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연구 방법론과 그 철학적 토대

신충식(성균관대)





1. 질적 연구방법과 제일인칭 시각의 현상학


이러한 참여적 관찰보다 심층 인터뷰 기법을 사회학자는 물론 여타 사회영역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다. 심층 인터뷰는 반쯤 구조화되거나 전혀 구조화되지 않은 방식으로 문 제들을 토론하는 것을 쉽게 하기위해서 인터뷰 가이드와 끝없이 진행되는 질문 및 정보를 얻기 위한 끊임없는 탐구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심층 인터뷰는 안내를 받고 있는 대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긴 인터뷰는 일상적으로 작은 샘플들에 한해서 행해질 수 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집단 인터뷰를 활용한다. 개인들 인터뷰보다 집단 인터 뷰가 갖는 이점은 특수한 주제에 대한 토론에서 참여자들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으며 어떤 관점에서 다른 인터뷰를 받는 자들과 동의하거나 반대하며 새로운 이슈와 관심을 제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의사-자연적인 환경에서 모든 참여자들 간의 상호 작용은 일상적인 집단 대 화와 그렇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질적 연구의 목적은 근본적으로 사람들의 주관적인 경험들과 그들이 그러한 경험들에서 얻게 되는 의미들을 탐구하는 것이다. 예컨대 심층 인터뷰는 사건의 당사자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사건에 대한 그들의 해석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들이 구성하고 있는 사고과정과 이야기들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국 질적인 방법은 의미과정의 맥락을 포착하는 데 가장 유용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I. 질적인 연구방법의 철학적 토대


1. 서론


2. 객관학문의 발생


3. 초월학문의 발생


4. ‘초월론적인(transcendental)’ 것의 의미











II. 질적 연구방법의 특징과 연구 설계


1. 양적인 연구와 질적인 연구 방법의 차이


방법에 있어 옳고 그름의 문제는 있을 수 없다. 문제는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방 법이 연구 주제와 연구 모델에 얼마큼 부합하는지에 있다.


이러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진리주장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도표화할 수 있을 것이다.




2. 질적 연구의 특징


Dryman, A. (1988) Quality and Quantity in Social Research, London; Macmillan. 


1. 연구 참여자의 눈을 통하여 보는 것, 또는 연구 참여자의 관점을 수용하는 것 

2. 일상세계; 세속적 일들을 기술하는 것 

3. 사회적 상황에서 행위와 의미들을 이해하는 것 

4. 개방적이고 비구조화된 연구 설계들이 사용되는 것 

5. 연구 초기 단계에 개념들과 이론들을 결정하지 않는 것


Hammersley, M. (1990). Classroom Ethnography: Empirical and methodological Essays, Open University Press.


1. 실험적 조건 대신에 일상적인 상황에서 연구 

2.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들 

3. 비구조화된 자료수집 방법 

4. 사회생활에서 나타나는 미시적 특징에 대한 관심 

5. 사회적 행위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관심 

6. 양화가 부수적인 역할을 함


Hammersley, (1992), Some


1. 수 대신에 언어의 사용 

2. 자연적인 상황에서의 자료수집 

3. 행동 대신에 의미에 대한 관심 

4. 연구 방법으로서 자연과학 모델의 거부 

5. 가설 검증이 아니라 가설 생성적 방법


Bogdan and Biklen (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Bacon.


1. 자연적 상황 

2.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 

3. 수가 아닌 언어나 사진 형식을 통한 서술 

4. 결과나 산출보다 과정에 대한 관심 5. 귀납적 분석 방법 

6. 연구의 목적으로서 의미


Eisner (1991), The Enlightened Eye, Macmillan.


1. 현장 중심 

2.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의 자아 

3. 해석의 강조 (상황에 대한 참여자의 설명) 

4. 표현적 언어의 사용 

5. 특별한 세부사항에 대한 관심 

6. 글쓰기와 자료제시를 통한 설득


김영천 (2006)『질적연구방법론 I』문음사.


1. 내부자적 관점의 포착


연구 참여자인 내부자의 시각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데 있다. 이는 특정한 생활세계의 참여 자가 가지고 있는 그들의 시각을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문화적 상대주의 관점에 서 그들이 삶을 어떻게 구조화시키고 의미를 부여하며 상호작용하였는지를 기술하고 이해하 고자 한다.


2. 특정 사례에 대한 연구 관심


일반화를 목적으로 대규모의 소집을 대상으로 하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연구자가 관심을 두 고 있는 특정한 사례나 사건 그리고 현상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3. 목적 표집


이것은 연구자가 관심을 둔 특별한 사례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연구대상으로 삼은 표집방 법을 말한다.


4. 현장 작업


현장 작업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들어가 참여자들과의 계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료 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것을 말한다.


5. 장기간의 관찰


진실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 현장 속에서 연구자들과 생활하거나 대화하면서 장기간 그들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6. 유연한 연구 설계


이는 연구 설계가 연구 이전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가 진행되면서 점차적으로 구체화 되는 것을 말한다.


7.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의 순환성


이는 자료 수집 단계와 자료 분석 단계가 일직선상으로 전후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수집 과 분석이 사이클을 이루면서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료 수집 단계와 자료 분 석의 단계는 선후의 관계로서 확실하게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연구 과정 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8.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의 친밀도


이는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와 심리적 공감대인 라포르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자의 시각인 연구자의 관점을 확인하려는 양적 연구의 경우 연구 참여자와의 이러한 라포르의 형 성이 굳이 필요가 없지만 내부자의 시각과 그들의 생각을 이해해야 하는 질적 연구의 경우 연구 참여자와의 심리적 공감대의 형성은 무엇보다 연구 작업의 성공에 필요한 작업 요소가 된다.


9. 점진적 주관성


이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초기에 설정한 연구 문제나 연구 내용에 비하여 어떠한 새로운 변 화가 생겼으며 얼마나 현장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는가를 연구 도구인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반성하는 작업을 뜻한다.


10. 기술적 형태의 자료 표현


기술적 형태의 자료 표현은 연구의 결과가 기술적인 형식의 글쓰기 양식을 통해서 표현된다 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적 연구를 질적으로 만들게 하는 특징 중의 하나인 이 준거는 연구자가 수집한 연구 자료나 연구 결과를 숫자가 아닌 기술적인 형식의 표현 체계로서 나 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11. 투명성


투명성은 질적 연구의 결과가 연구 현장의 세계를 얼마나 투명하게 그리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느냐를 나타내는 언어이다.


12.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는 연구자가 연구의 전체 과정에서 연구 도구가 되어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작업을 연구자가 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 역시 연구자가 직접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도구로서 연구자의 역할은 첫째,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들어가 필요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둘째, 자료 분석의 과정에서 연구 자의 직접적인 개입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양적 연구의 자료 수집과 다르다.


13. 반성적 연구 활동


이는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하면서 끼친 여러 가지 인간적인 제약들과 특징들이 연구의 전 체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해체적으로 분석하고 기술하고 노출시키는 작업을 말 한다.




3. 질적 연구자의 기본적인 절차


    1. 첫째, 친숙한 영역에서 시작하라. 

    2. 째, 우리가 작업하고 있는 완결된 이론적인 정향을 발견하라. 

    3. 셋째, 일단 정해진 분야에 대해서 느낌을 갖게 되면 가능한 빨리 연구 주제를 좁혀가 라. 

    4. 넷째, 기존의 다른 사람이 연구했던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따르라. 다시 말해서 연구를 위 한 새로운 바퀴를 발명하려 하지 마라. 

    5. 다섯째, 계속 써라. 그 페이퍼가 얼마나 짧고 거친지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마라. 

    6. 여섯째, 즉시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라. 우리가 초기 연구 단계에 어떤 데이터를 얻지 못했 다면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려 하라. 

    7. 일곱째, 자신의 데이터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생각하라. 그 데이터에서 어떤 패턴을 확인하 기 시작할 때도 서둘러서 결론을 끌어내려 하지 마라. 

    8. 여덟째, 지도교수에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시험하라. 지도교수는 우리의 아이디어를 실험하 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자신감을 부여할 것이다. 

    9. 아홉째, 자기 자신의 분야 안과 밖에서 다른 자료들과 기회들을 활용하라. 가급적 자신의 연구 분야와 상관있는 학술 모임에 참석할 기회를 찾고, 가능하다면 작업 중인 페이 퍼들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 

    10. 열째, 꾸준한 학습곡선을 기대하지 마라. 어떤 연구도 위기 없이 진행될 수는 없다. 

    11. 열한째, 연구 일기를 작성하라. 

    12. 열두째, 다른 여타 활동들을 완성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책정하라. 

    13. 열셋째, 연구가 진전이 없을 때 자기 자신을 책망하지 말고 휴식을 위한 시간을 가져라. 

    14. 열넷째, 자신의 연구 분야에 있어서의 관계들을 데이터로 다루어라. 즉 연구 주제와의 상호 작용이 자신의 데이터를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 숙고할 필요가 있다. 

    15. 열다섯째, 완벽한 연구 디자인 모델이 없음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말은 우연하게 얻게 될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작업하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4. 질적인 연구 프로포잘 작성방식


1. 제목


제목은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으면서도 연구 주요 사안에 관한 정보를 적절히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통상 주제목과 부제목의 이단으로 된 제목이 효율적이다. 주제목은 논문 주제를 포괄적으로 제시하면서 독자의 시선을 끌 수 있어야 할 것이고, 반면에 부제목은 보다 기술적이면서 한정적이어야 할 것이다.


2. 초록


초록은 첫째, 연구문제(research problem)를 드러내야 하고, 둘째, 그 문제가 왜 중요하고 연구할 가치가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하고, 셋째, 연구 데이터와 방법, 넷째, 연구를 통한 주 요 발견(findings), 마지막으로, 다른 연구에 비추어 볼 때 그 연구가 갖는 함의를 밝힐 필 요가 있다. 초록 형식의 글쓰기는 가능한 한 적은 단어로 가능한 한 많을 것을 말하는 것이 다. 또한 초록은 연구주제를 가급적 생생하게 보여주고 필요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어야 한 다.


3. 연구 배경을 알리는 짤막한 서론


첫째, 다른 어떤 것보다 왜 이 주제를 선택하였는가? (예컨대, 연구 부재 또는 기존 연구의 부적절성 등) 둘째, 이 연구 주제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원용하고자 하는 연구 방법이나 기법은 무엇인가? 넷째, 연구를 주도하게 될 질문이나 문제는 무엇인가?


4. 연구 목적 또는 연구 질문


5. 연구에 적절한 문헌에 대한 조명 (궁극적으로는 연구 분야에서 고전적인 문헌의 맥락에 서 연구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보여 줄 수 있어야 함)


6. 연구 방법론 소개 (선택된 사례나 기법에 대한 소개, 이론적인 정향과 연구 기법의 적절 성의 측면에서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분석의 절차에 대한 소개를 담아야 한다)


7. 정교한 참고문헌 소개: 각 문헌에 대한 비판적인 논평 환영




III. 스토리텔링과 전기적 생애사


IV. 근거이론


근거이론은 콜롬비아 대학 출신으로 양적 연구방법의 훈련을 받은 글래이져 교수 와17) 시카고 대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 전통의 영향 하에18) 질적 연구를 추구해온 슈트라우스 교수(Barney Glaser & Anselm Strauss의 저서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1967를 참조하라)가 1960년대 초반 병원에서 임종을 앞둔 환자들 을 돌보는 의료진들의 관찰을 토대로 한 현장 연구의 일부로서 최초로 개발하였다. 서로 상 이한 전통에서 훈련받은 이 두 연구자는 공히 모든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유용할 수 있는 연구 기법을 추구하였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분석대상이 되는 현상에 대해 최대한 있는 그대로를 엄밀하게 기술하며 귀납적인 방식으로 현상의 구조를 도출해내고자 일정한 지침과 절차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근거이론은 접근방법에 있어 두 가지로 나뉜다. 

  • 첫째, 앞에서 언급한 글래이져의 방식으로 이는 해석주의적 시각을 가지고 연구자가 선행이론을 정교화하거나 수정하 고자 하는 의도 없이 축적된 자료로부터 이론을 생성하고자 하는 정통적인 근거이론 방식이 다. 다시 말해서, 연구자가 연구 이전에 어떤 이론도 정립하지 않은 가운데에 여러 단계와 절차를 거쳐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다음 여러 정보군 간의 내적 관련성에 대해 비교분석 하여 새로운 이론을 도출해내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 반면에 슈트라우스와 간호사였던 코 빈(Corbin)이 새롭게 제시하고 있는 방식에서 연구자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근거가 되는 이 론으로부터 그의 연구를 시작하며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이론을 형성하거나 근거가 되는 이론을 수정, 보완, 재해석하여 이론을 도출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이 방법은 선행 연 구를 바탕으로 하는 이론을 근거로 사회현상을 비교분석하며 기존의 이론을 보완하거나 수 정하려는 방식이다.


따라서 근거이론은 실제 현장에서 어떤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고 범주와 범주, 개념 과 개념 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해석주의자들과 같이 실재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현상의 바탕이 되고 있는 전체적인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서 관찰 가능한 것만 선택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는 실증주의적 분석 방식과 확연히 구분된다. 요컨대 근거이론은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개발된 이론으로서 수집하는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를 때 가능한 범주를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른다 함 은 연구자가 범주의 속성을 파악하는데 더 이상 새로운 자료를 발견할 수 없는 단계까지 도 달하였음을 의미한다.




제1단계. 자료수집: 녹취(transcribing)와 메모 작업(memoing)



근거이론에서 자료 수집은 통상 20-30명과의 심층 면접, 포커스 집단 면접, 직접 관찰 및 기록 등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자료 수집은 주로 현장참여 관찰과 심층 인터뷰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항상 인터뷰의 지속성과 관찰 자료들의 연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근거이론에서 표본의 크기는 생성된 자료에 의한 자료 분석에 따라 결정된다.


아무래도 표본크기의 적정선은 

1) 범주에 대한 자료들의 다양성과 자료집단 간의 차이를 극 대화하는 지점; 

2) 이론의 통일성과 밀도; 그리고 무엇보다 

3) 연구자의 이론적 민감도 (theoretical sensitivity)에 따라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론적 민감성을 제고하고 자료 수집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서 꾸준히 메모를 해 나갈(memo-ing) 필요가 있다. 이것은 연구자가 연구과정 에서 주제에 관련된 아이디어를 적는 과정이자 이론 형성에 도움이 되는 분석의 기록이기도 하다. 질적 연구의 유일한 연구수단인 연구자가 메모하는 동안의 사고과정은 귀납적임과 동 시에 연역적이다. 코딩하고 메모할 때 범주화 및 개념화하는 과정은 귀납적이다. 그러나 그 개념이 이론 구성에 어떻게 적절할 수 있는지를 메모하는 과정은 연역적이라 할 수 있을 것 이다.




제2단계: 자료의 분석으로서 코딩작업


1) 코딩의 정의


근거이론은 수집된 자료의 분석 과정에서 체계적인 이론 설계를 도출해 내기위해서 코딩(coding) 과정을 강조한다. 코딩은 근거이론은 물론 질적 분석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 로 이른바 ‘주제별 약호화’라 할 수 있다. 수집되고 녹취된 자료들을 계속 읽으면서 그 속에 내재된 주제를 찾아내는 과정으로서 코딩은 텍스트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의도 그리고 의미 가 무엇인가를 최초로 개념화하는 작업이다. 사실 질적 자료의 많은 분석들은 텍스트에 담 겨져 있는 중요한 주제나 패턴 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마디로 코딩은 구분한 자 료에 상징, 기술적인 단어, 범주 등을 가지고 명칭을 부여하는(labeling) 과정이다.


2) 코딩의 역할


1. 텍스트를 특정 주제나 이름으로 범주화시켜 하나의 분석 단위를 생성함으로써 무수히 많 은 자료들 중에서 분석의 대상이 될 자료와 그렇지 않을 자료를 구분한다.


2. 자료의 내용이나 의미를 개념화시킴으로써 텍스트를 특정한 탐구의 대상으로 승화시켜 준다. 무의미해 보이는 자료들이 살아있는 새로운 가치 있는 자료들로 재인식된다. 즉 무관 해 보이는 자료들을 공통주제나 범주로 연계시켜 많은 원자료들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체계 화, 배열 및 조직화시켜준다.


3. 코딩은 연구자에게 연구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해준다. 현장 작 업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이 과정을 통하여 분류하고 특징화하고 개념화하여 연구 질문 이나 목적에 부합한 연구 결과를 도출해낸다.



3) 코딩 방법


1. 개방코딩(open coding)


개방 코딩이란 논리적이고 연역적인 추론대신 수집된 자료들을 연구자의 감(sense) 또는 직관(categorial intuition)에 따라 최초로 귀납적 방식을 통해서 범주화하고 코드를 만 들어 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피면담자의 진술을 ‘행 분석(line-by-line)' 하여 자료 속에 함축된 의미에 맞는 주제나 용어를 연구자가 직접 찾아내거나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코딩의 절차로 첫째, 세그멘팅(segmenting), 둘째, 초기 코드의 발견, 셋째, 심층 코드의 생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 세그멘팅


세그멘팅은 어떤 자료들(문장, 단락, 대화, 관찰 자료 등)에서 그 자료의 의미나 요지가 잘 들어가 있는 문장들을 추후 코딩을 위하여 괄호를 치거나 줄을 긋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초기 코딩


초기 코딩은 세그멘팅이 끝난 자료들 중에서 첫 단계로서 코딩을 하는 작업을 말한다. 세그 멘팅을 통하여 집적한 많은 자료들 중에서 중요하게 의미를 도출하고 메시지를 찾을 필요가 있는 자료들을 가지고 연구자가 그 세그멘팅 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서 일련의 반 복되는 내용, 의미, 주제에 최초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이다.


3) 심층 코드의 생성


심층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서 템플릿 분석 방식이 원용된다. 이 분석은 텍스트 자료의 핵심 적인 주제들을 목록(템플릿)으로 제작하는 접근 방법이다. 이는 내용 분석과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즉 코드를 일목요연하게 정렬함으로써 해석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주 제 간의 내용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2. 축 코딩(axial coding)


축 코딩은 개방 코딩한 다음 범주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자료들을 새로운 방식으 로 다시 조합하는 과정이다. 연구자는 하나의 개방 코딩 범주를 선택하고 이것을 탐구하려 는 과정의 중심에 위치시킨 다음 이것과 다른 범주들을 연계시키고자 한다. 


이 과정은 

      • 핵심 범주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 조건

      •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조건인 맥락

      • 전략에 또 다른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배경으로서 중재적인 조건

      • 그 다음 핵심 범주로부터 발생 하는 구체적인 행위 또는 상호작용인 전략 그리고 

      • 전략을 채택한 성과물인 결과로 진행된 다.


3. 선택적 코딩(selective coding)


선택적 코딩은 이론을 통합하고 정교화 하는 과정이다. 통합 과정에서는 문제의 연 구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선택된 중심사상을 근간으로 축 코딩 모형에서의 범주 들을 조직화하게 된다. 그러한 조직화를 통해서 연구자는 연구에서 탐구하려는 과정에 대해 이론적 설명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이론구도를 개략할 필요가 있으며 이론의 정 교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즉, 내적 일관성을 위한 구도의 재검토와 논리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개발이 미흡한 범주들의 보완과 과도한 범주의 간소화 및 구도의 타당성 검증으로 이 루어진다. 여기서 개발이 미흡한 범주들은 추가적인 이론적 표본추출을 통해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V. 질적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제고 방법


질적인 연구의 질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어떻게 가능한가? 질적 연구자의 초미의 관심사는 타당성과 신뢰도는 제고할 수 있는 연구 설계 방법 들을 결합하는데 있다. 복잡한 통계처리를 가하지 않는 이러한 질적 연구를 위해서 우리는 연구주제를 이론적으로 정교화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동시에 방법론적 엄밀성(rigor)을 보 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D. 실버만은 질적인 연구에서 질적인 이슈는 이른 바 방법론적 자각과 동일시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David Silverman & Am Marvasti, Doing Qualitative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2008, 257). 여기서 방법론적 자 각(awareness)은 특수한 결론으로 이끌었던 절차와 증거를 최대한 드러내려는 투신 (committment)과 결부된다. 물론 그 결론은 또 다시 새로운 증거에 비추어 언제나 수정될 가능성에 열려있다.


현상학적 사고에 기초한 질적 연구는 집적된 연구 자료들을 통해서 어떤 객관적이 고 절대적인 진리를 드러내는 것보다 다양한 시각들을 끌어내는 사고를 형성하는 데 주안점 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타당성은 과학적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의미한다. 즉 연구자가 자 신의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측정하고 있는지 그리고 연구에서 일반적인 구 성개념들이나 전제들이 다른 집단에서도 얼마나 적용가능한지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하지 만 질적 연구에 있어서 타당성은 보통 진리에 대한 또 다른 이름이다. 즉 타당성은 “I mean truth: interpreted as the extent to which an account accurately represent the social phenomena to which it refers” (258). 여기서 해석은 필수불가결한 문제이다. 심 지어는 ‘탄탄한’ 양적 수치를 원용할 때조차도 해석의 문제가 개입된다. 그 이유는 모든 방 식의 데이터 수집은 분석 행위가 하나의 해석인한 질적으로 분석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필연적으로 “선택적 번역(a selective rendering)”(259)의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질적 연구자들이 극복해야 할 문제는 일화주의(anecdotalism)의 유혹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적 필드 연구의 강점 즉 사회적 환경에 대해서 두텁게 기술할 수 있는 능 력은 그 자체로 약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가 양적이 되었던 질적이 되었 던 무엇으로 추론과정을 보장할 수 있는가? 나아가서 질적 연구에서 얻어진 발견이 데이터 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거쳤으며 단지 몇몇 잘 선정된 샘플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은 아닌 가?


질적인 연구의 타당성에 늘 오류의 소지(fallible)가 있다. 여기서는 삼각측정 (triangulation) 방법을 통해서 그 방법 이외의 질적 연구 분석을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 는 네 가지의 상호 관련된 방식들을 논의할 것이다. 물론 여기에 소개된 방법들은 보다 타 당한 발견들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 1. 적절한 삼각측정 방법의 활용 

  • 2. 논박가능성의 원리 

  • 3. 지속적인 비교방법 

  • 4. 포괄적인 데이터 처리 

  • 5. 일탈사례 분석 

  • 6. 현상학적 자명함(self-evidence)


1. 적절한 삼각측정 방법의 활용


질적연구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연구과정에 대한 헌신과 연구시간의 양도 중 요하겠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우리는 

      • 다양한 시간과 공간의 자원들을 끌어들이는 데이터의 삼각측정법(data triangulation), 

      • 다수의 조사자들을 연구의 과정에 개입하도록 하는 조사자 의 삼각측정법(investigator triangulation), 그리고 

      • 다중적 연구방법들을 동원하는 방법적 삼각측정법(methodological triangulation)


을 적극적으로 원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무엇 보다 중요한 것은 질적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현상에 대한 연 구자의 편견, 즉 주관성을 가능한 한 피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2. 논박가능성의 원리


질적 연구자들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들의 데이터에 대한 초기과정들을 논 박할 필요가 있다. 커크와 밀러에 따르면, “객관성을 위한 탐구 저변에 깔려있는 가정들은 단순하다. 세계 밖에 경험적 실재의 세계가 있다. 우리가 그 세계를 지각하고 이해하는 방 식은 대체로 우리에게 달려있다. 하지만 그 세계는 그것을 모두가 동일하게 이해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Kirk, J. & Miller, M. Reliability and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1986, 11).


오늘날의 영점가설개념은 포퍼식 사고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그의 기본 입장은 우리들이 논리실증주의의 열망과는 반대로 어떤 진술을 ‘증명하거나’ ‘검증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그것을 ‘오류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진술이 그것을 오류화하려는 반복된 시 도들을 견디면 견딜수록 그 진술은 더욱더 진리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어떤 관계의 존재 를 더 이상 논박할 수 없는 경우에야 비로소 “객관적인” 지식에 대해서 말할 수 있게 된다 는 것이다.


3. 지속적인 비교방법


이 방법은 질적인 연구자가 늘 잠정적인 가설을 시험하는 또 다른 사례들을 발견하고자 시도하는 것이다. 베커와 기어(Becker & Geer)는 의과대학생들 수련과정에서 한 그룹의 학생들과 또 다른 그룹의 학생들을 비교함으로써 각자의 커리어단계의 영향에 대한 떠오르는 가설들을 테스트하였다. 예컨대 이 테스트 결과 초창기 의과대학생들은 이상주의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비교방법은 단순사례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 파편들을 단순히 검토하고 비교하는 것과 상관있다. 이런 방법이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실질적인 어려움으로써 

    • 첫째, 질적 연구자들은 분석 가능한 형식 안에서 모든 데이터들을 끌어 모으는 자원들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모든 데이터 집합들을 글로 옮긴다는 것은 대단히 많은 시간을 요하고 연구자들을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분산시킨다는 점이다. 
    • 둘째, 우리가 잠정적인 가설이나 초기에 어떤 범주집합들을 낳을 수 없는 경우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의미를 도출해내고 그런 다음 일단의 범주들을 생성해 내고 그 다음 데이터 군을 꾸준히 확장시켜서 드러나게 되는 가설들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지속적인 비교방법은 연구자가 수집한 상향 데이터 부분 사이에서 반복해야하므로 훨씬 더 큰 데이터 집합을 포함하며 그 데이터들의 모든 부분을 분석하고 검사할 필요가 있게 된다.



4. 포괄적인 데이터 처리


텐 헤브는 지적하기를 회화분석에서 발견된 통찰들은 주관적으로 선택이 되어서 아마도 편견이 들어있는 사례들의 샘플에 입각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일화주의의 비난을 면할 수 없는 것으로서 우리는 이를 포괄적 데이터처리라 부른다. 이런 포괄성이 발생하는 이유는 질적인 연구에서 모든 데이터 사례들이 분석 안에서 서로 얽혀있기 때문이다. 그런 포괄성은 또 많은 양적인 방법에서 정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범주들을 뛰어넘고 있다. 예컨대 서베이 리서치에서 사람들은 의미 있는 확고한 상호 관련성을 확보함으로써 만족하게 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질적인 연구에 있어서는 반복되는 검토가 가능한 작은 집단의 데이터를 가지고 작업하게 되므로 연구자가 일반화하는 과정은 그 연구자가 수집했던 적절한 데이터들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을 때까지 만족하지 말아야 한다. 그 결과가 바로 통계학적 상관관계와 같이 모든 부분이 타당할 수 있는 일반화이다. 미한(Mehan)의 표현에 의하면 “결과는 특정한 현상을 포괄적으로 기술하는 통합되고 정확한 모델이지 이전과 이후 조건들에 대한 단순히 상호연관성이 있는 명제들이 아니다”(


5. 일탈사례 분석


앞에서 살펴본 포괄적인 데이터처리 기법은 적극적으로 일탈사례나 비정상성을 찾고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일탈이나 비정상성을 기술함에 있어서 무엇이 중요한가의 문제가 따를 것이다. 이러한 일탈사례분석에 있어서 필요한 분석기법은 적은 양의 데이터로부터 시작해서 잠정적인 분석구도(scheme)를 잡아내는 것이다. 그 다음 그 구도와 다른 데이터들을 비교하고 점차적으로 그 구도 내에서 어떤 수정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잠정적인 분석구도는 연구자가 분석에서 모든 데이터들을 끌어 모으는 반복적인 일단의 규칙들을 얻어낼 때까지 부정적이거나 상이한 사례들을 끊임없이 대면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양적인 서베이 연구에서 일탈사례분석의 의미와 다음 두 가지 측면에 있어서 매우 차이가 있다.


양적 연구자는 

    • 첫째, 기존의 변수들이 매우 높은 통계적 상관성을 낳지 못할 때, 
    • 둘째, 흡족한 상관성이 발견되었지만 우리가 이것들을 확신하지 못하고 의심하게 되는 상황에서 

일탈적인 사례들을 주목하게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질적인 연구자들은 그들의 데이터 안에서 나타나는 모든 변수들을 설명함으로써 만족하지 말아야한다. 다시 말하지만 질적인 연구에서 모든 데이터들은 그 데이터 조각이 충분히 설명될 수 있을 때까지 이용되어야 한다. 결국 일탈사례분석은 포괄적인 데이터처리를 지향하며 모든 일탈사례에서 응답자들은 그들의 입장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요컨대 일탈사례에 있어서 응답자들은 도덕적 적절성을 드러내는 것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대안적인 수단을 통해서 그들의 도덕적 적절성을 성공리에 드러낸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정상적인 행위로부터 일탈한 사건에 대한 정향을 보여주었고, 이는 반드시 설명을 요하며 오히려 일반적인 사례들을 강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6. 현상학적 자명성(self-evidence)


보다 구체적으로 그 극복방안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래 현상학자들은 의식의 나타남을 기술할 뿐이다. 의식은 주어진 사실이고 이 사실로부터 의식의 현상을 기술할 뿐이다. 이 정도의 수준에서 모든 현상학이 이루어진다면 굳이 이를 심각하게 궁구할 필요가 있을까 하고 의아해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의식의 중층기술(thick description)로서 현상학적 과제는 무엇일까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현상학적 과제는 엄밀한 과학적 정신 속에서 모든 학문의 진정한 출발점의 찾고자 하는 시도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모든 학문적 접근이 피해갈 수 없는 '방법론적 자각(methodological awareness)'의 문제가 걸려 있다. 그렇다면 무엇을 위한 방법론적인 자각인가? 양적인 연구에서의 연구 설계와 분석과정에서는 연구자의 주관성은 철저히 배제되어야 할 사안이었던 반면에, 우리는 지금까지 질적 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쏟는 것은 연구자의 주관성(subjectivity)임을 누누이 강조해 왔다. 이러한 의미에서 질적인 연구에서 무엇이 진리, 즉 타당성의 문제는 개인의 주관성에 의해서 좌우된다는 현상학적/초월론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타당성을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자각은 초월론적 동기와 자명함(self-evidence)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19세기 현상학은 물론 20세기 현상학은 철저하게 초월론적 전통 위에 서있다. 먼저 19세기 이전의 초월철학과 20세기 초월철학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그것은 판단중지와 환원이라는 방법에 의해서 확연히 구분된다 할 수 있다. 후설 이후 하이데거, 사르트르, 레비나스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현상학적 전통위에 있는 사상가들은 현상학적 환원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 무시해왔다. 바로 그 무시를 통해 대단히 다양하고 풍요로운 현상학적 사유의 가능성이 열린 것도 사실이다




V. 혼합 활용 방법연구(Mixed Methods)


1. 혼합 활용 방법의 가능성


왜 혼합활용된 방법 설계를 사용하게 되는가? 그린, 카라첼리 및 그레함의 연구에 따르면 혼합활용된 연구방법을 원용하는 데 다섯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가장 일반적인 이유로 삼각측정(tringulation)이 있다. 이러한 전략은 동일한 연구 질문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한 방법 이상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와 관계있다. 특히 이 러한 전략은 양적인 데이터가 부분적이고 질적인 연구가 연구 여건에 의해서 방해 받는 경 우에 적절하다. 예를 들어서 우리의 사회 체계 네트워크 안에서 리더십 순환의 정책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려는 경우에 적절하다. 즉 양쪽 방법론을 채택하 여 공공정책의 순환 효과를 테스트하는 데 있어서 더 나은 방식에 대해서 소홀하게 되는 경 우 이러한 접근들 중에 하나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방식이다.


또한 삼각측정은 다른 방식들로 가설을 구체화하는 데 적절하다. 어쨌든 연구자는 연구에서의 발견들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그 여타 발견들을 끌어 모을 필요가 있다. 여 기에 여타 이론적인 시각들을 활용하는 이론적 삼각측정과 동일한 방법 내지는 상이한 방법 들을 활용하여 다른 데이터 자료들을 활용하는 데이터 삼각측정이 있다. 예컨대 쓰나미 프 로젝트에 있어서 우리가 인터뷰한 사람들의 복지를 확인하기 위해 양적인 심리테스트를 주 도하면서 보다 광범위한 심층 인터뷰도 곁들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 해서 심리적 양적 측정은 인터뷰를 통해서 끌어 모은 심층심리학적 발견들에 대한 타당성 체크를 시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혼합활용된 연구방법을 채택하게 되는 두 번째 이유는 연구자가 연구 문제를 보다 잘 이해하려 하고 주어진 연구 결과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보완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 다는 데 있다. 혼합활용된 방법들은 무엇보다도 연구 문제에 대한 연구자의 전체적인 이해 를 돕는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 적절한 예로서 다시금 우리는 쓰나미 재난에 대한 질적 연 구가 재난 생존자들의 생생한 경험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활용되는 반면에 양적인 연구는 마 을 사람들이 어떻게 재난 구호 노력의 효율성을 지각하고 있는지 평가하려는 서베이 연구를 활용하는 것과 결부된다.


셋째, 다른 방법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한 방법으로부터 빚어지는 발전과 상관이 있다. 쓰나미 재난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는 양적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발전시키 기 위해서 질적인 연구로부터의 발견들을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주어진 연구에 있어서의 여러 발견들이 보다 명확한 해명을 요구하는 질문들 을 제기하거나 모순들을 포함하고 있는 시발점에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연구 는 연구 중인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통찰들을 더할 목적으로 시작된다. 다시금 쓰나미 재난 연구에 있어서 마을 사람들이 자연적인 재해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와 관련 된 모순적이며 질적인 발견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상이한 발견 들은 성별과 민족성에 의한 연구 결과에 대해서 보다 미묘한 해석으로 이끌 수 있다. 사실 그러한 발견은 전체적으로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주제의 확대과정에서 연구 기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 기서 연구 주제 확대는 연구 범위와 영역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예컨대 상이한 재난 유형을 대면했을 때 성차를 비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911테러 생존자들의 인터뷰 를 포함하는 연구를 성별과 국적 및 재난유형에 의한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유사성과 차이점 들을 음미하는 것으로 자신의 연구를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연구 확장의 목적 은 자신의 연구에 타당성을 증대시키기보다는 보다 광범위한 영역의 연구목적을 포괄하는 것으로 확대된다.


2. 혼합 활용 방법의 연구 설계


우리는 데이빗 모오간의 제안에 따라 혼합활용 연구방법을 설계하는 실질적 전략들 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는 연구의 시차적 관점과 각 방법의 상대적 중요성에 입각하여 네 종류의 혼합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수한 혼합방법을 설계함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두 가지 질문은 

      • 첫째, 무엇이 주된 연구방법이고 무엇이 부차적인 것이냐이다. 

      • 둘째, 어떤 방법 이 선행하고 어떤 방법이 그 다음인가이다. 


이에 따라서 모오간의 가능한 네 가지 연구 설 계를 제공한다. 

      • 설계 1) 양적인 연구에 이은 질적 연구; 

      • 설계 2) 질적인 연구에 이은 양적 연구; 

      • 설계 3) 질적인 연구에 이은 양적 연구; 

      • 설계 4) 양적인 연구에 이은 질적 연구 


상이 한 범주들을 활용하여 양적인 연구와 질적 연구방법들을 결합시키는 다양한 혼합방법 설계 가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연구 설계는 연구 프로젝트의 질적인 구성요소를 첫째로 행하고 그것을 프 로젝트의 목적을 위해 부차적으로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양적인 연구가 우선 이고 질적인 연구는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활용된다. 양적인 연구에 앞서 질적인 설계를 활용하는 것은 특정한 주제에 친숙하지 않은 연구자에게 프로젝트의 양적부분에 필요로 하 는 특정한 이념들이나 가설들을 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서 연구자들은 불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생생한 체험을 이해하는 데 흥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 계의 환자에게 ‘케어는 환자의 마음, 몸 및 정신적인 필요를 설명하는 것이지 의학적인 개 입을 강조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불치병 환자의 생생한 경험을 이해하고 케 어를 제공하는 사람들에게 직접 그 필요성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사안이 될 것이다. 연구 자는 그들 연구의 결과를 양적으로 보다 광범위하게 일반화시킬 수 있기를 바랄 것이다. 따 라서 이러한 연구 설계는 질적인 방법인 환자들 간의 인터뷰로부터 시작하여 필요한 질적 정보를 취합하여 가설적인 시나리오가 아닌 환자들의 경험에 입각한 일단의 설문지를 창출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양적 연구의 서베이적 요소가 질적 연구 요소인 환자의 직접 적인 경험에 입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연구 설계에서는 양적인 연구가 부차적으로 활용되고 질적인 연구가 주가 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양적 연구는 보다 깊은 탐구를 위한 특정한 환자 분포나 이슈들을 확인하는 데 활용된다. 이러한 연구 유형의 예외로서 일반 의사들이 그들 환자들 의 흡연 이슈를 논의하는 태도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다. 즉 연구자들은 상이한 태도를 주 장하는 일반 의사들의 다양한 경우들을 확인하기를 원한다. 이러한 경우 양적인 연구가 다 양한 태도를 가진 응답자들의 경우수를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을 주게 되고 이와 더불어 흡연 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질적인 인터뷰 방식이 원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연구 설계는 질적인 연구에 이은 양적 연구를 강조하는 것이다. 이 연구 설계는 양적인 연구를 주요탐구 양식으로 삼으면서 질적인 연구를 부차적으로 활용하는 것 이다. 즉 양적인 발견으로부터 나온 연구결과를 명확히 하고 정교화 할 필요성에서 비롯되 었다. 여기서 질적인 연구의 기능은 부정적인 연구결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어떤 연구결과의 발견이 전반적인 가설이나 이론적인 시각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outlier)를 해명하는데 이러한 질적 연구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요컨대 질적인 데 이터는 양적 연구자가 자신의 서베이 데이터의 잘못된 결과를 이해하는 데에 그들의 양적인 데이터들을 보완할 목적으로 이러한 설계의 예로써 저자는 스웨덴 사회에서 이민자 가족의 통합에 대한 연구를 들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데이터는 이민자와 본국 스웨덴 사람들에 대한 인구 정보를 수집하려는 두 개의 양적 서베이에 입각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질적 연 구는 가족의 다이내미즘과 공동체 관계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서 부차적인 방식으로 활용된 다. 예컨대 결핍된 서베이 데이터로 나타나는 것은 이민자의 삶에 있어서 종교의 중요성을 질적인 방식을 통해서 이해함으로써 해명될 수 있다. 여기서 연구자는 스웨덴이 종교적 감 각을 크게 강조하지 않는 세속사회임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질적인 연구는 인 류학적 관점을 가진 연구자들을 위해서 행해질 수 있는 반면에 양적인 연구는 인구통계학자 의 관점에 의해서 행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자의 방법을 혼합하려는 경우 동 일한 철학적 방법과 시각들을 공유하지 않는 연구자들 사이에 학제 간의 연구 참여를 필요 로 하며 연구자들 간의 소통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연구 설계는 양적인 연구에 이은 질적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질적인 연구가 추가되고 보다 작은 양적 연구가 뒤따르게 되며, 양적 연구가 갖는 기능은 질적인 연구가 다른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른 표본들을 통해서 그 결과를 테스트하려는 데 활용된다. 여기서 연구자는 예컨대 한 대학의 관리팀에 대한 단 일한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교의 고위층 행정가들의 생생한 체험을 얻 는다. 이러한 질적 사례연구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대학 행정가들이 대학정책의 변화를 기하 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핵심적인 두 주제로 대학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확인하도록 해준다. 이 경우 질적 연구를 통한 발견은 이미지, 정체성 및 해석들 간의 관계와 관련된 일단의 명 제들로 표현된다. 그 다음 이 명제들은 다른 대학들의 대학 행정가들에 대한 양적 서베이 방식을 통해서 검증된다. 이러한 혼합된 방법을 활용한 연구 설계에서 질적인 데이터는 연 구문제를 이해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사안이 되고 양적인 연구는 연구자들이 질적인 연구로 부터 얻은 발견들을 증명하고 그 결과들을 보다 큰 범주로 일반화시키는 데 도움을 제공한 다.




VI. 질적 연구 평가 기준


1. 질적 연구 일반에 대한 평가 기준


  • 1) 적절한 연구계획인가? 연구계획의 상이한 특징들을 보여주는 설득력 있는 논점을 가지고 있는가? 

  • 2) 신뢰할만한 자료인가? 방법들을 잘 기술하고 있는가? 필드노트 또는 트랜스크립션 관행 은 잘 지켜지고 있는가? 

  • 3) 명확한 이론 가설들이 설정되었는가? 연구과정에 대해 적절한 문헌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 자료와 방법에 장점과 약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연구 설계에 나타나는 변화의 과정을 문헌화하고 있는가? 

  • 4) 연구에서 찾아낸 발견들은 어떻게 신뢰할 수 있는가? 그 발견들이 자료들을 통해서 지지 받고 있는가? 자료, 해석 및 결론들 사이의 연결은 명쾌한가? 

  • 5) 그 발견들이 일반화될 수 있는가? 보다 광범위하게 그 발견들을 추론하고자할 때 그에 상응하는 증거는 잘 제공되고 있는가?


2. 연구 평가 기준


  • 1) 연구자가 제기한 질문이 성격에 부합한 연구의 방법인가? 

  • 2) 기존의 지식이나 이론체계와의 연관성이 분명한가? 

  • 3) 사례연구나 근거이론에 사용된 범주에 대한 설명은 명확한가? 자료 수집과 분석의 범주 에 대한 설명은 명확한가? 

  • 4) 연구 방법의 민간도가 연구 질문의 필요성과 잘 조응하는가? 자료 수집과 자료 기록은 체계적인가? 

  • 5) 추론은 수용되고 있는 분석절차를 위해서 이루어졌는가? 

  • 6) 분석은 어떤 방식으로 체계적인가? 

  • 7) 주제, 개념 및 범주가 자료로부터 파생되는 방법을 적절히 논의하고 있는가? 

  • 8) 연구자 논점의 찬반에 대한 증거를 적절히 논의하고 있는가? 

  • 9) 자료와 그 해석 사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가?


3. 근거이론 평가 기준


  • 1) 최초의 표본이 어떻게 선택되었는가? 무엇을 근거로 하는가? 

  • 2) 어떤 주요 범주들이 나타났는가? 

  • 3) 주요 범주로 지목된 사건, 부수적인 사건, 행동 등은 무엇인가? 

  • 4) 어떤 범주에 기초하여 이론적 표본 추출이 이루어졌는가? 자료 수집은 어떤가? 이것이 범주들을 대표하는가? 

  • 5) 개념적 관계(즉, 범주들 간의 개념적 관계)와 관련된 가설은 무엇인가? 가설이 형성되고 검증되는 근거는 무엇인가? 

  • 6) 가설이 실제로 나타나는 것을 지지하지 않을 때가 있는가? 이러한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들은 가설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 7) 핵심논증은 어떻게, 왜 선택되었는가? (갑자기, 점진적으로, 어렵게, 쉽게)? 어떤 근거에 서?


스트라우스와 코비는 근거이론 연구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과 더불어 그 연구에 경험적 근거 와 관련된 다음 여섯 가지 기준을 덧붙이고 있다.


1) 개념이 만들어졌는가? 

2) 개념들이 체계적으로 관련되었는가? 

3) 개념적 연결이 많은가? 범주가 잘 개발되었는가? 밀도는? 

4) 이론이 많은 다양성을 반영하며 구축되었는가? 

5) 광범위한 조건들이 설명되었는가? 

6) 과정(변화 혹은 움직임)이 고려되었는가?




VII. 질적 연구자의 연구윤리


질적 연구/후기 실증주의 연구 과정에서 연구윤리가 핵심적인 문제로 제기된다. 실증주의 연구와 같은 객관학문의 경우 만인을 위한 객관적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 연구에 참여 했던 연구 참여자의 이익과 복지는 중요한 문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가 연구 참여 자의 연구자를 속이거나, 기만하거나, 아니면 연구대상으로 물신화시키거나 하는 등의 비윤 리적인 절차나 속임수를 쓰는 연구 활동들은 나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하지만 질적 연 구자가 현장에 참여하면서 중요한 것은 현장의 상황적 윤리와 연구의 윤리적 규범을 여하히 잘 조화시켜 가는가이다. 현장연구의 정치와 윤리는 질적 연구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 게 된다.


1. 질적 연구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


  • 1. 연구자의 인성 - 현장 연구에서 연구자는 그 자신의 연구 도구이다. 즉, 질적 방법의 핵 심은 선택이다. 빈도보다는 의미(sense)가 대단히 중요한 선택의 문제이자 해석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결국 주제의 선택, 연구 접근 방법, 현장에서의 능력이 질적 연구의 결정적인 도 움을 준다. 

  • 2. 연구 대상의 성격 - 이는 연구 배경에서의 접근과 연구 계약 및 대립 가능성과 갈등에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 3. 연구비 - 질적 연구를 위한 모든 비용과 시간은 연구의 질을 위해 결정적인 역할을 한 다. 

  • 4. 현장에서 연구자의 영향력 -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갖는 영향력은 현장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 5. 연구진 내의 협력과 조화 - 현장에서의 행동을 방해하고 성과에 대해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연구진 각기 그들의 기대와 역할의 다양성을 잘 조절할 필요가 있다. 

  • 6. 연구 수행과 현장에서의 성공은 연령, 성, 지위, 인종적 배경, 지나친 동일시, 거부감, 관 료주의적 태도, 사고, 행운 등 수많은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7. 현장에서의 조화로운 관계는 전체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8. 현장 연구에 의해서 생성된 사회적, 도덕적 의무 사항이 중요하다.


3. 연구윤리 계획서에서 답해야하는 질문 내용


  • 1.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가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또는 법적으로 위험에 빠질 가능성 이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그 상황을 진술하시오. 

  • 2.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가 연구에 의한 스트레스를 느낄 가능성이 있는가? 있다면 어 떤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 3. 연구의 목적 때문에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를 의도적으로 소개하는 경우가 있는지 말씀해주시오. 혹시 있다면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 4. 수집할 자료의 내용이 지나치게 연구 피험자의 개인적 정보를 묻는 것은 아닌가? 

  • 5. 수집할 자료의 내용이 지나치게 모멸적인 것이어서 피험자의 기분을 상하게 하거나 당황 하게 하지는 않는가? 

  • 6. 이 연구에 참여할 피험자를 어떻게 설득시킬 것인가? 연구 동의를 얻기 위하여 연구 참 여자에게 제출할 연구 계획서를 문서형식으로 그리고 구술형식으로 작성하여 피험자에게 보 여주시오. 

  • 7.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는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는가? 피험자가 자발적으로 참여 하였을 때 피험자가 받게 될 보상은 어떤 것이 있는가? 

  • 8. 피험자가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는 사실을 어떻게 입증하겠는가? 

  • 9. 이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가 연구를 위하여 투자하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가? 

  • 10. 연구를 통하여 획득한 자료의 기밀유지를 위하여 어떻게 보관할 예정인가? 

  • 11. 연구가 끝난 후 수집된 자료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6. 동의의 기본적인 요소


  • 1. 뒤따르는 절차, 실험을 하는 사람들의 신분 증명을 포함한 그들의 실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자가 이 실험에 참여하는 데 소요되는 예상기간을 설명한다. 

  • 2. 실험 참여자들에게 예상되는 불편한 사항과 위험한 사항들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해 준 다. 

  • 3. 실험 참여자들에게 예상되는 이점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해 준다. 

  • 4. 실험 참여자들에게 이득이 되는, 선택 가능한 적합한 절차들을 발표한다. 

  • 5. 연구 참여자의 신분상의 기록에 대한 비밀보장과 그 범위를 설명한다. 

  • 6. 연구 참여자가 어떠한 협박이나 손해 없이 그 연구에서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음을 알려 준다. 

  • 7. 생물 의학적 또는 행동적 해를 당하였을 경우에 어떠한 의학적 치료와 경제적 보상이 주 어지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 8. 연구 참여자의 권리와 관련한 질문에 응답해 줄 사람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 실험과 관 련하여 피해를 입었을 경우 누구와 연락해야 하는 지를 설명해 준다.






(방법론)신충식 (1).hwp

(방법론)신충식 (1).pd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