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및 사회적 돌봄 교육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이론적 체계적 문헌고찰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A theoretical systematic review of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Amber Bennett‑Weston1 · Simon Gay1 · Elizabeth S. Anderson1

 

소개
Introduction

의학교육자들은 프로그램 전달 체계 내에서 환자의 참여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이해와 발전을 위한 여정을 계속하고 있습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이 검토에서는 "환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건강 및 사회적 돌봄에 대한 자신의 생생한 경험을 대표하는 사람들과 간병인을 설명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 용어가 [전문가와 환자 사이의 가부장적 권력 관계]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비스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와 같은 대안도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의학 교육에 환자가 포함된다는 것은 여전히 상식이지만, 초기 사고는 의료 지식 통제에 대한 가부장적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대중을 학습 자원으로 사용했습니다(Malterud 외., 2004; Spencer 외., 2011). 오늘날 환자가 커리큘럼 공동 개발, 교육, 학생 선발 및 평가에 참여하는 평등 및 형평성 의제를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이러한 입장은 크게 약화되었습니다(Spencer 외., 2011; Towle 외., 2010). 이는 [현대의 환자 중심 팀워크]와 [통합적 돌봄]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며, 환자가 자신의 건강 및 사회복지 치료 여정과 시스템 설계에 더 많이 참여하게 됩니다(보건부, 2000, 2001, 2005, 2007, 2009; 보건사회부, 2021; 캐나다 보건위원회, 2006; 의학연구소, 2000). 이러한 변화는 장애에 대한 사회적 움직임과 품질 및 안전 실패에 대한 보고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Beresford & Croft, 2016; Francis, 2013; Oliver, 2013). 
Medical educators continue on a journey to advance and understand how to frame the involvement of patients within programme delivery systems (Regan de Bere & Nunn, 2016). In this review, the term “patient(s)” will be used to describe those who represent their own lived experience of health and social care, and carers. We recognise that this term has been associated with paternalistic power 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s and patients. However, alternatives such as service user or client, are also contested. While it remains common sense that medical education involves patients, early thinking mirrored the paternalistic paradigm of medical knowledge control and resulted in using the public as a learning resource (Malterud et al., 2004; Spencer et al., 2011). Today this position has largely been eroded as we work together towards an equality and equity agenda where patients are involved in curriculum co-creation, teaching, student selection and assessment (Spencer et al., 2011; Towle et al., 2010). This reflects modern patient-centred team working and aspirations for integrated care where patients are more involved in their health and social care journey and the system design (Department of Health, 2000, 2001, 2005, 2007, 2009;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Health Council of Canada, 2006; Institute of Medicine, 2000). These changes are steeped in the social movement of disability and reports of quality and safety failings (Beresford & Croft, 2016; Francis, 2013; Oliver, 2013).

그 결과, 의학교육은 이러한 파트너십 의제가 학생 학습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빠르게 발전해 왔으며(Towle et al., 2010), 이는 GMC(General Medical Council)와 같은 전문 기관과 현대 정책(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에 의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제 참여는 [학습 자료 개발 및 스토리텔링 역할에 대한 최소한의 참여]부터 [환자와 교육자 간의 동등한 파트너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개념화되고 있습니다(Towle 외., 2010). 초기 시민 참여 운동에서 구상된 바와 같이(Arnstein, 1969), 파트너십은 참여 이니셔티브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하며, 이는 전체 커뮤니티에 혜택을 주고 환자의 진정성에 신뢰를 더하는 것입니다(Gordon et al., 2020). 
Consequently, medical education has advanced rapidly to ensure this partnership agenda informs the foundations of student learning (Towle et al., 2010), propelled by professional bodies such as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and modern policy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 Involvement is now conceptualised as a spectrum, ranging from minimal involvement in learning material development and storytelling roles to equal partnerships between patients and educators (Towle et al., 2010). As envisaged in the early citizen participation movement (Arnstein, 1969), partnership should be the ultimate goal of involvement initiatives, to benefit the entire community and add credence to patients’ authenticity (Gordon et al., 2020).

이 시점에서 여러 검토를 통해 [의학 교육에서 환자의 다양한 역할]과 [환자의 참여를 뒷받침하는 의심할 여지 없는 변혁적 효과]가 구체화되었습니다(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Spencer 외., 2011; Towle 외., 2010). 최근 검토에 따르면 의학교육 내에서 환자의 지위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Sebok-Syer 등, 2021), 대부분의 이니셔티브에서 환자가 스토리텔러로 참여하며 파트너십 관계에 대한 증거는 없습니다(Dijk 등, 2020; Gordon 등, 2020). 다른 전문 교육 분야, 특히 사회 복지, 간호 및 정신 건강 분야에서는 [파트너십 관계가 없는 스토리텔링]이 계속되고 있지만(Morgan & Jones, 2009; Robinson & Webber, 2013; Terry, 2012), 주요 교육 역할, 교육과정 설계, 학생 선발 및 평가에 환자의 참여를 탐구하는 등 스토리텔링 역할을 넘어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사례가 있습니다(Anderson et al, 2019; Downe 외., 2007; Happell & Roper, 2009; Rhodes & Nyawata, 2011; Simons 외., 2007; Unwin & Rooney, 2020). 
At this juncture, several reviews have crystallised the many roles for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and the undoubtedly transformational effects which support their involvement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Spencer et al., 2011; Towle et al., 2010). Recent reviews show that despite an increase in activity, and amidst critical discussions on the positioning of patients within medical education (Sebok-Syer et al., 2021), most initiatives involve patients as storytellers and there is no evidence of partnership relationships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While in other areas of professional education – notably social care, nursing and mental health – storytelling without partnership relationships continues (Morgan & Jones, 2009; Robinson & Webber, 2013; Terry, 2012), there are examples which extend our understanding of new possibilities beyond storytelling roles, including exploring patient involvement in leading teaching roles, curriculum design, student selection, and assessment (Anderson et al., 2019; Downe et al., 2007; Happell & Roper, 2009; Rhodes & Nyawata, 2011; Simons et al., 2007; Unwin & Rooney, 2020).

교수 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자들은 [적절한 인프라, 자원 및 교수진 지원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많은 과제]를 인식하는 것을 넘어 이러한 발전된 작업이 전문 교육에 환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개념화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이해해야 합니다(Basset et al., 2006). Regan de Bere와 Nunn(2016)은 의학교육에서 환자의 참여를 탐구하기 위한 분석적 휴리스틱으로 활동 이론(Engeström, 2001)을 제안했습니다. [활동 이론]은 심리적, 문화적 역사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간 활동을 특정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다양한 요인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개념화합니다(Engeström, 2001). 활동 이론은 프로그램 전달 체계 내에서 환자를 통합하는 복잡성을 포착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 교육에서 환자 참여의 '다양한 역할과 현실'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경험적 이해가 여전히 필요합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To enhance faculty development, educators must understand how such advancing pieces of work can help us to conceptualise the involvement of patients and carers in professional education, going beyond acknowledgement of the many challenges, both practical and systemic, for appropriate infrastructure, resources, and faculty support (Basset et al., 2006). Regan de Bere and Nunn (2016) proposed Activity Theory (Engeström, 2001) as an analytical heuristic to explore the involvement of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Activity Theory has roots in psychological and cultural-historical traditions and conceptualises human activity as a system comprising various factors that interact to achieve specific outcomes (Engeström, 2001). Activity Theory can capture the complexity of integrating patients within programme delivery systems; nevertheless, there remains a need for theoretically grounded, empirical understandings of the ‘multiple roles and realities’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Regan de Bere & Nunn, 2016).

문헌 검토는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최근의 검토에서는 의학교육에서의 환자 참여에 대한 출판된 설명과 평가에 이론적 토대가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De Groot 외., 2020; 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이론]은 여러 환경에 걸쳐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을 생성]하며, 복잡한 활동이 어떻게 그리고 왜 [작동하는지에 대한 설명][조명하고 확대]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기초가 됩니다(Bordage, 2009; Reeves & Hean, 2013; Sutton & Staw, 1995). 의학교육에 환자가 참여하는 맥락에서 이론은 두 가지 방식으로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첫째, 이론으로 뒷받침되는 교수학습은 교과과정의 가정을 밝히고 교과과정 실습을 정당화하며 향후 반복 및 테스트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Bordage, 2009; Kamel-El Sayed & Loftus, 2018),
  • 둘째, 이론은 교육 커뮤니티 내에서 환자와 협력하여 일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혀줍니다(Gordon et al., 2020; Regan de Bere & Nunn, 2016). 이론적 뿌리가 없다면 우리는 발전할 수 없을 것입니다(Gordon et al., 2020).

Literature reviews can propel our understanding and recent reviews have highlighted that published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of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lack theoretical underpinning (De Groot et al., 2020;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Theories generate knowledge that can be generalised across settings and are the foundation of conceptual frameworks which illuminate and magnify explanations for how and why complex activities work (Bordage, 2009; Reeves & Hean, 2013; Sutton & Staw, 1995). In the context of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theory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s in two ways;

  • first, theoretically underpinned teaching and learning illuminates curricular assumptions, justifies curricular practices and provides a basis for future iterations and testing (Bordage, 2009; Kamel-El Sayed & Loftus, 2018) and
  • second, theory can illuminate what it means to work in partnership with patients within the education community (Gordon et al., 2020; Regan de Bere & Nunn, 2016). Without theoretical roots we are unlikely to advance (Gordon et al., 2020).

최근의 리뷰(De Groot 외, 2020; Dijk 외, 2020; Gordon 외, 2020)는 의학교육을 넘어서지 않았으며, 다른 전문직과 전문직 간 교육(IPE)에서의 학습을 놓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문헌고찰이 이론을 검색하고 종합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지 않았으며, 각 연구에서 이론이 적용된 질을 평가하기 위한 전용 이론적 질 평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론의 효과적인 사용을 모색하는 이론적 리뷰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자를 지원하는 중요한 자원입니다(Hean 외., 2018). 이론적 품질을 평가하는 도구(Hean et al., 2016)를 사용하면 연구 전반에 걸쳐 이론이 적용되고 조정되어 더 깊은 이해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 이론적 관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 영역에서 환자 참여에 관한 문헌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Recent reviews (De Groot et al., 2020;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have not looked beyond medical education, possibly missing learning from other profession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More importantly, these reviews have not taken a systematic approach to searching for and synthesising theory, nor have they used a dedicated theoretical quality appraisal tool to assess the quality with which theory has been applied in each study. Theoretical reviews, which seek to explore the effective use of theory, address these issues and are an important resource to support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ors (Hean et al., 2018). The use of a tool to assess theoretical quality (Hean et al., 2016) ensures theory has been applied and aligned throughout a study to reveal deeper understandings. There has not yet been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patient involvement in any area of professional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despite increasing calls for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n de Bere & Nunn, 2016).

[이론적 검토]의 목적은 전문 교육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수준 높은 이론 논문이 기여한 바를 종합하여 모범 사례를 조명하는 것입니다. 환자 참여는 사회복지, 간호, 정신건강과 같은 분야에서 잘 확립되어 있으므로(Spencer et al., 2011),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의 모든 영역의 연구를 포함합니다. 이 분야에서 수행된 이론 검토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The purpose of this theoretical review is to synthesise the contribution that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have made to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to illuminate best practice. As patient involvement is well-established in disciplines like social care, nursing, and mental health (Spencer et al., 2011), we include studies from all areas of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This is the first review of theory to be conducted in this field.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We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 전문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에서 이론은 어떻게 구성되고 환자의 교육 및 학습 참여에 적용됩니까?
  • 환자를 교육 커뮤니티에 통합하고 교수진에 참여시키는 데 이론이 어떻게 구성되고 적용됩니까?
  • How is theory framed and applied to patient invol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in professional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 How is theory framed and applied to the integration of patients into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faculty?

 

방법
Method

디자인
Design

본 연구의 주제는 이 분야에서 잘 정립된 문헌이 있다는 사실에 따라 일반적으로 새로운 증거를 탐색하는 데 사용되는 범위 검토를 넘어 체계적 검토가 필요했습니다(Munn et al., 2018). 우리는 유럽 의학교육협회(AMEE; Sharma et al., 2015)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했습니다. 문헌고찰의 보고는 STORIES(STructured apprOach to the Reporting In healthcare education of Evidence Synthesis) 성명서(Gordon & Gibbs, 2014)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이 문헌고찰은 PROSPERO(CRD42021230682)에 등록되었습니다. 
Following the fact that there is a well-established body of literature in this field, the subject of this study goes beyond a scoping review, which is typically used to explore emerging evidence (Munn et al., 2018), and requires a systematic review.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s for Medical Education in Europe (AMEE; Sharma et al., 2015). The reporting of the review is guided by the STORIES (STructured apprOach to the Reporting In healthcare education of Evidence Synthesis) statement (Gordon & Gibbs, 2014). The review was registered in PROSPERO (CRD42021230682).

검색 전략
Search strategy

2000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에 영어로 발표된 논문을 전자 데이터베이스 MEDLINE, CINAHL 및 PsychINFO에서 검색했습니다. 이 기간은 보건 및 사회 복지 분야에서 파트너십 의제가 도입된 '새로운 NHS'(영국 보건부, 2000)와 관련이 있습니다. 검색어는 이론을 체계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권고사항에 따라 Booth와 Carroll(2015)의 BeHEMoTh 프레임워크(행동, 건강 상태 또는 맥락, 모델 또는 이론, 온라인 부록 1)와 이전의 체계적 문헌고찰(Dijk 외., 2020; Gordon 외., 2020)을 적용하여 선정했습니다. 검색할 수 없는 논문의 저자는 연락을 취했으며, 응답하지 않은 논문은 제외했습니다. 추가 논문을 찾기 위해 관련 논문의 참고문헌 목록을 검색하는 수작업 검색과 조상 검색(Haig & Dozier, 2003)을 수행했습니다. 
We searched the electronic databases MEDLINE, CINAHL and PsychINFO for papers in English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20. This timeframe correlates with the introduction of a partnership agenda in health and social care with the ‘New NHS’ (Department of Health, 2000). Search terms were guided by recommendations for systematic searching for theory, adapting Booth and Carroll’s (2015) BeHEMoTh framework (Behaviour; Health condition or context; Models or Theories; Online Appendix 1) and previous systematic reviews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Authors of unavailable papers were contacted; those that did not respond were excluded. Hand searching and ancestry searching, which involves searching the reference lists of relevant papers (Haig & Dozier, 2003), were conducted to identify further papers.

적격성 기준
Eligibility criteria

우리의 기준은 이론이 명시적으로 참조되고 적용된 전문 교육에 환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을 찾았습니다(표 1). Gordon 등(2020)의 기준에 따라 환자 참여에 대해 피상적인 수준 이상으로 논의하고, 환자 참여에 대한 단일 진술 이상의 세부 사항을 제공하는 연구만 포함했습니다. 이는 환자 참여에 대한 모범 사례를 파악하려는 우리의 목표를 고려할 때 매우 중요했습니다. 참여는 환자-학생의 우연한 만남을 넘어 계획된 교육 참여까지를 적극적인 참여로 간주하는 Towle 외(2010)의 참여 스펙트럼을 따랐습니다. 환자가 자신이 아닌 타인으로 행동한 논문은 제외했습니다. '이론'에 대한 우리의 정의는 Hean 등(2016)과 일치하며, 방법과 이유보다는 무엇을 수행했는지를 기술하는 비개념적 프레임워크와 모델을 제외했습니다. 논의 끝에 참여 행동 연구(PAR)를 사용한 논문을 포함시킨 이유는 PAR이 행동 이론을 생성하고 검증한다는 증거가 있기 때문입니다(Greenwood, 1994). PAR을 적용한 논문은 그 이론적 토대를 명시적으로 설명해야만 등재 자격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Our criteria sought papers showing an active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where theory was explicitly referenced and applied (Table 1). In alignment with Gordon et al. (2020), we only included studies that discussed patient involvement in more than a cursory fashion, providing detail beyond a single statement about patient involvement. This was important given our aim to identify best practices for patient involvement. Involvement followed Towle et al. (2010) Spectrum of Involvement which considers active involvement as beyond incidental patient-student encounters to planned participation in teaching. We excluded papers where patients were acting as others and not themselves. Our definition of ‘theory’ aligns with Hean et al. (2016): excluding non-conceptual frameworks and models which state what was done rather than how and why. After discussion we included papers using participatory-action-research (PAR), because of evidence that PAR generates and tests action theories (Greenwood, 1994). To be eligible for inclusion, papers applying PAR had to explicitly articulate its theoretical foundations.

초기 선택
Initial selection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결과를 검색한 후, 웹 기반 참고 문헌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인 RefWorks를 사용하여 중복을 제거했습니다. 중복이 제거된 후, 세 명의 리뷰어(ABW, SG, EA)가 인용된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모두 심사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잠재적으로 적격할 수 있는 모든 연구를 포착하기 위해 전문 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에 이론을 적용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논문과 교육 참여만을 언급한 논문을 모두 유지했습니다. 두 번째 심사 단계에서는 수작업 및 조상 검색을 통해 검색된 논문과 함께 적격성 기준에 따라 보존된 모든 연구의 전체 텍스트를 확인했습니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팀원들과 함께 샘플 논문(n=10)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적격성 기준을 충족하는 논문은 최종 선정 단계로 넘어가 이론적 품질에 대한 추가 평가를 거쳤습니다. 
After retrieving the search results from the different databases, duplicates were removed using RefWorks, a web-based bibliography and database manager. Once duplicates were removed, the titles and abstracts of the resulting citations were screened by all three reviewers (ABW, SG, EA). At this stage, we retained all articles that explicitly referenced the application of theory to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ose that referenced involvement in education alone, to ensure capture of all potentially eligible studies. The second stage of screening involved checking the full texts of all retained studies against the eligibility criteria, along with papers retrieved through hand and ancestry searching. To ensure reliability we discussed a sample of papers (n = 10) as a team. Those papers that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were taken forward for the final stage of selection and for further assessment of theoretical quality.

이론적 품질 평가
Assessment of theoretical quality

기존의 근거 기반 검토에서 방법론적 질 평가는 좋은 근거를 구성하기에 충분히 엄격한 연구를 선별하는 핵심 과정입니다(Hean et al., 2016, 2018). 검토의 초점이 이론인 경우, 이론이 적용된 품질을 평가하도록 재구성해야 하며, 가장 우수한 품질의 이론을 적용한 논문만 이론적 검토에 포함시켜야 합니다(Hean et al., 2016). 우리는 이론이 IPE에 기여하는 바에 대한 의학교육의 최고 근거(BEME) 검토에 적용하기 위해 Hean 등(2016)이 처음에 개발한 이론적 질 도구(온라인 부록 2)를 채택했습니다(Hean 등, 2018). 이 도구는 이론과 연구 간의 연계성에 대한 Fawcett과 Downs(1992)의 연구를 기반으로 이론적 품질의 5가지 차원을 평가합니다:

  • 실용적 적절성, 이론이 실무에 대한 명확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가,
  • 추론검증 가능성, 이론이 명확하게 기술되고 그 이론에서 도출된 명제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는가,
  • 운영경험적 적절성, 이론과 사용된 연구 방법 및 수집된 경험적 데이터 간에 명확한 연계성이 있는지를 고려합니다(Hean et al., 2016).

In a conventional review of the evidence-base, the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quality is a core process in selecting sufficiently rigorous studies to constitute good evidence (Hean et al., 2016, 2018). Where the review focus is theory, this should be reframed to assess the quality with which theory has been applied; only papers that have applied theory with the greatest quality, should be included in a theoretical review (Hean et al., 2016). We adapted a Theoretical Quality Tool (Online Appendix 2), initially developed by Hean et al. (2016) for application within a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BEME) review of the contributions of theory to IPE (Hean et al., 2018). The tool assesses five dimensions of theoretical quality based upon Fawcett and Downs’ (1992) work on the link between theory and research:

  • pragmatic adequacy, does the theory have clear utility for practice;
  • parsimony and testability, is the theory clearly described and propositions derived from that theory clearly presented; and
  • operational and empirical adequacy, considering whether there are clear links between the theory, the research methods used, and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Hean et al., 2016).

이 도구의 최대 점수는 9점이며, 실용적 적절성을 평가하는 3개 항목, 추론 및 검증 가능성을 평가하는 3개 항목, 경험적 논문의 경우에만 운영 및 경험적 적절성을 평가하는 3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최종 표본에 포함되려면 논문이 실용적 적절성과 적용하고자 하는 이론의 명확한 표현(추론 및 실험 가능성)을 입증해야 했으며, 세 명의 저자(ABW, SG, EA) 각각으로부터 이론적 품질 도구(Hean et al., 2018)에서 최소 6/9점을 받아야 했습니다. 정교한 이론적 논의를 포함하지만 실제 교과 과정이나 환자 참여에 대한 적용이 부족한 논문은 '열망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제외했습니다. 모든 저자(ABW, SG, EA)는 처음에는 수준 높은 이론에 대한 공유된 이해에 도달할 때까지 5편의 논문에 대해 함께 작업한 후, 나머지 나머지 논문에 독립적으로 도구를 적용했습니다. 팀원들은 정기적으로 만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교환했습니다. 대부분의 논문에서 포함/제외에 대한 모든 저자(ABW, SG, EA) 간의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일부 논문의 경우, 논의를 통해 포함/제외에 관한 명확성을 추구했습니다.
The tool has a maximum score of 9, with three items assessing pragmatic adequacy, three items assessing parsimony and testability, and for empirical papers only, three items assessing operational and empirical adequacy. To be eligible for inclusion in the final sample, papers had to demonstrate pragmatic adequacy and clear articulation of the theory they claimed to deploy (parsimony and testability), receiving a minimum score of 6/9 points on the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8) from each of the three authors (ABW, SG, EA). Papers that included sophisticated theoretical discussions but lacked application to actual curricular practices or patient involvement, were considered ‘aspirational’ and were excluded. All authors (ABW, SG, EA) initially worked together on five papers until a shared understanding of high-quality theory had been reached, before independently applying the tool to each of the remaining retained papers. We met regularly as a team to share and exchange our progress. Complete agreement between all authors (ABW, SG, EA) on inclusion/exclusion was achieved for the majority of papers. For a small subset of papers, we sought clarification regarding inclusion/exclusion through discussion.

데이터 추출
Data extraction

보고된 환자 참여 및/또는 교육 개입의 성격과 이론의 적용을 상호 참조하기 위해 Microsoft Word®(2018)로 데이터 추출 템플릿을 만들었습니다. 이 템플릿은 각 검토자가 하나의 논문에 시범적으로 사용했으며, 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팀으로 논의했습니다. 
A data extraction template was constructed in Microsoft Word® (2018) to cross-reference the nature of the patient involvement and/or educational intervention repor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ory. This was piloted on one paper by each reviewer and discussed as a team to ensure completeness.

처음에는 잘 정립된 '참여의 스펙트럼'(Towle et al., 2010)을 사용하여 포함된 각 논문에서 보고된 참여의 '수준'을 파악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Gordon 등(2020)과 마찬가지로, 보고된 참여 이니셔티브 중 어느 것도 하나의 특정 수준에 깔끔하게 또는 대략적으로 들어맞는 것이 없다는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똑같이 잘 정립된 '참여의 사다리'(Tew et al., 2004)로 눈을 돌렸을 때도 동일한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각 논문을 하나의 규범적 수준에 명확하게 맞출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도구의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지만, 교육자들이 참여 이니셔티브를 계획하거나 보고할 때 이러한 도구를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Initially, we had intended to capture the ‘level’ of involvement reported in each included paper, using the well-established ‘Spectrum of Involvement’ (Towle et al., 2010). However, similar to Gordon et al. (2020) we encountered difficulties; none of the involvement initiatives reported fitted neatly, or even roughly, into one specific level. The same problem presented itself upon turning to the equally well-established ‘Ladder of Involvement’ (Tew et al., 2004). As such, we were unable to definitively align each paper to one prescriptive level. These challenges may indicate issues with the utility and applicability of such tools in ‘real-life’ educational practice, though it is also possible that educators are simply not taking these tools into account when planning or reporting their involvement initiatives.

데이터 종합
Data synthesis

포함된 연구의 최종 샘플에 대해 내러티브 종합을 수행했습니다(Popay 외., 2006). 활동 이론(Engeström, 2001)을 분석 프레임워크로 적용하여 보건 전문직 학생에게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고려해야 하는 교육 학교 내의 [다면적인 구성 요소]를 고려했습니다,

  • 학습을 위한 주체,
  • 개업의 등록을 위한 커리큘럼 요건을 충족하는 보다 광범위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객체.

전문직 교육에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시스템(그림 1)에서, 환자의 참여로 인해 주체와 객체가 강화됩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최종 샘플을 분석하여 다음에 대해 이러한 수준 높은 이론 논문이 활동 이론의 구성 요소에 이론적으로 기여한 바를 고려했습니다.

  • 매개물과 도구(모든 지원 프로세스),
  • 규칙(규제 기관의 정책, 표준윤리 강령),
  • 교육 공동체(고용된 구성원 및 주변 구성원, 그들의 공유 비전 감각),
  • 분업(교육이 관리되고 조율되는 방식)

We conducted a narrative synthesis on the final sample of included studies (Popay et al., 2006). Activity Theory (Engeström, 2001) was appli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consider the multifaceted components within training schools that must come together to deliver teaching to health professions students,

  • the Subject, for learning,
  • the Object, to achieve the broader Outcome of meeting curriculum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as a practitioner. 

In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Fig. 1), the Subject and Object are enhanced because of the involvement of patients (Regan de Bere & Nunn, 2016). The final sample was analysed to consider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made by these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to the components of Activity Theory, namely:

  • the mediating Artefacts and Tools (all the support processes),
  • the Rules (regulator policies, standards, and ethical codes),
  • the education Community (employed and peripheral members, and their sense of shared vision) and 
  • Division of Labour (how teaching is managed and orchestrated).

활동 이론은 고등교육기관(HEI)의 복잡한 시스템의 풍부하고 다면적인 특성을 반영하며, 전문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격차를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프레임워크입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Activity Theory reflects the richness and multifaceted nature of the complex system of an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EI) and is a suitable framework against which we can begin to see the gaps in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Regan de Bere & Nunn, 2016).

결과
Results

최종 검색 결과 총 4848건의 인용이 이루어졌습니다. 중복을 제거한 결과 3655개의 논문이 제목 및 초록 심사에 사용 가능했습니다. 229편의 논문을 보유하여 적격성 기준에 따라 전체 내용을 확인한 후, 수작업 및 조상 검색을 통해 추가로 2편의 논문을 검색했습니다. 55개의 논문이 적격성 기준을 충족하여 3명의 저자 모두의 이론적 품질 평가를 위해 앞으로 나아갔습니다. 이론적 정교함이 입증된 논문만 포함되었습니다. 이 단계에서 모든 저자(ABW, SG, EA)의 포함/제외에 대한 동의도는 약 91%였습니다. 이론적 수준을 평가한 나머지 9%의 논문에 대한 검토자 간 판단의 상충은 토론을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그 결과 이론적 근거를 갖춘 고품질의 최종 샘플 논문 7편이 남았으며, 이 논문들은 모두 이론적 품질 도구에서 최고 점수인 9/9점을 받았습니다(Hean et al., 2016). 그림 2는 최종 샘플에 도달한 방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The final searches produced a total of 4848 citations. After removing duplicates, the resulting 3655 citations were available for title and abstract screening. 229 papers were retained and checked, in full, against the eligibility criteria, followed by an additional 2 papers retrieved through hand and ancestry searching. 55 papers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and were taken forward for the assessment of theoretical quality by all three authors. Only papers demonstrating theoretical sophistication were included. The degree of agreement on inclusion/exclusion between all authors (ABW, SG, EA) at this stage was approximately 91%. Conflicts between reviewers’ judgments on the remaining 9% of the papers assessed for theoretical quality were resolved through discussion. This left a final sample of 7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papers, all of which scored the maximum 9/9 points on the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6). Figure 2 provides an overview of how the final sample was reached.

 

포함된 연구 개요
Overview of included studies

최종 7편의 수준 높은 이론 논문은 2006년부터 2020년 사이에 발표되었으며, 대부분(n=5) 최근 2년 이내에 발표되었고 유럽과 캐나다에서 발표되었습니다(표 2). 4편의 논문은 단일 전문직 학생 그룹에 초점을 맞췄는데, 2편은 의학(Kline 외, 2020) 및 약학(Hache 외, 2020) 학부생이었고 2편은 의학(Jha 외, 2015) 및 정신의학(Agrawal 외, 2020) 대학원생이었습니다. 2편의 연구는 의학, 언어치료, 조산, 간호, 물리치료, 작업치료, 사회사업 등 다학제간 연구였습니다(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한 논문은 의학 및 보건 과학 학부 전반에 걸쳐 관련된 환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Read et al., 2020). 한 편의 논문(Hache 외, 2020)을 제외한 모든 논문은 교육이 필수인지(Agrawal 외, 2020; Anderson 외, 2019; Jha 외, 2015), 선택인지(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외, 2020)를 명시했습니다. 환자 참여는 강의실에서 이루어졌고(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2편은 지역사회 환경에서 이루어졌습니다(Agrawal et al., 2020; Kline et al., 2020). 4편의 논문은 질적 방법론을 채택했고(Agrawal 외., 2020; Anderson 외.,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외., 2020), 2편의 논문은 혼합 방법 접근법을, 1편의 논문은 무작위 대조 시험(RCT; Jha 외., 2015)을 보고했습니다. 참여 수준을 명확히 규정할 수는 없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환자의 비용 부담, 교육, 지원, 커리큘럼 제공을 넘어선 참여를 고려하여 이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he final 7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were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20, most (n = 5) within the last two years and were from Europe and Canada (Table 2). Four papers focused on uni-professional student groups: two were undergraduate in medicine (Kline et al., 2020) and pharmacy (Hache et al., 2020), and two were postgraduate in medicine (Jha et al., 2015) and psychiatry (Agrawal et al., 2020). Two studies were interprofessional including medicine, speech and language therapy, midwifery, nursing, physio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social work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One paper focused on patients involved across a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Read et al., 2020). All but one paper (Hache et al., 2020) stated whether the teaching was mandatory (Agrawal et al., 2020; Anderson et al., 2019; Jha et al., 2015) or elective (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et al., 2020). Patient involvement occurred in the classroom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with two in community settings (Agrawal et al., 2020; Kline et al., 2020). Four papers adopted a qualitative methodology (Agrawal et al., 2020;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Kline et al., 2020), two papers a mixed-methods approach (Hache et al., 2020; Read et al., 2020), and one reported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RCT; Jha et al., 2015). Although we were unable to definitively assign a level of involvement, most studies demonstrated concerted efforts to work towards this through consideration of patient payment, training, support, and involvement beyond curriculum delivery.

 

연구 질문에 따라 7편의 논문은 이론 적용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되었습니다.

  • 4개의 논문은 환자 참여가 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을 사용했고(Agrawal 외, 2020; Hache 외, 2020; Jha 외, 2015; Kline 외, 2020),
  • 3개의 논문은 교육 커뮤니티 내 환자 조율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을 적용했습니다(Anderson 외,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외, 2020).

아래에 제시된 종합은 이러한 논문에서 사용된 이론이 전문교육에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체계의 다양한 측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합니다. 
In alignment with our research questions, the 7 papers fell into two broad categories based on their application of theory. Four papers used theory to explain the mechanism through which patient involvement enhances students’ learning (Agrawal et al., 2020;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Kline et al., 2020), while three papers applied theory to explain patient alignment within an educational community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The synthesis presented below explains how the theories used in these papers contribute to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이론이 기여하는 활동 체계의 구성 요소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where theory contributes

7편의 수준 높은 이론적 논문은 전문 교육에 대한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체계의 구성 요소에 맞춰 정리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수준 높은 이론이 적용된 활동 체계의 측면과 더 많은 이론적 고려가 필요한 측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표 3).

  • [교수학습 과정]에 초점을 맞춘 4편의 논문은 [주체-객체 경로]를 조명하고(Agrawal 외, 2020; Hache 외, 2020; Jha 외, 2015; Kline 외, 2020),
  • [환자를 교육 커뮤니티에 통합]하는 것을 탐구한 3편의 논문은 [규칙, 인공물 및 도구, 커뮤니티 및 분업의 삼각형] 내에서 복잡성 문제를 강조합니다(Anderson 외,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외, 2020).

The seven high-quality, theoretical papers were aligned to the components involved in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We can begin to see the aspects of the system to which high-quality theory has been applied, and those which require greater theoretical consideration (Table 3).

  • The four papers that focus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lluminate the Subject-Object pathway (Agrawal et al., 2020;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Kline et al., 2020), and
  • the three papers that explore the integration of patients into the educational community highlight the complexity issues within the triangle of Rules, Artefacts and Tool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ur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주체-객체 경로
Subject-object pathway

Agrawal 등(2020)은 4년차 정신과 레지던트를 위한 공동 제작 교육학에 대한 분석을 한계성의 이론적 렌즈를 통해 해석했습니다(Turner, 1980). 저자들은 환자의 참여가 정신질환 회복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임상적 접근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설명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고 상호 강화하는 다섯 가지 제한성 개념(공간과 공간 사이, 신참과 장년, 천골의 소통, 제한성 반사성, 삶의 규범적 질서, 변형)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개념은 [전통적인 임상 학습 환경 밖에서 환자를 정신과 레지던트의 '조언자'로 참여]시키면 정신과 의사와 환자 사이에 내재된 지배적 권력 관계가 어떻게 파괴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지식 공유와 성찰의 과정이 시작되고 궁극적으로 혁신적인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한계성 이론]은 레지던트의 학습을 위한 '조언자'로 환자를 위치시킴으로써 정신과 수련에 내재된 암묵적 위계질서에 도전하는 것의 가치를 강조하고 설명합니다.
Agrawal et al. (2020) interpreted their analysis of a co-produced pedagogy for fourth year psychiatric residents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liminality (Turner, 1980). The authors offered the five intersecting and mutually reinforcing concepts of liminality (the betwixt and between space, neophyte and elder, communication of sacraliminal reflexivitynormative order of life, and transformation) to explain how patient involvement transformed learners’ understandings of, and clinical approaches to, mental illness recovery. These concepts show how engaging patients as ‘advisors’ to psychiatric residents outside of traditional clinical learning settings can disrupt the embedded, dominant power relations between psychiatrist-to-be and patients. This sets in motion a process of knowledge sharing and reflection and ultimately brings about transformative learning. The theory of liminality emphasises and explains the value of challenging the implicit hierarchies embedded in psychiatric training by positioning patients as ‘advisors’ for residents’ learning.

Hache 등(2020)은 환자 파트너가 학부 약대생의 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적 표상 이론](Moscovici, 1981)을 적용했습니다. [환자 촉진 토론]은 필수 학습 포인트를 제공하여 [교육 후와 교육 전]에 [지식에 대한 다른 표상]을 제공했습니다. 저자들은 환자의 가르침을 받은 후 학생들의 사회적 표현이 변화했음을 보여줌으로써 환자가 학생들의 학습 성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Hache et al. (2020) applied 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Moscovici, 1981) to illustrate how patient partners can enhance undergraduate pharmacy students’ learning. Patient facilitated discussions provided essential learning points resulting in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knowing post-course to pre-course. By showing that students’ social representations changed after being taught by patients, the authors demonstrate the profound impact that patients can have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쿠마가이의 [공감과 도덕성 발달에 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쿠마가이, 2008)를 사용하여 Jha 등(2015)은 의료사고에 대한 환자들의 이야기가 파운데이션 1학년 의료 수련의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학습을 향상시키는 데 어떻게 작용했는지 설명합니다. 영국에서 파운데이션 1학년은 학부 의학 학위를 마친 후 GMC에 등록하고 의사로 일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정으로, 병원 또는 지역사회 내 여러 전문과목에서 일련의 순환 근무를 통해 수련을 받게 됩니다. 저자는 쿠마가이의 프레임워크를 채택하여 환자의 내러티브를 의도적으로 배치했습니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교육생들 사이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의미 전달'이 이루어졌으며, 저자들은 학습자들이 환자 안전 개선에 있어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의료 오류 감소를 위한 환자 참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문 교사와 환자 교사 모두 동일한 결과를 얻었지만, 저자들은 쿠마가이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환자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학습자가 의학의 의미와 의료 오류에 대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관점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Using Kumagai’s conceptual framework of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Kumagai, 2008) Jha et al. (2015) explain how patients’ stories of medical error worked to enhance Foundation Year 1 medical trainees’ learning on patient safety. In the UK, Foundation Year 1 is mandatory upon completion of an undergraduate medical degree to register with the GMC and practise as a doctor; this involves training in a series of rotations in different specialities within hospitals or the community. Adopting Kumagai’s framework, the authors deliberately deployed patients’ narratives. These narratives ‘communicated meaning’ by evok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among the trainees, which the authors attribute to learners’ advanced understandings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reas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patient involvement in reducing medical error. Both professional and patient teachers achieved the same outcomes but, the authors’ use of Kumagai’s conceptual framework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patients’ narratives and explains how they act to enhance learners’ depth of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medicine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medical error; ultimately allowing better identification with the patient’s perspective.

환자 참여가 학습자에게 미치는 [지속적인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단 한 건뿐입니다. Kline 등(2020)은 전문가 간 '건강 멘토 프로그램'에 대한 후배 의사들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로 Marcia(1966)의 [정체성 지위 패러다임]을 사용했습니다. 저자들은 환자 '멘토'의 사전 교육이 학습자의 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연구 결과, 레지던트들은 환자 파트너십, 전문가 간 협업 및 전체론적 치료에 대한 헌신을 드러냈습니다. 이는 멘토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촉발된 직업적 가치와 행동에 대한 탐구와 프로그램 기간 동안의 환자-학생 간 종단적 관계 발전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정체성 상태 패러다임을 통해 클라인 외(2020)는 진정성 있고 자율적인 환자의 목소리에 조기에 노출되는 것의 가치를 강조하고 이것이 어떻게 환자 중심의 장기적인 전문직 정체성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지를 조명합니다.
Only one study investigated the enduring impacts of patient involvement on learners. Kline et al. (2020) used Marcia’s (1966) identity status paradigm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junior doctors’ experiences of an interprofessional ‘Health Mentor Programme’. The authors were interested in the long-term implications for learners’ professional identity of prior teaching from patient ‘mentors’. Findings revealed residents’ commitments to patient partnership,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holistic care. These were rooted in the exploration of professional values and behaviours prompted by mentors’ storytelling and the development of longitudinal patient-student relationships during the programme. Through the identity status paradigm, Kline et al. (2020) reinforce the value of early exposure to the authentic and autonomous patient voice and illuminate how this can foster the development of long-standing patient-centred professional identities.

규칙, 인공물 및 도구, 커뮤니티, 분업의 삼각관계
The triangle of rules, artefacts and tool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ur

Anderson 등(2019)은 환자가 기존 전문가 간 워크숍에서 주도적인 교육 역할로 발전할 때 환자, 간병인, 교육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Engeström(2001)의 [활동 이론]의 렌즈를 통해 탐구했습니다. 모든 이해관계자들은 환자의 '공동 튜터'라는 새로운 역할을 지지했지만 환자가 교육을 주도할 때 [신뢰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확인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었습니다.

  • 교육 활동에 대한 역량과 자신감을 키우기 위한 환자 교육,
  • 권위 있는 위치로 환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학생 준비,
  • 환자 보상 시스템 구현,
  • 코튜터 교육에 대한 교수진의 지원 구현

'멘토'의 역할은 신규 환자 및 코튜터로 진급하고자 하는 환자를 지원하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앤더슨 외(2019)는 활동 이론을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스토리텔링 역할을 넘어 환자를 움직이는 것의 복잡성, 즉 IPE의 어려움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진 복잡성을 조명했습니다.
Anderson et al. (2019) explored what it means for patients, carers and educators when patients progress into leading teaching roles in an established interprofessional workshop, through the lens of Engeström’s (2001) Activity Theory. All stakeholders supported a new role of patient ‘Co-tutor’ but identified factors necessary to build trust when patients lead teaching. These included

  • patient training to develop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educational activities,
  • student preparation to accept patients in authoritative positions,
  • implementation of a patient remuneration system and
  • faculty support for Co-tutors in teaching.

A ‘Mentor’ role was highlighted as important to support new patients and those wishing to progress to Co-tutor. Through Activity Theory, Anderson et al. (2019) illuminated the complexity of moving patients beyond storytelling roles in ways that respects the needs of all stakeholders—a complexity compounded by the challenges of IPE.

이와 유사하게 Cooper와 Spencer-Dawe(2006)는 훈련된 환자를 공동 촉진자로 참여시킨 전문가 간 워크숍에 따른 이해관계자 데이터 분석에 복잡성 이론(Tosey, 2002)을 사용했는데, 이 역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이들은 [연결성, 자기 조직화, 출현]의 과정을 통해 [결과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설명]하며, 환자 참여는 환자 중심 치료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이론과 실무의 격차를 해소했습니다. 환자와 교육자 역시 IPE의 비-선형성을 성찰함으로써 혜택을 받았습니다. 전문가 간 팀으로 일하면서 모두의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IPE의 예측 불가능성을 강조했습니다. 교육자들은 교육 및 환자 모집 사양에서 환자와의 파트너십에 대한 교육을 요청했습니다. 환자들은 역할이 명확하지 않다고 느꼈으며 IPE 목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학생들은 환자의 대표성 및 교육의 질에 대해 우려하여 교육자와 환자의 우려를 강화했습니다. Anderson 등(2019)의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Cooper와 Spencer-Dawe(2006)는 복잡성 이론을 사용하여 환자를 교사로 참여시키는 것은 유익하지만, 특히 IPE에서 환자를 교사로 참여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점을 조명합니다.
Similarly, Cooper and Spencer-Dawe (2006) used Complexity Theory (Tosey, 2002) in their analysis of stakeholder data following an interprofessional workshop—also theoretically underpinned—involving trained patients as co-facilitators. They explain how outcomes developed through a process of connectivity, self-organisation, and emergence; patient involvement advanced students’ understandings of patient-centred care, bridging the theory–practice gap. Patients and educators also benefitted, reflecting the a-linearity of IPE. Working as an interprofessional team raised concerns for all, highlighting IPE’s unpredictability. Educators requested training on partnering with patients in education and patient recruitment specifications. Patients felt a lack of role clarity and required training on IPE objectives. Students worried about patients’ representativeness and teaching quality, reinforcing educators’ and patients’ concerns. Mirroring Anderson et al. (2019) findings, Cooper and Spencer-Dawe’s (2006) use of Complexity Theory illuminates that while beneficial, involving patients as teachers, particularly in IPE, is challenging.

Read 등(2020)은 의학 및 보건과학 학부 전반의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환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제공 및 평가를 안내하기 위해 PAR을 사용했습니다. PAR 프로세스는 학교별 프로그램에서 충족되지 않은 수많은 환자 교육 요구 사항을 강조했으며, 이는 이후 교수진 전체 교육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져 더 넓은 대학 내 역할에 대한 환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채용 및 참여 확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환자들은 교육을 가치의 표현으로 여겼습니다. 교육 준비와 전달은 교육자들에게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었습니다. 궁극적으로 Read 등(2020)은 PAR을 통해 환자 참여의 가치를 지지하고 확인하며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교수진 간 교육에서 환자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대학 자원과 교육자의 시간과 지원을 투자하는 데 달려 있습니다.
Read et al. (2020) employed PAR to guide the development, delivery, and evaluation of a training programme for patients involved in educational activities across a faculty of medicine and health sciences. The PAR process highlighted numerous patient training needs unmet by school-specific programmes; these were addressed in the ensuing faculty-wide training programme which enhanced patients’ understandings of roles within the wider University, having implications for expanding recruitment and involvement. Patients viewed the training as an expression of value. Preparing and delivering training was labour intensive and time-consuming for educators. Ultimately, through PAR, Read et al. (2020)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working with patients on cross-faculty training to support and affirm the value of their involvement and ensure continuity. This is contingent on the investment of university resources and educators’ time and support.

토론
Discussion

의학교육에서의 환자 참여에 대한 최근의 검토는 근거 기반이 유망하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 주지만, 이 분야가 대부분 이론적임을 강조합니다(De Groot 외., 2020; 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이 검토는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환자 참여에 적용되는 이론을 체계적으로 검색하고 이론적으로 종합하여 이론이 모범 사례를 안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이론적 근거를 갖춘 수준 높은 논문 7편이 확인되었습니다. 포함된 논문은 학부부터 대학원 교육, 단일 전문가부터 전문가 간 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학부 교육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는 아마도 수련 초기에 가치관과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GMC, 2015; Gordon et al., 2020). 흥미롭게도 환자 참여가 더 오래 지속되어 온 사회복지와 간호 분야는 수준 높은 이론적 기여를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포함된 논문의 대부분은 지난 2년 이내에 출판되었으며, 이는 환자가 학생의 학습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유에 대한 이론화된 질문을 향한 보여주기식 논문에서 벗어나려는 긍정적인 움직임을 반영합니다(Reeves & Hean, 2013). 참여의 종단적 효과를 탐구한 논문은 단 한 편(Kline 외, 2020)에 불과하여, 이러한 연구 격차를 강조하는 이전 리뷰(Dijk 외, 2020; Gordon 외, 2020; Spencer 외, 2011)를 뒷받침합니다. 
Recent reviews on patient involvement in medical education show promising growth in the evidence-base but emphasise that the field is largely atheoretical (De Groot et al., 2020;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This review set out to systematically search for and theoretically synthesise the theories applied to patient involvement in all areas of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to identify how theory is helping to guide best practice. Seven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papers were identified. The included papers span undergraduate-to-postgraduate education and uni-professional to interprofessional teaching. Most studies were of undergraduate education, perhaps symptomatic of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haping values and attitudes early in training (GMC, 2015; Gordon et al., 2020). Interestingly, the professions where patient involvement has been longer standing, social work and nursing, did not offer high-quality theoretical contributions. The majority of included papers were published within the last two years, reflecting a positive movement away from show and tell papers towards theorised questioning about how and why patients positively enhance student learning (Reeves & Hean, 2013). Only one paper (Kline et al., 2020) explor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volvement, supporting previous reviews highlighting this research gap (Dijk et al., 2020; Gordon et al., 2020; Spencer et al., 2011).

포함된 모든 논문은 이론적 품질 도구에서 가능한 최고 점수를 받았습니다(Hean et al., 2016). 이는 이론적 품질의 차원이 강하게 상호 의존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실용적인 타당성을 가진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론을 명확하게 표현하고(명료성),
  •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트된 명확한 명제를 제시하며(실험 가능성),
  • 적용된 이론과 개념적으로 일관된 데이터를 보고하는(경험적 타당성; Hean et al., 2016) 

All of the included papers were awarded the maximum possible score on the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6). This may be an indication that dimensions of theoretical quality are strongly interdependent; the papers with the most pragmatic adequacy tend to be those that 

  • clearly articulate the theory (parsimony),
  • lay out clear propositions (testability) which are tested using appropriate methods (operational adequacy), and
  • report data that is conceptually coherent with the theory that has been applied (empirical adequacy; Hean et al., 2016).

우리는 포함 된 논문을 종합하는 분석 렌즈로 [활동 이론]을 적용하여 수준 높은 이론이 적용된 HEI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더 큰 이론적 초점이 필요한 구성 요소를 모두 조명했습니다. Engeström(2001)이 예상한 대로, 이 개념적 프레임워크는 현대 보건/사회복지 프로그램 내에서 교육 파트너로서 환자 참여의 현재 상태에 관한 광범위한 학습을 제공합니다. 이 이론은 주로 환자 참여가 학습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데 적용되며, 이는 주체-객체 경로에 대해 알려줍니다(Agrawal 외., 2020; Hache 외., 2020; Jha 외., 2015; Kline 외., 2020).

  • 아그라왈 외(2020)의 한계성 이론(Turner, 1980), 자 외(2015)의 변혁적 학습(Kumagai, 2008), 하체 외(2020)의 사회적 표상(Moscovici, 1981), 클라인 외(2020)의 정체성(Marcia, 1966)은 [환자를 권위 있는 전문가로 위치시키는 것]이 어떻게 학습자의 환자 관점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지 설명합니다.

환자의 참여가 학습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Dijk 외, 2020; Spencer 외, 2011), 이러한 논문은 개입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배치되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작동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우리의 이해에 더욱 기여하고 있습니다. 
We applied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lens through which to synthesise the included papers, illuminating both the components of the HEI system where high-quality theory has been applied and those which need greater theoretical focus. As Engeström (2001) expected, this conceptual framework offers expansive learning concerning the current state of patient involvement as educational partners within modern health/social care programmes. Theory is predominantly applied to explain how patient involvement enhances learning; this tells us about the Subject-Object pathway (Agrawal et al., 2020; Hache et al., 2020; Jha et al., 2015; Kline et al., 2020).

  • The use of theories of liminality (Turner, 1980) by Agrawal et al. (2020), transformative learning (Kumagai, 2008) by Jha et al. (2015), social representations (Moscovici, 1981) by Hache et al. (2020) and identity (Marcia, 1966) by Kline et al. (2020) explain how positioning patients as authoritative experts enhances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perspective.

Although we have known for some time that patient involvement advances learning (Dijk et al., 2020; Spencer et al., 2011), these papers further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by providing explanations for how and why an intervention was deployed and worked to achieve its effects.

광범위한 학습 이론을 대표하는 수많은 논문을 확인했습니다(온라인 부록 3).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연구 설계 및 평가에 대한 연구 목표와 이론을 일치시키지 못했으며, 몇몇 논문은 이론이 무엇을 수반하는지 또는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한 설명 없이 단순히 이론의 이름만 언급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논문은 이론의 명확한 표현(명료성 및 검증 가능성) 및 운영적/경험적 적절성에서 낮은 점수를 받거나 점수를 받지 못하여 이론적 품질 도구(Hean et al., 2016)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여 제외되었습니다. 이러한 논문은 참여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학습의 깊이를 확인하고 의제를 촉진하지만, 환자 참여 교육 개발, 제공 및 평가에 대한 모범 사례에 대한 증거에 기반한 합의를 형성하기 시작하려면 이론적으로 뒷받침되는 고품질의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We did identify numerous papers representing a vast range of learning theories (Online Appendix 3). However, these studies failed to align theory from the research aims to study design and evaluation; several simply referred to a theory by name, with no explanation of what the theory entails or how it was applied. These papers did not stand the test of our theoretical quality tool (Hean et al., 2016), scoring low/no points for clear articulation of theory (parsimony and testability) and operational/empirical adequacy, and were excluded. Although these papers confirm the depth of learning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involvement and thus fuel the agenda, further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research is required if we are to begin to form an evidential agreement on best practices for developing, delivering, and evaluating education involving patients.

활동 이론을 사용한 분석 결과, HEI 시스템 전체(규칙, 도구 및 인공물, 노동 분업, 커뮤니티의 삼각형)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이 적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HEI 시스템 내 환자 참여에 이론을 적용한 세 편의 논문을 확인했습니다. Read 등(2020)은 PAR을 사용하여 파트너십 작업을 교육 활동을 넘어 참여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프로세스 개발로 확장할 때의 이점과 과제를 보여주었습니다. Anderson 등(2019)은 활동 이론(Engeström, 2001)을, Cooper와 Spencer-Dawe(2006)는 복잡성 이론(Tosey, 2002)을 사용하여 IPE에서 교육을 주도하는 환자들의 복잡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교수진과 학생 모두에게 환자를 HEI 시스템으로 데려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해줍니다. 
Our analysis using Activity Theory revealed that we know less about the HEI system as a whole (triangle of Rules, Tools and ArtefactsDivision of Labour, and Community). We identified three papers which applied theory to patient involvement within the HEI system. Read et al. (2020) used PAR to demonstrate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extending partnership working beyond educational activities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es needed to support involvement. Anderson et al. (2019) used Activity Theory (Engeström, 2001), and Cooper and Spencer-Dawe (2006) used Complexity Theory (Tosey, 2002) to highlight the complexity of patients leading teaching in IPE. These theoretically underpinned studies add a richness to ou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ring patients into a HEI system, both for faculty and for acceptance by students.

활동 이론 삼각형의 이러한 다면적인 구성 요소에 이론적으로 초점을 맞춘 연구는 단 세 편에 불과하지만(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포함된 모든 논문이 시스템의 일부 측면을 고려했습니다.

  • 대부분의 연구는 [환자를 위한 준비 및 지원]을 보고했지만 [학생 지원 및 교수 개발]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받지 못했습니다.
  • 포함된 연구들은 주로 [환자-학생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환자-교육자 파트너십]은 소홀히 다루었습니다. 실제로 Happell 등(2014)은 교육자가 참여의 게이트키퍼이기 때문에 환자-교육자 역학 관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환자 지불]에 대해 보고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설명이 간략하고 모호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참여를 지원하고 의미 있는 분업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정책과 프로세스]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 또한 [환자가 동등한 교수진 파트너로서 가치를 느끼고 존중]받는 [교육자와 환자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직 잘 알지 못합니다. 

Although only three studies have begun to focus theoretically on these multifaceted components of the Activity Theory triangle (Anderson et al., 2019; Cooper & Spencer-Dawe, 2006; Read et al., 2020), all of the included papers had considered some aspects of the system.

  • Most studies reported preparation and/or support for patients, yet student support and faculty development received little attention.
  • Included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the patient-student relationship, but neglected patient-educator partnerships. Indeed, Happell et al. (2014) highlighted a need to investigate the patient-educator dynamic, as educators are the gatekeepers to involvement.
  • Few studies reported patient payment; descriptions were often brief and ambiguous. As such, our understanding of the policies and processes needed to support involvement and ensure a meaningful division of labour remains limited.
  • Furthermore, we still do not know what it means to form a community of educators and patients, where patients feel and become valued as equal faculty partners.

활동 이론의 삼각형을 고려할 때 이론이 모든 해답을 담고 있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환자의 지불, 지원 및 준비를 고려하여 참여의 이러한 측면을 탐구하는 실용적인 오리엔테이션 논문이 있습니다(Bassett et al.,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et al., 2020). 그러나 HEI 내에서 환자를 참여시키고, 지원하고, 소속감을 촉진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권력 관계와 계층 구조의 탐색을 수반하며, 이러한 실용적인 논문에서도 이를 인정하고 있습니다(Bassett 외,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외, 2020). 따라서 권력(예: 푸코, 1980), 집단 구성원 및 소속감(예: 타지펠 & 터너, 2004; 웽거, 1998)을 탐구하는 광범위한 사회과학 문헌에서 파생된 이론은 의심할 여지없이 HEI에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시스템 내의 규칙, 도구 및 인공물, 분업 및 커뮤니티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환자를 '교육적 실천 공동체'(Wenger, 1998) 내에서 '합법적인 주변 참여자'로 간주하기 위해 상황 학습(Lave & Wenger, 1991)을 적용한 연구(Rees et al., 2007)를 한 건 확인했습니다. 이 논문은 이론적 품질 도구의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여 제외되었지만, 교육 공동체 내 환자 참여에 대한 흥미롭고 관련성 있는 이론적 관점이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합니다.  
We do recognise that theory might not hold all of the answers when considering the triangle of Activity Theory. Indeed, there are papers which are pragmatic in orientation that explore these aspects of involvement, considering patient payment, support, and preparation (Bassett et al.,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et al., 2020). However, involving, supporting, and facilitating a sense of belonging for patients within HEIs inherently entails the navigation of power relations and hierarchies—something that these more pragmatic papers do acknowledge (Bassett et al., 2006; Felton & Stickley, 2004; Soklaridis et al., 2020). Theories derived from the wider social sciences literature that explore power (e.g., Foucault, 1980), group membership, and belonging (e.g., Tajfel & Turner, 2004; Wenger, 1998), could therefore undoubtedl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Rules, Tools and Artefacts, Division of Labour, and Community within an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HEIs. We did identify one study (Rees et al., 2007) which applied Situated Learning (Lave & Wenger, 1991) to consider patients as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 within ‘educational communities of practice’ (Wenger, 1998). While this paper was excluded as it did not stand the test of our theoretical quality tool, we agree that this is both an interesting and relevant theoretical perspective on patient involvement within education communities, which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엄격하게 수행되었지만 저희의 검토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20년 이내에 영어로 발표된 논문으로 검토 범위를 제한한 결과, 초기의 관련 연구를 놓쳤을 수 있습니다. 이 분야의 성장으로 인해 검색되는 논문의 양을 관리하기 위해 실용적인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환자'라는 용어의 편재성과 그 대체 용어, 그리고 '환자 참여'를 설명하는 합의된 명명법의 부재에 대한 우려에 직면했습니다(Gordon et al., 2020). 그러나 우리는 전문 교육의 모든 수준과 영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검색 매개변수를 사용했습니다. 범위 설정은 주요 논문이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최종 검색의 유효성을 확인했습니다. 제외된 논문을 정당화하는 것은 저자의 상세한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려웠습니다. 이론적 근거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를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논문도 여러 편 발견했습니다. 이는 연구자와 교육자를 위한 증거 기반의 가치를 제한합니다(Gordon et al., 2020). 마지막으로, 연구팀으로서 이론과 같은 무형의 구성 요소의 의미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우리는 선행 연구를 통해 정보를 얻은 전략인 모범적인 파일럿 논문에 대한 반복적인 토론을 통해 이 문제에 접근했습니다(Hean et al., 2016, 2018).

Although conducted rigorously, our review has limitations. In restricting our review to papers published in English, within a 20-year timeframe, we may have missed earlier relevant research. We were forced to make pragmatic judgements to manage the sheer volume of papers retrieved, owing to the growth of this field. Throughout we faced concerns about the ubiquitous nature of the term ‘patient’ and its alternatives, and the absence of a consensus nomenclature to describe ‘patient involvement’ (Gordon et al., 2020). However, we used broad search parameters inclusive of all levels and areas of professional education. Scoping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final searches in that key papers were retained. Justifying excluded papers was challenging owing to the lack of detailed description by authors. We encountered several papers which appeared to have theoretical underpinnings but failed to explicitly articulate them. This limits the value of the evidence-base for researchers and educators (Gordon et al., 2020). Finally, reaching a consensus on the meaning of an intangible construct, like theory, as a research team was challenging. We approached this through iterative discussions about exemplar pilot papers: a strategy informed by previous research (Hean et al., 2016, 2018).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리뷰는 이론적으로 뒷받침되는 수준 높은 논문을 식별하고 활동 이론의 구성 요소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이 분야의 향후 연구와 이론 개발을 안내하는 지도를 제공합니다. 우리는 교육자와 학자들이 전문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에서 환자 참여를 위한 활동 체계의 모든 측면에서 환자 참여를 설명하도록 도전합니다. 
By identifying and aligning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papers to the components of Activity Theory, this review provides a map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is field. We challenge educators and scholars to account for patient involvement in every aspect of the Activity System for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최근 BEME 검토에서는 [현실주의적 리뷰]을 사용하여 환자 중심주의에 대한 교육 및 학습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De Groot 외., 2020). 이는 환자, 학생, 교사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이론적 입장이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환자의 참여가 교육 커뮤니티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더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다른 이론적 렌즈를 사용하여 HEI 내 활동 시스템에서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의 격차를 메우고 정책을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렌즈를 사용하여 식별할 수 있습니다(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 또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관점, 특히 환자의 강력한 목소리가 부족합니다. 최선의 의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교육에서 환자와 협력하는 데 있어 대부분 '하향식'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초기 시민 참여 운동에서 구상한 것처럼 HEI에서 진정한 권력 재분배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Arnstein, 1969). 향후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전문직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보건의료 교육자 커뮤니티 내에서 소속감을 느끼고 소속감을 갖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관련 경험과 통찰력을 얻은 환자들의 관점을 모색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분야의 저자들이 학습을 향상하고 포용성을 키우는 방식으로 환자와 함께 일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이론이 기여하는 바를 보다 명확하게 서술할 것을 촉구합니다. 
A recent BEME review has begun to look at a theoretical approach to patient invol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about patient-centredness using a realist synthesis (De Groot et al., 2020). This is helpful and implies there are theoretical stances for all stakeholders—patients, students, and teachers. We do, however, need to further understand what patient involvement means for our educational communities. This might be identified using a range of other theoretical lenses to fill the gaps in our understandings of the interactions in an Activity System within HEIs, which in turn might guide policy (Department of Health & Social Care, 2021; GMC 2009; 2018). Furthermore, we lack a strong stakeholder perspective on these issues, in particular, a strong patient voice. Despite best intentions, we are still taking a largely ‘top down’ approach to working with patients in education and have a long way to go to achieve a true redistribution of power in HEI, as envisaged in the early citizen participation movement (Arnstein, 1969). Future research should seek the perspectives of patients who, through their active involvement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ave gained relevant experience and insight into what it means to become and belong within a community of healthcare educators. Finally, we urge authors in this field to write with more clarity about the contribution of theory to ou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work with patients in ways that enhance learning and foster inclusivity.

결론
Conclusion

전문 교육의 모든 측면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지만, 수준 높은 이론적 토대가 부족합니다. 이 검토를 통해 처음으로 전문직 교육에서 환자 참여에 대한 수준 높은 이론적 고려가 이루어진 분야와 더 많은 이론적 이해가 필요한 분야를 확인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와 관련된 교육 및 학습의 이론적 토대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운영하며, 테스트해야 합니다. 이론이 환자 참여의 복잡성을 조명하기 시작했지만, 문헌은 다양한 HEI에 적용될 수 있는 파트너십 작업을 안내하는 개념적 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가부장적 권력 관계가 고착화되고 지속될 위험이 있습니다(Regan de Bere & Nunn, 2016).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 공동체 내에서 환자와 협력하여 일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을 탐구해야 합니다. 이는 정책에서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이 파트너십 작업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보건부, 2021; GMC, 2009; 2018), 환자의 진정성을 진정으로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우리의 가장 큰 과제일 것입니다. 
The acceleration of work on patient involvement in all aspects of professional education is encouraging but is lacking in high-quality theoretical foundations. This review has, for the first time, identified the areas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that have received high-quality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ose that require greater theoretical understanding. Future research must clearly articulate, operationalise and test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eaching and learning involving patients. Although theory has begun to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patient involvement, the literature fail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to guide partnership working which can be adapted across different HEIs. Without such a framework, we risk remaining static and perpetuating paternalistic power relations (Regan de Bere & Nunn, 2016).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ories that can help us to understand what it means to work in partnership with patients within education communities. This is arguably our greatest challenge, not least because partnership working is what policy asks of us (Department of Health, 2021; GMC, 2009; 2018), but because this is the only way to truly gain from patients’ authenticity.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3 Mar;28(1):279-304. doi: 10.1007/s10459-022-10137-3. Epub 2022 Jul 16.

A theoretical systematic review of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Affiliations collapse

1The George Davies Centre, Leicester Medical School, College of Life Sciences, University of Leicester, University Road, Leicester, LE1 7RH, UK. abw11@leicester.ac.uk.

2The George Davies Centre, Leicester Medical School, College of Life Sciences, University of Leicester, University Road, Leicester, LE1 7RH, UK.

PMID: 35841446

PMCID: PMC9992014

DOI: 10.1007/s10459-022-10137-3

Free PMC article

Abstract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lacks theoretical underpinning, despite increasing calls for rigour. Theories help explain how learning is advanced and offer guidance for how faculty work with patients who become involved in curriculum delivery.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to synthesise how theory shapes our understanding of patient involvement in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ion. Three database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Studies demonstrating explicit and high-quality application of theory to patient invol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or involvement within a community of health and social care educators, were included. A narrative synthesis was undertaken using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al lens to highlight the multifaceted components of patient involvement in professional education. Seven high-quality, theoretically underpinned studies were included. Four studies applied theory to pedagogy, showing how deep learning from patient involvement occurred. Despite a growing body of studies which attempt to use theory to explain learning, many were descriptive, lacked theoretical quality and were therefore excluded. Three studies applied theory to illuminate the complexity of involving patients in the educational system, showing how patients can be supported and valued in teaching roles. This review highlights that more work is requir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patient involvement enhances learning and, to explore what involvement within the education community means for faculty and patients. Our understandings of patient-educator partnerships for learning could be progressed by further high-quality theory driven studies, which include the patient voice.

Keywords: Patient involvement;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atic review; Theoretical qualit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