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의 힘: 비판적 사고, 인문학적 사고, 다른 방식의 앎(Acad Med, 2022)
The Powers of a Fish: Clinical Thinking, Humanistic Thinking, and Different Ways of Knowing
Arno K. Kumagai, MD
사고는 그것에 미치지 못하는 기준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판단은 [물고기가 마른 땅에서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지]를 보고 그 본질과 힘을 평가하려는 절차에 비유할 수 있다. —마틴 하이데거 1
Thinking is judged by a standard that doesn’t measure up to it. Such judgment may be compared to the procedure of trying to evaluate the essence and powers of a fish by seeing how long it can live on dry land. —Martin Heidegger 1
심지어 무심코 관찰하는 사람들에게도, 세상을 아는 다른 방법들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사람은 사실이나 기술, 선호도를 알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지식은 윤리적 신념과는 다르다. 어떤 것에 대해 아는 것과 어떤 것을 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다르다. 어떤 것이 선호된다는 것을 아는 것은 어떤 것이 도덕적으로 옳다는 것을 아는 것과 다르다. 우리는 우리 자신, 다른 사람들,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새로운 측면을 발견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Even to the casual observer,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different ways of knowing the world. One can know a fact or a skill or a preference. These types of knowledge are different than an ethical conviction. Knowing about something is different than knowing how to do something; knowing that something is preferred is different than knowing something is morally right. We use different ways of knowing to discover new aspects of ourselves, others, and the world we live in.
의학도 예외는 아니다. 의학은 종종 정확한 규칙, 엄격한 분석, 명확한 대답에 의해 지배되는 과학으로 잘못 특징지어진다. 반대로, 캐스린 몽고메리가 지적했듯이, 의학은 과학이 아니라 과학을 사용하는 직업이다. 의학도 앎의 방법이 다르다. 도날드 A 쇤이 '인식론적 순결성의 "높고 단단한 지대"'로 묘사한 곳에만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는 실제 실천의 "습한 저지대"에서 일하는 것이 무엇인지 가르쳤다. 하지만 우리가 인간에게 큰 연약함과 상실감을 주는 순간들을 보살피는데 사용하는 다른 방법들은 무엇일까요? 게다가, 우리는 탁월함, 동정심, 그리고 정의를 가지고 의술을 실천하는 것을 배울 때 어떻게 다른 인식론적 접근에 관여할 수 있을까? 이것은 Montgomery와 같은 교육자들이 수년간 해왔던 질문입니다. 이번 호에서 Prince와 동료들은 이 질문을 인문학을 사용하여 임상적 추론을 가르치기 위한 개념 모델의 사용으로 확장한다.
Medicine is no exception. Medicine is often erroneously characterized as a science, one that is ruled by precise rules, rigorous analysis, and clear answers. On the contrary, as Kathryn Montgomery has pointed out, 2 medicine is not a science but rather a science-using profession. Medicine too has different ways of knowing. It does not solely inhabit what Donald A. Schön describes as the “high hard ground” of epistemic purity but instead teaches us to work in what he refers to as the “swampy lowlands” of actual practice. 3(p42) But what are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that we use in providing care to human beings during moments of great vulnerability and loss? Furthermore, how do we engage different epistemological approaches in learning to practice medicine with excellence, compassion, and justice? This is a question that educators like Montgomery have asked over the years. 2,4,5 In this issue, Prince and colleagues extend this question to the use of a conceptual model to teach clinical reasoning using the humanities. 6
프린스와 동료들은 임상적 추론 방법을 인문학의 "분석적 인식론"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교한다. 6 임상 추론의 개념적 예로서, 그들은 다음의 것을 상호보완적인 접근방식으로 사용한다.
- 개별 사례에 기초한 Judith L. Bowen의 진단 추론 모델 (데이터 획득, 문제 표현, 가설 생성 및 질병 스크립트)
- Louis Pangaro의 RIME(리포터, 통역, 관리자, 교육자) 프레임워크
인문학의 분석적 접근 방식을 위해, 저자들은 예술을 보건 직업 교육에 통합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교육 기술인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실행을 제안한다. VTS에서 학생들은 그림이나 조각과 같은 예술 대상을 공부하도록 요구받고 비판적 분석을 자극하기 위한 점진적인 일련의 안내 질문을 통해 그들의 생각을 이끌어낸다. "무엇을 보고 그렇게 말합니까?"와 "무엇을 더 찾을 수 있습니까?"
Prince and colleagues compare methods of clinical reasoning with what they term the “analytic epistemology” of the humanities. 6 As conceptual exemplars of clinical reasoning, they use the complementary approaches of
- Judith L. Bowen’s model of diagnostic reasoning based on individual cases (data acquisition, problem representation, hypothesis generation, and illness scripts) 7 and
- Louis Pangaro’s RIME (Reporter, Interpreter, Manager, Educator) framework. 8
For the analytic approach of the humanities, the authors propose the exercise of 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 an educational technique that is increasingly used in incorporating the arts into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9 In VTS, students are asked to study an object of art, such as a painting or sculpture and are led in their thinking through a progressive series of guiding questions aimed at stimulating critical analysis—questions such as “What is going on in this image?” “What do you see that makes you say that?” and “What more can you find?”
저자의 VTS 적용에서, "인정 및 제안된" 작업의 해석이 공개되는 "종료 공개"가 제시될 때까지 인상과 아이디어의 공개 교환이 수행된다(프린스 및 동료의 그림 6 참조). 저자들은 인문학의 분석 접근법의 예로 간주하는 VTS 접근법이 임상 추론의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잘 부합하므로 인문학적 및 인문학적 분석의 도입이 대학원 의학 교육에서 임상적 추론을 강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In the authors’ application of VTS, an open exchange of impressions and ideas is conducted until a “closing reveal” is presented in which “accepted and/or proposed” interpretations of the work at hand are unveiled (see Figure 2 in Prince and colleagues 6).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VTS approach, which they regard as an example of analytic approaches in the humanities, aligns well with conceptual frameworks of clinical reasoning and, thus,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ities and humanities analysis may be used to enhance clinical reasoning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그러나 두 가지 질문이 발생합니다.
- 첫째, VTS는 정말로 인문학의 인식론적 분석의 한 예인가?
- 두 번째로, 인문학의 다른 지식들은 무엇일까요?
[성찰적 실천자: How Professional Think in Action]에서 Schön은 [테크닉적 합리성]의 모델이 연구, 교육, 실무뿐만 아니라 법률, 의학, 건축, 사업과 같은 직업에서 접근방식을 지배한다고 주장한다. 3 (p21) 이 모델은 [엄격한 과학적 방법]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한다. 위르겐 하버마스는 이러한 [테크닉적 합리성]을 생물학과 생리학을 포함한 자연적 과정과 조건을 이해하고 개입하려는 접근법이라고 설명한다. 이 접근법은 종종 [고전적인 과학적 방법]이라고 불리며, [관찰, 가설 생성, 시험, 해석, 결론]으로 구성되며, 생물 의학에서 지배적인 분석 형태이다.
However, 2 questions arise.
- First, is VTS truly an example of epistemological analysis in the humanities?
- And second, what are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in the humanities?
In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Schön argues that the model of technical rationality dominates the approaches in professions, such as law, medicine, architecture, and business, as well as in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3(p21) This model consists of the instrumental use of reason to solve problems with the rigor of the scientific method. Jürgen Habermas describes this technical rationality as an approach that seeks to understand and intervene in natural processes and conditions, including those of biology and physiology. 10 This approach, often referred to as the classical scientific method, consists of observation, hypothesis generation, testing, interpretation, and conclusion, and is the dominant form of analysis in the biomedical sciences.
그렇다면, 이 맥락에서, VTS는 무엇일까요? 나는 이것이 사실 과학적 방법의 변형된 형태라고 주장한다. 다음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 관찰을 포함한다("이 그림").
- 가설 생성("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 테스트("어떤 이유로 그렇게 말합니까?),
- 뒤에 임시 요약이 따라온다.
이 과정은 반복적이며("무엇을 더 찾을 수 있는가?"), 결론(즉, 작품에 대한 인정된 해석 및 제안된 해석의 마무리 공개)을 향해 나아간다.
So, in this context, what is VTS? I would argue that it is actually a modified form of the scientific method: it involves
- observation (“consider this painting”),
- hypothesis generation (“what is going on here?”), and
- testing (“what makes you say that?”),
- followed by a provisional summary.
This process is iterative (“what more can you find?”) and proceeds toward a conclusion—the closing reveal of accepted and/or proposed interpretations of the work.
사실상, 나는 VTS가 전혀 인문학적 분석이 아니라 [테크닉적 합리성을 인문학에 적용한 것]이라고 제안하고 싶다. 이것에 의해, 나는 VTS가 의학 교육에서 예술의 사용에 대한 생산적인 접근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반대로, 나는 VTS가 관찰 기술을 날카롭게 하고 다른 관점을 생성한다는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다는 저자들의 말에 동의한다. 단지 예술을 교육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지, 예술을 알거나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적 설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제안할 뿐이다.
In effect, I would suggest that the VTS is not a humanities analysis at all but the application of technical rationality to the humanities. By this, I do not mean to imply that VTS is not a productive approach to the use of art in medical education; on the contrary, I agree with the authors that it has benefits in terms of sharpening observation skills and generating different perspectives. It is just that I suggest that it is a method to use art educationally and not necessarily the conceptual description of ways of knowing or understanding art.
그렇다면, 인문학, 특히 [예술에 대한 인식론]은 무엇일까요? 예술에 대한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사실과 이론의 코퍼스로서(예술사와 같은 것)
- 창조적 행위로서(예술가가 영감, 테크닉, 미디어, 또는 영향의 관점에서 어떻게 작품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와 같은 것)
- 해석의 행위로서(예술의 시청자가 그들 자신의 배경, 문화, 선호, 가치, 경험에 의해 informed된 방식으로 작품과 상호 작용하는 하는 것)
마지막 범주가 VTS와 가장 밀접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우리는 "예술 작품과 상호작용하는 접근법이 과학에 접근하는 접근법과 다른가?"라고 물을 수 있다.
So, what is the epistemology of the humanities, and in particular, of art? One may approach art in different ways:
- as a corpus of facts and theories, such as in the history of art;
- as a creative act, such as an understanding of how an artist may approach her or his work in terms of inspirations, techniques, media, or influences; or
- as an act of interpretation in which a viewer of art interacts with the work in ways that are informed by their own background, culture, preferences, personal values, and experiences. 11
Since the last category appears to align most closely with VTS, we might ask, “Is the approach of interacting with a work of art different from that in which one approaches science?”
지난 세기의 전환 이후, 철학자와 사회이론가들은 자연과학의 분석 방법이 소위 인간과학(즉, 인문, 예술, 철학, 그리고 사회과학)의 방법과 다른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 질문에서 빌헬름 딜타이, 에드먼드 후설, 마틴 하이데거,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그리고 후에 하버마스와 같은 사상가들의 노력에 의해 자극을 받아, [인간 과학human sciences에서 앎의 방법]은 [자연 과학에서 사용되는 방법]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전자의 지식은 후자의 방법으로는 검증되지 않는다는 견해가 생겨났다. 이 접근법의 주요한 철학적 표현은 [해석학]이며, 이것은 18세기와 19세기의 성경과 고대 문헌의 해석 방법으로부터 개발되었다. [신의 메시지를 인간의 의미로 해석하는 임무]를 맡은 [그리스 신 헤르메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해석학은, 인간 창조의 대상을 "이해하는" 것에 전념하고 있다.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작품에서 해석학은 텍스트의 한계를 벗어나, 점점 더 이해의 범위를 [예술 작품],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상호작용 그 자체]로 확장했다.
Ever since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philosophers and social theorists questioned whether the analytic methods of the natural sciences differed from those of the so-called human sciences—that is, the humanities, art, philosophy, and the social sciences. 12 Out of this questioning and spurred on by the efforts of such thinkers as Wilhelm Dilthey, Edmund Husserl, Martin Heidegger, Hans-Georg Gadamer, and later Habermas, 10,12 there arose a view that the ways of knowing in the human sciences were indeed fundamentally different than those employed in the natural sciences, and that knowledge in the former could not be verified through the methods of the latter. The major philosophical expression of this approach is hermeneutics,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from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biblical and ancient text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Named for the Greek god Hermes, who was tasked with the duty of translating divine messages into human meaning, hermeneutics is devoted to “bringing to understanding” objects of human creation. 12 In the work of Heidegger and Gadamer, hermeneutics left the confines of texts and increasingly extended its reach of understanding to works of art and, ultimately, to human interaction itself.
[가다머]에 따르면, [위대한 예술의 경험]은 한 개인을 그의 삶의 특정한 환경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그 개인과 그 삶의 모든 것의 완전한 의미를 연관시킨다. 예술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은 자기 성찰에 참여하지만 더 높은 진리가 이해되는 방식으로 [자아를 초월]하기도 한다. 이 진실은 일종의 플라톤적 이상이 아니라 [자기 자신, 자신의 삶, 다른 사람들, 그리고 세계에 대한 더 충만하고 깊은 인간적인 이해]이다. 그의 이전의 하이데거처럼 가다머는 [예술, 타인, 그리고 세계에 대한 한 사람의 인식]은 한 사람의 [배경, 역사적 맥락, 정체성, 살아 있는 경험, 그리고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그는 이를 "지평horizon"라고 불렀다. 예술과의 상호작용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인들은 대화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하며, 그들의 교환이 "지평선의 융합"으로 이어진다. 그 속에서 자신과 세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시각이 드러난다.
According to Gadamer, the experience of great art takes an individual out of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his or her life and relates the individual to the fullest meaning of the whole of that lif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work of art, the individual engages in self-reflection but also transcends the self in such a way that a higher truth is understood. 13(p61) This truth is not some sort of Platonic ideal but instead is an understanding of oneself, one’s life, others, and the world in a fuller, deeply human way. Gadamer, like Heidegger before him, believes that one’s perceptions of art, others, and the world are influenced by one’s background, historical context, identities, lived experiences, and culture—something that he terms the “horizon.” In a manner similar to one’s interactions with art, individuals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dialogue in such a way that their exchanges lead to a “fusion of horizons,” 13(p305) in which new understandings and perspectives of themselves and the world are revealed.
이러한 접근방식을 의학교육에 적용함으로써, 나는 [인간의 이해]라는 렌즈를 통해 예술과 의학을 바라보며, 인간의 질병 차원과 그 돌봄에 대한 관여를 넓히고 깊게 할 수 있는 예술에 관여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싶다. 예술은 타인과의 동일시를 촉진한다. 그것은 개방성과 호기심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시간, 문화, 언어, 정체성에 의해 우리와 분리될 수 있는 누군가의 경험]에 [공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술은 또한 도덕적 분노를 자극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파블로 피카소의 게르니카나 조지 플로이드나 브레오나 테일러가 등장하는 최근의 공공 벽화를 생각해보라). 흔한 사물, 관행, 사건에 대한 인식의 미묘한 왜곡을 통해 "낯설게" 만듦으로써, 예술은 우리가 새롭고 생성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가정과 믿음을 다시 생각하게 할 수 있다.
Applying this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I would propose that looking at art and medicine through the lens of human understanding, one can engage with art to broaden and deepen one’s involvement with the human dimensions of illness and its care. Art fosters an identification with the other. It can anchor empathy in the experience of someone who may be separated from us by time, culture, language, and identity in ways that teach openness and curiosity. 11 Art also has the capacity to stimulate moral outrage (think of Pablo Picasso’s Guernica or the recent public murals featuring George Floyd or Breonna Taylor). By “making strange” through subtle distortions in perceptions of common objects, practices, and events, art can prompt us to rethink our assumptions and beliefs in new and generative ways. 14
예술은 또한 깊은 인간적 주제에서 임상 치료를 제공하는 경험을 직접적으로 접지할 수 있다. 작가이자 의사인 제이 바룩(Jay Baruch)이 안톤 체호프의 단편 소설인 '불행'을 사용한 것은 최근 아들을 잃은 한 남자가 "누구에게 나의 슬픔을 말할 수 있을까?"라고 궁금해하는 내용이다. 바룩은 서사에 깊이 관여하고 응급실 의사로서 외로움과 상실감을 의학적 응급상황으로 탐구하기 위해 자신의 일을 성찰한다. 15 예술과 의학을 융합하는 것은 때론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 불편함과 강한 감정을 자극함으로써, 그것은 기술적 합리성에 의해 주입된 교육이 제3의 레일에 접근할 수 있다. 바록 감정의 영역이다.
Art may also directly ground the experience of providing clinical care in deeply human themes. A brilliant example of this approach is the writer-physician Jay Baruch’s use of Anton Chekhov’s short story, Misery, about a man who, having recently lost his son, wonders, “to whom may I tell my grief?” Baruch engages deeply with the narrative and reflects on his work as an emergency room doctor to explore loneliness and loss as a medical emergency. 15 Fusing art and medicine can at times involve risk: by provoking discomfort and strong feelings, it can approach the third rail of an education infused by technical rationality: the realm of the emotions. 16
"인문주의를 넘어 인문학을 취할 필요가 있다"는 프린스와 동료들의 주장과 달리, 저는 이렇게 제안하고 싶습니다.
(인문학적 앎의 방식을 통한) 인문학에의 참여는 [인문주의 그 자체의 핵심 가치와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과 삶에 대한 깊고 지속적인 헌신이다.
I would suggest that, contrary to Prince and colleagues’ assertion that there is a “need to take the humanities beyond humanism,” 6 the engagement of the humanities—through humanistic ways of knowing—can reveal the core value and meaning of humanism itself—that is, a deep and abiding commitment to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5
궁극적으로, 나는 의학 교육에 VTS와 같은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나는 그것이 사실상 사람들을 다양한 시각에 노출시키고 생물의학이 모든 것을 능가한다는 안일한 시각에서 그들을 떨쳐버릴 수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저는 인간이라는 것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예술과 인문학의 모든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도록 우리 모두를 정중히 격려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Academic Medicine의 의학 및 예술 담당 부편집장으로서, 저는 의학교육에서 이러한 "예술적 전환"의 가능성에 대해 흥분하고 있습니다. 예술은 [관찰력과 분석적 사고의 힘을 날카롭게 하는 것] 외에도,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보살핌을 제공하는 것]의 [도전과 승리], 그리고 [삶과 죽음의 의미와 느낌과 경험]을 탐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술은 [우리 시대의 도덕적 딜레마]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의료 시스템의 불평등, 체계적인 인종차별의 유산, 기후 변화의 위기, 팬데믹의 최전선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도덕적 해이 등이 있다. 그것은 [기술적 합리성]을 넘어, 의학에서의 [삶의 미적, 철학적, 그리고 실존적 진리]를 열망한다. 이러한 명상의 훌륭한 형태는 최근호 및 다가오는 호에서 볼 수 있는 커버 아트의 새롭게 수정된 형식에서 볼 수 있다.
Ultimately, I am not arguing against the use of approaches such as VTS in medical education. I believe that it does in effect expose people to different ways of seeing the world and is capable of shaking them out of the complacent view that biomedicine trumps all. I am, however, respectfully encouraging us all to think about the fullest possibilities of art and the humanities in exploring the meaning of being human. As Academic Medicine’s recently appointed Assistant Editor for Medicine and the Arts, I am excited about the potential of this “artistic turn” in medical education. In addition to sharpening the powers of observation and analytical thinking, art also offers a way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riumphs of providing care to those in need and to explore the meanings, feelings, and experiences of living and dying. It offers a way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moral dilemmas of our time—the inequities of the health care system, the legacy of systemic racism, the crisis of climate change, the moral injuries of those working on the front lines of the pandemic—that goes beyond technical rationality and aspires toward the aesthetic, philosophical, and existential truths of a life in medicine. Brilliant forms of these meditations can be seen in the newly revised format for Cover Art seen in recent and coming issues.
우리가 건조한 땅에서 물고기가 얼마나 오래 생존하는지를 보는 것을 자제함으로써 물고기의 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제한하는 것을 피해야 하는 것과 거의 같은 방법으로, 우리는 관찰, 임상적 추론, 그리고 기술 개발의 접근에 대해서만 의학 교육에 대한 예술의 참여를 제한해서는 안 된다. 인문학은 물고기처럼 그것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 물고기가 뛰어오르는 것을 상상해보라.
In much the same way that we should avoid constrai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powers of a fish by refraining from limiting ourselves to seeing how long it survives on dry land, we should not constrain the engagement of art in medical education only to approaches in observation, clinical reasoning, and skill development. The humanities, like a fish, are so much more powerful than that—imagine a fish leaping.
The Powers of a Fish: Clinical Thinking, Humanistic Thinking, and Different Ways of Knowing
PMID: 35385400
Abstract
How are ways of knowing similar between clinical reasoning and the humanities, and can the latter be used to elucidate the former? This commentary considers a conceptual model proposed by Prince and colleagues in this issue to explore the different ways of knowing in art and medicine. Their proposed model links 2 approaches to clinical reasoning with an analytic approach said to be characteristic of the humanities-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to teach skills in clinical reasoning. They suggest that the VTS approach aligns well with the 2 clinical reasoning approaches and use this relationship to argu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ities into graduate medical education. However, is VTS truly an exemplar of analytic approaches used in the humanities? The approach to clinical decision making is a version of what Donald A. Schön calls technical rationality, but what is the epistemology used in the humanities and art? This commentary explores this ques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s, a branch of philosophy that centers on an interpretive understanding of art, and through art, a way of knowing the self, others, and the world. In contrast to limiting the focus of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to sharpening the powers of observation and analytical thinking, the author argues that art also offers a way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triumphs of providing care to those in need and to explore the meanings, feelings, and experiences of living and dying. It offers a way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moral dilemmas of our time that aspires toward the aesthetic, philosophical, and existential truths of a life in medicine.
Copyright © 2022 by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인문사회의학(의사학, 의철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색, 백색, 그리고 회식: 의학교육과 의료인문학에 관한 학생의 관점(Teach Learn Med, 2022) (0) | 2023.08.16 |
---|---|
의학교육에서 우리의 인종적 과거를 다루기: 푸코적 관점(Teach Learn Med. 2021) (0) | 2023.08.09 |
미국 3년제 의과대학의 종합적 역사: 한 학기의 리뷰(Med Educ Online, 2018) (0) | 2021.12.01 |
When I say . . . 젠더 (Med Educ, 2019) (1) | 2021.07.31 |
의료의 휴머니즘: 무엇을 의미하며, 왜 어느 때보다 중요한가? (Acad Med, 2019) (0) | 2021.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