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방법으로서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 후설 현상학을 중심으로- (박숭억)
박 숭 억--
〈목 차〉
l. 서론; 객관성의 요구와 질적 연구의 과학성
2. 실증주의 비판과 질적 연구의 다중 정체성
3. 구체성과 보편성의 딜레마
4. 차이와 범주화 그리고 현상학적 방법론
5. 질작 연구를 위한 후설 현상학의 두 방법으로서 기술과 본질직관
6. 결론: 질적 연구에 있어 현상학적 방법의 의의
'Articles (Medical Education) > 의학교육연구(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과 질병 이해를 위한 담론 분석 (J Korean Assoc Qual Res, 2016) (0) | 2017.05.27 |
---|---|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 (이남인) (0) | 2017.05.26 |
현상학적 교육학* 2)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2010) (0) | 2017.05.26 |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의미와 이해의 공명학 (발표) (1) | 2017.05.26 |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2015) (2) | 2017.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