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1. The Maturation of Academic Medicine

  • 1910년과 1930 사이에현재를 포함하여 이후의 모든 시기가 그러했듯, MS에서 모아진 중에 많은 부분이 교육보다는 연구에 쓰였다의학교육에의 funding 가지 의미를 지녔는데하나는 높은 수준의 의학교육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으며다른 하나는 experimental medicine 가능하게 함으로써 academic medicine 위한 새로운 자리들을 만들어낸 것이었다.

 

The Full-Time System

  • 대중들이 의학교육을 자유롭게 지원하게 됨에 따라서마침내 의학교육 뿐만 아니라 의학 연구가 성장하게 되었다.
    • 1910년과 1930 사이의 20년동안, academic medicine 마침내 확실한 교수직(secure profession) 유지할 만큼의 충분한 지원을 받게 되었다 결과로 미국 의학교육 뿐만 아니라 미국 의학 연구가 국제적인 선두에 서게 되었다.
  • 1910 이전의 academic medicine 성장통을 떠올려보면기초과학 department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쉽게 성장하였다의학이 실험적인 것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함에 따라서 private practitioner 기초과학을 가르친다는 것이 대단히 어려운 것임을 알게 되었다 분야가 대단히 세분화 것이다그리고 해당 학문만을 전적으로 전공하는 사람이 그것을 가르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게 되었다
  • 임상 분과의 학문적 지위(academic stature) 성장은 조금 드라마틱하였으며애초에 사람들은 그것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았다.
    • Practicing physician들은 기초과학을 늘상 하는 것은 아니었지만환자는 꾸준히 보고 있었다임상 분과의 full-time instructor 필요성은 기초과학 분과만큼 급하지는 않았다.
  • 그러나 1900년대 초에 임상과학도 급격한 과학적 혁명(scientific revolution) 겪고 있었다.
    • 점차 laboratory based 되었으며, observational  전통이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1920년에는 laboratory 임상연구의 주요한 형태였던 case report 대신하기 시작했다.
  • 임상과학의 발전에 따라 임상분과의 faculty 되고자 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새로운 것을 요구받게 되었다.
    •  심지어 스스로의 scientific preparation ‘애들 장난(farce)’이라고 여기며 dean 사퇴한 사람도 있었다.
  • 임상과학이 성장하자 MS 임상분과에 점차 다른 type 사람들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 “new clinical men”이라 불린 사람들은 과학적 background 가지고 질병의 근본적 기전을 연구한 사람들이었다
    • 세대 전까지만 해도 이런 사람들은 기초분과로 갔을 테지만 이제는 임상분과에 들어오게 것이다.
  • 임상과학자들은 기초과학 분과의 동료들과 같은 학문적 가치를 추구했다 그룹 모두 private practice보다 연구와 교육으로서의 career 택했다임상과학이 발전하면서 마치 예전의 기초분과에 그랬던 것처럼임상분과에도 university value라고 있는 것이 널리 퍼졌다.
  • 임상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clinical discipline 점차 진정한 대학 과목으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환자에 대한 업무는 감소하면서 1954년에는 15 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에 full-time instructor 있었다.
  • 임상 분과의 Full-time system 누군가가 독단적으로 도입한 것이 아니라 임상과학이 진정한 ‘과학적’ activity 함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되었다그러나 어떻게 full-time clinical position 도입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냐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논쟁이 있었다.
  • 특히 가장 논란이 많았던 문제는 clinical scientist 어느 수준 정도로 clinical skill 유지해야 하는가 대한 문제였다흔한 오해와는 달리 full-time professor 환자를 보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 “clinical prig(도덕군자연 하는 사람)”
  • Academic medicine 내에서 full-time appointment 뜨거운 감자였다. Strict full-time system 가장 강력하게 주장한 것은 GEB였다.
    • 이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대개 금전적인 이유 댔는데왜냐하면 임상 faculty full-time salaries 기초보다  2배쯤 많았기 때문이다
    • 또한 Rockefeller philanthropies 영향을 두려워하는 이유도 있었다. (GEB Rockefeller 설립)
  • 그러나 이렇게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는 사실이 대부분의 academic physician clinical full time 타당하다고 생각했다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지는 못한다대부분이 어떤 형태로든 full-time plan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했다. Full-time 핵심적 개념은 가장 중요한 업무가 교육과 연구로 대표되는 university duty 라는 것이다.
  • 결국 여러 Medical School 임상분과는 엄청난 다양성을 갖게 된다. 1920 GEB조차 strict full time 포기하고 유연한 형태를 지원하기 시작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후반까지는 임상분과에 상당한 변화가 있게 된다임상 분과의 Professor들은 연구와 교육가 주된 임무라는 점에서 laboratory department 교수들과 비슷해졌다.
    • 임상분과는 이제 비가역적인 변화 것과 같았다임상분과에 있어서 Medical scholarship preclinical branch 같이 하나의 독립적인 professional activity 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