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blogs.nature.com/naturejobs/2013/01/28/getting-an-internship-in-science-journalism)


  • Abstract
    • 인문의학을 학부 교육에 넣어야 한다는 의견은 많이 있었지만, patient care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부족하고, medical humanities culture 의학교육에 arts and humanities 넣어야 확고한 이론적 근거를 보여주지도 못했다.
    • Medical error 주요 원인은 커뮤니케이션의 실패이고, 커뮤니케이션 실패의 원인은 refusal of democracy within medical work (의료 업무 내에 민주주의의 부재) 있다.
    • 의학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의 과학'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교훈을 의학교육의 형태로 변환하여 가르치는데 arts and humanities 중요한 contextual media 역할을 것이다.
  • 인문의학에 대한 문제점
    •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 다양한 confounding variable interaction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연구
    • 이과계열 졸업생과 문과계열 졸업생의 비교 : NBME에서 문과계열이 낫지는 않아도 비슷한 수준으로 하더라.
  • 의료분야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지만 환자안전의 outcome까지 비교한 것은 많지 않다.

  • Medical Error communication 관계
    • Medical error 암과 심장질환에 이어 번째 killer (255000/year)
    • 의사들의 소통 장애는 'clinical hypocompetence'라고 있다.
    • 개인의 특성이 아니라 cultural norm이다. Control style 문제와도 연관이 되어 있고 Status asymmetry 있어서 의사들은 종종 'teamwork 간호사가 복종하는 것이다' 라고 생각한다.
    • 메타분석 결과 의사들은 환자의 말을 듣지 않는다. '취조'이지 '경청' 아니다.
    • 마지막으로, 진단 오류는 malpractice 일으키는 번째 주요한 원인인데, 직접 측정할 방법은 없지만 간접적인 방법으로서 '25%에서 사망 전과 후의 진단이 다르다' 사실을 필요가 있다.

  • Empathy Cooperation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학생들은 팽배한 cynicism이나 unproductive autocracy 같은 medical culture 지닌 'hidden curriculum'으로 인해 처음 그들이 가지고 있던 이상적인 모습을 잃어간다.
    • Communication hypocompetence empathy 대한 여러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의학교육에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데, 의과대학 학생들이 work-based, professional social activity 대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craft(기교) of communication'이라고도 부른다.

  • 의대 문화의 민주화 : 인문의학의 역할
    • 인문의학을 통해 얻고자 하는 주요한 outcome 하나는 empathy 대한 교육이다. Team-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주요한 역량 역시 empathy이다.
    • 간략하게 말하면, where training of communication skills is often limited to technical issues of face-to-face encounters, the broader issue of progressing this to establishing habits of democratic behaviour has not been articulated or pursued in medical education. 의학교육에서 민주적 행동(democratic behavior)습관을 키워주는 문제는 다뤄지지 않고 있음

  • 의과대학에서 인문의학의 성장
    • Medical humanities라는 단어는 1947 도입됨.
    • Crawshaw seminal paper ‘Humanism in medicine’ notes that the medical profession appears increasingly ‘more mechanical and less human’: ‘Our ears are bent, our minds filled, perhaps even our hearts weighed with the burgeoning catalogue of iatrogenic problems.’40
    • 1976 Moore published literature에서 처음으로 medical humanities라는 단어 사용.
    • 등등..
    • 그러나 널리 퍼진 용어에 대한 consensus 없었다.
    • Consensus 있어야 할까? 비록 표현에 있어 variety 존재했지만 patient care 향상시키겠다는 공통적 목적만은 잃지 않았다.
    • 인문의학을 통합시킴으로써 얻는 효과를 측정하는 alternative approach
      • Crawshaw’s concern ‘with the burgeoning catalogue of iatrogenic problems’ : 의인성문제를 본다.
      • Cook’s suggestion that the medical humanities offer the best medium for medical students to focus on the ‘ambiguities of the human condition’. '인간의 모호성'

  • 미래의 인문의학 역할
    • Medical work technical하면서 interpersonal하다.
      • "medicine not as a science, but a ‘science using’ practical activity whose heart is clinical judgment demanding high tolerance of uncertainty"
    • 인문의학의 연구를 종합한 개의 리뷰논문을 보면, 연구의 설계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 의학교육은 측정불가능한 성과에 대해 투자해야 한다는 점에 있어 도전을 받을 것이다.
    • Humanity는 Empathy retention하는데 중요하다.
    • 의학은 임상, 과학적 연구를 환자 진료화 있는 'medium' 필요한데, 인문학이 바로 그러한 역할을 있다.
    • Pilpel et al.46 suggest that medical error may be reduced in the future not specifically by focusing upon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but by teaching medical students about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barriers to the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for medical error, primarily ‘institutional norms that encourage authoritarianism,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nial of error’.

 

  • 이론적 정당성
    • Humanity 의학계 내의 democracy 증진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다
    • Social play : 다른 사람을 인내하고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는데 중요함
    • 판단의 premature closure 경계(resist)함으로써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ambiguity 감내할 있게 해주는 potential space (어른의 'play') 필요하다.
    • 313명의 의대생을 10년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ambiguity 대한 tolerance 약한 학생은 사는 사람이나 사회적 약자 계층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 Empathy 저하, ambiguity 참는 (intolerance) 모두 'communication symptom 양면이다.

  • 결론
    • 현재 인문의학은 실험을 통한 근거를 쌓는데 고전하고 있으나, communication science patient safety study 통하여 영향에 대한 질문에 답할 있을 것이다




 2013 Feb;47(2):126-33. doi: 10.1111/medu.12056.

Can the science of communication inform the art of the medical humanities?

Source

Institute of Clinical Education, Peninsula Medical School, Peninsula College of Medicine and Dentistry, Universities of Exeter and Plymouth, Exeter, UK. alan.bleakley@pms.ac.uk

Abstract

CONTEXT: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establishing the medical humanities as core integrated provision in undergraduate medicine curricula, but sceptics point to the lack of evidence for their impact upon patient care. Further, the medical humanities culture has often failed to provide a convincing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inclusion of the arts and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DISCUSSION:

Poor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patients is the main factor in creating the conditions for medical error; this is grounded in a historically determined refusal of democracy within medical work. The medical humanities may play a critical role in educating for democracy in medical culture generally, and in improving communication in medical students specifically, as both demand high levels of empathy. Studies in the science of communication can provide a valuable evidence base justifying the inclus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the core curriculum. A case is made for the potential of the medical humanities--as a form of 'adult play'--to educate for collaboration and tolerance of ambiguity or uncertainty, providing a key element of the longer-term democratising force necessary to change medical culture and promote safer practice.

CONCLUSION:

The arts and humanities can provide important contextual media through which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science of communication in medicine can be translated and promoted as forms of medical education.

© Blackwell Publishing Ltd 2013.



+ Recent posts