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분야 연구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탐색적 분석 및 제언 (관광학연구, 2012)
- 2007-2011년 관광학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Critiqu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during 2007-2011 Period
1)차 석 빈*
Cha, Suk-Bin
I. 서 론
조용환(2002)은 질적 분석의 문제점으로
-
첫째, 연구자들이 자료의 수집방법에 대해 장황하게 논의하는데 비해 수집한 자료 의 분석방법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
둘째, 질적 분석이 연구자 개개 인의 경험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방법상의 체계와 표준을 결여하고 있으며,
-
셋째, 그 결과 질적 연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심각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특히 초 심자들이 질적 연구방법을 학습하는데 큰 곤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와 더불어 Creswell(1998)은 좋은 질적 연구의 특성으로 엄격한 자료수집 절차, 연 구를 위한 질적 접근의 가정들과 특성들 내에서 연구의 틀 규정(설계의 전개, 여러 가지 진실의 제시, 자료수집 도구로서의 연구자, 참여자의 관점에 대한 초점) 등 8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II. 질적 연구방법론 평가기준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위의 선행연구들을 볼 때 질적 연구방법론 분석의 공통된 항목들은 연구 참여 자, 연구 참여자 선정, 연구 참여자의 동의, 자료수집, 자료분석, 자료의 진실성 (신뢰성 및 타당성)임을 알 수 있다.
1. 연구 참여자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가 수평적인 관계에서 연구를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연구대상 보다는 연구 참여자라는 용어를 선호한다(임수원, 2004). 연구 참여자 기술의 경우 질적 연구의 논리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의 목적에 따라 참여자에 대한 지역, 환경, 경력, 배경 등 의 정보를 상세히 기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술은 독자가 연구가 진행 된 환경 및 결과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독자 에 따른 일반화 가능성(user generalization)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임수원, 2004).
2. 연구 참여자 선정
질적 연구에 있어 연구에 대한 가장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대상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김윤옥 등, 2009). 질적 연구에서는 소수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지만 추출된 사례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례 혹은 참여자를 선택한 동기나 절차를 심도 있게 기술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인 표본을 선 정하는 것은 양적 연구와 다르게 유목적 표본(purposeful sampling)이 될 수 있 다. 즉, 유목적 표본은 특정한 사람이나 환경 또는 활동이 고의적으로 선정되는데, 이는 다른 선택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없거나 표본이 다른 사례들의 전 형이라고 생각할 때 사용하게 된다(이원욱, 2011).
유목적 표본전략에는 최대변 량(maximum variation), 동질적(homogeneous), 결정적 사례(critical case), 이론 기반(theory based), 확증적/비확증적 사례들(conf i rmi ng and di sconf i rmi ng cases), 눈덩이 굴리기 또는 연쇄(chain), 극단적 또는 일탈적 사례(extreme or deviant case), 전형적 사례(typical case), 강도(intensity), 정치적으로 중요한 사례들, 무작위 의도적(random puposef ul ), 층화된 의도적(strati f i ed purposef ul ), 기준(cri teri on), 기회적(opportuni sti c), 조합 또는 혼합(combi nati on or mi xed), 편의(convenience) 표본추출 등이 있다(Miles & Huberman, 1994).
3. 연구 참여자 동의
질적 연구의 윤리문제 중 하나로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사생활 또는 권익보호 측면에서 연구 참여자 선정과정에서 연구목적, 연구과정, 연구결과에 대한 기대 및 활용방안 등에 대해 연구 참여자에게 사전에 공지하고 동의를 얻어야 한다(김윤옥 등, 2009; 임수원, 2004). 여기에는 연구 참여자가 연구목적과 그와 관련된 모든 위 험성을 이해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구에 참여하기로 승인했다는 점, 익명성이 보장 되고,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연구 결과가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 불이익을 받 지 않고 언제든지 그만 둘 수 있다는 점을 숙지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되게 된다 (신경림, 2000).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양적 연구와 달리 자료수집과 분석이 동시에 일어 나는 과정으로 연구자가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이전 단계로 돌아가는 회귀적이며 반복적이며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된다(Stainback, 1988).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주제적 분석(themantic analysis),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질문분석(question analysis) 등이 주로 쓰인다 (전형상․이철원, 1998).
조용환(2002)은 질적 자료에 따른 상이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관찰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행태분석, 네트워크 분석, 연극적 분석을, 면접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담론분석, 대화 분석, 사회언어학적 분석, 자전적 분석을, 문헌자료의 분석은 내용분석과 텍스트 분석을 제시하였다.
6. 자료의 진실성(신뢰성 및 타당성)
양적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질적 연구에서도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 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질적 연구에서는 신뢰성과 타당성 대신에 진실성(trust- worthiness)이라는 용어가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유정애, 2004).
<표 1> 진실성의 평가 기준 및 구체적인 전략
Guba & Lincoln(1981)에 따르면
-
사실적 가치(신빙성)는 현상을 얼마나 생생하고 충 실하게 서술하였고 해석하였는가를 의미하며,
-
적용성(대체가능성)은 연구결과가 연구가 이루어진 상황 밖에서도 적합한지 그리고 독자들이 연구결과를 읽고 자신 들의 고유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의미 있고 응용력이 있는지를 의미한다.
-
일관성 (의존성/믿음성)은 연구자에 의해서 사용된 분명한 자취를 다른 연구자가 따라갈 수 있을 때 혹은 더 나아가 다른 연구자가 연구자의 자료, 시각, 상황에 따라 전혀 모순되지 않은 똑같거나 비슷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을 경우를 의미한다. 마지막 으로,
-
중립성은 연구과정과 결과에 있어서 모든 편견과 해방을 의미하며, 이는 사 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이 확립될 때 얻어지게 된다.
III. 연구 설계
1. 분석자료
2. 분석 유목
<표 2> 유목체계
IV. 분석 결과
1. 분석대상 논문의 특성
2. 연구 참여자
3. 연구 참여자 선정방법
4. 연구 참여자 동의
5. 자료수집 방법
<표 8> 자료수집 형태*
6. 자료분석 방법
<표 9> 자료분석 방법
7. 자료의 진실성(신뢰성 및 타당성)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실적 가치/적용성/일관성/중립성 방법이 5편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가 의견/검증/회의, 구성원 검토, 삼각검증이 각각 2편(5.39%)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기타 방법들은 각각 1편(2.6%)로 나타났다<표 10>
<표 10> 자료의 진실성 기술
Ⅴ. 결 론
분석결과의 요약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수를 기술한 논문 비율은 86.8%이며, 연구 참여자의 수는 평균 17.1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석대상 논문 중 21.1%는 연구 참여자를 전혀 기술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나 향후 독자가 연구 환경이나 결과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독자에 따른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임수원, 2004) 개 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 참여자 선정방법은 유목적 표집(눈덩이 표집, 기준 표집/이론적 표 집 등 포함)이 전체 분석대상 논문의 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선정기준 이나 선정이유에 대한 기술에서는 분석대상 논문 중 57.9%가 그 기준과 이유를 기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 선정기준이 연구 주제관련 경력이나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이라는 식의 너무 광범위한 기준도 제시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석대상 논문 중 단지 5.3%만의 연구가 연구 참여자 동의에 관한 문제 를 기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면접(심층면접, FGI, 일반면접)이 주요 자료수집 방법으로 사용된 연 구의 비율이 73.7%이며, 관찰은 26.3%로 나타나 관찰보다 면접을 주로 사용하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면접의 유형 중 심층면접이 사용된 경우는 42.1%로 제일 많이 나타났다. 자료수집 및 기록방법 등 자료수집 형태 분석결과에서는 면 접과 관찰에서 이러한 기술을 하지 않은 비율이 33.3%-83.3%로 나타났다. 관찰 기간의 경우 분석대상 논문 중 60%의 논문이 10일 이내로 한성호(2009)의 5회 와 허문경(2010)의 2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1회의 관찰을 하고 있었으며, 심층 면접시간은 66.7%가 기술하지 하지 않았으며, 33.3%만이 면접시간을 기술했는 데 2시간 이내였으며, 면접 횟수에서는 손해경(2009)의 2회를 제외하고는 대부 분 1회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 중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 것인지를 연구 시작 전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분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관찰을 했다면 완 전참여관찰, 관찰자로서의 참여자, 참여자로서의 관찰자, 완전한 관찰자 중 어떤 관철의 형태로 얼마 동안 관찰했으며, 관찰내용은 어떻게 기록했는지를 반드시 구 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심층면접 기술 역시 구조화, 반구조화, 비구조화방식 등 어떤 방식의 면접을 했으며, 몇 번의 면접을 실시했는지 그리고 면접관련 정보(연구 참여자의 모집 과정과 이들과의 공감대(rapport) 형성, 면접 장소의 분위 기, 면접 내용 등)는 어떠했는지, 면접은 어떻게 기록되었는지 등을 명확하게 기술 해줄 필요가 있다 하겠다.
여섯째,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근거이론이 23.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내용분석, 주제별 분석, 의미론적 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거이론 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으로 연결되는 체계적인 분석절차 과정이 있는 비 교적 구조적인 접근이라 양적 연구에 익숙한 연구자들이 질적 연구에 접근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진실성 기술에서는 사실적 가치/적용성/일관성/중립성 방법 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문가 의견/검증/회의, 구성원 검토, 삼각 검증 순으 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적 연구의 진실성 평가에 대한 깊이 있 는 논의를 한 김길래․정소연(2009), 김수진․이진형(2009) 등 몇몇 연구를 제 외하고는 대부분이 4개의 진실성 기준 중 일부분 내지는 단순히 진실성을 체크했 다고만 기술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자료의 진실성에 대한 기술이 없는 논문도 전 체의 60.5%%로 나타났다.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나타내는 자료의 진실성은 양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질적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ECN
ECN-0102-2014-300-001587753
UCI
I410-ECN-0102-2014-300-001587753
키워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관광학연구, Journal of tourism sciences, 연구방법, Research method
초록
<한국어 초록>
<영어 초록>
Although scholars have been increasingly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Tourism since the end of 1990s in Korea, discussions on research methodology of qualitative studies have been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from 1997-2011. Thirty eight published articles us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 as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identified for analysis. Six categories such as descrip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sampling method, criteria and reason of participants selection, participants` consent,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and trustworthiness of data were analyzed. Findings from the research imply that there leaves room for improvement in each of the above six categories; especially as it pertains to participants` consent and th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futur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tourism field,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of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the points of researchers, schools, and research societies, respectively.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적연구] 근거이론 Methods (in the original articles) (국문문헌) (0) | 2016.06.02 |
---|---|
정신간호학 분야의 질적 연구논문분석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4) (0) | 2016.05.30 |
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정의 탐색* (정부학연구, 2009) (2) | 2016.05.26 |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교육과정연구, 2006) (0) | 2016.05.26 |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2004) (0) | 2016.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