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교육과정연구, 2006)
조 재 식 (University of Wyoming)
허 창 수 (인하대학교)
김 영 천 (진주교육대학교)
I. 서 론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 철학적으로 성격이 전혀 다른 구체적 현상의 이해가 목적이므로 타당도란 개념 자체가 무의 미하다는 입장도 있었지만(Smith, 1984),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에 대한 지적 관심과 학술적 탐구는 꾸준히 증대되어왔다. 구체적으로 말하여, 실재와 연구자의 해석과의 관계에 대한 철 학적/존재론적/인식론적 의미(매theide & Johnson, 1998; Kavale, 1989, 1995; R않son & Rowan, 1981; Smith & 2000), Coffey & Delamont, 2003; [놨mer, 상황 해석의 적절성(At때JSOn, Hammersley, 1990), 의미 구성의 해체적 접근(Sche뻐ch, 1996), 필수적으로 밟아야할 절차들 (Creswell & Mill하, 2α)(); Eise따iart & Howe, 1992; Maxwell, 1992, 1996, 2α)4; Wolcott, 1잊)()), 연구 패러다임간의 통합적 접근(α10 & Trent, 2뼈, in m짧) 둥 다양한 이론 및 실제적 접근 들과 해석 체계들이 학회나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혁규(2뼈)의 논문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에서처럼 질적 연구의 특정 타당도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는 연구들도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김영천(2α)6)이 우리나라의 문화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여 매우 폭넓은 타당도 개념들을 새롭게 소개한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아울러 김영천 • 정정훈 • 이영민(2006)의 작 품에서 타당도의 개념이 현장 작업 과정을 중심으로 논의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질적 연구의 학문적 발달과 성숙에 맞추어 1980년대 중엽에 학계에 소개되어 이제는 하나의 규준이 되어 버린 링컨파 구바의 전통적인 질적 타당도 개념과 뒤이어 이를 수 정한 타당도 개념을 각각 첫째와 둘째로 살펴본다.
II . 양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첫째, 일반적인 용어로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소개한 후, 둘째, 처치가 과연 유효하 게 적용되었는가를 따져보는 내적 타당도를 그리고 셋째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결정짓는 외적 타당도를 설명하고자 한다.
1. 타당도와 신뢰도
신뢰도는 자료 수집과 결과가 얼마만큼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통계적 판단 이며, 이런 신뢰도에 바탕을 두어 타당도는 사전에 의도한 것을 실제로 측정하였는가를 따 져보는 논리적이고 추론적인 판단 행위이다I).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 타당도 문제는 신뢰성 이 충분하면서 타당한 자료 수집을 방해할 잠재적이고 가능한 요소들(threats)을 사전에 얼마 만큼 예측하여 제거하였는가에 달려있다.
2. 내적 타당도
캠벨과 스댄리(Campbell & Stanley, 1963)는 앞 절에서 설명한 타당도의 개념을 실험 연구 를 통하여 자세히 예를 들었다.
〈표 1 > 내적 타당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Campbell & Stanley, 1963: 5-6)
얻은 결과가 독립 변인 혹은 처치의 ‘직 접적 효과’로만 발생한 것인가 묻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의도한 것을 얻기는 얻었는데, 연 구자의 고의성이 있었던 없었던, 그 결과가 다른 요소(들)로 인해서 발생한 것이라면 우리는 그 결과를 타당한 것이라고 받아들일 수 없다.
3. 외적 타당도
앞 절의 내적 타당도 논의가 연구 결과의 효과 자체가 과연 인위적인 실험처치로 인해서 발생한 것을 묻는 것이었다면 외적 타당도 논의는 연구 결과를 어느 집단, 장소, 처치 변인, 그리고 측정 변인에게 일반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성태제, 2002: 18-19).
III . 질적 연구의 타당도
질적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바탕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타당도에 대한 논의 역시 매우 다양하다. 그러한 점에서 양적연구에 서의 합의된 타당도 보다는 상당히 다양한 형태의 타당도들이 개념화되어 왔고 논의되고 있 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질적 연구에서는 각각 의 이론적 배경에 따라 그 타당도 또한 개념과 의미가 다르게 사용되며 검증하기 위한 준거 또한 다양하다는 것이다.
@ 전 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
@ 수정된 전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
@ 후기구조주의적 타 당도,
@ 혼합방법론,
@ 최근의 다양한 접근들이 그들이다.
1. 전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 (링컨과 구바의 타당도 I)
링컨과 구바은 1985년 「자연주의적 탐구(Naturalistic lnq빠y)」라는 저서를 출간한다.
〈표 2) 실증주의자와 자연주의자의 원칙(Lincoln & Guba, 1985: 37)
링컨과 구바는 위와 같은 자연주의자들의 기본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자연주의적 탐구 를 정의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Lincoln & Guba, 1985: 37-38).
-
@ 존재론적 입장에서 자연주의적 탐구는 하나의 방법론적 실행으로 실재 (realities) 들이 각 각 독립적인 존재들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관계 속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구성 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재들에 대한 탐구는 복잡한 관계로 인해 필수 불가 결하게 다양한 형태를 보일 것이며,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통제와 예측이 달성될 수는 있지만, 완벽하게 산출되기는 불가능하다.
-
@ 인식론적 입장에서 연구자와 연구 대상과는 서로 분리될 수 없으므로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연구자가 성취하려는 연구 목적은 연구 대상에 대한 지식을 표현하기보다는 상호작용 속에서 실체를 다양한 형태의 지식으로 표현 및 발전 시키기 위함이다.
-
@ 가치론과 방법론적 입장에서 연구는 가치 내재적이다. 이러한 제효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연구자의 가치, 선택되는 이론적 배경, 자료 선택에 대한 이론적 방법, 맥 락적 가치 등이다. 이러한 제한들은 연구 과정에 있어서 서로 조합되기도 또는 갈등의 과정을 겪기도 하며, 이 과정의 연구는 결국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과 함께 링컨과 구바는 자연주의적 탐구의 특정을 자연적 장소와 시간 (natural setting), 연구 도구로서의 사람(the human as ins뻐ment),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 질적 방법(qi빼빼ve meth,때s), 의도된 표본(purposive sampling), 귀납적 자료 분석(뼈uctive data 빼ysis), 근거이론(gr뼈1ded m뼈y), 점진적 설계(emerg잉lt d않ign), 협의된 산출물(negotiated outcomes), 사례 보고(the ca똥 report), 내부자적 해석(idiographic interpretation), 가정적 적용 (tentative application), 초점 결정적 경계(focus『det해뻐1ed boun없ries), 진실성( trustwortl피iess)둥 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 중에서 링컨과 구바는 진실성이라는 용어로서 질적 연구 에서의 타당도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자연주의적 탐구에서의 진실성에 대한 검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중심으로 구성된다{Lincoln & Guba, 1985: 218).
-
@ 특정 대상자와 맥락을 위한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의 진실에 대한 확신에 대해서 연구 자가 설계를 어떻게 할 수 있을까?
-
@ 연구의 결과들이 다른 맥락과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한 정도를 연구자가 어떻게 결정할 수있을까?
-
@ 연구 대상이 같은 또는 유사한 맥락에서의 대상자로 대체된다면 현재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이 일관적으로 반복될 것인가에 대해서 연구자가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
-
@ 연구의 결과들이 연구자의 경향, 동기, 관심, 관점들로부터가 아닌 연구 대상자와 대상 맥락 의 성격으로부터 얻어지도록 연구자가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기 위하여 이들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실증주 의적 연구의 내적 타당도 위치에 신용성(credibility), 외적 타당도에 전이성(transferability), 신 뢰도에 의존성( dependability), 그리고 객관성에 확실성(confirmability)이라는 개념으로 대치하 였다.
첫 번째로 신용성에 대해서는 다섯 가지 방법이 있다Lincoln & Guba, 1985: 301-316).
-
@ 신용 있는 결과가 산출되도록 가능성의 증가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 이를 위해 장기간 지 속적인 종사, 지속적인 관찰, 그리고 삼각검증법을 예시하고 있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해석적 시각 및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연구를 방 법적 조건으로 하고 있다.
-
@ 동료 검증(peer debriefing) 의 사용 - 연구자의 개인적 선호와 성향을 제거하기 위한 작 업으로 연구 주제에 익축하거나 그렇지 않은 동료들과 함께 연구 중 떠오르는 주제들을 함께 토론하는 지리를 자주 갖는 것이다.
-
@ 반증 사례 분석 (negative case analysis) 이것의 의미는 완벽한 귀납적 방법의 달성을 위한 방법으로 연구의 대상인 모든 사례를 포함할 수 있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가정 의 도출을 요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오류들을 포함할 수 있는 가정의 재구성 작업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
@ 참조 자료의 보관(referential adequacy) - 자료 수집에 있어서 적합한 자료의 관리를 지 적 하는 것이다. 음성 녹취 및 비디오 복화한 자료들의 원상태로 보관하여 필요시 심사 자에게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
@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검증 (member checking) 다양한 실체의 존재를 받아들이 는 자연주의적 탐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자가 수집하고 해석한 자료의 내용들을 검토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자연주의적 탐구의 진실성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두 번째 방법은 전이성이다. 가장 대 표적인 방법은 심층적인 기술(thick description) 이라고 할 수 있다. 주어진 시간과 맥락 안에 서 가능한 깊이 있는 자세한 묘사를 통해 그것으로부터 나타날 수 있는 적용의 가능성을 높 인다는 것이다.
진실성 요구의 만족을 위한 세 번째 방법은 의존성이다. 이를 위해서 링컨과 구바는 네 가지의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 신용성에 대한 재검증 과정으로서
-
첫 번째는 완 벽한 신용성의 형성이다. 철저한 신용성의 검사는 결국 의존성의 필요성을 제거한다는 것이 다.
-
두 번째는 신용성에서도 지적했듯이 다양한 삼각검증법의 사용이다.
-
세 번째로는 동료 검사의 일환으로서 다양한 탐구목적의 질문을 형성하고 이들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
네 번째로 제시된 의존성에 대한 기술은 탐구의 감사라 하겠다. 이에 대한 검증 기술로는 두 가지가 제시되고 있는데
-
첫째로는 모아진 자료와 해석에 대한 정당성(f:빠ness) 여부의 확인 이다. 이는 회사의 감사 작업과 일치하는 것으로 한 회사의 감사는 그 회사의 발전적인 방 향을 가지고 수행되는 것으로 자료의 진실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당성에 대한 질문에 답변 을 하는 작업이다.
-
두 번째로는 자료에 대한 다양한 가정을 통해 모든 기준들에 대한 정당 성의 구성과 함께 모든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신중히 고려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었다. 결국 이러한 작업들은 신용성에서 무심코 제외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이중 검토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자연주의적 탐구의 진실성 요구에 만족하는 네 번째 기준은 확실성이다. 앞서 제시한 의 존성의 작업과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구바와 링컨(Guba & Lincoln, 1981)의 삼각검증법과 지속적인 연구 반성일지 작성을 추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네 가지 방법들이 링컨과 구바가 제시하고 있는 자연주의적 탐구로서의 타당도 전략이다.
2. 수정된 전통적인 질적 연구의 타당도(링컨과 구바의 타당도 II)
구바와 링컨은 자연주의적 탐구로부터 발전된 연구 평가의 다음 작품으로 1989년 r 제4세 대 평가(Fourth Gen앉ation Ev머uation)」라는 저서를 출간한다. 이 책에서 구바와 링컨 은 1985년 제시하였던 자연주의적 탐구에서의 네 가지 진실성 요구를 질적 연구 또는 제4세 대 평가에 적합한 타당도 요구로 확장한다. 이러한 확장을 구바와 링컨은 세 부분으로 나누 어 설명하고 있는데, 첫 번째 평행적 준거와 두 번째 해석학적 과정의 비판, 그리고 이 둘과 함께 보완된 모텔인 세 번째 진정성(authenticity) 준거를 제안하고 있다.
가.평행적 준거
주요 관점은 실증주의 적 연구가 가지고 있는 타당도에 대한 준거들을 질적 연구로 평행이동 시키려 시도했다는 것이다.
〈표 3) 앙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타당도 평행적 준거 비교
나. 해석학적 과정
구바와 링컨이 두 번째로 주장하고 있는 타당도 기준은 방법적 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해 석학적 과정이다. 이는 연구 진행 중 인위적으로 타당도가 요구하는 기준들을 모두 만족시 킨다는 것으로 해석학적 연구 방법의 이용을 제안하고 었다. 이 해석학적 과정 또한 자연주 의적 탐구의 패러다임과 근본적으로는 일치하며, 탐구 과정 속에 갈둥과 조합을 통한 의미 있는 결과의 산출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은 해석학적이고 변증법적인 순환(H빼l앉eutic 뼈ectic circle) 이 이와 같은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결국 위의 그림이 보여주는 것은 끝엄 없이 반복되며 얻어지는 자료들과의 지속적인 의미 구성으로서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과 그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 진정성 준거
세 번째로 제시되고 있는 진정성 준거를 바로 구바와 링컨이 제4세대 평가에 가장 적합 한 타당도 기준으로 주장하고 있다. 구바와 링컨은 평행적 기준들은 아직 실증주의적 근거 를 버리지 못하고 그에 맞추려는 의도라고 비판하였으며, 해석학적 과정은 그 방법적인 과 정들이 얼마나 올바른 것일까라는 질문에 대해 명확히 답하기 어렵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구바와 링컨은 이러한 자기반성 및 이론적 비판과 함께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진정성 요구를 가장 적합한 타당도 기준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들이 주장하고 있는 진정성에 의한 기준은
-
공정성(f:빠ness),
-
존재론적 진정성(ontologic외 authenticity),
-
교육적 진정성 (educative authentic띠),
-
촉매적 진정성(catalytic authenticity),
-
전술적 진정성(tactical authenticity) 이 다.
공정성이란 연구를 통하여 수집된 결과가 모든 해당자들에 만족될 수 있는 의미로 구성 되도록 노력하는 방법적인 단계를 말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과정으로서 구바와 링컨은 두 단계를 주장한다.
-
첫 번째 단계는 연구에 관련된 모든 가능한 관련자들을 포함함과 동시에 그 그룹 안에서 구성되는 의미를 구성하려고 노력하는 방법이다.
-
두 번째 는 협약(negotiation)의 과정이다. 이 협약의 성격을 구바와 링컨은 여섯 가지 과정으로 설명 하고 있다.
-
첫째, 공개적이어야 한다.
-
둘째, 동둥한 기술과 함께 진행 되어야한다.
-
셋째, 동등 한 권력을 지닌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넷째, 똑같은 양의 정보를 소유한 상태에서 이루 어져야 한다.
-
다섯째, 협약 그 자체는 관련성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
여섯째, 모든 일들은 모 두의 동의 아래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협약의 과정은 연구 방법적인 과정에서 연구 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이 공평한 관계에서 모두가 수긍하는 동의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참여자에 의한 변담 내용의 확인 과정(member checking)이 있는 데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해석이나 이해가 참여자의 의도와 차이를 보일 때에는 이에 대한 동둥한 입장에서 서로의 토론 과정을 통해 합의점에 이룬 후 그 자료를 사용해야한다.
존재론적 진정성이란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 진행 과정에서 참여자 자신들이 성장하고 자 신의 삶의 환경이 개선되고 이해의 폭이 정교화 되며 확장되는 것에 대한 증거들로부터 설 명되는 기준이다. 이러한 증거를 입증하기 위해서 구바와 링컨은 두 가지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
첫 번째는 연구 문제들에 대해서 참여자들의 새로운 또는 확장된 이해의 확인이다. 연 구 초기에는 이해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연구 과정 속에서 이해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구 바와 링컨은 중언이라고 표현하였다.
-
두 번째 기술적 방법은 사례에 대한 감사 과정이다. 다 시 말해서 과정에서 구성된 기록과 의미를 다른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결국 존재론적 진정성이란 연구에 참여하는 모두 주체에 대한 감사 과정을 통해 그 주체들이 성장하 는 증거의 목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면담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처음에 이해하지 못했던 상황들을 연구 중반쯤에서 ‘그랬구나!’와 같은 탄성과 함께 이해되기 시작하기도 하는 데, 이에 이어지는 내용에 대해서는 좀 더 정교해지고 성숙된 진술을 하게 되는 것을 질적 연구의 면담이나 이야기 수집 과정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들이 바로 존재론 적 진정성의 예이다. 또한 연구자도 연구 진행 중 감사 과정을 통해서 오류를 발견하게 되 고 개선해 가는 순간들이 자주 나타나는데 이 또한 존재론적 진성성의 다른 증거이다.
교육적 진정성이란 존재론적 진정성보다 발전된 과정으로서 단순히 개선되고 인식의 확장뿐 아니라 참여자들 외의 다른 주체들이나 상황들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인식을 가지게 되는 단계를 말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기술이 추천되고 있는데
-
존재론적 진정성에서 제시되었던 연구 참여자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뿐 아니라 다른 주체들에 대해서 도 평가를 통해 증언할 수 있는 과정을 말한다.
-
두 번째로는 감사 과정이 단순히 연구 참여 자들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해석학적 순환 과정에서처럼 확장된 감사 과정을 말한다.
즉, 교육적 진정성은 존재론적 진정성에서 주장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 그 주체에 대 한 개선을 넘어서 외부에 있는 다른 주체들에 대한 평가의 능력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젠더에 대한 주제에서 연구 참여자가 젠더라는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살아왔고 이 연구를 통해 보다 깊은 이해를 하게 되는 인식의 증거는 존재론적 진정성의 목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의 가족 등 주변 사람이나 사회에 대해서도 깊은 이해 와 평가를 하는 모습의 목격이 교육적 진정성의 증거이다.
촉매적 진정성과 전술적 진정성은 연구 과정에서 평가를 통해서 행동의 실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촉매적 진정성은 연구 과정 속에서 다루게 되는 문제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 및 평가와 함께 그 즉시 행동으로 옮기는 증거들의 목격을 말하며, 전술적 진정성이란 바로 행동의 실행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지닌 증거들 에 대한 목격으로부터 기준의 달성을 말할 수 있다.
구바와 링컨은 촉매적 진정성에 대한 기술로 세 가지를 제안하고 었다.
-
첫 번째는 존재론적 진정성에서 설명하고 있는 연구 참여 자의 자기증언과 함께 바로 행동으로 옮기거나 옮기기를 원함에 대한 확인을 말한다.
-
두 번 째는 협약의 과정을 통해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는 것을 말하며,
-
세 번째로는 일정 기간 동 안 체계적인 이해로부터 행동까지 진행되는 증거에 대한 목격이 그것이다. 이를테면 연구 참여자가 연구 초기에는 당연시 여겨왔던 행동들에 대해서 재평가를 하게 되고 바로 행동을 고쳐 가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젠더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서 참여하는 과정 속에 서 남성 참여자들이 집안일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면 이 것을 촉매적 진정성의 증거들로 여길 수 있다.
또한 전술적 진정성에 구바와 링컨은 세 가지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
첫 번째는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증언이 유도되는 것을 말한다.
-
두 번째는 자기증언에 따르는 것으로 다른 그룹에 대한 평가의 시도를 착수하는 과정의 증거이다.
-
세 번째로는 연구 참여자와 평가자가 유사해지는 것에 대한 증거로서 연구 평가에 대한 강화이다.
전술적 진정성의 증거에 대 한 목격은 결국 참여자들에 대한 적극적 연구 참여를 말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젠더에 대한 주제에서 전술적 진정성의 증거는 면담 참여자가 단순 가담자로서의 진술보다는 적극적 자 세와 함께 연구에 참여함으로서 경험에 대한 평가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3. 후기구조주의 타당도(레이더의 준거)
레이더는 1993년 “창의 력이 풍부한 망상; 후기구조주의 후의 타당도(F,얹ile obsession: Validity after poststruc따alism)” 라는 논문에서 진실이란 사람들에 의해 구성되어 재현되는 것으로 주장하며 권위 의 대항적 실행(counter-practices of authority)이라는 제목 하에 후기구조주의를 포함한 탈근대 주의 개념을 타당도와 접목시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
첫째는 보드 리야르U않n Ba뼈11따d)의 시율라크라의 개념과 아지”. Agee)와 이반(W. Ev:뻐)의 탈근대주의 텍스트로부터 형성된 시율라크라/반어적(ironic) 타당도이다.
-
둘째는 리오타르(J. Lyotard)의 탈 근대주의 조건 중에 하나로서 소개되는 배리(par때ogy)의 개념과 함께 제시되는 배리/신실용 적(neo-pragmatic) 타당도이다.
-
셋째는 데리대J. Derrida)의 엄밀성(rigour) 개념과 들레즈(G. Deleuze)와 가타리(F. Gua없ri)의 리좀(r피zom) 개념으로부터 주장되는 엄밀/리좀적 타당도이 다.
-
그리고 넷째는 이리가레α. Irag없y)의 여성적 개념으로부터 주장되는 여성적(v,이uptuous)/ 상황적(situated) 타당도이다. 이들은 모두 기존의 과학적 연구에서 요구하는 연구 타당도에 대한 대항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반어적타당도
이와 관련하여 검색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레이더는 다음 의 네 가지를 예로 들고 있다(1993: 685).
-
@ 언어의 불충분성 강조와 진실이 문제를 지적하는 의미적 효과의 생산을 부각시켰는가?
-
@ 현실의 당연한 인정에 저항하였는가? 표상의 문제성을 흔템 움직임을 보였는가? 참고자 와 탐구의 객체로서 창조의 간주 하에 암시적 긴장을 강조하였는가?
-
@ 표상의 위기를 하나의 연구 주제로 하는 연구 실행의 산출을 포함하는 형식을 분산, 순 환및 다산시켰는가?
-
@ 활용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분석 실행을 창조하였는가?
위의 질문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바로 표상 또는 대표성(repr,앓ntation)에 대한 저항적 실행이다.
나. 배리적 타당도
다음은 레이더가 제안하는 검토 기 준의 예이대1993: 686).
-
@ ‘풍부한 방해’ 찾기를 통해 다양성을 양산하였는가?
-
@ 통제 부호들을 해체했는가? 그러나 현존 형태의 가해성 안에서 아직 명료한가?
-
@ 정당함과 알려지지 않은 무엇인가가 요구되는 전략이 기대 되는가? 그러나 어떤 형태의 전이를 부정했는가?
-
@ 결정할 수 없음, 한계, 역설, 복잡성과 관련이 되는가?
-
@ 우리가 이미 점유하고 있는 일상생활의 반대편을 찾았는가?
다. 리좀적 타당도
다음의 다섯 기준은 레이더의 제안이다(1993: 686).
-
@ 경계 안에서 안주하지 않았는가? 밑바닥을 건드렸는가?
-
@ 새로운 논리적이고 결정적인 이해의 기준을 발전 시켰는가? 열려있고 맥락에 민감한 준 거를 다산했는가? 어떤 새로운 노선과 체계회에 대항하여 연구했는가?
-
@ 안정되고 지속적인 데리다의 놀이 (play) 를 공급하고 과다시켰는가?
-
@ 문제 제기의 새로운 공급, 다양한 열립, 네트워크, 그리고 다양성을 통해 권위의 제한 에 대항하여 연구되었는가?
-
@ 전통적이고 추론적인 과정을 지워버렸는가? 지배적인 담론과 비판, 지배를 깨트렸는가?
라. 여성적 타당도/상황적 타당도
레이더는 검토 기준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1993: 686).
-
@ 과다한 파열, 누수, 탈주, 위험한 실행을 향해 지나치리만큼 멀리 갔는가?
-
@ 하나의 상황 되어지고, 부분적이고, 위치 지워진, 명료한 시험을 구체화했는가?
-
@ 자기성찰과 충분히 참여된 실행을 통해 권위를 구성하였는가?
-
@ 제한되어있고 제한되어있지 않은 또는 닫혀있고 열려있는 하나의 의심스러운 문맥을 창 조하였는가?
-
@ 윤리학과 인식론을 함께 토론되었는가?
4. 혼합방법론(Mixed methodology)에서의 타당도
이 준거의 개척자로는 존슨과 옹웨이부지(J1빼없1 & Onwuegbuzie, 2004)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의 입장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실용주의 철학의 초점인 실제성 과 계속적인 문제 해결성에 비추어, 두 방법론의 장점들을 잘 섞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해결책(workable solutions)을 모색하는 것은 제기된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한 가 장 적절한 방법론적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이들은 지적한다(2뼈; 16-17).
패러다임과 시간성에 대한 판단을 축으로 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혼합방법설계의 경우의 수는 모두 9가지이다.
위의 매트릭스를 간단히 설명해 보도록 하자.
@번의 경우,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동 둥한 강조를 둔 상태에서 시간상으론 동시에 진행시켜 나가는 것을 말하며, 이를 시간적 계 열성을 가진다면 @번 혹은 @번과 같은 순서로 전체 연구 진행이 이루어지는 설계이다. 만 약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차별화 시켜, 질적 연구를 주된 방법론으로 양적 연구를 보조 적 수단으로 활용하되 시간상으로 동시에 진행할 경우 @번 그리고 양적 연구를 주로 질적 연구를 보조 수단으로 동시에 연구를 진행시킨다면 @번의 형태를 띤 설계가 될 것이다. 마 지막으로, 연구 방법이 차별화 되고 이를 시간성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와@, @과@의 경우들이 있겠는데, 이들이 가장 보펀적인 혼합방법설계 방식이다,
결론적으로, 혼합방법론의 성격과 접근 방법은 연구 결과의 타당성의 확보를 최우선적인 목적으로 두고 있다. 단일 방법론이 가질 수 있는 자료 수집과 해석의 협의성을 극복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은 분명히 설득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설득력은 그련, 캐라셀리, 그리고 그래햄(Gr않ne, Caracelli & Gral뻐n, 198이이 주장한 혼합방법론의 5가지 목적으로 잘 이해된다.
-
@ 삼각검증법 - 같은 현상을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여 보다 확실한 타당성을 확보 하려는 목적,
-
@ 보완적 - 연구 진행의 후반부에 필요한 자료의 보충을 위한 목적,
-
@ 주도 적 - 연구 질문을 다시 설정할 정도로 초기에 강한 현장작업을 실행해 보는 목적,
-
@ 개발 - 한 가지 방식에서 얻은 결과를 이용하여 다른 방법에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
-
@ 확장 - 전 체적으로 연구의 폭과 깊이를 확장시키려는 목적이 그것이다.
5. 최근의 다양한 접근들
가.윤리적 타당도
질적 연구의 타당도를 논의함에 있어서 윤리성에 대한 강조는 최근 들어 부쩍 강조되고 있다. 본 절에서는 연구 윤리성 문제를 자세히 다룬 보크너어ochner, 2αα)의 정직성 타당도를 소개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우리는 우리의 작품이 누구에게 유용하고, 통질력이 있고, 혹은 의미 있는 가 없는가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과학자로서’의 우리는 어떻게 다른 과화자들에 의해 평 가를 받을까 하는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졌다. 우리는 엄격한 열성 (rigor) 에 지나치 게 몰입하는 동안 상상력과 같은 측면을 등한히 하였다. 그 결과,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하 여 탈문화적 표준화에 우리 자신을 맡기는 우를 범하였다. 이제까지의 평가 준거들은 하나 같이 지나친 보편성에만 치중을 하였다. 때때로, 나는 이런 준거들이 오히려 우리의 능력 2002: 을 제한시키고 우리의 창의적인 에너지를 막는 역할을 한다고 느낀다(Bochner, 259).
그의 논문 제목인 r 우리 자신들에 비추어(Against ourselves)」가 시사하듯이 결국 질적 연 구자들이 양적 연구자들이 즐겨 쓰는 준거와 같은 탈주관적 용어들에 비추어 그 타당성을 찾으려 하기보다는, 우리가 사는 이 불확실한 세계 속에서 정직함을 추구하려는 연구자 자신의 실존적인 고통스런 노력, 즉 연구자 자신의 윤리적 존재 방식에 질적 연구 작품의 타 당성을 논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한 것으로 보크너는 주장한다.
혼히 훌륭하고 타당성이 높은 질적 작품 은 독자로 하여금 연구의 맥락과 현상을 이해하도록 잘 도와주는 것이라고 하지만, 보크너 는 이런 일반적 준거가 연구자 자신의 주관성이 매우 강렬한 내러티브에서는 쉽지 않은 일 임을 전제하면서, 제 삼자의 시각에서 자기문화기술지의 타당도를 평가해 보는 작업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준거들을 제시하였다.
-
@ 풍부하고 상세한 기술, 역정의 삶을 극복 과정, 사실과 감정의 혼합
-
@ 시간성에 의한 복잡한 내러티브 구조
-
@ 작가의 감정적 신뢰성, 연약성, 그리고 정직성
-
@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가 공존함, 두 자아가 만들어낸 한 이야기
-
@ 윤리적 자아의식, 독자를 위한 판단 공간, 이야기 속에 내재된 도덕성의 표현
-
@ 평가자인 제 삼자의 감정 및 이성적 감동, 단순한 주관적 이야기로 끝나기보다는 평가 자에게 삶이 어떻게 느껴지고 삶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명히
나. 인간관계타당도
링컨(1995, 2002)은 지금 현재의 질적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세 가지 측 면에 직접적이고 헌신적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피력한다.
-
@ 연구 참여자와의 인간관계,
-
@ 실천을 불러일으킬 연구자의 전문적, 개인적, 정치적 입장의 제고, 그리고
-
@ 사회정의, 공동 체, 다양성, 민주적 대화, 그리고 애정 어린 돌봄이 그들이다,
링컨은 이런 새로운 세 가지 측면에 대한 헌신적 관심은 이제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연구란 무엇인가?’, ‘연구는 무엇을 하기 위한 것인가?’, 그리고 ‘연구 참여와 그 권한은 누가 가지고 있는가?’와 같은 질문들을 윤리적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으로 믿으며(p.33이 다음과 같은 8가지 새로운 타 당도들을 소개하고 있다.
〈표 4) 새롭게 부상하는 타당도
다. 연구 목적에 따른 통합적인 타당도
앞 절에서 링컨이 언급했듯이 또한 지금까지의 본 논문에서 설명한 다양한 질적 타당도 개념들을 연구 목적에 비추어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접근이 최근에 동장하였다, 이 통합적 인 타당도 접근은 우선 기존의 많은 개념들을 상호작용적(없nsaction떠) 접근과 변형론적 (σansfonnational) 접근으로 구분한 후 그에 따른 이론 혹은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전자의 상호작용적 접근은 본 논문의 앞부분에 설명된 링컨과 구바(1985)의 초기 이론 이 대표적이며, 그 핵심적 아이디어는 질적 타당도는 가능하고 바람직한 논의라는 후기/실증 주의적 철학적 배경 속에 있다. 이에 질적 연구자는 자신의 신념과 의지를 갖고 다양한 방 법과 기법을 사용한다면 연구의 타당도가 충분히 확보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상 호작용론자들은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확인(mem밟 chec힘ng)을 통해 연구의 타당 도가 상당히 높게 확보될 것으로 믿는다.
-
이와는 달리 변형론적 접근은 페티 레이더를 비롯 하여 많은 비판적 이론 혹은 탈근대적 시각에 바탕을 둔 연구자들의 주요 아이디어로, 질적 연구의 타당도는 어떤 몇몇의 방법이나 기법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러 나 이들은 상호작용론자들이 사용하는 제 방법이나 기법들이 무용하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질적 연구자가 참되게 고민해야 할 부분은 얼마만큼 참여자의 삶을 실천적 으로 변화시켰는가, 나아가 연구자 자신이 어느 정도로 사회 변화에 진실성을 갖고 연구를 수행했는가와 같은 연구의 반성적, 비판적, 혹은 실천성 준거들이 더욱 중요하다고 보는 주 장이다(Cho & Tr짜 2α)4, in Iπ웠),
이렇게 연구 목적에 비추어 타당도의 개념을 구분하고 각각의 주된 준거들을 살펴본 장 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
첫째, 연구 목적에 의한 접근(Donmoyer, 2001) 이라는 절충적인 시각 에 의한 타당도 개념을 새롭게 주장한 점, 첫째의 장점과 연계하여
-
둘째, 순수 지적 전통에 의거한 연구들과 다소 개량적인 연구 패러다임들이 상호비교적 관점에 의하여 각각 다른 타 당도 개념과 준거들이 적용된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
셋째, 참여자에 의한 확인(member chec빼1g) 이나 삼각검증법과 같은 기존에 회자되던 중요한 기법 틀이 각각 다른 연구 목적에 따라서 어떻게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인지를 명료화 했 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질적 연구에 있어서의 타당도 문제는 총체적으로 접근해야할 성격 이며, 상호작용론적 접근과 변형론적 접근에서 각기 강조하는 다양한 타당도의 개념과 기법 들은, 영국의 대표적 질적 연구자 중의 한 명인 실(S뼈e, 1999)이 유사한 주장을 펼쳤듯이, 구체적인 연구 목적의 적절성과 특이성에 비추어 실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IV. 결론 및 시샤점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개념은 질적 연구의 학문적 토대가 간 학문 혹은 다 학문적인 성격인 만큼 매우 다양함이 주된 특징이다. 양적 연구에서 타당도의 개념은 검증, 예측, 그 리고 일반화라는 연구 목표에 충실한 ‘논리적’인 점에 그 특징이 있다면,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개념은 대부분 ‘설득적’ 혹은 ‘매우 그럴법한 추론적’인 성격이 특징인 셈이다. 질적 연구가 하나의 지적 탐구 영역으로 태동한 1980년 중엽에서는 양적 연구의 타당도 개념과 병립하고자하는 의지가 반영된 논리적인 성격의 타당도 개념들이 주종을 이루었다. 하지만 곧, 이들을 새롭게 조명하려는 질적 연구자들의 내부적 노력을 통하여 엄격한 논리성보다는 연구자가 연구 대상자 및 연구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가지고 가는 면견, 그리고 복잡한 사회, 문화, 그리고 정치적 관계에 대하여 얼마만큼 공정하고 호혜적인 인식과 의식을 가져야만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런 질적 연구의 공정성, 그리고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 사 이의 상호 이득적 관계가 선행된 기반 위에서 질적 연구자가 수행한 자료의 분석과 해석 과 정이 얼마나 ‘설득력’ 있고 ‘매우 그럴법한 추론’으로 결론이 났었는가가 가장 핵심적인 타 당도의 개념 이라고 본다(Ma뻐son, 1989).
이혁규(2004).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교육인류학회, 7(1), 175-210.
-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1호, 2006.3, 61-95 (35 pages)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
목차
상세서지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광분야 연구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탐색적 분석 및 제언 (관광학연구, 2012) (2) | 2016.05.30 |
---|---|
행정연구에서의 해석적 연구과정의 탐색* (정부학연구, 2009) (2) | 2016.05.26 |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2004) (0) | 2016.05.26 |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1999) (0) | 2016.05.26 |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질적연구의 적용(가정의학회지, 2008) (0) | 2016.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