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과대학생의 장애, 프로그램 접근성, 공감, 번아웃: 전국단위 연구(Med Educ, 2022)
Disability,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in US medical students: A national study
Lisa M. Meeks1 | Karina Pereira-Lima2 | Melissa Plegue3 | Neera R. Jain4 | Erene Stergiopoulos5 | Catherine Stauffer6 |
Zoie Sheets7 | Bonnelin K. Swenor8 | Nichole Taylor9 | Amy N. Addams10 | Christopher J. Moreland11

 

1 서론
1 INTRODUCTION

의학교육에서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할 필요성은 전 세계 장애인이 겪는 의료 격차에 대한 글로벌 보건 데이터1와 여러 국가의 의사들이 장애 환자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는 연구 결과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2-5 이러한 필요를 해결하는 한 가지 메커니즘은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고정관념을 줄이면서 의학을 더 잘 알릴 수 있는 장애 의대생을 포용하고 지원하는 것입니다.6, 7 실제로 점점 더 많은 연구가 다양한 의료 인력이 모든 의사, 수련의, 환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8-10 그러나 의학교육에서 장애 수련의가 직면하는 잠재적 기여와 과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합니다.11 
The need for a greater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 medical education is evidenced by global health data on health care disparities encounter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worldwide1 and by research showing that physicians from different countries report concerns about their ability to provide quality care for disabled patients.2-5 One mechanism of addressing this need is through the inclusion and support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may better inform medicine while reducing prevailing stereotypes of disability.6, 7 Indeed, a growing body of research suggests that a more diverse medical workforce can benefit all physicians, trainees and patients.8-10 However, research on potential contributions and challenges faced by disabled trainees in medical education is still scarce.11

장애 환자는 학대,1,12,13 차별14-19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17,20-24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으며, 이는 장애 환자가 직면한 건강 불평등의 잠재적 원인으로 의료진의 공감 능력 저하를 지적합니다. 반대로, 일화 보고와 질적 연구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의사와 의대생이 의료계에 기여하는 가치 있는 기여 중 하나는 환자 치료에 접근하는 고도의 공감 능력입니다.25-30 실제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모두 장애를 가진 의사가 더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1, 32 
Patients with disabilities encounter high rates of mistreatment,1, 12, 13 discrimination14-19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17, 20-24 that point to diminished provider empathy as a potential contributor to health inequities faced by this population. Conversely, anecdotal reports and qualitative research suggest that one of the valuable contributions that physicians and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bring to the medical workforce is the highly empathic way they approach patient care.25-30 Indeed, prior studies have found that pati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report believing that disabled physicians are more empathic.31, 32

문헌에는 의사의 공감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주로 환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인지적 역량으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33-36 의사의 공감은 다른 문화권의 환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37 환자의 불안 감소, 환자 만족도 및 치료 순응도 증가, 더 나은 환자 결과와 관련이 있습니다33, 35, 38 그러나 공감은 의과대학 과정에서 감소할 수 있으며39-41 번아웃 수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42 공감은 환자 치료를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소진은 전문성 저하,43 환자 만족도 감소44, 45 및 의료 오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46, 47 또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공감과 소진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의대생의 높은 소진 수준은 낮은 공감 점수와 관련이 있습니다.48, 49  
While the literature contains multiple definitions of physician empathy, it is most often defined as a predominately cognitive competency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patient perspective.33-36 Physician empathy is highly valued by patients from different cultures37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decreased patient anxiety, increased patient satisfaction and adherence to treatment, and better patient outcomes33, 35, 38 However, empathy may decline over the course of medical school,39-41 whereas levels of burnout appear to increase.42 While empathy is known to improve patient care, burnout is associated with lower professionalism,43 diminished patient satisfaction44, 45 and increased medical errors.46, 47 In addition, prior studies suggest that empathy and burnout are connected, with higher levels of burnout associated with lower empathy scores in medical students.48, 49

스스로 장애가 있다고 식별한 경우, 수련 중 상당한 구조적 장벽26, 29, 50, 51이 소진을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공감 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의과대학에서 더 높은 수준의 고통을 경험하며52, 장애를 경험한 의사가 의학교육에 더 많이 참여해야 한다는 전 세계적인 지지에도 불구하고 장애 수련의들은 의학교육에 동등하게 접근하지 못하고 있습니다.1, 26, 53, 54 의과대학 중퇴에 대한 생각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55 장애 의대생들의 소진은 이들을 더 높은 이탈 위험에 처하게 하여 의학 분야에서 중요하지만 대표되지 않는 이 그룹의 대표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소진과 공감 사이의 반비례 관계로 인해,48,49 장애 의대생이 보여준 높은 가치의 공감 능력이 이 집단의 소진 수준 증가로 인해 위협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장애 의대생의 번아웃 및 공감 능력 약화와 관련된 잠재적 요인을 조사한 연구는 없습니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편의시설에 대한 접근성 부족이 그러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For those who self-identify with a disability, substantial structural barriers during training26, 29, 50, 51 may contribute to increased burnout, which may, in turn, lead to decreased empathy. Indeed,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higher levels of distress during medical school52 and that disabled trainees are denied equal access to medical education despite global endorsements about the benefits of a larger representation of physicians with lived experience of disability.1, 26, 53, 54 Given its associations with thoughts of dropping out of medical school,55 burnout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y place them at higher risk for attrition, reducing the representation of this valuable and underrepresented group in medicine. Similarly, due to the inverse associations between burnout and empathy,48, 49 it is possible that the highly valued empathy demonstrated by disabled medical students could be threatened by increased levels of burnout in this population. To our knowledge,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pot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burnout and erosion of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 of access to effective reasonable accommodations presents one such factor.

장애가 있는 학습자의 경우, 프로그램 접근성(접근성 요구가 이미 충족된 환경으로 인해 편의를 제공받거나 편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정의)은 웰빙 및 성과 결과 개선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1년차 레지던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 [장애를 스스로 보고하고 프로그램 접근성이 부족한 레지던트]는 장애가 없는 동료보다 인턴 기간 동안 우울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더 높았으며, 장애가 없는 레지던트와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장애인 레지던트 모두보다 의료 과실을 스스로 보고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반대로 [장애와 프로그램 접근성을 스스로 보고한 레지던트]는 우울 증상이나 의료 오류 보고의 증가 측면에서 장애를 스스로 보고하지 않은 레지던트와 차이가 없었습니다.56

의료 전문가 학생과 수련의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 편의 제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증 위험에 대해 양성 판정을 받을 가능성이 낮아지고, 일부의 경우 취업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57 필요한 합리적인 편의에 대한 접근성 부족은 장애 의대생의 표준화된 시험 점수 저하 및 학생 진급 지연과도 관련이 있습니다.58, 59 
For learners with disability, program access, defined as access to accommodations or not needing accommodations due to an environment where access needs are already met,56 has been positively associated with improved well-being and performance outcomes. Specifically, a study of first-year medical residents demonstrated that

  • residents with self-reported disability and lack of program access were at a higher risk for developing depressive symptoms during internship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and were more likely to self-report medical errors than both resi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disabled residents with program access.
  • Conversely, residents who self-reported disability and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residents without self-reported disabilities in terms of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or reports of medical errors.56 

In another study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and trainees, higher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s was associated with lower likelihood of screening positive for the risk of depression and, for a subset, increased likelihood of obtaining employment.57 Lack of access to needed reasonable accommodations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lower scores in standardised exams and delayed student prog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58, 59

장애를 가진 의사는 건강 형평성 증진을 위한 다각적인 접근 방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지만, 장애를 가진 의대생의 공감 능력과 소진 정도를 조사하는 연구는 부족합니다. 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면 장애 학생의 경험을 보다 미묘하게 이해하고 추가 지원의 잠재적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 접근성이 장애 수련의의 복지 및 성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이전의 증거와56-59 국제 권고안에서 장애 접근성을 강조하는 점을 고려할 때,1, 26, 53, 54 [프로그램 접근성, 소진, 공감, 자가 보고 장애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고 소중한 인구의 복지와 성과를 더 잘 지원하기 위한 가능한 개입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While physicians with disabilities may be a critical part of a multifaceted approach to advancing health equity,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that examines empathy and burnout measures for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ystematically assessing this data will allow for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uncover the potential need for additional support. In addition, given prior evidence that program access is closely linked with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disabled trainees,56-59 and the emphasis on disability access across international recommendations,1, 26, 53, 54 research on the associations between program access, burnout, empathy and self-reported disabilities has the potential to identify possible targets of intervention to better support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this diverse and valued population.

이 연구는 [장애를 스스로 밝힌 의대생]과 [장애가 없는 의대생]의 소진 및 공감 지표를 비교하고, 미국 의대생의 두 국가 코호트에서 스스로 밝힌 장애와 보고된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이 공감 및 소진 측정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여 장애 의대생의 웰빙과 공감에 관한 문헌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se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self-disclosed disabilities, compared with those without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elf-disclosed disability and reported lack of program access are associated with measures of empathy and burnout in two national cohorts of US medical students, addressing the gap in literature about the well-being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연구 방법
2 METHODS

2.1 연구 환경 및 참여자
2.1 Study setting and participants

우리는 미국 의과대학협회(AAMC)의 2학년 설문조사(Y2Q)에 응답한 의과대학 2학년 학생 두 코호트(2019년과 2020년)로부터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확보했습니다. Y2Q는 미국 동종요법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모든 2학년 의대생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익명의 온라인 설문조사입니다. 전체 데이터 세트에는 2개 연도 코호트의 의대생 27,009명(2019년 코호트의 경우 151개 의대 13,967명, 2020년 코호트의 경우 153개 의대 13,042명, 2019년[21,917명] 및 2020년[22,138명] 적격 의대생 수 기준 전체 응답률 61.3%)이 포함되었습니다. 이 중 2만 3,898명(88.5%)이 '귀하는 장애(예: ADHD, 학습, 심리, 만성 건강, 이동, 청각, 시각 등)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여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496명[1.8%]은 '모름'이라고 응답하여 제외됨). 최종 표본은 2019년과 2020년 미국 의대 2학년 학생의 54.2%를 차지합니다. 수집된 데이터에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대, 성적 지향, 인종/민족, 코호트 연도 등), 장애 관련 질문과 함께 개인 관련 변수, 학습 환경, 소진 및 공감에 대한 측정이 포함되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의대생이나 의과대학에 대한 식별 정보 없이 인구 수준에서 수집되었기 때문에 이 연구는 콜로라도대학교 의과대학 기관윤리심의위원회에서 면제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역학 관찰 연구 보고 강화(STROBE) 보고 가이드라인을 따랐습니다.  
We obtained de-identified data from two cohorts (2019 and 2020) of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replied to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AAMC) Year 2 Questionnaires (Y2Q). The Y2Q is an anonymous online survey that is administered annually to all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ctively enrolled in US-allopathic medical schools. The complete dataset included 27 009 medical students from two yearly cohorts (13 967 from 151 medical schools for the 2019 cohort and 13 042 from 153 medical schools for the 2020 cohort; overall response rate of 61.3% based on the number of eligible second-year medical students in 2019 [21 917] and 2020 [22 138]). Of those, 23 898 (88.5%) provided a yes or no response to the question ‘Are you a person with a disability (e.g., ADHD, learning, psychological, chronic health, mobility, hearing, vision, etc.)?’ and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496 [1.8%] replied ‘I don't know’ and were excluded). The final sample represents 54.2% of second-year US medical students in 2019 and 2020. Obtained data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sex, age group, sexual orientation, race/ethnicity and cohort year), disability-related questions, along with measures of personal-related variables, learning environment, burnout and empathy. Given that all data were obtained on a population-level without any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medical students or their medical schools, the study was deemed exempt by the University of Colorado Medical School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followed th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reporting guideline.

2.2 조치
2.2 Measures

2.2.1 장애 관련 질문
2.2.1 Disability-related questions

장애 상태 및 유형
Disability status and type

의대생의 장애 상태'장애(예: ADHD, 학습, 심리, 만성 건강, 이동성, 청각, 시각 등)가 있는 사람입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통해 평가되었습니다. 장애 상태 질문에 대한 가능한 응답에는 '예', '아니오' 또는 '모르겠다'가 포함되었습니다. 장애 유형'다음 중 귀하의 장애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사용하여 결정되었습니다. 장애 유형이 두 가지 이상인 경우 해당되는 항목을 모두 선택하세요'. 이 질문에는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ADHD)', '만성 건강 장애', '청각 장애 또는 난청', '학습 장애', '이동 장애', '심리적 장애', '시각 장애' 또는 '기타' 등의 응답이 가능했습니다. 
Medical students' disability status was assessed through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 ‘Are you a person with a disability (e.g., ADHD, learning, psychological, chronic health, mobility, hearing, vision, etc.)?’ Possible responses to the disability-status question included ‘yes’, ‘no’, or ‘I don't know’. Disability type was determined using the question ‘Which of the following best describes your disability? If you have more than one type, select all that apply’. Available responses to this question include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chronic health disability’, ‘deaf or hard of hearing’, ‘learning disability’, ‘mobility disability’, ‘psychological disability’, ‘visual disability’ or ‘other’.

프로그램 접근성
Program access

장애가 있는 학생에게 의과대학에서 장애에 대한 편의를 제공했는지 여부를 물었습니다(예/아니오). '아니오'라고 답한 응답자에게는 "다음 중 의과대학에서 편의를 제공하지 않았거나 제공하지 않은 이유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추가 질문이 주어졌습니다. 응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편의 요청이 거부됨', '편의 요청이 검토 중임', '편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편의 요청을 하지 않음', '기타 이유로 편의 요청을 하지 않음'. 이전 연구56, 60에 따라 프로그램 접근성을 코딩하여 편의를 제공받았거나 편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을 포함했습니다. 그 외의 모든 응답은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으로 코딩했습니다.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whether their medical school provided accommodations for their disabilities (yes/no). Those who replied ‘no’ were further asked the question ‘Which of the following best describes why your medical school did not or has not provided accommodations?’ Responses included: ‘my request for accommodations was denied’, ‘my request for accommodations is under review’, ‘I have not requested accommodations because I feel I do not need accommodations’ and ‘I have not requested accommodations for other reasons’. In keeping with previous studies,56, 60 we coded program access to include students reporting receiving accommodations or not needing accommodations. All other responses were coded as lack of program access.

2.2.2 번아웃
2.2.2 Burnout

번아웃 증상은 의대생용 올덴버그 번아웃 인벤토리(OLBI-MS)61,62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이는 Oldenburg 번아웃 인벤토리(OLBI)를 수정 및 단축한 버전입니다.61 OLBI-MS는 번아웃의 두 가지 차원인 탈진(8개 항목, 본 연구 표본에서 크론바흐 알파 = 0.8)과 이완(8개 항목, 본 연구 표본에서 크론바흐 알파 = 0.8)을 측정하는 16개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Demerouti와 Bakker에 따르면,61 소진은 '격렬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긴장의 결과, 즉 특정 직무 요구에 장기간 노출된 장기적인 결과'로 정의되며, OLBI의 disengagement 항목은 개인과 업무의 관계, 특히 '업무와의 동일시 및 같은 직업을 계속할 의지와 관련하여'61 개인과 업무의 관계에 관한 것입니다.62 OLBI의 의대생 버전(OLBI-MS)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업무'라는 단어를 '학습'로 대체합니다. 각 하위 척도는 0-3점 척도로 측정되는 각 항목의 합산으로 계산됩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번아웃 수준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전체 의대생 인구의 번아웃 수준이 높고,42 심리측정 특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OLBI가 번아웃에 대한 임상적 컷오프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여,63 Y2Q에 응시한 전체 의대생 표본에 대한 특정 하위 그룹 점수 범위에 임상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분위수를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의료 전문가64 및 의대생의 소진을 평가하기 위해 OLBI 및 OLBI-MS를 사용한 선행 연구의 절차에 따라,65 각 OLBI-MS 하위 척도에서 학생들의 점수는 75번째 백분위수 이상에서 높은 것으로 분류되었습니다(즉, 전체 Y2Q 표본에서 높은 탈진 14 이상, 높은 몰입도 12 이상 [N = 27 009]). 
Burnout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for Medical Students (OLBI-MS),61, 62 which is a modified and shortened version of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OLBI).61 The OLBI-MS consists of 16 items measuring two dimensions of burnout—exhaustion (8 items, Cronbach's alpha = 0.8 in the present study sample) and disengagement (8 items, Cronbach's alpha = 0.8 in the present study sample). According to Demerouti and Bakker,61 exhaustion is defined as ‘a consequence of intense physical, affective and cognitive strain, i.e. as a long-term consequence of prolonged exposure to certain job demands’, and the disengagement items from the OLBI concern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s with their work,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identification with work and willingness to continue in the same occupation’.61 In the medical student version (OLBI-MS) of the OLBI, the word ‘work’ is substituted by ‘studies’ on every item.62 Each subscale is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its items, which are measured on a 0–3 point scale. Higher scores indicate higher levels of burnout. Given the high levels of burnout among the overall population of medical students,42 and that despite having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the OLBI does not provide clinical cutoffs for burnout,63 quartiles were used to provide clinical meaning to the ranges of specific subgroup scores relative to the total sample of medical students who took the Y2Q. Therefore, following the procedures of prior studies that used the OLBI and OLBI-MS to assess burnout among health professionals64 and medical students,65 students' scores in each OLBI-MS subscale were categorised as high at the 75th percentile and above (i.e. high exhaustion ≥ 14 and high disengagement ≥ 12 in the complete Y2Q sample [N = 27 009]).

2.2.3 공감
2.2.3 Empathy

공감은 대인관계 반응성 지수(IRI)의 관점 취하기 및 공감적 관심 하위 척도에서 파생된 8개 항목을 사용하여 측정했습니다.66, 67 IRI 점수는 0-4점 척도로 측정되는 8개 항목의 합산으로 계산됩니다. 가능한 점수 범위는 0~32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공감 수준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본 연구에서 IRI의 크론바흐 알파는 0.8이었습니다. 공감 능력의 저하가 환자 치료 결과의 저하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의대생 전체 인구와 비교하여 자가 보고 장애가 낮은 공감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전체 Y2Q 표본에서 25번째 백분위수 이하의 IRI 점수(IRI ≤ 22)를 낮은 공감 능력으로 분류했습니다. 
Empathy was measured using eight item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ic concern subscales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66, 67 The IRI scores are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the 8 items, which are measured on a 0–4 point scale. The possible range of scores is 0–32,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higher levels of empathy. The Cronbach's alpha for the IRI in the present study was 0.8. Given that reduced empathy is associated with poorer patient care outcomes, IRI scores at the 25th percentile or below in the complete Y2Q sample (IRI ≤ 22) were categorised as low empathy in order to assess whether self-reported disability is associated with a higher or lower risk of presenting low empathy in relation to the overall population of medical students.

2.2.4 개인 관련 조치
2.2.4 Personal-related measures

모호성에 대한 내성은 7항목으로 구성된 모호성에 대한 내성 척도(TFA)를 사용하여 측정했습니다.68 TFA는 불확실한 상황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1~6점 척도로 측정되는 7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FA 점수는 7개 항목의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계산되며, 총점 범위는 7-42점입니다. TFA 점수가 높을수록 모호성에 대한 내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 연구 샘플의 TFA에 대한 크론바흐 알파는 0.8이었습니다.
Tolerance for ambiguity was measured using the 7-item Tolerance for Ambiguity Scale (TFA).68 The TFA is designed to measure the individual's ability to cope with situations of uncertainty and includes seven items measured on a 1–6 point scale. TFA scores are calculated by summing scores across all seven items, with a possible total score range of 7–42. Higher scores on the TFA indicate higher tolerance for ambiguity. The Cronbach's alpha for TFA in the present study sample was 0.8.

현재 인식하는 삶의 질에 대한 결과를 통제하기 위해 전반적인 삶의 질,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웰빙 등 삶의 6가지 측면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을 측정하는 6항목 선형 아날로그 자기 평가 척도(LASA-6)를 포함시켰습니다. LASA-6 점수는 0~10점 척도로 평가되는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계산됩니다(본 연구 표본의 경우 크론바흐 알파 = 0.9). 총 점수의 가능한 범위는 0-6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To control the results for current perceived quality of life, we included the 6-item Linear Analogue Self-Assessment Scale (LASA-6), which measures respondents' perceptions about the following six aspects of life: overall quality of life, mental,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spiritual well-being. LASA-6 scores are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its items, which are rated on a 0–10 point scale (Cronbach's alpha = 0.9 in the present study sample). The possible range of the total score is 0–60, with higher scores indicating higher perceived quality of life.

2.2.5 학습 환경 측정
2.2.5 Learning environment measures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의과대학 학습 환경 설문조사(MSLES)를 통해 측정되었습니다.69 MSLES는 정서적 분위기(3개 항목), 교수 상호작용(4개 항목), 학생-학생 상호작용(4개 항목) 등 학습 환경의 세 가지 차원을 측정하는 1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하위 척도는 0~5점 척도로 측정되는 개별 항목의 합산으로 계산됩니다. MSLES 하위 척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 환경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MSLES 하위 척도의 크론바흐 알파 값은 정서적 분위기에서 0.9, 교수진 상호작용에서 0.8, 학생-학생 상호작용에서 0.8이었습니다.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their learning environment were measured through the Medical School Learning Environment Survey (MSLES).69 The MSLES consists of 11 items measuring three dimens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emotional climate (3 items), faculty interactions (4 items)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s (4 items). Each subscale is calculated by summing across the individual items, which are measured on a 0–5 point scale. Higher scores on MSLES subscales indicat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Cronbach's alpha values for the MSLES subscales were 0.9 for emotional climate, 0.8 for faculty interactions and 0.8 for student–student interactions.

2.3 통계 분석
2.3 Statistical analyses

2.3.1 장애 상태, 공감 및 번아웃 간의 연관성
2.3.1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status, empathy and burnout

전체 샘플에 대한 기술 요약 통계를 계산하고 장애 상태(즉, 장애가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에 따라 계층화했습니다.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는 카이제곱 테스트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성별, 성적 지향, 연령대, 인종/민족, 코호트 연도, TFA 점수, LASA-6 점수, MSLES 하위 척도 점수 등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공변수를 고려한 조정되지 않은 오즈비(OR)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장애 유무와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및 낮은 공감 지표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높은 소진이 공감에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41, 48, 70, 71 낮은 공감에 대한 다변량 모델에는 높은 소진높은 참여도도 독립 공변량으로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장애 상태, 공감, 소진 사이의 관찰된 연관성에서 특정 장애 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얻기 위해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낮은 공감의 다변량 모델에서 각 개별 장애 유형을 순차적으로 제외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We calculated descriptive summary statistics for the overall sample and stratified by disability status (i.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chi-squared tests. We examined for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presence of disabilities and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using unadjusted odds ratio (OR)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ccounting for the following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covariates: sex, sexual orientation, age group, race/ethnicity, cohort year, TFA score, LASA-6 score and MSLES subscale scores. Because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high burnout is detrimental to empathy,41, 48, 70, 71 multivariable models for low empathy also included high exhaustion and high disengagement as independent covariates. Additionally, to gain insight into the influence of specific types of disability in any observed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status, empathy and burnout, we performed sensitivity analyses by serially excluding each individual disability type from our multivariable model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2.3.2 프로그램 접근, 공감, 소진 사이의 연관성 분석
2.3.2 Associations between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의대생의 소진 및 공감 지표와 프로그램 접근성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2단계 2차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먼저, 조정되지 않은 OR을 사용하여 장애가 보고된 학생의 하위 집합 내에서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과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및 낮은 공감 지표의 존재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그 후,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학습 환경 및 소진 측정을 고려하면서 높은 소진, 높은 참여도, 낮은 공감도 지표가 장애 상태 및 프로그램 접근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번아웃 측정치는 공감에 대한 다변량 모델에서 독립 공변량으로만 포함되었습니다. 
To identify possible associations of program access with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e performed a two-step secondary analysis: First, we examined for associations between lack of program access with the presence of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within the subset of students with reported disabilities using unadjusted OR. Subsequently, we performed multivariable logistic analyses examining whether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high disengagement and low empathy associated with disability status and program access while accounting for demographic, personal-related, learning environment and burnout measures. Burnout measures were only included as independent covariates in multivariable models for empathy.

모든 통계 분석에서 양변량 p < .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모든 분석은 SPSS-21(IBM Corp)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A two-sided p < .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21 (IBM Corp).

3 결과
3 FINDINGS

본 연구에 포함된 2학년 의대생 2만 3,898명(2019년과 2020년 미국 의대생 2학년의 54.2%) 중 2438명(10.2%)이 장애가 있다고 스스로 밝혔습니다. 장애를 보고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장애가 있는 학생은 여성(χ2 = 8.1, df = 1, p = .004), 나이가 많거나(χ2 = 212.5, df = 1, p < . 0001), 레즈비언, 게이 또는 양성애자(χ2 = 353.9, p < .0001), 의학계에서 소외된 인종 및 민족 그룹(χ2 = 31.9, df = 1, p < .0001) 및 2020년 코호트(χ2 = 12.8, df = 1, p < .0001) 출신일 가능성이 높았습니다(표 1). 
Of the 23 898 second-year medical student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54.2% of second-year US medical students in 2019 and 2020), 2438 (10.2%) self-identified as having a disability. Compared with students who did not report a disabil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more likely to be women (χ2 = 8.1, df = 1, p = .004), older (χ2 = 212.5, df = 1, p < .0001), lesbian, gay or bisexual (χ2 = 353.9, p < .0001), from racial and ethnical groups underrepresented in medicine (χ2 = 31.9, df = 1, p < .0001) and from the 2020 cohort (χ2 = 12.8, df = 1, p < .0001) (Table 1).

 

3.1 장애를 보고한 학생과 보고하지 않은 학생의 소진 및 공감 능력
3.1 Burnout and empathy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reported disabilities

장애를 보고한 학생은 장애가 없는 학생에 비해 높은 소진(1181명 [49.3%] 대 6433명 [30.6%], OR 2.21 [95% CI, 2.01-2.40])과 높은 이탈disengagement (979명 [40.7%] 대 6291명 [29.9%], OR 2.21 [95% CI, 2.01-2.40])를 보고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습니다(장애가 없는 학생에 비해 장애를 보고한 학생의 소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음). 공감 점수의 경우, 장애가 없는 동료보다 장애가 있는 동료가 낮은 공감을 나타낼 가능성이 현저히 낮았습니다(608 [25.5%] 대 6531 [31.1%], OR 0.76, 95% CI [0.69-0.83]).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tudents who reported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port high exhaustion (1181 [49.3%] vs. 6433 [30.6%], OR 2.21 [95% CI, 2.01–2.40]) and high disengagement (979 [40.7%] vs. 6291 [29.9%], OR 2.21 [95% CI, 2.01–2.40]). With respect to empathy scores, SWD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than their colleagues without disabilities (608 [25.5%] vs. 6531 [31.1%], OR 0.76, 95% CI [0.69–0.83]).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특성을 고려한 다변량 모델에서 스스로 보고한 장애의 존재는 높은 소진(OR 1.60 [95% CI, 1.43-1.79]) 및 높은 이탈(OR 1.11 [95% CI, 1.001-1.24])의 확률을 높이고, 낮은 공감(OR .74 [95% CI, 0.66-0.82]) 확률을 낮추는 것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습니다(표 2). 다변량 모델에서 개별 장애 유형을 순차적으로 제외민감도 분석 결과, 장애 학생은 단일 장애 유형을 제거하더라도 높은 소진(1.42 [95% CI, 1.21-1.67] ~ 1.63 [95% CI, 1.44-1.83])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낮은 공감(.65 [95% CI 0.55-0.76] ~ 0.80 [95% CI, 0.71-0.90]) 확률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는 달리, 다변량 모델에서 만성 건강, 청각 또는 심리적 장애가 있는 학생을 제거했을 때 장애가 있는 학생의 높은 이탈disengagement 확률이 더 이상 높지 않았습니다(1.09 [95% CI, 0.97-1.23]에서 1.19 [95% CI, 1.02-1.40])(그림 S1). 

In multivariable models accounting for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a self-reported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odds of high exhaustion (OR 1.60 [95% CI, 1.43–1.79]) and high disengagement (OR 1.11 [95% CI, 1.001–1.24]) and lower odds of presenting low empathy (OR .74 [95% CI, 0.66–0.82]) (Table 2). Sensitivity analyses serially excluding each individual disability type from multivariable models demonstrated that disabled students continued to present significantly higher odds for high exhaustion (from 1.42 [95% CI, 1.21–1.67] to 1.63 [95% CI, 1.44–1.83]) and significantly lower odds for low empathy (from .65 [95% CI 0.55–0.76] to 0.80 [95% CI, 0.71–0.90]) regardless the removal of any single disability type. Differently, students with disability were no longer more likely to present higher odds for high disengagement when either students with chronic health, hearing or psychological disabilities were removed from multivariable models (from 1.09 [95% CI, 0.97–1.23] to 1.19 [95% CI, 1.02–1.40]) (Figure S1).

 

3.2 프로그램 접근과 소진 및 공감 지표의 연관성
3.2 Associations of program access with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SWD와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 접근성이 없다고 답한 SWD는 높은 소진(229 [67.4%] 대 931 [46.4%], OR 2.39, 95% CI [1.87-3.04]) 및 높은 이탈(193 [56.4%] 대 771 [38.4%], OR 2.08, 95% CI [1.65-2.63])를 보일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 반면, 낮은 공감과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93 [27.5%] 대 505 [25.3%], OR 1.12, 95% CI [0.86-1.45])(그림 1). 

Compared with SWD with program access, SWD who reported not having program acces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present high exhaustion (229 [67.4%] vs. 931 [46.4%], OR 2.39, 95% CI [1.87–3.04]) and high disengagement (193 [56.4%] vs. 771 [38.4%], OR 2.08, 95% CI [1.65–2.63]). In contrast,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identified between low empathy and lack of program access among SWD (93 [27.5%] vs. 505 [25.3%], OR 1.12, 95% CI [0.86–1.45]) (Figure 1).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공변량을 고려한 다변량 모델에서 장애 학생은 프로그램 접근 여부에 관계없이 장애가 없는 학생보다 높은 소진 지표를 나타낼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접근 요구 충족, OR 1.50 [95% CI, 1.34-1.69]; 접근 부족 OR 2.59 [95% CI, 1.93-3.49]). 또한, 프로그램 접근이 가능한 장애 학생은 프로그램 접근이 부족한 학생보다 높은 소진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낮았습니다(프로그램 접근이 가능한 장애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비교, OR 0.58 [95% CI, 0.42-0.79]). 반면, 프로그램 접근성이 부족하다고 보고한 장애 학생은 비장애 학생보다 높은 소진 지표를 나타낼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지만(OR 1.43 [95% CI, 1.09-1.87]),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SWD는 그렇지 않았습니다(OR 1.09 [95% CI, 0.97-1.22]).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프로그램 접근 권한이 있는 SWD는 프로그램 접근 권한이 없는 SWD보다 높은 참여도를 보일 가능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습니다(OR 0.76 [95% CI, 0.57-1.01]; p = .06). 공감과 관련하여, 두 그룹 모두 장애가 없는 또래보다 낮은 공감 지표를 나타낼 가능성이 낮았습니다(접근 요구 충족, OR 0.75 [95% CI, 0.67-0.85]; 접근 부족, OR 0.68 [95% CI, 0.52-0.90]). 프로그램 액세스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낮은 공감 확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프로그램 액세스는 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OR 1.10 [95% CI, 0.82-1.48])(표 3).

In multivariable models accounting for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covariates, disabled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resent indicators of high exhaustion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access needs met, OR 1.50 [95% CI, 1.34–1.69]; lack of access OR 2.59 [95% CI, 1.93–3.49]). Further, SWD with program access were less likely to present high exhaustion than their counterparts reporting lack of program access (SWD with program access vs. without, OR 0.58 [95% CI, 0.42–0.79]). In contrast, whereas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porting lack of program acces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present indicators of high disengagement (OR 1.43 [95% CI, 1.09–1.87]), SWD with program access were not (OR 1.09 [95% CI, 0.97–1.22]). Although not significant, SWD with program access showed a tendency towards being less likely to present high disengagement than SWD without program access (OR 0.76 [95% CI, 0.57–1.01]; p = .06). With respect to empathy, both groups of SWD were less likely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to present indicators of low empathy (access needs met, OR 0.75 [95% CI, 0.67–0.85]; lack of access, OR 0.68 [95% CI, 0.52–0.90]). Program access did not seem to impact empathy a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 empathy odds between SWD with and without access (OR 1.10 [95% CI, 0.82–1.48]) (Table 3).

 

4 토론
4 DISCUSSION

저희가 아는 한, 의대생들의 공감 능력, 소진, 프로그램 접근성, 장애 사이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미국 의대생의 전국 표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애 학생의 번아웃 증상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장애 학생이 비장애 학생에 비해 공감 능력이 낮을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중요한 점은 프로그램 접근성을 고려한 후에도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장애 학생]은 [비장애 학생]과 높은 이탈 측면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프로그램 접근성과 관계없이 공감도가 낮다고 보고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이 집단이 공감 능력이 뛰어난 인력과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장애 의대생의 복지와 유지를 위해 프로그램 접근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pathy, burnout, program access and disabilit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the use of data from a national sample of US medical students, we identified that despite the high frequency of burnout symptoms among disabled students, this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mportantly, after accounting for program access, disabled students who had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high disengagement and did not report low empathy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These data highlight the relevance of this population to a more empathic workforce and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program access to the well-being and retention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전 연구에 따르면 공감 점수가 높을수록 인구통계학적 요인(예: 여성 성별,39, 72-74 고령,72, 73 소외된 인종/민족75 및 성적 소수자76), 모호성에 대한 높은 내성,77 더 나은 삶의 질,74 학습 환경에 대한 더 긍정적인 인식72 및 낮은 참여도72, 74, 78, 79 우리의 연구 결과는 장애와 높은 공감 사이의 연관성이 의대생의 공감과 관련된 이러한 잘 알려진 요인들을 고려한 후에도 지속된다는 사실을 입증함으로써 문헌에 추가되었습니다. 특히 프로그램 접근성을 고려한 다변량 모델에서는 프로그램 접근성이 있는 장애 학생과 없는 장애 학생 모두 비장애 학생에 비해 공감 능력이 낮을 가능성이 적었으며, 이는 프로그램 접근성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공감 능력이 유지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애에 대한 생생한 경험이 장애 의대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강력한 보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Prior studies demonstrate that higher empathy scores are associated with demographic factors (e.g. female sex,39, 72-74 older age,72, 73 underrepresented race/ethnicity75 and sexual minorities76), higher tolerance for ambiguity,77 better quality of life,74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72 and lower disengagement.72, 74, 78, 79 Our study results add to the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at the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and higher empathy persisted even after accounting for these well-established factors associated with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Notably, multivariable models accounting for program access identified that both disabled students with and without program access were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than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suggesting that even in situations where program access is not provided, empathy remains preserv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ved experience of disability25, 26, 28 may be a robust protective factor, leading to increase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수련 의사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프로그램 접근성이 장애 학습자의 웰빙과 성과에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56, 58 본 연구 결과는 프로그램 접근성이 장애 의대생의 낮은 소진 및 낮은 이탈과 관련이 있으며, 장애와 프로그램 접근성을 스스로 보고하는 학생과 비장애 동료의 이탈 지표가 다르지 않음을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지식을 뒷받침합니다. 소진exhaustion이 탈진burnout의 스트레스 요소로 이해되고 이탈disengagement이 학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같은 직업을 계속 유지하지 않으려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61,80 본 연구 결과는 장애 의대생의 복지와 유지에 있어 프로그램 접근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의과대학별로 장애 접근성을 알리는 전문 지식의 수준이 다양하다는 일화 보고서에서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26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 의과대학의 35%가 AAMC 고려사항에 따라 장애 공개 시스템을 유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0 이와 동시에 의과대학에 장애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장애 학생 집단을 위한 효과적인 편의를 개선하고 지원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는 여러 요구가 있었습니다.26, 51, 81 우리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권고사항과 장애 공개 및 편의 요청에 대한 구조적 장벽을 제거할 필요성을 뒷받침합니다.50, 82 일반적으로 보고된 구조적 장벽에는 장애 공개 과정에서의 이해 상충(예: 학생의 평가 또는 승진에 역할을 맡은 개인이 학생의 편의 요청 검토에 관여하는 경우),25, 29, 81 장애 자원 전문가들의 편의에 대한 전문 지식 및 지식 부족26, 50 모범 사례 및 관련 장애 및 판례법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장애 공개 시스템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습니다.81 

Recent studies with training physicians suggest that program access is critical to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learners with disabilities.56, 58 Our results endorse this body of knowledge by demonstrating that program access was associated with lower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among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at students self-reporting disabilities and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their colleague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disengagement indicators. Given that exhaustion is understood as the stress component of burnout and disengagement is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 one's studies and unwillingness to continue in the same profession,61, 80 our findings suggest a critical role of program access to the well-being and retention of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is particularly noteworthy as anecdotal reports suggest varying levels of expertise informing disability access across medical schools.26 A 2021 study demonstrated that 35% of US medical schools did not maintain disability disclosure systems in alignment with AAMC considerations.50 In parallel, multiple calls support the benefit of having specialised disability personnel for the medical school to enhance effective accommodations and communicate support for the popul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26, 51, 81 Our findings support these recommendations and the need to remove structural barriers to disability disclosure and accommodation request.50, 82 Commonly reported structural barri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nflicts of interest in the disability disclosure process (e.g. when individuals who hold a role in students' assessment or promotion are involved in the review of students' requests for accommodations),25, 29, 81 lack of expertise and knowledge about accommodations among disability resource professionals26, 50 and disability disclosure systems that are not informed by best practices and relevant disability and case law.81

이 연구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첫째, 횡단면 설계로 인해 인과관계나 확인된 연관성의 방향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습니다.
  • 둘째, 표본 규모가 크고 응답률이 높지만 의대 2학년생에 초점을 맞춘 데이터이기 때문에 의대 교육 전반에 걸친 공감의 안정성에 대해 보고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됩니다.
  • 셋째, 본 연구 측정의 자기보고적 특성은 장애 및 정신 건강 공개에 대한 학생들의 기밀성 우려를 줄이는 데 중요하지만, 이러한 측정은 낙인, 편견 및 공식 평가에 대한 접근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학생들의 공개 결정에 의해 제한될 수 있습니다.26
  • 넷째, 우수한 심리측정 특성에도 불구하고61 OLBI는 선별 도구이며 번아웃에 대한 임상 평가가 아닙니다.
  • 다섯째, 본 분석에는 의대생의 소진 및 공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몇 가지 인구통계학적, 개인 관련 및 학습 환경 요인이 포함되었지만, 의료 시스템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이전 학업 환경에서의 장애 공개 및 프로그램 이용과 같은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다른 요인은 설문조사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여섯째, 민감도 분석 결과 단일 장애 유형이 스스로 공개한 장애와 소진 및 공감 지표 간의 연관성과 관련된 전반적인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정 유형의 장애를 보고한 학생 수가 적어 각 장애 유형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요한 경우 스스로 보고한 편의 제공 부족을 통해 프로그램 접근성 부족을 파악하고자 했지만, 장애 접근성은 편의 제공을 넘어 낙인찍는 태도와 편견 등 환경과 포용성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장벽을 포함하는 다요인적 구조입니다.

This study has limitations.

  • First, its cross-sectional design does not allow definitive conclusions about causality or the direction of the identified associations.
  • Second, despite the large sample size and high response rate, the data focus on second-year medical students, reducing our ability to report on the stability of empathy across the medical education continuum.
  • Third, although the self-reported nature of our study measures is critical to reducing students' confidentiality concerns regarding disability and mental health disclosures, these measures may be limited by students' decision to disclose, which can be influenced by stigma, bias and access to formal evaluation.26 
  • Fourth, despite its good psychometric properties,61 the OLBI is a screening instrument and not a clinical assessment of burnout.
  • Fifth, although our analyses included several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that are likely relevant for burnout and empathy among medical students, the survey does not include other potentially relevant factors such as personal experiences with health care systems and with disability disclosure and program access in previous academic settings.
  • Sixth, while our sensitivity analyses suggest that no single type of disability played a large impact on the overall outcomes related to the associations between self-disclosed disability and indicators of burnout and empathy,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reporting certain types of disabilities did not allow us to perform multivariable analyses specific to each disability type.
  • Finally, although we aimed to capture the lack of program access through self-reported lack of accommodations when needed, disability access is a multifactorial construct that extends beyond accommodation and includes additional barriers, including stigmatising attitudes and biases that shape climate and inclusion.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대규모의 전국적인 학생 표본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강화했습니다. 장애 학생의 소진과 공감을 유발하는 추가적인 잠재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의대생들의 장애, 공감, 웰빙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종단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연관성을 더 잘 이해하고 의대생들의 공감 능력이 의과대학 내내 유지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의대생의 장애, 프로그램 접근성, 공감 및 소진에 대한 이 대규모 전국 연구는 [장애가 없는 학생]에 비해 [장애 학생]이 프로그램 접근성이나 소진에 관계없이 공감 능력이 떨어질 위험이 낮으며, 프로그램 접근성이 이 집단의 소진과 이탈을 줄이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에서 장애 학생의 강점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다양한 학생 집단을 모집하고 지원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uses a large, national sample of students, strengthening our finding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additional potential drivers of burnout and empathy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reover, longitudinal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empathy and well-being among medical student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identified associa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empathy is maintained throughout medical school for this population. This large national study of disability,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among US medical students suggests that,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isabled students are at lower risk for low empathy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or burnout and that program access may be a critical factor in reducing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in this population. These findings also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edicine and have implications for recruiting and supporting this diverse population of students.


 

Med Educ. 2023 Jun;57(6):523-534. doi: 10.1111/medu.14995. Epub 2022 Dec 14.

Disability,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in US medical students: A national study

Affiliations

1Department of Learning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SA.

2Department of Neurology,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SA.

3Department of Pediatrics,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Ann Arbor, Michigan, USA.

4Centre for Health Education Scholarship,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Faculty of Medicine,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5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Ontario, Canada.

6Carle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Champaign, Illinois, USA.

7University of Illinois College of Medicine at Chicago, Chicago, Illinois, USA.

8Johns Hopkins Disability Health Research Center, Johns Hopkins School of Nursing, Baltimore, Maryland, USA.

9Department of Anesthesiology, Wake Forest School of Medicine, Winston-Salem, North Carolina, USA.

10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Washington DC, USA.

1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ell Medical School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ustin, Texas, USA.

PMID: 36456473

DOI: 10.1111/medu.14995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elf-disclosed disability and self-reported program access are associated with measures of empathy and burnout in a national sample of US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authors obtained data from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AAMC) Year 2 Questionnaire (Y2Q) in 2019 and 2020. Data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 variables, learning environment indicators, measures of burnout (Oldenburg Burnout Inventory for Medical Students), empathy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disability-related questions, including self-reported disability, disability category and program access. Associations between disability status, program access, empathy and burnout were assess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ccounting for YQ2 demographic, personal-related and learning environment measures.

Results: Overall, 23 898 (54.2%) provided disability data and were included. Of those, 2438 (10.2%) self-reported a disability. Most medic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WD) self-reported having program access through accommodations (1215 [49.8%]) or that accommodations were not required for access (824 [33.8%]). Multivariable models identified that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WD with and without program access presented higher odds of high exhaustion (1.50 [95% CI, 1.34-1.69] and 2.59 [95% CI, 1.93-3.49], respectively) and lower odds of low empathy (0.75 [95% CI, 0.67-.85] and 0.68 [95% CI, 0.52-0.90], respectively). In contrast, multivariable models for disengagement identified that SWD reporting lack of program access presented higher odds of high disengagement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1.43 [95% CI, 1.09-1.87], whereas SWD with program access did not (1.09 [95% CI, 0.97-1.22]).

Conclusions: Despite higher odds of high exhaustion, SWD were less likely to present low empathy regardless of program access, and SWD with program access did not differ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disengagement. These findings add to ou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SWD including their contributions as empathic future physician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