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와의 고군분투 (Med Educ, 2022)
Struggling with the logic of EPA frameworks
Matt Sibbald1 | Glenn Regehr2
[신뢰할 수 있는 전문 활동(EPA) 프레임워크의 논리]를 둘러싼 [현실에서 일어나는 투쟁]을 알고 싶다면 역량 위원회에 참여하면 그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될 것입니다. 역량 위원회(CC)는 EPA 데이터를 EPA 프레임워크의 깔끔한 행과 열로 신중하게 집계하여 진행 상황을 신중하게 정리tabulate, 요약, 판단한다. 그러나 EPA 프레임워크가 연습생 진행 상황을 불완전하게 포착할 때, CC는 종종 프레임워크 자체에 대해 논의한다. 헤누스 등은 42개 연구의 범위 검토를 수행함으로써 CC에게 EPA 프레임워크의 기본 논리에 대한 통찰력을 주었다. 그들은 로직의 세 가지 주요 흐름, 즉 서비스, 절차, 질병 또는 환자 범주를 확인했다. 그들의 작업은 이러한 EPA 프레임워크를 논의하기 위한 분류법을 제공하여 대화를 진전시키고, 그들의 강점과 격차를 식별한다. 실제로 EPA는 8개 중 1 하나 꼴로 세 가지 논리 중 어느 하나에도 맞지 않았고 위탁 등급에 쉽게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느껴졌다. 저자들은 이를 비EPA로 분류하여 모든 역량 기반 시스템을 EPA에 짜넣고 CC가 직면한 도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과제를 나타낸다.
If you are looking for practical struggles around the logic of 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y (EPA) frameworks, sit in on a competency committee, and you are bound to hear about them. Competency committees (CCs) carefully tabulate, summarise and judge progress, often by carefully aggregating EPA data into neat rows and columns of an EPA framework. But when the EPA framework incompletely captures trainee progress, CCs often debate the framework itself. Hennus and others have given CCs insight into the underlying logic behind EPA frameworks by conducting a scoping review of 42 studies.1 They identified 3 dominant lines of logic: service, procedures, and disease or patient categories. Their work moves the conversation forward by providing a taxonomy to discuss these EPA frameworks, identifying their strengths and also their gaps. In fact, one in eight EPAs did not fit into any one of the three logics and was felt not to lend itself easily to entrustment ratings. The authors labelled these as non-EPAs, signalling the challenge of squeezing all of a competency based system into EPAs and providing insight into the challenges CCs face.
예를 들면 이 문제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교육 프로그램에 속해 있지만 EPA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는 다른 단계에 있는 두 명의 수련생를 상상해 보십시오. 샤마라는 그녀의 또래들보다 거의 1년 앞서 있다. 그녀는 어텐딩에게 완료해야 하는 EPA를 강조함으로써 각 교대조 또는 입원 단위 주간을 시작하면서 EPA와 관련된 경험을 전략적으로 찾는다. 대조적으로, 루빈은 그의 동료들보다 거의 6개월 뒤쳐지고 있다. 역량 위원회는 루빈이 자신의 훈련 환경에 완전히 참여하고 있으며, 항상 환자 관리 책임을 따르고 항상 다음 필요한 작업을 자발적으로 수행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나 루빈은 샤마라와 같이 사전 예방적 접근법을 하기보다는, 사후에 EPA 관련 경험을 식별하는 데 의존한다. CC는 샤마라의 발전을 칭찬하고 동료들을 따라잡기 위한 전략을 루빈에게 제안합니다.
Perhaps an example would further illuminate this issue. Imagine two trainees—peers in the same training programme—but at different stages of completing their EPA portfolios. Shamara is nearly 1 year ahead of her peers. She strategically seeks out experiences relevant to EPAs, starting each shift or inpatient unit week by highlighting EPAs that she needs to complete to her attendings. In contrast, Rubin is lagging nearly 6 months behind his peers. The competency committee hears that Rubin is fully engaged in his training environment, always following up on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and always volunteering to do the next required task. However, he relies on identifying EPA relevant experiences after the fact, lacking Shamara's proactive approach. The competency committee commends Shamara on her progress and suggests strategies to Rubin to catch up to peers.
그러나 토론에서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루빈은 훌륭한 거주자이며, 최고 중 한 명입니다. 그는 신뢰할 수 있고 임상적으로 빈틈이 없으며, 교수진들은 그가 전체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완전히 편안함을 느낀다. 대조적으로, 샤마라는 견고한 거주자이지만, 교수진은 그녀가 환자 관리의 복잡성과 씨름하는 데 완전히 관여한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그녀는 자신을 통해 추론하거나 임상 의사 결정의 복잡성과 씨름하지 않고 교수진 관리 제안을 빠르게 수용하고 이행합니다.
Yet there is tension in the discussion—Rubin is a great resident—one of the best. He is dependable and clinically astute with faculty feeling completely comfortable letting him run the entire service independently. In contrast, Shamara is a solid resident, but faculty does not feel that she fully engages in wrestling with the complexities of patient care. She is quick to accept and implement faculty management suggestions without reasoning them through herself or grappling with the complexity of clinical decision making.
역량 위원회는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결국, EPA 프레임워크는 커리큘럼과 평가를 알려주는 훈련 프로그램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샤마라와 루빈의 이야기]는 EPA 포트폴리오 진행과 훈련생들의 직업 실습 참여 사이의 차이를 강조한다. 그것은 [의사가 되기 위해 공동체의 실천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전문직업적 실천 단위에 대한 신뢰도를 달성하는 것]의 차이를 강조한다. 전자는 이러한 경험으로부터 [의미를 구축]하고 [전문직과 정렬된 정체성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직의 사회적 역학] 내에서 [경험에 참여하는 근본적인 역할]을 인식한다. 실천 공동체 내에서, 이것은 단지 [전문적 실천의 단위]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 정체성의 획득을 가장 많이 지원하는) [전문직의 실천]에 참여하는 것이다.
The competency committee finds itself debating the logic of the EPA framework. After all, an EPA framework is meant to provide structure for a training programme, informing the curriculum and assessment. And yet the story of Shamara and Rubin highlights differences between EPA portfolio progress and the engagement of trainees with the practices of a profession. It highlights the difference between achieving entrustability on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in contrast to engaging meaningfully in the practices of the community in order to become a physician. The latter recognises the fundamental role of engagement in experiences within the social dynamic of the profession in order to build meaning from these experiences and develop an identity aligned with the profession.2 Within a community of practice, it is engaging in the practices of a profession rather than just units of professional practice that most supports the acquisition of a professional identity.
실제로, [다양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적 차이]를 식별함에 있어 헤누스 등은 서비스, 절차, 질병 및 환자 범주가 모두 [의사의 진료에 대한 공통된 관점]을 공유한다는 동일성을 식별한다. 이는 이러한 EPA 프레임워크가 생성되는 방법을 고려할 때 이해할 수 있다. Lepre 등은 EPA 프레임워크를 생성할 때 이해관계자 협의 프로세스의 동일성sameness을 확인했다. 상담 대상자는 실무자와 학자로, 서비스 사용자, 정책 입안자, 다른 직종의 실무자 및 학생 등 [다른 전문직의 관점을 가진 사람]은 5명 중 1명 미만이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워크 개발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 및 전략에는 문헌 검토, 그룹 기술 및 이해관계자 숙고가 포함되며, 포커스 그룹을 통한 작업장 과제에 대한 일차 데이터 수집, 인터뷰 및 실무 분석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 따라서 [EPA의 주요 논리]가 [서비스, 프로시져, 질병 및 환자 범주]가 정확하게 들어맞는 [거래적 일화적 보건의료 만남]의 지배적인 프레임과 함께, [의견을 제공한 이해 관계자의 지배적인 렌즈]를 나타낸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관점이 [팀 기반 돌봄, 지역사회 업무, 옹호 업무 및 제도 업무와 관련된 직장 관행]을 어떻게 강조하는지 쉽게 상상할 수 있습니다. 역량 위원회의 루빈에 대한 호의적인 인상은 이러한 non-EPA-able areas에 대한 참여engagement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In fact, in identifying the logic differences of various EPA frameworks, Hennus et al.1 also identify their sameness—that service, procedures, disease and patient categories all share a common perspective of the practice of physicians. This is understandable when considering how these EPA frameworks are generated. Lepre et al.3 identified a sameness to the stakeholder consultation processes in generating EPA frameworks. Most consulted were practitioners and academics, with less than one in five involving those with other workplace perspectives such as service users, policy makers, practitioners from another profession and students. Similarly, the predominant methods and strategies used to develop frameworks include literature review, group techniques and stakeholder deliberation, with primary data collection about workplace tasks through focus groups, interviews and practice analysis being used rarely if at all.4 It should come as no surprise, therefore, that the predominant logics represent the predominant lens of the stakeholders being consulted, with a predominant frame of transactional episodic healthcare encounters within which service, procedures, disease and patient categories squarely fit. It is also easy to imagine how this perspective would de-emphasise workplace practices involving team based care, community work, advocacy work and institutional work.5 The competency committee's favourable impression of Rubin quite likely stems from engagement in these non-EPA-able areas.
이 때 수반되는 위험은 [EPA 기회 탐색]을 과도하게 우선적으로 추구함으로써, [전문직 공동체의 일상적인 실천에 참여하는 대가로 게임화되는 것]이다. Billet은 직장 학습에서 후자의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덜 구조화된 환경에서 깊이 내재된 페다고지]를 활용하여 [트레이닝을 직무 환경에서의 어포던스로 감싼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회]는 [커리큘럼 프레임워크]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참여]를 통해 얻어진다. 위의 예에서, 루빈의 접근 방식은 견습생으로서, 직장 환경에서 요구되는 전문 그룹의 연습에 관여한다. 그의 보상은 임상팀에의 수락과 후광적인 신뢰감이다. 샤마라는 전략적이고 EPA 시스템을 훈련 기회로 활용한다. 샤마라와 같은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임상 팀의 신뢰와 수용을 얻는 시스템 작업]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참여]를 우회함에도 불구하고 empowering한다. 그러나 이는 평가자들이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고, 직장 훈련의 핵심 구성 요소를 놓치게 합니다. 즉, [직무 수행에의 참여]와 [직무 수행 단위]를 잘못 동일시하는 것입니다.
What this risks is prioritising EPA opportunity seeking so much that they become gamified at the expense of engaging in the day to day practices of a professional community.6, 7 Billet8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latter approach in workplace learning, describing the central importance of participatory practice, taking advantage of deeply embedded pedagogies in a less structured setting to fold training into the affordance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Within this lens, opportunities are earned through engagement rather than prescribed by curricular framework. In the example above, Rubin's approach is that of an apprentice, engaging in practices of the professional group as required by the workplace environment. His reward is acceptance into the clinical team and halo sense of trust. Shamara is strategic and levers the EPA system into training opportunities. This approach is empowering, even if it bypasses the type of engagement in system work that usually earns the trust and acceptance of the clinical team. However, it leaves assessors feeling as if the system is flawed, missing a core component of workplace training—mistakenly equating engagement in practices of a profession with units of practice.
따라서 우리가 다양한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와 씨름하는 동시에, [프레임워크에 스며있는 논리]와 씨름하는 것도 중요할 것입니다. 커뮤니티 또는 실습 환경 내에서 덜 구조화된 직장 학습에 대한 훈련생 참여와 EPA 논리의 이점을 균형 있게 조정하는 것은 역량 위원회가 루빈과 샤마라 같은 훈련생들의 진행 상황에 대해 심의할 때 직면하는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So even as we struggle with the logics of various EPA frameworks, it will be important to struggle, too, with the logic that pervades all these frameworks. Balancing the advantages of EPA logic with trainee engagement in less structured workplace learning within a community2 or landscape of practice9 may be required to address the tensions faced by competency committees as they deliberate about the progress of trainees like Rubin and Shamara.
Struggling with the logic of EPA frameworks
PMID: 35619052
DOI: 10.1111/medu.14846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임상교육(Clerkship & Resid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력적 수행능력의 상호의존성 측정의 접근법(Med Educ, 2021) (0) | 2022.11.17 |
---|---|
신뢰와 위험: 의학교육을 위한 모델 (Med Educ, 2017) (0) | 2022.11.06 |
EPA 프레임워크의 논리: 스코핑 리뷰 (Med Educ, 2022) (0) | 2022.11.05 |
간접 환자돌봄의 교육적 가치 최적화하기 (Med Educ, 2022) (0) | 2022.11.01 |
내과와 외과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Med Educ, 2022)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