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색, 백색, 그리고 회식: 의학교육과 의료인문학에 관한 학생의 관점(Teach Learn Med, 2022)
Black, White and Gray: Student Perspectives on Medical Humanities and Medical Education
Madeleine Noelle Oldinga , Freya Rhodesb , John Hummc , Phoebe Rossd and Catherine McGarrye

 

 

소개
Introduction

의학을 전적으로 과학적, 생의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가능하고 충분히 쉬운 일입니다. 환자가 일련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의사는 병력을 청취하고 진찰을 통해 징후를 이끌어냅니다. 조사가 이어질 수 있으며 진단이 내려집니다. 근본적인 병리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관리 계획이 환자에게 처방됩니다. 뉘앙스, 인간성, 더 넓은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의학은 흑백논리로 치부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환자나 임상의의 경험 모두 흑백으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임상에서 마주칠 때마다 인간의 회색 영역이 전면에 드러나며 환자와 의사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형성합니다. 증상, 징후, 조사 및 관리는 정의되지 않은 회색 영역에 가려져 있습니다.  
It is possible, and easy enough, to view medicine entirely from a scientific, biomedical perspective. A patient presents with a series of symptoms. The doctor takes a history and elicits signs on examination. Investigations may follow; a diagnosis is made. A management plan, based on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pathology, is prescribed to the patient. When phrased like this with no nuance, no humanity, and no wider factors considered, medicine is easily framed as a black and white exercise. However, neither the patient’s nor clinician’s experience exist in black and white. In each clinical encounter, the gray areas of humanity are brought to the forefront and shape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and doctor. Symptoms, signs, investigations, and management are shrouded in undefined areas of gray.

의학교육에서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생들은 이러한 회색 영역을 탐구하는 동시에 핵심 커리큘럼 외의 지식을 넓히고 심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회색 영역을 탐구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의학 인문학(MH)을 가장 잘 가르칠 수 있을까요? 
An increasing focus on humanities within medical education has generat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lve into these gray areas; simultaneously broadening and deepening their knowledge outside of the core curriculum. But how exactly does one delve into the gray? How can we best teach medical humanities (MH) to students?

미래의 임상의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전통적인 생물의학 모델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질병 경험에 대해 소홀히 다루어졌던 환자들을 위한 MH 교육의 가치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1-3 아르노 쿠마가이는 MH가 학생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합니다:

  • 의학에서 유지되는 가정과 태도를 해체하고,
  • 우리의 경험을 성찰하도록 장려하고,
  • 다양한 렌즈를 통해 의료에 대한 관점을 넓히고 분석을 유도하고,
  • 우리의 경험을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는 출구를 제공하고,
  • 임상에서 공감대를 이끌어냅니다.2

쿠마가이는 예술과 인문학이 "인식이 아닌 시각이라는 기관을 통해 사물에 대한 지식으로 우리를 이끈다"고 주장합니다.3(p6) 본질적으로, 우리는 진실이라고 여겨지는 아이디어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우리에게 제시된 정보에 더 깊이 관여하고, 따라서 더 나은 이해를 얻게 됩니다. 
The value of MH teaching - not only for future clinicians, but also for patients whose demographics and disease experience have so far been neglected by traditional biomedical models - is well documented.1–3 Arno Kumagai describes how MH assist students in:

  • dismantling assumptions and attitudes upheld in medicine;
  • encouraging reflection on our experiences;
  • broadening perspectives and prompting analysis of medical care through different lenses;
  • providing outlets for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our experiences; and
  • driving empathy in clinical encounters.2 

Kumagai argues that the arts and humanities “lead us to a knowledge of a thing through the organ of sight instead of through recognition”:3(p6) in essence, through questioning ideas that are held to be true, we engage more deeply with the information presented to us and as such better our understanding.

이러한 입증된 가치에도 불구하고 MH를 가르치는 최적의 접근 방식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MH 교육의 가치를 최적화하는 최선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의과대학 커리큘럼에 MH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합니다.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의 2020년 보고서 '의학교육에서 예술과 인문학의 근본적인 역할'에 제시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의대생의 관점에서 MH에 대한 태도와 교육자와 학습자 모두의 객관적이고 실증주의적인 사고에서 벗어나기를 꺼리는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4  
Despite their demonstrable value, the optimal approach to teaching MH is less clear cut. In order to elucidate how best to optimize the value of MH teaching, this piece discusses its integration in medical school curricula. Building upon ideas put forth in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2020 report The Fundamental Role of the Arts and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we explore attitudes toward MH from a medical student perspective and the impact of a reluctance to step away from objective, positivist thinking amongst educators and learners alike.4

AAMC는 의학교육에서 MH를 "예술과 인문학에서 파생되어 의대생, 수련의, 개업의의 교육과 학습에 통합된 콘텐츠 또는 교육학"으로 실무 정의를 제안합니다.4(4페이지) 중요한 것은, 강의계획서가 이미 "꽉 찼다"는 믿음과 사용 가능한 공간이나 자금이 없다는 점 등 MH를 교과과정에 통합하는 데 있어 몇 가지 장벽에 대해 AAMC가 논의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MH가 커리큘럼에 포함되는 경우, 교과 과정의 기초에 포함되기보다는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해 추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The AAMC proposes a working definition of MH in medical education as “content or pedagogy derived from arts and humanities and integrated in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students, trainees, and practicing physicians.”4(p.4) Importantly, the AAMC discusses some of the barriers to integrating MH into curricula, including the belief that the syllabus is already “full” and there is no room nor funding available. As such, where MH are included in the curricula, they are often added on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rather than built into the foundations of the course.

이러한 현상은 앨런 블리클리와 로버트 마샬의 '약한 포용'이라는 개념을 잘 보여줍니다.5(129쪽).
This phenomenon demonstrates Alan Bleakley and Robert Marshall’s concept of “weak inclusion:”5(p.129)

"커리큘럼에 의료 인문학이 포함되는 약한 버전은 보통 과학에 대한 보상으로 광고되는 선택 과목인 볼트온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강한 버전은 과학을 보완하는 핵심적이고 통합적인 커리큘럼 구성 요소로서 보다 미묘한 교육 문화를 창출합니다."5(129쪽)
“The weak version of inclus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the curriculum appears as optional study, a bolt on, usually advertised as a compensation for science. The strong version, however, involves a core, integrated curriculum component as a complement to science, creating a more nuanced educational culture”.5(p129)

"약한 포용"5(p129)은 영국의 각 의과대학에서 경험한 MH에 대한 많은 접근 방식을 포괄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MH에서 선택 과목인 학사 학위6를 이수하면서 받은 교육은 강력한 포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커리큘럼에 MH를 "강력한 포용"하는 것은 이러한 개입에 대한 학제 간 접근 방식을 개발하여 의학과 MH를 별개의 실체로 보지 않고 인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공생적 접근 방식으로 보는 것을 지지합니다.
“Weak inclusion”5(p129) encompasses many of the approaches to MH we have experienced at our respective medical schools in the UK. However, the teaching we have received through undertaking an optional year of study - a so-called intercalated Bachelors degree6 - in MH, has shown that strong inclusion is both possible and desirable. “Strong inclusion” of MH in curricula advocate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se interventions whereby medicine and MH are not seen as distinct entities but rather symbiotic approaches to understanding human problems.

지금까지 이러한 논의에서 학생의 관점은 상대적으로 부재했습니다. 학생들이 MH 문헌에 기여한 사례는 많지만 교육 접근법에 대한 학생의 관점을 명시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현재 부족합니다.7,8 우리는 학생의 관점을 보여줌으로써 통합의 장벽을 더 탐구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최근 MH에서 통합 이학사(통합 학사 또는 iBSc)를 이수한 현재 의대생으로서 우리가 제시하는 증거는 대부분 일화적인 것입니다. 개인적 경험을 의학교육 방법론에 도입하는 것은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의학 교육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는 비교적 새로운 접근 방식입니다.9 
Thus far, the student perspective has remained relatively absent in this discussion. There are numerous examples of students contributing to MH literature but explicit acknowledgement of student perspectives on teaching approaches is currently lacking.7,8 We believe that the barriers to integration can be explored further by showcasing the student perspective. As current medical students who have recently completed intercalated Bachelors of Science (intercalated BSc or iBSc) in MH, the evidence we present is largely anecdotal. Imbuing personal experience into the methodologies of medical education is a relatively new approach that has gained traction in recent years, most particularly within the realms of MH.9

의학 및 의학교육의 회색 영역에 대한 성찰을 정리하기 위해 MH의 특정 영역과 관련된 다섯 가지 주제를 분리했습니다. 여기에는 역사, 내러티브 의학, 인류학, 철학 및 윤리가 포함됩니다. 또한 영국과 그 밖의 지역에서 MH 교육을 맥락에 맞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실제적 고려사항에 대해서도 언급합니다. 이러한 성찰을 통해 학습 경험에 대한 비판적 토론의 출발점을 제공하여 의학교육에서 MH 교육의 시너지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To organize our reflections of the gray areas of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we have isolated five themes relating to specific domains of MH. These include history, narrative medicine, anthropology, and philosophy and ethics. We also comment on a variety of practical considerations to contextualize the delivery of MH teaching in the UK and beyond. Through these reflections, we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a critical discussion of learning experience, aiming to improve the synergy of MH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의대생의 관점
The medical student perspective

의학교육은 졸업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의대생은 의사로서의 지속적인 학습을 준비하기 위해 의과대학에서의 경험을 비판하고, 도전하고, 변화를 옹호할 수 있도록 지원과 권한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Medical education does not end at graduation.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and empowered to critique, challenge, and advocate for changes in their experience at medical school in preparation for continued learning as a doctor.

이 시리즈의 이전 편에서 Gert Biesta와 Marije Van Braak10은 의학교육의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의 목적에 대한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의학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사회화(전문가 집단의 일원이 되는 것)와 주체화(사려 깊고 독립적이며 책임감 있는 전문가가 되는 것)에 대해 논의합니다. 우리는 의학교육을 둘러싼 담론에 MH와 학생의 관점을 포함시킴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더 잘 달성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In an earlier installment in this series, Gert Biesta and Marije Van Braak10 highlight the need for increased engagement in the purposes of medical education, as opposed to just focusing on the processes. In this piece, they discuss socialization (becoming a member of the professional group) and subjectification (becoming a thoughtful, independent, responsible professional) as important goals of medical education. We believe that we can better achieve these purposes by including MH and the student perspective in the discourse surrounding medical education.

의대생의 관점을 학술 연구에 활용하면 현재 학습자들 사이에서 MH 교육에 대한 태도를 더 잘 탐구할 수 있습니다. 현재 커리큘럼에 대한 학생의 관점은 교육자에게 세부적이고 미묘한 학습 포인트를 제공하며, 종종 미래 학생을 위해 현재 학생의 실제적인 실제 솔루션과 함께 제공됩니다. 의료 윤리 교육 및 평가의 단점을 논의한 Liu와 동료들11의 최근 논문이 이러한 훌륭한 예입니다. 의료 시스템과 과학교육에 관한 또 다른 최근 논문은 학생들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관점을 직접 조사하지 않은 연구팀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12 이 두 논문을 차례로 읽어보면 의학 교육 연구에서 학생 관점의 힘과 정확성이 얼마나 큰지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의대생으로 구성된 설문지나 포커스 그룹을 사용한 후 학자들이 해석하는 교육 연구도 장점이 없는 것은 아니며, 문제의 논문은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몇 가지 중요한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수집, 방법론 및 용어에 의해 그 결론이 무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반면, 학생 관점의 연구 논문은 더 성찰적이고 비판적일 수 있으며, 현재 학생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잠재적으로 교육 접근 방식에 더 나은 방향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Using the medical student perspective in academic research, we can better explore attitudes toward MH teaching amongst current learners. Student perspectives on current curricula provide detailed, nuanced learning points for educators and are often accompanied by practical real-world solutions from current students, for future students. A recent, excellent example of such a paper comes from Liu and colleagues11 discussing shortcomings in medical ethics teaching and assessment. Another recent paper looking at health systems and scientific education was conducted more traditionally by a team of researchers who analyzed student questionnaire responses and did not probe student perspectives directly.12 Reading these two papers one after another, the power and precision of the student perspective for medical educational research becomes abundantly clear. Educational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 or focus groups made up of medical students and then interpreted by academics is, of course, not without merit and the paper in question makes several important conclusions with which we do not disagree. However, in our reading, it becomes weighed down by data collection, methodology, and terminology. Whereas student perspective research papers can be more reflective and critical, resonating with current students and potentially resulting in better, more directed, changes in educational approaches.

MH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이해하는 것은 MH 교육의 함정을 인식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MH가 팀워크, 리더십, 문제 해결과 같은 공감 능력과 소프트 스킬을 끌어내기 위한 '체크 박스 연습'이라는 인식이 존재합니다. 이는 MH의 통합을 가로막는 중요한 장벽으로 이전에 인식된 바 있습니다.2
  • 헌터 버든과 팀 어셔우드는 학생들이 반성적 능력을 발휘하는 대신 원하는 결과를 예상하고 시스템13(408쪽)을 게임화할 수 있는 전문성 교육에 대한 유사한 태도에 대해 언급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이 교육자가 불필요하게 MH를 강요하고 있다고 느끼는 학생을 직접 경험한 바 있습니다.
  • 학생들은 그 과정에 참여하기 전에 직접 혜택을 확인하지 않는 한 의과 대학에서 시키는(prescribe)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합니다. 종종 학생들이 시험에 출제 가능한 콘텐츠라고 알고 있는 것과 그 콘텐츠에 참여하려는 동기가 있는지 여부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물론 MH 교육자는 해당 과목을 홍보할 것이며, 이미 해당 과목을 가르치기로 선택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열정을 보여주었습니다. 반면에 학생은 MH를 홍보하는 데 기득권이 없기 때문에 학습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 동료들에게 더 진정성 있게 받아들여집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MH 참여를 장려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MH 교육의 이점을 전달함으로써 동시대 사람들이 더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학생의 관점에서 학습하면 교사-학생 관계의 위계를 넘어 지식의 종적 흐름을 허용하는 피어티칭의 기회가 열립니다. 
Understanding student attitudes toward learning MH is crucial in recognizing the pitfalls of MH teaching.

  • Amongst medical students, there exists a rhetoric that MH are “tick box exercises” that function purely to coax out empathy and soft skills, such as teamwork,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This has been recognized previously as a significant barrier to integration of MH.2 
  • Hunter Birden and Tim Usherwood comment on similar attitudes toward professionalism teaching whereby students are able to anticipate the desired outcomes and game the system13(p408) as opposed to exercising reflective abilities. We have seen this played out in our own experiences, where reluctant students feel MH are being unnecessarily forced onto them by educators.
  • Students resist participating in activities prescribed by the medical school unless they directly ascertain the benefit before engaging in the process. Often, there is a correlation drawn between what students know is examinable content and whether they are motivated to engage with it.

Of course, MH educators will promote their subject; they have already demonstrated a degree of passion by choosing to teach it. Students, by contrast, have no such vested interest in promoting MH and therefore positive perspectives on the learning experience are more authentically received by peers. As such, students can play a pivotal role in encouraging MH engagement; by communicating the benefits of MH teaching, their contemporaries are more amenable to participating themselves. Furthermore, learning from student perspectives opens opportunities for peer teaching that allows a longitudinal flow of knowledge beyond a perceived hierarchy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의학교육에서 가치 있는 모든 것이 정규 커리큘럼을 통해 가르치는 것은 아닙니다. 의대생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환자 및 다른 의료 전문가와의 임상 경험을 통해 배웁니다. 의학교육 및 MH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자율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위 숨겨진 커리큘럼을 고려하면 의학교육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연구가 가능합니다.45 본질적으로 숨겨진 커리큘럼 내 학습은 학생 경험에 중심을 두므로 이러한 관점을 탐구하는 것은 이해를 위한 입구를 제공합니다. MH는 모든 학생이 실수나 잘못에 대한 두려움 없이 편안하게 현장과 더 넓은 토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내에서 접근성이 뛰어나고 보편화되어야 합니다. 소수의 선택된 학생이 아닌 모든 의대생에게 MH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진료에 미칠 영향의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Not everything of value in medical education is taught through the formal curriculum. Consciously and subconsciously, medical students learn from clinical experiences with patient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regards to medical education and MH,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informal space in which students can autonomously explore and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A consideration of this so-called hidden curriculum allows for more well-rounded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45 In essence, learning within the hidden curriculum is centered in student experience and, as such, exploring these perspectives offers an inlet for understanding. MH must be both accessible and ubiquitous within curricula such that all students are comfortable contributing to the field and the wider discussions it opens up, without fear of making mistakes or getting things wrong. In providing MH opportunities to all medical students, as opposed to the self-selecting few, we broaden the scope for their impact on future practice.

영국에서의 인터칼레이팅
Intercalating in the UK

AAMC 보고서는 미국 의과대학 모델 내에서 MH의 이점을 포괄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영국 시스템과는 구조가 크게 다릅니다. 영국에서는 학생들이 5년의 학부 의학 학위 과정을 중단하고 의학 관련 주제를 추가로 1년 동안 공부하는 인터칼리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의 모교에서 수강할 필요가 없으며, 인터칼리케이터를 위해 특별히 제작되거나 의학 이외의 학부생 코호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인터칼리지 과정은 다양한 과목으로 제공되며, 저희의 경험에 따르면 해부학, 신경과학, 여성 건강 등이 인기 있는 선택 과목입니다. 인터칼리제이션은 학문적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만 선택한다는 오해와 '전통적인' 과학 기반 과목을 선호하는 성향이 맞물려, 대학별 웹사이트를 제외하고는 잘 문서화되어 있지 않지만 MH 인터칼리제이션 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예를 들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2020/2021학년도 입학생 중 MH 인터칼로테이션(의학 인류학 또는 과학 및 의학의 역사와 철학)을 수강한 학생은 9명에 불과한 반면, 심혈관 과학, 신경과학, 소아 및 아동 건강은 각각 37명, 34명, 24명에 달했습니다.14 
The AAMC report comprehensively outlines the benefits of MH within the American medical school model, however this differs greatly in structure to the UK system. In the UK, there is an opportunity to undertake an intercalation: students interrupt their five-year undergraduate medical degree to spend an extra year studying a topic related to medicine. These courses need not be taken at a student’s home university and are either crafted specifically for intercalators or allow students to join a cohort of undergraduates from beyond medicine. Intercalated courses are offered in a range of subjects and, from our own experience, popular choices include anatomy, neuroscience, and women’s health. A prevailing misconception that intercalation is reserved for the most academically minded students, combined with the propensity toward electing “traditional” science-based courses mean that the uptake for MH intercalated courses is still relatively low, although this is not well documented aside from university-specific websites. For example, in the 2020/2021 uptake at University College London, just nine internal students undertook an MH intercalation (in either Medical Anthropology or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 Medicine) compared with 37, 34, and 24 students for Cardiovascular Science, Neuroscience, and Pediatrics and Child Health respectively.14

인터칼리케이터는 학사, 석사, 의학석사, 의학박사 등의 형태로 추가 학위 자격을 취득합니다. 이러한 형식의 인터칼리데이션은 영국 의과대학에만 있지만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 서인도제도, 홍콩, 남아프리카공화국, 캐나다에서도 유사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15 학생과 학교 모두에서 고르지 않은 수용에도 불구하고 MH의 인터칼리데이션 과정은 확실히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소수의 소수에서 시작하여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영국과 미국의 의과대학에서 인문학 기반 과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4 
Intercalators gain an extra degree qualification in the form of a BSc, MSc, MRes, BMedSci, etc. Intercalation in this format is unique to UK medical schools but similar programmes are run in Ireland, Australia, New Zealand, the West Indies, Hong Kong, South Africa, and Canada.15 Despite the patchy uptake from students and schools alike, MH’s intercalated courses have certainly become more popular. Developing from a tiny minority, we have seen an international interest beginning to rise and an increase in uptake of humanities-based courses in medical schools in the UK and the US.4

대부분의 인터칼리네이팅 학생들이 학사 학위 과정을 소중히 여기고 핵심 의학 커리큘럼의 범위를 넘어서는 기술을 개발한다는 우리의 경험은 문헌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16 학생들은 이를 사고, 글쓰기, 의사소통 방식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이자 학제 간 팀 내에서 일하고 연구에 기여하며 미래 진로 옵션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로 여깁니다. 인터칼리데이션 동기에 관한 많은 문헌은 향후 고용 가능성 측면에서 이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비판적 평가, 통계 분석 및 심층 연구와 같은 이전 가능한 기술은 학사 학위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이 찾고 있습니다.17 MH 측면에서 인터칼리데이션 학위는 일회성 과제나 워크샵보다 더 강력한 포용성 버전임에 틀림없습니다. 이 글의 회색 영역 섹션에서는 MH 인터칼리데이션의 경험에서 얼마나 강력한 포용성을 달성했는지에 대한 성찰을 살펴봅니다. 
Our experience that the majority of intercalating students come to value their BSc year and develop skills beyond the scope of the core medical curriculum is confirmed by the literature.16 Students see this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how they think, write, and communicate as well as a chance to work within interdisciplinary teams, contribute to research, and maximize their future career options. A great deal of the literature on motivations to intercalate highlight the benefits in terms of future employability; the transferable skills of critical appraisal,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 are highly sought after in students choosing a BSc.17 In terms of MH, an intercalated degree is arguably a stronger version of inclusion than a one-off assignment or workshop. Reflections on how strong inclusion has been achieved in our experiences of MH intercalation are explored in the Gray Areas section of this piece.

그러나 우리는 MH에 대한 관심으로 모인 자발적으로 선택된 학생 그룹을 대표합니다. 이는 더 강력한 형태의 포용성으로서 인터칼리데이션의 함정 중 하나를 강조합니다. 인터칼리데이션은 자발적이기 때문에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한 측면으로서 MH에 대한 사전 관심이나 신념이 있는 사람들만 모이게 됩니다. 또한, 1년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인터칼리데이션은 광범위한 의학 커리큘럼과의 관계 측면에서 여전히 압축적이고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년이라는 단기간의 MH 참여는 의대생들이 인문학 참여를 통해 축적된 폭넓은 기술을 집중적이지만 간헐적인 학습으로 줄일 수 있다고 믿게 함으로써 의학교육의 목표 지향적이고 객관적인 성공 척도를 영속화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역사, 예술, 인류학 등 인문학에 포함된 다른 학문 분야를 하룻밤에 공부하거나 강의를 몇 번 듣는다고 해서 능숙해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많은 학생들이 의학 학위를 취득한 지 2~3년이 지나서 편입하기 때문에 과정 초반에는 [임상의학은, MH가 이해하고자 하는 회색 영역이 없는, 순수 과학에서 파생되었다는 개념]에서 벗어나는 학습un-learning이 필요합니다.18 
However, we represent a self-selected group of students, brought together by our interest in MH. This highlights one of the pitfalls of intercalation as a stronger form of inclusion: it is voluntary and, as such, attracts only those with prior interest or belief in MH as a facet of becoming a good doctor. Furthermore, despite being a year-long course, intercalation is still condensed and sporadic in terms of its relation to the broader medical curriculum. An isolated one-year engagement with MH has the propensity to perpetuate the goal-oriented, objective success measures of medical education as it facilitates medical students’ belief that the breadth of skills amassed through engagement in the humanities can be reduced down to focused but intermittent study. This is demonstrably untrue: one does not become proficient in history, art, anthropology, or any of the other academic fields encompassed by studying humanities overnight, or over a series of lectures. Similarly, as many students intercalate having undergone two or three years of their medical degree, much of the early part of the course requires an un-learning of the notion that clinical medicine is derived from pure science, devoid of the gray areas MH seeks to understand.18

단 하루, 또는 일 년 동안 MH에 참여했다고 해서 학생이 전문가가 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기대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MH와 전통적인 의학교육 분야(해부학 또는 생리학 등)를 비교하여 발전된 비교가 필요합니다. 신경과학을 학사 과정으로 1년 동안 공부한다고 해서 신경과학을 완전히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기대치를 인문학 과정에 적용하는 것은 임상 의학에 비해 최종 목표가 덜 명확하기 때문에 의학교육자 사이에서만 인정됩니다. 학생으로서 우리는 이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An isolated day, or even year, of engagement with MH by no means makes a student an expert. A developed comparison between MH and the more traditional areas of medical education (such as anatomy or physiology) is required in order to manage expectations. One would not expect to gain a wholly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euroscience from one year studying the subject as a BSc – application of this expectation to humanities courses is only accepted among medical educators because the end goal is less well-defined compared with clinical medicine. As students, we can work toward refining this goal.

회색 영역
Gray areas

이 섹션에서는 MH 내에서 다섯 가지 영역에 걸쳐 우리의 성찰을 정리합니다. 이러한 영역의 교육이 어떻게 흑백 생물의학 모델을 넘어서는 탐구를 가능하게 했는지, 그리고 MH의 강한 포함 여부에 따라 학습 성과가 제공되었는지 여부에 중점을 둡니다. 
In this section, we organize our reflections across five domains from within the MH. We focus on how teaching in these areas has allowed for exploration beyond the black and white biomedical model and whether or not learning outcomes were provided by strong or weak inclusion of MH.

역사
History

전 세계적으로 '문제 기반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의학 교육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19 학생들이 역사적 사건에 대한 맥락적 비판을 중심으로 현대 진료에 대한 접근 방식을 구축하도록 장려하는 것은 이러한 학습 방법을 반영합니다. 오늘날의 의과대학은 수 세기 동안 사용되어 온 교육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의 사회학적 영향은 의학교육 내에서 거의 탐구되지 않았습니다. 푸코의 『클리닉의 탄생』은 여러 시대에 걸쳐 널리 퍼진 교수 전략의 한 예인 해부가 의학적 시선의 발달을 통해 어떻게 의학의 실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는지 설명합니다.20 의학적 시선은 환자의 대상화를 이해하는 데 폭넓은 렌즈를 제시합니다. 
A great deal of medical education is centered around case studies, illustrated by the global rise in interest of “problem-based-learning”.19 Encouraging students to build their approach to modern practice around contextual criticism of historical events mirrors this method of learning. Today’s medical schools employ teaching strategies that have been around for centuries. However, the sociological impact of these strategies is rarely explored within medical education. Foucault’s The Birth of the Clinic delineates how dissection, one example of a teaching strategy that has prevailed through the ages, fundamentally changed the practice of medicine through its development of the medical gaze.20 The medical gaze presents a broad lens for understanding the objectification of patients.

좀 더 구체적으로 의대생이라면 누구나 익숙한 청진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청진기는 이전에는 들을 수 없었던 신체 과정을 의사에게 들려주었고, 이를 통해 의사는 환자 자신보다 환자의 상태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서서히 이러한 '징후'가 환자의 증상보다 우선하기 시작했습니다.21

  • 의대생 시절, 선배들이 심잡음이나 숨소리가 들리는 환자를 진찰하고 흉부를 듣고 돌아와 결과를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으면 환자의 개인적인 이야기보다 환자의 내적 청진음이 우선했던 기억이 납니다.
  • 마찬가지로 학생과 의사 모두 방사선 사진, 심전도, 혈액 검사 결과 등을 제공받으면서도 환자의 신체를 본 적도 없이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부학, 청진기 및 기타 역사적 발전 이후 의학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이해하면 현대 의학의 윤리와 편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More specifically we can consider an item all medical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stethoscope. The stethoscope made previously inaccessible bodily processes audible to the doctor, through which the doctor came to know more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than themselves. Slowly, these ‘signs’ began to take precedence over the patient’s symptoms.21 

  • As medical students, we can recall being sent by our seniors to examine a patient with an interesting heart murmur or breath sounds, listening to the chest and returning to report our findings: the patients’ internal intonations taking precedence over their personal story.
  • Not dissimilarly, students and doctors alike are often presented with radiographic images, ECGs, or blood results to interpret without ever having seen the patient from whose body they were derived.

We have found that understanding how medicine has changed since the advent of dissection, the stethoscope, and other historical developments installs a sensitivity to the ethics and biases of modern practice.

역사에서 배우는 것은 윤리적 실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임상 환경과 연구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더 큰 성찰과 인식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것이 바로 의학교육에서 역사를 약하게 포함시키는 것과 강하게 포함시키는 것 사이의 차이점입니다.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약한 포함은 전임자들의 "성공과 업적"에 초점을 맞추고 "과거의 실수, 누락, 실패"를 놓치는 경향이 있습니다.22(629쪽) 과거에 대한 과도한 미화는 의학이라는 제도와 실천이 결코 잘못한 것이 없고 오직 좋은 일만 하는 것으로 그려지게 합니다. 역사에 대한 균형 잡힌 교육은 이것이 의대생에게 제시하기에 잘못된 생각이며 잠재적으로 위험한 생각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의학의 성공과 실패를 모두 이해하는 것은 의학의 역사에 필수적입니다.  
Learning from history allows a greater reflection and awareness of ethical practice, how to act and – perhaps more importantly – how not to act in clinical settings and within research. This is a point of deviation between weak and strong inclusion of history within medical education. In our experiences, weak inclusion tends to be hagiographic focusing on “successes and achievements” of our predecessors, while missing out “follies, omissions, and failures of the past”.22(p.629) The over-glorification of the past paints medicine as an institution and practice never in the wrong, only doing good. Well-rounded teaching in history shows this to be a false and potentially dangerous idea to present to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both its successes and failures is essential to the history of medicine.

터스키기 매독 연구는 의학 연구에서 윤리와 균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가슴 아픈 사례입니다.23 이러한 가치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이해하지 못하면 향후 연구에서 그 기념비적인 중요성을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터스키기 연구에서는 매독의 자연사를 연구하기 위해 매독에 감염된 흑인 남성 참가자를 40년 동안 관찰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매독 치료제가 개발되었지만, 참가자들의 상태를 연구할 수 있을 만큼의 치료제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사망자가 상당수 발생했습니다(이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터스키기 타임라인'23 참조). 이 재판 이후 여러 연구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의료기관 및 연구 간의 치료 관계에 가시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혀냈습니다.24,25

  • 역사학자 수잔 리버비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불신의 원인은 터스키기 재판보다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갑니다.26
    • 노예 소유주가 의학 실험을 위해 노예를 훔치는 '나이트 라이더'에 대한 공포를 심어준 증거
    • 19세기 후반 의과대학에 해부를 위해 흑인의 시신을 판매하는 도굴꾼에 대한 증거가 남아 있습니다.

The Tuskegee syphilis study is a poignant example of the importance of ethics and equipoise in medical research.23 Without an understanding of where these values come from, it becomes difficult to appreciate their monumental importance in future research. In the Tuskegee study, black male participants who had contracted syphilis were observed over a 40-year period to study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Over this time, treatment for syphilis became available but was not given to the participants such that their condition could be researched: this led to a significant number of unnecessary deaths (for more information on this study, see ‘The Tuskegee Timeline’23). Since this trial, a number of studies have revealed a tangible, lasting impact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African Americans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research.24,25 

  • Work from historian Susan Reverby suggests that the reasons for this distrust goes back much further than the trial in Tuskegee.26 
    • There is evidence of slaveholders instilling fears of ‘night riders’ who would steal slaves for medical experimentation and,
    • later in the 19th century grave robbers selling black bodies to medical schools for dissection. 

터스키기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보는 불신감을 더했을지 모르지만, 이는 수 세기 동안 의료계가 흑인들에게 가한 고통과 아픔을 기반으로 합니다. 인종 간 구조적 불평등이 지속되면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끔찍한 결과와 백신 접종률의 현저한 편차가 나타난 현 상황에서 인종화된 의학의 역사에 대한 이해는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27,28 
The Tuskegee study may have added to the sense of mistrust that we see today, but this is built on centuries of pain and suffering inflicted on black individuals at the hands of the medical community. For us, in the contemporary context, where enduring structural inequalities between ethnic groups have manifested in dire outcomes and significant variation in vaccination uptake throughout the Covid-19 pandemic, an understanding of the racialised history of medicine is ever more pressing.27,28

의료 분야의 역사적 사건을 되돌아보고 접근하는 방식은 의료의 공공성을 위해 중요합니다. 2019년 뉴욕 센트럴파크의 시위대는 흑인 여성 노예를 동의나 진통제 없이 실험한 산부인과 의사 J 매리언 심스 박사의 동상 철거를 요구했습니다. 이러한 잔인한 권력 조작은 결국 여러 가지 선구적인 부인과 수술 기법과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시조인 심스 검경의 개발로 이어졌습니다.29 우리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역사적 맥락을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것은 서양 의료 행위의 기원에 대해 알고, 그 역사의 함의에 민감하며, 따라서 의료계에 여전히 존재하는 불의에 대해 발언할 수 있는 도구를 가진 의료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The manner in which we look back on and approach historic events in the field is important for the public face of medicine. In 2019, protesters in Central Park, New York demanded the removal of a statue depicting Dr J Marion Simms, a gynecologist who experimented on black female slaves without their consent or analgesia. This brutal manipulation of power eventually culminated in the development of a number of pioneering gynaecological surgical techniques and the eponymous Sims speculum, an instrument still in use today.29 In our experience integration of historical context into curricula is vital to produce healthcare professionals informed about the origins of Western healthcare practice, sensitive to the implications of that history, and therefore have the tools to speak out against the injustices that still exist within medicine.

이전 글에서 자린 자이디 등은 의학 및 의학교육 내에서 '정상화'라는 개념을 고찰했습니다.30 이는 이 섹션에서 논의한 사례와 연결되는데, 사회적으로 구성된 관념이 무엇이 정상인지, 그리고 이와 함께 무엇이 비정상인지에 대한 관념을 어떻게 가져오는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례에서 우리는 백인의 관점과 경험이 지배적이고 따라서 정상화되어 흑인의 관점이 비정상적이거나 타자화된 관점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In an earlier installment, Zareen Zaidi et al. consider the idea of ‘normalization’ with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30 This links to the examples discussed in this section as we can see how socially constructed ideas bring about an idea of what is normal, and alongside this, what is abnormal. We can see from these examples that the white perspective and experience is dominant and therefore normalized, resulting in the black perspective becoming the abnormal or othered perspective.

의학의 역사에 대한 자세한 지식은 커리큘럼에 MH를 더 많이 포함시킴으로써 육성될 수 있으며, 현재 의학 교육과 의료에 만연한 과거에 대한 현재주의적, 역사주의적 관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31
A detailed knowledge of the history of medicine, as would be fostered through a stronger inclusion of MH in curricula, trains a critical lens on damaging presentist and hagiographic views of our past, which remain rife through current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31

문학
Literature

과학과 달리 인문학은 양적 데이터보다 질적 데이터를 활용합니다. 문학적 증거를 조사하고 분석하면 과학적 방법으로는 놓칠 수 있는 회색 영역에 대한 미묘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인문학에 고유한 방법이나 연구 분야가 없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증거가 없는 결론도 아닙니다. 의학교육에서 이러한 방법론은 가치 있는 학문적 연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흑백 과학적 이분법을 넘어 의학을 이해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In contrast to the sciences, the humanities utilize qualitative data over quantitative.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written, literary evidence allows for nuanced evaluation of gray areas, otherwise missed by scientific methods. That is not to say that MH are without distinct methods or fields of study, nor are its conclusions without concrete evidence. For medical education, these methodologies not only provide valuable academic research; they also provide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medicine beyond black and white scientific binaries.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교육자가 MH 방법론을 처음부터 신중하게 가르치는 데 시간을 투자하면 학생들은 환자 경험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의 경험과 의학의 더 넓은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어휘를 갖추게 됩니다. 예를 들어, 연구자의 반성성에 기반한 연구 방법론인 자동 민족지학은 의대생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순한 반성 연습을 넘어 "자아와 문화 사이의 상호관계"를 연구하고 질문할 수 있게 합니다.32(975쪽) 임상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기 위한 언어 연구의 중요성은 John Skelton의 논문 '언어, 철학, 의학교육'에서 심도 있게 논의됩니다. 이 글에서 그는 모든 환자 시나리오에서 효과적인 단 하나의 의사소통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다양한 언어학적 접근법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인식과 지식만이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33  
In our experience, educators spending time to teach MH methodologies carefully and from the ground up equips students with the vocabulary for understanding not only patient experiences, but our own experiences and wider structural problems with medicine. For example, auto-ethnography, a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reflexivity of the researcher, allows medical students to study and questi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elf and culture”, moving beyond commonly used simple reflective exercises.32(p 975) The importance of studying language in order to improve clinical communication is discussed in depth by John Skelton in his paper, ‘Language, Philosophy, and Medical Education.’ In this piece, he argues that there does not exist one singular method of communication which is effective in all patient scenarios, and it is, therefore, only the awareness and knowledge to select from a range of linguist approaches that can lead to success in these scenarios.33

질적 증거의 출처 중 하나는 환자 내러티브입니다. 이러한 이야기를 충분히 고려하면 환자 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총체적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이나 마르가 에드슨의 <위트>와 같은 문학적 사례를 연구하는 것은 의대생에게 환자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맥락화하는 다양한 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34,35 사례 기록과 요약은 학생들이 환자 경험의 복잡성을 1분 정도의 짧은 요약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이는 환자에 대해 특정한 방식으로 말하고 생각하는 결과를 낳고 질병이 사람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소홀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예를 들어, 의대생이 만성 통증이 아닌 반려견을 산책시키지 못하는 것이 환자의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면 선배 동료로부터 환멸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 행동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킵니다. 학생들은 환자를 전인격적으로 대하고자 했던 초기의 열정을 잊고, 대신 의사를 관찰하면서 임상 징후와 증상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저희의 경험에 따르면, 선배 의사에게 환자를 소개할 때 환자의 삶과 사회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면 '하지만 실제로 환자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냈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임상 의학에서 환자의 이야기가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강화합니다. 
One such source for qualitative evidence is patient narratives. When considered fully, these stories allow for a richer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experience. Studying literary examples such as Tolstoy’s The Death of Ivan Illych and Wit by Margaet Edson offers medical students an opportunity to develop a diverse set of tools for analyzing and contextualizing patient narratives.34,35 Case histories and summaries encourage students to condense the complexities of patient experience into a short, often one-minute, summary. In our experience, this results in a specific way of talking and thinking about patients and introduces the opportunity to neglect a holistic appreciation of the many ways in which illness can affect a person’s life.

  • For example, as a medical student reporting the most damaging impact of a patient’s condition as the inability to walk their dog, rather than their chronic pain, could result in a disillusioned response from senior colleagues. This causes significant changes in clinical behavior over time. Students become conditioned to forget their initial enthusiasm for approaching patients as whole people and instead learn, through observing doctors, that clinical signs and symptoms are more important.

In our own experience, leading with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life and social factors when presenting a patient to a senior doctor is often met with ‘but did you find out what is actually wrong with them?’. These interactions reinforce the idea that patient stories are unimportant in clinical medicine.

리타 샤론은 내러티브 이해가 의료 전문가에게 핵심 기술이라고 주장합니다.36 의대생은 "내러티브 역량"36(p1897)을 개발하고 "이야기를 흡수하고 해석하고 반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36(p1897) 내러티브는 "인간 지식의 상호주관적 영역"36(p1898)에 속하므로 두 가지 주체가 필요합니다: "이야기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작가와 독자",36(p1898) 학생과 교사, 의사와 환자. 따라서 내러티브 이해는 임상 커뮤니케이션의 풍요로움을 가져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논리 과학적 지식"에 대한 '객관적' 관찰자는 분리되어 있습니다.36(p1898) 이러한 방식으로 내러티브 의학은 의사와 환자의 경험을 모두 고려하고 "공감, 성찰, 전문성 및 신뢰성"을 중심으로 구축된 의료 행위를 촉진합니다.36(p1897).
Rita Charon argues that narrative understanding is a key skil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36 Medical students should develop “narrative competency”36(p1897) and learn to “absorb, interpret and respond to stories”.36(p1897) Narrative belongs to the “intersubjective domains of human knowledge”36(p1898) and thus require two subjects: “a teller and a listener, a writer and a reader”,36(p1898) student and teacher, doctor and patient. Hence narrative understanding leads to an enrichment of clinical communication. In contrast is the detached, ‘objective’ observer of “logico scientific knowledge”.36(p1898) In this way, narrative medicine brings both the experiences of doctor and patient into view, and promotes a medical practice built around “empathy, reflection, professionalism and trustworthiness”.36(p1897)

철학과 윤리
Philosophy and ethics

의학교육에서 철학의 가치새로운 이해의 각도를 제공하는 데 있습니다.37

  • 기존의 가정을 검토하여
  • "아무도 찾지 못한 문제"37(p343)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 의학을 수행하는 새롭고 더 나은 방법을 깨우치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의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존재론적 질문을 다루는 것은 의학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과 지침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의학 교육을 형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For us, the value of philosophy to medical education lies in the provision of new angles of understanding;

  • examining existing assumptions,
  • leading to answers for “problems no one looked for”37(p343) and
  • enlightening us to new, better ways to do medicine.37 

In the same vein, addressing ontological questions, such as what medicine is, can provide insight and guidance to what medicine ought to be and consequently be used to shape medical education.

현상학은 임상 배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철학적 방법론입니다. 가장 최근에는 하비 카렐이 『질병의 현상학』(2016)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했는데, 현상학은 개인과 관련된 경험을 주의 깊게 살피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다른 인문학 방법론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38 이를 통해 현상학은 우선 생물학적 질병에 초점을 맞춘 생물 의학과는 구별되는 생생한 경험으로서 질병을 탐구합니다. 의학교육에서 현상학은 개별 환자에게 질병, 의료 및 의학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필연적으로 다원적 접근을 장려합니다. 우리는 이를 생물학적 경로가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은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 대한 경험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정신과 질환과 섬유근육통과 같은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증후군이 포함됩니다. 현상학은 생물학적 현상에 앞서 환자의 선험적 경험에 중점을 두어 이러한 환자의 질병 경험에 타당성을 더하고 의료 전문가가 이러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질병보다 질병에 대한 생물 의학의 인식적 편견을 생생한 경험으로 이해하면 이러한 환자 그룹이 현대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되고 종종 진단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현상학적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 Veen과 Rietmeijer(2021)에서 자세히 논의합니다.40 
Phenomenology is a philosophical methodology that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our clinical placements. Most recently and thoroughly explored by Havi Carel in Phenomenology of Illness (2016); phenomenology can be used in tandem with other humanities methodologies in its focus on the careful examination of experience as it pertains to the individual.38 Through so doing, phenomenology explores illness as firstly a lived experience, that is distinct biomedicine focus on biological disease. For medical education, phenomenolog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to what illness, healthcare, and medicine mean for individual patients and necessarily promotes a pluralistic approach. We can apply this to our experience to patients with illness that lacks a clearly understood biological pathway. These include psychiatric illnesses and “medically-unexplained” syndromes like fibromyalgia. Phenomenology’s emphasis on patients’ lived-experience a priori to the biological phenomena adds validity to the illness experience of these patients and it aids understanding of these experiences for the healthcare professional. Furthermore, understanding the epistemic bias of biomedicine toward disease over illness as a lived-experience can explain why these groups of patients can be side-lined in modern healthcare and often struggle to receive a diagnosis.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discussed in more depth in Veen and Rietmeijer (2021).40

의학 커리큘럼의 변화에 관한 논문에서 순딥 미쉬라(Sundeep Mishra)는 의대생들이 외부 환경, 즉 의학의 세계 바깥에 있는 환경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유지하고, "현실에 기반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41(187쪽) 철학과 윤리는 [가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개념]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의학의 관점을 유지하도록 대화를 촉진합니다. MH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우리는 질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의학의 목적(통증 감소, 생명 연장, 질병 치료 등)이 무엇인지 탐구했습니다. -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합리적인 수단이 무엇인지 탐구했습니다. 정답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어려운 논쟁의 회색 지대를 탐색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임상 진료에 대한 자신의 성찰을 심화시키는 데서 가치를 발견했습니다. 
In her paper on changing the medical curriculum, Sundeep Mishra explains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medical students’ orientation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one outside the world of medicine, as well as keeping us “grounded to reality”.41(p187) Philosophy and ethics facilitate the conversations that keep medicine in perspective by questioning concepts that are otherwise taken as assumptions and accepted to be true. As students studying MH, we have explored what is meant by disease, what the purpose of medicine is - reducing pain, prolonging life, curing disease, etc. - and what the reasonable means to achieving these ends are. Even if we never arrive at a definitive answer, we have found value in navigating the grays of difficult arguments,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s of others, and deepening our own reflections on clinical practice.

이러한 큰 질문들을 던지는 것은 의학이 "현실에 기반을 두는 것"(41(187쪽))과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의학적 결정의 더 큰 의미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의학은 경제, 정치, 문화, 미디어, 여론의 영향을 받으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회 각 분야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의대생으로서 우리는 공부를 계속할수록 외부 세계와 점점 더 멀어질 수 있습니다. 다른 학생들과는 다른 요구 사항, 다른 학기, 더 많은 공부 기간, 심지어 의대생 전용 동아리 및 학회까지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대한 방향을 잊어버릴 위험이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의대생들이 MH에 참여하여 공감하고 폭넓은 사고를 가진 미래의 임상의사 그룹을 만들어 의학에 대한 이러한 이해를 사회와 뗄 수 없는 관계로 인식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sking some of these big questions may seem like the opposite of keeping medicine “grounded to reality”; 41(p.187) however, this approach provides a wide-angle lens with which to view society and allows us to assess the bigger implications of medical decisions. Medicine is affected by economics, politics, culture, media, and public opinion and in turn it has effects on these sects of society. Yet, as medical students, we can become more and more detached from the outside world as we continue our studies. With different demands than other students, different term times, more years of study, even clubs and societies exclusively for medical students, it is no wonder we risk forgetting to orientate ourselv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hat we engage medical students with MH to create a group of empathetic and broad-minded future clinicians so that they might engage and propagate this understanding of medicine as inextricably grounded in society.

외과의사 헨리 마쉬와 폴 칼라니티의 최근 인기 회고록인 Do No Harm(2014)42과 숨결이 바람 될 때(2016)43는 각각 푸코가 설명한 환자 대상화의 도전, 가능한 이점, 효과에 대한 강력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20,44 우리의 경험과 공명하는 마쉬와 칼라니티의 작업에서 우리는 환자가 [질병을 가지고 있는 대상]으로 전락하여 외과의사가 자신의 업무를 분리하고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환자를 온전한 개인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공감을 희생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Two recent popular memoirs from surgeons Henry Marsh and Paul Kalannithi in Do No Harm (2014)42 and When Breath Becomes Air (2016)43 respectively offer a powerful insight into the challenges, possible benefits, and effect of patient objectification described by Foucault.20,44 Resonating with our experiences, in both Marsh’s and Kalanithi’s work, we see patients reduced to objects-containing-disease which enable the surgeons to disconnect and carry out their work. However, this is arguably at the expense of empathy as patients are viewed as less than whole individuals.

데이비드 로스먼의 '병상의 낯선 사람들'은 20세기 후반 의료 의사 결정의 역사와 그에 따른 생명윤리의 부상을 자세히 설명합니다.45 그는 의학이 어떻게 변화하고 세상 및 환자와 단절되었는지를 전문적으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의료계가 더 많은 지식과 테크닉을 추구하면서 의학은 더욱 과학적이고 전문화되었으며 덜 개인적이 되었습니다. 로스만의 연구는 임상 의학 외부, 즉 병상 밖의 요인이 의학적 의사 결정과 환자-의사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신랄한 사례입니다.45 의대생인 우리에게는 원리와 법칙을 암기하는 것보다 의료 윤리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좋은 의료 행위, 즉 윤리적이라고 간주되는 것이 항상 역사 속에 있으며, 어느 정도는 역사적 시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로스만은 MH가 현대 생물의학 모델과 전문화가 열어준 의사와 환자 사이의 간극을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합니다.45 
David Rothman’s Strangers at the Bedside details the history of medical decision making, and the subsequent rise of bioethic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45 He expertly draws out how medicine has changed and become disconnected from the world and its patients. Through the medical profession’s quest for ever more knowledge and techniques it became more scientific, more specialized and less personal. Rothman’s work is a poignant example of how factors outside of clinical medicine, that is to say beyond the bedside, can influence medical decision making and the patient-doctor relationship.45 For us as medical students,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medical ethics, rather than rote learning the principles and laws, shows what is considered to be good, or ethical, medical practice is always situated in history and, to a certain extent, dictated by the historical period. Notably, Rothman goes so far as to suggest that MH may be able to close the gap between doctor and patient that modern biomedical models and specialization opened up.45

의학의 측면, 특히 윤리를 가르치고 배울 때 우리는 숨겨진 커리큘럼의 역할과 중요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교육자와 학생은 숨겨진 커리큘럼 내에서 학습할 때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알고 있어야 잠재적인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46 MH 교육은 이러한 단점을 일부 완화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잭 쿨한과 피터 윌리엄스는 윤리 및 MH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숨겨진 커리큘럼의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어떻게 면역47(598쪽)이 되는지 탐구합니다. 우리는 이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통해 MH를 통해 길러지는 성찰, 비판, 공감의 기술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배치 경험을 선별하여 본받고 싶은 것과 피하고 싶은 것을 가려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48 또한, 성찰은 MH, 특히 예술을 통해 "낯설게 만들기" 과정을 통해 활성화되고 촉진됩니다.3 여기에는 새로운 표현과 결과적으로 우리의 "정상적이고" 자동적인 일상 행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수반됩니다. 예를 들어, 숙련된 외과의사에게 수술 과정을 예술 작품, 영화, 내러티브로 제시함으로써 수술 과정을 낯설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전에 검토하지 않았던 편견과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반영하여 임상 치료에 대한 새로운 인사이트와 접근 방식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When teaching and learning aspects of medicine, perhaps especially ethics, we must consider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hidden curriculum. Educators and students must be aware of bot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earning within the hidden curriculum such that its potential benefits are maximized.46 MH teaching has been found to mitigate some of these disadvantages. Jack Coulehan and Peter Williams explore how students are immunised47(p.598) from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hidden curriculum through teaching on ethics and MH. We can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paper and know the skills of reflection, critique, and empathy that are cultivated through MH allow students to sift through their experiences on placement, picking out the things they wish to emulate, and others that they hope to avoid.48 Furthermore, reflections are enabled and promoted by MH, especially the arts by the process of “making strange”.3 This involves a novel presentation and consequentially new perspectives on our “normal”, automatic, everyday behavior. For example, one can make the process of surgery strange to an experienced surgeon by presenting aspects in artwork, film, and narratives. This forces analysis and reflection upon previously unexamined biases and ideas, leading to new insights and approaches to clinical care.

인류학
Anthropology

가장 사회적인 과학이자 가장 과학적인 인문학으로 평가받는 인류학은 내용, 맥락, 개발 역량 모두에서 전통적인 학문 분야를 넘나듭니다. 인류학자들이 주로 연구하는 민족지학적 데이터는 특정 문화 현상에 대한 인간의 경험을 분석하는 범위에서 의학 연구의 원리와 많은 부분을 공유합니다. 궁극적으로 의학은 서비스 직업입니다. 임상의사로서 우리의 업무는 인간 상태의 뉘앙스와 변화에 지울 수 없는 영향을 받습니다. 의학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인류학적 프레임워크는 미래의 의사들이 서양 생물의학의 기원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생물 의학의 경직된 도식과는 달리, 생물 의학이 질병과 불건강을 치료하는 유일한 실행 가능한 방법은 아닙니다. 궁극적으로 생물의학의 헤게모니를 옹호하게 될 학생들에게는 생물의학의 기원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대안적 치료법의 가능성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Posited as both the most social of the sciences and the most scientific of the humanities, anthropology traverses traditional academic disciplines in both content, context, and the competencies it develops. Ethnographic data, the mainstay of research for anthropologists, shares a lot of the principles of medical research in its scope for teasing apart the human experiences of particular cultural phenomena. Ultimately, medicine is a service profession. As clinicians, our work is indelibly influenced by the nuance and variation in the human condition. An anthropological framework with which to think on medicine allows future doctors to understand the origins and implications of western biomedicine. Much unlike the rigid schema of biomedicine would have us believe, it is not the only viable method of treating disease and ill-health. For students who, ultimately, will go on to uphold the hegemony of biomedicine, it is crucial to think critically of its origins and to be open to th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healing practices.

의대생과 의료 종사자 모두에게 인류학을 공부하면 의학이 문화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문화가 의학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에서는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아직은 모호한 주제인 '문화적 역량'을 교육함으로써 이러한 상호 작용을 해결하려고 시도하는데, 이는 학생들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 요인에 관계없이 환자를 공평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문화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것입니다. MH 교육이 종종 다른 분야의 기술을 채택하여 생물학에 초점을 맞춘 교육 모델에 부적절하게 중첩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역량 교육]은 문화가 소화되고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정적인 현상이라고 무심코 가정합니다. 아서 클라인먼이 『진료실의 인류학』에서 주장했듯이, 이는 분명 사실이 아닙니다.49
For medical students and healthcare workers alike, studying anthropology offers an insight into methodologies for better understanding how medicine is contingent on culture, and culture is contingent on medicine. Medical schools attempt to address this interplay through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a fashionable yet nebulous subject that seeks to equip students with enough knowledge about culture in order to treat patients equitably regardless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y are impacted by. Much like the manner in which MH education often involves the adoption of techniques from different fields and ill-fittingly superimposes them onto a biologically focused model of teaching, cultural competence teaching inadvertently assumes that culture is a static phenomenon that can be digested and acted upon accordingly. Clearly, as Arthur Kleinman argues in Anthropology in the Clinic, this is not the case.49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문화적 역량에 대한 워크숍과 교육은 환자의 보호 특성을 강조하려고 노력하지만, 이러한 특성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하는 구조를 해체하는 데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예를 들어, 트랜스젠더 남성 환자가 시스젠더 여성과 동일한 피임 요건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것이 환자에게 어떤 불쾌한 경험이 될 수 있는지 고려하고 의료 시스템이 이러한 피해를 완화할 수 있는 해결책을 고안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 경험상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의 일원이거나 그 지지자인 학생은 트랜스젠더의 임상적 영향에 대해 시간을 내어 학습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커리큘럼에 트랜스젠더 건강에 대한 교육이 없는 경우, 이러한 학생들은 시험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둡니다.

저희는 트랜스젠더 환자의 피임과 같이 소외된 집단이 직면하는 의료 서비스 장벽에 대해 더 많이 가르칠 것을 강력히 지지합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임상 지침을 가르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의료 서비스의 구조적, 정치적 장벽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를 추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이러한 주제에 신랄함과 중요성을 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이 자료에 더 잘 참여하고 소외된 집단을 더 잘 옹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Workshops and teaching in cultural competence, in our experience, seek to highlight patients’ protected characteristics yet do little to dismantle the structures through which these characteristics prevent access to appropriate care.

  • For exampl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 transgender male patient may have the same contraceptive requirements as a cisgender female: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consider how this may be a dysphoric experience for our patient and devise solutions through which our healthcare systems can mitigate this harm.
  • In our experiences, students who are members of, or allies for, the transgender community are more likely to take the time to learn about the clinical impact of being transgender. In the absence of teaching on transgender health in the curriculum, these students perform better in exams.

We strongly advocate for more teaching on the barriers to healthcare that marginalized groups face, such as contraception for transgender patients. However, going beyond and teaching students the clinical guidelines and adding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s of the structural and political barriers to healthcare. We believe this adds poignancy and an importance to these topics. On reflection, we find this results in better student engagement with this material and better student advocacy for marginalized groups.

인류학, 더 일반적으로 MH를 공부하는 것은 환자와 임상의가 직면한 사회적, 문화적 압력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합니다. 인류학은 전통적인 임상 능력의 경계를 넘어 공감, 이해, 휴머니즘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What studying anthropology, and MH more generally, provides is a methodology through which to think on the social and cultural pressures faced by patients and clinicians alike. Anthropology has a critical role in the clinic, in its capacity to develop empathy, understanding, and humanism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clinical competence.

실용적인 고려 사항
Practical considerations

MH를 강력하게 포함하는 것의 가치는 전체론적 접근법을 개념화하고 촉진하려는 교육에서 잘 드러납니다. 그러나 MH를 통합하는 데에는 상당한 장벽이 있으며, 여기서 논의할 것입니다. 
The value of a strong inclusion of MH is well demonstrated by teaching that seeks to conceptualize and promote holistic approache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barriers to integration of MH which we will discuss here.

다루어야 할 콘텐츠가 방대할 뿐만 아니라 재정적 압박으로 인해 학생들은 중요한 결과물(예: 임상 중심의 이력서 작성)에 우선순위를 두게 됩니다. 인터칼리제이션으로 인해 1년의 학습 기간이 추가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다양한 참여 배경을 가진 학생의 경우 새로운 과목을 탐구하는 '가치'를 고려할 때 재정 계획은 확실히 중요합니다. 인터칼리제이션의 경제적 제약은 MH 참여에 영향을 미칩니다. MH에 참여한 학생들의 취업 가능성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MH에 돈을 투자할 능력이 있고 투자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연구 및 임상 역량 측면에서 가치를 얻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As well as the sheer breadth of content to cover, financial pressures encourage students to prioritize what they perceive to be important outcomes (for example, building a clinically-focused resume). Given that intercalation adds an additional year of study, financial planning is certainly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e “worth” of exploring a new subject, particularly for students from widening participation backgrounds. The economic constraints of intercalation, by extension, impact engagement in MH. Addressing misapprehensions about the employability of students that have intercalated in MH is vital, such that students, who are capable of and want to invest their money in intercalation, know they are getting value in terms of research and clinical competency.

또 다른 영역은 평가 문제입니다. 영국 의대생들은 유연성과 창의성을 장려하는 평가보다는 정답과 오답으로 점수가 크게 줄어드는 객관식 단답형 시험을 반복적으로 치르게 됩니다. 또한 인문학과 예술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평가 자체에 대한 비판과 통찰력을 제공하여 의학교육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50 
Another such area is the matter of assessment. Rather than assessments which encourage flexibility and creativity, UK medical students are repeatedly presented with multiple-choice, single-best-answer examinations in which marks are broadly reduced to correct vs. incorrect. Furthermore, theoretical frameworks from humanities and the arts can provide critiques and insights into assessment itself for medical education to improve itself.50

MH는 의과대학에서 전통적으로 학생들을 평가하는 틀에 맞추기가 더 어렵습니다. 서면 과제는 교육자가 학생의 학위 인증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지만, 학생들은 종종 이러한 과제를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특정 기술에 대한 숙련도를 입증해야 하는 '틱 박스 연습' 의학교육의 연장선으로 해석합니다. 학생들은 이득이 불분명하거나 평가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과제에 진정으로 참여하기보다는 기대하는 바를 수행하게 됩니다.51 이러한 교육 모델은 잠재적인 학생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MH 교육이 현재 의과대학의 미리 정해진 방법론과 행정 구조에 어떻게 끼워맞추는지를 다시 한 번 보여줍니다. MH 교육에 참여하고 새로운 영역이나 사고 패턴을 통합하기 위해 동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은 우리의 경험을 통해 똑같이 가시적인 학습 성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H are more difficult to mold to a proforma through which medical schools traditionally mark their students. Written work is useful to educators in determining the accreditation of a student’s degree, yet students often interpret these tasks as an extension of “tick-box exercise” medical education, whereby one must demonstrate proficiency in a particular skill in order to move onto the next phase. Students will perform what is expected of them, rather than truly engaging with the task, if the benefit is unclear or assessment unimportant.51 This teaching model often fails to captivate potential students and, once again, demonstrates how MH teaching is often shoehorned into the predetermined methodologies and administrative structures of current medical schools. Engaging with MH teaching, and the conversations one has with peers in order to consolidate new areas or patterns of thought have been shown, through our experience, to offer equally tangible learning outcomes.

영국의 한 의과대학에서는 2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가쓰시카 호쿠사이의 목판화 '가나가와 앞바다의 큰 파도'(1829~1833년경)를 해석하는 소그룹 교육을 하루 동안 진행했습니다. 이 워크숍은 이틀에 걸쳐 전체 수강생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진행되었습니다. 둘째 날에는 워크숍 참석률이 저조했는데, 등록이나 공식적인 평가가 없다는 동료들의 이야기를 듣고 많은 사람들이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하루 동안 진행되는 워크숍이라는 특별한 접근 방식은 가치를 즉시 확인할 수 없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부족합니다. MH가 커리큘럼의 기초에 내장되지 않고 그 위에 추가되는 방식이라면, 학생들은 성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기꺼이 참여를 포기할 수 있습니다. 
At one UK medical school, all second year students were offered a day dedicated to small group teaching around interpreting Katsushika Hokusai’s woodblock print The Great Wave off Kanagawa (circa 1829 − 1833). These workshops were spread over two days for the entire cohort of students to receive teaching. On the second day, workshop attendance was low; having heard from peers that there was no register or formal assessment, many decided it was not worth their time. This particular approach - a day long workshop - falls short of captivating the interests of those who cannot immediately see the value. When MH is added on top of, rather than built into the foundations to the curriculum, students are able, and willing, to disengage provided it does not affect their grade.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공식 평가가 핵심 커리큘럼과 분리되지 않고 의학의 회색 영역을 포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MH 교육의 가치를 정량화하려는 충동을 피하고 그 인식론적 기원을 수용해야 합니다. 교육자는 자신이 탐구하는 학문 분야에서 초기 단계에 있는 기법을 채택함으로써 학생들을 과정에 더 잘 참여시킬 수 있으며, 학문적 인문학의 전략을 완전히 통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진정성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강력한 포용성을 통해 이러한 기법을 채택하는 것은 학생과 교육기관에 MH의 재정적 가치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습니다. 
In our opinion, to encourage engagement, formal assessment must embrace the gray areas of medicine without separation from the core curriculum. As such, we must avoid the urge to quantify the value of MH teaching and embrace its epistemological origins. Educators might better engage students with the process by adopting techniques nascent to the academic field they are exploring; in fully integrating the strategies of academic humanities, students are offered a more authentic experience. Furthermore, adopting these techniques through strong inclusion best demonstrates the financial worth of MH to students and institutions.

추가 작업
Further work

물론 우리가 다루지 않은 고려 사항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 공간에서 다른 의대생들과 함께 하는 것이 더 나은가, 아니면 학생들이 의학과가 아닌 다른 과목에 참여할 때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가?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의 경험을 증거로 제시할 때, 그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각자는 영국 대학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MH가 커리큘럼에 어떻게 약하게 또는 강하게 통합되어 있는지에 대한 전 세계 학생의 관점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이 주제에 대한 추가 고찰, 특히 학생의 목소리가 반영된 연구 결과가 필요합니다. 학생은 연구 참여자로서뿐만 아니라 연구자이자 저자로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믿기 때문에 학생의 관점은 의학교육의 문제를 고려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이는 인종차별, 성소수자, 기후 변화, 기술 및 혁신과 같이 세대 간 격차가 존재하는 문제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There are of course considerations we have not covered; for example, is it better to join other medical students in a learning space, or do students learn more effectively when they join courses outside of the medical department? In positing our own relatively narrow range of experiences as evidenc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ir limitations. Each of us studies at UK universities and as such cannot account for a global student perspective on how MH are weakly or strongly integrated in curricula: we invite further reflections on this topic, particularly from those which incorporate the student voice. The student perspective provides a novel lens for considering issues in medical education as we believe students are invaluable, not just as research participants but as researchers and authors themselves. This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issues where we see a generation gap such as racism, LGBTQ+, climate change, and technology and innovation.

마찬가지로, 저희는 커리큘럼에서 MH의 가치를 성찰하고 옹호해 온 소수의 사람들을 대표하기 때문에 그 장점에 편향된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MH에 대해 좋지 않은 경험이 있거나 우리가 말한 것에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 특히 포용성이 약하거나 강한 것을 목격한 사람, 우리가 논의한 학문 분야에 대해 더 많은 성찰이 있는 사람, 우리가 놓친 연구 영역에 있는 사람들도 의견을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MH를 커리큘럼에 가장 잘 통합하고 의학의 회색 영역을 이해하기 시작하려면 균형 잡힌 토론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Similarly, as we represent a self-selected few who have reflected on and advocated for the value of MH in our curricula, our position is biased toward its benefits. Those who have poor experiences with MH or aspersions that present a counter-argument to what we have said; those who have witnessed particularly weak or strong inclusion, those with further reflections on the academic fields we have discussed, and those within realms of study we have missed are, too, invited to submit their observations. In order to best interweave MH into curricula and begin to make sense of the gray areas of medicine we must cultivate a well-rounded debate.

결론
Conclusion

이 글에서는 학생의 관점에서 의학 및 의학교육에서 MH의 일부 영역과 그 가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MH의 인터칼레이팅을 경험한 저희는 의학의 모든 측면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미묘한 시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In this piece we have provided a broad overview of just some of the domains of MH and their value i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from the student perspective. As former intercalators in MH, our introduction to learning from within these disciplines has given us a renewed and nuanced way of viewing every aspect of medicine.

우리는 MH를 위한 더 강력한 포용 방법으로서 인터칼레이션의 강점과 단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이 논의가 통합을 위한 최선의 단일 방법을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MH를 더 나은 병상bedside 매너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선택적 추가 사항 이상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오히려 회색의 존재는 글로벌 MH 교육을 요구합니다. 
We have discussed the strengths and shortcomings of intercalation as a stronger method of inclusion for MH. While our discussion does not aim to define a single best method for integration, we have demonstrated how MH ought to be viewed as far more than optional extras which may invoke a better bedside manner. Rather, the existence of the gray demands global MH education.

아무리 인문학에 회의적인 의학교육자라 할지라도 의학이 사회, 사람, 문제와 분리된 객관적이고 흑백적인 사실의 진공 속에 존재한다고 선의로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MH는 이러한 회색 영역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와 이를 주의 깊게 연구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합니다. 의학은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 의해, 특히 단점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주어질 때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학생의 관점을 활용하면 MH에서 무엇이 잘 작동하는지뿐만 아니라, 왜 잘 작동하는지, 앞으로 교육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교육적 토론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는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의학교육과 실습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교육 기관에서 그 핵심에 있는 학생들보다 미래를 더 잘 상상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Even the most hardened humanities-sceptic medical educators cannot argue in good faith that medicine exists in a vacuum of objective, black and white, facts, separated from the grays of society, its people and their problems. For us, MH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se gray areas, and a framework for studying them carefully. Medicine can be changed for the better by the people within it, especially when they are given the tools to analyze its shortcomings. Utilizing the student perspective allows a deeper dive not just into what works well in MH, but why it works well and how we might develop education moving forwards. Students offer novel insights which contribute meaningfully to pedagogical discussions that ultimately help to shape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For an institution so consistently in flux, who better to envisage its future than the students at its core?


Teach Learn Med. 2022 Apr-May;34(2):223-233. doi: 10.1080/10401334.2021.1982717. Epub 2021 Nov 9.

Black, White and Gray: Student Perspectives on Medical Humanities and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1Faculty of Life Sciences and Medicine, King's College London, London, England.

2Academic Uni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Sheffield, England.

3Hull Yor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York, York, England.

4Brighton & Sussex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Sussex, Brighton, England.

5Edinburgh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Edinburgh, Edinburgh, Scotland.

PMID: 34749550

DOI: 10.1080/10401334.2021.1982717

Abstract

Issue: In recent years, the value and relevance of humanities-based teaching in medical education have become more widely acknowledged. In many medical schools this has prompted additions to curricula that allow students to explore the gray-as opposed to the black and white-areas of medicine through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s curricula have expanded and diversified in this way, both medical educators and students have begun to ask: what is the best way to teach medical humanities?

Evidence: In this article, five current medical students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of medical humanities teaching through intercalated BSc programmes in the UK. What follows is a broad exploration of how the incorporation of medical humanities into students' time at university can improve clinical practice where the more rigid, objective-driven, model of medicine falls short.

Implications: This article reinforces the merit of moving beyond a purely biomedical model of medical education. Using the student voice as a vector for critique and discussion, we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uncovering the path toward true integration of humanities-style teaching into medical school curricula.

Keywords: Medical humanities; medical education; student perspective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