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과 교수의 근거기반의 학습전략에 대한 인식과 사용(Med Teach, 2019)

Awareness and usage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nd faculty

Felipe Pizaa,b , Jennifer Cohn Kesselheimb,c, Juliette Perzhinskyd, Joanna Drowose, Roni Gillisf, Khen Moscovicif, Theodora E. Danciug, Agnieszka Kosowskah and Holly Goodingb,i





도입

Introduction


효과적인 학습 기법에 관한 상당한 증거가 존재하지만(Ambrose et al. 2010; Gooding et al. 2017), 학생들은 비효과적인 학습 습관에 계속 의존한다(Brown et al. 2014). 수십 년 동안 인지 및 교육 심리학 분야에서 연구한 결과, 학습이 고달플 때 더 깊고 오래 지속된다는 것이 밝혀졌다(Dunlosky et al. 2013). 

While a significant body of evidence exists regarding effective learning techniques, (Ambrose et al. 2010; Gooding et al. 2017), students continue to rely on ineffective study habits (Brown et al. 2014). Decades of research in the fields of cognitive and educational psychology have found that learning is deeper and longer lasting when it is arduous (Dunlosky et al. 2013). 

  • 상연습(기억에서 사실을 불러오기), 

  • 간격두기(주기적 실행), 

  • 생성하기(해결법을 교육받기 전에 문제를 만들고 해결) 및 

  • 터리빙(공부하면서 여러 과목이나 주제를 섞는 것)

...은 각각 증거 기반 학습 전략으로서, 지식의 강하고 내구성이 높은 보유로 이어진다(Dunlosky et al. 2).013). 그러나 반복읽기, 강조표시 및 매스작업(크램밍)은 학부생들 사이에서 선호하는 학습전략이 되는 경우가 많다(Amlund et al. 1986).

  • Retrieval practice (recalling facts from memory), 

  • spacing (periodic practice), 

  • generation (creating and solving problems before being taught the solution), and 

  • interleaving (mixing multiple subjects or topics while studying) 

...are each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that lead to stronger and more durable retention of knowledge (Dunlosky et al. 2013). However, rereading, highlighting and massed practice (cramming) are often the preferred study strategie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mlund et al. 1986).


이러한 인지과학 기반 학습 습관이 광범위한 학습자에게 가장 잘 작용한다는 강력한 증거에도 불구하고(Dunlosky et al. 2013), 많은 사람들은 개인이 시각, 글, 청각 또는 운동 감각과 같은 뚜렷한 학습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고 계속 믿고 있다. 교수진이 학생들의 뚜렷한 학습 스타일에 맞춰야 한다는 생각은 교육 분야에서 더욱 집요한 신화 중 하나인데, 이는 교육 방식이 학생들이 선호하는 스타일과 일치할 때 더 잘 배운다는 과학적 증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Riener and Willingham 2010).

Despite strong evidence that these cognitive sciencebased study habits work best for a broad range of learners (Dunlosky et al. 2013), many people also continue to believe that individuals have distinct learning styles such as visual, written, auditory or kinesthetic. The idea that faculty should match their teaching to students’ distinct learning styles is one of the more persistent myths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there is little scientific evidence that students learn better when the manner of instruction matches their preferred style (Riener and Willingham 2010).


메타인지(metacognition)는 자신의 학습에 대한 능동적인 모니터링을 수반하는 고차원적 의식 과정을 말한다(Flavell 1979). 메타인지는 학생들이 사용중인 학습 전략의 효과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높은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Hartman 2001; Okoza et al. 2013; Jones and Idol2013). 이와는 대조적으로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대한 인식 부족은 고등학교(Maqsud 1997)와 대학생들(Hartwig와 Dunlosky 2012)의 학업성취도 저하와 관련이 있다. 증거 기반 학습 전략의 이해와 사용은 건강 직업 학생들에게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학생들이 독립적인 practice으로 전환되면 스스로 조절regulate하는 평생 학습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이다(Cutreet al. 2017). 

Metacognition refers to a process of a higher-order consciousness that involves active monitoring of one’s own learning (Flavell 1979). Metacognition enables students to reflect up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strategies they use and is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Hartman 2001; Okoza et al. 2013; Jones and Idol2013). In contrast, a lack of awareness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is associated with poor academic performance among both high school (Maqsud 1997) and college students (Hartwig and Dunlosky 2012). Understanding awareness and use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re especially important fo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s they will need to engage in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once they transition to independent practice (Cutreret al. 2017).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대한 인식을 평가한 대부분의 발표된 연구는 모든 학습 기술, 지식 및 학습 조절를 포괄하는 Metacognition Awareness Inventory를 사용해 왔다. 

Most of the published studies that have assessed awareness of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have used the Metacognition Awareness Inventory, which encompasses all learning skills, knowledge and regulation of learning. 


Methods


Study design


Ethical approvals


Instrument


우리는 인지 심리학자들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학생들 사이의 증거 기반 연구 전략의 준수를 평가하였다(Kornell andBjork 2007; McCabe 2011; Hartwig and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 하버드 의대 의대생 10명과 교직원 10명을 대상으로 도구의 명확성, 흐름, 완료 시간 등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범 실시하였다. 우리는 우리 인구에 대한 사례 시나리오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 의학 용어를 포함시키기 위해 사소한 언어 조정을 했다. 최종 평가 도구는 보충 부록 3(학생)과 보충 부록 4(교수)에 포함되어 있다. 설문 조사의 마지막에, 참가자들은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 관한 유튜브 비디오를 보는 초대를 받았다. 설문 데이터는 Qualtrics Copyright (Provo, UT, USA, 2017)의 # 버전인 Qualtric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We us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ognitive psychologists to assess adherence to evidence-based study strategies among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Kornell andBjork 2007; McCabe 2011; Hartwig and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 We conducted pilot testing of the survey among 10 medical students and 10 faculty at Harvard Medical School to assess the instrument’s clarity,flow, and time for completion. We made minor language adjustments to include medical terminology to improve authenticity of case scenarios for our population. The final survey instruments are included in Supplementary Appendix 3 (students) and Supplementary Appendix 4 (faculty). At the end of the survey, participants received an invitation to view a YouTube video on effective study strategies. Survey data was collected using Qualtrics software,# Version [01/2018] of Qualtrics Copyright (Provo, UT,USA, 2017). 



Study population


Statistical analysis


근거 기반 학습 전략의 인식은 학습 스타일에 대한 한 가지 질문과 아래에 설명된 네 가지 사례 시나리오에 대한 가상의 응답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우리는 표준 편차와 함께 비율과 수단을 이용한 서술적 통계를 제시한다.

Awareness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was measured using one question about learning styles and hypothetical responses to four case scenarios, described below. We present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proportions and means with standard deviations.


설문지에는 생성, 검색, 인터리빙 및 간격과 같은 근거 기반 학습 전략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을 평가하기 위한 4가지 사례 시나리오가 포함되었다(보조 부록 3 및 4). 참가자들은 각 사례 시나리오에 대해 1점의 비효과적인 것부터 7점의 효과적인 것까지 7 포인트 리커트 척도로 두 가지 가능한 연구 옵션을 평가했다. 각 시나리오에 대한 증거 기반 및 비증명 기반 반응에 주어진 평균 등급을 코헨의 d와 비교하기 위해 t-테스트를 사용했다. 그런 다음 각 사례 시나리오에 대해, 근거 기반 옵션이 비증거 기반 옵션보다 더 높은 등급이 부여된 경우 참가자의 반응을 0으로, 비증거 기반 옵션이 증거 기반 옵션보다 더 높은 등급이 부여된 경우 1로 코드화했다. 그런 다음, 우리는 키 제곱 테스트를 사용하여 증거 기반 옵션에 더 높은 점수를 주는 학생과 교직원의 비율을 정확하게 비교했다.

The questionnaire included 4 case scenarios to assess participants’ awareness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generation, retrieval, interleaving and spacing (Supplementary Appendices 3 and 4). Participants rated two possible study options for each case scenario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¼very ineffective to 7¼very effective. We used t-tests to compare the mean rating given to the evidence-based and non-evidence based responses for each scenario and report effect sizes with Cohen’s d. For each case scenario, we then coded participants’ responses as 0 if the evidence-based option was given a higher rating than the non-evidence-based option and 1 if the non-evidence-based option was given a higher rating than the evidence-based option. We then compared the proportion of students and faculty correctly giving a higher rating to the evidence-based option using a chi squared test.


결과

Results


참가자 특징

Participant characteristics


그림 1과 같이 전체 조사 응답률은 205/학생(679/2636, 26%)이 교수 1042, 20%보다 높았다.

As shown in Figure 1, the overall survey response rate was higher among (205/ students (679/2636, 26%) than faculty 1042, 20%).


학생 및 교직원 참가자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and faculty participants are shown in Table 1.





증거 기반 학습 기법에 대한 학생 및 교직원 인식

Student and faculty awareness of evidence-based study techniques


학생들은 증거 기반 연구 기법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지 않는다(표 2).

Students infrequently reported using evidence-based study techniques (Table 2).


대부분의 학생(558/679, 82%)이 자신의 학습 습관이 선생님에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보고했지만(표 2) 대다수의 교직원들은 수업시간에 학습 기법을 논의하거나(125/205, 52%)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권고했다고 말했다(125/157, 80%)

Although most students (558/679, 82%) reported their study habits were not influenced by their teachers (Table 2), the majority of faculty said they discussed study techniques in class (106/205, 52%) or recommended effective study strategies for their students (125/157, 80%).


마지막으로, 교수진의 142/156명(91%)은 학생들이 서로 다른 학습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을 지지했고, 112/141명(79%)은 이러한 차이점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이 가르치는 것을 보고하였다(표 3).

Finally, 142/156 (91%) of faculty endorsed the belief that students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112/141 (79%) reported they teach to accommodate those differences (Table 3).


표 2와 3에서 보듯이, 학생들이 교사들의 학습 조언을 따랐다고 보고한 비율, 이전 자료로 돌아온 비율(공부할 때, 학생이 있을 때 또는 교수할 때, 교수할 때), 그리고 학습 스타일을 믿었던 비율과 관련하여 학생과 교직원들 사이에는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다. 

As shown in Tables 2 and 3,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regarding 

    • following the proportion who reported students followed teachers’ study advice, 

    • the proportion who returned to earlier material (either when studying, if a student or when teaching, if faculty), and 

    • who believed in learning styles

이러한 차이는 교수진이 보고하는 것과 학생들이 하는 것과 각 그룹이 학습 스타일에 대해 인식하는 것 사이의 불일치를 나타낸다.

These differences depict a mismatch between what faculty are reporting and what students are doing and what each group perceives regarding learning styles.





증거 및 비증거 기반 사례 시나리오의 학생 및 교수들의 평가

Student and faculty ratings of evidence and non-evidence based case scenarios


교수진과 학생 모두 평균적으로 그러한 사례 시나리오의 경우 비증거 기반 옵션보다 생성, 검색 관행 및 간격의 증거 기반 옵션을 더 높게 평가했다(표 4). 그러나 인터리빙 시나리오의 경우 교직원 및 학생 모두 증거 기반 시나리오 옵션을 비증거 기반 옵션보다 낮게 평가했다.

Both faculty and students on average ranked the evidence-based options of generation, retrieval practice, and spacing higher than the non-evidence-based option for those case scenarios (Table 4). However, for the interleaving scenario, both faculty and students ranked the evidence-based scenario option lower than the non-evidence-based option.


대부분의 교직원과 학생들은 교직원과 교직원의 통계적 차이(v2 1⁄4 0.19, V 1⁄4 0.01) 없이 인터리빙 시나리오에서 비증명 기반 옵션에 더 높은 등급을 잘못 할당하였다.

The majority of both faculty and students incorrectly assigned a higher rating to the non-evidence-based option in the interleaving scenario,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v2 ¼ 0.19, V ¼ 0.01) (Table 5).





고찰

Discussion


전반적으로 우리의 연구결과는 동일한 조사(Kornell and Bjork 2007; Hartwig 및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를 사용하여 이전에 다른 학부에서의 교육에 나타난 패턴을 따르고 있으며,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차이점도 있다. 비록 우리 표본의 43%의 학생들이 여전히 시험을 위해 벼락치기를 하고 있다고 보고했지만, 건강 직업 학생들은 타 전공의 대학 모집단에 비해 spacing 기술을 더 많이 사용하고 벼락치기의 사용은 더 낮다고 보고했다. 이것은 우리의 연구가 직접적으로 이것을 탐구하지는 않았지만, 건강관리 학생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공부하고 있는 정보를 유지하려는 의욕이 더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대학생들에 비해 건강 직업 학생들 사이에서) 도표, 그림, 차트를 만드는 것은 더 인기가 있는 반면, 플래쉬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덜 인기가 있다.

Overall our findings follow patterns previously shown in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using the same survey (Kornell and Bjork 2007; Hartwig and Dunlosky 2012; Morehead et al. 2016), with a few notable difference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reported greater use of the spacing technique and lower use of cramming compared to the college populations, although 43% of students in our sample still reported cramming for tests. This may be because healthcare students are more motivated to retain the information they are studying over time, although our study did not explore this directly. Making diagrams, pictures or charts is more popular, while using flashcards is less popular,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대학생들이 인지과학 조사의 원천인 경우가 많은 반면, 건강 직업 학생들은 이 영역에서 덜 연구되어 왔다. 학부 모집단을 위해 개발된 조사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증거 기반 학습 기법의 인식과 사용이 전문 학교에의 진출과 함께 자연스럽게 개선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것은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갖도록 교사들에게 공식적인 훈련을 요구]하기 보다는 [교사들을 콘텐츠 전문가로 보는 교육 시스템]의 더 큰 문제를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교수진들은 학생들에 비해 증거 기반 교육 기법을 더 잘 사용한다고 보고한 반면, 그들은 계속해서 스스로 배우는 방식에 있어 spacing을 덜 활용하고, 반복읽기, 밑줄 긋기, 강조하기 등을 사용하며, 이는 증거 기반 교수에 대한 훈련이 부족하다는 점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조사에 참여한 교직원의 절반 가량이 수업 시간에 학습 기법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고 보고했지만, (학부생들의 설문조사에서와 비슷하게) 대다수의 학생들은 학습 방법에 관한 교직원의 지시에 따랐다고 보고하지 않았다. 효과적인 학습 전략에서 교수진의 전문지식이 부족한 점을 감안할 때 이것은 불합리하지 않을 수 있다.

While college students are often the source population in cognitive science investigations, health professions students have been less frequently studied in this domain. By using a survey developed for undergraduate populations, we are able to demonstrate that awareness and use of evidence-based learning techniques do not naturally improve with advancement to professional school. This may signal a larger problem of an educational system that views teachers as content experts, rather than requiring teachers to have formal training in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While the faculty in our study reported better use of evidence-based educational techniques compared to the students, they continued to underutilize spacing in their own teaching and to endorse rereading, underlining, and highlighting, likely reflecting their lack of training in evidence-based teaching. While about half of the faculty in our survey reported discussing study techniques in clas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did not report following faculty instruction regarding how to study, a similar pattern as seen in the surveys of undergraduate populations. This may not be unreasonable given the lack of faculty expertise in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마지막으로, 우리는 대학 교수진과 유사한 건강 직업 교수진에서 학습 스타일 이론에 대한 주목할 만한 지지를 발견했다(Morehead et al. 2016). 이러한 이론들은 1970년대에 널리 보급되었고, 종종 학생들이 선호하는 시각, 청각 또는 운동 기술과 같은 콘텐츠 표현 방식에 대한 교육을 주장했는데, 우리 조사와 대학 조사의 교수들도 이를 지지했다. 이것은 이 분야에서 교수개발에 대한 큰 필요성을 제시한다.

Finally, we found a notable endorsement of learning styles theory in health professions faculty, which is similar to college faculty (Morehead et al. 2016). These theories became popular and widespread in the 1970s and often advocated teaching to students’ preferred mode of content presentation such as visual, auditory or kinesthetic, which the faculty in our survey and the college surveys also endorsed. This presents a major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in this area.


듀얼코딩이론은, 학습 스타일 이론보다 근거에 기반을 둔, 교육자를 위한 옵션이다(Sadoski 및 Pivio 2012). 이 이론에 따르면, 언어와 비언어적 내용은 각 채널의 정보에 대한 뚜렷한 표현을 만들어 내는 서로 다른 신경학적 경로를 사용하여 처리된다. 시각적 및 청각적 방법으로 정보를 제시하면 피질 영역에서 정보를 장기간 보존하고 코딩 및 통합할 수 있어 학생들이 단어 또는 이미지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Bruny e et al. 2008). 그런 다음, 교수진은 이중 코딩을 간격, 시험, 인터리빙을 포함한 다른 증거 기반 전략과 결합하여 학습을 강화할 수 있다.

Dual-coding theory is an option for reframing learning styles theories within a more evidencebased approach for educators (Sadoski and Paivio 2012). According to this theory, verbal and non-verbal contents are processed using different neurological pathways creating distinct representations for information in each channel. Presenting information in both visual and auditory ways enables coding and consolidation of information to long-term retention in cortex areas, permitting students to retrieve the information either from words or images individually or both simultaneously (Bruny e et al. 2008). Faculty can then combine dual-coding with other evidence-based strategies including spacing, testing, and interleaving to enhance learning.


학생 개개인의 선호와는 반대로, kinesthetic teaching은 교육내용(즉, 절차)에 적절하게 매칭될 수 있다. 

Kinesthetic teaching can be appropriately matched to the content to be taught (i.e.procedures) as opposed to individual student preferences. 


학생들의 결과를 교수 결과와 비교하는 것은 두 가지 목적에 도움이 된다. 첫째, 교수진은 자신이 모르는 것을 성공적으로 가르칠 수 없다(Dhaliwal 2013). 교수들이 갖고 있는 교육기술의 맹점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추가적인 훈련을 추구할 수 있다. 둘째로, 교수진과 학습자 관점 모두에서 잘못된 인식을 확인하면 효과적인 해결책을 만들기 위해 지식 격차의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Comparing student results with faculty results serves two purposes. First, faculty cannot successfully teach what they do not know themselves (Dhaliwal 2013). Identifying blind spots in teaching skills allows faculty to pursue additional training in this arena. Second, identifying misconceptions from both the faculty and learner perspectives paints a more accurate picture of the extent of the know-ledge gap in order to create effective solutions. 


이 연구는 인지과학의 이러한 핵심 교육 개념을 다루는 교직원 및 학생들을 위한 공식적인 커리큘럼의 개발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to develop formal curricula for faculty teachers and students addressing these key educational concepts from the cognitive sciences. 


잠재적 및 실제적 영향

Potential and practical impact


우리는 증거 기반 학습 기법에 관한 높은 수준의 오해로 인해 메타인지 (인식)의 함양이 학생과 교직원 개발 프로그램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메타인지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메타인지가 존재하며, 이는 인지와 다르고, 이것이 학업성취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학습자들 사이에서 인식하게 하는 것에서 시작된다(Maqsud 1997; Hartman 2001, 2013; Hong et al. 2015). 교육 과정을 계획하는 동안,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내용 외에 더 높은 수준의 사고 절차를 배우고 촉진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런 다음, 교수진은 학생들이 인지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 전문지식의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Hartman 2001, 2013).

We posit that fostering metacognitive awareness will be a key component in student and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due to high levels of misconception regarding evidence-based learning techniques. Promoting metacognition begins with building awareness among learners that metacognition exists, differs from cognition, and increases academic success (Maqsud 1997; Hartman 2001, 2013; Hong et al. 2015). While planning a curriculum, health professions educators should focus on teaching students how to learn and facilitating higher-order thinking procedures in addition to content. Faculty can then foster the development of medical expertise by enabling their students to develop metacognitive capabilities (Hartman 2001, 2013).


예를 들어, 펜 주 의과대학은 학생들 사이에서 메타인지를 장려하는 동시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배우기 위한 학습 전략을 제공하는 인지 능력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https://students.med.psu.edu/academics/cognitive-skills-program).

Penn State College of Medicine, for example, developed a cognitive skills program that promotes metacognition among their students while equipping them with study strategies to lear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https://students.med.psu.edu/academics/cognitive-skills-program).


효과적인 교육에 기여하는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의료전문직 교육에서 다양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방법의 활용]과 [메타인지 원칙을 실용적인 프레임워크와 통합하는 것]이다(Steinert et al. 2016).

Among the key features that contribute to effective teaching are the integration of metacognition principles with practical frameworks and use of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to achieve diverse goals in health profession education (Steinert et al. 2016).


의료 전문가로서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들의 관리와 안전을 개선하는 것이다. 메타인지 기술은 비판적 사고와 환자 문제 해결(Medina et al. 2017), 자기조절 평생 학습(Cutrer et al. 2017)에 중요하므로 이 과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Zang 2002; Medina et al. 2017). 메타인지적 마인드를 갖는 것은 비판적 사고 인식을 높이고 보다 정확한 자기 평가를 촉진함으로써 의료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Medina et al. 2017).

Our ultimate goal as healthcare professionals is to improve care and safety for our patients. Metacognition may help this task as metacognitive skills are important for critical thinking and patient problem solving (Medina et al. 2017), as well as self-regulated lifelong learning (Cutrer et al. 2017), have argued that medical errors are partially a cognitive issue (Zhang 2002; Medina et al. 2017). Being metacognitively mindful can minimize medical errors by increasing critical thinking awareness and promoting more accurate self-assessment (Medina et al. 2017).


한계

Limitations



결론

Conclusions


[지금껏 과학이 효과적인 교육과 학습에 대해 밝힌 것]과 [우리의 보건전문직 학생들과 교수들이 보고하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There is a wide gap between what science has learned about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nd what our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nd faculty participants report doing.


우리의 연구결과는 교수진과 학생들이 교육과 학습에 대한 그들의 가정을 재검토하고 바람직한 어려움을 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건강전문 커리큘럼에서 인지과학을 활용해 의학 교육을 새로운 시대로 끌어올려야 할 때다.

Our findings present an opportunity for health professions faculty and students to reexamine their assum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nd embrace desirable difficulties. It is time to bring medical education to a new era by using cognitive science in health professions curricula.


  • 메타인지: 자신의 인지 과정에 대한 개인의 인식이다. 학습에 관해서, 메타인지란 자신이 배운 것과 배우지 않은 것에 대해서 개개인이 얼마나 인식하는가로 해석될 수 있다. 자기 조절과 학습 지도에 있어 학습자에게 인식은 필수적이다(Seel 2012a).

  • 증거 기반 학습: 학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경험적으로 입증된 접근법, 프로세스 및 전략의 종류를 설명한다(Seel 2012b).


  • Metacognition: Is an individual’s awareness of his or her own cognitive processes. With respect to learning,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individual’s awareness of what they have and have not learned. Metacognition is essential for learners in order to self-regulate and guide learning (Seel 2012a).

  • Evidence-based learning: Describes a class of approaches, processes, and strategies that have been empirically demonstrated to produce learning outcomes (Seel 2012b).













 2019 Aug 13:1-8. doi: 10.1080/0142159X.2019.1645950. [Epub ahead of print]

Awareness and usage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nd faculty.

Author information

1
a Critical Care Department, Hospital Israelita Albert Einstein , São Paulo , Brazil.
2
b Harvard Medical School, Harvard University , Boston , MA , USA.
3
c Dana-Farber/Boston Children's Cancer and Blood Disorders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Harvard University , Boston , MA , USA.
4
d College of Medicine, Central Michigan University , Mount Pleasant , MI , USA.
5
e Charles E. Schmidt College of Medicine, Florida Atlantic University , Boca Raton , FL , USA.
6
f Moshe Prywes Center for Medical Education and Goldman School of Medicine, Faculty of Health Sciences,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 Israel.
7
g School of Dentistry,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 MI , USA.
8
h School of Medicine in Katowice, Medical University of Silesia , Katowice , Poland.
9
i Division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Medicine, Boston Children's Hospital , Boston , MA , USA.

Abstract

Introduction: Learning is essential and life-long for faculty and students. Often students and teachers use in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are not aware of evidence-based strategiesMethods: A multicenter, international, cross-sectional, online survey-based assessment of awareness of evidence-based learning strategies among health professions students (n = 679) and faculty (n = 205). Results: Students endorsed many study habits which violate evidence-based principles, including studying whatever is due soonest (389/679, 57%), failing to return to course material once a course has ended (465/679, 68%), and re-reading underlined or highlighted notes (298.679, 44%). While the majority of faculty surveyed (125/157, 80%) reported recommending effective study strategies for their students, most students (558/679, 82%) said they did not study the way they do because of instruction from faculty. The majority of faculty (142/156, 91%) and students (347/661, 53%) believe students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continue to use many ineffective study strategies, and both students and faculty hold misconceptions about evidence-based learning. While planning a curriculum, medical educators should focus on teaching students how to learn and use higher order thinking procedures in addition to teaching content.

PMID:
 
31407930
 
DOI:
 
10.1080/0142159X.2019.16459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