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도시거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2)

김태임1·권윤정2·김미종3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1, 충청대학교 간호학과2, 한남대학교 간호학과3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타국에서 어머니가 되 는 경험은 어떠한가?’, ‘이들은 어머니가 되는 경험에 어떻게 대처하고 적응하는가?’,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어머니가 되 는 경험을 통하여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일까?’에 대 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모성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앞으 로 증가 추세에 있는 도시거주 다문화 가정의 요구에 맞도록 향후 제공되는 지원 사업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 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거주 결혼이주여성이 체험하는 모성 경험을 현상학적 접근으로 밝히고 서술하여 그 의미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족 어머니의 경험을 이해하며 새로운 간호의 대상자에 대한 민감 성을 높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도시거주 결혼이주여성들이 체험하는 임신, 출 산 및 초기 자녀양육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상 학적 방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다.


2. 연구 참여자의 선정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출산경험 등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찾기 위하여 의도표집과 눈덩이식 표집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으로는 첫째, 결혼을 통하여 국내로 이주한 외국인 여성, 둘째, 한국어로 의 사소통이 가능하고 셋째, 최근 5년 이내에 출산한 적이 있으 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이해하고 동의한 사람 들이었다.


연구에 앞서 기관의 윤리위원회에 승인을 받았으며(IRB- 11-37), 기관장의 허락을 얻어 자료수집을 시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2월 15일에서 4월 12일까지였으며, A시 에 위치한 다문화가족센터에 교양 및 한글 프로그램에 참여하 기 위하여 방문한 결혼이주여성 중에서 기관에 근무하는 실무 교육자에게서 대상자 선정 기준에 맞는 3명의 참여자를 추천 받았으며, 이들에게서 연구에 참여할 것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은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후에 이들로부터 다른 대 상자를 소개받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 모두 한글학교 중급과 상급반에 해당하였으며 일상적인 대화가 가 능하였고 면담 시에는 연구자는 평소보다 또박또박 천천히 말 하였다. 면담은 수업이 끝나고 소회의실에서 대상자와 연구자 둘만이 있는 조용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졌다. 미리 녹음할 것 임을 알렸으며 녹음내용은 본 연구에만 사용되고 기초자료로 정리된 후 폐기될 것과 익명으로 진행될 것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면담 후 대상자에게 답례품이 제 공되었다. 연구중간이라도 원하지 않으면 그만둘 수 있음을 미리 고지하였으나 참여를 중단한 탈락자는 없었다. 개별면담 은 1회에 20~60분간 녹음을 하였으며 더 필요한 경우 다음 주 같은 시간에 재면접이 이루어져, 1인당 총 면담횟수는 1~3회, 총 면담시간은 60~90분가량이었다. 현상에 대한 새로운 범주 가 도출되지 않는 자료의 포화상태에 이르렀을 때 면담을 종 료하였으며 최종 연구 참여자는 9명이었다.


3. 연구자 준비


질적 연구의 가장 중요한 도구인 연구자의 준비는 매우 중 요하다. 연구자들은 질적 연구 워크숍에 참석한 적이 있으며, 대학원에서 질적 연구 과목을 수강하였다. 또한 연구자 중 한 사람은 간호학 저널에 두 편의 질적 연구를 발표한 경험을 가 지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의도적으로 사전에 문헌고찰을 하지 않아 연구 대상자의 대한 선입견을 배재하고자 하였고, 개방 적이고 비구조적인 질문과 의사소통으로 면담한 후에 대상자 가 기술한 내용을 여러 차례 함께 읽고 의미를 이끌어내었다. 분석과정에 앞서 현상학적 환원의 태도인 '괄호치기'를 사용 함으로써 연구자들의 편견과 경험이 대상자의 본질을 파악하 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였다.


4.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본 연구자들은 Lincoln과 Guba (1985)이 제시한 질적 연 구의 평가기준에 부합하도록 연구를 진행하고자 노력하였다. 현상을 생생하고 충실하게 해석하고자 면담 즉시 자료를 듣고 여러 번 읽어 본질적 의미를 추출하여 신뢰성(credibility)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가 적용성(applicability)을 가 질 수 있도록 본 연구 참여자만의 특별한 경험이 아닌지를 논 의하였다. 또한 일관성(consistency)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 심층 면담의 방법, 과정, 자료수집과정을 자세히 기 술하고자 하여 추후 반복연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 으로 중립성(neutrality)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들은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문헌고찰을 하지 않았으며 의미와 본질을 추출하 는 과정에서 편견을 배재하고 판단중지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연구가 진행되면서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자간 토론 중에도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보도록 강조하면서 토론하 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는 현상학적 자료 분석방법 중 Colaizzi (1978)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자들은 함께 심층면담한 녹음파일을 듣고 필사본 을 여러 번 읽었다. 연구자의 판단을 배제하고 의미를 파악하 고 대상자의 경험을 공감하고자 현상학적 반성을 하면서 관련 된 자료로부터 의미있는 문장과 구를 선택하였다. 추출된 문 장과 구로부터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주제를 만들어 의미를 구 성한 후 더 큰 수준으로 범주화하였다. 범주화하는 과정에서 자료의 연구 참여자들이 표현한 내용을 명확하게 묘사하기 위 해 참여자의 인터뷰 내용을 반복하여 읽으며 주제를 분류한 후 질적 연구에 경험이 많은 간호학과 교수 2인으로부터 자문 을 받았다. 다음으로 분석된 자료를 주제의 흐름에 따라 결혼 이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을 통합하여 포괄적으로 설 명하였다.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에 참여했 던 결혼이주여성들 중 3인을 만나 경험의 본질적인 구조인 범 주와 주제들이 자신이 느꼈던 것과 같은지를 확인하였다.




Table 1. Experience of Motherhood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Urban area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2012년 6월

Korean J Women Health Nurs Vol. 18 No. 2, 85-97, June, 2012

pISSN 2287-1640 | eISSN 2093-7695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2.85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도시거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김태임1·권윤정2·김미종3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간호학과1, 충청대학교 간호학과2, 한남대학교 간호학과3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본 향기요법 체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6)

김 희 자1)․한 선 희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향기요법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 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향기요법에 대한 어떠한 체험을 하고, 그 체험의 의미와 그 본질이 무엇 인가?”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향기요법 체험의 의미와 그 본질을 파악하기 위 해서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질적 연구방법론 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체험 탐구를 위 하여 참여자 선정,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신뢰도와 타당도확 보를 다음과 같이 하였다.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2개월 이상 향기요법을 받았거나 간호 사 면허 소지자로서 향기요법 전문가 과정을 이수하고 향기 요법 전문인 자격증을 취득한 후 자신 또는 가족 이웃들에게 향기요법을 적용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참여인원은 7명으로 가정주부 5명 간호사 2명이며 이들의 연령 분포는 30세에서 60세이었다.


자료수집


자료 수집은 2006년 7월 15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진 행되었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하여 먼저 참 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면담기간동안 참여자는 언제든지 본인이 원할 경우 거부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했 다. 또한 면담내용은 연구목적 이외에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필요한 내용을 익명으로 처리되고 개인적인 신분이나 신상은 전혀 공개하지 않을 것을 동의서에 넣어 동의를 얻었다. 면담 내용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기로 녹음을 하였다. 면담은 “향기요법을 받은 경험이나 향기요법을 적용한 경험에 대하 여 말씀해주십시오?”라는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여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면담장소 는 조용하고 아늑한 곳으로 참여자 자신들이 선택하도록 하 였다. 그리고 자료가 포화상태에 도달 할 때 까지 면담하였 다. 한 사람 당 평균 면담횟수는 3회 정도 이었고, 면담시간 은 1시간 정도였다.



자료분석


자료 분석은 면담직후 녹음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자료 속에 나타난 주요 개념을 추출한 후 공통된 의미의 주 제로 묶었다. 다음은 주제별로 재조직하여 상황적인 의미를 메모하였다. 이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향기요법체험에 대 한 주요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기요법 체험 사례 중 주 제를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는 자료를 중심으로 Van Manen (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를 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본 연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Field와 Morse(1985)의 질적연구 평가기준인 진실성, 적용가능성, 일관 성, 중립성의 4가지 영역으로 검토하였다.


진실성을 위해 연구자는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참여자의 언어표현을 그대로 인용하여 그들의 관점에서 요약한 뒤 참 여자에게 그 내용을 보여주어 확인하였다. 적용가능성을 위해 공통된 연구주제들을 파악하여 이야기채로 기술한 뒤 연구 참여자에게 보여주어 자신의 이야기 내용의 의미를 검토하도 록 하였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자가 스스로가 도구 가 되어 자료를 수집한 후 간호학과 질적연구 교수와 일상생 활자등에게 본 연구결과를 검토하도록 하였다. 또한 중립성을 위해 연구과정의 각 단계를 분명히 기술하였고, 진실성, 적용 가능성, 일관성이 확립되도록 하였다.





논 의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


본 연구는 향기요법을 적용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 여 향기요법 체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의 결과를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를 통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는 자기 자신의 음성으로 말하는 것을 말하는데(Merleau-Ponty, 1973), 본 장에서는 향기요법 체험에 관해 해석학적 현상학 반성의 통해 드러난 내용들을 그 체험의 의미중심으로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를 하였다. 이러한 글쓰기는 연구의 본질이며 연구과정의 최종단계로서 우리의 경험 세계를 더욱 반성적으로 이해하도록 이끌어 준 다(Van Manen, 1990).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향기요법체험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하 여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4단 계의 연구방법인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본 연구 의 참여자는 J시에 거주하면서 향기요법을 경험한 7명의 여성 으로 2006년 7월 15일부터 2006년 9월 30일까지 참여자가 선 택한 아늑하고 조용한 장소에서 1, 2, 3차 심층 면담을 통해 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 자들이 체험한 본질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2006년 12월

J Korean Acad Soc Nurs Edu Vol.12 No.2, 248-256, December, 2006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본 향기요법 체험

김 희 자1)․한 선 희2)





경계선 지적 기능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놀이치료연구, 2016)

A study of parenting experience for mothers with childre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박 숙 자(Sook-Ja Park)1)



2. 연구문제


첫째, BIF 자녀 양육과정에서 어떠한 양육오류 를 경험하는가?

둘째, BIF 진단이후, 자녀를 어떻게 수용해나가 는가?

셋째, BIF 자녀를 둔 어머니로서 경험하는 심리 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의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넷째, BIF 자녀 양육과정을 통해 자녀와 삶을 바라보는 인식과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Ⅱ. 연구방법




1.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BIF라는 특수한 상황에 있는 자녀 를 돌보는 어머니들의 심리적 현상과 양육의 어려 움을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경험의 본질 구조 와 의미를 밝히고자 질적 연구의 한 영역인 현상학 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상학은 주어진 현상의 발생적, 구성적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인식 주체가 경험하는 의식 작용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 법론에 그 바탕을 둔다. 따라서 현상학적 연구는 귀 납적, 기술적 연구방법으로 살아있는 경험을 지향하 며, 그 경험의 기술을 분석하여 경험의 의미와 본질 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mery, 1995).


본 연구는 Giorgi의 심리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 론으로 접근하였다. Giorgi의 연구 방법은 연구의 대상, 즉 본질적 구조를 추구하는 현상이 되는 주 제에 대해 주로 면접의 형태로 경험적, 객관적 자 료를 수집하고, 이러한 연구 참여자의 기술을 심층 분석하여 살아 있는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 히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전체 연구 참여자 의 경험을 일반적, 구조적 진술에서 통합하는 특성 을 갖고 있다. Giorgi는 이 방법을‘경험적인 현상 학적 분석’이라고 불렀다(Giorgi, 1997).




2. 연구대상


연구자는 연구하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깊이 있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례들을 의도적 으로 선정하는 목적 표집과 한 참여자를 통해 다른 참여자를 소개 받는 눈덩이 표집을 활용하여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첫째,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시작하는 청소년기는 BIF의 특성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되면서 부모가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청소년기가 BIF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을 가장 생생하게 포착할 수 있는 시기라고 판단하였다. 둘째, 연구자와 충분한 라포를 형성하 고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표명한 참여자를 선정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처지에 놓인 BIF 부모 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참여자도 있었다. 셋째, 자신의 심리적 경험을 어느 정도 언어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는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실제 참여자 모집은 한 참여자로부터 같은 처지 에 있는 다른 참여자를 소개받는 방식을 통해 이 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00교회 신앙공동체에서 알 게 된 한 참여자를 통해 자기와 같이 BIF 자녀를 둔 참여자를 만났다. 그리고 000건강가정지원센터 에서 BIF 자녀문제로 상담을 하러 온 내담자를 소 개받았으며, 청소년 관련 연구소에 내원한 어머니 3명을 직접 소개받았다.



현상학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경험적 진술을 통 해 그들의 일상생활이 총체적이고 자세하게 기술 되기 때문에 참여자에 대한 섬세한 윤리적 고려가 중요하다. 따라서 모든 참여자의 이름은 번호로 처 리하고 직업도 유사직종으로 바꾸는 등 익명성을 보장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처음 만나 는 1차 면담 시,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과 면담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신상정보와 진술 내 용에 대한 비밀보장을 약속하였으며, <연구 참여 동의서>에 동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참여자들 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40대의 중년여성 6명으 로서, 그들의 개별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다음 의 <Table 1>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3. 자료수집


현상학적 연구에서 자료는 주로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현상을 생생하고 상세하게 기술하는 면담 을 통해 얻어진다. 참여자들의 면담은 2013년 3월 부터 시작하여 2013년 12월까지 1-2차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 면담시간은 100분-12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1차 면담 내용에서 좀 더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한 참여자 또는 1차 면담 이후 더 풍부 한 경험 내용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참여자 인 경우,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장소는 참 여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참여자의 집, 상담실, 조 용한 카페 등을 선택하였다. 참여자의 동의를 받아 모든 면담 내용을 녹음하였고 참여자의 언어를 그 대로 필사하였다.



1차 면담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자 의 동의서를 작성했으며 좀 더 구체적이고 반구조 화된 개방형 질문(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들을 구성하여 개방적이고 전반적인 경 험을 파악하는데 치중하였다. 예를 들어,‘경계선 진단을 받은 후 그때의 심정은 어떠했습니까?’, ‘진단받은 후 어떤 부분이 가장 힘들었나요?’, ‘자녀를 양육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 가요?’,‘자녀로 인해 경험한 주변 사람들과의 관 계는 어떻습니까?’,‘자녀양육방식의 변화가 어떠 했습니까’,‘자녀로 인해 어머니의 삶에 변화가 있 다면 무엇이 있을까요?’,‘자녀로 인해 배우자와의 관계는 어떻습니까?’,‘경계선 자녀를 양육한다는 것은 나의 삶에서 어떤 의미가 있나요?’등을 질 문하였다. 2차 면담에서는 1차 면담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다 초점화된 질문을 도출했으며, 이전 면담에서 참여자 별로 더 구체적인 확인이 필요한 추가 질문으로 진행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이루 어졌다. 분석 과정은 전술한 Giorgi의 심리학적 현 상학 연구 방법론에 따라 다음의 단계를 거쳤다.


  • 1단계: 자료를 충분히 읽고 참여자의 언어를 이 해하여 전체를 파악하는 단계로서, 연구자는 전제 진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얻기 위해 필사된 텍스트를 여러 차례 정독하였다. 전체를 잘 파악하 기 위해 음성 자료와 필사 자료를 여러 번 반복하 여 듣고 읽으며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자 했다.
  • 2단계: 학문적 관점에서 현상에 대한 의미단위를 구분하는 단계로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려는 의도 로 참여자들의 말로 표현된 진술문을 구분하는 과 정이다(Shin, Jo, & Yang, 2004). 이때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BIF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 험이라는 연구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의미단위를 구분했으며, 각 의미단위에 고유번호를 부여했다. 이를 통해 6명의 연구 참여자로부터 486개의 의 미단위를 도출했다. 구분한 의미단위의 예를 <Table 2>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3단계: 의미단위 전부를 조사해서 그 안에 내재 한 심리학적 본질을 연구자의 언어로 변형하였다. 규명된 주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경 험이 의미하는 중심의미를 연구자의 언어로 의미 단위 요약을 하고, 필요한 경우 주제별로 관련 내 용에 대한 자료를 재배치한 후 동질의 개념을 묶 어 하위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구분한 의미단위를 심리학적 변형으로 이루어진 의미단위의 내용을 <Table 3>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4단계: 연구자는 변형된 의미단위를 대상자의 경 험을 고려하면서 일관성 있는 진술로 통합하였다. 이것은 보통 경험의 구조와 관련이 있고 여러 수 준으로 표현해낼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질적 연 구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 1인과 지속적인 회의를 통해 분석 결과를 검증받았다. 또한 마지막 에 도출된 경험의 일반적 구조가 과연 타당한 것 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연구 참여자 들로부터 얻어진 원자료를 다시 반복적으로 읽으 면서 이를 점검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 로 총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그 하위 구 성요소로는 19개가 도출되었다.


한편 자료 수집과 분석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 는 연구 현상에 대해 스스로 가지고 있는 가정과 선 이해를 점검해보면서 연구자의 편견이 연구 과 정 전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 였다. 또한 마지막에 도출된 경험의 일반적 구조가 과연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원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이를 점검하였다. 연 구의 중심의미와 구조가 어느 정도 도출되었을 때, 질적 연구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역량을 갖춘 박 사학위 소지 전문가 및 교수 2인에게 연구 과정과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받았다.



Ⅲ. 연구결과


BIF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은 <Table 4>와 같이 8개의 핵심 구성요소와 19개의 하위 구성요 소로 도출되었다.






The Journal of Play Therapy 2016 Vol. 20, No. 1, 1-17

경계선 지적 기능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A study of parenting experience for mothers with children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박 숙 자(Sook-Ja Park)1)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청소년연구, 2012)

조승희**․조아미

호서대학교․명지대학교



현상학은 주어진 현상의 발생적 구성적 근원을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인식주 체가 경험하는 의식작용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에 그 바탕을 둔다(신경림, 2003).현상학에서 말하는 ‘현상’이란 그것 자체로 현존하는 그대로,의식에 대 해 현존하는 것(whichpresentsitselftoconsciousnesspreciselyasifpresents itself)으로 ‘아무것도 더해지거나 감해지지 않은 것’으로서 ‘한 의식에 그 자체 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홍현미라,권지성,장혜경,이민영,우아 영,2008).vanMenan에 의하면 해석학적 현상학이란 사물들이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가에 주의를 기울이고자 하고 사물들이 스스로 말하도록 만들고자 하 기 때문에 현상학적 방법론이며,또한 해석되지 않는 현상이란 없다고 주장하 기 때문에 해석학적 방법론이라는 것이다(신경림,조명옥,양진향,2004). 해석학적 현상학에서는 본질적 주제 분석이 이루어지는 반성의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잡이로서 네 개의 실존체,즉 신체성,공간성,시간성,관계성을 제시하고 있다.이성교제 하는 대학생의 성행동은 그 자체가 신체적 활동이고, 다양한 공간에서 시간을 가지고 변화하는 이성교제 당사자들의 관계에서 일어 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vanManen이 제시한 신체성,공간성,시간성,관계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본질적 주제 분석을 할 수 있는 적합한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 중 van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 하여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이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 자 한다.


2.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대학생이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을 통해 체험하는 것은 어떠한 것들이며,그것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와 의미 분석을 위해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을 분석하고자 vanManen의 연구방 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2.연구 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연구자는 서울소재 일개 사립대학교 학생 중 대학교에 입학한 후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 중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학생 중 남녀 각 5명씩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연구 참여자는 부모와 동거하거 나 자취,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었고,참여자의 나이는 평균 23.2세(21세~26 세)였다.대학교 입학 후 이성교제 경험이 1회 이상 있었고,이중 9명이 이성 교제 상대자와 성관계 경험이 있었다.연구자료는 2011년 9월 1일부터 9월 30 일까지 한 달간 수집되었으며,자료수집 방법은 참여자와 면대면 개별 심층면 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자료수집 전에 참여자에게 연구목적과 진행방식,녹 음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다.심층면담 질문은 “대학교에 와 서 경험한 이성교제에 대해 말해주겠어요?”와 같은 개방형 질문에서 점차 구 체적인 내용을 묻는 면담으로 이루어졌다.참여자의 비밀보장을 위해 남자는 M,여자는 F로 분류하여 코딩하였고,코딩된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확인을 받 았다.심층면담 이외의 다양한 자료를 얻고자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에 대한 경험을 표현한 문학 및 예술작품,영화 등의 다양한 참고자료를 수집하 였다.


3.연구의 질 확보


본 연구는 연구의 신뢰성을 위해 Trianglation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실시한 Trianglation은 multiple investigators이다.multiple investigators방법 은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연구 데이터를 다른 질적 연구자에게도 연구 분석 을 의뢰하여 본 연구자와 다른 연구자가 분석한 연구 결과를 비교하여 본 연 구자의 주관성을 배재하려 방법이다.본 연구에서는 multiple investigators를 통해 서로의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다.비교를 통해 상반된 몇몇 연구 분석에 대하여 토론을 진행하였다.이 과정을 통해 서로 상반된 결과에 대해 서로의 합의가 도출 될 때까지 논의를 통해 합의된 연구결과를 이끌어냈다.본 연구 가 성(sex)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의 성적 편견을 배제하 기 위하여 연구자와 성별이 다른 연구자와 함께 분석하여 연구의 신뢰성을 높 였다.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2012.5).137―160

대학생의 이성교제와 성행동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조승희**․조아미

호서대학교․명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PBL수업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대한통합의학회지, 2014)

김장곤ǂ

ǂ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에서 PBL에 따른 수업을 진행 하였을 때, 참여 학생들이 학업성취도와 관련되어 경험하 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물리치료학과에서 PBL 수 업 적용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진행하 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본 연구는 2014년도 1학기에 Y 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전공 과목인 스포츠 물리치료학 3학점 수업을 PBL로 설 계하여 운영하였다. 15주 동안 표 1과 같이 수업을 진행한 후에 수강자 24명 중에서 남학생 2명, 여학생 3명 총 5명 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에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신경림 등, 2004). 심층면접은 각 대상자와 개별면담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원이 구조 화된 질문지를 중심으로 인터뷰를 주재하고 응답자들은 이에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심층 면접에 필요한 질문 목록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수업에 대한 성취도를 PBL 수업 성과와 관련 된 연구를 기초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서혜정, 2012; 정 진욱, 2008). 질문지 내용은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뿐 만 아니라, 수업 진행방식의 이해, 그리고 다른 교과목에 적용 가능성을 묻는 질문들을 포함하였다. 심층 면접에 사 용된 질문의 범주와 유형의 예는 표 2와 같다.


심층 면접은 1인당 20~30분 정도 연구자의 연구실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이 진행되기 전에 간단한 면 담 지침을 안내하였다. 면담 진행은 가능한 편안한 분위기 에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에게 면담 내용이 녹음이 되고 녹음된 내용은 나중에 전사되어 연구에 사용됨에 대하여 안내하였다. 녹음된 면담자료를 제 3자에 의하여 전사하였고, 연구자가 녹음 내용과 전사본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면 담 내용의 전사된 양은 A4용지 약 30장으로 전사하였다.



2.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심층 면접 내용에서 획득된 원 자료를 기초로 하여 질적 분석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교 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김 두섭, 2002). 연구자는 첫 번째 전사본을 독립적으로 읽으 며 흥미로운 구절을 범주화(category)하였다. 두 번째 전사본은 첫 번째 전사본에서 정리된 범주에서 새롭게 생성된 범주를 추가 하거나 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전사본은 연구자가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2개의 주제와 6 개의 하위주제로 정리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4, 2(4), 83~90 

http://dx.doi.org/10.15268/ksim.2014.2.4.083

ISSN : 2288-1174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PBL수업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장곤ǂ

ǂ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Experiences of Problem-Based Learning in Students of Physical Therapy

Kim Janggon, PT, Ph.Dǂ

ǂDept. of Physcal Therapy, Youngdong University






스포츠 심리상담사 수련생이 경험하는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6)

이민진․김정은․박지연․윤용진*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대상은 스포츠 심리상담사 자격연수 2급을 이수하고, 현장수련을 하고 있는 수련생 6 명으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자신의 경험을 자유 롭게 펼쳐낼 수 있는 연구 참여를 허락한 이들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현재 스포츠심리학 전공 대학 원생으로 석사나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 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들은 프로선수, 재활 (부상)선수, 학생선수 등 다양한 선수층을 대상으 로 심리상담 수련 중에 있다. 연구 참여자의 개인 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 자료 수집


1) 참여관찰


참여관찰 기간은 총 9개월이며, 2014년부터 12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휴일을 제외 한 12월 27부터 8월 5일까지 각 참여자당 2회~3 회 총 15회의 관찰이 이루어졌다. 이렇게 수집한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노트에 기록하였으며 연구 자의 개인적 선입견을 배제하고 관찰하고자 노력 하였다. 연구자는 수련생들이 실습하는 공간, 회 의장소, 경기장에 수차례 동행하였으며, 그 결과 생생하고 현장감을 느끼며 수련생의 상황을 자세 히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한국스포츠심리학 회의 정회원으로서 다양한 행사에 다수 참여하였 고, 외부 미팅을 통해 라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얻기 쉬웠으며 신뢰 관 계 형성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였다.



2) 심층 면담 및 표적 집단 면접법


연구 참여자는 수련생 6명으로 심층 면담 및 표 적 집단 면접법 (focus group interview, FGI)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총 9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개인별 최소 2회에서 3회까지 면담 을 실시하였고 집단 면접을 1회 120분 실시하였다. 면담의 내용은 스포츠 심리상담사 자격연수에 포 함된 교과과정을 기본으로 스포츠 심리상담 수퍼 비전 수련생으로서 경험하는 내용들을 반구조화 (semi-structured interview)된 질문을 통해 진행되 었다. 주로 현장수련 수련생으로서 겪는 어려움, 현 장과정 및 기대성에 대한 질문이었는데 면담이 계 속되면서 기존문헌(Sim, 2012)과 연구자의 경험을 참고하였다. 개인면담과 수련생이 모인 FGI 그룹에 사용된 반구조화된 질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스포츠 심리상담 이론교육과 실제 현장경험 비교


(2) 스포츠 심리상담시 만족스러운 경험과 불 만족스러운 경험


(3) 스포츠 심리상담시 일반 상담과 다른 점


(4) 스포츠 심리상담의 지향점과 지양해야 할 점


위의 질문들로 면담을 이끌어 나가며 연구 참 여자들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진술 할 수 있 도록 진행하였다. 수련생 6명이 자신의 수련경험 에 대한 토론을 하고, 토론 내용 중 주제에 대한 공통된 내용을 도출하여 수렴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보다 자세하고 깊은 경험을 이끌어 내었 고 표적 집단 면접을 통하여 기존의 심층면담에 신뢰도를 더하였다.



3) 연구노트


연구노트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작성하였다. 연구자는 직접 수련활동에 동행하면 서 현장의 환경과 분위기 등을 수시로 연구노트 에 기록하였으며 관찰 후에는 일지를 작성했다. 더불어 심층 면담과 표적 집단 면접법에 대한 내용 등을 모두 연구노트에 기록하였다. 또한 여러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는데, 특히 연구 참 여자의 일지 등을 함께 수집하여 기록하였다.


3.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qualitative resesarch)의 한 유 형인 현상학적 연구방법(phenomenological method) 을 활용하였다. 현상학은 인간의 경험(체험)에 관한 연구이다. 현상은 경험의 본질이며 현상학적 연구방 법은 생활세계 속에서 경험하는 개인의 모습을 그대 로 밝히고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Kong, 2004). 본 연구는 참여자의 경험을 통해 인식된 세계 와 그들이 호소하고 있는 표현들과 의미부여, 그리 고 그들이 살아온 삶의 현장에서 체득된 호소들을 생생하게 드러낼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상담수련생의 수련 경험을 축적하여 기록하고 자료 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의미 있는 진 술에서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가 도출되 고, 구성된 의미에서 주제(theme) 및 주제모음 (theme cluster)을 확인하여 범주화하는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Colaizzi, 1978).


이 분석 방법을 통해 스포츠 심리상담사 수련 생의 경험이라는 전체현상을 포괄적으로 기술하 기 위해 각 연구 참여자의 면담 자료로부터 주제 를 이끌어 내고자하였다. 이와 같이 전체연구 참 여자의 관점에서 진술된 현장수련 상담 경험의 분석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1) 연구 참여자와 면담한 수련과정 경험에 대 하여 녹음을 하였고, 전사한 내용을 여러 차례 반 복하여 읽는다.
  • (2) 반복적으로 듣고 읽음을 통해 경험의 단위 들을 파악한 후 이 현상이 갖고 있는 의미를 추 출하였다.
  • (3)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단위들의 의미를 명 확하고 정교하게 하기 위해 원자료와 지속적으로 비교 및 확인 작업을 하였다.
  • (4) 주어진 다수의 의미들을 의미단위, 하위영 역 및 대주제로 조직화 하였다.
  • (5) 주제를 현상과 관련시켜 명확한 진술로 완 전하게 최종적인 기술을 하였다.


4. 연구의 윤리성과 진실성


첫째, 윤리성 확보를 위해 연구 참여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사전 구두설명을 통해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2차 서면동의 를 통하여 자료의 사용범위, 비밀유지, 원함에 따 라 언제든지 면담종료가 가능함을 알려주어 사생 활을 보호하고 자율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 였으며, 참여자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으로 제시하 였다. 또한, 심층면담은 수퍼비전 후나 별도의 모 임에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편견이 개입 되거나 자의적으로 해석한 부분 등을 수시로 체크 하며 적절하지 못한 부분 등을 수정 보완하였다.


둘째, 진실성 확보를 위해 자료수집과 분석에 서 삼각측정법(triangu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자 료 수집과 분석이 끝난 후 지속적인 동료검증 (peer debriefing)의 과정으로 스포츠심리분야 교 수 1인 및 동료 연구자 2인과 함께 상의하며 공 동 연구를 진행하였다.



Table 2. Categorization of trainees’internship experience




Kong, B. H. (2004). Phenomenology in Nursing Research, Korean Journal of Phenomenology, 23, 151-17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16, 제27권, 제1호, 71~86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16, Vol. 27, No. 1, 71~86 DOI http://dx.doi.org/10.14385/KSSP.27.1.71 ISSN 1226-685X

스포츠 심리상담사 수련생이 경험하는 상담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민진․김정은․박지연․윤용진*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port Counselor Trainees’ Internship Experiences Regarding to the Process of Counseling

Min Jin Lee, Jeong Eun Kim, Ji Yeon Park and Yong Jin Yoon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Seoul, Korea







예비유아교사의 PBL 수업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12)

서혜정


I . 서 론


학교와 대학에서 과연 다양한 목소리를 충분히 배울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신 득렬/ 1쨌)되는 오늘날I t학생들의 실력 향상올 좌우하는 것은 교수가 아니라 교수법이 라는 연구결과’는 교사양성교육자로서 학생들의 실력 향상과 연결된 교수법에 대해 깊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유명한 교수에 의한 전통식 교수 방법과 대학원생이 이끄는 상호 의사소통의 교수 방법 중에 오히려 대학원생의 수업이 훨씬 효과적이었다는 이야기는 교수법의 중요성올 더욱 강조하는 것이대김홍식/ 2011). 교사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라고 한다. 이는 교사로서 자신이 하는 일과 자신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자 기 자신을 끊임없이 발달시키고 변화시켜야 할 당위성을 부여한다(Rogers & Babinski, 2005) .


연구자는 매년 매학기 마다 i보다 나은 교수법에 대한 지향이 관심사이자 목표이다. ’어떻게 하면 학습자가 잘 배울 수 있는 교육이 될 것인가?’에서 t어떻게 하면 학습자가 잘 학습활 수 있을까?로 변화한 연구자의 시각은 학습의 주제로서 학습자를 수업의 중 심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가 잘 배운다.’에서 t학습자가 잘 학습한다.’의 차이는 매우 크다. 이 시각의 차이는 학습자를 t수통적인 존재에서 I능동적인 존재’로의 인식전 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학습 주체에 대한 인식 변화는 곧 교수법과도 연결된다. 즉/ 수동 적인 존재로서의 학습자는 ’교사가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에서 만날 수 있으며/ 능동적인 존재로서의 학습자는 교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에서 적극 참여하는 학습자로 만날 수 있다. 이렇게 능통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를 만나게 된 연구자의 수업 변화의 큰 중심은 대화로 진행하는 문제중심학습(PB니1) 수업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PBL 수업에 대한 유아교육 전공의 학습자의 시간 체험을 통해 학습 자들이 PBL 수업에서의 체험 본질과 그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올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유아교사들은 PBL 수업올 체험하면서 무엇올 경험하는7꺼


2 예비유아교사의 PBL 수업에 대한 체혐의 의미는 무엇인가?


11. 연구 방법


l. 연구 참여자


연구 참여자는 PBL 수업을 경험한 3년제 유아교육과의 3학년 예비유아교사 6언으로 연구자에게 2010년 2학년 2학기에 유아수학교육 교과목에서 15주간 표 1의 t유아주도학 습 PBL Package'로 PBL 수업을 받은 경험이 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학년 2학기에 다른 교수로부터 t유아사회교육’ 교과목 PBL 수업올 받은 경험이 있어 총 2회의 PBL 수업 경 험이 있다. 연구 참여자 6인은 3년제 대학의 특성상 과목 이수도 공통으로 수강하였기에 공통의 체험을 하였다. 두 교파목에서 진행한 PBL 수업 진행은 교수에 따라 다르게 진 행되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의 연구 참여자들의 PBL 수업에 대한 경험은 유아수학교육 교과목에서 진행한 ’유아주도 학습 Package' 경험에 국환하여 인터뷰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의 요청으로 2011년 9월 15일부터 2011년 10월 20일까지 PBL 수업에 대한 싱충면담에 자발적인 참여를 회망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자료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대화로 PBL 수업올 경험하며 체험하는 현상과 의미를 기술 하는 현상학 연구이다(Creswell, 2005). 현상학적 연구는 인간 경험의 기술에 대한 분석 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귀납적l 기술적 연구 방법이다(신경림, 조명옥/ 양 진향/ 2[)04 : 강4).


자료 수집올 위하여 연구 참여자가 연답하는 것올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 므로 PBL 수업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을 대 상으로 연접이 이루어졌다. 즉, 연구 참여자들은 그동안 수강하였던 강의식 수업과 다른 2010년 2학년 2학기에 ’유아주도 학습 Package’로 진행한 PBL 수업에 대한 체험올 2011 년 9월 15일부터 2011년 10월 20일까지 8시간 11분간 심충연담을 하였다. 심충면담 한 자료는 모두 전사하였고I 전사한 자료는 A4용지로 181페이지가 되었다.


자료 수집은 대화의 상호작용적 교환이 이루어지는 반구조화된 변답으로 하여 심충적 (in-depth)으로 이루어졌다(Mason, 201이. 연구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한 후 추후 개 별 심충면담을 하고자 하였으나 연구 참여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인터뷰의 그룹 크기가 정해졌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PBL 수업에 대한 개인의 생각이 대화로 드러남으로써 다른 면담자의 대화를 자극하게 되어 개인면담보다 다양한 의견올 수집할 수 있는 장점 으로 작용하였대김영천/ 2006). 연구 참여자에 따라 지속적인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원할 때에는 포커스그룹으로 인터뷰를 하였고r 포커스그룹 후 개인면담을 수용하는 연구 참여 자는 추후 개인면담올 통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하는 데 있어 자료 수집과 자료 분 석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심층연담은 분석 과정에서 생기는 연구 참여자의 체험을 보다 싱충의 의미를 들여다보기 위해 이루어진다.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도구’이기 때문에 연구자의 선이해나 면견이 자료의 수집 과 해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대김영철/ 1999 : 77).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체험을 통해 의미를 발견해야 하므로 연구자 자신의 면견올 배제하기 위한 연구자 자신의 판단 중지(epoche)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는 연구자가 정보제공자의 목소리를 통해 현상(phenomenon)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의 선입견을 I괄호 치기1 하는 것이다 Mores, 1985: G않weι 2뼈 : 79, 재인용).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현상적인 체험(lived experience)을 기술하도록 요청하였다. 수집 자료는 모두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전사한 전체 텍스트를 원고/ 의미 있는 기술을 드러내며 주제어를 지으며/ 최초의 코드를 형성하였다. 이후 같은 의미가 있는 주제어들 올 분류하고 묶어 대주제어를 지어I 이때 연구 참여자들이 PBL 수업에서 무엇이 얼어났 는지 체협의 본질을 찾아 이야기하고자 하였대Creswell, 2005). 동시에 주제어는 그 글 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도록 의미를 드러내는 문지기 역할올 하였대Oan따뻐, 2011). 또한, 해석 과정에서 명화를 이용하여 시각적 제시를 하고자 하였대김영철/ 1999).


연구자는 자료 수집l 분석I 해석의 과정에서 상호주관성올 확보하기 위한 ’옹답자에 의한 타당성 검증Iα1as。n, 2010 : 、279)으로 논문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금 읽는 기회를 주어 연구자가 연구 참여자의 의도를 왜곡하지는 않았는지 확인 과정을 가졌다. 이는 면 답 자료가 스스로 숨 쉬고 말하도록 하였는지에 대한 점검이 된대Sei따lall, 2009). 이 모든 과정은 순환적으로 이루어져 연구 과정이 나선형올 그리면서 반복적으로 발전하는 것이대김영철/ 1999).


Creswell, J. W. (2005).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톰. (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 지성 역). 서울: 학지사.



제 16권 제2호, 235∼264, 2)12

예비유아교사의 PBL 수업체험에 관한 현상혁적 연구*

서혜정




이직의도가 있는 임상간호사의 소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15)

김증임1 ·손행미2 ·박인희1 ·신희진1 ·박지현1 ·조미옥1 ·김성의1 ·유미옥3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1 , 울산대학교 간호학과2 , 문경대학교 간호학과3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이직의도가 있는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본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경험의 의미에 중점을 두고 본질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는 Colaizzi [14]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선정

본 연구의 참여자는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3년 이상 근무를 한 간호사 중에서 이직의도가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하였다. 3년이상을기준으로한이유는 3년에서8년미만의 간호사들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12,15]. 연구대상자 산정기준은 현상학적 연구에서 6인에 서8인의기준에따랐으며선정기준은다음과같다.Ÿ 

  • 400병상이상 8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에서 3년이상 근무를 한 간호사로서 소진으로 이직의도가 있는 간호사Ÿ 
  • 본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녹음과 필사 사실을 알고 참여에 동의한 자
  • 제외기준은 병상규모에 따라 소진경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400병상미만이거나800병상이상의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인 경우 


참여자 선정과정은 수간호사에게 사직서를 직접 제출했거나 동료들에게 사직하고 싶다는 심경을 밝힌 간호사를 소개 받았다. 참여자들은 연구자들로부터 연구의 목적, 면담 내용을 녹음하고 필사한다는 것에 대한 설명을 듣고 기꺼이 면담에 응하겠다고동의를하여서면동의를한사람들로총7명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9세로33세(참여자 4)가가장 높았고 27세(참여자5, 6)가가장 낮았다. 학력은 전문학사학위를 가진자가 4명(참여자1, 2, 5, 6), 4년제 학사학위를 가진자가 3명(참여자3, 4, 7)이었으며, 이직경험이 있는 자는 3명(참여자2, 3, 4)으로 평균 3년의 임상경험 후 재취업을 하였다. 참여자들의 총 임상경험은 평균6년4개월이었다. 근무부서로는 외과계2명(참여자1, 4), 내과계4명(참여자2, 3, 6, 7), 특수파트1명(참여자5)이며, 현근무지의 간호전달체계는 기능적 분담 체계 3곳(참여자2, 3, 4), 팀간호4곳(참여자1, 5, 6, 7), 직위로는일반 간호사4명(참여자2, 4, 5, 6), 팀리더간호사3명(참여자1,3, 7)이었다.


3. 연구자 준비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한 학기 동안 이수하였고, 질적연구워크숍에2회이상 참여하여 면담기법과 질적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훈련받았다. 또한 질적간호연구학회의 세미나와 학술대회에 매년 참석하고 정기적인 연구모임 등에 참여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자로서의 준비를 하였다.



4. 자료수집 

자료수집을 위한 심층면담은 대화에 방해받지 않도록 조용 하고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이뤄졌으며,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선택한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면담은 한 사람 당 최소한 3회 정도 이루어졌다. 면담을 진행함에 있어 1단계 면담은 연구자가 2인1조 3개조를 이루어 인터뷰를하였다. 1인은면담을진행하였고 나머지 한 사람은  면담 의 주요 내용과 면담 분위기를 요약하면서 주 면담자를 보조 하는역할을하였다. 매번면담을 마친 후 녹음 내용은 필사하 였고 전체 공동 연구자들과 연구회의를 거쳤으며, 대상자가 말하지 못했던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2단계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면담은 비구조적 질문으로 임상에서의 소진 경험의 의미와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주질문과 부가질문, 예비질문 을준비하였다.주질문은“당신이업무를수행함에있어힘들 었던경험에대해이야기해주시겠습니까?”로시작하였다. 부 가질문과 예비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부가질문 Ÿ 

  • 이직을 고려할 정도로 힘들었던 소진경험은 무엇인가요? Ÿ 
  • 병원 안에서 직무갈등으로 인한 소진경험을 한 것이 있는 지요? Ÿ 
  • 간호사의 직무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Ÿ 
  • 간호사로서 직무갈등과 관련된 소진의 원인은 무엇이라 고 생각하십니까? Ÿ 
  • 간호사의소진경험시어떤대응(반응)을하셨습니까? Ÿ 
  • 소진을 극복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2) 예비 질문 Ÿ 

  • 병원에서 처음 겪은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Ÿ 
  • 병원에서 경험한 업무는 무엇입니까? Ÿ 
  • 당신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힘들었던 경험에 대해 이야 기해 주시겠습니까? Ÿ 
  • 당신의 업무 과정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때 문에 갈등하신 적이 있습니까? Ÿ 
  • 소진을 경험한 결정적 이유는 무엇입니까? Ÿ 병원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세요? Ÿ 
  • 간호업무 이외에 어떠한 일을 하고 계십니까? 


1회 면담시간은 1시간에서 1시간30분 정도 소요되었다. 참여자가 편안히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였 고, 참여자 스스로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 1 단계로 의미가 불분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질문하 여 의미가 분명해질 때까지 자신이 얘기하고자 하는 바를 충 분히이야기할수있도록하였고, 두명의연구자가같은내용 으로 이해하였는지를 확인해 가며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내용은참여자의동의를얻은후모두녹음하였다.

  • 2단계로녹 음한 내용을 연구자들 각자 반복해서 듣고 직접 필사하였다.

  • 3 단계로 면담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토 의시간을 가졌고, 전지에 기록을 하면서 추가된 개념과 보충 해야할 부분에대해 정리하였다.

  • 마지막단계로는녹취한내 용을필사한내용에대해 타당도를 확립하기 위하여 2명의참 여자를 초대하여 내용을 설명하고 확인하였다. 또한 여기서 나온 것들을 다시 전지에 포스트잇을 붙여가며 의도한 내용이 맞는지와 코딩한 내용과 연구결과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 보호를 위해 S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 회의 심의(No. 1040875-201410-BM-036)를 거쳤으며 승인 내용에 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내용은 연구목적 이 외에절대사용하지않으며, 자료화를마친후 음성정보는즉 시폐기할 것이며 연구 종료 후연구관련 자료는3년간보관 될 것임을 설명하였다. 연구 진행과정에서 노출된 개인적인 비밀 및 익명성은 철저히 보장되며, 논문게재 시에는 참여자 1,참여자2와같이기록할것이라고설명하였다. 참여자가원 하면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사전에 알리고 철회하여도 어떤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음을 설명한 후에 면담 을 진행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방법 중 참여자로부터 기술된 내용 에서 명확한 의미를 찾고 현상의 본질을 정확하게 진술하도록 하는Colaizzi[14]의 6단계 분석절차를 적용하였다.본연구의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 이직의도가 있는 간호사들의 경험에 대한 느낌을 이해하 기 위하여 심층면접 후 녹음해 온 내용을 여러 차례에 걸쳐 들으면서 대상자의 진술 그대로를 글로 옮겨 기술하였다.
  • 자료에서 얻은 느낌을 얻기 위해 기술한 모든 진술을 반 복하여 집중하여 읽었다.
  • 참여자들의 진술에서 얻은 탐구현상을 직접적으로 나타 내는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였다
  • 의미 있는 진술들을 주의 깊게 보면서 중복되는 표현은 배제하고 일반적인 형태로 다시 진술 하였다. Ÿ
  • 원래의 진술과 분리되지 않도록 숙지하면서 의미 있는 문 장이나 구로부터 연구자의 언어로 의미를 구성하였다. Ÿ
  • 도출된 의미의 구성에서 주제를 뽑고 각 주제와 관련된 참여자들의진술들을분류(themes clusters)하였다. Ÿ
  • 지금까지 분석된 내용들을 하나의 기술로 통합한 후 이것 을 연구현상의 본질적인 구조에 대한 진술로 최종적으로 기술하였다. Ÿ 
  • 최종적인 기술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참여자와 함께 읽어보며 참여자의 경험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7.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질을 검증하고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 이기 위해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을 평가의 기 준으로삼아연구의엄밀성을확보하였다[16]. 면담을시작하 기 전에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함으로써 면담 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면담이 방해받지 않도록 독립적인 장소를 확보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하여 소진의 경험을 자신들의 언어로 자유롭게 표현하 도록 하였다. 연구자의 왜곡된 시각이 반영되지 않도록 면담 이 이뤄진 저녁에 필사하였고 연구자들이 매주 모여 반복적으 로 여러 번 읽어 의미의 본질을 찾는 과정을 통해 신뢰도를 높 이고 사실적 가치를 높이고자 힘썼다. 적용성은 연구가 얼마 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자료 를 심층적으로 수집하고 포화시킴으로써 참여자의 진술은 반 복적으로 나타나며 공통적인 경험들을 찾음으로써 적용가능 성을높였다. 분석된결과가참여자의경험을타당성 있게정 리하고 서술되었으며 진실성이 확보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 해참여자2명에게분석된결과를보여주어참여자진술과일 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렇게 나온 자료를 2명의 교수가 다시 읽고 중요한의미를 모으고 이름 짓기를 하고 또 원 자료를 읽으면서 다시 그 주제 가 맞는지를 살피는 순환적인 검토를 수차례 실시하였다. 


연 구 결 과 


1. 의미의 구성 


의미의 구성은 의미 있는 진술들의 근본적인 의미를 연구자 의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이며 형성된 의미들은 진술로 설명하 여 기술과 연결시켰다. 설정된 의미들은 모아서 원래의 기술 에 적절한 주제를 추출하고 주제들은 의미 있는 자료들을 반 영하도록 하였다. 


7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도출된 소진경험을 나타내는 의 미 있는 문장이나 구는 총 108개였으며, 이 진술들을 하나씩 주의 깊게 읽어보면서 원 자료와 분리되지 않도록 연구자의 의미를 구성하였다. 


2. 주제모음 


일차적인 자료분석을 통해 이직의도가 있는 간호사들의 소 진 경험에 관한 진술들에서 각 개인의 개별적 경험들은 보다 일반적이고포괄적인9개의주제로도출되었고9개의주제는 ‘경고음을 울리는 방전직전의 배터리’, ‘북 치고 장구 치는 상 쇠’, ‘빗발치는 화살의 과녁’, ‘이직을 향해 흔들리는 시계추’ 의4개의주제모음으로구성하였다(Table 1)





1) 주제모음 1. 경고음을 울리는 방전직전의 배터리

(1) 주제1. 과다한업무의늪에서허우적거림

(2) 주제2. 수련부족으로생채기(scratch)가깊어짐


2) 주제모음 2. 북 치고 장구 치는 상쇠

(3) 주제 3. 의사업무로간호업무가떠밀리게됨

(4) 주제4. 간호외의업무로지쳐감


3) 주제모음 3. 빗발치는 화살의 과녁

(5) 주제5. 업무관련이해갈등에노출됨

(6) 주제6. 언어폭력으로감정의분화구가만들어짐

(7) 주제7. 모든실수를떠안는동네북이됨


4) 주제모음 4. 이직을 향해 흔들리는 시계추

(8) 주제8. 흔들리는간호사정체성

(9) 주제9. 이직에대한복잡한마음


3. 최종진술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합한 것으로 이직의도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의 소진경험 현상에 대한 최종진술은 다음과 같다. 


간호사들은 자신의 근무시간에 처리해야 하는 업무량의 과 다로 에너지 고갈을 자주 경험하며 주어진 업무의 불충분한 교육과 간호업무의 미숙한 상태의 지속으로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고있었다. 또한능숙하지못한 일처리로인하여의기소 침해지고 업무 수행에 자신감을 잃고 있었다. 


또한 이직의도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들은 주기적으로 간호 직에 대한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였고 간호사란 직업에 부정적 인감정이쌓여가고있었다. 바쁜간호업무상황에서 다른직 종의 업무까지도 처리해야 되는 고충과 인계가 끝난 후에도 병동의 행정업무와 행사참여 등 환자 관련 업무 이외의 활동 에 참여를 하고 있었고 의사의 업무까지 처리하고 있는 실정 이었다. 또한인력부족 문제로한명의간호사가 다수의역할 을하고있어간호사들은이중, 삼중의스트레스로점점지쳐 가고있었다. 환자와보호자, 타부서또는간호부서내에서겪 는 여러 갈등상황이 무엇보다 간호사들을 지치게 하는 중요 요인으로 보였다. 여기저기서 환자와 보호자들, 의사와 타부 서, 동료간호사들의부탁으로늘어난부가업무는소진경험의 큰몫을차지하였다. 이러한근무여건에서동분서주하며과부 하상태로업무를감당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 모든 불만사 항의 과녁이 되어 버리는 것이 결국은 간호업무라는 것이었 다. 환자의 병원생활이나 치료과정의 설명에 환자가 이해를 잘못했을 때도 간호사 잘못이고, 의사에게 섭섭한 환자들의 불만사항도간호사가 사과해야할몫이되며, 동료간호사들 의 실수 또한 내 잘못이 되어 버리기에 전문직 간호사들로 하 여금 신세를 탓하는 감정노동자로 전락되고 에너지가 고갈되 는 현실 속에 있었다.



14. Colaizzi PF.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phenomeno- 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 versity Press; 1978. p. 48-71.



Korean J Women Health Nurs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 21 No. 4, 297-307, December 2015

pISSN 2287-1640 | eISSN 2093-7695

http://dx.doi.org/10.4069/kjwhn.2015.21.4.297

이직의도가 있는 임상간호사의 소진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증임1 ·손행미2 ·박인희1 ·신희진1 ·박지현1 ·조미옥1 ·김성의1 ·유미옥3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1 , 울산대학교 간호학과2 , 문경대학교 간호학과3

Phenomenological Study on Burnout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Who have Turnover Intention

Kim, Jeung-Im1 · Son, Haeng-Mi2 · Park, In Hee1 · Shin, Hee Jin1 · Park, Ji hyun1 · Cho, Mi Ock1 · Kim, Seongui1 · Yu, Mi Ock3

1School of Nursing,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2School of Nursing, Ulsan University, Ulsan

3Department of Nursing, Munkyung College, Mungyeong, Korea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회복 경험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접근- (청소년복지연구, 2016)

강 선 경* 이 근 무** 하 민 정***

서강대학교 예명대학교 성균관대학교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방법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인터넷 중독에 빠져 있다가 회복한 청소년들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 자들은 연구문제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참여자들 11명을 대상으로 심 층면담 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참여자들의 동의 를 받은 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4월 10일부터 215년 8월 23일까지 진행하 였고, 반구조화 된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면담은 개인당 평균 2~3회에 걸쳐 진행 되었고 각 회당 평균 80분이 소요되었다. 면담 문항으로는 중독에 빠졌던 시기와 기간, 인 터넷 중독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사회적 변화, 가족이나 학교생활, 현재의 생활, 인터넷에서 회복한 후의 생활 및 심정 등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참 여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11명의 연구참여자 의 연령은 10대 중후반으로 남성 9명, 여성 2명이었다. 중독유형 사항을 살펴보면 게임중 독, 도박중독이 주를 이루었다.


2. 자료분석


본 연구는 Giorgi(2004)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 첫째, 전체적 맥 락을 파악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진술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든 연구참여자 들의 구술을 기록한 원자료를 여러번 반복하여 읽음으로써 연구참여자만의 언어를 이해하 려고 노력하였다.

  • 둘째, 의미단위를 나누었다. 연구하고 있는 주제 즉, 청소년기 인터넷 중 독현상에 중점을 맞춘 의미단위를 확인하였다. 청소년기 인터넷 중독과 회복에 대한 경험 을 잘 드러내는 의미단위를 특별하게 강조하여 중심의미를 확인한 후, 마지막으로 중심의 미들을 통합하여 주제를 추출하였다.

  • 셋째, 학문적 언어로 변형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진 술내용들은 각각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어 있어 애매모호하기 때문에 연구자는 상호맥 락적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시켰다.

  • 넷째, 일관성 있는 구조 진술 로 통합하였다.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시킨 의미단위들 속에 내포된 통찰내용들을 통합하고 종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3.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문제


1) 연구의 엄격성


본 연구에서 엄격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참여자의 진술 중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은 연구참여자에게 재차 확인의 절차를 거쳤고, 연구자 단독으로 해석하거나 판단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수행하고 있는 연구주제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의 전문가인 사회복지 학 박사학위 소지자 1인, 사회복지학 교수 2인으로 동료지지 집단을 구성하여 연구의 방향 성을 검토하고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2) 연구의 윤리적 문제


연구자는 면담과정 동안에 다음과 같은 연구윤리에 관한 지침을 구성하고 준수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확인하고 연구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취지를 설명하 고 동의를 얻어 면담을 진행하였다. 둘째, 연구수행 중, 연구참여자가 원할 때는 언제든지 연구에서 탈퇴할 수 있음을 고지하고 이를 보장하였다. 소개자를 통한 종용, 압력, 회유 등 을 하지 않았다. 연구 종료때까지 탈퇴한 연구참여자는 없었다. 셋째, 연구참여자의 익명성 을 보장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신상정보는 ○○으로 처리하였다.


Giorgi, A.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Ewha Woman University, Seoul.


청소년복지연구 제18권 제1호 ISSN 1229-4705(Print) / 2466-2348(Online)
Journal of Youth Welfare http://dx.doi.org/10.19034/KAYW.2016.18.1.09
2016, Vol. 18, No. 1, 211-234.
A Study on Adolescents’ Recovery Experiences from Internet Addiction: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Kang, Sun Kyung*․Lee, Keun Moo**․ Ha, Min Jung***





학생의 수업참여 및 소외 양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교육과정연구, 2014)

이 형 빈

(경희대학교)


Ⅲ. 연구 방법


2. 분석의 틀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소외 양상을 기술하고 분석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론을 택 하였다. 현상학은 질적 연구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론 가운데 하나로, 어떤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 들의 체험적 의미를 기술하고 그것의 보편적 본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Creswell, 2007). 교육과정 연구에서 현상학적 접근이 기여할 수 있는 바는 이것이 인간의 독특한 인식 및 존재 원리 를 해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현상학적 방법론은 인간 행동을 예측하거나 통제 하기 위한 이론을 개발하고자 하는 실증주의적 방법론과는 달리, 교육과정 현상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와 학생들이 구체적인 인간적 상호관계 속에 어떠한 경험이 형성되고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탐 구한다(이근호, 2012).


이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기술과 범주 분석이라는 현상학적 접근의 기본 절차를 따르고자 하였 다. 현상학적 기술‘현상학적 환원’, 즉 연구자가 편견이나 선입관을 최대한 배제한 채 어떤 현상 을 그대로 생생하게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현상학의 출발점은 실제로 인간이 겪은 ‘체험(lived ex- perience)’의 세계이며, 이 체험을 기술한다는 것은 곧 세계와 인간 존재 사이의 본래적인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려는 시도이다(Manen, 1990). 이 연구에서는 우선 학생들이 하루 일과 동안 수 업시간에 경험하고 있는 수업참여와 소외 양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Manen(1990)이 생활세계의 기본적 실존체(existentials)라 부른 ‘시간성’, ‘공 간성’, ‘신체성’, ‘관계성’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수업참여와 소외 양상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인 간은 시공간이라는 조건 속에서 타자와 관계를 형성하면서 신체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기 마련이 다.

  • 여기서 말하는 ‘시간성’은 시계가 나타내는 물리적 시간과는 달리 주관적으로 체험된 시간이다. 동일한 물리적 시간이라 할지라도 인간은 경험하는 바에 따라 더 빨리 흐르기도 하고 더디게 흐르 기도 한다. 또한 시간성은 과거에 대한 회상이나 미래에 대한 기대 속에서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 듯, 인간의 존재론적 기반이 되기도 한다.

  • ‘공간성’은 물리적 공간과는 달리 인간이 어떤 공간에서 느끼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인간은 자신만의 특별한 공간에서 안락함이나 성스러움을 느낄 수도 있 고 특정한 공간 배치 자체에서 낯설음이나 위협을 느낄 수도 있다. 이렇게 공간성은 인간의 체험과 관련된 실존적 주제를 드러낸다.

  • ‘신체성’은 인간이 생활세계 속에서 신체를 통해 어떤 대상과 접하면서 인식하는 의미를 말한다. 타자의 시선에 노출된 자신의 신체를 통해 두려움이나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고, 악수나 포옹 등 신체적 접촉을 통해 타자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 ‘관계 성’은 인간이 타자와 공유하는 관계의 의미를 말한다. 이는 타인과의 단순한 인간관계를 넘어 타자 와의 관계 속에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실존적 기반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두 학교의 수업 양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한 후 위에서 언급한 네 가지 범주 에 따라 이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수업에서 경험하는 현상 중 특히 극단적 으로 대비되는 두 현상, 즉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현상과 잠을 자는 학생들이 많아지 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네 가지 범주를 관통하는 주제를 찾는 노력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 참여와 소외 양상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교 육 과 정 연 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14/1, Vol. 32, No.1, pp. 25~51.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ngagement and alienation in the class

Hyoung-Bin Lee

(Kyunghee University)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