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추론 교육을 위한 세 가지 지식-지향 교수전략: 자기설명, 개념매핑연습, 의도적 성찰: AMEE Guide No. 150 (Med Teach, 2022)
Implementation of three knowledge-orien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teach clinical reasoning: Self-explanation, a concept mapping exercise, and deliberate reflection: AMEE Guide No. 150
Dario Torrea , Martine Chamberlandb and Silvia Mamedec

 

소개
Introduction

임상 추론은 의사의 성과와 결과적으로 환자 치료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Eva 2005; Norman 2005).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에는 임상 추론을 가르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전통적으로 학생과 수련의는 주로 견습과 경험을 통해 임상 추론을 배워야 했습니다(Graber 외. 2005). 최근 이러한 전통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의학교육 전반에 걸쳐 임상적 추론이 명시적이고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습니다(Kononowicz 외. 2020; Cooper 외. 2021). 그러나 이 목표를 향한 진전은 더딘 것 같습니다. 임상 추론은 학부 커리큘럼에 체계적으로 통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Trowbridge 외. 2015). 실제로 최근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부분의 미국 의과대학에서는 임상 추론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세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과적으로, 임상실습 책임자들은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들어갈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Rencic 외. 2017). 종단적 임상 추론 커리큘럼에서 무엇을, 언제, 어떤 교육 전략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없습니다(Cooper 외. 2021). 
Clinical reasoning critically influences physicians’ performance and, consequently, the quality of patient care (Eva 2005; Norman 2005). Despite its importance, until recently,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rograms did not include specific activities for teaching clinical reasoning. Traditionally, students and trainees were expected to learn clinical reasoning largely through apprenticeship and experience (Graber et al. 2005). This tradition has recently been questioned. There is growing consensus that clinical reasoning should be addressed explicitly and comprehensively throughout medical education (Kononowicz et al. 2020; Cooper et al. 2021). However, progress towards this goal seems slow. Clinical reasoning is often not systematically integrated i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Trowbridge et al. 2015). Indeed, in the majority of US medical schools recently surveyed, specific teaching sessions dedicated to clinical reasoning are lacking. Consequently, clerkships directors considered students not being adequately prepared to enter the clinical clerkships (Rencic et al. 2017). There is no clear guidance on what to teach, when and with which instructional strategies in a longitudinal clinical reasoning curriculum (Cooper et al. 2021).

이러한 커리큘럼에 대한 최근 지침은 학습 과학의 증거로 뒷받침되는 교육 전략을 선택하여 과학적 접근 방식을 채택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Cooper 외. 2021). 또한 슈미트와 마메데(2015)는 내러티브 리뷰에서 전문성 개발의 여러 단계에서 임상 추론을 가르치기 위해 서로 다른 교육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최근의 리뷰에서는 교육 활동의 목적이 콘텐츠 지식 개발인 지식 중심 접근법의 가치를 보여주었습니다(Schmidt and Mamede 2015; Prakash 외. 2019; Cooper 외. 2021). 이러한 리뷰에서는 이해를 구축하고, 지식 조직을 촉진하며, 성찰을 촉진하는 전략이 의대생의 임상 추론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자기 설명(SE)의도적 성찰(DR)은 이러한 효과적인 지식 중심 교육 전략의 두 가지 예입니다(Schmidt and Mamede 2015; Prakash et al. 2019). 이 두 가지 전략은 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의 검색, (재)구성 및 적용을 촉진하며 임상 추론을 가르칠 때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상호 보완적인 학습 연습이 될 수 있습니다(Chamberland 외. 2020). 그러나 언어화와 반성이 임상 추론을 학습하는 데 중요한 과제인 경우, 지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는 데 특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념 매핑으로 묘사된 지식의 그래픽 표현은 복잡한 사고를 가시화하여 임상 추론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식 조직과 의미 있는 학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Acton 외. 1994; Delany와 Golding 2014; Wu 외. 2016). 임상 추론 매핑 연습(CReSME)은 임상 추론 교육에 사용되는 개념 매핑 기법의 예시적인 예입니다(Torre 외. 2019). 

Recent guidelines for such a curriculum have stressed the need to adopt a scientific approach by opting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supported by evidence from the learning sciences (Cooper et al. 2021). Moreover, Schmidt and Mamede (2015), in a narrative review, posit that different instructional strategies may be needed to teach clinical reasoning at different stages of expertise development. Recent reviews have shown the value of a knowledge-oriented approach in which the purpose of teaching activities is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Schmidt and Mamede 2015; Prakash et al. 2019; Cooper et al. 2021). These reviews have shown strategies that build understanding, foster knowledge organization, and promote reflectio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edical students’ clinical reasoning. Self-explanation (SE) and deliberate reflection (DR) are two examples of these effective knowledge-oriented instructional strategies (Schmidt and Mamede 2015; Prakash et al. 2019). They both foster retrieval,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to solve clinical problems and might be complementary learning exercises that could be implemented together in teaching clinical reasoning (Chamberland et al. 2020). Yet, if verbalization and reflection are critical tasks for learning clinical reason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knowledge may be particularly helpful in the understanding of complex problems. A graphic representation of knowledge depicted, for example, by concept mapping, may enhance clinical reasoning by making complex thinking visible, while fostering knowledge organization and meaningful learning (Acton et al. 1994; Delany and Golding 2014; Wu et al. 2016). The Clinical Reasoning Mapping Exercise (CReSME) is an illustrative example of a concept mapping technique used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Torre et al. 2019).

이론과 경험적 데이터로 뒷받침되는 이 세 가지 교육 전략은 의대생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의 효과에 대해 보고된 여러 연구는 전략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만 제공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는 연구 논문에서 제공하는 개요와 전략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단계 및 운영 측면 사이를 탐색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가이드의 목적은 교육자에게 임상 추론을 가르치기 위해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는 활동을 설계하고 학부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데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한 전략을 적용하려는 현지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조정은 종종 필요하지만 전략이 잘 작동하기 위한 필수 조건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됩니다(Mamede and Schmidt 2014; Chamberland 외. 2020). 실행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은 교육자가 이러한 위험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These three instructional strategies, supported by theory and empirical data, can be helpful tools for medical teachers. However, the several published studies reporting on their effectiveness provide only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strategies. Teachers interested in employing them would need to navigate between the overview provided by research papers and the concrete steps and operational aspects required for putting the strategies into practi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guide is to provide educators with practical advice on the design of activities using these strategies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and their integration into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t may also help adapt the strategies to the local context where they are to be applied. Adjustments are often necessary but should not affect essential conditions for the strategies to work well (Mamede and Schmidt 2014; Chamberland et al. 2020). Specific instructions on the implementation may help educators avoid this risk.

임상 추론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교육 전략이 제안되었지만, 그 효과에 대한 조사가 수반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Schmidt and Mamede 2015; Lambe 외. 2016; Prakash 외. 2019). 우리는 많은 전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SE, CReSME 및 DR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거나 채택해야 할 유일한 전략이라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전략을 선택한 이유는 중요한 이론적 원칙, 해당 전략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증거, 우리 자신의 경험(Lambe 외. 2016; Prakash 외. 2019; Cooper 외. 2021), 그리고 학부 수준에서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종단적 및 발달적 접근 방식에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고려했기 때문입니다. 
As interest in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increases, many teaching strategies have been proposed though not so often accompanied by investigation of their effectiveness (Schmidt and Mamede 2015; Lambe et al. 2016; Prakash et al. 2019). We are aware that many strategies exist and are not arguing that SE, CReSME, and DR are the most effective ones or the only ones to be adopted. Nevertheless, we selected these strategies because of overarching theoretical principl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ir use, and our own experience with them (Lambe et al. 2016; Prakash et al. 2019; Cooper et al. 2021) and the potential for a combined application in a longitudinal and developmental approach to teaching clinical reason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이 가이드에서는 먼저 이러한 전략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배경을 정리한 다음 각 전략에 대한 설명과 실제 적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략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을 제공합니다.
In this guide, we will first synthesize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supports the use of these strategies, then move to the descrip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each one, and finally provide suggestions on how to integrate them.

이론적 프레임워크
Theoretical framework

임상적 추론은 여러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Schmidt 외. 1990; Charlin 외. 2000; Croskerry 2009; Durning 외. 2013). 이 백서의 목적상, 우리는 지식 조직, 스키마의 초기 형성, 질병 스크립트의 후속 개발 및 개선이라는 형태의 정보 처리 이론의 교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Schmidt 외. 1990). 영향력 있는 의학 전문성 발달 이론에 따르면 지식 개발과 조직화는 네 가지 발달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고 주장합니다(Schmidt and Rikers 2007). 

  • 인과 네트워크 형성,
  • 지식 캡슐화,
  • 질병 스크립트 개발,
  • 환자 사례를 통한 질병 스크립트 인스턴스화

Clinical reasoning is grounded in a number of theoretical frameworks (Schmidt et al. 1990; Charlin et al. 2000; Croskerry 2009; Durning et al. 2013).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focus on tenets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in the form of knowledge organization, early formation of schemas and subsequent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illness scripts (Schmidt et al. 1990). An influential theory of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edicine argues that knowledg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progress through four developmental stages:

  • formation of causal networks;
  • knowledge encapsulation;
  • development of illness scripts; and
  • instantiation of illness scripts by patient examples (Schmidt and Rikers 2007).

교육 첫 단계에서 의대생은 생의학 및 임상 과학을 연결하는 인과적 네트워크로 구성된 지식을 습득합니다. 질병은 병리 생리학적 메커니즘으로 설명되는 경향이 있으며, 학생들은 질병의 징후 및 증상과 그 인과 메커니즘 사이의 관계를 개발하려고 시도합니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관계의 의미를 설정하는 단어로 연결된 일련의 개념으로 구성된 명제적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합니다.
In the first stage of their training, medical students acquire knowledge that is organized into causal networks linking biomedical and clinical sciences. Diseases tend to be explained by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and students attempt to develop relationships between signs and symptoms of a disease and their causal mechanisms. At this stage, students form propositional network structures which comprise a series of concepts linked by a word that sets the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

학생들은 이 지식을 임상 문제 해결에 적용하면서 흔히 '캡슐화'라고 하는 단순화된 인과 모델을 개발하는 두 번째 단계로 이동합니다. 학생들은 병태생리학적 설명으로 연결된 개념을 캡슐화하는 보다 정교하고 고차원적인 지식 구조를 더 적게 만들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캡슐화된 개념라벨이 붙고 질병 또는 증후군으로 분류되며, 더 많은 양의 임상 지식을 포괄하고 더 쉽게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 students apply this knowledge to solve clinical problems, they move to a second stage which entails development of simplified causal models often referred to as ‘encapsulation’. Students begin to create a lower number of more refined, higher order knowledge structures that encapsulate concepts linked by pathophysiological explanations. These encapsulated concepts are labeled, and categorized into a disease or syndrome; they subsume a greater amount of clinical knowledge and can more easily retrieved and used.

임상 문제에 대한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학생들은 세 번째 단계로 진입합니다. 캡슐화된 개념은 더욱 재구성되고 궁극적으로 질병 스크립트로 재구성됩니다. 질병 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이거나 이전에 진료한 환자를 기반으로 한 임상 관련 정보의 풍부한 스키마입니다. 이러한 스크립트는 의사가 일련의 임상 징후 또는 증상이 있는 환자를 진료할 때 언제든지 활성화하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Schmidt & Boshuizen, 1993).

As experience with clinical problems increase, students enter a third stage. Encapsulated concepts are further restructured and ultimately reorganized into illness scripts. Illness scripts are rich schema of clinically relevant information, either prototypical or based on a patient previously seen. These scripts can be activated and searched at any time by the physician in response to a patient presentation with a set of clinical signs or symptoms (Schmidt & Boshuizen, 1993).

우리는 SE, CReSME 및 DR이 지식 구조 및 조직 개발 단계에 발판을 제공하고 실습을 최적화할 수 있는 교육 전략이라고 주장합니다. 올바르게 구현되면 학부 수준의 학생들 사이에서 임상적 추론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We argue that SE, CReSME, and DR are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can provide scaffold and optimize practice for the stages of development of knowledge structures and organization. If correctly implemented, they may promote th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among students at undergraduate level.

자기 설명
Self-explanation

SE란 무엇인가요?
What is it?

자기 설명은 학습 자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자신의 지식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각 학생이 학습 자료를 사용하는 동안 스스로 설명을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교육 기법입니다(Chi 외. 1994; Chi 2000). '

  • '자기'라는 용어는 중요하며 SE의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나타냅니다. 첫째, 설명은 학생에 의해 생성되고 둘째, 이러한 설명은 이 학생을 위해 제공됩니다. 이는 다른 사람을 가르치기 위해 설명을 제공하는 것과는 상당히 다릅니다(Renkl 및 Eitel 2019). 따라서 SE는 선험적으로 개별 학습 활동입니다. 
  • 설명이라는 용어를 명확히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설명의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SE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학생이 기본 원리(원리 기반 SE)를 참조하여 문제의 요소를 설명하는 진술을 의미합니다(Renkl and Eitel 2019; Chi 2000).  

SE is an instructional technique that requires each student to provide explanations for him/herself while engaging with a learning material in the purpose of deepening his/her understanding and monitoring his/her knowledge (Chi et al. 1994; Chi 2000).

  • The term Self is important and refers to two critical features of SE. Firstly, the explanations are generated by the student and, secondly, these explanations are provided for this student. It is quite different from giving explanations to teach others (Renkl and Eitel 2019). SE is then, a priori, an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 The term explanation is also important to clarify. Although the concept of explanation can have a variety of meanings, in the SE literature, it usually refers to statements expressed by the student that explains an element of the problem in reference to an underlying principle (principle-based SE) (Renkl and Eitel 2019; Chi 2000). 

따라서 자기 설명은 단순히 thinking aloud 또는 텍스트의 일부를 반복하거나 의역하는 것이 아닙니다. SE가 학습에 미치는 이점은 학생들이 더 많은 SE를 생성할 때 증가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문제의 요소와 기본 원리 또는 메커니즘을 연결하는 데 참여할 때 더욱 커집니다(Renkl 및 Eitel 2019).
So self-explaining is not simply thinking aloud, repeating or paraphrasing a segment of the text. The benefits of SE on learning are increased when students produce more SE but more importantly, when they engage in making links between the elements of the problem and underlying principles or mechanisms (Renkl and Eitel 2019).

SE는 학생의 지식이 여전히 심화 및 수정이 필요한 복잡한 문제나 덜 익숙한 문제에 유용한 것으로 보입니다(Chi 외. 1994; Wong 외. 2002; Chamberland 외. 2013). 학생이 문제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더 이상 학습할 여지가 없는 경우, 자기 설명에 참여해도 아무런 이점이 없습니다. SE는 지식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며 지식을 자동화하지는 않습니다. 학생이 상호 연결되고 일관된 심층 지식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SE가 학습에 미치는 이점은 여러 영역에서 입증되었습니다(Chi 2000; Richey와 Nokes-Malach 2015). SE는 컴퓨터 기반 교육과 텍스트, 도표, 연습 문제, 풀어야 할 문제 등 다양한 학습 자료와 함께 사용되어 왔습니다. 
SE appears to be useful for complex problems or less familiar, when the student’s knowledge still needs deepening and revision (Chi et al. 1994; Wong et al. 2002; Chamberland et al. 2013). If the student understands perfectly the problem and there is no room for more learning, there is no benefit of engaging in self-explaining. SE helps build knowledge and does not automatize it. The benefits of SE on learning such as supporting student’s development of deep interconnected and coherent knowledge, has been shown in several domains (Chi 2000; Richey and Nokes-Malach 2015). SE has been used in computer-based instruction and with different learning materials such as text, diagrams, worked-examples, and problems to solve.

의학에서 SE는 진단적 추론을 기르기 위한 교육 기법으로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험적으로 연구되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사례를 풀면서 SE를 사용한 학생들은 추가 지시 없이 조용히 사례를 풀었던 학생들에 비해 더 나은 진단 성과를 보였습니다(Chamberland 외. 2011). 학생들이 생성한 SE의 내용 분석에 따르면 익숙한 사례에 비해 덜 익숙한 사례를 접할 때 더 많은 생의학 지식 또는 기본 메커니즘(원리 기반 SE)을 재활성화하여 질병 스크립트의 일관성을 높여 더 나은 진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Chamberland 외. 2013). 이는 진단 추론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하는 동안 생물 의학 지식을 임상 지식과 제공/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전 연구와 일치합니다(Wood et al. 2007). 
In medicine, SE has been studied experimentally in undergraduate students as an instructional technique to foster diagnostic reasoning. Students who used SE while solving lesser familiar cases showed better diagnostic performance when compared to students who had solved cases in silence without further instructions (Chamberland et al. 2011). Content analysis of SE generated by students indicated that when facing lesser familiar cases in comparison with familiar cases, they reactivated more biomedical knowledge or underlying mechanisms (principle-based SE), which could help them increase coherence of their illness scripts thus leading to better diagnosis (Chamberland et al. 2013). This i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linking biomedical knowledge with clinical knowledge while learning to increase diagnostic reasoning (Wood et al. 2007).

진단적 추론을 키우기 위해 SE를 잘 설계한 활동은 학생들이 학습 자료를 사용하는 동안 다음을 요구할 것입니다.

  • 사전 지식을 재활성화하고,
  • 현재 지식을 정교화하고 설명을 제공하며,
  • 문제의 임상 요소와 관련 기본 메커니즘 또는 원리를 연결하도록 

결과적으로 학생은 질병에 대한 자신의 표현을 수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속 학습을 안내하기 위해 지식의 모호성과 격차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Chamberland 외. 2015, 2020; 예시는 부록 1 참조). 
A well-designed activity using SE to foster diagnostic reasoning will require students, while working with the learning material, to reactivate prior knowledge, to elaborate on current knowledge and provide explanations, making links between the clinical elements of the problem and relevant underlying mechanisms or principles. Consequently, it will allow the student to revise his/her representation of diseases as well as to recognize ambiguities and gaps in knowledge to guide subsequent learning (Chamberland et al. 2015, 2020; see Appendix 1 for an example).

SE를 준비하고 도입하는 방법은?
How to prepare and introduce SE?

SE는 독립적인 기법이 아니라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지식 구축 전략입니다. 지금까지 학생들의 임상 추론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SE 연구는 주로 학생들이 해결해야 하는 임상 사례를 학습 자료로 사용했습니다.
SE is not a stand-alone technique but rather a general knowledge building strategy that could probably be incorporated in many ways to support learning. So far, studies on SE to promote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among students have mainly used clinical cases that students were required to solve as learning materials.

학습 자료
Learning material

임상 사례
Clinical cases

  • 학부생의 경우, 모든 임상 정보(전체 증례)를 제공하는 임상 증례를 통해 인지 부하를 관리하면서 SE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자료를 설계할 때 학습자의 수준과 주어진 임상 문제에 대한 사전 지식을 고려합니다. 학생들은 문제와 관련된 질병에 대한 충분한 사전 지식이 있어야 하며, 일관된 질병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이러한 질병에 대한 생의학 지식을 통합하는 초기 단계에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임상 사례는 학생에게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를 가져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의 이해를 심화시키고 지식을 구축/수정할 수 있는 충분한 여지가 있어야 합니다(Chamberland 외. 2011, 2013).
  • 케이스를 준비하려면 현재 활동을 담당하는 교사와 커리큘럼의 이전 관련 섹션을 담당하는 교사 간의 협력이 필요하며, 가능하면 비슷한 수준의 교육을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난이도를 테스트하거나 처음 사용한 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난이도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 사례는 종이 기반 형식 또는 전자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For undergraduate students, clinical cases providing all the clinical information (whole case) allow them to engage in SE while managing cognitive load.
  • Consider the level of the learners and their prior knowledge for a given clinical problem in designing the material: students should have sufficient prior knowledge on diseases relevant to the problem and expected to be at the early stage of building coherent illness scripts and integrating biomedical knowledge for these diseases.
  • Clinical cases should be of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for students so that there is enough room for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and build/revise their knowledge (Chamberland et al. 2011, 2013).
  • Cases preparation then requires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responsible of the current activity and of previous relevant sections of the curriculum; validation of the level of difficulty might be tested with students of similar level of training if possible or systematically monitored once first used.
  • Cases can be used with a paper-based format or on an electronic platform.

SE에 대한 일반적 연구와 다른 영역의 연구를 고려할 때, 실습 사례(Dyer 외. 2015), 개념도, 컴퓨터 멀티미디어(텍스트 및 도표) 임상 사례, 라이브 또는 녹화된 강의 섹션 등 다양한 자료와 함께 SE를 사용하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Considering the research on SE in general and in other domains, we could expect that students would benefit from using SE with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worked examples (Dyer et al. 2015), concept maps, computer multi-media (texts and diagrams) serial-cues clinical cases, and sections of a live or recorded lecture.

학생에게 SE 소개하기
Introducing SE to students

SE는 학생들에게 어려운 과제이며 자발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학생들에게 SE에 대해 교육하는 것은 유익한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은 짧을 수 있지만 다음 등을 제공해야 합니다.

  • SE의 정의와 사용 근거(학생들이 임상 추론과 관련된 지식을 쌓고 심화시키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 제안된 학습 자료로 학생이 직접 설명하는 예시, 학생들이 연습할 수 있는 기회 

경험상 SE가 학습에 미치는 이점을 최적화하려면 학생은 SE가 평가 도구가 아닌 학습 전략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SE는 정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구두 시험도 아닙니다. 학생은 '안전한 공간'에서 자신의 지식의 한계를 탐구하고 부족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스스로 설명하면서 '학습하는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교사는 학생들의 참여를 극대화하기 위해 요구 사항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선택 사항이 아닌 필수 사항으로 지정하고, 자기 설명에 소요할 최소한의 시간을 요구해야 합니다. 
SE is a challenging task for students, and they do not use it spontaneously. Training students on SE appears beneficial. Training may be short but should provide:

  • a definition of SE and rationale for using it (how it helps students build and deepen knowledge relevant to clinical reasoning);
  • an example of a student self-explaining with the proposed learning material and opportunity for students to practice.

In our experience, in order to optimize the benefit of SE on learning, students must understand that SE is a learning strategy and not an assessment tool. SE is not about providing the right answer, nor it is an oral examination. Students must adopt a ‘learning position’ while self-explaining allowing them to explore the limits of their own knowledge and identify gaps in a ‘safe space’. Teachers should make the requirements clear to maximize students’ engagement: do not make it optional but mandatory and ask for a minimum time spent self-explaining.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나요?
How to perform the task?

SE는 선험적으로 개별 학습 활동입니다. 모든 학생이 새로운 학습 자료를 접할 때 자연스럽게 SE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활동 중에 프롬프트를 통합하면 더 많은 SE, 특히 원리 기반 SE를 생성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선택한 학습 자료가 해결해야 할 임상 사례인 경우, 학생에게 먼저 조용히 사례를 읽도록 하여 적절한 사전 지식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그런 다음 자료에 포함된 프롬프트에 따라 사례를 다시 살펴보면서 사례에 제시된 임상 결과를 체계적으로 스스로 설명하도록 초대합니다.

SE is a priori an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All students do not naturally self-explain when engaging with new learning materials. Incorporating prompts during the activity encourage them to generate more SE and in particular principle-based SE. For instance,

  • if the learning material chosen is a to-be-solved clinical case, the student may be first invited to read the case in silence to help him begin reactivating appropriate prior knowledge.
  • Then, going again through the case, guided by prompts included in the material, he is invited to self-explain systematically the clinical findings presented in the case.

다양한 유형의 프롬프트는 구조 또는 지시성의 정도가 다릅니다(Wylie and Chi 2014; Renkl and Eitel 2019): 개방형 프롬프트는 학생이 생성된 SE의 유형을 제한하지 않고 사전 지식과 새로 제시된 정보를 연결하도록 장려합니다. 임상 사례에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롬프트의 예는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활동 중 또는 활동 후에 학생에게 다른 학생의 SE 사례 또는 문제 해결 방법과 같은 추가 리소스가 제공되는 경우, 학생이 이 새로운 정보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프롬프트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Nokes 외. 2011). 이러한 프롬프트의 예는 표 1에 나와 있습니다.
Different types of prompts provide different degrees of structure or directedness (Wylie and Chi 2014; Renkl and Eitel 2019): open-ended prompts encourage students to make connections between prior knowledge and the new presented information without constraining the type of SE generated. Examples of open-ended prompts that could be used with clinical cases are provided in Table 1. If the student is provided with additional resource during or after the activity, such as an example of SE from another student or solution of the problem, prompts that invite students to engage with this new information may be helpful (Nokes et al. 2011). Examples of such prompts are provided in Table 1.


학생들은 SE를 어떻게 표현할까요?

  • 임상 추론에 대한 SE는 학생들이 자신의 설명을 말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습니다. 이는 구현에 추가적인 어려움이 될 수 있지만, 언어화는 학생에게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되며(Chebbihi 외., 2019), 학생의 추가적인 인지적 참여를 요구함으로써 침묵 속에서 스스로 설명하는 것과 비교할 때 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De Bruin 외., 2007).
  • 또는 학생에게 SE를 작성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SE 및 임상 추론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SE 과정에 대한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제는 실질적인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2년에 걸쳐 종단적 활동으로 SE를 구현한 경험에서 학생들은 SE 활동을 반복함으로써 SE를 연습하고 이 전략에 익숙해질 수 있었다고 보고했습니다.
  • (교수자는) 학생들이 SE한 콘텐츠 지식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연습 후 정확한 진단만 제공한 연구에서는 매우 유사한 후속 사례를 해결하는 데는 유용했지만 다른 사례에는 유용하지 않았습니다(Chamberland 외. 2019). SE에서 피드백의 역할에 대한 이 문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How will students express their SE?

  • SE for clinical reasoning has been most studied with students verbalizing their explanations. Even though this might represent an additional challenge for implementation, verbalization is perceived as natural for students ( Chebbihi et al., 2019) and appears to improve learning when compared to self-explaining in silence (De Bruin et al. 2007) by requiring further cognitive engagement from the student.
  • Alternatively, students may be asked to write their SE. No feedback on the process of SE has been provided in many studies on SE and clinical reasoning. This issue would represent a practical challenge. In our experience implementing SE with a longitudinal activity over 2 years, students reported that the recurrence of the SE activity allowed them to practice SE and get familiar with this strategy.
  • Feedback on the content knowledge on which students self-explain may be provided. A study providing only the correct diagnosis after the exercise was useful to solve subsequent very similar cases but not for different cases (Chamberland et al. 2019). This issue of the role of feedback in SE needs further research.

SE를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How to integrate SE into the curriculum?

SE와 임상 추론에 대한 연구는 주로 4년제 커리큘럼을 갖춘 의과대학에서 이루어졌으며, 3학년 의대생이 개별적으로 종이 증례 책자를 가지고 실습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학습 자료가 조정된다면 현지 커리큘럼 설계에 따라 SE를 더 일찍 도입할 수도 있습니다. 5년 또는 6년 커리큘럼의 학교에서는 이미 강의 수업을 통해 질병에 대한 지식을 접했지만 임상 경험이 많지 않은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실제로 학부 수준에서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서술적 검토를 마무리하는 슈미트와 마메데의 제안은 SE가 초보 학생들에게 적합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슈미트 및 마메데 2015). 지금까지 실제 교육 상황에서 SE를 구현한 데이터는 아직 제한적입니다(Chamberland 외. 2020; Kelekar와 Afonso 2020). 
Research on SE and clinical reasoning have mainly occurred in medical schools with a 4-year curriculum and involved third-year medical students in clerkship working individually with booklets of paper cases. However, SE may be introduced earlier depending on the local curriculum design as long as the learning material is adapted to the level of the learners. In schools with 5-or 6-year curricula, it would be appropriate to engage students who have already been exposed to knowledge of diseases through didactic activities but do not have much clinical experience with them. Indeed, Schmidt and Mamede’s proposal concluding their narrative review on teaching clinical reasoning at undergraduate level, suggested that SE could suit well novice students (Schmidt and Mamede 2015). So far, data on implementation of SE in authentical educational context are still limited (Chamberland et al. 2020; Kelekar and Afonso 2020).

SE는 선험적으로 개인의 건설적인 학습 활동이지만, 학생이 먼저 자신의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작업하고 스스로 설명을 생성 할 수있는 충분한 공간이 제공된다면 다른 사람 (예 : 가까운 동료)과의 상호 작용을 추가하는 것이 유익 할 수 있습니다 (Chamberland et al. 2015, 2020). 실험 조건에서 동일한 사례에 대해 또래에 가까운 SE의 설명을 들었을 때 학생들의 진단 성능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Chamberland 외. 2015). 후속 질적 연구에서 3학년 학생들은 후배 레지던트의 SE를 추가적인 외부 자원으로 사용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짝지은 상호작용도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otgans and Cleland 2021). 
While SE is a priori an individual constructive learning activity, the addition of interactions with others (e.g. near-peers) (Chamberland et al. 2015, 2020) might be beneficial (Chi 2018) if the student is provided with enough space to work first with his/her own prior knowledge and generate for himself explanation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diagnostic performance of students was further increased by listening to a near-peer SE on the same case (Chamberland et al. 2015). In a subsequent qualitative study, third-year students reported that they used the junior resident’s SE as an additional external resource. Interactions in dyads could also be beneficial for learning (Rotgans and Cleland 2021).

임상 추론 매핑 연습
Clinical reasoning mapping exercise

개념 지도란 무엇인가요?
What is it?

[개념 지도]의미를 만드는 단어 또는 명제로 연결된 상호 연관된 개념 집합을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으로, 개념 집합의 의미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나타냅니다(Novak and Cañas 2006). 개념 맵을 사용한 연습은 지식 조직화와 비판적 사고를 촉진합니다(West 외. 2000; Torre 외. 2007; Daley와 Torre 2010). 교수자가 제공하는 지시성의 정도에 따라 두 가지 주요 매핑 전략이 개념 맵을 사용한 교수 및 학습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Ruiz-Primo 및 Shavelson 1996). 개념 지도의 지시성지도를 구성하기 위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양을 의미합니다.

  • 저-지시성 맵(학습자 주도형)은 개념, 연결어, 맵의 구조가 학습자에 의해 구성되는 학습자에 의해 전적으로 생성되는 개념 맵이 특징입니다(Novak and Gowin 1984).
  • 고-지시성 맵(교사 주도형)은 교사가 지도의 구성 요소(노드 또는 링크)를 개발한 다음 학생에게 노드의 내용을 채우고, 노드를 연결 단어로 연결하거나 두 가지를 조합하는 과제를 제공하는 기법입니다. (Schau와 Mattern 1997).

A concept map is a graphic representation of a set of interrelated concepts linked by meaning-making words or propositions that depicts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a set of concepts (Novak and Cañas 2006). Exercises with concept maps foster knowledge organization and critical thinking (West et al. 2000; Torre et al. 2007; Daley and Torre 2010). Two main different mapping strategies, based on the degree of directedness provided by the instructor, can be used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 concepts maps (Ruiz‐Primo and Shavelson 1996). Directedness of a concept map refers to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s provided to the learn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p.

  • A low degree of directedness (learner driven) map is characterized by a concept map that is entirely created by the learner in which concepts, linking words and structure of the map are constructed by the learner (Novak and Gowin 1984).
  • A high degree of directedness map (teacher driven) is a technique in which components of the map (either nodes or links) are developed by the teacher and then provided to the student who has the task of filling in content of the nodes, connecting the nodes with linking words or a combination of both. (Schau and Mattern 1997).

CReSME는 높은 수준의 지시성을 가진 개념 지도입니다(Torre et al., 2019). CResME는 임상 및/또는 기초 과학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를 사용하므로 학습자는 이러한 정보 노드를 정확하고 의미 있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여러 영역에서 동일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여러 질병의 주요 특징(예는 부록 2 참조)을 비교 및 대조할 수 있습니다. 
The CReSME is a concept map with high degree of directedness (Torre et al., 2019). The CResME uses nodes that contain clinical and/or basic sciences information, requiring learners to connect these nodes of information in an accurate and meaningful way, allowing to compare and contrast, across multiple domains, key features of different diseases (see Appendix 2 for an example) presenting with the same complaint.

CReSME를 준비하고 도입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How to prepare and introduce the CReSME?

그 근거는 학생들에게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여러 질병의 전형적인 임상 특징을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도록 미리 구성된 스캐폴딩 구조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동일한 증상을 보이는 질병에 대한 질병 스크립트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The rationale is to provide students with a pre-constructed scaffolding structure to facilitate the comparing and contrasting of typical clinical features of different disease with a similar presentation, to ultimately foster the development of illness scripts for disease entities presenting with the same complaint.

학습 자료
Learning materials

  • 사례 발표는 의도적으로 환자의 주요 불만 사항만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55세 남성 환자가 급성 흉통을 호소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맵 콘텐츠는 동일한 주호소(급성 흉통)를 가진 질병에 대한 주요 정보가 포함된 미리 구성된 노드 집합으로 시각적으로 표시됩니다.
  • 학습자는 연습의 맨 아래에 있는 빈 노드를 완성하여, 스크립트의 일부를 포함하는 노드 간의 일련의 정확한 연결과 일치하는 진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 해결해야 할 완전한 임상 사례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주요 증상에 대한 감별 진단을 구성할 수 있는 3~5개의 질병 실체의 원형 구성 요소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연결하는 것 외에는 하나의 정답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강사 CREsME 기법 설계의 단계는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 The case presentation purposefully entails only the chief complaint of a patient. For example, a 55-year-old male patient presenting with acute chest pain.
  • The map content is displayed visually as a preconstructed set of nodes with key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s that all present with the same chief complaint (acute chest pain).
  • The learner needs to provide a diagnosis consistent with a series of accurate connections among the nodes containing parts of the script, by completing the empty nodes at the bottom of the exercise.
  • Since there is no complete clinical case-to-be-solved, there is not a single best answer but the accurate identification and connections of prototypical components of three to five disease entities that may constitute a differential diagnosis for the patient’s chief complaint. Instructor Steps in the design of the CREsME technique are provided in Table 2.


CReSME와 같이 지시성이 높은 개념 지도교사의 세심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 실제로 개발하는 데 몇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콘텐츠의 정확성과 관련성 및 노드 간의 연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교수진 그룹이 검토해야 합니다.
  • 교수진은 가능한 모든 연결 고리를 파악하고, 적절한 난이도를 측정하고, 토론을 통해 합의에 도달해야 합니다.
  • CReSME 기법을 학생들에게 소개해야 하며, 강사는 연습을 개발하거나 완료하는 목적, 코스 또는 학습할 자료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설명하고 화이트보드 또는 컴퓨터 매핑 시스템을 사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시연해야 합니다.
  • 이전에 개발한 CReSME의 예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학생들이 검토하고 질문하며 과제를 완료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런 다음 학생에게 종이 또는 전자 방식으로 샘플 연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입문 세션은 1~2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반복할 수 있습니다.

A high directedness concept map like the CReSME requires careful preparation by the teacher.

  • Indeed, it may take a few hours to develop and should be reviewed by a group of faculty to ensure accuracy and relevance of the content and the connections among nodes.
  • The faculty should identify all possible connections, gage the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and come to a consensus through discussion.
  • the CReSME technique needs to be introduced to students and the instructor should explain the purpose of developing or completing the exercise, how it fits into the course or material to be learned, and demonstrate how to solve it on a whiteboard or using a computer mapping system (http://cmap.ihmc.us/).
  • It is helpful to present the students with an example of a CReSME previously developed, so that they can review, ask questions, and understand how to complete the task. Subsequently, student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practice on a sample exercise, on paper or electronically. Such an introductory session may last 1–2 h and can be repeated if needed.

CReSME는 어떻게 수행하나요?
How to perform a CReSME?

학생들은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CReSME를 이수하도록 배정될 수 있습니다. 콘텐츠는 기초 과학에서 임상 과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기초 과학과 임상 과학 콘텐츠가 동일한 연습에 통합되어 있습니다(예: 미생물학, 약리학, 병태생리학, 임상적 특징 및 발열을 보이는 질병 개체의 진단 워크업을 통합한 연습). 경험상 20~30분은 학생이 하나의 CReSME를 완료하는 데 적당한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는 복잡성 수준, 연결해야 하는 노드 및 연결의 수, 학생이 비교하고 검토해야 하는 질병 엔티티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CReSME를 완성하는 것은 개별적으로 또는 소규모 학습자 그룹(그룹당 5~6명의 학생)이 공동으로 작업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룹 개념 매핑(Torre 외. 2017; Peñuela-Epalza 및 De la Hoz 2019)과 마찬가지로, 각 그룹은 연습을 완료하고 다른 그룹과 그 근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그룹 환경에서 학생들은 서로 질문하고, 구체적이거나 더 어려운 연결고리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의미와 상호 이해를 공동으로 구성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The students can be assigned to complete a CReSME on a variety of contents Content may range from basic sciences to clinical sciences. Most often, basic and clinical sciences content are integrated within the same exercise (e.g. an exercise integrating microbiology, pharmacology, pathophysiology,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tic workup of disease entities presenting with fever). In our experience, 20–30 min is a reasonable amount of time for a student to complete one CReSME. But this will depend on its level of complexity, the number of nodes and connections that need to be made and the number of disease entities that will have to be compared and reviewed by students. The completion of a CReSME may be accomplished individually or by a small group of learners working collaboratively (five to six students per group). Similarly, to group concept mapping (Torre et al. 2017; Peñuela-Epalza and De la Hoz 2019), each group can complete the exercise and share their rationale with other groups. In a group setting, the students can ask questions to each other, provide explanations for specific or more challenging links and engage in a process of co-construction of meaning and mutual understanding.

이 교육 기법은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제안 사항입니다:
This instructional technique offers opportunities for feedback. Here are some suggestions:

  1. 교사는 학생들이 CReSME 결과를 공유하고 비교할 수 있는 세션을 계획하고, 제안된 근거와 정당성의 차이에 대해 토론하고 반성하며, 교사가 큰 소리로 생각하고 자신의 사고 과정을 모델링하여 정보 노드 간의 각 연결 집합에 대한 근거와 정당성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녹화한 다음 학습자와 전자적으로 공유하면 학습자는 자신의 속도와 시간에 맞춰 액세스하여 들을 수 있습니다.
    The teacher may plan a session where students can share and compare their CReSME results; discuss and reflect on differences in rationale and justifications proposed; the teacher can think aloud and model his or her thinking process, explaining the rationale and the justification for each set of connections among nodes of information. This process can be recorded and then shared electronically with the learners who can access it and listen to it at their own pace and time.
  2. 교사는 학습자의 연습 문제를 검토한 후 일반적인 오해나 지식 격차를 파악하고 전체 학급을 대상으로 한 후속 교육 세션에서 해당 개념을 명확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The teacher, after reviewing exercises from learners, may identify common misconceptions or knowledge gaps and clarify those concepts in a subsequent teaching session for the whole class.
  3. 교사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을 개별적으로 만나 특정 연결 또는 잘못된 링크의 근거에 대해 문의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The teachers can meet individually with struggling students, inquire about the rationale for specific connections or invalid links and provide specific feedback.
  4. 교사는 '참조' CReSME를 개발하여 학생들과 공유하고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방식으로 완료한 연습과 비교하여 검토하도록 권장할 수 있습니다.
    The teacher can develop and share with students a ‘reference’ CReSME and encourage them to review and compare it with their completed exercise in a synchronous or asynchronous manner.

커리큘럼에 CReSME를 통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How to integrate the CReSME into the curriculum?

CReSME는 코스, 모듈 및 임상 실습 로테이션 전반에 걸쳐 기초 및 임상 과학을 통합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를 통합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의 지식 구조 발달을 모니터링하는 데에도 종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콘텐츠로 임상 추론 매핑 연습을 구성하고 난이도를 높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자의 성장과 궤적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The CReSME could be used to integrat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across courses, modules and clerkship rotations. It can be used longitudinally not only to integrate content but also to monitor the student development of knowledge structures over time. The construction of clinical reasoning mapping exercises with different content, and increasing level of difficulty may allow to follow the growth and trajectory of the learner over time.

의도적인 성찰
Deliberate reflection

DR이란 무엇인가요?
What is it?

원래 의사의 진단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 개발 및 테스트된 DR은 임상 추론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적 접근 방식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임상 사례를 진단하는 동안 반성을 장려하고 안내하며, 학생들이 사례에 대한 대체 진단을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대조하도록 요구합니다. DR의 목적은 임상 사례에 제시된(또는 관련된) 질병에 대한 정신적 표현의 발달을 촉진하여 향후 새로운 사례에서 질병을 접할 때 이를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DR, originally developed and tested as a tool to improve physicians’ diagnostic performance, has also been employed as an instructional approach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The approach encourages and guides reflection during the diagnosis of clinical cases, requiring students to compare and contrast alternative diagnoses for the case in a systematic way. The purpose of DR i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 diseases presented in (or related to) the clinical cases, making it easier to recognize them when they are encountered in new cases in the future.

DR을 교육 기법으로 사용할 경우, DR은 학생들에게 임상 사례를 하나씩 제시하고 표 3에 설명된 일련의 단계에 따라 사례를 진단하도록 요구합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단계를 제시하는 표를 작성하여 사례를 되돌아봅니다. 이는 고려 중인 각 진단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전체 증거를 동시에 시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예는 부록 3 참조). 
When employed as instructional technique, DR presents students with clinical cases, one by one, and requires them to diagnose the case by following the series of steps outlined in Table 3. Usually, students reflect upon the case by filling in a table which presents the steps. This seems important to help visualize the whole evidence in favor and against each diagnosis under consideration simultaneously (see Appendix 3 for an example).

DR은 다음을 포함하는 의학에서의 5차원 반성적 진료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Mamede and Schmidt 2004).

  • (i) 의도적 귀납,
  • (ii) 의도적 연역,
  • (iii) 테스트 및 종합,
  • (iv) 성찰을 위한 개방성,
  • (v) 메타추론(메타추론)

DR 절차는 임상의가 사례에 대해 고려한 초기 진단의 근거를 비판적으로 조사하고, 가능한 대안을 검토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이러한 차원을 진단 프로세스에 '적용'합니다. 의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DR은 진단 오류를 줄이고, 추론의 편견에 대응하며, 성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났습니다(Mamede 외. 2008, 2010). 여러 연구에서도 임상 추론 교육에 DR을 사용하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했습니다(Mamede 외. 2012, 2019, 2020; Myung 외. 2013; Ibiapina 외. 2014) 이러한 실험 연구에서 임상 사례로 실습하는 동안 DR을 사용한 학생들은 향후 진단 과제에서 감별 진단을 내리는 등 보다 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실습한 학생들보다 더 나은 성과를 냈습니다. DR의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질병 스크립트 개발에서 임상 문제에 대한 노출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의료 전문성의 단계 이론(Schmidt 외. 1990)과 스키마 구성에 있어 사례 비교 및 대조가 이점을 제공한다는 심리학 연구(Gentner 외. 2009)와도 일치합니다. 그러나 기존의 거의 모든 경험적 증거는 실험실 조건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나온 것이며, 실제 커리큘럼에서의 구현과 관련하여 검토해야 할 사항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DR is based on a five-dimension model of reflective practice in medicine that involves:

  • (i) deliberate induction,
  • (ii) deliberate deduction,
  • (iii) testing and synthesizing,
  • (iv) openness for reflection, and
  • (v) meta-reasoning (Mamede and Schmidt 2004).

The DR procedure ‘applies’ these dimensions to the diagnostic process by guiding clinicians through critical scrutiny of the grounds of the initial diagnosis considered for a case and the examination of possible alternatives. In studies with physicians, DR has repeatedly shown to reduce diagnostic errors, counteract bias in reasoning and improve performance (Mamede et al. 2008, 2010). Several studies have also provided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DR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Mamede et al. 2012, 2019, 2020; Myung et al. 2013; Ibiapina et al. 2014) In these experimental studies, students who employed DR while practicing with clinical cases outperformed, in future diagnostic tasks, students who practiced by using more conventional approaches such as producing a differential diagnosis. This positive effect of DR is consistent with the stage theory of medical expertise (Schmidt et al. 1990), which attributes a key role to exposure to clinical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illness scripts, and with psychological research showing the benefits of comparing and contrasting examples for the construction of schemas (Gentner et al. 2009). However, almost all existing empirical evidence comes from research conduct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nd much remains to be examined regarding implementation in actual curricula.

DR을 준비하고 도입하는 방법은?
How to prepare and introduce DR?

DR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임상 문제를 접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체 진단을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대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실습에 사용해야 합니다.
DR is to be used in exercises aimed at offering students the opportunity to encounter a variety of clinical problems and to systematically compare and contrast alternative diagnoses for these problems.

학습 자료
Learning materials

  • 임상 양상은 비슷하지만 진단명이 다른 질병을 나타내는 3~5개의 임상 사례 세트(예: 흉통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서로 다른 질병). 유사한 질병을 나란히 배치하여 학생들이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대체 진단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Sets of three to five clinical cases presenting diseases with similar clinical presentation but different diagnoses (e.g. different diseases with chest pain as chief complaint). Juxtaposing lookalike diseases allows students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acquire knowledge of findings that help distinguish between alternative diagnoses.
  • 학생들은 이미 교육 활동을 통해 사례에 제시된 질병에 대한 지식에 노출되었지만 임상 경험이 많지 않아야 합니다. DR은 학생들이 이미 기억에 저장해 둔 지식을 동원하고 재구성하도록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이 반성 과제에 가져올 사전 지식이 충분하지 않으면 이 과제의 이점을 얻지 못합니다(Mamede et al). 반면에 학습자에게 사례가 너무 쉽거나 임상에서 이미 유사한 임상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많이 접한 경우, 질병 스크립트를 다듬을 여지가 없어 과제가 그다지 도전적이고 동기 부여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Students should already have been exposed to knowledge of the diseases presented in the cases through didactic activities but do not have much clinical experience with them. This is so because DR works by mobilizing and fostering reorganization of knowledge that students already have stored in memory. When students do not have sufficient prior knowledge to bring to the reflection task, they do not benefit from it (Mamede et al). On the other hand, if cases are too easy for the learners and/or they have already encountered many patients with similar clinical presentation in clinical years, there is possibly no room for refining their illness scripts, and the task may be not so challenging and motivating.
  • DR에 대한 기존 연구는 학생들에게 진단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임상 사례를 사용했습니다. DR에는 상당한 정신적 노력이 필요하므로(Ibiapina 2014; Mamede 외. 2020), 합리적인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DR 연습의 목표는 실제 사례의 복잡성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학습해야 하는 핵심 정보에 집중하는 것임을 명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들이 커리큘럼을 진행함에 따라 사례 형식의 복잡성은 점차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학생이 진단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독립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사례에서 DR이 어떻게 작동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Existing research with DR has used clinical cases that provide students with all the information required to reach a diagnosis. DR involves considerable mental effort (Ibiapina 2014; Mamede et al. 2020), which should be kept at reasonable level.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goal of the DR exercise is not to replicate the complexity of real cases but rather focus on key information that the student is expected to learn. As students progress through the curriculum, complexity of the cases’ format may gradually increase. However, how DR would work, for example, with cases that require the student to independently gather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reach the diagnosis, is still to be determined.
  • DR의 형식(아래 참조)에 따라 임상 사례는 반성 시 고려해야 할 대체 진단에 대한 단서와 함께 제시되어야 합니다.
    Depending on the format of DR (see below), the clinical cases should be presented together with cues on the alternative diagnoses to be considered during reflection or not.

종이 기반 또는 가상 임상 사례의 사용 가능성, 임상 사례 준비 과정 및 교사의 역할과 관련하여 SE에 적용되는 사항은 DR 학습 자료에도 적합합니다. 
What applies to SE regarding the possibility to use paper-based or virtual clinical cases, 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clinical cases and the role of the teacher, is also pertinent for the learning materials for DR.

학생들에게 DR 소개
Introducing DR to students

DR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Ibiapina 외. 2014; Mamede 외. 2019), 학생들이 과제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하려면 DR이 임상 추론에 미치는 잠재적 이점에 대해 알려주고 DR 테이블을 완성한 예를 보여줘야 합니다.
DR is effortful (Ibiapina et al. 2014; Mamede et al. 2019) and to maximize the chance that students engage fully in the task, they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potential benefits from DR to clinical reasoning and shown examples of the completion of DR tables.

DR은 어떻게 수행하나요?
How to perform DR?

DR은 지금까지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절차를 사용하여 연구해 왔지만 그룹으로 진행하지 못할 이유가 없으며 공동 학습의 이점도 얻을 수 있습니다. 
DR has so far been studied with students using the procedure individually but there is no reason why it should not work in groups and even gain from the benefits of collaborate learning.

학생에게 제공되는 지침의 양이 다른 세 가지 형식의 DR 절차가 테스트되었습니다.

  • 자유 성찰에서는 학생이 사례에 대해 고려해야 할 대체 진단을 스스로 생성해야 합니다(Mamede 외. 2012).
  • 단서 성찰에서는 성찰 표에 그럴듯한 대안 진단이 제공되며, 학생은 그 결과를 기입하고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을 최종 결정해야 합니다(Ibiapina 2014; Mamede 외. 2019, 2020).
  • 마지막으로, 모델 성찰에서는 교사가 모든 요소를 채운 전체 반성표를 제시하고 학생이 이를 학습해야 합니다(Ibiapina 외. 2014; Mamede 외. 2019).

Three different formats of the DR procedure which vary in the amount of guidance provided to students have been tested.

  • In free-reflection, students are required to generate by themselves the alternative diagnoses to be considered for the case (Mamede et al. 2012).
  • In cued-reflection, the reflection table provides the plausible alternative diagnoses and the students are required to fill in the findings and make the final decision on the most likely diagnosis (Ibiapina 2014; Mamede et al. 20192020).
  • Finally, in modeled-reflection, the whole reflection table is presented, with all its elements filled in by teachers, and students are required to study it (Ibiapina et al. 2014; Mamede et al. 2019).

모델 반사에 필요한 정신적 노력은 단서 반사에 비해 낮지만, 전자는 교사의 준비 작업이 훨씬 덜 필요한 후자보다 학습에 더 유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단서 반사가 자유 반사보다 더 유리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연구에서 관찰 된 이점은 이전에 연구 된 질병 만 테스트에 포함되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습니다. 아직 조사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Although the mental effort required by modelled-reflection is lower than that of cued-reflection, the former is not more advantageous for learning than the latter, which requires much less preparatory work from teachers. Cued-reflection seems, however, to be more beneficious than free-reflection, but the advantage observed in these studies may derive from the fact that only previous studied diseases were included in the tests. There is much to be investigated here yet.

DR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학생들에게 피드백이 제공되지 않았으며, 이는 새로운 지식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지식 재구성을 통해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레지던트들이 자신의 반성표와 전문가가 작성한 반성표를 비교하도록 한 최근 연구에서는 추론의 편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건에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절차를 보여주었습니다(Mamede 외. 2020). 이는 피드백을 통합하고 피드백에 대한 적극적인 반영을 통해 DR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조사의 여지는 열려 있습니다. 
No feedback has been provided to students in many studies on DR, suggesting that it may act through knowledge restructuring, even when new knowledge is not made available. However, a recent study in which residents were required to compare their own reflection tables with those filled in by experts showed the procedure to improve performance under conditions that are known to induce bias in reasoning (Mamede et al. 2020). This may be a sign of a potential to enhance the effect of DR by incorporating feedback and active reflection on the feedback. Again, open avenue for investigation.

DR을 커리큘럼에 통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How to integrate DR into the curriculum?

원래의 형식에서 DR은 다른 활동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연습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임상 사례 실습을 기반으로 한 다른 교육적 접근 방식과 결합하여 지식 재구성 및 질병 스크립트 개선을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셔브룩 대학교의 경험에서 SE와 DR이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 또한 DR 연습에서 진단된 임상 문제와 관련된 지식 습득에 초점을 맞춘 학습 과제(예: 개인 또는 자율 학습, 소그룹 학습, 강의)와 함께 DR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 흉통의 감별 진단에 대한 강의를 시작할 때 흉통과 관련된 질환 사례 1~2개를 진단하는 데 DR을 활용).
  •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다른 학습 활동과 함께 DR을 사용하는 것을 지지하며, 문제의 감별 진단에 관한 텍스트를 학습하기 전에 임상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DR에 참여하는 것이 학습 참여를 촉진하고 학습 결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ibeiro 외. 2019, 2021).

In its original format, DR has been used in exercises performed independently of other activities. However, it can also be combined with other instructional approaches based on practice with clinical cases to fostering knowledge restructuring and refinement of illness scripts.

  • For example, SE and DR have been used in combination in the experience of the Sherbrooke University.
  • Additionally, DR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learning task (e.g. individual or self-study, small-group learning, lectures) focused on acquisition of knowledge relevant to the clinical problems diagnosed in the DR exercise (e.g. employing DR to diagnose one to two cases of diseases associated with chest pain in the beginning of a lecture 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hest pain).
  • Recent research has supported the use of DR in combination with other learning activities, showing that engaging in DR to diagnose a clinical problem before studying a text 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problem fosters engagement in learning and improves learning outcomes (Ribeiro et al. 20192021).

 

세 가지 전략을 결합하고 순서를 정할 수 있는 기회 탐색하기
Exploring opportunities of combining and sequencing the three strategies

SE, CReSME, DR은 모두 의학의 전문성 습득 이론과 일치하므로(Schmidt 외. 1990), 학부 커리큘럼에서 이들의 조합 또는 시퀀싱을 통해 잠재적인 이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이론적 신념에 기반을 두고 지식 구축을 지향하지만 각 전략의 초점은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 SE는 생물 의학 지식과 임상 지식 간의 연결을 촉진하고, 지식 캡슐화를 촉진하여, 질병 스크립트의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CReSME새로운 질병 스크립트의 시각적 표현/비계를 제공하여 지식 캡슐화를 지원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주어진 주요 불만 사항과 관련된 스크립트를 직접 작업할 수 있도록 조직화할 수 있습니다.
  • DR여러 스크립트의 주요 특징을 비교하고 대조하는 절차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에 적용하면서 질병 스크립트를 더욱 개발, 개선 및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Since SE, CReSME, and DR all aligned with the theory of expertise acquisition in medicine (Schmidt et al. 1990), we may expect potential benefits of their combination or sequencing in an undergraduate curriculum. It might be realized that although grounded in similar theoretical tenets and oriented toward knowledge building, the focus of each strategy appears different.

  • SE fosters links between bio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knowledge, presumably facilitates knowledge encapsulation and thus enhances coherence of illness scripts.
  • The CReSME provides visual representation/scaffolding of emerging illness scripts, which might support knowledge encapsulation and organization allows students to work directly on their scripts relevant to a given chief complaint.
  • DR provides opportunities to further develop, refine, and enrich illness scripts while applying them to solve problems by utilizing a procedure for comparing and contrasting key features of different scripts.

이러한 다양한 초점을 고려하여 SE, CReSME 및 DR은 커리큘럼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순서대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실행을 위해서는 현지 커리큘럼 설계를 고려하여 학생들이 이러한 전략을 활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사전 지식을 갖추게 되는 시기를 파악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커리큘럼이 초기에 생물의학을 배우고 임상 과학을 배운 다음 임상 로테이션을 하는 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이러한 교육 전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초기 학습자에게는 SE를 사용한 일련의 연습을,
    • 중급 학습자에게는 CReSME를,
    • 고급 학습자에게는 DR을 사용한 연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Schmidt and Mamede 2015).
  • 또는 학생들이 모든 유형의 지식과 기술(예: 생물 의학, 임상, 임상 기술, 치료법)을 통합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문제 또는 임상 상황을 중심으로 구성된 커리큘럼에서는 세 가지 전략이 모두 조기에 구현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통합 커리큘럼을 채택하고 있는 셔브룩 대학교에서는 이미 1학기부터 SE와 DR을 결합한 활동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웹 기반 개별 활동은 프로그램의 첫 2년 동안 반복됩니다. 학생들은 세 가지 임상 사례를 해결하면서 다음 단계를 수행해야 합니다:
      • 사례 읽기, 각 임상 소견에 대한 자기 설명 생성,
      • 고의적 성찰 연습 완료,
      • 교사가 작성한 DR 검토. (Chamberland 외. 2020, 2021).

Taking these different foci into consideration, SE, CReSME, and DR could be combined or sequenced in several ways along the curriculum. Proper implementation requires considering the local curriculum design to identify when students will have sufficient prior knowledge to be able to work with these strategies.

  • For instance, if the curriculum adopts a more traditional approach, with early years of biomedical sciences followed by clinical sciences and then clinical rotations, these instructional strategies might be potentially sequenced overtime.
    • A series of exercises with SE could be used with early learners,
    • CReSME could be offered for intermediate learners,
    • and more advanced learners would engage in exercises with DR (Schmidt and Mamede 2015).
  • Otherwise, in a curriculum organized around problems or clinical situations in which students are expected to acquire all types of knowledge and skills (e.g. biomedical, clinical, clinical skills, therapeutics) in an integrated way, all the three strategies might be implemented early.
    • For example, Sherbrooke University, with its integrated curriculum, has implemented an activity combining SE and DR as early as in the first semester. This web-based individual activity is recurrent over the first 2 years of the program. It requires students to work through the following steps while solving three clinical cases:
      • read the case, generate self-explanations for each clinical finding;
      • complete a deliberate-reflection exercise; and
      • review the DR completed by the teacher. (Chamberland et al. 20202021).

교사가 염두에 두고 있는 목표에 따라 두 가지 전략의 다른 조합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SE, CReSME 및 DR은 학생에게 많은 노력이 필요하므로 동일한 연습에서 세 가지 전략을 모두 결합하는 것은 너무 어렵고 학습을 방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지 부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종단적이고 반복적인 활동을 보장하면 학생들이 전략에 익숙해지고, 그 가치를 인식하고, 학습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사는 학습 자료(사례)를 커리큘럼에 따라 바람직한 난이도로 조정해야 함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Other combinations of two of the strategies may be made, depending on the goals that the teacher has in mind. However, since SE, CReSME, and DR are effortful for students, combining all three strategies within the same exercise might be too challenging and bring cognitive load to a level that could hinder learning. Ensuring longitudinal and recurrent activities might help students get familiar with the strategies, perceive their value and harness their full potential for learning. Perhaps needless to say, in this context, teachers must adapt the learning material (cases) to the desirable level of difficulty along the curriculum.

이러한 교육 전략을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구현하려면 커리큘럼에서 사용 가능한 시간, 학생 수, 교수진 리소스와 같은 상황적 제약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활동의 구체적인 설계에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서도 설계 과정 전반에 걸쳐 SE, CReSME, DR의 기본 철학과 핵심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Cianciolo and Regehr 2019; Chamberland 외. 2020). 현지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것은 항상 필요하지만, 기본 원칙에서 벗어나면 전략의 잠재적 이점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The implementation of these instructional strategies, combined in different ways, will also need to consider contextual constraints, such as available time in the curriculum, number of students, faculty resources. These factors may require adaptations in the specific design of the activities. However, while doing that, it is crucial to uphold the underlying philosophy and core principles of SE, CReSME, and DR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Cianciolo and Regehr 2019; Chamberland et al. 2020). While adjusting to local circumstances is always necessary, deviating from the underlying principles compromises the potential benefits of the strategies.

이러한 전략의 사용과 실행에는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 첫째, 이러한 전략은 임상적 추론의 한 차원, 즉 지식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러나 임상적 추론은 다차원적인 구조이며 맥락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Durning 외. 2012). 말할 필요도 없이, 지식 자체가 성공적인 임상 추론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기는 하지만(Norman 외. 2017), 교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유일한 차원은 아닙니다.
  • 둘째, 난이도가 점점 높아지는 여러 임상 비네팅과 여러 임상 추론 매핑 연습을 개발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교수자 개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력은 임상 추론 교육에서 점점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시뮬레이션 사례 실습을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을 설정하는 것보다 더 까다롭지는 않을 것입니다(Schmidt and Mamede 2015). 또한, 여러 연습 문제를 생성한 후에는 학습자 및 커리큘럼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셋째,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학생이 이러한 전략이 평가 도구가 아닌 학습 전략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여 자신의 지식의 한계를 탐구하고, 사고 과정을 촉진하고, 의미 있는 학습을 구성하고, '안전한 공간'에서 격차를 식별해야 합니다.

The use and implementation of these strategies is bounded by several issues that deserve consideration.

  • First, these strategies focus on one dimension of clinical reasoning, that is knowledge. However, clinical reasoning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and is also heavily affected by contextual factors (Durning et al. 2012). Perhaps needless to say, knowledge per se, though a critical determinant of successful clinical reasoning (Norman et al. 2017), is not the only dimension teachers should be concerned with.
  • Second, the development of several clinical vignettes and multiple clinical reasoning mapping exercises with increasing levels of difficulty may be time intensive, and will likely require some degree of faculty development. Nevertheless, these efforts would not be more demanding than those involved in setting any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practice with simulated cases, which has been more and more recognized as critical in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Schmidt and Mamede 2015). Furthermore, once a number of exercises have been created, they can be easily modified to meet learners’ and curricular needs.
  • Third, to optimize the benefit on learning using these strategies, it is crucial that students understand that these are learning strategies and not assessment tools. Students should use these strategies to explore the limits of their own knowledge, promote their thinking processes, construct meaningful learning and identify gaps in a ‘safe space’.

결론
Conclusion

이 세 가지 임상 추론 교육 전략은 인과 관계 네트워크, 지식 조직화, 캡슐화 및 질병 스크립트 형성을 지원함으로써 공통된 이론적 원칙을 공유하므로 의료 전문성 개발의 여러 단계에서 임상 추론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임상 추론 학습 활동으로 이 방법만이 유일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올바르게 구현한다면 임상 교사가 학습자의 임상 추론 발달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These three clinical reaso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share common theoretical tenets by supporting development of causal networks, knowledge organization, encapsulation, and formation of illness scripts and therefore could be effectively used to teach clinical reasoning at different stages of medical expertise development. They are not the only clinical reasoning learning activities available. Yet, if correctly implemented, they can be a critical tool in the hands of clinical teachers to promote learners’ development of clinical reasoning.

 


Med Teach. 2022 Aug 7;1-9. doi: 10.1080/0142159X.2022.2105200. Online ahead of print.

Implementation of three knowledge-orien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teach clinical reasoning: Self-explanation, a concept mapping exercise, and deliberate reflection: AMEE Guide No. 150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College of Medicine, Orlando, FL, USA.

2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Sherbrooke, Quebec, Canada.

3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Rotterdam, Erasmus Medical Center,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Rotterdam, The Netherlands.

PMID: 35938204

DOI: 10.1080/0142159X.2022.2105200

Abstract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is essential in medical education. This guide has been written to provide educators with practical advice on the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ree knowledge-orient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to medical students: Self-explanation (SE), a Clinical Reasoning Mapping Exercise (CREsME), and Deliberate Reflection (DR). We first synthesize the theoretical tenets that support the use of these strategies, including knowledg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illness scripts. We then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ey components of each strategy, emphasizing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each one by sharing specific examples. We also explore the potential for a combined application of these strategies in a longitudinal and developmental approach to teaching clinical reasoning at the undergraduate level. Finally, we discuss enablers and barriers in the implementation and integration of these teaching strategie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curricular needs, context, and resources. We are aware that many strategies exist and are not arguing that SE, CReSME, and DR are the most effective ones or the only ones to be adopted. Nevertheless, we selected these strategies because of overarching theoretical principl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ir use, and our own experience with them. We are hoping to provide practical advice on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trategies to practicing educators who aim at developing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to medical students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development.

Keywords: clinical reasoning; reflective learning; teaching methods.

  • 보건 전문가를 위한 교육학으로서의 변혁적 학습: 스코핑 리뷰(Med Educ, 2019)
    Transformative learning as pedagog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Susan C Van Schalkwyk,1 Janet Hafler,2 Timothy F Brewer,3 Moira A Maley,4 Carmi Margolis,5 Lakshini McNamee,1 Ilse Meyer,1 Michael J Peluso,6 Ana MS Schmutz,1 Judy M Spak7 & David Davies8 On behalf of the Bellagio Global Health Education Initiative 

 

소개
Introduction

변혁적 학습(TL)은 의료 및 보건 전문직을 포함한 고등 교육의 여러 분야에서 확립된 이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1 Taylor1는 그의 비판적 리뷰에서 TL에서 성찰의 역할을 강조하고 보건 전문직 교육(HPE)에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21세기를 위한 보건 전문직 교육에 관한 중요한 란셋 위원회 논문2이 발표되면서 TL은 보건 전문직 교육을 위한 중요한 교육적 구성 요소로 더욱 확고히 자리 잡았습니다. 프랭크 외2는 TL이 '깨달은 변화 에이전트를 배출하는' 리더십 속성의 개발에 초점을 맞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세 가지 근본적인 변화를 강조하면서 정의를 구체화했습니다.

  • '사실 암기에서 의사 결정을 위한 정보 검색, 분석 및 종합으로,
  • 전문 자격증 취득에서 보건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팀워크를 위한 핵심 역량 달성으로,
  • 교육 모델의 무비판적 채택에서 지역 우선순위를 해결하기 위한 글로벌 자원의 창의적 적용으로'

이러한 이해는 TL이 HPE에게 바람직한 결과라는 점을 분명히 합니다. 

Transformative learning (TL) has become an established theory across numerous disciplines in higher education, including the medical and health professions.1 In his critical review, Taylor1 highlighted the role of reflection in TL and described ways in which it might be foster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The publication of the seminal Lancet Commission article on HPE for the 21st century2 further entrenched TL as an important pedagogical construct for HPE. Frenk et al.2 described TL a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attributes that ‘produce enlightened change agents’. They further qualified their definition, highlighting

  • ‘three fundamental shifts:
    • from fact memorisation to searching, analysis, and synthesis of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 from seeking professional credentials to achieving core competencies for effective teamwork in health systems; and
    • from non-critical adoption of educational models to creative adaptation of global resources to address local priorities’.

This understanding clearly positions TL as a desirable outcome for HPE.

이론적 구성체로서의 변혁적 학습은 1991년 메지로우의 형성적 연구를 통해 소개되었습니다.3 기존 교육 이론가들(쿤의 패러다임 개념, 프레이리의 의식화 연구, 하버마스의 학습 영역)의 영향을 받은 메지로우의 초기 입장은 

  • '학습이란 미래의 행동을 안내하기 위해 경험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또는 수정된 해석을 구성하기 위해 이전 해석을 사용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는 것이었습니다. 5 이러한 이해는

  • TL을 '고정된 가정과 기대(마음의 습관, 의미, 관점, 사고방식)로 이루어진 문제적 기준틀을 보다 포용적이고, 분별력있고, 개방적이고, 성찰적이며, 정서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학습'

...이라고 설명하는 것으로 발전했습니다.6 다른 사람들은

  • TL을 '우리가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을 극적이고 영구적으로 변화시키는 깊은 구조적 변화'를 수반한다고 설명했습니다.7

Transformative learning as a theoretical construct was introduced through the formative work of Mezirow in 1991.3 Influenced by established educational theorists (Kuhn's conception of paradigms, Freire's work around conscientisation, and Habermas's domains of learning)4 Mezirow's early position on TL was

  • ‘learning [that] i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using a prior interpretation to construe a new or revised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one's experience in order to guide future action’.5 

This understanding evolved to describing

  • TL as ‘learning that transforms problematic frames of reference—sets of fixed assumptions and expectations (habits of mind, meaning, perspectives, mindsets)—to make them more inclusive, discriminating, open, reflective, and emotionally able to change’.6 

Others have described

  • TL as involving a ‘deep structural shift … that dramatically and permanently alters our ways of being in the world’.7

TL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려면 의도적인 커리큘럼 변화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벨라지오 글로벌 보건 교육 이니셔티브(BGHEI) 내 커리큘럼 개발 작업의 일환으로 이러한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러나 논의 과정에서 바로 드러난 것은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르고 이론적으로 명확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 대한 범위 검토에 착수했습니다: HPE 문헌에서 TL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현재의 경험적 연구는 TL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검토 팀에는 BGHEI 회원 외에도 HPE 배경 지식을 갖춘 연구원 3명과 사서 1명이 추가되었습니다. 우리의 의도는 커리큘럼 활동에서 TL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포함하여 TL에 대한 포괄적인 종합 정보를 HPE 커뮤니티에 제공하여 향후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Creating opportunities that might enable TL requires intentional curriculum change. As part of our curriculum development work within the Bellagio Global Health Education Initiative (BGHEI), we aimed to create such opportunities. Immediately evident from our deliberations, however, was the extent to which our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differed amongst us and lacked a clear theoretically grounded comprehension. We therefore embarked on a scoping review of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ow is TL understood in the HPE literature? How does current empirical work describe TL? Apart from the BGHEI members, our review team was augmented by the inclusion of three researchers with an HPE background and a librarian. Our intention was to provide the HPE community with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TL, including how it is taken up in curricular activities, with a view to informing its future application in the field.

방법
Methods

이 범위 검토는 '연구 영역에 포함된 핵심 개념을 매핑하여 ... 현재 문헌의 범위에 대한 신속하고 서술적이며 설명적인 설명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8 Arksey와 O'Malley의9 6단계 프레임워크를 사용했습니다. 연구 질문은 모든 그룹 구성원을 포함한 협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으며(1단계), 그 후 일련의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광범위한 문헌 검색을 수행하여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연구를 식별했습니다(2단계). 먼저, 알려진 주요 논문을 사용하여 Yale MeSH 분석기10를 사용하여 관련 통제 어휘(MeSH [의학 주제 제목] 용어, 엠트리 및 기타)와 사용할 키워드 용어를 식별했습니다. 그런 다음 각 개념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번역되었습니다. 검색된 주요 개념에는 학부 의학교육, 간호 교육, 보건 전문직 교육, 학습 및 변형(변형, 변형 등 포함; 부록 1)과 같은 변형이 있는 통제 어휘와 키워드의 조합이 포함되었습니다. 학부 의학교육은 면허 취득 전 단계의 프로그램으로 정의되었고, 대학원은 대학원 의학교육을 포함한 면허 취득 후 프로그램을 의미했습니다. 
This scoping review aims ‘to map the key concepts contained in a research domain … to produce a quick, narrative, descriptive account of the scope of current literature’.8 We used Arksey and O'Malley's9 six-step framework. The research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a consultative process including all group members (Step 1), after which potentially relevant studies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an extensive search of the literature based on a set of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tep 2). We began with the Yale MeSH Analyzer10 using key known articles to identify relevant controlled vocabulary (MeSH [Medical Subject Headings] terms, Emtree and others) and keyword terms to be used. Each concept was then translated for use in databases. Major concepts searched included a combination of controlled vocabulary and keywords with variations such as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nursing education, health profession education, learning and transformative (including transforming, transform, etc.; Appendix 1).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as defined as programmes at the pre-licencing level, whereas postgraduate referred to post-licencing programmes, including graduate medical education.

2017년 2월 27일과 2018년 5월 31일에 숙련된 의학 사서가 다음을 포함한 10개의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습니다: Ovid MEDLINE, Ovid Embase, Ovid PsycINFO, Scopus 및 교육자원정보센터(ERIC)(부록 2). 검색 결과는 EndNote X7(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다운로드하고 중복을 제거했습니다. 검색된 1080개의 초록은 코비던스(코크란 기술 플랫폼)를 사용하여 두 명의 팀원(CM, LM, TB, MP, MM, SvS, DD, JH)이 독립적으로 검토했으며, 충돌이 있는 경우 세 번째 팀원(DD, JH, SvS)이 해결했습니다. 초록은 해당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 특히 TL 및 학부 HPE에 관한 것이 아니거나 학회 초록,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 또는 논문 초록인 경우 제외되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검토 대상 기간은 2006년 1월부터 2018년 5월까지로 제한하여 266개의 전체 텍스트를 검토했습니다(3단계, 그림 1). 
On 27 February 2017 and 31 May 2018, an experienced medical librarian searched 10 bibliographic databases, including: Ovid MEDLINE, Ovid Embase, Ovid PsycINFO, Scopus and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ERIC) (Appendix 2). Search results were downloaded to EndNote X7 (Clarivate Analytics, Philadelphia, PA, USA) and duplicates removed. The 1080 retrieved abstracts were independently reviewed by two team members (CM, LM, TB, MP, MM, SvS, DD, JH) using Covidence (a Cochrane technology platform); conflicts were resolved by a third team member (DD, JH, SvS). Abstracts were excluded if they were not within the scope, specifically if they were not about TL and undergraduate HPE, or if they were conference abstracts, letters to the editor or abstracts from dissertations. At this point, the period under review was limited to January 2006 to May 2018, resulting in 266 full texts being considered (Step 3; Fig. 1).

연구 질문에 따라 협의하여 데이터 추출 시트를 개발했습니다(4단계). 각 연구는 다시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세 번째 검토자(SvS)가 갈등을 해결했습니다. 논문에 대한 설명적 데이터 외에도 TL이 어떻게 정의되었는지, 어떤 이론가가 등장했는지, 연구에서 TL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학습 개입이 설명되었는지, TL이 평가되었는지 여부 및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도 수집되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구조화' 접근법을 분석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전반에서 패턴, 유사성 및 모순을 찾아내는 내용 분석11을 거쳤습니다.12 구조화 이론은 모든 맥락에 존재하는 구조적 차원행위자적 차원을 인정합니다. 이러한 차원은 TL이 구조화되는 방식과 경험되는 방식을 이해하고자 할 때 데이터의 범주화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분석 결과는 아래 섹션에 제시되어 있습니다(5단계). 
A data extraction sheet was developed consultatively, guided by the research question (Step 4). Each study was again reviewed independently by two reviewers and conflicts resolved by a third (SvS). Apart from descriptive data about the articles, data relating to

  • how TL was defined,
  • which theorists were featured,
  • how TL was applied in the study,
  • whether a learning intervention was described, and
  • whether and how TL was assessed, were also captured.

These data were subjected to content analysis11 using a ‘structuration’ approach as an analytical frame, as we searched for patterns, similarities and contradictions across the data.12 Structuration theory acknowledges the structural and agentic dimensions present in all contexts. These dimensions informed the categorisation of our data as we sought to understand the way in which TL is structured as well as how it is experienc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presented in the section below (Step 5).

결과
Results

포함된 연구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included studies

99개의 연구 중 총 42개(42%)는 개념적 연구였으며, 57개(58%)의 논문은 경험적 연구를 참조했습니다. 총 50개의 연구가 질적 방법론을 사용했으며, 혼합 방법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가 균형을 이루었습니다. 순수하게 정량적 접근법을 사용한 연구는 한 편에 불과했습니다. 
A total of 42 (42%) of the 99 studies were conceptual in nature, whereas 57 (58%) papers referred to empirical work. A total of 50 studies used qualitative methodologies with the balance using a mixed methods approach. Only one study used a purely quantitative approach.

데이터 수집 방법은 심층적이고 반구조화된 포커스 그룹 및 개별 인터뷰(18%), 반성 에세이(9%), 저널 및 내러티브(6%), 설문조사 및 설문지(5%) 등 다양했습니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른 접근 방식으로는 오디오 일기, 참가자 관찰, 중요 사건 보고서 및 디브리핑 세션 등이 있었습니다. 정량적 연구에는 성찰 설문지의 수정된 버전이 사용되었습니다.13 
The data collection methods varied between in-depth, semi-structured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18%), written reflection essays (9%), journals and narratives (6%), and surveys and questionnaires (5%). Other approaches to generate data included audio-diaries, participant observations, critical incidence reports and debrief sessions. A modified version of the Reflection Questionnaire was used in the quantitative study.13

포함된 연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보건 전문직은 간호(52%)였으며, 의학교육 프로그램은 24개(24%) 논문에서 설명되었습니다. 4개의 논문에서는 여러 보건 전문직이 단일 연구에 포함되었습니다. 다른 보건 전문직으로는 치과, 약학, 사회학, 작업 치료 및 물리 치료가 포함되었습니다. 한 논문의 경우 직업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총 68건(67%)의 논문에서 학부 프로그램을 언급했으며, 31건(31%)의 논문에서는 학부 및 대학원 수련생을 모두 포함했습니다. 실증 연구 중(37%) 참여자의 연령대는 학부 1학년에서 4학년까지 다양했습니다. 한 논문에는 대학원생도 포함되었습니다. 17편(17%)의 논문에서는 참가자의 연구 연도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개입은 호주(n = 19), 캐나다(n = 8), 에콰도르(n = 2), 가나(n = 1), 일본(n = 1), 멕시코(n = 2), 남아프리카공화국(n = 6), 스웨덴(n = 4), 대만(n = 1), 영국(n = 12), 미국(n = 31), 잠비아(n = 1) 등 다양한 국가에서 농촌 및 도시 환경 모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약 44%의 논문이 글로벌 보건 맥락에서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Nursing was the health profession that featured most in the included studies (52%), whereas programmes in medical education were described in 24 (24%) articles. In four articles, multiple health professions were included in a single study. Other health professions included dentistry, pharmacy, sociology,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In the case of one article, the profession was not identified. A total of 68 (67%) articles referenced undergraduate programmes; 31 (31%) articles included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trainees. Amongst the empirical studies (37%) participants ranged from first-year to final-year undergraduate students. One article also included postgraduate students. In 17 (17%) of the articles, the study year of participants was not identified. The interventions took place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n = 19), Canada (n = 8), Ecuador (n = 2), Ghana (n = 1), Japan (n = 1), Mexico (n = 2), South Africa (n = 6), Sweden (n = 4), Taiwan (n = 1), UK (n = 12), USA (n = 31) and Zambia (n = 1), and in both rural and urban settings. Around 44% of articles were identified as having been applied in a global health context.

리뷰에서 확인된 변혁적 학습
Transformative learning in review

이 섹션에서는 TL 이론의 원칙이 포함된 연구에서 개념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 총 69개 연구(70%)가 메지로우의 연구를 참조했으며, 많은 경우 브룩필드, 보이드, 크랜튼, 마이어와 랜드, 프레이레와 같은 다른 이론가들과 함께 인용했습니다. 검토한 HPE 문헌에서 TL을 정의하는 다양한 방식을 분석한 결과, 구성 요소는

  • '입력' 영역(또는 TL을 촉진하는 조건), 학습 과정 자체에 대한 설명,
  • '출력' 영역(또는 TL의 바람직한, 관찰되거나 이론화된 결과)을 중심으로 정리되었습니다.

In this section, we offer a synthesis of how the tenets of TL theory manifest in the included studies, both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A total of 69 studies (70%) referenced the work of Mezirow, in many instances in tandem with other theorists such as Brookfield, Boyd, Cranton, Meyer and Land, and Freire. Based upon our analysis of the various ways in which TL is defined in the HPE literature reviewed, constituent elements were organised around

  • ‘input’ spaces (or the conditions that foster TL), descriptions of the learning process itself, and
  • ‘output’ spaces, or the desired, observed or theorised outcomes of TL.

변혁적 학습이 일어나는 방식
How transformative learning occurs

학습 이론으로서 TL은 자신에 대한 신념,14 타인에 대한 신념, 실천 등에 대한 신념의 변화 등 변화를 특징으로 합니다. 학습은 자신이 경험한 것에 비추어 자신이 믿고 알고 있는 것에 비판적으로 관여함으로써 발생하며,15,16 이전 학습을 넘어서고 이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17-19 또한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20 포함 된 많은 연구에서 지배적 인 주제는 TL이 발생하려면 기존의 참조 프레임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러한 신념과 편견의 기반이되는 지식과 가치에 의문을 제기 할 수있는 덜 알려진 환경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신념, 마음의 습관 및 편견을 재평가 할 수있는 기회가 있어야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16, 18, 21-37 따라서 TL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자신의 기존 가정을 인식하고 자신의 세계관에 도전을 받는 것입니다.38-53 또한 '자유로운 학습 환경' 또는 '자율적 사고와 자기 권한 개발에 도움이 되는 환경'54, 55은 경험을 재해석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설명되었습니다. TL은 인지 영역17, 27, 40, 56 및 정서 영역23, 27, 54, 57 모두에서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행위가 필요하며, 비판적 사고를 수반합니다.17, 31, 58
As a theory of learning, TL is characterised by change: change in one's beliefs about oneself,14 about others, about practices, etc. Conceptualisations draw on constructivist principles in that learning occurs through critically engaging with what one believes and knows in light of what one experiences,15, 16 going beyond and building on prior learning.17-19 It may also mean learning from one's mistakes.20 A dominant theme across a large number of the included studies emphasised that for TL to occur there has to be an opportunity for questioning existing frames of reference, and for reassessing one's beliefs, habits of mind and prejudices before entering a less-known environment where the knowledge and values upon which these beliefs and prejudices are founded might be questioned.16, 18, 21-37 Enablers for TL are therefore becoming aware of one's prior assumptions and having one's world view challenged.38-53 In addition, ‘liberating learning environments’ or ‘those conducive to developing autonomous thinking and self-empowerment’54, 55 were described as necessary for reinterpreting experiences. TL requires an intentional, conscious act that occurs within both the cognitive17, 27, 40, 56 and affective domains,23, 27, 54, 57 and involves critical thinking.17, 31, 58

많은 연구에 따르면 TL은 다른 맥락, 특히 교실 밖에서 몰입을 통해 가장 잘 촉진된다고 합니다.59 이는 학습에서 장소와 맥락의 역할을 인정하는 '장소의 교육학'을 말합니다.29, 60 교수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교육학 및 접근 방식은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과 다른 커뮤니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것이었습니다.61, 62 덜 친숙한 지역사회에서의 이러한 참여에는

  • 농촌 또는 소외된 지역사회에서 일하기,53, 59-61, 63-68
  • 해외 여행,36, 69
  • 정신건강 기관에서의 봉사 학습,45, 70
  • 소외되고 불우한 사람들을 위한 가정 방문,52, 71, 72 또는
  • 임종 환자 돌보기가 포함되었습니다.73

Many of the studies suggested that TL is often best facilitated through immersion in a different context, specifically outside of the classroom.59 It speaks to a ‘pedagogy of place’ that acknowledges the role of locale and context in learning.29, 60 Common pedagogies and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were those that required active engagement with communities that appeared to be different to what the students knew.61, 62 These engagements in less familiar communities included

  • working in rural or underserved communities,5359-6163-68 
  • travelling abroad,3669 
  • service learning at mental health institutions,4570 
  • visiting homes for marginalised and otherwise disadvantaged persons,527172 or
  • caring for patients at the end of their lives.73

임상 활동(29%)과 워크숍을 통한 대화형 교육(13%)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라인 과정30, 74-76 디지털 스토리텔링21, 77 및 영화78, 시뮬레이션20, 25, 32, 48, 50, 51이 사용되었습니다. 중재에는 협력 또는 동료 주도 학습, 그룹 또는 팀워크37, 57, 79-81, 멘토링82, 대화 기회 및 내러티브 사용 등이 포함되었습니다.17, 39, 62 마찬가지로 '체험적' 학습25, 57, 68 및 자연 환경에서의 진정한 경험을 제공하는 학습19, 33, 41, 59, 83은 자원 또는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종종 도전적인 것으로 보였습니다.35, 52
There was a clear focus on clinical activities (29%) and interactive teaching through workshops (13%). Online courses,30, 74-76 digital storytelling21, 77 and film,78 as well as simulation,20, 25, 32, 48, 50, 51 were used. Interventions included collaborative or peer-led learning, group or teamwork37, 57, 79-81 and mentorship,82 with opportunities for dialogue and the use of narrative.17, 39, 62 Similarly, what was described as ‘experiential’ learning25, 57, 68 and learning that provided for authentic experiences19, 33, 41, 59, 83 in natural settings were seen to be challenging often from a resource or socio-economic perspective.35, 52

99개 논문 중 총 64개 논문에서 TL을 촉진하고 평가하는 과정으로서 성찰을 언급했으며, 한 논문에서는 '총체적 성찰 모델'을 제시했습니다.84 성찰을 장려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인터뷰69, 83 및 디브리핑,32, 85 토론,41, 86 핵심 가치에 집중,29 및 저널 사용을 포함한 성찰적 글쓰기 등이 있습니다.13, 27, 30, 45, 52, 87 성찰은 '개방형',40 '자기 성찰'28 및 '비판적',38, 55, 63, 88-90으로 묘사되었으며, 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판적 성찰'이 이론과 실무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90
A total of 64 of the 99 articles made reference to reflection as a process to both facilitate and assess TL, with one article offering a ‘Model of Holistic Reflection’.84 Specific ways in which reflection was encouraged included interviewing69, 83 and debriefing,32, 85 discussions,41, 86 focusing on core values,29 and reflective writing, including using journals.13, 27, 30, 45, 52, 87 Reflection was described as ‘open-ended’,40 ‘self-reflection’28 and ‘critical’,38, 55, 63, 88-90 with one study suggesting that such ‘critical reflection’ could minimis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90

TL에는 강력한 사회적 의무도 있습니다. 이는 학생과 다른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을 가진 커뮤니티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과의 참여를 전제로 합니다.23, 36, 42, 88, 91 여러 저자가 TL의 사회적 차원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변혁적 학습은 비판적 성찰을 통한 성찰의 과정으로 새로운 사고방식 또는 조명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86 '공감적 경청'37 합리적 담화,30 반성적 담화26 및 타인의 가정에 대한 인식 등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 기술을 강조합니다.92
There is also a strong social imperative for TL. It presupposes engagement with others, including communities, who may well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and doing to those of the student.23, 36, 42, 88, 91 Several authors refer to the social dimensions of TL. Transformative learning is not just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through critical reflection that leads to new ways of thinking, or illumination,86 but it also emphasises high-level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empathic listening’,37 rational discourse,30 reflective discourse26 and an awareness of the assumptions of others.92

여러 연구41에서는 TL의 '트리거' 역할을 하는 특정 사건이나 조건을 설명했습니다. 메지로우의 변형적 학습의 10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인 '방향성 상실 딜레마'에 대한 개념이 강하게 등장했습니다.23, 36, 40, 51, 93 종종 이것은 특정 사건이나 경험,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진정한' 경험과 연결되며 죄책감 및 두려움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40, 59 어떤 경우에는 TL이 마이어와 랜드의 '역치 개념':41, 43, 47, 77, 94 '어떤 것을 이해하거나 해석하거나 보는 변화된 방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도 했습니다.95
Several studies41 described specific events or conditions that acted as ‘triggers’ for TL. Mezirow's notion of a ‘disorienting dilemma’, the first of his 10 phas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featured strongly.23, 36, 40, 51, 93 Often this was linked to a particular event or experience, typically the ‘authentic’ experiences mentioned above, and could be associated with feelings of guilt and fear.40, 59 In some instances, TL was directly linked to Meyer and Land's idea of ‘threshold concepts’:41, 43, 47, 77, 94 ‘a transformed way of understanding, or interpreting, or viewing something’.95

변혁적 학습의 결과
Outcom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연구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변혁적 학습은 학생들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5, 47, 62 학생들이 더 차별적인 관점을 개발함에 따라 그들의 세계관이 변화했습니다.47, 53, 58, 66, 96-98 따라서 TL은 가치,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30, 37, 57, 61, 72, 99 그리고 자신을 보고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14, 33, 69, 80 학생들은 의료 영역 내의 조건을 포함하여 사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개발했습니다.22, 93 문화와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타인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17, 28, 64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다양성'으로 나아감에 따라 서로 다른 의견과 관점23 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습니다.17 연구들은 이러한 인식이 겸손과 성실성,24, 55, 57 및 공감과 배려를 특징으로 하는 환자 중심주의와 같은 인문학적 가치를 어떻게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17, 22, 45 학생들은 또한 사회적, 전문적, 치료적, 호혜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협상할 진정한 기회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24, 33, 64, 78, 93, 100, 101.
Transformative learning, as described in the studies, was seen to influence the formation of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45, 47, 62 As they developed more discriminating perspectives, their worldviews shifted.47, 53, 58, 66, 96-98 Accordingly, TL influenced their values, attitudes and behaviours,30, 37, 57, 61, 72, 99 and how they saw and understood themselves.14, 33, 69, 80 Students developed new interpretations of how things were, including conditions within the realm of health care.22, 93 There was a heightened awareness of others,17, 28, 64 regardless of culture and socio-economic standing,69 and of differing opinions and perspectives23 as they progressed towards ‘multiplicity’ considering multiple viewpoints.17 Studies spoke of how this awareness enhanced humanistic values, such as humility and integrity,24, 55, 57 and patient-centredness, characterised by empathy and caring.17, 22, 45 Students were also described as having authentic opportunities to build and negotiate social, professional, therapeutic and reciprocal relationships.24, 33, 64, 78, 93, 100, 101

TL은 인지적 차원이 강한 것이 특징이지만, 그 영향은 행동 변화로 나타나야 합니다. 학생들은 변화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묘사되었는데,44, 64, 67 이는 사회적 책임과 사회 정의의 문제를 모두 다루는 변화를 주장한 메지로우 이론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변화된 세계관은 개인이 사회적 불공정,58, 74, 102 보건 맥락에서 건강 불평등으로 이어지는 사회적 불공정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줍니다.31 
Although TL is characterised as having a strong cognitive dimension, its impact should manifest in behavioural change. Students were described as becoming agents for change,44, 64, 67 an important feature of Mezirow's theory, which argued for change that spoke to issues of both social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The transformed view of the world allows individuals to examine social injustice,58, 74, 102 which in a health context leads to health inequalities.31

학생들의 성찰력 향상자아실현 과정을 촉진하여 자신감과 그에 따른 역량70 및 권한 부여를 구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54, 85 학생들은 문화적 역량감의 결과로 다른 문화권의 환자를 돌보는 데 더 자신감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66, 85, 93 일부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몰입의 결과로 학생들이 환자, 다른 의료 전문가 및 지역사회 구성원과의 소속감 또는 유대감을 발전시켰다고 제안했습니다.19, 83 
Students’ increased reflectiveness encourages a process of self-actualisation, which is seen to build self-confidence and the resulting competence70 and empowerment.54, 85 Students claimed to be more confident in caring for patients from different cultures66, 85, 93 as a result of a sense of cultural competency.87 Some studies suggested that as a result of the immersion that was mentioned above, students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or connectedness with patients,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members of the community.19, 83

학생, 그리고 궁극적으로 환자 치료, 의료 서비스 제공, 심지어 사회에 대한 TL의 가치에 대해 포함된 연구들 전반에 걸쳐 많은 일관성이 있었지만, 논의가 필요한 몇 가지 덜 일반적인 지표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적 및 사회적 차원이 설명된 결과에서 강하게 나타났지만, 한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여전히 '학문적 지식'을 습득했지만 이전에 경험했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습득했다고 제안했습니다.68 
Although there was much coherence across the included studies as to the value of TL for students, and indeed ultimately for patient care, health care delivery and even society, there were also some less-common indicators that warrant discussion. For example, although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featured strongly in the described outcomes, one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still acquired ‘academic knowledge’ but did so ‘in a different way’ from what they felt they had experienced previously.68

변혁적 학습 경험
Experience of transformative learning

대부분의 연구에서 TL이 개인의 커리어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들이 불안한 경험을 할 수도 있음도 분명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죄책감과 두려움 외에도 연구들은 학생들이 학습 경험을 '변혁적', '격렬함',72 '불편함'93,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묘사했습니다.47 경험은 또한 '지적'71, '감정적'63, 71, 101뿐만 아니라 '다름'34, 60 또는 '여정'으로 묘사되기도 했습니다.63
Although most studies framed TL as potentially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n individual's career, it was evident that students could also have some unsettling experiences. Apart from the guilt and fear mentioned above, studies also described how students experienced learning events as being ‘transformative’, ‘intense’,72 ‘uncomfortable’93 and characterised by ‘uncertainty’.47 Experiences also were described as ‘intellectual’71 and ‘emotional’,63, 71, 101 but also ‘different’34, 60 or as a ‘journey’.63

학생들은 자신의 입장과 기준이 도전받을 때 다양한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수용성과 역량49 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들은 어느 정도의 취약성을 경험하는 데 개방적이어야 하며, 환자나 상황으로부터 거리를 두기보다는 '방향 감각을 잃는 딜레마'를 받아들여야 합니다.94 TL 이론에 내포된 사회적 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해의 공통 기반37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필연적으로, 너무 자기중심적이거나 정서적으로 단절되어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63 휴가 마인드는 '해외 유학' 연구에서 인정된 위험입니다.63 마지막으로, 포함된 연구 중 단 한 건만이 수행된 연구가 TL의 증거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특히 윤리적 문제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직면하는 불확실성과 도전에 어려움을 겪는 경험을 기술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103 이 저자들과 다른 사람들104 은 학생들이 그러한 학습 계획에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갱신할 것을 촉구합니다. 
Students need to be receptive and have the capacity49 to consider multiple viewpoints when their own positions and frames of reference are being challenged. They need to be open to experiencing a level of vulnerability and take the ‘disorienting dilemmas’ on board rather than opting to distance themselves from either the patients or the context.94 There needs to be an intent to seek common ground for understanding37 that will lead to the social good that is implicit in TL theory. Inevitably, there are students who may be too egocentric and/or emotionally disconnected to benefit.63 A vacation mindset was an acknowledged danger in ‘study abroad’ studies.63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one included study indicated that the work conducted had provided no evidence of TL and described the experience of students struggling with the uncertainty and challenges that they are presented with, specifically with regards to ethical issues.103 These authors and others104 call for curriculum renewal to prepare students in advance for such learning initiatives.

토론
Discussion

저희가 아는 한, 이 리뷰는 HPE 문헌에서 최초로 작성된 것입니다. 이 검토를 통해 HPE에서 TL이 무엇으로 인식되는지, TL이 어떻게 육성되는지, 학생들이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대해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변혁적 학습]성찰을 장려하는 경험이나 사건을 통해 세상을 보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학습으로, 일반적으로 선입견에 도전하여 미래의 긍정적인 행동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능하게 합니다.1 기존 교실 밖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덜 익숙한 상황에 노출되며 공식 강의 이외의 전달 및 참여 방식이 채택될 때 더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L이 이루어지려면 학생들이 이러한 낯선 상황에 대응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역량이 부족하면 TL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review represents the first of its kind in HPE literature. The review showed that there is broad consensus as to what TL in HPE is perceived to be, how TL is fostered, and how students experience it. Transformative learning is described as learning that changes the way we see the world through an experience or event that encourages reflection, typically challenging preconceived understandings, which enables positive future action and meaningful relationships.1 It appears to be more common when learning takes place outside of the conventional classroom, when students are exposed to less familiar contexts, and when modes of delivery and engagement other than formal lectures are adopted. For TL to occur, students must have the capacity to respond to and engage in these unfamiliar contexts. A lack of such capacity can preclude TL.

TL 이론이 학습 이론 담론에 동화되는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105, 106 예를 들어, 뉴먼은 변화가 TL의 핵심이라고 주장하며 모든 학습이 어떤 식으로든 변화에 관한 것이 아닌지, 그리고 TL을 뚜렷한 현상으로 식별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106 아마도 TL 이론은 본질적으로 특정 목적을 위한 학습이지만, 우리가 학습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TL이 실제로 식별 가능하고 뚜렷한 현상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한 리뷰에서는 이러한 뚜렷한 특징을 강조하면서 '세계관', 우리가 경험을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신념, 태도 및 보다 복잡한 관점의 발달로 구성된 TL 결과의 유형학을 설명하며 다섯 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합니다:

  • (i) '자아', 책임감,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아는 것, 자신의 정체성,
  • (ii) '인식론', 지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변별력을 키우고 다양한 앎의 방식을 인정하는 것,
  • (iii) '존재론',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
  • (iv) '행동', 변화된 관점과 새로운 기술 및 스킬의 영향을 받는 행동,
  • (v) '역량', 인지적 및 정서적 능력으로 구성됩니다. 107

Criticism has been lodged against the way in which TL theory has been assimilated into learning theory discourse.105, 106 For example, Newman argues that change appears to be key to TL and questions whether all learning is not about change in some way and whether it is even possible to identify TL as a distinct phenomenon.106 Perhaps it is that TL theory essentially provides a frame within which we are better able to understand learning, although in this instance it is learning to a particular end. We would therefore argue that TL is indeed identifiable and distinct. A recent review emphasises these distinct features, describing a typology of TL outcomes comprising ‘worldview’, the assumptions, beliefs, attitudes that influence how we make sense of an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a more complex perspective, consisting of five aspects:

  • (i) ‘self’, taking responsibility, knowing oneself, also in relation to others, and one's identity;
  • (ii) ‘epistemology’, becoming more discriminating about what knowledge is and acknowledging multiple ways of knowing;
  • (iii) ‘ontology’, ways of being in the world;
  • (iv) ‘behaviour’, action influenced by changed perspectives and even new skills; skills, and
  • (v) ‘capacity’, cognitive and affective ability.107 

이러한 각 영역은 각 연구에 모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본 검토에서 어느 정도는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학습 경험은 언제 변혁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개입을 설명하는 포함된 연구들은 모두 정보제공적형성적 접근 방식을 넘어서는 학습 유형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이러한 유형론을 포함 기준으로 적용하면 이러한 출판물 중 상당수가 제외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L을 촉진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출판물의 입지는 비판받을 수 있습니다.
Each of these domains is present in our review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although they are not all present in each of the studies. This prompts the question: when does a learning experience qualify as transformative? Although in general the included studies that describe an intervention all speak to a type of learning that goes beyond informative and formative approaches, the application of such a typology as inclusion criteria would have resulted in excluding many of these publications. Their standing in terms of facilitating TL could therefore be critiqued.

호건은 [깊이 있고 폭넓은 경험과 변화가 일시적이지 않다는 증거]가 TL의 중요한 기준이라고 주장합니다.107 이러한 기준은 메지로의 10단계 TL과도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 방향을 잃은 딜레마에 직면하는 것에서부터
  • 자신과 자신의 가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새로운 역할다른 행동 방침에 대한 고려,
  • 이러한 새로운 역할의 채택,
  • 마지막으로 새로운 존재 방식을 기반으로 한 삶에 재통합

메지로우의 연구는 포함된 연구에서 지배적이었으며, 특히 경험적 연구를 설명하는 연구들에서 이러한 단계가 많이 등장합니다. 
Hoggan argues that depth and breadth of experience and evidence that change is not temporary are important criteria for TL.107 These criteria also resonate with Mezirow's 10 phases of TL, which move

  • from being confronted with a disorienting dilemma,
  • to critical reflection of self and of one's assumptions,
  • to consideration of new roles and a different course of action,
  • to the adoption of these new roles, and
  • finally, reintegration into one's life based on one's new way of being.

Mezirow's work was dominant in the included studies, and many of these phases are featured, particularly in those studies that describe empirical work.

그러나 일반적으로 표현의 빈도는 단계가 올라갈수록 감소하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가정을 반성하도록 도전을 받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된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변화된 행동을 강조하는 경우는 적었습니다. 이는 언제 TL을 주장할 수 있는지, 그리고 모든 단계를 거쳐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다시 제기합니다. TL 이론은 새로운 존재 방식이 통합적이고 되돌릴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변화가 지속되는 정도에 대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종단 연구는 부족하며, 한 가지 예외로 Greenhill 등의 연구(108)가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변화를 특정 사건에 기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Generally, however, the frequency of representation diminishes the further one moves through the phases, with most studies acknowledging students being challenged to reflect on their assumptions, and suggesting that this leads to new perspectives, but with fewer emphasising changed action. This again raises the question about when a claim for TL can be made, and whether movement through all phases is required. Although TL theory claims that the new ways of being are both integrated and irreversible, there is a dearth of longitudinal studies, one exception being a study by Greenhill et al.,108 that could offer perspectives on the extent to which change is sustained. In addition, one might argue that it is not possible to attribute sustained change to a particular event.

이 연구가 HPE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요?

  • 첫째, 맥락이 중요합니다. 의료 전문가 교육이 진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환경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109 종종 낯선 환경(병원에서 처음 배우거나 외국에서의 선택 과목 등)에서 잠재적으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학습 경험에 노출될 기회가 늘어날 것입니다. 기존의 교실에서 벗어나면 학생과 교육자 모두 사회 정의와 같이 해당 분야의 원조 이론가들의 연구에 내포된 공식 커리큘럼을 넘어서는 문제를 자유롭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 둘째, 맥락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TL은 개인, 즉 개인의 여정에 관한 것입니다. 이 여정은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 인식론적 입장과 존재론적 입장이 모두 특징이며, 이러한 입장은 서로 얽혀 있어 위에서 언급한 학습의 깊이와 폭을 잠재적으로 제공합니다.
  • 셋째, HPE의 맥락에서 사회적, 관계적, 정서적 구성 요소는 돌봄 직업의 전문가가 되는 것과 특별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메지로우는 TL이 궁극적으로 사회 변화를 이끌고 사회 정의를 증진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 전 세계 보건 불평등의 맥락에서 볼 때, 미래의 의료 전문가들이 어떤 학습에 노출되기를 바라는지를 고려할 때 이러한 의무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강력하게 다가옵니다.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HPE?

  • First, context is critical. As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continues to move towards settings where they are active participants in care,109 often in unfamiliar surroundings (whether learning for the first time in a hospital or on an elective in a foreign country), increased opportunities for exposure to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potentially transformative will become available. Moving outside of the conventional classroom offers both students and educators the freedom to explore issues beyond the formal curriculum, such as social justice, that are implicit in the work of the original theorists in the field.
  • Second, despite the influence of context, TL is about the individual – his or her journey. This journey is characterised by both a cognitive and an affective dimension, a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osition, and these are intertwined, potentially providing for the depth and breadth of learning alluded to above.
  • Third, in the context of HPE, the social, relational and emotional components have specific relevance to becoming a professional in any of the caring professions. As mentioned earlier, Mezirow's sense was that TL would ultimately lead to social change and promote social justice. In the context of current global health inequity this imperative strikes a chord more strongly than any other when considering the learning that we would wish future health professionals to be exposed to.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는 임상 교육자를 포함한 교사, 커리큘럼 개발자,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학습 기회를 창출하고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프로그램 관리자에게도 시사점을 줍니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려면 교육자 스스로가 자신의 신념과 이것이 자신의 실무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커리큘럼 리뉴얼 활동에는 학생들이 비판적 자기 성찰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이 포함되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보건 전문직에 종사하는 교육자가 인지적, 정서적으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학생들의 잠재적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보건 전문직 교육자에게 TL을 촉진하기 위한 세부적이고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이 검토에서 나온 중요한 다음 단계가 될 것입니다.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carry implications for teachers, including clinical educators, for curriculum developers and for programme administrators responsible for creating learning opportunities and establishing enabling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those described above. To fulfil these tasks would require a preparedness on the part of these educators to themselves critically engage with what they believe and what this might mean for their own practice. Curriculum renewal activities can be designed to include teaching strategies that engage students in critical self-reflection. Equally important, however, is for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to be sensitive to students’ potential responses,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both cognitively and emotionally. Providing detailed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about facilitating TL would be an important next step to emerge from this review.

이 검토는 TL에 대한 현재 이해와 기존 HPE 문헌에 표현된 방식 사이의 간극을 해결하고자 했지만, 이 작업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문헌의 범위를 정할 때 깊이보다는 폭을 넓히는 접근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종합 과정에서 고유한 세부 정보가 누락되었을 수 있습니다. 범위 검토의 관례에 따라 포함된 연구의 근거의 질을 공식적으로 검토하지 않았습니다.9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이러한 격차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호 전문직이 포함된 연구에서 가장 많이 대표되는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모든 보건 전문직 학부 프로그램에 대한 이 검토의 관련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TL을 육성하고 평가하려는 향후 연구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믿습니다. 더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측면은 TL을 촉진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자기 성찰의 역할입니다. 마지막으로, 검토팀은 임상의, 관리자, 교육자 등 다양한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검토 및 분석 과정에 접근했습니다.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격렬한 토론이 필요했지만, 그 덕분에 최종 결과물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합니다.
Although this review has sought to address a gap in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TL and how it is represented in the existing HPE literature,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work. In seeking to scope the literature we adopted an approach that pushed for breadth rather than depth. In the process of synthesis, unique details may have been lost. Following the conventions of scoping reviews, we did not formally review the quality of the evidence in the included studies.9 A systematic review might address this gap. Furthermore, because the nursing profession was the most represented programme in the included studies, the relevance of this review for all health professions’ undergraduate programmes may be questioned. Nevertheless, we believe that the work provides insights that can inform future studies that seek to foster and assess TL. Another aspect that warrants further attention is the role of self-reflection in facilitating and assessing TL. Finally, the review team comprised a diverse group of professionals that includes clinicians,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ists, who approached the process of review and analysis from quite different perspectives. Reaching consensus required vigorous debate, but we believe this enhanced the final product.

결론
Conclusions

변혁적 학습 이론은 '가장 진보된 종류의 인간 학습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는 데 국제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인정받는 공헌'이 되었습니다.110 '복잡하고 다면적인',4 '고등교육의 상징적인 교육 철학'1, '분석적 메타이론'107 으로 교육자들에게 학생들의 학습을 바라볼 수 있는 이론적 렌즈를 제공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습니다. TL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주목할 가치가 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이 검토에서 제기된 문제를 탐구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has become ‘an internationally well known and recognised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what may be perceived as the most advanced kind of human learning’.110 It has been described as ‘complex and multifaceted’,4 ‘the iconic education philosophy’1 in higher education, and an ‘analytic metatheory’107 providing educators with a theoretical lens through which to view students’ learning. Notwithstanding critiques levelled at TL, there can be no doubt that it warrants our attention and further work that will explore the issues raised in this review is required.

BGHEI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글로벌 보건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권고안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111 특히 학생들을 준비시키고, 비판적 성찰과 담론을 위한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고불편함을 허용하고 '안전한' 공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학습 이벤트 또는 경험을 구성하는 측면에서 글로벌 보건 교육 개입에 관여하거나 착수하려는 사람들이 이 검토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검토가 더 넓은 관점을 제공하며 21세기 보건 전문직 교육이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려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복잡성을 인정하고 우리가 알고 있다고 믿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인간 번영'을 가능하게 하는 불확실성의 교육학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112 변혁적 학습 이론은 그러한 교육학을 제공합니다.
One of the main goals of the BGHEI relates to offering curriculum recommendations for global health education.111 Much can be learned from this review by those who are involved in, or intend to embark on, a global health educational intervention, particularly in terms of preparing students, ensuring time and space for critical reflection and discourse, structuring learning events or experiences to allow for discomfort and a move away from ‘safe’ spaces. However, we would argue that the review offers a broader perspective and that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quires a pedagogy of uncertainty that allows for ‘human flourishing’, acknowledging the complexity of the world we live in and questioning what we believe we know about it.112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offers such a pedagogy.

 


Med Educ. 2019 Jun;53(6):547-558. doi: 10.1111/medu.13804. Epub 2019 Feb 14.

Transformative learning as pedagog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 scoping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1Centre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Stellenbosch University, Cape Town, South Africa.

2Yale School of Medicine, Yale University, New Haven, Connecticut, USA.

3Departments of Medicine and Epidemiology, David Geffen School of Medicine and Fielding School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California, USA.

4Faculty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s,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Crawley, Western Australia, Australia.

5Faculty of Health Sciences, Ben Gurion University, Beer Sheva, Israel.

6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University of California-San Francisco Medical Center, San Francisco, California, USA.

7Cushing/Whitney Medical Library, Yale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USA.

8Warwic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UK.

PMID: 30761602

DOI: 10.1111/medu.13804

Abstract

Context: Transformative learning (TL) has been described as learning that challenges established perspectives, leading to new ways of being in the world. As a learning theory it has resonated with educators globally, including those in the health professions. Described as a complex metatheory, TL has evolved over time, eliciting divergent interpretations of the construct. This scoping review provides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how TL is currently represented in the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literature, including how it influences curricular activities, to inform its future application in the field.

Methods: Arksey and O'Malley's six-step framework was adopted to review the period from 2006 to May 2018. A total of 10 bibliographic databases were searched, generating 1532 potential studies. After several rounds of review, first of abstracts and then of full texts, 99 studies were mapped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onto the internally developed data extraction sheet. Descriptive information about included studies was aggregated. Discursive data were subjected to content analysis.

Results: A mix of conceptual and empirical research papers, which used a range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were included. Studies from the USA, the UK and Australia were most prevalent. Insights relating to how opportunities for TL were created, how it manifests and influences behaviour, as well as how it is experienced, demonstrated much congruency. Conceptions of TL were seen to be clustered around the work of key theorists.

Conclusions: The training of health professionals often takes place in unfamiliar settings where students are encouraged to be active participants in providing care. This increases the opportunity for exposure to learning experiences that are potentially transformative, allowing for a pedagogy of uncertainty that acknowledges the complexity of the world we live in and questions what we believe we know about it. TL provides educators in the health professions with a theoretical lens through which they can view such student learning.

의학교육의 문턱개념: 스코핑 리뷰(Med Educ, 2022)
Threshold concepts in medical education: A scoping review
Helen Jones | Lucy Hammond

 

 

1 배경
1 BACKGROUND

문턱 개념(TC)은 20031년에 처음 설명되었으며, '이전에는 접근할 수 없었던 새로운 사고 방식을 열어주는 포털과 비슷하다'고 묘사됩니다.1(p1) 따라서 TC를 파악하면 학습자의 주제 또는 학문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변화하여 학습이 진전될 수 있습니다.1 마이어와 랜드(2003)는 열전달을 예로 들었는데, 온도 구배에 따라 무언가가 식는 속도가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하면 요리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이 달라지고 그 과정을 가장 잘 돕기 위해 사용하는 냄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1 임계치 개념 프레임워크(TCF)가 발전하면서 학생들이 다양한 정도로 경험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한 특징이 제안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표 1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Threshold concepts (TCs) were first described in 20031 and are depicted as ‘akin to a portal opening up a new and previously inaccessible way of thinking about something’.1(p1) Grasping a TC therefore enables transformation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 subject or discipline which allows them to progress.1 Meyer and Land (2003) used heat transfer as an example: understanding that the temperature gradient determines the rate at which something cools, which transforms how someone thinks about cooking and may change what pots they use to best aid the process.1 As the threshold concept framework (TCF) has developed, several possible characteristics have been proposed, which students may experience to varying degrees. These are described in Table 1.

따라서 TC는 지식의 기본 구성 요소 그 이상을 나타냅니다. 여기에는 학습자가 새로운 이해와 씨름하는 동안 한계 공간을 점유하는 숙달을 향한 여정이 포함됩니다.2, 3, 5 이러한 투쟁은 모방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이 공간을 성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2, 5 문턱을 넘으면 '앎, 수행, 존재, 미래 학습 가능성'에 변화가 생깁니다.6(263쪽) 이는 인식론적 또는 존재론적 전환을 의미하며,7 학생들이 학문의 특정 방식으로 사고할 수 있게 하고, 학문의 일부가 될 때 학습자의 정체성1-4 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6 
TCs, therefore, represent more than basic building blocks of knowledge. They involve a journey towards mastery in which the learner occupies a liminal space while they grapple with new understandings.2, 3, 5 This struggle can present as mimicry and the learner may need support to successfully navigate this space.2, 5 Crossing a threshold subsequently leads to a change in ‘knowing, doing, being, and future learning possibilities’.6(p263) This represents a transformative epistemological or ontological shift,7 enabling students to think in a discipline specific way, and is associated with a transfiguration of the learner's identity1-4 as they become part of the discipline.6

따라서 TC는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 사고와 실천 방식을 탐구하는 데 활용되어 왔습니다.6, 8 이러한 맥락에서 TCF는 커리큘럼이 학생들이 실제 실무에 가장 잘 대비할 수 있게 하고,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는 렌즈를 제공합니다.8, 9 또한 학생들이 단절된 학습 경험을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되고9 교육자가 주제 영역5, 9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중요한 개념에 집중할 수 있어 내용이 많은 의료 교과 과정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브라운 등은 TCF가 하나의 지식 체계를 암시하고 정체성에 대한 인지적 개념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상충]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보건 전문직 커리큘럼에서 TCF의 적합성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10 그들은 TC를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되며 학생과 교육자 간의 토론을 돕기 위한 성찰적 자극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10
TCs have therefore been utilis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explore ways of thinking and practising.6, 8 In this context, the TCF provides a lens for exploring how curricula can best prepare students for real-world practice and address issues which hind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8, 9 In addition, it could aid students in integrating disjointed learning experiences9 and help educators focus on crucial concepts that open up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rea5, 9—a useful tool in content-heavy medical curricula. However, Brown et al. have challenged the suitability of the TCF in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as it appears at odds with a constructivist paradigm by implying one body of knowledge and focusing on cognitive conceptions of identity.10 They argue TCs should not be used to structure curricular and instead as a reflective prompt to aid discussions between students and educators.10

지난 10년 동안 의학교육에서 TC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보건 과학 TC 문헌에 대한 질적 종합이 수행되었지만,8 우리가 아는 한 의학교육에서 TC만을 주제로 한 체계적 또는 포괄적 검토는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서로 상충되는 관점을 고려할 때, 문헌을 탐색하는 것은 현재 논의의 본질을 확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증거 기반 교육 실습 및 커리큘럼 설계를 안내하는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 연속체(학부, 대학원 및 평생 의학교육) 전반에 걸쳐 TC에 관한 현재 연구를 탐색하고 설명하며, 의학교육의 실무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TC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고려하고, 연구 격차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근거의 새롭고 이질적인 특성을 감안하여 현재 문헌의 범위를 매핑하기 위해 범위 검토를 선택했습니다.11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Cs in medical education in the last decade. While a qualitative synthesis of the health sciences TC literature was conducted in 2017,8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systematic or scoping review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opic of TCs in medical education exclusively. Given the competing viewpoints, exploration of the literature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nature of the current discussion. It could also provide important insights to guide evidence-based teaching practice and curriculum desig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current research regarding TC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onsider how TCs are being used to inform practice in medical education, and to identify research gaps. Given the emerging and heterogeneous nature of the evidence, a scoping review was selected to map the extent of the current literature.11

2 방법
2 METHODS

본 문헌고찰은 근거 종합을 위한 JBI 매뉴얼12 에 제시된 프레임워크를 따랐으며, 체계적 문헌고찰 및 범위선정 문헌고찰을 위한 메타분석 확장(PRISMA-ScR)에 대한 우선 보고 항목을 준수했습니다.13 PRISMA-ScR 체크리스트는 부록 S1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구 질문, 연구 선정 기준 및 방법은 프로토콜에 게시되었습니다.14 
The review followed the framework presented in the JBI Manual for Evidence Synthesis12 and adhered to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PRISMA-ScR).13 The PRISMA-ScR checklist can be found in Appendix S1. The research questions, study selection criteria and methods were published in a protocol.14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2021년 7월 29일에 Medline(Ovid), Embase(Ovid), Scopus(Elsevier), Education Research Complete(EBSCO)를 검색했습니다. 프로토콜에 제시된 검색 전략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습니다: 원래 전략의 8번째 줄은 너무 광범위하여 삭제되었고, '제한적'과 '변형적'은 용어의 반복을 포착하기 위해 잘라냈습니다. 검색은 TCF가 처음 설명된 2003년 이후 발표된 논문1과 영어로 된 논문으로 제한되었습니다. Medline 검색 전략은 표 S1에 나와 있습니다. 
Medline (Ovid), Embase (Ovid), Scopus (Elsevier) and Education Research Complete (EBSCO) were searched on 29 July 2021. Minor changes were made to the search strategy presented in the protocol: Line 8 of the of the original strategy was removed as it was too broad, and ‘liminal’ and ‘transformative’ were truncated to capture iterations of the terms. The search was limited to papers published since 2003, when the TCF was first described,1 and to papers in the English language. The Medline search strategy is shown in Table S1.

2003년부터 2018년까지의 다양한 출판물이 수록된 온라인 Threshold Concepts Bibliography에서 추가 논문을 확인했습니다.15 출판 후 동료 검토 프로세스를 갖춘 오픈 액세스 플랫폼인 MedEdPublish를 수작업으로 검색하여16 회색 문헌을 식별했습니다. 전체 텍스트 검토를 위해 포함된 논문의 참조 목록도 수작업으로 검색했습니다. 
Additional papers were identified from the online Threshold Concepts Bibliography which lists a range of publications from 2003 to 2018.15 Hand-searching of MedEdPublish, an open access platform with a post-publication peer review process,16 was undertaken to identify grey literature. The reference lists of the articles included for full text review were also hand-searched.

논문 선별
Screening articles

식별된 논문의 참고문헌은 Covidence에 업로드되었습니다.17 중복 제거 후, 저자 HJ와 LH는 연구 선택 기준에 따라 제목과 초록을 독립적으로 선별했습니다.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전문에서 관련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료 전문가를 언급하는 초록을 포함했습니다. 그런 다음 선정된 논문의 전문을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독립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논문을 선정했습니다. 심사 과정의 시작, 중간, 마지막에 회의를 열어 연구 포함 여부에 대한 이견이 있을 경우 토론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The references for the identified papers were uploaded to Covidence.17 Following de-duplication, authors HJ and LH independently screened the title and abstracts against the study selection criteria. An inclusive approach was taken, and abstracts that referenced health professions were included to establish whether relevant data could be extracted from the full text. Full texts of the selected articles were then reviewed agains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independently, to obtain a final selection of papers. We met at the beginning, midpoint and end of the screening process and resolved any disagreements about study inclusion via discussion.

연구 선정 기준
Study selection criteria

포함 및 제외 기준은 인구, 개념, 맥락(PCC) 형식12을 사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표 2). 현재 사고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얻기 위해 모든 유형의 출판물을 포함했습니다. 논문이 첨부되지 않은 초록은 제외되었습니다. 차트 작성과 분석을 돕기 위해 보건 전문직 교육 맥락에서 Barradell과 Peseta가 개발한 분류법8을 포함 기준에 통합했습니다.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developed using the population, concept, context (PCC) format12 (Table 2). To ensure that a thorough picture of current thinking was obtained, all types of publications were included. Abstracts without an accompanying paper were excluded. A taxonomy developed by Barradell and Peseta in the context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8 was incorporated into the inclusion criteria to aid charting and analysis.

데이터 차트 작성
Data charting

프로토콜을 발표하기 전에 데이터 차트 양식을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사용했습니다.14 이 양식은 분류체계 및 연구 결과와의 관계를 포함하여 검토 질문과 관련된 주요 세부 사항을 캡처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8 HJ가 포함된 연구에 대한 데이터를 차트로 작성하고 LH가 그 정확성을 검증했습니다. 이견이 있는 부분은 토론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일부 저자가 임계 기술 및 직업 임계값과 같은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이 분명해졌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논문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분류법을 적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A data charting form was developed and piloted prior to publication of the protocol.14 The form aimed to capture key details relevant to the review questions,12 including the relationship to the taxonomy and our findings.8 HJ charted the data for the included studies, and LH verified it for accuracy. Any disagreements were resolved by discussion. It became apparent that some authors used different terminology, such as threshold skills and vocational thresholds, and the decision was made to apply the taxonomy to these papers in a comparable way to ensure no data loss.

분석
Analysis

설명적 정량 분석을 사용하여 논문의 맥락과 접근 방식에 대한 주요 세부 사항을 조사하고, 문헌의 범위를 수치로 표현하고, 질적 종합을 위한 맥락을 제공했습니다. 
We used a descriptive quantitative analysis to examine key details about the context and approach of the papers, to present a numerical representation of the extent of the literature and to provide context for the qualitative synthesis.

질적 분석은 귀납적 접근 방식을 따랐으며 추출된 데이터에서 코드를 개발했습니다. 코딩은 반복적인 과정이었으며 새로운 발견이 나오면 논문을 다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후 데이비스와 망간이 경제학 연구에서 개발한 개념 변화 프레임워크 내에서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코드를 그룹화했습니다.18 바라델과 페세타는 이 프레임워크가 물리치료 교육에서 전문적인 사고 및 실무 개발과 관련된 TC에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6: 
Qualitative analysis followed an inductive approach and codes were developed from the extracted data. The coding was an iterative process and involved reanalysing the papers as new findings emerged. We subsequently grouped similar codes to identify themes within a framework of conceptual change, developed by Davies and Mangan in their work in economics.18 Barradell and Peseta described the applicability of this framework to TC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hinking and practice in physiotherapy education6:

  • 기본 개념 변화는 해당 분야 내에서 지식의 의미와 언어와 관련하여 지식을 개혁하는 것을 포함합니다.18 의학교육에서는 기본 과학 및 의학 지식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 학문 분야 개념 변화는 학습자가 습득한 지식을 사용하고 개념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포함합니다.18 이는 의학 분야의 사고 방식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6
  • 모델링 개념 변화는 해당 분야에 뿌리를 둔 추론과 논증 구성을 포함합니다.18 이는 의사로서의 진료 방식과 유사합니다.6
  • Basic conceptual change involves reforming knowledge in relation to its meaning and language within the discipline.18 In medical education, this includes basic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 Discipline conceptual change involves learners using the knowledge they have acquired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18 This is likened to ways of thinking within the medical discipline.6
  • Modelling conceptual change encompasses reasoning and the construction of arguments that are rooted in the discipline.18 This is akin to ways of practicing as a physician.6

질적 분석은 주관적 인식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저자의 해석에 기반한 증거의 종합을 나타냅니다.19 범위 검토 접근법에 따라 포함된 논문의 질 또는 편향 위험에 대한 공식적인 검토는 수행되지 않았습니다.20 그러나 데이터 차트 작성 시 비판적 렌즈를 적용하고 포함된 연구의 실험적 엄격성을 고려했습니다. 이는 부록 S2의 '우리의 연구 결과'에 통합되어 있으며, 논의의 초점과 후속 권고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rooted in subjective epistemology and represents a synthesis of the evidence based on author interpretation.19 Consistent with a scoping review approach, a formal review of the quality or risk of bias of the included papers was not undertaken.20 However, a critical lens was applied during data charting, and we considered the experimental rigour of the included studies. This is incorporated under ‘Our findings’ in Appendix S2 and informed the focus of discussion and subsequent recommendations.

3 결과
3 RESULTS

포함된 연구 요약
Summary of included studies

2012년부터 2021년 사이에 발표된 36편의 논문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그림 1은 PRISMA 흐름도 참조). 대부분의 논문은 영국(n = 15 21-35), 북미(n = 11 36-46) 및 오세아니아(n = 7 47-53)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일부 논문은 외과(n = 521, 23, 47, 41, 54), 의학 생리학 및 의생명과학(n = 451, 55, 42, 43), 노인의학 및 치매 치료(n = 326, 27, 29) 등 특정 의료 전문 분야 및 주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정신과(n = 224, 35), 일반 진료(n = 250, 34), 군의학(n = 236, 37), 마취과,46 내과,39 신경과,40 소아과,38 완화 치료,48 인구 보건,28 류마티스학52 및 이식 과학. 30 다양한 유형의 논문이 확인되었으며(표 3), 그 중 대부분은 질적 연구였습니다. 논문에 대한 자세한 요약은 부록 S2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Thirty-six papers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1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see Figure 1 for PRISMA flow diagram). Most papers originated in the United Kingdom (n = 1521-35), North America (n = 1136-46) and Australasia (n = 747-53). Some papers focused on particular medical specialities and subject areas, including surgery (n = 521, 23, 47, 41, 54), medical physiology and biomedical science (n = 451, 55, 42, 43), geriatric medicine and dementia care (n = 326, 27, 29), psychiatry (n = 224, 35), general practice (n = 250, 34), military medicine (n = 236, 37), anaesthetics,46 internal medicine,39 neurology,40 paediatrics,38 palliative care,48 population health,28 rheumatology52 and transplant science.30 A wide range of article types were identified (Table 3), the majority of which were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A detailed summary of the papers is included in the Appendix S2.

 

확인된 TC
TCs identified

의학교육에서 TCF를 가장 빈번하게 적용한 분야는 TC를 식별하는 것이었습니다. 10편의 논문은 학부 의학교육에서 TC를 식별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22, 24, 25, 36-38, 49, 28, 42, 53 주니어 대학원 의학교육(인턴, 전공의 또는 핵심 수련의의 다양한 의료 시스템에서의 역할 포함) 또는 시니어 대학원 의학교육(시니어 레지던트, 전문의 수련의, 레지던트 또는 펠로우)에서 TC를 조사한 논문이 4편, 21, 23, 26, 48 학부 및 주니어 대학원 의학교육을 모두 조사한 논문 1편,39 선임 임상의가 참여하는 계속 의학 교육에 중점을 둔 논문 1편이 있었습니다.47 
The most frequent application of the TCF in medical education was in the identification of TCs. Ten papers focused on identifying TC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22, 24, 25, 36-38, 49, 28, 42, 53 Four papers examined TCs in juni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encompassing the roles in different health care systems of interns, foundation year doctors or core trainees) or seni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senior residents, specialist trainees, registrars or fellows).21, 23, 26, 48 One paper looked at both undergraduate and juni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39 and one paper focused o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involving senior clinicians.47

일차 연구자들은 인터뷰,21, 23, 24, 26, 39, 40, 47, 49 포커스 그룹 및 토론,25, 48, 28, 42 서면 반성문,36-38 오디오 일기 녹음22, 25 및 설문지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방법을 사용하여 잠재적 TC를 식별했습니다.26, 28 관심 집단,21, 22, 36-38, 47-49, 42 교육자 또는 전문가40, 28 또는 학습자와 트레이너 모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능한 TC를 중심으로 삼각 측량을했습니다.23-26, 39 
A variety of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used by the primary researchers to identify potential TCs including interviews,21, 23, 24, 26, 39, 40, 47, 49 focus groups and discussion,25, 48, 28, 42 written reflections,36-38 audio-diary recordings22, 25 and questionnaires.26, 28 Data were gathered from the population of interest,21, 22, 36-38, 47-49, 42 educators or experts40, 28 or from both learners and trainers to triangulate the data around possible TCs.23-26, 39

기본 개념 변화
Basic conceptual change

이 분야의 TC를 조사하기 위해 경험적 방법을 사용한 논문은 2편에 불과합니다.40, 42 2차 전달자 시스템, 압력 구배, 예압 및 후압, 세포막 전위 및 극성 등 생리학 및 생의학 과학과 관련하여 잠재적 TC가 확인되었습니다.40, 42 환기-관류(V/Q) 불일치46 및 3D 구조의 2D 표현인 X-선32 은 전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TC로 제안되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TC에 대한 평가는 다른 어려운 개념의 후속 숙달과 술기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중요합니다.40 
Only two papers used empirical methods to examine TCs in this area.40, 42 Potential TCs were identified in relation to physiology and biomedical science, including secondary messenger systems, pressure gradients, preload and afterload, cell membrane potential and polarity.40, 42 Ventilation-perfusion (V/Q) mismatch46 and an X-ray being a 2D representation of a 3D structure32 were proposed as TCs based on professional experience. Evaluation of this type of TC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because grasping them may help in the subsequent mastery of other difficult concepts and development of skills.40

사고 방식(훈련 개념 변화)
Ways of thinking (discipline conceptual change)

불확실성, 환자 치료, 의사의 역할 및 전문가 정체성 개발이라는 세 가지 주제가 학문 내 사고 방식과 관련하여 나타났습니다. 
Three themes emerged relating to ways of thinking within a discipline:

  • uncertainty,
  • care of patients and
  • the doctor's role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불확실성이 의학의 본질적인 부분이라는 인식이 여러 논문에서 나타났습니다.22, 25, 38, 39, 28 의학은 흑백이 아니라는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22, 38 이러한 문턱을 넘으면서 환자 진단과 관리에 '단 하나의 해결책'25(p100)이 없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모호함으로 어려움을 겪던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가능성을 동시에 머릿속에 담아두는 것에 익숙해졌습니다'37(p7) 의료 현장의 현실은 교과서 그림보다 더 복잡하고 배움은 평생 지속되며 모든 것을 다 알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25, 38 
Recognising that uncertainty is an inherent part of medicine emerged in several papers.22, 25, 38, 39, 28 Closely related was the realisation that medicine is not black and white.22, 38 Crossing these thresholds led to an understanding that there was ‘no single solution’25(p100)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After initially struggling with ambiguity, however, ‘students became comfortable with holding multiple possibilities simultaneously in their heads’.37(p7) They recognised that the reality of medical practice is more complex than the textbook picture and that learning is lifelong and it is not necessary to know everything.25, 38

TC로서의 사람 중심 진료는 환자를 전체적으로 보는 맥락에서26, 39 설명되었으며, '의술에는 생의학 과학의 임상적 적용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고 했습니다.25(p98) 이는 학생들이 건강을 보는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25 환자의 관점과 목표를 탐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 또한 환자 중심주의의 필수적인 특징으로 지적되었습니다.39 또한 다학제 팀에서 의사의 역할26 과 다른 의료 전문가와의 협력의 중요성39 은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데 핵심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수련의들이 팀에서 다른 사람들의 역할을 바라보는 방식을 변화시켰습니다.
Person-centred care as a TC was described in context of seeing the patient as a whole26, 39 and that there was ‘more to the practice of medicine than just the clinical application of biomedical science’.25(p98) This led to a transformation in how students saw health.25 Recognising the importance of exploring patients' perspectives and goals was also noted to be an essential feature of patient-centredness.39 In addition, the doctor's role in the multidisciplinary team26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other health professionals39 was seen as key in providing effective care and transformed how trainees viewed the role of others in the team.

전문직 정체성의 발달은 검토에 참여한 여러 TC의 공통된 특징이었습니다.25, 36-39, 47, 28 '나는 치료자다'37(p16) 라는 깨달음과 수련생들이 진입하고 있는 직업 문화에 대한 인식이 있었습니다.25 이러한 변화는 다른 사람의 건강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면서 학생들의 개인 정체성25 에 불편함과 도전이 되었습니다.37 군의학의 맥락에서 독특한 전문직 정체성이 형성되었습니다.36, 37 그러나 의사가 수행하는 더 넓은 역할25, 39 과 그들의 책임은 개별 환자를 넘어 확장된다는 인식도 있었습니다.28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was common feature of several TCs in the review.25, 36-39, 47, 28 There was a realisation that ‘I am a healer’37(p16) and an awareness of the professional culture students were entering into.25 This transformation was uncomfortable and challenged students' personal identity25 as they recognised their responsibility for others' health.37 The formation of a unique professional identity was noted in the context of military medicine.36, 37 However, there was also a recognition of the multiple wider roles that doctors play25, 39 and that their responsibility extends beyond the individual patient.28

진료 방식(개념 변화 모델링)
Ways of practising (modelling conceptual change)

실무 기술 개발, 임상적 판단 및 의사 결정, 불확실성 용인, 환자 중심주의 확립, 전인적 치료 제공 등 네 가지 주제가 진료 방식과 관련하여 등장했습니다.
Four themes emerged relating to ways of practising:

  • development of practical skills,
  • clinical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 tolerance of uncertainty and
  • enactment of patient-centredness and the provision of holistic care.

임상의로서 실습하려면 고유한 실무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자격을 갖춘 외과의사들 사이에서 기술적 복잡성과 수술 속도가 TC로 확인되었습니다.47 그러나 팀 역학 등 비기술적 요인이 절차적 복잡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47 다른 TC가 수술 관리의 근간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마찬가지로 외과 수련의들이 수술이 어렵다고 느끼는 주요 요인은 연습 기회 부족이었습니다.21, 23, 41 따라서 일부 술기는 충분한 시간과 연습을 통해 습득할 수 있으므로 TC를 대표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습니다.23, 45 
Practising as a clinician involves the development of unique practical skills. Technical complexity and speed of operating were identified as TCs amongst qualified surgeons.47 However, non-technical factors such as team dynamics can influence procedural complexity,47 suggesting other TCs may underlie surgical management. Similarly, a key factor in why surgical trainees found procedures troublesome was lack of opportunities to practice.21, 23, 41 It has therefore been argued that some skills can be learnt with sufficient time and practice and so do not represent TCs.23, 45

이와 대조적으로 에브게니우 등은 환자 치료의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단계에서 의사 결정과 관련된 잠재적 TC를 확인했습니다.23 임상 추론은 의대생들에게도 임계 기술로 인식되어 정보 수집 및 분석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49 불확실성을 견디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능력은 임상적 판단과 의사 결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특징이자 가능한 TC입니다21,47 그리고 학생들이 진단에 접근하는 방식을 변화시켰습니다.24 마찬가지로, 질병 경과와 기대 수명에 대한 불확실성은 수련의들이 환자와 소통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48
In contrast, Evgeniou et al. identified potential TCs related to decision making during the pre-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ges of a patient's treatment.23 Clinical reasoning was also recognised as a threshold skill in medical students, transforming how they gathered and analysed information.49 The ability to tolerate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uncertainty is an underlying feature, and a possible TC, i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ement and decision-making skills21, 47 and changed how students approached diagnoses.24 Similarly, uncertainty about illness trajectory and life expectancy shaped trainees' development of new ways of communicating with patients.48

마지막으로, 여러 논문에서 환자 중심주의 및 전인적 치료와 관련된 TC를 확인했는데,24, 26, 37, 48 이는 '립 서비스'48(p425)가 전문 실무에서 이러한 원칙의 구체화로 전환되면서 학문 개념 변화와는 달랐습니다. 환자의 평가와 치료에서 심리사회적 측면을 고려하는 것은 이 주제의 핵심적인 측면이었습니다.24, 26 또한 공감 능력과 감정 관리 능력의 발달은 수련의가 환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켰습니다.25, 26, 48 노인의학에서 진료 제공은 적극적이고 실습적인 과정으로 간주되었으며, 수련의가 노인의사가 되면서 양육하는 실무자의 개념을 구체화했습니다.26 
Finally, several papers identified TCs related to patient-centredness and holistic care,24, 26, 37, 48 which differed from discipline conceptual change, as ‘lip-service’48(p425) was transformed to the embodiment of these principles in professional practice. Considering psychosocial aspects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patients was a key aspect of this theme.24, 26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empathy and the ability to manage emotions changed how trainees interacted with patients.25, 26, 48 In geriatrics, providing care was seen as an active, hands-on process, and as trainees become geriatricians, they embody the concepts of a nurturing practitioner.26

확인된 TC와 수련 단계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Cs identified and stage of training

학습자가 경험하는 개념 변화의 유형은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료 수련의 단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학적 지식과 관련된 TC는 의대생에게서 확인된 반면, 진료 방식과 관련된 TC는 의학교육의 연속체에 걸쳐 있었습니다. 불확실성 및 환자 관리와 같은 일부 TC는 모든 수련 단계에 걸쳐 나타났지만, 전문적 책임과 관련하여 발전했습니다.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TC도 발전한다는 인식도 있었습니다.54 
The types of conceptual changes learners encounter appeared to relate to the stage of medical training, as shown in Figure 2. TCs related to scientific knowledge were identified in medical students, whereas TCs related ways of practising spanned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Some TCs, such as uncertainty and patient care, featured at all stages of training, but developed in relation to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here was also a recognition that as medicine advances TCs also evolve.54

교육에서 TC 프레임워크 사용
Use of the TCs framework in teaching

여러 논문에서 TCF41, 51, 54, 55, 43의 맥락에서 교육 개입을 평가했으며, 한 논문에서는 TCF를 새로운 과정의 커리큘럼 설계에 통합했습니다.30 다른 저자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여 문턱을 넘는 것과 관련된 학습 경험을 조사했습니다.27, 50 학생들은 치매 치료에 대한 시뮬레이션 세션 후 언어, 지식 및 행동의 변화를 보였지만, 학생들이 넘었을 수 있는 TC는 논의되지 않았습니다.27 본은 GP 개발 중 강력한 학습 경험에 대한 서면 설명을 검토하여 수련의의 성향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환자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확인했습니다.50 
Several papers evaluated teaching interventions in the context of the TCF41, 51, 54, 55, 43 and one paper incorporated the TCF into curriculum design of a new course.30 Other authors took a different approach and examined learning experiences associated with threshold crossing.27, 50 Students demonstrated a change in language, knowledge and behaviour following a simulation session about dementia care, although the TCs students may have crossed were not discussed.27 By examining written accounts of powerful learning experiences during GPs' development, Vaughan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colleagues in transforming trainees' dispositional attitudes.50

다른 많은 논문에서도 TC를 가르치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은 학습자가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임상 실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방식으로 변화를 도울 수 있다고 제안되었습니다.46 또는 소규모 성찰 그룹과 발린트 그룹은 학생들이 직업적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문제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22, 24, 25 강사가 개별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는 사례 및 도전적인 상황에 대한 토론,23, 39, 45 명시적 진단 추론,24, 49 및 공식 멘토링 프로그램이 포함되었습니다.21, 47 저자들은 또한 학생을 TCF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22, 38, 28, 33 학생들이 자신의 TC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42, 32 반복적이고 비선형적이며 잠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학습 과정을 인식할 것을 주장했습니다.40, 45 코스 수준에서 여러 저자들은 TC를 교육과정 설계에 통합할 것을 주장했습니다.23, 25, 47, 48, 28 
Many other papers suggested methods to teach the TCs they had identified. It was proposed that simulation could aid transformation in way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46 for example, by helping learners manage uncertainty.47 Alternatively, small reflective groups and Balint groups could help students navigate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22, 24, 25 Strategies that trainers could use to support individual learners included discussion of cases and challenging situations,23, 39, 45 explicit diagnostic reasoning,24, 49 and formal mentoring programmes.21, 47 Authors also advocated for actively engaging students with the TCF,22, 38, 28, 33 enabling them to identifying their own TCs,42, 32 and recognise the repetitive, non-linear and potentially troublesome learning process.40, 45 At a course level, several authors argued for the incorporation of TCs into curriculum design.23, 25, 47, 48, 28

4 토론
4 DISCUSSION

이 리뷰는 의학교육에서 현재 TC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최초의 리뷰입니다. 포함된 논문의 3분의 2 이상이 2018년 이후에 발표된 것으로, 최근 몇 년간 관심이 크게 증가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 리뷰는 현재 교육 환경에서 매우 적절하며 다양한 증거 기반을 통합합니다.
This is the first review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in examining the current TCF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Over two thirds of the papers included were published from 2018 onwards, demonstrating a significant growth in interest in recent years. This review is therefore highly pertinent in the current educational landscape and brings together a diverse evidence base.

재귀적 TC와 커리큘럼 설계에 대한 시사점
Recursive TCs and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이러한 종합을 통해 의학교육 연속체 전반에 걸쳐 TC의 재귀적 특성에 대한 독특한 관점이 드러났습니다. 재귀는 Land 등(2005)에 의해 학생들이 '개념적 자료에 대해 다른 "테이크"를 시도하는' 한계 공간을 여행하면서 학습을 재방문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습니다.3(p59) 의학교육 연속체도 마찬가지로 학습자가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학습을 재방문하고 적응 또는 발전시키는 지속적인 학습 여정입니다.48

  • 예를 들어 불확실성은 수련 및 전문성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학문적 개념 변화22, 25, 38, 39, 28 및 모델링 개념 변화21, 24, 47, 48, 34 와 연결되며 새로운 역할 및 책임과 함께 다시 등장합니다.
  • 의대생과 주니어 대학원 수련의는 의학의 복잡하고 모호한 특성을 먼저 인식했습니다.25, 38 그런 다음 이를 의사 결정에 반영하기 시작했고24, 34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환자 치료에 대한 책임을 졌습니다.25, 38
  • 그러나 시니어 임상의도 독립 전문 진료로 전환한 후 의사 결정, 임상 판단 및 부작용 관리와 관련하여 불확실성을 경험했습니다.47

This synthesis has revealed a unique perspective on the recursive nature of TC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Recursion was described by Land et al. (2005) as a revisiting of learning as students journey through the liminal space ‘attempting different “takes” on the conceptual material’.3(p59)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is likewise an ongoing learning journey, in which learners revisit learning and adapt or advance it when faced with new situations.48 

  • Uncertainty, for example, was a concept that featured at all stages of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inked to both discipline conceptual change2225383928 and modelling conceptual change,2124474834 and re-emerged with new roles and responsibilities.
  • Medical students and junior postgraduate trainees first recognised the complex and ambiguous nature of medicine.2538 They then began to incorporate this into their decision making2434 and take responsibility for patients' care despite uncertainty.2538 
  • However, senior clinicians also experienced uncertainty following their transition to independent specialty practice, related to decision-making, clinical judgement and managing adverse events.47

따라서 TC 자체는 전문가 경력의 다양한 시점에서 반복될 수 있으며, 보다 정교한 이해 또는 구체화가 필요합니다. 이는 [문턱을 넘는 것]이 학습 여정의 종착점이 아니며, Liminality란 전문가가 지속적으로 점유하는 상태이면서, 새로운 상황에 노출되면 덜 편안해지는 상태로 생각하는 것이 더 낫다는 개념을 뒷받침합니다.4, 47 이는 그림 3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TC를 바라보는 것은 커리큘럼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귀중한 통찰력입니다. 여러 교육 단계 간의 통합을 강화하면 학습의 연속성을 개선하고 수련의가 어려운 전환기를 헤쳐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기 때문에 의료 교육 연속체를 아우르는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지원합니다.58
TCs themselves may therefore recur at various points in a professional's career, requiring a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r embodiment. This supports the notion that crossing a threshold is not the endpoint of the learning journey and that liminality may be better thought of as a state continually occupied by professionals, but which becomes less comfortable with exposure to new situations.4, 47 This is demonstrated in Figure 3. Viewing TCs in this way is a valuable insight which could help guide curricula design. It supports a holistic approach that span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as it has been argued that better integration between different stages of training would improve continuity in learning and help trainees navigate challenging transitions.58

TC의 재귀적 특성은 또한 많은 의과대학에서 사용하는 나선형 커리큘럼 접근법을 뒷받침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59 이 접근법에서는 복잡성이 증가하고 고급 적용이 요구되는 주제가 코스 전반에 걸쳐 재검토됩니다.60 그러나 이 접근법은 새로운 학습이 이전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선형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을 제안합니다.59, 60

  • 반면에 TC 습득은 예측 가능한 간격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따르지 않습니다: 이해와 결과의 편차와 수정이 있는 지저분하고 앞뒤를 오가는 여정입니다.3, 5
  • 또한 TC와 관련된 학습 경험은 개인에게 고유하며 학습자마다 훈련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이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26, 39, 50

결과적으로 나선형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학습 요구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정 문턱을 넘지 않고 훈련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25, 39 
The recursive nature of TCs would also, on face value, seem to support the spiral curriculum approach employed by many medical schools,59 in which topics are revisited throughout the course with increasing complexity and requiring more advanced application.60 However, this approach suggests a linear and progressive process, in which new learning builds on previous learning.59, 60 

  • TC acquisition, in contrast, does not follow a predictably spaced process: It is a messy and back-and-forth journey, with deviations and revisions of understanding and outcomes.35 
  • Furthermore, the learning experience associated with TCs is unique to individuals and learners may pass through them at different points in their training.263950 

As a result, the spiral curriculum may not align with their learning needs, and they may progress in training without having crossed certain thresholds.25, 39

대조적으로, 본 검토에서 TCF의 개념화는 대학원 의학교육에서 점점 더 많이 적용되고 있는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과 더 밀접하게 일치합니다.61 CBME에서는 학습자의 진전이 수련 시간 대신 의료 실무와 관련된 역량을 달성하는 것으로 결정되며,61 종종 수련생이 감독 없이 수행할 수 있는 업무 또는 책임인 위탁 전문 활동(EPA)으로 실질적으로 측정됩니다.62 이 검토에서 확인된 많은 TC는 임상 경험에 기반한 학습으로 존재론적 변화와 전문적 실천의 발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TCF는 이러한 핵심 역량 또는 EPA39 를 식별하는 렌즈로 사용될 수 있으며, 모방과 숙달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46 TC의 재귀적 특성은 또한 의학교육 연속체 전반에 걸쳐 일관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CBME의 수직적 통합을 지원합니다.61 TCF와 CBME를 연계하면 단일 지식 체계의 촉진과 교육에서 전통적인 권력 불균형의 영속화와 관련하여 브라운 등이 제기한 몇 가지 우려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10 CBME의 핵심 구성 요소는 학습자 중심 접근법61 으로, 이는 TC의 경험에 대한 개별적 차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브라운 등은 교육과정 설계에서 EPA가 TC보다 더 바람직한 구성 요소라고 주장하지만,10 우리는 이 두 가지를 반드시 배타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In contrast, the conceptualisation of the TCF in this review aligns more closely with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which is increasingly being applied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61 In CBME, progression of the learner is determined by achieving competencies related to practicing medicine instead of time in training,61 often measured practically as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which are tasks or responsibilities trainees can undertake without supervision.62 Many of the TCs identified in this review represent ontological transform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practice, with learning rooted in clinical experience. The TCF could therefore be used as a lens for identifying these critical competencies or EPAs39 and help differentiate between mimicry and mastery.46 The recursive nature of TCs also supports the vertical integration of CBME which aims to ensure coherence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61 Aligning the TCF with CBME addresses some of the concerns raised by Brown et al. with regard to the promotion of a single body of knowledge and perpetuation of traditional power imbalances in education.10 A key component of CBME is a learner-centred approach61 which can account for the individual variation in the experience of TCs. Indeed, Brown et al. argue that EPAs are a preferable component of curriculum design to TCs,10 but we contend that the two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viewed exclusively.

의학교육에서 임계 '개념'의 의미
The meaning of threshold ‘concepts’ in medical education

이 검토는 의학교육에서 문턱 개념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대한 일부 비판을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많은 저자들이 지적했듯이, 개념이라는 용어는 실용적 차원이 아닌 이론적 차원6,10 의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종종 '지식에 대한 내용 중심적 관점'과 연관됩니다.4(p235) 이러한 맥락에서 브라운 등은 인지적 변화(지식의 변화가 정체성의 변화로 이어지는)에 초점을 맞추고 기초 과학 지식과 관련된 일부 TC와 전문가 정체성 사이의 단절로 인해 TCF가 전문가 정체성 발달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해왔습니다.10 그러나 이 리뷰는 TC을 [개념 변화의 단계]라는 맥락에서 바라봄으로써, [한계를 넘는 것]이 의학 분야 내에서 어떻게 [사고와 실천 방식의 변화]로 이어지고, 이는 본질적으로 학습자의 [정체성 재형성]과 연결되는지를 명확히 합니다.18
This review also helps to address some of the criticisms around the use of the term threshold concept in medical education. As many authors have noted, the term concept has connotations of a theoretical, rather than practical, dimension6, 10 and so is often associated with ‘a content-focused view of knowledge’.4(p235) In this vein, Brown et al. have argued that the TCF is not applicable to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due to the focus on cognitive transformation—a change in knowledge leading to change in identity—and the disconnection between some TCs, such as those related to basic scientific knowledge, and professional identity.10 However, by viewing TCs in the context of stages of conceptual change, this review clarifies how crossing thresholds leads to changes in ways of thinking and practising within the discipline of medicine, and this is intrinsically linked to reshaping of a learner's identity.18

TC에 대한 이러한 지식 중심의 해석은 대체 용어의 등장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이 검토에서 확인된 두 연구에서는 각각 임계 기술49 및 직업 임계치50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개념은 지식의 습득 및 활용 방법을 나타내며49 의사가 되는 것과 관련된 변화를 나타낸다는 것이 그 근거였습니다.50, 63 그러나 원래 TC에 대한 설명은 가치, 태도, 기술, 사고 및 존재 방식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이었습니다.1, 2, 4 이 설명은 역치 기술과 직업 역치를 포괄합니다. 따라서 의학교육자 및 연구자는 의학교육의 맥락에서 TCF와 관련된 해석 및 용어의 새로운 변화를 인지하여 예를 들어 문헌 검색 전략에 이러한 용어를 포함할 수 있어야 합니다.
This knowledge-focused interpretation of the TCF has also led to the emergence of alternative terminology. Two studies identified in this review used the terms threshold skills49 and vocational thresholds,50 respectively. The justification was that these ideas represent how knowledge is acquired and utilised49 and represent transformations related to being a practitioner.50, 63 However, the original description of TCs was broad and inclusive of values, attitudes, skills and ways of thinking and being.1, 2, 4 This explanation encompasses threshold skills and vocational thresholds. Therefore, medical educators and researchers should be cognisant of the emergent variations in interpretation and terminology associated with the TCF in the context of medical education so they can, for example, include these terms in literature search strategies.

방법론적 고려 사항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이 범위 검토를 통해 의학교육에서 TC을 탐구하는 현재 연구의 방대한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헌의 이질성으로 인해 종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대략적인 결론만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가능한 TC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 특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더 광범위한 문헌의 결과와 일치하며,8, 64 TCF에 대한 비판 중 하나입니다.10 논의 주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TCF를 사용했지만 포함을 정당화할 증거가 없는 논문도 여러 편 있었습니다.29, 52, 31 이 범위 검토의 일환으로 공식적인 품질 평가는 수행되지 않았지만 여러 논문, 특히 교육에서 TCF 사용에 중점을 둔 논문에서 실험적 엄격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광범위한 문헌과 일관되게,64 개념 선택을 정당화하거나 개입 후 임계값을 넘었음을 입증하는 증거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습니다.41, 51, 54, 55, 30, 43 따라서 이러한 논문의 결과는 신중하게 해석해야 합니다.  
This scoping review has demonstrated the vast extent of the current work exploring the TCF in medical education. However, the heterogeneity of the literature presented challenges for synthesis and only broad conclusions can be drawn.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in characteristics used to identify possible TCs, which is consistent with findings in the wider literature,8, 64 and is one of the criticisms of the TCF.10 There were also several papers in which the TCF was used to support the topic of discussion but with no evidence to justify its inclusion.29, 52, 31 Although no formal assessment of quality was carried out as part of this scoping review, a lack of experimental rigour was noted in several papers, particularly those focused on the use of the TCF in teaching. Consistent with the wider literature,64 there was frequently a lack of evidence to justify the selection of concepts or demonstrate threshold crossing post-intervention.41, 51, 54, 55, 30, 43 Therefore, the results of these paper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TC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의학교육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려면 연구자는 프레임워크의 적용과 연구 설계에 높은 수준의 엄격함과 투명성을 적용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TC 프레임워크 적용에 대한 명확한 정당성, 특정 TC의 식별 또는 활용에 대한 근거 기반 접근법, 복제 가능한 방법론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It is imperative that if ongoing research into TCs is to have a meaningful impact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must apply high degrees of rigour and transparency in the application of the framework and the design of their studies. This needs to involve clear justification for applying the TCF,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identification or utilisation of specific TCs and replicable methodology.

이 검토의 또 다른 한계는 일반적으로 의료 전문가에 초점을 맞춘 논문이 제외되었고, 예를 들어 전문가 간 업무와 관련된 의학교육에 적용 가능한 일부 연구 결과가 누락되었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번 검토는 의료 실무와 관련된 교육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교수진 개발과 같은 다른 논문은 제외되었습니다. 그러나 의사의 역할은 환자 치료를 제공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이러한 다른 전문적 의무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Further limitations to this review are that papers focusing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general were excluded and some findings applicable to medical education, for example, related to interprofessional working, could have been missed. Additionally, the review focused on education around practicing medicine, and other papers, such as those addressing faculty development, were excluded. However, the role of the doctor goes beyond delivering patient care, and these other professional duties were not captured.

의학교육 및 연구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이 검토는 의과대학과 임상 실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겪는 중요한 변화를 검토하는 데 TCF가 어떤 렌즈를 제공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의학교육자를 위한 몇 가지 광범위한 권장사항이 확인되었으며 표 4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의대생과 의사의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범위한 학습에 대해 TCF를 설명하고 적용하기 위한 일관된 접근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는 근거 기반의 진화하는 특성과 의학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TC가 계속 등장할 것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특히 적절합니다.54 또한 TCF를 교육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역치 통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근거에 상당한 격차가 있으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This review demonstrates how the TCF can provide a lens for examining important transformations learners undergo in their developmental journey at medical school and during clinical practice. Several broad recommendations for medical educators have been identified based on the review findings and are summarised in Table 4.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consistent approach for describing and applying the TCF to the broad range of learning that occurs during the developmental journey of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This is especially pertinent given the evolving nature of the evidence base and the fact that new TCs will continue to emerge with advancing medicine.54 In addition, how the TCF can be used in teaching and how threshold crossing can be measured are significant gaps in the current evidence and require further research.

5 결론
5 CONCLUSION

최근 몇 년 동안 의학교육계에서 TC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초점이 수련의 다양한 지점에서 학문적 사고방식과 실습의 기초가 되는 TC를 식별하는 데 맞춰져 있습니다. 의학교육의 연속체 전반에 걸쳐 불확실성, 환자 치료, 임상적 추론 및 전문적 정체성 TC에 대한 이해와 구현이 점점 더 복잡해졌으며, 이는 지식, 사고 및 실천의 개념적 변화를 나타냅니다. TC는 임상 환경과 책임의 변화와 함께 반복되어 평생 학습 커리큘럼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지지했습니다. 
The TCF has garnered increasing attention in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n recent years. Much of the focus has been on identifying TCs which underlie the development of disciplinary ways of thinking and practising at various points in training. There was an increasing complexity to the understanding and embodiment of uncertainty, patient care, clinical reaso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TCs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representing the conceptual changes of knowing, thinking and practising. TCs recurred with changes in clinical environment and responsibilities, endorsing a holistic approach to the curriculum of lifelong learning.

의대생과 의사의 발달 학습 여정, 특히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TC가 등장하는 상황에서 TCF를 설명하고 적용하기 위한 일관된 접근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TCF를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과 역치 통과를 측정하는 방법은 현재 증거에 상당한 공백이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consistent approach for describing and applying the TCF to the developmental learning journey of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particularly where new TCs emerge as medicine advances. In addition, how the TCF can be used in teaching and how threshold crossing can be measured are significant gaps in the current evidence and require further research.

 


 

Med Educ. 2022 Oct;56(10):983-993. doi: 10.1111/medu.14864. Epub 2022 Jul 24.

 

Threshold concepts in medical education: A scoping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Warwick Medical School, University of Warwick, Coventry, UK.

PMID: 35775904

PMCID: PMC9543879

DOI: 10.1111/medu.14864

Free PMC article

 

Abstract

Introduction: The threshold concept framework (TCF) was first described nearly 20 years ago, but its applic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has recently seen a significant growth of interest with a diverse range of literature published on the subject.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threshold concepts (TCs) offers potential for the design of learning experiences and curricula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to map the extent of the current literature regarding TCs in medical education-to describe the types of available evidence and its focus-and identify research gaps.

Methods: The review followed the JBI Manual for Evidence Synthesis approach for scoping reviews. Four databases and two additional websit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exploring TCs in medical education. Data were analys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ematic approaches. A framework of conceptual change was used to synthesise the TCs identified.

Results: Thirty-six papers, spanning undergraduate, post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ost frequent application of the TCF was in the identification of TCs, which related to basic scientific knowledge, ways of thinking and ways of practising in medicine. Uncertainty, patient care, clinical reasoning and professional identify formation were themes that emerged at multiple stages of training. Several papers evaluated the use of the TCF in teaching.

Conclusion: The understanding and embodiment of TCs increases in complexity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with TCs recurring with changes in clinical environment and responsibilities. This lends support to a holistic approach to curriculum design spanning all stages of training.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consistent approach for describing and applying the TCF in medical education and to address how the TCF can be used in teaching and how threshold crossing can be measured.

상아탑 대 실천-지향 연구의 미신: 의학교육 무작위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Med Educ, 2020)
The myth of ivory tower versus practice-oriented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Martin G. Tolsgaard1,2 | Kulamakan Mahan Kulasegaram3,4 | Nicole N. Woods3,4 | Ryan Brydges3,5,6 | Charlotte Ringsted7 | Liv Dyre1,2 

1 서론
1 INTRODUCTION

의학교육 연구의 질과 관련하여 반복되는 주제는 실용적 목적이 결여된 이론적 연구1와 이론적 기반이 결여된 응용 연구 사이의 긴장에서 비롯됩니다.2-4 이 주제에 대한 영향력 있는 논문에서 Albert 등4,5 은 의학교육 분야에서 사용자를 위한 생산생산자를 위한 생산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연구에 대한 개념적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 사용자를 위한 생산은, 임상의와 교육자가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대학과 임상 부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연구에는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5 주로 임상의가 임상 저널에 발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6 임상의와 교육자가 연구에 이론을 포함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몇 가지 제안된 이유가 있습니다. Albert 등은 의학교육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인사들을 인터뷰했는데, 그 중 한 명은 '의사들은 당신의 이론을 듣는 데 관심이 없다 [...] 그들이 알고 싶은 것은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것을 만들 수 있는가'라고 말했습니다.5
  • 사용자를 위한 생산자는 자신의 연구를 이론적 틀 안에 위치시키는 데 실패할 수 있지만5,6 프로그램 평가에 엄격한 실험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예: 무작위 설계에서 강력한 실험 통제 사용) 보완합니다.3 그러나 이론적 틀이 없으면 이론적 문제를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7 

A recurring theme related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quality results from the proposed tension between theoretical work lacking a practical purpose1 and applied research lacking a theoretical foundation.2-4 In an influential paper on the topic, Albert et al4, 5 proposed a conceptual model for two types of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Production for Users and Production for Producers.

  • At one pole, Production for Users, clinicians and educators aim to solve concrete problems and provide service to universities and clinical departments. This type of research often lacks theoretical frameworks5 and is thought to be published mostly by clinicians in clinical journals.6 There are several proposed reasons for why clinicians and educators may fail to include theory in their research. Albert et al interviewed a number of influential figures in medical education, one of which stated that ‘doctors are not interested in listening to your theory[…] What they want to know is how they can make something more effective and cost less’.5 
  • Although Producers for Users may fail to situate their research within a theoretical framework,56 they (supposedly) compensate by applying strict experimental methodologies to programme evaluations—for example, by using strong experimental controls in a randomised design.3 However, without theoretical frameworks they may fail in solving practical problems as well as in advancing theoretical issues.7

 

  • 다른 극인 생산자를 위한 생산에서 알버트 등은 지식 구축과 이론 개발을 통해 과학적 정당성을 획득하는 학문적 연구자들을 설명합니다.4 이러한 연구자들은 이론을 학습의 일반적인 현상을 이해하는 렌즈로 사용하고,8 국지적 관찰을 기존 지식 기반에 맥락화하는 방법으로 사용합니다.9 적어도 20년 동안 교육 과학자들은 의학교육 연구에서 이론을 더 많이 사용할 것을 요구해 왔습니다.5, 10-14 의학교육 연구에서 이론의 부족은 의학교육 저널에 제출된 논문이 거부되는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습니다.7, 15-17 반면에 고도로 이론적인 연구에 대한 비판자들은 그것이 교육 실무 및 정책 개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6, 7, 18 

At the other pole, Production for Producers, Albert et al describe disciplinary researchers, who acquire their scientific legitimacy through knowledge building and theory development.4 These researchers use theory as the lens through which they understand the general phenomena of learning,8 and as a way to contextualise local observations into an existing knowledge base.9 For at least two decades, education scientists have called for an increased use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5, 10-14 The lack of theory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remains a major cause of rejection of papers submitted to medical education journals.7, 15-17 On the other hand, critics of highly theoretical research question whether it has any real impact on educational practice and policy development.6, 7, 18

이러한 사고방식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통념은 의학교육 연구가 교육자와 임상의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실용 지향적 연구와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지 않고 실제 적용에 중점을 두지 않는 이론 발전 연구라는 두 가지 극으로 나뉜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신화에서 발생하는 잠재적 문제는 각 극의 연구가 목표, 이론 또는 의제를 공유하지 않아 분야 전체를 발전시키지 못하는 사일로 효과입니다.6, 7 
Following this line of thinking, we suggest that a commonly accepted myth implies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perennially divided between two singular poles: practically oriented research aiming to serve educators and clinicians with little focus on advancing theory and research aiming to advance theory with little focus on practical applications. A potential problem arising from this myth is silo effects, where research at each pole does not share goals, theories or agendas; thereby failing to advance the field as a whole.6, 7

파스퇴르의 사분면
Pasteur's quadrant

알버트 등의 분석 이후 15년 이상이 지났습니다. 그 사이 이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는 물론 학문적으로도 성숙하고 다양해졌습니다. '상아탑' 이론가와 '현장' 실무자 사이의 격차는 여전히 의학교육 연구의 정당성에 관한 논쟁의 대상이지만,1,7 연구자들이 실용적인 문제 해결지식 발전이라는 목표가 상호 배타적이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그 격차는 좁혀지고 있습니다.7, 19 스토크스는 '[이론적] 이해의 지평을 넓히려는 동시에 활용을 위한 고려에 영감을 받는' '활용 영감 기초 연구'(파스퇴르의 4분면)의 잠재력을 강조하는 연구 분류의 틀을 제시합니다. 나머지 사분면에는 실용적 응용에 대한 고려 없이 오로지 지식의 발전을 추구하는 이론 지향적 기초 연구(보어의 사분면), 이론의 발전에는 관심이 없고 실용적인 문제 해결만을 목적으로 하는 순수 응용 연구(에디슨의 사분면), 비이론적, 비실용적 연구를 대표하는 희귀 연구로 추정되는 무사용, 무이론 사분면이 포함됩니다(그림 1). 따라서 스토크스의 프레임워크는 과학적 사일로의 형성, 과학적 전통이 연구 목표, 과학적 엄격성 및 보고 표준에 미치는 영향 등 의학교육의 연구와 그 과제를 이해하는 데 보다 미묘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Over 15 years have passed since Albert et al’s analysis. The field has matured and has diversified globally as well as disciplinarily. Although the gap between ‘ivory tower’ theorists and ‘in-the-trenches’ practitioners is still a subject of debate regarding the legitimacy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1, 7 the gap may be closing as researchers realise that the goals of solving practical problems and advancing knowledge may be complementary rather than mutually exclusive.7, 19 Stokes provides a framework for classifying research emphasising the potential of ‘use-inspired basic research’ (Pasteur's quadrant) that ‘seeks to extend the frontiers of [theoretical] understanding but is also inspired by considerations for use’. The remaining quadrants include theory-oriented basic research that is guided exclusively by its quest for advancing knowledge with no thought for practical application (Bohr's quadrant), pure applied research (Edison's quadrant) that is driven only with the purpose of solving practical problems with no interest for the development of theory, and a no-use, no-theory quadrant for presumably rare research representing non-theoretical and non-practical studies (Figure 1). As such, Stokes’ framework may offer a more nuanced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and its challenges, including the formation of scientific silos and the impact of scientific traditions on research goals, scientific rigour and reporting standards.

이 리뷰에서는 의학교육 연구가 사용자 대 생산자라는 두 극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통념에 대해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의학교육에는 다양한 연구 접근법이 있습니다. 가용성 측면에서 우리는 임상 학술지뿐만 아니라 교육 학술지에서도 무작위 배정 연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과학적 전통을 가진 영역에서 비교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무작위 배정 연구는 임상 연구자뿐만 아니라 분야별 과학자 모두에게 널리 사용되고 이해되는 접근 방식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무작위 배정 연구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무작위 연구는 의학 및 심리학 연구 모두에서 이론 구축뿐만 아니라 효능 연구 및 실제 임상시험에도 사용됩니다.20 특히 의학교육에서는 이론 구축에 기여하는 무작위 연구의 여러 예가 있지만,21-24 비이론적 연구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3, 5, 25, 26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이론과 실제 적용에 따라 의학교육에 연구 사일로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출발점으로 무작위 디자인을 사용한 특정 연구 선택에 검토의 초점을 맞췄습니다. 
In this review, we set out to examine the myth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remains divided between the two poles of production for users vs producers.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research approaches in medical education. In terms of availability, we expected to find randomised studies in both clinical journals as well as in education journals, which would allow us to make comparisons across domains with different scientific traditions. We chose to focus on randomised studies, given the approach is popular and understood on both sides of the aisle—by clinician researchers as well as by disciplinary scientists. For example, randomised studies are used in both medical and psychological research for theory building but also for efficacy studies and practical trials.20 In medical education specifically,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randomised studies contributing to theory building,21-24 though there are also concerns raised about non-theoretical research.3, 5, 25, 26 For these reasons, we focused our review on a specific selection of studies using a randomised design as a starting point for buil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whether research silos exist in med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ory and applications for practice.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 (a) 의학교육 연구는 두 개의 극으로 나뉘기보다는 보어의 사분면에서 파스퇴르의 사분면을 거쳐 에디슨의 사분면에 걸쳐 있다.
  • (b) 의학교육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주로 보어의 사분면에 속하는 반면, 임상 저널에 발표된 연구는 주로 에디슨의 사분면에 속한다,
  • (c) 파스퇴르의 사분면에 속하는 연구는 다른 세 사분면에 비해 인용률이 높고,
  • (d) 무사용, 무이론 사분면은 소수의 저품질 연구로 구성되며,
  • (e) 이 사분면은 다양한 연구 품질 지표와 관련이 있습니다.

We hypothesised that:

  • (a) rather than being divided between two different poles, medical education research spans from Bohr's quadrant across Pasteur's quadrant and to Edison's quadrant,
  • (b) research published in medical education journals predominantly falls into Bohr's quadrant, whereas research published in clinical journals predominately falls into Edison's quadrant,
  • (c) research that falls into Pasteur's quadrant achieves higher rates of citation compared with the other three quadrants,
  • (d) that the no-use, no-theory quadrant would comprise a small number of low-quality studies and
  • (e) that quadrant would be related to various indicators of research quality.

2 방법
2 METHODS

우리는 2018년에 발표된 무작위 의학교육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Stokes의 프레임워크에 따라 분류하고 방법론적 엄격성, 보고 기준 및 저널 특성을 조사하여 신화적 분열을 조사했습니다.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medical education studies published in 2018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Stokes’ framework and explore their methodological rigour, reporting standards and jour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amine the mythic divide.

이 검토는 의학교육에서 검토를 수행하기 위한 권고사항27 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고되었습니다.28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검토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2018년에 발표된 무작위 의학교육 연구 표본에서, 연구는 스토크스 4분면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으며 방법론적 엄격성, 보고 기준 및 저널 특성은 어떻게 비교되는가?
The review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for conducting reviews in medical education27 and reported according to the PRISMA guideline.28 We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review question: In a sample of randomised medical education studies published in 2018, how are studies distributed across Stokes’ quadrants and how do their methodological rigour, reporting standards and journal characteristics compare?

연구 참여 자격
Eligibility

광범위한 의학교육 무작위 연구의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광범위한 포함 기준을 사용했습니다.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 사이에 출판된 연구를 포함시켰으며, 이를 통해 분석 전에 출판된 논문의 인용이 축적될 수 있는 기간을 조사했습니다. 의학교육과 관련된 모든 무작위 배정 연구를 포함했습니다. 의학교육 연구는 '의대생, 레지던트, 펠로우, 교수진 개발 또는 의사를 위한 평생 의학 교육과 관련된 모든 독창적인 연구'로 정의했습니다.29 이 정의에 따라 수의학, 간호학, 약학 및 치의학 교육 연구는 제외했습니다. 우월성 설계, 비열등성/동등성 설계, 평행군 연구, 교차 및 요인 설계 연구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설계를 포함했습니다. 의사 무작위 배정 연구는 제외되었지만 단순, 블록, 클러스터 무작위 배정 연구와 같은 모든 유형의 진정한 무작위 배정 연구는 포함되었습니다.  
We used broad inclusion criteria to ensure completeness of a wide range of randomised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We included studies published between 1 January 2018 and 31 December 2018, thereby examining a window within which citations of published papers would have had time to accumulate prior to our analysis. We included all randomised studies involving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research was defined as ‘any original research study pertaining to medical students, residents, fellows, faculty development or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for physicians’.29 Using this definition, veterinary, nursing, pharmacist and dental education studies were excluded. We included all types of designs, including superiority designs, non-inferiority/equivalence designs, parallel-group studies, cross-over and factorial design studies. Pseudo-randomised studies were excluded, whereas all types of true randomisation such as simple, block and cluster randomised studies were included.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검색 전략은 전문 사서의 도움을 받아 MEDLINE, Embase, CINAHL, PsychINFO, ERIC, Web of Science 및 Scopus에서 주요 용어를 검색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러한 용어에는 의학교육과 관련된 무작위* 및 MeSH 용어(예: 교육, 전문가)에 대한 절단 검색이 포함되었습니다. 의학교육으로 분류되지 않은 연구(예: 보건 전문직 교육, 시뮬레이션, 학부 의학교육, 기술 강화 교육, 임상 추론, 기술 평가, 교육 전문가, 학생 보건 직업, 인턴십 및 레지던트, 교육과정 계획, 교육 방법, 자기 주도적 학습 등)도 검색에 포함되었습니다. 시뮬레이션 기반 의학 교육에 대한 최근 리뷰와 관심 기간에 발표된 연구의 저자 기록에 대한 참조 목록을 검색에 추가했습니다. 저자의 기록과 의학교육 연구를 자주 게재하는 학술지(Acad Med, Med Educ, AHSE, Med Teach, JAMA, Ann Surg, JGIM)를 직접 검색하여 온라인 검색에 가능한 한 많은 관련 무작위 연구를 포함시키기 위해 반복적인 방식으로 검색 전략을 구체화했습니다. 각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연구 목록은 요청 시 제공됩니다. 
The search strategy was developed with the help of expert librarians to search MEDLINE, Embase, CINAHL, PsychINFO, ERIC, Web of Science and Scopus for key terms. These terms included truncated search on random* and MeSH terms relating to medical education (eg Education, Professional). Related domains were also included in the search to account for research not categorised under medical education (eg health profession education, simulati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echnology-enhanced education, clinical reasoning, skills assessment, education professional, student health occupation, internship and residency, curriculum planning, instructional method, self-directed learning, etc). We added reference lists of recent reviews in simulation-based medical education and authors’ records of studies published in the period of interest to the search. The authors’ own records and a hand-search through journals that often publish medical education research (Acad Med, Med Educ, AHSE, Med Teach, JAMA, Ann Surg, JGIM) were used to refine the search strategy in an iterative way to include as many relevant randomised studies as possible in the online search. A list of the studies falling into each category is available on request.

선정
Selection

확인된 모든 연구는 제목과 초록을 기준으로 저자 MGT와 LD가 개별적으로 심사하고, 점수를 쌍으로 비교하여 적격성을 결정했습니다. 제목이나 초록만으로는 적격성을 판단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전문을 검토했습니다. 이견이 있는 경우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토론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All identified studies were screened individually by the authors MGT and LD based on titles and abstracts and scores were compared in pairs to determine eligibility. The full text was reviewed when the title or abstract was insufficient for determining eligibility. Disagreement was solved by discussion until consensus was reached.

주요 개념의 운영 및 데이터 추출
Operationalisation of key concepts and data extraction

저자 MGT와 LD는 사전 정의된 코드북에 따라 포함된 모든 연구를 독립적으로 그리고 중복해서 검토했습니다. 
Authors MGT and LD worked independently and in duplicate to review all included studies based on a predefined codebook.

(가) 이론 (나) 교육 개념 및 (다) 교육 도구의 사용을 코딩했습니다.

  • 이론은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추상적인 설명'30으로 정의했습니다(예: 인지 부하 이론 또는 자기조절 학습 이론).
  • 교육 개념이론에서 파생된 아이디어 또는 원리(예: 숙달 학습 또는 분산 연습)로 정의했습니다.
  • 마지막으로 교육 도구는 특정 과제에 사용되는 도구 또는 장치(예: 시뮬레이션 또는 e-러닝)로 정의했습니다.

We coded the use of (a) theory (b) educational concepts and (c) educational instruments.

  • We defined theory as ‘an abstract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that help us to understand the world’ 30; for example cognitive load theory or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 Educational concepts were defined as ideas or principles derived from theory; for example mastery learning or distributed practice.
  • Finally, educational instruments were defined as tools or devices used for a particular task; for example simulation or e-learning.

포함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교육적 및 임상적 근거를 조사했습니다. 

  • 교육적 근거는 저자가 연구에서 특정 교육적 개입을 사용한 이유를 정당화할 수 있는 경우 존재하는 것으로 점수가 매겨졌습니다. 
  • 임상적 근거의 존재는 저자가 연구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임상적 배경 섹션을 포함하면 있는 것으로 점수가 매겨졌습니다. 

이러한 조작을 사용하여 Stokes의 프레임워크에서 두 가지 축(임상 및 교육적 활용에 대한 고려 사항 대 지식의 발전)을 따라 연구를 코딩했습니다. 

  • 임상적 또는 교육적 근거가 포함된 연구는 오른쪽에 있는 두 사분면(에디슨 사분면 또는 파스퇴르 사분면) 중 하나로 분류되었습니다.
  • 교육적 개념이나 이론을 사용한 연구는 두 개의 위쪽 사분면(보어 사분면 또는 파스퇴르 사분면)으로 분류되었습니다.

We examined the practical educational and clinical rationale for conducting the included studies. The educational rationale was scored as present if authors justified why they used the specific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their study. The presence of a clinical rationale was scored as present if the authors included a clinical background section to help explain why the study was needed. Using these operationalisations, we coded studies along two axes (considerations for clinical and educational use vs advancement of knowledge) in Stokes’ framework.

  • Studies that included a clinical or educational rationale were classified in one of the two right-sided quadrants (Edison's or Pasteur's Quadrants).
  • Studies that used educational concepts or theory were classified in the two upper quadrants (Bohr's or Pasteur's Quadrants).

보고의 질과 방법론적 엄격성은 타당성 근거가 확립된 세 가지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습니다: 임상시험 보고 통합 표준(CONSORT) 성명서,31 Jadad 척도,32 의학교육 연구 품질 도구(MERSQI) 척도.29 이 중 두 가지 도구는 무작위 임상시험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생의학 연구 영역에서 유래한 반면(CONSORT 성명서 및 Jadad 척도), MERSQI는 의학교육 연구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Reporting quality and methodological rigour was assessed using three instruments with established validity evidence: The Consolidated Standards of Reporting Trials (CONSORT) statement,31 the Jadad scale,32 and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RSQI) scale.29 Two of these instruments were designed for randomised clinical trials and originated from within the biomedical research domain (CONSORT statement and the Jadad scale), whereas MERSQI was designed for evaluat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thods.

  • CONSORT 성명서는 무작위 대조 연구의 불완전한 보고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1996년에 고안되어 2010년에 개정된 보고 지침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임상 저널에서 CONSORT 성명서를 지지하고 있으며, 제출된 모든 무작위 배정 연구에 대해 CONSORT 준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CONSORT 항목은 있음(점수 = 1점) 또는 없음(점수 = 0점)으로 채점되었습니다. 

The CONSORT statement is a reporting guideline designed in 1996 and revised in 2010 aimed at alleviating problems with incomplete reporting of randomised controlled studies. The CONSORT statement is now supported by the majority of clinical journals, in which adherence to CONSORT is a requirement for all submitted randomised studies. The CONSORT items were scored as present (score = 1) or absent (score = 0).

  • Jadad 척도는 무작위배정의 적절성, 맹검의 효과성, 연구 참여자 감소에 중점을 두고 임상시험의 방법론적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Jadad 척도의 최대 점수는 5점입니다.

The Jadad scale is designed for the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quality of clinical trials focusing on adequacy of randomisation, effectiveness of blinding and attrition of study participants. The maximum score on the Jadad scale is five.

  • MERSQI 척도의학교육 연구의 방법론적 강점을 평가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사용된 평가 도구의 타당성 증거, 연구 유형, 응답률, 통계 분석의 적절성 및 사용된 결과의 분류와 관련된 항목이 포함됩니다.

The MERSQI scale is developed specifically for evaluating methodological strength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It includes items relating to validity evidence of assessment instruments used as well as type of study, response rate, adequacy of statistical analyses and classification of outcomes used.

마지막으로 학술지 유형에 따라 학술지 특성을 코딩했습니다. 의학교육 연구만을 전문으로 하는 저널은 의학교육 저널로, 의학교육이 아닌 주제를 주로 다루는 저널은 임상 저널로 코딩했습니다. 예를 들어, 외과 교육 저널은 의학교육 저널로 코딩되었고 일반 내과학 저널은 임상 저널로 코딩되었습니다. 인용은 포함된 연구에 대해 기록되었으며 2020년 8월 5일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Finally, journal characteristics were coded in terms of journal type. Journals specifically dedicated to medical education research were coded as such, whereas journals primarily focused on non-medical education topics were coded as a clinical journal. For example, the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was coded as a medical education journal wherea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was coded as a clinical journal. Citations were recorded for included studies and updated 5 August 2020.

저자 그룹은 5개의 무작위 의학교육 연구를 시범적으로 검토하고 코드북의 각 주요 용어와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평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저자는 각 적격 연구에 독립적으로 점수를 매겼으며 점수를 쌍으로 비교했습니다. 의견 불일치는 토론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The author group piloted five randomised medical education studies and discussed their ratings until reaching consensus on how to use each of the key terms and instruments in the codebook. Authors scored each eligible study independently and scores were compared in pairs. Disagreement was resolved by discussion.

데이터 분석
Data analyses

연구는 지식의 발전과 실제 사용에 따라 스톡스의 사분면으로 플롯되었습니다.
Studies were plotted into Stokes’ quadrants based on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practical use.

CONSORT 문항, 자다드 척도, MERSQI에 대한 합산 점수를 계산했습니다. (a) 저널 유형(임상/의학교육 저널), (b) 개념 또는 이론 포함 여부(예/아니오), (c) 임상/교육적 근거 사용 여부(예/아니오)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세 가지 도구 각각에 대한 점수와 비교하기 위해 2x2x2 ANOVA를 실시했습니다.
Sum scores were calculated for the CONSORT statement, the Jadad Scale and the MERSQI. A 2x2x2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a) journal type (clinical/medical education journal), (b) inclusion of concepts or theory (yes/no) and (c) the use of a clinical/educational rationale (yes/no) on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instruments.

대조군 사용은 (a) 무중재 대조군 (b) A + B 대 A(무언가 + 무언가 대 무언가), (c) 활성 비교군 사용으로 분류했습니다.17 이 분류는 기존 중재에 '무언가'를 추가하는 변형을 포함한 무중재 대조군이 학습자의 학습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기존 문헌의 합의에 근거했습니다.17 (a) 저널 유형(임상/의학교육 저널), (b) 개념 또는 이론 포함 여부(예/아니오), (c) 인용 횟수에 대한 임상/교육적 근거 사용 여부(예/아니오)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2 × 2 × 2 ANOVA를 실시했습니다.
The use of control groups was categorised into (a) no-intervention control group (b) A + B vs A (something + something vs something) and (c) use of active comparison groups.17 This categorisation was based on existing agreements in the literature that no-intervention control groups, including the variant of adding ‘something’ to existing interventions, often do little to advance our general understanding of how learners learn.17 A 2 × 2 × 2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a) journal type (clinical/medical education journal), (b) inclusion of concepts or theory (yes/no) and (c) the use of a clinical/educational rationale (yes/no) on number of citations.

평가자 간 일치도는 카파 통계를 사용하여 결정했습니다.
Inter-rater agreement was determined using kappa statistics.

3 결과
3 RESULTS

연구 흐름 및 기준 데이터
Study flow and baseline data

초기 검색에서 총 3224개의 잠재적 연구가 확인되었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후 2672개의 연구가 선별되었고, 이 중 150개의 연구가 포함 기준을 충족하여 분석되었습니다. 연구 선별 및 선정의 흐름도는 그림 2에 나와 있습니다.
A total of 3224 potential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the initial search. After removing duplicates, 2672 studies were screened and of these, 150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analysed. Flowchart of study screening and selection is shown in Figure 2.

주요 결과
Main findings

  • 가장 많은 수의 연구인 70건/150건(46.7%)이 실용적 기초 연구(파스퇴르 사분면)로 분류되었고,
  • 순수 응용 연구가 61건/150건(40.7%)으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에디슨 사분면).
  • 실제 교육이나 임상 적용을 염두에 두지 않고 지식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는 3건(150건/150(2.0%), 보어의 사분면)에 불과했습니다.
  • 나머지 16/150(10.7%)의 연구는 사용 없음, 이론 없음 사분면으로 분류되었습니다(표 1).

개념 및 이론 사용에 대한 카파값은 상당히 높았고(각각 κ = 0.71 및 0.69), 교육 및 임상적 근거에 대한 카파값은 보통이었습니다(각각 κ = 0.63 및 0.52).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70/150 (46.7%), were categorised as use-inspired basic research (Pasteur's Quadrant), closely followed by pure applied research, 61/150 (40.7%), Edison's Quadrant). Only three studies aimed to advance knowledge with no thought for practical educational or clinical application 3/150 (2.0%), Bohr's Quadrant). The remaining studies, 16/150 (10.7%), were categorised into the no-use, no-theory quadrant (Table 1). Kappa values for the use of concepts and theory were substantial (κ = 0.71 and 0.69, respectively) and moderate for educational and clinical rationale (κ = 0.63 and 0.52, respectively).

활성 대조군active control groups의 사용은 사분면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보어 사분면 3/3(100%), 파스퇴르 사분면 49/70(70%)으로 분류된 연구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무사용, 무이론 사분면 10/16(63%), 에디슨 사분면 30/61(49%)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습니다(χ2(3) = 8.93, P = .03). 개념과 이론을 사용한 연구는 개념과 이론을 사용하지 않은 연구에 비해 활성 비교군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49/73(67.1%) 대 39/77(50.6%); χ2(1) = 8.46, P = .04, OR 2.0 (95% CI 1.0-3.9).
The use of active control groups differed across the quadrant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in studies categorised in Bohr's, 3/3 (100%) and Pasteur's quadrants, 49/70 (70%) and lowest in the no-use, no-theory quadrant, 10/16 (63%) and Edison's quadrant, 30/61 (49%); χ2(3) = 8.93, P = .03. Studies that used concepts and theory were more likely to use active comparison groups compared with those that did not use concepts and theory, 49/73 (67.1%) vs 39/77 (50.6%); χ2(1) = 8.46, P = .04, OR 2.0 (95% CI 1.0-3.9).

사분면에 걸친 연구 분포는 의학교육 저널임상 저널 간에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습니다(χ2(3) = 12.89, P = .005, 표 1). 교육 개념과 이론을 포함하는 연구의 비율은 임상 학술지와 의학교육 학술지 간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각각 45/111(40.5%) vs 28/39(71.8%); χ2(1) = 9.79, P < .001, OR = 3.92 (95% CI 1.61-9.52). 실제 교육적 또는 임상적 근거를 포함하는 연구의 비율은 임상 학술지 97/111(87.4%) 대 의학교육 학술지 34/39(87.2%); χ2(2) = 0.002, P = .99로 학술지 간 차이가 없었으며, χ2(2) = 0.002, P = .99로 나타났습니다. 
The distribution of studies across the quadra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dical education journals and clinical journals, respectively; χ2(3) = 12.89, P = .005, Table 1. The proportion of studies that included educational concepts and theory differed between clinical journals compared with medical education journals: 45/111 (40.5%) vs 28/39 (71.8%) respectively; χ2(1) = 9.79, P < .001, OR = 3.92 (95% CI 1.61-9.52).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journals with regard to the proportion of studies that included a practical educational or clinical rationale; clinical journals 97/111 (87.4%) vs medical education journals 34/39 (87.2%); χ2(2) = 0.002, P = .99.

인용 횟수에 대한 저널 유형(F(1,142) = 0.03, P = .86), 이론(F(1,142) = 0.08, P = .78) 또는 실제 사용(F(1,142) = 0.09, P = .78)에 대한 유의미한 주 효과는 없었습니다(표 2). 이러한 변수 간의 상호작용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There were no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journal type (F(1,142) = 0.03, P = .86), theory (F(1,142) = 0.08, P = .78) or practical uses (F(1,142) = 0.09, P = .78) on number of citations (Table 2). Nor were any interac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이론을 포함할 경우 CONSORT 점수가 약간 높았지만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 그러나 그 외에는 저널 유형, 이론 및 실제 사용 여부가 CONSORT, Jadad 및 MERSQI 점수에 미치는 유의미한 주효과나 상호작용은 없었습니다(표 3). 세 평가 도구의 개별 항목에 대한 카파값은 매우 다양했습니다: CONSORT κ 범위 0.12~1.00, Jadad κ 범위 0.61~0.73, MERSQI κ 범위 0.28~0.79.

  • 성과가 단순한 항목은 카파 값이 높았습니다(예: '제목에서 무작위 임상시험으로 식별' κ = 0.92).
  • 해석의 여지가 있는 항목의 경우 낮은 카파 값이 일반적이었습니다(예: '각 그룹의 중재에 대한 설명이 복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상세함', κ = 0.12).

The inclusion of theory was associated with slightly but significantly higher CONSORT scores. Otherwis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main effects or interactions for journal type, theory and practical uses on CONSORT, Jadad and MERSQI scores (Table 3). Kappa values from the individual items on the three assessment instruments varied widely: CONSORT κ range 0.12-1.00; Jadad κ range 0.61-0.73; MERSQI κ range 0.28-0.79.

  • Items with simple outcomes had high kappa values (eg ‘identification as randomised trial in title’ κ = 0.92).
  • Low kappa values were common for items that were open for interpretation (eg ‘description of interventions in each group with sufficient detail to allow replication’, κ = 0.12).

4 토론
4 DISCUSSION

무작위 연구 표본을 검토한 결과, 의학교육 연구의 두 가지 주요 극으로 나뉜다는 신화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했습니다. 초기 가설과는 달리, 표본으로 추출한 무작위 연구의 대부분은 파스퇴르와 에디슨의 사분면에 속했습니다. 따라서 의학교육 연구가 '상아탑 이론가'와 '현장 실무자'로 대표되는 상반된 두 극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견해는 의학교육 실험 연구에 대해서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이론과 교육 개념의 사용]과 관련하여 임상 학술지와 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In reviewing a sample of randomised studies, we found no evidence to support the myth of a divide between two main poles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Contrary to our initial hypothesis, the majority of sampled randomised studies fell into Pasteur's and Edison's Quadrants. Thus, the view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consists of two opposing poles represented by ‘ivory tower theorists’ and ‘in-the-trenches practitioners’ cannot be upheld for experimental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Rather, it seems that if any cleft exists, it is between studies published in clinical journals and medical education journals with respect to their use of theory and educational concepts.

[임상 학술지는 대부분 비이론적 연구를 발표한다]는 가정은 의학교육 분야에서 오랫동안 널리 받아들여져 온 생각입니다.4-6, 9, 18, 33 우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개념에 어느 정도 진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공식적인 의학교육 교육을 받지 않은 임상의 독자, 연구자 및 편집자에게 교육 이론은 접근하기 어려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5 
The assumption that clinical journals publish largely non-theoretical research is a long-standing and widely held idea in medical education.4-6, 9, 18, 33 Based on our data, it seems that there is some truth to this notion. This may reflect that educational theory may be considered inaccessible to clinician readers, researchers and editors who have not received any formal medical education training.5

의학교육 연구가 '열악한 관계the poor relation'라는 주장은 임상 저널에서 여러 번 반복되어 왔습니다.29, 34 종종 임상 영역 내에서 개발된 보고 지침 및 방법에 대한 낮은 준수가 연구 품질이 좋지 않다는 증거로 사용되었습니다.34 본 표본의 CONSORT 성명서 준수는 의학교육 영역 내35 및 외부의 이전 보고서와 유사했습니다.36 확실히 개선의 여지가 있지만, 의학교육의 실험 연구가 임상 영역 내 연구보다 특별히 나쁘다는 징후는 보이지 않습니다. 임상과 의학교육 학술지 간에 CONSORT, Jadad 또는 MERSQI 점수에 차이가 없다는 것은 방법론 및 보고 품질이 특정 학문의 전통에 의해 독점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오히려 이론을 포함한 연구는 활성 대조군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이론을 포함하지 않은 연구보다 CONSORT 점수가 약간 더 높았습니다. 따라서 이론의 포함 여부가 실험적 의학 교육 연구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가 있습니다. 
The claim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the poor relation’ has been echoed in clinical journals a number of times.29, 34 Often, the low adherence to reporting guidelines and methods developed within the clinical domain has been used as evidence of poor research quality.34 Adherence to the CONSORT statement in our sample was similar to previous reports within35 and outside the domain of medical education.36 Although there is certainly room for improvement, there are no indications that experimental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is particularly worse than its counterparts within the clinical domain. Finding no differences in CONSORT, Jadad or MERSQI scores between clinical and medical education journals suggests that methodological and reporting quality is not monopolised by any specific disciplinary tradition. If anything, studies including theory were more likely to use active control groups and they received slightly higher CONSORT scores than studies failing to include theory. As such, there is some empirical evidence that the inclusion of theory may be an indicator of quality in experimental medical education research.

표본에 포함된 연구를 이론, 실습 또는 두 가지 모두의 발전을 목표로 하는지 여부에 따라 Stokes의 4사분면에 따라 분류했을 때,19 전체 연구의 약 11%가 [비-활용, 비-이론 사분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사분면은 품질이 낮은 연구 표본을 대표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평균 인용 횟수는 다른 세 사분면의 연구와 다르지 않았습니다(표 2). 스토크스는 이 사분면의 존재를 예측하면서 이 사분면이 '일반적인 설명 목적이나 응용 용도를 고려하지 않고 특정 현상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연구'를 대표할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스톡스에 따르면, 무사용, 무이론 사분면의 연구는 보어와 에디슨의 사분면 연구의 중요한 선구자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When classifying the studies in our sample according to Stokes’ four quadrants in terms of whether they aim to advance theory, practice, or both,19 we found that about 11% of all studies fell into the no-use, no-theory quadrant. We expected this quadrant to represent a sample of low-quality studies but found an average citation count that was no different from studies in the other three quadrants (Table 2). Stokes predicted the existence of this quadrant and speculated that it would represent research that systematically ‘explores particular phenomena without having in view general explanatory objectives or any applied use’. According to Stokes, studies in the no-use, no-theory quadrant could be important precursors for research in Bohr's and Edison's quadrants.

이렇게 제안된 지식과 아이디어의 확산은 [탐구하는 근본 현상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고품질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라는 기존의 견해와 다릅니다.10, 35 그러나 지식과 아이디어가 학문적 사일로 안에 숨어 있지 않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으며37, 아이디어의 확산이 미리 정의된 도그마를 따라야 한다고 믿을 이유가 거의 없습니다. 연구의 가치는 [실용적이냐 이론적이냐의 구별]에 있지 않을 수 있으며,19 양극단을 만들고 신화를 강화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의학교육의 연구 질에 대한 논의에 역효과를 가져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9 오히려 우리는 연구가 얼마나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식을 분야 전체에 잘 전달하는지 고려해야 합니다.7 예를 들어 최근 데이터 과학의 발전이 제공하는 미래의 무사용, 무이론 4분면 연구는 명확한 이론적 틀이나 실용적 근거가 부족하더라도 의학교육 연구 분야에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38 

This proposed spread of knowledge and ideas differs from existing views on how to conduct high-quality research, which emphasise the need for theory to help explain the underlying phenomena being explored.10, 35 However,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knowledge and ideas do not stay hidden inside disciplinary silos37 and there is little reason to believe that spread of ideas need to follow predefined dogmas. The value of research may not lie in the distinction of whether or not it has a practical or a theoretical scope,19 as such attempts to create poles and reinforce myths tend to be counter-productive to the conversation on research quality in medical education.9 Rather, we may need to consider how well studies bring forward new ideas and knowledge to the field as a whole.7 For example, future no-use, no-theory quadrant research provided by recent advances in data science may offer valuable insights to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despite lacking explicit theoretical frameworks or practical rationales.38

이 검토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음을 인정합니다. 첫째, 표본은 무작위 연구로 제한되었는데, 이는 발표된 의학교육 연구의 일부에 불과하며 '상아탑'에 속한다고 비난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연구 유형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리뷰에서는 실험적 의학교육 연구의 관점에서 이론과 실제적 근거의 사용을 검토했으며, 연구 결과가 의학교육 연구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충분히 인정합니다. 무작위 배정 연구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이러한 연구가 생산자를 위한 생산(Production for Producers) 극과 사용자를 위한 생산(Production for Users) 극의 연구 사이의 긴장을 대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의학교육의 연구 품질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면밀히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모든 유형의 연구 방법을 검토에 포함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더 연구할 가치가 있는 경험적 문제입니다. 
We acknowledge some limitations to this review. First, the sample was limited to randomised studies, which only represent a small corner of published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may not reflect the types of research that are most likely to be accused of belong in the ‘ivory tower’. In this review, we examined the use of theory and practical rationale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mental medical education research, fully acknowledging that our findings do not apply the diverse spectrum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 rationale for focusing on randomised studies was that these studies were likely to represent tensions between research at the Production for Producers pole as well as the Production for Users pole and thereby allow us to scrutinise existing myths on research quality in medical education. Although we did not include all types of research methods in our review, this is an empirical issue that is worth studying further.

둘째, 학술지를 의학교육과 임상 학술지로 구분했는데, 이는 일부 의학교육 학술지는 다른 학술지(예: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보다 임상 적용에 더 중점을 두는 반면, 임상 학술지는 의학교육 논문을 많이 게재하는 학술지(예: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부터 그렇지 않은 전문 학술지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인용 횟수를 저널 지표로 사용했는데, 이는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을 받을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학문 분야 간에 쉽게 비교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39, 40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용 횟수는 여전히 출판사와 저자 모두에게 관심의 대상이며, 이러한 이유로 그 한계를 고려할 때 여전히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Second, we divided journals into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journals, which is a simplification as some medical education journals are clearly more focused on clinical applications (eg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than others (eg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whereas clinical journals may range from those publishing large number of medical education papers (eg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to specialty journals that do not. Moreover, we used citations as journal metrics, which may be criticised for a number of reasons, most importantly for not being easily comparable between different academic areas of research.39, 40 Nonetheless, citations are still a matter of interest for both publishers and authors and for these reasons they remain relevant to consider given their limitations.

마지막으로, 이 검토에 사용된 보고 및 품질 체크리스트의 일부 항목에서 평가자 간 신뢰도가 낮았습니다. 가장 낮은 카파 점수를 받은 항목은 해석의 여지가 가장 많은 항목이었으며, 이는 최근의 유사한 검토 결과와 일치합니다.35 
Finally,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low for some items in the reporting and quality checklists used in this review. The items that received the lowest kappa scores were the ones that were most open to interpret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recent similar reviews.35

5 결론
5 CONCLUSION

무작위 설계를 사용한 대규모 연구 표본에서 '상아탑 연구'와 '현장 실무'로 대표되는 의학교육 연구의 양 극단에 대한 신화를 뒷받침할 증거를 찾지 못했습니다. 임상 학술지에 실린 무작위 연구 중 이론이나 교육 개념을 사용한 연구는 절반도 되지 않아 임상 학술지의 비이론적 의학교육 연구에 관한 일반적인 가정을 확인했습니다. 잘 응용된 의학교육 연구와 이론적 의학교육 연구가 서로에게 얼마나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의학교육 연구를 게재하는 학술지 간의 사일로 효과를 피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We found no evidence to support the myth of a divide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between two poles represented by ‘ivory tower research’ and ‘in-the-trenches practice’ in a large sample of studies using randomised designs. We did confirm prevailing assumptions regarding non-theoretical medical education research in clinical journals as less than half of the randomised studies in these journals made any use of theory or educational concepts. Efforts are needed to clarify how well-applied and theoretical medical education research inform each other and how to avoid silo effects between scientific journals publishing medical education research.

 


Med Educ. 2021 Mar;55(3):328-335. doi: 10.1111/medu.14373. Epub 2020 Oct 19.

The myth of ivory tower versus practice-oriented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Obstetrics, Juliane Marie Centre,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2Copenhagen Academy for Medical Education and Simulation (CAMES), Rigshospitalet, Copenhagen, Denmark.

3The Wilson Centre, University Health Network, Toronto, ON, Canada.

4Department of Family & Community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5Allan Waters Family Simulation Centre, St. Michael's Hospital, Unity Health Toronto, Toronto, ON, Canada.

6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 Canada.

7Centre for Health Science Education, Faculty of Health, Aarhus University, Aarhus C, Denmark.

PMID: 32935373

DOI: 10.1111/medu.14373

Abstract

Context: A long-standing myth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is a divide between two different poles: research aiming to advance theory with little focus on practical applications ('ivory tower' research) and practically oriented research aiming to serve educators and decision-makers with little focus on advancing theory ('in-the-trenches' practice). We explored this myth in a sample of randomised medical education studies using Stokes' four-quadrant framework for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perspective.

Methods: We searched MEDLINE, Embase, CINAHL, PsychINFO, ERIC, Web of Science and Scopus for studies in medical education using a randomised design that were published between 1 January 2018 and 31 December 2018. We used Stokes' four-quadrant framework to categorise the studies according to their use of theory, concepts and their justification for practical use. We compared medical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in medical education journals and clinical journals.

Results: A total of 150 randomised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largest segment of studies (46.7%) was categorised as use-inspired basic research (Pasteur's Quadrant), closely followed by pure applied research (40.7%, Edison's Quadrant). Only a few studies were categorised as aiming to advance knowledge with no thought for practical educational application (2.0%, Bohr's Quadrant). The proportion of studies that included educational concepts and theory differed according to publication in clinical journals or medical education journals: 40.5% vs 71.8%, respectively, P < .001.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journals with regard to the proportion of studies that included a practical educational or clinical rationale (P = .99).

Conclusion: In a large sample of studies using randomised designs, we found no evidence to support the myth that medical education research divides between two singular poles represented by 'ivory tower research' and 'in-the-trenches practice'. We did confirm prevailing assumptions regarding an emphasis on non-theoretical medical education research in clinical journals.

When I say ... 관여 (Med Educ, 2022)
When I say … engagement
Joshua Jauregui1 | Caitlin Schrepel1 | Adelaide McClintock2

 

시애틀에는 맛있는 커피를 제공하는 카페가 많지만 뛰어난 에스프레소를 제공하는 시애틀 카페를 찾는 것은 취향의 문제입니다. 완벽한 커피 한 잔의 품질을 진정으로 감상하려면 [커피를 만드는 손]을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바리스타와 [커피를 만드는 기술에 대한 바리스타의 참여]가 모든 차이를 만듭니다. 
Seattle has an abundance of cafes with good coffee, but discovering the Seattle cafe that serves exceptional espresso is a matter of taste. Truly appreciating the quality of a perfect cup of coffee requires a deeper look at the hand that makes it. The barista, and their engagement in the craft of making coffee, makes all the difference.

마찬가지로 학생 참여도는 학업 성취도의 중요한 예측 변수입니다.1-4 종종 [학생들이 교실과 학습 커뮤니티 내에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으로 정의되지만, 보건 전문직 교육에서의 [참여의 구인]은 아직 제대로 정의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학생 참여를 파악하기는 쉽지만 측정하고 효과적으로 연구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최근 의학교육의 범위 검토에서는 참여라는 개념 자체에 대한 이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언급하며 이를 반영했습니다.1
Similarly, student engagement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1-4 Often defined as how students think, feel and act within their classrooms and learning communities, the construct of engag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mains ill defined. This makes recognising student engagement easy, but difficult to measure and effectively study. Furthermore, a recent scoping review in Medical Education echoed this, citing a significant gap in our understanding of engagement as a construct in its own right.1

참여의 의미를 개념화하기 위해 동네 카페로 여행을 떠나 보겠습니다. 커피를 내리는 향기, 에스프레소 머신의 쉭쉭거리는 소리, 손님들의 재잘거림 너머로 두 명의 바리스타가 보입니다. 한 명은 검은색 앞치마를, 다른 한 명은 초록색 앞치마를 입고 있습니다. 줄을 서서 기다리다 보면 완벽한 커피 한 잔을 만들기 위한 두 사람의 노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o conceptualise what we mean by engagement, let us take a trip to our local cafe. Beyond the aroma of brewing coffee, the hissing of the espresso machine and the chatter of customers, you will see two baristas. One is wearing a black apron and the other a green apron. As you wait in line, you start to notic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they engage in making that perfect cup of coffee.

1 참여는 동기 부여가 아니다
1 ENGAGEMENT IS NOT MOTIVATION

두 바리스타와의 사전 대화를 통해 두 바리스타 모두 동기 부여가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녹색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는 임대료를 내기 위해 돈을 벌고 싶다는 외적 동기가 있으며, 급여 인상을 통해 보상을 받고 싶어 합니다. 반면 검은색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는 자신의 직업이 가져다주는 만족감으로 인해 내적 동기를 부여받습니다. 녹색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는 항상 똑같은 나뭇잎 무늬를 만드는 반면, 검은색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는 더 복잡한 라떼 아트를 배우기 위해 도전하는 것을 즐깁니다. 이는 성적이나 상사의 칭찬과 같은 외적 요인과 호기심, 열정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 학습자의 경험을 반영합니다. 이런 식으로 동기 부여는 높은 수준의 행동이나 더 깊은 인지적 도전에 대한 욕구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동기 부여는 이를 위한 촉매제 또는 연료이며, 동기 부여가 궁극적으로 참여로 이어질 수는 있지만 그 자체가 참여는 아닙니다.1
Based on prior conversations with both baristas, you know that both feel motivated. The barista in the green apron is extrinsically motivated to make money to pay rent and is hoping to get rewarded with a raise. The barista in the black apron, on the other hand, is internally motivated by the satisfaction their job brings them. They enjoy the challenge of learning to make more complicated latte art, whereas the barista in the green apron always creates a leaf pattern which, while excellent, is always the same. This mirrors the experience of our learners who might be motiva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grades or praise from superiors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curiosity and passion. In this way, motivation does not guarantee a high degree of action or desire for deeper cognitive challenge. Rather, motivation is the catalyst or fuel for these, and while it may ultimately lead to engagement, it is not in and of itself engagement.1

2 참여는 유사하지만 몰입 상태와는 다릅니다.
2 ENGAGEMENT IS SIMILAR, BUT DIFFERENT THAN FLOW STATE

줄의 앞쪽에 가까워질수록 두 바리스타의 행동을 지켜보기 시작합니다. 검은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는 하트와 나비 모양의 우유로 예술 작품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창의력 덕분에 주문이 약간 밀려도 눈치채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반면 녹색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는 아침 러시 시간대에 고객을 응대하며 방해 요소를 무시하고 효율적으로 고객을 줄로 이동시키는 등 '제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두 바리스타는 모두 몰입 상태로 관찰된다. 몰입 상태는 참여과 유사하지만 [지속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참여와 마찬가지로, 몰입 상태는 한 사람이 활동에 완전히 몰입하여 집중하는 정신 상태입니다.
  • 몰입 상태는 엄밀히 말해 단기적인 상태이지만(장기적 상태 아님), 참여는 둘 다일 수 있습니다.
  • 몰입은, 지속으로 흡수력있는 참여 상태라기보다는, 시간 감각의 왜곡을 특징으로 하는 최고의 경험입니다.5, 6

As you get closer to the front of the line, you start to watch both baristas act. You notice that the barista in the black apron remains intensely focused on creating art with milk in the form of hearts and butterflies. While their creativity results in a slight backup in orders, they do not seem to notice. On the other hand, the one in the green apron rings up customers during the morning rush and appears to be ‘in the zone’, ignoring distractions and efficiently moving customers through the line. You are observing both baristas in a flow state. While a flow state shares similarities to engagement, it is different in terms of endurance.

  • Like engagement, flow is a mental state in which a person is fully immersed and focused on an activity.
  • Flow state is strictly short term and not long term, while engagement can be both.
  • Flow is a peak experience, characterised by a distortion of one's sense of time, rather than the persistent absorptive state of engagement.56

3 몰입은 자기 조절 학습이 아닙니다.
3 ENGAGEMENT IS NOT SELF-REGULATED LEARNING

카운터에 가서 트리플 아메리카노를 주문합니다. 고객이 두 바리스타에게 피드백을 제시하고, 두 바리스타가 그러한 정보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지켜봅니다. 

  • 검은색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는 빠르게 적응하고 때때로 고객에게 다시 확인하여 개선 사항을 확인합니다. 
  • 녹색 앞치마를 두른 바리스타도 조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피드백이 성과 검토에서 나온 경우에만 조정합니다. 

이런 식으로 두 바리스타는 생각과 행동이 함께 어우러져 스스로 학습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은 학습에 진정으로 관심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참여와는 다릅니다.
You make it to the counter and order your triple Americano. You notice customers presenting feedback to both baristas and watch them incorporate such information differently. The barista in the black apron adjusts quickly and will sometimes check back in with the customer to ensure things are improved. The green aproned barista appears to also adjust, but only if the feedback comes from a performance review. In this way, both baristas are regulating their own learning, characterised by thought and action together. However, this is not the same as engagement as it can occur even if the person does not genuinely care about the learning.

두 바리스타의 작업을 모두 지켜보는 것만으로는 두 바리스타의 차이점을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다행히도 카페의 슈퍼바이저 중 한 명이 진열대를 정리하고 있고 기꺼이 여러분의 독특한 카페 토론을 즐겁게 해줄 것입니다.
You realise that watching both barista's work is unlikely to give you a full picture of what may be different between them. You need more information. Fortunately for you, one of their supervisors is stocking the shelves and willing to entertain your unique cafe discussion.

두 사람 모두 동기부여가 되어 있고, 일할 때 흐름 상태에 들어갈 수 있으며, 자기 조절이 가능하지만 검은색 앞치마를 입은 바리스타가 업무에 더 몰입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들은 언젠가 매장을 경영하고 싶을 정도로 자신의 역할에 깊이 투자하고 열정을 느낍니다. 피드백을 통합할 방법을 계획할 때 생각이 깊습니다. 모범적인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선 또는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행동을 취합니다. 이런 식으로 검은 앞치마를 두른 바리스타는 '활기, 헌신, 몰입을 특징으로 하는 긍정적이고 성취감 있는 업무 관련 마음의 상태'에 들어선 것입니다.6 이 바리스타는 참여engaged하고 있습니다.
You learn that, while both are motivated, capable of entering a flow state at work, and self-regulated, the barista in the black apron is more engaged with their work. They feel deeply invested and passionate about their role, wanting to manage a shop one day. They are thoughtful as they plan how to incorporate feedback. They take action to provide exemplary customer service and support improvement or growth. In this way, the barista in the black apron has entered a ‘positive, fulfilling, work-related state of mind that is characterized by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in their work.6 This barista is engaged.

Engagement은 외부의 노력에 대해 구체적인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개인의 주체적인 선택입니다. 이는 행동에 대한 사고, 에너지 및 노력입니다.7 이는 사고, 감정 및 행동 영역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원자가에 반응하는 적정 가능한 상태이며, 전부 아니면 전무, 오프/온, 반응이 아닙니다.3 이러한 개별 영역이 개별적으로 평가되고 소비됨에 따라 개인의 참여라는 더 큰 구조가 바뀔 수 있습니다. 참여도가 높은 사람은 더 많이 참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8
Engagement is an individual's agentic choice to think, feel and act within, and in response to, an external endeavour in a concrete manner. It is their cogitation, energy and effort in action.7 It is a titratable state in response to the positive or negative valence in the domains of thought, emotion and action, rather than an all or nothing, off/on, reaction.3 As these individual domains are individually appraised and expended, so the larger construct of engagement of an individual may shift. Those who engage often engage even more.8

참여는 내부적인 상태이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어떤 노력의 일부 측면에서는 더 많이 참여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컨텍스트는 그 자체로 참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 환경 내에서 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소속감은 수치심이나 비난에 대한 두려움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자원의 가용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9
While engagement is an internal state, it is context specific. One can be more engaged in some aspects of an endeavour, and less so in others. Context may, in and of itself, influence engagement. For instance, a student's psychological safety and sense of relatedness within a learning environment will also influence the availability of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ural resources with which to engage without fear of shame or blame.9

검은 앞치마를 두른 바리스타처럼, [참여도가 높은 학생]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세 가지 차원의 연속체에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 사용하는 에너지와 노력으로 정의됩니다.1, 3, 7

  • [인지적 영역]학생이 성찰, 학습, 발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의도적으로 투자한 정신적 자원을 말합니다.
  • [정서적 영역]학습 과정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개방성을 의미합니다.
  • [행동적 영역]학습에 도전하는 학생의 노력과 끈기입니다.2

예를 들어, 임상 실습 평가에 참여하는 학생은 자신의 수행에 대해 적극적으로 자기 성찰하고, 관찰된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진정으로 추구하며, 향후 수행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몰두할 것입니다. Engagement를 정의하는 이러한 헌신과 활력은 지식 기반 평가와 임상 역량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 4
Just like the barista in the black apron, an engaged student is defined by the energy and effort that they employ through interacting with others across a continuum of three dimension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ural.1, 3, 7 

  • The cognitive domain is the student's available and intentionally invested mental resources to reflect, learn and develop.
  • The emotional domain is a student's interest and openness to the process of learning.
  • The behavioural domain is a student's effort and persistence in the challenge of learning.2 

For example, a student engaged with their clinical clerkship assessments would be actively self-reflective of their own performance, genuinely pursuant of feedback on their observed performance and persistently absorbed in an effort to improve their future performance. This dedication and vigour that defines engagement has been shown to lead to positive outcomes in knowledge-based assessments and clinical competencies.1, 4

커피의 선구자 피에로 밤비10는 '기술은 배울 수 있지만, 열정은 헌신과 사랑, 자부심과 존중을 통해 길러진다'고 말하며 몰입하는 바리스타를 칭송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교육에 어떻게 참여하고,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지가 모든 차이를 만듭니다. 학습자가 참여하지 않는다면 보건 전문직 교육자가 숙고하고, 명확하게 표현하고, 실행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우리의 노력의 교육적 효과는 학생의 참여도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참여라는 말을 할 때 우리가 무엇을 말하는지 아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The coffee visionary Piero Bambi10 celebrated the engaged barista when he said ‘You can learn the technique, but passion is cultivated through dedication, love, pride and respect in your work.’ In the same way, how students engage—think, feel and act—in response to their education makes all the difference. W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ponder, articulate or implement matters little if their learners do not engage. The educational impact of our efforts is dependent on the student's engagement with them. So knowing what we say, when we say engagement, is requisite.


Med Educ. 2023 Mar;57(3):219-220. doi: 10.1111/medu.15015. Epub 2023 Jan 13.

When I say … engagement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Emergency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USA.

2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USA.

PMID: 36585371

DOI: 10.1111/medu.15015

임상적 의사소통의 생각, 우려, 기대에 대한 비판적 고찰(Med Educ, 2022)
A critical look at ideas, concerns and expectations in clinical communication
Ged M. Murtagh

1 서론
1 INTRODUCTION

의대생이 받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교육의 핵심에는 두 가지 기본 요구사항이 포함됩니다.

  • [관련 의료 정보를 이끌어내는 것]
  • [환자의 상황에 대한 관점을 파악하는 것]

이 두 가지 데이터 소스는 통합되어야 문제의 각 '버전'(의사와 환자)이 양 당사자에게 포괄적이고 의미 있는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1, 2 두 데이터 소스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습니다.

  • [의학적 징후와 증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분명히 중요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관점과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면 상담은 기껏해야 차선책일 뿐이며 최악의 경우 낭비입니다.1 

A central part of the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medical students receive involves two fundamental requirements:

  • to elicit relevant medical information and
  • to capture the patient's perspective about their situation.

These two sources of data need to be integrated so that each ‘version’ of the problem (the doctor's and the patient's) is comprehensive and meaningful for both parties1, 2 Both sources of data are not mutually exclusive.

  • Gathering information on the medical signs and symptoms is clearly important.
  • Nevertheless, without knowledge of the patient's perspective and what matters to them most, the consultation is, at best, suboptimal, at worst, wasteful.1

환자가 생각하는 바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이러한 관점을 효과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환자 중심 치료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며,3,4 종종 의학적으로 관련된 주제에 대한 논의에 관련 맥락을 제공합니다.1 이러한 주제에는 환자의 증상 경험, 사물을 보는 방식, 가족력 및 사회력과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한 기타 보다 실질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의료 정보를 이끌어내는 작업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그러나 환자의 관점을 알아내려고 할 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1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해결책이자 의과대학에서 의사소통 기술 교육의 일환으로 널리 가르치는 것은 환자의 생각, 우려 및 기대 또는 더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ICE에 대해 문의하는 것입니다. 
Effectively capturing that perspective by finding out and incorporating what the patient thinks is also integral to the delivery of patient-centred care,3, 4 often providing the relevant context for discussions of medically relevant topics.1 Such topics might include the patient's experience of their symptoms, how they see things and other more substantive information on specific topics such as Family History and Social History. Typically, the task of eliciting medical information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Difficulties can arise, however, when trying to find out about the patient's perspective.1 A practical solution to help with this problem, and something that is taught widely in medical schools as part of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s to inquire into the patient's ideas, concerns and expectations or ICE as it is more commonly referred to.

상담의 핵심 요소로 ICE를 도입한 것은 1980년대에 데이비드 펜들턴, 피터 테이트 등5이 수행한 일반의 상담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 결과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펜들턴 등은 이러한 상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는 소수의 GP를 발견했습니다. 이들은 이러한 일반의가 단순히 진단적 조사에 집중하기보다는 환자의 질병 경험에 대해 알아내는 데 훨씬 더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환자의 경험에 대한 이러한 초점은 환자의 아이디어, 우려 및 기대를 이끌어내는 것이 특징이며이 하위 그룹과 나머지 그룹 간의 차이는 상당히 뚜렷했습니다 .5

  • '이것은 그들이보다 미묘하고 전체적인 진단 공식을 만들 수있게 해줄뿐만 아니라 그들 앞에있는 사람에게 설명과 조언을 맞춤화 할 수있었습니다'. (휘태커 2021: 1).

The introduction of ICE as a key element of the consultation emerged out of extensive examination of GP consultations conducted by David Pendleton, Peter Tate et al.5 back in the 1980s. In the examination of these consultations, Pendleton et al. identified a small number of GPs who were taking a different approach to their interactions with patients. They noted that these GPs were much more focused on finding out about the patient's experience of their illness rather than simply pursuing a diagnostic investigation. This focus on the patient's experience was characterised around eliciting the patient's ideas, their concerns and expecta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is subgroup and the rest of the group was quite stark.5 

  • ‘Not only did this equip them to make more nuanced and holistic diagnostic formulations, they were also able to tailor their explanations and advice to the person in front of them’. (Whitaker 2021: 1).

환자 중심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ICE에 대한 문의의 실질적인 수입은 곧 대서양 양쪽에서 경험적 추진력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에서는 환자의 더 넓은 사회적 맥락에 대한 질문의 중요성과 이것이 건강 결과와의 관계를 강조하는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6 영국에서는 이 주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환자의 우려를 이끌어내는 것의 중요성과 이것이 환자의 이해 수준 및 환자 순응도와의 관계가 밝혀졌습니다.7, 8 의사 소통 기술로서의 ICE 사용은 의사 소통 기술 교육 프로그램의 공식화의 일환으로 GP 상담실에서 의과 대학의 강의실로 천천히 퍼져 나갔습니다.
The practical import of inquiries into ICE as part of a patient-centred approach soon began to gain empirical momentum on both sides of the Atlantic.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star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quiring into the patient's wider social context and the relation of this to health outcomes.6 In the United Kingdom, studies on this topic revealed the importance of eliciting the patient's concerns and the relation of this to levels of patient understanding and patient adherence.7, 8 The use of ICE, as a communication technique, slowly spread from the GP consulting room to the lecture theatres of medical schools as part of the formalisation of programmes of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이제 [환자의 ICE를 다루는 것]은 환자 중심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환자와 상호 작용할 때 새 의대생에게 기대되는 표준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9 매우 중요한 의미에서 ICE 유형의 질문과 그것이 나타내는 것은 단순히 직업 에티켓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의료 거래에 필수적인 환자 관점의 중요성을 실질적으로 인정하는 의료 행위의 패러다임 전환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Addressing a patient's ICE is now an integral part of the standards expected of new medical graduates when interacting with patients as part of a patient-centred approach.9 In a very important sense, ICE type inquiries and what they represent has helped shape a paradigmatic shift in medical practice not simply one connected to professional etiquette but one that tangibl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perspective as integral to the transaction of medical care.

그러나 상담 시 ICE에 대한 문의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반드시 이 기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증거를 뒷받침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어려움의 주요 원인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ICE에 대한 탐색]을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 즉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것으로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기술적 해결'로 활용될 경우, 의사소통 과정10에서 주의를 돌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ICE에 대한 문의가 실제로 환자 중심적인 방식으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멀어집니다.3 
However, evidence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inquiries into ICE within the consultation is not necessarily supporting evidence for how to implement this technique effectively. Nevertheless, it is with effectively implementing this technique, where difficulties often arise. The primary driver of these difficulties is the treatment (albeit unintended) of inquiries into ICE as a technical device to fix a communication problem, namely,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When utilised as a ‘technical fix’ attention is diverted away from the communication process10 and, consequently, how inquiries into ICE can be used in practice in a more patient centred way.3

이 논문은 학생이나 실무자가 환자의 생각, 우려 및 기대에 대해 문의할 때 겪을 수 있는 상호 작용상의 어려움을 명확히 하고 해결하고자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적인 지식과 이론적 지식 간의 시너지 효과를 제안합니다. 일반 대화 및 의사-환자 상호작용에 대한 대화 분석 연구 결과는 덜 공식적인 방식으로 환자의 관점을 이끌어내는 접근법을 알려주는 데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의대생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 교육 및 평가와 관련하여 제시된 주장의 함의를 고려합니다.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and address the interactional difficulties students or practitioners may find themselves in when inquiring into a patient's ideas, concerns and expectations. A synergy between practical and theoretical knowledge is proposed to address this matter. Findings from Conversation Analytical studies of ordinary and doctor–patient interaction are used to inform approaches to eliciting the patient's perspective in less formulaic way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argument presented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kills for medical students.

2 아이디어, 우려 및 기대에 대한 어려움
2 DIFFICULTIES WITH IDEAS, CONCERNS AND EXPECTATIONS

상담에 환자의 ICE를 통합하는 데는 분명한 잠재력이 있습니다.

  • 환자의 ICE에 참여하는 것은 처방,11,12 공동 의사 결정,13 병력 청취 및 환자 이해 수준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
  • 또한 각 구성 요소는 상담 내에서 특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생각과 기대에 대한 질문은 [질병 경험에 대한 탐색과 이해]보다 [파트너십 구축]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8

There are clear potentialities to incorporating the patient's ICE within the consultation.

  • Engaging with the patient's ICE has been shown to positively shape levels of prescribing,1112 shared decision making,13 history taking and patient understanding.7 
  • Moreover, each component part can hold specific implications within the consultation. For example, inquiries into a patient's ideas and expectations have been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partnership building than with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illness experience.8 

상담 내에서 이 기법의 가치를 고려할 때, 이 기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은 분명히 중요하지만, 이 부분에서 어려움이 시작됩니다. 엘윈 등13은 이 기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지침을 제공합니다. 그들은 '완화 된 문구를 사용하고, 잠시 멈추고, 언어적 및 비언어적 신호에 민감 해짐으로써 ... 환자의 기여에 개방적이되면 질문이 수사적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고 이러한 문제를 탐색 할 수 있습니다'(Elwyn 외., 2000: 894)라고 제안합니다. 이 지침은 ICE 유형의 문의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제공하지만, 다소 불투명합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완화된 문구'가 어떻게 생겼는지 또는 실제로 수사적이라는 인상을 피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불분명합니다.

Given its value within the consultation, knowledge of how to implement this technique effectively is clearly critical, but this is where some of the difficulties begin. Elwyn et al.13 provide some guidance on how to effectively implement this technique. They suggest that by ‘being open to the patient's contributions … by using mitigated phrases, deploying pauses, and becoming sensitive to both verbal and non-verbal signals,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se issues without causing the impression that the enquiries are rhetorical’ (Elwyn et al., 2000: 894). Although offering some closer scrutiny of ICE type inquiries, this guidance is a little opaque. It is unclear, for example, what these ‘mitigated phrases’ look like or indeed how one avoids the impression of being rhetorical.

몇몇 임상 커뮤니케이션 기술 텍스트도 [구체적인 지침이 부족]합니다. 일부 텍스트는 불만 사항을 제시한 병력에 따라 상담 초기에 환자의 ICE에 대한 문의를 해야 한다고 암시합니다.14 일부 텍스트는 환자와의 관계 형성을 다루면서 예시 질문과 문구를 제공합니다.15 다른 텍스트는 해당 주제를 상당히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지만 실제로 상담 내에서 이러한 주제를 언제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시적인 지침을 제공하지 않습니다.16
Several clinical communication skills texts are also short on specific guidance. Some texts imply that inquiries into the patient's ICE should be made early on in the consultation following the history of the presenting complaint.14 Some texts provide example questions and phrases as they address building a connection with the patient.15 Others, although they cover the topic quite extensively, do not really provide any explicit guidance on when these topics should be addressed within the consultation.16

상담에서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정확하고 상세한 지침은 의대생이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역량도 평가받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ICE는 일반적으로 약어로 학습됩니다. 의학의 다른 약어들은 모두 체크리스트의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SBAR 또는 SOCRATES는 약어의 순차적인 순서대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수집하는 것을 안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결과 중 하나는 ICE가 학생의 머릿속에 '기술적 해결책' 상태를 강화하는 체크리스트로 고착화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 여기서 문제는 체크리스트가 일반적으로 친밀감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에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ICE에 대한 질문이 도입되면 환자에게 부정적인 반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10, 17
  • 이러한 '기술적 해결책' 상태가 평가 환경으로 넘어가면 역량을 입증하고 임상진료시험의 병력 청취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데 너무 쉽게 사용됩니다.3

Given the import of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within the consultation, accurate and detailed guidance is key if only for the fact that medical students learn but are also assessed on their competence with communication skills. ICE is, and is typically learned as, an acronym. All other acronyms in medicine tend to be checklist in nature, e.g. SBAR or SOCRATES, both of which serve the purpose of guiding either the delivery or collection of information in the sequential order of the acronym. One unintended consequence of this is that ICE tends to get fixed in the mind of the student as a checklist reinforcing its ‘technical fix’ status.

  • The problem here is that checklists are not typically designed to build rapport, and when inquiries into ICE are introduced in checklist form into the interaction, it is likely to resonate negatively with the patient.1017 
  • When this ‘technical fix’ status passes over into the assessment environment, it is all too readily used to demonstrate competence and pass the history taking stations of clinical examinations.3 

결과적으로,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상세하고 정확한 지침이 없으면 학생들은 ICE에 대한 탐구를 '모든 상담에서 통과하기 위해 짜 맞춰야 하는 공식적인 행동'으로 간주하기 시작합니다(Neighbour, 2022: 66). 이로 인해 학습된 '부주의성 청각 장애'18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환자의 관점에 대한 질문이 대화 순서에 항상 맞는 것이 아님에도 '짜 맞추기' 위한 것입니다. 때때로 이러한 '끼워 넣기'는 환자에게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10,17 특히 이러한 질문이 환자의 느슨한 '즉흥적' 발언이나 환자가 '시작 발언에서 언급하지 않은 내용'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5 그 결과 ICE 문의의 성공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의사소통 행동이 일반적으로 환자의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과 함께 시야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Consequently, without detailed and accurate guidance on communication behaviours, students start to view inquiries into ICE as a ‘formulaic piece of behaviour they have to squeeze into every consultation in order to pass’ (Neighbour, 2022: 66). This can result in a learned ‘inattentional deafness18 where questions about the patient's perspective do not always fit the sequence of talk, for want of ‘squeezing’ them in. On occasion this ‘squeezing in’ may not even make sense to the patient.10, 17 particularly when these questions are disconnected from a loose ‘off the cuff’ remark by the patient or something the patient mentions ‘unprompted in their opening remarks,’5 The result is that critical communication behaviours, which can drive the success of inquiries into ICE, typically get lost from view along with a fuller picture of the patient's perspective.

3 잠재적 해결책: 질문 유형
3 POTENTIAL SOLUTIONS: TYPES OF QUESTION

'기술적 해결'로만 접근하다 보면 ICE로의 탐색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질문의 유형과 질문의 위치)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학생/연수생에게 질문의 문구, 위치 및 실행에 대한 사고의 방향을 제시하여 환자의 관점을 보다 의미 있게 바라볼 수 있는 방식으로 잘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대화 분석(CA)을 사용한 연구에서 중요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여기에서는 이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지만,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19 CA는 [순차적으로 조직화된 현상으로서 사회적 상호 작용의 역학]에 대한 [상세하고 미묘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의사와 환자의 만남을 포함한 다양한 맥락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구조적, 순차적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의사가 사회적 상호작용의 사례를 자세히 기록하고 분석한 결과,20,21,22 이 글에서 제시하는 주장과 관련성이 있습니다. 
When treated as a ‘technical fix’, all too often the mechanisms driving inquiries into ICE (types of question and the positioning of those questions) are not really attended to. To address this issue, thought needs to be given to providing students/trainees with some direction in thinking about the phraseology, positioning and execution of those questions to ensure they are put to good work in a way that will encourage a more meaningful view of the patient's perspective. In relation to these matters, important direction is provided by research studies using Conversation Analysis (CA). A brief account of this method is presented here, but a fuller and more detailed account can be found elsewhere.19 CA is a method used to provide detailed and nuanced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social interaction as a sequentially organised phenomenon. Detailed transcription and analysis of instances of social interaction by its practitioners has identified structural and sequential aspects of social interaction in different contexts,20 including the doctor-patient encounter,21, 22 which hold relevance for the argument presented here.

질문-응답 시퀀스[대화 분석]에서의 핵심 분석 단위이며, 연구에 따르면

  • 질문은 특정한 상호작용 제약을 구현합니다.23, 24
  • 질문은 의제, 즉 답변이 다루어야 할 주제를 설정합니다.25 또한
  • 질문은 수신자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고 형성할 수 있는 전제를 구현합니다.26

환자의 생각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질문인 '이 문제의 원인에 대해 어떤 생각이 있으신가요'를 생각해 봅시다. 이 질문은 수신자 응답의 매개변수를 좁히는 양극형 질문입니다.25 양극형 질문은 '예' 또는 '아니오' 중 하나가 응답의 첫 부분으로 나와야 하는 '예'/'아니오' 응답의 틀을 설정하기 때문입니다.23, 27
Question–answer sequences are a core unit of analysis for Conversation Analysts whose studies reveal that

  • questions embody specific interactional constraints.2324 
  • Questions set agendas, i.e. the topic to which the answer should be addressed.25 
  • They also embody presuppositions that can influence and shape the recipient's response.26 

Consider the most basic question concerning the patient's ideas, ‘Do you have any ideas as to what might be causing this’? This question is a polar type of question, which narrows the parameters of the recipient's response.25 This is because the polar type of question sets up the frame for a ‘yes’/‘no’ response in which either ‘yes’ or ‘no’ should occur as the first part of the response.23, 27

따라서 이미 이 질문의 설계는 환자가 자신의 관점을 제시할 기회에 잠재적으로 제한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서 위험은 환자가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있더라도 질문 설계가 '아니오'라고 대답할 가능성을 열어두어 학생이 이끌어내려는 정보의 질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니오'의 가능성은 환자가 일반적으로 학생/의사를 지식이 풍부한 전문가로 간주하고 질문에 응답할 때 지식 차이28,29를 예민하게 인식한다는 사실에 의해 강화됩니다. 우려 사항과 기대 사항을 같은 방식으로 문의할 때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질문은 모두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유효한 질문이지만, 환자의 관점을 포착하는 데 있어 잠재적으로 제한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So already the design of this question has a potentially limiting impact on the opportunity for the patient to present their perspective. The danger here is that even if the patient has a vague idea, the question design leaves open the possibility for them to answer ‘no’, thus limit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e student is attempting to elicit. The possibility of a ‘no’ is reinforced by the fact that patients typically see the student/doctor as the knowledgeable expert and are acutely aware of the knowledge differential28, 29 when responding to questions. Similar problems remain when concerns and expectations are inquired into in the same way. Although these are all valid questions in the right direction of travel, their design creates a potentially limiting effect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이 증상의 원인에 대한 생각이 있나요?"라는 질문 대신 '이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해보셨나요/이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으로 대체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 질문이 '말하는 질문'으로 확인된 질문 범주에 속하기 때문입니다.30 '말하는 질문'(대부분 'wh'로 시작)의 설계는 일반적으로 일련의 상호 작용(예: 환자가 증상을 설명하는 것)이 끝난 후 이어지며, 특정 대화 주제에 집중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31 '어떤 생각을 했습니까'라는 질문은 '있습니까'라는 질문과 마찬가지로 주제 의제(환자의 생각)를 설정하지만 매개변수가 더 넓어졌습니다.26 이는 환자가 어떤 일에 대해 생각을 했다는 질문의 전제 내용이 '예'/'아니오' 대답의 가능성을 없애고 환자의 생각이 가치가 있음을 강력하게 나타내므로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상호작용 범위를 더 많이 제공하기 때문입니다.8
Replacing the question ‘Do you have any ideas what might be causing this?’ with, for example, the question ‘What thoughts have you had about this/What are your thoughts on this?’ is likely to be more effective.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at this question belongs to a category of question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telling questions’.30 The design of telling questions (many of which are ‘wh’-prefaced) usually follow the closure of a sequence of interaction (e.g. the patient describing their symptoms) and work to encourage a particular focus on a topic of talk.31 The telling question ‘what thoughts have you had’ as with the ‘do you have’ question sets the topical agenda (the patient's thoughts) but the parameters are now wider.26 This is because the presuppositional content of the question, that the patient has had thoughts about what has been happening,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a ‘yes’/‘no’ answer and strongly indicates that the patient's thoughts are of value, thus providing more interactional scope for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and building partnership.8

엄밀히 말하면 'wh' 유형의 질문에는 환자의 답변을 유도(leading)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의사소통 기술 교육에서 꺼려하는 질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도(leading)은 악의적인 의미보다는 긍정적인 의미가 더 큽니다. 그 이면의 원칙은 포메란츠32가 '후보 답변 제공'으로 규정한 것과 유사합니다. 이는 질문에 내재된 가능한 대답을 제공하는 연습을 말합니다. 이는 정보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수신자에게 필요한 정보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위의 예에서 '어떤 생각을 했나요'는 환자가 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안내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후보 답변을 제공하는 것은 '보다 협력적인 방식으로 상황의 본질에 반응하고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Pomerantz 1988: 366)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 조사 결과는 '이 증상에 대해 걱정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상담을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나요'와 같은 우려와 기대에 대한 질문을 재설계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Technically the ‘wh’ type of question may involve leading the patient, something which is generally frowned upon with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However, this leading has benign rather than malign implications. The principles behind this parallel what Pomerantz32 has identified as ‘offering a candidate answer’. This refers to the practice of providing a possible answer, which is built into the question. It is a strategy that can be used to elicit information whilst at the same time provide the recipient with some guidance as to the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In the example above ‘What thoughts have you had’ guides the patient to providing information on what they think about the situation. In this regard offering a candidate answer is ‘both responsive to, and helps shape, the nature of the situation’ (Pomerantz 1988: 366) in a way that is more collaborative. These basic findings could also be utilised to re-design questions about concerns and expectations as well, for example, ‘What worries you about these symptoms’ ‘What do you hope to get from the consultation?’

4 포지셔닝 및 순서
4 POSITIONING AND SEQUENCING

학생들이 '기술적 해결' 모드에 빠지지 않도록 하려면 질문의 문구에 대한 인식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목표는 항상 '반응형 모드' 또는 '적응형 전문 지식'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ICE 문의를 통합하는 것이어야 합니다.33, 34 ICE 문의는 보다 [명시적인 직접 문의]가 아닌 보다 [미묘한 간접적인 방식]으로 거의 레이더망 아래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문의는 의미 있는 방식으로 상호 작용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질문의 위치]에 대한 성찰과 함께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키우는 것의 중요성이 필요합니다. CA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중요한 통찰력을 제시하는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지만35,36 덜 기술적이고 효과적인 다른 접근법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로저 네이보어3는 '받은대로 돌려주기'라는 기법을 말하는데, 이는 환자가 이미 말한 내용에 질문을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 이 기법은 ICE 유형 또는 '관점 찾기' 질문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동시에 환자가 자신의 생각을 말하도록 유도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예를 들어, '어머니의 심장 문제를 언급하셨는데(받은대로), 이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해보셨나요?'(돌려주기).

In the effort to avoid students falling into a ‘technical fix’ mode, cultivating an awareness of the wording of questions is important. However, the goal should always be to integrate ICE inquiries in such a way that reflects a ‘responsive mode’ or ‘adaptive expertise’.33, 34 ICE inquiries should almost fly under the radar in a more subtle indirect way as opposed to more explicit direct inquiries. They should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interaction in a meaningful way. This requires reflection on the positioning of these questio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a natural curiosity in finding things out. CA offers important guidance here also where analyses of the relation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reveal important insights35, 36 but there are other less technical and just as effective approaches.

  • Roger Neighbour,3 for example, refers to the technique of ‘turning a receipt’, which is simply linking your question to something the patient has already told you.
  • This is an effective way of ensuring the ICE type or ‘perspective seeking’ question, flies under the radar whilst at the same time encouraging the patient to tell you what they think.
  • For example, ‘you mentioned your mother's heart problems (Receipt), what thoughts have you had about that?’ (Turn).

질문 설계, 순서 및 위치, 수신자의 응답 방식에 대한 의미에 대한 주의에도 불구하고 질문을 할 때는 항상 협상적인 요소가 있습니다.37 예를 들어, 다음에 주의하지 않고 'WH' 유형의 질문을 사용하는 경우 '부주의한 청각 장애'의 위험이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1

  • 환자가 질문에 저항할 가능성(예: '무슨 뜻이세요?')을 고려하지 않거나
  •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단서 또는 환자가 이미 공개한 내용에 주의하지 않거나

그러나 'WH' 유형의 질문을 설계하면 학생과 환자 간의 대화 가능성이 높아져 학생의 높은 수준의 응답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질문 유형과 질문의 위치 및 순서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만으로도 학생은 환자와 상호작용 전반에 훨씬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되며, 이는 그 자체로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Notwithstanding attention to question design, sequencing and positioning and the implications for how the recipient responds, there is always an element of negotiability when questions are asked.37 If, for example, the use of ‘wh’ type questions are used

  • without attending to the possibility of the patient resisting the question (e.g. ‘What do you mean?’) or
  • without attending to verbal or non-verbal cues or what the patient has already disclosed,

then the risk of ‘inattentional deafness’ still remains. 1 The point is, however, that the design of the ‘wh’ type of question makes this less likely since it creates more possibility for dialogue between student and patient encouraging a higher level of responsiveness from the student. Ultimately, however, attending to question type and the positioning and sequencing of questions is already getting the student to pay much more attention to the patient and the interaction overall, which in itself is critical to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5 호기심
5 CURIOSITY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ICE에 대한 질문에 접근하면 이러한 유형의 질문의 효과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학생/임상의가 기본적인 역량을 입증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단순히 답을 알고 싶어서34 질문을 하는 자연스러운 호기심에 대한 인식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환자의 생각을 알아내기 위해 학생의 호기심34을 활용하도록 장려하면 상호 작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현대 의료 행위에서 요구되는 두 가지 핵심 특성인 자기 성찰상황 인식을 심화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호기심을 장려하는 것은 거창한 목표로 볼 필요는 없지만, 환자의 말을 경청하는 데 학생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아주 초기에 개발할 수 있습니다38 여기서 경청에는 환자가 방출하는 행동, 언어 및 비언어적 신호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인정하고 반응하고 참여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는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공감적 반응의 토대가 될 것입니다.
Approaching inquiries into ICE in the way described above should not only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se types of inquiries but also help students/clinicians cultivate an awareness of their natural curiosity34 where questions are asked simply because the student really wants to know the answer3 not because they want to demonstrate a basic competence. Encouraging the use of the student's curiosity34 to find out what the patient thinks, will not only assist the interaction but will also encourage a deepened sense of self-reflect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both key attributes for the demands of modern medical practice. Encouraging this curiosity needn't be viewed as an aspirational objective but can be developed very early on by drawing the student's attention to listening to the patient38 where listening involves actively monitoring acknowledging, responding and engaging, with behavioural, verbal and non-verbal cues emitted by the patient. This in turn will provide the basis for a greater degree of empathic responsiveness, also key to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6 평등, 다양성 및 포용
6 EQUALITY, DIVERSITY AND INCLUSION

질문-답변 순서, 특히 양극형 질문의 기본 구조는 문화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정적이며,39 여기에 설명된 질문의 전제 내용에 대한 조정은 다른 문화권의 의사와 환자 간 만남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40 그러나 문화적 차이는 잠재적으로 이러한 접근 방식을 이해하는 학생의 능력을 형성하는 실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이 백서에 제시된 아이디어는 [환자 중심주의]라는 개념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는 그 자체로 [인종 중심적인 개념]이며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배타적인 개념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탐구해야 한다는 요구사항은 일부 학생 그룹에게는 다른 학생 그룹보다 더 큰 도전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의과대학 커리큘럼 내에서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41
The basic structure of question–answer sequences particularly polar type questions is relatively stable across cultures,39 and adjustments to the presuppositional content of questions (of the kind described here) has also been found in doctor patient encounters in other cultures.40 However, cultural differences can potentially be a real factor shaping students' abilities to grasp these approaches. Ultimately, the idea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driven by the notion of patient centredness, which itself is an ethnocentric concept and, potentially, an exclusionary one at that for those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Consequently, the requirement to grasp and explore the patient's perspective may prove to be a bigger challenge to some groups of students than others, a challenge that may require extra support within medical school curricula.41

7 결론
7 CONCLUSION

교육과 평가의 관점에서 볼 때, ICE에 대한 질문은 [면담의 개별적인 부분]이 아니라 [환자의 말을 효과적으로 경청함으로써 학생/임상의와 환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엮어지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10,17 환자의 생각을 알고자 하는 [진정한 관심]에 의해 형성된 경청입니다.3 앞서 언급했듯이 ICE는 단순히 직업 에티켓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의료 행위의 거래에 필수적인 환자의 관점의 중요성을 실질적으로 인정하는 의료 행위의 패러다임적 변화를 나타냅니다. 좋은 의사소통의 여러 측면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에게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방법을 가르칠 때 개념적 및 행동적 이해가 뒷받침될 때 학습 효과가 더 커집니다.34
From the point of view of both teaching and assessment, inquiries into ICE should not be seen as a discrete part of the interview, but rather as something that is woven through the patient's interaction with the student/clinician by effectively listening to the patient,10, 17 a listening shaped by a genuine interest in wanting to find out what the patient thinks.3 As mentioned earlier, ICE represented a paradigmatic shift in medical practice not simply one connected to professional etiquette but, one that tangibl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the patient's perspective as integral to the transaction of medical care. Like many aspects of good communication, teaching students how to capture the patient's perspective takes greater effect if the learning is underpinned by conceptual and behavioural understandings.34

이러한 심층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면 첫째, 상담의 흐름 내에서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것이 순차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키울 수 있습니다. 둘째, 학생들이 적응적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더 많은 범위를 제공할 것이며, 이는 기본적이고 복잡한 의사소통 문제 모두에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33 이는 가능하며, 의학교육자는 맥락에 대한 민감성, 상호작용 내 순서와 위치, 질문 유형,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특징으로 하는 보다 '반응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개발하는 데 집중할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전문성'이라는 일반적인 기치 아래 의사소통을 평가하는 실제 시험에서 환자의 관점을 파악하는 이러한 사고의 전환이 반영되고 강화되지 않는다면, 작지만 중요한 문화 변화의 시도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Taking this more in-depth approach will firstly cultivate an appreciation of the sequential relevance of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within the flow of the consultation. Secondly, it will provide students with more scope to exercise adaptive expertise, a skill which is invaluable for both basic and more complex communication challenges.33 This is possible and medical educators can (and most likely do) focus on developing a more ‘responsive mode’ of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sensitivity to context, sequencing and positioning within the interaction, types of question and a natural curiosity. However, if this re-thinking of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is not reflected and reinforced in practical examinations where all too often communication is assessed under a general banner of ‘professionalism’, this small but significant attempt at culture change will be difficult to attain.

 


Med Educ. 2023 Apr;57(4):331-336. doi: 10.1111/medu.14975. Epub 2022 Dec 7.

A critical look at ideas, concerns and expectations in clinical communi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epartment of Surgery and Cancer, Faculty of Medicine, Imperial College London, London, UK.

PMID: 36408805

DOI: 10.1111/medu.14975

Abstract

Background: For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is critical if the consultation is to be meaningful for both parties. Medical students are taught the import of this in their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aided by inquiring into the patient's ideas, concerns and expectations (ICE) during the consultation.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inquiries can be a challenge for different reasons. Yet apart from a handful of papers on the subject, there is little guidance on the efficacy of ICE as a communication technique and specifically how to successfully blend questions about ICE within the interac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Proposal: This paper takes a closer look at this communication technique and explores some of the interactional features of inquiries into ICE. First, the background to ICE and its emergence within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is considered. Next the argument considers some of the contextual and pedagogical issues that inquiries into ICE gives rise to. The discussion then goes on to explore some conceptual underpinnings drawing on findings from Conversation Analysis, which provide some direction in approaching questions about what the patient think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argument presented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teaching and assessment of medical students with a short proposal for next steps.

Conclusion: Capturing the patient's perspective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ir ideas, concerns and expectations remains a valuable approach 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in medical education. It is important, however, that ICE type inquiries are used carefully and responsively if they are to be used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patients.

졸업후의학교육에서 피드백 활용을 개선하기 위한 코칭스킬 식별(Med Educ, 2019)
Identifying coaching skills to improve feedback use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Heather Armson,1 Jocelyn M Lockyer,2 Marygrace Zetkulic,3 Karen D K€onings4 & Joan Sargeant5

 

소개
Introduction

코칭은 특히 역량 기반 의학교육(CBME)의 맥락에서 레지던트 수퍼바이저가 성과 향상을 위한 피드백의 효과를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면서 의학교육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1-4 코칭은 피드백 제공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피드백에 대한 응답으로 성과 목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현재까지 코칭은 특히 기술적 술기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5, 6 코칭이 비기술적 술기를 지원하고 의사의 웰빙을 개선한다는 증거도 있습니다.4, 7, 8 이 연구는 의학교육 환경에서 수퍼바이저가 레지던트를 효과적으로 코칭하는 데 필요한 술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Coaching has gained prominence in medical education as residency supervisors seek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for performance improvement,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1-4 Coaching moves a step beyond providing feedback and focuses upon identifying performance goals in response to feedback and developing plans to address them. To date, coaching has been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technical skills.5, 6 There is also evidence that coaching supports non-technical skills and improves physician well-being.4, 7, 8 This study focuses on the skills supervisors need to effectively coach residents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

전문 코칭은 경쟁 스포츠와 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즈니스 및 기업 세계에서 점점 더 많이 채택되고 있습니다.4 스포츠 및 음악 분야의 코칭은 학습자의 성과를 직접 관찰한 후 잘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개별 피드백 토론, 성과 격차 정의 및 개선 전략 개발을 기반으로 성과 개선 및 개발 모델을 지지합니다.9 의학교육도 유사한 과정과 결과를 창출하고자 하지만 여러 요인에 의해 제약을 받습니다.

  • 의학교육 환경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정확하고 심층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대화를 촉진하는 신뢰에 기반한 종적 관계가 종종 부족하여 다른 코칭 환경에서 볼 수 있는 보다 지시적이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방해합니다.9-12
  • 스포츠 또는 음악 환경과 비교할 때 생산적인 코칭 대화를 방해하는 의학교육의 다른 장벽으로는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데 초점을 맞춘 지속적인 개선 자세의 부족,4, 9, 13, 14 편안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인식,12 체면을 살리기 위해 모호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15
  • 다른 연구에서는 피드백 및 성과 대화에 참여하려는 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료 학습자의 내적 요인(예: 과정에 대한 회의, 유능해 보이고자 하는 욕구, 자신의 자기 평가와의 충돌 가능성 등)을 확인했습니다.16-19 

Professional coaching has its roots in competitive sports and music and recently has been adopted increasingly in the business and corporate worlds.4 Coaching in sports and music endorses a mode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based upon direct observation of the learner's performance followed by an individual feedback discussion about what is being done well, defining performance gaps and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9 Medical education may aspire to create a similar process and outcome but is constrained by a number of factors. Longitudinal relationships built on trust that facilitate a dialogue based on accurate, in-depth knowledge of the learner are frequently lacking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 preventing the more directive and constructive feedback seen in other coaching settings.9-12 Other barriers in medical education, when compared with sport or music settings, that impair productive coaching conversations, including the lack of a continuous improvement stance focused on working towards full potential;4, 9, 13, 14 the perceived need to maintain a comfortable relationship;12 and the use of vague language to save face.15 Other research identifies internal factors within the medical learner that negatively influence their willingness to engage in feedback and performance conversations, such as skepticism about the process, their wish to appear competent and the possible conflict with their own self-assessment.16-19

관찰, 피드백, 레지던트 발전에 중점을 둔 역량 기반 의학교육은 이러한 과제에 주목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장벽을 해결하고 레지던트 개발을 지원하는 생산적인 피드백 대화를 촉진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따라서 코칭이 유망한 전략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교육에서 코칭의 정의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는 없지만, 반 니우버버그20가 제안한 정의는 중요한 구성 요소를 포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코칭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with its focus on observation, feedback and resident progression, draws attention to these challenges. It obliges us to seek ways to address barriers and promote productive feedback conversations that support resident development. Hence, coaching is being adopted as a promising strategy. Although there is no universal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coaching in education, the definition suggested by van Nieuwerburgh20 appears to capture the crucial components. He identifies coaching as

자기 인식과 개인적 책임감을 높여 
학습과 개발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일대일 대화로, 
코치는 지지적이고 격려적인 분위기에서 질문
, 적극적인 경청, 적절한 도전을 통해 
코치 대상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합니다.20(17페이지).

a one-to-one conversation focused on the enhancement of learning and development through increasing self-awareness and a sense of personal responsibility, where the coach facilitates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coachee through questioning, active listening, and appropriate challenge in a supportive and encouraging climate.20 (p.17)

목표는 행동이나 사고방식의 지속 가능한 변화를 지원하고 학습과 개발에 집중하는 것입니다.21 특히 피드백은 코칭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훈련생의 성과를 개선하려는 의도로 주어집니다'(193페이지).22 피드백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The aim is to support sustainable change in behaviours or ways of thinking and focus on learning and development.21 Notably, feedback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coaching and is ‘given with the intent to improve the trainee's performance’ (p.193).22 Feedback can be defined as:

학습자가 개선된 작업을 생성하기 위해 
주어진 작업에 대한 적절한 기준과 작업 자체의 특성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인식하기 위해 
자신의 작업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입니다.23

a process whereby learners obtain information about their work in order to appreci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ppropriate standards for any given work, and the qualities of the work itself, in order to generate improved work.23

따라서 코칭은 정확한 피드백을 전제로 하지만, 의도를 넘어 성과 향상을 위한 행동으로까지 대화를 확장합니다. 그러나 교육, 특히 의학교육에서 코칭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술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Thus, coaching is predicated on accurate feedback but pushes the conversation beyond intention to action to improve performance. However, the specific skills involved in coaching in education, particularly medical education, remain unclear.

이 연구에 앞서 우리는 교육 코칭 문헌을 철저히 검토하고 다양한 모델을 반복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하여 포괄적인 코칭 기술 목록을 확인 및 정리했습니다. 팀원들은 문헌을 검토하고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분석하면서 코칭 스킬의 범주화에 대해 여러 차례 토론했습니다. 교육에서의 코칭은 일련의 특정 기술 또는 행동으로 설명되지만,20 

  • 일부 행동은 구조, 접근 방식 및 기술 개발을 포함하여보다 일반적인 코칭 '프로세스'의 일부로 보이는 반면
  • 다른 행동은 명확한 전달을 보장하고 토론에 사용되는 실제 데이터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확립하는 등 코칭 세션의 '내용'또는 주제 관리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표 1).

Prior to this study, we undertook a thorough review of the coaching in education literature and identified and compiled a comprehensive list of coaching skills through iterative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 various models. The team members had several discussions around the categorisation of the coaching skills as they reviewed the literature and analysed the data iteratively. Although coaching in education is described as a set of specific skills or actions,20 

  • some actions appear to be part of a more generic coaching ‘process’, including structure, approaches and skill development
  • whereas others specifically address management of the ‘content’ or subject matter of the coaching session including ensuring the clear delivery and establishing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actual data used in the discussion. (Table 1).

이러한 기술이 대학원 의학교육의 맥락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레지던트 교육 및 평가에 근거 및 이론에 기반한 피드백 및 코칭 모델인 R2C2(관계, 반응, 내용, 코칭) 모델을 적용한 이전 국제 연구의 데이터를 검토했습니다.24 역량 기반 의학교육은 학습자가 역량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이정표를 통해 발전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피드백을 받는 데 의존합니다.25-27 그러나 레지던트들은 계속해서 빈번하고 최적의 피드백을 받지 못해 유용성이 감소하고 개선하려는 동기와 능력이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R2C2 모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제공된 피드백의 수용과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모델에는 다음을 포함하여 변화를 위한 코칭의 네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i) 관계 구축,
  • (ii) 피드백에 대한 반응 탐색,
  • (iii) 피드백 내용에 대한 이해 탐색,
  • (iv) 학습 변화 계획(LCP) 개발

R2C2의 개발은 R2C2 사용 및 평가에 대한 지침과 민감성 개념을 제공하는 세 가지 이론 및 연구체를 기반으로 합니다. 여기에는 인본주의학습자 중심주의, 정보에 입각한 자기 평가, 행동 변화의 과학이 포함됩니다.3 레지던트 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24에 따르면 이 모델은 레지던트가 성과 데이터에 대한 반성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토론에 참여하고 코칭을 지원하며 변화 계획의 협력적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문헌에서 확인되고 표 1에 강조된 바와 같이 코칭의 특정 기술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To understand how these skills are used in the context of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e reviewed data from our earlier international study that applied an evidence- and theory-based feedback and coaching model in residency education and assessment, the R2C2 (relationship, reactions, content, coaching) model.24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relies on learners receiving regular feedback to enable them to progress through various milestones to achieve competency.25-27 However, residents continue to report receiving infrequent and suboptimal feedback, which diminishes its usefulness and reduces the resident's motivation and ability to improve. The R2C2 model was developed to address these issues and to enhance acceptance and use of the feedback provided. The model includes four phases:

  • (i) relationship building;
  • (ii) exploring reactions to feedback;
  • (iii) exploring understanding of feedback content, and
  • (iv) coaching for change including development of a Learning Change Plan (LCP).

Its development was founded upon three bodies of theory and research, which provide the guidance and sensitising concepts for R2C2 use and its evaluation. These include humanism and learner-centredness, informed self-assessment, and the science of behaviour change.3 Results of the study in residency education24 showed the model was effective in engaging residents in a reflective, goal-oriented discussion about performance data, supporting coaching and enabling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a change plan. However, at that time, we did not perform an in-depth analysis for the specific skills of coaching, a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and highlighted in Table 1.

본 연구에서는 코칭 단계의 데이터를 재분석하여 문헌 검토에서 확인된 효과적인 코칭을 위한 핵심 기술을 슈퍼바이저가 사용하는지 확인했습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수퍼바이저가 레지던트와의 피드백 세션에서 확인된 코칭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이었습니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current study reanalyses the data from the coaching phase to determine supervisor use of the critical skills for effective coaching identifi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goal of our study was to understand supervisors’ use of the identified coaching skills in their feedback sessions with resident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included:

  1. 슈퍼바이저는 어떤 특정 프로세스 및 콘텐츠 중심 기술을 사용했나요? 
  2. 어떻게 사용했나요? 
  3. 각 기술을 가장 잘 설명하고 예시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1. Which specific process- and content-oriented skills did supervisors use?
  2. How did they use them?
  3. How is each skill best described and exemplified?

연구 방법
Methods

연구 설계
Study design

이 질적 연구는 Sargeant 등24의 연구 데이터에 대한 2차 분석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모든 저자(HA, JML, MGZ, KDK, JS)는 모집, 분석, 평가 및 해석을 포함하여 원래 연구의 모든 측면에 참여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의 5개 다양한 대학원 의학 교육 프로그램에서 (i) 마취과, (ii 가정의학과, (iii 내과, (iv 정형외과, (v 정신과)의 수퍼바이저와 레지던트 쌍 그룹이 모집되었습니다. 교수진으로 해당 레지던트와 평가 및 피드백 회의를 진행하는 슈퍼바이저는 프로그램 디렉터를 통해 각 프로그램에서 모집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수퍼바이저와 레지던트는 서로 아는 사이였지만, 몇몇 경우 수퍼바이저와 레지던트가 첫 대화 전에 만난 적이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레지던트는 정기적인 교육 세션과 회의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모집되었습니다. 
This qualitative study focused on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Sargeant et al.24 study. All authors (HA, JML, MGZ, KDK and JS) were involved in all aspects of the original study including recruitment, analysis,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In that study, dyads of supervisors and residents were recruited from five divers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in Canada, USA and the Netherlands: (i) anesthesia; (ii) family medicine; (iii) internal medicine; (iv) orthopedics, and (v) psychiatry. Supervisors who were faculty members and would normally conduct assessment and feedback meetings with the respective resident were recruited from each programme through the programme directors. In most situations, the supervisor and resident were known to each other, though in a few instances the supervisor and resident had not met prior to the initial conversation. Residents were recruited through presentations at regular teaching sessions and meetings.

각 수퍼바이저는 첫 번째 세션 전에 코칭 접근 방식을 촉진하기 위한 특정 문구의 예를 제공하는 등 모델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았습니다. 세션은 정기 프로그램 평가 회의 중에 진행되었습니다. 피드백 및 코칭 회의 전에 각 수퍼바이저는 피드백 및 코칭을 제공하기 전에 long OSCE를 관찰한 프로그램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레지던트의 성과와 관련된 일반적인 진행 데이터(예: 일일 면담 양식, 훈련 중 평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Each supervisor was trained in using the model prior to their first session, including being provided examples of specific phrases to promote a coaching approach. The sessions occurred during the regular programme assessment meetings. Prior to the feedback and coaching meeting, each supervisor had usual progress data related to the residents’ performance (e.g. daily encounter forms, in-training evaluations) except for one of the programmes in which the supervisors observed a long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prior to providing feedback and coaching.

각 쌍은 몇 달 간격으로 두 번의 피드백 세션을 위해 만났으며 각 세션이 끝난 후 디브리핑 인터뷰에 별도로 참여했습니다. 세션과 디브리핑 인터뷰는 오디오 녹음 및 필사되었습니다. 총 40명의 레지던트와 17명의 슈퍼바이저가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Each dyad met for two feedback sessions several months apart and participated separately in debrief interviews after each session. Sessions and debrief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A total of 40 residents and 17 supervis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현재 분석을 위해 5개의 프로그램에서 각각 세 쌍을 선정하여 피드백 세션의 데이터를 조사했습니다. 각기 다른 수준의 레지던트를 대표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선정되었으며, 각자의 교육 단계에 따라 예상되는 수준의 성과를 보이는 레지던트하나 이상의 성과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레지던트가 포함되었습니다. 이들을 선정하기 위해 각 현장의 연구팀원들은 피드백 기록을 검토하여 우수한 것으로 보이는 레지던트와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레지던트를 식별했습니다.
For the current analysis, we selected three dyads from each of the five programmes and examined data from the feedback sessions. The dyads were purposively selected to represent residents at different levels of performance and included those who appeared to be performing at the expected level for their stage of training and those who appeared to be struggling with one or more performance issues. To select them, the feedback transcripts were reviewed by the research team members at each site to identify those residents who appeared to be excelling and those who appeared to be more challenged.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피드백 세션 기록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Ritchie와 Spencer28가 처음 설명하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정교화된 프레임워크 분석(FA) 방법을 사용했습니다.29-31 프레임워크 분석은 기존 문헌에서 도출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적합한 방법으로 선택되었습니다. 프레임워크 분석은 데이터 내 및 데이터 간 비교를 통해 데이터 집합의 주제별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식별합니다. 데이터의 서로 다른 부분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기 전에 데이터의 맥락적 요소를 유지하여 연구 질문에 대한 설명적이고 설명적인 결론을 쉽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We analysed the feedback session transcript data using the Framework Analysis (FA) method initially described by Ritchie and Spencer28 and elaborated on by others.29-31 Framework Analysis was chosen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analysis of data based on a framework derived from the pre-existing literature. Framework Analysis provide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 set through comparison within and across the data to identify common and divergent aspects. The contextual elements of the data are maintained before focusing on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parts of the data thereby facilitating descriptive and explanatory conclusions to shed light on the study questions.

분석 절차 및 결과의 엄격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 질적 절차를 사용했습니다.32, 33 여기에는 팀원들이 짝을 이루어 각 기록을 분석하고 해석과 결과에 대해 서로 토론한 다음 더 큰 규모의 팀과 토론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각 분석 수준에서 토론을 통해 차이점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데이터로 돌아가 해결했습니다. 팀 전체가 요약본을 공유하고 결과에 대한 비판적인 토론을 진행했습니다.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사이트에서 전공의 평가를 담당한 팀원은 자신의 사이트 기록은 분석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팀원들이 전체적으로 성찰하고 반성하도록 장려했습니다. 
We used standard qualitative procedures for ensuring the rigour and trustworthiness of analysis procedures and results.32, 33 These included the pairing of team members to analyse each transcript and discussion of their interpretations and findings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larger team. At each level of analysis,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nd resolved through discussion and by returning to the data if required. Summaries were shared and critical discussions of findings occurred with the whole team. To minimise bias, team members who were responsible for assessment of residents in their respective site, did not analyse transcripts from their own site. Team members were also encouraged to be reflective and reflexive throughout.

우리는 다음과 같은 5단계 FA 프로세스를 따랐습니다:
We followed the five-stage FA process involving:

익숙해지기
Familiarisation

저자(HA, JML, MGZ, KDK, JS)는 각 피드백 세션의 녹취록을 적어도 한 번 이상, 많게는 여러 번 읽으면서 녹취록 데이터에 익숙해졌습니다. 저자 중 4명(HA, JML, JS, MGZ)은 각각 7~8개의 다이아드에 대한 피드백 세션의 녹취록을 검토하여 문헌에 설명되어 있고 표 1에 제시된 대로 프로세스 및 내용 중심 코칭 기술을 사용한 증거를 찾았습니다.
The authors (HA, JML, MGZ, KDK and JS) were familiar with the transcribed feedback session data, having read through each of the transcripts at least once and often several times. Four of the authors (HA, JML, JS, MGZ) each reviewed the transcribed feedback sessions for seven to eight dyads, looking for examples of evidence of use of process- and content-oriented coaching skills 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nd set out in Table 1.

주제별 프레임워크 파악하기
Identifying a thematic framework

1단계의 데이터를 검토한 후, 추가 논의를 통해 이 분석을 위해 제안된 프로세스 및 내용 중심 코칭 기술 프레임워크의 적합성을 확인했습니다.
After reviewing the data from Stage 1, further discussion af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of process- and content-oriented coaching skills for this analysis.

색인화
Indexing

네 명의 저자(HA, JML, JS, MGZ)가 각각 프레임워크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추가 범주가 필요한지 여부를 고려했습니다. 데이터는 Microsoft® Excel 스프레드시트(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 소재 Microsoft Corp.)에 컴파일되어 다이애드 내 및 다이애드 간 검토를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매트릭스 전반의 데이터를 검토하기 위해 지속적인 비교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Each of the four authors (HA, JML, JS and MGZ) entered data into the framework and considered whether further categories were needed. The data was compiled into a Microsoft® Excel spreadsheet (Microsoft Corp., Redmond, WA, USA) for review within and across dyads. A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was used to review data across the matrix.

차트 작성
Charting

조를 이루어 각 프로세스 및 콘텐츠 범주에 대한 스프레드시트에서 각 기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는 요약과 함께 이러한 기술이 최적으로 사용된 경우활용이 제대로 안 된 경우의 예를 작성했습니다.
Working in pairs, we created summaries from the spreadsheets for each of the process and content categories that described how each of the skills appeared to function, along with examples of when these skills were optimally used and when utilisation was less successful.

매핑 및 해석
Mapping and interpretation

확인된 프로세스 및 콘텐츠 중심 기술에 대한 반복적인 토론을 통해 데이터를 더 자세히 탐색하고 새로운 중요한 주제를 파악하고, 합의에 도달하고, 코칭에 대한 다른 설명과 우리의 작업을 비교하고, 의료 환경에서 코칭의 고유한 측면을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Through iterative discussion of the process- and content-oriented skills identified, we were able to explore the data further and identify new overarching themes, reach consensus, compare our work with other descriptions of coaching and identify unique aspects of coaching in the medical setting.

결과 
Results

결과 발표는 참가자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여 '색인화' 및 '차트화' 단계의 분석 결과, 즉 개별 코칭 기술에 대한 설명과 데이터에서 나타난 중요한 주제를 식별한 '매핑 및 해석' 단계의 결과로 이어집니다.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s begins with a description of the participants followed by the findings of the ‘Indexing’ and ‘Charting’ stages of analysis, i.e. the descriptions of the individual coaching skills, and second, findings of the ‘Mapping and Interpretation’ stage in which we identified overarching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data.

인구 통계
Demographics

참가자는 15쌍의 수퍼바이저와 레지던트(각 사이트에서 3명씩)로 구성되었습니다. R2(레지던트 2년차)부터 R5까지 남성과 여성 레지던트, 그리고 남성과 여성 수퍼바이저가 모두 섞여 있었습니다. 1982년에서 2001년 사이에 의과대학을 졸업한 수퍼바이저들은 다양한 의료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레지던트들에게 매년 최소 4회 이상 공식적인 피드백을 제공한 경험이 있었습니다. 
Participants included 15 dyads of supervisors and residents (three from each site). There was a mix of male and female residents from R2 (Second year resident) to R5 and both male and female supervisors. Having graduated from medical school between 1982 and 2001, supervisors had a range of medical experience and were experienced in giving formal feedback to residents, which they provided at least four times each year.

인덱싱 및 차트 작성
Indexing and charting

첫 번째 분석 수준에서는 각 과정 및 내용 중심 범주에 포함된 술기에 초점을 맞추고 추가 술기가 기술되지 않았는지 확인했습니다. 프로세스 및 콘텐츠 중심 스킬은 각각 표 2와 표 3에 나와 있습니다. 이 표에는 문헌과 데이터 분석에서 도출된 각 코칭 스킬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또한 각 스킬에 대한 데이터에서 각 스킬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고 덜 효과적인 스킬 사용에 대해 설명하며, 후자는 종종 부재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다음 단락에서는 스킬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The first level of analysis focused on skills included in each of the process- and content-oriented categories and ensuring no additional skills were described. Process- and content-oriented skills are set out in Tables 2 and 3, respectively. The tables provide brief descriptions of each coaching skill derived from both the literature and the data analysis. The tables also provide, from the data for each skill, an exemplar quote of effective use of each skill and describe less effective skill use, the latter often demonstrated by being absent. The following paragraphs provide an overview of how the skills were used.

 

과정 중심 기술
Process-oriented skills

과정 중심 기술의 경우, 효과적인 수퍼바이저가 [코칭 세션을 위한 준비]를 하는 예로는 레지던트의 평가 보고서 검토와 레지던트의 교육 수준에 대한 기대치 대비 진행 상황 파악이 있었습니다. LCP에 대한 인식과 후속 세션에서의 후속 조치도 중요했지만, 이 측면에 대한 관심은 다양했습니다. 대부분의 수퍼바이저는 평가 데이터에 익숙해 보였지만, 일부 수퍼바이저는 레지던트 상황과 LCP의 중요성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or process-oriented skills, examples of effective supervisor preparation for the coaching session included review of the residents’ assessment reports and understanding the residents’ progress relative to expectations for their training level. Awareness of the LCP and follow-up in subsequent sessions were also important; however, there was variable attention to this aspect. Most supervisors appeared familiar with the assessment data, but some were less aware of the resident context and the importance of the LCP.

이러한 맥락의 부족은 [학습자의 준비시키기]를 살펴볼 때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레지던트들은 코칭 모델로의 전환과 이에 따른 기대치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반면에 일부 코치는 코칭 세션의 목적과 과정을 모두 설명하며 LCP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This lack of context for the discussion was more marked in examining the preparation of the learner. Residents often seemed confused or unaware of the shift to a coaching model and the expectations this placed on their contribution to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some coaches outlined both the purpose and process of the coaching session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LCP.

모든 슈퍼바이저는 [긍정적이고 존중하는 학습 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슈퍼바이저는 레지던트와 이전에 관계를 맺은 적이 있어 코칭 세션 외부에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토론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전에 접촉한 적이 없는 다이애드의 경우, 슈퍼바이저들은 지속적인 개선에 초점을 맞춘 성공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All supervisors demonstrated effective building and maintaining of positive and respectful learning relationships. Some supervisors had previous relationships with residents that appeared to enhance the discussion based on the knowledge acquired outside of the coaching session. However, in dyads without previous contact, supervisors were able to establish a successful relationship focused on continual improvement.

슈퍼바이저들은 학습자 중심의 촉진적 접근법 또는 미시적 기술34 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사례를 제공했습니다(표 4). 

  • 평가 보고서에 대한 레지던트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 레지던트의 말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 이해를 보장하기 위해 열린 질문을 사용하고, 
  • 성찰과 자기 비평을 촉진

일부는 세션의 모든 단계에서 이러한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했으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공의에게 이러한 기법을 계속 효과적으로 사용했습니다.
Supervisors provided numerous examples demonstrating effective use of learner-centered facilitative approaches, or micro skills,34 such as

  • eliciting residents’ reactions to their assessment reports,
  •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resident,
  • using open questions to ensure understanding and
  • promoting reflection and self-critique (Table 4).

Some demonstrated effective use of these techniques throughout all phases of the session, and they continued to use these techniques effectively for residents experiencing challenges.

일부 슈퍼바이저는 통찰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이는 레지던트에게 보다 지시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조력적인 코칭 기법보다는 [지시적인 코칭 기법]에는 다음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 주로 폐쇄형 질문을 하고,
  • 듣기보다 말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 조력적이기보다는 지시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

또한 레지던트가 서면으로든 구두로든 LCP를 작성할 때 더 많은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Some supervisors used more directive approaches for residents who appeared to lack insight. More directive rather than facilitative coaching techniques included

  • asking more close-ended questions,
  • spending more time speaking than listening and
  • being more directive than facilitative.

It also meant taking more leadership in completion of the LCP, whether written or only oral, for the resident.

마지막으로, 유연성은 레지던트의 필요에 따라 소수의 수퍼바이저만이 보여준 프로세스 기술이었습니다. 콘텐츠에 대한 유연성은 예상치 못한 평가로 인해 강한 감정적 반응이 유발되어 보다 집중적이고 집중적인 접근이 필요했던 두 가지 환경에서 입증되었습니다. 두 경우 모두 수퍼바이저는 레지던트의 긴급한 요구에 대응하여 이러한 긴급한 우선순위가 해결될 때까지 다른 잠재적 탐색 목표를 명시적으로 따로 설정했습니다. 또한 역량 격차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수퍼바이저가 대화에서 더 지시적인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에 있어서도 유연성을 보였습니다. 특히 레지던트가 토론을 준비할 때 코칭 세션의 목표가 명시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경우, 코칭을 유연하게 적용하지 않는 것도 효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Finally, flexibility was a process skill displayed by only a few supervisors in response to resident needs. Flexibility around content was demonstrated in two settings where unexpected assessments triggered a strong emotional response, which required a more intensive, focused approach. In both cases, the supervisors were responsive to the acute needs of the resident, explicitly setting aside other potential goals for exploration until these emergent priorities had been resolved. Flexibility was also noted around decisions as to whether the supervisor needed to become more directive in the conversation to ensure gaps in competency were identified and addressed. Inflexible application of coaching also impacted effectiveness, especially if the aims of the coaching session were not explicitly discussed as part of preparing the resident for the discussion.

 

콘텐츠 중심 기술
Content-oriented skills

내용 중심 기술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평가 및 피드백 데이터의 의미에 대한 공통된 이해,
  • 개선이 필요한 영역의 공동 우선순위 지정,
  • LCP 공동 개발

슈퍼바이저는 제공된 피드백을 탐색하고 레지던트의 이해와 수용에 대한 토론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일부 수퍼바이저는 레지던트가 피드백 데이터에 거부감을 보일 때 어려움을 겪었고, 일부 수퍼바이저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데이터에 대한 교훈적인 설명으로 되돌아갔습니다.
Content-oriented skills included

  • developing a commo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assessment and feedback data,
  • collaborative prioritisation of areas for improvement and
  • co-development of an LCP.

Supervisors were able to explore the feedback provided and engage the resident in a discussion about their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Some supervisors struggled when residents appeared resistant to feedback data and some reverted to more didactic explanations of the data, as noted above.

피드백에 대한 토론을 통해 부족한 점과 개선이 필요한 잠재적 영역을 파악한 후 성장을 도모해야 했습니다. 일부 레지던트는 목표를 파악하기 위해 협력적인 토론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다른 대화를 통해 감독자가 개선 목표와 접근 방식을 파악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종종 전공의의 의견을 반영할 공간 없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의사소통의 미세 기술을 사용하는 데 능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소수의 수퍼바이저들에게서 가장 두드러졌습니다. (표 4)
Discussion of the feedback needed to be followed by identifying gaps and potential areas for improvement if growth was to occur. Some residents were able to engage in a collaborative discussion to identify goals. Other conversations led to supervisors identifying goals and approaches for improvement, often without space for resident input. This was most noticeable for the few supervisors who appeared less skilled in using communication micro skills. (Table 4)

[목표 설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협업 토론의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레지던트나 수퍼바이저가 목표 설정의 특정 측면으로 토론을 몰아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집중은 평가 가능한 목표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명시적인 전략을 사용하는 LCP를 사용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때때로 슈퍼바이저가 LCP를 작성할 때 대화적이고 촉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지 못하고, 목표 설정을 촉진하는 진정성 있고 유용한 전략이 아니라, 연구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이고 정량화 가능한 목표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두 번째 피드백 세션에서 평가한 대로 행동 변화가 최소화되었습니다. 목표가 논의되었더라도 서면으로 작성된 LCP가 없으면 검색이 불가능하거나 목표가 잊혀져 후속 조치에 지속적으로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두 번째 세션에서 목표에 대한 후속 조치는 책임감과 성공적인 목표 달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ocus on goal setting was a crucial component of the collaborative discussion. Often either the resident or the supervisor pushed the discussion towards specific aspects of goal setting, and this focus was facilitated by using an LCP that employed explicit strategies to articulate an assessable goal or goals. However, occasionally it appeared that supervisors failed to achieve a conversational, facilitative approach to the creation of the LCP and used it as a checklist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research study rather than as an authentic, useful strategy to facilitate goal setting. Failing to discuss specific, quantifiable goals minimised behavioural change as assessed in the second feedback session. Even if goals were discussed, the lack of a written LCP consistently impaired follow-up because it was not retrievable or goals were forgotten. Subsequent follow-up of the goals at the second session appeared to enhance accountability and successful goal achievement.

마지막으로, 제안된 목표에 대한 [전공의의 헌신을 보장]하는 것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슈퍼바이저가 일방적으로 격차와 목표를 제안할 때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목표 개발의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Finally, ensuring residents’ commitment to the proposed goals was also helpful. This was not seen when supervisors unilaterally suggested gaps and goals, calling into question the effectiveness of goal development.

매핑 및 분석
Mapping and analysis

슈퍼바이저의 개별 코칭 기술 사용을 고려할 때, 이 단계에서 수행된 고차원 분석에서 세 가지 중요한 주제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i) 과정과 내용의 상호 연결성,
  • (ii) 자기 주도성 장려와 발전 및 역량 보장 사이의 긴장감,
  • (iii) 대화와 독백 사이의 균형.

In considering supervisors’ use of individual coaching skills, three overarching themes emerged from the higher order analysis carried out during this stage. These were:

  • (i) the interconnectedness of process and content;
  • (ii) tension between encouraging self-direction and ensuring progression and competence; and
  • (iii) the balance between a dialogue and a monologue.

과정과 내용의 상호 연결성
Interconnectedness of process and content

변화와 학습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의미 있는 콘텐츠]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우수한 프로세스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숙련도가 낮은 슈퍼바이저는 [성찰을 촉진하고 전공의의 의견을 구하기 위해 질문]할 가능성이 낮고 조언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로 인해 전공의들의 참여도가 떨어졌고, 결과적으로 목표와 계획을 함께 개발하는 데 참여할 가능성이 낮거나 초대받지 못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두 번째 피드백 세션에서 평가한 바와 같이 슈퍼바이저가 지시한 목표에 동의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이를 실행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찬가지로, [토론의 근거가 되는 콘텐츠를 활용]하지 않으면 의미 있는 목표와 적절한 실행 계획을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프로세스는 콘텐츠를 뒷받침하는 반면, 콘텐츠는 중요하고 구체적인 목표와 그 실행에 관한 의미 있는 토론을 생성하는 데 필요합니다. 
Good process skills appeared to be required to elicit meaningful content needed to plan for change and learning. For example, less skilful supervisors were less likely to ask questions to promote reflection and seek the residents’ views and more likely to provide advice. This led to less engaged residents who in turn were less likely (or sometimes not invited) to participate in co-development of goals and a plan. In this situation, even if they acquiesced to a supervisor-directed goal, they appeared generally less likely to follow through, as assessed in the second feedback session. Similarly, without utilising content to ground the discussion,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meaningful goals and appropriate action plans. Process underpins content, whereas content is required to generate a meaningful discussion around significant, specific goals and their implementation.

자기 주도성을 장려하면서도 역량으로의 발전을 보장하는 것 사이의 긴장감
Tension between encouraging self-direction yet ensuring progression to competence

[레지던트가 기대 수준 이상의 역량]을 발휘하는 경우, 슈퍼바이저는 여전히 목표 설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레지던트의 목표를 확인하고 함께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레지던트가 실적이 저조하거나 목표를 파악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면 코치들은 여전히 좋은 프로세스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거의 일관되게 대화를 부족한 영역으로 명시적으로 유도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코치들은 레지던트에게 목표와 실행 계획을 확인하도록 유도하거나, 때로는 여러 번의 프롬프트를 통해 확인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 레지던트를 대신하여 확인했습니다. 후자의 경우, 코치는 자신이 파악한 내용에 대해 레지던트의 동의를 구했습니다. 대부분의 코치는 그 순간에 레지던트의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촉진적 접근 방식이 가장 적합한지 지시적 접근 방식이 가장 적합한지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hen residents were performing at or above their expected level of competence, supervisors, although still promot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goals, appeared more likely to confirm the resident's goals and work with them to co-develop the action plan. However, when residents appeared to be underperforming or unable to identify a goal, coaches almost uniformly, although still employing good process skills, explicitly directed the conversation towards gap areas. In these cases, they also prompted the resident to identify a goal and action plan, sometimes with multiple prompts, or identified them for the resident if he or she appeared unable. In the latter case, they would ask for the resident's agreement with what they had identified. It appeared that most coaches were able, in the moment, to diagnose the resident's level of competence and decide whether a facilitative or directive approach would be most appropriate.

대화와 독백 사이의 균형 잡기
Balance between a dialogue and a monologue

많은 슈퍼바이저가 커뮤니케이션 미시 기술을 사용하여 성찰을 촉진하고, 레지던트의 내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고, 후속 토론 및 실행 계획의 초점을 공동 개발하는 협력적 코칭 대화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부 수퍼바이저는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레지던트에게 필요한 정보만 전달하고, 성과 격차를 파악하고, 광범위한 조언을 제공하는 데만 집착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대화는 레지던트가 제안된 해석에 동의하는지 확인하거나 슈퍼바이저가 설정한 목표에 대한 헌신을 확인하기 위한 [최소한의 확인도 없는 독백]에 가까웠습니다. 레지던트가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슈퍼바이저의 지시를 강화해야 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일부 슈퍼바이저는 예상 역량 수준에 도달한 레지던트에게도 이러한 접근 방식을 고수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후속 피드백 세션에서 레지던트의 목표 및 실행 계획 달성도를 검토할 때 완료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육생은 표면적으로는 제안에 동의하지만, 역량을 향한 여정에서 자신감과 자기 효능감을 개발할 기회를 제한하는 제안된 목표를 무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Many supervisors were able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coaching dialogue using the communication micro skills to promote reflection, clarify the resident's understanding of both the content and context and co-develop the focus of the subsequent discussion and action plan. However, some supervisors, despite training, persisted solely in telling residents what they needed to know, identified performance gaps and provided extensive advice. In these cases, the conversation was essentially a monologue with minimal verification with the resident to ensure agreement with the proposed interpretation or to confirm commitment to the supervisor-established goals. Although increases in supervisor direction seemed to be required when residents were struggling, some supervisors persisted with this approach even with residents at expected competency levels. In these cases, when reviewing resident achievement of the goal and action plan in the follow-up feedback session(s), there appeared to be less completion. It appears that the trainee can ostensibly agree to the suggestions but ignore the suggested goals restricting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in their path towards competence.

토론
Discussion

우리가 아는 한, 이 연구는 실제로 의학교육 코칭에 사용되는 개별 기술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입니다. 이 논문은 3개국의 5개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코칭의 역학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이 논문은 문헌에서 도출된 과정 및 내용 코칭 기술의 사용을 확인하고 코칭의 중요한 특징인 과정과 내용의 상호 연결성, 레지던트가 독립을 위해 노력할 때 레지던트와 감독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긴장감, 코칭 대화에서 대화와 독백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individual skills used in medical education coaching in practice. This paper provides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coaching across five different residency programmes in three countries. It confirms the use of process and content coaching skill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nd identified overarching features of coach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process and content; the tension that can occur between residents and supervisors as the residents strive for independence, and the importance of achieving a balance between dialogue and monologue in coaching conversations.

프로세스 및 콘텐츠 코칭 기술
Process and content coaching skills

R2C2 모델에는 최종 코칭 단계를 시작하기 전[수퍼바이저-레지던트 관계, 성과 피드백에 대한 레지던트의 반응, 피드백 내용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활동]이 포함됩니다. 이 세 가지 활동은 성공적인 코칭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프로세스 지향 코칭 기술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코칭 접근 방식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하는 기술에 대한 설명을 식별하고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The R2C2 model includes a focus on the supervisor–resident relationship, the resident's reaction to their performance feedback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feedback content prior to initiating the final coaching phase. These three activities reflect process-oriented coaching skills we believe are integral to successful coaching. However,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and expand the description of the skills that specifically underpin this coaching approach.

[코칭을 위한 준비]는 효과적인 토론을 위한 무대를 설정하고 평가 자료뿐만 아니라 레지던트의 현재 경험과 향후 로테이션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을 포함했습니다. 레지던트의 상황에 대한 이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 자료에 대한 인식은 일관되게 관찰되었습니다. [코칭 경험을 위한 레지던트의 준비]는 일관되지 않았으며, 참여를 높이려면 코칭을 지원하는 교육적 기반을 포함한 접근 방식에 대해 레지던트에게 교육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자기 성찰 및 역량 강화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24
Preparation for coaching set the stage for effective discussion and included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not only the assessment materials but also the residents’ current experience and future rotations. Awareness of the materials was consistently observed although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 context was sometimes not evident. Preparation of the resident for the coaching experience was inconsistent and to enhance participa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educate residents about the approach includ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s that support coaching and outline the proposed enhanc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self-reflection and the journey to competence.24

[관계 개발]은 거의 보편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R2C2 연구를 위한 교육과 샘플 촉진 진술서 제공이 이 기술에 도움이 되었을 수 있습니다.24 이 연구에서 좋은 코칭 관계는 이전의 상호작용에 의존하지 않았지만, 일단 코칭 다이아드가 형성되면, 종적 관계의 발전은 성공적인 코칭 경험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다른 연구에서 뒷받침되는 결과입니다.11, 35, 36 이것은 의학교육 코칭과 다른 환경에서의 코칭 간에 가장 어려운 차이점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Watling 등37에 따르면 의학교육과 스포츠 및 의학 코칭에 모두 익숙한 의사들은 이러한 비의료 환경에서 [관계의 기간]이 길수록 [신뢰를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져 [피드백의 적절성, 정확성, 의도]에 영향을 미쳐 더 [구체적이고 비판적인 피드백이 전달되고 통합]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연구진은 관계의 산발적인 특성으로 인해 현재의 의학교육 환경에서는 이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Relationship development was almost universally demonstrated. Training for the R2C2 study and providing sample facilitative statements may have assisted this skill.24 Although good coaching relationships were not dependent on previous interaction in this study, once within the coaching dyad, the development of a longitudinal relationship was identified as a crucial component of a successful coaching experience, a finding supported by other studies.11, 35, 36 This may be one of the most challenging differences between medical education coaching and coaching in other settings. Watling et al.,37 found that physicians who were familiar with both medical education and sports and medicine coaching noted that the length of the relationship in these non-medical settings provided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 trust which impacted the perceived appropriateness, accuracy and intent of the feedback allowing more specific and critical feedback to be delivered and integrated. They noted that the more sporadic nature of relationships makes this less attainable in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environment.

또한 코칭 세션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반영하고 성찰과 자기 평가를 촉진하는 [마이크로 스킬]도 확인했습니다.38 이러한 기술은 일부 수퍼바이저에게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수퍼바이저는 다음으로 인해 전공의의 요구를 해결하는 능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전공의의 감정을 상하게 하거나 자존감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두려움14
  • 전공의에게 잠재적으로 해가 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기관의 예의와 우수성을 가정하는 문화12 

이러한 미세 기술을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해 보다 집중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미세 기술에 대한 더 나은 기반을 제공하면 감독자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적절한 경우 중요하고 긴급한 문제로 토론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We also identified micro skills in the coaching sessions that reflect good communication and promote reflection and self-assessment.38 These skills appeared to be more challenging for some supervisors. Supervisors also may b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address resident needs

  • by fears of hurting residents’ feelings or damaging self-esteem14 and
  • by institutional cultures of politeness and assumed excellence in which language that is potentially damaging to the resident is discouraged.12 

It may be helpful to provide more intensive training to develop competent use of these micro skills. Similarly, providing a better grounding in these micro skills may enhance supervisor flexibility allowing them to pivot the discussion towards crucial, emergent issues when appropriate.

콘텐츠 중심 기술은 [성과 격차, 목표 설정, 후속 모니터링이 가능한 구체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 개발]에 대한 공동 논의 전에 피드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도 중요했습니다. 달성 가능한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 계획을 개발하는 것은 확인된 개선 사항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39
Content-oriented skills were also important in ensuring the feedback was clearly presented and understood prior to collaborative discussion of

  • performance gaps, goal setting and development of a set of specific, achievable goals that could be subsequently monitored in follow-up.

Developing specific achievable goals and action plans were instrumental in making the identified improvement.39

프로세스와 콘텐츠의 상호 연결성
Interconnectedness of process and content

이 연구에서 강조한 프로세스와 콘텐츠 기술 간의 상호 연결성의 중요성은 다양한 기술을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살펴본 이전 연구 결과를 뒷받침합니다. 모든 술기는 중요하며 탱고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40 레지던트의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술기를 조합할 때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신뢰와 믿음에 기반한 관계를 개발 및 육성할 필요성은 나머지 코칭 기술을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데 중요한 프로세스 기술입니다.5, 9, 11, 40-43 신뢰 관계는 개발을 지원하고 실행 계획으로 이어지는 열린 토론을 가능하게 합니다. 신뢰가 없으면 레지던트의 발전과 목표 달성을 돕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관계, 즉 교육적 동맹10,11은 [교육자로서의 수퍼바이저의 참여,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태도, 레지던트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헌신]에 따라 레지던트가 평가합니다. [교육적 동맹]은 피드백 제공 시점에 레지던트가 특정 피드백에 참여하는 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향후 수퍼바이저와의 추가 학습 상호 작용에 참여(또는 회피)하는 데도 영향을 미칩니다.11 
The importance of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process and content skills, highlighted in this study, supports findings from earlier research that has looked at the various skills as independent or combined. All of the skills are important and can be described as interconnected in a tango-like manner,40 and it is the combination of skills in the context of the particular needs of the resident that yields the best outcomes. The need to develop and foster a relationship based on trust and credibility is a process skill important in underpinn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emaining coaching skills.5, 9, 11, 40-43 A trusting relationship enables an open discussion that supports development and leads to an action plan. Without trust, it is difficult to help a resident progress and achieve their goals. This relationship, or educational alliance,10, 11 is judged by residents based upon the supervisor's engagement as an educator, a positive and supportive attitude and commitment to promoting residents’ growth. The educational alliance not only affects a resident's engagement with a particular piece of feedback at the moment of delivery, but also has consequences for future engagement with (or avoidance of) further learning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11

자기 주도성 대 역량으로의 진전 보장
Self-direction versus ensuring progression to competence

레지던트가 이정표를 달성하고 위탁 전문 활동을 완료하기 위해 노력할 때, [자기 주도성과 진전 사이의 긴장]은 CBME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수련 환경에서 당연한 결과입니다. 

  • [레지던트는 독립적인 전문의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 [수퍼바이저는 레지던트의 독립과 안전한 실습을 향한 진전을 평가]하는

[안전한 실천을 보장해야 할 필요성]은 [타인의 안전이나 복지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인 중심의 성취를 추구]하는 스포츠, 음악 및 비즈니스 환경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긴장감은 다른 연구14, 17, 44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레지던트를 지도하고 점진적인 독립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자기 관리 직업의 일부로서 정확한 자기 평가의 중요한 역할에 대한 레지던트의 이해를 키우는 것은 중요한 결과입니다.38 레지던트는 외부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신의 성과와 진행 상황을 자체 평가하고, 데이터와 피드백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설명하고, 정보에 입각한 자기 평가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역량 개발을 위해 노력하면서 목표와 실행 계획에 대해 논의할 기회가 필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레지던트의 관점이 자신의 경험이나 다른 사람을 관찰할 기회 부족으로 인해 제한될 수 있는 경우를 인식하고, 성과 기준에 비추어 외부 성과 데이터를 현실적으로 고려하는 것입니다. 자기 평가와 외부 데이터 간의 불일치를 탐색하려면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민감성이 필요합니다. 
Tension between self-direction and progression is a critical factor in CBME as residents strive to achieve milestones and complete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It i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environments in which training occurs as

  • the resident works towards becoming an independent practitioner and
  • the supervisor assesses the progress the resident is making towards independence and safe practice.

The need to ensure safe practice differs in a significant way from the sports, music and business environments where achievements are individually oriented with little or no impact on the safety or well-being of others. Such tension has been found in other studies14, 17, 44 and speaks to the importance of guiding residents as well as also supporting their progressive independence. Cultivating a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crucial role of accurate self-assessment as part of a self-regulating profession is an important outcome.38 Resident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self-assess their performance and progression using external data, describe their own perspectives about their data and feedback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informed self-assessment. They need opportunities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their goals and action plan as they work towards competency. Equally important is recognising when the resident's perspectives may be limited due to, for example, their own experiences and lack of opportunities to observe others and to realistically consider their external performance data in light of performance standards. Exploring the mismatch between self-assessment and external data requires communication skill and sensitivity.

교육에서 코칭의 [장기적인 목표]는 [자기 평가 기술을 배양]하고 [평생 학습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코칭은 전공의가 자신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외부 지도를 구해야 할 시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21, 45
A long-term goal of coaching in education is to cultivate self-assessment skills and promote lifelong learning. Coaching empowers residents to monitor their progression and recognise when to seek external guidance.21, 45

대화 대 독백
Dialogue versus monologue

전공의와의 논의에서 코칭과 전공의와 독립적으로 목표와 행동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수퍼바이저에게 어려운 일이며 다른 코칭 맥락에서도 지적되었습니다.21, 46 촉진적 피드백 기법과 지시적 피드백 기법이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47 수퍼바이저는 종종 부정확한 자기 평가로 인한 한계로 인해 적절한 목표를 식별하는 [전공의의 능력을 불신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 있습니다.14 목표와 다음 단계를 논의하기 전에 외부 데이터를 제공하고 논의하고 이해하면 이러한 제한이 덜 문제가됩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모두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48-51 일부 전공의는 토론을 실행 계획 개발로 전환할 수 없거나 의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경우 감독자는 보다 지시적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에 참여한 몇몇 수퍼바이저는 레지던트의 동의를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자기 주도성]과 [가이드된 목표 설정] 사이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변화를 위한 피드백과 코칭이 중요하고 기대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의료 문화를 조성하는 것은 이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12, 40
Achieving a balance in the discussion with residents between coaching and pre-emptively identifying the goals and actions independent of the resident is challenging for supervisors and has been noted in other coaching contexts.21, 46 Although facilitative versus directive feedback techniques have been found to be more helpful,47 it can be tempting for supervisors to distrust residents’ ability to identify appropriate goals, often based on the limitations posed by inaccurate self-assessment.14 This limitation becomes less problematic when external data is provided, discussed and understood prior to discussing goals and next steps. However, in this study, despite providing both the data and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apply the data,48-51 some residents appeared unable or unwilling to translate the discussion into developing an action plan. In this case, supervisors may need to take a more directive approach. Several supervisors in this study demonstrated flexibility in determining when the shift between self-direction and guided goal setting was required without sacrificing resident buy-in. Creating a medical culture where feedback and coaching for change are recognised as important and expected to occur, appears critical in this work.12, 40

요약하면, 이 연구를 통해 코칭에는 문헌에서 확인된 특정 프로세스 중신 기술내용 중심 기술을 사용해야 하며, 레지던트 교육 감독자는 레지던트와의 피드백 및 코칭 세션에서 이러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 학습자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고 
  • 피드백을 통해 발생하는 학습 및 변화 계획을 레지던트와 함께 개발하면 
  • 변화를 위한 명시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 그 계획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전 논문24에서는 피드백 및 계획 프로세스에 대한 레지던트의 참여가 향상되고, 방어적인 느낌이나 지원받지 못한다는 느낌이 감소하며, 효과적인 피드백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보고했습니다.
In summary, we learned from this study that coaching requires using specific process- and content-oriented skill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and that supervisors in residency education can apply these skills in feedback and coaching sessions with residents. Using them effectively

  • to develop a respectful learner-centered environment and
  • to co-develop with the resident a plan for learning and change arising from the feedback,
  • can result in the development of explicit plans for change and
  • implementation of those plans.

Our earlier paper24 reported enhanced resident engagement in the feedback and planning processes, reduction of feelings of defensiveness or of feeling unsupported, and general reduction of identified barriers to effective feedback.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코칭 스킬과 그 스킬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식별하고 설명함으로써 이전의 연구에 추가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기존 접근 방식에 통합하는 것은 프로그램, 수퍼바이저 및 레지던트에게 도전 과제를 안겨줍니다.

  • 프로그램의 경우, 적절한 개방성과 피드백을 기대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데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코칭을 위한 기본 지식과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교수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이 유지될 수 있도록 종단적으로도 교수 개발이 필요합니다.
  • 특히 개방적이고 촉진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직관적이지 않으며 연습과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실행 계획을 개발, 추적 및 검토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감독자의 과제에는 과정과 내용 중심 기술, 자기 지시와 진행, 코칭과 지시 사이의 긴장을 마스터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 레지던트 역시 코칭 전략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필요하며, 특히 피드백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코칭을 역량 개발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지원 활동으로 간주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This study adds to that earlier work by identifying and describing the specific coaching skills required to achieve these outcomes, and how the skills are used. However, incorporating these skills into existing approaches also creates challenges for programmes, supervisors and residents.

  • For programmes, attention to creating an appropriate culture of openness and expectation of feedback is crucial.
  • Faculty development is needed both to establish the baseline knowledge and skills for coaching as well as longitudinally to ensure the skills have been maintained.
  • We learned particularly that using open, facilitative communication skills is not intuitive and will require practice and reinforcement. Putting processes in place for developing, tracking and reviewing action plans appeared to be of crucial importance.
  • Supervisor challenges include mastering the tensions between process- and content-oriented skills, self-direction and progression and coaching and telling.
  • Residents too require orientation to coaching strategies, especially those who may struggle to accept feedback and to view coaching as positive supportive activities, which promotes them developing competence.

이 연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연구에는 15쌍의 부부만 포함되었으며 다른 환경에서의 추가 조사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R2C2 모델 내 코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슈퍼바이저가 코칭에 접근하는 방식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다른 환경에서 이 모델을 사용하도록 슈퍼바이저를 교육하면 우리가 발견하지 못한 뉘앙스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is study included only 15 dyads and further examination in other settings would be helpful. Although we were able to see the variability in how supervisors approached coaching from our analysis of coaching within the R2C2 model, it is possible that training supervisors to use the model in other settings might uncover nuances we did not discover.

향후 연구 및 방향
Future research and directions

이러한 접근법을 수술실이나 응급의학과 교대 근무가 끝날 때 또는 외래 환경에서 환자 방문 후와 같이 레지던트와의 짧은 세션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모델은 레지던트가 가장 최근의 직장 경험에 대해 생각하고 다른 접근 방식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도록 장려하는 것이 목표인 짧은 만남에서 사용하기 위해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환경에서 수퍼바이저는 다음에 레지던트와 함께 일할 때 어떻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을지 고려해야 합니다.
It is not known whether these approaches could be adopted for shorter sessions with residents, for example, at the end of a day in the operating room or emergency medicine shift or after a patient visit in an ambulatory setting. The model needs to be examined for use in briefer encounters where the goal is to encourage the resident to think about their most recent workplace experience and consider how they might get better results with a different approach. Similarly, in these settings, supervisors would need to consider how they might follow up when they next work with the resident.

결론
Conclusions

이 연구는 슈퍼바이저가 효과적인 코칭을 위해 사용하는 과정 및 내용 중심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합니다. 또한 코칭 시 과정과 내용 및 관련 기술에 모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 두 가지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최적의 코칭을 보장하기 위해 두 가지 모두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자기 주도성을 장려하는 것과 역량 향상을 보장하는 것 사이의 긴장을 마스터하는 것의 중요성도 확인했습니다. 또한, 슈퍼바이저는 코칭 토론이나 대화와 일반적인 교훈적인 교육 방식 사이의 균형과 전환이 필요할 수 있는 상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process- and content-oriented skills supervisors use for effective coaching. Furthermore, it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attending to both process and content and related skills when coaching; they are interconnected and both are required to ensure optimal coaching. We also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mastering the tension between encouraging self-direction and ensuring progression to competence. Further, supervisors need to attend to the balance between a coaching discussion or dialogue and a more typical didactic teaching approach and the circumstances in which a shift may be required.

 


 

 

Med Educ. 2019 May;53(5):477-493. doi: 10.1111/medu.13818. Epub 2019 Feb 18.

 

 

Identifying coaching skills to improve feedback use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2Department of Community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Alberta, Canada.

3Department of Medicine, Hackensack University Hospital, Hackensack, New Jersey, USA.

4Depart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 Research and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5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nd Division of Medical Education, Dalhousie University, Halifax, Nova Scotia, Canada.

PMID: 30779210

DOI: 10.1111/medu.13818

Abstract

Objectives: Coaching in medical education has recently gained prominence, but minimal attention has been given to key skills and determining how they work to effectively ensure residents are progressing and developing self-assessment skills. This study examined process-oriented and content-oriented coaching skills used in coaching session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how supervisors use them to enhance resident acceptance of feedback to enhance learning.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analysed secondary audiotaped data from 15 supervisors: resident dyads during two feedback sessions, 4 months apart. The R2C2 model was used to engage the resident, build a relationship, explore reactions to feedback, explore resident perceptions of content, and coach for change. Framework analysis was used, including familiarisation with the data, identifying the thematic framework, indexing and charting the data and mapping and interpretation.

Results: Process skills included preparation, relationship development, using micro communication skills and techniques to promote reflection and self-assessment by the resident and supervisor flexibility. Content skills related to the specific feedback content included engaging the resident in discussion, ensuring the discussion was collaborative and focused on goal setting, co-developing a Learning Change Plan, ensuring resident commitment and following up on the plan. Together, these skills foster agency in the resident learner. Three overarching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 interconnectedness of process and content; tensions between encouraging self-direction and ensuring progress and competence; and balancing a coaching dialogue and a teaching monologue.

Conclusions: Effective coaching by supervisors requires a combination of specific process and content skills that are chosen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individual resident. Mastering these skills helps residents engage and develop agency in their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outcomes depend on faculty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coaching and teaching, encouraging resident self-direction and ensuring progression to competence.

적응적 전문가의 학습경험: 성찰적 주제 분석(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Learning experiences of adaptive experts: a reflexive thematic analysis
Joanne Kua1 · Winnie Teo2 · Wee Shiong Lim1

소개
Introduction

적응적 전문성은 지식을 창출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전 지식을 활용하여 과제와 새로운 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유연하게 적응하는 능력을 포괄하는 필수적인 기술입니다(Gube & Lajoie, 2020; Schwartz et al., 2005). 보건 전문직 교육을 위해 제안된 6가지 교육 패러다임(Baker et al., 2021) 중 적응적 전문성의 역동적 지향은 학습자가 학습을 통해 다양한 경험에 노출되면서 지식이 구성되는 구성주의-전문성 영역과 존재론적 및 인식론적으로 일치합니다. 이러한 지식 구성은 궁극적으로 전문성 개발을 목표로 사전 지식 위에 겹겹이 쌓입니다. 
Adaptive expertise is an essential skill that encompasses not just the ability to create knowledge but to leverage on this prior knowledge to flexibly adapt to tasks and novel situations more effectively (Gube & Lajoie, 2020; Schwartz et al., 2005). Out of the six paradigms of education that have been proposed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Baker et al., 2021), the dynamic orientation of adaptive expertise is ontologically and epistemologically aligned with the Constructivism- Expertise domain, where knowledge is constructed as the learners are exposed to th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learning. This construct of knowledge is layered upon prior knowledge with the eventual aim of expertise development.

적응형 전문가복잡성을 수용하고 새로운 것에 흥미를 느낍니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이 뛰어나고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가 높으며 정기적으로 반성적 연습을 합니다. 이를 통해 당면한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을 혁신할 수 있습니다. (Kua 외., 2021).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적응형 전문가가 이러한 특성을 어떻게 개발했는지입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의 영향과 레지던트 기간 동안 적응형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습니다(Regan et al., 2022). 저자는 개인적, 사회적, 조직적, 물리적/가상적 구성 요소의 기여도와 이러한 요소들이 적응형 전문가가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을 어떻게 지원하는지 조사했습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은 이 네 가지 [구성 요소 내에서 발생한 상호작용]이 적응형 전문가의 개발을 촉진했는지 여부입니다
Adaptive experts embrace complexity and are excited about novelty. In addition, they possess cognitive flexibility, have high intrinsic motivation towards learning and adopt reflective practice regularly. This enables them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at hand allowing them to innovate solutions to solve the issue. (Kua et al., 2021). Of cardinal interest is how adaptive experts developed these traits. A recent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it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during residency (Regan et al., 2022). The authors examined the contributions of personal, social, organisational and physical/ virtual components and how these supported the environment for an adaptive expert to thrive. What remains unknown are the interactions that transpired within these four components that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s.

[학습 경험]은 전통적인 학업 환경이든 학교 밖의 비전통적인 환경이든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성숙]과 같은 자연의 힘에 의해 매개되어, 개인과 사회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통해 발생합니다. 학습은 [개인의 해석된 세계]와 [물리적, 사회적 세계] 사이의 협상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는 개인의 가치관과 그것이 사회 세계가 관여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해야 적응 전문가가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Billet, 2009). 상황적 학습 이론에서는 이해를 구축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매우 강조합니다(Lave & Wenger, 1991). 이러한 사회적 초점 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와 아주 밀접한 기술과 행동을 습득할 때 사회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마찬가지로 직장 학습 문헌에서는 업무 활동 참여가 학습과 역량 유지의 풍부한 원천이자 근로자가 조직의 규범, 문화 및 가치에 참여하면서 교양과 사회화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Billet, 2009). 따라서 이러한 상호작용이 학습 경험에 어떻게 그리고 왜 기여했는지를 더 잘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Learning experiences refer to any interactions, whether in traditional academic settings or non-traditional outside of school settings, in which learning can occur. These interactions arise through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the personal and the social world, mediated by forces of nature like maturation. It is through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construed world of the individual and the physical and social world that learning occurs. This implies that we will need to understand the values of the individual and how that has affected the way the social world has been engaged with, for us to be able to grasp its significance on how adaptive experts develop (Billet, 2009). In situated learning theory, great emphasis is placed on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to build understanding (Lave & Wenger, 1991). This social focus of education allows learning to take place through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learners pick up skills and behaviours synonymous with the community they are members of. Likewise, workplace learning literature identifies participation in work activities as a rich source of learning and maintenance of competence, as well as enculturation and socialisation as workers engage with organisational norms, culture and values (Billet, 2009). It is therefore of utmost importance to better appreciate how and why such interactions have contributed to learning experiences.

[학습 경험]은 의학 내 여러 전문 분야에 따라 다르며, 실제로 부서 또는 기관의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노인의학은 복잡하고 허약한 노인을 다학제적으로 치료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Ellis & Sevdalis, 2019). 노인의학 전문의는 허약한 노인의 여러 동반 질환, 허약 및 기타 증후군과 얽힌 복잡한 질병을 관리하도록 훈련받았습니다(Lester et al., 2019). 또한 복잡성의 행동 및 심리사회적 원인을 고려하지 않고 질병 중심적 접근 방식만을 채택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Safford, 2015). 따라서 노인의학 전문의가 점점 더 복잡해지는 치료 환경에서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복잡한 사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응적 전문성이 필요합니다(Cutrer 외., 2019).

Learning experiences vary across different specialties within medicine, and indeed,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culture of a department or institution.

  • The practice of geriatric medicine emphasises the interdisciplinary care of complex frail older adults. (Ellis & Sevdalis, 2019). Geriatricians are trained to manage complex illnesses intertwined with multiple comorbidities, frailty and other syndromes in frail older adults (Lester et al., 2019). In addition, it is inadequate to adopt a solely disease-centric approach without considering the behavioural and psychosocial sources of complexity (Safford, 2015). Adaptive expertise is thus required for geriatricians to manage complex cases in increasingly complex care environments with innovative approaches (Cutrer et al., 2019).

의료 전문 분야의 적응형 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지식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Mylopoulos and Regehr, 2007; Varpio 등, 2009; Kawamura 등, 2014), 사전 지식이 향후 진료에 어떻게 기초가 되는지(Cristancho 등, 2013; Mylopoulos & Scardamalia, 2008; Mylopoulos 등, 2012) 조사해왔습니다. 반면에 상호작용과 관계가 적응형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지식의 습득과 후속 해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습니다.
Research on adaptive experts in medical specialties have examined ways knowledge can be constructed (Mylopoulos and Regehr, 2007; Varpio et al., 2009; Kawamura et al., 2014) and how prior knowledge is foundational for future practice (Cristancho et al., 2013; Mylopoulos & Scardamalia, 2008; Mylopoulos et al., 2012). In contrast, not much is known about how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have influenced the acquisition and subsequent interpretation of such knowledge to develop into an adaptive expert.

본 연구는 임상에서 복잡한 급성 질환을 앓고 있는 허약한 노인을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3차 병원에서 근무하는 노인의학 전문의의 학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는 개인 내, 개인 간, 조직 수준에서의 상호작용이 적응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조사했습니다.
Our study sets out to understan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geriatricians practicing in a tertiary hospital who regularly manage complex acutely unwell frail older persons in their clinical practice. We examined how interactions at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levels helped shape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방법
Methods

연구 개요
Overview

본 연구는 참여자의 다양한 현실을 인정하는 해석주의 존재론에 기반한 탐색적 질적 연구입니다(Crotty, 2003). 인식론적으로 본 연구는 연구자와 참여자 간에 의미가 공동 구성되는 사회 구성주의적 입장을 채택합니다(Ng et al., 2019a, 2019b). 이 연구는 노인의학 분야에서 적응형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여정에서 참가자들의 학습 경험을 탐구합니다. 데이터는 참가자들과 16회의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반사적 주제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습니다(Braun et al., 2019; Terry et al., 2017). 
This is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interpretivist ontology which acknowledges diverse realities of participants (Crotty, 2003). Epistemologically, the study employs a social constructivist stance, where meaning is co-constructed between researchers and our participants (Ng et al., 2019a, 2019b). The study explores the learning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ir journey to becoming adaptive experts in the field of geriatric medicine. Data was collected from 16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analysed via reflexive thematic analysis (Braun et al., 2019; Terry et al, 2017).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참가자들이 노인의학에 대한 임상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목적적 샘플링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대다수(n = 14)는 싱가포르에 있는 두 병원의 수석 컨설턴트 노인의학 전문의였으며, 이들은 국립 의료 그룹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교수진으로 임명되었습니다. 두 명의 참가자는 노인의학을 전공한 지 5년이 채 되지 않은 준컨설턴트였습니다. 이미 해당 분야에서 전문가로 인정받은 선배 동료들과 달리, 아직 적응형 전문성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는 참가자들의 관점을 포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후배 노인의학자들을 표본으로 선정했습니다.
A purposive sampling strategy was employed to ensure participants were recognised for their clinical expertise in geriatric medicine. The majority (n = 14) were senior consultant geriatricians in two hospitals in Singapore, who were appointed as faculty members in the National Healthcare Group Residency Programme. Two participants were associate consultants who had been practicing geriatric medicine for less than five years. We intentionally sampled junior geriatricians to capture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who were still on the journey towards developing adaptive expertise, in contrast to their senior colleagues who were already acknowledged as experts in the field.

연구팀(JK, WSL, WT)은 전문가들이 임상적으로 복잡하고 새로운 사례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관리 전략은 무엇인지, 어떤 경험을 통해 이러한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는지 등에 초점을 맞춘 인터뷰 일정을 개발했습니다. 참가자들에게 이 연구가 적응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여정을 연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시적으로 알리지 않았습니다. 대신 참가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복잡성이나 참신성이 포함된 사례 한두 가지를 떠올리게 한 다음, 이러한 사례를 복잡하게 만든 요인을 설명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으로 인터뷰를 시작했습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에게 그러한 사례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그 후, 참가자들은 i) 사례의 복잡성에 기여한 요인을 파악하고, ii) 복잡하거나 새로운 사례를 관리하는 능력을 어떻게 개발했는지 공유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연구팀은 반구조화된 인터뷰 접근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반복적 분석을 기반으로 인터뷰 일정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인터뷰 담당자는 기억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참가자의 경험과 관련된 추가 구체성과 세부 사항을 장려하기 위한 프로브를 사용했습니다.
The study team (JK, WSL and WT) developed an interview schedule focused on how experts recognized clinically complex and novel cases, strategies for management, and how the experiences that these experts had allowed them to develop this expertise. It was not explicitly informed to the participants that the research was studying their journey into becoming an adaptive expert. Instead, the interview started by asking participants to recall one or two cases that involved a high level of complexity or novelty, and then asking them to delineate the factors that made these cases complex. Participants were then asked about their strategies for managing such cases. Thereafter, they were asked to share how they developed the ability to i)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complexity of a case; ii) manage a complex or novel case.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approach enabled the study team to develop the interview schedule based on iterative analysis of the data; in addition, the interviewers used probes to encourage additional specificity and detail related 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order to guard against recall biases in the recounting.

이 연구는 국립보건의료원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DSRB 번호 2018/00166). 모든 인터뷰는 개별 참가자(JK 또는 WT)와 직접 대면하여 진행되었으며 최대 1시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모든 인터뷰는 오디오 녹음에 앞서 동의를 구하고 그대로 필사했습니다. 인터뷰 데이터는 인터뷰 담당자가 참가자에 대한 인상과 가능한 가정, 인터뷰 진행 경험을 기록한 현장 메모로 보완되었습니다.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t National Healthcare Group (DSRB no 2018/00166).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dividual participants (by either JK or WT), in-person and lasted up to 1 h in duration. All interviews were consented prior to audio-recording and were transcribed verbatim. Interview data was supplemented by field notes taken by the interviewers that noted their impressions and possible assumptions about the participants, and their experiences of conducting the interviews.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참가자들이 노인의학에 대한 적응적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데이터는 Terry 외(2017)의 6단계에 따라 연구 질문을 고려하여 귀납적 주제 분석을 사용하여 귀납적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 접근법은 전체 데이터 세트에서 패턴을 식별하는 동시에 이론에 기반한 데이터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Because we were interested in the meanings that participants attributed to the experiences that helped them develop adaptive expertise in geriatric medicine, data was inductively analysed using reflexive thematic analysis, guided by the 6 steps outlined by Terry et al. (2017), and with consideration of our research questions. This approach was chosen as it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patterns across our entire data set, while also allowing for a theoretically-informed interpretation of the data.

  • 첫 번째 단계는 데이터에 익숙해지는 것으로, JK와 WT는 인터뷰 내용을 다시 읽고 메모하면서 데이터에 몰입했습니다.
  • 그런 다음 JK와 WT는 귀납적으로 코딩하고 Microsoft Word 또는 Excel을 사용하여 관련 텍스트 구절을 설명 코드로 강조 표시했습니다.
  • 저자들은 독립적으로 코딩을 진행하여 다양한 코드를 생성했으며, 이후 정기적으로 만나 코드를 검토하고 토론했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 경험을 형성한 개별 사례와 같은 의미론적(명시적) 수준에서 코드를 생성하는 것 외에도 학습 경험이 구성되는 암묵적 방식(예: '시간'이 두 가지 방식으로 참조되는 방식)을 탐색하여 잠재적(숨겨진) 수준에서 데이터를 코딩하기도 했습니다.
  • 코딩이 끝나면 팀 전체가 후보 테마를 개발, 테스트 및 검토하는 협업 프로세스를 시작했습니다.
  • 이 과정은 코딩된 추출과 전체 데이터 세트에 걸쳐 새로운 테마가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인터뷰로 돌아가 반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마지막 단계(보고서 작성)에서는 연구 질문, 코딩된 추출 및 생성된 테마의 정의를 다시 검토하고 데이터와 문헌을 연결하는 작업을 거쳤습니다.
  • The first step involved familiarisation of the data, where both JK and WT immersed themselves in the data, re-reading and making notes on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 Both JK and WT then coded inductively, using Microsoft Word or Excel to highlight relevant passages of text with a descriptive code.
  • The authors coded independently, generating a diversity of codes, and thereafter met regularly to review and discuss codes. In addition to generating codes at the semantic (explicit) levels, for example: individual practices that shaped learning experiences, they also coded data at the latent (hidden) level, exploring implicit ways in which the learning experiences were constructed (for example “time” being referenced in two distinct ways).
  • Following coding, the entire team began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developing, testing and reviewing candidate themes.
  • This was an iterative process that involved returning to the interviews to test if the emerging themes worked in connection with the coded extracts as well as across the entire data set.
  • The final step (producing the report) involved revisiting the research questions, coding extracts and definitions of themes generated, as well as making connections between the data and literature.

엄격함
Rigour

연구팀은 연구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Terry 외(2017)에 설명된 6가지 단계를 준수했습니다. 원본 오디오 파일과 구성원 확인을 통해 녹취록을 확인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했습니다. 연구자 삼각측량에는 JK와 WT가 모두 참여했습니다: 각자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코딩하는 한편, 함께 모여 데이터에 대한 소감을 논의했습니다.
To ensure the quality of our study, the study team adhered to the six steps outlined in Terry et al. (2017). Data accuracy was ensured by checking transcripts with original audio files and member checking. Both JK and WT engaged in researcher triangulation: while each coded the data independently, they also met together to discuss their impressions of the data.

잠재적 편견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데이터를 검토하고, 인터뷰 질문의 개발을 반복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전체 연구팀원 간의 정기적인 회의는 반성적 참여에 중요했습니다. 데이터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인터뷰에 인터뷰 일정을 사용했으며, 질문이 수정될 때마다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 
Regular meetings among the entire study team members were important for reflexive engagement to challenge interpretations that could arise from potential biases, to examine data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to iteratively guide development of the interview questions. To maintain credibility of the data, an interview schedule was used for all interviews, and updated regularly as questions were revised.

연구팀은 의학교육 연구 경험과 역할이 있는 2명의 노인의학 전문의(JK, WSL)와 1명의 연구자-행정가(WT)로 구성되었습니다. 노인의학 전문의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팀은 참가자에게 접근할 수 있었지만, 그들의 관점이 데이터 해석에 편견을 갖지 않도록 그들의 입장과 가정을 지속적으로 비판적으로 고려했습니다. 
The study team comprised 2 geriatricians (JK and WSL) and a researcher-administrator (WT), all with experience and role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The experience of the geriatricians afforded the study team access to the participants, but their positions and assumptions were constantly and critically considered to ensure that their perspectives did not bias interpretations of the data.

결과
Results

싱가포르의 두 주요 병원에서 총 16명의 노인의학 전문의가 연구에 참여했습니다(표 1). 이들 중 대다수(n = 9)는 10년 이상의 노인병 전문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참가자 중 2명은 경력이 상당히 짧은(5년 미만) 노인의사였습니다. 연구팀은 학습 여정에서 적응 전문 지식을 적극적으로 습득하고 있는 임상의의 상호 보완적인 관점을 포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력이 짧은 두 노인의학 전문의의 통찰력을 포함시켰습니다.
A total of 16 geriatricians from two major hospitals in Singapore participated in our study (Table 1). While majority (n = 9) of them ha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geriatricians, two of the participants had considerably less experience (less than 5 years). The study team included the insights of these two relatively junior geriatricians in order to capture the complementary perspectives of clinicians who were actively acquiring adaptive expertise in their learning journey.

주제별 분석 결과, 학습 경험은 적응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여정에서 두드러진 사건과 영향력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 '모르는 것을 안다는 것'의 핵심을 뒷받침하는 세 가지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i) 사람 중심의 케어 정신,
  • (ii) 호기심을 갖는 자세,
  • (iii) 탐구하는 조직 문화의 만들기 (표 2).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at learning experiences were conceptualised as salient events and influences in the journey towards becoming an adaptive expert. Underpinning the core essence of ‘knowing that you don’t know’ are the 3 main themes of:

  • (i) Anchoring ethos of person-centric care,
  • (ii) Enabling stance of being curious, and
  • (iii) Scaffolding organisational culture of inquiry (Table 2).

노인의학 분야의 적응형 전문가 정의: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
Defining the adaptive expert in geriatric medicine: ‘knowing that you don’t know’

참가자들은 노인의학 적응적 전문가의 특징을 자신의 역량 범위를 넘어서는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통찰력으로 설명했습니다. '자신이 몰랐던 것을 알고 있다'는 인식은 사례에 대한 실질적인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문제의 틀을 짜기 위한 서곡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전문 지식을 가진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하는 일이 종종 포함되었습니다.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일반적인' 사례와 '새로운' 사례 또는 더 복잡한 사례를 구별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병력을 따르지 않거나 예측할 수 없고 언뜻 보기에 드러나지 않을 수 있는 모호한 궤적을 가진 사건이 포함됩니다.
The defining feature of an adaptive expert in geriatric medicine was described by participants as the insight to recognise situations which transcend their circle of competence. This awareness that ‘they knew that they didn’t know’ was the prelude towards framing the issues to put together a work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for the case, which often involved seeking assistance from others with the necessary expertise. A critical first step involved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a ‘usual’ vis-a-vis a ‘novel’ or more complex presentation. This typically involves a case that does not follow the usual history, or with an ambiguous trajectory that is unpredictable and may not reveal itself at first glance.

일반적인 것을 많이 본다면 어떤 것이 비정형적인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겠죠. 프레젠테이션에서 일반적인 범주에 깔끔하게 들어맞지 않는 비정형적인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그때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I3)
I mean if you see a lot of what's conventional, right, you would straightaway recognise what is unconventional. What is atypical in the presentation that doesn't fit neatly into the usual categories? And that's when you need to recognise that you need help. (I3)

전문가들은 복잡하거나 새로운 케이스로 전문성의 경계에서 수술할 때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다양한 관점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삼각 측량해야 하며, 그 후에도 새로운 정보에 따라 계획을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이렇게 새로운 지식을 기존 계획에 지속적으로 통합하면 전문 지식의 경계가 효과적으로 확장되어 '자신이 모르는' 영역이 줄어들게 됩니다. 
The experts recognised that when they were operating at the boundaries of their expertise with a complicated or novel case, they needed to gather and triangulate inform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before formulating a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following which, they needed to constantly review their plans in accordance with new information. This constant integration of new knowledge into their current plans would then effectively extend their boundaries of expertise, thereby diminishing the areas where ‘they knew they did not know’.

[복잡한 사례를 인식하고 진단을 내리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 경험에 대한 질문에 전문가들은 주제 표에 요약된 다양한 두드러진 경험을 설명했습니다(표 2).
When asked about the experiences that helped shaped and developed their ability to recognize, formulate a diagnosis and initiate a treatment plan for a complex case, the experts articulated a range of salient experiences, which are summarised in the table of themes (Table 2).

주제 1: 사람 중심 치료의 정착 정신
Theme 1: Anchoring ethos of person-centric care

이전 연구에서는 적응 전문가가 자신이 처한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할 때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언급했습니다(Regan et al., 2022). 마찬가지로, 한 참가자가 공유한 바와 같이, 환자를 생물의학적 영역을 넘어선 총체적인 방식으로 바라보는 것이 학습 여정의 닻 역할을 했습니다: "환자를 의학적 관점뿐만 아니라 기능적, 사회적 관점에서도 바라보는 것이 전체 임상적 판단의 틀을 형성합니다."(I14). 이러한 사람 중심의 진료 정신은 전문성을 개발하는 학습 경험의 근간이 되며, 학습 여정 전반에 퍼져 있습니다. 
Previous studies allude to the impact on self as the adaptive expert interact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in which one is situated (Regan et al., 2022). Similarly, as one participant shared, viewing the patient in a holistic manner beyond the biomedical domain functioned as an anchor of their learning journey: “see(ing) the patient not only from the medical perspective but also the functional and social perspective, and that moulds the entire clinical judgment” (I14). This ethos of person-centric care undergirds and pervades their learning experience of developing expertise.

하위 주제: 가치의 가치
Subtheme: The value of values

환자에 대한 책임감이 학습 과정을 주도하고 따라서 전문성 개발의 토대를 마련한다고 제안되었습니다(Regan 외., 2022). 전문가들은 공감과 같은 가치가 사람 중심 치료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공유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공감과 같은 가치가 어떻게 환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경쟁적인 정보 출처에 직면하여 의사결정을 촉진하며, 복잡한 환자를 관리할 때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지 설명했습니다: ""(공감은) 우리 자신과 환자의 필요를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환자에 대한 접근 방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환자를 위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혼란 속에서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I13). 
It has been suggested that responsibility towards patients drives the learning process and hence sets the foundation for expertise development (Regan et al., 2022). The experts shared how values like empathy helped lay the groundwork for person-centric care. One participant explained how values like empathy enabled him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patients, facilitated sense-making in the face of competing sources of information and guided prioritisation in the management of complex patients: ““(Empathy) helps us shape our approach to the patients, based on understanding ourselves and the needs of the patients …This helps us prioritise and organise (in) the chaos of information that we have for the patients.” (I13).

공감 능력 외에도 자기 인식자기 통제력은 전문가를 차별화하는 특징입니다. 전문가들은 감정의 영향(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을 인식하여 균형을 유지하고 감정이 임상적 판단을 흐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공감조차도 때때로 절제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의사도 감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균형 잡힌 사람이 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감하고 동정할 수는 있지만... 너무 많이 공감하면 판단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너무 적게 공감하면 잘못된 결정을 내릴 것입니다." (I4) 또 다른 참가자는 절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때때로 지나치게 'gung-ho'를 부리면 실제로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항상 절제와 자제력을 통해 절제해야 합니다." (I11).
Beyond empathy, self-awareness and self-control are defining features which set the expert apart. The experts articulated the importance of recognising the impact of emotions (both positive and negative) such that one is able to strike a balance and not let emotions cloud one’s clinical judgment. One participant elaborated on how even empathy had to be sometimes kept in check: “I think being a balanced person is very important because doctors have feelings too… we can empathise and sympathise, but … when we empathise too much, our judgment will not be correct. If we empathise too little, we'll make the wrong decision.” (I4) Another participant articulated how temperance was important: “Sometimes if you're too 'gung-ho', then you might actually harm the patient. So it has always got to be tempered by temperance, by self-control.” (I11).

공감과 자제력 외에 전문가들이 꼽은 사람 중심의 치료를 위한 노력으로는 올바른 판단력도 있었습니다. 이는 [숙련된 의학적 지식의 습득이나 다른 동료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식과 실제적인 이해를 통해 깊은 통찰력의 풍부한 관점을 도출]하기 위해, 건전하고 분별력 있는 방식으로 숙고하고 통합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In the endeavour for person-centric care, besides empathy and self-control, good judgment was also cited by the experts. It refers to the ability to contemplate, integrate and act in a sound and discerning manner not just through the attainment of consummate medical knowledge or garnering the inputs of other colleagues, but also invoking common sense and practical understanding to yield the rich perspectives of deep insight.

우리는 사람들의 의견에만 의존하지 않고 판단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네, 항상 판단력을 발휘하고 그것이 우리 자신의 추론과 의사 결정에 부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I9)
We need to exercise judgment and not just fall back on the opinion of people. Yeah, I think we always need to exercise judgment and see if it fits with our own line of reasoning and decision-making. (I9)

주제 2: 호기심을 갖는 자세를 갖자
Theme 2: Enabling stance of being curious

전문가들은 지속적인 학습을 위한 핵심 속성으로 호기심을 언급했습니다. 실제로 한 참가자는 "이러한 호기심이 실제로 학습을 훨씬 더 잘하게 만든다"고 말했습니다(I1). 이들에게 호기심은 자신의 업무를 넘어 질문을 하고, 사례를 찾아보고, 배움에 대한 열린 자세를 갖도록 동기를 부여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아주 '궁금한' 것이 보이면 가서 읽어야 합니다...... 호기심은 매우 중요합니다. 모르면 가서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I12).
The experts mentioned curiosity as a key attribute for continual learning. In fact, one participant commented that “this curiosity actually makes them learn much better” (I1). For them, curiosity motivated them to go beyond one’s work tasks, asking questions, reading up on cases and thereby being open to learning. As one participant shared, “if I see something very ‘curious’, I have to go and read…. curiosity is very important. If you don't know, better go and read.” (I12).

좋은 태도를 가지고, 평범함에서 벗어날 준비를 하고,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하고, 항상 환자를 생각하고, 의학 지식과 임상 지식을 추가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I2).
You have to have a good attitude, be prepared to go out of the ordinary, be curious to ask questions, always thinking of the patient, and trying to add on to medical knowledge and clinical knowledge. (I2).

이러한 호기심은 "모든 사람이 모든 것을 아는 것은 아니므로 항상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겸손함에도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I3). 불확실한 상황을 관리할 때 분야 안팎의 동료와 선배에게 도움을 구할 때 겸손은 특히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막히면 해당 분야의 전문가나 동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중요합니다."(I15) 동료 및 선배와의 상호작용은 학습에 도움이 되는 호기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This curiosity was also grounded in humility – acknowledging that “not everyone knows everything, so there is always a lack of knowledge” (I3). In the management of uncertain situations, humility was especially important as they sought help from peers and seniors, both within and outside the discipline: “But if you're stuck, it's also important to ask the specialist of the area or your colleague for help” (I15) The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and seniors generated curiosity which aids in the learning.

전문가들은 일부 학습자들은 타고난 호기심도 있지만 호기심을 키워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시니어 노인의학자로서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I3) 다른 참가자(I15)는 "어떤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개방적이고 호기심이 많으며, (그리고) 무언가를 정리하기로 결심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보여줘야 하고 연습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속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자세로서의 호기심[성찰의 연습과 학습자의 성숙과 발전을 위한 시간을 허용함으로써 길러질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The experts elaborated that while some learners were naturally curious, curiosity should also be nurtured. One participant felt that as senior geriatricians, “we have to stir up the curiosity.” (I3) Another participant (I15) shared that “some people are just naturally open, curious, (and) determined to put things together. Others need to have it demonstrated and they need to practice.” The experts felt that curiosity as a stance enabling continuous learning could be nurtured through the practice of reflection and through allowing time for the maturation and development of learners.

하위 주제: 성찰의 실천
Subtheme: The practice of reflection

호기심을 근간으로 하는 적응 전문가 학습 경험의 핵심 요소는 성찰의 실천입니다(Mahant 외., 2012; Mylopoulos 외., 2011). 참가자들은 개인 진료에 대한 성찰이 환자를 위한 관리 결정을 내리고 개선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성찰이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통합하고 통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임상 관리에서 측정된 의사결정을 촉진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세세하게 관리하면 중요한 것을 놓칠 수 있지만...... 조감도를 찍으면 세부 사항을 놓칠 수 있고, 따라서 관리가 적절하지 않거나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스스로 보정해야 합니다." (I9).
With curiosity as the bedrock, a key element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adaptive experts is the practice of reflection (Mahant et al., 2012; Mylopoulos et al., 2011). Our participants commented on how reflecting on their personal practice helped inform and improve management decisions for their patients. One participant explained how reflection facilitated measured decisions in clinical management by providing a platform to consolidate and integrate input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f I were to micro-manage I might miss important things….yet if I (take a) birds’ eye view, I might miss details and therefore management may not be appropriate or adequate — so I have to calibrate myself.” (I9).

하위 주제: 시간의 이점
Subtheme: The benefit of time

많은 전문가들이 자신의 전문성 개발 여정을 되돌아보고 시간이 전문성 개발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이들은 시간을 두 가지 측면에서 이야기했습니다. 첫째, 소중한 재화로서의 시간. 한 참가자는 복잡한 케이스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정보를 수집하고, 반복적으로 처리하고, 생각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업무에서 시간을 따로 떼어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특정 시점에 전체 그림을 다시 봐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심지어 전체 그림을 다시 보기 위해 몇 번씩 돌아가야 할 수도 있습니다."(I5).
Many of the experts reflected on their journey of expertise development and shared the impact that time had in their development. They spoke of time in two ways: firstly, time as a precious commodity. As one participant elaborated, setting aside time within the daily grind was necessary to gather information, iteratively process and think through the uncertainties surrounding a complex case, “I find myself having to relook the whole picture at certain points in time….I may even have to go back a few times to look at the whole picture again “ (I5).

하지만 바쁜 임상 일정 속에서 시간을 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시간 부족이 학습에 얼마나 큰 제약이 되는지 언급하며 "병동 회진은 비즈니스 회진과 같습니다. 3시간까지 모든 환자를 끝내야 하고 그 이후에는 다른 일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일을 제대로 하려면 시니어 레지던트들을 데리고 복잡한 케이스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함께 앉아서 진행해야 합니다. 시간이 없습니다." (I10).
However, finding time within the busy clinical schedule was a challenge. One participant commented how the lack of time was a critical constraint when learning, “The ward round is like a business round. We need to finish all the patients by three hours, after that we have other things to do. So, if you really want to do this properly, you need to bring the senior residents through those complex cases, sit down and go through each case with them. And we don't have time.” (I10).

전문가들이 시간에 대해 이야기한 두 번째 방식은 임상 성숙 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임상의가 임상 경험을 점진적으로 축적하여 성숙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다년간 다양한 케이스에 노출되며 쌓은 임상 경험을 통해 보다 총체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방식으로 진료할 수 있었다고 회고했습니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많은 지식과 과학에 대한 교육을 받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생 여정이 진행되고 더 많은 경험을 쌓기 시작하면서 과학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바뀌었습니다." (I13).
The second way in which the experts spoke about time was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clinical maturity: the passage of time was needed for clinicians to mature through gradual accumulation of their clinical experience. A participant reflected that clinical experiences, accumulated through many years of exposure to a wide variability of cases, enabled him to practice in a more holistic and patient-centred manner: “when we first started, we were trained with a lot of knowledge and a lot of science…But over time as our life journey progresses and we start to accumulate more experience, then I adjusted away from (being) science-focused to person-focused.” (I13).

주제 3: 탐구하는 조직 문화 발판 마련하기
Theme 3: Scaffolding organisational culture of inquiry

참가자 중 일부는 임상 전문가일 뿐만 아니라 행정 리더이기도 했습니다(표 1). 이들은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적응형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호기심, 질문하기 등 개인 차원의 특성과 습관뿐만 아니라 탐구와 학습을 촉진하는 조직 문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심리적 안정과 멘토링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Some of the participants were administrative leaders, in addition to being clinical experts (Table 1). Drawing on their administrative experience, they highlighted that the learning experience of an adaptive expert required not only individual-level attributes and habits (such as curiosity, asking questions) but also a supportive organisational culture which fostered inquiry and learning. In particular, they mentioned the critical roles played by psychological safety and mentoring.

하위 주제: 심리적 안전의 문화
Subtheme: The culture of psychological safety

조직의 탐구 문화는 신뢰와 심리적 안전이 유지되는 환경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적응형 전문가의 학습 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심리적 안전이란 대인 관계에서 위험을 감수하기에 주변 환경이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Edmonson, 1999). 한 참가자는 복잡한 사례에 대한 토론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안전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토론할 수 있는 개방성, 확실하지 않은 사례에 대해 안심하고 토론할 수 있다는 느낌, 이 모든 것이 동시에 자신감을 키울 수 있습니다." (I8) 또 다른 참가자는 그렇게 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비난이 아닌 배움에 중점을 두는 것이 전문가가 취약한 부분을 드러내고 판단받지 않는 안전한 대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처벌적이지 않은 환경이 필요합니다... 처벌적 문화는 방어적인 문화를 만들 것입니다. 토론은 비판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학습을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 때때로 우리는 그 사람을 비판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매우 어렵지만, 사건에 대해 안전하게 토론할 수 있는 환경이 정말 필요합니다." (I11). 
An organisational culture of inquiry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learning experience of adaptive experts by facilitating meaningful interactions in an environment which maintains trust and psychological safety. Psychological safety refers to a person’s sense that the immediate environment is safe for interpersonal risk-taking (Edmonson, 1999). A participant highlighted that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is important to encourage discussions about complex cases: “Having an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safety – that really helps a lot. Openness to discuss, feeling safe to discuss cases that you're not sure of – all these can build up confidence at the same time.” (I8) Another participant commented that while it was challenging to do so, placing emphasis on learning and not blame was critical to creating a safe environment for conversations whereby the expert could be vulnerable and not be judged: “You need an environment that is not punitive…a punitive culture will create a defensive culture. Understanding that discussion is for learning and not for criticising. …sometimes we find it very difficult because it seems that we are criticising the person, but we really need an environment that we feel safe to discuss a case.” (I11).

하위 주제: 멘토링 문화
Subtheme: The culture of mentoring

전문가들은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임상적 통찰력을 공유하고 전문성 개발에 필요한 기대되는 규범과 행동을 역할 모델링하는 측면에서 멘토가 학습 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선배 임상의가 자신의 관점을 공유함으로써 임상적 결정의 이면에 있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저는) 선배들을 관찰하고 (사례) 관리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공유하면서 배웠습니다..... 누군가가 공유하면 그들이 생각하는 방식이 이런 것이구나, 왜 특정 일을 하는지 알게 되거든요....... 그래서 선배들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면 도움이 됩니다." (I9). 
The experts mentioned that mentors play a crucial role in their learning experiences, both in terms of sharing clinical insights to help develop expertise and in role modelling expected norms and behaviour needed for expertise development. A participant elaborated that having senior clinicians share their perspectives allowed him to understand the reasons behind their clinical decisions: “(I learnt) from observing my seniors and having them share their thoughts about (case) management…. Because when someone shares, then you realise this is the way they're thinking, why they are doing certain things…. So it helps when seniors share their experience.” (I9).

또 다른 참가자는 지속적인 학습과 개발에 중요한 행동을 모범적으로 보여준 선배 임상의가 어떻게 자신이 전문가가 되는 길에 들어섰는지 공유했습니다: "선배들이 같은 일을 했기 때문에 제가 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XXX 박사님이나 YYY 교수님처럼... 네, 아주 선배 임상의사분들인데, 그분들은 저에게 '매일 특정 교과서의 한 장을 읽는다'고 말씀하시거나 그런 식으로... 그분들이 발전시켜온 습관이고, 저를 포함한 수많은 후배들에게 전수해 주셨어요. 그래서 이 모든 것이 역할 모델링입니다. 컨설턴트가 이런 일을 할 수 있고 가족까지 있다면 우리도 변명의 여지가 없습니다." (I10). 
Another participant shared how senior clinicians who had exemplified behaviours crucial to continual learning and development had set him on the path to becoming an expert himself: “I do what I do because my seniors did the same thing. It's not something that is new… Like Dr. XXX and Prof YYY… Yeah, these are very, very senior clinicians, and they tell me, 'Oh, you know, every day I read… I study one chapter of a particular textbook’, or something like that …It's a habit that they have developed, and they have passed it on to countless other juniors including myself. So, it's all role modelling. If your consultant can do this, and he's got a family and all that, there’s no excuse for us.” (I10).

전문가들은 개별 멘토를 확보하는 것 외에도 멘토링 문화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학습자에게 '발판'이 되어줄 수 있는 선배 의사 풀이 있다면 다양한 전문 지식의 원천으로부터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부서 직원들은 이 사람이 업무를 진행함에 따라 모든 사각지대를 커버하기 위해 그 사람을 '감싸 안아야' 할 것입니다." (I8). 또 다른 참가자는 복잡한 사례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양한 선임 임상의로부터 다양한 관점을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저는) 여러 컨설턴트에게 이 복잡한 케이스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그들의 관점과 제안을 구합니다. 그래서 항상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고 합의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I14).
In addition to having individual mentors, the experts also stressed that fostering a culture of mentoring was equally important. Having a pool of senior doctors who were able to provide support to ‘scaffold’ the learner would enable learning from various sources of expertise: “The department staff will have to “wrap” themselves around this person to cover all their blind spots… as they progress in their work.” (I8). Another participant elaborated that it was important to gather different perspectives from various senior clinicians before reaching a decision on a complex case: “(I ask) different consultants to get their perspectives and suggestions on how to move forward with this complex case. So there's always people that we can turn to and a consensus can be reached.” (I14).

토론
Discussion

이 연구는 개인 내, 개인 간, 조직 수준에서의 상호작용 형태의 학습 경험이 복잡한 노인의학 분야에서 적응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어떻게 기여했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적응 전문가가 보여주는 핵심 철학과 신중한 관행을 명확하게 설명했습니다(Mahant 외., 2012). 본 연구는 3차 병원에서 노인의학 전문가의 학습 경험을 통해 적응적 전문성을 개발하는 과정을 조사함으로써 새로운 증거를 기반으로 합니다. 학습 경험의 핵심은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의 여정으로 설명되었으며, 사람 중심 진료의 정신, 호기심을 갖는 자세, 조직의 탐구 문화 발판이라는 주요 테마로 정교화되었습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learning experiences in the form of interactions at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level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in the complex field of geriatric medicine. Previous research has clearly articulated the core philosophies and deliberate practices which adaptive experts display (Mahant et al., 2012). Our study builds upon the emerging body of evidence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s of geriatrician experts in a tertiary hospital. The core essence of the learning experiences was described as a journey of ‘knowing that you don’t know’, elaborated by the major themes of anchoring ethos of person-centric care, enabling stance of being curious, and scaffolding organisational culture of inquiry.

[환자 중심]은 적응형 전문가의 중요한 특성입니다(Mahant 외., 2012; Mylopoulos 외., 2017). 본 연구에서는 의사가 환자 및 보호자와 상호작용할 때 도출되는 핵심 가치와 사람 중심의 진료를 이끌어내는 핵심 가치를 확립했습니다. 언급된 핵심 가치 중 일부는 공감, 자기 인식 및 자기 통제입니다. 공감은 환자의 고통을 '느끼는' 능력뿐만 아니라 '환자의 입장이 되어보는' 인지적 능력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Reiss, 2010). 공감 능력이 뛰어난 의사는 의료 결과가 개선되고(Mercer 외., 2016; Shanafelt 외., 2002), 직업적 만족도가 더 높습니다(Shanafelt 외., 2012). 참가자들은 환자의 관점을 고려하는 이러한 능력을 아무리 복잡한 사례라도 환자 관리의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핵심적인 이유로 자주 언급했습니다. 공감은 감정 기반 추론의 기초를 형성하며, 공감을 능숙하게 활용하면 의사와 환자를 연결하고 상호 작용에 의미를 부여하여(Ekman & Halpern, 2015) 의료 계획에 대한 참여도를 높여 환자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Ekman & Krasner, 2017). 
Being patient-centered is a valuable trait of an adaptive expert (Mahant et al., 2012; Mylopoulos et al., 2017). Our study establishes the key values elicited as the physician interacts with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nd which drive person-centric care. Some of the core values mentioned are empathy, self-awareness and self-control. Empathy is described as having not just an ability to ‘feel’ with the suffering of the patient but also the cognitive ability to ‘put oneself in the shoes of the patient’ (Reiss, 2010). Physicians with greater empathy have improved medical outcomes (Mercer et al., 2016; Shanafelt et al., 2002) and experience greater professional satisfaction (Shanafelt et al., 2012). This ability to take the perspective of the patient has been frequently cited by our participants as the core reason they are able to set clear prioritie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no matter how complex the case is. Empathy forms the basis for emotion-based reasoning and the skillful utilisation of empathy connects the doctor to the patients and gives meaning to the interaction (Ekman & Halpern, 2015), resulting in better patient outcomes with improved engagement with medical care plans (Ekman & Krasner, 2017).

임상 개입의 이점과 해악을 평가하고 발생하는 도덕적 및 시스템 문제에 따라 관리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서는 절제와 자제력을 적용해야 합니다(Pellegrino & Thomasma, 1993). '현명한' 의사는 환자의 임상적 관찰과 평가뿐만 아니라 환자의 심리사회적 실존적 관심사까지 관리하고 환자가 복잡한 치료 시스템을 탐색하여 그들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참가자들은 절제와 공감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러한 상호 보완적인 관계는 적응 전문가가 치료 필요를 예측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필수적입니다. 적응형 전문가는 근거 기반 지식을 엄격하게 적용하려는 충동을 거부하고 대신 '근거 균형 의학'의 적용을 통해 환자 치료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로 선택합니다(Lim & Ding, 2015). 이를 인지적 자기 조절 과정이라고 하며, 의료 전문가가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는 방법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습니다(Kahlke et al., 2020; Kuhl & Beckmann, 1985). 
The application of temperance and self-control, is required to weigh the benefits and harms in clinical interventions and prioritise management based on moral and systems issues that arise (Pellegrino & Thomasma, 1993). The ‘wise’ physician manages not only the clinical observations and evaluations of the patient but also the psychosocial existential concerns of the patient and helps them navigate through the complex systems of care to fulfill their needs. Our participants articulated that temperance and empathy work synergistically. This complementary relationship is essential for adaptive experts as it prepares them for anticipating care needs and anchors them to what matters most to the patients. The adaptive experts resist the urge to rigidly apply their evidence-based knowledge but choose to shift the focus to what could make a difference to the care of the patient instead through the application of ‘evidence-balanced medicine’ (Lim & Ding, 2015). This is known as cognitive self-regulatory process and has been described to support how health professions translate knowledge into action (Kahlke et al., 2020; Kuhl & Beckmann, 1985).

호기심은 적응형 전문가의 핵심 속성으로 설명되어 왔습니다(De Arment et al., 2013). 호기심은 동료들과 사례를 논의하고 선배에게 도움을 구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키울 수 있습니다. 호기심은 반성적 실천, 비판적 사고, 새로운 지식에 대한 탐구라는 좋은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임상적 추론에 필수적입니다(Redelmeier, 2005). 이러한 메타인지 능력은 적응 전문가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Carbonell 외., 2014; Hayden 외., 2013; Mahant 외., 2012; Mylopoulos 외., 2011; Yoon 외., 2015).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지식을 늘리기 위해 동료 및 선배와의 상호 작용을 유도하는 것은 인식론적 호기심입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인식론적 호기심은 다양성 호기심으로 발전하고, 이는 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와 개방성의 기반이 됩니다. 인식론적 호기심은 적응형 전문가의 특징인 창의적 문제 해결 및 창의적 성과와 관련이 있습니다(Hardy et al., 2017). 
Curiosity has been described as a key attribute of adaptive experts (De Arment et al., 2013). We propose that curiosity is further nurtured through interactions when discussing cases with peers and seeking help from seniors. Curiosity is integral to clinical reasoning (Redelmeier, 2005) as it helps develop good habits of reflective practice, critical thinking and a quest for new knowledge (Shulman et al., 1968). These metacognitive skills have been well-described in previous research on adaptive experts (Carbonell et al., 2014; Hayden et al., 2013; Mahant et al., 2012; Mylopoulos et al., 2011; Yoon et al., 2015). Our research suggests that it is epistemic curiosity that drives the interactions with the peers and seniors to increase their knowledge. Through these interactions, epistemic curiosity further develops to diversive curiosity which is the basis for the interest and openness to novelty. Epistemic curiosity has been associated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performance which are all hallmarks of an adaptive expert (Hardy et al., 2017).

성찰은 '[어떤 신념이나 가정된 지식의 형태]를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와 그 결론]에 비추어 [능동적이고 지속적이며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Dewey., 1910). 성찰은 학습자가 자신의 의료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더 깊은 지식을 생산하도록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Ng et al, 2019a, 2019b). 성찰은 학습자가 '무엇'에 대해 아는 것을 넘어 '왜'를 아는 것으로 나아가는 사고와 추론의 방식입니다(Mylopoulos et al., 2018).
Reflection is defined as ‘active, persistent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any belief or supposed form of knowledge in the light of the grounds that support it and further conclusions to which it tends’ (Dewey., 1910). Reflection aims to transform the learner to produce deeper knowledge that influences one’s practice of medicine (Ng et al, 2019a, 2019b). It is a way of thinking and reasoning that pushes the learner beyond knowing about the ‘what’ to knowing ‘why’ (Mylopoulos et al., 2018).

또한 전문성이 발달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합니다(Kawamura et al., 2014). 교육자는 학습자에게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는 학습자가 사례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자신의 가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때 호기심 어린 성찰을 장려함으로써 호기심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Dyche & Epstein, 2011). 자신과 자신의 역량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검토는 때때로 학습자에게 방향을 잃게 할 수 있지만, 방향을 잃게 하는 딜레마는 혁신적 학습을 촉진합니다(Laros, 2017). 옹호 및 질문과 같은 적절한 피드백 기법을 사용하여 안내할 경우(Loo 외, 2018), 변혁적 학습은 학습자가 복잡한 의료 시스템 내에서 불확실성에 접근할 때 자신의 가정과 신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관점의 전환을 가져옵니다(van Schalkwyk 외, 2019).
In addition, time is required for expertise to develop (Kawamura et al., 2014). Educators need to be mindful to provide learners time to slow down. This helps to nurture their curiosity by encouraging curious reflection, as the learners critically examine their own assumptions as they view the case from another perspective (Dyche & Epstein, 2011). This critical examination of themselves and their competence can sometimes be disorienting to the learner, but a disorienting dilemma catalyses transformative learning (Laros, 2017). When guided with appropriate feedback techniques, for example using advocacy and inquiry (Loo et al., 2018), transformative learning results in perspective transformation as the learner critically reflects on his own assumptions and beliefs as they approach uncertainty within a complex healthcare system (van Schalkwyk et al., 2019).

이번 연구는 개인과 주변 환경을 넘어 조직이 적응형 전문가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합니다. 조직의 문화는 조직 구성원에게 허용되는 행동과 관행에 대해 안내하고 알려주는 가치와 기대에 의해 구성됩니다. 적응적 전문성은 당혹감이나 조롱, 수치심에 대한 두려움 없이 우려와 관점을 표현할 수 있도록 심리적 안전이 보장되고 비난의 문화 대신 학습의 문화가 강조되는 조직을 중요하게 여깁니다(Edmonson, 2018). 심리적 안전에 대한 인식은 임상 전문가가 필요할 때 도움을 구하거나, 현 상황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실수를 처벌받거나 은폐해야 할 범죄로 취급하는 대신 학습의 원천으로 함께 노력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는 등 임상 모호성에 직면했을 때 대인 관계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합니다(Torralba et al., 2020). 활기찬 멘토링 문화도 도움이 됩니다. 적응 전문가들은 학습자에게 어려움을 겪을 때 도움을 구하는 겸손함을 롤모델로 삼을 수 있습니다(Mahant et al., 2012; Mylopoulos & Reghr, 2007). 또한 성찰과 비판적 사고를 통해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도록 자극함으로써 학습자의 호기심을 키우는 데 중요한 멘토링 역할을 합니다. 흥미롭게도, 누구에게 도움을 구할지 결정하는 감각 형성 과정에서 학습자는 접근하기 쉽고 신뢰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에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Hofmann et al., 2009). 종합하면, [심리적 안전]을 중시하고 [멘토링 문화]를 포용하는 학습 조직에서 학습자는 [상호 연결된 지식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창의성과 혁신]을 통해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용기]를 발견함으로써 적응형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여정을 보다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Bransford 외., 2000). 
Beyond the individuals and their immediate environment, our study recognizes the impact of the organisation on the development of an adaptive expert. An organisation’s culture is constituted by values and expectations that guide and inform the members of the organisations about accepted behaviours and practices. Adaptive experts value an organisation where there is psychological safety and an emphasis on a culture of learning instead of a culture of blame, such that concerns and viewpoints can be expressed without fear of embarrassment or ridicule or shame (Edmonson, 2018).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afety provides the scaffold for clinician experts to feel secure enough for interpersonal risk-taking when confronted with clinical ambiguity, be it seeking help when required, questioning the status quo, or having the assurance that mistakes will be worked on together as a source of learning instead of being treated as a crime to be punished or covered up (Torralba et al., 2020). A vibrant culture of mentoring is also helpful. Adaptive experts can role model to learners the humility to seek help when they encounter difficulties (Mahant et al., 2012; Mylopoulos & Reghr, 2007). They also play a critical mentoring role in nurturing curiosity within learners by stimulating them to develop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through reflection and critical thinking. Interestingly, in the sensemaking process when deciding who to seek help from, learners tended to approach those whom they perceive as accessible and trustworthy (Hofmann et al., 2009). Taken together, in a learning organisation which places high premium on psychological safety and which embraces a culture of mentoring, learners can progress more readily in their journey of becoming an adaptive expert through the guided discovery of accessing their interconnected knowledge networks and having the courage to push boundaries through creativity and innovation (Bransford et al., 2000).

참가자들은 학습 경험을 적응형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여정에서 두드러진 사건과 영향력으로 특징지었습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학습자가 참여하는 활동으로서 적응 전문성이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방식에서 벗어납니다(Mylopoulos & Reghr, 2007). 그러나 우리 참가자들은 이 여정 자체가 역동적이라는 것을 인정했고, 그들 스스로도 끊임없이 학습하고 호기심을 갖고 자신의 실천을 성찰하고 있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자신의 경험과 활동에 대해 현재 시제로 이야기하기로 한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었는데, 이는 그들이 이미 '열반의 상태'에 도달한 여행자가 아니라 여전히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여행 중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Our participants had characteris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as salient events and influences in their journey towards developing adaptive expertise. This framing deviates from the way in which adaptive expertise is commonly presented in literature, as an activity that learners engage in (Mylopoulos & Reghr, 2007). However, our participants had also acknowledged that this journey was in itself dynamic, and they themselves were continually learning, being curious and reflecting on their practice. It was significant that many of the experts chose to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activities in the present tense – indicating that they saw themselves as still on the journey to (continually) develop expertise, rather than travellers who had already reached ‘a state of nirvana’. “

이번 연구에는 개업 기간이 5년 미만인 노인의학 전문의 2명만 참여했습니다. 그들은 주로 선배 노인 전문의와 비슷한 견해를 공유했지만, 향후 연구에서 후배 적응 전문가의 학습 경험을 더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횡단면 인터뷰에서는 시간에 따른 성숙의 효과를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또한, 본 연구는 조직 차원의 상호작용과 문화에 대한 조직 리더의 관점이 적응 전문가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권한 있는 위치에 있는 조직 리더의 상호보완적인 관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허약한 노인을 돌보는 데 관여하는 다른 전문가 집단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이번 연구 결과가 의료계를 넘어 다른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요인이 개인, 사회 및 조직 차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의사들 사이에서 의료 전문직 교육에서 선배 임상의는 존경받으며 전문가들은 전통적으로 권위 있는 인물로 간주되어 '체면'을 잃지 않기 위해 '모든 것을 아는' 존경의 겉치장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본 연구에서 적응 전문가의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의 핵심이 덜 적용될 수 있으며, 시니어 임상의가 적응 전문가의 속성을 롤모델로 삼을 수 있는 충분한 심리적 안전성을 갖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라포 관리를 통해 완화될 필요가 있습니다(Hwang et al., 2003). 
Our study comprised only two geriatricians who practiced for less than 5 years. Even though they shared primarily similar views as the senior geriatricians, it is important to further understand the learning experience of junior adaptive experts in future research. Moreover, we were unable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maturation with time in our cross-sectional interviews. In addition, our study would benefit from the complementary perspectives of organisational leaders in positions of authority to ascertain whether their viewpoints with regards to interactions and enculturation at the organisational level are aligned with our adaptive experts. Future research should also study other inter-professional groups involved in the care of frail older persons to ascertain the transferability of our findings beyond the medical profession. Lastly, our study did not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factors on interactions at the personal, social and organisational level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especially amongst doctors, senior clinicians are venerated and experts are traditionally regarded as authoritative figures and often maintain a veneer of ‘know-all’ respectability to avoid ‘losing face.’ In such situations, the core essence of ‘knowing that you don’t know” amongst adaptive experts in our study may be less applicable and may need to be tempered with rapport management in order to provide an environment with sufficient psychological safety for senior clinicians to role model the attributes of an adaptive expert (Hwang et al., 2003).

이번 연구를 종합해 보면 적응형 전문가의 학습 경험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개인 내, 개인 간, 조직 수준에서 발생하며 적응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개인 내 및 개인 간 수준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은 공감, 자제력, 지혜와 같은 덕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의대생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리큘럼에 인문학 및 관련 분야를 통합하는 것을 지원합니다(후쿠야스 외., 2021). 학습 경험에서 호기심의 촉매 효과는 임상의 전문가가 호기심의 자세를 역할 모델링하고 올바른 판단을 바탕으로 디브리핑과 같은 증거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을 통해 학습자와의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여 호기심을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줍니다. 또한 이 연구는 심리적 안전 문화와 멘토링 문화를 구축하여 학습을 지원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적응형 전문성을 개발하는 데 조직이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향후 다른 사회문화적 환경과 전문가 집단에서 학습 경험이 적응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더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Taken together, our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i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an adaptive expert. These interactions occur at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level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Interactions happening at the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levels emphasise the importance of virtues such as empathy, self-control and wisdom, and support the incorporation of humanities and related fields within the curriculum to enhance empathy amongst medical students (Fukuyasu et al., 2021). The catalytic effect of curiosity in the learning experiences affirms the critical role played by clinician experts in role-modeling the stance of curiosity and in optimizing interactions with learners to generate curiosity through the way they provide feedback using evidence-based techniques such as debriefing with good judgment. Our study also highlighte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organisation to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through the provision of an environment that is supportive of learning by building upon the cultur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culture of mentoring. Our study thus paves the way for future research in other socio-cultural settings and inter-professional groups to further explore the impact of learning experiences on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Dec;27(5):1345-1359. doi: 10.1007/s10459-022-10166-y. Epub 2023 Jan 10.

Learning experiences of adaptive experts: a reflexive thematic analysis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Geriatric Medicine, Institute of Geriatrics and Active Ageing, Tan Tock Seng Hospital, 11 Jalan Tan Tock Seng, Singapore, 308433, Singapore. joanne_kua@ttsh.com.sg.

2Group Education, National Healthcare Group, Singapore, Singapore.

3Department of Geriatric Medicine, Institute of Geriatrics and Active Ageing, Tan Tock Seng Hospital, 11 Jalan Tan Tock Seng, Singapore, 308433, Singapore.

PMID: 36626011

PMCID: PMC9859887

DOI: 10.1007/s10459-022-10166-y

Free PMC article

Abstract

Whilst adaptive experts have well-researched beliefs and attitudes towards learning, what is unclear are the interactions that occur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that constitute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practice of geriatric medicine emphasises the interdisciplinary care of complex frail older adults. Our study sets out to understan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adaptive experts in geriatric medicine by examining how interactions at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level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daptive expertise. We conducted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16 geriatricians experts from a tertiary hospital in Singapore. Data were analyzed via reflexive thematic analysis. The core essence of the learning experiences was described as a journey of 'knowing when we do not know', which was characterised by three themes: (i) Anchoring ethos of person-centric care where the experts drew upon their values to develop a holistic view of the patient beyond the medical domain, (ii) Enabling stance of being curious where their curiosity and openness to learning was nurtured through the practice of reflection, and with the benefit of time as a commodity and for development of expertise, and (iii) Scaffolding organisational culture of inquiry where an environment that is supportive of learning is built on the cultur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culture of mentoring. Taken together, our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at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organisational levels i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adaptive experts.

Keywords: Adaptive expertise; Geriatric medicine; Inter-personal; Intra-personal; Learning experiences; Organizational; Reflexive thematic analysis.

매듭 묶기: 임상교육에서 학생의 학습목적에 관한 활동이론분석(Med Educ, 2017)
Tying knots: an activity theory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goals in clinical education
Douglas P Larsen,1 Austin Wesevich,2 Jana Lichtenfeld,3 Antony R Artino Jr,4 Ryan Brydges5 & Lara Varpio4

 

 

소개
Introduction

학습 목표는 종종 자기조절 학습(SRL)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개발됩니다. 예를 들어, 한 순환적 SRL 모델에서 학습자는

  • (i) 목표를 개발하고,
  • (ii)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 (iii) 결과가 목표와 어떻게 일치하는지 성찰하고,
  • (iv) 주기가 다시 시작될 때 오래된 목표를 수정하고 새로운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지를 결정합니다.1

학습자들은 비공식적인 학습 목표를 자발적으로 생성하지만,2,3 전문성 개발에서 SRL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공식적인 서면 학습 목표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었습니다.4-9 이러한 프로그램은 성공과 실패가 엇갈렸으며,4-9 서면 학습 목표가 임상 교육 실무에 어떻게 통합되고 그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Learning goals are ofte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programmes of self-regulated learning (SRL). In one cyclical model of SRL, for example, learners:

  • (i) develop goals;
  • (ii) monitor their performance;
  • (iii) reflect on how outcomes align with their goals, and
  • (iv) determine how old goals should be modified and new ones created as the cycle begins again.1 

Although learners spontaneously generate informal learning goals,2, 3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RL in professional development has led to many formal written learning goal programmes in various education settings.4-9 These programmes have had mixed success,4-9 raising questions about how written learning goals are incorporated into clinical education practice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eir usefulness.

대부분의 학습 목표 프로그램의 이론적 토대는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10 이러한 프로그램의 분석은 대부분 개인의 내적, 인지적 작업에 대한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4-9 이러한 사회인지적 관점은 본 논문에서 연구하는 고빈도 학습 목표 프로그램의 개발의 토대가 되었지만,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떻게 기능하는지 조사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적, 물적, 문화적 영향을 설명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가 필요했습니다. 문화역사활동이론(CHAT)은 개인과 집단의 활동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로서 학습 목표에 대한 분석을 지원했습니다.11-13 
The theoretical underpinning of most learning goals programmes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s,10 and the analysis of these programmes mostly focuses on support of the internal, cognitive work of the individual.4-9 Although this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gh-frequency learning goals programme we study in this paper, we needed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accounted for the human, materi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the programme to investigate how the programme functioned in practic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supported our analysis of the learning goals as materials that play a role in shaping the activities of individuals and groups.11-13

이론적 틀: CHAT과 매듭짓기
Theoretical framework: CHAT and knotworking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은 사람들이 

  • 다면적인 사회적 맥락에서
  • 도구(물리적[예: 임상 노트] 및 상징적[예: 언어])를 사용하여
  • 예상되는 결과(예: 최적의 환자 치료 제공)로 이어지는
  • 특정 목적(예: 역사 기록 기술 개발)을 달성하는 방법에 중점을 둡니다.12-15

목적은 행동의 즉각적인 목적인 반면, 결과는 시스템에서 나오는 결과물입니다. 분업, 규칙 또는 규범, 실무자 커뮤니티도 결과로 이어지는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CHAT 정보 기반 분석은 업무 기반 사회적 맥락을 분석 단위로 사용합니다(즉, 활동 시스템 [그림 1]).14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focuses on

  • how people use tools (physical [e.g. clinical notes] and symbolic [e.g. language])
    in multifaceted social contexts
    to achieve specific objects (e.g. develop history-taking skills)
    that lead to anticipated outcomes (e.g. the delivery of optimal patient care).12-15 

Objects are the immediate purposes of actions, whereas outcomes are the products that emerge from the system. Divisions of labour, rules or norms, and the community of practitioners also influence the actions that lead to outcomes. To understand these systems, CHAT-informed analysis uses the work-based social context as the unit of analysis (i.e. an activity system [Fig. 1]).14

업무 환경에서는 결과outcome가 겹칠 수 있고 일치해야 합니다. 문제는 완전한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시스템 내 개인이 객체를 하나 이상의 결과와 어떻게 일치시킬 수 있는지 협상할 때 [서로 경쟁하는 목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6-18 [잘못 정렬된 결과]는 종종 활동 시스템 내에서 긴장과 모순을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

  • 의대생은 의사로서의 진단 능력(결과)을 개발하기 위해 특정 신체 검사 기술(목표)을 개발하고 싶지만, 환자(최적의 환자 치료라는 다른 바람직한 결과와 일치하는 경쟁 목표)에게 실습을 함으로써 불편을 주고 싶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시에, 학생은 주치의에게 자신의 신체 검사 능력을 입증하여 높은 성적(또 다른 바람직한 결과)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에는 종종 새로운 행동 방식이나 새로운 대상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예를 이어가자면,

  • 주치의는 학생의 술기(대상)를 판단하는 것에서 벗어나 학생의 술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환자를 찾아내어 그 환자에게 실습을 허락하도록 요청하는 새로운 대상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주치의의 새로운 행동(학생의 환자 식별을 돕는 것)은 학생에게 새로운 행동(신체 검사 술기를 연습할 기회 증가)으로 이어집니다.

In work settings, outcomes can and should overlap and be congruent. Problematically, full alignment is often not achieved. This situation can lead to competing objects as individuals in the system negotiate how objects can be aligned with one or more of the outcomes.16-18 Misaligned outcomes often caus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within the activity system. For instance,

  • a medical student may want to develop a specific physical examination skill (object) in order to develop her diagnostic abilities as a physician (outcome), but she does not want to inconvenience patients by practising on them (a competing object aligned with the alternative desired outcome of optimal patient care). At the same time, the student may feel compelled to find ways to demonstrate her physical examination competence to the attending physician so that she can secure a high grade (another desired outcome).

Ofte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se contradictions requires new ways of acting or the development of new objects. To continue our example,

  • the attending physician may shift from judging the student's skills (object) to the new object of helping the student to practise her skills by identifying willing patients and asking their permission for the student to practise with them. The attending physician's new action (helping the student to identify patients) leads to new actions for the student (increased opportunities to practise physical examination skills).

이러한 과정을 확장 학습이라고 하며 새로운 행동 방식을 통해 활동 체계의 긴장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14, 17 우리는 이 학습의 정의를 사용하여 [공식적이고 문서화된 학습 목표]가 학습자와 감독자의 업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했습니다.
This process is referred to as expansive learning and allows tensions in the activity system to be resolved through new ways of acting.14, 17 We used this definition of learning to understand how formal, written learning goals affect the work of learners and their supervisors.

복잡한 환경에서 역동적이고 변화하는 긴장을 포착하기 위해 CHAT 연구자들은 사람과 도구가 함께 새로운 방식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매듭짓기 은유]를 개발했습니다.17, 18

  • 매듭에서 시스템의 각 요소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수렴하여 궁극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실]입니다.
  • 매듭의 형성은 종종 도구에 의해 매개됩니다. 경쟁하는 물체의 힘매듭을 잡아당기고 긴장시키기 때문에 매듭의 형성은 종종 미약하며 실을 빼거나 추가할 때 풀릴 수 있습니다.

우리는 경쟁하는 물체와 잘못된 결과로 인해 긴장된 약한 매듭이라는 개념을 통해 서면 학습 목표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볼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 조사에서는 CHAT과 매듭짓기를 사용하여

  • (i) 학생과 감독자가 서면 학습 목표를 임상 업무에 통합하는 방법과
  • (ii) 작업 기반 학습에서 학생의 서면 학습 목표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합니다.

To capture dynamic and shifting tensions in complex settings, CHAT researchers have developed the knotworking metaphor to describe how people and tools come together to act in new ways.17, 18 

  • In the knot, each element of the system is a thread that temporarily converges to accomplish specific objects which ultimately lead to desired outcomes.
  • The formation of the knot is often mediated by tools. Because the forces of competing objects pull and strain at the knot, its formation is often tenuous and it may unravel as threads are taken away or added. 

We suggest that the concept of a tenuous knot under strain from competing objects and misaligned outcomes allows us to examine how written learning goals are used in practice. In this investigation, we use CHAT and knotworking to explore:

  • (i) how students and their supervisors incorporate written learning goals into their clinical work, and
  • (ii)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students’ written learning goals in work-based learning.

방법
Methods

학습 맥락: 학습 목표 프로그램
Study context: learning goals programme

임상 커리큘럼에 SRL의 원칙을 통합하기 위해 2014년 6월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의과대학의 3학년 임상 커리큘럼에서 주간 서면 학습 목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시행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신경과 임상실습19에서 수행된 파일럿 작업을 기반으로 했으며, 5개의 핵심 임상 실습(신경과,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이 참여했습니다. 3학년 커리큘럼의 대부분에 걸쳐 이 프로그램을 시행함으로써 서면 학습 목표가 교육 실습에 어떻게 통합되는지 조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To incorporate principles of SRL into the clinical curriculum, a weekly written learning goals programme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School of Medicine's Year 3 clinical curriculum in June 2014. The programme was based on pilot work that had been carried out in the neurology clerkship19 and involved five core clinical clerkships (neurology, internal medicine, surgery, paediatrics, and obstetrics and gynaecolog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me across much of the Year 3 curriculum offered the opportunity to investigate how written learning goals are incorporated into educational practice.

이 프로그램에서는 학습 목표가 학생들의 총괄 평가의 일부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학생들은 임상 실습 전에 공식적인 학습 목표를 사용해 본 경험이 없었습니다. 3학년이 시작되기 직전에 모든 3학년 의대생들은 저자 중 한 명(DPL)이 진행하는 한 시간 동안의 워크숍을 통해 이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받았습니다. 교직원과 레지던트들에게 이 프로그램에 대한 공지가 클레어십 디렉터에 의해 전달되었고, 여러 부서에서 교직원과 레지던트를 위한 교육 워크샵(DPL 강의)을 개최했습니다.
In this programme, learning goals were not used as part of students’ summative assessments. Students did not have experience in using formal learning goals prior to their clinical clerkships. Just prior to the start of the third year, all Year 3 medical students were trained in the programme during an hour-long workshop taught by one of the authors (DPL). Faculty staff and residents were notified of the programme by clerkship directors, and several departments held training workshops (taught by DPL) for faculty members and residents.

각 클럭십은 환경의 메커니즘을 수용하기 위해 약간의 수정을 가했지만, 프로그램의 형식과 절차는 5개의 클럭십에서 거의 동일하게 진행되었습니다. 학생들은 매주 초에 [환자를 위해 더 많은 의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두 가지 학습 목표]를 작성했습니다. 주간 타임라인은 일상 업무에서 학습 목표의 사용을 촉진하고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목표를 장려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목표는 의사소통 기술, 검사 및 절차 기술, 응용 임상 지식 및 행정 기술(예: 퇴원 관리)을 포함한 다양한 실무 능력을 다룰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루 일과가 끝날 때마다 환자에게 검사 결과를 설명하거나 특정 유형의 환자에게 사용할 약물의 종류에 대한 개요를 작성하는 것이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목표를 실행]하고 [진행 상황을 추적하기 위한 계획]을 작성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첫 주가 끝난 후에는 지난 주 목표에 대한 진행 상황을 분석하는 후속 조치 섹션을 작성하도록 했습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목표를 학생들의 지도교수(주치의 및 레지던트)에게 이메일을 통해 제출하여 피드백을 받고 한 주간의 업무에 반영하도록 했습니다.
Although each clerkship made minor modifications to accommodate the mechanics of its environment, the format and procedures of the programme were largely identical across the five clerkships. At the beginning of each week, students wrote two learning goals directed at how they could take on more of a doctor role for their patients. The weekly timeline was used to promote use of the learning goals in daily work and to encourage specific, actionable goals. These goals could cover a range of practice abilities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examination and procedural skills, applied clinical knowledge and administrative skills (e.g. managing discharges). For example, goals might include explaining test results to patients at the end of each day or creating an outline of a class of drugs for use in certain types of patient.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a plan to implement their goals and track their progress. After the first week, they included a written follow-up section analysing their progress on the previous week's goals. These goals were then submitted to the students’ supervisors (i.e. attending physicians and residents) via e-mail for feedback and incorporation into the week's work.

데이터 수집 및 분석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인터뷰 절차
Interview procedures

학생과 감독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했습니다. 인터뷰 가이드는 참가자가 학습 목표를 사용한 경험을 설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가능한 참가자를 식별하기 위해 최근 학습 목표 프로그램을 사용한 각 핵심 클레임에 참여한 적이 있는 학생 및 감독자 목록을 생성했습니다. 인터뷰 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만족도를 알 수 없었기 때문에 각 목록에서 성별에 따른 계층화를 통해 참가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인터뷰에 참여하도록 초대했습니다. 학생 인터뷰는 저자 중 한 명(AW)이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실시했습니다. 감독자 인터뷰는 2015년 4월부터 8월까지 다른 저자(JL)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모든 참가자로부터 동의를 얻었습니다. 모든 인터뷰는 오디오 녹음 및 필사되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익명으로 처리되어 인터뷰 담당자만 참가자의 신원을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supervisors. The interview guide was designed to allow participants to describe their experiences of using the learning goals. To identify possible participants, a list of students and supervisors who had recently participated in each of the core clerkships that used the learning goals programme was generated. Because levels of participant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me were unknown before the interviews,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list, with stratification for gender, and invited to participate. Stud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by one of the authors (AW). Supervisor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pril to August 2015 by another author (JL).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All data were anonymised so that only the interviewer would know the participant's identity.

참가자
Participants

2014-2015 학년도에는 129명의 학생이 학습 목표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최소 250명의 교수진과 300명의 레지던트가 감독관으로 참여했습니다. 프로그램을 연구하기 위해 14명의 학생과 14명의 수퍼바이저를 인터뷰했습니다. 참여한 각 핵심 클리닉에서 2~3명의 학생과 2~3명의 주치의가 인터뷰에 참여했습니다. 외과 레지던트 2명도 인터뷰에 응했는데, 이는 레지던트들이 해당 클락십에서 학생들의 목표를 감독하는 데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에 참여한 14명의 학생 중 8명이 여성이었습니다. 14명의 수퍼바이저 중 5명이 여성이었습니다. 양성 평등을 유지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퍼바이저의 성별 대표성에 편차가 있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 목표와 수퍼바이저의 가용성을 최근에 접한 수퍼바이저의 표본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학생 인터뷰는 평균 42분, 슈퍼바이저 인터뷰는 평균 26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During the 2014–2015 academic year, 12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goals programme. At least 250 faculty members and 300 residents participated as supervisors. To study the programme, 14 students and 14 supervisors were interviewed. Two or three students and two or three attending physicians from each of the participating core clerkships were interviewed. Two residents from surgery were also interviewed because residents played a particularly important part in supervising students’ goals on that clerkship. Eight of the 14 students who were interviewed were female. Five of the 14 supervisors were female. Despite our attempts to maintain gender equality, the skew in gender representation among supervisors reflected the sample of supervisors with recent exposure to students’ learning goals and supervisors’ availability. Student interviews lasted an average of 42 minutes and supervisor interviews lasted an average of 26 minutes.

코딩 및 분석
Coding and analysis

두 명의 연구자(DPL과 AW)가 학생 인터뷰를 코딩했고, 두 명의 연구자(DPL과 JL)가 감독자 인터뷰를 코딩했습니다. 선임 저자(LV)는 학생 인터뷰의 초기 코딩에 참여하여 코딩 과정을 감독했습니다. 학생 인터뷰와 수퍼바이저 인터뷰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반복 주기에 따라 별도로 코딩되었습니다. 두 집단에 대한 코딩 분석이 진행됨에 따라 중요한 유사점을 발견하여 모든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출한 통합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Two investigators (DPL and AW) coded student interviews, and two investigators (DPL and JL) coded supervisor interviews. The senior author (LV) participated in the early coding of student interviews and oversaw the coding process. Student interviews and supervisor interviews were coded separately in iterative cycle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s analysis across the coding of the two populations progressed, we identified important similarities and so developed a unified model that was derived from analysing all the study data.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 접근법]을 차용하여 오픈 코딩을 사용하여 초기 인터뷰 하위 집합(각 그룹에서 2~3개의 인터뷰)을 분석하여 초기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구성했습니다.20, 21 이러한 주제는 상호 연관성을 탐색하기 위해 개념적 수준에서 조사되었습니다. 그룹 토론을 통해 주제를 취합하고 조정하여 코딩 구조를 구성했습니다. 코딩 구조는 두 명의 조사자가 두세 차례의 인터뷰를 추가로 코딩하는 과정을 통해 구체화되고 확고해졌습니다. 이견은 그룹 토론을 통해 조정되었습니다. [최종 코딩 구조]한 명의 연구자가 모든 인터뷰에 적용했습니다.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기 위해 클라우드 기반 질적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인 Dedoose(Dedoose.com,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를 사용했습니다.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우리가 발견한 관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다양한 이론을 논의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이론을 통해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CHAT과 매듭짓기가 우리가 확인한 패턴에 대해 주목할 만한 설명력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We borrowed from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used open coding to analyse an initial subset of interviews (two or three interviews from each group) to explore and construct initial ideas.20, 21 These themes were examined at a conceptual level to explore interconnections. Through group discussion, we collated and reconciled themes to form a coding structure. The coding structure was refined and solidified through two additional rounds of coding of two or three interviews by two investigators. Differences were reconciled through group discussion. The final coding structure was then applied to all interviews by a single investigator. We used Dedoose (Dedoose.com, Los Angeles, CA, USA), a cloud-based qualitative data management program, to support data analysis. As we analysed our data, we discussed various theories that would help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we identified. As we looked at our data with these various theories, it became apparent that CHAT and knotworking offered notable explanatory power for the patterns we identified.

반사성
Reflexivity

우리는 학습 목표 프로그램과 교육 이론에 대한 경험이 조사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DPL은 학습 목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을 주도한 의사이자 교육 연구원으로, 병원에서 근무하는 동안 학습 목표를 작성한 학생의 감독관으로 활동했습니다. AW는 의대생으로 신경과 임상강사 시절 이 프로그램의 파일럿 버전에 참여했으며 이듬해 이 프로젝트의 연구 조교로 활동했습니다. JL은 소아과 레지던트로서 임상 근무 기간 동안 학생들의 학습 목표를 감독했습니다. ARA와 RB는 SRL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교육 연구자입니다. LV는 질적 연구와 CHAT 및 매듭짓기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교육 연구자입니다. ARA, RB 및 LV는 학습 목표 프로그램의 개발, 실행 또는 감독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We recognise that our experiences with the learning goals programme and with educational theories shaped our investigation. DPL is a medical doctor and education researcher who created and led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goals programme; he also served as a supervisor of students with written learning goals while on the hospital service. AW is a medical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pilot version of the programme while in the neurology clerkship and served as a research assistant for this project in the following year. JL was a paediatrics resident who supervised students with their learning goals during her time on clinical service. ARA and RB are education researchers with expertise in SRL. LV is an education researcher with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in CHAT and knotworking. ARA, RB and LV had no direct involvement in creating, implementing or supervising the learning goals programme.

결과
Results

먼저 CHAT을 사용하여 학생과 감독자가 서면 학습 목표를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친 임상 교육 시스템의 다양한 결과 사이의 긴장에 대한 분석을 설명합니다. 그런 다음 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매듭짓기 개념을 사용하여 경쟁하는 결과 사이의 긴장을 극복할 수 있는 잠재적 도구로서 서면 학습 목표를 사용하여 매개된 학생, 감독자 및 환자의 미약한 상호작용을 설명합니다. 학생과 감독자 인터뷰 모두에서 유사한 주제가 나타났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는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Using CHAT, we first describe our analysis of the tensions between the various outcomes of the clinical education system that influenced students’ and supervisors’ use of written learning goals. Building on this framework, we then use the concept of knotworking to describe the tenuous interactions of students, supervisors and patients that were mediated by use of the written learning goals as a potential tool to overcome the tensions between competing outcomes. Because similar themes emerged from both the student and supervisor interviews, these data are presented together.

정렬되지 않은 결과와 경쟁 대상: 전문성 개발, 채점 및 환자 치료
Misaligned outcomes and competing objects: professional development, grading and patient care

임상팀은 임상 활동의 세 가지 주요 결과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 학생의 의사로서의 능력 개발 지원,
  • 학생의 성과에 대한 채점,
  • 환자 치료 제공

학생들은 자신의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 목표를 세우고, 임상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할 계획(예: 목표)을 결정합니다:
Clinical teams are responsible for at least three major outcomes of clinical activity:

  • helping students to develop their abilities as physicians;
  • grading them on their performances, and
  • providing patient care.

When students engaged in creating learning goals to develop their own personal professional abilities, they analysed their clinical performance and determined plans (i.e. objects) to improve:

... 목표를 세우기 일주일 전에 약점과 다음 주에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는 것은 [...] 지식과 성과를 평가하는 능력에 확실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한정된 기간에 목표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는 것이 정말 좋은 것 같아요. (PaedsStudent2)
…going a week before trying to formulate the goals and thinking about weaknesses and how I can improve them next week […] definitely helped in that capacity to assess knowledge and performance. I think that having a concrete plan and getting feedback on the goals in a finite period of time, I think it's great. (PaedsStudent2)

그러나 추가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학생과 감독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했고, 학생들은 학습 목표를 개발할 때 다양한 대상을 고려해야 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개인적인 발전 외에도 호의적인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했습니다. 이러한 고려 사항으로 인해 일부 학생들은 [상사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는 것]과 [특정 기술을 개발하는 것] 사이의 경쟁적인 목표를 지향하는 학습 목표를 명확히 했습니다:
However, additional desired outcomes also demanded students’ and supervisors’ attention and efforts, requiring students to consider different objects as they developed their learning goals. For instance, in addition to personal development, students acknowledged the need for favourable evaluations. These considerations caused some students to articulate learning goals oriented towards navigating the competing objects of impressing their supervisors and developing specific skills:

... 저는 제가 잘하지 못하고 취약한 분야를 공부하고 싶습니다. 또한, 성적과 목표 달성 여부로 저를 평가할 주치의 앞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처럼 보이게 될 정도로 제가 잘 못하는 것에서 목표를 정하고 싶지 않습니다. 저는 중간 정도 수준인 과제를 더 잘하고 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노력합니다. (신경과 학생1)
…I want to work on things that I'm bad at, that I'm weak in. I also don't want to pick goals in things that I'm so bad at that I'm just going to look like I don't know anything in front of the attending who's ultimately going to be evaluating me in terms of both the grades as well as my accomplishing the goals. I try to play things that I'm middle of the pack on so that I can get better at them and look like I'm doing well. (NeuroStudent1)

양질의 환자 치료를 제공하는 것도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설정할 때 긴장감을 유발하는 또 다른 바람직한 결과였습니다. 일부 학생은 환자 치료를 개선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습 목표를 세웠습니다(예: 환자에게 약물에 대해 설명하거나 하루 동안의 계획과 결과를 환자에게 업데이트하기). 그러나 환자 치료의 요구로 인해 팀의 목표가 학생의 목표와 관련된 작업에서 멀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한 수퍼바이저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습니다: 
Providing quality patient care was another desired outcome that caused tension as students identified their learning goals. Some students created learning goals that aimed to both improve patient care and develop their skills (e.g. to explain medications to patients or to update patients about plans and results throughout the day). The demands of patient care, however, often shifted the objects of the team away from actions involving the students’ goals. As one supervisor noted:

학생들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장벽은 진료실에서 한 시간씩 늦어지고, 그래서 계속 움직이고, 움직이고,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학습 목표에서] 해당 주제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산부인과 어텐딩2)
The biggest barrier [to addressing students’ learning goals is] that we may not ever get to that topic [from the learning goal] because we were running an hour behind in the clinic and we just had to move, move, move. (ObGynAttending2)

한 학생이 이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A student echoed this challenge:

매우 빠른 속도의 서비스이고 양이 많으면 학습자 목표는 확실히 버려집니다. 학습자들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죠. 하지만 다운타임이 생기면 목표가 눈에 띄게 되죠. (IntMedStudent3)
If it's a very high-pace service and high volume, yeah, the learner goals definitely get thrown out. They don't pay attention. If there's downtime, though, they'll surface up. (IntMedStudent3)

이상적으로는 임상 교육 내에서 전문성 개발, 채점 및 환자 치료라는 세 가지 예상 결과가 일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학생과 감독자는 이러한 결과가 종종 서로 모순되거나 부분적으로만 겹친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그림 2). 이 세 가지 결과의 상호 작용과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쟁적인 목표를 협상하는 과정]은 학생들의 학습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매듭을 짓는 감독자, 학생 및 환자의 활동 사이에 긴장감을 조성했습니다.
Ideally, the three anticipated outcomes – professional development, grading and patient care – would align within clinical education. However, students and supervisors acknowledged that these outcomes often contradicted one another or only partially overlapped (Fig. 2). The interplay of these three outcomes and the process of negotiating the competing objects used to achieve them created a tension between the threads of activity from supervisors, students and patients who formed the knot to enact the students’ learning goals.

학생과 감독자는 겹치지만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조정하려고 노력합니다. 학습 목표는 어떤 결과의 우선순위를 정할지 또는 어떻게 결합할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객체를 생성하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14, 18
Students and supervisors try to reconcile overlapping but not fully aligned outcomes. Learning goals can be one tool for creating objects that can help to determine which outcomes will be prioritised or how they will be combined14, 18

매듭: 도구를 중심으로 서로 묶인 실
The knot: threads bound together around a tool

매듭짓기는 학생의 학습 목표와 관련하여 임상 교육 환경 내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활동 시스템의 요소들이 어떻게 수렴되었는지(또는 그렇게 하지 못했는지) 설명합니다. 감독자, 학생 및 환자는 각각 새로운 행동을 생성하고, 새로운 대상을 정의하고, 원하는 결과를 향해 노력하면서 매듭의 실타래에 한 가닥씩 기여했습니다(그림 3).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 목표는 이러한 스레드의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Knotworking describes how the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converged to address the contradictions within th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or failed to do so) with regard to the students’ learning goals. Supervisors, students and patients each contributed a thread to the knot as they produced new actions, defined new objects, and worked towards the desired outcomes (Fig. 3). As the following example illustrates, learning goals could serve as tools that enabled the convergence of these threads:

매듭짓기는 활동 시스템의 요소들이 새로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수렴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은유입니다. 그러나 매듭은 [경쟁하는 힘의 존재]로 인해 약해집니다. 매듭은 느슨한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조이는 것만큼이나 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데이터는 학생, 감독자 및 환자가 학생의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매듭의 실타래임을 보여줍니다.
Knotworking is a metaphor that describes the ways in which the elements of an activity system converge to accomplish new actions. However, the knot is made tenuous by the presence of competing forces. The knot is depicted as loose because it is just as likely to unravel as to tighten. Our data demonstrate how students, supervisors and patients are the threads of the knot that forms around students’ learning goals

제 목표 중 하나는 서로 다른 환자들의 발달도 검토하는 것이었습니다 [...] 그녀[주치의]는 같은 층에 있는 같은 나이의 환자 두 명을 선택했고, 저와 다른 의대생 동료와 함께 두 환자를 모두 방문했습니다. 그녀는 우리와 함께 와서 우리에게 설명하고, 질문하고, 지연에 대한 그녀의 생각과 두 환자 간의 비교를 알려주었습니다. 정말 좋은 배움의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그 목표가 없었다면 그녀가 구체적으로 시간을 내서 그렇게 하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PaedsStudent2)
One of my goals was to review development as well in different patients […] She [the attending] chose two patients on the floor that were the same age and she took me around as well as my other med student counterpart and then we visited both patients. She came with us and explained things to us, asked us questions and told us her thoughts about the delays and how they compare between the two patients. I think that was a really great learning experience. […] I think without that goal, I'm not sure that she would have taken the time to do that specifically. (PaedsStudent2)

이와 대조적으로 다른 학생과 감독자들은 이러한 실타래가 모이지 않고 새로운 행동이 일어나지 않는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한 예로, 한 학생은 감독자가 자신의 학습 목표를 언급하지 않았을 때 어떻게 대응했는지 물었습니다:
By contrast, other students and supervisors described situations in which these threads did not come together and new actions did not occur. In one example, a student was asked how he responded when supervisors did not bring up his learning goals:

아마 처음에 "이봐요, 제 목표는 알아요?"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 한두 번의 프롬프트 후에도 반응이 없으면 계속 언급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아니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SurgStudent3)
Maybe at the beginning I've said, “Hey, did you get my goals?” […] Generally, if people after like one or two prompts aren't responsive, it's kind of, you kind of get the feeling that they don't want you to keep bringing it up. Or it's not something that's important to them. (SurgStudent3)

학생들은 두 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설명하면서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스레드가 때때로 수렴하고 때때로 갈라지는 상황을 언급했습니다.
Students described both scenarios, referring to contexts in which threads sometimes converged and sometimes diverged around their learning goals.

스레드: 감독자
The threads: supervisors

수퍼바이저는 임상 공간에서 추구하는 세 가지 결과, 즉 전문성 개발, 채점 및 환자 치료의 실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인터뷰에 참여한 모든 학생은 학습 목표가 임상 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있어 슈퍼바이저의 참여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습니다. 이러한 영향의 일부는 슈퍼바이저가 목표에 부여하는 가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 학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Supervisors were central to the realisation of all three outcomes pursued in the clinical space – professional development, grading and patient care. Every student who was interviewed identified supervisor eng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the learning goal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clinical experience. Part of this influence came from students’ perceptions of the value that supervisors gave the goals. As one student said:

팀 전체가 학습 목표에 집중하고 노력한다면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팀 전체가 "멍청하거나 바쁜 일"이라고 생각했다면, 그것은 다른 누구도 원하지 않는 학생으로서 해야만 하는 일이 되었을 뿐입니다. (SurgStudent1)
I thought that if the whole team was into your learning goals and focused on them and tried, then it was a great experience. If the whole team thought they were “stupid or busy work” then it just became something that you had to do as a student that nobody else wanted to do. (SurgStudent1)

감독자들도 자신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Supervisors also recognise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학생들은 꽤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 [학습 목표] 문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주치의가 그에 상응하는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느끼지 못한다면 학생들은 실망할 것입니다. (PaedsAttending2)
The students are putting in quite a bit of work and they are required to create this [learning goal] document. I think it's frustrating for them if they don't feel that the attending is paying the commensurate amount of attention to that. (PaedsAttending2)

학생들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퍼바이저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Students described supervisor participation as necessary for learning from their goals:

심전도 [목표]의 경우, 주치의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잘 풀렸습니다. 매일 "좋아, 학생 X는 모든 환자의 회진에서 심전도를 판독할 거야."라고 말씀하셨죠. 그 덕분에 정말 잘할 수 있었던 반면, 다른 목표의 경우 주치의가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몰랐다면 [...] 토론도 없었고 [...] 그래서 그 목표가 잘 달성되지 못했습니다. (NeuroStudent2)
With the ECGs [goal], that worked out because my attending knew what to do with that. Every day, he's like “Okay, Student X is going to read the ECG on rounds for every patient.” I got really good at it because of that, whereas other goals, if they didn't really know how to help me figure it out […] then there wasn't really a discussion […] so those goals didn't work out as well. (NeuroStudent2)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해도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감독자와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었습니다:
Even if students put a significant amount of their own effort into their goals, the interaction with the supervisor was essential for learning to happen:

...학습 목표를 세우면 능동적으로 행동하게 됩니다. 제가 집중적으로 배우고 싶은 것이 이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계십니다. 나는 그것을 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할 것입니다. 어떻게 할 것인지 단락에 적었지만 상대방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원하는 만큼 열심히 노력할 수 있지만 피드백이나 지시를 받지 못한다면 실제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것입니다. (SurgStudent1)
…with learning goals, you're being proactive. You're showing that this is the focused thing that I want to learn. I'm going to try on my own to do it. You write in your paragraph how you're going to do it, but if the other person isn't willing to engage, then you can try as hard as you want, but if you're not getting any feedback or direction, then you haven't really learned anything. (SurgStudent1)

감독자의 참여는 종종 학생의 목표에 대한 피드백 제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한 주치의는 다음과 같이 관찰했습니다:
Supervisor engagement often consisted of providing feedback on students’ goals. As one attending physician observed:

저는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그 목표를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목표를 표현하는 방식이 정확히 달성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렇게 조금 더 생각해 보세요. 이 부분은 달성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산부인과 어텐딩1)
I'll give them feedback about: “Well, you may want to rethink that goal. The way you phrase it may not be exactly accomplishable but maybe think a little bit more about it like this. This piece of it might be accomplishable.” (ObGynAttending1)

또한 슈퍼바이저가 학생의 목표에 참여하면 종종 이를 팀 업무에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도 했습니다:
Further, when supervisors engaged with students’ goals, they would often find ways to incorporate them into the team's work:

그[학생]는 영상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싶어 했습니다. 저는 매일 그가 우리가 보고 있는 이미지를 하나 이상 검토하도록 했습니다. 그런 다음 "이것 찾아봐, 저것 찾아봐"와 같이 해부학에 대해 알고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신경과 어텐딩2)
He [the student] wanted to learn more about imaging. Every day I would make sure that he had to review at least one image that we were looking at. Then I would make sure that he knows about the anatomy, like, “Find this, find that.” (NeuroAttending2)

스레드: 학생
The threads: students

학생들의 참여 수준도 학습 목표를 도구로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 레지던트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Students’ level of engagement also influenced the usage of learning goals as tools. As one resident noted:

항상 그렇듯이, 시스템에 관심을 갖고 "이건 저에게 유용하고 학습에 도움이 될 거예요."라고 말하는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훨씬 더 쉽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은 더 어렵습니다. (SurgResident2)
It's much easier, which is always the case, to teach someone who's bought into the system and is interested in it and says, “This is something that is going to be useful and help me to learn.” Other people that don't, that's more difficult. (SurgResident2)

수퍼바이저들은 종종 학생의 관심 수준과 목표에 대한 헌신을 측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한 주치의는 다음과 같이 관찰했습니다:
Supervisors often described gauging the student's level of interest and commitment to goals. As one attending physician observed:

한 시간 전에 방금 한 학생의 목표를 받았습니다(그런데 완전히 늦었습니다). 그 학생은 목표에 전혀 관심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책에 나와 있는 규칙을 제대로 따르는 사람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 사람은 매우 짧고 직설적입니다. 좋은 목표가 아니라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것은 없습니다. (산부인과 어텐딩2)
An hour ago, I just got [a] student's goals (which is totally late, by the way). I can tell she's totally not into the goals. You can tell people who are really following the rules by the books. This person is very brief, blunt. Not that it's not a good goal to have but [it] doesn't have anything else to it. (ObGynAttending2)

학생들은 학습 목표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는 동기를 형성한 내부 및 외부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설명했습니다. 인터뷰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은 목표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을 모두 표현했습니다. 학생 동기의 대부분은 학생이 학습 목표 과제를 자신의 개인적인 전문성 개발 목표를 파악하여 상사에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 보았는지, 아니면 반대로 학생의 내부 동기와는 무관한 외부에서 부과한 요구 사항으로 보았는지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한 학생은 다음과 같이 관찰했습니다:
Students described a complex interplay of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that shaped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goals programme. All students who were interviewed express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ith the goals. Much of student motivation was driven by whether a student saw the learning goals assignment as a tool to identify and communicate his or her pers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objects to supervisors or, conversely, as an externally imposed requirement that was unrelated to the student's internal drives. As one student observed:

월요일 밤 9시에 앉으면 제 약점이나 교육적으로 전문적으로 무엇이 되고 싶은지에 대해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는 내일은 어떤 어떤 의사에게 보내야 하는 제 목표가 무엇일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면접관: '글을 쓸 때 어떤 동기가 있나요?'] 저의 동기는 그것이 요구되었다는 것입니다. (IntMedStudent3)
When I sit down Monday night at 9.00, I'm not thinking about my weaknesses and what I want to become professionally, educationally. I'm thinking about what are going to be my goals that I have to send off to Dr Who and Who tomorrow. [Interviewer: ‘What are your motivators when you're writing it?’] My motivator is that it's been required. (IntMedStudent3)

다른 학생들은 자신의 업무를 기록하고 상사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하는 도구로 목표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Other students commented on how they could use the goals as an evidentiary tool to record their work and demonstrate their skills to impress their supervisors:

... 학습 목표를 사용하여 학습을 통합하고 차트나 실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유용한 무언가를 만드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방법입니다. 그런 다음 주치의에게 제가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이 특정 로테이션에 도움이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세요. (ObGynStudent2)
…that's how I'm thinking of using the learning goals – to integrate learning and making something like a chart or something that's useful for me that I can get actual feedback from. Then show the attending I am taking an active role in my learning and trying to be useful on this particular rotation. (ObGynStudent2)

감독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이러한 목표는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목표를 공유하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한 학생은 사회복지사와 함께 일한다는 목표가 자신의 팀 중 한 팀에서는 유익했지만 다른 팀에서는 같은 목표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This object to please supervisors could prevent students from sharing goals that they personally found important. A student described how she had found the goal of working with a social worker to be beneficial on one of her teams, but indicated that the same goal would be unacceptable on another team:

... 일부 어텐딩과 레지던트들은 우리에게 특정한 종류의 목표를 원하는 것 같았습니다. 한 번은 소아과에서 저희를 앉혀놓고 "이런 목표가 정말 잘 맞는 목표입니다. 여러분이 얻고자 하는 특정 지식 기반에 집중하는 목표요."라고 말했죠. 저는 "와, 정말 제약을 받는 것 같네요."라고 생각했습니다. [...] 소아과에 특화된 일이어야 한다고 해서 사회사업 일을 하는 것이 꼭 편하지는 않았을 거예요 [...] 틀에서 벗어나 제가 원하는 일을 하면 전공의나 주치의가 좋아하지 않을까 봐 걱정이 되기도 했어요. (PaedsStudent3)
…some of the attendings and residents, have seem[ed] to want a certain kind of goal out of us. One time in paediatrics, they sat us down and were like, “This is the kind of goal that really works well – the kind where you focus on a specific knowledge base that you want to gain.” I was like, “Whoa, I feel really restricted by that.” […] I wouldn't have necessarily felt comfortable then doing a social work thing because they told me it needs to be something paediatric-specific […] I would be worried that going outside of the box and doing something I wanted wouldn't please them. (PaedsStudent3)


외부 동기가 일부 학생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친 반면, 다른 학생은 목표를 사용하여 직면한 요구를 협상했습니다:
Whereas external motivators had a powerful effect on some students, others used the goals to negotiate the demands that they faced:

... 내가 개선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우선순위를 정해서 상위 두 가지를 학습 목표로 삼는 것 [...] 우선순위가 경쟁하는 상황에서 도움이 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예를 들어 시간을 가장 잘 활용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더 많이 성찰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SurgStudent3)
…these are the things like reflecting on what do I need to improve on and then prioritising them and going with the top two as learning goals […] it's helpful in the context of competing priorities. It's helpful to reflect more on what's the most important – like what is the best use of your time. (SurgStudent3)

일부 학생은 환자 치료에 참여할 기회를 만들고 의사로서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커뮤니티에 참여했습니다:
Some students proactively engaged their community in order to creat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patient care and to develop their skills as physicians:

처음에는 어텐딩이 언급하지 않으면 그 얘기를 꺼내지 않았던 것과 비교하면 정말 달라졌어요. 주치의가 말하지 않으면 저도 말하지 않았죠. 이제는 주치의에게 "이게 제 목표인데, 제가 봐야 할 환자가 있나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제안해 주실 수 있나요?" 등의 질문을 합니다. 처음 시작할 때보다 확실히 늘어났어요. (PaedsStudent2)
Compared to the beginning where if the attending really didn't mention it, I wouldn't really bring it up. Unless they said something, I wouldn't. Now, I ask them, “This is my goal, do you have any patients that I should see and do you have any suggestions for how I should go about doing this?” and those kinds of things. That's definitely increased since the beginning. (PaedsStudent2)

일부 학생은 학습 목표를 다른 방법으로는 활용하지 못했을 환자 치료에 참여할 수 있는 도구라고 설명했습니다:
Some students described their learning goals as tools enabling them to participate in patient care in ways that they otherwise would not have harnessed:

수술에서 제 목표는 제대로 닫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클로징할 수 있는 시간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그러자 그는 "네가 정말 관심이 있다는 걸 알았으니 케이스에 대해 X분 동안 해보게 해주고, 그래도 안 되면 그냥 끝내겠다"고 말했죠. 제가 먼저 나서서 이것이 저의 학습 목표라고 말하고 기회를 구하는 것이었습니다. (SurgStudent1)
I said that my goal in surgery was to learn how to close properly: “If there are any times that I can close, let me know.” He was like, “Now that I know you're actually interested, I'll let you try it for X number of minutes on a case, and if you're not finished, I'll just finish it up.” It was me coming forward and saying this is my learning goal and seeking opportunities. (SurgStudent1)

스레드: 환자
The threads: patients

목표가 폭넓은 학습으로 이어졌는지 여부는 임상 상황에 있는 환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Whether goals led to expansive learning often depended on the patients who were present in the clinical context:

많은 부분이 운에 달려 있습니다. 운이 좋게도 그 주에 제가 돌보는 환자들과 일치하는 학습 목표를 선택하면 그 목표가 매우 잘 맞아떨어집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저는 제가 추적 관찰하는 환자가 앓고 있는 질환에 대해 뭐든 배우는 것을 우선하고, 학습 목표를 두 번째 우선순위로 삼게 됩니다. (신경과 학생1)
A lot of it just comes down to luck. If I happen to pick a learning goal that aligns with the patients that I'm following that week, they align it very well. If I don't, then I'm going to make the learning goals my second priority compared to just learning about whatever the patient that I am following has. (NeuroStudent1)

환자 치료의 변덕스러움은 감독자들도 지적했습니다. 한 주치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 vicissitudes of patient care were also noted by supervisors. One attending physician observed:

이 [목표]를 달성해야 할 다음 7일 동안 적절한 환자가 들어오지 않으면 실제로 가르치거나 배울 기회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IntMedAttending2)
If the right patients don't come in over the next 7 days when you're supposed to achieve this [goal], then you may not have the opportunity to really teach or learn from it. (IntMedAttending2)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주요 불만 사항이나 요구 사항]이 [학생의 학습 목표]와 일치할 때 풍부한 학습 경험이 발생했습니다:
Despite these challenges, rich learning experiences occurred when patients’ chief complaints or needs aligned with students’ learning goals:

이러한 이상적인 상황은 일종의 우연입니다 [...] 학생 중 한 명이 가지고 있던 목표 중 하나는 피부 소견에 대한 설명을 더 잘하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실제로 그 주에 발진이 매우 광범위하고 여러 기관에 침범한 환자가 내원했습니다. 발진은 매일매일 변했습니다. 같은 환자였지만 그 학생은 그 환자에 대해 많은 주인의식을 가지고 매일 환자를 따라다니며 회진에서 발표하고, 환자에 대해 읽고, 하루에 여러 번 돌아가서 발진에 대해 설명하고 토론하면서 결과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상적인 상황이었다고 생각합니다. (PaedsAttending2)
These ideal situation[s] are kind of fortuitous […] One of the goals that one of the students had was he wants to get better at description of skin findings. We actually had a patient on the floor that week with a very diffuse rash and multi-system involvement. The rash changed from day to day. I think that was an ideal situation because even though it was the same patient, that student took a lot of ownership in that patient and really followed him from day to day, presented him on rounds, read up on the patient and went back multiple times a day to describe the rash and discuss it and got better at describing the findings. (PaedsAttending2)

학생들이 다양한 환자를 돌보는 데 필요한 기술에 초점을 맞춘 목표를 세웠을 때, 이러한 목표는 더 많은 학습 기회를 활용하는 도구로 작용했습니다. 한 소아과 주치의는 다음과 같이 관찰했습니다:
When students constructed goals focused on skills they needed to care for broad sets of patients, those goals acted as tools leveraging greater learning opportunities. As one attending paediatrician observed:

아동 발달에 대해 배우겠다고 선택한 학생은 좋은 목표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는 적절하고 매우 광범위합니다. 그녀가 보는 모든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그녀의 목표는 덴버 [발달 척도]에 따라 아이의 나이를 추측하는 것이었습니다. 환자 한 명 한 명을 대할 때마다 하는 일이었고, 다른 일과도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에 꽤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PaedsAttending3)
I thought the girl that chose to learn about development of kids – that was a good goal. That's pertinent, it's pretty broad. It can be applied to any patient she sees […] her goal was to try to guess based on the Denver [Developmental Scale] how old the kid was. I think that actually worked pretty well because it was something that she just did with each patient, and it kind of fit in with what else she had to do. (PaedsAttending3)

도구: 서면 학습 목표
Tools: written learning goals

학습 목표는 학생과 감독자가 환자와 함께 학습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도구 역할을 했습니다:
Learning goals acted as tools through which students and their supervisors could harness learning opportunities with patients:

... 매일 내가... 오늘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가? [...] 환자를 찾아보거나 상황을 찾아보자는 식의 계획을 세울 수 있고, 환자를 찾아보거나 상황을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urgStudent3)
…each day you think about am I… is there an opportunity to do this goal today? […] it gives you like this plan, like let me find a patient or find a situation versus if you're just kind of there, you might not be trying to identify a patient, setting up a situation. (SurgStudent3)

수퍼바이저들은 또한 학습 목표가 학습 기회를 창출한다고 언급했습니다:
Supervisors also noted that the learning goals created learning opportunities:

회진할 때마다 학습 목표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으려고 노력했고 [...] 회진 후에도 그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공식적인 '3시에 만나자'는 식의 방식이 아니라 이야기를 나누곤 했습니다. 그냥 그런 일이 생길 때마다요. (PaedsAttending1)
It was pretty much every time on rounds I was trying to listen for things related to learning goals […] any time after rounds, when there was an opportunity for those things, we would talk about it but not in any formal “let's meet at 3 o'clock” type of way. Just like, whenever they kind of came up. (PaedsAttending1)

학생들이 업무 환경에서 학습에 대한 당황스러운 요구 사항과 과제에 직면했을 때 학습 목표는 학습 노력을 조직화하는 수단을 제공했습니다:
As students confronted the bewildering array of requirements and tasks of learning in a work environment, the learning goals provided a means of organising their learning efforts:

어떻게 그것을 실현할 것인지 생각하지 않으면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ObGynStudent2)
Things aren't going to happen unless you've thought about how you're going to make that happen. (ObGynStudent2)

또한 목표는 감독자가 학생의 학습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활동을 수정하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Goals also became tools through which supervisors would modify their activities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objects:

다시 말하지만, 저에게 학생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게 해줍니다. 임상 경험에 학생의 목표를 삽입하기 위해 일정을 조정합니다. (산부인과 어텐딩2)
Again, it allows for just me to know where she's at. Tailor my schedule to insert her goal into a clinical experience. (ObGynAttending2)

학생들은 또한 학습 목표를 통해 상사가 놓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인식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Students also noted that learning goals could cause their supervisors to recognise learning opportunities that they might otherwise have missed:

...때때로 우리는 레지던트들에게 수술 노트를 건네주면 그들은 우리에게 피드백을 주지 않고 스스로 수정한 다음 서명만 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주중에 몇 번은 레지던트들이 "아, 이게 이번 주 목표 중 하나였죠?"라고 물었고 저는 "네"라고 대답했죠. 그래서 그는 "이리 와서 이 [태아 심장 모니터] 스트립을 함께 살펴볼래요?"라고 말했죠. (산부인과 학생3)
…sometimes we would just pass the labour notes to the residents and they would just like make their own edits and then just sign it, you know, without ever [giving] feedback to us. But at several points like during the week they would be like, “Oh, you know, this was one of your goals for the week, right?”, and I was like, “Yeah.” So he was like, “Do you want to come over and then we can go over this [fetal heart monitor] strip together?” or something like that. (ObGynStudent3)

감독자들은 때때로 학생의 목표를 사용하여 더 많은 실습 기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Supervisors would at times use students’ goals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ractice:

학생이 조금 뒤처지면 [...] 봉합 재료와 소모품을 들고 오라고 격려하고, 시뮬레이션 실습실에 데려가서 [...] 과제를 검토하는 등 30분에서 1시간 정도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 (SurgResident1)
If the student is a bit behind […] I would encourage him to carry the suture material and the supplies and I would take the student to the simulation lab […] So we would go there and spend about half an hour to 1 hour with him, like go over the tasks. (SurgResident1)

학생과 감독자가 학습 목표를 도구로 사용했을 때, 그들은 그 목표를 중심으로 새로운 형태의 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When students and supervisors used learning goals as tools, they were able to engage in new forms of activity knotting around those goals:

저는 어떤 유형의 목표가 팀의 도움을 받는 데 가장 효과적일지 확실히 생각합니다 [...] 팀이 이 목표를 읽으면 저를 어떤 일에 참여시켜 다른 방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무언가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저는 다른 방법으로는 할 수 없거나 팀에서 기회를 주지 않는 일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면에서는 그 힘을 이용하는 거죠. (PaedsStudent3)
I definitely think about what types of goals I think will work the best in terms of getting the team to help me out […] If they read this goal, they might involve me in something so that I can get something out of it that I wouldn't otherwise. I'm trying to do things that aren't things I would otherwise do or otherwise have an opportunity from the team to do anyway. So, kind of using the power of it in a way. (PaedsStudent3)

토론
Discussion

우리는 서면 학습 목표가 학생과 감독자의 임상 업무에 어떻게 통합되었는지 조사했습니다. 다른 많은 학습 목표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4-9 우리가 조사한 프로그램은 SRL의 사회인지적 원리를 작동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그러나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들의 설명과 임상 업무에서 학습 목표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분석하면서 서면 학습 목표의 물질적 역할과 대인관계 및 맥락적 역학을 보다 완벽하게 설명하는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문화역사활동이론(CHAT)과 매듭짓기는 우리의 연구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습니다. SRL에 대한 사회인지적 접근법을 통해 프로그램을 만들었지만, CHAT과 매듭짓기를 통해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We investigated how written learning goals were incorporated into students’ and supervisors’ clinical work. Like many other learning goal programmes,4-9 the programme we investigated was developed to operationalise the social cognitive principles of SRL. However, as we analysed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the programme and how they used learning goals in their clinical work, we found that we needed a framework that more fully accounted for the material role of the written learning goals, as well as interpersonal and contextual dynamic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nd knotworking provided a means to explain our findings. A social cognitive approach to SRL led to the creation of the programme, but CHAT and knotworking allowed us to understand how it worked.

임상팀과 공유한 고빈도 서면 학습 목표 프로그램에서 우리는 학생들이 단순히 학습 목표를 SRL의 내적 인지 과정의 기질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 대신, 학습은 학생의 인지 과정을 넘어 학습 목표에 의해 매개되는 [학생, 감독자, 환자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적의 상황에서 학습 목표는 학생과 감독자가 업무 환경의 경쟁 대상을 협상하고 기술 개발, 채점 및 환자 치료의 중첩된 결과를 조정하려고 노력할 때 학생과 감독자가 행동을 바꾸는 과정을 촉진했습니다. 학습 목표가 이러한 상호작용을 중재하는 데 성공하자 새로운 교육 지향적 행동이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활동 시스템은 학습 시스템이 되었습니다. 학생, 감독자 또는 환자가 목표를 중심으로 수렴하지 않으면 광범위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제한적이었습니다. 
In our programme of high-frequency written learning goals shared with the clinical team, we found that students did not simply use their learning goals as a substrate for the internal cognitive processes of SRL. Instead, beyond students’ cognitive processes, learning appeared to result from complex interactions among students, supervisors and patients mediated by the learning goals. In optimal circumstances, the learning goals facilitated a process by which students and their supervisors changed their actions as they negotiated the competing object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as they sought to align the overlapping outcomes of skill development, grading and patient care. When the learning goals were successful in mediating these interactions, new education-oriented actions took place. In this way, the activity system became a learning system. When students, supervisors or patients did not converge around the goals, expansive learning did not take place or was limited.

일반적으로 학습 목표 프로그램 또는 개별화된 학습 계획은 훈련생이 보다 자기 통제적인 평생 학습자로 발전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와 관련하여 검토되며,4-9 '마스터 학습자'라고도 합니다.22, 23 SRL에 대한 이전의 분석에 따르면 사회적 환경은 학습자에게 중요한 피드백과 지원을 제공합니다.1, 2, 10, 24-26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와 감독자가 업무의 도전과 학습 목표를 조화시키기 위해 협력적으로 노력할 때 어떻게 행동이 변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우리의 연구는 목표 지향 활동object-oriented activity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개별 학습자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분석하는 것에서 [학습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매개 도구를 중심으로 상호 작용하고 잠재적으로 함께 변화하는 방법]을 평가하는 것으로의 중요한 전환을 나타냅니다.17, 18 
Typically, learning goal programmes or individualised learning plans are examined in relation to how they help trainees develop into more self-regulated lifelong learners,4-9 sometimes termed ‘master learners’.22, 23 Previous analyses of SRL have shown that the social environment provides important feedback and support for learners.1, 2, 10, 24-26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demonstrated how both learners’ and supervisors’ actions can change as they collaboratively seek to reconcile the challenges of work with learning goals. By focusing on object-oriented activity, our work represents a significant shift from analysing how to optimise individual learners to evaluating how the components of a learning system interact around mediating tools and potentially change together.17, 18

매듭짓기 및 확장 학습으로서의 학습 목표
Learning goals as knotworking and expansive learning

[학습 목표의 집행]은 때때로 학생이 수행하기도 하고(예: 복잡한 환자 간호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거나 사회복지사와 협력할 기회를 모색하는 등), 때로는 감독자가 수행하기도 합니다(예: 학생을 데리고 환자를 진찰하거나 심전도 또는 자기공명영상 스캔에 대해 질문하는 등). [주도권과 행동이 오가고, 통제 중심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은 매듭작업의 특징이며 복잡한 작업 환경에서 협업을 촉진하는 열쇠입니다.17, 18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교육 분업이 모호해지고 교육 과제를 결정하는 사람과 관련된 규범이 약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그림 2 참조).

  • 학생들이 서면 학습 목표를 작성했기 때문에 수퍼바이저는 때때로 다른 방법으로는 발생하지 않았을 환자 치료에 학생들을 참여시키기도 했습니다.
  •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목표를 사용하여 다른 방법으로는 할 기회가 없었을 활동을 옹호할 수도 있었습니다.
  • 이러한 방식으로 학생들은 실무자 커뮤니티의 일원이 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학습 목표를 사용하면 학생과 감독자가 새로운 대상을 만들고 새로운 행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확장 학습으로 해석합니다.14, 17, 18  
The enactment of learning goals was sometimes performed by the student (e.g. by taking ownership of a complex patient's care or by seeking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with a social worker) and at other times by the supervisor (e.g. by taking students to examine patients or by asking them questions about electrocardiograms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s). The shifting back and forth of initiative and action and the absence of a set centre of control is characteristic of knotworking and is key to facilitating collaboration in complex work environments.17, 18 This shifting represents a blurring of traditional educational divisions of labour and a softening of norms related to who determines educational tasks (see Fig. 2).

  • Because students produced written learning goals, supervisors sometimes invit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patient care in ways that may not otherwise have occurred.
  • Students could also use their goals to advocate for activities that they might not otherwise have had the chance to do.
  • In this way, students could more fully become part of the community of practitioners.

Our data suggest that the use of learning goals could prompt students and supervisors to create new objects and perform new actions, which we interpret as expansive learning.14, 17, 18

그러나 때로는 활동 시스템 내에서 [모순되는 힘을 극복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환자 치료의 타이밍과 긴급성, 환자의 유형과 수, 행정 업무에 할애되는 시간, 학생 채점 요건 등의 문제는 학습 목표를 매개로 한 협업으로 조정하기에는 너무 큰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독자와 학생이 임상 서비스의 바쁜 요구 사항이나 채점 시스템에 의해 부과된 위계질서를 충족하는 데 집중하면서 팀의 분업과 규범이 굳어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팀이 학생의 목표를 위해 함께 일할 수 없게 되면 커뮤니티의 외부인으로서 학생의 역할이 강조되었습니다. 상황이 활동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것처럼, 상황이 활동의 위축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17 
Sometimes, however, the contradictory forces within an activity system could not be overcome. Challenges such as the timing and urgency of patient care, the types and numbers of patients, time dedicated to administrative work, and the requirements of grading students could act as barriers too great to be reconciled by learning goal-mediated collaboration. In these situations, the divisions of labour and the norms of the team seemed to harden as supervisors and students focused on meeting the busy demands of the clinical service or the hierarchy imposed by grading systems. When such a situation precluded the team from working together on a student's goals, this emphasised the student's role as an outsider to the community. Just as circumstances can lead to expansion of activity, they can also lead to its constriction.17

우리는 환자들이 활동 시스템에서 다면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학생과 감독자 모두 [환자가 학생의 학습 목표 달성에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환자의 요구와 속성이 학생의 목표와 일치하는지 여부는 종종 우연에 기인했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자의 조합은 상호 작용을 일시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환자들은 매듭의 실과 같은 속성을 충족시킵니다. 환자가 매듭에 참여하는 것과 관련하여 선택권을 행사하지는 않았지만, 학생들의 목표 달성 여부는 함께한 환자와의 일치 여부에 달려 있었습니다.
We found patients played a multifaceted role in the activity system. Both students and supervisors described patients as critical to the fulfilling of students’ learning goals. Whether patients’ needs and attributes aligned with students’ goals was often attributable to serendipity, and the constantly changing mix of patients made the interactions transient. In this way patients meet the attributes of a thread in the knot. Although patients did not exercise choice with regard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knot, the success of students’ goals depended on their alignment with the patients who were present.

또 다른 문제는 서면 학습 목표가 어떻게 인식되는지에서 발생했습니다. 일부 학생들은 서면으로 작성된 학습 목표를 작업 중에 스스로 만든 비공식적이고 자발적인 목표와 별개의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학생 또는 감독자가 학습 목표를 [외부에서 부과된 요구 사항]으로 인식하면 학습 목표의 생성은 [기대 성과와 무관한 대상]이 되어 교육적 목적이 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학습 목표 설정 요건은 학생들이 원하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돕는 대신 원하는 활동에서 시간을 보내도록 강요함으로써 새로운 모순을 초래했을 수 있습니다.18
Another challenge arose from how the written learning goals were perceived. Some students saw their written learning goals as distinct from the informal, spontaneous goals they would create for themselves during their work. When students or supervisors perceived learning goals as an externally imposed requirement, the creation of learning goals became an object unrelated to any of the desired outcomes and rendered the goals an educational deadend. In these cases, the requirement to create learning goals may have led to new contradictions by forcing students to spend time away from desired activities instead of helping them to participate in those activities.18

관계적 기관의 산물로서의 학습 목표
Learning goals as a product of relational agency

학생의 학습 목표가 팀 활동의 광범위한 변화로 이어졌는지 여부는 학생과 감독자 모두의 협업에 달려 있었습니다. 새로운 행동을 만들어내는 이러한 유형의 협업 능력을 '관계적 주체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계적 에이전시란 '다른 사람의 감각적 판단을 끌어들여 자신이 작업하는 대상을 확장하고, 그 감각적 판단에 대응할 때 다른 사람이 제공하는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27 
Whether students’ learning goals led to expansive transformation of the team's activity was dependent on both students’ and supervisors’ collaboration. This type of collaborative power to create new actions can be referred to as ‘relational agency’. Relational agency is the ‘capacity to work with others to expand the object that one is working on by bringing to bear the sense-making of others and to draw on the resources they offer when responding to that sense-making’.27

[관계적 에이전시]에서는 학생과 감독자 모두 팀의 행동에 기여해야 하지만, 이들의 권한이 본질적으로 동등한 것은 아닙니다. 슈퍼바이저는 환자 치료에 대한 최종적인 책임이 있으며, 임상 업무에 기여하는 데 필요한 기술 유형을 정의하고 학생의 성적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힘의 불균형을 고려할 때, 학습 목표를 제정하는 관계적 행위자성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기여도]는 학생의 기여도보다 잠재적으로 더 중요해집니다. 실제로 모든 학생이 학습 목표 사용에 영향을 미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감독자의 참여를 꼽았습니다. 또한 몇몇 슈퍼바이저는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팀의 학습을 위해서는 [높은 권력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권력을 사용하여 낮은 권력을 가진 사람의 의견과 참여를 기대하고 촉진해야 한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제안을 확인했습니다.28 일반적으로 슈퍼바이저가 학생의 학습 목표를 소중히 여기고 학생과 소통할 때 학생도 관심과 노력으로 보답했습니다.
Whereas relational agency requires that both students and supervisors contribute to the actions of the team, their power is not inherently equal. Supervisors hav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patient care, they often define the types of skills that are necessary to contribute to the clinical work, and they determine students’ grades. Given the power imbalance, supervisors’ contributions to the relational agency of enacting learning goals become potentially more important than students’ contributions. Indeed, all students identified supervisor engagement as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d the use of their learning goals. Several supervisors also commented on the critical role that they played in students’ fulfilling of their goals. Our study confirms what others have suggested: for teams to learn, those in positions of high power must use their power to create expectations of and promote the input and participation of those with low power.28 Generally, when supervisors valued students’ learning goals and engaged with them, students reciprocated with interest and effort.

제한 사항
Limitations

많은 CHAT 기반 연구는 광범위한 직장 내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직접 현장 관찰 방법론을 사용합니다. 저희는 데이터를 수집한 후 CHAT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으로 판단했기 때문에, 학생의 학습 목표와 관련된 경험과 행동에 대한 설명을 참가자 인터뷰에만 의존했습니다. 저희는 저희의 방법이 시스템 내 비인간적 요소의 역할보다 인간의 선택권을 우선시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학생과 지도교수가 임상 교육 환경에서 자신의 행동을 중재하기 위해 사용했을 수 있는 모든 도구를 조사하지는 않았습니다. 학생과 감독자가 서면 학습 목표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학습 지향적 행동과 협업을 생성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난 것입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생의 학습 목표에 대한 팀의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학습 목표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렌즈로 CHAT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이론적 렌즈를 통해 더 강조되었을 수 있는 작업 기반 학습의 측면을 간과했을 수 있습니다. 
Many CHAT-based studies use direct field observation methodologies to investigate broad sets of workplace interactions. Because we identified CHAT as our best explanatory theory after our data had been collected, our study relied solely on participant interviews for descriptions of experiences and actions regarding students’ learning goals. We recognise that our methods privilege human agency over the role of non-human elements within the system. We did not examine all the tools students and their supervisors may have used to mediate their actions in th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When students and supervisors did not engage with the written learning goals, they may have used other tools to generate new learning-oriented actions and collaboration. However, this was outside the scope of our study. Future studies would benefit from direct observation of teams’ interactions around student learning goals. By using CHAT as a lens through which to understand our learning goals programme, we may have neglected aspects of work-based learning that may have received greater emphasis through a different theoretical lens.

결론
Conclusions


우리의 연구는 학생들의 서면 학습 목표가 학생의 내부 인지 과정 이외의 요인, 특히 슈퍼바이저 및 환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학생과 감독자는 업무 기반 학습에 내재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목표]를 [기대 성과]와 일치시키기 위해 협력해야 합니다. 서면 학습 목표는 학생과 감독자가 이러한 조율을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행동 및 상호 작용 방식을 협상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 작용은 미약하고 유동적이며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습니다. 
Our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written learning goals are influenced by factors beyond students’ internal cognitive processes, notably by their interactions with supervisors and patients. Students and supervisors must collaborate to align competing objects with desired outcom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work-based learning. Written learning goals may serve as tools that allow students and supervisors to negotiate new ways of acting and interacting to achieve that alignment. These interactions, however, are tenuous, fluid, and constantly under pressure.

교육자가 광범위한 학습을 지원하는 협업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때, 학생 학습 목표를 문서화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학생과 감독자는 목표를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라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그들은 서로 연동되고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협력할 때 각자의 기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학습 목표 프로그램의 목적과 비전은 학생을 마스터 학습자로 개발하는 것을 넘어 마스터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As educators consider how to create collaborative environments that support expansive learning, written student learning goals are a potentially powerful tool. However, students and supervisors must see the goals as means to achieve outcomes they desire, rather than being an end in and of themselves. They must recognise that each of their contributions is critical in collaboration as they then create an interlocking and progressively improving system. The purpose and vision of learning goal programmes should move beyo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s master learners towards the development of master learning systems.


Med Educ. 2017 Jul;51(7):687-698. doi: 10.1111/medu.13295. Epub 2017 Apr 12.

Tying knots: an activity theory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goals in clin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Neurology, School of Medicin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St Louis, Missouri, USA.

2School of Medicin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St Louis, Missouri, USA.

3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St. Louis, Missouri, USA.

4Division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Department of Medicin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Bethesda, Maryland, USA.

5Department of Medicine & The Wilson Centr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PMID: 28401571

DOI: 10.1111/medu.13295

Abstract

Context: Learning goal programmes are often created to help students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however, these programmes do not necessarily consider the social contexts surrounding learning goals or how they fit into daily educational practice.

Objectives: We investigated a high-frequency learning goal programme in which students generated and shared weekly learning goals with their clinical teams in core Year 3 clerkships. Our study explores: (i) how learning goals were incorporated into the clinical work, and (ii)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use of students' learning goals in work-based learning.

Methods: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4 students and 14 supervisors (attending physicians and residents) sampled from all participating core clerkships. Interviews were coded for emerging themes. Using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knotworking as theoretical lenses, we developed a model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d students' learning goal usage in a work-based learning context.

Results: Students and supervisors often faced the challenge of reconciling contradictions that arose when the desired outcomes of student skill development, grading and patient care were not aligned. Learning goals could function as tools for developing new ways of acting that overcame those contradictions by facilitating collaborative effort between students and their supervisors. However, for new collaborations to take place, both students and supervisors had to engage with the goals, and the necessary patients needed to be present. When any one part of the system did not converge around the learning goals, the impact of the learning goals programme was limited.

Conclusions: Learning goals are potentially powerful tools to mediate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supervisors and patients, and to reconcile contradictions in work-based learning environments. Learning goals provide a means to develop not only learners, but also learning systems.

건강 및 사회적 돌봄 교육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이론적 체계적 문헌고찰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A theoretical systematic review of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Amber Bennett‑Weston1 · Simon Gay1 · Elizabeth S. Anderson1

 

소개
Introduction

의학교육자들은 프로그램 전달 체계 내에서 환자의 참여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이해와 발전을 위한 여정을 계속하고 있습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이 검토에서는 "환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건강 및 사회적 돌봄에 대한 자신의 생생한 경험을 대표하는 사람들과 간병인을 설명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용어가 [전문가와 환자 사이의 가부장적 권력 관계]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비스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와 같은 대안도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의학 교육에 환자가 포함된다는 것은 여전히 상식이지만, 초기 사고는 의료 지식 통제에 대한 가부장적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대중을 학습 자원으로 사용했습니다(Malterud 외., 2004; Spencer 외., 2011). 오늘날 환자가 커리큘럼 공동 개발, 교육, 학생 선발 및 평가에 참여하는 평등 및 형평성 의제를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이러한 입장은 크게 약화되었습니다(Spencer 외., 2011; Towle 외., 2010). 이는 [현대의 환자 중심 팀워크]와 [통합적 돌봄]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며, 환자가 자신의 건강 및 사회복지 치료 여정과 시스템 설계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됩니다(보건부, 2000, 2001, 2005, 2007, 2009; 보건사회부, 2021; 캐나다 보건위원회, 2006; 의학연구소, 2000). 이러한 변화는 장애에 대한 사회적 움직임과 품질 및 안전 실패에 대한 보고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Beresford & Croft, 2016; Francis, 2013; Oliver, 2013). 
Medical educators continue on a journey to advance and understand how to frame the involvement of patients within programme delivery systems (Regan de Bere & Nunn, 2016). In this review, the term “patient(s)” will be used to describe those who represent their own lived experience of health and social care, and carers. We recognise that this term has been associated with paternalistic power 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s and patients. However, alternatives such as service user or client, are also contested. While it remains common sense that medical education involves patients, early thinking mirrored the paternalistic paradigm of medical knowledge control and resulted in using the public as a learning resource (Malterud et al., 2004; Spencer et al., 2011). Today this position has largely been eroded as we work together towards an equality and equity agenda where patients are involved in curriculum co-creation, teaching, student selection and assessment (Spencer et al., 2011; Towle et al., 2010). This reflects modern patient-centred team working and aspirations for integrated care where patients are more involved in their health and social care journey and the system design (Department of Health, 2000, 2001, 2005, 2007, 2009;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Health Council of Canada, 2006; Institute of Medicine, 2000). These changes are steeped in the social movement of disability and reports of quality and safety failings (Beresford & Croft, 2016; Francis, 2013; Oliver, 2013).

그 결과, 의학교육은 이러한 파트너십 의제가 학생 학습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빠르게 발전해 왔으며(Towle et al., 2010), 이는 GMC(General Medical Council)와 같은 전문 기관과 현대 정책(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에 의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제 참여는 [학습 자료 개발 및 스토리텔링 역할에 대한 최소한의 참여]부터 [환자와 교육자 간의 동등한 파트너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개념화되고 있습니다(Towle 외., 2010). 초기 시민 참여 운동에서 구상된 바와 같이(Arnstein, 1969), 파트너십은 참여 이니셔티브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하며, 이는 전체 커뮤니티에 혜택을 주고 환자의 진정성에 신뢰를 더하는 것입니다(Gordon et al., 2020). 
Consequently, medical education has advanced rapidly to ensure this partnership agenda informs the foundations of student learning (Towle et al., 2010), propelled by professional bodies such as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and modern policy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 Involvement is now conceptualised as a spectrum, ranging from minimal involvement in learning material development and storytelling roles to equal partnerships between patients and educators (Towle et al., 2010). As envisaged in the early citizen participation movement (Arnstein, 1969), partnership should be the ultimate goal of involvement initiatives, to benefit the entire community and add credence to patients’ authenticity (Gordon et al., 2020).

이 시점에서 여러 검토를 통해 [의학 교육에서 환자의 다양한 역할]과 [환자의 참여를 뒷받침하는 의심할 여지 없는 변혁적 효과]가 구체화되었습니다(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Spencer 외., 2011; Towle 외., 2010). 최근 검토에 따르면 의학교육 내에서 환자의 지위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Sebok-Syer 등, 2021), 대부분의 이니셔티브에서 환자가 스토리텔러로 참여하며 파트너십 관계에 대한 증거는 없습니다(Dijk 등, 2020; Gordon 등, 2020). 다른 전문 교육 분야, 특히 사회 복지, 간호 및 정신 건강 분야에서는 [파트너십 관계가 없는 스토리텔링]이 계속되고 있지만(Morgan & Jones, 2009; Robinson & Webber, 2013; Terry, 2012), 주요 교육 역할, 교육과정 설계, 학생 선발 및 평가에 환자의 참여를 탐구하는 등 스토리텔링 역할을 넘어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사례가 있습니다(Anderson et al, 2019; Downe 외., 2007; Happell & Roper, 2009; Rhodes & Nyawata, 2011; Simons 외., 2007; Unwin & Rooney, 2020). 
At this juncture, several reviews have crystallised the many roles for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undoubtedly transformational effects which support their involvement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Spencer et al., 2011; Towle et al., 2010). Recent reviews show that despite an increase in activity, and amidst critical discussions on the positioning of patients within medical education (Sebok-Syer et al., 2021), most initiatives involve patients as storytellers and there is no evidence of partnership relationships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While in other areas of professional education – notably social care, nursing and mental health – storytelling without partnership relationships continues (Morgan & Jones, 2009; Robinson & Webber, 2013; Terry, 2012), there are examples which extend our understanding of new possibilities beyond storytelling roles, including exploring patient involvement in leading teaching roles, curriculum design, student selection, and assessment (Anderson et al., 2019; Downe et al., 2007; Happell & Roper, 2009; Rhodes & Nyawata, 2011; Simons et al., 2007; Unwin & Rooney, 2020).

교수 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자들은 [적절한 인프라, 자원 및 교수진 지원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많은 과제]를 인식하는 것을 넘어 이러한 발전된 작업이 전문 교육에 환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개념화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이해해야 합니다(Basset et al., 2006). Regan de Bere와 Nunn(2016)은 의학교육에서 환자의 참여를 탐구하기 위한 분석적 휴리스틱으로 활동 이론(Engeström, 2001)을 제안했습니다. [활동 이론]은 심리적, 문화적 역사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간 활동을 특정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다양한 요인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개념화합니다(Engeström, 2001). 활동 이론은 프로그램 전달 체계 내에서 환자를 통합하는 복잡성을 포착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 교육에서 환자 참여의 '다양한 역할과 현실'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경험적 이해가 여전히 필요합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To enhance faculty development, educators must understand how such advancing pieces of work can help us to conceptualise the involvement of patients and carers in professional education, going beyond acknowledgement of the many challenges, both practical and systemic, for appropriate infrastructure, resources, and faculty support (Basset et al., 2006). Regan de Bere and Nunn (2016) proposed Activity Theory (Engeström, 2001) as an analytical heuristic to explore the involvement of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Activity Theory has roots in psychological and cultural-historical traditions and conceptualises human activity as a system comprising various factors that interact to achieve specific outcomes (Engeström, 2001). Activity Theory can capture the complexity of integrating patients within programme delivery systems; nevertheless, there remains a need for theoretically grounded, empirical understandings of the ‘multiple roles and realities’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Regan de Bere & Nunn, 2016).

문헌 검토는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최근의 검토에서는 의학교육에서의 환자 참여에 대한 출판된 설명과 평가에 이론적 토대가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De Groot 외., 2020; 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이론]은 여러 환경에 걸쳐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을 생성]하며, 복잡한 활동이 어떻게 그리고 왜 [작동하는지에 대한 설명][조명하고 확대]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기초가 됩니다(Bordage, 2009; Reeves & Hean, 2013; Sutton & Staw, 1995). 의학교육에 환자가 참여하는 맥락에서 이론은 두 가지 방식으로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첫째, 이론으로 뒷받침되는 교수학습은 교과과정의 가정을 밝히고 교과과정 실습을 정당화하며 향후 반복 및 테스트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Bordage, 2009; Kamel-El Sayed & Loftus, 2018),
  • 둘째, 이론은 교육 커뮤니티 내에서 환자와 협력하여 일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혀줍니다(Gordon et al., 2020; Regan de Bere & Nunn, 2016). 이론적 뿌리가 없다면 우리는 발전할 수 없을 것입니다(Gordon et al., 2020).

Literature reviews can propel our understanding and recent reviews have highlighted that published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of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lack theoretical underpinning (De Groot et al., 2020;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Theories generate knowledge that can be generalised across settings and are the foundation of conceptual frameworks which illuminate and magnify explanations for how and why complex activities work (Bordage, 2009; Reeves & Hean, 2013; Sutton & Staw, 1995). In the context of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theory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s in two ways;

  • first, theoretically underpinned teaching and learning illuminates curricular assumptions, justifies curricular practices and provides a basis for future iterations and testing (Bordage, 2009; Kamel-El Sayed & Loftus, 2018) and
  • second, theory can illuminate what it means to work in partnership with patients within the education community (Gordon et al., 2020; Regan de Bere & Nunn, 2016). Without theoretical roots we are unlikely to advance (Gordon et al., 2020).

최근의 리뷰(De Groot 외, 2020; Dijk 외, 2020; Gordon 외, 2020)는 의학교육을 넘어서지 않았으며, 다른 전문직과 전문직 간 교육(IPE)에서의 학습을 놓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문헌고찰이 이론을 검색하고 종합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지 않았으며, 각 연구에서 이론이 적용된 질을 평가하기 위한 전용 이론적 질 평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론의 효과적인 사용을 모색하는 이론적 리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자를 지원하는 중요한 자원입니다(Hean 외., 2018). 이론적 품질을 평가하는 도구(Hean et al., 2016)를 사용하면 연구 전반에 걸쳐 이론이 적용되고 조정되어 더 깊은 이해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 이론적 관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 영역에서 환자 참여에 관한 문헌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Recent reviews (De Groot et al., 2020;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have not looked beyond medical education, possibly missing learning from other profession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More importantly, these reviews have not taken a systematic approach to searching for and synthesising theory, nor have they used a dedicated theoretical quality appraisal tool to assess the quality with which theory has been applied in each study. Theoretical reviews, which seek to explore the effective use of theory, address these issues and are an important resource to support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ors (Hean et al., 2018). The use of a tool to assess theoretical quality (Hean et al., 2016) ensures theory has been applied and aligned throughout a study to reveal deeper understandings. There has not yet been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patient involvement in any area of professional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despite increasing calls for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n de Bere & Nunn, 2016).

[이론적 검토]의 목적은 전문 교육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수준 높은 이론 논문이 기여한 바를 종합하여 모범 사례를 조명하는 것입니다. 환자 참여는 사회복지, 간호, 정신건강과 같은 분야에서 잘 확립되어 있으므로(Spencer et al., 2011),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의 모든 영역의 연구를 포함합니다. 이 분야에서 수행된 이론 검토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The purpose of this theoretical review is to synthesise the contribution that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have made to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to illuminate best practice. As patient involvement is well-established in disciplines like social care, nursing, and mental health (Spencer et al., 2011), we include studies from all areas of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This is the first review of theory to be conducted in this field.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We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 전문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에서 이론은 어떻게 구성되고 환자의 교육 및 학습 참여에 적용됩니까?
  • 환자를 교육 커뮤니티에 통합하고 교수진에 참여시키는 데 이론이 어떻게 구성되고 적용됩니까?
  • How is theory framed and applied to patient invol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in professional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 How is theory framed and applied to the integration of patients into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faculty?

 

방법
Method

디자인
Design

본 연구의 주제는 이 분야에서 잘 정립된 문헌이 있다는 사실에 따라 일반적으로 새로운 증거를 탐색하는 데 사용되는 범위 검토를 넘어 체계적 검토가 필요했습니다(Munn et al., 2018). 우리는 유럽 의학교육협회(AMEE; Sharma et al., 2015)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했습니다. 문헌고찰의 보고는 STORIES(STructured apprOach to the Reporting In healthcare education of Evidence Synthesis) 성명서(Gordon & Gibbs, 2014)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이 문헌고찰은 PROSPERO(CRD42021230682)에 등록되었습니다. 
Following the fact that there is a well-established body of literature in this field, the subject of this study goes beyond a scoping review, which is typically used to explore emerging evidence (Munn et al., 2018), and requires a systematic review.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s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Sharma et al., 2015). The reporting of the review is guided by the STORIES (STructured apprOach to the Reporting In healthcare education of Evidence Synthesis) statement (Gordon & Gibbs, 2014). The review was registered in PROSPERO (CRD42021230682).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2000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에 영어로 발표된 논문을 전자 데이터베이스 MEDLINE, CINAHL 및 PsychINFO에서 검색했습니다. 이 기간은 보건 및 사회 복지 분야에서 파트너십 의제가 도입된 '새로운 NHS'(영국 보건부, 2000)와 관련이 있습니다. 검색어는 이론을 체계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권고사항에 따라 Booth와 Carroll(2015)의 BeHEMoTh 프레임워크(행동, 건강 상태 또는 맥락, 모델 또는 이론, 온라인 부록 1)와 이전의 체계적 문헌고찰(Dijk 외., 2020; Gordon 외., 2020)을 적용하여 선정했습니다. 검색할 수 없는 논문의 저자는 연락을 취했으며, 응답하지 않은 논문은 제외했습니다. 추가 논문을 찾기 위해 관련 논문의 참고문헌 목록을 검색하는 수작업 검색과 조상 검색(Haig & Dozier, 2003)을 수행했습니다. 
We searched the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CINAHL and PsychINFO for papers in English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20. This timeframe correlates with the introduction of a partnership agenda in health and social care with the ‘New NHS’ (Department of Health, 2000). Search terms were guided by recommendations for systematic searching for theory, adapting Booth and Carroll’s (2015) BeHEMoTh framework (Behaviour; Health condition or context; Models or Theories; Online Appendix 1) and previous systematic reviews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Authors of unavailable papers were contacted; those that did not respond were excluded. Hand searching and ancestry searching, which involves searching the reference lists of relevant papers (Haig & Dozier, 2003), were conducted to identify further papers.

적격성 기준
Eligibility criteria

우리의 기준은 이론이 명시적으로 참조되고 적용된 전문 교육에 환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을 찾았습니다(표 1). Gordon 등(2020)의 기준에 따라 환자 참여에 대해 피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논의하고, 환자 참여에 대한 단일 진술 이상의 세부 사항을 제공하는 연구만 포함했습니다. 이는 환자 참여에 대한 모범 사례를 파악하려는 우리의 목표를 고려할 때 매우 중요했습니다. 참여는 환자-학생의 우연한 만남을 넘어 계획된 교육 참여까지를 적극적인 참여로 간주하는 Towle 외(2010)의 참여 스펙트럼을 따랐습니다. 환자가 자신이 아닌 타인으로 행동한 논문은 제외했습니다. '이론'에 대한 우리의 정의는 Hean 등(2016)과 일치하며, 방법과 이유보다는 무엇을 수행했는지를 기술하는 비개념적 프레임워크와 모델을 제외했습니다. 논의 끝에 참여 행동 연구(PAR)를 사용한 논문을 포함시킨 이유는 PAR이 행동 이론을 생성하고 검증한다는 증거가 있기 때문입니다(Greenwood, 1994). PAR을 적용한 논문은 그 이론적 토대를 명시적으로 설명해야만 등재 자격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Our criteria sought papers showing an active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where theory was explicitly referenced and applied (Table 1). In alignment with Gordon et al. (2020), we only included studies that discussed patient involvement in more than a cursory fashion, providing detail beyond a single statement about patient involvement. This was important given our aim to identify best practices for patient involvement. Involvement followed Towle et al. (2010) Spectrum of Involvement which considers active involvement as beyond incidental patient-student encounters to planned participation in teaching. We excluded papers where patients were acting as others and not themselves. Our definition of ‘theory’ aligns with Hean et al. (2016): excluding non-conceptual frameworks and models which state what was done rather than how and why. After discussion we included papers using participatory-action-research (PAR), because of evidence that PAR generates and tests action theories (Greenwood, 1994). To be eligible for inclusion, papers applying PAR had to explicitly articulate its theoretical foundations.

초기 선택
Initial selection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결과를 검색한 후, 웹 기반 참고 문헌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인 RefWorks를 사용하여 중복을 제거했습니다. 중복이 제거된 후, 세 명의 리뷰어(ABW, SG, EA)가 인용된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모두 심사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잠재적으로 적격할 수 있는 모든 연구를 포착하기 위해 전문 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에 이론을 적용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논문과 교육 참여만을 언급한 논문을 모두 유지했습니다. 두 번째 심사 단계에서는 수작업 및 조상 검색을 통해 검색된 논문과 함께 적격성 기준에 따라 보존된 모든 연구의 전체 텍스트를 확인했습니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팀원들과 함께 샘플 논문(n=10)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적격성 기준을 충족하는 논문은 최종 선정 단계로 넘어가 이론적 품질에 대한 추가 평가를 거쳤습니다. 
After retrieving the search results from the different databases, duplicates were removed using RefWorks, a web-based bibliography and database manager. Once duplicates were removed, the titles and abstracts of the resulting citations were screened by all three reviewers (ABW, SG, EA). At this stage, we retained all articles that explicitly referenced the application of theory to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ose that referenced involvement in education alone, to ensure capture of all potentially eligible studies. The second stage of screening involved checking the full texts of all retained studies against the eligibility criteria, along with papers retrieved through hand and ancestry searching. To ensure reliability we discussed a sample of papers (n = 10) as a team. Those papers that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were taken forward for the final stage of selection and for further assessment of theoretical quality.

이론적 품질 평가
Assessment of theoretical quality

기존의 근거 기반 검토에서 방법론적 질 평가는 좋은 근거를 구성하기에 충분히 엄격한 연구를 선별하는 핵심 과정입니다(Hean et al., 2016, 2018). 검토의 초점이 이론인 경우, 이론이 적용된 품질을 평가하도록 재구성해야 하며, 가장 우수한 품질의 이론을 적용한 논문만 이론적 검토에 포함시켜야 합니다(Hean et al., 2016). 우리는 이론이 IPE에 기여하는 바에 대한 의학교육의 최고 근거(BEME) 검토에 적용하기 위해 Hean 등(2016)이 처음에 개발한 이론적 질 도구(온라인 부록 2)를 채택했습니다(Hean 등, 2018). 이 도구는 이론과 연구 간의 연계성에 대한 Fawcett과 Downs(1992)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론적 품질의 5가지 차원을 평가합니다:

  • 실용적 적절성, 이론이 실무에 대한 명확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가,
  • 추론검증 가능성, 이론이 명확하게 기술되고 그 이론에서 도출된 명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는가,
  • 운영경험적 적절성, 이론과 사용된 연구 방법 및 수집된 경험적 데이터 간에 명확한 연계성이 있는지를 고려합니다(Hean et al., 2016).

In a conventional review of the evidence-base, the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quality is a core process in selecting sufficiently rigorous studies to constitute good evidence (Hean et al., 2016, 2018). Where the review focus is theory, this should be reframed to assess the quality with which theory has been applied; only papers that have applied theory with the greatest quality, should be included in a theoretical review (Hean et al., 2016). We adapted a Theoretical Quality Tool (Online Appendix 2), initially developed by Hean et al. (2016) for application within a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review of the contributions of theory to IPE (Hean et al., 2018). The tool assesses five dimensions of theoretical quality based upon Fawcett and Downs’ (1992) work on the link between theory and research:

  • pragmatic adequacy, does the theory have clear utility for practice;
  • parsimony and testability, is the theory clearly described and propositions derived from that theory clearly presented; and
  • operational and empirical adequacy, considering whether there are clear links between the theory, the research methods used, and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Hean et al., 2016).

이 도구의 최대 점수는 9점이며, 실용적 적절성을 평가하는 3개 항목, 추론 및 검증 가능성을 평가하는 3개 항목, 경험적 논문의 경우에만 운영 및 경험적 적절성을 평가하는 3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최종 표본에 포함되려면 논문이 실용적 적절성과 적용하고자 하는 이론의 명확한 표현(추론 및 실험 가능성)을 입증해야 했으며, 세 명의 저자(ABW, SG, EA) 각각으로부터 이론적 품질 도구(Hean et al., 2018)에서 최소 6/9점을 받아야 했습니다. 정교한 이론적 논의를 포함하지만 실제 교과 과정이나 환자 참여에 대한 적용이 부족한 논문은 '열망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제외했습니다. 모든 저자(ABW, SG, EA)는 처음에는 수준 높은 이론에 대한 공유된 이해에 도달할 때까지 5편의 논문에 대해 함께 작업한 후, 나머지 나머지 논문에 독립적으로 도구를 적용했습니다. 팀원들은 정기적으로 만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교환했습니다. 대부분의 논문에서 포함/제외에 대한 모든 저자(ABW, SG, EA) 간의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일부 논문의 경우, 논의를 통해 포함/제외에 관한 명확성을 추구했습니다.
The tool has a maximum score of 9, with three items assessing pragmatic adequacy, three items assessing parsimony and testability, and for empirical papers only, three items assessing operational and empirical adequacy. To be eligible for inclusion in the final sample, papers had to demonstrate pragmatic adequacy and clear articulation of the theory they claimed to deploy (parsimony and testability), receiving a minimum score of 6/9 points on the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8) from each of the three authors (ABW, SG, EA). Papers that included sophisticated theoretical discussions but lacked application to actual curricular practices or patient involvement, were considered ‘aspirational’ and were excluded. All authors (ABW, SG, EA) initially worked together on five papers until a shared understanding of high-quality theory had been reached, before independently applying the tool to each of the remaining retained papers. We met regularly as a team to share and exchange our progress. Complete agreement between all authors (ABW, SG, EA) on inclusion/exclusion was achieved for the majority of papers. For a small subset of papers, we sought clarification regarding inclusion/exclusion through discussion.

데이터 추출
Data extraction

보고된 환자 참여 및/또는 교육 개입의 성격과 이론의 적용을 상호 참조하기 위해 Microsoft Word®(2018)로 데이터 추출 템플릿을 만들었습니다. 이 템플릿은 각 검토자가 하나의 논문에 시범적으로 사용했으며,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팀으로 논의했습니다. 
A data extraction template was constructed in Microsoft Word® (2018) to cross-reference the nature of the patient involvement and/or educational intervention repor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ory. This was piloted on one paper by each reviewer and discussed as a team to ensure completeness.

처음에는 잘 정립된 '참여의 스펙트럼'(Towle et al., 2010)을 사용하여 포함된 각 논문에서 보고된 참여의 '수준'을 파악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Gordon 등(2020)과 마찬가지로, 보고된 참여 이니셔티브 중 어느 것도 하나의 특정 수준에 깔끔하게 또는 대략적으로 들어맞는 것이 없다는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똑같이 잘 정립된 '참여의 사다리'(Tew et al., 2004)로 눈을 돌렸을 때도 동일한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각 논문을 하나의 규범적 수준에 명확하게 맞출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도구의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지만, 교육자들이 참여 이니셔티브를 계획하거나 보고할 때 이러한 도구를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Initially, we had intended to capture the ‘level’ of involvement reported in each included paper, using the well-established ‘Spectrum of Involvement’ (Towle et al., 2010). However, similar to Gordon et al. (2020) we encountered difficulties; none of the involvement initiatives reported fitted neatly, or even roughly, into one specific level. The same problem presented itself upon turning to the equally well-established ‘Ladder of Involvement’ (Tew et al., 2004). As such, we were unable to definitively align each paper to one prescriptive level. These challenges may indicate issues with the utility and applicability of such tools in ‘real-life’ educational practice, though it is also possible that educators are simply not taking these tools into account when planning or reporting their involvement initiatives.

데이터 종합
Data synthesis

포함된 연구의 최종 샘플에 대해 내러티브 종합을 수행했습니다(Popay 외., 2006). 활동 이론(Engeström, 2001)을 분석 프레임워크로 적용하여 보건 전문직 학생에게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고려해야 하는 교육 학교 내의 [다면적인 구성 요소]를 고려했습니다,

  • 학습을 위한 주체,
  • 개업의 등록을 위한 커리큘럼 요건을 충족하는 보다 광범위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객체.

전문직 교육에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시스템(그림 1)에서, 환자의 참여로 인해 주체와 객체가 강화됩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최종 샘플을 분석하여 다음에 대해 이러한 수준 높은 이론 논문이 활동 이론의 구성 요소에 이론적으로 기여한 바를 고려했습니다.

  • 매개물과 도구(모든 지원 프로세스),
  • 규칙(규제 기관의 정책, 표준윤리 강령),
  • 교육 공동체(고용된 구성원 및 주변 구성원, 그들의 공유 비전 감각),
  • 분업(교육이 관리되고 조율되는 방식)

We conducted a narrative synthesis on the final sample of included studies (Popay et al., 2006). Activity Theory (Engeström, 2001) was appli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consider the multifaceted components within training schools that must come together to deliver teaching to health professions students,

  • the Subject, for learning,
  • the Object, to achieve the broader Outcome of meeting curriculum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as a practitioner. 

In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Fig. 1), the Subject and Object are enhanced because of the involvement of patients (Regan de Bere & Nunn, 2016). The final sample was analysed to consider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made by these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to the components of Activity Theory, namely:

  • the mediating Artefacts and Tools (all the support processes),
  • the Rules (regulator policies, standards, and ethical codes),
  • the education Community (employed and peripheral members, and their sense of shared vision) and 
  • Division of Labour (how teaching is managed and orchestrated).

활동 이론은 고등교육기관(HEI)의 복잡한 시스템의 풍부하고 다면적인 특성을 반영하며, 전문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격차를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프레임워크입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Activity Theory reflects the richness and multifaceted nature of the complex system of an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EI) and is a suitable framework against which we can begin to see the gaps in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Regan de Bere & Nunn, 2016).

결과
Results

최종 검색 결과 총 4848건의 인용이 이루어졌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결과 3655개의 논문이 제목 및 초록 심사에 사용 가능했습니다. 229편의 논문을 보유하여 적격성 기준에 따라 전체 내용을 확인한 후, 수작업 및 조상 검색을 통해 추가로 2편의 논문을 검색했습니다. 55개의 논문이 적격성 기준을 충족하여 3명의 저자 모두의 이론적 품질 평가를 위해 앞으로 나아갔습니다. 이론적 정교함이 입증된 논문만 포함되었습니다. 이 단계에서 모든 저자(ABW, SG, EA)의 포함/제외에 대한 동의도는 약 91%였습니다. 이론적 수준을 평가한 나머지 9%의 논문에 대한 검토자 간 판단의 상충은 토론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그 결과 이론적 근거를 갖춘 고품질의 최종 샘플 논문 7편이 남았으며, 이 논문들은 모두 이론적 품질 도구에서 최고 점수인 9/9점을 받았습니다(Hean et al., 2016). 그림 2는 최종 샘플에 도달한 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The final searches produced a total of 4848 citations. After removing duplicates, the resulting 3655 citations were available for title and abstract screening. 229 papers were retained and checked, in full, against the eligibility criteria, followed by an additional 2 papers retrieved through hand and ancestry searching. 55 papers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were taken forward for the assessment of theoretical quality by all three authors. Only papers demonstrating theoretical sophistication were included. The degree of agreement on inclusion/exclusion between all authors (ABW, SG, EA) at this stage was approximately 91%. Conflicts between reviewers’ judgments on the remaining 9% of the papers assessed for theoretical quality were resolved through discussion. This left a final sample of 7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papers, all of which scored the maximum 9/9 points on the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6). Figure 2 provides an overview of how the final sample was reached.

 

포함된 연구 개요
Overview of included studies

최종 7편의 수준 높은 이론 논문은 2006년부터 2020년 사이에 발표되었으며, 대부분(n=5) 최근 2년 이내에 발표되었고 유럽과 캐나다에서 발표되었습니다(표 2). 4편의 논문은 단일 전문직 학생 그룹에 초점을 맞췄는데, 2편은 의학(Kline 외, 2020) 및 약학(Hache 외, 2020) 학부생이었고 2편은 의학(Jha 외, 2015) 및 정신의학(Agrawal 외, 2020) 대학원생이었습니다. 2편의 연구는 의학, 언어치료, 조산, 간호, 물리치료, 작업치료, 사회사업 등 다학제간 연구였습니다(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한 논문은 의학 및 보건 과학 학부 전반에 걸쳐 관련된 환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Read et al., 2020). 한 편의 논문(Hache 외, 2020)을 제외한 모든 논문은 교육이 필수인지(Agrawal 외, 2020; Anderson 외, 2019; Jha 외, 2015), 선택인지(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외, 2020)를 명시했습니다. 환자 참여는 강의실에서 이루어졌고(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2편은 지역사회 환경에서 이루어졌습니다(Agrawal et al., 2020; Kline et al., 2020). 4편의 논문은 질적 방법론을 채택했고(Agrawal 외., 2020; Anderson 외.,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외., 2020), 2편의 논문은 혼합 방법 접근법을, 1편의 논문은 무작위 대조 시험(RCT; Jha 외., 2015)을 보고했습니다. 참여 수준을 명확히 규정할 수는 없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환자의 비용 부담, 교육, 지원, 커리큘럼 제공을 넘어선 참여를 고려하여 이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he final 7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were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20, most (n = 5) within the last two years and were from Europe and Canada (Table 2). Four papers focused on uni-professional student groups: two were undergraduate in medicine (Kline et al., 2020) and pharmacy (Hache et al., 2020), and two were postgraduate in medicine (Jha et al., 2015) and psychiatry (Agrawal et al., 2020). Two studies were interprofessional including medicin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midwifery, nursing, physio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social work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One paper focused on patients involved across a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Read et al., 2020). All but one paper (Hache et al., 2020) stated whether the teaching was mandatory (Agrawal et al., 2020; Anderson et al., 2019; Jha et al., 2015) or elective (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et al., 2020). Patient involvement occurred in the classroom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with two in community settings (Agrawal et al., 2020; Kline et al., 2020). Four papers adopted a qualitative methodology (Agrawal et al., 2020;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et al., 2020), two papers a mixed-methods approach (Hache et al., 2020; Read et al., 2020), and one reporte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RCT; Jha et al., 2015). Although we were unable to definitively assign a level of involvement, most studies demonstrated concerted efforts to work towards this through consideration of patient payment, training, support, and involvement beyond curriculum delivery.

 

연구 질문에 따라 7편의 논문은 이론 적용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습니다.

  • 4개의 논문은 환자 참여가 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했고(Agrawal 외, 2020; Hache 외, 2020; Jha 외, 2015; Kline 외, 2020),
  • 3개의 논문은 교육 커뮤니티 내 환자 조율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을 적용했습니다(Anderson 외,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외, 2020).

아래에 제시된 종합은 이러한 논문에서 사용된 이론이 전문교육에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체계의 다양한 측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합니다. 
In alignment with our research questions, the 7 papers fell into two broad categories based on their application of theory. Four papers used theory to explain the mechanism through which patient involvement enhances students’ learning (Agrawal et al., 2020;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Kline et al., 2020), while three papers applied theory to explain patient alignment within an educational community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The synthesis presented below explains how the theories used in these papers contribute to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이론이 기여하는 활동 체계의 구성 요소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where theory contributes

7편의 수준 높은 이론적 논문은 전문 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체계의 구성 요소에 맞춰 정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수준 높은 이론이 적용된 활동 체계의 측면과 더 많은 이론적 고려가 필요한 측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표 3).

  • [교수학습 과정]에 초점을 맞춘 4편의 논문은 [주체-객체 경로]를 조명하고(Agrawal 외, 2020; Hache 외, 2020; Jha 외, 2015; Kline 외, 2020),
  • [환자를 교육 커뮤니티에 통합]하는 것을 탐구한 3편의 논문은 [규칙, 인공물 및 도구, 커뮤니티 및 분업의 삼각형] 내에서 복잡성 문제를 강조합니다(Anderson 외,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외, 2020).

The seven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were aligned to the components involved in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We can begin to see the aspects of the system to which high-quality theory has been applied, and those which require greater theoretical consideration (Table 3).

  • The four papers that focus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lluminate the Subject-Object pathway (Agrawal et al., 2020;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Kline et al., 2020), and
  • the three papers that explore the integration of patients into the educational community highlight the complexity issues within the triangle of Rules, Artefacts and Tool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ur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주체-객체 경로
Subject-object pathway

Agrawal 등(2020)은 4년차 정신과 레지던트를 위한 공동 제작 교육학에 대한 분석을 한계성의 이론적 렌즈를 통해 해석했습니다(Turner, 1980). 저자들은 환자의 참여가 정신질환 회복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임상적 접근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설명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고 상호 강화하는 다섯 가지 제한성 개념(공간과 공간 사이, 신참과 장년, 천골의 소통, 제한성 반사성, 삶의 규범적 질서, 변형)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개념은 [전통적인 임상 학습 환경 밖에서 환자를 정신과 레지던트의 '조언자'로 참여]시키면 정신과 의사와 환자 사이에 내재된 지배적 권력 관계가 어떻게 파괴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지식 공유와 성찰의 과정이 시작되고 궁극적으로 혁신적인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한계성 이론]은 레지던트의 학습을 위한 '조언자'로 환자를 위치시킴으로써 정신과 수련에 내재된 암묵적 위계질서에 도전하는 것의 가치를 강조하고 설명합니다.
Agrawal et al. (2020) interpreted their analysis of a co-produced pedagogy for fourth year psychiatric residents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liminality (Turner, 1980). The authors offered the five intersecting and mutually reinforcing concepts of liminality (the betwixt and between space, neophyte and elder, communication of sacraliminal reflexivitynormative order of life, and transformation) to explain how patient involvement transformed learners’ understandings of, and clinical approaches to, mental illness recovery. These concepts show how engaging patients as ‘advisors’ to psychiatric residents outside of traditional clinical learning settings can disrupt the embedded, dominant power relations between psychiatrist-to-be and patients. This sets in motion a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and reflection and ultimately brings about transformative learning. The theory of liminality emphasises and explains the value of challenging the implicit hierarchies embedded in psychiatric training by positioning patients as ‘advisors’ for residents’ learning.

Hache 등(2020)은 환자 파트너가 학부 약대생의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적 표상 이론](Moscovici, 1981)을 적용했습니다. [환자 촉진 토론]은 필수 학습 포인트를 제공하여 [교육 후와 교육 전]에 [지식에 대한 다른 표상]을 제공했습니다. 저자들은 환자의 가르침을 받은 후 학생들의 사회적 표현이 변화했음을 보여줌으로써 환자가 학생들의 학습 성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Hache et al. (2020) applied 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Moscovici, 1981) to illustrate how patient partners can enhance undergraduate pharmacy students’ learning. Patient facilitated discussions provided essential learning points resulting in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knowing post-course to pre-course. By showing that students’ social representations changed after being taught by patients, the authors demonstrate the profound impact that patients can have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쿠마가이의 [공감과 도덕성 발달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쿠마가이, 2008)를 사용하여 Jha 등(2015)은 의료사고에 대한 환자들의 이야기가 파운데이션 1학년 의료 수련의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학습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작용했는지 설명합니다. 영국에서 파운데이션 1학년은 학부 의학 학위를 마친 후 GMC에 등록하고 의사로 일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정으로, 병원 또는 지역사회 내 여러 전문과목에서 일련의 순환 근무를 통해 수련을 받게 됩니다. 저자는 쿠마가이의 프레임워크를 채택하여 환자의 내러티브를 의도적으로 배치했습니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교육생들 사이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의미 전달'이 이루어졌으며, 저자들은 학습자들이 환자 안전 개선에 있어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의료 오류 감소를 위한 환자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문 교사와 환자 교사 모두 동일한 결과를 얻었지만, 저자들은 쿠마가이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환자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학습자가 의학의 의미와 의료 오류에 대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관점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Using Kumagai’s conceptual framework of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Kumagai, 2008) Jha et al. (2015) explain how patients’ stories of medical error worked to enhance Foundation Year 1 medical trainees’ learning on patient safety. In the UK, Foundation Year 1 is mandatory upon completion of an undergraduate medical degree to register with the GMC and practise as a doctor; this involves training in a series of rotations in different specialities within hospitals or the community. Adopting Kumagai’s framework, the authors deliberately deployed patients’ narratives. These narratives ‘communicated meaning’ by evok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among the trainees, which the authors attribute to learners’ advanced understanding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reas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patient involvement in reducing medical error. Both professional and patient teachers achieved the same outcomes but, the authors’ use of Kumagai’s conceptual framework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patients’ narratives and explains how they act to enhance learners’ depth of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medicine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medical error; ultimately allowing better identification with the patient’s perspective.

환자 참여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단 한 건뿐입니다. Kline 등(2020)은 전문가 간 '건강 멘토 프로그램'에 대한 후배 의사들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로 Marcia(1966)의 [정체성 지위 패러다임]을 사용했습니다. 저자들은 환자 '멘토'의 사전 교육이 학습자의 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연구 결과, 레지던트들은 환자 파트너십, 전문가 간 협업 및 전체론적 치료에 대한 헌신을 드러냈습니다. 이는 멘토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촉발된 직업적 가치와 행동에 대한 탐구와 프로그램 기간 동안의 환자-학생 간 종단적 관계 발전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정체성 상태 패러다임을 통해 클라인 외(2020)는 진정성 있고 자율적인 환자의 목소리에 조기에 노출되는 것의 가치를 강조하고 이것이 어떻게 환자 중심의 장기적인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지를 조명합니다.
Only one study investigated the enduring impacts of patient involvement on learners. Kline et al. (2020) used Marcia’s (1966) identity status paradigm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junior doctors’ experiences of an interprofessional ‘Health Mentor Programme’. The authors were interested in the long-term implications for learners’ professional identity of prior teaching from patient ‘mentors’. Findings revealed residents’ commitments to patient partnership,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holistic care. These were rooted in the exploration of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urs prompted by mentors’ storytelling and the development of longitudinal patient-student relationships during the programme. Through the identity status paradigm, Kline et al. (2020) reinforce the value of early exposure to the authentic and autonomous patient voice and illuminate how this can foster the development of long-standing patient-centred professional identities.

규칙, 인공물 및 도구, 커뮤니티, 분업의 삼각관계
The triangle of rules, artefacts and tool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ur

Anderson 등(2019)은 환자가 기존 전문가 간 워크숍에서 주도적인 교육 역할로 발전할 때 환자, 간병인, 교육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Engeström(2001)의 [활동 이론]의 렌즈를 통해 탐구했습니다. 모든 이해관계자들은 환자의 '공동 튜터'라는 새로운 역할을 지지했지만 환자가 교육을 주도할 때 [신뢰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확인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교육 활동에 대한 역량과 자신감을 키우기 위한 환자 교육,
  • 권위 있는 위치로 환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학생 준비,
  • 환자 보상 시스템 구현,
  • 코튜터 교육에 대한 교수진의 지원 구현

'멘토'의 역할은 신규 환자 및 코튜터로 진급하고자 하는 환자를 지원하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앤더슨 외(2019)는 활동 이론을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스토리텔링 역할을 넘어 환자를 움직이는 것의 복잡성, 즉 IPE의 어려움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진 복잡성을 조명했습니다.
Anderson et al. (2019) explored what it means for patients, carers and educators when patients progress into leading teaching roles in an established interprofessional workshop, through the lens of Engeström’s (2001) Activity Theory. All stakeholders supported a new role of patient ‘Co-tutor’ but identified factors necessary to build trust when patients lead teaching. These included

  • patient training to develop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 preparation to accept patients in authoritative positions,
  • implementation of a patient remuneration system and
  • faculty support for Co-tutors in teaching.

A ‘Mentor’ role was highlighted as important to support new patients and those wishing to progress to Co-tutor. Through Activity Theory, Anderson et al. (2019) illuminated the complexity of moving patients beyond storytelling roles in ways that respects the needs of all stakeholders—a complexity compounded by the challenges of IPE.

이와 유사하게 Cooper와 Spencer-Dawe(2006)는 훈련된 환자를 공동 촉진자로 참여시킨 전문가 간 워크숍에 따른 이해관계자 데이터 분석에 복잡성 이론(Tosey, 2002)을 사용했는데, 이 역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이들은 [연결성, 자기 조직화, 출현]의 과정을 통해 [결과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설명]하며, 환자 참여는 환자 중심 치료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이론과 실무의 격차를 해소했습니다. 환자와 교육자 역시 IPE의 비-선형성을 성찰함으로써 혜택을 받았습니다. 전문가 간 팀으로 일하면서 모두의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IPE의 예측 불가능성을 강조했습니다. 교육자들은 교육 및 환자 모집 사양에서 환자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교육을 요청했습니다. 환자들은 역할이 명확하지 않다고 느꼈으며 IPE 목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학생들은 환자의 대표성 및 교육의 질에 대해 우려하여 교육자와 환자의 우려를 강화했습니다. Anderson 등(2019)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Cooper와 Spencer-Dawe(2006)는 복잡성 이론을 사용하여 환자를 교사로 참여시키는 것은 유익하지만, 특히 IPE에서 환자를 교사로 참여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점을 조명합니다.
Similarly, Cooper and Spencer-Dawe (2006) used Complexity Theory (Tosey, 2002) in their analysis of stakeholder data following an interprofessional workshop—also theoretically underpinned—involving trained patients as co-facilitators. They explain how outcomes developed through a process of connectivity, self-organisation, and emergence; patient involvement advanced students’ understandings of patient-centred care, bridging the theory–practice gap. Patients and educators also benefitted, reflecting the a-linearity of IPE. Working as an interprofessional team raised concerns for all, highlighting IPE’s unpredictability. Educators requested training on partnering with patients in education and patient recruitment specifications. Patients felt a lack of role clarity and required training on IPE objectives. Students worried about patients’ representativeness and teaching quality, reinforcing educators’ and patients’ concerns. Mirroring Anderson et al. (2019) findings, Cooper and Spencer-Dawe’s (2006) use of Complexity Theory illuminates that while beneficial, involving patients as teachers, particularly in IPE, is challenging.

Read 등(2020)은 의학 및 보건과학 학부 전반의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환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제공 및 평가를 안내하기 위해 PAR을 사용했습니다. PAR 프로세스는 학교별 프로그램에서 충족되지 않은 수많은 환자 교육 요구 사항을 강조했으며, 이는 이후 교수진 전체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 더 넓은 대학 내 역할에 대한 환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채용 및 참여 확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환자들은 교육을 가치의 표현으로 여겼습니다. 교육 준비와 전달은 교육자들에게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었습니다. 궁극적으로 Read 등(2020)은 PAR을 통해 환자 참여의 가치를 지지하고 확인하며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교수진 간 교육에서 환자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대학 자원과 교육자의 시간과 지원을 투자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Read et al. (2020) employed PAR to guide the development, delivery, and evaluation of a training programme for patients involved in educational activities across a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The PAR process highlighted numerous patient training needs unmet by school-specific programmes; these were addressed in the ensuing faculty-wide training programme which enhanced patients’ understandings of roles within the wider University, having implications for expanding recruitment and involvement. Patients viewed the training as an expression of value. Preparing and delivering training was labour intensive and time-consuming for educators. Ultimately, through PAR, Read et al. (2020)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working with patients on cross-faculty training to support and affirm the value of their involvement and ensure continuity. This is contingent on the investment of university resources and educators’ time and support.

토론
Discussion

의학교육에서의 환자 참여에 대한 최근의 검토는 근거 기반이 유망하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 주지만, 이 분야가 대부분 이론적임을 강조합니다(De Groot 외., 2020; 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이 검토는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환자 참여에 적용되는 이론을 체계적으로 검색하고 이론적으로 종합하여 이론이 모범 사례를 안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이론적 근거를 갖춘 수준 높은 논문 7편이 확인되었습니다. 포함된 논문은 학부부터 대학원 교육, 단일 전문가부터 전문가 간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학부 교육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는 아마도 수련 초기에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GMC, 2015; Gordon et al., 2020). 흥미롭게도 환자 참여가 더 오래 지속되어 온 사회복지와 간호 분야는 수준 높은 이론적 기여를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포함된 논문의 대부분은 지난 2년 이내에 출판되었으며, 이는 환자가 학생의 학습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유에 대한 이론화된 질문을 향한 보여주기식 논문에서 벗어나려는 긍정적인 움직임을 반영합니다(Reeves & Hean, 2013). 참여의 종단적 효과를 탐구한 논문은 단 한 편(Kline 외, 2020)에 불과하여, 이러한 연구 격차를 강조하는 이전 리뷰(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Spencer 외, 2011)를 뒷받침합니다. 
Recent reviews on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show promising growth in the evidence-base but emphasise that the field is largely atheoretical (De Groot et al., 2020;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This review set out to systematically search for and theoretically synthesise the theories applied to patient involvement in all areas of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to identify how theory is helping to guide best practice. Seven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papers were identified. The included papers span undergraduate-to-postgraduate education and uni-professional to interprofessional teaching. Most studies were of undergraduate education, perhaps symptomatic of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haping values and attitudes early in training (GMC, 2015; Gordon et al., 2020). Interestingly, the professions where patient involvement has been longer standing, social work and nursing, did not offer high-quality theoretical contributions. The majority of included papers were published within the last two years, reflecting a positive movement away from show and tell papers towards theorised questioning about how and why patients positively enhance student learning (Reeves & Hean, 2013). Only one paper (Kline et al., 2020) explor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volvement, supporting previous reviews highlighting this research gap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Spencer et al., 2011).

포함된 모든 논문은 이론적 품질 도구에서 가능한 최고 점수를 받았습니다(Hean et al., 2016). 이는 이론적 품질의 차원이 강하게 상호 의존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실용적인 타당성을 가진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론을 명확하게 표현하고(명료성),
  •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트된 명확한 명제를 제시하며(실험 가능성),
  • 적용된 이론과 개념적으로 일관된 데이터를 보고하는(경험적 타당성; Hean et al., 2016) 

All of the included papers were awarded the maximum possible score on the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6). This may be an indication that dimensions of theoretical quality are strongly interdependent; the papers with the most pragmatic adequacy tend to be those that 

  • clearly articulate the theory (parsimony),
  • lay out clear propositions (testability) which are tested using appropriate methods (operational adequacy), and
  • report data that is conceptually coherent with the theory that has been applied (empirical adequacy; Hean et al., 2016).

우리는 포함 된 논문을 종합하는 분석 렌즈로 [활동 이론]을 적용하여 수준 높은 이론이 적용된 HEI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더 큰 이론적 초점이 필요한 구성 요소를 모두 조명했습니다. Engeström(2001)이 예상한 대로, 이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현대 보건/사회복지 프로그램 내에서 교육 파트너로서 환자 참여의 현재 상태에 관한 광범위한 학습을 제공합니다. 이 이론은 주로 환자 참여가 학습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데 적용되며, 이는 주체-객체 경로에 대해 알려줍니다(Agrawal 외., 2020; Hache 외., 2020; Jha 외., 2015; Kline 외., 2020).

  • 아그라왈 외(2020)의 한계성 이론(Turner, 1980), 자 외(2015)의 변혁적 학습(Kumagai, 2008), 하체 외(2020)의 사회적 표상(Moscovici, 1981), 클라인 외(2020)의 정체성(Marcia, 1966)은 [환자를 권위 있는 전문가로 위치시키는 것]이 어떻게 학습자의 환자 관점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지 설명합니다.

환자의 참여가 학습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Dijk 외, 2020; Spencer 외, 2011), 이러한 논문은 개입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배치되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작동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우리의 이해에 더욱 기여하고 있습니다. 
We applied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lens through which to synthesise the included papers, illuminating both the components of the HEI system where high-quality theory has been applied and those which need greater theoretical focus. As Engeström (2001) expected, this conceptual framework offers expansive learning concerning the current state of patient involvement as educational partners within modern health/social care programmes. Theory is predominantly applied to explain how patient involvement enhances learning; this tells us about the Subject-Object pathway (Agrawal et al., 2020;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Kline et al., 2020).

  • The use of theories of liminality (Turner, 1980) by Agrawal et al. (2020), transformative learning (Kumagai, 2008) by Jha et al. (2015), social representations (Moscovici, 1981) by Hache et al. (2020) and identity (Marcia, 1966) by Kline et al. (2020) explain how positioning patients as authoritative experts enhances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perspective.

Although we have known for some time that patient involvement advances learning (Dijk et al., 2020; Spencer et al., 2011), these papers further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by providing explanations for how and why an intervention was deployed and worked to achieve its effects.

광범위한 학습 이론을 대표하는 수많은 논문을 확인했습니다(온라인 부록 3).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연구 설계 및 평가에 대한 연구 목표와 이론을 일치시키지 못했으며, 몇몇 논문은 이론이 무엇을 수반하는지 또는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설명 없이 단순히 이론의 이름만 언급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논문은 이론의 명확한 표현(명료성 및 검증 가능성) 및 운영적/경험적 적절성에서 낮은 점수를 받거나 점수를 받지 못하여 이론적 품질 도구(Hean et al., 2016)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여 제외되었습니다. 이러한 논문은 참여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학습의 깊이를 확인하고 의제를 촉진하지만, 환자 참여 교육 개발, 제공 및 평가에 대한 모범 사례에 대한 증거에 기반한 합의를 형성하기 시작하려면 이론적으로 뒷받침되는 고품질의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We did identify numerous papers representing a vast range of learning theories (Online Appendix 3). However, these studies failed to align theory from the research aims to study design and evaluation; several simply referred to a theory by name, with no explanation of what the theory entails or how it was applied. These papers did not stand the test of our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6), scoring low/no points for clear articulation of theory (parsimony and testability) and operational/empirical adequacy, and were excluded. Although these papers confirm the depth of learning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involvement and thus fuel the agenda, further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research is required if we are to begin to form an evidential agreement on best practices for developing, delivering, and evaluating education involving patients.

활동 이론을 사용한 분석 결과, HEI 시스템 전체(규칙, 도구 및 인공물, 노동 분업, 커뮤니티의 삼각형)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이 적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HEI 시스템 내 환자 참여에 이론을 적용한 세 편의 논문을 확인했습니다. Read 등(2020)은 PAR을 사용하여 파트너십 작업을 교육 활동을 넘어 참여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프로세스 개발로 확장할 때의 이점과 과제를 보여주었습니다. Anderson 등(2019)은 활동 이론(Engeström, 2001)을, Cooper와 Spencer-Dawe(2006)는 복잡성 이론(Tosey, 2002)을 사용하여 IPE에서 교육을 주도하는 환자들의 복잡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교수진과 학생 모두에게 환자를 HEI 시스템으로 데려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해줍니다. 
Our analysis using Activity Theory revealed that we know less about the HEI system as a whole (triangle of Rules, Tools and ArtefactsDivision of Labour, and Community). We identified three papers which applied theory to patient involvement within the HEI system. Read et al. (2020) used PAR to demonstrate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extending partnership working beyond educational activities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es needed to support involvement. Anderson et al. (2019) used Activity Theory (Engeström, 2001), and Cooper and Spencer-Dawe (2006) used Complexity Theory (Tosey, 2002) to highlight the complexity of patients leading teaching in IPE. These theoretically underpinned studies add a richness to ou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ring patients into a HEI system, both for faculty and for acceptance by students.

활동 이론 삼각형의 이러한 다면적인 구성 요소에 이론적으로 초점을 맞춘 연구는 단 세 편에 불과하지만(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포함된 모든 논문이 시스템의 일부 측면을 고려했습니다.

  • 대부분의 연구는 [환자를 위한 준비 및 지원]을 보고했지만 [학생 지원 및 교수 개발]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 포함된 연구들은 주로 [환자-학생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환자-교육자 파트너십]은 소홀히 다루었습니다. 실제로 Happell 등(2014)은 교육자가 참여의 게이트키퍼이기 때문에 환자-교육자 역학 관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환자 지불]에 대해 보고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설명이 간략하고 모호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참여를 지원하고 의미 있는 분업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 프로세스]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 또한 [환자가 동등한 교수진 파트너로서 가치를 느끼고 존중]받는 [교육자와 환자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직 잘 알지 못합니다. 

Although only three studies have begun to focus theoretically on these multifaceted components of the Activity Theory triangle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all of the included papers had considered some aspects of the system.

  • Most studies reported preparation and/or support for patients, yet student support and faculty development received little attention.
  • Included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the patient-student relationship, but neglected patient-educator partnerships. Indeed, Happell et al. (2014) highlighted a need to investigate the patient-educator dynamic, as educators are the gatekeepers to involvement.
  • Few studies reported patient payment; descriptions were often brief and ambiguous. As such, our understanding of the policies and processes needed to support involvement and ensure a meaningful division of labour remains limited.
  • Furthermore, we still do not know what it means to form a community of educators and patients, where patients feel and become valued as equal faculty partners.

활동 이론의 삼각형을 고려할 때 이론이 모든 해답을 담고 있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환자의 지불, 지원 및 준비를 고려하여 참여의 이러한 측면을 탐구하는 실용적인 오리엔테이션 논문이 있습니다(Bassett et al.,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et al., 2020). 그러나 HEI 내에서 환자를 참여시키고, 지원하고, 소속감을 촉진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권력 관계와 계층 구조의 탐색을 수반하며, 이러한 실용적인 논문에서도 이를 인정하고 있습니다(Bassett 외,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외, 2020). 따라서 권력(예: 푸코, 1980), 집단 구성원 및 소속감(예: 타지펠 & 터너, 2004; 웽거, 1998)을 탐구하는 광범위한 사회과학 문헌에서 파생된 이론은 의심할 여지없이 HEI에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시스템 내의 규칙, 도구 및 인공물, 분업 및 커뮤니티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환자를 '교육적 실천 공동체'(Wenger, 1998) 내에서 '합법적인 주변 참여자'로 간주하기 위해 상황 학습(Lave & Wenger, 1991)을 적용한 연구(Rees et al., 2007)를 한 건 확인했습니다. 이 논문은 이론적 품질 도구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여 제외되었지만, 교육 공동체 내 환자 참여에 대한 흥미롭고 관련성 있는 이론적 관점이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합니다.  
We do recognise that theory might not hold all of the answers when considering the triangle of Activity Theory. Indeed, there are papers which are pragmatic in orientation that explore these aspects of involvement, considering patient payment, support, and preparation (Bassett et al.,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et al., 2020). However, involving, supporting, and facilitating a sense of belonging for patients within HEIs inherently entails the navigation of power relations and hierarchies—something that these more pragmatic papers do acknowledge (Bassett et al.,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et al., 2020). Theories derived from the wider social sciences literature that explore power (e.g., Foucault, 1980), group membership, and belonging (e.g., Tajfel & Turner, 2004; Wenger, 1998), could therefore undoubtedl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Rules, Tools and Artefacts, Division of Labour, and Community within an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HEIs. We did identify one study (Rees et al., 2007) which applied Situated Learning (Lave & Wenger, 1991) to consider patients as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 within ‘educational communities of practice’ (Wenger, 1998). While this paper was excluded as it did not stand the test of our theoretical quality tool, we agree that this is both an interesting and relevant theoretical perspective on patient involvement within education communities, which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엄격하게 수행되었지만 저희의 검토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20년 이내에 영어로 발표된 논문으로 검토 범위를 제한한 결과, 초기의 관련 연구를 놓쳤을 수 있습니다. 이 분야의 성장으로 인해 검색되는 논문의 양을 관리하기 위해 실용적인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환자'라는 용어의 편재성과 그 대체 용어, 그리고 '환자 참여'를 설명하는 합의된 명명법의 부재에 대한 우려에 직면했습니다(Gordon et al., 2020). 그러나 우리는 전문 교육의 모든 수준과 영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검색 매개변수를 사용했습니다. 범위 설정은 주요 논문이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최종 검색의 유효성을 확인했습니다. 제외된 논문을 정당화하는 것은 저자의 상세한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려웠습니다. 이론적 근거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논문도 여러 편 발견했습니다. 이는 연구자와 교육자를 위한 증거 기반의 가치를 제한합니다(Gordon et al., 2020). 마지막으로, 연구팀으로서 이론과 같은 무형의 구성 요소의 의미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우리는 선행 연구를 통해 정보를 얻은 전략인 모범적인 파일럿 논문에 대한 반복적인 토론을 통해 이 문제에 접근했습니다(Hean et al., 2016, 2018).

Although conducted rigorously, our review has limitations. In restricting our review to papers published in English, within a 20-year timeframe, we may have missed earlier relevant research. We were forced to make pragmatic judgements to manage the sheer volume of papers retrieved, owing to the growth of this field. Throughout we faced concerns about the ubiquitous nature of the term ‘patient’ and its alternatives, and the absence of a consensus nomenclature to describe ‘patient involvement’ (Gordon et al., 2020). However, we used broad search parameters inclusive of all levels and areas of professional education. Scoping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final searches in that key papers were retained. Justifying excluded papers was challenging owing to the lack of detailed description by authors. We encountered several papers which appeared to have theoretical underpinnings but failed to explicitly articulate them. This limits the value of the evidence-base for researchers and educators (Gordon et al., 2020). Finally, reaching a consensus on the meaning of an intangible construct, like theory, as a research team was challenging. We approached this through iterative discussions about exemplar pilot papers: a strategy informed by previous research (Hean et al., 2016, 2018).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리뷰는 이론적으로 뒷받침되는 수준 높은 논문을 식별하고 활동 이론의 구성 요소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이 분야의 향후 연구와 이론 개발을 안내하는 지도를 제공합니다. 우리는 교육자와 학자들이 전문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에서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체계의 모든 측면에서 환자 참여를 설명하도록 도전합니다. 
By identifying and aligning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papers to the components of Activity Theory, this review provides a map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is field. We challenge educators and scholars to account for patient involvement in every aspect of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최근 BEME 검토에서는 [현실주의적 리뷰]을 사용하여 환자 중심주의에 대한 교육 및 학습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De Groot 외., 2020). 이는 환자, 학생, 교사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이론적 입장이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환자의 참여가 교육 커뮤니티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더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다른 이론적 렌즈를 사용하여 HEI 내 활동 시스템에서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의 격차를 메우고 정책을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렌즈를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습니다(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 또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관점, 특히 환자의 강력한 목소리가 부족합니다. 최선의 의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교육에서 환자와 협력하는 데 있어 대부분 '하향식'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초기 시민 참여 운동에서 구상한 것처럼 HEI에서 진정한 권력 재분배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Arnstein, 1969). 향후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전문직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보건의료 교육자 커뮤니티 내에서 소속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갖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관련 경험과 통찰력을 얻은 환자들의 관점을 모색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분야의 저자들이 학습을 향상하고 포용성을 키우는 방식으로 환자와 함께 일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이론이 기여하는 바를 보다 명확하게 서술할 것을 촉구합니다. 
A recent BEME review has begun to look at a theoretical approach to patient invol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about patient-centredness using a realist synthesis (De Groot et al., 2020). This is helpful and implies there are theoretical stances for all stakeholders—patients, students, and teachers. We do, however, need to further understand what patient involvement means for our educational communities. This might be identified using a range of other theoretical lenses to fill the gaps in our understandings of the interactions in an Activity System within HEIs, which in turn might guide policy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 Furthermore, we lack a strong stakeholder perspective on these issues, in particular, a strong patient voice. Despite best intentions, we are still taking a largely ‘top down’ approach to working with patients in education and have a long way to go to achieve a true redistribution of power in HEI, as envisaged in the early citizen participation movement (Arnstein, 1969). Future research should seek the perspectives of patients who, through their active involv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ve gained relevant experience and insight into what it means to become and belong within a community of healthcare educators. Finally, we urge authors in this field to write with more clarity about the contribution of theory to ou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work with patients in ways that enhance learning and foster inclusivity.

결론
Conclusion

전문 교육의 모든 측면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지만, 수준 높은 이론적 토대가 부족합니다. 이 검토를 통해 처음으로 전문직 교육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수준 높은 이론적 고려가 이루어진 분야와 더 많은 이론적 이해가 필요한 분야를 확인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와 관련된 교육 및 학습의 이론적 토대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운영하며, 테스트해야 합니다. 이론이 환자 참여의 복잡성을 조명하기 시작했지만, 문헌은 다양한 HEI에 적용될 수 있는 파트너십 작업을 안내하는 개념적 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가부장적 권력 관계가 고착화되고 지속될 위험이 있습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 공동체 내에서 환자와 협력하여 일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을 탐구해야 합니다. 이는 정책에서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이 파트너십 작업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보건부, 2021; GMC, 2009; 2018), 환자의 진정성을 진정으로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우리의 가장 큰 과제일 것입니다. 
The acceleration of work on patient involvement in all aspects of professional education is encouraging but is lacking in high-quality theoretical foundations. This review has, for the first time, identified the areas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that have received high-quality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ose that require greater theoretical understanding. Future research must clearly articulate, operationalise and test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eaching and learning involving patients. Although theory has begun to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patient involvement, the literature fail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to guide partnership working which can be adapted across different HEIs. Without such a framework, we risk remaining static and perpetuating paternalistic power relations (Regan de Bere & Nunn, 2016).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ories that can help us to understand what it means to work in partnership with patients within education communities. This is arguably our greatest challenge, not least because partnership working is what policy asks of us (Department of Health, 2021; GMC, 2009; 2018), but because this is the only way to truly gain from patients’ authenticit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Mar;28(1):279-304. doi: 10.1007/s10459-022-10137-3. Epub 2022 Jul 16.

A theoretical systematic review of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The George Davies Centre, Leicester Medical School, College of Life Sciences, University of Leicester, University Road, Leicester, LE1 7RH, UK. abw11@leicester.ac.uk.

2The George Davies Centre, Leicester Medical School, College of Life Sciences, University of Leicester, University Road, Leicester, LE1 7RH, UK.

PMID: 35841446

PMCID: PMC9992014

DOI: 10.1007/s10459-022-10137-3

Free PMC article

Abstract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lacks theoretical underpinning, despite increasing calls for rigour. Theories help explain how learning is advanced and offer guidance for how faculty work with patients who become involved in curriculum delivery.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to synthesise how theory shapes our understanding of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Three database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Studies demonstrating explicit and high-quality application of theory to patient invol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or involvement within a community of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ors, were included. A narrative synthesis was undertaken using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lens to highlight the multifaceted components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Seven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studies were included. Four studies applied theory to pedagogy, showing how deep learning from patient involvement occurred. Despite a growing body of studies which attempt to use theory to explain learning, many were descriptive, lacked theoretical quality and were therefore excluded. Three studies applied theory to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involving patients in the educational system, showing how patients can be supported and valued in teaching roles. This review highlights that more work is requir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patient involvement enhances learning and, to explore what involvement within the education community means for faculty and patients. Our understandings of patient-educator partnerships for learning could be progressed by further high-quality theory driven studies, which include the patient voice.

Keywords: Patient involvement;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atic review; Theoretical quality.

의학교육에 환자와 공공의 참여를 향하여 (Med Educ, 2016)
Towards a pedagogy for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Sam Regan de Bere & Suzanne Nunn

 

소개
Introduction

환자는 다양한 단계, 다양한 맥락, 다양한 목적을 가진 의학교육의 중심입니다. 하지만 현재 의대생과 의사 교육에 환자와 대중이 실제로 얼마나, 얼마나 효과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어떻게 발전해야 할까요? 환자 및 대중 참여(PPI)가 임상의가 경력을 쌓는 동안 학습하는 방식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으며, 어떤 증거를 바탕으로 해야 할까요? 이러한 질문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10여 년 전부터 교육자들은 임상 교육에 환자의 참여를 늘려야 한다고 요구해 왔습니다.1-3 이러한 요구는 2010년 Medical Education 학술지에서 강조되었는데, Towle 외.4는 보건의료 전문가 교육에서 PPI와 관련된 학술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다양한 현지화된 이니셔티브의 존재를 자세히 설명하고 '참여의 사다리'를 통해 참여를 이해하는 개념적 틀을 제공했습니다. 이 연구는 향후 이니셔티브를 구축하기 위한 명확한 이론, 스키마, 적용 또는 평가가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4 이듬해에는 보건의료 전문가 교육에서 지속 가능한 PPI 개발의 개념적, 이론적, 경험적 측면에 대한 주요 보고서5가 발간되어 보다 엄격한 연구와 실행을 위한 명확하고 설득력 있는 사례를 제시했습니다. 
Patients are central to medical education at different stages, in different contexts and for different purposes. But how far and how effectively are patients and the public now actually involved in training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and how should this be developed in the future? How do we know that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PPI) has any real impact on the way in which clinicians learn throughout their careers, and what evidence do we have to draw upon? These questions are not new: over 10 years ago, educators were calling for increased patient involvement in clinical education.1-3 The imperative was highlighted in Medical Education in 2010, when Towle et al.4 reported a systemic review of the academic literature pertaining to PPI in health care professionals’ education, detailing the existence of various localised initiatives and provid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engagement via the ‘ladder of involvement’. This work highlighted a disconcerting lack of definitive theory, schema, application or evaluation upon which to build future initiatives.4 In the following year, a major report on the conceptual, theoretical and empirical aspects of developing sustainable PPI in health care professionals’ education5 was published, stating a clear and persuasive case for more rigorous research and implementation.

그러나 5년이 지난 지금, 의학교육 전반에 걸쳐 PPI를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전략은 여전히 부족합니다. 학술 문헌은 다양한 전문 분야 또는 커리큘럼 주제에서 다양한 수준의 환자 또는 학생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설명적인 보고서와 PPI 이니셔티브에 대한 이질적인 스냅샷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론, 실무 및 결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으며, 국제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범위도 아직 미미합니다.  
Five years later, however, a clear strategy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PPI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remains lacking. The academic literature is dominated by descriptive reports and disparate snapshots of PPI initiatives, based on perceptions of patients or students involved at various levels in various specialties or curriculum topics. There remains little evidence of connection between theory, practice and outcomes, and less still any scope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개별적인 노력으로 '참여의 사다리'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여 PPI 분류체계를 개선하고 평가를 강화하라는 Towle 등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지만,6 이 분야는 여전히 환자, 대중 및 일반인이 평생 의료 학습자의 반성적 전문적 실천에 대한 멘토링, 평가 및 지원에서 가질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진보적인 역할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대 선발부터 의과대학, 성공적인 졸업,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규제, 그리고 잠재적으로 교정에 이르기까지 의학교육의 연속성을 거치면서 의료 전문가에 대한 경험과 지원의 일관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지적 측면과 실용적 측면 모두에서 의학교육 분야는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는 영역 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모든 의료 전문가를 위한 공식 교육과 교육을 통한 규제를 모두 포함하는 일관되고 상황에 맞는 접근 방식을 개발함으로써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Although individual endeavours have sought to answer Towle et al.'s call to improve PPI taxonomies and strengthen evaluation, including a review of their ‘ladder of involvement’,6 the field is still in need of robust evidence of the systematic and progressive role patients, the public and lay representatives may have in the mentoring, assessment and support of reflexive professional practice of life-long medical learners. This raises questions over the consistency of experience and support for medical professionals as they progress through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from selection to medical school, through to successful graduatio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regulation and, potentially, remediation. In both intellectual and practical terms, the field of medical education could have much to gain from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ose seemingly different spheres and developing a cogent, context-specific approach to embedding PPI as both formal education and education-through-regulation for all medical professionals.

이 백서는 의학교육의 전체 연속체에서 미래 PPI 전략의 개발을 진전시키기 위한 논거를 제시합니다. 특히 교육 과정 및 결과(공식적이든 그렇지 않든), 환자 중심 학습에 대한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공유된 의사 결정 의제와 관련된 환자 참여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통합된 다양한 출처를 활용합니다. PPI에 대한 자체 연구를 참조하여, 우리는 의학교육자를 위한 3가지 핵심 우선순위를 확인했습니다.

  • (i) 통합된 문헌 코퍼스를 통해 의학교육과 관련된 PPI에 대한 증거의 통합,
  • (ii) 의학교육에서 PPI에 대한 공유된 정의를 통한 개념적 명확성,
  • (iii) 복잡성 관리 및 PPI 이니셔티브 평가에 대한 학문적으로 엄격한 접근 등 

이러한 과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활동 모델링을 분석적 휴리스틱으로 사용하여 역동적인 교육 맥락에서 상호 작용하는 여러 PPI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미래로 나아가는 데 있어 환자와의 파트너십 접근 방식을 촉구합니다. 
This paper presents an argument for advancing the development of future PPI strategies across the full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It draws on a range of sources unified by their approach to engagement with patients that relates specifically to educational processes and outcomes (formal or otherwise), the capacity to address demands for patient-centred learning, and shared decision-making agendas. Referring to our own research into PPI, we identify three key priorities for medical educators, including:

  • (i) the integration of evidence on PPI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via a unifying corpus of literature;
  • (ii) conceptual clarity through shared definitions of PPI in medical education, and
  • (iii) an academically rigorous approach to managing complexity and the evaluation of PPI initiatives.

As a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we outline how activity modelling may be used as an analytical heuristic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a number of PPI systems that interact within dynamic educational contexts, and call for a partnership approach with patients in taking this forward to the future.

PPI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점점 더 시급해지는 의학교육 의제 해결
What is the problem with PPI? Addressing an increasingly pressing agenda for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PPI의 교육적 이점]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며, 특히 학습의 관련성 입증, 공감 능력 배양, 의사소통을 포함한 주요 전문 기술 개발 장려를 통해 학생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능력 측면에서 논의되어 왔습니다.7-10 의학교육에서 [환자의 역할]은 '의학과 외과를 전공하는 후배 학생에게는 환자를 텍스트로 하지 않는 교육은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한 규칙이며, 가장 좋은 가르침은 환자가 직접 가르치는 것'이라는 오슬러의 주장이 자주 인용된 이후 극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11 [광범위한 사회적 및 전문적 담론], [의료기관 현대화를 위한 정치적 동인], [거버넌스 구조에 대한 대중의 참여를 통한 독립적인 '목소리'의 강조]에 힘입어, [전통적인 '가부장적' 의료 모델]에서 보다 ['환자 중심'의 의료 설계, 제공 및 실천 모델]로 상당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12-14 현재의 정치적 환경에서 이 모델에 대한 높은 가치는 이제 잘 확립되어 있으며, PPI는 종종 그 목표의 핵심으로 간주됩니다. 의료 서비스 연구 분야에서도 PPI는 한동안 의제로 다뤄져 왔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국립보건연구원(NIHR)의 지원을 받아 국가 자문 그룹(INVOLVE)을 구성하여 NHS, 공중보건 및 사회복지 연구에 대한 대중의 참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는 보건 서비스 연구에 PPI를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에 대한 대응입니다. 그러나 이후 이 의제는 교육 정책과 실천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15 
The educational benefits of PPI in medical education have long been debated, notably in terms of its capacity for motivating students by: demonstrating the relevance of learning; fostering empathy; an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key professional skills, including communication.7-10 The role of the patient in medical education has developed dramatically since Osler's oft quoted assertion that ‘for the junior student in medicine and surgery, it is a safe rule to have no teaching without a patient for a text, and the best teaching is that taught by the patient himself’.11 Informed by wider social and professional discourses, political drivers for modernising medical institutions, and an increasing emphasis on the independent ‘voice’ via public involvement in governance structur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ift away from the traditional ‘paternal’ medical model towards a more ‘patient-centred’ model of health care design, provision and practice.12-14 In current political climates, the high value placed on this model is now well established, and PPI is often regarded as being central to its aims. In the field of health services research, PPI has been on the agenda for some while. For example, in the UK, a national advisory group (INVOLVE) is fun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Research (NIHR) to support public involvement in NHS,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research. This is, of course, a response to the need to embed PPI in health services research. However the agenda has since filtered through to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15

[영국의 정책 계보]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2003년, Tomorrows Doctor's12 는 영국의 학부 의학교육에 대한 요건을 제시하면서, 대학의 진료 의무와 관련하여 환자를 언급하고 학생과 환자의 상호 작용이 환자를 존중하고 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명시했습니다.
  • 2009년 개정판인 Tomorrow's Doctors13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커리큘럼의 모든 측면에 PPI를 명시적으로 포함시켰으며, 이를 '파트너십'이라는 용어로 설명했습니다.
  • 이제 이 정책의 세 번째 반복을 앞두고 있는 이 자문 문서는 [의과대학의 질 보증 및 거버넌스] 외에도 [교육뿐만 아니라 평가, 학생 성과에 대한 피드백 및 코스 설계]에 환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를 옹호하고 있습니다.
  • 동시에 데이비드 그린어웨이 교수가 주도한 영국의 의사 교육에 대한 독립적인 검토인 The Shape of Training에서는 다음과 같이 권고했습니다:
    • '적절한 조직은 의사 교육 및 훈련에 환자를 참여시킬 수 있는 더 많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 이 리뷰는 다음과 같이 대담하게 말합니다:
    • '환자와 보호자로부터 배우는 것은 실행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수련 중인 의사가 환자 중심 치료에 대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는 대학원 커리큘럼과 평가 시스템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커리큘럼 검토의 일부가 되어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14

The genealogy of policy in the UK is a case in point.

  • In 2003, Tomorrows Doctor's12 set out the requirement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UK, referring to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universities’ duties of care and the students’ interactions with patients being respectful and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them.
  • The revised edition of Tomorrow's Doctors in 200913 expanded on this to explicitly include PPI in all aspects of the curriculum, describing it in terms of a ‘partnership’.
  • Now on the cusp of the third reiteration of the policy, its consultation document advocates, in addition to the quality assurance and governance of medical schools, a culture that enables active involvement of patients not only in teaching but also in assessments, feedback on student performance and course design.
  • At the same time, The Shape of Training, an independent review of doctors’ training in the UK led by Professor David Greenaway, recommended that:
    • ‘Appropriate organisations should identify more ways of involving patients in educating and training doctors’.
  • The review states boldly that:
    • ‘We recognise that learning from patients and carers is difficult to implement, but it is the best way for doctors in training to gain experience in patient-centred care. It must be an explicit part of postgraduate curricula and assessment systems, and should be part of a review of curricula’.14

환자 참여 확대를 위한 변화는 영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논의는 영국에서 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제 문헌, 특히 영국, 캐나다, 미국, 호주의 학자들이 참여한 연구를 통해 동일한 이슈가 분명하게 드러납니다.5, 16 이러한 변화는 의료계 안팎, 다른 보건 전문직의 교육 전략(뒤에서 살펴볼), 보건과학과 같은 관련 학문의 전략에서 모두 나타납니다.17 환자가 다양한 수준에서 의료를 제공하는 사람들의 교육에 참여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분명한 증거가 있습니다. 환자들은 PPI 포럼이나 기타 참조 그룹을 통해 다음을 원합니다.18-20

  •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새로운 교육 이니셔티브 및 문서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 혁신을 권고하며, 
  • 관련 학생 피드백을 살펴보고 중요한 사건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환자 중심주의를 향한 진전을 모니터링

Shifts towards greater patient involvement are not limited to the UK. The debate is particularly lively in the UK, but the same issues are evident in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notably through work involving academics from the UK, Canada, the USA and Australia.5, 16 They are represented both within and outside of the profession, in the educational strategies of other health professions (to which we turn later), and in those of cognate disciplines such as health sciences.17 There is clear evidence to suggest that patients wish to be involved in the education of those who provide health care at various levels. They are keen to:

  • share their ideas and ‘comment on new teaching initiatives and documents;
  • recommend innovations; and
  • monitor progress towards patient centeredness by looking at relevant student feedback and discussing significant events’, potentially through PPI forums or other reference groups.18-20

그러나 비평가들은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다른 의사들로부터 환자 중심주의에 대해 계속 배우기 때문에], 현대의 교육 관행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주장합니다.21, 22 Bleakley & Bligh가 주장하듯이, 현재의 분위기는 '의대생과 환자가 진료실, 교실 및 병동에서 실제로 마주치는 방식에 관해서는 다소 침묵합니다'(189페이지).23 여기서 문제는 [의사가 설계한 교육과정]과 [환자의 경험을 통해 확인된 요구] 사이의 [상당한 차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기존의 커리큘럼 설계는 환자에게 중요한 핵심 영역을 놓칠 수 있습니다'.24

However, critics argue that contemporary educational practice remains wanting, as students typically continue to learn about patient-centredness from other doctors.21, 22 As Bleakley & Bligh argue, the current climate ‘falls rather silent when it comes to the ways in which medical students and patients actually encounter each other in the clinic, classroom and on the wards’ (p.189).23 The challenge here is to address the significant divergence between doctor-designed curricula and the needs identified through patients’ experiences, where:

  • ‘conventional curriculum design may miss key areas that are important to patients’.24

환자 참여에 대한 이러한 ['전문가 중심'의 접근 방식]은 앞서 언급한 환자 중심 의제에 대한 대응으로서 PPI 개념에 이념적 걸림돌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의학교육의 학문 분야에서는 [현재 PPI의 개념]에 대해 그 [기원]뿐만 아니라 의료계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모습]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의학 문헌에서는 비판이 잘 드러나지 않지만, 사회 과학자들은 [의료 헤게모니]라는 까다로운 문제를 제기하며, PPI에 대한 많은 접근 방식이 '하향식'으로 진행되며, 환자는 의대생(수련의와 개업 의사 모두)이 [학습의 직접적인 파트너]가 아니라, [그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상으로 위치]한다고 제안합니다. 이러한 비판은 PPI가 [의료 헤게모니의 요구에 복무]하고 있으며, [참여가 그들에 의해 의무화]되고, [전통적으로 가부장적 의학교육에 대한 도전을 무력화시키는 방식]으로 조직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This ‘profession-centred’ approach to engagement with patients provides an ideological stumbling block to the notion of PPI as a response to the aforementioned patient-centred agenda. Thus, within the academic field of medical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critical analysis of current notions of PPI, not only in terms of their origins, but also as they actually manifest in the medical world. Although critique is less evident in the medical literature, social scientists raise the thorny issue of medical hegemony, suggesting that many approaches to PPI are directed ‘from the top down’, with patients positioned as objects from which medical students (trainees and practising physicians alike) can draw information, as opposed to being direct partners in learning. Such critiques point to PPI servicing the needs of the medical hierarchy, as involvement is mandated by them and organised in such a way as to negate any significant challenge to a more conventionally paternalistic medical education.

이는 [정체성 정치]와 [대표성]이라는 또 다른 정치적 문제를 제기합니다.

  • [의학적 시선]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경향25은 의학교육자가 [정확히 누가 참여받고 이으며, 그들은 어떻게 선택되었는지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더 중요한 것은, 의학교육 연구는 [참여받지 못한 환자와 대중]에게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그들이 [선택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교육 PPI 활동에서 일어나지 않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요구사항은 나중에 다시 다루겠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PPI 자체가 문제가 있는 개념]이라는 점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교육학으로 발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모순을 인식하고 이를 교육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통합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This in turn raises a further political issue: that of identity politics and representation.

  • A tendency to view matters through a medical gaze25 means that medical educators have yet to question who, precisely, is involved, and how they are selected.
  • Perhaps more importantly,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could benefit from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patients and public who are not involved and identifying why they are not selected.

The requirement to consider what is not occurring in current educational PPI activity is something we return to later, but the point here is to note that PPI is a problematic concept in itself. This is not to render it impossible to develop into pedagogy; rather, it is necessary to recognise and incorporate these inconsistencies into our growing understanding of it.

따라서 환자와 대중을 의학교육에 참여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이점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기 위해 문헌을 연구할 수는 있지만, 현재 PPI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비평은 없습니다. 다양한 맥락에서 실제로 어떤 모습인지, 얼마나 바람직한지(실행 가능성은 말할 것도 없고), 커리큘럼이나 '주최' 기관에서 참여의 다양성과 평등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지원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비판적 탐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미래의 PPI가 지속 가능하고 목적에 부합하도록 맞춤형 또는 일반적 교육법을 개발하는 데 있어 연구의 역할, 또는 실제로 그 목적이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학교육의 연속체 전반에 걸쳐 그 역할에 대한 수많은 질문에 대한 해답이 아직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So, although we can study the literature in order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benefits that can be brought about by involving patients and the public in medical education, there is currently no comprehensive or systematic critique of PPI. There remains little critical exploration of what it actually looks like in its different contexts, how much is desirable (let alone practicable), and how diversity and equality in involvement should be structured and supported, either in curricula or by ‘hosting’ organisations. Numerous questions about its role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remain unanswered, including the role of research in developing either bespoke or generic pedagogies to ensure that PPI for the future is sustainable and fit for purpose – or indeed defining what that purpose might be.

이 백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차례로 다룹니다. 먼저, 우리는 출판의 이질적이고 단절된 특성을 살펴보고 그 함의를 고려합니다. 우리는 의학교육자들이 관련 지식의 전담 기관을 개발하고, 교육 및 평가 방법론에 정보를 제공하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보고하고 새로운 교육학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도록 도전합니다.
In this paper we address these issues in turn. First, we look to the disparate and disjointed nature of publication and consider the implications. We challenge medical educators to develop a dedicated body of relevant knowledge, to inform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ologies and to provide an arena in which researchers can report their own findings and debate emerging pedagogies.

PPI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나요? 
의학교육과 관련된 PPI에 대한 통합된 문헌 코퍼스 개발

What do we know about PPI?
Developing a unifying corpus of literature on PPI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의학 커리큘럼'이라는 용어는 표면적으로는 광범위하지만 일반적으로 학부 교육을 지칭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학원 교육과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은 교육의 연속체에서 구성 요소로 취급되기보다는 별도의 독립체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Sklar가 지적한 것처럼 

  • (i) 의학교육에 대한 통일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 (ii) 교육 부문 간 전환이 거칠다'26 

이는 PPI에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PPI가 적극적인 목표로 간주된다면, 아마도 선발 시점부터 학부 교육, 졸업, 등록 및 실습을 거쳐 은퇴에 이르기까지 전문직 경력의 [연속체 전반에 걸쳐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교육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The term ‘medical curriculum’, though ostensibly broad, is typically used to refer to undergraduate education. Postgraduate training and continued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frequently treated as separate entities, rather than as component parts of the continuum of education. As Sklar points out:

  • (i) there is a failure to create a unifying vis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 (ii) the transitions between the segments of education are rough’.26 

This has implications for PPI. If it is considered to be an active goal, it should presumably play a continuous and progressive educative role across the continuum of a professional career; from the point of selection through undergraduate training, graduation, registration and practice until retirement.

향후에는 [환자와 대중]이 교육 연속체를 통해 점점 더 [원활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통합된 초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그러나 이를 달성하려는 정치적 의지는 보다 포괄적이고 이론적으로 발전된 문헌을 활용하여 연속체 전반에 걸쳐 정책과 실무에 정보를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고 체계적인 PPI 교육학에 달려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의학교육 커뮤니티가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PPI를 실무와 교육학 모두에서 변화의 압력에 따라 좌우되는 복잡한 활동으로 보려면 교육 실무의 모든 영역에 걸쳐 수많은 다른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의미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연속체 전반에 걸쳐 적절하고 효과적인 실천을 구현하려면 의학교육에서 [PPI의 다양한 역할과 현실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경험에 기반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의학교육의 여러 영역에서 PPI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려면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개별적이고 매우 독특한 문헌 검토가 필요했습니다. 
We suggest that, in the future, patients and the public could serve as a unifying focus to facilitate an increasingly seamless transition through the educational continuum. The political will to achieve this, however, is likely to depend on a credible and systematic pedagogy of PPI that draws on a more inclusive and theoretically developed corpus of literature to inform policy and practice across the continuum. We would argue that it is the job of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o step forward and pick up this particular gauntlet. Viewing PPI as a complex activity that is contingent on the pressure of changes in both practice and pedagogy requires us to consider a plethora of other influences throughout all spheres of educational practice. Formulation of meaningful policy and implementation of relevant and efficacious practice across the continuum will be dependent on a theoretically grounded and empirically based understanding of the multiple roles and realities of PPI in medical education. Frustratingly, though, our various research studies of PPI in different areas of medical education have required separate and quite distinctive literature reviews for context.

규제 관련 문헌에서 PPI를 서술적으로 종합한 결과27 정책 입안자(회색 문헌), 의료 교육자(학술) 대상, 환자 및 일반인(일반인 지식)을 위한 글 사이에 존재하는 분열이 드러났습니다. 인용의 매핑을 통해 [의료 및 학술 언론]에 지식이 집중되고 유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전문 의료 이해관계자 웹사이트의 위탁 보고서 및 기타 문서로 보완되었습니다. 이러한 자료는 PPI에 대한 지식 코퍼스를 형성했지만, 그 자체의 영역에 머물렀고 그 너머로 전파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환자와 대중은 자신과 관련된 공식 담론과 지식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으며], 이는 앞서 언급한 환자 중심적 수사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적 태도가 지속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Our narrative synthesis of PPI in regulation-related literatures27 revealed a schism that existed between writings for policy-makers (the grey literature), medical-educator (academic) audiences, and patients and the public (lay knowledge). Mapping citations highlighted a concentration and circulation of knowledge in the medical and academic press, which was supplemented by commissioned reports and other documents from professional medical stakeholder websites. These formed a corpus of knowledge about PPI, but one that remained in its own sphere and was not disseminated beyond it. At the time of writing, patients and the public therefore remain isolated from official discourses and knowledge about their own involvement, which we could argue testifies to a continuing paternalistic attitude in spite of the patient-centred rhetoric referred to earlier.

이러한 [분열은 의학교육 문헌에도 반영]되어 있는데, PPI에 대한 이론적, 정치적 논쟁과는 분리된 상태로, 현지화된 이니셔티브에 대한 [피어 리뷰 보고서]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회색 문헌]과 [피어 리뷰 문헌] 사이의 분리는 여기에서도 명백하며, 이전 문헌과 학술 연구 및 프로그램 평가 보고서의 유용한(그러나 종종 출판되지 않고 찾기 어려운) 기여도 사이에는 고려해야 할 추가 구분이 있습니다. 또한, 많은 기본 원칙과 목적이 의학의 원칙과 일치한다는 개념에도 불구하고 관련 전문직 교육에서 PPI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가교가 거의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간호 및 조산 교육 문헌에서는 현재 커리큘럼에서 환자 참여 그룹(PPG)의 역할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6 정신건강 및 지역사회사업 논문집에서는 앞서 언급한 '가부장주의'와 '의료적 시선'에 대한 의학교육자의 이론적 이해를 돕는 참여 문제에 대한 논의28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The schism is reflected in th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here there is an emphasis on peer-reviewed reports of localised initiatives, disjointed from more theoretical and political debates around PPI. Divisions between grey and peer-reviewed literature are evident here also, and there is a further divide to be considered, between those former literatures and the useful (but often unpublished and difficult to locate) contributions of scholarly work and programme evaluation reports. Moreover, there is little bridging of the use of PPI in the education of related professions, despite the notion that many of the underlying principles, and perhaps the purposes, coincide with those of medicine. The nursing and midwifery education literatures, for example, currently host a lively conversation about the role of patient participation groups (PPGs) in curricula,6 while the corpus of mental health and community work papers presents a discussion of issues of participation28 that might well help medical educators to address mor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aforementioned ‘paternalism’ and ‘medical gaze’.

[전문적이고 학제적인 '사일로 문화'] 외에도 [지식 생산의 문화적 관습]은 PPI가 점유하는 다양한 영역을 가로지르는 것을 어렵게 하며, 이는 의심할 여지없이 이 주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엄격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것입니다. 따라서 환자와 대중의 참여에 직접적으로 초점을 맞춘 새로운 동료 심사 저널(예: 새로운 연구 참여 및 참여29)의 개발은 환영할 만한 이니셔티브가 될 것입니다. 특히 이러한 움직임은 [지식 생산에 대한 가부장적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파트너십 지향적 접근 방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 분야는 환자와 대중의 기여를 포용하는 학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허브'가 PPI 관련 연구에 전념한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부장적인 의학교육 문화]에서는 [학자나 임상 학자]가 다른 기관을 대신해 일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학자 및 환자와 협력하고 파트너십]을 맺는다면 [사일로 출판 상황]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PPI 교육학의 실제 창시]에서 [더 많은 PPI의 방향]으로 우리를 이끌 수 있을 것입니다.
In addition to professional and disciplinary ‘silo-cultures’, the cultural mores of knowledge production make it difficult to traverse the different realms occupied by PPI, and this will undoubtedly represent a challenge to the development of an inclusive and rigorous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e development of new peer-reviewed journals (e.g. the new Research Involvement and Engagement29), which focus directly on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would therefore represent a welcome initiative. In particular, such moves could facilitate less paternalistic and more partnership-orientated approaches to knowledge production. Our field of enquiry could well benefit from the provision of academically credible ‘hubs’ dedicated specifically to PPI-related work that embrace the contributions of patients and the public. Although a paternalist medical education culture often involves academics or clinical academics doing things on behalf of other agencies, working in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with academics and patients might help overcome the silo-publishing situation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lead us in the direction of more PPI in the actual genesis of PPI pedagogy.

이러한 논쟁을 염두에 두고, 우리는 [일관되고 포괄적이며 진보적인 말뭉치의 개발이 교육학 말뭉치 개발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질적인 문헌과 집단을 통합]하여 보다 체계적인 스키마 내에서 관행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스키마는 규범적prescriptive이어서는 안 되며, PPI의 역동적인 특성을 제약하기보다는 촉진해야 합니다. Towle 등4 의 연구로부터 5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의학교육자들이 다음과 같이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Mindful of these contentions, we argue that the development of a cogent, inclusive and progressive corpus must be central to the development of a pedagogic corpus, and that disparate literatures and populations should be consolidated so practices can be understood within a more systematic schema. These schemas should not be prescriptive: they should facilitate, rather than constrain, the dynamic nature of PPI. Five years on from Towle et al.4 then, we suggest that medical educators should endeavour to:

  • 학술적, 학술적, '회색' 문헌의 지식을 통합합니다;
  • 의학 학습의 연속체 전반에 걸친 연구를 통합합니다;
  • 이론적 기여를 경험적 연구와 종합합니다;
  • 다른, 특히 건강 관련 전문직 및 관련 분야의 토론과 혁신에 참여합니다.
  • 이러한 노력에 환자 및 대중과 함께 참여합니다(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합니다).
  • consolidate knowledge from academic, scholarly and ‘grey’ literatures;
  • bring together work from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learning;
  • synthesise theoretical contributions with empirical work;
  • engage with debates and innovation in other, particularly health-related, professions and cognate disciplines; and
  • engage with patients and the public in this endeavour (we return to this later).

PPI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의학교육의 개요 파악하기
What do we mean by PPI? Gaining the overview in medical education

의료 전문직 전반에 걸쳐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조사한 Towle 등의 연구4는 환자와 대중이 교육 활동 전반에 걸쳐 다양한 수준에서 통합될 수 있는 [참여 시스템으로서 PPI]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했습니다. 앞서 언급한 '사다리'를 통해 이해한 [내장성embeddedness의 유형학]에서 저자들은 PPI 수준 간의 명확한 차이를 모델링했습니다.

  • 교육 전략 및 커리큘럼 개발(드문 경우),
  • 직접 교육 및 학습(약간 더 분명한 경우),
  • 연구 대상 또는 연구 목적으로서의 교육 활동 참여(대부분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경우)

Towle et al.'s4 review examining the active engagement of patients across the health professions, was invaluable to understanding PPI as a system of engagement within which patients and the public may be integrated at a range of levels across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ir resulting typology of embeddedness, understood via the aforementioned ‘ladder’, the authors modelled clear differences between levels of PPI in

  • educational strategy an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they found to be a rare occurrence),
  • direct teaching and learning (which was marginally more evident), and
  • participation in teaching activities as a subject or object of study (which was the case in the majority of studies).

Towle 등의 연구는 PPI의 실행 및 평가를 다루는 다른 기관에서 채택한 개념적 틀을 제공했습니다. 특히 영국의 보건의료과학위원회는 '관여 없음'에서부터 '제한적', '증가', '협력', '파트너십'에 이르는 5가지 범주 체계를 채택했습니다.17
Towle et al.'s work provided a conceptual framework that has been picked up by other agencies dealing with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PPI. Notably, the Council of Healthcare Sciences in the UK has adopted a 5-category system, ranging fromno involvement’, through ‘limited’ and ‘growing’ involvement, to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17

Towle 등이 교육에서 다양한 수준의 PPI 활동에 대한 이해를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PPI를 연구하는 국제 팀은 [PPI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추가적인 구분]을 제시했습니다. 스펜서 등5은 [환자, 일반인, 일반인 대표 역할]의 몇 가지 범주를 설명하면서 의과대학이 현지의 필요를 충족하고 가용한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해 유연한 체계를 채택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저희는 자체 연구를 통해 의사가 국가 규제 기관인 일반의학회(GMC)에 면허를 갱신하기 위해 진료 적합성에 대한 증거를 제출해야 하는 규제 프로세스인 영국의 의료 재검증에서 PPI의 목적과 실제를 살펴봤습니다. 여기에는 제도적 차원에서는 조직에 대한 대중의 참여가, 전문적 평가 및 지속적인 개발 차원에서는 환자의 피드백이 반영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30 규제 및 교육적 장치로서 PPI의 성격, 목적 및 부가 가치 측면에서 우리 자신의 관찰 결과는 Towle 및 Spencer 연구 결과와 직접적으로 일치했습니다.1, 4 앞서 언급한 PPI의 유형에 대한 논쟁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환자, 일반인 및 대중]이 PPI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조차 계속해서 [혼용되는 용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Concurrent with Towle et al.'s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 about differential levels of PPI activity in education, an international team working on PPI provided a further set of distinctions based on the character and purpose of PPI. Spencer et al.5 outlined several categories of patient, public and lay representative roles, suggesting that medical schools should adopt flexible schemes to meet local needs and make use of available expertise. In our own research, we explored the purpose and practice of PPI in medical revalidation in the UK: the regulatory process by which doctors must now provide evidence of their fitness to practise in order to renew their licence with the national regulator,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This involv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public engagement in organisations and, at the level of professional appraisal and ongoing development, patient feedback as a driver for reflection.30 In terms of the character, purpose and value added by PPI as both a regulatory and educative device, our own observations were directly translatable to the findings of the Towle and Spencer studies.1, 4 In common with the aforementioned debates about typologies of PPI, we found that patients, lay persons and the public are terms that continue to be used interchangeably, even by those actively engaged in PPI themselves.

물론 이러한 역할은 [존재론적]으로 구별되며, 따라서 PPI의 본질과 목적을 이해하는 [인식론적 논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점이 중요합니다. 개념적 측면에서 보면, PPI의 용어와 언어가 '대중'과 '환자'를 동화시킴으로써 고유한 존재론적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 '환자'라는 용어는 개인과 의사 또는 소규모 의료 또는 교육 팀 간의 소규모 지역 관계를 지칭하는 반면,
  • '공공'이해관계자 그룹으로서의 환자 집단을 포괄합니다.
  • 일반인 대표성은 일반인을 의료기관의 조직적 수준과 연관시키는 거버넌스와 더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서로 다른 주체로서 이러한 역할은 모든 PPI 모델 내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This is important because these roles are, of course, ontologically distinct, and therefore they have implications for epistemological debate about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purpose of PPI. In conceptual terms, as the terminology and language of PPI assimilates ‘public’ and ‘patients’, it serves to blur the inherent ontological boundaries. For example,

  • the term ‘patient’ refers to the small loc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doctors or small medical or educational teams,
  • whereas the ‘public’ encapsulates the collective of patients as a stakeholder group.
  • Lay representation is more concerned with governance, relating lay persons to the organisational level of medical institutions.

We argue that, as different entities, these roles should be subject to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within any model of PPI.

이러한 경계 모호함 또는 존재론적 혼동은 널리 퍼져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문헌에 대한 여러 주요 기여를 통해 다양한 역할이 명시되었지만,4,31 일반적으로 용어가 일관되지 않아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놀랍지 않게도, 우리의 연구27,30는 이 문제가 순전히 철학적 논쟁을 초월한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비용 및 운영 효율성뿐만 아니라 실제로 PPI를 적용할 때 목적 적합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범주는 [필연적으로 광범위한 범주]이며 교육과 같은 역동적인 시스템에서 볼 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맞춤화된 교육법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분이 필수적이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This boundary blurring or ontological muddling appears to be widespread: although various roles have been articulated by several key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4, 31 there is a general terminological inconsistency that sustains a frustrating lack of clarity. Perhaps unsurprisingly, our research27, 30 has demonstrated that this matter transcends purely philosophical debates. It has implications for the fitness for purpose in any application of PPI in practice, as well as for cost and operational effectiveness. Recognising that these are necessarily broad categories, and that they are subject to contextual variations when viewed in a dynamic system such as education, we note the following distinctions as imperative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ly tailored pedagogies.

환자
Patient

[환자][의사와 의료 전문가와 즉각적이고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교육에서 고유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환자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가 필요하지만 특정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환자의 목소리]가 도구가 되고 [건강, 질병 및 개별화된 치료를 받은 경험]이 기술이 됩니다. '환자'라는 실체와 관련하여, 우리 모두가 언젠가는 환자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 모두가 항상 환자라는 의미는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atients have a unique role in education, because they have an immediate and personal engagement with doctors and the health profession. Patients require tools to enable them to do this but do not need a specific skill set: their voices are their tools and their experiences of health, illness and individualised receipt of care are their skills. In regard to ‘the patient’ as an entity,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although in all likelihood we are all patients at some point, that does not mean that we are all always patients.

대중
Public

[대중]은 [집단적인 '환자의 목소리' 역할]을 하며 [어떤 식으로든 모든 환자를 대표]합니다. '대중'은 개별적으로 인식되는 '공익'을 대변하는 개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모든 의료 서비스 소비자를 위해 행동하고 의제를 공유하는 다른 보건 네트워크와 협력하는 국제환자단체연합과 같은 조직을 통해 대변될 수도 있습니다. 대중은 지역,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그리고 즉각적인 맥락과 보다 장기적인 맥락 모두에서 유용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The public acts as the collective ‘patient voice’ and is representative of all patients in some way. The ‘public’ may comprise individuals speaking on behalf of the individually perceived ‘public interest’, or they may be represented through organisations, such as those represented by the International Alliance of Patient Organizations https://iapo.org.uk/, who act for all consumers of health care services and work collaboratively with other health networks with shared agendas. The public is viewed as useful at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and in both immediate and more longitudinal contexts.

일반인 대표
Lay representation

[일반인]은 비임상 또는 비전문가의 참여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지만, 우리 연구에 따르면 일반인 대표는 은퇴한 임상의인 경우가 많습니다.30 일반인 대표는 환자 지위보다는 관련 기술과 속성을 보유하고 적용하는 데 더 중점을 둡니다.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일반인 대표들은 전문적인 배경을 가짐으로써 스스로 혜택을 받는다고 생각합니다.30 일반인의 의견은 [거버넌스 논의 및 의사 결정에 대한 일반인의 참여와 관련]이 있으므로, 자문보다는 [적극적인 참여자]로 분류하는 것이 대중의 참여에 더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부의 '독립적인' 목소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일반인과 조직 모두의 관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Lay is used as a general term of reference for the involvement of persons who are non-clinical or non-specialists, although our research highlighted that lay representatives are often retired clinicians.30 Lay representation is less about patient status and more about possessing and applying relevant skills and attributes. Our research indicates that lay representatives feel they themselves benefit from having a professional background.30 Lay input is concerned with the participation of lay persons in governance discussions and decision-making, hence our categorisation of active participant rather than consultant, which may resonate more with public involvement. As such, it is deemed to be extremely valuable from both lay and organisational perspectives as it provides an external and ‘independent’ voice.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이 광범위한 유형론은 매우 복잡한 주제를 단순하게 구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사, 기타 전문가, 대중, 환자]는 모두 각기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 또는 대중 그룹마다 매우 다른 의제와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광범위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압력에 영향을 받는 역동적인 시스템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한다는 점을 인정합니다. 이는 일반인 대표의 정의에서 잘 드러납니다.

  • 우리의 연구는 일반인 대표들이 전문적인 배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운영에 익숙하고 따라서 '독립적인'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특별한 특성이 있으며, 이 모든 것이 [일반인 대표]들이 인구학적 구성 측면에서 상당히 일반적인 사회적 정체성을 공유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27
  • 또한 일반인들은 참여 시간이나 수준이 증가하거나 서비스에 대한 보수를 받을 경우 ['일반인'라는 정체성을 덜 갖게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일반인 대표를 체계화하거나 거버넌스 구조에 다양한 그룹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모든 노력은 [가변성과 맥락적 요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Taken at face value, this admittedly broad typology may appear to offer a simplistic demarcation of a very complex topic. We do acknowledge that doctors, other professionals, the public and patients all have different identities at different times; that different patient or public groupings have very different agendas and viewpoints, and that these are shaped and nurtured in dynamic systems that are ever-changing and subject to broader individual,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pressures. This is exemplified in our definition of lay representation:

  • our research highlighted how lay representatives require professional backgrounds so there is operational familiarity and therefore a particular quality to their ‘independent’ voice, all of which leads lay representatives to share a fairly common social identity in terms of their demographic make-up.27
  • Moreover, lay people arguably become less characterised by their ‘lay’ identity as their time or level of involvement increases, or if they are remunerated for their services. Any endeavour to systematise lay representation, or to widen the participation of diverse groups in governance structures, therefore requires attention to variability and contextual factors.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단순화하려는 시도보다는 [PPI의 모호성과 복잡성]이 바로 의학교육이 PPI 학문과 연구에서 [존재론적, 인식론적 문제를 더 많이 고려해야 하는 이유]라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이것이 강력한 분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가장 중요한 동인 중 하나라고 제안합니다. 존재론적, 인식론적 구분은 PPI를 실행하는 사람들이 PPI와 (종종 추측적으로) 연관된 다양한 결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적 발판을 제공합니다. 물론 이 점은 단순히 의미론의 문제로 볼 수도 있지만, 그 자체로 이론과 실제에서 PPI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데 또 다른 차원을 추가합니다. 그러나 '사다리' 또는 [내재성 원칙]과 함께 보면 복잡성을 포착할 수 있는 범위가 더 넓어집니다. 
Rather than attempting to simplify these matters, however, we would argue that ambiguity and complexity in PPI is precisely why medical education should demand more consideration of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matters in PPI scholarship and research. We suggest that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rivers for developing a robust analytical framework.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distinctions offer a conceptual scaffold to help those implementing PPI to appreciate the many different outcomes with which it has been (often speculatively) associated. This point may of course be viewed as merely a matter of semantics, which, on its own, adds another dimension to understanding the many faces of PPI in theory and practice. Viewed in combination with the ‘ladder’ or embeddedness principle, however, it offers greater scope for capturing complexity.

따라서 우리는 이 두 가지 유형을 통해 [참여의 양적 측정]과 [참여의 본질에 대한 보다 질적인 탐구]를 통합함으로써 교육 과정으로서의 PPI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합니다. 의학교육 커뮤니티에 중요한 것은, 이는 보다 복잡한 이론적 발전의 토대가 될 수 있으며, 사회 및 학습 이론을 현장의 PPI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결국 의학교육의 모든 측면에서 보다 프로그램적인 접근 방식으로 이러한 다양한 수준과 유형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참여]와 [다양한 수준의 참여] 중 어떤 것이 의학교육에서 PPI를 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공유된 개념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모든 형태의 PPI의 복잡성을 수용할 수 있는 휴리스틱이 필요합니다.
We therefore suggest that integrating quantitative measures of participation with more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nature of engagement, via these two typologies, will strengthen our academic grasp on PPI as an educational process. Importantly for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his could provide a basis for more complex theoretical development, and an opportunity to apply social and learning theories to the reality of PPI on the ground. This could in turn help us to understand how we might best implement these different levels and types in a more programmatic approach across all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developing a clear and shared concept of which of the various forms and levels of engagement might constitute PPI in medical education, we are therefore in need of a heuristic that can accommodate the complexity of PPI in all these forms.

PPI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복잡하고 역동적인 교육 시스템으로서의 PPI 이해

How does PPI work?
Understanding PPI as complex and dynamic educational systems

PPI에 대해 발표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현지 프로젝트의 장점을 설명하는 데 그쳤으며, PPI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정교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경우는 드뭅니다. 최근의 이니셔티브는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을 쓰는 시점에 고등 교육 기관(HEI)에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보건의료과학위원회(Council of Healthcare Sciences)는 지침에서 다음과 같은 잠재적 평가 질문을 식별합니다.17
Published studies of PPI have typically outlined the merits of local projects, and have rarely been framed by any sophisticate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ow PPI actually ‘works’. More recent initiatives have sought to address this need. The Council of Healthcare Sciences, for example, which at the time of writing is set to provide a generic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identifies the following potential evaluation questions in its guidance:17

PPI는 HEI의 구조와 문화에 어느 정도 정착되어 있는가? 
이전에는 참여가 어떠했는가? 
참여 과정이 서비스 제공 및 결과 개선으로 이어졌는가? 
이를 입증하기 위해 어떤 종류의 증거를 사용할 수 있는가? 
참여자가 더 넓은 커뮤니티를 대표했나요? 
이것이 참여 활동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었나요? 
활동이 교직원, 학생, 참가자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활동이 직원과 학생의 이해/지식 또는 태도를 변화시켰나요? 
활동이 프로그램 제공에 영향을 미쳤나요? 
활동이 HEI의 정책과 전략에 영향을 미쳤나요? 
참가자, 교직원 및 학생이 어떤 활동에 참여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이해했는가? 
참가자들이 적절하게 지원받았나요? 
참가자들이 활동을 얼마나 즐겼나요? 
HEI는 참여의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해 평가 결과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How far has PPI been embedded into the structure and culture of the HEI?
What was involvement like before?
Will the process of involvement lead to improved service provision and outcomes?
What sort of evidence could be used to demonstrate this idea?
Were participants representative of a wider community?
Was this considered important to the success of the involvement activity?
What impact has the activity had on relationships between staff, students and participants?
Did the activity change staff and student's understanding/knowledge or attitudes?
Has the activity impacted on programme delivery?
Has the activity impacted on policy and strategy at the HEI?
Were participants, staff and students clear about what they were being asked to get involved in?
Were participants supported appropriately?
How much did participants enjoy the activity?
How should HEIs respond to the findings of an evaluation to support the sustainability of involvement?


표준을 높이고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이러한 유형의 이니셔티브는 우리가 이미 설명한 과제를 고려할 때 이 분야에 환영할 만한 기여를 제공합니다. 이제 필요한 것은 PPI의 개념적, 이론적 측면을 모두 운영화하여 평가 목적에 맞게 분석 프레임워크 내에 수용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PPI를 [능동적인 프로세스]로 이해하려면 PPI 이니셔티브를 [구성 요소로 분해]하고 [상호 작용의 고유하고 '실제적인' 복잡성]에 초점을 맞춘 분석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인간의 활동을 특정 맥락에서 활동을 통해 학습과 변화가 일어나는 시스템으로 개념화하는 활동 이론(AT)이 이러한 전제를 충족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32
This type of initiative to drive up standards and ensure consistency provides a welcome contribution to the field given the challenges we have already outlined. What is now required is operationalisation of both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aspects of PPI, and their accommodation within an analytical framework for evaluation purposes.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PPI as an active process requires some deconstruction of PPI initiatives into their component parts, with analysis focused on the inherent and ‘real life’ complexities of their interactions. We have found that activity theory (AT) fulfils this premise,32 in conceptualising human activity as a system whereby learning and change happen through activity in a specific context.33

[AT 원칙]의 역사적 발전에 대한 논의는 이 백서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1970년대 러시아의 문화사적, 심리적 연구 전통에서 비롯되었으며, [사고와 구체적인 사회적 실천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유용할 것입니다.34 AT는 그 개념이 정립된 이후 Engeström35 등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복잡한 활동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점차 '교육 연구 및 실천을 위한 통합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 인정받게 되었습니다.36 또한, 의학 분야를 포함한 직장 및 조직 이론가37 에 의해 자주 채택되었으며,32, 35, 38 직장 환경에서의 활동에 대한 풍부한 구조적 설명을 제공합니다.37, 39
Discussion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inciples of AT is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but it is perhaps useful to note that it originated from a Russian cultural-historical and psychological research tradition in the 1970s and is rooted in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and concrete social practices.34 Since its conception, and through the work of Engeström35 and others, AT has been used to model complex activity systems in various fields of research, and it has gradually become accepted that it can present ‘an integrated road map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36 Moreover, it has been frequently adopted by workplace and organisational theorists,37 including those in medicine,32, 35, 38 in providing a richly structured account of activity in workplace settings.37, 39

중요한 것은, AT가 PPI에 적용될 때 모든 활동 시스템의 구조를 ['복잡성을 '노이즈'로 치부하기보다는,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러한 복잡성을 중시'하는 방식]으로 복잡성을 조직화하는 원칙으로 취급한다는 점에서 다양성과 모호성을 수용하는 데 대한 우리의 우려를 해결한다는 점입니다. 40 엥게스트룀의 행동 개념에서,35 [인간 활동]은 분리할 수 없고 상호 구성적인 여섯 가지 요소의 상호 작용입니다:

  • 주체(활동을 바라보는 관점을 가진 개인 또는 공동체);
  • 대상(활동이 지향하는 도전);
  • 도구 및 인공물(주체와 대상을 매개하고 대상을 특정 결과로 형성하거나 변형하는 체계적 문화의 일부인 기호 또는 공유된 상징);
  • 규칙(활동 시스템 내에서 행동과 상호작용을 제약하는 명시적 및 암묵적 규정, 규범, 관습),
  • 커뮤니티(동일한 일반 대상general object을 공유하는 다수의 개인 또는 하위 그룹으로 구성), 
  • 분업(커뮤니티 구성원 간의 수평적 업무 분담과 수직적 권력 및 지위 분담을 모두 의미함). 

Importantly, for its application to PPI, AT addresses our concerns about accommodating variety and ambiguity, in that it treats the structure of any activity system as an organising principle for complexity in a way that ‘values this complexity to increase understanding, rather than to dismiss it as ‘noise’.40 In Engeström's conception of action,35 human activity is the interaction of six inseparable and mutually constitutive elements:

  • the subject (those individuals or communities from whose perspective the activity is being viewed);
  • the object (the challenge towards which the activity is directed);
  • the tools and artefacts (signs or shared symbols that are part of a systemic culture, which mediat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shape or transform the object into specific outcomes);
  • the rules (the explicit and implicit regulations, norms and conventions that constrain actions and interactions within the activity system);
  • the community (comprising the multiple individuals or subgroups who share the same general object), and finally
  • the division of labour (which refers to both the horizontal division of tasks betwee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the vertical division of power and status). 

이러한 다양한 구성 요소와 잠재적인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그림 1-3에서는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 PPI 모델, 잠재적으로 인정된 브론즈, 실버, 골드 표준으로 개념화했습니다.
To illustrate, these different constitutive elements and their potential interactions are conceptualised in Figs 1-3 as high, medium and low-level PPI models, potentially a recognised bronze, silver and gold standard.

 

AT를 사용하면 시스템의 여러 요소(1차 모순)와 요소 간(2차 모순) '모순'을 체계적으로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함께 작용하여 활동의 성격을 형성하는지 이해]하고 [잠재적인 장벽과 기회]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환자는 [분업]에 포함되지만 환자는 동질적인 집단이 아니며 현재 환자, 전문가 환자, 표준화 또는 시뮬레이션 환자 사이에는 미묘하게 다른 입력이 있으며,
  • 환자 기록이든 객관적인 구조화된 임상 시험의 평가 역할이든 적절한 인공물이 생성되도록 [도구]에서 고려해야 할 미묘하게 다른 입력이 있습니다.

AT allows us systematically to explore ‘contradictions’ within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system (the primary contradictions) and between them (the secondary contradictions). This helps us to understand how they work together to shape the nature of the activity, and allows us to identify potential barriers and opportunities. For example,

  • patients are included in the division of labour, but patients are not a homogenous group and there are further distinctions between current patients, expert patients and standardised or simulated patients,
  • each with subtly different input that will need to be accounted for by the tools to ensure that appropriate artefacts are produced, be that patient notes or an assessment role in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 또한 커뮤니티 내에서 '목소리'에 따라 권위의 등급이 다르며, 이는 문화마다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합니다.
  • 그림 1-3의 화살표를 따라가다 보면 모든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연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적절한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환자 또는 학생이 활동에 참여하는 데 있어 평등과 다양성(즉, 규칙)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대상물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영국의 내일의 의사13,31에서 환자가 평가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는 구체적인 기대와 함께, 향후 실행에 도움이 되는 교육법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고 평가해야 할 것입니다. 
  • We must also acknowledge that different ‘voices’ within the community will have different grades of authority, and this will vary in the contexts of different cultures.
  • Following the arrows around Figs 1-3 testifies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all component elements. If, for example, inappropriate tools are used, this may impact on the equality and diversity (that is the rules) aspects of patient or student involvement in the activity. The object may then be jeopardised.
  • For example, with the specific expectation in the UK's Tomorrow's Doctors1331 that patients will become involved in assessment, new tools will need to be developed and evaluated, in order to develop a pedagogy to inform future implementation.

자체 PPI 연구에서 AT는 다양한 그룹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모델링하고 원하는 결과를 위해 사용된 도구와 산출물에 대한 분석을 통합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영국 규제 시스템과 관련된 작업에서,41 AT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PPI를 제도에 포함시키기 위한 요건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활동에 대한 매우 상세한 설명, PPI에 대한 커뮤니티 인식의 모순 파악,
  • 개별 의사 대 시스템 및 조직에 대한 피드백,
  • 전문 표준 유지에 대한 참여 대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정보 제공,
  • 규제로서의 피드백 대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형성 교육에 대한 피드백.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이러한 [커뮤니티 인식]참여 규칙(피드백 및 불만 사항) 및 인공물(다양한 피드백 도구 및 의사의 진료에 대한 논평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 등)과 필요한 분업(환자, 의사 및 더 넓은 의료팀 포함)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In our own PPI research, AT has enabled us systematically to model the roles of many different groups that have been involved, and to incorporate analysis of the tools used and artefacts produced for the desired outcome. In our work around the systems of UK regulation,41 AT helped us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embedding PPI in the system, through the provision of:

  • a highly detailed description of its activity, and identification of contradictions in community perceptions of PPI;
  • feedback on individual doctors versus systems and organisations;
  • involvement in maintaining professional standards versus inform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 feedback as regulation versus formative 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mportantly, this approach has afforded us insights into how such community perceptions then interact with, and influence, the rules of engagement (feedback and complaints) and the artefacts (such as different feedback tools and opportunities to provide commentary on a doctor's practice), as well as the required division of labour (including patients, doctors and wider health care teams).

또한 불만 제기 [활동 수행 적합성]과 관련된 복잡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정리하고,41 다음을 식별하여 PPI 평가를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로서 AT를 사용했습니다.

  • 환자, 일반인, 공공 역할 사이의 긴장 지점
  • 각 역할이 관여할 수 있는 영향력 영역

역할의 혼동을 파악함으로써 프로세스의 여러 단계와 수준에서 여러 그룹의 유형과 잠재적 참여 수준을 구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AT를 사용하여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의 모순을 식별함으로써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제안할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30

  • 교육이 필요한 부분과 이를 촉진하기 위한 충분하거나 적절한 '도구'의 부재,
  • 적절한 경우 보다 명확한 역할 설명과 채용 절차의 필요성,
  • 영향력에 대한 엄격한 평가, 가치의 존재 여부 및 부가가치 식별에 대한 조항 등

We have also used AT as a conceptual framework to help us order complex and varied data relating to fitness to practise complaint-making activity,41 as well as to structure an evaluation of PPI, by identifying points of tension between:

  • patient, lay and public roles; and
  • the spheres of influence in which each can engage.

In teasing out the confusion of roles it became possible to differentiate types and potential levels of involvement by different groups at different stages and levels of the process. Importantly, using AT to identify contradictions in these complex systems made it possible to suggest where changes might be made to improve effectiveness. These included recognising:

  • where training was required and the absence of sufficient or appropriate ?tools’ to facilitate this;
  • the need for clearer role descriptions and recruitment procedures where appropriate;
  • provision for rigorous evaluation of impact, where value is and identification of value added.30

[활동 이론(AT)을 실무 모델working model로 사용]하여 PPI에 대한 이러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우리는 AT가 다양한 PPI 활동이 작동하는 미시적 및 거시적 맥락을 모두 이해하고, 연속체 전반에 걸쳐 특정 PPI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관련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적 휴리스틱으로 더 널리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물론 의학이 점점 더 국제화됨에 따라 PPI 교육학의 개발은 의료 시험에 대한 '글로벌 표준'이라는 새로운 담론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영국 대학원 의학교육의 한 예로, 전체 응시자 중 85% 이상이 국제 의대 졸업생(IMG)인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인 왕립 산부인과 의사 회원 시험(MRCOG)의 필기 시험 파트 1과 2가 있습니다.42 MRCOG는 전 세계에 시험 센터를 두고 있으므로 교육과정 개발과 잠재적으로 평가에서 모든 PPI는 국제적 맥락에서 문화적 영향을 고려하는 교육학에 기반해야 할 것입니다. 
Drawing on these insights into PPI using Activity Theory (AT) as a working model, we suggest that AT can be used more widely as an analytical heuristic to understand both the micro and macro-contexts within which different PPI activities operate, and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in relation to the aims of any given educational programme of PPI across the continuum. Of course, as medicine becomes increasingly internationalised, the development of a PPI pedagogy will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emergent discourse of ‘global standards’ for medical exams. One example of this, from UK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s the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aecologists membership exam (MRCOG), written exam Parts 1 and 2, which is an internationally recognised standard with more than 85% of the total candidates being international medical graduates (IMG).42 The MRCOG has exam centres around the world, and therefore any PPI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potentially assessment, will need to draw on a pedagogy that considers cultural implication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PPI는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과정입니다. 의학교육의 국제화를 고려할 때, 서구 의학교육의 활동 체계에서 개발된 PPI는 반드시 보편적이지 않은 가치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다문화 교육 연구자들은 교육 정책과 관행에 대한 문화적 규범의 영향을 인식하고 문화적 문제를 연구할 때 복잡성의 역할을 강조해 왔습니다.43-45 실제로 AT는 글로벌 교육이 학습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적 차이를 포착하고 매핑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적 '렌즈'로 확인되었습니다.46 
PPI is a dynamic process, situated within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s. Given the internationalisation of medical education, we must be mindful that PPI developed in the activity system of Western medical education invokes values that are not necessarily universal. Cross-cultural education researchers have recognised the influence of cultural norms on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and highlighted the role of complexity when studying cultural issues.43-45 Indeed, AT has been identified as a useful analytical ‘lens’, through which local variations can be captured and mapped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from which global education can learn.46

PPI가 효과적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의학교육 연속체 전반에서 참여도 평가하기

How can we know if PPI is effective?
Evaluating engagement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의제 설정과 잠재적 접근 방식에 대한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의학교육에서 이론적으로 견고하고 근거에 기반한 PPI를 뒷받침하는 지식은 개발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우리는 AT가 학부생 교육부터 자격을 갖춘 의사의 계속 교육에 이르기까지 의학교육 연속체 전반에 걸쳐 교육자들이 PPI의 현재 및 잠재적 범위를 모두 이해하고, 아직 개발되지 않은 전용 교육학에 의해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연속체의 지점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싶습니다. 이러한 관계는 Engeström35이 개발한 AT 삼각형 모델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학부 의학교육에 초점을 맞춘 예시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Despite its arguably drawn out gestation in terms of setting out the agendas and potential approaches, a body of knowledge supporting theoretically robust and evidence-based PPI is at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We would suggest that AT can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to help educators understand both the current and potential scope of PPI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from the teaching of undergraduates to the continuing education of qualified doctors, and to identify points in the continuum that need to be informed by a dedicated pedagogy yet to be developed. We can express this relationship using the AT triangular models developed by Engeström35 and by way of an example we have focused o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그림 1은 환자가 학습의 능동적 파트너가 아닌 수동적 파트너인 [가부장적 PPI 모델]을 보여줍니다. 이 모델에서는 PPI를 촉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제한된 도구 세트와 그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그룹을 식별합니다. 이 모델에는 비전문가의 표현이나 이를 [뒷받침하는 '규칙' 또는 '도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모델에서 중요한 점은 커리큘럼 개발이나 평가에서 PPI를 위한 기회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환자는 커뮤니티의 일원으로 참여하지만, 참여 전용 도구와 인공물에 의해 역할이 제한됩니다. 중간 수준의 PPI AT 모델(그림 2)로 시선을 돌리면, 동일한 주체가 다수 존재하지만 [사용 가능한 도구가 더 많기 때문에 역할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모델에는 환자 외에도 일반인 대표도 포함됩니다. 
Figure 1 illustrates a paternalistic model of PPI, in which the patient is a passive rather than active partner in learning. The model identifies only a limited set of tools available to facilitate PPI and the various groups who are involved in the process. There is no lay representation present or any ‘rules’ or ‘tools’ to support it. What is important about this model is the absence of any opportunity for PPI in either curriculum development or assessment. Although patients are present as part of the community, their role is limited by the tools and artefacts dedicated to their participation. If we turn our attention to the medium-level PPI AT model (Fig. 2), we can see that many of the same protagonists are present but that their roles are different because there are more tools available. In addition to patients, lay representatives are also included in this model.

이 모델에서 환자의 역할은 수동적인 역할에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예: 평가 및 커리큘럼 개발에 대한 기여)]로 이동합니다. 이 모델에는 [의대생 및 교육자에 대한 환자의 피드백]이 포함됩니다. 환자는 환자 피드백을 통해 개인의 목소리를 낼 수 있지만, 이 모델에서는 [일반인 대표를 통해 집단적인 '공공의 목소리'가 추가]됩니다. 여기서 일반인 대표의 역할은 현재 또는 최근의 환자 신상에 관한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전문 기술'인 기술과 속성에 관한 것입니다.30 따라서 일반인 대표는 중요한 거버넌스 역할을 수행하지만,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규칙과 도구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The role of patients in this model moves from a passive to a more active one (e.g. in relation to contributing to assessment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is model includes patient feedback to medical students and educators. Patients have an individual voice through patient feedback but in this model there is an additional collective ‘public voice’ through lay representatives. Our lay representative roles here are less about current or recent patient identities and more about skills and attributes that are broadly ‘professional skills’.30 Lay representatives therefore have an important governance role, but this requires appropriate rules and tools to be embedded in order to ensure efficacy.

최종 ['골드 스탠다드' 모델(그림 3)]에서 PPI는 의학교육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완전히 통합됩니다.
In the final ‘gold standard’ model (Fig. 3), PPI is fully integrated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이 모델은 낮은 수준의 모델(그림 1)과는 대조적으로 의사, 고용주, 교육자 및 PPI 역량을 갖춘 사람들을 위한 공동 교육을 통해 [진정으로 협력적인 업무 방식]을 보여줍니다. 그림 1의 근간을 이루는 '하향식' 권력 구조가 해결되었으며, PPI는 전략 계획과 정책 문서(공동 제작)를 통해 입증되고 확립된 피드백 루프를 통해 지속적인 평가를 받는 등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완전히 통합되어 있습니다. [PPI 챔피언]은 이 모델의 뚜렷한 특징이며,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를 개발하기 위해 환자와 일반인의 다양성을 위해 노력하는 임무를 맡습니다.
This model, in sharp contrast to the low-level model (Fig. 1), evidences a truly collaborative way of working, with joint training for doctors, employers, educators and those in a PPI capacity. The ‘top-down’ power structure underpinning Fig. 1 has been addressed and PPI is fully integrated across the curriculum: it is evidenced through strategic plans and policy documents (which are coproduced), and is subject to ongoing evaluation via an established feedback-loop. PPI champions are a distinct feature of this model and are tasked to work on patient and lay diversity to develop a sustainable community.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AT는 실용적인 이론입니다.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와 이들이 [서로 다른 맥락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조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요소가 변경될 때 의도한 결과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어떻게 뒤따를 수 있는지를 밝혀내는 등 연구자들이 동적 변화의 영향을 탐구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모델에서 PPI 참조 조건이 개발되고 PPI 전략이 실행되면 다른 변화가 어떻게 발생할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림 4는 PPI를 통해 [학부 교육]과 [대학원 교육] 간의 상호 관계를 관련 활동 시스템으로 보여줍니다. 이 모델의 중요성은 다양한 수준의 의학교육에 걸쳐 PPI를 내장하고 연속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시각화하는 데 있습니다.
As described above, AT is a practical theory.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framework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and the ways in which they operate in different contexts. It enables researchers to explore the impact of dynamic change; for example, it reveals how, as one element is changed, both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can follow. In these models, once PPI terms of reference are developed and a PPI strategy is implemented, we can envisage how other changes might occur. Figure 4 shows the interrelation between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education as related activity systems through PPI. The importance of this model lies in visualising PPI as both embedded across different levels of medical education, and as a way to provide continuity.

 

물론 특정 활동 시스템에는 다양한 유형의 PPI가 존재할 수 있으며, 실제로 앞서 언급한 의미론의 문제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진 다양한 유형의 존재에서 비롯됩니다. 다양한 형태를 해체하고 이를 활동 모델에 매핑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이 모델을 유용하게 만드는 요소이며, 이 모델에 대한 경험을 통해 다양한 교육 및 규제 영역에서 다양한 유형의 PPI를 해체하고 해당 시스템에 개선 사항을 포함하기 위한 응용 연구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광범위한 의학교육 커뮤니티의 더 큰 과제는 이러한 해체, 평가 및 보급을 발전시키고 이러한 노력을 통해 보다 포괄적인 교육학 스키마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Of course, various types of PPI may be present in any given activity system; indeed, the aforementioned issue of semantics derives from the existence of a multitude of types, each with different purposes. The ability to deconstruct their different forms and map these onto an activity model is precisely what makes it so useful, and our experience with this model has given us the confidence to deconstruct different types of PPI in different areas of education and regulation, in applied research aimed at embedding improvement in those systems. The bigger challenge, for the broader medical education community, is to take forward such deconstruction, evaluation and dissemination, and develop more encompassing pedagogic schema from these endeavours.

결론
Conclusion

정책의 시급성과 의과대학 및 기관이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을 고려할 때, 의학교육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PPI를 실행하는 교육자는 근거 기반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의학교육의 PPI 분야에 대한 몇 가지 귀중한 공헌을 강조했지만, 앞으로는 연구자들이 새로운 교육학에 기반한 커리큘럼과 강의 계획서를 설계하고, 개입을 함께 평가하고, 연속체 전반에 걸친 연구를 종합한 의학교육 문헌에 결과를 발표하고, 교육과정의 다양한 측면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배우고 전반적으로 보다 일관된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론과 기술을 이해함으로써 향후 실행 및 평가 주기에 정보를 제공하는 데 협력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합니다.
Given the prescience of policy and the requirement for medical schools and organisations to meet targets, educators implementing PPI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are in desperate need of an evidence base. Although we have highlighted some invaluable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PPI in medical education, moving forward we suggest that resear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in designing curricula and syllabi based on emerging pedagogy, together evaluating interventions, publishing findings in a comprehensive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that brings together work across the continuum, and informing further cycles of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y learning from different activities in various aspects of the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what methodologies and technologies might facilitate more consistent involvement across the board.

PPI의 교육학이 발전하면 의학교육자들은 '스마트'하고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해 정책 입안자 및 전문 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놓이게 될 것입니다. 이 외에도 [환자 중심 교육]의 핵심인 [공유 학습의 원칙]은 [전문가 간 교육]을 뒷받침하는 원칙과 유사하며, 환자는 모든 의료 전문직의 통합적인 초점입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대중의 참여를 전문 교육에 통합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은 이 주제에 대한 우리 자신의 성장하는 지식 모음에 매우 귀중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PPI 분야의 의학교육 연구자들은 자신이 설파하는 바를 실천하고, 환자 및 대중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통해 PPI를 완전히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의과대학 및 평생교육에서 의사의 멘토링, 평가 및 교정을 위한 PPI 전략을 개발할 때 학계, 정책 입안자 및 환자 간의 연속적인 대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A developing pedagogy of PPI will place medical educators in a unique position to work in partnership with policy makers and professional bodies in order to be ‘smart’ and maximise opportunities. In addition to this, the principle of shared learning that is central to patient-centred education is akin to that which underpin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 patient is the unifying focus of all health professions. Insight into how ‘others’ incorporate public engagement into their professional education could therefore be invaluable to our own growing corpus of knowledge on the subject. Finally, medical education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PI should practise what they preach, and work in partnership with patients and the public to fully achieve PPI in collaborative inquiry. In developing PPI strategies for the mentoring, assessment and remediation of doctors in medical schools and continuing education, dialogue across the continuum between academics, policy makers and patients, is crucial.

 


Med Educ. 2016 Jan;50(1):79-92. doi: 10.1111/medu.12880.

Towards a pedagogy for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Plymouth University Peninsula Schools of Medicine and Dentistry, Plymouth, UK.

PMID: 26695468

DOI: 10.1111/medu.12880

Abstract

Context: This paper presents a critique of current knowledge on the engagement of patients and the public, referred to here as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PPI), and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robust and theoretically informed strategies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l education.

Methods: The study draws on a range of relevant literatures and presents PPI as a response process in relation to patient-centred learning agendas. Through reference to original research it discusses three key priorities for medical educators developing early PPI pedagogies, including: (i) the integration of evidence on PPI relevant to medical education, via a unifying corpus of literature; (ii) conceptual clarity through shared definitions of PPI in medical education, and (iii) an academically rigorous approach to managing complexity in the evaluation of PPI initiatives.

Results: As a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the authors demonstrate how activity modelling may be used as an analytical heuristic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a number of PPI systems that may interact within complex and dynamic educational contexts.

Conclusion: The authors highlight the need for a range of patient voices to be evident within such work, from its generation through to dissemination, in order that patients and the public are partners and not merely objects of this endeavour. To this end, this paper has been discussed with and reviewed by our own patient and public research partners throughout the writing process.

의학교육에서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BEME Guide No. 25 (Med Teach, 2013)
Teach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25 
HUDSON BIRDEN1, NEL GLASS2, IAN WILSON3, MICHELLE HARRISON4, TIM USHERWOOD4 & DUNCAN NASS3

 

 

소개
Introduction

개인 및 전문직업성 개발은 고립된 커리큘럼 주제나 스트랜드가 아니라 [전체 과정에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Gordon 2003, 341쪽)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s more than an isolated curriculum theme or strand, it is a way of approaching the entire course. (Gordon 2003, p. 341)

교수 전문직업성에 관한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없었습니다. 학습 이론과 교수 접근법의 이질성으로 인해 이러한 검토는 어려운 작업입니다. 이러한 어려움은 전문직업성을 정의하는 방식이 다양하고 의료 전문직업성을 구성하는 기준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기 때문에 더욱 복잡해집니다.
There has not bee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heterogeneity of learning theories and teaching approaches employed make such a review a difficult undertaking. This difficulty is compounded by the varying ways that professionalism has been defined and the lack of consensus on what criteria make up medical professionalism.

이 검토에서는 1999년부터 2009년까지 의료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최상의 증거를 제공하는 논문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이러한 논문의 질을 평가하고자 했습니다. 여러 커리큘럼 또는 여러 교육기관에서 수년에 걸친 검증을 통해 효과가 입증되었거나 객관적인 평가 척도를 통해 효과가 입증된 교육 방법을 찾고자 했습니다. 또한 의학교육 커뮤니티에서 주목받고 있는 아이디어를 찾아서 무엇이 효과가 있는지, 또는 현재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만한 경험적 증거가 없더라도 효과가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적 이해를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This review sought to systematically identify papers that provide the best evidence for ways to teach medical professionalism over the time period 1999 to 2009 inclusive, and to assess these papers for quality. We sought to identify teaching methods that have proven effective through validation over multiple years in a curriculum or (better yet) in several institutions, or have shown effectiveness through some objective measure on evaluation. We also looked for ideas that have received prominent attention from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to capture a theoretical, methodological understanding of what works, or what might work absent any current empirical evidence to prove that it does.

우리의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의대 졸업생의 전문직업인 정신을 보장하는 데 효과적인 교육 과정, 시스템 및 접근 방식은 무엇일까요? 
Our research question was: What teaching processes, systems, and approaches have been found to work to ensure an ethos of professionalism in medical graduates?

우리는 발견하고자 했습니다:
We sought to discover:

  •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데 무엇이 효과적인가? (방법)
  • 어떻게 작동하는가? (방법론)
  • 왜 효과가 있을까요? (이론)
  • 무엇을 가르치는가?
  • What work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Method)
  • How does it work? (Methodology)
  • Why does it work? (Theory)
  • What does it teach?
  1. 지식, 태도, 행동의 어떤 변화가 입증되었는가? 
    What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ur have been demonstrated?
  2. 전문직업성을 총체적인 구성 요소로 보는가, 아니면 개별적인 속성으로 보는가? 
    Is the focus professionalism as a holistic construct, or an individual attribute?

전문직업성을 가르친다는 것은 기술적인 임상 기술을 전수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오히려 성공적이라면 허들이 말하는 "개인적 변화, 즉 개인의 도덕적 정체성 형성"을 학습자에게 가져다 줍니다(허들 2005, 890쪽). Branch는 "휴머니즘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알려진 기법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며(Branch 외. 2001, 1067쪽), Goldie 외.(2007)는 휴머니즘을 가르치는 방법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다고 지적합니다.) 
Teaching professionalism is not akin to imparting a technical clinical skill. Rather, if successful, it brings about what Huddle terms a “personal transformation – the shaping of individual moral identity” in the learner (Huddle 2005, p. 890). Branch argues that “there are few known techniques for effective teaching of humanism” (Branch et al. 2001, p. 1067), and Goldie et al. (2007), noted that few studies examined methods of teaching it).

작업 정의
Working definition

[휴머니즘]을 정의하려는 시도는 많았지만, 표준화되거나 보편적인 동의를 얻은 정의는 없습니다. 정의는 [의료계 내부의 사람들]에게 공유된 정체성을 부여하고, [의료계 외부의 사람들] - 특히 일반 대중에게 의미를 전달하여 의료계가 무엇을 위해 헌신하고 무엇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파악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While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at definition, none are standardised or have universal agreement. A definition is necessary to convey meaning both to those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 conferring a shared identity, and to those outside the field, particularly the lay public, to identify what the profession is dedicated to and what it values.

빛을 파동 또는 입자로 설명할 수 있듯이 [전문직업성]도 하나의 정신 또는 숙달해야 할 일련의 속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van Mook 외. 2009b). 해퍼티는 이를 "추상성 대 구체성"이라고 부릅니다(해퍼티 2004, 29쪽). 드윗 볼드윈은 전문직업성을 "가치 지향적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구성"으로 간주합니다(볼드윈 2006, 103쪽).
As light can be described as a wave or a particle, so can professionalism be described as either an ethos or as a set of attributes to be mastered (van Mook et al. 2009b). Hafferty refers to these as “abstractedness versus specificity” (Hafferty 2004, p. 29). DeWitt Baldwin considers professionalism as a “value-oriented ideologically based construct” (Baldwin 2006, p. 103).

전문직업성을 [일련의 속성이나 행동]으로 간주하면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기가 더 쉽습니다. 최근의 논문들은 고정된 속성 집합이 아닌 행동(Green 외. 2009) 또는 기풍(Coulehan 2005, Jha 외. 2006, Swick 2007, Wagner 외. 2007)에 기반한 보다 복잡하고 미묘한 정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의료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 방식의 복잡하고 맥락적인 특성을 더 정확하게 묘사하며, 행동을 더 쉽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평가에 도움이 됩니다. 
Viewed as a set of attributes or behaviours, it is easier to develop methods of teach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ism. More recent papers have focused on a more complex, nuanced definition that is based on behaviours (Green et al. 2009) or on an ethos (Coulehan 2005; Jha et al. 2006; Swick 2007; Wagner et al. 2007), rather than a fixed set of attributes. These approaches more accurately portray the complex, contextual nature of desirable approaches to medicine, and behaviours are more readily measured, so aiding in assessment.

Swick(2000), Dornan 외(2007a), Cruess 외(2004)가 제안한 [전문직업성에 대한 총체적 개념]은 휴머니즘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환자 공감, 일과 삶의 균형, 성실성을 통합하는 의미에서 우리가 연구를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전문직업성을 정의하고 접근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 개념에 부합하는 논문으로만 검색을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그보다는 매우 세심하고 비특정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여, 저자가 전문직업성을 어떻게 개념화했는지 정의한 다음 합리적이고 증거에 기반한 교육 수단을 구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작업은 광범위한 검색과 개념적으로 어려운 종합을 초래했습니다.
It is this holistic conception of professionalism as an ethos, as proposed by Swick (2000), Dornan et al. (2007a), and Cruess et al. (2004), in its meaning most closely aligned with humanism, and incorporating patient empathy, work-life balance, and integrity that we used as the framework on which to build our search. However, considering that there are so many ways to define and approach professionalism, we did not restrict our search only to papers which fit this conception. Rather, we took a very sensitive, non-specific approach, allowing authors to define how they conceptualised professionalism if they then constructed a rational, evidence-based means for teaching it. However, this action resulted in a wide search and a conceptually difficult synthesis.

방법
Methods

검토의 개념적 틀
Conceptual framework of review

우리는 전문직업성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최상의 증거를 조사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문헌에 대한 체계적 검토질적 메타 종합을 수행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광범위한 연구를 포함하여 편향되지 않은 최상의 증거를 찾아내는 것이었습니다(Slavin 1995). 실험 설계뿐만 아니라 현재 관행에 대한 정보를 포착하고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설명적인 논문도 포함했습니다.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모두 검토했습니다. 
We undertook a systematic review and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the literature from 1999 to 2009 inclusive to examine the best evidence for effectiveness of how professionalism should be taught. Our aim was to identify an unbiased body of best evidence (Slavin 1995) including a broad range of studies. We included not only experimental designs but also descriptive papers to capture information about current practices and to provide context.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were reviewed.

검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예상되는 연구 설계 유형과 의료 학습 경험의 순서에서 예상되는 개념적 초점 사이의 관계를 구성하는 논리 프레임워크(개념 모델)(Woolf 외. 1996)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그림 1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
In order to focus our review, we developed a logic framework (conceptual model) (Woolf et al. 1996) fra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cipated study design types and their likely conceptual focus in the sequence of a medical learning experience. This is presented as Figure 1.

검색 전략
Search strategies

검토 그룹의 여러 구성원은 700건 이상의 인용을 포함하여 전문직업성에 대한 개인 서지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예비 범위 검색에서 검색 문자열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첫 번째 검색 결과 전에 서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었습니다. 초기 검색 문자열은 Jha 등(2007)의 검색 문자열을 수정했습니다. 검색 문자열은 세 차례의 파일럿 테스트를 반복하며 다양한 필터링 전략의 결과를 관찰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적화된 것으로 보일 때까지 검색 문자열을 확장했습니다. 공식적인 민감도/특이도 계산은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최종 검색 문자열은 검토할 초록의 수를 과도하게 늘리지 않으면서 민감도를 극대화하는 쪽으로 의도적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표 1에는 각 데이터베이스에 사용된 검색 문자열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Several members of the review group had personal bibliographies of professionalism, including over 700 citations. These were used to estimat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earch strings in preliminary scoping searches, and were added to the bibliographic database before the first search results. Our initial search string was modified from that of Jha et al. (2007). Search strings were broadened through three iterations of pilot testing, observing the results of different filtering strategies until apparen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ppeared to be optimised. Formal sensitivity/specificity calculations were not performed. The ultimate search string was deliberately set to err on the side of maximising sensitivity without producing an unreasonable number of abstracts to review. Table 1 lists search strings used for each database.

검색된 데이터베이스에는 Medline, Cochrane 공동 작업, Excerpta Medica(EmBase), PsycINFO, Proquest, Informit, legaltrac, 철학자 색인, PreMedline, 논문 및 학위 논문 전문이 포함되었습니다. 호주 도서관, 영국 도서관, 미국 의회 도서관, www.Amazon.com 에서 도서를 검색했습니다. 검색 기간은 1999~2009년(10년 기간)을 포함했습니다. 
Databases searched included Medline, the Cochrane collaboration, Excerpta Medica (EmBase), PsycINFO, Proquest, Informit, legaltrac, Philosophers Index, PreMedline, Dissertation and Theses Full Text. Libraries Australia, the British Library, Library of Congress (US), and www.Amazon.com were searched for books. The search period was 1999–2009 inclusive (10-year period).

포함 기준
Inclusion criteria

검색을 통해 확인된 의료 전문직업성의 조건, 과정 또는 결과에 대한 관점, 의견 또는 경험적 연구를 제시하는 모든 논문은 다음 기준에 따라 고려되었습니다: 
Any articles presenting viewpoints, opinions, or empirical research into the conditions, processes, or outcom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dentified through the search were considered subject to the following criteria:

  • 모든 언어
  • 질적, 양적 및 관점/의견
  • 실패한 노력은 특별한 관심사
  • 의대생
  • Any language
  •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viewpoint/opinion
  • Failed efforts are of special interest
  • medical students

사용 가능한 문헌의 초기 매핑과 함께 개념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한 작업은 문헌이 상당히 이질적이며, 전문직업성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론적 및 방법론적 개념이 의견/관점 논문을 통해 진화하고 있으며, 일부는 경험적 증거를 인용하고 다른 일부는 철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우리는 이 중요한 진화하는 논의를 포착하고 이러한 논문에서만 설정되고 있는 유망한 개념적 방향을 놓치지 않기 위해 검토에 포함시켰습니다(Edwards 외. 1998). 
Work that we performed in developing the conceptual model, along with initial mapping of the available literature, suggested that the literature was quite heterogeneous, and that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concepts regarding how professionalism should be taught were evolving through opinion/viewpoint articles, some citing empirical evidence, others philosophical rationales. We included these in our review to capture this important evolving dialogue and not miss promising conceptual directions that are being set only in such papers by restricting the review (Edwards et al. 1998).

우리는 관점 논문이 이론이나 증거에 근거한 커리큘럼 접근법 및/또는 교수 기술에 대한 합당한 담론을 담고 있는 경우 [고품질의 근거 논문]으로 간주했습니다. [저품질 관점]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새로운 사고의 기여를 담고 있는 부수적인 발언, 사설 및 출판된 저작물에 대한 응답을 의미했습니다.  
We considered viewpoint articles to be high-quality evidence articles if they contained well-reasoned discourses on curricular approaches and/or teaching techniques that draw on a body of theory or evidence. Lower-quality viewpoints were incidental remarks, editorials, and responses to published work that contain at least some substantive new contribution of thought.

제외 기준
Exclusion criteria

[의학 이외의 전문직]의 전문직업성에 초점을 맞춘 논문과 [전문직업성의 단일 구성 요소 속성(예: 의사소통 기술 또는 공감 능력)에 초점을 맞춘 논문]은 제외되었습니다. 또한 의료 행위의 하위 전문 분야의 전문직업성에 초점을 맞춘 논문도 제외했습니다. 하위 전문 분야는 종종 실무에서 전문직업성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자체적인 해석을 가지고 있으며(예: Dinman 2000, Dorotta 외. 2006 참조) 대학원 교육에 중점을 둡니다. 우리는 전문과목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의과대학 수련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의학의 전문직업성 정신을 심어줄 수 있는 증거를 찾고자 했습니다. 
Papers focusing on professionalism in professions other than medicine were excluded, as were papers focusing on a single component attribute of professionalism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or empathy). We also excluded papers focusing on professionalism in subspecialties of medical practice. Subspecialties often have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what constitutes professionalism in practice (see, for example, Dinman 2000; Dorotta et al. 2006) and focus on postgraduate training. We sought evidence for instilling an ethos of professionalism in medicine that was overarching, and that occurred in medical school training, before specialty decisions are made.

초록 검토
Review of Abstracts

두 명의 팀원이 초기 검색에서 확인된 각 초록의 적격성을 독립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초록 유지/폐기 여부에 대한 의견 차이는 두 검토자가 각각 초록을 독립적으로 검토한 후 두 검토자 간의 토론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모든 경우에 이러한 논의를 통해 딜레마가 해결되었습니다. 합의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 세 번째 팀원이 초록을 검토했습니다. 
Two team members independently assessed each abstract identified in the initial searches for eligibility. Differences of opinion on whether to keep/discard were resolved by discussion between the two reviewers after each had independently reviewed the abstract. In all cases, these discussions resolved the dilemma. If agreement could not be reached, a third team member reviewed the abstract.

초록이 주제와 관련이 없는 경우 이 단계에서 삭제되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영구적으로 삭제되었습니다. 보관 및 삭제된 초록을 나타내는 초록의 전체 참고 문헌의 전자 사본(EndNote 라이브러리)은 참조용으로 보관되었습니다. 
Abstracts were deleted at this stage if they were not relevant to the topic, and so were permanently removed from the database. An electronic copy (EndNote library) of the total bibliography of abstracts, indicating those kept and deleted, was retained for reference.

수작업 검색
Hand searching

수작업 검색은 다음 저널에서 수행되었습니다:
Hand searching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journals:

  • Medical Teacher
  • Medical Education
  • Academic Medicine
  • Education for Primary Care
  • Clinical Teacher
  •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이 검색을 통해 총 1편의 새로운 논문이 추가되었습니다. 이 두 저널이 우리가 검색하고자 하는 유형의 논문을 가장 많이 찾을 수 있는 대상 저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추가 논문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수동 검색을 다른 저널로 확장하지 않았습니다. 
This search contributed one new paper to the total. We deemed these to be the most prominent target journals for papers of the type we were searching for. Because we found no additional papers, we did not expand the hand search into other journals.

참조 목록(조상)
Reference list (ancestry)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논문의 참고문헌 목록을 검토하여 관련 논문을 식별하고 확보했습니다. 
Reference lists from all papers meeting quality criteria were reviewed, with relevant papers identified and obtained.

인용(자손)
Citations (progeny)

초기 검색이나 팀원들의 라이브러리에서 얻지 못한 검토를 위한 관련 논문의 가장 생산적인 출처는 팀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한 일부 논문에 대해 수행한 '인용 출처' 검색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1994년에 발표된 해퍼티의 숨겨진 커리큘럼에 관한 논문은 이 글을 쓰는 현재 613회 인용되었습니다. 그 결과물 중에는 초기 검색이나 수작업 검색에서 포착되지 않은 5개의 관련 논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most productive source of relevant papers for the review that were not obtained from the initial search or team members’ libraries consisted of ‘cited by’ searches carried out on selected papers deemed by the team to be seminal. For example, Hafferty's 1994 paper on the hidden curriculum has been cited 613 times at date of this writing. Among its progeny were five relevant papers not captured in the initial searches or hand searches.

회색 문헌
Grey literature

이 분야에서 저명한 논문을 발표한 다양한 사람들(개인 27명, 기관 6개)에게 연락하여 컨퍼런스 진행 자료, 미발표 연구, 내부 보고서 등을 요청했습니다. 이 검색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새롭게 추가된 내용은 없었습니다. 
We contacted a range of people who have published prominently in this area (27 individuals, 6 institutions), with a request for conference proceedings, unpublished studies, internal reports, etc. This search did not yield any new contributions to the database.

데이터 종합
Data synthesis

포함 후보로 확인된 각 초록에 대해 전문 논문을 확보했습니다. 그런 다음 이러한 논문을 최종 데이터 합성에 포함할지 검토했습니다. 정확성과 투명성을 위해 두 사람이 각 논문을 독립적으로 종합 데이터에 포함할 수 있는지 여부와 동시에 품질에 대해 평가했습니다. 거부된 논문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옮겨졌습니다. 
Full text papers were acquired for each abstract identified as a candidate for inclusion. These papers were then reviewed for inclusion in the final data synthesis. For accuracy and transparency, two people independently assessed each paper for eligibility for inclusion in synthesis, and, concurrently, for quality. Papers rejected were moved to a separate database.

경험적 연구뿐만 아니라 관점과 의견도 포함했기 때문에 [내러티브 종합](Popay 외. 2006)이 이 방대하고 이질적인 지식을 종합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떠올랐습니다. 
Because we included viewpoint and opinion pieces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a narrative synthesis (Popay et al. 2006) emerged as the method best suited to synthesising this large and disparate body of knowledge.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다양한 유형의 증거를 결합하는 기법에 대한 문헌이 증가하고 있지만(Finfgeld 2003, Harden 외. 2004, Dixon-Woods 외. 2005, Oliver 외. 2005, Pawson 외. 2005, Barnett-Page & Thomas 2009), 이러한 발전은 매우 진행 중이며, 질 확립 방법에 대한 합의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Dixon-Woods 외. 2007, Ring 외. 2011, 13페이지).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techniques for combining different types of evidence in a systematic review (Finfgeld 2003; Harden et al. 2004; Dixon-Woods et al. 2005; Oliver et al. 2005; Pawson et al. 2005; Barnett-Page & Thomas 2009), although this evolution is very much a work in progress, with no established consensus on how to establish quality (Dixon-Woods et al. 2007; Ring et al. 2011, p. 13).

저희는 이러한 문헌에서 나온 기법을 바탕으로 방법론을 모델링했습니다. 몇 가지 비판적 평가 도구(Katrak 외. 2004; Dixon-Woods 외. 2005)를 검토한 후, 우리는 질 평가, 최종 심사 대상 논문 세트에 포함, 증거의 종합을 위해 반구조적 분석과 비구조적 평가(Dixon-Woods 외. 2007)를 통합하는 서술적 종합(Popay 외. 2006)을 선택했습니다. 이 방법에서 검토자는 방법론적 및 절차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전체적인 방식으로 연구를 살펴보면서 집단적 전문적 판단에 의존하여 주어진 연구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We modelled our methodology on techniques emerging from this literature. After reviewing several critical appraisal tools (Katrak et al. 2004; Dixon-Woods et al. 2005), we opted for a narrative synthesis (Popay et al. 2006) incorporating a semi-structured analysis with unprompted appraisal (Dixon-Woods et al. 2007) for quality evaluation, inclusion in the final set of papers for review, and synthesis of evidence. In this method, the reviewers rely on their collective professional judgement to assess the worth of a given study, looking at studies in a holistic manner rather than focusing on methodologic and procedural aspects.

이를 위해 저희는 Mitton 등(2007)의 모델을 수정한 [증거의 질에 대한 순위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전문직업성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의 관련성, 기술된 교육 방법의 개념적, 이론적 또는 방법론적 근거, 연구가 출판된 문헌의 질과 적절성(의학교육과의 관련성), 인용 횟수 등에 대한 검토팀의 종합적인 판단을 반영하여 평가했습니다. 평가표는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고품질 근거는 검토자가 4점 또는 5점(5점 만점)을 부여한 논문으로 구성됩니다. 질이 낮은 근거 논문은 1~3점을 받았으며 최종 분석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번 결과는 의료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질적 및 양적 문헌의 최고 증거를 통합적으로 검토한 결과입니다.
For this, we developed a ranking system for quality of evidence modified from the model of Mitton et al. (2007). Our rating incorporated the collective judgement of the review team on relevance to the question ‘how can professionalism be taught?’, the conceptual, theoretical, or methodological basis for any teaching method described, quality and appropriateness (relevance to medical education) in which the study was published, and citation count. Our rating sheet is shown in Table 2. High-quality evidence consists of papers that scored 4 or 5 (out of 5) by reviewers. Lower-quality evidence papers scored 1–3 and are not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ur results, then, are an integrated review of best evidence in the literatu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on how to teach medical professionalism.

 

데이터 종합에 포함하기 위한 질적 기준으로는 첫 번째 BEME 가이드에서 제시된 '경험, 의견 또는 이론에 근거한 증거에 대한 질문' 12개 항목에 대해 검토팀이 모두 '예'라는 대답에 동의할 수 있는 논문만 포함했습니다(Harden 외. 1999, 557페이지). 
As a quality criterion for inclusion in data synthesis, we only included papers for which the review team could collectively agree on the answer ‘yes’ to all 12 of the ‘Questions to ask of evidence based on experience, opinion, or theory’ put forth in the first BEME Guide (Harden et al. 1999, p. 557).


인용 횟수는 2010년 9월 기준으로 각 논문에 대해 확인되었습니다. 인용 횟수는 SCI 웹 오브 사이언스에서 얻었습니다. 전문직업성 정의에 대한 학파의 발전을 파악하기 위해 이러한 고품질 논문에 대해 비교 및 주제별 종합(본질적으로 질적 메타 종합)을 수행했습니다. 혼합 방법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로 모두 집계되었습니다.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기 위한 특정 커리큘럼 접근 방식에 대한 경험을 보고하는 개별 기관의 논문인 사례 보고서는 관점 논문으로 간주되었습니다. 
Citation counts were identified for each paper as of September 2010. Citation counts were obtained from the SCI Web of Science.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d thematic synthesis, essentially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these high-quality papers in order to capture the development of a school of thought on defining professionalism. Mixed methods studies were counted a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ase reports, papers from individual institutions reporting on their experience with a particular curricular approach to teaching professionalism, were considered as viewpoint articles.

결과
Results

전자 검색을 통해 의료 전문직업성에 관한 3522개의 참고 문헌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1077개는 초록 검토 후 보관되었습니다. 이 중 753건은 팀원의 개인 참고 문헌 목록에서, 43건은 자손(인용) 목록에서, 25건은 조상(참고 문헌 목록)에서 찾아냈습니다. 이는 복잡한 영역의 경우 기존의 검색 문자열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Greenhalgh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합니다(Greenhalgh & Peacock 2005). 그림 2는 각 단계에서 검토 및 보존된 레코드의 수를 나타내는 검토 과정의 흐름도를 보여줍니다 .
Electronic searches identified 3522 references on medical professionalism, of which 1077 were kept after abstract review. Of these, 753 came from team members’ personal reference lists, 43 were from progeny (citation) lists, and 25 were from ancestry (reference lists). This supports Greenhalgh's findings that for complex areas, traditional search strings are not enough (Greenhalgh & Peacock 2005). Figure 2 presents the flow diagram through the review process, indicating numbers of records reviewed and retained at each stage.

 

개별 초록의 유지 또는 거부 여부에 대한 평가자 간 합의는 85%에서 90% 사이, 카파는 Κ = 0.69에서 Κ = 0.80 사이로 매우 양호했습니다. 
Inter-rater agreement on whether to keep or reject individual abstracts was very good, ranging between 85% and 90%, Kappa between Κ = 0.69 and Κ = 0.80.

초록 검토를 통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모든 논문의 전문을 입수하여 검토했습니다.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217개의 논문을 확인했습니다. 이 중 43편의 논문을 위에서 설명한 품질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데 가장 좋은 증거가 되는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Full-text copies were obtained and reviews of all papers identified as being relevant through abstract review. We identified 217 papers on how to teach professionalism. We determined 43 of these to constitute best evidence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by applying our quality rating criteria described above.

저희가 검색한 가장 높은 등급의 증거인 ['골드 스탠다드']는 다양한 의과대학에서 수년에 걸쳐 질적 또는 양적으로 전문직업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된 교수법 또는 일련의 교수법을 보고한 연구로 구성되었습니다. 저희는 아무것도 찾지 못했습니다. 
Our ‘gold standard’, the highest grade of evidence that we searched for, consisted of studies reporting on a teaching method or set of methods that produced a verified increase in some measure of professionalism, either qualitative or quantitative, over multiple years across a range of medical schools. We found none.

여러 해에 걸쳐 여러 기관에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이 표준에 가장 근접한 발전은 199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에서 개발된 선택 과목인 '치료자의 기술'인 것으로 보입니다(Remen & Rabow 2005b; George 외. 2006). 이 과정은 이후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2008년 현재 59개 의과대학에서 채택되었으며(Remen 외. 2008), 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채택되었습니다(Rabow 외. 2007). 안타깝게도 이 과정에 대해 발표된 평가 데이터는 거의 없습니다(Remen 외. 2008; Geary 외. 2009). 
The closest development to this gold standard, in that is has been used over multiple years and multiple institutions, appears to be The Healer's Art, an elective course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in 1992 (Remen & Rabow 2005b; George et al. 2006). The course has subsequently been adopted by many medical schools, 59 as of 2008 (Remen et al. 2008), primaril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Rabow et al. 2007). Unfortunately, there is very little evaluation data published on the course (Remen et al. 2008; Geary et al. 2009).

Weissmann, Branch, Haidet이 이끄는 그룹(Branch 외. 2001, Gracey 외. 2005, Weissmann 외. 2006, Lown 외. 2007, Branch 외. 2009)도 4개 대학 연구 그룹에서 '인문학적' 스킬 교육과 효과적인 역할 모델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는 측면에서 성공을 입증한 통합 커리큘럼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개선 효과는 참가자의 연령, 성별, 전공과는 무관하게 나타났습니다. 
A group led by Weissmann, Branch, and Haidet (Branch et al. 2001; Gracey et al. 2005; Weissmann et al. 2006; Lown et al. 2007; Branch et al. 2009) has also developed an integrated curriculum that has demonstrated success, in terms of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aching of ‘humanistic’ skills and effective role modelling across a four university study group. This improvement was independent of age, gender, and specialty of participants.

다음으로 높은 등급의 증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어도 한 곳 이상의 교육기관에서 성공을 입증한 커리큘럼이었습니다. 성공을 입증하는 종합적인 평가 또는 평가 데이터를 제공한 연구는 거의 없었습니다. 또한 잘 설명되고 잘 설계된 커리큘럼 접근 방식을 통해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한 연구와 검증된 교육학 및 학습 이론에 근거하여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합당한 관점을 제시하는 논문, 여러 학술 센터에서 성공적인 것으로 제시된 커리큘럼의 사례 보고서 등을 검토했습니다. 대부분의 논문이 이 그룹에 속했습니다. 표 3은 검토에 포함된 논문을 유형별로 요약한 것입니다. 표 4에는 이 데이터 세트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인용 횟수는 논문이 해당 주제에 대한 토론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는 하지만 조잡한 지표이기 때문에 평가 시스템에 포함했습니다. 잠재적인 단점은 비정상적인 견해나 잘못된 결론을 표현한 연구가 다른 저자가 그 결함을 발견함으로써 높은 인용 횟수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Popay 외. 2006).
Our next highest grade of evidence was a curriculum that demonstrated success in at least one institution over time. Few studies provided comprehensive evaluation or assessment data demonstrating success. We also reviewed studies reporting short-term positive results from a well-described and well-designed curriculum approach, and papers with well-reasoned view points on how professionalism might be taught, grounded in validated pedagogy and learning theory, including case reports of curricula presented by several academic centres as being successful. The majority of papers fell into this group. Table 3 summarises papers included in the review by type. Table 4 lists the most cited papers from this data set. We include citation count in our rating system as it is an indicator (albeit a crude one) of how much a paper may have contributed to debate on the topic. The potential drawback is that a study expressing aberrant views or faulty conclusions will gain high citations count through other authors finding fault with it (Popay et al. 2006).

 

연구 기간 동안 출판된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 관련 서적 11권을 확인했습니다. 이 책들은 표 5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표 6에는 작업 그룹/기관별 국가별 우수 근거 논문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We identified 11 books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medicine publish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se are listed in Table 5. Table 6 lists best evidence papers by nation of work group/institution.

 

먼저 연구 유형(양적, 질적, 관점)별로 결과를 제시하고, 각 유형에 대한 고품질 연구에 대한 캡슐 리뷰를 제공합니다. 그런 다음 각 연구 유형이 문헌에 기여한 바를 요약하고 교육 전문직업성 관련 문헌에서 나타난 주요 주제를 살펴봅니다.
We present our results first by type of study (quantitative, qualitative, viewpoint), with capsule reviews of high-quality studies of each type. We then summarise the contribution of each study type to the literature and examine major themes that emerge across the literature of teaching professionalism.

유형별 최고의 증거 연구
Best evidence studies by type

양적 연구
Quantitative studies

Baernstein과 Fryer-Edwards는 [중요한 사건 보고서 작성, 교수진과의 개별 인터뷰 참여] 또는 이 둘의 조합이 의대생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성찰의 양이나 질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전문적 실무에서 이상적으로 개선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 시험을 수행했습니다(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연구팀은 학생들이 면접에서 더 많은 전문직업성 문제를 다루고 더 깊이 있게 문제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글쓰기보다 면담이 더 건설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Baernstein and Fryer-Edwards performe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only one we found) to determine whether writing a critical incident report, participating in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a faculty member, or a combination of the two enhanced the quantity or quality of medical students’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and thus ideally improving in professional practice as a result (Baernstein & Fryer-Edwards 2003). They found interview more constructive than writing, in that students addressed more issues of professionalism in interview and also explored the issues in greater depth.

네덜란드의 Boenink 연구팀(Boenink 외. 2005)은 전문직업성 교육 프로그램 전후의 학생들의 전문직업성을 비교하고, 전문직업성 딜레마를 묘사하는 일련의 시나리오(비네트)를 평가 트리거로 사용하여 저학년 학생과 고학년 학생을 비교했습니다. 각 시나리오에서 학생들의 전문적/비전문적 행동에 대한 평가는 전문가들의 합의에 따라 평가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이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시나리오를 전문적 또는 비전문적 행동의 예로 올바르게 규정하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이후 새로운 시나리오가 도입되었을 때 학생들이 시나리오에 나타난 전문직업성을 적절하게 판단하는 능력은 떨어졌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진은 이 기법을 더 많이 사용하면(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시나리오를 지속적으로 제시하면)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추측합니다.
Boenink's team in the Netherlands (Boenink et al. 2005) compared the professionalism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an educational programme on professionalism and also compared early year students with students from later years, using a set of scenarios (vignettes) each describing a professionalism dilemma as their assessment triggers. Students’ ratings of professional/unprofessional behaviour in each scenario were rated against expert consensus. They foun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m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bility to correctly characterise a scenario as an example of professional or unprofessional behaviour, but that when new scenarios were subsequently introduced, students were less able to judge professionalism demonstrated in them appropriately. They speculate that further use of this technique (a continued, greater series of scenarios over time) may be an effective tool to teach professionalism.

한 대학의 미국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Roberts 등, 2004)에 따르면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 임상과 관련된 교육(역할 모델링, 사례 회의)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고,
  • 다학제적 전문직업성 접근법(윤리학자, 변호사, 원목과의 토론)이 효과적이며,
  • 형식적인 교훈적 접근법(강의, 비디오, 그랜드 라운드 프레젠테이션)은 가장 효과적이지 않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담론의 대부분이 개인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웹 기반 교육, 성찰적 글쓰기)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이러한 학습 방법을 특별히 효과적이지도, 비효과적이지도 않다고 생각했다는 점은 흥미롭습니다.
A survey of US medical students at one university (Roberts et al. 2004) found that they considered

  • clinically associated training (role modelling, case conferences) as most effective in teaching professionalism,
  • multidisciplinary expertise approaches (discussion with ethicists, attorneys, chaplains) effective, and
  • formal didactic approaches (lectures, videos, grand rounds presentations) as least effective.

As much of the discourse on professionalism is directed towards individual-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b-based education, reflective writing),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tudents in this study saw such learning methods as neither particularly effective nor ineffective.

캘리포니아 어바인 대학교의 샤피로 그룹은 '진료의 기술' 과정(단원)을 개설하고 1997년부터 이를 개선해 왔습니다(Shapiro & Rucker 2003; Shapiro 외. 2006c). 그 일환으로 이들은 '관점 글쓰기'를 학습 도구로 측정했으며(Shapiro 외. 2006b), 이러한 글쓰기는 평이한 언어로 환자의 관점에서 질병 경험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포착해야 한다는 Charon의 권고(Charon 2000)를 따랐습니다. 
Shapiro's group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instituted an ‘art of doctoring’ course (unit), and have been refining it since 1997 (Shapiro & Rucker 2003; Shapiro et al. 2006c). As part of this, they have measured ‘point of view writing’ as a learning tool (Shapiro et al. 2006b), taking Charon's recommendation (Charon 2000) that such writing should be in plain language and from the perspective of patients, trying to capture their response to the illness experience.

이러한 연구는 모두 예비적이고 시범적인 성격으로, 향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지 검증된 복제 교육 방법을 확립한 것은 아닙니다. 
These studies are all of a very preliminary, pilot nature, indicating possible future directions but not establishing validated replicated teaching methods.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ies

질적 방법론 연구는 학생들이 접한 전문직업성에 대한 교육의 질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췄습니다(Hatem & Ferrara 2001, Lempp & Seale 2004, Nogueira-Martins 외. 2006, Stephenson et al. 2006; Wear & Zarconi 2008), 전문직업성에 대한 학생들의 글쓰기 수준(Hatem & Ferrara 2001; Wear & Zarconi 2008; Rabow 외. 2009), 의학교사(Weissmann 외. 2006), 의학교육 프로그램 책임자(Stephenson 외. 2006)에 대한 조사도 실시했습니다. 
Qualitative methodology studies focused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the teaching on professionalism they were exposed to (Hatem & Ferrara 2001; Lempp & Seale 2004; Nogueira-Martins et al. 2006; Stephenson et al. 2006; Wear & Zarconi 2008) and the quality of students’ writing on professionalism (Hatem & Ferrara 2001; Wear & Zarconi 2008; Rabow et al. 2009), as well as on medical teachers (Weissmann et al. 2006), and heads of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Stephenson et al. 2006).

Wear와 Zarconi(2008)는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학생의 견해에 대한 연구에서 [실망과 희망의 이유]를 발견했습니다. 학생들에게 수련 프로그램에 필요한 캡스톤 에세이를 연구 목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했더니 절반 정도가 수락했습니다. 웨어와 자코니는 이 에세이를 통해 학생들이 전문직업성을 '목구멍으로 밀어 넣는'(950쪽) 교육에 지쳤다는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연민과 이타심을 가지고 의대에 들어왔지만, 생산성과 효율성, 즉 '조립 라인 사고방식'(951쪽)이 전부인 시스템에서 임상 경험을 통해 이러한 자질에 공격과 도전을 받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들은 해당 업무에 대한 보다 유능한 롤 모델을 양성하고, 학생들이 신뢰할 수 있는 교수진과 함께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자신의 경험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을 권장했습니다. 스티븐슨의 연구팀(스티븐슨 외. 2006)도 비슷한 효과를 발견했는데, 임상 '숨겨진 커리큘럼' 경험이 임상 전 단계에서 신중하게 개발된 전문직업성 교육을 무효화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Wear and Zarconi (2008) found reasons for both dismay and hope in a study on student views of professionalism teaching. Asking students to allow them to review for research purposes capstone essays which were required for these students’ training programmes, they got about half to accept. From these essays, Wear and Zarconi gleaned that students were sick and tired of professionalism being 'shoved down our throats’ (p. 950). They considered that they came to medical school with compassion and altruism, but had these qualities assaulted and challenged, largely through clinical experiences in systems wher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an assembly line mentality’ (p. 951), were everything, compassion and empathy nothing. They recommended grooming more competent role models for the task and ensuring that students are afforded opportunities to de-brief and critically reflect on their experience, both positive and negative, with trusted faculty. Stephenson's group (Stephenson et al. 2006) found a similar effect: that clinical ‘hidden curriculum’ experiences often negate carefully developed professionalism teaching in earlier pre-clinical years.

미네소타 대학교(Zink 외. 2009)에서는 5년 동안 제출된 학생 에세이를 Van De Camp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정의(Van De Camp 외. 2004)를 참조하여 분석했습니다. 전문직업성은 실제 실무 환경에서 긍정적인 역할 모델을 통해 장기간에 걸친 경험의 연속성을 통해 학습되었습니다. 성공의 열쇠는 [학습의 종단적 특성, 임상 감독자의 학생 중심 정신, 의료 서비스 제공 맥락에서 전문적인 행동을 목격]하는 것이었습니다.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Zink et al. 2009), student essays submitted over five years were analysed in reference to Van De Camp's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Van De Camp et al. 2004). Professionalism was learned through long-term continuity of experience guided by positive role models in real practice settings. Keys to success were the longitudinal nature of the learning, the student-centred ethos of clinical supervisors, and witnessing professional behaviour in a health care delivery context.

이러한 연구 전반에서 확인된 주제에는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일관성 부족(Lempp & Seale 2004; Stephenson 외. 2006), 숨겨진 커리큘럼의 부정적 영향력(Lempp & Seale 2004; Stephenson 외. 2006)가 포함되었습니다. 비판적 성찰(Hatem & Ferrara 2001; Goldie 외 2007), 효과적인 교수법으로서의 역할 모델링(Brownell & Côté 2001; Lempp & Seale 2004; Weissmann 외 2006; Baernstein 2009; Foster 2009), 조기 임상 접촉(Nogueira-Martins 외 2006; Goldie 외 2007)이 최고의 교수 모델로 확인되었습니다. 
Themes identified across these studies included a lack of consistency on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Lempp & Seale 2004; Stephenson et al. 2006), and the undermining influence of the hidden curriculum (Lempp & Seale 2004; Stephenson et al. 2006). Critical reflection (Hatem & Ferrara 2001; Goldie et al. 2007), role modelling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Brownell & Côté 2001; Lempp & Seale 2004; Weissmann et al. 2006; Baernstein 2009; Foster 2009), and early clinical contact (Nogueira-Martins et al. 2006; Goldie et al. 2007) were identified as best teaching models.

사례 보고
Case reports

여러 그룹이 개별 커리큘럼 제공에서 일반적으로 참가자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성공 사례를 보고했습니다. 
Several groups have reported success, generally based on high scores in participant evaluations, in individual curriculum offerings.

세 기관에서 전문직업성 함양을 위한 토론의 촉매제로서 비네팅(사례 연구)을 기반으로 한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에 대한 사례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찰스 하템(하템 2003)(하버드)은 임상 실습에서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것은 환자 치료의 관점에서 직접적으로 나온다는 점에서 전문직업성 교육을 옹호합니다. 하템은 Neher의 교수법 마이크로스킬을 기반으로 교수 주도의 병상 교육 모델을 제시합니다(Neher 외. 1992). 이 모델은 학생들이 지식 부족을 인정해도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지원 환경 제공을 강조합니다. 
Three institutions have published case reports on professionalism curricula based on vignettes (Case studies) as triggers to discussions aimed at fostering professionalism. Charles Hatem (Hatem 2003) (Harvard) advocate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clinical practice, as the values imparted come directly from the patient care perspective. Hatem presents a faculty-led bedside teaching model based on Neher's microskills of teaching (Neher et al. 1992). The model emphasises provision of a supportive environment where students feel safe in admitting a lack of knowledge.

뉴욕대학교 의과대학에서는 학생과 교수진 그룹이 공동으로 요구 사항 평가를 수행한 후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직접 운영했습니다(Horlick 외. 2006). 자기 성찰과 동료 간의 성찰은 전문직업성 개발의 기본으로 간주되었습니다. 
At the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orlick et al. 2006), a group of students and faculty jointly performed a needs assessment, then developed a teaching curriculum, which was then run by students. Self-reflection and reflection among peers were considered fundamental to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대학의 Hill-Sakurai(2008) 연구팀도 의대 3학년 학생들 사이에서, 그리고 학생들과 교육자 사이에서 전문직업성에 대한 토론과 성찰을 촉진하기 위해 비네팅을 사용했습니다.
Hill-Sakurai's (2008) group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also employed vignettes to stimulate discussion and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among third-year medical students, and between them and their educators.

주요 교수법으로 역할 모델링에 초점을 맞춘 미국 유니폼 서비스 보건과학대학의 Jones 등(2004)은 학생이 프리셉터를 관찰하는 역구조화 관찰 과정, 즉 SCOOP(Student's Clinical Observations of Preceptors)를 개발했습니다. 또한 새로운 학습자가 관찰한 내용을 솔직하게 공유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Focusing on role modelling as the primary teaching method, Jones et al. (2004) at the Uniformed Services University of the Health Sciences have developed a process of reverse structured observation-students observing their preceptors called Student's Clinical Observations of Preceptors (SCOOP). They also emphasis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 safe environment for new learners to honestly share their observations.

개별화된 교수 피드백이 포함된 반성적 글쓰기는 브라운 대학교의 한 학생 그룹/교수팀과 함께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의 핵심입니다(Wald 외. 2009). 성찰은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안내되며, 학생들은 '아하'의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파일 노트에 응답합니다. 여기에서도 안전과 신뢰가 핵심 이슈입니다.
Reflective writing with individualised faculty feedback is the centrepiece of a pilot tested with one student group/faculty team at Brown University (Wald et al. 2009). Reflection is guide by structured questions to which students respond in filed notes, endeavouring to capture ‘a-ha’ moments. Here again, safety and trust are central issues.

관점 기사
Viewpoint articles

샤피로와 러커는 '돈키호테 효과'를 정의했는데, 이는 환상적이기는 하지만 '소명'의 가장 중요한 긍정적인 측면에 집중함으로써 학생들이 교육에서 직면하는 끔찍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정서적 이상주의라고 합니다(Shapiro & Rucker 2004). Coulehan은 이를 ['인지적, 정서적 이상주의의 단기적 '분출'']이라고 말합니다(Coulehan 2004, 453쪽). 의대생은 문학이나 영화에서 치유에 대한 묘사에 노출되거나 긍정적인 역할 모델에 노출될 때 이러한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샤피로와 러커는 영화와 관련하여 이러한 효과에 주목하지만, 이러한 경험은 이야기, 노래, 예술을 통해 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쿠마가이 2008).
Shapiro and Rucker have defined a ‘Don Quixote Effect’ – an emotional idealism which, while illusory, can be harnessed to enable students cope with dire situations encountered in training by keeping a focus on the overriding positive aspects of the ‘calling’ (Shapiro & Rucker 2004). Coulehan refers to this as a ‘short-lived “spurt” of cognitive and emotional idealism’ (Coulehan 2004, p. 453). Medical students may experience this phenomenon when exposed to depictions of healing in literature or film, or through exposure to a positive role model. Shapiro and Rucker note the effect as regards movies, but the experience can be harnessed as a learning tool through stories, songs, and art (Kumagai 2008).

아만다 하우는 태도 학습을 전문직업성 개발의 기본으로 강조했습니다. 그녀의 견해에 따르면 '[태도]는 명제적 지식보다는 개인의 경험과 사회적, 문화적 해석의 축적된 영향에 더 많이 의존하는 [개인 정신과 공공 정신 사이의 경계]에 있으며, 따라서 사실적이거나 교훈적인 교육에 덜 적합하다'(Howe 2002, 353쪽).
Amanda Howe emphasised attitudinal learning as fundamental to professional development. In her view: ‘Attitudes ar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ersonal and public psyche, relying more on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accumulated impact of soci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s than on propositional knowledge, and are therefore less amenable to factual or didactic teaching’ (Howe 2002, p. 353).

미시간 대학교는 2003년에 '가족 중심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쿠마가이 2008). 이 프로그램에서 1학년과 2학년 의대생들은 숙련된 교수진의 안내에 따라 소그룹 환경에서 재택 만성 질환자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며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경험에 대해 보고합니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서는 스트레스가 많은 환자들의 이야기를 이해하고 개인적인 반응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공감 능력을 키우기 위해 학생들이 짝을 지어 즉흥적으로 해석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도 합니다. 같은 질병을 경험하는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환자들의 이야기의 차이는 질병에 대한 반응의 개별적인 특성을 인식하게 하여 학생들이 각 상황에 적응하고 적절한 감정적 참여를 통해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연마할 수 있게 합니다.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stituted a ‘Family Centered Experience’ programme in 2003 (Kumagai 2008). In this programme, first- and second-year medical students spend time with home-bound chronically ill patients, listening to their stories and reporting back on their experience in a small group setting guided by a trained faculty member. The programme also involves students engaging in improvised interpretive projects, working in pairs, with the aim of learning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ir personal reactions to such stressful patient stories, and thus develop empathy. The difference in stories between patients from different backgrounds experiencing the same medical condition brings an awareness of the individual nature of response to illness, and therefore hones the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each situation and respond with appropriate emotional engagement.

이 센터의 디렉터인 아르노 쿠마가이는 이를 '인지적, 정서적, 경험적 차원의 학습'(쿠마가이 2008, 656쪽)이라고 부르며 [현실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식, 더 높은 의식을 가져다주는 변혁적 학습]이라고 말합니다. 현재까지 이 프로그램에 대한 공식적인 연구나 평가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주목할 만한 연구 중 하나입니다.
Arno Kumagai, Director of this Centre, calls this transformative learning; ‘learning on cognitive, affective, and experiential levels’ (Kumagai 2008, p. 656) that results in a new way of viewing reality, a higher consciousness. To date, no formal research or evaluation has been published by this programme, but it is one to watch.

보스턴 대학교(Wiecha & Markuns 2008)는 휴머니즘을 강조하는 온라인 임상실습 커리큘럼으로 성공을 거두었다고 보고했습니다. 대면 교육에 등록한 학생들에 비해 온라인 교육생은 의료 행위의 인문학적 요소에 대한 자체 역량 평가에서 훨씬 더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객관적인 평가는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Boston University (Wiecha & Markuns 2008) reported success with an online clerkship curriculum emphasising humanism. Compared to students enrolled in a face-to-face delivery, online students did significantly better at self-assessed competence in humanistic components of medical practice. There were no objective assessments conducted.

Cruess 외(2009)의 편집된 컬렉션은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풍부한 이론적, 실제적 고려 사항을 담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전통적 커리큘럼(Goldstein 2009) 및 문제 기반 커리큘럼(Maudsley & Taylor 2009), 교수자 개발(Steinnert 2009), 전문직업성의 사회화 측면(Hafferty 2009)에서의 전문직업성 교육에 관한 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부록에는 훌륭한 교육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The edited collection by Cruess et al. (2009) is a rich set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on how to build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It contains chapters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raditional (Goldstein 2009) and problem-based curricula (Maudsley & Taylor 2009), faculty development (Steinnert 2009), and the socialisation aspects of professionalism (Hafferty 2009). The appendix contains an excellent set of teaching resources.

전문직업성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고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비개입 문헌(관점/의견 논문)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6가지 주요 주제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저명성(인용 횟수)과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데 기초가 되는 개념의 중요성에 대한 집단적 견해를 바탕으로 식별했습니다.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Thematic analysis of the non-intervention literature (viewpoint/opinion papers) on how professionalism might be/should be taught identified six major themes. We identified these themes based on prominence (citation count) and our collective views on importance of the concepts presented for serving as a basi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themes were:

  • 교육기관과 교육기관의 가치 모델링에 초점(Branch 2000; Branch 외. 2001; Kenny 외. 2003; Gordon 2003; Cruess 2006b; van Mook 외. 2009a); 
  • 의학교육의 좁은 생의학적 측면보다는 도덕적 발달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것(Novack 외. 1999; Branch 2000; Wear & Castellani 2000; Howe 2002; Stern & Papadakis 2006); 
  • 최선의 교수법으로 식별된 비판적 및 가이드된 성찰(Novack 외. 1999; Branch 2000; Howe 2002; Kenny 외. 2003; Stern & Papadakis 2006; Shapiro 외. 2006a; van Mook et al. 2009a) 및 역할 모델링(Branch 2000; Branch 외. 2001; Howe 2002; Howe 2003; Kenny 외. 2003; Coulehan 2005; Gracey 외. 2005; Stern & Papadakis, 2006; Cruess 2006b; Cruess & Cruess 2006b; Goldie 2008; van Mook 외. 2009a);
  • 인본주의적 특성이 잘 발달된 학생을 선발하여 전문적 특성을 더 쉽게 동화시킬 수 있습니다(Novack 외. 1999; Wear & Castellani 2000; Gordon 2003); 
  • 전문직업성을 이론이 아닌 경험으로 가르치는 것(Branch 외. 2001; Kenny 외. 2003b; Cruess 2006b; Goldie 2008); 
  • 전문직업성은 전체 커리큘럼에 포함되어야 합니다(Branch 2000; Wear & Castellani 2000; Howe 2003; Cruess 2006b; Cruess & Cruess 2006b; Goldie 2008).  
  • Focus on the institution and its modelling of values (Branch 2000; Branch et al. 2001; Kenny et al. 2003; Gordon 2003; Cruess 2006b; van Mook et al. 2009a);
  • Adoption of a focus less on narrow biomedical aspects of medical education and more on moral development (Novack et al. 1999; Branch 2000; Wear & Castellani 2000; Howe 2002; Stern & Papadakis 2006);
  • Identification of critical and guided reflection as best teaching methods (Novack et al. 1999; Branch 2000; Howe 2002; Kenny et al. 2003; Stern & Papadakis 2006; Shapiro et al. 2006a; van Mook et al. 2009a) and role modelling (Branch 2000; Branch et al. 2001; Howe 2002; Howe 2003; Kenny et al. 2003; Coulehan 2005; Gracey et al. 2005; Stern & Papadakis, 2006; Cruess 2006b; Cruess & Cruess 2006b; Goldie 2008; van Mook et al. 2009a);
  • The selection of students with well-developed humanist traits, thus more amenable to assimilating professional traits (Novack et al. 1999; Wear & Castellani 2000; Gordon 2003);
  •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periential, not theoretical (Branch et al. 2001; Kenny et al. 2003b; Cruess 2006b; Goldie 2008);
  • Professionalism should be embedded in entire curriculum (Branch 2000; Wear & Castellani 2000; Howe 2003; Cruess 2006b; Cruess & Cruess 2006b; Goldie 2008).

새로운 주제
Emerging themes

기존 교육 전략에 대한 설문조사
Surveys of existing teaching strategies

Swick이 이끄는 미국 의과대학 협회의 연구팀은 1998년에 미국 의과대학 학장들을 대상으로 2단계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매우 높은 응답률을 달성했습니다(Swick 외. 1999). 설문조사에 응한 거의 모든 학교가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미국 의과대학의 79%는 오리엔테이션에서 전문직업성을 다루었으며, 주로 아놀드 골드 재단에서 고안한 '화이트 코트 세레모니'를 통해 전문직업성을 강조했습니다(Swick 외. 1999; Russell 2002; Kumpfer 외. 2002). 학교의 60%는 다양한 커리큘럼 구성 요소에 걸쳐 전문직업성 교육을 실시했으며, 일반적으로 다양한 주제에 초점을 맞춘 과정의 일부로 전문직업성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41개 학교 중 20개 학교는 전문직업성 교육이 다루어지기는 하지만 중요도가 낮은 포괄적인 과정(단원)에 포함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학교에서는 평가 도구(85%), 교수진 개발(82%), 교재 또는 모델(77%)이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대부분의 학교는 프로그램 초기에 전문직업성을 포함하지만, 후반기에 전문직업성을 다루는 학교는 더 적었습니다(41개 중 8개). 10%는 전문직업성 커리큘럼 콘텐츠가 없었습니다. 
A team at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led by Swick undertook a two-stage survey of US medical deans in 1998 (Swick et al. 1999), which achieved a very high response rates. Nearly all schools contacted had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Seventy-nine per cent of US medical schools addressed professionalism during orientation, usually through the ‘White Coat Ceremony’ devised by the Arnold Gold Foundation (Swick et al. 1999; Russell 2002; Kumpfer et al. 2002). Sixty per cent of schools spread professionalism training over a number of curriculum components, usually as part of a course focusing on various topics. Twenty of 41 schools responding to this aspect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in these schools professionalism, while addressed, may be dumped into a catch-all course (unit) that may have limited prominence. Schools indicated a need for assessment instruments (85%), faculty development (82%), and teaching materials or models (77%). Most schools include professionalism in early years of the programme, fewer addressed it during later years (8 of 41). Ten per cent had no professionalism curriculum content.


Swick 등의 연구는 검색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중 하나입니다. 저자들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전문직업성의 의미의 부족]과 이를 포괄하는 모든 것들이 1990년대 후반에 교육에 장애가 되었다고 지적합니다. 저자는 특히 교육 프로그램 후반기의 체험 학습과 관련하여 이러한 교육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함으로써 전문직업성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The Swick et al.'s study is one of the most highly cited papers found in the search. The authors note that a lack of a commonly accepted meaning of professionalism and all that it encompasses proved a barrier to teaching in the late 1990s.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needs to be enhanced, through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models for how such teaching could be carried out, particularly as relates to experiential learning in later years of a training programme.

Lown과 동료들은 미국과 캐나다 의과대학 부학장 및 커리큘럼 리더를 대상으로 '배려하는 태도' 교육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수련 초기에는 소그룹 토론과 교훈적인 세션, 임상 시기에는 역할 모델링과 멘토링, 그리고 커리큘럼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술기 교육을 공식 교육 방법으로 꼽았습니다(Lown 외. 2007). 조사 대상 학교의 전문직업성 영역에서 교수 개발이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절반 미만이 커뮤니케이션 및 멘토링 교육에 대한 공식적인 교수진 교육을 제공한다고 응답했으며, 8%만이 학생들의 전문직업성을 개발하고 육성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공식적인 분류를 제공한다고 응답했습니다(Lown 외. 2007, 1519쪽).  
Lown and colleagues surveyed US and Canadian medical school associate deans and curriculum leaders to determine priority of teaching of ‘caring attitudes’, and list small group discussions and didactic sessions in early training years, and role modelling and mentoring in clinical years, with skills training used throughout curricula as formal teaching methods (Lown et al. 2007). A disturbing finding was that there is insufficient faculty development in the area of professionalism in the schools surveyed, with less than half reporting that they provide formal faculty training in teaching communication and mentoring, and only 8% reporting formal triaging focused on how to develop and nurture professionalism in their students (Lown et al. 2007, p. 1519).

영국 의과대학에 대한 유사한 설문조사는 King's College의 그룹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Stephenson 외. 2006). 이 연구에서도 미국 연구와 마찬가지로 초기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다수(23개 의과대학 중 18개)가 임상 교육자의 전문적 태도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숨겨진 커리큘럼이 학생들에게 혼합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공식적인 교육을 약화시키는 데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학생들은 공식 커리큘럼에서 배운 적절한 태도와 행동이 '실제 업무의 압박이 닥쳤을 때 합법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1076쪽). 
A similar survey of UK medical schools was undertaken by a group from King's College (Stephenson et al. 2006). In this study, as in the US study, a majority (18 of 23 medical schools) responding to their initial survey considered that training of clinical educators in professional attitudes was deficient. They also found that the hidden curriculum was very influential in undermining formal teaching, through giving students mixed messages. Students realised that appropriate attitudes and behaviour, taught in the formal curriculum, could ‘legitimately be side-stepped when the pressures of the job come to bear in the real world’ (p. 1076).

마지막으로, 스턴 등은 2007년 (미국) 골드 재단이 휴머니즘 교육 요소에 대해 제출된 초록을 검토하고 논의하기 위해 소집한 국제 회의에 대해 보고했습니다. 참가자들이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교수 전략은 

  • 학생들에게 환자의 관점을 전달하고, 
  • 학습 경험을 성찰할 수 있는 구조화된 시간을 허용하며, 
  • 학생들이 이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guided mentoring을 제공하는 것입니다(Stern 외. 2008).

Finally, Stern et al. reported on an International meeting convened by the (US) Gold Foundation in 2007 to review and discuss submitted abstracts on teaching elements of humanism. Teaching strategies reported as effective by participants are those that

  • impart to students the perspective of their patients,
  • allow structured time for reflection on learning experiences, and
  • provide guided mentoring to assist students in making sense of it all (Stern et al. 2008).

 

역할 모델링
Role Modelling

문헌을 검토한 결과, 효과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지만 전문직업성은 [교훈적인 강의]보다는 [교육 과정에서 만나는 임상의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학습된다는 것이 종합적인 견해인 것으로 보입니다.
From our review of the literature it appears that the collective view suggests that professionalism is learned most effectively through the influence on students of clinicians they encounter in the course of their education, rather than through didactic classroom sessions, although there is scant evidence for effectiveness.


[역할 모델링과 멘토링]은 종종 필수적인 것으로 확인되며 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한 공식적인 전달 방법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Ambrozy 외. 1997; Branch 외. 2001; Brownell & Côté 2001; Kuczewski 2001; Shapiro 2002; Wright & Carrese 2002; Gordon 2003; Kenny et al. 2003; Stark 2003; Coulehan 2004; Lempp & Seale 2004; Edelstein 외. 2005; Haidet & Stein 2006; Ratanawongsa 외. 2006; Weissmann 외. 2006; Yazigi 외. 2006; Cohen 2007; Goldie 외. 2007; Lown 외. 2007; Baernstein 2009; Foster 2009; Finn 외. 2010). 그러나 의료계는 개인의 자율성에 큰 제한을 두는 시스템에서 광범위한 역할과 관행을 가지고 있어 역할 모델링에 문제가 있습니다(Cruess 2006a).
Role modelling and mentoring are frequently identified as being essential and are employed as formal delivery methods for professionalism education (Ambrozy et al. 1997; Branch et al. 2001; Brownell & Côté 2001; Kuczewski 2001; Shapiro 2002; Wright & Carrese 2002; Gordon 2003; Kenny et al. 2003; Stark 2003; Coulehan 2004; Lempp & Seale 2004; Edelstein et al. 2005; Haidet & Stein 2006; Ratanawongsa et al. 2006; Weissmann et al. 2006; Yazigi et al. 2006; Cohen 2007; Goldie et al. 2007; Lown et al. 2007; Baernstein 2009; Foster 2009; Finn et al. 2010). But the medical profession has a wide range of roles and practices in systems that put great limits on personal autonomy, making role modelling problematic (Cruess 2006a).

[공식적으로 가르치는 행동]보다 [학생들이 관찰/목격하는 행동](Wright & Carrese 2002)과 [역할 모델의 영향력](Wright & Carrese 2002; Mann 2002; Huddle 2005; Cruess 2006a; Johnston 2006; Levenson 외. 2010)이 그들의 전문적 페르소나를 형성하게 될 것입니다.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행동을 보이는 교육자는 높은 지위를 획득한 시스템에 의해 상당 부분 보호받습니다. 감수성이 예민하고 취약한 학생들은 모델링된 행동을 모방하거나 적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Brainard & Brislen 2007). 
It is the behaviour observed/witnessed by students (Wright & Carrese 2002), and the influence of role models (Wright & Carrese 2002; Mann 2002; Huddle 2005; Cruess 2006a; Johnston 2006; Levenson et al. 2010), that will form their professional personas, more than the behaviour formally taught. Educators manifesting behaviours that may be deemed inappropriate are protected to a great extent by the system, in which they have achieved a position of high status. Students, being impressionable and vulnerable, will be likely to emulate the modelled behaviour, or at least not challenge it (Brainard & Brislen 2007).

비슷한 맥락에서 Christianson 등은 수련 초기에 [환자 중심 커리큘럼을 도입]하여 조직 문화를 [내적 중심]이 아닌 [외적 중심]으로 전환하고, 숨겨진 커리큘럼에 대응하며 전문직업성 개발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Christianson 외. 2007).In a similar vein, Christianson et al. advocate a patient-centred curriculum in early years of training as a way to bring about organisational cultural shift towards an outward rather than inward focus, countering the hidden curriculum and enhancing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Christianson et al. 2007).

커리큘럼에서의 위치
Place in curriculum

[의료 전문직업성을 위한 표준 커리큘럼]모든 의학교육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는지(Howe 2003; Remen & Rabow 2005a; Remen 외. 2008) 또는 그러한 커리큘럼이 개별 프로그램을 위해 특별히 고안되어야 하는지(Cruess 2006a; Cruess 2006b)에 대해서는 문헌에서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습니다.
There is disagreement in the literature regarding whether a standard curriculum for medical professionalism can be devised that will work in any medical education setting (Howe 2003; Remen & Rabow 2005a; Remen et al. 2008), or whether such curricula must be devised specifically for an individual programme (Cruess 2006a; Cruess 2006b).

이 문헌에서 개별적으로나 공동으로 두드러지게 등장하는 실비아와 리차드 크루스 팀은 커리큘럼 개발에서 시도된 많은 교수 접근법과 공명하는 본질적으로 실용적인 접근법을 주장했습니다. '(T)전문직업성 교육은 전문직업성에 대한 인지적 기반이 있다는 인식에서 시작해야 하며, 이는 명시적으로 가르친 다음 [체험 학습]을 통해 학생이 [강화되고 내면화]되어야 합니다'(Cruess & Cruess 2006b, 207쪽). 2006년에 출판된 세 편의 논문(Cruess 외. 2006, Cruess 2006a, Cruess & Cruess 2006b)과 한 권의 책(Cruess & Cruess 2006a)을 통해, 그리고 2009년 그들이 편집한 다저작 텍스트(Cruess 외. 2009)를 통해 이들은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광범위한 개념적, 실제적 틀을 제시했습니다. 
The team of Sylvia and Richard Cruess, who feature prominently in this literature individually and jointly, have argued for an essentially pragmatic approach that resonates with much of the teaching approaches that have been attempted in curriculum developments;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should start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re is a cognitive base to professionalism which must be taught explicitly and then be reinforced and internalized by the student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Cruess & Cruess 2006b, p. 207). In a series of three articles (Cruess et al. 2006; Cruess 2006a; Cruess & Cruess 2006b) and a book chapter(Cruess & Cruess 2006a) published in 2006, and culminating in a multi-authored text, which they edited, in 2009 (Cruess et al. 2009), they have mapped out a broad conceptual and practical framework for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크루스 부부는 전문직업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로서 [상황적 학습 이론]을 지지하며(Cruess 2006a; Cruess & Cruess 2006b; Cruess 2006b), 다른 연구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Maudsley & Strivens 2000; Kenny 외. 2003; Goldie 2008; Zink 외. 2009). 이들은 [일반적인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은 불가능하며, 오히려 그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각 대학의 환경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이들은

  • 모든 의학교육 상황에 존재하는 [암묵적 학습을 고려]해야 하며,
  • 이론보다는 실제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 비판적 성찰('마음챙김'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이 학생에게 장려해야 할 핵심 활동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Cruess 2006a, 182쪽).

The Cruess’ are advocates of situated learning theory as a basis for developing a teaching programme for professionalism (Cruess 2006a; Cruess & Cruess 2006b; Cruess 2006b), as are others (Maudsley & Strivens 2000; Kenny et al. 2003; Goldie 2008; Zink et al. 2009). They caution that a general professionalism curriculum is impossible, but rather that such a teaching programme must be tailored to each university's environment. It must

  • take into account the tacit learning that exists in all medical education situations,
  • be practical, rather than theoretical, in focus, and
  • that critical reflection (they use the term ‘mindfulness’) (Cruess 2006a, p. 182) is the key activity to encourage in the student.

고든은 [공식적인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을 ['모든 학생들에게 정치적 올바름을 강요하려는 시도']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Gordon 2003, 342쪽). 그녀는 학생들이 실제로 바람직한 속성을 취하지 않고도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기대되는 것을 습득하는 방법, 예를 들어 팀을 싫어하고 실제 실무에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협력적으로 일하는 것을 피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팀워크 연습에 참여하는 방법의 예를 제시합니다(Gordon 2003, 343쪽). 그녀는 전문직업성을 포괄적인 의학 커리큘럼에 통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합니다. 의학 교육 프로그램은 단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학생이 과정을 진행하면서 내용을 통합하고 구축해야 하므로, 전문직업성을 [일련의 상호 연동되는 구성 요소로 접근]하는 것이 실용적이며(Kuczewski 2001), 그 중 일부는 개별 커리큘럼 모듈로 가르칠 수 있습니다.
Gordon observed that some see formal professionalism curricula as an attempt to ‘force all students into the straightjacket of political correctness’ (Gordon 2003, p.342). She goes on to give examples of how students could master what they think is expected of them to score high marks without actually taking on board the desirable attribute; for example by, willingly engaging in teamwork exercises even though they hate teams and would avoid working collaboratively at all costs in actual practice (Gordon 2003, p. 343). She develops a framework for integrating professionalism into a comprehensive medical curriculum. Because a medical education programme must proceed in stages, integrating and building on content as the student moves through the process, it is practical to approach professionalism as a set of interlocking components (Kuczewski 2001), some of which can be taught in discrete curriculum modules.

[초기 환자 접촉]은 학습 곡선을 진전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Goldie 외. 2002). 의사의 실제 진료 행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이를 통해 커리큘럼 개발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Gordon 2003). 커리큘럼의 모든 측면과 마찬가지로, 수용과 성공을 보장하고 저항을 예상하고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접근법(Engel 1977; Armstrong 외. 2004)이 필요합니다.
Early patient contact appears to progress the learning curve (Goldie et al. 2002). Research into doctors’ conduct in practice is lacking, and could enhance curriculum development (Gordon 2003). As with all aspects of curricula, a systems approach (Engel 1977; Armstrong et al. 2004) is necessary to ensure acceptance, success, and to anticipate and neutralize resistance.

직장 내 학습, 특히 도넌 등이 '실무 참여'라고 부르는 [장기간의 지속적인 실습]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도넌 등, 2007b). 

  • 허들은 '수련생은 단순히 커리큘럼의 대상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방식에 종속된다'(허들 2005, 888쪽)고 말하며,
  • 케니는 '전문적 실무의 우수성은...임상에서의 경험과 그 표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학습된다'(케니 외. 2003, 1209쪽)고 말합니다.

Workplace learning, especially in long continuous attachments, what Dornan et al. refer to as ‘participation in practice’ (Dornan et al. 2007b), appears to be conducive.

  • Huddle says ‘trainees are subject not merely to a curriculum but to a new way of life’ (Huddle 2005, p. 888), and
  • Kenny that ‘Excellence in professional practice is learned…through experience and critical reflection on its expression in the clinical encounter’ (Kenny et al. 2003, p. 1209).

학생들은 완전히 나쁜 의사를 목격하는 것보다 [일시적인 전문적 행동의 실수]를 목격하는 상황을 훨씬 더 자주 접하게 됩니다. 긴즈버그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즉각적인 반응을 포착하기 위해 사례 연구(비네팅)를 사용하여 반응의 특성을 파악했습니다(긴즈버그 외. 2003b). 연구진은 학생들의 반응이 환자에 대한 정직성과 공정성을 포함한 고전적인 직업적 행동 원칙(연구자들의 용어에 따르면 avowed 된 것)에 기반하고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Students will encounter situations where they witness a temporary lapse in professional behaviour far more often than they will witness a totally bad doctor. Ginsburg has examined students’ reactions to these situations and has captured the nature of their responses using case studies (vignettes) to capture students’ immediate responses (Ginsburg et al. 2003b). They found that students responses were based in classic principles of professional behaviour (termed avowed by the researchers), including honesty and fairness to patients.

또한 커리큘럼에서 가르치지 않거나 커리큘럼에 반드시 [반하는 것]이 아닌 [연공서열 존중, 복종, 팀 충성도]와 같은 [다른 원칙에 근거한 응답]도 발견했습니다. 긴즈버그의 말을 빌리자면, 이러한 원칙들은 [불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정된 적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칙은 학생들이 배운(또는 당연히 지켜야 한다고 믿는) 원칙을 합리적이고 필요적으로 수용하는 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학생 신분인 이들은 [직업적 권력 스펙트럼]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순응하고, 묵인하고, 문제제기를 하지 않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점수를 잃거나 골칫거리로 낙인찍힐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They also found responses grounded in other principles, such as deference to seniority, obedience, and team allegiance, not taught in the curriculum, nor necessarily antithetical to it. They are not, then (in Ginsburg's words) disavowed, but rather unavowed. They stemmed from students’ rational and necessary accommodation of meeting the avowed principles they were taught (or believe they ought to manifest). As students, they are at the low end of the professional power spectrum and see an imperative to conform, to acquiesce, to not challenge, or else lose marks or be labelled troublesome.

이러한 조건은 의학에만 국한된 것은 아닙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이러한 조건은 동료의 전문적 실수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노골적인 비전문적 행동에 대해 동료를 신고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비전문적 행동이 실무 세계에서 교정이나 제재를 피할 수 있는 일련의 상황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긴즈버그는 [이러한 반응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을 교육에 반영]하는 전략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반응을 [무시]하거나 [잘못된 것]으로 간주하는 대신, '자기 성찰과 자의식적 합리화'를 통해 [자신의 본성과 대처 메커니즘의 기본을 이해]하도록 강요하는 학습 상황을 제시하면(Ginsburg 외. 2003a, 1021쪽), 그 결과 전문직업성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관점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전문직업성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에 대한 이 연구와 유사한 연구(Monrouxe 외. 2009; Monrouxe & Rees 2011; Monrouxe 외. 2011)는 커리큘럼 개발에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This conditioning is certainly not specific to medicine. It undoubtedly contributes to a reticence to challenge professional lapses in colleagues or report colleagues for blatant unprofessional behaviour in practice years. Thus, it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et of circumstances that sees unprofessional behaviour escape correction or sanction in the world of practice. Ginsburg suggests a strategy that incorporates formal acknowledgement of these responses in training. Rather than ignore them or consider them wrong, if students are presented with learning situations that compel them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ir nature, and the fundamentals of a coping mechanism, through ‘self-reflection and self conscious rationalization’ (Ginsburg et al. 2003a, p. 1021), the outcome could be a more balanced perspective on professionalism. This and similar research into how students conceptualise professionalism (Monrouxe et al. 2009; Monrouxe & Rees 2011; Monrouxe et al. 2011) may well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curriculum development.

또 다른 접근 방식은 도덕성 발달에 초점을 맞춘 [보호된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학생들이 신중하게 구성된 사례 시나리오를 통해 주요 전문직업성 측면에 대한 반응을 탐색함으로써 '숨겨진 교육과정의 비인간화 효과에 [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Browning 외. 2007, 905쪽). 
An alternative approach is to create a protected learning environment, focused on moral development, in which students can explore, through carefully constructed case scenarios, their reaction in terms of key professionalism aspects, thus to ‘exert a countercultural influence on the dehumanizing effects of the hidden curriculum’ (Browning et al. 2007, p. 905).

진단 및 치료 기술을 가르칠 때 전문직업성을 교훈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최상의 결과를 낳지 않을 것이라는 많은 생각이 문헌에 있습니다 (Huddle 2005). 일상적인 진단 및 치료 결정에 환자의 의견, 시간 및 시스템의 압박, 개인적인 문제가 개입하여 시야를 흐리고 집중력을 분산시키는 일상적인 상황보다, 실제로도 [어려운 도덕적 문제]를 [순수한 윤리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직면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Huddle 2005).
There are many musings in the literature that teaching professionalism didactically, as diagnostic and treatment skills are taught, is not likely to produce the best results (Huddle 2005). The hard case moral issues are actually easier to identify and confront from a pure ethical standpoint than the everyday situations where routine diagnostic and treatment decision are overlaid by an opinion of the patient, pressures of time and system, and the intrusion of personal problems to cloud vision and distract focus (Huddle 2005).

커플한과 윌리엄스는 현대의 전문직업성 교육이 '너무 적고, 너무 빠르며, 너무 늦고, 너무 멀고, 너무 반문화적'이라고 비판합니다(2003, 14쪽).

  • [너무 이르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해부학, 생리학 및 기타 의학의 경성 과학에서 요구하는 사실의 암기와 함께 의학 커리큘럼의 첫 해에 포함되기 때문에 [우선 순위에서 밀려난다는 점]입니다.
  • [너무 늦은 시기]라는 것은, 전문직업성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질 무렵에는 임상 실습, 특히 병원에서의 가혹한 업무에 대한 사회화 과정이 학생에게 전문가와 정반대의 태도, 행동, 사고 패턴을 단단히 심어 놓았기 때문입니다.
  • [너무 멀다]는 것은, 수업 시간에 논의되는 사례 시나리오실제 임상 실습의 훨씬 더 미묘한 상황과 거의 유사하지 않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권위자를 달래야 한다는 압박감 없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 [너무 반문화적]이라는 것은, '임상 교육 문화는 종종 전문직업적 미덕virtue에 적대적이기 때문이다'(14페이지) 

Coulehan and Williams criticise contemporary professionalism education as ‘too little, too soon, too late, too distant, and too countercultural’ (2003, p. 14).

  • Too soon, because it is generally included in the first years of the medical curriculum alongside the rote memorisation of facts required by anatomy, physiology, and the other hard sciences of medicine, and so gets glossed over as a priority.
  • Too late because by the time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takes place, the socialisation process of the harsh work of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in hospitals, has hard wired the student into attitudes, behaviours, and thought patterns that are the antithesis of professional.
  • Too distant because case scenarios discussed in class often bear little resemblance to the much more nuanced situations in real clinical practice and even if not are presented without the pressures of having to placate an authority figure.
  • Too countercultural because ‘the culture of clinical training is often hostile to professional virtue’ (p. 14).

토론
Discussion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려면 '기대치를 설정하고, 경험을 제공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것'을 수반한다(Stern & Papadakis 2006, 1794쪽).
Teaching professionalism entails ‘setting expectations, providing experiences, evaluating outcomes’ (Stern & Papadakis 2006, p. 1794).

의학 커리큘럼에서 전문직업성 교육을 통합하는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일된 이론적 또는 실제적 모델]은 아직까지 널리 수용되고 있지 않습니다(Gordon 2003; Gracey 외. 2005; Archer 외. 2008). [Richard Cruess는 그러한 커리큘럼은 불가능]하며, 오히려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은 교육 기관의 환경에 기반하고 이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Cruess 2006a, 180쪽). 평가 데이터를 통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이러한 데이터는 거의 없음) 풍부한 이론 및 의견 문헌에 명시된 대로 효과가 있는 것 사이에는 증거 기반에 큰 격차가 있습니다. 
There is still no unifying theoretical or practical model to use as a format to integrate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n the medical curriculum that has gained wide acceptance (Gordon 2003; Gracey et al. 2005; Archer et al. 2008). Richard Cruess is of the opinion that such a curriculum is not possible, and that, rather,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must be based on, and reflect, the environment of the institution in which it is taught (Cruess 2006a, p. 180). There is a major gap in the evidence base between what has been shown to work through evaluation data (there is little of this) and what may work as set out in the abundant theoretical and opinion literature.

현대의 전문직업성 논쟁이 거의 20년 동안 계속되어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문직업성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한 더 긍정적인 사례가 문헌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거의 모든 서구 국가의 전문 기관에서 전문직업성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고 다양한 저자들이 개념적, 방법론적 접근법을 확립했지만, 전문직업성에 대한 검증되고 생산적이며 복제 가능한 교육 방법을 입증한 협력 기관의 공동 노력에 대한 증거를 찾지 못했습니다.
Considering that the modern professionalism debate has been going on for almost two decades, it is surprising that the literature does not contain more positive examples of how professionalism can be taught. Professional organisations in almost all western countries have established criteria for professionalism, and various authors have established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but we have not found evidence of concerted effort mounted by cooperating institutions that has demonstrated validated, productive, replicable teaching methods for professionalism.

현재 전문직업성은 [받아들여지는 이론]과 [받아들여지는 일련의 실천 기준] 모두에서 부족한 것으로 보입니다(Wear & Kuczewski 2004; Stephenson 외. 2006; Hafferty & Levinson 2008). Eckles 등(2005)은 본 검토와는 초점이 다르지만(전체적 커리큘럼 구성 요소로서의 전문직업성이 아닌 윤리 교육에만 초점)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형성하는 연구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Professionalism appears currently to be lacking both in accepted theory and in a set of accepted practice criteria (Wear & Kuczewski 2004; Stephenson et al. 2006; Hafferty & Levinson 2008). Eckles et al. (2005) while different in focus to this review (focus on ethics education only, not professionalism as a holistic curriculum component) also found a lack of studies forming a theoretical basis for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현재 전문직업성에 대한 명확한 합의된 정의는 물론 전문직업성을 통합된 구성 요소나 정신으로 가르치기 위한 검증된 방법론이 없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현재로서는 전문직업성의 개별적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최선의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re is at present no clear consensus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let alone a proven methodology for teaching it as a unified construct or ethos, the best evidence available is that which focuses on individual traits of professionalism. 

본 연구의 강점과 한계
Strength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광범위한 문헌을 검토하다 보면 중요한 연구를 놓쳤을 가능성이 항상 존재합니다. 또한 문헌에는 이와 같이 새롭게 떠오르는 주제에 대한 대중의 담론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왜곡하는 출판 및 보고의 편견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없기 때문에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품질 평가의 주관적인 특성과 관점 및 의견을 포함하기로 한 결정은 검토가 편향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The potential always exists in reviewing such a broad ranging literature that important studies may have been missed. The literature also contains in-built biases of publication and reporting which skew the public discourse on newly emerging topics such as this in ways that cannot be adequately assessed. The lack of a consensus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makes it very difficult to construct a frame work for teaching it. The subjective nature of our quality rating, along with our decision to include viewpoint and opinion pieces, means that our review is biased.

다른 제한 사항으로는 우리가 통합한 데이터 합성 기술의 새롭고 진화하는 특성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품질 평가에 대한 우리의 매우 주관적인 접근 방식은 자의적이지는 않더라도 환원주의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Barbour 2001). 체계적 문헌고찰의 체계적인 사전 계획은 초기 검색 전략과 포함 기준이 객관적임을 보장하지만, 모든 종합 전략은 주관적인 요소를 일부 포함하므로 본질적으로 해석적일 수밖에 없습니다(Sandelowski 2008). 이와 같이 정성적, 정량적(심지어 의견) 논문을 결합한 리뷰는 한 의제를 다른 의제보다 우선시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비판을 받기 쉽습니다. 
Other limitations include the new and evolving nature of the data synthesis techniques that we have incorporated. Our very subjective approach to assessment of quality, in particular, has the potential to be reductionist, if not arbitrary (Barbour 2001). While the systematic advance planning of a systematic review ensures that the initial search strategy and inclusion criteria are objective, all synthesis strategies incorporate some element of subjectivity, and so are invariably interpretive in nature (Sandelowski 2008). Reviews such as this,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d even opinion) papers are prone to criticism from the appearance of driving one agenda over others.

가장 큰 장점은 팀 주도의 체계적 검토가 제공할 수 있는 엄격함입니다. 
The greatest strength is the rigour that a team-driven systematic review can provide.

결론
Conclusion

문헌의 분명한 주제는 교수진이 이상적으로 안내하는 [역할 모델링]과 [개인적 성찰]이 현재 교육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전문직업성을 개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전문직업성은 의학 커리큘럼 전체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순서, 깊이, 세부 사항 및 전문직업성을 다른 커리큘럼 요소와 통합하는 방법의 특성은 진화하는 이론의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Evident themes in the literature are that role modelling and personal reflections, ideally guided by faculty, are the important elements in current teaching programmes and are widely held to b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While it is generally held that professionalism should be part of the whole of a medical curriculum, the specifics of sequence, depth, detail, and the nature of how to integrate professionalism with other curriculum elements remain matters of evolving theory.

이 연구는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사람들과 현대 사회에서 의학의 사회학 및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가 수행한 검토의 포괄적인 성격과 문헌에서 드러나는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깊이 있고 폭넓은 사고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우리가 제공하는 주요 주의 사항은 해당 문헌의 품질에 대한 평가가 필연적으로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기 위해 수행되고 있는 많은 것들이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앞으로의 작업은 우리가 확인한 철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교육이 임상 환경에 잘 통합되고,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 확인되며, 수련 기간에 효과가 있었던 것을 포착하는 초기 경력 의사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여 잘 평가되도록 해야 합니다. 
This study will have relevance to those who are developing professionalism curricula and to those interested in the sociology and philosophy of medicine in the modern world. It benefits from the comprehensive nature of the review we undertook and the depth and breadth of thinking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that emerges from the literature. The major caveat we offer is the necessarily subjective nature of our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at literature. Much of what is being done to teach professionalism has not been evaluated Future work needs to build on the philosophical base we have identified and ensure that teaching is well integrated into clinical settings, with positive role models identified, and well evaluated, including evaluations of early career doctors capturing what worked in their training periods.

실천 포인트 Practice points

  • 의학 분야의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한 합의는 아직 없습니다.
  • 교수진의 [역할 모델링과 멘토링]은 성공적인 교육 프로그램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역할 모델링과 멘토링]은 전문직업성을 개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기법입니다.
  • [교육기관의 환경]은 성공적인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의 개발, 실행 및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There is no consensus on best method to teach professionalism in medicine.
  • Role modelling and mentoring guided by faculty are critical in successful teaching programmes.
  • Role modelling and mentoring ar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 The environment of the institution does have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uccessful professionalism curriculum.

 


Med Teach. 2013 Jul;35(7):e1252-66. doi: 10.3109/0142159X.2013.789132.

Teaching professionalism in medical education: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25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University Centre for Rural Health, Lismore, New South Wales, Australia. hudson.birden@sydney.edu.au

PMID: 23829342

DOI: 10.3109/0142159X.2013.789132

Abstract

Introduction: We undertook a systematic review to identify the best evidence for how professionalism in medicine should be taught.

Methods: Eligible studies included any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09 inclusive. We reviewed papers presenting viewpoints and opinions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d thematic synthesis on all papers meeting inclusion criteria in order to capture the best available evidence on how to teach professionalism.

Results: We identified 217 papers on how to teach professionalism. Of these, we determined 43 to be best evidence. Few studies provided comprehensive evaluation or assessment data demonstrating success. As yet, there has not emerged a unifying theoretical or practical model to integrate the teaching of professionalism into the medical curriculum.

Discussion: Evident themes in the literature are that role modelling and personal reflections, ideally guided by faculty, are the important elements in current teaching programmes, and are widely held to b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While it is generally held that professionalism should be part of the whole of a medical curriculum, the specifics of sequence, depth, detail, and the nature of how to integrate professionalism with other curriculum elements remain matters of evolving theory.

졸업후교육에서 프로페셔널리즘 교육: 체계적 문헌고찰 (Acad Med, 2020)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rielle S. Berger, MD, Elizabeth Niedra, MD, Stephanie G. Brooks, Waleed S. Ahmed, MD, and Shiphra Ginsburg, MD, PhD

 

 

1990년대 후반부터 의학의 전문직업성에 관한 많은 글이 쓰여졌습니다. 초기 연구는 의사 헌장(2002년에 발표된)에 요약된 기본 원칙과 약속을 시작으로 의료 전문직업성에 대한 [표준 정의]와 수련 중인 의사의 개발에 있어 그 중요성을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1 이후 연구에서는 이 정의를 [입증 가능한 행동]으로 조작화하여 전문직업성을 타고난 성격 특성에서 학습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 이해하도록 안내했습니다.2 동시에 교육자들은 종종 '숨겨진 커리큘럼'이라고 불리는 직장 문화와 학습 환경이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며 기관 수준에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3 주요 의학교육 기관은 전문직업성을 핵심 역량으로 인식하고 미국의과대학협회 의과대학 목표 프로젝트, 의학전문대학원교육인증위원회(ACGME) 핵심 역량, 캐나다왕립의과대학(RCPSC) CanMEDS 프레임워크에 명시된 대로 학부 및 대학원 환경에서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을 요구했습니다.4,5,6(p20),7 
Much has been written about professionalism in medicine since the late 1990s. Early work focused on establishing a standard definition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its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physicians-in-training, starting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commitments outlined in the Physician Charter (published in 2002).1 Later work operationalized this definition into demonstrable behaviors, guiding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away from an innate personality trait to a skill that can be learned and improved.2 At the same time, educators began to understand that workplace culture and learning environments, often referred to as the “hidden curriculum,” have effects on professionalism that require changes at the institutional level.3 Major medical education organizations have recognized professionalism as a core competency and require that it be taught and evaluated in both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ettings, as laid out in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Medical School Objectives Project,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 core competencies, and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 (RCPSC) CanMEDS framework.4,5,6(p20),7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학부 의학교육(UME)에서 전문직업성 교육은 엄청나게 성장했습니다. Birden과 동료들은8 UME 환경에서의 전문직업성 교육을 개괄하는 수준 높은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학생들이 전문직업성 학습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전략으로 [역할 모델링]과 [성찰의 기회]를 꼽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교육 개입의 효과에 대한 고품질의 결과 증거는 드물었습니다. 
Building on that background, professionalism education has grown tremendously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Birden and colleagues,8 in a high-quality systematic review outlining professionalism teaching in the UME setting, found that students rated role modeling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as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learning professionalism. High-quality outcome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however, was sparse.

대학원 의학교육(PGME) 학습 환경은 UME 환경과 크게 다릅니다. 수련의는 훨씬 더 많은 수의 환자에게 노출되며, 복잡성이 높아지고 책임도 점점 더 커집니다. 이로 인해 전문직업적 행동에 대한 부담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4(pp17-36) 직장 기반 학습 이론은 학습을 촉진하는 데 있어 맥락, 커뮤니티, 경험의 중요성을 인정합니다.9 따라서 PGME에서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데 무엇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증거는 해당 환경에서 수행된 연구에 기반해야 합니다. ACGME, 미국외과학회, RCPSC, 유럽의학교육협회10-13 등 전 세계의 여러 의학교육 기관에서 PGME에서 전문직업성을 가르치기 위한 리소스를 개발했지만, 이러한 리소스가 어떻게 사용되었고 수련의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PGME에서 효과적인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에 대한 증거를 요약한 단일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The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GME) learning environment differs substantially from the UME setting. Trainees are exposed to significantly higher volumes of patients, with higher complexity and ever-increasing responsibilities. This opens the door to ever-increasing strains on professional behavior.4(pp17–36) Workplace-based learning theor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text, community, and experience in facilitating learning.9 Thus, evidence for what work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GME needs to be based on research done in that setting. Although a number of medical education organizations across the globe have developed resource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GME—including the ACGME,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the RCPSC, and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10–13—it is not known how these resources have been used and what their effects have been on trainees. A single resource summarizing the evidence for effective professionalism curricula in PGME is needed.

이 검토에는 두 가지 주요 목표가 있습니다.

  • 첫째,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PGME에서 발표된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을 설명 및 요약하고, 모범 사례를 강조하며, 지식의 격차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 둘째, 각자의 교육기관에서 PGME의 증거 기반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을 구현하고자 하는 교육자에게 리소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This review has 2 primary goals.

  • First, through systematically reviewing the literature, we aim to describe and summarize the published professionalism curricula in PGME, to highlight best practices, and to identify gaps in knowledge.
  • Second, we hope to provide a resource for educators wishing to implement evidence-based professionalism curricula in PGME at their own institutions.

방법
Method

문헌 검색 전략
Literature search strategy

검색 전략은 이전에 발표된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8,14 에 기술된 전략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대학원 수련생에 초점을 맞추도록 수정하였습니다. 1980년 1월 1일부터 검색일인 2017년 9월 7일까지 출판된 논문에 대해 3개의 주요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 Embase, ERIC을 검색했습니다. MEDLINE과 Embase에서는 전문직업성, 의학전문대학원 수련의, 교육적 개입이라는 3가지 핵심 개념과 관련 의학 주제 제목(MeSH) 용어 및 키워드를 검색했습니다. ERIC에서는 전문직업성(또는 동의어) 및 의학(또는 동의어) 및 레지던트(또는 동의어)를 검색했습니다. 또한 관련 리뷰 논문과 전문 분석에 포함된 논문의 참고문헌 목록도 직접 검색했습니다. 
Our search strategy was based on strategies described in previously published systematic reviews of professionalism education8,14 and modified to focus on postgraduate trainees. We searched 3 major electronic databases—MEDLINE, Embase, and ERIC—for articles published from January 1, 1980, through our search date of September 7, 2017. In MEDLINE and Embase, we searched for 3 core concepts and their associated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 terms and keywords: professionalism, postgraduate medical traine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Search strategies for these databases are provid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es 1 and 2 at https://links.lww.com/ACADMED/A746.) In ERIC, we searched for professionalism (OR synonyms) AND medicine (OR synonyms) AND resident (OR synonyms). We also hand searched the reference lists of relevant review articles and articles included in our full-text analysis.

기사 선정 및 자격 기준
Article selection and eligibility criteria

논문은 다음 3가지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1) CanMEDS 2015 의사 역량 프레임워크7에 따라 정의된 전문성의 적어도 한 가지 측면을 다루는 교육적 개입을 명확하게 기술한 논문,
  • (2) 연구 그룹에 대학원 의학 수련생이 포함된 논문,
  • (3) 교육 결과에서 전문직업성의 일부 측면을 측정한 논문입니다.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작성되었거나 전문가가 아닌 CanMEDS 역할에 주로 초점을 맞춘 논문은 제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대리 의사 결정이나 사전 치료 계획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커뮤니케이터 및 협력자 역할에 더 가깝기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전문직업성의 하위 구성 요소를 매우 좁게 다루어 교육적 개입과 결과를 전문성 커리큘럼에 더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없는 논문도 제외되었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일반적으로 이전에 발표된 전문직업성 관련 리뷰 논문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질 향상 또는 과실 커리큘럼에 대한 연구도 포함되었습니다.8 교육 개입 또는 수행된 구체적인 결과 평가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없는 출판물은 분석을 위한 충분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외되었습니다.  
Articles were eligible for inclusion if they met the following 3 criteria:

  • (1) the article clearly described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ddressing at least one aspect of professionalism, as defined according to the CanMEDS 2015 Physician Competency Framework7;
  • (2) the study group included postgraduate medical trainees; and
  • (3) the educational outcomes measured some aspect of professionalism.

Articles were excluded if they were written in any language other than English or if they primarily focused on CanMEDS roles other than Professional. For example, we excluded studies focused on substitute decision making or advance care planning as these topics fit more closely with the Communicator and Collaborator roles. Articles that addressed a very narrow subcomponent of professionalism, such that their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outcomes could not be applied to professionalism curricula more broadly, were also excluded. Examples included studies of quality improvement or malpractice curricula as these topics have generally not been included in previously published review articles on professionalism.8 Publications without sufficient description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r the specific outcome assessments performed were excluded as these did not contain sufficient detail for analysis.

한 명의 검토자(S.G.B. 또는 E.N.)가 모든 제목과 초록을 선별했습니다. 두 명의 주 심사자 간에 명확한 프로토콜을 수립하고 심사 과정을 표준화하기 위해 A.S.B.가 200개의 논문 제목과 초록을 중복하여 심사했습니다. 불확실한 논문은 2명의 심사위원이 중복 검토한 후 합의를 통해 결정했습니다. 제목과 초록만으로는 포함 여부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전문을 검토하여 결정했습니다.
One reviewer (S.G.B. or E.N.) screened all titles and abstracts. A.S.B. screened a duplicate set of 200 articles’ titles and abstracts to help establish clear protocols and standardize the screening process between the 2 main reviewers. Any articles for which there was uncertainty were reviewed in duplicate by 2 reviewers and decided upon by consensus. If eligibility could not be decided based on the title and abstract, the full text was reviewed to make a decision about inclusion.

데이터 추출
Data extraction

두 명의 검토자(S.G.B. 및 A.S.B.)가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논문의 전문을 읽고 표준 데이터 추출 양식을 사용하여 각 논문에서 데이터를 추출했습니다. 두 심사자 간의 의견 불일치는 논의하여 합의를 통해 해결했습니다. 데이터 추출 양식에는 출판 세부 정보, 연구 모집단, 연구 설계, 커리큘럼 설계(중재 유형/양식 및 빈도/기간 포함), 다루어진 전문직업성 주제, 결과 설명, 연구의 질 등의 변수가 포함되었습니다. 결과는 환자의 결과를 가장 높은 수준(4단계)으로 간주하고, 그 다음으로 행동의 변화(3단계), 지식의 변화(2단계), 마지막으로 행동, 만족도, 태도, 가치관의 자기보고 변화(1단계)로 간주하는 오리지널 Kirkpatrick 모델에 따라 기술되었습니다.15 저자가 주장하는 1차 결과를 기반으로 하거나, 없는 경우 측정된 가장 높은 수준의 Kirkpatrick 결과를 식별하여 1차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및 전문직업성과 같은 여러 역량과 관련된 결과를 평가했습니다. 주요 결과가 전문직업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가장 높은 수준의 전문직업성 관련 결과를 분석의 주요 결과로 사용했습니다. 
Two reviewers (S.G.B. and A.S.B.) read the full text of all articles meeting inclusion criteria and extracted data from each article using a standard data extraction form. Discrepancies between the 2 reviewers were discussed and resolved by consensus. The data extraction form included the following variables: publication details, study population, study design, curriculum design (including intervention type/modality and frequency/duration), professionalism topics addressed, description of outcomes, and quality of the study. Outcome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original Kirkpatrick model, whereby patient outcomes were considered highest quality (level 4), followed by changes in behavior (level 3), then changes in knowledge (level 2), and finally self-reported changes in behavior, satisfaction, attitudes, and values (level 1).15 We identified the primary outcome based on the authors’ assertion of their primary outcome or, when absent, by identifying the highest-level Kirkpatrick outcome measured. Some studies assessed outcomes related to multipl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 When the primary outcome did not relate to professionalism, we used the highest-level professionalism-specific outcome as the primary outcome for our analysis.

효과성
Effectiveness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모범 사례를 파악하기 위해 커리큘럼이 효과적인지 여부를 평가했습니다. 효과적이라는 것은 [주요 교육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정의했습니다. 정의에 따라 이 분석에는 대조군 설계 또는 사전 및 사후 테스트가 포함된 단일 그룹 설계의 정량적 연구만 포함될 수 있습니다.
To identify best practice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we evaluated whether curricula were effective. We defined effective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primary educational outcome. By definition, this analysis could only include quantitative studies with a control group design or a single-group design with pre- and posttests.

품질 평가
Quality assessment

두 명의 검토자(S.G.B. 및 A.S.B.)가 양적 교육 연구를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도구인 의학교육 연구 질 도구(MERSQI)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했습니다.16 MERSQI는 연구 설계, 표본 추출, 데이터 유형, 타당성 근거, 데이터 분석, 결과 유형 등 6개 영역에 대해 연구를 평가합니다. 각 영역의 최대 점수는 3점, 총점은 18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연구의 질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여러 연구에서 이 도구의 전반적인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신뢰도 카파 계수 점수는 0.72~0.99에 달합니다.16,17 
Two reviewers (S.G.B. and A.S.B.) assessed study quality using the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RSQI), a tool designed to evaluate quantitative education research studies.16 The MERSQI evaluates studies on 6 domains: study design, sampling, type of data, validity evidence, data analysis, and type of outcomes. The maximum score in each domain is 3 points, for a maximum total score of 18,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higher quality. Overall reliability of the tool has been reported as good in multiple studies, with reliability kappa coefficient scores ranging from 0.72 to 0.99.16,17

MERSQI는 [내용, 내부 구조, 다른 변수와의 관계] 등 3가지 유형의 타당성 증거를 검토합니다. 각 유형의 타당성 근거에 대해 1점씩 최대 3점까지 부여됩니다. 분석에서는 논문이 연구 결과 평가 도구의 타당성 근거를 명시적으로 설명한 경우에만 이 점수를 부여했습니다. 논문이 이전 연구를 인용했지만 타당성 근거를 설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점수가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The MERSQI looks at 3 types of validity evidence: content, internal structure, and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One point is awarded for each type of validity evidence to a maximum of 3 points. In our analysis, these points were given only if the article explicitly described the validity evidence of the study’s outcome assessment tool. If the article cited previous studies but did not describe the validity evidence, no points were given.

이 분석은 정량적 데이터가 있는 연구로 제한되었습니다. 검토에 포함된 소수의 질적 연구에는 점수를 매길 수 있는 명확한 지침이 없었기 때문에 질적 분석은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This analysis was restricted to studies with quantitative data. Quality analysis was not performed on the small subset of qualitative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as there were no clearly established guidelines to score them.

검색 결과
Results

검색 결과, 중복을 제거한 후 3,383개의 연구가 검색되었습니다. 3,383개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검토한 결과, 전체 텍스트 검토를 위해 96개의 논문을 확인했으며, 이 중 56개는 제외했습니다. 또한 나머지 40편의 논문과 관련 리뷰 논문 40편의 참고문헌 목록을 모두 검토하여 14편의 논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었습니다. 총 50개의 고유한 커리큘럼을 설명하는 54개의 논문이 체계적 문헌고찰의 포함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동일한 커리큘럼을 기술한 논문이 두 편 이상인 경우, 가장 높은 수준의 근거를 보고한 논문만 최종 검토에 포함되어 총 50편의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18-67그림 1은 우리의 검토 과정을 도식화한 것입니다. 각 논문에서 추출한 데이터 요약은 부록 디지털 부록 3 https://links.lww.com/ACADMED/A746 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Our search yielded 3,383 studies after duplicates were removed. After scree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of all 3,383 articles, we identified 96 for full-text review, of which we excluded 56. We also reviewed the reference lists of all 40 remaining articles as well as 40 relevant review articles, which led to identification of 14 additional articles for inclusion. In total, we identified 54 articles, describing 50 unique curricula, that met inclusion criteria for our systematic review. When more than one article described the same curriculum, only the article reporting on the highest-quality evidence was included in our final review, for a total of 50 included studies.18–67Figure 1 diagrams our review process. A summary of the data extracted for each article is included in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3 https://links.lww.com/ACADMED/A746.

 

50개 연구 중 대다수가 미국에서 수행되었습니다(n = 41, 82%). 대부분(n = 42, 84%)이 한 기관 내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참가자는 대부분 수련 초기의 내과 또는 외과 레지던트였습니다. 표본 규모는 9명에서 387명(평균 = 62명)까지 매우 다양했습니다. 11개 연구(22%)에는 대조군이 포함되었고, 3개 연구(6%)는 무작위 대조 시험이었습니다. 사전 및 사후 테스트를 통해 결과를 측정한 단일 그룹 연구가 가장 많았습니다(n = 24, 48%)(표 1). 
The majority of the 50 studies occurred in the United States (n = 41, 82%). Most (n = 42, 84%) occurred within one institution. Participants were most often internal medicine or surgery residents early in their training. Sample size varied greatly, ranging from 9 to 387 participants (mean = 62). Eleven studies (22%) included control groups; 3 studies (6%)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ingle-group studies measuring outcomes with pre- and posttests were the most common (n = 24, 48%) (Table 1).

대부분의 커리큘럼은 소그룹 토론 기반 교육 전략(n = 28, 56%)을 사용했지만, 수업didactics, 성찰 연습,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절반은 여러 교수법을 사용했습니다(n = 25, 50%). 대부분은 한 학년도 내에 여러 세션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표 2). 두 연구에서는 Balint 교육 그룹을 도입했고,18,29 두 연구에서는 미국 외과학회에서 개발한 커리큘럼 도구를 사용했습니다.42,61 다른 모든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커리큘럼을 평가했습니다.

Most curricula used small-group, discussion-based teaching strategies (n = 28, 56%), although a variety of other teaching methods were employed, including didactics, reflection exercises, and simulations. Half used multiple teaching modalities (n = 25, 50%). Most occurred over multiple sessions within one academic year (Table 2). Two studies instituted Balint training groups,18,29 and 2 studies used curricular tools developed by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42,61 All other studies evaluated newly developed curricula.

우리는 커리큘럼 주제를 환자, 사회, 전문직, 자기 자신(특히 자기 인식과 웰빙)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명되는 CanMEDS 2015 전문직업성 핵심 역량에 매핑했습니다.7 가장 많이 다루어진 역량은 환자에 대한 헌신(n = 42, 84%), 특히 정직, 존중, 기밀유지를 포함한 적절한 직업적 가치와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거의 절반에 가까운 커리큘럼(n = 23, 46%)이 자기 자신(의사의 건강 및 웰빙)에 대한 헌신 입증에 대해 다루었습니다(표 3). 

We mapped curriculum topics onto the CanMEDS 2015 Professionalism key competencies, in which professionalism is described as demonstrating a commitment to patients, society, the profession, and self (specifically, self-awareness and well-being).7 The most common competency addressed was demonstrating a commitment to patients (n = 42, 84%), specifically demonstrating appropriate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r including honesty, respect, and confidentiality. Nearly half of the curricula (n = 23, 46%) addressed demonstrating commitment to self (physician health and well-being) (Table 3).

위에서 설명한 Kirkpatrick 근거 수준에 따르면, 대부분의 연구(n = 27, 54%)는 태도 및 행동의 자가 보고 변화를 포함한 1단계 결과만을 조사했습니다. 12개 연구(24%)는 지식을, 8개 연구(16%)는 임상 또는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관찰된 행동을, 3개 연구(6%)는 레지던트가 제공한 진료를 환자가 평가한 환자 결과를 평가했습니다(표 2). 이전에 검증된 많은 결과 평가 도구가 사용되었지만(표 4), 연구 간에 일관성이 거의 없었습니다. 3개의 연구(6%)에서는 제퍼슨 의사 공감 척도(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를 사용했고,18,29,35 2개의 연구(4%)에서는 마슬라흐 번아웃 인벤토리를 사용했습니다.47,56 다른 모든 연구에서는 이전에 검증된 다른 도구 또는 연구를 위해 개발된 평가 도구를 사용했습니다.
According to Kirkpatrick levels of evidence, as outlined above, most studies (n = 27, 54%) looked only at level 1 outcomes, including self-reported changes in attitudes and behavior. Twelve studies (24%) evaluated knowledge, 8 studies (16%) evaluated behavior observed in either clinical or simulated settings, and 3 studies (6%) evaluated patient outcomes, with patients rating the care provided by residents (Table 2). Many previously validated outcome assessment tools were used (Table 4); however, there was little consistency between studies. Three studies (6%) used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18,29,35 and 2 studies (4%) used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47,56 All others used other previously validated tools or assessment tools developed for the study.

 

4건을 제외한 모든 연구29,30,48,59의 저자는 연구 집단에 대한 개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습니다(표 2). 45개의 정량적 연구 중 35개(70%)가 통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이 35개 연구 중 20개(57%)는 1차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했습니다. 효과와 개입의 기간, 강도 또는 복잡성 사이에는 명확한 관계가 없었습니다(표 2). 예를 들어, 단일 양식 커리큘럼의 64%(n = 9/14)가 효과적이었던 반면 다중 양식 커리큘럼의 52%(n = 11/21)가 효과적이었고, 단일 세션 커리큘럼의 60%(n = 6/10)가 효과적이었던 반면 종단형 커리큘럼의 56%(n = 14/25)가 효과적이었습니다. 지식 개선을 목표로 한 개입이 가장 효과적이었던 반면(n = 8/12, 67%), 행동 및 환자 결과를 목표로 한 개입은 가장 효과적이지 않았습니다(각각 n = 2/6, 33%, n = 1/3, 33%).
The authors of all but 4 studies29,30,48,59 claimed positive effects of their interventions on the study population (Table 2). Of the 45 quantitative studies, 35 (70%) used statistical mean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those 35 studies, 20 (57%)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primary outcome.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ness and duration, intensity, or complexity of the intervention (Table 2). For example, 64% (n = 9/14) of the single-modality curricula were effective versus 52% (n = 11/21) of the multimodality curricula; 60% (n = 6/10) of the single-session curricula were effective versus 56% (n = 14/25) of the longitudinal curricula. Interventions targeting improvements in knowledge were most often effective (n = 8/12, 67%), while those targeting behavior and patient outcomes were least often effective (n = 2/6, 33%, and n = 1/3, 33%, respectively).

45건의 정량적 연구는 중간 정도의 수준이었으며, MERSQI 점수는 421~1627점(평균 = 10.3점)으로 18점 만점 중 4점부터 16점까지 다양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결과 평가 도구의 타당성 근거를 설명하지 않았고(따라서 최대 3점까지 감점), 대조군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자가 보고된 결과만을 평가했습니다. 15개 연구(33%)는 일반적으로 좋은 점수로 간주되는 12점 이상을 획득했습니다. 질이 높은 연구일수록 효과적인 개입이 더 자주 보고되었습니다. MERSQI 점수가 12점 이상인 15개 연구 중 11개 연구(73%)에서 교육 결과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보고된 반면, 12점 미만인 30개 연구 중 9개 연구(30%)에서는 교육 결과가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The 45 quantitative studies were of moderate quality, with MERSQI scores ranging from 421 to 1627 (mean = 10.3) of a possible 18. Most studies did not describe the validity evidence of their outcome assessment tools (and therefore lost up to 3 points), did not use control groups, and evaluated only self-reported outcomes. Fifteen studies (33%) achieved a score of 12 or higher,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a good score. The higher-quality studies more often reported interventions that were effective: 11 of the 15 studies (73%) with MERSQI scores greater than or equal to 12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ducational outcomes versus 9 of the 30 studies (30%) with MERSQI scores less than 12.

특정 범주의 연구 수가 적고 연구 설계, 커리큘럼 디자인, 다루는 전문직업성 주제, 주요 결과의 유형이 이질적이기 때문에 커리큘럼을 직접 비교하여 어떤 개입이 더 효과적이거나 덜 효과적인지 판단할 수는 없었습니다. 효과성에 대한 해석은 신중해야 합니다.
Due to the small number of studies in certain categories and the heterogeneity of study design, curriculum design, professionalism topics addressed, and type of primary outcome, it was not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curricula to determine which interventions were more or less effective. Interpretations regarding effectiveness should be cautious.

토론
Discussion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PGME의 전문직업성 커리큘럼을 평가하는 50개의 연구를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의 목표 중 하나는 PGME에서 전문성을 가르치는 모범 사례를 파악하는 것이었지만, 두 가지 이유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 첫째, 개별 연구에서 평가된 결과의 유형에 큰 이질성이 있었습니다.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하는 중재]의 결과는 [환자 결과를 목표로 하는 중재의 결과](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복잡한 결과 평가가 필요함)에 비해 측정 및 효과 입증(예: 사전/사후 객관식 시험 설계 사용)이 훨씬 쉬울 수 있지만, 후자가 더 중요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둘째, 이와 관련하여 교육 방식에서 상당한 이질성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공감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인 교수법은 윤리를 가르치는 데 효과적인 교수법과 매우 다를 가능성이 높지만, 둘 다 전문성이라는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이는 전문성과 같은 광범위한 개념을 연구하는 데 있어 본질적인 과제입니다. 

In our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e identified 50 studies evaluating professionalism curricula in PGME. Although one of our goals f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st practice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GME, this proved difficult for 2 reasons.

  • First, there was great heterogeneity in the types of outcomes assessed in individual studies. The outcome of an intervention targeting knowledge acquisition would be much easier to measure and prove effective (e.g., by using a pre/post multiple-choice test design) compared with an intervention targeting a patient outcome (which would require more time-consuming and involved outcome assessment), although the latter is likely a more important outcome. Second, on a related note, we found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eaching modalities. This was not surprising, as what works for teaching empathy is likely very different from what works for teaching ethics, for example, although both fall under the rubric of professionalism. This is an intrinsic challenge of studying a broad concept like professionalism.

이러한 이유로 결과를 종합하여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For these reasons, synthesizing the results to identify “the best way to teach professionalism” proved impossible.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는 PGME에서 전문직업성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를 강조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육적 개입을 통해 지식 성과가 가장 크게 개선될 가능성이 높고, 그 다음이 태도, 그 다음이 행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몇 가지 이유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첫째, 의료 수련생은 수년간의 학교 교육과 시험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찾고 습득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 둘째, 위에서 언급했듯이 지식은 간단한 테스트 전략을 사용하여 그룹 간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차이를 측정하고 보여주기 가장 쉬운 교육 결과 중 하나입니다.
  • 셋째, 행동 변화는 행동 심리학에서 잘 정립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한다'는 패턴을 따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커리큘럼이 전문적인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때 가장 먼저 관찰 가능한 결과는 지식 향상일 수 있습니다.

Despite these limitations, we highlight here a few interesting findings about what work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GME. Our results suggest that knowledge outcomes are the most likely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educational interventions, followed by attitudes and then behavior. This is understandable for a few reasons.

  • First, medical trainees are primed after years of schooling and testing to seek out and acquire new knowledge.
  • Second, as noted above, knowledge is one of the easiest educational outcomes to measure and show differences between groups or over time using simple testing strategies.
  • Third, behavior change tends to follow the pattern of “think, feel, do,” which has been well established in behavioral psychology68; therefore as these curricula work toward improving professional behavior, the first observable outcome may be knowledge enhancement.

가장 놀라운 발견은 커리큘럼 기간과 효과 사이의 연관성에 관한 것입니다: 커리큘럼 기간은 효과와 관련이 없었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단일 세션 중재는 종단적 커리큘럼만큼이나 효과적이었습니다(표 2). 이는 포함된 연구 중 하나에서 직접 조사되었습니다: Packer48는 윤리 강의 수강 횟수(최대 8회)가 정의적 문제 테스트(Defining Issues Test)로 측정한 도덕적 추론 능력 향상과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69 이는 더 긴 개입이 반드시 전문직업성에 대한 더 큰 효과와 상관관계가 없다는 우리의 발견을 뒷받침합니다. 이는 학습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과 모순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노출,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산된 경우("분산 학습") 더 강력한 학습 효과를 가져온다는 최근의 학습 과학 연구와도 상반됩니다.70 다양한 길이의 전문직업성 교육과정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교육 시간 측면에서 더 많은 것이 더 나은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Our most surprising finding relates to the association between curriculum duration and effectiveness: Curriculum du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effectiveness. Our data show that single-session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as often as longitudinal curricula (Table 2). This was examined directly in one of the included studies: Packer48 found that the number of ethics lectures attended (of a maximum of 8) did not correlate with improvement in moral reasoning, as measured by the Defining Issues Test,69 which supports our finding that longer interventions do not necessarily correlate with more significant effects on professionalism. This contradicts generally held beliefs about learning, as well as recent research in learning science suggesting that repeated exposure, especially if distributed over time (“distributed learning”), results in stronger learning.70 Studies directly comparing professionalism curricula of various lengths would be helpful in answering the question of whether more, in terms of teaching time, is better.

유의미한 개별 연구
Significant individual studies

본 리뷰에 포함된 최고 수준의 정량적 연구는 Brinkman 등의27 소아과 레지던트 성과에 대한 부모와 간호사의 평가에 대한 다중 출처 피드백 평가로, MERSQI에서 18점 만점 중 16점을 기록했습니다. 레지던트들은 무작위로 배정되어 [멀티소스 피드백과 30분간의 일대일 코칭 세션]을 통해 [자신의 평가를 검토]하거나, 일반적인 [교대 근무 종료 후 직원으로부터 평가]를 받도록 했습니다. 5개월 후, [다중 소스 피드백 그룹]은 부모와 간호사로부터 친절성, 존중성, 책임감에서 훨씬 더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 연구는 교육 시간을 거의 들이지 않고도 간단한 개입으로 환자 수준의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다중 소스 피드백은 의사의 전문직업성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개인이 평가를 완료하기 때문에 전문직업성, 특히 환자에 대한 헌신 입증과 관련된 역량을 평가하는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The highest-quality quantitative study included in our review was Brinkman et al’s27 assessment of multisource feedback on parents’ and nurses’ ratings of pediatric residents’ performance, which scored 16 of a possible 18 on the MERSQI. Residents were randomized either

  • to receive multisource feedback and a single 30-minute one-on-one coaching session to review their evaluations or
  • to receive usual end-of-rotation evaluations by staff.

Five months later, the multisource feedback group was rated significantly higher on friendliness, respectfulness, and accountability by parents and nurses. This study is noteworthy as it highlights that a simple intervention using little educational time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level outcomes. Multisource feedback is an ideal method of evaluating professionalism, particularly the competencies related to demonstrating commitment to patients, as the individuals directly affected by a physician’s level of professionalism complete the evaluations.

웰빙의 장애는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의 질과 의사의 정신 건강 모두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웰빙에 초점을 맞춘 많은 연구를 보게 되어 기뻤습니다. 이 문헌고찰에 포함된 두 연구는 발린트 그룹을 교육 전략으로 사용했습니다.18,29 발린트 그룹은 약 70년 동안 환자-의사 관계를 발전시키고 의사의 자기 성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Adams와 동료들18은 산부인과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격월로 Balint 그룹과 일반 교육에 등록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설명했습니다. 6개월 후, 두 연구 그룹 모두 360° 전문성 평가 도구에서 개선되었습니다. 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이 연구는 전문성 커리큘럼에 대한 잘 설계된 교육 연구의 또 다른 예라고 강조합니다. 
We were pleased to see many studies focusing on physician well-being, as impairments in well-being can have wide-ranging implications for both quality of medical care provided and physician mental health. Two studies in this review used Balint groups as their teaching strategy.18,29 Balint groups have been used for about 70 years to develop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and improve physicians’ capacity for self-reflection. Adams and colleagues18 describ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bstetrics residents enrolled in bimonthly Balint groups versus usual education. At 6 months, both study groups improved on a 360° professionalism evaluation tool.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e highlight this as another example of a well-designed educational research study of a professionalism curriculum.

다른 많은 연구에서는 의사의 심리사회적 과제에 초점을 맞춘 소그룹 세션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Slavin과 동료들56은 소아과 1년차 레지던트를 위한 월별 사례 기반 토론 그룹으로 구성된 1년간의 커리큘럼을 설명하면서 스트레스 관리와 환자와 의사가 흔히 마주치는 어려운 상황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참가자들을 과거 대조군 그룹과 비교한 결과, 검증된 도구로 측정한 결과 번아웃, 우울증, 불안의 비율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련의의 웰빙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이 연구의 개입 및 평가 도구를 검토하여 커리큘럼 개발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Many other studies used small-group sessions focused on the psychosocial challenges of doctoring. For example, Slavin and colleagues56 described a 1-year curriculum of monthly case-based discussion groups for first-year pediatrics residents focusing on managing stress and common challenging patient–physician encounters. Comparing participants with a group of historical controls, they foun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ates of burnout, depression, and anxiety, as measured with validated tools. We encourage residency programs taking a closer look at the well-being of their trainees to review this study’s interventions and assessment tools to help guide their curriculum development.

강점 및 한계
Strengths and limitations

이 리뷰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검색 및 포함된 논문의 포괄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리소스 제한으로 인해 3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기 때문에 중요하고 관련성 있는 연구가 모두 포함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전에 발표된 2건의 고품질 리뷰 논문8,14에서 사용된 전략을 기반으로 검색 전략을 모델링하고 검색어를 크게 확장했습니다.
There are a number of limitations of this review. The first relates to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search and included articles. Due to resource limitations, we searched 3 databa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not all important, relevant studies were captured. However, we modeled our search strategy on the strategies used in 2 previously published high-quality review articles8,14 and greatly expanded the search terms.

이와 관련하여 포함할 논문을 선택하는 데는 몇 가지 주관적인 결정이 필요했습니다. 특히 교육적 개입과 결과가 다른 관련 역량과 달리 진정으로 전문직업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전문직업성에 대한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정의인 CanMEDS 2015를 사용했지만,7 다른 역량과 중복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연구를 포함할지 여부를 판단해야 했습니다. 이는 제목 및 초록 심사 과정에서 특히 문제가 되었을 수 있는데, 그 단계에서 대부분의 결정이 한 명의 심사자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On a related note, selecting articles to include involved several subjective decisions. It was particularly challenging to decide whether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outcomes truly represented professionalism as opposed to other related competencies. Although we used the CanMEDS 2015 comprehensive and specific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7 there was often overlap with other competencies that required a judgment about whether to include a study. This may have been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he title and abstract screening process as the majority of decisions at that stage were made by one reviewer.

두 번째 한계는 이 연구의 품질 구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MERSQI는 자기 보고 결과(태도/인식/의견 1점, 지식 1.5점)보다 환자 결과(3점)에 더 많은 점수를 부여합니다.16 이 모델을 사용하면 소진, 우울, 불안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가 자기 보고에 의존하기 때문에 결과 영역에서 의사 웰빙과 관련된 결과의 점수가 낮게 나옵니다. 그러나 의사의 정신 건강은 그 자체로 심각하고 중요한 결과이므로 이 계층 구조는 전문성에 적용할 때 최적이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의사의 웰빙이 동료와 환자에 대한 행동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8년 소아과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에 걸린 레지던트는 그렇지 않은 레지던트에 비해 투약 오류를 6배 더 많이 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1 의학교육자로서 우리는 환자뿐만 아니라 우리가 돌보는 수련의에 대한 의무가 있습니다. 수련의의 웰빙에 초점을 맞추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전문성을 향한 교육을 시작할 때 가장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The second limitation relates to our construct of quality in this study. The MERSQI awards more points for patient outcomes (3 points) than for self-reported outcomes (1 point for attitudes/perceptions/opinions, 1.5 points for knowledge).16 Using this model, the outcomes related to physician well-being scored poorly in the outcome domain as the tools used to measure burnout, depression, and anxiety rely upon self-report. However, we believe this hierarchy may not be optimal when applied to professionalism, as physician mental health is a serious and important outcome on its own. As well, increasing evidence suggests that physician well-being can have wide-reaching implications for behavior toward colleagues and patients. For example, a 2008 study of pediatric residents showed that depressed residents made 6 times more medication errors compared with nondepressed residents.71 As medical educators, we have an obligation to the trainees in our care as well as to our patients. Beginning with a focus on trainee well-being may well be the best place to start when teaching toward professionalism.

결론
Conclusions

이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PGME의 전문성 커리큘럼과 수련의 전문직업성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50개의 연구를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교육적 개입에서 다루는 주제와 사용된 교육 및 평가 양식의 유형에서 매우 다양한 다양성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이질성으로 인해 전문직업성 교육에 대한 모범 사례를 식별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이 검토는 공식적이고 구조화된 교육이 의료 수련의의 전문직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단하고 짧은 교육 세션도 전문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문직업성 교육 분야에 양질의 증거를 추가하기 위해 학자들은 커리큘럼의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실제 결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개발할 것을 제안합니다. 또한 교육자들은 이전에 테스트를 거친 커리큘럼 및 평가 도구를 사용하고 적용하여 전문직업성 교육 도구의 품질과 유효성을 개선할 것을 제안합니다.
In this systematic review, we identified 50 studies of professionalism curricula in PGME and their effects on trainee professionalism outcomes. We found great diversity in the topics addressed by these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in the types of teaching and assessment modalities used. The heterogeneity made it impossible to identify best practice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However, this review provides further evidence that formal, structured teaching likely can improve professionalism in medical trainees. Our findings suggest that even simple, short teaching sessions can affect professionalism. To add high-quality evidence to the field of professionalism education, we suggest that scholars develop studies that assess real-life outcom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ir curricula more accurately. We also suggest that educators use and adapt previously tested curricular and assessment tools, which will improve the quality and validity of professionalism teaching tools.

 


Acad Med. 2020 Jun;95(6):938-946. doi: 10.1097/ACM.0000000000002987.

Teaching Professionalism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A.S. Berger is a lecturer, Internal Medicine (Geriatrics),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ORCID: http://orcid.org/0000-0002-7896-3638. E. Niedra is a physician, Baycrest Health Sciences, Toronto, Ontario, Canada. S.G. Brooks is a first-year medical studen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W.S. Ahmed is a second-year resident,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S. Ginsburg is professor, Internal Medicine (Respirology), and scientist, Wilson Centre,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PMID: 31517687

DOI: 10.1097/ACM.0000000000002987

Abstract

Purpose: This systematic review sought to summarize published professionalism curricula in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PGME) and identify best practices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Method: Three databases (MEDLINE, Embase, ERIC) were searched for articles published from 1980 through September 7, 2017. English-language articles were included if they (1) described an educational intervention addressing professionalism, (2) included postgraduate medical trainees, and (3) evaluated professionalism outcomes.

Results: Of 3,383 articles identified, 50 were included in the review. The majority evaluated pre- and posttests for a single group (24, 48%). Three (6%)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most common teaching modality was small-group discussions (28, 56%); other methods included didactics, reflection, and simulations. Half (25, 50%) used multiple modalities. The professionalism topics most commonly addressed were professional values/behavior (42, 84%) and physician well-being (23, 46%). Most studies measured self-reported outcomes (attitude and behavior change) (27, 54%). Eight (16%) evaluated observed behavior and 3 (6%) evaluated patient outcomes. Of 35 studies that evalu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20 (57%)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terventions targeting improvements in knowledge were most often effective (8/12, 67%). Curriculum du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effectiveness. The 45 quantitative studies were of moderate quality (Medical Education Research Study Quality Instrument mean score = 10.3).

Conclusions: Many published curricula addressing professionalism in PGME are effective.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curricular design and outcomes assessed made it difficult to synthesize results to identify best practices. Future work should build upon these curricula to improve the quality and validity of professionalism teaching tools.

의학교육에 환자/서비스사용자 참여: BEME 체계적 문헌고찰 (BEME Guide No. 58) (Med Teach, 2020)
Patient/service user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58 
Morris Gordona,b, Simon Guptab, Debra Thorntonb, Michael Reidb, Ernie Mallena and Angela Mellinga

 

 

배경
Background

'책 없이 질병 현상을 연구하는 것은 미지의 바다를 항해하는 것이고, 환자 없이 책을 연구하는 것은 아예 바다에 나가지 않는 것이다.' 
‘To study the phenomenon of disease without books is to sail an uncharted sea, while to study books without patients is not to go to sea at all.’

윌리엄 오슬러 경
Sir William Osler

[환자와 서비스 사용자]는 항상 의학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지만, 과거에는 상태, 병리 또는 검사 징후를 설명하는 학습 자료 또는 '임상 자료'(Flexner 1910)의 역할에 그쳤습니다. 1980년대 이후 '전문가 환자'(Tuckett 1985)라는 개념이 등장하면서 환자가 자신의 치료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의료 전문가와 환자 간의 파트너십이 장려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환자와 대중의 참여가 국가보건서비스(NHS)의 일상적인 관행의 일부가 되어야 하며 개선을 위한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요구사항과 함께 영국(영국) 정부 정책에서 점점 더 두드러지게 부각되었습니다(보건부 2007). 2012년의 보건 및 사회보장법은 의료 시스템 전반에 걸쳐 환자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2006년에 제정된 법을 기반으로 하며, 이제 [영국의 모든 보건 관련 법정 기관]은 [환자, 보호자 및 대중을 참여시킬 의무]를 갖게 되었습니다.
Patients and service users have always been vital to medical education, but in the past this role has been a learning resource or ‘clinical material’ (Flexner 1910), illustrating conditions, pathologies or signs for examination. Since the 1980s, the notion of the ‘expert patient’ (Tuckett 1985) has led to a recognition that patients should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ir own care and a partnership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should be encouraged. This idea has gained increasing prominence in the United Kingdom (UK) government policy with a requirement that ‘patient and public involvement should be part of everyday practice in the National Health Service (NHS) and must lead to action for improvement’ (Department of Health 2007). The Health and Social care Act of 2012 built on the previous 2006 Act to ensure the voice of patients is heard throughout the healthcare system and all statutory bodies in the UK relating to health now have duties with regards to the involvement of patients, carers, and the public.

이는 대학원 및 학부 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2009년에는 환자가 '의대생의 교육, 피드백 및 평가에 독특하고 귀중한 전문 지식을 제공할 수 있기'때문에 [환자를 학부 의학교육(UME)에 참여시키기 위한 의학전문대학원협의회(GMC)의 지침에 권고사항]이 작성되었습니다(General Medical Council 2009). 또한 의과대학 커리큘럼 개발 시 의대생, 수련 중인 의사, 교육자, 고용주, 기타 보건 및 사회복지 전문가, 환자, 가족 및 보호자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General Medical Council 2016). 
Clearly, this has an impact on postgraduate and undergraduate education and in 2009 recommendations were written into Graduate Medical Council (GMC) guidance for the involvement of patient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as they ‘can contribute unique and invaluable expertise to teaching, feedback and assessment of medical students’ (General Medical Council 2009). They further recommended that the development of medical school curricula must be informed by medical students, doctors in training, educators, employers, other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als and patients, families and carers (General Medical Council 2016).

다른 나라에서도 의료 및 의료 교육에 환자와 대중 등 [소비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습니다. 1995년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는 의과대학이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하는 데 있어 사회적 책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채택할 것을 요구했으며, 이러한 요구의 우선순위는 [정부, 의료기관, 의료 서비스 제공자 및 대중]이 공동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Boelen and Heck 1995).
In other countries, too, there is a call for increased involvement of consumers – patients and the public – in healthcare and healthcare education. A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in 1995 called for medical schools to adopt a new paradigm of social accountability in meeting the needs of their communities – the priorities for these needs being identified jointly by governments, healthcare organizations, healthcare providers and the public (Boelen and Heck 1995).

의료 전문가 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의 정도와 방식은 매우 다양하며, 여러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이를 조사해 왔습니다. 스펜서 외(2000)가 개발한 [캠브리지 프레임워크][참여 환경의 분류]를 설명합니다:
There is wide variation in the extent and manner of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ese have been examined by the use of a number of conceptual frameworks. The Cambridge framework developed by Spencer et al. (2000) describes the classification of the setting of involvement:

  • 누가: 각 환자, 가족 및 간병인의 개별적인 배경, 문화 및 경험.
  • 어떻게: 환자의 역할(수동적 또는 능동적), 만남의 성격, 접촉 시간 및 감독 정도를 포함합니다.
  • 무엇을: 문제의 유형(일반적 문제와 특정 문제), 학습해야 할 지식, 기술, 가치를 포함한 교육 내용.
  • 어디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예: 지역사회, 병원 병동, 클리닉).
  • Who: the individual background, culture, and experience of each patient, their family, and carers.
  • How: including, patient role (passive or active), nature of the encounter, length of contact, and degree of supervision.
  • What: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including the type of problem (general versus specific) and the knowledge, skills, and values to be learned.
  • Where: location of interaction (for example, community, hospital ward, clinic).

이 프레임워크는 환자/서비스 사용자가 환자/학습자와의 만남에서 얼마나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개괄적으로 보여줍니다.
This framework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ossibilities of how active a role patients/service users may play in the patient/learner encounter.

Tew와 포스터(2004)는 [참여의 정도를 분류하는 프레임워크]를 설명합니다. 그들의 '참여의 사다리'에는 [미미한 참여, 새로운 참여, 증가하는 참여, 협력, 파트너십]의 다섯 단계가 포함됩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참여에 관한 많은 연구와 담론에서 사용되었으며, Arnstein의 '시민 참여의 사다리'(Arnstein 1969)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환자의 의료 참여를 측정하는 다른 프레임워크도 존재하지만, Towle 등(2010)이 고안한 프레임워크는 [캠브리지 프레임워크와 Tew의 참여 사다리를 통합]하여 이 두 모델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분류법을 만들었으며, 특히 의료 전반이 아닌 교육에서의 참여의 깊이와 영향을 측정하도록 고안되었습니다(표 1). 토우 프레임워크는 의학교육 내에서 서비스 제공자-사용자 참여의 상당한 다양성을 강조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로 선정되었습니다.
Tew and Foster (2004) describe a framework for classifying the extent of involvement. Their ‘Ladder of Involvement’ included five steps:

  • little involvement;
  • emerging involvement;
  • growing involvement;
  • collaboration;
  • partnership.

This has been used in many studies and discourses on user involvement and was heavily influenced by Arnstein’s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Arnstein 1969). Other frameworks exist which measure patient engagement in healthcare, but the framework devised by Towle et al. (2010) integrated the Cambridge framework and Tew’s Ladder of Involvement to produce a taxonomy with elements of both these models (Table 1), specifically designed to measure the depth and impact of involvement in education rather than in healthcare in general. The Towle framework was selected as a pragmatic,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enables us to highlight the significant diversity of servicer–user involvement within medical education

이전 리뷰(Morgan and Jones 2009, Spencer 외. 2011)에서는 주로 '어떤'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작업이 학습 환경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지 여부를 규명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이 두 리뷰는 체계적이지 않았고 학술적인 2차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여 증거를 종합하지 않았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검토가 발표된 이후 동시대 연구 보고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보다 최근의 전략적 지침이 등장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문헌에 대한 최신의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 검토에서는 증거 기반의 종합을 통해 세 가지 측면을 다루어야 합니다. 이러한 측면은 Cook 등(2008)의 의학교육 연구 프레임워크에 설명되어 있는 것으로, 세 가지 연구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Previous reviews (Morgan and Jones 2009; Spencer et al. 2011) primarily sought to characterize the concept of ‘what’ involvement is taking place and whether such works are effective at enhancing learning encounters. However, both these reviews were not systematic and attempted no synthesis of evidence using a scholarly secondary research approach. More importantly, given the advent of more recent strategic guidance after these reviews were published that has likely led to contemporaneous research reports, there is a need for an up to date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review must address three different aspects through a synthesis of the evidence base. These are those aspects described within Cook et al’s (2008) framework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led to three distinct research questions:

  • 의학교육에서 어떤 서비스 사용자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설명)?
  • 이러한 참여가 학생의 교육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정당화)?
  • 서비스 사용자 참여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그리고 왜 발생하는가(명확화)?
  • What service user involvement is taking place in medical education (description)?
  • To what extent this involvement impacts the student’s education (justification)?
  • How and why such learning may be impacted by service user involvement (Clarification)?

이 마지막 질문은 이전에 다루어지지 않았고 필요한 작업 영역으로 지적된 질문입니다(Spencer 외. 2011).
This final question is one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addressed and indicated as an area of work needed (Spencer et al. 2011).

연구 방법
Methods

이 검토를 뒷받침하는 단일 연구 패러다임은 없습니다. 우리는 실증주의(증거 수집을 위한 체계적이고 투명하며 재현 가능한 모델에 부합하고 정당성과 설명적 결과에 대한 고려를 통해)와 구성주의(개입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틀에 대한 고려와 설명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 및 결과의 종합을 통해)를 모두 수용하고자 했습니다. 
No single research paradigm underpins this review. We planned to embrace both positivism (through alignment to a systematic, transparent and reproducible model for evidence collection and consideration of our justification and descriptive outcomes) and constructivism (through consideration of underpinning theoretical frameworks that inform interventions and synthesis of content and outcomes to address our clarification questions).

연구 프로토콜은 2016년 1월 13일에 BEME에서 동료 검토를 거쳐 발표되었습니다(Gordon 외. 2016) 주 저자의 역할 변경과 프로젝트에 대한 합의된 자금 확보 지연으로 인해 몇 차례 지연이 있었고 검토가 보류되었다가 2017년 7월 1일에 공식적으로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블랙풀 티칭 병원의 '블루 스카이' 자선 단체에서 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이 자금은 10개월 동안 연구원 한 명의 급여(0.2 WTE)를 제공했습니다. 
The study protocol was peer-reviewed and published by BEME on the 13th January 2016 (Gordon et al. 2016) Due to changes in roles of the main authors and delays in securing agreed funding for the project, there were several delays and the review was placed on hold and officially started again on 1st July 2017. Funding was sought from Blackpool Teaching Hospitals’ ‘Blue Skies’ charity which supports numerous projects, including research. The funding provided one researcher’s salary (0.2 WTE) for 10 months.

본 연구 결과는 STORIES(보건의료 교육에서의 근거 종합 보고에 대한 구조화된 접근 방식) 성명서(Gordon and Gibbs 2014)와 BEME 검토 체크리스트(Hammick et al. 2010)에 따라 보고했습니다. 
We have reported our findings in alignment with the STORIES (Structured approach to the reporting in healthcare education of evidence synthesis) statement (Gordon and Gibbs 2014), as well as by using the BEME review checklist (Hammick et al. 2010).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2017년 9월 1일에 검색을 실시했습니다. 우리는 다음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공인된 방법론(Jenkins 2004)에 따라 표준화된 검색 전략(보충 부록 1)을 사용했습니다: MEDLINE, EMBASE, CINAHL, PsychINFO). 또한 포함된 연구에 참고 문헌으로 등재된 논문을 검토하고, 주요 의견의 저자로 확인된 서비스 사용자 참여 분야의 전문가에게 연락하여 이 검토에서 인용한 저작물을 확인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의 온라인 검색 외에도 지난 5년간의 유럽 의학교육협회(AMEE) 연례 회의 초록(2013~2017년 포함)을 수작업으로 검색했습니다. 발표된 연구를 찾을 수 없는 경우 초록의 저자에게 이메일로 연락을 취했습니다. 응답하지 않은 저자는 두 번째 연락을 취한 후 제외했습니다. 모든 국가에서 수행되고 영어로 출판된 연구를 포함했습니다. 검색 날짜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습니다. 저자들은 이 분야가 수십 년 동안 크게 변화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오래된 연구를 추가하는 것이 연구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We conducted our search on 1st September 2017. We used a standardized search strategy (Supplementary Appendix 1) following a recognized methodology (Jenkins 2004) to the following databases: MEDLINE, EMBASE, CINAHL, PsychINFO). Additionally, we reviewed articles listed as references in included studies, and we contacted experts in the field of service user involvement identified as authors of key opinion pieces and cited works from this review. In addition to online searching of the databases, abstracts from the last 5 years of the Association for Medical Education Europe (AMEE) annual meeting proceedings (2013–2017 inclusive) were hand searched. Where published studies were not available, authors of abstracts were contacted by email. Authors who did not respond were contacted a second time before being excluded. We included studies undertaken in any country and published in English. No limitation on the search dates was imposed. Whilst the authors were aware the field has changed substantially over the decades, we did not believe the addition of older studies would in any way negatively impact findings.

이 리뷰에서는 검색 전략이 특히 까다로웠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환자/서비스 사용자'라는 용어가 너무 일반적이고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관련 없는 논문 수천 편이 검색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환자/서비스 사용자 참여에 대해 합의된 통일된 명명법이 없어 검색이 복잡해졌습니다. 문헌에서 사용된 용어 중에는 환자 강사/교육자, 멘토, 환자 파트너, 서비스 사용자, 교육 보조원, 환자 자원봉사자, 환자 중재자, 지역사회 교육자, 일반인 건강 멘토 등이 있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전에 발표된 이 주제에 대한 리뷰(Morgan and Jones 2009)의 검색 전략을 범위 설정의 출발점으로 사용했으며, 비슷한 날짜로 제한하고 전략을 그대로 따랐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른 결과가 도출되어 이 작업에 대한 추가적인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우리는 사서 저자와 긴밀히 협력하여 검색을 구체화했으며, 최종 용어는 부록 1에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지만 출판된 프로토콜(Gordon et al. 2016)과는 다릅니다. 사용자를 설명할 때 일부 주요 용어의 제한은 실행 가능한 검색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했지만,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주요 논문이 손실되지 않았고 이것이 유효한 접근 방식임을 보장했습니다 .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earch strategy was particularly challenging for this review. This was because the terms ‘patient/service user’ is so generic and ubiquitous in their use that thousands of irrelevant articles were retrieved. Additionally, the lack of an agreed, uniform nomenclature used for patient/service user involvement complicated the search. We encountered patient instructor/educator, mentor, patient partner, service user, teaching associate, patient volunteer, patient moderator, community educator, lay health mentor amongst the terms used in the literature. Interestingly, the search strategy from a previously published review of the topic (Morgan and Jones 2009) was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scoping and despite limiting to similar dates and following the strategy verbatim, a very different set of results was achieved, raising the further question of this work. We worked closely with our librarian author to refine the search and the final terms are displayed clearly in Supplementary Appendix 1, but differ from the published protocol (Gordon et al. 2016). The limitation of some key terms in describing users was necessary to ensure a viable search, but scoping ensured that no key papers were lost and that this was a valid approach.

심사
Screening

처음 500건의 인용을 대상으로 한 파일럿 심사 단계에서는 평가자 간의 긴밀한 합의와 토론을 통해 명확성이 부족한 주요 영역을 다루었습니다. 그 결과 품질 평가 도구를 약간 수정하여 3번 항목에 '없음'(근거, 교육학, 내용 등에 대한 언급 또는 세부 사항) 대신 '없음 또는 매우 제한적'이라고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그런 다음 한 명의 저자(SG)가 6155개의 인용 목록 전체를 심사하고 두 명의 저자(MG와 DT)가 각각 절반씩 독립적으로 심사하는 방식으로 전체 심사가 진행되었습니다. Cohen의 카파를 사용한 평가자 간 일치도는 0.401로 공정한 일치도를 보였습니다. 평가자 간의 의견 충돌은 전체 텍스트 평가를 진행하기 전에 토론을 통해 해결했습니다. 
A pilot screening phase involving the first 500 hundred citations was conducted to ensure closer inter-rater agreement and discussions addressed key areas of lack of clarity. This led to the quality assessment tool being amended slightly so that section three, instead of reading ‘no’ (mention or details of underpinning, pedagogy, content, etc.) read ‘no or extremely limited.’ Full screening then took place, with one author (SG) screening the full list of 6155 citations and two authors (MG and DT) independently screening half each. Inter-rater agreement using Cohen’s kappa showed fair agreement at 0.401. Conflicts between raters were resolved by discussion before proceeding to full-text evaluation.

포함/제외 기준
Inclusion/exclusion criteria

포함 및 제외 기준은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범위 검색에서 서비스 사용자 포함에 대해 피상적으로만 언급하고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은 연구가 여러 편 발견되었기 때문에 서비스 사용자 참여에 대해 피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논의해야 했습니다. 이는 검색을 수행한 두 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판단했습니다. 또한 학습자를 위한 실제 배포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개입에 대한 어떤 형태의 평가를 기술해야 했지만, 어떤 방법이든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의료 학습자를 포함시킨 것은 자의적인 결정이었으며 향후 다른 환경에서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re shown in Table 2. Studies had to discuss the service user involvement in more than a cursory fashion as scoping searches found several studies that simply made a single statement about including service users and no further details. This was independently judged by two authors performing the searches. Studies also had to describe some form of assessment of the intervention in practice to confirm its actual deployment for learners, but any method could be used. The inclusion of medical learners was an arbitrary decision and may lead to the need for future reviews in other settings.

데이터 추출 및 합성
Data extraction and synthesis

연구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 BEME 지침(Hammick 외. 2010)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추출 양식(부록 2)을 사용하여 중재, 연구 유형, 결과 및 결과에 대한 데이터와 사용자 참여 및 학습자 결과의 Kirkpatrick 수준과 관련된 Towle 기준을 수집했습니다(Kirkpatrick 및 Kirkpatrick 2006). 그런 다음 세 저자 모두 이 데이터를 평가하여 주제를 생성했습니다. 누락된 주요 데이터의 경우 연구 저자에게 연락하여 이 정보를 제공받았습니다. 
A data extraction form (Supplementary Appendix 2), based on BEME guidance (Hammick et al. 2010) was used to assess the content of the studies and collected data on the interventions, study types, outcomes and results, as well as Towle criteria relating to user involvement and Kirkpatrick levels of learner outcomes (Kirkpatrick and Kirkpatrick 2006). This data was then assessed by all three authors to generate themes. In the case of key missing data, authors of studies were contacted to supply this information.

[Towle 분류법]은 의학교육 내에서 서비스 사용자 참여의 상당한 다양성을 강조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로 선정되었습니다. 
The Towle Taxonomy was selected as a pragmatic,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enables us to highlight the significant diversity of servicer user involvement within medical education.

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를 개념화하는 데 [Towle 분류법]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때 저자들은 처음에 몇 가지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저자들은 처음에 이 분류법의 함의가 주어진 연구를 [단일 수준]에서 평가할 수 있고 그 수준에 따라 [6개의 차원 A-F로 세분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특정 개입은 6가지 영역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 등 더 복잡하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기본 가정은 차원 간 대략적인 정렬이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각 연구를 각 영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평가하기로 결정하고 [6가지 분류 요소]를 적용했습니다. 더 복잡하긴 하지만, 저자들은 이 방법이 독자들에게 더 정확하게 증거를 종합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항목이 동일한 차원(예: 도메인 F의 경우 처음 3개 수준이 '낮음' 등급)의 경우, 더 낮거나 높은 수준은 무시하고 설명자가 적절한 가장 극단적인 수준에서 등급을 설정했습니다. 따라서 도메인 F의 경우 가장 낮은 수준은 레벨 3, 도메인 C의 경우 가장 높은 수준은 레벨 5가 됩니다. Towle 분류법 사용에 대한 이 수정안은 부록 3에 나와 있습니다.
In considering the Towle taxonomy and its use in conceptualizing patient involvement in education, the authors encountered some initial difficulty. The authors initially believed that the implication within the taxonomy is that a given study could be assessed on a single level and that level would dissect the six dimensions A–F. However, it was very clearly apparent that specific interventions were more complex, with rating possible on different levels for each of the six domains. The underpinning assumption is rough alignment across dimensions, but clearly, this is not always the case. As such, it was decided to rate each study individually for each domain and as such receive 6 elements of categorization. Whilst more complex, the authors believe this more accurately synthesizes the evidence for readers. In the case of dimensions where several items were the same (for example, for domain F the first 3 levels are ratings of ‘Low’), the lower or higher levels were ignored and the rating set at the most extreme level where the descriptor was appropriate. So in the case of domain F, this would be level 3 at the low end or in the case of domain C, level 5 at the high end. This amendment to the use of the Towle taxonomy is shown in Supplementary Appendix 3.

의학교육 연구의 중재에 적합하고 체계적 문헌고찰 과정의 일부로 BEME 공동연구에서 채택한 Kirkpatrick의 4단계 학습 평가는 각 연구에서 사용한 결과 측정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Yardley and Dornan 2012). 네 가지 수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Kirkpatrick’s four levels of learning evaluation, adapted for intervention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and adopted by the BEME collaboration as part of the systematic review process (Yardley and Dornan 2012), were used to classify outcome measures used by each study. These four levels are:

  • 레벨 1: 반응 - 개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은 어땠나요?
  • 레벨 2: 학습 - 개입 후 참가자가 태도를 바꾸거나(레벨 2a) 지식 또는 기술을 향상시킨 정도(레벨 2b).
  • 레벨 3: 행동 - 개입으로 인한 행동 또는 실천의 변화.
  • 레벨 4: 결과 - 개입으로 인한 조직 관행의 변화(레벨 4a) 또는 환자/고객에 대한 혜택(레벨 4b).
  • Level 1: Reaction – what was the reaction of the learners to the intervention?
  • Level 2: Learning – the extent to which participants changed their attitude (Level 2a) or improved their knowledge or skill (Level 2b) following the intervention.
  • Level 3: Behavior – change in behavior or practice due to the intervention.
  • Level 4: Results – changes in organizational practice (Level 4a) or benefit to patients/clients (Level 4b) due to the intervention.

연구는 계층 구조에서 두 개 이상의 수준을 반영하는 결과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Studies may describe outcomes that reflect more than one level on the hierarchy.

증거의 종합
Synthesis of evidence

연구 유형, 교육적 개입, 협력 세부 사항 및 1차 연구의 결과에 중점을 두고 연구 데이터를 요약하는 서술적 종합이 이루어졌습니다. 연구에서 추출할 주요 방법, 내용 및 결과 항목에 대해 저자들이 논의하고 합의했습니다. 또한 질 평가 지표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했으며, 관련성이 있는 경우 추가 내용이나 부록도 포함했습니다. 포함된 연구에서 기술하고 평가하는 교육적 개입에 초점을 맞춘 주요 세부 사항을 포함시킨 것은 환자/서비스 사용자 문헌의 이전 검토에서 다루지 않은 독특한 추가 사항입니다. 아래 질 평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육적 관심의 주요 영역에 대한 보고 수준이 높을수록 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1차 독자와 이 리뷰의 독자에게 암묵적 유용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정보는 독자가 해당 내용을 고려할 때 유용성을 얻을 수 있도록 표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또한 이러한 중재적 보도에 대한 RAG(빨강, 주황, 초록) 등급을 제시함으로써 독자가 해당 정보의 사용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는 결과의 맥락 내에서 요약됩니다. 
A descriptive synthesis took place which summarizes the data from the studies, focusing on study type, educational intervention, collaboration details and outcomes of the primary study. Key method, content and outcome items to be extracted from the studies were discussed and agreed by the authors. Additionally, content related to the quality assessment indices was extracted, including where relevant any additional content or appendices. The inclusion of key details that focus on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being described and assessed by the included studies was a unique addition not addressed in previous reviews of the patient/service user literature. As stated below in quality assessment, this equated higher levels of reporting in key areas of educational interest as higher quality, as this was of implicit utility to primary readers and therefore readers of this review. This information is offered within a tabulated form to allow readers to gain utility from considering such content. Additionally, the presentation of the RAG (red, amber, green) ratings of such interventional reporting should support readers in making decisions on the use of such information. The data is also summarized within the context of the results.

적절하게 동질적인 결과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정당성을 설명하기 위한 메타분석은 공개된 프로토콜에 따라 계획되었습니다. 그러나 어떤 연구에서도 그러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If suitably homogeneous outcome data were present, meta-analysis – to explain Justification – was planned as per our published protocol. However, as such data was not available in any of the studies, details are not reported.

메타 민족지학(메타 민족지학은 명확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질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질적 종합 기법입니다(딕슨-우즈 외. 2005).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방법을 사용하여 세 번째 연구 질문을 해결할 계획이었으나 해당 데이터가 부족하여 이 방법은 전체적으로 보고되지 않았으며 해당 분석도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Meta-ethnography – to describe Clarification – is a qualitative synthesis technique which involves the synthesis of the findings of qualitative studies (Dixon-Woods et al. 2005). As mentioned before, it was planned to address our third research question with this method, but as there was a paucity of such data, these methods are not reported in full and no such analysis was completed.

포함된 연구의 질 평가
Quality assessment of included studies

보건 교육 체계적 문헌고찰의 맥락에서 질 평가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 왔지만, 합의된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고려해야 할 [두 가지 핵심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 연구의 방법론적 질과 둘째, 제시된 교육적 개입의 질입니다. 조사 과정에 대한 수준 높은 보고로 [방법론적]으로 건전한 보고서일 수 있지만, [중재 자체인 교육]이 자세히 보고되지 않고 이론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며 자원이나 비용 관점에서 설명되지 않고 자료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이를 수준 높은 교육적 글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 구분이 중요합니다.
Whilst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methods employed to assess quality within the context of health education systematic review, no consensus method exists. There are two key elements to consider: Firstly,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any study and secondly, the quality of any educational interventions presented. This distinction is important as a report may be methodologically sound with high-quality reporting of investigative process, but if the education that was the intervention itself is not reported in detail, not underpinned theoretically, not described from a resource or cost perspective and materials not available, it is hard to suggest this as a high-quality piece of educational writing.

이전 체계적 문헌고찰(Gordon 외. 2011)에서 사용되었던 시각적 RAG 순위 시스템을 사용하여 [교육 개입과 관련된 6개 영역] 각각에 대한 정보 보고의 질 또는 정도를 판단했습니다:
A visual RAG ranking system, previously used in an earlier systematic review (Gordon et al. 2011), was employed to judge the quality or extent of the reporting of information in each of six areas relating to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 이론적 토대
  • 커리큘럼 또는 강의 계획서 설계
  • 환경(교육적 맥락 및 학습자 특성)
  • 교수법
  • 콘텐츠
  • 결론의 강도
  • Theoretical underpinning
  • Curriculum or syllabus design
  • Setting (educational context and learner characteristics)
  • Pedagogy
  • Content
  • Strength of conclusion

항목은 보고된 내용의 장점보다는 위 각 보고 영역의 포괄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녹색), 불명확한 수준(호박색), 낮은 수준(빨간색)으로 판단되었습니다.
Items were judged to be of high quality (green), unclear quality (amber), low quality (red) in terms of comprehensiveness in each of the above reporting areas, rather than the merit of what was reported.

환자/서비스 사용자 참여
Patient/service user involvement

이 체계적 문헌고찰의 주제에 따라 처음부터 [서비스 사용자를 참여]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저희는 관심 있는 사용자를 위해 UCLan의 COMENSUS(커뮤니티 참여 및 서비스 사용자 지원) 그룹에 연락했고, 이 그룹의 두 명이 원고를 검토하고 토론에 사용자 관점을 추가하는 데 자원했습니다. 
Due to the topic of this systematic review, we felt it pertinent to involve service users from the start. We contacted the COMENSUS (Community Engagement and Service User Support) group at UCLan for interested users and two from this group volunteered to review the manuscript and add a user perspective to the discussion.

결과
Results

문헌 검색을 통해 초기 11,093건의 인용이 이루어졌으며, 참고 문헌 목록과 AMEE 컨퍼런스 초록에서 47건의 추가 인용이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분야의 전문가 4명에게 연락을 취했지만 더 이상의 고유한 연구는 없었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후 6155건의 인용을 선별할 수 있었습니다. 
The literature search produced an initial 11,093 citations, with a further 47 identified from reference lists and AMEE conference abstracts. No further unique studies were received from contacting four experts in the field. After removing duplicates, the resulting 6155 citations were available for screening.

그런 다음 세 명의 저자가 위에서 설명한 포함/제외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96개의 전체 텍스트 논문 초록을 선별하여 포함 여부를 결정했습니다. 이견은 토론을 통해 해결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총 39개의 논문이 포함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연구 흐름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All three authors then screened the abstracts of 96 full-text articles to determine eligibility for inclusion, using the inclusion/exclusion checklist described above. Disagreements were resolved by discussion and a final total of 39 articles were deemed to me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study flow shown in Figure 1.

제외된 연구
Excluded studies

제외된 연구 목록은 부록 4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제외된 57건의 연구 중 가장 흔한 이유는 개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46건의 연구). 의료진이 아닌 다른 보건 전문가가 주 학습자 그룹으로 포함된 연구도 11건 있었습니다.
The list of excluded studies can be found in Supplementary Appendix 4, but of the 57 excluded studies, the most common reason was lack of any form of evaluation of the intervention (46 studies). A further 11 studies involved other health professionals as the primary learner group, i.e. not medics.

포함된 연구 개요
Overview of included studies


포함된 39개 연구에 대한 관련 세부 정보는 부록 3에 나와 있습니다. 보다 포괄적인 데이터는 부록 5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evant details of the 39 included studies are shown in Supplementary Appendix 3. Further comprehensive data can be found in Supplementary Appendix 5.

환자/서비스 사용자의 참여 수준
Level of involvement of patients/service users

그림 2는 Towle의 프레임워크에 따라 [개별 연구를 분류하여 6가지 영역에 매핑]하고 이 분류체계의 6가지 수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현재 문헌이 의학교육에서 환자/서비스 사용자 참여의 깊이와 영향력의 범위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제외 기준에 따라 레벨 1 연구는 모두 제외되었으므로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Figure 2 shows the categorization of the individual studies according to Towle’s framework, mapping to the six domains and ranging across the six levels of this taxonomy, thus demonstrating how the current literature reflects the range of the depth and impact of patient/service user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Our exclusion criteria specifically removed all level 1 studies and so none were included.

대부분의 연구는 환자를 [촉진자, 교사 또는 평가자로 참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Towle의 분류법(부록 4 및 그림 2 참조)의 [레벨 3 또는 레벨 4]에 해당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The majority of studies involved patients at Level 3 or Level 4 of Towle’s Taxonomy (see Supplementary Appendix 4 and Figure 2), which indicates the feasibility of involving patients as facilitators, teachers or assessors.

면담 기반 연구
Encounter-based studies

Encounter는 교수에 의해 기획되며, 환자는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도록 초대되며, 개인적인 편안함과 참여 수준은 환자가 결정합니다. 이 범주에 속하는 17개의 연구 중 16개는 질적 방법론의 서술적 기법을 사용했으며, 학습자에게는 환자가 경험한 질병에 대한 공감과 이해 증가, 환자와의 의사소통 개선, 총체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치료에 대한 이해 증진 등의 이점을 제시했습니다. 보고된 환자에 대한 이점에는 '장벽 허물기'를 통한 의사소통 개선(Cooper and Spencer-Dawe 2006), 자신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치료 효과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Salerno-Kennedy 외. 2009; Graham 외. 2014), 세션의 즐거움(Jha 외. 2013; Lenton and Storr 2015; Makker 2017) 등이 있습니다. 
The encounter is planned by faculty; the patient is invited to share their experience; personal comfort and level of participation is determined by the patient. Of the 17 studies in this category, 16 used descriptive techniques in a qualitative methodology and suggested benefits to learners of increased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illness as experienced by patients; improved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a greater understanding of holistic and patient-centered care. The benefits to patients, where reported, included improved communication by ‘breaking down barriers’ (Cooper and Spencer-Dawe 2006), a belief that their personal stories will help to improve treatment effectiveness (Salerno-Kennedy et al. 2009; Graham et al. 2014), and enjoyment of the session (Jha et al. 2013; Lenton and Storr 2015; Makker 2017).

이 수준의 개입의 예로는 [의료 전문가 간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건강 멘토"를 활용한 Arenson과 동료들의 연구(Arenson 외. 2015)가 있습니다.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장애 또는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와의 4가지 모듈 만남] [의대생 팀과 관련 직종 학생들 간의 팀워크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이 연구는 품질 기준에 따라 적당히 잘 보고된 연구였으며, 그 결과 학생 팀 내에서 협업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범주에 속하는 단 한 건의 연구(Jha 외, 2015)만이 표준 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정당화'를 제공했으며, 쿠마가이의 공감과 도덕성 발달의 혁신적 학습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환자 내러티브가 참가자들의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의미 전달'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함으로써 '명료화'를 시도했습니다. 의사들의 안전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환자들이 의료 사고 또는 피해 경험을 공유한 이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RCT)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 변화라는 주요 목표에서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xamples of interventions at this level include Arenson and colleagues’ study (Arenson et al. 2015) which utilized “Health Mentors” to facilitate learning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The 4 module encounter with patients, who had at least one disability or chronic health condi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eamwork between teams of medical students and students from allied professions. This was a moderately well-reported study according to our quality criteria and the results showed a benefit in developing collaboration within student teams. Only one study in this category (Jha et al. 2015) provided ‘justification’ by means of comparison with standard teaching, as well as attempting ‘clarification’ by using Kumagai’s transformative learning framework of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by which they explained how the patient narratives helped ‘communicate meaning’ by evoking an emotional response among the participants. This randomized control trial (RCT), in which patients shared their experiences of medical errors or harm to enhance safety training amongst doctor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its primary aim – to change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이 범주에 속하는 다른 연구 중 단 한 건만이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보고]했습니다(Cooper and Spencer-Dawe 2006). 이 질적 연구에서는 훈련된 서비스 사용자가 전문가 간 워크숍을 공동 진행하여 서로 다른 전문가 그룹의 학생들이 '협력적 실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치료 전달의 효율성 향상과의 연관성을 높이기 위해 서로 배우고 서로에게서 배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자기 조직화, 연결성, 출현, 혼돈의 가장자리라는 [복잡성 이론]을 바탕으로 [선형성, 예측 불가능성, 자기 조직화, 연결성, 출현]이라는 주제를 도출해냈습니다. 학생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서비스에 대한 참여('스토리')에 대해 듣는 경험은 전인적 치료를 제공할 때 환자 중심의 관점을 높이고 팀워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개념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전문가 간 통합, 파트너십 작업 및 팀워크를 향상시켰습니다 .
Only one other study in this category reported a theoretical underpinning for their study (Cooper and Spencer-Dawe 2006). In this qualitative study, trained service users co-facilitated inter-professional workshops to enable students from different professional groups to ‘learn with and from each other with a view to raising awareness about collaborative practice and its link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are delivery.’ The underpinning complexity theory of self-organization, connectivity, emergence, the edge of chaos drew out the themes of linearity, unpredictability, self-organization, connectivity, and emergence. Students’ experience of hearing about users’ personal experiences and their involvement with services (their ‘stories’) enhanced inter-professional integration, partnership working and teamwork through a heightened patient-centered perspective in providing holistic care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concepts underpinning teamwork.

교사/평가자로서의 환자
Patients as teachers/assessors

환자는 [특정 교육 역할에 대한 준비]가 주어지며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학생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Towle 레벨 4에서 평가한 16개 연구 중 한 개를 제외한 모든 연구는 [실제 임상 검사 또는 평가 기술을 가르치는 교육개입]이었으며, 따라서 대조군 또는 중재(정당화)와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범주의 비교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자/서비스 이용자에 의한 교육이 [교수진에 의한 교육만큼 효과적]이며(Anderson and Meyer 1978; Kleinman 외. 1996; Hendry 외. 1999; Schrieber 외. 2000; Smith 외. 2000; Duffy 외. 2016), 일부 연구에서는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anch 외. 1999; Haq 외. 2006; Livingstone 외. 1980).

  • 사전/사후 시험 결과 측정을 사용한 연구 중에서는 기술/지식 성취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Bideau와 동료들(Bideau et al. 2006)은 무릎과 손 검사에 대한 세션을 계획하고 가르치는 광범위한 교육을 받은 '환자 강사'(PI)를 고용했습니다. 이 연구는 세션의 커리큘럼과 내용을 포괄적으로 보고하여 향후 연구를 위해 이 연구를 재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질병의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직업적, 가족적 측면을 파악하는 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이는 실제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 헨릭슨과 링스테드의 연구(Henriksen and Ringsted 2014)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직접 고안한 이론적 모델을 사용한 질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류마티스 전문의가 제공하는 교육을 PI와 비교하여 평가했습니다. 그들은 권력 관계 측면에서 PI와 학생의 관계가 교수진과 학생, 학생과 클리닉 환자 사이의 관계와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균형 잡힌 권력 관계는 학생들이 학습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임상 환경에서 부적절하다고 인식되는 질문을 과감하게 할 수 있도록 정당화합니다. 이 연구는 이전 이론에서 나온 내용, 교육 형식, 권력 관계에 대한 민감성 개념을 명확히 하고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지식에 대한 협상의 새로운 개념인 경험적 또는 과학적 생물의학 지식을 도입했습니다.

The patient is given preparation for a specific teaching role and may give feedback or evaluate student performance. All but one of the 16 studies we assessed at Towle Level 4 were interventions which taught practical clinical examination or assessment techniques and, as such, were often able to compare outcomes with a control group or intervention (justification). Outcomes of the comparison studies in this category demonstrated that teaching by patients/service users is at least as effective (Anderson and Meyer 1978; Kleinman et al. 1996; Hendry et al. 1999; Schrieber et al. 2000; Smith et al. 2000; Duffy et al. 2016) as teaching by faculty and, in some studies, was shown to be more effective (Branch et al. 1999; Haq et al. 2006; Livingstone et al. 1980).

  • Of the studies which used a pre- and post-test outcome measure, these also showed an increase in skill/knowledge attainment. For example, Bideau and colleagues (Bideau et al. 2006) employed extensively-trained ‘Patient Instructors’ (PIs) who planned and taught sessions on examination of the knee and hand.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ported the curriculum and content of the sessions, enabling reproduction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It noted a marked improvement in students’ ability to grasp the psychological, emotional, social, professional and family aspects of the disease and suggested this may be due to the direct contact with real patients.
  • Henriksen and Ringsted’s study (Henriksen and Ringsted 2014) used a qualitative methodology using a theoretical model devised by themselves in a previous study to assess teaching delivered by rheumatologists compared with PIs. They found that, in terms of power relations, the PI-student relationship differs from those between faculty teacher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patients in the clinic. This balanced power relationship legitimizes the students’ taking on the role of learners and daring to ask questions they perceive to be inappropriate to the clinical setting. This study clarified and confirmed the sensitizing concepts of content matter, pedagogical format and power relationship which had emerged from their earlier theory but also introduced a new concept of negotiations about knowledge – experiential or scientific biomedical knowledge.


이 범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자를 교사 및 평가자로 활용하는 것]은 [표준화된 평가 체크리스트와 채점 기준을 구성]할 수 있을 때 [가장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레벨 4 연구에서 어느 정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객관적 구조화 임상 검사(OSCE) 또는 후속 조치에서도 개선이 지속되지 않았다는 추가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Livingstone 외. 1980; Gruppen 외. 1996; Smith 외. 2000; Duffy 외. 2016). 
Results of the studies in this category suggest that utilizing patients as teachers and assessors work best whe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standardized assessment checklists and scoring criteria. This finding was more or less consistent across all of the Level 4 studies, with a further finding that, when tested, the improvements were not sustained at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or follow up (Livingstone et al. 1980; Gruppen et al. 1996; Smith et al. 2000; Duffy et al. 2016).

동등한 파트너로서의 환자
Patients as equal partners

환자 튜터는 교육 전달, 개발 및 평가의 여러 측면에 관여합니다. 소비자를 튜터로 묘사한 연구 2편(Owen and Reay 2004, Towle and Godolphin 2013)만이 환자 교사를 동등한 파트너로 묘사하여 Towle의 분류법에서 레벨 5로 분류되었습니다.

  • Owen과 Reay(2004)의 연구에서 소비자 튜터는 학생 커리큘럼을 작성하는 운영 위원회의 일원으로 계획, 개발, 실행 및 평가의 모든 측면에 참여했습니다. 이 연구는 4학년 의대생을 위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데 있어 환자-교사가 동등한 파트너로서 참여하여 효과적인 면담 접근 방식을 통해 의학교육에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기여를 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설명했습니다.
  • Towle과 Godolphin(2013)의 연구에서는 만성 질환을 앓고 관리하기 위한 전문가 간 교육 워크숍을 설계, 제공 및 평가하는 데 있어 소비자 교육자와 그들의 고유한 역할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워크숍은 소비자 교육자가 자문 그룹의 일원으로 교수진의 의견을 수렴하여 설계했지만 교수진이 교육을 중재하거나 통제하지는 않았습니다.
  • 이 범주에 속하는 Towle의 연구만이 결과의 근거가 되는 이론적 근거를 활용했습니다. 이들은 환자가 교사인 환자 중심주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환자를 교육자로 활용하는 전문가 간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했으며, 특히 환자의 경험과 전문성이 어떻게 힘의 불균형을 줄이고 학습을 향상시키는지 명확히 했습니다. 

Patient tutors are involved in many aspects of educational deliver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nly 2 studies (Owen and Reay 2004; Towle and Godolphin 2013), which described consumers as tutors, were categorized as Level 5 on Towle’s Taxonomy – patient teachers as equal partners.

  • In Owen and Reay’s (2004) study, consumer tutors were involved in all aspects of planning,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s part of a steering committee that authored the student curriculum. This study gave a clear description of patient-teachers being involved as equal partners in the delivery of a curriculum for 4th-year medical students in effective approaches to interviewing and making a meaningful and valued contribution to medical education.
  • Towle and Godolphin’s (2013) study describe Consumer Educators and their unique role in designing, delivering and evalua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al workshops on living with and managing chronic conditions. The workshops were designed by the Consumer Educators, with input from faculty as part of an Advisory Group, but faculty did not mediate or control the teaching. Only Towle’s study in this category utilized a theoretical basis on which to base the outcomes. They used a patient-centeredness framework, where the patient is the teacher, to study a program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using patients as educators, specifically to clarify how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of patients reduce the power imbalance and enhances learning.

39건의 연구 중 환자 파트너가 기관 정책의 지원을 받아 기관 차원에서 참여하는 레벨 6의 증거는 찾지 못했습니다.
We did not find evidence of Level 6 within the 39 studies, whereby patient partners are involv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with the support of institutional policies.

 

학습자를 위한 혜택(Kirkpatrick의 교육 평가 수준 사용)
Benefits for learners (using Kirkpatrick’s levels of training evaluation)

9개의 연구는 [Kirkpatrick 레벨 1(교육 중재의 질 또는 수용 가능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만 보고]하고 교육 중재의 결과에 대한 다른 측면을 평가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체로 의학교육에 환자를 참여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실용성과 이점을 평가하는 타당성 연구였으며, 대체로 환자 중심 진료에 대한 수련의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환자를 참여시키는 것이 실현 가능하고 실용적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총 29개의 연구에서 레벨 1의 결과를 보고했지만, 다음 텍스트에 설명된 대로 더 높은 수준의 결과를 보고한 연구도 많았습니다.
Nine of the studies were assessed as reporting Kirkpatrick level 1 only (learner reactions to the quality or acceptability of the intervention), and not attempting to assess any other aspect of the outcome of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These were generally feasibility studies which assessed the practicalities and benefits of involving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and usually concluded that involving patients was both feasible and practical in attempting to enhance trainees’ perceptions of patient-centered care. In total, 29 studies reported outcomes at level 1, but many also reported further outcomes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text.

16개 연구는 [Kirkpatrick 레벨 2a(중재 후 태도 또는 인식의 변화)를 보고]했습니다. 이 연구들은 다양한 연구 방법론(RCT, 관찰, 정성적, 사전/사후 테스트)을 사용했습니다. 이 연구 중 5건은 Towle의 분류법 중 4단계 이상에 해당합니다(Gruppen 외. 1996, Farber 외. 2003, Owen and Reay 2004, Towle and Godolphin 2013, Henriksen and Ringsted 2014). 이는 환자가 교사로서, 종종 평가자로서 교육 개입에 깊이 관여했음을 나타냅니다.

  • Farber의 연구에서는 암 환자들이 자신의 사례 기록을 활용하여 내과 레지던트에게 '나쁜 소식 속보' 개념을 가르쳤습니다. 이 사전 및 사후 연구에서는 4점 리커트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나쁜 소식을 전하는 것에 대한 11개 항목에 대한 응답을 수집했습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환자에게 희망을 전달하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초기 이해 확인, 감정 표현 장려 등 세 가지 영역에서 환자에 대한 공감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Owen과 Reay(2004)의 연구에서 소비자는 커리큘럼의 계획, 제공 및 평가의 모든 측면에 참여했습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소비자 참여자들 사이에서 의학교육에서 인터뷰 기술을 가르치는 정당한 교사로서의 위상을 높였다는 것입니다.

16 studies reported Kirkpatrick Level 2a (modification of attitudes or perceptions following the intervention). These employ different research methodologies (RCT, observational, qualitative and pre/post-test). Five of these studies also reached Towle’s taxonomy of 4 or above (Gruppen et al. 1996; Farber et al. 2003; Owen and Reay 2004; Towle and Godolphin 2013; Henriksen and Ringsted 2014) indicating that the patient was deeply involved in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as teacher and, often, as assessor.

  • Farber’s study involved cancer patients using their own case histories to teach ‘breaking bad news’ concepts to internal medicine residents. This pre- and post-test study used a four-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to gather responses to 11 items on giving bad news to pati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gained enhanced empathy towards patients in three areas: ensuring they convey hope to the patient; ascertaining the patient’s initial understanding of their condition and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feelings.
  • In Owen and Reay’s (2004) study consumers were involved in all aspects of the planning, delivery,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The main outcome of the study was that it raised the profile amongst participants of consumers as legitimate teachers of interviewing skills in medical education.

[Kirkpatrick 수준 2b(지식 또는 기술 향상)의 결과를 보고]한 15개 연구 중 대다수(14개 연구)는 전통적인 정량적 데이터 수집 방법론인 RCT, 사전/사후 시험 설계 또는 비교 그룹을 사용하여 임상 또는 신체 검사 기술에 대한 참가자의 접근 방식을 측정했습니다.

  • Duffy 등(2016)의 RCT에서는 숙련된 산부인과 교육 보조원(GTA)이 의대생에게 부인과 검사 술기 세션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지식, 편안함,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중재 그룹과 대조 그룹 간 OSCE 총점에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 나머지 연구(Graham 외. 2014)에서는 투렛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또는 병력 청취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질적 접근법을 사용했으며, 참가자의 [증후군에 대한 지식]이 향상되고 환자에 대한 [공감과 인본주의적 접근]이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Of the 15 studies that reported outcomes at Kirkpatrick level 2b (increased knowledge or skills) the majority (14 studies) measured participants’ approaches to the clinical or physical examination skills using traditional quantitative data capture methodologies – RCTs, pre-and post-test designs or comparison groups.

  • Duffy et al’s (2016) RCT involved trained Gynecology Teaching Associates (GTAs) delivering gynecological examination skills sessions to medical students which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students’ knowledge, comfort, and confidenc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mmative OSCE scor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 The remaining study (Graham et al. 2014) used a qualitative approach to study interviewing or history taking skills amongst patients with Tourette Syndrome and reported an improvement in participants’ knowledge of the syndrome, along with an increase in empathy and humanistic approach to these patients.

커크패트릭의 환자 또는 사용자 참여 계층 구조에서 3단계 또는 4단계에 해당하는 결과, 즉 기술을 실무에 적용하거나 조직 전반의 실무 변화를 이끌어낸 연구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중재 후 참가자를 추적 관찰하려고 시도했지만(Anderson and Meyer 1978; Gruppen 외. 1996; Duffy 외. 2016), 참가자와 관련된 결과만 평가했을 뿐 의료 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에 대한 조직의 태도나 연구로 인한 환자 혜택에 대한 중재의 이점을 평가하지는 않았습니다.
No studies reported outcomes at levels 3 or 4 of Kirkpatrick’s hierarchy of patient or user involvement – transferal of skills into practice or leading to a change in practice across an organization. Some studies attempted to follow up the participants after the intervention (Anderson and Meyer 1978; Gruppen et al. 1996; Duffy et al. 2016), but only assessed the outcomes relating to the participants – they did not assess the benefit of the intervention on organizational attitudes to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or the benefit to patients that resulted from the study.

연구 방법론
Study methodology

대부분의 연구는 포커스 그룹 또는 인터뷰와 같은 [질적 방법론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방법론은 개입의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허용하지 않지만, 향후 연구에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학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에 대한 보다 명확한 관점을 만들 수 있는 매우 풍부한 경험적 데이터의 원천이 될 것입니다. 이 연구는 전문성, 의사소통, 건강과 질병에 대한 태도, 면담 기술 및 역량, 환자 중심주의, 전인적 치료 등의 문제를 환자 또는 서비스 사용자를 교육 개입에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The majority of studies used a qualitative methodology – focus groups or interviews. Whilst these do not allow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s they are an extremely rich source of experiential data which will allow future studies to build on the findings and create a clearer perspective on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These studies demonstrated how issues of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attitude towards health and illness, interviewing skills and competencies, patient-centredness and holistic care could effectively be taught using patient or service users in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사전 및 사후 연구에서는 몇 가지 기준 측정을 수집한 후 교육이 [학습의 어떤 측면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개입의 어떤 측면이 변화를 가져왔는지]는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대조군 설계를 사용한 7개의 연구에서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교육 방법을 비교할 수 있었습니다. Jha 등(2013)을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환자 참여 교육이 적어도 표준 교육 방법만큼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Pre-and post-test studies collected several baseline measures and were then able to draw conclusions on whether the training had led to an impact on any aspect of learning. However, they do not determine which aspect of the intervention led to the change. The seven studies which used a control group design enabled comparisons to be made between the teaching involving patients and the standard teaching methods normally employed. In all of these, except Jha et al. (2013), the studies concluded that involving patients was at least as effective as standard teaching practices.

무작위 배정 방법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RCT로 분류된 연구는 4편에 불과했습니다. 이 중 2건(Hendry 등, 1999; Duffy 등, 2016)은 환자 주도 교육이 학습 결과에 중간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었고, Jha 등(2015)은 환자 주도 교육이 교수 주도 교육보다 더 효과적이지 않다고 결론지었으며, Humphrey-Murto 등(2004)은 환자 주도 교육이 교수 주도 교육보다 MSK 시험에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Only four studies classified themselves as RCTs, although the method of randomization was not stated. Of these, two (Hendry et al. 1999; Duffy et al. 2016) concluded that patient-led teaching had a moderat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Jha et al. (2015) concluded that patient-led teaching was no more effective than faculty-led teaching and Humphrey-Murto et al. (2004) found that faculty-led teaching was more effective in MSK examination than patient-led teaching.

학습자 유형 및 상황
Learner type and context

포함된 연구 중 높은 비율(77%)이 학부 의대생만을 학습자 그룹으로 포함했습니다. 이 중 11개는 임상 전 단계, 19개는 임상 단계에 있었습니다. 
A high proportion (77%) of the included studies involved solely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s the learner group. Of these, 11 were in their pre-clinical years and 19 were in their clinical years.

대학원생의 지속적인 전문 교육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6건에 불과했으며, 학부생과 대학원 수련생을 모두 포함한 연구는 2건이었습니다. 
Only six studies focused on the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of postgraduates, with two studies including both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trainees.

임상 전문 분야
Clinical specialty

연구는 근골격계(11개 연구), 장기/만성 건강 상태(10개 연구), 정신 건강(3개 연구), 부인과(3개 연구), 암(2개 연구), 기타 또는 지정되지 않음(11개 연구)의 6가지 주요 임상 전문 분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The studies could be grouped into 6 major clinical specialties: musculoskeletal (11 studies), long-term/chronic health conditions (10 studies), mental health (3 studies), gynecology (3 studies), cancer (2 studies), other or not specified (11 studies).

[근골격계 및 부인과 연구]에서 중재는 일반적으로 응용 기술, 즉 특정 관절 검사 기술을 가르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환자는 교육, 평가 및 피드백에 어느 정도 관여했습니다. 14개 연구 중 5개 연구(Gruppen 외. 1996, Kleinman 외. 1996, Bideau 외. 2006, Haq 외. 2006, Duffy 외. 2016)는 질병의 심리적, 기능적 영향에 특별히 중점을 둔 병력 청취 또는 환자 중심의 공감 통합, 학생의 편안함과 자신감 증진 등 단순한 관절 검사 교육 이외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연구 중 10개의 연구에서 결론은 [훈련된 환자에 의한 술기 교육이 적어도 교수진에 의한 교육만큼 효과적]이라는 것이었지만, 단 하나의 연구에서는 류마티스내과 교수진이 환자 파트너보다 MSK 신체검사를 더 효과적으로 가르친다는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Humphrey-Murto 외. 2004). 
In the musculoskeletal and gynecology studies the intervention generally consisted of applied techniques, i.e. the teaching of a specific joint examination technique, with the patient being involved to a greater or lesser extent in the teaching, assessment, and feedback. 5 of the 14 studies (Gruppen et al. 1996; Kleinman et al. 1996; Bideau et al. 2006; Haq et al. 2006; Duffy et al. 2016) specifically sought to explore elements other than simply joint examination teaching: for example, history taking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impact of the disease or incorporating patient-centred empathy and increasing student comfort and confidence. The conclusion in 10 of these studies was that skills teaching by trained patients were at least as effective as training by faculty whereas just one study had a different finding and concluded that rheumatology faculty were more effective teachers of the MSK physical examination than patient partners (Humphrey-Murto et al. 2004).

[장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교육]에 환자가 참여하는 것은 10건의 연구의 주제였으며, 학생/수련의가 장기 질환 관리에 대한 환자의 생생한 경험을 탐구하고, 의사-환자 관계를 더 잘 이해하거나, 환자 치료에 대한 학제 간 접근법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습니다. 
Patient involvement in teaching related to long term health conditions was the subject of 10 studies, the purpose of which was to allow the students/trainees to explore patients’ lived experiences of managing a long-term condition,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or explor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patient care.

나머지 연구에서는 정신 건강, 심혈관 질환, 당뇨병, 신장 질환을 포함하거나 단순히 의료 사용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수련생이 면담 기술, 공감 능력, 환자 중심 치료에 대한 태도를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제 역할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건강 상태를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In the remaining studies, the health conditions included mental health,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kidney conditions, or simply were not stated as the studies concentrated on the personal experiences of healthcare users and their authentic role in helping trainees gain skills in interviewing techniques, empathy,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centered care.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
Methodological quality of included studies

질 평가 방법에는 보고된 교육의 질을 판단하기 위해 시각적 RAG 순위 시스템을 통합했습니다(방법 섹션 참조). 
The quality assessment method incorporated a visual RAG ranking system to judge the quality of the reported education in question (see methods section).

이론적 토대 측면에서 이 기준을 충족하여 녹색(높은 질) 등급을 받은 연구는 4편에 불과했습니다(Cooper and Spencer-Dawe 2006, Towle and Godolphin 2013, Henriksen and Ringsted 2014, Jha 외. 2015).

  • 쿠퍼와 스펜서-도웨는 복잡성 이론을 기본 이론으로 선택했으며, 자기 조직화, 연결성, 출현, 혼돈의 가장자리라는 네 가지 원칙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개발을 안내한 다음 선형성, 예측 불가능성, 자기 조직화, 연결성, 출현의 다섯 가지 영역을 사용하여 논의했습니다(Cooper and Spencer-Dawe 2006).
  • Henriksen과 Ringsted는 구성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환자-교사-학생 간의 권력 균형을 탐구한 이전 모델에서 민감성 개념을 도출했습니다(Henriksen and Ringsted 2014).
  • Jha와 동료들은 쿠마가이가 제안한 변혁적 학습의 개념적 틀을 사용하여 환자의 감정적 이야기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교육생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고 학습자가 환자의 관점에서 안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Jha 외. 2015).
  • Towle과 Godolphin은 환자를 교육자로 활용하는 전문가 간 교육 프로그램, 특히 환자의 경험과 전문성이 어떻게 힘의 불균형을 줄이고 학습을 향상시키는지 연구하기 위해 환자 중심주의에 대한 Bleakley와 Bligh 프레임워크를 사용했습니다(Towle and Godolphin 2013).

In terms of theoretical underpinning, only four studies achieved a ranking of green (high quality) for the reporting of these criteria (Cooper and Spencer-Dawe 2006; Towle and Godolphin 2013; Henriksen and Ringsted 2014; Jha et al. 2015).

  • Cooper and Spencer-Dawe chose complexity theory as their underpinning theory and the four principles of self-organization, connectivity, emergence, edge of chaos were used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 which they then went on to discuss using five areas of a-linearity, unpredictability, self-organization, connectivity, and emergence (Cooper and Spencer-Dawe 2006).
  • Henriksen and Ringsted based their study on constructionist theory and drew sensitizing concepts from a prior model which explored the power balance between patient-teachers and students (Henriksen and Ringsted 2014).
  • Jha and colleagues us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ransformative learning suggested by Kumagai to deliberately use emotional stories from patients to enhance the learning experience of trainees and to provide the learner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safety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Jha et al. 2015).
  • Towle and Godolphin used the Bleakley and Bligh framework of patient-centredness to study a program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using patients as educators, specifically to determine how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of patients reduce the power imbalance and enhances learning (Towle and Godolphin 2013).

[커리큘럼에 대한 설명]은 6개의 연구(Owen and Reay 2004, Bideau 외. 2006, Towle and Godolphin 2013, Arenson 외. 2015, Jha 외. 2015, Duffy 외. 2016)에서 충분히 기술되었지만 나머지 연구에서는 커리큘럼 또는 강의 계획서에 대한 설명이 향후 연구에서 연구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데 필요한 깊이나 세부 수준이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마찬가지로 모든 연구에서 개입의 교육법, 환경 및 내용에 대한 충분한 세부 정보가 포함된 것은 아닙니다. Cahill 등(2015), Duffy 등(2016), Jha 등(2015), Owen과 Reay(2004), Towle과 Godolphin(2013)만이 위의 기준에 가장 근접하게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각 개입에 대한 요구 사항을 상당히 포괄적으로 설명하여 유사하거나 다른 맥락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복제하여 이론을 테스트하고 개념적 틀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of the curriculum was sufficiently described in six studies (Owen and Reay 2004; Bideau et al. 2006; Towle and Godolphin 2013; Arenson et al. 2015; Jha et al. 2015; Duffy et al. 2016), but in the remaining studies we felt the description of the curriculum or syllabus lacked the depth or level of detail required for accurate replication of the study in future research. Similarly, not all studies included sufficient details of the pedagogy, setting, and content of the intervention. Only Cahill et al. (2015), Duffy et al. (2016), Jha et al. (2015), Owen and Reay (2004), and Towle and Godolphin (2013) achieved close to an optimum description of the above criteria. These studies describe fairly comprehensively the requirements for each of their interventions so that the study could be replicated with learners in a similar or different context to test their theories and further develop their conceptual frameworks.

토론
Discussion

의학교육에서의 환자 참여에 관한 문헌에 대한 이전 검토(Morgan and Jones 2009)가 발표된 이후, 이 검토에서 확인된 새로운 연구가 최소 18건 이상 있었습니다. 
Since the publication of a previous review of the literature around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Morgan and Jones 2009), there have been at least 18 new studies identified in this review.

교육에 대한 환자/서비스 이용자의 참여 수준과 관련하여, 본 검토에 따르면 많은 수의 연구에서 [이용자가 교육, 평가 및 평가에 기여하고(Towle 레벨 4 - 16개 연구)] [학생들과 직접 경험을 공유하는 것(Towle 레벨 3 - 17개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서비스 사용자가 더 높은 수준, 즉 교육 커리큘럼 개발, 제공 및 평가에 동등한 파트너로서 참여하는 것을 다루어야 하며, 이는 Towle과 Godolphin(2013), Owen과 Reay(2004)의 연구에서 이것이 가능하고 성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With regard to the level of involvement of patients/service users in education, our review shows that a high number of studies are 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users contributing to teaching, assessing and evaluating (Towle level 4 – 16 studies) and also in sharing their experiences directly with students (Towle Level 3 – 17 studies). Future research should address the involvement of patients/service users at a higher level i.e. as equal partners in developing, delivering and assessing educational curricula, as the studies by Towle and Godolphin (2013) and Owen and Reay (2004) have shown that this is possible and can be successful.

Morgan과 Jones의 검토에 따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학습자의 지식, 기술 및 태도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Kirkpatrick 레벨 2의 결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검토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레벨 2(학습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를 평가하는 연구 수가 더 많다는 것은 의학교육자들이 사용자 참여가 학생의 태도와 술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이러한 [학습을 내재화하는 방법], 즉 실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여 환자 진료에 변화를 가져오는 방법을 아직 찾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Morgan and Jones’s review found the majority of studies to evaluate outcomes at Kirkpatrick Level 2 – immediate impact on learner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ur review found similar, with the higher number of studies in our current review which evaluate outcomes at Level 2 (impact on learning) demonstrating that medical educators are attempting to evaluate the impact of user involvement on student attitudes and skills but are still not finding ways to embed this learning, i.e. demonstrate an impact on behavior in practice, and thus make a difference to patient care.

대부분의 연구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 제공과 다방면의 전문적, 관리적, 리더십 개발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 대학원 교육 커리큘럼의 과중한 부담으로 인해 연구를 통합하기 위해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을 재설계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 함께 일하는 대학원생에게 환자 참여는 암묵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는 추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Most of the studies were of undergraduates. These findings perhaps reflect the problems in redesigning postgraduate training programs to incorporate research, due to increasingly overburdened curricula in postgraduate education, which need to balance service delivery and multi-faceted professional, managerial and leadership development. Additionally, as patient involvement may be seen as implicit for postgraduates working with patients, such studies may not be pursued.

중재에 대한 실제 1차 연구 보고의 전반적인 질은 좋지 않았습니다. 지난 10년간 발표된 연구 중 절반인 39건이 [실제 개입을 이해하거나 전파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내용]을 담은 연구가 1/5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입니다. 이론의 경우, 개입이 특정 방식으로 전개된 방법이나 이유를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수준 높은 연구로 평가된 것은 단 4건에 불과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는 BEME 리뷰에서 종종 확인되는 이 분야의 만연한 문제이지만, 독자들이 '그래서 뭐냐'고 묻는 연구를 출판하는 데 대한 변명은 되지 못합니다. 물론 이는 왜 연구들이 이러한 주요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세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 첫째, 저자가 단순히 일부 데이터를 발표하지 않기로 결정했을 수 있으며, 이는 잘 보고된 문제입니다(Hoffman 외. 2013).
  • 둘째, 출판되지 않은 것은 이론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콘텐츠가 의미 있는 방식으로 제작되지 않아 교육의 질이 낮음을 시사하는 등 그러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세 번째는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출판된 것보다 더 많은 연구가 있지만 저자가 출판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준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증거 기반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는 이용 가능한 것만 고려할 수 있으므로 향후 교육 및 연구 작업에 대한 이 분야의 증거의 유용성이 크게 제한됩니다. 

The overall quality of the actual primary study reporting of interventions was poor. With 39 studies published, half in the last 10 years, the fact that less than a fifth of studies presented sufficient content to allow their actual intervention to be understood or disseminated is extremely disappointing. When it comes to theory, just four studies were judged as high quality, providing underpinning that allows understanding of how or why interventions were deployed in a particular manner. This is, unfortunately, a pervasive problem in the field that BEME reviews often identify, but this is simply not an excuse for publishing studies that leave readers asking ‘so what.’ This, of course, raises the question as to why studies do not report such key outcomes. There are three possibilities in answering the question.

  • Firstly, the authors simply may have chosen not to publish some data, a problem well reported (Hoffman et al. 2013).
  • Secondly, the lack of publishing may be because such considerations have not been made, with either theory not considered or content not produced in any meaningful way, suggesting low-quality education.
  • The third option could be elements of both, with perhaps some more work available than published, but not at a sufficient standard that the authors felt able to publish. Unfortunately, when considering the evidence base as a whole, we can only consider what is available and therefore this significantly limits the utility of the evidence in this area for future teaching and research works.

Cook 등(2008)의 분류의 맥락에서 볼 때, 우리의 초기 '무엇을', '어떻게', '왜'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연구는 제한적입니다.

  • 이를 차례로 고려할 때, 커리큘럼(무엇을)에 대한 설명은 단 6개의 연구에서, 교육학, 환경 및 개입의 내용은 이 리뷰에서 단 5개의 연구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습니다(표 3의 RAG 등급 참조). 이러한 간단하지만 중요한 개입의 속성이 없다면, 일차 문헌의 독자는 물론 이 리뷰의 독자가 보고된 개입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는 역설적이지만 안타깝게도 교육 문헌에서 흔히 발견되는 현상입니다(Gordon 2016). 그러나 이는 이 주제의 맥락에서 유용성을 가로막는 더 중요한 장벽이며, 이 분야 전반에 걸쳐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고 계속 진화하고 있습니다.

Within the contexts of Cook et al’s (2008) classification, there is limited work to answer our initial ‘what,’ ‘how,’ and ‘why’ questions.

  • Considering these in turn, description of the curriculum (what) was sufficiently described in just 6 studies and pedagogy, setting and content of the intervention described in just 5 studies in this review (see RAG ratings in Table 3). Without these simple, but crucial attributes of interventions, it is impossible to readers of the primary literature and in turn readers of this review to have any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e interventions reported. This is a paradoxical, but unfortunately common finding within the education literature (Gordon 2016). But this is a more important barrier to utility in the context of this topic, which is not established fully throughout the field and is evolving.

또한 검토 결과, 특정 개입이 '어떻게' 또는 '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답을 시도한 연구는 거의 없었습니다. 39개의 연구 중 4개 연구만이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 위한 근거 이론이나 프레임워크를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결과를 학습 이론에 매핑하고 개입이 효과가 있는 이유를 설명함으로써 의학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 필요합니다. 우리가 평가한 연구에 사용된 이론은 복잡성 이론(Cooper and Spencer-Dawe 2006), 구성주의 이론(Henriksen and Ringsted 2014), 변혁적 학습(Jha 외. 2015), 사회문화적 학습 이론(Towle 외. 2014) 등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학습 이론을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수련의와 환자 간의 힘의 균형을 맞추고, 환자가 교육 역할을 맡고 수련의는 책임감 있는 유능한 전문가의 역할을 맡지 않고도 환자에게 질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학습 이론은 공감과 환자 중심주의의 개념을 설명하고 환자와 관련된 교육적 개입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 어떻게 의학의 의미와 의료 개입에 대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환자와 더 잘 동일시할 수 있도록 하는지를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Our review also shows that very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answer the question ‘how’ or ‘why’ a particular intervention work. Of the 39 studies included only 4 of them described an underpinning theory or framework with which to present their findings. Such studies are required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medical education by mapping outcomes to learning theories and explain why an intervention works. The theories used in the studies we evaluated were complexity theory (Cooper and Spencer-Dawe 2006), constructionist theory (Henriksen and Ringsted 2014), transformative learning (Jha et al. 2015),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Towle et al. 2014). These studies demonstrated how learning theories can translate into pedagogical programs to create a power balance between trainee and patient, empowering patients to take on a teaching role and the trainee to be able to question patients without needing to be in the role of responsible competent professional. Additionally, learning theories help to explain the concepts of empathy and patient-centredness and demonstrate how a humanistic approach to an educational intervention involving patients can lead to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medicine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medical intervention and, ultimately, allow learners to better identify with the patient.

의료 교육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참여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명한 증거가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에 참여한 여러 기관에서 환자 또는 서비스 사용자의 의료 교육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공식적인 사용자 참여 그룹을 설립]했다는 점은 고무적입니다. 위스콘신 대학교(Arenson 외. 2015)는 2007년부터 건강 멘토 프로그램을 교육에 통합하고 있으며, 태즈메이니아의 론체스톤 임상학교(Barr 외. 2014)는 8년 이상 환자 파트너 프로그램을 설립했고, 리버풀 대학교는 의료 교육에서 사용자 참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보호자 및 서비스 사용자 포럼(FOCUS) 그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Cooper and Spencer-Dawe 2006). 환자 또는 사용자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유사한 공식 그룹을 운영하는 다른 기관으로는 코펜하겐 대학교(Henriksen and Ringsted 2014), 네브래스카 대학교(Hinners and Potter 2006), 노스캐롤라이나 의과대학(Kleinman 외. 1996), 호주 퀸즐랜드 대학교(Lane 외. 2015), 애리조나 대학교(Mohler 외. 2010), 시드니 대학교(Owen and Reay 2004), 브리티시 콜롬비아 대학교(Towle and Godolphin 2013; Towle 외. 2014) 등이 있습니다.
There is clear evidence of an increased range of service user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What is encouraging to note is that several institutions in these studies have established formal user engagement groups to ensure patient or service user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Arenson et al. 2015) has been incorporating the Health Mentors Program into their teaching since 2007, the Launceston Clinical School in Tasmania (Barr et al. 2014) has established a Patient Partner program for over 8 years, the University of Liverpool has a Forum of Carers and Users of Services (FOCUS) group which plays a key role in user involvement in healthcare education (Cooper and Spencer-Dawe 2006). Other institutions which have similar formal groups to promote patient or user involvement are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Henriksen and Ringsted 2014), the University of Nebraska (Hinners and Potter 2006), North Carolina Medical School (Kleinman et al. 1996), University of Queensland, Australia (Lane et al. 2015), University of Arizona (Mohler et al. 2010), University of Sydney (Owen and Reay 2004),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Towle and Godolphin 2013; Towle et al. 2014).

이전 출판물(Department of Health 2007, Morgan and Jones 2009, Spencer et al. 2011)의 결과를 반영하여 학생과 수련의의 교육 및 평가에 환자를 참여시키면 몇 가지 이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 학습자의 경우 환자 중심 진료와 질병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문학적 측면에 대한 이해가 향상되고, 검사 및 병력 청취 기술에 대한 자신의 지식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며 환자/서비스 사용자가 참여하는 세션이 즐겁다고 보고했습니다.
  • 환자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의료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고 자신의 건강이나 질병에 대한 지식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등의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Reflecting the findings of previous publications (Department of Health 2007; Morgan and Jones 2009; Spencer et al. 2011) we have found that involving patients in the teaching and assessing of students and trainees has several benefits:

  • for learners their understanding of patient-centered care and the humanistic aspect of the impact of illness on everyday life is enhanced,
  • they report greater confidence in their own knowledge of examination and history taking skills and they enjoy sessions where patients/service users are involved.
  • The benefits for patients include satisfaction from using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 medical education and greater confidence in their knowledge of their own health or illness.

물론 이 분야의 연구를 설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환자 교육자를 식별, 모집, 교육 및 유지하는 현실적인 문제 외에도
  • 결과 측정에 대한 명확성이 부족하고,
  • 어떤 종류의 영향을 결론 내릴 때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으며,
  • 관찰된 행동이 아닌 참가자의 인식에 기반한 연구일 때 결론의 강도,
  • 교수진이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포기하는 것을 꺼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There are, obviously, difficulties in designing research studies in this field.

  • Apart from the practicalities of identifying, recruiting, training and maintaining patient educators,
  • there can often be a lack of clarity on outcome measures,
  • the multitude of variable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in concluding any kind of impact,
  • the strength of conclusions when studies are based on participants’ perceptions rather than observed behavior and
  • the possible reluctance of faculty in relinquishing their role of expert.

서비스 사용자 작성자는 이 데이터의 종합과 해석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최종 원고의 내용, 결과 및 형식에 대한 여러 논의에 참여했습니다. 이러한 논의에서 나온 몇 가지 핵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금 조달은 중요한 문제이며 일부 연구에서만 언급되었습니다. 일부 의학교육 기관에서는 [시간 또는 발생 비용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지만, 예산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참여의 양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사용자가 시장 가격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전문 서비스 사용자 및 환자'로 분류되지 않아야 하나요? [급여를 지급하지 않는 것]은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를 모두 가져올 수 있습니다.

  • 긍정적인 측면대학 내 환자/서비스 사용자 대표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양한 질환과 배경을 가진 환자들이 독립적으로 고려되는 가운데 그들의 고유한 목소리와 아이디어, 의견을 들을 수 있습니다.
  • 의과대학의 변덕스러운 자금 지원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은 '환자/서비스 사용자가 회의에 참석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짧은 시간에 통보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뢰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학생들의 학습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자금 지원이 환자의 국가 혜택에 미치는 영향인데, 일부 중앙 정부는 이러한 수입을 부정적으로 보고 참여에 불이익을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 대학의 지역적 맥락에서 고려해야 합니다.

Our service user authors were integral in the synthesis and interpretation of this data and were involved in several discussions about the content, findings, and format of the final manuscript. There were several key points that came from these discussions that are relevant. Funding is an important issue and is mentioned in only a few of the studies. Payments for time, or for incurred expenses are offered by some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due to the limited amount of budget available, can sometimes curtail the amount of involvement realistically achievable. Additionally, if service users are paid at the market rate, should they not be classed as a ‘professional service user and patient?’ Nonpayment can also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 The positive being that numbers of patient/service user representatives within the universities may increase. Enabling patients with diverse conditions and backgrounds can ensure their unique voice, ideas and opinions are heard, whilst they are considered to be independent.
  • Negative aspects, such as capricious funding arrangements in medical schools may mean ‘patients/service users are informed at short notice, that they are not required to attend meetings.’ This leads to questions around authenticity and will impact on the opportunity for learning for the students.
  • Another important aspect is the impact of funding on patients’ state benefits, with some central government sources viewing such income negatively and in turn creating a negative pressure that would penalize involvement. This must be considered in the local context of each university.

의과대학 내 기존 및 오랜 관행으로 인해 환자/서비스 사용자의 교육 참여에 대한 [토큰주의적 접근 방식]이 종종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출판된 문헌의 종합적인 합계인 Towle 결과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이러한 주관적인 시각을 불식시키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사용자 저자들의 경험에 따르면, Towle 분류체계의 2단계 또는 3단계에 참여하면 [지원자(환자)]가 학습 경험의 진정한 파트너가 아니라 '찌르고 찔러야 하는 살아있는 몸'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 자신의 질환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서비스 경험으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의료 교육에 대한 총체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정성을 바탕으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문헌에서 아직 명확하게 안내하지 않는 부분이며, 이러한 방법의 사용을 늘리려는 비전을 가진 사람들은 여전히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Due to existing and long-standing practices within medical schools, there can often appear to be a tokenistic approach to patient/service user involvement in education. The focus of Towle outcomes in what is the synthesized sum of published literature does little to dispel this subjective view. The experiences of our user authors are that involvement at levels 2 or 3 of Towle’s Taxonomy can leave such volunteers feeling like ‘a live body to be poked and prodded’ rather than an authentic partner in the learning experience. Patients have a wealth of knowledge about their own conditions and experiences of services which can give a unique perspective – offering a holistic and humanistic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Building a framework to work in partnership and gain from this authenticity is something the literature clearly still does not guide, leaving those with the vision to increase the use of such methods still left asking how to do this.

교육은 또한 환자/서비스 사용자 참여의 중요한 측면으로, 환자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강점이나 약점을 강조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에 포함된 연구들에서 교육 내용, 시기 및 자금에 관한 결정을 주로 내리는 것은 [교수진]입니다. 이는 궁극적인 최종 업무 관계에 분명히 영향을 미치므로 더 높은 수준의 참여를 원하는 경우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Training is also an important aspect of patient/service user involvement – it gives patients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is required of them and it can highlight any strengths or weaknesses which can then be addressed. However, in the studies included it is the faculty members who mostly made the decisions regarding the content, timing, and funding of training. This clearly has an impact on the ultimate end working relationship and should be considered for those looking to achieve higher levels of involvement.

검토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review

이 체계적 문헌고찰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번역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 영어 논문으로만 검색이 제한되었습니다. 환자 중심 치료 및 의료 교육에 대한 환자/서비스 사용자의 참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점도 아쉬운 제약 조건이었습니다. 모든 종합에서 항상 요구되는 것처럼, 실용적인 판단을 내려야 했고, 저자의 검토 내 동의 수준을 측정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관련성이 있을 수 있는 특정 논문이 포함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이 리뷰에는 종이 기반 또는 전자 시나리오를 포함하지 않기로 실용적인 결정을 내렸습니다(Towle의 분류법 레벨 1). 또한 이 검토는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 특히 이론적 개념, 교육학 및 커리큘럼에 대한 세부적인 보고의 부족으로 인해 제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연구 결과를 어떤 형태로든 종합할 수 없었습니다. 
This systematic review has several limitations: the search was restricted to the English language only articles due to a lack of availability of translation services. A frustrating constraint was the lack of consistency over the terminology used to describe patients/service users involvement in patient-centered care and medical education. As is always required in any synthesis, pragmatic judgments had to be made, as well as a measurement of the author’s level of agreements within the review. However, it is possible that certain papers were not included that may be relevant. Related to this, a pragmatic decision was made to not include paper-based or electronic scenarios within this review (Level 1 of Towle’s Taxonomy). The review is also limited by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pertaining to the lack of detail in reporting – particularly around theoretical concepts, pedagogy, and curricula. This precluded any form of synthesis of the outcomes of the studies.

교육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teaching

이 리뷰는 '정당화' 연구를 통해 환자/서비스 사용자가 가르치는 것이 적어도 교수진이 가르치는 것만큼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환자와 의료 서비스 소비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 학습자의 태도, 지식 및 공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전문 지식을 교육 프로그램에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정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분명한 것은 환자가 주도하는 교육 기회는 [신체 검사 기술, 상담 및 병력 청취, 전문가 간 교육, 질병과 함께 사는 경험, 파트너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환자/전문가 관계의 변화하는 역학(환자 역량 강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많은 증거를 통해 Towle의 분류체계의 어떤 수준에서도 사용자의 참여를 방해하는 [실제 상황적 또는 학습자적 요인이 없음]을 명확히 확인했습니다. 이는 저자 팀, 특히 이 리뷰의 사용자 작성자의 관점에서 볼 때 독자들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메시지라고 생각했습니다. 
This review has shown, through ‘justification’ studies, that teaching by patients/service users can be at least as effective as teaching by faculty. In addition, patients and consumers of healthcare services have a rich knowledge of their own illnesses which can greatly enhance learners’ attitudes, knowledge, and empathy but the extent to which this expertise could best be employed in educational programs is yet to be discovered. What is clear is that patient-led teaching opportunities can cover a diverse range of topics, including physical examination skills, consultation and history-tak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an illness, the effect on partners and families, and the changing dynamic of patient/professional relationships (patient empowerment). The large body of evidence has clearly identified there are no real contextual or learner factors that prevent the involvement of users at any level of Towle’s Taxonomy. This is a key finding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 team and specifically the user authors on this review, they felt it as a takeaway message that must be considered by readers.

그러나 독자들은 증거 기반이 종합할 수 있는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라는 점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이 교육 방법의 이점을 입증하기 위한 최적의 환자 참여 수준을 결정할 수 없었고, 콘텐츠, 교육학 및 커리큘럼에 대한 세부 정보가 부족하여 이러한 연구 중 상당수를 정확하게 복제할 수 없었습니다. 마찬가지로, 개입의 어떤 측면이 누구에게, 어떤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효과가 있었는지, 특히 사용자 관점에서 참여 유형을 최적화하여 최적의 관계를 보장하는 방법을 파악할 수 없었습니다. 내용이나 이론에 대한 광범위한 증거를 제시할 수는 없지만, 임상 교사들이 이 분야의 제한된 양질의 증거를 보고한 결과의 관련 부분을 고려하고 이를 현지에서 자료를 생산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삼을 것을 제안합니다.
However, it should also be apparent to readers that the evidence base is limited in all ways it can be synthesized. We were not able to determine an optimum level of patient involvement to demonstrate benefits of this method of teaching and the lack of detail of content, pedagogy, and curricula preclude many of these studies being replicated accurately. Similarly, we were unable to identify which aspects of the interventions worked most effectively, for whom, in what circumstances and in particular how to optimize the type of involvement from the user perspective to ensure an optimal relationship. We cannot give extensive evidence of content or theory, however, would suggest clinical teachers consider the relevant sections of the results that do report the limited high-quality evidence in this area and use this as a starting point for local production of resources.

추가 연구를 위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이 체계적 문헌고찰은 맥락과 학습 과정을 탐색하여 결과를 학습 이론 개념에 매핑하고 개입이 효과가 있는 이유를 설명함으로써 의료 교육에서 사용자 참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 필요한 교육적으로 강력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향후 중점적으로 연구해야 할 핵심 영역으로, Towle과 같은 프레임워크의 맥락에서 [수행한 작업과 이러한 선택이 이루어진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연구입니다. 이는 연구 조사 방법론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며, 비록 미흡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대신 저자는 자신이 ['무엇을' 가르쳤는지를 충분히 제시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제시]하기만 하면 됩니다. [학습 목표, 제작된 콘텐츠, 커리큘럼 맵, 심지어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 이론적 또는 개념적 요소]까지 제시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거나 어렵지 않습니다. 이러한 보고는 의학교육에서 환자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증거적 합의를 형성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This systematic review has highlighted a lack of educationally robust studies which are needed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user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by exploring context and learning processes which would then map outcomes to learning theory concepts and explain why an intervention works. This is a key area for future focus, with studies specifically describing what they have done in the context of a framework, such as Towle’s, as well as why these choices were made. This is not hinged on the methodology of investigation of studies, which while poor, is not integral to meeting this concern. Instead, authors simply need to present their education in a manner that fully presents ‘what’ teaching they have done. It is not costly or difficult to present learning objectives, content produced, curriculum maps and even the theoretical or conceptual elements employed to support production. Such reporting may then to start to form an evidential agreement as to how patients are best employed within medical education.

또한 [학습 이론을 채택한 연구]는 환자/사용자 참여의 다양한 측면의 가치를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 경험을 공유하여 환자 중심의 진료를 유도하거나,
  • 학습자의 대인관계 기술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의사소통 및 병력 기록 기술을 향상시키거나,
  • 자신의 상태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교수진 대신 전문가 교육을 제공하는 등

[학습자가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참여를 통해 무엇을 얻는지] 등 [학습자의 관점에서 결과]를 측정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가치value]를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참여를 촉진하는 데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리소스에 대한 보고]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향후 논문을 작성하는 데 큰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되며 증거 기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Studies also adopting learning theories would enable a clearer picture of the value of the different aspects of patient/user involvement –

  • whether this is to elicit patient-centered care by sharing their experiences,
  •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history-taking skills by giving immediate feedback on learners’ interpersonal skills, or
  • by using their knowledge of their own condition to give expert instruction in place of faculty educators.

Measuring outcom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is also needed, such as how they perceive their role and what they gain from involvement. Finally, the value must always be considered and reporting on the resources directly or indirectly needed to facilitate such involvement is vital. It is worth noting that none of these elements should massively encumber writers of future papers and could hugely impact the evidence base.

결론
Conclusions

최근 의학교육에서 환자의 참여를 탐구하는 논문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보고서가 학계나 교육 분야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들은 다양한 참여 방법을 탐구하고 환자 또는 서비스 사용자를 교육 개입에 참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자 참여는 실용적인 임상 기술, 병력 청취 및 면담 기술, 의사소통 및 공감에 대한 인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전체적인 치료에서 환자 중심의 관점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학 교육을 풍부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육기관 수준에서 또는 실제로 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는 수준에서 환자가 참여하는 정도는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이러한 개입의 결과도 진전되지 않았습니다. 환자의 참여가 교육적 맥락에서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실무에서도 학습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필요합니다. 또한 교육학에 대한 보고도 부족합니다. 

Despite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cations exploring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these reports fail to move the scholarly or teaching field forward. The studies explore a wide range of methods of involvement and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involving patients or service users in educational interventions. They show that patient involvement can effectively deliver practical clinical skills, history taking and interview skills, enhanced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and can enrich medical education by allowing learners to explore patient-centered perspectives in holistic care. However, the extent to which patients are involved at an institutional level or, indeed, at the level of designing educational curricula, has not improved. Nor has the outcomes of these interventions progressed. We need to see evidence of patient involvement benefitting learners not just in an educational context, but in professional practice. There is also a lack of reporting of pedagogy, content, curricula or any other key elements that facilitate dissemination or replication of research methods to involve patients and service users. Future studies must be underpinned by clear and relevant theory,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pedagogy and reported in a fashion that supports evidence-based replication and dissemination of patient and service users in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20 Jan;42(1):4-16. doi: 10.1080/0142159X.2019.1652731. Epub 2019 Sep 13.

 

Patient/service user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58

Affiliations collapse

1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Preston, UK.

2Families Division, Blackpool Teaching Hospitals NHS Foundation Trust, Blackpool, UK.

PMID: 31518544

DOI: 10.1080/0142159X.2019.1652731

Abstract

Background: The extent to which patients and service users are involved in medical education varies widely. There is a need for an up to date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hat examines what involvement (description), the potential outcome of such involvement (justification) and 'why' such involvement impacts students (clarification).Methods: Systematic searches of four databases were undertaken. Citations were screened and consensus reached for inclusion/exclusion of studies. Quality of study design and interventional presentation were assessed.Results: Of the 39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4 studies were encounter based, 17 sharing experiences, 16 with patients involved in teaching, 2 studies describing consumers as tutors, and none with involvement at the institutional level. Outcomes in terms of benefits to learners included increased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illness as experienced by patients, improved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a greater understanding of patient-center care. Educational quality assessment showed specific weaknesses in theoretical underpinning, curriculum outcomes, content or pedagogy.Conclusions: Patients can enrich medical education by allowing learners to explore patient-centered perspectives in holistic care. For educators this review highlights the lack of an underpinning conceptual basis for which to translate theory into practice.

양적연구 질문과 질적연구 질문 및 가설 작성의 실용 가이드 (J Korean Med Sci. 2022)
A Practical Guide to Wri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in Scholarly Articles
Edward Barroga 1 and Glafera Janet Matanguihan

 

 

서론
INTRODUCTION

과학 연구는 일반적으로 증거에 기반한 연구 질문을 제기한 다음 가설로 명시적으로 재구성하여 시작합니다.1, 2 가설은 연구를 안내하는 방향, 해결책, 설명 및 예상 결과를 제공합니다.3, 4 연구 질문과 가설은 모두 본질적으로 기존 이론과 실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공식화되어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고 아이디어의 윤리적 테스트를 허용합니다.5, 6
Scientific research is usually initiated by posing evidenced-based research questions which are then explicitly restated as hypotheses.1, 2 The hypotheses provide directions to guide the study, solutions, explanations, and expected results.3, 4 Both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re essentially formulated based on conventional theories and real-world processes, which allow the inception of novel studies and the ethical testing of ideas.5, 6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모두 연구 질문과 가설을 작성해야 하므로2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모두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7 그러나 이러한 중요한 연구 요소들이 간과되는 경우가 있으며, 간과되지 않더라도 필요한 사전 고려와 세심한 주의 없이 틀을 짜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량적 또는 정성적 연구를 개발할 때, 특히 연구 질문과 가설을 개념화할 때 계획과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4 
It is crucial to have knowledg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2 as both types of research involve writ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7 However, these crucial elements of research are sometimes overlooked; if not overlooked, then framed without the forethought and meticulous attention it needs. Planning and careful consideration are needed when developing quantitative or qualitative research, particularly when conceptualiz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4

연구자들이 혁신적인 연구 질문과 가설을 세우고 이러한 요소를 신중하게 검토하는 저널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습니다.1 연구 질문과 가설을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비윤리적인 연구와 좋지 않은 결과가 이어집니다. 신중하게 수립된 연구 질문과 가설은 근거가 있는 목표를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적절한 설계, 과정 및 결과를 결정합니다. 이 글에서는 연구 질문과 가설 수립의 다양한 측면을 자세히 논의하여 연구자가 연구 질문과 가설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의료 분야의 동료 검토를 거친 과학 논문과 저자들의 예시를 통해 핵심 사항을 설명합니다. 
There is a continuing need to support researchers in the creation of innovativ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s well as for journal articles that carefully review these elements.1 When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re not carefully thought of, unethical studies and poor outcomes usually ensue. Carefully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define well-founded objectives, which in turn determine the appropriate design, course, and outcome of the study. This article then aims to discuss in detail the various aspects of craft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ith the goal of guiding researchers as they develop their own. Examples from the authors and peer-reviewed scientific articles in the healthcare field are provided to illustrate key points.

연구 질문과 가설의 정의 및 관계
DEFINITIONS AND RELATIONSHIP OF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연구 질문][데이터 분석 및 해석을 통해 연구자가 답을 얻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답은 논문의 [토론 섹션]에 길게 작성됩니다. 따라서 연구 질문은 연구 질문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다양한 부분parts과 변수]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1 [훌륭한 연구 질문]은 [연구 주제, 연구 목적, 연구 범위 및 한계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면서 [연구 작성]을 명확하게 합니다.5 
A research question is what a study aims to answer after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answer is written in length in the discussion section of the paper. Thus, the research question gives a preview of the different parts and variables of the study meant to address the problem posed in the research question.1 An excellent research question clarifies the research writing while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topic, objective, scop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5

반면에 [연구 가설]은 [예상되는 결과에 대한 교육적인 진술]입니다. 이 진술은 배경 연구와 현재 지식을 기반으로 합니다.8, 9 연구 가설은 새로운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예측10] 또는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예상 관계에 대한 공식적인 진술]입니다.3, 11 테스트하거나 탐구할 연구 질문에 대한 잠정적인 답을 제공합니다.4
On the other hand, a research hypothesis is an educated statement of an expected outcome. This statement is based on background research and current knowledge.8, 9 The research hypothesis makes a specific prediction about a new phenomenon10 or a formal statement on the expected relationship between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dependent variable.3, 11 It provides a tentative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to be tested or explored.4

[가설]은 [이론에 기반한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추론]을 사용합니다.10 가설은 아직 관찰되지 않은 이론의 구성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이론에서 발전시킬 수도 있습니다.10 가설의 타당성은 종종 재현 가능한 실험에서 이루어진 예측의 테스트 가능성에 기반합니다.8
Hypotheses employ reasoning to predict a theory-based outcome.10 These can also be developed from theories by focusing on components of theories that have not yet been observed.10 The validity of hypotheses is often based on the testability of the prediction made in a reproducible experiment.8

반대로 [가설]을 [연구 질문]으로 바꾸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과 지식에 기반한 여러 가설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윤리적 연구 질문과 가설을 개발하면 변수 간에 논리적 관계가 있는 연구 설계가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관계는 연구 수행을 위한 견고한 토대가 됩니다.4, 11 연구 질문이 임의로 구성되면 가설이 잘못 수립되고 연구 설계가 부적절해져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를 시작할 때 관련 연구 질문과 검증 가능한 가설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2
Conversely, hypotheses can also be rephrased as research questions. Several hypotheses based on existing theories and knowledge may be needed to answer a research question. Developing ethical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creates a research design that has logic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se relationships serve as a solid foundation for the conduct of the study.4, 11 Haphazardly constructed research questions can result in poorly formulated hypotheses and improper study designs, leading to unreliable results. Thus, the formulations of relevant research questions and verifiable hypotheses are crucial when beginning research.12

좋은 연구 질문과 가설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GOOD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우수한 연구 질문은 구체적이고 집중적입니다. 이러한 질문은 수집된 데이터와 관찰을 통합하여 후속 가설을 확인하거나 반박합니다. [잘 구성된 가설]은 [이전 보고서를 기반]으로 하며 [연구 맥락을 검증]합니다. 이러한 가설은 현실적이고, 심도 있고, 충분히 복잡하며, 재현 가능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13
Excellent research questions are specific and focused. These integrate collective data and observations to confirm or refute the subsequent hypotheses. Well-constructed hypotheses are based on previous reports and verify the research context. These are realistic, in-depth, sufficiently complex, and reproducible. More importantly, these hypotheses can be addressed and tested.13

잘 발달된 가설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좋은 가설은 

  • 1) 경험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7, 10, 11, 13, 
  • 2) 예비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고9, 
  • 3) 윤리적 연구에 의해 테스트할 수 있고7, 9, 
  • 4) 독창적인 아이디어에 기반하고9, 
  • 5) 증거에 기반한 논리적 추론이 있으며10, 
  • 6) 예측할 수 있습니다.11 

좋은 가설은 연구 주제와 관련된 관계 또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윤리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7, 11 처음에는 일반 이론에서 개발되고 [연역적 추론]을 통해 구체적인 가설로 분기됩니다. 가설의 근거가 되는 이론이 없는 경우, [구체적인 관찰이나 발견에 근거]한 [귀납적 추론]이 보다 일반적인 가설을 형성합니다.10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well-developed hypotheses. Good hypotheses are

  • 1) empirically testable7101113;
  • 2) backed by preliminary evidence9;
  • 3) testable by ethical research79;
  • 4) based on original ideas9;
  • 5) have evidenced-based logical reasoning10; and
  • 6) can be predicted.11 

Good hypotheses can infer ethical and positive implications,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relationship or effect relevant to the research theme.7, 11 These are initially developed from a general theory and branch into specific hypotheses by deductive reasoning. In the absence of a theory to base the hypotheses, inductive reasoning based on specific observations or findings form more general hypotheses.10

연구 질문 및 가설의 유형
TYPES OF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연구 질문과 가설은 연구 유형에 따라 개발되며, 크게 정량적 연구와 정성적 연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정량적 연구와 정성적 연구 범주에 따른 연구 질문 및 가설의 유형은 표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search, which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 provide a summary of the types of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und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categories in Table 1.

 

정량적 연구의 연구 질문
Research questions in quantitative research

정량적 연구에서 연구 질문은 조사 대상 변수 간의 관계를 묻는 질문으로, 일반적으로 연구를 시작할 때 구성됩니다. 이러한 질문은 정확하며 일반적으로 대상 집단, 종속 변수 및 독립 변수, 연구 설계와 관련이 있습니다.1

  • 연구 질문은 하나 이상의 변수와 관련하여 모집단의 행동을 설명하거나 측정할 변수의 특성을 설명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설명적 연구 질문).1, 5, 14
  • 이러한 질문은 또한 결과 변수의 맥락에서 그룹 간의 차이를 발견하거나(비교 연구 질문)1, 5, 14
  • 변수 간의 추세와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도 있습니다(관계 연구 질문).1, 5

양적 연구에서 설명적, 비교 및 관계 연구 질문의 예를 표 2에 제시하고 있습니다.

In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questions inquire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eing investigated and are usually framed at the start of the study. These are precise and typically linked to the subject populatio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research design.1 Research questions may also attempt to describe the behavior of a population in relation to one or more variables, or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to be measured (descriptive research questions).1, 5, 14 These questions may also aim to discover 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in the context of an outcome variable (comparative research questions),1, 5, 14 or elucidate trends and interactions among variables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1, 5 We provide examples of descriptive, comparative, and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 in quantitative research in Table 2.

정량적 연구의 가설
Hypotheses in quantitative research

정량적 연구에서 가설은 [변수 간의 예상 관계를 예측]합니다.15

  • 예측할 수 있는 변수 간의 관계에는
    • 1) 단일 종속변수와 단일 독립변수 간(단순 가설) 또는
    • 2) 둘 이상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복합 가설)이 포함됩니다.4, 11
  • 가설은
    • 또한 따라야 할 예상 방향을 명시하고 특정 결과에 대한 지적 약속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방향성 가설)4.
    • 반면에 가설은 정확한 방향을 예측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론이 없거나 이전 연구 결과와 모순되는 경우(비방향성 가설)에 사용됩니다. 4
  • 또한 가설은
    • 1) 변수 간의 상호 의존성을 정의하고(연관 가설),4
    • 2) 독립 변수의 조작으로 인한 종속 변수에 대한 영향을 제안하고(인과 가설),4
    • 3) 두 변수 간의 음의 관계를 진술할 수 있습니다(귀무 가설),4, 11, 15
    • 4) 기각될 경우 작동 가설을 대체(대체 가설),15 이론을 생성할 수 있는 현상들의 관계를 설명(작동 가설),11
    • 5)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정량화 가능한 변수를 포함(통계 가설),11
    • 6) 또는 상호 연관성을 논리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관계를 표현(논리적 가설)합니다. 11

In quantitative research, hypotheses predict the expected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15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at can be predicted include

  • 1) between a single dependent variable and a single independent variable (simple hypothesis) or
  • 2) between two or mor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complex hypothesis).411 

Hypotheses may also

  • specify the expected direction to be followed and imply an intellectual commitment to a particular outcome (directional hypothesis)4.
  • On the other hand, hypotheses may not predict the exact direction and are used in the absence of a theory, or when findings contradict previous studies (non-directional hypothesis).4 

In addition, hypotheses can

  • 1) define interdependency between variables (associative hypothesis),4 
  • 2) propose an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from manipulation of the independent variable (causal hypothesis),4 
  • 3) stat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null hypothesis),41115 
  • 4) replace the working hypothesis if rejected (alternative hypothesis),15 explain the relationship of phenomena to possibly generate a theory (working hypothesis),11 
  • 5) involve quantifiable variables that can be tested statistically (statistical hypothesis),11 
  • 6) or express a relationship whose interlinks can be verified logically (logical hypothesis).11 

 

정량적 연구에서 단순, 복합, 방향성, 비방향성, 연관성, 인과, 무(無), 대안, 작동, 통계적, 논리적 가설의 예와 정량적 가설 검증 연구의 정의는 표 3에 나와 있습니다.

We provide examples of simple, complex, directional, non-directional, associative, causal, null, alternative, working, statistical, and logical hypotheses in quantitative research, as well as the definition of quantitative hypothesis-testing research in Table 3.

 

질적 연구의 연구 질문
Research ques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양적 연구의 연구 질문과 달리 질적 연구의 연구 질문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재구성됩니다. 중심 질문과 관련 하위 질문은 가설보다 더 많이 명시됩니다.15 [중심 질문]은 [중심 현상]을 둘러싼 복잡한 요인들을 광범위하게 탐구하여 참여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5
Unlike research questions in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ques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are usually continuously reviewed and reformulated. The central question and associated subquestions are stated more than the hypotheses.15 The central question broadly explores a complex set of factors surrounding the central phenomenon, aiming to present the varied perspectives of participants.15

질적 연구 질문이 개발되는 목표는 다양합니다. 이러한 질문은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1) 기존 상황을 파악하고 설명하기 위해(맥락적 연구 질문),
  • 2)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술적 연구 질문),
  • 3) 기존 방법, 프로토콜, 이론 또는 절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평가 연구 질문),
  • 4) 현상을 조사하거나 대상 또는 현상 간의 이유 또는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설명적 연구 질문),
  • 5) 특정 주제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탐색적 연구 질문) 5

There are varied goals for which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are developed. These questions can function in several ways, such as to

  • 1) identify and describe existing conditions (contextual research questions);
  • 2) describe a phenomenon (descriptive research questions);
  • 3)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methods, protocols, theories, or procedures (evaluation research questions);
  • 4) examine a phenomenon or analyze the reasons or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s or phenomena (explanatory research questions); or
  • 5) focus on unknown aspects of a particular topic (exploratory research questions).5 

또한 일부 질적 연구 질문은 이론과 행동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거나(생성적 연구 질문) 특정 입장의 이념을 발전시키기도 합니다(이념적 연구 질문).1
In addition, some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provide new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theories and actions (generative research questions) or advance specific ideologies of a position (ideological research questions).1 

다른 질적 연구 질문은 기존 문헌을 기반으로 하여 작업 지침이 될 수도 있습니다(민족지적 연구 질문). 연구 질문은 기존 문헌이나 질문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 없이 광범위하게 진술될 수도 있고(현상학적 연구 질문), 어떤 과정에 대한 이론을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근거 이론 질문), 사례에 대한 설명과 새로운 주제(질적 사례 연구 질문)를 다룰 수도 있습니다. 15
Other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may build on a body of existing literature and become working guidelines (ethnographic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s may also be broadly stated without specific reference to the existing literature or a typology of questions (phenomenological research questions), may be directed towards generating a theory of some process (grounded theory questions), or may address a description of the case and the emerging themes (qualitative case study questions).15 

 표 4에는 질적 연구에서 맥락적, 서술적, 평가적, 설명적, 탐구적, 생성적, 이념적, 민족지학적, 현상학적, 근거 이론 및 질적 사례 연구 연구 질문의 예가 나와 있으며, 표 5에는 질적 가설 생성 연구의 정의가 나와 있습니다.
We provide examples of contextual, descriptive, evaluation, explanatory, exploratory, generative, ideological, ethnographic,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and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questions in qualitative research in Table 4, and the definition of qualitative hypothesis-generating research in Table 5.

 
 

 

질적 연구에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중심 연구 질문과 '어떻게' 또는 '무엇'으로 시작하는 여러 개의 하위 질문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질문은 탐구하다 또는 설명하다와 같은 탐색 동사를 사용합니다. 또한 관심 있는 하나의 중심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참여자 및 연구 사이트를 언급할 수 있습니다.15 
Qualitative studies usually pose at least one central research question and several subquestions starting with How or What. These research questions use exploratory verbs such as explore or describe. These also focus on one central phenomenon of interest, and may mention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 site.15 

질적 연구의 가설
Hypotheses in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의 가설은 [조사하고자 하는 문제와 관련된 명확한 진술]의 형태로 진술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가설을 개발하는 양적 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는 [가설 테스트와 가설 생성 결과를 모두 도출]할 수 있습니다.2 연구에 양적 연구 질문과 질적 연구 질문이 모두 필요한 경우, 이는 두 연구 방법 간의 통합 프로세스를 통해 하나의 혼합 방법 연구 질문을 개발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1
Hypotheses in qualitative research are stated in the form of a clear statement concerning the problem to be investigated. Unlike in quantitative research where hypotheses are usually developed to be tested, qualitative research can lead to both hypothesis-testing and hypothesis-generating outcomes.2 When studies requir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this suggests an integrative process between both research methods wherein a single mixed-methods research question can be developed.1

연구 질문 및 가설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FRAMEWORKS FOR DEVELOP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연구 질문과 가설을 개발해야 합니다.1, 12, 14 연구자와 과학계 모두에게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실현 가능한 연구 질문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이전 연구와 현재 연구를 면밀히 검토하여 새로운 주제를 설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후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춰 윤리적 연구 질문을 생성합니다. 연구 질문의 관련성은 결과 데이터의 명확성, 방법론의 구체성, 결과의 객관성, 연구의 깊이, 연구의 영향력 측면에서 평가됩니다.1, 5 이러한 측면이 FINER 기준(즉, 실현 가능, 흥미, 참신, 윤리적, 관련성)을 구성합니다.1 연구 질문이 FINER 기준을 충족하면 명확성과 효과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Ratan 등은 연구 질문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FINER 기준 외에도 초점, 복잡성, 참신성, 실현 가능성 및 측정 가능성을 설명했습니다.14 
Research questions followed by hypotheses should be developed before the start of the study.1, 12, 14 It is crucial to develop feasible research questions on a topic that is interesting to both the researcher and the scientific community. This can be achieved by a meticulous review of previous and current studies to establish a novel topic. Specific areas are subsequently focused on to generate ethical research questions.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questions is evaluated in terms of clarity of the resulting data, specificity of the methodology, objectivity of the outcome, depth of the research, and impact of the study.1, 5 These aspects constitute the FINER criteria (i.e., Feasible, Interesting, Novel, Ethical, and Relevant).1 Clarity and effectiveness are achieved if research questions meet the FINER criteria. In addition to the FINER criteria, Ratan et al. described focus, complexity, novelty, feasibility, and measurability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research questions.14

연구 질문을 개발할 때 PICOT 및 PEO 프레임워크도 사용됩니다.1 이러한 프레임워크에서 다루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PICOT: P-인구/환자/문제, I-연구 중인 중재 또는 지표, C-비교군, O-관심 결과, T-연구 기간;
  • PEO: P-연구 대상 인구, E-기존 질환에 대한 노출, O-관심 결과.1
  • 연구 질문도 "정밀지도" 프레임워크에 부합하면 좋은 것으로 간주됩니다: 실현 가능, 흥미로움, 참신함, 윤리적, 관련성, 관리 가능, 적절함, 잠재적 가치/출판 가능, 체계적.14

The PICOT and PEO frameworks are also used when developing research questions.1 The following elements are addressed in these frameworks,

  • PICOT: P-population/patients/problem, I-intervention or indicator being studied, C-comparison group, O-outcome of interest, and T-timeframe of the study;
  • PEO: P-population being studied, E-exposure to preexisting conditions, and O-outcome of interest.1 
  • Research questions are also considered good if these meet the “FINERMAPS” framework: Feasible, Interesting, Novel, Ethical, Relevant, Manageable, Appropriate, Potential value/publishable, and Systematic.14

앞서 언급했듯이, 연구 질문과 가설을 신중하게 수립하지 않으면 비윤리적인 연구나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양적 연구(표 6)16 및 질적 연구(표 7)17에서 불명확하고 취약한 연구 목표를 초래하는 모호한 연구 질문 및 가설의 몇 가지 예와 이러한 모호한 연구 질문 및 가설을 명확하고 좋은 진술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As we indicated earlier,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that are not carefully formulated result in unethical studies or poor outcomes. To illustrate this, we provide some examples of ambiguous research question and hypotheses that result in unclear and weak research objectives in quantitative research (Table 6)16 and qualitative research (Table 7)17, and how to transform these ambiguous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is(es) into clear and good statements.

 
연구 질문 및 가설 구성
CONSTRUCT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효과적인 연구 질문과 가설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 1) 연구 배경을 명확히 하고
  • 2) 연구 시작 시 특정 기간 내에 연구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9 그런 다음
  • 3) 이론과 선행 연구를 검토하거나 예비 연구를 수행하여 가능한 연구 질문에 대한 모든 지식을 수집합니다.18 그 후
  • 4) 연구 문제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 질문을 구성합니다. 연구 질문에서 접근해야 할 변수를 식별하고4 연구 문제와 질문에서 구성 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립니다. 그 후,
  • 5) 가설의 형태로 구체적인 연역적 또는 귀납적 예측을 구성합니다.4 마지막으로,
  • 6) 연구 목표를 명시합니다.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효과적인 연구 질문과 가설을 구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흐름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To construct effectiv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it is very important to

1) clarify the background and
2)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at the outset of the research, within a specific timeframe.9 Then,
3) review or conduct preliminary research to collect all available knowledge about the possible research questions by studying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18 Afterwards,
4) construct research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 Identify variables to be accessed from the research questions4 and make operational definitions of constructs from the research problem and questions. Thereafter,
5) construct specific deductive or inductive predictions in the form of hypotheses.4 Finally,
6) state the study aims.

This general flow for constructing effectiv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prior to conducting research is shown in Fig. 1.

질적 연구에서 [연구 질문]은 목적이나 가설보다 더 자주 사용됩니다.3 이러한 질문은 "무엇을" 또는 "어떻게"라고 질문하여 경험을 발견, 이해, 탐구 또는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질문은 변수를 연관시키거나 그룹을 비교하기보다는 설명을 이끌어내기 위한 개방형 질문입니다. 질적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질문은 지속적으로 검토, 재구성 및 변경됩니다.3 또한 연구 질문은 변수와 그 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정량적 연구의 실험에서 가설보다 설문조사 프로젝트에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
Research questions are used more frequently in qualitative research than objectives or hypotheses.3 These questions seek to discover, understand, explore or describe experiences by asking “What” or “How.” The questions are open-ended to elicit a description rather than to relate variables or compare groups. The questions are continually reviewed, reformulated, and changed during the qualitative study.3 Research questions are also used more frequently in survey projects than hypotheses in experiments in quantitative research to compare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가설]은 확인된 변수를 바탕으로 '특정 행동을 취하면 특정 결과가 예상된다'는 템플릿에 따라 if-then 문장으로 구성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결과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해야 합니다.18 그런 다음 조작할 변수(독립변수)와 영향을 받을 변수(종속변수)를 정의합니다.4 그 후 가설을 진술하고 구체화하며 가설에 맞는 재현 가능한 데이터를 식별, 수집, 분석합니다.4 가설은 테스트 가능하고 구체적이어야 하며,18 변수와 변수 간의 관계, 연구 대상 특정 집단, 예측되는 연구 결과를 기술해야 합니다.18 가설 구성에는 이론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테스트 가능한 명제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분리되어 별도로 측정되어야 합니다.3 따라서 좋은 가설은 연구 또는 시험을 시작할 때 구성한 좋은 연구 질문에 기반해야 합니다.12
Hypotheses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variables identified and as an if-then statement, following the template, ‘If a specific action is taken, then a certain outcome is expected.’ At this stage, some ideas regarding expectations from the research to be conducted must be drawn.18 Then, the variables to be manipulated (independent) and influenced (dependent) are defined.4 Thereafter, the hypothesis is stated and refined, and reproducible data tailored to the hypothesis are identified, collected, and analyzed.4 The hypotheses must be testable and specific,18 and should describe the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specific group being studied, and the predicted research outcome.18 Hypotheses construction involves a testable proposition to be deduced from theory, an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o be separated and measured separately.3 Therefore, good hypotheses must be based on good research questions constructed at the start of a study or trial.12

요약하면, [연구 질문]은 [연구의 배경]을 설정한 후 구성됩니다. 그런 다음 [연구 질문]에 따라 [가설을 개발]합니다. 따라서 우수한 가설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연구 질문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 질문에 따라 연구 목표와 연구 설계가 결정되고 궁극적으로 연구 결과가 결정됩니다.12 연구 질문과 가설을 구축하는 알고리즘은 정량적 연구의 경우 그림 2에, 질적 연구의 경우 그림 3에 나와 있습니다.
In summary,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after establishing the background of the study. Hypotheses are then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Thus, it is crucial to have excellent research questions to generate superior hypotheses. In turn, these would determine the research objectives and the design of the study, and ultimately, the outcome of the research.12 Algorithms for build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re shown in Fig. 2 for quantitative research and in Fig. 3 for qualitative research.

 

 

 

결론
CONCLUSION

연구 질문과 가설은 정량적이든 정성적이든 모든 유형의 연구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질문은 연구를 시작할 때 개발해야 합니다. 훌륭한 연구 질문은 나침반처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을 결정할 수 있는 훌륭한 가설로 이어집니다. 많은 연구가 실패한 이유는 연구 질문과 그에 따른 가설을 개발하는 데 충분한 고민과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연구 질문과 가설의 개발은 문헌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과 지식 격차에 대한 통찰력 있는 파악을 바탕으로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집중적이고 간결하며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연구 결과에 대한 공식적인 예측 역할을 하는 가설을 구성하는 데 강력한 토대를 제공합니다. 연구 질문과 가설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연구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연구를 계획할 때 신중하게 생각하고 가설을 세워야 합니다. 이는 연구의 설계, 과정 및 결과를 결정하는 근거 있는 목표를 정의함으로써 비윤리적인 연구와 부실한 결과를 방지합니다.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re crucial components to any type of research, whether quantitative or qualitative. These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study. Excellent research questions lead to superior hypotheses, which, like a compass, set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can often determine the successful conduct of the study. Many research studies have floundered becaus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questions and subsequent hypotheses was not given the thought and meticulous attention needed. The development of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is an iterative process based on extensive knowledge of the literature and insightful grasp of the knowledge gap. Focused, concise, an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provide a strong foundation for constructing hypotheses which serve as formal predictions about the research outcomes.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are crucial elements of research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y should be carefully thought of and constructed when planning research. This avoids unethical studies and poor outcomes by defining well-founded objectives that determine the design, course, and outcome of the study.

 

 
EXAMPLES OF RESEARCH QUESTIONS FROM PUBLISHED ARTICLES
 
  • EXAMPLE 1. Descriptive research question (quantitative research)
  • - Presents research variables to be assessed (distinct phenotypes and subphenotypes)
  • “BACKGROUND: Since COVID-19 was identified, its clinical and biological heterogeneity has been recognized. Identifying COVID-19 phenotypes might help guide basic, clin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efforts.
  • RESEARCH QUESTION: Does the clinical spectrum of patients with COVID-19 contain distinct phenotypes and subphenotypes?19

 

  • EXAMPLE 2.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 (quantitative research)
  • - Shows interactions between dependent variable (static postural control) and independent variable (peripheral visual field loss)
  • “Background: Integration of visual, vestibular, and proprioceptive sensations contributes to postural control. People with peripheral visual field loss have serious postural instability. However, the directional specificity of postural stability and sensory reweighting caused by gradual peripheral visual field loss remain unclear.
  •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effects of peripheral visual field loss on static postural control?”20

 

  • EXAMPLE 3. Comparative research question (quantitative research)
  • - Clarifies the difference among groups with an outcome variable (patients enrolled in COMPERA with moderate PH or severe PH in COPD) and another group without the outcome variable (patients with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IPAH))
  • “BACKGROUND: Pulmonary hypertension (PH) in COPD is a poorly investigated clinical condition.
  • RESEARCH QUESTION: Which factors determine the outcome of PH in COPD?
  • STUDY DESIGN AND METHOD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patients enrolled in the Comparative, Prospective Registry of Newly Initiated Therapies for Pulmonary Hypertension (COMPERA) with moderate or severe PH in COPD as defined during the 6th PH World Symposium who received medical therapy for PH and compared them with patients with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IPAH).”21
  • EXAMPLE 4. Exploratory research question (qualitative research)
  • - Explores areas that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perspectives of families and children who receive care in clinic-based child obesity treatment)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roblem
  • “Problem: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obesity lead to only modest improvements in BMI and long-term outcomes, and data are limited on the perspectiv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obesity in clinic-based treatment. This scoping review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known about the perspectives of families and children who receive care in clinic-based child obesity treatment? This review aims to explore the scope of perspectives reported by families of children with obesity who have received individualized outpatient clinic-based obesity treatment.”22
  • EXAMPLE 5.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 (quantitative research)
  • - Defines interactions between dependent variable (use of ankle strategies) and independent variable (changes in muscle tone)
  • “Background: To maintain an upright standing posture against external disturbances, the human body mainly employs two types of postural control strategies: “ankle strategy” and “hip strategy.” Whil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agnitude of the disturbance alters the use of postural control strategies, it has not been elucidated how the level of muscle tone, one of the crucial parameters of bodily function, determines the use of each strategy. We have previously confirmed using forward dynamics simulations of human musculoskeletal models that an increased muscle tone promotes the use of ankle strategi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erimentally evaluate a hypothesis: an increased muscle tone promotes the use of ankle strategies. Research question: Do changes in the muscle tone affect the use of ankle strategies?”23

 

EXAMPLES OF HYPOTHESES IN PUBLISHED ARTICLES

  • EXAMPLE 1. Working hypothesis (quantitative research)
  • - A hypothesis that is initially accepted for further research to produce a feasible theory
  • “As fever may have benefit in shortening the duration of viral illness, it is plausible to hypothesize that the antipyretic efficacy of ibuprofen may be hindering the benefits of a fever response when taken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VID-19 illness.”24
  • “In conclusion, it is plausible to hypothesize that the antipyretic efficacy of ibuprofen may be hindering the benefits of a fever response. The difference in perceived safety of these agents in COVID-19 illness could be related to the more potent efficacy to reduce fever with ibuprofen compared to acetaminophen. Compelling data on the benefit of fever warrant further research and review to determine when to treat or withhold ibuprofen for early stage fever for COVID-19 and other related viral illnesses.”24
  • EXAMPLE 2. Exploratory hypothesis (qualitative research)
  • - Explores particular areas deeper to clarify subjective experience and develop a formal hypothesis potentially testable in a future quantitative approach
  • “We hypothesized that when thinking about a past experience of help-seeking, a self distancing prompt would cause increased help-seeking intentions and more favorable help-seeking outcome expectations.”25
  • “Conclusion
  • Although a priori hypotheses were not supported,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as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for using self-distancing approaches to increasing help-seeking among some people with depressive symptomatology.”25
  • EXAMPLE 3. Hypothesis-generating research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hypothesis testing (qualitative research)
  • “We hypothesize that compassionate care is beneficial for patients (better outcomes), healthcare systems and payers (lower costs), and healthcare providers (lower burnout).26
  • “Conclusion
  • Compassionomics is the branch of knowledge and scientific study of the effects of compassionate healthcare. Our main hypotheses are that compassionate healthcare is beneficial for (1) patients, by improving clinical outcomes, (2) healthcare systems and payers, by supporting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3) HCPs, by lowering burnout and promoting resilience and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scientific framework for testing the hypotheses above. If these hypotheses are confirmed through rigorous research, compassionomics will belong in the science of evidence-based medicine, with major implications for all healthcare domains.”26
  • EXAMPLE 4. Statistical hypothesis (quantitative research)
  • - An assumption is made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sever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ADHD). Validity is tested by statistical experiment or analysis (chi-square test, Students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Our research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ADHD in a Japanese clinical sample. Due to unique Japanese cultural ideals and expectations of women's behavior that are in opposition to ADHD symptoms, we hypothesized that women with ADHD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and present more dysfunctions than men. We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women with ADHD have more comorbidities than men with ADHD; second, women with ADHD experience more social hardships than men, such as having less full-time employment and being more likely to be divorced.”27
  • “Statistical Analysis
  • (text omitted) Between-gender comparisons were made using the chi-squared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Students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text omitt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and comorbidity to evaluate the independent effects of gender on these dependent variables.”27

 

EXAMPLES OF HYPOTHESIS AS WRITTEN IN PUBLISHED ARTICLES IN RELATION TO OTHER PARTS

  • EXAMPLE 1. Background, hypotheses, and aims are provided
  • BACKGROUND
  • “Pregnant women need skilled care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but that skilled care is often delayed in some countries …(text omitted). The focused antenatal care (FANC) model of WHO recommends that nurses provide information or counseling to all pregnant women …(text omitted). Job aids are visual support materials that provide the right kind of information using graphics and words in a simple and yet effective manner. When nurses are not highly trained or have many work details to attend to, these job aids can serve as a content reminder for the nurses and can be used for educating their patients (Jennings, Yebadokpo, Affo, & Agbogbe, 2010) (text omitted). Importantly, additional evidence is needed to confirm how job aids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ANC counseling by health workers in maternal care …(text omitted)”28
  • HYPOTHESES
  • This has led us to hypothesize that the quality of ANC counseling would be better if supported by job aids. Consequently, a better quality of ANC counseling is expected to produce higher levels of awareness concerning the danger signs of pregnancy and a more favorable impression of the caring behavior of nurses.”28
  • AIMS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of pregnant women to a job aid-supported intervention during ANC visit in terms of 1) their understanding of the danger signs of pregnancy and 2) their impression of the caring behaviors of nurses to pregnant women in rural Tanzania.”28
 
  • EXAMPLE 2. Background, hypotheses, and aims are provided
  • BACKGROUND
  • “We conducted a two-arm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to evaluate and compare changes in salivary cortisol and oxytocin levels of first-time pregnant wome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ouched and held an infant for 30 min (experimental intervention protocol), whereas those in the control group watched a DVD movie of an infant (control intervention protocol). The primary outcome was salivary cortisol level and the secondary outcome was salivary oxytocin level.”29
  • HYPOTHESIS
  • We hypothesize that at 30 min after touching and holding an infant, the salivary cortisol level will significantly decrease and the salivary oxytocin level will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29
  • EXAMPLE 3. Background, aim, and hypothesis are provided
  • BACKGROUND
  • “In countries where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remains high, antenatal education to increase Birth Preparedness and Complication Readiness (BPCR) is considered one of the top priorities [1]. BPCR includes birth plans during the antenatal period, such as the birthplace, birth attendant, transportation, health facility for complications, expenses, and birth materials, as well as family coordination to achieve such birth plans. In Tanzania, although increasing, only about half of all pregnant women attend an antenatal clinic more than four times [4]. Moreover, the information provided during antenatal care (ANC) is insufficient. In the resource-poor settings, antenatal group education is a potential approach because of the limited time for individual counseling at antenatal clinics.”30
  • AIM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 antenatal group education program among pregnant women and their families with respect to birth-preparedness and maternal and infant outcomes in rural villages of Tanzania.”30
  • HYPOTHESIS
  • The study hypothesis was if Tanzanian pregnant women and their families received a family-oriented antenatal group education, they would (1) have a higher level of BPCR, (2) attend antenatal clinic four or more times, (3) give birth in a health facility, (4) have less complications of women at birth, and (5) have less complications and deaths of infants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education.”30

 


 

 

J Korean Med Sci. 2022 Apr 25;37(16):e121. doi: 10.3346/jkms.2022.37.e121.

 

A Practical Guide to Wri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in Scholarly Articles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Nursing Science, St. Luke's International University, Tokyo, Japan. edward-barroga@slcn.ac.jp.

2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Messiah University, Mechanicsburg, PA, USA.

PMID: 35470596

PMCID: PMC9039193

DOI: 10.3346/jkms.2022.37.e12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subsequent hypotheses are prerequisites to defining the main research purpose and specific objectives of a study. Consequently, these objectives determine the study design and research outcom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questions is a process based on knowledge of current trends, cutting-edge studies, and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research field. Excellent research questions are focused and require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being investigated. Initially, research questions may be written as descriptive questions which could be developed into inferential questions. These questions must be specific and concise to provide a clear foundation for developing hypotheses. Hypotheses are more formal predictions about the research outcomes. These specify the possible results that may or may not be expecte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s. Thus,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clarify the main purpose and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which in turn dictate the design of the study, its direction, and outcome. Studies developed from good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ill have trustworthy outcomes with wide-ranging social and health implications.

Keywords: Hypotheses;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Questions.

전공의 역량 검토: 수행능력 평가에 CCC의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Acad Med, 2015)
Reviewing Residents’ Competence: A Qualitative Study of the Role of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in Performance Assessment 
Karen E. Hauer, MD, Benjamin Chesluk, PhD, William Iobst, MD, Eric Holmboe, MD, Robert B. Baron, MD, Christy K. Boscardin, PhD, Olle ten Cate, PhD, and Patricia S. O’Sullivan, EdD 

 

의학교육자는 수련의의 성과를 평가하여 수련의가 고품질의 안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는지 판단합니다. 점점 더 많은 대중은 교육 프로그램에 미래의 의사가 독립적인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준비된 프로세스가 마련되어 있기를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의 교육자들은 [의사가 수행해야 할 바람직한 특성]을 명확히 하고 평가의 근거로 삼기 위해 역량을 정의하고 최근에는 [마일스톤을 정의]했습니다.1-3 
Medical educators assess trainees’ performance to determine whether they have achieved competence to provide high-quality, safe medical care. Increasingly, the public has come to expect that training programs have processes in place to ensure that future physicians are prepared for independent practice. Educators around the world have defined competencies, and more recently milestones, to articulate the desired characteristics of physicians’ performance and to serve as the basis for assessment.1–3

과거에는 특정 분야의 레지던트 수련을 [정해진 기간] 동안 [공인된 프로그램]에서 이수하는 것으로 거의 모든 수련의의 진료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정의했지만, 이제는 [역량을 확인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역량 및 이정표 기반 교육은 모든 수련의가 [의료행위에 대비]하고 [주요 활동에 능숙]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4,5 이정표는 개별 학습 요구에 맞춘 일관되고 논리적인 경험의 순서로서 레지던트의 학습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 역할을 하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역량]의 [추상적인 특성]으로 인해 사용이 복잡할 수 있지만,6 [마일스톤]은 [특정 역량 영역에서 평가할 진행 상황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Whereas the completion of residency training within a specific discipline in an accredited program after a prescribed number of years has historically defined readiness for practice for nearly all trainees, mechanisms to confirm competence are now receiving closer scrutiny. Competency- and milestones-based education seeks to ensure that all trainees are prepared for practice and competent in key activities.4,5 Milestones are intended to serve as a framework to support residents’ learning as a coherent and logical sequence of experiences tailored to individual learning needs. Although the abstract nature of competencies can complicate their use,6 milestones aim to clarify progress to be assessed in specific competency domains.

의학전문대학원(GME) 프로그램 디렉터는 항상 레지던트의 성과를 모니터링할 책임이 있었지만, 미국에서는 이제 [차기 인증 시스템(NAS)7]에 따라 [GME 프로그램 내에서 임상역량위원회(CCC)]가 [레지던트의 점진적인 역량 달성을 측정]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2013년부터 CCC는 모든 레지던트 평가를 반기별로 검토하고 주요 성과를 의학전문대학원교육인증위원회(ACGME)에 보고해야 합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의무화에는 이러한 위원회가 역량 판단을 내리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업무에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이 없는 질문이 있습니다. [무엇을 평가할 것인지], [어떻게 정보를 종합하여 수련의의 성과에 대한 판단을 내릴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검토 과정의 목적에 대한 기본 가정을 반영합니다.8,9 CCC가 이용할 수 있는 정보 출처, 이 정보를 공유하고 사용하는 방식, 의사 결정 책임에 대한 인식은 모두 수련생과 환자에 대한 책임의 범위와 성격에 대한 이해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수련의의 성과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승진을 권고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수련의가 [향후 임상 업무를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신뢰한다는 판단]에 해당합니다.10
Though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program directors have always been responsible for monitoring residents’ performance, in the United States, the Next Accreditation System (NAS)7 now requires that, within GME programs,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CCCs) measure residents’ progressive attainment of competence. As of 2013, CCCs must review all resident evaluations semiannually and report on milestones to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ACGME).1 Nonetheless, this mandate comes with unanswered questions about how these committees should approach their work to render judgments of competence. Decisions about what will be evaluated and how information will be synthesized into a judgment about a trainee’s performance reflect underlying assumptions about the purposes of the review process.8,9 The information sources available to CCCs, the ways that they share and use this informa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their decision-making accountability all may reflect their understanding of the scope and nature of their responsibilities toward trainees and patients. Synthesizing information about a trainee’s performance into a recommendation for advancement ultimately constitutes a judgment to trust the trainee to perform future clinical work independently and unsupervised.10

본 연구는 전공의의 역량 개발을 안내하고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성과 정보를 해석하는 관점에서 [GME에서 CCC의 현황]을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현재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CCC가 의무화되었지만, 이들의 업무를 안내할 수 있는 정보는 문헌에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러한 위원회가 자신의 임무에 어떻게 접근하거나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또는 운영이 의도와 어떻게 일치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는 레지던트 CCC의 특성, 목적에 대한 이해, 레지던트의 역량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성과 정보를 사용하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 결과는 교육자가 평가와 커리큘럼 설계, 학습 및 결과 간의 관계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되는 현재 관행을 파악할 것입니다. GME 평가의 중추적인 시기에 연구 결과는 CCC 과정의 리더이자 최종 사용자로서 프로그램 디렉터가 레지던트의 역량 보장에 대한 책임과 책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guiding and ensuring residents’ development of competence, this study sought to describe the current state of CCCs in GME. Although CCCs are now required in residency programs, little information exists in the literature to guide their work. In addition, how these committees approach their charge or perceive their purpose, or how their operations align with their intentions, remains unknown.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residency CCCs, understandings of their purpose, and the ways in which they use performance information to make judgments about residents’ competence. Study results will identify current practices to help educators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and curricular design, learning, and outcomes. At a pivotal time for assessment in GME, study findings can provide baseline insights about how program directors, as both leaders and end users of the CCC process, perceive their charge and their accountability for ensuring residents’ competence.

연구 방법
Method

연구 설계
Study design

이 질적 연구는 데이터의 검사, 코딩, 해석을 통해 현상을 설명하고 주제를 파악하는 전통적인 내용 분석을 사용했습니다.11 연구자들은 2013년 캘리포니아에 있는 5개 기관의 레지던트 프로그램 디렉터들과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했습니다. 연구자들은 프로그램마다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디렉터들의 CCC 절차에 대한 인식과 달성한 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의 기관윤리심의위원회는 이 연구를 승인했습니다. 
This qualitative study used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which seeks to describe a phenomenon through the examination, coding, and interpretation of data to identify themes.11 The investigator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residency program directors at five institutions in California in 2013. Anticipating variability across programs, the investigators used interview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program directors’ perceptions of their CCC procedures and the results achieved.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approved this study.

연구팀에는 성과 평가 연구 및 수행 경험이 있고 학생 역량 위원회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연구 책임자(K.E.H.)가 포함되었습니다. 인터뷰를 수행한 연구 조교는 질적 인터뷰 및 연구 경험이 풍부했습니다. 나머지 팀원들은 연구 방법(B.C., C.K.B., O.T.C., P.S.O.)과 여러 기관의 역량 기반 교육(W.I., E.H., R.B.B.)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The research team included the principal investigator (K.E.H.), who had experience studying and conduct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had served on a student competency committee. The research assistant, who conducted the interviews, had extensive experience in qualitative interviewing and research. The remaining team members brought expertise in research methods (B.C., C.K.B., O.T.C., P.S.O.)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cross institutions (W.I., E.H., R.B.B.).

표본
Sample

응답의 다양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조사자들은 데이비스, 어바인, 로스앤젤레스, 샌디에이고,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의과대학의 레지던트 프로그램 디렉터들을 대상으로 [계층화된 의도적 표본 추출12]을 선택했습니다. 프로그램은 [대규모 또는 소규모]로, [절차적 또는 비절차적 프로그램]으로 분류되었습니다(보충 디지털 부록 1 참조). 연구자들은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고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해 [난수 생성기]를 사용하여 각 참여 기관에서 [8개의 레지던트 프로그램(대규모 절차적 프로그램 3개, 대규모 비절차적 프로그램 3개, 소규모 절차적 프로그램 1개, 소규모 비절차적 프로그램 1개)을 선정]하고 해당 프로그램의 책임자를 참여하도록 초청했습니다. 1차 인터뷰 후, 각 참여 기관의 프로그램 책임자를 추가로 초청했으며, 연구자들은 각 기관의 각 범주(대규모 절차적, 대규모 비절차적, 소규모 절차적, 소규모 비절차적)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추가 참가자를 통해 포화 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To maximize diversity of responses, the investigators chose stratified purposive sampling12 of residency program director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chools of Medicine at Davis, Irvine, Los Angeles, San Diego, and San Francisco. Programs were classified as larger or smaller and as procedural or nonprocedural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A277). Using a random number generator to increase generalizability and assure representation, the investigators selected eight residency programs from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 (three large procedural, three large nonprocedural, one small procedural, one small nonprocedural) and invited the directors of those programs to participate. After the initial interviews, additional program directors from each of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were invited—the investigators randomly selected one program from each category at each institution (large procedural, large nonprocedural, small procedural, small nonprocedural). They anticipated achieving saturation with these additional participants.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연구 책임자(K.E.H.)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의 펠로우십 디렉터와 세 차례의 파일럿 인터뷰를 실시하여 [인터뷰 가이드를 명확하게 수정]했습니다. 연구팀은 각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요건과 집단 의사 결정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여 [인터뷰 질문을 개발]했으며, 각자의 전문 지식도 활용했습니다.
The principal investigator (K.E.H.) conducted three pilot interviews with fellowship director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and refined the interview guide for clarification. The research team developed the interview questions by reviewing the program requirements for each residency program and the literature on group decision making; they also drew on their expertise.

잠재적 참가자에게는 이메일 참여 초대장을 보냈습니다. 응답하지 않은 참가자에게는 최대 3번의 후속 이메일 초대를 보냈습니다. 참가자들은 구두 동의를 한 후 7가지 항목의 전자 설문지와 1회의 인터뷰를 완료했습니다. 설문지에는 참가자의 전문 분야, 성별, 나이, CCC 의장, 프로그램 디렉터 및 부프로그램 디렉터로 활동한 기간,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공의 수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습니다. 숙련된 연구 보조원은 2013년 1월부터 5월까지, 7개의 1단계 전문과목에 대한 NAS의 역량 위원회 구성 요건을 준수하기 위한 2013년 7월 마감일 발표 이후부터 그 직전까지 각 참가자와 약 30분 동안 전화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13 인터뷰는 녹음되었으며, 전문 전사 서비스에서 이를 그대로 옮겨 적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보상을 받지 않았습니다.
Potential participants received an e-mail invitation to participate. Nonrespondents received up to three follow-up e-mail invitations. Participants provided verbal consent and completed a seven-item electronic questionnaire and one interview. The questionnaire queried the participant’s specialty; gender; age; years as a CCC chair, program director, and/or associate program director; and number of residents in the program. The trained research assistant conducted phone interviews lasting approximately 30 minutes with each participant between January and May 2013, after the announcement about but just prior to the July 2013 deadline for the seven Phase 1 specialties to adhere to the NAS requirement to have a competency committee.13 Interviews were recorded; a professional transcription service transcribed them verbatim. Participants did not receive compensation.

인터뷰 질문은 회원 구성, 회원 교육, 위원회 리더십, 회의 빈도 및 사용 가능한 상주 성과 데이터를 포함하여 CCC에 대한 설명을 요청했습니다(부록 1 참조). [CCC가 운영되지 않는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책임자에게 전공의의 성과를 검토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요청했습니다. 모든 참가자는 신원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공의의 사례][일반적인(어려움을 겪지 않는) 전공의의 사례]에 대한 검토 프로세스를 설명했습니다. 질문은 위원회 또는 검토 절차의 주요 목적에 대한 프로그램 책임자의 인식, 현재 절차의 장단점, 절차에 예상되는 변경 사항을 다루었습니다.
Interview questions solicited descriptions of CCCs, including membership composition, member training, committee leadership, frequency of meetings, and resident performance data available (see Appendix 1). For programs without a functioning CCC, the program director was asked to describe the process used to review residents’ performance. All participants described, without using any identifying information, the review process for a recent example of a struggling resident and an example of a typical (nonstruggling) resident. Questions addressed program directors’ perceptions of the main purpose their committee or review process served, pros and cons of their current procedures, and any anticipated changes to their procedures.

5명의 조사자(K.E.H., B.C., W.I., E.H., 연구 보조원)가 명확성을 위해 2~4개의 초기 녹취록을 읽은 후, 불명확한 질문 1개를 삭제하고 두 개의 질문을 추가했습니다.
Five investigators (K.E.H., B.C., W.I., E.H., the research assistant) read two to four early transcripts for clarity; subsequently, one unclear question was dropped, and two questions were added.

분석
Analysis

두 명의 연구자(연구 조교인 K.E.H.)가 각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적 정보]를 추출했는데, 여기에는 [CCC의 존재 여부, 위원회 위원 수, 위원회 회의 빈도, 전공의의 성과를 검토하는 다른 위원회의 존재 여부]가 포함되었습니다.
Two investigators (K.E.H., the research assistant) extracted descriptive information about each program, including the presence of a CCC, the number of committee members, the frequency of committee meetings, and the presence of any other committee that also reviewed residents’ performance.

주제에 대한 질적 분석을 위해 연구자들은 [지속적 비교 방법14] 및 [불일치 사례 분석]을 사용한 [데이터 수집과 함께 반복적으로 전사 코딩]을 수행했습니다.15 한 명의 연구자(K.E.H.)가 처음 10개의 인터뷰를 읽고 초기 주제를 생성했습니다. 4명의 추가 연구자(B.C., W.I., E.H., P.S.O.)가 각각 10명의 그룹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5~6개의 녹취록을 검토]하고 [코드북 초안]에서 [주제를 검토]한 후 [연구책임자와 만나 코드북 추가 및 수정]에 기여했습니다. 그 후 [코드북이 최종 완성]되었습니다. 두 명의 코더(연구 조교인 K.E.H.)가 [각각 독립적으로 나머지 모든 트랜스크립트를 코딩]했습니다. 이들은 전체 트랜스크립트 검토와 토론을 통해 불일치하는 부분을 해결했습니다.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mes, the investigators conducted transcript coding iteratively with data collection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14 and discrepant case analysis.15 One investigator (K.E.H.) read the first 10 interviews and generated initial themes. Four additional investigators (B.C., W.I., E.H., P.S.O.) each reviewed 5 to 6 randomly selected transcripts from that group of 10, reviewed the themes in a draft codebook, and met with the principal investigator to contribute codebook additions and revisions. The codebook then was finalized. Two coders (K.E.H., the research assistant) each independently coded all remaining transcripts. They resolved discrepancies through full transcript review and discussion.

[다양한 관점]을 가진 [다양한 연구자 그룹 간]의 [정기적인 연구팀 회의]는 삼각측량의 목적에 부합했습니다.16 연구자들은 초기 (개방형) 코딩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검토하고 토론하여 더 큰 새로운 주제를 식별하고 구체화했습니다.
Regular research team meetings amongst this diverse group of investigators with multiple perspectives served the purpose of triangulation.16 On the basis of the initial (open) coding, the investigators reviewed and discussed the data to identify and refine larger emerging themes.

데이터 코딩, 구성 및 검색에는 Dedoose 버전 4.5(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SocioCultural Research Consultants, LLC) 웹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사용되었습니다. 
Dedoose Version 4.5 (SocioCultural Research Consultants, LLC, Los Angeles, California) Web application software was used for coding, organizing, and retrieving data.

결과
Results

초청된 레지던트 프로그램 디렉터 60명 중 34명(56.7%)이 인터뷰를 완료했습니다. 9명의 프로그램 디렉터가 추가로 참여하기로 동의했지만 일정상의 제약이나 연구 주제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표본 추출 절차에 따라 참가자는 22개의 대규모 프로그램과 12개의 소규모 프로그램을 포함했으며, 15개의 절차적 전문 분야와 19개의 비절차적 전문 분야를 대표했습니다. 학교별 참여율은 33.3%에서 75.0%까지 다양했습니다. 참가자는 남성이 23명, 여성이 11명이었습니다.
Thirty-four of 60 (56.7%) invited residency program directors completed an interview. Nine additional program directors agreed to participate but did not either because of schedule constraints or because the study had achieved thematic saturation. Consistent with our sampling procedure, participants included 22 large and 12 small programs, representing 15 procedural and 19 nonprocedural specialties. The participation rate by school varied from 33.3% to 75.0%. Participants included 23 men and 11 women.

전체적으로 31명(91.2%)의 참가자가 인구통계학적 설문조사를 완료했습니다. 평균 연령은 48세였으며, 35세 미만에서 66세까지 다양했습니다. 이들은 평균 7년(1~21년 범위, 30명)간 프로그램 디렉터로 근무했으며, 이는 전국 프로그램 디렉터와 비슷한 수준입니다.17 14명은 이전에 부 프로그램 디렉터로 근무한 경험이 있습니다. 연구 당시 각 프로그램의 전공의 수는 평균 39명이었습니다(범위 0~99명, 소규모 프로그램 1곳은 당시 전공의가 없었습니다).
Overall, 31 (91.2%) participants completed the demographic survey. Their mean age was 48, ranging from under 35 to 66 years. They had served as program director for an average of 7 years (range 1–21, n = 30), comparable to program directors nationally.17 Fourteen had previously served as an associate program director. The number of residents in each program at the time of the study averaged 39 (range 0–99; one small program did not have residents at the time).

CCC 구조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CCC structure

34개 프로그램 중 21개 프로그램에 CCC가 있었습니다. 22명의 참가자는 평균 5.6년(범위 1-18년) 동안 CCC 또는 이와 동등한 그룹의 의장을 맡았습니다. 위원회 구성원의 규모는 3명에서 약 25명까지 다양했지만, 많은 참가자가 참석 인원이 다양하고 전체 인원에 미치지 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회의 빈도는 [매주에서 매년까지] 다양했습니다. CCC가 있는 10개 프로그램은 레지던트 성과에 대해 논의하는 두 번째 장소로 [광범위한 교육 위원회] 또는 [전체 교수진 회의]가 있다고 설명했으며, 이러한 장소를 통해 어려움을 겪는 레지던트를 조기에 파악하거나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Twenty-one of the 34 programs had CCCs. Twenty-two participants had chaired a CCC or equivalent group for an average of 5.6 years (range 1–18 years). Committee membership ranged in size from 3 to about 25 members, although many participants described that attendance varied and was less than the full possible membership. Meeting frequency varied from weekly to yearly. Ten programs with CCCs described second venues for discussing residents’ performance, such as a broader education committee or a general faculty meeting; these venues allowed for early identification or more in-depth discussion of struggling residents.

레지던트 평가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resident evaluation

분석 결과, CCC가 있는 프로그램과 없는 프로그램이 레지던트 역량 평가의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특징짓는 두 가지 주요 패러다임이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문제 식별 모델]과 [발달 모델]의 원칙과 일치했습니다.

  • [문제 식별 모델]이 우세했습니다. 이 모델은 레지던트 성과 평가의 주요 목적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수의 레지던트를 식별하는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이 모델의 암묵적인 가정은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대부분의 레지던트가 수련이 끝날 때까지 역량과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 이와는 대조적으로 [발달 모델]은 교육을 숙달을 향한 일련의 계획된 단계로 간주했습니다. 모든 레지던트가 학습자라는 기본 오리엔테이션은 '문제' 레지던트를 선별하지 않고 레지던트의 점진적인 발전을 유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일부 프로그램에는 두 가지 모델의 요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From our analysis, two major paradigms emerged that characterized how programs with and without CCCs perceived their purpose in evaluating residents’ competence. These paradigms aligned with the tenets of a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and a developmental model.

  •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predominated. This model viewed the primary purpose of resident performance review as identifying the few struggling residents. The implicit assumption with this model was that participating in the residency program would lead most residents to competence and success by the end of training.
  • In contrast, the developmental model viewed education as a planned series of steps toward mastery. The underlying orientation that all residents were learners informed a focus on guiding residents’ progressive development, without necessarily singling out “problem” residents.

Some programs had elements of both models.

아래 결과는 [세 가지 주요 주제]와 [각 모델에 적용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참가자의 연구 식별 번호는 괄호 안에 예시적인 인용문과 함께 나열되어 있습니다. 주요 주제와 관련 하위 주제는 여기에 나열되어 있으며 표 1에 요약되어 있습니다.

  • (1) 레지던트 성과 데이터 사용: 다양한 도구, 임상 시스템 데이터, 비공식 데이터,
  • (2) 위원회 위원 참여: 위원회 위원의 자격, 위원회 과정의 신뢰성에 대한 기여도, 의사 결정,
  • (3) 레지던트에 대한 시사점: 위원회 검토 결과, 받은 피드백, 위험에 대처하는 방법 등이 그것입니다.

그런 다음 각 모델에 대한 성과 검토 프로세스의 효과성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을 설명합니다.
The results below describe three major themes and how they apply within each model. Participants’ study identification numbers are listed in parentheses with illustrative quotations. The major themes and associated subthemes are listed here and summarized in Table 1. They are

  • (1) Use of residents’ performance data: variety of tools, clinical systems data, and informal data;
  • (2) Committee member engagement: committee members’ qualifications, contributions to the credibility of the committee process, and decision making; and
  • (3) Implications for residents: committee review consequences, feedback received, and dealing with risks.

The results then describ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ir performance review processes with each model.

 

입주자의 성과 데이터 사용.
Use of residents’ performance data.

레지던트의 성과 데이터는 [임상 시스템 데이터] 및 [비공식적으로 수집된 데이터]와 함께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구현된 [다양한 도구]에서 나왔습니다.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평가 도구를 사용했지만, 성과 검토 프로세스를 위한 평가 데이터는 주로 감독자의 [글로벌 평가]와 [지식 시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Residents’ performance data came from a variety of tools implemented in the residency program along with clinical systems data and informally gathered data. Although programs used a variety of assessment tools, evaluation data for the performance review process constituted primarily supervisors’ global evaluations and knowledge examinations.

[문제 식별 모델]에서 이러한 성과 데이터의 중요한 측면은 일반적으로 [낮은 점수 경고]와 같은 [이상값을 적시에 인식]하고 [임상 수퍼바이저의 구두 보고]를 포함하여 [여러 정보 출처에서 성과 문제를 확인하는 것]이었습니다.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에도 불구하고 위원회 회의에서 CCC 위원은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공의]에 대한 평가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중요한 추가 정보원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따라서 [위원회 위원]은 대부분 [여러 현장에서 전공의와의 접촉을 기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위원들은 [전공의들과의 경험]을 통해 [전공의의 역량과 수행상의 문제점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소규모 프로그램]과 [프로시저 중심 전공]처럼 [직접 관찰이 용이한 분야]에서는 더욱 그러했습니다.
With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valued aspects of these performance data were the timely recognition of outliers, usually as low score alerts, and the corroboration of performance problems from more than one information source, including a verbal report from a clinical supervisor. Despite ongoing data collection, CCC members were viewed as important additional sources of information at committee meetings to supplement what was written in evaluations, particularly about struggling residents. Consequently, committee members were selected in large part on the basis of their contact with residents across sites. Committee members’ experience with residents informed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s’ competence and any performance problems, particularly in small programs and procedural specialties, whose characteristics facilitated direct observation.

환자 또는 전문가 간 직원의 [사고 보고서 및 불만 사항]과 같은 [임상 시스템 데이터]는 중요한 "위험 신호" 문제 식별 메커니즘을 구성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디렉터와 CCC는 해당 레지던트에 대한 이전 슈퍼바이저의 평가와 다른 슈퍼바이저의 구두 의견 등 다른 성과 데이터를 검토한 후 개입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여러 참가자가 [교수진 및 치프 레지던트와의 복도 대화]와 [교수진의 이메일]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수집한 데이터]의 가치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대개 [긍정적인 것이 아니라 문제에 관한 것]이었습니다."(1011).
Clinical systems data, such as incident reports and complaints from patients or interprofessional staff, constituted important “red-flag” problem identification mechanisms. These triggered program directors and CCCs to review other performance data for those residents, such as their prior supervisors’ evaluations and verbal comments from other supervisors, then to generate plans to intervene. Multiple participants described the value of the data they gathered informally through hallway conversations with faculty and chief residents and through e-mails from faculty. This information was “usually about a problem, not something that’s positive” (1011).

참가자들은 위원회 검토를 위한 [평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종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는 [발달 모델]을 구현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한 참가자는 [레지던트의 진행 상황을 특성화하기 위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종합하는 것이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Participants described challenges with efficiently gathering and synthesizing evaluation data for committee review, which seemed to impede their ability to implement the developmental model. One described the challenge of synthesizing information efficiently to characterize a resident’s progress:

지금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너무 오래 걸리고...... 예를 들어, 레지던트가 발달적으로 어디에 있는지, 임상 역량과 임상 독립성을 달성하는 데 있어 어디에 있는지 생각하거나 기록할 수 없습니다. (0901)
Our efficiency with gathering the data right now, it takes way too long.… I can’t, for example, think about or record in it where they are developmentally, or where they are on achieving clinical competence and clinical independence. (0901)

[여러 출처의 피드백, 동료 평가, 직접 관찰한 술기] 등 [다양한 평가 도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레지던트의 발달 궤적을 특성화하지 않았습니다]. [임상 시스템 위험 신호 도구]나 [비공식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는 [성과 검토의 발달 모델]을 설명하는 맥락에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일부 참가자는 [발달 모델]의 기초가 될 수 있는 레지던트의 수련 연도에 따른 성과 기대치 또는 이정표를 설명했습니다.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multiple assessment tools, such as for multisource feedback, peer evaluations, and directly observed skills, most participants did not use these data to characterize each resident’s developmental trajectory. Neither clinical systems red-flag tools nor informally gathered data were mentioned in the context of informing a developmental model of performance review. Some participants did describe performance expectations or milestones based on the resident’s year of training that c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al model.

위원회 위원 참여.
Committee member engagement.

프로그램 디렉터들은 [위원회 위원의 자격]이 성과 검토 프로세스에 신뢰성을 더하고 레지던트의 승진에 대한 의사 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인식했습니다. 21개 프로그램 중 14개 프로그램에서 [CCC 위원]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목표, 목적 또는 이정표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위원회 역할에 대한 교육]을 받았습니다. 일부는 레지던트 평가에 관한 [연례 또는 격년 교수진 개발 세션]을 개최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어려움을 겪는 레지던트에 대한 더 많은 [의견이 공유]되고, 프로그램 책임자가 [어려운 결정을 내릴 때 지원]을 받으며, [상충되는 정보가 종종 조정]되기 때문에 그룹 성과 평가가 신뢰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Program directors perceived that committee members’ qualifications added credibility to the performance review process and enabled them to contribute to the decision making about residents’ advancement. In 14 of the 21 programs, CCC members received training for their committee roles, typically via the distribution of program goals, objectives, or milestones. A few held annual or biannual faculty development sessions on assessing residents. Participants opined that group performance review was credible because more opinions about struggling residents were shared, the program director was supported in making difficult decisions, and conflicting information was often reconciled.

프로그램 전반에서 [문제 식별 모델]은 교수진이 [전문가, 전담 교육자 및 임상 감독자]로 인식되는 지위를 통해 교수진의 자격에 크게 의존하여 [성과 검토 책임]에 대비했습니다.
Across programs,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relied heavily on faculty members’ qualifications via their perceived status as expert, dedicated educators and clinical supervisors to prepare them for their performance review responsibilities.

교수진들은 평가 전략이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점점 더 많은 위원회에 참석하면서 이해하게 되지만 구체적인 교육은 없습니다. (5817)
It’s both kind of learn as they go and then understanding of what our assessment strategies are, how we use them and they pick it up as they attend more and more committees, but there isn’t specific training. (5817)

[레지던트를 비교하는 성과 기준]은 [레지던트 성과에 대한 교수진의 일반적인 지식], 즉 [규범적 기준]이었습니다. 레지던트에 대한 의사 결정은 [일반적으로 체계적인 심의나 투표]를 통해 결정되기보다는 [이분법적(적절하게 수행했는지 여부)]이고 [추론]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특정 [전공의에 대한 우려가 없다]는 것은 [승진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고, [의사 결정]은 대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공의]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 결과, CCC와 프로그램 디렉터는 대다수 전공의에 대한 자세한 데이터를 논의하거나 검토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문제 파악에 초점을 맞춘 의사 결정은 매우 효율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레지던트 한 명당 "보통 1~2분 정도 걸린다"(0771), "다른 교수진에게는 매우 쉽다"(4399)는 응답이 있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다양한 성과 등급을 가진 레지던트를 돕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고, 위원회 위원들이 직접 경험에 대해 논의하거나 다른 임상 교수진에게 연락하여 추가 데이터 수집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관리했습니다.
The performance standard against which residents were compared was these faculty members’ general knowledge of resident performance—their normative frame of reference. Decision making about residents was commonly dichotomous (performing adequately or not) and inferred rather than determined by systematic deliberation or voting. The absence of concerns regarding a particular resident was taken to imply readiness for advancement, and decision making usually focused on struggling residents. Consequently, CCCs and program directors often did not discuss or review detailed data regarding the majority of residents. Decision making focused on problem identification was described as very efficient: “It usually takes a minute or two” per resident (0771) and “very easy for the other faculty” (4399). Participants found it difficult to help residents with variable performance ratings, and they managed these situations through additional data gathering, either through committee members’ discussing their own direct experience or by contacting other clinical faculty.

드물게 참가자들은 레지던트의 진척도를 분석하기 위해 [발달 모델]을 사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구체적인 교수진 교육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일부 CCC는 [발달 모델 사용]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이정표 또는 단계별 진전 기대치]를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4명의 참가자는 [모든 레지던트의 성과 데이터를 공유]하여 CCC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했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일부는 의사 결정을 위한 마일스톤과 전공의의 성과를 비교하는 데 따르는 [가치와 업무량], 그리고 위원회 [결정의 신뢰성을 실제로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더 많은 목록과 체크리스트, 요구 사항으로 이미 이 일을 정말 잘 해내고 있는 교수진의 사기를 꺾고 싶지 않습니다."(0370).
Infrequently, participants described using a developmental model for analyzing residents’ progress. They did not describe specific faculty training. Some with CCCs were beginning to apply milestones or stepwise expectations for progress that would support the use of a developmental model. Four participants specifically described engaging CCC members by sharing performance data for all residents. Some expressed trepidation about the value and workload involved with comparing residents’ performance against milestones for decision making and whether it would really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committee decisions: “I just don’t want to dampen the spirit of my faculty that do this really well already with more lists and checklists and demands” (0370).

전공의를 위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residents.

성과 검토 프로세스의 시사점에는 위원회가 모든 전공의에 대해 논의했는지, 피드백이 어떻게 전달되었는지, 전공의에 대한 잠재적 위험이 어디에 존재하는지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16개 위원회는 매 회의마다 모든 전공의를 간략하게나마 검토했지만, 다른 위원회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공의에 대해서만 논의했습니다. 모든 전공의를 심층적으로 검토한 프로그램의 한 참가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The implications of the performance review process included whether committees discussed all residents, how feedback was delivered, and where potential risks to residents existed. Sixteen committees reviewed all residents at least briefly at each meeting; others discussed only struggling residents. One participant from a program with a more in-depth review of all residents explained:

마지막으로 만난 이후 지난 6개월 동안의 점수, 평가 점수 및 의견을 강의실에서 각 전공의별로 투사한 다음 각 전공의에 대해 개별적으로 논의합니다. (4399)
Their scores, their evaluation scores and the comments from the last six months since the last time we met are projected for each resident in the lecture room and then we discuss each resident individually. (4399)

거의 모든 참가자가 회의 후 전공의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답했으며, 보통 2년에 한 번씩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답했습니다.
Nearly all participants described providing feedback to residents after meetings, usually biannually.

[문제 식별 모델]은 대부분의 성과 검토 시간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레지던트]에게 할당했습니다: "우리가 이야기한 사람들 중 완벽하게 잘하고 있는 사례는 없습니다."(1582). CCC는 평가 도구나 위원회 위원의 개인적 지식으로 파악한 성과가 우수한 레지던트에 대해 논의하여 상, 펠로우십 또는 교수직 후보로 추천하는 것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문제 파악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에서는 레지던트에게 [피드백 보고서]를 보내거나, 프로그램 디렉터와 함께 레지던트를 위한 [피드백 미팅]을 예약하는 경우도 있었고, 피드백을 어떻게 활용할지 결정할 [책임을 레지던트에게 떠넘기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피드백 회의에서는 [성장에 필요한 부분에 최소한의 시간만 할당]했는데, 한 참가자는 다음과 같이 전공의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allocated most performance review time to struggling residents: “There aren’t examples of people we’ve talked about who were doing just perfectly well” (1582). CCCs sometimes discussed high-performing residents, identified by evaluation tools or committee members’ personal knowledge, to suggest nominating them for awards, fellowships, or faculty positions. Programs oriented toward problem identification described sending feedback reports to residents; some scheduled feedback meetings for residents with the program director, whereas others relegated the responsibility for figuring out how to use the feedback to the residents. These feedback meetings allocated minimal time on areas for growth; one participant described giving a resident feedback as follows:

자신에 관해서는 잘하고 있다고 할 말이 별로 없습니다. 저는 그저 그들이 여전히 잘하고 있다고 격려할 뿐입니다. (2800) 
Regarding themselves, I just don’t have much to say, that they’re doing a good job. I just encourage them to still do a good job. (2800)

여러 참가자가 성과 평가가 [편향된 프로세스]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인식했습니다. 이들은 전공의에게 도움이 되는 피드백의 내용이 아닌 대규모 또는 대표 위원회 내에서 성과 정보를 공유(전달)할 경우, 위원회 위원들이 전공의에 대한 [해로운 정보를 알게 되면 전공의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임상 수퍼바이저가 성과 우려 사항을 서면으로 [문서화하는 것을 꺼린다]는 사실을 인지한 프로그램 디렉터들은 [구두 또는 이메일로 우려 사항을 보고하거나 익명의 레지던트 성과 리뷰]를 사용했습니다. 일부 프로그램 디렉터들은 레지던트들이 피드백을 받기 위해 자신들을 만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다는 것을 감지했습니다. 
Multiple participants perceived risks with performance review because it could be a potentially biased process. They expressed apprehension that shar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ward-feeding) within large or representative committees, rather than serving as the content of helpful feedback to residents, could harm residents if committee members learned damaging information about their trainees. Perceiving clinical supervisors’ reluctance to document performance concerns in writing, program directors invited verbal or e-mail reports of concerns or used anonymous resident performance reviews. Some program directors sensed that residents were nervous to meet with them for feedback.

[발달 모델]에서, [이정표]는 성과 검토를 안내하고 여러 역량 영역에서 전공의의 상대적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도록 했습니다. [피드백 토론]에서는 각 레지던트의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파악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었습니다. 한 참가자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With a developmental model, milestones guided performance review and the identification of residents’ rel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across multiple domains of competence. Feedback discussions prioritized the identification of areas for improvement for each resident. One participant explained:

이러한 벤치마크는 레지던트의 목표와 벤치마크가 무엇인지에 대해 레지던트, 그리고 교수진과 매우 투명하게 소통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합니다. (1570) 
These benchmarks are great because it lets us have a very transparent communication with our residents as to what the goals and benchmarks of residency are and then as well as with the faculty. (1570)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레지던트 어드바이저를 CCC 회의에 참석]시켜, 보다 심도 있는 피드백과 학습 계획을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피드백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접근 방식은 [각 레지던트의 성과를 맥락화]하기 위해, 프로그램 내 [다른 레지던트에 대한 집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발달 모델]은 레지던트의 [점진적인 성숙]이 예상되고, [모든 레지던트가 성장할 수 있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성과 검토의 위험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는 것 같았습니다. 
Some programs enlisted resident advisors who attended the CCC meetings to inform more in-depth feedback and learning planning. Another approach to enhance feedback usefulness was providing aggregate data about the other residents in the program to contextualize each resident’s performance. The developmental model seemed to mitigate concerns about the risks of performance review because residents’ progressive maturation was expected and all residents would have areas for growth.

성과 검토의 효과에 대한 증거.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review.

거의 모든 참가자가 [성과 검토 프로세스에 대해 높은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 그 근거는 '최종 결과물'(레지던트)이 [우수하다는 느낌]에 근거한 [효과성에 대한 게슈탈트적 인상]부터 [모든 레지던트를 신중하게 평가하는 엄격한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라는 흔하지 않은 설명까지 다양했습니다. 이러한 자신감은 교수진 개개인의 경험과 헌신, 그리고 그룹 전체의 노력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일부 참가자는 프로세스가 "적절했다" 또는 "80%는 좋았다"고 말하는 등 긍정적인 확신을 양면성으로 표현했으며, 한 참가자는 "누군가 더 좋은 아이디어를 내놓지 않는 한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7415).
Almost all participants expressed high confidence in their performance review processes. The grounds they cited varied, from gestalt impressions of effectiveness based on a sense that their “end product” (the trainees) was excellent, to the less common description of a rigorous, data-driven process in which every resident was carefully assessed. This confidence was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and commitment of individual faculty members and from the group as a whole. Some participants qualified their positive convictions with ambivalence, such as saying that the process was “adequate” or “80% good”; one said, “I feel reasonably well, I guess, as well as I could, unless someone comes up with some better ideas” (7415).

일부 응답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공의에게는 효과적이지만 다른 전공의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한 명은 전공의의 역량에 대한 궤적에 대해 불확실성을 표명했습니다:
Some shared misgivings that their processes were effective for struggling residents but perhaps not for other residents. One expressed uncertainty about residents’ trajectory toward competence:

누군가 저에게 "이 2년차 레지던트는 [특정 임상 활동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나요?"라고 묻는다면... 모든 2년차 레지던트에게 대답할 수 있었으면 하는 질문입니다. (3651)
If someone were to ask me, “Is this second-year resident in a position where they can [do this particular clinical activity]?”… That’s a question I’d like to be able to answer for every second-year resident. (365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참가자는 대부분의 다른 참가자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레지던트가 졸업 때가 되면 필요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펠로우십과 고용주로부터 칭찬을 받는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Nonetheless, this participant concurred with most others that all residents could perform the necessary activities by graduation and were praised by fellowships and employers.

향후 방향.
Future directions.

레지던트 성과 평가에 [예상되는 변화]에 대한 질문에, 참가자들은 기존 위원회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단순히 요건을 충족하는 정도]와 [가치를 더하는 정도]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일부는 현재의 위원회가 이름만 바꾸거나 "이름만" 문서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ACGME의 기대치를 준수하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한 반면, 더 효과적인 업무는 공식적인 레지던트 성과 검토 외에서 계속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참가자들은 마일스톤이 있는 성과 검토를 위해서는 데이터 캡처, 종합 및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더 많은 시간과 더 나은 전자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마일스톤이 글로벌 평가나 전반적인 역량에 기반한 리뷰보다 더 세분화되고 구체적일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습니다. 교수진이 마일스톤을 어떻게 이해할지, 마일스톤 간 성과 불일치를 어떻게 관리할지, 새로운 시스템이 현재 절차보다 더 나은지 등이 불확실성이라고 답했습니다. 
When asked about anticipated changes to their resident performance review, participants’ opinions varied about the degree to which adding or changing an existing committee would simply satisfy requirements versus add value. Some predicted that the current committee would demonstrate adherence to ACGME expectations just by changing its name or providing documentation “in name only,” while the more effective work would continue to occur outside of formal resident performance review. Participants predicted that performance review with milestones would necessitate more time and better electronic systems for data capture, synthesis, and presentation. Many were hopeful that milestones would provide more granularity and specificity than reviews based on global evaluations or overarching competencies. Common uncertainties included how faculty would understand milestones, how discrepant performance across milestones would be managed, and whether the new system would be better than current procedures.

토론
Discussion

이번 연구 결과는 레지던트 프로그램이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과 정보 종합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레지던트 성과 평가에 참여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분석 결과, 성과 검토 프로세스를 이끄는 두 가지 패러다임, 즉 [문제 식별 모델][발달 모델]이 확인되었습니다. [문제 식별 모델]에 따른 레지던트의 발전에 대한 의사 결정은 대부분의 레지던트가 [수련이 끝날 때까지 성공할 것이라는 가정과 함께 암묵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의학교육의 [체류 시간 또는 차 우려내기 모델]과 일치합니다.18,19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발달적 접근법보다는 [문제 식별 접근법]을 취하고 있으며, 마일스톤 기반 평가 및 보고에 대한 새로운 요건이 요구되는 이 중요한 시기에 마일스톤이 어떻게 유리하게 운영될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19 또한 우리의 연구 결과는 NAS의 목표인 발달적 모델이 개별화된 역량 경로를 어떻게 지원할지에 대한 레지던트 프로그램 디렉터들의 질문, 우려 및 열망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Our findings illustrate the ways that residency programs engage in resident performance review through broad data collection and varying approaches to information synthesis. Our analyses identified two paradigms guiding performance review processes—a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and a developmental model. Decision making about residents’ advancement under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is implicit, with the assumption that most residents will become successful by the end of training, consistent with the dwell time or tea-steeping model of medical education.18,19 Most programs take a problem identification approach rather than a developmental approach, and they question how milestones will be advantageously operationalized at this pivotal time of new requirements for milestones-based assessment and reporting.19 Our findings also reveal the questions, concerns, and aspirations that residency program directors harbor about how the developmental model—the goal of the NAS—will support individualized paths to competence.

이 두 가지 모델은 [품질 보증]과 [품질 개선]의 원칙을 잘 보여줍니다. [문제 식별 모델]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공의를 식별하여 [품질 보증]의 목적을 달성합니다. 이 모델이 전공의에게 미치는 위험에 대한 프로그램 책임자의 설명은 [품질 보증]을 [이상값을 식별하는 데 필요한 과정]으로 해석하는 것과 일치하지만, 잠재적으로 [징벌적]이며 [방어성을 유발]하기 쉽습니다.20 이 모델에서 [전공의의 최선의 행동 방침]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며, 사소한 성과 결함이 성과 [문제로 분류되는 수준까지 올라가지 않는 한 용인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전공의가 진정으로 [학습을 위한 성과 피드백]을 원하더라도, [무능해 보이거나 감독자와의 관계가 위태로워질 것을 두려워]할 수 있습니다.21 [형성적 피드백이 고위험 총괄적 정보로 인식]되는 이러한 시나리오는 모든 레지던트가 더 나아지기 위한 노력을 유도하는 도구로서 [마일스톤의 의도된 가치를 위태롭게 합니다]. 

These two models exemplify the tenets of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improvement.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serves a quality assurance purpose by identifying struggling residents. Program directors’ descriptions of the risks of this model for residents are consistent with interpretations of quality assurance as a necessary process to identify outliers, yet also potentially punitive and prone to generating defensiveness.20 In this model, residents may infer that the best course of action is to stay out of trouble and that minor performance deficits are tolerated unless they rise to the level of being labeled performance concerns. Even with a genuine desire for performance feedback to guide learning, trainees can fear appearing incompetent or jeopardizing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21 This scenario, in which formative feedback is perceived as high-stakes summative information, jeopardizes the intended value of the milestones as a tool to guide all residents’ efforts to become better.

성과 검토의 [발달 모델]은, [마일스톤 기반 평가]를 통합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전략]을 능동적으로 통합하는 [품질 개선]과 일치합니다. 환자 치료의 [품질 개선]에 중점을 두면서 의료 전문가들이 학습하고 행동을 변화시켜야 했던 것처럼, 레지던트 성과 평가의 [발달 모델]도 마찬가지로 [문화와 절차를 변화시켜야 합니다]. 이 모델에 따른 평가 프로세스는 [학습자 중심적]이며, [피드백 및 코칭]을 통해 독립적인 진료 역량을 갖추기 위해 [레지던트가 스스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동기와 기술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22,23 

The developmental model of performance review, by incorporating milestones-based assessment, aligns with quality improvement, which proactively incorporates strategies for continuous improvement. Just as the emphasis on quality improvement in patient care has required medical professionals to learn and change their behaviors, the developmental model of resident performance review similarly requires changing culture and procedures. Assessment processes under this model aim to be learner-centered and to empower residents with the motivations and skills, supported with feedback and coaching, to self-improve toward competence for independent practice.22,23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이 두 가지 모델이 공존]할 수 있지만, 일부 프로그램 디렉터, 특히 성과가 우수한 레지던트가 있는 프로그램 디렉터는 벤치마크를 충족하지 못하는 [소수의 레지던트]를 위해 집중적인 이정표 기반 지원 또는 교정을 제공하기 위해 자원을 우선순위에 둘 수 있습니다.
These two models may coexist in residency programs, although it is possible that some program directors, particularly those with high-performing residents, may prioritize resources to provide intensive, milestones-based support or remediation for the small number of residents who do not meet the benchmarks.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레지던트 성과 검토 및 역량 결정을 위해 [문제 식별 모델] 및 [발달 모델]의 요소를 모두 통합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발달적 접근 방식]은 [식별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문제 식별 모델]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문제' 레지던트]를 걸러내어 [즉각적인 환자 안전을 강조]하는 반면,
  • [발달 모델]은 개별 레지던트의 [발달과 경력 전반에 걸쳐 제공]되는 [환자 치료의 질을 강조]하는 등 각 모델마다 강조하는 바가 다릅니다.

[마일스톤]은 [명확한 성과 기대치]를 바탕으로 대화를 진행하고, [성과 이상값의 근본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문제 식별 모델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디렉터에 대한 경고와 같은 [문제 식별 시스템]은 교수진이 상황을 조사하는 데 시간을 소비하는 반면, [역량 및 마일스톤 기반 교육]에서 구상하는 [학습자 중심의 오리엔테이션]은 [자신의 성장 영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해결]하는 등, 현재 교수진이 수행하는 일부 업무에 [레지던트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4 앞으로 NAS는 CCC가 마일스톤을 사용하여 [각 레지던트의 진행 상황을 평가하는 개발 전략]을 수용하도록 의무화했으며,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 디렉터와 CCC는 이 새로운 의무화된 개발 접근 방식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Our findings show that programs can incorporate elements of both the problem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al models for resident performance review and determinations of competence.

  • For example, a developmental approach can inform solutions to identified problems.
  • However, each model highlights a particular emphasis—
    •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emphasizes immediate patient safety (by attempting to weed out potentially dangerous “problem” residents),
    • whereas the developmental model emphasizes individual residents’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patient care provided throughout their careers.

Milestones could enhance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by grounding conversations in clear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elucidating underlying etiologies of performance outliers. Whereas problem identification systems, such as alerts to program directors, consume faculty time as they investigate the situation, a more learner-centered orientation as is envisioned with competency- and milestones-based education may engage residents in doing some of the work currently done by their faculty, such as proactively identifying and addressing their own areas for growth.4 Going forward, the NAS has mandated that CCCs embrace the developmental strategy to evaluate each resident’s progress using milestones, and our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 directors and CCCs will benefit from guidance on how to implement this new mandated developmental approach.

참가자들은 [전공의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으며, [발달 모델 하에서는 더 많은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문제 식별 모델에도 리소스가 필요]하며, 프로그램은 [일상적인 평가를 보완하기 위해 비공식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현재 CCC 내부 및 외부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과소평가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의 프로그램에서는 일반적으로 위원회가 [평균적 전공의 및 고성과 전공의를 검토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거나 전혀 할당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전공의를 검토하는 데 이상적인 시간은 알 수 없지만 현재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적인 관행과 효율성의 균형]을 맞출 필요는 계속 있을 것입니다. 평가자와 위원회 위원이 강력한 정보 기술의 도움을 받아 마일스톤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한다면 마일스톤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판단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24-26 참여 프로그램에서 [교수진의 CCC 참여를 준비하기 위해 실시한 교수진 개발의 양이 적다는 것]은 위원회가 효과적인 집단 의사 결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수진 개발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합니다.27,28 
Participant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time required to assess residents’ performance and anticipated that it could be more onerous under the developmental model. However,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also requires resources, and programs may underappreciate the work currently done within and outside of CCCs to collect informal data to supplement routine evaluations. Our participants’ programs typically allocated limited or no time for committees to review average and high-performing residents. Although the ideal amount of time for reviewing these residents is unknown, it is likely more than currently occurs. Nonetheless, there will continue to be a need to balance ideal practices with efficiency. Milestones may enable evaluators and committee members to reach judgments more efficiently if they understand and apply the milestones effectively with the aid of robust information technology.24–26 The modest amount of faculty development that the participating programs conducted to prepare faculty for CCC participation suggests that augmented faculty development will also be needed for committees to accomplish their goals of effective group decision making.27,28

참가자들의 경험과 프로세스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고 성과 검토가 레지던트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NAS의 목표를 지원할 수 있는 관행이 밝혀졌습니다. [CCC 위원]은 [마일스톤 및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여 [성과 검토 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임상 감독자와 레지던트는 [성과 마일스톤과 그 적용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CCC는 논의 전에 각 레지던트의 성과 데이터를 확인해야 하며, 프로그램 내 모든 레지던트의 성과를 검토해야 합니다. 전체 위원회 회의 전에 소규모 그룹이 성과 정보를 사전 검토하고 종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러 데이터 소스를 적시에 데이터 종합과 함께 사용하면 위원회 설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각 레지던트의 역량을 향한 궤적을 촉진하기 위해 위원회는 [이전 회의에서 중점 또는 관심 분야를 재검토]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진행 상황을 검토해야 합니다. [레지던트의 어드바이저]를 참여시키면, 수동적으로 피드백을 보내는 대신, [레지던트와 함께 평가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레지던트가 학습의 다음 단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Our review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their processes, as well as our analysis of the ways that performance review supports residents’ development of competence, revealed practices that would support the aims of the NAS. CCC members must have criteria for performance review that include milestones and define what constitutes competence. Clinical supervisors and residents themselves need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milestones and how they are applied. CCCs should view performance data for each resident before their discussions, and they should review the performance of all residents in the program. The use of multiple data sources coupled with timely data synthesis facilitates efficiency in the committee setting, as does pre-review and the synthesis of performance information by a small group prior to a full committee meeting. To facilitate each resident’s trajectory toward competence, committees should review progress over time by revisiting areas of focus or concern from prior meetings. Enlisting a resident’s advisor to discuss evaluations with her rather than just sending feedback passively can help the resident to identify next steps in her learning.

이 연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참가자들은 한 지역에 있는 5개 공공 기관의 프로그램 디렉터들이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 디렉터가 다수 참여했습니다. 또한 역량 검토에 대한 질문으로 인해 참가자들이 자신의 최고 또는 이상적인 관행을 소개하도록 유도했을 수 있으며, CCC의 절차를 확인하기 위해 관찰하지는 않았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성과 검토 요건이 변화하는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참가자들의 관행은 계속 발전할 수 있지만,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에서 개발 모델을 더 많이 채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This study has limitations. Participants were program directors at five public institutions in one geographic region, potentially limiting the generalizability of our findings. However, a large number of program directors participated across specialties. In addition, our questions about competence review may have steered participants to showcase their best or idealized practices, and we did not observe the CCCs to confirm their procedures. Finally, our study occurred during a time of change in performance review requirements, and participants’ practices may continue to evolve, although our findings suggest that greater adoption of the developmental model may be difficult for programs.

역량 기반 의학교육과 마일스톤 기반 평가의 등장으로 의학교육자들은 수련의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전략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성과 이상치를 식별하기 위해 기능적 전략을 사용했지만, 많은 레지던트들이 모든 레지던트의 발달 궤적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패러다임(문제 식별 모델과 발달 모델)의 불안정한 공존[CCC가 역량을 향한 개별 경로를 지원한다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성과 데이터를 관리하고 종합하는 정보 시스템,
  • CCC 성과 검토의 목적에 대한 명확한 이해,
  • 레지던트에 대한 건설적인 피드백을 환영하는 문화

이러한 요소들은 레지던트의 독립적인 진료 준비를 보장하고 GME 시스템의 공공 및 교육적 책임에 대한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The emergenc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and milestones-based assessment challenges medical educators to find meaningful strategies to assess trainees’ performance. The residency programs in our study used functional strategies for identifying performance outliers, yet many struggle to understand the trajectory of all residents’ development. The uneasy coexistence of these two paradigms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and the developmental model) suggests that, for CCCs to fulfill the vision of supporting individual paths toward competence,

  • information systems to manage and synthesize performance data,
  • clear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CCC performance review, and
  • a culture that welcomes constructive feedback to residents
    are needed.

These ingredients could empower programs to ensure their residents’ readiness for independent practice and fulfill their obligation for public and educational accountability of the GME system.

 


Acad Med. 2015 Aug;90(8):1084-92. doi: 10.1097/ACM.0000000000000736.

Reviewing residents' competence: a qualitative study of the role of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in performance assessment

Affiliations collapse

1K.E. Hauer is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B. Chesluk is clinical research associate, Evalu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Philadelphia, Pennsylvania. W. Iobst is vice president for academic and clinical affairs and vice dean, Commonwealth Medical College, Scranton, Pennsylvania. E. Holmboe is senior vice president,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Chicago, Illinois, and adjunct professor of medicine, Yale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onnecticut. R.B. Baron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associate dean for graduate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C.K. Boscardin is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O. ten Cate is professor of medical education and director,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P.S. O'Sullivan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directo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Office of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PMID: 25901876

DOI: 10.1097/ACM.0000000000000736

Abstract

Purpose: Clinical competency committees (CCCs) are now required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residency programs understand and operationalize this mandate for resident performance review.

Method: In 2013, the investigator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34 residency program directors at five public institutions in California, asking about each institution's CCCs and resident performance review processes. They used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to identify major themes from the verbatim interview transcripts.

Results: The purpose of resident performance review at all institutions was oriented toward one of two paradigms: a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which predominated; or a developmental model. The problem identification model, which focused on identifying and addressing performance concerns, used performance data such as red-flag alerts and informal information shared with program directors to identify struggling residents.In the developmental model, the timely acquisition and synthesis of data to inform each resident's developmental trajectory was challenging. Participants highly valued CCC members' expertise as educators to corroborate the identification of struggling residents and to enhance credibility of the committee's outcomes. Training in applying the milestones to the CCC's work was minimal.Participants were highly committed to performance review and perceived the current process as adequate for struggling residents but potentially not for others.

Conclusions: Institutions orient resident performance review toward problem identification; a developmental approach is uncommon. Clarifying the purpose of resident performance review and employing efficient information systems that synthesize performance data and engage residents and faculty in purposeful feedback discussions could enable the meaningful implementation of milestones-based assessment.

임상실습의 수월성: 재능 분류하기가 아닌 재능 개발하기 (Perspect Med Educ, 2021)
Excellence in medical training: developing talent—not sorting it
Gurpreet Dhaliwal · Karen E. Hauer

 

의과대학에서 성적 및 상에 대한 접근 방식을 변경함에 따라(특히, 임상실습[1, 2]과 우등 학회 선출[3]에서 우등 성적을 재검토하거나 없애는 등) 교수진이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우수성을 어떻게 인정하고 보상할 것인가? 그리고 우리는 우수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나요? 미국 의사 면허 시험 1단계 결과의 합격/불합격 보고로 변경하기로 한 결정은 이러한 우려를 더욱 부각시켰습니다[4]. 
As medical schools have changed approaches to grading and awards (most notably, reconsidering or eliminating honors grades in clerkships [1, 2] and election to honor societies [3]), faculty have raised concerns: How will we recognize and reward excellence? And don’t we care about excellence? The decision to change to pass/fail reporting of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1 results has further accentuated this concern [4].

학부 의학교육의 우수성은 오랫동안 [높은 학점, 최고 시험 점수,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 출판 기록]으로 정의되어 왔습니다. 동료와의 관계에서 더 많은 영예는 학교와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신호와 분류 메커니즘을 제공했습니다. 우수성에 대한 이러한관점은 여러 세대의 의사들에게 익숙하지만, 학생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교육적 경험이나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와는 맞지 않습니다. 우리는 학습자 수월성에 대한 수정된 개념화를 제안하며, 재능을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재능을 개발하는 기술을 가진 강사가 주도하는 새로운 교사 수월성 모델이 필요합니다. 
Excellenc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long been defined by high grades, top test scores, honor society memberships, and publication records. More accolades in relationship to peers has provided a signaling and sorting mechanism for schools and residency programs. This view of excellence is familiar to generations of physicians but is out of sync wi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s deserve and the care that patients need. We propose a revised conceptualization of learner excellence that requires a new model of teacher excellence driven by instructors whose skill is developing talent not sorting it.

"보면 알 수 있다"
“I know it when I see it”

교수자는 대화, 평가 및 추천서를 통해 학생의 성과를 전달합니다. 가장 유용한 내러티브는 직접 관찰한 기술을 예시와 함께 설명하여 독자가 역량의 차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커뮤니케이션은 세부 사항은 짧고 "내 경력에서 상위 10%" 또는 "역대 최고"와 같은 모호한 칭찬과 요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우수성을 분류하는 게슈탈트 접근 방식 또는 "보면 알 수 있다"는 표준을 반영합니다. 
Faculty convey students’ performance through conversations, evaluations, and letters of recommendation. The most useful narratives describe directly observed skills with examples allowing readers to recognize dimensions of competence. However, many communications are short on details yet feature vague statements of praise and summations such as “top 10% in my career” or “best ever” that reflect a gestalt approach to classifying excellence or an “I know it when I see it” standard.

학생의 업무 특성을 파악하는 이러한 패턴 인식 접근 방식은 질병을 진단하는 패턴 인식과 유사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패턴 인식을 위한 전제 조건에는 임상 상황에 자주 노출되는 것, 진단 결정에 대한 정기적인 피드백, 질병에 대한 지식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임상 추론 용어로 "질병 스크립트")가 포함됩니다[5]. 학생을 자주 직접 관찰하지 않고, 학생의 향후 성과에 대한 피드백 없이, [낡은 역량 '각본']으로 학습자를 평가하면 패턴 인식의 타당성을 잃게 됩니다. 
This pattern recognition approach to characterizing student work parallels pattern recognition in diagnosing illness. Preconditions to trustworthy pattern recognition include frequent exposure to the clinical situation, regular feedback on diagnostic decisions, and continual updates to knowledge about the disease (“illness script” in clinical reasoning parlance) [5]. When learner assessments are made without frequent direct observations of students, without feedback about students’ future performance, and with an outdated “script” of competencies, pattern recognition loses validity.

[전통적 각본]은 최신 역량 프레임워크에서 포착하는 [다차원적 기술] 대신 [단일 차원(일반적으로 인지적 또는 기술적 능력)]에 따라 우수성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한 번 보면 안다"는 식의 접근 방식은 교수진이 보고 싶은 것만 보도록 유도하고 그 과정에서 편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The traditional script frequently frames excellence along a single dimension (typically, cognitive or technical ability) instead of the multidimensional skills captured in modern competency frameworks. “I know it when I see it” also invites faculty to see what they want to see and invites bias along the way.

익숙한 것에 대한 편견
Biased by the familiar

인지적 편견이 임상적 의사 결정을 위태롭게 하는 것처럼[6], 암묵적 편견은 학습자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교사가 일부 학생을 다른 학생보다 선호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전자 보충 자료의 표 S1 참조). 수십 년에 걸친 사회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아웃그룹을 희생시키면서 [자기 그룹(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거나 편애하는 [인그룹 편향]에 대한 강한 경향을 보입니다[7]. 교사는 학습자와의 [일치성(인구학적 또는 지적)]에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8]. 우리는 자신과 외모가 비슷하거나, 학문적 혈통이 같거나, 학창 시절에 중요하게 여겼던 분야(협업보다는 기술적 숙련도, 새로운 콘텐츠 학습 기술보다는 지식 암기력 등)에서 뛰어난 사람을 더 우수하게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채점 구조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통적인 우선순위와 가치를 반영합니다[9]. 
Just as cognitive bias jeopardizes clinical decision-making [6], implicit biases can influence our judgements about learners and predispose teachers to favor some students over others (see Table S1 of the Electronic Supplementary Material). Decades of social psychology research have demonstrated a strong human tendency toward in-group bias, where we positively evaluate or favor our own group (people who resemble us) at the expense of the out-group [7]. Teachers are susceptible to being influenced by concordance (demographic or intellectual) with their learners [8]. We are more likely to see excellence in people who look like us, share our academic pedigree, or excel in areas that we valued during our formative years, which may have been technical proficiency over collaboration or knowledge recitation over skills in learning new content. Grading structures typically reflect these traditional priorities and values [9].

[친숙한 프로필을 가진 학생]은 미묘하게 업그레이드된 평가를 통해 교사의 [친밀감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10]. 서술형 평가 또는 점수가 약간 더 관대하면 더 높은 등급이 지정되어 레지던트 프로그램 및 의료 전문 분야로의 문이 열립니다[11,12,13,14,15]. 학생들은 호의적인 평가나 더 나은 학습 기회를 얻기 위해 평가자와 같은 분야에 대한 관심을 표시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16]. [배경, 신념 또는 우선순위가 다른 학생들과 서로 맞지 않거나 인종, 민족 또는 성별이 같지 않은 경우][17,18,19], 이러한 연쇄 작용은 학생에게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오래되고 편향된 기준을 가지고 게슈탈트를 사용하는 분류]에 초점을 맞춘 시스템은 [모두를 위한 우수성]을 개발하는 대신 [소수를 '우수'로 지정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Students with a familiar profile can benefit from teachers’ affinity through subtly upgraded evaluations [10]. Slightly more generous narrative evaluations or scores yield higher grade designations which then open doors to residency programs and medical specialties [11,12,13,14,15]. Students can feel pressure to indicate interest in the same field as their assessors in order to earn favorable evaluations or better learning opportunities [16]. When we are misaligned with students (different backgrounds, beliefs, or prioritized skills) or do not share the same race, ethnicity, or gender [17,18,19], this cascade works against them. A system focused on categorization that uses gestalt coupled with outdated and biased benchmarking preordains a designation of “excellent” to a few instead of developing excellence for all.

  Definition Example
Affinity Bias Tendency to connect with others who share similar backgrounds, beliefs, and interests A supervisor extends an extra learning opportunity to the student on the team who attended the same college as they did.
Confirmation Bias Tendency to select information that confirms or supports prior beliefs A supervisor has formed a positive impression of a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comments shared informally by a colleague who worked with the student on a previous rotation. When writing the student evaluation on the current rotation, the supervisor incorporates a nurse’s praise of the student’s bedside manner but omits a physical therapist’s concerns about the way the student conveyed bad news.
In-group Bias Tendency to be more helpful and positive towards members of our own group than to members of another group (“out-group”) A supervisor writes supportive evaluations about the advocacy skills of a student who shares the same political beliefs while expressing concerns about the “lack of commitment to patients” of another student with a different political viewpoint.
Performance Bias Tendency to assume that members of one group are better at certain tasks than members of other groups based on stereotypes (which leads to members of the dominant group being judged by expected potential while individuals in less dominant groups are judged by current accomplishments) A supervisor preferentially invites members of one gender to practice a difficult procedure and then writes evaluations praising those students who practiced and demonstrated skill. For other students who are not afforded those practice opportunities, the supervisor writes that they are “not engaged in nor appropriately developing” that skill.
Status Quo Bias Tendency to prefer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perceive any change from that baseline as a loss A supervisor enthusiastically recommends a student who demonstrates advanced knowledge about clinical trials and has done biomedical research but is equivocal in their recommendation for a student who demonstrates advanced advocacy skills and is conducting research on health equity.

학생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교육적 우수성
The educational excellence students and society need

다른 학생과 비교하여 학생을 평가하는 데 시간을 소비하는 것은 교사의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입니다(예: '최고' 학생을 가려내는 것). 현대의 교사는 [학습자 개개인의 폭넓은 능력을 키우는 데 에너지를 쏟음]으로써 학생들에게 더 의미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교사는 교육 과정에서 공식적으로 배우지 않은 주제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배양해야 합니다. 또한 점점 더 다양해지는 학생 및 환자 집단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을 점검해야 합니다.
Time spent assessing a student relative to other students (e.g., trying to identify the “best” students) is a poor use of teachers’ abilities. Modern teachers serve students more meaningfully by devoting their energy to fostering each learner’s broad skillset. To do this, teachers need to cultivate their knowledge and skills on topics they may not have formally learned in their training. They must also examine their own ability to interact with increasingly diverse student and patient populations.

예를 들어, 학생들은 다양한 환자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자신의 전문성과 영향력을 기여함으로써 [건강 옹호]에 능숙해지기를 기대하며, 또 그렇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20]. 이러한 역량에는 건강 불평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의 필요를 이해하고, 필요할 때 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발언하고,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자원 동원을 지원하는 것이 포함됩니다[21]. 교사는 [적절한 수준의 옹호]에 대해 직관에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대신, 옹호의 의미를 배우고, 학생들이 이 역량을 발전시키면서 충족해야 하는 구체적인 이정표를 이해하고, 직접 관찰할 기회를 모색함으로써 [학생들에 대한 약속을 이행해야] 합니다[22]. 
For example, students are expected—and are expecting—to become skilled in health advocacy by contributing their expertise and influence to improve the health of different patient populations [20]. This competency includes recognizing health inequities, understanding the needs of communities, speaking on behalf of others when required, and supporting the mobilization of resources to effect change [21]. Teachers cannot rely on their intuition regarding appropriate levels of advocacy. Instead, they must fulfill their commitment to their students by learning what is meant by advocacy, understanding specific milestones that students must meet as they progress in this competency, and seeking opportunities for direct observation [22].

[옹호]는 교사에게 생소할 수 있지만 [학생의 옹호 기술을 평가하는 것]은 요추 천자 또는 가족 회의 진행 등 [학생의 다른 기술을 평가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교사는 후자의 예를 보고 "의사소통을 잘하는 것 같다"고 평가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패턴 인식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교수진은 측정 대상 구성 요소와 학생이 교육을 진행하면서 달성해야 하는 [특정 이정표 및 하위 기술]을 이해하는 데 전념해야 합니다[23].
Though advocacy may be new to teachers, assessing a student’s advocacy skills has parallels to assessing a student’s other skills such as doing a lumbar puncture or leading a family meeting. A teacher cannot assess the latter example by saying “I know good communication when I see it.” Instead of using this pattern recognition approach, faculty members must commit to understanding the construct being measured and the specific milestones and subskills that students must achieve as they progress through training [23].

[우수한 옹호 능력]을 키우려면 교수진은 [의사로서 기본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기술을 통합]할 수 있도록 [관점을 넓혀야 ]합니다[24]. 이 성장 과정에는 [과거에 한 번도 고민해보지 않았던] 다음과 같은 환자(및 학생)의 삶의 경험에 대한 관점 취하기와 개방성을 연습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진료를 받으러 오기 위해 여러 번 버스를 타는 경우
  • 개인 신원에 따라 액세스 또는 리소스가 거부되는 경우
  • 처방전을 작성할지 가족을 먹일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 

Fostering excellence in advocacy requires faculty to broaden their perspective to incorporate a skillset they may have never considered fundamental to being a physician [24]. This growth process may include practicing perspective taking and openness to patient (and student) life experiences that they never contended with, such as

  • taking multiple buses to an appointment,
  • being denied access or resources based on personal identity, or
  • having to decide between filling a prescription or feeding their family.

[옹호 또는 기타 역량]에 대해 학생을 지도할 때 교육자는 직접 관찰을 기반으로 평가를 내리는 데 전념해야 합니다. [위임 가능한 전문 활동]은 교사가 [학생들이 관련 업무 활동에서 여러 역량을 통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사전 지정된 업무](예: 충수 절제술 수행)를 말합니다[25]. 옹호를 촉진하고 평가하는 기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교사는 학생이 사회복지사와 협력하여 환자를 위한 여행 바우처를 마련하는 것과 같은 직장 활동을 관찰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삼아야 합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슈퍼바이저는 목표 교육 및 성장을 위한 영역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예: "다음번에는 환자가 선호하는 진료 시간대에 대해 먼저 환자에게 확인"). 각 데이터 포인트를 통해 교육자는 [학습에 대한 평가(성적, 상, 레지던트 등 외부 제도를 위해 학생을 분류하기 위한 평가)]가 아니라 [학습을 위한 평가(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평가)]를 하는 데 능숙해져야 합니다[26].
When coaching students in advocacy or any other competency, educators must commit to making assessments based on direct observatio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are pre-specified workplace tasks (e.g., performing an appendectomy) which allow teachers to observe students integrate multiple competencies in a relevant workplace activity [25]. Teachers who wish to advance their skills in promoting and assessing advocacy would need to prioritize observing a workplace activity such as their student collaborating with a social worker to arrange travel vouchers for a patient. These observations allow the supervisor to identify areas for targeted teaching and growth (e.g., “next time, check with the patient first regarding her preferred time of day for her appointments”). With each data point, the educator must become skilled at making an assessment for learning (to drive growth), not an assessment of learning (to classify students for an external scheme such as a grade, award, or residency) [26].

우리 교수들 대부분은 [사회의 요구와 일치하는 환경]에서 훈련받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가 볼 때 그것을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의료 커리큘럼은 이제 환자 옹호뿐만 아니라 공동 의사 결정, 전문가 간 협업,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고가치 치료를 강조합니다. COVID-19 팬데믹은 새로운 건강 위협에 적응하고 학습하며 수련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았던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대응할 준비가 된 미래의 의료인을 양성하기 위해 적응 전문성을 갖춘 교사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27, 28]. 의학교육의 목표는 이러한 영역에 걸쳐 우수한 학생을 양성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교수진의 새로운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Most of us do not “know it when we see it” because we were not trained in an environment when “it” matched the needs of society. New medical curricula now emphasize not only patient advocacy, but also shared decision-making,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high-value care. The COVID-19 pandemic highlights the need for teachers with adaptive expertise to train future providers who will be prepared to adapt and learn about emerging health threats and respond using knowledge and skills that may not have existed during their training [27, 28].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who are excellent across these domains, and it will take a new faculty mindset to do that.

성장 마인드로 전환
Shifting to a growth mindset

우수성을 분류하는 대신 육성하려면 교사가 학습자에게 권장하는 것과 동일한 태도, 즉 고정 사고방식("나는 학생의 우수성을 보면 안다")에서 성장 사고방식("나는 익숙하지 않은 영역에서 학생의 기술 개발을 평가하고 촉진하는 새로운 방법을 배울 수 있다")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29]. 학교는 교직원을 코칭 업무로, 그리고 채점 업무에서 벗어나도록 안내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수행해야 합니다[30, 31].
Fostering excellence instead of classifying it entails teachers adopting the same attitude we encourage in learners: shifting from a fixed mindset (“I know excellence in a student when I see it”) to a growth mindset (“I can learn new ways to assess and promote student skill development in unfamiliar domains”) [29]. Schools must undertake several steps to guide faculty into the coaching business and out of the classifying business [30, 31].

  • 우등 학년 지정 및 학생 등급을 없애는 등의 정책 변경을 통해 교직원은 [고부담 및 총합 평가]가 아닌 [저부담 및 형성 평가]를 수행 할 수 있습니다 [32].
  • 교수진 개발은 [평가자 교육(모든 사람이 일관되게 평가하도록 하는 것)]에 실패한 시도에 반복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대신 [피드백 교육(모든 사람이 일관되게 관찰, 기록 및 코칭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33].
  • 또한 교육을 통해 교수진이 [자신의 오랜 가정과 편견을 검토]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34].
  • [새로운 역할(예: 코칭)]과 [새로운 가치(예: 사회 정의)를 도입]하는 것은 단 한 번의 교육 세션으로 달성할 수 없습니다.

변화의 방향과 중요성을 분명하고 끈질기게 알리면서 점진적이고 꾸준히 변화를 이끌어내려면 [리더의 빈번한 커뮤니케이션, 다양한 전파 채널(예: 동영상, 이메일, 팟캐스트), 학생 및 교수진 내의 지지자]가 필요합니다.

  • Policy changes such as removing honors grade designations and student rankings allow faculty to conduct assessments that are low stakes and formative rather than high stakes and summative [32].
  • Instead of focusing repeatedly on ill-fated attempts at rater training (getting everyone to evaluate consistently), faculty development should emphasize feedback training (getting everyone to consistently observe, record, and coach) [33].
  • Training can also engage faculty in examining their own longstanding assumptions and biases [34].
  • Introducing a new value (e.g., social justice) along with a new role (e.g., coaching) cannot be accomplished through a single training session.

It requires frequent communication from leaders, multiple channels of dissemination (e.g., videos, emails, podcasts), and champions within the student body and faculty to effect change gradually and steadily while unequivocally and relentlessly signaling its direction and importance.

새로운 임상 교사를 선발할 때는 학습자의 과제를 직접 관찰하고 학습자를 피드백 토론에 참여시킬 수 있는 기술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해야 합니다[35]. 프로그램은 [약점이 있는 학생의 식별]을 두려워하기보다는 [환영하는 교사 마인드]를 추구하고 육성해야 합니다. 훌륭한 교사는 ['우수한' 학습자를 더 높은 곳에 도달하게 하는 능력]으로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아직 부족한' 학습자를 역량을 향한 발달 궤도에 올려놓는 능력]으로 구별됩니다. 또한 조직의 목표는 '최고의' 졸업생을 모집하고 배출한다는 명성을 유지하는 것에서 모든 개인과 기관 자체에 개선과 성장 마인드를 기대하는 문화로 전환해야 합니다[36].
Selection of new clinical teachers should emphasize their commitment to directly observing learners’ work and building their own skills to engage learners in feedback discussions [35]. Programs should seek and foster a teacher mindset that welcomes rather than dreads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weaknesses. Great teachers are not distinguished by their ability to make “top” learners reach even greater heights, but rather by their ability to bring the “not yet” learner onto a developmental trajectory toward competence. The organizational goals must also shift from upholding a reputation for recruiting and producing the “best” graduates toward a culture where improvement and a growth mindset is expected for all individuals and the institution itself [36].

역량 기반 평가: 유망하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Competency-based assessment: promising but not a panacea

특정 이정표, 발달 궤적, 직접 관찰을 포함한 역량 기반 평가의 프레임워크는 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안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량 기반 평가로의 전환이 평가 프로그램의 오랜 과제를 제거하거나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The framework of competency-based assessment—including specified milestones,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direct observation—can guide teachers in their professional evolution. However, the shift to competency-based assessment does not eliminate or solve many long-standing challenges in assessment program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지적 지름길과 패턴 인식을 포함하여 [성과에 대한 총체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자의 편견]은 평가자가 학습자, 특히 자신과 다른 학습자를 직접 관찰할 때 보고 추론하는 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점자]에서 [코치]로 전환하는 교사는 이러한 [인지적 경향]에 대해 스스로 교육하고 가능한 경우 대응책을 모색해야 합니다[37]. 개별 교수진의 이러한 관찰은 여전히 판단이지만[38], 최근의 문헌에 따르면 학습자와 학습자의 업무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기반으로 한 여러 주관적 평가를 종합하면 직장에서의 교육생의 역량에 대해 점점 더 정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고 합니다[39]. 학교는 많은 평가자가 [(인상이 아닌) 상세한 관찰을 바탕으로 의견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이 [우수성에 대한 공유된 정신 모델]을 개발하고 사용하여 [데이터를 종합하여 역량 평가]를 내리는 [채점 또는 역량 위원회]와 같은 [그룹 의사 결정]을 제도화함으로써 편향의 위험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40,41,42].The same rater biases outlined earlier that affect summative judgements of performance, including cognitive shortcuts and pattern recognition, can influence what evaluators see and infer in direct observations of learners, particularly those who differ from them. Therefore, teachers who shift from graders to coaches must still educate themselves about these cognitive tendencies and whenever possible, seek countermeasures [37]. While these observations by individual faculty are still judgements [38], emerging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synthesis of multiple subjective assessments, grounded in direct observation of the learner and their work, paints an increasingly accurate picture of a trainee’s competency in the workplace [39]. Schools can mitigate the risks of bias by establishing systems where many evaluators provide input based on detailed observations (not impressions) and by instituting group decision-making—such as a grading or competency committee—where members with diverse backgrounds develop and use a shared mental model of excellence to synthesize data to make a competency assessment [40,41,42].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는 의과대학을 졸업한 학습자들이 준비가 덜 되어 있다는 문제가 계속 보고되고 있습니다[43]. 역량 기반 평가는 직접 관찰의 토대가 개선 및 재평가 계획과 긴밀하게 결합되지 않는 한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교사는 학생을 코칭하거나, 다음 감독자가 그렇게 하도록 하거나, 의과대학의 적절한 자원에 학생을 소개하는 등의 추가 단계를 통해 높은 수준의 술기 관찰에 전념해야 합니다. 교사는 [학습자와의 제한된 시간(예: 클리닉 또는 병원에서 단 하루)을 바탕으로 편견을 전파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학생이 [종적 궤적]을 따라 발전할 수 있도록 [다음 감독자를 위해 학습자 인수인계를 공식화]하는 데 숙련되어야 합니다[44]. 학교는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중앙 집중식 보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또한 [학습자-감독자 간 불연속성]으로 인해 성장이 방해받는 학생의 경우, 학교는 [코칭과 멘토링을 할 수 있는 종단적 임상 경험]을 위한 교수 시간 및 기술 개발을 지원해야 합니다.
Residency programs continue to report challenges with underprepared learners who graduate from medical school [43]. Competency-based assessment will not solve this problem unless the foundation of direct observation is tightly coupled with a plan for improvement and re-assessment. Teachers must commit to making high-quality observations of skills and to an additional step: coaching the student, ensuring that the next supervisor does so, or referring the student to the appropriate resources in the medical school. Teachers must be mindful of the potential to propagate bias based on limited time with a learner (e.g., only one day in clinic or the hospital) and must become skilled at formulating a learner handover for the next supervisor to help the student make progress along their longitudinal trajectory [44]. Schools must establish a centralized reporting system that ensures progress is being made. And for students whose growth is hampered by learner-supervisor discontinuity [45,46,47], schools must support faculty time and skill development for longitudinal clinical experiences that enable them to coach and mentor.

또한 교사는 역량 기반 평가 시스템에서 전통적으로 "성취도가 높은" 또는 "성과가 높은" 학생에 대한 접근 방식을 수정해야 합니다. 모든 역량을 이정표 지향적인 방식으로 평가하겠다는 확고한 의지가 없다면 교사는 [후광 효과의 희생양]이 될 수 있습니다[48]. 학습자가 한 영역(예: 시험 점수로 판단되는 지식)에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면, 교사는 다른 영역에서 학습자의 성과를 과소평가하거나 과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있는 일반화는 다른 영역(예: 옹호 또는 의사소통)이 간과되거나 과대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Teachers must also modify their approach to the traditionally “high achieving” or “high performing” student in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 Without a firm commitment to examine all competencies in a milestone-directed way, teachers may fall prey to the halo effect [48]. Once the learner is identified as excellent in one domain (e.g., knowledge as determined by a test score), a teacher may underappreciate or exaggerate the learner’s performance in other domains. These problematic generalizations can lead to other areas (e.g., advocacy or communication) being overlooked or overrated.

교사가 여러 영역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할 때, 학교는 학생과 교직원에게 [모든 영역에 걸친 역량]이 [우수성의 기초]이며 [환자 집단의 건강과 복지를 개선하는 것]이 이러한 노력의 목표라는 점을 알려야 합니다. 또한 교사와 학교는 환자 치료 결과와 연결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역량 평가 및 코칭 계획을 수립할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환자 치료의 질과 관련된 성과 측정(예: 레지던트 민감성 품질 측정[49])을 활용하면 환자에 대한 서비스의 우수성을 정의하는 교육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As teachers commit to growing their skills in observation and assessing multiple domains, schools must signal to students and faculty that competence across all domains is the foundation of excellence and that improved patient population health and well-being is the objective of these efforts. Teachers and schools must also start preparing themselves to make competency assessments and coaching plans based on data that are connected to patient outcomes. Utilizing measures of performance linked to quality of patient care—e.g., resident-sensitive quality measures [49]—can strengthen educators’ ability to define excellence in service to patients.

우수성 코드의 일부인 "개선"
“Improvement” as part of the excellence code

교수진은 학생들이 관련 영역에서 [역량을 갖추도록 보장해야 할 사회적 의무]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단 역량의 문턱을 넘으면], 교수진의 관심은 [성취 정도]에서 [개선 속도]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즉, 학생의 지식이 '우수'인지 '탁월'한지에 대해 걱정하지 말고, 대신 [각 학생이 사용하는 개선 방법을 검토]하는 데 에너지를 쏟아야 합니다.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학습자는 연습, 성찰 및 피드백의 통합에 엄격해야 합니다[50]. 새로운 도전에 관심이 적은 학생은 자신의 안전 지대를 벗어나 임상 사례를 찾는 학생보다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우수성은 학습자의 현재 숙련도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성장률에 따라 정의될 수 있습니다.
Faculty have a societal obligation to ensure students achieve competence in relevant domains. However, once the threshold of competence is crossed, faculty attention should shift from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to the rate of improvement. This means not worrying about whether a student’s knowledge is “excellent” versus “outstanding,” and instead devoting energy to examining the method of improvement each student employs. Learners working to improve must be rigorous in their practice, reflection, and incorporation of feedback [50]. Students who exhibit limited interest in new challenges should warrant greater concern than students who seek clinical cases at the edge of their comfort zone. Excellence can be defined by the learner’s rate of growth, not just their current level of proficiency.

평생 학습을 우수성의 지표로 통합하는 것은 '개선'을 설명하는 내러티브가 나쁜 성과를 나타내는 코드인 현재의 수사와 상충됩니다[51].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학생의 개선]과 [개인적 성장에 대한 헌신]에 대한 평가가 필수이며, 개선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Integrating lifelong learning as a marker of excellence is at odds with current rhetoric where narratives describing “improvement” are code for bad performance [51]. In the new paradigm, assessment of the student’s improvement and commitment to personal growth is a must-have—and the absence of a mention of improvement would be alarming.

모든 환자에게는 우수한 의사가 필요합니다
All patients need excellent physicians

분류되지 않은 데이터가 풍부한 시스템에서 뇌는 항상 복잡성을 처리하기 위해 [단순화된 추상화]를 찾게 됩니다. 기존의 평가 시스템은 어드바이저, 수상 위원회,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위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가 아닌 [교수의사]의 가치에 기반하여 환원주의적인 방식으로 평가합니다.
In systems with abundant uncategorized data, the brain will always seek simplified abstractions to deal with complexity. Traditional assessment systems fulfill this role for advisors, award committees, and residency programs, and do so in a reductionistic manner based on what academic physicians—not society—value.

의과대학의 임무는 [레지던트 과정을 위해 학생들을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것]입니다[52]. 레지던트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펠로우십과 임상 실습을 위해 분류하는 사업에 종사 할 필요가 없습니다. 전임자의 발자취를 좁게 따라가는 수련의를 평가하고 그에 따라 레지던트와 전문과목 간에 학생들을 분류하는 지표를 사용하여 우수성을 정의하는 현재의 시스템을 용인하는 한 우리는 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것입니다.The job of medical school is not to sort students for residency, but to develop doctors to meet patients’ and society’s needs [52]. Residencies have the same goal and need not be in the business of sorting for fellowships and clinical practices. We will fall short of this goal as long as we condone the current system that defines excellence using metrics that value trainees who follow narrowly in their predecessors’ footsteps and triage students among residencies and specialties accordingly.

시험, 성적, 형용사별로 분류하지 않으면 레지던트 프로그램에 지원할 학생을 선발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교육자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려는 전통적으로 '우수한' 학생이 '우수한' 프로그램에 입학하는, 우리가 항상 해왔던 레지던트 선발의 어려움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분류 시스템이 사회적 수요에 맞게 인력을 최적화했다거나 개선할 수 없다고 믿을 이유는 없습니다. 총체적인 검토 프로세스는 여러 영역에서 우수성을 평가하고 집중 분야, 역량, 학습 접근 방식, 가치관이 프로그램과 사회의 요구와 일치하는 후보자를 선발하는 학교와 레지던시의 역량을 반영합니다[53,54,55].

Without categorization by tests, grades, and adjectives, educators anticipate immense difficulty in selecting students for residency programs. This worry reflects the difficulty in selecting residents as we have always done, in which traditionally “excellent” students gain entry into “excellent” programs.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is sorting system has optimized our workforce to meet societal demands or that it could not be improved upon. Holistic review processes reflect the capacity of schools and residencies to assess excellence across multiple domains and select candidates whose areas of focus, capabilities, approaches to learning, and values match those of the program and society [53,54,55].

["내가 보면 안다"는 식의 평가]는 [시대에 뒤떨어지고 부정확하며 배타적인 정적 버전의 우수성]을 지지하는 것입니다. [사회가 필요로 하는 학습자의 우수성]은 여러 영역에서 지도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는 [교사의 산물]입니다. 모든 환자에게는 우수한 의사가 필요합니다. 그들을 개발하는 것이 우리의 일입니다.
When we employ “I know it when I see it”, we endorse a static version of excellence that is outdated, inaccurate, and exclusionary. The excellence in learners that society needs is a product of teachers who continually grow in their ability to coach and assess across multiple domains. All patients need excellent physicians. It’s our job to develop them.

 


Perspect Med Educ. 2021 Dec;10(6):356-361.doi: 10.1007/s40037-021-00678-5. Epub 2021 Aug 20.

Excellence in medical training: developing talent-not sorting it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 USA. gurpreet.dhaliwal@ucsf.edu.

2Medical Service, San Francisco VA Medical Center, San Francisco, CA, USA. gurpreet.dhaliwal@ucsf.edu.

3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 USA.

PMID: 34415554

PMCID: PMC8377327

DOI: 10.1007/s40037-021-00678-5

Free PMC article

 

Abstract

Many medical schools have reconsidered or eliminated clerkship grades and honor society memberships. National testing organizations announced plans to eliminate numerical scoring for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Step 1 in favor of pass/fail results. These changes have led some faculty to wonder: "How will we recognize and reward excellence?" Excellenc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long been defined by high grades, top test scores, honor society memberships, and publication records. However, this model of learner excellence is misaligned with how students learn or what society values. This accolade-driven view of excellence is perpetuated by assessments that are based on gestalt impressions influenced by similarity between evaluators and students, and assessments that are often restricted to a limited number of traditional skill domains. To achieve a new model of learner excellence that values the trainee's achievement, growth, and responsiveness to feedback across multiple domains, we must envision a new model of teacher excellence. Such teachers would have a growth mindset toward assessing competencies and learning new competencies. Actualizing true learner excellence will require teachers to change from evaluators who conduct assessments of learning to coaches who do assessment for learning. Schools will also need to establish policies and structures that foster a culture that supports this change. In this new paradigm, a teacher's core duty is to develop talent rather than sort it.

Keywords: Competency-based education; Medical faculty;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의과대학생의 전문직정체성 형성: 위계적, 집단적 문화에서의 혼합연구(BMC Med Educ, 2022)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students: A mixed‑methods study in a hierarchical and collectivist culture
Ardi Findyartini1,2*, Nadia Greviana1,2, Estivana Felaza1,2, Muhammad Faruqi2,3, Taris Zahratul Afifah2,3 and Mutiara Auliya Firdausy2,3

 

서론
Introduction

의료 전문직업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여러 행동을 포함한다[1]. 전문가들은 스스로를 우수하고 윤리적이며 이타적인 환자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 전문가의 구성원으로 생각해야 한다[2]. 그것은 윤리적 원칙 준수, 환자 및 가족과의 효과적 상호작용, 의료 시스템과의 효과적 상호작용, 자신, 타인 및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헌신뿐만 아니라 우수성, 책임성, 이타주의 및 휴머니즘[3]과 같은 기본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의학에서 미덕 기반과 행동 기반의 전문성이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정체성 형성에 의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이 추가로 강조되었다[5]. 
Medical professionalism encompasses multiple behaviors that may change over time [1] and requires the professionals to picture themselves as the member of the medical professions who are able to provide excellent, ethical and altruistic patient care [2]. It stands on basic principles such as excellence, accountability, altruism, and humanism [3], as well as adherence to ethical principles, effective interactions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effective interactions with the healthcare system, and commitment towards improvement for self, others and the system [4]. It has been further emphasized that virtue-based and behavior-based professionalism in medicine should be strengthen by personal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5].

전문직업성 개발을 정착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학생들이 자신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2, 5]. 이 형성은 그들이 의대생이 되었을 때 시작되어 졸업 후에도 계속된다. 교사, 동료, 선배 동료 및 광범위한 의학/의료 커뮤니티와의 광범위한 상호작용은 PIF의 핵심인 [사회화 과정][6]에 의대생을 몰입시킨다. 따라서 의대생들이 [전문적 태도를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지지적 실천 공동체]와 [양육적 학습 환경]이 중요하다[8]. 임상 환경에서 전문가 정체성은 의료 전문가들이 [실무 경계를 정의]하고, [팀워크에서 역할 혼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9]. 따라서 실무자[10]와 교육자[11] 모두에게 전문적인 의견의 옹호를 용이하게 한다. 의대생들 사이의 PIF에 대한 범위 검토는 그것이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정체성]의 [지속적인 구축과 해체]를 수반하는 [다요인 현상]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동적 특성은 개인의 가치와 신념 및 의대생의 임상 및 비임상 경험을 포함한 환경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12].
One way to ancho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to have students recognize their ow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2, 5]. This formation begins when they become medical students and continues after their graduation. A wide range of interactions with teachers, peers, senior colleagues, and the broader medicine/healthcare community immerses medical students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6], which is central to PIF [7]. Consequently, a supportive community of practice and a nurturing learning environment are important for medical students to internalize professional attitudes [8]. In a clinical setting, professional identity helps healthcare professionals define practice boundaries and reduce role confusion in teamwork [9]. Thus, it facilitates the advocacy of professional opinions for both practitioners [10] and educators [11]. A scoping review on PIF among medical students highlights that it is a multifactorial phenomenon which involves a continuous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individual, relational and societal identities. This dynamic nature can be influenced by individual values and belief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linical and non-clinical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12].

의학 교육에서, [Kegan의 모델]은 의대생들의 PIF 과정을 깊이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자들에 의해 인정받고 있다. 이 모델을 기반으로 PIF를 통합, 충동, 제국, 대인관계, 제도적, 개인간의 6단계로 분류한다. 학생들은 의학 교육 중에 [2-4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여겨진다[7].

  • 2단계(제국 단계)에서 의대생들은 [적절한 자기반성 없이 전문적인 규칙을 인식하고 따를 것]으로 기대된다.
  • PIF가 4단계(제도적 단계)로 발전함에 따라 의대생들은 [서로 다른 가치와 기대의 관점에서 관계를 이해하도록 발전]한다. 결국, 그들은 [더 성찰적이 되고, 전문적이고 제도적인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다[7].

Kegan의 모델[13, 14]에 기초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의대생의 PIF 단계를 식별하기 위한 측정이 개발되었다.
In medical education, Kegan’s model is acknowledged by researchers as deeply analyzing the PIF process in medical students. Based on this model, we categorize PIF into 6 stages: the incorporation, impulsion, imperial, interpersonal, institutional, and inter-individual stages. It is believed that students undergo stages 2–4 during medical education [7].

  • In stage 2 (the imperial stage), medical students are expected to recognize and follow professional rules without adequate self-reflection.
  • As PIF advances in stage 4 (the institutional stage), medical students develop to understand relationships in terms of different values and expectations. Eventually, they become more reflective and can internalize professional and institutional values [7].

Measurements have been developed to identify the PIF stages of medical students, using questionnaires based on Kegan’s model [13, 14].

학생들의 성찰[8, 15]과 [타당화된 설문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적인 정체성 개발을 평가할 수 있다. 후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동적 개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의대생들의 PIF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관련 주제에 대한 포커스 그룹 토론을 사용하여 주어진 맥락에서 이러한 현상을 탐구함으로써 수행된다[16]. PIF를 연구하는 또 다른 방법은 여러 프롬프트에 대한 응답으로 채워진 전문가 정체성 에세이(PIE)를 통해 학생들의 발달을 측정하는 것이다[17].
Numerous methods can assess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ncluding students’ reflections [8, 15] and a validated questionnaire. The latter can be used over time, which is critical for understanding dynamic development (e.g., Tagawa M, 2019 [13], Tagawa M, 2020 [14]). Studies on PIF among medical students are usually conducted by exploring this phenomenon in a given context, using focus group discussions on related topics [16]. Another way to study PIF is to measure students’ development through a professional identity essay (PIE) filled with responses to several prompts [17].

이러한 접근법은 학생들이 자신의 [직업적 정체성 발달]을 의식적으로 고려하도록 장려한다[15, 18]. 예를 들어, [개인적인 서술적 성찰]은 학생들이 [학생으로서의 현재의 존재]를 느끼도록 격려한다. 이를 통해 [정체성 불일치]에 대한 경험을 되돌아보고 의료 전문가로서의 미래의 포부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7, 19]. 또한 [잠재의식 수준에서 전문적 정체성의 발달을 드러내는 것]은 동료, 선임 동료 및 의학 교사들과 멘토로서 추가적인 논의를 불러일으킨다[7, 13]. 결국, 그것은 학생들이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바꾸고 협상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These approaches encourage students to consciously consider thei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15, 18]. For instance, personal narrative reflection encourages students to sense their current being as a student. This helps them reflect on any experience of identity dissonance and to narrate their future aspirations as healthcare professionals [7, 19]. Additionally, reveal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from the subconscious level generates further discussions with peers, senior colleagues, and medical teachers as mentors [7, 13]. Eventually, it can help students reshape and negotiat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연구에 따르면 의학 교육의 부정행위를 포함하여 의대생과 전공의의 [전문직업적 발달]은 실제 [미래의 비전문적인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20, 21]. 추가적인 연구는 또한 의대생들의 [비전문적인 행동]이 그들의 [반사성과 적응성]의 어려움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러한 행동에는 근본적인 문제의 추가적인 식별, 교정 및 상황에 따라서는 제적까지도 필요하다[22]. 또한 [계층적이고 집단주의적인 문화]에 대한 연구는 전문적 딜레마에 직면했을 때 임상 연도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문화의 강력한 영향력]을 강조하며, 전문직업성과 전문적 정체성 형성은 항상 맥락적이며 사회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24].
Studies show th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ncluding misconduct in medical education, may predict future unprofessional behavior in practice [20, 21]. Further studies also highlighted unprofessional behaviors among medical students as caused by challenges in their reflectiveness and adaptability. Those behaviors require further identification of underlying problems, remediation and even case dismissal if necessary [22]. Furthermore, a study in a hierarchical and collectivist culture underscores the strong influence of the culture towards clinical year students’ responses when they encounter professional dilemma [23], showing that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re always contextual and should consider sociocultural backgrounds [24].

따라서 의대생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가 서구적 맥락에서 광범위하게 수행되었기 때문에(예: 1-10) [인도네시아 의대생의 PIF]를 탐색하고자 한다. 인도네시아는 사회가 권력의 불평등(불평등과 종속)을 받아들이고 연결성을 우선시하는 계층적이고 집단주의적인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국가이다[25, 26]. 이 환경에서 의학 교사의 PIF에 대한 연구는 PIF에 종교적 가치, 가족 영향 및 사회적 인식이 강력하게 통합되었음을 시사한다[27].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환경에서 의대생에 대한 PIF 연구는 다소 제한적이다.
Therefore, as studies abou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students have been extensively conducted in western contexts [e.g. 1–10],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PIF of medical students in Indonesia—a country with hierarchical and collectivist cultural backgrounds, in which the society accept inequality in power (superiority and subordinary) and prioritize on connectedness [25, 26]. Studies on PIF of medical teachers in this setting suggests the strong incorporation of religious values, family influences and societal recognition in their PIF [27]. PIF studies on medical students in this cultural setting, on the other hand, is rather limited.

따라서 우리의 연구는 의대생의 PIF에서 개인과 기관의 역할과 관련하여 이러한 특정 맥락에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량적 도구를 사용하여 PIF를 측정하고 정성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PIF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는 일반적으로 별도로 수행된다. 따라서 의과대학의 역할과 의대생을 위한 PIF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의학연수 단계에서 PIF를 측정하고 PIF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그 기여/억제 요인을 순차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 질문은 세 가지입니다: 

  • a. 인도네시아 맥락에서 적응된 PIF 설문지의 타당성은 무엇인가?; 
  • b. 의학 교육의 다양한 단계에서 학생들의 PIF의 척도는 무엇인가?; 
  • c. 학생들은 PIF와 PIF의 기여/억제 요인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Our study therefore is expected to yield further information in this specific context regarding the roles of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in PIF of medical students. In addition, studies aiming to measure PIF using a quantitative tool and to explore it using qualitative approaches are usually conducted separately. Therefore, considering the role of medical schools and the importance of PIF for medical students, we would like to measure PIF at various stages of medical training and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of PIF and its contributing/inhibiting factors sequentially. Our research questions are three-folds:

  • a. What is the validity of an adapted PIF questionnaire in Indonesia context?;
  • b. What are the measures of PIF of students at various stages of medical education?;
  • c. How do students perceive PIF and its contributing/inhibiting factors?

PIF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검증 및 사용은 '현재 위치'의 식별을 통해 의대생의 전문적인 발전을 더욱 지원할 수 있으며 기여/억제 요인의 탐구는 PIF를 지원하고 육성하기 위해 의대에 추가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validation and use of instruments to measure PIF can further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edical student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where they are at’ and the exploration of contributing/inhibiting factors are expected to further inform medical schools to support and nurture the PIF contextually.

방법
Method

맥락
Context

이 연구는 40개 이상의 학부와 대학원 의학 프로그램이 있는 의과대학인 [인도네시아 의과대학]에서 수행되었다. 학부 과정은 다른 프로그램 중에서 학생 수가 가장 많다. 본 연구와 관련된 학부과정과 대학원과정의 학생들은 각각의 프로그램에서 역량기반의 의학교육과정에 등록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at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a medical school that is home to more than 40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programs. The undergraduate program has the largest numbers of students among other programs. Students of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programs involved in this study were enrolled in a competency-based medical curriculum in their respective programs.

설계.
Design

이것은 [순차적 설명 접근법]을 사용한 혼합 방법 연구이다[28]. PIF는 [PIF 단계와 역동적 프로세스]에 대한 [심층적이고 성찰적인 이해]가 필요한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정량 및 정성 측정]을 사용하여 의대생과 전공의 사이에서 [PIF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이 접근 방식을 선택했다[17]. 본 연구에서 [혼합 방법 접근법을 사용한 목적]은 [정량적 단계의 결과]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보다 [철저한 질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었다[29]. 본 연구에서 [타당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PIF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목적은 연구 연도에 걸쳐 의대생의 PIF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었지만, [FGD를 통한 추가 탐]색은 PIF의 동적 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This is a mixed-methods study using a sequential explanatory approach [28]. We selected this approach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IF among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using systematic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as PIF is a complex phenomenon that requires a deep and reflective understanding of its stage and dynamic processes [17]. The purpose of using mixed methods approach in this study was to provide a more thorough qualitative description to explain further about the findings from the quantitative stage [29]. While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PIF using validated questionnaire in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PIF profiles of medical students across study years, further exploration through FGDs was intended to provide the dynamic processes of the PIF.

응답자
Respondents

연구는 학부 의대생(2, 4, 6학년)과 대학원 의대생 또는 전공의(각 프로그램의 2-3학년)를 대상으로 했다. 이러한 수준에서 그들의 참여는 다양한 학년 수준의 학생들 사이에서 PIF 설문지 점수의 차이를 관찰하는 연구 목표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study involved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years 2, 4, and 6) and postgraduate medical students or residents (years 2–3 of each program). Their involvement at these levels was expected to facilitate the study aim of observing differences in PIF questionnaire scores to better understand PIF among students at different year levels.

정량단계
Quantitative stage

a. 도구.
a. Instrument.

본 연구의 설문지는 Tagawa가 개발한 설문지에서 수정되었다[13, 14]. 설문지의 사용은 Kegan의 모델을 기반으로 의대생들의 PIF 단계와 일치하는 설문지의 구성 타당성과 양호한 신뢰성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PIF의 다양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중요했다. 이는 영어에서 인도네시아어로 번역되었으며 의미 비교 가능성과 내용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역번역되었다(표 1 참조). 번역은 전문 번역가가 완료하고 의학교육에 전문성을 갖고 의학교육에서 PIF를 연구해온 저자(AF, EF, NG)가 큐레이팅했다. 번역에 이어 설문지를 활용해 FMUI의 현재 [학부 의대생인 저자 3명(TZA, MAF, MF)]과 설문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다른 학생 5명이 참여한 [인지면접]을 완료했다. 인도네시아어 번역문에 대한 후속 수정은 명확성을 개선하고 적절한 대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관련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다. 각각의 개정은 역번역 수정과 원래 항목과의 의미 비교 가능성 확인을 포함했다.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was adapted from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agawa [13, 14]. The use of the questionnaire was supported by the construct validity and goo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hich is aligned with the PIF stages of medical students based on Kegan’s model. The opportunity to capture the different levels of PIF using the questionnaire was critical in this study. This was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Indonesian and back-translated to assure meaning comparability and content validity (see Table 1). The translations were completed by a professional translator and curated by the authors (AF, EF, NG), who have expertise in medical education and have been studying PIF in medical education. Following translation, we used the questionnaire to complete a cognitive interview involving three authors (TZA, MAF, and MF), who are current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at FMUI, as well as 5 othe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urvey. Subsequent amendments to the Indonesian translation were made to relevant items to improve clarity and facilitate appropriate responses. Each revision involved a back-translation amendment and check of the meaning comparability with the original items.

b. 데이터 수집
b. Data collection

연구의 첫 단계에서, 우리는 Tagawa[13, 14]가 개발한 번역된 PIF 설문지를 2학년, 4학년, 6학년 학부생과 2학년 전공의에게 시행했다. 우리는 PIF 과정을 보다 포괄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2년차 거주자들을 이 연구에 참여시켰다. 우리는 각 응답자 그룹의 60-70%의 목표 응답률을 가진 총 표본 추출 접근법을 사용했다. 모든 잠재적 응답자는 그룹 리더와 연구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를 통해 온라인 방송을 통해 초대되었다. 잠재적 응답자들에게 그들의 참여는 자발적이며 그들의 진행 중인 연구와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되었다. 2020년 8월부터 9월까지 데이터 수집이 완료되었으며,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주의사항이 발송되었다.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we administered the translated PIF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agawa [13, 14] to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year two, four, and six and residents year two. We involved residents year two in this study as they resembled groups of practicing doctors so that we could explore the PIF process more comprehensively. We employed a total sampling approach, with a target response rate of 60–70% of each group of respondents. All potential respondents were invited through an online broadcast via the group leaders and study program coordinators. It was emphasized to the potential respondents that their participation was voluntary and would not affect their ongoing study and evaluation.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from August–September 2020, and several reminders were sent out to increase the response rate.

설문지를 관리한 후 SPSS IBM 27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FA)을 완료하여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항목으로 구성된 요인 또는 차원을 개발하여 설문지의 잠재 변수를 식별했다[30]. 우리는 분석에서 확인된 요인을 원래 설문지[13, 14]의 요인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우리는 PIF 설문지의 구인타당도을 지원하기 위해 주요 축 요인(PAF)[31, 32]과 함께 EFA를 수행했다. 
After administering the questionnaire, using SPSS IBM 27 we comple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to identify latent variables in the questionnaire by developing factors or dimensions constructed by strongly correlated items [30]. We aimed to compare the factors identified in our analysis to those in the original questionnaire [13, 14]. We conducted an EFA with Principal Axis Factoring (PAF) [31, 32] to support the construct validity of our PIF questionnaire.

설문도구 타당화에 이어 응답자 4개 [그룹 간 PIF 점수 비교 및 대조]를 위한 추가 데이터 분석이 수행되었다. 데이터의 비정상적인 분포를 고려하여, 쿠르스칼-월리스는 4개 그룹의 중위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완료되었고, 뒤이어 사후 분석으로서 Mann-Whitney가 완료되었다.
Following the instrument validation, further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contrast the scores of PIF among the four groups of respondents. Given the abnormal distribution of the data, non-parametric tests, Kurskall-Wallis were completed to analyze the median difference of the four groups, followed by Mann–Whitney as a post-hoc analysis).

질적 단계
Qualitative stage

정량적 단계의 데이터 분석에 이어, 특히 PIF 과정에 대한 인식과 이를 기여하고 억제하는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토론이 수행되었다. 포커스 그룹 질문은 [사회화 이론과 통합된 PIF의 개념]과 [Kegan의 모델[7]]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부록 2).
Following the data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phase,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further explore the findings, particularly to explore the perceptions in regards to the PIF process 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and inhibit it. Focus group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a concept of PIF integrated with socialization theory, as well as Kegan’s model [7] (Appendix 2).

PIF에 대한 의견을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FG) 참가자는 설문지를 작성하고 포커스 그룹 세션에 초대되는 데 동의한 사람들의 [최대 다양성 샘플링]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29]. 성별과 (주민을 위한) 연구 프로그램에 대한 대표성을 고려하여 FG 참가자를 선정하기 위해 [최대 다양성 표본 추출 접근법]을 사용했다. 학부 프로그램의 각 클래스 그룹(2년, 4년, 6년)에 대해 2개의 FG가 수행되었고, 외과 및 내과 프로그램 모두에서 전공의를 대상으로 다른 2개의 FG가 수행되었다.
In order to best represent views on PIF, focus group (FG) participants were purposively selected using maximum variety sampling approach from those who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nd agreed to be invited to a focus group session [29]. The maximum variety sampling approach was used to select the FG participants, accounting for representativeness regarding gender and study program (for residents). Two FGs were conducted for each class group (years 2, 4, and 6) of undergraduate program; two other FGs were conducted for residents in both surgical and nonsurgical study programs.

모든 FG는 [FG에 참여하는 학생이나 전공의의 평가 과정에 관여하지 않는, 해당 기관의 의학 교육자인 핵심 연구팀]에 의해 모더레이션되었다. 모든 FG는 현재 진행 중인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화상 회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추가 분석을 위해 플랫폼에 포커스 그룹을 기록했다.
All FGs were moderated by the core research teams who were medical educationalists in the institution with no involvement in the assessment process of students or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FGs. All FGs were conducted online using video conference platform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ongoing at time. Focus groups were recorded in the platform for further analysis.

얻어진 정성적 데이터는 코드화 및 이론화 단계(SCAT) 방법을 사용하여 PIF의 관련 이론에 따라 귀납적 및 연역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주제 분석]을 사용하여 전사되고 분석되었다[33]. 핵심 주제와 하위 주제를 식별하기 위한 초기 토론에 이은 초기 주제 분석은 모든 대화록의 추가 분석에 앞서 FG 중재자인 두 명의 저자가 두 개의 대화록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했다.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의과대학 연구윤리위원회(번호: KET-497/UN2.F1/ETIK/PPM.00.02/2020)의 승인을 받았다.

The qualitative data obtained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analyzed using a thematic analysis using inductive and deductive approach according to the related theory of PIF using the Steps for Coding and Theorisation (SCAT) method [33]. The initial thematic analysis followed by initial discussion to identify the core themes and subthemes was conducted on two transcripts independently by two authors who were also the FG moderators [AF and NG] prior to further analysis of all transcripts.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Research Ethical Committee of th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Number: KET-497/UN2.F1/ETIK/PPM.00.02/2020).

결과.
Results

설문지 타당화
Questionnaire validation

우리는 비스듬한 회전으로 PAF를 사용하여 EFA를 수행했다. EFA에는 몇 가지 단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첫째, 카이저-마이어-올킨(KMO)과 바틀렛의 구형도 검정(KMO = 0.831, 바틀렛의 구형도 검정 = X2 1.357(105), p 0.000)을 사용한 분석 결과 데이터가 EFA의 초기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설문항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요인을 추출하여 사선회전을 실시하였다. 고유값과 화면도를 사용하여 보존 요인의 수를 확인했습니다(부록 1).

We performed EFA using PAF with oblique rotation. The EFA contains several steps.

  • First, our analysis using the Kaiser–Meyer–Olkin (KMO) and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showed that the data fulfilled the initial criteria of the EFA (KMO = 0.831 and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 X2 1.357 (105), p 0.000).
  • Secon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correlated, factors were extracted, and oblique rotation was conducted. The eigenvalue and scree plot were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retained factors (Appendix 1).

모든 항목이 특히 한 요인에서 강하게 적재되었습니다(> 0.4). 교차 적재가 없었고 각 요인은 최소 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구성된 요인에 대한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졌다[31, 32](표 1). 구성요인의 개념적 의미 해석은 4가지 요인/하위 척도로 나타났다 

  • 전문적 역할 인식 및 내재화(항목 8, 9, 12, 14),
  • 전문직업적 행동의 자기통제(항목 3, 6, 7, 15),
  • 전문직업성에 대한 성찰(항목 10, 11, 13),
  • 의료/보건 전문직으로서의 사고과정(항목 1, 2, 4, 5). 

All items were loaded strongly (> 0,4), especially in one factor. There were no cross-loadings and each factor consisted of at least 3 items, leading to adequate support for the constructed factors [31, 32] (Table 1). The interpretation of conceptual meaning of the constructed factors resulted in 4 factors/subscales:

  •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items 8, 9, 12, 14);
  • self-control in professional behavior (items 3, 6, 7, 15);
  • reflections on professionalism (items 10, 11, 13); and
  • thought processes as a medical/health professional (items 1, 2, 4, 5).

설문지의 내부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체 척도와 각 부분 판매에 대한 크론바흐의 알파를 계산했다. 전체 척도의 신뢰도는 0.776인 반면, 하위척도 1-4의 신뢰도는 각각 0.662, 0.661, 0.627, 0.522였습니다. 하위척도 4[34]를 제외하면 이는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과입니다.
The Cronbach’s alphas of the overall scale and each subscale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naire.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scale was 0.776, while that of subscales 1–4 were 0.662, 0. 661, 0.627, and 0.522, respectively; these are quite satisfactory results, with the exception of subscale 4 [34].

정량단계
Quantitative stage

조사단계에는 총 443명의 응답자가 참여했으며, 2년차, 4년차, 6년차 또는 2단계(전공의)에는 각각 106명(23.9%), 110명(24.8%), 108명(24.4%), 119명(26.9%)이 참여했다. 각 수준별 응답률은 그룹별 전체 응답자의 46~71% 수준이었다. 설문지의 일변량 분석은 표 2에 설명되어 있다.
A total of 443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age, with 106 (23.9%), 110 (24.8%), 108 (24.4%), and 119 (26.9%) participants in year 2, year 4, year 6, or stage 2 (residents), respectively. The response rate at each level was 46–71% of total respondents in each group. Univariat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is described in Table 2.

 

표 3은 2, 4, 6학년 의대생과 2단계 전공의의 점수 비교에 대한 추가 분석을 제공한다.
Table 3 presents further analyses of the score comparisons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n years 2, 4, and 6, as well as stage 2 residents.

표 3은 4개 그룹의 총 PIF 점수 차이를 보여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6학년 학생과 2단계 전공의의 점수가 다른 2개 그룹보다 높았다. '전문적 역할의 인식과 내재화', '전문적 행동에 대한 자기 통제'와 관련하여 각각 하위척도 1과 2에서 유의미한 하위척도 점수 차이가 관찰된다. Mann-Whitney 시험 결과를 사용한 사후 분석은 수정된 Bonferronip [35]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Table 3 shows a total PIF score difference among the 4 groups and indicates that year 6 students and stage 2 residents had higher scores than the other two groups, although these differenc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ignificant subscale score differences are observed in subscales 1 and 2 regarding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and “Self-control towards professional behaviors”, respectively. The post-hoc analysis using the Mann–Whitney test results is described as follows, with the use of adjusted Bonferroni p [35]:

  • a. 하위척도 1의 사후 분석.
    • 4학년과 6학년 학생; X29.296, 수정본페로니 0.014
    • 6학년 학생과 2단계 거주자, X27.630, 조정된 Bonferroni p 0.034
    • 4학년 학생 및 2단계 거주자, X230.689, 조정된 본페로니 0.000
    • 2년차 및 2단계 거주자, X2 12.689, 조정된 Bonferroni p 0.002
  • b. 하위척도 2의 사후 분석
    • 2학년 학생 및 2단계 거주자, X271.768, 조정 본페로니 0.000
    • 4학년 학생 및 2단계 거주자, X260.964, 조정 본페로니 0.000
    • 6학년 학생과 2단계 거주자, X2 15.753, 조정된 본페로니 0.000
    • 4학년과 6학년 학생, X27.010, 수정본페로니 0.049
    • 2학년과 6학년 학생; X223.696, 조정된 본페로니 0.000
  • a. Post-hoc analysis of subscale 1.
    • Year 4 and year 6 students; X2 9.296, adjusted Bonferroni p 0.014
    • Year 6 students and stage 2 residents; X2 7.630, adjusted Bonferroni p 0.034
    • Year 4 students and stage 2 residents; X2 30.689, adjusted Bonferroni p 0.000
    • Year 2 and stage 2 residents; X2 12.689, adjusted Bonferroni p 0.002
  • b. Post-hoc analysis of subscale 2.
    • Year 2 students and stage 2 residents; X2 71.768, adjusted Bonferroni p 0.000
    • Year 4 students and stage 2 residents; X2 60.964, adjusted Bonferroni p 0.000
    • Year 6 students and stage 2 residents; X2 15.753, adjusted Bonferroni p 0.000
    • Year 4 and year 6 students; X2 7.010, adjusted Bonferroni p 0.049
    • Year 2 and year 6 students; X2 23.696, adjusted Bonferroni p 0.000

질적 단계
Qualitative Stage

우리는 총 69명의 참가자가 참여하는 8개의 포커스 그룹 토론을 진행했다. 표 4는 각 포커스 그룹의 참가자 수를 보여줍니다.
We conducted eight focus group discussions involving a total of 69 participants. Table 4 show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each focus group.

두 가지 주제가 포커스 그룹에서 나타나 의대생의 PIF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묘사한다. 주제들과 하위 주제들의 관계는 도 1에 설명되어 있다.
Two themes emerge from the focus groups, depicting the process of PIF in medical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t. The relationships of the themes and subthemes are described in Fig. 1.

 

1. 의대생의 PIF 과정
1.Process of PIF in medical students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의사가 되고 싶은 동기
How it started: motivation to become a doctor

내재적 동기 부여
Intrinsic Motivation

학생들은 의사가 되기 위한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모두 보고했다. 그들이 약을 선택한 이유는 다양했다. 가장 일반적인 동기는 [다른 사람들을 돕고 싶은 욕구]였다:
The students reporte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for becoming doctors. Their reasons for choosing medicine varied. The most common motivation was a desire to help others:

"저는 항상 제 존재의 목적이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이라고 느껴왔습니다. 그렇게 하는 방법은 의사가 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었지만 나중에는 의사가 다른 사람들의 삶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더 심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R, 2학년.
“I have always felt that the purpose of my existence is to help others. And the way to do that is by becoming a doctor. At first, I wanted to be an engineer, but later I realized that the impact that doctors can have on other people’s lives is more profound.” -R, second-year student.

의사들이 사람들을 돕는 것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가족이나 가까운 사회 집단에서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다:
This realization about doctors helping people stems from personal experience in the family or close social circles:

"중등학교 때부터, 저는 저에게 경제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도울 수 있는 직업을 갖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나중에 그 보상을 받을 것입니다." -D, 비수술 레지던트.
“Since I was in secondary school, I have decided that I want a profession that will not just provide for me financially, but that will also let me help other people, and I will get the reward later in the afterlife.” -D, non-surgical resident.

일부 학생들은 [학창 시절에 의학과 관련된 과목(대부분 생물학)]에 대한 관심을 언급했다. 그들은 이러한 과목들에 대해 호기심이 많았고 대학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기를 원했다:
Some students mentioned their interest in medicine-related subjects (mostly biology) during their school years. They were curious about these subjects and wished to learn more in college:

"저는 생물학을 정말 좋아합니다. 나는 약과 관련된 정보를 찾곤 했는데, 그것이 나를 더욱 궁금하게 만들었다. 나는 인간의 몸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고 싶다." -P, 2학년
“I really like biology. I used to look for medicine-related information, which made me even more curious. I want to know how the human body works.” -P, second-year student

외인적 동기부여
Extrinsic Motivation

그들의 [삶에서 역할 모델의 존재]는 학생들이 그들의 길로 의학을 선택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였다. 이러한 역할 모델은 [일반적으로 가족 구성원 또는 가족이 의료 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 상호 작용하는 의사]였다.
The presence of role models in their lives seemed to influence students to choose medicine as their path. These role models were typically family members or a doctor with whom they interacted when they or their family required medical care.

"우리 부모님은 의사이기 때문에, 저는 어렸을 때 그들의 직업을 소개받았습니다. 나는 정말 아빠를 존경하고 아빠처럼 되고 싶어. 밤에 퇴근해서 집에 돌아오면, 그는 자신이 겪은 사건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곤 했는데, 저는 그 사건들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R, 2학년 학생.
“My parents are doctors, so I was introduced to their field of work when I was little. I really look up to my dad and I want to be like him. When he came home from work at night, he used to share his stories about the cases he had, and I found them very interesting.” -R, second-year student.

의사가 되는 것은 [지식이 풍부한 것]으로 보여지고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과 같은 이점을 동반한다; 이것들은 또한 학생들이 이 직업을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Being a doctor comes with advantages, such as being seen as knowledgeable and having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community; these also play a role in motivating students to pursue this career.

"저는 작은 마을에서 왔고, 저희는 소아과 의사가 한 명밖에 없습니다. 나는 이 의사가 얼마나 국민들에게 존경 받고 잘 알려져 있는지 알 수 있다.. 그가 그곳의 지역사회 지도자인 것처럼 보였고, 나는 그것 때문에 의사가 되고 싶다고 생각한다." -나, 최종 학년 학생.
“I come from a small town, and we only have one pediatrician. I can see how this doctor is highly respected and well-known by the people.. it really looked like he is the community leader there, and I think I want to be a doctor because of that.” -I, final-year student.

[많은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들이 의사가 되기를 원하는데], 이것은 또 다른 중요한 동기를 구성한다:
Many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be doctors, which constitutes another important motive:

"저는 처음에는 의사가 되는 것에 별로 관심이 없었지만, 엄마는 정말로 아들이 의사가 되기를 원하십니다. 그래서 제 동기는 엄마를 행복하게 해드리는 거예요." -2학년 A군
“I was not really interested in being a doctor at first, but my mom really wants her son to be a doctor. So my motivation is to make my mom happy.” -A, second-year student

여정: 가치가 처리되고 내재화된 방식
The journey: how the values were processed and internalized

PIF는 [형성]과 [내재화] 과정으로 구성된다. 학생들은 교육 기간 내내 PIF를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이 과정은 그들이 진행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생했는데, 그들은 그들이 되고 싶은 의사들의 [이상적인 모습과 현재의 자신을 비교해보라고 요청받았을 때의 대답]에 반영되었다:
PIF consists of formation and internalization processes.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PIF throughout their education. This process occurred gradually as they progressed, as reflected in their answers when they were asked to compare their current selves to the ideal picture of the doctors they wanted to become:

"제가 처음으로 역량과 7성급 의사에 대해 읽었을 때, 저는 그것이 성취하기에 매우 높은 기준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지금 나는 아직도 그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느낀다. 하지만 나는 우리 모두가 '진행 중인 일'이라고 믿는다; 우리는 평생 학습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우리가 더 많이 배우도록 유도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것이 의학을 독특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직업으로 만드는 것이다." -E, 6학년 학생.
“When I first read about the competencies and 7-star doctors, I knew that it was a very high standard to achieve. Now I feel that I am still very far from that. But I believe that we are all a ‘work in progress’; we need to practice lifelong learning. Admitting that we are still lacking is necessary to drive us to learn more. This is what makes medicine a unique and ever-evolving profession.” -E, sixth-year student.

PIF는 다양한 요인이 PIF를 지원하고 억제하는 지속적이고 동적인 과정이다. 학생들이 더 많이 참여함에 따라, 그들은 과정의 복잡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PIF is a continuous and dynamic process, with various factors supporting and inhibiting it. As students became further involved, they grew to recognize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저는 지금 제가 겪고 있는 과정이 학습의 일부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우리는 최선을 다하고 일을 끝내지 않으면 우리가 무엇이 될지 절대 알 수 없다. 힘들 때도 있지만, 어쨌든 해보세요." -R, 4학년.
“I realize that the process that I am going through now is part of the learning. We can never tell what we might become unless we put forth our best effort and just finish the task. Even though it can be hard at times, just try to do it anyway.” -R, fourth-year student.

[PIF 과정에서 학생들의 웰빙]은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사실, 학생들은 웰빙을 이상적인 의사의 필수적인 자질로 인식했다:
During the PIF process, students’ wellbeing is another important factor. In fact, students perceived wellbeing as an essential quality of the ideal doctor:

"좋은 의사는 자신의 삶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고 그들의 직업과 그들의 가정 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D, 비수술 레지던트
“A good doctor should be able to manage their life and find balance between their profession and their family life.” -D, non-surgical resident

"저는 저 자신을 돌보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스스로 실천하지 않으면 어떻게 사람들이 건강한 삶을 살도록 격려할 수 있을지 반성하기 시작했습니다." -D, 4학년
“I have co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aking care of myself. I started reflecting on how I could encourage people to live a healthy life if I myself did not practice it.” -D, fourth-year student

 

2. 의대생들의 PIF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Factors affecting PIF among medical students

내부 요인
Internal factors

우리는 의대생들 사이에서 PIF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 가지 내부 요인, 즉 가치, 능력 및 특성, 개인적인 환경을 식별한다. 
We identify three internal factors that may affect PIF among medical students: values, abilities and traits, and personal circumstances.

가치
Values

[가치관]은 의대생의 PIF를 촉진하는 내적 요인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PIF를 지원하는 것으로 무결성과 책임이 언급되었다:
Values constitute an internal factor that promotes PIF in medical students. For example, integrity and responsibility were mentioned as supporting PIF:

"내 생각에,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1. 충성심 - 우리가 하고 있는 일에 전념하는 것, 2. 우리가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 3. 신뢰성." -H, 2학년생.
“In my opinion, [to be a good doctor], it is important to have these three things: 1. Loyalty—being committed to what we are doing; 2. responsibility for what we say and do; and 3. dependability.” -H, second-year student.

또한, 7성급 의사들의 내적 가치(예: 공감적인 치료 제공자이자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모델링하는 평생 학습자)는 PIF 과정을 장려한다.
Additionally, the internal values of 7-star doctors—such as being an empathetic care provider and lifelong learner who continuously practices and models a healthy lifestyle—encourage the PIF process.

능력과 특성
Ability and Traits

학생들은 [전문직업적 발달에 중요한 몇 가지 능력(일반적이거나 임상 기술에 특화된)을 언급했다. [임상 기술 및 의료 역량]과 관련된 기술은 임상 학생과 거주자가 더 자주 언급한 반면, [일반적인 능력]은 여러 학년에 걸쳐 언급되었다:
Students mentioned several abilities (general or specific to clinical skills) as importa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linical skills and those related to medical competencies were mentioned more frequently by clinical students and residents, while generic abilities were mentioned by participants across year groups:

"이상적으로, 의사로서, 우리는 계속해서 배워야 하고 현재의 성과에 쉽게 만족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결코 다른 의사들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 Sk, 레지던트
“Ideally, as medical doctors, we have to keep learning and not be easily satisfied with our current performance. And we should never look down on other doctors.” -Sk, resident

이러한 [일반적인 능력]에는 협업, 도전에 대처, 감정 조절, 비판적 사고, 질문, 적응, 일과 삶의 균형 유지 등의 능력이 포함된다. 참가자들은 또한 학습을 조절하고 전문적인 개발에 대한 피드백을 구하는 능력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These general abilities include the ability to collaborate, cope with challenges, regulate emotions, think critically, ask questions, adapt, and maintain a work–life balance. Participants also noted the importance of ability to regulate learning and seeking feedback towards professional development:

"우리는 나중에 비슷한 질문을 하는 환자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수업 중에 질문을 할 필요성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전문가로서) 질병의 진행 상황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 2학년 학생.
“The need to ask questions in class is important because we might later see patients who ask similar questions; [as professionals], we should understand how [to explain] the progress of the disease.” -At, second-year student.

개인 사정
Personal Circumstances

학생이 [소진이나 정서적 피로]에 직면해 있는지와 같은 [개인적인 상황]은 전문적인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자기 기대]와 [역량감]과 같은 다른 개인적인 자질들도 전문적인 발전에 중요하다:
Personal circumstances, such as whether a student is facing burnout or emotional exhaustion, affec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ther personal qualities, such as self-expectations and a sense of competence, are also critical in professional development:

"많은 전공의들이 업무량과 과제 때문에 소진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럴 때면 우리는 그저 자신을 위해 무언가를 하고 다른 사람들은 신경 쓰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R, 레지던트
“Many residents face burnout because of the workload and assignments. At those times, we just want to do something for ourselves and care less about others.” -R, resident

"마침내 수년간 배운 것을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축복받고 자랑스럽습니다. 비록 단순한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내가 [환자의 문제]를 처리할 수 있고 내가 지금까지 배운 것이 쓸모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S, 최종 학년 학생.
“I feel blessed and proud that—finally—what I’ve learned for years can be applied to patients, although only for simple cases. But it was enough, at least to know that I can handle [the patient’s problems] and know that what I’ve learned this entire time was not useless.” -S, final-year student.

외부요인
External factors

PIF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으로는 교육과정, 교육시스템, 학습환경, 직장기반학습, 외부기대 등이 있다.
Some of the external factors affecting PIF are the curriculum, education system, learning environment, workplace-based learning, and external expectations.

커리큘럼
Curriculum

참가자들은 교육과정이 PIF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부담스러운 과제와 과제, 일방통행식 강의, 단조로운 교수학습 방식]은 특히 의학교육의 학습기간이 오래 길어지는 전문성 발달을 저해하고 평생학습 욕구를 위축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전이 단계, 즉 [임상 전 단계의 뒷부분]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성적 지향적 패러다임]은 또한 학생들의 성실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언급되었다:
Participants revealed that curricul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PIF. Burdensome tasks and assignments, one-way lectures, and monoton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an hind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dampen the desire for lifelong learning, particularly due to the protracted study period in medical education. This occurs more frequently during the transition stage, at the end of the preclinical stage. The score-oriented paradigm was also mentioned as an inhibiting factor in professional development, because it could damage students’ integrity:

"저는 1학년 때 매우 열심히 배우곤 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 자료가 합산되지만 [교수/학습] 접근 방식은 매우 유사합니다. 반복되는 패턴처럼 느껴지는데, 지금 내가 주로 하는 일은 시험에 합격하고 교정을 피하기 위해 공부하는 것뿐이다." -C, 4학년.

“I used to learn very diligently when I was in the first year. As time goes by, the learning materials are added up but the [teaching/learning] approaches are very similar. It feels like a repeating pattern, and what I usually do now is study only to pass the exam and avoid remedials.” -C, fourth-year student.

의대생들도 [명시적 교수/학습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문직업성 평가가 교육과정에 통합될 것]을 요구했다. 학생들은 또한 학생들이 [가르치는 것]과 [일상적인 실천에서 관찰되는 것] 사이에 [불일치]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에 표준화된 직업적이고 비전문적인 행동과 모든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일관된 관행에 대한 행동 강령을 요구했다.
Medical student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xplicit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called for professionalism assessments to b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Students also demanded a code of conduct regarding standardized professional and unprofessional behaviors and consistent practices among all stakeholders, as students felt that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what is taught and what is observed in daily practice.

"의대를 거치면서 가르치는 규칙과 사람들의 행동 사이에 더 많은 차이가 생기고, 청렴도가 떨어지는 것을 보게 된다." -Q, 최종 학년 학생.
“As I progress through medical school, I see more differences between the rules being taught and the behavior of people, showing decreased levels of integrity.” -Q, final-year student.

임상 기술이 중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에 학생들은 임상 전 단계에서 [조기 임상 노출을 제공하는 커리큘럼]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임상 학생들은 부서별로 수행된 임상 회전이 그들의 전문적인 발달을 다소 저해한다고 보고했다:
Because clinical skills are considered important, students value a curriculum that provides early clinical exposure during the preclinical stages. However, clinical students reported that clinical rotations conducted departmentally somewhat inhibite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제가 생각하기에 전문적인 의사가 되는 것에 대한 생각을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어떤 임상 회전에서, 우리는 특정 분야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우고 기본적인 임상 기술과 임상 경험[즉, 특정 분야와 관련이 없는 다른 환자 측면]에 덜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입니다." -H, f학년제의.
“What I think makes it difficult to grasp the idea of being a professional medical doctor is that, in some clinical rotations, we only learn specifically about a particular discipline and pay less attention to the basic clinical skills and the clinical experiences [i.e., other patient aspects that are unrelated to the particular discipline].” -H, final-year student.

학생들은 COVID-19 팬데믹(본 연구 당시 진행 중)으로 인한 커리큘럼 적응이 역량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에 불안감을 조성했다고 보고했다.
Students reported that curriculum adaptatio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ongoing at the time of this study) created anxiety in their efforts to reach competency.

학습 환경
Learning Environment

학습환경 측면에서 학생들은 배운 대로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숨겨진 교육과정)을 경험했다. 실제로, 이상적인 접근법을 취하는 것을 방해하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In term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experienced situations in which things were not done exactly as they had been taught (hidden curriculum). In practice, numerous factors may preclude taking an ideal approach:

"우리는 학습이 전적으로 주제를 아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환자 치료에 참여하게 되면 그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때때로 우리가 배우는 것이 실제 현실과 맞지 않는다." -E, 최종 학년 학생.
“We realize that learning is not entirely about knowing the subject matter. As you become involved in patient care, you see that you need more than that. And sometimes what we are taught does not align with the reality in practice.” -E, final-year student.

의대생과 전공의들은 학습환경의 복잡성에 대처하기 위해 전문직업성 발달에 있어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교사들을 좋은 [역할 모델]로서, [피드백을 제공]하고, 학생들을 육성하는 더 권위 있는 인물로 평가한다:
To deal with the complexi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emphasized the roles of teachers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y value teachers as more authoritative figures who serve as good role models, provide feedback, and nurture students:

"환자를 진찰하면서 침대 옆에서 가르치는 것을 통해, 우리는 어텐딩이 환자들과 의사소통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관찰하고, 그것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어텐딩들이 우리를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때, 전문가가 되는 방법을 배우는 데 정말 도움이 됩니다." -Ft, 레지던트.
“Through bedside teaching while examining patients, we observe how attendings communicate and treat patients, and we can adopt it. Also, when attendings observe us [and provide feedback], it really helps us to learn how to be professional.” -Ft, resident.

응답자들은 또한 [학습 프로그램 관리자, 동료 및 가족의 지원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들은 또한 [과외 활동과 학생 단체를 통한 상호작용]을 인정했다:
Respondent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upport systems from study program administrators, peers, and family. They also credited interactions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tudent organizations:

"학생 단체와 조직은 우리가 시간을 관리하고 많은 다른 종류의 사람들과 교류하는 데 익숙해지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정말 중요합니다. 그것은 또한 우리가 강한 헌신을 하고 책임감과 전문성을 갖도록 도와줍니다."-쉬, 2학년.
“The student body and organizations are really important because they help us get used to managing time and interacting with many different kinds of people. It also helps us make a strong commitment and be responsible and professional.”-Sh, second-year student.

의료 교육의 위계적 특성은 종종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 관행과 따돌림]를 초래한다. 의견제출자들은 이 문제가 자신의 전문적인 개발과정을 저해한다고 설명하였다:
The hierarchical nature of medical education often results in negative role modeling practices and bullying. The respondents described this issue as inhibiti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선후배 전공의 간의 교류가 항상 원활한 것은 아닙니다. [선배들의 입장]이 되어 보니, 그들이 왜 그런 짓을 했는지 이제야 알 것 같다. 하지만 저는 다르게 하기로 선택했습니다." - 이, 레지던트.
“Interaction between senior and junior residents is not always smooth. Now that I am in [my seniors’ position], I finally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y did what they did. But for me, I choose to do it differently.” -Yi, resident.

직장 기반 학습
Workplace-Based Learning

[전임상 학생들]은 교사들과 [섀도잉을 하는 시간] 동안 전문가가 되는 것에 대해 많은 것을 배웠다고 말했다. 쉐도우잉 세션은 학생들이 임상교사를 의료행위에 그림자를 드리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의사로서의 미래 직업을 시각화하는 모듈로 진행되었다. [표준화된 환자와 상호 작용하는 것]은 또한 그들이 전문적인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Preclinical students stated that they learned a lot about being professional during their shadowing sessions with teachers. Shadowing sessions were conducted in a module in which student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shadow their clinical teachers in medical practice, thus visualizing their future occupation as medical doctors. Interacting with standardized patients also helped them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개인적으로 쉐도우잉 세션은 정말 의사들이 어떤 이상적이고 전문적인지,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인식을 만들어냈다." -K, 4학년
“For me personally, the shadowing session really created a perception on what ideal and professional doctors were, and how they act.” -K, fourth-year student

임상 학생들은 [임상 실습을 수행하는 동안 환자와 상호 작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다양한 병원 및 의료 시설에서 학습한 경험은 의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직장에서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과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Clinical students mention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ng with patients during their clinical clerkship. The experience of learning in various hospitals and healthcare facilities helped them grasp not only their roles as medical doctors, but also the challenges commonly faced in the workplace:

"일차의료 환경에서 주니어 의사로 일하는 것은 의대 시절에 가르쳐졌던 이론과는 정말로 달랐다. 그리고 현장의 상황과 한계에 상관없이 항상 전문적일 수 있도록 우리가 이런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더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Y, 최종 학년 학생.
“Working as junior doctors in the primary health setting was really different from the theory being taught during these medical school years. And it gives me a clearer view that we are exposed to this situation so that we can always be professional regardless of the situation and limitations in the field.” -Y, final-year student.

전공의의 경우, [일반 개업의]로 일한 경험이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For residents, prior experience in working as general practitioners also helped them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저는 전공의를 계속하기로 결정하기까지 몇 년이 걸렸습니다. 저는 교외 지역에서 1년간 인턴으로 있었고, 그 다음에는 군 병원에서 1년 더 일했고, 그 다음에는 도시로 옮겨 4년 동안 개인 병원에서 일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저는 레지던트 과정을 계속하기로 결심했습니다." - F, 레지던트.
“It took me several years before finally deciding to continue with residency; I was an intern in a suburb area for one year, followed by working in a military hospital for another year, and then I moved to the city and worked in a private hospital for four years. Then I decided to continue with the residency program.” -F, resident.

주변환경에 대한 기대
Expectations of Surroundings

학생들은 전문성을 내재화하는 과정에서 [교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의대생들의 예상되는 행동]에 주목했다:
I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professionalism, students paid attention to the expected behaviors of medical students from the community, as well as from their teachers:

"저는 우리가 배우는 방법 중 하나가 선생님들의 기대를 따르는 것이라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어떤 때는 이상적인 의사를 닮아서 좋았지만, 어떤 때는 지식 자체를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선생님의 비위를 맞추려고만 합니다." -H, 최종 학년 학생.
“I have to admit that one of the ways we learn is to follow our teachers’ expectations. Sometimes it was good because it resembles the ideal doctor, but sometimes we only try to please the teacher, not to understand the knowledge itself.” -H, final-year student.

 

논의
Discussion

의대생들 사이의 PIF에 대한 우리의 연구는 다양한 의학 교육 단계에서 PIF의 발전을 측정하기 위해 혼합 방법(순차 설명) 접근법을 사용한다. 우리는 PIF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PIF의 기여 및 억제 요인을 탐구한다. PIF를 측정하기 위해, 우리는 Tagawa(2019, 2020)의 검증된 설문지를 채택했고, 내용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구성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따라서, 이 환경에서 설문지를 사용하는 것은 정당화되었고, 강력한 설문도구 준비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13, 14]. EFA에서 확인된 네 가지 요소는 PIF 개념 프레임워크와 일치합니다[7, 8]. 

  • 전문적 역할의 인식과 내재화,
  • 전문적 행동의 자기 통제,
  • 전문성에 대한 성찰,
  • 의료/보건 전문가로서의 사고 프로세스

Our research on PIF among medical students utilizes a mixed-methods (sequential explanatory) approach to measure the development of PIF at various stages of medical education. We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of PIF, along with its contributing and inhibiting factors. To measure PIF, we have adapted a validated questionnaire by Tagawa (2019, 2020) and further analyzed it systematically to provide evidence for its content and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our use of the questionnaire in this setting was justified and supported by robust instrument preparation [13, 14]. The four factors identified from the EFA

  •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 self-control in professional behavior,
  • reflections on professionalism, and
  • thought processes as a medical/health professional

—align with the PIF conceptual frameworks [7, 8].

[타가와의 원래 설문지]는  5가지 요소로 분류된 1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13, 14]. 

  • 전문가로서의 자기통제, 
  • 의사로서의 자각, 
  • 의사로서의 성찰, 
  • 사회적 책임의 실행
  • 내외부적 자기조화 등

이러한 요소는 일부 범주화 차이에도 불구하고 EFA 결과 및 PIF 개념과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 [전문적 역할의 인식과 내재화(요인 1)]는 학생들이 의사가 되기 위한 일환으로 전문성을 내재화하는 방법에 대해 직접적인 의미를 갖는 항목을 포괄한다.
  • 두 번째 요인인 [직업적 행동에서의 자기 통제]는 의대생들이 직업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감정적 또는 비지지적 조건을 마주쳤을 때 어떻게 자신을 통제하는지에 대한 예를 포함한다. 이 요인과 항목은 타가와의 설문지와 유사하다.
  • 우리가 확인하는 세 번째 요인[(전문성에 대한 성찰)]은 타가와의 세 번째 요인(의사로서의 성찰)과 유사하다. 두 요인 모두 장기적 효과와 개인적 가치 등 자기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과 관련된 항목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세 번째 요인은 타가와의 설문지와 달리 13번 항목도 포함되어 전문성에 대한 성찰에서 개인적 가치를 더욱 강조하였다. 한편, Tagawa의 세 번째 요인에 포함된 항목 9는 본 연구의 첫 번째 요인(전문적 역할의 인식 및 내재화)의 일부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 "의료/보건 전문가로서의 사고 과정"(요인 4)의 일부로 확인된 항목은 타가와 연구에서 "전문가로서의 자기 통제"라는 요인에 포함되었다.

Tagawa’s original questionnaire (Tagawa 2019, Tagawa 2020) consists of 15 items categorized into 5 factors:

  • self-control as a professional,
  • awareness of being a medical doctor,
  • reflection as a medical doctor,
  • execu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 external and internal self-harmonization [1314].

These factors align with our EFA results and with the PIF concept, despite some categorization differences.

  • In our study,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Factor 1) encompasses items that carry direct meaning for how students internalize professionalism as part of becoming medical doctors.
  • The second factor, self-control in professional behavior, includes examples of how medical students control themselves upon encountering potential emotional or non-supportive conditions influencing their professional behavior. This factor and its items are similar to those in Tagawa's questionnaire.
  • The third factor we identify (reflections on professionalism) is similar to Tagawa’s third factor (reflection as a medical doctor). Both factors include items related to aspects that affect self-evaluation, such as long-term effects and personal values. Unlike Tagawa’s questionnaire, the third factor in our study also included item 13, which further highlights personal values in reflections on professionalism. Meanwhile, item 9, which is included in Tagawa’s third factor, was identified as part of the first factor in our study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 Items identified as part of “thought process as a medical/health professional” (Factor 4) in this study were included under the factor “self-control as a professional” in Tagawa’s study.

정량적 데이터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2, 4, 6, 2단계 거주자의 학부 의대생들 사이에서 [하위척도 1(전문적 역할의 인식과 내재화)과 하위척도 2(전문적 행동의 자기 통제)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그룹은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의료 교육과 의료 분야에서 [더 많은 경험]과 [더 나은 사회화 과정]이 [더 발전된 전문적 정체성]을 산출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 연구는 PIF 설문지의 사용이 이러한 구성을 지원하고 기관이 탐구하고 연구하기 전에 의대생의 PIF 단계를 초기에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양한 전략[7, 8]을 통해 더욱 발전시킵니다. 사회화 이론[6]에 따르면,

  • 낮은 PIF 설문지 점수는 의사로서 실습 커뮤니티에서 학생들의 [합법적인 주변부 위치]를 반영할 수 있다. 학생들은 여전히 그들의 개인적 정체성, 동기, 그리고 가족/친구들의 영향력을 가져온다. 점수가
  • 높을수록 학생들은 전문가처럼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 것을 강조하는 [완전한 참여]를 위해 [실천 공동체]로 이행한다.

Further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data reveals differences in subscale 1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and subscale 2 (self-control in professional behavior) among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in years 2, 4, 6 and stage 2 residents; more advanced groups exhibited higher scores. Since it is expected that more experience and a better socialization process in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would yield a more developed professional ident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use of the PIF questionnaire supports this construct and may enable institutions to initially assess medical students’ PIF stage, before exploring and nurturing it further through various strategies [7, 8].

  • According to socialization theory [6], lower PIF questionnaire scores may reflect legitimate peripheral positions of the students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as medical doctors. Students still bring in their personal identity, motivation, and family/friends’ influences.
  • The higher the score, the more students transition into the community of practice towards full participation which highlights their increased capacity to ‘think and act’ like professionals.

[의과대학]은 의대생의 PIF 양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화 과정이 다음을 통해 촉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전임상 및 임상 시기의 유의미한 학습 경험
  • 역할 모델과 멘토의 가용성,
  • 전문성 개발을 위한 명시적 커리큘럼과 평가,
  • 학생의 자기 성찰 능력과 긍정적인 학습 환경

Medical schools have critical roles in nurturing the PIF of medical students since the socialization process can be facilitated through

  •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both in preclinical and clinical years,
  • the availability of role models and mentors,
  • explicit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students’ self-reflection skills and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7].

위의 논의와 함께 본 연구는 [의대생의 PIF 과정]과 [PIF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두 가지 주요 주제를 보여주는 현재 환경에서 드러난 질적 자료로부터 추가 설명을 제공한다. 첫째, 의대생의 PIF 과정은 학생들이 [의사가 되려는 동기]에 의해 시작된다. 이 연구는 학생의 동기가 본질적으로 또는 외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이 자신과 주변을 어떻게 보고, 여러 요인의 상호작용이 목표와 성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기결정(SDT) 이론에 자세히 설명된 세 가지 핵심 요소인 자율성, 관련성 및 역량[36]은 동기가 PIF 프로세스의 중심이 되는 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합니다. 더 강한 내재적 동기는 공감 발달 개선과 같은 PIF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7, 38].
Aligned with the above discuss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further explanation from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in the current setting, which depicts two primary themes: the process of PIF in medical students and the factors affecting PIF. First, the PIF process in medical students is initiated by students’ motivation to become medical doctors. This study reveals that a student's motivation can originate intrinsically or extrinsically, which further influences how students see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and how the interactions of multiple factors contribute to their goals and performances. The three key components elaborated in the Self-Determination (SDT) Theory—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36]—further explain how motivations are central to the PIF process. Stronger intrinsic motivations have positive impacts on PIF, such as improved empathy development [37, 38].

게다가, 이 연구의 학생들은 PIF가 여정journey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들은 전문직 의사로서 [그들이 미래에 상상하는 것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다양한 동기]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학년의 학생들과 전공의들은 전문직 의사의 속성에 대한 [공통된 비전]을 제시하였다. 그들의 비전은 필요한 지식과 기술, 평생 학습자가 될 필요성, 개인 복지의 중심성, 그리고 의사소통, 팀워크, 공감, 그리고 자기 인식과 같은 사람들의 기술의 중요성에 걸쳐 있었다. 내재적 동기에 의해 뒷받침되는 그들이 무엇이 되고 있는지에 대한 이러한 구상은 그들의 PIF의 진행을 나타낸다[8].
Furthermore, the students in this study were aware that PIF is a journey; they saw themselves as progressing towards what they envision as their future selves as professional medical doctors. Despite the array of motivations identified in this study, students from various year levels and residents articulated a common vision of the attributes of professional medical doctors. Their visions spanned the necessary knowledge and skills, the need to become lifelong learners, the centrality of personal wellbeing, and the importance of people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teamwork, empathy, and self-awareness. This envisioning of what they are becoming, supported by intrinsic motivations, indicates the progression of their PIF [8].

또한, 우리는 [외부 요인]이 PIF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요인은 의대생의 내부 요인과 상호 작용하여 그들의 전문적인 발전을 초래하여 [심리사회적 전환]을 보여준다[39]. 학생들은 PIF가 의도적인 과정이며 현재 전환 단계에 있다는 인식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학생들의 개인적인 상황, 지원 시스템 및 학습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39]. 이것은 위계적이고 집단주의적인 문화를 강조하는 현재의 연구에서 특히 강조된다[25].
In addition, we reveal that external factors play critical roles in the PIF process; these factors intercalate with internal factors in medical students, resulting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howing a psychosocial transition [39]. Because students demonstrated awareness that PIF is a deliberate process and that they were currently in the transition stage,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so they can adapt successfully; these efforts should account for students’ personal circumstances, support systems, and learning strategies [39]. This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current study which highlights the hierarchical and collectivist culture [25].

본 연구에서는 학부 의대생들의 PIF에 대한 범위 검토 결과[12]에 따라 학생들은 [PIF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으로 [교육과정(숨겨진 교육과정 포함), 학습환경, 직장기반학습, 주변의 기대행동] 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외부 요인은 전환이 발생하는 상황에 영향을 미칩니다 [39]. 역할 모델을 가지고, 환자와 상호 작용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PIF 과정에서 지원적인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전염병뿐만 아니라 잠재적 커리큘럼의 실천은 이 과정에서 불확실성을 만든다. PIF의 핵심은 변화를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 불확실성을 논의하는 성찰적 상호작용은 PIF 프로세스에 매우 중요해졌다[40, 41]. 부정적인 역할 모델링을 통해서도 학습을 촉진하고 전문적인 개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이러한 성찰적 질문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42]. [불확실성이 매우 회피되는 경향이 있는 문화]에서 진행된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명확한 가이드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성찰적 연습을 수행하고, 멘토로부터 피드백을 구하게 하는], 보다 [교사 중심적이고 구조적이며 종단적인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2, 23]. 
In this study, in line with the results of scoping review on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PIF [12], students mentioned the curriculum (including the hidden curriculum), the learning environment, workplace-based learning, and expected behaviors from the surroundings as external factors affecting their PIF processes. These external factors affect the context in which the transition occurs [39]. Opportunities to have role models, interact with patients, and receive feedback were described as supportive in the PIF process. However, the practice of a hidden curriculum, as well as the ongoing pandemic, create uncertainty in this process. As the heart of PIF was to accept and adapt with changes, reflective interactions discussing this uncertainty have become crucial for the PIF process [40, 41]. Encouragement of such reflective inquiries by students is necessary as it would facilitate their learning and their ability to take advantage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en from the negative role modelling [42]. Coming from a culture where uncertainty tends to be highly avoided,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 more teacher-driven, structured, longitudinal approach, providing clear guidance and guidelines for students, to conduct reflective practice and in seeking feedback from their mentors [12, 23].

이상적으로, 이러한 [외부 요인]은 [이행 시기 전반에 걸쳐 지원(예를 들어 학생을 위한 기관 지원 네트워크의 가용성, 품질 및 관련성을 보장함으로써)]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39].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외부 요인 중 일부가 과정을 지원하는 것 이상으로 방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본 연구의 정보제공자들은 [고학년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교사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그들의 역할과 전문성 발달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항상 건설적이지는 않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정체성이 역동적이고 의대생들 사이의 PIF가 다른 직업의 구성원들과의 비공식적인 교실 밖 상호작용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육기관은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보다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PIF에 대한 적절한 네트워크와 제도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성공적인 변환 [43, 44].

Ideally, these external factors can be addressed with support throughout the transition, for example, by ensuring the availability, quality, and relevance of an institutional support network for students [39].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some of these external factors hinder more than support the process. For example, the informan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enior-junior students and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can be very hierarchical and not always constructive towards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rol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Considering that identity is dynamic and that PIF among medical students is highly influenced by informal out-of-classroom interactions with other members of the profess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adequate network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PIF through more casual interactions in various learning settings, in order to foster successful transformations [43, 44].

이 연구는 특히 집단주의적이고 위계적인 환경에서 의대생과 레지던트의 전문적인 발전과 의학교육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 첫째, PIF는 능동적이고 종적인 과정으로, 자신의 내적, 외적 요인의 대화를 통제하기 위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의대에서 동기부여와 긍정적 PIF 과정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성찰과 멘토링이 풍부한 학생 중심의 개인화된 학습기회]가 필요하다. 우리의 연구는 PIF에 중요한 의료 교육 노력에서 학생들의 [회복탄력성]에 [동기 부여]와 [(대처 메커니즘과 같은) 기타 개인적 요인]의 중요성을 보여준다[45, 46]. 
  • 둘째로, 의대생들은 [그들이 무엇이 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그들이 어디에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설문지를 이용한 PIF 측정은 의대생의 PIF 평가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물론 이 접근법은 학생들이 PIF 과정에 대한 의미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추가적인 성찰적 토론과 함께 구현되어야 한다. 
  • 셋째, [외부 요인의 역할]을 고려할 때, 우리는 또한 적절한 상황에서 [PIF를 지원하기 위해 커리큘럼을 수정하고 최적화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 보다 상호작용적인 교수/학습 세션,
    • 통합되고 관련된 임상 순환,
    • 긍정적인 역할 인식,
    • 초기 직장 기반 학습,
    • 전임상 및 임상 단계에서의 피드백 및 멘토링을 통합한다..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n particular in the collectivist and hierarchical setting.

  • First, PIF is an active and longitudinal process that requires motivation to control the dialogu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ithin oneself. Therefore, student-centered and personalized learning opportunities enriched with reflection and mentoring are necessary in medical schools to nurture motivation and a positive PIF process. Our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and other personal factors, such as coping mechanisms, in students’ resilience in their medical education endeavor, which is instrumental for PIF [4546].
  • Second, medical students must consider what they are becoming and where they are in this process. Consequently, measurements of PIF using a questionnaire, as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a useful metric for assessing PIF among medical students. Of course, this approach should be implemented alongside further reflective discussions to help students gain a meaningful understanding of their PIF process.
  • Third, given the role of external factors, we also highlight the need to modify and optimize curricula to support PIF where appropriate, such as by incorporating more interactive teaching/learning sessions, integrated and relevant clinical rotations, positive role-modeling, early workplace-based learning, and feedback and mentoring in the preclinical and clinical stages.

우리는 이 연구의 한계를 인정한다. 그것은 단일 기관에서 수행되었으며, 일부 상황적 요인을 고려할 때 일반화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우리는 다양한 학년의 의대생들을 참여시켰고 의대생들의 PIF 프로필을 설명하고 그 성격과 기여 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혼합 방법 접근법을 채택했다. 우리는 우리의 발견이 다른 환경에서 관련이 있음이 증명되기를 바란다. 또한 본 연구의 1단계에서는 단면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IF 하위척도(고수준 학생의 경우 더 높은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지만, 실제 PIF 개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다. 추가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른 PIF를 평가하고 각 수준에서 PIF의 내러티브를 문서화하기 위해 설문지를 종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We acknowledg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in a single institution, which may limit its generalizability, given some contextual factors. We involved medical students from different year levels and adopted a mixed-methods approach to elucidate the PIF profiles of medical students and perform in-depth analysis of its nature and contributing factors; we hope that our findings will prove relevant in other settings. In addition,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approach. Therefore, although this study fou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IF subscales (with higher scores for higher-level students), it could not elaborate the actual PIF development. Further studies should utilize the questionnaire longitudinally to assess PIF over time and document the narratives of PIF at the respective levels.

결론
Conclusion

이 연구는 의료/보건 전문가로서의 전문적 역할 인식 및 내재화, 직업 행동에 대한 자기 통제, 전문성에 대한 성찰 및 사고 과정의 네 가지 하위척도가 수정된 Tagawa PIF 척도의 [문화 간 타당성]을 입증한다. 적응된 PIF 척도를 사용하여 위계적이고 집단주의적인 문화의 다양한 단계에 있는 의대생들 사이의 PIF를 평가하는 본 연구는, 내부 요인(학생의 가치, 능력 및 특성, 개인적 환경)과 외부 요인(교육과정, 학습 환경, 직장 기반 학습 및 주변의 기대)의 영향을 받는 교육 단계 전반에 걸친 PIF 전환을 보여준다. 따라서 학생들이 PIF 과정에서 [외부 학습 기회]뿐만 아니라, [내부 잠재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교육 단계 전반에 걸쳐 PIF를 지원하는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또한 다양한 단계에서 의대생들을 위한 의식적인 PIF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PIF에 대한 종단적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의대의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monstrates a cross-cultural validity of the Tagawa PIF scales with modified four subscales: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self-control in professional behavior, reflections on professionalism and thought processes as a medical/health professional. Assessing PIF among medical students at different stages in a hierarchical and collectivist culture using the adapted PIF scales, our study demonstrates the PIF transition across educational stages, affected by internal factors (students’ values, abilities and traits, and personal circumstances) and external factors (curriculum, learning environment, workplace-based learning, and surroundings’ expectations). Therefore, an integrative approach in the curriculum to support PIF across educational stages is important so that students can optimize their inner potentials as well as their external learning opportunities during the PIF process.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conscious PIF process for medical students at different stages and reveals the need for further action from medical schools to assure longitudinal support for PIF.


BMC Med Educ. 2022 Jun 8;22(1):443. doi: 10.1186/s12909-022-03393-9.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students: A mixed-methods study in a hierarchical and collectivist culture

Affiliations collapse

1Medical Education Center, Faculty of Medicine, Indonesia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Universitas Indonesia, Jakarta, Indonesia. ardi.findyartini@ui.ac.id.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karta, Indonesia. ardi.findyartini@ui.ac.id.

3Medical Education Center, Faculty of Medicine, Indonesia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Universitas Indonesia, Jakarta, Indonesia.

4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karta, Indonesia.

5Undergraduate Medical Program,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karta, Indonesia.

PMID: 35676696

PMCID: PMC9175156

DOI: 10.1186/s12909-022-03393-9

Free PMC article

 

Abstract

Backgrou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has been recognized as an integral par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PIF is dynamic: it occurs longitudinally and requires immersion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Consequently, in the medical education context, it is vital to foster a nurturing learning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PIF.

Aim: This study assesses PIF among medical students in various stages of study and explores their perceptions of PIF, with its contributing and inhibiting factors.

Method: This mixed-methods study uses a sequential explanatory approach with undergraduate (years 2, 4, and 6) and postgraduate medical students in Indonesia. We examine the subjects by administering an adapted questionnaire on PIF. We completed a series of FGDs following questionnaire administration. Quantitative and thematic analyses were conducted sequentially.

Results & discussion: A total of 433 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bjects on the subscales "Recognition and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roles" and "Self-control in professional behavior"; the more senior students had higher scores. We conducted 6 FGDs in total. The results characterize PIF as a complex, dynamic, and longitudinal journey to becoming a medical doctor that is closely related to a student's motivation. The FGDs als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oth internal factors (students' values, attributes, and personal circumstances) and external factors (curriculum, the learning environment, workplace-based learning, and external expectations) for PIF in medical education.

Conclusion: Higher-level students show higher scores in some aspects of PIF, which further validates the potential use of the questionnaire to monitor PIF, a dynamic process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Generating awareness among medical students and encouraging reflection on their PIF stage may be crucial for PIF processes.

Keywords: Medical students; Mixed-methods stud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비서구 지역에서 의학 교수자의 전문직정체성형성(Med Teach, 2021)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teachers in a non-Western setting
Mardiastuti H. Wahida , Ardi Findyartinia , Diantha Soemantria , Rita Mustikaa , Estivana Felazaa, Yvonne Steinertb, Dujeepa D. Samarasekerac,d , Nadia Grevianaa , Rachmadya Nur Hidayahe, Umatul Khoiriyahf and Daniel Ardian Soeselog 

 

서론
Introduction

의학 교사는 의학 교육에서 전문가, 학자, 연구자, 지도자, 행정가, 교육자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연구는 이러한 역할들이 교수진 개발을 통해 어떻게 배양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의학 교사의 직업적 정체성(이러한 역할의 중심)이나 이러한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Medical teachers play multiple roles in medical education: expert, scholar, researcher, leader, administrator, and educator (Steinert 2014). Research has shown how these roles can be cultivated through faculty development (Bilal et al. 2019; Steinert et al. 2019).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medical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which is central to these roles—or how this identity is formed (Cantillon et al. 2019).

의학교사의 [정체성]은 학문적 역할과 책임, 진로, 동기와 만족도, 전문성 개발 기회 등에 대한 선택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Hafferty(2016)는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을 하는가'(행동)보다는 '자신이 누구인가'(정체성)에 대한 강한 근거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교직원들은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에서 탁월함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교사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포용하고 그렇게 하는 데 도움을 받아야 한다.  
Medical teachers’ identiti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exert a powerful influence on choices regarding academic roles and responsibilities, career trajectory,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Hafferty (2016) found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requires a strong grounding in ‘who one is’ (identity) rather than ‘what one does’ (behavior). To achieve excell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faculty members must embrace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and be supported in doing so (Steinert et al. 2019).

[정체성 형성]은 [다른 사람들과 전반적인 세계와의 관계에서 자신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의료 전문가들의 교사로서의 정체성은 [여러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 Van Lankveld 외 연구진(2017)은 학부 의학 교육에서 가르치는 [초기 경력 교수진]이 다른 역할(예: 연구자 및/또는 의사)과 관련하여 교사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역할을 통합하기 위해 동적 서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 Steinert와 MacDonald(2015)는 [임상교사]로 근무하는 의사들의 직업 정체성을 조사하면서 교수 동기가 개인적, 도덕적, 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교사로서의 임상의 정체성이 의사 정체성에 통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 다른 연구들은 임상 교사들이 [자아 개념]으로서의 정체성과 [관계 개념]으로서의 관계적 개념 사이에서 일관된 ['협상']을 경험하며, 환자 치료와 연구는 종종 가르치는 것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인식된다고 보고했다.

Identity formation involves understanding oneself in relation to others and the world at large (Beauchamp and Thomas 2009). Healthcare professionals’ identities as teachers have been studied in several contexts.

  • Van Lankveld et al. (2017) found that early-career faculty members teaching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erceived their roles as teachers in relation to their other roles (e.g. researcher and/or medical doctor), and they used dynamic narratives to integrate their roles.
  • Steinert and MacDonald (2015), examining professional identity among physicians serving as clinical teachers, suggested that motivations for teaching are influenced by personal, moral, and social factors, and that clinicians’ identities as teachers can be integrated into their physician identities.
  • Other studies reported that clinical teachers experience a consistent ‘negotiation’ between identity as a self-concept and a relational concept, and that patient care and research are often perceived as higher priorities than teaching (Cantillon et al. 2019).

의학 교사들 사이에서 PIF(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에 대해 알려진 것의 대부분은 서구 국가들의 임상 교사들에 대한 연구에서 나왔다. 비서양 환경의 기초 과학 및 임상 교사들 사이에서 PIF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종교적 신념, 가족 가치, 사회적 인식, 집단주의 강조 등 [비서구 문화의 두드러진 특징]과 함께 비서구 문화에서 전문성 프레임워크(PIF의 기초가 되는 규범을 포함)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최근의 설명을 고려할 때, 의학 교사들 사이에서 PIF를 탐구하는 것이 중요하다서양이 아닌 곳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다루었다:  서양이 아닌 환경에서 기초 과학과 임상 교사들 사이에서 직업적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Most of what is known abou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among medical teachers has emerged from research on clinical teachers in Western countries (e.g. Beauchamp and Thomas 2009; Steinert and MacDonald 2015; van Lankveld et al. 2017; Cantillon et al. 2019). Little is known about PIF amo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in non-Western settings. Given recent descriptions of how professionalism frameworks (which encompass the norms underlying PIF) differ in non-Western cultures (Al-Rumayyan et al. 2017; Nuttman-Schwartz 2017), along with salient characteristics of non-Western cultures, including religious beliefs (Al-Eraky et al. 2014), family values, societal recognition (Nishigori et al. 2014), and an emphasis on collectivism, it is important to explore PIF among medical teachers in a non-Western setting. We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how does professional identity form amo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in a non-Western setting?

이 연구는 [한 사람이 그 가치와 규범을 내재화하여 특정 사회나 집단 내에서 기능을 배우는 방법]을 기술하는 [사회화 이론]에 의해 알려졌으며, Cruess et al(2015)에 의해 의학교육을 위해 도식적으로 표현되었다. 이 저자들은 여러 요소가 전문적 정체성 형성(PIF)에 영향을 미치며, 가장 강력한 요소에는 [역할 모델, 멘토, 경험적 학습]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가족과 동료들의 영향력]을 강조했고, [개인 정체성]이 PIF에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개인적 변혁, 집단 가치와 규범의 전달, 집단 정체성의 발달]이 필수적이다. Cruess et al(2015)이 설명한 프레임워크가 학부 및 대학원 의학교육을 위해 구체적으로 제안되었지만, [이 과정의 포괄적인 성격]과 [의과대학이 전문직의 스탠다드를 배우고 모범적인 직업행동을 보여주는 장으로 기능한다는 관측]을 고려할 때 의학교사의 PIF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informed by socialization theory, which describes how a person learns to function within a particular society or group by internalizing its values and norms (Hafferty 2016) and has been represented schematically for medical education by Cruess et al. (2015). These authors stated that multiple factors influenc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with the most powerful including role models, mentors, and experiential learning. However, they also highlighted the influence of family and peers, and stressed that personal identities play a role in PIF. In addition, personal transformation, the transmission of group values and norms, and the development of a group identity are essential to this process (Hafferty 2016). Although the framework described by Cruess et al. (2015) was proposed specifically for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e believe that it can apply to medical teachers’ PIF, given the comprehensive nature of this process and the observation that medical schools function as venues for learning the professions’ standards and exhibiting exemplary professional behaviors (Hafferty 2016).

방법들
Methods

맥락
Context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에서 수행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슬림 인구를 가진 인도네시아는 광대한 지리적 지형과 다양한 사회 문화적 맥락에 걸쳐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분포되어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93개의 공립 및 사립 의과대학이 있으며, 모두 인도네시아 보건 고등교육 인증 기관의 인가를 받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Indonesia. With the world’s largest Muslim population, Indonesia has over 250 million people distributed across a vast geographical landscape and diverse sociocultural contexts. Indonesia has 93 public and private medical schools, all accredited by the Indonesian Accreditation Agency for Higher Education in Health.

설계 및 연구 참가자
Design and study participants

우리는 의학교사를 대상으로 PIF의 과정을 탐색하는 질적 서술 연구를 수행했다. A급 인증을 받은 의과대학이 선정되었는데, 이는 해당 학교가 자격을 갖춘 교직원을 보유한 교수병원을 설립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기금, 조직 구조 및 보상 시스템의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2개의 공립 의대(FMUI와 FMPHNUGM)와 2개의 사립 의대(FMUII와 FMUNIKA Atmajaya)를 의도적으로 선정했다. 
We conducted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Sandelowski 2000) exploring the process of PIF among medical teachers. Medical schools with A-level accreditation were selected, as this level indicates that the school has established teaching hospitals with qualified faculty members. We purposively selected two public medical schools (FMUI and FMPHNUGM) and two private medical schools (FMUII and FMUNIKA Atmajaya) to reflect differences in funding,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reward systems.

각 학교의 교직원은 성별, 학과, 교수경력(10년 이하 또는 10년 이상), 전문적 배경을 고려하여 최대 변동표본추출을 통해 선발되었다. 대부분의 기초과학 교사들은 의학박사 학위와 생물의학 석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었다. 임상 교사에는 임상 과학 박사 학위를 보유한 전문가, 하위 전문가 및 개인이 포함되었습니다. 모든 참가자들은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했다.
Faculty members from each school were selected through maximum variation sampling, accounting for gender, departments, teaching experience (<10 years or ≥10 years), and professional backgrounds. Most basic science teachers had an MD and a master’s/doctorate degree in biomedical sciences. Clinical teachers included specialists, subspecialists, and individuals holding doctorates in clinical sciences. All participants gave informed consent.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각 의대에서 4개의 포커스 그룹 토론(FGD)을 수행했으며 FMUI에서 1개의 FGD를 추가했다. 포커스 그룹 질문은 Cruess 외 연구진(2015)이 요약한 사회화 과정을 통해 알려졌으며 의학 교사 간 PIF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 수정되었다. FGD 질문(예: 다른 사람에게 자신을 어떻게 소개합니까?)?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보는 것 같아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에게 어떤 변화가 있다고 보십니까?)는 부록 1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각각의 토론을 조정하고, 기록하고, 기록했다.
We conducted four focus group discussions (FGDs) in each medical school, with one additional FGD at FMUI. Focus group questions were informed by the socialization process outlined by Cruess et al. (2015) and adapted from previous studies on PIF among medical teachers (e.g. Steinert and Macdonald 2015; van Lankveld et al. 2017). The FGD questions (e.g. How do you introduce yourself to others? How do you think others see you? What changes do you see in yourself over time?) are included in Appendix 1. We moderated, recorded, and transcribed each discussion.

Appendix 1.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Indonesian medical teachers: focus groups questionsOpening questions:
  1. Can you tell us briefly about your career as a teacher?
    1. How did you start teaching?
    2. Who do you teach? Medical students? Residents?
    3. In what context do you teach?
    4. What type of teaching do you do?
  2. Why do you teach?
    1. What does teaching mean to you? Why is it important?
    2. What motivates you to teach?
    3. Why do you make time to teach?
    4. How did you learn to teach?
Main question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1. How do you introduce yourself to others?
    1.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2. Do you introduce yourself as a teacher, researcher, or doctor?
    3. Why do you introduce yourself as mentioned?
    4. What is the proportion of all roles—teacher vs. researcher vs. doctor?
  2. What kind of activity/role/job/task makes you feel like a teacher?
  3. Thinking about your teaching career so far:
    1. Can you elaborate on the periods when you felt less confident? What factors contributed?
    2. Can you elaborate on the periods when you felt more confident? What factors contributed?
  4. How do you think others see you?
    1. How do you think others see your profession?
    2. How do you think others see teachers?
    3. How do others’ opinions impact you?
  5. What acknowledgements and opportunities do you get as a teacher?
    1. Do these acknowledgements and opportunities match your expectations?
  6. What changes do you see in yourself over time?
  7. Can you imagine yourself not being a teacher?
    1. What may cause you to leave teaching?
    2. Would you miss teaching?
  8. How do you think your experiences impact yourself as a teacher?
    1. Have you reflected on your role as a teacher so far? Do you mind sharing it?
  9. How do you think your surroundings impact your role as a teacher?
    1. Do your surroundings support you as a teacher? Why?
    2. Do your surroundings inhibit you as a teacher? Why?
    3. How do role models impact you?
    4. How do communities of practice impact you?
      1. When do you feel accepted as part of the teacher community?
      2. What makes you feel that way?
      3. Has anything happened otherwise?
    5. How does membership in a professional organization impact you?
    6. How do colleagues impact you?
    7. How do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mpact you?
    8. How does the working environment specifically impact you?
Closing questions
  1. Thinking of your career so far, is there anything you would like to change?
  2. How do you see yourself 5–10 years in the future?
  3. If you have to provide support for junior teachers, how would you advise them?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우리는 새로운 주제와 하위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데이터에 대한 주제 분석을 수행했다. 각 포커스 그룹의 데이터는 해당 세션의 진행자 및/또는 스크립터에 의해 분석되었습니다. 4명의 저자(MW, AF, DS, EF)는 모든 저자가 조정한 FGD를 기반으로 다른 대본에 대한 주제 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핵심 주제와 하위 주제를 식별하고 논의하기 위해 처음 두 대본에 대해 독립적인 주제 분석을 수행했다. 모든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저자(4개 의과대학 소속 인도네시아 의학교육자)가 모든 저자와 광범위한 토론을 통해 종합적인 결과를 얻었다.
We performed thematic analysis (Clarke and Braun 2017) on the focus group data to identify emerging themes and subthemes. The data from each focus group were analyzed by the moderator and/or scribe for that session. Four authors (MW, AF, DS, EF) conducted independent thematic analysis on the first two transcripts to identify and discuss core themes and subthemes before all authors performed thematic analysis on the other transcripts based on the FGDs they had moderated. Al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y the authors (Indonesian medical educators affiliated with the four medical schools) with extensive discussions with all authors to obtain comprehensive results.

결과.
Results

우리는 기초과학 60명과 임상교사 59명과 함께 17개의 FGD를 실시했다. 기초과학 교사의 68.3%(n=41), 임상 교사의 64.4%(n=38)로 여성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기초과학 교사들은 박사 학위 외에도 기초과학 석사 또는 박사 학위(각각 24/60(40%)와 23/60(38%)를 보유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임상 교사들은 전문가(29/59[49%]) 또는 하위 전문가(25/59[42%])를 보유하고 있었다. 주제분석을 바탕으로 내재가치와 외부영향 사이의 내적 대화, 초기 사회화를 통한 권한 부여, 경험적 직장학습, 미래 구상 등 4가지 주요 주제를 확인하였다. 각 테마에 제공된 인용문 뒤에는 임상/기초 과학 교사(CT/BST), 디코딩된 이니셜(M, TJ 등), 기관(1-4번) 등의 인용된 참가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참조하는 코드가 뒤따른다. 
We conducted 17 FGDs with 60 basic science and 59 clinical teachers. Most participants were female: 68.3% (n = 41) of basic science teachers and 64.4% (n = 38) of clinical teachers. Most basic science teachers held a Master’s or PhD degree in basic sciences—24/60 (40%) and 23/60 (38%), respectively—in addition to their MD. Most clinical teachers held specialist (29/59 [49%]) or subspecialist (25/59 [42%]) degrees. Based on the thematic analysis, we identified four major themes: an internal dialogue between intrinsic values and external influences; empowerment through early socialization; experiential workplace learning; and envisioning the future. The quotes provided in each theme are followed by codes which refer to details for the cited participant: clinical/basic science teacher (CT/BST), decoded initials (M, TJ, etc), and institution (number 1–4).

내재적 가치와 외부 영향 사이의 내부 대화
An internal dialogue between intrinsic values and external influences

의학 교사들 사이의 PIF는 내재적 가치, 직업 선호, 종교적 신념 및 기타 요인(예: 이전 교수 경험, 가족 배경 및 지원, 사회적 인식 및 기타 요인)에 대한 [역동적 내부 대화]에 의해 시작되었다.
PIF among medical teachers was initiated by a dynamic internal dialogue on intrinsic values, career preferences, religious beliefs, and other factors (e.g. prior teaching experiences, family background and support, societal recognition, and the influence of others).

일부 교사들은 [가르치는 것이 더 성취감이 있다]고 느꼈기 때문에 임상 실습보다 전일제 수업을 선호했다; 다른 사람들은 의대를 졸업할 때 '계획'이 부족했다고 보고했고, 그것이 그들에게 [초기 경력 단계에서 제시]되었을 때 가르치는 것을 고려했다: 

Some teachers preferred full-time teaching to clinical practice, as they felt that teaching was more fulfilling; others reported that they had lacked a ‘plan’ upon graduation from medical school and considered teaching when it was presented to them at an early career stage:

…전임 임상의가 되는 것은 지루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의학 교사가 되는 것: 가르치고, 의학을 실천하고, 연구를 하는 것이 더 성취감을 줄 것이다… (CTM4)
…I think being a full-time clinician will be boring. Being a medical teacher: teaching, practicing medicine, and also doing research, will be more fulfilling… (CTM4)

참가자들은 또한 그들의 [종교를 실천하는 것]이 가르치는 데 동기부여가 되었다고 보고했다. [가르침은 종교적 실천의 한 형태]로 간주되었고 신으로부터 '보상'을 얻기 위한 헌신으로 여겨졌다: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practising their religion was a motivation for teaching. Teaching was seen as a form of religious practice and devotion to obtaining ‘reward’ from God:

나에게 있어서 그것은 자선이다. 우리가 씨앗 하나를 심으면 그것은 자라고 70개의 열매를 맺을 것이다. 그것은 항상 우리의 선행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CTY3)
For me, it (teaching) is a charity. Like we plant one seed and it will grow and produce 70 fruits. It will always grow as our good deeds. (CTY3)
…우리는 내가 더 이상 가르치지 않을 때에도 계속 흐르는 하나님으로부터 '보상'을 받을 것이다. 임상의들은 환자들만 가르치지만, 우리는 교사로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만약 그들이 교사가 된다면, 그들은 다른 학생들을 가르칠 것이다… (BSTJ3)
…We will get the ‘reward’ from God, which will keep flowing even when I am not teaching anymore. Clinicians only teach patients, but as teachers we teach students, and if they become teachers, they will teach other students… (BSTJ3)

또 다른 동기는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었는데, 특히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역할의 균형을 추구하는 여성 교직원들에게 그러했다:

Another motivation was achieving a work-life balance, especially for female faculty members, who also sought to balance their roles as wives and mothers:

나는 선생님이라는 직업이 가족 친화적이라고 느꼈다. 그때쯤 아기를 낳았는데, 전문적인 공부를 하면 가족들에게 불공평할 거라고 상상했어요. (BSTN3)
I felt that the work as a teacher is family-friendly. By then I had a baby, and I imagined that if I took a specialist study, it would be unfair to my family. (BSTN3)

[이전의 교수 경험]과 [가족 또는 과거 교사에 의한 역할 모델링]은 [외부 영향]으로 확인되었다:
Prior teaching experiences and role-modelling by family or past teachers were identified as external influences:

외할머니, 외삼촌, 이모들은 선생님이었고 가족의 대다수는 선생님이었다. 어머니와 아버지도 한때 선생님이었다. 그래서 아마도 집안에서 물려받은 것 같다. (BSTDJ4)
Apparently my grandmother, my uncles and aunts, were teachers and the majority of my family were teachers…my mother and father were once teachers also… so perhaps it was inherited in the family … (BSTDJ4)

다른 외부적 영향에는 [다양한 보상과 인센티브]가 포함되었다: 돈과 사회적 인정 둘 다. 교사로서, 참가자들은 정부, 환자, 그리고 더 넓은 [사회에 의해 '신뢰받는' 전문적인 네트워크]에 포함된다고 느꼈다; 다른 방식으로, 그들은 [사회적으로 인정] 받는다고 느꼈다.
Other external influences included various rewards and incentives: both money and societal recognition. As teachers, participants felt included in a professional network ‘trusted’ by the government, patients, and broader society; in different ways, they felt socially recognized.

전문가 커뮤니티가 국가 차원의 규제]를 만들어야 할 때, 우리는 [교사로서] 의학에 대한 최신 증거를 가지고 더 지식이 풍부하고 최신의 것으로 가정한다. 우리는 국내 및 국제 수준에서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CTAFK1).
When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s needs to create regu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we [as teachers] are assumed to be more knowledgeable and updated, with the latest evidence in medicine. We are trusted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CTAFK1).

환자들은 제가 가르치는 것을 알면, 제가 더 지식이 있는 것처럼 저를 다르게 봅니다.(CTH4)
When patients know that I teach, they see me differently, as if I were more knowledgeable.(CTH4)

초기 사회화를 통한 권한 부여
Empowerment through early socialization

참가자들은 교사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의 [초기 발전]에 있어 동료, 학생,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의 영향 등 몇 가지 요소를 언급했다. 그들은 [역할 모델과의 상호작용]에서 배우는 것을 보고했고, [선배 동료]들을 따라함으로써 교사의 역할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게다가, 교사들은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 [교사 공동체]로부터의 수용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Participants mentioned several factors in the early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s teachers: the influence of peers, students,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They reported learning from their interactions with role models, stating that they gained a better idea of teachers’ roles by shadowing senior colleagues. In addition, teachers noted the importance of acceptance from the teacher community in forming their identities:

내가 학과에 들어갔을 때, G박사는 나보다 훨씬 선배였지만, 그는 나를 따뜻하게 맞아주었다. 그는 후배와 선배 사이에 틈을 만들지 않았다. 바로 합격한 기분이었어요
When I joined the department, Dr. G was far more senior than me, but he welcomed me warmly. He was not creating any gaps between junior and senior [faculty members]. I felt accepted right away. (CTAL4)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은 또한 교사로서의 참가자들의 정체성을 강화시켰다:
Interactions with students also strengthened participants’ identities as teachers:

[학생들]을 촉진하고 평가하면서, 나는 [교사가 되는 것]을 매우 느낀다. 왜냐하면 상호작용과 지식의 공유가 있기 때문이다. (BSTH2)
Facilitating, assessing [students], I feel it [becoming a teacher] very much, because there is an interaction and sharing of knowledge. (BSTH2)

참가자들은 초기에 자신감을 쌓기 위해 [전문 지식을 얻는 것]을 우선시했다. 바이오메디컬/임상 콘텐츠 전문성에 초점을 맞춘 교수진 육성 프로그램과 교수 능력 향상이 교사로서 인정받는 느낌을 주는 데 도움이 됐다.
Participants prioritized gaining expertise to build confidence early 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focused on biomedical/clinical content expertise and teaching skills enhancement helped them feel recognized as teachers.

성인 학습 개념에 대한 교육에서부터 교사를 위한 공개 연설 워크숍에 이르기까지, [대학이 우리에게 중요한 문제들을 준비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워크숍들]이 있다. 의대 수준의 교수진 육성 프로그램도 있어 유능한 의대 교사가 될 수 있고, 개인적으로 상당히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BSTL3)
There are workshops that the university provides for teachers to equip us with important issues, from training about adult learning concepts to public speaking workshops for teachers. There are also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at the medical school level, which helps us become competent medical teachers, and which I personally find quite beneficial. (BSTL3)

체험형 직장학습
Experiential workplace learning

참가자들은 교사로서의 다양한 역할(교사, 연구, 지역사회 서비스, 역할 모델링)에 '던져짐'이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했다고 보고했습니다:
Participants reported that ‘being thrown into’ their multiple roles as teachers—teaching, research, community service, role modelling—strengthened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저는 처음부터 정식으로 부속병원 임상교사가 되었습니다. 나는 환자를 돌보고, 연구를 하고, 임상 학생들을 감독한다(CTP62)
Since the beginning, I was formally assigned to become a clinical teacher in the affiliated hospital. I take care of patients, doing research and supervising clinical students (CTP62)
고등학교 졸업생들을 학부 과정에서 가르치는 것은 저에게 정말 힘이 됩니다. 우리는 학생들의 기초적인 사고를 돕기 위해 내용을 가르치는 것 이상의 경험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CTAM1)
Teaching high-school graduates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is really encouraging for me. We need to share experiences more than only teach the content to help students with their foundational thinking. (CTAM1)

그러나 일부 참가자들은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교사로서의 가치관이 낮아졌다고 보고했습니다. 동료들의 지원은 그들을 격려하고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강화시켰다:
However, in performing multiple roles—and sometimes becoming frustrated in the work environment due to unmet expectations—some participants reported a lower sense of worth as teachers. Support from peers encouraged them and reinforced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비공식적인 공유 세션이 있었습니다. 9개의 센터가 있었고, 우리는 모든 회원들과 수업의 문제점을 논의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CTP12)
…There was an informal sharing session. There were 9 centers and we discussed problems in teaching with all members. It really helped us understand what we were doing (CTP12)

또한,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지역사회와 학생들로부터 감사를 얻음]으로써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가치를 향상시켰다:
Furthermore, observing their impact on students and gaining appreciation from the community and the students enhanced their sense of self-efficacy and worth:

…졸업생들이 의료 활동에서 성공한다는 것을 아는 것은 보람 있는 일입니다. 이전 학생들로부터 환자 소개를 받을 때, 저는 감사함을 느낍니다. (CTS1)
…Knowing graduates succeed in their medical practice is rewarding. When I receive a patient referral from my former students, I feel appreciated… (CTS1)

미래를 상상하는 것
Envisioning the future

[미래를 그리는 것]은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발전을 위한 계획과 차세대 의학 교사를 개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체성 형성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했다. 참가자들은 PIF에서 평생 학습에 통합된 [추가적인 전문적 개발을 위한 계획]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했습니다. 경력 성장의 다른 측면(예: 학문적 홍보, 연구 수행, 보조금 확보, 교수 및 혁신)도 의학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언급되었다.
Envisoning the future formed an integral part of identity formation, encompassing planning for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or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of medical teachers. Participants considered planning for further professional development—integrated within lifelong learning—to be a critical ingredient in PIF. Other aspects of career growth (e.g. academic promotions, conducting research, securing grants, teaching, and innovating) were also mentioned as important for sustaining their identities as medical teachers.

…저는 제 분야에서 더 많은 연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 저는 박사 연구를 하기 위해 다가오는 학생들과 젊은 의학 선생님들을 위한 연구 보조금을 찾는 것이 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BSTN1)
…I started to do more research [in my field]. … I think it is my role to find research grants for the upcoming students and younger medical teachers to do doctoral research… (BSTN1)

참가자들은 그들의 진로를 계획하는 것 외에도, 그들의 웰빙을 유지하고 향상시킬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들은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시간 관리를 개선하고, 개인적이고 직업적인 삶에서 더 큰 안전을 달성하고, 의학 교사로 발전하는 동안 사회에 더 많이 기여하기를 원했다.
In addition to planning their careers, participants mentioned the need to maintain and enhance their wellbeing. They wanted to spend more time with family, improve time management, achieve greater security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and contribute more to society while developing as medical teachers.

…저는 다른 학회에서 온 많은 환자들이 우리가 가지고 있지 않은 건강 보험 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임상 교사로서 우리의 웰빙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CTDH1)
…I saw many patients of mine from other academic communities have health insurance schemes, which we don’t have. I think that we as clinical teachers also need to think about our wellbeing… (CTDH1)

참가자들은 또한 그들의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의학 선생님이 되는 길을 따르는 것]을 보았을 때 의학 선생님으로서 가장 성취감을 표현했다.
Participants also expressed feeling most fulfilled as medical teachers when they witnessed their students successfully following their path to becoming medical teachers.

선생님이 되는 것의 가장 높은 성취는 [누군가가 선생님이 되고 싶고 우리의 길을 따르기를 원할 때]이다; 그것은 가장 높은 성취인 동기이다.(BSTJ3)

The highest achievement of being a teacher is when someone wants to be a teacher and follow our path; that is the highest achievement – the motivation. (BSTJ3)

논의
Discussion

우리는 의학 교사들 사이의 PIF가 네 가지 요소로 특징지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 의학 교사들이 가르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내재적 가치와 외부 영향 사이의 내면적 대화,
  • 그들이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초기 사회화 과정,
  • 그들의 선택을 강화하는 경험적 직장 학습,
  • 그들의 교사 커리어를 강화하기 위한 미래를 구상.

이러한 주제들은 서양 환경에서 의학 교사들 사이에서 PIF가 그렇듯이, 이러한 맥락에서 PIF는 지속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임을 시사한다. 그 과정은 기초과학과 임상 교사들에게도 유사하다. 우리의 연구는 문헌에서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몇 가지 요인], 즉 [종교적 가치, 가족의 영향, 사회적 인식의 역할],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의학 교사가 되기 위한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기여한다. 미래를 상상하는 것은 또한 의학 교사들에게 PIF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또한, 우리는 FD 프로그램이 PIF를 해결하도록 장려하는 것에 대한 스타이너트 외 연구진(2019)의 몇 가지 제안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
We found that PIF among medical teachers was characterized by four factors:

  • an internal dialogue between intrinsic values and external influences that motivates medical teachers to teach;
  • a process of early socialization that empowers them to perform this role;
  • experiential workplace learning that reinforces their choice; and
  • envisioning their future to strengthen their teaching careers.

These themes suggest that PIF in this context is a continuous and dynamic process, as is PIF among medical teachers in Western settings (Steinert and MacDonald 2015; van Lankveld et al. 2017; Cantillon et al. 2019). The process is also similar for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Our study contributes several factors not previously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the role of religious values, family influences, and societal recognition,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 the decision to become a medical teacher. Envisioning the future is also a critical component of PIF for medical teachers. In addition,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several suggestions by Steinert et al. (2019) on encouraging FD programs to address PIF.

Hafferty(2016)가 설명하고 Cruess et al(2015)이 명시한 [사회화 과정]은 본 연구에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참가자들은 [기존의 정체성과 그들의 개인적 가치]가 PIF 프로세스를 시작한 그들의 [전문적 역할]과 어떻게 일치하는지에 대한 내부 대화를 강조했다(Cruess et al. 2015). 게다가, 그들의 동기는 [열정과 종교적 신념, 과거의 역할 모델, 그리고 이전의 교수 경험]에 의해 inform되었다. [미래 세대의 의료 전문가들을 가르치고 발전시키려는 열정]은 교직을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보고되었다. 다른 연구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또한 [이전의 교수 경험과 역할 모델에 대한 노출]을 잠재적으로 교수 동기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식별했다.
The socialization process, as described by Hafferty (2016) and articulated by Cruess et al. (2015), is strongly reflected in this study. For example, our participants highlighted existing identities and an internal dialogue about how their personal values might fit with their professional roles that initiated the PIF process (Cruess et al. 2015). Furthermore, their motivations were informed by passion and religious beliefs, past role models, and prior teaching experiences. A passion to teach and develop future generation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has been reported as a critical factor in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Steinert and Macdonald 2015). Similar to other studies, we also identified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and exposure to role models as significant factors that potentially enhance teaching motivations (Coldron and Smith 1999).

우리는 [종교적인 믿음] 또한 이 과정에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가르치는 것은 매일 선행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되었다. 인도네시아처럼 무슬림이 다수인 아랍 국가에서는 종교적 가치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의료 전문성의 구성으로 보고되고 있다. [강력한 가족 관계]는 또한 집단주의 문화에서 개인이 내리는 결정의 근본적인 요소로 언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여의사이 진로선택 시 가족의 책임을 고려하였다. 또한, 가족 역할 모델(교사)은 참가자들이 의학 교사가 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We found that religious beliefs also play a role in this process; teaching was perceived as an opportunity to practice good deeds daily. Religious values and faith in God have been reported as a construct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Arab countries with Muslim majorities (Al Eraky et al. 2014), as in Indonesia. Strong family ties have also been cited as a fundamental factor in decisions made by individuals in a collectivist culture (Hofstede 2010). In this study, female medical teachers deliberately considered family responsibilities when choosing their career paths. In addition, family role models (also teachers) motivated participants to become medical teachers.

[사회화 과정]은 참가자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선배 동료들을 따라다니며 교수 경력을 시작할 때]도 분명했다. 이러한 초기의 [합법적인 주변적 참여]는 그들에게 '그들이 누구인지'와 '그들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을 협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임상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있어 근무환경의 역할도 두드러졌는데, 교수병원에서 근무하면 학생들과의 참여가 가능하고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The socialization process was also evident when participants began their teaching careers, shadowing senior colleagues, teaching and conducting research in their area of expertise. This early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Lave and Wenger 1991) helped them negotiate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by showing them ‘who they are’ and ‘what they can be’ (Cantillon et al. 2019). The role of the work environment in identity formation for clinical teachers was also notable, as working in teaching hospitals enabled engagement with students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교수진 개발 참여]와 [학생 및 동료와의 교류]를 통해 교사의 정체성이 더욱 공고해졌다. 서로에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은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것에 대한 진정한 소명을 상기시켰고 그들이 가르치는 공동체의 일부로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우리의 참가자들은 가르치는 수입이 꽤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전문적으로 성장하고, 미래의 건강 전문가를 개발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매우 귀중한 보상이라는 것에 동의했다. 우리의 참가자들은 또한 전문 단체, 정부, 환자들의 의학 선생님들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동기 부여 보상으로 강조했다. 이 발견은 이러한 환경에서 의학 교사들 사이의 PIF가 [집단주의적 가치]에 비해 [개인주의적 가치]에 더 강한 초점을 둔 서구 환경보다 더 강력한 [사회적 기반]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eachers’ identities were further solidified through participating in faculty development and interacting with students and colleagues. Having opportunities to learn from each other reminded teachers of their true calling to teach and allowed them to develop as part of a teaching community (Wenger 1998; Buckley et al. 2019). While our participants knew that teaching incomes could be quite low, they agreed that growing professionally, developing future health professionals, and achieving a work-life balance constituted invaluable rewards. Our participants also underlined societal recognition of medical teachers from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and patients as motivating rewards. This finding suggests that PIF among medical teachers in this setting may have a stronger social basis than in Western settings with a stronger focus on individual values as compared to collectivist values (Helmich et al. 2017).

우리의 연구 결과는 [미래를 상상하는 것]이 PIF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참가자들은 평생학습과 개인의 안녕이 그들의 미래 직업 발전과 진로의 불가분의 측면이라고 입을 모았다. 흥미롭게도, 이 발견은 초기 사회화 및 직장 학습과 관련된 것들과 함께 벵거-트레이너와 벵거-트레이너(2015)가 강조한 identification의 모드, 즉 [참여, 상상 및 정렬]과 일치한다. 이러한 세 가지 모드는 교수진 개발(FD) 프로그램의 설계 및 제공에서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FD는 [코칭 세션]을 포함하여 교사들이 [내부 대화를 탐색]하고, [커뮤니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교수법에 대한 교육은 [직장 기반 학습, 역할 모델링 및 동료 멘토링]과 함께 [경험적 학습 과정]을 지원하여 [소속감을 강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D는 의사 선생님들이 그들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미래를 성찰]하도록 장려할 수 있으며, 이것은 그들의 웰빙과 경력 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다.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envisioning the future can strengthen PIF. Participants agreed that lifelong learning and personal wellbeing were inseparable aspects of their futur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areer trajectory. Interestingly, this finding, together with those related to early socialization and workplace learning, maps on to the modes of identification highlighted by Wenger-Trayner and Wenger-Trayner (2015): engagement, imagination, and alignment. These three modes c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delivery of faculty development (FD) programs. For example, initially, FD could involve coaching sessions, encouraging teachers to explore their internal dialogue and help them engage in the community. Training on teaching methods could support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es, along with workplace-based learning, role-modelling, and peer mentoring, to strengthen a sense of belonging. Finally, FD could encourage medical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future, which might enhance their sense of well-being and career development (Douma et al. 2017; Huey and Palaganas 2020).

이 연구는 FD에 대한 추가적인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 첫째, [교수개발]은 의학 교사의 PIF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과정]의 일부로 보인다. 
  • 둘째, [직장학습]은 의사선생님들이 [자신의 역할을 실현]하고, 다른 선생님들과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FD에서 매우 중요하다.
  • 셋째, FD 프로세스의 [관계적 특성]을 고려할 때 [사회적 학습]을 강조하는 FD 모델을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holds additional implications for FD.

  • First, FD appears to be part of the socialization process that influences PIF for medical teachers.
  • Second, workplace learning is critical in FD, as it helps medical teachers actualize their roles and engage with other teachers.
  • Third, given the relational nature of FD processes, models for FD that emphasize social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이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그것은 오직 한 나라의 특정 의대에서 PIF를 조사한다. 따라서, 우리의 발견은 맥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우리의 대부분이 여성인 표본은 의학 선생님이 되는 주된 이유가 가족 친화적인 것과 관련이 있다는 우리의 발견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또한 한 시점에서 포커스 그룹을 활용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층 인터뷰는 더 미묘한 결과를 산출했을 수 있다.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It examines PIF in specific medical schools in only one country. Thus, our findings might be context specific. As well, our mostly female sample may have influenced our finding that a primary reason for becoming a medical teacher related to it being more family-friendly. This study also utilized focus groups, at one point in time. In-depth interviews, over time, may have yielded more nuanced findings.

추가 연구는 다른 비서구적 환경에서 의학 교사의 PIF가 유사성 또는 차이점을 드러낼지 여부를 탐구해야 한다. 문화 전반에 걸쳐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PIF에 대한 추가 이해를 강화하기 위한 복제 연구는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FD 프로그램이 의학 교사의 PIF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구하기 위해 설계된 연구는 기초 과학 및 임상 교사를 위한 다양한 FD 전략을 체계화하는 데도 중요할 것이다.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whether the PIF of medical teachers in other non-Western settings would reveal similarities or differences. A replication study to enrich further understanding of PIF across cultures—and over time—would be worthwhile. Additionally, studies designed to explore how FD programs can influence medical teachers’ PIF would also be important to scaffold different FD strategies for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결론들
Conclusions

본 연구는 비서구적 환경에서 진행된 의료교사의 PIF는 내적 가치와 외적 영향의 상호작용, 조기 사회화를 통한 권한 부여, 경험적 직장학습, 교사의 미래 구상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교적 가치, 가족적 요소, 사회적 인식]은 이전에 보고되지 않았던 추가적인 요소들이다. PIF 과정에 기여할 수 있는 FD 프로그램은 PIF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고 다양한 공식 및 비공식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의학 교사에게 영감을 주고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Conducted in a non-Western setting, this study suggests that PIF among medical teachers is influenced by an interplay between internal values and external influences, empowerment through early socialization, experiential workplace learning, and teachers’ envisioning their future. Religious values, family factors, and societal recognition are additional factors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FD programs, which may contribute to the PIF process, should inspire and motivate medical teachers by providing necessary support and offering various formal and informal activities to strengthen PIF.

 


 

 

Med Teach. 2021 Aug;43(8):868-873. doi: 10.1080/0142159X.2021.1922657. Epub 2021 May 14.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medical teachers in a non-Western setting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 Center Indonesia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IMERI),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karta, Indonesia.

2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3Center for Medical Education (CenMED), Yong Loo Lin School of Medicin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4Centre for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apore, Singapore.

5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and Bioethics, Faculty of Medicine, Public Health, and Nursing, Universitas Gadjah Mada, Yogyakarta, Indonesia.

6Faculty of Medicine, Medical Education Unit, Universitas Islam Indonesia, Yogyakarta, Indonesia.

7Medical Education Unit, School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Universitas Katolik Atma Jaya, Jakarta, Indonesia.

PMID: 33989110

DOI: 10.1080/0142159X.2021.1922657

Abstract

Introduction: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among medical teache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In this study, we explored medical teachers' PIF in Indonesia.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using focus group discussions (FGDs) at four medical schools in Indonesia.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from four different school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Data were transcribed, coded, and analysed to develop themes and subthemes.

Results: Seventeen FGDs were completed, involving 60 basic science and 59 clinical teachers. Four major themes regarding the formation of medical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emerged: an internal dialogue between intrinsic values and external influences, empowerment through early socialization, experiential workplace learning, and envisioning the future. The PIF process was similar for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ed that PIF among medical teachers in a non-Western setting is a continuous and dynamic process that is shaped by key socialization factors (e.g. role models, workplace learning, peer support), with significant influences from religious beliefs, family values, and societal recognition.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should consider the dynamic and continuous nature of PIF among medical teachers and encourage clinicians and basic scientists to explore their values and beliefs, realize their goals, and envision their future.

Keywords: Staff development; professionalism; roles of teacher.

 

보건의료전문직교육 박사과정학생의 기대: EPA 프레임의 국제적 수정 델파이 연구(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Expectations for PhD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 international EPA‑framed, modified Delphi study 
Roghayeh Gandomkar1,2 · Reza Zaeri2 · Olle ten Cate3

 

서론
Introduction

[의학연구소]가 추진하고 현재 [의학, 간호 및 기타 건강 영역의 교육]을 범위로 하는 용어로 확립한 개념화인 [보건의료 전문직 교육(HPE)]은 성숙했다. 이 성숙은 20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어, 21세기에 속도가 빨라져서, 전문 교육 학자들을 고용하고 생산하는 연구 분야로 발전했다. 많은 의과대학, 간호대학 및 기타 학교에서 교육 방법의 개발, 혁신 및 최적화, 보건 전문 인력의 평가 및 자격을 지원하기 위해 그러한 학자를 고용하고 고용합니다.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a conceptualization promoted by the Institute of Medicine (Knebel and Greiner, 2003) and now established terminology for the breadth of education in medicine, nursing and other health domains, has matured, from mid-20th century, with increased rapidity in the 21st century, into field of study that both employs and produces specialized educational scholars (Cleland et al., 2021; ten Cate, 2021). Many medical schools, schools of nursing and other schools hire and employ such scholars to support curriculum development, innovation and optimization of the methods of teaching, assessment and qualification of the health professional workforce.

동시에, HPE의 전문 분야에서 고급 학위,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많은 "HPE 학술활동을 위한 부서"은 그러한 학위를 제공하며, 그 중 몇몇은 국경을 넘어 지원자들을 끌어들이고 먼 교육 방식을 사용한다. 전반적으로, 이것은 HPE에서 상당한 수의 MHPE 및 PhD 프로그램으로 이어졌다. HPE의 모든 박사 학위 중에서, 많은 수가 [교육 과학]과 같은 [일반 대학원 학위] 또는 [의학 전공 분야]와 같은 보건 직업의 졸업 경력을 가진 이 방향으로 석사 학위를 처음 취득했습니다. HPE의 주요 학술지에서, 많은 독창적인 연구 논문들은 현재 HPE에서 박사 학위를 가진 한 명 이상의 저자들을 보여주거나 HPE에서 박사 학위를 추구하는 주요 저자를 가지고 있거나, 논문의 장 역할을 하기도 한다.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ies to obtain an advanced degree, a Master's or PhD degree in the specialized area of HPE are quickly expanding (Tekian, 2014; Tekian and Harris, 2012). Many "Units for HPE scholarship" (Varpio et al., 2017a, b; Humphrey-Murto et al., 2020) offer such degrees, several of which attract applicants across international borders and employ distant modes of education. All in all, this has led to a substantial number of MHPE and PhD programs in HPE. Of all PhDs in HPE, a large number have first obtained a Master's degree in this direction, either as a primary postgraduate degree, such as in educational sciences, or with a graduate background in a health profession, such as a medical specialty. In leading HPE journals, many original research papers now either show one or more authors with a PhD degree in HPE or have a lead author who pursues a PhD degree in HPE, having the paper also serve as a dissertation chapter, or both (Doja et al., 2014).

또한 HPE 박사(철학박사) 또는 EdD(교육박사) 또는 석사(HPE 또는 교육학 박사) 또는 이에 준하는 학위를 요구받거나 원하는 교육직에 대한 공석 신청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4000명 이상의 가입자를 가진 DR-ED@list.msu.ed와 같은 목록 서비스는 정기적으로 이러한 빈 자리를 게시합니다. 우리는 2020년 10월과 2021년 10월 사이에 DR-ED와 의학 교육 연구 이사회(SDRME)의 목록 서비스에서 [구인 게시물]을 빠르게 검색했고, 매주 또는 그 이상의 빈도로 PhD/EdD 또는 MHPE가 필수 또는 매우 권장되는 자격으로 포함된 광고를 발견했다. 이러한 광고에 포함된 업무나 책임의 유형은 HPE의 [PhD에 대한 기대]가 무엇인지에 대한 인상을 제공합니다. 2021년 10월 1일에서 21일 사이에 게시된 7개의 광고 샘플은 책임으로서

  • 평가(전문가 상담, 절차 및 정책 설계, 심리 측정 분석),
  • 연구 및 학술활동,
  • 데이터베이스 관리(내부 및 외부 검토를 위한 성과 지표 분석),
  • 커리큘럼 및 교육 개발,
  • 프로그램 평가
  • 교수 개발 및 멘토링,
  • 일반적인 정책 개발.

일부 지원자들은 이러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고, 다른 지원자들은 그렇지 않을 수 있으며, 고용주들은 어떤 지원자들을 기대할 수 있는지 확신하지 못할 수 있다. 
Also increasing are calls for application for vacancies in education positions, for which a PhD (Doctor of Philosophy) in HPE, or EdD (Doctor of Education) or Master's degree (in HPE or in education) or equivalent is demanded or desired. Listservs such as DR-ED@list.msu.ed, with 4000+ subscribers, regularly post such vacancies. We did a quick search of job postings on the listservs of DR-ED and of the Society of Directors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SDRME) between October 2020 and October 2021 and found ads weekly or more often that included PhD/EdD or MHPE as a required or highly recommended qualification. The types of tasks or responsibilities included in these ads provide an impression of what expectations for PhDs in HPE are. A sample of 7 ads, posted between 1 and 21 October 2021, included as responsibilities

  • assessment (expert consultation, designing procedures and policies, psychometric analyses),
  • research and scholarship,
  • database management (analysis of performance metrics for internal and external review),
  •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
  • program evaluation,
  • faculty development and mentoring, and
  • general policy development.

Some applicants may meet these expectations, others may not, and employers may be unsure what applicants they can expect.

박사 과정은 [특정한, 종종 좁은 연구 분야]에서 [논문을 완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할 수 있지만, 다른 프로그램은 박사 과정 학생들이 [다양한 연구 방법, 이론, 커리큘럼 개발 전략 및 정책에 익숙해질 것]을 요구한다. HPE의 박사 교육에 대한 국내, 국내 및 국제적 [접근 방식은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박사 학위 또는 EdD 학위가 가져오는 기대의 명확성은 개별 학자, 고용주, 야심찬 박사 학위 학생, 감독자 및 이러한 학위를 위한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기관에 유용할 수 있다. 
While doctoral programs can vary with a focus on just completing a dissertation in one specific, often narrow, area of research, other programs require doctoral students to become acquainted with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theories, curriculum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approaches to doctoral training in HPE appear to diverge (Pan and Lee, 2012; Leja and Wardley, 2002; Pugsley et al., 2008). Clarity in expectations a PhD or EdD degree brings along can be useful for individuals scholars, employers, aspiring doctoral students, supervisors, and institutions providing curricula to educate for these degrees.

이러한 전문가들이 무엇을 위해 고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가 있을 수 있지만, 우리는 HPE의 박사 과정이 준비되어 있다고 기대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어떤 합의도 알지 못한다. 현재 저자 중 한 명은 HPE에서 박사 학위 논문의 표준을 제공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HPE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이 고용주에게 기대할 수 있는 활동을 반드시 조명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re may be general expectations of what these professionals can be hired for, we are not aware of any consensus about the activities that can be expected PhDs in HPE are ready to do. One of the current authors was involved in a project to provide standards for PhD dissertations in HPE (ten Cate, 2005), but that does not necessarily shed light on the activities that graduated PhDs in HPE can anticipate an employer will expect from them.

우리가 아는 한, HPE PhD 기대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한 국가에서 단 하나의 국가적 합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HPE 박사학위 프로그램을 보유한 5개 학과가 있는 이란]에서는 HPE 박사 34명과 HPE-PhD 위원회 심사위원 9명을 대상으로 2019년 [전국 델파이 연구]가 이 질문으로 진행됐다. 이러한 기대를 개념화하기 위해 위탁 전문 활동(EPA)의 접근 방식이 사용되었다. EPA는 개인이 감독 없이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보유하는 것을 입증하면 그들에게 맡길 수 있는 전문적인 관행의 단위이다. 이 개념은 의료 전문가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보건 전문 교육에서 박사의 작업 분야를 개념화하는 데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이란 연구는 HPE PhD 졸업생들을 위한 24개의 EPA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냈고, 다음과 같은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교육 발전, 연구와 장학금, 그리고 교육 관리.
To our knowledge, only one national consensus study, in one country, has been conducted to clarify HPE PhD expectations. In Iran, a country that has five Departments with programs for a PhD degree in HPE, a national Delphi study among 34 PhDs in HPE and 9 HPE-PhD Board examiners was carried out in 2019 with this question. The approach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s) was used to conceptualize these expectations (Zaeri and Gandomkar, 2022). An EPA is a unit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can be entrusted to an individual once they have demonstrated to possess the required competencies to carry the activity out unsupervised (ten Cate and Taylor, 2021). While developed for medical professionals, this concept was deemed suitable to conceptualize the work field of PhD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he Iran study led to national consensus about 24 EPAs for HPE PhD graduates, categorized in three groups: educational development, research and scholarship, and educational management.

이러한 EPA를 출발점으로 삼아, 현재의 국제 델파이 연구는 보다 [일반화된 타당성]과 [HPE의 PhD에 합리적으로 적합한 활동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를 추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HPE-PhD 훈련 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활동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박사 학위를 취득하려는 개인과 HPE 박사 학위를 가진 학자를 고용하려는 고용주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HPE의 박사과정 교육은 점점 더 국제적인 노력이 되고 있으며, 화상회의를 통한 원격 멘토링이 잘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에 HPE의 박사과정 졸업생을 위한 EPA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모색하는 것은 유용한 노력으로 여겨졌다. 
Using these EPAs as a starting point, the current international Delphi study was conceived to seek more generalized validity and a wider consensus of reasonably suitable activities for PhDs in HPE. While the primary purpose of our study was not to determine what activities should necessarily be incorporated in HPE-PhD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inform such programs, as well as the individuals aspiring to obtain a PhD degree and employers, seeking to hire scholars with a PhD in HPE. PhD training in HPE is an increasingly international endeavor, and remote mentoring through video conferencing has become well accepted praxis, so seeking international consensus for EPAs for doctoral graduates in HPE was considered a useful endeavor.

방법들
Methods

설계.
Design

우리는 2020년 9월부터 2021년 5월 사이에 [3라운드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사용했다. [델파이 기법]은 주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여러 번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합의를 추구하는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각 연속 라운드에 대해 전문가는 전문가 그룹의 이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전문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입력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각 라운드는 SurveyMonkey를 사용하여 디지털로 배포된 설문조사로 구성되었습니다. 테헤란 의과 대학 연구 윤리 위원회는 이 연구에 대한 윤리적 승인을 승인했다. 모든 참가자들은 온라인 설문지를 작성하기 전에 정보 서한을 받고 동의 성명서를 제공받았다. 
We used a three-round modified Delphi technique between September 2020 and May 2021. The Delphi technique is a widely used method of seeking consensus by administering multiple iterations of surveys on a specific topic to subject experts (Humphrey-Murto et al., 2017a). For each consecutive round, experts provide their input independentl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other experts to maintain heterogeneity of the expert group (Humphrey-Murto et al., 2017b). In our study, each round consisted of a survey that was distributed digitally using SurveyMonkey (Survey Monkey Inc., San Mateo, California). The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Research Ethics Committee granted ethical approval for the study (ID: IR.TUMS.MEDICINE.REC.1399.178). All participants received an information letter and were provided consent statements before completing the online questionnaire.

참가자
Participants

첫 번째 단계로 SDRME 리스트 서비스를 사용하여 모든 회원을 대상으로 한 공개 초대를 통해 SDRME(Society of Research of Medical Education) 회원 중 [편의 샘플링]과 [targeted experts]를 활용하였다. SDRME에는 주로 북미인 회원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런 다음 서로 다른 지리적 영역에서 자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HPE 훈련에 참여하는 지식을 바탕으로 [목적적 샘플링]을 사용하여 전문가에게 접근했다. 총 148명의 잠재적인 전문가 패널에게 접근하여 연구 목적, 절차 및 예상 시간 투자에 대한 정보를 담은 초대 메일을 보냈습니다. 
As a first step, we used convenience sampling and targeted experts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of Directors of Research in Medical Education (SDRME), through an open invitation for all members, using the SDRME listserv. As the SDRME has predominantly North-American members, we then approached experts using purposive sampling, based on our knowledge of their involvement in HPE training from different geographical areas, using our own networks. In total, we approached 148 potential expert panel members and sent an invitation email with information about the purpose of the study, procedure, and the expected time investment.

절차.
Procedure

우리는 이란에서 HPE PhD 졸업생을 위해 개발된 EPA 프레임워크(24개의 EPA 타이틀과 그들의 설명)를 출발점으로 사용했다. 우리는 첫 번째 델파이 라운드(R1)(모든 EPA에 걸쳐 240개 질문)에 대해 각 EPA에 대해 동일한 10개 질문(리커트 유형 척도가 있는 5개 및 개방형 5개)으로 설문조사를 개발했다. 이러한 질문은 HPE PhD 졸업생에 대한

  • EPA의 관련성,
  • 제목의 명확성,
  • 규격의 포괄성 및
  • EPA의 고장 시 잠재적 위험 및
  • 한계의 적절성과 관련이 있다.

We used the in Iran developed EPAs framework for HPE PhD graduates (24 EPA titles and their descriptions) as a starting point (Zaeri and Gandomkar, 2022). We developed a survey with the same 10 questions (five with Likert type scale and five open-ended) for each EPA for the first Delphi round (R1) (240 questions across all EPAs). These questions concerned

  • relevance of the EPA for HPE PhD graduates,
  • clarity of the title,
  • comprehensiveness of the specifications and
  • the potential risks in case of failure in the EPA, and
  • appropriateness of the limitations (ten Cate and Taylor, 2021).

[후속 델파이 라운드]는 이전 라운드에서 [합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항목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2차(R2)에서는 1차 델파이 라운드의 모든 분석을 기반으로 [EPA 제목과 내용이 크게 수정]되었다. [Full survey](그러나 EPA당 하나의 개방형 질문만 있음)는 R2의 모든 EPA에 대해 반복되었다. 설문조사의 의견과 조사자에게 보내는 직접 이메일의 몇 가지 추가 의견을 바탕으로 한 중요한 일반적인 관찰은 HPE-PhD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HPE-PhD 졸업자와 관련된 EPA의 중요성에 대한 보다 명확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로 인해 R2의 모든 EPA에 대해 세 가지 항목이 추가되었다:

  • (1) 나는 현재 대부분의 HPE 박사들이 감독 없이 이것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
  • (2) 대부분의 HPE 박사는 감독 없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 (3) 이 EPA가 HPE-PhD 교육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그 조사는 R2의 16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각 EPA 설명의 각 섹션에 대해 텍스트가 '변경'되었는지 '변경되지 않았는지'를 표시했다.

While often subsequent Delphi rounds are shorter and focus only on items that have not meet consensus criteria in a previous round, in our second round (R2), EPA titles and contents underwent major revisions based on all analyses of the first Delphi round. The full survey (but with only one open-ended question per EPA) was repeated for all EPAs in R2. An important general observation, based on comments in the survey and a few additional comments in direct emails to the investigators, pointed at a need for more clarity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EPAs related to HPE-PhD graduates versus to HPE-PhD programs. This resulted in three additional items for all EPAs in R2:

  • (1) I believe that currently most PhDs in HPE can be trusted to do this without supervision,
  • (2) It is desirable that most PhDs in HPE can be trusted to do this without supervision, and
  • (3) Should this EPA be included in HPE-PhD training?

The survey consisted of 162 items in R2. For each section in each EPA description we indicated whether the text had been ‘changed’ or ‘not changed’.

[3차(R3)에서는 조사가 제한적]이었다. EPA 설명의 적절성에 대한 [EPA당 전반적 질문 1개, 의견을 위한 개방형 질문 1개], 2차에서 [0.80 미만]의 내용 유효성 지수(CVI) 지수(아래 참조)]를 보여준 EPA에 대한 추가 질문(45개 항목)만 포함했다.
In the third round (R3), the survey was limited. It contained one overall question per EPA on adequacy of the EPA description, one open-ended question for comments and only additional questions for EPAs that showed a content validity index (CVI) index (see below) less than 0.80 in the second round (45 items).

모든 질문(하나의 예/아니오 질문 유형 제외)은 각 EPA에 대한 의견을 위한 공간에 완전히 동의하지 않을 때까지 5점 리커트 척도로 답변해야 했다(전체 조사는 보충 디지털 부록 1 참조). 델파이 과정 내내 패널들의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후속 라운드의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에게 이전 라운드의 결과 요약을 제공했다. 설문조사와 함께, 그들은 이메일을 통해 개정에 대한 배경 정보와 함께 EPA 제목과 설명의 pdf 버전을 받았다. 각 단계에 대해, 조사는 이전 라운드에서 5개 이상의 EPA에 대해 조사를 완료한 참가자에게 전송되었다. 참가자들은 각 설문 조사 라운드에 응답하는 데 3주가 걸렸다.

All questions (except one yes/no question type) had to be answered on a 5-point Likert scale from fully agree to fully disagree with space for comments about each EPA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for the full survey). We provided a summary of results from the previous round to the experts with the survey of the subsequent round, while maintaining anonymity among the panelists throughout the Delphi process. Together with the survey, they received a pdf version of the EPA titles and descriptions with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revisions through email. For each phase, the survey was sent to participants who had completed the survey about five or more EPAs in the previous round. Participants had three weeks to respond to each survey round.

10459_2022_10136_MOESM1_ESM.docx
0.03MB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기술 통계량]은 각 Delphi 라운드 후 Microsoft Excel 2016을 사용하여 계산되었으며, 빈도, 평균 및 표준 편차 및 해당하는 경우 [내용 유효성 지수(CVI)]를 포함했습니다. 계측기가 측정되는 구조에 대한 적절한 항목 표본을 갖는 정도인 CVI는 각 질문에 대해 '완전 동의' 또는 '동의'를 선택한 패널의 수를 패널의 총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었다. CVI 값의 범위는 0 ~ 1입니다. [컷오프 점수]로

  • [0.8 이상]을 선택하여 충분한 [내용 타당도]를 indicate하였습니다.
  • [0.50~0.79]의 CVI는 항목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했다; [0.50 미만]의 [관련성]에 대한 CVI가 제거 이유가 되었다; [다른 조사 질문]의 경우 CVI가 0.8 미만일 경우 리비전 하였다.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using Microsoft Excel 2016 (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Washington) after each Delphi round, and included frequenci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content validity indices (CVIs) where appropriate. The CVI, the degree to which an instrument has an appropriate sample of items for the construct being measured (Dalkey and Helmer, 1963), was computed as the number of panelists choosing 'fully agree' or 'agree' for each question,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panelists. CVI values can range from 0 to 1. As a cut-off score,

  • we chose 0.8 or higher to indicate sufficient content validity.
  • A CVI of 0.50–0.79 implied that the item required revision; a CVI for relevance below 0.50 constituted a reason for elimination; for other survey questions a CVI below 0.8 specified revision (Humphrey-Murto and de Wit, 2019; ten Cate, 2006).

3차는 적정성 문제에 대해 [사전설정 합의 비율]을 [80% 이상]으로 설정했다.
For the third round, a predetermined consensus percentage was set to 80% or higher for the adequacy question.

[정성적 논평]은 모든 저자에 의해 여러 차례 검토되었으며 EPA의 제목, 내용 및 구조의 수정을 위해 고려되었다. CVI가 적절하더라도, EPA의 제목이나 내용은 응답자들은 [관련 의견을 제안]했고, [연구자들 간의 합의 논의 후]에는 수정되기도 하였다. 
Qualitative comments were reviewed by all authors several times and were considered for modification of the title, content and structure of EPAs. Title or content of EPAs underwent changes even if the CVI was adequate but respondents proposed relevant comments, and only after consensus discussion among the researchers.

결과.
Results

18명의 국제 전문가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했다. 초기 EPA 개발에 관여하지 않은 저자 중 한 명(OtC)도 1차 델파이(R1) 라운드에 참여했다. 모든 참가자가 R1 설문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R1에서 세 명의 응답자가 처음 몇 개의 EPA만 완료했다; 그들은 분석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른 4명의 참가자들은 (2-14세 사이의) 몇 가지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다; 
그들은 분석에 포함되었다. 총 16명의 참가자의 답변이 R1에 포함되었다. 2차 델파이 라운드(R2)는 참가자 18명 중 16명이 참여해 15명이 전수조사를 마쳤다. 한 응답자는 5개의 EPA를 완료했으며 추가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R2 참가자 15명 전원이 R3 설문 조사를 완료했습니다.  
Eighteen international exper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ne of the authors (OtC), not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initial EPAs, participated in the first Delphi (R1) round as well. All participants started the R1 survey. In R1, three respondents completed only the first few EPAs; they were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Another four participants did not answer several (between 2 and 14) questions; they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It total, 16 participants' answers were included in R1. For the second Delphi round (R2), 16 out of 18 participants started and 15 completed the full survey. One respondent completed 5 EPAs and was excluded from further analysis. All 15 participants of R2 completed the R3 survey.

지리적으로 모든 델파이 지역에 참여한 15명의 전문가들은 미국(n = 8), 네덜란드(n = 2), 독일(n = 2), 호주, 남아프리카, 영국(각각 1명) 출신이었다. SDRME 회원은 8명(53.3%), 정교수는 9명(60.0%), 부교수는 5명(33.3%), 조교수는 1명으로 53.3%가 여성이었다. 
Fifteen experts who participated all Delphi round geographically, were from the United States (n = 8), the Netherlands (n = 2), Germany (n = 2), and Australia, South Africa and the United Kingdom (each with one participant). Eight (53.3%) participants were SDRME members, 9 (60.0%) were full professors, 5 (33.3%) were associate professors, and one was assistant professor. 53.3%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1차 델파이 라운드
First Delphi round

표 1은 R1에 기초한 EPA의 관련성에 대한 EPA 제목과 CVI 및 수단(SD 포함)을 제공한다. 6개의 제안된 EPA는 관련성을 위해 0.8보다 큰 CVI를 보여주었고, 3개(EPA 21, 23, 24)는 HPE PhDs에 대한 필수적인 기대가 아닌 것으로 간주되는 활동을 다루었다(CVI < 0.5). 그들은 추가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대부분의 EPA는 조사의 모든 질문에 대해 0.5≤CVI < 0.8을 보였다(보조 디지털 부록 2 참조). 
Table 1 provides EPA titles and CVIs and means (with SDs) for relevance of EPAs based on R1. Six proposed EPAs showed CVIs larger than 0.8 for relevance, and three (EPAs 21, 23 and 24) addressed activities that were deemed not essential expectations for HPE PhDs (CVI < 0.5). They were removed from further analyses. Most EPAs showed 0.5 ≤ CVI < 0.8 for all questions in the survey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2).

10459_2022_10136_MOESM2_ESM.docx
0.03MB

 

우리는 모든 논평과 이것들의 요지에 대한 우리의 해석에 기초하여 [EPA 설명을 크게 다시 썼다]. 모든 EPA 설명은 (적어도 평균적으로) 짧아졌다. 우리는 또한 EPA 세트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두 개('연구 및 학술활동'과 '교육 개발')로 통합하고 교육 관리는 생략했다. 우리는 이 범주가 HPE PhD 졸업생에게 가장 적합한 섹션으로 인식되지 않는다고 느꼈다;  그리고 대부분의 EPA는 낮은 관련성 점수로 자격을 얻었다.
We significantly reworded EPA descriptions, based on all comments and our interpretations of the gist of these. All EPA descriptions became shorter (at least on average). We also merged three components of the set of EPAs into two ('Research and scholarship' and 'Educational development') and left out Educational management. We felt this category was least recognized as a suitable section for HPE PhD graduates; and the majority of its EPAs were qualified with low relevance scores.

[표 2]는 R2에 대한 개정된 EPA 구조와 명칭을 보여준다. 개별 EPA의 관점에서, 전문가들은 새로운 EPA 명칭을 제안하지 않았다. 어떤 경우에는, 중복되는 것으로 보이는 한두 개의 EPA가 제목과 내용의 일부 변경과 함께 하나의 원래 EPA로 [병합]되었다(즉, EPA 15, 1, 3 및 6). EPA 2(연구 수행 및 분석)와 3(연구팀 협업, 지시 및 감독)이 [결합]되어 [3개의 새로운 EPA로 형성]되었다: '질적 교육 연구 수행'(EPA 2), '양적 교육 연구 수행'(EPA 3), '혼합 방법 및 합의 교육 연구 수행'(EPA 4). 너무 광범위해 보이는 EPA가 여러 EPA로 [분할된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EPA 4: '과학 보고서 작성, 출판 및 커뮤니케이션'은 '경험적 연구 보고서 작성 및 출판'(EPA 5), '문헌 검토서 작성'(EPA 6), '회의 및 기타 회의에서의 발표'(EPA 7)로 구분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 및 장학'에 8개, '교육 개발'에 10개 등 총 18개의 EPA가 생성되어 R2에 사용되었다.

Table 2 shows the revised EPA structure and titles for R2. In terms of individual EPAs, no new EPA titles were suggested by experts. In some cases, one or two EPAs that seemed to show much overlap were merged into one original EPA with some changes in the title and content (i.e. EPAs 15, 1, 3 and 6). EPAs 2 (Conducting and analyzing research) and 3 (Collaborating, directing and supervising research teams) were combined and shaped as three new EPAs: 'Conducting qualitative educational research' (EPA 2), 'Conducting quantitative educational research' (EPA 3)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and consensus educational research' (EPA 4). In some other cases, EPAs that seemed too broad were split into several EPAs. For instance, EPA 4: 'Writing, publishing and communicating scientific reports' were divided in 'Writing and publishing empirical research reports' (EPA 5), 'Writing literature reviews' (EPA 6) and 'Presenting at conferences and other meetings' (EPA 7). This resulted in a total of 18 EPAs, 8 for 'Research and scholarship' and 10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nd used for R2.

 

2차 델파이 라운드
Second Delphi round

표 2는 EPA 직함과 CVI, 수단(SD 포함) 및 R2에 대한 EPA 빈도를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모든 문항의 CVI 점수는 상당히 향상되었고 대부분 0.8점보다 높았다. 하나의 EPA "학생 지원 서비스의 설계, 구현 및 평가"는 여전히 HPE PhDs(CVI < 0.5)에 대해 충분히 관련성이 없는 기대로 간주되었고, R3에 대한 입력으로 제거되었다. 흥미롭게도, 4개 EPA의 경우, 응답자의 20% 미만이 현재 HPE의 대부분의 박사가 감독 없이 EPA를 수행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하거나 전적으로 동의했지만, 전문가의 86.7%는 대부분의 박사가 '감독 없이 회의 및 기타 회의에서 발표'를 수행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하거나 전적으로 동의했다(1987=4).20 ± 0.65). 
거의 모든 EPA(18개 중 16개)의 경우, 참가자의 50% 이상이 HPE의 대부분의 박사학위자가 감독 없이 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신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 동의하거나 전적으로 동의했다. 응답자의 50% 이상이 11개 EPA에 대해 '이 EPA는 PhD 교육의 핵심' 옵션을 선택했다. 우리는 통계와 논평, 그리고 보다 논리적인 순서에 기초하여 EPA를 위한 텍스트를 개선했다.
Table 2 provides EPA title and CVIs and means (with SDs), and frequencies for EPAs for R2. Overall, CVI scores in all questions improved considerably and were mostly higher than 0.8. One EPA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tudent support services” was still deemed not a sufficiently relevant expectation for HPE PhDs (CVI < 0.5) and was removed as input for R3. Interestingly, for four EPAs, less than 20% of respondents agreed or totally agreed that currently most PhDs in HPE can be trusted to do those EPAs without supervision, but 86.7% of experts agreed or totally agreed that most PhDs can be trusted to do 'Presenting at conferences and other meetings without supervision' (mean = 4.20 ± 0.65). For almost all EPAs (16 out of 18), more than 50% of participants agreed or totally agreed that it is desirable that most PhDs in HPE can be trusted to do this without supervision. More than 50% of respondents selected the option 'this EPA is core in PhD training' for 11 EPAs. We made improvements in texts for EPAs based on statistics and comments and a more logical order.

델파이 3차전
Third Delphi round

17개 EPA 모두가 적정성에 대해 80% 이상의 합의를 했다. [3개의 EPA] '교육 품질 보증 시스템의 설계, 적용 및 수정'(0.67), '개별 학생과 교직원에 대한 멘토링, 코칭 및 조언'(0.67), '교육 전략 프로젝트 및 정책 개발 선도'(0.60)의 관련성에 대해 CVI ≥ 0.80에 도달하지 못했다. 한 EPA는 항목 명확성에 대해 0.60의 CVI를 얻었다. 다른 질문들은 충분한 CVI ≥ 0.80에 도달했다. 우리는 제공된 의견을 바탕으로 EPA 프레임워크에 작은 변화를 주었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EPA 1, 5, 6, 7, 8, 15는 [모든 PhD 졸업생에게 바람직하며 PhD 교육에서 핵심]으로 간주된다는 점에서 80% 일치 기준을 충족한다. 최종 EPA 프레임워크는 명칭, 정당성, 사양 및 한계, 고장 시의 위험과 함께 부록 3에 제시되어 있다. EPA 명칭은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All 17 EPAs had agreements of 80% or higher for adequacy. Three EPAs did not reach CVI ≥ 0.80 for relevance: 'Designing, applying and revising educational quality assurance systems' (0.67), 'Mentoring, coaching, and advising individual students and faculty' (0.67), and 'Leading educational strategic projects and policy developments' (0.60). One EPA obtained a CVI of 0.60 for item clarity. Other questions reached the sufficient CVI ≥ 0.80. We made small changes in the EPA framework based on the supplied comments. As Table 2 shows, EPAs 1, 5, 6, 7, 8, and 15 meet the 80% agreement mark for both being desirable for all PhD graduates and to be regarded as core in PhD training. The final EPA framework, with their titles, a justification, specification and limitations, and risks in case of failure, is shown in th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3. The EPA titles can be found in Table 3.

10459_2022_10136_MOESM3_ESM.docx
0.04MB

논의
Discussion

HPE 장학금을 받은 15-16명의 국제 전문가들의 귀중한 도움으로, 우리는 HPE 박사 학위를 가진 교육자들의 기대에 틀림없이 속하는 17개의 EPA를 식별할 수 있었다. 17개의 EPA 중 8개는 연구와 장학의 영역과 관련이 있고, 9개는 교육 개발과 관련이 있다. 일부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박사 과정 학생이 훈련받는 가장 필수적인 작업인 저평가된 연구 및 장학 활동으로 비판할 수 있지만, 우리의 연구 결과는 대부분의 HPE 박사가 고용된 것으로 알려진 HPE 장학 부서의 작업 특성과 일치한다. 칼케와 바르피오는 [연구를 수행]하고 [교육 서비스(교육 설계 및 평가, 교수진 개발, 인증 지원 등)를 제공하는 것]을 캐나다 HPE 장학금 단위에서 수행되는 두 가지 주요 활동으로 꼽았다.  
With the valuable help of 15–16 international experts in HPE scholarship, we were able to identify 17 EPAs that arguably belong to the expectations of educators with a PhD degree in HPE. Of the 17 EPAs, 8 relate to the domain of research and scholarship, and 9 pertain to educational development. Some may critique these findings as undervaluing research and scholarship activities which are presumably the most essential tasks a PhD student is trained for, but our findings do concord with the nature of the HPE scholarship units’ works that most HPE PhDs reportedly are hired for. Kahlke and Varpio (2019) named conducting research and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such as consults on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faculty development, accreditation support) the two dominant activities conducted in Canadian HPE scholarship units.

원래 이란 연구에서는 [교육 관리 작업]이 두드러졌지만, 델파이 응답자들은 최종 프레임워크에서 많은 활동을 제거하고 일부를 [교육 개발 영역]에 통합하도록 했다. 관리와 개발의 일부 중복 외에도 문화적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란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관리 업무]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박사에게 더 쉽게 요청하는 반면, 다른 국가에서는 [지정된 이사와 보조자]를 고용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즉, HPE 박사학위의 목적은 다르게 볼 수 있다. 즉, [교육 전문가 연구원]이 되는 것과 더 [광범위한 교육 전문가]가 되는 것. 우리의 델파이 샘플이 국제적이었지만, 이러한 불일치는 또한 우리의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한계를 둔다.

While educational management tasks were prominent in the original Iranian study, our Delphi respondents made us remove many of its activities from the final framework and integrate some in the educational development domain. Besides some overlap of management with development, there may also be a cultural issue. In Iran, managerial tasks are more readily asked from PhDs, as they have come available in recent years, while other countries may have more opportunities to employ designated directors and assistant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PhD degree in HPE can been viewed differently, i.e. to be an educational expert researcher, versus to be a broader educational professional. While our Delphi sample was international, this discrepancy also puts a limitation to the generalizability of our findings.

17개의 EPA 중 6개는 박사과정 교육의 핵심이자 모두에 대한 기대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단 하나의 EPA(회의 및 기타 회의에서 발표)만이 대부분의 현재 HPE Phds가 감독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신뢰할 수 있다는 데 높은 동의를 얻은 반면, 12개 EPA의 경우 소수의 응답자(40% 미만)만이 일반적으로 감독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 HPE Phds를 수행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즉, 델파이 패널 구성원들은 [HPE PhDs에 대한 그들의 기대가 많은 HPE PhDs의 현재 현실을 훨씬 능가한다]는 데 동의할 것이다. 몇몇 델파이 패널들이 박사과정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는 이러한 은밀한 자기비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Of the 17 EPAs, 6 were considered both core to PhD training and desired expectations for all. However, only one EPA (presenting at conferences and other meetings) found high agreement that most current HPE PhDs can be trusted to do this unsupervised, whereas for 12 EPAs only a minority of the respondents (less than 40%) would agree that current HPE PhDs can generally be trusted to do these unsupervised. In other words, our Delphi panel members would agree that their expectations for HPE PhDs far exceed the current reality for many HPE PhDs. How must we understand this covert self-criticism, given that several Delphi panel members are involved in PhD training themselves?

[박사학위를 가진 학자]들에 대한 기대와 [박사과정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은 동일하지 않다. 우리의 조사 목적은 그러한 커리큘럼에 대한 (공유된) 처방에 도달한 것이 아니라 HPE의 박사 학위에 대한 [업무 기대]에 대한 통찰력이었다; 
우리는 우리 패널들이 이것을 잘 이해했다고 믿는다. 
Expectations for scholars with a PhD degree and requirements for a PhD training curriculum are not identical. The purpose of our investigation was not arrive at (shared) prescription for such curriculum, but at insights into work expectations for PhDs in HPE; we believe our panel members have understood this well.

이를 위해 델파이 절차를 수정하였습니다. 우리의 접근법은 

  • (1) 비판적 검토에 적합한 EPA의 기존 프레임워크로 시작한다, 
  • (2) 국제 버라이어티 분야의 독립적이고 잘 정의된 전문가들을 초대한다, 
  • (3) 반복적인 절차를 사용한다 
  • (4) 다양한 목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개정된 프레임워크에 도달하기 위해. 

To this end, we modified the Delphi procedure. Our approach was

  • (1) to start with an existing framework of EPAs suitable for critical review,
  • (2) to invite independent, well defined experts in international variety,
  • (3) to use an iterative procedure, and
  • (4) to arrive at a revised framework that could serve multiple purposes.

우리는 상호 영향을 피하기 위해 패널들 사이의 익명성을 관찰했지만, 명확화를 위해 필요한 경우 응답자들과 직접 대화했다. 우리는 [박사 과정의 졸업 기준에 대한 결정]을 허용하는 ["타당한" 도구]로서 EPA 프레임워크에 도달하려고 하지 않았다. 목적은 박사 학위를 희망하는 학자들, 후보자들, 감독자들, 그리고 잠재적인 고용주들을 위한 방향이나 방향감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러한 기대를 모두 충족시키는 PhD 졸업생은 거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어떤 EPA에서 우수할 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EPA에서는 우수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박사 학위]는 오히려 그들이 [이전에 마주치지 않았던 의무를 수행할 준비가 될 수 있는 배우고, 일하고,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 성숙한 개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과학적 사고에 대한 경험, HPE 문헌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특정 연구 접근법에 대한 경험, 그러나 다른 연구 방법에 대해서는 접선적으로만 익숙하기 때문에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 [박사 교육에서 깊게 다루지 않은 영역]에서도 졸업생들은 그 학문적인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고 신뢰할 수 있다. 

We observed anonymity among the panelists to avoid mutual influences, but we did interact with respondents directly if needed for clarification. We did not seek to arrive at an EPA framework as a “valid” instrument to allow for decisions about graduation standards in PhD programs. The purpose was to create a sense of direction or orientation for scholars aspiring to seek a PhD degree, for candidates, for supervisors and for potential employers. Clearly few, if any, PhD graduates will meet all these expectations; many are likely to excel in some EPAs and not in others. PhDs may rather be regarded as individuals who have matured through a process of learning, working and discovering that may make them ready to be tasked with obligations they have not encountered before but that they can tackle mostly because of their experience with scientific thinking, general acquaintance with the HPE literature, experience with particular research approaches, but only tangentially familiar with other research methods. Even in domains not deeply touched upon in PhD training, graduates may be trusted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do that scholarly work.

[EPA]는 원래 대학원 의학 교육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다양한 다른 HPE 프로그램으로 확장되었다. 이 프로그램들은 모두 의료에서 행동할 수 있는 [능력, 권리, 의무]의 인정을 결합한 위탁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Right'는 라이센스를 받은 권한 또는 자격 증명('학습자를 위한 감독하에서')을 말합니다
  • '의무'는 환자의 치료('학습자를 위한 감독하에서')를 의미한다.

EPA의 명확한 특성화 및 사용은 다른 영역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연구는 윤리, 데이터 처리, 개인 정보 보호, 실험실 안전 및 기타 선행 과학 행위와 관련된 요소에 대한 절차 표준화 과정을 거쳤으며, 이는 잠재적인 위임가능성entrustability 문제를 동반할 수 있다. 교육 관행 또한 교육에서 더 표준화되었다. 이를 통해 번역 과학 훈련 및 교수 자격과 같은 다른 영역에 대해 EPA를 제안할 수 있다. 현재 우리의 기여는 이러한 확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EPA 정의의 느슨한 사용의 위험이 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우리는 EPA 설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공식적인 방법을 적용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설명의 성격을 지속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원래 개념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예를 들어 이러한 EPA에 반영된 작업의 '감독'이 환자 치료와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는 HPE에서 PhD에 대한 EPA를 정의함에 있어 개념의 적용 가능성을 한계까지 확장했다고 믿는다.
EPAs were originally conceived f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ten Cate and Taylor, 2021; Shorey et al., 2019) and expanded to various other HPE programs (O’Dowd et al., 2019; Meyer et al., 2019; Bramley and McKenna, 2021; Goodell et al., 2019; ten Cate, 2016). These programs are all characterized by entrustment decisions that combine the recognition of ability, right and duty to act in health care (ten Cate, 2016).

  • 'Right' refers to licensed privileges or credentials ('under supervision' for learners) and
  • 'duty' refers to patient care ('under supervision' for leaners).

That clear characterization and use of EPAs may be less suitable in other areas. However, research, in recent years, has gone through a process of standardization of procedures regarding ethics, data processing, privacy, lab safety,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good scientific conduct, which arguably come with potential entrustability issues as well. Teaching practices have also become more standardized in education. This allows EPAs to be proposed for other domains, such as translational science training (Weggemans et al., 2021), and teaching qualifications (van Bruggen et al., 2021). Our current contribution adds to this expansion, which, we acknowledge, risks a looser use of the EPA definition. However, while we did not apply formal method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EPA descriptions (Taylor et al., 2017; Post et al., 2016), we have continuously been aware of the nature of the descriptions and kept them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original concept. But we acknowledge for example that 'supervision' of work reflected in these EPAs is different than in patient care. We believe that in defining EPAs for PhDs in HPE we have about stretched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to its limits.

이 경우에는 이점이 있습니다. [제안된 EPA 프레임워크]는 [국가 간 HPE 훈련]을 진전시키고, [훈련생과 졸업생의 개인 개발 및 고용 결정]에 inform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EPA 프레임워크는 훈련생에게 예상되는 활동의 범위와 깊이를 제공하고 전문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PhD 프로그램 책임자는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전문 활동, 특히 핵심 EPA에 기초한 교육을 제공하고 개별 학습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관찰을 기반으로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HPE PhD 프로그램을 adapt하고 EPA 프레임워크 사용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we do see benefits. The proposed EPA framework has the potential to advance HPE training across countries and to inform trainees' and graduates' personal development and employment decisions. The EPA framework can offer trainees the extent and depth of the expected activities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role. PhD program directors may utilize the framework to provide training grounded in professional activities propos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the core EPAs, monitoring the individual learning processes, and providing meaningful feedback based on observations. A next step would be to adapt HPE PhD programs and evaluate the impact of using the EPA framework.

우리의 응답률은 낮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델파이 연구의 경우, 모든 반복을 완료한 15명의 패널리스트가 드물지는 않지만, 특히 이것이 상당한 노력을 반영하고 모든 패널이 적절한 전문가로서 자격을 얻을 수 있다면, 접근한 최초의 전문가 목록은 148명이었다. 포함된 6개국은 [서구권]을 대표하며, [비서구권 문화]와 다른 HPE PhDs의 예상 활동에 대한 의견을 가질 수 있다. 분명히 [관리 중심 EPA]는 이란 연구에서 덜 평가되었지만, 17개의 결과 EPA는 모두 리커트 척도에서 3.5보다 컸고, 13/17(76%)는 관련성에 대한 점수가 4.0을 넘었다. 우리는 규제의 틀을 만들 의도가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참가자들의 편견이 어느 정도 중요성이 있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Our response rate may be considered low. While for a Delphi study, 15 panelists who completed all iterations is not unusual, particularly if this reflected significant effort and all can be qualified as suitable experts, the initial list of experts approached was 148. The six countries included represent the Western world and might have opinions on expected activities from HPE PhDs that differ from non-Western cultures. While clearly management-focus EPAs were less valued that in the Iranian study, all 17 resulting EPAs had a mean score for relevance larger than 3.5 on a Likert scale, and 13/17 (76%) larger than 4.0. As we had no intention to create a regulatory framework, we do not believe the bias of participants was present in any level of significance.

또 다른 한계는 이 연구가 24개 EPA의 기존 프레임워크와의 합의를 찾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EPA를 추가하기 위해 패널 구성원들을 의도적으로 초대하지 않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각 EPA와 함께 풍부한 자유 텍스트 공간이 있었지만, 우리는 새로운 EPA에 대한 아이디어를 놓쳤을 수 있다. 
Another limitation is that the study set out to find agreement with an existing framework of 24 EPAs. We did not deliberately invite panel members to add new EPAs. While there was abundant free text space with each EPA which could have been used for this purpose, we may have missed ideas for new EPAs.

결론들
Conclusions

HPE PhD 프로그램의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학술 기관의 교육 개발과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HPE의 박사 학위 취득자를 고용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국제 전문가 패널이 인정한 바와 같이, 우리는 HPE 박사 학위를 가진 교육자들의 합리적인 기대를 거의 반영하는 EPA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그것은 국가 간 HPE 교육을 진전시키고 고용 결정을 알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박사과정에 대해 규범적인prescriptive 척하지 않지만, 우리는 HPE PhD 프로그램이 [연구 기술] 외에도 [교육 이론과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선택 사항으로 [관리 기술]을 가질 것을 추천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HPE보다 훨씬 더 많은 박사과정 교육이 [내용과 길이 면에서 개별화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이는 [핵심 EPA]와 [선택 EPA]의 구별을 더욱 유용하게 만든다. 
The number of HPE PhD programs is progressively expanding. At the same time,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in employing PhD graduates in HPE to support education development and innovation in academic institutions. We presented an EPA framework that, as acknowledged by a panel of international experts, arguably reflects reasonable expectations of educators with a PhD degree in HPE. It has the potential to advance HPE training across countries and inform employment decisions. While we do not pretend to be prescriptive for doctoral programs, we would recommend HPE PhD programs to focus, besides on research skills, also on educational theory and development, and have managerial skills as an option. We should however realize that, much more than in HPE, PhD education is individualized in content and length. That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core EPAs and elective EPAs even more useful.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Jul 14. doi: 10.1007/s10459-022-10136-4. Online ahead of print.

Expectations for PhD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 international EPA-framed, modified Delphi study

Affiliations collapse

1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Center,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Tehran, Iran. rgandomkar@tums.ac.ir.

2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No. 57, Hojjatdust Alley, Naderi St., Keshavarz Blvd., Tehran, Iran. rgandomkar@tums.ac.ir.

3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School of Medicine, Tehran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No. 57, Hojjatdust Alley, Naderi St., Keshavarz Blvd., Tehran, Iran.

4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 Utrecht, The Netherlands.

PMID: 35836036

DOI: 10.1007/s10459-022-10136-4

Abstract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has matured into field of study that employs and produces specialized educational scholars. Many academic institutions employ such scholars to support development and innovation in education. Simultaneously, the possibilities to obtain a PhD degree in HPE are expanding. Clarity in the expectations that such a degree brings along can be useful for scholars, employers and institutions. Anticipating that the views of what a PhD in HPE is or should be can vary between institutions, cultures and countries, we conducted an international Delphi study to identify EPAs for HPE PhDs. We used a framework of 24 EPAs resulted from a national consensus study in Iran as input to seek more generalized validity and a wider consensus of reasonably suitable activities. A three-round modified Delphi stud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tion of 15 international experts. Final framework consisted of 17 relevant EPAs with a justification, specifications and limitations, and risks in case of failure per EPA (all had overall CVI > 0.8 for adequacy of description). Eleven EPAs were considered by the majority to be core to PhD training, 16 to be desirable for HPE PhDs as a capability to carry out without supervision, but the majority would trust current HPE PhDs to carry out only 5 of the 17 without supervision. The EPAs identified in this study arguably reflect the expectations of educators with a PhD degree in HPE. The framework has the potential to advance HPE training across countries and to inform personal development and employment decisions.

Keywords: Delphi study;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Health profession education; PhD.

의학교육에서 기초의학 교수자의 전문직정체성형성 해체하기(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Deconstruct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basic science teachers in medical education
Diantha Soemantri1,2 · Ardi Findyartini1,2 · Nadia Greviana1,2 · Rita Mustika1,2 · Estivana Felaza1,2 · Mardiastuti Wahid1,2 · Yvonne Steinert3 

 

서론
Introduction

의과대학 교육과정 초기에 기초과학과 임상의학을 통합하는 것은 학습의 관련성과 유지성을 높이기 위한 의학교육의 핵심전략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통합은 또한 임상 실습에서 질병과 추론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하는 데 중요하다. 그러나 기초과학 교사(BST)는 의학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저자들이 언급했듯이, 임상과학의 급속한 발전을 고려할 때 기초과학 교수의 존재는 위협을 받고 더욱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본적인 의학 지식을 심층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의무는 [암기]보다는 [지식 응용]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을 더 [맥락적이고 실제와 관련성 있게 만들어야 하는 요구] 사항과 종종 충돌한다. 따라서 다음을 고려했을 때,

  • [임상 실습에서 기초 과학의 기능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
  • [교육 과정에서 기초 과학 교육을 위한 시간을 찾는 것]과 관련된 긴장감
  • [의학 교육에서 교사의 진화하는 책임] 

의료 교육에서 BST의 역할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Integrat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medicine early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has been considered a key strategy in medical education to increase the relevance and retention of learning (Brauer & Ferguson, 2015). This integration is also critical in facilita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disease and reasoning processes in clinical practice (Bruin et al., 2005). However, although basic science teachers (BSTs) play a critical role in medical education, they face a number of challenges. For example, as some authors have stated, the existence of basic science teaching is likely to be threatened and further downsized given the rapid advancement of clinical sciences (Badyal & Singh, 2015). In addition, the obligation to impart basic medical knowledge in depth often clashes with the requirement to make teaching more contextual and relevant to practice, as does the tension between focusing on knowledge application rather than rote memorization (Grande, 2009). Thus, the role of BSTs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changing dynamically given

  • ongoing debates about the function of the basic sciences in clinical practice (Pangaro, 2010),
  • the tensions related to finding time for basic science teaching in the curriculum (Finnerty et al., 2010), and
  • the evolving responsibilities of teachers in medical education (Steinert, 2014; Harden & Lilley, 2018).

디킨슨 외 연구진(2020)이 그들을 부르는 [기초 과학 교사] 또는 의학 교육자들은 "주로 의료 전공 학생들에게 의과학을 가르치는 책임이 있는 교수진"이다. Dickinson 외 연구진(2020)은 교육과정 개발자, 평가자, 멘토, 연구자, 리더 및 관리자를 포함한 BST의 역할을 설명했으며, 이는 모두 정보 제공자의 역할을 넘어선다. BST는 또한 학생들의 [과학적 호기심을 길러주는 역할]을 하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학생들의 [추론 과정을 촉진]한다. 반면에, 수업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 특히 수업을 임상적 맥락과 연관시키는 것과 수업 개념의 부족은 일부 BST에 의해 [더 내용 지향적인 수업]으로 귀결되어, 기초 과학자들을 계속 괴롭히고 있다. 그러나, BST가 직면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역할에 대한 헌신은 BST가 자신을 어떻게 보고 표현하는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BST가 자신의 역할과 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아는 것은 BST가 여러 책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필수적이다.
Basic science teachers, or medical science educators as Dickinson et al. (2020) has called them, are “faculty members primarily responsible for teaching medical sciences to healthcare professions students” (p. 1). Dickinson et al. (2020) described the roles of BSTs, including that of curriculum developers, assessors, mentors, researchers, leaders, and managers, all of which go beyond the role of information providers. BSTs are also responsible for nurturing students’ scientific curiosity (Haramati, 2011), and as noted above, facilitating students’ reasoning processes. On the other hand, a lack of confidence in teaching, especially in relating teaching to the clinical context, and a conception of teaching, which has resulted in more content-oriented teaching by some BSTs (Laksov et al., 2008; McCrorie, 2000), continue to plague basic scientists. However, despite the challenges faced by BSTs, commitment to their roles is influenced by how BSTs view and present themselves (Dickinson et al., 2020; Haramati, 2011; McCrorie, 2000; van Lankveld et al., 2020). Therefore, knowing how BSTs perceive their roles and their own identities are essential in supporting BSTs to perform their multiple responsibilities.

정체성은 "외부 맥락 속에서 자아에 대한 이해와 자아에 대한 개념"으로 정의된다.

  • [정체성 형성]은 [집단 차원의 사회화]뿐만 아니라 [개인 내에 존재하는 심리적 과정]을 포함한다.
  • 따라서 [정체성]은 [개인이 경험을 얻음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변화하는 경향이 있는 동적 실체]이다.
  • van Lankveld et al(2020)은 [교사 정체]성은 [자신에 대한 이해]일 뿐만 아니라, [교사와 주변 환경 간의 대화를 통해 끊임없이 형성되는 자신의 표현presentation]이라고 웅변적으로 결론 내렸다.

Identity has been defined as “an understanding of the self and a notion of that self within an outside context” (Beauchamp & Thomas, 2009, p. 178).

  • Identity formation involves psychological processes that reside within the individual as well as socialization at the collective level (Jarvis-Sellinger et al., 2012).
  • Identity, then, is a dynamic entity which is subject to many influences and tends to change as individuals gain experiences (Haamer & Reva, 2012; Wahid et al., 2021).
  • van Lankveld et al. (2020) eloquently concluded that teacher identity is not only an understanding of oneself, but it is also a presentation of oneself which is constantly shaped through dialogu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의학 교사들, 특히 임상 교사들은 임상의, 학자들, 교사들로서 다른 역할들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들은 이러한 역할들이 종종 어떻게 충돌하는지 그리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어떤 특정한 정체성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기초과학과 임상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PIF)에 대한 이전 연구는 [교사 역할]이 그들의 [전문적 정체성]에 통합되는 것을 확인하고, [의사나 연구원과 같은 특정 역할 사이의 긴장감]을 탐구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Wahid et al(2021)은 기초과학과 임상교사를 포함한 의학교사의 정체성을 살펴본 뒤, [사회화 요인]에 영향을 받고, [교사의 가치, 신념, 목표 탐색 및 미래 구상]에 의해 지원되는, [지속적이고 역동적인 정체성 형성 과정]을 보고했다.
Medical teachers, specifically clinical teachers, have different roles as clinicians, scholars and teachers, and studies have shown how these roles often conflict and how, for some, certain identities are more essential than others (van Lankveld et al., 2020). A previous study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of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identified the integration of a teaching role into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and explored the tensions between certain roles such as medical doctors or researchers (Van Lankveld et al., 2017). Building on this work, Wahid et al. (2021) looked at the identity of medical teachers, including basic science and clinical teachers, and reported a continuous and dynamic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fluenced by socialization factors and supported by exploration of the teachers’ values, beliefs, goals, and envisioning of the future.

몇 가지 프레임워크는 PIF의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사회화 이론에 기초한 하나의 프레임워크는 의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설명하고 사회화가 PIF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Strong 외 연구진(2018)은 또한 [4S Schlossberg 프레임워크]가 교직원의 전문적인 발달을 조사하는 데 적합하다고 제안했다. 4S는 "상황, 자신, 지원 및 전략"을 나타냅니다(그림 1). [Schlossberg 프레임워크]는 [변화 과정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심리사회적 이행 이론]을 사용하고, 교사가 [의료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교육자로 전환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는 요소(즉, 개인적 가치, 네트워킹, 역할 모델, 멘토)를 탐구하기 위해 보건 전문 교육에 사용되어 왔다. . 이를 염두에 두고, 우리는 개인의 특성, 사회화 및 환경적 요인을 통합하고 자신과 타인 간의 대화의 결과로 끊임없이 진화하는 PIF의 지속적이고 동적인 과정을 고려할 때, 4S 슐로스버그 프레임워크가 BST의 PIF 과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Several frameworks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PIF. One framework, based on socialization theory,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doctors and highlights the impact of socialization on PIF (Cruess et al., 2014). Strong et al. (2018) also suggested that the 4S Schlossberg framework is suitable for examin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faculty members. The 4S stands for “situation, self, support and strategies” (Fig. 1). The Schlossberg framework utilizes psychosocial transition theory to explain individuals’ reactions to change processes (Anderson et al., 2012) and has been used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to explore the factors (i.e., personal values, networking, role models and mentors) related to the transition process of teachers into becoming educators who specialize in medical education (Browne et al., 2018). With this in mind, we argue that the 4S Schlossberg framework is useful to explain the PIF process of BSTs given the continuous and dynamic process of PIF which incorporat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iz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Cantillon et al., 2019; Steinert & MacDonald, 2015; van Lankveld et al., 2017) and constantly evolves as a result of dialogue between self and others (van Lankveld et al., 2020).

정체성은 교사의 직업적 삶에서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PIF는 BST보다 임상 교사를 위해 더 많이 탐구되었다. 의료 교육 과정에서 필요한 역할을 제정하고 여러 직무에 의미 있는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정체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BST가 그들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요소들이 그 명료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와히드 외 연구진(2021)의 연구를 확장하여, PIF에 기여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심리사회적 이행 이론에 기반한 또 다른 관련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교사로서의 BST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요인이 PIF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질문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Although identity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eachers’ professional lives and influences their decision-making (van Lankveld et al., 2020), PIF has been explored more for clinical teachers (e.g., Cantillon et al., 2019; Steinert & MacDonald, 2015) than for BSTs. Little is known about how BSTs perceiv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nd what factors influence its articul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identity to enact their necessary roles in medical curricula and enable meaningful engagement in their multiple duties. Expanding on the work of Wahid et al. (2021), we therefore aim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of how the identity of BSTs as teachers is formed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is PIF using another relevant framework based on psychosocial transition theory which can be helpful in exploring the factors which contribute to PIF.

방법들
Methods

맥락
Context

본 연구에는 인도네시아 의과대학 4곳, 공립학교 2곳, 사립학교 2곳의 기초과학 교사를 모집하였다. 인도네시아 의과대학의 대부분의 BST는 의학박사(Medical Doctor)와 생물의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 일부 BST들은 여전히 일반 개업의로서 의학을 수행하고 있지만, 그들은 그들의 교수 역할 때문에 스스로를 BST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BST의 특성은 임상 전 학부 의학 프로그램에서 강의한 연구 참가자 중 일부가 MD 학위를 보유한 반면, 일부는 보건 및 생명 과학 또는 사회 과학 대학원 학위를 보유한 Lankveld et al(2017) 연구와 상당히 유사했다. 본 연구에서 BST는 [주로 학부생 의학교육의 임상 전 단계에서 교육을 담당]한다. 교육 외에도, 우리의 맥락에서 BST는 그들의 전문 분야와 관련된 연구, 학술 작업 및 지역 사회 서비스를 수행해야 한다. 

Basic science teachers in four Indonesian medical schools, two public schools and two private school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Most BSTs in Indonesian medical schools hold an MD (medical doctor) and a postgraduate degree in biomedical sciences. Some BSTs are still practicing medicine as general practitioners; however, they consider themselves BSTs because of their teaching roles. The characteristics of BSTs in this study were quite similar to those outlined in Lankveld et al.’s (2017) study in which some of the study participants who taught in the preclinical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me held MD degrees, while some others held a postgraduate degree in health and life sciences or social sciences. The BSTs in this study are mainly responsible for teaching in the preclinical phase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side from teaching, the BSTs in our context are required to conduct research, scholarly work and community service related to their areas of expertise.

설계 및 연구 참가자
Design and study participants

기초과학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탐색하기 위해 질적 서술이 사용되었다. 최대 변동 샘플링을 사용하여 기초과학과(예: 해부학, 생리학 및 약리학)의 표현, 교수 경험의 길이, 성별 및 대학원 학위(학력)를 기반으로 4개 학교에서 BST를 의도적으로 선택했다.
A qualitative descriptive (Sandelowski, 2000, 2010) was used to explor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basic science teachers. Maximum variation sampling was used to purposively select BSTs in the four schools, based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basic science departments (e.g., anatomy, physiology and pharmacology),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s, gender and postgraduate degree (academic background).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참가자들의 동기부여, 경력개발, BST로서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부록에 제시된 것처럼 미리 정해진 질문을 이용하여 포커스 그룹 토론(FGD)을 각 의대에서 수행하였다. BST는 교육 경험(< 10년 또는 > 10년)에 따라 별도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FGD에 앞서 동의를 했다.
Focus groups discussions (FGDs), using predetermined questions (Wahid et al., 2021) as presented in the appendix, were conducted in each medical school aiming to explore participants’ motivations, career development, and experiences as BSTs. The BSTs were divided into separate groups based on the length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 10 or > 10 years). All participants provided their consent prior to the FGDs.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반복적인 프로세스가 수행되었습니다. 포커스 그룹은 음성으로 녹음되고 말 그대로 전사되었다. 주제 분석을 위해, 우리는 먼저 텍스트에서 [주목할 만한 단어나 구를 식별]한 다음, 이러한 [단어/구문에서 관련 개념을 공식화]하는 SCAT(Steps for Coding and Theorization) 접근법(Otani, 2008)을 사용했다. 그런 다음 각 특정 개념을 기반으로 관련 하위 주제를 구성했다. 처음에는 네 명의 저자(MW, DS, RM, EF)가 핵심 주제와 하위 주제를 식별하고 논의하기 위해 [처음 두 개의 필사본에 대해 독립적인 주제 분석]을 수행했고, [이후 모든 저자가 다른 필사본을 분석]했다. 주제 분석에 이어 SCAT 접근법을 사용하여 얻은 각 하위 주제를 4S 프레임워크에 매핑하였다. 저자 DS와 NG는 각각의 하위 주제를 4S 구성요소("상황, 자체, 지원 및 전략")로 독립적으로 분류했고, 모든 불일치는 토론을 통해 해결되었다. 모든 저자들이 결과를 미세 조정하는 데 참여했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6명의 포커스 그룹 참가자와 구성원 확인을 수행하고, 감사 추적을 유지했으며, 반복적인 방식으로 주제와 하위 주제를 재검토하기 위해 연구자들 간의 지속적인 토론을 보장했다.
An iterativ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conducted. Focus group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For the thematic analysis, we used a Steps for Coding and Theorization (SCAT) approach (Otani, 2008), whereby we first identified noteworthy words or phrases in the text and then formulated the relevant concepts from these words/phrases; we then constructed the relevant subthemes based on each particular concept. Initially, four authors (MW, DS, RM, EF) conducted independent thematic analysis on the first two transcripts to identify and discuss core themes and subthemes, after which all authors analyzed the other transcripts. Following the thematic analysis, each subtheme obtained using the SCAT approach was mapped onto the 4S framework (Anderson et al., 2012). Authors DS and NG independently grouped the subthemes into each of the 4S components (“Situation, Self, Support, and Strategy”) and any disagreement was resolved through discussion. All authors participated in fine-tuning the results. To enhance trustworthiness, we performed member checking with six focus group participants, kept an audit trail, and ensured a constant discussion among the researchers to revisit themes and subthemes in an iterative fashion.

결과.
Results

우리는 60명의 BST(이 중 68.3%가 여성)와 함께 9개의 포커스 그룹을 수행했다. 모든 기초과학 교사들은 의사였고 그들 중 대부분은 석사나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었다.
We conducted 9 focus groups with 60 BSTs (68.3% of whom were female). All basic science teachers were medical doctors and most of them held a master’s or PhD degree—24/60 (40%) and 23/60 (38%), respectively.

연구 참가자들은 자신이 처음 교사가 된 경위와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지를 유창하게 설명했다.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로서의 진로를 [의도적으로, 알면서도 선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BST는 교사로서의 역할과 의사로서의 역할 사이의 갈등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The study participants fluently described in detail how they first became teachers and what factors influenced their choice. Based on participants’ narratives, it was evident that the study participants purposively and knowingly chose their careers as teachers. As well, the BSTs in this study did not perceive conflicts between their roles as teachers and their roles as doctors.

저는 모든 상황에서 선생님이라고 소개합니다. 만약 사람들이 당신이 의사가 아니냐고 묻는다면, 저는 의사가 되는 것은 부업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나는 주로 가르친다. (3JD > 10)
I introduce myself as a teacher in every situation. If people asked, were you not a doctor, I would answer that becoming a doctor is a side job. I mainly teach. (3JD > 10)

저는 제 자신을 선생님이라고 소개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만약 제가 어디서 가르치는지 묻는다면, 저는 의학부라고 말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나는 가르치는 것을 더 좋아해서 사람들에게 나는 선생님이라고 말한다. (2Y < 10)
I prefer to introduce myself as teacher… if I were to be asked where I teach, I would say faculty of medicine. Basically, I like teaching more, so I tell people that I am a teacher. (2Y < 10)

 

그림 2와 같이 BST의 PIF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들을 식별하고 4S 프레임워크에 매핑된 4개의 주제로 그룹화하였다. 각 4S 구성요소와 관련된 결과는 비식별화된 참가자(기관: 1-4, 이니셜: A, B 등)를 참조하는 대표적인 인용문과 코드를 제공한다. > 10년 또는 < 10년).
The differe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IF of BSTs were identified and grouped into four themes mapped onto the 4S framework, as presented in Fig. 2. The findings related to each of the 4S components are provided with representative quotes and codes referring to the de-identified participants (institution: 1–4; initials: A, B, etc.; > 10 or < 10 years).

 

BST는 "지원" 및 "전략" 구성요소에 비해, 자신의 동기와 초기 경력 경험을 설명하면서 "자신" 및 "상황" 구성요소와 더 쉽게 관련되는 것으로 보였다. 동시에 '전략'과 관련된 내용보다 '지원'에 대한 참가자들의 서술이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BST가 [내부적으로 주도]되며, BST로서 자신의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고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기존의 지원체계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참가자들은 [과학을 발전시키고 학문적인 일을 수행하는 것]보다 [가르치는 것]에서 그들의 역할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했다.
The BSTs seemed to more easily relate to “Self” and “Situation” components as they described their own motivations and early-career experiences, compared to the “Support” and “Strategies” components. At the same time, participants’ narratives about “Support” were more prominent than those related to “Strateg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BSTs were internally driven and they seemed to rely more on existing support systems rather than actively take part in various strategies to support their identity formation and grow as BSTs. In addition, participants talked more about their roles in teaching than in advancing sciences and conducting scholarly work.

1.1.1 "자체": 내부 운전자로서의 자아
1.1.1 “Self”: The self as internal driver

BSTs의 내적 추진력은 개인이 주어진 상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영성과 같은 개인적 특성과 심리적 자원과 관련이 있는 "Self"와 일치했다(Anderson et al., 2012). 본 연구는 교사가 되고 싶은 관심이나 열정, 가족적 가치와 영향, 영성, 사회에 환원하려는 욕구, 자기효능감과 자기가치를 포함하는 '자기'와 관련된 [5가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BSTs’ internal drive matched the “Self,” which is related to what individuals bring to a given situation as well as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self-efficacy and spirituality (Anderson et al., 2012). This study identified five factors related to the “Self,” which included interest or passion to be a teacher, familial values and influences, spirituality, a desire to give back to society, and self-efficacy and self-worth.

[교사에 대한 열정]은 대부분의 교사들 사이에서 흔했지만, 일부 BST들은 가정에 교사가 있거나 교사가 되는 것이 매우 존중되기 때문에 교사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에 [가족의 영향]도 두드러졌다.
Passion to teach was common among most teachers; however, family influences were also prominent, as some BSTs wanted to be teachers because there was a teacher in the family or being a teacher is highly respected.

그것은 부모님의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나의 이모들 중 한 명이 의학부의 직원이라는 것을 보고, 그들은 나에게 "그녀처럼 되고 싶니?" (1B < 10)
It began from my parents’ question; when they saw that one of my aunties is a staff member in a medical faculty, they asked me “Do you want to be like her?” (1B < 10)

사람들은 내가 의사라는 것을 알지만, 내 딸은 그녀의 어머니가 선생님이라고 말한다. 한 번은, 그녀는 나의 박사 학위 졸업식에 참석하기 위해 중요한 활동들을 떠났다. 나에게 그것은 특별한 것이었다… 나는 내가 지금 하는 일이 그녀에게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욱 활기를 띠게 된다. (1U<10)
People know I am a doctor, but my daughter mentions that her mother is a teacher. One time, she left her important activities to attend my doctoral graduation. For me, that was something extraordinary… I become more spirited because I know what I do now means a lot to her. (1U<10)

 

[영성]은 또 다른 중요한 요소였는데, BST들이 가르치는 것이 하나님이 가르치는 좋은 관행과 일치하는 선행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Spirituality was another significant factor, as BSTs considered teaching a good deed, in line with the good practices taught by God.

처음부터 어머니는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유용하기를 원하셨다. 그것이 제가 그녀에게서 기억하는 것입니다. 그녀는 우리의 선행 중 하나가 다른 사람들에게 유용한 지식을 갖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것이 제가 [선생님이 됨으로써] 찾고 있는 것입니다. (4KI<10)
From the very beginning, my mother wanted me to be useful for others. That is what I remember from her, she emphasized that one of our good deeds is to have knowledge that is useful for others… that is what I am looking for [by becoming a teacher]. (4KI<10)

 

일부 참가자들은 또한 [사회에 환원할 필요성]을 강조하여 교사가 되는 길을 선택했다. '자신'과 관련된 다른 요소로는 항상 좋은 롤모델이 될 수 없다는 약간의 우려가 있었지만, 교사가 됨으로써 얻어지는 [자기효능감과 자기가치감] 등이 있었다.
Some participants also highlighted the need to give back to society and thus chose the path to become teachers.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Self” included a sense of self-efficacy and self-worth obtained by becoming a teacher, although there was a slight concern about not always being able to be a good role model.

더 많은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와 이 모든 것들... 선생님이 아니면 절대 못 받을 거야… 나는 돈 외에도 다른 것들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매슬로 피라미드에서 가장 높은 것은 사실 자존감이다. 그래서 내가 부자가 아닐 때도 자존감이 충족되고 그것이 나를 건강하고 영적이고 정신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3SV>10)
The opportunity to pursue further study and all of these… I will never get them if I am not a teacher… I think there are other things aside from money, the highest in the Maslow pyramid is actually self-esteem. So even when I am not rich, my self-esteem is fulfilled and it could make me healthy, spiritually and mentally. (3SV>10)

교사가 되는 것에 대한 나의 가장 큰 두려움과 걱정은 과학적 관점이 아니라, 학생들이 내가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우러러보고, 말하고, 분노를 표현하고, 때로는 통제하기 매우 어려운 학생이나 갈등을 처리한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3H<10)
My biggest fears and concerns of being a teacher is not the scientific point of view, but realizing that students look up to how I behave, talk, express my anger, and deal with students or conflicts, which is sometimes very difficult to control. (3H<10)

1.1.2 "상황": 초기 경력 이벤트 및 기회
1.1.2 “Situation”: Early-career events and opportunities

["상황"]은 [현재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거 사건]을 의미한다(Anderson et al., 2012). 이 연구에서 '상황'은 교사가 되기로 한 결정에 영향을 미친 사건들을 포괄했다. BST의 PIF와 관련하여, [교사와 관련된 사전 경험, 교사 직무에 대한 조기 참여, 기관 내 일자리 제안 또는 공석, 전직 교사의 역할 모델링 등 4가지 요인]이 확인되었다.
“Situation” refers to past events that influence current decisions (Anderson et al., 2012). In this study, “Situation” encompassed events that influenced the decision to become a teacher. In relation to the PIF of BSTs, four factors were identified: prior experience related to teaching, early involvement in teaching tasks, job offers or vacancies in the institution, and role modeling of former teachers.

일부 교사들은 [중고등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이 교사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했으며, 이와 함께 교직원이 되거나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그룹 토론을 촉진하는 것과 같은 [교수 업무에 참여한 초기 경험]도 있었다. 
Some teachers reported that their experiences in teaching junior or high school students helped shap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s teachers, along with early experiences of becoming teaching assistants in the faculty or being involved in teaching tasks, such as developing curricula and facilitating group discussions.

제가 한 학과의 조교가 되었을 때 저는 가르치는 것에 더 애착을 가졌습니다… 제 기술은 퍼실리테이터가 되었을 때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또한 학과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2RS > 10)
I was more attached to teaching when I became a teaching assistant in one department … My skills were starting to take form when I became a facilitator. I was also asked to help struggli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2RS > 10)

그러나, 경력 초기에 [역할 모델]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기관의 교수직이 가능]하여 교사가 되기로 선택한 참가자들이 있었다.
However, there were some participants who opted to become teachers due to the availability of teaching positions in their respective institutions, despite a lack of role models early in their career.

제가 졸업할 때 한 학과에 교수 자리가 비어 있어서 그 학과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그때는 졸업 후에 끝내야 하는 의무적인 일이 있어서 선생님이 되는 것도 의무적인 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몇 년간 학과에 머물렀고, 그 후에 정규직 자리가 생겨서 지원했습니다. (3OR>10)
When I graduated, there was a vacant teaching position in one of the departments, so I applied to that department. At that time, there was compulsory work we had to complete after graduation, so I stayed in the department for a few years as becoming a teacher could also count as compulsory work, and then there was an opening for a permanent position, and I applied. (3OR>10)

그때는 아무도 내 롤모델이 되지 않았는데 부서 운영을 맡겼을 때 혼란스러웠다. (4 N < 10)
It was confusing when I was entrusted to manage a department, while no one was my role model at that time. (4 N
 < 10)

1.1.2 "지원": 개인 및 기관 지원
1.1.2 “Support”: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erson 등(2012)은 "지원"을 [이행을 지속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지원 또는 자원]으로 설명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되는 과정을 언급했다. 본 연구에서 BSTs의 PIF에 대한 지원은 교직 동료 및 선배, 실습 커뮤니티, 기관 및 사회의 지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로부터 나왔다.
Anderson et al. (2012) described “Support” as assistance or resources available to continue a transition, which in this current study referred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teacher. In this study, the support for BSTs’ PIF came from different stakeholders, including support from their teaching colleagues and seniors, their communities of practice, the institution, and society.

일부 참가자들은 선배들을 따라다니며 역할 모델로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선배 선생님들의 지지]를 느꼈다.
Some participants felt supported by senior teachers when they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shadow their seniors and observe them as role models.

저는 후배 선생님들을 지도하고 제 경험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후배 의사들은 멘토링을 받아야 할 것 같아요, 그렇지 않으면 어려움이 있을 거예요. 선배님들께 좋은 멘토링을 받았기 때문에 후배들의 멘토가 될 용의가 있습니다(2Y < 10)
I want to mentor junior teachers and share my experiences…. I think junior doctors need to be mentored, otherwise they will have troubles. I had good mentoring from our seniors, so I am willing to be a mentor for my juniors (2Y < 10)

 

교사들 사이에 [실천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도 BST의 정체성 발달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실천 공동체]는 참가자의 부서와 전문 조직 내에 존재했으며, 교사들이 자신의 교육 과제를 공유하고 동료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비록 회원들이 시간적 제약 때문에 항상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BST들이 서로 돕고 수업과 관련된 문제들을 논의하는 '장소'가 되었다. [제도적 지원]은 가용한 교수진 개발 활동, 경력 개발 기회, 명시적으로 명시된 성과 지표, 교직원 간 교육 과제 분배와 관련된 명확한 지침의 형태로 존재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또한 교사로서의 그들에 대한 [사회로부터 오는 인정]이 교사로서의 그들의 정체성을 강화시켰다고 느꼈다.
The existence of a community of practice amongst teachers also helped to support the BSTs’ identity development. These communities of practice existed within the participants’ department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offered teachers an opportunity to share their teaching challenges and receive feedback from peers. The community of practice became the “place” for BSTs to help each other and discuss issues related to teaching, although members were not always engaged due to time constraints. The institutional support existed in the form of available faculty development activities,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explicitly stated performance indicators, and clear instructions regarding distribution of teaching tasks among staff. Some participants also felt that the recognition coming from society for them as teachers strengthened their identity as teachers.

만약 내가 그 기관에서 얻은 것에 대해 돌아본다면, 나는 큰 도움을 받을 것이다; 나는 더 많은 공부를 할 수 있고, 또한 몇몇 훈련이나 과정에 참석할 수 있다… 우리는 [많은 자원]을 매우 지원하므로 [자원]을 사용할지 여부가 문제입니다(4M < 10)
If I reflected on what I got from the institution, I was very supported; I could pursue further study, and I could also attend some training or courses… We are very facilitated [provided with many resources], so it is just a matter of whether we want to use them [resources] or not (4M < 10)

"스파링 파트너"[교사가 토론하거나 건설적인 논쟁을 할 수 있는 파트너]가 있기 때문에 교육 기관에 들어오는 교사가 많아지면 우리의 학습 기회가 증가합니다(2RS > 10)
When there are more teachers coming into the institution, our opportunities to learn are increasing because there are “sparring partners” [partners with whom teachers can have discussion or constructive argument] (2RS > 10)

가끔 학과 동료들이 학술활동, 강의, 연구 등으로 바빠서 일상적인 학과 활동을 위한 시간을 내기가 어렵다. 한편, 우리가 부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한, 우리가 그들의 일부임을 느끼기 어렵다[소속감을 가지고 있다] (2H > 10)
Sometimes my colleagues in the department are busy with academic activities, teaching, researching, so it is difficult to make time for day-to-day department activities. Meanwhile, unless we get involved in department activities, it is difficult to feel how we are part of them [have the sense of belongings] (2H > 10)

1.1.3 "전략":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1.1.3 “Strategies”: Active participation i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전략"은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을 의미하며(Anderson et al., 2012), 교사가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강화하기 위해 제정한 조치 또는 대응을 포함한다. 이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요인은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CPD]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에는 [실천공동체 참여]와 [진로 로드맵 수립(즉, 진로목표 및 승진목표 설정)]이 포함된다.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또한 이 구성요소에서 확인된 요인이었다.
“Strategies”, which refers to those methods used to adapt to change (Anderson et al., 2012), comprises actions or responses enacted by the teachers to establish and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The factors that fell under this component related to active involvement i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which included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and establishing a career roadmap (i.e., setting targets for career objectives and promotion). Interacting with students was also a factor identified under this component.

일부 참가자들은 학과 또는 다른 전문 조직 내의 [실천 공동체]에서 다른 교사들과 함께 학습하고 서로 피드백을 제공했다. 교사들은 또한 그들의 교수 기술을 발전시키고 가르칠 준비를 하기 위해 워크숍이나 연수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연구와 학습을 수행하는 것 또한 BST의 지속적인 전문성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확인되었다.
Some participants learned together with other teachers, and provided feedback to each other, in a community of practice within the department or other professional organization. Teachers were also actively engaged in workshops or training sessions to advance their teaching skills and prepare themselves to teach. Conducting research and learning to manage time were also identified as important strategies for BST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교사들은 교육, 연구, 지역사회 봉사뿐만 아니라 관리까지 다양한 과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때때로 관리 업무는 더 많은 시간을 차지한다. 그래서 저는 한 번에 그 모든 작업을 해결하는 방법을 많이 배웠고, 가능한 시간 내에 완료하려고 노력했습니다(2RS > 10)
Teachers have multiple tasks, not only education, research and community service, but also management. And sometimes managerial work takes up more time. So, I learned a lot, how to tackle all those tasks in one time, and try to complete them within the available time frame (2RS > 10)

일부 참가자들은 교사로서 네트워크 개발, 학업 이정표 달성, 교수직 획득 등의 "커리어 로드맵"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의 중요성을 표현했다.
Some participants expressed the importance of trying to accomplish their “career roadmap” as teachers, which included developing networks, achieving academic milestones, and obtaining professorship.

교육, 연구, 사회봉사 분야('tridharma')에서 각각의 실적을 보고 특정 벤치마크와 비교했을 때 기준을 완성하지 못해 자신감이 떨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이정표를 세우고, 교사로서 작은 성과를 추가해야 한다(2KN < 10)
I realized that when I saw my track record in each of the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service areas (“tridharma”) and compared them to a certain benchmark, I felt less confident since I had not completed the standards. So, I have to set the milestones, add small achievements as a teacher (2KN < 10)

 

[학생들과의 상호작용]도 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도움이 되었고, 교사로서의 자기실현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학생들을 만나 감사함을 느끼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Interacting with students also helped form the teachers’ identity and was related to their self-actualization as teachers, which was further reinforced by meeting students and feeling appreciated by them.

하지만 저는 또한 그들이 많은 질문을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비록 결국에는 제가 항상 확신할 수는 없기 때문에 우리가 함께 답을 찾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나는 활동적인 학생들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는데, 특히 큰 반에서 활동적인 학생들을 좋아한다(4N > 10)
But I also like if they [students] ask many questions, although in the end, we may need to find the answers together since I am not always sure. I like meeting students who are active, especially those who are active in the large class (4N > 10)

논의
Discussion

이 연구는 기초과학자들이 문학에서 덜 탐구된 분야인 경력의 매우 초기 단계부터 의학 교사로서의 PIF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이 연구의 BST는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교하게 설명할 수 있었고, 우리는 4S 슐로스버그 프레임워크에 따라 매핑했다. 이 연구는 [외부적인 상황]이 종종 이러한 선택을 강화시키지만, 개인이 직업에 진입하도록 유발하는 많은 [개인적 속성과 경험]이 어떻게 존재하는지 보여준다. Profession에 입문한 이후, BST로서 전문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여정은 주로 [또래와 기관, 사회가 제공하는 지원]으로 이어지며, [구체적인 전략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더욱 강화된다. 이 연구는 또한 참가자들이 어떻게 의도적으로 자신의 직업을 BST로 선택했는지를 보여준다.
This study furthers our understandings of the PIF of basic scientists as medical teachers from the very early stages of their careers, an underexplored area in the literature. The BSTs in this study were able to elabor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identity formation, which we then mapped according to the 4S Schlossberg framework. This study shows how there are many personal attributes and experiences that trigger individuals to enter the profession, though external situations often strengthen this choice. Upon entering the profession, the journey to form a professional identity as a BST continues mainly with the support provided by peers, institutions and society, and it is further strengthened by active participation in specific strategies. This study also shows how the participants knowingly and purposively chose their careers as BSTs.

[자아(Self)]의 구성요소에는 여러 내재적 동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많은 부분은 보건학 교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었다. 이 연구의 BST들은 그들이 교사가 되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고 그 분야에 들어갔다. 그러나 [교사가 되고 싶은 열정과 동기]와 같은 중요한 [내재적인 힘] 외에도, [교사와 관련된 사전 경험, 교사 직무에 대한 초기 참여, 전직 교사의 역할 모델, 그리고 직업 제안이나 공석]과 같은 ["상황"]은 BST의 전문직 여정의 진입을 특징짓는 데 도움이 되는 [외적인 요소]들을 형성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내재적 요인과 외적 영향 사이에서 동기부여와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Self” components included several intrinsic motivations, many of which were seen as prominent factors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health sciences teachers in general (Snook et al., 2019). The BSTs in this study entered the field knowing that they wanted to be teachers. However, aside from important intrinsic forces such as passion and motivation to be a teacher, the “Situation,” such as prior experiences related to teaching, early involvement in teaching tasks, the role modeling of former teachers, and job offers or vacancies, formed the extrinsic factors that helped mark the entrance of BSTs into their professional journeys. These findings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and dialogue between intrinsic factors and extrinsic influences (Cruess et al., 2015; Wahid et al., 2021).

본 연구는 ['지원']과 관련하여 [전문성 발전에 영향력이 있는 기관과 BST의 실천공동체, 멘토와 선배 동료, 사회의 지원]을 강조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임상 교사들의 PIF의 핵심이기도 한 사회화의 진행 과정에 구체적으로 기여했다. ['전략']에는 [후배 BST와 선배 교사의 짝짓기, 기존 롤모델에 대해 논의하고 성찰하는 계기가 된 멘토링 과정] 등의 접근법이 담겼다. 이 발견은 위계적이고 집단주의적인 문화에서 특히 강력할 수 있는 [시니어 BST의 멘토링 과정]을 공식화하고 명시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는 관찰을 강조한다.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진로 로드맵 수립과 같은 전략들도 BST에 의해 수행되었다. 흥미롭게도,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은 직업적 정체성을 개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언급되었고 교사로서의 능력에 대한 BST의 인식에 기여할 수 있고 교사가 되기 위한 그들의 '진정한 소명'을 상기시킬 수 있다.
Regarding “Support,” this study underlines support from the institution and the BSTs’ community of practice, mentors and senior colleagues, and society as influential in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factors specifically contributed to the ongoing process of socialization, which is also at the core of the PIF of clinical teachers (Cantillon et al., 2016; Wahid et al., 2021). “Strategies” included approaches such as the pairing up of a junior BST with a senior teacher and the mentoring process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iscuss and reflect on existing role models. This finding highlights the observation that it may be useful to formalize and make explicit the mentoring process from senior BSTs that can be particularly powerful in a hierarchical and collectivist culture (Hofstede, 2011). Strategies such a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acting with students, and establishing a career roadmap, were also undertaken by the BSTs. Interestingly, interacting with students was mention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develop professional identity and may contribute towards BSTs’ perceptions of competence as teachers (Deci & Ryan, 2012) and may remind them of their ‘true calling’ to become teachers.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ST의 채용 시, 동기를 탐색]하고, [교사로서의 역할이 부여된 후 이러한 측면을 성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즉, BST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자아'와 '상황'의 구성요소를 처음부터 인식할 수 있고, 이는 교육, 교육, 연구 및 지역사회 서비스에 대한 [조직의 비전과 사명에 교직원의 목표를 맞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는 또한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이 특히 BST의 역동적인 역할의 개발과 의료 커리큘럼에서 기초과학 역할의 본질과 중요성을 목표로 할 것을 권고한다. [채용부터 퇴직까지 기초과학 교사의 진로 로드맵]은 4S 요인을 고려하여 교사들이 다양한 현대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BST의 [PIF는 무엇보다 "Self"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채용 및 유지 정책은 이를 고려해야 하며, 교수개발은 예를 들어 성찰을 통해 이러한 [자아 의식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다양한 과거 사건]으로 인해 BST의 정체성이 강화된다는 점에서, BST의 [성찰적 실천을 육성하는 것을] 명시적 목표로 하는 교수개발 프로그램은 ["상황" 구성요소]를 강화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Based on these findings, exploring the motivations of BSTs during recruitment, and encouraging them to reflect on this aspect once they are given roles as teachers, may be worthwhile. That is, the institution can recognize the “Self” and “Situation” components of the BSTs’ professional identity from the start, which can help to align faculty members’ goals with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mission in education, teaching, research and community services. We also recommend that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specifically target the development of BSTs’ dynamic roles (Harden & Lilley, 2018) and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the basic science role in medical curricula (Dominguez & Zumwalt, 2020). The career roadmap for basic science teachers, from recruitment to retirement, should help teachers carry out various contemporary roles, considering the 4S factors. The PIF of BSTs is firstly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Self”; therefore, recruitment and retention policies should consider this, and faculty development should aim to further augment this sense of self, for example through reflection.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with explicit aims to nurture the reflective practice of BSTs could also be useful to strengthen the “Situation” component, given that the identity of BSTs is reinforced by various past events.

본 연구를 통해 BST의 전문적 정체성은 다양한 교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멘토링과 실천공동체,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통해 '지원'과 '전략' 요인]에 의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또한 기관이 부서, 연구 및/또는 교육에서 특정한 역할을 가진 부서 또는 BST의 전문성과 관련된 다른 전문 조직을 통해 보다 공식적인 실천 공동체의 설립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한, [비공식적인 실천 공동체]는 BST가 의대생을 가르치기 위한 주제 내용을 맥락화하는 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It is evident from this study that BSTs’ professional identity needs to be enhanced by “Support” and “Strategy” factors through mentoring, a community of practice,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o develop the abilities to enact various teacher roles. We suggest that the institution may also nee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more formal communities of practice (Wenger et al., 2002), through departments, units with specific roles in research and/or education, or other professional organizations relevant to the BSTs’ expertise. Also, an informal community of practice can further help BSTs to contextualize their subject content for teaching medical students (Brauer & Ferguson, 2015; Gwee et al., 2010).

현재의 연구는 지금까지 이 주제를 탐구한 문헌의 희소성을 고려할 때 BSTs의 PIF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발전시켰다. 동시에 본 연구는 한 국가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그 한계를 인정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BST의 특성과 배경은 우리의 맥락에 특정될 수 있으므로 결과의 전달 가능성을 다른 맥락으로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견들이 맥락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BST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교사로서 변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떻게 지원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조명했다. 다양한 전략을 통해 교사와 학자로서 BST의 발전을 탐구하고 배양하기 위한 추가적인 경험적 연구는 가치가 있을 것이다.
The current study has advanced our understanding of the BSTs’ PIF, given the scarcity of literature that has explored this topic thus far. At the same time, we acknowledg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it was conducted in one countr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BSTs in this study may be specific to our context, thus limiting the transferability of the results to a different context.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se findings are likely to be context-specific, the study has shed light on how BSTs view themselves and how they can be supported in carrying out their changing roles as teachers. Further empirical studies to explore and cultivate the development of BSTs as teachers and scholars through different strategies would be worthwhile.

결론
Conclusion

동적 역할이 주어진 BST의 PIF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4S 프레임워크의 렌즈를 통해 보면, BST의 PIF는 많은 다른 요소들의 영향을 받는 이행 과정이다.

  • 이 과정은 [개인적인 요인]에 의해 촉발되고,
  • 교육 과제에 대한 초기 참여와 전직 교사의 역할 모델링을 포함한 [초기 직업 상황]에 의해 더욱 활성화된다.
  • ["자신"과 "상황"]의 요소는 모두 BST가 전문적인 교사가 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도록 촉발]한다.
  • 이러한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전환 과정은 주로 [시니어, 동료, 기관 및 사회의 지원]에 의해 강화된다.

기초과학 교사의 PIF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폭을 고려하여 BST의 변화된 역할을 포함하여 BST의 정체성을 육성하기 위한 교수진 개발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It is important to address the PIF of BSTs given their dynamic roles. Looking through the lens of the 4S framework, the PIF of BSTs is a transition process influenced by many different factors.

  • The process is triggered by personal factors and
  • further activated by early-career situations which including early involvement in teaching tasks and the role modeling of former teachers.
  •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components trigger the BSTs to enact strategies to become professional teachers.
  • The transition process to form these professional identities is primarily enhanced by the support from seniors, peers, institutions and society.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and support system to foster the identity of BSTs, including their changing roles should be crea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breadth of factors influencing the PIF of basic sciences teacher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2 Aug 1. doi: 10.1007/s10459-022-10150-6. Online ahead of print.

Deconstruct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basic science teachers in medical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lan Salemba 6, Jakarta, Indonesia.

2Medical Education Center Indonesia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IMERI),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lan Salemba 6, Jakarta, Indonesia.

3Department of Medical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lan Salemba 6, Jakarta, Indonesia. ardi.findyartini@ui.ac.id.

4Medical Education Center Indonesia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IMERI),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as Indonesia, Jalan Salemba 6, Jakarta, Indonesia. ardi.findyartini@ui.ac.id.

5Institute of Health Sciences Education,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PMID: 35915274

DOI: 10.1007/s10459-022-10150-6

Abstract

Purpose: The role of basic science teachers (BSTs) in medical education has been changing dynamically. Less is known, however, about how BSTs perceiv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what factors influence its form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BSTs is formed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i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using the 4S ("Situation, Self, Support, Strategies") Schlossberg framework.

Method: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using focus groups (FGs) was conducted. Maximum variation sampling was used to purposively select BSTs. A rigorous thematic analysis was completed, including independent thematic analysis, intermittent checking and iterative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and member checking.

Results: Nine FGs, involving 60 teacher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highlighted four major themes reflecting the 4S framework: the self as internal driver, early-career events and opportunities,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Both the "Self" and the "Situation" components prompted the BSTs to utilize supports and enact strategies to become professional teachers. Although the BSTs in this study were primarily internally driven, they relied more on existing support systems rather than engaging in various strategies to support their growth.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address the PIF of BSTs given their dynamic roles. Looking through the lens of the 4S framework, PIF is indeed a transition process. A structured, stepwise faculty development program, including mentorship, reflective practice, and a community of practice designed to foster BSTs' identities, should be creat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diverse factors influencing the PIF of BSTs.

Keywords: 4S Schlossberg framework; Basic science teachers; Faculty development; Medical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의학교육은 Z세대에 준비되었는가? (J Grad Med Educ. 2018)
Is Medical Education Ready for Generation Z?
Jodie Eckleberry-Hunt, PhD, ABPP 
David Lick, MD
Ronald Hunt, MD

 

시그는 의대를 고려하고 있는 21살이다. 힘든 일에 익숙해진 그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면서 대학에서 모든 A를 받았다. 시그는 다른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주기 위해 의미 있는 무언가를 하기를 갈망한다. 그는 의대와 관련된 엄청난 빚을 지게 되는 것에 대해 자신감에 마비된 기분이다. 그는 또한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수업을 듣는 것을 싫어한다. 의과대학 4년은 영원한 것처럼 보이고, 그 다음엔 레지던트가 있다. 시그는 그렇게 어려운 결정에 직면한 적이 없었다. 그것이 그의 수면을 방해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그는 학사 학위로 잘 살 수 있지만, 그 일이 만족스러울까요? 반면에, 그는 더 많은 빚을 지고, 잠재적으로 더 즐거운 일을 하면서 7년 또는 그 이상의 의학 교육에 전념할 수 있다. 시그는 또한 의사들 사이에서 불만과 소진에 대해 많이 들었다. 시그는 부모님과 이야기를 나누는데, 부모님의 조언을 중요시한다. 그는 최선의 결정을 내리기 위해 잠시 휴식을 취할 것이다. 그는 서두르지 않는다. 
Sig is a 21-year-old who is considering medical school. Accustomed to hard work, he has received all As in college, while majoring in computer engineering. Sig longs to do something meaningful—to make a difference in the lives of others. He feels paralyzed with self-doubt about incurring massive debt associated with medical school. He also dislikes the idea of taking courses that don't seem relevant. Four years of medical school seems like an eternity, and then there is residency. Sig has never faced such a hard decision. It is disrupting his sleep. On one hand, he could make a good living with his bachelor's degree, but will the job be satisfying? On the other hand, he can commit to 7 or more years of medical education, with more debt, but potentially more enjoyable work. Sig has also heard a lot about dissatisfaction and burnout among physicians. Sig talks with his parents, whose advice he values. He will take some time off to make the best decision. He is in no hurry.

시그는 "Z세대"를 나타냅니다. 비록 Z세대의 구성원들이 대학원 의학 교육을 수년 앞두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 코호트에 대한 사전 계획을 시작하는 것이 너무 이르다고 제안한다. 스틸먼과 스틸먼은 교육자들이 최고의 인재를 모집하고 유지하기를 원한다면 학습자의 선호에 맞게 경험을 맞춤화할 것을 추천했다. Z세대에 적응하는 것은 의학 교육계에 어려운 일로 판명될 수 있다.

Sig represents “Generation Z.” Although members of Generation Z are years away from graduate medical education, experts suggest that it is not too early to start proactively planning for this cohort.1,2  Stillman and Stillman2  recommended that if educators want to recruit and retain the best and brightest, they will customize experiences to learners' preferences. Adapting to Generation Z may prove challenging for the medical education community.

Z세대는 누구인가?
Who Is Generation Z?

Z세대와 i세대라는 용어는 대략 1995년에서 2012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록 사람들의 집단에 대해 포괄적인 진술을 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교수 관행을 알리기 위해 코호트를 설명하는 것은 이점이 있다. 삶의 경험으로 볼 때, Z세대는 9/11 당시에 꽤 어렸다. 그러나, 그들은 이 테러 공격의 후유증과 끝이 없어 보이는 계속되는 전쟁과 국제 분쟁을 잘 알고 있다. 그들은 또한 잦은 자연재해, 학교폭력, 신원도용, 온라인 해킹, 왕따 등으로 세상을 무서운 곳으로 보는 데 익숙하다. Z세대는 그들의 부모들이 일자리를 잃고 급여가 회복되지 않는 대공황(2007-2009)을 겪는 것을 보았다. 그들은 항상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킹을 가진 최초의 세대이다; 기술은 어디에나 있었다. 동시에 Z세대는 역사상 인종, 성별, 성적 지향 면에서 가장 다양한 세대이다.  
The terms Generation Z and the iGeneration are used to describe individuals born roughly between 1995 and 2012.2,3  Although it can be problematic to make sweeping statements about groups of people, there is benefit to describing cohorts in order to inform teaching practices.4  In terms of life experience, Generation Z was fairly young at the time of 9/11. However, they are well aware of the aftereffects of this terrorist attack and the ongoing wars and international conflicts that seemingly have no end.5,6  They are also accustomed to seeing the world as a scary place with frequent natural disasters, school violence, identity theft, online hacking, and bullying.5  Generation Z saw their parents go through the Great Recession (2007–2009), when jobs were lost and salaries never recovered.6  They are the first generation to have always had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technology has been ubiquitous.5  At the same time, Generation Z is the most diverse generation in history in terms of race,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2,3,5,6 

Z세대는 [적극적인 문제 해결사], [독립 학습자], [사회 정의, 공정, 평등, 환경 옹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집단은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고 힘든 일을 통해 출세하려는 욕망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다. 그들은 부모님으로부터 인생에는 승자와 패자가 있고, 열심히 일한 결과 승자가 이긴다는 말을 들었다. 
Generation Z consists of active problem solvers, independent learners, and advocates for social justice, fairness, equality, and the environment.5  This cohort is motivated by a desire to please others and get ahead through hard work.2  They were told by their parents that in life there are winners and losers, and winners win as a result of hard work.2 

트웬지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1,100만 명의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전국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Z세대가 성장을 서두르지 않고, 재정적, 물리적 안전에 대해 불안하며, 더 고립되어 있다]고 묘사했다. 이전 세대와 비교하여, Z세대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부모들과 더 가깝고 더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그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과 부정적인 피드백을 모두 주었다. 결과적으로 Z세대는 권위 있는 인물들을 존경하고 긴밀한 멘토링 관계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정직함을 기대하고 만약 그들이 듣고 참여한다면 지시에 잘 반응할 것이다.  
Based on national surveys of 11 million Americans dating back to the 1960s, Twenge3  described Generation Z as being in no hurry to grow up, insecure about financial and physical safety, and more insulated. Compared with previous generations, members of Generation Z have a closer and more trusting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who have typically given them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2  As a result, Generation Z tends to look up to authority figures and want close mentoring relationships.5  They expect honesty and will respond well to direction if they feel heard and are engaged.2 

유비쿼터스 인터넷
The Ubiquitous Internet

Z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전자제품과 인터넷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결과적으로 얼굴을 맞대고 교제하는 시간이 줄어들었고, 보고서는 더 높은 수준의 불행을 보여주었다. 청소년들이 소셜미디어를 많이 이용할수록 정신건강의 질이 떨어지고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불행하고 외로움을 느낀다고 보고할 가능성이 높다. 우울증과 자살 생각의 발생률은 화면 시간과 소셜 미디어 노출에 따라 증가한다. 
Generation Z has spent more time with electronics and on the Internet than any previous generation. A result has been less time socializing face-to-face, with reports showing higher levels of unhappiness.3  The more teens use social media, the more likely they are to report feeling unhappy and lonely, with lower quality of mental health and lower life satisfaction.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creases with screen time and social media exposure.3 

스틸먼과 스틸먼은 Z세대가 [잊혀지고 놓치는 것FOMO에 대한 두려움이 강하다]고 언급했다. 이것은 우울증, 불안, 수면 부족, 그리고 때때로 부적절함에 대한 극단적인 감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Z세대 구성원들은 기술과 단절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이전 세대보다 정서적으로 회복력이 떨어지고 불안정할 수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한 통찰력이 부족하다. 그들의 형성기 동안 어른들에게 과도하게 의존하기 때문에, 그들은 성인을 위한 준비가 덜 되어있을 수 있다. Z세대는 전자 통신과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도록 이끌릴 수 있지만, 이것이 외롭고 고립된 느낌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Stillman and Stillman2  noted that Generation Z has a strong fear of missing out. This can lead to depression, anxiety, sleep deprivation, and occasionally extreme feelings of inadequacy. As a result, members of Generation Z have difficulty disconnecting from technology.2  They may be less emotionally resilient and more insecure than previous generations, and they lack insights into reasons for this.3  Because of their overreliance on adults during their formative years, they may be less well prepared for adulthood.3  Generation Z may be drawn to use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social media yet be unaware that this contributes to feeling lonely and isolated.3 

알라 카르테 교육
“A la Carte” Education

Z세대의 구성원들은 맞춤화, 즉 교육에 대한 "맞춤식" 접근법을 기대한다. 이 세대는 대학 교육을 위해 과도한 빚을 지는 것이 가치가 있다고 보지 않으며, 일부 과정은 비현실적이거나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와 무관하다고 볼 수도 있다. 이들은 시간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환경]을 기대합니다. Z세대는 맞춤형 피드백뿐만 아니라 더 많은 실제 경험과 현장 학습을 선호한다. 그들은 강의를 듣는 데 오랜 시간을 소비하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 대신, 그들은 소셜 미디어와의 경험을 반영하여 현재 성공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알고 싶어한다. 
Members of Generation Z expect customization, or an “a la carte” approach to education.5  This generation does not see the value in going into excessive debt for a college education, and may view some courses as impractical or irrelevant to their ultimate goals. They expect customized experiences for the best use of their time and resources.2  Generation Z also prefers more hands-on experience and on-the-job learning, as well as customized feedback.2  They prefer not to spend long periods of time listening to lectures. Instead, they want to know what is needed to succeed in the moment,2  mirroring their experiences with social media.5 

Z세대는 근면하지만 자신감이 떨어지고 불안과 불안으로 [질문을 할 가능성이 적다]. 그들은 실수를 하고 그것들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격려가 필요하다. 그들은 특히 기술을 가지고 그들만의 속도로 독립적으로 일하는 것에 편안하다; 그들은 또한 그것이 적용되고 창의성을 포함한다면, 그룹으로 일하는 것을 즐긴다. 
Generation Z is hardworking but less self-confident and less likely to ask questions due to insecurity and anxiety.3  They need encouragement to make mistakes and to learn from them.2  They are comfortable working independently at their own pace, especially with technology5 ; they also enjoy working in groups, so long as it is applied and involves creativity.5 

Z세대는 [온 디맨드 정보를 얻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과제를 완료하기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미루고 [강사가 24시간 내내 질문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정보를 찾는 데 능숙하지만, 타당성 증거를 위해 정보를 분석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들은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기술이 부족하며, 참여적인 방법(예: 저널링, 토론, 성찰)을 통한 이러한 교육이 필요하다. 교육자는, [과제 완료를 위한 이정표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증거를 찾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줘야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과제와 관계없이 방법은 짧은 주의 지속 시간에 맞춘 참여와 상호작용을 촉진해야 한다. 유용하게 보이는 한 가지 방법은 교실을 뒤집는 것이다. 여기서 학습자들은 팀워크, 토론, 문제해결, 성찰을 통해 학습의 적용을 위한 그룹으로 만나기 전 주제에 대해 읽는다. 
Because Generation Z is accustomed to getting information on demand, they may procrastinate until the last minute to complete assignments and expect instructors to be available 24/7 for questions.5  Although they are adept at finding information, they may not analyze it for validity evidence.5  They lack skills to critically evaluate information and will require this training via engaging ways (eg, journaling, discussion, reflection).57  Educators may need to assist them in finding and evaluating evidence that is accurate, as well as setting milestones for assignment completion.5  Regardless of the task, methods should promote engagement and interaction tailored to short attention spans.7  One method that appears useful is the flipped classroom.5  Here, learners read about a topic before meeting as a group for application of learning through teamwork, debate, problem solving, and reflection.4,8,9 

유연한 작업 환경
Flexible Workplace

Z세대는 기술이 있으면 어디서든 일할 수 있고, 따라서 사무실에 얽매이고 싶지 않다고 믿는다. 비록 그들이 대면 의사소통을 선호하지만, 그들은 스카이프도 마찬가지로 작동한다고 믿는다. Z세대 구성원은 집중 시간이 짧고 멀티태스킹을 수행하기 쉬우며 다운타임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Generation Z believes that, with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work from anywhere, and thus they do not want to be tied to an office.2  Although they prefer face-to-face communication, they believe Skype works just as well.2  Generation Z members tend to have short attention spans,6  are prone to multitasking,5  and may struggle to manage downtime.2 

Z세대는 헬스클럽 회원권, 건강한 음식 선택권, 건강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등 [건강한 실천을 촉진하는 조직에 매력]을 느낄 것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자기 표현으로 보는 문신과 신체 피어싱을 의무적으로 다루지 않는 조직을 찾을 수도 있다. 
Generation Z will be attracted to organizations that promote healthy practices, such as offering health club membership, healthy food choices, and a healthy working environment.2,5  They may look for organizations without mandates to cover tattoos and body piercings, which they view as self-expression.6 

의료 교육 고려 사항
Medical Education Considerations

Z세대의 위 프로필에 기초하여, 미래의 대학원 의학 교육 코호트를 가르칠 교육자들은 현재의 기술 사용, 의사소통 및 피드백, 교육 방법 및 웰빙을 고려해야 한다(예 요약은 표 참조). 의학교육의 역사적 변화는 천천히 일어났고 종종 갈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지금 잠재적인 교육학적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Based on the above profile of Generation Z, educators who will teach this future graduate medical education cohort should consider current use of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feedback, educational methods, and wellness (see the table for a summary of examples). It is important to contemplate potential pedagogical changes now, as historically changes in medical education have occurred slowly and frequently are accompanied by conflict.

기술
Technology

무엇보다도, 이 세대는 교육과 환자 치료에 있어 최신 기술을 기대할 것이다. 학습자는 병원이나 진료소 이외의 장소에서 차트를 작성할 수 있기를 원할 것이며, 교육자는 기술을 외부 학습에 통합하는 창의적인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홉킨스 외 연구진은 팟캐스트, 웹사이트, 시뮬레이션, 유튜브의 대화형 튜토리얼 및 인터넷 기반 교육 게임의 사용을 제안했다. 교육자들은 또한 채용, 의사소통, 학습 "진주" 공유를 위해 트위터와 텀블러와 같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페이스북은 교육 토론을 촉진하거나 일정과 활동 업데이트를 게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전통적인 교수법과 의사소통 방법에서 큰 전환을 나타낼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은 Z세대가 원격 의료와 같이 대면 접촉을 수반하지 않는 대체 형태의 환자 치료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들은 새로운 기술을 시험하려는 조직에 혁신적인 사고와 탐구 정신을 가져다 줄 것이다.
First and foremost, this generation will expect up-to-date technology in education and patient care. Learners will want to be able to chart from places other than the hospital or clinic, and educators should consider creative ways to incorporate technology into off-site learning. Hopkins et al4  suggested the use of podcasts, websites, simulations, interactive tutorials on YouTube, and Internet-based educational games. Educators may also use social media sites, such as Twitter and Tumblr, for recruitment, communication, and to share learning “pearls.” Facebook can be used to promote educational discussions or post schedule and activities updates.4  This may represent a major diversion from traditional methods of teaching and communication. A positive aspect is that Generation Z likely will embrace alternative forms of patient care that do not involve face-to-face contact, such as telehealth. They will bring innovative thinking and a spirit of exploration to organizations willing to test new technology.

의사소통
Communication

Z세대는 전자 통신에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했기 때문에, 이것은 대면 통신 기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거주 [초기에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고, [이 역량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과 함께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역할극, 직접 관찰 및 자기반성]은 유용한 교정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성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은 필수적이다. Z세대는 [자신이 어떻게 하는지를 "아는데까지" 딜레이가 생기는 것]에 대해 참을성이 좋지 않다. 교육자들은 매우 명확한 지침을 제공해야 하며 이러한 학습자들이 이전 세대에서 주를 이루었을 수도 있는 보다 미묘한 형태의 피드백을 습득할 수 있다고 가정하지 말아야 한다. 
Because Generation Z has spent so much time with electronic communication, this may affect in-person communication skills. Programs should assess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early in residency and be prepared to work with individuals who struggle with this competency. Role playing, direct observation, and self-reflection may prove useful remediation methods, but immediate feedback on performance will be essential. Generation Z will have poor tolerance for delays in “knowing” how they are doing. Educators will need to provide very clear instructions and not assume that these learners can pick up more subtle forms of feedback, which may have been the mainstay in previous generations.

의사소통 문제는 환자 치료 이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이 새로운 세대는 교직원들이 온 디맨드로 참석할 수 있고 스카이프를 통해 회의에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할 수 있다. 그들은 그들이 모르는 것을 선생님들과 멘토들에게 소통하는 것을 두려워할지도 모른다. 교수진은 [경계와 가용성에 대해 명확하게 논의된 기대]와 함께 강력한 멘토링 관계에 참여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Communication issues will likely extend beyond patient care. This new generation may expect faculty to be available on demand and to participate in meetings via Skype. They may be afraid to communicate to their teachers and mentors what they do not know. Faculty should be prepared to engage in strong mentoring relationships with clearly discussed expectations regarding boundaries and availability.

교육 방법
Educational Methods

Z세대는 이용 가능한 선택지 세트에서 선택하는 것을 넘어서, [교육에 유연성을 기대]할 것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디자인하고, 가소성을 허용하고 장려하는 프로그램]을 찾고 싶어할 것이다. 그들은 심지어 [즉각적인 이익이 명확하지 않아 보인다면, 필요한 로테이션이나 경험의 정당성을 요구]할 수도 있다. 기관들은 이런 경험에 대한 근거를 "그냥 원래 그런거야"라고 말하기보다는 분석하고 설명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Generation Z will expect flexibility in their education beyond choosing from a set of available electives. They will want to design their experiences and seek programs that allow and encourage plasticity. They may even ask for justification of required rotations or experiences when the immediate benefit is not obvious. Institutions should be prepared to analyze and explain the rationale for these experiences rather than say, “That's just the way it is.”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교훈적 강의 대신 거꾸로 교실처럼 문제 해결을 통합하는 능동적인 학습 방법으로 추세를 가속화해야 한다. 또 다른 예는 모든 연습생들이 논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석하는 그룹 저널 클럽이다. 
Instead of traditional didactic lectures, programs should accelerate the trend toward active learning methods that incorporate problem solving, such as the flipped classroom. Another example is the group journal club, in which all trainees analyze a part or all of a paper.

의료 교육 교육 교육에는 아직 혁신의 여지가 많다. Z세대에게 창의성은 직접 참여하고 성찰하고 토론하는 표준이 되어야 한다. 교수진은 또한 지식을 보급하고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서 사용 가능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데 편안해야 한다
There is still a lot of room for innovation in medical education instruction. For Generation Z, creativity should be the norm, with hands-on participation, reflection, and discussion. Faculty will also need to be comfortable using available platforms in social media to disseminate knowledge and facilitate conversations.

웰니스
Wellness

Z세대는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싶어하고, [사회적으로 참여하는 기관과 연계되기]를 원하며, [경쟁적으로 보상받기]를 원한다. 채용 측면에서, 지역사회와 협력하고, 사회 정의를 옹호하고, 세계 보건을 통합하는 기관이 이 그룹에 더 매력적일 수 있다. 학습자들은 또한 웰니스 프로그램, 피트니스 시설, 그리고 건강한 음식이 있는 건강한 직장 환경을 찾을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그들은 건강을 옹호하는 의료 기관에서 일하기를 원한다.
Generation Z wants to do meaningful work that affects social change, they want to be aligned with socially engaged institutions, and they want to be competitively compensated.2  In terms of recruiting, institutions that partner with communities, advocate for social justice, and incorporate global health may be more attractive to this group. Learners also will be looking for healthy work environments with wellness programs, fitness facilities, and healthy food. In short, they want to work for a health care organization that stands up for health.

회복력과 웰빙은 현재 의학 교육에서 뜨거운 주제이다. 다가오는 학습자 그룹은 정서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훨씬 더 큰 도전을 제기할 수 있다. 거주 프로그램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를 식별하고 협력할 수 있는 방법뿐만 아니라 진정한 웰빙 홍보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Resilience and well-being are currently hot topics in medical education. This upcoming group of learners may pose an even greater challenge for maintaining emotional health. Residency programs should have authentic wellness promotion programs in place as well as methods to identify and work with struggling learners.

중요한 일시 정지
An Important Pause

이러한 변화에 대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가르시아와 필립은 완전한 개혁 이전에 잠시 중단할 것을 제안했다. 학생들의 수업 방법과 학습 선호도를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가이딩 페다고지나 강력한 증거 기반 없이 새로운 기술을 통합하는 것과 관련된 위험이 있다. 기술은 교육을 강화해야지, 교육의 내용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교육 환경에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지만, 교육자들은 그것이 어떻게 통합되는지에 대해 사려 깊어야 한다. 기술은 절대로 교사들을 대신할 수 없다. 
Despite these calls for change, Garcia and Philip10  suggested a pause before a complete reform. While it is important to regularly evaluat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preferences of students, there are dangers associated with incorporating new technology without a guiding pedagogy and strong evidence base. Technology should enhance education, not detract from the content of instruction.10  It offers new opportunities in educational settings, but educators must be thoughtful about how it is incorporated.10  Technology is never a replacement for engaged teachers.10 

의학 교육에 있어서, 질문은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더 나은 환자 치료로 이어질까, 더 나은 성과 점수로 이어질까, 아니면 둘 다 아닐 것인가?"여야 한다. 많은 저자들은 조직이 [단순히 테크놀로지에 투자하기]보다는, [테크놀로지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교수진 개발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테크놀로지가 수준 이하의 교육자들이 더 나은 교사가 되도록 도울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다]. 교수진이 점점 더 [교육적 책임과 경쟁하는 임상적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마도 이것이 미래의 가장 큰 도전일 것이다. Z세대와 관련된 교육 문제의 출현은 지속적으로 상당한 교수 시간과 창의성을 요구할 것이다.
For medical education, the question must be, “Do technological advances lead to better patient care, better performance scores, or neither?” Many authors suggest that, rather than just investing in technology, organizations need to invest in faculty development to more effectively use technology.6,9  It is naive to believe that technology can help subpar educators become better teachers.10  Perhaps this is the biggest future challenge, given that faculty have clinical responsibilities that increasingly compete with educational responsibilities. The emergence of Generation Z–associated educational issues will require significant faculty time and creativity, on an ongoing basis.

좋은 소식/나쁜 소식
Good News/Bad News

좋은 소식은 우리가 Z세대 의사를 성공적으로 모집, 훈련 및 보유하기 위해 의료 교육을 바꾸는 것에 대해 생각할 시간이 조금 있다는 것이다. 나쁜 소식은 우리가 이러한 변화를 만들 시간이 조금밖에 없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의학 교육은 개혁에 저항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경로의 끝에는 환자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최상의 치료 전달을 촉진하는 최고의 교육 도구를 찾아야 합니다. 항상 개선의 여지가 있지만, 변화는 단순히 전통이 아니라 이론에 의해 이끌려야 한다. 더욱이, 현재 의사들의 진로 불만에 기여하는 어려움들이 해결될 때까지, Z세대 내 최고 성과자들을 모집하고 유지할 가능성은 낮다.
The good news is that we have a little time to be thoughtful about changing medical education to successfully recruit, train, and retain Generation Z physicians. The bad news is that we have only a little time to make these changes. Historically, medical education has been resistant to reform—and for good reason. At the end of the pathway are patients; we need to find the best teaching tools that promote the best delivery of care. There is always room for improvement, but change should be guided by theory and not simply tradition. Moreover, until the difficulties that contribute to current career dissatisfaction among physicians are addressed, it is not likely that the highest performers within Generation Z will be recruited and retained.

 


J Grad Med Educ. 2018 Aug;10(4):378-381. doi: 10.4300/JGME-D-18-00466.1.

Is Medical Education Ready for Generation Z?

PMID: 30154963

PMCID: PMC6108364

DOI: 10.4300/JGME-D-18-00466.1

밀레니얼 학생 멘토링하기 (JAMA, 2020)
Mentoring Millennials
Jennifer F. Waljee, MD, MPH, MS1; Vineet Chopra, MD, MSc2; Sanjay Saint, MD, MPH3

 

수술 사례는 간단했다: 한 젊은 남자가 부러진 상완골로 인한 방사상 신경 손상을 경험했지만, 지금은 신경학적 회복이 없었다. 손목과 손가락 연장을 회복하기 위한 힘줄 이식이 계획되었다. 외과의사, 레지던트, 의대생이 함께 스크럽 싱크대에 접근하여 주요 교육 포인트, 잠재적인 함정 및 합병증 발생 시 대비책을 검토했습니다. 외과의사가 스크럽 브러시를 잡으려고 손을 뻗었을 때, 의대생은 손가락을 쉴 새 없이 그리고 리드미컬하게 휴대폰 화면을 두드리며 뒤로 물러났다. 외과의사는 학생이 병리학보다 그의 스마트폰에 더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 짜증이 나서 그를 답답하게 쳐다보았다. 학생을 다시 케이스에 참여시키기 위해서, 외과의사는 "손에 있는 각각의 익스텐서 컴파트먼트에 어떤 힘줄이 있는지 말해줄 수 있나요?"라고 물었다. 그 학생은 갑자기 머리를 쳐들었고, 그는 재빨리 쉽게 대답을 했다. 외과의사는 잠시 미소를 지으며 "방금 우리 교육 포털에 업로드된 방사상 신경 손상에 대한 힘줄 전달이 아닌 신경 전달을 설명하는 이 새로운 비디오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얻을 수 있을까요?"라고 물었다? 보세요, 바로 여기에 올려 놓았습니다. 지난주에 본회의에서 발표되었습니다."
The surgical case was straightforward: a young man had experienced a radial nerve injury from a broken humerus, now without neurological recovery. Tendon transfers to restore wrist and finger extension were planned. The surgeon, resident, and medical student approached the scrub sink together to review major teaching points, potential pitfalls, and contingency plans in case of complications. As the surgeon reached for a scrub brush, the medical student lingered back, his thumbs incessantly and rhythmically tapping on the screen of his phone. The surgeon peered at him with frustration, annoyed that again his student appeared more interested in his smartphone than the pathology. In an effort to engage him back to the case, the surgeon asked: “Can you tell me what tendons lie in each of the extensor compartments in the hand?” The student’s head snapped up, and he quickly rattled off the answer with ease. Smiling momentarily, he then asked, “Could I get your thoughts on this new video describing nerve transfers rather than tendon transfers for radial nerve injuries that was just uploaded to our educational portal? See, I have it pulled up right here, it was just presented last week at the plenary session…”

세대 다양성은 침묵하는 세대(1925~1945년), 베이비붐 세대(1946~1964년), X세대(1965~1980년) 등 시간의 경계 안에서 태어난 개인들 사이에 공유된 관점과 경험을 기술한다. 오늘날 의학에 입문하는 사람들은 밀레니얼 세대라고 불리는 1980년에서 2000년 사이에 태어났다. 밀레니얼 세대는 오늘날의 노동력의 약 25%를 차지하며 2020년과 2025년에는 각각 노동력의 40%와 75%를 차지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주장이 특정 세대의 모든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레니얼 세대를 정의하는 가치, 기대, 그리고 기풍은 그들의 전임자들과 실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성세대의 관심과 관심을 끌었다. 이것은 훈련, 발전, 그리고 멘토쉽이 전통에 젖어있고 종종 변화가 천천히 오는 의학에서 특히 사실이다.
Generational diversity describes the shared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among individuals born within boundaries of time, such as the silent generation (1925-1945), the baby boomers (1946-1964), and Generation X (1965-1980).1 Individuals entering medicine today were born between 1980 and 2000, termed millennials. Millennials comprise about 25% of today’s workforce and will account for 40% and 75% of the workforce in 2020 and 2025, respectively. We recognize that these assertions do not apply to every member of a particular generation. Nevertheless, the values, expectations, and ethos that define millennials are perceived a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ir predecessors and have caught the attention, and concern, of older generations.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medicine where training, advancement, and mentorship are steeped in tradition and where change often comes slowly.

밀레니얼 세대는 정보 기술의 심오한 확장, 향상된 소셜 네트워킹 및 연결된 글로벌 문화에 의해 형성되었습니다. 때로는 참을성이 없고, 산만하고, 지나치게 사회화되고, 자격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지만, 밀레니얼 세대는 또한 깊이 권한을 부여받고, 협력적이고, 혁신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화]는 특히 도제와 위계질서가 일반적인 병원과 같은 환경에서 갈등과 오해를 초래할 수 있다. 
Millennials have been shaped by a profound expan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enhanced social networking, and a connected global culture. Although sometimes labeled as impatient, distracted, overly socialized, and entitled, millennials could also be characterized as deeply empowered, collaborative, and innovative. These generalizations, however, can lead to conflict and misunderstanding, particularly in environments such as hospitals where apprenticeship and hierarchy are the norm.

멘토십은 의학의 초석이다. [멘토]는 [이타주의, 전문성, 인내심, 경험이라는 특징을 갖는 조언자]로 정의된다. 대학원 의학교육은 온라인 및 비디오 기반 학습 자원, 질병 기반 교육 커리큘럼, 단축 근무 시간 및 팀 기반 진료 모델의 확대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에 적응해 왔다.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 교직원, 전공의, 의대생들을 위한 멘토십 전략은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우리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멘토-멘티 Dyad에서 좌절, 잘못된 의사소통 및 소모로 이어지는 세대 차이를 목격했다. 세 가지 일반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해 보십시오.
Mentorship is the cornerstone of academic medicine. A mentor is defined as an advisor characterized by altruism, expertise, patience, and experience. In many ways, 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adapted to millennials through the expansion of online and video-based learning resources, disease-based educational curricula, abbreviated work hours, and team-based care models.2 However, mentorship strategies for millennial faculty members,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are not well understood. Indeed, we have personally witnessed generational differences leading to frustration, miscommunication, and attrition in these mentor-mentee dyads. Consider 3 common scenarios.

예 1. 수잔은 그녀의 부서장인 메리를 주요 멘토로 하여 경력 개발 상을 초안하는 주니어 교수진이다. 그들의 사무실은 가까이에 있다. 수잔은 메리의 회의 사이에 하루 종일 들러 문구에 대한 질문을 한다. Mary는 이것이 일반적인 스케줄 채널을 우회하기 때문에 짜증이 난다고 생각한다. 수잔은 메리가 그녀를 위한 시간이 거의 없는 것 같아 짜증이 난다.
Example 1. Susan is a junior faculty member drafting her career development award with her division chief, Mary, as primary mentor. Their offices are in close proximity; Susan often drops in throughout the day between Mary’s meetings to ask questions on the wording. Mary finds this irritating, as it circumvents the usual scheduling channels. Susan is annoyed that Mary seems to have little time for her.


[테마 1. 필요할 때 vs 정해진 때]. 밀레니얼 세대는 사실상 즉각적인 의사소통과 정보의 보급과 함께 성장했다. 이러한 참여는 [신속한 의사 결정]을 촉진하고, [협업 네트워크]를 확장합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명확한 방향성을 보장]하기 위해 접근성, 빠른 대응, 빠른 전환, 잦은 짧은 회의를 기대한다. 고위 멘토는 종종 행정, 임상 및 학술적 요구와 구조적인 측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임시적인 가용성은 낮습니다]. 이것이 합쳐지면 양측 모두에게 좌절과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Theme 1. As Needed vs Scheduled Engagement.
 Millennials have grown up with virtually insta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 Such engagement facilitates quick decision making and expands collaboration networks. Millennials expect accessibility, fast responses, rapid turnaround, and frequent short meetings to ensure clear direction. Senior mentors often balance administrative, clinical, and academic demands with greater structure and less ad hoc availability. Combined, this leads to frustration and stress for both parties.

예 2. 존은 3학년 의대생으로,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기술이 심근경색 후 환자의 심혈관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여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그는 설문 자료 수집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프로젝트를 직접 주관하는 후배 교수 샘과 프로젝트 수석 저자로 활동할 학과장 마크에게 단체 이메일을 보낸다. 마크는 샘이 질문을 처리하지 않는 것에 짜증이 나고, 샘은 존이 직접 이메일을 보낸 것에 당황하고, 존은 아무도 그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 좌절한다. 
Example 2. John is a third-year medical student conducting a summer project examining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techniques on cardiovascular risk in patients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He has a question about the survey data collection and sends a group email to Sam, a junior faculty member directly supervising the project, and to Mark, the chairman of the department who will serve as a senior author on the project. Mark is annoyed that Sam isn’t taking care of the question; Sam is embarrassed that John emailed the chair directly, and John is frustrated that no one appears to be answering his question.

[테마 2. 평면적 인프라 vs 위게적 인프라].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협업과 인지적 다양성을 더 쉽게 수용한다. 학술 의학의 일부 측면에서, 이러한 속성들은 그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팀 사이언스, 다학제적 돌봄, 집단 리더십은 상급자와 대조적으로 집단 사고를 수용하는 밀레니얼 세대에 의해 환영받는다. 그러나 사회적, 계층적 격차를 완화하는 것은 갈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전통적인 학술 부서의 전형적인 고립된 커뮤니케이션을 반드시 수용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장벽을 제거하면 [위계적 의사소통 채널에 익숙한 나이든 의사]와 [모든 이해관계자에 대한 광범위한 액세스를 원하는 젊은 의사] 사이에 좌절감을 초래할 수 있다.
Theme 2. Flat vs Pyramidal Infrastructure.
 Millennials embrace collaboration and cognitive diversity more readily than prior generations.3 In some aspects of academic medicine, these attributes will serve them well. For example, team science, multidisciplinary care, and collective leadership are welcomed by millennials who embrace groupthink, in contrast to their senior counterparts. However, flattening social and hierarchical gaps may also lead to conflict. Millennials do not necessarily embrace the siloed communication typical of traditional academic departments. Removing these barriers can cause frustration among older physicians accustomed to hierarchical communication channels and younger physicians who desire broad access to all stakeholders.

예 3. 후배인 스콧 교수는 생물의학 공학 교수인 과 함께 일반 경피 심장 시술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를 개발했다. 그는 유망한 결과로 자신의 개입을 실천하기 시작하지만, 그의 멘토인 줄리의 조언을 받아 영향력이 큰 과학 논문을 만들기 위해 임상 시험을 개발한다. 스콧은 그 발명에 대한 지적 재산과 관련된 권리를 개발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싶어하기 때문에 관심이 없다. 과 줄리는 스콧이 그의 연구 잠재력을 약화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좌절한다.
Example 3. Scott, a junior attending, has developed an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afety of common percutaneous cardiac procedures with Shawn, a professor in biomedical engineering. He begins to implement his intervention in practice with promising results but is counseled by his mentor, Julie, to wait and develop a clinical trial to generate a high-impact scientific paper. Scott is uninterested because he wants to move toward develop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associated rights for the invention. Shawn and Julie are frustrated that Scott may be undermining his research potential; Scott, with the inertia of scientific investigation.

[테마 3. 목적 vs 과정]. 밀레니얼 세대에게는 목적이 가장 중요하다. 밀레니얼 세대는 학문적 성공의 전통적이고 오래된 지표에 비해 [결과와 실행에서 더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목표에는 종종 지적 재산 개발, 제품의 상용화 또는 의료 스타트업의 시작을 포함하는 전략이 포함된다.
Theme 3. Purpose vs Process.
 For millennials, purpose is paramount. Millennials may derive greater satisfaction from results and implementation over the traditional, well-worn metrics of academic success. Such goals often include strategies that include developing intellectual property, commercialization of products, or launching a health care start-up.

이러한 예들은 직장에 종사하는 다양한 세대들 사이의 잠재적인 갈등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것들은 또한 새로운 세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세대 간의 사고방식과 동기에 대한 예리한 인식은 보다 생산적이고 보람 있는 멘토링 관계를 가능하게 하며, 여러 전략은 세대 간의 업무 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 첫째, 의사와 멘토는 일반적인 세대의 잘못된 인식을 인식해야 한다(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밀레니얼 세대는 일반적으로 [빈번한 상호 작용]을 원하고, [멀티태스킹을 빠르게 수행]하며,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연결]되는 기능을 즐긴다. 이러한 연결은 보통 짧기 때문에, 긴 대면 연결의 환경에서는 발생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밀레니얼 세대는 [전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술에서 차이]가 있으며 ,[효율적이고 참여적이라기보다, 참을성이 없고 굶주린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밀레니얼 세대를 가장 잘 끌어들이는 방법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se examples illustrate potential conflicts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engaging in the workplace. However, these are also opportunities for greater understanding of a new generation. A keen awareness of generational mindsets and motivations can allow for more productive and rewarding mentoring relationships, and several strategies can improve intergenerational working relations. First, physicians and mentors must be cognizant of common generational misperceptions (Table). As illustrated in the examples, millennials generally desire frequent interaction, are quick to multitask, and relish the ability to connect rapidly across the globe. These connections are often brief and need not occur within a backdrop of lengthy face-to-face connections. As a result, millennials differ in skills critical to building professional relationships and may be perceived as impatient and needy, rather than efficient and engaged. Some suggestions for how best to engage millennials include:

표. 밀레니얼 세대 멘토링: 신화, 진실 및 모범 사례
Table.  Mentoring Millennials: Myths, Truths, and Best Practices

 

[마이크로 멘토링.] 전통적인 견습 멘토링 모델(관계가 수년에 걸쳐 형성되고 직업 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는 모델)과 달리, 마이크로 멘토링(코칭과 유사)은 효율적인 대안을 제공한다. 초기 경력 교직원은 [단축된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 요구]에 대해 선임 멘토로부터 조언을 구할 수 있다. 이는 [멘토십의 유연성과 인지적 다양성]을 가능하게 한다. 마이크로 멘토링은 좁은 주제에 대해 종종 [엄지손가락을 올리거나 내리거나], [예 또는 아니오로 대답]하는, 더 빈번하지만 더 빠른 회의를 수반한다. Susan과 Mary(예 1)의 경우, 간단한 미팅을 통해 Susan이 진행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잠재적인 장애물에 대한 빠른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정 제한과 접근성에 대한 열린 의사소통은 또한 방해를 멘토링 세션으로 재구성함으로써 메리의 좌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Micromentoring.
 In contrast to traditional apprenticeship mentoring models (in which relationships are built over years and encompass numerous aspects of professional life), micromentoring—similar to coaching—offers an efficient alternative.4 Early-career faculty members may seek counsel from senior mentors for defined needs over abbreviated time intervals, allowing for flexibility and cognitive diversity in mentorship. Micromentoring entails more frequent, but more rapid, meetings that often provide thumbs up or down, yes or no answers on narrow topics. For Susan and Mary (example 1), brief meetings may provide quick answers to potential roadblocks that will help Susan speed her progress. Open communication regarding scheduling limits and accessibility can also ease Mary’s frustration by reframing the interruptions as mentoring sessions.


[역 멘토링]. 밀레니얼 세대가 수용하는 [평평한 리더십 구조]를 만들기 위해, 멘토십 패러다임이 바뀌어서 [젊은 사람들이 나이 든 동료들에게] 관점, 기술, 지침을 전달할 수 있게 될 수도 있다. 역멘토링은 리더십과 더 넓은 협업을 촉진하여 멘티들의 관계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트위터 또는 링크드인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연구 결과를 전파하고 교수진과 연결하기 위한 강력한 메커니즘이며, 종종 기성 세대보다 밀레니얼 세대가 더 쉽게 탐색한다. John, Mark, Sam(사례 2)의 경우, [학술의학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위계적 의사소통 구조를 허물면] 보다 효율적인 팀워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든 관점이 공유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Reverse Mentoring. To create the flat leadership structure that millennials embrace, mentorship paradigms may be upended to allow younger individuals to impart perspective, skills, and guidance to older colleagues. Reverse mentoring can fuel a sense of leadership and broader collaboration, empowering mentees in their relationships. For example,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Twitter or LinkedIn are powerful mechanisms for disseminating research findings and connecting with faculty and are often more easily navigated by millennials than older generations. For John, Mark, and Sam (example 2), breaking down the hierarchical communication structures that are common in academic medicine can allow for more efficient teamwork, as well as provide an opportunity for all perspectives to be shared.

[멘토링 팀]. [협업 멘토십]은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종종 학계에 스며드는 고립과 경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팀은 인지적 다양성의 힘뿐만 아니라 다양한 멘토의 개인적인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Scott, Julie 및 Shawn(예 3)의 경우, [멘토십 팀]은 [학계의 전통적인 지표에 대한 고위 교수진의 관심]을 [혁신]과 비교하여 저울질하는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 정책, 엔지니어링 및 품질의 구성원을 포함하면 Scott이 그의 노력에 대한 인정과 홍보뿐만 아니라 그의 작업에 더 많은 임상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Mentorship Teams. Collaborative mentorship provides a diverse perspective and helps mitigate against the isolation and competition that often permeate academia. Such teams can capitalize on the individual strengths of a variety of mentors as well as the power of cognitive diversity.5 For Scott, Julie, and Shawn (example 3), a mentorship team may provide balance in weighing the senior faculty’s interest in traditional metrics in academics against innovation. Including members from industry, policy, engineering, and quality, for example, could allow Scott to have more clinical impact in his work as well as recognition and promotion for his efforts.

생산적인 멘토링 관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세대 차이를 인식하고 수용해야 한다. 활기차고 다양한 교수진의 가치를 고려할 때, 다음 세대에 동기를 부여하거나 저지하는 요소들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의사는 직업생활에서 목적, 협력, 발전을 추구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이 점에서 이전 세대와 다르지 않다. 게다가 밀레니얼 세대는 자신의 위치에서 만족하지 못하면 다른 곳에서 기회를 찾을 의향이 있어 교직원 감소와 학술 의학의 높은 기회 비용으로 이어진다. 우리는 제안된 작은 변화들 중 일부가 차세대 의사들을 참여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스크럽 싱크대에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열린 마음을 유지하는 것은 이러한 접근법의 한 가지 예에 불과할 수 있다.
Generational differences must be recognized and embraced to achieve productive mentoring relationships. Given the value of a vibrant and diverse faculty,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motivate or deter the next generation.6 Physicians seek purpose, collaboration, and advancement in their professional lives; millennials are no different than prior generations in this respect.7 Moreover, millennials are willing to look for opportunities elsewhere if they are not fulfilled in their position, leading to faculty attrition and high-opportunity costs in academic medicine. We hope that some of the modest changes suggested may help engage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s. Keeping an open mind on the use of smartphones at the scrub sink may be but one example of this approach.

 


JAMA. 2020 May 5;323(17):1716-1717. doi: 10.1001/jama.2020.3085.

Mentoring Millennial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Section of Plastic Surgery, Department of Surgery, Michigan Medicine, Ann Arbor.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ichigan Medicine, Ann Arbor.

3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ichigan Medicine, VA Ann Arbor Healthcare System, Ann Arbor.

PMID: 32369152

DOI: 10.1001/jama.2020.3085

새로운 세대의 의과대학생을 대하는 방법: iGen (Med Teach, 2020)
Twelve tips for interfacing with the new generation of medical students: iGen
Sarah Lerchenfeldt , Stefanie M. Attardi , Rebecca L. Pratt , Kara E. Sawarynski and Tracey A. H. Taylor

 

서론
Introduction

세대 차이는 오랫동안 연구자들을 매료시켜 왔다.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존재하며, 현재 교육의 많은 모범 사례들은 그들의 독특한 특성에 기초하여 설계된다. 그러나 2020년 현재 밀레니얼 세대의 많은 학생들이 고등 교육 기관을 졸업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교육자들은 이제 iGen 또는 Z세대로 알려진 1994년 이후에 태어난 차세대 학생들로 가득 찬 교실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대 입학은 고등학교 졸업 후에 이루어지므로 iGen은 이미 보건 전문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4년제 학위가 필수인 미국에서도 2017년과 2018년에는 최근 입학생의 30% 이상이 iGen 범위에 속했고, 2019년에는 그 비중이 70% 가까이 증가했다. 
Generational differences have long fascinated researchers. A breadth of research exists on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which many of the current best practices in education are designed based on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as of 2020, many students from the millennial generation (Twenge 2006, p. 5) have graduated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Many educators now have classrooms full of the next generation of students, born after 1994, known as iGen or Generation Z (Seemiller and Grace 2019, p. xix; Twenge 2017, p. 2). In most countries, medical school matriculation follows graduation from high school and therefore iGen already makes up the majority of students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s programs. Even in America, where a 4-year degree is a prerequisite, over 30% of recent matriculants fell within the iGen range in 2017 and 2018, with the proportion increasing to nearly 70% in 2019 (AAMC 2019, p. 4).

모든 세대는 집단의 집단적 특성을 형성하는 독특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를 형성했던 '우주 경쟁'과 에이즈 유행, 생식권을 위한 싸움, [X 세대]를 형성했던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는 달리, 우리의 가장 최근의 모체들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가지고 성장해 왔다. [iGen 구성원들]은 그들의 삶의 모든 측면에서 기술이 존재해온 학생들의 첫 번째 집단을 대표한다. 태어날 때부터, 그들은 소셜 미디어와 광범위한 인터넷 가용성의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어린 시절에 위키피디아, 유튜브, 페이스북, 그리고 스마트폰에 노출된 최초의 세대였다.
Every generation has unique factors that shape the group’s collecti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space race’ and The Beatles that shaped the baby boomer generation, or the AIDS epidemic, the battle for reproductive rights and the fall of the Berlin Wall that shaped GenX, our newest matriculants have grown up with ubiquitous technology (Christensen et al. 2018). iGen members represent the first cohort of students in which technology has been present in all aspects of their lives. Since birth, they have been influenced by social media and wide-spread internet availability. They were the first generation to be exposed to Wikipedia, YouTube, Facebook, and smartphones as children.

[iGen 학생들]은 [이전 세대]와는 다른 [사회적 상호 작용]을 경험하며 자랐는데, 이는 대부분 모든 인구 통계에서 [소셜 미디어, 기술 및 스마트폰 액세스]의 우세 때문입니다. 그들은 이전 세대들과는 다른 속도로 사회적으로 발전한다: 십대 때 그들은 부모님과 데이트를 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부모님의 격려가 없으면 운전면허증을 신청하지 않았다. 미국에서 청소년기 동안(이러한 연구들 중 많은 것들이 출판된) 많은 사람들은 직업을 갖거나 일정과 출석 요구사항을 경험한 적이 없다. [화면 시간의 증가]는 정신 건강의 문제, 읽고 쓰는 능력과 시험 점수의 감소, 그리고 교실에서의 상호 작용의 어려움을 포함한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했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부모들이 [경제 침체]를 겪으며 고군분투하는 것을 목격했고, 그들은 항상 세계적인 테러리즘의 압박을 받으며 살아왔다. 미국에서, 그들은 [학교 총격과 봉쇄 훈련]을 경험했다. 그들은 삶의 많은 부분에서 안전에 대한 열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협력적이고 자신감 있는 밀레니얼 세대]로부터, [iGen 구성원들]은 [신중하고 실용적]으로 달라졌을 수 있다.
iGen students grew up experiencing social interactions differently than previous generations, in large part to the preponderance of social media, technology, and smartphone access across all demographics. They develop socially at a different rate than previous generations: as teens they were more likely to go out with their parents, less likely to date, and did not often apply for their driver’s license unless encouraged by their parents (Twenge 2017, p. 18–22, 25–28). During adolescence in the United States (where many of these studies have been published), many have never held a job or experienced scheduling and attendance requirements (Twenge 2017, p. 29–34). Increased screen time has caused many negative effects including problems with mental health, decreases in literacy and test scores, and difficulty with in-person classroom interactions (Twenge 2017, p. 63–64, 77–91). In addition, many have witnessed their parents struggle through an economic downturn (Seemiller and Grace 2017; Twenge 2017, p. 182), and they have always lived with the pressures of global terrorism (Bell 2013; Christensen 2018). In the United States, they have experienced school shootings and lockdown drills (Seemiller and Grace 2019, p. 16–25; Twenge 2017, p. 143–169). They have a desire and expectation for safety in many aspects of their life. As a result, iGen members may be cautious and pragmatic, a shift from the collaborative and confident Millennials (Seemiller and Grace 2017; Twenge 2017, p. 182).

iGen 학생들을 교실로 맞아들이는 보건 전문 교육자들은 이러한 독특한 특성을 더 잘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우리 학생들이 습득해야 하는 중요한 내용과 기술의 양은 변경될 수 없지만, 교실 안팎에서 학생들의 성공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적 접근 방식]을 수정해야 할 때일 수 있다. 다음 12가지 팁에서, 우리는 [iGen의 고유한 속성]을 추가로 조사하고 건강 전문가 교육과정의 전달을 재검토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개념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welcoming iGen students into their classrooms seek to better understand these unique attributes. While the volume of critical content and skills that our students are required to master cannot be changed, it may be time to modify educational approaches to foster student succes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lassroom. In the following twelve tips, we aim to further examine the unique attributes of iGen and highlight important concepts to consider as we re-examine the delivery of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팁 1 생활 기술 개발 지원
Tip 1 Support life skills development

iGen 구성원들은 이전 세대들과 비교했을 때 [삶의 기술을 개발하는 속도가 느린 경향]이 있다. 18세의 많은 iGen 들은 [사회적, 삶의 기술 면]에서 이전 세대의 14세들을 닮았다. 이것은 형성기 동안 책임감과 독립성이 감소했기 때문일 수 있다. 건강 전문 프로그램에 들어가자마자, 많은 iGen 학생들은 독립적인 삶의 잠재적인 도전에 직면할 준비가 덜 되어 있다. 그들은 종종 처음으로 재정, 식사 준비, 집 유지, 그리고 개인적인 관리를 포함한 몇 가지 책임을 관리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건강 전문가 프로그램의 첫 해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학업적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필수적인 생활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그 도전이 악화될 수 있다. 교육자로서, 우리는 교실 밖에서 그들이 독립적인 삶을 터득하도록 돕기 위해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가정에서 캠퍼스 생활로의 밀레니얼 세대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중등 교육 기관에서 [비교과 생활 기술 세미나]가 널리 퍼졌습니다. [독립적인 생활용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iGen 학생의 학업적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 특히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 그리고 미국과 같이, 학생들이 의대 입학 전에 이전의 학부 학위를 보유해야 하는 국가에서, 그러한 제공의 필요성은 간과될 수 있다. 민간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생활기술 자원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전반적으로, [독립적인 생활의 스트레스 요인]을 다루는 것은 학생들이 그들의 건강 전문 프로그램의 학업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iGen members tend to develop life skills at a slower rate when compared to previous generations. Many iGen members at the age of 18 resemble 14-year-olds of previous generations in terms of social and life skills (Twenge 2017, p. 40). This may be due to decreased responsibilities and independence during their formative years. Upon entering a health professions program, many iGen students are less prepared to face the potential challenges of independent living (Twenge 2017, p. 302). They are often learning to manage several responsibilities for the first time, including finances, meal preparation, home maintenance, and personal care. The first year of any health professions program is academically challenging for most students, but the challenge may be exacerbated for those needing to master essential life skills. As educators, we may need to provide extra support outside of the classroom, helping them master independent living. Non-credit life skills seminars became prevalent at post-secondary institutions to support millennials’ transitions from home to campus living (Wilgoren 1999). Offering experiences to improve skills in independent living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Gen student academic success. Currently, the need for such offerings may be overlooked, particularly in countries where students are required to hold a previous undergraduate degree prior to medication school admission, such as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he private sector is beginning to produce life skills resources using online platforms (e.g. Adulting School 2020). Overall, addressing stressors of independent living may allow students to focus more on the academics of their health professions program.

팁 2 시간 관리 기술 개발 촉진
Tip 2 Foster the develop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iGen 학생들은 종종 정의된 과제에 익숙하지만, 개별화되거나 종단적인 커리큘럼 요구사항을 완료하기 위한 [시간 관리에는 덜 익숙]하다. 시간 관리 능력이 부족한 경향은 학교에 있는 동안의 업무 경험 부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세대의 많은 학생들은 학교와 직업과 같은 [여러 가지 책임의 균형을 맞추는 충분한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다]. iGen 학생들이 보건 전문가 교실에 모여들기 때문에, 교육과정에서 [시간 관리 기술이 성공에 기여하는 시점]이 언제인지 살펴봐야 한다. 교수들이 데드라인을 늦춤으로써 친절을 제공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실제로 이러한 행동은 역효과를 낼 수 있다. 학생들에게 [힘든 마감일에 대한 책임을 지우는 것]은 [시간 관리 기술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필수 단계에서 어려운 마감일을 지키면서, [과제를 스캐폴딩 구성요소로 세분화]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더 큰 프로젝트를 통해 독립적으로 작업할 때의 기준점을 스스로 식별하도록 장려하는 것도 시간 관리 능력 개발에 생산적일 수 있다. 학생들이 이러한 필수적인 기술의 가치를 개발하고 발견함에 따라, 그들은 마감일을 지키지 않고 제출을 늦게 한 결과를 포함하여 건설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iGen students are often comfortable with defined tasks, but less so with managing their time to complete individualized or longitudinal curriculum requirements (Chicca and Shellenbarger 2018; Eckleberry-Hunt 2018). The tendency to lack time management skills may be directly related to a lack of work experience while in school (Twenge 2017, p. 29–34). For example, many students in this generation do not have enough experience balancing multiple responsibilities, such as school and a job simultaneously. As iGen students populate health professions classrooms, curricula should be assessed to identify points at which time management skills are a contributing factor to success. While faculty may feel that they are offering kindness by relaxing deadlines, in reality these actions may be counterproductive. Holding students accountable to hard deadlines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time management skills. For instance, it may be helpful to segment assignments into scaffolded components, while keeping a hard deadline with each required step (Chicca and Shellenbarger 2018). Encouraging students to self-identify benchmarks as they work independently through larger projects can also be productive for time management skill development. As students develop and discover the value of these essential skills, they may appreciate constructive feedback, including consequences from missed deadlines and late submissions.

팁 3 개인 및 정신 건강 관리 장려
Tip 3 Encourage personal and mental healthcare

iGen은 [청소년기 내내 스마트폰을 사용한 최초의 세대]이며, 그 결과, 온라인에서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더 강해지고 서로 직접 만나는 시간이 더 적다.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는 행복감 감소와 관련이 있다. Twenge에 따르면, iGen 십대들은 이전의 어떤 세대들에 비해 [학교 밖에서 친구들과 대면하는 것]에 더 적은 시간을 보내며, 그 결과 [면대면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고, 관계를 협상하고, 적절한 감정을 개발하는 데 보내는 시간이 감소]했다고 한다. 개인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감소는 [외로움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iGen 학생들은 불안과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감소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의대에서는 전임상 학생의 82%가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다고 스스로 보고하고 있으며, 많은 iGen 학생들이 정신 건강 문제로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개인의 안녕과 정신건강을 장려하는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정신건강 보조와 민간상담을 위한 제도적 자원을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학생들이 미리 녹화된 강의를 보거나 인터넷 모듈을 사용하여 수업 자료와만 상호 작용할 때 고립감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iGen 학생들은 더 제한된 개인적 사회적 상호작용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상호작용보다 직접 대면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동기식 소그룹 토론이나 동료 대화를 장려하는 혁신적인 과제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은 [다른 사람들과 온라인으로만 연결하려는 성향]과 싸우는 데 중요할 수 있다. 학생들이 그들의 [학습 행복]이 그들의 [동료들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그들은 의도적인 과정 사건 뒤에 숨겨진 추론을 이해할 수 있다. 
iGen is the first generation to have had smartphones present throughout their adolescence, and as a result, are more inclined to spend time online and less time with each other in person. Increased digital media use is linked to decreased feelings of happiness (Twenge et al. 2018). According to Twenge (2017, p. 77–88), iGen teenagers spend less time with face-to-face encounters outside of school with friends compared to any previous generation, resulting in decreased time spent practicing face-to-face social skills, negotiating relationships, and developing appropriate emotions. Decreased in-person social interaction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feelings of loneliness (Twenge, Spitzberg, et al. 2019). For these reasons, iGen students are at an increased risk for mental health declin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In medical school, 82% of pre-clinical students’ self-report that they are in psychological distress (Plochocki 2019) and many iGen students seek help for mental health concerns (Twenge 2017, p. 118).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learning environment that encourages person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and to share institutional resources for mental health assistance and private counselling. Feelings of isolation can increase when students interact solely with course material by watching pre-recorded lectures or using internet module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despite their more limited in-person social interactions, iGen students have expressed a preference for face-to-face encounters over digital interactions (Seemiller and Grace 2016, p. 61–62; Gierdowski 2019). Engaging students in synchronous small group discussions or innovative assignments that encourage peer conversation may be important for combating inclinations to connect only electronically with others (Mendez-Reguera and Lopez Cabrera 2020). When students realize that their learning happiness can be positively influenced by direct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Spears et al. 2015), they may appreciate the reasoning behind deliberate course events.

팁 4 문해력 개발을 커리큘럼에 통합
Tip 4 Incorporate literacy development into curricula

전통적인 책과 뉴스 소스가 더 짧은 텍스트, 뉴스 피드 및 트윗으로 대체됨에 따라 iGen 회원들은 즐거움을 위해 긴 형식의 [텍스트를 읽는 것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고 있다. 과학과 의학의 많은 부분이 여전히 [저널 기사와 교과서를 통한 정보의 보급]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자들은 [현재 학생들의 삶의 경험]과 [미래의 직업 환경]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것]이 필수적이다. 교직원들은 읽고 쓰는 능력 개발을 교육과정에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야 한다. 읽기 과제를 추천하거나 요구할 때, 교사들은 학생들의 [낮은 읽기 체력]을 인식하고, 이 기술을 구축하기 위해 학생들과 협력해야 한다. 교육과정 초기에 [긴 읽기 과제]를 요구하는 것은 원하는 [성과나 지속성을 달성할 가능성이 낮으며], 대신 모든 당사자들에게 [좌절감을 초래]할 수 있다. 학생들에게 [짧은 독서 과제에 대한 서면 성찰문을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체 과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해력과 쓰기 능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서 과제가 주는 가치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학생들이 동료 검토 자료에 적응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As traditional books and news sources are replaced by shorter texts, news feeds, and tweets, iGen members in aggregate show a decreased preference for reading long-form text for pleasure (Twenge 2017, p. 59–65; Twenge, Campbell et al. 2019). Since much of science and medicine still depends on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journal articles and textbooks, it is imperative that educators bridge the gap between our current students’ lived experiences and their future professional environment. Faculty should look for opportunities to incorporate literacy development seamlessly into the curriculum. When recommending or requiring reading assignments, faculty should be cognizant of students’ likely low reading stamina and work with the students to build this skill. Requiring a long reading assignment early in the curriculum is unlikely to have any of the desired results or retention, and instead could lead to frustration for all parties. An alternative assignment that involves asking students to submit written reflections on short reading assignments may improve both comprehension and writing skills over time. Finally, seeking to ensure transparency in the value of reading assignments may encourage students to adapt to primary peer-reviewed material.

팁 5 전문적인 서면 커뮤니케이션 기술 육성
Tip 5 Foster professional written communication skills

[적절한 서면 의사소통]은 모든 분야에 걸친 기본적인 기술이며 학생들이 의학 훈련에서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다. Twenge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대 중반 이후, 특히 글쓰기에서 SAT의 점수가 13점 감소하면서 감소했다.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즉각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성장하는 것은 일부 iGen 구성원들이 전문적인 환경에서 이메일과 같은 더 '전통적인' 형태의 의사소통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책이나 잡지, 신문을 읽는 대신 문자를 보내고 소셜미디어에 글을 올리는 것은 독해력이나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 데 유리하지 않다. Twenge는 iGen 학생들이 의사소통에 대한 기존관느 다른 태도를 갖는다고 보고했다. 예를 들어, '문자를 보내는 것이 훨씬 더 빠르다면 사람들은 왜 이메일을 사용할까?'와 같은 생각이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전문적인 이메일이 올바른 인사말, 완전한 문장, 그리고 이모티콘 없이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교육자들은 미래의 전문적인 환경을 위해 iGen을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보건 전문 교육자들이 [의사소통을 위해 일차적으로 이메일에 의존하지 않을 수도 있는 iGen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세계는 대체로 그렇다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Doyle(2019)은 학생들이 교수진과 적절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권장할 것을 제안한다. 기관은 전문적인 이메일을 보내는 방법에 대한 지침과 예제를 제공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메일 사용과 적시 응답에 관한 자신감을 높이는 메커니즘을 개발하는 것]이 큰 이점이 될 수 있습니다. iGen이 전문적인 환경에서 의사소통 방법의 가치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은 그들의 미래의 성공을 위해 중요하다. 
Appropriate written communication is a fundamental skill (Melvin 2015) across all disciplines and a necessary competency for students to achieve in medical training. Data from Twenge (2017, p. 63–64) indicate that since the mid 2000s, Scholastic Aptitude Test (SAT 2020) scores have decreased, especially in writing, with a 13-point decline. Growing up with instantaneous communication methods afforded by smartphones may result in some iGen members lacking experience with more ‘traditional’ forms of communication such as email in professional settings. Texting and posting to social media instead of reading books, magazines and newspapers are not advantageous in developing reading comprehension or writing skills. Twenge (2017, p. 311) reports iGen students bring new attitudes about communication; for example, ‘why would anyone use email when texting is so much faster?’ Consequently, students may not understand that professional emails should be composed with correct salutations, complete sentences, and without emojis. Educators may struggle with preparing iGen for future professional settings (Miller and Murphrey 2010). It is important that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clarify to iGen students, who may not rely on email for primary communication, that their professional world largely does. Doyle (2019) suggests encouraging students to communicate appropriately with faculty, the institution may wish to provide instructions and examples for how to send professional emails. Developing mechanisms that increase self-confidence in using email and responding in a timely manner might be of great benefit. Helping iGen understand the value of communication methods in a professional setting is important for their future success.

팁 6 정보 관리 기술 가르치기
Tip 6 Teach information management skills

iGen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리소스]를 통해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이 편하지만, 각 소스의 신뢰성을 결정하는 데 경험이 적을 수 있다(Salubi 2018). 보건 전문 교육자들은 사서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학생들이 [정보 관리 및 증거 기반 의학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학생들과 함께 정보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고 정보원의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정보 관리 능력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Widmer 2015). [대표적인 예시 출처]를 제공하는 것은 또한 학생들을 유효한 정보 경로로 설정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처가 비공식 및 공식 교육 환경에서 모두 사용될 때 피드백(원본 신뢰도, 대안 검색 전략 및 인용의 적절성 포함)을 제공하는 것은 기술 개발에 생산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스터디 그룹, 실험실 토론 및 기타 교육 환경에서) 동료를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는 것]은 정보에 액세스하고 증거 기반 진술을 제공하는 데 있어 자신감을 더욱 높이는 데 귀중할 수 있다.
Although iGen students are typically comfortable accessing information through digital resources, they may be less experienced with determining the credibility of each source (Salubi 2018).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should collaborate with librarian experts to help students develop information management and evidence-based medicine skills. Addressing information credibility issues with students and requiring them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information sources can aid in developing information management skills (Wiedmer 2015). Providing exemplary sources may also be advantageous in setting students on a valid information path. Additionally, providing feedback (including source credibility, alternative search strategies and appropriateness of citations) when information sources are used in both informal and formal educational settings can be productive in skill development. Finally, asking students to monitor their peers in study groups, lab discussions, and any other educational setting can be valuable to further develop their confidence in access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evidence-based statements.

팁 7 학습 공간 및 리소스 확대
Tip 7 Broaden learning spaces and resources

iGen은 이전 세대와 매우 다른 방식으로 [학습 공간과 자원을 정의]할 수 있다. 강의와 같은 교훈적인 대면 학습 이벤트는 학생들이 다른 자료를 통해 내용을 배울 수 있다고 느낄 때 덜 선호될 수 있다. 많은 경우, iGen 학생들은 학습 환경이 물리적인 교실에 국한되지 않고,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유연하고 가상적인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중고등학생들은 기술을 참여의 수단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기술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경우 이를 사용하기를 열망한다.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리소스와 경험만 개발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끼는 대신, 교수진은 적절한 곳에 디지털 기술을 채택하여 학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Wiedmer 2015). 예를 들어, [인터넷 기반 교육 방법]은 일부 전통적인 방법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학생들이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 선택적인 직접 학습 경험을 대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플립 클래스룸 모델, TBL 및 PBL을 채택함으로써, 상호작용적 학습 경험을 위해 수업시간을 아낄 수 있다. 교직원은 직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전달하고 미래의 의료 환경과 매우 유사한 환경에서 학습의 중요성을 전달해야 한다.
iGen may define learning spaces and resources in vastly different ways than previous generations. Didactic face-to-face learning events, such as lectures, may be less favourable when students feel that they can learn the content through other resources (Cardall et al. 2008; Gupta and Saks 2013). In many cases, iGen students feel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classroom and can be extended to more flexible and virtual spaces afforded by the internet and digital technology. Current post-secondary students view technology as a means for engagement and are eager to use it, especially if it facilitates interaction with others (Gierdowski 2019). Instead of feeling pressured to develop exclusively remote-accessible resources and experiences, faculty can facilitate learning by adopting digital technologies where appropriate (Wiedmer 2015). For example, internet-based instructional methods have similar effectiveness to some traditional methods (Cook et al. 2008) and could be used to replace select in-person active learning experiences where students gain foundational knowledge (Jensen et al. 2015). Face-to-face time can be saved for interactive learning experiences, as employed by the flipped classroom model (Chen et al. 2017), team-based learning (TBLC 2020) and problem-based learning (Pluta et al. 2013; Seibert 2020). Faculty should convey their rationale for offering face-to-face experiences and communicate the importance of learning in a setting that closely resembles their future healthcare setting.

팁 8 바이트 크기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축
Tip 8 Building up from byte-sized information

평균적인 학생들의 집중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 한 연구는 iGen 학생들이 평균 19초마다 화면의 작업을 전환하고 75% 이상의 학생들의 컴퓨터 창이 1분 미만으로 열려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비록 기술이 방해가 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iGen 학생들이 개인화되고 매력적인 학습 환경을 추구함에 따라 교육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과 모바일 기술의 [유비쿼터스 특성]과 [iGen 학생들의 짧은 주의력]은 [학습 자료를 개발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바이트 사이즈의 교육 경험]이 더 잘 먹힐 수 있기 때문이다. iGen 학생들은 종종 외부 자원과 강사가 만든 자료를 혼합하는 데 익숙하다. 게다가, iGen 학생들은 정적인 콘텐츠보다 비디오 콘텐츠를 선호한다. [대화형 화이트보드, 짧은 비디오 또는 모바일 앱과 게임]과 같은 [기술의 조합]을 사용하면, 학생들이 [상호 작용을 위해 기술을 사용하는 협업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The average student’s attention span is decreasing (Twenge 2017, p. 64–65; Chicca and Shellenbarger 2018). One study demonstrated that iGen students switch tasks on their screens an average of every 19 seconds and over 75% of students’ computer windows were open for less than one minute (Yeykelis et al. 2014). Although technology can be a distraction, it also offers opportunities to enhance educational experiences as iGen students seek personalized and engaging learning environments. Both the ubiquitous nature of digital and mobile technology and the shorter attention span of iGen students are important to consider when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because byte-sized educational experiences may be appealing. iGen students are often accustomed to blending outside resources with instructor-created material (Loveland 2017). Furthermore, iGen students prefer video content over static content (Pappano 2018). Using a combination of technologies, such as interactive whiteboards, short videos, or mobile apps and games can help create a collaborative experience where students use technology for interaction (Doucette 2018).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도구는 [의학 분야에 대한 실용적인 적용을 강조]하는 것이다. 학생들에게 [그들의 공부와 그들의 삶 사이의 상관관계의 예]를 제공하는 것은 교육 내용에 대한 긍정적인 학생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의료 시스템의 [전문가 간 특성]을 강조하고, [과학 콘텐츠와 기술 개발의 전이가능한transferable 측면]을 지적하여 다른 분야와의 연결을 이끌어내는 것은 iGen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적용을 보여준다. [사례 연구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이러한 실제 응용을 원활하게 강조하는 다른 방법이다. 끝을 기억하면서, [스태미너를 기반으로 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초기 과정]에서는 [정보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빌딩 블록 유형]의 수업을 고려할 수 있으며, [더 긴 세션]은 그 다음 과정을 위하여 남겨후는 것이다. [전체 학기에 걸쳐 진행되는 더 긴 과제]는 [바이트 크기와 구조화]로 시작해서, 뒤디은 [더 독립적으로 더 긴 학습 이벤트]를 구축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Another tool for increasing engagement is to emphasize practical applications to the field of medicine. Offering students examples of correlations between their studies and their life can lead to positive student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content (Naing et al. 2015). Drawing connections to other disciplines by stressing the interprofessional nature of the healthcare system, and pointing out the transferable aspects of science content and skill development, demonstrates the practical applications to iGen students. Case studies and simulation-based teaching are other methods to seamlessly emphasize these practical applications. Keeping the end in mind, it may be important to use strategies to build upon stamina. Early courses may want to consider building-block type lessons to avoid information overload, with longer sessions saved for later courses. Longer assignments that span semesters could also be designed to start byte-sized and structured, and build to longer learning events with more independence.

팁 9 적시에 실시간 피드백을 자주 제공
Tip 9 Provide timely and real-time feedback frequently

iGen 학생이 함께 성장해온 기술은 종종 [즉각적인 만족감]과 [빠른 반응]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이 [적시에 형성적 피드백을 기대]하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 피드백은 학생들에게 가치 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주요 인증 기관에서도 요구되며, 이 기관들은 예를 들어 의료 교육 연락 위원회(LCME) 표준 9.7(LCME 2019) 또는 세계와 같이 교정조치를 위한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각 과정 또는 사무직에서 공식적인 형태의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의료 교육 연맹(WFME) 표준 B 3.2.4(WFME 2020). 적시에 형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좋은 교육학적 행위일 뿐만 아니라, 의료 교육, 물리 치료 교육(CAPTE 2016), 직업 치료 교육(ACOTE 2018) 등에 대한 인증 기준을 충족한다. 특히 이 세대의 학생들은 성인의 책임에 대한 경험이 적을 수 있고 정기적인 피드백의 지침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 교육자는 학습 관리 시스템과 e-러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지식 평가를 위해 학생들에게 실시간 피드백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제 또는 평가(예: 서면 보고서, 프로젝트, 저널링 및 포트폴리오)를 계획할 때 적시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의 타당성을 고려해야 한다.
The technology that iGen students have grown up with often provides instant gratification and rapid responses (Christensen 2018). Therefore, it is reasonable for these students to expect timely formative feedback. Feedback is not only valuable for students, it is also required by major accrediting bodies worldwide, who agree that health professions students should receive formal formative feedback in each course or clerkship to allow sufficient time for remediation, for exampl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LCME) standard 9.7 (LCME 2019) or 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WFME) standard B 3.2.4 (WFME 2020). Providing timely formative feedback is not only good pedagogical practice, it also satisfies th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medical education (LCME 2019; WFME 2020), physical therapy education (CAPTE 2016),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ACOTE 2018), and others. It is especially valuable as students from this generation may have less experience with adult responsibilities (Twenge 2017, p. 39–41) and would benefit from the guidance of regular feedback. Educators can us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nd e-learning software to incorporate real-time feedback to students for knowledge assessment. In addition, the feasibility of providing timely feedback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ny assignment or assessment (e.g. written reports, projects, journaling and portfolios).

팁 10 팀워크와 협업 활성화
Tip 10 Revitalize teamwork and collaboration

최적의 환자 관리가 여러 직업과 전문 분야 간의 효과적인 상호 작용에 의존하는 의료에서 [팀워크는 중요]하다. 밀레니얼 세대는 협업과 팀워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iGen 학생들은 본질적으로 [더 경쟁적인 경향]이 있고, 그들 자신의 성취에 근거하여 평가되는 것을 선호한다. iGen 학생들은 일을 했을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팀워크와 협업의 실질적인 장점에 직접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적다. 보건 전문 교육자들은 학생들이 [팀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팀으로 효과적으로 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PBL 또는 TBL과 같은 학생들 간의 팀워크를 증진시키는 커리큘럼 활동은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이러한 중요한 기술을 연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게다가, 생각 쌍, 강의 수다, 사례 토론, 그룹 프로젝트, 해부 팀 및/또는 멘토 그룹과 같은 협력적인 교육 전략을 활용하면 학생들에게 팀으로 일하는 것의 가치를 가르칠 수 있다. 교육자들은 iGen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독립적인 활동]과 [팀 기반의 활동을 혼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게다가, 이 세대의 학생들은 평등과 타고난 개인주의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교육자들이 그들의 미래 직업에 개념과 중요성을 소개하면 그들은 팀워크와 협력의 관련성을 더 높이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Teamwork is critical in healthcare where optimal patient care depends on effective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professions and specialties. Although millennials focus on collaboration and teamwork, iGen students tend to be more competitive in nature and would prefer to be evaluated based on their own accomplishments (Patel 2017). Because iGen students are less likely to have worked (Twenge 2017, p. 29–34), they are less likely to have been directly exposed to the practical advantages of teamwork and collaboration.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must help students learn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teamwork and to develop the skills necessary to effectively work on a team. Curricular activities promoting teamwork among student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or team-based learning, may help students practice these critical skills in a safe setting (Lerner 2009). In addition, utilizing collaborative educational strategies such as think-pair-share, lecture chatter, case discussions, group projects, dissection teams, and/or mentor groups may also teach students the value of working in teams (Pluta et al. 2013). Educators should remain mindful that iGen students prefer to work independently; therefore, a mix of independent and team-based activities may be most effective. Additionally, because this generation of students tends to value equality and innate individualism (Seemiller and Grace 2017; Twenge 2017, p. 175–177), they may be more likely to appreciate the relevance of teamwork and collaboration once educators introduce the concept and importance in their future professions.

팁 11 용감한 공간을 지원
Tip 11 Support brave spaces

고등교육에서 '안전한 공간'은 iGen 학생들이 대학에 처음 입학한 2013년 이후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안전한 공간]은 [학생들이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 [상황, 말 또는 생각]이 없기를 기대할 수 있는 장소]이다. 안전한 공간은 소수민족 학생들이 판단의 두려움 없이 자신의 공동체에서 다른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좋은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안전한 공간] 개념은 잠재적으로 공격적인 관점에서 [더 많은 학생 인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진화]했으며, [안전 공간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 이념이 iGen 학생들에게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환경에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일부 교육자들은 그들의 의무가 학생들이 도전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대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이것은 특히 [환자 치료과정에서 불편함과 정서적 위험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업무]를 시작할 보건학과 학생들에게 해당된다
In higher education, ‘safe spaces’ have become increasingly common since 2013 when iGen students first matriculated to college (Lukianoff and Haidt 2015, 2018, p. 214). A safe space is a place where students can expect to be void of situations (Twenge 2017), words, or ideas (Lukianoff and Haidt 2015) that may cause them discomfort. Safe spaces originated with good intentions to provide minority students with a place to meet others in their community without fear of judgment (Seemiller and Grace 2017; Twenge 2017). However, the safe space concept has evolved to protect the greater student population from any potentially offensive viewpoint (Lukianoff and Haidt 2015; Twenge 2017, p. 154.) and critics of safe spaces and trigger warnings argue that the ideology does not offer iGen students the opportunity to learn in an environment reflective of the real world (Lukianoff and Haidt 2015). Some educators believe that their duty is to prepare students to be challenged (Lukianoff and Haidt 2015) and to develop coping strategies (Plochocki 2019). This is especially true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who will embark on a profession where discomfort and emotional risk are regular occurrences in patient care.

이러한 이유들로, ['용감한 공간']을 육성하는 것은 의료 분야에서 더 많은 교육적 가치를 가질 수 있다. [용감한 공간]은 학생들이 그들의 [개인적인 [편안한 영역을 벗어나서 배우도록 격려]받고, [도전적이고 논쟁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장소]이다. 이 접근법은 [안전]보다 [용기]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춥니다. 용감한 공간은 학생들이 [속상한 주제를 토론하거나, 공공장소에서 실수를 하거나, 회진 중 정답을 모르거나, 어려운 대인관계를 마주]하는 등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에서 더 편안하게 느끼도록] 도울 수 있다. 용감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교수진은 그것이 유발할 수 있는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학습 경험을 포함하는 근거]를 설명해야 한다. 경험을 통해 교직원들은 학생들이 [판단받지 않으면서 실패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논란이 되는 생각을 공개적으로, 그러면서도 공손하게 표현하는 것]과 같은 서포트을 보여주어야 한다. 의료 교육자들은 자신의 민감성, 두려움, 실패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사소통함으로써 용기를 롤모델로 삼고 싶을 수 있다. 이러한 서술의 중요한 요소는 그러한 경험이 어떻게 교직원이 전문적이고 개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도왔는지에 대한 설명이어야 한다.

For these reasons, fostering ‘brave spaces’ (Arao and Clemens 2013, p. 141) may hold more educational value in health care. A brave space is a place where students are encouraged to learn outside of their personal comfort zone and address challenging and controversial issues (Arao and Clemens 2013, p. 141). This approach focuses on the need for courage rather than safety. Brave spaces can help students feel more comfortable in anxiety-provoking situations, such as discussing upsetting topics, making mistakes in public, not knowing the correct answer during rounds, or facing difficult interpersonal encounters. To cultivate brave spaces, faculty should explain the rationale for including learning experiences despite discomfort it might illicit. Throughout the experience, faculty should demonstrate support, such as allowing students to fail without judgment or to express controversial ideas openly, yet respectfully. Medical educators may wish to role-model courage by communicating openly about their own sensitivities, fears, and failures (Vaughn and Baker 2004; Huddy 2015). A crucial element to these narratives should be a description of how such experiences helped the faculty member to grow professionally and personally.

팁 12 세대 차이 수용
Tip 12 Embrace generational differences

많은 세대가 학술 기관과 의료 센터에서 일상적으로 함께 일합니다. 예를 들어, Satto와 Erwin(2017)은 교수진이 각각 뚜렷한 선호도, 경험 및 관점을 가진 4세대와 동시에 가르치는 것을 종종 발견한다고 나타낸다. 이것이 잦은 논쟁과 오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그것은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발전을 위한 기회이다. iGen 학생들은 비슷한 환경으로 졸업할 것이고 뉘앙스를 인식하고 효과적으로 그들과 함께 일할 필요가 있다. [세대 차이에 대해 배우고 각 세대의 고유한 속성, 장점, 공유 가치에 초점]을 맞추면, [지금은 더 생산적인 교실]로, [나중에는 더 생산적인 헬스케어 환경]으로 이어질 것이다. 다양한 가치관, 관점, 기대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세대의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기술을 조기에 개발하는 것]이 미래의 직업을 위한 핵심이다. 세대 차이에 적응하고 배우기 위해 존중하고 개방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갈등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학생과 교직원이 다세대 환경에서 성공하고 건강 관리 시스템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Many generations routinely work together across academic institutions and health care centres. For example, Shatto and Erwin (2017) indicate that faculty often find themselves teaching alongside (and to) as many as four generations simultaneously, each with distinct preferences, experiences, and viewpoints. While this may lead to frequent points of contention and misunderstanding, it is an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and personal development. iGen students will be graduating into similar environments and need to recognize the nuances and effectively work with them. Learning about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focusing on each generation’s unique attributes, strengths, and shared values, will lead to a more productive classroom now and healthcare environment later. Early development of skills to work with individuals from various generations who may hold different values, perspectives and expectations is key for future careers. Remaining respectful and open to adapt and learn from generational differences will not only alleviate conflict but also help students and faculty succeed in a multigenerational environment and meaningfully participate in the health care system.

결론
Conclusion

iGen 학생들의 고유한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에게 더 긍정적인 학습 환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원치 않는 변화를 강요하지 않고 대신 평생 학습과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조정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이 12가지 팁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iGen 학생들이 번창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교육자들이 현재 있는 이 세대를 만나고 미래의 의료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우리는 앞으로 세대를 위해 더 나은 교육자가 될 수 있다.
Seeking to better understand the unique attributes of iGen students can lead to a more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both learners and educators. Working to incorporate these twelve tips in manners that do not force undesired change, but instead lead to adjustments that promote lifelong learning and skill development, will enable iGen students to thrive. If educators meet this generation where they currently are and support their growth as future healthcare professionals, we can become better educators for generations to come.

 

용어집
Glossary

iGen(Z세대 또는 Z세대라고도 함)
iGen (also known as Generation Z or Gen Z)

대부분의 세대 전문가들은 iGen 구성원들이 [1995년에서 2012년 사이]에 태어났다는 것에 동의한다. 이 세대는 인터넷의 광범위한 성장, 스마트폰의 사용, 소셜 미디어의 부상으로 형성되었는데, 여기서 특징적인 특징은 제한된 대면 상호 작용, 사회적 포용성, 그리고 정보에 대한 즉각적인 접근과 전달에 대한 높은 기대를 포함한다.
Most generational experts agree that iGen members were born between 1995 and 2012. This generation has been shaped by the widespread growth of the internet, use of smartphones, and the rise of social media, in whic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clude limited face-to-face interactions, social inclusivity, and high expectations regarding the immediate access to and delivery of information.

Twenge JM. 2017. iGen: why today’s super-connected kids are growing up less rebellious, more tolerant, less happy--and completely unprepared for adulthood. New York: Atria Books.

밀레니얼 세대(Y세대 또는 Y세대라고도 함)
Millennial (also known as Generation Y or Gen Y)

대부분의 세대 전문가들은 밀레니얼 세대가 [1981년에서 1995년 사이]에 태어났다는 것에 동의한다. 이 세대는 높은 대출 부채, 감소하는 고용 시장, 기술 성장 및 과잉 보호 부모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여기서 독특한 특징은 자신감, 낙관주의, 디지털 연결 및 강한 자기 집중을 포함한다.
Most generational experts agree that millennials were born between 1981 and 1995. This generation has been shaped by high loan debt, a declining job market, technological growth and overprotective parents, in which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clude confidence, optimism, digital connection, and a strong self-focus.

Twenge JM. 2014. Generation Me: why today's young americans are more confident, assertive, entitled--and more miserable than ever before (revised and updated). New York: Atria Books.

브레이브 스페이스
Brave Space

용감한 공간은 학생들이 그들의 개인적인 편안한 영역 밖에서 배우도록 격려받고 도전적이고 논쟁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장소이다.
A brave space is a place where students are encouraged to learn outside of their personal comfort zone and address challenging and controversial issues.

Arao B, Clemens K. 2013. From safe spaces to brave spaces: a new way to frame dialogue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In: Landreman L, editor. The art of effective facilitation. Sterling (VA): Stylus; p. 141.

 


Med Teach. 2021 Nov;43(11):1249-1254. doi: 10.1080/0142159X.2020.1845305. Epub 2020 Nov 11.

Twelve tips for interfacing with the new generation of medical students: iGe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epartment of Foundational Medical Studies, Oakland University William Beaumont School of Medicine, Rochester, MI, USA.

PMID: 33174808

DOI: 10.1080/0142159X.2020.1845305

Abstract

iGen, or Generation Z, is the newest generation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to enter the classroom. This generation represents the first cohort of students in which technology has been present in all aspects of their lives. Since birth, the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boom of social media and wide-spread internet availability, leading to decreased face-to-face interactions and a desire for immediate access to information.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should recognize the unique attributes of iGen students in order to foster student success and create a more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following twelve tips examine the research-bas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iGen students and highlight important concepts to consider when modifying current pedagogy to better support their needs. Incorporating these tips as an educator can promote lifelong learning and skill development for iGen students and empower this generation to thrive.

Keywords: Generation Z; generational differences; iGen; medical education; teaching.

 

학부의학교육과정에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교육과정 도입: 교수 경험의 질적 분석 (Acad Med, 2022)
Implementing a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urriculu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Faculty Experience 
Maralyssa Bann, MD, Savannah Larimore, PhD, Jessica Wheeler, and Lauren D. Olsen, PhD 

그 증거는 압도적이다: 현대 미국 사회에서 건강 불평등의 주요 결정 요인은 생물 의학이 아니라 사회적이다.  ( 1910년 에이브러햄 플렉스너의 보고서와 의학 실증주의, 연구, 과학적 방법에 초점을 맞춘 것에 큰 영향을 받았던) 의학 교육이 기초와 임상 과학 중심의 커리큘럼을 유지해 왔지만, 미래의 의사들이 건강 불평등의 근본적인 사회적 원인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의학계 내에서 이러한 광범위한 문화적 변화는 최근 인가 기관에 의해 교육 커리큘럼에 관련 자료를 통합하도록 의무화된 의대에서 쉽게 관찰된다. 예를 들어, LCME는 "흔한 사회적 문제의 의학적 결과에 대한 진단, 예방, 적절한 보고 및 치료에 대한 지침"을 포함할 것과 "의료 격차가 모든 인구에 미치는 영향 인식 및 의료 격차를 제거하기 위한 잠재적 방법"을 포함할 것을 요구한다.
The evidence is overwhelming: the primary determinants of health inequities in contemporary U.S. society are social, not biomedical. 1–6 Although medical education—heavily influenced by Abraham Flexner’s 1910 report and its focus on medical positivism, research, and the scientific method 7—has maintained a primarily basic and clinical sciences–driven curriculum, there are mounting calls that future physicians should be trained to be aware of the fundamental social causes of health inequity and should be capable of addressing them. 8–14 These broader cultural shifts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 are readily observed in medical schools, which have recently been mandated by accrediting bodies to integrate relevant material into their educational curriculum. For example,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requires the inclusion of “instruction in the diagnosis, prevention, appropriate reporting, and treatment of the medical consequences of common societal problems” 15 in addition to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disparities in health care on all populations and potential methods to eliminate health care disparities.” 16

의과대학들은 주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SDOH)을 중심으로 한 커리큘럼 개발을 통해 이 요구에 대응해 왔다. 학자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주제에 대한 콘텐츠 구현 및/또는 옹호를 보고했다. 

  • 문화적 역량; 
  • 반인종차별주의 
  • 비판 의식; 
  • 사회 정의 
  • 사회 의학; 그리고. 
  •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 또한 원주민 건강 및 성소수자 관리와 같은 중점 영역도 포함됩니다. 

Medical schools have responded to this call largely via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center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SDOH). Scholars have also reported implementation of and/or advocacy for content on topics such as

  • cultural competence 17; antiracism 18; critical consciousness 19; social justice 20,21; social medicine 22; and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23 as well as areas of focus, such as Indigenous health 24 and LGBT care. 25 

이러한 새로운 교육 제공에 대한 과정 자료, 구조 및 평가 전략은 상당히 다양하며, 불평등 및 격차와 같은 개념을 논의하기 위한 수단으로 SDOH를 사용하는 의학 교육 방식은 여전히 중요한 비판 영역으로 남아 있다. 단순성을 위해, 우리는 이러한 유형의 과정을 SDOH 커리큘럼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분류는 잠재적으로 광범위하고 이질적인 내용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The course material, structure, and assessment strategies for these new educational offerings vary considerably, 26,27 and the method by which medical education uses the SDOH as a means to discuss concepts such as inequity and disparity remains an important area of critique. 28 For simplicity, we refer to these types of courses as SDOH curricula while recognizing that this categorization reflects potentially broad, heterogeneous content.

SDOH 커리큘럼에 대한 현재 의학 교육 문헌의 대부분은 학생의 경험과 결과를 조사한다. 비록 이러한 경험들이 학생 결과의 분석을 보완하는 "현대의 전문적 실천으로의 창"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한 과정을 설계하고 지도하는 의사-교수의 경험에 대한 관심은 적다. 의대 내 [의사-교수]의 위치성은 학생들이 권력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다른 조직 행위자들(예: 총장, 과장, 학장, 부서장)과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도록 만든다. 또한 의대생은 [미래를 대표]하지만 의사-교수 구성원은 임상의학과 학술의학의 [현재를 대표]한다. 그러므로, 의사-교수의 행동은 반영할 뿐만 아니라 직업의 더 넓은 문화적 변화에 기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새로운 SDOH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가르친 대규모 의과대학의 의료 교육자들의 경험을 탐구했다. 우리의 목표는 새로운 SDOH 관련 교육 콘텐츠 구현의 과제와 기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수진 선정, 훈련 및 지원을 위한 핵심 영역을 식별하는 것이었다.
Much of the current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on SDOH curricula examines the student experience and outcomes. 29–34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experiences of the physician-faculty who design and instruct these courses even though these experiences may provide a “window into contemporary professional practice” that complements analyses of student outcomes. 35 The positionality of physician-faculty within medical schools makes them privy to interactions with organizational actors (e.g., presidents, chiefs, deans, division leaders) that are substantively different from the ways that students interact with those in positions of power. Furthermore, although medical students represent the future, physician-faculty members represent the present of clinical and academic medicine. Therefore, their behaviors not only reflect but may also contribute to broader cultural shifts in the profession. 36 To address this gap, we explored the experiences of medical educators at a large medical school who designed and taught a new SDOH curriculum. Our goal wa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implementing emerging SDOH-related educational content and to identify key areas of focus for faculty selection, training, and support.

방법
Method

스터디 디자인
Study design

우리의 연구 설계와 분석은 교육과정 구현에 대한 [비판적 교육학적 관점]과 [사회 구성주의적 접근법]의 핵심 이론적 통찰력에서 inform되었다.

  • [비판적 교육학]의 핵심은 이론과 실천을 [상호 구성적]으로 본다. 이 교육학의 구현할 때, 실무자들은 [권력 관계]를 조사하고 변화시키려고 한다. — 교실뿐만 아니라, 조직과 직업에서도 [보다 공정한 사회]를 향해 노력한다.
  • [사회구성주의적 접근법]은 사람들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의미를 만들고, 특정 집단 내에서 가치와 규범을 반영, 유지, 수정하는 행동에 참여하는지]를 이해하고, 우리의 경우 교직원을 더 넓은 사회 세계 내에 위치시킨다.
  • 이 둘을 결합하면서, 우리는 교수진이 SDOH 커리큘럼의 구현에 참여하는 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경험했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따라서 이러한 지향점과 함께 본 프로젝트는 형평성 및 차별과 관련된 커리큘럼의 설계 및 구현과 함께 교직원 경험에 대한 이전 작업과 일치한다.

Our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are informed by core theoretical insights from the critical pedagogical perspective 37 and social constructionist approache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38,39 

  • Critical pedagogy, at its core, sees theory and practice as mutually constitutive. In the implementation of this pedagogy, practitioners seek to interrogate and transform power relations 40—not only in their classrooms but also in their organizations and their professions to work toward a more just society.
  • Social constructionist approaches situate a person—in our case, a faculty member—within the broader social world, understanding how people make meaning with others and engage in actions that reflect, maintain, or modify the values and norms within particular groups38 for example, within a medical school.
  • In combining the critical pedagogical approach with a social constructionist lens, we aimed to understand how faculty interpreted and experienced engaging in the implementation of an SDOH curriculum. Thus, with this orientation, this project is aligned with previous work on faculty experiences with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a related to equity and discrimination. 41

이러한 통찰력을 출발점으로 삼아 SDOH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가르치는 변화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는 반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를 설계하고자 했다. 이와 같이 인터뷰 가이드 내의 많은 질문은 SDOHC에 참여한 교수진의 접근 방식(예: 과정 설계, 교수 실습), 훈련(예: 이전의 정형화된 교육, 교수진 개발), 경험(예: 학생과의 상호 작용 및 교수와 임상 실습 간의 관계)을 중심으로 한다.(인터뷰 가이드는 보충 디지털 부록 1 참조). 이 연구는 워싱턴 대학 기관 검토 위원회에 의해 면제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Taking these insights as our point of departure, we sought to design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that could capture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developing and teaching an SDOH curriculum. As such, many questions within the interview guide are oriented around

  • the approach (e.g., course design, teaching practices),
  • training (e.g., previous formalized education, faculty development), and
  • experiences (e.g., interactions with studen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clinical practice)

of faculty who engaged in the SDOH course (for the interview guide, see Supplemental Digital Appendix 1 at https://links.lww.com/ACADMED/B300). This study was deemed exempt by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Institutional Review Board.

설정 및 참가자
Setting and participants

이 연구는 교육과정 개혁을 진행 중인 대규모 도시 미국 의과대학을 배경으로 한다. 새로운 종단 과정은 다음을 포함하여 학부 의학 교육(UME) 사전 임상 커리큘럼 내에서 비교적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기 위해 설계된 주제는 다음과 같다.

  • SDOH; 
  • 건강 격차 
  • 다양성, 형평성 및 포괄성 
  • 인구와 공중 보건 

개편 전 UME 교육과정에 존재했던 관련 자료를 담당하는 교직원들이 새로운 과정을 계속 진행하도록 초대되었다. 또한, 특히 SDOH 및 인구 건강과 관련된 주제를 가진 관련 전문 지식을 가진 교직원들의 지원 요청이 의대 전체에 보내졌다. 핵심 그룹에는 12명의 교수진(10명의 테마 리더와 2명의 코스 디렉터)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들 중 절반은 의과대학의 UME 과정에서 경험이 있었고 절반은 커리큘럼에 처음이었다.
This study was set in a large, urban U.S. medical school undergoing curricular reform. A new longitudinal course was designed to cover a relatively broad range of themes within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preclinical curriculum, including the SDOH; health disparities;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and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Faculty members responsible for relevant material that had existed in the UME curriculum before reorganization were invited to continue with the new course. In addition, a call for applications from faculty members with relevant expertise, particularly with topics related to the SDOH and population health, was sent to the entire medical school. The resulting core group included 12 faculty members—10 theme leaders and 2 course directors. Half of these individuals had previous experience within the medical school’s UME courses and half were new to the curriculum.

각 [테마 리더]는 [특정 테마에 대한 과정 내용을 개발]하고, 해당 테마에 대한 [대규모 그룹 교육 지침]을 제공해야 했습니다. 또한, 각 교수진에게는 모든 주제의 자료가 논의되고 추가로 탐구되는 종단적 소그룹 토론 섹션이 할당되었다. 교수진은 정기적으로 모든 자료를 일괄 검토하여 소그룹 콘텐츠 전달을 위한 오리엔테이션과 준비를 서로에게 제공하고 콘텐츠 개발자에 대한 동료 검토와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Each theme leader was responsible for developing course content for their specific theme as well as delivering any large group didactic instruction for that theme. In addition, each faculty member was assigned a longitudinal small-group discussion section in which material from all themes was discussed and explored further. The faculty group regularly reviewed all material collectively, providing orientation and preparation to each other for small-group content delivery as well as peer review and feedback to the content developer.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과정 시행 2년차인 2019년 봄에 12명의 핵심 교직원 전원에게 이메일 초대를 통해 연구 참여를 요청했다. 11명이 응답하고 인터뷰를 완료했다. 1명의 참가자는 나중에 인터뷰 자료 사용 허가를 취소하고 최종 10명의 인터뷰 샘플을 작성했다. 참가자 수가 적다는 점을 감안할 때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보고하지 않는다. 대부분은 비히스패닉 백인, 이성애자, 시스젠더 여성으로 확인됩니다. 대부분은 의사(MD 학위 보유)로 교육을 받았으며 과정 외의 임상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Study participation was solicited via email invitation to all 12 core faculty members during spring 2019 in the second year of course implementation. Eleven responded and completed the interview; 1 participant later rescinded permission for use of interview material, producing a final sample of 10 interviews Given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we do not repor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preserve confidentiality. Most identified as non-Hispanic White, heterosexual, cisgender women. Most were trained as physicians (holding an MD degree) and served in clinical roles outside the course.

대부분의 인터뷰는 참가자가 편리한 장소에서 직접 진행되었다. 두 명은 화상 회의 플랫폼(줌)을 사용하여 가상으로 수행되었다. 약 60분 동안 진행된 각 인터뷰는 음성으로 녹음되고, 정확하게 기록되었으며, 클라우드 기반 정성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업로드되었다.
Most interviews occurred in-person at a site convenient to the participant; 2 were conducted virtually using a videoconferencing platform (Zoom). Each interview, lasting approximately 60 minutes, was audio-recorded, transcribed verbatim, and uploaded to a cloud-based qualitative analysis software program (Dedoose 9.0.17 for Windows, SocioCultural Research Consultants LLC, Los Angeles, California).

분석
Analysis

연구팀에는 내과의사와 의료교육자(M.B.), 의료사회학 및 보건전문교육 전문가(S.L.과 L.D.O.) 2명과 연구진(J.W.) 1명이 포함됐다. 우리는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근거 이론 접근법]을 사용했다. 연구팀의 3명(M.B., S.L., J.W.)은 SDOH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교수진의 경험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며, 2개의 초기 녹취록을 개별적으로 읽고, 개방형 line-by-line 코딩을 행하였다. 초기 코드북은 공동으로 개발되고 조정되었으며, 나머지 기록은 2명의 팀원(M.B.와 J.W.)에 의해 한 줄씩 코드화되었다. 다음으로 연구팀이 만나 축 코딩 구조를 결정하고 코드 간의 조직 관계를 정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직원들이 겪는 제약이나 긴장을 중심으로 한 여러 주제를 발견했다. 비판적 교육학과 사회 구성주의 관점의 통찰력을 결합하여, 우리는 이러한 주제의 많은 부분이 교수진이 구성원인 다른 그룹의 활동 또는 규범을 반영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예: 전문 사회에 의해 지시된 변화, 특정 학교의 문화, 교실 공간 내에서 수용된 관행).
The research team included an internal medicine physician and medical educator (M.B.), 2 experts in medical sociology and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S.L. and L.D.O.), as well as a research staff member (J.W.). We used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42,43 to analyze the data.

  • Three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M.B., S.L., and J.W.) independently read and performed open, line-by-line coding of 2 initial transcripts,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faculty experie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SDOH curriculum.
  • An initial codebook was developed and reconciled collectively, and the remainder of the transcripts were coded line-by-line by 2 team members (M.B. and J.W.).
  • Next, the research team met to determine axial coding structures and to define organizing relationships among codes.
  • During this process, we found several themes oriented around constraints encountered or tensions experienced by faculty members.
  • Combining insights from critical pedagogy and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s, we noticed that many of these themes reflected activities and/or norms from different groups of which faculty were members (e.g., changes dictated by professional societies, the culture of their specific school, accepted practices within a classroom space).

우리의 핵심 코드를 분석함에 있어, 우리는 특히 [성별과 인종에 의한 사회적 불평등]을 시정하기 위해 시도된 [의학 교육의 비공식 메커니즘(예: 멘토링 관계, 무급 감정 노동)에 대한 작업]에서 얻은 중요한 통찰력을 끌어냈다. 마찬가지로, 의과대학을 [성별화되고 인종화된 조직]으로서 연구한 한 발머 외 연구진과 응게메니 티아코 외 연구진의 작업을 통해, 이러한 [경험과 비공식적인 교육 메커니즘]이 더 넓은 맥락 속에서 [교수진의 이해와 경험을 포지셔닝하는 프레임워크] 내에 어떻게 위치하는지 조사했다. 그런 다음 이러한 통찰력을 사용하여 각 주요 테마를 전문가, 조직, 상호 작용 또는 개인 내 영향력 수준으로 분류했습니다. 이 최종 모델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팀 구성원들이 집합적으로 논의하고 합의했다.
In analyzing our key codes, we drew on the important insights from work on the informal mechanisms in medical education (e.g., mentoring relationships, unpaid emotional labor) that attempt to redress social inequalities, particularly those by gender and race. 44,45 Likewise, informed by the work of Balmer et al 46 and Nguemeni Tiako et al 47 on medical schools as gendered and racialized organizations, we examined how these experiences and informal mechanisms of instruction were situated within a framework that positions faculty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within the broader context. Using these insights, we then categorized each primary theme as a corresponding level of influence: professional, organizational, interactional, or intrapersonal. All research team members collectively discussed and agreed on this final model.

결과
Results

전반적으로, 교직원들은 [수업 자료의 중요성]과 [혁신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성찰과 [많은 도전]에 대한 좌절과 실망으로 엇갈린 감정적 반응을 공유했다. 교수진은 전문적, 조직적, 상호작용적, 그리고 개인 내의 4개의 집중적 수준에서 과정 참여를 경험하고 처리했습니다. 그림 1에 표시된 것처럼, 우리는 이 수준들이 서로 중첩된 것으로 상상한다. 따라서 [외부 수준에 존재하는 문제]는 [내부 문제]에 영향을 미치지만 반드시 반대 방향인 것은 아니다.
Overall, faculty members shared mixed emotional responses with positive reflect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course material and the excitement of developing innovative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frustration and disappointment at many of the challenges. Faculty experienced and process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course at 4 concentric levels: professional, organizational, interactional, and intrapersonal. As shown in Figure 1, we envision these levels as nested within one another. Therefore, the issues present in an outer level affect the inner ones but not necessarily in the opposite direction.

[전문직업적 수준]에서, 교수진들은 [의사와 의학 교육의 진화하는 본질]과 씨름했다. 참가자들은 의학의 실천과 가르침이 이제는 [사회의 맥락 안에서 건강을 상황화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SDOH, 사회 정의, 억압 시스템(예: 체계적 인종차별)]과 같은 개념에 익숙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들은 이것을 직업의 긍정적인 발전으로 보았고, 특히 자신의 훈련 경험과 비교했을 때 이러한 변화가 의미 있다고 느꼈다.
At the professional level, faculty grappled with the evolving nature of physicianhood and medical education. Participants acknowledged that the practice and teaching of medicine now include situating health within the context of society and require familiarity with concepts such as the SDOH, social justice, and systems of oppression (e.g., systemic racism). They noted this as a positive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 and felt these changes to be meaningful, especially when compared with their own training experiences:

의대에서 배웠으면 좋았을 텐데…. 이것은 마치 여러분이 이것을 알아야만 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이 실제로 나타날 때 문제가 될 것입니다. 우리가 배운 것처럼 말이죠. 여러분도 알다시피, 명시적인 커리큘럼 없이 가는 길에 말이죠. (인터뷰 1)
This is stuff I wish I would’ve learned in medical school…. It’s like you need to know this or else you’re actually going to be kind of problematic when you show up, like we were, as we kind of learned it, you know, along the way without an explicit curriculum. (Interview 1)


그들은 또한 [과거의 공식 커리큘럼 부족]의 잠재적인 영향을 인정했다.
They also acknowledged the potential effect of a lack of previous formal curriculum:

의학 교육의 구성 요소로서 사회학은 거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오늘날의 임상의와 교수진이 그러한 주제에 대해 가르칠 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 분야가 그 능력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7)
There [has been] very little sociology as a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And because of that, I don’t feel like today’s clinician and today’s faculty are well prepared to teach on those topics. And so I feel like this is an area where that competency needs to be developed. (Interview 7)

이처럼 교직원들은 최근 의료교육 콘텐츠가 확대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지식기반과 표준의 추가적인 개발 필요성을 강조했다.
In this way, faculty members appreciated the recent expansion of medical education content while highlighting the need for additional development of knowledge base and standards.

교수진은 또한 의학교육이 역사적으로 중요시했던 범위를 넘어서는, [전문성expertise의 개념을 넓힐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의사-교수 구성원들은 관련 [비의학 분야에서의 훈련의 가치]뿐만 아니라 [실제 경험의 가치]도 확인했다. 그 일환으로, 그들은 학생들과 관련된 전문적인 측면에서 그들의 전문적인 한계를 인식했다.
Faculty also described the need to broaden the concept of expertise beyond the purview of what medical education historically valued. For example, physician-faculty members identified the value of training in related nonmedical fields as well as the value of lived experience. As part of this, they recognized their professional limitations in terms of expertise in relation to their students:

어떤 면에서는 학생들이 주제에 대한 이해가 훨씬 더 앞선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다른 환경에서 자랐고, 다른 경험과 다른 언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인터뷰 5)
I think that the students in some ways are so much more advanced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topics…. They’ve grown up in a different environment and had a different set of experiences and a different language. (Interview 5)

[조직 차원]에서 교직원들은 특정 의대의 역학과 그들의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했다. 종종 이 수준에서 확인된 도전은 [의학 내에서 제도화된 인종차별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과 같은 [전문직업적 수준에서 발생한 발전]에서 비롯된다. 특히, 조직 수준은 보다 구체적으로 의과대학의 문화와 환경, 그리고 [의과대학이 [전문직업적 수준에서 시작된 변화]를 어떻게 [조직적으로 탐색하는지]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자신들의 [SDOH 커리큘럼]이 [의대 내 인종차별과의 광범위한 직면에 대한 반응]으로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사용된다고 인식했다.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aculty interpreted the dynamics of their particular medical school and its effect on their work. Often, the challenges identified at this level stemmed from developments that occurred at the level of the profession, such as reckoning with the historical context of institutionalized racism within medicine. Notably, the organizational level more specifically reflects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a medical school and how that medical school organizationally navigates changes initiated at the professional level. For example,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SDOH curriculum to be explicitly or implicitly used by the medical school as a response to the broader confrontation with racism within the medical school:

의과대학은 이미 학생들 사이와 학생들 사이의 긴장의 측면에서 인종 관계에 많은 긴장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교수진과 가르치는 내용에 더 많은 다양성을 요구했다. (인터뷰 9)
The medical school was already experiencing a lot of tension with race relations in terms of tension amongst the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 requesting more diversity in the faculty and in the contents that are being taught. (Interview 9)
성공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매우 고통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만약 학생들과 학교 사이에 이러한 긴장감이 있고, 우리가 이 주제를 가르치는 최전선에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망치는 최전선에 서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죠? (인터뷰 5)
There are times when it’s incredibly painful because it just feels like you’re not set up for success … because if there’s somehow this tension with students and the school and we’re sort of on the front lines of teaching this topic we’re then sort of on the front lines of screwing it up, right? (Interview 5)

교직원들은 종종 [학생들]과 [광범위한 의과대학 지도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새로운 자료가 어떻게 받아들여질지]에 있어 잠재적인 [조직적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다.
Faculty often found themselves positioned between students and the broader medical school leadership and were cognizant of potential organizational limitations in terms of how new material might be received:

저는 학교가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것의 한계]를 확장시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2)
I think we’re pushing the limits of what the school is going to be comfortable with. (Interview 2)

또한 현재의 의학교육 구조 내에서 [적절한 내용의 정의]와, 그 [우선순위에 대한 전문가들의 질문]을 의과대학 수준에서 생각하였다. 참가자들은 의대가 제공하는 시간과 교직원, 재원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평가절하감을 표현했고, [기초·임상과학 동료들과 경쟁하고 있다는 느낌]을 자주 받았다. 많은 참가자들이 코스 개발 과정을 서두르고 차선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In addition, questions engaged with by the profession about defining appropriate content and its prioritization within current medical education structures were felt at the level of the medical school. Participants expressed a sense of being devalued, pointing to the lack of time, faculty, and monetary resources that were provided by the medical school, and often felt that they were in competition with their basic and clinical sciences colleagues. Many participants described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ourse as rushed and suboptimal:

비행기가 이륙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비행기를 만드는 느낌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4)
I think everyone kind of felt like there’s this sense of building the airplane as it’s taking off. (Interview 4)

교직원들은 또한 점점 더 많은 양의 콘텐츠를 다루도록 요청받았지만, 시간에 제약을 받아 UME 커리큘럼의 나머지 부분과 격리되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Faculty also felt that they were being asked to cover an increasing amount of content but were constrained by time and siloed from the rest of the UME curriculum:

핵심은, 우리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콘텐츠를 확산시키는 과정이 되는 것]과 [의대생을 개발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것을 덤핑해버리는 장소가 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입니다. (인터뷰 11)
[It’s] a balance of us being a course that has content that spreads over a lot of different areas versus becoming the dumping ground for … anything related to developing a medical student. (Interview 11)

이러한 감정은 그들이 교육적 노력의 초점을 잃어가고 있고, 귀중한 내용을 누락하거나 희석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로 이어졌다.
This feeling led some to worry that they were losing the focus of their educational efforts and might be omitting or diluting valuable content.

교수진은 또한 이 과정이 중요하고 성취감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이 과정이 반드시 그들의 교수로서의 academic pathways로 이해받거나, 가치있게 존중되지는 않았다고 논평했다.
Faculty also commented that although they found the work to be important and fulfilling, the course was not necessarily understood or highly regarded within their academic pathways:

솔직히 말해서, 제 부서별 승진 및 평가에서, 그들은 [이 과정]이 무엇이고 왜 제가 그것을 가르치고 있는지 전혀 알지 못합니다. (인터뷰 10)
Frankly, in my own promotion and assessment by my divisions … they really have no idea what [this course] is and why I’m teaching it. (Interview 10)

[상호작용적 차원]에서 교수진은 일반적인 수업 환경과 학생들과의 대인관계 의사소통을 포함한 수업 경험을 조사했다. [전문직업적 수준] 또는 [조직 수준]에서 발생한 문제의 영향은 일반적으로 이 수준에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교사들은 불평등과 건강 격차에 대해 가르칠 때 교실 역학을 반영했다. 대체로 수업 자료와 함께 어느 정도 '필요한 긴장감'(인터뷰 6)을 기대하며 교실에 왔다. 참가자가 설명한 바와 같이:
At the interactional level, faculty examined the classroom experience, including the general teaching environment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 students. Effects of the issues that originated at the professional or organizational level were commonly identified at this level. In particular, faculty reflected on the classroom dynamics when teaching about inequity and health disparities. Largely, they came to the classroom anticipating some degree of “necessary tension” (Interview 6) with the course materials. As a participant described:

의학에서 인종차별의 역사는 꽤 끔찍하다. 그래서, 여러분은 그것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하고, 그 내용을 이해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해야 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사용하여 그것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하며, 그것에 의해 마비되는 것이 아니라 의학을 발전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인터뷰 11)
The history of racism in medicine is pretty horrifying. So, you have to be able to get around that, get into that content and feel comfortable … [T]o understand what’s happened and to be able to talk about that in a way of using it as a base to move forward and change medicine rather than kind of being paralyzed by it. (Interview 11)

교직원들은 이런 불편함을 예상했지만, 예상치 못한 교실 내 정서적 긴장감에 놀랐고, 학생들과 함께 '안심하고 불안한 땅으로'(인터뷰4) 이동하는 모습을 묘사했다. 긴장의 원천은 다양했지만 종종 콘텐츠 개발에 관한 학생들의 피드백과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교수진은 특정 주제가 의도치 않게 삭제되었거나, 더 심층적인 맥락적 논의가 부족하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Although faculty anticipated this type of discomfort, they were surprised by an unexpected emotional tension in the classroom, and they described moving from “secure to shaky ground” (Interview 4) with students. Sources of tension were varied but often related to student feedback concerning content development. For example, faculty received feedback that certain topics were inadvertently erased or lacked deeper contextual discussion:

매년 [특정 그룹이 콘텐츠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두드러지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것은 진화하는 과정이고 나는 [시간 제약]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매우 창의적이어야 하고 여전히 대표가 되려고 노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인터뷰 9)
Every year it seems to be that a certain group stands out as not being represented in the content…. So it’s an evolving process and I have to be very creative in how to maintain [within time constraints] and still be able to try to be representative. (Interview 9)

다른 경우에는 역진행 교실과 같은 실천을 통해 콘텐츠 전달에 긴장이 집중되어, [소외된 정체성을 가진 학생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었다.
In other cases, tension focused around content delivery, often through the use of practices such as the flipped classroom, which placed an undue burden on students with marginalized identities:

[유색인 학생들]은 '왜 여태까지 내가 고생하거나 살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사람들을 교육해야 하는가?'라고 느낀다 (인터뷰2)
[Students of color] felt like, why do I have to educate people based on my experience and lived hardship or path thus far? (Interview 2)

이러한 콘텐츠 개발 및 전달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교수진은 공통적으로 [학생들의 토론을 촉진하고, 적극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표준 접근 방식]이 이 과정의 학습 환경에 불충분하고 잠재적으로 해롭다고 느꼈다. 교수들은 SDOH의 의미를 만들기 위한 적절한 분석적 깊이를 제공할 수 없고, 일부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더 많은 물질적, 감정적 노동에 참여하도록 요청받고 있다고 걱정했다. 교수들은 또한 [표준화된 기대치]를 생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학습자마다 이해와 참여 정도가 다르다는 점에 주목했다.
In light of these experiences regarding content development and delivery, faculty commonly felt that their standard approaches to facilitate discussion and foster active learning for students were insufficient and potentially harmful to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course. They worried that they were unable to provide the appropriate analytic depth to make meaning of the SDOH and that some students were being asked to engage in more material and emotional labor than others. They also struggled to generate standardized expectations and noted that different learners had different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때로는 정말 열정적인 사람들을 이 코스의 모든 것에 맞는 한 사이즈에 맞추는 것이 힘들지만, 정말로 그것을 가지고 뛰고 싶어하는 학생들과, 그렇게 많이 뛰지는 않으려는 학생들이 있다. (인터뷰 10)
It’s sometimes hard to fit people who are really passionate … into the one size fits all of this course … but there are some students who really want to run with it and there are some students who will not run with it as much. (Interview 10)
어떤 사람들이 준비되었다고 느끼고, 다른 그룹이 준비하지 않을 때는 항상 힘들어요. 그리고 당신은 교육적인 관점에서 궁극적으로 옳은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최소한의 공통분모]에 영합하는 것과 같습니다. (인터뷰 1)
It’s always tough when people feel ready and then the other group doesn’t. And then you’re kind of like catering to the least common denominator, even though that’s I think ultimately the right thing to do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nterview 1)

마지막으로, 교수진은 특히 [그들의 위치나 개인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는 주제]를 논의할 때 자격과 전문성에 대한 질문에 직면했다.
Finally, faculty encountered questions of qualification and expertise, especially when discussing topics incongruous with their positionality or personal identity:

학생들 중 한 명은 세션 중에 시스젠더 여성이 되는 것 외에 다른 것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는지 물었습니다. 그 외에 다른 것은 저의 살아있는 경험이 아니기 때문에요. (인터뷰 4)
One of the students asked during the session how can you talk about anything other than being a cisgender woman … and teach about anything other than that because that’s not your lived experience. (Interview 4)

마지막으로, [개인 내 수준]에서 교수진은 자신의 감정, 가치, 역할을 고려했다. 강의실 상호작용, 조직적 제약, 전문적 변화에 대응하여 교직원들은 자신의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정체성을 재평가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 지원 구조]를 도출했다. 이 과정에서 만난 [학생들의 피드백]과 [교실에서의 상호작용]은 교직원들에게 강력한 경험이었고, 상당한 자기 성찰을 촉매했다. 참가자들은 [SDOH 과정에서 접하는 주제를 가르치는 것]이 어떤 식으로 [학습자에게 개인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공간에서 발생한 실수]의 영향은 어떤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Lastly, at the intrapersonal level, faculty considered their own emotions, values, and roles. In response to classroom interactions, organizational constraints, and professional shifts, faculty drew on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structures to reevaluate their professional and personal identities. The student feedback and classroom interactions encountered during this course were powerful experiences for faculty members and catalyzed significant self-reflection. Participants described coming to terms with how teaching the topics encountered in the SDOH course had a personal effect on learners and the ramifications of mistakes made in this space:

위험성이 높은 일부 주제의 경우… 만약 우리가 실수를 한다면, 그것은 우리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에 정말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터뷰 11)
For some of the topics that are high-risk … if we make a misstep, it can really impact the students’ trust in us. (Interview 11)
제 생각에 이것은 제가 수업 중에 실제로 사람들에게 상처를 준 적이 있는데, 이것은 제 교육 경력에서 완전히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말하자면, 저는 우리가 이렇게 하는 방식으로 몇몇 학생들에게 피해를 입혔습니다. (인터뷰 1)
I think this … was one of the times where I was like, wow, we actually have hurt people when we’re teaching, which was a completely new experience for me in my educational career. To be like, I have harmed some students by the way that we’re doing this. (Interview 1)

많은 이들이 조심스러운 감정을 묘사한 반면, 일부는 낙담했다.
Many described feelings of caution, while some expressed dejection:

그것은 너무 긴장되어서 나는 자신감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나로 하여금 말을 너무 조심하게 하여 때때로 교육에 좋지 않을 수도 있다. (인터뷰 4)
It became so tense that I found myself losing confidence … and it led me to start to be so careful with my words that it could probably at times not be good, actually, for education. (Interview 4)
이 모든 세월을 나 자신을 훈련시키거나 훈련을 받기 위해 보냈다고 생각하면 정말 환멸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나는 마침내 의대생들에게 그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나는 내가 완전히 실패한 것처럼 느껴졌다. (인터뷰 9)
It really made me disillusioned to think that I spent all these years trying to train myself or get training … and here I am finally presenting it to medical students, and I felt like I just completely failed. (Interview 9)

이러한 감정에 직면했을 때, 그들은 자신의 임상 및 교육 공간 내에서 과정에 참여 중인 [교수진 동료나 다른 사람들의 지원]을 구했습니다. 이러한 [상담과 성찰]을 통해 참가자들은 [겸손함을 개발]하고, [전문 지식을 재정의]함으로써 그들의 교육 접근 방식을 재구성했다.
When confronted with these feelings, they sought support from in-course faculty peers or others within their clinical and educational spaces. Through this counseling and reflection, participants reconstructed their teaching approach by developing humility and redefining expertise:

나는 내가 가르침에 대해 항상 겸손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증가한 것이 있다면… 저는 학생들로부터 배울 것이 많다고 생각하고, 그 후에 그들을 초대하는 느낌으로 그것을 다시 반영하고 우리가 의미 있는 토론을 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인터뷰 5)
I hope I’ve always had some humility around my teaching. And I think if anything that’s increased through this course…. I feel like I have a lot to learn from the students and hopefully can then reflect that back in a way that feels inviting to them and create a safe environment for us to have meaningful discussions. (Interview 5)
저는 제가, 모두가 해야 했던, 전문가의 역할을 조금은 포기해야만 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녀는 의사들이 종종 가지고 있고 내 학생들에게 더 취약한 전문가 계층적인 것을 가지고 있다. 내가 망친 시간들을 솔직하게 얘기하는 것처럼요. (인터뷰 1)
I think I have had to—everyone has had to—kind of shed the expert role a little bit. Shed the expert hierarchical thing that physicians often have and be more vulnerable with my students. Like tell them straight up the times that I’ve messed up. (Interview 1)


교직원들은 [이 과목에서의 경험]이 많은 면에서 [성장의 원천]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일부는 그것이 그들의 다른 작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공유했다.
Faculty found that their experience in the course was a source of growth in many ways. Some shared that it affected their other work:

나는 [이 과정]에서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병동과 클리닉 모두에서 임상 수업에서도 그러한 개념을 더 많이 활용한다고 생각한다. (인터뷰 5)
Because I am teaching in [this course] I think I bring those concepts to bear more in my clinical teaching as well, both on the wards and in clinic. (Interview 5)

다른 사람들은 교육 내에서 새로운 목적의식을 묘사했다. 많은 사람들은 또한 그들의 정체성과 지위, 특히 인종과 계급의 [특권에 대해 반성]했다.
Others described a renewed sense of purpose within education. Many also reflected on their identities and positionality, especially concerning race and class privilege:

이 과정을 통해 내가 어떻게 아직도 내 인생에서 많은 특권을 누려왔는지, 그리고 내가 가진 나머지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 확실히 눈을 뜨게 되었고, 그래서 나는 그것이 정말로 혁신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뷰 8)
The course has definitely opened my eyes to how I still have had a lot of privilege in my life because of who I am and what the rest of my background is, so I think that’s one thing that’s been really transformative. (Interview 8)

그들은 이러한 [자기 성찰]이 그들이 교외 활동에서 차지하는 [다양한 사회적 역할에서 특권의 영향]에 engage하도록 자극했다고 설명했다.
They described that this self-reflection prompted them to engage with the impact of their privilege in the various social roles that they occupied outside work:

나는 시민적 정체성이 좀 더 있다. 아시다시피, 지역 사회에 대한 제 의무는 무엇이며, 제 아이들이 어떻게 성장하기를 바라나요? (인터뷰 6)
I have … more of a civic identity. You know, what are my duties to my community and also how do I want my children to grow up? (Interview 6)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수준에서 과제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수진은 이 경험에서 자신의 단점과 성장을 위한 영역에 초점을 맞췄다. 따라서 교직원들은 개인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에 대처하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전략화할 수 있는 방법인 [개인의 수준에 초점을 맞춘 성찰과 변화 과정]에 참여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몇몇 동료들의 지원을 받는 것을 제외하고는 의대나 직업 자체가 도전에 대한 해결책의 일부로 식별되지 않았다.
Despite being able to articulate challenges at the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levels, most faculty focused on their own shortcomings and areas for growth in this experience. The faculty members thus engaged in a reflection and change process that was focused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how they personally could grapple with negative responses and strategize a path forward. With the exception of drawing on support from a few peers, generally, neither the medical school nor the profession itself was identified as a part of the solution to challenges.

논의
Discussion

우리의 연구 결과는 대규모 의대에서 새로운 SDOH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가르친 교수진의 경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학습 환경에서 직면한 문제는 종종 더 광범위한 전문직업적 및 조직적 긴장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콘텐츠 설계 및 제공에 대한 표준 접근 방식은 충분하지 않았다. 우리의 결과는 [새로운 SDOH 관련 커리큘럼을 의학 교육에 통합할 때 교수진이 직면할 수 있는 문제]와 [강사의 선발, 훈련 및 지원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비판적 성찰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Our findings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experience of faculty who designed and taught a new SDOH curriculum at a large medical school. Challenges encountered in this learning environment often cascaded from broader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tensions, and standard approaches to content design and delivery were insufficient. Our results speak to the issues faculty may encounter when integrating new SDOH-related curricula into medical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critical reflection to improve how instructors are selected, trained, and supported.

이 연구에 참여한 의사-교수 구성원들은 건강 결과의 동인driver으로서 사회적 맥락에 대한 더 많은 논의를 포함하기 위해 그들의 [전문적인 시야purview]의 확대를 받아들였지만, 그들은 특히 [교육 설계와 내용의 전달] 측면에서 이러한 유형의 작업을 준비하는 데 있어 그들 자신이 받아온 훈련의 한계점과 씨름한다. 동시에 [과정이 개발되고 구현되는 방법]의 대부분을 결정하는 [조직적 제약] 내에서 기능합니다. 이러한 발견은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표명하는 우려를 구체화한다. 역사적으로 의료사회학자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개인주의적이고 생물의학적인 의학적 선호와 인식된 근본적인 불일치에 기초하여 [사회 지향적인 커리큘럼을 의학 교육에 통합할 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관적이었다. 일부 사람들은 [의과대학의 교수진들]이 [(전공분야의) 협소한 범위]를 벗어난 영역에서 질 높은 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서 준비가 되어있지 않고 disincentivize되어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러한 비판은 우리의 결과와 일치하며 SDOH 커리큘럼이 기초 또는 임상 과학과 동일한 수준으로 우선 순위가 지정되지 않음을 확인한 미국 의학 협회의 의료 교육 컨소시엄의 최근 보고서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Although physician-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ve embraced a broadening of their professional purview to include more discussion of social context as a driver of health outcomes, they struggle with the shortcomings of their own training in preparing them for this type of work, especially in term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delivery of material. At the same time, they function within organizational constraints that dictate much of how a course i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se findings embody common concerns expressed by experts in related fields. Historically, medical sociologists have been relatively pessimistic about the prospect of integrating socially oriented curricula into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48 and a perceived fundamental incompatibility with the individualistic, biomedical preferences of medicine. 49–51 Some have argued that faculty at medical schools are ill-equipped and disincentivized for high-quality teaching outside a narrow scope. 52,53 These critiques align with our results and are further bolstered by a recent report from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s Accelerating Change in Medical Education Consortium, confirming that SDOH curricula are not prioritized to the same degree as basic or clinical sciences. 27

비록 의학 교육 내에서 SDOH를 가르치기 위한 일부 일반적인 프레임워크와 합의된 지침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개별 교수 과정 책임자, 콘텐츠 개발자 및 강의실 강사는 주로 [인증 기관에서 요구하는 광범위한 원칙과 개념]을 [교육 환경 내에 직접적인 구현]으로 번역할 책임이 있다. 우리 연구의 참가자들이 경험한 바와 같이, 이러한 커리큘럼의 대부분은 근본적으로 다른 내용과 틀에도 불구하고, 현재 존재하는 구조 내에 통합되어 있으며 의학 교육 전달 및 평가의 확립된 표준화를 고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가자들이 우리의 연구 결과에서 목소리를 냈지만, 대체로 이러한 노력은 성공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Although some general frameworks and consensus guidelines for teaching the SDOH within medical education are beginning to emerge, 13,54 individual faculty course directors, content developers, and classroom instructor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ranslating the broad principles and concepts required by accrediting bodies into direct implementation in an instructional setting. A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our study, most of these curricula are integrated within currently existing structures and are expected to adhere to the established standardization of medical education delivery and assessment, despite their fundamentally different content and framework. As participants voiced in our findings, by and large these efforts have not been set up for success.

[전문직업적 및 조직적 차원의 긴장감]이 교실 내 상호작용에 스며든다. [적절한 접근법에 대한 가이드는 제한적]이면서, 자신이 [교육받아온 과정 중에 유사한 교육을 받지 않은 교직원들]은 자신도 모르게 문제가 있는 교육적 행위를 하고 있었다. 특히, 그들은 이미 소외된 학생들에게 교육의 부담을 전가하지 않고 어떻게 학생들의 생활 경험을 포함시킬 것인가에 대해 고심했다. [징집된 교육과정conscripted curriculum]으로 알려진 이 [종종 부주의한 관행oft-inadvertent practice]에서, 교직원들은 학생들을 징집conscript하여 특정한 사회적 범주의 구성원 자격에 기초한 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또래들에게 가르친다. 예를 들어, 유색인종 학생들은 그들의 백인 동료들과 교직원들에게 인종에 대해 가르쳐야 할 것이다. 교육의 부담을 일부 학생들에게만 전가하면서, 이 학생들은 물질적으로나 감정적으로 큰 타격을 받는다.
Tensions at the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levels permeate classroom interactions. With limited guidance on appropriate approaches and without similar training during their educational pathways, faculty members unwittingly engaged in problematic teaching practices. In particular, they struggled with how to include student lived experience without shifting the burden of instruction to already marginalized students. In this oft-inadvertent practice, known as the conscripted curriculum, 55 faculty members conscript students to teach their peers about social inequalities based on their membership in a particular social category. For example, students of color would be asked to teach their White peers and faculty members about race. In shifting the burden of instruction from faculty to only some students, these students experience both a material and emotional toll.

[교실에서 마주치는 부정적인 상호 작용]과 [그들의 접근 방식이 지속적으로 해를 입혔을 수 있다는 인식]을 조화시키는 것은 암묵적 편향 훈련과 전문성 문헌에 설명된 방식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우리의 참가자들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의료인들은 [완벽해지고자 하는 욕망("침착하고 자신감 있고 편견이 없는 이상적인 전문직 정체성")]과 [실수를 저지르거나 '취약한 실제 정체성'을 전시할 수도 있는 현실] 사이의 긴장감에 몸부림친다. 이와 같은 도전에 대해, 우리의 참가자들이 표현한 바와 같이, 개인의 개인적인 성장과 성취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찰과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 
Reconciling the negative interactions encountered in the classroom and the realization that their approaches may have perpetuated harm challenged our participants in a way consistent with that described in implicit bias training and professionalism literature. 56,57 Medical professionals struggle with the tension between the desire to be perfect—“an idealized professional identity that was calm, confident, and unbiased” 58—and the reality that they might make mistakes or exhibit “an actual identity that was vulnerable.” 58 In response to challenges such as this, as expressed by our participants, reflection and relationship-building are critical in fostering an individual’s personal growth and fulfillment. 59–61

우리 연구의 많은 참가자들은, 그들의 [교육 접근법을 재고]하고, 궁극적으로 "교육을 은행banking으로 보는 개념(여기서 학생은 지식이 "연구"되는 용기vessel입니다.) "에서 벗어나 Freire이야기한 [억압받은 자를 위한 페다고지]와 유사한 과정을 밟는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들은 학생들과 선생님들이 대화를 통해 함께 배우는 것을 향해 나아간다. 의료 교육자 교수진 개발에 대한 현재의 연구는 이질적이며 직업 정체성, 경력 향상 및 유지, 과세 및 소진, 협업 및 생산성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SDOH 의료 교육 문헌은 비판적 교육학 및 실습과 관련된 교수진 개발 접근법에 대한 추가적인 초점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Many participants in our study described rethinking their teaching approach and ultimately taking on a process similar to that championed by Freire in Pedagogy of the Oppressed, moving away from a “banking concept of education” (where the student is the vessel into which knowledge is “deposited”) and toward one in which students and teachers learn together in dialogue. 37 Current research on medical educator faculty development is heterogeneous 62 and includes topics such as professional identity, 63,64 career advancement and retention, 65,66 taxation and burnout, 67 and collaboration and productivity. 68 The SDOH medical education literature would benefit from additional focus on faculty developmental approaches that pertain to critical pedagogy and praxis.

또한 SDOH 커리큘럼의 사회적 구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가운데, 우리의 결과는 전통적인 의학 교육 접근법이 [적절한 콘텐츠를 만들고 제공하는 데 가장 적합한 개인]을 식별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학제간 접근법과 실제 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것은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의료 교육이 발전함에 따라 의사-교수 구성원들은 이전의 생물 의학 또는 임상 교육의 일부가 아닌 새로운 자료를 가르치도록 종종 요청받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습 환경에 중요한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이 문제는 반드시 SDOH 관련 콘텐츠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우리의 결과는 의사-교수 중심의 역사적 모델이 도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의학 교육은 [교육 발전의 중요한 챔피언인 의대생 자신]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관련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는 [academic and community background의 강사들과의 협력적 접근법]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Moreover, with attention paid to the social construction of SDOH curricula, our results highlight that traditional medical education approaches may not identify those individuals best suited to create and deliver the appropriate content. Center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lived experience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As medical education evolves, physician-faculty members are often called on to teach new material that was not part of previous biomedical or clinical training. This issue is not necessarily specific to SDOH-related content, although there may be important ramifications for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contex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istorical model centering physician-faculty should be challenged. Medical education would benefit from a collaborative approach with instructors from academic and community backgrounds who bring broad relevant expertise as well as with medical students themselves, who are important champions of educational advancements. 18,21,69

이 연구에는 잠재적인 한계가 있다. 한 의과대학의 교직원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는 이 환경에 특정한 요인과 영향을 반영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공유된 경험에 대한 그들의 통찰력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이 개인 그룹에 초점을 맞추기로 결정했다. 우리는 문헌의 다른 곳에서는 잘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SDOH 커리큘럼을 구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교수진의 과제를 설명한다. 표본 크기가 작고 개인 정보 보호 목적 때문에, 우리는 이것이 미래 탐구의 중요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된 정체성을 가진 교직원과 없는 교직원 간의 경험 비교를 통합하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자료는 비교적 초기에 구현과정에서 수집되어 본 연구에 종사하는 개인들의 신선한 성찰을 포착하였다. 그러나 과정의 개선이 계속됨에 따라 이러한 결과는 참가자의 최종 개발 결과를 포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There are potential limitations to this study. Because it involved faculty members at 1 medical school, the findings may reflect factors and influences specific to this setting. However, we chose to focus on this group of individuals to thoroughly understand their insights into a shared experience. We describe significant faculty challenges in implementing a new SDOH curriculum, which are not well described elsewhere in the literature. Because of the small sample size and for privacy purposes, we have not integrated comparisons of experience between faculty members with and without marginalized identities, although this is an important area of future exploration. In addition, these data were collected relatively early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o capture the fresh reflections of individuals as they engaged in this work. However, as course refinement continues, these results may not capture participants’ final developmental outcomes.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SDOH 교육과정 구현을 통해 교직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동심 수준을 전문성, 조직성, 상호작용성, 개인내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문대학과 의과대학 수준의 더 광범위한 과제가 학습환경과 교수진 자기성찰에 어떻게 흡수되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그들은 또한 의대가 이 작업에서 의학 교육자를 선택, 훈련 및 지원하는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의대가 SDOH 커리큘럼을 개발할 때 설명한 이점뿐만 아니라 단점과 좌절을 고려하도록 권장한다.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4 concentric levels that affect faculty experience with SDOH curricular implementation: professional, organizational, interactional, and intrapersonal. These findings describe how broader challenges at the level of the profession and medical school are absorbed into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faculty self-reflection. They als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medical schools select, train, and support medical educators in this work. We encourage medical schools to consider the shortcomings and frustrations as well as the benefits we have described when developing SDOH curricula.


Acad Med. 2022 Nov 1;97(11):1665-1672. doi: 10.1097/ACM.0000000000004804. Epub 2022 Jul 5.

Implementing a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urriculum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Faculty Experienc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M. Bann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ine,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ORCID: https://orcid.org/0000-0002-5893-950X .

2S. Larimore is a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 Department of Sociology, and a postdoctoral affiliate, Center for the Study of Race, Ethnicity & Equity,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St. Louis, Missouri.

3J. Wheeler is a program operations analyst,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Seattle, Washington.

4L.D. Olsen is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Sociology, College of Liberal Arts,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Pennsylvania.

PMID: 35797577

DOI: 10.1097/ACM.0000000000004804

Abstract

Purpose: Following shifts that broadened the medical profession's conceptualization of the underlying drivers of health, medical schools are required to integrate curricula on health disparities and the social context of medicine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student experiences and outcomes in these curricula,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experiences of the physician-faculty involved. This study aimed to capture faculty insight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implementing this curricular reform.

Method: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faculty members at one U.S. medical school in spring 2019 to capture their experiences designing and teaching a new curriculum related to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health disparities. Study design, including interview guide development, was informed by the critical pedagogy perspective and social constructionist approache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With the use of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interview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open, thematic, and axial coding techniques. Primary themes were categorized as professional, organizational, interactional, or intrapersonal and organized into the final model.

Results: Participants processed their experiences at 4 concentric levels: professional, organizational, interactional, and intrapersonal. Faculty generally embraced the movement to incorporate more discussion of social context as a driver of health outcomes. However, they struggled with the shortcomings of their training and navigating structural constraints within their school when developing and delivering content. When confronted with these limitations, faculty experienced unexpected tension in the classroom setting that catalyzed self-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ir teaching approach.

Conclusions: Findings highlight the challenges that faculty encounter when integrating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related curricula in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They also speak to the need for a broader conceptualization of relevant expertise and have implications for how medical schools select, train, and support medical educators in this work.

 

 

주요 교육과정 개편 기저의 사회적 메커니즘 탐색을 위한 보르도의 개념을 적용한 질적 연구(Med Teach, 2022)
A qualitative study applying Bourdieu’s concept of field to uncover social mechanisms underlying major curriculum reform
Anne Franz , Miriam Alexander, Asja Maaz and Harm Peters

서론
Introduction

의대의 주요 커리큘럼 개편은 기관과 관련자 모두에게 복잡하고 도전적인 과정이다. 기획 위원회Planning committees는 새로운 커리큘럼에 대해 구상되는 주요 변화, 즉 형태, 내용 및 전달의 변화를 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한 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종종 [업무의 본질적인 복잡성]과 [프로세스의 역동성]에 압도당하고, 위원회 구성원과 그룹 간의 [상충되는 상호작용과 교묘한 계책manoeuvring]으로 특징지어지기 때문에 [계획 영역을 탐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상호작용과 역학의 사회적 특성, 관련 메커니즘 및 주요 교육과정 개혁의 청사진에 대한 잠재적 영향에 대해 지금까지 거의 관심이 없었다. 본 정성적 연구의 목적은 [사회이론], 즉 [부르디외의 장개념concept of field]에서 도출된 잘 확립된 개념렌즈를 통해 우리 기관의 주요 교육과정 변화 계획과정에 대한 위원회 구성원들의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Major curriculum reform at medical schools is a complex, challenging process, both for the institution and for the people involved (Bland et al. 2000; Hawick et al. 2017; Gonzalo et al. 2018; Maaz et al. 2018; Reis 2018; Velthuis et al. 2018). Planning committees play a key role in blueprinting the major changes envisaged for the new curriculum: changes to its form, content, and delivery (Hendricson et al. 1993; Whalen 1993). Members of such committees often feel overwhelmed by the inherent complexity of the task and the dynamics of the process, and they struggle with navigating the planning arena, as it is characterized by conflictful interactions and manoeuvring between the committee members and groups (Bland et al. 2000; Velthuis et al. 2018).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so far to the social nature of these interactions and dynamics, the mechanisms involved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the blueprint for major curriculum reform.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analyse and interpret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mmittee members with respect to the planning processes of a major curriculum change at our institution through a well-established conceptual lens derived from social theory, namely, Bourdieu’s concept of field.

주요 교육과정의 변화를 가져오는 복잡성은 [이미 복잡한 하나의 시스템(교육과정)]을 [다른 복잡한 시스템(기관)] 내에서 변경하려는 시도에 부분적으로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 둘은 밀접하게 얽혀 있다. 주요 교육과정 개혁은 중앙 교육과정 관리, 교육위원회, 교수진과 학생 단체의 대표, 그리고 기관의 연구 활동과 환자 치료와 더 연결된 많은 수의 기관과 임상 부서와 같은 기관의 여러 조직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The complexity of bringing about major curriculum change is rooted in part in the attempt to change one already complex system (the curriculum) within another complex system (the institution), both being closely interwoven (Maaz et al. 2018). Major curriculum reform affects multiple organizational structures in an institution, such as central curriculum management, educational committees, representation of the faculty and student body, and a large number of institutes and clinical departments that are further linked to the research activities and patient care of the institution.

의료 교육과정 개혁을 제정하기 위해, 기관들은 교육과정 계획 위원회를 설치했다. 이들은 규모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기초과학 및 임상 교수진 및 교사, 학생, 교육과정 개발 인력 및 관리 인력과 같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전문가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래야만 [관련 조직의 복잡성을 해결]하고, 개혁을 위해 기관 단체로부터 [필요한 지지와 참여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위원회 구성원들은 다양한 수준의 [전문적인 사회화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커리큘럼 변화에 대한 [다양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매우 다양한 그룹을 대표한다.
To enact medical curriculum reform, institutions have put in place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s (Bland et al. 2000; Borkan et al. 2018; Nousiainen et al. 2018). These vary in size but generally aim to incorporate various stakeholders and experts, for instance, basic science and clinical faculty and teachers, students, curriculum development staff, and management personnel, to tackle the organizational complexity involved as well as gain the support and buy-in needed from institutional groups for the reform. Committee members represent a very diverse group with different levels of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cultures and with divergent expectations of the curricular changes (Harden 1986; Nordquist and Grigsby 2011; Borkan et al. 2018; Velthuis et al. 2018).

위원회 구성원과 기관은 두 개의 문헌을 활용하여 의과대학의 주요 커리큘럼 개혁을 제정할 수 있습니다. 

  • (1) 결과 기반 프로그램 설계 및 공유 경험과 같은 커리큘럼 개발 
  • (2) 리더십을 포함하여 변화를 촉진하는 데 사용되는 조직 변경 관리 접근 방식 및 도구. 

우리 기관은 최근 이처럼 대대적인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거쳤다. 이 두 개의 주요 기둥 위에 세워지는 동안, 우리는 [갈등, 저항, 자아 투쟁, 개인과 집단에 의한 전술적 묘책]과 같은 [다양한 사회 현상]이 모든 과정에 드리워졌다는 것을 경험했다. 이러한 경험은 문헌에 반영되어 있지만, 기존 연구는 그것의 본질과 잠재적인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잘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 이론의 개념이 커리큘럼 계획 위원회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설명, 분석 및 해석하는 보완 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진전시킨다.
Committee members and institutions can draw on two bodies of literature to enact major curriculum reform at medical schools:

  • (1) curriculum development, i.e. outcome-based programme design and shared experiences (Mennin and Krackov 1998; Bland et al. 2000; Muller et al. 2008; Yengo-Kahn et al. 2017; Marz 2018; Reis 2018), and
  • (2)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approaches and tools used to facilitate change, including leadership (Loeser et al. 2007; Arja et al. 2018; Maaz et al. 2018; McKimm and Jones 2018; Velthuis et al. 2018; Banerjee et al. 2019).

Our institution recently went through such a major curriculum reform process (Maaz et al. 2018). While building on these two major pillars, we experienced that the whole process was overshadowed by a range of social phenomena, such as conflicts, resistance, ego struggles, and tactical manoeuvring by individuals and groups. This experience is echoed in the literature (Mennin and Krackov 1998; Bland et al. 2000; Hawick et al. 2017; Reis 2018; Velthuis et al. 2018), but the existing research does not well illuminate it´s nature and the potential underlying mechanisms. In the present article, we therefore advance the idea that concepts from social theory may serve as a complementary lens to describe, analyse, and interpret the processes occurring in a curriculum-planning committee.

잘 확립된 [사회 실천 이론]은 [피에르 부르디외]에서 유래하며, 그의 [분야field] 개념은 교육과정 계획 위원회에서 일어나는 사회 실천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이론은 커리큘럼 변화를 사회 구조, 관계 네트워크, 역사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는 사회 현상으로 프레임화한다. Bourdieu의 이론은 [실무자에게는 '보이지 않는invisible' 커리큘럼을 형성하는 구조적인 힘]을 발견하는 것을 돕는다.
부르디외에게 필드는 각 개인이 자원(자본)에 따라 위치를 차지하는 구조화된 사회 공간이다. 자본은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성격을 가질 수 있다.

  • [경제적 자본]은 재정적, 물질적, 시간적 자원을 포함한다.
  • [문화적 자본]은 교육을 통해 발생하는 자원을 설명한다. 내재화 된 것(지식, 기술 및 경험)과 제도화 된 것(자격증, 직함)이 모두 가능하다.
  • [사회적 자본]은 관계망(개인적 인맥 또는 집단 내 구성원 자격)에서 나오는 자원이다.

A well-established theory of social practice derives from Pierre Bourdieu and his concept of field (Bourdieu 1975) could apply to the social practices that take place in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s. The theory frames curriculum change as a social phenomenon that is shaped by social structures, networks of relationships and historical contexts. Bourdieu’s theory helps medical schools to uncover ‘the structural forces shaping their curriculum—that may be 'invisible' to practitioners’ (Albert and Reeves 2010). For Bourdieu, a field is any structured social space, in which each individual occupies a position depending on his/her resources (capital) (Bourdieu 1986). Capital can be of an economic, cultural or social nature.

  • Economic capital includes financial, material and time resources.
  • Cultural capital describes resources that arise through education. It can be incorporated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s) and institutionalized (certificates, titles).
  • Social capital is resources that come from relationship networks (personal connections or membership in a group) (Bourdieu 1986).

모든 분야는 [자체적인 규칙과 관행]을 개발하고, [사회적 공간] 내에서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자원에 대한 경쟁]에 의해 [개인이나 집단의 상호작용]이 형성되는 [권력 투쟁의 장]을 나타낸다. [에이전트]들은 그 분야에서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거나 높이기 위해 자본을 놓고 경쟁한다. [사회적 지위]는 각각의 자본의 양에 따라 설정되며, 지배적(높은 가치의 자본) 또는 지배적(낮은 가치의 자본)이며 분야 내에서 권력의 분배를 결정한다.
Any field develops its own rules and practices and represents an arena of struggle over power in which the interactions of individuals or groups are shaped by competition over resources recognized as valuable within that social space (Bourdieu 1975, 1990). Agents compete over capital to maintain or elevate their social position within the field. Social positions are established by the respective amount of capital and are either dominating (highly valued capital) or dominated (lowly valued capital) and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power within the field (Bourdieu 1975).

지금까지 몇몇 연구는 의학 교육에서 사회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부르디외의 사회 실천 개념을 사용했다. Brosnan(2011)은 영국의 의료 교육이 일부 학교는 생물의학을 지향하고 다른 학교는 임상 실습을 지향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자본을 위한 학교 간 경쟁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발머 외 연구진(2015)은 의대생들이 학부 의학교육에서 전환을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분야, 자본 및 습관에 대한 부르디외의 개념을 사용했다.
To date, a few studies have used social practice concepts from Bourdieu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social phenomena in medical education. Brosnan (2011) indicates that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Kingdom was shaped by competition among schools for different forms of capital, such that some schools oriented towards biomedical sciences and others oriented towards clinical practice. Balmer et al. (2015) employed Bourdieu’s concepts of field, capital, and habitus to explain how medical students navigate transition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이 경험적이고 질적인 인터뷰 연구의 목적은 [주요 교육과정 개편을 계획할 때 우리 기관의 위원회에서 발생한 복잡한 사회적 과정]을 질적으로 조명하고 분석하기 위해 개념 렌즈로서의 부르디외의 현장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교육과정 개발과 변화관리에서 도출된 관점을 확대하고, 다른 보완적 관점을 도입하고자 한다. 관련된 사회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기관과 위원회 구성원들이 주요 교육과정 개혁의 본질적인 과제를 더 잘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empirical, qualitative interview study is to apply Bourdieu’s concept of field as a conceptual lens to qualitatively illuminate and analyse the complex social processes that occurred in a committee at our institution when planning a major curriculum reform. We want to expand perspectives derived from curriculum development and change management and to introduce a different, complementary perspective. Understanding the social mechanism involved may help institutions and committee members to better navigate the inherent challenges of major curriculum reform.

방법들
Methods

설정
Setting

본 연구는 독일 베를린(Charité)의 Charité – Universitätsmediz에서 수행되었다. 학부 의학 프로그램(MCM(Modular Curriculum of Medicine)은 6년간 진행되며, 매년 약 320명의 신입생이 2회 등록한다. 교육은 100개 이상의 이론 및 임상 부서에서 이루어지며 2,000명 이상의 교수진이 참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Charité – Universitätsmedizin Berlin (Charité), Germany. Its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me (Modular Curriculum of Medicine (MCM)) spans six years, and approximately 320 new students are enrolled twice each year. Teaching occurs across more than 100 theoretical and clinical departments and involves more than 2,000 teaching faculty members.

학부 의학 교육과정의 주요 개혁
Major reform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2010년부터, 전통적인 분야 기반 프로그램은 교수진 전체의 계획 및 실행 과정을 통해 완전히 통합된 역량 기반 커리큘럼으로 학기별로 대체되었다. 개혁 과정과 결과는 최근 ASPIRE에서 커리큘럼 개발 및 학생 참여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개혁의 필요성은 주로 1980년대 베를린에서 시작된 학생 시위와 장기적인 참여에 의해 주도되었다. 새로운 커리큘럼은 문제 기반 학습(PBL), 의사소통 훈련, 강의 감소와 같은 [소그룹 학습의 상당한 증가]를 포함했다. 개혁은 전체 의료 프로그램과 새로운 교육 형식의 설계 및 전달에 대한 중앙 집중적인 책임과 함께 커리큘럼 관리 관련 직원의 도입과 성장을 수반했다. 새 교육과정의 청사진은 새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1년 전에 설립된 학장 주도의 기획위원회에 의해 개발되었다.

Starting in 2010, the traditional, discipline-based programme was replaced term-by-term with a fully integra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a faculty-wid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Maaz et al. 2018). The reform process and outcome were recently recognized by an ASPIRE to Excellence Award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udent Engagement (www.aspire-to-excellence.org). The need for reform was largely driven by student protests and a long-term engagement that started in the 1980s in Berlin (Maaz et al. 2018). The new curriculum involved substantial increases in small-group learning,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PBL); communication training; and a reduction in lectures. The reform was accompanied by the introduction and growth of curriculum management-related staff, with centralized responsibility for the design and delivery of the whole medical programme and the new teaching formats. The blueprint for the new curriculum had been developed by a dean-led planning committee that was established the year before the new curriculum began to be implemented.

주요 교육과정 개편의 대대적인 개혁 필요성
Need for a major reform of the major curriculum reform

5학기까지 MCM을 기획하고 시행하던 2013년 초, 주요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이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 및 연구에 있어 조직적, 로지스틱적 타당성 문제뿐만 아니라 독일의 학부 의학교육과 관련된 법적, 재정적 규정의 최근의 명확화를 준수할 필요성에 근거를 두었다.
In early 2013, when the MCM had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until the fifth semester, it became clear that a major reform of the major curriculum reform was necessary. This was grounded in the need to comply with recent clarification in the legal and financial regulations related to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Germany as well as organizational and logistic feasibility issues in teaching and studying under the new curriculum.

주요 개혁 청사진을 위한 기획위원회 설치
Installing a planning committee for blueprinting the major reform

2013년 10월, 현재 진행 중인 주요 개혁의 청사진을 개발하기 위한 기획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위원은 MCM 연구위원회가 광범위한 이해관계를 대표하는 '유엔 접근법'에 따라 임명하였다(Harden 1986). 모든 위원회 구성원(n = 18)은 2010년에 시작된 첫 번째 주요 개혁 과정에 참여했다. 위원회는 학과 대표자(n = 8, DR), 학생 대표자(n = 4, SR), 교육과정 관리 직원 대표자(n = 6, CR)의 3개 주요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MCM 커리큘럼과 관련된 다른 위원회(교수 위원회, MCM 연구 위원회, MCM 평가 위원회)에서 병행했다.

In October 2013, a planning committee was formed to develop a blueprint for the major reform of the ongoing major reform. Committee members were appointed by the MCM study committee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Approach,’ in which a wide range of interests is represented (Harden 1986). All committee members (n = 18) had been involved in the first major reform process that started in 2010. The committee consisted of three main groups: department representatives (n = 8, DR), student representatives (n = 4, SR), and curriculum management staff representatives (n = 6, CR). Many served in parallel on other committees related to the MCM curriculum (faculty council, MCM study committee, and MCM assessment board).

이 청사진 위원회의 임무는 2010년에 시작된 새로운 통합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의도와 원칙을 가능한 한 많이 유지하는 것이었다. 조직 및 물류 문제를 해결하는 것 외에도, 이번 개혁은 교직원의 부서별 재정 예산을 약 10% 절감해야 했다. 위원회 과정에서 강의(+49%), 침대 옆 강의(+41%), 실험실 실습(+6%)이 증가했고, PBL(-36%), 커뮤니케이션 교육(-29%), 비대학 초등 돌봄 배치(-84%)가 감소했다. 샤리테에서, 부서의 교직원들의 자금 조달은 실제로 완료된 수업 시간 수에 직접 기초하며 형식 수정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교정계수는 강의의 경우 1, PBL의 경우 0.5이므로, 1시간 강의는 PBL 촉진의 2배의 비율로 보상된다.
Task of this blueprinting committee was to retain as much as possible of the intentions and principles of the newly integra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launched in 2010. In addition to addressing organizational and logistical matters, this reform of the reform had to reduce the budget for departmental financing of the teaching staff by approximately 10%. The committee process resulted in increases in lectures (+49%), bedside teaching (+41%, requested by regulations), and lab practicums (+6%) and decreases in PBL (–36%), communication training (–29%), and placements in non-university primary care (–84%). At the Charité, the financing of the department’s teaching staff is directly based on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actually completed and includes a format correction factor. For instance, the correction factor is 1 for lectures and 0.5 for PBL; thus, 1 hour of lecturing is compensated at twice the rate as 1 hour of PBL facilitation.

위원들은 2주에 한 번씩 3~4시간 동안 만났다. 이 과정은 2014년 5월 설계도가 MCM 연구위원회에 넘겨지기까지 7개월이 걸렸다. 설계도는 2014년 8월에 승인되었고 그 후 MCM의 연구 규정으로 이관되었다.
The committee members met every two weeks for three to four hours. The process took seven months until the blueprint was handed over to the MCM study committee in May 2014. The blueprint was approved in August 2014 and subsequently transferred into the study regulations for the MCM.

리서치 디자인.
Research design

질적 접근을 통해 주요 교육과정 개편의 주요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한 담당 교육과정기획위원들의 인식과 경험을 일련의 개별 면접에서 도출하였다. 그 녹취록들은 그 후에 내용 분석을 받았다. 연구 프로토콜은 Charité 데이터 보호 사무소(No. 628-15)와 Charité Ethics Board(No. EA4/096/15)의 승인을 받았다.

With a qualitative approach,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curriculum-planning committee members in charge for blueprinting the major reform of the major curriculum reform were elicited in a series of individual interviews. The transcripts were subsequently subjected to content analysis. The study protocol received approval from the Charité data protection office (No. 628-15) and Charité Ethics Board (No. EA4/096/15).

스터디 참가자 및 인터뷰 절차
Study participants and interview procedure

우리는 교육과정 기획위원회의 모든 위원들에게 대면 면접에 참여할 것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보냈다. 한 동료가 2015년 12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인터뷰를 진행하고 녹음했습니다. 인터뷰는 우리가 그룹(AM, HP)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논의한 부르디외의 이론(부록 1번)에 기초한 반구조적 인터뷰 가이드를 따랐다. 인터뷰는 45분에서 120분, 중간값은 66분이었다. 우리는 음성 기록을 익명화된 방식으로 정확하게 전사했다.
We sent emails to all members of the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 inviting them to take part in a face-to-face interview. One colleague conducted and audio-recorded the interviews between December 2015 and June 2016. The interviews follow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 based on Bourdieu’s theory (Supplementary Appendix no. 1), which we elaborated and discussed in a group (AM, HP). Interviews lasted from 45 to 120 minutes with a median of 66 minutes. We transcribed the audio records verbatim in an anonymized manner.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Mayring(2014)에 따라 구조화 콘텐츠 분석과 결합된 요약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귀납적-귀납적 범주 할당 접근 방식을 통해 전사를 분석했다. 이 접근법은 해석과 구성(유도)의 과정을 통해 데이터에서 범주가 나타날 수 있고, 부르디외의 분야 개념과 관련된 범주가 분석 과정(추출)에도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허용했다. 두 명의 연구원(AF, MA)이 모든 데이터 자료를 코드화했습니다. 두 연구원은 합의가 도출될 때까지 서로의 코딩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문하고 토론하는 등 전 과정을 분석하면서 협업했다. 연구팀은 해석(AF, MA, AM, HP)에 대해 논의했다.
We analysed the transcriptions through a systematic, inductive–deductive category assignment approach involving summarizing combined with structuring content analysis, following Mayring (2014). The approach allowed for the possibility that categories could emerge from the data through a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construction (induction) and that categories related to Bourdieu’s concept of field could be integrated into the analytic process (deduction) as well. Two researchers (AF, MA) coded all of the data material. Both researchers collaborated while analysing the entire process by constantly questioning and discussing each other’s codings until an agreement was reached. The research team discussed interpretations (AF, MA, AM, HP).


[프로세스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데이터 자료에서 [하위 범주를 생성]하기 위해 귀납적 접근 방식으로 요약 내용 분석을 사용하여 모든 전사를 설명적으로 분석했다. 여기에는 Mayring(2014)에서 채택된 다음 단계가 포함되었다.

In the first part of the process, we analysed all transcriptions descriptively using summarizing content analysis with an inductive approach to generate subcategories from the data material. This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adapted from Mayring (2014).

  1. 문구의 핵심 의미를 필터링하기 위해 본문을 줄이고 장식적이거나 필러적인 단어를 생략하여 언어학적으로 일관된 수준으로 패러프레이징하는 행위
    Paraphrasing on a linguistically consistent level by reducing the text and leaving out decorative or filler words to filter the core meaning of the phrases;
  2. 보다 일반적이고 추상적이며 상위적인 의미를 갖는 데이터의 패러프레이즈를 생성하여 일반화하는 것
    Generalizing by creating paraphrases of the data with more general, abstract, and superordinate meanings;
  3. 동의어, 중요하지 않은, 비어 있는 패러프레이즈를 삭제하여 첫 번째 축소를 수행한다.
    Performing a first reduction by crossing out synonymous, insignificant, and empty paraphrases; and
  4. 동일하거나 유사한 여러 개의 파라프레이즈를 하나의 파라프레이즈로 결합하고, 초기 하위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두 번째 감소를 수행한다.
    Performing a second reduction by combining multiple identical or similar paraphrases into one paraphrase and generating initial subcategories.

두 번째 부분에서는 구조화된 내용 분석과 연역적 절차를 통해 프로세스의 첫 번째 부분의 결과를 분석적으로 해석적으로 분석했다. 여기에는 Mayring(2014)에서 채택된 다음 단계가 포함되었습니다.
In the second part, we analytically-interpretatively analysed the results of the first part of the process via structuring content analysis and a deductive procedure. This involved the following subsequent steps adapted from Mayring (2014):

  1. 부르디외의 분야개념에 기초한 범주체계를 개발하고 정의하여, 이론적에 기반한 차원의 결정
    Determining theoretically based dimensions by developing and defining a category system based on Bourdieu’s concept of field;
  2. 범주에 대한 정의를 수립하고 앵커 샘플을 검색하여 코딩 지침을 개발하고, 
    텍스트 구절을 특정 범주의 전형적인 예로 인용하고 코딩 규칙을 정의한다.

    Developing a coding guideline by establishing definitions for the categories and searching for anchor samples,
    citing text passages as typical examples of the particular category and defining coding rules;
  3. 기존에 귀납적으로 개발된 하위범주를 부르디외의 이론에 따라 연역적으로 정의된 주요범주와 일치시키는 것. 필요하다면 코딩규칙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이다.
    Matching the previously inductively developed subcategories to the deductively defined main categories according to Bourdieu’s theory by constantly checking and revising the coding rules when necessary.
  4. 요약 및 구조 분석의 주요 범주와 하위 범주를 하나의 범주 시스템으로 병합하여 프로세스를 완료합니다. 부록 2번은 Mayring에 따른 분석 과정의 예를 보여준다.
    Completing the process by merging both the main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of the summarizing and structuring analysis into one category system. Supplementary Appendix no. 2 shows an example of the analysis process according to Mayring.

마지막으로, 관련 텍스트 구절은 원어민이 영어로 번역하고 두 명의 연구원(AF, HP)이 교차 점검했다. 모든 인용구는 익명화되었고 성별을 중립적으로 만들었다. 따옴표는 주 위원회 그룹(DR, SR 또는 CR)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됩니다. 서로 다른 사람의 진술을 구별하기 위해 추가 번호가 부여되었다. 예를 들어 DR1은 부서 대표 1을 가리킨다.
Finally, the relevant text passage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native speaker and cross-checked by two researchers (AF, HP). All quotes were anonymized and made gender neutral. Quotes are marked to indicate the main committee group (DR, SR, or CR). An additional number was given to distinguish the statements of different persons: for example, DR1 refers to department representative 1.

결과.
Results

13명의 구성원(5 f/8 m)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기초 및 임상 과학에서 4개의 DR, 4개의 SR, 5개의 CR). 그 결과는 183 DIN A4 페이지의 녹취록을 분석하여 도출되었다. 우리의 내용 분석은 부르디외의 이론에 기초한 3개의 주요 범주와 21개의 하위 범주(부록 3번)를 가진 체계를 도출하였다. 선택한 인용문의 전문은 부록 번호 4에 수록되어 있다.
Thirteen members (5 f/8 m) participated in this study (4 DRs from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4 SRs, and 5 CRs). The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sing 183 DIN A4 pages of transcripts. Our content analysis resulted in a system with 3 main categories based on Bourdieu’s theory and 21 subcategories (Supplementary Appendix no. 3). The full text of the selected quotes is given in Supplementary Appendix no. 4.

교육과정계획위원회 – 갈등과 경쟁이 치열한 사회 분야
The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 – A social field of intense conflict and competition

위원들은 이 작업을 기획위원회와 '개인적으로 매우 무력감을 느낀 순간'(Q2-DR2)으로 경험했는데, 이는 치열한 갈등과 경쟁이 특징이기 때문이다.
Committee members experienced the work in the planning committee and ‘the whole discussion [as] just very gruelling’ (Q1-CR1) with ‘moments where one personally felt very helpless’ (Q2-DR2), as it was characterized by intensive conflicts and competition.

갈등의 유형과 성격에 대해 한 위원은 '매우 공격적인 논의가 매우 빠르게 전개되었다'(Q3-CR1)와 '일부 교직원들이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서로 강하게 공격했다'(…)고 보고했고, 다른 교직원들의 역량을 부정했다'(Q4-SR2)고 보고했다. 다른 위원회 위원은 '모든 사람이 상호 존중과 공정성의 규칙을 준수한다면, 이것은 실제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불행히도 이것은 이상적인 세계에서만 발생한다; 실제로는 항상 그렇지는 않다'고 반성했다(Q5-DR1). '[I]일부는 사실 수준과 개인 수준을 분리할 수 없었다.'(Q3-CM1) 이는 '대부분 소수의 갈등이지만 전체적으로 쉽게 분위기에 부담을 줄 수 있다'(Q3-CR1)는 것이었다. 일부 갈등은 '그런 과정에서 많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였고, '소문 공장이 만연하고 불신이 많이 발생했기 때문에'(Q6-CR2) '모든 사람이 같은 수준의 지식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Q6-CR2). 기존의 갈등이 '다시 불거졌다'(Q2-DR2). '[T]이미 이전에도 다툼이 있었다', '교수진 모두가 서로를 잘 신뢰하고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비밀이 아니다'(Q4-SR2).
Regarding the type and nature of the conflicts, one committee member reported that ‘very offensive discussions very rapidly developed’ (Q3-CR1) and ‘[s]ome faculty members strongly attacked each other (…) partly also on a personal level, and denied the others’ competencies’ and ‘act[ed] out their animosities’ (Q4-SR2). Another committee member reflected, ‘[i]f everyone adheres to the rules of mutual respect and fairness, then this is actually not a problem, but unfortunately this only happens in an ideal world; in reality, this is not always the case’ (Q5-DR1). ‘[I]t happened that some could not separate the factual level and personal level’ (Q3-CM1). These were ‘mostly conflicts between a few, but those could easily burden the mood overall’ (Q3-CR1). Some conflicts appeared to result from ‘many misunderstandings in such a process,’ and ‘[n]ot everybody was on the same level of knowledge’ (Q6-CR2), as there ‘were rumour mills prevailing and a lot of mistrust that arose’ (Q7-SR2). Pre-existing conflicts ‘erupted again’ (Q2-DR2). ‘[T]here have already been quarrels previously,’ and ‘[i]t’s no secret that not everybody in the faculty trusts and understands each other very well’ (Q4-SR2).

경쟁과 관련하여, 위원회 위원들은 위원회의 작업을 '힘든 싸움'(Q8-DR2), '너무 많은 리소스를 손실하지 않고 그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야 한다'(Q5-DR1)고 설명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밤샘 계산'(Q9-CR2)을 했고, 다른 이들은 '특정 마감일에 준비해야 했다; (…) 많은 것들이 일주일 내에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주말로 옮겨야 했다.'(Q10-DR2)를 언급했다. 위원회 내에서 경쟁하는 것을 넘어, 위원들은 '임상 의사들은 시간이 없다; 그들은 환자가 있다'(Q11-SR2)라는 논쟁에서 경쟁하는 사회 분야의 압력을 가했다. 한 임상의는 '나는 지금 나의 진료소로 돌아가야 한다; 내 환자들 중 몇몇은 암으로 고통 받고 있다. 암 진단을 전달해야 하는 세 가지 상담이 앞에 있습니다. 이를 수행할 시간이 없습니다(Q11-SR2).
Regarding competition, the committee members described the work in the committee as a ‘tough fight’ (Q8-DR2); ‘you have to make sure (…) that you don’t lose too many resources and go under with it’ (Q5-DR1). Some did ‘night-long calculations’ (Q9-CR2); others stated, ‘things had to be ready at certain deadlines; (…) many things had to be shifted to the weekend because they were not doable within the week, and they expanded into my spare time’ (Q10-DR2). Beyond competing within the committee, committee members applied pressure from competing social fields in argumentation: ‘Clinicians don’t have time; they have patients’ (Q11-SR2). One clinician said, ‘I have to go back to my clinic now; several of my patients are suffering from cancer. I have three consultations ahead of me where I have to convey to them their cancer diagnoses – I don’t have time for this’ (Q11-SR2).

위원회에서의 논의는 두 층으로 이루어진 토론으로 경험되었다. "앞에서는 사실적인 수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지만, 그 이면에는 다른 것들이 있다."(Q12-CR1). "나는 그 과정에서, [야망]이 서로 마찰하면서, 아마도 더 잘 인식되고 분명해지며, 특정 시점에서, 사람들은 그 이면에 정말로 무엇이 있는지 깨닫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Q13-SR1). "어느 순간, (…) 명확해졌다: 네, 그것은 단지 사실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한 그룹의 정치적 로비에 관한 것입니다. (…) (Q14-SR3). "어떤 토론은 단순히 다른 그룹이 어느 수준에서 주장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실패합니다." (Q15-CR1). 그것은 내용이나 관련 수준과 관련하여 사실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었지만, 사실 그것은 직업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말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내내 행동했던 이 두 계층일 뿐이다'(Q1-CR1).
The discussion in the committee was experienced as a debate on a basis with two layers. ‘There are lots of discussions on the factual level in the foreground, but there are other things behind it’ (Q12-CR1). ‘I think, in the course of the process, the [ambitions] perhaps become more perceptible and evident, as they rub against each other, and at a certain point, one realizes what's really behind it’ (Q13-SR1). ‘At some point, (…) it became clear: ok, it’s not just about the facts; it's about the political lobbying of one group (…)’ (Q14-SR3). ‘Some discussions simply fail because (…) they do not know on which level the other one argues’ (Q15-CR1). It was ‘discussed on a factual level with regards to content or a pertinent level, but in fact it is actually about the jobs. But this has not been said (…). And that is just (…) these two layers on which we acted the whole time’ (Q1-CR1).

커리큘럼 계획 위원회 – 다양한 종류의 자본을 위한 투쟁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 – a struggle for and with different kinds of capital

세 그룹은 서로 다른 형태의 자본을 중요시하고 노력했다.
The three groups valued and strove for different forms of capital.

부서 대표자
Department representatives

그들의 행동은 '일자리를 잃는 기관 내의 공공연하거나 숨겨진 두려움'(Q16-CR1)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들은 경제 자본을 우선시했다. "글쎄요, 모든 사람들이 그/그녀의 규율을 위해 로비를 합니다. 물론, 그것은 때때로 매우 논쟁적이고, 물론 어떻게든 자신의 사건을 극복하고 살아남기 위해 노력합니다."(Q17-DR2). "이 교수진 내에서, 여러분은 피해를 방지하고 자신의 직원 자금 조달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Q18-DR1). 또 다른 사람은 '연구소장으로서 직원들에게도 일종의 복지 의무가 있다. (…) 교육 내용을 전달해야 하는 [연구소] 또한 필요한 직원들을 돌봐야 한다.'(Q19-DR1)고 말했다. 이러한 인식은 이해 관계자들이 다양한 교육 형식을 저울질하는 데에도 반영되었습니다. '(…) 세미나 시간이나 다른 것을 잃게 될 것이기 때문에 제가 잠재적으로 제 기관을 손상시킬 수 있을까요? 그리고 잠재적으로 일자리를 잃을까?' (Q16-CR1).
Their actions were determined by ‘an overt or hidden fear within the institutions of losing jobs’ (Q16-CR1). They prioritized economic capital. ‘Well, everyone lobbies for his/her discipline; of course, it is sometimes very contentious, and of course one tries somehow to get through one’s cases and to survive’ (Q17-DR2). ‘Within this faculty, you can avert damage and safeguard your own staff financing’ (Q18-DR1). Another stated, ‘As the institute director, you also have kind of a welfare duty to your staff. (…) Those [institutes] who have to convey the teaching content also have to take care of the necessary staff’ (Q19-DR1). This perception was also echoed in the stakeholders’ weighing of the different teaching formats: ‘(…) will I potentially damage my institution, as we will lose seminar hours or something else? And potentially lose jobs?’ (Q16-CR1).

[경제적 자본]은 [문화적 자본]을 대표하는 특정한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것보다 우선시되었다. 결국, 그것은 여전히 돈에 관한 것이지 항상 내용에 관한 것은 아니다. (…) 중요한 주제가 누락되었다고 말해야 한다.(Q20-DR2) 흥미롭게도, 부서 대표들은 문화 자본의 한 형태로 학과 내용을 가르치는 데 있어 그들의 전문 지식을 알고 있었다: '물론, 나는 내 학과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나는 또한 이에 관한 교과서를 여러 권 썼는데, 누구나 나의 개념이 무엇이고 그것들을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지 읽을 수 있다'(Q21-DR1). 그러나 그들은 이 전략을 무기로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전략적 활성화는 거의 없었다: '교수들은 각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로를 지지한 적이 없었다'(Q22-CR4).
Economic capital was prioritized over conveying certain teaching content, representing cultural capital. ‘After all, it is still about the money and not always about the content (…) you have to say that important topics are missing’ (Q20-DR2). Interestingly, department representatives were aware of their expertise in teaching the discipline content as a form of cultural capital: ‘Of course, I had specific conceptions about my discipline (…). I have also written several textbooks on this, and anyone can read what my conceptions are and how to convey them’ (Q21-DR1). However, they did not use this strategy as a weapon. Furthermore, there was little strategic activation of social capital: ‘The professors never supported each other, as each of them was looking out for his/her own interest’ (Q22-CR4).

궁극적으로, 한 부서 대표가 말했듯이, '문제의 핵심은 결국, 그것은 당신이 인정하고 싶어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돈에 관한 것이다. 나에게, 그것은 사실 의학과 개혁의 모듈식 커리큘럼의 주요 문제이다.'(Q20-DR2) 이 견해는 한 교육과정 직원 대표가 공유했다: '이것은 항상 전체 이야기에 중첩되는 것이다'(Q16-CR1).
Ultimately, as one department representative stated, ‘The whole crux of the matter is that, in the end, it is much more about the money than you want to admit. For me, that is actually the main problem of the Modular Curriculum of Medicine and the reform’ (Q20-DR2). This view was shared by a curriculum staff representative: ‘This is what is always superimposed on the whole story’ (Q16-CR1).

학생 대표
Student representatives

학생들의 주요 목표는 '이 개혁을 통해 가능한 한 의학의 모듈식 커리큘럼을 구조하는 것'과 '가능한 많은 훌륭한 개념들을 보존하는 것'(Q23-SR1)으로, 이 새로운 의학 학위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까지 습득한 문화 자본을 언급했다. 그들은 따라서 '심지어 일종의 데미지 억제라는 의미에서, 불리한 입장에 놓일 수 있는 모든 것을 제한하기를 바랐다'(Q23-SR1). 
The students’ main goal was to ‘rescue the Modular Curriculum of Medicine as well as possible over this reform’ and ‘to save as many of the great concepts as possible (…)’ (Q23-SR1), referring to cultural capital they had acquired so far through this new medical degree programme. They hoped thereby ‘to limit everything that would get the short end of the stick, in the sense of maybe even a kind of damage containment’ (Q23-SR1).

교육과정 개혁을 둘러싼 투쟁에서, 학생들은 그들의 문화적, 사회적 자본을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전략을 사용했다. 그들은 유지하거나 노력할 교육과정과 관련된 경제적 자본이 없었다(Q19-DR1). 문화자본에 대해서는 '우리 모두는 그것을 위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자기희생 의지가 있었다(…) 적어도 그런 종류의 것을 위해 새벽 5시에 일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것은 비교적 독특한 종류의 열정을 필요로 한다'(Q24-SR3)는 높은 동기를 보였다. 그들은 또한 높은 수준의 헌신을 공유했습니다. '결국, 우리는 많은 노력과 프로젝트 작업, 워크숍 등을 통해 학생 쪽에서 매우 집중적으로 일했고(…), 이는 확실히 우리의 입장을 촉진했습니다'(Q25-SR2). 게다가, 그들은 계산을 하고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가능하지 않은지, 무엇이 가능하지 않은지, 무엇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아닌 그들에게 특별한 관심이 있는 모델들을 계산하고 있었다. 그 결과, (…) 그들은 또한 공정을 잘 조정할 수 있었습니다' (Q26-CR4). 
In the struggle over curriculum reform, the students used strategies focused on activating their cultural and social capital. They had no economic capital related to the curriculum to be maintained or to strive for (Q19-DR1). Regarding cultural capital, they showed high motivation: ‘We all had an unbelievable willingness to self-sacrifice for it (…) there was no one else who worked at five o'clock in the morning, at least for that sort of thing. (…) This requires a kind of passion that is relatively unique’ (Q24-SR3). They also shared a high level of commitment: ‘After all, we accomplished it through a lot of labour, also through project work and workshops, etc., working on the student side so intensively (…) and this certainly facilitated our position’ (Q25-SR2). In addition, they ‘were doing the calculations and showing what is possible and what is not possible and what the implications are. They were calculating those models that were of particular interest to them and not others. As a result, (…) they were also able to steer the process well’ (Q26-CR4).

사회적 자본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학생들은 다양한 전략을 사용했다. 여기에는 팀으로 일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학생들은 단순히 더 나은 정보를 얻고, 모든 경우에 더 잘 준비했습니다. 그들은 그룹 내에서 어떻게 논쟁하고 서로를 지지하는지 조정했습니다.' (Q22-CR4). 게다가, 그들은 동맹을 결성했다: '물론, 우리는 적어도 그들을 조직하기 위해 미리 다수와 지지자들을 조직하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사람들이 '네, 우리는 이것에 동의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공개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Q27-SR1. '일부 더 큰 기업들이 우리를 지지했다면, 우리의 제안이 잘 될 가능성이 훨씬 높았을 것이다.'(Q28-SR3) '[A]그리고 그들[학생들]은 보통 사건을 끝까지 밀고 나간다'(Q29-CR4). 학생들은 또한 학생 단체의 지원을 받았다: '우리는 학생으로서 배경에 팀을 두는 사치를 누렸고, 반복적으로 다른 학생들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Q30-SR2) 학생들은 '학생 단체 전체의 지지를 반복적으로 찾고 있었다; 그들은 천 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한 모듈식 의학 커리큘럼의 장단점에 대해 훌륭한 설문 조사를 했다'(Q31-CR2). 
Regarding the activation of social capital, the students employed a number of strategies. This involved working as a team: ‘The students were simply better informed, better prepared in all cases; they coordinated in their group how to argue and supported each other’ (Q22-CR4). In addition, they formed alliances: ‘Of course, we tried to organize majorities and supporters in advance, at least to organize them, so that people say, ‘yes, we agree to this, although we will not support it overtly’’ (Q27-SR1). ‘[I]f some of the bigger ones supported us, we had a much higher chance that our proposal would work out well’ (Q28-SR3). ‘[A]nd they [students] usually push their cases through’ (Q29-CR4). Students were also supported by the student body: ‘We, as the students, had the luxury of having a team in the background and repeatedly could gain support from other students’ (Q30-SR2). Students were ‘repeatedly seeking backing from the entire student body; they did a great survey about the pros and cons of the Modular Curriculum of Medicine, where more than a thousand students took part’ (Q31-CR2).

교육과정 담당자
Curriculum staff representatives

그들은 학생들과 교육과정을 가능한 한 잘 유지해야 한다는 목표를 공유했다. "물론, 커리큘럼을 유지하는 것이 우리 자신에게 가장 이익이 되었습니다. 계획되었기 때문에, 거의 완료되었습니다." (Q32-CR5).5). 그들이 세운 문화적 자본을 유지하기 위해, 그들은 '모든 PBL 시간, 모든 의사소통 훈련 시간'(Q32-CR5)을 위해 싸웠고, 이는 이러한 교육 형식의 관리자로서의 그들의 위치와 연결되어 그들의 경제적, 문화적 자본과 연결되었다. 같은 정도로, 그들은 학생들과의 동맹에 참여했다.
They shared the goal of maintaining the curriculum as well as possible with the students. ‘Of course, it was in our own very best interest to maintain the curriculum; since it had been planned, it was almost finished’ (Q32-CR5). To maintain the cultural capital they had established, they ‘fought for every PBL hour, for every communication training hour’ (Q32-CR5), which was linked to their positions as managers of these teaching formats and thus to their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To the same degree, they were involved in alliances with the students.

교육과정 관리자들은 교육과정 개혁을 둘러싼 경쟁에서 기반이 될 교육적, 문화적 자본이 부족했다. '만약 의료 교육 센터가 20년 된 기관이었다면, 우리는 (…) 국내 및 국제 교육 개발에 대한 20년의 경험을 토대로 구축할 수 있었을 것이고, 이는 변화를 만들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Q33-CR3). "좋은 가르침은 정의하기 어렵다는 것이 갈등이었다. (…) 어디선가 책을 펴서 그것이 무엇인지 찾을 수 없다." (Q34-CR3).CR3. 당연히, 계획 위원회에서 교육적 관점에 대해 논의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PBL을 마지막까지 자르는 것에 관해서, 우리는 생각했습니다: PBL 개념이 무엇인가? 그게 무슨 뜻인가요? (…) 그 때는 시간이 없었어요.' (Q35-CR2)
The curriculum managers lacked educational and cultural capital to build on in the competition over curriculum reform. ‘If the Center for Medical Education had been a 20-year-old institution, (…) we would have been able to build on 20 years of experience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teaching development, which would have made a difference. But we didn't have that’ (Q33-CR3). ‘The conflict was that good teaching is difficult to define. (…) one can’t open a book somewhere and look up what it is’ (Q34-CR3). Unsurprisingly, there was no time to discuss educational perspectives in the planning committee: ‘When it came to cutting PBL until the end, we thought: what is a PBL concept? What does that mean? (…) We didn't have time at that moment’ (Q35-CR2).

교육과정계획위원회 – 사회적 지위를 위한 투쟁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 – a struggle for social position

교육과정계획위원회에서, 에이전트 그룹마다 서로 다른 사회적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 담당자는 '우리는 우리의 계층을 가지고 있다'(Q36-CR5)고 지적했다.
The field of the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 held different social positions for its group of agents. In general, a curriculum staff representative pointed out, ‘we do have our hierarchies’ (Q36-CR5).

부서 대표들, 특히 부서장들은 그들의 이전 사회적 지위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한 번은, 다른 진료소의 의사가 왔는데, 그 의사는 [주임 의사]와 동등한 기준으로 참여하려고 했지만, '교수님'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서 그것은 분명해졌다: 그는 '교수 의사'이며, 그는 경청받고 존중받기를 원한다'(Q36-CR5). '계획'은 거의 중요하지 않은 과정입니다. 내용이 어디에서 결정되는지, 수석 의사가 있든, 아니면 매우 헌신적인 교육 코디네이터(…)가 있든 간에 말입니다(Q36-CR5).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그룹에 속한 다른 사람들은 샤리테의 명사들, 즉 가르침에 역할을 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Q37-SR3).
The department representatives, especially the department heads, were questioned about their former social positions: ‘Once, a physician from another clinic came along, who then tried to engage on an equal basis with [the head physician] but did not say, ‘Professor Doctor.’ And then it was made clear: He is a ‘Professor Doctor’, and he wants to be listened to and to be respected’ (Q36-CR5). The ‘planning is a process, where this almost doesn’t matter – where the content rules – whether there is a head physician or the very dedicated teaching coordinator (…)’ (Q36-CR5). Nevertheless, the students were well aware that ‘other people who were in the group were the luminaries of the Charité, (…) those who played a role in teaching’ (Q37-SR3).

반면 학생 대표들은 '우리는 계층의 맨 아래에 있었다'(Q38-SR3)고 말하면서도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는 것을 경험했다.'(Q38-SR3)' '학생으로서 그런 집단에 처음 가입할 때, 이 집단에 가입하는 교수님과 같은 존경을 받기 전에 (…)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처음부터 그것을 얻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나는 우리에 대한 존중이 낮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우리가 그곳에서 잘 존경받았다고 생각한다'(Q39-SR2). 이에 대한 역사적 이유, 특히 개혁된 연구 프로그램과 관련된 역사적인 이유는 교수진이 존중하는 상호작용에서도 특정한 개방성을 가지고 우리를 만났다는 역사적인 항의로 이어졌다(Q40-SR2). 인식된 계층 격차에 접근하기 위한 학생들의 전략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W]우리는 그룹 내에서 우리의 권위를 통해서는 절대로 그렇게 할 수 없고, 좋은 주장만 가지고는 그렇게 할 수 없다. 궁극적으로, 이것은 우리가 통과하기를 원하는 모든 사례에 대해 좋은 주장을 내놓도록 강요했다.' (Q41-SR3) 
The student representatives, on the other hand, experienced an elevation in their social position, despite stating, ‘We were standing at the very bottom of the hierarchy’ (Q38-SR3). ‘I think as a student, when you first join such a workgroup, you need to make more effort (…) before you earn such respect as a professor has, who joins this workgroup and gets it in the first place. Nevertheless, I think the respect was certainly not lower for us; I think we were well respected there’ (Q39-SR2). There were also ‘historical reasons for this, especially related to the reformed study programme, related to the historical protests that had led to this [reform] (…) that the faculty met us with a certain openness, also in respectful interactions’ (Q40-SR2). One of the students’ strategies for approaching the perceived hierarchy gap was as follows: ‘[W]e could never do that through our authority in the group, but with good arguments only. Ultimately, this forced us to come up with good arguments for every case we wanted to get through’ (Q41-SR3).

한 학생 대표는 '최종적인 결정, 즉 어떤 위치에 있는 사람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관한 것'(Q42-SR3)을 주목했습니다. 교육과정 관리자들의 눈에는 '그들[학생들]은 교육과정을 경험했기 때문에 상당히 동등한 위치에 있었다; (…) 그들은 이 교육과정을 공부한 유일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졌다.' (Q43-CR2) '여기 베를린에서는 학생들이 그렇게 강한 입장을 가지고 있어서 학생들에게 불리한 결정을 내릴 수 없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약간 문제였다.'(Q44-CR1) 한 부서 담당자는 '사실 그들 중 일부는 너무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Q45-DR2). 한 교육과정 담당자는 자신들의 입장을 강조하며 '그 당시 학생들은 많은 것을 했다. 10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그룹이 이 과정을 상당히 진전시켰다.' (Q46-CR2) 
One student representative noticed that ‘concerning the ultimate decisions, (…) who was in what position played a role’ (Q42-SR3). In the eyes of the curriculum managers, ‘they [the students] had a fairly equal position by virtue of having experienced the curriculum; (…) they were the only ones who had studied this curriculum. They were taken very seriously’ (Q43-CR2). ‘Here in Berlin, it was a bit of a problem that the students have such a strong position, so many cases cannot be decided against the students’ (Q44-CR1). A department representative stated, ‘I actually had the impression that some of them partly had too much influence’ (Q45-DR2). Emphasizing their position, a curriculum manager pointed out, ‘[T]he students did a lot at that time. There was a group of ten students who significantly drove the process forward’ (Q46-CR2).

모든 자료에는 교육과정위원회에서 교육과정관리자의 잠재적인 사회적 지위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In all the material, there was no mention of the potential social position of the curriculum manager in the curriculum committee.

논의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주요 교육과정 개혁을 입안하기 위한 위원회의 구성원들의 관행을 설명하고 분석하고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부르디외의 장field 개념을 적용했다. 이 이론적 틀을 이용하여, 이 정성적이고 경험적인 연구에서, 우리는 위원회 구성원들의 경험적 현실(Albert and 리브스 2010)의 표면 아래로 파고들 수 있었고 주요 교육과정 개혁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사회적 메커니즘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주요 교육과정의 블루프린팅]은 설계와 전달에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자본과 사회적 입장]을 놓고 [위원회 구성원들의 권력투쟁]에 의해 실질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Bourdieuan concept of field to describe, analyse, and better understand the practices of members of a committee for blueprinting a major curriculum reform. Using this theoretical framework, in this qualitative, empirical study, we were able to dive beneath the surface of the experienced realities (Albert and Reeves 2010) of the committee members and uncover social mechanisms that appear to operate in major curriculum reform. Among this study’s main findings are that blueprinting a major curriculum is substantially shaped by the power struggles of the committee members over various forms of capital and social positions related to the design and delivery of the future curriculum.

부르디외의 분야 개념을 적용해보면, 교육과정위원회 위원들이 치열한 갈등과 경쟁에 가려져 그들의 업무를 경험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부르디외의 분야 개념은 교육과정 개혁의 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눈을 뜨게 했다. 다른 사회 분야와 마찬가지로, 교육과정 위원회는 배우들이 권력을 획득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경쟁하는 장으로 등장했다(Bourdieu 1980). 분명히, 주요 교육과정 개편은 [기존의 구조와 계층, 즉 현재의 자본과 사회적 지위의 배분]을 무너뜨리고, 교육 프로그램과 주최 기관 모두에서 [미래의 권력 분배]에 큰 변화를 동반한다. 각 커리큘럼 위원회는 다른 사회 분야와 마찬가지로 [개별적이고 지역적인 맥락]에 포함embed되어 있습니다. 즉, 자체적인 조직 구조, 전통, 규칙 및 실습 옵션을 가지고 있습니다(Bourdieu 1977). 이러한 독특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부르디외의 분야 개념은 교육과정 위원회에서의 실습이 다른 분야와 동일한 사회적 역학을 나타낼 가능성을 허용한다. 즉, 위원회 구성원들은 [권력]과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자원을 놓고 경쟁할 것이다.
When applying Bourdieu’s concept of field, it turned out not surprising that the committee members experienced their work in the curriculum committee as overshadowed by intense conflicts and competition. In our analysis, Bourdieu’s concept of field became as an eye-opener that provided a look behind the scenes of the curriculum reform. Like any other social field, the curriculum committee emerged as an arena in which actors struggle and compete to acquire power (Bourdieu 1980). Evidently, major curriculum reform breaks up existing structures and hierarchies, i.e. the current allocation of capital and social positions, and is accompanied by major shifts in the future distribution of power in both the educational programme and the host institution. Each curriculum committee, like other social fields, is embedded in individual, local contexts, i.e. has its own organizational structures, traditions, rules and practice options (Bourdieu 1977). Despite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Bourdieu’s concept of field allows the likelihood that the practice in a curriculum committee exhibits the same social dynamics as other fields; in other words, committee members will compete over resources to maintain or acquire power and social position.

부르디외에게, [의료 교육과정 분야의 권력]은 [합법적으로 좋은 의료 교육으로 간주되는 것을 정의할 수 있는 권한과 역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의 주요 교육과정 개혁의 경우,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좋은 교육이 무엇인지 [합법적으로 정의]하는 데 있어 [교수의 지배적인 역할]과 함께 [전통적인 학부 의학 훈련에 대한 고전적 가정]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우리의 경우, 개혁의 주요 동인인 의대생들은 교수와 학습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도입했는데,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통합적이고 학생 중심이며 실습 중심이어야 한다]고 제안함으로써 [좋은 의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도입했다.
For Bourdieu, power in the field of medical curricula can be seen as being equivalent to the authority and capacity to define what is considered legitimately good medical education. In our case of major curriculum reform, classical assumptions of traditional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were questioned, for instance, that the programme should be discipline-based, teacher-centred, and theory-focused, along with the dominant role of professors in legitimately defining what good teaching is. Medical students, in our case, the main drivers of the reform, brought in new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for instance, proposing that the programme be integrative, student-centred, and practice-focused, thereby introducing a new definition of good medical education.

부르디외의 현장 개념을 사용한다면, 교육과정위원회에서의 투쟁이 다소 의식적으로 실존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던 싸움인 거칠고 치열한 싸움으로 경험되었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 아닌 듯하다. 위원들이 개별적으로 또는 단체로 주요 교육과정 설계과정의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분명하다. 이는, 이미 보고된 것처럼, 열띤 작업 분위기와 위원들이 모든 과정을 투덜대는 것으로 인식한 점을 설명한다. 주요 교육과정 개혁은 승자와 패자를 낳는다. 부르디외의 분야 개념은, 한 집단이 [지배력을 얻거나 잃는 자본의 유형과 양]에 직접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승패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유형적이고 점진적인tangible and gradual 조작화]를 가능하게 한다.
If Bourdieu’s concept of field is used, it also seems not surprising that the struggle in the curriculum committee was experienced as a tough and intense fight, a fight that was perceived more or less consciously as being existential. Obviously, the committee members, individually or as groups, are directly affected by the outcome of the major curriculum blueprinting process. This explains the reportedly heated working atmosphere and the fact that the committee members perceived the whole process as gruelling. Major curriculum reform generates winners and losers. Bourdieu’s concept of field allows a tangible and gradual operationalization of what winning and losing means, as it can be directly linked to the type and amount of capital one group gains or loses control over.

우리의 분석은 커리큘럼 계획 위원회의 작업이 다른 종류의 자본을 위한 투쟁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에서 부르디외의 분야 개념과 일치한다. 더 일반적인 관점에서, 자원의 유형과 양은 그 분야에서 널리 가치가 있고 추구된다면 관련된 자본의 형태로서 자격을 얻을 수 있다. 교육과정계획위원회의 경우, 위원회가 권력 또는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해 경쟁하거나 사용한 자본의 구체적인 형태를 확인했다. 한 가지 높은 가치를 지닌 형태는 [경제적 자본]이었다. 향후 교육과정에서 [할당된 교수시간을 통해 한 부서가 얻을 수 있는 교수진 직위의 수]로 조작화되었다. 가중점수(Multiplication factor)가 높은 강의나 세미나와 같은 교수형식은 가중점수가 절반에 불과한 PBL이나 의사소통훈련과 비교하여 경쟁률이 높았다. 또한 전통적인 강의와 세미나를 선호하는 것은 부서들이 그 분야-특이적인 [문화적 자본]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었다. 즉, 과목 전문가로서, 그들은 이러한 형식으로 교육 내용을 결정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PBL] 또는 [환자 의사소통]과 같은 분야 독립적인 교육 형식은 부서 대표자들에 의해 평가절하되었다. 따라서, 부서 대표들은 전통적인 수업 형식의 분배를 놓고 서로 경쟁했고, 동시에 새로운 형식의 수업 시간을 줄이는 것을 선호했다.

Our analysis is in line with Bourdieu’s concept of field in that the work in a curriculum-planning committee is driven by a struggle for and with different kinds of capital. From a more general perspective, any type and amount of a resource can qualify as a relevant form of capital if it is widely valued and sought after within the field (Varpio and Albert 2013).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 we identified the specific forms of capital the committee competed over or used to gain power and/or social standing. One highly valued form was economic capital. It was operationalized as the number of teaching staff positions a department could obtain through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allotted in the future curriculum. Teaching formats, such as lectures and seminars, with a high multiplication factor were competed over more than those such as PBL or communication training that had a multiplication level that was half as high. In addition, favouring traditional lectures and seminars allowed departments to maintain their discipline-specific cultural capital; in other words, as subject experts, they could determine the teaching content in these formats. In turn, discipline-independent teaching formats such as PBL or patient communication were less valued by the departmental representatives. Thus, departmental representatives competed with each other over the distribution of the traditional teaching formats and at the same time favoured reducing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in the new formats.

학생들은 [사회적 자본](상호지원적인 팀에서 활동하고, 다른 위원회 구성원이나 그룹과 동맹을 맺고, 전체 학생들의 목소리를 이끌어냄)을 활성화함으로써 학과의 강력한 힘에 대항하고자 했다. 그들의 전략은 또한 그들이 권력을 가진 경제 자본(시간)의 활성화(밤샘 계산을 통해, 그들은 항상 준비되어 있었다)과 문화 자본(실행 중인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복잡한 계산을 하는 특정 기술, 새로운 개념)에 기반을 두었다. 학생들은 PBL, 기술, 의사소통 훈련과 같은 새로운 교수법을 지지했다. 이는 그들의 문화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고 따라서 의사로서 미래에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는 그들의 능력이다. 교육과정 관리자 대표들은 소수의 경제자본(직급 관련)에만 의존할 수 있었고, 문화자본(교육 및 교육과정 전문성)은 위원회 논의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Students sought to counter-balance the strong power of the departments by activating their social capital (working in a mutually supportive team, building alliances with other committee members or groups, eliciting the voice of the whole student body). Their strategies were also built on the activation of the economic capital (time) over which they had power (through night-long calculations, they were always prepared) and of cultural capital (knowledge about the new curriculum in action, specific skills in doing complex calculations, new concepts). The students advocated for the new teaching formats, such as PBL, skills and communication training, that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cultural capital and therefore their ability to work effectively in the future as physicians. The curriculum manager representatives could rely on only minor amounts of economic capital (related to their positions), and their cultural capital (didactic and curriculum expertise) did not play a major role in the committee discussions.

또한, 우리의 분석은 교육과정 계획 위원회의 작업이 [사회적 지위를 위한 투쟁]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에서 부르디외의 장 개념과 일치하며, 이는 다시 [의료 프로그램과 주최 기관 내의 권력 분배 및 위계]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경우, [전통적인 학문 기반 프로그램]을 [통합된 역량 기반 프로그램]으로 개혁하는 것은 [대학 내 권력과 위계]의 큰 변화를 수반한다는 것이 분명했다. 그 부서의 대표들은 지배적인 사회적 위치에서 왔기에, [좋은 의학 교육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오랜 시간 지속되어온 교육 관행]에 도전할 때 [권력의 상실]을 두려워했다. 그 분야에서 [지위가 높을수록 잃을 염려가 커지고], 비슷한 지위에 있는 사람들과 수평적으로, 그리고 학생들과 같이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과 수직적으로 모두 더 많은 갈등과 경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두려움]과 [사회적 위계의 변화]는 주요 교육과정 개혁에서 자주 발생하는 변화에 대한 저항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our analysis is in line with Bourdieu’s concept of field in that the work in the curriculum-planning committee is driven by a struggle for social position, which in turn has an impact on the power distribution and hierarchy within a medical programme and its host institution. In our case, it was evident that the reform of a traditional discipline-based programme into an integrated, competency-based programme was accompanied by a major shift in power and hierarchy within the university. The department representatives came from a dominating social position and feared a loss of power when new ideas for good medical education challenged their old teaching practices. One may speculate, the higher the position in the field is, the greater the fear of losing it and the more conflicts and competition may arise, both horizontally with those in similar high positions and vertically with those in lower positions, such as the students. This fear and change in social hierarchy may also provide some explanation to the resistance to change that frequently occurs in major curriculum reform (Mennin and Krackov 1998; Bland et al. 2000; Hawick et al. 2017; Reis 2018; Velthuis et al. 2018).

이 사례 연구 자체의 발견 외에도, 그 결과는 구성원들이 주요 교육과정 개혁과 관련된 사회적 메커니즘을 설계하기 위한 위원회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함으로써 주요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문헌에 추가된다. 그들은 우리가 왜 주요 교육과정 개혁을 계획하는 것이 선형적이고 질서 있는 과정으로 전개되지 않는지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연구 결과는 주로 결과 기반 설계와 같은 합리적 '계획 및 실행' 교육과정 개발 접근법을 보완한다. 그들은 이미 어느 정도 인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고 있는 의료 교육과정 개혁에 적용되는 조직 변화 관리 접근법을 보완한다.
Beyond the findings of this case study itself, its results add to the literature on major curriculum reform by enriching our understanding of how members navigate committees for blueprinting major curriculum reform and the social mechanisms involved. They help us to better understand why planning a major curriculum reform does not unfold as a linear and orderly process (Hawick et al. 2017). The findings primarily complement rational ‘planning and executing’ curriculum development approaches such as outcome-based design. They complement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approaches applied to medical curriculum reform that already, to some degree, take into account human and social factors (Loeser et al. 2007; Arja et al. 2018; Maaz et al. 2018; McKimm and Jones 2018; Banerjee et al. 2019).

한계
Limitations

우리는 한 대규모 의과대학의 주요 교육과정 개혁위원회를 분석했다. 향후 연구는 우리의 연구 결과가 다른 위원회와 맥락으로 이전될 수 있는 정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기획위원회가 작아서 우리는 목적적인 샘플링을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개 위원회 그룹 모두 비교적 대표적이었고, 각 위원들은 그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에 대해 풍부하고 광범위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본 연구는 분야의 개념과 관련된 습관 개념에 대한 분석은 포함하지 않았다. 우리는 개별 사회적 행위자들의 습성에 대한 분석이 보다 포괄적인 질적 방법론적 접근을 필요로 할 것이며 향후 연구의 주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위원회의 청사진 작성 과정과 인터뷰 사이의 간격은 인터뷰 내용을 방해했을 수 있다; 어떤 면은 기억되지 않았을 수 있고, 다른 면은 왜곡되었을 수 있다.
We analysed one major curriculum reform committee at one large medical university.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the degree of transferability of our findings to other committees and contexts. The curriculum planning committee was small, so we could not employ purposive sampling. Nevertheless, all three committee groups were comparably represented, and each committee member provided rich and extensive insight into his or her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This study did not include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habitus, which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field. We feel that the analysis of individual social agents’ habitus would require a more comprehensive qualitative methodological approach and could be the subject of future research. Finally, the interval between the committee blueprinting process and the interviews may have interfered with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some aspects may not have been remembered, while others may have become distorted.

시사점
Implications

이 연구가 제공하는 통찰력은 주요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제도적 계획을 안내하고 위원회에 있는 개인이 주요 교육과정 개혁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 결과는 주요 교육과정 개혁을 위해 이러한 고위험 기획위원회를 탐색하는 복잡성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그들의 준비와 훈련의 기초로서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근본적인 사회 메커니즘에 부르디외의 렌즈를 가진 개별 위원회 구성원이나 그룹을 귀속시키는 것도 주요 교육과정 변화의 과정과 결과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e insights offered by this study can help to guide institutional planning for a major curriculum reform and assist individuals being on committees to blueprint a major curriculum reform. The results can serve in a complementary fashion as a foundation for their preparation and training so that they can better cope with the complexities of navigating such high-stakes planning committees for major curriculum reform. Vesting individual committee members or groups with Bourdieu’s lens on the underlying social mechanisms may also have a beneficial impact on the process and outcome of major curriculum change.

결론들
Conclusions

부르디외의 현장개념을 적용함으로써, 교육과정위원회에서 작동하면서, 주요 교육과정 개혁의 과정과 결과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숨겨진 사회적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발굴할 수 있었다. 경험이 풍부한 현실에서 볼 때, 교육과정 개혁은 좋은 의학교육에 대한 학문적 담론으로 보인다. 이러한 표면 아래에서 [미래 교육과정의 설계와 전달]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자본]과 [사회적 입장]을 놓고 위원회 구성원들 사이에 [치열한 권력 투쟁]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고위험 사업에 대한 현재의 이해를 보완하고 기관과 위원회 구성원들이 주요 교육과정 개혁의 복잡성을 더 잘 탐색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Applying Bourdieu’s concept of field allowed us to identify and uncover hidden social mechanisms that operate in curriculum committees and have a substantial impact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major curriculum reform. On the surface of experienced realities, curriculum reform appears to be an academic discourse about good medical education. Beneath this surface operates an intense power struggle among committee members over various forms of capital and social positions related to the design and delivery of future curriculums. Our findings complement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is high-stakes undertaking and may be utilized by institutions and committee members to better navigate the complexity of major curriculum reform.

 


 

 

Med Teach. 2022 Apr;44(4):410-417. doi: 10.1080/0142159X.2021.1998403. Epub 2021 Nov 22.

 

 

A qualitative study applying Bourdieu's concept of field to uncover social mechanisms underlying major curriculum reform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Dieter Scheffner Center for Medical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Dean's Office of Study Affairs, Charité - Universitätsmedizin Berlin, Germany.

PMID: 34802364

DOI: 10.1080/0142159X.2021.1998403

Abstract

Purpose: Planning committees play a key role in blueprinting major curriculum reform. In this qualitative study, we apply Bourdieu's sociological concept of field to the perceptions of committee members to identify the social mechanisms operating in major curriculum reform.

Method: A planning committee with 18 members developed a blueprint for major curriculum reform at the Charité Berlin in its transition from a discipline-based programme to a fully integrated undergraduate medical programme. Interviews with 13 members about their experiences were subjected to inductive-de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Viewed through a Bourdieuan lens, the curriculum committee represents a social field of intense competition and conflicts. Groups of committee members struggled for and with different forms of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capital to maintain and increase their power and social position in the medical programme. In our case, the major reform was accompanied by loss of power within the teaching department group, while the student group gained power.

Conclusion: Bourdieu's concept of field reveals that a major curriculum reform is substantially shaped by power struggles over various forms of capital and social positions related to the future curriculum. The findings may serve as a complementary guide for those navigating the complexity of major curriculum reform.

Keywords: Curriculum reform; Pierre Bourdieu; curriculum committee; social theory.

 

보건의료시스템과학 교육과정 도입 과제: 학생 인식의 질적 분석(Med Educ, 2016)
Exploring challenges in implementing a health systems science curriculum: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perceptions
Jed D Gonzalo,1 Paul Haidet,1 Barbara Blatt2 & Daniel R Wolpaw

서론
Introduction

미국의 의료 서비스 제공에 상당한 변화를 인식한 의료 교육자들은 새롭고 진화하는 의료 시스템에서 실습 기대와 함께 커리큘럼을 재정비realign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교육 개혁의 중요한 구성 요소는 [의료 시스템 과학(HSS)]에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시스템 기반 실천(SBP) 역량]을 볼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콘텐츠 및 개념의 렌즈이다. 협업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 기반 의사 교육을 육성하기 위해 교육자들은 인구 건강, 건강 시스템 개선 및 고부가가치 관리를 포함하는 HSS를 전통적인 기초 및 임상 과학과 통합하는 학부 의료 교육(UME)을 위한 3축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게다가, 많은 학교들은 그들이 HSS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의료 시스템에서 [진정한authentic 학생 역할]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권고와 개발에도 불구하고 많은 프로그램은 여전히 기초 및 임상 과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초기 교실 밖 경험은 주로 실습에 효율성 부담을 주고 환자 치료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지도preceptorship 모델로 제한된다. 
Recognising substantial changes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n the USA, medical educators are working to realign their curriculum with practice expectations in new and evolving systems of care.1 A critical component of educational reform involves the inclusion of knowledge and skills in Health Systems Science (HSS), which is a more comprehensive lens of content and concepts through which to view the Systems-Based Practice (SBP) competency.2-6 To foster the education of collaboratively effective, systems-based physicians, educators have proposed a three-pillar framework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that integrates HSS, which includes population health, health systems improvement and high-value care, with the traditional basic and clinical sciences.3, 7 In addition, many schools are creating authentic student roles in health care systems to help them develop HSS skills.8, 9 Despite these recommendations and developments, many programmes still focus on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10, 11 In such programmes, early out-of-classroom experiences are primarily limited to preceptorship models that place an efficiency burden on practices and do not directly contribute to patient care.8, 10, 12-15

교육자들이 HSS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그들은 학생들을 참여시키고 학습에 동기를 부여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16 새로운 커리큘럼의 성공적인 설계, 개발 및 구현을 위해, Fink, Kern 등은 장벽을 식별하고 성공적인 교육과정 설계에 inform하기 위해 [상황적 요인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의과대학의 시스템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이를 의미 있고 중요한 학습경험으로 만들기 위해 도전하는 교육과정에서의 특별한 도전'이 아직 조사되지 않았다. 이러한 커리큘럼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이 정보는 성공적인 설계 및 구현에 매우 중요하다.
As educators work to design and implement HSS curricula, they are faced with the task of engaging students and motivating them to learn.16 For successful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new curricula, Fink, Kern and others suggest performing an in-depth analysis of situational factors to identify barriers and inform successful curriculum design.17, 18 The ‘special challenge in the curriculum that challenges both students and teacher to make this a meaningful and important learning experience’ has not yet been investigated for systems curricula in medical schools.17 With the anticipated increase of such curricula, this information is critical for success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본 연구에서는 HSS를 의료 커리큘럼에 통합하기 위한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 노력에 inform하기 위해, [시스템 기반 개념을 학습하는 학생들의 인식]을 탐구하였다. 특히,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을 가지고 이 연구에 접근했다. [강의실과 경험적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시스템 커리큘럼]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장벽, 이점 및 특수 교육학적 도전]으로 인식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In this study, we explor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dea of learning systems-based concepts to inform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efforts to incorporate HSS into medical curricula. Specifically, we approached this study with one overarching question: What do students perceive as barriers, benefits and special pedagogical challenges with regard to systems curricula that involve both classroom and experiential components?

방법들
Methods

연구접근법
Study approach

시스템 기반 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가 문헌에 거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연구를 위해 데이터 중심 귀납적 접근법을 사용했다. 우리는 연구 질문의 탐색적 성격에 적합한 몇 가지 근거 이론 분석 기법을 사용한 정성적 주제 분석을 사용했다. 설문이나 개별면접보다는 포커스 그룹면접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학생들의 인식을 자세히 탐색하는 한편,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잠재적인 합의와 의견 불일치를 위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기관 검토 위원회는 이 프로젝트를 최소 위험 연구로 결정했다.
Because there is very little in the literature in the way of student attitudes to systems-based educational curricula, we used a data-driven inductive approach for our study.19-22 We used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with several grounded-theory analytical techniques appropriate for the exploratory nature of the research question. We chose focus group interviews rather than surveys or individual interviews because we wante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in detail, while also providing a safe environment for interaction and potential agreement and disagreement among participants.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determined this project to be minimal-risk research.

스터디 설정
Study setting

2013년, 펜 주립 의과대학(PSCOM)은 미국 의학 협회로부터 새로운 [시스템 탐색 커리큘럼]을 구현하기 위한 보조금을 받았다. 이 새로운 커리큘럼은 두 가지 핵심 요소를 포함하기로 되어 있었다.

  • 첫째, 보험, 비용, 진료 조정, 인구 및 공중 보건, 의료 성과 및 가치, 팀워크 및 리더십과 같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약 125시간의 컨택트 시간으로 17개월 동안 지속되는 새로운 의료 시스템 과정을 설계했다.
  • 둘째, 새로운 강의실 기반 과정에 대한 동기부여와 관련성을 촉진하기 위해 학생들은 환자 항법사로서 펜실베니아 중남부의 보건 시스템에 내장되어야 했다. 환자 항법(Patient Navigation)은 아웃리치 작업자를 사용하여 환자의 진료 장벽을 탐색하고 환자가 필요한 치료를 얻고 격차를 줄이기 위해 복잡한 의료 시스템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개입이다.

In 2013, the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PSCOM) received a grant from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to implement a new systems navigation curriculum, with the primary goal of aligning medical education with health system needs.23 This new curriculum was to include two key components.7 

  • First, a new health systems course was designed, lasting 17 months with an estimated 125 contact hours, focusing on topics such as insurance, cost, care coordination,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health care performance and value, teamwork and leadership.67 
  • Second, to foster motivation and relevance to the new classroom-based course, students were to be embedded into health systems in south-central Pennsylvania as patient navigators. Patient navigation is an intervention that uses outreach workers to explore patients’ barriers to care and helps them navigate complex health care systems to obtain the required care and reduce disparities.2425

참가자표본
Participant sampling

교육 단계별로 HSS에 대한 관점이 다를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다양한 수준의 경험을 포함하는 샘플을 얻기 위해 펜실베니아 주의 각 커리큘럼의 4년(MS1–4)에서 의대생을 의도적으로 모집했다. 우리는 연구에 대해 설명하고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미리 예정된 인터뷰에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이메일을 보냈다. 포커스 그룹은 3명에서 7명의 참가자로 구성되었고, 각 그룹은 같은 반의 멤버를 포함했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중 위에서 설명한 새로운 커리큘럼의 어떤 부분도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없었다.
Because we expected students at different stages in their education to perhaps have different viewpoints about HSS, we intentionally recruited medical students from each of the four years (MS1–4) of Penn State's curriculum in order to obtain a sample that included the varying levels of experience. We sent e-mails describing the study and requesting interested students to sign up for a pre-scheduled interview. Focus groups were comprised of three to seven participants, with each group including members of the same class. None of the students in the study had experienced any part of the new curriculum described above.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의학 교육에 대한 지식이 있지만 의과대학에서 리더십 직책이 없는 경험 많은 두 명의 촉진자가 포커스 그룹 토론을 조정하고 디지털로 기록했다. SBP, 체험형 직장기반학습 및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관련 문헌에서 inform된 인터뷰 가이드(부록 S1 참조)를 활용하였다. 인터뷰 가이드에서 입증되었듯이, 우리의 질문은 지역 환경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HSS에 대한 응답을 장려하고 조사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우리는 참가자들에게 ['시스템 기반 관행'이라는 용어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적어보라고 하는 것]으로 각 토론을 시작했다. 본 활동에 이어 다음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 SBP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이러한 개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 경험적 시스템 기반 교육과 환자 항해사로서의 참여를 둘러싼 문제,
  • 의과대학 중 서로 다른 학습과목의 우선 순위를 어떻게 정했는지.

전문 전사자가 오디오로 녹음된 각 포커스 그룹 세션의 요약본을 준비했습니다.
Two experienced facilitators with knowledge of medical education but without leadership positions in the medical school moderated and digitally recorded the focus-group discussions. We used an interview guide (see Appendix S1) that was informed by the relevant literature on SBP, experiential workplace-based learning and curriculum design.12, 13, 16, 18, 26, 27 As demonstrated in the interview guide, our questions were designed to encourage and probe responses about HSS in general, rather than issues specific to our local environment alone. We began each discussion by asking participants to write dow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term ‘systems-based practice’. Following this activity, the discussion focused on

  • students’ understanding of SBP concepts,
  •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such concepts in a medical school curriculum,
  • issues surrounding experiential systems-based education and participation as patient navigators, and
  • how they prioritised different learning subjects during medical school.

A professional transcriptionist prepared a verbatim transcript of each audio-recorded focus-group session.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질적 연구에 대한 경험을 가진 우리 연구팀의 구성원들이 우리 연구의 분석 단계를 이끌었다. 이 작업에 접근한 우리 연구팀의 관점은 [HSS가 의대생들의 훈련과 21세기 의료 실무에서 가치]가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포커스 그룹 진행자가 질문 및 조사를 [중립적으로 표현하도록 특히 주의]를 기울였으며, 진행자가 학생들이 이 내용을 중시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선도적인 질문을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질문 및 조사에 대한 비공식 분석을 수행했다. 또한, 우리는 우리의 결과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된 몇 가지 교차 검사를 수행했다.
Members of our research team with experience in qualitative research led the analysis phase of our study. Our research team's perspective in approaching this work was that HSS has value in the training of medical students and in 21st-century medical practice. As such, we were particularly careful to ensure focus group moderators worded their questions and probes neutrally, and we performed an informal analysis of the questions and probes asked to ensure the moderator was not asking leading questions that implied that students should value this content. In addition, we performed several cross-checks, described below, to ensure that our results could be confirmed.


우리는 몇 가지 근거이론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주제 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했다.22, 28, 29 우리는 텍스트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Atlas.ti™ 6.0 (Scientific Software, Berlin, German)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 각 포커스 그룹 세션 동안, 진행자는 초기 코드북을 알리기 위해 메모를 기록했다. 초기 주제와 범주를 식별하고 예비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비교 분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이러한 노트와 포커스 그룹 기록을 검토했습니다. 19, 20 4년간의 모든 교육 기간 동안 데이터 포화 상태에 도달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더 이른 시점에 포화 상태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예정된 포커스를 모두 완료하기로 사전 결정을 내렸습니다. 그룹은 한 조사관(JG)은 독립적으로 초기 기록을 분석하고 코드북을 수정했다. 공동조사자(BB)와의 정기적인 판정 세션을 통해 초기 코드를 비교하고 불일치 및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코드북을 업데이트하였다. 연구팀의 구성원들은 개별적으로 녹취록을 검토하고 개발된 코드북과 텍스트를 교차 확인했으며, 이는 후속 판정 세션을 알렸다. 팀은 의견 불일치를 논의하고 필요에 따라 코드를 축소 및 수정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구팀은 주요 범주, 주제 및 예시 인용에 대해 논의하였고, 시스템 기반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을 개발하였다.

We approached our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with several grounded-theory analytical techniques.22, 28, 29 We used Atlas.ti™ 6.0 (Scientific Software, Berlin, Germany) software to manage the text data. During each focus-group session, the moderator recorded notes to inform the initial codebook. We reviewed these notes as well as the focus group transcripts using a process of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o identify initial themes and categories and generate a preliminary codebook.19, 20 Because we were unsure if data saturation would be reached across all four years of training, we made an a priori decision to complete all scheduled focus groups regardless of whether saturation was reached at an earlier point. One investigator (JG) independently analysed an initial transcript and modified the codebook. Through regular adjudication sessions with a co-investigator (BB), initial codes were compared for inconsistency and agreement, followed by updating of the codebook. Members of the research team individually reviewed transcripts and cross-checked the text with the developed codebook, which informed subsequent adjudication sessions. The team discussed disagreements and collapsed and modified codes as necessary. Finally, the research team discussed overarching categories, themes and exemplar quotations, and developed a conceptual framework to explain students’ perspectives regarding systems-based education.

결과.
Results

2013년 12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총 12개의 포커스 그룹을 수행했으며, 평균 51분 길이(범위 21-70분)였다. 총 50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1학년 3개 그룹(n=13), 2학년 4개 그룹(n=14), 3학년 3개 그룹(n=16), 4학년 2개 그룹(n=7)이 참여하였다. 이 50명의 학생들 중 28명은 여자였고 22명은 남자였다.
Between December 2013 and March 2014 we conducted a total of 12 focus groups, averaging 51 minutes in length (range 21–70 minutes). A total of 50 students participated, with three groups of first-year students (= 13), four groups of second-year students (= 14), three groups of third-year students (= 16) and two groups of fourth-year students (= 7). Of these 50 students, 28 were female and 22 were male.

시스템 커리큘럼에 대한 장벽
Barriers to a systems curriculum

새로운 시스템 커리큘럼에 대한 학생 식별 장벽은 아래 식별된 바와 같이 네 가지 주제로 분류되었습니다.
Student-identified barriers to a new systems curriculum were categorised into four themes, as identified below.

의사 면허 시험은 기초 과학을 '핵심'으로 보는 관점을 배양한다.
Medical licensing board examinations foster a view of the basic sciences as ‘core’

거의 모든 학생들이 의대 초반의 주요 관심사를 전통적인 기초과학이라고 표현했다. 이러한 '핵심' 과정은 미국 의학 면허 시험(USMLE)에서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간주되며, 이는 상위 선택 프로그램에서 레지던트 확보의 주요 결정 요인으로 인식된다.
Nearly all students described their primary focus in the early years of medical school as being the traditional basic sciences. These ‘core’ courses are viewed as a prerequisite for achieving high scores in the United State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s (USMLE), which are perceived as the primary determinant for securing a residency, preferably in a top-choice programme.

학생들은 우리가 핵심 수업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배우는 데 매우 집중합니다. 우리가 무슨 과학을 하고 있든지 간에, 우리가 있는 기관 블록이 이 시험에서 테스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Students are so focused on learning what we consider our core class, which is the organ block we are in, whatever science we are doing, because that is what the boards test.

(MS2)

처음 2년은 모두 [USMLE]에 달려 있습니다. 옳고 그름의 기준이 되는 것 같다. 비록 우리가 우리의 교육과정을 완전히 바꿨다고 해도, 사람들은 여전히 비밀리에 시험을 위해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진짜 화폐이기 때문이다. 불행하게도, 당신이 처음 2년 동안 배운 것보다 더 많은 것은 당신이 그 시험을 얼마나 잘 보느냐이다.
The first 2 years are all contingent on [the USMLE]. For right or wrong, it seems to be the standard. Even if [we] changed our curriculum entirely, people would still be secretly studying for the test because that is the real currency. More than actually what you learn in the first 2 years is how well you do on that test, unfortunately.

(MS2)

시스템은 중요하지만 필수적이지 않음
Systems are important but not essential

시스템 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학생들은 의과대학의 시간적 압박을 고려할 때 기본 및 임상 기술을 더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이 테마는 위의 의료 면허 테마와 구별되지만 관련이 있습니다. 의료면허 테마는 평가가 의료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콘텐츠 사이에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이 테마는 다른 콘텐츠보다 HSS를 덜 우선시하는, [의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학생들의 역할 구성]에 초점을 맞췄다. 시스템 기반 지식과 기술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이러한 것들이 안 좋은 결과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커리어의 뒤쪽으로 미뤄둘 수 있다고 제안했다.
Despite recognising the importance of systems knowledge and skills, several students viewed basic and clinical skills as more essential given the time pressures of medical school. This theme is distinct from, but related to, the medical licensing theme above. Although the medical licensing theme focused on assessment driving students’ prioritisation of various contents in the medical curriculum, this theme focused on students’ role constructions of what a doctor is, which prioritised HSS below other contents. With respect to systems-based knowledge and skills, students proposed that these could come later in their careers, without causing untoward consequences.

[비과학 수업] 결국 솜털 같은 '사이드' 수업으로 비쳐진다. 심장학과 같은 핵심 과학을 보세요. 만약 여러분이 그들을 잘 알지 못한다면, [여러분]은 전면적이고 중심적인 실수나 나쁜 결과를 범하게 될 것입니다. [시스템]은 내가 나중에 배울 수 있는 것이다. [비과학 과목]은 옆으로 밀린다.
[Non-science classes] end up being seen as fluffy ‘side’ courses. Look at the core science like cardiology. If you don't know them well, [you] will make mistakes and poor outcomes that are front and center. [Systems] is what I can learn later. [Non-science courses] get shoved off to the side.

(MS3)

한 학생의 접시에는 1000가지가 있다. [우리]는 시간 관리의 달인이 되지만, 그것은 [필수적이지 않은 것을 잘라내는 대가]를 치르게 됩니다. 시스템[교육과정]에는 분명히 그러한 위험이 있다.
There are 1000 things on a student's plate. [We] become masters of managing time, but that comes at the cost of cutting things that are not viewed as essential. There is definitely that risk with [the] systems [curriculum].

(MS2)

진정한 시스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 및 기술 부족
Insufficient knowledge and skills to perform an authentic systems role

몇몇 학생들은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다는 인식 때문에 (환자 탐색과 같은) 진정한 시스템 기반 역할을 맡는 것을 꺼렸다. 학생들은 환자에게 해를 끼치는 것에 대해 걱정했고, 역할에서 어떻게 기능해야 할지 몰랐거나 할당된 작업에서 성공하지 못했다.
Several students were reluctant to take on authentic systems-based roles (such as patient navigation) given their perceived lack of knowledge and skills. Students were concerned about harming patients, not knowing how to function in the role or being unsuccessful with assigned tasks.

환자 내비게이터 역할을 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우리는 기술이 없기 때문에 환자, 환자 항해사 또는 병원 관리자와 그들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그냥 환자를 따라다니면서 공간을 차지했을 뿐이죠. 만약 우리가 그것에 대해 약간의 훈련을 받는다면, 아마도 우리는 유용할 수 있지만, 그것을 광범위하게 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It may be hard to act as a patient navigator. It would be better to talk to a patient about their experience, a patient navigator or hospital administrator about what they are working on because we don't have the skills. We would just be following a patient around and taking up space. If we got some training in it, perhaps we could be useful, but to do it extensively would be hard.

(MS4)

환자를 리드하려는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큰 불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맹인이 맹인을 인도하는 것일 것이다.
It could be a great disadvantage for the patient because you have a student who does not understand the system trying to lead a patient. It would be the blind leading the blind.

(MS3)

의과대학 커리큘럼과 임상 시스템은 시스템 교육을 지원하지 않는다.
Medical school curricula and clinical systems do not support systems education

일부 학생들은 현재의 커리큘럼과 임상 환경이 새로운 시스템 커리큘럼을 수용하지 못할 것이라는 그들의 믿음을 보고했다. 학생들은 그러한 변화를 허용하지 않는 전통적인 교육 및 의료 제공 문화를 인식했다.
Some students reported their beliefs that the current curriculum and clinical environment would not be receptive to a new systems curriculum. Students perceived a traditional culture of education and clinical-care delivery that would not allow such a change.

옛날 경비원 같아. 많은 세대가 의학을 겪어왔고, 이것이 의학을 배우고 행해 온 방법이다. 당신은 좋은 의사가 되기 위해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고 느낍니다. 말도 안 되는 병을 다 외우는 것이다. 이것이 여러분이 할 일입니다. 여러분은 그 직업의 기대에 부응하기를 원하며, 그것은 여러분이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는 사람들에게 많은 압박감을 줍니다.
It's like the old guard. A lot of generations have gone through medicine, and this is the way it has been learned and done. You feel like you have to know everything to be a good doctor. You memorize every detail of ridiculous diseases. This is the way you are going to do it… You want to live up to what the profession expects, and that puts a lot of pressure on people that you have to know everything.

(MS2)

시스템 커리큘럼의 이점
Benefits of a systems curriculum

학생들은 몇 가지 인지된 이점을 확인했고 HSS의 콘텐츠 영역이 가치 있고 자신의 경력에 적용될 것이라고 믿었다. 아래 논의된 바와 같이 세 가지 테마는 다양한 이점을 설명했습니다.
Students identified several perceived benefits and believed the content areas of HSS would be valuable and applicable to their careers. Three themes described a variety of benefits, as discussed below.

의료 시스템 과학 지식 및 기술 습득
Acquisition of health systems science knowledge and skills

많은 학생들이 HSS 학습의 가치를 확인했고 임상 전 및 임상 연도 모두에서 현재 이 주제가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많은 학생들은 그 지식과 기술이 임상실습, 레지던트 그리고 독립적인 커리어으로의 전환 동안 실질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Many students identified the value in learning HSS and noted the current lack of this topic in both pre-clinical and clinical years. Specifically, many students believed the knowledge and skills would prove to have practical value during transitions to clerkships, residency and independent careers.

정말 좋을 것 같아요. 나는 많은 전공의들과 이야기했고 그들은 말했다: '나는 내가 그것에 던져지기 전까지 이 중 어떤 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전혀 몰랐다. 그것은 불에 의한 세례였고, 나는 그냥 가면서 배워야 했다.' …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배우는 것은 분명히 유익할 것이다. 그래야 우리가 그곳에 도착했을 때 충격이 없다.
It would be great. I talked to a lot of residents and they have said: ‘I had no idea how any of this worked until I was thrown into it. It was a baptism by fire, and I just had to learn as I went.’ … It would definitely be beneficial to learn how it works. That way it's not a shock when we get there.

(MS2)

환자 경험에 대한 이해도 향상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experience

많은 학생들은 [의료 제공에 대한 환자 중심의 관점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의료 시스템에서 진정authentic한 역할을 하는 새로운 시스템 커리큘럼을 호의적으로 보았다. 그들은 [환자들과 함께 일하는 것]이 환자들이 그들의 치료 문제와 의료 시스템 내의 수많은 장벽을 어떻게 헤쳐나가야 하는지를 직접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믿었다.
Many students viewed a new systems curriculum with authentic roles in the health care system favourably because of the potential to have a patient-centred perspective of health care delivery. They believed that working with patients would provide first-hand opportunities to see how patients must navigate their care issues and the numerous barriers within the health care system.

[학생들]은 환자가 되는 것은 무슨 느낌인지와는 거리가 멀다. 저는 환자와 가족이 어떤 상태일지 반영할 수 없고, 어떤 종류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기를 원하는지 생각하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2년 동안 시험을 볼 것이고, 의대를 졸업할 때 보드를 가질 것이지만, 우리가 매일 가질 것은 환자들이다.
[Students] are distant from what it feels like to be a patient. I cannot reflect what it might be like for the patient and family and start to think what kinds of resources would I want available. We are going to have tests for 2 years, we are going to have boards when we are out of med school, but what we are going to have every day is patients.

(MS3)

경험적 역할을 통해 학습 및 참여 향상
Improved learning and engagement through experiential roles

학생들은 [돌봄 환경 내에서 진정한 역할authentic roles이 자신에게 할당된 업무와 교육에 대한 매력적인 경험, 소유권 및 책임감을 촉진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진정한 역할은 학생들이 책임지고 팀의 다른 구성원의 역할과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되며, 이는 종종 그림자 또는 교수 경험에서 발생한다. 의과대학에서의 전통적인 관찰 경험과 비교하여, 학생들은 진정한 역할이 학습 경험을 촉진하고 의학 직업 내에서 그들의 동기를 자극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Students reported that authentic roles within care settings would provide engaging experiences, fostering ownership of and accountability for their assigned tasks and education. Authentic roles are defined as those that students are responsible for, and that will not duplicate the roles of other members of the team, which is often the case with shadowing or teaching experiences. As compared with traditional observational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students reported that authentic roles would catalyse the learning experience and fuel their motivation within the medical profession.

 

책무성과 책임감은 사람들이 일을 잘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첫해에는 임상치료를 하지 않을 거고 그렇게 일찍 임상치료를 받길 바라지 않으실 겁니다. [환자 항해사로서] 우리는 필수적인 역할입니다. 당신은 학생으로서 책무를 가져야 하고, 환자에게 목적이 되는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Accountability and responsibility motivates people [to] do things well. First year, we are not doing clinical and you do not want us doing clinical that early. [As patient navigators], we are an integral role. You are accountable for something that is purposeful for the patient, and as a student.

(MS4)

통합 과제: 학생들은 경쟁하는 의제들 사이에 끼어 있다.
The unifying challenge: students are caught between competing agendas

편익과 장벽과 관련된 주제를 총체적으로 바라보면서, 우리는 HSS 커리큘럼을 구현하는 데 있어 하나의 통일된 과제를 확인했다(그림 1). 비록 학생들이 기초과학부터 이사회 시험, 사무원 자격 수행, 레지던트 입학까지 일련의 필요한 단계들을 그들의 주된 초점으로 확인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또한 이 접근 방식이 그들의 신념이나 개인적인 의제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소통했다. 학생들은 자격증 시험을 넘어 그들이 집중하고 싶은 여러 단계의 학습과 경험을 확인했다. 특히, 학생들은 '역량'을 갖추고, 최적의 환자 중심 진료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기를 원했고, 이러한 기술은 그들이 더 나은 의사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 학생들은 [의학교육 시스템에서 부과된 의제(예: 기초 과학 및 시험)]와 [가능한 최고의 의사가 되려는 내부 욕구] 사이에서 긴장을 확인했다.
Taking a holistic view of the themes pertaining to benefits and barriers, we unifying challenge in implementing an HSS curriculum (Fig. 1). Although students identified an explicit series of necessary steps, leading from basic sciences through board examinations and clerkship performance to residency entrance, as their primary focus, many also communicated that this approach is not aligned with their beliefs or personal agenda. Students identified several layers of learning and experience, beyond licensing examinations, upon which they would like to focus. Specifically, students desired to be ‘competent’ and acquire the required skills for optimal patient-centred care, believing these skills would result in them becoming better physicians. Students identified a tension between what they believed to be the imposed agenda of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e.g. basic sciences and examinations) and their internal desire to be the best physician possible.

그것은 끔찍하게 들립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여러분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의사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장기적인 목표입니다. 불행하게도, USMLE Step 1은 우리가 치르게 될 가장 큰 시험이며 무엇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가? 기초과학.
It sounds terrible because it should be becoming the best doctor you possibly can, which ultimately is the long-term goal. Unfortunately, Step One is the biggest test we are ever going to take and what does it focus on? The basic sciences.

(MS2)

저는 [항상] 공부로 돌아가야 한다고 느끼게 된다. 왜냐하면 이것은 제 시험이고 저는 이 시험에서 최선을 다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나는 그것을 좋아하지 않지만 그것은 필수이다. 내 마음 한구석에서는, 나도 이런 의사가 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어. 나는 내 환자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고, 그들을 알아가고 싶고, 곧 있을 선반 검사 난장판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싶다.
I [always feel] I need to get back to studying because this is my shelf and I want to do the best on this one. I don't like that but it is required. In the back of my mind, I am also thinking this is not really the kind of doctor I want to be. I want to spend more time with my patients, getting to know them and the fact that I have this upcoming shelf exam messes with that.

(MS3)

논의
Discussion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시스템 기반 콘텐츠와 활동의 성공적인 구현을 inform하는 것을 목표로, 학부 의료교육(UME) 초기 보건시스템과학(HSS)에 대한 의대생들의 태도와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미국과 국제적으로 진화하는 의료 제공 시스템에서 의사들을 훈련시키고, UME와 대학원 의학 교육(GME)에서 HSS에 대한 강조를 증가시키기 위한 권고안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운동movement는 인구와 공중 보건, 임상 정보학, 가치 기반 치료 및 팀워크의 새로운 과정 작업의 필요성을 인정했으며, 의대 학생들을 위한 진정한 시스템 기반 역할을 도입하는 데 있어 창의성을 자극했다. 의과대학은 응급의료기사 양성, 노숙인 쉼터 사회사업 활동 수행, 학생 운영 클리닉의 선도 및 참여, 환자 내비게이터 역할 수행 등 학생들을 위한 시스템 기반 활동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 서비스 제공의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인식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을 제공합니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 and perceptions of health systems science (HSS) in the early years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with the goal of informing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ystems-based content and activities in medical school curricula. This study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a need both in the USA and internationally to educate physicians so they are better equipped to practice medicine in an evolving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nd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an increased emphasis on HSS in UME and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3, 5, 7, 8, 30 This movement recognises the need for new coursework in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clinical informatics, value-based care and teamwork, and has stimulated creativity in introducing authentic systems-based roles for medical students.31-35 Medical schools have implemented systems-based activities for students that include training a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forming social work activities at homeless shelters, leading and participating in student-run clinics, and acting as patient navigators.27, 36-38 These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building awareness of the shifting landscape of health care delivery.


우리의 연구 결과는 [시스템 학습과 경험]을 [학생들의 진로 궤적에 맞추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학생들은 건강 시스템에 대한 학습과 진정한 시스템 기반 역할 수행(예: 환자 항법)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지만, 또한 [이러한 교육 의제를 허용하지 않는 경로에 갇혀 있다]고 느꼈다(그림 1). HSS를 의미 있는 방식으로 포함하려는 교육자들은 [양쪽의 제약]에 직면한다.

  • 학생들에 의해, 왜냐하면 이들은 스스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지를 하기에
  • 현재의 교육 시스템에 의해, 왜냐하면 HSS를 포함한 다른 영역을 희생하면서 생물 의학 학습에 인센티브를 주기에

하나의 회피책은 HSS 학습을 커리큘럼 맵의 주변에 있거나 사이드 또는 일부 '나중에' 학습할 수 있는 내용으로 '기타' 범주로 격하시키는 것이다. 과거에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인증 목적]에 충분했을 수 있지만, 임상 환경의 기대는 바뀌었고, 의료 기관은 [HSS와 팀 교육을 필수 의사 기술]로 점점 더 많이 간주하고 있다. 학생들과의 인터뷰에서 보았을 때, 학생들은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합하는 교육 개혁이 증가함에 따라, 학생들은 이러한 분야에서 추가적인 집중을 모색하고 있으며, 임상 진료 시스템이 이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에서 현재 졸업생들의 지식과 기술에 대한 학생과 보건 시스템 리더들의 의견에서 알 수 있듯이, 변화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이 보고한 바와 같이, 우리는 시험, 임상실습 수행, 전공의 지원과 같이, 대체로 [HSS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것들에 의해 학생들의 초점이 지배되는 교육 세계]에 갇혀 있는 것처럼 보인다.
Our study results suggest that a critical challenge is the need to determine how to align systems learning and experience with the career trajectory of students. Although the students in this study realise the importance of learning about health systems and performing authentic systems-based roles (such as patient navigation), they also felt locked into a pathway that did not allow for such an educational agenda (Fig. 1). Educators trying to include HSS in a meaningful way face constraints imposed

  • by both students themselves, as they decide what is and what is not important, and
  • by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hich incentivises biomedical learning at the expense of other areas, including HSS.

One work-around strategy would be to relegate HSS learning to the ‘other’ category, with content that is at the periphery of the curricular map or that can be learned on the side or at some ‘later’ date. Although this approach in the past may have been sufficient for the purposes of accreditation, the expectations of the clinical environment have changed, and health care organisations are increasingly regarding HSS and team education as essential physician skills.5, 39 From our interviews with students, they can appreciate this transformation and understand the implications. With increased educational reform that aligns with this transformation, students are seeking additional focus in these areas, and clinical care systems are requesting it. However, as evidenced by students’ and health systems leaders’ opinions regarding the knowledge and skills of current graduates in these areas, change has been slow.10, 30 As reported by the students in this study, we seem trapped in an education world where students’ focus is dominated by exams, clerkship performance and residency vetting, which largely ignore the importance of HSS.

왜 의료 시스템 분야에서 교육적 변화가 더 빠르고 의미 있게 일어나지 않고 있으며, 왜 학교는 변화에 '면역immune'하는 것처럼 보이는가? 변화에 대한 면역력에 대한 그들의 중요한 연구에서, Kegan과 Lahey는 왜 변화를 만드는 것이 어려운지 그리고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모두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그들은 [변화에 따른 어려움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 설계된 [개인 또는 조직 'X-ray']를 제안한다.

  • 최선의 의도(예: HSS를 가르치겠다는 약속)는
  • 종종 이 목표를 뒷받침하지 않는 행동이나 비행동(대신 학생들이 성공적인 전공의 신청을 준비하거나 하지 않는 것)을 동반한다.
  • 이는 교직원 및 교육 리더십 우려(예: 학생들이 선호하는 레지던트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에 매핑되거나
  • 기저 가정(예: 레지던트 기준은 변경할 수 없거나 다른 역량 평가 기준이 USMLE만큼 중요하거나 정확하지 않음)에 매핑될 수 있다. 

Why isn't educational change happening more quickly and meaningfully in the area of health care systems, and why do schools appear ‘immune’ to change? In their seminal work on immunity to change, Kegan and Lahey outline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both why it is difficult to make changes and what can be done about it.40 They suggest a personal or organisational ‘X-ray’ designed to uncover the inner-workings of difficulties with change.

  • Best intentions (such as the commitment to teach HSS) are often accompanied by
  • actions or inactions that do not support this goal (things being done or not done instead, such as preparing students for successful residency applications),
  • which can be mapped to faculty staff and education leadership worries (such as fears that students will not be matched with their preferred residency positions) and
  • underlying assumptions (e.g. criteria for a residency cannot be changed or other criteria for assessing competence are not as important or accurate as the USMLE).

이러한 [기저 가정]은 종종 인정되지 않고 현상을 유지하는 강력한 힘으로 작용한다. 일단 그러한 가정이 확인되면, 가정을 테스트하는 전략을 구현하여 이전에 움직일 수 없었던 '객체'를 이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우리의 결과의 맥락에서, 우리는 [의학교육의 핵심 사명]에 대한 [오너십과 통제를 재정립]할 필요성을 인식한다. 표준화된 시험은 지식을 측정할 수 있지만, 그것들은 [의과대학이 학생들을 위해 장려해야 하고 (그리고 그렇게 되기를 원하는) 전체적인 학습과 전문적 개발 결과]의 극히 일부만을 나타낸다. 많은 교육자들이 이것을 알고 있고, 우리의 결과는 학생들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시사한다. 표 1에서, 우리는 학생들이 확인한 도전 과제(즉, 경쟁 교육 의제)를 Kegan/Lahey X-ray에 적용했다. 이것이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지만, 우리는 의학 교육자들이 이전에 바꿀 수 없다고 여겨졌던 것을 바꾸려고 하기 때문에 이 모델이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 그것은 우리가 미래의 의사들과 의료 시스템에 대한 우리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핵심 기본 가정을 식별하고 도전하기 위한 초점과 지침을 제공한다. 변화는 한참 전에 이뤄졌어야 한다. 우리는 Kegan/Lahey 프레임워크가 여러 설정에 적용될 수 있는 식별 가능한 시작점과 방향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Such underlying assumptions are often not acknowledged and serve as powerful forces maintaining the status quo. Once such assumptions are identified, strategies to test the assumptions can be implemented to begin to move the previously immovable ‘object’. In the context of our results, we recognise the need to re-establish ownership and control of the core mission of medical education. Although standardised tests can measure a fund of knowledge, they represent only a small fraction of the overall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utcomes that medical schools should be (and would like to be) promoting for their students. Many educators are aware of this, and our results suggest students are as well. In Table 1, we subjected the challenge identified by students (i.e. competing educational agendas) to the Kegan/Lahey X-ray. Although this represents a specific example, we feel that this model has the potential for broad applicability as medical educators seek to change what has previously been considered unchangeable. It provides a focus and a guide for identifying and challenging key underlying assumptions that may be preventing us from achieving our goals for future physicians and the health care system. The change is long overdue. We believe the Kegan/Lahey framework provides an identifiable starting point and direction that can be applied in multiple settings.

이 연구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 우리 포커스 그룹에 참여한 학생들이 우리의 교육과정 설계에 기여해달라는 요청에 따라 자원봉사를 하여 선발편향의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우리 참가자들이 연수 후 매년 학생들의 무작위 표본추출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인터뷰 가이드의 질문의 일반적인 성격과 모든 의과대학 수준에서 학생들을 표본으로 추출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우리는 이러한 결과가 신뢰성이 있으며 HSS에서 개혁에 참여하는 많은 학교에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우리의 단일 사이트 맥락은 다른 의과대학에 적용될 수 없어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이전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ur focus groups volunteered in response to a request to contribute to our curricular design, raising the possibility of selection bias, and the possibility that our participants may not be a random sampling of students within each year of training.41 However, given the general nature of the questions in our interview guide and the fact that we sampled students across all levels of medical school, we feel that these results have credibility and are applicable to many schools engaging in reform in the HSS. Additionally, our single-site context may not be able to be applied to other medical schools, thereby limiting the transferability of these findings.


결론적으로, 체계화되거나 정의된 시스템 기반 학습 커리큘럼을 경험하지 못한 학생들을 인터뷰했고, 그들은 기술 개발 및 환자의 관점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여 몇 가지 인지된 이점을 확인했다. 학생들은 또한 기초과학 및 보드 시험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 현재 그러한 변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의료 문화, 그리고 시스템 교육이 직업 성공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믿음과 관련된 장벽을 확인했다. 종합하면, 혜택과 장벽은 경쟁 우선순위에 따라 학생들이 인식하는 긴장감을 조성한다: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선호하는 레지던트와 일치]하며, [이상적인 환자 중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긴장을 성공적으로 해결하고 작업하려면 기본 가정에 대한 신중한 테스트와 함께 교육 목표, 경쟁 약속 및 합리성에 대한 솔직한 탐구가 필요합니다.

In conclusion, we interviewed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an organised or defined systems-based learning curriculum, and they identified several perceived benefits, including skill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patients’ perspectives. Students also identified barriers related to the need to focus on basic sciences and board examinations, a culture in health care that is not currently conducive to such change, and the belief that systems education is not essential for career success. Taken together, the benefits and barriers set up a student-perceived tension based on competing priorities: to perform well in examinations and be matched with a preferred residency and to develop ideal patient-centred skills. Successfully addressing and working with this tension will require candid exploration of educational goals, competing commitments and rationales, along with careful testing of underlying assumptions.

 

 


Med Educ. 2016 May;50(5):523-31. doi: 10.1111/medu.12957.

Exploring challenges in implementing a health systems science curriculum: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perception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Medicine,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2Office of Medical Education,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USA.

PMID: 27072441

DOI: 10.1111/medu.12957

Abstract

Objectives: Although a critical component of educational reform involves the inclusion of knowledge of and skills in health systems science (HSS) (including population health, health system improvement and high-value care) many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programmes focus primarily on traditional basic and clinical scien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barriers to, challenges involved in and benefits of the implementation of a HSS curriculum.

Methods: In 2014, we conducted 12 focus groups with 50 medical students across all years of medical school. Group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We used thematic analysis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of a planned HSS curriculum, which was to include both a classroom-based course and an experiential component. We then identified themes and challenges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and agreed upon results and quotations.

Results: Students identified four barrier-related themes, including (i) medical-board licensing examinations foster a view of basic science as 'core', (ii) systems concepts are important but not essential, (iii) students lack sufficient knowledge and skills to perform systems roles and (iv) the culture of medical education and clinical systems does not support systems education. Students also identified several perceived benefits of a systems curriculum, including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and skills, enhanced understanding of patients' perspectives and improved learning through experiential roles. The major unifying challenge related to students' competing priorities; one to perform well in examinations and match into preferred residencies, and another to develop systems-based skills.

Conclusions: Students' intrinsic desire to be the best physician possible is at odds with board examinations and desired residency placements. As a result, HSS is viewed as peripheral and non-essential, greatly limiting student engagement. New perspectives are needed to effectively address this challenge.

보건의료시스템과학을 위한 새로운 교육자 역할: 미국 의과대학에 새로운 의사 역량이 가지는 함의(Acad Med, 2019)
New Educator Roles for Health Systems Science: Implications of New Physician Competencies for U.S. Medical School Faculty 
Jed D. Gonzalo, MD, MSc, Anna Chang, MD, and Daniel R. Wolpaw, MD

앨리슨의 의대 1학년 과정에는 기초과학, 임상과학, 인문과학,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는 보건시스템과학(HSS) 분야가 포함된다. 그녀는 온라인 모듈을 통해 기초 과학의 많은 부분을 배우고 있으며, 교수진들이 진행하는 소규모 그룹 동료 토론으로 보완되고 있다. 그녀의 해부학 "실험실" 경험은 가상 자원에 의해 강화된 의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앨리슨은 보건 시스템 리더, 품질 개선 전문가, 보건 서비스 연구원, 지역사회 보건 종사자, 약사, 간호사 등 다양한 교사들과 점점 더 교류하고 있다. 강의실 학습을 보완하여, 앨리슨은 1차 진료 클리닉에 몰입하여 환자가 건강 시스템을 탐색하고 원하는 건강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앨리슨을 직접 만나는 일은 적음에도, 의사는 의과대학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유일한 멘토입니다. 반대로, 앨리슨의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문직 간 팀원들은 교육자로서 그들의 역할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거나 지지받지 못한다.
Allison’s first-year medical school curriculum includes basic science, clinical science, humanities, and the emerging field of health systems science (HSS).1,2She is learning much of the basic science through online modules, supplemented by faculty-facilitated, small-group peer discussions. Her anatomy “lab” experience is focused on prosections enhanced by virtual resources.3Allison is increasingly interacting with a variety of teachers, including health system leaders, quality improvement experts, health services researchers, community health workers, pharmacists, and nurses.1,2,4Complementing her classroom learning, Allison is immersed in a primary care clinic where she works with a care coordinator and physician to help patients navigate the health system and achieve desired health outcomes.5,6Despite limited exposure to Allison, the physician is the one mentor formally acknowledged as such by the medical school. While critical to Allison’s education, the interprofessional team members are not formally recognized or supported in their roles as educators.

멀리서 보면 의대 학습환경은 해안에서 바라보는 연못과 다를 바 없다. 학생들이 교육자, 의사 및 과학자의 안내를 받아 우리(의학 교육자)가 제공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학습을 탐색하는 겉으로 보기에 예측 가능한 지리. 그러나 연못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완전히 새로운 세계가 나타난다. 학생들은 비의사nonphysician 및 니어피어 역할 모델로부터 배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전통적이고 공식적인 교수진]은 [복잡한 생태계와 변화하는 내러티브의 일부]일 뿐이었고, 우리는 비공식적이고 숨겨진 교육 세계를 보게 된다.
From a distance, the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is not unlike a pond viewed from the shore—a seemingly predictable geography where students navigate learning with the tools we (medical educators) provide them, guided by educators, physicians, and scientists. On closer inspection of the pond, however, a whole new world appears. We see students learning from nonphysician and near-peer role models—that is, we see an informal and hidden curricular world in which our traditional, formal faculty are only a part of a complex ecosystem and changing narrative.7,8

이게 무슨 일이야? Flexner가 상상한 것처럼 의사와 과학자가 포착한 지식과 기술의 연구된 진행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강의실과 실험실에서 사체를 해부하고 동물과 그램 염색 표본을 대상으로 생리 실험을 하는 긴 시간은 어디에 있는가? 그리고 지금 우리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이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의료 교육이 규제되지 않고 정보가 없는 견습의 혼란에서 구조되었지만, 그저 자격이 불분명한 개인들에 의해 감독된 일터 학습으로 돌아가게 된 것일까?
What is going on here? What happened to the studied progression of knowledge and skills captained by physicians and scientists as envisioned by Flexner? Where are the long hours in lecture halls and laboratories, dissecting cadavers and conducting physiology experiments on animals and gram-staining specimens?9 And who are these individuals now teaching our students? Was medical education rescued from the chaos of unregulated and uninformed apprenticeships only to have us return to workplace learning supervised by individuals whose qualifications are unclear?10

배경
Background

의료는 환자 치료 및 경험 향상, 인구 건강 개선, 비용 절감, 의사 복지 향상이라는 네 가지 목표에 점점 더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는 의사가 진화하는 시스템에서 기능하고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의료 시스템]을 바꾸는 데 참여할 수 있도록 더 잘 준비하기 위한 의학교육의 재구축을 촉진하고 있다.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의사를 더 잘 준비하기 위한 이 임무는 대부분 HSS 교육에 의미 있는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의대생 교육과정의 이 "제3의 기둥"은 기초 및 임상 과학과 통합되며 가치 기반 진료, 품질 향상,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 인구 건강, 정보학 및 시스템 사고에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포함한다.

  • 학부 의학 교육(UME)에서, 수많은 미국 의과대학들이 이러한 분야를 다루기 위해 그들의 커리큘럼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기 시작했다.
  • 대학원 의학 교육(GME)에서 대학원 의학 교육 인증 협의회의 시스템 기반 실습 및 실습 기반 학습 및 개선 역량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지고 지속적인 임상 학습 환경 검토가 이러한 전환을 반영하고 있다.
  • 지속적인 의료 교육(CME)에서는 의료 제공자와 학부가 기대하는 역량의 변화에 대한 인식이 있으며, 이들 중 많은 부분이 HSS와 관련이 있다.

Health care is transforming to increasingly focus on the quadruple aim of improving patient care and experience, improving population health,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physician well-being.11 These aims are catalyzing a restructuring of medical education to better prepare physicians to function in evolving systems and engage in changing systems of care to improve health.12,13 This mission to better prepare systems-ready physicians requires, in large part, a meaningful focus on HSS education. This “third pillar” of the medical student curriculum integrates with the basic and clinical sciences and includes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value-based care, quality improvement,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population health, informatics, and systems thinking.2,4,14 

  •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UME), numerous U.S. medical schools have begun comprehensively restructuring their curricula to address these areas.
  • In graduate medical education (GME), the increased focus on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s systems-based practice and practice-based learning and improvement competencies and ongoing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Reviews are reflective of this transition.15–18 
  •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CME), there is an awareness of the shifting competencies expected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academic faculty, many of which relate to HSS.19–21 

이 운동 내에서, 우리는 다른 HSS 개념, 질 향상, 전문직 간 팀워크 또는 고부가가치 관리에 대한 학생 및 전공의의 학습과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잘 훈련된 시스템-준비systems-ready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 동시에 주권 의사에서 "협업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 의사"로 이동하는 직업의 정체성에 대한 지속적인 변화가 있다. 이러한 전문적 정체성의 변화는 교육 및 임상 실무 커뮤니티의 모든 사람들에 의해 의미 있게 입증될 필요가 있다. 본 관점에서는 HSS와 관련된 커리큘럼을 확장하고 있는 두 개의 미국 의과대학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전문가가 기대하는 역량 확대의 영향을 설명하고, 이러한 분야의 교육자의 필요성을 탐색하며, 의료교육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Within this movement, it is increasingly apparent that we do not have a sufficient number of trained systems-ready faculty to facilitate student and resident learning of and participation in, among other HSS concepts, quality improvement, interprofessional teamwork, or high-value care.19,20,22–24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ontinued shift in the identity of the profession that is moving away from sovereign physicians toward “collaboratively effective systems physician[s].”25 This shift in professional identity needs to be meaningfully demonstrated by everyone in the educational and clinical communities of practice.4,19–21,25–28 On the basis of our experiences at two U.S. medical schools that are expanding their curricula related to HSS, in this Perspective, we describe the impact of the expanding competencies expected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explore the need for educators in these areas, and offer key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우리의 경험
Our Experience

2013년부터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PSCOM)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niversity of California, School of Medicine(UCSF SOM)은 의학 학생, 거주자, 교수진, 전문 의료 시스템 전문가 및 리더를 포함한 시스템 준비 의사들의 교육을 가속화하기 위해 여러 커리큘럼 변혁을 시작했습니다. 연속체에 걸친 HSS 교육의 통합을 통해. 두 학교 모두 의대 1학년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강의실 기반 커리큘럼과 의료 시스템의 환자 탐색기 및 품질 개선 파트너 역할을 포함하여 임상 환경에서 경험적 학습 기회를 설계하고 구현했다.

  • PSCOM에서는 150명의 의대 1학년 학생 모두가 HSS 과정에 등록하고, 임상 실습 사이트나 프로그램에 몰입하여 전문 제공자와 협력하고, 환자와 협력하여 진료 장벽을 식별하고 솔루션을 구현함으로써, 임상 사이트의 작업을 확장한다.
  • UCSF SOM에서는 모든 1학년 의대생 150명이 2년에 걸쳐 장기간에 걸쳐 전문 간 임상 마이크로 시스템의 구성원으로서 가을부터 시작하여 환자 치료 프로세스 또는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품질, 안전 또는 가치의 차이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데 주당 반나절을 소비합니다.

Starting in 2013,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PSCOM)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UCSF SOM) initiated several broad curricular transformations to accelerate training of systems-ready physicians, including medical students, residents, faculty, and interprofessional health system professionals and leaders, through the integration of HSS education across the continuum.1,2,5,29 Both schools designed and implemented new classroom-based curricula and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within clinical settings, including serving as patient navigators and quality improvement partners in health systems, for first-year medical students.5,30 

  • At PSCOM, all 150 first-year medical students are enrolled in an HSS course, are immersed in a clinical practice site or program to work with interprofessional providers, and extend the work of the clinical site by working with patients to identify barriers to care and implement solutions.31,32 
  • At UCSF SOM, all 150 first-year medical students begin each fall embraced as members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microsystems that they work in longitudinally over two years and spend one half-day per week defining and addressing a gap in quality, safety, or value to improve patient care processes or outcomes.

결과적으로, 두 프로그램 모두 이러한 [새로운 역량과 전문적 교육]으로 인해 [교육자 특성과 기술이 변화하는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이는 교육자로서 새로운 역할을 수용하기 위한 전문가 및 리더의 역할을 포용하고 강의실과 임상 환경 모두에서 현재의 교육자(즉, 전공의와 교수진)가 HSS 역량과 다양한 건강 분야를 가르치기 위해 자신의 기술을 확장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이뤄진다.
As a result, both programs live the realities of shifting educator characteristics and skills because of these new competencie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y requiring, in both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current-day educators (i.e., residents and faculty) to expand their own skills to teach HSS competencies and a diverse array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leaders to embrace new roles as educators.

교수교육자의 정의 확대
Expanding the Definition of Faculty Educator

교육 및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서 보다 협력적이고 시스템 기반의 돌봄 모델로 전환하려면 UME, GME 및 CME를 포함한 교육 연속체의 모든 수준에서,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구현하고 새로운 역량을 롤모델링하기 위하여 [자격을 갖춘 교육자의 식별 및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새롭고 진화하는 역할은 강의실 강사부터 커리큘럼 개발자와 평가자, 임상 감독자 및 연구 멘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운영합니다. 표 1은 의료 교육자의 몇 가지 범주를 나열하고 있으며, 각 범주별로 PSCOM 및 UCSF SOM의 선구적 프로그램 내에서 새롭고 발전하는 교육자 역할 및 직책의 유형을 보여 줍니다. 
The shift to a more collaborative, systems-based model of care and aligned goals in educa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require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qualified educators to design and implement curricula and role model new competencies at all levels of the education continuum, including UME, GME, and CME.14,19,20,25,33,34 These new and evolving roles run the spectrum from classroom instructors, to curricular developers and evaluators, to clinical supervisors and research mentors. Table 1 lists several categories of medical educators and for each category gives examples of the types of new and evolving educator roles and positions within our pioneering programs at PSCOM and UCSF SOM.35 

우리의 프로그램에서, 우리는 많은 학생들이 현재 HSS 지식과 기술에서 전통적인 교수진을 앞서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의과대학과 학술 보건 센터(AHC)는 현재 다음과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의학 교육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수용함에 따라, 모델 역할과 학습자를 교육하는 [현재의 전문직 종사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교육받지 못했다]. 또한 전체적으로 임상 학습 환경은 현재 HSS와 팀워크의 매우 가변적인 풍경을 보여줘 교육 결과를 더욱 훼손한다. 이것은 교실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성공적인 문화 변화를 보장하기 위해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In our own programs, we have found that many students are now ahead of the traditional faculty in HSS knowledge and skills. Similarly, most medical schools and academic health centers (AHCs) now face a conundrum: As medical education embraces a new paradigm, current professionals who role model and educate learners were not educated in this new paradigm.14,36 In additio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s a whole currently demonstrates a highly variable landscape of HSS and teamwork, further compromising educational outcomes.36,37 This is the challenge we need to address to ensure a successful culture change that reaches from classroom to bedside.

분명히, 우리는 현재 교수진에서 HSS 역량을 개발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량의 본질은 우리가 학습자들에게서 찾고 있는 협력적인 직업 정체성의 본질과 함께, 우리가 또한 오늘날 교육자들의 잘 해진 영역 밖에서 역할 모델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의과대학에서 교육자들은 전통적으로 "내부 전문가intraprofessional"(예: 의학박사, 의학박사, 박사과정의 과학자)였다. 간호나 사회사업과 같은 [다른 보건분야]의 학위를 가진 직원 및 교수진(즉, 위에서 언급한 전문직 내 그룹과 관련된 "외부 전문가extraprofessional")은 전통적으로 핵심 교육자로 식별되지 않았다. 

Clearly, we need to develop and support HSS competencies in our current faculty. But the substance of these competencies, along with the nature of the collaborative professional identity that we are looking for in our learners, mandates that we also need to look for role models outside of the well-worn lane of current-day educators. In medical schools, educators have traditionally been “intraprofessional” (e.g., MDs, DOs, and PhD scientists in preclinical curricula).38 Staff and faculty with degrees in other health professions, such as nursing or social work (i.e., “extraprofessional” in relation to the intraprofessional group mentioned above), have not been traditionally identified as core educators.38 

그러나, 새롭게 부상하는 HSS 역량 영역을 고려할 때, [크게 확장된 전문가 코호트]를 핵심 교육자로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을 포함한다.

  • 환자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및 기타 요인에 대한 사회적 결정 요인을 다루는 진료 조정자 및 사회복지사 
  •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개선하기 위해 일선 임상의와 협력하는 품질 및 의료 시스템 개선 전문가 팀 
  • 의료 혁신 및 가치의 핵심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시스템 리더십

확실히, 전통적인 의사 멘토링은 여전히 남아 있고, 앞으로도 의대 학생 교육에 매우 중요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이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제 학생들이 의료 제공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고, 팀워크 기술과 HSS 역량을 진정으로 적용하고, 협업적이고 시스템을 생각하는 의사로서 전문적인 정체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전문 임상의가 필요하다. 
However, considering the emerging HSS competency areas, it is important to include a significantly broadened cohort of professionals—including

  • care coordinators and social workers who addres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other factors that impact patient care,
  • teams of experts in quality and health system improvement who collaborate with frontline clinicians to improve care delivery, and
  • system leadership who actively address key issues in health care transformation and value

—as core educators.14,36,39 Certainly, traditional physician mentoring remains, and will continue to be, critical to medical student education. Nonetheless, we argue that it is no longer enough. Interprofessional clinicians are now needed to help students expand their perspective of health care delivery, authentically apply teamwork skills and HSS competencies, and develop professional identities as collaborative, systems-thinking physicians.25,40,41

이러한 변화가 학부의 정의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교수진faculty]이라는 용어는 [교사와 학자의 공동체]를 의미하며 개인의 직업적 역할과 책임에 근본적인 학문적 요소가 있음을 나타낸다. 원하는 교육 결과가 전통적인 생물의학 교실과 의사 중심 임상 현장에서만 달성될 수 있다면 익숙한 MD, DO 및 PhD 교육자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의료 교육 프로그램에 더 광범위한 전문직 간 교육자를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문화 및 과정 변화의 시작을 보고, 광범위한 전문직 간 교육자 집단을 촉진자 또는 지도자로 포함하도록 학습 환경을 재정비합니다. 우리는 의학 교육자들이 우리가 [어떻게 교수진을 정의]하고, [이 새로운 교수진 동료들을 교육자와 개발 프로그램 커뮤니티에 환영할지]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 우리 학생들이 하는 것처럼, 우리는 그들에게서 배울 것이 많다.
The impact of these shifts on the definition of academic faculty is significant. The term faculty implies a community of teachers and scholars and signifies that there is a fundamental academic component to a person’s professional roles and responsibilities.42 If desired educational outcomes could be accomplished only in traditional biomedical classrooms and physician-centric clinical sites, the familiar MD, DO, and PhD educators might suffice. But we see the beginnings of a cultural and process shift toward the inclusion of a broader range of interprofessional educators in our medical education programs, prompting a reenvisioning of learning environments to include a broad interprofessional cohort of educators as facilitators or leaders. We believe that medical educators need to reconsider how we define faculty and welcome these new faculty colleagues into our community of educators and development programs. Just as our students do, we have much to learn from them.

변화를 주도해야 할 필요성
The Need to Lead Change

100년 전, [플렉스너 보고서]는 의학 교육과 실습을 위한 [엄격한 과학적 기반]을 확립하는, 지속적인 과정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직업의 개편은 대학원 과정으로부터 자격을 갖춘 교수진의 공급을 늘리고, 레지던트 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했다. 이 교수를 양성하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은 놀랍도록 광범위하고 강력한 교육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제, "두 번째 플렉스너 보고서"에 이어, 우리의 의료 시스템의 결함과 그에 따른 [임상 운영의 가속화된 진화]에 대한 통찰과 함께, 우리는 오늘날 의학 교육이 비슷한 [교수 진화faculty evolution]의 시기에 있다고 믿는다. HSS의 등장은 교육과정상의 과제일 뿐만 아니라 교수진의 과제이기도 하다. 의료 교육 프로그램은 새로운 커리큘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이러한 [교육적 변혁]을 달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HSS 콘텐츠]와 [관련 교육 교육학] 모두에 숙련된 교육자 그룹을 교육하고 훈련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리고 성공적인 혁신이 위험에 처한 유일한 결과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해야 합니다. AHC와 의대 교수진은 다른 시스템이 직업의 미래를 형성하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고 주도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을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의료계가 변화 앞에 나서지 못했다. 우리는 현재 AHC와 의학교육이 직면한 변화의 물결을 형성하고 이끌고 지원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One hundred years ago, the Flexner Report10 highlighted the ongoing process of establishing a rigorous scientific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This reshaping of the profession required an increasing supply of qualified faculty from graduate programs and expanding residency training programs. Widespread efforts to nurture this professoriate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 remarkably broad and robust educational system. Now, on the heels of a “second Flexner report,”43 along with insights into the failings of our systems of care and the resulting accelerated evolution of clinical operations, we believe that today medical education is in a similar period of faculty evolution.43–45 The emergence of HSS is not only a curricular challenge but also a faculty challenge.36 Medical education programs are working to create new curricula while at the same time struggling to educate and train a group of educators skilled in both HSS content and the associated educational pedagogies needed to achieve and sustain this educational transformation. An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uccessful transformation is not the only outcome at risk. AHCs and medical school faculty have a window of opportunity to lead and drive this change, rather than wait for other systems to shape the future of the profession. At times in the past, the medical profession has failed to get out in front of change. We believe that we currently have a window of opportunity to shape, lead, and support the wave of change facing AHCs and medical education.

의학 교육에 미치는 영향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시사 1: 우리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교육자들은 이미 여기에 있고, 우리의 임상 환경에서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Implication 1: The “new” educators we need are already here, working among us in our clinical environments

우리의 경험으로 볼 때, [컨텐츠 전문가와 교육자들]은 이미 우리의 건강 시스템 내에 존재하고 의대 학생들이 새로운 HSS 기술을 배우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경험과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교수진을 양성하는 것 외에도 AHC와 지역사회에서 교육자로 일하는 전문성을 갖춘 동료들을 포함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의 프로그램은 간호사, 간호사 실무자, 의사 보조자, 진료 관리자, 환자 항법사, 사회복지사 및 보건 시스템 리더(표 1)와 같은 전문 간 의료 제공자의 참여를 초대하고 있다. 이러한 초대는 다음과 같은 새롭고 진화하는 의료 교육자 역할을 포함한 많은 사례를 낳았다. 예를 들면,

  • 간호 구급 의료 책임자가 "건강 및 인구 건강 개선의 사회적 결정 요인"이라는 제목의 워크숍을 리드하고,
  • 품질 개선 책임자는 학생들과 함께 건강 시스템 개선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시행하기 위해 함께 일하는 것이다.

In our experience, content experts and educators do exist within our health systems and have the experience and expertise to help medical students learn emerging HSS skills.2,20,46 In addition to developing current faculty, we need to include colleagues with expertise who work in our AHCs and our communities as educators. For example, our programs are inviting the participation of interprofessional health care providers, such as nurses, nurse practitioners, physician assistants, care managers, patient navigators, social workers, and health system leaders (Table 1). These invitations have resulted in many examples, including the following, of new and evolving medical educator roles:

  • the director of nursing ambulatory care leading a workshop entitle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nd Population Health Improvement” and
  • the quality improvement chief working side-by-side with students to design and implement health system improvement projects.

이 사람들은 우리의 AHC와 제휴 의료 시스템에 고용되어 있으며 광범위한 시스템 역할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까지 그들은 의대생과 전공의들을 위한 교사로서 공식적으로 참여하도록 요청받지 못했다. 하지만 기반이 바뀌었다. 우리의 의료 환경은 변화했고, 그래서 우리의 교육 과정과 목표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현재 전공의와 개업 의사들은 품질 향상에 참여해야 한다. 따라서 전공의을 학습자 겸 교사로 간주하기 때문에 UME와 GME의 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함에 따라, 교수진, 전공의 및 전문직 동료들이 교육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연결고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의 학습자들은 이 모든 그룹의 참여 없이는 핵심 역량을 달성할 수 없다.

These individuals are employed by our AHCs and affiliated health systems and serve in a broad range of system roles. However, up until recently, they had not been formally asked to participate as teachers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But the ground has shifted—our health care landscape has changed, so our educational processes and goals are also changing. In addition, residents and practicing physicians are now required to participate in quality improvement.47,48 Thus, the time is right for the alignment of UME and GME as we consider residents as both learners and teachers. As we seek to address these challenges, faculty, residents, and interprofessional colleagues are emerging as critical linchpins in our educational programs. Today, our learners cannot achieve core competencies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all of these groups.

시사 2: 현재 교육자와 "신규" 교육자의 노력을 위한 새롭고 더 포괄적인 커리큘럼 발판을 만들면서 교육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Implication 2: We can help to develop the educational skills of both current and “new” educators as we create a new and more inclusive curricular scaffold for their efforts

의대 학생들에게 오늘날 의료 분야에서 전문직 간 협업의 살아있는 현실을 제공하려면 교수 기술과 콘텐츠 전문지식이 모두 필요합니다. 우리는 새로운 교육자들과 협력하여 [건전한 의료 교육 원칙과 과학]을 교육 전략에 통합해야 합니다. [정보만 가득 담긴 슬라이드 세트와 강의에 안주하고 임상 환경에서 역할 모델링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안된다. 우리는 커리큘럼 개발 과제에 핵심 교수진을 공식적으로 참여시키고 HSS 관련 개념과 기술에 대해 학습자를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임상 교수진에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을 하는 것은 바쁘고 이전에 의과대학 내에서 필수적인 교수 역할을 준비하거나 봉사하도록 요청받지 않았을 수 있는 전문 교육자와 관리자, 간호 리더십, 임상 및 품질 직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의학교육연락위원회는 의과대학이 "의과학생을 지도·감독·평가하는 모든 사람이 그 책임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의과대학은 [교직원의 교수 및 평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 
To give medical students the lived reality of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 health care today requires both teaching skills and content expertise. We need to collaborate with our new educators to incorporate sound medical education principles and learning science into their educational strategies. Settling for data-heavy slide sets and lectures and neglecting the importance of role modeling in clinical settings are not options. We need to formally engage key faculty in curriculum development challenges and provide clinical faculty with the skills to assess learners on HSS-related concepts and skills.14,36 However, doing these things will likely have implications for interprofessional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nursing leadership, and clinical and quality staff who are busy and may not have been called on before to prepare for, or serve in, integral teaching roles within medical schools. The Liaison Committee on Medical Education requires that medical schools ensure that “all persons who teach, supervise, and/or assess medical students are adequately prepared for those responsibilities” and that they provide resources to enhance faculty’s teaching and assessment skills.49 

전체적으로, 이것은 [의과대학과 보건 시스템이 새로운 교육자들을 위한 훈련 경험]을 개발하고, 그 훈련을 그들의 [전문직업 정체성의 의미 있는 부분]으로 만들기 위해 함께 협력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일선 교육자들을 참여시키기 위한 노력(교실 및 임상 환경 모두에서)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전문적 개발 프로그램을 필요로 할 것이다. 

  •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교 브로디 의과대학의 질 높은 아카데미 교사들 
  • 질 향상과 환자 안전을 위한 UCSF 인증 프로그램 티칭, 
  • PSCOM의 Health Systems Science Academy. 

추가 모델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으며, 교육과 실무에서 의료가 추구하는 야심차고 광범위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의대 프로그램, 전문적 개발 기회, 지속적인 품질 개선 과정] 등을 재구성할 것이다.

Altogether, this will require medical schools and health systems to work together to both develop training experiences for new educators and make that training a meaningful par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Efforts to engage frontline educators (both in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will likely require new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such as

  • the Teachers for Quality Academy at the Brody School of Medicine at East Carolina University,
  • the Teach for UCSF Certificate Program in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and
  • the PSCOM Health Systems Science Academy.20,33 

Additional models are rapidly emerging and will likely involve the restructuring of medical school programs,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rocesses to achieve the ambitious and broad-based outcomes that health care is seeking in education and practice.

시사 3: 우리는 새로운 교육자를 의미 있게 인정하고 보상할 수 있습니다.
Implication 3: We can meaningfully acknowledge and reward our new educators

교육자 코호트가 확장되고 다양화됨에 따라 AHC는 잠재적으로 [보상과 공식적인 교수 지위]를 포함하여 [기여 교수진의 노력을 지원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재정 상환]과 [보호 시간]은 부분적으로 각 교수진이 AHC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보는지, 그리고 그를 학문적 교수진으로 상호 평가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많은 의과대학은 [교수 지표(예: 교육 가치 단위)] 또는 [자금 지원을 받는 교수 코칭 역할]에 대한 일부 변형을 통해 전임 의사 및 과학자 교수진에 대한 이러한 보상 및 인정 과제를 해결했다. [미국 의료 전문 위원회ABMS]와 [UCSF SOM]의 협력은 [전문 사회 이사회의 목표인 질 향상과 관련된 의학생 교육에 종사하는 의사 및 보건 전문가에게 MoC 또는 CME 학점을 부여하려는 새로운 노력의 한 예입니다.여러 전문 분야의 인증. 교수 노력을 인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지역사회 의사를 위한 자원 봉사 교수 소속 자격 지정, 임상 팀원의 감독자가 포함된 "감사합니다" 편지, 축하 점심 또는 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확실히, 많은 학교들은 학습자들을 그들의 실습에 환영하는 지역 사회 의사들을 인정하는 도전을 해왔다. 
As the educator cohort expands and diversifies, AHCs must consider how to support efforts of contributing faculty, which potentially includes compensation and formal faculty status. Financial reimbursement and protected time depend on, in part, how each faculty member views his/her role within the AHC and whether he/she is reciprocally viewed as academic faculty. Many medical schools have addressed this compensation and acknowledgment challenge for full-time physician and scientist faculty through some variation on teaching metrics (e.g., educational value units) or funded faculty coaching roles.50 A collaboration between the American Board of Medical Specialties and UCSF SOM is one example of emerging efforts to award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or continuing education unit credits for physicians and health professionals who engage in medical student education related to quality improvement, which is an aim for professional society board recertification in multiple specialties. Other ways to acknowledge teaching efforts may include designation of volunteer faculty affiliation status for community physicians, “thank you” letters that include the clinical team members’ supervisors, and celebratory lunches or awards. Certainly, many schools have taken on the challenge of recognizing community physicians who welcome learners into their practices.41 

그러나 전통적인 의사 및 과학자 중심의 프레임워크는 학생들의 전문성 발달에 점점 더 핵심적인 기여자인 다양한 전문직 간 교육자 그룹(예: 케어 코디네이터, 간호사 관리자)을 인정하고 참여하며 유지할 필요성을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한다. 일화적으로, 많은 건강 관리 팀원들은 의대생들과 함께 일하면서 얻는 엄청난 감정적 보상을 묘사한다. 여기에는 직업 만족도가 크게 증가하고, 미래의 의사를 그들의 일상 업무의 일부로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에 대한 의미와 직업적 정체성이 새롭게 느껴진다. 또한 일부 품질 개선 전문가들은 열정적이고 열정적인 의대생들이 주로 환자 치료 책임에 초점을 맞춘 바쁜 임상의에게 의존하는 개선 노력에 생명을 불어넣고 있다고 설명한다. 의사 교육자들과 마찬가지로, 전문 교육자들은 바쁘기에, 이 임무에 전념하는 그들의 직무 역할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고서는 중요한 교육 업무를 맡도록 요청받을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이런 것이 필요할 것이다.

  • 지역사회 사이트와의 협업 계획,
  • 교육 지표에 대한 재고,
  • 비의사에 대한 시간 할당에 대한 우리의 관점의 확장 

However, a traditional physician- and scientist-centric framework does not adequately address the need to acknowledge, engage, and sustain a diverse group of interprofessional educators (e.g., care coordinators, nurse managers) who are increasingly key contributors to studen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ecdotally, many health care team members describe the tremendous emotional rewards of working with medical students, includ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job satisfaction and a renewed sense of mea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having the opportunity to teach future physicians as a part of their daily work. Also, some quality improvement experts describe energetic and enthusiastic medical students infusing life into improvement efforts that would otherwise rely on busy clinicians focused primarily on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Akin to physician educators, interprofessional educators are busy and cannot be asked to take on significant educational tasks without being provided sufficient time in their job role dedicated to this mission. This will require

  • collaborative planning with community sites,
  • rethinking of educational metrics, and
  • an expansion of our view of time allocation for nonphysicians.

이런 상황에서, 의료 시스템 리더의 추가적인 metrics of interest에 [전문직 간 교육자]의 inclusion을 높였을 때의 긍정적인 영향을 중심으로 일화적인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 학생들이 [바쁜 팀에 의해 제쳐진 질 향상 작업]을 활성화한다.
  • 미래의 의사를 가르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 의료 보조자들의 일상 업무에 새로운 의미를 더합니다.  

의과대학 핵심 교육과정에 대한 시야를 HSS까지 넓히고, 교수진에 대한 시야를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모든 사람으로 넓히면서,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동료들에게 투자하고, 인정하고, 보상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That said, anecdotal reports are beginning to emerge around the positive impact of the increasing inclus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ors on additional metrics of interest to health system leaders, including (as mentioned above)

  • students reinvigorating quality improvement work that had been set aside by a busy team and
  • the emerging role of being a teacher of future physicians adding new meaning to the daily work of medical assistants.

As medical education broadens its view of the core medical school curriculum to include HSS and expands its view of faculty to include all of those with expertise in those areas, we need to be prepared to invest in, recognize, and reward these new colleagues.

교수진 재정립의 잠재적 영향
Potential Impacts of Redefining the Professoriate


우리는 미국 의과대학에서 교육자들의 역할을 재구성하는 것의 몇 가지 긍정적인 결과를 상상한다. 첫째, [HSS 역량을 갖춘 신규 교육자]는 차세대 의사 리더를 양성하여 시스템 혁신을 주도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미래의 리더들과 변화 요원들은 이상적으로 아래와 같은 의과대학 프로그램에서 나타날 것이다.

  • [협력적이고 시스템 지향적인 사고방식] 및 [전문적 정체성 형성]을 지원한다. 
  • [고품질 환자 및 인구 관리]에 중요한 의미 있는 학습을 촉진한다. 
  • 학생들을 현재의 [시스템 리더십에 노출]시켜, [다른 관점에서 의료 서비스를 관찰]하고, [학술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미래의 리더이자 변화 주체로서 초기 마인드셋과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학습자가 이러한 역할을 깨닫고 의료 혁신의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We envision several positive outcomes of reframing educators’ roles in U.S. medical schools. First, new educators with HSS competencies allow for the cultivat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 leaders so that they are prepared to lead system transformation. These future leaders and change agents will ideally emerge from medical school programs that

  • support a collaborative, systems-oriented mind-set an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 promote meaningful learning that is critical to high-quality patient and population care; and
  • expose students to current system leadership,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ies to observe health car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participate in scholarly projects.

Establishing an early mind-set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a future leader and change agent allows learners the opportunity to realize these roles and influence the success of health care transformation.

[의료 교육 및 관련된 교육적 관계]의 변화는 또한 AHC의 임상 및 교육 임무를 더 잘 조정할 수 있다. 강의실 및 임상 환경에서 새로운 교육자 역할과 기술은 AHC에서 경계 범위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환자 건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연구는 [임상학습환경 책임자, 질개선 부학장, 질개선 책임자]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과 보건 시스템을 연결하는 [새로운 GME 역할]을 기술했다. UME 수준에서 HSS를 포함하는 3축 교육 모델로 패러다임 전환은 HSS 교육 노력을 이끌 새로운 역할을 개발할 수 있는 유사한 기회를 창출했다(예: 보건 시스템 교육 부학장). UME와 GME 모두에서, 이러한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과 역할은 대부분의 AHC의 임무와 직접적으로 일치하며, 임상 및 교육 임무의 연계에서 시너지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se shifts in medical education and associated educational relationships can also better align the clinical and education missions of AHCs. New educator roles and skills in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can serve a boundary-spanning role in AHCs and help to improve patient health. For example, recent work has described new GME roles that bridge educational programs and health systems, such as director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ssociate dean for quality improvement, and quality improvement chief resident.37,51 At the UME level, the paradigm shift toward a three-pillar education model that includes HSS has created similar opportunities to develop new roles to lead HSS education efforts (e.g., associate dean for health systems education).4 In both UME and GME, these new education programs and roles are directly aligned with the mission of most AHCs and can help catalyze synergies at the nexus of the clinical and education missions.52

마지막으로, 최고 수준에서, 전체 보건 시스템의 전문 지식을 사용하여 교육의 공유 정신 모델을 가진 의대 프로그램은 학습 조직이 되기 위한 여정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Finally, at the highest level, a medical school program with a shared mental model of education, using expertise from the entire health system, can help facilitate the journey toward becoming a learning organization.24,53

결론들
Conclusions

의과대학은 시스템을 갖춘 의사를 교육하기 위해 혁신하고 있으며, [AHC 내부와 AHC를 둘러싼 교사와 교육자의 정의]에 대한 근본적인 개정이 필요하다. 새로운 역량에 기초하여 우리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을 재정의하는 이 과정은 의학 교육과 보건 시스템 변화의 성공에 매우 중요할 것이다. 또한 직장과 교육의 전문성을 강조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하며, 새로운 개인 그룹은 가치 있는 교수진으로서 지원되고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의과대학과 보건 시스템의 관점에서 [보건 의료의 변혁적 변화]는 [교육과정]과 [진화하는 의료 시스템을 지원하고 일할 제공자의 전문적 개발]의 [상호적인 변화]를 강제하고 있다. 이 새로운 풍경 속에는 환자와 인구를 돌보는 데 중요한 놀라운 범위의 관점과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이제 우리는 그들을 교직원으로 맞이할 때이다.
Medical schools are innovating to educate systems-ready physicians, requiring a fundamental reenvisioning of the definition of teachers and educators in and around AHCs. This process of redefining who teaches our students on the basis of emerging competencies will be critical to the success of medical education and health system transformation. It will also require an investment to highlight a combination of expertise in the workplace and education, and a new group of individuals will need to be supported and validated as valued faculty members. From the medical school and health system perspectives, transformational changes in health care are mandating reciprocal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providers who will support and work in these evolving systems of care. Within this new landscape is a group of individuals with a remarkable range of perspectives and expertise critical to the care of patients and populations. It is time for us to welcome them as faculty.

 


 

Acad Med. 2019 Apr;94(4):501-506. doi: 10.1097/ACM.0000000000002552.

New Educator Roles for Health Systems Science: Implications of New Physician Competencies for U.S. Medical School Faculty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J.D. Gonzalo is associate professor of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iences and associate dean for health systems education,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ORCID: http://orcid.org/0000-0003-1253-2963. A. Chang is professor of medicine, Gold-Headed Cane Endowed Education Chair in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an Francisco, California. D.R. Wolpaw is professor of medicine and humanities,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Hershey, Pennsylvania; ORCID: http://orcid.org/0000-0002-7567-2034.

PMID: 30520810

DOI: 10.1097/ACM.0000000000002552

Abstract

To address gaps in U.S. health care outcomes, medical education is evolving to incorporate new competencies, as well as to align with care delivery transformation and prepare systems-ready providers. These new health systems science (HSS) competencies-including value-based care, quality improvement,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population health, informatics, and systems thinking-require formal education and role modeling in both classroom and clinical settings. This is challenging because few faculty had formal training in how to practice or teach these concepts. Thus, these new competencies require both expanding current educators' skills and a new cohort of educators, especially interprofessional clinicians. Additionally, because interprofessional teams are the foundation of many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s, medical schools are developing innov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include interprofessional clinicians as teachers. This combination of a relative "expertise vacuum" within the current cohort of medical educators and expanding need for workplace learning opportunities requires a reimagining of medical school teachers. Based on experiences implementing HSS curricula at two U.S. medical schools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School of Medicine, starting in 2013), this Perspective explores the need for new educator competencies and the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including the need to identify and integrate "new" educators into the education mission, develop faculty educators' knowledge and skills in HSS, and acknowledge and reward new and emerging educators. These efforts have the potential to better align the clinical and education missions of academic health centers and cultivate the next generation of physician leaders.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와의 고군분투 (Med Educ, 2022)
Struggling with the logic of EPA frameworks
Matt Sibbald1 | Glenn Regehr2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EPA) 프레임워크의 논리]를 둘러싼 [현실에서 일어나는 투쟁]을 알고 싶다면 역량 위원회에 참여하면 그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될 것입니다. 역량 위원회(CC)는 EPA 데이터를 EPA 프레임워크의 깔끔한 행과 열로 신중하게 집계하여 진행 상황을 신중하게 정리tabulate, 요약, 판단한다. 그러나 EPA 프레임워크가 연습생 진행 상황을 불완전하게 포착할 때, CC는 종종 프레임워크 자체에 대해 논의한다. 헤누스 등은 42개 연구의 범위 검토를 수행함으로써 CC에게 EPA 프레임워크의 기본 논리에 대한 통찰력을 주었다. 그들은 로직의 세 가지 주요 흐름, 즉 서비스, 절차, 질병 또는 환자 범주를 확인했다. 그들의 작업은 이러한 EPA 프레임워크를 논의하기 위한 분류법을 제공하여 대화를 진전시키고, 그들의 강점과 격차를 식별한다. 실제로 EPA는 8개 중 1 하나 꼴로 세 가지 논리 중 어느 하나에도 맞지 않았고 위탁 등급에 쉽게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느껴졌다. 저자들은 이를 비EPA로 분류하여 모든 역량 기반 시스템을 EPA에 짜넣고 CC가 직면한 도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과제를 나타낸다. 
If you are looking for practical struggles around the logic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frameworks, sit in on a competency committee, and you are bound to hear about them. Competency committees (CCs) carefully tabulate, summarise and judge progress, often by carefully aggregating EPA data into neat rows and columns of an EPA framework. But when the EPA framework incompletely captures trainee progress, CCs often debate the framework itself. Hennus and others have given CCs insight into the underlying logic behind EPA frameworks by conducting a scoping review of 42 studies.1 They identified 3 dominant lines of logic: service, procedures, and disease or patient categories. Their work moves the conversation forward by providing a taxonomy to discuss these EPA frameworks, identifying their strengths and also their gaps. In fact, one in eight EPAs did not fit into any one of the three logics and was felt not to lend itself easily to entrustment ratings. The authors labelled these as non-EPAs, signalling the challenge of squeezing all of a competency based system into EPAs and providing insight into the challenges CCs face.

예를 들면 이 문제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교육 프로그램에 속해 있지만 EPA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는 다른 단계에 있는 두 명의 수련생를 상상해 보십시오. 샤마라는 그녀의 또래들보다 거의 1년 앞서 있다. 그녀는 어텐딩에게 완료해야 하는 EPA를 강조함으로써 각 교대조 또는 입원 단위 주간을 시작하면서 EPA와 관련된 경험을 전략적으로 찾는다. 대조적으로, 루빈은 그의 동료들보다 거의 6개월 뒤쳐지고 있다. 역량 위원회는 루빈이 자신의 훈련 환경에 완전히 참여하고 있으며, 항상 환자 관리 책임을 따르고 항상 다음 필요한 작업을 자발적으로 수행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루빈은 샤마라와 같이 사전 예방적 접근법을 하기보다는, 사후에 EPA 관련 경험을 식별하는 데 의존한다. CC는 샤마라의 발전을 칭찬하고 동료들을 따라잡기 위한 전략을 루빈에게 제안합니다. 
Perhaps an example would further illuminate this issue. Imagine two trainees—peers in the same training programme—but at different stages of completing their EPA portfolios. Shamara is nearly 1 year ahead of her peers. She strategically seeks out experiences relevant to EPAs, starting each shift or inpatient unit week by highlighting EPAs that she needs to complete to her attendings. In contrast, Rubin is lagging nearly 6 months behind his peers. The competency committee hears that Rubin is fully engaged in his training environment, always following up on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and always volunteering to do the next required task. However, he relies on identifying EPA relevant experiences after the fact, lacking Shamara's proactive approach. The competency committee commends Shamara on her progress and suggests strategies to Rubin to catch up to peers.

그러나 토론에서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루빈은 훌륭한 거주자이며, 최고 중 한 명입니다. 그는 신뢰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빈틈이 없으며, 교수진들은 그가 전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완전히 편안함을 느낀다. 대조적으로, 샤마라는 견고한 거주자이지만, 교수진은 그녀가 환자 관리의 복잡성과 씨름하는 데 완전히 관여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그녀는 자신을 통해 추론하거나 임상 의사 결정의 복잡성과 씨름하지 않고 교수진 관리 제안을 빠르게 수용하고 이행합니다.
Yet there is tension in the discussion—Rubin is a great resident—one of the best. He is dependable and clinically astute with faculty feeling completely comfortable letting him run the entire service independently. In contrast, Shamara is a solid resident, but faculty does not feel that she fully engages in wrestling with the complexities of patient care. She is quick to accept and implement faculty management suggestions without reasoning them through herself or grappling with the complexity of clinical decision making.

역량 위원회는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결국, EPA 프레임워크는 커리큘럼과 평가를 알려주는 훈련 프로그램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마라와 루빈의 이야기]는 EPA 포트폴리오 진행과 훈련생들의 직업 실습 참여 사이의 차이를 강조한다. 그것은 [의사가 되기 위해 공동체의 실천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전문직업적 실천 단위에 대한 신뢰도를 달성하는 것]의 차이를 강조한다. 전자는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구축]하고 [전문직과 정렬된 정체성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직의 사회적 역학] 내에서 [경험에 참여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인식한다. 실천 공동체 내에서, 이것은 단지 [전문적 실천의 단위]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 정체성의 획득을 가장 많이 지원하는) [전문직의 실천]에 참여하는 것이다.
The competency committee finds itself debating the logic of the EPA framework. After all, an EPA framework is meant to provide structure for a training programme, informing the curriculum and assessment. And yet the story of Shamara and Rubin highlights differences between EPA portfolio progress and the engagement of trainees with the practices of a profession. It highlights the difference between achieving entrustability on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in contrast to engaging meaningfully in the practices of the community in order to become a physician. The latter recognises the fundamental role of engagement in experiences within the social dynamic of the profession in order to build meaning from these experiences and develop an identity aligned with the profession.2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it is engaging in the practices of a profession rather than just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most supports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실제로, [다양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적 차이]를 식별함에 있어 헤누스 등은 서비스, 절차, 질병 및 환자 범주가 모두 [의사의 진료에 대한 공통된 관점]을 공유한다는 동일성을 식별한다. 이는 이러한 EPA 프레임워크가 생성되는 방법을 고려할 때 이해할 수 있다. Lepre 등은 EPA 프레임워크를 생성할 때 이해관계자 협의 프로세스의 동일성sameness을 확인했다. 상담 대상자는 실무자와 학자로, 서비스 사용자, 정책 입안자, 다른 직종의 실무자 및 학생 등 [다른 전문직의 관점을 가진 사람]은 5명 중 1명 미만이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워크 개발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 및 전략에는 문헌 검토, 그룹 기술 및 이해관계자 숙고가 포함되며, 포커스 그룹을 통한 작업장 과제에 대한 일차 데이터 수집, 인터뷰 및 실무 분석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 따라서 [EPA의 주요 논리]가 [서비스, 프로시져, 질병 및 환자 범주]가 정확하게 들어맞는 [거래적 일화적 보건의료 만남]의 지배적인 프레임과 함께, [의견을 제공한 이해 관계자의 지배적인 렌즈]를 나타낸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관점이 [팀 기반 돌봄, 지역사회 업무, 옹호 업무 및 제도 업무와 관련된 직장 관행]을 어떻게 강조하는지 쉽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역량 위원회의 루빈에 대한 호의적인 인상은 이러한 non-EPA-able areas에 대한 참여engagement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In fact, in identifying the logic differences of various EPA frameworks, Hennus et al.1 also identify their sameness—that service, procedures, disease and patient categories all share a common perspective of the practice of physicians. This is understandable when considering how these EPA frameworks are generated. Lepre et al.3 identified a sameness to the stakeholder consultation processes in generating EPA frameworks. Most consulted were practitioners and academics, with less than one in five involving those with other workplace perspectives such as service users, policy makers, practitioners from another profession and students. Similarly, the predominant methods and strategies used to develop frameworks include literature review, group techniques and stakeholder deliberation, with primary data collection about workplace tasks through focus groups, interviews and practice analysis being used rarely if at all.4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erefore, that the predominant logics represent the predominant lens of the stakeholders being consulted, with a predominant frame of transactional episodic healthcare encounters within which service, procedures, disease and patient categories squarely fit. It is also easy to imagine how this perspective would de-emphasise workplace practices involving team based care, community work, advocacy work and institutional work.5 The competency committee's favourable impression of Rubin quite likely stems from engagement in these non-EPA-able areas.

이 때 수반되는 위험은 [EPA 기회 탐색]을 과도하게 우선적으로 추구함으로써, [전문직 공동체의 일상적인 실천에 참여하는 대가로 게임화되는 것]이다. Billet은 직장 학습에서 후자의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덜 구조화된 환경에서 깊이 내재된 페다고지]를 활용하여 [트레이닝을 직무 환경에서의 어포던스로 감싼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회]는 [커리큘럼 프레임워크]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참여]를 통해 얻어진다. 위의 예에서, 루빈의 접근 방식은 견습생으로서, 직장 환경에서 요구되는 전문 그룹의 연습에 관여한다. 그의 보상은 임상팀에의 수락과 후광적인 신뢰감이다. 샤마라는 전략적이고 EPA 시스템을 훈련 기회로 활용한다. 샤마라와 같은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임상 팀의 신뢰와 수용을 얻는 시스템 작업]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를 우회함에도 불구하고 empowering한다. 그러나 이는 평가자들이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고, 직장 훈련의 핵심 구성 요소를 놓치게 합니다. 즉, [직무 수행에의 참여]와 [직무 수행 단위]를 잘못 동일시하는 것입니다.
What this risks is prioritising EPA opportunity seeking so much that they become gamified at the expense of engaging in the day to day practices of a professional community.6, 7 Billet8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latter approach in workplace learning, describing the central importance of participatory practice, taking advantage of deeply embedded pedagogies in a less structured setting to fold training into the affordance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Within this lens, opportunities are earned through engagement rather than prescribed by curricular framework. In the example above, Rubin's approach is that of an apprentice, engaging in practices of the professional group as required by the workplace environment. His reward is acceptance into the clinical team and halo sense of trust. Shamara is strategic and levers the EPA system into training opportunities. This approach is empowering, even if it bypasses the type of engagement in system work that usually earns the trust and acceptance of the clinical team. However, it leaves assessors feeling as if the system is flawed, missing a core component of workplace training—mistakenly equating engagement in practices of a profession with units of practice.

따라서 우리가 다양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와 씨름하는 동시에, [프레임워크에 스며있는 논리]와 씨름하는 것도 중요할 것입니다. 커뮤니티 또는 실습 환경 내에서 덜 구조화된 직장 학습에 대한 훈련생 참여와 EPA 논리의 이점을 균형 있게 조정하는 것은 역량 위원회가 루빈과 샤마라 같은 훈련생들의 진행 상황에 대해 심의할 때 직면하는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So even as we struggle with the logics of various EPA frameworks, it will be important to struggle, too, with the logic that pervades all these frameworks. Balancing the advantages of EPA logic with trainee engagement in less structured workplace learning within a community2 or landscape of practice9 may be required to address the tensions faced by competency committees as they deliberate about the progress of trainees like Rubin and Shamara.

 


Med Educ. 2022 Sep;56(9):868-870. doi: 10.1111/medu.14846. Epub 2022 Jun 6.

Struggling with the logic of EPA frameworks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2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PMID: 35619052

DOI: 10.1111/medu.14846

간접 환자돌봄의 교육적 가치 최적화하기 (Med Educ, 2022)
Optimis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ndirect patient care
Danielle O'Toole1 | Marina Sadik1 | Gabrielle Inglis1 | Justin Weresch1 | Meredith Vanstone1,2

 

1 소개
1 INTRODUCTION

환자 치료의 활동은 환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시간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의사는 50% 이상의 시간을 간접 환자 치료 활동(IPCA) 또는 대면상호작용이 필요하지 않은 치료 작업에 소비합니다. IPCA는 비동기 업무, 사무실 외부 방문 및 데스크톱 의료라고도 할 수 있다. 표 1은 전자건강기록(EHR)의 '수신함' 관리 등 IPCA의 여러 가지 범주의 예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영상 및 실험실 결과 검토 및 관리, 상담 노트, 양식 작성 및 처방된 의약품의 보충이 포함된다.
The activities of patient care are not confined to time spent directly interacting with a patient. A typical physician spends more than 50% of their time on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IPCA), or care tasks that do not require a face-to-face interaction.1-3 IPCA may also be called asynchronous tasks, activities outside of office visits and desktop medicine.4-7 Table 1 provides examples of several different categories of IPCAs, such as managing the ‘inbox’ of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which includes reviewing and managing imaging and laboratory results, consult notes, completing forms and refilling prescribed medications.


EHR의 채택과 관련하여 IPCA에 들어가는 시간도 증가했다. EHR은 의료 전, 치료 중 및 치료 후 의료 정보에 대한 신속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임상 실습에 널리 채택되었다. EHR의 잠재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기술의 통합은 과제를 가져왔다. 

  • 환자-의사 상호 작용의 변화,
  • 치료의 의미 있는 측면에서의 주의 산만,
  • 의료진에게 사무 업무를 재배포하고 새로운 업무를 창출(예: 의약품 조정, 데이터 입력 및 전자 처방).

일부 활동 유형의 작업량을 줄였습니다. (예: 처방 및 일부 실험실 관련 작업) 
어떤 활동의 작업량은 늘어났다. (예: 예방 관리 작업 및 다른 받은 편지함 항목 검토)

이에 따라, EHR은 의료 행위를 재구성하여 IPCA에 소요되는 시간을 전반적으로 증가시켰다.
The time requirements of IPCAs have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adoption of EHRs.1, 8-11 The EHR was widely adopted into clinical practice between 2008 and 2012,7 because it provides rapid access to medical inform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care with aims of improving quality care and safety.12-14 Despite the potential benefits of the EHR,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llenges, including

  • altering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 distracting from meaningful aspects of care,
  • redistributing clerical tasks to the clinician and creating new tasks (e.g. medication reconciliation, data entry and electronic prescribing).41215-18 

It has reduced the workload of some types of activities (e.g. prescribing and some lab-related tasks), while increasing others (e.g. preventative care tasks and reviewing other inbox items).3, 7, 19, 20 Accordingly, this technology has re-shaped medical practice, resulting in an overall increase in the time spent on IPCAs.1, 8-11

IPCA는 많은 전문분야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심장내과, 내과, 정형외과 전문의들도 마찬가지로 시간의 50%를 간접적인 환자 활동에 사용한다. 정신과, 집중치료, 응급의학에서도 같은 경향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호주, 독일 및 영국을 포함하여 EHR 사용이 일반적인 고소득 국가에서 일관된다. IPCA는 특히 가정의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가정의학과 의사는 환자의 '메디컬 홈'인 만큼 다른 의사가 지시한 조사와 치료를 검토하고 관리하는 경우가 많아 자주 호출된다. 일반 가정의의의 경우, EHR의 출현은 환자와 함께 보내는 매 시간마다 컴퓨터에서 1~2시간씩, 진료 시간 외(오전 8시~오후 6시)에 소요되는 평균 1.5시간의 추가 EHR 시간을 의미했다.
IPCAs are relevant to many specialties. For example, cardiology, internal medicine and orthopaedic specialists similarly spend 50% of their time on indirect patient activities.3 The same trend has been reported in psychiatry,21 intensive care22 and emergency medicine.23, 24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across high income countries where EHR use is common, including Australia,25 Germany26 and the United Kingdom.23 IPCAs may be especially taxing for family physicians. As the patient's ‘medical home’, family physicians who are often called to review and sometimes manage the investigations and treatments ordered by other physicians. For the average family physician, the advent of EHRs has meant 1–2 hours on the computer for every hour spent with patients, and an average of 1.5 hours of additional EHR time spent outside of clinic hours (8 AM–6 PM).4, 27

IPCA의 증가하는 부담은 의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라는 지속적인 도전을 악화시켜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번아웃을 증가시킨다. 의학 교육자들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경력 전반에 걸쳐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IPCA를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하는 해당 과제에 직면해 있다. 학습자가 이러한 작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으며, 한 연구에서 전공의는 임상 문서 요구 사항이 과도하며, 그로 인해 환자 치료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단축하고 더 가치 있다고 인식되는 교육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줄었다고 보고했다. [직무 만족도와 일과 삶의 균형을 모두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환자 치료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IPCA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의 교육자들을 지도하기 위한 교육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훈련에서 이러한 IPCA의 영향과 이 중요한 교육을 가장 잘 제공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주민들이 이 중요한 역량을 획득하도록 돕는 중요한 부분이다.
The growing burden of IPCAs exacerbates the perennial challenge of work-life balance for physician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increasing burnout.28-35 Medical educators face the corresponding task of preparing learners to handle IPCAs in a sustainable way throughout their career. There is evidence that learners may not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learning how to manage these tasks, with residents in one study reporting that clinical documentation requirements are excessive, compromising time to participate in direct patient care and decreasing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perceived as more valuable.36 Despite the importance of learning how to manage IPCAs in a manner that balances high quality patient care while maintaining both job satisfaction and a work–life balance, little education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guide educators in this area.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se IPCAs in training and how best to deliver this vital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helping residents obtain this critical competency.

교육 프로그램이 IPCA의 교수와 위임을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가정의학과에 위치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미래의 실습을 위해 가족 의사를 적절하게 준비시켰다. '가족의학 거주자, 최근 졸업생 및 임상 감독관은 [간접 환자 치료 활동의 교육적 영향과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To better understand how education programmes may optimise the teaching and entrustment of IPCAs,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located in the discipline of Family Medicine to adequately prepare family physicians for future practice, asking ‘How do family medicine residents, recent graduates and clinical supervisors perceive the educational impact and importance of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2 방법
2 METHODS

2.1 설계 연구
2.1 Study design

이것은 임상 교육 요구 사항 탐색과 같은 사회적 과정 연구에 적합한 방법론인 [구성주의 근거이론 연구]입니다. 이 방법론의 구성주의적 기반은 [학습자가 자신의 일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힘에 의해 형성된다

  • 교육 정책(예: 인증 요건 및 시험),
  • 직업 및 작업 환경의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규범,
  • 가정의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 가정의가 어떤 유형의 일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기대

근거 이론이 요구하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 사이의 반복을 통해 우리는 한 그룹의 예비 통찰력을 바탕으로 다음 라운드에서 데이터 수집을 구축하고 형성하여 우리의 조사에 응답하고 심화시킬 수 있었다.

This is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study,37 a methodology appropriate for the study of a social process such as navigating a clinical education requirement. The constructivist underpinnings of this methodology highlighted the different ways that learners may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ir work, shaped by forces such as

  • education policy (e.g. accreditation requirements and exams);
  • implicit and explicit norms of the profession and work environment;
  • social expectations about what it means to be a family physician and what kind of work family physicians should do.

The iteration betwee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quired by grounded theory allowed us to build on preliminary insights from one group, building and shaping data collection in the next round to respond to and deepen our inquiry.

2.2 연구 상황
2.2 Study context

이 연구는 캐나다 도시에 위치한 단일 가정의학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맥락에서 수행되었다. 의료 거주자는 가정의학과 의사가 되기 위해 2년간의 일반 전문의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며, 일부에서는 3년차 고급 기술 교육을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대규모 레지던트 프로그램은 의학-박사 대학과 연계되어 있으며, 매년 3개의 훈련장에서 200명의 레지던트들을 수용한다. 2개의 교육장은 학계 가정의학 실습과 연계되어 있으며, 1곳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여러 가정의학 실습이 있다.

  • Academic practices는 의료 전문가의 교육과 가르침이 교수진의 역할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의과대학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practice에서, 교수진 의사는 일반적으로 매일 2~3명의 학습자를 감독한다.
  • 지역 사회 practice는 지역 사회 내의 일반적인 가정의학 관행이며 의사는 일반적으로 한 번에 한 명의 학습자를 감독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located in urban Canada. Medical residents complete a 2-year generalist training programme to become Family Physicians, with an optional third year of enhanced skill training available to some. This large residency programme is affiliated with a medical-doctoral university, admitting 200 residents each year across three training sites. Two training sites are affiliated with academic family medicine practices, and one with multiple community-based family medicine practices.

  • Academic practices are those associated with a medical school, where education and teaching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a large part of the role of faculty physicians. In these practices, faculty physicians typically supervise two to three learners each day.
  • Community practices are general family medicine practices within the community and physicians typically supervise one learner at a time.

2.3 이론 렌즈
2.3 Theoretical lens

본 연구에서는 [Billett의 직장 학습 이론]민감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민감 개념]은 연구 중인 현상에 대한 연구자들의 생각에 INFORM하는 배경 아이디어입니다. 직장 학습 이론은 연구를 시작할 때 선임 연구원(MV)에게 알려졌고, 이는 작업의 개념화와 설계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 이론은 [작업장이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데, 이 [교육기회는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확인하고 참여하도록 선택해야 하는 것]이라는 우리의 가정을 형성했다. [학습 기회의 식별]은 교육 및 조직 구조의 지도와 직장에 존재하는 다른 사람들의 입력에 의해 형성된다.

  • 이 이론적 렌즈는 IPCA를 학습자와 그들의 임상 교사들에게 [인식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교육적 어포던스]로 생각하는 우리의 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 [인터뷰 가이드의 구축과 개선 과정]에서, 이 이론은 학습자가 학습 기회에 대해 인식하고 결정하는 방법, 그리고 직장에서 어떤 선호도가 식별을 장려하거나 바람직한 특정 학습 기회를 만드는지에 대해 조사하기로 한 우리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 우리는 분석 중에 이 이론이 직장 학습에 대해 제공한 배경 문맥을 넘어 이 이론에 명시적으로 관여하지 않았다.

We used Billett's workplace learning theory as a sensitising concept in this work.38 Sensitising concepts are background ideas, which inform the researchers' thinking about the phenomenon under study.39 Workplace learning theory was known to the senior researcher (MV) at the onset of the study, influencing the way the work was conceptualised and designed. This theory shaped our assumptions that workplaces offer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learners must both identify and choose to engage with to learn effectively.38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opportunities is formed by the guidance of educational and organisational structures and the input of others present in the workplace.38 

  • This theoretical lens influenced our thinking of IPCA as an educational affordance that may or may not be recognised by learners and their clinical teachers.
  • During the construction and refinement of the interview guide, this theory influenced our decision to probe about the way that learners recognise and make decisions about learning opportunities, and what affordances in the workplace encourage the identification or make desirable particular learning opportunities.
  • We did not engage explicitly with this theory during analysis, beyond the background context it provided about workplace learning.

2.4 참가자
2.4 Participants

직장 학습의 맥락적 특성으로 인해 본 연구는 단일 가정의학 레지던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재 학습자, 현 교육자 및 지난 5년 이내에 졸업한 동문들을 모집합니다. 대상자는 현재 가정의학과 전공의('거주자')와 이 프로그램에서 지도자 역할을 하는 임상의-교육자('교육자') 및 지난 5년 이내에 이 프로그램을 졸업한 가정의사('초기 직업의사')이다.
Due to the contextual nature of workplace learning, we conducted this study around a singl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recruiting current learners, current educators and alumni who have graduated within the past 5 years. Eligible participants were

  • current family medicine residents (‘residents’),
  • clinician-educators who have a preceptor role within this programme (‘educators’), and
  • family physicians who graduated from this programme within the past 5 years (‘early career physicians’).

2.5 샘플링 및 모집
2.5 Sampling and recruitment

우리는 세 참가자 그룹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샘플링 전략을 사용했다. 프로그램 사무소에서 발송된 이메일, 프로그램 리드 전공의, 임상 공간의 포스터, 공동 저자 팀의 그룹 학습 세션 시작 시 이루어진 연구에 대한 발표를 통해 전공의를 모집했다. 잠재적 거주 참가자는 연구 보조자나 선임 저자(MV)에게 연락하도록 요청하여 그들의 신원이 의사 공동 저자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했다. 처음 5년간 의사는 프로그램 동문들을 위한 온라인 페이스북 그룹들과 연구팀의 전문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을 통해 모집되었다. 교육자들은 연구팀이 보낸 이메일을 통해 모집되었다. 
We used different sampling strategies for each of the three participant groups. Residents were recruited through e-mails sent from the programme office and lead residents of the programme, posters in clinical spaces and announcements about the study made at the beginning of group learning sessions by the co-author team. Potential resid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ntact the study research assistant or senior author (MV) so their identities were not known to physician co-authors, who may have held a position of authority over them.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were recruited through online Facebook groups for programme alumni and by e-mail through the professional networks of the research team. Educators were recruited through e-mails sent by the research team.

우리는 [편의 샘플]로 시작했고, 예비 데이터 수집을 이론적으로 관련된 초기 데이터 분석에서 식별되어감에 따라서 참여자 임상 경험(위치, 임상 실습 및 기간)의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 [목적적이고 이론적으로 정보에 입각한 접근 방식]으로 이동했다. 
We star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and after preliminary data collection moved to a purposeful, theoretically informed approach to ensure diversity in participant clinical experience (location, clinical practice and duration), as these aspects were identified in initial data analysis as theoretically relevant.

이것은 [근거 이론 연구]였기 때문에, 우리는 데이터 충분성에 대한 판단을 안내하기 위해 [이론적 포화] 개념을 사용했다. 우리는 [이론에 기여하는 범주의 완전성]과 [이론적으로 지시된 유형의 샘플링 완료]와 관련해서 [이론적 포화]를 이해한다. 포화 식별은 데이터 분석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프로세스로, 여러 분석가와의 논의를 통해 운영됩니다. 각 범주가 잘 개념화되어 있고, 식별된 이론이 모든 관련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분석 그룹은 [전반적으로 보면, 이론에 아무것도 추가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 수집의 return이 감소한다]는 데 동의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코호트 및 수련 장소와 관련해서 [이론적으로 관련된 일부 관점]이 샘플에 강하게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관점을 포함하기 위해 추가 자료를 찾았지만, 참여자의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해 완료된 새로운 인터뷰는 새로운 분석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다. 
As this was a grounded theory study, we used the concept of theoretical saturation to guide our judgements of data sufficiency.37, 40 We understand theoretical saturation to relate to the completeness of categories that contribute to a theory, and the completion of theoretically-indicated types of sampling. The identification of saturation is a process occurring throughout data analysis, operationalised through discussion with multiple analysts. After identifying that each category was well conceptualised, and the identified theory could account for all relevant data, the analytic group agreed that new data collection had diminishing returns, as it would not necessarily add anything to the overall theory.40 At this point we noted that some theoretically-relevant perspectives, related to cohort and training site, were not strongly present in the sample. We sought additional data to include these perspectives, but new interviews complet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participants did not suggest new analytic directions.

2.6 데이터 수집
2.6 Data collection

데이터는 포커스 그룹과 개별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포커스 그룹은 경력 단계별로 동질적이었다.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은 MV, MS, 그리고 연구 조수에 의해 촉진되었다. 이 개인들은 모두 질적 연구에 대해 훈련된 비-의사이며, 참가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여성들이다. 개별 인터뷰는 스케줄링이 참가자의 포커스 그룹 가입을 허용하지 않거나 참가자가 인터뷰에 대한 선호도를 표시한 경우에 수행되었다. 각 참가자 그룹에 대해 별도의 인터뷰 가이드(보충자료로 포함)를 개발하고 데이터 수집이 진행됨에 따라 다듬었다. 인터뷰 가이드는 문헌, 가정의학과 교사 및 학습자로서의 실제 경험, 연구 중인 문제에 대해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제출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다학제 팀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예비 포커스 그룹의 통찰력을 사용하여 미래 참가자의 모집 및 데이터 수집을 구체화하면서 한 번에 한 참가자 그룹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데이터 수집을 단계화했다. 인터뷰 가이드는 초기 분석 통찰력을 반영하고, 이론적으로 관련된 문제에 대해 프로빙하고, 조사 범위를 세분화하기 위해 수정되었다. 전공의들은 우리의 처음이자 마지막 그룹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프로젝트 진행 중에 발전한 새로운 분석 통찰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ta were collected via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Focus groups were homogeneous by career stage. The interviews and focus groups were facilitated by MV, MS and a research assistant. These individuals are all women trained in qualitative research, non-physicians and unknown to the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hen scheduling did not permit participants to join a focus group, or where the participant indicated a preference for an interview. Separate interview guides (included as supplementary material) were developed for each participant group and refined as data collection progressed. Interview guides were developed by our multi-disciplinary team based on literature, practical experience as family medicine teachers and learners, and feedback submitted to the residency programme about the issue under study. We staged our data collection to focus on one participant group at a time, using insight from preliminary focus groups to shape recruitment and data collection of future participants. Interview guides were amended to reflect initial analytic insights, to probe about theoretically relevant issues, and to refine the scope of inquiry. Residents were our first and our last group, so we could affirm emerging analytic insights that developed over the course of the project.

2.7 데이터 분석
2.7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은 구성주의 근거 이론을 상징하는 단계적 프로세스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초기 데이터가 수집되는 즉시 시작하여 예비 통찰력을 향후 데이터 수집에 inform하는 것이다. 여러 분석가개방형 귀납적 코딩에 참여하여 팀 전체와 만나 잠재적인 집중 코딩에 대한 아이디어를 논의했습니다. 이 미팅을 통해 식별된 범주는 추가 코딩 라운드에서 운영되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집중적인 코딩 스키마를 생성하도록 조정, 확장 및 정교해졌다. 이 코딩 스키마의 적용은 연역적(귀납적 코딩을 통해 개발된 스키마를 적용)귀납적(확장, 정제, 정교화) 사이에서 다양한 코딩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귀납적]에서 [연역 – 귀납적]으로의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의 분석이 데이터에 기반을 두도록 보장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테마를 귀납적으로 파악하였다. 우리는 연구 질문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주제를 개발하여 [교사 및 학습자의 경험을 설명]하는 것과 관련된 주제와 [가정의학의 교수 및 학습 개선을 위한 제안]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 
Data analysis proceeded in a staged process emblematic of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beginning as soon as initial data were collected so preliminary insights informed future data collection. Multiple analysts engaged in open inductive coding, meeting with the whole team to discuss ideas for potential focused coding. The categories identified through this meeting were operationalised in an additional round of coding, through which we refined, expanded and elaborated to produce a focused coding schema. Application of this coding schema was accomplished through multiple rounds of coding that varied between deductive (applying the schema developed through inductive coding) to inductive (expanding, refining and elaborating schema). This movement from inductive to deductive–inductive ensured that our analysis remained grounded in the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mes were inductively identified. We developed themes, which were directly responsive to the research question, striving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ose relevant to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learners and those relevant to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in family medicine.

2.8 윤리
2.8 Ethics

이 연구는 해밀턴 통합연구윤리위원회(11547)의 승인을 받았으며, 모든 참여자는 각 데이터 수집 세션 시작 시 전자적으로 그리고 구두로 사전 동의를 제공하였다. 우리는 연구팀의 의사 교육자와 거주자 참여자 사이의 권력 불균형을 잠재적 윤리적 문제로 식별했다. 상주 참가자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는 의사 연구 팀원들이 원본 오디오 파일이나 확인된 녹취록을 포함하여 상주 참가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장했다.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Hamilton Integrated Research Ethics Board (11547), and all participants provided informed consent electronically and again verbally at the beginning of each data collection session. We identified the power imbalance between the physician educators on the research team and the resident participants as a potential ethical issue. To protect resident participants, we ensured that physician research team members did not have access to any information which would identify resident participants, including original audio files or identified transcripts.

3 결과
3 RESULTS

우리는 19명의 거주자(R), 16명의 의사(P), 7명의 경험 있는 의사 교육자(E)로부터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데이터를 수집했다. 각 포커스 그룹에 3~6명의 참가자가 참여한 가운데 6개의 개별 인터뷰와 11개의 포커스 그룹을 실시하였다. 가정의학 실천 유형의 광범위한 다양성으로 인해, 우리는 표 2-4에 practice 유형을 학문적, 공동체적, 비전통적인 것으로 요약했다. '비전통적 행위'은 예를 들어 병원 의사, 입원 환자 정신 건강 기관, 사망 의료 지원, 완화 치료 및 교도소 보건/교정 시설과 같은 집중적인(제너럴리스트가 아닌) 행위을 의미한다. 참여자 인구통계 정보는 표 2-4에서 확인할 수 있다.
We collected interview and focus group data from 19 residents (R), 16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practice (P) and 7 experienced physician educators (E). We conducted 6 individual interviews and 11 focus groups with three to six participants in each focus group. Due to the broad variability of family medicine practice types, we have summarised practice types in Tables 2–4 as academic, community and non-traditional. ‘Non-traditional practices’ refer to focused (rather than generalist) practices, for, for example, hospitalist, in-patient mental health unit, Medical Assistance in Dying, Palliative care and prison health/correctional facilities. Participant demographic information can be found in Tables 2–4.

우리는 먼저 모든 그룹의 참가자들이 [IPCA가 가정의사로서의 경력 기간 동안 반드시 지녀야 하는 무게로 작용한다]는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그들의 경력 초기에 그 무게를 부담으로 보았고, 더 많은 경험 있는 그룹들이 그 무게는 가정의학에서 지속 가능한 경력을 쌓는 데 필요한 힘을 기를 수 있는 기회라고 어떻게 이해했는지 설명한다. IPCA 작업을 부담 또는 강도 훈련으로 느끼게 하는 이유에 대한 이러한 논의에서 참가자들은 몇 가지 악화 및 완화 요인(모호한 기대, 작업량 불평등에 대한 인식, 환자 및 작업에 대한 교수 및 친숙함)을 식별했으며, 이는 차례로 논의된다. 우리는 표준화, 점진적 도입, 작업량에 대한 투명성, 명시적 교육 및 피드백과 경계 설정 등 IPCA의 교육 가치를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한 거주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 권고를 설명함으로써 이 섹션을 마무리한다.

We first discuss the analytic finding that participants in all groups identified IPCA work as a weight they must carry for the duration of their career as family physicians. Next, we describe how those earlier in their career viewed that weight as a burden, and more experienced groups understood that weight to be a chance to develop the strength needed for a sustainable career in family medicine. In these discussions of what made IPCA work feel more like a burden or strength training, participants identified several exacerbating and alleviating factors (ambiguous expectations, perceptions of workload inequity, teaching and familiarity with patients and tasks), which are discussed in turn. We conclude this section by describing participant recommendations to residency programmes about how to optimise the educational value of IPCAs: standardisation, gradual introduction, transparency about workload, explicit teaching and feedback and boundary setting.

3.1 IPCA의 무게: 부담 또는 근력 훈련?
3.1 The weight of IPCAs: Burden or strength training?

모든 참가자들은 그들의 실천 단계에 관계없이 IPCA가 가정의학의 필요하지만 불쾌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 그들은 IPCA가 환자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끝이 없어 보이는 서류작업의 '과중한 책임'(P6)도 설명했다. 참가자 그룹이 분화된 곳은 이 무게를 짊어지는 것의 성격과 영향을 [부담]으로 보았는지, 그들의 경력 동안 [이 무게를 짊어지는 데 필요한 힘이나 힘을 기를 수 있는 기회]로 보았는지에 대한 것이다.
All participants, no matter their stage of practice, shared the perception that IPCAs are a necessary but unpleasant part of family medicine. They recognised that IPCAs are required for patient care, but also described the ‘crushing responsibility’ (P6) of the seemingly never-ending stream of paperwork. Where participant groups diverged was how they framed the nature and impact of carrying this weight, as either a burden or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strength needed to carry this weight throughout their career.

[전공의들과 초기 직업 의사들]은 IPCA의 중요성을 교육 기회보다는 부담으로 강조했다. '그것은 나에게 어떤 교육적 가치보다 훨씬 더 많은 스트레스를 주었다.' (R12) 그들은 이러한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이 학습, 일과 삶의 균형, 웰빙, 그리고 다른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을 저해하는 방법을 기술했다. '나는 확실히 그것이 압도적이라고 느낀다. 나는 그것이 지속가능하다고 느끼지 않는다'(P7). 그들이 이 무게를 견디기 위해 개발한 전략에는 늦게까지 머무르거나 휴가 기간을 사용하여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휴가시간을 이용해 매주 하루씩 전일제 가정의학과를 쉬었습니다'(R9)
Residents and early career physicians emphasised the weight of IPCAs as a burden rather than an educational opportunity: ‘it provided me way more stress than any educational value’ (R12) They described the ways that time spent on these activities impeded their learning, work–life balance and wellness, and ability to achieve other educational goals: ‘I definitely feel like it's overwhelming. I don't feel like it's sustainable’ (P7). The strategies they developed to carry this weight included staying late or using vacation time to accomplish these work tasks: ‘I've used my vacation time to take one day off every week of full-time family medicine’ (R9).

[독립의료를 하는 참가자]들은 IPCA의 무게에 대해 전공의들과 다르게 말했다. 그들은 이러한 업무가 환자 치료와 가족 의사의 업무 일부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더 잘 인식했다. '당신이 이 양식을 완성할 때 당신은 당신의 환자에게 자금이나 자원 같은 것에 대한 접근권을 주는 것이고, 당신은 당신이 그들과 마주 앉아 있을 때보다 모든 면에서 혹은 그 이상으로 당신의 환자를 돕고 있는 것이다.'(E4)
Participants who were in independent practice spoke differently about the weight of IPCAs than residents. They were more apt to recognise that these tasks are necessary for patient care and part of the work of a family physician: ‘when you complete this form you are giving your patient access to funding or resources or whatever, you're helping your patient every bit as much or maybe more than when you're sitting face-to-face with them’ (E4).

[의사 경력 첫 5년 동안 의사]들은 레지던트 시절 IPCA 작업의 이점을 현재 진료에 반영했습니다. 'ODSP [Ontario Disability Support Program] 양식에는 분명히 재간finesse이 있습니다. 바보같이 들리지만, 그것들을 작성하면서 전공의로서 배우는 art가 있습니다. … 레지던트로서 그런 걸 알아내서 엉덩이를 박살내면서 시간을 보내서 다행이다, 그래, 스태프가 되면서 부담이 줄었다(P5).' 이 학습의 일부는 IPCA의 업무 스타일 변경을 포함하여, IPCA의 부담을 다루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their career recognised the benefits of the IPCA work they did in residency to their current practice: ‘There's obviously a finesse to ODSP [Ontario Disability Support Program] forms, it sounds silly to say but there is an art to filling them out and learning those things as a resident is helpful. … I'm glad that I spent time as a resident figuring that stuff out and busting my butt, then yeah, it reduced the burden when I became staff’ (P5). Part of this learning was devel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the burden of IPCAs, including changing their practice style:

'우리가 실제로 '지혜로운 선택'[불필요한 의학적 조사와 개입을 줄이기 위한 캠페인]과 같은 것들을 따르고, 검사와 조사 횟수를 줄인다면, [우리는 환자들과 더 많은 개인적, 신체적 접촉]을 할 뿐만 아니라, 들어오는 다른 데이터로부터도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다'(E7)
If we actually followed things like Choosing Wisely [campaign to reduce unnecessary medical investigation and intervention], and decreased the number of tests and investigations and things like that, we would not only have more personal, physical contact with our patients, but we would also have less burden from other data that is coming in’ (E7)

대부분 이러한 전략과 교훈은 실용적인 방법으로 학습되었으며, 많은 의사들은 [IPCA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전공의의 중심 학습 목표라고 설명했다. '나는 그들을 설득하려고 노력하며, 지금 일을 잘 하면, 앞으로 보상이 있을 것이다.(P7)' 여기서, 우리는 모든 직업 단계의 교육자들이 [전공의 수련에서 IPCA의 무게]를 [부담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오랜 경력을 위해 자신을 훈련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마라톤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의 건강과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E1)
Mostly, these strategies and lessons were learned in a practical way, and many physicians described that learning how to manage IPCAs in a sustainable way is a central learning objective for residents: ‘I do try to convince them, put the work in now and it will pay dividends moving forward’ (P7). Here, we identified that educators of all career stages perceive the weight of IPCAs in residency not solely as a burden, but also as an opportunity to train oneself for a long career: ‘more important than that is making sure we can all do the marathon and that we don't burn out and compromise our health and wellness in the process’ (E1).

3.2 악화 및 완화 요인 
3.2 Exacerbating and alleviating factors

참가자들은 IPCA가 부담스럽다는 데 일관되게 동의했지만, 그러한 부담을 악화시키거나 완화하는 조건도 설명했다.
While participants consistently agreed that IPCAs are burdensome, they also described conditions that exacerbate or alleviate that burden.

3.2.1 모호한 기대치
3.2.1 Ambiguous expectations

전공의와 최근 졸업한 직원들은 [모호한 기대]를 요인으로 식별하여 IPCA의 부담을 가중시켰다. 실천에서 독립하기 전에, 전공의들은 그들의 지도자들의 목표, 우선순위, 과정을 따라야 한다. 이 영역에 대한 명확하고 일관된 지침이 없으면 IPCA 부담이 증가합니다. '당신은 또한 특정 시간대에 그것을 끝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지만, 만약 그것이 당신의 물건이라면 당신은 "나는 이것을 내일 볼 것이다"와 같을 수 있다.(P5)
Residents and recently graduated staff identified ambiguous expectations as a factor, which exacerbated the burden of their IPCAs. Before becoming independent in their practice, residents must follow the goals, priorities and processes of their preceptors. Without clear and consistent instructions in this area, IPCA burdens are increased: ‘You also feel the pressure to get it done on a certain timeline, whereas if it was your own stuff you could be like “I'll look at this tomorrow”’ (P5).

3.2.2 작업량 형평성에 대한 거주자의 인식
3.2.2 Resident perceptions of workload equity

전공의 집단 특유의 또 다른 악화 요인은 할당된 작업의 양이나 강도에서 [전공의 간의 불평등한 차이]에 대한 인식이었다. 예를 들어, 농촌 실무에서 일하는 거주자들은 그들의 IPCA 부하가 학계 가족 보건 팀 내에서 일하는 거주자들보다 훨씬 적다고 보고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이를 [지도교사preceptor]의 선택 때문이라고 보았다. '운이 좋게도 어떤 지도교사를 얻었는지에 따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받은 편지함을 관리해야 하는지에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같은 사이트에 있었고 같은 수의 환자를 보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받은 편지함과 바쁜 업무에 훨씬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P1)
Another exacerbating factor unique to the resident group was perceptions of inequitabl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in the volume or intensity of assigned work. For example, residents working in rural practices reported that their IPCA load was much less than those working within academic family health teams. Some participants attributed this to preceptor choice: ‘there were huge discrepancies in how much people had to manage the inbox based on what preceptor they got lucky enough to get. We were at the same site and seeing the same population of patients yet some people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on their inbox and busy work than others did’ (P1).

[작업을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에서도 비슷한 불평등이 발견되었습니다. 일부 관행은 전공의가 IPCA 업무를 다른 사람에게 위임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반면, 다른 관행에서는 전공의가 직접 이 작업을 하도록 했다. 전공의들은 지도교사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업무를 위임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업무량이 증가하고 만족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라벨을 인쇄하기 위해 프린터를 찾고 환자의 소변을 적신 다음 그것을 보내고 포장하기 위해 뛰어다니는 것은 거주 시간을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그럴 사람이 있어야 하고, 대부분의 클리닉에는 있지만, 우리에게는 없습니다.'

A similar inequity was seen in the resources available to manage this work. Some practices permitted residents to delegate IPCA tasks to others, while in other practices residents were required to do this work themselves. Residents reported that not being allowed to delegate work in the way their preceptors were able to do increased their workload and decreased their satisfaction: ‘It's not a good use of resident time to be running around trying to find a printer to print off labels, to then dip that patient's urine, to then send it off and package it up. There actually should be someone to do that, and in most clinics, there is, but for us, there's not’ (R9).

3.2.3 교육
3.2.3 Teaching

[모든 경력 단계의 교육자]들은 [전공의를 가르치는 데 필요한 시간, 인내심, 코칭]이 그들 자신의 IPCA 부담을 악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전공의들은 그 일을 맡음으로써 IPCA 직원들의 요구를 완화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했지만, 교육자들은 전공의들에게 위임하는 것은 시간, 인내,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교육하는 것은 매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내가 해야 할 약간의 투자와 균형을 이루게 된다.' (E2)
Educators of all career stages identified that the time, patience, and coaching required to teach residents exacerbated their own IPCA burden. While residents perceived that they were alleviating the IPCA demands of staff by taking on that work, educators described that delegating to residents required time, patience and flexibility. ‘Teaching, if done in the way that I like to do it, it's very time consuming and so it balances out a bit of the investment that I do to have some tasks taken off my plate.’ (E2).

3.2.4 친숙함(환자, 진료소 및 전문 지식)
3.2.4 Familiarity (patients, clinic and expertise)

[환자와 친숙하지 않은 것]은 [전공의] 뿐만 아니라 [대리의사 직무locum work(다른 사람의 업무를 인계받거나 명단을 구축)로 인해 환자와 친숙하지 않을 수 있는 경력 첫 5년 동안 의사]의 IPCA 업무량을 악화시켰다. 의료진의 의사는 자신이 잘 알고 있는 환자의 경우 스스로 주문한 결과를 검토하는 데 있어 효율성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일단 실습을 하고 나면 환자를 잘 알게 되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요소들은 환자를 좀 더 낫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P1)
Not being familiar with a patient exacerbated the workload of IPCAs for residents as well as for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their career who may not be familiar with patients due to locum work, taking over someone else's practice or building their roster. Staff physicians described the efficiency in reviewing results they ordered themselves, for a patient they were well-familiar with ‘You also have the benefit of knowing your patients well once you're out in practice, so those factors help make it a bit better.’ (P1).

3.3 권장 사항
3.3 Recommendations

참가자들은 IPCA에 대한 전공의 교육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전공의 프로그램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공했습니다.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이 [IPCA에 대한 전공의 참여를 표준화하고 학습자와 교사 모두에게 지침과 기대를 명확하게 전달할 것]을 권고했다. '교육 목표와 기대는 무엇인가에 대한 유닛의 집단적 메시지가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E5) 이는 교육 현장 전반의 IPCA 워크로드에 대한 인식된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전공의들은 또한 프로그램이 학습자에게 IPCA를 완료하기 위한 [전용 시간]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 [전용Dedicate 시간]은 전공의가 직무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학습할 때 담당 의사와 동일한 업무량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추가 시간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Participants provided recommendations to residency programmes for improving the resident educational experience with IPCAs. Participants recommended that programmes standardise resident involvement in IPCAs and clearly communicate instructions and expectations to both learners and preceptors: ‘It is important that there is a collective message that comes from the unit about … what are the educational goals, [and] what are the expectations.’ (E5) This was seen as a way to ameliorate the perceived inequity in IPCA workload across training sites. Residents also recommended that programmes provide learners with dedicated time to complete IPCAs. Dedicated time would help account for the additional time residents require to do the same workload of a staff physician as they learn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task.

또한, 참가자들은 IPCA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점진적인 도입]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참가자들은 이것이 업무량을 줄이고 IPCA 관련 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며, 특히 임상 치료의 다른 측면을 배우면서 레지던트 초기에 더욱 그렇다. '그것은 아무도 모르는 내 동료 레지던트들의 첫 6개월 동안 정말 많은 사람들을 태워버렸다. 그들은 시스템을 몰랐고, 프로그램을 몰랐고, 어떻게 거주자가 되는지도 몰랐으며, 동시에 1,000명의 수신함을 어떻게 하는지도 몰랐다.' (P4) 
Further, participants suggested that a gradual introduction was important to develop capacity to handle IPCAs. Participants believe this may reduce the workload and help relieve IPCA-related stress, especially early in residency as they learn the other aspects of clinical care. ‘It really burnt out a lot of my co-residents in their first six months of residency when they didn't know anybody. They didn't know the system, they didn't know the program, they didn't know how to be a resident, and also how to do an inbox of 1,000 people at the same time.’ (P4). 
또한, 이 접근 방식은 IPCA 자체의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여겨졌다. 개업 의사들은 독립적인 개업에서 IPCA의 [예상 업무량 및 필연적 업무량]에 대한 투명성을 높였고, 이는 가정의학 경력의 일부로서 전공의들이 [IPCA의 현실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추론했다. 가정의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IPCA의 현실을 논의하는 것은 이러한 [작업량에 대한 전공의들의 인식]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IPCA를 완료하는 지속 가능한 방법을 개발하도록 장려한다. "실제로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당신이 내 일을 하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라, 내가 당신에게 다른 종류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결국 당신을 좋은 가정의사로 만들 것입니다." (E5)
In addition, it was felt this approach would allow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of IPCAs themselves. Practicing physicians encouraged more transparency about the expected and inevitable workload of IPCAs in independent practice, reasoning that this would help residents understand and anticipate the reality of IPCAs as part of a career in family medicine. Discussing the reality of IPCAs as a significant component in family medicine may help residents' perception of this workload, encouraging them to develop sustainable ways to complete IPCAs: ‘I think it depends on how you actually present it, like, this is not about you doing my work, but this is about me providing you with a different kind of education, that in the end will make you a good family doctor’ (E5).

마지막으로, 모든 그룹의 참가자들은 IPCA에 대한 보다 명확한 교육, 피드백 및 커뮤니케이션, 특히 청구서, 차트 유지보수, 양식 및 사례 보고/검토를 권고했다. 이러한 교육은 전공의들이 보다 많은 지원을 통해 보다 점진적인 방식으로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고 열린 소통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학습 욕구, 학습 목표, 이러한 학습 기회의 가치, 전공의가 학습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관리하는지, 나아가면서 상황을 조정하고 모두가 함께 작업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E1)
Finally, participants in all groups recommended more explicit teaching, feedback and communication on IPCAs, especially billing, chart maintenance, forms and case debriefing/reviewing. This teaching would not only help residents build on their knowledge in a more gradual way with more support, but it would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highlight educationally important content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open communication. ‘I think it's important to have ongoing conversation about learning needs, learning goals, the value of these learning opportunities, how the resident is feeling about it and managing it and be tweaking things as you go and really have everybody working together on it.’ (E1).

마지막으로 IPCA는 끝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개인의 삶, 정신 건강, 건강을 보호하고 탈진을 피하기 위해 [제한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참가자들은 환자와의 경계 설정(예: 필요할 때 환자가 추가 예약을 하도록 권장), 자신에 대한 경계 설정(예: 긴급하지 않은 받은 편지함 항목을 다음날로 남겨두는 것) 및 [IPCA 작업을 완료까지의 시간을 제한하는 것]의 중요성을 반복적으로 표현했다. [솔선수범]하는 것은 전공의들이 독립 실무자와 동일한 전략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나는 매우 효율적인 지도교사가 있었고, 우리는 결코 늦지 않았다. 그리고 그녀는 나에게 받은 편지함의 균형을 맞추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 환자를 보고, 가는 동안 차트를 작성하고, 당신과 함께 집에 가는 최소한의 일을 가져갔다. 그리고 오늘날까지 나는 여전히 그렇게 실천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임상적 부분과 IPCA 부분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배우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P1)
Finally, IPCAs are never-ending; thus, it is important to set limits to protect one's personal life, mental health, wellness and avoid burnout. Participants repeatedly expressed the importance of

  • setting boundaries with patients (e.g. encouraging patients to schedule an additional appointment when necessary),
  • boundaries for oneself, (e.g. leaving non-urgent inbox items for the next day) and
  • blocking off time to complete IPCA tasks.

Leading by example helped residents implement the same strategies as independent practitioners: ‘I had a very efficient preceptor, we never ran late … and she really taught me how to balance inbox, seeing patients, charting as you go, taking minimal work home with you, and to this day I still practice that way. And I think that was very helpful, just learning how to balance the clinical and the IPCA part.’ (P1).

4 토론
4 DISCUSSION

McMaster Family Medicine Residention 프로그램에서 전공의를 위한 간접 환자 치료 활동의 교육적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모든 참가자는 이 작업량이 필요하지만 종종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 그러나 이 작업에 대한 임상의의 관점은 이 작업에 대한 인식과 참여에 영향을 미쳤다. 불평등에 대한 모호한 기대와 인식은 학습자가 이러한 과제에 대한 혐오를 악화시켰다. 참가자들은 이 작업의 교육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명시적인 교육 및 피드백과 함께 IPCA에 대한 표준화된 단계적 도입에 초점을 맞출 것을 권고했다. 
We explored the educational impact of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for residents in the McMaster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All participants recognised this workload as necessary, though often unfulfilling. However, the clinician's perspective on this work as either a burdensome additional weight or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management skills impacted their perception and engagement in the work. Ambiguou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inequity exacerbated learner dislike for these tasks. The participants recommended a focus on a standardised graduated introduction to IPCAs, with explicit teaching and feedback to improve the educational value of this work.

[빌렛의 직장 학습 이론]은 학습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교육 기회를 식별하고 참여하도록 선택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 연구는 IPCA를 [비교육적 초과근무로 인식하는 것]이 학습자의 이러한 과제에서 학습하는 능력을 저해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것은 임상 작업장에서 배우는 것이 목적인 '학습자'으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을 가진 전공의들 사이에서 특히 심각할 수 있다. 스스로를 의료 사업에서 실천을 준비하는 '견습생'으로 보는 전공의들은 IPCA 업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배울 기회를 더 많이 볼 수 있다. 우리는 [숨겨진 커리큘럼]이 IPCA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방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IPCA 과제가 임상의 시간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지만 지도, 평가 또는 교육적 가중치를 거의 받지 않는 경우, 전공의는 IPCA 과제가 중요하지 않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이 작업을 ['행정적' 작업]이 아닌 '간접적 환자 치료'로 지칭하는 것은 이러한 작업의 가치와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공의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또한 IPCA 작업을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 및 피드백 제공을 통합하면(예: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 또는 핵심 역량) 학습자가 이러한 작업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뉴질랜드, 호주, 영국의 왕립 일반 실무자 대학과 같은 일부 교육 기관들은 [간접 환자 치료 기술]이 독립 실무에 필요한 역량이라고 명시적으로 밝혔습니다.
Billett's workplace learning theory describes that for learning to be effective, learners must both identify and choose to engage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the perception of IPCAs as non-educational extra work impedes learners' ability to learn from these tasks. This may be particularly acute amongst residents whose professional identity is as a ‘student’ whose purpose in the clinical workplace is to learn.41, 42 Residents who see themselves as an ‘apprentice’ preparing to practice in the business of medicine may be more likely to see opportunities for learning strategies to effectively manage IPCA work. We must be attentive to the ways in which the hidden curriculum de-values IPCA work.43 For example, when IPCA tasks t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clinician time but are seldom coached, assessed or given much educational weight, residents may learn to think of them as unimportant and not valuable.42 Referring to this work as Indirect Patient Care rather than ‘administrative’ work may help emphasis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se tasks, drawing attention to the resident's role in providing health care to the patient. In addition, incorporating formal ways to teach and provide feedback on systems for sustainably and effectively managing IPCA work (e.g. as an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or core competency) may also be helpful in helping learners recognis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se tasks. The groundwork has been laid here by some educational bodies, including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in New Zealand,44 Australia45 and the United Kingdom,46 each of which have explicitly stated that indirect patient care skills are a required competence for independent practice.

IPCA 작업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이러한 작업은 추가 교육 가치를 제공합니다. 의료 전문가로서의 기술 외에도, [목적적 IPCA 교육]은 효율성, 우선순위 부여, 적절한 전문적 의사소통 및 협업을 포함한 전문성, 옹호 및 리더십의 이전 가능한 기술을 강조한다. 이러한 기술은 캐나다 면허 대학인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가 제공하는 레지던트 훈련 프로필의 핵심 전문 활동의 최근 출판에서 강조된다. 이 문서에는 [IPCA 관리(EHR 관리, 받은 편지함 관리, 양식 작성 및 처방 관리 포함)]뿐만 아니라 [자가 및 지속 가능한 의료 행위 관리]를 의료의 유능한 관행에 중요한 핵심 전문 활동으로 나열합니다. 적절한 훈련과 적응적 전문지식의 렌즈를 통해 이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다양한 리소스로 다양한 임상 맥락에서 IPCA의 가중치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Beyond being able to adequately perform IPCA work, these tasks offer additional education value. In addition to skills as a medical expert, purposeful IPCA education highlights transferable skills in professionalism, advocacy and leadership including efficiency, prioritisation, appropriate 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se skills are underscored in the recent publication of core professional activities in the residency training profile provided by the 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 the Canadian licensing college.47 This document lists managing IPCAs (including maintaining the EHR, managing the inbox, completing forms and managing prescriptions) as well as managing self-care and a sustainable practice both as core professional activities critical to the competent practice of medicine. With appropriate training and a lens of adaptive expertise, the programme would be able to prepare learners to tackle the weight of IPCAs in varied clinical contexts with varied resources.48

IPCA는 종종 전공의 수련의 예기치 않은 구성 요소이다. 직원들은 종종 진료 시간 4시간 이내에 IPCA의 상당 부분을 완료하기 때문에 이 업무량은 일반적으로 의대생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전공의들이 IPCA 관리에 필요한 긴 시간, 특히 더 유연한 시간을 예상하여 가정의학을 선택한 경우에 특히 낙담하는 이유에 대한 잠재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참가자들의 목소리처럼, [IPCA의 예상치 못한, 충족되지 못한, 그리고 때로는 지속 불가능한 업무량]은 가정의학과 졸업생들이 포괄적인 가정의학을 실천하기로 선택하는 감소와 활동 수준과 환자 패널 크기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 중 하나일 수 있다. 졸업생들은 [이러한 예상치 못한 부담스러운 업무량을 보상]하기 위해 [(환자 패널이 크고 포괄적인) 가정의학 진료에서 벗어남]으로써 [지속 가능한 실천을 유지하기 위한 경계]를 설정하고 있을 수 있다.
IPCAs are often an unexpected component of residency. As staff often complete a significant portion of IPCAs outside of clinic hours4 this workload is typically unseen by medical students. This offers a potential explanation for why residents are particularly disheartened by the longer hours needed to manage IPCAs, especially if they selected family medicine in anticipation of more flexible hours.49 As voiced by our participants, the unexpected, unfulfilling, and sometimes unsustainable workload of IPCAs may be one of the many elements impacting a decline in family medicine graduates choosing to practice comprehensive family medicine and the decline of activity level and patient panel size.50, 51 Graduates may be setting boundaries to maintain a sustainable practice by moving away from comprehensive family medicine practice52 with a large patient panel to compensate for this unexpected and onerous workload.

4.1 교육자에게 미치는 영향
4.1 Implications for educators

이 연구는 가정의학 전공의들이 그들의 의료행위를 관리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 위한 [새로운 커리큘럼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전공의들의 교육적 헌신과 시간]에 대한 상충하는 요구를 염두에 두면서 이 중요한 환자 치료 부분을 통합했다. 53 여기에는 IPCA의 존재에 대한 투명성, 예상 작업량, 그리고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한 기대치와 전략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스텝이 학습자가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자체 IPCA 작업을 완료한다면, 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작업 및 역할 모델링 전략을 표준화한다.
This study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new curricula to prepare Family Medicine residents to manage their practices, integrating this vital piece of patient care while being mindful of competing demands on residents' educational commitments and time.53 This includes transparency around the existence of IPCAs, the anticipated workload, expectations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management. For example, when staff complete their own IPCA work in a way that is visible to the learner, they are normalising these tasks and role modelling different strategies to increase efficiency of this work.

연구 참가자들은 IPCA를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도입할 것을 권고했다. 예를 들어, EHR 수신함에 대한 소개는 관심 있는 문서 또는 특정 문서를 보낸 후 전공의가 수신함의 모든 구성 요소를 관리할 때까지 전공의가 직접 주문한 항목을 보낸 후 특정 범주의 조사(즉, 참조 노트, 처방, 혈액 검사 및 진단 영상)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특정 학습 목표를 허용하기 위해 [양은 줄이면서 더 집중된 교육]을 촉진할 수 있다. Inbox을 언제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가지고 있으면 전공의들 사이의 투명성과 형평성이 향상될 것이고, 프로그램이 의도된 역량을 명확히 하고 정기적인 피드백을 촉진하도록 장려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전공의들에게 명확성과 구조를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적응적이고 자기 조절적인 학습 전략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 환경을 촉진할 것이다. 전공의들이 스스로의 학습을 조절하고 적응할 수 있을 때, 그들은 의학 분야에서 평생의 경력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전공의 프로그램은 이러한 적응적이고 자기 통제적인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그러한 학습 환경을 계획해야 한다. 
Study participants recommended that IPCAs be introduced in a stepwise, gradual way. For example, introduction to the EHR inbox can begin by sending interesting or specific documents, then items the resident themselves ordered, followed by a particular category of investigations (i.e. consult notes, prescriptions, blood work and diagnostic imaging) until the resident is managing all components of the inbox. This approach may facilitate focused education with reduced quantity to allow for specific learning goals. Having a guideline as to when and how inbox should be introduced will improve the transparency and equity amongst residents, encourage the programme to articulate the intended competency and to promote regular feedback. These strategies will not only create clarity and structure for residents, they also promo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helps learners develop adap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54 When residents are able to regulate and adapt their own learning, they are bolstering their ability to sustain a life-long career in medicine. Residency programmes should intentionally and purposefully plan such learning environments to promote these adaptive, self-regulated behaviours.54

4.2 강점과 한계
4.2 Strengths and limitations

수집된 데이터는 단일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수집되었으며 다른 가정의학 프로그램이나 다른 전문 분야로 이전할 수 없습니다. 상당한 모집 노력에도 불구하고, 참여에 자원한 전공의들은 우리 레지던트 프로그램의 대규모 학술 교육 현장에서 불균형적으로 뽑혔다. 지역사회 기반 현장에서 주민을 모집하는 것이 과제였는데, 이는 다양한 현장에서 IPCA의 교육 경험의 불일치를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 참가자들이 자신의 경력 단계와 관련된 IPCA에 대해 말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수준의 전문 경험과 초점을 가진 참가자들의 통합이 강점이다.
The data collected was from a single residency programme and may not be transferable to other family medicine programmes or other specialties. Despite significant recruitment efforts, the resi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were disproportionately drawn from the large academic teaching sites in our residency programme. It was a challenge to recruit residents from the community-based sites, which may be an indication of a discrepancy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IPCAs in the various sites. The incorporation of participants with varying levels of professional experience and focus is a strength, a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way that participants spoke about IPCAs, related to their career stage.

5 결론
5 CONCLUSION

결론적으로, IPCA는 우리 의료 시스템의 필수적이고 증가하는 구성요소이다. 우리 가정의학 전공의들이 이러한 업무를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관리하도록 훈련받는 것이 필수적이다.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지 않으면 IPCA는 인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충분한 수의 일반 가정의사를 모집하고 유지하는 데 장애가 될 위험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IPCA에 대한 점진적인 도입, 교육 및 피드백, 동료 간의 형평성을 포함할 수 있는 교육 혁신이 필요합니다. 이 교육을 제공하지 못하면, 수련을 마친 전공의가 독립적인 임상 실습으로의 이행하는 것에 대한 위험, 그리고 일부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진료를 떠나서 더 세부전문과목으로 진입할 위험이 따른다. 그러나 교육 혁신은 충분하지 않다. 상응하는 보수 없이 업무량이 증가했을 때 나타나는 시스템적 영향을 인식하고, family practice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의료 시스템 변화를 옹호해야 한다.
In conclusion, IPCAs are a necessary and increasing component of our health care system. It is essential to ensure our family residents are trained to manage these tasks in an effective and sustainable manner. Without a focus on sustainability, IPCAs risk becoming a barrier to recruiting and retaining sufficient numbers of generalist family physicians to serve population needs. Achieving this will require educational innovation, which may include a gradual introduction to IPCAs, with teaching and feedback, and equity amongst peers. Failing to provide this education carries the risk of more challenging transitions to independent clinical practice for graduating residents, and for some, attrition out of comprehensive practice and into sub-specialisation. However, educational innovation is not sufficient. We need to recognise the systemic implications of an increased workload without corresponding remuneration and advocate for health system change, which increases the sustainability of family practice.

 


Med Educ. 2022 Aug 16. doi: 10.1111/medu.14921. Online ahead of print.

Optimis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ndirect patient care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2McMaster FHS program for Education Research, Innovation & Theory (MERIT),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Ontario, Canada.

PMID: 35972822

DOI: 10.1111/medu.14921

Abstract

Introduction: Indirect patient care activities (IPCA) such as documentation, reviewing investigations and filling out forms require an increasing amount of physician time. While an essential part of patient care, rising rates of IPCA work correspond with increases in physician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It is not known how best to prepare residents in IPCA-heavy specialties (e.g. family medicine) for this aspect of their care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ducators and residency programmes can optimise IPCA work during residency to best prepare residents for future practice.

Methods: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we conducted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42 clinicians (19 family medicine residents, 16 family physicians in the first 5 years of practice and 7 family physician educators). All participants were connected to one family medicine residency programme. We analysed interview data iteratively, using a staged approach to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While residents, early career physicians and educators perceived the educational value of IPCAs differently, they all reported IPCAs as a necessary weight that family physicians carry throughout their career. Some residents described IPCAs as a burden, creating inequities in workload and interfering with other learning and personal opportunities. In contrast, educators conceptualised IPCAs as an opportunity to build and develop the skills required to carry the weight of IPCAs throughout their career. We make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helping residents recognise this educational opportunity, such as clarifying expectations, navigating equity, understanding purpose and maintaining consistency when teaching IPCAs.

Conclusion: IPCAs are a key competency for many medical residents but require explicit pedagogical attention. I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not made explicit, residents may miss the opportunity to develop strategies for practice management, professional boundaries, and administrative efficiencie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