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r Development and Systems Theory: Connecting Theory and Practice (3rd Edition)

Wendy Patt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Australia and Mary McMahon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Australia

사회인지진로이론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직업 심리학의 인지 모델의 개발은 FH Borgen(1991) "인지 혁명"이라고 칭한 것을 반영한다. [인지 혁명][개인이 자신의 발전에 적극적인 주체로서 개인적인 agency을 소유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관점은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결정론]과 [행동주의적 접근에 의해 제안된 유연한 인간의 관점]과는 [대조적]이다. 동시에, 우리는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의 [장애가 되는 내적, 외적 요인]들이 있다는 것을 무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크룸볼츠는 개인의 직업 계획에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는 유전적 재능에 대해 말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경력 개발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문화, 성별, 유전적 선천성, 사회 구조적 고려사항, 장애/건강 상태와 같은) 복잡한 요소들이 사람들의 인식과 함께 작동하여 그들의 [직업 가능성]의 본질과 범위에 영향을 미친다.” 해킷(1995)은 직업 선택과 발달에서 사회인지적 메커니즘, 특히 [자기효능감]의 역할이 연구 문헌에서 강하게 지지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베츠와 베츠와 해킷의 리뷰에서 더욱 뒷받침되는 견해이다. [자기효능감]은 진로선택과 진로결정에 있어서의 [역할] 외에도 [관심, 가치, 목표의 개발]에 있어서도 역할을 한다. Hartung(2010)은 직업심리학 문헌에서 가장 널리 연구된 구성 중 하나로 자기효능감을 꼽았다.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dels of vocational psychology reflects what F. H. Borgen (1991) has termed “the cognitive revolution” (p. 279). The cognitive revolution has been instrumental in strengthening the view of individuals as possessing personal agency, as being active agents in their own development. This view is in contrast to the determinism of psychoanalytic perspectives and the view of humans as malleable proposed by behaviourist approaches. At the same time, we cannot ignore that there ar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ich are barriers to positive change and growth. For example, Krumboltz spoke of genetic endowments which may be negative or positive factors in an individual’s career planning. Similarly, changing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can have a marked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In short, a complex array of factors – such as culture, gender, genetic endowment, sociostructural considerations, and disability/health status – operate in tandem with people’s cognitions, affecting the nature and range of their career possibilities” (Lent et al., 1996, p. 374). Hackett (1995) asserted that the role of sociocognitive mechanisms, especially selfefficacy,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is strongly supported in the research literature, a view further supported in reviews by Betz (2000, 2007) and Betz and Hackett (1997). In addition to its role in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terests, values and goals. Hartung (2010) cited self-efficacy as one of the most widely studied constructs in the vocational psychology literature.

이러한 [인지혁명에 반응]하여, [진로심리학의 이론적 융합 경향]에 기여하고자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이 개발되었다. 렌트는 SCCT "진로 퍼즐을 이해하기 위한 상당히 최근의 접근법"으로 인정했다. "기존에 직업 이론가들에 의해 확인된 공통된 조각들 또는 요소들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통일된 프레임워크"로 개발됨에 있어서, SCCT의 목표는 기존 이론의 차이와 불완전한 개념화를 연결하는 구조와 개념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표는 직업 발전 이론의 현재 상태에 대한 주요 검토 후에 예고되었으며, 저자들은 이렇게 코멘트하였다.

  • "다음과 같은 통합 이론을 구축하기 시작할 때가 무르익었을 수 있다
    • (a) 개념적으로 관련된 구성(예: 자기 개념, 자기 효능감)을 통합한다;
    • (b) 다수의 경력 이론(예: 만족도, 안정성)에 공통적인 결과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한다
    • (c) 겉보기에 다양한 구성(예: 자기 인식, 관심사, 능력, 필요)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7장에서는 수렴에 대한 SCCT의 기여에 대해 논의한다. 이론 자체의 측면이 이 장에서 제시된다.

In response to this cognitive revolution, and as an attempt to contribute to the trend toward theoretical convergence in career psychology,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was developed (Lent, 2005, 2013; Lent & S. D. Brown, 1996, 2002; Lent et al., 1994, 1996, 2002; Lent & Hackett, 1994). Lent (2005) acknowledged the SCCT as a “fairly recent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career puzzle” (p. 101), a position reiterated in 2013. In being developed as a “unifying framework for bringing together common pieces, or elements, identified by previous career theorists” (Lent, p. 101) its aim is to develop constructs and concepts to bridge differences and incomplete conceptualisations in existing theory. This aim was heralded following a major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career development theory (Hackett & Lent, 1992), when the authors commented that

  • “The time may be ripe for beginning to construct integrative theories that
    • (a) bring together conceptually related constructs (e.g., self-concept, self-efficacy);
    • (b) more fully explain outcomes that are common to a number of career theories (e.g., satisfaction, stability); and
    • (c) account for the relations among seemingly diverse constructs (e.g., self-efficacy, interests, abilities, needs)” (p. 443).

Chapter 7 discusses the contribution of SCCT to convergence; aspects of the theory itself are presented in this chapter.

[SCCT]는 반두라의 1986년 [개정된 사회 인지 이론]에서 주로 파생되었다. 또한 해킷과 베츠의 [자기효능감 이론](1981; 6장 참조)과 앞서 논의한 [크룸볼츠의 학습이론]에 의해서도 알려지고 있다. 이는 이러한 각각의 이론적 공식을 반두라의 사회적 인지 이론(1986, 1997)에서 파생된 변화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SCCT의 개발자들은 학습 경험의 중요성과 직업 결정에 대한 [유전적 요인]과 [환경] 조건의 영향을 인정했다. 그러나 그들은 사회 인지 이론이 학습과 조건화의 학습 이론 원칙의 좁은 행동 기반을 넘어선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SCCT는 [진로 결정 행동]에서 학습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인지 매개자]에 더 초점을 맞춘다. 또한, 이 이론은 관심사, 능력 및 기타 [관련 변수들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 [개인 및 환경적 요인]들이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 인지 이론은 또한 [개인이 이러한 과정에서 활동적인 주체active agent]라는 것을 강조한다. 렌트는 또한 "SCCT는 [특정 연령과 단계에 덜 관심]을 갖는 경향이 있고, 그보다는 [발달 과제와 기간에 걸쳐across] 경력 행동을 촉진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이론적 요소에 더 관심을 갖는다"고 언급하면서 SCCT와 특성 요인 및 발달 경력 이론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논한다.

The SCCT was derived primarily from Bandura’s (1986) revised social cognitive theory. It has also been informed by the self-efficacy theory of Hackett and Betz (1981; see chapter 6), and the learning theory of Krumboltz (1979, 1994) discussed previously. It aims to update each of these theoretical formulations with changes derived from the social cognitive theory of Bandura (1986, 1997). For example, the developers of SCCT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influence of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career decisions. However, they emphasised that social cognitive theory extends beyond the narrow behavioural bases of the learning theory principles of learning and conditioning. Rather, SCCT focuses more on the specific cognitive mediators which influence learning experi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ur. In addition, the theory focuses on how interests, abilities and other relevant variables interrelate, and the specific manner in whic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career decisions. Social cognitive theory also emphasises that the individual is an active agent in these processes. Lent (2013) also discuss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CCT and trait-factor and developmental career theories, noting that “SCCT tends to be less concerned with the specifics of ages and stages, yet more concerned with theoretical elements that may promote or hinder career behaviour across developmental tasks and periods” (p. 117).

SCCT는 세 가지의 연동 세그먼트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춘다:

  • 경력 및 학문적 관심사가 어떻게 발달하는지;
  • 직업 선택이 어떻게 결정되고 집행되는가;
  • 수행능력의 성과는 어떻게 달성되는가.

그것은 반두라(1986)의 [인과관계의 삼차 상호모델 개념]을 사용하여 변수들 사이의 양방향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이 모델을 이용하여 [세 가지 복잡하게 연관된 사회적 인지 변수(자기효능감, 기대 성과, 개인적 목표)]가 성별과 민족성, 관련 환경 문제, 학습 경험 등 [개인의 측면]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개인이 세 가지 연동 과정의 중심이라는 것이다.

SCCT focuses on three interlocking segmental processes:

  • how career and academic interests develop;
  • how career choices are made and enacted; and
  • how performance outcomes are achieved.

It seeks to explain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Bandura’s (1986) concept of a triadic reciprocal model of causality. Using this model, the authors described how three intricately related social cognitive variables (self-efficacy beliefs, outcome expectations, and personal goals), interact with aspects of the individual such as gender and ethnicity, their relevant environmental issues,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mportantly, the individual is central to the three interlocking processes.

반두라(1986)에 따르면, 자기 효능감은 "지정된 유형의 수행능력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행동 과정을 조직하고 실행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의미한다. 사회 인지 이론은 자기 효능감이 정적인 단일 특성이 아니라, 주어진 수행 영역에 고유하고 [다른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요인과 상호 작용]하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자기 신념으로 간주된다고 제안한다. 결과 기대는 특정 행동 방침의 가능한 결과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자기효능감 신념과 유사하게, 그것들은 또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도출된다. [최종적인 사회적 인지 변수]인 [개인적 목표]는 [특정한 결과를 생산하기 위해 특정한 활동을 수행하려는 결정]을 의미한다.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개인은 자신의 행동을 조정하고, 지시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자기 행동에 있어 에이전트적이다. Lent Hackett(1994)은 이러한 [세 가지 사회적 인지 변수(자기 효능감, 기대 성과, 개인적 목표)]가 [개인의 행동의 자기 조절과 유지]에서 [역동적으로 상호 작용]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관심사 개발, 진로 선택, 진로 관련 성과 등에 초점을 맞췄다. 2006년에, Lent SD Brown은 교육과 업무 만족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새로운 SCCT 모델을 추가했다. 

According to Bandura (1986), self-efficacy refers to an individual’s beliefs about their capacity to “organize and execute courses of action required to attain designated types of performances” (p. 391). Social cognitive theory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not a static unitary trait, but rather is seen as a constantly changing set of self-beliefs which are peculiar to given performance areas and which interact with other personal, behavio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ckett & Lent, 1992). Outcome expectations refer to beliefs about the probable consequences of a particular course of action. Similar to self-efficacy beliefs, they are also derived throug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The final social cognitive variable, personal goals, refers to the determination to undertake a certain activity to produce a particular outcome. By establishing goals, individuals are able to coordinate, direct and maintain their own behaviour, and thereby be agentic in their behaviour. Lent and Hackett (1994) suggested then that these three social cognitive variable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personal goals) interact in a dynamically reciprocal way in the self-regulation and maintenance of an individual’s behaviour. In particular, the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nterests, career choice, and career-related performance. In 2006, Lent and S. D. Brown added a new SCCT model to focus on educational and work satisfaction. 

관심사 Interests

[관심사]와 관련하여 SCCT는 [활동과 과제]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기대 성과]가 진로 관심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 , 개인은 자신이 잘한다고 생각할 때, 그리고 그것을 수행하는 것이 가치 있는 결과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생각할 때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긍정적인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는 개인이 활동에 계속 참여하도록 장려하는 목표를 촉진할 것이다. 지속적인 긍정적 피드백 루프는 긍정적인 경험에 의해 유지되거나 실패와 함께 수정될 것이다. 이론 개발자들은 "이 과정은 청소년기 후반이나 성인기 초반까지 가장 유동적일 수 있지만, 그 시점에서 관심이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이 저자들은 새로운 경험과 새로운 기술과 같은 요소들이 계속해서 흥미를 자극할 것이라고 인정했다.

In relation to interests, SCCT suggests tha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regarding activities and tasks influence career interests. That is, individuals form an enduring interest in an activity when they believe they are good at it, and when they believe that performing it will produce an outcome that is valued. In turn, ongoing interest, and positiv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will promote goals which encourage an individual to continue to engage in the activity. An ongoing positive feedback loop will be maintained by positive experiences or revised with failures. The theory developers posited that “this process repeats itself continuously throughout the lifespan, although it is perhaps most fluid up until late adolescence or early adulthood, at which point interests tend to stabilize” (Lent & S. D. Brown, 1996, p. 314). These authors acknowledged, however, that new experiences, and factors such as new technology, will continue to stimulate interests.

[적성(능력) 및 가치]와 관련하여 Lent et al.(1994)은 이익의 발전에 중요하지만 [자기효능감과 기대 성과에 의해 매개]된다고 제안했다. 예를 들어, 한 개인이 대중 연설을 잘할 수도 있지만, 그들은 그들이 대중 연설이 흥미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치가 있다고 믿어야 한다. SCCT는 기대 성과 내에서 작업 가치를 개념화한다. , 작업 가치는 특정 작업 조건 및 인식된 보상(: 지위 또는 금전)에 대한 선호와 관련이 있으며, 작업 가치가 특정 직업의 일부라고 믿는 범위와 관련이 있다.

In relation to aptitudes (abilities) and values, Lent et al. (1994) suggested that while they ar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interests, they ar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example, an individual may be good at public speaking, however they must believe they are and also believe that public speaking is worthwhile for it to be developed as an interest. SCCT conceptualises work values within outcome expectations, that is they are related to preferences for particular work conditions and perceived reward (e.g., status or money),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believe they are part of particular occupations.

중요한 것은 이 이론이 젠더, 인종과 민족, 유전적 선천성,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다른 사람과 맥락적 변수의 관련성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렌트가 기술한 것과 같이 "자기효능감과 기대성과는 사회적 진공 속에서 이뤄지지 않는다". SCCT는 [성별과 인종]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사회 문화 환경에서 [성별과 인종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관련성과 기회 구조와의 관계를 강조한다. "성별과 민족성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경험의 측면으로 프레임화하면 자연스럽게 [사회 구조적 조건과 프로세스]에 대한 고려로 이어진다. [사회구조적 조건과 프로세스]는 특정 개인이 노출되는 학습 기회,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때 받는 특성 반응 및 예상되는 미래 결과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성별과 민족성이 진로 관심사, 선택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도 자기효능감과 결과 기대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Importantly, this theory emphasises the relevance of other person and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gender, race and ethnicity, genetic endow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as Lent stated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do not arise in a social vacuum” (p. 107). SCCT views gender and race as socially constructed and emphasises their relevance to how they are viewed i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their relationship to opportunity structure. “Framing gender and ethnicity as socially constructed aspects of experience leads naturally to a consideration of sociostructural conditions and processes that mould the learning opportunities to which particular individuals are exposed, the characteristic reactions they receive for performing different activities, and the future outcomes they anticipate” (Lent & S. D. Brown, 1996, p. 315). Thus the effect of gender and ethnicity on career interests, choice and performance is also posited to operate through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직업 선택 Career Choice

SCCT는 [직업 선택]이 [관심사의 함수]이며, 사람들이 자신을 지원하는 활동으로 향하게 만든다고 제안한다. 이 방정식은 [지지적 환경적 배경]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직무만족도에 관한 문헌은 개인의 진로선택이 항상 관심사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며, 환경조건이 항상 지지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5, 특히 귀무 가설의 논의, Betz, 1989 참조). 통합 모델이 되기 위한 시도에서 SCCT는 관심사와 직업 선택 사이를 중재하는 다양한 요소를 강조한다. 여기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도 논의된 자기효능감과 결과에 대한 기대가 포함된다. [상황에 따른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지만, SCCT는 [개인의 공식화된 목표]가 [개인적 행위자성agency의 척도]를 제공한다고 강조한다. SCCT는 각각 Astin Vondracek 외의 환경적 맥락, 기회 구조(6장에서 자세히 설명) 및 상황적 어포던스(이 장의 후반부에서 설명)의 개념화를 기반으로 한다. SCCT는 개인의 경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구조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개발합니다:

SCCT proposes that career choice is a function of interests orienting people toward activities which support them. This equation requires a supportive environmental background. However, the literature on job satisfaction suggests that individuals’ career choices do not always reflect interests, and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not always supportive (see chapter 5,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of the null hypothesis, Betz, 1989). In attempting to be an integrative model, SCCT highlights a range of factors which mediate between interests and career choice. These includ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s discussed, in addition to a large array of contextual influences. Although contextual influences can be positive or negative, SCCT emphasises that an individual’s formulated goals afford a measure of personal agency. SCCT (Lent et al., 1994, 1996) draws on the conceptualisations of the environmental context of Astin (1984) and Vondracek et al. (1986), opportunity structure (discussed further in chapter 6), and contextual affordance (discussed later in this chapter) respectively. SCCT further develops these constructs which are influential in a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by dividing them into two types:

1. 사회적 인식과 관심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더 먼 영향(예: 기술 개발 기회, 문화 및 성 역할 사회화 프로세스, 잠재적인 학문/사회적 역할 모델 범위)

1. more distal influences (such as opportunities for skill development, culture and gender-role socialization processes, one’s range of potential academic/career role models) that help shape social cognitions and interests; and

2. 중요한 선택의 순간에 작용하는 근접한 영향(예: 특정 옵션 선택에 대한 정서적, 재정적 지원, 선호하는 분야의 직업 가용성, 사회 구조적 장벽).

2. proximal influences (for instance,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for selecting a particular option, job availability in one’s preferred field, sociostructural barriers) that come into play at critical choice junctures (Lent et al., 1996, p. 393).

이러한 각각의 구성은 [환경]이 [개인의 경력 개발 과정을 지원하거나 지원하지 못하는 차별적인 방식]을 의미하므로, 논의된 바와 같이 각각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렌트의 단언대로, "상황과 문화적 조건은 때때로 개인적인 관심사에 대한 [타협을 요구]한다. 이러한 경우, 선택은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옵션], 자신의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의 성격], 개인이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받는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Each of these constructs refers to the differential way in which the environment supports or fails to support a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processes, thus as discussed, each can be viewed as being positive or negative. As Lent (2005) affirmed, “Circumstances and cultural conditions sometimes require a compromise in personal interests. In such instances, choices are determined by what options are available to the individual, the nature of his or her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and the sorts of messages the individual receives from his or her support system” (p. 110).

경력 관련 성과 Career-related Performance

SCCT는 또한 작업 수행과 작업 활동 또는 [경력에서의 인내(직업 안정성)]와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하지만, [능력]과 [자기효능감, 기대 성과, 목표와 같은 [사회적 인지변수] 사이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영향 간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3-상호 접근 방식과 일치하여, 성능 달성과 추가 행동 사이의 피드백 루프가 가정된다. 그러므로, 특정 과제나 과제에 대한 숙달은 능력을 더욱 발전시킬 것이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결과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일 것이다. 개인 목표의 개발과 수정은 이 루프의 추가 요소입니다. 그림 4.1은 이 이론적 접근법의 도표적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SCCT is also concerned with work task performance and perseverance at a work activity or career (job stability). Again, an interaction between ability and the social cognitive variables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goals is crucial. Consistent with the triadic-reciprocal approach which emphasises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influences, a feedback loop between performance attainment and further behaviour is posited. Therefore, mastery of a certain task or tasks will further develop abilities, and in tur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Th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personal goals is a further element in this loop. Figure 4.1 presents the diagrammatic framework of this theoretical approach.

SCCT는 비교적 새로운 개발이지만, Lent의 종합적인 검토(2005년 및 2013) SCCT의 중심 변수와 제안을 탐색하고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광범위한 경험적 작업을 강조했다. 그것은 직업 관심사, 선택 및 성과의 개인적 변동성을 설명하기 위해 설계된 귀중한 추가 이론 모델로 서 있다. SCCT라는 이론적 틀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개인적, 환경적 또는 맥락적 요인의 제약] 내에서 개인을 [자신의 삶의 능동적 형성자]로 보는 [구성주의자 관점]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 인지 변수는 다른 이론적 모델에서 누락된 핵심 설명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최근에 Betz(2008) SCCT, 특히 자기효능감 기대에 대한 연구 지원을 확인했다. 연구는 또한 일반적으로 이 이론의 주요 가설들을 확인했으며, 특히 다양한 그룹(Betz)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지지를 제공했다. 이후 매년 진행되는 진로 상담 및 개발 실무 및 연구 검토를 통해 SCCT의 풍부한 연구 기반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진로 개발 이론과 실무 문헌에서 SCCT의 지배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Lent SD Brown은 사회인지적 관점의 적용 가능성을 업무 만족도(2006)와 업무 맥락에서의 주관적 웰빙(2008)으로 확장했다.

While SCCT is a relatively new development, Lent’s comprehensive reviews (2005 and 2013) have highlighted the extensive empirical work conducted to explore and validate SCCT’s central variables and propositions. It stands as a valuable additional theoretical model designed to explain individual variability in career interests, choice and performance. It is a particularly important theoretical framework because it embraces a constructivist view of the individual as an active shaper of his or her life, within the constraints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or contextual factors. Further, the social cognitive variables offer key explanatory mechanisms which are missing from other theoretical models. More recently, Betz (2008) affirmed the research support for the SCCT, in particularly self-efficacy expectations. Research has also generally affirmed the theory’s major hypotheses, and in particular has provided support for its applicability to diverse groups (Betz). Subsequent annual reviews of practice and research in career counselling and development (Bikos, Dykhouse, Boutin, Gowen, & Rodney, 2013; Creager, 2011; Erford & Crockett, 2012; Hartung, 2010; Patton & McIlveen, 2009) have affirmed the abundant research base for SCCT, lending support to its growing dominance in the career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literature. Lent and S. D. Brown have extended the applicability of the sociocognitive view to work satisfaction (2006) and to subjective well being in the work context (2008).

Handbook of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사회인지진로이론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Lent, Brown, Hackett에 의해 발전된 사회 인지 경력 이론(SCCT) 또한 경력 이론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법이다. 예를 들어 SCCT는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특성 요인 접근법(예: 홀랜드 이론)을 보완하는 위치에 있다(Lent, 2005).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advanced by Lent, Brown, and Hackett (1994) is also an integrative approach to career theorization. For example, SCCT is not positioned to contradict but to complement trait-factor approaches (e.g., Holland’s theory) (Lent, 2005).

SCCT는 반두라(1986)의 [사회 인지 이론]을 [경력 개발에 적용]한 것이다. [직업적 관심사 개발, 직업 선택의 시도와 재제작, 직업적 수행성과]를 설명하는 모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두라의 연구에서 주요 영감을 끌어낼 때, [Human agency]와 [Agency가 축소되거나 강화될 수 있는 경로]는 SCCT(예: 성 역할 사회화)에서 중요한 관심을 받는다. [행위자성agency(증폭되거나 축소됨)]은 SCCT에서 주로 다양한 수행 영역과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를 사용하여 조작화된다. SCCT에서 핵심적인 추측은

  • 자기효능감 신념(예: "나는 이것을 할 수 있다" 또는 "나는 이것을 할 수 없다")과
  • 기대 성과(예: "내가 이것을 하면 보상을 받을 것이다" 또는 "내가 이 옵션을 선택하면 보상을 받지 못할 것이다")가
  • 학업 및 직업 관심사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는 진로와 관련된 [관심사의 개발]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관심사]는 [목표](즉, 수행 영역의 선택과 해당 영역에서 원하는 수행 수준)로 이어지고, 이는 ["활동 선택과 연습"]으로 이어진다. 물론 다른 경로도 모델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 이익과 목표/행동 사이의 연결을 끊거나 줄이는 제약 조건(예: 재정적, 가족적)을 더 잘 포착하기 위해 보충 경로(예: 자기효능감 신념과 결과 기대에서 목표 및 행동으로의 직접 경로)가 공식화되었다.
  • [과거의 경험과 적성]은 자기효능감 신념과 기대 성과를 통해 관심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포지셔닝된다.
  • [맥락적 영향]은 선택 목표, 선택 행동 및 성과에 대한 근위적이고 조정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원위적이고 중재적인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As is evident in the name, SCCT is an application of Bandura’s (1986) social cognitive theory to career development. The focus is on models that explai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interests, making and remaking of vocational choices, and vocational performance (Lent, 2005). In drawing its principal inspiration from Bandura’s work, human agency and the pathways through which agency can be curtailed or enhanced receive crucial attention in SCCT (e.g., gender-role socialization).Agency (amplified or diminished) is operationalized in SCCT primarily using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regarding each of varied performance areas and activities. A pivotal conjecture in SCCT is that

  • self-efficacy beliefs (e.g., “I can do this” or “I cannot do this”) and
  • outcome expectations (e.g., “If I do this, I will be rewarded” or “I will not be rewarded if I take this option”)
  •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nd career interests (Lent, Brown, & Hackett, 2002).

Realistic and positive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are likely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careerrelated interests; interests in turn lead to goals (i.e., selection of a performance domain and the level of desired performance in that domain), which lead to “activity selection and practice” (Lent, 2005, p. 106). Of course, other pathways are also specified in the model.

  • Supplementary pathways (e.g., direct paths from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to goals and actions) have been formulated to better capture the constraints (e.g., financial, familial) that sever or reduce the linkage between interests and goals/ actions (Lent et al., 2002).
  • Experiences in the past and aptitudes are posited as influencing interests through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Lent et al., 2002).
  • Contextual influences are presented as playing both a distal and mediated role as well as a proximal and moderating role on choice goals, choice actions, and performance (see Lent et al., 2002).

SCCT는 미국의 광범위한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 따라서 관심사와 자기효능감 신념 및 결과 기대 간의 관계와 같은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연구 지원과, 자기효능감 신념 및 결과 기대가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부분 매개 모형에 대한 연구 지원이 있다(Lent et al., 2002).

SCCT is backed by extensive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Lent et al., 2002). Therefore, there is research support for key ideas such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ests and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and for a partial mediation model explaini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outcome expectations on career choice (Lent et al., 2002).

라이프 스팬 이론 렌즈를 이용한 SCCT 검사
Examining SCCT Using a Life Span Theoretical Lens

SCCT의 관심, 선택 및 성과 모델은 평생 적응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명확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그들의 이론에 있는 몇 가지 진술은 라이프 스팬 개념을 다룬다예를 들어, [효능감-강화 중재]는 평생에 걸쳐 유익하지만 초기 청소년기 또는 그 이전에 가장 유용하다. 중요한 것은 [직업적 관심과 선택 모델]은 발달의 선택 및 최적화 프로세스와 호환되는 것처럼 보이는 개념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교육 및 진로 의사 결정과 행동]에 대한 잠재적 장벽을 검토하고 극복하기 위해 상담에서 대차대조표를 사용하는 것은 개발의 손익 역학과 약간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SCCT’s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models are not articulated using lifelong adaptational processes. A few statements in their theory (see Lent et al., 2002) address life span ideas (even if inadequately); for example, that efficacy-enhancing interventions are beneficial all through life but are most useful during or before early adolescence. Importantly, the vocational interest and choice models include notions that seem compatible with selection and optimization processes in development. Also, the use of a balance sheet in counseling, to examine and overcome potential barriers to successful educational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action, appears to bear a faint resemblance to gain-loss dynamics in development.

SCCT는 어느 정도까지 가소성에 초점을 맞추는가? 자기효능감 및 결과 기대와 같은 수정 가능한 구성요소를 선택하고 이를 이론의 중심으로 배치함으로써 Lent et al(2002)은 가소성 쪽으로 기울어 보인다. 그러나 능력과 같은 다른 구성의 안정성에 대한 의존성으로 인해 어느 정도 수정 가능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이들이 직업적 관심사를 '확대'할 필요성을 보는 것은 주로 능력 측정과 관심 측정(, 교육이나 진로 선택과 관련된 능력은 높지만 관심은 낮다)의 불일치의 맥락에서이다. 관심사를 넓힌다는 것은 상담에서 그 사람이 능력에 따라 관심사를 가져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능력 측정이 (보장되지 않는) 긍정적인 그림을 산출하는 경우, 성차별적 사회화는 그러한 접근법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소성에 대한 보다 열린 견해는 안정적인 능력에 대한 의존을 덜 요구할 것이다. 그들에게 유리한 것은 "개인이 최소한의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한 자기효능감 신념은 주어진 학문이나 직업 영역에서 성취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다.

To what extent does SCCT focus on plasticity? By selecting modifiable constructs such a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nd by positioning these as central to the theory, Lent et al. (2002) appear to be inclined towards plasticity. However, they limit modifiability to some extent by their dependence on the stability of other constructs such as abilities. Therefore, it is largely in the context of a discrepancy between ability measurement and interest measurement (i.e., the ability related to an educational or career choice is high but the interest is low) that they see a need to “expand” vocational interests. Expanding interests then means that in counseling the person is facilitated in bringing interests in line with abilities. Gender discriminatory socialization, for example, could be remedied through such an approach if and when ability measurements yield a positive picture (which is not guaranteed). Nevertheless, a more open view of plasticity would require less dependence on stable abilities. In their favor is their clarification that “self-efficacy beliefs may facilitate attainment in a given academic or career domain as long as an individual possesses at least minimal levels of requisite ability in that domain” (Lent et al., 2002, p. 29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