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정의 탐색* (정부학연구, 2009)
1)박석희**・남지원***
Ⅰ. 머리말: 해석적 접근이 왜 중요한가?
따라서 현대 행정에 있어서 가장 시급한 것 은 공익적 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시민참여의 증진이라고 할 수 있다 (Gawthrop, 2002; Box, 1998; Denhardt and Denhardt, 2003; Kettl, 2002). 따라서 행정은 시민사회의 맥락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들의 광범위한 참여와 상호작용 속에서 수 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행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해석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Ⅱ. 해석적 연구의 포괄적 접근
1. 해석학 연구의 의의와 본 연구에서 “해석”의 의미
해석적 연구 는 텍스트, 즉 언어와 담론에 관심을 두고(윤견수, 2008: 187), 문장과 언어에 담겨 있 는 일정한 주제(theme or thematic category)1)를 발견하고 해석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이러한 주제를 복수의 연구참여자들이 갖고 있는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코드화한 다. 이러한 맥락에서 Gadamer는 해석적 이해는 해석자와 텍스트 사이의 대화의 결 과로 나타나는 합의 또는 ‘의견의 일치’로써 지평의 융합(fusion of horizons)으로 부 르고 있다(오명호, 1995; 조용환, 2008)
Denzin and Lincoln(1998)은 질적 연구의 세 가지 해석적 패러다임으로 구성주의적 해석론(constructivist-interpretive), 비판론(criticism), 페미니즘(feminism)을 강조하였고, Newman (2003)은 세 가지 질적 패러다임으로 실증주의, 해석론, 비판론을 지적하였 다. 각각의 패러다임은 실체와 개인의 본성(존재론), 이론의 유형(방법론), 무엇이 지식을 형성(constitute)하는지에 관한 입장(인식론)에 있어 차별화된 특성을 보인다.
3) 해석적 연구의 가치는 그것이 복제될 수 있느냐(replicable)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독특한 (unique) 주제에 대해 그것이 우리에게 본질적 지식을 더해줄 수 있느냐에 있다.
2. 이론, 연구방법, 방법론과 인식론
전통적으로 양적 연구를 통해 획득된 자료는 경성이며 과학적인 것이고, 일반화 가능하고 대표성 있는 것(representative)으로 간주된 반면, 질적 연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연성이며 주관적이고, 표상적이며2) 혹은 구성된 것(constructed)으로 간주되 었다.3) 그렇지만 해석적 이론에 의하면 지식은 사회적 실체에 관한 다양한 관점에 서 형성되며, 사회적 실체의 상이한 측면들을 해석의 과정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창 출될 수 있다. 특히 해석적 접근은 특정의 이론적 관점을 배척하기보다 다양한 이론적 전통들을 포괄함으로써 복잡한 사회 현상 속 에서 더욱 풍부한 지식을 창출하고자 한다.
해석 적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 이론을 창출하고, 형성하며, 정교화하는데 있기 때문에 해 석적 연구 수행에 있어 이론은 매우 중요하다. 해석적 연구자는 단지 이론을 사용하 는 것이 아니라 이론을 창조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연역적 방법을 강조하는 양적 연구와 달리 해석적 연구는 귀납적 접근을 강조하기 때문에 필드에 바탕을 둔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도 맞닿아 있다.
요컨대 방법론(methodology)은 일정한 인식론적 토대를 전제로 이론(theory)과 연 구방법(method)을 연결 짓는 가교역할을 수행한다. 즉, 각 연구자가 취하는 연구방 법론은 논리실증주의 혹은 해석학적 인식론 기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인 식론적 기반에 따라 비판이론, 현상학, 해석학, 실증주의, 후기실증주의 등의 이론 적 입장과 연구방법이 상이하게 영향을 받는다. 즉, 방법론은 이론, 방법, 인식론의 통합적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다. 방법론은 연구과정을 통해 전략적이지만 가변적 인 지침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이론과 방법을 통합한다. 가변적이라는 개념은 연 구자의 인식론적 신념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연구수행 중에 방법론이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석적 연구는 연구가 수행되는 맥락에 의존적이기 때문 에 연구방법론의 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1> 해석적 연구에서 이론과 연구방법의 가교로서 방법론의 위상
3. 해석적 인식론의 의의
해석적 연구는 왜 사회적 실체가 그렇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일반화를 지향하는 인과모형적 설명보다 대체로 사회적 실체가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관심 을 갖는다. 또한 양적 연구에서는 보편적 시스템으로부터 인과모형적 설명에 의한 복제를 강조하는 반면 해석적 연구에서는 개별 행위자들 혹은 그들 간의 의미작용 에 관심을 둔다. 실증주의 혹은 후기실증주의에서 강조하는 객관적 인식론은 연구 자가 파악할 수 있는 사회적 실체는 연구과정과 독립해서 존재하며,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지식발견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실증주의적 인식론은 연구자와 분리돼서 존재하며, 객관적이고 가치중립적 연구자에 의해 객관적인 복제가능한 방법을 통해 설명될 수 있는 객관적 실체가 존재한다고 본다(Burrell & Morgan, 1979; Creswell, 1994; Rubin & Rubin, 1995; Schutt, 1999; Brower et al., 2000 재인용). 이에 의하 면 사회적 실체는 객관적이며, 가치중립적 연구자에 의해 경험적으로 연구되고 검 증될 수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는 물론 연구자도 연구의 복제를 위해 쉽게 대체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반해 해석적 연구방법은 전체주의적 접근법(holistic approach)을 취하며, 의 미창출과 해석을 통한 이론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실증주의와는 다른 인식론적 기반을 갖는다. 해석적 연구는 탐색적 지식, 기술적(記述的) 지식 창출을 모두 목적 으로 할 수 있고, 사회적 실체에 대한 유일한 인과모델의 중요성을 배척한다. 해석 적 연구는 오히려 연구주제의 선정부터 연구결과의 기술에 이르기까지 연구의 전 과정이 보여주는 전체적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해석적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체의 본성을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결국 해석적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체에 관해 주관성이 아닌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접근 한다.
물론 해석적 관점을 강조하는 연구라고 해도 사회적 실체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 해서는 연구자의 인식론적 지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논의가 있으며(Gergen, 2007),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석적 연구들이 공 통으로 지향하는 해석적 인식론은 최소한 사회적 실체가 상호주관적 이해와 해석 의 과정을 통해 구성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인식을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해석적 연구가 해석적 인식론에 기초하여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실 체를 가정한다는 점에서 연구문제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문제는 연구를 통 해 밝히고자 하는 사회적 실체의 본성에 관한 질문이기 때문이다. 연구문제의 선정 은 연구방법의 유형을 결정지으며, 반대로 특정한 연구방법의 선호가 연구문제 선 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Ⅲ. 해석적 연구과정의 전략
1. 해석적 연구의 엄격성 확보방안
1)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의 문제
해석적 연구에서의 타당성은 연구의 엄격성(rigorousness) 확보 정도를 포괄적으 로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해석적 연구는 사회적 실체를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 기 때문에(Meyer & Rowan, 1977; Granovetter, 1985; Weick, 1993), 객관적 실체와의 일 치성(correspondency)으로서의 타당성 개념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이란 ‘진실로 우리가 무엇을 의미 하는가’를 의미한다. 즉, 해석적 연구에서 는 기존 논리실증주의가 강조한 내용타당성, 기준타당성, 구성개념타당성 등과는 차별화된 의미로 타당성 개념에 접근해야 한다. 해석적 연구는 경쟁적 주장이나 해 석에 대해 어떠한 연구자의 발견을 주관화하는 형태, 그리고 독자들에게 연구자의 특정한 지식에 대한 강한 논변을 제공하는 형태를 취한다.4)
Kvale(1996)는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의 기준으로 연구전문가로서의 타당성 (validity as craftsmanship), 의사소통적 타당성(communicative validity), 실천적 타당성 (pragmatic validity)을 지적하였다.
한편 전통적 실증주의에서 신뢰성은 반복측정의 일관성을 의미하는 반면, 해석 적 연구에서 신뢰성은 크게 내적 일관성과 외적 일관성 개념에서 접근할 수 있다 (Neuman, 2003).
2) 타당성 확보수단으로서의 방법론적 다각화
해석적 연구에서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종 방법론적 다각화 (triangulation)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몇 가지 차원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첫째, 연구 방법의 통합(methods triangulation)을 채택할 수 있다. 두 가지 연구방법이 동일한 결 과를 가져다준다면 이는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양적 연 구방법(설문조사)과 질적 연구방법(면접)을 통합할 수도 있다.
-
둘째, 동일한 연구문 제에 대해 이론적 통합(theoretical triangulation)을 채택할 수도 있다.
-
셋째, 동일한 연 구 내에서 다양한 자료원천을 사용하는 자료통합(data triangulation)을 채택할 수도 있다.
-
넷째, 동일한 현상을 연구하는 다양한 연구자를 채택하는 연구자 통합 (investigator triangulation)을 활용할 수도 있다.
다만 해석적 연구에서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특정한 실체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독자들로부터 연구자 들이 옳은 길을 가고 있다는 신뢰를 확보해 나가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석적 연구는 객관주의 인식론이 강조하는 개념으로서의 진실(truth)보다 는 연구자, 연구대상집단 및 독자들 간에 형성되는 신빙성(trustworthiness)을 강조한 다. 이로 인해 해석적 연구에서는 연구자 편이(researcher bias), 측정편이(measurement bias) 등이 타당성을 위협하는 요인이라고 하더라도 이것을 명확하게 측정하거나 통제하고자 하지 않는다. 해석적 연구결과를 평가하는 명확한 기준을 찾는 것은 연 구과정에 대한 실증주의적 모형으로의 귀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 해석적 연구에서 연구대상 선정
해석적 연구는 작은 표본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즉, 해석적 연구 는 연구대상이 그들의 주어진 사회적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와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며, 반드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목 적 달성을 위해 해석적 연구에서 자주 활용되는 연구대상 선정방법(sampling)으로 목적표출(purposive sampling) 판단표출(judgement sampling), 혹은 눈덩이표출 (snowballing), 이론표출(theoretical sampling) 등이 활용되고 있다.
-
첫째, 목적표출과 판단표출은 연구자가 특정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대상을 주관적 판단을 통해 선정하는 것으로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고려뿐 아니라 특정한 연구문제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 경우에 따라 연구자는 연구대상 들이 갖는 특성이 연구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 층화목적표출을 채택하기도 한다.
-
둘째, 일정한 논리적 계획 등에 근거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우연표출 혹은 편의표출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연구대상선정방법은 아니다.
-
셋째, 질적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은 이론표출로서 이는 근거이론접근법의 한 부분으로 자주 활용되는데 이는 이론형성을 위한 자료수집의 과정을 의미한다 (Glaser and Strauss, 1967).
만약 다른 표본을 통해서도 똑같은 결론에 도달하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이는 ‘이론적 포화(theoretical saturation)’ 상태를 의미하며, 따라서 연구자는 새로운 각도에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집 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게 된다. Morse(1995)에 의하면 이론적 포화는 이론표출 을 통해 가장 빨리 달성될 수 있고, 누적표출과 편의표출에 의해서는 느리게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무작위표출에 의해서는 표본이 이론적으로 전혀 적합하지 않고, 연구대상이 적적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이론적 포화가 달성되기 어렵다.
특히 해석적 연구에서 연구윤리는 연구결과의 신 빙성과 타당성과 관련해서 매우 중요하다. 즉, 해석적 연구에 있어 연구문제의 선 정, 연구설계와 연구대상 선정방법, 연구자의 연구대상에 대한 태도 등에 있어 연구 자가 어떠한 윤리적 입장을 취하는가는 연구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연구결과 의 분석과 해석, 최종 연구결과의 발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6)
연구윤리와 관련해서 연구대상자들에게 관련정보를 제공하고 수락을 받는 과정 (informed consent)이 필요하다.
3. 해석적 연구의 과정
일반적으로 해석적 연구과정에서 질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다음과 같은 단계 를 거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지만, 단일의 최선의 방법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첫 째, 자료준비단계는 자료의 필사(transcribing) 단계로서 연구자는 다양한 연구방법 (심층면접, 핵심집단면접 등)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문자화된 형태로 정리하고, 이 를 주의 깊게 읽어보면서 관련 오류를 수정할 수도 있다. 해석적 입장에서 보면 필 사단계에서 연구자가 자료를 어떤 형태로 혹은 어느 정도까지 정리할 것인지는 연 구자의 이론적 입장과 연구질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연구대상과 긴밀한 상호작 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자료탐색 및 자료축소(data reduction)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탐색단계 에서 연구자는 각종 문자, 시각, 청각자료를 분석하며, 핵심적인 내용 등을 요약하 여 문자, 도표, 그래프 형태 등의 메모를 작성하면서 코드화 작업을 하게 된다. 자료 의 코딩과 분석은 주로 근거이론접근7)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자료수집과 동시에 개방형 코딩을 통해 분석과정을 시작하는데, 메모작성을 통해 코드를 범주 혹은 개념의 수준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8) 근거이론접근에 의한 분석은 한 줄 한 줄 주의 깊게 읽어 가면서 각 줄, 문장, 단락에 대한 코딩과 메모작성을 통해 핵심적인 범주나 개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작성한 코드는 기술적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해석적일 수도 있다. 자료에 대한 1차 코딩이 이루어지고 나면, 2차적으로 심화된 코딩작업이 이루어지며, 심화코딩을 통해 개념형성과 구체화가 이루어진 다. 즉, 심화코딩에서는 단순히 자료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아니라 분석적 범주화 (analytical category)를 요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론적 구성을 시작하게 된다.
7) 근거이론은 Glaser and Strauss(1967)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질적 자료로부터 의미를 추출하는 전 략을 제공해 준다. 근거이론접근은 자료수집에서 시작해서 자료에 근거를 두거나 자료로부터 생성되는 이론으로 종료되는데, 이러한 분석과정이 상호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근거이론 접근은 담화분석(narrative analysis), 담론분석(discourse analysis) 등 여러 분석전략의 한 유형일 뿐 유일한 질적 자료 분석방법은 아니다.
8) 코딩은 메모작성과 함께 근거이론접근(grounded theory)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로서 코딩은 질 적 자료의 각 단락의 핵심주제, 패턴, 관념, 개념 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주로 채택하 는 분석전략이다.
셋째, 자료해석단계에서는 코딩과 메모작성을 통해 도출된 질적 자료의 핵심개 념, 주제들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그런데 해석적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과 해석이 구별되는 것은 아니며,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진다. 특히 메모작성이 질적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연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자료 의 해석에 있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역학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질적 자료의 해석에 있어 타당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된다. 결과해석 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가 확실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도덕적 흠결 없이 연구결과를 발견했는지, 연구결과가 연구참여자나 연구가 수행된 사회적 맥락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점검하고, 자료해석으로부터 이론화를 시도하고, 반대사 례를 찾아보고, 연구결과 해석에 대해 합법적인 지식인들 간에 허심탄회하게 논의 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신뢰성과 관련해서도 내적 일관성과 외적 일관성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넷째, 원고작성단계로서 질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지고 나면 혹은 분석 및 해석과 동시에 원고를 작성하게 된다. 여기에는 실증주의적 관점과 비실증 주의적 관점이 대립된다. 연구자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 실재가 연구자 밖에 존재한 다고 가정하는 실증주의 관점에서는 전통적으로 공식화된 글씨기가 강조되는 반 면, 포스트모더니즘을 토대로 하는 비실증주의 관점에서는 연구발견을 표출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즉, 극장공연과 같이 예술과 인문으로부터 글쓰기 장르를 차용 하면서, ‘공연과 같은 글쓰기(performative style)’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적 글쓰기와 전통적 글쓰기가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며, 연구과정에서 상호 활용되기도 한다.
요컨대 <그림 2>와 같이 해석적 연구에서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은 코딩과 메모작성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선형이 아니라 상호적(dialectic)이며, 순 환적 과정을 통해 역동적으로 이루어진다(Agar, 1980: 양적 연구과정에서 가설은 반박과 대안가설을 통해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해석적 연구설계는 인식론과 방법론 간에 긴밀한 연결을 강 조하며 가설설정, 자료수집, 자료해석, 결론도출 등이 일방향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으로 혹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거친다. 해석적 연구는 ‘분 석적 귀납화(analytical induction)’를 통한 이론형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자료 를 수집함과 동시에 그것을 해석하고 광범위한 관념들을 검증하고, 다시 추가자료 를 수집한다.
Ⅳ. 해석적 관점을 적용한 근거이론 분석
1. 근거이론의 의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은 해석적 관점에 입각한 질적 분석기법의 하나로 새로 운 영역을 탐구하여 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귀납적 방법이라는 특징이 있다(Lofland and Lofland, 1995; 권선필, 2006). 즉, 근거이론은 논리적으로 추론된 이론과 달리 경 험적 자료에 근거한 이론 개발이라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명명된 이름이다(이경우, 2000; 남지원, 2008: 102). 이는 관련 행위자들의 일상생활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발 견하게 하고, 사회적 구조와 개인행태 간 관계를 밝히며,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연구참여자로부터 도출된 관찰된 자료에 내재된 일정한 패턴, 주제나 공통의 범주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된다(Glaser and Strauss, 1967; Strauss and Corbin, 1990; Charmaz, 2006)9). 요컨대, 근거이론의 핵심은 연구대상에 대해 이론적 틀을 부여하 기보다 주어진 맥락과 자료로부터 이론을 도출하는데 있다. 질적 분석을 많이 시도하는 윤견수(2008: 182)는 “질적 연구의 스펙트럼을 주관성이 강한 연구와 객관성을 지향하는 연구의 양극으로 나누었을 때, 현상학이 주관적 연 구를 대변한다면, 근거이론은 객관성을 지향하는 연구”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질적 연구방법에 비해 근거이론이 비교적 객관적이라고 할 만한 규준이나 절차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행동 의 의미를 당시의 상황과 시간적인 맥락 안에서 해석해야 하는 것은 물론, 문제 상 황이 어느 정도의 인접성(proximity)과 직접성(directness)을 가지고10) 행위자에게 의 미가 전달되었는지, 그리고 그 의미가 행위자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연구자는 분명하고, 체계적이며 유기적으로 진술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행위자의 행동의 상황 타당화 과정에 대하여 <그림 3>과 같이 모형화할 수 있다.
<그림 3>과 같이 행위자가 문제 상황을 해석하는 것과 그 해석 작용을 바탕으로 어떤 행동이 유발되는지를 나타낸다면 이는 연구자의 모멘트에서도 마찬가지로 적 용될 수 있다. 즉, 자료가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전적으로 연구자의 맥락에 따라 다 른 의미를 띠게 된다. 즉,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2. 근거이론의 유형과 절차
Glaser & Strauss(1967)와 Strauss & Corbin(1998)에 의거하여 윤견수(2008: 182)는 근 거이론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고 밝히고 있다.
-
첫째, 연구자는 연구대 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현장에 직접 뛰어 들어 자료를 수집한다.
-
둘째, 자료수집 은 한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가 끝나는 시점까지 계속된다. 즉, 해석적 연 구에서 자료의 수집, 분석 및 해석은 상호적이며, 순환적 과정을 통해 역동적으로 이루어진다.
-
셋째, 자료와 개념, 개념과 이론, 이론과 자료가 지속적으로 연관되고 수정되어야 한다(iteration between data and theory).
-
넷째,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바탕 으로 개념화를 시도하고, 개념들을 묶어주는 범주를 만들며, 범주들 간의 관계를 설 정한 후 핵심개념(혹은 중심현상)을 발견하며, 그 핵심개념을 다시 다른 개념이나 범주들과 연결시키면서 이론화를 시도하는 노력을 더 이상 할 필요가 없는 수준 (saturation point)까지 수행한다.
Strauss and Corbin(1998)에 의하면 질적 자료의 코딩과정은 3단계, 즉 개방(open) 코딩, 축(axial) 코딩, 선택(selective) 코딩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3단계 코딩과정이 곧 근거이론 방법의 분석절차이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진술을 가 능한 한 모든 의미들을 명명(label)하게 되는데, 예컨대, 특히 연구 초기단계에서 대 부분 사용하는 ‘행분석(line-by-line)’과 같은 방식을 개방코딩이라고 한다(남지원, 2008). 바꿔서 말하면, 개방코딩이란, 관찰한 현상 (혹은 그것을 기록한 텍스트)에서 개념을 만들어내고, 이를 발전시켜 포괄적 개념들로 범주화하고 동시에 이름을 붙이는 작업이다(윤견수, 2008).
둘째, 개념들이 나타내는 현상의 범주화 작업을 ’왜, 누가, 언제, 어떻게, 어디서 했는지‘를 나타내주는 하위범주(subcategory)를 연결지어줌으로써 범주와 하위범주 를 재구성하여 조건, 반응, 행동, 전략, 결과 등의 요소를 가지고 중심범주 설명구조 로 발전시켜 나가게 되는데, 이는 행동이나 사건이 실제 어떻게(how) 일어났는지 과정(process)을 기술하고, 왜(why) 그 사건이 일어나서 어떤 구조(structure)로 행위 자의 행동을 유발하는지를 하나의 범주의 축을 중심으로 도식화(diagramming)하는 것이기 때문에 축코딩이라고 한다(남지원, 2008).
마지막으로 이렇게 구축된 하나 의 패러다임에 새롭게 자료를 대입시켜보고, 설명을 시도하고 다시 연결하고 분류 해보는 등 새 자료와 구축된 이론 간의 재확인 과정을 선택코딩이라고 한다.
<그림 4> 해석적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 및 해석절차
기획논문 「정부학연구」 제15권 제1호(2009): 215~245 원고투고일: 2009. 4. 06
원고수정일: 2009. 4. 10
게재확정일: 2009. 4. 17
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정의 탐색*
1)박석희**・남지원***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의 맥락에서 수행되는 행정적 활동은 다양한 행위자들의 광범위한 참여
와 상호작용 속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복잡한 맥락을 지닌 행정현상을 정확히 이해하
기 위해서는 해석적 관점의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
정에 대해 탐색하였다. 먼저 논리실증주의를 비판하면서 반실증주의적 인식론에 토대를 두는
해석적 연구방법의 이론적 배경, 특징과 장점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해석적 연구방
법론이 채택하고 있는 연구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고, 해석적 연구방법을 통해 획
득된 질적 자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질적 자료는 기본적으로 표상
(representation)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할 수 있고, 자료의 해석과 자료의 수집과정이
단선적이기보다 역동적 무도(dynamic dance)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해석적
관점을 적용하는 분석기법 중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근거이론접근은 질적
자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행정현상에 대한 연구에 있어 해석적 연구과
정을 접목시킬 수 있는 접점을 찾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제어: 해석적 연구, 반실증주의, 근거이론접근, 질적 연구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간호학 분야의 질적 연구논문분석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4) (0) | 2016.05.30 |
---|---|
관광분야 연구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탐색적 분석 및 제언 (관광학연구, 2012) (2) | 2016.05.30 |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교육과정연구, 2006) (0) | 2016.05.26 |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2004) (0) | 2016.05.26 |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1999) (0) | 2016.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