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을 위한 의학교육: 해부학자들은 잘 하고 있는가? (Clin Anat, 2019)
Medical Education for Millennials: How Anatomists Are Doing it Right
S.M. RUZYCKI,1 J.R. DESY ,1 N. LACHMAN ,2 AND A.P. WOLANSKYJ-SPINNER3**

 

서론
INTRODUCTION

현재의 의료 환경에서 의료 전문가들은 다양한 학습자 집단과 협력하고 교육해야 한다. 의료 교육 내의 [네 개 세대 학습자와 교사]는 함께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학습 선호도의 인구 통계 기반 다양성을 보완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을 창출한다. [세대]라는 용어는 [중요한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사건의 맥락에서 성인이 된 특정 기간 내에 태어난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이 [공유된 맥락]은 한 세대의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된 가치와 믿음의 집합]을 부여하기 위해 가정된다. 세대별 특성이 그 세대의 경력과 삶의 단계의 산물인지, 아니면 시간의 검증을 견뎌낼 불변의 특성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대 간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21세기 의학 교육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In the current health care environment, medical professionals have to work with and educate a diverse cohort of learners. Together, the four generations of learners and teachers within medical education create a need to provid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omplements the resulting demographic-based diversity of learning preferences. The term generation denotes a cohort of individuals born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who have come of age in the context of important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events (Pitt-Catsouphes and Smyer, 2007). This shared context is hypothesized to confer a set of shared values and beliefs among members of a generation (Borges et al., 2006). There is debate as to whether generationally-ascribed traits are the product of the career and life stage of that generation or whether they are immutable characteristics that will stand the test of time (Pitt-Catsouphes and Smyer, 2007). Irrespective, understanding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are essential to optimizing med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Borges et al., 2010; Desy, Reed, and Wolanskyj, 2017).

현재 의대생, 레지던트, 초기 직업 의사의 대다수는 1980년에서 1999년 사이에 태어난 개인들로 구성된 하우와 스트라우스에 의해 명명된 소위 [밀레니얼 세대]에 속한다. 밀레니얼 세대 외에도, 의사 노동력에는 X 세대(1965년생-1980년생), Baby Boomers 세대(1946년-1964년생), 그리고 Silent Generation(1930년-1945년생)이 포함된다. 2020년대는 현재 [2020세대 또는 Z세대]로 불리는 2000-현재 세대의 첫 번째 개인들이 의대를 시작함에 따라 의학 교육에 5세대를 도입할 것이다.
Currently, the majority of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early career physicians belong to the Millennial generation, so-named by Howe and Strauss, consisting of individuals born between 1980–1999 (Howe and Strauss, 2007; Pitt-Catsouphes and Smyer, 2007; Boysen et al., 2016). In addition to millennials, the physician workforce includes Generation Xers (born 1965–1980), Baby Boomers (born 1946–1964), and the Silent Generation (born 1930–1945). The 2020s will introduce a fifth generation to medical education as the first individuals from the 2000-present generation, currently called Generation 2020 or Generation Z, begin medical school (Boysen et al., 2016).

대체로, 각 세대는 그들의 직업, 개인적인 삶, 그리고 교육에 대한 기대에 차이가 있다. 

  • 사일런트 세대는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성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는 의무, 서비스 및 제한된 자원에 대한 기대에 대한 그들의 헌신에 반영됩니다. 그들은 교훈적인 세션을 통해 배웠고 암기에 의존했다. 
  • 베이비붐 세대는 베트남 전쟁, 전후 경제 호황, 가정용 텔레비전의 확대 중에 성인이 되었다. 이 세대는 목표 지향적이다; 그들은 "근무 시간"과 연공서열을 직업 성공의 중요한 지표로 간주한다.
  • X 세대는 에이즈 전염병, 걸프 전쟁, 그리고 1980년대 후반의 경제적 쇠퇴 동안 성년이 되었다. 이 세대는 이혼한 부모의 유병률이 높았기 때문에 책임감과 자립심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 세대 간 이러한 가치관의 차이를 고려할 때, 의학 학습자에게 가장 잘 봉사하기 위해서는 [교육적 니즈의 세대 차이]를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Broadly, each generation differs in expectations of their career, personal life, and education.

  • The Silent Generation was highly influenced by coming of age throughout the Great Depression and World War II; this is reflected in their commitment to duty, service, and expectation of limited resources (Boysen et al., 2016). They were taught through didactic sessions and relied on memorization (Boysen et al., 2016).
  • Baby Boomers came of age during the Vietnam War, postwar economic boom, and expansion of household television sets (Boysen et al., 2016). This generation is goal-oriented; they consider “hours worked” and seniority as important metrics of job success (Boysen et al., 2016).
  • Generation Xers came of age during the AIDS epidemic, the Gulf War, and the economic decline of the late 1980s (Boysen et al., 2016). This generation had a high prevalence of divorced parents and therefore tend to value responsibility and self-reliance (Borges et al., 2006; Boysen et al., 2016).
  • Given this variation in values between generations, it is imperative that we recogniz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to best serve our medical learners.

밀레니얼 세대를 가르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
FACTORS TO CONSIDER WHEN TEACHING MILLENNIALS

[밀레니얼 세대]

  • [컴퓨터와 인터넷에 광범위하게 접근]하면서 성장한 최초의 세대로, 그 결과 [초연결]되고, [기술에 자신감]이 있으며, 교훈적인 가르침보다 [전자 자원을 이용한 독학]을 선호한다.
  • 밀레니얼 세대는 빈번한 피드백과 테스트를 기대하며 의대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미디어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 관여도가 높은 부모와 함께 자란 밀레니얼 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자립심과 대처 전략이 떨어지고], [규칙과 체계적인 교육 설계를 선호]한다.
  •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는 높은 교육을 받았고, 의사소통과 팀워크를 중요시하며, 지능 테스트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사회적 책임을 직업 선택의 중요한 측면으로 생각한다.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 the first generation to grow up with widespread access to computers and the Internet, and as a result are hyper-connected, confident with technology, and prefer self-study using electronic resources to didactic teaching (Kron et al., 2010; Boysen et al., 2016).
  • Millennials expect frequent feedback and testing and prefer the use of constantly evolving media technology in medical school (Borges et al., 2006; Kron et al., 2010).
  • Having grown up with highly involved parents, Millennials have less self-reliance and coping strategies than other generations and prefer rules and structured educational design (Borges et al., 2006).
  • However, Millennials are highly educated, value communication and teamwork, score highly on intelligence testing, and consider social responsibility an important aspect of career selection (Borges et al., 2010; Boysen et al., 2016).

밀레니얼 세대와 다른 세대의 의대생들 사이의 차이는 이전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 밀레니얼 세대는 X세대 학생들과 비교하여 [따뜻함, 규칙의식, 민감성, 정서적 안정성, 완벽주의 등의 성격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고 16가지 성격 요인 설문지로 평가했을 때 [자립성은 낮았다].
  • 밀레니얼 의대생들은 주제인식시험으로 평가했을 때 [소속감과 성취감]에 더 강한 동기부여를 받는다. 반면 X세대 학생들은 [권력동기에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다.
  • 이러한 결과는 밀레니얼 의대생들이 팀워크와 성공에 대해 더 큰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개요화된 목표와 목표를 중요시한다.

Differences between Millennials and medical students from other generations have been demonstrated in previous studies.

  • Compared to Generation X students, Millennials sco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ersonality domains of warmth, rule-consciousness, sensitivity, emotional stability, and perfectionism and lower on self-reliance when assessed with the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 (Borges et al., 2006).
  • Millennial medical students are motivated more strongly by affiliation and achievement than Generation X students, who tend to score highly on power motivation when assessed with the Thematic Apperception Test (Borges et al., 2010).
  • These findings support that Millennial medical students have a greater affinity for teamwork and success, while also valuing outlined objectives and goals (Borges et al., 2010).

그들의 전임자들과 대조적으로, 밀레니얼 학습자들은 [더 야심찬 교육적 목표]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미래에 대해 더 낙관적]이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높은 기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밀레니얼 세대의 더 높은 일자리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야망과 성취 사이의 불일치]로 이어지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의대와 레지던트 훈련의 개선에 필수적인 끊임없는 교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의 [우수성에 대한 자기 인식]과 [평가 실패 및 건설적인 비판] 사이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면 [자아 손상, 우울증,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의 [자아도취]가 증가하면 [자격감senss of entitlement]이 증가하여 의학교육에서의 [성취와 결과 사이의 불일치]가 심화된다. 밀레니얼 세대는 노력이 평가에서 성취만큼 중요하다고 믿는다. 이러한 밀레니얼 세대의 기대는 완벽주의와 성취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교실과 침대 옆 모두의 커리큘럼 결과의 균형을 맞추는 임무를 맡은 의학 교육자들에게도 똑같이 도전적이다.
In contrast to their predecessors, Millennial learners have more ambitious educational goals and are more optimistic about their future (Twenge and Campbell, 2008; Twenge, 2009). Unfortunately, these high expectations are not translating into higher job success for Millennials as compared to previous generations, leading to a mismatch between ambition and achievement (Twenge, 2009). Millennials have difficulty with the constant corrections that are essential for improvement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training (Twenge, 2009). Failure to balance Millennials’ self-perception of excellence with failure on assessment and constructive criticism can lead to ego injury,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addition, rising narcissism among Millennials leads to an increased sense of entitlement, which compounds the mismatch between achievement and results in medical education. Millennials believe that effort is as important as achievement in assessment (Twenge, 2009). These Millennial expectations are equally challenging for medical educators, tasked with balancing their learners’ need for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with curricular outcomes both in the classroom and at the bedside.

밀레니얼 세대를 효과적으로 참여시키고 평가하기 위한 전략
STRATEGIES TO EFFECTIVELY ENGAGE AND EVALUATE MILLENNIALS

밀레니얼 학습자의 참여 전략은 "Five R's"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완화된 환경,
  • 학생과 교육자 간의 관계 구축,
  • 미래 사용에 대한 재료의 관련성 강조,
  • 학습자의 학문적 및 전문적 목표에 고정된 기대의 근거, 그리고
  • 실제 발견, 상호 작용 및 기술을 포함한 연구 기반 방법의 사용.

Strategies for engagement of Millennial learners can be summarized with the “Five R's”: 

  • relaxed environment, 
  • rapport building between students and educators,
  • an emphasis on relevance of material to future usage, 
  • rationale of expectations anchored to the leaner's academic and professional goals, and
  • the use of research-based methods including hands-on discovery, interactivity, and technology (Price, 2009).

편안한 학습 환경 조성
Creating a Relaxed Learning Environment

[편안한 환경]은 교실 밖에서의 세션을 포함하고, 개인적인 탐구가 교육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덜 형식적인 "옆에서 가이드" (반대는 "무대 위의 성인" ) 접근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참여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높은 가치를 두기 때문에, 교육자들은 [소규모 그룹과 실습 학습]을 증가시킴으로써 [긴 섹션의 교과서와 교훈적인 강의에 대한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적응해야 한다. Millennials는 [콘텐츠 전달방식의 다양성]이나 [대면 및 온라인으로 교수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선호한다. 이 기술을 사용해온 Millennials는 교수들의 [단방향 강의에 대한 인내심tolerance가 낮아졌고, 교수들의 빠른 응답 시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A relaxed environment can be accomplished by a less formal “guide on the side” versus “sage on the stage” approach, including sessions outside the classroom and allowing personal exploration to reach educational goals. Since Millennials place high value on participa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ducators must adapt by reducing reliance on long sections of textbooks and didactic lectures by increasing small group and hands-on learning (Price, 2009; Twenge, 2009). Variety in content delivery and the opportunity to interact either face-to-face or online with professors are appreciated by Millennials, whose use of technology has led to a lower tolerance for didactic, one-way lectures and an expectation of quick response times from their professors (Price, 2009).

해부학은 매우 가치 있는 기초 과학 과정이지만 의대에서 여전히 내용이 많은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해부학 프로그램은 거의 없습니다. 수동적이고 교훈적인 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임상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해부학]을 향한 움직임은 해부학적 내용의 [전통적인 전달]에서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경험]으로 중점을 옮겼다. [진정한authentic 커리큘럼]의 개념과 일치하는 이러한 해부학 과정은, 의료 테크놀로지(예: 방사선학, 초음파)의 사용에 참여하는 동시에, 임상 추론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인식, 성공적인 팀 간 상호작용, 의사소통 기술, 리더십 그리고 전문성을 촉진하는 비기술 분야 독립 기술의 촉진에 중점을 둔다.
Anatomy is a highly valued, basic science course, and yet there are few anatomy programs that still provide a content-heavy curriculum in medical school. The move away from passive, didactic courses toward more clinically relevant anatomy has shifted emphasis from traditional delivery of anatomical content into a student-facilitated experience (Evans, Lachman and Pawlina, 2018). These anatomy courses that align with the concept of an authentic curriculum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clinical reasoning skills while engaging with use of medical technology (e.g. radiology, ultrasonography) and place emphasis on facilitation of nontechnical discipline independent skills that promote social awareness, successful team interaction, communication skills,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Evans, Lachman and Pawlina, 2018).

학습 환경 내에서 관계 구축
Build Rapport within the Learning Environment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자들은 [관계성이 높은 교육자]들을 가치있게 여긴다. [친밀감]은 교육자의 지식이나 콘텐츠 전문 지식보다 더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보인다. Pollina 등의 최근 사설은 해부학 교육과 학습에서 학생-교사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신뢰의 원칙]은 학생이 일반적인 해부학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주는 학습 기대와 관련된 도전을 극복]하는 동시에, [교수진과 공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데 포함되어 있다. [니어피어 티처]들은 종종 교수들과 의대 1학년 학생들 사이의 세대 차이를 메우기 위해 학생들에게 관련된 경험과 위로의 손길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Millennial learners value educators who are highly relatable (Price, 2009). Rapport appears to be valued more highly than an educator's knowledge or content expertise (Pawlina et al., 2018). A recent editorial by Pawlina et al. (2018)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udent–teacher trust in anatomy teaching and learning. The principles of trust are embedded in creating a safe environment, where a student is able to overcom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stressful learning expectations in a typical anatomy course,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ble to engage openly with the teaching faculty. Near peer teachers, are often used to provide students with relatable experiences and a comforting hand, to bridge the generational gap between professors and first year medical students (Evans and Cuffe, 2009; Cantwell et al., 2015).

기대에 대한 근거 제시
Provide Rationale for Expectations

[명확한 기대]는 [기대나 지시의 모호성에 지양함]으로써 [밀레니얼 학습자들의 낮은 자립도에 반작용counteract]한다. 밀레니얼 학습자의 [자격 및 성취 가정][기대의 근거를 설명]하는 의료 교육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밀레니얼 세대가 구조에 대해 갖는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대치를 명확하고 초기부터 자주 반복해서 설명해야 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마감일, 정책 및 강사와의 상호 작용 측면에서 [유연성을 선호]하지만, 교수자는 [마감일과 밀레니얼 학습자의 요구 사항에서 예외를 두려는 충동]에 저항해야 한다. 그래야 [적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비기술 분야 독립 기술에 가치를 두는 해부학 커리큘럼은 공식화된 평가를 통해 그러한 속성을 목표로 하여 책임을 장려한다. 해부학 교육의 팀 기반 환경 내에서, 학생들은 [집단적인 노력]을 통해 [과목의 결과를 달성하는 데 기여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진다. 기대는 이러한 기대를 과정 목표와 일치시키는 책임을 지는 팀원에 의해 주도되고 관리됩니다. 또한 해부학 실험실 학습 환경은 사체 기증자와 함께 일하는 것이 미래의 환자와 함께 일하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전문직업성을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해부 작업에 참여할 때 [기밀성과 존중을 유지]해야 한다. [명확한 기대]는 실험실 실습의 필수 요소를 형성하며, 잘 설계된 해부학 커리큘럼은 밀레니얼 의대생의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적합하다.
Clear expectations counteract the low self-reliance among Millennial learners by avoiding ambiguity in expectations or instructions (Twenge, 2009). Entitlement and assumption of achievement in Millennial learners may be managed by medical educators who explain the rationale for expectations; clear, early, and often-repeated expectations meet Millennials’ need for structure (Twenge, 2009). While Millennials prefer flexibility in terms of deadlines, policies, and interactions with instructors (Price, 2009), medical educators should resist the urge to make exceptions in deadlines and requirements for Millennial learners, thereby avoiding the expectation of better results in the face of less effort. Anatomy curricula that place value on nontechnical discipline independent skills, incentivise responsibility, targeting such attributes through formalized assessment (Evans and Pawlina, 2015). Within the team-based environment of anatomy education, students are made accountable for their contribution in achieving course outcomes through collective effort. Expectations are driven and managed by team members who take responsibility for aligning these expectations with course objectives (Dougherty et al., 2018). Additionally, the anatomy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 provides a platform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as working with cadaveric donors translates to working with future patients; students are expected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nd respect when engaging in dissection tasks. Clear expectations form an essential element of laboratory practice and a well-designed anatomy curriculum lends itself to meeting this need of the Millennial medical student.

학습 관련성 강조
Emphasize Relevance for Learning

[학습된 개념의 관련성]은 밀레니얼 의학 학습자들의 참여에 매우 중요하다(Price, 2009). 밀레니얼 학습자는 [의무로서의 학습]이라는 의식이 낮기 때문에, [학습목표는 실제 적용가능성과 연계]될 때 더 효과적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원리를 암기하는 것보다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해석되는 [목적의식]을 추구한다. 현대 해부학 교육 틀에서 [세부 정보의 암기]는 [핵심 과정 목표에서 제외]되었다. 오늘날의 의과대학 해부학 커리큘럼은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다학제적 의료 접근법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문가 간 학습에 대한 노출을 포함하는 진정한 환경을 말한다.
The relevance of learned concepts is critical to engagement among Millennial medical learners (Price, 2009). Learning objectives are more effective when tied to real-life applicability as Millennial learners have a low sense of learning as a duty (Twenge, 2009; Elam et al., 2011). Millennials are community-minded and seek a sense of purpose that translates into a need to understand and apply concepts rather than memorize principals (Elam et al., 2011). In the contemporary anatomy educational framework, memorization of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excluded from the core course objectives. The present-day medical school anatomy curriculum is clinically relevant, and speaks to an authentic setting that includes exposure to inter-professional learning, as it relates to a multidisciplinary health care approach.

[더 짧고 간소화된 과정]을 통해 해부학자들은 학생들에게 [임상적으로 관련된 해부학 교육]을 제공하는 동시에, [비판적 사고와 임상 추론]에 참여하도록 과정 내용을 맞춤화했다. 학습 환경에서 임상 토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청중 응답 시스템]의 사용을 통한 사례 기반 질문과 같은 많은 전략이 채택되었다. [브리핑 세션]을 사용하면 해부학 교사가 이어질 실험실 환경에서 강화하고자 하는 개념을 강조할 수 있다. 여기서, 학생들은 임상적 관련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는 [전공의 및 개업의와 접촉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해부학 교수와 학습에서 초음파의 구현이 현재 급증하면서,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기능적 해부학과 구조를 감상할 수 있는 해부학 교실에 침대 옆의 경험을 가져왔다. 
With shorter, streamlined courses, anatomists have tailored course content to provide students with clinically relevant anatomy education, while engaging them i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reasoning. Many strategies, such as case-based questioning through the use of audience response systems, have been adopted to facilitate clinical discuss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use of briefing sessions (Lachman and Pawlina, 2015) allows anatomy teachers to highlight concepts that are then reinforced in the laboratory setting. Here, students may have an opportunity to engage with residents and practicing physicians who can further emphasize the clinical relevance. In addition, the current surge in implementation of ultrasound in anatomy teaching and learning have brought bedside experiences to the anatomy classroom, where students can appreciate in real-time functional anatomy and structure (Patel, Benninger, and Mirjalili, 2017).

연구 중심의 교육적 접근법
Use Research-Driven Educational Approaches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사용으로 정의된 세대의 경우, [테크놀로지 도구에 참여할 기회의 부족]은 밀레니얼 세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제한]한다. 실제 작업, 상호작용 및 현대 기술을 통합하는 교육자는 의미 있는 학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밀레니얼 세대의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종이 매체]보다 [온라인 자원]을 선호한다. 새로운 미디어 기술을 교육 콘텐츠와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것은 학생들보다 기술적 지식이 부족한 의학 교육자들에게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미디어 기술과 기존의 의학 교육 접근법의 성공적인 병합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 트위터를 사용하여 보충적인 초음파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의사를 위한 원격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육자들이 교육을 위한 기술 사용을 늘릴 수 있는 지침이 존재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기술 사용으로 인해 콘텐츠 전달의 다양성을 높이 평가하며, 이로 인해 주의 집중 시간이 단축되고 일방통행 강의에 대한 내성이 낮아졌다. 
For a generation defined by use of new media technology (Price, 2009; Twenge, 2009; Kron et al., 2010), lack of opportunity to engage with technological tools limits Millennial student motivation toward learning. Educators who incorporate hands-on work, interactivity and modern technology are likely to facilitate meaningful learning. Millennial learners prefer online resources over traditional paper media (Bahner et al., 2012). Effective integration of new media technology with educational content, may be difficult for medical educators who are less technologically literate than their students (Bahner et al., 2012). However, successful merging of new media technologies with conventional medical educational approaches is possible; examples include using the social media website Twitter to deliver a supplementary ultrasound curriculum (Bahner et al., 2012) and use of Facebook to facilitate distance learning for physicians (Cartledge et al., 2013). Guides for educators to increase their usage of technology for teaching exist (Forgie et al., 2013). Millennials appreciate variety in content delivery due to their use of technology, which has led to shorter attention spans and low tolerance for didactic, one-way lectures (Price, 2009).

밀레니얼 의대생 평가
EVALUATION OF MILLENNIAL MEDICAL STUDENTS

밀레니얼 세대는 [정기적인 피드백을 기대하고 반응]하며, [개선을 위한 제안]과 함께 [행동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화된 피드백에 높은 가치]를 둔다. 방법은 지식 격차의 초점 영역을 식별하는 청중 응답 시스템 및 다중 방법 퀴즈를 포함할 수 있다. 밀레니얼 의대생들은 종종 직업과 직장 생활 조언자, 연구 지도자, 공식적인 멘토직에 대한 접근을 요청한다. 이러한 [구조화된 접근 방식]은 [적시 도구와 서포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업 및 전문적 성공에 필요한 기술을 식별하고 육성함으로써 밀레니얼 세대 학생들의 교육 결과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Millennials expect and respond to regular feedback, and place a high value on specific, individualized feedback on behaviors with suggestions for improvement (Elam et al., 2011). Methods may include audience response systems and multi method quizzes which identify focused areas of knowledge gaps. Millennial medical students frequently request access to career and work-life advisors, research preceptors, and formal mentorship (Elam et al., 2011). This structured approach, can optimize the educational outcomes of Millennial students, by offering just-in-time tools and support, as well as identifying and fostering needed skills for academic and professional success.

해부학자들이 어떻게 그것을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
HOW ANATOMISTS ARE DOING IT RIGHT

해부학 교육은 수세기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던 콘텐츠 전달에 대한 접근 방식을 계속 변화시켜 왔다. 커리큘럼은 의학 교육에서 학습자의 변화하는 요구를 촉진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20세기 후반 의학의 분자생물학 혁명 이전에 해부는 인체에 대해 배우는 주요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해부학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교육 관행은 변화를 겪었다. 주요한 변화는 다음이 있다.

  • 해부학 교육에 소비되는 시간의 감소,
  • 수평적 과정으로부터 수직 커리큘럼으로 전환,
  • 전통적인 해부학의 사용 감소 대신 시뮬레이션, 기술 강화 학습, 생활 해부학, 의료 영상과 같은 혁신적인 방법 대체

이러한 주요 변화를 촉진하면서, 해부학자들은 오늘날의 학습자들을 참여시키는 데 있어 세 가지 효과적인 원칙을 강조하는 새로운 교육학적 접근법을 채택하고 발전시키는 예리한 능력을 보여주었다(표 1):
Anatomy education has continued to transform its approach to delivery of content that has seen little change over centuries. Curricula have evolved to facilitate the changing needs of the learner in medical education (Trelease, 2006; Pawlina and Lachman, 2013, Benninger et al., 2014). Prior to the molecular biology revolution of medicine in the late 20th century, dissection was the primary method for learning about the human body (Estai and Blunt, 2016). However, in recent decades, educational practices used to teach anatomy have undergone a shift. Major changes have included

  •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rs spent on anatomy education (Barry et al., 2016),
  • a move away from horizontal courses toward vertical curricula (Benninger, Matsler and Delamarter, 2014) and
  • decreased use of traditional dissection teaching in favor of innovative substitutes such as simulation, technology-enhanced learning, living anatomy, and medical imaging (Sugand et al., 2010; Estai and Blunt, 2016).

In facilitating these major changes, anatomists have demonstrated a keen ability to adopt and evolve new pedagogical approaches that highlight three effective principles in engaging today's learners (Table 1):

관련
Relate

[관계 구축과 학생과 관련 짓기]에 대하여, 해부학자들은 [기술 향상 학습]과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의학 교육에 통합]하는 것에 대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큰 지지자들 중 일부였다. 이러한 유형의 교육학적 도구는 이미 교육 목적으로 온라인 포럼 및 도구와 상호 작용하는 밀레니얼 학습자에게 자연스럽게 적합합니다. Hennessy 등은 신경 해부학을 배우는 2학년 학생들의 참여와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트위터를 사용했으며, 91%의 학생들이 그들이 만든 해시태그에 참여했지만 해시태그의 사용은 향상된 학생 시험 성과와 상관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Jaffar(2014)는 의대생 집단을 위한 교실 내 해부학 교육을 보완하고 지원하기 위해 페이스북 페이지를 만들었다. 이 개입은 학생들에 의해 94%가 페이지가 좋거나 훌륭하다고 평가하면서 매우 즐거운 것으로 인식되었다.
In regard to building rapport and relating to students, anatomists have been some of the first and loudest advocates of technology-enhanced learning and incorporating social media sites into medical education. This type of pedagogical tool is a natural fit for Millennial learners who already interact with online forums and tools for education purposes (Barry et al., 2016). Hennessy et al. (2016) used Twitter to help support engagement and collaboration among second-year students learning neuroanatomy, and found that 91% of students engaged with the hashtag that they created, but that use of the hashtag did not correlate with improved student examination performance. Jaffar (2014) created a Facebook page to supplement and support in-classroom anatomy teaching for a cohort of medical students- an intervention that was perceived as highly enjoyable by the students with 94% of them rating the page as either good or excellent.

학생들은 해부학 강사들이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그들과 함께 참여하려는 의지]를 크게 높이 평가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즉각적인 업데이트]와 밀레니얼 학생들이 교수에게 기대하는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그들은 또한 학생들이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학습을 위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열정에도 불구하고, 일부 해부학자들은 이러한 사이트에서 [학생들과 상호 작용하는 뉘앙스에 불편함]을 표현했다. 미래에는 이 주제에 대한 명확한 정책과 지침이 이러한 불편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형의 교육학적 도구의 지지자들은 학생-학생 및 학생-교사 토론과 협력을 통한 학습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 구성주의 원칙]을 인용한다.
Students are largely appreciative of anatomy instructors’ willingness to engage with them in social media spaces (Hennessy et al., 2016). These platforms allow for instantaneous updates and the type of rapid responses that Millennial students expect of their professors (Barry et al., 2016). They also provide an additional space for students to interact and build rapport. Despite their enthusiasm for social media platforms for learning, some anatomists have expressed discomfort with the nuances of interacting with students on these sites (Barry et al., 2016). In the future, clear policies and guidelines on this topic could help ease some of this discomfort. Nevertheless, proponents of this type of pedagogical tool cite social constructivist principles to support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through student–student and student–teacher discussions and collaboration (Jaffar, 2014; Hennessy et al., 2016).

공명
Resonate

해부학자들이 사용하는 많은 새로운 교육학적 기법들은 [해부학적 원리에 대해 학생들을 교육]할 뿐만 아니라, 이 세대의 학생들에게 [해부학을 배우는 것의 임상적 관련성]을 강조한다.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 및 초음파 검사와 같은 영상 양식을 해부학 교육에 통합하는 것은 이것이 달성된 한 가지 방법이다. 이러한 [기술의 빠른 채택]은 의사로서의 미래 실습에 대한 학습 목표의 적용 가능성을 이해하기 위한 밀레니얼 선호와 잘 맞는다. 많은 해부학 프로그램은 특히 최소 침습적 수술과 응급 절차의 현실적인 입증을 위해 언발육된 시체를 수용하도록 조정되었다. 암기 기반 교육에서 임상 애플리케이션으로 잘 번역되는 대화형 교육 기회로 전환하는 것은 밀레니얼 학습자의 참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진단 영상 및 수술에서 강사와 임상 문제를 통합하는 현대 해부학 과정은 학제 간 상호 작용뿐만 아니라 실제 의료 관행을 반영한다. 의학 학습자들에게 관련성 있고 상호작용적이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해부학자들의 지속적인 노력은 밀레니얼 학습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Many of the new pedagogical techniques used by anatomists not only educate students on anatomic principles, but they also highlight the clinical relevance of learning anatomy for this generation of students. The incorporation of imaging modalities such as computed tomography (Kolossvary et al., 2017),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nography (Jamniczky et al., 2017; Patel, Benninger and Mirjalili, 2017) into anatomy teaching are one way that this has been achieved (Trelease, 2002). The rapid adoption of these technologies fit well with Millennial preferences for understanding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objectives to their future practice as physicians (Trelease, 2002). Many anatomy programs have adapted to accommodate unembalmed cadavers specifically for realistic demonstration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emergency procedures (Sugand et al., 2010). The shift from memorization-based teaching to interactive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translate well to clinical applications is critical for engaging Millennial learners. Modern anatomy courses that incorporate instructors and clinical problems from diagnostic imaging and surgery, are not only interdisciplinary and interactive but reflect true-to-life medical practice (Benninger et al., 2014). The ongoing commitment by anatomists to providing a relevant, interactive, and varied experience for medical learners is well received and highly rated by Millennial learners (Benninger et al., 2014).

혁신
Innovate

지난 세기 동안 해부학 교육에서 볼 수 있었던 주요 변화는 해부학 실험실을 [무균의 구조화된 환경]에서 보다 [상호작용적이고 창의적인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일부 해부학 교육자들은 표면 해부학을 가르치기 위해 살아있는 자원봉사 모델에 [바디 페인팅]을 제공하고, 다른 사람들은 단면 해부학을 배우기 위해 [점토 모델링]을 사용한다. 다른 것들은 컴퓨터 단층 촬영 이미지에서 3차원 인쇄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복제품으로 투영된 표본을 대체했다. 컴퓨터의 광범위한 채택에 대응하여, 해부학 프로그램은 해부학적 정보학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분야에서 의대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그들의 기술 사용을 넓혔다. Visible Human과 같은 공유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생성은 기존의 교훈적인 강의와 달리 안내된 자율 학습과 전자 학습을 촉진했다. 해부학자들은 인터넷, 개인용 컴퓨터, 아이팟과 같은 학생들에 의해 사용되는 새로운 기술을 위한 강의 자료를 초기에 적응시켰다. 이러한 모든 변화는 다른 많은 기초 과학 분야에서 계속 사용되는 것보다 교수와 학습에 대한 더 편안한 접근을 촉진하는 대화형, 혁신적인 해부학 연구소의 탄생으로 절정에 달했다.
The major shifts seen within anatomy education within the last century have transformed the anatomy laboratory from a sterile, structured environment to a more interactive and creative space. Some anatomy educators offer body painting on live volunteer models to teach surface anatomy and others use clay modeling to learn cross sectional anatomy (Oh, Kim, and Choe, 2009; Benninger et al., 2014; Sugand et al., 2010). Others have replaced prosected specimens with reproductions created us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from computed tomography images (Kong et al., 2016; McMenamin et al., 2014). In response to widespread adoption of computers, anatomy programs have broadened their use of technology to teach medical students in an emergent field termed anatomical informatics (Trelease, 2002, 2006). Creation of shared image databases, such as Visible Human, have facilitated guided self-study and electronic learning as opposed to traditional didactic lectures (Trelease, 2002). Anatomists were early in adapting course material for new technologies used by students such the Internet, personal computers, and iPods (Trelease, 2006, 2008). All of these changes have culminated in the creation of interactive, innovative anatomy laboratories that foster a more relaxed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than that which continues to be utilized in many other basic science disciplines.

결론
CONCLUSION

해부학 교육은 의학의 기초이며 의대생들을 위한 통과의례이다. 21세기 학습자들은 이전 세대와 달리 연결성, 공명, 교육 혁신을 요구한다. 놀랄 것도 없이, 해부학자들은 오늘날 가장 널리 보급된 세대의 의학 학습자들을 가르치는 데 앞장서고 있다. 그들은 다음의 원칙을 통해 그렇게 한다 

  • 학습자와 관련된 (편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와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 학습 내용이 학습자에게 공명하도록 보장 (학습 목표와 평가의 관련성과 근거를 강조함으로써) 
  • 프로그램 내에서의 혁신 (최첨단, 연구에서 입증된 교육 방법을 통합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부학자들은 의심할 여지 없이 2020년에 새로운 세대의 학습자들이 의대에 입학함에 따라 교육 전달을 세대의 기대에 계속 맞추게 될 것이다.

Anatomy education is foundational to Medicine and is a rite of passage for medical students. Unlike previous generations, 21st century learners demand connectivity, resonance, and innovation in their education. Unsurprisingly, anatomists are leading the way in teaching the most prevalent generation of medical learners of today. They do so through the principles of

  • relating to learners (by creating relaxed learning environments and rapport with learners),
  • ensuring that learning content resonates with learners (by highlighting the relevance and rationale of learning objectives and assessments) and
  • innovating within their programs (by incorporating cutting edge, research-proven instructional methods).

As time goes on, anatomists will no doubt continue to align educational delivery to generational expectations as a new generation of learners enters medical school in 2020.

 


 

Clin Anat. 2019 Jan;32(1):20-25. doi: 10.1002/ca.23259. Epub 2018 Oct 20.

Medical education for millennials: How anatomists are doing it right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s

1Division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Cumming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Canada.

2Department of Anatomy,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USA.

3Mayo Clinic School of Medicine, Mayo Clinic, Rochester, Minnesota, USA.

PMID: 30113110

DOI: 10.1002/ca.23259

Abstract

Millennial students born between 1980 and 1999 are currently the most prevalent generation in medical schools. Understanding this generation of inspiring yet challenging learners is key to satisfying instructional interaction.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millennial learners can be summarized with 5 R's: ensuring a relaxed learning environment, building rapport with learners, highlighting the relevance and rationale of learning objectives and assessments, and implementing research-based educational methods. These strategies are exemplified by anatomists who relate (through platforms that encourage team-based learning in a relaxed environment), resonate (by highlighting the relevance and rationale of basic science learning objectives and feedback strategies), and innovate (by adopting cutting edge, research-proven technologies) within their curricula. Anatomists lead the way in effectively engaging, teaching and evaluating Millennial medical students in the 21st century. Broad application of these principles by other medical educators can further enhance Millennial education. Clin. Anat., 2018. © 2018 Wiley Periodicals, Inc.

Keywords: medical anatomists learning curriculum feedback; medical education; medical students; school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