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서술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Res Nurs Health. 2000)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Margarete Sandelowski*

 

질적 연구자들은 이제 이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정교한 방법들의 점점 더 많은 배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더 평범하고 상당히 "덜 섹시한"1 방법, 즉 [질적인 묘사]를 부활시키는 것은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정성적 기술의 재발견이 필요한 것은 바로 간호 연구에서 [정성적 방법의 복잡성]과 [방법의 횡포]이다.
Qualitative researchers now have the option to choose from an increasing array of theoretically and technically sophisticated methods. Accordingly, it may seem strange to resurrect a plainer and considerably ``less sexy''1 method: namely, qualitative description. Yet it is precisely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qualitative methods and the tyranny of method in nursing research that makes the rediscovery of qualitative description necessary.

[기술 연구descriptive research]는 일반적으로 정량적 연구 설계 계층에서 가장 낮은 순위에 있는 것으로 연구 텍스트에서 묘사된다. 이 계층 구조에서 예측과 제어를 목표로 하는 "참" 실험은 금본위제이며 다른 모든 설계는 실험적이지 않고 약하다(예: 탤벗, 1995). 정량적 연구를 ''가장 조잡한 형태의 탐구'''로 묘사하는 견해(Thorne, Kirkham, & MacDonald-Emes, 1997, p. 170)는 질적 연구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단순히 묘사 이상의 것으로 그들의 노력을 방어할 의무를 느꼈다. 즉, 그들은 현상학, 근거이론, 민족학, 또는 서사연구로 그들의 작품을 지정함으로써 ''인식론적 신뢰성''(p.170)을 추구했다. 그러나 너무 많은 경우에 이러한 노력은 현상학, 이론, 민족지학 또는 서술적 해석보다는 현상학, 근거이론, 민족지학 또는 서술적 연구에 대한 "가식posturing"를 초래했다(Wolcott, 1992). 아래와 같은 혼란스러운 상황이 존재한다.

  • 최소한의 구조화된 개방형 인터뷰만 포함하면 '서사적' 라고 부른다.
  • 참가자들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보고만을 포함하면, '현상학적'이라고 부른다.
  • 서로 다른 민족 집단의 참가자들만을 포함하기만 하면, '민족지적'이라고 부른다.

Descriptive research is typically depicted in research texts as being on the lowest rung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hierarchy. In this hierarchy, ``true'' experiments aimed at prediction and control are the gold standard and any other design is non-experimental and weak (e.g., Talbot, 1995). The view of description in quantitative research as the ``crudest form of inquiry'' (Thorne, Kirkham, & MacDonald-Emes, 1997, p. 170) likely has negatively influenced researchers engaging in qualitative research, many of whom have felt obliged to defend their efforts as something more than mere description. That is, they have sought ``epistemological credibility'' (p. 170) by designating their work as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graphy, or narrative study. In too many cases, however, this effort has resulted in ``posturing'' (Wolcott, 1992) about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graphy, or narrative study rather than in phenomenologies, theories, ethnographies, or narrative interpretations. A confusing state of affairs exists whereby studies are called

  • narrative, even though they may include nothing more than minimally structured, open-ended interviews;
  • phenomenologic, even though they may include nothing more than report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or,
  • ethnographic, even though they may include nothing more than participants in different ethnic groups.

실제로, 그것들이 실습을 위한 귀중한 정보를 산출하는 가치 있는 연구일 수 있지만, 이러한 소위 서술적, 현상학적, 민족학적 연구는 종종 서술적, 현상학적, 민족학적 측면과 함께 [질적 서술적 연구]로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나중에 질적 연구의 과장된 주제로 돌아갈 것이다.
Indeed, although theymay undeniably be worthwhile studies that yield valuable information for practice, these so-called narrative, phenomenologic, and ethnographic studies are often better described a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lbeit with narrative, phenomenologic, and ethnographic overtones. I will return to the subject of overtones in qualitative research later.

현재 방대한 질적 방법 문헌에서, 다른 질적 방법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 독특한 방법으로서 [질적 묘사qualitative description]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은 없지만, 실천 분야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법론적 접근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묘사qualitative description]를 방법론적 곡예에 의존하지 않고 연구자들이 부끄럽지 않게 주장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나의 질적 서술에 대한 발표는 부분적으로 Thorne, Kirkham 및 MacDonald-Emes의 "해석적 서술"(1997)에 대한 통찰력 있는 논의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그 논의와 "방법론적 정통성"에 대한 Thorne의 이전 관련 토론(1991)에서 세 가지 방식으로 출발한다.

  • 첫째로, 나는 질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을 조사를 위한 "비범주적 대안"과는 달리 [범주적]으로 본다. 즉, 그 방법은 근거 이론, 현상학 및 민족지학의 새롭고 독특하게 간호된 적응인 것과는 달리 이미 존재하지만 상대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 둘째, 질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자료에서 멀리 또는 자료로 이동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해석적 서술"보다 [덜 해석적]이라고 본다.
  • 셋째, 개념적이거나 매우 추상적으로 데이터를 렌더링할 필요가 없습니다. 질적 묘사에 대한 나의 묘사는 다른 질적 연구의 ''진입점'''이라기보다는 [그 자체로 완전하고 가치 있는 최종 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본다는 점에서 아르티니안(1988)의 ''기술적 모드'''에 대한 유용한 논의에서 출발한다. (반면, 그녀는 qualitative description을 근거 이론 탐구의 필수 전주곡으로 제시했다.)

In the now vast qualitative methods literature, there is no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distinctive method of equal standing with other qualitative methods, although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methodologic approaches in the practice disciplines. Accordingly, in this paper, I describe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method that researchers can claim unashamedly without resorting to methodological acrobatics. My presenta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was inspired, in part, by Thorne, Kirkham, and MacDonald-Emes' insightful discussion of ``interpretive description'' (1997), but departs from that discussion and from Thorne's (1991) earlier related discussion of ``methodological orthodoxy'' in three ways.

  • First, I see qualitative description as a categorical, as opposed to ``noncategorical alternative'' for inquiry; that is, the method already exists but is relatively unacknowleged, as opposed to being a new, distinctively nursing adaptation of grounded theory, phenomenology, and ethnography.
  • Second, I see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s less interpretive than ``interpretive description'' in that they do not require researchers to move as far from or into their data.
  • Third, they do not require a conceptual or otherwise highly abstract rendering of data. My depic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departs from Artinian's useful discussion of the ``descriptive mode'' of qualitative inquiry (1988) in that I view it as producing a complete and valued end-product in itself, rather than as an ``entry point'' (p. 139) into other qualitative studies: as she presented it, as a necessary prelude to grounded theory inquiry.

나는 현상학, 근거이론, 민족학 등 다른 종류의 질적 설명과 구별하기 위해, 여기서 제시하는 방법을 [기본적 또는 근본적인 질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으로 지칭한다. 현상학, 기초 이론 및 민족학 연구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술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불행하게도, 기초, 기본, 표면이라는 단어(이 글의 뒷부분에서 내가 사용하는 단어)는 기초적이고, 피상적이고, 단순하거나, 또는 단지 예비적인 것을 암시한다. 나는 이 단어들을 사용함으로써 한 방법을 다른 방법보다 더 쉽고, 덜 가치 있고, 덜 바람직하거나, 덜 과학적이라고 제시하는 사악한 계층 구조를 결코 강화하고 싶지 않다. 어떤 방법도 절대적으로 약하거나 강하지 않고, 오히려 특정 목적과 관련하여 유용하거나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나는 여기서 정성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을 그 자체로 가치 있는 방법으로서 제시한다. 다른 방법과의 비교는 순위나 폄훼가 아닌 조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I refer to the method I present here as
basic or fundamental qualitative description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kinds of qualitative description, such as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and ethnography. Phenomenologic, grounded theory, and ethnographic studies are not exclusively in the descriptive domain, though, as they may also be used to explain phenomena. Unfortunately, the words basic, fundamental, and surface (a word I use later in this article) connote something elementary, superficial, simple, or merely preliminary. In no way do I wish to reinforce, by using these words, those invidious hierarchies that present one method as easier, less valuable, less desirable, or less scientific than another. No method is absolutely weak nor strong, but rather more or less useful or appropriate in relation to certain purposes. Accordingly, I present qualitative description here as a valuable method by itself. Comparisons to other methods are for the purposes ofillumination,not rankingordenigration.

정성적 기술 대 정량적 기술 및 기타 정성적 방법
QUALITATIVE DESCRIPTION VERSUS QUANTITATIVE DESCRIPTION AND OTHER QUALITATIVE METHODS

모든 탐구에는 묘사가 수반되고, 모든 묘사는 해석을 수반한다. 어떤 현상(또는 사건이나 경험)을 아는 것은 최소한 그 현상에 대한 "사실"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사실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특정한 맥락을 벗어난 "사실"은 없다. 설명은 항상 설명자의 인식, 성향, 민감성 및 감성에 따라 달라진다(예: Emerson, Fretz, & Shaw, 1995; Georgi, 1992; Wolcott, 1994). ''Naked, innocent 눈으로 바라보는 순수한 모습은 없다'(Pearce, 1971년, 페이지 4). 그리고 ''무구한 인식'''도 없다(Beer in Wolcott, 1994, 페이지 13). 경험이나 사건을 묘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그들이 묘사할 것을 선택하고 그것의 특정 측면을 특징짓는 과정]에서 그 경험이나 사건을 변화시키기 시작한다.
All inquiry entails description, and all description entails interpretation. Knowing any phenomenon (or event or experience) requires, at the very least, knowing the ``facts'' about that phenomenon. Yet there are no ``facts'' outside the particular context that gives those facts meaning. Descriptions always depend on the perceptions, inclinations, sensitivities, and sensibilities of the describer (e.g., Emerson, Fretz, & Shaw, 1995; Giorgi, 1992; Wolcott, 1994). ``There is no pure looking with a naked, innocent eye'' (Pearce, 1971, p. 4), and there is no ```immaculate perception''' (Beer cited in Wolcott, 1994, p. 13). Researchers seeking to describe an experience or event select what they will describe and, in the process of featuring certain aspects of it, begin to transform that experience or event.

어떠한 설명도 해석에서 자유롭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현상학적 또는 근거 있는 이론 설명과 반대로, [기본적 또는 근본적인 질적 설명qualitative description]은 낮은 추론 또는 연구자들 사이의 더 쉬운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형태의 해석을 수반한다. 비록 한 연구원이 한 여성이 인터뷰에서 보고한 사건들을 두 번째 연구원이 특징지을 수 있지만, 두 연구자 모두, 예를 들어, 그 여성이 화가 났다고 여러 번 진술했고, 그녀 자신이 유방암에 걸렸다는 것을 알고 하루 후에 어머니가 죽었다고 진술했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 표면적으로 동일한 장면을 묘사하는 두 연구자의 경우, 한 연구자는 방의 공간 배치를 특징지을 수 있고, 두 번째 연구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특징지을 수 있다. 그러나 두 연구자는 장면의 정확한 표현으로서 서로의 설명에 동의해야 한다. 즉, [추론력이 낮은 서술low-inference description]을 함으로써 연구자들은 설령 서술에 같은 사실을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사건의 ``사실"에 더 쉽게 동의할 것이다. (인터뷰 또는 관찰 데이터의 설명 요약의 형태에 관계없이) 설명은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자의 선택을 수반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항상 적절한 순서로 사건을 정확하게 전달하거나[서술적 타당성], 그리고 그러한 사건에 기인하는 [참여자의 의미]라는 [해석적 타당성]을 가져야 한다(Maxwell, 1992). 비록 인간은 결코 "거기"에 있는 모든 것을 묘사할 수 없으며 결코 원하지 않을 것이지만, 그들이 묘사하기로 선택한 것은 대부분의 관찰자들이 사실 "거기"에 동의하는 것이 될 것이다.''
Although no description is free of interpretation, basic or fundamental qualitative description, as opposed to, for example, phenomenological or grounded theory description, entails a kind of interpretation that is low-inference, or likely to result in easier consensus among researchers. Even though one researcher may feature the feelings and a second researcher the events a woman reported in an interview, both researchers will likely agree that, for example, the woman stated several times that she was angry and that she stated that her mother died one day after she herself learned she had breast cancer. In the case of two researchers describing ostensibly the same scene, one researcher might feature the spatial arrangement in a room, while the second researcher will feature the social interactions. But both researchers ought to agree with each other's descriptions as accurate renderings of the scene. That is, with low-inference descriptions, researchers will agree more readily on the ``facts'' of the case, even if they may not feature the same facts in their descriptions. Descriptions - whether in the form of descriptive summaries of interview or observation data - entail researchers' choices about what to describe. But these descriptions must always accurately convey events in their proper sequence, or have descriptive validity, and the meanings participants attributed to those events, or have interpretive validity (Maxwell, 1992). Although human beings can never, and will likely never want to, describe everything that is ``there,'' what they choose to describe will be something that most observers would agree is in fact ``there.''

따라서 '(인간의) 인식을 통해 필터링된다'는 점에서 필연적으로 해석적이기는 하지만, 연구자가 개념적, 철학적, 또는 그 밖의 고도로 추상적인 틀이나 체계적 측면에서 사건을 기술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선택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질적 묘사는 해석력이 높지 않다].

  • [질적 서술적 연구]의 서술은 [일상적인 언어]로 사례의 사실들을 제시하는 것을 수반한다.
  • 대조적으로, 현상학적, 이론적, 민족학적, 또는 서술적 서술은 다른 용어로 사건을 나타낸다. 이런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그들이 보고 듣는 것에 그들 자신의 [해석적 스핀]을 더 많이 넣을 의무가 있다. 이 스핀은 부분적으로 이러한 방법론 자체에서 파생됩니다.
    • 근거 이론 연구는 연구자가 데이터를 "조건적/결과적 행렬"에서 요소를 찾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Strauss & Corbin, 1998, p. 181).
    • 특정 유형의 현상학적 연구는 연구자가 "생활 세계의 실존성"이라는 관점에서 데이터를 찾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Van Manen, 1990, 페이지 101).

Accordingly, although unavoidably interpretive, in that it is `’filtered through (human) perceptions'' (Wolcott, 1994, p. 13), basic qualitative description is not highly interpretive in the sense that a researcher deliberately chooses to describe an event in terms of a conceptual, philosophical, or other highly abstract framework or system.

  • The description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entails the presentation of the facts of the case in everyday language.
  • In contrast, phenomenological, theoretical, ethnographic, or narrative descriptions re-present events in other terms. Researchers are obliged to put much more of their own interpretive spin on what they see and hear. This spin derives, in part, from these methodologies themselves.
    • Grounded theory study inclines the researcher to look for, and interpret data as, elements in a ``conditional/ consequential matrix'' (Strauss & Corbin, 1998, p. 181).
    • Certain types of phenomenologic studies incline the researcher to look for, and interpret data in terms of, ``lifeworld existentials,'' such as corporeality and temporality (Van Manen, 1990, p. 101).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단어와 장면만 읽는 것]이 아니라, [행간을 읽고, 단어와 장면을 초월한 읽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연구자가 데이터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거나 그 너머로 이동할 것을 요구한다(예: McMahon, 1996; Poirier & Ayres, 1997). 현상학적 연구의 ''순간''에 대한 Wertz'(1983) 분석은 참가자의 사건에 대한 설명에서 연구자의 사건에 대한 현상학적 설명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변화를 잘 보여준다.
Such descriptions require researchers to move farther into or beyond their data as they demand not just reading words and scenes, but rather reading into, between, and over them (e.g., McMahon, 1996; Poirier & Ayres, 1997). Wertz' (1983) analysis of the ``moments'' of a phenomenological study is an excellent demonstration of the successive transformations from a participant's description of an event to a researcher's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that event.

현상학적 또는 근거 있는 이론 설명보다 해석력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질적 서술]은 [정량적 서술]보다 해석력이 더 강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사전 선택된 변수에 대한 공통 데이터 세트를 얻기 위한 조사 또는 기타 사전 구조화된 수단과 이를 요약하기 위한 서술적 통계를 수반한다. [정량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연구할 변수를 미리 선정하여 연구에 대한 기대의 지평을 설정하고, 일련의 가정을 바탕으로 스스로 통계적 시험 결과로부터 결론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해석을 수반한다. 그러나 이는 개념의 운영적 정의와 조사 및 기타 조치의 항목으로서의 표현을 포함하여 이러한 사전 설정된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일종의 해석이다. 정량적 설명은 참가자가 이벤트에 제공하는 의미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것을 제한한다. 더욱이, 정량적 설명에서, 연구자들은 예상치 못한 것을 위한 여지를 덜 남겨둔다(Becker, 1996, p. 61).
Although less interpretive than phenomenological or grounded theory description, fundamental qualitative description is more interpretive than quantitative description, which typically entails surveys or other pre-structured means to obtain a common dataset on pre-selected variabl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o summarize them. Quantitative descriptive studies entail interpretation in that researchers set the horizon of expectations for the study by pre-selecting the variables that will be studied, and in that they draw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statistical tests, which are themselves based on sets of assumptions. But it is a kind of interpretation that does not move beyond these pre-set confines, including the operational definitions of concepts and their representations as items in surveys and other measures. Quantitative description limits what can be learned about the meanings participants give to events. Moreover, in quantitative description, researchers leave less room for the unanticipated (Becker, 1996, p. 61).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사건 발생 시 발생하는 모든 요소를 포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려고 합니다. 그들이 "현장에 있는 한" 그들은 현장에서 무엇을 관찰하든 자료로 간주할 의무가 있다. 정성적 연구자들은 양적 연구자들만큼 쉽게 "데이터로부터 스스로를 절연"할 수 없다(Becker, 1996, p. 56). 비록 ''완전한 묘사는 이룰 수 없는 환상''이지만, 정성적 설명에 대한 [더 완전한fuller 설명]은 한정적이거나 정량적 조사에서 나온 (그들이 종종 인지하는) [엉성한 설명]보다 질적 연구자들에게 더 선호된다. 마지막으로, 정량적 연구에서는 정성적 서술적 연구보다 [탐구(있는 것을 찾아내는 것)]와 [서술(발견된 것을 기술하는 것)] 사이에 더 뚜렷한 선이 그어져 있다.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studies want to collect as much data as they can that will allow them to capture all of the elements of an event that come together to make it the event that it is. As long as they are ``in the field,'' they are obliged to consider as data whatever they observe in the field. Qualitative researchers cannot, as readily as quantitative researchers, ``insulate themselves from data'' (Becker, 1996, p. 56). Although ``full description is a will-o'-the wisp,'' the ``fuller'' description of qualitative description is preferable to qualitative researchers than the confined, or (what they often perceive to be the) ``skimpy'' description resulting from quantitative surveys (p. 64). Finally, in quantitative research, there is a sharper line drawn between exploration (finding out what is there) and description (describing what has been found) than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요약하면, [정성적 기술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는 그러한 사건의 일상적인 용어로 사건에 대한 포괄적인 요약을 제공한다. 그러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은 다음을 추구한다 

  • 기술적 타당성: 동일한 사건을 관찰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연구자와 참가자 포함)이 동의하는, 사건의 정확한 설명
  • 해석적 타당성: 참가자들이 동의하는 이벤트에 귀속되는 의미에 대한 정확한 설명

In summary,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offer a comprehensive summary of an event in the everyday terms of those events. Researchers conducting such studies seek

  • descriptive validity, or an accurate accounting of events that most people (including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observing the same event would agree is accurate, and
  • interpretive validity, or an accurate accounting of the meanings participants attributed to those events that those participants would agree is accurate (Maxwell, 1992).

[질적 서술적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기초 이론, 현상학, 민족학 또는 서술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보다 데이터와 단어 및 사건의 표면에 더 가까이 있다. [질적 기술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에서 언어는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해석적 구조가 아니라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그러나 그러한 표면적 판독은 피상적이거나 사소하고 가치 없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나는 여기서 [보고되거나 관찰된 사건]에 대한 [투과의 깊이 또는 주변의 해석 활동의 정도]를 전달하기 위해 '표면'이라는 단어를 의도한다. 사실들을 얻는 것은 사소한 것이거나 쉬운 것이 아니며, 참가자들이 그 사실들에 부여하는 의미들은 그것들을 일관되고 유용한 방식으로 전달한다.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stay closer to their data and to the surface of words and events than researchers conducting grounded theory, phenomenologic, ethnographic, or narrative studies.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language is a vehicle of communication, not itself an interpretive structure that must be read. Yet such surface readings should not be considered superficial, or trivial and worthless. I intend the word surface here to convey the depth of penetration into, or the degree of interpretive activity around, reported or observed events. There is nothing trivial or easy about getting the facts, and the meanings participants give to those facts, right and then conveying them in a coherent and useful manner.

정성기술연구의 설계특성
DESIGN FEATURES OF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정성적 서술적 설계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s]는 전형적으로 절충적이지만 합리적이고 잘 고려된 샘플링,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재현 기법의 조합이다. 다음 섹션에서는 일반적인 설계 기능에 대해 설명합니다. [질적 설명]은 특히 실무자와 정책 입안자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질문에 대한 솔직하고 대체로 장식되지 않은(즉, 최소한 이론화되거나 변형되거나 회전된) 답변을 얻는 데 적합하다. 이러한 질문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우려는 무엇인가?
  • 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예: 생각, 느낌, 태도)은 무엇인가?
  • 사람들이 서비스나 절차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누가 언제 서비스를 이용합니까?
  • 어떤 요소들이 사건으로부터의 회복을 촉진하고 방해합니까?

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s are typically an eclectic but reasonable and well-considered combination of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resentational techniques. In the following sections, I describe typical design features. Qualitative description is especially amenable to obtaining straight and largely unadorned (i.e., minimally theorized or otherwise transformed or spun) answers to questions of special relevance to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Examples of such questions include:

  • What are the concerns of people about an event?
  • What are people's responses (e.g., thoughts, feelings, attitudes) toward an event?
  • What reasons do people have for using or not using a service or procedure?
  • Who uses a service and when do they use it?
  • What factors facilitate and hinder recovery from an event?

이론적/철학적 지향성
Theoretical/Philosophical Orientation

질적 서술적 연구는 그러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기존의 이론적 및 철학적 약속에 의해 가장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거의 틀림없이 질적 접근의 스펙트럼의 최소 "이론적"이다. 독특한 학문적 전통(예: Lowenberg, 1993)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방법론적 틀을 기반으로 하는 현상학적, 근거 있는 이론, 민족학적 또는 서술적 연구와 대조적으로, 질적 서술적 연구는 자연주의 탐구Naturalistic inquiry의 일반적인 원칙에서 도출되는 경향이 있다. 자연주의 탐구는 질적 연구뿐만 아니라, [인간과 동물이 관련된 행동 연구의 형태, 예를 들어, 생태학적 관찰을 포함하는 탐구]의 generic orientation이다. [자연주의 탐구]는 연구에서 이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자연상태 또는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무언가를 연구하겠다는 헌신]만을 의미한다(Linkoln & Guba, 1985; Willems, 1967). 즉, 어떤 자연주의 연구에서도 연구할 변수의 사전 선택, 변수의 조작, 대상 현상에 대해 [특정한 하나의 이론적 관점에 대한 선험적 확약이 없다]. 따라서 자연주의 조사자는 대상 현상이 연구 중이 아닌 경우처럼 스스로 나타날 수 있는 기법을 사용할 것이다.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re arguably the least ``theoretical'' of the spectrum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that researchers conducting such studies are the least encumbered by pre-existing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commitments. In contrast to phenomenological, grounded theory, ethnographic, or narrative studies, which are based on specific methodologic frameworks emerging from distinctive disciplinary traditions (e.g., Lowenberg, 1993),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tend to draw from the general tenets of naturalistic inquiry. Naturalistic inquiry is a generic orientation to inquiry that includes not only qualitative research, but also forms of behavioral research involving humans and animals, such as ethological observation. Naturalistic inquiry implies only a commitment to studying something in its natural state, or as it is, to the extent that this is possible in a research enterprise (Lincoln & Guba, 1985; Willems, 1967). That is, in any naturalistic study, there is no pre-selection of variables to study, no manipulation of variables, and no a priori commitment to any one theoretical view of a target phenomenon. Accordingly, the naturalist inquirer will use techniques that allow the target phenomenon to present itself as it would if it were not under study.

색조, 톤, 텍스처. 질적 서술적 연구는 현상학, 기초 이론, 민족학, 서술적 연구와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법에서 색조, 음색, 질감을 가질 수 있다. 어떤 하나의 질적 접근도 다른 접근의 모양, 소리 또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Charmaz(1990)는 그녀의 근거이론 연구를 현상학적 배역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했고, Sandelowski, Holditch-Davis, Harris(1992)는 그들의 근거이론 연구를 현상학적 배역과 서술적 배역을 획득하는 것으로 묘사했다. 실제로 질적 작업은 어떤 방법의 "순수한" 사용이 아니라 [다양한 질감, 톤 및 색조를 가진 방법]의 사용에서 생산된다. 근거이론의 오버톤을 가진 민족지학적 연구도 있고, 민족지학적 오버톤을 가진 근거연구(예: Kittell, Mansfield, & Voda, 1998)가 있다. 
Hues, tones, and textures
.
Although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are different from phenomenologic, grounded theory, ethnographic, and narrative studies, they may, nevertheless, have hues, tones, and textures from these approaches. Any one qualitative approach can have the look, sound, or feel of other approaches. Charmaz (1990) described her grounded theory studies as having a phenomenological cast, and Sandelowski, Holditch-Davis, and Harris (1992) described their grounded theory study as acquiring phenomenological and narrative casts. Indeed, qualitative work is produced not from any ``pure'' use of a method, but from the use of methods that are variously textured, toned, and hued. There are ethnographic studies with grounded theory overtones (e.g. Timmermans, 1997) and grounded theory studies with ethnographic overtones (e.g., Kittell, Mansfield, & Voda, 1998).

따라서, 질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지속적 비교]와 같은 근거이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사용했기에 근거이론의 오버톤을 가질 수 있지만, 그 연구가 [대상 현상의 이론적 렌더링]을 만들어내지는 않을 수 있다(예: Chow, 1998). 일부 정성적 서술적 연구는 연구자들이 특정 단어와 구절 또는 경험의 순간에 진지하게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에 서술적 또는 현상학적 색채를 가질 수 있지만, 목표 현상에 대한 [서술적 또는 현상학적 렌더링]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예: Jablonski, 1994). Altheide의 민족지학적 내용분석(1987)은 민족지학적 및 근거 있는 이론이 위에 있는 기법으로서 질적 내용분석(아래에서 더 논의될 것)을 제시한다. 정성적 기술 연구는 또한 페미니즘과 같은 더 큰 패러다임의 음영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may have grounded theory overtones as researchers may employ one or more techniques associated with grounded theory, such as a form of constant comparison, but not produce any theoretical rendering of the target phenomenon (e.g., Chow, 1998). Some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have narrative or phenomenological hues as researchers might seriously attend to certain words and phrases, or moments of experience, but not produce narrative or phenomenological renderings of the target phenomenon (e.g., Jablonski, 1994). Altheide's description of ethnographic content analysis (1987) presen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be discussed further below) as a technique with ethnographic and grounded theory overtone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may also have shadings from larger paradigms, such as feminism.

다양한 색조, 톤 및 질감의 연구는 방법이나 기술의 잘못된 참조 또는 오용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연구자들은 그들의 프레젠테이션에 대해 어떠한 것도 이러한 기법을 적절하게 또는 전혀 사용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때 이론적 샘플링, 일정한 비교, 서술적 분석 및 현상학적 반성을 사용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혼합 방법 연구에서와 같이 기술을 명시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Tashakkori & Teddlie, 1998).
Variously hued, toned, and textured studies are not to be confused with erroneous references to or misuses of methods or techniques. Researchers may claim to have used theoretical sampling, constant comparison, narrative analysis, and phenomenological re
flection when nothing about their presentation indicates they used these techniques appropriately or at all. Researchers may also explicitly combine techniques, as in mixed method studies (Tashakkori & Teddlie, 1998).

샘플링
Sampling

사실상 패튼(1990)이 설명한 [목적적 샘플링 기법]은 정성적 기술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유용한 것은 [최대 변동 표본 추출]로, 연구자들은 광범위한 현상 및 인구 통계학적으로 다양한 사례에 걸쳐, [대상 현상의 공통적이고 고유한 징후]를 탐색할 수 있다(Sandelowski, 1995). 연구자들은 또한 나타나는 경향이 있거나 흔하지 않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미리 선택된 변수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사례(Trost, 1986)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정성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목적적 표본 추출의 궁극적인 목표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정보가 풍부하다고 간주되는 사례를 얻는 것이다. 연구자의 의무는 표본 추출 전략을 목적에 합당한 것으로 방어하는 것이다.
Virtually any of the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s Patton (1990) described may be used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Especially useful, though, is maximum variation sampling, which allows researchers to explore the common and unique manifestations of a target phenomenon across a broad range of phenomenally and/or demographically varied cases (Sandelowski, 1995). Researchers may also choose to sample cases to represent a combination of pre-selected variables (Trost, 1986), or typical or unusual cases of a phenomenon, in order to describe it as it tends to appear or uncommonly appears. As in any qualitative study, the ultimate goal of purposeful sampling is to obtain cases deemed information-rich for the purposes of study. The obligation of researchers is to defend their sampling strategies as reasonable for their purposes.

데이터 수집
Data Collection

질적 서술적 연구의 데이터 수집은 일반적으로 [사건이나 경험의 누구, 무엇, 어디서, 또는 그 기본적 성격과 형태를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데이터 수집 기법에는 일반적으로 최소에서 중간 정도 구조의 개방형 개인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포함된다. 포커스 그룹은 사건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질적 연구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정량적 조사의 질적 대응물로 유용하게 볼 수 있다. 데이터 수집 기술은 또한 대상 이벤트의 관찰 및 문서 및 아티팩트의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Data collection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is typically directed toward discovering the
who, what, and where of events or experiences, or their basic nature and shape. Data collection techniques usually include minimally to moderately structured open-ended individual and/or focus group interviews. Focus groups can usefully be viewed as the qualitative counterpart to the quantitative survey, in that they are typically used in qualitative research to obtain a broad range of information about events. Data collection techniques may also include observations of targeted events and the examination of documents and artifacts.

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은 [질적 서술적 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에서 [우선되는 전략적 선택analysis strategy of choice]이다. 정성적 내용 분석은 해당 데이터의 정보 내용을 요약하는 것을 지향하는 언어 및 시각적 데이터의 역동적 분석 형태이다(Altheide, 1987; Morgan, 1993). [정량적 내용 분석]은 기존 코드 집합을 데이터에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과 달리, [정성적 내용 분석]은 데이터 파생, 즉 코드도 체계적으로 적용되지만 연구 과정에서 데이터 자체에서 생성된다. 질적 연구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동시에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특징이며, 둘 다 서로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질적 내용 분석]은 연구자들이 새로운 데이터와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수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 처리를 수정하기 때문에 반사적이고 상호작용적이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코딩 시스템]을 사용하여 정성적 내용 분석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데이터에 가장 잘 적합하도록 분석 과정에서 항상 수정되거나 심지어 새로운 시스템을 위해 완전히 폐기될 수도 있다. Miller와 Crabtree(1992년, 페이지 18)는 분석에 대한 이 접근법을 \"템플릿 분석 스타일\"이라고 묘사했다.''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the analysis strategy of choice i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a dynamic form of analysis of verbal and visual data that is oriented toward summarizing the informational contents of that data (Altheide, 1987; Morgan, 1993).2 In contrast to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which the researcher systematically applies a pre-existing set of codes to the dat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data-derived: that is, codes also are systematically applied, but they are generated from the data themselves in the course of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whereby both mutually shape each other.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similarly reflexive and interactive as researchers continuously modify their treatment of data to accommodate new data and new insights about those data. Although researchers might also begi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with preexisting coding systems, these systems are always modified in the course of analysis, or may even be wholly discarded in favor of a new system, to ensure the best fit to the data. Miller and Crabtree (1992, p. 18) described this approach to analysis as the ``template analysis style.''

양적, 질적 내용 분석 모두 응답 범주별 응답과 참여자 수를 세는 것을 수반하지만, 질적 내용 분석에서 개수는 목적 그 자체가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이다. 연구자들은 서술적 통계로 데이터를 수치적으로 요약함으로써 "준통계분석 스타일"(Miller & Crabtree, 1992, p. 18)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카운트의 최종 결과는 데이터의 준통계적 렌더링이라기보다는 부분적으로 발견되고 카운트를 통해 확인된 데이터의 패턴이나 규칙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정성적 내용 분석은 매니페스트(예: 빈도 및 평균)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잠재 내용]도 이해하려는 노력이 있다는 점에서 정량적 내용 분석보다 [해석의 영역]으로 더 멀리 이동한다. 그러나 [정성적 내용 분석]은 자체적인 용어 외에 다른 용어로 데이터를 재표현할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질적 분석 접근법 중 가장 해석성이 낮다]. 예를 들어, Smeltzer(1994)는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는 임산부의 우려를 질문하고 이러한 우려를 분류하기 위해 그녀의 연구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설명하였다. Geller와 Hotzman(1995)은 포커스 그룹에서 이 정보를 도출한 후 그들의 인식을 요약함으로써 유전자 검사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기술했다. 이러한 연구에서 우려는 우려로, 인식은 인식으로 남았다. 예를 들어, 그것들은 이론의 차원에서 [어떤 사건의 조건이나 결과]가 되지 않았고, 서사적 렌더링이라는 차원에서 자아를 "전략적"으로 표현하지 않았다(Riessman, 1990).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es entail counting responses and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each response category, but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unting is a means to an end, not the end itself. Researchers may use a ``quasi-statistical analysis style'' (Miller & Crabtree, 1992, p. 18) by summarizing their data numerically with descriptive statistics. But the end result of counting is not a quasistatistical rendering of the data, but rather a description of the patterns or regularities in the data that have, in part, been discovered and then confirmed by count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oves farther into the domain of interpretation than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 that there is an effort to understand not only the manifest (e.g., frequencies and means), but also the latent content of data. Ye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the least interpretiv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approaches in that there is no mandate to re-present the data in any other terms but their own. For example, Smeltzer (1994) described the concerns of pregnant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by asking them about their concerns and then organizing her findings to catalog these concerns. Geller and Hotzman (1995) described physicians' perceptions concerning genetic testing by eliciting this information from them in focus groups and then summarizing their perceptions. In these studies, concerns remained concerns and perceptions remained perceptions. They did not become, for example, conditions for or consequences of some event in a theory, nor a ``strategic'' representation of self in a narrative rendering (Riessman, 1990).

데이터 재표시
Data Re-Presentation

질적 서술적 연구의 예상 결과는 [데이터에 가장 잘 맞는 방식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정보 내용을 직접 서술적으로 요약]한 것이다. 예를 들어, Smeltzer(1994)는 임신 기간별로 요약을 정리했다. 즉, 그녀는 다발성 경화증을 가진 여성의 임신 관련 우려를 임신 전, 태반 전, 부분 내 및 출산 후 나타나는 것으로 묘사했다. Geller와 Holtzman(1995)은 정보를 도출한 주요 주제를 반영하는 두 가지 주요 범주로 요약을 구성했다. (a) 공개, 비지향성, 기밀성,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성별과 특수성 차이, 그리고 (b) 장벽과 통합 동기에 대한 인식.신뢰도, 자금 조달, 환자 수요,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성별과 전문성 차이를 포함한 1차 진료 관행에 대한 넷틱 테스트. 데이터를 배열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a) 사건의 실제 또는 역순, (b) 가장 널리 퍼진 주제, (c) 연구자가 사건의 광범위한 맥락을 설명하는 것에서 특정 사례로, 또는 특정 사례에서 광범위한 맥락을 설명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점진적 집중, (d) 일, 주, 월 또는 연도-가 있다.실제 인(들)의 생활 내 접근, 그리고 (e) 동일한 사건이 둘 이상의 참가자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라쇼몬 효과(Sandelowski, 1998; Wolcott, 1994, p. 17.
The expected outcome of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is a straight descriptive summary of the informational contents of data organized in a way that best fits the data. For example, Smeltzer (1994) arranged her summary by time in pregnancy; that is, she described the pregnancyrelated concerns of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as they appeared pre-conceptionally, antenatally, intrapartally, and post-delivery. Geller and Holtzman (1995) arranged their summary in two major categories re
flecting the major topics about which they elicited information:

  • (a) perceptions of obligations for disclosure, nondirectiveness, confidentiality, and the gender and specialty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and
  • (b) perceptions of barriers and incentives to incorporate genetic testing into primary care practice, including confidence, financing, patient demand, and, again, the gender and specialty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Other ways to arrange data include:

  • (a) actual or reverse chronological order of events;
  • (b) most prevalent to least prevalent theme;
  • (c) progressive focusing, whereby researchers choose to move either from describing the broad context of an event to particular cases, or from particular cases to the broad context;
  • (d) a day-, week,month-, or year-in-the life approach of actual person(s); and,
  • (e) the Rashomon effect, whereby the same event i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more than one participant (Sandelowski, 1998; Wolcott, 1994, pp. 17±23).

그러한 요약은 (표면과는 달리) 데이터의 더 침투적인 재표현에 쉽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정성적 서술적 연구가 방법론적으로 "좋다"거나 실질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라쇼몬 효과 접근법은 동일한 사건에 대한 다른 참가자의 버전에 대한 추가 연구자 해석에 적합하지만, 정성적 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이러한 버전을 포괄적이고 정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요약은 주로 최종 제품으로서, 둘째, 추가 연구를 위한 진입점으로서 가치가 있다.
Although such summaries might easily lend themselves to more penetrating (as opposed to surface) re-presentations of data, these are not required for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to be considered methodologically ``good'' or practically valuable. For example, the Rashomon effect approach lends itself to further researcher interpretations of different participants' versions of the same event, but the mandate for the researche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is comprehensively and accurately to detail these versions. Accordingly, such summaries are valuable primarily as end-products and, secondarily, as entry points for further study.

[수집된 데이터를 가장 잘 포함하고, 목적한 청중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방식으로 구성된 사건에 대한 설명적 요약] 이외의 어떤 것도 생산해야 할 의무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요약은 그 자체로 미래의 기초 이론이나 현상학 연구를 위한 작업 개념, 가설 및 주제적 순간을 산출하거나, 그 자체로 초기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There is no mandate to produce anything other than a descriptive summary of an event, organized in a way that best contains the data collected and that will be most relevant to the audience for whom it was written. But such summaries may themselves yield the working concepts, hypotheses, and thematic moments for future grounded theory or phenomenologic study, or themselves contain early versions of them.

결론
CONCLUSION

결론적으로 [질적 서술적 연구]는 [현상에 대한 직선적 묘사]를 원할 때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구는 특히 누가, 무엇을, 어디서 일어났는지 알고 싶어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하다. 모든 질적 연구 접근법의 기초가 되지만, 질적 서술적 연구는 그 자체로 가치 있는 방법론적 접근을 구성한다. 연구자들은 그들의 방법을 [정성적 기술qualitative description]이라고 명명하는 것에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그들의 연구가 다른 방법의 과장된 톤으로 디자인되었다면, 그들은 이러한 다른 방법들을 부적절하게 명명하거나 구현하는 대신, 이러한 과장된 톤들이 무엇이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그래서, 질적인 묘사는 어떻게 되었나요? 그 방법은 살아있지만, 질적 연구의 가치 있고 독특한 구성 요소로 재발견되고 건강 과학 연구를 위해 복구되면 된다.
In conclusion, the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is the method of choice when straight descriptions of phenomena are desired. Such study is especially useful for researchers wanting to know the
who, what, and where of events. Although foundational to all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comprise a valuable methodologic approach in and of themselves. Researchers can unashamedly name their method as qualitative description. If their studies were designed with overtones from other methods, they can describe what these overtones were, instead of inappropriately naming or implementing these other methods. So,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The method is alive and well, but needs only to be re-discovered as a valuable and distinctive component of qualitative research and recovered for health sciences research.

 


 

Res Nurs Health. 2000 Aug;23(4):334-40. doi: 10.1002/1098-240x(200008)23:4<334::aid-nur9>3.0.co;2-g.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Affiliations collapse

Affiliation

1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7640, Carrington Hall, School of Nursing, Chapel Hill, NC 27599, USA.

PMID: 10940958

DOI: 10.1002/1098-240x(200008)23:4<334::aid-nur9>3.0.co;2-g

Abstract

The general view of descriptive research as a lower level form of inquiry has influenced some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o claim methods they are really not using and not to claim the method they are using: namely, qualitative description.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have as their goal a comprehensive summary of events in the everyday terms of those events. Researchers conducting qualitative descriptive studies stay close to their data and to the surface of words and events. Qualitative descriptive designs typically are an eclectic but reasonable combination of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is the method of choice when straight descriptions of phenomena are desire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