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문제 없다: 교육자의 새로운 세대 (Med Sci Educ. 2022)
The Kids Are Alright: a New Generation of Educators
Gal Barak1,2 · Matthew Ryan Carroll3 · Andrea Dean1,2

배경
Background

Y세대, 즉 순세대, 즉 나세대로도 알려진 밀레니얼 세대베이비붐 세대 이후 가장 큰 세대다. [1981년에서 1996년 사이]에 태어난 개인인 밀레니얼 세대는 현재 미국 인구의 20%가 넘는 7200만 명의 미국 거주자를 구성하고 있다[1]. 이 세대는 기술과 인터넷 붐과 평행하게 성장했다; 가장 어린 밀레니얼 세대는 인터넷 이전의 시간을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고, 그들은 그들의 손끝에 있는 인간 지식을 가진 삶을 경험했다. 게다가, 그들의 [초기 발달 동안의 자녀 양육 경향]은 이 세대를 [젊음으로부터 보호하고, 검증하며], [과외 활동과 팀 기반 활동에 몰입]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9월 11일 테러 공격, 학교 총격 사건의 증가, 경제 불황, 재앙적인 기상 재해를 포함한 역사적 사건들이 이 세대를 형성했다[2].
The millennial generation, also known as Generation Y, the net generation, or Generation Me, is the biggest generation since the Baby Boomers. Millennials, individuals born between 1981 and 1996, currently make up 72 million US residents which is more than 20% of the US population [1]. This generation has grown up parallel to the technology and internet boom; the youngest millennials may not remember a time prior to the internet, and they have experienced life with the whole of human knowledge at their fingertips. In addition, child-rearing trends during their early development included protecting and validating this generation from youth and immersing them in extracurricular and team-based activities. Landmark events have shaped this generation including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the rise in school shootings, economic recessions, and catastrophic weather disasters [2].

[세대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일련의 [삶을 바꾸는, 세계적인 사건들을 경험]하는 것은 밀레니얼 세대들에게 다른 세대들과 비교하여 공유된 관점, 가치, 특성들을 제공한다[3, 4]. 따라서, 개인의 변화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세대 이론은 주어진 환경에서 개인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 [진보된 기술]은 밀레니얼 세대의 제2의 천성이며,
  • [언급된 자녀 양육 경향]은 팀 기반 활동에 대한 타고난 적성으로 이어졌다.
  • 반면에, 이러한 [양육 경향]은 이 세대가 [자신은 자격이 있다entitled]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졌고, 실제로 밀레니얼 세대는 그들의 [성취에 대해 더 많은 외부적인 검증]을 원한다.

According to generational theory, experiencing this set of life-altering, world-wide events gives millennials a shared set perspectives, values, and traits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3, 4]. Thus, while individual variation still exists, generational theory helps predict how individuals behave in a given setting. For example,

  • advanced technology is second nature to millennials and
  • child-rearing trends mentioned have led to a natural aptitude for team-based activities.
  • On the other hand, the same child-rearing trends have led to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this generation is entitled and, indeed, millennials do desire more external validation for their achievements.

학생으로서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 선호도에 관한 강력한 증거가 있다. 연구는 [대화형 및 그룹 기반 학습, 교육 도구로서의 기술의 능숙한 통합, 명확하게 구조화된 지침 및 기대의 중요성]을 강화했다. 이러한 연구는 또한 [자기 수행능력에 대한 과대한 자신감]을 포함하여 학습자로서 이 세대에 대한 잠재적인 우려와 가치관과 우선순위의 차이로 인한 오해로 인한 [전문직업성의 상실을 인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강조했다. [시기적절한 행동 기반 피드백과 긴밀한 멘토링 관계]는 이 세대에서 인식되는 약점의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강조되어 왔다[7].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들은 의학 교육자들이 밀레니얼 세대를 가르칠 수 있게 해주었다.
There is strong evidence regarding learning preferences of millennials as students. Studies have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ve and group-based learning, savvy integration of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tool, and clearly structured instructions and expectations [5, 6]. These studies have also highlighted some potential concerns about this generation as learners including a sense of overconfidence with regard to performance, as well as potential for perceived lapses in professionalism due to misunderstandings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values and priorities [7, 8]. Timely, behavior-based feedback and close mentoring relationships have been highlighted as a means to address some of the perceived deficits in this generation [7]. Ultimately, these studies have enabled medical educators to teach millennials.

의학 외에도,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를 노동력에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2018년 퓨 연구에 따르면 미국 노동력 참여자의 35%가 밀레니얼 세대이며, 밀레니얼 세대는 2016년까지 베이비붐 세대와 X세대를 제치고 노동력의 주요 기여자가 되었다[10]. 이러한 비의료 분야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세대 차이로 인해 많은 비판을 받아왔지만, 이러한 차이는 기회로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의 욕구]는 게으름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웰빙을 지원하는 데 있어 변화를 주도할 수도 있습니다 [11].
Outside of medicine, research has expanded to include millennials in the workforce [9]. According to a 2018 Pew study, 35% of American labor force participants are millennials, and millennials surpassed both Baby Boomers and Gen Xers as the dominant contributor to the labor force by 2016 [10]. In these non-medical fields, millennials have been widely criticized for their generational differences, yet these differences can also be seen as opportunities. For example, millennials’ desire for a work-life balance can be perceived as laziness, but can also drive change in supporting wellness [11].

그러나, 훈련이 의사의 30대까지 잘 지속되는 의학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첫 번째 코호트는 이제 겨우 의대 교수로서 직장에서 자리를 잡고 있다. 임상 교사 및 학술 지도자로서의 역할에서 공유 세대 특성의 발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새로운 증거는 [밀레니얼 중등 교육 교사들]이 [밀레니얼 세대가 아닌 동료들]과 의사소통의 장벽을 가지고 있고, 승진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밀레니얼 세대가 학술 의학 분야에서 이에 못지 않게 파괴적일 것이며, 밀레니얼 세대가 교사로서의 역할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궁극적으로 이 분야를 형성할 지도자가 될 수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However, in medicine where training lasts well into a physician’s 30 s, the first cohort of millennials is only now establishing itself in the workforce as faculty physicians. The manifestation of shared generation traits in their roles as clinical teachers and academic leaders is unknown. Emerging evidence suggests millennial secondary-education teachers have communication barriers with non-millennials colleagues and have unrealistic expectations of promotion [12]. It is likely that millennials will be no less disruptive in the field of academic medicine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millennials might behave in their roles as teachers and, ultimately, becomes leaders in the field who will shape the field.

[우수한 의료 교육자의 특성과 특징]을 요약한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습니다[13,14,15]. 역량 기반 의료 교육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자들은 [투명성, 빈번한 피드백 및 개별화된 학습] 속에서 더 잘 성장하는 밀레니얼 세대와 특히 관련이 있는 [교육 표준을 정의하고 충족]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16]. 2011년, Srinivasan 등은 임상 교육자가 "효과적인 교수 및 학습 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ACMGE 역량을 프레임워크로 사용하는 [6가지 핵심 역량]을 확인했다[13]. 이러한 역량은 임상의-교육자를 위한 전문적인 개발을 안내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여기서 우리는 세대 이론의 렌즈를 통해 이러한 각각의 역량을 고려하여 밀레니얼 세대가 임상 환경에서 교사와 교육 리더의 역할로 이동하면서 어떻게 그들의 타고난 특성을 활용하고 잠재적인 도전을 예측할 수 있는지 예측한다.
Several studies have been published outlining the traits and features of excellent medical educators [13,14,15]. With the rise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educators have also been challenged to define and meet standards for teaching, which is of particular relevance to the millennial generation who thrive on transparency, frequent feedback, and individualized learning [16]. In 2011, Srinivasan et al. identified six core competencies, using ACMGE competencies as a framework, for clinician educators to promote a “culture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13]. These competencies have been used to guid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linician-educators [17, 18]. Here, we consider each of these competencies through the lens of generational theory to predict how millennials can leverage their innate traits and anticipate potential challenges as they move into the role of teacher and educational leaders in the clinical setting.

의료 내용 및 지식
Medical Content and Knowledge

Srinivasan et al.이 제안한 첫 번째 역량은 교사가 학습자에게 주입하고 각 학습자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견고한 기초 지식]을 가져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3]. 이 역량은 아마도 밀레니얼 교사들의 타고난 기술이 이전 세대의 교육자들과 그들을 구분하는 곳일 것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무한한 정보를 손끝에 쥐고 성장하고 훈련한 첫 번째 세대의 의사들이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지식은 [덜 백과사전적]이며, 대신에, [필요한 순간에 가장 최신이고 포괄적인 정보]를 얻는 것을 강조한다. 결과적으로 밀레니얼 임상의들은 [정보를 내재화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수준의 임상 전문 지식을 개발하지 않았을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들의 눈에 의심을 심어줄] 수 있다. 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밀레니얼 임상의의 지식]은, 더 나아가서 [그들이 사용하는 교육자료]는, 그들이 정확하게 접근하고 해석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만 구성되어 있기보다, 한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first competency proposed by Srinivasan et al. states that teachers must have a solid foundation knowledge to instill into their learners and assess each learner’s abilities [13]. This competency is perhaps where millennial teachers’ natural skills separate them from the prior generation of educators. Millennials are the first generation of physicians who grew up and trained with an endless supply of information at their fingertips. Consequently, they are less encyclopedic in their knowledge and, instead, emphasize acquiring the most up-to-date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at the moment it is needed [19]. Arguably, as a result, millennial clinicians may not have developed the same level of clinical expertise since they are not internalizing the information, which may instill doubt in the eyes of their learners. More likely, it means that millennial clinician’s knowledge, and hence, teaching material, is not limited, instead consisting of everything that they can accurately access and interpret.

또한, 이 세대는 변화하는 증거에 대해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에게 [정보 수집 과정은 역동적]이다. ["I-will-find-it-now" 시대]의 일원으로서 밀레니얼 세대는 엄격하게 정보를 가르치는 경향이 있지만 업데이트된 지침과 리소스를 참조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임상 질문에 답하기 위해 증거를 해석하는 방법을 포함한 지식 습득 기술을 가르치는 경향이 있다[20]. 밀레니얼 세대의 교육자들은, 적어도 이 능력에서는 뛰어나고 현대 의학의 급속한 발전에 보조를 맞출 수 있는 의사 세대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Additionally, this generation has a natural ability to stay current on changing evidence and the process of information acquisition is dynamic for them. As members of the “I-will-find-it-now era”, millennials, in turn, tend to teach not strictly information, but knowledge acquisition skills including how to reference updated guidelines and resources as well as how to interpret evidence to answer clinical questions [20]. Millennial educators, in at least this competency, excel and have the potential to lead to a generation of physicians that can keep pace with the rapid evolution of modern medicine.

학습자 중심성
Learner Centeredness

Srinivas 등은 두 번째 교육자 역량으로서 [학습자의 복지와 성장에 대한 헌신]을 확인한다[13]. 이러한 ["학습자 중심성"]은 [학습자에 대한 존중과 투자]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밀레니얼 교육자들이 뛰어나기를 기대하는 역량이다. "바람직함Desired" 세대인 그들은 일관된 칭찬과 검증을 받으며 성장했습니다[8]. 결과적으로, 그들은 [안전하고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갖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그들은 또한 이전 세대보다 더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성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존중]을 가지고 자랐다[2]. 그들에게 있어 [문화적 역량과 겸손]을 강조하는 것은 그들의 전임자들보다 더 선천적인 것이며, 이것은 학습자 중심성의 핵심적인 측면이다. 게다가, 그들은 개성에 중점을 두고 성장한 결과로 [직장 밖의 삶을 중요시]한다. 대규모 불경기 동안 노동력에 들어가는 것은 그들이 "직업"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그들이 롤모델을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건강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이는 학습자의 안녕과 학습 환경에 중요합니다.
Srinivasan et al. identify the commitment to learners’ well-being and growth as the second educator competency [13]. This “learner centeredness” includes respect for and investment in the learner, as well as the ability to create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This is also a competency where we expect millennial educators to excel. Being the “desired” generation, they grew up with consistent praise and validation [8]; as a result, they value having a safe and positive learning climate. They are also more diverse than the generations before them and thus grew up with an awareness and respect for the value of diversity [2]. An emphasis on cultural competency and humility is more innate for them than their predecessors, which is a key aspect of learner centeredness. In addition, they value life outside of work as a result of growing up with an emphasis on individuality. Entering the labor force during a major recession not only impacts how they perceive their “jobs” but also creates an opportunity for them to role model and educate others about wellness. This is important for learner well-being and learning climate.

잠재적인 도전 중 하나는 어린 시절 자주 긍정하는 경험으로 인해, [(고용주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학습자]도 [밀레니얼 세대의 교사]들이 [자기 중심적이고 자기 몰입적]이라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밀레니얼 교육자들은 [학습자의 신뢰를 해칠 우려]처럼 [의미 있는 형성적 평가를 제공하는 것]을 더 어려워 할 수 있다[21]. 마찬가지로, 그들은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도전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교육적 도전과 의미 있는 평가보다 포용과 긍정적인 학습 환경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밀레니얼 교사들이 학습자들에게 잘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밀레니얼 교육자들은 그들 자신의 편안한 영역을 적극적으로 벗어나 효과적인 교육자들의 기술을 연습하기 위해 그들의 세대적 특성에 의해 제기되는 잠재적인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One potential challenge is that due to their experience with frequent affirmation during childhood, others may find millennial teachers self-centered and self-absorbed, including not only employers, but potentially their learners. In addition, due to prioritizing a positive learning climate, millennial educators may be more susceptible to barriers to providing meaningful formative assessments [21], such as fear of hurting a learner’s confidence. Similarly, they may not provide sufficient challenges for their learners. However, learners tend to value inclusion and a positive learning climate over educational challenges and meaningful assessments, which will mean millennial teachers are well perceived by learners [22]. Regardless, it will be important for millennial educators to recognize the potential limitations posed by their generational traits in order to actively step outside their own comfort zone and practice techniques of effective educators.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기술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임상 교육자는 학습을 가장 잘 촉진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개인화]해야 합니다[13]. 여기에는 의사소통과 기대를 공유하는 방법, 교육 전략, 교육을 지도하기 위한 기본 학습자 지식의 평가, 피드백 제공, 전문적이고 대인관계적인 갈등 처리 등이 포함된다. 밀레니얼 세대는 이메일, 문자, 인스턴트 메시징을 통해 [지속적인 연결]의 시대에 성장했다. 이와 같이 [개방적이고 접근 가능한 경향]이 있으며, 이는 [학습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23]. 왜냐하면 보통 학습자들은 스트레스가 높은 의료 훈련 중에 지원과 가이드를 얻고자 하며, 이런 개방성과 접근가능성이 학습자가 임상 환경에서 편안하게 도움을 구하도록 보장하기 때문이다.
Clinical educators are expected to personalize their teaching and communication styles to best facilitate learning [13]. This includes how communications and expectations are shared, educational strategies, assessment of baseline learner knowledge to guide teaching, giving feedback, and handling professional and interpersonal conflicts. The millennial generation grew up in an era of constant connectedness, via email, texts, and instant messaging. As such, they tend to be open and accessible [23], which will serve their learners well as they seek support and guidance during high-stress medical training and will ensure learners will feel comfortable seeking help in the clinical setting.

"트로피 세대"로서, 그들은 외부 검증[2]을 추구하며, 소셜 미디어와 전자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반응과 피드백에 익숙]합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는 [명확한 기대]가 있을 때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한 기대]는 밀레니얼 세대로 하여금 비판적인 피드백과 평가에 저항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자로서, 그들은 교사들에게 필수적인 의사소통 기술인 학습자들에게 명확한 기대를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염두에 둘 것이다.
As the “trophy generation,” they seek external validation [2] and, by way of social media and e-communication, they are accustomed to real-time reactions and feedback. In addition, millennials have been shown to thrive with clear expectations and unclear expectations can lead millennials to resist critical feedback and evaluations. Therefore, as educators, they will likely be mindful of setting clear expectations for and consistently providing feedback to learners which are essential communication skills for teachers.

반면에, 그들의 [전자 통신에 대한 경험]이 항상 [대면 또는 심지어 전화 소통 기술]로 번역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밀레니얼 세대는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라고 인식하는 전화]보다 [문자나 인스턴트 메시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4]. 이는 아마도 밀레니얼 교사들이 학습자에게 어려운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자신의 가르침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등 [불편할 수 있는 대면 토론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일반적으로 "심리적 안전"에 대한 헌신을 보여주지 않는 개인들의 비판에 저항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든 대립이나 피드백의 어려움은 "코들링"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인식에 의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ir experience with e-communication does not always translate into face-to-face or even telephone communication skills. Millennials, in fact, have been shown to prefer texts or instant messages rather than phone calls, which they perceive as uncomfortable and ineffective [24]. This suggests that perhaps millennial teachers may struggle with face-to-face discussions that may be uncomfortable, including providing difficult feedback to a learner or receiving feedback on their own teaching. Difficulty with confrontation or feedback in either direction may be compounded by the millennial perception of being “coddled,” as millennials generally resist criticism from individuals who do not demonstrate a commitment to “psychological safety.” [21].

전문직업성 및 역할 모델링
Professionalism and Role Modeling

Srinivasan 등이 요약한 또 다른 핵심 교육자 역량은 [전문직업성과 역할 모델링]입니다[13]. 이것은 [연민과 성실함을 보여주는 것, 교육자로서의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 그리고 직업적인 행동을 모델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소셜 미디어 사용[25], 문신 비율의 증가[26], 그리고 일반적인 전문가 복장에 대한 강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전에 비전문가적이라고 비판을 받아왔다. 이는 무의식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진 편견의 결과이다[27]. 전문성에 대한 세대의 정의는 다르고, [외모에 대한 강조]는 [그들의 기술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밀레니얼 세대에 의해 그렇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전문성의 주요 특징으로 [연민과 성실함]을 우선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긍정적인 업무 및 학습 환경에 의미 있게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전문직업성의 측면을 [모델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사가 될 수 있다[22]. 기성 세대는 이들을 부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젊은 학습자들은 전문성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에 대한 투자를 공유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이전 세대보다 더 다양성을 가지고 자란 밀레니얼 세대]는 궁극적으로 이 분야의 성장을 이끌 [더 넓은 범위의 의료 연수생을 포용하는 전문직업성]에 대한 [더 나은 작업 정의working definition를 옹호]할 수 있다.
Another key educator competency outlined by Srinivasan et al. is professionalism and role modeling [13]. This includes displaying compassion and integrity, accountability for one’s actions as an educator, and role modeling professional behaviors. Millennials have previously been criticized as unprofessional due to social media use [25], higher rates of tattoos [26], and overall less emphasis on typical professional dress, which are views held as result of unconscious and antiquated bias [27]. Generation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differ, and an emphasis on physical appearance is not as valued by millennials because they think it doesn’t have a bearing on their skills. Instead, they can prioritize compassion and integrity as key features of professionalism. This allows them to be more effective teachers by modeling the facets of professionalism that are more likely to meaningfully contribute to a positive work and learning environment [22]. While older generations may view them negatively, younger learners are unlikely to share this investment in tradition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Instead, millennials, who grew up with greater diversity than the generations before them, can advocate for a better working definition of professionalism that embraces a wider scope of medical trainees who will ultimately lead to growth in the field.

밀레니얼 교육자들은 [경계를 설정]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역할 모델로서, 밀레니얼 교육자들이 가치를 가질 수 있는 한 가지 독특한 영역은 [웰빙 분야]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또한 그들의 고용주에 대한 [노동자의 충성심이나 맹목적인 생산성]으로 [전문직업성을 정의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자와 다양한 직업의 직원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지만, 번아웃의 유병률과 원인에 대한 데이터가 등장함에 따라 밀레니얼 세대의 건강 강조는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의료 훈련은, 항상 개인을 중요시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운영되며, 번아웃은 유행병 수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레니얼 교육자들은 기술을 가르치고 미래 세대의 소진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의료 분야의 지속 가능한 인력으로 이어지는 문화를 홍보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가지고 있다.
As role models, one unique area where millennial educators can be valuable is in the field of wellness, as they tend to prioritize setting boundaries and maintaining a work-life balance. Millennials also do not define professionalism by worker loyalty or blind productivity for their employer. While this has led to criticism of millennial learners and employees in a range of professions, as data emerges about the prevalence and causes of burnout, millennials’ emphasis on wellness is increasingly important. Historically, medical trainees operate in a system that doesn’t always value the individual, and levels of burnout are at epidemic proportion. In this way, millennial educators have the unique opportunity to teach skills and promote a culture that help prevent burnout in future generations and, as a result, lead to a sustainable workforce in medicine.

실천 기반 반영 및 개선
Practice-Based Reflection and Improvement

실천기반 성찰과 개선역량은 교육자로서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자의 자기평가 추구]이며, 따라서 교육자는 [지속적으로 성찰에 참여하고, 여러 출처로부터 의견을 구하며, 피드백에 대응하여 교수기법을 조정]할 것을 요구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자기 성찰]을 [마음챙김의 도구]로 중요시하며, [자기 계발을 촉진]하는 [멘토십의 형태]로, [외부의 검증과 인정을 추구]하는 [자기 성찰의 사이클]에 지속적으로 참여한다[8]. 그러나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성장기에 비판적 피드백에 대한 노출이 부족했기 때문에, 밀레니얼 세대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도전을 느끼는 피드백을 통합하고 대응하는 것이 어려워할 수 있다.
The practice-based reflection and improvement competency is the educator’s pursuit of self-assessment to improve as educators, and thus requires educators to consistently engage in reflection, seek input from multiple sources, and adjust their teaching techniques in response to feedback [13]. Millennials value self-reflection as a tool for mindfulness, and consistently engage in a cycle of introspection followed by seeking external validation and recognition in the form of mentorship that often promotes self-improvement [8]. However, as discussed above, their lack of exposure to critical feedback growing up can make it challenging for millennials to incorporate and respond to feedback that they feel challenges their sense of identity.

또한, 테크놀로지 전문가로서, 이 세대는 [테크놀로지]를 [혁신적인 방식으로 자기 계발을 위한 도구로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28]. 그들은 디지털 분석을 사용하여 개인 및 시스템 메트릭을 수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 교육 학술활동]을 실시하고 분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임상 정보학이 학문으로 부상하는 데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 세계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기업의 혁신과 성장에 도전하는 기술 파괴자로 확인되었습니다[29]. COVID 팬데믹은 의료 교육자들이 가상 학습에 대한 오랜 믿음을 재평가하도록 유도했으며, 밀레니얼 세대는 학습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에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In addition, as technology experts, this generation is ready to use technology as a tool for self-improvement in innovative ways [28]. Not only can they use digital analytics to collect personal and system metrics, they can also use it to conduct medical education scholarship and help improve the field, which can be seen in the rise of clinical informatics as a discipline. In the business world, millennials have been identified as technology disruptors, challenging corporations to innovate and grow [29]. The COVID pandemic pushed medical educators to reassess long-held beliefs about virtual learning, with millennials helping to advance the effective use of technology for education to improve learner satisfaction [30, 31].

이 역량에서 탁월함에 대한 잠재적인 장벽은 교육자로서의 밀레니얼 세대의 동기에서 비롯됩니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기관의 성공보다 자신의 행복을 중요시한다[19]. 이것은 그들이 [교육자로서 그들 자신에게 투자]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들은 [조직의 성장과 개선]에는 투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들은 [개별 교육자]로서 우수할 수 있지만, [교육 리더]로서의 자신의 역할은 한정시킬 수 있고, 잠재적으로 그들이 그들의 기관에서 미래의 학습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더 자주 직업을 바꾼다는 비판에 직면했지만[2], 증거는 그들이 X세대가 그 나이였을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직업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는 것을 시사한다[32]. 세계가 더 상호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 이동성은 덜 경직되고, 주니어 교수진은 국가 또는 심지어 국제 수준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것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A potential barrier to excelling in this competency stems from millennials’ motivations as educators. In general, they value their own well-being over the success of their institution [19]. While this means they may be motivated to invest in themselves as educators, they may not be as invested in the growth and improvement of their organization. Hence, as individual educators they may excel, but they may limit their role as educational leaders and potentially hold back impacts they might otherwise have on future learners at their institution. However, although they’ve faced criticism for jumping between jobs more frequently [2],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y spend just as much time with their jobs as Generation X did at the same age [32]. Regardless as the world grows more interconnected, job mobility becomes less rigid, and junior faculty may be rewarded for seeking new opportunities at the national or even international level.

시스템 기반 작업 방식
Systems-Based Practice

밀레니얼 교사를 논의할 때, 의료 교육자의 최종 역량인 [시스템 기반 실천]은 첫 번째 역량, 의료 내용 및 지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적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의료 및 교육 시스템 내의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13]. 기술과 인터넷의 급속한 확장과 함께 성장하면서, 이 세대는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고, 따라서 이 유연성을 쉽게 가르치고 역할 모델을 만든다. 그들은 [인터넷을 사용]하고, 그들의 [교육에 테크놀로지를 통합]하는 데 능숙하다. 이러한 유연성은 또한 훈련생 일정과 기대의 변화를 포함하여 임상 서비스 또는 팀 내의 변화에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discussing millennial teachers, the final competency of medical educators, systems-based practice, relates closely to the first competency, medical content, and knowledge. It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utilize resources within the medical and education system to provide optimal teaching [13]. Growing up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echnology and the internet, this generation can rapidly adjust to change and, therefore teach and role model this flexibility easily. They are adept at using the internet and incorporating technology into their teaching. This flexibility also allows them to naturally adjust to changes within their clinical services or teams, including changes in trainee schedules and expectations.

이 역량은 또한 "교육이 발생하는 시스템"에 대한 이해에 의존한다. [13] 그들의 양육과 시사에 의해, 이 세대는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시스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추구]하는데, 이것은 스리니바산 외 연구진이 제시한 이 역량의 또 다른 핵심 측면이다. 불황, 최저 주택 보유율, 정치적 불안정 등 [자신들 세대를 망쳐둔 사회경제적 시스템]에서 성장한 결과, 밀레니얼 세대는 [현재 시스템의 단층fault lines을 보고 더 나은 단층을 만들려는 의욕]을 갖게 된다. 다양성에 대한 그들의 더 큰 노출은 또한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학습 환경에 대한 포함을 촉진하도록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궁극적으로, 관용과 포용[2]을 촉진하는 직장을 가치있게 여기며, 의학 내에서 [체계적인 변화를 옹호]할 뿐만, 아니라 의학 교육 내에서 이 중요한 학문 분야를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임상 학습 환경과 커리큘럼 개발을 통해 [불평등을 인식하고 뒤집기 위해 문화를 전환하는 교육 리더]가 될 준비가 되어 있다.
This competency also relies on having an understanding of the “system in which education occurs.” [13] Shaped by their upbringing and primed by current events, this generation seeks out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ystem to promote change, which is another key aspect of this competency laid out by Srinivasan et al. As a consequence of growing up in a socioeconomic system that has failed their generation, including recessions, lowest home owner rates, and political instability [33], millennials see the fault lines in the current system and are motivated to create a better one. Their greater exposure to diversity also helps prepare them to promote inclus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hich has been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34]. Ultimately, they themselves value workplaces that promote tolerance and inclusion [2] and can help not only advocate for systematic change within medicine, but also help develop this crucial field of scholarship within medical education. Millennials are primed to be educational leaders that shift the culture to recognize and reverse inequity in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through curricular development.

결론들
Conclusions

세대이론의 관점에서 보면,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과 가치는 Srinivasan et al. (표 1)이 제시한 의료교육자의 6가지 역량과 긍정적으로 일치한다.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자들은 [개개인성individuality과 피드백을 중요시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교육 이론가들에 의해 [모범 사례로 추천된 행동]을 교사들로부터 기대한다고 제안되었다[35]. 따라서 밀레니얼 세대가 교육자와 동일한 모범 사례 행동을 선천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밀레니얼 세대의 사회 정의 및 기술과의 긴밀한 관계는 그들이 변화에 적응할 준비가 되어 있고 양심적이고 혁신적인 학습자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의학 교육의 현재 기준에 도전할 준비가 되어 있다. 번아웃과 사회적 불평등이 만연한 가운데, 그들은 [개인의 건강과 사회적 책임을 우선시하는 전문직업성]이라는 [독특한 브랜드의 역할 모델 역할]을 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Viewed through the lens of generational theory, the traits and value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lign positively with the six competencies of a medical educator as posed by Srinivasan et al. (Table 1).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millennial learners, by valuing individuality and feedback, expect behaviors from their teachers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recommended as best practice by educational theorists [35]. Therefore, we can expect millennials to innately exhibit these same best practice behaviors as educators. Millennials’ close ties with social justice and technology make them ready to adapt to change and poised to challenge current standards in medical education to promote development of conscientious and innovative learners. In the midst of an epidemic of burnout and social inequity, they are well suited to serve as role models of a unique brand of professionalism — one that prioritizes personal wellness and social accountability.

[외부 검증]를 강조하는 것은 [피드백의 사용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존중과 심리적 안전에 대한 근본적인 기대]는 [어려운 피드백을 주거나 받는 능력]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결과적으로 [대면 상호작용에 대한 불편함]으로 인해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자로서의 그들의 강점은 [전문직업성과 의학적 전문성]에 대한 그들의 전통적인 정의를 지나쳐 보려고 애쓰는 기성 세대들에 의해 간과될 수도 있다.
While their emphasis on external validation helps to promote the use of feedback, an underlying expectation of respect and psychological safety may challenge their ability to give or receive difficult feedback. This can also be compounded by discomfort with face-to-face interactions as a consequence. Finally, their strengths as educators may be overlooked by older generations who struggle to look past their own traditional definitions of professionalism and medical expertise.

물론 세대 이론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세대 이론은 인구 내의 추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개인 수준으로 추정하는 것은 잘못될 수 있다. 세대 이론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때, 그리고 "밀레니얼 교수자"과 같은 라벨을 사용하면 권력 차이를 강화하고 집단에 대한 신화를 전파하며 개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대 이론에 기초한 교육 권장 사항을 만드는 것은 제한된 데이터에서 광범위한 결론을 도출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만, 이 논문은 교육자 세대에 대한 더 큰 개념을 탐구하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교육자 세트를 위한 표적 개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이전 세대의 의사 교육자와 비교하여 차기 의사 교육자 간의 차이를 더 잘 평가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There are of course several limitations of generational theory. While generational theory helps understand trends within a population, extrapolating to the individual level can be misguided. Misconceptions occur when generational theory is used to support negative stereotypes and using labels such as “millennial teacher” can reinforce power differences, propagate myths about a cohort, and minimize individuality [36]. While we recognize that making educational recommendations based on generational theory risks drawing broad conclusions from limited data, this paper serves to explore larger concepts about a generation of educators. Further research can be done to better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incoming physician educators compared to those of prior generations, to help develop targeted interventions for this new set of educators.

전반적인 세대 이론은 밀레니얼 교육자의 평가에 대한 기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밀레니얼 교육자의 미래 교수진 개발 커리큘럼을 안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Overall generational theory can be an opportunity to help guide future faculty development curricula for millennial educators as well as shape the expectations for evaluation of millennial educators. As we see our first big group of millennial educators, not only will they be able to bring their own strengths with regard to teaching modern medicine, but they will fundamentally change it.


 

Med Sci Educ. 2022 Sep 3;32(5):1189-1194. doi: 10.1007/s40670-022-01618-6. eCollection 2022 Oct.

 

The Kids Are Alright: a New Generation of Educators

 

1Department of Pediatrics, Baylor College of Medicine, Houston, USA.

2Texas Children's Hospital, 1102 Bates Ave, Houston, TX FC1860 USA.

3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Baylor College of Medicine, Houston, USA.

PMID: 36276772

PMCID: PMC9583974 (available on 2023-10-01)

DOI: 10.1007/s40670-022-01618-6

Generational theory states that as a result of experiencing the same life-altering, world-wide events at key developmental ages, individuals of a given generation share unique perspectives, values, and traits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as reported by Johnson and Romanello (Nurse Educ. 30(5):212-216, 2005) and Howe and Strauss 2000. Thus, while individual variation still exists, generational theory can be used as a tool to predict individual behavior and capitalize on shared traits in the workplace or educational setting. The millennial generation, born between 1981 and 1996, has previously been negatively perceived; however, application of generational theory can allow for a reshaping of public perception. For example, there now exists ample research, both within and outside of medical education, on how to take advantage of typical traits of the millennial student to maximize their learning, such as Twenge (Med Educ. 43(5):398-405, 2009), Eckleberry-Hunt and Tucciarone (J Grad Med Educ. 3(4):458-461, 2011), and Nicholas (Int J Learn Annu Rev. 15(6):27-34, 2008). As the cohort ages, the focus has shifted to helping millennials reach their full potential as employees. However, due to intensive and lengthy training required, medicine is only now seeing the first cohort of millennials entering the workforce as faculty physicians. As such, academic medicine is seeing millennials move from the learner role into that of the teacher. Thus far, the influence of the shared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success and challenges as clinician educators and educational leaders is novel and has not been explored in the literature. By overlaying generational theory on Srinivasan et al.'s (Acad Med. 86(10):1211-1220, 2011) proposed six competencies for medical educators, we predict the strengths and challenges of millennial medical educators and hypothesize on the impact this generation may have on academic medicin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