한 4.6%의 장애 학생을 지적했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에 따르면, PwD의 존재는 상당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체 인구에서 PwD의 비율과 비교했을 때, 학부생들의 장애 비율은 여전히 낮다.
The inclusion of people with physical, visual and/or hearing disabil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at the same time, a controversial issue and yet one that is little discussed. In the United States,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of 1990 mandates that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provide reasonable accommod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wD) (Eickmeyer et al. 2012). However, in spite of this theoretical legal protection, studies show that, in practice, PwD are still struggling to be included in Medicine. A prevalence study conducted in 87 American medical schools in 2019 (Meeks et al. 2019) pointed to a percentage of 4.6%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ch represented an increase of 69% when compared to 2016. Despite the considerable growth in the presence of PwD, the percenta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dergraduate medicine is still low when compared to the percentage of PwD in the overall population, which is about 26% in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이는 접근 불가능한 물리적 구조, 입학 위원회로부터의 차별, 그리고 학생들이 의학 과정의 마지막에 어떤 전공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료 문화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 inclusion을 방해하는 요소들의 존재를 지적한다(Mercer et al. 2003). 이러한 믿음은 PwD를 포함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모든 대화를 핫버튼 이슈로 만든다. 포용적 교육의 또 다른 장애물은 PwD의 가시성 부족이다. 미국의 75개 의과대학(DeLisa and Thomas 2005)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 중 36개(48%)가 장애학생을 이전에 입학시켰다고 보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과정에서 장애문제를 다루지 않았다. 
This points to the existence of factors that hinder inclusion, which include inaccessible physical structures, discrimination from admissions committees, and a belief in medical culture that students must be ‘undifferentiated’, therefore able to opt for any specialty at the end of the medical course, and physically ‘perfect’ (Mercer et al. 2003). This belief makes any conversation centered around inclusion of PwD a hot-button issue. Another hindrance to inclusive education is the lack of visibility of PwD. A study conducted in 75 American medical schools (DeLisa and Thomas 2005) showed that 36 of them (48%) did not address the issue of disability in their curriculum, even though some reported that they had previously admitted disabled students.

또한 교육 접근성access은 장애학생의 교육 진입뿐만 아니라 이 공간에서의 영속성은 물론, 그들이 받는 교육의 효과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그들의 특별한 요구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믿음은 [신체의 유기적 또는 구조적 기능 장애]와 [사회 활동을 수행하고 참여하기 위한 제한] 사이의 연결부위에서 장애가 발생하며, 여기에 사회 참여에 촉진제 또는 장벽을 부과하는 환경적 요인도 있다.(Cieza et al.. 2018).
In addition, access to education does not concern only the entry of disabled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but also their permanence in this space,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they receive, which must be adapted to their special needs. This belief is in line with the biopsychosocial view of disability, which states that disability results from the articulation between organic or structural dysfunction of the body and the limitation to perform and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pl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impose facilitators or barriers to social participation (Cieza et al. 2018).

본 연구의 저자들은 장애가 있는 의대 학생들의 경험을 결정하는 촉진제와 장벽을 식별하고 가능한 포괄적인 제도적 태도와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브라질 전통 의대 학생들을 인터뷰했다. 우리는 이 모집단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인터뷰를 신중하게 분석했습니다.
To identify the facilitators and barriers that determine the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pose possible inclusive institutional attitudes and policies,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interview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a traditional Brazilian medical school. We carefully analyzed the interviews, seeking to better understand this population.

자재와 방법
Materials and methods

우리는 브라질의 한 전통 의과대학에서 온 장애 의대생들과 함께 탐구적인 정성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참가자의 포함 기준은 2020년 현재 부속 기관의 학부 의학 과정의 어느 단계에 등록한 학생으로서 신체, 시각 및/또는 청각 장애가 있는 학생이다. 제외 기준은 다른 기관에서 신체, 시각 및/또는 청각 장애가 있는 의대생, 정신, 학습 및/또는 발달 장애가 있는 학생이었다. 
We conducted an exploratory qualitative research with disabled medical students from a traditional medical school in Brazil. The inclusion criteria for research participants were: students enrolled in any stage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course in the affiliate institution as of 2020, who have physical, visual and/or hearing disabilities. The exclusion criteria were: medical students with physical, visual and/or hearing disabilities from other institutions, students with mental, learning and/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참가자 선택을 위해 기준 체인을 사용하는 비확률 샘플링의 한 형태인 스노우볼 샘플링 기법을 사용했다(Heckathorn 2011). 우리는 프로필에 맞는 학생들을 소개한 몇몇 인터뷰 대상자들과 접촉했다. 앞서 언급한 기관 및 강좌의 장애 학생 수가 제한되어 있어 현재 연구를 위해 이 기법을 선택했습니다. 
For the selection of participants, we used the snowball sampling technique, a form of non-probability sampling that uses reference chains (Heckathorn 2011). We made contact with some interviewees, who referred more students who fit the profile, and so on. We chose this technique for the current research due to the restricted number of disabled students in the aforementioned institution and course.

참가자들은 사회재생산지수(SRI)에 따라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 사회경제적 설문지에 답했습니다. 그룹 I은 사회경제적 안정성이 더 높은 그룹이고, 그룹 II, III, IV는 더 큰 불안정성에 직면한다.
The participants answered a socioeconomic questionnaire that allowed them to b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Social Reproduction Index (SRI). Group I is the group with greater socioeconomic stability, while groups II, III, and IV face greater precariousness (Trapé 2011).

이후 각 참가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진행했는데, 이들이 의학교육 경험을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었다. 인터뷰 대상자들이 그들의 경험에 기인하는 의미를 식별하기 위해, 우리는 안내 대본에 제시된 공개 질문을 사용했다. 참가자가 개발한 서사에 따라 자연스럽게 새로운 질문이 추가되어 각 학생의 경험이 최대한 글로벌하게 고려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인터뷰는 질적 연구를 위해 오랫동안 권장되어 왔다.
After that, we conducted a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ith each participant, in which they were able to talk freely about their experiences in Medical education. To identify the meanings that the interviewees attributed to their experiences, we used open questions, present in a guiding script. Depending on the narrative developed by the participant, new questions were spontaneously added, so that each student's experience was contemplated in the most global way possible. This type of interviewing has been long recommended for qualitative research (Britten 1995).

인터뷰는 구글 미츠 플랫폼을 통해 이뤄졌다. 모든 인터뷰는 데이터 분석을 위해 완전히 기록되고 기록되었다. 3명의 다른 연구자들에 의한 성적표 분석은 학생들의 서술에서 반복되는 주제를 식별할 수 있게 해주었다. 1964년 헬싱키 선언에 제시된 모든 연구 윤리 규범들이 이 조사에서 지켜졌다. 모든 참가자는 사전 동의서에 서명했습니다. 그 프로젝트는 제휴 기관의 윤리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the Google Meets platform.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full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transcripts by 3 different researchers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recurring themes in the students' narratives.

All research ethics precepts present in the Declaration of Helsinki (1964) were followed in this investigation. All participants signed the Informed Consent Form. The project was approved by the affiliate institution's ethical committee.

결과.
Results

여기에 S1에서 S9라는 코드명으로 지정된 9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참가자 중 2명은 학점 미달로 학부 의과 1학년(S4, S6)을 통과하지 못했다. SRI의 적용은 뚜렷한 사회적 조건을 가진 두 집단(GI와 GII)을 식별했다. 면접 대상 학생 중 6명(66.6%)은 GI, 3명은 GII(33.4%)로 분류됐다. 따라서 참여자 대다수가 높은 사회경제적 점수를 보여 안정적인 근로·생활 여건을 제시했다. 참가자들의 사회경제적 프로파일은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N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esignated here by the codenames S1 to S9. Two of the participants did not pass their first year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course (S4 and S6) due to insufficient grades. The application of the SRI identified two groups with distinct social conditions (GI and GII). Six of the interviewed students (66.6%) were classified in GI and 3 were classified in GII (33.4%). Therefore,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showed high socioeconomic scores, presenting stable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The socioeconomic profile of the participants can be found in Table 1.

다음 주제는 심층 인터뷰 동안 참가자들의 서술에서 파악된 주요 주제였다.
The following themes were the main subject matters apprehended from the participants' narratives during their in-depth interviews.

주제 1: 의학교육 진출
Theme 1: Entry into medical education

연구가 진행된 기관의 PwD 대학 입시는 affirmative action system 나 일반경쟁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affirmative action system 는 학생들의 궤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평등을 커버하는 것을 추구하지만,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그들 모두가 충족시킬 수 없는 몇 가지 다른 요구 조건이 있다.
University admission for PwD in the institution whe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can occur through the affirmative action system or through general competition. The affirmative action system seeks to cover possible inequalities in the trajectory of students, but in order for the disabled students to qualify, there are several different requirements that not all of them could meet:

저는 장애 할당제를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장애 할당제는 고등학교 때 공립학교에서 공부한 것과 같은 다른 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S2]
I didn't get in through the disability quotas because they have other requirements that you have to fulfill, [such as] having studied in public school in high school. [S2]

학생들이 등록할 때, 그들은 그들이 의과대학에서 필요로 하는 가능한 적응에 대한 요청을 제출하기 위해 서면 양식을 받는다. 그러나 학생들은 그 과정이 실제로 어떤 것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When students enroll, they receive a written form in order to put in requests for possible adaptations that they will need during Medical school. However, the students have no knowledge of what the course is actually like, and therefore they don't know what their needs will be:

그들은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물어보는 종이를 준다. 의학 과정이 무엇인지를 등록하는 순간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저는 생각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을 것 같은데, 그것은 사실이 아니었다. [S7]
They give us a paper [asking what] you will need. Of my knowledge at the moment registration of what the medical course is, I thought… I don't think I will need anything, which was not true. [S7]

장애학생의 대부분이 공립학교 출신이기 때문에, 장애 관련 문제 외에도, 그들 중 일부는 학업의 어려움과 관련된 포함 장벽을 보고했다.
Since mos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me from public schools, in addition to disability-related issues, some of them reported inclusion barriers related to academic difficulties:

저는 신체적인 한계 때문만이 아니라, 특히 최고의 학교에서 공부했던 반 친구들과 가까운 저의 낙후된 교육 문제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S9]
I have quite a bit of difficulty, not only [due to] physical limitation, but also because of the issue of my lagging education, […] especially close to my classmates, who studied in the best schools. [S9]

주제 2: 정체성과 사회화
Theme 2: Identity and socialization

학생들은 특정한 상황에서, 그들의 장애는 반 친구들과 선생님들에 의해 과소평가될 수 있으며, 이것은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보고했다.
Students reported that, in certain situations, their disability can be underestimated by classmates and teachers, which can bring negative repercussions:

저는 듣기 거북한 표현을 여러 번 들었습니다. 여러분은 아무런 문제가 없고, 걸을 수 있고, 숨을 쉴 수 있고, 볼 수 있습니다. […] 누군가가 당신의 장애를 보고 '이것은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말할 때, 그들은 그것을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축소합니다. 그리고 당신은 그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압니다. [S1]
I have heard several times [expressions] that hurt to hear: you don’t have any trouble, you can walk, you can breathe, you can see. […] when someone looks at your disability and says ‘this is nothing’ […] they reduce it to zero importance, and you know that it […] matters. [S1]
'방에 계신 분들은 제가 다른 모든 사람들과 함께 모든 것을 하는 것을 본 것 같아서 제가 적응할 필요가 있다는 것도 몰랐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장애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살고 싶지 않습니다.' [S2];
‘I think the people […] in the room didn't even know that I need to make some adaptations because I think they see me doing everything with everyone else […] but I don't want to live as if the disability didn't exist.’ [S2];
선생님들은 결코 나의 장애를 문제로 다루지 않았다. 그들은 항상 제 인생의 이 부분을 배제하려고 노력했고, 저는 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덜 포함되었다고 느꼈습니다. [S7]
The teachers never treated my disability as an issue. […] they always tried to just exclude this part of my life, [and] I felt less included in relation to my classmates. [S7]

또한 장애를 과소평가하지 않았지만, 부정적인 시각으로 강조한 불쾌한 사건들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
There were also some reports of unpleasant episodes in which disability was not underestimated, but highlighted in a negative light:

선생님은 우리가 그 절차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해 주셨다. 제가 손을 제대로 놓지 않았는데 그가 농담으로 '팔이 삐뚤어진 것 같다'고 말했죠. 바로 그거야. 반경의 편차가 있어. [S1]
The teacher […] explained how we needed to do the procedure. I hadn't put [my hand] exactly in the right place […] and he said, jokingly, ‘it looks like you have a crooked arm’, and that’s exactly it, I have a deviation of the radius. [S1]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반 친구들이 잘 받아들인다고 보고했다.
Despite these difficulties, students reported, in general, a good acceptance by their classmates:

대학 환경은 매우 환영할 만하다. 나는 항상 나를 도와준 친구들이 있었다. [S5]
The university environment is very welcoming […]. I always had friends that helped me. [S5]
저는 제 반 친구들이 저를 그렇게 많이 도와줄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어요.
I never imagined that my classmates would help me so much. [S4]
우리 반 친구들은 환영하고 있다. 내가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동료들 중 누구도 나를 차별한 적이 없다. [S7]
My current classmates […] are welcoming. None of my colleagues have ever discriminated against me because I have a disability. [S7]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대학 생활에서 운동 경기와 대회에 참가하는 것이 힘들다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활동들은 신체적 능력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However, some also reported anguish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participating in athletic games and competitions in their university life, because these activities are focused on physical abilities:

그들은 매일 훈련하는데, 난 그럴 수 없어. [S3]
They train every day, and I can't do that. [S3]

체력적인 충격으로 참가를 못 하겠어요, 많이 뛰셔야 해요. […] 참여하고 싶었기 때문에 조금 슬픕니다. [S9]
I can't participate because of the physical impact, you have to run a lot. […] I get a little sad, because I wanted to participate. [S9]

주제 3: 선생님들
Theme 3: Teachers

의학 과정의 교수들 중 대부분은 특히 학부 교육을 시작할 때 학생들의 특별한 필요가 무엇인지를 알지 못한다.
Most of the professors in the medical course are not aware of the students' special needs, especially at the beginning of undergraduate education:

지금까지 의학교육을 하면서 저는 선생님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알고 계시고, 이러한 사람들을 통합하거나 활동을 적응시키려고 노력하신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 결코 선생님은 적극적으로 노력하지 않았다. [S3]
So far in my time in medical education I have never seen a teacher […] with a list of people that he knows that have a disability and he tried to integrate these people or adapt the activities. […] It was never a proactive effort of the teacher. [S3]
[…] 처음에는, 그들은 제 욕구의 범위와 장애 그 자체가 부과하는 한계들을 몰랐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한계들은 명백해졌습니다. [S5]
[…] in the beginning, they did not know the extent of my needs and the limitations that the disability itself imposes, but with time these limitations became explicit. [S5]

장애 학생과의 공존을 통해, 선생님들은 그들의 특별한 필요를 알게 되고, 많은 사람들은 특정한 강의나 활동을 적응시킴으로써 그들을 도우려고 노력한다.
Throughout the coexistence with the disabled students, teachers come to know their special needs, and many try to help them by adapting certain lectures or activities:

나는 시험에 무엇이 나오는지 볼 수 없었다. […] 그들이 그것을 깨달았을 때, 그들은 나에게 더 큰 글꼴의 테스트를 제안했고, 그것은 나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또한 내가 내 공책에 있는 시험을 볼 수 있도록 허락해줬어. 한 선생님이 수업 전에 확대된 슬라이드 발표를 보내 주셔. [S4]
I couldn't see what was on the test. […]. When they realized it, they offered me tests with a bigger font, which helped me a lot. They also allowed me to take the exam in my notebook. One teacher sends me enlarged slide presentations before the classes. [S4]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심폐소생술이 있었고, 마스크팩을 들고 있는 동시에 인공호흡기를 들고 있어야 했습니다.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는 없었지만, 옆에 있는 선생님들이 동료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모든 것이 잘 해결되었습니다. [S2]
In the practical scenarios […] we ha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 I had to hold the ventilation device at the same time as I was holding the face mask, I couldn't do both at the same time, but the teachers next to me asked a colleague to help me and everything worked out fine. [S2]
나는 항상 해부학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다. 그는 실험실의 테이블에서 해부학적 신체 부위를 꺼내서 제가 공부할 수 있도록 더 가까이 가져왔습니다. [S5]
I always had the help of the anatomy teacher. He took the [anatomic] body parts from the table at the lab and brought them closer to me so I could study. [S5]

주제 4: 강의
Theme 4: Lectures

의학 과정에서의 강의의 긴 시간과 강의가 이루어지는 공간은 일부 학생들에게 문제를 야기했다.
The long duration of the lectures in the medical course and the space in which they take place caused problems for some students:

수업 중에 통증이 있어서 다리를 뻗을 수가 없어요. 수업은 더 짧을 수 있고, 방은 더 많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나는 움직여야 한다. [S3]
The pain gets in the way during classes, […] I can't stretch my legs […]. The classes could be shorter, and the room could have more space. I have to get up to […] move around. [S3]

강당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이 강의 사이에 걸어 들어가야 하는 긴 길은 또한 장애 학생들을 위한 어려움으로 제시된다.
The long way students have to walk in between lectures due to the different locations of the auditoriums also presents itself as a difficul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캠퍼스가 너무 넓어서 반에서 반으로 바꾸려면 몇 군데 길을 건너야 한다. 휠체어가 인도로 넘어지면서 일어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한 상황도 있었다. 저로서는 주차장을 통해서 건물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주차장은 여러 번 차들로 가득 차있어서 저는 그 곳을 지나갈 수가 없었습니다. [S5]
[Due to the] campus being so large, we have to cross several streets […] in order to change from class to class. There have been situations when the wheelchair was tipping over the sidewalk and I needed help to get up. […]. The access to the buildings for me is through the parking lot, [which] many times is full of cars and I just couldn't get through it. [S5]
[…] 캠퍼스를 돌아다니는 것은 우리를 지치게 하고 우리의 한계로 인해 우리를 피곤하게 만든다. [S8]
[…] moving around on campus wears us out and makes us tired due to our limitations. [S8]

청각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강의 중에 교수의 말을 듣는 것이 종종 어렵다.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it is often difficult to hear the professor during the lectures:

선생님들이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마이크는 소리가 크지 않습니다. 마이크 없이 말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듣지 않으면 배우기 어렵다. 의학에는 모르는 신조어가 많아서 가끔 이해가 안 될 때가 있어요. 나는 너무 창피해서 교수님께 […] 반복하라고 부탁할 수 없다. [S6]
The microphone [that teachers use during classes] is not very loud, it doesn't make much difference from talking without one. Not hearing makes it difficult for me to learn. In Medicine there are many new words that I don’t know, so sometimes I don't understand. I am too embarrassed to ask the professor to repeat […]. [S6]

이러한 불평등은 증폭 기술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지만, 접근이 제한된다.
This inequality could be solved with the use of amplification technologies, however these are of restricted access:

저는 교수님의 근처에 놓을 수 있는 장치를 가지고 있고, 그것은 제 보청기와 바로 연결됩니다. 정부가 18세 이하의 사람들에게만 제공하기 때문에 [대학]은 내가 그것을 받을 것이라고 보장하지 않았다. [S6]
I have a device […] that I can place near the professor and it connects directly to my hearing aid. [The university] didn't guarantee that I would get it because the government only provides it for people under 18 years old […]. [S6]

주제 5: 실제 능력
Theme 5: Practical abilities

실제 의료기술을 익혀야 하는 실전학습 시나리오는 신체적인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애가 있는 학생들에게는 걱정스러운 상황이 될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이 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까 두려워 마지막 단계에 도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The practical learning scenarios in which students need to learn practical medical skills can be worrisome situ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cause they demand physical effort. Many students reported that they put themselves at the last place in line, for fear of not being able to perform the activity:

[…] 수술 전에 손을 씻는 수업이었는데, 저는 벌써 맨 뒤로 가고 싶었습니다. [S1];
[…] It was a class on washing your hands before scrubbing into surgery, and I already [was] wanting to go to the back of the line. [S1];
우리는 삽관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었고, 그리고 나서 우리는 연습하기 위해 더미를 삽관해야 했습니다. 저는 모든 사람들 앞에서 활동을 하지 못하면 창피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학생들]이 줄을 섰고, 다른 사람들이 먼저 하기를 기다렸기 때문에 마지막에 할 수 있었다. 나는 매우 초조하였다. [S2]
We were having a lecture on intubation, and then we had to intubate the dummy to practice. I thought, if I can't do [the activity] in front of everybody, I'll be embarrassed. [Students] formed a line, and I waited for everyone else to do it first, so I could do it at the end. I was nervous. [S2]
우리가 심장 마사지를 배울 때, 저는 제 손을 어떻게 위치시켜야 할지 몰랐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상지가 다른 다리보다 짧기 때문입니다. 나는 너무 창피해서 줄에서 꼴찌 두 번째로 자리를 잡았다. 내가 동료들 앞에서 그 일을 할 수 없게 되면 어쩌지? [S7]
When we were learning how to do cardiac massage, I didn't know how to position my hands, because I have an upper limb that is shorter than the other. I was feeling so embarrassed, […] I positioned myself to be second to last in line. What if I get in front of my colleagues and I can't do it? [S7]

이런 상황에서 학생들은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활동을 책임지는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불안감과 당황스러움을 덜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했다. 또한 피어 지원은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합니다.
In these situations,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ould feel less anxiety and embarrassment if they could talk to the teacher responsible for the activity before the class started. Peer support also facilitates the process:

저는 선생님께 제가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없었고, 저를 도와줄 수 있는지 물어볼 수 없었습니다. […] [S7]
I couldn't reach the teacher and explain to him that I had a disability, ask if he could help me […] [S7]
저는 저와 친구만 있을 때까지 기다렸고, 제가 제대로 할 수 없다면 괜찮다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녀는 제 친구이고 저를 판단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S2]
I waited until it was just me and a friend […] and I thought if I can’t do it properly, it's okay, because she is my friend and she won’t judge me. [S2]
내가 힘들었던 신체적인 면에서는 항상 친구들의 도움을 받았다. [S5]
[…] in the physical aspects where I had some difficulty, I always got some help from friends. [S5]

이동성 장애가 있는 PwD에게는 병원 및/또는 외래 진료소를 방문하는 것도 어려운 순간이다.
Visits to hospitals and/or outpatient clinics are also difficult moments for PwD with mobility impairment:

나는 대학 밖의 많은 진료소에 다녔는데, 이것은 접근성 문제를 가져온다. 여러 번 고백합니다. 제가 떠날 때 슬펐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포용하는 관점을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S5]
I have attended many clinics outside the University […] which brings the problem of accessibility. Many times I confess that I was saddened when I left, because I really didn't see a perspective of inclusion. [S5]
수술실에서, 저는 마취과 의사의 의자에 앉았습니다. […] 수술 분야를 잘 보지 못했기 때문에 좋지 않았습니다. […] 아마 내가 더 높은 의자를 구할 수 있다면, 나는 볼 수 있을 것이다.[S3]
In the surgical center, I sat in the anesthesiologist's chair. […] this was bad because I didn't have a good view of the surgical field. […] maybe if I could get a higher chair, I could see. [S3]

환자의 병상에서의 의료 방문과 병원 복도에서 교수들과의 사례 토론도 장벽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The medical visit at the patient’s bedside and the case discussions with the professors in the corridors of the hospital can also bring barriers:

우리는 복도에서 모든 사람들이 일어선 가운데 어떤 사건을 토론하고 있었다. 그건 나한테 안 먹혀요. [S3]
We were discussing a case […] in the corridor, with everyone standing up. That doesn't work for me. [S3]
우리가 환자의 머리맡에 있을 때, 교수님이 설명을 하실 때, 그는 환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낮은 목소리로 말해야 합니다. 또는 때때로 우리가 환자를 인터뷰할 때, 그들 중 몇몇은 매우 조용하게 말합니다. 저는 듣지 않게 되고, 사람들에게 계속 반복하라고 요구하지 않습니다.
When we’re at the patient’s bedside, when the professor is explaining, he has to speak in a lower voice so he doesn’t disturb the patient, or […] sometimes when we’re interviewing a patient, some of them speak very quietly […] I end up not listening, and I don't ask people to keep repeating themselves […] [S6]

해부학 실험실의 시체 해부는 상지에 차이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적응을 요구했다.
The dissection of cadavers in the anatomy laboratory demanded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fferences in the upper limbs:

해부를 시작할 때 장갑의 문제가 있었는데, 오른손이 작고 손가락이 2개여서 일반 장갑이 잘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 엄마와 나는 우리를 위한 맞춤형 장갑을 생산하는 공장을 찾았다. [S2]
When we started to practice dissection […] there was the issue of the glove, because my right hand is smaller and it has 2 fingers, so the normal glove does not fit well. […] my mother and I found a factory that produced custom gloves for us. [S2]

특히 신체 검사 시 학생이 환자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다른 어려움이 나타났다.
Other difficulties emerged in the student's contact with the patient, especially at the time of the physical examination:

저의 가장 큰 어려움은 환자와의 접촉입니다. [S6]
My biggest difficulty is […] the contact with the patient […] [S6]
신체 검사에서, 제가 할 수 없는 몇 가지 절차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의사가 되면 환자를 완전히 진찰하고 제 한계에 최대한 적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S7]
[…] in the physical examination, […] I think there are some procedures that I won't be able to do. When I become a doctor […] I hope I will be able to examine my patients in a complete way, adapt it as much as possible to my limitations. [S7]

논의
Discussion

장애를 가진 의대생들의 서사는 의료 및 학업 환경에서 이 인구의 삽입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풍부한 정보의 원천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이러한 학생들을 완전히 포함하는 것에 대한 몇 가지 장벽을 발견했다:

  • 학생들의 상태에 대한 교수진에 대한 사전 지식 부족,
  • 적응 가능성에 대한 학생과 교사 간의 대화 부족,
  • 장애에 대한 과소 평가,
  • 커리큘럼에서 장애에 대한 접근의 부족(의학 교육의 유연하지 못한 것을 보여줌),
  • 강의실과 강당에서 접근 가능한 구조의 부족

게다가, 학생들의 보고서는 [장애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태도]를 포용의 강력한 결정 요소로 식별하기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생검 심리학적 관점을 확증한다.
The narratives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a rich source of information about how the insertion of this population in the medical and academic environment occur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some barriers to the full inclusion of these students:

  • lack of prior knowledge of the faculty about the students' conditions,
  • lack of dialogu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bout possibilities of adaptation,
  • underestimation of disability,
  • lack of approach to disability in the curriculum (showing the inflexibility of medical education),
  • lack of accessible structure in lecture halls and auditoriums.

Moreover, the students' reports corroborate the biopsychosocial view of the disabled individual, since they identify social and cultural attitudes towards disability as strong determinants of inclusion.

그런 의미에서 동급생들의 장애 수용 정도가 고등교육기관에 학생을 삽입하는 핵심 포인트로 파악된다. 장애를 자연스럽게 볼 때, 장애가 있는 사람은 사회적 맥락에 의해 그 또는 그녀의 존재가 입증되기 때문에 학생 신체에 더 쉽게 적응한다. 인터뷰한 학생들의 경험을 종합한 이 내용은 의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들의 반영과 일치한다. 미국 의과대학협회(Meeks et al. 2018)의 조사에서는 동료 지원 네트워크의 존재가 PwD에 대한 접근 가능한 대학 개발에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
In this sense, the degree of acceptance of disability by classmates is identified as a key point for the insertion of the student in the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When disability is seen naturally, the person with disability fits more easily into the student body, because his or her presence is validated by the social context. This synthesis of the experiences of the interviewed students is in agreement with the reflections of specialists in medical education. A survey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Meeks et al. 2018) identified the presence of a peer support network as one of the most crucial determinants in the development of accessible universities for PwD.

의학계 전반을 바라보는 시각이 포용을 방해할 수 있다는 국제문헌은 더 나아가고 있다. 스테르지오풀로스 외 연구진(2018)은 의학에 의사를 완벽한 사람으로 보는 문화가 있다고 말한다. 이것은 어떤 학생도 약점을 드러내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단념하게 하고, 따라서 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그들의 특별한 필요를 증명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델리사와 토마스(2005)에 따르면, 이러한 완벽에 대한 기대는 PwD가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게 한다. 우리의 작업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의대에 다닐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었고, 이러한 소속감 부족은 어떤 상황에서는 심각한 불편함을 드러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학생들은 교사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고 실기 활동에서 줄의 맨 뒤에 가서 또래들에게 그들의 장애를 숨기려고 했다.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goes even further, stating that the view of the medical community as a whole can hinder inclusion. Stergiopoulos et al. (2018) states that there is a culture in medicine that sees the doctor as a perfect person. This discourages any student from demonstrating weakness and asking for help, and thu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afraid to demonstrate their special needs. According to DeLisa and Thomas (2005), such expectation of perfection causes PwD to be seen as less capable of practicing medicine. In our work, it can be observed that many students asked themselves if they were capable of attending medical school, and this lack of sense of belonging manifested itself in a severe discomfort in some situations. Therefore, some students did not ask teachers for help and tried to hide their disability from peers by going to the back of the line in practical activities.

의료계에서 발생하는 포용 장벽 외에도 [사회 전반의 경제적 분열division]에서 발생하는 장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취약한 경제적 배경]에서 온 장애학생들은 [장애와 사회적 출신에 대한 이중적 배제]를 겪으며, 따라서 그들은 대학 진학 및 학업 진행에 있어 더 많은 어려움을 보고했다.
In addition to the barriers to inclusion that arise from the medical communi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barriers that arise from the economic division of society in general. Disabled students coming from more vulnerable economic backgrounds suffer a double exclusion, both for their disability and for their social origin, and therefore they reported more difficulty in entering University and in their academic progression.

이러한 모든 성찰은 이미 존재하는 포용법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합니다. 바로 [접근성에 전념하는 의료 커뮤니티의 건설]입니다. 이것은 장애가 있는 의대생들이 현재 수요가 높은 기술인 그들의 직업 전반에 걸쳐 공감 능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인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이해에서 출발할 수 있다. 울프 외. (2007)은 교사들은 [개인적인 질병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더 성숙하고 동정심이 있다고 인식하였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개인적 질병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기대에 미치지 못할까봐 높은 수준의 불안감을 보였고, 이것은 우리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장애가 있는 의대생들에 대한 이중 작업의 필요성은 의문으로 다가온다: 그들의 경험이 환자를 이해하는 데 얼마나 깊이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 그리고 또한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한계에 대한 공동체의 존중을 위해 일하는 것.
All these reflections point to the need for something beyond the already existent inclusion laws: the construction of a medical community committed to accessibility. This can start from the understanding that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personal experiences that can help them develop empathy throughout their profession - a skill that is currently in high demand. Woolf et al. (2007) state that students with personal illness experiences were perceived by trained teachers as more mature and compassionate. However, the study pointed out that these students also showed high levels of anxiety associated with not meeting expectations, which speaks directly to the results obtained in our research. Thus, the need for dual work on disabled medical students comes into question: exploring how deeply their experiences can help them in understanding the patients, but also working on the community's respect for the limitations that each individual has.

장애학생과의 인터뷰 분석은 또한 다음과 같은 포용적 교육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 가능성을 제기한다.

  • 대학 행정부가 접근 가능한 공간(램프, 엘리베이터)과 특수 기술(교수용 마이크 및 앰프, 시각 장애 학생을 위한 디지털 테스트)에 투자하도록 장려하는 장애인 학생 단체가 주도하는 대표자 기관 설립
  • 의과대학에 재학하는 동안 어떤 [특별한 요구]가 발생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포용적 교육을 받은 교사 그룹에 의한 각 의과대학 신입생에 대한 평가
  • 각 기관의 웹사이트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미래의 장애학생들에게 숙소 마련의 가능성을 알려준다.
  • 이 인구집단의 요구에 대한 의료계의 지식을 높이기 위해 장애 의대생과 함께 더 많은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 모든 의대생(유형 및 기타)이 또래와 환자의 장애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을 수립하여 이 주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장애 환자에 대한 치료의 질을 높인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법의 이론을 넘어 실제로 나타나는 포함을 향한 길을 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raises concrete possibilities for intervention that can advance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such as:

  • establishing representative institutions led by disabled student groups that would encourage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to invest in accessible spaces (ramps, elevators) and special technologies (microphones and amplifiers for professors, digitized test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 assessment of each medical freshman by a group of teachers instructed in inclusive education to determine what special needs may arise throughout their time in Medical school;
  • easily available information on accessibility on each institution's website to inform future disabled students on the possibility of making accommodations;
  • conducting more surveys with disabled medical students to increase the medical community's knowledge regarding the needs of this population;
  •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all medical students (abled bodied and otherwise) to learn about disabilities in their peers and patients, therefore raising awareness on this topic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care for disabled patients.

With initiatives like these, it will be possible to start the path towards an inclusion that goes beyond the theory of the law and manifests itself in practice.


Med Teach. 2022 Mar;44(3):294-299. doi: 10.1080/0142159X.2021.1985098. Epub 2021 Oct 7.

Experiences of disabled student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Universidade de São Paulo (USP), Escola Paulista de Enfermagem, Universidade Federal de São Paulo (EPE/UNIFESP), São Paulo, Brazil.

2Escola Paulista de Medicina (EPM/UNIFESP), São Paulo, Brazil.

3Center of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CEDEM) of Universidade de São Paulo, São Paulo, Brazil.

4Faculdade de Medicina da Universidade de São Paulo (FMUSP), Healthcare Management in Fundação Getúlio Vargas (FGV), Escola Paulista de Medicina (EPM), São Paulo, Brazil.

PMID: 34618650

DOI: 10.1080/0142159X.2021.1985098

Abstract

Purpose: Since people with disabilities (PwD) are underrepresented in medical education, the authors of this article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orm of an in-depth interview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a medical school in Brazil, to characterize their experiences in medical education and identify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inclusion.

Materials and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signed an informed consent form, and completed a socioeconomic questionnaire. They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with open-ended questions so that they could develop narratives.

Results: The students identified some barriers to inclusion - teachers' lack of knowledge about students' special needs, students' own lack of knowledge about their needs during the medical course, underestimation of the disability by teachers and classmates, difficult access to college buildings - and facilitators, such as acceptance of the disability by professors and colleagues, proactivity of professors and colleagues in adapting practical learning scenarios.

Conclusion: Students identified peer and teacher acceptance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inclusion, which is in line with the biopsychosocial view of disability. They also reported doubts about their ability to practice medicine, which dialogues with literature research that points to a medical culture that expects nothing less than perfection from students.

Keyword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disabled persons; inclusive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물고기의 힘: 비판적 사고, 인문학적 사고, 다른 방식의 앎(Acad Med, 2022)
The Powers of a Fish: Clinical Thinking, Humanistic Thinking, and Different Ways of Knowing
Arno K. Kumagai, MD

 

 

사고는 그것에 미치지 못하는 기준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판단은 [물고기가 마른 땅에서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를 보고 그 본질과 힘을 평가하려는 절차에 비유할 수 있다. —마틴 하이데거 1

Thinking is judged by a standard that doesn’t measure up to it. Such judgment may be compared to the procedure of trying to evaluate the essence and powers of a fish by seeing how long it can live on dry land. —Martin Heidegger 1


심지어 무심코 관찰하는 사람들에게도, 세상을 아는 다른 방법들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사람은 사실이나 기술, 선호도를 알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지식은 윤리적 신념과는 다르다. 어떤 것에 대해 아는 것과 어떤 것을 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다르다. 어떤 것이 선호된다는 것을 아는 것은 어떤 것이 도덕적으로 옳다는 것을 아는 것과 다르다. 우리는 우리 자신, 다른 사람들,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새로운 측면을 발견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Even to the casual observer,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different ways of knowing the world. One can know a fact or a skill or a preference. These types of knowledge are different than an ethical conviction. Knowing about something is different than knowing how to do something; knowing that something is preferred is different than knowing something is morally right. We use different ways of knowing to discover new aspects of ourselves, others, and the world we live in.

의학도 예외는 아니다. 의학은 종종 정확한 규칙, 엄격한 분석, 명확한 대답에 의해 지배되는 과학으로 잘못 특징지어진다. 반대로, 캐스린 몽고메리가 지적했듯이, 의학은 과학이 아니라 과학을 사용하는 직업이다의학도 앎의 방법이 다르다. 도날드 A 쇤이 '인식론적 순결성의 "높고 단단한 지대"'로 묘사한 곳에만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는 실제 실천의 "습한 저지대"에서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 가르쳤다.  하지만 우리가 인간에게 큰 연약함과 상실감을 주는 순간들을 보살피는데 사용하는 다른 방법들은 무엇일까요? 게다가, 우리는 탁월함, 동정심, 그리고 정의를 가지고 의술을 실천하는 것을 배울 때 어떻게 다른 인식론적 접근에 관여할 수 있을까? 이것은 Montgomery와 같은 교육자들이 수년간 해왔던 질문입니다.  이번 호에서 Prince와 동료들은 이 질문을 인문학을 사용하여 임상적 추론을 가르치기 위한 개념 모델의 사용으로 확장한다. 

Medicine is no exception. Medicine is often erroneously characterized as a science, one that is ruled by precise rules, rigorous analysis, and clear answers. On the contrary, as Kathryn Montgomery has pointed out, 2 medicine is not a science but rather a science-using profession. Medicine too has different ways of knowing. It does not solely inhabit what Donald A. Schön describes as the “high hard ground” of epistemic purity but instead teaches us to work in what he refers to as the “swampy lowlands” of actual practice. 3(p42) But what are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that we use in providing care to human beings during moments of great vulnerability and loss? Furthermore, how do we engage different epistemological approaches in learning to practice medicine with excellence, compassion, and justice? This is a question that educators like Montgomery have asked over the years. 2,4,5 In this issue, Prince and colleagues extend this question to the use of a conceptual model to teach clinical reasoning using the humanities. 6

프린스와 동료들은 임상적 추론 방법을 인문학의 "분석적 인식론"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교한다. 6 임상 추론의 개념적 예로서, 그들은 다음의 것을 상호보완적인 접근방식으로 사용한다.

  • 개별 사례에 기초한 Judith L. Bowen의 진단 추론 모델 (데이터 획득, 문제 표현, 가설 생성 및 질병 스크립트) 
  • Louis Pangaro의 RIME(리포터, 통역, 관리자, 교육자) 프레임워크

인문학의 분석적 접근 방식을 위해, 저자들은 예술을 보건 직업 교육에 통합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교육 기술인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실행을 제안한다. VTS에서 학생들은 그림이나 조각과 같은 예술 대상을 공부하도록 요구받고 비판적 분석을 자극하기 위한 점진적인 일련의 안내 질문을 통해 그들의 생각을 이끌어낸다. "무엇을 보고 그렇게 말합니까?"와 "무엇을 더 찾을 수 있습니까?" 

Prince and colleagues compare methods of clinical reasoning with what they term the “analytic epistemology” of the humanities. 6 As conceptual exemplars of clinical reasoning, they use the complementary approaches of

  • Judith L. Bowen’s model of diagnostic reasoning based on individual cases (data acquisition, problem representation, hypothesis generation, and illness scripts) 7 and
  • Louis Pangaro’s RIME (Reporter, Interpreter, Manager, Educator) framework. 8 

For the analytic approach of the humanities, the authors propose the exercise of 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 an educational technique that is increasingly used in incorporating the arts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9 In VTS, students are asked to study an object of art, such as a painting or sculpture and are led in their thinking through a progressive series of guiding questions aimed at stimulating critical analysis—questions such as “What is going on in this image?” “What do you see that makes you say that?” and “What more can you find?”

저자의 VTS 적용에서, "인정 및 제안된" 작업의 해석이 공개되는 "종료 공개"가 제시될 때까지 인상과 아이디어의 공개 교환이 수행된다(프린스 및 동료의 그림 6 참조). 저자들은 인문학의 분석 접근법의 예로 간주하는 VTS 접근법이 임상 추론의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잘 부합하므로 인문학적 및 인문학적 분석의 도입이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임상적 추론을 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In the authors’ application of VTS, an open exchange of impressions and ideas is conducted until a “closing reveal” is presented in which “accepted and/or proposed” interpretations of the work at hand are unveiled (see Figure 2 in Prince and colleagues 6).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VTS approach, which they regard as an example of analytic approaches in the humanities, aligns well with conceptual frameworks of clinical reasoning and, thus,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ities and humanities analysis may be used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그러나 두 가지 질문이 발생합니다. 

  • 첫째, VTS는 정말로 인문학의 인식론적 분석의 한 예인가? 
  • 두 번째로, 인문학의 다른 지식들은 무엇일까요? 

[성찰적 실천자: How Professional Think in Action]에서 Schön은 [테크닉적 합리성]의 모델이 연구, 교육, 실무뿐만 아니라 법률, 의학, 건축, 사업과 같은 직업에서 접근방식을 지배한다고 주장한다. 3 (p21) 이 모델은 [엄격한 과학적 방법]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한다. 위르겐 하버마스는 이러한 [테크닉적 합리성]을 생물학과 생리학을 포함한 자연적 과정과 조건을 이해하고 개입하려는 접근법이라고 설명한다. 이 접근법은 종종 [고전적인 과학적 방법]이라고 불리며, [관찰, 가설 생성, 시험, 해석, 결론]으로 구성되며, 생물 의학에서 지배적인 분석 형태이다

However, 2 questions arise.

  • First, is VTS truly an example of epistemological analysis in the humanities?
  • And second, what are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in the humanities?

In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Schön argues that the model of technical rationality dominates the approaches in professions, such as law, medicine, architecture, and business, as well as in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3(p21) This model consists of the instrumental use of reason to solve problems with the rigor of the scientific method. Jürgen Habermas describes this technical rationality as an approach that seeks to understand and intervene in natural processes and conditions, including those of biology and physiology. 10 This approach, often referred to as the classical scientific method, consists of observation, hypothesis generation, testing, interpretation, and conclusion, and is the dominant form of analysis in the biomedical sciences.

그렇다면, 이 맥락에서, VTS는 무엇일까요? 나는 이것이 사실 과학적 방법의 변형된 형태라고 주장한다. 다음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 관찰을 포함한다("이 그림"). 
  • 가설 생성("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 테스트("어떤 이유로 그렇게 말합니까?), 
  • 뒤에 임시 요약이 따라온다. 

이 과정은 반복적이며("무엇을 더 찾을 수 있는가?"), 결론(즉, 작품에 대한 인정된 해석 및 제안된 해석의 마무리 공개)을 향해 나아간다. 

So, in this context, what is VTS? I would argue that it is actually a modified form of the scientific method: it involves

  • observation (“consider this painting”),
  • hypothesis generation (“what is going on here?”), and
  • testing (“what makes you say that?”),
  • followed by a provisional summary.

This process is iterative (“what more can you find?”) and proceeds toward a conclusion—the closing reveal of accepted and/or proposed interpretations of the work.

사실상, 나는 VTS가 전혀 인문학적 분석이 아니라 [테크닉적 합리성을 인문학에 적용한 것]이라고 제안하고 싶다. 이것에 의해, 나는 VTS가 의학 교육에서 예술의 사용에 대한 생산적인 접근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반대로, 나는 VTS가 관찰 기술을 날카롭게 하고 다른 관점을 생성한다는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저자들의 말에 동의한다. 단지 예술을 교육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지, 예술을 알거나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적 설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제안할 뿐이다.

In effect, I would suggest that the VTS is not a humanities analysis at all but the application of technical rationality to the humanities. By this, I do not mean to imply that VTS is not a productive approach to the use of art in medical education; on the contrary, I agree with the authors that it has benefits in terms of sharpening observation skills and generating different perspectives. It is just that I suggest that it is a method to use art educationally and not necessarily the conceptual description of ways of knowing or understanding art.

그렇다면, 인문학, 특히 [예술에 대한 인식론]은 무엇일까요? 예술에 대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사실과 이론의 코퍼스로서(예술사와 같은 것)
  • 창조적 행위로서(예술가가 영감, 테크닉, 미디어, 또는 영향의 관점에서 어떻게 작품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와 같은 것)
  • 해석의 행위로서(예술의 시청자가 그들 자신의 배경, 문화, 선호, 가치, 경험에 의해 informed된 방식으로 작품과 상호 작용하는 하는 것)

마지막 범주가 VTS와 가장 밀접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우리는 "예술 작품과 상호작용하는 접근법이 과학에 접근하는 접근법과 다른가?"라고 물을 수 있다.

So, what is the epistemology of the humanities, and in particular, of art? One may approach art in different ways:

  • as a corpus of facts and theories, such as in the history of art;
  • as a creative act, such as an understanding of how an artist may approach her or his work in terms of inspirations, techniques, media, or influences; or
  • as an act of interpretation in which a viewer of art interacts with the work in ways that are informed by their own background, culture, preferences, personal values, and experiences. 11 

Since the last category appears to align most closely with VTS, we might ask, “Is the approach of interacting with a work of art different from that in which one approaches science?”

지난 세기의 전환 이후, 철학자와 사회이론가들은 자연과학의 분석 방법이 소위 인간과학(즉, 인문, 예술, 철학, 그리고 사회과학)의 방법과 다른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 질문에서 빌헬름 딜타이, 에드먼드 후설, 마틴 하이데거,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그리고 후에 하버마스와 같은 사상가들의 노력에 의해 자극을 받아, [인간 과학human sciences에서 앎의 방법]은 [자연 과학에서 사용되는 방법]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전자의 지식은 후자의 방법으로는 검증되지 않는다는 견해가 생겨났다.  이 접근법의 주요한 철학적 표현은 [해석학]이며, 이것은 18세기와 19세기의 성경과 고대 문헌의 해석 방법으로부터 개발되었다. [신의 메시지를 인간의 의미로 해석하는 임무]를 맡은 [그리스 신 헤르메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해석학은, 인간 창조의 대상을 "이해하는" 것에 전념하고 있다.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작품에서 해석학은 텍스트의 한계를 벗어나, 점점 더 이해의 범위를 [예술 작품],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상호작용 그 자체]로 확장했다.

Ever since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philosophers and social theorists questioned whether the analytic methods of the natural sciences differed from those of the so-called human sciences—that is, the humanities, art, philosophy, and the social sciences. 12 Out of this questioning and spurred on by the efforts of such thinkers as Wilhelm Dilthey, Edmund Husserl, Martin Heidegger, Hans-Georg Gadamer, and later Habermas, 10,12 there arose a view that the ways of knowing in the human sciences were indeed fundamentally different than those employed in the natural sciences, and that knowledge in the former could not be verified through the methods of the latter. The major philosophical expression of this approach is hermeneutics,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from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biblical and ancient text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Named for the Greek god Hermes, who was tasked with the duty of translating divine messages into human meaning, hermeneutics is devoted to “bringing to understanding” objects of human creation. 12 In the work of Heidegger and Gadamer, hermeneutics left the confines of texts and increasingly extended its reach of understanding to works of art and, ultimately, to human interaction itself.

[가다머]에 따르면, [위대한 예술의 경험]은 한 개인을 그의 삶의 특정한 환경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그 개인과 그 삶의 모든 것의 완전한 의미를 연관시킨다. 예술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은 자기 성찰에 참여하지만 더 높은 진리가 이해되는 방식으로 [자아를 초월]하기도 한다. 이 진실은 일종의 플라톤적 이상이 아니라 [자기 자신, 자신의 삶, 다른 사람들, 그리고 세계에 대한 더 충만하고 깊은 인간적인 이해]이다. 그의 이전의 하이데거처럼 가다머는 [예술, 타인, 그리고 세계에 대한 한 사람의 인식]은 한 사람의 [배경, 역사적 맥락, 정체성, 살아 있는 경험, 그리고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그는 이를 "지평horizon"라고 불렀다. 예술과의 상호작용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인들은 대화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하며, 그들의 교환이 "지평선의 융합"으로 이어진다. 그 속에서 자신과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시각이 드러난다.

According to Gadamer, the experience of great art takes an individual out of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his or her life and relates the individual to the fullest meaning of the whole of that lif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work of art, the individual engages in self-reflection but also transcends the self in such a way that a higher truth is understood. 13(p61) This truth is not some sort of Platonic ideal but instead is an understanding of oneself, one’s life, others, and the world in a fuller, deeply human way. Gadamer, like Heidegger before him, believes that one’s perceptions of art, others, and the world are influenced by one’s background, historical context, identities, lived experiences, and culture—something that he terms the “horizon.” In a manner similar to one’s interactions with art, individuals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dialogue in such a way that their exchanges lead to a “fusion of horizons,” 13(p305) in which new understandings and perspectives of themselves and the world are revealed.

이러한 접근방식을 의학교육에 적용함으로써, 나는 [인간의 이해]라는 렌즈를 통해 예술과 의학을 바라보며, 인간의 질병 차원과 그 돌봄에 대한 관여를 넓히고 깊게 할 수 있는 예술에 관여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싶다. 예술은 타인과의 동일시를 촉진한다. 그것은 개방성과 호기심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시간, 문화, 언어, 정체성에 의해 우리와 분리될 수 있는 누군가의 경험]에 [공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술은 또한 도덕적 분노를 자극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파블로 피카소의 게르니카나 조지 플로이드나 브레오나 테일러가 등장하는 최근의 공공 벽화를 생각해보라). 흔한 사물, 관행, 사건에 대한 인식의 미묘한 왜곡을 통해 "낯설게" 만듦으로써, 예술은 우리가 새롭고 생성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가정과 믿음을 다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Applying this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I would propose that looking at art and medicine through the lens of human understanding, one can engage with art to broaden and deepen one’s involvement with the human dimensions of illness and its care. Art fosters an identification with the other. It can anchor empathy in the experience of someone who may be separated from us by time, culture, language, and identity in ways that teach openness and curiosity. 11 Art also has the capacity to stimulate moral outrage (think of Pablo Picasso’s Guernica or the recent public murals featuring George Floyd or Breonna Taylor). By “making strange” through subtle distortions in perceptions of common objects, practices, and events, art can prompt us to rethink our assumptions and beliefs in new and generative ways. 14 

예술은 또한 깊은 인간적 주제에서 임상 치료를 제공하는 경험을 직접적으로 접지할 수 있다. 작가이자 의사인 제이 바룩(Jay Baruch)이 안톤 체호프의 단편 소설인 '불행'을 사용한 것은 최근 아들을 잃은 한 남자가 "누구에게 나의 슬픔을 말할 수 있을까?"라고 궁금해하는 내용이다. 바룩은 서사에 깊이 관여하고 응급실 의사로서 외로움과 상실감을 의학적 응급상황으로 탐구하기 위해 자신의 일을 성찰한다. 15 예술과 의학을 융합하는 것은 때론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 불편함과 강한 감정을 자극함으로써, 그것은 기술적 합리성에 의해 주입된 교육이 제3의 레일에 접근할 수 있다. 바록 감정의 영역이다.

Art may also directly ground the experience of providing clinical care in deeply human themes. A brilliant example of this approach is the writer-physician Jay Baruch’s use of Anton Chekhov’s short story, Misery, about a man who, having recently lost his son, wonders, “to whom may I tell my grief?” Baruch engages deeply with the narrative and reflects on his work as an emergency room doctor to explore loneliness and loss as a medical emergency. 15 Fusing art and medicine can at times involve risk: by provoking discomfort and strong feelings, it can approach the third rail of an education infused by technical rationality: the realm of the emotions. 16 

"인문주의를 넘어 인문학을 취할 필요가 있다"는 프린스와 동료들의 주장과 달리, 저는 이렇게 제안하고 싶습니다.  
(인문학적 앎의 방식을 통한) 인문학에의 참여는 [인문주의 그 자체의 핵심 가치와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과 삶에 대한 깊고 지속적인 헌신이다. 

I would suggest that, contrary to Prince and colleagues’ assertion that there is a “need to take the humanities beyond humanism,” 6 the engagement of the humanities—through humanistic ways of knowing—can reveal the core value and meaning of humanism itself—that is, a deep and abiding commitment to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5

궁극적으로, 나는 의학 교육에 VTS와 같은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나는 그것이 사실상 사람들을 다양한 시각에 노출시키고 생물의학이 모든 것을 능가한다는 안일한 시각에서 그들을 떨쳐버릴 수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저는 인간이라는 것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예술과 인문학의 모든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도록 우리 모두를 정중히 격려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Academic Medicine의 의학 및 예술 담당 부편집장으로서, 저는 의학교육에서 이러한 "예술적 전환"의 가능성에 대해 흥분하고 있습니다. 예술은 [관찰력과 분석적 사고의 힘을 날카롭게 하는 것] 외에도,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보살핌을 제공하는 것]의 [도전과 승리], 그리고 [삶과 죽음의 의미와 느낌과 경험]을 탐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술은 [우리 시대의 도덕적 딜레마]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의료 시스템의 불평등, 체계적인 인종차별의 유산, 기후 변화의 위기, 팬데믹의 최전선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도덕적 해이 등이 있다. 그것은 [기술적 합리성]을 넘어, 의학에서의 [삶의 미적, 철학적, 그리고 실존적 진리]를 열망한다. 이러한 명상의 훌륭한 형태는 최근호 및 다가오는 호에서 볼 수 있는 커버 아트의 새롭게 수정된 형식에서 볼 수 있다.

Ultimately, I am not arguing against the use of approaches such as VTS in medical education. I believe that it does in effect expose people to different ways of seeing the world and is capable of shaking them out of the complacent view that biomedicine trumps all. I am, however, respectfully encouraging us all to think about the fullest possibilities of art and the humanities in exploring the meaning of being human. As Academic Medicine’s recently appointed Assistant Editor for Medicine and the Arts, I am excited about the potential of this “artistic turn” in medical education. In addition to sharpening the powers of observation and analytical thinking, art also offers a way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riumphs of providing care to those in need and to explore the meanings, feelings, and experiences of living and dying. It offers a way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moral dilemmas of our time—the inequities of the health care system, the legacy of systemic racism, the crisis of climate change, the moral injuries of those working on the front lines of the pandemic—that goes beyond technical rationality and aspires toward the aesthetic, philosophical, and existential truths of a life in medicine. Brilliant forms of these meditations can be seen in the newly revised format for Cover Art seen in recent and coming issues.

우리가 건조한 땅에서 물고기가 얼마나 오래 생존하는지를 보는 것을 자제함으로써 물고기의 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제한하는 것을 피해야 하는 것과 거의 같은 방법으로, 우리는 관찰, 임상적 추론, 그리고 기술 개발의 접근에 대해서만 의학 교육에 대한 예술의 참여를 제한해서는 안 된다. 인문학은 물고기처럼 그것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 물고기가 뛰어오르는 것을 상상해보라.

In much the same way that we should avoid constrai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powers of a fish by refraining from limiting ourselves to seeing how long it survives on dry land, we should not constrain the engagement of art in medical education only to approaches in observation, clinical reasoning, and skill development. The humanities, like a fish, are so much more powerful than that—imagine a fish leaping.

 


Acad Med. 2022 Aug 1;97(8):1114-1116. doi: 10.1097/ACM.0000000000004684. Epub 2022 Jul 21.

The Powers of a Fish: Clinical Thinking, Humanistic Thinking, and Different Ways of Knowing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A.K. Kumagai is professor and vice chair for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Temerty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researcher, The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and F.M. Hill Chair in Humanism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Women's College Hospital and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ORCID: https://orcid.org/0000-0001-7088-0208 .

PMID: 35385400

DOI: 10.1097/ACM.0000000000004684

Abstract

How are ways of knowing similar between clinical reasoning and the humanities, and can the latter be used to elucidate the former? This commentary considers a conceptual model proposed by Prince and colleagues in this issue to explore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in art and medicine. Their proposed model links 2 approaches to clinical reasoning with an analytic approach said to be characteristic of the humanities-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to teach skills in clinical reasoning. They suggest that the VTS approach aligns well with the 2 clinical reasoning approaches and use this relationship to argu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ities in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However, is VTS truly an exemplar of analytic approaches used in the humanities? The approach to clinical decision making is a version of what Donald A. Schön calls technical rationality, but what is the epistemology used in the humanities and art? This commentary explores this ques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s, a branch of philosophy that centers on an interpretive understanding of art, and through art, a way of knowing the self, others, and the world. In contrast to limiting the focus of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to sharpening the powers of observation and analytical thinking, the author argues that art also offers a way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riumphs of providing care to those in need and to explore the meanings, feelings, and experiences of living and dying. It offers a way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moral dilemmas of our time that aspires toward the aesthetic, philosophical, and existential truths of a life in medicine.

의과대학생의 커리어 지향: Q방법론 연구(PLoS One, 2021)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A Q methodology study
Lokke Gennissen 1*, Karen Stegers-Jager1, Job van Exel 2,3, Lia Fluit4, Jacqueline de Graaf4,5, Matthijs de Hoog1,6 

 

 

서론
Introduction

불일치
Mismatch

사회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의료 수요도 변화하고 있다. 지속 가능하고 목적에 적합한 저렴한 의료 시스템을 유지하려는 욕구에 있어 의료 전문가의 공급을 사회적 요구에 맞추는 것은 필수적입니다[1]. 그러나 많은 서구 사회에서는 최적의 진료 제공에 필요한 전문직 종사자와 관련하여 [의사의 직업 열망과 진로] 및 [사회적 요구] 사이에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1, 2]. 의대생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전공 간 의대 졸업생의 분포가 문제다. 예를 들어 사회는 더 많은 공중 보건 및 노인 의료 의사를 필요로 하지만, 의학 졸업생들은 오히려 소아과나 내과에서 직업을 추구한다[1, 3]. 이러한 불일치는 의료 전문가의 부족과 실업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불일치를 해결하는 것은 의료 인력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시급한 관심사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대생들의 진로 열망에 대한 더 나은 이해가 필수적이다.

As society is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demands are changing as well. Matching the supply of health professionals to societal demands is essential in aspiring to maintain an affordable healthcare system, which is sustainable and fit for purpose [1]. However, in many Western societies there is a continuing imbalance between the career aspirations and paths of medical doctors and societal needs with regard to the professionals required for optimal care delivery [1, 2]. Although there is no shortage of medical students, the distribution of medical graduates over specialties is problematic. Whereas society needs for instance more public health and elderly care doctors, medical graduates rather pursue careers in pediatrics or internal medicine [1, 3]. This mismatch has led to both shortages and unemployment of medical professionals. Solving this mismatch is of urgent interest for the medical workforce as well as society. For that purpos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aspiration of medical students is essential.

경력 포부
Career aspirations

전문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잘못된 분포는 연구자들에 의해 점점 더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1, 4, 5]. 의학 전공 선택과 같은 진로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의대생들의 진로 열망이 문제의 핵심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의학 분야에 대한 어떤 야망, 걱정, 희망을 가지고 의대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다. 이상적으로는 의과대학 시절 현장 경험을 통해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일과 삶에 대해 더 깊이 믿거나 가치 있게 여기는 것, 잘하는 것, 중요한 기술과 능력이 무엇인지 점차 깨닫게 된다. 이러한 동기, 가치관, 재능은 [그들의 포부를 견인할 직업 관련 선호의 포괄적인 패턴]으로 점차 모이게 되는데, 이것은 그들의 [직업 지향career orientation]이라고도 불린다. 의대생들의 [직업 지향]에 대한 통찰력은 의학 전공 선택 과정의 추진력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지식은 전문 분야에 대한 의대 졸업생의 문제 있는 분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책을 제안하기 위해 노력할 때 필수적이다.
The maldistribution of students in terms of specialties has been increasingly addressed by researchers [1, 4, 5]. Career aspirations of medical students appear to lie at the heart of the problem, as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eer decisions such as medical specialty choice. Students often already enter medical school with certain ambitions, concerns, and hopes about the medical field. Ideally, through experiences in the field during medical school, students gradually learn to realise what they need and like, what they more deeply believe or value about work and life, what they are good at, and what skills and abilities are critical. These motives, values and talents gradually come together in a comprehensive pattern of job-related preferences that will drive their aspirations,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their career orientation. Insight in the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will likely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the drives in their medical specialty choice process. This knowledge is essential when striving to address issues and propose solutions for the problematic distribution of medical graduates over specialties.

의대생들이 어떻게 진로 방향을 개발하고 그들이 어떻게 그들의 의학 전공 선호에 도달하게 되는지는 복잡하며 오랜 세월 동안 연구되어 왔습니다 [6–8].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다음에서 의학 전문 선택과 관련된 중요한 측면을 식별하려고 노력해 왔다.e 

  • 학생의 특성(성별 및 성격 등) [9],
  • 가치(예: 개인 선호) [10],
  • 진로 요구 또는 선호(예: 기대 소득 또는 근무 시간) [11],
  • 의료 전공별 특성에 대한 인식(예: 개인 경험)[12]
  • 의료 커리큘럼 특성(예: 커리큘럼 설계) [13].

이로 인해 의료 전문 선택 과정에서 역할을 하는 광범위한 측면에 대한 지식이 증가했지만, 프로세스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8].

The process of how medical students develop their career orientation and how they come to their medical specialty preferences is complex and has been researched for many years [68]. In general, scholars have tried to identify aspects of importance for medical specialty choice in

  •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personality) [9],
  • values (e.g. personal preference) [10],
  • career needs or preferences (e.g. expected income or working hours) [11],
  • perceptions of medical specialty characteristics (e.g. personal experience) [12], and
  • medical curricula characteristics (e.g. curriculum design) [13].

Although this has resulted in increased knowledge on a broad variety of aspects which play a role in the medical specialty choice proces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s still lacking [8].

본 연구는 선택과 관련된 모든 측면이 상호 연관된 의사 결정 과정으로 접근함으로써 이 의학 전문 선택사항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했다. Cleland와 동료들은 이러한 관점을 취하는 데 앞서, 개별적인 측면을 보는 대신 사람들을 [특정 대안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사람들을 그 쪽으로 끌어당기는] 주요 측면인 [밀고 당기는 요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14, 15]. 그들이 [이산 선택 실험]을 사용한 그들의 연구는 아마도 영국의 의학 졸업생들이 그들의 직업 의사 결정에서 어떻게 다른 측면을 가치 있게 여기고 절충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가장 근접할 것이다. 이는 금전적 이득과 관련된 이러한 측면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로 이어졌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is medical specialty choice by approaching it as a decision-making process in which all relevant aspects of the choice are interrelated. Cleland and colleagues have preceded us in taking this perspective and argued that instead of looking at individual aspects one could also focus on push and pull factors [14, 15], the principal aspects that either drive people away from a certain alternative or draw people towards it. Their studies, in which they used discrete choice experiments, probably come closest to investigating how medical graduates in the UK value and trade-off different aspects i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This led to insight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se aspects relative to financial gains.

이러한 [선택 실험]은, 그 설계 특성상, 제한된 수의 측면의 상대적 중요성을 조사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의대생들의 전공 선택에 크고 다양한 가치관, 필요성, 동기의 집합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대생들이 전공 선택에 있어 이 모든 다른 측면이 어떻게 우선시되는지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는 의료 인력의 잘못된 분배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개입을 설계하는 데 필수적이다. 게다가, 학생들이 미래의 직업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있어서 학생들 사이의 상당한 이질성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에서 우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의학 전문 선택과 관련된 모든 측면을 어떻게 절충하는지 조사했다. 이 접근방식은 참가자들에게 광범위한 항목들의 순위를 매기도록 요청하고 의대생들의 뚜렷한 직업 지향성 사이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차이점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양적, 질적 데이터를 모두 수집함으로써 다양한 진로 지향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생성할 수 있다.

Such choice experiments, by design, are suitable for investig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limited number of aspects. However, a large and varied set of values, needs and motives may play a role in specialty choices of medical students. Therefore, a broader understanding of how all these different aspects are prioritised by medical students in their speciality choices is essential for designing interventions that could help solve the maldistribution of the medical workforce. In addition, one may expect considerable heterogeneity between students in what they consider important for their future careers. Thus, in our study we investigated how students trade-off all the relevant aspects with regard to medical specialty choice using Q-methodology. This approach makes it possible to ask participants to rank an extensive set of items, and to identify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In addition, by collect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rich interpretations of different career orientations can be generated.

Q-방법론은 이전에 경력 연구에서 사용되었지만 [16–18] 의료 경력 연구에 이 접근법을 적용한 것은 이 연구가 처음이다.
Although Q-methodology has previously been used in career research [1618], this study is the first to apply this approach to medical career research.

대부분의 진로선택 이론에서 진로선택 과정은 주로 [매칭 프로세스]로 접근한다. 즉,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개인의 필요, 가치, 동기, 재능과 일치하는 전문성을 선호한다고 가정한다[19]. 결과적으로, [당신이 원하는 것을 아는 것]과 [당신의 자질과 가치가 무엇인지 아는 것]은 적절한 직업 선택을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이론들은 의대생들이 진로지향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진로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자기탐구]로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후자는 적절한 의료 전문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직업 만족에 도움이 되고, 따라서 제공되는 의료의 질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더욱 관련이 있다[19–22]. 그러나 현재 연구의 맥락에서 훨씬 더 중요한 것은 의대생들의 진로 방향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이 의대생들의 의학 전공 선택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19].
In most career choice theories, the career choice process is approached mainly as a matching process. This means that it is assumed that a person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prefers a specialty that matches their individual needs, values, motives and talents [19]. Consequently, self-knowledge about what you want and what your qualities and values are, is essential for making appropriate career choices. Many of these theories thus suggest that starting with a thorough self-exploration is necessary for medical students to develop a career orientation and for effective career decision-making. The latter is all the more relevant because choosing the proper medical specialty will benefit job satisfaction, and thereby the quality of care delivered [1922]. But even more important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study, more insight into the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could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ir medical specialty choices [19].

연구목표
Research aim

본 연구는 학생 진로지향에 초점을 맞춰 의약특기자선호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Q-방법론[23]을 사용하여, 이 연구는 의대생들이 전공 선택에 대한 광범위한 가치, 요구 및 동기에 부여하는 중요성의 패턴을 탐구하며, 양적 및 질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러한 패턴을 별개의 직업 지향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의대생들의 열망과 의료 전문가에 대한 사회적 요구 사이의 불일치에 대한 의료 전문 선택과 잠재적 해결책에 대한 그들의 함의를 상세히 설명한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medical specialty preference formation, by focusing on student career orientations. Using Q-methodology [23], this study explores patterns in the importance medical students attach to a broad set of values, needs, and motives for specialty choice, and us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o describe these patterns as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Finally, the study elaborates on their implications for medical specialty choices and potential solutions for the mismatch between the aspirations of medical students and societal needs for medical professionals.

방법들
Methods

연구설계
Study design

Q-방법론의 혼합 방법 특성은 주관적 현상의 패턴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설명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23]. 데이터는 참가자들에게 연구 주제와 관련된 광범위한 이슈를 나타내는 일련의 진술의 순위를 매기도록 요청함으로써 수집된다. 참가자가 전체 진술 집합의 순서를 정함으로써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고, 서로 다른 참가자가 유사한 방식으로 진술의 순위를 매기면 주제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갖는다는 가정이다. 참가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기 위해, 순위 데이터는 사람별 요인 분석을 통해 진술 대신 인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23].
The mixed method characteristic of Q-methodology is particularly suited to systematically explore and explain patterns and diversity in a subjective phenomenon [23]. Data are gathered by asking the participants to rank a set of statements that represent the broad set of issues that are relevant to the topic of study. The assumption is that participants reveal their viewpoint through ordering the full statements set, and that if different participants rank the statements in a similar way, they hold a similar view on the topic.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the ranking data is subjected to by-person factor analysis, thus correlating the persons instead of the statements [23].

맥락
Context

이 연구는 네덜란드의 두 대학의 의과대학에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커리큘럼은 상당히 유사하다[24]. 두 대학 모두 광역대학으로 학생들의 배경 특성이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두 대학 모두 6년제 학부 의학과정이 있는데 3년제 학사과정은 이론과, 3년제 석사과정은 임상과가 주를 이룬다. 네덜란드에서 의과 전문의를 목표로 하는 의과대학 졸업생은 의과대학 졸업 후 바로 의과대학 전공의 선발 절차를 신청할 수 있거나, 전문분야에서 비훈련 전공의resident-not-in-training로 근무를 시작할 수 있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후자의 옵션은 전공이 적합한지 더 잘 알거나, 선택한 전공에 지원하기 전에 더 나은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는 업무 경험을 얻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결과적으로, 실제 의학 전공의 결정의 순간은 학생 개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This study took place in medical schools at two universities in the Netherland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ir students and their curricula are quite similar [24]. Both universities are metropolitan universities, with similar distribution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Both universities have a 6-year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of which the 3-year Bachelor is mainly theoretical, and the 3-year Master is mainly clinical. In the Netherlands, medical school graduates that aim to become a medical specialist have two options: one can apply for a medical residency selection procedure directly after medical school or one can start working in a specialty as a resident-not-in-training. The latter option is frequently used to get a better sense of whether a specialty fits, or to gain work experience to build a better resume before applying for the specialty of choice. As a consequence, the moment of the actual medical specialty decision making can differ between individual students.

참가자
Participants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두 의과대학의 6년 과정 모두에서 온 학생들이었다. 학생들 사이에 어떤 진로 오리엔테이션이 존재하고 어떤 학생들이 이런 다른 오리엔테이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사전 정보가 없었기 때문에 편의성 샘플링과 스노우볼링을 조합하여 사용했다. 데이터 수집의 출발점으로 우리는 의대생들의 편리한 샘플, 즉 의대생들 사이의 다양한 관점을 포착하는 데 관련될 것으로 예상한 의대 학년과 배경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참가자로 구성된 접근하기 쉬운 그룹에 접근했고, 이는 Q-방법론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3]. 더 다양한 그룹에 도달하기 위해, 스노우볼링이 사용되었습니다. 즉, 편의 샘플의 참가자들에게 이러한 다른 학생들이 비슷하거나 다른 진로 포부를 가질 것이라는 그들의 기대를 바탕으로 연속 참가자들을 제안하도록 요청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본 추출 전략의 주요 목적은 직업 지향의 다양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의대생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었습니다. Q-방법론 연구의 참가자들은 많은 항목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기 때문에, 잘 선택된 제한된 수의 참여자들은 포화 상태에 도달하고 주제에 대한 주요 관점을 식별하기에 충분하다[23]. 모든 참가자들이 연구를 완료했습니다.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from all six years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of the two medical schools. As we had no prior information about which career orientations exist among students and which students have these different orientations, a combination of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ing was used. As a starting point of the data collection we approached a convenience sample of medical students, i.e. an easy-to-reach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varying in year of medical school and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at we anticipated to be relevant for capturing the diversity of viewpoints among medical students, as is common in Q-methodology [23]. In order to reach a more diverse group, snowballing was used. This means we asked participants from the convenience sample to suggest consecutive participants, based on their expectations that these other students would have similar or dissimilar career aspirations. The main purpose of our sampling strategy was including a diverse group of medical students that would help us to identify the variety in career orientations. Since participants in a Q-methodology study evaluate and rank a large number of items, a limited number of well-selected participants is sufficient to reach saturation and to identify the main viewpoints about a topic [23].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study.

진술문 집합
Statement set

Q-방법론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은 조사 중인 문제에 대해 사람들이 말하거나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것들을 포괄하는 포괄적인 진술 세트를 개발하여 모든 참가자가 자신의 견해를 밝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23]. 따라서, 임상 및 의료 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이 성명 세트를 개발하기 위해 힘을 합쳤다. 우리는 다음 질문에 대한 가능한 응답의 다양성을 나타내기 위해 이 세트를 목표로 했다. "당신의 미래 직업에 대해 생각하면서, 의학 전공 선택에 있어 당신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우선, 전문 선호도에서 중요한 측면이 문헌에서 확인되었다. 회수된 물품의 긴 목록은 검토되었고 팀의 경험으로 보충되었다. 다음으로, 이 항목들은 앞에서 말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는 진술로 변환되었다. 예를 들어, "명망 있는 의료 전문 분야에서 일하는 것"입니다. 그 후, 그 진술들은 모호성, 명확성 및 의대생과 함께 사용 적합성에 대해 의대생들과 전문가들과 논의되었다. 조정 후, 진술서는 학생들 사이에서 시험적으로 테스트되었다. 파일럿 참가자들에게 일련의 진술의 완전성과 이해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요청하였다. JvE, KSJ, LG의 최종 개정으로 62개의 문장이 만들어졌다. 설명 집합에서 다루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 개발/진보, 라이프스타일, 프레스티지, 서비스/알트루시즘, 보안 및 안정성, 자율성 및 업무 관련 콘텐츠.

A crucial part in conducting a Q-methodology study is developing a comprehensive set of statements, covering the variety of things that people may say or think about the issue being investigated, allowing all participants to reveal their viewpoint [23]. Therefore, a team of clinical and medical education professionals joined forces to develop the statement set. We aimed the set to represent the diversity of possible responses to the question: “thinking about your future career, what is important to you in your medical specialty choice?”. To start, aspects important in specialty preference were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The long-list of items retrieved was reviewed and supplemented with experiences of the team. Next, these items were transformed into statements that could be an answer to the previously stated question. For example: “Working in a prestigious medical specialty”. Subsequently, the statements were discussed with medical students and specialists regarding their ambiguity, clarity, and suitability for use with medical students. After adjustments, the statement set was pilot-tested among students. Pilot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ment on the completeness and comprehensibility of the set of statements. Final revisions (by JvE, KSJ and LG) resulted in a set of 62 statements. Themes covered in the statement set included: Personal development/advancement, Lifestyle, Prestige, Service/Altruism, Security and stability, Autonomy and Work-related content.

자료수집
Data collection

참석자들은 직접 인터뷰를 했다 순위는 다음과 같이 지시되었다. 

  • 첫째, 참가자들은 카드에 인쇄된 진술서를 무작위로 건네받았고, 모든 진술서를 읽고 의학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 중요, 중요하지 않음 및 중립의 세 가지 더미로 분류하도록 요청받았다. 
  • 다음으로, "중요한" 더미에 있는 진술서를 받아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의학 전공을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진술서 두 개를 선택하여 점수표의 오른쪽에 5번 아래 두 자리(그림 1 참조)에 배치하도록 했다. 
  • 그런 다음, "중요한" 더미의 나머지 문장을 읽고, 현재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네 개의 문장을 선택한 다음, 다음 열인 4 아래에 배치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이 과정은 더미 안에 어떤 진술도 남아 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되었다. 
  • 그런 다음, "중요하지 않은" 더미의 문장과 "중립" 더미의 문장에 대해서도 유사한 절차가 수행되었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 지정). 이러한 정렬 단계는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 진술의 순위를 마친 후, 참가자들은 대면 면접에서 자신의 순위와 특히 진술의 가장자리에 대한 배치에 대해 설명하고 종이 기반 설문지에서 일부 인구통계학적 배경 질문에 답변하도록 요청받았다(S1 부록 참조).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 person (by LG). The ranking was instruct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handed the statements printed on cards, in random order, asked to read all statements and to categorise them in three piles: important, unimportant and neutral for their choice of a medical specialty. Next, they were asked to take the statements in the “important” pile, to read them once again, and to select the two statements they felt were the most important for their choice of a medical specialty, and place these on the right-hand side of the score sheet in the two spots below the number 5 (see Fig 1). Next, they were asked to read through the remaining statements of the “important” pile, select the four statements they now felt were the most important, and place them in the next column, below 4. This process was repeated until no statements remained in the pile. Then, a similar procedure was followed for the statements in the “unimportant” pile (then ordering from left to right), and for the “neutral” pile (placed in the remaining spots in the middle). These sorting phases are shown in Fig 2. After finishing the ranking of the statements, participants were asked in a face-to-face interview to explain their ranking and in particular the placement of the statements at the extreme ends, and to answer some demographic background questions in a paper-based questionnaire (see S1 Appendix).

 

분석.
Analysis

[개인별 요인 분석]은 개인 순위 데이터에서 뚜렷한 진로 방향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3]. 먼저, 참가자에 의한 진술의 순위 사이의 상관 행렬이 계산된다. 두 참가자가 62개의 진술에 유사한 방식으로 순위를 매긴다고 가정하면, 요인 분석(즉, 중심 인자 추출에 이어 varimax 회전[23])이 순위 데이터의 주요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적용된다. 데이터에서 추출할 패턴(또는 요인) 수의 선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계적 기준(즉, 고유값 >1 및 패턴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된 최소 2명의 참가자) 
  • 그리고 패턴이 인터뷰의 해당 정성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는 일관된 해석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

By-person facto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from the individual ranking data [23]. First, a correlation matrix between the rankings of the statements by the participants is computed. Assuming that if two participants rank the 62 statements in a similar way, they have a similar career orientation, factor analysis (i.e., centroid factor extraction followed by varimax rotation [23]) is then applied to identify the main patterns in the ranking data. The selection of the number of patterns (or factors) to extract from the data is based on

  • statistical criteria (i.e., Eigenvalue >1 and a minimum of two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ttern) and
  • whether patterns have a coherent interpretation that is also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qualitative data from the interviews.


식별된 각 패턴에 대해 데이터의 이상화된 순위가 계산된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패턴(p < 0.0.05)과 체중으로 상관 계수와 관련된 참가자의 순위를 바탕으로 한 62개 문장의 가중 평균 순위이다.
For each identified pattern, an idealized ranking of the data is computed. This is a weighted average ranking of the 62 statements, based on the rankings of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ttern (p < .0.05) and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 as weight.

이러한 이상적인 순위는 의대생들 사이에서 뚜렷한 진로 지향으로 해석된다. 각 패턴의 해석은 패턴에서 +5, +4, -4 또는 -5의 점수를 가진 문장과 다른 패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다른 점수(p<0.05)를 가진 문장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패턴은 62개의 모든 문장으로 구성되며 궁극적으로 우리의 해석을 주도하는 것은 많은 항목의 상호 관계이다.
These idealized rankings are then interpreted as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terpretation of each pattern starts by the characterising statements, those with a +5, +4, -4 or -5 score in that pattern, and the distinguishing statements, those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score (p<0.05) in a pattern as compared to the other patterns. However, a pattern consists of all 62 statements and it is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many items that ultimately drive our interpretation.

마지막으로, 패턴(p < 0.0.05)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참가자로부터의 정성적 인터뷰 데이터(즉, 참가자가 제공한 진술의 순위에 대한 동기)를 사용하여 해석을 검증하고 다듬는다. 이러한 질적 재료에서 선택한 인용문은 패턴의 해석을 입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Finally, the qualitative interview data (i.e. the motivations for their ranking of the statements provided by participants) from participa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ttern (p < .0.05) are used to verify and refine the interpretations. Selected quotes from these qualitative materials are used to substantiate the interpretations of the patterns.

윤리적 고려사항
Ethical considerations

참가에 앞서, 모든 참가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에 대해 알려주었다. 사전에 충분한 동의를 얻었다. 참여는 자발적인 것이었다. 참가자들은 이 연구가 의학 과정에서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서면으로 충분한 동의를 했다. 데이터는 기밀로 처리되었으며 네덜란드 데이터 보호 당국의 요구 사항에 따라 처리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네덜란드에서 NVMO 윤리심사위원회(NERB 번호 812)에 의해 승인되었다.
Prior to participation, all participants were informed about the purpose of the stud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beforehand. Participation was voluntary. Participants were explicitly informed that this research did not influence their progression at the medical course. All participants gave written informed consent. Data were processed confidentially and were handl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Dutch data protection authority. This study was approved in the Netherlands by the NVMO Ethical Review Board (NERB number 812).

결과.
Results

의대생들과의 24번의 인터뷰 후에 포화상태에 도달했다. 마지막 몇 번의 인터뷰 동안, 진술의 정말로 뚜렷한 순위나 진술의 순위를 매기는 새로운 동기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24명의 학생들은 두 대학의 의과대학 출신이었고, 9명은 남자였고 15명은 여자였다. 참가자들의 평균 연령은 21.3세로 18-27세였다. 이 성별과 연령 분포는 전체 학생 모집단을 대표한다[25]. 참가자는 의과대학 1학년 5명, 이 중 3명, 3학년 4명, 4학년 4명, 5학년 4명, 6학년 3명이었다. 표 1은 참가자들의 인구통계 데이터를 보여준다.
Saturation was reached after 24 interviews with medical students. During the last few interviews, no really distinct rankings of the statements or novel motivations for ranking the statements were found. These twenty-four students were from medical schools at two universities, 9 were male and 15 were female.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21.3, with a range of 18–27 years. This gender and age distribution is representative of the total student populations [25]. Five participants were in the first year of medical school, three of them in the second year, four in the third year, four in the fourth year, four in the fifth year and three in the sixth year. Table 1 presents the demographic data of our participants.

진술의 24개 순위는 최대 3가지 패턴(즉, 경력 지향)을 지원했으며, 해석의 명확성과 구별성을 검사한 후 해석을 위해 유지되었다. 이 세 가지 패턴을 함께 사용하여 순위 데이터의 총 분산의 48%를 설명했으며, 5~10명의 참가자가 각 패턴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이러한 진로 오리엔테이션은 평생학습으로 소명, 일과 삶의 균형, 성취와 인정으로 지칭될 것이다.
The 24 rankings of the statements supported a maximum of three patterns (i.e. career orientations), which, after inspection for clarity of interpretation and distinctiveness, were retained for interpretation. These three patterns together explained 48%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ranking data, and between 5 and 10 participa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pattern. These career orientations will be referred to as life-long learning as a calling, work-life balance and achievement and recognition.


표 2는 세 가지 패턴에 대한 62개 문장의 이상적인 순위를 나타내며, 이러한 패턴에 대한 구별 문장으로 식별된 문장은 별표와 함께 강조 표시되어 있다.

Table 2 presents the idealised ranking of the 62 statements for the three patterns, highlighting with an asterisk the statements that were identified as distinguishing statements for these patterns.

다음 섹션에서는 세 가지 패턴에 대한 해석을 의대 학생들의 뚜렷한 진로 지향으로 제시한다. 괄호 사이에, 특정 경력 지향에 대한 진술의 점수가 -5에서 +5까지 주어지며, 이는 격자의 진술 배치에 해당한다(그림 1 참조). 또한 특정 경력 오리엔테이션에 로드한 참가자가 제공한 몇 개의 인용문은 우리의 해석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제공되며, 이러한 인용문에 이탤릭체를 사용하면 알 수 있다. 인용문은 응답자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숫자 뒤에 이어지는 "R"로 식별할 수 있다. 표 3-5는 세 가지 경력 지향의 특징적인 진술을 보여줍니다.

In the next section we present the interpretations of the three patterns as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Between parentheses, the scores of the statements for that particular career orientation are given, with the numbers ranging from -5 to +5,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of the statement on the grid (see Fig 1). Additionally, several quotes given by participants who loaded onto the particular career orientation are provided as support for our interpretation, recognisable by the use of italics for these quotes. Quotes are identifiable by an ‘‘R” followed by a number referring to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respondent. Tables 35 show the characterising statements of the three career orientations.

 

 

직업 오리엔테이션 1: 소명으로서의 평생 학습
Career orientation 1: Lifelong learning as a calling

이러한 진로 방향은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의대생으로 구성된 3명의 남성과 3명의 여성 참가자로 구성된 Q-sorts로 대표되었다. 이러한 진로지향을 가진 학생들은 자신을 발전시킬 기회를 높이 평가한다. (st.44:+4) "그것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다. 계속 배우다. 그래서 그것이 제가 미래의 직업에서 찾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R5]. 그들은 연구에 관여하고, 혁신적이고, 가르치는 역할을 맡는 것에 관심이 있으며, 따라서 학업적 세팅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또한 육체적으로 그리고 정신적으로 그들의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에 높은 가치를 둔다 (st.6: +5; st.46: +4). "하지만 그것이 당신을 불행하게 만들지 않아야 하고, 정신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R16]. 그들의 미래 연구의 중요한 특징은 환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며(st.16:+5) 대부분의 참가자는 환자와 더 긴 관계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찾는다(st.20:+2; st.36:0). 그들은 흥분과 행동을 가지고 일을 추구하지 않고 또한 매일의 일의 다양성에 거의 중요성을 두지 않는다. 
This career orientation was represented by the Q-sorts of three male and three female participants, being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medical students. Students with this career orientation place high value on opportunities to develop oneself (st.44: +4): “That is what I love to do. Keep learning. So that is also what I’m looking for in a future job” [R5]. They are interested in getting involved in research (st.55: +4), being innovative (st.10: +2) and perhaps taking up a teaching role (st.15: +2), and therefore find the academic work setting appealing (st.11: +2). They also place high value on being able to physically and mentally handle their work (st.6: +5; st.46: +4): “But it shouldn’t make you unhappy, you should be able to cope with it mentally” [R16]. An important feature of their future work is its impact on the lives of patients (st.16: +5) and, most of all participants, they seek a setting where they would be able to have longe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st.20:+2; st.36: 0). They don’t pursue work with excitement and action and also attach little importance to the diversity in daily tasks (st.2: +3; st.43:-1).

이 의대생들은 대부분 자신의 소명을 따르기를 원한다. 따라서, 그들은 직업에 대한 외부 인식(st.38: -5; st.49: -1; st.21; -4; st.50: -4; st.40: -3; st.14: -2; st.13: -4), 일과 삶의 균형(st.28:+1; st.13: -4), 또는 그 직업이 제공하는 학습 부채를 신속하게 갚을 수 있는 가능성(st.41: -5:)에 대해 다른 사람들보다 덜 우려한다."그렇게 서두를 필요는 없습니다. 조만간 그렇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서두를 필요는 없습니다.  

These medical students mostly want to follow their calling (st.51; +4). Accordingly, they are concerned less than others with external recognition for their job (st.38: -5; st.49: -1; st.21; -4; st.50: -4; st.40: -3; st.14: -2; st.13: -4), work-life balance (st.28:+1), or the possibility the job provides to pay off their study debt swiftly (st.41: -5): “Look, that loan has really quite favourable terms, relatively, there’s no hurry as such and yes sooner or later it’ll come to it, but there’s no hurry” [R5].

 

직업 오리엔테이션 2: 일과 삶의 균형
Career orientation 2: Work-life balance

이번 진로 오리엔테이션은 여성 9명, 남성 1명 등 10명이 참가했으며, 의대 2학년생부터 6학년생까지 다양했다. 이러한 진로지향을 가진 의대생들도 자신의 소명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st.51:+2) 무엇보다도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된 측면을 강조한다. 그들의 미래의 직업을 그들의 사생활에 대한 생각과 일치시키는 것은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측면이다. (st.28; +5): "나중에 저는 일뿐만 아니라 집에서만 행복했으면 좋겠고, 그래서 두 사람이 잘 어울리는 것이 저에게 중요합니다." [R8]. 따라서, 그들은 직장까지의 거리(st.1:0), 교육직을 얻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노력(st.12:+2) 그리고 파트타임으로 일할 기회(st.39:+2)와 같은 직업적 측면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This career orientation was represented by 10 participants, nine female and one male, and they varied from second to sixth year medical student. Although medical students with this career orientation also find it important to follow their calling (st.51: +2), they most of all emphasise aspects that are associated with work-life balance. To match their future job with their ideas of their private life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to them. (st.28; +5): “Later on I would just like to be happy at home and not only at work, so it is important to me that the two go well together” [R8]. Accordingly, they attach high importance to job aspects like distance to work (st.1: 0), time and effort needed for obtaining a training position (st.12: +2), and opportunities to work part-time (st.39: +2).

또한 관리 가능한 작업량(st.45: +3)을 선호하며, 특히 모든 참가자는 작업에서의 일상적인 작업(st.61: -1)을 염두에 두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 정말로 관심을 갖는 일의 또 다른 측면은 그 일이 그들의 자질에 맞는지 여부이다(st.57:+5). 이들은 관리 또는 리더십 역할을 맡거나(st.9: -2; st.21: -4), 혁신적이거나(st.10:0), 최신 기술 도구(st.32: -5)에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They also prefer a manageable workload (st.45: +3) and, least of all participants, seem to mind routine in work (st.61: -1). Another aspect of work they really care about is whether the work suits their qualities (st.57:+5). They are not very interested in taking up a management or leadership role (st.9: -2; st.21: -4), or being innovative (st.10: 0) or working with the newest technical instruments (st.32: -5).

다른 패턴(41:-3; 17:+3)과 비교할 때, 이러한 관점에서 재정 및 직업 안전이 더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당신은 실제로 사용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당신에게 일자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R7]. 
Financial and job security seem to be of greater importance to students in this viewpoint when compared to the other patterns (41:-3; 17: +3): “…at the end of the day you want to do an education you can actually use and ultimately gets you a job” [R7].

첫 번째 직업 오리엔테이션을 받은 의대생들처럼, 그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한 외부 인정을 거의 중요하지 않게 여긴다(st.38: -4; st.49: -2; st.21: -4; st.50: -5; st.40: -3; st.14: -2; st.31: -3). 
Like medical students with the first career orientation, they perceive external recognition with regard to their job as of little importance (st.38: -4; st.49: -2; st.21: -4; st.50: -5; st.40: -3; st.14: -2; st.31: -3).

 

 

진로 오리엔테이션 3: 성취도 및 인정
Career orientation 3: Achievement and recognition

이 직업 오리엔테이션은 의대 1학년, 4학년, 5학년 남학생 3명과 여학생 2명으로 대표되었다. 이 직업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소명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질에 맞는 직업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상 업무에서 충분한 다양성(st.2: +5)과 흥분을 제공할 것입니다. 이 학생들은 일상적인 일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st.61:-5). "글쎄요, 제가 생각하는 것은 제가 신경 쓰지 않는 것입니다. 정말 일상적인 일이고 제가 신경 쓰는 것과는 정반대이고, 다양하고 흥미진진합니다." [R10] 
This career orientation was represented by the sorts of three male and two female students, which were first, fourth and fifth year medical students. In this career orientation it is less about following a calling (st.51: +2) but more about finding a job that fits with their qualities (st.57: +5) and will provide sufficient diversity (st.2: +5) and excitement (st.43: +4) in day-to-day work. These students do not care for much routine work (st.61:-5): “Well, you know, what strikes me is something I don’t care about, that it is really routine and quite opposite to what I do care about, that it is diverse and exciting as well” [R10].


이러한 의대생들에게 사회적 영향을 주고(st.7: +3) 그들의 업적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st.59: +4): "내 경력을 자랑스러워하고, 그것에 대해 좋게 느껴라. 의학분야가 아니더라도, 저는 그저 제가 하는 일을 즐기고, 자랑스러워하고, 잘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저에게 만족감을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R9] 하지만, 그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것(st.14:+1;st.58:0)과 감탄하는 것(st.40:+1)을 얻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들의 부모와 가까운 사람들(st.40:+1).38:0; 성 49:0), 그러나 사회로부터도 (성 14:+1). 다른 사람들보다, 이러한 의대생들은 직업 자율성을 높이 평가하고, 또래들보다 (st.13: -1) 더 뛰어나고, 관리나 지도적 역할을 맡는 것에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질 것이다(st.9: +1; st.21: -1) 그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학문적 의학(st.11: -2)에 종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훈련 직책을 얻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st.12: -4), 레지던스의 위치(st.1: -3), 파트타임(st.39: -3), 직업 안정성(st.17:0) 또는 관리 가능한 업무량(st.45:-1)과 같은 측면에는 거의 관심이 없다. 그들에게는 짧은 레지던트 교육 프로그램(st.35:-5)이 가장 흥미롭지 않았다. 

For these medical students it is important that they have societal impact (st.7: +3) and can be proud of their achievements (st.59: +4): “Be proud of my career, just feel good about it. Even if it wouldn’t be in medicine, I just want to enjoy the work I do, be proud of it, be good at it, ‘cause that is what would give me satisfaction” [R9].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y gain recognition (st.14:+1; st.58: 0) and admiration (st.40: +1) from others; their parents and people close to them(st.38: 0; st.49: 0), but also from society (st.14: +1). More than others, these medical students appreciate job autonomy (st.60: +2; st.52; +1), would not mind to outperform their peers (st.13: -1) and have some interest in taking up a management or leadership role (st.9: +1; st.21: -1). Less than others they aim for work in academic medicine (st.11: -2) and they are little concerned with aspects like the time and effort needed for getting in a training position (st.12: -4), the location of the residency (st.1: -3), the possibility to work part-time (st.39: -3), job security (st.17:0) or a manageable workload (st.45: -1). Of least interest to them was a short residency training program (st.35: -5).

 

 

논의
Discussion

이 연구에서, 우리는 네덜란드의 의대생들 사이에서 세 가지 뚜렷한 진로 방향을 확인했습니다.

  • 하나는 평생의 자기개발에 매우 중점을 둔 것이고,
  • 다른 하나는 일과 삶의 균형에 더 중점을 둔 것이고, 그리고
  • 세 번째는 그들의 일의 성취와 인정에 더 관심이 있는 것입니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ree distinct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Netherlands:

  • one very much focused on lifelong self-development;
  • a second focused more on work-life balance; and
  • a third which was more concerned with achievement and recognition of their work.


패턴은 대부분 의료 내용과 관련이 없는 특징에 따라 달랐다. 차이점들은 생활방식, 명성, 도전의 필요성과 같은 사회경제적, 직업적 특징 선호도를 강조했다.

  • '소명으로서의 평생학습' 오리엔테이션을 받은 학생들은 도전해야 할 필요성과 지속적으로 배우고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진로를 갖고 싶다는 욕구를 드러냈다. 이 학생들은 어느 정도까지는 생활습관 특징을 희생할 의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체적, 정신적 한계를 넘어설 의지는 없다. 중요한 추가적인 특징들은 그들의 일과 함께 환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소명을 따르는 느낌을 갖는 것이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는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 같다.
  • "워라밸(Work-Life Balance)" 지향성을 가진 의대생은 주로 일과 사생활 사이의 좋은 균형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 그들은 낮은 도전적 요구와 인정에 대한 가치가 낮음을 표현했다.
  • "성취와 인정" 경력 지향은 인정에 대한 강조가 비교적 강하다는 점에서 다른 두 가지와 구별된다. 책임과 자율성은 다른 두 패턴에 비해 뚜렷하게 더 가치가 있다. 그들은 그들의 자질, 인식 및 영향에 적합한 직업인 일상 업무의 다양성에 대한 대가로 어느 정도까지 라이프스타일 특징을 절충할 용의가 있다.

The patterns varied mostly on features which were not per se medical content related. Differences emphasised socio-economic and occupational feature preferences, such as lifestyle, prestige and the need for challenge.

  • Students with a “lifelong learning as a calling” orientation expressed a need to be challenged and a desire to have a career that provides them opportunities to keep learning and developing. These students appear willing to sacrifice lifestyle features to a certain extent, yet are not willing to go beyond their physical and mental limits. Additional features of importance were having an impact on the lives of patients with their work and having the feeling to follow their calling. Recognition from others seems to be of minor importance.
  • Medical students with a “work-life balance” orientation to their career primarily expressed a desire for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private life. They expressed lower challenge needs and lowly valued recognition.
  • The “achievement and recognition” career orientation sets itself apart from the other two by a relatively stronger emphasis on recognition. Responsibility and autonomy are distinctively more valued compared to the other two patterns. They are willing to trade-off lifestyle features to some extent in return for diversity of daily tasks, a job fitting with their qualities, recognition and impact.

따라서 경력 지향의 주요 차별화 요소는 [도전, 일과 삶의 균형, 인정]이 얼마나 필요한지로 보인다. 특히 일과 삶의 균형은 현재 세대에 대한 중요성을 반영하여 최근 문헌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26]. 이는 의사가 열심히 일하고, 높은 수입을 올리는 까다로운 직업으로 알려진 것과 대비되는 흥미로운 발견이다. 놀랍게도, 특히 여성 참가자들은 커리어 지향을 일과 삶의 균형으로 정의했다. 이 방법론은 특정 하위 그룹에서 직업 지향의 유병률에 대한 결정적인 진술을 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사람들은 일과 삶의 고려가 여전히 여자 의대생들에게 더 중요한지 궁금해 할 수도 있다. 남학생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는 최근 연구[27]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데이터는 여성 참가자들이 일과 삶의 고려사항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과 삶의 균형에 있는 학생들은 또한 그들의 교육을 더 따라갔다. 이것은 그 분야의 더 많은 경험이 학생들을 일과 삶의 방향으로 밀어넣을 것인지 아니면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삶의 사건들이 학생들이 이 직업적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만들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촉발시킨다. 현 세대의 의료 전문가들은 일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현 세대의 의대생과 전공의(종종 밀레니얼 세대라고 함)는 휴식과 라이프스타일을 더 중시할 수 있다[28]. 

The primary differentiating elements in career orientations thus seem to be need for challenge, work-life balance and recognition. Especially work-life balance is receiving growing attention in recent literature, reflecting its importance for the current generation [26]. This is an interesting finding since it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the medical profession is known to be a demanding profession in which physicians work hard, and make long days. Remarkably, particularly female participants defined the career orientation work-life balance. This methodology is not suited to make definitive statements about prevalence of a career orientation in certain subgroups. However, one might wonder whether work-life considerations might still be of more importance to female medical students. Notwithstanding, recent research showing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for male students [27], our data suggest that female participants give a higher priority to work-life considerations. Students in the work-life balance also were further along their education. This prompts the question whether more experience in the field will push students to the work-life orientation or that life-events along the way will make students turn to this career orientation. The current generation of medical specialists tend to place work first, while the current gener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often referred to as millennials) [28] might value time off and lifestyle more [29].

[의대생이나 졸업생]과 [기존 세대의 의학 전문가]들 사이의 라이프스타일 선호와 직업 선택에 대한 공개적인 대화는 사생활보다 [일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후자의 일반적인 기대] 때문에 방해될 수 있다[30]. 이러한 기대는 학생들에게 (무의식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교육자 및 역할 모델과 일과 삶의 균형 기능을 논의하는 장벽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이미 시행 중인 의사의 레지던트 기간과 경력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더욱 관련이 있습니다 [31–34]. 따라서 의료 훈련과 업무 환경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하여 의대생의 선호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대생들이 의학 전공 선택에서 [일과 삶의 균형 가치를 고려하는 것이 더 복잡한 이유]는 일과 삶의 균형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여 평생 지속 가능한 전공 선택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개인의 진로 결정을 반성하고 탐구하는 것은 개인이 현재 라이프스타일과 양립할 수 있고 변화에도 유연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9].

Open conversations on lifestyle preferences and career choices between medical students or graduates and the current generation of medical specialists might be hindered by the general expectations of the latter that one should prioritise work over private life [30]. These expectations might convey (unconscious) messages to students, raising barriers to discuss work-life balance features with their educators and role models. This is even more relevant as work-life balance i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attrition during residency and career changes of physicians already in practice [3134].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references of medical students with regard to work-life balance in medical training and work settings. A complicating aspect for medical students in taking work-life balance values into account in their medical specialty choice is that their work-life balance values might shift over time, making it difficult to make a lifelong sustainable specialty choic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reflecting on and exploring one’s career decisions can help individuals to make decision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ir current lifestyle and flexible to changes therein, in order to meet with evolving work-life needs during their career [19].

62개 문장의 순위를 매긴 다음 인터뷰에서, 학생들은 분류 연습을 어떻게 경험했는지 질문을 받았다. 모든 참가자는 자신의 가치, 요구 및 동기를 이러한 특정한 방법으로 우선시하는 것이 우선순위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들의 의견으로는, 이것은 철저한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고, 따라서 Q-sorting이 진로 지도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은 또한 학생들에게 미래 연구의 어떤 특징들이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지 통찰하도록 안내하고 그에 따라 그들에게 의료 전공들을 탐구하도록 자극하면서, 한편으로는 의학 전공들에 대한 새로운 창을 열어줌으로써 잘못된 분배maldistribution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많은 특징들(예: "다학제 팀에서 일하는 것")이 여러 전공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다. 광범위한 탐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이것을 보여주는 것은 전문 분야에 대한 더 나은 분배를 위해 노력하는 유망한 출발이 될 수 있다.
In the interviews following the ranking of the 62 statements, students were asked how they experienced the sorting exercise. All participants recognised that prioritising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n this particular way helped them to get insight in their priorities. In their opinion this would help them in thorough career decision making, thereby suggesting that Q-sorting could be used as a career guidance tool. This also creates opportunities to address the maldistribution by on one hand opening a new window on medical specialties to become more attractive, while on the other hand guiding students to the insight what features of future work are most important to them and stimulating them to explore the medical specialties accordingly. Many features (e.g. “working in a multidisciplinary team”) can be found in multiple specialties. Showing this to students by enabling a broad exploration might be a promising start in striving towards a better distribution over the specialties.

이 연구에서 사용된 접근 방식은 참가자들이 그들의 진로 방향과 관련될 수 있는 광범위한 측면을 고려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자극했기 때문에, 우리의 결과는 의대생들 사이의 전문적 선호도를 안내하는 중요한 특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자신의 가치관, 필요성, 동기를 탐색하고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학생들이 좀 더 이성적인 방식으로 진로 결정 과정을 거치도록 자극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록 이것이 결정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35] 대부분의 학생들이 실제로 이 과정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닐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학생들은 진로 상담이나 개별 지도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the approach used in this study stimulated participants to consider and prioritise a broad range of aspects that may be relevant to their career orientation, our results offe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mportant features guiding specialty preferences among medical students. It is anticipated that by exploring and prioritising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n this way, students are stimulated to go through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in a more rational way. Although this could be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ecision [35], it is probably not how most students approach this process in practice. If so, students could benefit from career counselling, or individual coaching.

특정한 직업 지향을 특정한 의학 전문 분야와 연결시키는 것은 유혹적이다. 비록 이것이 미래의 연구에서 더 깊이 탐구하는 것은 분명 흥미로울 것이지만, 거기에는 함정이 있다. 무엇보다도, 이 연구는 우리에게 [일과 관련된 내용 진술]이 직업 지향성을 구별하는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특정한 의학 전공의 전공의들에게서 서로 다른 직업 지향점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둘째, 특정 직업 지향을 의료 전문 분야에 연결하는 것은 의료 전문 분야에 대한 잘못된 분배의 강화의 위험을 감수하면서 탐색 단계를 억제할 수 있다.

It is tempting to link a specific career orientations to certain medical specialties. Although this would certainly be interesting to further explore in future research, there is a pitfall to it. First of all, this study showed us the work-related content statements were not the distinguishing factors between these career orientations. That raises the question whether different career orientations can be found in medical specialists in a medical specialty. Secondly, linking certain career orientations to medical specialties might inhibit the exploration phase, risking reinforcement of the maldistribution over the medical specialties.

이 연구의 몇 가지 한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우리의 표본 전략은 잠재적으로 광범위한 관점을 수집하기 위해 다양성을 최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의대생들 사이에서 중요한 진로 방향을 놓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전에 우리는 직업 지향에서 더 많은 이질성을 발견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질성이 부족하였고, 이것은 우리의 연구 설계 또는 의과대학의 동질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우리의 연구 설계와 관련하여, 우리는 최대한의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동질적인 학생 그룹에서 표본을 추출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질성은 의과대학 선택, 아마도 특정한 동기, 가치관 또는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 또는 의과대학이 시작될 때 직업 지향에 더 많은 다양성이 있지만, 학습이나 사회화를 통해 이러한 다양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즉, 학생이 인식, 사고 및 행동 방법을 학습함)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need to be highlighted. Although our sample strategy was focused on maximising variety in order to collect the potentially wide range of perspectives, it is possible that we have missed an important career orientation among medical students. Beforehand we expected to find more heterogeneity in career orientations. This lack in heterogeneity might be explained either by our study design, or by a homogeneity in medical school. Regarding our study design, we might have sampled from a homogeneous group of students, despite our attempt to actively seek maximum variety. However, this homogeneity might also be caused by medical school selection, perhaps selecting students with certain motives, values or talents, or it might be that there is a wider variety in career orientations at the start of medical school, but that through learning or socialisation (i.e. students learning a way of perceiving, thinking and acting) this variety decreases over the years.

따라서 향후 연구에 필요한 것은 의과대학 동안 진로 지향이 변화하는지,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다른 특성을 가진 학생과 학교 간에 다른지 여부를 탐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업 가치가 사회적 기원과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이전의 경력 관리 연구가 제안했듯이, 이것은 의대생들의 다양성이 증가하는 맥락에서 특히 가치 있을 수 있다. 다른 문화 연구는 또한 이러한 지향의 사회 문화적 의존성과 이 연구의 맥락 밖에서 발견된 결과의 타당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refore a promising route for future research would be to explore if, how and why career orientations change during medical school, and whether this differs between students and schoo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might be particularly valuable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diversity in medical students, as previous career management research suggested that job values might, for instance, be dependent on social origins and gender. Cross-cultural research would also be beneficial to get an idea of the sociocultural dependence of these orientations, and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outside the context of this study.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의대생들의 진로 지도와 진로 선택 기술 훈련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실적으로 학생 간 진로지향을 살펴보고 이해하는 것이 의대생 진로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경력 관리 문헌은 [[일과 사생활에 대한 가치, 관심사, 선호]를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 적절한 경력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36]. 개인의 커리어 결정은 자기 인식 성찰을 포함한 광범위한 직업 탐구가 선행될 때 더 적절하고 장기적인 만족을 얻는 경향이 있다[36]. 게다가, 목표는 자신과 직업 분야의 정확한 사진을 바탕으로 할 때 더 현실적일 가능성이 높다.
Our findings have potential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and career choice skills training in medical students. Practically, examining and understanding career orientations among students can help in career counselling of medical students. Career management literature claims that self-awareness of values, interests and preferences in work and private life is essential in making appropriate career decisions [36]. Individuals’ occupational decisions tend to be more appropriate and long-term satisfying when they are preceded by extensive career exploration, including self-awareness reflection [36]. In addition, goals are likely to be more realistic when they are based on accurate pictures of oneself and the career field.

게다가 학생들이 그들의 직업 가치, 선호와 동기를 탐색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으로 시작하도록 자극하는 것은 더 적절하고 장기적인 만족스러운 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더 넓은 범위의 의학 전공을 고려하도록 장려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직업 선택 이론은 모두 광범위한 탐구 이전에 동기 부여에 대한 어떤 형태의 인지적 성찰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선호와 우선순위가 임상 경험 동안 바뀔 수 있지만, 만약 학생들이 그들 자신의 진로 선택 과정을 반성하고 탐구하며 더 잘 조종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 받는다면, 그들은 이러한 기술과 도구들을 나중에 그들의 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가치, 관심사 및 동기에 부합하는 보다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훈련 중 또는 훈련 후 중퇴를 줄일 수 있다[37]. 여기에 제시된 진술 분류 연습은 실제로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는 것을 돕는 효과적인 도구일 수 있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서로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 붙이는 중요성을 생각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자신의 선호 형성 과정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았다.
On top of that stimulating students to start with exploring and prioritising their work values, preferences and motives might enable more appropriate and long-term satisfying decisions, and might be a valuable starting point to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a broader scope of medical specialties. Career choice theories all seem to include some form of cognitive reflection on motivation before a wide exploration. Although preferences and priorities might shift during clinical experiences, if students are offered the tools to reflect on, explore and better steer their own career choice process, they are able to use these skills and tools later on in their careers as well. This can prime students to make more rational decision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ir values, interests and motives, with the potential of decreasing dropout during or after training [37]. The statement sorting exercise presented here actually might be an effective tool to help students to self-explore. Most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found it useful for their own preference formation process, as they were challenged to think about the importance they attach to a variety of aspects relative to each other.

진로 지도에 개입할 수 있게 되기 전에, 의료 교육자들은 다음 조건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커리어 관리 역량을 스스로 탐색하고 배울 수 있는 것은 안전한 비판단 환경을 필요로 하며, 이는 의학교육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심리적) 안전은 의과대학이나 교사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의료 분야의 직업 기회와 관련하여 전달하는 메시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암묵적인 믿음과 규범은 소위 숨겨진 커리큘럼에서 의대생들에게 전달되는데, 이는 정규 교육의 부작용이다[38]. 의대생들이 스승과 역할모델의 가치에 적응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이 숨겨진 커리큘럼은 의대생들의 가치, 필요, 동기를 공개적으로 논하려는 의지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이들이 선생님이나 역할모델에서 벗어난다고 느낄 때 그렇다. 어떤 학생들은 심지어 그 특정 전공의 의사들에 대한 폄하적인 발언에 직면했을 때 그들의 직업 포부를 재고할 수도 있다.
Before being able to intervene with career coaching, medical educationalists need to attend to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of all, being able to self-explore and learn the career management competencies in an effective way requires a safe non-judgmental environment, which might need some work in the setting of medical education. The safety might be restricted by messages the medical school or teacher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convey with regard to career opportunities in the medical field. Implicit beliefs and norms are transmitted to medical students in the so-called hidden curriculum, as a side effect of formal education [38]. As medical students try to adapt to the values of their teachers and role models, this hidden curriculum may have a strong influence on medical students’ willingness to openly discuss their values, needs and motives, especially when feeling that these deviate from their teachers or role models. Some students may even rethink their career aspirations when confronted with denigrating remarks about physicians in that particular specialty.

[의대생들의 진로 포부]와 [사회에서의 의학 전문가에 대한 필요성] 사이의 불일치가 있는 상황에서, 두 번째 우려는 의대 진학 요건과 대학원 의학 교육에 대한 집중이 [학생에 의한 효과적인 진로 관리를 위한 어떠한 시도]도 실제로 좌절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 탐구와 잠재적으로 일치하는 전문분야를 탐색하는 데 투자되는 시간은 의료 전문훈련에 들어가는 데 도움이 되는 이력서를 만드는 데 투자될 수 없으며, 동일한 훈련 기회를 위해 경쟁하는 동료들에게 불리하게 인식될 수 있다.
A second concern in the context of the mismatch between career aspirations of medical students and the needs for medical specialists in society is that the focus on the requirements for getting into medical school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might actually discourage any attempts for effective career management by students. The time invested in self-exploration and exploring potentially matching specialties cannot be invested in building a résumé that will help them get into medical specialty training, and can be perceived as a disadvantage to peers competing for the same training opportunities.

결론
Conclusion

네덜란드의 의대생들 사이에서 진로 선택과 관련하여 도전의 중요성, 일과 삶의 균형 및 인지도에서 다른 세 가지 진로 방향을 구분했다.
We distinguished three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Netherlands that differ in the importance of challenge, work-life balance, and recognition in relation to their career choices.

우리는 모든 학생들에게 그들의 가치, 요구, 동기를 탐색하고 우선 순위를 매겨야 하는 진로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 좋은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불만족스러운 직업의 위험을 무릅쓰지 않으면서 전문분야에 대해 더 나은 분배를 실현하기 위해 학생들이 파악된 가치, 필요성 및 동기를 가지고 의학분야를 폭넓게 탐구하도록 도전하는 것이 유망할 수 있다. 어쨌든, 학생의 진로 방향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사회적 관점에서 전문 분야에 대한 더 나은 분배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의료 인력에서 기회를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동시에 학생들이 만족스럽고 지속 가능한 의료 경력을 추구하도록 자극한다.

We argued that offering all students career coaching in which they are required to explore and prioritise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s a good start. It might be promising to challenge students to broadly explore the medical specialties on their match with their identified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in order to actualise a better distribution over the specialties, while not risking dissatisfying careers. In any cas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er orientations of students is helpful in reconfiguring opportunities in the medical workforce in a way that helps achieve a better distribution over the specialties from a societal perspective, while still stimulating students to pursue a satisfying and sustainable medical career.

 


PLoS One. 2021 May 21;16(5):e0249092. doi: 10.1371/journal.pone.0249092. eCollection 2021.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A Q-methodology stud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Rotterdam, Erasmus Medical Center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2Erasmus School of Health Policy & Management,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3Erasmus School of Economics,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4Radboudumc Health Academy, Radboud University Medical Center Nijmegen, Nijmegen, The Netherlands.

5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Radboud University Medical Center Nijmegen, Nijmegen, The Netherlands.

6Department of Pediatrics, Erasmus Medical Center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PMID: 34019546

PMCID: PMC8139450

DOI: 10.1371/journal.pone.0249092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In pursuing optimal health care, an adequate medical workforce is crucial. However, many countries are struggling with a misalignment of students' specialty preferences and societal needs regarding the future medical workforce. In order to bridge this gap, it is relevant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dical career choice processes. We explored career orientations among medical students in the Netherlands and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career choices.

Methods: We used Q-methodology, a hybrid qualitative-quantitative method, to explore career orientations of medical students. Medical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the Netherlands, varying in year of progression of medical school, ranked 62 statements with regard to importance for their future career choice. Participants explained their ranking in an interview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regarding demographics. Using by-person factor analysis we identified groups of individuals with similar orientations.

Results: Twenty-four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ing in three distinct orientations towards future careers: a first career orientation that highly values lifelong self-development; a second that values work-life balance, and a third that was more concerned with achievement and recognition of their work.

Conclusion: Medical students' career orientations differed in the importance of challenge, work-life balance, and need for recognition. This knowledge can help to design interventions to shift career choices of medical students closer towards future needs in society. Offering career coaching to students that challenges them to explore and prioritise their values, needs and motivations, for example using the materials form this study as a tool, and stimulates them to consider specialties accordingly, could be a promising strategy for guiding students to more long-term satisfying careers.

 

실천적 지혜, 의학교육의 잠자고 있는 특성? (Med Educ, 2019)
Practical wisdom, a dormant character in medical education?
Paul Paes1,2

 

실제로 [이론의 역할]은 수세기 동안 지속되어 온 논쟁이다. 교육 연구에서 이론의 의미 있는 역할은 브라운 등이 의학 교육 이번 호에서 발표한 논문의 초점이며, 그들은 발표된 연구 논문에 제시된 이론의 차이를 강조한다. 저자들은 이론이 연구에서 취할 수 있는 잠재적인 역할과 특징을 일반실천교육에서 이론의 사용에 대한 자체적인 조사를 세우기 전에 언급한다. 그들은 [이야기 속의 역할]에 대한 캠벨의 특성화에 기초하여 이론이 사용되고 표현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여기에는 많은 독자들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킬 주인공, 전조, 동맹, 멘토가 있다.
The role of theory in practice is a debate that has gone on for centuries. The meaningful role of theory in educational research is the focus of an article by Brown et al.2 in this issue of Medical Education, in which they highlight the gap in theory presented in published research papers. The authors reference the potential roles and characters that theory can take in research before setting out their own investigation of the use of theory in general practice education. They develop a framework for the ways in which theory can be used and articulated, based on Campbell's characterisation of roles in a story: the protagonist, the harbinger, ally and mentor,3 which will resonate with many readers.

모든 독자들에게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은 [이론이 상실되는 것]에 대해 저자들이 강조하는 우려이며, [중심적 역할 이론]은 의학교육 연구와 더 넓은 의학교육 그 자체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 의학 교육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것은 [가장 순수하고 학문적인 형태의 교육]과 [모든 인간의 혼란 속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적 실천] 사이의 현실 세계의 경계 지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특히 환자 안전이 의학과 의료 교육에서 지배적인 원동력 중 하나가 되면서 [후자]의 의지인 임상 실습이 우세해졌다.
What will resonate with all readers are the concerns the authors highlight around theory becoming lost, and the central role theory should pla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in wider medical education itself. Medical education faces a major challenge. It sits in a real-world border zone between education in its purest, academic form and clinical practice in all its human messiness. In recent decades, the will of the latter, clinical practice, has predominated as patient safety in particular has become one of the dominating driving forces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스템 사고를 위한 서비스 및 교육이 이루어집니다. 커리큘럼과 평가의 꾸준한 수렴과 균질화, 그리고 지역적 변이의 제거, 성과에 초점을 맞춘 교육 모델로 이어진다. 여기서 [외부 규제 및 평가]가 학습을 추진한다: 모든 사람을 위한 역량이 최우선이다.

This leads services and training towards systems thinking:

  • a steady convergence and homogenisation of curricula and assessment, and
  • removal of local variation,
  • leading to educational models that are centrally driven with a focus on outcomes.

Here, external regulation and assessment drive learning; competence for all is the major priority.

… 특히 환자 안전은 의학과 의학 교육에서 지배적인 원동력 중 하나가 되었다.
… patient safety in particular has become one of the dominating driving forces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이 그림에서 이론은 어디에 들어맞는가? 성과 기반 의료 교육의 평가 과정, 커리큘럼 및 초점 뒤에는 토대가 되는 이론이 있다. 그러나 이론의 지위를 바꿔놓았으며, 이와 경쟁하는 이데올로기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이는 이론이 '잃어버린 등장인물'이 될 수 있는, 점점 기계적이고 서비스 중심적인 교육 모델로 초점이 옮겨음을 의미한다. 그것이 문제입니까? 만약 우리가 그들의 훈련으로부터 의사들에게 정말로 요구되는 것을 성취하는 목적을 잃는다면 그것은 문제이다.

  • 안전하며 대부분의 시간 동안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한다. 
  • 가이드라인에서 벗어나는 시점과 방식을 인식한다. 
  • 드물거나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때 가끔 영감을 받거나 분야를 벗어날 수 있다.

Where does theory fit in to this picture? There is underpinning theory behind the assessment processes, curricula and focus of outcomes-based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focus has shifted from the place of theory and competing ideologies being at the forefront, to a model of education that is increasingly mechanistic and service driven, where theory can become a ‘lost character’. Is that a problem? It is a problem if we lose purpose in achieving what is really required of doctors from their training:

  • to be safe and follow guidelines much of the time;
  • to recognise when and how to deviate from those guidelines some of the time; and
  • just occasionally to be inspired or left field when dealing with rare or complex situations.

최근 의료 교육 및 서비스 제공 트렌드의 역설은 우리가 의도했던 것과 반대되는 것을 달성하고 있을지도 모른다안전 측면에서 엇갈린 결과, 불만 사항 증가, 직업적 불만 증가, 환자 관리의 과잉 의료화.
The paradox of rec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and service delivery is that we may be achieving the opposite of what was intended: mixed results in terms of safety, with more complaints, greater professional unhappiness and an over-medicalisation of patient care.4-6

의학 교육이 번창하기 위해서는 [중심 긴장]을 관리해야 한다. 이론 대 실제, 평가 대 학습, 결과 대 개발 등이 그것이다. 균형이 깨지면 문제가 생긴다.

For medical education to flourish, core tensions need to be kept in check: theory versus practice, assessment versus learning, outputs versus development and so on. When those balances go out of harmony, there is a problem.

특정한 이론과 실제의 논쟁은 최근 몇 세기 동안 일어난 것 중 하나이다. '이론'이라는 단어를 파생시킨 그리스인들은 논쟁을 일으킬 경계선을 인식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의 이론에 의미와 뉘앙스는 지금까지 계속 진화해왔다. 고전적인 논쟁의 초점은 [이론과 실제]에 대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인간 활동]과 [그 활동을 가이드하고 정보를 주는 지식의 유형]에 대한 것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행동의 세 가지 주요 형태를 묘사했다: 이론, 포이시스 그리고 연습.

  • [테오리아]이란 사람들이 진실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기 위해 하는 활동에 관한 것이다.
  • [포에시스]가시적인 결과나 생산물로 이어지는 활동에 관한 것이다.
  • [프랙시스]는 포아시스의 최종 산물보다는 실천과 행동을 통해 '좋은' 삶을 촉진하고자 하는 활동을 말한다.

The particular debate of theory versus practice is one of recent centuries. The Greeks, from whom the word ‘theory’ is derived, would not have recognised the same dividing lines. Our understanding of theory has evolved in meaning and nuance. The focus of classical debate was less about theory and practice, and more about different kinds of human activities and the type of knowledge that guides and informs them. Aristotle described three main forms of human action: theoria, poiesis and praxis.

  • Theoria is about activities that people do to learn about and understand the truth.
  • Poiesis is about activities that lead to tangible outcomes or products.
  • Praxis refers to activities that seek to promote a ‘good’ life through actions and behaviours, rather than through the end products of poiesis.

metapraxis-.pdf
0.25MB

비록 '테오리아'를 현대 이론의 개념과 연결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그것은 너무 단순한 연결이다. 만약 [이론]이 '의미있는 전체로서 전달되는 일련의 이슈에 대한 조직화된, 일관성 있는, 체계적인 표현'이라면, 포에시스와 프랙시스는 모두 명확한 이론적 토대를 가지고 있다.

  • '포에시스'조차도, 가장 실용적인 활동의 형태이지만, 최종 산물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원리, 절차 및 조직적 방법인 명확한 이론 '테크네techne'에 의해 뒷받침된다.
  • '프랙시스'는 선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고, 가장 좋은 전반적인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실용적인 지혜phronesis'에 의존한다.

지식, 지혜, 지성은 모두 실용적인 지혜와 관련이 있지만, 그것은 또한 고려되고 있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실제로 연결됨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용적인 지혜는 이론과 실제를 함께 가져온다; 이것이 존재하려면 이론과 실재가 모두 있어야 한다. 선good을 이루기 위한 올바른 행동 방침을 결정하는 것은 상황을 아는 것에 달려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숙고, 성찰, 판단이 필요하다.
Although it is understandable to link ‘theoria’ with modern concepts of theory, it is too simplistic a link. If theory is ‘an organised, coherent and systematic articulation of a set of issues that are communicated as a meaningful whole’,7 then both poiesis and praxis have clear theoretical underpinnings.

  • Even poiesis, the most practical form of activity, is underpinned by clear theory ‘techne’, the most effective principles, procedures and organisational methods to achieve the end product.
  • Praxis is about trying to achieve good and relies on ‘practical wisdom’ (phronesis) to decide on the best overall action.

Knowledge, wisdom and intellect all relate to practical wisdom, but it is also distinguishable by being routed in practice, the particular situation being considered.8 Practical wisdom therefore brings together theory and practice; it cannot exist without both. Deciding on the correct course of action to achieve good relies on knowing the situation, and vice versa. It also requires deliberation, reflection and judgement of what to do in different situations.9

[실용적 지혜]나 [프로네시스]는 다소 난해하거나 난해한 용어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용적 지혜는 이론과 실제의 상호의존성을 연결하고 강화하는 또 다른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Practical wisdom or phronesis may seem somewhat arcane or recondite terms. However, practical wisdom can provide another lens through which to bridge and reinforce the interdependence of theory and practice.

의료행위에 모멘텀 변화가 시작되고 있어 의료교육에 좋은 징조가 되고 있다. 의사 결정과 현실적 의학을 공유하고 조잡한 데이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사람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더라도 이론의 실천, 실천적 지혜, 이론의 교반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을 규약이나 가이드라인에 맞추는 것보다 우리 앞에 있는 사람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법을 배우고 생각하는 선한 일을 하고 싶은 욕망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인식하고 가치 있게 여기는 것입니다. 논쟁의 각성인 변화는 이론과 그것이 교육과 실천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에 빛을 비추는 기회를 제공한다.

There is starting to be a momentum shift in medical practice, which bodes well for medical education.10, 11 In the drive towards shared decision making and realistic medicine and less reliance on crude data, one can start to see a stirring of praxis, of practical wisdom, of theory even if it is not yet overt. The desire to do good, to learn and think about how to do the best for the person in front of us, rather than fitting individuals into a protocol or guideline, is one that Aristotle would have recognised and valued. A change, a reawakening of debate, provides an opportunity to shine a light on theory and the crucial role it plays in shaping education and practice.


Med Educ. 2019 May;53(5):428-429. doi: 10.1111/medu.13832. Epub 2019 Apr 1.

Practical wisdom, a dormant character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School of Medical Education, Newcastle University, Newcastle upon Tyne, UK.

2Palliative Care, Northumbria Healthcare NHS Foundation Trust, North Shields, UK.

PMID: 30932203

DOI: 10.1111/medu.13832

조언과 멘토링을 넘어: 의학교육에서 코칭을 위한 역량(Med Teach, 2021)
Beyond advising and mentoring: Competencies for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Meg Wolffa , Nicole M. Deioriob , Amy Miller Juvec , Judee Richardsond, Gail Gazellee, Margaret Mooref, Sally A. Santenb and Maya M. Hammoudg 

 

 

 

서론
Introduction

의학 분야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HCP)의 신속한 개인 및 전문적 개발, 적응형 전문 지식 및 자기 주도 학습에 대한 요구는 HCP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데 필수적이다(Friedman 2016). 각각의 새로운 치료, 새로운 감염 및 변형 건강 정책은 HCP가 고품질의 치료를 위해 신속하게 적응할 것을 요구한다. 의료 교육에서 학술 코칭을 HCP 훈련에서 자기 주도적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적응형 전문지식의 개발을 촉진하는 프로세스로 설명한다(Deiorio et al. 2016; Cuter et al. 2018).
The field of medicine is constantly evolving. The demand from health-care providers (HCP) for rapid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daptive expertise and self-directed learning is essential to accelerate HCP’s change (Friedman 2016). Each new treatment, emerging infection and transformative health policy requires HCPs to rapidly adapt for high-quality care. Academic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is described as a process to facilitat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fast-changing, adaptive expertise in HCP training (Deiorio et al. 2016; Cutrer et al. 2018).

코칭은 성과 중심 직업(예: 음악, 스포츠 및 비즈니스)에서 어디에나 있습니다. 최근 부상하고 있는 의사 코칭은 리더십 개발과 웰빙을 지원합니다(Dyrby et al. 2019).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으로 설명되었으며(Deiorio et al. 2016), 학습자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이 크게 증가했다(Wolff et al. 2020). 학습자 웰빙 향상 외에도 코칭은 기술 스킬을 개선하고 비기술적 스킬을 향상시킨다(Lovell 2018; Wolff et al. 2020). 멘토링과 조언과 유사하게, 코칭은 개인의 발전에 초점을 맞춘 과정이다. 

  • [멘토링과 조언]은 일반적으로 지시적이며, 정보를 더 상급 개인에서 더 하위 개인으로 의도적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되었다(Deiorio et al. 2016). 이와는 대조적으로, 
  • [코칭]은 '학습자가 자신의 가정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관련 결과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하며,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특정 조치]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돕는 학습자 중심입니다(Deiorio et al. 2016).

Coaching is ubiquitous in performance-focused professions (e.g. music, sports and business). Emerging recently, coaching for physicians supports leadership development and wellbeing (Dyrbye et al. 2019). It has been described in medical education as a way to help learners achieve their full potential (Deiorio et al. 2016) and coaching programs for learner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Wolff et al. 2020). In addition to improving learner well-being, coaching improves technical skills and enhances non-technical skills (Lovell 2018; Wolff et al. 2020). Similar to mentoring and advising, coaching is a process focused on an individual’s development.

  • Mentoring and advising, however, are generally directive and designed to intentionally transfer information from a more senior individual to a more junior one (Deiorio et al. 2016). In contrast,
  • coaching is learner-driven with the coach helping ‘learners gain insights into their own assumptions, clarify meaning about relevant outcomes, and help identify specific actions needed to achieve a desired result’ (Deiorio et al. 2016).

코칭은 마스터 적응 학습자(MAL) 개발에 필수적이다(Cuter et al. 2018). MALs는 실천에 적응하고 진화하기 위해 지식 격차를 식별하고 완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자체 규제 학습자이다(Cuter et al. 2017). MAL 프로세스의 계획, 학습, 평가 및 조정 단계를 통해 학습자를 체계적으로 코칭하면 교육자는 필요에 따라 일상적인 전문 지식과 혁신적인 전문 지식을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Cuter et al. 2020).
Coaching is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the master adaptive learner (MAL) (Cutrer et al. 2018). MALs are self-regulated learners in constant pursuit of identifying and mitigating their knowledge gaps to adapt and evolve their practice (Cutrer et al. 2017). Systematically coaching the learner through the Planning, Learning, Assessing and Adjusting phases of the MAL process prepares trainees to rapidly flex between routine and innovative expertise as needed (Cutrer et al. 2020).

상당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의학 교육에 대한 코치 준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교육은 기존 멘토링 및 조언 프로그램을 채택하거나 경영진 코칭 문헌(Deorio and Hammoud 2017, Athanasopoulou and Dopson 2018, ICF 2019)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국제코칭연맹(ICF)은 공인된 전문 코치(ICF 2019)의 핵심 역량을 설명한다. 그러나 의료 교육의 고유한 맥락, MAL 기술 개발을 촉진하려는 욕구 및 의료 교육에서 코치가 종종 동시에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는 고려(Brooks et al. 2020)를 고려할 때, 우리는 의학교육 코칭을 위한 특정 역량을 개발할 필요성을 확인했다. 명확한 역량이 없다면, 코치를 훈련시키고, 성과를 평가하거나, 코칭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은 어렵다. 이는 의료 교육 내에서 코칭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고 확장할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과 측정의 개발을 방해한다(Carney et al. 2019).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 교육을 위한 일련의 핵심 코칭 역량을 개발했습니다.
Despite significant growth, no clear standards exist for preparing coaches in medical education. Training has been adapted from existing mentoring and advising programs or extrapolated from the executive coaching literature (Deorio and Hammoud 2017; Athanasopoulou and Dopson 2018; ICF 2019). The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ICF) describes core competencies for certified, professional coaches (ICF 2019). However, given the uniqu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the desire to facilitate MAL skills development and the consideration that coaches in medical education often engage in multiple roles simultaneously (Brooks et al. 2020), we identified a need to develop specific competencies for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Without clear competencies, it is difficult to train coaches, assess performance or evaluate a coaching program. This hinders development of outcome measures to determine whether coaching programs are effective and worthy of expansion within medical education (Carney et al. 2019). To address this, we developed a set of core coaching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ion.

방법들
Methods

Delphi 프로세스는 전문가 합의를 형성하기 위해 잘 확립되어 있다. 또한 실무(Togneto et al. 2019)와 훈련(Santen et al. 2014)에서 HCP에 대한 역량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프로세스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 검토 및 개선을 위해 그룹에 데이터를 다시 제시하는 반복적인 라운드로 구성된다.

The Delphi process is well-established for building expert consensus (Hasson et al. 2000) and has been used to develop competency frameworks for HCPs in practice (Tognetto et al. 2019) and in training (Santen et al. 2014). The process consists of iterative rounds of data collection, collation of data and then presentation of the data back to the group for review and refinement.

2010-2020년 사이에 PubMed,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데이터베이스 및 PsycNet의 영어로 기사를 제한하는 범위 검토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검색어를 활용했다. 추가 논문 발굴을 위한 스노우볼 참조 교차조회가 완료됐다. 모든 요약본이 검토되었고, 환자의 건강 코칭과 관련된 원고는 제외되었다. 2018년 10월, 의학교육 컨소시엄 학교(AMA 2020)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AMA를 포함한 전국 주제 코칭 회의가 소집되었다. 문헌 검토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국제 코칭 연맹(ICF) 모델을 출발점(ICF 2019)으로 사용하여 논의를 주도하고 카테고리와 개별 역량을 생성했다.
We performed a scoping review between 2010–2020 limiting articles to the English language in PubMed, ERIC: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database, and PsycNet, utiliz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coach, coaching competencies, coach training and medical education. Snowball reference cross-checking was completed to find additional papers. All abstracts were reviewed; manuscripts pertaining to health coaching of patients were excluded. In October 2018, a national Thematic Coaching Meeting including AMA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Consortium schools (AMA 2020), experts in coaching, adaptive learning, neuroscience and medical education convened. Informed by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we led the discussion and generated categories and individual competencies, using the International Coaching Federation (ICF) model as a starting point (ICF 2019).

새로운 역량을 제안한 전문가 패널에게 결과가 제공되었습니다. 주제별 코칭 미팅에서 8명을 모집하여 의학교육 및 코칭 전문가 패널로 위촉하였으며, 7명이 참여하였다. 3명은 ICF 공인코치, 1명은 상무코치로 훈련받은 의료교육자, 나머지는 의료교육 코칭 경험이 있는 의료교육자들이었다. 세 차례의 의견 일치를 통해 최종 도메인과 역량이 도출되었다.
Results were provided to our expert panel who proposed new competencies. Eight individuals were recruited at the Thematic Coaching Meeting to serve on the expert medical education and coaching panel; seven participated. Three were ICF certified coaches, one was a medical educator trained as an executive coach and the remainder were medical educators who had experience with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Three rounds of consensus resulted in the final domains and competencies.

결과.
Results

패널 7명 전원이 3차례 델파이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 과정을 통해 코칭 프로세스/구조, 관계형 스킬, 코칭 스킬, 코칭 이론 및 모델, 코치 개발 등 5개 영역에서 코치에 초점을 맞춘 15가지 역량을 얻게 되었습니다(표 1).
All seven panel members participated in three Delphi rounds. This process resulted in 15 competencies in five domains focused on coaches working with learners across the continuum:

  • coaching process/structure,
  • relational skills,
  • coaching skills,
  • coaching theories and models, and
  • coach development (Table 1).

코칭 구조 및 프로세스
Coaching structure and process

이러한 역량은 [프로세스 로지스틱스]를 코칭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러한 것들은 역할과 책임, 만남의 구조 및 예절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확립하는 데 필수적이다. 또한 코치는 코칭 관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탐구해야 합니다.
These competencies focus on coaching process logistics. These are essential to establish a clear understanding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structure and cadence of encounters. Coaches should also explore how coaching relationship is working and not working and how to improve.

관계 기술
Relational skills

이러한 역량은 신뢰와 명확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코치는 학습자를 이해하고 필요에 적응할 수 있는 정서적 지능과 적응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코치는 코치의 정서적 지능을 길러야 한다.
These competencies are critical in establishing trust and clear, effective communication. The coach need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aptability to understand the learner and adapt to needs. In addition, the coach must cultivate the coachee’s emotional intelligence.

코칭 스킬
Coaching skills

코칭 스킬은 4단계 모두를 통해 MAL을 개발하는 데 중요합니다. 코치는 효과적인 질문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성장을 촉진하고 최대한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학습자에게 이러한 단계를 안내해야 합니다. 또한 코치는 coachee가 웰빙과 전문적 성취도를 함양하면서 동기부여와 자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Coaching skills a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the MAL through all four phases. The coach should guide the learner through these phases, using effective questioning to facilitate learner growth and maximum development. In addition, the coach supports the coachee in improv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hile cultivat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fulfillment.

이론 및 모델 코칭
Coaching theories and models

코치는 개별 학습자 목표 달성을 촉진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모델과 도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모델을 코칭하는 데 정통해야 합니다.
Coaches should be well versed in coaching theories and models, to utilize the most appropriate models and tools as they facilitate achievement of individual learner goals.

코치 개발
Coach development

이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는 지속적인 코치 개발 및 자기 관리 능력 배양입니다. 감독으로서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언제 참고해야 하는지 아는 것도 중요하다.

An essential component of this process is ongoing coach development as well as cultivating self-management. It is also important for a coach to recognize their limitations as a coach and know when to refer.

논의
Discussion

우리는 HCP 학습자와 함께 일하는 코치를 위한 역량을 정의하기 시작했다. 결과 프레임워크는 코치를 위한 학습 목표, 교육 및 개발 커리큘럼을 개발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합니다. 역량은 효과적인 코칭을 정의하고, 효과적인 코치를 개발하며, 코치 평가를 만들고, 프로그램적 평가를 수행하는 기본이며, 이는 효과와 가치를 입증하는 데 필수적이다.
We began to define competencies for coaches working with HCP learners. The resulting framework provides a starting point to develop learning objectives, training and development curricula for coaches. Competencies are the basis of defining effective coaching, developing effective coaches and creating coach assessments and performing programmatic evaluation, which is essential for demonstrating efficacy and value.

여기서 개발된 역량은 ICF(ICF 2019)에 의해 요약된 역량과 유사성을 공유하지만 의료 교육 맥락은 그 역학을 변화시킨다. ICF의 명시된 목표는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잠재력을 극대화하도록 영감을 주는 사고 자극적이고 창의적인 과정'에서 고객을 돕고 싶어하는 자격 있는 코치들에게 있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의학교육 코치의 역량은, 한 단계 더 나아가 평생, 자기 주도 및 적응형 학습자의 개발을 지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MAL은 실천에 적응하고 진화하기 위해 지식 격차를 식별하고 완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자기조절하는 학습자이다(Cuter et al. 2018). 식별된 역량은 학습자가 MAL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코치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코치는 코치에 특화된 전략을 파악하여 환자의 요구에 맞게 계획, 학습, 적응 및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술에 대한 성찰을 장려합니다.

  • 계획 단계에서 코치는 효과적인 질문을 사용하여 coachee가 목표를 결정하고 학습자의 자기 성찰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학습 단계에서 코치는 최상의 학습 전략을 결정하기 위해 coachee와 적극적으로 질의합니다.
  • 평가 단계에서 코치는 coachee의 책임을 묻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정확한 자체 평가를 개발합니다.
  • 조정 단계에서 코치는 coachee의 능력을 파악하여 추가 개발을 돕습니다.

The competencies developed here share similarities with the competencies outlined by the ICF (ICF 2019) but the medical education context changes their dynamic. The stated goal of ICF is to credential coaches who want to help clients ‘in a thought provoking and creative process that inspires them to maximize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potential.’ The competencies for coaches in medical education identified seek to go further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life-long, self-directed and adaptive learners. These MALs are self-regulated learners in constant pursuit of identifying and mitigating their gaps in knowledge to adapt and evolve their practice (Cutrer et al. 2018). The competencies identified highlight the coach’s role in helping the learner develop skills needed to engage in the MAL process. The coach identifies and uses strategies specific to their coachee to encourage reflection about skills with the ability to plan, learn, adapt and adjust to meet their patients’ needs.

  • In the planning phase, the coach uses effective questioning to help the coachee determine goals and elicit learner self-reflection.
  • In the learning phase, the coach engages in active inquiry with their coachee to determine the best learning strategies.
  • In the assessing phase, the coach holds the coachee accountable and provides feedback to develop accurate self-assessment.
  • In the adjusting phase, the coach identifies abilities of the coachee, assisting further development.

결론 및 향후 방향
Conclusion and future directions

의료 교육에서 학문적 지도를 위한 다음 단계는 다음과 같다.

  • 학습자와 코치의 성공을 측정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 평가를 통해 코치 역량을 뒷받침하는 유효성 증거 수집 
  • 학습자, 기관 및 코치에 대한 코칭의 영향을 문서화하고 추적할 수 있는 도구 개발 
  • 모범 사례 개발을 위한 코칭 결과 추적 및 의료 교육에 가져다주는 가치 정의

The next steps for academic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include:

  • defining how we measure success of both learners and coaches;
  • gathering validity evidence supporting coach competencies through assessment;
  • developing tools to document and track the impact of coaching on learners, institutions, and coaches; and
  • tracking coaching outcomes for best practice development and for defining the value brought to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21 Oct;43(10):1210-1213. doi: 10.1080/0142159X.2021.1947479. Epub 2021 Jul 27.

Beyond advising and mentoring: Competencies for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ine and Pediatric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 USA.

2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Richmond, VA, USA.

3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erioperative Medicine, Oregon Health and Science University, Portland, OR, USA.

4Medical Education Strategy Unit,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hicago, IL, USA.

5Department of Medicin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Boston, MA, USA.

6Institute of Coaching, McLean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Affiliate, Belmont, TN, USA.

7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 USA.

PMID: 34314291

DOI: 10.1080/0142159X.2021.1947479

Abstract

Background: Coaching supports academic goal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ellbeing in medical education. Scant literature exists on training and assessing coaches and evaluating coaching programs. To begin filling this gap, we created a set of coach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ion using a modified Delphi approach.

Methods: An expert team assembled, comprised of seven experts in the field of coaching. A modified Delphi approach was utilized to develop competencies.

Results: Fifteen competencies in five domains resulted: coaching process and structure, relational skills, coaching skills, coaching theories and models, and coach development.

Conclusion: These competencies delineate essential features of a coach in medical education. Next steps include creating faculty development and assessment tools for coaching.

Keywords: Mentor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dicine.

 

협력적 스킬 학습에 그룹 크기가 중요한가? 무작위대조군 연구(Med Educ, 2021)
Does group size matter during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A randomised study
Laerke Marijke Noerholk1 | Anne Mette Morcke2 | Kulamakan Kulasegaram3 | Lone N. Nørgaard4 | Lotte Harmsen4 | Lisbeth Anita Andreasen1,5 | Nina Gros Pedersen6 | Vilma Johnsson4 | Anishan Vamadevan1 | Martin Grønnebæk Tolsgaard1,4,7 

 

 

1 소개
1 INTRODUCTION

세계적으로, 의과대학들은 더 많은 수의 의대생들을 입학시키고 학급 규모를 늘림으로써 더 많은 의사들의 필요성에 대응하고 있다. 불행히도, 이러한 입학생 증가는 임상 훈련에 사용할 수 있는 한정된 자원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학습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교육자들은 특히 임상 기술을 배우기 위해 [기존의 일대일 견습생 모델]보다 교수 자원에 덜 의존하는 더 [비용 효율적인 교육 훈련 방법]을 요구해 왔다. 현재, 일선 연구는 학부 의료 교육에서 기술의 협업 학습 역할에 더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Globally, medical schools are responding to the need for more doctors by admitting a greater number of medical students and increasing class sizes. Unfortunately, this increased intake may have detrimental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given the finite resources available for clinical training.1-3 As a result, educators have called for more cost-effective methods of training and instructional methods that rely less on faculty resources than the traditional one-to-one apprenticeship model, in particular for learning clinical skills. Currently, frontline research proposes an increased focus on the role of collaborative learning of skill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4-6

[협력적 학습]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완료하거나 제품을 만들기 위해 협력하는 학습자 그룹'으로 정의됩니다. 최근의 연구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 [개별 학습]과 비교하여 [Dyad 학습(즉, 쌍으로 학습)의 형태로 하는 협력적 기술 학습]이 기술 보유를 개선하고 열등하지 않은 기술이 임상 작업 공간으로 전이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Dyad 학습은 유사하거나 더 나은 교육 결과를 생성하는 반면, 교육 자원의 절반만 요구하기 때문에 개별 학습보다 더 비용 효율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협력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는 [동료 관찰, 지식의 인지 공동 구성, 감소된 인지 부하, 사회적 상호 의존성 및 사회적 비교]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매개될 수 있다. 함께 일하는 학생들은 자기 효과성, 동기부여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할 때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익을 얻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절차적 학습에 대한 우려는 협업 기술 학습과 관련된 [연습 시간 단축]이, 특히 [협력자의 수가 증가]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상 기술 훈련 중 장시간 실습 시간의 중요성은 이동 자동화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는 이전 테스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다시 한번 입증되었다. 기술 훈련 중 협력자의 수가 학습자당 사용 가능한 실습 시간의 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 전이도 똑같이 손상될 수 있다.
Collaborative learning is defined as ‘groups of learners working together to solve a problem, complete a task or create a product’.7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the form of dyad learning (i.e. learning in pairs) compared with individual learning in a simulated setting leads to improved skills retention4, 8 and non-inferior skills transfer to the clinical workspace.9 In addition, dyad learning is thought to be more cost-effective than individual learning because it only requires half the instructional resources, while producing similar or better educational outcomes.10, 11 The positiv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may be mediated through mechanisms such as peer observation,8 cognitive co-construction of knowledge,12 reduced cognitive load,5 social interdependence13 and social comparison.14 Students working together collaboratively are thought to benefit in terms of increased self-efficacy, motivation and by improving their metacognitive skills when processing new information.15, 16 Yet, concerns regarding procedural learning have been raised that the reduced hands-on time associated with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may affect learners' learning negatively over time, in particular if the number of collaborators increase.15, 17 The importance of extended periods of hands-on time during clinical skills training is essential for achieving movement automaticity, which again has been shown to result in improved transfer test performances.18 As the number of collaborators during skills training will affect the amount of hands-on time available per learner, transfer of learning may be equally impaired.

협업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 많은 다양한 이론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설명 프레임워크에 대한 경험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의학 교육 문헌에는 관찰 데이터가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협업 학습 중 학습 활동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ICAP 프레임워크이다. 이 프레임워크는 학습자가 학습하는 동안 서로 다른 인지 참여 모드를 반영하기 위한 명백한 행동을 기반으로 한다.12 네 가지 행동 모드는 수동적(P), 능동적(A), 건설적(C), 대화형(I)으로 설명되며, 각 모드는 학습 활동의 다른 예와 연관된다. ICAP 프레임워크는 학습 활동의 계층적 분포를 설명하는데, 여기서 [대화형 활동]이 [구성적 활동]보다 우수하고, 이는 [능동적 활동]보다 우수하며, 마지막으로 [수동적 활동]이 순서로 생각됩니다(I > C > A > P) 이와 같이, 협업 기술 학습에 대한 잠재적으로 반대되는 두 가지 가설이 기존 문헌에서 표현되었다.
Although many different theories have been proposed to understand collaborative learning, little observational data have been report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o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se explanatory frameworks. One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learning activities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is the ICAP framework.12, 16 This framework is based on learners' overt behaviours to reflect different modes of cognitive engagement while learning.12 The four behavioural modes are described as passive (P), active (A), constructive (C) and interactive (I), and each mode is associated with different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The ICAP framework describes a hierarchical distribution of learning activities, where interactive activities are thought to be superior to constructive activities, which are superior to active activities, that again are superior to passive activities (I > C > A > P). As such, two potentially opposing hypotheses for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have been expres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 [초기 실습] 중 공동 학습은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의 공개 학습 활동으로 이어진다. 인지적 참여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 성과는 더 좋아진다.
  • 실습 중 [연습 시간을 줄이는 것]은 기술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 Collaborative learning during initial practice leads to different levels of overt learning activities in students. The higher level of cognitive engagement, the better learning outcomes.
  2. Decreasing the amount of hands-on time during practice has a negative effect on skills learning.

그러나 협력자의 수가 공개 학습 활동 또는 기술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증거는 제한적이다. 이 연구는 그룹 크기가 기술 훈련 중 ICAP 활동과 후속 기술 이전에서 그룹 크기가 조정자 및/또는 학습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우리의 연구의 맥락은 시뮬레이션 기반 초음파 훈련으로, 여러 임상 전문 분야에서 점점 더 관련성이 높아지고 있는 복잡한 절차 및 진단 기술을 나타낸다.

Yet, there is limited empirical evidence on how the number of collaborators may affect overt learning activities or skills learning.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group size on ICAP activities during skills training and on subsequent transfer of skills to investigate whether increasing group size would serve as a mediator and/or a barrier to learning. The context of our study was simulation-based ultrasound training, representing a complex procedural and diagnostic skill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relevant in several clinical specialties.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음파 초보자 그룹에서 훈련 중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시뮬레이션 기반 초음파 훈련의 효과는 다이오드,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tetrad)에서 각각 무엇인가? 그룹 크기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은 협업 기술 학습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기존 이론에 대한 경험적 지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룹 규모가 스킬 학습 및 전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은 향후 저렴한 고부가가치 스킬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중요하다.

The research question was: In a group of ultrasound novices, what ar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ultrasound training individually, in dyads, triads or tetrads with respect to learning activities during training and on subsequent skills transfer? Gaining insight into the impact of group size on learning may help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existing theories that are used to understand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Moreover, exploring the impact of increasing group size on skills learning and transfer is important to how we deliver low-cost high-value skills training in the future.

2 방법
2 METHODS

2.1 설정
2.1 Setting

이것은 전-후-전이 테스트 설정을 사용한 무작위 통제 시험이었다. 연구는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덴마크 코펜하겐 의학 교육 시뮬레이션 아카데미(CAMES)에서 수행되었으며 CONSORT 성명에 따라 보고되었다. 덴마크 수도 지역의 지역윤리위원회는 이 연구를 검토에서 면제했다. 의정서 번호: H-19063724. 

This wa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using a pre-post-transfer-test set-up.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19 and October 2020 at Copenhagen Academy for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CAMES), Denmark and was reported according to the CONSORT statement. The Regional Ethics Committee of the Capital Region of Denmark exempted the study from review, Protocol no: H-19063724. The study was registered at clinicaltrials.gov (NCT04167397). 

2.2 참가자
2.2 Participants

참가자들은 코펜하겐 대학의 의대 학생들이었다. 그들은 페이스북의 학생 모집 광고를 통해 모집되었다. 포함 기준은 덴마크어 숙련도와 일반 해부학 시험 합격이었다. 제외 기준은 이전의 초음파 경험과 산부인과/GYN 부서의 임상 경험이었다.
The participants were medical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They were recruited via advertising on student fora on Facebook. The inclusion criteria were proficiency in Danish and a passed general anatomy exam. Exclusion criteria were prior ultrasound experience and any clinical experience from an OB/GYN department.

2.3 무작위화
2.3 Randomisation

참가자들은 1:1:1:1의 할당 비율로 개별, 다이아드,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 훈련에 블록 랜덤화 되었다. 무작위화는 온라인에서 생성된 무작위 순열 블록을 사용하여 우리 기관의 독립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코로나 19 봉쇄로 인해 일부 참가자들의 훈련은 취소되었다. 연구는 5개월 동안 중단되었고, 2020년 8월에 데이터 수집이 다시 시작되었다.

Participants were block randomised to individual, dyad, triad or tetrad training in a 1:1:1:1 allocation ratio. Randomisation was performed by an independent researcher from our institution using random permuted blocks generated online. Due to the COVID-19 lockdown, some participants' training sessions were cancelled. The study was paused for 5 months, and data collection started again in August 2020.

2.4 장비
2.4 Equipment

사전 및 사후 테스트는 복부 횡단 스캔 트레이너(영국 카디프, Medaphor, Ltd, Cardiff)를 사용하여 완료했습니다. 이 시뮬레이터에는 realistic force feedback을 제공하는 촉각 장치가 있습니다. 훈련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임신 20-27주 동안 태아의 성장을 평가하는 연습을 했다. 교육 프로그램은 이전에 확립된 타당성 증거와 함께 내장된 자동 평가를 포함하는 9개의 모듈로 구성되었다.19 참가자들은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디오 교육을 통해 시뮬레이터와 과제를 소개받았으며 교육 중에는 더 이상의 지침instruction를 받지 않았다. 시뮬레이터는 각 모듈의 완료 후 이분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예: '태아 복부를 정확하게 확대했음')  참가자는 이를 읽고 토론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시뮬레이터에 대한 강사의 기술 지원이 제공되었습니다.
Pre- and post-tests were completed using the transabdominal ScanTrainer (Medaphor, Ltd, Cardiff, UK). This simulator has a haptic device that provides realistic force feedback. During the training, participants practised the assessment of fetal growth during gestational ages 20–27 weeks. The training programme consisted of nine modules containing built-in automated assessments with previously established validity evidence.19 The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the simulator and the tasks via video instruction to ensure consistency and received no further instruction during training. The simulator provides dichotomous feedback after the completion of each module (for example, ‘fetal abdomen correctly magnified’), which the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read and discuss. Technical assistance from the instructor regarding the simulator was provided if needed.

[전이 테스트]는 US/S Mentor 시뮬레이터(3D 시스템 의료, 미국 리틀턴)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전송 테스트 시뮬레이터는 초음파 영상의 품질, 탐침을 다루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마지막으로 초음파 스캔을 약간 더 어렵게 만들고자 태아를 고정이 아니라 움직이게 재현함으로써 훈련 시뮬레이터와 다르다. 시뮬레이터는 최적의 스캔 평면 또는 도움말 모듈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The transfer test was performed on the U/S Mentor simulator (3D systems health care, Littleton, USA). The transfer test simulator differs from the training simulator in terms of the quality of ultrasound images, the user interface for handling the probe and finally by reproducing a moving rather than a fixed fetus making the ultrasound scan slightly more difficult. The simulator provided no guidance regarding optimal scanning planes or help modules.

2.5 개입
2.5 Interventions

연구 설계는 그림 1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The study design is illustrated in Figure 1.




참가자들은 단일 훈련, 다이드 훈련, 트라이어드 훈련 또는 테트라드 훈련으로 무작위화되었다. 이들은 모두 개별 사전 테스트를 완료한 후 2시간 동안 서로 다른 그룹 크기로 교육을 받은 후, 스캔 트레이너에서 개별 사후 테스트를 수행했습니다. 7-10일 후, 그들은 U/S Mentor 시뮬레이터에서 개별 전송 테스트를 완료했습니다.

  • 사전 테스트: 참가자들은 두 번째 임신 3개월 경복부 초음파 및 태아 생체측정 측정(10분)에 대한 비디오 소개와 시뮬레이터에 대한 비디오 소개(15분)를 받았다. 그 후, 그들은 양두정경(BPD), 후두전두경(OFD), 전후복부경(APAD), 복부경(TAD), 대퇴골길이(FL)의 측정을 포함한 개별 사전 테스트를 완료했다.
  • 교육: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각각 다이오드,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에서 태아 생체 인식 평가를 연습했다. 그들은 그룹의 크기에 상관없이 2시간의 정해진 시간 안에 훈련했다. 단체로 활동하는 참가자들에게는 단체로 훈련할 때 교대로 과제를 완료하고, 한 번에 한 명만 적극적으로 초음파 탐침을 다루도록 지도했다. 다른 참가자들은 이미지 동결, 측정값 획득, 제안, 질문 및 발견에 대해 논의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습니다. 전체 교육 세션은 ICAP 프레임워크에 따라 학습 활동의 후속 코딩을 위해 비디오로 녹화되었다.
  • 테스트 후: 2시간의 교육 세션을 마친 직후, 참가자들은 그들이 훈련한 것과 동일한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사전 테스트와 동일한 개별 사후 테스트를 받았다.
  • 전이 테스트: 다음 7-10일 이내에 참가자들은 다른 시뮬레이터인 U/S Mentor 시뮬레이터(Sylel Ltd, Symbionix Ltd)에서 개별 전달 테스트를 수행하여 산부인과 2기 스캐닝 모듈에서 BPD, OFD, APAD, TAD 및 FL의 측정값을 얻었다. 그들은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측정을 수행했는데, 이 경우 태아는 스캔 중에 움직였고 다른 위치에 위치했다(뇌막 제시/브리치 제시). 참가자들은 각 사례를 완료하는 데 최대 15분이 주어졌습니다. 사후 테스트와 이전 테스트 사이의 시간 간격은 참가자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유지뿐만 아니라 이전을 평가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sed to either single, dyad, triad or tetrad training. They all completed an individual pre-test, then trained in different group sizes for 2 hours and subsequently performed an individual post-test on the Scantrainer. After 7–10 days, they completed an individual transfer test on the U/S Mentor simulator.

  • Pre-test: The participants received a video introduction to second trimester transabdominal ultrasound and fetal biometry measurements (10 minutes) and then a video introduction to the simulator (15 minutes). Subsequently, they completed an individual pre-test including measurements of biparietal diameter (BPD), occipito-frontal diameter (OFD), anterior–posterior abdominal diameter (APAD), transabdominal diameter (TAD) and femur length (FL).
  • Training: The participants then practised the assessment of fetal biometries individually, in dyads, triads or tetrads, respectively. They trained in a fixed time frame of 2 hours, regardless of group size. The participants working in groups were instructed that they should take turns completing the assignments when training in groups, and only one person should actively handle the ultrasound probe at a time. The other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help with freezing images, obtaining measurements, provide suggestions, ask questions and discuss findings. The entire training session was video recorded for subsequent coding of the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CAP framework.
  • Post-test: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the 2-hour training session, the participants underwent an individual post-test identical to the pre-test using the same simulator as they trained on.
  • Transfer test: Within the next 7–10 days, the participants performed an individual transfer test on a different simulator, the U/S Mentor simulator (Symbionix Ltd, Israel), obtaining measurements of BPD, OFD, APAD, TAD and FL in an obstetric second trimester scanning module. They performed measurements on two cases, in which the fetus was moving during the scan as well as situated in different positions (cephalic presentation/breech presentation). The participants had a maximum of 15 minutes to complete each case. The time interval between post-test and transfer test was chosen to evaluate transfer as well as retention, while at the same time keeping participant attrition at a minimum.

2.6 결과
2.6 Outcomes

1차 결과는 전이 테스트 동안의 성과 점수였다. 2차 결과에는 시험 전/후의 수행평가 점수, ICAP 분포 및 그룹별 실습 시간이 포함되었다.
The primary outcome was performance scores during the transfer test. Th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performance scores on the pre- and post-test, ICAP distribution and hands-on time across groups.

2.7 성과 점수
2.7 Performance scores

모든 테스트 수행은 초음파 영상, 시뮬레이터 및 프로브 움직임이 시각화된 시뮬레이터에 직접 비디오로 녹화되었다. 두 명의 눈가림된 태아 의학 전문가는 각 성과를 초음파 기술의 객관적 구조 평가(OSAUS) 척도 및 전역 평가 척도(GRS)로 평가했습니다(부록 S1 참조). OSAUS 점수의 사용 및 해석에 대한 타당성 증거는 내용 증거, 대응 프로세스, 내부 구조, 다른 변수와의 관계 및 결과를 포함한 여러 이전 연구에서 수집 및 입증되었다. OSAUS 계측기에는 5포인트 리커트 척도로 평가되는 7개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와 마지막 항목은 적절한 경우에만 평가되어야 하며, 우리의 연구는 시뮬레이션된 환경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전 용도와 일치하는 항목 3-5개만 분석에 포함되었다. 또한 전문가들은 전체 GRS 점수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했습니다. GRS는 전문가 평가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기술적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두 이송 사례의 평균은 1차 결과 측정치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All test performances were video recorded directly on the simulators, where the ultrasound image, the simulator and the probe movements were visualised. Two blinded fetal medicine experts rated each performance on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Ultrasound Skills (OSAUS) scale20 and a Global Rating Scale (GRS) (see Appendix S1). Validity evidence for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OSAUS scores have been collected and demonstrat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including content evidence,21 response process, internal structure, relation to other variables and consequences.20, 22, 23 The OSAUS instrument includes seven items, which are evaluated on 5-point Likert scales. The first and last items should only be rated when appropriate,20 and because our study took place in the simulated setting, only items 3–5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consistent with previous uses.24-26 Additionally, the experts also rated an overall GRS score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GRS is based on an expert evaluation and has been used to evaluate various technical performances.27, 28 The mean of both transfer cases was used to create the primary outcome measures.

2.8 평가자 교육
2.8 Rater training


모든 수행평가는 두 명의 눈가림된 평가자에 의해 평가되었다. 전이 시험에서 2명의 평가자와 2명의 사례를 사용하는 것은 태아 생체측정 검사를 평가하기 위해 OSAUS 척도를 사용할 때 높은 평가자 간 신뢰성(등급 내 상관 계수 [ICC] = 0.89)을 입증한 이전 연구에 기초하여 선택되었다.
All performances were rated by two blinded raters. The use of two assessors and two cases on the transfer test was chosen based on a previous study demonstrating high inter-rater reliabilit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 0.89) when using the OSAUS scale to assess fetal biometry examinations.20

우리는 태아의학 컨설턴트(LNN, LH)이거나 태아의학 박사(NGP 및 LAA)를 받은 총 4명의 평가자를 포함했다. 모든 평가자들은 매일 산부인과 초음파를 다루는 임상의로서 활동적이었다. 평가 전에 모든 평가자들은 시뮬레이터와 학생들이 완료해야 하는 과제를 모두 시도했다. 4명의 평가자들은 처음에 7개의 비디오(분석에 포함되지 않은 파일럿 비디오)를 개별적으로 평가했고, 2명씩 그룹을 지어 만나 평점의 불일치를 논의했고, 비디오의 선택된 부분을 함께 시청했다. 그 후 비디오는 4개의 그룹(A, B, C, D, 각 그룹의 24/25 참가자의 비디오)으로 나뉘었다. 모든 참가자는 평가자 2명이 평가한 영상 4개, 사전 테스트 1개, 사후 테스트 1개, 이전 테스트 2개를 받았다.
We included a total of four raters, who were either fetal medicine consultants (LNN, LH) or had PhDs in fetal medicine (NGP and LAA). All raters were active as clinicians working with obstetric ultrasound on a daily basis. Prior to rating, all raters tried both of the simulators and the assignments the students had to complete. The four raters initially rated seven videos individually (pilot video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met in groups of two to discuss any inconsistencies in their ratings and watched selected sections of the videos together. The video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groups (A, B, C and D, 24/25 participants' videos in each group). All participants had four videos evaluated by two raters, one pre-test, one post-test and two transfer tests.

2.9 ICAP 등급
2.9 ICAP rating

LMN은 Chi와 Willie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훈련 중 참가자들의 ICAP 활동]을 평가했다.12 ICAP 코딩 체계가 우리의 로컬 환경에 맞게 조정되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터 프로브 취급'을 능동적 행동의 예로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참여 모드를 숫자 버전으로 변환했습니다. 0 = 학습 활동 없음, 1 = 수동적, 2 = 능동적, 3 = 건설적, 4 = 대화적. 부호화 방식의 내용은 MGT, KK, LMN 간에 논의 및 개정되었으며, 최종 버전은 부록 S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별 참가자별로 [체험 시간]을 별도로 등록했습니다. ICAP 등급은 연구 저자 중 두 명(LMN 및 MGT)에 의해 공동 평가되는 파일럿이 수행되었다. 평가자 간 합의는 한 평가자가 모든 평가를 완료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았다. 모든 훈련 세션은 분 단위로 평가되며(참가자당 총 120회의 기간) 각 기간 동안 표시된 최고 수준의 ICAP 활동에 따라 점수가 매겨졌다.

LMN assessed participants' ICAP activities during training based on Chi and Wylie's framework.12 The ICAP coding scheme was adjusted to our local setting, e.g. by including ‘handling the simulator probe’ as an example of an active behaviour. We translated the different engagement modes into a numeric version with 0 = No learning activity, 1 = passive, 2 = active, 3 = constructive and 4 = interactive. The content of the coding scheme was discussed and revised between MGT, KK and LMN, and the final version can be seen in Appendix S2. Additionally, hands-on time was registered separately for each individual participant. A pilot was conducted, in which ICAP ratings were co-rated by two of the study authors (LMN and MGT). The inter-rater agreement was sufficiently high to allow one rater to complete all assessments. All training sessions then were rated minute by minute (a total of 120 time periods per participant) and scored corresponding to highest level ICAP activity displayed for each time period.

medu14791-sup-0002-appendix b_icap coding scheme_updated.pdf
0.15MB

2.10 통계적 분석
2.10 Statistical analyses

우리는 그룹 간의 Cohen d 1.0에 해당하는 크고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탐지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다. 90%의 검정력과 0.05의 α 값을 사용하여, 이는 각 연구 그룹의 22명의 참가자에 해당했다. 우리는 감소를 설명하기 위해 각 학습 부문에 25명의 학생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We powered our study to detect large and education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rresponding to a Cohen's d of 1.0 between groups. Using a power of 90% and an α value of 0.05, this corresponded to 22 participants in each study group. We aimed to include 25 students in each study arm to account for attrition.

두 평가자의 점수 평균은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의 OSAUS 및 GRS 점수에 대해 계산되었다. 두 사례의 평균 전이 시험 점수가 계산되었다. 모든 점수는 최대 점수의 백분율로 계산되었습니다(최대 GRS 점수 = 5, 최대 OSAUS 점수 = 15).
The means of the two raters' scores were calculated for OSAUS and GRS scores on the pre- and post-tests. A mean transfer test score from the two cases was calculated. All scores were calculated as percentages of the maximum score (maximum GRS score = 5, maximum OSAUS score = 15).

Pearson 상관 계수는 실습 시간, 시험 전 점수 및 시험 후 점수를 포함한 다른 변수들이 전이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우리는 전송 성능의 유의한 예측 변수에 대한 제어 우선 순위를 선택했다.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determine if any of the other variables including hands-on time, pre-test scores and post-test scores were associated with transfer outcomes. We chose a priori to control for significant predictors of transfer performance.

실험 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조정한 경우와 조정하지 않은 경우를 사용하여 실험 대상 간 분산 분석(anova)을 사용하여 네 그룹 간에 일차 결과(평균 OSAUS 및 GRS 점수)를 비교했다.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의 평균 OSAUS 및 GRS 점수를 혼합 설계(2 × 2) 반복 측정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네 그룹 간에 비교함으로써 훈련의 주효과를 평가하고 훈련 유형(싱글/다이아드/트라이아드/테트라드)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했다. 효과 크기는 부분 eta 제곱(σp2)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우리는 ICC, 일관성, 양방향 혼합 효과 모델(ICC(3,k))을 사용하여 ICAP 등급의 평가자 간 신뢰성을 계산했다. 29 GRS 및 OSAUS 데이터에 대한 별도의 일반화 가능성 분석을 수행했다.30 우리는 차별화 측면으로 참여자가 내포된 일반화 모델(랜덤화된 그룹)을 지정했다. 일반화의 측면은 사례 (2건)와 사례 (사례당 2건의 평가자)와 OSAUS 모델의 항목이었다. 우리는 (OSAUS에 대한) 설계 및 특정 사례 간, 평가자 간 및 항목 간 일반성 계수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보고한다. 모든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The primary outcomes (mean OSAUS and GRS scores from the transfer test) were compared between the four groups using between-subject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and without adjustment for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The mean OSAUS and GRS scores from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mpared between the four groups using a mixed-design (2 × 2) repeated-measures anova to assess the main effects of training and test for interaction with the type of training (single/dyad/triad/tetrad).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s partial eta squared (ηp2). We calculat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ICAP ratings using an ICC, consistency, two-way mixed-effects model (ICC (3,k)).29 We conducted separate generalizability analyses of GRS and OSAUS data.30 We specified the generalizability model with Participant nested in Group (randomised group) as the facet of differentiation. The facets of generalisation were Case (2 cases) and Rater nested in case (2 raters per case) as well as Item for the OSAUS model. We report overall reliability of the design and specific inter-case, inter-rater and inter-item (for the OSAUS) generalisability coefficient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3 결과
3 RESULTS

이 연구는 총 111명의 참가자들을 네 가지 다른 훈련 조건에 무작위로 포함시켰다. 101명의 참가자들이 사전 테스트, 개입 및 사후 테스트를 완료했다. 트라이애드 그룹의 비디오 녹화 중 하나가 올바르게 저장되지 않았으며, 이 그룹에 대한 ICAP 등급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분석에서 전문가 등급만 평가되었습니다. 코로나 19 봉쇄로 인해 4명의 참가자가 후속 조치를 취하지 못했다. 참가자의 인구 통계는 표 1에 보고된다.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11 participants randomised to the four different training conditions; 101 participants completed the pre-test, the intervention and the post-test. One video recording from a triad group was not correctly saved, and the ICAP ratings were not completed for this group, and only their expert ratings were evaluated in the analysis. Four participants were lost to follow-up due to the COVID-19 lockdown. The participant demographics are reported in Table 1.

3.1 1차 결과
3.1 Primary outcome

그룹 크기는 전이 테스트에서 OSAUS 점수 (F(3,93) = 1.94, p = 0.13, γp2 = 0.06) 또는 GRS 점수 (F(3,93) = 1.46, p = 0.23, γp2 = 0.05로 측정한 성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전 테스트, 사후 테스트 또는 실제 시간을 공변량으로 조정할 때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실습 시간은 전이 성과 점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Group siz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erformance measured by OSAUS scores (F(3,93) = 1.94, p = 0.13, ηp2 = 0.06) or GRS scores (F(3,93) = 1.46, p = 0.23, ηp2 = 0.05) on the transfer test, Table 2. These results did not change when adjusting for pre-test, post-test or hands-on time as a covariate. Hands-on time was not correlated with transfer performance scores.

3.2 2차 결과
3.2 Secondary outcomes

GRS 점수(OSUS 평균: 37.5% [12.0] 대 56.7% [16.8], F(1,93) = 113.9, p < 0.001, λp2 = 0.55, GRS 평균 [SD]: 36.8% [13.7,189] = F.18.1, P[SD]와 마찬가지로 모든 그룹에 대해 시험 전에서 시험 후까지 OSAUS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룹 크기와 훈련 사이에 교호작용 효과가 없었습니다(F(3,93) = 1.04, p = 0.38, γp2 = 0.03). 표 2
OSAUS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 to post-test for all groups as did GRS scores (OSAUS mean [SD]: 37.5% [12.0)] versus 56.7% [16.8]; F(1,93) = 113.9, p < 0.001, ηp2 = 0.55; GRS mean [SD]: 36.8% [13.7] versus 54.2% [18.9]; F(1,93) = 75.4, p < 0.001, ηp2 = 0.45).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size and training (F(3,93) = 1.04, p = 0.38, ηp2 = 0.03), Table 2.

각 ICAP 활동에 소요된 시간의 분포는 학습이 없는 활동 범주인 그림 2(수동 [F(3,90) = 13,75, p = 0.001, µp2 = 0.31, 능동 [F(3,90)] = 139.28, p < 0.001, µp2 = 0.82, 구성적], [0.001, µp2 = 0.20], 0.20, 0.20, 0.30, 0.30, 0.30을 제외한 모든 학습 활동에 대해 그룹 간에 유의하게 달랐다. [F(3,90) = 43.17, p = 0.001, µp2 = 0.59] 학습 활동 없음 [F(3,90) = 1.65, p = 0.17, µp2 0 0.05].

The distribution of time spent in each ICAP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for all learning activities except for the no learning activity category, Figure 2 (Passive [F(3,90) = 13,75, p < 0.001, ηp2 = 0.31], Active [F(3,90) = 139.28, p < 0.001, ηp2 = 0.82], Constructive [F(3,90) = 10.73, p < 0.001, ηp2 = 0.26], Interactive [F(3,90) = 43.17, p < 0.001, ηp2 = 0.59], No learning activity [F(3,90) = 1.65, p = 0.183, ηp2 = 0.05]).

비학습 및 수동적 학습 활동(평균 0 + 1)에 보내는 시간은 그룹 크기에 따라 증가했다(평균[SD] 단수: 20.7[5.2], 다아드: 16.4[8.3], 트라이어드: 23.7[8.2], 테트라드: 29.5[7.2], F(3,90) = 13.75, p <0.001, µp2 = 0.31.2). 사후검정(Tukey)은 사분면체와 다른 모든 그룹 간에 범주 0 + 1에 소요된 시간의 백분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단일: 8.78 [3.16–14.4], p = 0.001, p <0.04–11.6), p <0.001>, 트라이애드: 5.8 [0.04–11.6], p와 dyads (0.45%)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27 [1.61–12.93], p = 0.006). 구성적 학습 활동과 대화형 학습 활동은 그룹 간에 상대적으로 일정했다(1,7% [3.9], 단일 그룹(1,7% [3.9], 다아드: 39.6 [13.3], 삼중항: 40.2 [9.7], 테트라드: 37.6 [8.8], F(3,90) = 78.38, p < 0.001,6202 = 72). 사후검증(Tukey)은 단일 그룹과 다른 모든 그룹 간에 범주 3 + 4(건설적 및 상호작용적)에 소요된 시간의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평균 차이 [95% CI] 다아드: 36.0 [28.7–43.3], p < 0.001], p <0.0–44.44.4], p < 0.001; tetrads: 34.1 [26.1.1.1.1.1], <p>.
Time spent in the non-learning and passive learning activities (category 0 + 1) increased with group size (mean per cent [SD] singles: 20.7 [5.2], dyads: 16.4 [8.3], triads: 23.7 [8.2], tetrads: 29.5 [7.2]; F(3,90) = 13.75, p < 0.001, ηp2 = 0.31), Figure 2. Post hoc testing (Tuk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time spent in category 0 + 1 between tetrads and all oth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singles: 8.78 [3.16–14.4], p = 0.001; dyads: 13.1 [7.6–18.5], p < 0.001; triads: 5.8 [0.04–11.6], p = 0.045) and between triads and dyad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7.27 [1.61–12.93], p = 0.006). Time spent in the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category 3 + 4) was relatively constant between groups compared with singles (mean per cent [SD] singles: 3.5 [3.9]; dyads: 39.6 [13.3]; triads: 40.2 [9.7]; tetrads: 37.6 [8.8]; F(3,90) = 78.38, p < 0.001, ηp2 = 0.72). Post hoc testing (Tuk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time spent in category 3 + 4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between singles and all oth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dyads: 36.0 [28.7–43.3], p < 0.001; triads: 36.7 [29.0–44.4], p < 0.001; tetrads: 34.1 [26.7–41.1], p < 0.001).


체험 시간의 양(각 참가자가 초음파 탐침을 다루는 훈련 시간의 백분율)은 그룹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단식: 58.4 [8.6], 다아드: 27.7 [5.7], 3사드: 17.0 [5.3], 테트라드: 13.7 [4.0], F(3,90) = 252.54, p <0.1,2p = 89). 특별 시험 후(Tukey)에 따르면 이 차이는 단일 그룹과 다른 모든 그룹(평균 백분율 차이 [95% CI] 다아드: 30.7 [26.1–35.3], p < 0.001], p < 0.001], tetrads: 44.6 [40.0–49.3], p < 0.001], p < 0.001], dyads: 10.7 % (3%), dymeads:0.0–49.3%)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6.0–15.4], p < 0.001; 사분면: 13.9 [9.4–18.5], p < 0.001], 그러나 삼분면과 사분면 사이는 아니다. (95% CI: 3.3 [-1.5–8.1], p = 0.29), 그림 2 및 3. 그룹 크기와 실제 시간은 음의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Pearson의 r = -0.86, p < 0.001).

The amount of hands-on time (percentage of the training time each participant was handling the ultrasound probe) decreased with increasing group size (mean per cent [SD]: singles: 58.4 [8.6], dyads: 27.7 [5.7], triads: 17.0 [5.3]; tetrads: 13.7 [4.0]; F(3,90) = 252.54, p < 0.001, ηp2 = 0.89). Post hoc testing (Tukey) revealed that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singles and all oth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dyads: 30.7 [26.1–35.3], p < 0.001; triads: 41.4 [36.5–46.2], p < 0.001; tetrads: 44.6 [40.0–49.3], p < 0.001), between dyads and larger group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triads: 10.7 [6.0–15.4], p < 0.001; tetrads: 13.9 [9.4–18.5], p < 0.001) but not between triads and tetrads (mean per cent difference [95% CI]: 3.3 [−1.5 to 8.1], p = 0.29), Figures 2 and 3. Group size and hands-on time were negatively correlated (Pearson's r = −0.86, p < 0.001).

ICAP 등급에 대한 ICC(3,k)는 0.70(95% CI: 0.60–0.77)이었다. 우리 데이터의 일반화 이론 분석은 GRS 점수와 OSAUS 점수에 대한 사례 간 일반화 계수가 각각 0.84와 0.88로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사례 내 레이터 간 일반화 계수는 각각 0.72와 0.81이었다. 단일 사례 내 항목 간 일반화 계수는 0.75였으며, OSAUS 점수에 대한 비율은 0.75였다. GRS 점수에 대한 설계의 전체 신뢰도는 0.64이고 OSAUS 점수에 대해서는 0.60입니다.

The ICC (3,k) for the ICAP ratings was 0.70 (95% CI: 0.60–0.77). The generalisability theory analysis of our data showed that inter-case generalisability coefficients for the GRS and OSAUS scores were high at 0.84 and 0.88, respectively. Inter-rater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ithin case was 0.72 and 0.81, respectively. Inter-item generalisability coefficient within a single case and rater for the OSAUS scores was 0.75.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design for the GRS scores was 0.64 and 0.60 for the OSAUS scores.

4 토론
4 DISCUSSION

최대 4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그룹 규모의 협업 기술 훈련은 실무 시간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전이skills transfer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모든 참가자들은 그룹 규모와 상관없이 훈련을 통해 약 15-20% 포인트를 향상시켰다. 이는 일부 참가자들이 혼자 훈련한 참가자들의 체험 시간의 25%에 불과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놀라운 일이다. 이러한 발견은 [협력적 기술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큰 학습자 그룹으로 확장된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쌍으로 협력 학습을 포함하는 이전 연구와 일치하고 확장된다. 현재 의료 교육에서 협업 및 동료 학습 전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전략이 고부가가치 저비용 교육에 대한 수요를 어떻게 충족시킬 수 있는지도 포함된다. 시뮬레이션 기반 훈련에는 상당한 양의 자원(예: 강사 및 장비 비용)이 필요하며, 우리의 연구 결과는 학습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뮬레이터: 학습자 비율을 줄임으로써 이러한 요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Collaborative skills training in group sizes of up to four participants did not negatively impact skills transfer despite less hands-on time. All participants improved about 15–20 percentage points with training irrespective of group size. This is to some extent surprising because some participants had as little as 25% of the hands-on time of those who trained alone. These findings align with and expand on previous studies involving collaborative learning in pairs (dyad learning) by demonstrating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also expand to larger groups of learners.4, 8-10, 31 Currently, there is an increased focus on collaborative and peer learning strategies in medical education, including how these strategies may meet the demand for high-value low-cost education.15, 32 Simulation-based training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resources (e.g. instructor and equipment costs among others), and our findings may help reduce these demands by decreasing the simulator: learner ratio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우리는 실습 시간을 줄이는 것과 다른 학습자를 관찰하고 상호 작용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 사이에 trade-off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우리의 연구에서, 건설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은 다이아드, 트라이아드, 테트라드 간에 다르지 않았고, [다이아드 참가자]들이 [트라이아드 또는 테트라드 참가자들]보다 직접 체험하는 시간이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사한 학습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발견은 참가자들이 협력적인 노력의 결과로 더 높은 수준의 인지 참여를 통해 줄어든 실습 시간을 보상하는 것처럼 보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히 초음파와 같은 절차적 기술을 훈련하는 동안 협력 학습이 유익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여러 작업(예: 프로브 조작, 기계 설정 조정 및 시각적 진단 작업에 참여하는 동안 환자와 통신)]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학습자 간에 과제를 분배하는 것은 학습자가 [인지 과부하 없이 학습에 계속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유익한 전략이다. 다른 장점은 시각적 검색을 지원하고 숙련된 임상의가 일반적으로 두 번째 검사를 필요로 하는 해부학적 특징이나 병리학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We suggest that there may be a trade-off between decreasing hands-on time and increasing time spent on observation of and interactions with other learners. In our study, the time spent in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activities did not differ between dyads, triads and tetrads, and even though participants in dyads had more hands-on time than participants in triads or tetrads, they still had similar learning outcom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seemed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hands-on time through higher levels of cognitive engagement as a consequence of collaborative efforts. Specifically, during training of procedural skills such as ultrasound, collaborative learning can prove beneficial, as there are multiple tasks that should be performed simultaneously (e.g. manipulating the probe, adjusting machine settings and communicating with the patient while engaged in the visual diagnostic task). Distributing tasks between learners is a potentially beneficial strategy as it allows learners to stay engaged in learning without cognitive overload.5 Other advantages may include assisting visual search and discussing anatomical features or pathology that normally require a second look by an experienced clinician.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우리의 개입 시간(2시간)이 효과를 유도하기에는 충분하지만, 학습 곡선이 평평해져 (+4시간) 천장 효과로 이어지는 데 필요한 것보다 적다는 것을 알고 있다. 작업 시간 및 그에 따라 사용 가능한 실습 시간의 양은 일반적으로 학습의 가장 중요한 결정 요소이다. 그러나 우리의 연구에서, 협업 학습 중 [관찰]과 [고등 수준 ICAP 활동]은 줄어든 연습 시간보다 더 큰 효과를 갖는 것outweigh 으로 보였다. 그러나, [연습 시간]과 ICAP 활동은 모두 그룹 크기에 의해 교란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이 두 대립되는 힘이 연구에서 관찰된 학습 결과에 기여한 정도를 직접적으로 추론할 수 없다.

We know from previous studies that the duration of our intervention (2 hours) was sufficient to induce an effect but less than required for the learning curves to flatten (+4 hours) leading to a ceiling effect.19 Time-on-task and thereby the amount of hands-on time available are normally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learning; however, in our study, observation and higher-order ICAP activities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seemed to outweigh the reduced hands-on time. Yet, because hands-on time and ICAP activities were both confounded by group size, we cannot infer directly the extent to which these two opposing forces contributed to the learning outcomes observed in our study.

Shebilske 등의 최근 연구는 파일럿 훈련을 위한 비디오 과제를 학습할 때 개인, 다이아드, 트라이아드 및 테트라드 간에 유사한 학습 결과를 보여주었다. 저자들은 주로 그들의 결과의 원인을 [관찰]이 갖는 긍정적인 효과로 돌렸다. 관찰 학습은 (다른 이론들 중에서도) [미러뉴런 가설]에 의해 뒷받침되는데, [미러뉴런 가설]은 전운동 피질의 영역이 스킬의 수행과 관찰 동안 모두 활성화된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결과는 그룹 간 유사한 이전 결과에 대한 핵심 이유로 관찰을 지원하지만, 다른 사회적 및 상호 작용 메커니즘이 협업 복잡한 기술 학습, 특히 실용적인 기술 학습에 관여한다는 것을 제안함으로써 이 발견을 확장한다. [전통적인 ICAP 프레임워크]는 관찰을 수동적 활동으로 두는 반면, [임상 기술 훈련 중]에 이뤄지는 관찰은 [건설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활동의 기초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차 학습 활동과 분리할 수 없다. 그러나 관찰은 참여의 인지적 수준에 관계없이 수동적 활동으로 분류되며, 이는 피로, 동기부여 또는 집중력 부족 또는 지루함의 결과로 수동적 활동과 비교될 수 없다. ICAP 프레임워크는 모든 종류의 학습 활동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지만, 실제 기술을 학습하기 위한 관찰의 역할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관찰의 개념은 임상 기술 학습에서 그것의 역할을 완전히 이해하고 실용적인 기술 학습 동안 활동을 더 잘 개념화하기 위해 다양한 수준의 인지 참여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A recent study by Shebilske et al. demonstrated similar learning outcomes between individuals, dyads, triads and tetrads when learning a video task for pilot training.33 The authors primarily ascribed their results to the positive effects of observation.34 Observational learning is (among other theories) supported by the mirror neuron hypothesis, which claims that areas in the premotor cortex are activated both during the performance and observation of a skill.5, 31, 33, 35 Our results support observation as a key reason for similar transfer results between groups but expands this finding by suggesting that other social and interactive mechanisms are involved in collaborative complex skills learning, in particular for practical skills learning.15 While the traditional ICAP framework places observation as a passive activity,12 it is inseparable from the higher-order learning activities because it serves as a basis on which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activities unfold during clinical skills training. However, observation is categorised as a passive activity regardless of the cognitive level of engagement, which may not be compared with passiveness as a result of fatigue, lack of motivation or concentration or from boredom. Although the ICAP framework is supposed to cover all kinds of learning activities, it may undervalue the role of observation for learning practical skills. In this sense, the concept of observation may need to be expanded to include various degrees of cognitive engagement to fully understand its role in clinical skills learning and to better conceptualise activities during practical skills learning.

우리는 트라이애드 및 테트라드의 참가자들이 다이애드 및 단일 그룹의 참가자들보다 [비학습 및 수동 학습 범주(0 + 1)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다이애드에 배정된 학습자 간의 헌신과 친밀도가 증가했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는 그룹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36 우리는 (잘못) 비학습 및 수동적 활동의 증가가 대규모 그룹의 기술 전이를 낮출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비록 그렇지 않았지만, 우리는 [[실습 시간의 양]과 [협력적 보상 효과] 사이의 균형]이 [더 큰 그룹(4명 이상의 학습자)]에 대해 어느 시점에서 피크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참가자가 동기를 유지하고 협업이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조건을 탐구하는 것은 이전 연구에서 학습자가 우려하는 원인이었으므로 [더 큰 크기의 그룹]을 다룰 때에는 고려해야 할 중요한 측면이다.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riads and tetrads spent more time in the non-learning and passive learning categories (0 + 1) than the participants in dyads and single groups. This could be due to increased commitment and intimacy between learners in the dyad constellations, which may decrease with increasing group size.36 We (incorrectly) anticipated that the increase in non-learning and passive activities would have led to lower levels of skills transfer in the large groups. Although this was not the case, we expect that the balance between the amount of hands-on time provided and collaborative compensatory effects must at some point tip for larger groups (more than four learners). Exploring under which conditions participants remain motivated and consider it meaningful to collaborate is an important aspect to consider when dealing with larger group sizes as this has been a cause of concern voiced by learners in previous studies.37-39

4.1 강점/한계
4.1 Strengths/limitations

이 연구의 강점은 무작위 설계, 포함된 큰 표본 크기, 확립된 유효성 증거를 포함한 평가 점수 사용, 관심의 핵심 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이전 테스트 사용 등이다.
Strengths of this study include the randomised design, the large sample size included, the use of assessment scores with established validity evidence and the use of transfer tests to reflect the key outcome of interest.

이 연구는 또한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초보자 및 복잡한 단일 임상 절차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향후 연구는 우리의 연구 결과가 [더 진보된 학습자]와 [다른 유형의 실제 기술]에서도 translate되는지 여부를 입증할 필요가 있다. (예: 단순 대 복잡한 기술 또는 진단 대 치료 절차).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여성이었지만, 우리는 참가자들이 무작위화되고 이후 그들의 사전 테스트에서 동등하게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성별에 초점을 맞추지 않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맥락에서 성별의 영향에 대해 더 이상 논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학생들은 시뮬레이터에 의해서만 생성된 피드백으로 훈련했다. 지도받지 않은 연습은 강사의 감독 없이 과제를 오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더 큰 그룹이 오류와 오해를 바로잡는 데 불균일한 이점을 제공했을 수 있다. 우리는 4명의 참가자가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상한선이 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최대 4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그룹 규모만 조사했다. 그룹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수동적이고 비학습 활동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지만, 학습 결과가 악화되는 최적의 그룹 크기나 지점을 식별하지 못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여러 개의 큰 그룹을 포함하거나 이전 결과의 작은 차이를 입증하기 위해 표본 크기를 10배 증가시켜야 했는데, 둘 다 실현 불가능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검출하기 위해 연구에 동력을 공급한 크기보다 낮은 전이 테스트 성능에서 차이가 있었을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작은 차이가 일반적으로 이득이 큰 시뮬레이션 기반 의료 교육 분야 내에서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이다.

The study also has some limitations. We focused on novices and on a single complex clinical procedure. Future research needs to establish whether our findings translate to more advanced learners and to different types of practical skills (e.g. simple versus complex skills or diagnostic versus therapeutic procedure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women; however, we have chosen not to focus on gender in this study a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sed and subsequently performed equally on their pre-test. Therefore, we did not find it relevant to discuss the influence of gender any further in this context. The students trained with feedback only generated by the simulator. Uninstructed practice may lead to misunderstandings of the assignments without supervision by an instructor, which may have provided an uneven advantage for the larger groups to correct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We only explored group sizes of up to four participants as we expected four participants to be the upper limit to remain motivated. While we did observe an increase in passive and non-learning activities with increasing group size, we did not identify an optimum group size or a point, in which learning outcomes worsened. To do this, we would have had to either include several larger groups or increase our sample size 10-fold to demonstrate small differences in transfer outcomes, both of which would have been infeasible. Finally, there may have been differences in transfer-test performances that were below the magnitude we powered our study to detect. The question is, however, if small differences are of relevance within the field of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where gains are usually large.

5 결론
5 CONCLUSION

최대 4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그룹 규모의 협업 기술 학습은 실무 시간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이전을 손상시키지 않았다. 이 발견은 체험 시간 감소의 부정적인 효과를 능가하는 건설적이고 상호적인 학습 활동에 대한 보상적 전환과 결합된 관찰의 역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group sizes of up to four participants did not impair skills transfer despite less hands-on time. This finding may be explained by the role of observation combined with a compensatory shift towards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that outweigh the negative effects of diminishing hands-on time.

 


Med Educ. 2022 Jun;56(6):680-689. doi: 10.1111/medu.14791. Epub 2022 Mar 16.

Does group size matter during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A randomised stud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openhagen Academy for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CAMES),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2Centre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arhus University, Aarhus, Denmark.

3Department of Family &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4Center of Fetal Medicine, Department of Obstetrics,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5Department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Hvidovre, Copenhagen, Denmark.

6Fetal Medicine Uni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 Herlev, Copenhagen, Denmark.

7Department of Clinical Medicine, Faculty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s, University of Copenhagen, Copenhagen, Denmark.

PMID: 35262226

PMCID: PMC9313549

DOI: 10.1111/medu.14791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the form of dyad learning compared with individual learning has been shown to lead to non-inferior skills retention and transfer. However,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which learning activities improve collaborative skills training and how the number of collaborators may impact skills transfer. We explored the effects of skills training individually, in dyads, triads or tetrads on learning activities during training and on subsequent skills transfer.

Methods: In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a pre-post-transfer-test set-up in groups of one to four. Participants completed 2 hours of obstetric ultrasound training. In the dyad, triad and tetrad group participants took turns actively handling the ultrasound probe. All performances were rated by two blinded experts using the Objective Structured Assessment of Ultrasound Skills (OSAUS) scale and a Global Rating Scale (GRS). All training was video recorded,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analysed using the Interactive-Constructive-Active-Passive (ICAP) framework.

Results: One hundred one participants completed the simulation-based training, and ninety-seven completed the transfer test. Performanc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 to post-test for all groups (p < 0.001, ηp2 = 0.55). However, group size did not affect transfer test performance on OSAUS scores (p = 0.13, ηp2 = 0.06) or GRS scores (p = 0.23, ηp2 = 0.05). ICAP analyses of training activities showed that time spent on non-learning and passive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with group size (p < 0.001, ηp2 = 0.31), whereas time spent on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was constant between groups compared with singles (p < 0.001, ηp2 = 0.72).

Conclusion: Collaborative skills learning in groups of up to four did not impair skills transfer despite less hands-on time. This may be explained by a compensatory shift towards constructive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that outweigh the effect of shorter hands-on time.

보건전문직 교육에서 공감: 무엇이 효과적이며, 격차와 개선 영역은? (Med Educ, 2022)
Empath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hat works, gaps and areas for improvement
Dujeepa D. Samarasekera1 | Shuh Shing Lee1 | Jillian H. T. Yeo1 | Su Ping Yeo1 | Gominda Ponnamperuma2

 

1 소개
1 INTRODUCTION

과거의 연구는 의학의 실천에서 공감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건강 관리 맥락에서, 공감 능력이 환자의 더 나은 건강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어 왔다. 연구들은 환자와 맺어진 공감적 관계가 개별화된 치료 계획의 준수를 강화하고,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치료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추가로 보여주었다. 공감의 긍정적인 효과는 환자들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의료 전문가들에게도 똑같이 확대된다. Wilkinson 등은 그들의 리뷰에서 공감과 번아웃 사이에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개념은 Thiriou et al에 의해 더욱 반복되었는데, 그는 공감능력이 건강 관리 전문가의 과로에 대한 보호 요소로 기능한다고 추론했다. 사실, 공감의 감소는 종종 높은 수준의 탈진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전문가와 환자에게 최적의 혜택을 주기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들 사이에 공감대를 키우고 심어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Past research has established the importance of empathy in the practice of medicine. Within the health care context,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the ability to empathise leads to better health outcomes for patients.1-3 Studies have further illustrated that the empathetic relationship forged with patients strengthens the adherence to individualised therapeutic plans, improved patient satisfaction, and enhanced quality of care.4-6 The positive effects of empathy are not limited to patients but extend to health care professionals alike. Wilkinson et al.7 in their review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nd burnout. This notion is further reiterated by Thirioux et al.,8 who reasoned that empathy functions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burnout in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fact, decreased empathy is often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urnout.8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empathy is nurtured and instilled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for optimum benefits to professionals and patients.7, 9, 10

1.1 개념, 정의 및 치수
1.1 Concepts, definitions, and dimensions

의료에서 공감의 중요성은 다양한 문헌에서 널리 고려되고 있지만, 공감의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공감의 개념화는 복잡하며 의학, 간호,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르게 기술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공감의 개념은 많은 진화를 거쳤다.  주로 인지 영역으로 정의되는 것에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측면을 포함하는 다차원 구조로서 공감을 개념화하는 현재 문헌에 이르기까지. 

Although the significance of empathy in health care is widely regarded in various literature, it is challenging to define empathy.11, 12 The conceptualisation of empathy is complex and has been described differently i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medicine, nursing and psychology.12 Historically, the concept of empathy had undergone many evolutions: From being predominantly defined as a cognitive domain to the current literature which conceptualises empathy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that encompasses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ural aspects.13-16

1.2 정서적
1.2 Affective


[정서적 공감(Affective empathy)]은 치료적 관계의 맥락 안에서 [타인의 감정에 대한 감정적 연결이나 반응]을 말한다. 직업들을 돕는 분야에서, 공감의 이러한 정서적 차원은 종종 "돌봄caring"과 "합치congruence"의 개념에 의해 정의된다.

  • "돌봄caring"의 개념은 정서적 공감의 일부이다. 기존 문헌은 돌봄Caring은 성공적인 도움helping 관계 내에서 확립된 정서적 애착affective attachment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해왔다. 환자-제공자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여러 연구는 또한 환자의 만족도와 치료 계획에 대한 준수가 의사의 긍정적인 표현(관심, 배려, 따뜻함, 흥미 등)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 정서적 공감의 또 다른 개념인 '합치congruence'는 [고객을 포용하고, 개방적이고, 정직하며, 비판단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합치는 [고객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에 의해 뒷받침되기 때문에, 긍정적인 정서적 연결이 확립되고 효과적인 치료/도움 관계로 전환된다. 

Affective empathy refers to the emotional connection or response to the emotions of another within the contex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17, 18 Within the field of helping professions, this affective dimension of empathy is often defined by the concepts of “caring” and “congruence.”19, 20 

  • The concept of “caring” is part of affective empathy. Existing literature has recurrently posited that “care” underpins the affective attachment that is established within a successful helping relationship.19 Multiple studies on patient-provider communication have also found that patients' satisfaction and adherence to treatment pla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ysicians' expressions of positive affect, such as concern, care, warmth, and interest.2122 
  • Congruence, another concept of affective empathy, refers to the ability to embrace clients and remain open, honest, and non-judgemental. As congruence is underpinned by an unconditional acceptance of clients, it allows for positive affective connections to be established and translates into effective therapeutic/helping relationships.14

1.3 인지
1.3 Cognitive

반면에, 인지 공감은 다른 사람의 상황과 관점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노이만(Neumann)은 인지적 공감은 [개인의 감정적 반응에서 벗어나 타인의 경험을 구체화하는 것]을 수반하며, 양육nurturing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능동적인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인지 공감이 [대인관계적 민감성]과 [관점 수용]을 모두 통해 발현된다는 것이 추가로 설명된다.

  • [대인관계적 민감성(IS)]은 구두 및 비언어적 단서를 기반으로 고객의 우려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다. 대인관계 민감성은 "사회적 민감성"과 "감정적 민감성"으로 더 나눌 수 있다.
    • [감정적 민감성]는 비언어적 단서(즉, 얼굴 표정 또는 신체 언어)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포함한다. 반면에
    • [사회적 민감성]은 건강 전문가들이 의뢰인의 사회적 역할 기대, 성격 특성, 그리고 주변 사회 구조와 같은 맥락을 이해하도록 요구한다.

On the other hand, cognitive empathy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objectively comprehend another person's situation and perspective.17, 23, 24 Neumann et al.23 further described that cognitive empathy entails one embodying the experiences of another with detachment from one's individual emotional response and is an active skill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nurturing.11 Leading on from this, it is further explained that cognitive empathy manifests through the concepts of both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erspective-taking.24, 25 

  • Interpersonal sensitivity (IS) is the ability to make accurate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clients' concerns based on verbal and nonverbal cues. Interpersonal sensitivity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ocial sensitivity” and “emotional sensitivity.”
    • Emotional sensitivity involves a cognitive assessment of nonverbal cues (i.e., facial expressions or body language), whereas
    • social sensitivity requires health professionals to appreciate the context, such as the client's social role expectations, personality traits, and surrounding social structures.1426
  • 관점 수용(PT)은 공감의 인지 차원의 두 번째 핵심 측면이다. PT에서 의료 전문가들은 고객의 관점을 적절한 맥락에서 평가하기 위해 자신의 인식을 "일시 중지"하고 클라이언트의 세계로 자신을 "전환"해야 한다. 효과적인 IS와 PT의 구현은 치료사들이 다른 시맨틱으로 고객의 문제를 반복할 수 있을 때 명백하다. 인지 공감의 효과는 또한 환자와의 더 나은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으며, 환자의 의사 능력에 대한 인식 증가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erspective-taking (PT) is the second key aspect of the cognitive dimension of empathy. In PT, health professionals are expected to “suspend” their own perceptions and “transpose” themselves into the world of the client to appreciate clients' perspectives in the appropriate context. The embodiment of effective IS and PT is evident when therapists are able to reiterate clients' issues with a different semantic. The effects of cognitive empathy are also found to be associated with better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are positively related to patients' increased perceptions of their physicians' capabilities.2728

1.4 행동
1.4 Behaviour

[행동 차원]은 공감을 실천/행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공감의 인지적 및 정서적 경험에 대한 반응이다. 이타주의와 치료적 관계의 구성은 공감을 돕는 관계에서 기능적 실체가 되도록 허용하면서 이 차원을 더욱 정의한다. 의료의 맥락에서, 공감과 이타주의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은 널리 문서화되어 왔다. 높은 수준의 공감은 이타주의로 이어지며, [이타주의]는 다른 사람의 고통을 덜어주거나 다른 사람의 행복을 향상시키는 주된 목표를 가진 "다른 사람 지향적인" 동기나 행동이라고 묘사된다.

The behaviour dimension, defined as translating empathy into practice/action, is a response to the cognitive and/or affective experience of empathy.29, 30 The constructs of altruism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further define this dimension, allowing empathy to become a functional entity in a helping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health care,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empathy and altruism have been documented widely.31, 32 High levels of empathy lead to altruism which is described as an “other-oriented” motivation or behaviour with a primary goal of relieving another's pain or improving another's well-being.31-33

[치료적 관계]는 공감적 실천의 핵심 신조tenet이며, 종종 인지적, 정서적 공감의 개념을 활용하여 실행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포지셔닝한다. 사실, 연구에 따르면 전문적인 판단은 관점을 취하는 것(인지 공감)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면서 감정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한다. 
Therapeutic relationships, a key tenet of empathetic practice, have often utilised the concep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to posit actionable frameworks. In fact, studies postulate that professional judgement begets the need for one to be emotionally attuned (affective empathy) while allowing for objective assessments to occur through perspective-taking (cognitive empathy).19

1.5 의료교육 공감능력 배양
1.5 Nurturing empathy in medical education

공감과 더 나은 환자 건강 결과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에 대한 압도적인 증거의 관점에서, 증가하는 연구 이니셔티브와 교육적 개입은 공감 능력을 개발하고 의료 서비스 내에서 학생과 실무자의 이타적 동기를 유지할 수 있는 더 전체적인 커리큘럼을 요구했다. 
In view of overwhelming evidence of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mpathy and better patient health outcomes, an increasing amount of research initiatives and pedagogical interventions have called for more holistic curricula that can develop empathy and maintain altruistic motivations of students and practitioners within health care services.31, 34, 35

Elayyan 등은 워크숍을 통한 훈련과 학습, 특정 학습 접근법과 경험이 공감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헌에 제시된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환자와의 개인적 경험에 대한 성찰적 그룹 토론, 시와 문학, 회화, 성찰적 글쓰기, 문화사 등 예술과 인문학의 활용, 공감에 대한 자기 인식을 높이기 위한 명상과 마음챙김 경청 등이다. 체계적인 검토 결과, 개입은 [리허설이 있을 때]와 [혼합 모델 개입(예: 경험적, 교훈적, 기술 훈련)이 사용될 때] 더 효과적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Elayyan et al.36 highlighted that training and learning during workshops and specific learning approaches and experiences are able to enhance empathetic behaviour. There are multiple approaches suggested in the literature including reflective group discussion on personal experiences with simulated scenarios/patients, the use of art and humanities such as poetry and literature, painting, reflective writing, and cultural history, as well as meditation and mindful listening to increase self-awareness on empathy.37, 38 Systematic reviews revealed that interventions were more effective when rehearsal was present and when mixed-model interventions (e.g., experiential, didactic, and skills training) were used.39, 40

밀로타 외 연구진의 또 다른 체계적인 리뷰는 [서사 의학]이 [자기성찰과 공감을 자극하는 효과적인 교육적 도구]이며 학생들이 다른 관점이나 각도에서 환자를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록 공감은 적절한 개입으로 학부 교육 동안 가르치고 배울 수 있지만, 그것의 지속 가능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역할 모델링]은 학생을 포함한 의료 전문가들이 환자의 공감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가장 강력한 접근법 중 하나이다.36 그러나 부적절한 역할 모델링은 환자 치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 공감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Another systematic review by Milota et al.41 showed that narrative medicine is an effective pedagogic tool to stimulate self-reflection and empathy and that it can help students think about their patient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r angle. Although empathy can be taught and learned during undergraduate training with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its sustainability remains undetermined. Role modelling is one of the strongest approaches whereby health care professionals, including students, learn how to interact with patients' empathetically.36 However, inappropriate role modelling might impede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empathy in providing patient care.

의학 교육에 대한 공감 개입의 결과에 대해서도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 과정 중에 감정이입 감소의 증거가 있지만, 학자들은 또한 이러한 변화가 다른 요인의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학생들의 특성, 사회문화적, 지정학적 요인들을 포함한다. 이 문제의 복잡성을 더욱 설명하기 위해, Ferreira-Valente 외 연구진이 여러 연구 설계(설계, 사용된 측정, 샘플 크기 및 결과)를 포괄한 메타 분석을 통해 의과대학 전체에서 학생 공감에 일반화된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문화와 맥락, 연구 설계, 척도 등]이 이러한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보여준다.
There has also been disagreement among scholars about the outcomes of empathy interventions in medical education. While there is evidence of empathy-decline during the course of the training programme, scholars have also acknowledged that these changes might be a result of other factors.42 These factors includ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ocio-cultural and geopolitical factors.34, 43, 44 To further illustrate the complexity of this issue, a meta-analysis by Ferreira-Valente et al.45 that encompassed multiple study designs (design, measures used, sample sizes, and results) showed no generalised trend in student empathy throughout medical school. This demonstrates a possible impact of culture and context, study design, and measures affect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우리는 개입의 결과가 일관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이 기사의 목적은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공감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개입/접근 방식에 대한 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검토를 수행하는 것이다.
Building upon existing literature, we found that there are inconsistent outcomes of interventions. Henc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nduct a narrative review to provide more insights into the interventions/approaches to nurturing empathy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감 능력을 키우는 학부 및 대학원 의학 교육에 어떤 개입이 있나요?
  • 이러한 개입이 의료 전문가에게 공감 능력을 배양하는 측면에서 얼마나 효과적인가?
  • 개입의 강점과 한계는 무엇인가?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What are the interventions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hat nurture empathy?
  • How effective are these interventions in terms of developing empathy in health care professionals?
  • What ar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interventions?

2 방법론
2 METHODOLOGY

위의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페라리가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서술적 검토를 채용했다. PubMed, Embase 및 Google Scholar의 세 가지 주요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영어로 번역되고 2012-2020년 동안 발행된 영어 기사 또는 기사를 검색했다.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부울 연산자("OR/AND")를 사용하여 '의료' 주제 표제(MeSH)를 검색하기 위해 검색어를 넓혔다. 그 결과, 검색 문구가 아래에 나열되었습니다.

  • 학부 대상: (공감) AND (의학 교육) AND (학부) OR (학습) OR (기술 강화 학습) OR (교육 회진) OR (통신) OR (환자 시뮬레이션) OR (교육 자료) OR (역할 놀이) OR (전자 학습)
  • 대학원생의 경우: (공감) AND (의학 교육) AND (대학원) AND (교육) OR (학습) OR (기술 강화 학습) OR (교육 회진) OR (환자 시뮬레이션) OR (교육 자료) OR (교육 자료) OR (역할 놀이) OR (e-Learning)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we employed a narrative review based on the framework proposed by Ferrari.46 We searched three major electronic databases of PubMed, Embase, and Google Scholar for the English-language articles or articles which were translated to English, and published during 2012–2020. The search terms were broadened using the Boolean operator (“OR/AND”) to search the ‘medical’ subject heading (MeSH) in order to recognis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s a result, the search phrases were listed below.

  1. For Undergraduate: (Empathy) AND (Medical education) AND (Undergraduate) AND (Teaching) OR (Learning) OR (Technology-enhanced learning) OR (Teaching round) OR (Communication) OR (Patient simulation) OR (Teaching material) OR (Role-play) OR (e-Learning)
  2. For Postgraduate: (Empathy) AND (Medical education) AND (Postgraduate) AND (Teaching) OR (Learning) OR (Technology-enhanced learning) OR (Teaching round) OR (Communication) OR (Patient simulation) OR (Teaching material) OR (Role-play) OR (e-Learning)

또한 주제에 대한 연구의 관련성에 초점을 맞춘 문헌 검색에 대한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정의했다. 공감능력 배양에 학부 및 대학원 의학교육 개입을 포함하는 것 외에, 개입을 측정하는 결과가 명확한 원저 연구 논문(양적 또는 질적 또는 혼합 방법)과 체계적인 검토만 연구에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결과를 논의하는 데 있어 전체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그림 1은 본 기사에 대한 문헌 선정 과정의 흐름도이다.
We also define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for the literature search focusing on the relevance of the studies to the topic. Other than including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nterventions in nurturing empathy, only original research article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or mixed-method) and systematic reviews with clear outcomes measuring the intervention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is enabled us to provide a holistic view in discussing the outcomes. Figure 1 shows the flow chart of the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for the present article.

세 명의 연구자(SSL, YSP, JYHT)는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 기사의 전문을 철저히 스캔했다. 그리고 나서 그 연구원은 독립적으로 기사 내용을 검토했다. 우리는 각 연구의 유형 및 설계, 연구의 주요 목표, 연구의 품질, 표본 크기, 자체 보고 또는 객관적 측정, 유형, 지속 시간, 가르친 기술, 교육 개입의 양식, 그리고 학문에 기초한 기사를 면밀히 검토했다. 우리는 또한 반응, 학습, 행동 및 영향의 네 가지 수준을 기반으로 커크패트릭 모델의 네 가지 수준에 따라 결과를 기록했다.
Three researchers (SSL, YSP, and JYHT) thoroughly scanned the full text of articles that met inclusion criteria. The researcher then independently reviewed the article content. We scrutinised the articles based on the types and designs of studies, primary objectives of studies, quality of studies, sample size, self-reported, or objective measurements in each study, type, duration, frequency, skills taught, modali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disciplines. We also recorded the outcomes according to the four levels of Kirkpatrick's model based on the four levels: Reaction, learning, behaviour, and impact.

3 결과
3 RESULTS

총 44개 논문(학부 38편, 대학원 6편)이 검토되었다. 공감과 관련된 개입은 대학원 교육에 비해 학부생에게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그림 2는 검토된 기사에 대한 기본 정보를 요약한 것이다.

A total of 44 articles (38 undergraduate and six postgraduate)11, 37, 38, 47-87 were reviewed. Interventions related to empathy have placed a higher emphasis on undergraduate as compared with postgraduate education. Figure 2 summarises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articles reviewed.

 

아시아와 미국에서도 같은 수의 연구 결과가 발표된다(각 대륙에 대해 10개). 이것은 [아시아의 국가]들이 특히 학부 시절에 의학교육에서 공감을 길러야 할 중요한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양적 연구 설계]는 여전히 공감에서 연구를 지배한다. 커크패트릭 평가 모델에 따른 결과에 대해서는 대학원 의학 교육에 대한 개입이 커크패트릭 레벨 3(행동)까지 평가된 반면, 학부 교육에 대한 개입은 대부분 레벨 2(학습)에 초점을 맞췄다.
There is also an equal number of studies published in Asia and the United States (10 for each continent). This may indicate that the countries in Asia perceive empathy as an important aspect to be nurtured in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during undergraduate years.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still dominates the studies in empathy. As for the outcomes according to Kirkpatrick Evaluation Model, the interventions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ere evaluated up to Kirkpatrick Level 3 (Behaviour) whereas interventions in undergraduate education were mostly focused on Level 2 (Learning).

3.1 개입 및 결과의 유형
3.1 Types of interventions and outcomes

우리가 검토한 연구에서 권장되는 다양한 개입이 있다. 연구의 약 44%(n = 18)가 다양한 접근법의 혼합물을 개입으로 사용했다. 여기에는 동영상 사용, 소그룹 토론, 역할극, 실시간 피드백, 성찰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개입에 사용된 다양한 접근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1에 나와 있다.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근법 중 하나는 공감 능력을 배양하는 데 시뮬레이션 환자 또는 동료/튜터와의 인터뷰 기법을 사용한 것이고, 그 다음으로는 성찰/내러티브 글쓰기를 사용한 것이다. 사례 토론, 게임화, 편지 교환, 문신을 이용한 체험 학습과 같은 다른 접근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부 개입은 특정 학습 영역에 의해 결정되었는데, 예를 들어 의사소통 기술에 초점을 맞춘 논문 7편, 인문 과학에 관한 논문 3편, 예술에 관한 논문 3편이 있었다. 다양한 접근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결과는 표 1과 같이 다양했다. 따라서, 우리는 개입 유형만으로는 공감 능력을 배양하는 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There are different interventions recommended in the studies that we reviewed. About 44% (n = 18)38, 52, 58-60, 63-67, 73, 74, 77, 82, 83, 85, 86 of the studies used a mixture of different approaches as their interventions. These include the use of videos, small group discussion, role play, real-time feedback, and reflection. The details of the different approaches used in different interventions are indicated in Table 1.Th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approach was the use of interviewing techniques with simulated patients or peers/tutors in fostering empathy,47, 48, 54, 62, 71 followed by the use of reflective/narrative writing.51, 55, 68, 76 There are other approaches being suggested such as case discussion,37, 61, 78 gamification,72 letter exchange,80 and experiential learning using tattoos.57 Some interventions were anchored by specific study areas, for example, there were seven papers focusing on communication skills,47, 53, 56, 58, 63, 64, 71 three papers on humanities,66, 67, 77 and three on arts.38, 55, 85 While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being suggested, the outcomes were varied as shown in Table 1. Hence, we conclude that the types of intervention alone may not be sufficient in cultivating empathy.

 

3.2 개입 및 결과의 지속 시간
3.2 Duration of the interventions and outcomes

추가 정밀 조사 결과, 우리는 다른 개입이 일회성 개입으로 또는 일정 기간 동안 구현되고 있음을 발견했다(표 1 참조). 시행 기간을 언급하지 않은 연구는 4개였다. 이 4개 연구 중 2개의 정량적 기사에 대한 공감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2개는 정성적 연구였다. 일회성 개입을 제안한 연구(30%; n = 12)와 비교하여 대부분의 개입(60%; n = 26)이 일정 기간에 걸쳐 구현되었다. 일정 기간 동안 시행된 논문 중 16(38%)가 개입 후 공감 점수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다만 일회성 개입에 대한 공감 점수가 상승한 논문은 3편(7%)에 불과했다. 따라서, 우리는 시행되는 개입 기간이 학생들의 공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한다.

Upon further scrutiny, we found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were being implemented either as a one-off intervention or over a span of time (refer to Table 1). There were four articles which did not mention the duration of implementation.47-49, 81 Of these four articles,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empathy for two quantitative articles47, 48 and the other two were qualitative research.49, 81 A majority of the interventions (60%; n = 26) were implemented over a span of time37, 60-80, 83-86 as compared with studies that suggested a one-off intervention (30%; n = 12).38, 50-59, 82 16 (38%)61-74, 83, 84 of the 26 papers which the interventions which were implemented over a span of time indicated increased in empathy score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were only three papers52, 53, 58 (7%) showing an increase in empathy score for the one-off interven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duration of the intervention being implemented may have an effect on student empathy.

3.3 개입 및 결과에 대한 공감 측정 도구
3.3 Empathy measurement tools of interventions and outcomes

제퍼슨 공감 척도(Jefferson Scale of Efficiency, JSE)는 개입 후 학생들의 공감을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반면, 연구의 약 41%(n = 14)는 다른 측정 도구를 포함했다. 여기에는 대인관계 반응도 지수(IRI) 인벤토리, 환자-제공자 지향 척도(PPOS), 컨설팅 및 관계형 공감(CARE) 측정, 전문가 또는 환자의 평가 및 평가 데이터가 포함된다. 외부 관찰자 등급과 같은 다른 측정값을 사용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여기에는 공감 커뮤니케이션 코딩 시스템, 표준화된 환자 커뮤니케이션 체크리스트, 의대생 인터뷰 성과 설문지(MSIPQ) 등이 포함됐다. JSE 척도를 사용하는 것은 림 외 연구진과 웡드리치 외 연구진이 수행한 연구에서 전문가와 환자가 개입 후 학생 공감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렸기 때문에 학생 공감 수준을 나타내기 위한 추가 측정 도구를 갖는 것만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JSE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도구 외에 이러한 차이는 자기 인식과 외부 평가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While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JSE) is widely used in measuring student empathy after an intervention, around 41% (n = 14) of the studies included other measuring tools.47, 51, 52, 60, 70, 73, 75-79, 82-84 These includ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inventory, Patient–Provider Orientation Scale (PPOS), Consultative and Relational Empathy (CARE) measure, experts' or patients' rating, and assessment data. Few of the studies employed other measurements such as external observers rating on a graded scale.50, 63, 82-84 These included Empathic Communication Coding System,50 standardised patient communication checklist,50 and Medical Student Interview Performance Questionnaire (MSIPQ).50 Using the JSE scale alone might not be as accurate as having additional measurement tools to indicate student empathy levels as studies carried out by Lim et al.54 and Wündrich et al.79 showed that experts and patients rated highly on student empathy after the intervention,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shown in JSE. However, other than the tool, this difference may als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self-perception and external assessment.

검토한 평가 척도는 다른 속성 또는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학습자의 특정 속성을 다른 척도와 비교할 때 다르게 가중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개입 후 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에서 다른 그룹의 학생들과 학생들의 공감 수준을 비교할 때, 연구자들이 학습자의 공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다른 척도를 사용한다면 비교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The rating scales we reviewed focused on different attributes or characteristics and weigh certain attributes of learners differently than when compared with another scale. Therefore, when one compares student empathy level in one setting after an intervention with another group of students in a different setting, the comparisons may not be the same if investigators have used different scales to measure the learners' empathy level.

3.4 개입 및 품질에 관한 연구
3.4 Studies on intervention and the quality

비록 대부분의 연구가 연구의 엄격함에 부합하지만, 우리는 일부 연구가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챘다. 정성적 연구 설계를 활용한 연구는 4개였지만 결과에서 양성되는 공감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 개입 결과의 주제 중 하나로 인터뷰 대상자들이 공감을 짧게 언급했다. 4개의 연구는 개입의 기간과 실행 시기를 언급하지 않았다. 따라서 결과(중요한 변화가 없음)가 기간에 의한 것인지는 공정한 판단을 할 수 없다. 학생공감도가 높아진 기사는 2건이었지만, JSP의 항목 중 일부만 사용(한 기사는 JSP의 항목 5건만 사용)했다. 따라서 결과가 의심스러울 수 있다.

Although most of the studies conformed to the rigour of research, we noticed that some studies had limitations in the research methodology which might affect the outcome of the studies. There were four studies utilising qualitative research design49, 71, 80, 81 but did not discuss the components of empathy being nurtured in the results. Empathy was briefly mentioned by the interviewees as one of the themes of the outcome of the interventions. Four studies did not mention how long the interventions were and when they were implemented.47-49, 81 Hence, we are not able to make a fair judgement whether the outcome (no significant change) was due to the duration. There were two articles showing an increase in student empathy level but only part of the JSP's items were used (one article only used five items from JSPE).72, 73 Therefore, the outcomes could be questionable.

4 토론
4 DISCUSSION

현재의 리뷰는 보건 직업 학생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을 설계할 때 몇 가지 중요한 전략을 추천하고 싶다.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교육-학습 방법, 그러한 방법의 조합이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는지 여부, 즉 단일 개입이 아닌 세로 방향, 측정 유형 및 학습자의 공감의 영향/수준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측정 도구에 대해 명확히 알아야 한다..
The current review would like to recommend several important strategies when designing interventions to improve empathy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It is important that one must be clear abou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would be used to deliver the content, whether a combination of such methods is used over a period of time, that is, longitudinally rather than a single intervention, the type of measurement, and the measurement tool used to evaluate the impact/level of learner's empathy.

  • 첫째, 우리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성찰 연습 및 서술 의학 등)을 호출하는 교육-학습 접근법]과 일반적으로 [역할 모델링을 수반하는 경험적 학습]이 교육 및 학습의 교육적 방법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한다.
  • 둘째, 나머지 커리큘럼에서 [한 번] 또는 [고립된 노력]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중재적 접근]에만 집중하는 것은 최상의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수 있다. 대신, 서로 다른 교육적 개입을 결합하는 다중 모드 혼합 방법 접근법은 원하는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더 높다.
  • First, we find the teaching–learning approaches that would invoke learners' thought processes (such as reflective practice and narrative medicine) and experiential learning which usually involves role modelling are more effective than the didactic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 Second, onetime or isolated efforts from the rest of the curriculum and focussing only on one interventional approach to improve empathy may not bring about the best results. Instead, multimodal mixed-method approaches that combine different pedagogical interventions are more likely to bring about the desired outcomes.

검토는 또한 [개입이 구현되는 방식]에 따라 학습자에게 다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회성 개입에 비해 개입이 [장기간에 걸쳐 구현될 때] 더 나은 공감 점수를 얻고 유지된다. 그러나 공감으로 측정되는 것은 서로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연구마다 크게 다르다. 결과의 불일치는 주로 사람들이 공감을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때문이다. 이 격차는 JSE에 대한 자체 보고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없지만 시뮬레이션 환자(SP)와 관찰자는 공감 점수가 개선되었다고 보고한 여러 연구에서 강조되었다. 제프리는 또한 의대생들 사이에서 실시된 자기보고 설문지와 자신의 공감을 평가하는 인터뷰 사이의 불일치를 지적했다. 학생들은 그들의 공감을 설문지에 나타난 것처럼 훈련 중에 감소하기 보다는 면접에서 발전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The review also discovered the way in which the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could yield different outcomes in learners. Better empathy scores are obtained and retained when the interventions are implement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as compared with one-off intervention. However, what is being measured as empathy vary significantly in different studies using different tools. The incongruence in the results is mainly due to multiple factors playing a part in influencing how people perceive empathy. This gap was also highlighted in several studies56, 79 that reported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reported scores on the JSE but simulated patients (SPs) and observers showed an improved empathy score. Jeffrey88 also pointed out the discrepancy between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conducted among medical students on evaluating their own empathy. Students described their empathy as developing in the interview rather than declining during their training as indicated in the questionnaire.

우리는 이러한 도구가 본 논문의 앞부분에서 공유한 [공감의 모든 도메인을 포착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는 현재의 연구가 특정 측면에서만 학생의 공감을 반영할 수 있고 학생 공감 수준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평가 도구를 사용할 때 교묘함과 명확성의 부족도 공감 점수의 불일치에 기여했을 수 있다. 일부 도구는 검증되고 해당 국가의 모국어로 번역되지만, 이는 현지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Zhou 등이 수행한 체계적인 검토 결과,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공감을 측정했을 때 35개 글에서 공감이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자들은 그들의 맥락에서의 공감의 정의, 개입에서 조사되고 구현될 공감의 영역, 공감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번역된 버전의 척도를 명확하게 진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개입 결과를 보고할 때 공감 수준을 보다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We argue that these tools do not capture all the domains in empathy as shared earlier in our paper. Hence, we need to be cognizant that current studies may only reflect the student's empathy in certain aspects and do not provide a well-rounded view of student empathy level. A lack of finesse and clarity when using the tools to evaluate may have also contributed to inconsistency in the empathy scores. Some tools are validated and translated to the country's mother tongue but this may give rise to different meanings in the local context. In addition, a systematic review carried out by Zhou et al.89 showed that empathy is poorly defined in 35 articles when empathy was measured using these tool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investigators to clearly state the definition of empathy in their context, the domain of empathy to be investigated and implemented in the interventions, the factors influencing empathy score and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scale. This will provide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empathy level when reporting the outcome of the interventions.

공감의 모든 차원을 포괄하는 개입을 개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개입에 앞서, 교육자와 연구원들은 자신의 연구 맥락에서 공감을 정의해야 한다. 우리는 또한 저자가 공감을 키우고 측정하려는 학습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측정 도구는 측정하려는 특정 치수를 표시해야 한다. 다음으로, 연구자들은 그 정의에 기초하여 개입을 설계하고 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로 그것을 추적해야 한다. 도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해석은 선택한 공감의 차원과 정의에 기초해야 한다. 주어진 도구로 측정하려고 의도하지 않은 공감 차원과 정의를 포함하도록 해석을 확장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이, 유사한 도구에 의해 측정된 공감의 비교는 공정하고 투명한 것으로만 간주될 수 있다.
Because it is almost impossible to develop an intervention that encompasses all dimensions of empathy, prior to any intervention, the educators and researchers should define empathy in one's study context. We also suggest that authors provide information on the area of learning in which they intend to nurture and measure empathy. The measurement tools should indicate the specific dimensions that they intend to measure. Next, the researchers should design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definition and follow it up with an appropriate tool to measure empathy. The interpretation of data collected through the tool should be based on the dimension and definition of empathy selected. One should never extend the interpretations to cover empathy dimensions and definitions that were not intended to be measured by a given tool. As such, the comparison of empathy measured by similar tools can only be considered fair and transparent.

5 결론
5 CONCLUSIONS

지난 수십 년 동안, 보건직 교육자들은 보건직 학생들 사이의 공감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을 실험해 왔다. 이 서술적 검토는 공감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 접근 방식을 다루고 분석하며, 다양한 접근 방식의 조합이 활용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의 결과는 다양하다. 우리는 접근법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었는지가 그것의 성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하며, 우리는 [일정 정도의 기간] 동안 수행된 개입이 더 나은 결과를 산출한다는 것을 본다. 그러나 보고된 결과가 서로 다른 이유만은 아닐 수 있다. 대부분의 평가 도구는 서로 다른 영역과 공감 구조에 초점을 맞춘 척도를 사용하여 보고되었다. 이것은 우리가 본 논문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몇 가지 모순된 결과를 초래했다. 공감의 구조는 복잡하고 맥락이 매우 높다. 따라서, 우리는 상황별 접근 방식을 정의하고 사용할 때 명확성을 가지며, 사용된 도구가 공감 결과를 평가하고 보고할 때 데이터를 삼각측량하는 데 사용된 방법을 명확하게 명시할 것을 제안한다.

Throughout the past several decades,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have been experimenting with multiple approaches to nurture empathy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This narrative review addresses and analyses the approaches used to inculcate empathy and we noticed different combinations of approaches were utilised. However, the outcomes of these approaches vary. We argue that how the approaches were being implemented play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its success and we see that interventions that were carried over a span of time, yield better results. However, this might not be the only reason for the different outcomes reported. Most of the evaluation tools have been reported using scales focusing on different domains and constructs of empathy. This has led to some inconsistent outcomes as we hav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constructs of empathy are complex and highly contextual. Therefore, we propose to have clarity in defining and using contextual approaches, and to clearly state the tools used assess empathy and methods used to triangulate data when assessing and reporting empathy outcomes.

 

 


Med Educ. 2022 Jul 5. doi: 10.1111/medu.14865. Online ahead of print.

Empath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What works, gaps and areas for improvement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Centre for Medical Education (CenMED), Yong Loo Lin School of Medicin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Colombo, Colombo, Sri Lanka.

PMID: 35790499

DOI: 10.1111/medu.14865

Abstract

Introduction: Developing a physician equipped with both technical and affective skills is crucial in ensuring quality patient care. Of these skills, nurturing empathy is a key skill that has been studied in great detail, particularly among medical undergraduates. Despite numerous studies trending the changes in empathy, the results are often contradictory or confusing. Our study aims to find what interventions are effective to inculcate empathy in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nd suggest areas for improvement.

Methods: A narrativ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interventions in nurturing empathy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Original research articles and systematic reviews with clear interventions and outcom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A total of 44 articles were reviewed. About 44% (n = 18) of the studies used a mixture of different approaches as their interventions. Some interventions were anchored by specific topics: Seven papers focusing on communication skills, three papers on humanities, and three on arts. A majority of the interventions (60%; n = 26) were implemented over a span of time as compared to studies which suggested a one-off intervention (30%; n = 12). Of the 26 papers in which the interventions were enforced over a period of time, 62% (n = 16) indicated an increase in student empathy whereas 16% (n = 4) indicated no changes in empathy post-intervention. On the contrary, 50% (n = 6) of the one-off interventions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 in student empathy. Jefferson Scale of Empathy (JSE) is widely used in measuring student empathy postintervention, but approximately 41% of the studies included measuring tools other than JSE.

Conclusions: Pedagogical methods that invoke thought processes related to the affective domain of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are more effective than the didactic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ultimodal mixed-methods approach that combine different pedagogical interventions is more likely to bring about the desired results.

의과대학에서 전문직업성 기르기: 1990년과 2019년 사이 교육과정의 체계적 스코핑 리뷰(Med Teach, 2020)
Nurtur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s. A systematic scoping review of training curricula between 1990–2019
Yun Ting Onga,b, Cheryl Shumin Kowa,b, Yao Hao Teoa,b, Lorraine Hui En Tana,b, Ahmad Bin Hanifah Marican Abdurrahmana,b, Nicholas Wei Sheng Queka,b, Kishore Prakasha,b , Clarissa Wei Shuen Cheonga,b, Xiu Hui Tana,b, Wei Qiang Lima,b, Jiaxuan Wua,b, Laura Hui Shuen Tana,b, Kuang Teck Taya,b , Annelissa Chinc, Ying Pin Tohd, Stephen Masone and Lalit Kumar Radha Krishnaa,b,e,f,g 

 

서론
Introduction

전문직업성의 정의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프로페셔널리즘은 의사-환자 관계, 환자 만족도 및 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진화하고, 사회 문화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다차원적인 구인]이다(Li et al. 2017). 임상 치료에 대한 전문직업성의 직접적인 영향은 이 개념을 더 잘 이해하고 임상 실무에서 그 역할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강조한다(Wilkinson et al.). 그러나 전문직업성을 기르는 일은 전문직업성이 어떻게 인식되는지에conceived 대한 차이로 인해 복잡하다. ACGME, ABIM, GMC 및 CanMEDs 프레임워크 등에 의해 제시된 프로페셔널리즘의 정의는 여기에 [사회문화적, 맥락적, 지리-정치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요인의 영향을 인정한다는 것은 현재의 훈련 접근법의 적절성과 실행 가능성을 재고할 필요성을 강조한다(Mueller 2009).
Professionalism is an evolving, socioculturally informed, multidimensional construct (Li et al. 2017) that influences doctor-patient relationships, patient satisfaction and healthcare outcomes (Wilkinson et al. 2009). Professionalism’s direct impact upon clinical care underlines efforts to better understand this concept and nurture greater awareness of its role in clinical practice (Wilkinson et al. 2009). Yet the task of nurturing professionalism is complicated by differences in how professionalism is conceived. Definitions set out by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ACGME),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ABIM), General Medical Council (GMC) and the CanMEDs framework by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allude to the impact of prevailing sociocultural, contextual and geopolitical factors on prevailing concepts of professionalism. Acknowledg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underlines the need to reconsider the appropriateness and viability of current training approaches (Mueller 2009).

이번 체계적인 범위 지정 검토는 학부 및 대학원 의과대학에서 전문직업성이 양성되는 방식을 지도화하여 의대생들의 전문성 양성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계 정보를 개선하고 지원 및 평가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Munn et al. 2018).
This systematic scoping review aims to map how professionalism is nurtured i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schools so as to better inform design and enhance support and assessment of programs aimed at nurturing professionalism amongst medical students (Munn et al. 2018).

방법론
Methodology

체계적인 범위 검토는 광범위한 교육 및 실습 설정(Chidwick et al. 2018)에 걸쳐 실행 가능하고 적용 가능한 정보(DuMont et al. 2015)와 사용 가능한 문헌 요약(O'Donovan et al. 2018; Osama et al. 2018)을 체계적으로 추출하고 합성할 수 있다. 2004; Pape and Manning 2006).
A systematic scoping review allows for systematic extraction and synthesis of actionable and applicable information (Du Mont et al. 2015) and a summary of available literature (O’Donovan et al. 2018; Osama et al. 2018) across a wide range of pedagogies and practice settings (Chidwick et al. 2004; Pape and Manning 2006).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의 Yong Loo Lin 의과대학(YLLsoM)과 싱가포르 국립 암 센터(NCCS)의 의료 도서관, NCCS의 지역 교육 전문가 및 임상의의 지도 아래 YLsOM 및 Duke-NUS 의과대학(EXPorth)의 의료 사서, NCCS의 현지 교육 전문가 및 임상의의 지도 아래, YLsoM 및 Duke-NUS 의과대학(EXPorthen)은 다음과 같은 의과 함께 의료기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질문은 '의대생들의 전문직업성 함양에 대해 알려진 것'으로 결정되었다. 연구팀 17명은 또 2차 연구 질문을 '학부와 대학원 의학 커리큘럼에서 전문직업성이 어떻게 이해되고 실천되고 있는가'로 결정했다.

Guided by the medical librarians from the medical library at the Yong Loo Lin School of Medicine (YLLSoM)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nd at the 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 (NCCS) and local educational experts and clinicians at the NCCS, the Palliative Care Institute Liverpool, YLLSoM and Duke-NUS Medical School (henceforth the expert team),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 was determined to be ‘what is known about nurturing professionalism amongst medical students?”. The 17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also determined the secondary research questions to be “how is professionalism understood and practiced in prevailing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curricula?”.

이 체계적인 범위 검토는 Li 등(2017)의, Wilkinson 등을 기반으로 한다. (2009) 및 벨로스키 외. (2005)의 전문성 평가 도구 검토. 향후 체계적인 검토의 기초가 되는 것 외에도, 체계적인 범위 검토를 사용함으로써 의료 전문직업성 훈련의 개인과 시스템에 대한 관련 문헌 부족에 의해 제기되는 한계를 우회할 수 있다(Pinkus et al. 1995; Pinkus 1999; 2001년 5월, Chidwick et al. 2004; Pape and Manning 2006).
This systematic scoping review, builds upon Li et al. (2017)’s, Wilkinson et al. (2009)’s and Veloski et al. (2005)’s reviews of assessment tools in professionalism. Aside from being the basis for a future systematic review, use of a systematic scoping review circumnavigates limitations posed by a dearth of relevant literature on individual and systems of the train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Pinkus et al. 1995; Pinkus 1999; May 2001; Chidwick et al. 2004; Pape and Manning 2006).

Levac et al. (2010) 의 Arcsey and O'Malley (2005) 의 시스템 스캔 프레임워크가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 영역과 주요 원천과 증거의 종류"를 검색하고, 주제 내에 존재하는 문헌의 프로파일을 만들어서 풍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것이 실천과 후속 연구를 가이드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PRISMA-P 2015 체크리스트와 결합하여 Levac et al (2010)의 Arcsey and O'Malley (2005)의 시스템 리뷰를 위한 프레임워크는 6-stage systematic review Protocol의 포워딩으로 확장된다.

Levac et al. (2010)’s adaptation to Arksey and O'Malley (2005)’s framework for systematic scoping review was used to map the key concepts underpinning a research area and the main sources and types of evidence available” (Mays et al. 2001) and “produce a profile of the existing literature in a topic area, creating a rich database of literature that can serve as a foundation” to inform practice and guide further research (Grant and Booth 2009; Daudt et al. 2013; Pham et al. 2014). Combined with the PRISMA-P 2015 checklist (Osama et al. 2018), Levac et al. (2010)’s adaptation to Arksey and O'Malley (2005)’s framework for systematic scoping review allowed the forwarding of a 6-stage systematic review protocol (Mays et al. 2001; Arksey and O'Malley 2005; Grant and Booth 2009; Levac et al. 2010; Thomas et al. 2014; Lorenzetti and Powelson 2015).

프레임워크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전문가 팀이 연구 질문을 결정하도록 지도했다. 이러한 질문은 PICOS 형식(표 1)을 사용하여 포함 및 배제 기준의 인구, 개념 및 맥락 요소에 대해 설계되었다(Peters et al. 2015).
In the first stage of the framework the expert team guided the research team in deter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se questions were designed on the population, concept and context elements of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Peters et al. 2015), using a PICOS format (Table 1).

전문가 팀의 안내와 의료 전문성에 대한 지배적인 정의와 설명에 따라 연구팀은 PubMed(부록 A), Embase, PsycINFO, ERIC,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및 Scopus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 전략을 개발했다. 실행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연구 프로세스를 보장하고 지배적인 인력 및 시간 제약을 수용하려는 Pham 등(2014)의 접근 방식에 따라 연구팀은 1990년 1월 1일과 2019년 12월 31일 사이에 발표된 기사로 초점을 제한했다. 영어로 출판되거나 영어로 번역된 논문의 모든 연구 방법론(양적 및 질적)이 포함되었다. 2019년 2월 14일부터 2019년 4월 24일까지, 2019년 10월 18일부터 2020년 1월 17일까지 각각 단독 수색을 실시했다. 

Guided by the expert team and prevailing definitions and descriptions of medical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team developed a search strategy for PubMed (Supplementary Appendix A), Embase, PsycINFO, ERIC,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and Scopus databases. In keeping with Pham et al. (2014)’s approach of ensuring a viable and sustainable research process and to accommodate to prevailing manpower and time constraints the research team confined their focus to articles published between 1 January 1990 and 31 December 2019. All research methodologi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or had English translations were included. The independent searches were carried out between 14 February 2019 and 24 April 2019 and again between 18 October 2019 and 17 January 2020.

3단계에서는 PICOS에서 정한 심사기준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목과 초록을 독자적으로 심사하고, 온라인에 포함될 개별 기사목록을 논의한 후 최종 검토 대상 기사목록에 합의했다. Sandelowski와 Barroso(2006)의 '협상된 합의 검증'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분석할 전체 텍스트 기사의 최종 목록에 대한 합의를 도출했다.
In the third stage, the research team independently screened the identified title and abstracts using the screening criteria set out in the PICOS, discussed their individual lists of articles to be included online and agreed on the final list of articles to be reviewed. Sandelowski and Barroso (2006)’s ‘negotiated consensual validation’ approach was used to achieve consensus on the final list of full text articles to be analysed.

선험적a priori 프레임워크가 없었기에, 포함된 기사에서 공통적인 주제를 식별하였고, [의대생들의 다양한 목표와 모집단 및 의대생들의 존재]에 의해 제기되는 한계, [전문직업성이 맥락-특이적이고 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받는 한계를 우회하기 위해 브라운과 클라크(2006)의 주제 분석에 대한 접근법이 채택되었다.  또한 이 접근방식은 통계적 풀링의 사용을 방지하며, 포함된 기사의 분석을 방지하는 광범위한 연구 방법론을 더 잘 설명한다. 브라운과 클라크(2006)의 접근방식은 다음과 같다.
In the absence of a priori framework, Braun and Clarke (2006)’s approach to thematic analysis was adopted to identify common themes across the included articles and circumnavigate the limitations posed by the presence of different goals and populations of medical students as well as the context-specific, socio-culturally influenced nature of medical professionalism (Van Der Vleuten and Schuwirth 2005; Braun and Clarke 2006; Goldie 2013; Birden et al. 2014; Li et al. 2017; Norcini et al. 2018; Patterson et al. 2018; Hodges et al. 2019). This approach also better accounts for the wide range of research methodologies present that prevent use of statistical pooling and analysis of the included articles (Haig and Dozier 2003a, 2003b; Braun and Clarke 2006; Riquelme et al. 2009; Schönrock-Adema et al. 2009; Soemantri et al. 2010; Gordon and Gibbs 2014). The phases of Braun and Clarke (2006)’s approach are detailed below

  1. 연구팀 구성원 11명이 포함된 기사를 '적극적으로' 읽어 자료에서 의미와 패턴을 찾는 등 반복적인 단계별 주제분석을 진행했다.
  2. An iterative step-by-step thematic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11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actively’ reading the included articles to find meaning and patterns in the data.
  3. 연구팀의 각 구성원은 텍스트의 '표면' 의미로부터 '코드'를 구성했다. 그런 다음 '오픈 코딩'의 초기 코드를 유사성에 따라 범주로 분류했다.
  4. Each member of the research team constructed ‘codes’ from the ‘surface’ meaning of the text (Boyatzis 1998; Braun and Clarke 2006; Voloch et al. 2007; Sawatsky et al. 2016). The initial codes from ‘open coding’ were then grouped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5. 그런 다음 범주를 데이터를 가장 잘 나타내는 테마로 구성했다. 마인드 맵은 다양한 코드 간의 연결을 설명하고 주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귀납적 접근]은 테마를 "사전 결정된 분류 없이 원시 데이터에서 정의"할 수 있게 했다(Cassol et al. 2018). 브라운과 클라크(2006)는 테마를 "데이터에 대한 중요한 것… 그리고 데이터 집합 내의 패턴화된 반응이나 의미를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6. The categories were then organised into themes that best represent the data. Mind maps were used to illustrate the links between the various codes and to help delineate themes. An inductive approach allowed themes to be “defined from the raw data without any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assol et al. 2018). Braun and Clarke (2006) describe themes as something important about the data… and represents some level of patterned response or meaning within the data set”.
  7. 연구팀의 각 구성원은 테마가 일관적이고 전체 데이터 세트를 대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마를 검토하고 다듬었다.
  8. Each member of the research team reviewed and refined their themes to ensure they were coherent and representative of the whole data set.
  9. 연구팀의 각 구성원들은 각각의 테마의 구체적인 특징들을 명명하고 설명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일했다. 그런 다음 그들은 '협상된 합의된 검증'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공통 코딩 프레임워크와 코드북에 합의하기 위해 온라인과 대면 회의에서 개별 발견에 대해 논의했다(산델로스키와 바로소 2006). 코드북은 코드, 서브테마, 정의, 용어에 대한 설명, 적용 시기와 적용 안 함에 대한 지침으로 구성됐다. 이 회의들은 11명의 회원 모두가 같은 10, 30, 50개의 전문 기사를 검토한 후 3개의 시점에서 진행되었다.
  10. Each member of the research team worked independently to name and delineat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theme. They then discussed their individual findings online and at face-to-face meetings to agree upon a common coding framework and code book using the ‘negotiated consensual validation’ approach (Sandelowski and Barroso 2006). The code book consisted of the codes, sub-themes, definitions, descriptions of terms and guidelines on when to use and when not to apply. These meetings were carried out at three junctures- after all 11 members had reviewed the same 10, 30 and 50 full text articles.
  11. 브라운과 클라크의 접근법 6단계(2006)의 일환으로, 역 교육자, 임상의사, 임상 환경에서 의료 전문성 교육 및 평가에 경험이 있는 연구자(자문팀)와 전문가 팀과 논의하는 동안 확인된 테마가 Birden 외(2013)의 "BEME 가이드 No.25: 의료 교육에서의 전문성 교육"에서 제안된 범주 및 Wilkinson 외(2009) 및 Veloski의 전문성 평가 도구 검토와 일치한다고 제안했다. 자문 및 전문가 팀은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평가하고, 일반적인 이론에 깊이를 더하고, 식별된 주제를 검증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지시된 내용 분석]을 사용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Hsieh and Shannon 2005; Humble 2009).
  12. During discussions with local educationalists, clinicians and researchers who are experienced in medical professionalism teaching and assessment in clinical settings (advisory team) as well as the expert team as part of the sixth stage of Braun and Clarke (2006)’s approach, it was suggested that as the themes identified were consistent with the categories highlighted by Birden et al. (2013)’s “BEME Guide no.25: Teach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nd Wilkinson et al. (2009)’s and Veloski et al. (2005)’s reviews of assessment tools in professionalism. The advisory and expert teams were in agreement that directed content analysis ought to be used to independently evaluate the data, add depth to prevailing theories and would help verify the themes identified (Hsieh and Shannon 2005; Humble 2009).

브라운과 클라크의 주제 분석에 대한 접근 방식(2006)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에 관여하지 않은 두 명의 독립 검토자가 [지시된 내용 분석]을 수행했다(Hsieh와 Shannon 2005). 지시적 내용 분석의 3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Two independent reviewers not involved in the analysis of the data using Braun and Clarke’s approach to thematic analysis (2006) carried out directed content analysis (Hsieh and Shannon 2005). The 3 phases of directed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1. 첫 번째 단계연역 범주 적용(Elo and Kyngäs 2008)을 사용하여, 검토자가 버거 외(2019), 린치 외(2004), 버든 외(2013)의 BEME 가이드 No.25 및 Wilkinson 외 (2009) 및 벨로스키 외 연구진(2005)의 전문성 평가 도구 리뷰에 의해 제시된 훈련 전문성의 핵심 요소 설명에 기초하여 [코드를 독립적으로 결정]한다. 각 코드는 [코드북]에 정의되었으며, 이후 코딩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을 했다.
  2. [2단계]에서는 두 검토자가 '코드북'을 사용하여 포함된 문서에서 관련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추출하고 코드화하는 것을 보았다. 이러한 코드에 의해 포착되지 않은 관련 데이터는 연역 범주 적용에 따라 새로운 코드가 할당되었다. 포함된 10개의 기사에 대한 독립적인 검토 후, 검토자들은 온라인에서 그들의 발견을 논의했고, 코드와 코드북의 합의를 얻기 위해 '협상된 합의 검증'을 이용했다.
  3. 코드로부터 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범주(닐 외 2018)는 검토된 기사의 70% 이상(Curtis et al. 2001; Humble 2009)에 나타났는지 여부에 따라 선정되었다. 
  4. Using deductive category application (Elo and Kyngäs 2008), the first stage (Mayring 2000) saw the reviewers independently determine the codes based on descriptions of key elements of training professionalism set out by Berger et al. (2019), Lynch et al. (2004), Birden et al. (2013)’s BEME Guide no.25: Teach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nd Wilkinson et al. (2009)’s and Veloski et al. (2005)’s reviews of assessment tools in professionalism. Each code was defined in the code book that then served to guide the subsequent coding process.
  5. Stage 2 saw the two reviewers using the ‘code book’ to independently extract and code the relevant data from the included articles. Any relevant data not captured by these codes were assigned a new code in keeping with deductive category application. Following independent review of the same 10 included articles, the reviewers discussed their findings online and ‘negotiated consensual validation’ was used to achieve consensus of the codes and the code book.
  6. From the codes were derived 4 categories. These categories (Neal et al. 2018) were selected based on whether they appeared in more than 70% of the articles reviewed (Curtis et al. 2001; Humble 2009).

[제작된 내러티브]는 BEME(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협업 가이드(Haig and Dozier 2003b)와 STORES(증거 합성의 의료 교육 보고에 대한 체계화된 접근법) 선언문(Gordon and Gibbs 2014)에 의해 안내되었다.

The narrative produced was guided by the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Collaboration guide (Haig and Dozier 2003b) and the STORIES (Structured approach to the Reporting In healthcare education of Evidence Synthesis) statement (Gordon and Gibbs 2014).

품질평가
Quality assessments

연구팀 4명은 의학교육연구품질기구(MERSQI) (Read et al. 2008)와 COREQ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 Qualitative Studies) (COREQ) (Tong et al. 2007)를 사용하여 정량적 연구의 개별 평가를 수행하였다.그의 평론 연구 팀은 평가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대면했다. 품질 평가 요약은 이 체계적 검토에 포함된 기사 목록과 함께 부록 B와 C에 제시되어 있다.
Four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carried out individual appraisals of quantitative studies using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RSQI) (Reed et al. 2008) and the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Studies (COREQ) (Tong et al. 2007) to evaluate the quality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included in this review. The study team met face-to-face to reconcile any differences in their assessments. A summary of the quality assessment together with the list of articles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is founded in Supplementary Appendices B and C.

결과.
Results

6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13921개의 추상적인 내용을 확인했고 854개의 전문 기사를 검토했으며 162개의 전문 기사를 체계적으로 검토했다(그림 1: PRISMA 흐름도).

13921 abstracts were identified from six databases, 854 full-text articles reviewed, and 162 full-text articles were thematically analysed in this systematic review (Figure 1: PRISMA Flowchart).

브라운과 클라크(2006)의 접근 방식을 사용한 [주제 분석 결과]와 [지시된 내용 분석]에서 식별된 범주(Hsieh와 Shannon 2005)는 유사했다. 이것들은 1) 전문성의 정의, 2) 영역, 3) 훈련 접근법, 4) 전문성 교육에 대한 장벽과 가능자였습니다.
The results of the thematic analysis using Braun and Clarke’s (2006) approach and the categories identified from directed content analysis (Hsieh and Shannon 2005) were similar. These were 1)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2) domains, 3) training approaches, and 4) barriers and enablers to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전문직업성의 정의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전문직업성의 개념은 여전히 제대로 정의되지 않고 있다. 분석된 162개의 기사에는 58개의 전문직업성 정의와 설명이 있었다. 이러한 정의의 핵심 요소 및 전문성에 대한 설명은 보충 표 1에 주제별로 분석 및 요약되었다.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remains poorly defined. There were 58 definitions and or descriptions of professionalism featured in the 162 articles analysed. The key elements of these definitions and or descriptions of professionalism were thematically analysed and summarised in Supplementary Table 1.

Subtheme Elaboration
Abstract concept Comprises of abstract concepts

Is an identity
Influenced by concepts of medicine’s role and place Involve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medicine
 
And underpins the trust i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Knowing the hierarchy and understanding their position in it
Sociocultural informed Varies according to cultural contexts
 
Societal aspect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interaction with the community
Good clinical practice Having Clinical competence (including clinical judgement, breadth of knowledge, clinical care)
 
Good communication skills
 
Having ethical, moral and legal knowledge and standards
 
Exhibiting teamwork with colleagues

Strong leadership skills

Being sensitive to the needs, beliefs and cultures of others
Driving self-improvement Striving for excellence
 
Having a commitment to the job and learning

Self-assessment, reflection and regulation
Includes a set of virtues Honour and integrity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Humanism (respect for others, empathy)

Spirituality

Altruism

 

전문 분야
Domains of professionalism

전문직업성의 교육은 표 2에 요약된 임상 역량, 인문학적 자질 및 반사 능력의 세 가지 영역을 포함한다.

Training professionalism involved 3 domains: clinical competence, humanistic qualities and reflective capacity outlined in Table 2.

교육 접근법
Training approaches

전문직업성 육성을 위한 접근방식을 논의할 때, 비공식적이고 숨겨진, 비공식적이고 공식적인 커리큘럼이 교육 접근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그림 2).

In discussing approaches to nurturing professionalism it is useful to consider the impact of the informal, hidden, the non-formal and formal curricula upon the training approaches (Figure 2).

 
 
 

접근법 자체는 보충 표 2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The approaches themselves are featured in Supplementary Table 2.

Subtheme Elaboration Reason for Use
Didactic Methods Ceremonies, such as the White Coat Ceremony or a ceremony held prior to dissection. Ceremonies such as the White Coat Ceremony “symbolize the matriculating students’ induction into the medical profession”
Workshops, Lectures, Seminars and Tutorials Such methods appear to be in the minority in favour for methods that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Dialectic Methods Small Group Discussions
 
These require a safe space, such as through a collegial setting.
In preparation for small group discussions,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Additionally, by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students gain “a large bag of tool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ir] peers better, or [their] patients better”
Role-modelling A role model may be understood as “an individual whose behaviour is admired or imitated by others”.
 
Role models may be assigned by the school as part of a formal mentoring programme.
By demonstrating strong professional attributes, students can understand how such attributes can be adopted into their future practice.
 
Experiential Learning Students are given opportunities to practice professionalism by interacting with patients (real or simulated). These encounters may (or may not) be planned specifically by faculty for the express objective of nurturing professionalism. The key is to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Focused on Reflection Portfolio which is a “a collection of written accounts of events and activities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kept in the form of a journal.” Reflec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curricula as it allows for the internalisation of attributes taught.
Methods that focus on medical humanities, such as creative writing in response to a prompt.


35개 프로그램은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하였다(보완 표 2). 30개의 프로그램은 "서비스 대상 개인과 공동체의 이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지식, 기술 기술, 임상적 추론, 감정, 가치 및 일상적 실천에서의 성찰"과 같은 특정 역량에 대한 교육을 목표로 했다. 반면 다른 이들은 환자 중심 치료 접근법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엡스타인 외). 2004) 및 성찰 능력 개선(Elango et al. 2005) (보조 표 2).
35 programmes used a combination of approaches to teach professionalism (Supplementary Table 2). 30 programs targeted training on specific competencies such as “habitual and judicious use of communication, knowledge, technical skills, clinical reasoning, emotions, values, and reflection in daily practice for the benefit of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being served”(Epstein et al. 2004) whilst others focused upon developing a patient centred approach to care (Epstein et al. 2004) and improving reflective capacity (Elango et al. 2005) (Supplementary Table 2).

일부 프로그램은 몇 년 동안 지속된 종적 접근 방식을 취했다(Branch 2015; Karunakaran et al. 2017).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의대생과 함께 2년 이상 동안 매주 - 2회 월별로" 개최될 수 있으며(지점 2015), 5.5년 동안 반년마다 한 번 개최될 수 있다(Kalén et al. 2015).
Some programs took a longitudinal approach that ran over the course of a few years (Branch 2015; Karunakaran et al. 2017). For instance, programmes may be held “weekly to twice monthly for 2 years or longer with medical students”(Branch 2015) or once every half a year for 5.5 years (Kalén et al. 2015).

장벽 및 활성화 요소
Barriers and enablers

장벽은 시스템 수준, 기관 수준, 교수 수준, 개인 수준(표 4)에 존재하는 전문성 교육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많은 경우에 이 장벽들은 얽혀있다. 높은 수준의 장벽은 "낙수 효과"를 가지고 있고 낮은 수준의 장벽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유의하는 것이 유용하다(그림 3).

Barriers are factors that undermine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ism training which exist at the system-level, institution-level, faculty-level, individual-level (Table 4). In many instances these barriers are entwined. It is also useful to note that barriers at a higher level have a “trickle-down effect” and affect barriers at a lower level (Figure 3).

 
 
 
 

Enabler전문직업성 훈련의 효과를 촉진하는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매우 중요하다.
  • 학생들에게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자기 주도 학습을 강화하며, 전문직업성 훈련에 대한 관심을 전파한다.
  • 그들이 배우고 관찰하는 것의 불일치를 토론할 플랫폼. 이를 통해 교직원과 학생 사이에 신뢰 관계를 구축하여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필요한 경우 후속 교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기관과 교수진의 지원은 필수적이다.

Enablers can be understood as factors that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ism training. These include

  • active student involvement in the programme is crucial (Humphrey et al. 2007; Parker et al. 2008).
  • motivating students about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pagating interest in professionalism training (Humphrey et al. 2007; Parker et al. 2008) (Kenyon and Brown 2007; Monrouxe et al. 2011).
  • a platform to discuss discrepancies in what they learn and observe (Driessen et al. 2003; Rabow et al. 2007; Wald et al. 2009; Monrouxe et al. 2011). This builds trust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to allow for open communication and subsequent remediation if needed (Driessen et al. 2003; Rabow et al. 2007; Wald et al. 2009; Monrouxe et al. 2011).
  • support from institutions and faculty is vital (Shapiro and Rucker 2003; Elango et al. 2005; Du Preez et al. 2007; Goldie et al. 2007; Humphrey et al. 2007; Kalet et al. 2007; Kenyon and Brown 2007; Parker et al. 2008; Jayasuriya-Illesinghe et al. 2016).

품질평가
Quality assessments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은 합리적인 품질이었다(부록 C). 이것은 연구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
The paper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of reasonable quality (Supplementary Appendix C). This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study.

논의
Discussion

[지시된 내용 분석]과 브라운과 클라크의 [주제 분석]에 대한 접근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참신하며, 식별된 범주를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두 가지 독립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방법적 삼각측량(Asarroudi et al. 2018)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검토자는 동일한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분석하도록 하여 연구자 삼각측량을 하였다(Davey et al. 2015). 삼각측정은 또한 외부 타당성을 향상시키고 이 접근 방식 내의 객관성을 향상시킨다(Hsieh 및 Shannon 2005).
Concurrent use of directed content analysis (Hsieh and Shannon 2005) and Braun and Clarke’s approach to thematic analysis is novel and does serve to validate the categories identified. Use of two independent approaches to analyse the data also provides method triangulation (Assarroudi et al. 2018) whilst having each reviewer independently analyse the same data provides investigator triangulation (Davey et al. 2015). Triangulation also enhances external validity and improves the objectivity within this approach (Hsieh and Shannon 2005).

주요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전문직업성[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 역량, 인문학적 자질, 성찰 능력, 자기 관리 및 자기 인식]에 기반을 둔, 사회문화적으로 영향을 받은, 윤리적으로 민감한 개념으로 스케치할 때, 이 체계적 범위 검토는 앞서 기술된 것보다 더 넓은 전문직업성 개념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싱가포르의 전문직업성 개념 내의 요소들과 특히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자율성의 '전통적인' 원자론적 개념보다는 임상 치료에서 지배적인 가족 중심적 서술에 민감하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정보]는 의사 소통, 전문가 간 상호작용, 임상의 역할에 대한 관점, 따라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 전문성을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In answering its primary research question and sketching professionalism as a socioculturally influenced, ethically sensitive concept built upon clinical competence, humanistic qualities, reflective capacity, self-care and self-awareness that influence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is systematic scoping review suggests a wider concept of professionalism than previously described (Cruess and Cruess 2008; Cruess et al. 2016). This perspective is especially relevant with elements within concepts of professionalism in Singapore, for example, being sensitive to the dominant family centric narrative in clinical care rather than ‘traditional’ atomistic concepts of autonomy (Krishna 2014; Krishna et al. 2014; Krishna and Kwek 2015; Radha Krishna and Alsuwaigh 2015). This socioculturally informed practice impacts communication, interprofessional interactions, views on the role of the clinician and thus the manner that professionalism is viewed in Singapore, Malaysia, China, Japan and Korea (Ho et al. 2013; Chai et al. 2014; Chong et al. 2015; Loh et al. 2016; Chang et al. 2017).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또한 의대생들 사이에서 전문성을 기르려는 노력에서 더 큰 역할을 부여받지만, 그 정확한 영향은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보완표 1).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문직업성에 대한 평가에 [학습자 개인적 특질personhood이라든가 '나를 나로 만드는 것'에 대한 학습자의 관점]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러한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그리고 개인 차원에서 지원하는 것은 전문직업성 발달에 대한 교육 및 감독을 더 잘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s also afforded a greater role in efforts to nurture professionalism amongst medical students though its precise impact requires further elucidation (Cruess RL and Cruess SR 1997; Cruess SR and Cruess RL 1997; Inui 2003; Cruess and Cruess 2008; Cruess et al. 2016) (Supplementary Table 1). This suggests evaluations of the professionalism of an individual learner overtime should also be accompanied by they view their personhood or “what makes you, you’ (Krishna 2013; Alsuwaigh and Krishna 2014; Krishna 2014; Alsuwaigh and Krishna 2015; Krishna and Kwek 2015). Supporting these changes more effectively and on an individual level will allow better inculcation and oversight o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전반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전문직업성이 길러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fessionalism should be nurtured as

  • I. 구조화된 커리큘럼의 일부분으로
    • 이를 통해 일반적인 지리정치적, 사회문화적 요소와 일치하는 적절한 임상 실무 규범와 관련 전문적 관리 표준이 교육 과정에 적절히 반영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 전문직의 주요 특성(보완표 1)을 교육하고, 역할 모델링하고, 평가하고, 기준을 준수하도록 보장합니다.
    • 안전한 환경과 적절한 시점에 이러한 기술의 연습을 촉진하는 것은 학습과 가치, 신념과 실천을 포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프로세스에 대한 감독 및 학습자의 지원을 강화합니다.
    • 전문직업성과 관련하여 사고, 실천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공식, 숨겨진, 공식 커리큘럼(그림 2)의 영향을 더 잘 다루고 평가한다.
  1. I. part of a structured curriculum.
    • This will ensure appropriate clinical codes of practice and relevant professional standards of care consistent with prevailing geo-political and sociocultural factors are appropriately inculcated into the training process.
    • Ensures that the key characteristics of a professional (Supplementary Table 1) are taught, role modelled, assessed and standards are policed.
    • facilitate practice of these skills in safe environments and at appropriate junctures will help embed learning and values, beliefs and practice.
    • enhance oversight of the process and support of the learners.
    • better address and assess the impact of the informal, hidden and formal curriculum (Figure 2) that influence thinking, practice and attitudes with regards to professionalism.
  2. II. 단계적으로. (그림 4와 같이) 프로페셔널리즘은 단계별로 발전하며, 각 단계는 다른 단계 위에 구축된다.
    1. 구조화된 접근 방식은 각 개발 단계에서 학습자와 관련된 방식으로 전문직업성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한다.
      1. 1단계. 지식 주입
  3. II. in stages (as shown in Figure 4). Professionalism develops in stages, with each stage building upon the other.
    • A structured approach allows professionalism to be nurtured in a manner that is relevant to the learner at each stage of their development.
      • Stage 1. Instilling knowledge
 
 

전문직업성 육성은 수평적, 수직적 통합이 필요하다. 이 단계는 다음에 대한 지식을 주입하기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으로 시작한다.

  • 전문직업성의 다양한 차원들,
  • 전문직업적 실천의 중요성,
  • 의료 전문가의 역할과 책임 
  • 여기에 필요한 기술

Nurturing professionalism needs to b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tegrated. This stage begins with didactic programs to instil knowledge about

  • the various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practice,
  •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a medical professional and
  • the skills required.

[의대 신입생]의 경우 [의대생으로서의 전문적 역할]을 중심으로 전문직업성 소개가 이뤄진다. 이러한 역할은 전문 단체와 가능한 경우 [기관의 명예 규범]에 의해 규정된다. 이 문서들은 학생의 행동과 책임에 대한 기대치를 제시한다. 기대치를 설정하고 조정하는 것과는 별개로, 전문성과 전문적 행위에 대한 '핵심' 또는 필수적인 지식의 제공은 전문적 실천과 정체성 형성의 기초를 형성한다.
For new medical students, the introduction to professionalism revolves around their professional roles as medical students. These roles are set out by the professional bodies and where possible, the honour code of the institution. These documents lays out the expectations upon the student’s conduct and responsibilities. Aside from setting out and aligning expectations, provision of ‘core’ or essential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conduct forms the basis for professional practice and identity formation.

  • 2단계. 전문적인 아이덴티티 수용
  • Stage 2. Embracing a professional identity

전문적 정체성 형성 단계 2에서 전문직업성의 역할을 반복하는 것은 [사례 기반 토론]과 [새로운 책임을 상징하기 위한 "화이트 코트" 세리머니와 같은 공식적인 행사]의 조합을 포함한다.

Reiterating professionalism’s role i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Stage 2 involves a combination of case based discussions and formal events such the “white coat” ceremony to symbolise the new responsibilities.

  •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의 지식과 기술 구성요소의 [수직적 통합]은 주입되는 전문성의 새로운 요소들이 널리 퍼진 지식과 학생들이 그것의 관련성을 즉시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의 배경 위에 구축되도록 하는 수평적 통합이 수반될 것이다.
  • Vertical integration of the knowledge and skills components of the professionalism curriculum will be accompanied by horizontal integration ensuring that new elements of professionalism being instilled build upon prevailing knowledge and a background of teaching where students can immediately appreciate its relevance.

 

  • 3단계. 전문직업성 개념의 맥락화
  • Stage 3. Contextualising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소규모 그룹 토론]은 또한 학습 과정을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전문적인 특성, 기대, 사회적 의미 및 기술의 목적과 장소를 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훈련의 초기 단계에서 흡수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Small groups discussions will also help contextualise the learning process. This allows students to see the purpose and place of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expectations, social implications and skills. This also helps integr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mbibed in earlier stages of training.

  • 4단계. 역할 모델링
  • Stage 4. Role modelling

[역할 모델링]은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발생하며 [능동적이고 의식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1단계와 2단계에서 학습한 우수한 전문적 행동과 실습에 대한 지식은 학생들이 "긍정적인 역할 모델링과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Karnieli-Miller et al. 2013).

Role modelling occurs throughout the learning process and must be actively and consciously carried out. Here knowledge of good professional conduct and practice learned in Stages 1 and 2 helps students “[discern]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role modelling” (Karnieli-Miller et al. 2013).

  • 5단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전문직업성
  • Stage 5. Professionalism through communications

이 단계는 학생들이 의사 소통과 임상 환경에서 [모의 환자] 및 [의료 전문가와의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전문가 간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여기서는 문화적 감수성뿐만 아니라 임상적 역량, 인문학적 자질과 성찰 능력이 일제히 실천된다.
This stage sees students practicing professionalism in communication and in the clinical setting using simulations with simulated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to develop interprofessional skills. Here clinical competence, humanistic qualities and reflective capacity as well as cultural sensitivity are practiced in unison.

  • 6단계. 프로페셔널리즘을 표현
  • Stage 6. Portraying professionalism


6단계에서는 의대생들이 [환자 및 그들의 가족들]과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것을 본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평가되고, 안전한 환경에서 적시에 피드백이 제공된다.
Stage 6 sees medical students begin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se interactions are assessed and timely feedback provided in a safe environment.

  • 7단계. 전문적 특성 심화
  • Stage 7. Deepening professional traits

여기에는 성찰, 보고 및 피드백이 포함됩니다. 이 '단계'는 학습을 강화하기 위해 모든 초기 단계와 평행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성찰적 실천에는 효과적이고, 개인화되고, 적절하고, 구체적이고, 시기적절하며, 전체적인 피드백과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This involves reflections, debriefs and feedback. This ‘stage’ ought to run parallel with all the earlier stages to enhance learning. Reflective practice must be accompanied by effective, personalised, appropriate, specific, timely, holistic feedback and support.

  • III. 종단적으로. 인문학적 특징과 성찰적 실천의 주입은 의대생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발전과 실천의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종단적 지원과 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교육 과정 전반에 걸쳐 일관성, 수평 및 수직 통합 및 지원을 보장하는 구조화된 접근 방식을 유지하는 것 외에도, 종단적 접근 방식은 교육 과정의 모든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플랫폼을 제공한다.
  • III. longitudinally. The inculcation of humanistic features and reflective practice underlines the need for longitudinal support and assessment to support changes in practice and development of the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Aside from maintaining a structured approach that ensures consistency,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and support throughout the training process, a longitudinal approach provides an effective platform for continuous assessments of all elements of the training process.
  • IV. 역량 기반 프로세스(Stockley and Forbes 2014; Ziring et al. 2015). 평가는 명확한 이정표를 통해 통보되어야 한다. 역량 기반 프로세스는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을 탐색할 수 있는 내면의 나침반"을 개발하고 "체크리스트 채우기"에 대한 의존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간주됩니다. 역량 기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 IV. competency based process (Stockley and Forbes 2014; Ziring et al. 2015). Assessments must be informed by clearly delineated milestones. A competency based process is seen as a means of developing an “inner compass in preparation for navigating unforeseeable circumstances” (Baker et al. 2011) and prevent reliance upon “fulfilling checklists” (Stockley and Forbes 2014). A competency based process
    • 널리 퍼진prevailing 지식과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는 교육 과정 전과 과정 중에 능력, 지식 및 기술에 대한 효과적인 평가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데이터는 다루는 주제들이 서로 기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임상 기술 개발, 작업 관리, 전문가 간 관계 관리, 사회와 법률 및 전문 및 임상 기준의 관점에서 그들의 진화하는 역할 이해 및 사회에서의 전문가의 위치 파악이 포함된다. 이러한 주제들은 새로운 학습을 알리는 모든 단계에서 혼합될 수 있다.
    • builds on prevailing knowledge and skills. This means effective evaluation of ability, knowledge and skills before and during the training process. Here the data reveals that the topics covered should build on one another. This includes development of clinical skills, work management, managing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understanding their evolving roles in society and in the eyes of the law and professional and clinical standards and appreciation of the professional’s place in society. These topics may be mixed at all stages informing new learning.
    • 효과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각 단계별로 전문성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이러한 도구는 숨겨진 공식 커리큘럼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예측 타당성과 함께 적응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평가 도구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다.
    • must be effectively assessed. Specific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at each stage is required. These tools must consider the impact of the hidden and formal curricula and be adaptable and authentic with predictive validity. There is however little data on prevailing assessment tools.
    • 포트폴리오 기반 종단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가 되어야 합니다. 훈련의 종적 성격과 전문 기술, 전문성 평가의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의료 교육 및 동기의 필요성은 전체론적holistic이고, 임상 영역 내에 있어야 한다(Birden et al. 2013). 이 접근 방식은 효과적이고 시기적절한 평가와 일관된 피드백에 의존하여 "학습된 기술을 성숙시키고 반영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과 기회를 적시에 제공합니다(Stockley and Forbes 2014). 현재 평가 방법은 다양하나, 제대로 평가된 바 없다.
    • ought to be part of a portfolio based longitudinal training program. The longitudinal nature of training and the need for continued medical education and motivation to improve on professional skills, assessments of professionalism must be holistic and within the clinical arena (Birden et al. 2013). This approach relies on effective and timely assessments and consistent feedback to provide timely specific guidance (Elango et al. 2005; Chretien et al. 2008) and opportunities to “mature, reflect and build upon skills learned” (Stockley and Forbes 2014). Currently, assessment methods have been varied and poorly evaluated.
    • 학생의 능력, 태도, 지식 및 기술에 따라 [개인화된personalized 프로세스]이므로, 프로그램에 대한 적응을 지원하는 [개인화된individualized 프로세스]여야 합니다(Birden et al. 2013). 이는 필요한 경우 재교육을 주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Parker et al. 2008).
    • be a personalised process dependent upon the abilities, attitude, knowledge and skills of the student and thus must be an individualised process that supports adaptations to the program (Birden et al. 2013). It also raises the potential to inculcate remediation where needed (Parker et al. 2008).

[일반적인 정의(부록 D)]와 [전문직업성이 길러지는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통해 임상적으로 관련된 전문직업성 개념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전문직업성은 다음과 같이 개념화될 수 있다."[사회문화적 요인]과 [사회 내에서 의학과 의학의 정체성의 역할에 대한 지배적인 의철학]에 의해 정의되는 진화하는 개념으로, 다음의 것들을 함양하는 과정에서 [역량-기반 단계]로 개발된다.
Drawing from prevailing definitions (Supplementary Appendix D) and prevailing accounts of how professionalism is nurtured allows the forwarding of a clinically relevant concept of professionalism. Here professionalism may be conceived as an evolving concept defined by sociocultural factors and prevailing medical philosophy on the role of medicine and medicine’s identity within a society and developed in competency based stages that include the inculcation of

  1. 의사가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추가하고자 하는 [핵심 속성 및 덕목]. 여기에는 자기계발, 좋은 임상진료에 대한 헌신, 임상역량 향상, 리더십 및 지속적 학습, 자기평가, 자기성찰 및 자기조절, 그리고 사회문화적 정보에 기반하며, 윤리적으로 적절하며, 도덕적으로 민감한 돌봄에 대한 관점
  2. 성별, 나이, 문화, 인종, 종교, 장애, 출신, 사회경제적 지위 및 성적 지향에 [관계없이 돌봄의 의무, 공공의 이익을 증진하는 것]을 포함한 [핵심 가치].
  3. 돌봄에 대한 [전문직의 조화]와 동료 전문가와의 효과적이고 [동료적collegial 협력]을 보장하는 책임.
  4. 명예와 성실, 책임과 책임, 휴머니즘, 영성과 이타성을 포함한 전문가의 [덕목]"
  5. core attributes and virtues that physicians seek to continue to develop and add to such as self-improvement, commitment to good clinical care, enhancing clinical competence, leadership and continuous learning, self-assessment, self-reflection and self-regulation and to developing a socioculturally informed, ethically appropriate, morally sensitive perspective to care.
  6. core values including an obligation to care, promote public good irrespective of gender, age, culture, race, religion, disabilities, national origin, socioeconomic status, and sexual orientation that is consistent with prevailing standards of care and conduct.
  7. a responsibility to ensure professional coordination of care and effective and collegial cooperation with fellow professionals.
  8. virtues of a professional including honour and integrity,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humanism, spirituality and altruism.”

이 개념은 의학 분야에서 전문적 정체성 형성의 중요성, 그리고 활기차고 훈련된 역할 모델 및 교육자가 전문성의 핵심 가치, 신념 및 원칙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안전하고 구조화된 임상 공간에서 이러한 기술을 연마하도록 감독하는 것을 강조한다. 동시에 이 개념은 사회문화적, 지정학적 고려사항의 차이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목표와 학습자의 능력을 지적하면서 지배적인 정의의 이질성에 대한 근거를 설명한다.

This concep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critical role of emersion in the field of medicine and having vibrant, trained role models and educators instil the key values, beliefs and principles of professionalism and oversee students hone these skills in a safe and structured clinical space. Concurrently this concept explicates the rationale for heterogeneity in prevailing definitions, pointing to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and geopolitical considerations as well as the goals of the program and abilities of the learners.

검토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review

의료 전문직업성은 추상적인 개념 때문에 명확하지 않다. 그 결과, 리뷰를 영어로 출판되거나 영어로 번역된 기사로 한정하면 주요 논문 누락의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영어로 출판되거나 영어로 번역된 논문 기사에 초점을 맞추면서 북미와 유럽에서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것은 매우 다른 문화적 환경에서 의료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 다른 나라들에서 결과의 적용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Medical professionalism is ill-defined due to its abstract (Gauger et al. 2005; Lesser et al. 2010; Pryor 2010; Monrouxe et al. 2011; Bennett et al. 2013; Bernabeo et al. 2014; Cuesta-Briand et al. 2014; Ziring et al. 2015), evolving (Gauger et al. 2005; Lesser et al. 2010; Pryor 2010; Monrouxe et al. 2011; Bennett et al. 2013; Bernabeo et al. 2014; Cuesta-Briand et al. 2014; Ziring et al. 2015) and context-dependent nature (Godkin and Savageau 2001; Kochar et al. 2003; Monrouxe et al. 2011; Bernabeo et al. 2014; Saeedi Tehrani et al. 2017). As a result confining our review to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or had English translations, risks of missing key papers. In addition, focus upon papers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or had English translations led to focus upon studie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This diminishes the applicability of results in other countries where medical practice could take place in a vastly different cultural setting.

또한 시간과 인력 제약으로 인해 체계적인 검토는 1990년부터 2019년까지의 논문만 고려했다.
Additionally, due to time and manpower constraints, the systematic review only considered papers from 1990 to 2019.

교육을 포착할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하지만 전문직업성을 육성하는 데 초점을 제한하고 전문직업성에서 지식, 기술 및 태도의 개발을 지원하는 것은 많은 중요한 영역을 생략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튜터 교육 및 평가, 전문가 정체성 형성을 위한 평가 도구 및 교정 평가가 포함됩니다.
Confining focus upon nurturing professionalism though broad enough to capture teaching a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professionalism does appear to have omitted a number of significant domains. These include tutor training and assessment, assessment tools fo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evaluations of remediation.

집중 검토는 또한 전문직업성이 특히 젊은 의사의 사고, 의사 결정 및 행동을 지도하는 가치, 신념 및 원칙을 주입할 때 전문적 정체성 형성의 발전과 개인 및 직업적 정체성을 바라보는 방법에 대한 영향을 폭넓게 이해하도록 방해한다.

A focused review also prevents wider appreciation of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its impact on how professionals view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particularly when professionalism inculcates values, beliefs and principles that guides thinking, decision making and behaviour of young physicians.

결론
Conclusion

이러한 체계적인 범위 검토는 전문직업성이 의대생들의 성격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과 밀접하게 얽혀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이 체계적인 범위 검토는 전문가 정체성 형성, 인격의 개념, 과정의 진화하는 맥락에 민감한 종적 특성 및 학습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효과적인 도구의 설계에 전문성 육성에 대한 향후 연구가 집중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러한 관심 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뒤따라야 한다. 이러한 초기 단계를 통해 의과대학에서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ystematic scoping review suggests that professionalism is intimately and inextricably entwined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ffected by a change in how medical students’ view their personhood. As a result, this systematic scoping review concludes that future research into nurturing professionalism must be focused upon design of effective tools that consid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concepts of personhood, the evolving context sensitive longitudinal nature of the process and the impact upon the learning environment. Systematic reviews of these domains of interest must follow. It is with these initial steps can professionalism be effectively nurtured and assessed in medical schools.

 


Med Teach. 2020 Jun;42(6):636-649. doi: 10.1080/0142159X.2020.1724921. Epub 2020 Feb 17.

Nurtur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s. A systematic scoping review of training curricula between 1990-2019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ivision of Supportive and Palliative Care, 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2Yong Loo Lin School of Medicin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3Medical Librar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Librarie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4Family Medicine Residency, National University Health System, Singapore, Singapore.

5Palliative Care Institute Liverpool, Academic Palliative and End of Life Care Centre,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England.

6Education Department, Duke-NUS Graduate Medical School, Singapore, Singapore.

7Centre for Biomedical Ethic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PMID: 32065016

DOI: 10.1080/0142159X.2020.1724921

Abstract

Introduction: Professionalism is an evolving, socioculturally informed multidimensional construct that influences doctor-patient relationships, patient satisfaction and care outcomes. However, despite its clinical significance there is little consistency in how professionalism is nurtured amongst medical students. To address this gap a systemic scoping review of nurtur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schools, is proposed.Methods: Levac's framework and the PRISMA-P 2015 checklist underpinned a 6-stage systematic review protocol. Concurrent use of Braun and Clarke's approach to thematic analysis and directed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key elements in nurturing professionalism.Results: 13921 abstracts were identified from six databases, 854 full-text articles reviewed, and 162 full-text included articles were included. The 4 themes identified through thematic analysis are consistent with findings of the directed content analysis. These were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e approaches, content, barriers and enablers to teaching professionalism.Conclusion: Informed by a viabl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clear milestones nurturing professionalism nurturing professionalism begins with culturally appropriate training in clinical competence, humanistic qualities and reflective capacity. This process requires effective evalua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the impac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underlining the need for longitudinal assessments of the training process.

Keywords: Medical professionalism; medical education;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ism training.

전문직업성: 옳은 문제를 풀기 위한 잘못된 도구? (Acad Med, 2020)
Professionalism: The Wrong Tool to Solve the Right Problem?
Victoria Frye, DrPH, MPH, Marlene Camacho-Rivera, ScD, MPH, MS, Kaliris Salas-Ramirez, PhD, Tashuna Albritton, PhD, MSW, Darwin Deen, MD, Nancy Sohler, PhD, MPH, Samantha Barrick, MS, and Joäo Nunes, MD

 

 

미국 전역의 의과대학과 다른 고등교육기관들은 캠퍼스 안팎에서 인종차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인종 차별과 인종 차별은 이러한 기관들로 하여금 그들의 정책과 관행, 임무, 커리큘럼, 그리고 교수진, 직원, 학생들 사이의 인종과 소수 민족 집단의 대표성을 조사하도록 강요했다. 의학에서는 [화이트 코츠 포 블랙 라이프]와 같은 학생들이 주도하는 단체들이 등장해 의대 커리큘럼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변화를 옹호하고 있다. '인종차별에 대항하는 국가 캠페인을 위한 도구'의 창시자인 카마라 존스 박사와 같은 의학과 인종 정의의 지도자들 또한 의료와 의료 교육에서 인종차별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을 조직하기 위해 나섰다. 예를 들어, 일부 의과대학은 입학 과정을 평가하고, 그들이 어떻게 전임상 및 임상 연도에 인종 구성을 제시하는지 분석하고, 교실, 과외 및 병동에서의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편견의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자습으로 대응했다.
Medical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cross the United States are grappling with how to respond to racism on and off campus.1–5 Racist incidents and acts of race- or ethnicity-based discrimination have forced these institutions to examine their policies and practices, mission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on of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among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medicine, student-led groups, such as White Coats for Black Lives,6,7 have emerged to critically evaluate medical school curricula and advocate for change. Leaders in medicine and racial justice, such as Dr. Camara Jones, the creator of Tools for a National Campaign Against Racism,8 have also stepped forward to organize formal responses to racism in health care and medical education. Some medical schools have responded with self-study, for example, by assessing their admissions process; analyzing how they present the construct of race in the preclinical and clinical years; and exploring the roles of implicit and explicit bias in the classroom,9 extracurriculars,2 and on the wards.10

의학교육에서 인종차별을 다루는 또 다른 보완적 접근은 가치, 특성, 행동, 도덕, 휴머니즘, 역할, 정체성, 심지어 사회적 계약으로 다양하게 정의되는 [전문직업성]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의료 교육에서 인종차별에 대응하는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잠재적인 역할을 경쟁적 정의contested definition의 맥락에서 고려한다. 우리는 인종차별에 대한 해결책으로 전문성 연장의 핵심인 3가지 관심사를 식별하고 설명한다.

  • 첫 번째 우려는 전문직업성이 해결책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혼란이다.
  • 두 번째 우려는 전문직업성이, 인종 차별이나 심지어 인종 차별 사건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으로서,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현실에서 전문직업성은, 의학을 지배하는 사회 집단이 (자율 규제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 수용되는 행동에 대한 권력과 사회적 경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회적 통제의 도구]이기 때문이다.
  • 세 번째 우려는 만약 전문직업성이 인종차별의 해결책으로 잘못 적용된다면, 훈련생들이 연극적performative 전문직업성에 관여하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노골적으로 인종차별적인 행동은 피하고, 관용 지향적인 행동은 표면적으로 제정되며, 위험한 상황(전문적 행동을 제정하는 능력에 대한)은 피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주로 백인적인 공간에서 학생과 유색인종 의사를 배제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Another sometimes complementary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ionalism, variously defined as values, traits, behaviors, morality, humanism, a role, an identity, or even a social contract.11–13 In this article, we consider the notion and potential role of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its contested definition,14,15 in responding to racism in medical education. We identify and describe 3 concerns central to the extension of professionalism as a solution to racism.

  • The first concern is confusion around the problem to which professionalism, as a solution, might be applied.
  • The second concern is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as a potential solution to racism or even to racist incidents, may not be a true solution because it is—in practice—a tool of social control that is used by the social groups that dominate medicine to self-regulate as well as to gatekeep and maintain power over the discipline’s accepted behaviors and social boundaries.16 
  • The third concern is that, if professionalism is misapplied as a solution to racism, trainees may begin to engage in performative professionalism, whereby overtly racist behaviors are studiously avoided, tolerance-oriented behaviors are superficially enacted, and risky (to one’s ability to enact professional behaviors) situations are avoided. These actions may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clusion of students and physicians of color from predominantly white spaces.

인종차별적 행동이나 제도적 인종차별?
Racist Acts or Institutional Racism?

그렇게 많은 의과대학과 다른 고등교육기관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일반적으로 평등주의적이고 비인종주의적인 학교에서 (상대적으로 고립된) 인종차별적인 사건들인가? 아니면 제도적 인종차별, 즉 백인들의 이익을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과 다른 인종과 소수 민족 집단에 손해를 입히도록 발전시키는 억압의 사회역사적 시스템의 발현인가? 미국 전역의 뉴스 보도를 보면, 한 가지 일반적인 시나리오는 종종 학생들에 대한 학생들에 대한 분노와 보상을 요구하는, 촉매적이고, 명백한 인종차별적 사건에서 시작한다. 학생들은 그 기관이 그 사건의 원인을 분석하도록 요구하거나 그들이 직접 그 일을 할 수도 있다. 종종 이러한 검사inspection는 취약한 다양성 정책, 느린 판단 과정, 교수진과 리더십의 인종 및 민족 동질성, 다양성과 형평성과 반인종주의의 차이에 대한 개념적 혼란, 문화적 및 구조적 무능과 같은 시스템 전체의 결함을 드러낸다. 이러한 결함은 미국의 억압에 대한 사회역사적 제도, 반인종주의/성차별주의/계급주의에 대한 진정한 약속의 부족 또는 부재, 자원의 부족, 또는 비판적으로 검토되지 않았거나 불충분한 커리큘럼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런 다음 학생들은 동료, 교수진, 교직원 및/또는 학교 지도자에 의해 저질러진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공격들로 가득 찬 세상에 존재해왔다는 것을 조직하고 소통한다. 
What is the problem facing so many medical schools and othe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s it (relatively isolated) racist incidents in a generally egalitarian, nonracist school? Or is it institutional racism, a manifestation of the sociohistorical system of oppression that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dvances the interests of white people to the detriment of African American people and other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Looking at news reports from across the country, one common scenario starts with a catalyzing and clearly racist incident, often student on student, that incites student outrage and demands for redress.17–20 Students may call for the institution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incident or they may do the work themselves. Often these inspections reveal system-wide deficiencies, such as weak diversity policies, slow adjudication processes, racial and ethnic homogeneity in faculty and leadership, conceptual confusion around the difference between diversity and equity and antiracism, and cultural and structural incompetence. These deficiencies may be rooted in the institution’s underdeveloped grounding in the sociohistorical systems of op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a lack or absence of an authentic commitment to antiracism/sexism/classism, a lack of resources, or critically un- or underexamined curricula. Students then organize and communicate that they have existed in a world filled with micro- and macroaggressions perpetrated by fellow classmates, faculty, staff, and/or school leaders; demands to address the problem become more heated and public.21


이에 대해, 행정부와 일부 교직원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촉발시킨 급박한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이 그 대응에 만족하고 나아가기를 바라는 것 같다. 그러나 [학생들과 그들의 동맹국들이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즉,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인종차별)과 [행정부가 문제라고 인식하는 것](불운한 사건이나 심지어 단지 관리되어야 할 홍보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처한 상황) 사이에는 불일치가 있다. 많은 학생 지도자들과 교수진, 교직원, 그리고 행정 동맹들에게, 문제는 목록화된, 개인의 나쁜 행동들뿐만 아니라, 그 기관이 미국 사회에 스며든 패턴화되고 목적 있는 인종차별을 어떻게 반영하고, 표현하고, 재생산하는가, 그리고 그 인종차별을 정직하고, 성심성의껏, 그리고 포괄적으로 다루려는 정치적 의지의 결여이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의 관점에서, 문제는 백인 우월주의이며, 법률학자 프랜시스 리 앤슬리는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In response, the administration and some faculty and staff focus on the acute incidents that precipitated the students’ demands, seemingly hoping that the students will be satisfied with that response and move on. Yet, there is a mismatch between what students and their allies perceive to be the problem—systemic and institutional racism—and what the administration perceives to be the problem—a rough patch generated by unfortunate incidents or even merely a public relations situation to be managed. For many student leaders and faculty, staff, and administrator allies, the problem is not only individual acts of bad behavior, which have been catalogued,22 but also how the institution reflects, manifests, and reproduces the patterned and purposive racism that permeates U.S. society and the lack of political will to address that racism honestly, earnestly, and comprehensively. In short, from their perspective, the problem is white supremacy, defined by legal scholar Frances Lee Ansley as:

백인들이 압도적으로 권력과 물질적 자원을 지배하고, 백인들의 우월성과 권리에 대한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생각이 널리 퍼지며, 백인들의 지배와 비백인들의 종속 관계가 광범위한 제도와 사회 환경에 걸쳐 매일 재연되는 정치, 경제, 문화 시스템이다. 
a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ystem in which whites overwhelmingly control power and material resources, conscious and unconscious ideas of white superiority and entitlement are widespread, and relations of white dominance and non-white subordination are daily reenacted across a broad array of institutions and social settings.23

 

백인우월주의가 의료교육, 의료 등 사회 전반에 짜여진 인종차별적 억압체제를 견인하고 있다.
White supremacy is driving a racist system of oppression that is woven into every aspect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care.

사회통제의 도구로서의 전문직업성
Professionalism as a Tool of Social Control

문제의 해결 방법은 문제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립된 행동 또는 일련의 행동이 문제인 경우, 몇 가지 기본적인 행동 수정이나 점검표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행동 지향적인 체크리스트 형식을 갖춘 전문직업성이 잠재적인 해결책이다. 학생들은 그저 편협한 태도로 행동하거나, 무분별한 행동을 하거나, 차이점을 존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 그들은 사회화에서 백인 우월주의로 기대되고, 강화되고, 견뎌내는 행동을 제정할 수도 있다. 전자의 상황에서는 관용, 존중, 예의, 그리고 전문적으로 행동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가 문제가 있는 행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행동이 고립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사회화에서 백인우월주의 이데올로기로 이어지고 그 이데올로기가 유지하기 위해 행동하는 권력체계를 강화한다면, [생각, 믿음, 행동, 존재에 대한 혁명]이 아니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any problem depends on how the problem is defined. If an isolated behavior—or even a set of behaviors—is the problem, then some basic behavioral modifications or a checklist could be the solution. In this situation, professionalism with its behavior-orientated, checklist format is a potential solution. Students may be merely acting in an intolerant manner, engaging in thoughtless behaviors or not respecting differences. Alternately, they may be enacting behaviors expected from, reinforcing, and borne of socialization to white supremacy. In the former situation, instruction in tolerance, respect, civility, and how to behave professionally might act to arrest the problematic behavior. However, if the students’ behaviors are not isolated and instead stem from their socialization to the ideology of white supremacy and reinforce the system of power that that ideology acts to maintain,24 then nothing short of a revolution in thinking, believing, acting, and being will solve the problem.

수십 년 동안 미국에서 의학을 지배해 온 단체들에 의해 통제 도구로 사용된다면, 후자의 상황에서는 전문직업성이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여기에 작가이자 활동가인 오드레 로드의 말이 공명한다.
Professionalism cannot be the right solution in the latter situation, if it is used as a tool of control by the groups that have dominated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for decades. Here, writer and activist Audre Lorde’s words resonate:

주인의 도구로는 주인의 집을 절대 해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우리가 일시적으로 그의 게임에서 그를 이기는 것을 허락할지 모르지만, 
그들은 결코 우리가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For the master’s tools will never dismantle the master’s house. They may allow us temporarily to beat him at his own game, but they will never enable us to bring about genuine change.25

 

행동과 복장의 지배적인 기준을 유지하기 위해 전문직업성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문헌이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 어떻게 백인의 규범이 전문직업적이라고 여겨지는 것에 대한 참조 기준이 되었는지를 특징짓는다. 그들은 또한 그러한 기준이 전문직업성의 기능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에 기초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수많은 관찰자들은 자연스러운 머리카락을 착용하는 것과 같은 비백인 사회 집단과 관련된 옷차림이나 외모가 (징계displinary action를 포함한)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공격aggression의 초점이 되어왔다고 언급했다. 게다가, 흰색이 아닌 스타일의 옷이나 외모와 관련된 몇 가지 고용 차별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행동들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 특히 저항의 행위일 수도 있는 흑인의 문화적 표현으로 지목될 때, 백인 우월주의가 발전한다.

The literature around how professionalism is used to maintain dominant standards of behavior and dress is growing. Authors have characterized how white norms have become the standard of reference for what is considered professional.24,26 They also have described how those standards are based on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27,28 Numerous observers have noted that dress or appearance associated with nonwhite social groups, like wearing natural hair, has been the focus of micro- and macroaggressions,29 including disciplinary actions; further, several related employment discrimination cases related to nonwhite styles of dress or appearance have been waged.30 When these behaviors are singled out as unprofessional, especially cultural representations of blackness that may also be acts of resistance,31 white supremacy is advanced.

연극적 전문성
Performative Professionalism

[체크리스트를 통해 제정되고 평가될 수 있는 일련의 행동]으로서 전문직업성을 조작화하는 것에 대한 최종적인 잠재적인 문제는, 학생들이 그러한 행동이 [사소한 지각lateness 위반]에서 [인종에 기초한 차별 행위]에 이르기까지 심각도에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학생들은 전문적인 행동이 특정한 청중들을 염두에 두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고, 따라서 그러한 행동을 수행하는 동기는 외부적이다.

A final potential problem with operationalizing professionalism as a set of behaviors that can be enacted and assessed via a checklist is that students may learn that such behaviors can range in severity from minor lateness infractions to acts of race-based discrimination. In addition, they may learn that professional behaviors are to be performed with specific audiences in mind and thus the motivation to perform those behaviors is external. 

반대로, 의료 교육과 환자 치료에서 인종차별을 교정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전문직업성이 [사회 및 인종 정의에 대한 진정한 헌신]에 기초한다면, 전문직업적 행동은 사회적 지위나 사회적 지위에 관계 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의무만을 반영하는 [내부 가치 집합]에서 비롯될 것이다. 또한 의사들은 미국 사회를 특징짓는 인종에 기초한 위계질서를 발생시킨 힘의 체계를 이해하고 해체한다. 그렇다면 사회적, 인종적 정의에 기초한 전문직업적 가치와 행동이 환자, 사무직 교사, 교수들 앞에서만 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의료교육과 환자진료 환경 안팎에서 실천해야 하며 "외부적으로 압박받거나 행동을 강요당하는 것"이 아닌, "의지, 지지, 선택을 충분히 갖고 행동한다'고 정의되는 학생들의 [자율적 동기부여]에서 흘러나와야 한다. 

In contrast, if professionalism—as one way to remedy racism in medical education and patient care—is grounded in an authentic commitment to social and racial justice, professional behaviors will flow from an internal set of values that reflect not only the imperative that medical care be offered to all people regardless of their social position or background32 but also that physicians understand and dismantle the systems of power that gave rise to the race-based hierarchy that characterizes U.S. society. Social and racial justice-based professionalism values and behaviors then should not be enacted only in front of patients, clerkship preceptors, and professors. They should be practiced within and outside medical education and patient care settings and flow from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which is defined as “acting with a full sense of volition, endorsement and choice” and not from feeling “externally pressured or compelled to behave.”33

"새 천년의 의학 전문성: "의사 헌장"의 핵심 원칙은 [환자 복지, 환자 자율성 및 사회 정의]를 우선하는 것을 전문직업성의 기초로 확인한다. 그리고 학문의학에서 일부 사람들이 [사회 정의]를 전문성의 핵심 원칙으로 옹호하지만, 우리는 오늘날 의학이 반인종주의적인 현대적 도덕적 서사를 가지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 게다가, 과거에, 의학은 권력의 체계에서 나타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직업성을 사용하려고 노력해왔다. 예를 들면, 미국 내과 이사회가 오늘날 우리가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의료의 변화](예를 들면 [관리 의료, 영리 의료, 그리고 환자 치료와 의료 교육에서 제약 산업의 영향력  증가])를 다루기 위해 만든 1990년대의 Professional Project입니다. 시장의 힘에 기반한 의료 서비스 제공 변화가 환자가 사람이 아닌 상품으로 취급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는 전문직업성의 개념에 초점을 맞춘 대응에 동기를 부여했다. 그러나 2020년에, 우리는 이 노력이 건강, 의료, 그리고 관련된 사람들의 상품화를 막는 데 성공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In the article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New Millennium: A Physician Charter,” 3 core principles are identified as foundational to professionalism—the primacy of patient welfare, patient autonomy, and social justice.34 And whereas some in academic medicine advocate for social justice as a core principle of professionalism,35 we are not certain whether medicine today possesses a modern moral narrative36 that is antiracist. Further, in the past, medicine has tried to use professionalism to address social problems that emerged from systems of power. An example is the Professionalism Project from the 1990s that th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created to address what we today would identify as neoliberalism-based changes to health care, such as managed care, for-profit medicine, and the increased influence of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 patient care and medical education.37 Fear that market force-based health care delivery changes would result in patients being treated as commodities rather than people motivated a response focused on the notion of professionalism. Yet, in 2020, we cannot determine if this effort was successful in staving off the commodification of health, health care, and the humans involved.

추가 고려 사항
Additional Considerations

우리는 여기서 전문직업성이 의학교육의 인종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충분한 독립적인 도구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전문성이 명시적으로 반인종주의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고 교육, 훈련 및 환자 치료에서 구조적 역량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인종차별을 되돌리기 위한 더 광범위한 [제도적인 노력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관련 사람들과 기관의 반인종주의에 대한 이해와 헌신을 반영하는 내용 지식, 태도, 분석, 정책, 관행, 비폭력적 커뮤니케이션, 옹호 및 행동주의, 그리고 일상적인 행동을 산출한다. 이 작업은 사회적, 인종적 정의를 학교의 사회적 사명의 핵심에 두고, 의사 간 옹호 역할을 강조하며, 구조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 커리큘럼 내용과 기술개발로 뒷받침되는 교육 프로그램 목표를 통합하는 [의학교육 모델]로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종차별에 대항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은 인종차별 사건에 대한 기관들의 신속한 대응, 강력한 반인종 정책, 그리고 의료 교육에서의 기관 인종차별을 다루는 것을 요구한다.
We assert here that professionalism is an inadequate stand-alone tool to address the problem of racism in medical education.38 However, we believe that professionalism may be one part of a larger, institutional effort to undo racism39 by applying explicitly antiracist approaches8 and prioritizing structural competence40 in education, training, and patient care. Such approaches ideally will yield the content knowledge, attitudes, analyses, policies, practices, nonviolent communications, advocacy and activism, and day-to-day behavior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and commitment to antiracism on the part of the people and institutions involved.24 This work may be integrated into a model of medical education that puts social and racial justice at the core of a school’s social mission,41 emphasizes the role of advocacy among physicians,42,43 and integrates educational program objectives that are supported by curricular content and skill development to enhance structural competence.10 Finally,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ountering racism requires swift responses from institutions to racist incidents, strong antiracist policies, and addressing institutional racism in medical education.

여러 [의과대학]이 인종차별과 백인우월주의를 명시적으로 문제로 지목하고 해결책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예를 들어, 미네소타 의과대학의 연구원들은 교육과정 설계 중에 인종 기반 동력 역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관찰하고 기록하기 위해 공중 보건에 중요한 인종 연습 방법론을 사용했다. 그들의 연구는 의과대학 1학년 학생들의 개입을 초래했다. 이 밖에도, 인종이 [생물학적 구조]가 아닌 [사회적 구조]임을 가르치고, 교육 자료와 교육에 소수인종을 공평하게 표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학 교육을 요구한다. 이 접근 방식은 각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강의, 텍스트, 학습 활동 및 평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그룹이 과하게 또는 과소하게 표현되고 인종 구성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제시되는지 판단해야 한다.

Several medical schools are leading the way in explicitly naming racism and white supremacy as problems and developing and testing solutions. For example,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dical School used a public health critical race praxis methodology to observe and document how race-based power dynamics unfolded during curriculum design.9 Their work resulted in an intervention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 Other approaches call for medical education that teaches that race is a social, rather than a biological, construct44,45 and that includes equitable representation5,46 of minority populations in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This approach requires a critical analysis of each presentation slide, lecture, text, learning activity, and assessment to determine where different groups are over- or underrepresented and how the construct of race is presented to students.

반인종주의 의학교육 노력을 기술하고 의학에서 인종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유망한 접근방식을 식별하는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s]도 늘어나고 있다. 여기에는 사회 집단을 초월한 대화, 권력과 특권의 해체, 비판적 의식과 실천의 고양, 학생들 간의 경험적 변신이 포함된다. 또한 Wear와 동료들은 구조적 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반인종주의적 교육 전략과 방법들을 찾아냈고, 이러한 목표들을 진전시킬 수 있는 많은 교육적 접근들을 기술했다. 
There is also a growing number of literature reviews that describe antiracist medical education efforts and identify a number of promising approaches to addressing racism in medicine. They include dialogue across social groups, deconstructing power and privilege, raising critical consciousness and practice, and experiential transformation among students.47 In addition, Wear and colleagues identified antiracist pedagogical strategies and methods to achieve structural competence, describing a number of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would advance these goals.48

결론적으로, 우리는 인종차별 행위를 전문직업적이지 않은 것으로 식별하고, 이 관점을 사용하여 다루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학술 의학에서 제도적 인종차별을 되돌리려면 [비판적 분석, 대립, 옹호 및 집단적 사회적 행동]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인종차별을 경험하고 반인종적 의료행위를 개발하고자 하는 학생 둘 다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변화를 요구해 왔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캠퍼스와 의과대학에서 인종차별적인 사건들이 계속 전개되면서, 미국이 원주민들로부터 빼앗긴 땅에 노예 아프리카인들의 노동력으로 건설된 백인, 남성 우월주의라는 이념 위에 세워졌다는 대중적 인식의 맥락에서 그렇게 한다. 의과대학과 교육자들은 이러한 사회역사적 사실을 훈련의 모든 측면에 통합해야 하며, 의료교육에서 인종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포괄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을 인정해야 한다. 사회정치 이념으로서 백인 우월주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것이 어떻게 불평등한 사회를 지지하는지 이해함으로써, 의과대학은 미국의 건강 불평등과 인종과 사회 정의를 위한 현대 투쟁의 핵심 장소가 될 수 있다.

In conclusion, we argue that it is not enough to identify racist acts as unprofessional and address them using this lens; we in academic medicine need to use critical analysis, confrontation, advocacy, and collective social action to undo institutional racism. Students, who need support as they both experience racism and seek to develop antiracist medical practices, have been calling for changes to achieve these goals.49,50 Today, in the United States, as racist events on campuses and medical schools continue to unfold, they do so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popular recognition that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on the ideology of white, male supremacy, built with the labor of enslaved Africans, on land taken from indigenous peoples. Medical schools and educators must incorporate these sociohistorical facts in all aspects of training and acknowledge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undoing racism in medical education. By recognizing that white supremacy, as a sociopolitical ideology, exists and understanding how it supports an inequitable society, medical schools can become key sites of the modern struggle against health inequity and for racial and social justice in the United States.


Acad Med. 2020 Jun;95(6):860-863. doi: 10.1097/ACM.0000000000003266.

Professionalism: The Wrong Tool to Solve the Right Proble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V. Frye is associate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ORCID: http://orcid.org/0000-0003-3239-7201. M. Camacho-Rivera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SUNY Downstate School of Public Health, Brooklyn, New York. K. Salas-Ramirez is assistant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Molecular, Cellular and Biomedical Sciences,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T. Albritton is assistant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ORCID: http://orcid.org/0000-0002-7592-4318. D. Deen is distinguished lecturer,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N. Sohler is associate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and Social Medicine,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S. Barrick is lecturer and director, Humanities in Medicine Program,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J. Nunes is medical professor, Department of Molecular, Cellular and Biomedical Sciences, CUNY School of Medicine/Sophie Davis Program in Biomedical Education, New York, New York.

PMID: 32134778

DOI: 10.1097/ACM.0000000000003266

Abstract

Medical schools and othe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ross the United States are grappling with how to respond to racism on and off campus. Institutions and their faculty, administrators, and staff have examined their policies and practices, missions, curricula, and the representation of racial and ethnic minority groups among faculty, staff, and students. In addition, student-led groups, such as White Coats for Black Lives, have emerged to critically evaluate medical school curricula and advocate for change. Another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has been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ionalism, which has been variably defined as values, traits, behaviors, morality, humanism, a role, an identity, and even a social contract.In this article, the authors consider the potential role that professionalism might play in responding to racism in medical education and at medical schools. They identify 3 concerns central to this idea. The first concern is differing definitions of what the problem being addressed really is. Is it isolated racist acts or institutional racism that is a reflection of white supremacy? The second concern is the notion that professionalism may be used as a tool of social control to maintain the interests of the social groups that dominate medicine. The third concern is that an overly simplistic application of professionalism, regardless of how the problem of racism is defined, may result in trainees practicing professionalism that is performative rather than internally motivated. The authors conclude that professionalism may complement a more systematic and holistic approach to addressing racism and white supremacy in medical education, but it is an insufficient stand-alone tool to address this core problem.

 

판도라의 상자 열기: 누가 프로페셔널리즘을 소유하고 있으며, 21세기 정의가 필요한 시점인가? (Med Educ, 2022)
Re-opening Pandora's box: Who owns professionalism and is it time for a 21st century definition?
Viktoria C. T. Goddard | Susannah Brockbank

 

1 소개
1 INTRODUCTION

"프로페셔널리즘은 성공적인 이데올로기이며,
따라서 지위와 소득을 위해 경쟁하는 광범위한 직업 집단의 정치적 어휘로 들어갔다." (추가됨)

“[P]rofessionalism is a successful ideology and as such has entered the political vocabulary of a wide range of occupational groups who compete for status and income”.1 (emphasis added)


의료 종사자로서 졸업하는 것은 새로운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개발, 즉 그러한 정체성을 얻음으로써 획득되는 지위status와 특권 때문에 정확히 중요한 개념이다. 의료 전문직으로 졸업하는 젊은이들이 직면하는 도전은, 이러한 정체성에는 일군의 기대치가 따라온다는 것이다. 관련 규제 기관을 대표하여, 사회를 대표하여 시행enforced된다. 바로 전문직업성이다.
"전문직업성"은 의료 교육 및 모든 의료 학생의 삶에서 지배적인 개념이다.

Graduating as a health-care practitioner involves the development of a new professional identity,1 a concept that matters precisely because of the status and privilege that is acquired with gaining such an identity.2 The challenge that befalls the (often) young people graduating into the health-care professions is that with this identity comes a set of expectations, observed by their educational establishments, on behalf of the relevant regulatory bodies, enforced on behalf of society: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then is a dominant concept in health-care education and in the life of any health-care student.

몇 년 전부터 의료 전문직업성과 정체성 개발 분야에서 연구·출판해 왔지만, 여전히 이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신인이라는 느낌이 든다. 전문직업성에 관한 도전에 대해 글로벌 동료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공유한 반성은 이 분야에서 우리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고 정의하기 위해, 우리는 모두 보건 전문가들 사이에서 공인된 일련의 저자들을 이용한다. 이 규약 자체는 대개 의학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법률가과 성직자와 함께 최초로 정의된 전문직 중 하나로서, 다른 의료 직업에서 전문성을 배치하는 것과 관련된 작업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보다 새롭게 "전문직화된" 보건의료 관련직보다, 의료전문직 분야에서 전문직업성의 개념을 논의하는 시간이 더 길었다고 할 수 있다. 

We have been researching and publishing in the area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development for some years,1, 3-5 but it still feels as if we are relative newcomers to the field. Our shared reflection from discussing challenges concerning professionalism with global colleagues6-8 is that we are not alone in this; in order to understand and define professionalism, we all draw upon the same set of authors as recognised canon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9, 10 This canon itself is usually based in medicine; notably, as one of the first defined professions alongside law and the priesthood, there has arguably been longer to debat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n this field than for the more newly “professionalised” health-care occupations, although there is no shortage of work related to positioning professionalism in other health-care professions.11, 12

그러나 "전문직업성"을 이해하기 위한 공동 참조 프레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전문직업성 위반의 시나리오를 논의할 때, 추가적인 위반을 방지하거나 교정하는 데 합의된 접근 방식은 결코 없다.4 우리는 종종 사회적 또는 문화적 맥락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출판된 문헌이 우리 자신의 생각과 가치를 나타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반영합니다. 현재 전문직업성에 관한 지배적인 정의는 [성별, 민족성,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21세기의 기대, 그리고 종종 가장 걱정스러운 것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고려]를 무시하는 듯 보인다.
Yet despite a shared frame of reference for understanding “professionalism”, when we discuss scenarios of professionalism transgressions, there is never one agreed approach to remediation nor prevention of further transgressions.4 We often talk about the importance of social or cultural context; and we reflect that the published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does not seem to represent our own thoughts and values. Dominant definitions seem to ignore considerations of gender, ethnicity, twenty-first century expectations of work-life balance and often, most worryingly of all,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cerns.

한편, 의료 외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이 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에서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우리의 우려는 40년 전 프리드슨 자신이 "전문직"을 정의할 때 반영했던 것과 같다. 프리드슨은 이 용어를 "영국-미국 제도들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은 산업국가들에서 특별한 뿌리를 가진 변화된 역사적 개념"임을 인정하지 않고, 대신 "일반적인 개념generic concept"으로 정의하려는 시도의 어리음에 주목했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전문직업성의 정의를 재검토하여 그것들이 다른 맥락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이해할 시간이 지났다고 느낀다. 여기서 우리 연구는 다시 한번 의학을 기반으로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이러한 논쟁을 모든 보건의료 직업과 관련이 있다고 말하는 동안, 우리는 각각의 단일 건강관리 직업의 맥락이 이 토론이 각각의 직업 정체성에 대해 특별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Meanwhile outside health care, these considerations appear to already exist in discussions of professionalism.13, 14 Indeed, our concerns mirror Friedson's own reflections15 in defining a “profession” 40 years ago. Friedson noted the folly of attempting to define the term as a “generic concept” rather than acknowledging it is a “changing historic concept with particularistic roots in those in industrial nations that are strongly influenced by Anglo-American institutions” (p32). With this in mind, we feel it is beyond time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o understand how they are applied in different contexts. Our own work here will once again be based in medicine; thus whilst we speak of these debates as relevant to all health-care professions, we must acknowledge the context of each singular health-care profession may mean this debate needs to be had specifically for each occupational identity.

또한 질 개선quality improvement을 주제로 한 이 특별호 내에서 논의를 진행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교육자로서, 우리는 우리 학생들 사이에서 전문직업성 과실을 관리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찾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문직업성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단순히 그 일을 감당할 수 없는 [전문직업성의 정의]에 의해 좌절된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눈에는, 전문직업성의 교육 및 관리의 질을 향상시키는 첫 번째 단계는 [기존의 정의]에 대한 공개 토론을 장려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기원과 가정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It is also important to situate this discussion within this special issue on the theme of quality improvement. As educators, we find ourselves constantly striv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our professionalism teaching, as well as searching for optimal methods to manage professionalism lapses amongst our students.4 We often, however, find ourselves hamstrung by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hat are simply not up to the task. Thus, in our eyes, the first step to improving quality in teaching and management of professionalism is to encourage an open debate of existing definitions and to interrogate the origins and assumptions that underpin these.

현재의 의료 전문직업성 상태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다룰 것입니다.

  • 전문직업성을 정의하도록 "허용"되는 지배적인 목소리는 누구인가? 전문직업성을 정의하는 것은 규제자, 학자, 전문가 또는 실제로 비정형 "공공"의 소관이 되어야 하는가?
  • 만약 지배적인 목소리가 직업 내에서 모든 것 혹은 심지어 다수를 대변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전문직업성의 패권적 정의와 그에 따른 전문적 기준의 설명에 무엇을 의미합니까?
  • 서로 다른 국가적, 문화적 맥락에 걸쳐 서로 다른 이해를 고려한다면, 모든 사람에게 "통하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하나의 허용되는 정의가 있을 수 있을까?
  • 전문직업성에 대한 현재의 정의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그 개념이 무기화되고 전문가 자체에 대해 사용되는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있는가?

In order to undertake a critical appraisal of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professionalism, we will seek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 who are the dominant voices that are “allowed” to define professionalism? Should defining professionalism be the remit of regulators, academics, the profession or indeed the amorphous “public”?
  • If the dominant voices do not speak for all – or even a majority – within a profession, what does that mean for hegemonic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for the subsequent delineation of professional standards?
  • Taking into account different understandings across different national and cultural contexts, is it even possible for there to be one single accept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works” for everyone?
  • Is the danger that uncritical acceptance of current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results in the concept being weaponised and used against the professions themselves?

이 논문은 이러한 대화들이 [현재 존재하는 전문직업성의 정의가 최종적인 것definitive ones]이라는 입장에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토론을 탐구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debate on each of these questions, to make the case that these conversations need to move on from the position that the extant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re the definitive ones.

2 프로페셔널리즘을 정의할 수 있는 사람(그리고 허용되어야 함)은 누구입니까?
2 WHO IS – AND SHOULD BE – ALLOWED TO DEFINE PROFESSIONALISM?


"전문직"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사회학 분야에서 시작되었다. 가장 넓게 본다면, 전문직업성은 사회에서 구성원의 위치를 정당화하는 직업의 측면이다. 이러한 정의에서 "사회적 계약"의 개념이 등장했다. 그것은 전문가들이 사회에 유용한 지식과 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이러한 지식은 전문직 자체에 의해 보호되므로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지식을 휘두르고 그것에 대한 접근을 계속 규제하기 위해, 의사들은 전문직업 밖의 사람들의 신뢰를 정당화하는 방법으로 행동해야 한다. 이는 전문직업성이 대중들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직 전문직 바깥에 있는 사람들만이 신뢰를 정당화할 수 있는 것을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분명히 그렇지 않다. 심지어 의학 교육 분야에 존재하는 이 기사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쟁이 의사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된다. 전문직의 어떤 구성원들이 전문직업성을 규정할 수 있는 힘을 주장합니까?

Attempts to define a “profession” and thus professionalism started in the field of sociology; most broadly, professionalism is the aspects of occupations that justify members' position in society.16 From these definitions emerged the concept of a “social contract”,17 that is where professionals have access to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useful to society. This knowledge is safeguarded by the profession itself – so is not accessible to all – thus, in order to be trusted to wield said knowledge and continue to regulate access to it, doctors must behave in a way that justifies the trust of those outside the profession. Immediately this suggests that professionalism is defined by members of the public: only those out with the profession can define what would justify their trust. This is, however, clearly not the case: even this article, existing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demonstrates that the debate regarding professionalism is one dominated by doctors. Thus, the question arises: which members of the profession claim the power to define professionalism?

2.1 학술
2.1 Academics

2.1.1 전문성은 의학과 사회계약의 기초이다. 
2.1.1 Professionalism is the basis of medicine's contract with society18

이 인용문이 시사하듯이, 전문직업성을 논하는 학술 문헌들 중 상당수는 의사가 반드시 전문적이어야 하는 이유로 '사회적 계약'을 꼽고 있다. 우리는 대중이 정한 정의에 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으므로, [대중의 기대]는 [의사들이 생각하는 대중의 기대]와 [헤드라인을 강타한 의료사고의 이야기에 대한 대중의 반응]의 조합에서 추론될 수밖에 없다. 비록 "사회적 계약"이 유용한 이론적 구조일 수도 있지만, 현실은 그것이 기껏해야 역사적 추측에 기초하고, 최악의 경우 허구인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As this quotation suggests, much of the academic literature that discusses professionalism cites the “social contract” as the reason why doctors must be professional.19, 20 As we have established that little is known about definitions set by the public, it must follow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public are only inferred from a combination of what doctors think members of the public expect and the public reaction to stories of malpractice that hit the headlines.21, 22 Though the “social contract” may be a useful theoretical construct, the reality is that it seems at best to be based on historical guesswork and at worst to be a fiction.

이 단계에서는 아마도 전문직업성의 정의와 사회계약에 대한 통제력을 가진 듯한 기득권의 힘으로 몇 가지 어려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전문직"의 개념은 적어도 1930년대부터 논의되어 왔지만, 직업과 관련된 표준과 관행을 참조하는 개념으로서의 전문직업성은 직업의 가치에 관한 영국과 미국의 사회학적 분석에서 등장하여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에 주목을 받았다. 실제로 1990년, 버라지와 토르스텐달 24는 이 분야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통찰력 있게 주장했다. 사회적, 정치적 맥락으로부터 정의된 전문직의 분리separation, 그리고 전문가 간 관계의 무시와 영미 편향은 모두 전문가 행동의 이론화 적용에 대한 우려로 확인되었다.
At this stage, it is perhaps important to outline some difficulties with the power of the establishment that seems to have control over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social contract. Whilst the concept of a “profession” has been discussed since at least the 1930s,23 professionalism as a concept referring to the standards and practices associated with a profession emerged from British and American sociological analysis concerning the value of occupations, gaining traction towards the end of the 1970s and early 1980s.24, 25 Indeed in 1990, Burrage and Torstendahl24 insightfully argued that caution was needed in this field; the separation of a defined profession from its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and the neglect of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an Anglo-American bias were all identified as concerns i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ising of professional behaviours.

이미 심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 작품에서,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문적인 토론에 끼어들기가 도전적이라고 느끼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의료 전문직업성의 진화를 이해하고 그 분야에서 [특정 인물의 명백하고, 꿈쩍하지 않는 지배력]과, 위에서 강조된 우려에 대한 후속적인 비판적 관여의 부족에 더 관련되는 데 전념하는 시간과 관련이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루즈와 크루즈는 20년 넘게 전문성의 정의와 가르침에 대해 출판해 왔으며, 다른 작가들에 의해 전문직업성을 정의하기 위한 일종의 roadstone으로 종종 인용된다. 그러나 크루즈 부부는 1950년대에 졸업한 백인 캐나다인 부부라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그들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정의는 약간의 질문을 필요로 한다.전문직업성에 대한 이러한 정의가 처음 받아들여졌을 때, 의학은 매우 다르게 보였다. 그것은 여전히 매우 동질적인 노동력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직업이었다. 이러한 정의는 맥락에 대해 사려 깊고 잘 이론화되었을 수 있지만, 우리는 현재와 미래의 노동력에 기존의 정의를 적용하는 것이 의심할 여지 없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믿는다.

In this already heavily debated body of work, it is perhaps understandable that it feels challenging to break into scholarly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Nevertheless, this may be less to do with the time dedicated to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relate more to the apparent immovable dominance of particular figures in the field, and a subsequent lack of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concerns highlighted above. Cruess and Cruess, for example, have been publishing about definitions and teaching of professionalism for over 20 years,9, 26 and they are often cited by other authors as a kind of lodestone for defining professionalism.27 It is worth noting, however, that the Cruesses are a white, Canadian couple who graduated in the 1950s.28 With this in mind, their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require some interrogation. When these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were first accepted,9, 18 medicine looked very different. It was a profession still dominated – certainly in senior positions – by a very homogeneous workforce. Whilst these definitions may have been thoughtful and well theorised for their context, we believe it is increasingly challenging to apply them unquestioningly to the current and future workforce.

그러나 대안적 정의를 제시하는 데 있어 난제 중 하나가 토론에서 설득력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2006년에 Wear와 Aultman은 다른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전문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모음집을 편집했다. 이들 중 하나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를 사용할 때 성 불평등의 가능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만약 전문직업성이 초특권supererogation을 요구한다면 – 의무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면 – 그들의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제 시간에 떠나야 하는 부모들은 여전히 전문직업적일 수 있는가? 아마도 의학에 대한 무조건적인 헌신은 모든 국내 업무를 책임지는 파트너에 의해 개인 생활에서 지원받는 사람들의 특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의학이 점점 더 다양한 노동력을 수용함에 따라, 정시에 퇴근해도 전문직업적이 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해졌는가? 그러나 셜리와 패젯의 비평은 지배적인 정의를 인용하고 암송하라는 소동 속에서 크게 사라졌다. 이것은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문적academic 논의와 "현장on the ground"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사이에 더 큰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만약 그렇다면, 아마도 전문직업성에 대한 실용적인 정의는 practicing physician들에게 더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e of the challenges in presenting an alternative definition, however, seems to have been gaining traction in the debate. In 2006, for example, Wear and Aultman29 edited a collection of critical analyses of professionalism using different theoretical frames. One of these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gender inequality when using convention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30 For example, if professionalism requires supererogation – going above and beyond the call of duty – can parents who need to leave on time to care for their children still be professional? Perhaps, unqualified commitment to medicine can only be the privilege of those supported in their personal lives by a partner who assumes responsibility for all domestic tasks. As medicine embraces an increasingly diverse workforce, surely it has become possible to leave work on time and be professional? And yet Shirley and Padgett's30 critique has been largely lost in the clamour to cite and recite the dominant definitions. This suggests to us that there is a widening gulf between the academic discussion of professionalism and what is happening “on the ground”. If this is the case, perhaps a practical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more widely applicable to practising physicians.

"사회적 계약"을 일반적으로 합의된 정의로 변환하려고 시도할 때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행동에만 의존하는 전문성의 정의는 "깊이가 얕다skin deep"는 비판을 받아온 반면, 덕목virtues에 의존하는 정의는 비정형적이고 평가에서 구현하기 어렵다. 어떤 이들은 규범적normative 정의 - 대부분의most 의사들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기초하는 -가 도움이 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규범은 세대에 따라 변화하며 여기에 어려움이 있다: 전문직업성의 정의는 직업의 모든 구성원에 의해 동등하게 통제되지 않는다. 대신 학계와 규제당국과 같은 강력한 이해당사자들이 정의를 통제하는 것처럼 보인다.
A further challenge arises when attempting to translate the “social contract” into a commonly agreed definition.31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that rely solely on behaviour have been criticised for being “skin deep”,32 whereas definitions that rely on virtues are amorphous and difficult to implement in assessment.33 Some have suggested that normative definitions – based on how most doctors would behave – are helpful.34 Pertinently, however, norms change with generations and herein lies the difficulty: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not equally controlled by all members of the profession. Instead, powerful stakeholders such as academics and regulators seem to control the definition.

2.2 규제 기관
2.2 Regulators

아마도 전문직업성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정의는 규제 기관들이 사용하는 정의일 것이다. 이러한 정의와 이를 통제하는 기관들은 전문성을 측정하는 사실상의 기준을 형성하기 때문에 힘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 GMC(General Medical Council)전문직업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이 정의를 사용한다.

Perhaps the most straightforwar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one used by regulatory bodies. These definitions – and thus the institutions that control them – have power as they form de facto standards against which professionalism is measured. In the United Kingdom, for example,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uses this definition to outline what they believe professionalism means:

 

"좋은 의사들은 환자를 돌보는 것을 첫 번째 관심사로 삼는다. 그들은 유능하고, 지식과 기술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환자 및 동료들과 좋은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고, 정직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그리고 법 안에서 정직하게 행동한다." 
“Good doctors make the care of their patients their first concern: they are competent, keep their knowledge and skills up to date, establish and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are honest and trustworthy, and act with integrity and within the law.”35

규제 기관은 의학에 진입하는 조건, 그리고 의학 내에서 합법적인 고용 조건을 설정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정의하는 데 강력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의에는 명백한 문제가 있다. 첫째, 각 용어 - "좋은good"를 예로 들어 - 더 많은 설명이 필요합니다. 다음으로, 각 개념은 주어진 의사의 경험, 훈련 단계 및 당면한 특정 시나리오와 맥락화되어야 하는데, 이 모든 것은 객관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명확성의 결여는 해석의 정의를 열어주고 이러한 해석은 일종의 비공식 규제 사례법을 통해 이루어지게 한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GMC의 자체 정의는 의사들과 일반인들이 전문적 위법 행위와 실천의 적합성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수행하는 [의료 종사자들의 재판소tribunals]를 통해 검증된다. 따라서, "체제establishment"에는 외부 비판의 기회가 거의 없으며, 자신의 정의를 그대로 유지한다.
Regulatory bodies have a powerful role in defining professionalism as they set the conditions of entry to – and legitimate employment within – medicine. Yet there are manifest problems with a definition such as this. Firstly, each term – take “good” as an example – requires further clarification. Next, each concept needs to be contextualised with a given doctors' experience, stage of training and the specific scenario at hand, all of which are challenging to measure in an objective way. This lack of clarity then opens the definition to interpretation and leaves these interpretations to be made through a kind of informal regulatory case law. The GMC's own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tested through tribunals of medical practitioners, which are conducted by doctors and lay people experienced in dealing with matters of professional misconduct and fitness to practise. Thus, the “establishment” maintains its own definitions with little opportunity for external critique.

전문직업성에 대한 규제적 정의에 의존할 때 생기는 또 다른 문제는 [전문직업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행동과 태도]만 공개적으로 평가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전문직업성의 '흑백(옳고 그름)'이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개인적인 금전적 이익을 위해 환자를 죽이는 것은 어느 때라도 전문직업적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회색 지대"는 바뀐다. 즉, 이것은 덜 명확한 결정이며, 규제 기관의 소관이 덜한 결정입니다. 대신, 그것들은 교육자, 의료 서비스 제공자, 의사 및 대중이 매일 해야 할 결정입니다.
Another challenge of relying on a regulatory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is that it is only tested in relief: only behaviours and attitudes that do not meet professional standards are publicly measured against it. This is unhelpful as the “black and white” of professionalism changes little over time. It is never going to be professional to kill your patients for personal financial gain. What do change are the “shades of grey”, the decisions that are less clear, which are less often the remit of the regulator. Instead, they are decisions that fall to educators, health-care providers, “jobbing” doctors and members of the public to make on a day-by-day basis.

3 다양한 국가 및 문화적 맥락에 걸친 다른 이해를 고려하여, 모든 사람에게 "효과적"인 전문성에 대한 하나의 허용되는 정의가 가능할까요?
3 TAKING INTO ACCOUNT DIFFERENT UNDERSTANDINGS ACROSS DIFFERENT NATIONAL AND CULTURAL CONTEXTS, IS IT EVEN POSSIBLE FOR THERE TO BE ONE SINGLE ACCEPT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WORKS” FOR EVERYONE?


여러 이전 출판물에서 인정된 바와 같이, 국가 또는 국제 경계를 넘어서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단일 또는 합의된 정의는 없다. 따라서 각 국가/지역 규제 기관 또는 의료 면허 기관은 자체 규정과 어느 정도 "전문직업성"에 대한 자체 정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정의는 때때로 전문직 규정 문서에 통합된 지침으로 캡슐화되지만, 다른 정의는 학부 교육 또는 등록된 전문가에 대한 전문적 기대에 초점을 맞춘 전체 문서에서 캡처된다.  실제로, 어떤 맥락에서 전문직업성의 정의는 규제 기관보다는 의사 협회에 의해 생성되는 것처럼 보인다.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직업성이 어떻게 다른 국가 지침에서 다루어지는지를 고려할 수 있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비교 가능한 문서 세트는 없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최근 일련의 문헌에서 서구의 전문직업성 정의가 반드시 비서구 국가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다른 맥락에서 다른 전문성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As has been acknowledged in multiple previous publications, there is no single or agre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cross national or international borders.36 As such, each national/regional regulator or medical licensing organisation has its own regulations and to a certain extent their own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ese definitions are sometimes encapsulated in guidance incorporated into professional regulatory documents,37 whereas other definitions are captured in whole documents focussed on professional expectations either in undergraduate training38 or for registered professionals.39 Indeed, in some contexts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seem to be generated by doctors' associations, rather than the regulatory body.39, 40 There is not then an easily identifiable set of comparable documents by which we can consider how professionalism is addressed in different national guidance, though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do so. Most notably, a recent set of literature notes that Western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e cultural values of non-Western countries, and therefore, that different professionalism definitions could be needed in different contexts.41-50

표 1은 규제 기관 또는 인증 기관 웹 사이트에서 "전문직업성"을 검색할 경우 나타나는 지침의 작은 표현을 결합하려고 시도한다. 이 길이의 기사 범위 내에서, 의학이 규제 직업으로 시행되는 모든 국가의 사례를 검색하고 포함할 수 없었다. 대신 우리는 전문성을 정의하는 복잡성을 보여주기 위해 대륙을 가로질러 가능한 한 횡단면을 포함하기로 선택했습니다. 따라서 이 정보에 대한 검색은 의도적으로 실용적이었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의학교육 문헌의 큰 단체들이 이미 국제 무대에서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장소(영국, 유럽, 미국, 호주 - 이전에는 "서구"라고 불렸을 수도 있는 것)와 다른 것들은 잘 표현되지 않은 장소들을 포함했다.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 및 일본) 그러나, 우리는 이것이 이미 그 분야에서 지배적인 목소리를 더욱 증폭시키고 덜 대표되는 국가들을 여전히 듣지 못하게 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것은 이러한 토론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를 강조합니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견해를 [명확하게 정의되고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용어인 것처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국가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서입니다.
Table 1 attempts to bring together a small representation of guidance that emerges if one searches for “professionalism” on the regulatory or accreditation body websites. Within the confines of an article of this length, it was not possible to search for and include an example from every country where medicine is practised as a regulated profession. Instead we chose to include a cross-section as far as we could across continents to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defining professionalism. The search for this information was therefore deliberately pragmatic and included locations from where we knew large bodies of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already had representa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UK, Europe, USA and Australia – what might previously have been termed the “Western” voice) and then others less well represented (China, Saudi Arabia, South Africa and Japan). However, we acknowledge this further amplifies the already dominant voices in the field and leaves the underrepresented nations still unheard. This highlights one of the reasons these debates are needed: to acknowledge there are whole nations whose views on “professionalism” are unknown to those who use it as if it were a clearly defined and universally understood term.

표 1. 전문성과 관련된 이용 가능한 정의 또는 지침의 국가 간 비교
TABLE 1.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available definitions of, or guidance related to, professionalism

국가/지역 출처 전문성/전문적 행동에 대한 요구사항/지침 발췌
Country/region  Source  Excerpts of requirements/guidance on professionalism/professional behaviours

Australia Australian Medical Council (AMC)36 Nothing articulated in training standards.
AMC promotes a published guide on “Good Medical Practice: Professionalism, Ethics and the Law”:
Professionalism covers a wide range of elements, including good communication skills, an empathetic attitude, the virtues of self-reflection, truthfulness and dependability, cultural awareness in our multicultural society, and awareness of relevant laws pertaining to medical practice. Above all it covers an assumption that a person wishing to practise medicine effectively will bring positive attitudes to all the roles involved in being a doctor
China National Health Commis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ebsite51; Chinese Medical Doctor Association (CMDA) charter52 Nothing returned in search for “professionalism” on National Health Commission (main national health agency) website. New legislation to “better protect doctors” introduced in August 2021 clarifies that doctors must not produce false medical certification documents and not perform unnecessary examinations and treatments on patients.
CMDA defines “six tenets” of medical practice:
  • equality and benevolence;
  • primacy of patients;
  • honesty and fidelity to promises;
  • commitment to excellence and prudence;
  • incorruptibility and impartiality;
  • lifelong learning.

Germany German Medical Association53 Publishes a (Model) Professional Code for Physicians in Germany which contains the “Rules for Professional Practice”. Excerpts:
Physicians serve the health of the individual and of the population. The medical profession is not a trade. It is by nature a liberal profession.
Physicians practice their profession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the precepts of medical ethics and humaneness. They may not acknowledge any principles, or comply with any regulations or instructions, that are irreconcilable with their tasks or for whose observance they cannot answer.
If physicians who are permanently established or perform their professional activity in another Member State of the European Union temporarily and occasionally perform their medical activity on a cross-border basis in the territory covered by this Professional Code without establishing a practice, they must observe the provisions of this Professional Code.
In addition to practising their profession, physicians are forbidden to engage in any other activity that is irreconcilable with the ethical principles of the medical profession. Physicians are also forbidden to allow their name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medical occupational title in an unfair manner for commercial purposes. They may equally not permit use to be made of their name, or of the professional reputation of physicians, in such a way.
Japan Japan Medical Association Website39 “… the physician should serve society with a basic love for humanity.” Underpinned by the following six principles:
  • continuing education;
  • dignity and responsibility, striving “to enhance his/her cultural refinement, education, and integrity”;
  • respecting the individuality of patients, treating them with compassion and earning their trust;
  • maintaining respect for his/her fellow physician and serving “the cause of medical care to the best of his/her abilities”;
  • respecting the spirit of public service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 not engaging in profit-making medical activities.
Saudi Arabia Kingdom of Saudi Arabia Education & Training Evaluation Commission (ETEC) website54 SaudiMeds Framework developed by Saudi Medical Deans Committee; Theme V – Professionalism:
“The commitment to deliver the highest standards of ethical and professional behaviour in all aspects of health practice, and take a responsibility for own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Adhere to professional attitudes and behaviours of physicians
  • Apply Islamic, legal and ethical principles in professional practice
  • Demonstrate the capacity for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outh America Centeno et al 201655 Nothing obvious available in English but Centeno et al. 2016 discuss a collaboration between three South American Schools with a shared aim to promote professionalism amongst their students; the agreed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used was Epstein and Hunderts56 definition where professionalism is:
“The habitual and judicious use of communication, knowledge, technical skills, clinical reasoning, emotions, values, and reflection in daily practice for the benefit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being served”
South Africa Health Professions Council of South Africa website57 Health Professions Council publishes a lengthy document with very specific requirements of all registered health-care practitioners. An example of this is that they provide guidance on a practitioners stationery as follows:
“4. (1) A practitioner shall print or have printed on letterheads, account forms and electronic stationery information pertaining only to such practitioners – (a) name; (b) profession; (c) registered category; (d) speciality or subspeciality or field of professional practice (if any); (e) registered qualifications or other academic qualifications or honorary degrees in abbreviated form; (f) registration number; (g) addresses (including email address); (h) telephone and fax numbers; (i) practice or consultation hours; (j) practice code number; and (k) dispensing licence number (if any).”
The Netherlands 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 (KNMG)40 KNMG Manifesto on Medical Professionalism
“The aim of this manifesto is to perpetuate and promote the trust that society should be able to place in medical professionals.
… A good doctor is a medical professional: he is a medical expert, he keeps his professional know-how up-to-date, communicates in an empathic way with his patients, cooperates with colleagues, exercises his profession within the (moral) boundaries of the professional group, organises quality in his practice and renders account.
The doctor needs society to place trust in him. Trust is necessary for the proper operation of the health-care sector as a whole, for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for the intrinsic motivation of medical professionals. The medical professionals intrinsic motivation is the most powerful driving force for qualitatively sound, meaningful and efficient care.”
United Kingdom General Medical Council Website Outcomes for Graduates38 defines the standards which all medical graduates are expected to reach by the end of their pre-registration training. It states that “newly qualified doctors must behave according to ethical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gives a 28-point list detailing specific requirements including:
  • demonstrate compassionate professional behaviour and their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in making sure the fundamental needs of patients are addressed
  • act with integrity, be polite, considerate, trustworthy and honest
  • recognise the potential impact of their attitudes, values, beliefs, perceptions and personal biases (which may be unconscious) on individuals and groups and identify personal strategies to address this
Good Medical Practice,35 a document defining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urs expected of any qualified doctor registered with the GMC, states that:
“As a good doctor you will:
  • make the care of your patient your first concern
  • be competent and keep you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up to date
  • take prompt action if you think patient safety is being compromised
  • establish and maintain good partnerships with your patients and colleagues
  • maintain trust in you and the profession by being open, honest and acting with integrity”

United States of America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Website58 Common Programme Requirements for residency training includes a long list related to professionalism,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must demonstrate an understanding of their personal role in the:
  • provision of patient- and family-centred care;
  • safety and welfare of patients entrusted to their care, including the ability to report unsafe conditions and adverse events;
  • assurance of their fitness for work, including:
  • management of their time before, during, and after
  • clinical assignments; and, recognition of impairment, including from illness, fatigue, and substance use, in themselves, their peers, and other members of the health-care team.
  • commitment to lifelong learning;
  • monitoring of their patient care performance improvement indicators; and,
  • accurate reporting of clinical and educational work hours,
  • patient outcomes, and clinical experience data …

“All residents and faculty members must demonstrate responsiveness to patient needs that supersedes self-interest. This includes the recognition that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e best interests of the patient may be served by transitioning that patients care to another qualified and rested provider …
“Programmes, in partnership with their Sponsoring Institutions, should have a process for education of residents and faculty regarding unprofessional behaviour and a confidential process for reporting, investigating, and addressing such concerns.”

어떤 경우에는, 이것들은 번역된 버전이며, 우리는 여기서 한계점을 인정합니다. 우리는 영어로만 이용 가능한 자원들에 접근할 수 있었고, 때로는 2차 소스를 통해서요. 따라서 우리는 이것을 전문직업성에 대해 이용 가능한 모든 국제 지침의 결정적 표현이라고 주장하지 않으며, 우리는 몇몇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의 의학 교육 시스템은 러시아의 모든 핵심 문헌을 찾는다. 따라서 우리는 이 지역, 또는 표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곳에서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태도에 대한 지식을 주장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이 보여주는 것은 서로 다른 맥락에서 "전문직업성"이 의미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누구에게나 얼마나 복잡한지이며, 입증하기 위해 국가 기관 웹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기대와 요구사항의 샘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some instances, these are translated versions, and we acknowledge a limitation here is that we were only able to access resources that were available in English, sometimes via secondary sources. We therefore do not claim this as a definitive representation of all international guidance available on professionalism, and we acknowledge there are some large gaps; the inwardly facing medical education system in Russia for example locates all key literature in Russia; therefore, we can make no claims to knowledge about attitudes to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is part of the world, nor anywhere else not included in the table. What it does, however, is give a sample of the types of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made available on national agency websites for the purpose of demonstrating how complex it is for anyone to make sense of what “professionalism” means in different contexts.

각 국가 규제 기관이 고유한 기준을 갖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의약품과 의료가 고유한 맥락과 관련이 있음을 보장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표 1은 "전문직업성"의 정의, 적용 및 규제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의학 교육 내에서 그것이 하나의 단일한 개념인 것처럼 말하고 쓴다. 흥미롭게도, 대부분의 맥락에서, 지침은 평생 학습 및 전문직업적 개발의 중요성을 포함하지만, 여기서 직접적인 비교는 끝난다. 
It is understandable that each national regulator will have its own standards, an important part of ensuring medicine and health care is relevant to its own context.59 What Table 1 demonstrates is quite how far apart the definition,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professionalism” is. Despite these differences, we speak and write about it within medical education as if it is just one singular concept. Interestingly, in most contexts, guidance incorporates the import of lifelong learning and/or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here the direct comparison ends.

네덜란드 왕립의학협회(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의 가이던스는 학술적 담론을 따르고 있으며, 사회가 전문직에 두는 신뢰와 직업적 지위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부 규제당국의 경우 교육 제공자에 대한 지침을 포함하여 등록 전pre-registration부터 대학원 교육까지 일련의 지침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더 많다. 다른 국가에는 개별 시나리오에 전문적인 판단을 적용할 수 있는 여지를 상상하기 어렵게 만드는 엄청나게 상세한 지침 목록이 있다. 

The guidance from The Netherlands from the Royal Dutch Medical Association,40 a professional organisation rather than a regulator, follows an academic discourse and focus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tatus and the trust that society puts in the profession. For some regulators38, 58 there is more evidence of a continuum of guidance from pre-registration to postgraduate training including guidance for training providers. For others,57 there is an incredibly detailed list of instructions leaving it hard to imagine room for application of professional judgement to individual scenarios.

특히, 한 나라의 교리가 다른 나라에 어떻게 적용될지 상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의료 보험 회사가 바로 그 목적(영리활동)을 위해 존재하는 많은 나라에서는, 의료 활동이 "영리화"를 위해 수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일본의 가이던스는 이치에 맞지 않을 것이며,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의 맥락에서 이슬람 관행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언급은 비이슬람 국가들에게는 거의 의미가 없다. 사실, 종교가 의도적으로 국가와 분리되어 있고 따라서 의료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많은 나라에서, 전문직 행위의 일부로서 특정 종교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은 꽤 성가신 일이다. 금요기도를 위해 보건활동이 일시 중단되는 일국의 기대가 전문직업적인 것으로 인정되겠지만, 또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종교적 교리를 따르기 위해 환자 치료로부터 "휴식"을 고려하는 것은 전문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다.

Notably, it is extremely challenging to imagine how the tenets of one country would apply in another; the guidance from Japan that medical activities will not be undertaken for “profit-making” would not work in many countries where medical insurance firms exist for that very purpose, whilst reference to adherence to Islamic practice in the Saudi Arabian context54 makes little sense for non-Islamic countries. Indeed, in many countries where religion is deliberately separated from the state and therefore health service provision, the inclusion of a mention of a specific religion as part of professional practices is quite jarring. Where the expectation in one country that health care activity is paused for Friday prayers is seen as professional; in another cultural context, it might be seen as unprofessional to consider a “break” from patient care for religious observance.

개별 국가의 가이던스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표면적으로 "유사한" 이해에서 비롯될 수 있지만, 이에 따른 적용은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는 국제 경계를 넘어 학생과 교직원의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지배적 정의가 세계화된 의료 관행의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음을 시사하며, 이는 전문직업적 표준을 이해하려고 시도할 때 의사에게 불확실성을 야기한다. 실제로, 독일의 지침은 그들의 의사가 일시적으로 국경을 넘어 일하는 경우, 그들의 의사는 여전히 독일의 규칙을 따라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전문직업적이지 않은" 행동에 대한 어떠한 비난도 누구의 관할권에 의해 중재될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 

Whilst individual national guidance may originate in superficially “similar”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the resultant application of these is much further apart, which has implications for the movement of students and staff across international boundaries. This suggests that dominant definitions are not universally applicable in the context of globalised medical practice, creating uncertainty for doctors when attempting to understand professional standards. Indeed, the German guidance specifies that, where their doctors are temporarily working on a cross-border basis, their physicians must still follow the German rules, which raises questions for whose jurisdiction any accusations of “unprofessional” behaviours would be arbitrated by.53

우리의 분석에서 분명한 것은 비교적 작은 전문 규제자 표본 내에서도 국경, 문화, 맥락을 초월한 전문직업성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보편적 정의에 대한 어떠한 시도도 서구 중심의 세계관에 의해 지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What seems clear from our analysis is that, even within a relatively small sample of professional regulators, a universal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transcends borders, cultures and contexts does not exist. Indeed, we would argue that this is not desirable as in all likelihood any attempt at a universal definition would be dominated by a Western-centric view of the world and thus would not be representative of the needs of many doctors and indeed their patients.

4 만약 지배적인 목소리가 직업 내 전체 또는 심지어 과반수를 대변하지 않는다면, 전문성의 헤게모니적 정의와 후속적인 전문성 표준의 설명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
4 IF THE DOMINANT VOICES DO NOT SPEAK FOR ALL – OR EVEN A MAJORITY – WITHIN A PROFESSION, WHAT DOES THAT MEAN FOR HEGEMONIC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FOR THE SUBSEQUENT DELINEATION OF PROFESSIONAL STANDARDS?


최근 수십 년간 전문직업성 논쟁에서 변화의 원동력 중 하나는 소셜 미디어의 부상이었다. 많은 의사들이 학문적, 규제적 대화에서 제외되었을 수 있는 반면, 트위터와 같은 플랫폼은 종종 매우 공개적인 방식으로 개인이 토론에 참여하도록 허용했다. 지역 근무 환경 밖에서 새로운 전문직업적 관계를 개발하는 것은 이전에는 컨퍼런스 네트워킹에 국한되었지만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의사로서 공개적인 프로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갖는 것이 의미하는 것의 성격을 바꾸었다. 소셜 미디어 토론은 종종 논쟁적인 견해와 출판물에 대한 토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020년 혈관외과 저널은 "젊은 혈관외과 의사들 사이에서 비전문적인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보급"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글에서 저자들은 비키니를 입은 자신의 사진을 SNS에 올리는 것은 비전문적이라고 암시했다. 전 세계 의사들로부터 "MedBikini"라는 해시태그를 사용한 소셜 미디어에 대한 반발은 매우 충격적이었고, 저널은 얼마 지나지 않아 논문을 철회해야 했다. 많은 면에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새로운 세대의 의사들이 그들의 [온라인 존재]뿐만 아니라, [전문직업성이 그들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상대적으로 검열없이 토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서, [전문직업성에 대한 자기만의 정의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게 해주었다.

One of the forces for change in the professionalism debate over recent decades has been the rise of social media. Where many doctors may have been excluded from academic and regulatory conversations, platforms such as Twitter have allowed individuals to become involved in the discussion, often in a very public way. Developing new professional relationships outside of local working environments was previously limited to conference networking, but social media platforms have changed the nature of what it means to have a public profile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doctor.60 Social media debates have often included discussions of controversial views and publications. For example, in 2020, the Journal of Vascular Surgery published a paper entitled “prevalence of unprofessional social media content amongst young vascular surgeon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implied that posting a picture of oneself on social media wearing a bikini was unprofessional.61 The backlash on social media from doctors around the world – employing the hashtag “MedBikini” – was so impactful; the journal was forced to retract the paper shortly thereafter. In many ways, social media platforms have allowed a new generation of doctors to claim ownership of their own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not just in their online presence but also in their ability to have relatively uncensored discussion of what professionalism means to them.

흥미롭게도, 소셜 미디어의 사용은 윤리적으로 보이는 것이 개인의 해석에 달려있을 수 있는 전문직업성과 관련하여 논쟁적인 영역이다. 미국 의사협회가 소셜미디어 가이드라인을 2010년 이전부터 도입했고, 의료교육자로서 소셜미디어 활용에 대한 팁페이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규제당국은 빠르게 진화하는 소셜미디어와 'e-프로페셔널리즘'의 세계에 발맞추지 못하는 듯했다. 온라인 활동을 하면서 어떻게 "전문직업적"이 될 수 있는지는 점점 더 불분명해지고 온라인에서의 "전문적" 행동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합의가 거의 없는 것 같다.66 백신을 예로 들어보자: 의료 종사자가 개인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막는 것은 파격적인가, 아니면 비전문적인가? 더욱이, 만약 [비관습적 신념들]이 [전문적이지 않다]고 해석된다면, 누가 이러한 견해를 단속하는 데 책임이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 규제 기관들은 소셜 미디어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현재 규제 목적보다는 홍보를 위해 존재한다. 이 경우에, 소셜 미디어는 의료 전문가들에게 "동료로 구성된 배심원들에 의해 재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문적 용어로, 이것은 (e-) 전문성에 대한 규범적 정의와 일치하며, 전문적이라고 여겨지는 것을 통제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보유되는 아이디어와 일치한다. 그러나 여기서의 어려움은 [파격적인 아이디어]가 프로페셔널하지 않은 것은 아니더라도, 파괴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전문직업성]과 [언론의 자유] 사이에서 긋기 어려운 선이 있다. 예를 들어, [극우적인 정치적 의견]을 말하는 것은 전문적이지 않은가? 우리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관점이 의사 조직/규제자의 전문적 가치와 어떻게 양립할 수 있는지 보기 위해 고군분투하겠지만, 이러한 맥락에서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전문적이지 않은 행동]에 해당하는지는 불분명하다.
Interestingly, the use of social media is itself a contentious area in relation to professionalism where what is viewed as ethical can be down to individual interpretation.62 Despite the fact that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introduced social media guidelines as long ago as 2010,63 and the existence of tips papers on using social media as a medical educator,64 regulators have not seemed to keep pace with the rapidly evolving world of social media and “e-professionalism”.56, 65 It is increasingly unclear how “professional” it is possible to be whilst engaging online at all and there seems to be little consensus on what “professional” behaviours online looks like.66 Take the debate around vaccines as an example: is it unconventional, or unprofessional, for a health-care worker to discourage individuals from receiving vaccines? Furthermore, if unconventional beliefs are construed as unprofessiona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o is responsible for policing these views. Medical regulators do have a social media presence, but these currently exist for promotion rather than regulatory purposes. In this case, perhaps social media offers medical professionals the opportunity to be “tried by a jury of their peers”. In academic terms, this aligns with a normative definition of (e-)professionalism, with the most commonly held ideas controlling what is deemed professional. The difficulty here, however, is that unconventional ideas may be disruptive – but might not be unprofessional. In addition, there is a line that is difficult to draw between professionalism and freedom of speech. Is it unprofessional, for example, to voice far right political opinions? Whilst we personally would struggle to see how these views are compatible with the professional values of doctors' organisations/regulators, it is unclear whether expressing an opinion in this vein amounts to unprofessional behaviour.

점점 더 많은 소셜 미디어는 ["전문직업성"의 개념이 외모, 언어 및 기타 개인 속성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오용/사용 되었던 예를 공유하기 위해 쓰인다. 걱정스러운 것은, 여기에는 운동화 착용(하루 종일 발바닥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이치에 맞는 말), 넥타이를 매지 않는 것(영국에서는 감염 통제 조치에 따라 금지됨), 화장하고 염색한 머리, 그리고 한 예로 "전문적이지 않은" 이름에 대한 비판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당연하게도 공동체 내에서, 그리고 실제로 그 직업에 합류하기 위한 훈련을 받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점점 더 많은 우려를 유발했다. 전문직업성의 개념이 "무기화weaponised"되고 있으며, 동료 "전문가"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세계관과 의견을 바탕으로 한 비전문적인 행동으로 서로를 비난하고 있다. 예들은 거의 항상 존재해왔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토론을 공유하고, 토론하고, 증폭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Increasingly, social media is used to share examples of where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has been (mis-)used to police appearance, language and other personal attributes. Worryingly, not only do examples include wearing of trainers (which make sense for people working on their feet all day), not wearing a tie (which is banned under infection control measures in the UK), wearing make-up, dyed hair and, in one example, a criticism of an “unprofessional” name.67 This has understandably led to increasing concern from within the community and indeed from those training to join the profession that the notion of professionalism is being “weaponised”, with fellow “professionals” using social media to accuse one another of unprofessional behaviour based on differing world views and opinions.68 Examples have arguably always existed; however, social media offers the profession new ways of sharing, discussing and amplifying these debates.

전문직업성이라는 용어를 무기화한 최근의 두드러진 예가 뉴캐슬 대학의 의대생으로부터 나왔다. 이 학생은 치마 길이로 실기시험에서 벌점을 받았다. 억울함을 느낀 그녀는 그 이야기와 그 스커트의 사진으로 무장한 트위터에 글을 올렸고, 처벌을 내린 개인과 그것을 지지한 의대는 광범위한 비난을 받았다. 이는 [전문직업성이 더 이상 의심의 여지 없이 임상 및 학술 엘리트들에 의해 규제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학생들과 훈련생들은 침묵할 수 없고, 침묵해서는 안 되는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A recent prominent example of the weaponisation of the term professionalism emerged from a medical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Newcastle (UK). This student received a penalty in a practical examination based on the length of her skirt. Feeling aggrieved, she took to Twitter armed with the story and a picture of the said skirt, attracting widespread criticism of the individual who issued the penalty and the medical school that upheld it.69 This demonstrates that professionalism can no longer be unquestioningly policed by the clinical and academic elite: students and trainees have a voice that cannot, and should not, be silenced.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직업성 논쟁을 소셜 미디어로 가져가는 흥미로운 측면 중 하나는 그것이 공공 영역이라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사회적 계약"의 개념으로 돌아간다면, 아마도 소셜 미디어는 전문직업성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토론에 대중을 포함시킬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문적, 규제적 논쟁]이 아무리 중요하게 보일지라도, 그들은 대체로 "일반lay" 사람들의 목소리를 배제하고, 논쟁을 종결시키며, 그 결과 편협하고 사회 전반에 맞지 않게 된다.
Nevertheless, one of the interesting aspects of taking the professionalism debate to social media is that it is in the public domain. If we return to the idea of the “social contract”, perhaps social media offer a new opportunity to include the public in the debate about what professionalism means to them. Ultimately, however important the academic and regulatory debates may seem, they largely exclude the voices of “lay” people, closing the debate down and ensuring it is insular and out-of-step with society at large.

5 결론
5 CONCLUSIONS

이 기사에서는 우리가 제공한 답변보다 더 많은 질문을 제기했습니다. 우리의 의도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지배적인 담론에 도전하고 그 개념이 더 이상 한 때 나타났던 것처럼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이번 기사를 통해 학술대화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이해당사자들과 폭넓게 참여하는 전문성의 정의에 대한 대화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는 단일한 글로벌 정의를 추구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대담한 진술을 하고 싶습니다. 우리가 논의한 바와 같이, 문화적 맥락은 전문직업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전 세계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수준 높은 정의가 각 사회의 요구에 문화적으로 양립되고 정서적으로 지적인 정의라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article, we have posed more questions than we have provided answers. Our intention was to challenge dominant discourses around professionalism and demonstrate that the concept is no longer as straightforward as it once appeared. Through this article, we hope to reinvigorate conversations about the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engage widely with stakehold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cademic conversation. We want to make a bold statement: that seeking a single global definition is pointless. As we have discussed, cultural context is so important to ou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This means that a high-quality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around the world is one that is culturally compatible and emotionally intelligent to the needs of each society.

간결함을 위해서, 우리가 토론에 포함하지 못한 몇 가지 쟁점들이 있다. 한 가지 예는 전문직업성의 구성에 내재된 잠재적인 사회 경제적 불평등이다: 특정 사회 규칙이나 단서에 대한 무의식적인 인식이 일부 개인에게 다른 개인보다 전문직업성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전문직업성 문제가 발생할 때, 부는 비용이 많이 드는 변호사를 접하게 하고, 따라서 불리한 결과로부터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하지만, 이것들은 우리가 여기에 공간을 줄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아이디어들이기 때문에, 우리는 토론을 계속하도록 초대합니다.
In the interests of brevity, there are several issues that we have failed to include in our discussion. One example is the potential socioeconomic inequity built into the construct of professionalism: there is perhaps an extent to which unconscious awareness of particular social rules or cues makes access to professionalism easier for some individuals than others.4 Furthermore, when professionalism problems arise, wealth matters as it provides access to expensive defence lawyers and thus a degree of protection from adverse consequences. These are, however, bigger ideas than we can give space to here, so we invite the debate to continue.

마지막으로, 우리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이해를 "사회적 계약"에 계속 기초한다면, 품질의 지표는 "대중"이 의료 전문가에 대한 그들의 기대치에 대해 어떻게 상담되는지are consulted가 될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사회에 맞춰 전문직업성이 진화할 수 있도록 '전문직profession'과 '공공public'의 쌍방향 담론이 진행돼야 한다. 우리는 이것이 종종 서구, 백인, 이단 규범, 남성 엘리트들로부터 전문성에 대한 통제권을 빼앗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그 정의가 직업과 사회를 좀 더 폭넓게 대표할 수 있는 쪽으로 방향을 틀게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따라서, 우리의 맥락에서, 만약 전문직업성이 "무기화"된다면, 우리는 이것이 지배적인 아이디어들을 영구화하기 보다는 도전하기 위한 것이기를 바랍니다.

Finally, if we are going to continue to base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on the “social contract”, a marker of quality needs to be how the “public” are consulted about their expectat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There needs to be an ongoing two-way discourse between the “profession” and the “public” so that professionalism can evolve in line with changing societies. We hope that this may help us wrest control of professionalism from an academic – and often Western, white, hetero-normative, male – elite and allow the definition to pivot towards one that is more representative of the profession and society more widely. So, in our context, if professionalism is to be “weaponised”, we hope that this will be to challenge dominant ideas rather than to perpetuate them.

 


Med Educ. 2022 Jun 27. doi: 10.1111/medu.14862. Online ahead of print.

Re-opening Pandora's box: Who owns professionalism and is it time for a 21st century defini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Liverpool, Liverpool, UK.

PMID: 35761477

DOI: 10.1111/medu.14862

Abstract

Backgroun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is dominant within health care education and the lives of practising clinicians globally, and yet there is no single agreed definition nor framework applied universally across the health care professions. This article questions how much attention is paid to where definitions of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came from and whether the accepted norms within the dominant discourses are still truly applicable to a 21st century workforce.

Method: Taking a critical look at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on professionalism using a locus of medical education, this article reviews who the dominant voices have been in the creation of current understandings of professionalism. Using a pragmatic and targeted approach, regulatory body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from across the world are compared to demonstrate the complexities of finding a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 of the concept.

Results: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 extant definitions are grounded but also stuck in a background of Western, White, heteronormative view of society and the professions of the past and argues that w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expectations of professionalism from the perspectives of those who now work in health care and health care education, as well as reviewing the views of the "public" within this debate.

Conclusions: By reopening the "Pandora's box" of professionalism, this article argues that we can improve the quality of definitions-and thus application-of professionalis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교육과정 혁신의 촉매로서 학생: 변화 관리 프레임워크 (Med Teach, 2020)
Students as catalysts for curricular innovation: A change management framework
Jesse Burk-Rafela, Kevin B. Harrisb, Jacqueline Heatha, Alyssa Millironc, David J. Savageb and Susan E. Skochelakd

 

서론
Introduction

2005년 이후 약 75%의 동종 요법 기관이 개혁을 시작함에 따라 미국 의과대학이 커리큘럼 변혁에 착수했다는 근거가 있다(Bear et al. 2013). 의료 커리큘럼도 학생 중심의 훈련으로 더 폭넓게 전환하면서 국제적으로 변화하고 있다(Jones et al. 2001).
There is groundswell of American medical schools embarking on curricular transformation, with an estimated 75% of allopathic institutions initiating reforms since 2005 (Bear et al. 2013). Medical curricula are changing internationally, as well, with a broader shift to more student-centered training (Jones et al. 2001).

이러한 노력 가운데, 비의료 고등 교육(테일러 및 와일딩 2009, 보빌 외 2011, 펠텐 외 2013)과 의료 교육(홀름보 및 바탈덴 201)에서 학생을 [교육 콘텐츠의 단순한 '소비자']에서 [활동적인 협력자, 공동 제작자, 콘텐츠 및 커리큘럼의 공동 제작자]로 재개념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불행하게도, 교육과정 설계에 학생의 목소리를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광범위한 동의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참여는 종종 상대적으로 수동적인 피드백이나 토큰 학생 리더(Seal et al. 2015)에 의존하며, 진정한 학생 교육과정 변화 에이전트의 참여와 권한 부여는 부족하다. 또한 커리큘럼 변환을 검토하는 출판물은 일반적으로 의대 학생 참여의 세부 사항을 생략하고(Huppatz 1996; Visser et al. 1998), 잠재적 촉매 및 변화의 선도자로 의대생을 언급하지 않았다(Irby et al. 2010; Skochelak 2010).
Amidst these efforts, there is a movement to re-conceptualize students from mere ‘consumers’ of educational content to active collaborators, co-producers, and co-creators of content and curricula, both in non-medical higher education (Taylor and Wilding 2009; Bovill et al. 2011; Felten et al. 2013) and in medical education (Holmboe and Batalden 2015). Unfortunately, despite broad agreement that engaging the student voice in curricular design is important, such engagement often relies on relatively passive feedback or token student leaders (Seale et al. 2015), stopping short of engaging and empowering true student curricular change agents (Kay et al. 2010). Moreover, publications examining curricular transformation typically omit the details of medical student engagement (Huppatz 1996; Visser et al. 1998), failing to mention medical students as potential catalysts and leaders of change (Irby et al. 2010; Skochelak 2010).

유럽 의학교육협회(AMEE)는 2012년 의과대학 교육 우수성을 인정하기 위해 ASPIRE 이니셔티브를 시작하였으며, 기관 수상자는 네 가지 영역에 걸쳐 '학생 참여'를 입증해야 한다.

  • (1) 정책 및 사명과 비전을 포함한 학교 운영
  • (2) 학교 교육 프로그램 제공,
  • (3) 학계 참여,
  • (4) 지역 사회 및 서비스 제공 참여(Patricio 2016).

ASPIRE는 넓은 의미에서 학생 참여를 정의하고 인정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가장 포괄적인 노력이며, 커리큘럼 개발에서 학생 리더십 및 피드백과 관련된 하위 기준을 명시한다.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launched the ASPIRE initiative in 2012 to recognize medical schools for excellence in teaching, with a requirement that institutional awardees demonstrate ‘student engagement’ across four spheres:

  • (1) management of the school, including matters of policy and the mission and vision of the school;
  • (2) provision of the school’s education program;
  • (3) engagement in the academic community; and
  • (4) engagement in the local community and service delivery (Patricio 2016).

ASPIRE is the most comprehensive effort to date to define and recognize student engagement in a broad sense, and specifies sub-criteria related to student leadership and feedback in curricular development.

교육과정 변화에서 학생 리더십의 지역적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Yengo-Kahn 외(2017)는 학생 중심 커리큘럼의 설계, 구현 및 피드백 단계에서 학생들이 역할을 하는 밴더빌트 의과대학의 커리큘럼 업데이트를 진전시키는 데 있어 학생들의 필수적인 역할을 설명했다. 그들의 작업은 커리큘럼 변화 노력에서 학생-행정 파트너십을 촉진하기 위한 특정 접근 방식을 강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다른 이들은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의대생의 동기 부여(Fujikawa et al. 2015), 학생-교수의 성공 원칙 공유(Bear et al. 2013), 커리큘럼 변혁에서 학생의 가치(Loeser et al. 2007)를 설명했다.
Local examples of student leadership in curricular change are also emerging: Yengo-Kahn et al. (2017) described the essential role of students in advancing a curricular update at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ith students having roles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feedback stages of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Their work is important as it highlights specific approaches for fostering student-administrative partnerships in a curricular change effort. Others have described medical student motiv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Fujikawa et al. 2015), shared student–faculty tenets of success (Bear et al. 2013), and the value of students in curricular transformation (Loeser et al. 2007).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정의와 사례들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학생 리더십이 조직 변화 관리의 일반화된 프레임워크에서 맥락화될 수 있다는 차이점이 남아있다. 이 글에서, 미국 의학 협회(AMA) 학생과 의사 지도자들은 교육 과정 혁신을 촉진하는 학생들을 위한 변화 관리 프레임워크를 설명하기 위해 AMA의 의료 교육(ACE) 이니셔티브(AMA 2017; Skochelak and Stack 2017)의 정성적 방법과 사례 연구를 사용한다. 우리는 미국 의과 대학 협회(AAMC) 연차 회의에서 학계의 의사와 학생 지도자를 대상으로 교육 과정 변화에 대한 의과 학생 참여의 activator와 barriers을 평가했다. 우리는 청중이 학생들의 참여를 열망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참여를 지지하거나 방해하는 제도적 요소에 대한 상당한 통찰력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우리는 일반화 가능한 변화 관리 프레임워크에서 학생 역할, 활동자 및 장벽을 식별함으로써 교직원들이 학생들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커리큘럼 변경 담당자로 참여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
Despite these emerging definitions and examples of student engagement in curricular change, a gap remains: can student leadership in curricular change be contextualized in a generalizable framework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In this articl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student and physician leaders use qualitative methods and case studies from the AMA’s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ACE) initiative (AMA 2017; Skochelak and Stack 2017) to describe a change management framework for students catalyzing curricular innovation. We surveyed academic physicians and student leaders at an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annual meeting to assess the activators and barriers of medical student engagement in curricular change. We hypothesized that our audience would be eager for student engagement but would also have considerable insight into the institutional factors that support or hinder such engagement. We hope that by identifying student roles, activators, and barriers across a generalizable change management framework, faculty leaders may more easily and effectively engage students as curricular change agents.

방법들
Methods

의료 교육 이니셔티브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AMA
AMA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initiative

AME ACE 이니셔티브는 학부 의료 교육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미국 의료 시스템의 예상 필요성과 의과대학 훈련을 더 잘 조화시킬 수 있다(Skochelak and Stack 2017). ACE 이니셔티브는 2013년에 시작되었으며, 11개 학교의 초기 코호트에 5년 보조금을 지급했으며, 이 컨소시엄은 2016년에 32개교, 2019년에 37개교로 늘어났다. 저자들은 AMA ACE 지도자들뿐만 아니라 원래 코호트의 일부로서 교육 변화를 겪고 있는 기관의 전직 학생 지도자들을 대표한다.
The AME ACE initiative was designed to accelerate innovation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leading to better alignment of medical school training with the anticipated needs of the US healthcare system (Skochelak and Stack 2017). The ACE initiative launched in 2013 with five-year grants to an initial cohort of 11 schools; this consortium grew to 32 schools in 2016 and 37 in 2019. The authors represent former student leaders from institutions undergoing educational change as part of the original cohort, as well as AMA ACE leaders.

사례 연구 및 데이터 수집
Case studies and data collection

2015년 11월, 4명의 학생 저자들(JBR, KBH, JH, AM)은 교육 기관의 커리큘럼 변경 과정에서 학생들의 역할을 설명하는 사례 연구를 개발했다. ACE 이니셔티브 학생 리더로서의 DJS의 경험을 바탕으로 추가 사례 연구가 구축되었습니다. 저자들은 AAMC Learn Serve Lead 전국 회의(볼티모어, MD)에서 워크숍을 주도했으며, 여기서 이러한 사례 연구가 제시되었다. 우리는 워크시트(개별 및 소규모 그룹으로 완료)와 간단한 자발적 설문 조사(개별 완료)를 사용하여 교육과정 변화를 주도하는 학생에 대한 참가자들의 견해를 평가했다. 워크시트 및 설문조사는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학생 참여, 학생 역할 및 학생 참여에 대한 활동가 및 장애물에 대한 응답자들의 견해를 탐구했다. 작업장 활동 및 설문 조사는 보충 자료를 참조하십시오. 이 데이터 수집은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Institutional Review Board에 의해 면제되도록 지정되었습니다.

In November 2015, four student authors (JBR, KBH, JH, and AM) developed case studies describing the role of students in their institutions’ curricular change processes. An additional case study was built based on the experience of DJS as an ACE initiative student leader. The authors led a workshop at the AAMC Learn Serve Lead national meeting (Baltimore, MD) where these case studies were presented. We assessed participants’ views on students leading curricular change using worksheets (completed both individually and in small groups) and a brief voluntary survey (completed individually). The worksheets and survey explored respondents’ views on student participation in curricular change, student roles, and activators of and barriers to student engagement. See Supplementary Materials for the workshop activities and survey. This data collection was designated exempt by the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Institutional Review Board.

프레임워크 및 주제 분석
Framework and thematic analysis

응답자 워크시트와 조사 데이터(주로 자유기입 텍스트)가 기록되었습니다. 우리는 John Kotter의 변화 관리 프레임워크(Kotter 1996, 2012)를 사용하여 커리큘럼 변화를 촉진하고 주도하는 학생 역할을 분류했다. 우리는 또한 확인된 역할의 성공(또는 실패)에 중요할 수 있다고 가정한 학생 참여자와 학생 참여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을 이해하려고 했다. 우리는 이러한 인식을 체계적으로 그룹화하기 위해 주제 분석(Nowell et al. 2017)을 사용했다. 인간 평가자들은 보고된 현상을 포착하는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필사된 무료 텍스트 응답을 검토했다. 그런 다음 유도 방식으로 테마를 위한 코드를 탐색했다(브라운과 클라크 2006). 테마는 내부 동질성과 일관성을 검토함으로써 다듬어졌고, 중복 테마는 제거되었다.

Respondent worksheet and survey data (primarily free text) were transcribed. We used John Kotter’s change management framework (Kotter 1996, 2012) to categorize student roles in catalyzing and leading curricular change. We further sought to understand participants’ perceptions of activators of and barriers to student engagement, which we hypothesized might be critical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identified roles. We employed thematic analysis (Nowell et al. 2017) to group these perceptions systematically. Human raters reviewed the transcribed free text responses to identify codes capturing a reported phenomenon. Codes were then explored for themes in an inductive fashion (Braun and Clarke 2006). Themes were refined by reviewing for internal homogeneity and coherence, and redundant themes were removed.

결과.
Results

교육과정 혁신에서의 학생 역할: 프레임워크
Student roles in curricular innovation: a framework

약 75명의 참석자 중 55명이 조사에 응답했다: 40명의 교수진(73%는 학장 또는 부학장 포함), 15명의 공립 및 사립 의과대학 직원 또는 행정관(27%)이었다. 응답자 45명(83%)은 소속 기관이 지난 5년 동안 주요 학부 의료 커리큘럼을 변경했다고 보고했다. 모든 참석자들은 효과적인 교육과정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데 학생 리더가 독특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했다. 그러나 많은 (n = 25, 46%) 학생들이 그들의 기관에 '조금만 또는 희박하게' 종사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90%의 응답자(n = 47)가 학생 지도자를 더 잘 통합함으로써 교육 기관의 커리큘럼 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우리의 경험과 참가자 워크숍 반응을 바탕으로, 우리는 Kotter의 변화 관리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커리큘럼 변화를 촉진하고 주도하는 학생 역할을 분류했습니다(Box 1).
Of approximately 75 attendees, 55 responded to the survey: 40 faculty (73%, including 16 deans or assistant deans) and 15 staff members or administrators (27%) from public and private medical schools. Forty-five respondents (83%) reported that their institution had undergone a major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change in the last five years. All attendees agreed that student leaders can play a unique role in enabling effective curricular change, yet many (n = 25, 46%) reported that students were only ‘somewhat or sparsely’ engaged at their institution, with 90% of respondents (n = 47) agreeing that their institution’s curricular efforts could be enhanced by better incorporating student leaders. Based on our experiences and participant workshop responses, we used Kotter’s change management framework to categorize student roles in catalyzing and leading curricular change (Box 1).


Box 1 커리큘럼 변화를 촉진하고 선도하는 학생 역할: 프레임워크
Box 1 Student Roles in Catalyzing and Leading Curricular Change: A Framework


1단계. 큰 기회에 대한 긴급성 창출
Step 1. Create urgency around a big opportunity

  •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문제를 파악합니다.
  • 중요한 니즈를 입증하는 학생 간 설문 조사 실시
  • 커뮤니티 또는 커리큘럼 문제를 강조하기 위해 컨퍼런스 구성
  • Bring to light gaps in their education, identify issues
  • Conduct student-to-student surveys that demonstrate critical needs
  • Organize conferences to highlight community or curricular issues

2단계. 지도적 연합체 구축 및 유지
Step 2. Build and maintain a guiding coalition

  • 학생 단체의 주요 이해관계자 발언권 제공
  • 변경 노력에 대한 참여buy in 및 신뢰도 확립
  • 연합에 상향식 구성 요소 제공
  • 긍정, 열정, 에너지 및 추진력을 연합에 가져옵니다.
  • Contribute a key stakeholder voice of the student body
  • Establish buy in and credibility for the change effort
  • Contribute bottom-up component to coalition
  • Bring positivity, enthusiasm, energy, and momentum to coalition

3단계. 전략적 비전 수립
Step 3. Formulate a strategic vision

  • 비전이 발생하는 워크그룹에서 서비스하여, 고유한 직접적인 관점 기여 및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혁신 기여
  • 설문 조사, 학생 그룹 회의 및 타운홀을 통해 학생 인풋 범위 확대
  • 학습자 중심의 비전을 개발하여 동료들의 우려를 예상합니다.
  • Serve on workgroups where visioning occurs, contributing unique first-hand perspective and potentially disruptive innovations
  • Broaden student input through surveys, student group meetings, and town halls
  • Develop learner-centered vision, anticipating peer concerns

4단계. 비전과 전략을 전달
Step 4. Communicate the vision and strategy

  • 소셜 미디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동료들과 유기적으로 소통하고, 메시지를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사일로 이상으로 확대
  • 학생 간 의사소통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신뢰도 확보
  • 커뮤니케이션 노력에 에너지와 소유권에 대한 자부심 제공
  • 커뮤니케이션 노력의 루머와 반발, 동료 코호트의 전반적인 맥박 인식
  • 변화 프로세스에 대한 업데이트를 포함한 정기적인 학생 게시판을 보내 동료들이 이해하는 이유와 내용을 전달
  • 타운홀, 블로그/웹사이트, 촌극 및 커뮤니티 커리큘럼 리트윗
  • 학술 프레젠테이션 및 출판물 파트너
  • Communicate with peers organically, broadening the message beyond typical silos of communication using methods such as social media
  • Targeted student-to-student communication efforts have credibility
  • Bring energy and pride of ownership to communication efforts
  • Aware of rumors and backlash from communication efforts, overall pulse of peer cohort
  • Send regular student bulletins with updates on the change process, communicating the why and what in language peers understand
  • Lead town halls, blogs/websites, skit nights, and community curricular retreats
  • Partner in scholarly presentations and publications

5단계. 장벽을 제거하여 비전을 향해 가속합니다.
Step 5. Accelerate toward vision by removing barriers

  • 반대론자들 사이에서의 혁신 및 참여 촉진
  • 모범 리더십을 통해 동료들이 모범을 보이고 변화 노력에 참여하도록 유도
  • Promote innovation and engagement among naysayers
  • Model leadership to inspire peers to follow in footsteps, engage in change effort

6단계. 눈에 보이는 중요한 단기 승리 축하
Step 6. Celebrate visible, significant short-term wins

  • 선도적인 파일럿 프로그램 및 새로운 오퍼링의 신속한 반복
  • 성공과 실패를 거침없이 보고하세요.
  • 달성한 성과와 들어오는 코호트의 변경 이유를 증명합니다.
  • Lead pilot programs and rapid iteration of new offerings
  • Report success and failures unabashedly
  • Attest to what was accomplished and rationale for change to incoming cohorts

7단계와 8단계. 새로운 접근 방식을 늦추지 않고 제도화

Steps 7 and 8. Never let up and Institutionalize new approaches

  • 혁신을 미세 조정하여 일관성 및 유용성 향상
  •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문화를 전수하다.
  • Fine tune innovations to increase consistency and usefulness
  • Senior students hand off the culture to junior peers


이 목록은 Kotter의 8단계 "Accelerate!" 변경 관리 프레임워크를 사용합니다(Kotter 2012).

This list uses Kotter’s eight-step “Accelerate!” change management framework (Kotter 2012)


학생 참여의 활성화자 및 장벽
Activators of and barriers to student engagement

참가자들은 학생들을 교과 변화에 참여시키는 수많은 방법들을 찾아냈고, 우리는 주제 분석을 통해 이를 네 가지 주요 활동가들로 분류했다. 명시된 장벽도 분류되었으며, 우리는 이를 교수진, 학생 또는 둘 다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하였다(상자 2).
Participants identified numerous ways to engage students in curricular change, which we categorized through thematic analysis into four key activators. Stated barriers were also categorized, which we delineated as related to faculty, students, or both (Box 2).



Box 2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학생 참여의 촉진자 및 장벽
Box 2 Activators of and Barriers to Student Engagement in Curricular Change

액티베이터
Activators

1. 협업 교수진, 직원 및 학생 모집
1. Recruit collaborative faculty, staff, and students

  • 학생의 목소리를 중시하는 교직원 대상으로 함
  • 교육에 열정적이고 검증된 리더인 학생을 참여시킵니다.
  • Target faculty and staff who value the student voice
  • Involve students who are passionate about education and are proven leaders

2. 학생 리더십 역할 확대
2. Broaden student leadership roles

  • 학생을 모든 커리큘럼 위원회, 작업 그룹 및 평가 팀에 배치
  • 학생 간 설문 조사 및 니즈 평가 활용
  • 학생 주도의 타운홀, 생각나눔의 날, 포커스 그룹, 교육과정 수련회
  • 교육과정 연구과제 연구원으로 학생을 모집합니다.
  • Place students on all curriculum committees, working groups, and evaluations teams
  • Utilize student-to-student surveys and needs assessments
  • Student-led town halls, thought sharing days, focus groups, and curricular retreats
  • Recruit students as curricular research project investigators

3. 학생 리더에게 힘을 실어주기
3. Empower student leaders

  • 학생들이 성공에 대비할 수 있도록 멘토링 및 준비
  • 공식적인 리더십 교육 제공
  • 소셜 미디어 아웃리치를 장려합니다.
  • 학생 프로젝트에 대한 시드 보조금
  • Mentor and prepare students so they are primed for success
  • Provide formal leadership training
  • Encourage social media outreach
  • Seed grants for student projects

4. 학생의 성공을 인정합니다.
4. Recognize student successes

  • 학생 주도의 변화를 강조하는 월간 요약(예: 이미 설명했습니다)
  • 미팅, 기관 뉴스레터 및 Dean의 서신에서 학생 주도 성공 사례 인정
  • Monthly digests highlighting student-driven changes (you said, we did)
  • Recognize student-led wins in meetings, institutional newsletters, and Dean’s letters

장벽
Barriers

1. 교직원의 장벽
1. Faculty barriers

  • 변화 비전을 알지 못하거나 지지하지 않음(학생의 신뢰를 떨어뜨림)
  • 학생의 목소리 또는 관심사에 관심이 없음
  • 학생 역할을 좁게 보기 또는 토큰 학생으로 보기
  • 학생 지도자를 적극적으로 모집하거나 멘토링하거나 칭찬하지 않음
  • Unaware or unsupportive of change vision (undermines student confidence)
  • Uninterested in student voice or concerns
  • View student roles narrowly or as token students
  • Do not actively recruit, mentor, or celebrate student leaders

2. 학생 장벽
2. Student barriers

  • 수동성, 무관심 또는 비건설적인 불만 사항
  • 집단적 관심사가 아닌 자신의 관심사를 대표하는 학생 리더
  • 필요한 활동(예: 사무원직, USMLE)으로 인한 리더십의 연속성 분열
  • 공포에 대한 변화, 기니피그가 되는 것
  • 교수진이 주도하는 커리큘럼 기대
  • 이전에 수행된 작업에 대한 역사적 관점이 없음
  • USMLE와 레지던시 매치 우려는 혁신적인 사고를 제한한다.
  • Passivity, apathy, or unconstructive complainers
  • Student leaders who represent own, rather than collective, interests
  • Fractured continuity of leadership due to required activities (e.g., clerkships, USMLE)
  • Fear change, being guinea pigs
  • Expect a faculty-led curriculum
  • Lack historical perspective of what was done before
  • USMLE and residency match concerns limit innovative thinking

3. 교직원과 학생의 장벽
3. Faculty and student barriers

  • 동료로서 불편한 교직원 및 학생
  • 공식적인 리더십과 의학교육 훈련 부족
  • Faculty and students uncomfortable as peers
  • Lack formal leadership and medical education training

사례 연구
Case studies

박스 1과 2의 핵심 발견을 강조하기 위해, AMA ACE 이니셔티브에 대한 저자의 개인적 경험에서 선택된 사례 연구가 관련 변경 관리 단계, 활성화자 및 장벽에 대해 전반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To highlight the core findings in Boxes 1 and 2, a selection of our case studies are presented here from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 AMA ACE initiative, with relevant change management steps, activators, and barriers noted throughout.

사례 연구 1: 의료 교육 학생 리더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AMA
Case study 1: AMA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student leaders


2012년, AMA 의대생 부문은 ACE 이니셔티브의 국가 자문 패널(NAP)에서 근무할 학생 지도자 2명을 선정했다. 이 학생 지도자들은 의료 교육 프로그램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그들의 직접적인 관점을 공유했다. 기초 과학 훈련과 환자 치료에 필요한 필수 의학 지식 사이의 점점 더 단절되는 것과, 그리고 어떻게 사전 임상 경험을 미국 의료 면허 시험(USMLE) 준비로 기울일 수 있는지를 논의했다. 또
한 의료 정책, 품질 향상, 리더십 훈련, 절차 기술 및 전문가 간 팀 기반 관리와 같은 의료 교육의 격차를 강조했습니다. – 전통적으로 학생들에게 독립적으로 학습하도록 남겨진 개념입니다(1단계 – 긴급성 생성). NAP 회의에서 이러한 경험의 목소리는 역량 기반 교육, 보건 시스템 커리큘럼 및 학습자의 진로 및 환자 요구에 맞춘 교육 경험을 포함하여 지원 요청(RFA)의 여러 주제에 영향을 미쳐 ACE 기관의 초기 코호트를 형성했다(2단계 및 3단계 – 연합 구축, 비전 수립).
In 2012, the AMA Medical Student Section selected two student leaders to serve on the ACE initiative’s National Advisory Panel (NAP) (Activator 2 – Broaden Student Roles). These student leaders shared their first-hand perspective on the strengths and deficiencies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discussing a growing disconnect between basic science training and essential medical knowledge needed for patient care, and how the preclinical experience can be skewed toward U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USMLE) preparation. They also highlighted gaps in medical education such as health policy, quality improvement, leadership training, procedural skills, and interprofessional team-based care – concepts traditionally left to students to learn independently (Step 1 – Create Urgency). Voicing these experiences at NAP meetings influenced several themes in the Request for Applications (RFA), includ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health systems curricula,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ailored to learners’ career paths and patient needs (Steps 2 and 3 – Build a Coalition; Formulate a Vision), which shaped the initial cohort of ACE institutions.

ACE 프로그램 리더십은 NAP 학생 리더에게 멘토링과 리더십 기회를 제공하면서 실천 공동체를 넓혔습니다(액티베이터 3 – 학생 리더 역량 강화). 따라서 NAP 학생 리더는 두 번째 ACE 코호트 선택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었다. 교육생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학생 지도자들은 어떤 프로젝트가 궁극적으로 환자 치료를 발전시키면서 의대생들의 교육적 경험을 진정으로 변화시킬 것인지를 고려했다. 마찬가지로, 학생 리더들은 일관되게 어떤 커리큘럼이 필요한지, 무엇이 '추가' 되어야하고, 학생이 과소평가하는 것은 무엇인지, 경쟁적인 시간 요구가 주어진 학생들에게 실현 가능한 것은 무엇인지 옹호했다(5단계 – 비전을 향한 가속화). 우리는 이러한 학생들의 참여가 ACE 프로그램에서 비롯되는 혁신적인 변화가 학생 중심적이고 역동적이며 일상적인 학생 경험의 현실에 바탕을 둔다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믿는다.
ACE program leadership provided mentorship and leadership opportunities to the NAP student leaders, while broadening their community of practice (Activator 3 – Empower Student Leaders). The NAP student leaders were thus well positioned to mak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a second ACE cohort selection. Drawing on their experiences as trainees, these student leaders considered which projects would truly transform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medical students while ultimately advancing patient care. Likewise, the student leaders consistently advocated for what curriculum was needed, what would be ‘add on’ and undervalued by learners, and what was feasible for students given competing time demands (Step 5 – Accelerate Towards Vision). We believe such student engagement has helped ensure that innovative changes resulting from the ACE program are student-centered, dynamic, and grounded in the reality of the day-to-day student experience.

사례 연구 2: 미시간 대학교 의과대학
Case study 2: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미시간 대학교 교육과정 변혁은 학습 공동체, 전문직 간 교육, 리더십 훈련, 초기 임상 경험 및 전문 개발 분교를 구상했다(미시간대 의과대학 2017). 이 야심찬 프로젝트의 시작에, 교수진 지도자들은 원하는 학생 역할을 성문화하기 위해 기존 학생 대표들을 초대했습니다(활동가 1과 2 – 협업 교수진 모집; 학생 역할 확대). 학생이 디자인한 대표 구조는 학생들을 교육 과정 리더십에 동등한 참여자로 참여시켜 전략 계획 기구의 각 위원회에서 임상 전과 학생 모두를 통합함으로써 의미 있는 학생 인풋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었다(2단계와 3단계 – 연합 구축, 비전 공식화). 교육 과정 지도부와 학생 단체 간에 연락을 주고받기 위해 완전히 학생 주도의 '학생 자문 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폭넓은 참여와 학생 대표 활동의 연속성을 촉진합니다(4단계 – 비전 전달).

The University of Michigan curricular transformation envisioned learning communitie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leadership training, earlier clinical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ranch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2017). At the outset of this ambitious undertaking, faculty leaders invited existing student representatives to codify desired student roles (Activators 1 and 2 – Recruit Collaborative Faculty; Broaden Student Roles). A student-designed representation structure was intended to achieve meaningful student input by engaging students as equal participants in the curricular leadership, integrating both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ents on each committee in the strategic planning apparatus (Steps 2 and 3 – Build a Coalition; Formulate a Vision). A fully student-led ‘Student Advisory Committee’ was created to liaise between the curricular leadership and student body, facilitating communication, broad buy-in, and continuity of student representation (Step 4 – Communicate the Vision).

모든 의대생에 대한 공개적인 요청에 따라, 거의 7명 중 1명의 학생이 교육에 대한 열정, 교수진과의 협업 경험, 리더십 실적을 평가하는 논술 지원서를 통해 지원했습니다(Activator 1 – Recruit Collaborative Students). 학생이 주도하는 과정에서 30명 이상의 학생이 선발되었으며, 이는 기존 대표자를 넘어 당사 실무 커뮤니티를 넓혔습니다(Activator 2 – 학생 역할 확대). 이러한 학생들은 커리큘럼 설계 위원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학습자 중심의 변화를 구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3단계 – 비전 수립). 그러나 학생들은 또한 변화 노력을 주도했다:

  • 그들은 변화의 강점과 약점을 특징짓는 학교 전반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1단계 - 긴급성 만들기).
  • 그들은 제안된 변화의 배후에 있는 교육 커뮤니티를 규합하고, 타운 홀 미팅을 개최하고, 지역 전체 커리큘럼 수련회에서 연설하고, 예비 학생을 대상을 한 홍보대사로서 교육 혁신을 강조했다(5단계 – 비전을 향한 가속화); 그리고
  • 사례 토론, 리더십 및 전문성 교육, 임상 추론 선택 항목과 같은 새로운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했습니다(6단계 – 단기 성공 축하).

In response to an open call to all medical students – which fostered a sense of inclusivity – nearly one in seven students applied for positions through an essay application that assessed students’ passion for education, experience collaborating with faculty, and leadership track record (Activator 1 – Recruit Collaborative Students). More than 30 students were selected in a student-led process, which broadened our community of practice beyond existing representatives (Activator 2 – Broaden Student Roles). These students worked actively on curricular design committees, helping envision learner-centered changes (Step 3 – Formulate a Vision). But students also led change efforts:

  • they conducted school-wide surveys characterizing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ransformation (Step 1 – Create Urgency);
  • they rallied the educational community behind the proposed changes, holding town hall meetings, speaking at community-wide curricular retreats, and highlighting curricular innovations as ambassadors to prospective students (Step 5 – Accelerate Toward Vision); and
  • they designed and implemented new content, such as case discussions,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training, and a clinical reasoning elective (Step 6 – Celebrate Short-Term Wins).

이러한 활동은 학생 리더의 전문적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되었으며, 팀워크와 리더십의 습관을 길러주었습니다. 즉, 새로운 미시간 대학교 커리큘럼의 핵심 임무(액티베이터 3 – 학생 리더의 임파워Empower). 학생 지도자들의 노력과 성공은 교육과정 회의와 학과장의 메시지에서 일상적으로 축하되었습니다(Activator 4 – 학생 성공 인식). 마지막으로, 이러한 성공적인 학생 노력은 교육적 설계에서 구현으로 전환하면서 지속적이고 생산적인 학생-교수-직원 협업의 틀을 만들어냄으로써 제도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7~8단계 – 절대 양보하지 않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도화한다.)
These activities served as a springboard for the student leaders’ professional growth, developing teamwork and habits of leadership – core missions of the new University of Michigan curriculum (Activator 3 – Empower Student Leaders). The efforts and successes of student leaders were routinely celebrated in curricular meetings and messaging from the Dean’s office (Activator 4 – Recognize Student Successes). Finally, these successful student efforts positively influenced the institutional culture, creating a framework for sustained, productive student–faculty–staff collaborations that the institution is drawing upon as it shifts from curricular design to implementation (Steps 7 and 8 – Never Let Up and Institutionalize New Approaches).

사례 연구 3: Penn State 의과 대학
Case study 3: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Penn State 의과대학의 시스템 탐색 커리큘럼(Sync)은 의료 시스템 문제에 대한 의대 학생들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경험을 소개했다(Gonzalo et al. 2017). 예를 들어, 1학년 학생들은 환자 내비게이터 역할을 하며, 보험, 약물 걱정, 약속과 같은 도전들을 통해 환자들을 안내한다. 학생 정부 구성원을 포함한 학생들은 SyNC의 중요한 공동 개발자였다. 학생 리더는 매주 SyNC 설계 팀과 회의를 갖고 교수진이 주도하는 커리큘럼 위원회에 참석하여(Activator 2 – 학생 역할 확대), 교직원들이 강의실 및 임상 환경 모두에서 더 나은 작업 방식을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1단계와 2단계 – 긴급성 작성 및 연합 구축). 학생들은 이러한 피드백 기회에 지속적으로 참여했으며 소규모 그룹 세션과 임상 현장 경험에서 학습 목표가 얼마나 잘 달성되었는지 평가하는 데 특히 능숙했다. 또한, 학생 리더는 SyNC에 참여한 학생 중 85% 이상의 의견을 수렴하는 연말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는 학생 의견의 광범위한 표현을 촉진했다(1단계 – 긴급성 작성). 학생 피드백은 환자 탐색 경험의 표준화, 강의 주제 재구성, 보다 현실적인 환자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로 이어졌다. 커리큘럼에 대한 학생들의 영향은 (의심할 여지 없이) 열린 마음을 가진 교수진과의 파트너십, 혁신적인 커리큘럼 토론에 학생들을 포함시키려는 의과대학의 노력(액티베이터 1 및 2 – 협업 교수진 모집, 학생 역할 확대), 그리고 그들의 수업의 더 넓은 관점을 전달하기 위한 학생들의 헌신과 관련이 있다. 자신의 개인적인 의견보다는 동료들이 더 중요하다(공통의 장애요인). SyNC의 두 번째 반복에서 학생 주도 개선의 증거를 확인한 결과, 지속적인 학생 참여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학생 참여가 이루어졌다(8단계 – 새로운 접근 방식 제도화).
The Systems Navigation Curriculum (SyNC) at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introduced training experiences to improve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of healthcare systems issues (Gonzalo et al. 2017). For example, first-year students serve as patient navigators, guiding patients through challenges such as insurance, medication concerns, and appointments. Students, including student government members, were vital co-developers of SyNC. Student leaders met weekly with the SyNC design team and attended faculty-led curricular committees (Activator 2 – Broaden Student Roles), helping faculty identify better practices in both the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Steps 1 and 2 – Create Urgency and Build a Coalition). Students were continuously engaged in these feedback opportunities and were particularly adept at assessing how well learning objectives were achieved in small group sessions and within clinical site experiences. Additionally, student leaders administered an end-of-year survey, collecting comments from over 85%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yNC, that facilitated broad representation of student views (Step 1 – Create Urgency). Student feedback led to standardization of patient navigation experiences, reorganization of course lecture topics, and more realistic patient simulation scenarios. Students’ impact on the curriculum was undoubtedly linked to their partnerships with open-minded faculty, the College of Medicine’s commitment to including students in innovative curricular discussions (Activators 1 and 2 – Recruit Collaborative Faculty; Broaden Student Roles), and students’ dedication to conveying the broader views of their classmates rather than their own personal opinions (a common Barrier). Seeing evidence of student-driven improvement apparent in the second iteration of SyNC has inspired continued student engagement and, consequently, overall student buy-in (Step 8 – Institutionalize New Approaches).

토론 및 결론
Discussion and conclusions

의학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일선 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직원, 기관, 학술 의학계가 학생 지도 기회를 육성해야 한다. 의대 교육과정 변화 노력이 이런 기회를 제시한다. 선행 연구는 커리큘럼 변화의 리더십을 포함하여 학생 참여 기준을 정의하고(Patricio 2016), 커리큘럼 변화를 주도하는 학생들의 지역 사례를 문서화하였다(Yengo-Kahn et al. 2017). 우리는 일반화할 수 있는 8단계 변경 관리 프레임워크에서 커리큘럼 변화를 촉진하고 선도하는 학생들을 위한 수많은 역할을 식별함으로써 그 작업에 추가했다. 분명히 완전하지는 않지만, 우리의 표는 학생들이 교과 변화 노력의 모든 측면에서 독특하고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Kotter의 업데이트된 프레임워크는 변화 리더들로 구성된 '자원봉사 군대'를 배치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학생들은 Kotter가 주목하는 필수 요소인 에너지, 열정, 그리고 진정한 헌신과 같은 특성들을 가져오는 완벽한 자원봉사 군대입니다.

To develop the front-line leaders necessary to advance medicine (Bohmer 2013), student leadership opportunities must be fostered by faculty, institutions, and the academic medical community. Medical school curricular change efforts present such an opportunity. Prior work has defined criteria for student engagement, including leadership of curricular change (Patricio 2016), and documented local examples of students leading curricular change (Yengo-Kahn et al. 2017). We have added to that work by identifying numerous roles for students in catalyzing and leading curricular change across a generalizable, eight-step change management framework. Although clearly not exhaustive, our tabulation demonstrates that students can have unique and instrumental roles in all facets of curricular change efforts. Kotter’s updated framework emphasizes deploying a ‘volunteer army’ of change leaders; students are the perfect volunteer army, bringing traits that Kotter notes are essential: energy, enthusiasm, and authentic commitment.

그러나 학생의 역할을 설명하는 것 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의미 있는 참여에는 많은 학생과 교직원의 장애요인이 존재한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리더십 훈련을 받지 않으며, 교육과정 변화 노력에 대한 '큰 그림'의 시각이 부족할 수 있으며, 이는 교직원들이 학생들을 단순한 소비자로 보게 할 수도 있다. 게다가, 학생들은 의료 면허 시험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이전에 시도된 것에 대한 제도적 지식이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주제 분석은 학생들을 생산적인 변화 리더로 참여시키기 위한 네 가지 '활성요인activator'를 보여주었다.

  • (1) 협력적인 교수진, 직원 및 학생을 모집
  • (2) 학생 리더십 역할 확대
  • (3) 학생 리더에게 권한을 부여
  • (4) 학생의 성공을 인정

Delineating student roles is alone insufficient, however; numerous student and faculty barriers exist to meaningful student engagement in curricular change. Students do not typically have extensive leadership training and may lack a ‘big picture’ view of curricular change efforts that may lead faculty to view students as mere consumers. Moreover, students may be overly focused on medical licensure exams and lack institutional knowledge of what has been tried before. However, our thematic analysis revealed four ‘activators’ for engaging students as productive change leaders:

  • (1) recruit collaborative faculty, staff, and students;
  • (2) broaden student leadership roles;
  • (3) empower student leaders; and
  • (4) recognize student successes.

교직원과 관리자에 의한 이러한 활동가들의 구현은 학생들을 리더로 참여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이 새로운 리더적 역할을 성공하게 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지지하고 축하하는 제도적 문화를 구축한다. 우리의 경험으로 볼 때, 긴밀한 교수진의 지도력을 갖춘 모든 교육 위원회에 걸쳐 변화 과정의 초기에 학생 지도자들을 통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커리큘럼 리더는 학생이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장벽인 변화에 대한 교수진의 저항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학생 지도자들은 종종 관리자들보다 [변화의 필요성에 저항하는 학생들]을 더 효과적으로 설득할 수 있다.

Implementation of these activators by faculty and administrators not only engages students as leaders, but primes them to succeed in their new leadership roles and builds an institutional culture that supports and celebrates student engagement. In our experience, incorporating student leaders early in the change process across all curricular committees with close faculty mentorship is vital. Curricular leaders can use student-generated data to overcome faculty resistance to change, a commonly stated barrier. Similarly, student leaders can often persuade resistant students that change is needed more effectively than can administrators.

요컨대, 학습자는 강력한 촉매제가 될 수 있고 커리큘럼 변화의 리더가 될 수 있다. 학생과 교직원의 강력한 파트너십은 반대를 최소화하고 협업을 최대화함으로써, 학생들을 수동적인 커리큘럼 소비자에서 적극적으로 권한을 부여하는 변화 에이전트로 이동시킨다(Burk-Rafel et al. 2017). 이러한 변화 기관을 육성하기 위해, 우리는 의과대학이 우리가 파악한 네 가지 활성제를 적용하도록 촉구한다. 우리는 특히 멘토링과 지도자로써 학생들의 공식적인 훈련을 통해 학생 지도자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이다.

In sum, learners can be powerful catalysts and leaders of curricular change. Robust student–faculty partnerships minimize opposition and maximize collaboration, shifting students from passive curricular consumers to actively empowered change agents (Burk-Rafel et al. 2017). To foster this change agency, we urge medical schools to apply the four activators we identified. We would particular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mpowering student leaders through mentorship and formal training of students as leaders (Varkey et al. 2009; Webb et al. 2014; Myers and Pronovost 2017) and educators (e.g. medical education scholarly concentrations (Burk-Rafel et al. 2016) and students-as-teachers programs (Ten Cate and Durning 2007; Varkey et al. 2009; Peluso and Hafler 2011; Nelson et al. 2013)).

이러한 개입의 장기적 영향과 학생 참여가 교육과정 변화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커리큘럼 변화가 순수하게 교수진이 주도하는 과정보다 더 나은 커리큘럼을 만드는지 아니면 다른 커리큘럼을 만드는지 모른다. 그러나 여기에 제시된 사례 연구 및 교육 워크샵 참가자들의 연구 결과는 강력한 학생 참여의 이점이 상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교육 소비자주의] 또는 [토큰 리더십] 역할을 넘어 교육 콘텐츠와 커리큘럼의 완전한 협력자 및 공동 제작자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교육생들이 현대 의료의 도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자 중심의 의대를 만드는 데 도전적이지만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는 그러한 학생들의 교육과정 참여와 리더십을 장려하기 위한 다른 기관의 혁신적인 접근법에 대한 설명을 보기를 간절히 바란다.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long-term impact of such interventions, and the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on curricular change outcomes. We do not know if student-engaged curricular change creates better or different curricula than purely faculty-led processes. However, we believe the case studies presented here – and the findings from the educational workshop participants – suggest the benefits of robust student engagement could be profound. Empowering students to move beyond educational consumerism or token leadership roles to full collaborators and co-creators of educational content and curricula is a challenging but critical task in creating learner-centric medical schools that equip their trainees to meet the challenges of modern healthcare. We are eager to see descriptions of innovative approaches at other institutions for encouraging such student curricular engagement and leadership.

 


Med Teach. 2020 May;42(5):572-577. doi: 10.1080/0142159X.2020.1718070. Epub 2020 Feb 4.

Students as catalysts for curricular innovation: A change management framework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YU Langone Health, New York, NY, USA.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Cleveland, OH, USA.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C Davis Health, Sacramento, CA, USA.

4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hicago, IL, USA.

PMID: 32017861

DOI: 10.1080/0142159X.2020.1718070

Abstract

Introduction: The role of medical students in catalyzing and leading curricular change in US medical schools is not well described. Her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student and physician leaders in the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initiative use qualitative methods to better define student leadership in curricular change.Methods: The authors developed case studies describing student leadership in curricular change efforts. Case studies were presented at a national medical education workshop; participants provided worksheet reflections and were surveyed, and responses were transcribed. Kotter's change management framework was used to categorize reported student roles in curricular change.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barriers to student engagement and activators to overcome these barriers.Results: Student roles spanned all eight steps of Kotter's change management framework. Barriers to student engagement were related to faculty (e.g. view student roles narrowly), students (e.g. fear change or expect faculty-led curricula), or both (e.g. lack leadership training). Activators were: (1) recruiting collaborative faculty, staff, and students; (2) broadening student leadership roles; (3) empowering student leaders; and (4) recognizing student successes.Conclusions: By applying these activators, medical schools can build robust student-faculty partnerships that maximize collaboration, moving students beyond passive educational consumption to change agency and curricular co-creation.

Keywords: Medical students; curriculum change; leadership;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논증 이론이 어떻게 평가 타당도에 정보를 제공하는가: 비판적 문헌고찰 (Med Educ, 2022)
How argumentation theory can inform assessment validity: A critical review
Benjamin Kinnear1,2 | Daniel J. Schumacher1 | Erik W. Driessen3 | Lara Varpio4

 

1 소개
1 INTRODUCTION

많은 현대 의료 전문 교육(HPE) 학자들은 [평가의 타당성]을 논증argumentation의 한 형태로 제시한다. 즉, 평가 데이터의 특정한 해석 및 사용에 대한 주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HPE 학자들은 아직 validation을 뒷받침하는 논증argumentation의 철학적, 이론적, 또는 실제적 측면을 탐구하지 않았다. [타당성 주장validity argument]라고 주장하는 것은 종종 평가의 장점을 평가, 우선순위 부여 또는 토론하기 위한, 가이딩 프레임워크가 없는, 그저 증거의 나열일 뿐이다. 이는 증거를 정리할 줄만 알고 [변론이 어떻게 구성돼야 하는지, 누가 변론을 평가할지, 어떻게 변론을 평가할지]는 모르면서 법정 재판을 여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는 HPE가 우리의 현재 이해와 유효성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논쟁 이론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Many moder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scholars frame assessment validity as a form of argumentation: A claim about a specific interpretation and use of assessment data.1-4 However, HPE scholars have yet to delve into the philosophical, theoretical, or practical aspects of argumentation that undergird validation. What are purported to be validity arguments are often merely the listing of evidence without a guiding framework to evaluate, prioritise, or debate their merits. This is akin to holding a courtroom trial while only knowing how to organise the evidence, but not knowing how the argument should be structured, who will evaluate the argument, nor how they will evaluate it. We contend that it is vital for HPE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theory to support our current understandings and uses of validity.

이것은 타당성에 대한 중요한 통찰이 HPE 학자들에 의해 이미 생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아직 멀었지요. 우리 분야의 타당성에 대한 이해는 많은 HPE 연구자들의 연구 덕분에 발전했다. 예를 들어, 

  • 쿡, 하탈라, 그리고 다우닝은 Messick과 Kane의 것과 같은 논증 기반 타당성 프레임워크를 HPE 평가 영역으로 가져오는 데 도움을 주었다. 
  • St. Onge와 Young은 우리 분야의 타당성에 대한 이해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Govaerts, Schwirth, Van der Vleuten 및 다른 사람들은 프로그램적 평가의 맥락에서 타당성에 대한 우리의 현장 관점을 발전시켰다. 

HPE가 [타당성을 주장으로 개념화하도록 진화한 것]은 이들과 다른 학자들 덕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PE의 현대 타당성 프레임워크의 사용은 타당성 주장에 대한 청중, 구조 및 평가 표준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이 부족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이 없습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알지 못하면 우리 분야는 주장으로서의 타당성 패러다임을 완전히 수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 타당성 주장은 어떻게 그리고 누가 평가해야 하는가? 
  • 타당성 주장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This is not to say that important insights into validity have not already been generated by HPE scholars. Far from it. Our field's understanding of validity has progressed thanks to the work of many HPE researchers.

  • For instance, Cook, Hatala, and Downing have helped bring argument-based validity frameworks, such as those of Messick and Kane,56 into the HPE assessment sphere.1-37-14 
  • St. Onge and Young have helped map out the current state of our field's understanding of validity.415-17 
  • Govaerts, Schuwirth, van der Vleuten, and others have progressed our fields view of validity in the context of programmatic assessment.18-26 

It is thanks to scholars like these, and others, that HPE has evolved to conceptualise validity as argument. And yet, HPE's use of contemporary validity frameworks lack an explicit description of the audiences, structures,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validity arguments. This leaves important questions unanswered:

  • How should validity arguments be evaluated and by whom?
  • How should validity arguments be structured?

Not knowing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leaves our field ill-equipped to fully embrace the validity-as-argument paradigm.

문헌에 대한 이 비판적 리뷰에서, 우리는 HPE 청중에게 맞춤화된 주장 이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그것이 HPE 평가에 제공할 수 있는 고유한 통찰력을 설명하고, 주장의 다른 접근 방식이 어떻게 우리가 생성적인 방식으로 타당성의 본질을 다시 개념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우리는 주장 이론 내에서 두 가지 다른 방향을 제시하고 각각이 어떻게 타당성 주장을 이해하고, 구조화하고, 평가하는 다른 방법을 만드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추상적인 이론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우리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HPE 관련 사례(상자 1)에 적용한다. 이 사례 토론을 통해, 우리는 논쟁 이론이 우리의 평가 노력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 검토를 위해, 우리는 먼저 타당성 주장과 주장 이론의 정의를 제공한다.
In this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we offer a description of argumentation theory—tailored to the HPE audience—articulating the unique insights it can offer to HPE assessment, and presenting how different approaches to argumentation can help us reconceptualize the nature of validity in generative ways. We present two different orientations within argumentation theory and discuss how each creates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structuring, and evaluating validity arguments. To make these abstract theories more tangible, we apply these approaches to an HPE-relevant case (Box 1). Via this case discussion, we highlight how argumentation theories can help advance our assessment efforts. To frame our review, we first offer definitions of validity arguments and argumentation theory.


상자 1. 이 사례는 HPE 평가 타당성에서 논쟁 패러다임의 중요성에 대한 실제 사례를 나타낸다. 이 사례는 결과 및 토론 섹션에서 다시 언급할 것이다.
Box 1. 
This case represents a real-world example of the importance of argumentation paradigms in HPE assessment validity. The case is referenced throughout the Results and Discussion sections

사례 연구 – 시간 변동에 따른 프로모션 결정으로 전환되는 APGME 프로그램
Case study – A PGME programme transitioning to time-variable promotion decisions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PGME)은 수년 동안 강력한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프로그램 리더는 문헌 검토 및 새로운 검증 연구를 통해 학습자 성과에 대한 종합적 의사결정에 대한 타당성 증거를 수집했으며, 시간-변동time-variable 교육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시간-기반 일정에 따라 관리 수준이 낮은 수준으로 승급되기보다는, [총괄적 진급 결정]이 학습자가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데 그칠 것입니다. 이 잠재적 변화에 대해 중요한 이해관계자(예: 학습자, PGME 리더, 부서 리더, 인증 관계자, 인증 기관)를 참여시킬 때, 프로그램은 보편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청된다.

  • "총괄적 진급 결정이 방어가능하다는 것을 어떻게 확신하십니까? 
  • 즉, "올바른 진급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당신의 주장argument은 무엇입니까?"라는 것이다. 

프로그램이 그들의 주장을 시작하기 전에, 그들은 대답해야 할 몇 가지 질문이 있었다. 

  • 주장argument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 어떤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하는가?
  • 어떤 청중이 판단을 내릴 것인가?

A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 (PGME) has developed a robust programme of assessment over several years. Programme leaders have collected validity evidence for summative decisions about learner performance via literature review and new validation studies, and are hoping to transition to a time-variable training approach. Rather than being promoted to lesser degrees of supervision on a time-based schedule, summative promotion decisions will solely determine when and how learners progress through the programme. When engaging important stakeholders (e.g. learners, PGME leaders, departmental leaders, accreditation officials, certifying bodies) about this potential change, the programme is universally asked,

  • “How do you know your summative promotion decisions are defensible?”
  • In other words, “What is your argument that you can make the right promotion decision?”

Before the programme could begin making their argument, they had several questions that needed to be answered.

  • How should their argument be structured?
  • By what standard would it be evaluated?
  • Which audience(s) would levy judgement?

새로운 수사학이 이 사건을 어떻게 알려줄 수 있을까?
How can new rhetoric inform this case?

프로그램 리더들은 그들의 타당성 주장이 각 [이해관계자 그룹]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그들의 주장은 많은 다른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

  • 프로그램 리더는 먼저 어떤 이해관계자가 청중으로 봉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지 확인하고, 그들의 가치를 이해하려고 시도하며, 각 이해관계자 집단이 수용할 수 있을 때까지 그들의 타당성 주장을 반복적으로 구성, 평가 및 다듬는다.
  • 인증 및 인증 기관은 이 특정 PGME 프로그램의 성과와 후과에 관심이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타당성 주장에는 졸업생들이 돌보는 환자들이 양질의 진료를 받는다는 증거가 포함된다.
  • 대조적으로, 학습자들은 평가 관행의 공정성과 형평성에 대해 염려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타당성 주장에는 다양한 학습자 정체성 그룹(예: 인종, 민족성, 성 정체성, 장애 상태)이 평가되는 방법과 그룹에 대한 편향의 증거가 있는지에 대한 양적 및 질적 데이터가 포함된다.

The programme leaders recognise that their validity arguments needs to resonate with each stakeholder group; therefore, their argument must to respond to many different expectations.

  • The programme leaders first identify which stakeholders are most important to serve as audiences, attempt to understand their values, and iteratively construct, evaluate, and refine their validity argument until it is acceptable to each stakeholder gorup.
  • Accrediting and certifying bodies are interested in the outcomes and consequences of this specific PGME programme. Therefore, the programme's validity argument includes evidence that patients cared for by graduates receive high-quality care.
  • In contrast, learners are concerned about equity and fairness in assessment practices. Therefore, the programme's validity argument includ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on how different learner identity groups (e.g. race, ethnicity, gender identity, disability status) are assessed and whether there is evidence of bias against any groups.

비공식 논리가 어떻게 이 사건을 알릴 수 있을까?
How can informal logic inform this case?

프로그램 리더는 상당한 양의 타당성 증거를 수집하지만, 처음에는 이해관계자가 평가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주장으로 정리되지 않았다. [툴민의 모델]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리더는 주장, 데이터, 영장warrants, 반박 및 기타 중요한 요소를 signpost하여 청중의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프로그램 리더와 이해관계자는 타당성 주장이 관련성, 수용성 및 충분성의 측면에서 평가될 것이며 툴민의 모델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주장의 모든 측면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Programme leaders collect significant amounts of validity evidence, but initially do not have it organised into a cogent argument for stakeholders to evaluate. Using Toulmin's model, the programme leaders signpost claims, data, warrants, rebuttals, and other salient elements, facilitating easier analysis by the audience. Programme leaders and stakeholders agree that the validity arguments will be evaluated in terms of relevance, acceptability, and sufficiency, and that Toulmin's model will be used to identify any aspects of the argument that are deemed inadequate.

논쟁은 언제 완료됩니까?
When is an argument complete?

두 이해관계자 그룹은 프로그램의 [최초 타당성 주장]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다른 주장 측면에 대한 [추가 증거와 해명]을 요구했다. 프로그램 리더들은 두 그룹 모두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증거를 수집하고 평가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과 반복적으로 협력했다. 프로그램 리더는 유사한 타당성 주장 과정에 다른 이해관계자 집단을 참여시키는 데 자원을 집중할 수 있다.

Both stakeholder groups found the programme's initial validity argument to be inadequate, asking for additional evidence and clarification on different argument aspects. Programme leaders worked iteratively with stakeholders to collect and evaluate evidence until both groups found the argument to be acceptable. Programme leaders could then focus resources on engaging other stakeholder groups in similar validity argumentation processes.


 

1.1 HPE 내부 및 외부의 유효성 주장
1.1 Validity arguments within and beyond HPE

  • [타당성validity]은 [평가 점수에 관한 것]이 아니라, 그 [점수의 해석과 사용]에 관한 것이다.
  • [타당화validation]는 그러한 [해석과 사용을 뒷받침하는 주장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 [타당성 주장validity argument]은 [방어 가능한 추론 사슬]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되는 주장(즉, 관련된 현상에 대한 주장)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역량이 어떻게 정의되는지, 어떻게 그것이 관찰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지에 대한 주장claims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claims은 사실의 진술이 아니다; 대신에, 논의되고, 받아들여지고, 반박될 수 있는 주장들assertions이다. 만약 타당성 주장validity argument 내의 주장claims을 객관적이고 정적이며 비활동적인 선언으로 본다면, 그것은 그 안에 내재된 주장 전략argumentation strategies이 너무 널리 사용되고 받아들여져서 우리는 더 이상 그것들을 경쟁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이다. HPE 평가 결정이 근거로 하는 타당성 주장 주장validity argument claims은 논쟁argumentation에 몰두한 주장assertion일 뿐이므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

  • Validity is not about assessment scores but rather the interpretations and uses of those scores.27-30 
  • Validation is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argument to support those interpretations and uses.29 
  • Validity arguments are comprised of claims—i.e. assertions about the phenomena engaged with—that connect to form a defensible chain of reasoning.

For instance, we make claims about how competence is defined,31 how it can be observed,32 and how it can be assessed.33 However, these claims are not statements of fact; instead, they are assertions that can be debated, accepted, or refuted. If the claims within a validity argument are viewed as objective, static, and inactive declarations, it is because the argumentation strategies embedded therein have become so pervasively used and accepted that we no longer recognise them as contestable. The validity argument claims upon which HPE assessment decisions rest are merely assertions steeped in argumentation and so are up for debate.


[주장argument으로서의 타당성validity의 개념]은 수십 년 동안 존재해 왔고 발전해 왔다. 비록 많은 HPE 학자들이 메식스나 케인의 타당성 논증 개념화를 사용하여 활동하지만, HPE 외부의 학자들은 다른 접근법을 제시한다.

  • Bachman은 타당화 작업이 [평가 활용 논증]에 해당하며, 이것은 평가 [수행]을 [해석]에 연결하는 [평가 타당성 논증]과 [해석]과 [결정]을 연결하는 [평가 활용화 논증]로 구성된다고 한다.
  • Kane은 유사하게 평가 점수의 사용에 내재된 추론과 가정을 명시하는 [해석/사용 논증]를 제안한다.
  • Mislevy는 평가를 뒷받침하는 주장들이 평가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통합되는 검증에 대한 [증거 중심 설계 접근법]을 설명한다.

The concept of validity as argument has existed and evolved for decades.34-36 Although many HPE scholars operate using Messick's or Kane's conceptualization of validity argumentation,1, 3, 26, 37-43 scholars outside HPE present other approaches.44 

  • Bachman advocates validation work should entail an assessment use argument, which is comprised of
    • an assessment validity argument linking assessment performance to an interpretation and
    • an assessment utilisation argument linking interpretations to a decision.4546 
  • Kane similarly proposes an interpretation/use argument that explicitly states the inferences and assumptions ingrained within use of assessment scores.647 
  • Mislevy describes an evidence-centreed design approach to validation in which the arguments underpinning assessment are integrated in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systems.4849 

이 세 명의 비 HPE 학자들은 모두 [스티븐 툴민]이 제시한 주장 구조를 사용하지만, 검증에 사용되는 기초적인 주장 지향만을 표면적으로 다룬다. 불행하게도, 툴민의 구조는 아직 HPE 검증의 담론에 들어가지 않았다. 이러한 누락은 HPE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HPE의 타당성 주장에는 우리가 종종 인식하지도, 비판하지도 못하는 가정과 사고 방식이 포함되어 있다. 이 실패는

  • [타당성 주장이 객관적인 진리]라고 가정하면서,
  • [(특정 이데올로기에 생명을 불어넣는) 추론을 위한 구조가 아니]라고 가정할 위험이 있다.

다시 말해, [우리의 평가 결정]과 그 [타당성에 대한 개념화에 entrench된 주장]은 우리가 각 결정이 언제 그리고 어떻게 타당한지를 의도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명시되어야 한다. [논증 이론argumentation theory]은 우리가 그 명확성을 성취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These three non-HPE scholars all employ argument structures put forth by Stephen Toulmin,27, 29, 45, 48-51 but they only superficially address the underlying argumentation orientation utilised for validation. Unfortunately, Toulmin's structures—much less argument orientations—have yet to enter the discourse of HPE validation. This omission generates problems for HPE. Embedded within HPE's validity arguments are assumptions and ways of thinking that we often fail to recognise and critique. This failure risks assuming that

  • the validity arguments are objective truths and
  • not structures for reasoning that bring certain ideologies to life.

In other words, the arguments entrenched in our assessment decisions and in our conceptualizations of their validity must be made explicit so that we can deliberately consider when and how each decision is valid. Argumentation theory can help us achieve that clarity.

1.2 논증 이론
1.2 Argumentation theory

논증 이론은 논리학, 언어학, 철학, 심리학, 법학과 같은 여러 학문에서 끌어내어 논증적 담론의 생산, 분석, 평가를 다루는 학문이다.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자들이 논쟁 이론의 태피스트리에 독특한 실타래를 추가하는 등 몇 가지 지향점이 존재한다. Van Eemeren 등은 논증 이론의 핵심인 몇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 [논증의 정의]를 제공한다.

Argumentation theory is not a single unified theory; instead, it is a field of study that draws from multiple disciplines (e.g. Logic, Speech, Linguistics, Philosophy, Psychology, and Law) to grapple with the produc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argumentative discourse (spoken or written).52, 53 Several orientations exist, with scholars from a wide range of academic disciplines adding unique threads to the tapestry of argumentation theory. Van Eemeren et al. provide a definition of argumentation that includes several aspects that are key to argumentation theories:

논증(論 is)은 이성적인 판사 앞에
논점을 정당화하거나 반박하기 위한 명제들의 집합을 제시함으로써,
청취자나 독자에게 논쟁적인 관점의 수용성을 증가(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추론의 언어적이고 사회적인 활동이다. 
Argumentation is a verbal and social activity of reason
aimed at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cceptability of a controversial standpoint for the listener or reader,
by putting forward a constellation of propositions intended to justify or refute the standpoint before a rational judge.52

이러한 개념화는 [논증]이 [사람들(사회) 간에 교환되는 언어(언어)에 의존하는 노력(활동)]임을 강조한다. 이 의사소통은 목표 지향적이다; 목표청중(단일 청취자, 독자 또는 청취자 또는 독자의 그룹)이 특정한 관점이나 해석(관점)에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도록 설득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논쟁은 옹호되는 관점이 청중들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존재한다. 따라서, 주장(명제 별자리)청중(합리적 판단자)이 주장자와 일치하도록 설득할 관점에 대한 특정한 해석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 This conceptualization highlights that argumentation is an endeavour (activity) that relies on language (verbal) being exchanged between people (social).
> This communication is goal oriented (aimed); the goal is to convince an audience (single listener or reader or groups of listeners or readers) to agree (increase acceptability) or disagree (decrease acceptability) with a particular viewpoint or interpretation (standpoint).
> Importantly, argumentation exists in social situations where the viewpoint being espoused is disputable (controversial) by an audience.
> Therefore, arguments (constellations of propositions) are created to present a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the viewpoint (justify or refute the standpoint) that will convince the audience (rational judge) to align themselves with the arguer.

프로세스와 표준에 대한 공유된 개념이 없다면 논쟁은 헛된 것이다.
Without a shared conception of processes and standards, argumentation is futile.52

많은 다른 논쟁 이론들이 어떻게 주장이 실현될 수 있는지를 제안한다. 어떤 이들은 [연역적 추론]의 사용을 앞에 두는 반면, 다른 이들은 [대화의 힘]을 강조한다. 어떤 것은 [규범적 기준]을 강조하는 반면, 어떤 것은 [수사적 목적]을 강조한다. 게다가, 논쟁 학자들은 이 이론들을 토론하고 수정하며, 다른 해석을 제공한다. 분명히, 이 전체 학술문헌의 검토는 타당성에 대한 HPE의 사고를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통찰력을 쉽게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HPE의 평가자와 평가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고려사항과 구체적인 응용을 제공할 수 있는 논쟁 이론의 보다 표적화된 검토. 따라서 HPE의 유효성 주장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론과 학술적 해석을 선택했다.
Many different theories of argumentation propose how arguments could be realised. Some foreground the use of deductive reasoning,54 whereas others accentuate the power of dialogue.55 Some stress normative standards,56 whereas others emphasise rhetorical aims.57 Furthermore, argumentation scholars debate and revise each of these theories, offering different interpretations. Clearly, a review of this entire body of scholarship would not readily offer practical insights for advancing HPE's thinking about validity. However, a more targeted review of argumentation theories that can offer important considerations and concrete applications that could be harnessed by HPE's assessors and assessment researchers. Therefore, we selected theories and scholarly interpretations thereof that could be usefully applied to validity argumentation in HPE.

2 방법
2 METHODS

우리의 조사는 다음과 같이 물었다.

  • 논증 이론은 어떻게 우리가 새롭고 생성적인 방법으로 HPE 평가 타당성의 본질을 개념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비판적 검토]를 실시했다. [비판적 검토]는 [체계적 검토]처럼 일반화될 수 있는 진실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 오히려 [비판적 검토]는 [구성주의적 존재론과 인식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문제를 해석하는 현재의 방법을 다시 구상하기 위해 다른 영역의 문학과 이론을 끌어낸다."
  • 연구팀은 [특정 주제에 관련된 모든 지식을 종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신, 문헌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주관적 해석을 수행]한다. 따라서 연구팀은 "발견된 문헌을 평가하고 해석하기 위해 그들의 관점을 사용하는 [연구 도구의 역할]을 한다." 

Our investigation asked:

  • How can argumentation theory help us conceptualise the nature of HPE assessment validity in new and generative ways?

To answer this question, we conducted a critical review. Critical reviews are not intended to produce generalizable truths58 like systematic reviews.

  • Rather, critical reviews are rooted in a constructivist ontology and epistemology59 and “draw on literature and theory from different domains to re-envision current ways of interpreting the problem.”60 
  • Instead of aiming to synthesise all knowledge relevant to a particular topic, the research team conducts a critical review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a body of literature. The research team thus “acts as a research instrument, using their perspective to appraise and interpret the literature uncovered.”60 

이 접근 방식은 평가 타당성에 대한 가정과 선입견을 조사함으로써 HPE를 발전시킬 수 있는 논쟁 이론의 선택을 설명하려는 우리의 목표와 일치한다. 우리는 이론 뭉치를 생성하고 해당 코퍼스를 분석하기 위해 Kahkee 등이 자세히 설명한 5단계 비판 검토 프로세스를 따랐다. 우리는 아래의 반복적 순환에 관여했다. 

  • 집중(즉, 연구 목표의 구성/설정) 
  • 탐색(즉, 논증 이론에서 보초 관점에 대한 표적 탐색) 
  • 평가(즉, 목적과의 관련성을 위한 원고 평가) 
  • 샘플링(즉, 연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원고 결정) 
  • 분석(즉, 각 이론의 타당성 주장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을 수행합니다.

This approach aligns with our goal of describing a selection of argumentation theories that can advance HPE by examining the assumptions and preconceptions around assessment validity. We followed the five-step critical review process detailed by Kahlke et al to generate a corpus of theories and to analyse that corpus.60 We engaged in iterative cycles of

  • focusing (i.e. constructing/revising the research aims);
  • searching (i.e. targeted exploration for sentinel perspectives in argumentation theory);
  • appraising (i.e. assessing manuscripts for relevance to our aims);
  • sampling (i.e. determining manuscripts potential to offer insights into our research); and
  • analysing (i.e. assessing each theory's applicability to validity argumentation).

우리의 검색 전략(그림 1)은 논쟁 이론 분야의 선두주자로 간주되는 저자에 의해 쓰여진 인용이 높은 동료 검토 저널 기사를 식별함으로써 논쟁 이론 분야의 주요 저작물을 찾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논쟁 이론이 인문학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는 동료 검토 저널 기사가 유익하겠지만, (이 영역에서 매우 가치 있는 보급 형태인) 책과 교과서로 범위를 넓혀야 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했다. 우리는 이러한 원고를 검토하고 그 분야의 역사에서 몇 가지 지점에서 논의의 이론적 및 실제적 측면을 다루는 논쟁 이론의 주요 사고 유형을 매핑했다. 
Our search strategy (Figure 1) began by locating seminal works in the field of argumentation theory by identifying highly cited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that were written by authors considered leaders in the field of argumentation theory. Given that argumentation theory sits in the humanities, we recognised that, although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would be informative, we would also have to broaden our scope to books and textbooks since these are highly valued forms of dissemination in this domain. We reviewed these manuscripts and mapped the leading strains of thought in argumentation theory that addressed theoretical and/or practical aspects of argumentation from several points in the field's history.

우리는 논증과 HPE 평가 타당성에 대한 우리의 전문 지식을 사용하여 "연구 질문에 대한 출처의 관련성 및 포함된 정보에 의해 추가된 가치에 대한 그들의 감각에 기초하여 포함을 위한 논문을 평가한다". 주요 저작물에 대한 검토와 병행하여 ERIC, Scopus, Web of Science, PubMed 및 Medline 데이터베이스가 인문학적 및 교육 관련 출판물을 다루는 광범위한 문헌을 인덱싱하기 때문에 이를 검색하기 위해 학술 사서들과 함께 ERIC, Scopus, Web of Science, PubMed 및 Medline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다. 우리는 원래 말뭉치에 포함되지 않은 인용도가 높은 책과 동료 검토 저널 기사를 검색했다. 우리는 추가적인 핵심 참조를 식별하기 위해 소급적으로 눈덩이 샘플링을 사용했다(즉, 주요 작업에 나열된 참조 조사).

We used our expertise in argumentation and HPE assessment validity to “appraise papers for inclusion based on their sense of a source's relevance to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value added by the information it contains.”60 In parallel to our review of seminal works, we worked with an academic librarian to search ERIC, Scopus, Web of Science, PubMed, and Medline databases because they index a wide range of literatures—i.e. both journal articles and books—addressing humanities- and education-related publications. We searched for highly cited books and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that were not included in our original corpus. We used snowball sampling retrospectively (i.e. investigating references listed in seminal works) to identify additional key references.

BK와 LV는 corpus를 검토하여 [논쟁의 분야]을 형성한 저명한 이론과 학자들의 목록을 독립적으로 작성했다. 이 목록들은 포괄적이게 의도된 것이 아니라 논쟁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목소리와 관점]을 포착하기 위해서였다. 그런 다음 우리는 합의된 토론을 통해 이것들을 [하나의 목록]으로 비교하고 해결했다. 우리는 HPE에 가장 적합한 주장 이론을 결정하기 위해 합의 목록과 정렬된 corpus의 출처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어떤 이론이 실제 검증 작업과 더 광범위한 학술적 노력의 맥락에서 평가 검증에 관여하는 HPE 학자들에게 유익한 통찰력을 제공하는지를 고려했다. 표 1은 우리가 검토했던 논증 이론 내에서 두드러진 방향을 제시하면서 이 연구의 요약을 제공한다.

BK and LV reviewed the corpus to independently create lists of the pre-eminent theories and scholars that have shaped the field of argumentation. These lists were not intended to be comprehensive, but rather to capture the most influential voices and viewpoints within argumentation. We then compared and resolved these into a single list through consensus discussions. We reviewed sources from the corpus that aligned with the consensus list to determine which argumentation theories were most applicable to HPE. Specifically, we considered which theories would provide beneficial insights to HPE scholars engaged in assessment validation, both in the context of practical validation work and broader scholarly endeavours. Table 1 provides a summary of this work, presenting prominent orientations within argumentation theory which we considered, though some we did not fully discuss in our findings.

2.1 반사율
2.1 Reflexivity

비판적 검토 연구팀은 "발견된 문헌을 평가하고 해석하기 위해 그들의 관점을 이용하는 [연구 도구의 역할]을 한다." 
이 목표를 염두에 두고, 우리의 고유한 관점, 전문 분야 및 개인적 배경이 합성 활동에 정보를 제공했다. 우리 팀은 다양한 관심과 경험을 가진 의학교육 학자로 구성되었다. 두 명의 팀 구성원(BK 및 DS)은 HPE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임상의 교육자입니다. 이 연구의 1차 연구자(BK)는 HPE 박사 과정의 일부로 논쟁 이론 문헌에 몰두했다. 그는 또한 역량 기반 의료 교육, 학습자 평가 및 타당성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다른 임상 교육자(DS)는 CBME 및 평가 타당성에 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ED는 학습자 평가, 유효성 및 CBME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PhD 훈련을 받은 연구원입니다. 본 논문의 선임 연구자(LV)는 논증 이론, 수사학, 전문적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둔 박사 훈련을 받은 연구원입니다. 그녀의 통찰력은 팀이 논쟁에서 중요한 학자와 이론을 식별하고 이러한 학자와 이론들이 HPE에서 주장된 타당성에 대한 다른 접근법과 어떻게 일치하는지 되돌아보는 데 도움을 주었다. 팀 연구 토론은 종종 HPE의 타당성에 대한 우려에 어떤 주장 이론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토론을 포함한다.

The critical review research team “acts as a research instrument, using their perspectives to appraise and interpret the literature uncovered.”60 With this goal in mind, our unique perspectives, areas of expertise, and personal backgrounds informed the synthesis activity. Our team consisted of medical education scholars with diverse interests and experiences. Two team members (BK and DS) are clinician educators who actively engage in HPE research. The study's primary researcher (BK) immersed himself in the argumentation theory literature as part of his PhD in HPE; he also has expertise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learner assessment, and validity. The other clinician educator (DS) has expertise in CBME and assessment validity. ED is a PhD-trained researcher with expertise in learner assessment, validity, and CBME. The senior researcher on this paper (LV) is a PhD-trained researcher whose graduate work focused on argumentation theory, rhetoric,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Her insights helped the team to identify significant scholars and theories in argumentation and to reflect on how these scholars and theories aligned with other approaches to validity espoused in HPE. Team research discussions often involved debates about which argumentation theories could be usefully applied to concerns about validity in HPE.

[방법론적 성찰성] 또한 우리의 연구를 이끌었다. [여러 저자의 이론]과 논쟁 이론의 학파 내 및 학파 간에 보유된 [일반적인 가정]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HPE 평가 타당성을 위해 가장 생성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이론을 선택했다. 우리는 논증 이론의 광범위한 표현을 포함하려고 노력했지만, 주로 우리의 선택에 대한 안내 원칙은 다음과 같았다.

  • 이 이론은 우리가 HPE 맥락에서 타당성 주장을 이해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가?

Methodological reflexivity also guided our research. By reviewing the theories from several authors and the common assumptions held within and across schools of argumentation theory, we selected theories we thought held the most generative possibilities for HPE assessment validity. We sought to include a broad representation of argumentation theories, but the guiding principle primarily informing our selections was:

  • Can this theory substantially help us understand validity arguments in the HPE context?

 

3 결과
3 RESULTS

표 1에서, 우리는 HPE의 타당성 주장에 대한 각 이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평가와 함께 [다섯 가지 중요한 주장 이론]의 주요 측면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반복적인 분석 주기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수사학]과 [비공식 논리]의 두 가지 방향이 HPE 평가 타당성에 대한 특히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결정했다. 이것은 다른 주장 지향이 HPE에 대한 가치가 없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 우리의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우리는 [새로운 수사학]과 [비공식 논리]가 우리 분야의 평가 타당성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우리는 먼저 이러한 방향을 검토한 다음 HPE의 타당성 주장과 관련이 있다고 믿는 주장의 세 가지 측면, 즉 청중, 주장 구조 및 평가 표준에 초점을 맞춘다.
In Table 1, we outline key aspects of five prominent theories of argumentation, along with our assessments of each theory's applicability to HPE's validity arguments. Through our iterative cycles of analysis, we determined that two orientations—new rhetoric and informal logic—offered particularly useful insights into HPE assessment validity. This is not to say that other argumentation orientations are without value for HPE; instead, based on our expertise, we suggest that new rhetoric and informal logic are especially applicable to assessment validity in our field. We first review these orientations, then focus on three aspects of argumentation that we believe are relevant to validity argumentation in HPE: audience, argument structure, and evaluation standards.

3.1 새로운 수사학
3.1 New rhetoric


20세기 중반에 두 명의 철학자인 하임 페렐만과 루시 올브레히츠-티테카는 경험적 증명보다는 가치 판단에 더 의존하는 논증 이론을 발전시켰다. [새로운 수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의 유사성, 특히 아리스토텔레스가 논쟁에서 [청중]과 [설득]에 중점을 둔 핵심적 중요성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었다. [새로운 수사학]에서 논쟁의 목표는 절대적 진리의 증명보다는, 논쟁자에 의해 제기되는 [주장에 대한 청중의 수용을 얻는 것]이다. 논쟁의 타당성은 청중들의 설득에 달려있다. 논쟁자들은 [청중의 가치와 신념]에 대해 설명하고 적응해야 하며, 따라서 타당성을 [청중을 설득하는 능력]과 연결시켜야 한다. 청중은 논쟁자의 주장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득]될 수 있기 때문에, 타당성은 [정도의 문제]로 존재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새로운 수사학은 주장의 타당성을 결정하기 위한 외부 규범적 틀을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그것은 수용 가능하고 그럴듯한 것을 결정하기 위해 청중에게 그들의 가치와 규범을 사용하도록 한다. 설득이 합리적인 주장 분석의 필요성을 없애지는 않고, 다만 청중의 가치관 맥락에 합리성을 둔다. 중요한 것은, 설득은 속이거나 조작하는 방법이 아니라, 특정 [청중의 원칙과 예상 기준]을 [평가 기준]으로 고려하고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mid-20th century two philosophers, Chaim Perelman and Lucie Olbrechts-Tyteca, developed a theory of argumentation that relied more on value judgements than empirical proof.67-70 New rhetoric was so named because of similarities to Aristotle's rhetoric, particularly the central importance Aristotle placed on audience and persuasion in argumentation.61, 71 In new rhetoric, the goal of argumentation is not the demonstration of absolute truth but rather to gain an audience's acceptance of a claim being put forth by an arguer.53, 72 Argument validity is dependent upon audience persuasion. Arguers must account for and adapt to an audience's values and beliefs, thereby linking validity to the ability to convince an audience.57 Validity exists as a matter of degree since an audience might be partially persuaded towards an arguer's claim. In this sense, new rhetoric does not provide an external normative framework for determining argument validity; instead, it relies on an audience to use their own values and norms to determine what is acceptable and plausible. Persuasion does not remove the need for rational argument analysis; it places rationality in the context of an audience's values. Importantly, persuasion is not meant as a way to deceive or manipulate,73 but rather to consider and apprize a particular audience's principles and anticipated standards as evaluative criteria.

[청중의 가치와 기준]이 타당성의 중심이므로, 논쟁자들은 그들이 [의도한 청중]을 명시해야 한다. Perelman과 Olbrects-Tyteca는 [특정 청중]과 [보편적인 청중] 사이에서 논쟁하는 것을 구별한다.

  • [특정 청중]은 논쟁자가 그들의 주장을 다룰 수 있는 실제 사람 또는 그룹(또는 그 대표자)으로 구성된다. 비록 특정 청중이 더 큰 청중집단의 부분집합이나 표본일 수 있지만, 논쟁은 여전히 [구체적인 사람 또는 집단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발생한다.
  • 대조적으로, [보편적 청중]은 개념적이며, 논쟁자에 의해 유능하고 합리적인 사람들의 가치와 이상을 가진 집단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보편적인 청중을 가지고, 논쟁자는 [합리적 청중]의 개념에 기초하여 타당성의 가치와 기준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Given the centrality of an audience's values and standards to validity, arguers must make explicit their intended audience. Perelman and Olbrects-Tyteca distinguish between arguing to a particular audience and a universal audience.

  • A particular audience consists of a real-world person or group (or representative thereof) to whom an arguer can address their argument.74 Although the particular audience may only be a subset or sample of a larger group, the argument still occurs using a concrete person's or group's values as the standard.
  • In contrast, the universal audience is conceptual, conceived by the arguer as a group holding the values and ideals of competent and reasonable people. Thus, with a universal audience, the arguer plays a role in determining the values and standards of validity based on their notion of a reasonable audience.

새로운 수사학에서 [특정 청중] 및 [보편적 청중]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한 논쟁이 있다. 그러나, 특정 청중과 보편적 청중 둘 다, 논쟁자의 목표는 청중들의 순응adherence을 확보하는 것이다. 새로운 수사학은 주장자들이 그들의 [청중을 명시적으로 식별]하도록 강요하며, 주장자들이 [자신의 청중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소유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There is debate over the specific roles of particular and universal audiences in new rhetoric74-77; however, with both particular and universal audience, the arguer's goal is securing audience adherence. New rhetoric compels arguers to explicitly identify their audience, and incentivizes arguers to posses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ir audience.

HPE의 평가 관행을 위한 새로운 수사학의 실질적인 함의는 프로그램 리더가 [관여하고자 하는 각 그룹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당성 주장을 조정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 인가 및 인증 기관을 다룰 때, 논쟁은 훈련의 결과와 결과에 초점을 맞춘 타당성 증거를 강조할 수 있다.
  • 학습자를 다룰 때, 논쟁은 평가 관행의 공정성과 형평성을 강조할 수 있다.

Practical implications of new rhetotic for assessment practices in HPE include the need for programme leaders to tailor their validity arguments to meet the needs of each group they are engaging.

  • When addressing accrediting and certifying bodies, arguments might emphasise validity evidence focused on outcomes and consequences of training.
  • When addressing learners, arguments might emphasise equity and fairness in assessment practices.

3.2 비공식 논리
3.2 Informal logic

[비공식 논리]는 [전제와 결론 사이의 논리적 일관성]을 평가하면서 실제, 사회적 환경, 공개 담론에서 발생하는 주장을 (구조를 통해) 식별하고 (규범적 표준을 통해) 평가하기 위한 절차와 표준을 제공한다. [비공식 논리]는 주장의 타당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접근법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포괄적 용어이다. 이 이론이 등장하기 전에 [형식 논리formal logic]는 현실 세계의 논쟁에 무균적이고 탈맥락화된 방식으로 적용되었다. 많은 비공식 논리학자들은 탈맥락적 접근법을 거부했는데, 이는 실제 논증을 평가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잠재적인 왜곡으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다. 비공식 논리는 문맥적 요인이 제거되지 않고, 주장 구조의 식별을 통해 [실제 논쟁의 지저분하고 암묵적이며 불완전한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Informal logic provides procedures and standards for identifying (via structures) and evaluating (via normative standards) arguments that occur in real-world, social environments and public discourse while still valuing logical coherence between premises and conclusions.56, 78 Informal logic is a broad umbrella term covering differing approaches to determining argument validity.79, 80 Before the advent of this theory, formal logic was applied to real-world arguments in a sterile, decontextualized way. Many informal logic scholars rejected this context-free approach because it was fraught with potential distortions that rendered evaluating real-world argumentation impossible. Informal logic was developed to account for the messy, implicit, incomplete nature of real-world argumentation through identification of argument structures without removal from contextual factors.

일단 논쟁의 구조가 맥락적으로 이해되면, 비공식 논리는 논쟁에서 추론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 기준을 제공한다. 한 가지 접근 방식은 논점을 평가하기 위한 [관련성, 수용성 및 충분성]의 기준에 의존한다.

  • 관련성은 전제(즉, 클레임 또는 제안), 이러한 전제로부터 추론된 결론 및 전체적인 주장 사이의 적절한 관계를 요구한다.
  • 수용가능성은 논쟁자, 청중, 비판적 공동체에 의해 결정되는 전제의 진실성 또는 타당성과 관련이 있다.
  • 충분성은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유형, 수량 및 사용에 있어 적절해야 한다.

비공식 논리에서 주장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에는 오류(즉, 추론의 오류)를 배제하고, 반례를 사용하고, 주장 체계를 공식화하는 것이 포함된다. 어떤 접근법도 주장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유일하게 정확하지는 않다. 대신에, [비공식 논리]는 [주장의 힘과 설득력]을 주장의 목표로 앞세운다.

Once an argument's structure is contextually understood, informal logic offers multipl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strength of inferences in the argument.56 One approach relies on the criteria of relevance, acceptability, and sufficiency to evaluate arguments.81, 82 

  • Relevance demands adequate relationship between premises (i.e. claims or propositions), conclusions inferred from these premises, and the overall argument.
  • Acceptability relates to the truth or plausibility of premises as determined by the arguer, audience, and critical community.
  • Sufficiency requires that evidence supporting an argument be appropriate in type, quantity, and use.

Other approaches for determining the strength of an argument in informal logic include excluding fallacies83, 84 (i.e. errors of reasoning), using counterexamples, and formulating argumentation schemes.85 No one approach is singularly correct for determining an argument's validity; instead, informal logic foregrounds argument strength and cogency as the goal of argumentation.

철학자 스티븐 툴민은 1958년 저서 《논증의 사용》으로 비공식 논리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툴민의 모형에서, 인수는 더 큰 응집 단위의 고유한 요소 부분으로 분해된다.

  • 클레임(claim)은 논쟁의 출발점이 되는 논쟁자에 의해 취해지는 특정한 문제에 대한 관점 또는 의견이다.
  • [클레임]은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어야하고, 툴민은 이를 데이터data라 불렀다.
  • 그러나, 논쟁자는 [왜 또는 어떻게 특정 데이터가 명시된 주장을 뒷받침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을 영장warrant이라고 하는데, 이는 클레임claim를 입증하기 위해 특정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정당성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영장]은 [청구]와 그 뒷받침하는 [데이터]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한다. [데이터-보증-청구 유닛data-warrant-claim unit]는 툴민의 주장 구조의 근간을 이루지만 다음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있다.

  • 지원backings (영장 발부의 근거), 
  • 한정자qualifiers (청구의 보편성에 대한 제한 또는 제한) 
  • 반론rebuttals (반론에 대한 선제적 또는 사후 대응적 반응).

Philosopher Stephen Toulmin profoundly influenced informal logic with his 1958 book The Uses of Argument86 in which he provided a framework for organising argument structures to facilitate analysis and evaluation.87, 88 In Toulmin's model, arguments are deconstructed into unique component parts of a larger cohesive unit.

  • claim is a standpoint or opinion on a particular matter taken by an arguer which serves as the point of departure for argumentation.
  • Claims are supported by evidence which Toulmin labels data.
  • However, an arguer must elaborate on how or why particular data support the stated claim. This elaboration is known as a warrant, which provides justification for use of particular data to substantiate a claim. In other words, a warrant provides a bridge between a claim and its supporting data.52 

The data-warrant-claim unit forms the backbone of Toulmin's argumentation structure, though there are other components such as 

  • backings (evidence to support a warrant), 
  • qualifiers (limitations or restrictions on the universality of a claim), and 
  • rebuttals (pre-emptive or reactive responses to counterarguments).

Toulmin의 모델에서, 타당성validity은 영장warrant이 데이터data에서 청구claim로의 도약을 적절하게 정당화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달려 있다. 그는 유사한 주장 구조가 관련 학문이나 분야field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인수 구조와 인수를 분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절차는 [분야-독립적field independent]이다. 그러나 툴민은 타당성의 많은 측면이 [분야 의존적field-dependent]이라고 믿었는데, 이는 논증이 관련 분야의 규범, 가치,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툴민은 타당성을 설명할 때 방어 가능, 수용 가능, 견실함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그러한 [결정을 내리는 청중]은 논쟁에 참여하는 특정 개인이나 집단 또는 논쟁에 관여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구경꾼onlooker]일 수 있다.
In Toulmin's model, validity hinges on demonstrating that the warrant adequately justifies the leap from data to claim. He believed that similar argument structures could be used regardless of the relevant discipline, or field.86 Thus, argument structure and the general procedure by which arguments could be analysed are field independent. However, Toulmin believed that many aspects of validity are field dependent, meaning that arguments should be evaluated using the norms, values, and criteria of the relevant field. To that end, Toulmin uses terms such as defensible, acceptable, and sound when describing validity. The audience who levies such determinations can be a specific person or group participating in the argument or an onlooker who is not involved in the argument but can make a judgement nonetheless.

HPE의 평가 관행에 대한 [비공식 논리]의 실제적 함의는 교육 프로그램 리더가 논증의 [주장, 데이터, 영장 및 후원]을 게시하는 데 명확하게 signposting함으로써, 이해 당사자들이 시간 가변적인 승진 결정의 타당성을 결정하기 위해 [더 정밀한 조사가 필요한 추론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이 수용되면, 이것이 진급 결정을 알리는 평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른 주장에 대한 [데이터data 또는 보증서warrant]가 됩니다. 따라서, 시간 변수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명확하게 레이블링된 논쟁의 웹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웹은 현장 의존적일 것이며, 다른 분야에서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HPE와 관련된 허용 가능성과 건전성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될 것이다.
Practical implications of informal logic for assessment practices in HPE include training programme leaders clearly signposting the claims, data, warrants, and backings of their argument, allowing stakeholders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inferences needing scrutiny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ime-variable promotion decisions. Accepted claims then become data or warrants for other arguments related to the programme of assessment informing promotion decisions. Thus, a clearly labelled web of argumentation could be formed to support time-variable decisions. This web would be field dependent, meaning that it would be evaluated using acceptability and soundness criteria that are relevant in HPE, though not necessarily in other disciplines.

4 고찰
4 DISCUSSION

우리는 [비공식 논리]와 [새로운 수사학]이 HPE에서 타당성 주장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주장 이론이라고 주장한다. 두 접근법 모두 [논쟁에서 맥락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맥락화되고 실용화된 줌보의 타당성 개념화]와 일치한다.89, 90 우리는 HPE의 타당성 관행이 어떤 특정한 방향에 결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 우리는 우리의 분야가 유용하고 상호적인 관계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HPE 검증 관행과 확립된 논증 이론 사이에서.  예를 들어, Cook과 Hatala는 Kane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HPE에서 검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실무 지침을 제공한다.

We contend that informal logic and new rhetoric are theories of argumentation that hold promise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validity argumentation in HPE. Both approache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ontext in argumentation and align with Zumbo's conceptualization of validity as contextualised and pragmatic.89, 90 We are not asserting that HPE's validity practices should be wedded to any particular orientation; instead, we propose that our field could benefit from a usefu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HPE validation practices and established argumentation theories.91 For example, Cook and Hatala provide an excellent practical guide for undertaking validation work in HPE using Kane's framework.8 

우리는 다음에 대한 고려를 포함함으로써 이 가이드를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 주장이 누구에게 지시되어야 하는지(청중),
  • 추론(구조) 내에서 그리고 추론(구조) 사이에 주장을 구성하고 서명하는 방법, 또는
  • 주장이 평가되어야 하는 방법(표준)

We suggest enhancing this guide by including considerations of

  • to whom an argument should be directed (audience),
  • how to organise and signpost arguments within and between inferences (structure), and/or
  • how an argument should be evaluated (standards).

후자에 관해서는 쿡과 하탈라는 새로운 수사학과 비공식 논리를 동시에 인용하는 듯한 언어를 사용하며, 타당성 주장은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려는 시도와 동시에 증거의 "관련성, 품질, 폭"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논쟁 분야에서 다양한 지향의 의미, 범위 및 효용성에 대해 토론하는 전통 내 및 다른 학자들과 함께 결정적인 경계가 거의 없는 것처럼, 우리는 HPE가 하나의 주장 지향argumentation orientation으로 스스로를 고립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HPE 연구원들은 다양한 전통에서 어떤 것을 기반으로 하여 타당성에 대한 우리 분야의 이해를 진전시키는 데 가장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HPE가 [새로운 수사학]과 [비공식 논리]의 측면을 모두 사용하여, 타당성 논쟁에서 청중, 주장 구조 및 평가 표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믿는다.
With regard to the latter, Cook and Hatala use language that seems to invoke both new rhetoric and informal logic, noting that validity arguments attempt to “persuade others” while also noting that the “relevance, quality, and breadth” of evidence is important. Just as there are few definitive boundaries in the field of argumentation, with scholars within and across traditions debating the meaning, scope, and utility of various orientations, we suggest that HPE should not silo itself into one argumentation orientation. HPE researchers can draw from various traditions based on which will be most helpful to move our field's understanding of validity forward. Therefore, we believe HPE would benefit from using aspects of both new rhetoric and informal logic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audience, argument structure, and evaluation standards in validity argumentation.

4.1 HPE 타당성 주장의 대상자를 정의하는 새로운 수사
4.1 New rhetoric to define HPE validity argumentation's audience

HPE의 새롭고 성장하는 담론은 "사회적 필수impretative로서의 타당성"이다. 그것은 사회와 학습자에 대한 책임감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HPE 타당성 논쟁은 이해당사자의 요구에 집중된다. [비공식 논리]는 논쟁에서 청중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새로운 수사법]과 같은 정도는 아니다. [새로운 수사학]은 청중 가치를 논쟁의 중심에 두며, 이해 관계자들과 더 넓은 HPE 커뮤니티 모두를 더 잘 참여시킴으로써 HPE가 완수하도록 요청되고 있는 사회적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 new and growing discourse in HPE is that of “validity as social imperative,”4, 17 which emphasises accountability to society and learners. In other words, HPE validity arguments centre on the needs of our stakeholder audiences. Informal logic recognises the importance of audience in argumentation, but not to the same degree as new rhetoric.92 New rhetoric places audience values at the centre of argumentation, and may help us better satisfy the social imperative that HPE is being called to fulfil by better engaging both stakeholders and the broader HPE community.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새로운 수사학적 주장]은 특정 청중 또는 보편적인 청중을 향할 수 있다. HPE가 타당성 주장에 [새로운 수사학적 접근법]을 채택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청중을 더 잘 정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 많은 공식적인 HPE 타당성 주장은 저널 검토자, 편집자 및 독자가 청중 역할을 하는 동료 검토 출판물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 [저널 독자]들은 출판계에서 가장 중요한 청중일 것이다. 그러나 독자들은 (편지나 해설을 쓰는 극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화식 청중의 형태를 나타낸다. 그것은 그들의 가치를 알 수 있거나 그들의 판단이 공유될 수 있는 정도를 제한한다. 
  • [검토자와 편집자]는 다른 HPE 학자를 대표하는 [특정 청중]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정보에 근거한 판단을 부과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가진 유능하고 합리적인 사람들을 대표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보편적 청중]의 대표자로 간주될 수도 있다. 사실, 그들은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습니다

As mentioned previously, new rhetoric arguments can be directed towards a particular audience or a universal audience. For HPE to adopt a new rhetoric approach to validity argumentation, we would need to better define our audiences. Currently, many formal HPE validity arguments are made in the form of peer-reviewed publications, with journal reviewers, editors, and readers serving as audiences.

  • Journal readers may be the most important audience in the publication world. However readers represent a form of noninteractive audience93 (with the exception of the very few who write letters or commentaries), which limits the degree to which their values can be known or their judgements shared.
  • Reviewers and editors could serve as a particular audience representing other HPE scholars, or they could be considered a representation of a universal audience because they are most likely to represent competent and reasonable people with sufficient knowledge to levy informed judgements. They could, in fact, serve both roles.

그러나, 현재 검토자와 편집자는 반드시 타당성 주장이 허용 가능한지 또는 그럴듯한지에 대해 명시적인 판단을 내리지 않고 있다. 주어진 기관이나 프로그램의 맥락에서는 확실히 그렇지 않다. 그보다 , 리뷰어와 에디터는 원고가 HPE 커뮤니티에서 더 넓은 학문적 논의를 진전시키는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있다. 검토자와 편집자는, 타당성 주장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지만, 원고가 아마도 혁신적인 생각, 방법론적 발전 또는 새로운 결론의 측면에서 저널의 독자들에게 약간의 이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여전히 출판을 권고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수사학]은 (특정 청중으로서) 검토자와 편집자가 출판을 위해 제출된 타당성 주장의 타당성을 명시적으로 판단할 것을 강제할 것이다. 이는 아마도 출판 시 독자에게 판단을 signal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However, currently reviewers and editors are not necessarily making explicit judgements on whether a validity argument is acceptable or plausible, and certainly not within the context of a given institution or programme. Rather, they are making a determination of whether a manuscript, in toto, moves the broader scholarly discussion forward in the HPE community. Reviewers and editors could, in fact, find a validity argument to be inadequate but still recommend publication because the manuscript provides some benefit to the journal's readers, perhaps in terms of innovative thinking, methodological developments, or novel conclusions. Thus, new rhetoric would compel reviewers and editors—were they to be identified as a particular audience—to explicitly judge the plausibility of validity arguments submitted for publication, perhaps with a way to signal their judgement to readers upon publication.

출판과 함께 발생하는 제한된 청중 상호작용은 HPE가 학술지를 넘어 타당성 논쟁을 확장하도록 의무화할 것이다. HPE는 [학습자, 프로그램 리더, 인가자, 인증자, 기관 및 지급인]을 포함한 여러 이해당사자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해관계자 중 다수는 자신의 맥락과 관련된 타당성 증거가 발표된 기사를 결코 읽지 않을 수 있다. 평가 설계자는 동료 검토 출판물을 포함하지 않는 메커니즘을 통해 이러한 특정 청중에게 주장이 타당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비공식 논리]가 논증을 생산물로 제시하는 반면, [새로운 수사학]은 논증을 논증자가 청중과 함께 개발하는 활동 또는 서비스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활동 기반 지향activity-based orientation]은 Cook과 Hatala의 [프로세스로서의 타당화validation]에 대한 설명과 일치하며, HPE에서 점차 관심을 받고 있는 [공동 생산]의 개념과 일치합니다. 공동 생산에서 소비자의 지식, 경험, 의견은 제품의 수동적 소비보다는 서비스의 창출에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수사학의 렌즈를 채택하면 HPE가 서비스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키기 위해 일하는 타당성 주장자 및 청중(즉, 이해관계자)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논쟁의 공동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mited audience interaction that occurs with publication would oblige HPE to expand validity argumentation beyond the pages of journals. HPE has several stakeholders in assessment decisions including learners, programme leaders, accreditors, certifiers, institutions, and payors. Many of these stakeholders may never read the articles in which validity evidence relevant to their context is published. Assessment designers would need to ensure that arguments are plausible to these particular audiences, likely via mechanisms that do not involve peer-reviewed publication. Whereas informal logic presents argument as a product, new rhetoric entreats argumentation to be an activity, or service, that an arguer develops with an audience.53 This activity-based orientation aligns with Cook and Hatala's description of validation as a process,8 and with the concept of co-production, which is gaining traction HPE.94, 95 In co-production, the consumers' knowledge, experience, and opinions influence the creation of a service rather than passive consumption of a product.96, 97 Adopting a lens of new rhetoric could the coproduction of arguments over time with validity arguers and audiences (i.e. stakeholders) working to best meet the needs of those who HPE aims to serve.

4.2 HPE 유효성 주장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한 비공식 논리
4.2 Informal logic to clarify HPE validity argumentation structure

HPE 학자들은 정기적으로 메시크와 케인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타당성 증거를 구성하지만, [완전한 주장 구조]를 명시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케인은 툴민의 주장 구조(영장, 데이터, 지원, 반박)를 호출하지만, 이 모델은 언어 테스트와 같은 다른 분야에서 주로 나타났다. Toulmin의 모델은 HPE에 확인되지 않는 존재이며, 말뭉치 내에서 거의 표면화되지 않는다. 케인의 프레임워크는 논쟁자들이 [평가 데이터의 의도된 해석과 사용]을 명확히 진술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것은 주장 주장argument claim의 역할을 한다. 

HPE scholars regularly organise validity evidence using frameworks from Messick and Kane,2, 3 but do not make full argument structure explicit. Indeed, Kane invokes Toulmin's argumentation structure (warrants, data, backings, rebuttals),27, 29, 47, 50 though this model has mostly appeared in other fields such as language testing.98 Toulmin's model exists as a cryptid in HPE, rarely (if ever) surfacing within our corpus. Kane's framework requires arguers to clearly state an intended interpretation and use of assessment data,6, 29 which serves as the argument claim.

그러나, HPE 학자들은 케인의 추론 사슬을 단순히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히 상당한 정밀 조사가 필요한 고위험 의사결정의 경우 분석을 강화하기 위해 주장의 전체 구조를 명시적으로 만들 수 있다. 사실 케인의 추론의 사슬에는 몇 가지 주장arguments이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지만, 명시적이고 구조적인 보고가 없다면 간과될 수 있다. 프로그램적 평가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있는 [복잡한 타당성 주장]은 어떻게 [확립된 주장]이 더 긴 일련의 논쟁에서 [후속 주장에 대한 데이터나 영장warrant이 되는지]를 보여주면서 계획될 수 있다.

However, rather than simply using Kane's chain of inferences, HPE scholars could make explicit the full structure of their arguments to augment analysis, particularly for high-stakes decisions that require significant scrutiny. In fact, there are likely to be several arguments embedded within Kane's chain of inferences,28 which may go overlooked without explicit and structured reporting. Complex validity arguments that are likely to be found in programmatic assessment could be mapped out, showing how an established claim becomes data or a warrant for a subsequent argument in a longer chain of argumentation.

타당화 과정이 얼마나 많은 구조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타당성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지만, 현재 HPE는 타당성 주장을 구성, 식별 또는 서명 게시하기 위한 명확하거나 합의된 접근법이 없다. 종종 "주장arguments"라고 불리는 것은 명확한 주장 구조는 없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Toulmin의 모델은 이해관계자들에게 증거를 제시하고, 해석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고, 논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ough there is debate amongst validity scholars as to how much structure the validation process should have,44 currently HPE has no clear or agreed-upon approach for organising, identifying, or signposting validity arguments. Often what are labelled “arguments” are collections of data that lack an explicit argument structure. Toulmin's model could help to present, interpret, prioritise, and argue the evidence to stakeholders.

 

4.3 타당성 주장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을 설명하기 위한 비공식 논리 또는 새로운 수사
4.3 Informal logic or new rhetoric to elucidate standards for evaluating validity arguments

[비공식 논리]나 [새로운 수사학]도 보편적 진실을 제공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지만, 겉으로 보기에 끝이 없어 보이는 검증 노력이 언제 방어 가능한 정지점stopping point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적어도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거나 새로운 청중이 고려되기 전 까지는).

  • [새로운 수사학]은 설득과 청중의 집착을 추구한다.
  • [비공식 논리]는 논증자의 학문이나 분야에 의해 정의되는 관련성, 충분성, 수용성 측면에서 논증적 타당성을 추구한다.

두 렌즈 모두 HPE 내에서 잘 작동합니다. 그러므로,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은 개인의 철학적 세계관에 달려있을 수 있다. 
Neither informal logic nor new rhetoric claim to provide a universal truth, but they could inform when seemingly unending validation efforts have reached defensible stopping points (at least until new arguments are put forth or new audiences are considered). New rhetoric seeks persuasion and audience adherence. Informal logic seeks argument cogency, often in terms of relevance, sufficiency, and acceptability as defined by the arguer's discipline or field. Both lenses would work well within HPE; therefore, choosing which to use may depend on one's philosophical worldview.

비공식 논리는 [후기 실증주의 세계관]과 잘 일치할 수 있는 반면, 새로운 수사학은 [구성주의나 비판적 현실주의] 관점과 더 잘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비공식 논리와 새로운 수사학은 특정한 세계관에 제한되지 않는다. HPE의 이질적인 철학적 세계관을 고려할 때, 모든 주장자와 청중에게 맞는 하나의 주장 지향성을 기대하는 것이 합리적인가? 아마 아닐 겁니다. 그러나 우리는 타당성 작업을 수행할 때 우리의 주장 패러다임을 분명히 인정해야 하며, 특히 청중들의 주장도 고려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HPE 검증 작업에서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세계관과 주장 패러다임의 오해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avares 외 연구진은 평가에서 호환성 원칙compatibility principle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평가 계획 사이에 또는 평가 계획 내에 서로 다른 철학적 입장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장이 평가 설계자에게 특정 아이디어와 가정을 위임한다는 것을 인식할 의무" 우리는 호환성 원칙이 HPE 타당성에 짜여진 논쟁의 철학에도 적용된다고 믿는다.

Informal logic may align well with post-positivist worldviews,99, 100 whereas new rhetoric likely aligns better with constructionist or critical realist views.101, 102 However, informal logic and new rhetoric are not restricted to any specific worldview; each will manifest in different ways when employed with different philosophical beliefs. Given the heterogenous philosophical worldviews in HPE, is it reasonable to expect one argumentation orientation to fit all arguers and audiences? Likely not. But we should explicitly acknowledge our argumentation paradigms when undertaking validity work, and specifically consider our audience's as well. Doing so can help avoid misunderstanding of worldviews and argumentation paradigms that could cause conflict in HPE validation work.103 Tavares et al described a compatibility principle in assessment as “the obligation to recognize that different philosophical positions can exist between and within assessment plans and that these positions commit assessment designers to particular ideas and assumptions.”104 We believe the compatibility principle also applies to the philosophies of argumentation woven into HPE validity.

4.4 HPE 평가 검증에서 논증을 사용하는 나머지 과제
4.4 Remaining challenges of using argumentation in HPE assessment validation

우리는 비공식 논리와 새로운 수사법이 HPE 타당성 주장을 위한 유용한 방향이라고 믿지만, 몇 가지 과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한다.

  • 첫째, 어떤 주장 방향이 학습자, 프로그램 리더, 인가자 및 인증자와 같은 HPE 이해 관계자에게 공명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향후 연구는 이러한 그룹들이 가질 수 있는 잠재적인 주장 가정을 발견하기 시작할 수 있다.
  • 둘째, 여러 청중의 가치에 영합하는 것은 타당성 논쟁을 새로운 수사 패러다임에서 벅찬 과제로 만들 수 있다. 각 이해관계자 그룹은 평가와 타당성에 대한 가치 및 이해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교육자들이 각 집단마다 고유한 타당성 주장이나, 설득력 있고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단일 주장을 개발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 셋째, 특히 청중 가치와 평가 기준과 관련하여 HPE 내의 헤게모니 및 형평성에 대한 검증에 비공식 논리 또는 새로운 수사학을 주입하는 영향을 고려하고 연구해야 한다.

Though we believe informal logic and new rhetoric are useful orientations for HPE validity argumentation, several challenges must still be addressed.

  • First, little is known about which argumentation orientations resonate with HPE stakeholders such as learners, programme leaders, accreditors, and certifiers. Future research could begin to unearth the latent argumentation assumptions that these groups may carry.
  • Second, catering to the values of multiple audiences could make validity argumentation a daunting task in a new rhetoric paradigm. Each stakeholder group likely has different values and understandings of assessment and validity. It is unclear if educators can develop a validity argument that is unique to each group, or a single argument that is persuasive and acceptable to all.
  • Third, we must consider and study the impact of infusing informal logic or new rhetoric into validation on hegemony and equity within HP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audience values and evaluative standards.

Addey 등은 "민주적 공간"을 요구하였으며, 그래야만 "정당하게 다양한 주장과 의도가 인식, 고려, 조립 및 표시될 수 있다." 고 말하였다. 그런 민주적 공간을 만들면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목소리가 확실히 들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Toulmin의 주장 모델이 HPE 유효성 주장의 분석과 평가를 개선할 수 있다고 믿지만, 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HPE 커뮤니티가 이러한 한계와 과제를 탐구할 때까지 평가 타당성 주장은 사례 연구의 경우와 같은 프로그램의 블랙박스로 남을 것이다.

Addey et al call for “democratic spaces” in which “legitimately diverse arguments and intentions can be recognized, considered, assembled, and displayed.”105 Creating such democratic spaces can ensure that all stakeholder voices are heard. Finally, although we believe Toulmin's argumentation model could allow for improved analysis and evaluation of HPE validity arguments,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test this hypothesis. Until the HPE community explores these limitations and challenges, assessment validity argumentation will remain a black box for programmes such as the one in our case study.

4.5 한계
4.5 Limitations

우리의 저자 그룹은 HPE 타당성 주장에 가장 유용한 비공식 논리와 새로운 수사학을 선택했지만, 우리가 선택하지 않은 몇 가지 다른 주장 지향이 있다(작은 선택 사항은 표 1에 제시됨). 우리는 다른 학자들이 HPE에 이러한 다른 방향들이 특히 이산적 구조(형식 변증법 및 실용적 변증법)를 중시하거나 실증주의 세계관을 가질 경우 더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는 또한 논쟁 이론의 길고 풍부한 역사를 고려할 때, 우리가 모든 방향과 접근방식을 완전히 검토하는 것은 불가능했다는 것을 인정한다.
Though our author group selected informal logic and new rhetoric as most useful for HPE validity argumentation, there are several other argumentation orientations that we did not select (a small selection is presented in Table 1). We acknowledge that other scholars might find these other orientations more useful to HPE, particularly if they value discursive structure (formal dialectics and pragma-dialectics) or have positivist worldviews (formal logic). We also acknowledge that given the long and rich history of argumentation theory, it was impossible for us to fully review every orientation and approach therein.

4.6 결론
4.6 Conclusion


HPE 학자들은 Messick5 또는 Kane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임워크 내에서 조직된 다양한 평가 결정에 대한 강력한 타당성 증거를 발표했다. 비록 이것들이 타당성 증거를 구성하는 방법의 훌륭한 예를 제공하지만, 다음의 것들을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 누가 증거를 평가해야 하는가? 
  • (증거뿐만 아니라) 논쟁이 취해야 할 구조는 무엇인가?
  • 평가를 위해 어떤 기준을 사용해야 하는가?

이러한 누락은 [증거]가 [주장]과 동일하고, [증거]를 단순히 배치함으로써 타당성 판단이 내려졌다는 개념을 전파한다. 이 원고에서는 비공식 논리와 새로운 수사법이 평가에서 타당성을 가지고 HPE의 진행 중인 작업을 진전시키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하였다. 각 이론은 모호하고 비활성적인 HPE 평가 타당성 증거를 더 명확하고 생동감 있는 타당성 주장으로 변환하기 위한 여지를 제공한다.

HPE scholars have published robust validity evidence13, 38-40, 106 for various assessment decisions organised within the commonly used frameworks of Messick5 or Kane.27 Although these provide excellent examples of how to organise validity evidence, they do not explicitly describe

  • who should evaluate the evidence (audience),
  • what structure the argument (not just the evidence) should take, and
  • what criteria should be used for evaluation.

This omission propagates the notion that evidence equals argument and that a validity judgement has been rendered by simply laying out the evidence. In this manuscript, we have detailed how informal logic and new rhetoric can help advance HPE's ongoing work with validity in assessment. Each theory offers affordances for transforming ambiguous, inert HPE assessment validity evidence into clearer, animate validity arguments.

 


Med Educ. 2022 Jul 19.

 doi: 10.1111/medu.14882. Online ahead of print.

How argumentation theory can inform assessment validity: A critical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Cincinnati College of Medicine, Cincinnati, Ohio, USA.

2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HE),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3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of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4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PMID: 35851965

DOI: 10.1111/medu.14882

Abstract

Introduction: Many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scholars frame assessment validity as a form of argumentation in which interpretations and uses of assessment scores must be supported by evidence. However, what are purported to be validity arguments are often merely clusters of evidence without a guiding framework to evaluate, prioritise, or debate their merits. Argumentation theory is a field of study dedicated to understanding the production, analysis, and evaluation of arguments (spoken or writte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rgumentation theory, articulating the unique insights it can offer to HPE assessment, and presenting how different argumentation orientations can help reconceptualize the nature of validity in generative ways.

Methods: The authors followed a five-step critical review process consisting of iterative cycles of focusing, searching, appraising, sampling, and analysing the argumentation theory literature. The authors generated and synthesised a corpus of manuscripts on argumentation orientations deemed to be most applicable to HPE.

Results: We selected two argumentation orientations that we considered particularly constructive for informing HPE assessment validity: New rhetoric and informal logic. In new rhetoric, the goal of argumentation is to persuade, with a focus on an audience's values and standards. Informal logic centres on identifying, structuring, and evaluating arguments in real-world settings, with a variety of normative standards used to evaluate argument validity.

Discussion: Both new rhetoric and informal logic provide philosophical, theoretical, or practical groundings that can advance HPE validity argumentation. New rhetoric's foregrounding of audience aligns with HPE's social imperative to be accountable to specific stakeholders such as the public and learners. Informal logic provides tools for identifying and structuring validity arguments for analysis and evaluation.

When I say…응답 프로세스 타당도 근거(Med Educ, 2022)
When I say…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Sneha Shankar1 | Christina St-Onge2 | Meredith E. Young1

 

[성과 기반 평가]는 평가자의 판단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학습자가 평가 과제 중 무엇이 필요한지 이해하는 방법과 평가자가 무엇이 필요한지 이해하는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역량 구성 요소에 대한 평가자의 관점이 점수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또는 학습자의 행동이나 동기가 평가 순간을 어떻게 형성할 수 있는지와 같은 일부 요소는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평가를 형성할 수 있다. [평가자와 학습자가 평가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면 평가가 의도한 대로 기능하는지 여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평가가 설계된 맥락에서 공정하게 사용되고 있는지 또는 공평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도 포함됩니다. [평가자나 학습자가 평가 과제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즉, 이해, 평가, 해석, 수행)]을 탐구하는 것은 응답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 즉 타당성 주장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증거이지만 만성적으로 조사 및 보고가 부족한 증거이다.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depend heavily on assessor judgement,1, 2 and are shaped by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how a learner understands what is required during an assessment task and how a rater understands what is required of them. Some factors may shape assessments in a way that is not intended, such as how an assessor's view of what constitutes competency might shift scoring1 or how learner behaviour or motivation may shape an assessment moment.2 Better understanding of how assessors and learners interact with assessments provide critical information about whether an assessment is functioning as intended, including whether it is being used fairly or equitably in a context for which it was designed. Exploring how an assessor or learner interacts with an assessment task (i.e. understands, rates, interprets, performs) is the focus of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evidence that is critical to building a validity argument but evidence that is chronically underinvestigated and underreported.3, 4

점수 해석을 지원하기 위해 타당성 증거를 수집하는 것이 보건 전문가 교육(HPE)의 표준 관행이 되었다. [응답 프로세스]는 개인(예: 평가자 또는 학습자)이 [평가 및 평가 도구의 특정 문항과 상호 작용할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를 검토하는 특정 유효성 근거의 출처입니다.5 본 원고에서 응답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를 설명함에 있어, 우리는 [교육 및 심리 테스트 표준]과 교육 측정 분야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연구의 통일된 관점에서 크게 도출한다.

It has become standard practice with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to collect validity evidence in support of score interpretation. Response process is a specific source of validity evidence that examines what happens when an individual (e.g. an assessor or learner) is interacting with an assessment and/or specific items in an assessment tool.5 In describing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in this manuscript, we draw heavily from the unified view of validity in the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5 and emerging research from the discipline of educational measurement.6 

이 기사에서는 HPE에 적용하기 위해 익은 교육 측정의 새로운 증거를 통합하기 위해 크라이터와 다우닝의 대응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을 확장한다. 이 설명에서, 우리는 인지 프로세스를 넘어 감정, 행동 및 동기에 대한 고려를 대응 프로세스로 포함하도록 확장하고, 대응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가 평가 공정성과 공정성을 평가하는 데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5 응답 프로세스 증거는 평가, 항목 또는 점수의 의미 또는 해석의 차이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평가자가 평가 사용 및 성과 모두에서 응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요소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this article, we expand on Kreiter's,7 and Downing's8 description of response processes to integrate emerging evidence from educational measurement6 ripe for application in HPE. In this description, we expand beyond cognitive processes to include consideration for emotions, actions and motivations as response processes69 and describe how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valuating assessment equity and fairness.5 Response process evidence can help shed light on differences in the meaning or interpretation of assessments, items or scores and can help assessors to better understand factors that may shape patterns of responses in both assessment use and performance.5

1957년, 로빙거는 평가가 의도된 현상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측정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평가 또는 테스트 중의 행동 및 그에 반응한 행동]을 의미하는 "측정 상황context of measurement"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처음으로 언급했다. 이는 특히 [수행-기반 평가]와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평가는 역동적 컨텍스트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자가 학습자를 평가할 때 [상황 정보]가 [수행 판단]에 통합되어 [평가 점수]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응답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에는 다음 두 가지 행동에 대한 검토를 포함한다.

  • 평가자(예: 특정 성과에 대해 '기대 수준' 또는 '기대 이상'으로 평가하는지 여부) 
  • 평가 대상자(예: 학습자가 평가 항목에 대한 해석 또는 '좋은' 성과에 기대되는 내용을 해석하고 제정) 

In 1957, Loevinger10 first noted that in order to understand how effectively an assessment measures the intended phenomenon, one needs to consider the “context of measurement,”(p.665) referring to behaviour during, and in response to, the act of assessing or testing.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for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as assessment happens within a dynamic context—when assessors rate learners, contextual information is integrated into judgements of performance that are then transformed into an assessment score.1 Therefore,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includes examining the behaviour of

  • an assessor (e.g. whether a particular performance is scored as ‘meets’ or ‘exceeds expectations’) and
  • the assessment taker5 (e.g. learner interpretation of an assessment item, or interpreting and enacting what they believe is expected in a ‘good’ performance).

타당성은 고도로 맥락적이기 때문에, 평가자와 학습자의 관점 모두에서 반응 과정을 조사하면 평가에 어떻게 respond in, respond to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응답 프로세스를 검토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평가가 의도한 대로 사용되고 이해되고 있는지]를 막후에서behind the scenes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평가가 공평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평가가 여러 학습자 간 동등한 방식으로 이해되고 있는지, 모든 학습자에게 공정하고 공평하게 성과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평가자가 사용하고 있는지 탐구한다.

Since “validity is highly contextual,”2(p.297) investigating response processes from both assessor and learner perspectives provides a glimpse as to how both respond in, and respond to, assessment. Data collected through examining response processes provide a behind the scenes look at whether an assessment is being used and understood as intended. It also offers a look at whether an assessment is being used equitably. In other words, it explores whether an assessment is understood by learners in a comparable way and whether it is being used by assessors in a way that judges performance fairly and equitably for all learners.

응답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를 고려할 때 [개인이 평가에 참여하는 방식에 대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것이 예상대로든, 예상 밖이든 말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가지고 있는 한 가지 가정은 평가 개발 및 구현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평가자 교육의 가치]입니다. [평가자 훈련]은 평가의 일관성을 위한 노력이다. 충분한 교육을 받으면 학습자를 일관성있게 판단할 것이고, 평가자가 평가 점수에 영향을 주는 상황적 요소(예: 컨텍스트 또는 학습자 특성) 에 대해 면역력을 가질것이라고 가정한다. [평가자가 학습자를 균일하게 판단할 것이라는 가정]은 다음과 같은 현상 사이에 완벽한 일관성이 존재할 수 있고, 그것이 모든 학습자에게 복제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 평가하려는 현상(즉, 특정 기술 성과)
  • 평가자의 반응(즉, 인지적 또는 감정적 처리) 
  • 최종 판단(즉, 평가 점수), 

Considering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encourages us to question our assumptions about how individuals engage with an assessment—whether in expected or unexpected ways.11 For example, one assumption we hold is the value of assessor training as part of our assessmen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process.1 Assessor training strives for consistency in ratings, which rests on the notion that with enough training; assessors will judge learners consistently and therefore become immune to contextual factors that may otherwise shape assessment scores (e.g. whether context or learner characteristics). The assumption that an assessor will judge learners uniformly suggests that there can be perfect consistency between

  • the phenomenon that one intends to assess (i.e. specific skill performance),
  • an assessor's response (i.e. cognitive or emotional processing), and
  • eventual judgement (i.e. assessment score),
    ...that can be replicated for all learners.

[평가자 교육에 대한 우리의 믿음]은 개인이 평가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과 이러한 상호 작용이 상황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 방식에 대한 중요한 고려사항을 못 보게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의도치 않게 응답 프로세스에 대해 우리가 놓치게 만들 수 있다. 이는 평가의 공정성과 형평성을 고려하는 것과 특히 관련이 있다. 또한 응답 프로세스가 상황 또는 학습자 특성(성별이든, 영어능력이든, 인종이든)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응답 프로세스를 고려하는 것은 점수 해석의 공정성과 형평성, 그리고 평가자와 학습자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건전한 타당성 주장을 구축하는 데 중요하다.
Our faith in assessor training may overshadow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how individuals interact with assessments and how these interactions are shaped by contextual factors and therefore unintentionally minimise our attention to response processes.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when considering equity and fairness in assessment and how response processes may shift across contexts or learner characteristics—whether gender, English language competency or race. Therefore, consideration of response processe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fairness and equity of score interpretations and the interdependency of an assessor and learner11 and are critical for building a sound validity argument.

[응답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는 평가자와 학습자 모두에 초점을 맞추며, 평가의 맥락에서 인식, 감정, 행동 및 동기에 대한 고려도 포함한다. 이러한 다면적인 관점은 [인지, 감정 및 동기 부여 수준에서 개개인이 평가에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참여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평가자와 평가 순간에 걸쳐 점수의 의미에 잠재적인 차이]를 허용한다. 평가자, 학습자 및 환경 간의 이러한 상호 작용은 [상호의존적 효과interdependent effects]로 분류되었으며 HPE의 성과 기반 평가 상호 작용을 형성할 수 있다. HPE의 연구는, 평가자의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와 성과 평가 중 학습자가 임상 팀과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상호의존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평가 순간의 복잡성]을 더 잘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응답 프로세스 증거]는 다음의 것들 사이의 정렬을 조사한다.

  • 평가자와 학습자가 [평가의 목표를 이해]하는 방법,
  • [평가 내 항목에 관여]하는 방법,
  • [평가 대상에 대한 공유된 이해] 여부(예: 기술, 역량 또는 관심 행동)

이 타당성 증거는 평가 데이터 해석을 지원하고 점수 해석과 이러한 점수에 기초한 결정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데 도움이 된다.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includes a focus on both the assessor and learner and includes consideration for their cognitions, emotions, actions and motivations in the context of assessment.6, 9 This multifaceted perspective places focus on how individuals interact and engage with an assessment at a cogn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al level, as well allowing for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scores across assessors and across assessment moments.5 These interactions between assessor, learner and environment have been labelled interdependent effects and can shape performance-based assessment interactions in HPE.11 Research in HPE has contributed to better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an assessment moment, including work on the cognitive processes of assessors1 and interdependent effects that describe how a learner interacts with the clinical team during assessments of performance.11 Response process evidence examines the alignment between

  • how an assessor and learner understand the goals of an assessment,
  • how they engage with items within an assessment and
  • whether there is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assessment target (i.e. skill, competency or behaviour of interest).

This validity evidence helps to build a validity argument to support assessment data interpretation and verify whether score interpretations, and decisions based on these scores, are justified.12

HPE의 [수행-기반 평가]를 위한 [응답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를 수집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어려울 수도 있다.

  • 평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문항 반응item response]을 조사하고, 하위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반응을 비교하여, 문항이 다양한 하위 그룹(예: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에 걸쳐 다르게 기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공정성을 검사할 수 있다. 
  • 개인(평가자 또는 학습자)이 [평가와 상호 작용할 때 인지 과정]을 탐구하기 위해, 예를 들어, think-aloud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질적 데이터로 수집될 수 있다. 생각을 크게 하는 인터뷰는 주로 개인이 평가와 상호 작용할 때 어떤 생각을 하는지, 그리고 그 생각이 학습자의 기대(또는 예상하지 못한) 성과 또는 평가자의 점수와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 반응 프로세스가 인지 범위를 넘어 [감정, 행동, 동기]를 포함하도록 확장된다는 인식이 커짐에 따라, 이러한 프로세스가 어떻게 평가 모멘트를 형성하고 그것이 생성하는 점수를 보다 완전하게 이해하도록 다양한 방법론을 도입할 수 있다.

Collecting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for performance-based assessment in HPE can take a variety of forms and can be challenging.

  • Data collected through assessments can be examined for fairness, by examining item responses and comparing responses statistically across subgroups to determine whether items function differently across various subgroups (e.g.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 Data can also be gathered qualitatively, for example, using think-aloud protocols, to explore the cognitive processes of individuals (assessors or learners) as they interact with an assessment. Think-aloud interviews primarily focus on understanding what individuals are thinking as they interact with an assessment and how that thinking may relate to anticipated (or unanticipated) performances from a learner or scores from an assessor.
  • With greater recognition that response processes expand beyond cognition to include emotions, actions, and motivation,69 a multitude of methodologies can be brought to bear to more fully understand how these processes shape assessment moments and the scores they generate.

전반적으로, [응답 프로세스]는 평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주요 의사결정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타당성 증거의 귀중한 원천입니다. 쿡이 상기시키듯이, 어떤 해석이 타당성에 대한 의도적인 검증을 버텨낸다면, 그 해석은 평가의 사용제안과 평가 데이터의 이해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할 것이다. [응답 프로세스 타당성 증거]는 예상되는 평가자와 학습자의 행동을 고려할 때, 제안된 평가 데이터의 해석이 정당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평가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며, 본 문서는 주로 수행-기반 평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응답 프로세스는 (서면 평가에서 포트폴리오까지) 모든 평가 형식에 대한 핵심 품질 지표입니다. HPE의 복잡성과 상황에 따라 동원되는 다양한 평가를 고려할 때, 대응 프로세스는 방어 가능한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핵심 수단이다.

Overall, response processes are a valuable source of validity evidence that provides support for key decisions made based on assessment data. As Cook12 reminds us, if interpretations hold during deliberate tests of validity, these interpretations provide justification for the proposed use and understanding of assessment data. 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helps verify that our proposed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data is justifiable given expected assessor and learner behaviour. Assessments take a variety of forms, and although this article has focused primarily on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response processes are key quality markers for all assessment formats—from written assessments to portfolios. Given the complexity of HPE and the variety of assessments mobilised across contexts, reponse processes are a key means through which we build defensible assessment systems.


Med Educ. 2022 Sep;56(9):878-880.

 doi: 10.1111/medu.14853. Epub 2022 Jun 15.

When I say…response process validity evidenc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ébec, Canada.

2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é de Sherbrooke, Sherbrooke, Québec, Canada.

PMID: 35688144

DOI: 10.1111/medu.14853

When I say… 여행 개념(Med Educ, 2020)
When I say… travelling concepts
Mario Veen1 | Iris van der Tuin2

의학교육 연구를 하는 것의 많은 부분은 [개념]에 관한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학 교육의 이 섹션에 있는 논문은 대개 그러한 개념 중 하나를 논의하는데 전념한다. 그러나 종종 의심받지 않는 '개념'이라는 단어 자체의 개념은 어떠한가? 이 질문은 학문분야와 그 학문분야를 긴장시키는 기본 가정에 따라 달라지는 질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지 심리학에서 개념들은 종종 '구성'과 같이 육체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보여진다. 그들은 언어로부터 떨어져 살고, 어쩌면 생각으로부터도 떨어져 산다. 하지만, 이것은 우리가 개념을 바라보는 방식이 아닙니다. 우리는 그들을 각자의 역사와 인격을 가진 비판적인 친구로 보고 있으며, 또한 고려를 요구합니다. 추상적인 실체와는 거리가 먼, 그것들은 우리의 분석 도구이며, 우리의 연구 대상과 의미 있는 대화를 할 수 있는 틀을 형성한다. 여기서, 우리는 특히 여행 개념travelling concepts을 의미한다. 이는 Mieke Bal에 의해 인문학에 소개된 [학제간 분석]을 위한 도구이다. 그것은 또한 학제간(또는 적어도 다학제간) 분야인 의학 교육에도 유용하다.

A large part of do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consists of working with concepts. The papers in this section of Medical Education are usually devoted to discussing one such concept. However, what about the often unquestioned concept of ‘concept’ itself—a question that depends on the discipline and the underlying assumptions that tension it.1 For example, in cognitive psychology, concepts are often seen as disembodied, abstract ideas—as ‘constructs’. They live apart from language and perhaps even apart from thought. However, this is not how we look at concepts. We see them as critical friends, each with their own history and personality that also demand consideration. Far from abstract entities, they are our analytical tools, shaping the frameworks that allow us to engage in a meaningful dialogue with our objects of research. Here, we specifically mean travelling concepts—a tool for interdisciplinary analysis introduced to the humanities by Mieke Bal.2, 3 It is useful for medical education as well, which is also an interdisciplinary (or at least, multidisciplinary) field.1

[개념]은 모든 단어 중에서 우선이다. [단어]는 체계적인 사용과 개발을 통해 [개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pression'이라는 단어를 생각해보세요. 심리학에서 정신적인 '장애'를 의미할 수도 있고, 기상학에서 '저압계'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두 개념 모두 단어의 어원인 deprimere에 의존한다. '누르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 개념은 [일상적인 언어]에서도 더 느슨한 의미로 사용된다. 사람들은 슬플 때 '나는 우울하다'고 말한다. 의학교육, 의학교육 연구, 그리고 실제로 이 시리즈의 많은 작업은 [개념]과 [일상적 단어]를 구별하는 것이다. 특히 서로 다른 학문적 배경을 가진 동료들과 이야기할 때, 우리는 개념을 사용할 때 항상 우리가 의미하는 바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Concepts are first of all words. A word can become a concept via its systematic use and development. As an example, consider the word ‘depression’. While it can mean either a mental ‘disorder’ in psychology or a ‘low pressure system’ in meteorology, both uses of the concept draw upon the word's etymology—deprimere, ‘to press down’. But the concept is also used in everyday language in a looser sense—people say ‘I am depressed’ when they feel sad. Much of the work of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indeed this series, is to distinguish concepts from mere words. Especially when speaking with colleagues from different disciplinary backgrounds, we should always clarify what we mean when we use concepts.

그러나, 의학 교육에서 잘 확립된 개념들조차도 그 시점에 도달하기 위해 확장된 궤적을 따라왔다. 여행 중에, 그들은 둘 다 여행 중에 '짐baggage'을 얻거나 잃어버린다.

  • 예를 들어, '반성reflection'라는 개념은 철학에서 심리학, 그리고 교육과학으로 이동했다.
  • 마찬가지로, '증거evidence'라는 개념은 수학에서 매우 구체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자연과학을 통해 의학에 의해 채택되었고, 마침내 의학교육 연구의 터전을 찾았다. 따라서, 무작위 대조 시험이 금본위제라는 생각과 같이 반드시 짐baggage이 따라오게 된다. 또한 의학 교육 연구에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개념은 '여행 이력travel histories'을 매핑할 때 빠르게 구체화됩니다. 여행 이력이란, 특정한 단어가 서로 다른 (학술) 문화, 공동체 및 맥락에서 체계적으로 작업에 놓이게 된 방법을 의미한다.

Yet, even concepts that are well established in medical education have followed an extended trajectory to reach that point. During their travels, they both acquire and shed ‘baggage’ along the way.

  • For instance, the concept of ‘reflection’ travelled from philosophy to psychology, thence to educational science.
  • Similarly, the concept of ‘evidence’ has a very specific meaning in mathematics, but was adopted by medicine via the natural sciences, finally finding a hom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Hence, it necessarily brings with it baggage, such as the idea that th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s the gold standard—also for medical education research.

Such concepts quickly become concrete when you map their ‘travel histories’—the ways in which they have been systematically put to work in different (academic) cultures, communities and contexts.

마지막으로, 개념에는 [경계]와 [어포던스] 또는 ['선호']가 있습니다. [선호]란 우리가 그 개념과 [함께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뜻한다. [개념]과 [단순한 단어]를 구분하고, 그 궤적을 지도화해야, 우리의 연구에서 어떻게 그것들을 다룰 수 있는지 탐구하기 시작할 수 있다. 증거의 개념을 다시 생각해보세요. 이 개념은 의학의 뿌리에 있는 [실증주의]와 [현상학과 구성주의]와 같은 인간과학의 접근 사이에서, 근본적인 논쟁의 교차점에 있다.

  • [실증주의]에서 증거란 생성되기보다는 발견되는 것으로 본다. 연구 과정에서 확립된 사실들은 특정 현상, 사물 또는 관계의 [논란의 여지가 없는 존재의 근거]로 간주된다.
  • 그러나 [개념]으로 작업함에 있어, 개념과 증거에 대한 또 다른 관점도 존재한다. 즉, [현상]들이 특정한 개념을 [유도]하는 만큼, [개념적 도구]들은 현상을 [확립]한다.

의학교육 연구에서 테마가 자료에서 '출현emerged'했다거나, 특정 개입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발견found'했다고 말할 수 없는 이유다. [개념] 그 자체는 '밖에서' 발견되거나, 한 번에 모두에게 구성되는 안정적인 실체가 아니다. 변화하고 진화해야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특정한 개념은 우리가 교육, 우리의 연구 대상, 연구를 어떻게 보는지를 결정한다.

Finally, concepts have boundaries and affordances or ‘preferences’—what we can (and cannot) do with them. Only when we distinguish concepts from mere words and map their trajectories can we start to explore how we can work with them in our research. Consider again the concept of evidence. This concept is at the intersection of a fundamental debate between positivism, which is at the root of medical science, and approaches from the human sciences such as phenomenology and constructivism.

  • Positivism sees evidence as something that is found rather than generated. Facts established in the research process are seen as the basis for the undisputed existence of certain phenomena, objects or relations.
  • However, working with concepts involves a different view of concepts and evidence. Here, conceptual tools establish phenomena, as much as phenomena invite particular concepts.

This is wh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we cannot say that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or that evidence was ‘found’ for the effectiveness of a certain intervention. Concepts themselves are not stable entities that are found ‘out there’ or that are constructed once and for all—they can (and should) change and evolve. The particular concepts that we use determine how we view education, our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개념의 역사적 배경이나 학문분야적 토대를 되돌아볼 때, 의학 교육에 대해 정확히 밝혀진 것은 무엇인가? 게다가, 의학 교육에서 그들의 사용은 그러한 역사와 다른 학문으로부터 수집된 지식과 통찰력에 대해 무엇을 드러내는가? [반성]의 예로 돌아가면, 이 개념은 최근까지 주로 [메타인지 과정]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그저 마음 뿐만 아니라, [사람 전체whole person]를 포함하는 [구체화되고 상황화된 현상embodied, situated phenomenon]으로 점점 더 여겨지고 있다. [주어진 개념의 의미]는 [그 개념이 어떤 용법으로 사용되는지]를 통해 자기자신을 드러내며, 따라서 그것은 다수의 타당한 의미를 갖는다.

Yet, what exactly is revealed about medical education when we reflect upon the historical backgrounds or disciplinary groundings of the concepts that we use? Further, what does their use in medical education reveal about such histories and about knowledge and insights gleaned from other disciplines? Returning to the example of reflection, the concept has until recently been seen primarily as a metacognitive process. However, it is increasingly seen as an embodied, situated phenomenon that involves the whole person, not just the mind. The meaning of a given concept reveals itself in the use made of it, and hence, it has multiple valid meanings.

따라서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으면 학술적 논의와 엄격한 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것은, 우리가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할 수 있다는 공통지점common ground를 갖는다는 것이다. [개념]은 '모든 사람에게 같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렇지 않기 때문에' 생산적인 힘을 갖는다. 예를 들어, '증거'의 개념을 구성하는 층들의 조심스러운 포장은 교육의 본질만큼이나 근본적인 토론 질문들을 위해 개방된다. Biesta와 Van Braak은 '증거'의 개념을 의학 연구에 사용하는 것은 의학 모델에 적용되는 인과적 가정을 수반하지만, 교육의 본질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의학 교육 연구에 적용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Thus, concepts can facilitate academic discussion and rigorous research if we take them as a starting point—a common ground on the basis of which we can discuss our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3, 4 Concepts become productive forces ‘not because they mean the same thing for everyone, but because they don't’2(p.11) For example, a careful unpacking of the layers that make up the concept of ‘evidence’ opens for debate questions as fundamental as the very nature of teaching. Biesta and Van Braak show that the concept of ‘evidence’ as used in medical research, cannot be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because it carries with it causal assumptions that work in the medical model, but are in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education.5

따라서, [어떤 개념의 힘]은 [한 번 설정되면 바로 실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엄격하게 정의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엄격한 적용에 저항하여, 대화의 파트너가 되는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이론보다는 개념에서 교육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근거를 찾는 것은 의학에서 환자 중심의 치료와 유사한 방식으로 의료 교육의 실천으로 우리의 초점을 돌릴 수 있게 할 것이다. 우리는 미리 정해둔 범주로 무장하여 [대상]에 접근하기보다는, [대상]의 경계와 어포던스를 존중하는 대화에 참여ㅎ야 한다. 이 대화에서 [대상object]은 '대답하는to speak back' 것이 허용되고, 그 과정에서 개념에 대한 접근방식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개념으로 작업하려면 연구 대상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조정]해야 합니다. 듣는 것이 먼저이고, 그 다음에야 이론과 방법을 선택한다. 그래야 대상object가 자신의 용어로 자신을 드러낼 수 있다.

Hence, the power of a given concept is not to be found in the degree to which we can rigidly define it so that once set, it can be straightforwardly applied to practice. On the contrary, it is in the degree to which concepts resist such straightforward application that they become our conversation partners. Finding our methodological basis for educational research in concepts rather than theories would allow us to turn our focus to the practice of medical education in a similar way to patient-centred care in medicine. Rather than approaching the object of our research armed with predetermined categories, we engage instead in a dialogue in which we respect the object's boundaries and affordances. In this dialogue, the object is allowed ‘to speak back’2(p.45) and we can adjust the concepts with which we approach it accordingly. Therefore, working with concepts demands that we tailor our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object of research—to listen to it first, only then choosing theories and methods so that the object is allowed to reveal itself on its own terms.

 


Med Educ. 2021 Feb;55(2):146-147.

 doi: 10.1111/medu.14400. Epub 2020 Nov 6.

When I say… travelling concept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General Practice, Erasmus Medical Center, Rotterdam, The Netherlands.

2Department of Philosophy and Religious Studies, Utrecht University, Utrecht, The Netherlands.

PMID: 33099785

DOI: 10.1111/medu.144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