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tartistics.com/2011/06/8-the-serpent/)

- 아스클레피우스의 지팡이(staff)와 헤르메스의 지팡이(Caduceus)의 차이 -




The following chart lists the approved specialty and subspecialty certificates in which the ABMS Member Boards can offer certification.

General Certificate(s)Subspecialty Certificates
American Board of Allergy and Immunology
Allergy and ImmunologyNo Subspecialties
American Board of Anesthesiology
Anesthesiology

Critical Care Medicine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Pain Medicine
Pediatric Anesthesiology 1
Sleep Medicine

American Board of Colon and Rectal Surgery
Colon and Rectal SurgeryNo Subspecialties
American Board of Dermatology
DermatologyDermatopathology
Pediatric Dermatology
American Board of Emergency Medicine
Emergency MedicineEmergency Medical Services2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Internal Medicine-Critical Care Medicine
Medical Toxicology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Sports Medicine
Undersea and Hyperbaric Medicine
American Board of Family Medicine
Family MedicineAdolescent Medicine
Geriatric Medicine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Sleep Medicine
Sports Medicine
American Board of Internal Medicine
Internal Medicine

Adolescent Medicine
Adult Congenital Heart Disease3
Advanced Heart Failure and Transplant
    Cardiology
Cardiovascular Disease
Clinical Cardiac Electrophysiology
Critical Care Medicine
Endocrinology, Diabetes and Metabolism
Gastroenterology
Geriatric Medicine
Hematology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Infectious Disease
Interventional Cardiology
Medical Oncology
Nephrology
Pulmonary Disease
Rheumatology
Sleep Medicine
Sports Medicine
Transplant Hepatology

American Board of Medical Genetics

Clinical Biochemical Genetics*
Clinical Cytogenetics*
Clinical Genetics (MD)*
Clinical Molecular Genetics*

Medical Biochemical Genetics
Molecular Genetic Pathology

American Board of Neurological Surgery
Neurological SurgeryNo Subspecialties
American Board of Nuclear Medicine
Nuclear MedicineNo Subspecialties
American Board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and GynecologyCritical Care Medicine
Female Pelvic Medicine and
     Reconstructive Surgery1
Gynecologic Oncology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Maternal and Fetal Medicine
Reproductive Endocrinology/Infertility
American Board of Ophthalmology
OphthalmologyNo Subspecialties
American Board of Orthopaedic Surgery
Orthopaedic SurgeryOrthopaedic Sports Medicine
Surgery of the Hand
American Board of Otolaryngology
OtolaryngologyNeurotology 
Pediatric Otolaryngology
Plastic Surgery Within the Head and Neck
Sleep Medicine
American Board of Pathology
Pathology-Anatomic/Pathology-Clinical*
Pathology - Anatomic*
Pathology - Clinical*

Blood Banking/Transfusion Medicine
Clinical Informatics1 
Cytopathology
Dermatopathology
Neuropathology
Pathology - Chemical
Pathology - Forensic 
Pathology - Hematology
Pathology - Medical Microbiology
Pathology - Molecular Genetic
Pathology - Pediatric

American Board of Pediatrics
PediatricsAdolescent Medicine
Child Abuse Pediatrics
Developmental-Behavioral Pediatrics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Medical Toxicology
Neonatal-Perinatal Medicine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Pediatric Cardiology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Pediatric Endocrinology
Pediatric Gastroenterology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Pediatric Nephrology
Pediatric Pulmonology
Pediatric Rheumatology
Pediatric Transplant Hepatology
Sleep Medicine
Sports Medicine

American Board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Brain Injury Medicine4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Neuromuscular Medicine
Pain Medicine
Pediatric Rehabilitation Medicine
Spinal Cord Injury Medicine
Sports Medicine
American Board of Plastic Surgery
Plastic SurgeryPlastic Surgery Within the Head and Neck
Surgery of the Hand
American Board of Preventive Medicine
Aerospace Medicine*
Occupational Medicine*
Public Health and General Preventive Medicine*

Clinical Informatics1
Medical Toxicology
Undersea and Hyperbaric Medicine

American Board of Psychiatry and Neurology
Psychiatry*
Neurology*
Neurology with Special Qualification 
     in Child Neurology*
Addiction Psychiatry
Brain Injury Medicine4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Clinical Neurophysiology
Epilepsy2
Forensic Psychiatry
Geriatric Psychiatry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Neuromuscular Medicine
Pain Medicine
Psychosomatic Medicine
Sleep Medicine
Vascular Neurology
American Board of Radiology
Diagnostic Radiology*
Interventional Radiology and Diagnostic Radiology*3
Radiation Oncology*
Medical Physics*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Neuroradiology
Nuclear Radiology
Pediatric Radiology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American Board of Surgery
Surgery*
Vascular Surgery*
Complex General Surgical Oncology4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Pediatric Surgery
Surgery of the Hand
Surgical Critical Care
American Board of Thoracic Surgery
Thoracic and Cardiac SurgeryCongenital Cardiac Surgery
American Board of Urology
UrologyFemale Pelvic Medicine and
     Reconstructive Surgery1
Pediatric Urology

*Specific disciplines within the specialty where certification is offered.
1Approved 2011; first issue 2013.
2Approved 2010; first issue 2013.
3Approved 2012; first issue to be determined.
4Approved 2011, first issue to be determined.



(출처 : http://www.abms.org/who_we_help/physicians/specialties.aspx)



(출처: http://history.library.ucsf.edu/theme_photo5.html)



Commentary: Understanding the Flexner Report

Flexner 입장

  • 의학적 실증주의(Medical positivism)
    • 플렉스너는 의학을 일반적 생물학 법칙을 따르는 실험학문이라 했다.
      • Flexner described medicine as an experimental discipline governed by the laws of general biology.
    • “It [the human body] is put together of tissues and organs, in their structure, origin and development not essentially unlike what the biologist is otherwise familiar with; it grows,  reproduces itself, decays, according to general laws.”1(p53)
  • 입학 요건 강화(Rigorous entrance requirements)
    • 플렉스너는 "이렇게 대충대충 교육받지도 못한 학생을 뽑아서는 실험실 교육과 임상실습 교육이 불가능하다"라고 했음.
      • A medical school, Flexner wrote, “cannot provide laboratory and bedside instruction on the one hand, and admit crude, untrained boys on the other.”1(p22)
  • 과학적 방법론(The scientific method)
    • 플렉스너가 말한 '과학적 방법'이란 어떤 아이디어를 정교한 실험으로 검증하여 정확한 사실(fact) 밝히는 것이다.
      • Flexner pointed out that the scientific method of thinking applied to medical practice. By scientific method, he meant the testing of ideas by well-planned experiments in which accurate facts were carefully obtained.
    • “The practicing physician and the ‘theoretical’ scientists are thus engaged in doing the same sort of thing, even while one is seeking to correct Mr. Smith’s digestive aberration and the other to localize the cerebral functions of the frog.”1(p92)
  • 행동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
    • "교육학적 측면에서, 근대 의학은 다른 모든 과학과목과 같이 '직접 해보는 '이어야 한다. 학생은 단순히 보고, 듣고, 암기하기만 해서는 된다"
      • “On the pedagogic side,” he wrote, “modern medicine, like all scientific teaching, is characterized by activity. The student no longer merely watches, listens, memorizes; he does.”1(p53) Flexner’s scorn for didactic instruction pervaded the report.
  • 연구(Original research)
    • Original research was a core activity at Flexner’s model medical school.
    • “Research, untrammeled by near reference to practical ends, will go on in every properly organized medical school; its critical method will dominate all teaching whatsoever.”1(p59)
    • To Flexner, the best teachers were usually “men of active, progressive temper” engaged in research; those uninterested in solving problems tended to be “perfunctory teachers.”1(p56)

 

Flexner report 대한 오해와 진실

Flexner 전에는 미국 의학교육에 아무 일도 변화도 없었다? No!

  • 이미 이전부터 변화는 시작되고 있었다.
    • Myths concerning Abraham Flexner abound. The most common myth is that little or nothing had happened in American medical education until Flexner arrived on the scene.

Flexner scientific medicine 강조했다? No!

  • Flexner "과학만으로 전문가적 진료의 기반을 다질 없다. 임상을 하는 사람은 통찰력(insight) 공감능력(sympathy) 있어야 한다." 했다.
    • The report itself has frequently been misunderstood. Because of its strong emphasis on scientific medicine, it has often been accused of ignoring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the humane aspects of medical care. Exactly the opposite was the case.
    • Science, Flexner wrote, was “inadequate” to provide the basis of professional practice The practitioner needs “insight and sympathy,” and here specific preparation is “much more difficult.”1(p26)
    • He wrote in 1925, “Scientific medicine in America—young, vigorous and positivistic—is today sadly deficient in cultur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7(p18)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중요성을 무시했다? No!

  • "의사의 역할은 개인적/치료적 이라기보다는 사회적/예방적 이어야 한다."
    • Another common misperception is that the report denigrate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medicine “the physician’s function is fast becoming social and preventive, rather than individual  and curative.”1(p26)

빡빡하고 뻣뻣한 커리큘럼의 시초다? No!

  • "엄격한(iron-clad) 커리큘럼으로서 의학교육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은 전적으로 실수다."
    • Many have faulted the Flexner Report for fostering a crowded, inflexible curriculum Medical schools, he argued, must be trusted “with a certain amount of discretion.”1(p76) He believed that “the endeavor to improve medical education through iron-clad prescription of curriculum or  hours is a wholly mistaken effort.”1(p76)

의학교육 개혁의 Final document일까? No!

  • " 보고서의 해결책은 현재와 그리고 길어야 30 정도의 가까운 미래에 대한 것일 뿐이다"
  • Contrary to widespread popular opinion, the Flexner Report was not envisioned by its author as a final document. “This solution,” he wrote, “deals only with the present and the near future,—a generation, at most.


배울

He was uncompromising in his view that medicine is a public trust and that the profession and its educational system exist to serve.

These values, he argued, are timeless, regardless of the professional and social circumstances of the moment.

By and large, medical educators since his time have taken this message to heart. We certainly have done our best work in pursuit of this goal. An unswerving commitment to excellence and service—this was and continues to be Flexner’s gift to medical education and the medical profession.







 2010 Feb;85(2):193-6. doi: 10.1097/ACM.0b013e3181c8f1e7.

CommentaryUnderstanding the Flexner report.

Source

Department of Medicine,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St. Louis, St. Louis, Missouri 63110, USA. kludmere@dom.wustl.edu


(출처 : http://www.physiciansweekly.com/remediation-attrition-surgery-residents/)




임상에서 힘들어하는 전공의(resident, 레지던트)에게 어떻게 해줘야 할까?

- 그저 똑같은 것을 한번 더 가르치는 것은 이제 그만!! -


  • Remediation for struggling learners: putting an end to ‘more of the same’
    • Cleland et al :
      • 많은 remedial intervention 있어서 이론적 근거가 없다. 그냥 '같은 ' '' 주는 뿐이다.
      • Control-value theory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빨리 찾아내서 remediation 일찍 제공하는 것이 underperforming undergraduate 저조한 결과=>나쁜 피드백=>낮은 자기효능감=>동기 저하의 반복되는 사이클을 겪으며 underperforming doctor 되는 것을 막는 방법이다.


In the control-value theory, achievement emotions are defined as emotions tied directly to achievement activities or achievement outcomes. Achievement can be defined simply as the quality of activities or their outcomes as evaluated by some standard of excellence (Heckhausen, 1991).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ppraisals of control and values are central to the arousal of achievement emotions, including activity-related emotions such as enjoyment, frustration, and boredom experienced at learning, as well as outcome emotions such as joy, hope, pride, anxiety, hopelessness, shame, and anger relating to success or failure

  • Mitchell C, 2013
    • 성과가 낮은 의사들이 자신들을 평가할 평가자를 고를 기회가 있을 , 점수를 같은 사람을 고르는 maladaptive learning strategy 익힌다.
  • Audetat et al : clinical reasoning difficulty 겪고 있는 레지던트에게 제공되는 remedial action residency 대한 구조적인 측면(일의 양을 줄여주는 )이었지, difficulty 근원에 대한 구체적인 진단에 따른 것이 아니었다.
  • Hesketh et al : 훌륭한 임상 선생님에게는 적절한 접근법 역시 필요하다.
  • The Department of Family and Emergency Medicine at the University of Montreal의 사례
    • 레지던트 보충(remediating)교육을 하는 선생님들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Developed a multidimensional strategy to support clinical teachers in remediating residents.)
    • This strategy consists of four prongs:
      • 기관적 차원의 과정 도입 : implementing institutional procedures with regard to remediation plans and followup;5,6
      • 선생님들에게 개념틀(conceptual framework) 실제적인 이론(empirical finding)제공 : introducing clinical teachers to conceptual frameworks and empirical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through accessible and targeted papers;
      • 임상추론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여러움들에 대한 진단 개입방법에 대한 가이드 제공 :  developing a guide to the diagnosis and remediation of different types of clinical reasoning difficulty,7
      • 교수자 중심의 교수개발 프로그램 제공 : providing teacher-centred faculty development.
    • Altogether these strands amount to no less than a cultural8 and organisational change,9 which should help clinical teachers to act effectively, based on wellgrounded educational scripts,10 with a strong sense of ‘being

clinical educators’,11 which ultimately should improve outcomes for learners.

 

  • 비록 remediation 후에 나아지지 않았더라도, trainee 프로그램에서 exclude되는 과정을 촉진시키기만 것으로도 그것은 성공했다고 있다. Underperforming learner 계속 놔두는 것은 clinical teacher 지치게(wearing down)한다.
    • Struggling learner struggling teacher 유발한다.

  • Faculty development learners in difficulty 관한 문제에서 중요하다.






 2013 Mar;47(3):230-1. doi: 10.1111/medu.12131.

Remediation for struggling learnersputting an end to 'more of the same'.

Source

Department of Family and Emergency Medicine, Faculty of Medicine, Université de Montréal, Canada. mcaudetat@sympatico.ca

 



(출처 : http://blog.questionmark.com/webinar-using-the-angoff-method-to-set-cut-scores)




배경 : 교육을 시킬 때, '인정해줄 수 있는(합당한, acceptable)' 수준의 역량에 대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 이러한 '기준을 정하는 것'에 있어 지난 30년간 Angoff method라는 focus-group approach가 널리 활용되어 왔다. Angoff method는 도입하기가 쉽고 약간의 훈련을 하면 초심자도 활용할 수 있다. 



Kick-off 질문

 - 시험 응시자가 최소한의 역량을 갖췄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시험에서 '커트라인(passing score)' 이란 무엇일까?

 - 당신이 정한 커트라인(passing score)를 법정에서 변호할 수 있겠는가?


타당성/신뢰성

 - 다음의 두 가지 기준을 갖춰야 법적으로 변호가능한(legally defensible) 시험이라 할 수 있다.

 (1) Validity(타당성) : 학생들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테스트하는가 (시험문제가 학습목표와 맞아야(align))

 (2) Reliability(신뢰성) : 시험이 일관된 결과를 내도록 되어있는가 (같은 학생에게 반복적으로 그 시험을 보게 하더라도 같은 결과가 나와야)



"“…keeping the hypothetical ‘minimally acceptable person’ in mind, one could go through the test item by item and decide whether such a person could answer correctly each item under consideration.” 


“… ask each judge to state the probability that the ‘minimally acceptable person’ would answer each item correctly.”



Angoff Method

 - Angoff Method는 "최소한의 자격을 가진 응시자(minimally acceptable person)"이 특정 문제를 맞출 확률(how often)이 얼마나 될지를 정하는 과정이다.

 - 일정 패널의 전문가들이 "최소한의 자격을 가진 응시자"가 특정 문제를 맞출 가능성을 추정하고, 그 추정치에 대한 평균치를 구하고, 그 평균치로 커트라인을 정한다. 

 -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뤄진다.

1. 평가자 선정(Select the raters.)

2. 시험 응시(Take the assessment.)

3. 문항 평가(Rate the items.)

4. 평가 검토(Review the ratings.)

5. 커트라인 결정(Determine the cut score.)





(출처 : https://www.questionmark.com/us/seminars/Documents/webinar_angoff_handout_may_2012.pdf)







참고 : 기준선 정하기



 문항 중심(Item-centered studies)

 응시자 중심(Person-centered studies)

 The Angoff approach is very widely used.[1] This method requires the assembly of a group of subject matter experts, who are asked to evaluate each item and estimate the proportion of minimally competent examinees that would correctly answer the item. The ratings are averaged across raters for each item and then summed to obtain a panel-recommended raw cutscore. This cutscore then represents the score which the panel estimates a minimally competent candidate would get. This is of course subject to decision biases such as the overconfidence bias. Calibration with other - more objective - sources of data is preferable.


Rather than the items that distinguish competent candidates, person-centered studies evaluate the examinees themselves. While this might seem more appropriate, it is often more difficult because examinees are not a captive population, as is a list of items


For example, if a new test comes out regarding new content (as often happens in information technology tests), the test could be given to an initial sample called a beta sample, along with a survey of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he testing organization could then analyze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 scores and important statistics, such as skills,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cutscore could be set as the score that best differentiates between those examinees characterized as "passing" and those as "failing."




'Articl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지안 확률  (0) 2013.06.18
미국 전문의 및 세부전문의  (0) 2013.06.11
왜 보스턴 병원들은 준비가 되어 있었을까?  (0) 2013.06.08
지식(Knowledge)과 지능(Intelligence)  (0) 2013.06.07
델파이 기법  (0) 2013.06.05


Accomodation

  • 1890년대와 1900년대는 medical profession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turning point였다. Academic physician들이 전면으로 등장하면서 그들의 존재 자체가 practitioner와의 갈등을 일으켰다하지만 동시에 화해의 움직임도 있었는데 결과로 이미지나 수입이 뿐만 아니라 academic medicine 하나의 career로서도 자리잡았다.
  • 19세기 후반 대부분에 걸쳐서 laboratory scientist practicing clinician 구분짓는 차이가 지속되었다그러한 scientific medicine clinical medicine 간극이 너무 나머지 일부 physician들은 antivivisectionist 편에 서기도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experimental medicine 대한 어떤 지속적인 회의론도 의학지식의 증가를 막을 수는 없었고 많은 새로운 지식이 임상적 유용성을 찾아갔다.
    • 무엇보다 이러한 지식은 나중에 언젠가는 의학의 긴급한 문제들의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를 주었다.
  • 1900년대 초의 Experimental medicine medical practice에의 궁극적인 순응은 clinical science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 Clinical science 환자를 돌보는 것과 기초 의학 사이의 다리를 놓아 주었다.
    • 그들의 scientific colleague처럼 clinical scientist들은 실험주의자들이었다다만 그들은 질병의 문제에 조금 관심이 있었던 것이다그들의 신조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는 서로 손을 맞잡고 나아가야 한다’였다.
  • 개인적 수준에서 clinical scientist 등장은 William Osler Lewellys Barker 차이 보여주었다.
    • Osler : 실험실을 진단적 용도로만 사용
    • Barker : 실험실을 질병을 연구하는데 사용
  • 조직적 수준에서는 AAP ASCI 차이가 그와 같았다.
    • Clinical scientist 계속 환자를 보면서 clinical medicine basic science 연결고리를 만들어갔다.
  • 1900년대 초에 이르러서 practicing physician 사이에서 experimental medicine 대한 새로운 자세가 나타났는데의학의 모든 art 측면을 고려하더라도 medical practice 이제 scientific foundation 의지하게 것이다.
  • 이러한 physician들의 태도의 변화는 근본적인 수준에서 liberalism 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의미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 세대의 physician들에게 실험 과학은 비인간적이고 지적 흥미만 추구하는 처럼 보였다하지만 점차 clinician들은 실험실이 그들 나름의 역할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그러면서 점차 그것을 인정하게 것이다.
  • 1890년대와 1900년대에 medical profession 일반 사람들은 점점  scientific medicine 감탄하였고나이  physician들도 점차 은퇴하기 시작했다.
    • practitioner들은 점차 그들의 직업이 과학적 기반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기초가 빠르게 성장한다는 것도 알았다.
  • 어떤 사람도 William Osler보다 직업에  healing effect 주진 못했을 것이다.
    • Osler 언제나 clinical man이었지만, Osler 과학적 의학을 포용하면서부터 그는 앞선 세대의 위대한 clinician들의 임상적 감각정신적인방법론적인 가치를 유지할 있게 되었다.
  • Osler 과학적 의학을 포용한 유일한 사람은 아니었다하지만 그를 특별하게 만든 것은 그의 성격이었다.
  • Osler 그의 독특한 성격을 직업 내에서 조화를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했다그는 누구보다 다른 사람들과 많은 친분을 쌓았다그의 다른 academic colleague와는 다르게, Osler practitioner 에게 마음이 끌렸고 그들을 존경과 친절로 대했다.
    • Osler 과학적 의학의 가치과 전통적 의학의 가치가 조화를 이룰 있게 하였다.
  • 1910년까지 Medical profession내에서 새로운 질서(order) 세워졌음을 알리는 여러 신호들이 있었는데 하나는 continuing education 등장한 것이다.
    • 다른 신호는 practitioner들이 academician 손을 잡고 experimental medicine 가장 적인 antivivisection movement 대항하여 싸운 것이다.
  • 1910년까지 medical profession 사회학적인 변형을 거쳐 지금의 형태에 이르렀다. Profession 드디어 professor practitioner 모두를 위한 공간을 만들어낼 있었다.
    • academician들은 “standard medical practice” 결정하는데서 그들의 힘을 이끌어냈다. Medical profession 빠르게 elitist 되어갔지만학문적 성과를 돈을 주고 수는 없었기에 내부적으로는 오히려 민주적이 되어졌다.
    • Practitioner 그들의 전통적인 통제권은 넘겨 주었지만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힘을 얻게 되었다.
  • Medical profession 재조직은 professor practitioner 협력을 필요로 했다 둘은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였다.
  • Professor 미국에서 인정을 받는 만큼 practitioner와의 전통적 긴장감이 사라지지는 않았다그렇지만, 1910년까지 그룹이 서로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정도까지는 도달하게 되었다 그룹은 그들이 서로의 성공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모두를 위한 공간이 충분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Chapter 6. The Birth of Academic Medicine

  • Civil War 이전에, medical profession에는 가지의 사람 있었다. 학생과 Practitioner-teacher이다. 모든 교육은 private practitioner 의해서 이뤄졌기 때문에 'Teacher'라는 분리된 직업군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의학지식이 급격히 팽창하면서 상황이 변했고 full-time professor 등장했다. 의학교육의 발전과 직업으로서의 academic medicine(AM) 등장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발전하였다.
  • 의학지식이 늘어나면서 AM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Medical scholar 새로운 의학 발견을 하고, 그것을 퍼뜨리는 역할을 해야 했다. AM 등장(birth) 미국의학의 역사상 가장 어렵고 고통스러운 과정이었다. 그들은 다른 의사에 의하여 보호받기는 커녕, 회의적인 눈길을 받거나 적대적인 대접을 받아야 했다. "Town-Gown" tension medical profession 전반에 퍼져나갔다.
  • 그러나 궁극적으로 그룹은 그들이 서로의 존재 없이는 생존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다수의 medical career 가능해졌지만 가장 중요한 구분선은 medical scholarship medical practice 사이에 놓여져 있었다.

 

Professors and Practitioners

  • 2장에서 말했던 것처럼 미국의 AM 미국 physician들이 독일 대학으로 가서 experimental medical science 공부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하지만 이들이 다시 미국으로 돌아와서는, academic opportunity 무척 적었기 때문에 괴롭고 고된 일이었다.
  • 1870년대와 1880년대에 몇몇 full-time teaching and research position 몇몇 pioneering MS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 그러나 19세기 후반까지 이런 full-time professor 좋게 봐줘서 괴짜나쁘게 말하면 쓸모없는 정도로 인식되었다.
  • 1880년대에 experimental medicine 스스로의 clinical practice에의 유용성을 입증하면서 상황은 나아지기 시작했다.
    • 가장 돋보이는 돌파구는 JHMS에서 등장했는데, 1893 개교 때부터 모든 laboratory science department full-time 또는 university basis 시작하였다.
  • 1910년보다 20년쯤 전에는 AM 분야의 직업은 대부분 급여가 적었다. 1909년에 full-time professor 받는 가장 높은 급여는 $2100였는데, private practice 하는 버는 의사는 $25000에서 $30000까지 벌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점차 나아지기 시작했다.
    • 월급도 높아지고, Harvey Cushing같은 의사는 1901년에서 1909 사이에 일곱번의 chair of surgery 요청을 받았다.
  •  Academic elite 등장과 modern university 등장그리고 school system 발전은 1910 이전 의학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사건들이었다점차 많은 학교에서 academic physician 지위를 획득했고자금이 되는 곧바로 curriculum 개선했다이런 사건들은 모두 서로 연관성이 있는데왜냐하면 academically trained individual 학교 내에서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의학교육과 의학연구가 번영했기 때문이다.
  •  Academic community 회원들은 그저 조용히 기회가 오기만을 기다리지 않았다그들은 열심히 연구하고 공격적으로 그러한 기회를 만들어냈다.
    • 의학교육과 연구가 미국에서 하나의 직업으로 자리잡을 있을지는 이들의 손에 달려 있었다.
  • 많은 academic physician들이 당시의 institution-building 기여했다대부분은 자신들의 지역에서독지가들과 함께 하였다.
  • AM 발전에 있어서 William Welch만큼 중요한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전국적으로 academic appointment(지명임명) 있어서 그의 조언을 구했다 번째 experimental medical research만을 다루는 저널을 만들었고 Rockefeller institute 조직했으며미국의 번째 school of public health 설립했다하지만 그는 무엇보다 어린 medical scientist들을 교육하는 것을 좋아했다.
  • Professor practitioner 사이의 경계는 분명하게 지어지지 않았다.  둘은 모두 공통된 source로부터 나타났으며다만 졸업 이후 다른 진로를 택한 뿐이었다 어떤 것도 ever exclusive category 아니었다.
  • 그렇지만 1900년대 초반에, AM 분명히 medical practice 서로 다른 직업으로서 구분되어졌다.
    • Academic physician들은 AAMC practitioner AMA 속해있었다.
    • 그러나 medical professor들은 유명한 쟁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바로 antivivisection movement였다.
    • 외에도 많은 차이가 있지만 분명한 것은 어떤 유대관계는 절대 없어지지 않더라도 그룹 사이에 분명한 차이는 존재했던 것이다.
  • 비록 medical professor 서로 다른 career 택했지만 그들의 career 다른 academic discipline professor 그렇게 다르지는 않았다.
    • 모든 분야의 학자들은 그가 어떤 학문을 하느냐와 무관하게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고 이런 점이 의학교육과 대학 사이의 강한 연결 고리가 있었다.
  • 19세기가 끝나고 20세기로 넘어갈 무렵, academic physician 필요한 존재가 되었다의학지식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었고그들의 존재는 그러한 지식의 특성 때문에라도 필요했다.
  • 일부 갈등은 experimental science 바라보는 practitioner professor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했다. Practitioner 연구자를 impractical하다고 보고, laboratory worker clinician 비과학적이라고 보면서 분열이 시작되었다.
  • 그러나 심각한 갈등은 의학교육의 주도권을 놓고 벌어진 권력 투쟁이었다.
  • Professor practitioner 서로 다투면서 안되는 medical scientist들은 private practitioner들이 의학교육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새로이 등장하는 academic elite들이 기존에 힘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로부터 의학교육의 주도권을 빼앗아오면서직업 내에서 사회적 혁명이 일어난 것이었다.


Jeff Hancock: 3 types of (digital) lies




다음 중 가짜 후기를 고르시오.


정답과 그 설명은 맨 아래에!








(좌) 손전등을 들고 있는 디오니게스. 정직한 사람을 찾는 중이라고 한다.

(우) 공자. 






세 가지 종류의 거짓말

(1)집사 타입

(2) 양말인형 타입

(3) 중국 수군 타입





집사 타입

- 나 지금 가는 길이야

- 미안, 베터리가 떨어졌어.

- 일 때문에 가야되게 생겼네.









흥미로운 연구결과들

(1) 면대면 대화, 전화, 이메일 중에서 거짓말의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 전화 > 면대면 > 이메일

(2) 자기소개서 : LinkedIn profile은 Paper resume보다 더 솔직하다.

(3) 페이스북 : 페이스북에서 드러나는 성격은 실제로 만났을 때와 유사하다.

(4) 온라인 데이트 : 온라인상에 밝힌 키는 실제 키보다 크다. 하지만 거의 실제 키와 비슷하다.






상대방의 거짓말을 판단하기 위해 '눈'을 본다고 하지만 그 정확성은 54%에 불과하다.

눈에는 믿을 만한 요소가 없다.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말을 하기 시작한 50,000년의 역사 중 5,000년에 불과하다.

즉 그 전까지는 입 밖으로 내뱉은 말은 모두 허공으로 사라졌을 뿐 

기록으로 남지 않았다.








다음 중 가짜 후기를 고르시오












정답은 B!


허위로 작성한 후기는...

(1)서술법을 쓴다.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2)무엇이 일어났는지 중점을 둔다. 누구와 있었는지 무엇을 했는지 이야기한다. 

(3) 심지어 숙박한 사람들보다 '나'라는 말을 더 많이 한다. 

후기 속에 자기 자신을 넣어서 본인이 실제로 그곳에 있었다는 점을 설득하려 한다.



반면, 실제로 작성한 후기는 그 공간에 대해 더 많이 서술한다.

화장실이 얼마나 컸고, 쇼핑몰이 호텔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었는지 등.







멀티태스킹에 지친 당신!



핸드폰의 기능을 줄여보자!



전화만 가능하게 한다거나,



나침반 기능밖에 못하도록!



혹은


그냥 벽돌(Monolith)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핵심이 된 모기의 두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하나는 '수컷 모기는 물지 않는다'는 것 입니다. 사람을 무는 것은 모두 암컷 모기입니다.

둘째는 수컷 모기는 암컷 모기를 매우매우 잘 찾아낸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컷 모기를 풀어두면, 그 수컷모기 주변에 있는 암컷 모기를 찾아낼 것입니다.

Now there are two features of mosquito biology that really help us in this project, and that is, firstly, males don't bite. It's only the female mosquito that will actually bite you. The male can't bite you, won't bite you, doesn't have the mouth parts to bite you. It's just the female.And the second is a phenomenon that males are very, very good at finding females. If there's a male mosquito that you release, and if there's a female around, that male will find the female.


그래서 우리는 이 두 가지를 이용했습니다. 보통 수컷이 암컷을 만나 교미를 하고 알을 낳으면 

한 암컷은 한 번에 100개정도의 알을 낳습니다. 그리고 죽을 때까지 500개 정도를 낳습니다.

만약 수컷이 '모기의 유충을 죽게 만드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면, 유충을 모두 죽게 될 것입니다. 

이것을 '불임(sterile)모기'라고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은 불임 수컷 모기를 풀어두면, 

암컷이 불임 수컷을 만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점차 모기가 감소할 것입니다. 

설령 불임 수컷 모기가 암컷과 교미를 못한다고 해도, 

어차피 그 수컷은 곧 죽을 것이기 때문에 어쨌거나 모기 수는 또 감소할 것입니다.



So basically, we've used those two factors. So here's a typical situation, male meets female, lots of offspring. A single female will lay about up to 100 eggs at a time, up to about 500 in her lifetime. Now if that male is carrying a gene which causes the death of the offspring, then the offspring don't survive, and instead of having 500 mosquitos running around, you have none. And if you can put more, I'll call them sterile, that the offspring will actually die at different stages, but I'll call them sterile for now. If you put more sterile males out into the environment, then the females are more likely to find a sterile male than a fertile one, and you will bring that population down. So the males will go out, they'll look for females, they'll mate. If they mate successfully, then no offspring. If they don't find a female, then they'll die anyway. They only live a few days.






모기로 인한 가장 위협적인 바이러스인 '뎅기열'도 50년 전에는 거의 아무도 들어보지 모한 병이었다. 

하지만 감염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매년 5천만명에서 1억명 정도를 감염시키고 있다고 한다.













불임 모기를 방생하는 모습








Dan Pallotta: The way we think about charity is dead wrong



"절약하는 것"이 더 "도덕적인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40%의 간접비를 지출하는 대규모의 모금 사업(fundraising enterprise)보다

 간접비(overhead)를 5%수준으로 낮춘 바자회가 더 도덕적이라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그렇다면 실제 파이의 크기는 얼마나 될 것이냐?'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자선에 쓰이는 돈이 얼마 되지 않는다면 간접비 지출이 5%든 얼마든 누가 신경을 쓰겠습니까?

 '규모를 확대시키기 위한 비용'을 지출하지 않는 바자회에서 돈을 모아 71달러를 기부하는 것과,

 전문적 대규모 모금사업을 통해서 7천1백만달러를 기부하는 것 중 뭐가 더 낫습니까? 

빈곤층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This is what happens when we confuse morality with frugality. We've all been taught that the bake sale with five percent overhead is morally superior to the professional fundraising enterprise with 40 percent overhead, but we're missing the most important piece of information, which is, what is the actual size of these pies? Who cares if the bake sale only has five percent overhead if it's tiny? What if the bake sale only netted 71 dollars for charity because it made no investment in its scale and the professional fundraising enterprise netted 71 million dollars because it did? Now which pie would we prefer, and which pie do we think people who are hungry would prefer?



아마 우리의 후손들은 우리 묘비에 "간접비를 낮게 지출했음"이라는 묘비명이 쓰여있기를 바라진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세상을 바꾸길 원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금껏 해온 사고방식을 바꿔야 합니다.

이제부터는 자선 활동에 대해서 '간접비가 얼마냐'라고 묻지 마십시오. 

대신 '그래서 실제로 얼마나 기부를 합니까?'라고 물으십시오.


그 정도의 관대합을 보여줄 수 있다면, 

비영리(non-profit)영역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세상을 바꾸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Our generation does not want its epitaph to read, "We kept charity overhead low."(Laughter) (Applause) We want it to read that we changed the world, and that part of the way we did that was by changing the way we think about these things. So the next time you're looking at a charity, don't ask about the rate of their overhead. Ask about the scale of their dreams, their Apple-, Google-, Amazon-scale dreams, how they measure their progress toward those dreams, and what resources they need to make them come true regardless of what the overhead is. Who cares what the overhead is if these problems are actually getting solved? If we can have that kind of generosity, a generosity of thought, then the non-profit sector can play a massive role in changing the world for all those citizens most desperately in need of it to change. 








왜 40년이 넘도록 미국의 빈곤률(poverty)은 12%에 머물러 있는 것일까요?




Non-Profit sector는 현재 이러한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충분한 보상(compensation)을 해주지 못합니다.






두 번째로, 마케팅에 대한 비용 지출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1970년대 이후 미국의 Charitable giving은 2%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 말은 40년동안 비영리영역이 영리영역으로부터 market share를 가져오는 것이 불가능했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미국 건국의 기초라 할 수 있는 청교도(Puritan)의 정신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














Keith Chen: Could your language affect your ability to save money?





어떤 언어를 쓰는지에 따라서 저축을 얼마나 많이 하는가도 달라질 수 있을까?


Keith Chen은 "Futured Language(현재시제와 미래시제를 구분하는 언어)"와

"Futureless Language(현재시제와 미래시제를 구분하지 않는 언어)"로 나누어서

두 언어의 사용에 따라 사람들의 미래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말해준다. 







OECD에서 발표한 자료는 아래와 같다.





그렇다면 이 나라의 언어들은 어떻게 다를까?












예를 들면 영어로 삼촌은 Uncle이라는 단어 하나 뿐이지만

중국어에서는 이렇게 다양한 '삼촌'들이 있다.







'시제'를 나타내는 표현도 국가마다 다르다.

영어에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에 따라서 단어의 형태가 달라진다. 

하지만 중국어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는 동사가 동일하다.






영어가 "Germanic language"이긴 하지만, 사실 영어가 독특한 것이다.

독일어를 보면, 독일어도 현재를 나타내는 동사가 미래나 과거를 나타내는 동사와 다르지 않다.


예컨대, Morgen regnet es를 영어로 직역하면 It rain tomorrow (It will rain tomorrow가 아니라)가 되는 것이다.







이런 것을 "Futured Language"와 "Futureless Language"로 구분할 수 있다.


Futured Language에서는 '미래는 현재와 다른 것'이다.

Futureless Language에서는 '미래는 현재와 흡사한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저축률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올까?










이 그래프를 언어에 따라서 나눠보면....












Futureless language는 이와 같고 (즉 높은 저축률을 보이는 국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Futured language는 낮은 저축률을 보이는 국가에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이는 우연일 수 있다. 어쩌면 문화의 차이일 수도 있고, 인종의 차이일 수도 있다.

좀 더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한 국가 내에서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즉 문화와 인종이 같은 경우)

어떤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만 저축률이 달라지는지 봐야 한다.











이러한 변수들을 다 통제한 결과...













Futureless language를 사용하는 사람들에서 아래와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1) 30%더 많은 저축

(2) 은퇴시에 25% 더 많은 저축


비단 금전적인 것 뿐만 아니라, 이러한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는 더 넓은 영역에서 나타났는데


(3) 20~24% 흡연을 덜 한다.

(4) 13~17% 비만 확률이 낮고

(5)콘돔을 21% 더 많이 사용하고






(출처 : http://www.newyorker.com/online/blogs/newsdesk/2013/04/why-bostons-hospitals-were-ready.html)


2013년 4월 15일, 2013 보스턴 마리톤에서 결승선 직전에서 두 개의 폭탄이 터졌다.


이 테러에서 3명이 사망하고 17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그러나 부상자 중 사망자는 없었다. 

'성과'라는 단어를 쓰는 것 조차 안타깝고 조심스럽지만,
어찌되었든 이 정도 수준의 '의학적 성과'를 보일 수 있었던 것은
9/11이 그들에게 남긴 문화적 유산(cultural legacy) 덕분이었다.

"We’ve learned, and we’ve absorbed"

사건이 터지자마자 각 병원의 인력은 빠르게 동원되고, 
동원된 인력은 그 상황에 맞게 재조직되었으며,
혹시 모를 2차 3차 테러에 대비했고,
테러의 내용으로부터 환자가 오기 전에 이미 필요한 수술의 종류를 예상하여
수술장 및 인력을 갖추어 놓았다.

각 병원마다 이러한 상황을 대비한 지휘관(commander)을 임명해 두었지만
그 지휘관이 무슨 일을 시키기 전에 모든 사람이 자율적으로 조화롭게 움직였고
폭발이 일어난지 단 35분만에 첫 번째 환자가 수술대에 오를 수 있었다.

"We have replaced our pre-9/11 naïveté with post-9/11 sobriety."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undee)

던디

Dundee Listeni/dʌnˈd/ (Scottish GaelicDùn Dè), officially the City of Dundee, is the fourth-largest city in Scotland. It lies within the eastern central Lowlands on the north bank of the Firth of Tay, which feeds into the North Sea. Under the name of Dundee City, it forms one of the 32 council areas used for local government in Scotland.

The town developed into a burgh in Medieval times, and expanded rapidly in the 19th century largely due to the jute industry. This, along with its other major industries gave Dundee its epithet as the city of "jute, jam and journalism".


The name "Dundee" is made up of two parts: the common Celtic place-name element dun, meaning fort; and a second part that may derive from a Celtic element, cognate with the Gaelic , meaning 'fire'.[4]





The SDMCG Learning Outcome Project

Phase 1. The specification of learning outcomes

  • 2000 3, SDMCG 스코트랜드의 어떤 의과대학을 졸업하든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자질과 역량을 정의하는 학습성과(learning outcome) 구성하였다.
    • In March 2000, following almost a year of extensive consultation with staff and students from the five Scottish medical schools, the Scottish Deans’ Medical Curriculum Group produced an agreed set of learning outcomes that clearly define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medical graduates from any of the Scottish schools. These outcomes were published as ‘The Scottish Doctor - Learning Outcomes for the Medical Undergraduate in Scotland: a foundation for competent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Phase 2. ‘The Scottish Doctor’ learning outcomes and assessment

  • 2002년, 'The Scottish Doctor' 번째 에디션이 출간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첫 번째 에디션에서 정의된 '성과(outcome)' 조금 수정하였으며, 어떻게 이들 학습성과를 평가(assess) 있을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A second edition of ‘The Scottish Doctor’ was published in 2002. This incorporated amendments to the outcomes in the light of feedback relating to the first edition and also demonstrated how each learning outcome might be assessed.
  • 번째 단계(phase) 또 다른 목적은 모든 학교에서 사용가능한 형태의 평가도구와 평가문항(assessment items or questions) 개발하는 것이었다.
    • One of the aims of this second phase of the work was to establish a collection of assessment items or questions that were acceptable to, and useable by, all schools. These would include set standards and encompass element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at are applicable to the exit level assessment of the outcomes, wherever that occurred in the various schools’ programmes.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섯 가지의 핵심 주제별로 팀을 구성하였다. : 
    • 흔한 주소(Medical Complaints)
    • 의사소통(Communication)
    • 공공보건(Public Health)
    •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
    • 의과학(Medical Science)
      • Five working groups were established to address the over-arching themes: Common Medical Complaints, Communication, Public Health, Professionalism, and Medical Science.  Specific topics were chosen from the level 4 outcomes and assessment items established..


Phase 3. Refine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and cross-linking with the recommendations published by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 번째 단계에서는 학습성과를 세밀하게 다듬고, GMC에서 출판되어있는 Tomorrow's doctor와의 연관짓기(cross-linking)작업을 하였다.
    • Since the publication in March 2000 of ‘The Scottish Doctor’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move internationally in medical education to an outcome-based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see section 2.1).  In the UK the General Medical Council (GMC) has been concerned with learning outcomes.  It has a statutory role to oversee, quality assure and authoris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the UK.  The Council publishes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which medical schools must adhere to in order to attain GMC recognition (see section 2.2).  In phase 3 of ‘The Scottish Doctor’ project the learning outcomes statements in ’The Scottish Doctor’ have been mapped to those published by the GMC in ‘Tomorrow’s Doctors’ (General Medical Council 2002).  An evaluation has been carried out as to where they were congruent and where they differed.  In general, the two frameworks were found to be equivalent and the number of changes in ‘The Scottish Doctor’ outcomes requi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ere relatively small.
  • 이번 단계에서의 The Scottish Doctor 리뷰하는 과정에서 여러 전문분과(응급의학과, 피부과, 신경과, Palliative care, 약리학..) 학습성과와 교과과정을 고려하였다.
    • The work of reviewing ‘The Scottish Doctor’ learning outcomes has also been informed by the descriptions of curricula and learning outcome frameworks reported for a series of specialised areas in medicine including acute and emergency medicine, dermatology, neurology, palliative care,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and sexual health.



(출처 : http://www.scottishdoctor.org/index.asp,
http://www.scottishdoctor.org/resources/scottishdoctor3.doc)




(출처 : http://wppandphotos.blogspot.kr/2012/12/knowledge-is-having-right-answer.html)


(1) 

지식은 옳은 답을 알고 있는 것이다.

지능은 옳은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것이다.



(2)

"다른 이의 지능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하지만 다른 이의 지식을 과대평가하지도 말라."


"Never underestimate the person's intelligence, 

but don't overestimate their knowledge." - Sydney Jacobson






"정서적 교감"은 좋은 스토리텔링의 기본입니다. 물론, 청중들로 하여금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이 이야기가 중요하다고 느끼게 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야기의 핵심을 유지하는 가운데 어떠한 세부사항을 가지치기해낼 것인가를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축가인 미스 반 데 로에의 말을 빌리자면 이렇습니다. "우리는 진실을 전달하기 위해서 가끔 거짓말을 해야 할 때도 있다" 아마 이러한 태도는 특히 과학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더욱 중요하지 않을까요. 



Because good storytelling is all about emotional connection. We have to convince our audience that what we're talking about matters. But just as important is knowing which details we should leave out so that the main point still comes across. I'm reminded of what the architect Mies van der Rohe said, and I paraphrase, when he said that sometimes you have to lie in order to tell the truth. I think this sentiment is particularly relevant to science education.


사람들이 종종 저에게 과학을 수준을 낮추고 있다고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저는 현재 MIT의 박사과정에 있으며 과학에 있어 '세부적인 내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그 분야의 전문가들간의 대화에서 그렇다는 뜻이지, 열세살짜리 학생을 가르칠 때까지 그렇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과학을 배우는 단계의 어린 학생이 '모든 바이러스는 DNA가 있어'라는 수준의 틀린 지식을 갖게 된다고 해서 그 아이가 과학을 공부하고, 그렇게 성공할 가능성 자체를 망치진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과학에 대해서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고 과학 공부하는 것 자체를 싫어하게 된다면 이것은 아이가 가진 잠재력의 싹을 자르는 것과 같습니다. 


Now, finally, I am often so disappointed when people think that I'm advocating a dumbing down of science. That's not true at all. I'm currently a Ph.D. student at MIT, and I absolutel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etailed, specific scientific communication between experts,but not when we're trying to teach 13-year-olds. If a young learner thinks that all viruses have DNA, that's not going to ruin their chances of success in science. But if a young learner can't understand anything in science and learns to hate it because it all sounds like this, that will ruin their chances of success.


무언가를 해보시고 싶다면 카메라를 집어들어도 좋고, 블로그를 하셔도 좋습니다. '심각함'만은 던져두세요. '전문용어'도 마찬가지고요. 웃게 만들어 주세요. 관심을 갖게 해주세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귀찮은 세세한 것들은 던져버리고 바로 핵심으로 들어가세요. 어떻게 시작하면 좋겠나고요? 이렇게 해보세요. "내가 이야기를 하나 해줄께. 들어볼래?"


Pick up a camera, start to write a blog, whatever, but leave out the seriousness, leave out the jargon. Make me laugh. Make me care. Leave out those annoying details that nobody cares about and just get to the point. How should you start?Why don't you say, "Listen, let me tell you a story"?







타일러 디윗이 바이러스가 박테리아를 감염시키고 번식하는 과정을 설명한 그림

























과학계에 만연한 "진지함"이란 문화





"이렇게 쓰면 얼마나 쉬운가?"






"그런데 이 문장을 과학자들에게 검토받는다면 이런 코멘트들이 올 것이다"






"정확성"이라는 압제









"세상에, 이렇게 재밌다니!!"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elphi)


  • 정의
    • 전문가들의 의견수립, 중재, 타협의 방식으로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한 하향식 의견 도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으로 1948년 미국의 RAND연구소에서 개발되어 IT분야, 연구개발분야, 교육분야, 군사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 주요 특징
    • 델파이 기법은 어떠한 문제에 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판단으로 정리하는 일련의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이것은 추정하려는 문제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없을 때에 "두 사람의 의견이 한 사람의 의견보다 정확하다"는 계량적 객관의 원리와 "다수의 판단이 소수의 판단보다 정확하다"는 민주적 의사결정 원리에 논리적 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전문가들이 직접모이지 않고 주로 우편이나 전자 메일을 통한 통신수단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돌출된 의견을 내놓는다는것이 주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수행 절차
    • 초기계획수립: 측정대상 전제조건 확인, 전문가 섭외, 역할배정
    • 산정: 전문가 각자의 경험지식 기반 산정
    • 합의도출: 의견조정작업, 합의도출, 중재, 반복수행
    • 정리 및 기록: 합의결과 정리, 산정치 결정, 전제조건 정의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델파이_기법)



History[edit]

The name "Delphi" derives from the Oracle of Delphi. The authors of the method were not happy with this name, because it implies "something oracular, something smacking a little of the occult".[citation needed] The Delphi method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group judgments are more valid than individual judgments.
(여러 사람의 의견이 한 사람의 의견보다 더 타당(valid)하다는 가정에 근거함)

The Delphi method was developed at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to forecast the impact of technology on warfare.[8] In 1944, General Henry H. Arnold ordered the creation of the report for the U.S. Army Air Corps on the future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at might be used by the military.

Different approaches were tried, but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forecasting methods, such as theoretical approachquantitative models or trend extrapolation, in areas where precise scientific laws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quickly became apparent. To combat these shortcomings, the Delphi method was developed by Project RAND during the 1950-1960s (1959) by Olaf Helmer, Norman Dalkey, and Nicholas Rescher.[9] It has been used ever since, together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reformulations, such as the Imen-Delphi procedure.

Experts were asked to give their opinion on the probability, frequency, and intensity of possible enemy attacks. Other experts could anonymously give feedback. This process was repeated several times until a consensus emerged.

Key characteristics[edit]

The Delphi Method communication structure

The following key characteristics of the Delphi method help the participants to focus on the issues at hand and separate Delphi from other methodologies:


주요한 특징

 - 참여자의 익명성

 - 정보 흐름의 구조화

 - 주기적 피드백

 -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

Anonymity of the participants[edit]

Usually all participants remain anonymous. Their identity is not reveal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final report. This prevents the authority, personality, or reputation of some participants from dominating others in the process. Arguably, it also frees participants (to some extent) from their personal biases, minimizes the "bandwagon effect" or "halo effect", allows free expression of opinions, encourages open critique, and facilitates admission of errors when revising earlier judgments.

Structuring of information flow[edit]

The initial contributions from the experts are collected in the form of answers to questionnaires and their comments to these answers. The panel director controls the interactions among the participants 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and filtering out irrelevant content. This avoids the negative effects of face-to-face panel discussions and solves the usual problems of group dynamics.

Regular feedback[edit]

Participants comment on their own forecasts, the responses of others and on the progress of the panel as a whole. At any moment they can revise their earlier statements (언제든 앞에서 자신이 제시한 의견의 수정이 가능하다). While in regular group meetings participants tend to stick to previously stated opinions and often conform too much to the group leader; the Delphi method prevents it.

Role of the facilitator 
[edit]

The person coordinating the Delphi method can be known as a facilitator or Leader, and facilitates the responses of their panel of experts, who are selected for a reason, usually that they hold knowledge on an opinion or view. The facilitator sends out questionnaires, surveys etc. and if the panel of experts accept, they follow instructions and present their views. Respons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en common and conflicting viewpoints are identified. If consensus is not reached, the process continues through thesis and antithesis, to gradually work towards synthesis, and building consensus.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elphi_method)





DELPHI


Delphi (/ˈdɛlf/ or /ˈdɛlfi/GreekΔελφοί[ðelˈfi])[1] is both an archaeological site and a modern town in Greece on the south-western spur of Mount Parnassus in the valley of Phocis.

Delphi was the site of the Delphic oracle, the most important oracle in the classical Greek world, and became a major site for the worship of the god Apollo after he slew Python, a dragon who lived there and protected the navel of the Earth. Python (derived from the verb pythein, "to rot") is claimed by some to be the original name of the site in recognition of Python which Apollo defeated.[2] The Homeric Hymn to Delphic Apollo recalled that the ancient name of this site had been Krisa.[3]

Apollo's sacred precinct in Delphi was a panhellenic sanctuary, where every four years, starting in 586 BC[4] athletes from all over the Greek world competed in the Pythian Games, one of the four panhellenic (or stephanitic) games, precursors of the Modern Olympics. The victors at Delphi were presented with a laurel crown (stephanos) which was ceremonially cut from a tree by a boy who re-enacted the slaying of the Python.[4] Delphi was set apart from the other games sites because it hosted the mousikos agon, musical competitions.[2]

These Pythian Games rank second among the four stephanitic games chronologically and based on importance.[4] These games, though, were different from the games at Olympia in that they were not of such vast importance to the city of Delphi as the games at Olympia were to the area surrounding Olympia. Delphi would have been a renowned city whether or not it hosted these games; it had other attractions that led to it being labeled the "omphalos" (navel) of the earth,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the world.[5]

In the inner hestia ("hearth") of the Temple of Apollo, an eternal flame burned. After the battle of Plataea, the Greek cities extinguished their fires and brought new fire from the hearth of Greece, at Delphi; in the foundation stories of several Greek colonies, the founding colonists were first dedicated at Delphi.[6]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Delphi)


  • Entrance Requirement
    • 20세기가 시작되면서 교육 개혁의 가지 분야만이 다른 분야들에 비하여 크게 뒤떨어져 있었다. 바로 입학 요건이다.
      • "의학교육의 가장 장애물은 낮은 입학 기준이다"
    • 1900년대 초의 MS 가장 뛰어난 젊은 인재들을 모으고 있긴 했지만, 여전히 여러 학력 검증이 불분명한 학생들도 들어오고 있었다. 서로 다른 수준의 학생들이 동일한 medical course 같이 밟고 있었다.
    • 그러나 1900년대 초반에 의학교육자들은 입학 조건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일정한 입학기준이 없이는 교육의 혼란은 일어날 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의학이 점차 과학적으로 엄격해지면서 준비가 되지 않은 학생들이 재수강을 해야 하거나 학교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생긴 것이다.
    • 입학 요건은 1900년보다 훨씬 이전부터 논의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전 논의의 맥락은 전혀 달랐다. AMA college degree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나, 의학교육자들은 college degree 자체보다 특정 과목을 배운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독일어나 프랑스어도 알기를 바랐다.
    • 그러나 이러한 욕심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일정 수준 이상의 학생 자체가 적었던 이다.
    • 1900년대 초에, 국가적 교육 시스템이 점차 공고해지기 시작했다. , , 고등학교 교육은 물론이고 전에는 무시당했던 자연과학 분야도 점차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 결과로 MS 까다로운 입학요건 내걸 있었다.
      • 입학기준은 공공 학교 체계가 가장 허술한 남부에서 가장 낮았다.
    • 입학기준을 설립하고자 하는 움직임의 요지는 대학 수준의 과학과목을 선행 요건으로 하는 것이었다.
    • Medical school들이 요구하는 입학 요건은 high school이나 college 수준을 빠르게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 결과 바로 충분한 수의 학생이 갖춰지진 않았고, enrollment 크게 감소했다.
    • 그렇지만 Medical school official 이러한 현상에 대해 기뻐했다. 정도는 충분히 감수할 있는 비용이었다.
    • 교육시스템이 Medical school 따라잡았다. High school college 다니는 학생은 빠르게 증가했다. 이전과는 상황이 바뀌어서 qualified applicant 필요 이상으로 많아졌다.
    • Medical school 발전하는 학교 시스템으로부터 이득을 봤을 뿐만 아니라 입학 요건을 통하여 시스템을 shape하기도 했다. Medical school 입학 요건을 갖춤에 따라서 college들은 premedical course 제공하기 시작했다.
    • Medical school school system shape하는 있어서 individually, 그리고 collectively 도움을 주었다.
      • Individually : University 속한 MS들은 캠퍼스의 undergraduate campus에서 premed program 조직하는 것을 도왔다.
      • Collectively : Medical school 또한 입학요건을 고등학교나 college 보냄으로써 최신의 기준을 전달했다.

 

  • 의학교육 역사상 어느 토픽보다도 입학요건은 수많은 미신(myth) 만들어냈다.
    • 1) 때문에 하는 아님에도 그것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것이라는 오해를 사곤 했다.
  • 문제에 대한 혼란은 Medical profession 단일한 집단(monolith) 보는 흔한 오해로부터 일어나기도 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cademic physician ordinary practitioner 구분할 필요가 있다.
    • 입학요건이 physician들의 이미지나 지위를 높이기 위해서 하는 것이라는 의심이 있었으나, 입학요건은 의사집단 전체에 의해서 도입된 것이 아니라 의학교육자들에 의해서 도입된 이다.
  • 다른 미신은 입학요건으로 인해 2)구성원의 사회적 특성이 변했다 것이다. 기존에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었던 직업이, 이제는 -상위 class에게만 제한된 것이다.
    • 입학요건이 이러한 경향을 강화시킨 것은 맞지만, 그것들이 주된 원인은 아니었다.
    • 1890년대와 1900년대 입학 정원이 크게 감소하면서, 입학요건이 있기 전에도 profession 사회적 구성은 이미 well-to-do segment 옮겨져 있었다.
  • 입학 정원의 감소는 모든 수준의 Medical school에서 벌어지고 있었다. 1900년대 초반에, Cornell 정책은 '1학년에 학생들을 골라내어 4학년에 가능하다면 모든 학생을 졸업시키는 것이다'
  • 같은 현상은 작은 학교들에서도 나타났다. 느슨한 입학요건을 요구하는 학교도 진급과 졸업에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곤 했다.
  • 모든 학교가 성적과 진급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러한 학교에서 졸업한 학생은 state licensing board에서 걸러지게 되었다.
    • 국가적으로 1906년의 리포트는 38개의 의과대학 졸업생 , 면허시험 탈락율은 20% 넘었다고 되어있다.
  • 1880년대부터 WWI까지, medical profession 사회적 구성은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었던 직업이 well-to-do segment로만 한정되었고, 노동자, 이민자, 소수민족, 흑인들은 배제되었다.
    • 따라서 입학정원 감소는 underprivileged에게 가장 손해였다(took its greatest toll on..)
  • 입학요건이 가져온 결과 하나는 일부 학생들의 기회를 박탈한 이었다.
    • Profession 이미 가난한 사람들은 없는 것이 되었다.
  • 1900년대 초반에, 준비되지 않은 사람이 Medical school 들어갈 있다고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하지만 많은 의학교육자들은 Medical school 적절한 역할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교육적 이상을 따라야 하는가 평등주의적 이상을 따라야 하는가?
  • Education Egalitarian 사이의 긴장은 완화되지 않았다. 그리고 입학요건이 확고해지며 Medical school 일차적 기능이 egalitarian 아니라 educational임이 분명해졌다.
  • 겉으로는 입학요건은 그것의 목표를 달성한 것처럼 보였다. 학생들은 나은 performance 보였고, 준비된 학생들이 입학하면서 입학정원감소도 점점 사라졌다.
  • 그러나 입학요건에 대한 지속적인 불편함이 숨겨져 있었다. 지적 능력 외에 실제로 나중에 중요할 것으로 보이는 인격은 평가할 있는 것이 아니었다.
  • 의학교육자들은 좋은 medical student 선발하고 있었고, 이러한 방식은 이를 통하여 미래에 훌륭한 의사를 키워낼 있을 것이란 믿음에서 작동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들도 개인적 성격을 평가하지는 못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고, 그에 대한 좌절감도 있었다. Pedagogy 관한 의학교육자들의 전문성을 인정하더라도, 이러한 한계에 대해서 그들을 겸허해질 밖에 없었다.




  • Chapter 5. The Shaping of the Modern Medical School
    • 1890년과 1910 사이의 시기 의학교육 뿐만 아니라 medical school에게도 중요한 시기였다. 시기는 medical research 미국의 medical school에서 스스로의 자리를 확립해가는 시기였다. Medical education University 들어오게 되었고, medical school 점차 국가의 교육 시스템에 대하여 의견을 내기 시작하였다.

 

  • Teaching and Research
    • 1890년과 1910 사이의 의학교육학자에게는 가지 임무 있었다. 하나는 1)의학을 좀더 과학적인 방법으로 가르쳐야 한다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2) 이상 유럽에 비해서 열등하지 않은 연구를 하는 이었다.
      • 그들은 철학이나, 사회과학이나, 물리학을 공부했던 사람들이 걸었던 길과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이었다.
    • 1890년대 중반을 거치는 동안에도 의대에서 Research 지위는 여전히 불안정 것이었다.
      • 수입, 장비, 시설등을 비롯한 모든 면에서 쉽지 않았다.
      • Medical research만을 다루는 저널은 1896년이 되어서야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J of Exp Med)
    • 그러나 1890년대 중반, 연구를 향한 태도는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하였다. 부정적인 예측에도 불구하고 J of Exp Med 성공을 이뤘고, 다른 많은 저널들이 뒤따라 생겼다.
      • 1906년에 30 정도의 의대에 연구를 하는 faculty 적어도 두명은 있었고 1911 수가 60으로 늘었다.
      • 당시의 의과대학들은 교육 분야의 리더십을 통해서 인정받는 만큼 연구를 통해서도 인정받았고, 미국의 experimental medicine 유럽에 대하여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섰다.
    • 의학교육의 발전과 의학연구의 발전은 서로 밀접한 관계 가지며 나아갔다.
      • 의학연구와 관련된 학회들의 회원들은 의학교육의 개혁에 앞장섰던 사람들로도 채워졌다.
    • 이러한 과정은 1909 Harvard Medical School biological chemistry chair Otto Folin 임명된 것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 생화학교실의 개설은 당시 Harvard 대단히 시급한 일이었다. (이미 다른 학교에는 있었음)
    • 연구가 반드시 medical school 따라가야 하는 것은 아니었고 research institute 같은 다른 대안 존재하였다.
      • 유럽의 Koch institute, Pasteur institute 등이 있었고, 미국에는 Rockefeller Institute 있었다
    • 그러나 미국에는 의학연구에 있어서 medical school 가장 중요한 되었고, 미국의 medical scientist들은 교육과 연구가 밀접히 관련된 것이라고 믿었다. 학생들로부터 떨어져 존재하는 연구자는 중요한 excitement stimulation 기회를 잃는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Rockefeller institute 후에 Rockefeller university 이름을 바꾸었다.
    • Medical school 연구를 촉진시켜야 한다는 생각은 19세기 중반 독일 대학에서 유래했다고 있다.
      • "학생과 교수는 함께 하는 것이며, 그저 사람이 다른 사람에 비해 조금 앞서 있을 뿐이다."
    • Progressive education 널리 퍼지며 teacher-investigator에 대한 infatuation 높아졌다.
      • "최고의 medical teacher investigator이다."
    • 모든 사람이 investigator 만이 가르칠 있다는 사실에 동의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investigator 'handicapped' as teacher라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선생님은 연구자라는 생각은 20세기 초의 사회적/정서적 상태에 좀더 부합하엿다.
    • 1900년대 초에, 의학연구는 미국 medical school에서 확고한 위치를 잡게 되었다.
      • "의학 연구는 의학 교육의 핵심(the very soul)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 연구의 관계가 항상 그렇게 부드럽지만은 않았다. 둘은 자주 갈등을 일으켰다.
      • 연구와 교육은 모두 교수의 시간을 잡아먹는 일이었다.
      • 교실이 작으면 교수들은 학생에 써야 하는 시간이 적고 많은 시간을 연구에 할애할 있었기에 교실 사이즈를 줄이는 것은 학생 뿐만 아니라 교수들의 이익에도 부합했다.
    • 연구는 재정적 부담 초래했다. : 시설, 기자재 등등.
    • 20세기의 10년간 과학은 medical school에서 기이한 위치에 있었는데, 이러한 모호한 상태는 교육과 연구 사이의 긴장 상태 때문이었다. <교육에 관한 논의에서는 과학의 위치는 공고했다.>
      • 비록 일부는 good scientific education 학생들이 어떤 진로를 희망하든 중요하다는 원칙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말이다.
    • 그러나 <연구에 관한 논의를 때문 상당한 혼란> 붉어졌다. Medical school 적절한 역할이란 무엇인가? 연구? 교육?
      • 간단히 말하면 교육과 연구 사이에 어디에 선을 그어야 것인가가 불분명했던 것이다. 비슷한 갈등은 현재의 의과대학에도 존재한다.
    • 흔히 제안된 가지 방안은 practical school scientific school 나누자 것이다.
    • 하지만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었다.
      • 종합하면 1910년에 연구는 이상 미국 의대의 바깥에 머물 없었고, 그러나 연구의 정확한 형태는 아직 확립되지 못하고 있었다.

 

  • Medicine Enters the University
    • 1890년대와 1900년대에 다른 중요한 사건 있었다. 바로 의학교육이 대학 안으로 들어온 이다. 대학들은 의학교육에 1870년대부터 눈독을 들이고 있었으나 1890년이 되어서야 medical school 대한 control 갖기 시작하였다.
    • 의학교육이 움직여온 방향을 보면, 대학이 이것을 흡수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의학교육자들은 다른 분야의 교육자들과 마찬가지로 어떻게 의학을 가르쳐야 하느냐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 그러나 이러한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medical school university 사이의 연합은 초기에 상당한 어려움 있었다. 이것은 Harvard 사례(Eliot 개혁에 강력하게 저항한 교수들)에서도 확인된다. 19세기가 끝날 때까지 대부분의 medical school 사적 소유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교수들은 사업에서 손을 생각이 없었다.
    • 그러나 전체적인 움직임이 너무도 강력하였기에 일부 medical faculty 저항은 소용이 없었다.
      • 1)뛰어난 리더십과 능력을 갖춘 공격적인 university president medical school 대한 responsibility 쥐는 것을 그들의 mission으로 생각하였다.
      • 의학은 신학(divinity) 가지고 있던 최고의 지위(prestigious profession) 차지하기 시작했다.
    • 이에 더하여 2)독일의 영향 미국 의학에 여전히 많이 퍼져 있었고, 많은 medical faculty들은 대학과 강력한 유대관계를 갖는 것에 대해서 상당히 수용적이었다. 남아있던 조금의 의심마저 3)JHMS 성공으로 사라졌다.
    • 의학이 대학에 기반을 잡으면서, 과정은 self-sustaining하게 되었다.
      • 또한 양쪽에 모두 도움이 되는 면이 있었는데, Medical School 안정적인 재정적 지원을 필요로 했고, 대학은 강한 medical school 소유함으로서 교육적 지위를 확보할 있었다.
    • Medical school 대학의 연합은 1890년과 1910 사이에 활발히 일어났으며, 진정한 university 체제로의 전환은 갖춰진(thorough) 교육 가능하게 하였다.
      • Arrangement 끝난 , 대학은 medical school 재정적 지원을 하였다.
    • 대학과 medical school 연합은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바와는 조금 차이가 있었다. 일부 사람들은 medical school 대학이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을 상상하였다. 그러나 이런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서로 다른 캠퍼스에 있었고, faculty간의 연락은 드물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대학의 정신이 점차 점차 medical school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 1910 이전에는 50개의 의과대학이 genuine university department였다. 중에 재정적 지원을 받는 곳은 극소수였다. 그럼에도 대학이 의학교육의 리더임은 분명했기에 medical school에게는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 University medical school 등장은 당시 의학교육자들에게 의학교육을 이끄는 으로 인식되었다.
      • 의학교육에 기여한 많은 agency들이 있었지만, 중에서도 great universities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 Flexner report이전에 의학교육이 irreversible momentum 가질 있었느냐에 대한 답이 여기 있다. 대학들이 이미 주도권을 쥐고 있었기 때문이다.
    • 만약 university medical school 새로운 시대의 등장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이것은 구시대의 소멸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1860년대의 의사가 되기 위한 다양한 진로들이 소멸되어간 것이다.
      • 1873 MGH Harvard medical graduate 인턴을 한정시켰다.
      • 의학교육은 '대학의 영역' 되어버린 것이다.




  • The Growth of a National Movement
    • 의학교육의 개혁이 국가적 움직임이 것은 1890년대 이후이다. 같은 현상은 전체적으로 향상된 교수 집단, 그리고 학교간의 경쟁에 기인한 바가 있지만,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의학 저널, clubs, societies같은 것들은 모두 교육적 아이디어의 토론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다양한 학교의 의학교육자들은 친분을 쌓고, 같은 학회 활동을 하면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서로 격려해주며 지지해주었다.
    • 교육 이념의 확산에 기여를 국가 기관이 있다. 하나는 AAMC이며, 다른 하나는 AMA이다.
      • 이들은 학교들이 교육과 관련한 목소리를 있게 해줬고, 토론과 논의의 장이었다. 또한 출판물을 통해서 전체 medical community 의학교육과 관련한 주제에 관심을 갖도록 해주었다. 그리고 1907 AAMC Council on Medical Education 학교들에 대한 평가를 시작하였을 , 개혁적 움직임은 가속화되었다.
    • 1910 이전에는 조직 모두 의학교육 개혁에 어떠한 움직임도 취하지 않았다.
      • 사실 1910년이 되어서야 학교의 1/3정도가 가입하였고, 가입을 위한 최저 조건도 낮았다.
      • 그럼에도 조직 모두 점차 의학교육에 규칙화된(regularize), 그리고 조직화된(coordinate)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 1891 Western Reserve대학의 대표는 AAMC 3년제 medical course 정의를 분명히 내려달라고 요구했다.
      • AAMC medical school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그들의 목소리는 대변했으나 외부 조직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
      • 그러나 결정이 내려지고 정책으로 시행되면 member 아닌 학교도 educational issue clarification 이득을 보았다.
    • 다양한 토론의 가지 결과는 커리큘럼의 균질성을 향한 움직임이었다.
      • 이러한 움직임은 AMA AAMC 의해 촉진되었고, 조직 모두 model curricula 출판하였다.
    • 그러나 1900년대 초반에 의학교육은 균일성과는 거리가 멀었다.
      • 해부학은 학교에 따라 126시간부터 1248시간까지 다양했다.
    • Standardization 돌릴 없는 추세였다. 비록 극단의 variation 크긴 했지만, 대부분의 학교는 일정 범위 내에 몰려 있었다.
      • 전반적으로 미국의 교통과 통신 기술이 발달하였고, 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영향을 느낄 있었다.
      • 절대적인 동등성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의 유사함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1900년대의 의학교육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던 변화였다.
      • 학교간 차이를 조율하고, 모든 곳에서 course requirement '동일한 것을 의미하도록' 만들기 위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었다.
    • 1900년대 초반의 학교에서 medical degree 따는 것은 전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 되었다.
      • 요구조건이 까다로워졌고, 과목은 어려워졌고, 시험의 난이도도 올라갔다.
    • 그러나 학생들은 별로 신경쓰지 않는 하였다.
      • 쉽게 MD degree 있는 학교들이 여전히 있었음에도, 많은 학생들이 점차 스스로 고된 프로그램에 지원하였다.
      • 학생들은 faculty에게 많은 지원을 해달라는 청원을 하기도 했다.
    • 또한 일부 학교들이 아직 입학 요구조건을 제정하지 않았음에도 학생들은 이전보다 준비된 상태로, 꿈을 가지고 의대에 들어왔다.
      • 1900년대 초반 의대에는 가장 능력있는, 가장 평판좋은 학생들이 들어오고 있었다.
    • 의학교육이 변하며 학생들은 많은 것을 요구받았듯, 교수들에게도 많은 것이 요구되었다.
      • 우선 어떤 것을 가르치고 어떤 것을 가르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했다.
      • 또한 교육 기법도 점차 익히기 어려워졌다.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아니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문제였던 것이다.
    • 이에 따라 1890년대의 의학교육자들은 어느 때보다도 교육적 책임을 지게 되었다.
      • 국가적 수준에서, 의사들을 모으고 교육 방법에 대한 토론 기회를 제공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관은 AAMC였다. 교육과정을 자세히 보고, 세밀한 부분까지 토의하였다. 의학교육은 자체로 전문 분야가 되었고, 많은 physician들이 그들 스스로를 의학교육자로 보기 시작했다.
    • 가르친다는 것이 개념적으로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했다. 진료를 보면서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이전보다 많은 시간을 들여야 했다.
    • 교수자의 숫자가 늘어나도, 여전히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점차 교수들이 private practice 하면서 educational duty 손을 놓기 시작했다.
    • 이러한 이유로, 1890년대와 1900년대의 몇몇 의대들은 진료는 하지 않는 full-time instructor 고용하였다.

 

  • Medical Education in 1910
    • 1900년대 초에, 의학교육의 새로운 시스템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시스템은, 과학 과목에 강조를 두고, 실험실 방법을 통해 가르치며, full time professor 고용하는, 독일로부터 영감을 받은 방식이었다.
    • 미국인들은 유럽식의 방법을 단순히 미국에 그대로 가져오지 않았다. 미국적 환경에서 도입될 있도록 적용하는 과정에서 변형되었다.
      • 독일의 privatdocenten 도입되지 않았고, 독일의 학교에서 다른 학교로 돌아다니는 것도 미국에 도입되지 않았다.
      • 그리고 무엇보다도, 모두에게 동일한 기회를 제공하는 미국의 평등주의적인 교육이, 일부 엘리트에게 최고의 교육을 제공하는 유럽과 가장 다른 점이었다.
    • 이러한 것들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1890년대에 많은 주에서 면허시험을 도입하면서, leading school 졸업생들은 개혁이 느린 학교의 졸업생들보다 나은 performance 보였다.
    • 대중들도 의학교육에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 예로서 Homeopathy 점차 유명세를 잃어가기 시작했다.
      • 또한 1890년대에 여러 주에서 licensing law 제정되었으며, 훗날의 1930년대 만큼은 아니더라도 의사는 대중으로부터 인정받는 직업이 되었고, 이런 변화는 의사가 키워지는 방법에 대한 차이의 인식에서 근원한 것이었다.
    • 의학교육의 진보는 부드럽고, 평등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 교육과정은 과목마다 질적으로 서로 달랐고, 어떤 course 너무 붐볐다. 어떤 학교는 변변찮은 도서관 하나 없었다.
      • 기금이 부족한 것이라든가, 실험실/병원 시설이 후진 것은 상위권 학교에서도 흔한 현상이었다.
    • 가장 문제는 proprietary school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1870년과 1900 사이에 미국의 medical school 숫자는 배가 되었고, 1906 162개로 최고를 찍었다. 1910년까지 생기고 사라진 학교를 모두 포함하면 457개의 학교가 미국 또는 캐나다에서 운영되었다. 최악의 학교에서는 돈을 있는 사람은 누구든 입학이 가능했다.
    • 1910년의 미국 의학교육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당한 수준의 학교별 격차를 있다.
      • Table 4.4 : 6 급으로 분류한 1910년의 미국 의대.
    • 최고 수준의 학교는 JH, Harvard, Columbia등이 있었다.
    • 3급과 4급에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는 도달했지만, 매우 우수한 수준은 아닌 학교들 있다. 학교들의 대부분은 Post-Flexner period에도 살아남았다.
    • 아래 급에 해당하는 학교들은 상당히 고전중이었다.
      • 중에서도 Tier 5 Tier 6 차이가 있었는데, Tier 5 단순히 흉내내기보다는 나은 수준의 실제 실험실과 clinical work 이뤄지고 있었다. Tier 5 실제로 교육 개혁을 하고자 하는 학교들이었다.
      • Tier 6 학교는 Post-Flexner period 살아남지 못했다.
    • 같은 질적으로 엄청난 격차는 현대의 관점에서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 Proprietary school 내에서도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 Georgetown,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Baltimore Medical College 같은 proprietary school 그래도 돈만 버는데 급급한 다른 학교들과는 달랐다.
    • 이러한 학교들을 전체적으로 평가함에 있어서, 1910년의 개념적 혁명(Conceptual Revolution) 확실했다. 최하위 학교를 포함한 모든 학교가 새로운 교육적 이념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었다. Catalog 가지고는 학교간 차이를 수가 없을 정도였다. 가장 좋지 않은 학교도 같은 교육적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새로운 개념이 얼마나 퍼져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 Tier 1~Tier 5 내에서도 새로운 교육 목표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성공한 정도는 학교마다 달랐을지라도 그렇게 하고자 하는 의지만은 비슷했다.
      • Tier 6만이 medical school 여전히 사업으로 보고 있었다.
    • 1910, 아직 풀리지 않은 많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학교간 차이에도 불구하고 의학교육에 있어서 엄청난 걸음을 것은 분명했다. 많은 지표들이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 유럽으로 공부하러 가는 미국인들의 수는 크게 줄었다.
      • 때는 의학교육에서 가장 거부하는 하나였던 Science 공고한 위치를 확보하였다.
      • 많은 사람들이 의학교육의 새로운 시대가 1910년의 Flexner Report만을 기다려왔다고 생각하나, 1910 이전의 의학교육자들의 성장하는 모습이나 성과를 본다면, 시대는 이미 시작된 것과 같았다.
    • 모든 성공한 운동에는 운동이 목표를 달성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특정한 시점이 있다. 의학교육에서 시점은 1905 즈음이다.
    • 당시 이미 Modern Medical Education 시작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가지 지표는, Flexner report 나오기 전에 보여준 진전된 정도(degree of progress)이다.
      • 학교마다 차이는 있었을지 몰라도 모든 학교에서 개선이 이뤄지고 있었다.
    • 번째 지표는 학생들이 쉬운 길을 있었음에도 점차 나은, 어려운 학교로 모여들었다는 사실이다. 순간적으로 enrollment 감소했다가도 다시 증가하였고, 학교들은 나은 개별적 교습 환경을 위해서 입학 정원의 숫자를 제한하였다.
    • 반대로 1910 proprietary school 이미 상당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그러한 학교들은 이미 사업으로서는 불안정한 모험이었다. 1900 이후, 미국 의학교육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학교들은 점차 자리를 잃어갔다.
    • 번째 신호는 faculty 당사자들로부터 나왔다. 그들이 이룬 성과에 만족하는 교수들은 어느 곳에도 없었다(Tier 6 제외). 그들은 꾸준히 '아직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 Faculty들은 학교는 그들이 지금까지 얼마나 발전하였는가 보다, 앞으로 어떤 것이 이뤄질 있을 것인가를 기준으로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 초기의 의학교육 개혁이 성공할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확실하게 이야기 없었다. Harvard, Michigan, Penn 등은 이례적인 사례라고 여겨졌고, 그들이 것을 따르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1880년대 중반에, 미국 의학교육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시기동안 선구자적인 생각들이 medical school 사이에 퍼져나갔고, 지위는 공고해졌다. 학교는 program 확대시켰고, 입학 기준이 강화되었으며, 무엇보다 '새로운 교수법' 퍼져나갔다. 1910년의 미국 의학교육은 전의 어느 때보다도 발전된 상태에 있었던 것이다.
  • 이런 개혁적인 시기와는 다르게, 1885년부터 1910 사이에는 의학이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교육적 토론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생들은 단순한 암기보다 추론(reason)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1870년대와 1880년대의 선구자적 학교들에서는 상당히 공유되고 있었지만, 이후 소위 'developmental period'에는 이러한 새로운 교육 원칙이 퍼져나가는 시기였고, 1900 이후에야 강력한 움직임이 되었다.
  • Developmental period 다른 시기로 구분되어야 하지만, 가지만은 pioneering period 공통된 점이 있었다. 바로 개혁에 대한 강력한 충동(impulse)였다. Civil War 거치며 medical school들은 개혁에 있어서 최대의 적이었지만, 발전한 학교들은 modern educational ideal 위해 일하는 최우선 동력(primary force)였다. Developmental period 동안 교육 개혁이 점차 학교들로부터 튀어나오기 시작하였다(sprang).

 

  • The Reform Movement Gains Strength
    • 1880년대 중반, 미국 medical school 사이에 새로운 태도(attitude) 나타나기 시작했다.
      • 1885 생긴 U of Southern California in LA "very best" 추구하였다.
    • 또한 이미 있던 전국의 학교들도 기존의 proprietary school 벗어나서 modern medical school 변화하고자 하였다.
    • 1880년대 초반, 개혁 움직임은 아직 그렇게 강하지 않았다. 그러나 1893년에, 90%이상의 학교가 3년제 과정을 운영하였고, 일부 leading school 이미 의무적 4년제 과정(compulsory four-year program) 도입하였다.
    • 1890년대 개혁가들은 1870년대의 개혁가들에 비해 그들이 가지게 장점 충분히 활용하였다.
      • 하나는 pioneering school이었다.
      • 번째는 숫자였다(sheer number) : older physician 은퇴
    • 개교 JHMS 과학적 의학교육을 전파하는데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우수한 사례였을 뿐만 아니라, 학교의 졸업생은 전국의 의과대학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 Scientific physician 숫자는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사람들이 더해지면서 수가 더욱 증가되었다.  1890년대에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교육학적 시야가 싹틀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 가장 중요한 것은 1890년대의 개혁가들은 scientific method 효과가 있다는(work) 강력한 근거를 가지고 있었다.
      • 19세기 후반의 많은 위대한 발견들. 가장 중요한 것은 germ theory of disease.
    • 근대적인 형태의 Germ theory 1860년대 루이스 파스퇴르에 의해서 '자연발생설'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도입되었다.
      • 로버트 코흐의 Anthrax . 모든 질병의 원인은 bacteria일지도 모른다.
    • Germ theory 단순히 지적인 구성(intellectual construct) 유용했던 만은 아니다. 반론의 여지가 없는 실제적인 이득도 가져다주었다.
      • 수술방에서의 감염의 방지에 적용되면서 modern surgery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였고, 공공보건에 있어서 위생사나 보건사들에게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의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 기대수명이 50세가 되지 않던 19세기 말의 사회에서는 이러한 발견은 대단한 것이었다.
    • Germ theory 다른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와도 동반하여 등장하였다.
      • Immunology, endocrinology. Myxedema 치료하기 위한 thyroid extract 사용.
      • 진단은 좀더 정교해졌다. 진단은 X-ray ECG 함께 정교해였고, 당시 의학교육자들이 가진 중요한 생각은 이런 것들은 우연한 발견이 아니라는 것이었다(X ray 예외로 하고). Scientific knowledge 이상 소수만 아는 그런 것이 아니었다. 이제 이것은 의학을 행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하는 것이 것이다.
    • 1890년대와 1900년대에 확립된 의학적 예방 또는 치료는 매우 적었다. 어떤 사람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평균수명 증가는 위생과 영양 덕분이지, 의학적 치료법 때문은 아니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은 충분하지 못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관점에는 당시에 퍼져 있던 scientific medicine 대한 열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확실한 치료법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scientific medicine 대한 열정은 그렇게 높았을까?
      • 여기에 대한 가지 답변은, 치료적 측면의 의학의 효과는 의학의 다른 측면에 대한 기여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고통을 줄여주고, 수명을 늘려주고, 신뢰도가 높은 진단과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는 등도 중요하게 봐야 한다. 'Cure' 의사의 유일한 역할만은 아니었다.
    • 여기에 더해서, 질병의 원인과 기전을 알아가는 즐거움 무시하면 된다. 연구자들이 이러한 것을 알아갈수록 질병에 대한 공포는 만큼 적어지게 되었다.
    • 마지막으로, 이같은 열정이 있을 있었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장차 등장할 발견의 원천이 '방법(method)' 알아냈다는 physician들의 자신감이었다.
      • 1870년대에 이러한 관점은 그저 단순한 믿음에 지나지 않았지만, 1890년대에 '실험적 접근법' germ theory 통해서 이미 충분히 입증된 것이 되었다.
    • 과학적 방법에의 강조는, 많은 사회 역사학자들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Progressive Era 많은 미국인들을 지탱해준 과학에의 믿음(faith in science) 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 신뢰할 있는 지식, 전문가의 신비로움, 이런 것들이 20세기 초의 medical profession rising prestige 바탕에 깔려 있었다.
    • 그리고 1890년대에, 미국 의학교육은 새로운 시대에 들어서게 된다. 다시 한번 개혁이 이뤄질 환경이 조성되고 있었다.

  • The Diffusion of Educational Ideals
    • 1890년과 1910 사이에 일어난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에서 일어난 일들은 상위권 학교(better school)에서 어떻게 의학교육이 향상되었는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였다.
      • 1891 St Louis Medical College Washington University Medical Department 되었다.
      • 1899 Missouri Medical College 합쳐졌고
      • 1906 medical school full university department 되었다.
      • 그러면서 term 8달로 늘렸고, 4년제 교육과정을 도입하였고, course offering 확대하였고, teaching staff 수를 늘렸고, laboratory 신축하였다. Enrollment 잠시 주춤하는 했지만 다시 원래만큼 상승하였다.
    • 발전의 속도는 1900 이후 빨라졌다.
      • 다양한 전공과목에 대해서 새로운 clinical elective 도입하였고, clinical faculty 규모가 엄청나게 커졌다.
    • 1900년에 Washington University 교육방법에도 중대한 변화가 생겼다.
      • Laboratory experiment, bedside case teaching 강조되고, Problem Solving 강조되었다.
    • 1910년에 이러한 방법은 실험 기구와 자재들이 충분했던 preclinical 교과목에 대하여 가장 도입되어 있었다.
      • Clinical instruction에는 이러한 방법들이 조금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것은 무엇보다 병원 시설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 "learning by doing"이라는 새로운 교육 철학은 JHMS, Harvard, Penn만큼 도입되진 않았지만, 분명히 비슷한 방법을 따라하고는 있었다.
    • Washington University 이러한 사건들은 특이하거나 드문 일은 아니었다. 1885년과 1910 사이에 전국의 의대에서 비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 이러한 학교들이 곧바로 modern medical school 되지는 않았지만, 점차 해가 지나면서 조금씩 향상되고 있는 것은 분명했다.
    • Gradual, quiet, unpretentious 진화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하지만 일부 학교는 시작과 동시에 mature form 의학교육을 제공하였다.
    • 이러한 학교들의 prototype Cornell University Medical College였다. 곧바로, Cornell Harvard, JHMS, Columbia 등의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 시기의 개혁에 대한 신뢰는, 새로운 학교든 오래된 학교든, 1870년대와 1880년대 pioneering year 같았다.
      • 코스가 길어지고 엄격해졌지만, 무엇보다 학생을 active participant 하는 새로운 교육 방법이 도입되었다.
    • 이에 더하여, 학생들을 'memorizer' 아닌 'thinker' 키우기 위한 새로운 교육 이념이 미국 medical school 사이에 퍼지기 시작하였다.
      • 하나는 critical skill 키우는 것이었는데 "Habit of mind"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 번째는 'ability to learn for oneself'로서, 의사들이 up-to-date 상태를 유지할 있게 해주는 것이다.
    • 이런 교육적 이념이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용되었지만, 모든 과목의 교육이 동등하게 발전한 것은 아니었다.
      • 보통은 clinical 과목보다 scientific 과목에서 보다 많이 개선되었다.
      • 비록 이렇게 과목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인 교육은 크게 향상된 것이어서 1900년의 가장 나쁜 교육도 1870년대의 가장 좋은 교육보다 전반적으로 낫다고 있었다.
    • 한가지 Innovative period 다른 , 새로운 physician group 의학교육을 담당하게 것이다. 1890년대와 1900년대의 많은 미국 의학교육의 리더들은 외국으로의 postgraduate 과정을 다녀오지 않았다.
    • 1890년대는 물론이고, 1900년대에 많은 수의 의학교육의 리더들은 유럽에서의 교육 경험이 전혀 없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로 넘어갈 무렵, 독일 파의 영향(German influence)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었다. 미국 의학의 주요한 기풍(dominant ethos) 이들의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영향력은 간접적인 것이었다.
      • 이제 미국인들은 이상 미국으로 가서 공부해야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 결과, 1890년대부터 수가 줄어들어, 1900년대에는 Leipzig, Strassburg, Berlin 등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서로가 서로를 존재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 Western Reserve JHMS 방식의 clinical teaching 고려했다.
      • 이러한 예들은 modern medical school 어떻게 퍼지기 시작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이 상대방을 고려하여 스스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시작했는지를 보여주는 예이다.
    • 학교들의 발전하면서 서로가 점차 강력한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 Harvard JHMS 기반을 두고 있던 의학저널의 통제권을 쥐려고 시도했다.
    • 간단히 말해서 1890년대와 1900년대에, 야심찬 학교들은 여전히 'the best' 되고자 했다.
      • 'the best' 단순히 많은 수의 졸업생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 그것보다 정말 중요한 것은 졸업생의 질과 학교의 학문적 평판이었다.
      • 세대 전만 해도, medical school들은 교육과정의 간섭에 대단한 반감을 나타냈으나, 그들이 이제는 오히려 앞장서서 개혁을 주장했다.
    • 이러한 경쟁은 재정적으로 위험한 개혁도 - 그것이 비록 교육적으로 합당하더라도 - 망설임없이 진행해나갈 정도였다.
      • 나은 교육을 위해서 그들은 직접적인 재정적 손해도 감수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laboratory teaching 도입은 교육적으로는 뛰어난 선택이었지만, 비용은 상당했다.
      • Columbia 입학 요건을 강화시켰다. 지출은 늘었지만 Enrollment 50%이상 감소하였고, 수입도 감소하였다.
    • 재정적 희생의 최고봉은 학생에게 practical instruction 제공하기 위해 스스로 Class size 제한한 것이었다.
    • Medical school 부담하는 비용은 상승하고, 그들이 받는 수업료 수입은 감소하면서 faculty들은 사비를 털기 시작했다.
    • 이러한 현상은 상위 학교에서만 나타난 현상이 아니었다. 1913 문을 닫은, 특별히 뛰어날 것도 없는 Kansas Medical College에서도 dispensary clinic building 짓기 위한 기금 모금이 있었다.
    • 1900년대에 modern medical education ideal 분명 미국 의학 community 전반에 퍼져 있었다. 이러한 발전은 최고 수준의 학교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작고 발전한 학교들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1) 시험의 종류

캐나다의 MCC(Medical Council of Canada)에서는 의학평가시험(Medical Council of Canada Evaluating Examination : MCCEE)과 의사시험(Medical Council of Canada Qualifying Examination : MCCQE)을 시행하고 있는데 의사시험은 의학지식(knowledge) 및 임상 의사결정(clinical decision making)을 평가하는 필기시험인 PartⅠ과 실질적인 진료기능(clinical skill)을 평가하는 실기시험인 PartⅡ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앞으로 시행될 National Assessment Collaboration(이하 ‘NAC’) 시험이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것은 2011년 처음 시행될 시험으로 그간 캐나다의 각주마다 자체적으로 실시하던 외국 의과대학 출신자들에 대한 평가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하나로 통합하고 캐나다 전 지역에 통용할 수 있는 평가체제 구축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2) 의사면허의 취득

캐나다에서 의사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과정은 각 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캐나다 의학평가시험(MCCEE)에 합격하고(캐나다와 미국 의과대학을 졸업하지 않은 외국 학생에 한한다.), 캐나다 의사시험(MCCQE)의 PartⅠ에 합격한 다음, 졸업 후 공인된 캐나다 또는 미국의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최소 1년간의 수련과정을 거쳐 캐나다 의사시험(MCCQE) PartⅡ에 합격해야 한다. MCCQE PartⅡ에 합격하면 캐나다 개업의사자격증(Licentiate of Medical Council Of Canada :LMCC)을 발급받는데, 이는 퀘벡을 제외한 캐나다 각 주의 면허관리기관에서 면허를 부여할 때 요구하는 조건이다.


가정의학 자격증(Certification)은 캐나다 의학회(College of Family Physicians of Canada)로부터 받는데, 이 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2년의 가정의학 수련프로그램을 마치고 학회의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다른 전문 분야의 자격증은 왕립의학회(Royal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 of Canada)로부터 받는데 이 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캐나다나 미국의 인증 평가된 레지던트 프로그램에서 규정된 기간(4년 이상)의 수련과정을 마쳐야 한다. 이후 해당하는 전문 분야의 필기시험과 구술시험에 모두 합격해야 한다.


퀘벡주는 퀘벡의학회(College des medecins du Quebec)를 통하여 자신들만의 전문의 인증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퀘벡의학회에서는 퀘벡주에서 수련과정을 거치지 않은 지원자들로부터는 지원을 받지 않고 있다.



3) NAC(National Assessment Collaboration)

NAC 시험은 2011년도에 처음으로 시행되는 시험제도로, 캐나다 국내의 의사수 부족을 대처하기 위한 의과대학의 증설 계획이 현실화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점나다에서 취업을 원하는 외국 의과대학 출신자(International Medical Graduation, 이하 'IMGs')들의 지원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이 배경이라고 여겨진다.


이는 2004년도 ‘Canadian Task Force on Licensure of IMGs'의 보고서에 근거를 하여 연구되어 왔으며 캐나다 지역과 지방에 표준화된 수행평가 방법 체계가 개발되었다.


NAC의 궁극적인 목표는 IMGs를 대상으로 캐나다 전지역에서 통하는,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단기적인 목표는 하나의 국가적 임상시험을 시행함으로써 현재의 각 지방에서 이미 행하여 지고 있는 IMG 평가프로그램의 중복을 피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캐나다 전공의매치프로그램(CaRMS)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데 시험결과는 전공의 선발 및 지원자의 중간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NAC의 기구 및 체계를 살펴보면 NAC은 MCC의 전적인 관리책임하에 NAC's Administrative Body 가 있고 NAC Central Coordinating Commitee(NAC3) 가 있으며 이들은 MCC 위원회에 보고를 하게 되어 있다.


NAC3은 각 지방의 IMG평가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국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 SET 개발을 감독한다. 현재 NAC3은 NAC-OSCE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NAC OSCE Test Committee가 개발, 리뷰, 시험 내용 테스트 등의 실무를 진행하고 있다.

NAC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지원자의 지식, 이해력, 임상술기 및 분야별 최근 의학지식의 이용 능력

2) 캐나다에서의 질병과 손상의 빈도

3) 보건 예방 및 재활

4) 정신, 육체 및 사회적 건강의 유지

5) 지역 및 국가의 보건자원, 비용대비 효용성, 제한점에 근거한 보건체계에 대한 이해

6) 환자, 가족, 타 보건직종인 및 지역사회와의 필수적인 대인관계기술

7) 사회의 필요성에 연관된 성, 도덕, 윤리 및 법률적 사안들에 대한 지식


시험은 임상 표현을 바탕으로 12개의 문항이 구성되어 NAC-OSCE 시험과 별도의 지필시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수 비중은 NAC-OSCE시험이 75%, 지필시험이 25%이다.



가. NAC-OSCE

NAC-OSCE의 각 문항은 10분 동안 진행되며 각 문항 사이에는 2분의 시간이 주어진다. 이 시험은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임상 상황에서 7분간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등 환자진료수행 능력을 평가하게 되며 채점위원이 시험실 안에서 평가를 진행하며, 이 후 3분간 표준화된 구두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NAC-OSCE의 평가영역은 병력청취, 신체진찰, 체계화 기술(Organization skills), 의사소통기술, 언어구사능력, 감별진단, 데이터해석, 검사 및 관리(management) 중 7~9개를 선정하여 각각 4점 척도로 평가한다. 평가척도는 다음과 같다.

1) 1=‘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안됨

2) 2=‘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미흡함

3) 3=‘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됨

4) 4=‘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준 이상으로 잘함


나. NAC의 지필시험

지필시험은 45분간 별도로 치러지며 치료와 관련된 지식을 평가한다. 문항은 23개의 단답형으로 전 연령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약물치료, 부작용,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 등에 연관된 치료관련 지식을 평가하는데 최소한 4명의 의사 채점위원이 각각의 답변에 NAC-OSCE와 동일한 4점 척도로 평가하여 평균을 구한 것이 응시자의 점수가 된다.


응시자의 총점 결과는 평균점이 500이고 표준편차가 100이 되도록 표준점수로 변환되어 나타나며 합격선은 [3=‘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됨]이라고 정한 점수이며, 이와 연관되어 당락이 결정된다. 시험결과는 응시자의 총점과 함께 개별 응시자의 피드백을 위한 시험결과 분석보고서가 제공되는데, 이 보고서에는 9개의 영역별 수행 점수의 그래프도 포함되며 응시자가 [3=‘졸업 후 수련’ 과정(Year 1)에 들어갈 수 있는 준비가 됨] 이하의 점수를 받는 문항의 목록도 제시된다.

원칙적으로 1년에 한 시즌 시행되는데, 이는 캐나다 전공의매칭프로그램(CaRMS)과 연계되어 있다. 정해진 날짜 외에도 MCC가 미리 공지하는 몇 개 날짜에 다른 주에서 신청을 할 수 있다. 비용은 각 장소(주)별로 소요되는 비용이 다르므로 사전에 공지를 한다.


캐나다와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의과대학 졸업자들은 다음의 각 단계를 거쳐야 캐나다의 의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


※ IMGs의 캐나다 의사 면허 취득과정

1) 출신학교의 응시자격 확인

2) 온라인 ‘자가평가 시험’(SAE-EE)

3) 지원 서류 제출

4) MCCEE

5) NAC-OSCE : 주에 따라 MCCQE Part I을 합격한 자만 지원을 하기도 함

6) MCCQE Part I

7) MCCQE Part II


(캐나다 및 미국 본토의 의과대학 졸업자는 MCCQE Part I과 Part II 단계만 시행한다.)




(출처 : 캐나다 의사 국가시험원 MCC 방문 보고서(2011. 04. 27 ~ 05. 03),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Articl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Knowledge)과 지능(Intelligence)  (0) 2013.06.07
델파이 기법  (0) 2013.06.05
GDP를 향한 케네디의 일갈.  (0) 2013.06.02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2) 2013.06.02
Curriculum  (0) 2013.05.29





"우리가 봐야 할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학습'이라는 것은 '자발적 구조화(self-organization)의 결과물입니다. 
'학습'은 교육적 과정이 '자발적 구조화' 될 때 일어납니다. 
이것은 학생을 학습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학습이 '일어나게'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은 그 과정이 작동할 수 있도록 시동만 걸어준 뒤, 한 발 물러서서 학생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을 바라보면 됩니다." 



Sugata Mitra: Build a School in the Cloud




대영제국 시대에는 전세계를 아우르는 사람들로 이뤄진 세계적인 컴퓨터를 만들었다. 

소위 "관료주의적 행정기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학교는 시대에 뒤쳐져 있다.





"벽 안의 구멍" 프로젝트











그저 벽 안에 컴퓨터를 심어놓은 것 뿐인데, 컴퓨터에 대한 아무런 정보를 주지 않아도, 심지어 그들이 익숙하지 않은 영어로 된 컴퓨터를 가져다 놓아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확인해보면 아이들은 엄청난 학습 성과를 보인다.




이러한 방식의 학습이 과연 어느 범위까지 가능한지 실험을 해보지만, 

번번히 학생들의 학습 수준은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는다. 

일례로, 타밀어를 쓰는 동네에 영어로 된 생명공학(DNA 복제에 관한 내용) 관련 자료를 넣어두었다.
그리고 두 달 후 여자아이가 이렇게 말한다.

"음, DNA가 제대로 복제가 안 되면 암을 일으킨다는 것 말고는 아무 것도 이해를 못 했어요."







(출처 : http://www-personal.umich.edu/~mejn/cartograms/ ,
다른 그림도 많음- population, child mortality 등)

Robert Kennedy on Shortcomings of GDP in 1968

Every year or two, I run across this lovely quotation from Robert F. Kennedy about the fundamental shortcomings of gross national product as a measure of well-being. It's from a speech he gave at the University of Kansas on March 18, 1968, and a transcript is available here.  Here's RFK:


"Too much and for too long, we seemed to have surrendered personal excellence and community values in the mere accumulation of material things.  Our Gross National Product, now, is over $800 billion dollars a year, but that Gross National Product - if we judg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that - that Gross National Product counts air pollution and cigarette advertising, and ambulances to clear our highways of carnage.  It counts special locks for our doors and the jails for the people who break them.  It counts the destruction of the redwood and the loss of our natural wonder in chaotic sprawl.  It counts napalm and counts nuclear warheads and armored cars for the police to fight the riots in our cities.  It counts Whitman's rifle and Speck's knife, and the television programs which glorify violence in order to sell toys to our children.  Yet the gross national product does not allow for the health of our children,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 or the joy of their play.  It does not include the beauty of our poetry or the strength of our marriages, the intelligence of our public debate or the integrity of our public officials.  It measures neither our wit nor our courage, neither our wisdom nor our learning, neither our compassion nor our devotion to our country, it measures everything in short, except that which makes life worthwhile.  And it can tell us everything about America except why we are proud that we are Americans."
(출처 : http://conversableeconomist.blogspot.kr/2012/01/robert-kennedy-on-shortcomings-of-gdp.html)

 

 

 


"우리 국민총생산(GNP)은 한 해 8000억 달러가 넘습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대기오염, 담배 광고, 시체가 즐비한 고속도로를 치우는 구급차도 포함됩니다. 우리 문을 잠그는 특수 자물쇠, 그리고 그것을 부수는 사람들을 가둘 교도소도 포함됩니다. 미국삼나무 숲이 파괴되고 무섭게 뻗은 울창한 자연의 경이로움이 사라지는 것도 포함됩니다 … 그러나 국민총생산은 우리 시의 아름다움, 결혼의 장점, 공개 토론에 나타나는 지성, 공무원의 청렴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우리의 해학이나 용기도, 우리 지혜나 배움도, 국가에 대한 우리의 헌신이나 열정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해, 그것은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을 제외한 모든 것을 측정합니다."


(출처 : GDP 늘어도 삶은 왜 더 팍팍해지나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47708 - 경남도민일보)

 


 

'Articl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델파이 기법  (0) 2013.06.05
캐나다의 의사국가시험  (1) 2013.06.03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2) 2013.06.02
Curriculum  (0) 2013.05.29
외국의 의사자격시험 제도  (0) 2013.05.24

(이미지 출처 : http://envirocancer.cornell.edu/newsletter/articles/v11population.cfm)

 

Metrics: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PAF)

Quantifying the contribution of risk factors to the Burden of Disease

Definition

The contribution of a risk factor to a disease or a death is quantified using the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PAF). PAF is the proportional reduction in population disease or mortality that would occur if exposure to a risk factor were reduced to an alternative ideal exposure scenario (eg. no tobacco use). Many diseases are caused by multiple risk factors, and individual risk factors may interact in their impact on overall risk of disease. As a result, PAFs for individual risk factors often overlap and add up to more than 100 percent.


Calculating PAF

  • Pi = proportion of population at exposure level i, current exposure
  • P'i = proportion of population at exposure level i, counterfactual or ideal level of exposure
  • RR = the relative risk at exposure level i
  • n = the number of exposure levels

For risk factors with continuous rather than discrete exposure levels there is an analogous formula for PAF involving integration of the exposure level distribution.

 

(출처 : http://www.who.int/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metrics_paf/en/index.html)

 

 

 


 

첨부파일 : http://smed.kangwon.ac.kr/adm_mgr/bbs/bbs_download.php?tb=c3ViNDE=&wr_id=442&f_no=1

2011본4국시문제분석[1].hwp

 

 

'Article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의 의사국가시험  (1) 2013.06.03
GDP를 향한 케네디의 일갈.  (0) 2013.06.02
Curriculum  (0) 2013.05.29
외국의 의사자격시험 제도  (0) 2013.05.24
My Medical Choice (안젤리나 졸리, 뉴욕타임즈)  (0) 2013.05.15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7가지 원칙) 

Seven principles to guide teaching practice


(1) 학습자는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The learner should be an active contributor to the educational process)


(2) 학습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Learning should closely relate to understanding and solving real life problems)


(3) 학습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은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는데 대단히 중요하기에 이를 충분히 염두에 두어야 한다.

(Learners' current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critical in new learning situations and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4) 교수자는 학습자가 자발적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Learner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and support to use self-direction in their learning)


(5) 교수자는 학습자가 직접 수행(practice)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하며, 이는 교수자와 동료로부터의 건설적인 피드백과 동반되어야 한다.

(Learn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practice, accompanied by self assessment and constructive feedback from teachers and peers)


(6) 교수자는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가 수행한 내용을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성찰의 과정은 자신이 수행한 것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그 업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길러내는 것이어야 한다.

(Learn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ir practice; this involves analysing and assessing their own performance and developing new perspectives and options)


(7) 교수자가 보여주는 롤모델로서의 모습은 학습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배운 방법으로 타인을 가르치기 마련이다. 의학을 교육함에 있어서 학생과 후배 의사들에게 바람직한 교육의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그 다음세대의 교수자와 학습자가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더 나은 환자진료가 이뤄질 것이다. 

Use of role models by medical educators has a major impact on learners. As people often teach the way they were taught, medical educators should model these educational principles with their students and junior doctors. This will help the next generation of teachers and learners to become more effective and should lead to better care for patients



출처 : ABC of learning and teaching in medicine, Applying educational theory in practice, David M Kaufman 

(BMJ VOLUME 326 25 JANUARY 2003)

'Articles (Medical Education) > 교수법 (소그룹, TBL, PBL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대일 교육  (0) 2013.06.17
소그룹으로 가르치기  (0) 2013.06.17
Teaching large groups  (0) 2013.06.17
PBL의 효과 : systematic review  (0) 2013.06.14
Problem Based Learning (PBL)  (0) 2013.06.14






  • Curriculum - three levels
    • Planned curriculum
      • eg. We will run 5 case based interactive tutorials on respiratory medicine
    • Delivered curriculum
      • eg. 4 tutorials happened and one was on cardiorespiratory medicine as the tutor did not understand exactly what he was supposed to do 
    • Experienced curriculum
      • eg. Only half of the students came to one tutorial as there was confusion regarding the timetable. At another tutorial there was limited interaction as the tutor had more of a lecture style 

  • The hidden curriculum
    • what students learn as they experience the gap between what we say and what we actually do.” Jodi Skiles
    • Powerful
    • Transmits values through role modelling
    • Never stated but everyone understands
  • Curriculum four elements
    • Content
    •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 Assessment processes
    • Evaluation processes.
  • Curriculum design models

Prescriptive

  • What curriculum designers should do
  • How to create a curriculum

    Objectives based

    • Educational purposes?
    • Educational experiences to reach purposes?
    • Organise educational experiences?
    • Evaluate if purposes being reached?
    • Educational purposes defining these is the most important step
    • BUT objectives especially behavioural objectives can be restrictive
    • Objectives based model fallen from favour

    Outcomes based

    • Starts with the outcomes you want students to obtain 
    • Statement example: students will competently assess and manage patients with asthma”
    • Popular
    • Focuses on what students do (rather than staff)
    • BUT dont be too restrictive/reductionist 

Descriptive

  • What curriculum designers actually do
  • What a curriculum covers


Situational model

  • Situation/context
  •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analyse the situation in which they work for its effect on what they do in the curriculum.”
  •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Curriculum design curriculum maps

  • Show links between the elements of the curriculum
  • Means of clear display
  • Structure for the organisation of the curriculum
  • Mapped to computer databases

 

  • No gaps
  • No overlapping
  • Holistic approach to care by showing links between different learning outcomes
  • Curriculum design windows on the map
    • The expected learning outcomes
    • Curriculum content or areas of expertise covered
    • Student assessment
    • Learning opportunities
    • Learning location
    • Learning resources
    • Timetable
    • Staff
    • Curriculum management
    • Students

  • Curriculum design cost benefit
    • Curriculum design is expensive
      • Planning
      • Organising
      • Running
      • Assessing
      • Evaluating
    • Good curriculum design has tangible benefits
      • Better reputation for your medical school
      • Better applicants to your medical school
      • Better and happier faculty
      • Better graduate doctors
      • Better and safer healthcare
      • No gaps, no overlaps in educational delivery
      • Everyone knows whats going on 
      • External inspections passed 


  • 여학생들이 Surgical domain으로 career 나아가기 어려운 이유를 Wenger Paradigmatic trajectories 활용하여 qualitative 하게 연구한 논문.
  • 학생은 의과대학 기간동안 보고(Seeing), 듣고(Hearing), 직접 (Doing, Hands-on experience) 경험을 통해서 자신의 미래 이미지를 그리고(Imagining), 과정을 통해 Career decision 한다.
  • Wenger 의하면... "학생들은 바보가 아니다의과대학 기간에 무엇을 듣든, 무엇을 배우든, 무슨 행위를 지시받든, 무슨 시험을 보든 실제 일이 이뤄지는 현장을 접하는 순간(actual access to the practice) 얼마 지나지 않아 진짜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what counts) 바로 알아챌 것이다."
    • Wenger29 describes the importance of ‘paradigmatic trajectories’, which are visible career paths provided by a community that shape how individuals negotiate and find meaning in their own experiences
      • ‘Exposure to this field of paradigmatic trajectories is likely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haping the learning of newcomers. In the end, it is its members – by their very participation – who create a set of possibilities to which newcomers are exposed as they negotiate their own trajectories. No matter what is said, taught, prescribed, recommended, or tested, newcomers are no fools; once they have actual access to the practice, they soon find out what counts.’29

  • Surgical world 속해 있을 자신의 모습을 그려보지 않았다는 것이 그것을 해보고자 하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앞서 언급된 과정을 통해 Surgical paradigmatic trajectories 대한 구분(strongly gendered)적인 이미지가 형성되며, '내가 과연 길을 있을까(paths of possibility)' 대한 의심도 저절로 계속된다(self-perpetuating). 무엇보다 여학생들이 외과계열 세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형성할 있는 다른 방법이 없을 , 그들이 접하는 외과계열을 둘러싼 구분적인 담론(discourse)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 Being unable to imagine belonging to the surgical world meant that these students did not even attempt to enter it. Surgical paradigmatic trajectories were strongly gendered, shaped by the processes we have outlined. The self-perpetuating power of these ‘paths of possibility’ was clear: the stories heard by students sustained the gendered discourses surrounding surgery, and the lack of any other avenues through which female students might form their perceptions of the surgical world left these discourses unchallenged.



 2013 Jun;47(6):547-56. doi: 10.1111/medu.12134.

The only girl in the room: how paradigmatic trajectories deter female students from surgical careers.

Source

School of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Faculty of Health, Medicine and Life Sciences, Maastricht University, Maastricht, the Netherlands; School of Medicine, Faculty of Medical and Human Sciences,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anchester, UK.

Abstract

OBJECTIVES:

Over 60% of UK medical students are female, yet only 33% of applicants to surgical training are women. Role modelling, differi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disidentification in female medical students have been implicated in this disparity. We are yet to fully understand the mechanisms that link students' experiences with national trends in career choices. We employ a hitherto unused concept from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paradigmatic trajectories. These are visible career paths provided by a community and are cited by Wenger as potentially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shaping the learning of newcomers. We pioneer the use of this theoretical tool in answering the research question: How do paradigmatic trajectories shape female medical students' experiences of surgery and subsequent career intentions?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comprised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sourced from 19 clinical medical students. During individual,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 explored these students' experiences at medical school. We carried out thematic analysis using sensitising concepts from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notably that of 'paradigmatic trajectories'.

RESULTS:

Female students' experiences of surgery were strongly gendered; they were positioned as 'other' in the surgical domain. Four key processes - seeing, hearing, doing and imagining -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paradigmatic trajectories, on which students could draw when making career decisions. Female students were unable to see or identify with other women in surgery. They heard about challenges to being a female surgeon, lacked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and struggled to imagine a future in which they would be successful surgeons. Thus, based on paradigmatic trajectories constructed from exposure to surgery, they self-selected out of surgical careers. By contrast, mal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hands-in' participation and were not marginalised by paradigmatic trajectories.

CONCLUSIONS:

The concept of the paradigmatic trajectory is a useful theoretical tool with which to understand how students' experiences shape career decisions. Paradigmatic trajectories within surgery deter female students from embarking on careers in surgery.

© 2013 John Wiley & Sons Ltd.







  • 1910 Flexner Report이후 의학지식은 팽창했고, health care system 복잡성이 증가했으며, 교수방법이 진화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라이트 형제가 Kitty Hawk에서 어설프게 비행기를 만들고 땜질하던 시대와 별반 다를 없는 교육을 받고 있다.
  • 이제는 의사를 양성하는 방법을 바꿀 때다. 하루에 사용가능한 시간은 변하지 않았으니, 현실적으로 하나의 대안밖에는 남지 않는다. 바로 학생들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 메시지를 'stickier' 달라붙게, 만들고 self-paced, mastery-based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 것이다.
    • 어떤 특징이 이야기를 " 달라붙게" 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있다. 하나는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unexpected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 또한 청중의 감정을 자극할 이야기가 " 달라붙는" 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환자로부터 직접 나오는 이야기는 의학지식에 관심을 두지않을 없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 Sir William Osler 이렇게 말했다. " 없이 의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아무도 가보지 않은 미지의 바다를 항해하는 것과 같다. 하지만 환자 없이 의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아예 바다에 나가지 않는 것과 같다"
      • 그러나 의과대학생들의 말에 따르면 1학년 과목의 절반 이상은 최소한의 환자에 대한 언급도 없이 이뤄진다고 되어 있다.
    • 20세기 이전까지는 강의(lecture) 지식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YouTube TED같은 방법이 있다. 이런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으로 video lecture 만드는 것이 간편해졌고,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 속도에 따라 공부할 있다. Khan Academy 예이다.

  • Class time 자유롭게 활용해서 상당한 차이를 만들 있다. 최근 연구에서 그룹은 노벨상을 받은 물리학자에게 강의를 들었고, 다른 학생 그룹은 TA 의해서 실제 세계의 물리 문제를 풀게 하였다. 후자의 그룹이 engaged하였고 수업에 참여하였다.



 2012 May 3;366(18):1657-9. doi: 10.1056/NEJMp1202451.

Lecture halls without lectures--a proposal for medical education.

Source

Stanford School of Medicine,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USA.

Comment in

PMID:
 
22551125
 
[PubMed - indexed for MEDLINE]



(출처 : http://blogs.nature.com/naturejobs/2013/01/28/getting-an-internship-in-science-journalism)


  • Abstract
    • 인문의학을 학부 교육에 넣어야 한다는 의견은 많이 있었지만, patient care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부족하고, medical humanities culture 의학교육에 arts and humanities 넣어야 확고한 이론적 근거를 보여주지도 못했다.
    • Medical error 주요 원인은 커뮤니케이션의 실패이고, 커뮤니케이션 실패의 원인은 refusal of democracy within medical work (의료 업무 내에 민주주의의 부재) 있다.
    • 의학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의 과학'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교훈을 의학교육의 형태로 변환하여 가르치는데 arts and humanities 중요한 contextual media 역할을 것이다.
  • 인문의학에 대한 문제점
    •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 다양한 confounding variable interaction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연구
    • 이과계열 졸업생과 문과계열 졸업생의 비교 : NBME에서 문과계열이 낫지는 않아도 비슷한 수준으로 하더라.
  • 의료분야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지만 환자안전의 outcome까지 비교한 것은 많지 않다.

  • Medical Error communication 관계
    • Medical error 암과 심장질환에 이어 번째 killer (255000/year)
    • 의사들의 소통 장애는 'clinical hypocompetence'라고 있다.
    • 개인의 특성이 아니라 cultural norm이다. Control style 문제와도 연관이 되어 있고 Status asymmetry 있어서 의사들은 종종 'teamwork 간호사가 복종하는 것이다' 라고 생각한다.
    • 메타분석 결과 의사들은 환자의 말을 듣지 않는다. '취조'이지 '경청' 아니다.
    • 마지막으로, 진단 오류는 malpractice 일으키는 번째 주요한 원인인데, 직접 측정할 방법은 없지만 간접적인 방법으로서 '25%에서 사망 전과 후의 진단이 다르다' 사실을 필요가 있다.

  • Empathy Cooperation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학생들은 팽배한 cynicism이나 unproductive autocracy 같은 medical culture 지닌 'hidden curriculum'으로 인해 처음 그들이 가지고 있던 이상적인 모습을 잃어간다.
    • Communication hypocompetence empathy 대한 여러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의학교육에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의과대학 학생들이 work-based, professional social activity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craft(기교) of communication'이라고도 부른다.

  • 의대 문화의 민주화 : 인문의학의 역할
    • 인문의학을 통해 얻고자 하는 주요한 outcome 하나는 empathy 대한 교육이다. Team-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주요한 역량 역시 empathy이다.
    • 간략하게 말하면, where training of communication skills is often limited to technical issues of face-to-face encounters, the broader issue of progressing this to establishing habits of democratic behaviour has not been articulated or pursued in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민주적 행동(democratic behavior)습관을 키워주는 문제는 다뤄지지 않고 있음

  • 의과대학에서 인문의학의 성장
    • Medical humanities라는 단어는 1947 도입됨.
    • Crawshaw seminal paper ‘Humanism in medicine’ notes that the medical profession appears increasingly ‘more mechanical and less human’: ‘Our ears are bent, our minds filled, perhaps even our hearts weighed with the burgeoning catalogue of iatrogenic problems.’40
    • 1976 Moore published literature에서 처음으로 medical humanities라는 단어 사용.
    • 등등..
    • 그러나 널리 퍼진 용어에 대한 consensus 없었다.
    • Consensus 있어야 할까? 비록 표현에 있어 variety 존재했지만 patient care 향상시키겠다는 공통적 목적만은 잃지 않았다.
    • 인문의학을 통합시킴으로써 얻는 효과를 측정하는 alternative approach
      • Crawshaw’s concern ‘with the burgeoning catalogue of iatrogenic problems’ : 의인성문제를 본다.
      • Cook’s suggestion that the medical humanities offer the best medium for medical students to focus on the ‘ambiguities of the human condition’. '인간의 모호성'

  • 미래의 인문의학 역할
    • Medical work technical하면서 interpersonal하다.
      • "medicine not as a science, but a ‘science using’ practical activity whose heart is clinical judgment demanding high tolerance of uncertainty"
    • 인문의학의 연구를 종합한 개의 리뷰논문을 보면, 연구의 설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 의학교육은 측정불가능한 성과에 대해 투자해야 한다는 점에 있어 도전을 받을 것이다.
    • Humanity는 Empathy retention하는데 중요하다.
    • 의학은 임상, 과학적 연구를 환자 진료화 있는 'medium' 필요한데, 인문학이 바로 그러한 역할을 있다.
    • Pilpel et al.46 suggest that medical error may be reduced in the future not specifically by focusing upon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but by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barriers to the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for medical error, primarily ‘institutional norms that encourage authoritarianism,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nial of error’.

 

  • 이론적 정당성
    • Humanity 의학계 내의 democracy 증진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다
    • Social play : 다른 사람을 인내하고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는데 중요함
    • 판단의 premature closure 경계(resist)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ambiguity 감내할 있게 해주는 potential space (어른의 'play') 필요하다.
    • 313명의 의대생을 10년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ambiguity 대한 tolerance 약한 학생은 사는 사람이나 사회적 약자 계층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 Empathy 저하, ambiguity 참는 (intolerance) 모두 'communication symptom 양면이다.

  • 결론
    • 현재 인문의학은 실험을 통한 근거를 쌓는데 고전하고 있으나, communication science patient safety study 통하여 영향에 대한 질문에 답할 있을 것이다




 2013 Feb;47(2):126-33. doi: 10.1111/medu.12056.

Can the science of communication inform the art of the medical humanities?

Source

Institute of Clinical Education, Peninsula Medical School, Peninsula College of Medicine and Dentistry, Universities of Exeter and Plymouth, Exeter, UK. alan.bleakley@pms.ac.uk

Abstract

CONTEXT: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establishing the medical humanities as core integrated provision in undergraduate medicine curricula, but sceptics point to the lack of evidence for their impact upon patient care. Further, the medical humanities culture has often failed to provide a convincing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inclusion of the arts and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DISCUSSION:

Poor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patients is the main factor in creating the conditions for medical error; this is grounded in a historically determined refusal of democracy within medical work. The medical humanities may play a critical role in educating for democracy in medical culture generally, and in improving communication in medical students specifically, as both demand high levels of empathy. Studies in the science of communication can provide a valuable evidence base justifying the inclus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the core curriculum. A case is made for the potential of the medical humanities--as a form of 'adult play'--to educate for collaboration and tolerance of ambiguity or uncertainty, providing a key element of the longer-term democratising force necessary to change medical culture and promote safer practice.

CONCLUSION:

The arts and humanities can provide important contextual media through which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science of communication in medicine can be translated and promoted as forms of medical education.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3.



외국의 의사자격시험 제도


○ 미국 : 의사면허 취득을 위한 자격시험 (USMLE)은 3단계의 평가제도로서 StepⅠ(필기시험), StepⅡ(임상필기와 실기), StepⅢ(필기시험-컴퓨터 시뮬레이션 증례)로 이루어짐


구 분

평가 영역

평가 시기

자 격

Step

기초

2학년 이후

병원임상실습 받을 자격

Step

임상

4학년

레지던트 수련받을 자격

Step

독립진료

졸업후 1

주면허 획득하여 개업할 자격



○ 캐나다 : 의사시험(MCCQE)은 PartⅠ(필기시험, 의학지식, 임상적 사고) 합격 후 12개월 동안 “졸업 후 임상의학 수련과정을 수료”한 자가 PartⅡ(실기시험, 임상수기평가)에 응시할 수 있음



○ 독일 : 재학중 단계별 시험인 의사 예비시험(임상교육 전), 1차 시험(임상교육 1년후), 2차 시험(임상교육 3년후), 3차 시험(임상교육 4년후)을 마치면 임시의사면허를 받으며, 졸업후 1년6월의 실습의사과정을 거쳐 진료의사로서 정규의사면허 취득



○ 일본 : 의사국가시험 합격(필기시험)후 2년간의 임상수련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임상수련을 위한 공용시험(Kyoyo test)을 치르도록 함(실기시험, ‘05년 시행)



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06년 6월 22일, 2010년부터 의사면허시험에 실기시험제도 도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